걸출한 교육자 되기: 성공에 대하여 뭐라고 말하는가? (Adv Health Sci Educ Theory Pract, 2020)

Becoming outstanding educators: What do they say contributed to success?
Larissa R. Thomas1 · Justin Roesch2 · Lawrence Haber1 · Patrick Rendón2 · Anna Chang3 · Craig Timm2 · Summers Kalishman4 · Patricia O’Sullivan5

 

 

도입

Introduction

 

의료교육 경력에서 성공하는 길은 초기 경력 교수진과 특히 지도를 하는 부서장, 부서장, 선배 멘토에게 수수께끼처럼 보일 수 있지만, 그들 자신의 경험이 종종 기초 과학자 또는 임상 조사원으로서이다. 연구 커리어에서 교수진(예: 보조금 및 논문 수)이 경력 진행을 위한 단계와 메트릭을 정의한 것과 달리, 의학 교육에서 주니어 교수가 성공적인 경력 궤적을 위한 유사한 로드맵 개요 벤치마크가 부족하다(Sanfey 및 Gantt 2012). 또한 멘토가 있을 수 있지만, 공식적인 멘토 관계와 멘토링 전략에 대한 지침은 덜 일반적이다(Feldman et al., 2010). 교수개발 프로그램은 이러한 가이드를 제공할 수 있는 하나의 장소이지만, 현재 의학교육의 교수진 개발 프로그램은 종종 명시적으로 커리어 개발에 초점을 맞추기보다는, 교수기술 강화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Irby and O'Sullivan 2018).
The pathway to success in medical education careers can appear enigmatic to early-career faculty and especially to department chairs, division chiefs, and senior mentors who provide guidance, but whose own experiences often are as basic scientist or clinical investigators. In contrast to faculty in research pathways, who have defined steps and metrics for career progression (such as numbers of grants and articles), junior faculty lack a similar roadmap outlining benchmarks for a successful career trajectory in medical education (Sanfey and Gantt 2012). Furthermore, while mentors may be available, formal mentoring relationships and guidance on mentorship strategies are less common (Feldman et al. 2010). Although faculty development programs are one venue that could provide such guidance, current faculty development programs in medical education often focus primarily on technical skill-building rather than explicitly on career advancement (Irby and O’Sullivan 2018).

연구자들은 직업 궤도에 대한 영향을 이해하기 위한 개념적 프레임워크로서 사회 인지 직업 이론(SCCT)(Lent et al. 1994)을 자주 그린다. SCCT는 사회 인지 학습 이론(Bandura 1986)의 기초 위에서 확장하여 개별 요인(배경, 성별, 민족 등)과 상황적 요인(환경 및 동료와의 상호작용 등) 사이의 상호작용이 어떻게 자기 효율성과 결과 기대치를 이끌어 내 직업 관심사, 목표 및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설명한다. 경력개발과 관련된 적응적 과정adaptive process을 더 잘 다루기 위해, SCCT 이론가들은 경력개발을 고려함에 있어서 프로세스 차원process dimension을 포함시킬 것을 제안했다. 이러한 프로세스 차원에는 다음이 있다.

  • 커리어 도전과 일상적인 경력 결정,
  • 커리어 전환 협상,
  • 커리어 내 개인적 목표 통합 및 추구,
  • 다양한 역할의 관리 및 경력 지연 검토(Lent and Brown 2013)

Researchers frequently draw on the social cognitive career theory (SCCT) (Lent et al. 1994) as a conceptual framework to understand influences on career trajectory. SCCT expands on the foundation of social cognitive learning theory (Bandura 1986) to describe how the interaction between individual factors (such as background, gender, ethnicity), and contextual factors (such as environment and interactions with peers) drives self-efficacy and outcome expectations to influence career interests, goals and performance. To better address the adaptive processes associated with career development, SCCT theorists proposed including process dimensions in considering career development. Some of these process dimensions include

  • examining career challenges and routine career decisions,
  • negotiation of career transitions,
  • integration and pursuit of personal goals within one’s career,
  • management of multiple roles and examination of career setbacks (Lent and Brown 2013).

이번 연구는 의학교육자의 경력을 연구하는 데 SCCT를 포함한 다양한 프레임워크를 사용했다. 여러 연구가 SCCT의 렌즈를 이용한 의료 교육자 경력과 관련 이론을 조사했으며, 주로 초기 경력 교수진의 경험을 살펴보았다
Researchers have used various frameworks, including SCCT, in studying the careers of medical educators. Several studies have examined medical educator careers using the lens of SCCT and related theories, primarily looking at experiences of early-career faculty.

변화 변화를 연구하고 의료 교육 교직원의 형성을 식별한 다른 연구자들은 의료 교육에서 다양한 직업 단계와 관련된 긴장 및 다면적인 차원을 해석하기 위해 실무 커뮤니티의 중요한 이론적 프레임워크를 식별했다(Sethi et al., 2017). 경력 개발에 대한 연구는 또한 Schlossberg의 4S(자기, 상황, 지원 및 전략)를 사용하여 전환 이론transition theory에서 끌어낸 Browne 외(2018)가 포착한 정체성 형성과 중복된다.

Other researchers studying transformational change and identify formation of medical education faculty identified an overarching theoretical framework of communities of practice to interpret the tensions and the multi-faceted dimensions associated with various stages of careers in medical education (Sethi et al. 2017). Studies on career development also overlap with identify formation as captured by Browne et al. (2018), who drew from transition theory using Schlossberg’s 4 Ss (self, situation, support and strategy).


방법

Methods

 

이 연구는 연구자와 연구자 간의 상호 작용이 의미를 발생시킨다는 것을 인식하면서 건설주의적 패러다임에 뿌리를 두고 있다(Ng 등. 2019). SCCT가 지도한 이전 연구에서 확립된 우수 교육자의 관점을 더 탐구할 수 있는 기회를 확인했기 때문에, 본 연구는 SCCT를 참조 프레임워크로 채택하여 주제분석 접근 방식을 사용했다.

This research is rooted in a constructivist paradigm, recognizing that the interaction between researchers and those whom they study produces meaning (Ng et al. 2019). Because prior work guided by SCCT identified opportunities for further exploration of perspectives of established outstanding educators, this study used the approach of thematic analysis (Braun and Clarke 2006), employing SCCT as a reference framework.


이번 연구에는 두 개의 사이트가 포함되었는데, 두 개의 서로 다른 학문의 환경을 대표한다는 목표로 편의 표본으로 선정되었다. 둘 다 공립 대학이다. 캘리포니아 대학교 샌프란시스코(University of California San Francisco, UCSF)는 학부 및 대학원 교육을 위한 의료 센터와 프로그램을 갖춘 종합 대학이다. UNM의 의료캠퍼스는 UCSF에 비해 규모가 작고 오랜 기간 동안 의료 교육 인프라가 구축되지 않았다.
The study included two sites, which were selected as a convenience sample with the goal of representing two different academic environments. Both are public universities.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San Francisco (UCSF) is an academic medical center and the University of New Mexico (UNM) is a comprehensive university with both a medical center and programs for undergraduate and graduate education. UNM’s medical campus is smaller compared to UCSF and has had less longstanding medical education infrastructure.

연구 참여자는 직접 교육, 커리큘럼 개발, 평가, 멘토링/자문 및 리더십/관리 분야에서 의료 교육 내에서 중요한 역할 또는 인정을 받은 전임 의사 또는 부교수 수준의 교수였다. 8명으로 구성된 조사팀에는 2개의 현장 기반 팀이 포함되어 있으며, 각 팀에는 2명의 주니어 및 2명의 수석 의료진, 2명의 선임 교수진에는 모두 임상의, 2명의 임상의와 2명의 의사가 준비된 교육자가 포함되어 있다.
Study participants were full-time physician faculty at the full or associate professor level with prominent roles or recognition within medical education in the areas of direct teaching, curriculum development, assessment, mentoring/advising and leadership/management. The eight-member investigator team included two site-based teams, each with two junior and two senior medical education faculty; the junior faculty were all clinicians, and the senior faculty included two clinicians and two doctorally-prepared educators.


그런 다음 각 현장 기반 팀은 2006년 AAMC 컨센서스 콘퍼런스(Simpson et al. 2007)에서 제정된 기준에 따라 의료 교육에 대한 기여의 주요 분야로 후보자를 하나 이상 분류했다. 직접 교육, 커리큘럼 개발, 평가, 조언 및 멘토링, 교육 리더십/행정. 이러한 범주 중 하나 이상에 대한 중요성(보급 및 평판 증명)은 참여 자격을 갖추기 위한 요건이었다.
Each site-based team then categorized each candidate by one or more primary areas of contribution to medical education according to criteria established in the 2006 AAMC consensus conference (Simpson et al. 2007): direct teaching, curriculum development, assessment, advising and mentoring, and educational leadership/administration. Prominence (as demonstrated though dissemination and reputation) in one or more of these categories was a requirement to be eligible for participation.


연구팀은 SCCT로부터 informed된 인터뷰 가이드를 개발했으며, 각 현장에서 연구 샘플에 포함되지 않은 1–2명의 교수진을 대상으로 시범 실시한 후 가이드를 세분화하여 6개의 주요 질문을 프로브와 함께 작성했다("부록 1" 참조). 면접관은 소급 재검사에서 발생할 수 있는 리콜 편향을 방지하기 위해 참가자의 경험과 관련된 추가 특이성, 상세성, 컨텍스트 및 이벤트를 장려하기 위해 조사를 사용했다.

The team developed an interview guide informed by SCCT, which was piloted at each site with 1–2 faculty not included in the study sample, then refined the guide, resulting in 6 main questions with probes (See “Appendix 1”). Interviewers used probes to encourage additional specificity, detail, context, and events related to the participant’s experiences, in order to guard against recall bias that could emerge from a retrospective recounting.

 


팀 전체가 추가 조사를 위해 초기 인터뷰를 검토했다. 연구팀은 SCCT의 세 가지 광범위한 주제인 자기효능주의 신념, 결과 기대치, 개인적 목표를 사용하여 두 개의 대본을 검토함으로써 초기 코드북을 개발했다. 이러한 테마는 교육자의 경력 관점을 분류하는 출발점이 되었고, 이를 확장하여 추가 코드를 포함시켰다. 코드북은 광범위한 논의와 추가적인 대본 검토와 재검토를 통해 다듬어지고 최종 마무리되었다. 그 후 두 명의 수사관에 의해 각각의 녹취록은 독립적으로 코딩되었다. 즉, 인터뷰 대상자와 같은 사이트의 선임 수사관이 다른 사이트의 하위 수사관과 함께 작업했다. 각 쌍은 코딩의 차이를 판단하기 위해 만났고, 선임 조사관은 필요한 경우 면접 대상 기관에 대한 상황 정보를 명확히 했다. 이 조사관은 최종 합의 코드를 Dedoose (CA, Hermosa Beach)에 입력했다. 각 인터뷰 대상자가 식별된 주제와의 정렬을 검토하기 위한 경력 궤적을 설명하는 요약서를 개발하는 등 데이터의 신뢰성을 보장하기 위한 많은 단계가 수행되었다(Shenton 2004). 인터뷰는 정보 충분성에 도달할 때까지 계속되었으며, 이후 인터뷰에서도 유사한 주제가 나타났다(Malterud et al., 2016).
The entire team reviewed initial interviews to refine additional probes. The team developed an initial codebook by reviewing two transcripts using three broad themes from SCCT: self-efficacy beliefs, outcome expectations, and personal goals. These themes served as a starting point for categorizing educators’ perspectives of their careers and they were expanded upon and additional codes included. The codebook was refined and finalized through extensive discussion and further transcript review and re-review. Each transcript was then independently coded by hand by two investigators: a senior investigator from same site as the interviewee worked with a junior investigator from the other site. Each pair met to adjudicate differences in coding, with the senior investigator clarifying contextual information about the interviewee’s institution where necessary. The junior investigator entered the final consensus codes into Dedoose (Hermosa Beach, CA). Many steps were taken to ensure trustworthiness of the data, including developing a summary for each interviewee to describe their career trajectory to examine for alignment with the identified themes (Shenton 2004). Interviews were continued until information sufficiency was reached, with similar themes appearing in subsequent interviews (Malterud et al. 2016).

코딩에 이어, 팀은 코드 보고서를 검토하고 테마를 합성하고 궤적 스토리와 정렬을 결정하는 반복적인 프로세스를 시작했다. 이 과정은 1년 동안 여러 팀 회의를 통해 수행되었습니다. 테마는 SCCT의 요소를 유지하였고, 유도적으로 개발된 코드와 토론은 최종 테마를 도출한 경력 개발에 대한 세부 사항으로 이어졌다. 각 테마는 참가자 번호로 식별된 지지 인용문과 함께 설명됩니다.

Following coding, the team began an iterative process of reviewing the code reports, synthesizing themes and determining alignment with trajectory stories. This process was done over the course of a year with a number of whole team meetings. The themes sustained elements from the SCCT, and the inductively developed codes and discussions led to elaborations about career development that resulted in the final themes. Each theme is described with supporting quotes identified by a participant number.

 

성찰성

Reflexivity

 

[팀의 폭넓은 경험]은 특정한 편견에서 생길 수 있는 해석에 도전하는데 도움이 되었다. 즉, 선배들은 대부분 교수진 개발에 투자를 했고, 후배들은 커리어 가이드guidance를 구했다. 건설주의 패러다임에서 우리는 후배 교수팀원들이 면접을 진행하고 면접지도자의 발전을 이끌도록 의도적으로 선택했는데, 이들이 진로지도에 대한 자신의 관점을 대변했기 때문이다. 이 결정이 면접 조사 선택과 데이터 해석에 영향을 줄 수 있었지만, 이 잠재적 성찰성은 인터뷰 가이드 작성 및 분석 중에 빈번한 회의와 연구팀의 고위 구성원(기관 내 및 기관 간 모두)과 짝을 이루어 균형을 이루었다. 그 견해는 최종 테마를 설명하는 과정에서 서로 균형을 이루었다.

The team’s breadth of experience was helpful to challenge interpretations that could arise from particular biases: senior members largely had an investment in faculty development, and the junior members sought career guidance. From a constructivist paradigm, we intentionally chose to have junior faculty team members conduct interviews and lead the development of the interview guide, since they represented the perspective of those who were themselves seeking career guidance. Although this decision could have influenced choice of interview probes and interpretation of data, this potential reflexivity was balanced by frequent meetings and pairing with the senior members of the study team (both within and across institutions) during interview guide creation and analysis. The views balanced each other in the elucidation of the final themes.

결과

Results

표 1은 참가자를 설명합니다(표 1 참조).
Table 1 describes the participants (see Table 1).

 



테마 1: 기회는 준비된 마음을 선호한다.
Theme 1: opportunity favors the prepared mind


참가자들은 역할에 대한 준비를 하고 의료교육의 초기 성공을 이끈 초기 경험을 떠올리는 경우가 많았다. 이러한 경험은 종종 보호되는 시간 없이 관심 영역에서 자원봉사를 하는 것과 관련이 있다. 개인은 자신의 관심분야를 다른 사람들에게 분명하게 전달했고, 그랬기에 발생하는 기회를 이용할 준비가 되어 있었다. 
Participants often recalled early experiences that prepared them for roles and led to initial successes in medical education. These experiences frequently involved volunteering in an area of interest without protected time. Individuals communicated their interests explicitly to others and were therefore poised to take advantage of opportunities that occurred. 

 

 

하위 테마: 첫 번째 기회로 이어지는 우연성에 대한 인식
Sub theme: perception of serendipity leading to first opportunities


기회가 생겼을 때, 연구 참가자들은 종종 이러한 성공을 우연한 감각이나 (우연히) '적절한 시기에 알맞은 장소'에 있기 때문이라고 했다. 그러나 많은 경우(예: 직책 개설을 유도하는 교직원의 퇴직)에 기회 또는 타이밍 요소가 존재했지만, 사전 작업 및 준비는 일반적으로 고려 대상이 되었다.

When opportunities arose, study participants frequently attributed these successes to a sense of serendipity or being in the “right place at the right time.” However, while some element of chance or timing did exist in many cases (for example, retirement of a faculty member leading to a position opening), prior work and preparation had usually positioned them for consideration.

하위 테마: 솔선수범하고 "예"라고 말함
Subtheme: taking initiative and saying “yes”


또 다른 하위 주제는 자발적으로 기회를 요청하는 것의 중요성과 자신의 초기 경력에서 생겨난 기회들에 대해 정기적으로 "예"라고 말하는 것이었다. 이러한 활동은 많은 참가자들에게 새로운 역할과 기회로 직결되었다. 
Another sub-theme was the importance of taking initiative to ask for opportunities, as well as regularly saying “yes” to opportunities that arose in one’s early career. This proactivityled directly to new roles and opportunities for many participants. 

테마 2: 초기의 성공이 중요하다.
Theme 2: early successes matter


초기 성공은 종종 새로운 기회로 이어졌으며, 종종 리더십 위치 또는 역할의 형태로 가시성, 네트워킹 기회 및 추가 책임으로 이어졌다. 
Early successes often led to new opportunities, frequently in the form of leadership posi-tions or roles that led to increased visibility, networking opportunities, and additional responsibility. 

게다가, 이러한 초기의 성공은 자신감을 키우는 것이었고, 의료 교육자로서의 진로를 재확인했다.
Additionally, these early successes were confidence-building and reaffirmed the career path of being a medical educator.

Theme 3: 교수진 개발 프로그램은 직업 가속기
Theme 3: faculty development programs are career accelerators


거의 모든 참가자들이 공식적인 (교수)개발 프로그램을 마쳤습니다. 교수진 개발은 기술을 개발하고, 네트워크를 개선하고, 추가 개발에 대한 관심을 촉진함으로써 직업 가속기 역할을 했습니다. 역량 습득 측면에서 교수개발 프로그램은 기존에 생소했던 교육원리, 교육이론, 전략 등을 명확히 하고, 의료교육에 대한 관심을 더욱 증폭시켰다.
Nearly all participants had completed a formal development program. Faculty development served as a career accelerator by developing skills, enhancing a network, and spurring an interest in further development. In terms of skills acquisition, faculty development programs clarified pedagogical principles, educational theory, and strategies that were previously unfamiliar, and fueled their further interest in medical education.

참가자들은 또한 동료 교육자 네트워크에 연결함으로써 얻을 수 있는 예상치 못한 이점을 설명했는데, 이는 참가자들을 부서 밖의 새로운 아이디어에 노출시킬 뿐만 아니라 향후 작업에 대한 협업과 지원을 위한 자원으로도 작용했다.
Participants also described unanticipated benefits of connection to a network of fellow educators, which not only exposed participants to new ideas outside of their departments, but also served as a resource for collaboration and support for future work.

테마 4: 멘토들의 마을이 필요하다.
Theme 4: it takes a village of mentors


오늘날 존재하는 등 공식적인 멘토링 프로그램을 접하지 못한 참가자가 많았지만, 모든 참가자가 멘토를 확인했다. 멘토는 주로 진로·동료 멘토로 참여자들이 다음 단계의 우선순위를 정할 수 있도록 돕고, 새로운 기회에 대해 알리고, 직책·발전기회 지원을 독려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
Though many participants did not have access to formal mentoring programs such as exist today, all participants identified mentors. Mentors were primarily career and peer mentors, and played an important role in helping participants prioritize next steps, alerting them to new opportunities, and encouraging them to apply for positions and development opportunities.

참가자들은 특히 [학문적 일을 추진하는 데 있어 원동력이 되는] 동료 멘토에 대해 종종 말했다.

Participants often spoke about peer mentors who seemed to be driving forces, particularly in the pursuit of scholarly work



Theme 5: 네트워크는 경력을 발전시킵니다.
Theme 5: networks advance careers


내부/국내/외부/국내 네트워크 모두 경력 발전을 촉진했고, 전문 학회와 같은 공식 네트워크 및 동료 커뮤니티와 같은 비공식 네트워크를 포함했다. 참가자들은 주로 멘토, 의료교육 역할 참여, 교수 개발 프로그램을 통해 이들 네트워크에 진입했으며, 의료교육 공동체의 문화와 정치에 대한 이해를 돕는 네트워크의 가치를 강조했다.
Both internal/local and external/national networks facilitated career advancement, and included formal networks such as professional societies, as well as informal networks such as peer communities. Participants usually entered these networks through a mentor, involvement in a medical education role, or a faculty development program, and highlighted the value of networks for helping them to understand the culture and politics of the medical education community.

또한 네트워크는 참가자들에게 특정 기회(예: 연설 또는 위원회 의장 역할)와 향후 프로젝트를 위한 협력자들에게 모두 소개했습니다.

Networks also introduced participants both to specific opportunities (such as speaking or committee chair roles) and to collaborators for future projects.



Theme 6: 지원 작업 환경, 경력 향상
Theme 6: supportive work environments enhance careers


많은 참가자들이 자신의 진로를 검증하기 위한 [지지적 업무 환경]의 중요성을 설명했습니다. 이러한 환경에는 감독자 및 동료와의 [지지적 업무 관계]와 [공유된 가치]가 결합되어 있습니다.
Many participants described the importance of a supportive work environment for validating their career paths. This environment included a combination of supportive work relationships with supervisors and colleagues and shared values.

참가자들은 또한 균형을 촉진하는 데 도움이 되는 자원으로서 임상적 서포트를 제공하는 동료의 중요성에 대해 언급했다. 유연성과 임상 백업을 지원하기 위해 작업 커뮤니티work community에 의존할 수 있었던 참가자들은 업무관련 및 업무비관련 책임 충족을 위해 더 많은 지원을 받는다고 설명했습니다.

Participants also commented on the importance of colleagues providing clinical support as a resource to help promote balance. Participants who were able to rely on a work community to support flexibility and clinical backup described feeling more supported in their efforts to meet work and non-work responsibilities.

 


Theme 7: 애정 어린 작업이 균형 있게 과제를 만들고 완화합니다.
Theme 7: loving work creates and mitigates challenges with balance


많은 교수진들은 그들의 진로를 통해 직장 밖의 삶이나 일과 관련하여 균형이나 안정을 달성하는 데 장애물을 설명했다. 참가자들은 "그렇다"고 말하는 충동적 성향이 경력 초기에는 종종 기회로 이어졌지만, 중년이후에는 경력의 불균형에 기여했고, 사생활에 미친 (안 좋은) 대한 결과도 있었다고 설명했다.
Many faculty members described barriers to achieving balance or stability with respect to work or life outside of work over the course of their careers. Participants described that the same impulse to “say yes,” which had often led to opportunities early in their career, contributed to lack of balance, especially in mid-career, with consequences on personal life.

일부 참가자들은 새로운 책임을 지는데 있어 보다 까다로워지고 명확한 경계를 세울 수 있었기 때문에 그들의 경력에 걸쳐 종래에 걸쳐 더 큰 균형을 이루었다.

Some participants achieved greater balance longitudinally over the course of their careers as they were able to become more selective in assuming new responsibilities and established clearer boundaries.

거절하는 게 정말 중요한 것 같아. 모든 것을 다 할 수는 없고, 할 일을 골라야 잘 할 수 있다. 그 중 일부는 당신의 직업에서 당신의 방향이 무엇인지 이해하는 것이다. (D10)
I think it’s really important to say no to some things. You can’t do everything, and you have to pick and choose the things that you’re going to do so you can do them well. Part of that is understanding what your direction is in your career. (D10)


다른 교수진들은 그들의 학업이 자부심과 자생력의 원천이었기 때문에 전통적인 근무 주 이외의 교육자의 책임 침해를 부정적으로 보지 않았다.
Other faculty did not view encroachment of educator responsibilities beyond the traditional work-week negatively, as their academic work was a source of pride and self-sustaining.

나는 [균형]이라는 단어가 싫다. 도저히 충족시킬 수 없는 기대를 만들어 낸 것 같아요. 삶의 균형을 맞출 수 있는 방법은 없습니다. 그것은 불가능한 것을 암시하고 있다. 제가 믿는 것은 이렇습니다. 저는 여러분이 하는 일을 사랑한다면, 저절로 해결된다고 믿습니다. (D6)
I hate that word [balance]. I think it’s created expectations that are impossible to meet. There’s no way you can balance your life…That implies something that’s impossible… o here’s what I believe: I believe that if you love what you do, it works itself out. (D6)


보다 균형 잡힌 지원자에는 지원 커뮤니티, 가족, [업무 외 개인적 의무에 대한 보호 시간]을 관리schedule할 수 있는 능력이 포함되었습니다.
Enablers of greater balance included a supportive community, family, and the ability to schedule protected time for personal obligations outside of work.

테마 8: 임상 및 교육자 신분 상호 작용
Theme 8: interacting clinical and educator identities


뛰어난 교육자로서의 외부 인식에도 불구하고, 많은 참여자들은 임상업무가 전체업무에서 차지하는 비율이 낮더라도 주요 임상의사 정체성을 계속 옹호했다. 이러한 정체성은 때때로 단절된 것처럼 느껴졌지만, 경험이 풍부한 교육자들은 서로를 지탱하고 풍요롭게 하는 경향이 있는 임상적 정체성과 교육적 정체성의 중복을 인식했습니다.
Despite external recognition as outstanding educators, many participants continued to espouse a primary clinician identity, even if clinical work became a low percentage of their total effort. While these identities at times felt disconnected, experienced educators recognized overlap of their clinical and educator identities, which tended to sustain and enrich each other.

그것은 나의 주된 정체성이었던 적이 없다. 아이러니한 것은 제가 지금 제 시간의 60%를 교육 행정에 쓰고 30%만 임상 의사로 쓰고 있지만, 여전히 제 자신을 1차 진료 의사로 보고 있기 때문입니다. 그렇다고 해서 교육자로서 제 역할을 무시하거나 무시하는 것은 아니지만, 제 자신의 정의에 따르면, 저는 스스로 클리닉 파트타임에서 일하는 교육자가 아니라, 교육을 하는 1차 진료 의사라고 생각합니다. (C2)
It has never been my primary identity. It is ironic because I now spend 60 percent of my time in educational administration and only 30 percent as a clinician, but I still see myself as a primary care physician. That’s not that I discount or ignore my role as an educator, but I still don’t see it…in my own self-definition, I see myself as a primary care physician who teaches, rather than an educator who works in the clinic part-time. (C2)



토론
Discussion


 

공통 궤적에 대한 네 가지 핵심 관찰은 성공적인 교육자의 경력 개발에 관한 문헌에 추가된다.

  • 첫째, 교육자는 종종 성공이 우연의 일치에 기인함에도 불구하고 준비와 사전 준비를 통해 교육의 길을 걷기 시작했다. 이러한 초기 단계들은 초기 기회(리더십 역할 또는 책임)로 이어졌고, 이를 교수진 개발 프로그램을 포함한 네트워크, 멘토, 기회를 소개하는 "런치 포인트" 역할을 했다.
  • 둘째, 거의 모든 성공한 교육자들은 여러 명의 멘토가 있었으며, 그들은 종종 후원 역할을 했으며 동료 멘토쉽이 두드러진 역할을 했다. 네트워크 및 교수진 개발 프로그램과 함께 멘토는 추가 멘토, 네트워크 및 교수진 개발을 포함하여 교육자들에게 더 많은 기회를 소개하는 커리어 액셀러레이터 역할을 했습니다. 
  • 셋째, 일반적으로 의학교육 경로에 대해 지지적supportive인 작업 환경 내에서 상호작용이 이루어졌다. 
  • 마지막으로, 이 궤적은 직업의 각 지점에서 반복되고 나선형으로 보였으며, 그러한 성공은 새로운 개발 기회, 네트워크 및 멘토를 가능하게 하는 새로운 기회로 이어졌다.

Four key observations about common trajectories add to the literature on career development of successful educators.

  • First, an educator began down the path of education through preparation and proactivity, despite often attributing success to serendipity. These early steps led to an initial opportunity (a leadership role or responsibility) that served as a launch point to introduce them to networks, mentors, and opportunities, including faculty development programs.
  • Second, nearly all successful educators had multiple mentors, who often served in a sponsorship role, and peer mentorship played a prominent role. Along with networks and faculty development programs, mentors served as career accelerators to introduce educators to more opportunities, including additional mentors, networks, and faculty development.
  • Third, interactions generally took place within a work environment supportive of medical education pathways.
  • Finally, this trajectory appeared to repeat itself and spiral at each point in the career, such that success led to new opportunities that allowed for new development opportunities, networks, and mentors



준비의 역할이 과소평가되어서는 안 된다. 준비가 처음에는 비공식적인 기회를 이용하면서 나타났지만, 교수진 개발 프로그램에 참여함으로써 종종 경력 성장을 가속화했다. 의료 교육의 많은 교수 개발 연구와 리뷰는 참가자들이 무엇을 배우고 직면하는지 강조하였다(Steinert et al. 2006, 2016). 더 최근의 연구는 진로 진행에서 교수 개발 프로그램의 역할을 다룬다(Leslie et al. 2013). 그러나, 이 연구는 교수 개발이 경력에 기여하는 방법에 대한 우리의 통찰력을 더해준다. 즉, [핵심 지식을 보완]하고 [문을 열어opening doors] 참가자들이 대내외적으로 새로운 역할을 맡을 준비가 더 잘 되도록 하는 것이다.
The role of preparation should not be undersold. While preparation initially manifested in taking advantage of informal opportunities, participation in faculty development programs often accelerated the career growth. Many faculty development studies and reviews in medical education have highlighted what participants learn and challenges they face (Steinert et al. 2006, 2016), and more recent studies address the role of faculty development programs in career progression (Leslie et al. 2013). However, this study adds to our insight about ways that faculty development contributes to the career: by supplementing key knowledge and opening doors, so that participants are better prepared to take on new roles, both internally and externally.


우리는 준비로 인한 초기 성공을 "발사점launch point"으로 특징지었습니다.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개별 이니셔티브 및 교수진 개발 기회는 모두 새로운 기회를 시작하는 데 기여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그러나, 이 발사는 종종 의대 교육계 내의 가시성visibility과도 관련이 깊었다. 의료 정체성 문헌에 기술된 바와 같이, 이러한 가시성은 [개인의 정체성] 및 [개인이 자신을 보는 방식], [지지받고 있다는 느낌]과 관련이 있을 수 있다(Browne et al. 2018; Cantillon et al. 2018; Jauregi et. 2019; Onyura et. 2017; O'Suliban et al. 2016). 발사점의 중요성에 대한 이러한 관찰은 정체성 개발을 교수 개발 오퍼링에 보다 명시적으로 통합해야 할 필요성을 말해 줄 수 있다(Steinert et al. 2019).

We characterized initial success resulting from preparation as a launch point. As noted above, both individual initiative and faculty development opportunities help contribute to the launch into new opportunities. However, the launch was also often highly related to visibility within the medical education community. As described in the medical identity literature, this visibility may be related to identity, and how individuals see themselves and feel supported (Browne et al. 2018; Cantillon et al. 2018; Jauregui et al. 2019; Onyura et al. 2017; OSullivan and Irby 2014; OSullivan et al. 2016). This observation of the importance of a launch point may speak to the need to incorporate identity development more explicitly into faculty development offerings (Steinert et al. 2019).

 

우리의 연구는 멘토링이 필수적인 기여자였던 방법을 나타내는 이전 연구의 결과를 향상시킨다(Feldman et al. 2010). 

[공식적인 연구 멘토 관계]가 우세한 [연구 커리어]와는 대조적으로, 우리의 참가자들은 주로 그들의 경력에 걸쳐 [다수의 직업 멘토]들을 언급했습니다. 그들은 종종 후원자였고, 참가자들에게 기회와 네트워크를 소개해주었다

Our study enhances findings from prior studies indicating the ways in which mentorship was an essential contributor (Feldman et al. 2010). In contrast to research pathways, in which formal research mentorship relationships predominate, our participants predominantly described multiple career mentors over the course of their career, who were frequently sponsors, introducing participants to opportunities and networks (Travis et al. 2013; Chopra et al. 2018).

 

흥미롭게도, [동료 멘토]들은 네트워크를 공유하고 프로젝트에 협력하는 등 많은 참가자들에게 중요한 역할을 하기도 했다. 연구들은 특히 주니어 교수의 동료 멘토링의 효과를 주니어 교수 멘토링으로 뒷받침해 왔다. 동료 멘토의 중요성에 대한 우리의 발견은 [주니어 교수들은 (특히 네트워크를 개발하여) 동료 멘토와 코-멘토를 더 의식적으로 찾음]으로써 이익을 얻을 수 있음을 시사한다.

Interestingly, peer mentors also played an important role for many participants, serving in a co-mentorship role by sharing networks and collaborating on projects. Studies have supported the effectiveness of peer mentoring specifically at junior faculty member to junior faculty member mentoring. (Heinrich and Oberleitner 2012; Johnson et al. 2011). Our finding of the importance of peer mentors suggests that junior faculty may benefit from more consciously seeking out peer mentors and co-mentors, especially by developing networks.

또 다른 두드러진 발견은 의료 교육 및 일과 삶의 균형에서 성공적인 경력을 달성하는 데 있어 업무 환경의 역할이었다. SCCT의 개발자인 Lent and Brown(2013)은 개인 및 전문적 목표에 걸쳐 통합해야 할 필요성을 강조했다. 업무 환경이 지지적이었을 때, 업무 환경은 [임상의]와 [교육자]의 정체성의 합병을 강화하는 데 도움이 되었다. 또한 지적 공동체, 사회적 지원, 그리고 [개인적 목표에 부합하는 전문적 기회를 탐색할 수 있는 자유latitude]를 제공했다.

Another prominent finding was the role of the work environment in achieving successful careers in medical education and work-life balance. Lent and Brown (2013), the developers of SCCT, highlighted the need to integrate across personal and professional goals. When it was supportive, the work environment helped reinforce the merging of clinician and educator identities that we observed, and provided intellectual community, social support, and latitude to explore professional opportunities that aligned with personal goals.

 

이러한 [임상의사-교육자에 대한 구조적 지원]은 교육자로서의 개발과 다른 전문적 역할 사이의 충돌을 최소화하기 위해 최근에 제안되었다(Elmberger et al., 2018). 지지적 업무 환경이 일부 기관에서는 쉽게 드러나지 않거나 이용할 수 없을 수 있기 때문에, 주니어 교수진은 교수개발 프로그램 및 부서리더와 함께 전문적 개발의 일환으로 이러한 환경을 보다 명시적으로 육성하고자 할 수 있습니다. 참가자들이 "그렇다"고 말하는 경향이 중기경력mid-career의 균형 부족에 기여했다고 자주 설명하였기 때문에, 작업 환경은 또한 [관리 가능한 작업량]을 중심으로 문화적 기대치를 설정하는 잠재적 역할을 할 수 있다(Strong et al., 2013).
Such structural support for clinician-educators has recently been suggested to minimize conflicts between development as an educator and other professional roles (Elmberger et al. 2018). Because a supportive work environment may not be readily apparent or available in some institutions, junior faculty, along with faculty development programs and division or department leaders, may seek to cultivate this climate more explicitly as part of professional development. Given that participants often described that the tendency to “say yes” contributed to lack of balance in mid-career, the work environment could also potentially play a role in setting cultural expectations around manageable workload (Strong et al. 2013).

이전 문헌과 일관되게, 우리는 교육자로서 성공적인 경력을 쌓기 위해서는 초기 성공이 필수적이라는 것을 발견했다(Hu et al. 2015). 그리고 성공에서 우연한 역할이 인식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의도적인 준비가 종종 이러한 기회로 이어졌다(Bartle and Thistlethwaite 2014; Hu et al. 2015). 자기효능감 문헌과 연계하여, 우리는 특정 속성, 특히 사전 적극성proactivity이 새로운 기회와 성공에 기여했음을 발견했다(Browne et al. 2018; Sethi et al. 2017). 우리의 테마는 주로 SCCT를 사용하여 자기효능감 신념을 자극하는 개인과 상황적 영향 사이의 상호 작용을 이해했다는 점에서 기존 연구와 일치했지만, 우리는 또한 이 주제theme가 [교육자의 경력 성숙 과정에 걸쳐 복잡성과 깊이를 증가시키며 개인에 대해 여러 번 반복재생된다는 것]을 발견했다.
Consistent with prior literature, we found that early successes are essential to launch a successful career as an educator (Hu et al. 2015), and that deliberate preparation often led to these opportunities, despite a perceived role of serendipity in their success (Bartle and Thistlethwaite 2014; Hu et al. 2015). Aligned with self-efficacy literature, we found that certain attributes, specifically proactivity, contributed to new opportunities and successes (Browne et al. 2018; Sethi et al. 2017). Although our themes largely aligned with previous work using SCCT to understand the interaction between individual and contextual influences that spur self-efficacy beliefs, we also found that our themes replayed multiple times for an individual, spiraling with increasing complexity and depth over the course of the educator’s career maturation.

문헌의 격차를 해소하고자 하는 우리의 목표로 돌아가, 우리는 교육자로서 선배 교직원의 발전 관점, 그들의 직업에서 교육자가 수행하는 다양한 역할, 그리고 교육자의 경력에 미치는 교수진 발전의 영향과 관련된 중요한 개념을 확인하였습니다. 설계에 의해 우리의 연구는 선배 교수들이 자신의 경력 개발을 회고적으로 바라볼 때 그들의 관점을 식별했다. 위에서 파악되고 기술된 모든 중요한 주제는 광범위한 경험을 가진 상급 교수진의 관점을 반영하며, 무엇이 상급 의학 교육자로서 성공하게 했는지에 대한 종합적인 시각을 제공한다

Returning to our goal of addressing gaps in the literature, we have identified important concepts related to perspectives of senior faculty in their development as educators, the diverse roles played by educators in their careers, and the impact of faculty development in educators’ careers. By design our study identified the perspectives of senior faculty as they looked retrospectively at their own career development. All of the important themes identified and described above reflect the view of senior faculty with extensive experience, giving a comprehensive look at what led to their success as senior medical educators. 

 

시니어 교수로서, 참가자들은 그들의 경력에서 다양한 역할들을 설명했습니다. 이러한 역할의 대부분은 의학교육에도 관련되어 있었지만, 의학교육을 직업으로 추구하기로 결정한 것을 알 수 있는 다른 관련 역할도 직접적으로 관련되어 있었다. 성공적인 시니어 교수는 문헌에 대한 이해를 심화시키는 데 중요하게 공헌했던 [자신에 대한 일반적인 행동과 인식]을 기술했다. [준비된 상태]와 [기회의 응하기], [교육자로서의 조기 성공], [많은 동료(멘토, 동료)와 함께 참여하고 배우며], [전문 개발 프로그램]에 전념하고, [전문 네트워크]를 넓히고, [임상의와 교육자의 이중 정체성을 유지]하는 것이 일반적인 주제였다.

As senior faculty, our participants described a variety of diverse roles in their careers. Many of these roles directly involved medical education, as well as other related roles that might have informed their decisions to pursue medical education as a career. Successful senior faculty described common behaviors and perceptions of self that are important contributions to deepening understanding of the literature. Being prepared and saying yes to opportunities, having an early success as an educator, engaging with and learning from many colleagues (mentors, peers), committing to professional development programs, expanding professional networks, and holding the dual identities of clinician and educator were common themes.

 

마지막으로, 우리가 기술한 바와 같이, [교수진 개발 활동과 프로그램]은 [새로운 기술과 지식을 습득하고 다른 교육자들과의 네트워킹 기회를 향상]시킨다는 점에서, 시니어 교육자들은 이를 경력 개발에 중요한 요소로 거의 보편적으로 언급하였다. 이러한 테마는 [자신과 다른 사람 사이의 상호 작용에 대한 미묘한 이해]와 이러한 시니어 임상 교육자의 경력이 위치한 더 큰 컨텍스트를 제공함으로써 문헌의 격차를 해소한다.

Lastly, as we have described, faculty development activities and programs are almost universally identified by successful senior educators as important factors in their career development, both in terms of acquiring new skills and knowledge and enhancing opportunities for networking with other educators. These themes address gaps in the literature by providing nuanced understanding of the interaction between self and others, and the larger context in which these senior clinical educators’ careers are situated.

 


제한사항

Limitations


흥미롭게도, 우리의 많은 참여자들은 의학교육이 덜 확립된 분야였을 때 그들의 경력을 시작했기 때문에, 그들의 초기 진로는 현재의 주니어 교수진의 그것과는 다를 수 있다. 특히, 샘플의 많은 참여자들이 의료 교육 리더 역할에 임명되었습니다. 더 많은 역할이 경쟁 프로세스를 통한 선택을 포함하기 때문에 이러한 유형의 리더십 역할 진입은 이제 덜 일반적일 수 있습니다. 교육 연구 및 의료 교육의 진로에 대한 정당성이 커짐에 따라 (Irby와 O'Sullivan 2018), 그리고 21세기 학습자의 요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의학교육자의 역할도 진화하고 있다(Simpson et al., 2018). 이에 따라 초기 커리어 교수들은 또한 교육적 리더 직위에 지원할 더 많은 기회가 생겼고, [임상 및 기초 과학 멘토와 같은] 뛰어난 교육 연구 멘토에 대한 필요도 더 커질 수 있다.

 

 

Interestingly, since our many of our participants began their careers when medical education was a less established field, their early career pathways may differ from those of current junior faculty. Specifically, many participants in our sample were appointed to medical education leadership roles; this type of entry into a leadership role may be less common now as more roles involve selection through a competitive process. As the legitimacy of educational research and medical education as a career pathway grows (Irby and O’Sullivan 2018), and roles of medical educators evolve to meet the needs of twenty-first century learners (Simpson et al. 2018), early career faculty may also have more opportunities to apply for educational leadership positions and a greater need for strong education research mentors akin to clinical and basic science mentors.

 

 

 

Browne, J., Webb, K., & Bullock, A. (2018). Making the leap to medical education: A qualitative study of medical educators’ experiences. Medical Education, 52(2), 216–226.

Cantillon, P., Dornan, T., & De Grave, W. (2018). Becoming a clinical teacher: Identity formation in context. Academic Medicine, 94, 1610–1618.

Chopra, V., Arora, V. M., & Saint, S. (2018). Will you be my mentor? Four archetypes to help mentees succeed in academic medicine. JAMA Internal Medicine, 178(2), 175–176.

 

Elmberger, A., Björck, E., Liljedahl, M., Nieminen, J., & Bolander Laksov, K. (2018). Contradictions in clinical teachers’ engagement in educational development: An activity theory analysis. Advances in Health Sciences Education: Theory and Practice, 24(1), 124–140. 

 


Irby, D. M., & O’Sullivan, P. S. (2018). Developing and rewarding teachers as educators and scholars: Remarkable progress and daunting challenges. Medical Education, 52(1), 58–67. XXX

 

Jauregui, J., O’Sullivan, P., Kalishman, S., Nishimura, H., & Robins, L. (2019). Remooring: A qualitative focus group exploration of how educators maintain identity in a sea of competing demands. Academic Medicine, 94(1), 122–128.

Onyura, B., Ng, S. L., Baker, L. R., Lieff, S., Millar, B.-A., & Mori, B. (2017). A mandala of faculty development: Using theory-based evaluation to explore contexts, mechanisms and outcomes. Advances in Health Sciences Education, 22(1), 165–186.

Steinert, Y., O’Sullivan, P. S., & Irby, D. M. (2019). Strengthening teachers’ professional identities through faculty development. Academic Medicine, 94(7), 963–968.

 

 

 

 

 

 

 

 

 


Adv Health Sci Educ Theory Pract

  •  
  •  
  •  

. 2020 Aug;25(3):655-672.

 doi: 10.1007/s10459-019-09949-7. Epub 2020 Jan 15.

Becoming outstanding educators: What do they say contributed to success?

Larissa R Thomas 1Justin Roesch 2Lawrence Haber 3Patrick Rendón 2Anna Chang 4Craig Timm 2Summers Kalishman 5Patricia O'Sullivan 6

Affiliations collapse

Affiliations

  • 1Division of Hospital Medicine at Zuckerberg San Francisco General Hospital and Trauma Center and Department of Medicine, University of California, San Francisco, 1001 Potrero Ave, 5H, San Francisco, CA, 94110, USA. larissa.thomas@ucsf.edu.

  • 2Department of Medicine, University of New Mexico, Albuquerque, NM, USA.

  • 3Division of Hospital Medicine at Zuckerberg San Francisco General Hospital and Trauma Center and Department of Medicine, University of California, San Francisco, 1001 Potrero Ave, 5H, San Francisco, CA, 94110, USA.

  • 4Department of Medicine, University of California, San Francisco, San Francisco, CA, USA.

  • 5Department of Family and Community Medicine, University of New Mexico, Albuquerque, NM, USA.

  • 6Departments of Medicine and Surgery, University of California, San Francisco, San Francisco, CA, USA.

    • PMID: 31940102

 

Abstract

Aspiring medical educators and their advisors often lack clarity about career paths. To provide guidance to faculty pursuing careers as educators, we sought to explore perceived factors that contributed to the career development of outstanding medical educators. Using a thematic analysis, investigators at two institutions interviewed 39 full or associate professor physician faculty with prominent roles as medical educators in 2016. The social cognitive career theory (SCCT) informed the interview guide. Investigators developed the codebook and performed iterative analysis using qualitative methods. Extensive team discussion generated the final themes. Eight themes emerged related to preparation, early successes, mentors, networks, faculty development, balance, work environment, and multiple identities. Preparation led to early successes, which served as "launch points," while mentors, networks, and faculty development programs served as career accelerators to open more opportunities, and a supportive work environment was an additional enabler of this pathway. Educators who reported balance between work and outside interests described boundary setting as well as selectively choosing new opportunities to establish boundaries in mid-career. Participants described multiple professional identities, and clinician and educator identities tended to merge and reinforce each other as careers progressed. This study revealed common themes describing trajectories of success among medical educators. These themes aligned with the SCCT, and typically replayed and spiraled over the course of the educators' careers. These findings resonate with other studies, lending credence to an approach to career development that can be shared with junior faculty who are exploring careers in medical education.

Keywords: Career development; Faculty development; Identity development; Medical education; Mentorship.

위계적이지 않은 선형적 교육 이니셔티브 평가: 7I 프레임워크(J Educ Eval Health Prof, 2015)

Proposal of a linear rather than hierarchical evaluation of educational initiatives: the 7Is framework

Damian Roland1,2*

 

 

 

 

 

도입

INTRODUCTION

[지속적인 의료 교육(CME)을 통해 또는 임상 사례와의 정기적인 상호 작용의 결과로] 의료 전문가들은 공식적인 의미에서 항상 학습한다[1-3].
Medical professionals are always learning, whether in a formal sense via continuing medical education (CME) or as a result of their regular interaction with clinical cases [1-3].

 

학습 평가 모델
MODELS OF LEARNING EVALUATION


자주 인용되는 학습 평가 모델은 Kirkpatrick[4-6]에 의해 개발되었다. 레벨 간 링크는 원래 개입과 전체 결과 사이의 브리지를 이해하기 위한 수단으로 쿡과 웨스트[7]에 의해 지원되지만 표 1에 기술된 Kirkpatrick 자신은 원래 '레벨'이라는 용어를 사용하지 않았다(그림 1).
A frequently cited model of learning evaluation is that developed by Kirkpatrick [4-6]. It comprises a hierarchy described in Table 1 Kirkpatrick himself did not originally use the term ‘levels’ although links between levels are supported by Cook and West [7] as a means to understanding the bridge between the original intervention and the overall outcome (Fig. 1).

 

 



'레벨'이라는 개념의 사용은 Kirkpatrick 프레임워크가 산출물product에(즉 프로세스보다는 관심 있는 특정 학습 결과의 측면에) 관한 것임을 암시하며, 이는 그 결과를 달성하는 데 필요한 지침의 품질일 것이다[8]. 개념적 프레임워크는 종종 원래 모델의 이전 이론과 개정에 기초한다. 커크패트릭 접근법의 가장 일반적으로 인용되는 변형 중 하나는 Barr 외 연구진[9]에 의해 제안되었다. 전문가 간 교육 검토에서 커크패트릭 프레임워크의 레벨 2와 레벨 4의 하위 유형이 추가되었다(표 2).
The use of the levels concept implies that the Kirkpatrick framework is about a product, that is, the aspect of a particular learning outcome of greatest interest, rather than a process, which would be the quality of the instruction needed to achieve that outcome [8]. Conceptual frameworks are often built on previous theories and revisions of original models. One of the most commonly cited variations of the Kirkpatrick approach was suggested by Barr et al. [9]. In a review of inter-professional education, subtypes of levels 2 and 4 of the Kirkpatrick framework were added (Table 2).

 

 

이 접근법은 실용적이지만, 원본 논문이나 후속 작업에 의해 검증되지 않았다. 의학 교육에서 최고의 증거 그룹[10,11]은 이 프레임워크를 따르지만, 전통적인 커크패트릭 레벨 2와 Barr 버전을 비교한 공식적인 연구는 없다.
Although this approach is pragmatic, it has not been validated by either the original paper or subsequent work. The Best Evidence in Medical Education group [10,11] follows this framework; however, no formal study has compared a traditional Kirkpatrick level 2 with Barr’s version.

또 다른 접근법은 순수하게 학습자, 즉 의료 전문가 자체에 초점을 맞추는 것이었습니다. 벨필드 외 [12] 5단계 계층을 제안했다: 의료 결과, 의료 전문가의 행동, 성과 또는 실천, 학습 또는 지식, 참가자의 반응 또는 만족도, 참여 또는 완료.
Another approach has been to focus purely on the learner, that is, the health care professionals themselves. Belfield et al. [12] proposed a five-level hierarchy:

  • healthcare outcomes;
  • healthcare professionals’ behaviour, performance or practice;
  • learning or knowledge;
  • reaction or satisfaction of participants; and
  • participation or completion.

벨필드 외 [12]는 특히 의료 교육 환경에서의 성과-기반 연구의 어려움을 강조하였다. 왜냐하면 환자 성과는 학습자가 새로운 기술을 습득하고 구현하는 데 시간이 필요하기 때문에 장기간에 걸쳐서만 명백해질 수 있다는 문제가 있기 때문이다
Belfield et al. [12] highlighted the difficulty of outcomes-based research in a medical education setting, in particular, the problem that patient outcomes may only become apparent over a protracted period of time due to the time needed for the learner to acquire and implement new skills.

그들은 연구 보고서에는 어떤 [성과 척도]인 [효과 수준]을 사용하였는지가 명확하게 보고되고 정당화되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는 Kirkpatrick의 활용과 관련이 있으며, '평가', '평가', '능력'과 같은 많은 의학 용어들이 분야와 전문 분야에 걸쳐 다른 의미를 가질 수 있기 때문이다[12].
They emphasised that levels of effectiveness, the outcome measures used, should be clearly reported and justified in study reports. This is of relevance to the utilization of Kirkpatrick, as much terminology in medical education such as ‘appraisal,’ ‘assessment,’ ‘evaluation,’ and ‘competency’ may carry different meanings across disciplines and specialties [12].

Kirkpatrick의 프레임워크에 기반을 두고 있지만 또한 의학 교육에 특정한 이론을 통합한 모델이 Moore 등에 의해 고안되었다. [13](표 3)입니다. 그들은 그들의 접근 방식이 완전히 검증된 모델이 아니라 개념적 프레임워크라는 것을 분명히 지적한다. Miller의 피라미드[14]의 통합은 학습자가 '아는'과 '아는'에서 '보여주는' 방법 및 '보여주는' 방식으로 이동하는 학습에 대한 이론적 접근법이다. Barr 등이 채택한 접근법과 유사하다. [9], 필수적인 Kirkpatrick 프레임워크는 변경되지 않지만 각 레벨에서 제공되는 세부 사항은 크게 확장된다. 다시 한 번, 직접적으로 검증되지는 않았지만, 이 접근 방식은 캐나다 왕립 의사 및 외과 대학으로부터 승인을 받았습니다 [15,16].

A model based on Kirkpatrick’s framework but also incorporating theories specific to medical education has been devised by Moore et al. [13] (Table 3). They clearly point out that their approach is a conceptual framework rather than a fully validated model. The incorporation of Miller’s pyramid [14], a theoretical approach to learning in which the learners move from ‘knows’ and ‘knows how’ to ‘shows how’ and ‘does’ is synergistic with the learning and performance domains. Similar to the approach adopted by Barr et al. [9], the essential Kirkpatrick framework is not changed but the detail provided at each level is greatly expanded. Again, although not directly validated, this approach has received endorsement by the Royal College of Physicians and Surgeons of Canada [15,16],

 



궁극적으로, 위에서 논의한 모든 모델에서, 커크패트릭 수준의 위계적 특성이 존재하고, 개입에 대한 반응, 뒤따라오는 학습, 행동으로의 구현, 그리고 환자 이익으로의 흐르는flow 변환translation이 여전히 존재한다.
Ultimately, in all the models discussed above, the hierarchal nature of the Kirkpatrick levels is present, and the flow from reaction to the intervention, followed by learning and implementation into behaviour and then a translation into patient benefit is still present.


Kirkpatrick의 프레임워크에 내재된 계층 구조를 피하기 위해 Hakkennes와 Green[17]은 세 개의 개별 결과 도메인을 측정하기 위해 특별한 순서 없이 5개의 범주를 사용했다(표 4). Hakkennes 모델은 개입의 효과를 측정하기 위한 명확한 측정 기준을 예와 함께 제공한다. 이 모델에서만 실제 대 대리 측정의 개념이 활용된다. 커크패트릭 모델은 최종 사용자가 각 특정 수준에서 결과 측정을 결정할 수 있도록 한다. Hakkennes와 Green [17]은 실제 또는 금 기준 결과와 인식되거나 잠재적으로 교란된 결과를 구별하여 타당성을 강화하기 위한 프레임워크를 제공한다.
In an attempt to avoid the hierarchical structure inherent in Kirkpatrick’s framework, Hakkennes and Green [17] used five categories in no particular order to measure three separate outcome domains (Table 4). The Hakkennes model provides clear metrics, with examples, in which to measure the effectiveness of the intervention. Uniquely to this model, the concept of actual versus surrogate measures is utilized. The Kirkpatrick model allows the end-user to decide the outcome measure at each particular level. Hakkennes and Green [17] provide a framework for strengthening validity by differentiating between actual or gold-standard outcomes and those that are perceived or potentially confounded.

 


각 영역 또는 수준에서 세부 수준을 높이면 결과 기반 시스템 개발자가 사용하는 인식론적 접근 방식에 대한 문제가 발생한다.

  • Kirkpatrick이 내놓은 비즈니스 지향 모델에서는 각 레벨의 객관적인 설명자가 없음에도 불구하고 학습과 결과 사이의 명확한 연결connection이 구조에 내재되어 있다.
  • 반대로, Hakkennes와 Green[17]이 제공하는 증가된 세부사항은 각 수준에서 정보를 수집하고 분석해야 하는 더 분리된dissociated 구조를 의미한다.

Increasing the level of detail in each domain or level raises a challenge to the epistemological approach used by developers of outcomes-based systems.

  • In the business-oriented model put forward by Kirkpatrick, a clear connection between learning and outcome is inherent in the structure, despite the absence of objective descriptors of each level.
  • Conversely, the increasing detail provided by Hakkennes and Green [17] implies a more dissociated structure where information must be collated and analysed at each level.

이러한 접근법은 복잡한 방법론적 논쟁을 나타내며 의료 개입을 평가하기 위한 패러다임에서 가능한 [스펙트럼의 일부]를 형성한다.

  • 한 끝에는 Lemmens 등에 의해 증명된 이산 위계적discrete hierarchal 접근법이 있다. [18]에서는 질병관리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결정하기 위한 평가 모델을 설명한다. 이 모델은 일련의 지식 습득을 통해 행동의도와 변화를 유도하고 궁극적으로 임상 결과를 개선합니다.
  • 스펙트럼의 다른 끝에는 Yardley와 Dornan[19]이 지지하는 덜 규정된 접근법이 있는데, 이 접근법에서는 연구자가 결과의 복잡성을 평가하고 개입에서 결과까지 발생할 수 있는 과정에 따라 적절한 프레임워크를 적용한다(그림 2).

These approaches represent complex methodological debates and form part of a likely spectrum in paradigms for evaluating medical interventions. 

  • On one side is a discrete hierarchal approach, as demonstrated by Lemmens et al. [18], who describe an evaluation model for determining the effectiveness of disease management programs. This model has a sequence of knowledge acquisition, leading to behaviour intention and then change—ultimately leading to improved clinical outcomes. 
  • On the other side of the spectrum is a less prescribed approach espoused by Yardley and Dornan [19] in which the researcher assesses the complexity of the outcomes and applies an appropriate framework dependent on the processes that may occur from intervention to outcome (Fig. 2).

 

그러나 Yardley와 Dornan[19]이 주장하듯이, "특정 결과가 발생했는가?"가 아니라 "이 개입의 결과는 무엇이었는가?"를 묻는 것이 중요하다. 이러한 측면에서 커크패트릭 수준 기반 접근법은 특정 프로젝트의 성공 또는 실패 이유를 설명하는데 도움이 된다.
However as Yardley and Dornan [19] argues, it is important to ask not, “Did a specific outcome occur?” but “What were the outcomes of this intervention?” as the latter may aid in the determination of the underlying cause of the outcomes. In this respect, the Kirkpatrick level-based approach does aid reasons for success or failure of a particular project to be elucidated.

 

커크패트릭의 디자인 관련 문제
PROBLEMS WITH KIRKPATRICK’S DESIGN


커크패트릭의 디자인에 대한 우려에 대한 논평은 주로 의료 외 산업과 관련이 있다. Bates [21]은 Kirkpatrick 접근법으로 다음과 같은 세 가지 우려를 제기했습니다. 그것은 

  • 불완전한 모델이고, 
  • 인과관계에 대한 입증되지 않은 가정이 있으며, 
  • 결과 수준이 높을수록 반드시 더 높은 수준의 정보를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Kirkpatrick에도 불구하고 처음에는 정보의 수준을 무시하지 않았다. Kirkpatrick이 처음에는 "레벨"이라는 용어를 사용하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그의 설계는 레벨 4 결과가 레벨 1의 결과보다 더 중요하다는 것을 암시적으로 시사한다(그림 3).
Commentaries on concerns with Kirkpatrick’s design predominantly relate to industries outside of health care. Bates [21] raised three concerns with the Kirkpatrick approach: It is an incomplete model, there is an unproven assumption of causality, and the higher outcome levels do not necessarily imply high er levels of information. Despite Kirkpatrick not initially er levels of information. Despite Kirkpatrick not initially using the term “level” himself, his design implicitly suggests that level-four outcomes are of greater importance than those of level one (Fig. 3).

 

초기 [참여자의 반응]보다 더 많은 '가치'를 갖는 [조직적 성과] 또는 [ROI]의 위계적 구조는 한동안 비즈니스 커뮤니티에서 어려움을 겪어 왔습니다 [22]. Kirkpatrick이 레벨 2(지식 변화)를 평가하는 것과 관련하여 "이러한 학습 목표 중 하나 이상이 달성되지 않는 한 행동의 변화는 기대할 수 없다"고 믿었음에도 불구하고, 비즈니스 부문의 연구는 Kirkpatrick 모델이 제안하는 계층적 관계를 확인하지 못했다[23,24].
The hierarchy of organizational outcomes, or return on investment, having more ‘value’ than initial participant reactions has been challenged in the business community for some time [22]. Despite Kirkpatrick believing, in respect of evaluating level two (knowledge change), that “No change in behaviour can be expected unless one or more of these learning objectives have been accomplished” [6], research in the business sector has failed to confirm the hierarchical relationship the Kirkpatrick model suggests [23,24].

2012년, 야들리와 도넌은 Kirkpatrick의 바로 그 위계적 특성이 어떻게 평가가 검토하고자 하는 결과를 편향시킬 수 있는지를 강조하는 논평 모음을 식별했다. 알리거 외. [23]과 Abernathy[25]는 이전에 사업적 관점에서 평가 수준의 개념이 평가자가 취할 수 있는 학문적 접근법에 영향을 미친다고 주장하였다. Yardley와 Dornan[19]은 [의료 교육이 비즈니스보다 훨씬 복잡한 시스템]이라고 제안했는데, 이해당사자로서 환자와 의사뿐 아니라 환자의 가족, 보건 시스템 및 보건 시스템 주변의 지역사회도 포함되기 때문이다.

In 2012, Yardley and Dornan identified a collection of commentaries highlighting how the very hierarchical nature of Kirkpatrick could bias the outcomes the evaluation was aiming to examine. Alliger et al. [23] and Abernathy [25] have previously argued from a business perspective that the very notion of levels of evaluation influences the academic approach the evaluator may take. Yardley and Dornan [19] suggested that medical education is a much more complex system than business, as the stakeholders include patients and doctors but also the patients’ families, the health systems and the communities around the health systems.


평가를 위한 새로운 개념 모델
A NEW CONCEPTUAL MODEL FOR EVALUATION


커크패트릭이 내놓은 모델은 학문적 의학 교육계 전반에 걸쳐 보편적인 관심을 끌지 못했다. 야들리와 도르난[19]은 커크패트릭을 맹목적으로 따르는 것이 "임상 약물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고 잠재적 부작용을 평가하지 않는 것"과 비슷하다고 느꼈다. 의료 환경에서 Kirkpatrick Framework를 사용하는 사람들은 지식, 기술 및 태도의 획득과 후속 사용의 [선형 순서sequencing]를 가정하고 있다. [의료 개입medical intervention]은 이항 트랜잭션binary transactional적 특성이 없으며, 예측할 수 없는 결과를 가지고 있다. 동일한 방식으로, [교육적 개입]이나 [행동을 바꾸려는 개입]도 이질적이다. 학습자는 개입에 대한 반응으로 [행동의 일부 측면을 수정]하지만 [다른 측면은 수정하지 않습니다].
The model put forward by Kirkpatrick has not gained universal traction throughout the academic medical educational community. Yardley and Dornan [19] felt that following Kirkpatrick blindly would be akin to “performing research on a clinical drug and not assessing the potential side effects.” Those utilising the Kirkpatrick Framework in the healthcare setting are assuming a linear sequencing of acquisition and subsequent use of knowledge, skills and attitudes. Medical interventions do not have a binary transactional nature and have unpredictable outcomes. In the same way, educational or other practicechanging interventions are also heterogeneous: Learners modifies some aspects of their behaviour but not others in response to the intervention.

버클리 외 [26] 레벨 기반 평가 시스템은 직관적이지도 않고 이론적으로도 건전하지도 않다고 느꼈으며, 개별 수준보다는 연속적인 변화의 필요성을 언급하였다. 이러한 체계적인 검토에도 불구하고, 많은 사람들이 Kirkpatrick 프레임워크를 계속 지지하며, 연구자들은 Kirkpatrick 모델을 기반으로 계속 구축합니다 [27]. Kirkpatrick의 향상을 목표로 하는 모델들은 개념을 완전히 재정의하기 보다는 수준을 더한다. 이러한 시스템은 암묵적으로 [개인의 학습의 선형적 특성]을 함축하며, 학습이 행동 변화를, 그리고 환자 성과로 이어진다고 본다.

Buckley et al. [26] felt a level-based system of evaluation was neither intuitive nor theoretically sound, citing the need for a continuum of change rather than discrete levels. Despite this systematic review, many continue to endorse the Kirkpatrick framework and researchers continue to build upon the Kirkpatrick model [27]. Models that aim to enhance Kirkpatrick add to the levels, rather than redefining the concept entirely. The linear nature of individuals’ learning, leading to behavioural change and finally patient outcomes is implicit in all such systems.

 

 

새로운 모델 도출
DERIVING A NEW MODEL


논의되고 기술된 다양한 모델에서 입증되었듯이, 평가에 대한 많은 접근법이 존재한다. 모든 상황에 가장 적합한 시스템은 없을 가능성이 높으며, 그보다는 평가의 의도, 주요 이해관계자의 성격 및 가용 자원과 같은 요인에 따라 최선의 접근 방식이 달라진다[28]. 평가적 프레임워크가 계속 만들어지는 것은 이 때문이다.
As demonstrated by the variety of models discussed and described, many approaches to evaluation exist. It is likely that no one system is best for all situations; rather, the best approach varies according to factors such as the intent of the evaluation, the nature of key stakeholders, and available resources [28]. It is for this reason that evaluative frameworks are created.

타당한 프레임워크를 만들기 위해 Kirkpatrick 등의 작업에 대한 문헌을 활용하여 다음과 같은 핵심 니즈를 도출하였다. 

In order to create a valid framework, the literature on the work of Kirkpatrick and others was utilised to derive core needs as follows: 

 

  • 첫째, 다양한 출처에서 척도를 얻어야 한다. 커크패트릭은 불완전한 모델이며 광범위한 평가 방법론을 허용해야 하는 새로운 프레임워크가 필요하다.
  • 둘째, 도메인(또는 이러한 도메인을 구성하는 측정치)은 서로 독립적이다. 인과성의 가정은 원래 커크패트릭 모델의 핵심 특징이며, 이러한 가정은 증명되지 않았다. 
  • 셋째, 프레임워크는 명시적으로 계층 구조를 제안하지 않는다. 계층적 접근법은 프레임워크의 특정 부분에 과도한 가중치를 부여한다. 임상 의학에서 이는 정당화될 수 있습니다. 환자에게 가장 중요한 임상 결과는 명확하고 투명한 끝점입니다. 그러나 교육에서 환자의 이익이 중요하지만 모든 교육 개입이 반드시 환자의 경험이나 결과와 관련되는 것은 아니다. 참가자가 지식을 배우고 적용하는 방법에 대한 상당한 교란 영향을 고려하여 환자 결과에 집중하면 개입의 효과를 결정하는 정보가 누락될 수 있다. 이 프레임워크는 한 가지 요소에만 의존하는 것이 아니라 총체적으로 전체적인 효과를 제공하는 일련의 방법을 통합한다. 
  • 넷째, 환자 결과를 고려한다. 환자 결과가 결과의 가장 높은 범위는 아닐 수 있지만, 평가 프로세스의 중요한 부분이며 사용된 개입과 관련하여 내부 유효성을 가져야 한다. 즉, 개입이 결과를 측정할 수 있는 타당한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 
  • 다섯째, 개입 그 자체에 대한 참여engagement를 고려한다. 이전 모델들은 모델에 대한 만족도를 측정했을 뿐 실제 이용률 자체는 측정하지 않았다.

 

  • First, measures should be obtained from a variety of sources: Kirkpatrick is an incomplete model and a new framework needs to allow a broad range of evaluative methodologies. 
  • Second, the domains (or measures making up those domains) are independent of each other: The assumption of causality is a core feature of the original Kirkpatrick model, and this assumption has not been proven. 
  • Third, the framework does not explicitly suggest a hierarchy: A hierarchical approach gives an undue weight to certain parts of the framework. In clinical medicine, this may well be justified – the primary clinical outcome to the patient being a clear and transparent end point. In education, however, although patient benefit is of importance, not all educational intervention is necessarily related to patient experience or outcomes. Given the significant confounding influences on determining how participants may learn and apply their knowledge, concentrating on patient outcome may leave out information that determines the effectiveness of the intervention. The framework brings together a chain of methods which in totality deliver an overall effect rather than relying on just one component. 
  • Fourth, patient outcomes are considered: Although patient outcomes may not be the highest rung of outcome, they are a vital part of the evaluation process and must have internal validity with respect to the intervention used; that is, the intervention would plausibly result in the outcome being measured. 
  • Fifth, engagement with the intervention itself is considered: Previous models have only measured satisfaction with the model, not the actual uptake or utilisation itself.

 

 

 



이 모델은 Kirkpatrick의 누락된 구성 요소 중 일부를 개입, 개입 자체 및 개입의 결과를 캡슐화하는 도메인을 만드는 데 포함시키는 것을 목표로 했다. [개입 자체]를 포함시키는 목적은 개입 전, 중, 후 평가 시 취해진 정보가 필요하다는 원칙을 함양하기 위한 것이다.
The model aimed to include some of the missing components of Kirkpatrick and other frameworks in creating domains encapsulating the interaction with the intervention, the intervention itself and the outcomes of the intervention. The purpose of including the intervention itself is to ingrain the principle that the evaluation requires information taken before, during and after the intervention.

학습과 행동을 평가하는 기본 구조는 Kirkpatrick과 같이 남아있지만 서로 위에서가 아니라 병렬로 고려된다. 여기서 제안된 모델은 이 두 가지 평가 접근 방식이 포함되도록 보장하기 위해

  • '아이디어'(배웠다고 생각하는 것)와
  • '통합'(배운 것)의 개념을 사용합니다. 

The basic constructs of assessing learning and behaviour remain as in Kirkpatrick but are considered in parallel rather than on top of each other. The model proposed here uses the concepts of

  • ‘ideation’ (what you think you have learned) and
  • ‘integration’ (what you have shown you have learned) to ensure these two evaluative approaches are included.

 

이는 계층이 아닌 공통 도메인으로 학습과 행동 섹션을 통합합니다. 의료의 복잡성을 인식하여 Kirkpatrick의 프레임워크의 레벨 4에 해당하는 '결과'의 개념은 '실행'과 '개선'이 된다. 이를 통해 직접적인 임상 효과뿐만 아니라 경험 결과 측정으로도 환자 편익을 캡슐화할 수 있다. 잠정적으로 '7 is framework'라는 제목의 개념적 프레임워크는 그림 4와 표 5에 나타나 있다. 'I'의 반복은 우연이지만 프레임워크의 기억에 도움이 될 수 있다.

This brings together the learning and behaviour sections, not as a hierarchy but as a common domain. In recognition of the complexity of healthcare, the concept of ‘results,’ which correspond to level four of Kirkpatrick’s framework, becomes ‘implementation’ and ‘improvement’. This enables patient benefit to be encapsulated by direct clinical effects but also by experience outcome measures as well. The conceptual framework, provisionally entitled ‘the 7Is framework’, is shown in Fig. 4 and Table 5. The all iteration is coincidental but may aid memorability of the framework.

CONCLUSION 

 

 

 

 


J Educ Eval Health Prof

  •  
  •  
  •  

. 2015 Jun 24;12:35.

 doi: 10.3352/jeehp.2015.12.35. eCollection 2015.

Proposal of a linear rather than hierarchical evaluation of educational initiatives: the 7Is framework

Damian Roland 1 2

Affiliations collapse

Affiliations

  • 1Sapphire Group, Department of Health Sciences, University of Leicester, Leicester, United Kingdom.

  • 2Paediatric Emergency Medicine Leicester Academic Group, University Hospitals of Leicester NHS Trust, Leicester, United Kingdom.

    • PMID: 26101403

 

 

Free PMC article

Abstract

Extensive resources are expended attempting to change clinical practice; however, determining the effects of these interventions can be challenging. Traditionally, frameworks to examine the impact of educational interventions have been hierarchical in their approach. In this article, existing frameworks to examine medical education initiatives are reviewed and a novel '7Is framework' discussed. This framework contains seven linearly sequenced domains: interaction, interface, instruction, ideation, integration, implementation, and improvement. The 7Is framework enables the conceptualization of the various effects of an intervention, promoting the development of a set of valid and specific outcome measures, ultimately leading to more robust evaluation.

Keywords: Health expenditures; Health resources; Medical education; Outcome assessment.

 

COVID-19동안 온라인 학습으로 신속하게 전환할 12가지 팁(MedEdPublish, 2020)

Twelve tips for rapidly migrating to online learning during the COVID-19 pandemic


John Sandars[1], Raquel Correia[2], Mary Dankbaar[3], Peter de Jong[4], Poh Sun Goh[5], Inga Hege[6], Ken Masters[7], So-Young Oh[8], Rakesh Patel[9], Kalyani Premkumar[10], Alexandra Webb[11], Martin Pusic[12]

 

 

 

 

소개 Introduction

온라인 학습은 단일 개체라기보다는 160자 트윗에서 완전히 몰입적인 아바타 기반 임상 시뮬레이션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양식과 기술의 집합]이다.
Online learning is not one single entity but rather a growing collection of modalities and technologies, which can range from a 160-character Tweet to a fully immersive avatar-based clinical simulation.

조직 수준

Organisation Level

팁 1: 변경 관리 단계를 예측하고 진행

Tip 1: Anticipate and move through the change management stages

ADKAR 조직 변화 모델(Hiatt, 2006)은 개인의 요구에 초점을 맞추고 있습니다. 

  • 변화의 필요성에 대한 인식(COVID 현실에 더 쉽게 대응) 
  • 변화에 참여하고 지원하는 욕구(자기주도적 평생학습에 의해 동기 부여)를 가져야 한다. 
  • 변화에 필요한 지식(적합한 기술 플랫폼을 찾는 위치와 방법, 전달 및 평가에 적절한 도구를 사용하는 방법을 학습하는 방법 포함)을 보유해야 한다. 
  • 필요한 기술과 행동을 구현할 수 있는 능력(피드백을 주고 받는 연습 포함) 
  • 변화를 지속하기 위한 강화(프로그램 평가 등)

The ADKAR organizational change model (Hiatt, 2006) is focused on the needs of the individuals: 

  • Awareness of the need for change (easier in response to the COVID reality); 
  • have the Desire to participate in and support the change (such as motivated by self-directed life-long learning); 
  • have the Knowledge necessary for change (including where and how to find a suitable technology platform and learning to use appropriate tools for delivery and assessment); 
  • Ability to implement required skills and behaviours (including practice with both giving and receiving feedback); 
  • Reinforcement to sustain the change (such as program evaluation). 

ADKAR 모델은 학습자와 교육자 모두의 관점에서 다루어져야 한다.

The ADKAR model needs to be addressed from the perspective of both learners and educators.

 

조직의 변화는 예측 가능한 경로를 따르는 경우가 많습니다(그림 1 참조). 얼리 어답터들이 이끄는 열정은 초기적이고 거의 놀라운 성과 상승을 초래하고, 그 뒤 필요한 소강상태를 초래하며, 그 결과 나머지 조직은 점차 그 변화에 적응한다. 이러한 단계와 변화 관리를 예상하면 문제를 줄이고 장기적인 지속 가능성을 위한 계획을 수립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Organisational changes frequently follow a predictable path (see Figure 1). There is a burst of enthusiasm led by early adopters that results in an initial and almost surprising rise in performance followed by a necessary lull in which the rest of the organisation gradually moves into the change. Anticipating these phases and change management can help reduce any problems and informs planning for long term sustainability.

 

 



팁 2: 현재 학습 관리 시스템 사용
Tip 2: Use the current Learning Management System


대부분의 보건 전문 학교에서 학습 관리 시스템(LMS)은 커뮤니케이션, 콘텐츠 전달 및 평가를 위한 플랫폼이다(Tibyamplansha et al., 2017). 따라서 커리큘럼을 구성하고 학습 성과와 이러한 결과를 달성하기 위한 교육 방법의 건설적인 정렬을 전달하기 위한 기본 교육 기술이다.

The learning management system (LMS), in most health professions schools, is the platform for communication, content delivery and assessment (Tibyampansha et al., 2017). It is therefore the fundamental educational technology for structuring the curriculum and conveying constructive alignment of learning outcomes and the educational methods to achieve these outcomes.


불확실한 시기에는 의사소통이 핵심이다. 학습자와 교육자가 프로그램 제공에 대해 정기적으로 알리고 학습 여정을 안내하기 위해서는 명확하고 접근 가능한 커뮤니케이션 채널을 구축하는 것이 필수적이다(Taha 등, 2020). 여기에는 [학습자가 학습 과정에서 예상해야 할 사항]과 [과정 전체에 걸친 학습자 자신의 기대 및 책임]에 두 가지 모두에 명확한 의사소통이 포함되어야 합니다. LMS 분석을 사용하여 이러한 기대치에 대한 학습자 성과를 측정하고 모니터링하고 추가 지원이 필요한 학습자를 식별할 수 있습니다. 학습자가 조언과 지도를 구하는 다양한 방법을 가질 수 있도록 의사소통이 양방향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Communication is key in times of uncertainty. Establishing a clear and accessible channel of communication is essential to keep learners and educators regularly informed of the program delivery and to guide them through their learning journey (Taha et al., 2020). This should include explicit communication about expectations, both what learners should expect during their course of study and the expectations and responsibilities of the learners themselves throughout the course. The LMS analytics can be used to measure and monitor learner achievement of these expectations and identify learners that require additional support. It is important to ensure that the communication is two-way so that learners have diverse avenues to seek advice and guidance.


 
온라인 학습 양식

Online Learning Modalities

팁 3: 촬영장비 – 온라인 강의의 잠재력 최적화

Tip 3: Modality – Optimise the potential of online lectures

 

미개최 강의의 경우 라이브 스트리밍 강의가 부담스러울 수 있지만 몇 가지 중요한 권장 사항이 있다. 빈 벽에 대고 말하는 것은 처음에는 발표자에게 이상하게 보일 수 있지만, 우리의 경험을 통해 교육자들은 빠르게 적응하고 자신감 있는 온라인 발표자가 될 수 있다.

For the uninitiated, live-streaming lectures can be daunting, but there are a few important recommendations. Speaking to a blank wall can initially appear strange to the presenter but from our experience educators can rapidly adapt and become confident online presenters.

가능하면 학습 관리 시스템(LMS)에 통합된 시스템을 사용해야 합니다. 이렇게 하면 등록된 학습자와 교육자만 강의에 참여할 수 있으며 트롤을 피할 수 있습니다."
If possible, a system that is integrated into the Learning Management System (LMS) should be used. This will ensure that only registered learners and educators are in the lecture and will avoid having trolls"

프레젠테이션 중에 모든 참가자의 마이크가 음소거 모드에 있는지 확인하면 학습자 가정에서 의도하지 않은 배경 소음이 발생하지 않습니다. 일부 강사들은 학생들의 참여를 감시하기 위해 모든 카메라를 켜두는 것을 좋아한다. 다른 사람들은 인터넷 대역폭 문제가 있는 경우에도 도움이 될 수 있는 모든 카메라를 꺼두는 것을 선호한다.
Ensuring that the microphones of all participants are in the mute mode during the presentation will avoid unintended background noise from the learner’s homes. Some lecturers like to keep all cameras on so that they can keep an eye on the engagement of their students. Others prefer to mute all cameras which can also help if there are internet bandwidth issues.

강의를 작은 학습 활동과 함께 일련의 구성요소로 세분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것은 이미 대면 강의에 대한 추천이지만 온라인 강의에서는 더욱 중요하다. LMS에 청중-반응 콤포넌트가 있는 경우, 이 구성요소를 사용하여 활동에 대한 학습자의 참여를 높이고 학습 기회를 극대화할 수 있습니다. 그렇지 않다면 발표자가 강의를 진행하면서 학습자에게 방금 제시된 자료를 바탕으로 답할 질문을 주는 일시 중지를 도입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능동적인 학습이 구축되고 참여도가 향상됩니다.

It is important to break the lecture into a series of components, interspersed with small learning activities. This is already a recommendation for face-to-ace lectures but is all the more important in online lectures. If the LMS has an audience-response component, this can be used to increase learner engagement in the activities and to maximise the learning opportunity. If not, as the presenter goes through the lecture, a pause can be introduced during which the learners are given a question to answer, which is based on material that has just been presented. This builds in active learning and improves engagement.



팁 4: 촬영장비 – 의도적인 설계를 사용하여 온라인 소그룹 최적화
Tip 4: Modality – Optimise online small groups using intentional design


온라인 그룹의 촉진은 소규모 그룹의 학습 잠재력을 최적화하며 대면 소규모 그룹에 사용되는 접근 방식과 유사하다. 모든 그룹 촉진의 두 가지 필수적인 측면은 

  • [전체적으로 명확한 목표를 adherence하도록 보장]하고 
  • (모든 구성원이 가치 있는 기여를 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는 등) [모든 그룹 구성원의 요구를 지원]합니다.


The facilitation of online groups optimises the learning potential of small groups and is similar to the approach used with face-to-face small groups. The two essential aspects of all group facilitation are

  • ensuring that there is overall adherence to a clear objective and 
  • supporting the needs of all group members, such as providing opportunities for all members to make a valued contribution.

그러나 대면 그룹을 촉진할 때 경험할 수 있는 어려움은 특히 그룹이 비동기적일 때(참여자가 이메일이나 대부분의 소셜 미디어와 같이 서면 메시지에 의해서만 기여하고 있는 경우) 온라인 그룹과 함께 증가하는 경우가 많다(Sandars, 2006). 비동기식 토론에서는 이모지스('웃는 얼굴'과 '엄지')를 사용해도 비언어적 소통이 부족하고, 이는 토론에 대한 기여도가 떨어질 수밖에 없는 등 참가자 간 신뢰 부족으로 이어질 수 있다. 실시간 참여를 가능하게 하는 동기식 온라인 토론이 선호되며 수많은 온라인 플랫폼이 존재한다.
However, the difficulties that can be experienced when facilitating face-to-face groups are often increased with online groups, especially when the groups are asynchronous (in which participants are only contributing by written messages and at different times, such as by email or most social media) (Sandars, 2006). There is a lack of non- verbal communication in asynchronous discussions, even with the use of Emojis (‘smiley faces’ and ‘thumbs up’ symbols), and this can lead to a lack of trust between the participants, with the inevitable reduced contribution to the discussion. Synchronous online discussions that enable real-time participation are to be preferred and there are numerous online platforms,

온라인 그룹을 PowerPoint 프레젠테이션이나 비디오와 같은 다른 정보 리소스와 결합하여 플립된 강의실을 만들 수 있으므로 학습 경험을 향상시킬 수 있습니다.

Online groups can be combined with other information resources, such as PowerPoint presentations or videos, to produce a flipped classroom, which can enhance the learning experience.

 

팁 5: 촬영장비 – 비동기 온라인 자습서의 잠재력 최적화
Tip 5: Modality – Optimise the potential of asynchronous online tutorials


[온라인 튜터리얼]은 학습자에게 환자 사례 프레젠테이션(Yavner, Pusic, Kalet 등, 2015)을 중심으로 구성된 비디오, 애니메이션, 텍스트 기반 자료 및 퀴즈의 사용을 포함한 온라인 멀티미디어 학습 활동의 뚜렷한 모음을 제공한다. 기록된 강의 및 기타 비동기식 리소스와 비교하여 몇 가지 장점이 있습니다. 멀티미디어는 여러 다른 매체의 조합을 사용하여 정보를 제공할 수 있기 때문에 지식과 기술에서 더 효율적인 이득을 보장한다. 학습자는 다른 요구 사항에 맞는 시간과 장소에서 자신의 학습 목표를 충족하는 다양한 온라인 자습서 중에서 온라인 자습서를 선택할 수 있기 때문에 동기 부여와 참여도가 높아지면서 자기주도적이 됩니다.
Online tutorials provide learners with a distinct collection of online multimedia learning activities, including the use of video, animations, text based materials and quizzes, which are structured around a patient case presentation (Yavner, Pusic, Kalet, et al., 2015). There are several advantages compared with recorded lectures and other asynchronous resources. The use of multimedia ensures more efficient gains in knowledge and skills since information can be presented using combinations of several different media. Learners become self-directed, with increased motivation and engagement, since they can select online tutorials from a range of different online tutorials that meet their own learning goals at a time and place that fits in with their other demands.

가용자원이 적절하지 않을 수 있기 때문에 혼합접근법이 필요할 가능성이 가장 높다. 교육자는 모든 온라인 자습서가 커리큘럼의 의도된 학습 결과와 일치하고 가용 자원을 큐레이션하기 위한 학습 필요성 평가를 구현하는 데 필수적인 역할을 하며, 내용이 적절하고 접근 가능한지 검토한다.
It is most likely that a mixed approach will be required since the available resources may not be appropriate. The educator has an essential role in implementing learning needs assessments to ensure that all online tutorials are aligned to the intended learning outcomes of the curriculum and also curating the available resources, with reviewing to ensure that the content is appropriate and accessible.

교육자는 온라인 동기식 토론 전후에 온라인 자습서를 통합함으로써 보다 의미 있는 온라인 혼합 플립 강의실 학습 경험을 제공할 수 있다.
Educators can provide a more meaningful online blended flipped classroom learning experience by integrating online tutorials before or after online synchronous discussions.

팁 6: 촬영장비 – 온라인 비디오의 잠재력 최적화
Tip 6: Modality – Optimise the potential of online videos


온라인 비디오 사용의 최적화에는 학습자를 비디오의 관련 부문으로 directing하고, 비디오 컨텐츠에 대한 개별 성찰 및 그룹 토론을 장려하며, 동료 및 교육자 피드백으로 필수적인 절차 및 커뮤니케이션 기술을 입증함으로써 개방형 액세스 리소스를 큐레이팅하는 데 초점을 맞춘다(Goh and Sandars, 2019). 혼합 학습blended learning의 개념은 이제 온라인 비디오의 [비동기식 자율 학습]과 [동기식 라이브 온라인 소그룹 미팅]을 결합하여 확장될 수 있다(Shank, 2020).
Optimisation of the use of online videos include a focus on curating open access resources by directing the learners to relevant segments of the videos, encouraging individual reflection and group discussion of the video content, and demonstrating essential procedural and communication skills with peer and educator feedback (Goh and Sandars, 2019). The concept of blended learning can now be expanded, combining asynchronous self-study of online videos with synchronous live online small group meetings (Shank, 2020).

실시간 비디오의 혁신적인 사용은 (적절한 동의와 안전 지침으로) 환자 만남에 대한 액세스를 제공하고, 임상 기술의 실천과 전달을 위한 피드백을 문서화하고 제공하기 위해 모바일 장치의 어디서나 가능한 가용성과 함께 이루어질 수 있다(Goh and Sandars, 2020).

Innovative use of real-time video to provide access to patient encounters (with appropriate consent and safety guidelines), as well as to document and provide feedback for practice and delivery of clinical skills, can take place with the ubiquitous availability of mobile devices (Goh and Sandars, 2020).

팁 7: 촬영장비 – 소셜 미디어의 잠재력 최적화
Tip 7: Modality – Optimise the potential of social media


소셜 미디어는 널리 이용 가능한 기술이며, 다른 학습자, 교육 분야의 주니어 의사, 의료 전문가, 심지어 환자까지 다양한 관점을 제공할 수 있는 모든 참가자에게 학습 경험을 풍부하게 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공한다(Shah, 2017). 트위터 저널 클럽(Duig, 2016; Topf, 2017; Bolderston, 2018), 의료 블로그(Carly, 2017), 협업 학습 플랫폼(Haynes, 2014)은 지속적인 전문적 발전과 변화하는 교육 관행을 강화하기 위해 명확하게 입증되었다. 그러나, 의학 교과 과정의 모든 것이 온라인 접근법으로 옮겨질 수 있는 것은 아니기 때문에, 교육자는 내용만으로는 학습자를 위한 교육 경험으로 마법처럼 변환되지 않는다는 것을 명심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Social media is a widely available technology and offers the possibility of reaching every participant who can offer a variety of perspectives, from other learners, junior doctors in training, healthcare professionals and even patients, that can enrich the learning experience (Shah, 2017). Twitter journal clubs (Duig, 2016; Topf, 2017; Bolderston, 2018), medical blogging (Carley, 2017) and collaborative learning platforms (Haynes, 2014) have been clearly demonstrated to enhance continuing professional development and changing educational practice. However, not everything in a medical curriculum is transferable to an online approach, therefore it is essential for the educator to bear in mind that content alone will not magically translate into an educational experience for the learner.

여러 플랫폼에서 컨텐츠를 만들고 게시하려면 상당한 시간 소모가 있어야 합니다. 그만큼 소셜 미디어 관리는 그 자체가 하나의 커리어로 자리 잡았다. 코멘트, 피드백을 제공하고 커뮤니티의 느낌을 모방하여 이러한 [플랫폼의 사회적 측면을 촉진하는 것]이 학습자를 참여시키고 학습을 개선하는 데 핵심입니다. 온라인으로의 빠른 전환 시기에, 이미 구축된 인프라와 온라인 팔로잉을 가지고 있는 얼리 어답터들을 식별하면 소셜 미디어의 잠재력을 개발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

Content creation and publication on multiple platforms requires a substantial time commitment; so much so that social media management has become a career in its own right. Fostering the social aspect of these platforms by commenting, offering feedback and emulating the community feel are key in engaging learners and improving their learning. In a time of rapid transition to online, identifying early adopters who already have a built infrastructure and online following can help to develop the potential of social media.

팁 8: 촬영장비 – 온라인 성찰의 잠재력 최적화
Tip 8: Modality – Optimise the potential of online reflection


[성찰]은 [학습자의 놀라움에서 시작]되며 이는 학습자의 지식과 기술 부족에서부터 자신과 다른 사람, 그리고 더 넓은 세계에 대한 학습자의 시각에 도전하는 목격 사건에 이르기까지 여러 가지 요인에 의해 유발될 수 있다. 학습자는 놀라움을 이해한 다음 새로운 지식을 찾거나 다른 세계관에 대해 더 많이 읽는 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적절한 대응을 합니다. 학습자, 임상의, 제휴 헬스케어 전문가, 환자, 케어 제공자를 포함한 다른 사람들과 경험을 공유함으로써 성찰 과정이 강화된다.
Reflection begins with a moment of surprise in the learner and this can be provoked by several factors, from lack of knowledge and skills in the learner to witnessing events that challenge the learner’s view of themselves, others and the wider world. The learner makes sense of the surprise and then takes an appropriate response to resolve the challenge, such as seeking new knowledge or reading further about different world views. The process of reflection is enhanced by having a supportive facilitator and by sharing their experience with others, including learners, clinicians, allied healthcare professionals, patients and care-givers.

디지털 스토리텔링은 의료 교육의 필수적인 성찰 요소 개발을 위한 강력한 접근법이 될 수 있다(Sandars, Murray 및 Pellow, 2008). 학습자는 하나 이상의 시각적 이미지로 구성된 사례를 온라인 플랫폼(토론 포럼 등)에 쉽게 업로드하고 깜짝 놀랄 순간과 자신의 견해에 어떻게 도전했는지에 대해 이야기할 수 있다. 이를 다른 사람과 공유할 수 있고 학습자에게 개인적이면서도 참가자들에게 집단적인 깊은 변혁적 학습 경험을 연출할 수 있다.
Digital storytelling can be a powerful approach for developing the essential reflection component of medical education (Sandars, Murray and Pellow, 2008). Learners can easily upload a case, which comprises of one or more visual images, to online platforms (such as a discussion forum) and talk through their moment of surprise and how it challenged their views. This can be shared with others and a deep transformative learning experience can be produced that is both individual to the learner but also collective for the participants.

특정 사건에 대한 이미지를 선택하는 것은 중요하지만, 환자나 동료의 정체성을 훼손하지 않는 것이 필수적이다. 사진이나 짧은 동영상은 모바일 장치를 사용하여 쉽게 캡처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이러한 이미지는 학습자의 경험에 반영되어야 한다고 권고한다. 익명성은 이웃의 전망이나 방향 표시와 같은 일반적인 이미지를 사용하여 유지될 수 있다.

The choice of images about the case is important. It is essential not to compromise the identity of patients or colleagues. Photographs or short videos can be easily captured using mobile devices. However, we recommend that these images should resonate with the learner’s experience. Anonymity can be maintained by using general images, such as a view of a neighbourhood or the direction signs to a ward.

일반 온라인 팁
General Online Tips


팁 9: 전체 과제를 가르칠 수 없는 경우, 파트태스크 온라인 교육으로 시작하십시오.
Tip 9: If you can’t teach the whole task, start with part-task online training


임상적 추론, 절차적 또는 학문적 기술과 같은 인지적 기술은 온라인에서 효과적으로 가르칠 수 있다. 효과적인 온라인 기술 훈련을 설계하기 위해 학습자가 실제 문제 해결에 참여할 때 학습이 촉진된다(그림 2 참조). 다음은 중요한 교수 설계 원칙이다(Merrill, 2002). 

  • a) 관련 사전 지식을 회상 및 시연하기 위하여 활성화 
  • b) 직무와 기술의 설명 및 입증(종종 교사에 의한) 
  • c) 피드백을 받는 새로운 작업의 진행에 대한 지식 또는 기술의 적용(학습자에 의한) 
  • d) (학습자에 의한) 실무에서 새로 배운 기술의 통합

Cognitive skills such as clinical reasoning, procedural or academic skills, can be effectively taught online. To design effective online skills trainin, learning is promoted when learners are engaged in solving real-world problems (see Figure 2). The following are crucial instructional design principles (Merrill, 2002): 

  • a) activation to recall and demonstrate relevant prior knowledge; 
  • b) explanation and demonstration of tasks and skills (often by the teacher); 
  • c) application of knowledge or skill in a progression of new tasks receiving feedback (by the learner); and 
  • d) integration of the newly learned skills in practice (by the learner). 

 

 

이러한 원칙은 온라인으로 구현될 수 있다.

  • 퀴즈(사전 지식 활성화),
  • 튜토리얼 및 비디오(기술의 설명 및 시연),
  • 과제 또는 시뮬레이션(새로 배운 기술 적용)

These principles can be implemented online in 

  • quizzes (activating prior knowledge), tutorials and 
  • video’s (explanation and demonstration of skills) and 
  • assignments or simulations (applying newly learned skills). 

 

분명히, 시뮬레이션 환자 또는 실험 설정이 필요하기 때문에 신체 검사나 실험실 실험과 같은 실제 기술 훈련은 완전히 온라인으로 가르칠 수 없다. 그러나 처음 두 가지 원칙(활성화와 설명)은 현장에서 다시 작업할 수 있는 순간까지 온라인 부분과제part-task 훈련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파트-태스크 연습]은 교내 교육이 재개될 때 학습자가 남은 실습 교육 구성 요소에 대해 최적으로 준비할 수 있다.

Obviously, practical skills training like the physical examination or laboratory experiments cannot be taught completely online, as a physical presence of a simulation patient or experimental setup is required. However, the first two principles of activation and explanation can still be implemented as online part-task training until the moment that working on-site is possible again. Part-task practice can also prepare learners optimally for the remaining hands- on training component when on-campus education is resumed.

팁 10: 학습자를 위한 거대한 온라인 세상 단순화
Tip 10: Simplify the massive online world for learners


MOOC는 짧은 비디오 강의, 독서, 대화형 과제, 테스트, 퀴즈, 토론 포럼과 같은 다양한 형식으로 콘텐츠를 제공합니다. 일반적으로 학습자는 제공되는 고품질 온라인 자료에 대한 높은 만족도를 나타냅니다.
MOOCs offer content in many different formats, such as short video lectures, readings, interactive assignments, tests, quizzes, and discussion forums. In general, learners indicate high satisfaction with the high-quality online materials provided.

이 모든 것이 아무리 훌륭하게 보여지더라도, 거대한 온라인 세계는 학습자들에게 매우 혼란스럽고 부담스러운데, 특히 내용이 모국어로 제시되지 않을 경우 그러하다. 첫째, 적절한 수준의 학습 주제를 다루는 과정을 선택해야 합니다. 중요한 측면은 코스를 이용할 수 있는 날짜를 파악한 후 학습자에게 코스 등록 방법에 대한 명확한 지침을 전달하는 것입니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학습자들에게 강좌 사용법, 어떤 장, 어떤 과제, 어떤 숙제를 교육자에게 제출해야 하는지에 대한 명확한 지침을 제공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However wonderful this all appears, the massive online world can be very confusing and overwhelming to learners, especially if the content is not presented in their native language. First, a course needs to be selected that addresses the topics for study at the appropriate level. An important aspect is to find out which dates the course will be available and then send the learners clear instructions on how to enroll into the course. And finally, it is essential to provide learners with clear instructions on how to use the course, which chapters and which assignments to study and which homework they should submit to the educator.

팁 11: 온라인 리소스 및 활동의 공동 생성을 장려하고 지원합니다.
Tip 11: Encourage and support co-creation of online resources and activities


공동창조co-creation는 학습자와 교육자가 서로 협력하여 온라인 자원과 활동을 만들 때 발생한다(Bobil 등, 2016). 공동 창작에는 새롭고 개선된 온라인 재료와 경험의 개발 외에도 많은 상호의존적인 이점이 있다.
Co-creation occurs when learners and educators work collaboratively with one another to create online resources and activities (Bovill et al., 2016). There are many interdependent benefits to co-creation besides the development of new or improved online materials and experiences.

효과적인 협업과 프로젝트 성과 달성을 위해 컨텐츠, 커리큘럼, 교육 설계 입력을 제공하는 데 필요한 기술 세트를 갖춘 팀을 먼저 구축하는 것이 중요하다. 프로젝트의 범위를 지정할 때, 주요 권장 사항에는 역할과 책임의 식별, 명확한 마감일 설정, 목표와 기대치를 명확하게 전달하는 것이 포함됩니다. 범위 지정 프로세스scoping process의 일환으로 팀이 프로젝트를 전달하기 위해 필요한 교육, 지원 및 리소스를 결정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여기에는 항상 교육학, 접근성 및 저작권에 관한 지침이 포함되어야 한다. 또한, 자원과 활동이 기관 온라인 플랫폼을 통해 학습자가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It is important to first establish a team with the required skillsets to provide content, curriculum and educational design input for effective collaboration and achievement of the project outcomes. When scoping the project, key recommendations include identification of roles and responsibilities, setting clear deadlines and clearly communicating objectives and expectations. As part of the scoping process it is important to determine what training, support and resources the team requires to deliver the project. This should always include guidance regarding pedagogy, accessibility and copyright. Furthermore, it is vital to ensure that the resources and activities can be made available to learners via institutional online platforms.

품질 관리를 위해 구현 전에 동료 검토 및 테스트를 프로젝트 관리에 통합하면 오류 또는 문제를 식별하고 해결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자원이 적절한 품질이고 저작권을 침해하지 않는 경우, 기관을 넘어 학습자에게 이익이 되는 개방형 교육 자원(OER)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corporating peer review and testing into the project management, prior to implementation, for quality control will help to identify and resolve any errors or problems. If the resource is of suitable quality and does not breach copyright, making it available as an open educational resource (OER) to benefit learners beyond the institution should be considered.



팁 12: 온라인 학습으로의 전환에 대한 적극적 임상의의 가치 입증
Tip 12: Demonstrate the value for active clinicians of the shift to online learning


세계적인 유행병은 또한 임상의들이 능동적인 실천에서 새로운 지식을 빠르게 습득하는 방법을 관찰할 수 있는 독특한 기회이다. 코로나19는 이전에는 존재하지 않았기 때문에 임상의는 질병의 확산 자체보다 더 빠르게 보이는 것에서 전문적인 지식을 공유해야 하는 과제를 해결하고 있으며 이 지식을 공유하는 주요 방법은 인터넷을 통해 중재된다.
The global pandemic is also a unique opportunity to observe the way clinicians rapidly acquire new knowledge in active practice. Covid-19 as a disease did not exist previously so clinicians have been addressing the challenge of sharing professional knowledge at what appears to be faster than the spread of disease itself and the predominant methods of sharing this knowledge is mediated through the internet.

다시 말하지만, 기술은 지역 전문가들 간의 경험 공유와 다양한 병원 또는 의료 환경에서 환자의 진료를 위한 진료 경로, 프로토콜 및 지역 정책을 고안하는 데 있어 매우 중요하다. 다양한 화상회의 플랫폼도 공동체 의식을 함양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으며, 연대감 증진에 기여하면서 이러한 기술의 간접적인 사회적 영향을 입증하였다.

Again, technology has been critical in sharing of experience between local experts, as well as devising care pathways, protocols and local policy for the care of patients across different hospital or healthcare settings. Various video-conferencing platforms have also played an important role in fostering a sense of community, as well as promoting a sense of solidarity in demonstrating the indirect social impact of such technologies as well.

결론

Conclusion

현 상황에 많이 관여하는 동안 간과될 수 있는 중요한 고려사항은 [전염병 이후]에 단순히 [전통적인 대면 교육 루틴에 다시 빠지지 않고] 온라인 학습의 사용을 지속하는 것이 어떻게 가능하냐는 것이다. 평가는 새로운 접근법이 의도된 잠재적 편익을 달성하는 정도에 대한 통찰력과 효과적인 온라인 학습을 가능하게 하고 제약하는 다양한 요소를 제공하기 때문에 지속 가능성에 필수적이다. 이제는 성공적인 온라인 접근법뿐만 아니라 성공적이지 않은 온라인 접근법들을 평가하는 과정을 시작해야 할 때이며, 유행병 이전과 비교해 전염병 후 건강 직업 교육에 더 크고 효과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온라인 학습을 반복적으로 개발하고 구현해야 한다.

An important consideration, which may be overlooked whilst heavily engaged in the present situation, is how it will be possible to sustain the use of online learning after the pandemic, instead of simply falling back into a traditional face-to-face teaching routine. Evaluation is essential for sustainability since it provides insights about the extent to which new approaches are achieving their intended and potential benefits, and also the variety of factors that enable and constrain effective online learning. Now is the time to begin the process of evaluating the successful innovative online approaches, as well as the not so successful ones, to iteratively develop and implement online learning that can result in greater and more effective application to health professions education after the pandemic compared with before the pandemic.

요약

Take Home Messages

 

  • 조직 변화의 원리를 사용하여 온라인 학습에 대한 적응 과정을 예측합니다.
  • 모든 온라인 양식에 대해 우수한 교육 설계 지침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 온라인 학습의 구현은 부분적으로는 새로운 개발이고 부분적으로는 기존 자료의 큐레이션입니다.
  • 동기식 라이브 온라인 그룹 토론과 비동기식 자율 학습을 포함한 혼합 학습을 신속하게 구현할 수 있다.
  • 학습자와 교육자의 자원 공동 생성 장려
  • 새로운 학습 접근법에 대한 보건 전문가의 적응성 모델링
  • COVID-19 전염병 후 지속 가능성 계획

 

  • Use the principles of organisational change to anticipate the course of adaptation to online learning
  • Good instructional design guidelines are available for all online modalities
  • Implementation of online learning is part development and part curation of existing resources
  • Blended learning including asynchronous self-study with synchronous live online group discussions can be rapidly implemented
  • Encourage co-creation of resources by learners and educators
  • Model the adaptability of health professionals to new learning approaches
  • Plan for sustainability after the COVID-19 pandemic

 

 


Twelve tips for rapidly migrating to online learning during the COVID-19 pandemic

John Sandars[1], Raquel Correia[2], Mary Dankbaar[3], Peter de Jong[4], Poh Sun Goh[5], Inga Hege[6], Ken Masters[7], So-Young Oh[8], Rakesh Patel[9], Kalyani Premkumar[10], Alexandra Webb[11], Martin Pusic[12]

Institution: 1. Edge Hill University, 2. SOS Médecins, 3. Erasmus University Medical Center, 4. Leiden University Medical Center, 5. National University of Singapore, 6. University of Augsburg, 7. Sultan Qaboos University, 8. NYU Grossman School of Medicine, 9. University of Nottingham , 10. University of Saskatchewan, 11. Australian National University, 12. Harvard Medical School

Corresponding Author: Prof John Sandars (john.sandars@edgehill.ac.uk)

Categories: Curriculum Planning, Educational Strategies, Teaching and Learning, Technology

DOI: https://doi.org/10.15694/mep.2020.000082.1

Published Date: 29/04/2020

Abstract

The COVID-19 pandemic has resulted in a massive adaptation in health professions education, with a shift from in-person learning activities to a sudden heavy reliance on internet-mediated education.  Some health professions schools will have already had considerable educational technology and cultural infrastructure in place, making such a shift more of a different emphasis in provision.  For others, this shift will have been a considerable dislocation for both educators and learners in the provision of education.

To aid educators make this shift effectively, this 12 Tips article presents a compendium of key  principles and practical recommendations that apply to the modalities that make up online learning.  The emphasis is on design features that can be rapidly implemented and optimised for the current pandemic. Where applicable, we have pointed out how these short-term shifts can also be beneficial for the long-term integration of educational technology into the organisations’ infrastructure.

The need for adaptability on the part of educators and learners is an important over-arching theme.  By demonstrating these core values of the health professions school in a time of crisis, the manner in which the shift to online learning is carried out sends its own important message to novice health professionals who are in the process of developing their professional identities as learners and as clinicians. 

Keywords: Education; online learning; instructional design; social media; organizational change, computer-assisted learning, remote teaching, COVID-19

효과적 강의를 위한 실용적 전략(Ann Am Thorac Soc, 2015)

Practical Strategies for Effective Lectures

Peter H. Lenz1, Jennifer W. McCallister2, Andrew M. Luks3, Tao T. Le4, and Henry E. Fessler5

 

 

 

대규모 그룹 강의는 모든 규모의 청중에게 교육, 임상 및 과학 정보를 전파하는 효율적인 수단으로 남아 있지만, 이 형식은 오랫동안 청중의 수동성과 지식 보유 감소(1–6)로 비판을 받아왔다. 그 결과, 현재 대화형 학습 양식을 통해 청중을 참여시키는 것에 점점 더 강조되고 있다.

Although large group lecturing remains an efficient means to disseminate educational, clinical, and scientific information to audiences of any size, the format has long been criticized for audience passivity and diminished knowledge retention (1–6). As a result, there is now increasing emphasis on engaging the audience via interactive learning modalities.

 

능동적 학습의 이론적 근거

The Rationale for Active Learning

 

학습자의 참여를 요구하는 대화형 강의는 전통적인 수동형 강의(1–8)에 비해 측정 가능한 이점을 반복적으로 입증했다. 전통적인 강의에서 정보는 스피커에서 청중을 향해 일방적으로 흐르지만, 능동적인 학습은 청중과의 참여 및/또는 상호작용을 필요로 하며 아이디어와 콘텐츠의 양방향 흐름을 촉진한다(1) 이를 위해서는 청중이 개별적으로 또는 그룹으로 정보를 실시간으로 반영하거나 조작해야 한다(1~3). 이러한 학습자 중심의 경험은 학습자에게 속도와 초점을 어느 정도 제어할 수 있는 권한을 주고, 청중이 주요 개념을 이해하고 있는지에 대한 피드백을 제공한다. 이는 전통적인 교사 중심 강의와 대비되는데, 교사 중심 강의에서는 강사에 의해 시간과 집중이 통제되고, 그 결과, 종종 청중의 자료 이해도에 대한 이해가 떨어진다.

Interactive teaching that demands learner engagement has repeatedly demonstrated measurable benefits over traditional passive lectures (1–8). Whereas in traditional lectures, information flows unidirectionally from the speaker to the audience, active learning requires engagement and/or interaction with the audience and promotes a bidirectional flow of ideas and content (1). This requires the audience to reflect on or manipulate information in real time, either individually or in groups (1–3). These learner-centered experiences delegate some control of pace and focus to the learner, and give the speaker feedback on whether the audience is grasping key concepts (1–4). This contrasts to traditional teacher-centered lectures, in which the timing and focus are controlled by the lecturer who, as a result, often has less appreciation of the audience’s comprehension of the material (1–4).

 

능동적 학습의 성과는 수동적 접근법을 능가한다. 의사(6)와 의료(3), 학부(4, 5), 대학원(7) 학생이 참여하는 연구에서는 주의력 향상, 고차원의 학습 촉진, 필기시험(4, 5, 7)의 성과 향상 등 일관된 이점을 보여주며, 그 이점은 주제당 소비한 추가적 시간이 아닌 참여의 성격에 기인할 수 있다. 아래에 설명된 것과 같은 대화형 기술은 강사가 일시 중지하고, 청중을 성찰할 시간을 허용하며, 어려운 개념을 재방문해야 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청중에게 통제권을 넘겨주는 것은 연설자에게 불편할 수 있지만, 학습자 중심의 환경을 유지하기 위해 요구된다(1, 3, 7).

Active learning outperforms passive approaches. Studies involving physicians (6) and medical (3), undergraduate (4, 5), and graduate (7) students demonstrate consistent benefits including improved attention span, promotion of higher order learning, and improved performance on written examinations (4, 5, 7), and the benefits can be attributed to the nature of engagement rather than the extra time spent per topic (8). Interactive techniques, such as those described below, require that speakers pause, allow time for audience reflection, and revisit challenging concepts. Relinquishing control to the audience in this manner can be uncomfortable for the speaker, but is required to maintain a learner-centered environment (1, 3, 7).

 

청중을 사로잡는 현대적 방법

Contemporary Methods for Engaging Audiences

 

이러한 개선된 결과는 여러 활성 학습 형식을 사용하여 달성되었다. 대화형 강의(1, 3)는 강의 중에 제시된 자료의 적극적인 통합을 촉진하기 위해 교사-학습자 및 학습자-학습자 상호 작용을 사용한다. 간단한 교육 세그먼트가 끝난 후, 화자는 청중에게 질문을 던지고 아래에 자세히 설명된 여러 방법을 사용하여 학습자 간의 공개 토론을 촉진한다. 이러한 유형의 질문으로부터 딥 러닝과 비판적 사고를 육성하는 것은 문제 기반 학습 커리큘럼의 한 가지 장점이다(1, 9).

These improved outcomes were attained using multiple active learning formats. Interactive lecturing (1, 3) uses teacher– learner and learner–learner interactions to promote active incorporation of material presented during the lecture. After a brief didactic segment, the speaker poses questions to the audience and fosters open discussion among learners, using a number of methods elaborated on below. The fostering of deep learning and critical thinking from this type of questioning is one advantage of problem-based learning curricula (1, 9).

 

간단한 기술도 유익할 수 있다. 강의 중 2분간의 정지를 삽입하여 학습자가 노트(10)를 검토하거나 토론할 수 있도록 할 때 보존력이 향상된다. 예를 들어, 대규모 그룹 설정에서 교육자는 청중에게 10-15분 분량의 자료를 제시한 후 잠시 멈추고 혼자 또는 동료들과 함께 반영하도록 요청할 수 있다(3).

Even simple techniques can be beneficial. Retention is improved when 2-minute pauses are inserted during a lecture to allow learners to review or discuss their notes (10). In a large group setting, for example, educators can ask their audience to pause and reflect by themselves or with colleagues after every 10–15 minutes of material presented (3).

 

동료 교육은 교육 과정(11)을 보완하기 위해 학생 상호 작용에 의존한다. 이름에서 알 수 있듯이, 학습자의 동료는 교육 과정 내에서 별도로 설정된 협업 기회 동안 지침을 제공합니다. 이 기술은 학습자가 화자가 전달한 자료를 적용하고 그 적용 또는 개념을 동료(5)에게 설명해야 한다. 이러한 think-pair-share (12, 13) 접근 방식은 학습자 중에서 교사를 만들어 내지만, 학습 encounter을 적절히 시작하기 위해 강사가 매력적인 질문을 제시해야 한다.

Peer instruction relies on student interactions to complement the educational process (11). As the name implies, the learner’s peers provide instruction during opportunities for collaboration set aside within the didactic. This technique requires the learner to apply the material delivered by the speaker and explain that application or concept to his or her colleague (5). This think-pair-share (12, 13) approach creates teachers out of the learners, but does require the speaker to pose engaging questions to properly initiate the learning encounter.

 

강의 내에서 능동적 학습 도구의 타이밍을 적절하게 맞추는 것은 이러한 전략의 유용성에 영향을 미친다. 전통적인 강의의 정보 보유는 단지 10분 후에 감소하며, 강연의 시작과 끝에 제시된 자료(14, 15)에 가장 높다. 이러한 primacy–recency effect 라는 것은 참여 활동의 최적 시기(14)를 시사한다. 동료 지도와 같은 ARS 질문이나 활동은 매 10-15분마다 또는 최소한 강의 중간에 보존이 최하점에 있을 때 발생해야 한다(그림 1A). 또는, 60분 강의는 10분에서 15분간의 프리타임 다운타임을 여러 사이클로 나누어 각 사이클에 능동성과 참여 활동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그림 1B).

Properly timing active learning tools within a lecture affects the usefulness of these strategies. Retention of information in traditional lectures declines after only 10 minutes, and is highest for material presented at the beginning and the end of the talk (14, 15). This so-called primacy–recency effect suggests the optimal timing of engaging activities (14). ARS questions or activities such as peer instruction should occur every 10–15 minutes, or at a minimum in the middle of the lecture when retention is at its nadir (Figure 1A). Alternatively, the 60-minute lecture can be divided into multiple 10- to 15-minute primetime–downtime cycles so that each includes a combination of didactics and engaging activities (Figure 1B).

 

 

청중 응답 시스템을 사용하여 대화형 학습 촉진

Using Audience Response Systems to Promote Interactive Learning

 

청중 대응 시스템(ARS)은 다재다능하지만 다른 능동적 학습 방법(16–19)보다 기술적으로 강의에 통합해야 하며 추가 의견을 보장해야 한다. ARS에 의해 전달되는 익명성은 교육자들이 오답을 자원하는 사람들을 당황시키지 않고 그들의 청중이 배운 것을 평가할 수 있게 한다.

Audience response systems (ARS) are versatile, but are more technically demanding to incorporate into lectures than other active learning methods (16–19) and warrant additional comment. The anonymity conveyed by ARS allows educators to assess what their audience has learned without embarrassing individuals who volunteer incorrect answers.

 

ARS를 구현하기 위한 세 가지 광범위한 전략이 있다: 교실 모니터링, 청중 단계 지침, 그리고 동료 지침 (18). 

  • 의실 모니터링에는 비평가 활동 참여를 통한 출석 감시, 의견조사 등을 통한 의견청탁 등의 활동이 포함된다. 

  • 청중의 속도에 맞춘 교육은 우발적contingent 수업의 원칙을 적용하여, 청중의 준비에 의해 내용이 지시될 수 있도록 한다. 가장 간단한 형태는 참가자들은 그들이 [새로운 주제로 넘어갈 준비가 되었는지]를 결정하는 것이다.

  • 료 지침은 학습자 상호 작용으로 ARS를 사용할 때 크게 향상되며, ARS 양식이 제공하는 피드백을 통해 학습자 효율성이 향상된다(17, 19).

There are three broad strategies for implementing ARS: classroom monitoring, audience-paced instruction, and peer instruction (18). 

  • Classroom monitoring includes activities such as attendance surveillance through participation in nongraded activities and solicitation of opinions via polling. 

  • Audience-paced instruction applies the principles of contingent teaching, allowing the content to be directed by the readiness of the audience. In its simplest form, participants can decide whether they are ready to move on to a new topic (19). 

  • Peer instruction is greatly enhanced when using ARS as learner interactions and learner efficiency are promoted via feedback that ARS modalities provide (17, 19).

 

ARS의 성공적인 통합은 기술에 대한 편안함과 세심한 준비가 필요하다. 고품질 ARS 질문일반적인 혼란 영역을 다루고, 특정 학습 목표를 가지고 있으며, 광범위한 응답을 이끌어내야 하지만, 반드시 정답이 하나일 필요는 없다.

Successful integration of ARS requires comfort with the technology and careful preparation. High-quality ARS questions should address common areas of confusion, have specific learning goals, and elicit a wide range of responses, but need not have a single correct answer (16).

 

대규모 그룹 세션의 구성 및 제공

Organization and Delivery of the Large Group Session

 

효과적인 대규모 그룹 세션은 [콘텐츠의 구성]과 [콘텐츠 전달] 모두에 대한 주의를 필요로 합니다. 세션 주관자와 협력하여 강의 목표와 목표, 대상 청중을 파악하면 강의를 구성하고 내용을 틀에 짜는 데 도움이 된다. 공식적인 목표 슬라이드(20)가 없어도 학습 목표가 분명한 설명을 계획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복잡성은 청중(21)에 맞게 조정되어야 한다.

Effective large group sessions require attention to both the organization of the content and its delivery. Working with the session organizer to identify the goals and objectives for the lecture and the target audience will help organize the lecture and frame the content. It is essential to plan a narrative from which the learning objectives are apparent even without a formal objectives slide (20). Complexity must be tailored to the audience (21).

 

비록 종종 위반되지만, 시간 제약을 존중하는 것은 전문적으로 책임이 있다. 일반적으로 말하는 규칙은 1분당 1슬라이드를 계획하는 것이다. 그러나 실제로 적절한 슬라이드 수는 복잡성과 강사의 말하기 스타일에 따라 달라집니다. 일반적인 경향은 대화에 디테일을 계속 추가하는 것이지만 강의에서는 유지가 제한되어 있고 강연자들은 내용을 세분화하는 방법을 고려해야 한다. 지정된 시간 내에 회담이 성사될 수 있도록 보장하는 유일한 방법은 연습이다. 시간을 편성할 때, 질문을 강의 도중 또는 후에 처리할지 고려합니다.

Although often violated, it is professionally responsible to respect time constraints. A common rule of thumb is to plan one slide per minute of speaking time. In practice, however, the appropriate number of slides varies based on their complexity and the lecturer’s speaking style. A common tendency is to keep adding detail to talks, but retention is limited in lectures and speakers should consider ways to pare down the content. The only way to ensure talks can be delivered within the allotted time is to rehearse (22). When budgeting time, consider whether questions are addressed during or after the talk.

 

강의를 할 때는 청중에게 연설하기보다는 화면 쪽으로 방향을 틀고 자료를 읽는 등 청중을 disengage시키는 경향이 있는 접근을 피한다. 리허설을 통해 화자는 소재에 익숙해지고 스크린(22)이 아닌 관객과 눈을 마주치게 된다. 레이저 포인터는 슬라이드의 특정 요소를 가리키기 위해 사용되어야 하며, 텍스트 슬라이드를 통해 청중들을 단어별로 리드하거나 휘갈겨서는 안 된다.

When delivering the lecture, avoid approaches that tend to disengage the audience, such as turning toward the screen and reading the material rather than addressing the audience. By rehearsing, speakers gain familiarity with their material and maintain eye contact with the audience rather than the screen (22). Laser pointers should be used to point at specific elements of the slide, not scribbling or leading the audience word-by-word through text slides.

 

서술이 주제를 세그먼트로 나누는 경우, 전환 슬라이드transition slide는 그들 사이의 청취자를 용이하게 한다(23). 이러한 전환은 청중에게 새로운 정보를 처리하고(23세) 대화 진행 중인 위치를 업데이트하며 질문을 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전환 슬라이드는 원래 개요 슬라이드, 진행 단계가 추가된 규제 경로와 같은 개요 이미지를 특징으로 하는 로드맵 슬라이드 또는 시각적 마일포스트의 다른 형태로 구성될 수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강의는 마지막 내용 슬라이드 이후에 갑자기 끝나서는 안 된다. 대신, 프레젠테이션의 요점 요약(22)으로 마무리해야 합니다.

If the narrative divides the topic into segments, transition slides ease the listener between them (23). These transitions provide the audience time to process new information(23), update them on where they are in the progression of the talk, and allow opportunities for questions. Transition slides might consist of the original outline slide, roadmap slides featuring an overview image like a regulatory pathway with progressive steps added, or other forms of a visual milepost. Finally, the lecture should not end abruptly after the last content slide. Instead, it should conclude with a summary of the main points from the presentation (22).

 

효과적인 슬라이드 및 그래픽 디자인 기법

Techniques for Effective Slide and Graphic Design

 

청중은 청각과 시각으로 두 개의 데이터 스트림을 동시에 수신하므로, 슬라이드 콘텐츠가 음성(24)을 지지하고 균형을 맞추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과학은 본질적으로 복잡하지만, 면밀한 연구를 요구하는 지나치게 복잡한 슬라이드는 청중을 말에서 멀어지게 하고 이해를 손상시킨다. 이는 흡수 및 보존을 극대화하기 위해 사려 깊지만 절제된 시각적 표시의 단순화를 요구한다.

Because audiences receive two data streams simultaneously, one aural and one visual, it is important to ensure that the slide content supports and balances the spoken word (24). Although science is inherently complex, overly complex slides that demand close study distract the audience from what is being said and impair comprehension. This demands thoughtful but disciplined simplification of the visual presentation to maximize absorption and retention.

 

그 효과에 대한 논란에도 불구하고, PowerPoint는 전문적인 프레젠테이션을 위한 픽스처로서 버텨왔으며, 스피커는 이 형식(23) 내에서 최적의 시각적 프레젠테이션을 보장할 수 있어야 한다. PowerPoint는 슬라이드 배경에 무수히 많은 옵션을 제공하지만, 많은 것들이 슬라이드 컨텐츠에 방해가 된다. 배경은 단색이어야 하며 질감이 없어야 합니다.

Despite debates regarding its effectiveness, PowerPoint has endured as a fixture for professional presentations and speakers must be able to ensure optimal visual presentation within this format (23). PowerPoint provides myriad options for slide backgrounds, but many distract from the slide content. Backgrounds should be monochromatic and non-textured.

 

슬라이드 배경과 텍스트 색상은 고대비(25)여야 한다. 파란색 배경에는 검은색 텍스트를, 흰색에는 노란색 텍스트를 사용하지 마십시오. 빨간색/녹색 조합은 색맹에 회색 음영으로 나타납니다. 파란색 또는 녹색의 빨간색은 색상 여백에 희미하게 나타나며, 이는 문자 선택에 있어 서투른 선택입니다.

Slide background and text colors should have high contrast (25). Avoid black text on blue backgrounds or yellow on white. Red/green combinations appear as shades of gray to the colorblind. Red on blue or green appear to shimmer at the color margins, making this a poor choice for lettering.

 

(온라인 부록의 그림 E1 참조).

(see Figure E1 in the online supplement).

210130 Lecture Practical Strategies for Effective Lectures annalsats.201501-024ar # lenz_data_supplement.pdf
다운로드

 

산세리프(예: Arial, Helvetica) 대 세리프 글꼴(예: Times New Roman)의 상대적 가독성이 논의되지만, 많은 사람들은 투영된 텍스트(26, 27)에 대해 산세리프 글꼴을 권장한다. 코믹 샌즈와 같은 비공식 글꼴은 일반적으로 전문 프리젠테이션에 적합하지 않다.

The relative readability of sans serif (e.g., Arial, Helvetica) versus serif fonts (e.g., Times New Roman) is debated, but many recommend sans serif fonts for projected text (26, 27). Informal fonts such as Comic Sans are typically inappropriate for professional presentations.

 

글머리 기호 개요는 일반적인 전술이지만, 수동적인 슬라이드 판독(28)을 피하기 위해 단어 수를 최소화해야 한다. 완전한 문장보다는 전보적인 윤곽을 쓰세요. 글머리 기호 목록은 본질적으로 두 가지 개념만 전달한다. 

  • 멤버쉽(어떤 것이 목록의 일부이다)

  • 계층(어떤 멤버는 다른 멤버에 비해 하위에 속한다) 

이러한 관계를 반영하기 위해 텍스트 슬라이드를 배치하되, 청중이 설명을 듣는 동안에만 프레임워크 역할을 하도록 합니다.

Bullet point outlines are a common tactic, but the number of words should be minimized to avoid passive slide reading (28). Write telegraphic bulleted outlines rather than complete sentences. Bulleted lists intrinsically convey only two concepts: membership (something is part of a list) and hierarchy (some members are indented relative to others). Lay out text slides to reflect those relationships, but let them serve only as a framework while the audience listens to the explanation.

 

가능하면 데이터는 텍스트나 표(25)가 아닌 그래프나 이미지로 표시해야 한다. 일반적인 오류는 출판물의 테이블이나 이미지를 슬라이드로 직접 복사하는 것입니다. 출판물을 위해 준비된 표와 이미지는 독자가 그것들을 오랜 시간 학습할 수 있다고 가정하고 텍스트, 캡션, 이미지 또는 표 사이에서 주의를 앞뒤로 이동할 수 있다. 강의를 듣는 청중은 그러한 기회가 부족하다.

Whenever possible, data should be displayed as graphs or images rather than as text or tables (25). A common error is to copy tables or images from publications directly onto a slide. Tables and images prepared for publication assume the reader can study them at length, and shift attention back and forth between the text, caption, and image or table. Lecture audiences lack those opportunities.

 

(온라인 부록의 그림 E2 참조).

(see Figure E2 in the online supplement).

 

일반적인 그래픽 오류는 발견(23, 25, 29)을 잘못 전달할 수 있으므로 기본 데이터는 가장 적합한 형식으로 플로팅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막대 그래프는 인접한 막대의 높이를 강조하며 몇 개의 범주가 있는 범주형 데이터에 가장 적합합니다. 전체 복사에 걸친 변화를 비교하고자 할 때 선 그래프가 더 나은 선택이다. 대규모 그룹 프레젠테이션의 경우 데이터 그래프를 최소한의 핵심bare essence만으로 단순화해야 한다. 그래프에서 선과 막대에 직접 레이블을 붙여서 청중이 측면의 범례를 앞뒤로 보도록 강제하지 않도록 합니다. 3차원 막대는 정량적 비교를 혼동하므로 2차원 데이터에 사용해서는 안 된다.

Primary data should be plotted in the format that suits them best, as common graphical errors can misrepresent the findings (23, 25, 29). Bar graphs, for example, emphasize the height of adjacent bars and are best for categorical data with just a few categories. Line graphs are better choices when comparison of changes across the whole abscissa is desired. For large group presentation, data graphs should be simplified to their bare essence. Label lines and bars directly on the graph to avoid forcing the audience to look back and forth to a legend on the side. Three- dimensional bars confound quantitative comparison and should not be used for two-dimensional data.

 

(온라인 부록의 그림 E3 참조).

(see Figure E3 in the online supplement).

 

많은 데이터 슬라이드를 주장 및 증거 형식으로 설계할 수 있으며, 이는 슬라이드의 기본 메시지 보존을 개선하는 것으로 나타났다(30). 정보를 알 수 없는 간단한 슬라이드 제목을 슬라이드의 "홈 메시지 가져가기"에 대한 짧은 선언문으로 바꾸고 이 기본 메시지를 뒷받침하는 증거를 제목 아래에 배치합니다(그림 2).

Many data slides can be designed in the assertion-plus-evidence format, which has been shown to improve retention of a slide’s main message (30). Replace a bland and uninformative slide title with a short declarative statement of the slide’s “take- home message” and place the evidence supporting this primary message below the title (Figure 2).

 

 

PowerPoint는 과학적인 메시지를 손상시킬 수 있는 많은 디자인 기능을 제공합니다. 슬라이드 내의 애니메이션은 논의되는 대로 강조하거나, 물리적 변화를 설명하거나, 순차적으로 이미지를 대체할 수 있지만, 조금만 사용해야 합니다. 슬라이드 간 애니메이션 전환(밀기, 용해 등)을 사용하면 안 됩니다. 마지막으로, 비순차자에 저항합니다.

PowerPoint offers many design features that can detract from a scientific message. Animation within slides can provide emphasis, illustrate physical changes, or replace images in sequence as they are discussed, but should be used sparingly. Animated transitions between slides (push, dissolve, etc.) should not be used. Finally, resist non sequiturs.

 

대규모 그룹 프레젠테이션을 위한 대체 소프트웨어 도구

Alternative Software Tools for Large Group Presentations

 

파워포인트의 유용성은 데뷔 이래 계속 논의되어 왔다. 비평가들은 파워포인트가 강사를 글머리표를 읽는 사람으로 만드는 수동적인 강의를 장려한다고 주장해왔다. 이미지에 대한 텍스트 의존성은 복잡한 관계를 설명하거나 더 큰 개념 프레임워크 내에서 핵심 사항을 구성하기 어렵게 하며, PowerPoint는 청중의 상호작용과 참여를 위한 기본 도구를 제공하지 않는다(28). 35mm 슬라이드 및 칠판(32)과 같은 오래된 도구에 비해 PowerPoint의 우수한 학습 효과를 지원하는 데이터는 거의 없다.

The usefulness of PowerPoint has been debated since its debut, as critics argue it encourages passive lectures that consist mainly of speakers reading from bulleted lists (28, 31–33). The reliance on text over images makes it difficult to illustrate complex relationships or organize key points within a larger conceptual framework, and PowerPoint does not provide native tools for audience interaction and engagement (28). Few data support superior learning effectiveness of PowerPoint as compared with older tools such as 35-mm slides and the chalkboard (32).

 

이러한 문제에 대응하여, 보다 몰입적인 강의의 기회를 제공하는 새로운 프리젠테이션 도구가 등장하였다(표 1).

In response to these problems, newer presentation tools have emerged that provide opportunities for more engaging lectures (Table 1).

 

 

새로운 기술이 항상 프레젠테이션의 요구를 충족시키는 것은 아니므로, 멀티미디어 학습의 원칙과 일치하는 좋은 교육 설계 관행을 항상 검토한 후 프레젠테이션의 교육 목표에 가장 적합한 도구와 기능을 선택하여 적용한다(24, 39). 좋은 프레젠테이션을 위해 한 번에 두 개 이상의 새로운 툴이나 주요 기능을 사용하지 말고 이 기술을 사용하여 연습하여 원활한 환경을 보장하십시오. 사전에 세션 주최자 또는 시청각 담당자와 상의하여 장소가 해당 기술을 수용할 수 있는지 확인합니다. 모든 기술이 실패할 수 있으므로 다른 제공 전략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Newer technologies do not always meet the needs of the presentation, so always review good instructional design practices consistent with the principles of multimedia learning and then select and apply the tools and features that best serve the instructional goals of the presentation (24, 39). To ensure a good presentation, avoid using more than one new tool or major feature at a time and rehearse with the technology to ensure a seamless experience. Consult with session organizers or audiovisual staff beforehand to verify that the venue can accommodate the technology. Because any technology can fail, have an alternative delivery strategy available.

 

결론 Conclusions

 

수동적이고 교사 중심적인 강의는 의료 커리큘럼에서 단계적으로 폐지되고 있으며, 청중이 수신하는 정보를 처리하고 적용해야 하는 보다 입증 기반의 학습자 중심 방식으로 대체되고 있다. 이러한 방법은 반사 일시 중지 추가와 같은 간단한 전략부터 실시간 스피커 피드백 및 학습자 평가를 가능하게 하는 ARS와 같은 보다 복잡한 도구에 이르기까지 다양하다. 스피커는 기술을 적절히 통합하고, 전달, 구성 및 슬라이드 설계의 원칙을 준수하며, 능동적 학습 기법을 통합함으로써 전달된 콘텐츠를 전문적 실무에서 유지하고 구현할 수 있습니다.

Passive, teacher-centered lectures are being phased out of medical curricula, replaced by more evidenced-based, learner-centered methods that require the audience to process and apply the information they are receiving. These methods can range from simple strategies such as adding reflective pauses, to more complex tools such as ARS that allow real-time speaker feedback and learner assessment. By appropriately incorporating technology; adhering to principles of delivery, organization, and slide design; and integrating active learning techniques, speakers can ensure the delivered content is retained and implemented in professional practice. 

 

 

 

 

 

 

 

 

 


 

Review

 

. 2015 Apr;12(4):561-6.
 doi: 10.1513/AnnalsATS.201501-024AR.

Practical strategies for effective lectures

Affiliations 

Affiliation

  • 11 Division of Pulmonary, Critical Care, and Sleep Medicine, Department of Medicine, University of Cincinnati, and.

Abstract

Lecturing is an essential teaching skill for scientists and health care professionals in pulmonary, critical care, and sleep medicine. However, few medical or scientific educators have received training in contemporary techniques or technology for large audience presentation. Interactive lecturing outperforms traditional, passive-style lecturing in educational outcomes, and is being increasingly incorporated into large group presentations. Evidence-based techniques range from the very simple, such as inserting pauses for audience discussion, to more technologically advanced approaches such as electronic audience response systems. Alternative software platforms such as Prezi can overcome some of the visual limits that the ubiquitous PowerPoint imposes on complex scientific narratives, and newer technology formats can help foster the interactive learning environment. Regardless of the technology, adherence to good principles of instructional design, multimedia learning, visualization of quantitative data, and informational public speaking can improve any lecture. The storyline must be clear, logical, and simplified compared with how it might be prepared for scientific publication. Succinct outline and summary slides can provide a roadmap for the audience. Changes of pace, and summaries or other cognitive breaks inserted every 15-20 minutes can renew attention. Graphics that emphasize clear, digestible data graphs or images over tables, and simple, focused tables over text slides, are more readily absorbed. Text slides should minimize words, using simple fonts in colors that contrast to a plain background. Adherence to these well-established principles and addition of some new approaches and technologies will yield an engaging lecture worth attending.

Keywords: audiovisual aids; educational technology; learning; lectures; teaching/methods.

 

학부의학교육에서 의사소통 교육과정의 내용에 대한 합의문(Med Educ, 2008)

UK consensus statement on the content of communication curricula in undergraduate medical education

Martin von Fragstein,1 Jonathan Silverman,2 Annie Cushing,3 Sally Quilligan,2 Helen Salisbury4 & Connie Wiskin5 on behalf of the UK Council for Clinical Communication Skills Teaching in Undergraduate Medical Education




도입 INTRODUCTION


본 문서는 2005년 설립된 영국 대학 의학 교육 임상 커뮤니케이션 기술 교육 위원회(Council of Clinical Communications Skills Teaching in Underbled Medical Education)의 주최로 실시된 33개 모든 영국 의과대학에서 의사 소통 기술 리드 간의 반복적인 과정에 의해 개발되었다. (영국 의회의 현재 대표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온라인 지원 정보로 제공됩니다.)

This document was developed by an iterative process of discussion between communication skills leads from all 33 UK medical schools conducted under the auspices of the UK Council of Clinical Communication Skills Teaching in Undergraduate Medical Education, established in 2005 (details on the current representatives of the UK council are available online as Supporting Information).


합의문 THE CONSENSUS STATEMENT


의사소통 기술을 가르치고 배우는 현대적 관행을 안내하는 포괄적인 증거가 존재하며, 결과와 연계된 30년 이상의 축적된 연구는 진술에 포함할 통신 영역, 과제, 기술 및 이슈의 선택을 이끌어 왔다.10–14

Comprehensive evidence exists to guide the modern practice of communication skills teaching and learning9 and over 30 years of accumulated research linked to outcome has guided the choice of communication domains, tasks, skills and issues to include in the statement.10–14


의사소통 커리큘럼 바퀴 COMMUNICATION CURRICULUM WHEEL


이 다이어그램에서 임상 커뮤니케이션의 주요 영역은 '다른 사람에 대한 존중'이라는 중심에서 시작하여 커뮤니케이션 학습의 특정 영역을 통해 밖으로 이동한다(그림 1). 이러한 영역은 의사소통 뿐만 아니라 의학의 모든 영역을 지배하는 네 가지 지나친 원칙의 환경 내에서 설정된다.

In this diagram, the key domains of clinical communication are shown as concentric rings, starting in the centre with ‘respect for others’ and moving outwards through the specific domains of communication learning(Fig. 1). These domains are set within a milieu of four over-riding principles which govern not only communication, but all areas of medicine.



그런 다음 각 도메인의 특정 구성 요소가 각 링 내에서 설명됩니다. 링을 독립적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의사소통 커리큘럼 설계자는 사실상 '커리큐럼 다이얼링'을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노인 환자에 대한 설명과 계획의 구체적인 상황을 전화로 친척에게 전달하는 등)

The specific components of each domain are then delineated within each ring. By rotating the rings independently, the communication curriculum planner can in effect ‘dial a curriculum’ by, for instance, dialling up how to teach the specific situation of explanation and planning about an elderly patient, to a relative over the telephone.


교육과정 다이얼 모델은 주요 영역의 연결을 가능하게 할 뿐만 아니라 반복 프로세스를 명시적으로 장려한다.

The dial-a-curriculum model not only enables linkage of the key domains, but also explicitly encourages a reiterative process.


만약 지속적, 나선형 의사소통 프로그램이 과정 전체에 걸쳐 실행되지 않는다면, 학생들은 의사소통을 마스터하지 못할 것이다.15

If ongoing, helical communication programmes do not run throughout the course, students will fail to master communication.15


임상 커뮤니케이션 영역 DOMAINS OF CLINICAL COMMUNICATION


타인에 대한 존중

Respect for others


학생들은 사회적, 문화적, 인종적 배경이나 장애에 관계없이 개인과 효과적이고 유연하게 의사소통하기 위해 모든 환자에 대한 존경과 평등에 대한 헌신을 받아들여야 한다.

Students need to embrace respect for all patients and a commitment to equality in order to be able to communicate effectively and flexibly with individuals, regardless of social, cultural or ethnic backgrounds or disabilities.


커뮤니케이션 스킬의 이론 및 증거

Theory and evidence of communication skills


학습자는 의사소통의 증거 기반을 인식하고 적절히 해석하고 행동할 수 있어야 합니다. 여기에는 다음과 관련된 문헌에 대한 인식awareness이 포함됩니다.

Learners need to be aware of the evidence base for communication and be capable of interpreting and acting upon it appropriately. This includes an awareness of the literature related to:


• 환자 만족도

• patient satisfaction;

• 회상

• recall;

• 준수 및 일치성

• adherence and concordance;

• 웰빙;

• wellbeing;

• 물리적 결과

• physical outcome;

• 심리적 결과

• psychological outcome;

• 의료법적 문제 및

• medico-legal issues, and

• 환자의 안전과 오류 감소

• patient safety and reduction of error.


학생들은 효과적인 의사소통이 의료의 실천을 위한 통합 접근법의 일부이며, 그것이 옆에 있고 임상 지식과 실무 기술만큼 좋은 실천에 중요하다는 것을 이해할 필요가 있다.

Students need to understand that effective communication is part of an integrated approach to practice in health care and that it stands alongside and is as important to good practice as clinical knowledge and practical skills.


환자 중심성의 이론적 접근은 고품질 치료의 가장 중요한 특징으로 입증되었으며, 모든 커뮤니케이션 커리큘럼의 중심 요소여야 한다.

The theoretical approach of patient-centredness17 has been demonstrated to be a paramount feature of high-quality care and should be a central component of any communication curriculum.


임상 인터뷰의 과제 및 기술

Tasks and skills of the clinical interview


임무들

Tasks


학생들은 상담의 목적뿐만 아니라 상담 내 다양한 과제가 어떻게 전체적인 목표 달성에 기여하고 적용되는지 이해하도록 노력해야 한다.

Students should strive to understand not only the purpose of the consultation, but also how various tasks within the consultation contribute and apply to achieving the overall goal.


의사 소통은 일반적으로 목적적이므로, 의료면담 활동의 대부분은 과제로 가르칠 수 있다.

As communication is generally purposive, most of the activities of the medical interview can be taught as tasks.


• 관계 설정 및 구축 

• establishing and building a relationship; 

• 개시(즉, 협의 개시 및 의제 설정) 

• initiating (i.e. opening the consultation and setting the agenda); 

• 환자 요구의 설정, 인식 및 충족 

• establishing, recognising and meeting patient needs; 

• 정보 수집 

• gathering information; 

• 환자의 세계관을 도출하고 고려한다. 

• eliciting and considering the patient’s world view; 

• 신체검사 실시 

• conducting a physical examination; 

• 관련 진단의 수립 및 설명 

• formulating and explaining relevant diagnoses; 

• 설명, 계획 및 협상 

• explaining, planning and negotiating; 

• 구조화, 표지 게시 및 우선순위 지정 및 

• structuring, signposting and prioritising, and 

• 종료(면접 종료 및 다음 회의 설정)

• closing (ending the interview and setting up the next meeting).


이러한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스 작업은 의료 인터뷰 내용과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습니다. 이러한 두 가지 콘텐츠 및 프로세스 요소는 불가분의 연계를 이루며 의료 커리큘럼에 통합된 접근 방식이 필요하다.

These communication process tasks are closely linked to the content of the medical interview. These two elements of content and process are inextricably linked and require an integrated approach in the medical curriculum.


스킬 Skills


위의 각 개별 작업의 실행과 관련된 다수의 개별적이고 관찰 가능한 특정 행동 기술이 있다. 이러한 기술의 예는 다음과 같습니다.

There are a number of discrete, observable, specific behavioural skills relevant to the execution of each of the separate tasks above. Examples of these skills include:


• 눈 접촉; 

• eye contact; 

• 표정; 

• facial expression; 

• 주의 깊은 경청 

• attentive listening; 

• 선별; 

• screening; 

• 열린 질문과 닫힌 질문의 적절한 균형 

• appropriate balance of open and closed questions; 

• 촉진; 

• facilitation; 

• 공감하는 성찰 

• empathic reflection; 

• (언어적 및 비언어적) 단서에 대한 대응 

• responding to cues (both verbal and non-verbal); 

• 요약; 

• summarising; 

• 표지판 게시; 

• signposting; 

• 정보를 제공할 때 환자의 출발점 결정 

• determining the patient’s starting point when giving information; 

• 청킹 정보 및 

• chunking information, and 

• 환자의 이해도 확인

• checking the patient’s understanding.


'관계 구축'의 과제와 기술은 특히 강조할 필요가 있다. 학습자는 상담에 내재된 힘의 불균형을 포함하여 환자와 의사와의 관계의 특정한 성격을 이해하고 이해해야 한다. 치료 관계의 중요성과 전문 경계의 필요성은 특별한 주의를 요한다.

The task and skills of ‘relationship building’ need special emphasis. Learners need to understand and appreciate the particular nature of the doctor’s relationship with the patient, including the imbalance of power that is inherent in the consultation. The importance of the therapeutic relationship and the need for professional boundaries require particular attention.


특정 이슈

Specific issues


의사 소통에는 많은 도전적인 맥락과 상황이 있다.

There are many challenging contexts and situations for doctors when they communicate with patients.


학습자는 상담에 내재된 권력power의 불균형을 포함하여 환자와 의사와의 관계의 특정한 성격을 이해하고 이해해야 한다. 치료 관계의 중요성과 전문 경계의 필요성은 특별한 주의를 요한다.

The challenge for the communication curriculum is to deepen learners’ understanding of these core skills and to encourage them to use these skills flexibly and responsibly in a variety of specific situations.


연령별 영역

Age-specific areas


교육과정은 어린이와 부모, 청소년, 노인 환자와의 의사소통을 포괄해야 한다.

The curriculum should cover communication with children and parents, adolescents, and elderly patients.


문화적, 사회적 다양성

Cultural and social diversity


교과과정의 강의는 민족성과 국적, 언어, 종교, 성, 성별, 사회경제적 지위, 장애, 교육적 지위, 영성과 관련된 문제들을 포함해야 한다.

Teaching in the curriculum should include issues related to: ethnicity and nationality; language; religion; sexuality; gender; socioeconomic status; disability; educational status, and spirituality.


감정 및 어려운 질문 처리

Handling emotions and difficult questions


교과 과정에는 학생들이 고통, 두려움, 분노, 공격, 부정, 결탁, 당황과 같은 어려운 감정을 다루는 법을 배울 수 있도록 하는 교육이 포함되어야 한다.

The curriculum should include teaching that enables students to learn how to handle difficult emotions, such as distress; fear; anger; aggression; denial; collusion, and embarrassment.


특정 임상 맥락을 위한 기술

Skills for specific clinical contexts


커리큘럼에는 다음과 같은 특정 임상적 맥락 안에서 사용할 기술의 교육이 포함되어야 한다. 

정신의학에서: (숨겨진 우울증을 치료하고 자살 위험 평가, 정신병 환자와의 작업, 인지 장애 환자와의 작업, 알코올 및 약물 남용을 처리); 

응급의학에서(적극적이고 폭력적인 환자, 시간 관리 및 우선 순위 지정)

The curriculum should include the teaching of skills to be used within specific clinical contexts, such as: 

in psychiatry (uncovering hidden depression and assessing suicidal risk; working with psychotic patients; working with patients with cognitive impairment; dealing with alcohol and substance abuse); 

when working in emergency medicine (dealing with aggressive and violent patients; time management and prioritisation).


설명 및 계획 스킬의 구체적인 적용

Specific application of explanation and planning skills


커리큘럼은 정보에 입각한 동의를 구하는 기술, 위험 관리, 건강 증진 및 행동 변화를 포함해야 한다.

The curriculum should include skills pertaining to seeking informed consent; risk management; health promotion, and behaviour change.


불확실성 처리

Dealing with uncertainty


불확실성 문제는 의료 전문가가 처리할 수 있는 기술, 즉 불확실한 예후와 관련된 문제, 환자(전문 환자, 잘 아는 환자)와의 관계 변화 및 의학적으로 설명할 수 없는 증상을 필요로 한다.

Issues of uncertainty require skills that enable the health care professional to deal with: issues concerning uncertain prognosis; changing relationships with patients (the expert patient; the well-informed patient) and medically unexplained symptoms.


민감한 문제

Sensitive issues


의료 전문가들은 다음을 할 수 있는 기술을 동화시켜야 한다.

      • 쁜 소식을 전하다 

      • 죽음, 죽어감 및 사별에 대해 논의한다. 

      • 에 대해 이야기하다. 

      • 환자의 산과학적 병력를 탐구한다. 

      • 아동 학대, HIV 감염 및 정신질환과 같은 오명stigma을 씌우는 문제를 논의한다.

Medical professionals are also required to assimilate skills that enable them to: 

      • break bad news; 

      • discuss death, dying and bereavement; 

      • talk about sex; 

      • explore a patient’s gynaecological history, and 

      • discuss issues that involve stigmatisation, such as child abuse, HIV infection and mental illness.


의사소통 장애 

Communication impairment


또한 이 커리큘럼은 학생들이 청각 장애나 시각 장애, 표현 장애 또는 학습 장애와 같은 감각 장애가 있는 환자와 의사소통하는 데 필요한 기술을 습득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The curriculum must also enable students to acquire the skills required to communicate with patients who have a sensory impairment such as a hearing impairment or a visual impairment; an expressive impairment; or learning disability.


미디어 Media


학생들은 음성, 서면 및 전자 형식으로 효과적으로 의사소통할 수 있어야 한다.

Students need to be able to communicate effectively in spoken, written and electronic formats.


대면 커뮤니케이션은 학생들에게 다음을 요구합니다.

Face-to-face communication requires students to:

• 물리적 및 사회적 환경적 요인에 대한 인식을 개발한다. 

• 바디 랭귀지의 사용에 유의해야 한다.

• develop an awareness of environmental factors, both physical and social, and 

• be aware of the use of body language.


전화 통신에는 학생이 다음을 수행해야 합니다.

Telephone communication requires students to:

• 전화를 통한 통신에 필요한 구체적인 요구와 적응을 이해합니다.

• understand the specific demands and adaptations required in communication over the telephone.


서면 커뮤니케이션의 경우 학생은 다음을 수행해야 합니다.

Written communication requires students to:

• 정확한 초기 환자 평가 및 이후 일일 진행 상황을 명확하고 간결한 언어로 기록한다. 

• 퇴원 및 전원 서한은 잘 체계화되고 이해가능하며 포괄적이고 명확하며 명확한 방식으로 작성한다. 

• 메모, 약물 차트 및 사망진단서를 판독 가능하고 명확하고 정확하게 작성한다.

• record an accurate initial patient assessment and subsequent daily progress notes in clear and concise written language; 

• write discharge and referral letters in a manner that is well structured, comprehensible, comprehensive and clear, and 

• write notes, drug charts and death certificates, legibly, clearly and accurately.


컴퓨터 기반 및 전자 통신의 경우 학생은 다음을 수행해야 합니다.

Computer-based and electronic communication requires students to:

• 환자의 전자 기록이 잘 유지되도록 충분히 유능한 IT 기술을 보유해야 한다. 

• 전산화된 환자 기록, 처방 및 의뢰 시스템에 익숙해야 한다. 

• 통신을 위한 팩스 및 전자 메일 사용과 관련된 문제(예: 기밀성)를 인지해야 한다.

• have sufficiently competent IT skills to ensure patients’ electronic records are well maintained; 

• be familiar with computerised patient records, prescribing and referral systems, and 

• be aware of issues pertaining to the use of fax and e-mail for communication (e.g. confidentiality).



프레젠테이션을 하려면 학생이 다음을 수행해야 합니다.

Making presentations requires students to:

• 환자 정보를 조직적이고 명확하며 일관성 있는 방식으로 임상 환경에서 제시한다.

• 대규모 그룹에 임상 및 학술 정보를 발표한다.

• present patient information in clinical settings in an organised, articulate and coherent manner, and

• present clinical and academic information to large groups.


환자 너머의 의사소통

Communicating beyond the patient


임상의는 적절한 환자 자율성과 기밀성을 유지하면서 다양한 보건 및 사회 관리 전문직 및 기타 기관의 친척, 보호자 및 동료와 소통해야 한다.

Clinicians need to communicate with relatives, carers and colleagues from a range of health and social care professions and other agencies, while maintaining appropriate patient autonomy and confidentiality.


친인척, 보호자, 옹호자 또는 통역자 등 환자를 상담에 동반하는 개인은 의사소통에 추가적인 과제를 제시한다. 또한 임상의는 다른 의사들과 협력하고 환자의 최선의 이익을 위해 협상해야 합니다. 학습자는 의료 동료들과 효과적으로 일하기 위해 어떤 기술과 태도가 필요한지 탐구할 기회를 요구합니다. 학생들은 보다 광범위한 의료 팀과 함께 법적 및 자발적 조직 및 관리 단체와 협력하게 됩니다. 이를 위해서는 다른 전문가 및 조직과 효과적으로 소통하고 협력적이고 공손하게 작업해야 한다는 약속이 필요합니다. 이를 달성하기 위해 학습자는 효과적인 팀 작업에 대한 가능 요소와 장벽을 식별할 수 있어야 합니다. 가능할 때마다, 전문가들 간의 팀워크에 대한 가르침은 계획되고 상호 전문적으로 가르쳐져야 한다.

Individuals who accompany the patient to the consultation, whether relatives, carers, advocates or interpreters, present added challenges to communication. Clinicians also need to collaborate with other doctors and negotiate in the patient’s best interests: learners require the opportunity to explore which skills and attitudes are needed to work effectively with medical colleagues. Students will work with the wider health care team, with statutory and voluntary organisations and with management groups. This requires a commitment to communicate effectively and work co-operatively and respectfully with other professionals and organisations. To achieve this, learners will need to be able to identify enabling factors and barriers to effective team-working. Whenever possible, teaching on interprofessional team-working should be planned and taught interprofessionally.


친족 및 보호자

Relatives and carers


친인척 및 보호자와의 의사소통은 다음을 요구한다.

      • 제3자 포함 협상 방법을 모색한다. 

      • 환자가 자신의 문제를 자유롭게 제시할 수 있도록 한다. 

      • 기밀성을 유지하는 방법을 고려한다.

      • 삼자 인터뷰의 역학 관계를 관리하는 방법을 이해합니다.

Communication with relatives and carers requires students to: 

      • explore how to negotiate the inclusion of a third party; 

      • enable the patient to present his or her problem freely; 

      • consider how to maintain confidentiality, and understand how to manage the dynamics of a triadic interview.


옹호자 및 통역자

Advocates and interpreters


학생들은 반드시 필요한 기술을 배워야 한다: 

      • 환자 지지자들과 함께 작업한다. 

      • 전문 통역사와 일반 통역사와 협력해야 한다. 

      • 관련된 역할의 매개 변수를 협상 및 정의합니다. 

      • 이러한 유형의 인터뷰에 포함된 문화적 및 현실적 제약 내에서 효과적으로 작업할 수 있습니다.

Students must learn the skills necessary to: 

      • work with patient advocates; 

      • work with professional and lay interpreters; 

      • negotiate and define the parameters of the roles involved, and 

      • work effectively within the cultural and practical constraints contained in this type of interview.


내직업

Intra-professional


직업 내 커뮤니케이션은 학생들이 할 수 있는 능력을 요구합니다: 

      • 명확하고 이해 가능한 구두 및 서면 커뮤니케이션을 생성한다. 

      • 인계 및 병동회진 프레젠테이션과 관련된 문제를 이해합니다. 

      • 동료와 함께 일할 때 적절하게 주장하기 위한 기술을 이해한다. 

      • 동료 또는 동료에게 자신의 성과에 대해 우려를 표현하는 방법을 설명합니다. 

      • 동료가 환자를 위험에 빠뜨릴 수 있는 방식으로 행동하고 있다는 의심이 있는 경우 행동할 책임에 관한 GMC 지침을 알고 있어야 한다. 

      • 불만사항 및 의료상 오류를 처리한다

        • 환자, 친척 또는 직원의 불만사항이 처리되는 메커니즘을 이해한다

        • 의료 오류를 보고하기 위해 존재하는 시스템과 이러한 시스템이 환자 안전을 개선하는 데 미칠 수 있는 역할을 이해한다. 

        • 불만사항의 대상이 되는 것의 영향을 고려한다.

        • 오류에 대한 책임을 질 때 개인에게 미칠 수 있는 영향을 고려한다.

        • 이용 가능한 지원 소스를 고려한다

Intra-professional communication requires students to be able to: 

      • produce clear, comprehensible oral and written communication; 

      • understand the issues relating to handover and ward round presentations; 

      • understand techniques for being appropriately assertive when working with a colleague; 

      • appreciate how to express concerns to a colleague or peer about his or her performance; 

      • be aware of General Medical Council guidelines regarding the responsibility to act if there is any suspicion that a colleague is behaving in a manner that may put patients at risk; 

      • deal with complaints and medical errors (understand the mechanisms by which complaints from patients, relatives or staff are dealt with; 

      • understand the systems that exist for reporting medical errors and the roles these may have in improving patient safety; 

      • consider the impact that being the subject of a complaint or responsible for an error may have on an individual, and the sources of support available).


전문가간

Inter-professional


전문가 간 커뮤니케이션은 학생들이 할 수 있어야 합니다. 다른 팀원의 가치, 역할, 전문성 및 책임을 이해하고 효과적으로 협업하는 방법을 고려해야 합니다. 1차 또는 2차 진료 인터페이스 전반에서 효과적인 커뮤니케이션과 지속적인 관리를 촉진하는 문제를 이해하고 이를 수용해야 하며, 갈등을 겪어야 합니다.정보 공유 및 기밀 유지.

Inter-professional communication requires students to be able to: understand other team members’ values, roles, expertise and responsibilities and consider how to collaborate effectively; understand the issues that promote effective communication and continuity of care across the primary or secondary care interface, managing and embracing, conflicting sharing information, and maintaining confidentiality.


서포팅 원칙 SUPPORTING PRINCIPLES


성찰적 실천 

Reflective practice


성찰적 실천에는 진단, 최적의 관리 또는 예후와 관련하여 개인 자기 인식과 불확실성 대처가 포함된다. 이를 위해서는 학생이 자아 인식self-awareness과 다음 기능을 개발해야 합니다. 

    • 개인적인 도전 영을 인식한다. 

    • 개인적 견해와 가치가 전문적 책임과 충돌할 수 있는 정도 및 이것이 환자와의 의사소통에 미칠 수 있는 잠재적 영향을 이해한다. 

    • 자신의 한계를 인식해야 한다. 

    • 상급 동료에게 refer할 필요가 있을 때 이해한다. 

    • 피드백에 건설적으로 대응할 필요성을 인식하고, 직업적 경계를 이해한다. 

    • 스스로에 대한 돌봄과 안전을 고려하다 

    • 학생은 불확실성이 가져올 수 있는 스트레스를 이해하고 개인적 대처전략을 되새겨 불확실성에 대처하는 방법도 알아 볼 필요가 있다.

Reflective practice includes personal self-awareness and dealing with uncertainty, whether concerning diagnosis, optimal management or prognosis. This requires the student to develop self-awareness and the ability to: 

    • recognise areas of personal challenge; 

    • understand the extent to which personal views and values can clash with professional responsibility and the potential impact this might have on communication with patients; 

    • recognise his or her own limitations; 

    • understand when there is a need to refer to senior colleagues; 

    • appreciate the need to respond constructively to feedback; understand professional boundaries; 

    • consider personal care and safety. 

    • The student also needs to appreciate how to cope with uncertainty by understanding the stress that uncertainty may bring, and reflecting on personal coping strategies.


전문직업성 Professionalism


성실성, 정직성 및 확률의 속성을 개발하면 학생들은 다음과 같은 이점을 얻을 수 있습니다. 

    • 개별 환자 및 지역사회에 치료를 제공하는 데 수반되는 도덕적, 윤리적 책임을 수용한다. 

    • 의사-환자 관계의 불평등한 권력 균형과 필요성을 인정하고, 항상 환자의 best interest를 위해 행동한다. 

    • 불확실성, 위험 및 오류를 포함한 어려운 상황에 기꺼이 직면하며 환자의 안전을 보호하는 방식으로 의사소통한다. 

    • 서면 보고서와 문서를 포함한 모든 커뮤니케이션에 정직하고 신뢰할 수 있다.

    • 정보의 기밀 유지 및 적절한 공유를 책임져야 한다.

Developing attributes of integrity, honesty and probity will allow students to: 

    • accept the moral and ethical responsibilities involved in providing care to individual patients and communities; 

    • appreciate the unequal balance of power in the doctor)patient relationship and the need to always act in the patient’s best interest; 

    • be willing to face difficult situations, including those involving uncertainty, risk and error and communicate in ways that safeguard patient safety; 

    • be honest and trustworthy in all communication, including in written reports and documentation, and be responsible for maintaining confidentiality and appropriate sharing of information.


학생들은 직업적 경계를 이해함으로써 다음과 같은 이점을 얻을 수 있습니다. 

    • 임상 관계에 존재하는 경계를 알고 있어야 한다. 

    • 그러한 경계의 필요성을 이해하고, 그러한 경계의 유지 요인을 파악(언어 복장의 형식, 임상 환경의 특성 및 개인적 참여에 필요한 제한과 같은 것)

Understanding professional boundaries will enable students to: 

    • be aware of the boundaries that exist in the clinical relationship; 

    • understand the need for such boundaries, and appreciate the factors that maintain them, such as formality of language and dress, the nature of the clinical environment and the necessary limitations on personal involvement.


윤리와 법 Ethics and law


학생들은 또한 의료의 윤리적 차원과 이러한 차원이 어떻게 법에 규정되어 있는지 알아야 한다. 이로부터 어려운 윤리적 영역에서 효과적으로 의사소통하는 것의 중요성을 이해하게 된다. 핵심 윤리적 고려사항에는 기밀성, 동의, 이익, 최상의 이익, 자율성, 진실성, non-maleficence, 정의의 원칙에 대한 친숙함이 포함된다.

Students also need to be aware of the ethical dimensions of health care and how these are enshrined in law. From this follows understanding of the importance of communicating effectively in difficult ethical areas. Key ethical considerations include familiarity with (and adherence to) the principles of: confidentiality; consent; beneficence; best interest; autonomy; truth telling; non-maleficence, and justice.


증거 기반 실천 

Evidence-based practice


증거 기반 관행의 원칙은 의료에 대한 결정이 이용 가능한 최선의 현재 유효한 관련 증거를 기반으로 하며, 이는 임상 전문지식과 환자의 가치 및 선호도와 통합되어야 한다고 요구한다.28

The principles of evidence-based practice require that decisions about health care are based on the best available, current, valid and relevant evidence, and that this should be integrated with clinical expertise and the patient’s values and preferences.28


결론 CONCLUSIONS










. 2008 Nov;42(11):1100-7.
 doi: 10.1111/j.1365-2923.2008.03137.x. Epub 2008 Aug 21.

UK consensus statement on the content of communication curricula in undergraduate medical education

Affiliations 

Affiliation

  • 1School of Graduate Entry Medicine & Health, University of Nottingham, Derby, UK.

Abstract

Context: The teaching and assessment of clinical communication have become central components of undergraduate medical education in the UK. This paper recommends the key content for an undergraduate communication curriculum. Designed by UK educationalists with UK schools in mind, the recommendations are equally applicable to communication curricula throughout the world.

Objectives: This paper is intended to assist curriculum planners in the design, implementation and review of medical communication curricula. The document will also be useful in the education of other health care professionals. Designed for undergraduate education, the consensus statement also provides a baseline for further professional development.

Methods: The consensus statement, based on strong theoretical and research evidence, was developed by an iterative process of discussion between communication skills leads from all 33 UK medical schools conducted under the auspices of the UK Council of Clinical Communication Skills Teaching in Undergraduate Medical Education.

Discussion: How this framework is used will inevitably be at the discretion of each medical school and its implementation will be determined by different course designs. Although we believe students should be exposed to all the areas described, it would be impractical to set inflexible competency levels as these may be attained at different stages which are highly school-dependent. However, the framework will enable all schools to consider where different elements are addressed, where gaps exist and how to generate novel combinations of domains within the communication curriculum. It is hoped that this consensus statement will support the development and integration of teaching, learning and assessment of clinical communication.


교수에서 학습으로: 학부교육의 새로운 패러다임(Change, 1995)

From Teaching to Learning: A New Paradigm for Undergraduate Education 

By Robert B. Barr and John Tagg

 

 

우리가 직면하고 있는 중요한 문제들은 우리가 그것들을 만들었을 때와 같은 수준의 생각으로는 해결될 수 없다. -알버트 아인슈타인

The significant problems we face cannot be solved at the same level of thinking we were at when we created them. -Albert Einstein

 

미국의 고등교육에 패러다임의 변화가 일어나고 있다. 가장 간략한 형태로, 우리 대학을 지배해 온 패러다임은 다음과 같습니다. 대학은 교육을 제공하기 위해 존재하는 기관이다. 미묘하지만 깊이 있게 새로운 패러다임으로 전환하고 있습니다. 대학은 배움을 생산하기 위해 존재하는 기관이다. 이 변화는 모든 것을 변화시킨다. 그것은 필요하기도 하고 또 원하는 것이기도 하다.

A paradigm shift is taking hold in American higher education. In its briefest form, the paradigm that has governed our colleges is this: A college is an institution that exists to provide instruction. Subtly but profoundly we are shifting to a new paradigm: A college is an institution that exists to produce learning. This shift changes everything. It is both needed and wanted.

 

우리는 전통적인 지배적 패러다임을 "가르침 패러다임"이라고 부릅니다. 그 아래에서, 대학들은 주로 50분 강의를 하는 것으로 생각되는 수업의 활동을 제공하기 위해 복잡한 구조들을 만들어냈다 - 대학의 임무는 교육을 전달하는 것이다.

We call the traditional, dominant paradigm the "Instruction Paradigm." Under it, colleges have created complex structures to provide for the activity of teaching conceived primarily as delivering 50-minute lectures- the mission of a college is to deliver instruction.

 

그러나 이제 우리는 우리의 지배적인 패러다임이 종말을 위한 수단으로 잘못 알고 있다는 것을 인식하기 시작했다. 그것은 "지시" 또는 "가르침"이라고 불리는 수단이나 방법을 취해서 대학의 목적이나 목적을 만든다. 대학이 가르침을 하는 것이 목적이라고 말하는 것은, 제너럴모터스(GM)의 사업이 조립라인을 운영하는 것이거나, 의료의 목적이 병원 침대를 메우는 것이라고 말하는 것과 같다. 우리는 이제 우리의 사명이 가르침이 아니라 어떤 방법을 써서라도 모든 학생들과 함께 '배움'을 하는 것이라는 것을 알게 되었다.

Now, however, we are beginning to recognize that our dominant paradigm mistakes a means for an end. It takes the means or method - called "instruction" or "teaching"- and makes it the college' s end or purpose. To say that the purpose of colleges is to provide instruction is like saying that General Motors' business is to operate assembly lines or that the purpose of medical care is to fill hospital beds. We now see that our mission is not instruction but rather that of producing learning with every student by whatever means work best.

 

"상당히 수동적인 강의-토론 방식은 학부생들에게 흔한 학습환경이지만, 학생 학습을 위한 최적의 설정의 거의 모든 원칙과 반대됩니다." 배움 패러다임은 강의의 특권적 위치를 종료하고, 특정 학생의 특정 지식 학습을 촉진하는 데 가장 적합한 모든 접근 방식을 그 자리에서 존중한다.

"the primary learning environment or undergraduate students, the fairly passive lecture-discussion format where faculty talk and most students listen, is contrary to almost every principle of optimal settings for student learning." The Learning Paradigm ends the lecture's privileged position, honoring in its place whatever approaches serve best to prompt learning of particular knowledge by particular students.

 

즉, 배움 패러다임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교육기관 자체를 학습자로 구상하고, 각 졸업반, 입학반별로 더 많은 학습을 만들어 내는 방법을 지속적으로 학습한다.

In other words, the Learning Paradigm envisions the institution itself as a learner over time, it continuously learns how to produce more learning with each graduating class, each entering student.

 

그러한 비전이 결여된 채, 우리는 개혁가들이 지난 수년간 새로운 패러다임의 많은 요소들을 옹호하는 것을 보아왔지만, 그 중 널리 채택된 요소는 거의 볼 수 없었다. 이를 거부하거나 왜곡하는 지배적 (가르침) 패러다임의 구조 안에서 단편적으로 적용했기 때문이다.

Lacking such a vision, we've witnessed reformers advocate many of the new paradigm's elements over the years, only to see few of them widely adopted. The reason is that they have been applied piecemeal within the structures of a dominant paradigm that rejects or distorts them.

 

예를 들어, 학생들이 문제를 해결하거나 비판적으로 사고하는 것을 배우고 있지 않다면, 낡은 논리는 우리가 사고에서 한 수업을 가르쳐서 그것을 일반적인 교육 요건으로 만들어야 한다고 말한다. 이 논리는 모두 너무 순환적입니다. 학생들이 교실에서 배우는 것은 그들의 요구나 우리의 요구를 해결하지 않기 때문에, 우리는 학생들을 다른 교실로 데려와서 더 많은 것을 가르쳐야 한다.

For example, if students are not learning to solve problems or think critically, the old logic says we must teach a class in thinking and make it a general education requirement. The logic is all too circular: What students are learning in the classroom doesn't address their needs or ours; therefore, we must bring them back into another classroom and instruct them some more.

 

'가르침 패러다임'이 무엇인지 보기 위해서는 우리는 단지 대학의 구조와 행동만 보면 된다. 여기서 대학이 반영하는 통치 원칙과 신념을 유추하면 된다. 그러나 아직 어떤 대학의 구조와 과정에서도 완전한 표현을 찾지 못한 '배움 패러다임'을 보는 것은 훨씬 더 어렵다. 그래서 우리는 '배움 패러다임'은 상상해야만 한다.

To see what the Instruction Paradigm is we need only look at the structures and behaviors of our colleges and infer the governing principles and beliefs they reflect. But it is much more difficult to see the Learning Paradigm, which has yet to find complete expression in the structures and processes of any college. So we must imagine it.

 

그러한 구조조정이 필요하다는 것은 의문의 여지가 없다. 우리가 고등교육을 원한다고 말하는 것과 그 구조가 제공하는 것 사이의 격차는 결코 어느 때 보다도 넓다. 크리스 아르기리스와 도널드 숀의 표현을 이용한다면, 우리의 지지 이론espoused theory과 사용 중인 이론theory-in-use의 차이가 고통스러울 정도로 눈에 띄게 되고 있다

  • 독자들이 기억할 "espoused theory"은 사람들이 그들의 행동을 설명하기 위해 제시하는 원칙들의 집합이다. 

  • 사람들 또는 그들의 조직이 실제로 어떻게 행동하는지로부터 우리가 유추할 수 있는 원칙은 그들의 "theory-in-use"이다. 

현재, 가르침 패러다임은 사용 중인 우리의 이론이지만, 대부분의 교육자들이 옹호하는 이론은 배움 패러다임의 구성 요소와 더 밀접하게 유사하다.

That such a restructuring is needed is beyond question: the gap between what we say we want of higher education and what its structures provide has never been wider. To use a distinction made by Chris Argyris and Donald Schon, the difference between our espoused theory and our theory-in-use is becoming distressingly noticeable. An "espoused theory," readers will recall, is the set of principles people offer to explain their behavior; the principles we can infer from how people or their organizations actually behave is their "theory-in-use." Right now, the Instruction Paradigm is our theory-in-use, yet the espoused theories of most educators more closely resemble components of the Learning Paradigm.

 

패러다임

The Paradigms

 

대체 패러다임을 비교할 때, 우리는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이 두 패러다임이 요약 도표가 제시하는 것처럼 깔끔하게 병렬되는 경우는 드물 것이다(16페이지와 17페이지 참조).

When comparing alternative paradigms, we must take care: the two will seldom be as neatly parallel as our summary chart suggests (see pages 16 and 17 ).

 

 

가르침 패러다임에서, 특정한 방법론은 대학이 할 수 있는 일의 경계를 결정한다. 배움 패러다임에서, 학생의 학습과 성공은 경계를 설정한다. 같은 맥락에서, 새로운 패러다임의 모든 요소들이 낡은 요소들의 상응하는 요소들과 반대되는 것은 아니다; 새로운 요소들은 그것의 더 큰 가능성 영역 안에 오래된 요소들의 많은 요소들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배움 패러다임은 강의를 금지하지 않습니다. 강의는 적절한 학습을 촉진하는 능력에 기초하여 평가되는 많은 가능한 방법 중 하나가 된다.

In the Instruction Paradigm, a specific methodology determines the boundary of what colleges can do; in the Learning Paradigm, student learning and success set the boundary. By the same token, not all elements of the new paradigm are contrary to corresponding elements of the old; the new includes many elements of the old within its larger domain of possibilities. The Learning Paradigm does not prohibit lecturing, for example. Lecturing becomes one of many possible methods, all evaluated on the basis of their ability to promote appropriate learning.

 

미션 및 목적 

Mission and Purposes

 

  • 가르침 패러다임에서, 대학의 임무는 교육을 제공하고, 가르치는 것입니다. 방법과 제품은 하나이고 동일합니다. 수단이 곧 목적이다. 

  • 움 패러다임에서 대학의 임무는 학습을 생산하는 것이다. 방법과 제품은 별개입니다. 목적이 수단을 지배한다.

In the Instruction Paradigm, the mission of the college is to provide instruction, to teach. The method and the product are one and the same. The means is the end. In the Learning Paradigm, the mission of the college is to produce learning. The method and the product are separate. The end governs the means.

 

 

일부 교육자들은 "products"라는 동사에 대해 불편해 할 수 있다. 이것이 너무 강하게 함축되어 있기 때문에 우리는 그것을 사용합니다. 그래서 대학이 배움에 대한 책임을 지게 됩니다. 대학이 학습을 생산해야 한다고 말하는 요점은, 학생들이 배우는 정도에 대한 책임이 있다는 것을 분명히 말하는 것이다. 배움 패러다임은 기관이 책임지는 것이, 양질의 교육(강의, 대화)에서 학생 학습으로 전환한다. 따라서 학습의 공동 생산자인 학생들도 당연히 자신의 학습에 대한 책임을 질 수 있고 져야 한다. 따라서, 책임은 두 에이전트가 모든 변수를 완전히 통제하지 못하더라도 동일한 결과에 대해 책임을 지는 윈윈 게임이다. 두 명의 에이전트가 이러한 책임을 지게 되면, 그에 따른 시너지는 강력한 결과를 낳는다.

Some educators may be uncomfortable with the verb "produce." We use it because it so strongly connotes that the college takes responsibility for learning. The point of saying that colleges are to produce learning- not provide, not support,n ot encourage- is to say, unmistakably, that they are responsible for the degree to which students learn. The Learning Paradigm shifts what the institution takes responsibility for: from quality instruction (lecturing, talking) to student learning. Students, the co-producers of learning, can and must, of course, take responsibility for their own learning. Hence, responsibility is a winwin game wherein two agents take responsibility for the same outcome even though neither is in complete control of all the variables. When two agents take such responsibility, the resulting synergy produces powerful results.

 

대학이 학습에 책임을 질 수 없다는 생각은 무력한disempowering 책임감에서 비롯된다. 만약 우리가 제로섬 게임에서 정해진 양으로 책임을 생각한다면, 학생들은 그들 자신의 학습에 책임을 져야 하고, 그 외 사람은 아무도 책임을 질 수 없다. 이 모델은 책임을 할당할 수 있지만 가장 생산적인 행동에 힘을 실어줄 수는 없는 책임 개념을 생성한다.

The idea that colleges cannot be responsible for learning flows from a disempowering notion of responsibility. If we conceive of responsibility as a fixed quantity in a zero-sum game, then students must take responsibility for their own learning, and no one else can. This model generates a concept of responsibility capable of assigning blame but not of empowering the most productive action.

 

행동의 틀로서의 책임의 개념은 상당히 다르다. 책임을 질 때 목표를 세우고 그것을 성취하기 위해 행동하며, 목표를 더 잘 달성하기 위해 자신의 행동을 지속적으로 수정한다. 결과 달성에 대한 책임을 지는 것은 결과를 보장하는 것이 아니며, 모든 관련 변수를 완전히 통제하는 것도 아니며, 결과 달성을 자신의 노력을 측정하는 기준으로 삼는 것이다. 이런 의미에서 학생, 교직원, 대학 등이 모두 학생 학습에 대한 책임을 질 수 있다고 해도 모순이 없다.

The concept of responsibility as a framework for action is quite different: when one takes responsibility, one sets goals and then acts to achieve them, continuously modifying one's behavior to better achieve the goals. To take responsibility for achieving an outcome is not to guarantee the outcome, nor does it entail the complete control of all relevant variables; it is to make the achievement of the outcome the criterion by which one measures one's own efforts. In this sense, it is no contradiction to say that students, faculty, and the college as an institution can all take responsibility for student learning.

 

이제 좀 더 구체적인 목적들로 돌아가면, 가르침 패러다임에서 대학은 교수들로부터 학생들에게 지식을 전달하거나 전달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그것은 과정과 학위 프로그램을 제공하고 그들 안에서 높은 수준의 교육을 유지하려고 합니다. 주로 교수들이 그들의 분야에서 최신 상태를 유지하도록 보장함으로써 말이다. 새로운 지식이나 고객이 나타나면 새로운 과정도 작동합니다. 가르침 패러다임의 목적은 강좌를 제공하는 것이다.

Turning now to more specific purposes, in the Instruction Paradigm, a college aims to transfer or deliver knowledge from faculty to students; it offers courses and degree programs and seeks to maintain a high quality of instruction within them, mostly by assuring that faculty stay current in their fields. If new knowledge or clients appear, so will new course work. The very purpose of the Instruction Paradigm is to offer courses.

 

반면 배움 패러다임에서 대학의 목적은 지식을 전수하는 것이 아니라 학생들이 스스로 지식을 발견하고 구성하도록 하는 환경과 경험을 만들고, 학생들이 발견을 하고 문제를 해결하는 학습자 커뮤니티의 구성원으로 만드는 것이다. 그 대학은 사실상 더 강력한 일련의 학습 환경을 조성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학습 패러다임은 교육 기관을 학생들이 학습할 수 있도록 하는 단일 수단으로 제한하지 않는다. 프레임워크 내에서 효과적인 학습 기술은 지속적으로 식별, 개발, 테스트, 구현 및 평가된다. 학습 패러다임의 목표는 개별적, 총체적으로 학생들의 학습 질을 지속적으로 향상시키는 것이므로 이와 무관하지 않지만 교육의 질을 향상시키는 데 큰 의미가 없다.

In the Learning Paradigm, on the other hand, a college's purpose is not to transfer knowledge but to create environments and experiences that bring students to discover and construct knowledge for themselves, to make students members of communities of learners that make discoveries and solve problems. The college aims, in fact, to create a series of ever more powerful learning environments. The Learning Paradigm does not limit institutions to a single means for empowering students to learn; within its framework, effective learning technologies are continually identified, developed, tested, implemented, and assessed against one another. The aim in the Learning Paradigm is not so much to improve the quality of instruction although that is not irrelevant as it is to improve continuously the quality of learning for students individually and in the aggregate.

 

'가르침 패러다임 대학'의 철학은 더 많은 자원이 없으면 학습 성과를 높일 수 없다는 믿음을 반영하지만, '배움 패러다임 대학'은 이를 지속적으로 기대하고 있다. 배움 패러다임 대학은 가르침의 생산성이 아니라 배움의 생산성에 관심을 둔다.

The philosophy of an Instruction Paradigm college reflects the belief that it cannot increase learning outputs without more resources, but a Learning Paradigm college expects to do so continuously. A Learning Paradigm college is concerned with learning productivity, not teaching productivity.

 

성공의 기준 

Criteria for Success 

 

가르침 패러다임에 따라, 우리는 대학들을 서로 비교함으로써 판단한다. 품질에 대한 기준은 입력 및 프로세스 측정 측면에서 정의됩니다. 학생 입시의 선택성, 교수진의 박사학위 수, 연구 평판 등과 같은 요소들이 대학과 대학을 평가하는 데 사용된다. 구스킨의 표현대로라면 

Under the Instruction Paradigm, we judge our colleges by comparing them to one another. The criteria for quality are defined in terms of inputs and process measures. Factors such as selectivity in student admissions, number of PhDs on the faculty, and research reputation are used to rate colleges and universities. As Guskin put it, 

 

"우리는 지나치게 자원을 바탕으로 한 퀄리티 대한 정의에 몰두하고 있어서, 따라서 우리는 우리의 결과물, 즉 학생 학습에 대처하는 것이 매우 어렵다는 것을 알게 됩니다."

"We are so wedded to a definition of quality based on resources that we find it extremely difficult to deal with the results of our work, namely student learning."

 

학습 패러다임은 반드시 평가 운동의 관점을 통합한다. 이 운동은 적어도 10년 동안 진행되었지만 지배적인 교육 패러다임 하에서는 정상적인 조직 관행으로까지 침투하지 못했다.

The Learning Paradigm necessarily incorporates the perspectives of the assessment movement. While this movement has been under way for at least a decade, under the dominant Instruction Paradigm it has not penetrated very far into normal organizational practice.

 

예를 들어, 우리의 교수 평가 시스템은 배움 용어가 아닌 가르침 용어로 교수진의 성과를 평가한다. 강사는 전형적으로 그녀의 동료나 학장에 의해 그녀의 강의가 구성되었는지, 적절한 자료를 다루는지, 그녀가 그녀의 주제에 대한 관심과 이해를 보여주는지, 그녀가 수업에 준비되었는지, 그리고 그녀가 학생들의 질문과 의견을 존중하는지 여부에 근거하여 평가된다. 이 모든 요인들은 강사의 성과를 강의 용어로 평가한다. 그들은 [학습의 증거]를 요구하거나, 학습의 증거에 대한 보상을 제공하는 것은 고사하고, 학생들이 배우고 있는지에 대한 문제를 제기하지 않는다.

Our faculty evaluation systems, for example, evaluate the performance of faculty in teaching terms, not learning terms. An instructor is typically evaluated by her peers or dean on the basis of whether her lectures are organized, whether she covers the appropriate material, whether she shows interest in and understanding of her subject matter, whether she is prepared for class, and whether she respects her students' questions and comments. All these factors evaluate the instructor's performance in teaching terms. They do not raise the issue of whether students are learning, let alone demand evidence of learning or provide for its reward.

 

많은 기관들이 가르침을 거의 전적으로 강의의 관점에서 해석하고 있다.

Many institutions construe teaching almost entirely in terms of lecturing.

 

가르침 패러다임에서는 가르치는 것이 그 자체로 판단되고, 배움 패러다임에서는 환경에 대한 힘이나 접근 방식이 학습에 미치는 영향 측면에서 판단된다. 배움이 일어나는 환경이 힘을 갖게 된다. 만약 학생들이 환경 B보다 환경 A에서 더 많이 배운다면, A는 B보다 더 강력합니다. 이를 학습 패러다임에서 알기 위해 우리는 학생 학습을 일상적이고 지속적으로 평가할 것이다.

In the Instruction Paradigm, teaching is judged on its own terms; in the Learning Paradigm, the power of an environment or approach is judged in terms of its impact on learning. If learning occurs, then the environment has power. If students learn more in environment A than in environment B, then A is more powerful than B. To know this in the Learning Paradigm we would assess student learning routinely and constantly.

 

어떻게 그렇게 적은 양의 정보가 교사 행동에 큰 변화를 일으킬 수 있었을까? 곰곰이 생각해 보니 분명해졌다. 그 정보는 선생님들이 거의 수집하지 않는 학습과 결과에 대한 피드백이었습니다.

How could such small amounts of information produce such large changes in teacher behavior? Upon reflection, it became clear. The information was feedback about learning, about results something teachers rarely collect.

 

물론, 어떤 이들은 진정한 교육은 단순히 측정될 수 없다고 주장할 것이다. 예를 들어, 예술 작품의 아름다움에 대한 진정한 감상은 측정할 수 없다. 확실히 어떤 학습은 어렵고 심지어 측정하기가 불가능하다. 그렇다고 해서 유용하고 의미 있는 평가가 불가능하다는 결론으로 이어지는 것은 아니다.

Of course, some will argue, true education simply cannot be measured. You cannot measure, for example, true appreciation of the beauty of a work of art. Certainly some learning is difficult, even impossible to measure. But it does not follow that useful and meaningful assessment is impossible.

 

교수/학습 구조 Teaching/Learning Structures

 

'구조'라는 단어에서, 우리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안정되고 활동과 프로세스가 발생하는 틀 안에서 그리고 조직의 목적을 달성하는 틀을 형성하는 조직의 특징들을 의미한다. 구조에는 조직도, 역할 및 보상 시스템, 기술 및 방법, 시설 및 장비, 의사 결정 세관, 커뮤니케이션 채널, 피드백 루프, 재정 준비 및 자금 조달 스트림이 포함된다.

By structures we mean those features of an organization that are stable over time and that form the framework within which activities and processes occur and through which the purposes of the organization are achieved. Structure includes the organization chart, role and reward systems, technologies and methods, facilities and equipment, decision-making customs, communication channels, feedback loops, financial arrangements, and funding streams.

 

구조에 따라야 할 충분한 이유가 있다. 

  • 첫째, 구조조정은 조직의 효율성과 효과성을 높이는 데 가장 큰 희망을 줍니다. 구조는 레버리지입니다. 사람들이 일하는 구조를 바꾸면 그들의 노력에 적용되는 지렛대를 늘리거나 줄일 것이다. 구조의 변화는 생산성을 높이거나 조직 결과의 특성을 변화시킬 수 있습니다. 

  • 째, 구조는 조직의 지배적 패러다임이라는 추상적 원칙을 구체적인 표현한 것이다. 낡은 패러다임을 반영하는 구조는 새로운 패러다임 사상가들의 최고의 아이디어와 혁신을 좌절시킬 수 있다. 지배 패러다임이 변화함에 따라 조직의 구조도 변화해야 합니다.

There is good reason to attend to structure. First, restructuring offers the greatest hope for increasing organizational efficiency and effectiveness. Structure is leverage. If you change the structure in which people work, you increase or decrease the leverage applied to their efforts. A change in structure can either increase productivity or change the nature of organizational outcomes. Second, structure is the concrete manifestation of the abstract principles of the organization's governing paradigm. Structures reflecting an old paradigm can frustrate the best ideas and innovations of new-paradigm thinkers. As the governing paradigm changes, so likewise must the organization's structures.

 

교육 패러다임 대학의 교수와 학습 구조는 원자적이다. 그 우주에서 '원자'는 50분짜리 강의이고, '분자'는 1교시, 1교시, 3학점짜리 수업이다. 이러한 기본 단위로부터 물리적 구조, 행정 구조, 교수진과 학생들의 일일 일정이 구축된다. 필라델피아 커뮤니티 칼리지의 데니스 맥그래스 교수와 마틴 스피어 교수는 "교육은 3학점짜리 코스를 통해 어디에서나 진행된다"고 지적했다. 교수진들은 (그리고 다른 모든 사람들은) 제약이 너무 내재화되어서 그것이 자연의 순서의 일부라고 생각하면서 제약이라는 것을 알아차린 지 오래다."

The teaching and learning structure of the Instruction Paradigm college is atomistic. In its universe, the atom" is the 50-minute lecture, and the "molecule" is the one-teacher, one-classroom, three-credit-hour course. From these basic units the physical architecture, the administrative structure, and the daily schedules of faculty and students are built. Dennis McGrath and Martin Spear, professors at the Community College of Philadelphia, note that "education proceeds everywhere through the vehicle of the three-credit course. Faculty members [and everyone else, we might add] have so internalized that constraint that they are long past noticing that it is a constraint, thinking it part of the natural order of things."

 

가르침 패러다임의 "교육 원자론"에서, 가르침과 배움의 프로세스는 서로 별개의 실체entity로 보여진다. 부분은 전체보다 먼저 존재하며, 전체에 독립적입니다. 전체는 부품의 합보다 크거나 더 작지 않습니다. 대학은 분리된 고립된 환경에서만 학생들과 교류하며, 부분, 즉 수업들이 전체보다 앞서 있기 때문에 서로 단절된다. "대학 교육"은 대체로 관련이 없는 일련의 분리된 3학점 수업의 학생이 경험한 것을 합한 것이다.

In the "educational atomism" of the Instruction Paradigm, the parts of the teaching and learning process are seen as discrete entities. The parts exist prior to and independent of any whole; the whole is no more than the sum of the parts, or even less. The college interacts with students only in discrete, isolated environments, cut off from one another because the parts - the classes - are prior to the whole. A "college education" is the sum the student's experience of a series of discrete, largely unrelated, three-credit classes.

 

교육 패러다임에서, 수업과 학습 과정은 학습(성과)이 학생마다 다르지만, 학습 시간은 일정하게 유지된다는 추가 규칙에 의해 지배된다.

In the Instruction Paradigm, the teaching and learning process is governed by the further rule that time will be held constant while learning varies.

 

따라서 예를 들어, 학생들이 "준비되지 않은 상태로" 수업에 들어온다면, 그러한 수업을 "준비"하는 것은 교수진의 일이 아니다. 실제로, 한 학기, 3학점짜리 수업의 구조는 그렇게 하는 것을 거의 불가능하게 만든다. 그렇다면, 유일한 해결책은 학생들이 기존 과정에 대비할 수 있도록 새로운 과정을 만드는 것이다; 교육 패러다임 내에서, 교육 문제에 대한 대응은 항상 더 원자화되고 분리된 교육 단위를 생성하는 것이다. 

Thus it is, for example, that if students come into college classes "unprepared," it is not the job of the faculty who teach those classes to "prepare" them. Indeed, the structure of the onesemester, three-credit class makes it all but impossible to do so. The only solution, then, is to create new courses to prepare students for the existing courses; within the Instruction Paradigm, the response to educational problems is always to generate more atomized, discrete instructional units. 

 

가르침 패러다임 대학은 교과 과정과 교사를 원자적으로 구성하고, 서로 좀처럼 소통하지 않는 학과와 프로그램으로 만든다. 원래 일관성 있는 학문과 관련된 학과들은 대학의 본질적인 일, 즉 강좌를 제공하는 것을 성취하기 위한 구조적 기초이다.

Instruction Paradigm colleges atomistically organize courses and teachers into departments and programs that rarely communicate with one another. Academic departments, originally associated with coherent disciplines, are the structural home bases for accomplishing the essential work of the college: offering courses.

 

학생들이 추론이나 생각을 못 한다고 판단되면, 대학은 추론과 사고에 대한 과목을 만든다. 이에 따라 해당 부서를 만들어야 하는 압력이 발생합니다. 앤도버의 매사추세츠 로스쿨의 글쓰기 프로그램 책임자인 아담 스위팅은 "우리가 조심하지 않는다면 비판적 사고력을 가르치는 것은 한 대학 학과의 책임이 될 것이며, 이는 '대학'이라는 아이디어와는 상반되는 전망이 될 것이다."라고 경고한다.

If students cannot reason or think well, the college creates a course on reasoning and thinking. This in turn produces pressure to create a corresponding department. "If we are not careful," warns Adam Sweeting, director of the Writing Program at the Massachusetts School of Law at Andover, "the teaching of critical thinking skills will become the responsibility of one university department, a prospect that is at odds with the very idea of a university."

 

대학 수준의 읽기, 쓰기, 추리를 "교육과정 전체"로 확장하려는 노력은 대부분 실패했다. 좋은 의도는 거의 성과를 내지 못했다. 왜냐하면, 교육 패러다임 하에서는, 선생님의 일은 과목 실라버스에 요약된 "자료를 커버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쓰기 또는 읽기 또는 비판적 사고를 "교육과정 전반에 걸쳐" 구현한 강사는 종종 자신의 일을 하거나 학생들이 배우는 데 도움이 될 일을 하는 것, 즉 잘 하는 것, 원래대로 하는 것, 아니면 잘 하는 것 중 하나를 선택해야 한다.

Efforts to extend college- level reading, writing, and reasoning "across the curriculum" have largely failed. The good intentions produced few results because, under the Instruction Paradigm, the teacher's job is to "cover the material" as outlined in the disciplinary syllabus. The instructor charged with implementing writing or reading or critical thinking "across the curriculum" often must choose between doing her job or doing what will help students learn - between doing well, as it were, or doing good.

 

학습 패러다임 대학에서는 강좌와 강의의 구조가 dispensable하고 negotiable하다. 학기, 분기, 강의, 강의실, 강의실, 강의실, 강의실, 강의실, 강의실 자체는 받은 구조나 의무적인 활동보다는 선택지가 된다. 학습 패러다임은 학습 환경과 경험을 어떻게 구성할 것인가 하는 문제에 대해 아무도 하나의 "정답"을 규정하지 않는다. [이상적인 강의실 원형에 대한 적합성 정도]가 아니라 학습 성과 측면에서 "작업"이 정의되는 모든 학습 방법과 구조를 지원한다. 실제로 학습 패러다임은 학생 학습과 성공에 더 잘 작동하는 새로운 구조와 방법을 지속적으로 검색해야 하며, 이마저도 지속적으로 재설계되고 시간이 지남에 따라 진화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In a Learning Paradigm college, the structure of courses and lectures becomes dispensable and negotiable. Semesters and quarters, lectures, labs, syllabi indeed, classes themselves become options rather than received structures or mandatory activities. The Learning Paradigm prescribes no one "answer" to the question of how to organize learning environments and experiences. It supports any learning method and structure that works, where "works" is defined in terms of learning outcomes, not as the degree of conformity to an ideal classroom archetype. In fact, the Learning Paradigm requires a constant search for new structures and methods that work better for student learning and success, and expects even these to be redesigned continually and to evolve over time.

 

가르침 패러다임 하에서는 구조가 고정되고 불변하다고 가정한다. 구조를 변경하는 데 필요한 레버리지를 달성하기 위한 준비 수단이 없다. 그렇다면 배움 패러다임의 첫 번째 구조적 과제는 그러한 [지렛대를 확립하는 것]이다.

Under the Instruction Paradigm, structures are assumed to be fixed and immutable; there is no ready means for achieving the leverage needed to alter them. The first structural task of the Learning Paradigm, then, is to establish such leverage.

 

[나머지 시스템을 변화시키기 위한 핵심 구조]는 배움 패러다임에서 필수적인 구조인 [기관 전체의 평가와 정보 시스템]이며, 이것이 배움 패러다임을 위한 핵심 수단이다. 그것은 제도적 성과에 대한 지속적이고 유용한 피드백을 제공할 것이다.

The key structure for changing the rest of the system is an institution-wide assessment and information system an essential structure in the Learning Paradigm, and a key means for getting there. It would provide constant, useful feedback on institutional performance.

 

대안적 학습 환경을 개발하기 위한 평가 시스템의 효과는 부분적으로 학습 프로그램과 구조 외부 시스템에 의존한다. 가르침 패러다임에서 학생들은 수업 내에서 그들을 가르치는 데 책임이 있는 동일한 강사에 의해 평가되고 평가되지만, 배움 패러다임에서는 (축구 게임이 축구 연습에서 배우는 것과는 독립적인 척도인 것처럼) 평가의 많은 부분이 학습 경험 및 설계자와는 독립적일 것이다.

The effectiveness of the assessment system for developing alternative learning environments depends in part upon its being external to learning programs and structures. While in the Instruction Paradigm students are assessed and graded within a class by the same instructor responsible for teaching them, in the Learning Paradigm much of the assessment would be independent of the learning experience and its designer, somewhat as football games are independent measures of what is learned in football practice.

 

이상적으로, 기관의 평가 프로그램은 대학에서 학생들의 경험의 과정에 대한 "추가 가치value added"를 측정할 것이다. 학생의 지식과 기술은 입학 시, 졸업 시, 그리고 주요 프로그램의 시작과 완료와 같은 중간 단계에서 측정될 것입니다.

Ideally, an institution's assessment program would measure the "value added" over the course of students' experience at the college. Student knowledge and skills would be measured upon entrance and again upon graduation, and at intermediate stages such as at the beginning and completion of major programs.

 

배움 패러다임은 [강의와 과정 등의 수단을 고치는 대신], 학습 결과를 수정하여 학생 학습의 가장 효과적이고 효율적인 경로를 지속적으로 검색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학습 성과와 표준]은 모든 학생을 위해 식별identify되고 유지되고, 심지어 학습 환경이 더욱 강력해짐에 따라 상향조정되는 반면, 학생마다 표준을 달성하는 데 걸리는 시간은 다양해진다. 이것은 숙련되고 진보된advanced 학생들에게 신속한 진급을 보상하는 동시에, 준비가 덜 된 학생들이 자료를 실제로 익히는 데 필요한 시간을 가능하게 할 것이다. "시험"을 치름으로써, 학생들은 또한 그들이 이미 알고 있는 것을 "학습"하는 데 시간을 낭비하는 것을 피할 수 있었다. 학생들은 학위 관련 지식과 기술을 어떻게, 어디서, 언제 배웠는지에 관계없이 "학점"을 받게 될 것이다.

Instead of fixing the means such as lectures and courses the Learning Paradigm fixes the ends, the learning results, allowing the means to vary in its constant search for the most effective and efficient paths to student learning. Learning outcomes and standards thus would be identified and held to for all students or raised as learning environments became more powerful while the time students took to achieve those standards would vary. This would reward skilled and advanced students with speedy progress while enabling less prepared students the time they needed to actually master the material. By "testing out," students could also avoid wasting their time being "taught"w hat they already know. Students would be given "credit"f or degree-relevant knowledge and skills regardless of how or where or when they learned them.

 

학습 이론 

Learning Theory

 

가르침 패러다임은 학습을 원자적으로 체계화한다. 그 안에서, 지식은 정의상, 강사가 제공하거나 전달하는 물질로 구성되어 있다. 그 과정의 주요 행위자는 지식을 전달하는 선생님이다; 학생들은 수동적인 그릇으로 간주되어 시험에서의 기억을 위해 지식을 흡수한다. 그러므로, 어떤 전문가도 가르칠 수 있다. 부분적으로 선생님이 어떤 지식의 덩어리가 가장 중요한지 알기 때문에, 선생님은 학습 활동을 통제한다. 학습은 점점 더 많은 청크를 섭취하는 것과 같기 때문에 누적된 것으로 추정된다. 학위는 학생이 지정된 양의 교육을 받았을 때 수여됩니다.

The Instruction Paradigm frames learning atomistically. In it, knowledge, by definition, consists of matter dispensed or delivered by an instructor. The chief agent in the process is the teacher who delivers knowledge; students are viewed as passive vessels, ingesting knowledge for recall on tests. Hence, any expert can teach. Partly because the teacher knows which chunks of knowledge are most important, the teacher controls the learning activities. Learning is presumed to be cumulative because it amounts to ingesting more and more chunks. A degree is awarded when a student has received a specified amount of instruction.

 

배움 패러다임은 프로세스의 주요 행위자가 학습자라는 인식 속에서 학습을 전체적으로 프레임화합니다. 따라서, 학생들은 그들 자신의 지식의 적극적인 발견자이고 건설자여야 한다. 학습 패러다임에서 지식은 학습자에 의해 만들어지거나 구성되는 프레임워크 또는 전체wholes로 구성된다. 지식은 벽돌의 벽처럼 누적되고 선형인 것이 아니라 틀의 중첩과 상호작용으로 보여진다. 학습은 그러한 틀이 이해하고 행동하는 데 사용될 때 드러난다. 나무보다 숲이 보는 것, 그 점보다는 신문사진의 이미지가 그 요소에 의미를 부여하고, 그 전체는 구성부품의 합 이상이 된다. 자전거를 탈 줄 아는 사람이 갑자기 자전거를 탈 줄 알았을 때처럼, Wholes and frameworks은 종종 조각들을 열심히 작업한 후에 한순간에 통찰을 얻을 수 있다.

The Learning Paradigm frames learning holistically, recognizing that the chief agent in the process is the learner. Thus, students must be active discoverers and constructors of their own knowledge. In the Learning Paradigm, knowledge consists of frameworks or wholes that are created or constructed by the learner. Knowledge is not seen as cumulative and linear, like a wall of bricks, but as a nesting and interacting of frameworks. Learning is revealed when those frameworks are used to understand and act. Seeing the whole of something the forest rather than the trees, the image of the newspaper photo rather than its dots gives meaning to its elements, and that whole becomes more than a sum of component parts. Wholes and frameworks can come in a moment a flash of insight often after much hard work with the pieces, as when one suddenly knows how to ride a bicycle.

 

배움 패러다임에서 학습 환경과 활동은 학습자 중심이고 학습자 통제입니다. 그들은 심지어 "선생님 없는" 사람일 수도 있다. 교사들은 학생들이 자주 사용하는 학습 경험과 환경을 서로 그리고 다른 직원들과의 팀워크를 통해 설계할 것이지만, 그들이 모든 구조화된 학습 활동에 참석하거나 참여할 필요는 없다.

In the Learning Paradigm, learning environments and activities are learnercentered and learner-controlled. They may even be "teacherless." While teachers will have designed the learning experiences and environments students use often through teamwork with each other and other staff they need not be present for or participate in every structured learning activity.

 

많은 학생들은 배움이 무엇인지에 대한 잘못된 생각을 가지고 대학을 나와 적어도 몇몇 과목에 대한 배움은 그들에게 너무 어렵다고 거짓으로 믿게 된다. 많은 학생들이 아나사츠 롤플레잉 연습을 배움 대신해서 학교를 순항한다.

Many students come away from college with a false notion of what learning is and come to believe falsely that learning at least for some subjects is too difficult for them. Many students cruise through schools substituting an ersatz role-playing exercise for learning.

 

학습 패러다임 하에서는 교수진과 기관이 R. Buckminster Fuller의 견해를 취한다: 인간은 천재로 태어나고 성공을 위해 고안된 것이다. 만약 그들이 성공하지 못한다면, 그것은 그들의 디자인 기능이 좌절되고 있기 때문이다.

Under the Learning Paradigm, the faculty and the institution take an R. Buckminster Fuller view of students: human beings are born geniuses and designed for success. If they fail to succeed, it is because their design function is being thwarted.

 

실비아 판햄 디고리의 현대 연구 요약: 

분절된 교육은 망각, 부주의, 수동성을 극대화합니다. 어린이와 어른 모두 [장기적인 목표를 중심으로 조직된 전체론적이고, 복잡하고, 의미 있는 환경에 대한 적극적인 참여]로부터 지식을 습득한다. 오늘날의 학교 프로그램은 아이들의 자연학습 시스템이 작동하는 것을 막기 위해 더 잘 설계되었을 것입니다.

Sylvia Farnham-Diggory's summary of contemporary research: 

Fractionated instruction maximizes forgetting, inattention, and passivity. Both children and adults acquire knowledge from active participation in holistic, complex, meaningful environments organized around long-term goals. Today's school programs could hardly have been better designed to prevent a child's natural learning system from operating."

 

배움 패러다임은 가드너가 "이해를 위한 교육"이라고 부르는 "개념, 원리 또는 기술을 충분히 파악하여, 새로운 문제와 상황에 대처할 수 있도록 하고, 현재의 역량이 어떤 방식으로 충분하고 어떤 방식으로 새로운 기술이나 지식을 요구할 수 있는지를 결정하는" 목표를 수용한다. 여기에는 분할된 상황적 단서의 단기 보존보다는 기능적, 지식 기반 지적 프레임워크의 숙달이 포함된다.

The Learning Paradigm embraces the goal of promoting what Gardner calls "education for understanding-" "a sufficient grasp of concepts, principles, or skills so that one can bring them to bear on new problems and situations, deciding in which ways one's present competencies can suffice and in which ways one may require new skills or knowledge." This involves the mastery of functional, knowledge-based intellectual frameworks rather than the short-term retention of fractionated, contextual cues.

 

가르침 패러다임의 학습 이론은 재능, 관계, 그리고 성취에 대한 뿌리 깊은 사회적 가정을 반영합니다: 

가치 있는 것은 드물고, 

인생은 승패의 명제이며, 

성공은 개인의 성취라고 본다

학습 패러다임 이론은 이러한 가정을 뒤집는다.

The learning theory of the Instruction Paradigm reflects deeply rooted societal assumptions about talent, relationships, and accomplishment: that which is valuable is scarce; life is a win-lose proposition; and success is an individual achievement. The Learning Paradigm theory of learning reverses these assumptions.

 

교수진은 가르침 패러다임에 따라 학생들을 분류하는데, 최악의 경우 지능과 능력이 부족하기 때문에 '대학 자료'인 학생과 '자르지 못하는 학생'으로 분류한다. 학습 패러다임 하에서, 교수진과 기관의 모든 사람들은 각 학생의 성공을 위해 분명히 헌신하고 있다. 교수진과 기관은 R. Buckminster Fuller의 학생 견해를 취한다: 인간은 천재로 태어나고 성공을 위해 고안되었다. 천재성을 발휘하지 못하거나 성공하지 못하면 디자인 기능이 좌절되기 때문이다. 이러한 관점은 희망적 사고wishful thinking가 아니며, 학습을 위한 사실상 모든 인간의 실제 능력에 대한 최상의 증거에 기초한다. 윙스프레드 그룹이 지적하듯이, "모든 학생들이 우리가 지금 요구하는 것보다 훨씬 더 높은 수준으로 배울 수 있다는 연구 증거가 늘어나고 있다." 학습 패러다임에서 교수진은 모든 학생들의 방대한 재능을 개발하고 모든 학생들의 성공을 위한 길을 열어줄 방법을 찾는다.

Under the Instruction Paradigm, faculty classify and sort students, in the worst cases into those who are "college material" and those who cannot "cut it," since intelligence and ability are scarce. Under the Learning Paradigm, faculty - and everybody else in the institution - are unambiguously committed to each student's success. The faculty and the institution take an R. Buckminster Fuller view of students: human beings are born geniuses and designed for success. If they fail to display their genius or fail to succeed, it is because their design function is being thwarted. This perspective is founded not in wishful thinking but in the best evidence about the real capabilities of virtually all humans for learning. As the Wingspread Group points out, "There is growing research evidence that all students can learn to much higher standards than we now require." In the Learning Paradigm, faculty find ways to develop every student's vast talents and clear the way for every student's success.

 

'가르침 패러다임'에 따르면, 교실은 경쟁적이고 개인주의적이며, 삶은 승패의 명제라는 관점을 반영하고 있다. 학생들이 자신의 노력을 통해 개별적으로, 그리고 전적으로 달성해야 한다는 요구사항은 성공은 개인의 성취라는 믿음을 반영한다. 배움 패러다임에서는 학습 환경은 도전적이지만 협력적이고 협업적이며 지원적인 윈윈 환경입니다. 혼자 일하는 것처럼 보일 때도 성과와 성공은 팀워크와 집단 노력의 결과라는 원칙에 따라 설계된다.

Under the Instruction Paradigm, the classroom is competitive and individualistic, reflecting a view that life is a win-lose proposition. The requirement that the students must achieve individually and solely through their own efforts reflects the belief that success is an individual accomplishment. In the Learning Paradigm, learning environments while challenging are winwin environments that are cooperative, collaborative, and supportive. They are designed on the principle that accomplishment and success are the result of teamwork and group efforts, even when it appears one is working alone.

 

생산성 및 자금지원 

Productivity and Funding

 

'가르침 패러다임'에 따르면 대학들은 제품의 질을 떨어뜨리지 않고서는 생산성을 높일 수 없는 방식으로 구조화된 심각한 디자인 결함을 안고 있다. 가르침 패러다임에서 생산성은 학생당 교육 시간당 비용으로 정의된다. 이러한 관점에서, 교수와 학습의 질이 학생 대 교수 비율의 증가에 의해 위협받고 있다.

Under the Instruction Paradigm, colleges suffer from a serious design flaw they are structured in such a way that they cannot increase their productivity without diminishing the quality of their product. In the Instruction Paradigm, productivity is defined as cost per hour of instruction per student. In this view, the very quality of teaching and learning is threatened by any increase in the student-to-faculty ratio.

 

학습 패러다임에서 생산성은 학생당 학습 단위당 비용으로 재정의된다. 이러한 생산성 개념에 해당하는 표준 통계는 아직 없습니다. 그러나 이 새로운 정의 하에서 비용을 증가시키지 않고 결과를 증가시킬 수 있다. 많은 연구가 전통적인 한 학기 길이의 교실 기반 강의 방식에 대한 대안들이 더 많은 학습을 만들어 낸다는 것을 보여준다. 이러한 대안들 중 일부는 비용이 덜 들고, 많은 것들이 동일한 비용으로 더 많은 학습을 산출한다. 학습 패러다임 하에서는 더 적은 리소스로 더 많은 생산을 할 수 있게 된다. 왜냐하면 학습 패러다임에서 더 늘어나는 것은 '배움'의 총량이지, '가르침'의 총량이 아니기 때문이다. 이런 의미에서 생산성은 가르침 패러다임의 대학에서는 측정조차 할 수 없다. 단지 교육에 대한 노출의 척도일 뿐이다.

Under the Learning Paradigm, productivity is redefined as the cost per unit of learning per student. Not surprisingly, there is as yet no standard statistic that corresponds to this notion of productivity. Under this new definition, however, it is possible to increase outcomes without increasing costs. An abundance of research shows that alternatives to the traditional semester-length, classroom-based lecture method produce more learning. Some of these alternatives are less expensive; many produce more learning for the same cost. Under the Learning Paradigm, producing more with less becomes possible because the more that is being produced is learning and not hours of instruction. Productivity, in this sense, cannot even be measured in the Instruction Paradigm college. All that exists is a measure of exposure to instruction.

 

 


From Teaching to Learning — A New Paradigm For Undergraduate Education

Pages 12-26 | Published online: 08 Nov 2012

 

교육의 퀄리티와 카파시티 증가: 21세기의 도전(Med Educ, 2011)

Increasing the quality and capacity of education: the challenge for the 21st century

John J Norcini1 & Sekelani S Banda2



도입 

INTRODUCTION


1910년, 아브라함 플렉스너는 카네기 재단에 북아메리카의 의학 교육의 상태에 대한 그의 보고서를 완성했다. 이 보고서는 의료 교육의 커리큘럼, 기준 및 구조를 개혁하는 데 중요한 원동력이 되었다. 그것은 의과대학 수의 대폭 감소와 의학의 과학적 기초에 대한 강조의 증가로 이어졌고, 체계적인 임상 훈련에 초점을 맞추도록 격려했다.

In 1910, Abraham Flexner completed his report to the Carnegie Foundation on the state of medical education in North America.1 The report was an important impetus for the reform of the curriculum, standards and structure of medical education. It led to a significant reduction in the number of medical schools and an increase in emphasis on the scientific basis of medicine, and encouraged a focus on systematic clinical training.


인가 및 면허와 같은 이러한 개선사항 중 일부를 달성하기 위해 사용되는 전략은 상당한 자원을 필요로 한다. 2,3 따라서 그들은 고소득 국가에서 번창하고 있으며 전 세계적으로 채택을 장려하는 자연스러운 경향이 있다. 그러나, 특히 의료 인력 부족이 심각한 상황에서 자원 빈곤 국가에 혼란을 초래한다.

The strategies used to achieve some of these improvements, such as accreditation and licensure, require considerable resources.2,3 Hence, they have flourished in high-income countries and there is a natural tendency to encourage their adoption throughout the world. However, they create a conundrum for many resource-poor countries which have difficulty implementing them, especially in the face of significant health care workforce shortages.


현재 문제

Current issues


교육의 질

The quality of education


Flexner의 보고서의 주된 기여는 의료 교육 분야의 초기 개혁 운동을 촉진하는 것이었다. Flexner는 의과대학과 교수진의 질에 비판적이었다. 그는 커리큘럼과 시설이 부적절하다고 생각했고, 전문적 실무 준비를 위한 비과학적인 접근으로 인해 어려움을 겪었다.4 북미에서, 그의 보고서는 의과대학이 제대로 갖추어져 있고, 학문적으로 자격을 갖춘 학생들만 입학할 수 있으며, 원래 연구는 대학에 기반을 둔 학교의 핵심 활동이라는 것을 보장하는 데 도움이 되었다.

The primary contribution of Flexner’s report was to catalyse a nascent reform movement in medical education. Flexner was critical of the quality of medical schools and faculty staff; he thought the curriculumand facilities were inadequate, and he was troubled by the non-scientific approach to preparation for professional practice.4 In North America, his report was instrumental in ensuring that medical schools were properly equipped, that only academically qualified students were admitted, and that original research was a core activity of a universitybased school.


20세기 초반의 의료 교육의 질을 보장하기 위해, 미국 의학 협회AMA는 인턴쉽을 위해 의과대학과 병원을 검사하고 승인했다. 동시에, 미국 의과대학 협회AAMC는 의과대학이 회원 자격을 위한 필수 기준을 충족하는지 확인하기 위해 평가하였다.5 1942년, 이 두 그룹은 합병하여merged 의료 교육 연락 위원회(LCME)를 설립했고, 현재 미국과 캐나다의 모든 allopathic 의과대학들을 인가하고 있다. 세계 의학 교육 연맹(WFME)이 발표한 표준에서 정점에 달하면서, 전 세계 다른 나라에서도 유사한 이니셔티브가 있었다.

To assure the quality of medical education in the early decades of the 20th century, the American Medical Association inspected and approved medical schools and hospitals for internships. At the same time, the Association of American Medical Colleges evaluated medical schools to ensure that they met the requisite standards for membership.5 In 1942, the two groups merged to form the Liaison Committee on Medical Education (LCME), which now accredits all allopathic medical schools in the USA and Canada. There have been similar initiatives in other countries around the world, culminating in the standards promulgated by the World Federation for Medical Education (WFME).


인증accreditation 과정의 광범위한 채택과 그것이 교육의 질을 향상시킨다는 믿음에도 불구하고, 그 효율성에 대한 증거는 거의 없다.

Despite the widespread adoption of accreditation processes, and the belief that they improve educational quality, there is little evidence of their effectiveness.


결과적으로, 최근 보건 직업 교육 분야의 문헌을 검색한 결과, Accreditation 과정의 효과에 대한 출판된 연구가 없었다.7

Consequently, a recent search of the literature in health professions education revealed no published studies of the effectiveness of accreditation processes.7


북미에서는, 플렉스너 보고서에 의해 촉매된 의료 교육의 질을 개선하기 위한 메커니즘이 그러한 교육 과정의 제품의 품질을 보증하기 위한 운동을 동반했다. 1915년, 지역local 의료 면허 당국이 사용할 수 있는 자발적이고 국가적인 평가의 필요성을 충족시키기 위해 국립 의료 검사 위원회NBME가 설립되었습니다. 마찬가지로, 1933년에 미국 의료 전문 위원회ABMS도 의료 전문 분야의 표준을 정하는 위원회 연합으로 설립되었습니다. 책임과 품질 관리를 위한 이러한 유형의 메커니즘은 북미의 특징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유사한 이니셔티브가 전 세계적으로 발견되고 국제의료교육연구소(IIME)의 연구에 의해 전형적으로 나타난다.3

In North America, mechanisms to improve the quality of medical education catalysed by the Flexner report were accompanied by a movement to assure the quality of the products of those educational processes. In 1915, the National Board of Medical Examiners was founded to fill the need for a voluntary, national assessment that local medical licensing authorities could use. Similarly, in 1933 the American Board of Medical Specialties was founded as a confederation of the boards that set standards for the medical specialties. These types of mechanisms for accountability and quality control are characteristic of North America. Nonetheless, similar initiatives are found around the world and are typified by the work of the Institute for International Medical Education (IIME).3


인증과는 달리, 품질 관리quality control에 사용되는 평가 메커니즘의 효과를 설명하는 광범위한 작업 기관이 있다.7

Unlike accreditation, there is an extensive body of work which speaks of the effectiveness of assessment mechanisms used for quality control.7


가장 중요한 것은 환자 결과를 포함하여 이러한 평가와 실제 성과 사이의 관계를 나타내는 증거의 증가이다.

Of most importance, is the growing body of evidence indicating a relationship between these assessments and performance in practice, including patient outcomes.


교육의 능력

The capacity of education


세계보건기구(WHO) 8은 전 세계적으로 430만 명의 의료 종사자가 부족한 것으로 추산하고 있다. 사하라 이남 아프리카와 같은 저소득 지역이 가장 큰 도전에 직면해 있습니다. 전 세계 인구의 11%와 전세계 질병 부담의 24%를 가진 사하라 이남 아프리카는 의료 종사자의 3%에 불과하다. 세계보건기구는 사하라 이남 아프리카 57개국 중 36개국이 의사, 간호사, 약사, 실험실 기술자, 방사선사, 기타 최전방 또는 지원 인력 부족에 시달리고 있다고 보고했다.8

The World Health Organization (WHO)8 estimates a global shortfall of 4.3 million health care workers. Low-income regions, such as sub-Saharan Africa, face the greatest challenges. With 11% of the world’s population and 24% of the global burden of disease, sub-Saharan Africa has only 3% of its health workers. The WHO reports that 36 of the 57 countries in sub-Saharan Africa suffer from a severe shortage of doctors, nurses, pharmacists, laboratory technologists, radiographers and other frontline or support staff.8


이 부족은 지역에서의 보건 종사자 이민으로 인해 악화되고 있다. 세계보건기구와 다른 나라들은 저개발국에서 의사, 간호사 그리고 다른 사람들을 고용함으로써 그들의 부족함을 해결했다고 주장했다. 9,10 세계보건기구의 보고서 8은 현재 아프리카에서 훈련받은 의사 4명 중 1명과 간호사 20명 중 1명이 가장 산업화된 30개 국가에서 일하고 있다고 지적한다. 그 결과, 대부분의 사하라 이남 아프리카 국가들은 WHO의 추천 의사대 인구 비율 (1:1000)을 충족하지 못합니다. 통계가 가능한 44개 이남 아프리카 국가 중 24개국에 10만 명당 의사 수가 10명 미만입니다. 게다가, 유엔개발계획UNDP은 세계 다른 지역의 인구비율, 즉 현저하게 더 나은 의사를 보고하고 있다. 쿠바(1:165), 이탈리아(1:165), 한국(1:337), 미국(1:358), 영국(1:610) 등이다. 마찬가지로, 국제 개발 연구 센터의 수치들은 의사들을 보여준다: 가장 부유한 나라들의 비율은 1:500이고 25개의 가장 가난한 나라들의 비율은 1:25,000에 불과하다.11

This shortage is exacerbated by health worker emigration (‘brain drain’) from the region. The WHO and others have argued that the richest countries have solved their shortages by recruiting doctors, nurses and others from less developed countries.9,10 The WHO report8 notes that one in four doctors and one in 20 nurses trained in Africa now work in the 30 most industrialised countries. The result is that most sub-Saharan African countries do not meet the WHO’s recommended doctor : population ratio (1 : 1000); there are fewer than 10 doctors for every 100 000 people in 24 of the 44 sub-Saharan African countries for which statistics are available.11 Further, the United Nations Development Programme reports strikingly better doctor : population ratios for other parts of the world, including Cuba (1 : 165), Italy (1 : 165), South Korea (1 : 337), the USA (1 : 358) and the UK (1 : 610).11 Likewise, figures from the International Development Research Centre (IDRC) show doctor : population ratios of 1 : 500 in wealthiest countries and only 1 : 25 000 in the 25 poorest countries.11


이러한 국가 간 불평등 분포 외에도, WHO는 국가 내 의료 종사자의 불균등한 분배를 보고한다.8 보건 종사자의 밀도는 종종 더 많은 교직 병원과 더 많은 수의 환자들이 진료비를 낼 수 있는 도시 지역에서 가장 크다. 전체 인구의 약 55%가 도시 환경에 살고 있지만 의사 75%, 간호사 60%, 기타 보건 종사자의 58%도 마찬가지입니다. 대부분의 사하라 이남 아프리카 국가들의 문제는 보건 노동자들의 국제적 이동은 거의 항상 영구적인 반면, 도시 중심지로의 이동은 보통 영구적이지만 소수의 노동자들은 시골 지역으로 돌아간다는 것이다.9

In addition to these inequitable distributions across countries, the WHO reports an uneven dispersion of health care workers within countries.8 Health worker density is often greatest in urban areas where there are more teaching hospitals and greater numbers of patients who can afford to pay for care. About 55% of all people live in an urban setting, but so do 75% of doctors, 60% of nurses and 58% of other health workers. The problem for most sub-Saharan African countries is that the international migration of health workers is almost always permanent, whereas movement to urban centres is usually permanent, but a few workers return to rural settings.9


고찰 DISCUSSION


다음 세기를 위한 도전

The challenge for the next century


모든 국가가 부족과 잘못된 분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더 많은 의료 인력을 배출해야 한다는 것은 분명하다. 문제는 용량을 늘리는 동시에 품질을 유지하고 개선하는 것입니다.

It is clear that all countries need to produce more health care workers in order to address the issues of shortage and maldistribution. The challenge is to increase capacity while maintaining and enhancing quality.


구체적으로, 우리는 교육적 증거들이 교육적 관행에 반영되어야 하는 세 가지 방법이 있다고 믿는다. 

      • 첫째, 많은 교육적 방법론들이 전통에 기반을 두고 있고 새로운 방법들이 패션에 바탕을 두고 채택되고 있다. 교육적 연구는 교육적 실천의 기초가 되어야 한다. 

      • 둘째로, 대부분의 교육적 방법론은 품질 향상에 초점을 맞추고 자원 활용을 고려하지 않으며, 이는 수행한 연구의 관련성과 유용성을 감소시킨다. 교육 연구는 질과 효율에 초점을 맞춰야 한다. 

      • 셋째, 교육 품질 관리의 한 가지 형태는 인증 프로세스에 의해 제공됩니다.

Specifically, we believe there are three ways that educational evidence should be brought to bear in educational practice. 

      • Firstly, many educational methodologies are retained based on tradition and new methods are adopted based on fashion. Educational research must become the basis for educational practice. 

      • Secondly, most educational methodology focuses on improving quality and does not consider resource utilisation, and this reduces the relevance and utility of the research carried out. Educational research must focus on quality and efficiency. 

      • Thirdly, one form of educational quality control is provided by accreditation processes.


교육연구의 역할

The role of educational research


증거기반관행

Evidence-based practice


현재 교육 연구는 교육 관행의 기초를 이루지 못하며, 그보다 전통이 더 중요한 역할을 한다. 학문적 리더십은 의학 연구나 임상 실습의 전문가인 교수진으로부터 적절하게 이끌어진다. 그러나 그 결과, 리더들은 교육 이론의 실천에 대해 잘 알지 못하고 종종 사회 과학에 기반을 둔 교육 연구를 회의적인 시각으로 본다.

Educational research is not currently the basis of educational practice and tradition plays a key role in this. Academic leadership is appropriately drawn from faculty members who are experts in medical research or clinical practice. As a consequence, however, they are not well versed in the practice of educational theory and they often view educational research, which is based in the social sciences, with scepticism.


유행fashion은 또한 교육적인 결정이 연구에 기초하지 않는 이유의 일부이다. 모든 장점에 대해, 문제 기반 학습(PBL)은 좋은 예시이다. 그것은 더 효과적인 교육 방법론이기 때문에 꼭 그렇지는 않지만, 학생들이 그들 자신의 교육에 더 적극적으로 참여하도록 하기 위한 수단으로 소개되었다. 그것의 도입 이후, 다양한 교육적 이유들이 제시되었다. 현재까지, PBL을 사용하는 이러한 이유에 대해 연구 결과는 모호하지만, 초기 동기는 학생 만족도가 높다는 사실에 반영되어 여전히 유효하다.12–15

Fashion is also part of the reason that educational decisions are not based on research. For all of its advantages, problem-based learning (PBL) provides a good example. It was introduced as a means of involving students more actively in their own education, not necessarily because it was a more effective educational methodology. Since its introduction, avariety of educational rationales have been put forward . To date, the research is equivocal on these reasons for using PBL, although the initial motivation remains valid as reflected in the fact that student satisfaction is high.12–15


유행과 전통은 현재 교육적 관행에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는데, 그 이유는 부분적으로 현존하는 연구기관이 유용한 방법으로 실천에 정보를 제공하지 않기 때문이다. 일반 교육 문헌에는 교육 연구와 실천 사이의 관계에 대한 상당한 논쟁이 있다. 2006년, 슐만 외 연구진은 [두 개의 교육 학위]가 필요하다고 주장했고, 그 중 하나는 기초 연구자(기초과학의 박사과정과 유사함)에게, 하나는 실무자(MD 또는 MBBS와 유사함)에게 적용될 것이다.

Fashion and tradition currently play very significant roles in educational practice, in part because the existent body of research does not inform practice in a useful way. In the general education literature, there is considerable debate about the relationship between educational research and practice. In 2006, Shulman et al.16 argued that two education degrees were needed, of which one would apply to basic researchers (analogous to a PhD in the basic sciences) and one would apply to practitioners (analogous to the MD or MBBS).


의료 교육자의 수는 의료 교육에서 국제적으로 그리고 개발도상국의 현지 환경에 정식 훈련을 도입하고 기회를 늘림으로써 축적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국제의료교육연구진흥재단(FAIMER)은 펠로우쉽과 지역 기관을 통해 의대 교수진을 강화함으로써 저소득 국가의 의료교육 역량을 키워왔다.19

The number of medical educators can be built up by introducing and increasing opportunities for formal training in medical education internationally and in local settings in developing countries. The Foundation for Advancement of International Medical Education and Research (FAIMER), for example, has been building capacity in medical education for low-income countries by strengthening medical school faculty through fellowships and regional institutes.19


품질과 효율에 중점을 둔 교육

Education focused on quality and efficiency


그의 작품에서, 플렉스너는 의료 교육의 질을 개선할 필요성을 강조했다. 그는 의과대학은 너무 많지만 질 좋은 학교는 거의 없는 세상에 직면했다. 그의 보고서는 북미의 의대 교육 capacity의 급격한 감소를 동반했다. 이 전통에 따라, 의학 교육에 대한 연구는 의료 교육의 질을 향상시키는 데 초점을 맞추고 있다. 결과적으로, 기존의 업무 기구는 [교육 효율]에는 동등한 강조를 두지 않으면서 [교육 개선]을 강조한다.

In his work, Flexner stressed the need to improve the quality of medical education. He was faced with a world in which there were too many medical schools, but too few of good quality. His report was accompanied by a dramatic decrease in the capacity for medical education in North America. Following in this tradition, research in medical education has centred on improving the quality of medical education. Consequently, the existing body of work stresses educational improvement without an equal emphasis on educational efficiency.


이러한 불균형은 고자원 국가에서는 덜 눈에 띄는데, 왜냐하면 그들은 국가가 필요로 하는 노동자의 수와 그들이 생산하는 수 사이의 격차를 메우기 위해 의료 종사자들을 수입할 수 있기 때문이다. 사실, 어떤 사람들은 이것이 보건 직업 교육의 증가하는 비용을 근로자들이 이주하는 나라로 효과적으로 이동시키는 것으로 볼 수도 있다. 그러나 보건의료 종사자의 부족이 심각하고 특히 자원이 중요한 저소득 국가에서 수용력을 증가시켜야 한다는 것은 명백하다.

This imbalance is less noticeable in high-resource countries because they can import health care workers to fill the gap between the numbers of workers their countries need and the numbers they produce. In fact, some might view this as effectively shifting the increasing costs of health professions education to the countries from which the workers migrate. However it is viewed, it is clear that there is a significant shortage of health care workers and that capacity needs to be increased, particularly in low-income countries where resources are a significant issue.


국제 보건 전문가 교육 커뮤니티는 연구에서의 [품질]뿐만 아니라 [효율성]에 중점을 두어 capacity 증대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이 연구를 제대로 하기 위해서, 그리고 지능적으로 적용시키기 위해서, 우리는 우선 부족shortage이 있는 지역에서 온 우리 지역 보건 전문가들을 양성할 필요가 있습니다. 우리는 또한 고소득 국가에서 의료 종사자들의 생산 부족이 저소득 국가의 부족을 악화시키기 때문에 그들과 협력할 필요가 있다. 지역 보건 전문가 교육자들은 가장 두드러진 문제, 물어볼 질문, 그리고 그들 자신의 맥락에서 작동할 해결책을 찾는데 앞장서야 한다. 해답이 주어지면, 그들은 변화의 주체가 될 뿐만 아니라 그것을 실행하는 주체가 될 필요가 있을 것이다.

The international health professions education community has a key role to play in increasing capacity by incorporating an emphasis on efficiency as well as on quality in its research. To do this research properly, but also to apply it intelligently, we need first to build into our community health professions educators from regions where there are shortages. We also need to work collaboratively with them because the underproduction of health workers in high-income countries exacerbates the shortages in low-income countries. Local health professions educators must take the lead in identifying the most salient issues, the questions to ask and the solutions that will work in their own contexts. Given answers, they will need to be both the agents of change and those who implement it.


이러한 커뮤니티를 구축한 후, 우리는 환자 결과와 인구의 건강에 대한 교육 방법론의 품질과 효율성을 적극적으로 판단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이를 위한 실질적인 장벽이 있지만, 의미 있는 중간 결과의 원천으로 현재 시행 중인 품질 보증 메커니즘(라이센스, 인증 또는 IIME에 의해 만들어진 것과 유사한 평가 프로세스)을 사용하는 것은 확실히 실현 가능하다.

Having built these communities, we will need to aggressively judge the quality and efficiency of educational methodologies against patient outcomes and the health of populations. There are significant practical barriers against doing so, but it is certainly feasible to use the quality assurance mechanisms currently in place (licensure, certification or an assessment process akin to that created by the IIME) as a source of meaningful intermediate outcomes.


교육 연구 및 인증

Educational research and accreditation


Flexner의 영향력 있는 보고서는 의학 교육에 대한 과학적 접근 방식을 도입했지만, 모든 의사가 유사하고 유사한 지식, 기술 및 역량 표준을 달성할 것이라는 대중의 신뢰도도 증가시켰다.1 이는 [지역 또는 국제 인증]의 방법으로 국제 표준을 달성하는 [궁극적인 목적]이 학생, 의료 위원회, 고용주 및 일반 사회를 포함한 이해 관계자들에게 교육의 질과 졸업생들의 역량을 보증하는 것이기 때문에 고려해야 한다.24 [자원이 부족한 환경의 의과대학]은 국제인가의 동일한 목적을 달성하고 3류로 간주되지 않기를 원한다.25

Flexner’s influential report introduced scientific approaches to medical education, but it also increased public confidence that all doctors would attain similar and comparable standards of knowledge, skills and competencies.1 This is important to consider because the ultimate purpose of achieving international standards, by way of regional or international accreditation, or indeed self-evaluation, is to assure stakeholders, including students, medical councils, employers and the general community, of the quality of training and the competence of graduates.24 Medical schools in resource-poor settings want to achieve the same end of international accreditation and not to be considered third-rate.25


인증 기관이 사용하는 일부 표준은 매우 지시적이다. 이러한 처방은 자원 집약적이며 의료 시스템의 변화 또는 환자의 요구에 혁신하고 적응하는 의대의 능력을 제한한다. 또한 이러한 표준은 교육적 효과를 나타내는 데이터에 반드시 기반을 두고 있는 것은 아니다.우리가 다음 세기로 넘어가면서, 그러한 기준을 가진 기관들은 그들 각각이 학생 성과와 관련된 연구에 의해 지지받도록 할 필요가 있다. 이는 특히 역량 증가가 필수적인 저소득 국가에서 중요하다. 

Some of the standards used by accrediting bodies are very prescriptive. These prescriptions are resource-intensive and they limit the ability of medical schools to innovate and adapt to changes in the health care system or the needs of patients. Further, these standards are not necessarily based on data that speak of educational effectiveness.As we move into the next century, bodies with such standards need to ensure that each of them is supported by research tied to student outcomes. This is especially important in low-income countries where increases in capacity are essential. 


지시적 표준에 기초한 인증 프로세스와 대조적으로, WFME 품질 개선을 위한 글로벌 표준 및 그와 같은 다른 표준 세트(예: 미국과 호주에서 사용되는 표준)는 광범위한 범주의 내용, 프로세스, 교육 환경 및 의학 교육의 성과와 관련이 있다.2 이것은 의과대학이 인구의 건강 요구에 적응하는 것을 허용한다. 이러한 인증 프로세스의 초점은 각각의 기준을 만족시키는 것이 아닙니다. 각 기준을 만족하는 데는 여러 가지 다른 경로가 있기 때문입니다.

By contrast with the accrediting processes based on prescriptive standards, the WFME Global Standards for Quality Improvement and other sets of standards like it (e.g. standards used in the USA and Australia) are concerned with broad categories of content, process, educational environment and outcomes of medical education.2 This permits medical schools to adapt to the health needs of the population. The focus of these accrediting processes is not the individual standards, as there are several different routes to satisfying each of them.







. 2011 Jan;45(1):81-6.
 doi: 10.1111/j.1365-2923.2010.03738.x.

Increasing the quality and capacity of education: the challenge for the 21st century

Affiliations 

Affiliation

  • 1Foundation for Advancement of International Medical Education and Research, Philadelphia, Pennsylvania 19083, USA. jnorcini@faimer.org

Abstract

Context: Abraham Flexner's 1910 report to the Carnegie Foundation was a successful attempt to improve the quality of health care by reforming the education of health care providers. It was accompanied by a significant reduction in the number of medical schools and an increase in the quality of those schools that remained. Although the report's focus on quality was laudable and appropriate to the times, we now face a significant shortage and maldistribution of health care workers, particularly in countries with the highest burden of disease. Hence, we see the challenges for the 21st century to involve increasing both capacity and quality.

Discussion: In our view, these two goals can be achieved through three research-driven educational reforms. Firstly, many educational methodologies are retained based on tradition and new methods are adopted based on fashion. Educational research must become the basis for educational practice. Secondly, educational methodology is often focused on improving quality and does not consider resource utilisation, which reduces its relevance and utility. Educational research must focus on quality and efficiency. Thirdly, one form of educational quality control is provided by accreditation processes. Some of these processes are so prescriptive that they are a barrier to improvement and for none is there evidence of effectiveness. Accreditation processes should be based on data about what is effective and efficient.

Conclusions: Just as Flexner argued for a scientific basis in the practice of medicine, we argue for a scientific basis in the practice of education. In our view, this is the way to meet the challenges of the 21st century.

종합에서 해석까지: 어떻게 평가자가 역량기반포트폴리오의 복잡한 데이터를 판단하는가(Adv in Health Sci Educ, 2017)

From aggregation to interpretation: how assessors judge complex data in a competency-based portfolio

Andrea Oudkerk Pool1 • Marjan J. B. Govaerts1 • Debbie A. D. C. Jaarsma2 • Erik W. Driessen1





서론 Introduction


역량 기반 평가의 증가로 포트폴리오가 평가 시스템의 핵심 요소로 인식되고 있습니다. 형식과 내용이 다를 수 있지만, 일반적으로는 포트폴리오는 수행된 작업에 대한 보고, 동료 및 교수진으로부터 받은 피드백, 진행 상황, 역량 향상 방법에 대한 목표 및 계획을 모두 포함하고 있습니다(Driessen et al. 2007).

With the rise of competency-based assessment, portfolios are increasingly seen as the linchpin of assessment systems. Although their format and content may differ, generally they all contain reporting on work done, feedback received from peers and faculty, progress made, and goals and plans on how to further improve competence (Driessen et al. 2007).


세계적으로 여러 의과대학은 학생의 성취도 평가에 포트폴리오가 핵심인 역량 기반 평가 시스템을 구현했다(Dannefer와 Henson 2007; Davis et al. 2001; Driessen 2016; Smith et al. 2003). 이러한 포트폴리오 기반 평가 시스템에서 학생들의 역량 수준에 관한 결정은 일반적으로 전문가의 판단에 의존한다. 전문 심사관은 포트폴리오에서 관련 증거를 선택, 해석 및 통합할 수 있으며, 결과적으로 학생의 역량에 대한 타당한 결정을 내릴 수 있다고 가정한다.

Worldwide, multiple medical schools have implemented competency-based assessment systems in which the portfolio is key to the assessment of students’ achievements (Dannefer and Henson 2007; Davis et al. 2001; Driessen 2016; Smith et al. 2003). In these portfolio-based assessment systems, decisions regarding the students’ level of competence typically rely on expert judgment. It is assumed that expert judges are able to select, interpret, and integrate relevant evidence in the portfolio, and consequently make a valid decision about a student’s competence.


더욱이 최근 훈련 중 평가에 관한 연구는 [교수진이 미래의 임상의에서 중요한 자질로 보는 것]과 [역량 기반 평가에서 정의된 역할] 사이의 불일치를 보여주었다(Ginsburg et al. 2011; Resenting et al. 2016; Rosenbluth et al. 2014). 학생들의 임상 역량 수준을 평가하도록 요청받았을 때, 교수진은 레지던트에 따라 특정 측면에 다양한 중요도를 부여했다. 즉, 뛰어난 학생의 단점은 무시될 수 있는 반면 약한 학생들의 강한 속성은 간과할 수 있었다(긴스버그 외. 2010). 게다가, 평가자에게 중요한 일부 구조는 고려할 역량조차 아니었다. 예를 들어, 평가자는 학생이 감독관에게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에 큰 중요성을 부여했습니다('직원에 미치는 영향').

Moreover, recent studies on in-training evaluations revealed a discrepancy between what faculty see as important qualities in a future clinician, and the roles defined within competency-based assessment (Ginsburg et al. 2011; Renting et al. 2016; Rosenbluth et al. 2014). When asked to assess students’ level of clinical competence, faculty assigned varying degrees of importance to certain aspects depending on the resident: shortcomings of exceptional students could be discounted while strong attributes of weaker students were overlooked (Ginsburg et al. 2010). Besides, some constructs that were of importance in the considerations of assessors were not even competencies at all. For example, assessors attached great importance to how the student affected the supervisor (coined ‘impact on staff’).


효과적인 교육에 대한 [공통된 비전]을 가지고 있고 많은 [동일한 증거]를 인용하는 평가자도 [상당히 다른 '이야기' 또는 수행에 대한 해석적인 요약]을 개발할 수 있다(슈츠와 모스 2004).

even assessors who hold a shared vision of effective teaching and who cite much the same evidence can, nonetheless, develop significantly different ‘stories’ or interpretive summaries of performance (Schutz and Moss 2004).


방법론 Methodology


세팅 Setting


이 연구는 네덜란드 마스트리히트 대학의 의학 석사 프로그램에서 정해졌다. MiM 커리큘럼은 의학 학사 이후 3년 동안 계속됩니다. 그것은 임상실습, 연구 프로젝트, 그리고 일렉티브로 구성되어 있다. 커리큘럼은 CanMEDs 프레임워크를 중요한 평가 프레임워크로 사용하여 역량 기반 교육과 평가의 원칙에 따라 설계되었다(Frank와 Danoff 2007). 역량 기반 평가는 학생들이 각 역량 영역에서 학습 및 개발 증거를 수집하고 반성하는 웹 기반 포트폴리오 시스템에 의해 지원된다(Moonen-van Loon et al., 2013). 모든 학생들에게는 자신의 평가와 성찰, 학습 목표 설정 등을 지도함으로써 학생의 역량 개발을 감시하는 멘토가 배정된다. 멘토와 학생은 1년에 3~4번 만나며, 그 동안 멘토는 역량 개발 및 포트폴리오에 대해 학생들과 논의합니다.

The research was set in the Master’s in Medicine (MiM) programof Maastricht University, the Netherlands. The MiM curriculum spans a 3-year period following the bachelor’s in Medicine. It consists of clerkships, a research project, and electives. The curriculum has been designed according to the principles of competency-based education and assessment, using the CanMEDS framework as overarching assessment framework (Frank and Danoff 2007). Competency-based assessment is supported by a web-based portfolio system in which students collect and reflect on evidence of their learning and development in each of the competency domains (Moonen-van Loon et al. 2013). Every student is assigned a mentor who monitors the student’s competency development by guiding the student in his or her self-assessments and reflections, and in setting learning goals. Mentor and student meet three to four times per year, during which the mentor discusses the competency development and portfolio with the student.


참여자 Participants


우리는 의도적으로 최대 변동 샘플링(Patton 1990)을 사용하여 18명의 멘토-평가자를 선택했습니다. 평가자의 의료 배경의 변화를 극대화하기 위해 다양한 의료 전문 분야(가족 의료 및 외과 및 비외과 전문 분야)에서 

We purposefully selected 18 mentor-assessors using maximum variation sampling (Patton 1990). To maximize variation in assessors’ medical backgrounds, we selected assessors from different medical specialties (Family Medicine and surgical as well as non-surgical specialties).


학생 포트폴리오 Student portfolio


본 연구의 목적을 위해, 연구팀은 (심리학자, 두 명의 교육학자, 그리고 한 명의 수의사로 구성된) 3개의 서로 다른 학생 프로필을 대표하는 3개의 모의 포트폴리오를 개발했으며, 각각은 다양한 수준의 역량 성취도를 반영했다. 이전 연구에서 평가자가 비의료 전문가 역량을 평가하는 데 어려움이 있다는 것을 보여주었기 때문에, 학생 프로파일에서 우리는 [의료 전문가 역량]과 [다른 역량]을 구별하기로 결정했다(Whitehead et al. 2015).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the research team (consisting of a psychologist, two educationalists and a veterinarian) developed three mock portfolios representing three different student profiles, each reflecting varying levels of competency achievement. In our student profiles we chose to make a distinction between de medical expert competency and other competencies because previous research has shown that assessors have difficulty assessing the non-medical expert competencies (Whitehead et al. 2015).


    • 포트폴리오 (A) 의료 전문가 영역에서는 주로 긍정적인 피드백, 관리자와 의사소통 영역에서는 비판적 피드백과 긍정적인 피드백, 

    • 포트폴리오 (B) 의료 전문가 분야에서 비판적인 긍정적인 피드백, 그러나 다른 역량에 대한 긍정적인 피드백, 그리고 

    • 포트폴리오(C)는 모든 도메인에서 주로 긍정적인 피드백입니다.

    • portfolio (A) predominantly positive feedback in the medical expert domain, but both critical and positive feedback in the domains of manager and communicator; 

    • portfolio (B) both critical and positive feedback in the domain of medical expert, but predominantly positive feedback on the other competencies; and 

    • portfolio (C) predominantly positive feedback in all domains.


포트폴리오에는 학생의 자체 평가, 작업장 기반 평가(mini-CEX, DOPS, 현장 노트, 다중 소스 피드백), 진행 시험 결과, CV 등을 포함한 [18주 기간의 임상 로테이션] 동안 수집된 학생의 역량에 대한 증거가 포함되어 있었다. 각 포트폴리오에는 서술적 피드백, 역량 등급 및 자격(즉, 불충분, 충분 및 양호)과 개별 CanMED 역량과 관련된 테스트 결과가 포함되었습니다. 그림 1은 본 연구에 사용된 온라인 포트폴리오 환경의 인쇄 화면을 제공합니다.

The portfolios contained evidence on a student’s competencies collected during a single 18-week clinical rotation, including student’s self-assessments, workplace-based assessments (mini-CEXs, DOPSs, field notes, multi-source feedback), progress test results, and a curriculum vitae. Each portfolio comprised narrative feedback, competency ratings and qualifications (i.e., insufficient, sufficient, and good) as well as test results pertaining to each of the individual CanMEDS competencies. Figure 1 provides a print screen of the online portfolio environment used for this study.



윤리 Ethical approval


자료 수집과 분석 Data collection and analysis


24명의 멘토 평가자를 이메일로 초대하여 참여 전에 동의를 받았습니다. 18명의 평가자들이 우리의 초대에 응했다. 각 평가자는 세 가지 포트폴리오 버전 중 하나를 제시받았고, 따라서 각 포트폴리오 버전은 여섯 명의 평가자에 의해 평가되었다.

We invited 24 mentor–assessors via e-mail to participate and obtained their consent prior to participation. Eighteen assessors responded to our invitation. Each assessor was presented one of the three portfolio versions, each portfolio version was therefore assessed by six assessors.


평가자들은 이 내용을 주의 깊게 읽고 '부족하다', '충분하다', 또는 '좋다'고 평가함으로써 학생의 전반적인 직업적 역량에 대한 전체적인 판단을 내리도록 지시받았다.

Assessors were instructed to carefully read it and provide a holistic judgment of the student’s overall professional competence by rating it as ‘insufficient,’ ‘sufficient,’ or ‘good.’


포트폴리오 평가 중 평가자의 인지 처리를 포착하기 위해, 우리는 think-aloud 방식(Van Someren et al., 1994)을 사용했는데, 이는 우리가 평가자들에게 포트폴리오를 읽고 평가하는 동안 모든 생각, 아이디어 및 결정을 언어화하도록 지시했다는 것을 의미한다. 만약 그들이 몇 초 이상 침묵한다면, 우리는 그들에게 그들의 생각을 계속 말하라고 상기시켰다.

To capture assessors’ cognitive processing during portfolio evaluation, we employed the think-aloud method (Van Someren et al. 1994), which means that we instructed assessors to verbalize all their thoughts, ideas, and decisions while reading and evaluating the portfolio. If they fell silent for more than a few seconds, we reminded them to keep verbalizing their thoughts.


결과 Results


평가자의 정보 처리과정: 3단계 순환적 프로세스 

Assessors’ information processing: a 3-phase cyclical process


정보 처리에서 모든 평가자는 각각 정보를 [획득, 조직, 통합]하는 유사한 순환 패턴을 따랐다. 

    • 첫 번째 단계에서 평가자는 가장 중요하고 신뢰할 수 있는 근거 중 판단의 근거가 되는 것으로 간주되는 정보를 선택하였다. 

    • 이 정보를 검토한 후, 그들은 그것이 학생들의 [역량의 여러 측면aspects]에 대한 [정보에 근거한 판단]에 기여하는지 여부와 그 방법을 정의했다. 

    • 평가자들은 그 후에 다양한 증거의 출처를 따져보고 학생의 능력에 대한 예비판단을 결정했다.

In processing information, all assessors followed a similar cyclical pattern of acquiring, organizing, and integrating information, respectively. 

    • During the first phase, assessors selected the information they considered the most important and credible pieces of evidence upon which to base their judgment. 

    • After reviewing this information, they defined if and how it contributed to an informed judgment about aspects of student’s competence. 

    • Assessors subsequently weighed the various sources of evidence and decided on a (preliminary) judgment of the student’s competence.


첫 번째 라운드가 끝나자, 평가자는 나머지 포트폴리오 증거를 검토하여 추가 확인 또는 확인되지 않은 데이터를 찾아 정보 획득 단계를 반복했고, 이는 다시 정보의 조직과 통합에 영향을 미쳤다. 이 반복적인 과정은 평가자가 학생의 능력에 대한 판단을 내릴 수 있을 만큼 충분한 정보를 얻었다고 느낄 때까지 평가자가 새로운 포트폴리오 증거를 검토할 때마다 반복되었다. 여러 출처의 다른 증거들을 비교함으로써, 평가자들은 점차적으로 학생의 역량 패턴을 인식하게 되었다.

Upon conclusion of the first round, assessors reviewed the remaining portfolio evidence to look for additional confirming or disconfirming data thereby repeating the information acquisition phase which, in turn, influenced the organization and integration of information. This iterative process was repeated every time the assessor reviewed new portfolio evidence, until assessors felt they had obtained enough information to make a judgment about the student’s competence. By comparing different pieces of evidence from multiple sources, assessors gradually came to recognize patterns in the student’s competence.


더욱이 중요한 발견은 다음과 같은 명백한 증거에 직면했을 때조차 [평가자가 초기 판단을 고수하는 경향]이 있다는 것이다. 비록 그들의 최종 판단이 그들의 예비판단에 비해 더 정교하고 세밀했지만, 그들은 그들의 초기판단과 실질적으로 다르지 않았다. 학생 프로파일 간의 차이는 학생의 능력에 대한 평가 과정이나 평가자의 전반적인 판단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보였다. 대부분의 평가자들은 학생들의 능력이 충분하다고 평가했다.

A salient finding, moreover, was that assessors were inclined to stick to their initial judgments even when confronted with seemingly disconfirming evidence: Although their final judgments were, indeed, more elaborate and detailed compared to their preliminary judgments, they were not substantially different from their initial judgments. Differences between student profiles did not seem to affect the judgment process or assessors’ overall judgment of the student’s competence: Most assessors rated the students’ competence as sufficient.


학생 평가에 대한 평가자의 독특한 접근 방식

Assessors’ idiosyncratic approaches to the student evaluation


어떤 평가자는 최종 판단을 내리기 전에 전체 포트폴리오를 읽지만, 다른 평가자는 주로 자신의 판단에 inform하기 위해 학생의 자체 평가 또는 직장 기반 평가 데이터에 의존했고, 대체로 추가적인 포트폴리오 증거를 무시했다.

While some assessors read the entire portfolio before providing their final judgment, others mainly relied on either the student’s self-evaluation or workplace-based assessment data to inform their judgment, largely ignoring additional portfolio evidence.


다음 단락에서는 이 세 가지 평가자 간 차이에 대해 좀 더 자세히 논의한다.

The following paragraphs will discuss each of these three inter-assessor differences in more detail.


평가자가 신뢰할 수 있는 포트폴리오 증거라고 믿었던 것의 차이

Differences in what assessors believed to be credible portfolio evidence


첫째, 평가자는 자신의 판단에 inform하기 위해 주로 서술적 피드백에 의존한다는 점을 주목해야 한다. 이는 다른 사람이 제공하는 개선사항에 대한 구체적인 제안뿐만 아니라 학생의 발전, 강점 및 약점에 대한 의미 있고 상세한 정보를 제공했기 때문이다. 성적과 자격은 단지 서술에 근거한 인상을 확인하는 데 사용되었다.

First it should be noted that assessors mainly relied on narrative feedback to inform their judgment, because this provided meaningful and detailed information about the student’s development, strengths and weaknesses, as well as specific suggestions for improvement as provided by others. Grades and qualifications were merely used to confirm impressions based on narratives.


이러한 공통성에도 불구하고, 평가자들은 [어떤 종류의 서술적 증거가 학생의 능력에 대한 가장 가치 있고 신뢰할 수 있는 정보를 제공하는지]에 대해서는 다양한 신념을 가지고 있었다.

Despite this commonality, assessors had varying assessment beliefs about what kind of narrative evidence gave the most valuable and credible information about the student’s competence.


예를 들어 평가자들은 평가를 시작하기 위해 서술적 증거의 여러 부분들을 선택하였다. 일부 평가자들은 직장 기반 평가에 대한 서술적 코멘트가 학생들의 능력에 대한 가장 확실한 증거를 생성한다고 믿고 있다. 그러나, 다른 이들은 학생들의 자기 평가와 성찰적인 글을 읽기 시작했는데, 이는 그들이 결과적으로 학생들의 주장이 정당한지 확인하기 위해 읽은 중요한 피드백 논평과 평가 양식에 대한 언급을 포함할 것이라고 가정했기 때문이다.

Assessors, for instance, chose different pieces of narrative evidence to start their evaluation: some selected narrative comments on workplace-based assessments, believing that these would generate the most authentic evidence of students’ abilities; Other, however, started reading the student’s self-evaluations and reflective writings as they assumed these would contain reference to salient feedback comments and assessment forms which they consequently read to check if the student’s claims were justifiable.


출처는 또한 증거의 신빙성을 결정하는 데 있어 중요한 것으로 보였다. 일부 평가자는 주로 의사로부터의 피드백에 의존했다. 왜냐하면 그들은 그들이 학생 역량에 대한 정확하고 의미 있는 피드백을 제공할 가능성이 가장 높기 때문이다. 반면, 다른 평가자는 동료 학생 및 간호사의 피드백을 선호했다. 다른 평가자는 학생들과 더 가깝게 일했고, 따라서 직접 관찰할 수 있는 더 많은 기회를 가졌을 것이다. 

The source also appeared to matter in deciding on the credibility of evidence: Some assessors mainly relied on feedback from physicians because they perceived them as content experts most likely to provide accurate and meaningful feedback on student competence; Others, in contrast, preferred feedback from fellow students and nurses who, they presumed, had worked more closely with students and therefore had more opportunities to directly observe them.


소스 선호도의 평가자 간 차이도 [평가자의 기준 프레임]과 [학생-감독관 관계에 미칠 영향]에서 비롯되었다. 예를 들어, 복수 평가자는 [학생이 서로 다른 시점에 동일한 사람으로부터 피드백을 받았을 때] 학생의 진도가 더 안정적으로 설정될 수 있다는 믿음을 표현했다.

Between-assessor differences in source preferences also stemmed from assessors’ frames of reference and the presumed impact of student-supervisor relationships. for instance, multiple assessors expressed their belief that student’s progress could be established more reliably when the student had received feedback from the same person at different points in time,


동시에, 다른 평가자는 여러 평가자의 입력input을 가치 있게 평가했으며, 이는 1인 피드백에 비해 더 신뢰할 수 있고 더 유용한 것으로 추정했다. 선호도를 설명할 때, 몇몇 평가자는 선택 편향에 대한 인식(즉, 학생들이 피드백을 제공하기 위해 의도적으로 더 관대한 평가자를 선택)과 충돌을 피하기 위해 부정적인 의견을 적기를 꺼리는 피드백 제공자를 유발했다.

At the same time, other assessors did value the input from multiple assessors, which they estimated to be more reliable and more informative compared to single-person feedback. In explaining their preferences, several assessors invoked perceptions of selection bias (i.e., students purposively selecting more lenient assessors to provide feedback) and feedback providers’ reluctance to write down negative comments so as to avoid conflicts:


마지막으로, 포트폴리오의 평가 데이터는 또한 감독의 퀄리티애 대한 다양한 인상을 유도했다. 예를 들어, 감독자가 상세한 서면 피드백을 제공하지 못했을 때, 여러 평가자는 감독자가 필수 코멘트를 적었으며 구두로 보다 정교한 피드백을 제공했다고 가정했다. 그러나 다른 사람들은 그 학생이 관찰되지 않았다고 믿었고 따라서 감독관 평가의 신뢰성에 의문을 제기했습니다.

Finally, the assessment data in the portfolio also induced different impressions about the quality of supervision. When a supervisor, for instance, failed to provide detailed written feedback, several assessors assumed that the supervisor had probably written down the essential comments and had provided more elaborate feedback verbally. Others, however, believed that the student had gone unobserved and therefore questioned the credibility of the supervisors’ assessments.


무엇이 '역량'을 구성하는지에 대한 해석의 차이

Differences in interpretations of what constitutes ‘competence’


무엇이 역량을 구성하는지에 대한 이러한 가변적 해석의 결과로, 평가자들은 판단을 내리기 위해 학생에 대해 무엇을 알아야 하는지에 대해 다르게 생각했다. 흥미롭게도, 이러한 소위 '성과 이론'은 공식적인 평가 기준에서 벗어나는 경향이 있었다.

As a result of these variable interpretations of what constitutes competence, assessors thought differently about what they needed to know about the student to be able to form a judgment. Interestingly, these so-called ‘performance theories’ tended to deviate from the formal assessment criteria.


한 평가자 그룹은 학생들의 역량을 [그들이 자신의 학습 과정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역량 향상을 위한 피드백을 효과적으로 사용하는 정도]로 정의했다. 좀 더 구체적으로, 그들은 [학습과 평가에 대한 적극적인 참여]를 좋은 학생의 핵심적 자질이라고 생각했다. 따라서, 성장을 확립하기 위해, 그들은 종종 포트폴리오 증거를 시간 순으로 읽어서 임상 로테이션 초기에 잘 진행되지 않았던 측면이 시간이 지남에 따라 개선되었는지 여부를 점검한다. 비슷하게, 그들은 학생이 개선이 필요한 모든 측면을 추적했는지 확인하기 위해 작업영역 기반 평가와 피드백을 선별했다. 그들은 또한 학생들이 학습 목표와 약속에 대해 후속 조치를 취하는 것이 필수적이라고 생각했기 때문에 학생들의 자기 평가와 학습 목표를 포함했다. 이 평가자 그룹에 따르면, [학생이 시간이 지남에 따라 충분히 향상되고 적극적으로 개선하려고 노력했다는 충분한 증거]가 있는 한, 학생의 역량이 반드시 표준에 달해야 하는 것은 아니다.

One group of assessors defined students’ competence in terms of the extent to which they actively engaged in their own learning process and effectively used feedback for competence improvement. More specifically, they considered active engagement in learning and assessment a key quality of a good student. Hence, to establish growth, they often read the portfolio evidence in chronological order to check if aspects that did not go well in the beginning of the clinical rotation had improved over time. In the same fashion, they screened the workplace-based assessments and feedback to verify whether the student had followed-up on all the aspects that needed to improve. In their perusal, they also included the student’s self-assessment and learning goals as they felt that it was vital to know if students did follow up on learning goals and appointments. According to this group of assessors, the student’s competence did not necessarily have to be up to standard as long as there was enough evidence that the student had sufficiently improved over time and actively tried to improve:


다른 평가자들은 [스스로의 역량을 성찰하는 능력]에 의해 학생들의 능력 수준을 측정했다. 결과적으로, 그들은 학생이 하나 이상의 영역에서 자신의 역량을 인식하지 못하는 경우라면 절대 안 된다는 점을 고려하여 학생의 자기반성을 검토하는 것으로 시작했다.

Other assessors measured students’ level of competence by their ability to reflect on their own competencies. Consequently, they started by reviewing the student’s self-reflections, considering it a no–no when a student was not aware of his or her competence in one or more areas:


'역량'에 대한 평가자의 해석 사이에 발견된 최종 차이는 포트폴리오의 다양한 CanMED 역량 영역에 가중치를 부여하고 평가하는 방식에 반영되었다. 포트폴리오 버전에 관계없이 대부분의 평가자는 구체적으로 '의료 전문가', '관리자' 및 '의사소통가' 역량을 대상으로 하여 나머지 역량을 검사했지만, 어떤 평가자들은 모든 범위의 역량에 초점을 맞추려고 했다. 후자와 같은 방식은 잘 정의되지 않은 역량(예: 건강 옹호자 또는 학자)에 대한 귀중한 피드백을 수집하는 것이 학생들에게 상당히 어려운 과제이기 때문에 학생 간에 차별화를 가능하게 했다. 따라서, '잘 정의되지 않는 역량'에 대한 과제를 수행할 수 있고, 이러한 증거를 성찰하는 학생들은 평균 이상이며 학습에 열심인 것으로 간주되었습니다.

A final distinction we found between assessors’ interpretations of ‘competence’ was reflected in the way they weighted and valued the various CanMEDS competency domains in the portfolio. While most assessors, regardless of portfolio version, specifically targeted ‘medical expert’, ‘manager’, and ‘communicator’ competencies and scanned the remaining competencies, others sought to bring into focus the full range of competencies. This latter tactic allowed them to differentiate between students, as collecting valuable feedback on the less well defined competencies (e.g., health advocate or scholar) is quite a challenge for students. Hence, students who were able to do so and reflected on this evidence were considered to be above average and eager to learn:


평가자가 포트폴리오 증거를 해석하는 방법의 차이

Differences in how assessors construed the portfolio evidence


전체 판단 과정 동안 평가자는 포트폴리오에 포함된 [증거에 자신의 의미를 부여]하여 학생의 능력과 태도에 대한 서로 다른 추론을 유도했다. 좀 더 구체적으로 말하면, 동일한 정보 부분에 기초하여 평가자들은 다른 결론을 도출했다. 예를 들어 학생들의 역량 및 성취에 대한 책임에 관한 것이다. 특정 학생의 직장 기반 평가에 대한 '불충분함insufficient' 등급에 대하여, [한 평가자가 지식의 부족으로 해석]한 반면, [다른 평가자는 그것을 불안정insecurity]으로 돌렸다. 반대로, 일부에서는 평가자와 감독자의 경험에서, 서면 평가는 일반적으로 평가를 후하게 하는 측면에 있다는 것을 배웠기 때문에, 장기간에 걸쳐 '충분함sufficient' 등급을 받은 학생은 '저조한 수행능력'을 가진 것으로 해석되었다.

Throughout the entire judgment process assessors lent their own meanings to the evidence included in the portfolio, leading to different inferences about the student’s competence and attitude. More specifically, based on the same pieces of information assessors drew different conclusions, for instance about students’ responsibility for their competence and achievement: An insufficient rating on a workplace-based assessment of a specific student, was construed by one assessor as the result of a lack of knowledge, while another attributed it to insecurity. Conversely, sufficient ratings over a prolonged period of time were construed as underperformance by some, since they had learned from experience as an assessor and supervisor that written assessments were generally on the positive side be as supervisors eschew failing a student:


그리고 나서 나는 그 '부족함'이라는 판단을 내리는 것이 얼마나 어려운 일인지 깨닫는다. 평가자는 학생에 대한 영향력을 누그러뜨리려는 경향이 있고, 그래서 1점이나 2점을 주는 것은 매우 어려우므로, 보통 3을 준다. 그리고 그것이 내가 누군가가 3점밖에 얻지 못할 때 조심하는 이유이다. 사실, 그 세 가지는 3점 대신 1점부터 3점까지를 의미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평가자 12)

And then I realize how hard it is to deliver that emphatic ‘insufficient.’ You are inclined to soften the blow for that person and then it is very difficult to give a one1 or a two, so you give a three. And that is why I am cautious when someone only scores threes. Really, because those threes could also be taken to mean a score of one to three, instead of a three. (Assessor 12)


그러나 다른 평가자들은 학생에 대한 약간의 배경 정보가 없이는 포트폴리오의 평가 피드백에 대한 정확한 해석을 할 수 없다고 느꼈다. 이 평가자들은 또한 학생들의 과외 활동, 관심사, 취미에도 관심이 있었다. 학생의 배경에 대해 좀 더 알기 위한 노력으로 일부 평가자는 실제로 학생의 CV를 읽으면서 포트폴리오 검토를 시작했습니다.

Yet other assessors felt they could not make an accurate interpretation of the assessment feedback in the portfolio without having some background information about the student. These assessors were also interested in the student’s extracurricular activities, interests, and hobbies. In an effort to know more about the student’s background, some assessors actually commenced their portfolio review by reading the student’s curriculum vitae:


위에 명명된 성과 데이터의 다른 해석은 학생의 수행능력에 대한 다양한 추론을 초래했고 역량 프레임워크의 특정 요소에 대해서도 서로 동등하지만, 서로 다른 판단으로 이어졌다.

The above-named different interpretations of performance data led to varying inferences about a student’s performance and to equally dissimilar judgments about specific components in the competency framework.


예를 들어, 포트폴리오 A를 읽을 때, 평가자 1은 '의료 전문가' 역할에 큰 중요성을 부여했고, 따라서 구체적으로 이 역량에 대한 모든 포트폴리오 증거를 찾아보았다. 결과적으로, 이 평가자는 이 역량에 대한 가장 신뢰할 수 있는 정보는 의사로부터 얻었으며 직장 기반 평가에서 찾을 수 있다고 믿었다. 결국, 평가자는 학생이 의료 전문가 영역에서 능력이 부족하기 때문에 학생의 역량이 문제가 된다고 추론했다.

When reading portfolio A, for instance, assessor 1 attached great importance to the ‘medical expert’ role and therefore specifically looked for all portfolio evidence about this competency. Consequently, this assessor believed that the most reliable information about this competence came from doctors and could be found in the workplace-based assessments. In the end, the assessor inferred that the student’s competence was problematic since the student lacked competence in the medical expert domain.


그러나 동일한 포트폴리오를 읽은 평가자 2는 학생의 발전progress 상황을 파악하는 데 더 관심이 있었습니다. 이 평가자는 다중 소스 피드백의 코멘트를 읽음으로써 자신이 그렇게 할 수 있을 것이라고 믿었는데, 이 피드백은 장기간에 걸쳐 학생의 능력에 대한 여러 사람의 의견을 포함하기 때문이다. 학생이 의료 전문가 역량에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는 점은 인정했지만, 평가자는 학생이 임상 교대 중에 상당히 개선되었기 때문에 우려를 갖지 않았다.

Assessor 2, however, who read the same portfolio, was more interested in determining the student’s progress. This assessor believed that by reading the comments in the multisource feedback he would be able to do so, because this feedback contained opinions of multiple people about the student’s competence over a longer period of time. Although acknowledging that the student should pay attention to the medical expert competency, the assessor was not concerned because the student had improved considerably during the clinical rotation.


고찰 Discussion


우리의 연구 결과는 평가자의 정보 처리는 정보의 획득, 구성 및 통합의 반복적인 단계에 의해 특징지어진다는 것을 시사한다. 평가자 인식에 대한 이전 연구에서도 유사한 단계가 발견되었습니다(Gauthier et al. 2016). 비록 모든 평가자들이 그들의 신뢰도 판단, 수행 이론 및 추론의 차이에서 증명되었듯이, 평가자들은 각자의 고유한 접근법을 가지고 있었지만, 그들은 결국 동일한 전반적인 판단에 도달했다. 이 결과는 Gingerich 등의 연구(2014년)와 일치한다. 평가자는 판단에 대해 다른 원인 설명을 제공했지만, 유사한 판단을 내리고 있었다.

Our findings suggest that assessors’ information processing is characterized by iterative phases of acquiring, organizing and integrating information. Previous research on rater cognition has found similar phases (Gauthier et al. 2016). Although all assessors had their unique approaches, as evidenced by differences in their credibility judgments, performance theories, and inferences, they eventually reached the same overall judgments. This finding is consistent with research by Gingerich et al. (2014) : While raters provided differentcausal explanations for their judgment, subgroups of raters were making similar judgments.


우리는 또한 평가자의 증거 선택과 이 증거가 그들의 판단에 영향을 미치는 정도는 포트폴리오 증거의 신뢰성에 대한 믿음에 의해 강하게 지배된다는 것을 발견했다.

We also found that assessors’ selection of evidence and the extent to which they let this evidence influence their judgment were strongly governed by their beliefs about the credibility of the portfolio evidence.


피드백에 직면했을 때, 학생들은 [자신의 성장에 inform하는 데 어떤 정보를 사용할지 결정]하기 위해 피드백의 신뢰성을 판단했습니다. 평가자와 마찬가지로, (학생에게도) 피드백의 출처는 신뢰도 판단에 중요한 역할을 했다. 예를 들어, 학생들이 개인의 임상적 역량을 존중할 때, 그들은 피드백을 더 쉽게 받아들일 것이다.

When confronted with feedback, students judged the credibility of this feedback in order to decide which information they would use to inform their development. As with the assessors, the source of feedback played an important role in their credibility judgment. When students, for example, respected the individual for his or her clinical competence, they would more readily accept the feedback.


Watling 외 연구진(2012)과 현재의 연구는 모두 정보의 신뢰성을 평가할 수 있으려면 피드백 소스를 아는 것이 필수적이라는 것을 입증한다.

both research by Watling et al. (2012) and the present research demonstrate that it is vital to know the feedback source in order to be able to assess the information’s credibility.


우리의 연구 결과는 또한 평가자들이 [정보에 입각한 결정]을 내리기 위해 [학생에 대해 알아야 할 것에 대한 믿음]을 가이드하는 [서로 다른 수행 이론]을 가지고 있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이전 연구를 확인하면서, 본 연구의 평가자들은 포트폴리오 구조를 제공하는 역량 프레임워크의 외부적인 측면(예: 학생 진행 및 자기반성과 같은)에 근거하여 판단했습니다.

Our findings also revealed that assessors held different performance theories which guided their beliefs about what they needed to know about a student to be able to make a well-informed decision. Confirming previous research , the assessors in our study also based their judgments on aspects (such as student progress and self-reflections) that were external to the competency framework providing the portfolio structure.


직접적인 관찰에 기초한 판단은 본질적으로 자동적 의사결정 과정을 포함한다. 사람 분류와 관련된 자동 의사결정 프로세스는 변환 오류와 역량 간의 차이를 평가할 수 없는 평가자로 이어질 수 있다는 것이 입증되었다(Kolars et al. 2003; Macrae and Bodenhausen 2000). 또한 자동 의사 결정에는 최적의 솔루션은 아니지만, 만족스러운 솔루션을 찾는 프로세스를 가속화하기 위해 사용되는, [경험적 접근 기술]의 사용이 포함된다. 유사한 의사결정 문제가 종종 더 일찍 직면하는 경우, 의사결정자들은 쉽게 의사결정에 도달하기 위해 쉽게 이용할 수 있는 전략을 사용하는 경향이 있다(Tversky와 Kaneman 1975). 

Judgments based on direct observations inherently involve automatic decision-making processes. It has been demonstrated that automatic decision-making processes involving the categorization of people could lead to conversion errors and assessors’ inability to differentiate between competencies (Kolars et al. 2003; Macrae and Bodenhausen 2000). Furthermore, automatic decision-making involves the use of heuristic techniques used to speed up the process of finding a satisfactory, though possibly not optimal, solution. If similar decision-making problems have often been faced earlier, decision makers tend to use readily available strategies to arrive at a decision more easily (Tversky and Kahneman 1975). 


우리의 연구에서, 휴리스틱 사용을 포함한 다양한 자동적 과정들이 평가자들의 의사 결정에도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처럼 보였다. 예를 들어 평가자는 자동으로 특정 피드백 소스를 선호한다. 또한 그들의 추론은 이전의 경험에 의해 형성되었다. 평가자는 유사한 학생에 대한 이전의 경험에 기초하여 포트폴리오 증거에 인과적 설명을 자동으로 할당했다. 비록 이러한 자동적 의사결정 과정이 판단 과정에 영향을 주었고, 평가자의 평가 이면에 있는 추론의 차이를 야기시켰지만, 평가자들은 학생들의 역량을 평가하는 데 아무런 어려움을 겪지 않았다더욱이, 그들의 최종적인 전반적인 평가는, 자동적인 의사결정 과정에서의 차이에도 불구하고, 조화를 이루었다.

In our study, various automatic processes including use of heuristics seemed to play a role in assessors’ decision-making as well. Assessors, for example, automatically favoured particular feedback sources. Furthermore, their inferences were shaped by previous experiences: Assessors automatically assigned causal explanations to portfolio evidence based on earlier experiences with similar students. Although these automatic decision-making processes influenced the judgment process and caused differences in assessors’ reasoning behind their evaluations, assessors experienced no difficulty assessing the students’ competence. What’s more, their final overall assessments were in harmony, despite the differences caused by automatic decision-making processes.


본 연구는 포트폴리오의 자기 평가 및 반성적 작성을 포함한 다양한 유형의 작업장 기반 평가 및 성과 평가 옆에 평가자에게 의미 있고 중요한 정보를 추가한다고 제안합니다. 분명히, 자기 평가와 성찰적 글은 평가자에게 직장 기반 평가에서 추론할 수 없는 정보를 제공한다. 우리 연구의 또 다른 중요한 기여는 평가자는 [학생의 배경에 대한 보다 일반적인 정보를 얻고 해석함으로써] 평가를 맥락화할 필요가 있다고 느낀다는 점이다.

our study suggests that, next to various types of workplace-based assessments and performance evaluations, including self-assessments and reflective writing in the portfolio adds information that is meaningful and important to assessors. Apparently, self-assessments and reflective writings provide assessors with information that cannot be inferred from workplace-based assessments. Another important contribution of our study is the observation that assessors feel need to contextualize the assessment by obtaining and interpreting more general information about the student’s background.


한계 Limitations


다음으로, think-aloud 절차는 다양한 사고 과정이 자동적이거나 너무 빨리 일어나 언어화할 시간이 없기 때문에 언어화할 수 없다는 한계가 있다(2003년 헌장). 비록 참가자들의 언어화가 일관되고 완벽해 보이지만, 우리가 모든 사고 과정을 포착하지 못했을 수도 있다는 점을 고려해야 한다. 더욱이, think-aloud를 사용하는 것은 참가자가 실제 사고과정을 보고하기 보다는 연구자를 만족시키기 위해 설명을 작성할 위험이 있다. 그러나, 우리는 think-aloud 절차 외에도, 참가자들에게 왜 그들이 특별한 결정을 내렸는지에 대한 질문을 받는 반구조적인 인터뷰도 실시했습니다. 또한, 참가자의 의사결정의 중요한 공통적인 측면이 포착됨을 나타내는 12명의 참가자 후에 이론적 포화에 도달했다.

Next, the think-aloud procedure inherently harbours a limitation in that various thought processes cannot be verbalized because they are either automatic or happen so quickly that there is no time to verbalize them (Charters 2003). Although the participants’ verbalizations seem coherent and complete, it should be taken into account that we might have not captured all thought processes. Furthermore, using think-aloud procedures has the risk of participants creating explanations to satisfy the researcher rather than reporting their actual thought processes. However, in addition to the think-aloud procedure, we also conducted semi-structured interviews in which participants were asked about the reasons why they made particular decisions. Also, theoretical saturation was reached after 12 participants indicating that important common aspects of participants’ decision-making are captured.


실질적 함의 Practical implications


이 연구는 학생들의 역량에 대해서 평가자가 자신의 판단을 설명하는 것이 중요함을 재차 강조한다. 평가자의 설명explanation 에서 확인된 차이는, (역량에 대한) 의사결정이 개별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라, 그룹 토론에서 비롯되어야 한다는 것을 시사한다. 복수 평가자가 학생의 역량에 대해 동일한 일반적인 판단에 도달할 수 있지만, [개별 역량에 대한 판단]과 [전체적인 판단 이면에 있는 추론]에 있어 다르다.

This study reiterates the importance of assessors explaining their judgments about students’ competence. Differences between assessors’ explanations suggest that decisions should not be made individually, but should result fromgroup discussions. Although multiple assessors may reach the same general judgment about a student’s competence, they do differ in their judgments of individual competencies and the reasoning behind their overall judgments.


또한, [다른 평가자의 판단 정책을 논의하는 것]은 평가자가 [자신의 평가 방법이 보편적으로 공유되지 않는다는 사실]을 인식하게 할 것이다. 그것은 그들이 역량과 포트폴리오 해석의 다른 관점에 익숙해지도록 도울 것이다. 이를 통해 평가자는 자신의 평가 프로세스에 다른 평가자의 평가 관행을 통합하고 역량 평가를 위한 '공유된 정신 모델'을 구축할 수 있다.

Also, discussing judgment policies of other assessors will make assessors aware of the fact that their method of assessment is not universally shared. It will help them to become acquainted with other views of competence and portfolio interpretation. This enables assessors to incorporate assessment practices of other assessors into their own assessment process, and to build ‘shared mental models’ for competence assessment.


우리의 연구 결과는 평가자 교육에 시사하는 바가 있음을 시사한다. 평가자 훈련은 자신의 신념, 수행 이론 및 추론에 대한 평가자의 인식을 높이는 데 초점을 맞춰야 한다. 만약 그들이 그들 자신의 의사 결정 과정에 대한 더 많은 통찰력을 얻고 다른 평가자들의 의견을 알게 된다면, 그들의 의사 결정은 개선될 수 있다. 또한, 훈련은 Hauer 등(2016)이 설명한 의사결정 과정에 대한 그룹 구성원 구성 및 그룹 프로세스의 영향에 초점을 맞춰야 한다.

Our findings suggest implications for assessor training. Assessor training should focus on raising assessors’ awareness of their own beliefs, performance theories, and inferences. If they gain more insight into their own decision-making process and get acquainted with those of other assessors their decision making may improve. Furthermore, training should focus on the effect of group member composition and group processes on the decision making processes as described by Hauer et al. (2016).


더욱이, 평가자는 포트폴리오 증거의 선택과 사용에 대해 서로 다른 접근방식을 가지므로, 포트폴리오가 포트폴리오 증거를 통해 선택selection과 항해navigation를 촉진하는 방식으로 설계되는 것이 중요하다. 캡션도 중요하다. 왜냐하면 역량 피드백이 학생에게 제공된 컨텍스트를 요약하기 때문이다(Van Tartwijk and Driessen 2009). 맥락은 평가자가 증거를 해석하고 판단하기 위해 증거를 사용할지 여부와 방법을 결정하는 데 도움이 된다.

Furthermore, since assessors have different approaches to the selection and use of portfolio evidence, it is important that portfolios be designed in such a way that they facilitate the selection of and navigation through the portfolio evidence. Captions are important as well, for they summarize the context in which the competency feedback was provided to the student (Van Tartwijk and Driessen 2009), helping assessors interpret the evidence and decide if and how they want to use it for their judgment.


결론 Conclusion


평가자는 포트폴리오 증거만으로 판단을 내릴 수 있었다. 비록 그들은 같은 전반적인 판단에 도달했지만, 그들은 증거를 처리하는 방식과 그들의 판단 이면에 있는 추론에 있어서 차이를 보였다. 평가자의 다른 평가 신념, 수행 이론 및 일치된 행동을 하는 추론에서 차이가 발생한다. 이러한 결과는 포트폴리오가 그들의 판단을 철저히 입증해야 하는 복수의 평가자에 의해 판단되어야 한다는 개념을 뒷받침한다. 또한 평가자는 자신의 의사 결정 과정과 그룹 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통찰력을 제공하는 교육을 받아야 한다.

Assessors were able to form a judgment based on the portfolio evidence alone. Although they reached the same overall judgments, they differed in the way they processed the evidence and in the reasoning behind their judgments. Differences sprung from assessors’ divergent assessment beliefs, performance theories, and inferences acting in concert. These findings support the notion that portfolios should be judged by multiple assessors who should, moreover, thoroughly substantiate their judgments. Also, assessors should receive training that provides insight into factors influencing their own decision making process and group decisions.






. 2018 May;23(2):275-287.
 doi: 10.1007/s10459-017-9793-y. Epub 2017 Oct 14.

From aggregation to interpretation: how assessors judge complex data in a competency-based portfolio

Affiliations 

Affiliations

  • 1Department of Educational Development and Research, Maastricht University, Universiteitssingel 60, 6229 ER, Maastricht, The Netherlands. a.oudkerkpool@maastrichtuniversity.nl.
  • 2Department of Educational Development and Research, Maastricht University, Universiteitssingel 60, 6229 ER, Maastricht, The Netherlands.
  • 3Center for Education Development and Research in Health Professions (CEDAR), Faculty of Medical Sciences, University Medical Center Groningen, University of Groningen, Groningen, The Netherlands.
Free PMC article

Abstract

While portfolios are increasingly used to assess competence, the validity of such portfolio-based assessments has hitherto remained unconfirmed. The purpose of the present research is therefore to further our understanding of how assessors form judgments when interpreting the complex data included in a competency-based portfolio. Eighteen assessors appraised one of three competency-based mock portfolios while thinking aloud, before taking part in semi-structured interviews. A thematic analysis of the think-aloud protocols and interviews revealed that assessors reached judgments through a 3-phase cyclical cognitive process of acquiring, organizing, and integrating evidence. Upon conclusion of the first cycle, assessors reviewed the remaining portfolio evidence to look for confirming or disconfirming evidence. Assessors were inclined to stick to their initial judgments even when confronted with seemingly disconfirming evidence. Although assessors reached similar final (pass-fail) judgments of students' professional competence, they differed in their information-processing approaches and the reasoning behind their judgments. Differences sprung from assessors' divergent assessment beliefs, performance theories, and inferences about the student. Assessment beliefs refer to assessors' opinions about what kind of evidence gives the most valuable and trustworthy information about the student's competence, whereas assessors' performance theories concern their conceptualizations of what constitutes professional competence and competent performance. Even when using the same pieces of information, assessors furthermore differed with respect to inferences about the student as a person as well as a (future) professional. Our findings support the notion that assessors' reasoning in judgment and decision-making varies and is guided by their mental models of performance assessment, potentially impacting feedback and the credibility of decisions. Our findings also lend further credence to the assertion that portfolios should be judged by multiple assessors who should, moreover, thoroughly substantiate their judgments. Finally, it is suggested that portfolios be designed in such a way that they facilitate the selection of and navigation through the portfolio evidence.

Keywords: Assessment; Competency-based medical education; Information processing; Portfolio; Rater cognition; Think-aloud method; Undergraduate medical education.


임상술기 교육의 팁(BMC Med Educ, 2020)

Tips for teaching procedural skills

Annette Burgess1,2*, Christie van Diggele2,3, Chris Roberts1,2 and Craig Mellis4




배경 Background

건강 전문가들은 광범위한 임상 기술을 능숙하게 수행할 수 있는 능력을 가지고 있어야 한다. 여기에는 일반적으로 병력청취, 신체검사, 절차능력 등이 포함된다. 일부 절차적 기술은 특정 분야에 한정되어 있지만, 안전한 환자 진료를 보장하려면 기술 수행의 역량이 필요하다. 올바른 손 씻기 기술, 위관 삽입, 식인, 소생, 목발의 올바른 사용, 병상 난독증 평가, 침대 대 의자 이동, 걸음걸이 분석 등이 그 예다. 

Health professionals must have the ability to perform a wide range of clinical skills competently. These generally include history taking, physical examination, and procedural skills. While some procedural skills are specific to particular disciplines, competency in the performance of skills is required to ensure the delivery of safe patient care. Examples include correct hand washing technique, gastric tube insertion, cannulation, resuscitation, correct use of crutches, bedside dysphagia assessment, bed-to-chair transfer, and gait analysis. 


연습 기간을 넘어 학습되고 유지되는 기술은 다양한 임상 환경에서 회수되고 능숙하게 수행될 수 있다[1]. 보건 전문가들은 정기적으로 이러한 임상 기술을 동료, 주니어 직원 및 학생들에게 가르쳐야 한다. 그러나, 스킬 교육의 효과성은 불확실하며, 주니어 보건 전문가들이 실제 기술을 가르치는 능력에 지나치게 자신하고 있다는 것을 암시하는 증거가 있다[2]. 이 논문은 비복잡한 절차적 스킬에 초점을 맞추어 스킬을 배우는 방법, 스킬 성과 향상 방법, 역량 결정, 효과적인 피드백 제공 등을 탐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A skill that is learned and retained beyond the period of practice, can be recalled and competently performed in a variety of clinical settings [1]. Health professionals are regularly required to teach these clinical skills to their peers, junior staff, and students. However, the effectiveness of skills teaching is uncertain, and there is evidence suggesting junior health professionals are overconfident in their ability to teach practical skills [2]. With a focus on non-complex procedural skills, this paper aims to explore how skills are learned; ways to improve skills performance; determining competency; and the provision of effective feedback.


기술은 어떻게 배우는가?

How are skills learned?


20세기 후반에, 많은 모터 학습 이론가들은 심리학 기술을 가르치는 데 필요한 단계를 상정했다[3,4,5,6]. 이 연구를 바탕으로, 연구자들은 그 이후 교육 및 학습 절차적 기술을 위한 모터 학습 모델을 제안하였다[7, 8]. 문헌을 가르치는 대부분의 기술에 공통적으로, 기술은 간단하든 복잡하든 간에 순서가 정립되고 단계적인 교수 접근법을 따르는 것으로 가장 잘 학습된다는 것이다. 

In the last half of the twentieth century, many motor learning theorists posited the required steps to teach a psychomotor skill [3,4,5,6]. Building on this work, researchers have since proposed motor learning models for teaching and learning procedural skills [7, 8]. Common to most skills teaching literature is that skills are best learned by following a sequenced and stepped approach to teaching – whether a simple or complex task. 


그러나 의료에 필요한 대다수의 기술은 복잡하여 7개 이상의 기술 요소[9]가 필요하며, 가르치고, 배우고, 유지하기 어렵다. 조지 및 도토의 5단계 모델을 사용하여 간단한 치과 기술을 가르칠 때, 초보자는 한 번의 시도 끝에 이 과제를 수행할 수 있었다고 보고되었다[10]. 마찬가지로 페이튼의 [7] 4단계 모델을 사용하여 봉합을 배울 때 의대생들의 간단한 기술 습득이 강화되었다고 보고되었다 [11]. 그러나 복잡한 과제를 가르칠 때 4단계와 5단계 모델은 스킬 획득과 유지를 지원하는 제한된 효용성을 가질 수 있다. 

However, the majority of skills required in healthcare are complex, requiring more than seven skill elements [9], and are difficult to teach, learn and retain. It has been reported that when using George and Doto’s (2001) five-step model to teach a simple dental skill, novices were able to perform the task after one attempt [10]. Similarly it has been reported that use of Peyton's [7] four-step model enhanced medical students' aquisition of simple skills when learning suturing [11]. When teaching complex tasks, however, the four- and five- step models may have limited utility to assist skill acquisition and retention. 


예를 들어, 일부 연구는 시뮬레이션 수동 제세동[12], 후두 마스크 기도 삽입[13], 시뮬레이션 위관 삽입[14]과 같은 복잡한 기술을 가르치는 2단계, 4단계 또는 5단계 접근방식을 사용할 때 학습 성과에 차이가 없다고 보고했다. 니콜스 외 연구진(2016년)은 현대 모터 학습에 대한 리뷰에서 다부분의 사이코모터 기술을 가르치기 위한 통합적 교육 모델을 제안하여 임상 실습에 필요한 복잡한 기술을 가르치기 위한 보다 효과적인 접근법을 제공한다. 저자들은 복잡한 psychomotor 기술을 가르치는 데 필요한 교육 단계를 제공했다[9].

For example, some studies have reported no difference in learning outcomes when using a two step, four step or five step approach to teaching complex skills, such as simulated manual defibrillation [12], laryngeal mask airway insertion [13], and simulated gastric tub insertion [14]. Nicholls et al. (2016), in their review of contemporary motor learning, suggest an integrated instructional model to teach multi-part psychomotor skills provides a more effective approach to teaching complex skills required for clinical practice. The authors have provided the educational steps required to teach complex psychomotor skills [9].


교수 기술에 사용되는 방법은 강의 내용에 사용되는 방법과 다르다. 프레임워크, 관찰 및 피드백을 활용한 절차적 기술 가르침과 반복적인 연습 기회 제공 [7, 8, 15, 16] 환자 이력을 챙기기, 신체검사 수행, 데이터 합성 및 제시와 같은 임상 기술은 다중 인지 및 심리운동 기술이 필요하다. 이와 같이 임상기술은 보여주는 것이 말로 설명하는 것보다 쉽다. 한 번 기술이 정기적으로 수행되면 전문가로서 무의식적으로 수행되는 것이 어려움 중 하나이다. 결과적으로, 다른 사람들에게 그 과정을 명확하게 전달하기 위한 구조적 단계로 분해하기가 쉽지 않다[2]. 

The method used for teaching skills differs from that for teaching content. Teaching of procedural skills utilising frameworks, observation and feedback, with opportunities for repeated practice assists in the learner's acquisition and retention of skills [7, 8, 15, 16]. Clinical skills, such as taking a patient history, performing a physical examination, synthesising and presenting data, require multiple cognitive and psychomotor skills. As such, clinical skills are more readily demonstrated than described. One of the difficulties is that once a skill is performed regularly – as an expert – it is performed subconsciously. As a result, it is not easy to break it down into structural steps to clearly communicate the process to others [2]. 


시뮬레이션 환자, 마네킹, 동영상, 가상 현실, 컴퓨터 사용 등 기술을 가르치는 방법은 다양하다. 강의에서 절차적 기술 실험실을 사용하면 환자에게 이러한 절차를 수행하기 전에 안전한 연습을 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이를 통해 학습자는 환자에게 시술하기 전에 연습하고, 즉각적인 피드백을 받고, 자신의 역량과 자신감을 더욱 높일 수 있다. 소생술과 같은 일부 기술은 기술 실습실에서 가르칠 수 있지만, 학생들은 일반적으로 임상 환경에서 안전한 절차를 수행하는 연습을 해야 할 것이다. 일반적으로 스킬은:

There are many ways to teach a skill, including the use of simulated patients, manikins, videos, virtual reality and computers. The use of procedural skills labs in teaching provides opportunities for safe practice before performing these procedures on patients. This gives learners the opportunity for practice, to receive immediate feedback, and to further refine their competence and confidence - before undertaking the procedure on a patient. Although some skills, such as resuscitation, can be taught in skills labs, students will generally need to practise carrying out safe procedures in the clinical setting. Generally, a skill:


    • 타고나는 것이 아니라 배운 것이다.

    • 명확한 단계로 나눌 수 있다.

    • 개선을 위해 연습이 필요하다.

    • 측정할 수 있는, 특정한 목표나 결과를 가지고 있다.


    • is learned, and not innate

    • is able to be broken into explicit steps

    • requires practice in order to improve

    • has a specific goal or outcome, that is measurable


기술을 배우는 것은 단순히 기술을 손으로 수행하는 것 이상의 것을 포함한다. 절차에 대한 지식(예: 왜 그것이 수행되고 있는지, 어떻게 그리고 무엇이 잠재적 위험인지)과 의사소통 기술을 포함한 다른 고려사항들이 있다. 스킬에 competent하다는 것은 세 가지 주요 요소인 지식, 의사소통 및 성능[2, 17]을 포함한다. 그림 1과 같이.

Learning a skill involves more than just performing the skill manually. There are other considerations, including knowledge of the procedure (such as why it is being done, how, and what are potential risks) and communication skills. Becoming competent in a skill involves three main components: knowledge, communication and performance [2, 17], as displayed in Fig. 1.


그림 1. 스킬 역량의 세 가지 주요 구성요소 [2, 17]

Fig. 1 The three main components of skill competency [2, 17]


임상 기술을 가르치기 위한 팁

Tips for teaching clinical skills


기술을 가르칠 때는 손씻기와 같은 가장 기본적인 단계라도 포함시켜야 한다. 어떤 가정도 해서는 안 되며, 모든 세부사항을 보여줄 필요가 있다. 임상 기술을 가르치기 위한 몇 가지 팁은 [7] 아래에 열거되어 있다.

When teaching a skill, even the most basic of steps should be included, such as handwashing. No assumptions should be made, and every detail needs to be demonstrated. Some tips for teaching clinical skills are listed below [7]:


    • 기초 사항 포함(예: 손씻기)

    • 데모: 학습자가 볼 수 있도록 명확한 데모 제공

    • 이론과 실천의 통합: 학습자는 임상적 추론을 촉진하는 행동의 이면에 있는 증거를 볼 수 있다.

    • 스킬/프로세스를 단계별로 세분화: 학습자가 이미 알고 있는 내용을 파악하고 그 단계부터 진행

    • 협동적 문제 해결 사용: 학습자가 함께 해결 방법을 찾을 수 있도록 허용

    • 피드백 제공: 적절한 환경에서 명확하고 건설적인 피드백 제공


    • Include the fundamentals: for example, handwashing

    • Demonstration: provide clear demonstrations for learners to see

    • Integrate theory with practice: learners can see the evidence behind the action, which promotes clinical reasoning

    • Break skills/procedures down into steps: find out what the learners already know, and proceed from there

    • Use collaborative problem solving: allow learners to work together towards a solution

    • Provide feedback: that is clear and constructive, in an appropriate environment


구조 단계로서의 기술

Skills as structural steps


필요한 것을 정확히 보여주고 전달하기 위해 다른 사람들을 가르칠 때 기술은 작고 별개의 단계로 세분되어야 한다. 많은 모델이 있지만 유용하고 잘 연구된 방법은 표 1에 표시된 페이튼의 4단계 접근법[7]으로 임상 환경에서 교육에 성공적으로 적용할 수 있다. Krautter 외 연구진(2011년)의 통제된 실험 결과, 페이튼의 4단계 접근방식을 사용하여 기술 기술을 가르치는 것이 표준 교육보다 우수하며, 전문성, 의사소통 및 기술의 더 빠른 수행이라는 분야에서 혜택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14].

Skills need to be broken down into small, discrete steps when teaching others in order to demonstrate and communicate exactly what is required. Although there are many models, a useful, well researched method is Peyton’s four step approach [7], displayed in Table 1, which can successfully be applied to teaching in the clinical setting. A controlled trial by Krautter et al. (2011) found that using Peyton’s four step approach to teach a technical skill was superior to standard instruction, with benefits in the areas of professionalism, communication and faster performance of the skill [14].


표 1 스킬 티칭에 대한 페이튼의 4단계 접근법[7]

Table 1 Peyton’s four step approach to skills teaching [7]



즉각적인 피드백 제공

Provision of immediate feedback


절차적 기술의 습득은 작업의 수행과 피드백에 의존한다[2]. 반복은 물론, 페이튼의 4단계 접근법은 학습자가 스스로 스킬 수행을 시도하기 전에 처음부터 끝까지 실시간으로 스킬이 수행되고 강사에 의해 반복되는 모습을 볼 수 있도록 한다. 이를 통해 학습의 강화와 오류를 수정하고 피드백을 제공할 수 있는 기회를 확보할 수 있다. 즉각적인 피드백과 오류 수정은 기술이 잘못 수행되고 연습되고 장기 기억장치에 저장되고 회수되고 잘못 수행되는 위험을 방지한다 [1, 18]. 학습자의 성과에 대한 건설적인 피드백을 제공하는 것은 스킬 획득의 필수적인 부분이다. Salmoni와 동료(1984)는 과도한 구두 정보 없이 학습자가 스킬의 각 요소에 집중하면서 연습할 수 있도록 스킬이 끝날 때까지 피드백을 보류해야 한다고 제안한다[19]. 학습자가 개선이 필요한 영역을 올바르게 연습할 수 있도록 즉시 피드백을 제공해야 한다. 또한 학습자에게는 스킬 세션이 끝날 때 질문을 할 수 있는 기회가 제공되어야 한다. 그림 2에 표시된 펜들턴의 피드백 모델[20]과 같은 참가자 주도 방법은 학습자가 자신의 수행능력을 먼저 반영하도록 하는 데 유용하다.

The acquisition of procedural skills is reliant on task practice and feedback [2]. As well as repetition, Peyton’s four-step approach allows learners to see the skill being performed in real time, from beginning to end, and repeated by the instructor, before attempting performance of the skill themselves. This allows for the reinforcement of learning and opportunities to correct any errors and provide feedback. Immediate feedback and error correction avoids the risk of the skill being performed and practiced incorrectly, stored in long term memory, recalled and performed incorrectly [1, 18]. Provision of constructive feedback on the learners’ performance is an essential part of skills acquisition. Salmoni and colleagues (1984) suggest that feedback should be withheld until the conclusion of the skill to allow the learner to practice while focussing on each element of the skill, without excessive verbal information [19]. Feedback should be given immediately in order for the learner to correctly practice areas requiring improvement. The learner should also be provided with opportunities to ask questions at the end of the skill session. A participant-driven method, such as Pendleton’s feedback model [20], displayed in Fig. 2, is useful to ensure the learner reflects first on their own performance.


그림 2 피드백 모델(펜들턴 외, 1984) [20]

Fig. 2 Feedback Model (adapted from Pendleton et al, 1984) [20]



스킬 티칭에서 학습자를 교육할 때, Peyton의 4단계 접근법[7]에 이어 동료 및 교사 피드백을 모델링할 수 있다. 예를 들어, 3-5명의 학습자로 구성된 소규모 그룹에서 각 학습자는 페이튼의 4단계 접근법을 사용하여 다른 학습자에게 기술을 가르친다. 각 학습자는 또한 펜들턴의 피드백 모델을 사용하여 자신의 교육에 대한 피드백을 동료에게 제공하는 책임을 진다. 동료교육활동(기술 지도 및 피드백 제공)은 채점 가이드를 사용하여 촉진자에 의해 형성적으로 평가될 수 있다. 단, 기술을 가르치는 데 사용될 수 있는 다른 모델이 있을 뿐만 아니라, 기술 교육에 적용할 수 있는 피드백 모델도 많이 있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여기에는 침상 교습에 유용하게 적용할 수 있는 실버맨의 SET-GO, ALOBA [21] 방법과 같은 모델이 포함된다. 편안하고 익숙한 사용법을 찾는 것이 중요하다.

When training learners in skills teaching, Peyton’s four-step approach method [7], followed by provision of peer and teacher feedback can be modelled. For example, in small groups of three to five learners, each learner teaches a skill to another learner, using Peyton’s four-step approach. Each learner also takes responsibility for providing feedback to a peer on their teaching, using Pendleton’s feedback model. The activity (teaching a skill and providing feedback) may be formatively assessed by the facilitator using marking guides. However, it should be noted that as well as there being different models that may be used to teach a skill, there are also many models of feedback that can be applied to skills teaching. These include models such as Silverman’s SET-GO and ALOBA [21] methods, which can be usefully applied to bedside teaching. It is important to find suitable methods that you are comfortable and familiar with using.


역량개발

Development of competency


학습자는 기술에서 유능해지기 전에 일련의 단계를 거친다(그림 3) [22]. 기술 습득에는 4단계가 있다: 

1) 무의식적으로 무능하고, 

2) 의식적으로 무능하고, 

3) 의식적으로 유능하고, 

4) 무의식적으로 유능하다. 

Learners move through a series of stages before becoming competent at a skill (see Fig. 3) [22]. There are four levels in skill acquisition: 

1) Unconsciously incompetent, 

2) Consciously incompetent, 

3) Consciously competent, 

4) Unconsciously competent. 


이러한 단계를 감상하려면 일상적인 기술 습득, 예를 들어 자동차 운전을 배운 방법에 대해 성찰하는 것이 유용하다. 초보자들은 처음에는 '의심 없이 무능하다'(충분히 운전을 하는 데 필요한 지식과 기술을 알지 못함)로 시작하여 역량의 단계를 거치게 된다(충분히 자동차를 운전하는 지식과 기술을 가질 때까지). 그러나, 또다시 '의심할 수 없을 정도로 무능력한' 상태가 될 수 있는 장기적 잠재력이 있다(예를 들어, 운전 능력을 과대평가하거나 새로운 권고사항이나 도로규칙에 대해 최신 상태를 유지하지 않는 것).

To appreciate these stages it is useful to reflect on acquisition of an everyday skill, for example, on how you learnt to drive a car. Novices will start initially as being ‘unconsciously incompetent’ (not aware of the knowledge and skills needed to competently drive), moving through the stages of competence (until they have the knowledge and skills to competently drive a car). However, there is the long-term potential of again becoming ‘unconsciously incompetent’ (for example, over-estimating their driving ability, and/or not staying up to date on new recommendations or road rules).


그림 3 역량 개발 (페이튼, 1998년 채택) [22]

Fig. 3 Development of Competency (adapted from Peyton, 1998) [22]



역량 결정

Determining competency


떤 사람이 역량있는지 아는 것은 평가하기 어려울 수 있다. 일반적으로 학습자는 절차나 기술을 혼자서 수행하거나 감독 없이 수행할 수 있으면 역량이 있다고 간주된다. 역량은 때때로 학습자가 절차를 수행한 횟수(예: 기관지경)를 단순히 기록하거나 공식적인 관찰 평가를 완료한 후에 결정된다. 각 스킬은 역량 결정에 다른 접근방식을 요구할 수 있다[23]. 누군가가 역량을 갖추었는지 확인하는 중요한 측면은...

Knowing when someone is competent can be difficult to assess. Learners are generally deemed competent once they can perform the procedure or skill alone, or without supervision. Competence is sometimes determined simply by noting the number of times the learner has performed the procedure (for example, bronchoscopy), or after completing a formal, observed assessment. Each skill may require a different approach to determining competence [23]. The important aspects of ensuring someone is competent are [23]:


    • 결과를 설정하고 알아본다.

    • 기대치를 설정하고 알아본다.

    • 스킬 수행에 대한 여러 관찰을 한다.

    • 일반적인 오류를 찾는다.

    • Setting and knowing the outcomes

    • Setting and knowing expectations

    • Multiple observations of skill performance

    • Looking for common errors


밀러의 피라미드 [24]는 기술을 수행하는 학습자의 능력을 결정하는 유용한 계층구조를 제공한다(그림 4 참조). 피라미드의 하단은 지식(실제적으로 그리고 객관식 질문(MCQ)에 의해 평가됨)에 기초하여, '어떻게 하는지 알기'(임상적으로 그리고 객관적인 구조 임상 검사(OSCE) 또는 임상 긴 사례로 평가됨)로 이동하여, "직무에서" 수행함으로써 기술을 수행하는 방법을 입증한다. 임상의가 수행하는 대부분의 평가는 피라미드의 상위 단계에 기초하며 작업장에서 수행된다.

Miller’s pyramid [24] provides a useful hierarchy to determine a learner’s competency in performing a skill (see Fig. 4). The bottom of the pyramid is based on knowledge (taught didactically and assessed by multiple choice questions (MCQs)), moving to ‘knows how’ (taught clinically and assessed with Objective Structured Clinical Examinations (OSCEs) or clinical long cases), to demonstrating how to carry out the skill by “on the job” performance. Most assessments that clinicians undertake are based on the upper levels of the pyramid and are carried out in the workplace.


그림 4 임상 평가를 위한 프레임워크 (Miller, 1990년 채택) [24]

Fig. 4 Framework for clinical assessment (adapted from Miller, 1990) [24]


스킬 유지 및 성능 향상

Maintaining a skill and improving performance


기술은 의도적 연습을 통해 습득된다[15]. Nicholls와 동료 (2016)는 스킬 연습이 여러 가지, 간격, 짧은 기간 및 가변적인 작업에 의존하고 있으며, 학습자가 스킬 습득과 장기 보유를 촉진할 수 있는 연습 기회가 있다고 제안한다[9]. 자연적인 기술 쇠퇴를 피하기 위해서는 일단 습득한 기술을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것은 규칙적인 연습을 통해서만 달성할 수 있다. 에릭슨 & 차르네스(2004)에 따르면, 높은 수준의 기술을 획득한 사람들은 지속적으로 자신의 성과를 성찰하기 때문에 그렇게 한다[15]. 잘하지 못하는 분야에 집중해서 그 역량을 실천하는 경향이 있다. 이것은 의도적 연습으로 알려져 있으며 엘리트 스포츠맨과 음악가뿐만 아니라 임상 기술 훈련에도 큰 관련이 있다. 의도적 연습의 핵심 요소는 다음과 같다.

Skills are acquired through diligent practice [15]. Nicholls and colleagues (2016) suggest skill practice is reliant upon multiple, spaced, short duration, and variable tasks, with practice opportunities to promote skill acquisition and long-term retention by the learner [9]. In order to avoid natural skill decay, it is important for health professionals to maintain their skills once acquired. This can only be achieved through regular practice. According to Ericsson & Charness (2004), those that attain high skill levels do so because they continually reflect on their own performance [15]. They tend to focus on the areas in which they are not doing well and practice that competence. This is what is known as deliberate practice and is highly relevant for clinical skills training, as well as elite sportspersons and musicians. The key elements to deliberate practice are:


    • 잘 정의된 태스크

    • 연습 및 개선 기회

    • 반복하고 반영할 수 있는 기회

    • 관찰자의 정기적인 피드백

    • Well defined tasks

    • Opportunities to practice and improve

    • Opportunities to repeat and reflect

    • Regular feedback from an observer


절차적 기술을 가르칠 때 시뮬레이션의 사용

The use of simulation in teaching procedural skills


시뮬레이션 기반 의료 교육의 사용은 더 나은 환자 치료 및 향상된 환자 안전과 연관되어 있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25]. 직무 수행 빈도와 반복은 시뮬레이션된 임상 환경에서 실제 임상 환경으로의 기술 보유, 회수 및 전달성에 영향을 미친다 [1, 18]. 시뮬레이션은 환자 위해의 위험 없이 절차를 연습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며, 훈련과 평가 도구로서 널리 사용된다. 역량 기반 교육을 이용한 목표 지향적 학습은 성인 학습의 특징이다. 역량 기반 교육은 기술을 전수받은 모든 사람이 그 기술을 수행할 수 있다고 가정하기보다는 훈련의 기준을 강화한다. 

It is important to note that the use of simulation-based healthcare education has been associated with better patient care and improved patient safety [25]. The frequency and repetition with which a task is practiced impacts skill retention, recall, and transferability from the simulated to real clinical environment [1, 18]. Simulation offers the opportunity to practice procedures without any risk of patient harm, and is widely used as both a training and assessment tool. Goal-orientated learning using competency-based instruction, is a characteristic of adult learning. It reinforces a standard of training, rather than assuming that everyone who has been taught the skill can perform the skill. 


최근의 체계적 검토에서는 절차적 능력의 효과적인 가르침에서 시뮬레이션과 역량 기반 교수 패러다임의 사용에 대한 강력한 증거를 보여주었다[26]. 체계적 검토 결과, 절차적 능력 훈련을 성인 학습자의 요구에 맞추어 조정하는 데 가장 효과적인 접근방식은 [[반복적인 연습, 숙달 학습, 의도적 연습, 그리고 영상과 같은 시각적 보조 기구로 보완]하는 고품질 시뮬레이션]이라는 것이 밝혀졌다[26]. 소여 외 연구진(2016)은 준비, 스킬 습득 및 스킬 유지보수를 결합한 스킬을 가르치는 6단계 접근법을 개발했다. "학습, 보기, 연습, 증명, 도, 유지" [25]. 이 6단계 접근법은 성인 학습 이론을 사용하여 절차적 능력의 개발, 평가 및 유지보수의 필요성을 강화한다.

A recent systematic review showed strong evidence for the use of simulation and competency-based teaching paradigms in the effective teaching of procedural skills [26]. The systematic review found that the most effective approach in aligning procedural skills training with the needs of the adult learners is high-quality simulation that includes repetitive practice, mastery of learning, and deliberate practice, supplemented by visual aids, such as videos [26]. Sawyer et al. (2016) developed a six- step approach to teaching a skill that combines preparation, skill acquisition, and maintenance of the skill: “Learn, See, Practice, Prove, Do, Maintain” [25]. This six-step approach uses adult learning theory to reinforce the need for the development, assessment and maintenance of procedural skills:


1. 학습: 지식 습득

2. 보기: 프로시져 관찰

3. 연습: 시뮬레이션을 사용하여 신중한 연습

4. 입증: 역량 평가

5. 하기: 환자에게 시술은 학습자가 독립적으로 시술하도록 위임될 때까지 직접 감독하여 수행한다.

6. 유지: 지속적인 임상 실습, 시뮬레이션 기반 교육으로 보완.


1. Learn: knowledge acquisition

2. See: observation of the procedure

3. Practice: deliberate practice using simulation

4. Prove: competency is assessed

5. Do: the procedure is performed on a patient, with direct supervision until the learner is entrusted to perform the procedure independently

6. Maintain: continued clinical practice, supplemented by simulation-based training.


결론 

Conclusion


임상 및 절차적 기술에서의 역량 획득은 의료 훈련의 기본이다. 임상 환경에서는 다른 사람에게 기술을 가르쳐야 하는 요건이 있기 때문에 이를 가장 효과적으로 하는 방법을 배우는 것이 중요하다. 시뮬레이션은 환자 위해의 위험 없이 절차를 연습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며, 일반적으로 훈련과 평가 도구로 사용된다. 단계적 구조 접근법을 사용하는 것이 기술 습득과 유지를 가장 잘 안내한다는 것은 오래 전부터 주장되어 왔다. 페이튼의 4단계 접근법[7]과 같은 프레임워크는 기술의 가르침을 별개의 단계로 해체할 수 있는 유용한 모델이다. 피드백의 제공은 현재와 원하는 성능의 차이를 줄이는데 필수적이다. 일단 기술이 습득되면, 기술의 성과를 유지하고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신중한 연습이 중요하다.

Acquisition of competency in clinical and procedural skills is fundamental to healthcare training. In the clinical setting, there is a requirement to teach skills to others, so it is important to learn how to do this most effectively. Simulation offers the opportunity to practice procedures without any risk of patient harm, and is commonly used as both a training and assessment tool. It has long been posited that using a stepped structural approach best guides skills acquisition and retention. A framework, such as Peyton’s four-step approach [7], is a useful model to break the teaching of a skill into discrete steps. The provision of feedback is essential in reducing the gap between current and desired performance. Once skills are acquired, deliberate practice is important in maintaining and improving the performance of a skill.


테이크홈 메시지

Take home message


• 기술은 다른 사람을 가르칠 때 더 작은 단계로 세분되어야 하며, 예를 들어, 파이튼의 4단계는 유용한 접근법을 제공한다.

• 예를 들어, 펜들턴의 모델을 사용하는 건설적인 피드백의 제공은 기술 교육 과정의 필수적인 부분이다.

• 일단 스킬을 습득한 후에는 의도적 연습을 통해 스킬을 유지해야 한다.


• Skills need to be broken down into smaller steps when teaching others, and the use of frameworks, for example, Peyton’s four steps provide useful approaches.

• Provision of constructive feedback, for example, using Pendleton’s model is an integral part of the skills teaching process.

• Once skills are acquired, they must be maintained through deliberate practice.







Review
 
. 2020 Dec 3;20(Suppl 2):458.
 doi: 10.1186/s12909-020-02284-1.

Tips for teaching procedural skills

Affiliations 

Affiliations

  • 1The University of Sydney, Faculty of Medicine and Health, Sydney Medical School - Education Office, The University of Sydney, Edward Ford Building A27, Sydney, NSW, 2006, Australia. Annette.burgess@sydney.edu.au.
  • 2The University of Sydney, Faculty of Medicine and Health, Sydney Health Professional Education Research Network, The University of Sydney, Sydney, Australia. Annette.burgess@sydney.edu.au.
  • 3The University of Sydney, Faculty of Medicine and Health, Sydney Health Professional Education Research Network, The University of Sydney, Sydney, Australia.
  • 4The University of Sydney, Faculty of Medicine and Health, The University of Sydney, Sydney, Australia.
  • 5The University of Sydney, Faculty of Medicine and Health, Sydney Medical School - Education Office, The University of Sydney, Edward Ford Building A27, Sydney, NSW, 2006, Australia.
  • 6The University of Sydney, Faculty of Medicine and Health, Sydney Medical School, Central Clinical School, The University of Sydney, Sydney, Australia.
Free PMC article

Abstract

The teaching of procedural skills required for clinical practice remains an ongoing challenge in healthcare education. Health professionals must be competent to perform a wide range of clinical skills, and are also regularly required to teach these clinical skills to their peers, junior staff, and students. Teaching of procedural skills through the use of frameworks, observation and provision of feedback, with opportunities for repeated practice assists in the learners' acquisition and retention of skills. With a focus on the teaching of non-complex skills, this paper explores how skills are learned; ways to improve skill performance; determining competency; and the provision of effective feedback.

Keywords: Deliberate practice; Determining competency; Peyton’s four-step approach; Procedural skills teaching; Provision of feedback.


임상 교육의 주요 팁(BMC Med Educ, 2020)

Key tips for teaching in the clinical setting

Annette Burgess1,2*, Christie van Diggele2,3, Chris Roberts1,2 and Craig Mellis4




배경 Background

비록 시뮬레이션이 건강 전문 교육에 점점 더 많이 사용되고 있지만, 오랫동안 유지되어온 실제 환자들의 참여로 가르치는 전통은 여전히 귀중한 것으로 남아 있다. 침상 및 외래 환자와 같은 임상 환경 내의 가르침은 의료 교육의 핵심에 위치하여 임상 교육에 필수적인 요소를 제공한다. 이 튜토리얼은 학생들이 임상 환경의 문화와 사회적 측면에 적응하도록 하고, 연습을 준비하면서 학생들의 직업적 가치를 형성한다[1]. 이들은 학생들에게 임상 활동에 참여할 수 있는 의미 있는 기회, 의사소통 능력, 병력청취, 신체검사 능력 등을 연습하고 개발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그러나 임상 환경에서 학생들의 학습은 주로 그들에게 제공되는 정서적, 교육적, 조직적 지원에 의존한다 [2,3,4,5,6].

Although simulation is increasingly used in health professional education, the long-held tradition of teaching with the involvement of real patients, remains invaluable. Teaching within the clinical setting, such as bedside and out-patient clinic, lies at the heart of healthcare education, providing a vital component to clinical training. These tutorials orientate students to the culture and social aspects of the clinical environment, and shape students’ professional values as they prepare for practice [1]. They offer students meaningful opportunities to participate in clinical activities, practicing and developing their communication skills, history taking and physical examination competence. However, students’ learning in the clinical environment is largely dependent upon the affective, pedagogic and organisational support afforded to them [2,3,4,5,6].


참여가 사회화 과정을 수반하는 임상 환경에서 의료 커리큘럼 내에서는, 피어 및 니어-피어 튜터링이 특히 서포트의 원천source로서 잘 수용된다[3, 6]. 임상 과외는 자신의 건강 전문직과 조직의 기대되는 문화와 직업적 가치를 증명하는 사회화 요원socializing agents으로 활동한다. 즉, 피어투피어(Peer-to-Peer) 또는 임상의와 학생 사이에 있는 임상 지도교사들이 '숨겨진 커리큘럼'의 주요 구성요소를 보여준다[7]. 본 논문의 목적은 동료 및 근거리 동료 교육에 관련된 보건 전문 학생과 초기 직업 보건 전문가에게 임상 환경에서 가르치기 위한 접근법과 핵심 팁의 개요를 제공하는 것이다. 임상 환경에서는 학생들이 개발한 역량이 많지만, 우리의 가르침은 의학 지식, 대인관계 및 의사소통 능력, 전문성 분야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Peer and near peer tutoring are well accepted as sources of support within healthcare curricula, particularly in the clinical setting, where participation involves a process of socialisation [3, 6]. Clinical tutors act as socialising agents, demonstrating the expected culture and professional values of their respective health professions, and their organisation. That is, clinical tutors, whether peer-to-peer, or clinician to student, demonstrate key components of the ‘hidden curriculum’ [7]. The aim of this paper is to provide health professional students and early career health professionals involved in peer and near peer teaching, with an overview of approaches and key tips for teaching in the clinical setting. Although there are many competencies developed by students in the clinical setting, our tips for teaching focus on the domains of medical knowledge, interpersonal and communication skills, and professionalism.


환자와 함께 강의하기 위한 팁

Tips for teaching with patients


입원 및 외래 환자(사무실 기반)의 가르침은 임상 환경에서 기본적인 교육방법으로 남아 있으며, 임상 실습의 많은 측면을 가르치고 모델링할 수 있다[8]. 진단 과정과 환자 치료에서 전체적인 접근방식이 제공되며, 여기에는 이력서, 신체검사 기술 및 직업적 태도가 결합된다[8]. 일반적으로, 환자들은 가르치는 과정에 포함되는 것을 즐긴다. 기본적으로 환자와 함께 가르치는 것은 세 가지 핵심 학습 영역을 가르침과 통합할 수 있게 해준다 [9].

Bedside and out-patient (office-based) teaching remains a primary teaching modality in the clinical setting, where many aspects of clinical practice can be taught and modelled [8]. A holistic approach in the diagnostic process and patient care is provided in bedside teaching, where history taking, physical examination skills and professional attitude are combined [8]. As a general rule, patients enjoy being included in the teaching process. Essentially, teaching with patients permits three key learning domains to be integrated with teaching [9]:


1. 임상(지식과 기술)

2. 전문성(팀워크, 윤리적 고려)

3. 의사 소통(직원 및 환자와의 소통)

1. Clinical (knowledge and skills).

2. Professionalism (teamwork, ethical considerations).

3. Communication (with staff and patients).


의료계열 학생들은 특히 환자가 적대적이거나, 화가 나거나, 비협조적이거나, 무관심하거나, 지나치게 말이 많거나, 만성적인 고통을 경험하는 경우, 일부 환자들과의 상호작용이 어렵다challenging고 생각한다[10]. 환자와 함께 강의할 때 고려해야 할 중요한 사항은 다음과 같다.

Healthcare students find interactions with some patients to be challenging, particularly if the patient is hostile, angry, uncooperative, disinterested, overly talkative, or experiencing chronic pain [10]. When teaching with a patient there a number of important considerations:


  • 상호작용이 "핵심적 교육 순간"으로 통합되고, 교사들이 학생들의 의사소통 능력 향상을 도울 수 있는 기회[11]

  • 교육에 대한 환자의 참여와 환자 중심성 보장 [12]

  • 환자가 있든 없든 환자의 안락과 권리를 존중한다 [13, 14]

  • 항상 환자의 동의를 얻으십시오.

  • 명확한 커뮤니케이션을 통해 환자가 자신의 역할을 수행할 준비가 되어 있는지 확인하십시오.

  • 환자가 질문을 하고 피드백을 할 수 있도록 허용

  • 환자가 이해할 수 있는 적절한 언어 사용

  • 교육 세션에 대한 구체적 목적/목적을 가지고 있음

  • 학생의 과제와 시간을 파악하여 학생이 환자와 함께 보내는 시간 제한

  • 환자로부터 멀리 떨어진 학생에게 피드백(특히 부정적인 피드백) 제공

  • 그룹 앞에서 일부 환자 상태에 대해 논의하는 것은 적절하지 않을 수 있다는 점을 유념하십시오.


  • Incorporate interactions as “key teaching moments”, with opportunities for tutors to help students develop competence in communication skills [11]

  • Ensure patient involvement in education, and patient centredness [12]

  • Respect the comfort and rights of patients, whether in the presence of the patient, or otherwise [13, 14]

  • Always obtain the patient’s consent

  • Ensure the patient is prepared for their role through clear communication

  • Allow the patient to ask questions and give feedback

  • Use appropriate language that the patient can understand

  • Have a specific purpose/objective for the teaching session

  • Limit the time the student spends with the patient by identifying the tasks and timeframe for the student

  • Provide feedback (particularly negative feedback) to the student away from the patient

  • Be aware that it may not be appropriate to discuss some patient conditions in front of a group


임상 지도교사의 역할 중 일부는 의료 분야로의 사회화 과정을 촉진하여, 의료 분야에서 학생들의 현재와 미래의 역할과 관련된 정체성을 형성하는 것이다 [15,16,17,18,19,20]. 튜터들은 학생들의 학습을 육성하는 책임을 맡기고 학생들의 태도, 가치관, 전문적 역량 개발을 돕는다. 긍정적 역할 모델의 세 가지 핵심 특성은 다음을 포함한다.

Part of the role of clinical tutors is to facilitate the process of socialisation into the healthcare profession, creating a sense of identity relating to the students’ current and future roles in healthcare [15,16,17,18,19,20]. Tutors are entrusted with responsibilities to foster students’ learning, helping to develop students’ attitudes, values and professional competencies. Three core characteristics of a positive role model include [15,16,17,18,19,20]:


1. 임상 속성

2. 개인적 자질

3. 교수기술

1. Clinical attributes

2. Personal qualities

3. Teaching skills


환자에 대한 공감, 존중 및 연민을 포괄하는 인문학적 행동의 표시는 학생들에게 가장 중요하다. 임상 과외 교사의 바람직하지 않은 행동에는 튜터 중심의 환자 상호작용, 학생의 굴욕, 동료에 대한 부정적 발언이 포함된다[18, 24]. 표 1은 의료 전문 교육에서 확인된 롤모델로서의 임상 교사의 긍정적 및 부정적 속성을 요약한다[18, 27]. 

Displays of humanistic behaviours, encompassing empathy, respect and compassion for patients are of the utmost importance to students [16,17,18, 21,22,23,24,25,26]. Undesirable behaviours by clinical tutors include tutor-centred patient interactions; the humiliation of students; and negative remarks about colleagues [18, 24]. Table 1 summarises positive and negative attributes of clinical teachers as role models, identified within health professional education [18, 27]. 


표 1 역할 모델로서의 임상 교사의 긍정적 및 부정적 속성

Table 1 Positive and negative attributes of clinical teachers as role models



교육 계획을 위한 팁

Tips for planning teaching


교육 세션이 잘 계획되어 있고 모든 평가가 학습 성과 및 내용과 일치하는지 확인하십시오 [28]. 중요한 고려사항은 다음과 같다.

Ensure that your teaching session is well planned and any assessments are aligned with the learning outcomes and content [28]. Important considerations include:


  • OAS(Outcomes, Activity, Summary)와 같은 프레임워크의 사용(표 2)

  • 당신의 강의 세션은 이전(예: 강의)과 미래의 학습 활동(예: 형태 형성 평가)과 어떻게 연결될 것인가?

  • '지식'이 '실력'과 '성격'보다 더 쉽게 전달되고 평가되는 가운데, 어떻게 지식, 기술, 태도의 가르침을 세션에 통합할 것인가[29]

  • 교사, 학습자, 환자의 역할은 무엇이며, 각 개인은 세션에 어떻게 기여할 것인가?

  • 별도 고려가 필요한 교육환경의 측면이 있는가? 여기에는 학생이 침대 옆이나 외래환자실에 어떻게 배치되는지, 환자 기밀 유지, 브리핑 및 보고가 이루어지는 장소(자습서실 예약이 필요할 수 있음)가 포함될 수 있다.


  • Use of a framework, such as ‘Outcomes, Activity, Summary’ (OAS) (Table 2).

  • How will your teaching session link to previous (for example, lectures) and future learning activities (for example, formative assessments)?

  • How will you incorporate the teaching of knowledge, skills and attitudes (Fig. 1) into your session, with ‘knowledge’ being more easily imparted and assessed than ‘skills’ and ‘attitudes’ [29]

  • What will be the role of the teacher, the learner, and the patient, and how will each individual contribute to the session?

  • Are there aspects of the teaching environment that require consideration? These might include how the students will be placed around the bedside, or in the outpatient room; patient confidentiality; and where briefing and debriefing will take place (booking of a tutorial room may be required).


표 2 강의 계획 및 강의에 대한 'OAS' 방법

Table 2 The ‘OAS’ method for lesson planning and teaching


그림 1. 쉽고 어려운 교육, 학습 및 지식, 기술 및 태도 평가

Fig. 1 Ease and difficulty of teaching, learning and assessing knowledge, skills and attitude



교육 전략에 대한 팁

Tips for teaching strategies


외래환자/사무실 환경에서 사례발표를 위해 학습자 중심의 교육모델을 위한 니모닉으로 개발된 SNAPPS(그림 2)와 같은 적절한 교육전략을 적용한다[30]. SNAPPS 형식의 이점은 다음과 같다.

Apply an appropriate teaching strategy, such as SNAPPS (Fig. 2), developed as a mnemonic for a learner-centred teaching model for case presentations in the outpatient/office setting [30]. The benefits of the SNAPPS format include:

  • 학생이 체계적이고 간략히 발표하도록 장려하다.

  • 학습자가 자신의 지식 격차를 탐색하고 표현하도록 한다(즉, 학생이 자신의 불확실성에 대해 튜터를 "평가"함).

  • 전통적인 튜터 상호작용에 비해 학습자들은 더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더 많은 질문을 한다.

  • 개인 교사들이 각 학습자의 특정한 개별적 니즈를 다룰 수 있도록 한다[30].


  • encourages a structured and brief presentation by the student

  • engages the learner to explore, and express their own knowledge gaps (that is, the student “probes” the tutor about their uncertainties)

  • compared to more traditional tutor interactions, learners are more actively involved, and ask more questions

  • enables tutors to address each learners’ specific, individual needs [30].


Fig. 2 The SNAPPS model [30]



임상적 추리

Clinical reasoning


학습자의 임상적 추론[31, 32] - 환자의 제시 문제에 대한 진단과 관리의 기초가 되는 인지 프로세스를 촉진하기 위해 최선을 다하십시오. 이 프로세스에는 다음이 포함된다.

Do your best to promote the learners’ clinical reasoning [31, 32] - the cognitive process underlying diagnosis and management of a patient’s presenting problem. The process involves:


  • 데이터 수집

  • 진단 추론

  • 치료 추론

  • 개입 계획 및 권고

  • The collection of data

  • Diagnostic reasoning

  • Therapeutic reasoning

  • Planning intervention and recommendations


환자 치료에 지식을 통합하고 적용하는 과정은 학생들이 습득하기 복잡하고 어려운 기술이다 [32,33,34]. 특히 환자 상호작용 중에는 학생들이 환자 정보를 탐색하기 어렵다. 임상추론을 촉진하는 세 가지 주요 방법이 있다[24, 31, 35](그림 3):

The process of integrating and applying knowledge to patient care is a complex, difficult skill for students to acquire [32,33,34]. In particular, it is difficult for students to navigate patient information during patient interactions. There are three main ways to promote clinical reasoning [24, 31, 35] (Fig. 3):


1. 학습자 설명: 학습자는 그들의 사고 과정을 설명하여, 과외자가 학습자의 추리 능력을 관찰할 수 있게 하고, 그들이 결론을 내리기 위해 취하는 과정을 말한다.

2. 역할 모델링: 튜터 역할은 그들의 추리를 설명하면서 그들 자신의 사고 과정을 모델링한다.

3. 학습자에게 질문하기: 튜터교사는 질문을 사용하여 "만약에?"라는 질문을 던진다.


1. Learner explanation: The learner explains their thinking process, allowing the tutor to observe the learner’s reasoning ability, and the process they take to form a conclusion.

2. Role modelling: The tutor role models their own thinking process, explaining their reasoning (‘thinking aloud’).

3. Questioning the learner: The tutor uses questioning to promote reasoning, “what if?” questions are asked.


그림 3 임상적 추론을 촉진하기 위한 세 가지 팁

Fig. 3 Three tips for promoting clinical reasoning



페이튼의 모델 [36]에서 채택된 임상 추론을 가르치는 제안된 프레임워크는 표 3에 나와 있다. 또한 임상 추론을 가르치는 것은 개인교사들이 자신의 임상 추론기술을 되돌아볼 수 있는 좋은 기회를 제공한다. 반성의 이점은 가정 회피, 불필요한 조사의 감소 및 진단 시간 단축을 포함할 수 있다[34].

A suggested framework for teaching clinical reasoning [34], which was adapted from Peyton’s model [36], is shown in Table 3. Teaching clinical reasoning also provides an excellent opportunity for tutors to reflect on their own clinical reasoning skills. The benefits of reflection may include the avoidance of assumptions, reduction of unnecessary investigations, and improvement in time to diagnosis [34].


표 3 임상 추론 프레임워크 (Linn 등, 2012에서 채택) [34]

Table 3 Clinical reasoning framework (adapted from Linn et al., 2012) [34]



평가 전략 팁 Tips for assessment strategies


평가는 배움의 주요 원동력을 제공한다. 학습한 정보와 기술을 보강하고, 학습자에게 강점과 약점 영역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며, 교사에게 재교육이 필요할 수 있는 영역에 대한 정보를 제공한다[14, 37]. 평가 활동이 학생에게 가치가 있으려면, 이러한 결과에 대한 성과 지표와 개선 방법에 대한 지침이 필요하다 [37,38,39].

Assessment provides a key driving force for learning. It reinforces the information and skills learned, provides the learner with information on their areas of strength and weakness, and provides the teacher with information on areas that may need to be re-taught [14, 37]. In order for the assessment activity to be worthwhile students need clear outcomes, an indication of their performance against these outcomes and guidelines on how to improve [37,38,39].


평가의 효용성 또는 유용성은 신뢰성, 타당성, 비용 효율성, 수용성, 교육적 영향 및 타당성의 산물로 정의되었다[40,41,42,43]. 학생을 위한 적절한 평가를 선택하고 작성할 때 고려해야 할 요인은 다음과 같다

The utility or usefulness of an assessment has been defined as a product of its reliability, validity, cost-effectiveness, acceptability, educational impact and feasibility [40,41,42,43]. Factors to consider when selecting and creating an appropriate assessment for students include [14]:


1. 신뢰도: 유사한 상황에서 반복될 경우 평가에서 얻은 점수의 재현성을 의미한다[41].

1. Reliability: refers to the reproducibility of the scores obtained from an assessment if repeated under similar circumstances [41].


2. 타당도: 도구가 실제로 의도하는 바를 측정하는지를 의미한다. 타당도 증거는 특정 목적에 대한 평가 결과의 사용을 뒷받침한다[43].

2. Validity: refers to whether an instrument actually does measure what it is purposed to [41]. Evidence of the validity supports the use of the results of an assessment for a particular purpose [43].


3. 실현가능성: 사정 및 맥락으로 볼 때 평가가 실제적이고 현실적이며 합리적인지 여부를 가리킨다[43]. 이상적인 평가에 대한 제약조건은 심사관의 가용성, 자료 개발을 위한 학문의 시간, 평가를 구현하기 위한 행정 자원, 교수진 훈련 요건 및 평가 분석[42]이다.

3. Feasibility: refers to whether the assessment is practical, realistic, and sensible, given the circumstances and context [43]. Constraints on an ideal assessment include availability of examiners, the time of academics to develop the material, administrative resources to implement assessments, faculty training requirements and analysis of assessment [42].


4. 수용성: 평가, 평가 과정 및 결과가 이해관계자에 의해 신뢰할 수 있는 것으로 간주되는 정도를 말한다[43].

4. Acceptability: refers to the extent to which the assessment, the assessment process and results are considered credible by the stakeholders [43].


5. 교육적 영향: 평가가 학습자와 커리큘럼에 미치는 교육적 영향을 의미한다. 예기치 않은 영향을 포함한다[40].

5. Educational impact: refers to the educational effects of assessment on both the learner and the curriculum; including unexpected impacts [40].


6. 평가 비용: 시험 시간뿐만 아니라 시험 생산 비용 측면에서도 중요한 자원 영향을 미치는 장기 시험을 말한다. 이는 지속 가능한 방식으로 자원의 효과적인 사용에 대한 결정에 영향을 미친다 [40].

6. The cost of an assessment: refers to lengthy tests having major resource implications, both in terms of testing time as well as in terms of cost to produce these tests. This impacts decisions on the effective use of resources in a sustainable way [40].


임상 환경에서 형성적 평가 방법

Formative assessment methods in the clinical setting


형성 평가는 학습자에게 특정 시점에서 진행 상황을 알려주는 강력한 도구를 제공한다[14]. 최근 몇 년 동안 형성평가는 임상 환경에 맞게 재구성되고 공식화되었다[44]. 이러한 개선은 기존의 [느슨하게 계획된 임상 실습]에서 [사전 설정된 성과의 달성과 연계된 커리큘럼 기반 경험]으로 진화했다. 임상 환경에서 직접 관찰에 기초한 피드백을 제공하기에 적합한 잘 기술된 많은 형태 형성적 평가 방법(표 4)이 최근 몇 년 동안 개발되었다[45]. 학습자의 성과와 능력을 잘 이해하기 위해, 형성적 평가가 여러 번 이루어진다. 이를 통해 평가자는 의사소통 기술, 절차 기술, 전문성 수준, 임상 기술 및 일반적인 역량을 관찰하고 모니터링할 수 있는 여러 기회를 가질 수 있다.

Formative assessment offers a powerful tool to inform the learner of their progress at a particular point in time [14]. In recent years, formative assessments have been reshaped and formalised to suit the clinical setting [44]. These improvements have evolved from a previously loosely planned clinical immersion, to a curriculum-based experience linked to achievement of pre-determined outcomes. A number of well described formative assessment methods (Table 4), suitable for providing feedback based on direct observation in the clinical setting, have been developed in recent years [45]. In order to gain a well-rounded understanding of a learner’s performance and ability, increasingly, formative assessment takes place over multiple occasions. This allows the assessor to have multiple opportunities to observe and monitor communication skills, procedural skills, levels of professionalism, clinical skills and general competence [38, 39, 46].


표 4 형성 평가 방법의 예

Table 4 Examples of formative assessment methods



효과적인 피드백 제공에 대한 팁

Tips for provision of effective feedback


학생에 대한 피드백은 학습 과정의 중요한 부분을 형성하며, 항상 임상 튜토리얼에 포함되어야 한다. 효과적인 피드백 제공에 대한 팁은 표 5에 요약되어 있다. 피드백이 임상 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탐구하는 메타 분석에서는 피드백 제공이 포함된 연구의 75% 이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발견했다[47]. 효과적이고 규칙적인 피드백은 자기 성찰을 촉진하고, 좋은 관행을 강화하며, 학습자가 요구되는 결과를 향해 연습하도록 지시할 수 있는 잠재력을 가지고 있다[37]. 

Feedback to students forms a crucial part of the learning process, and should always be included within clinical tutorials. Tips for provision of effective feedback are outlined in Table 5. A meta–analysis exploring the effect of feedback on clinical performance found that the provision of feedback had a positive impact in over 75% of the included studies [47]. Effective and regular feedback has the potential to promote self-reflection, reinforce good practice; and directs the learner to practice towards the required outcome [37]. 


피드백은 즉각적이고, 직접적인 관찰에 기초할 때 학생들의 행동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친다[37, 48]. 펜들턴의 모델[49]과 같은 기존 피드백 프레임워크는 학습자 중심이며, 학습자가 자신의 수행practice을 평가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먼저, 튜터는 학습자에게 무엇을 잘했다고 생각하는지 물어본 다음, 잘한 부분을 설명하고, 학습자에게 어떻게 개선할 수 있는지 물어본 다음, 학습자에게 어떻게 개선할 수 있는지 제안한다. 어떤 피드백 모델을 선택하든, 가정교사의 피드백은 정직하고, 서술적이고, 구체적이어야 한다.

Feedback has the greatest impact on students’ behaviour when it is based on direct observation, and is immediate [37, 48]. Existing feedback frameworks, such as Pendleton’s model [49] is learner-centred, and offers the learner the opportunity to evaluate their own practice. First, the tutor asks the learner what they think they did well, then describes areas that were done well; then the tutor asks the learner how they could improve, and then suggests to the learner how they can improve. Whatever model of feedback is chosen, feedback from the tutor should be honest, descriptive and specific.


표 5 효과적인 피드백 제공을 위한 팁

Table 5 Tips for provision of effective feedback



결론 Conclusion


임상 환경에서의 가르침, 특히 침상 옆 교육은 환자, 학생, 교사들에 의해 귀중한 가르침 방법으로 간주된다. 학습을 최적화하고 학생의 참여를 극대화하기 위해 임상 환경에서 학습 활동을 계획, 구조화 및 커리큘럼 및 평가와 연계해야 한다[50]. 학생들이 과외 교사를 관찰하고 모방하는 것을 통해 학습하기 때문에, 역할 모델링은 학생들의 학습과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임상의와 상급생에 의한 역할 모델링은 의료 학생의 전문적 역량, 가치관 및 태도 개발에 도움이 된다. 피드백은 학습 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관찰하고, 학생들에게 정확한 피드백을 제공함으로써, 실제와 원하는 수행 사이의 차이를 좁힌다.

Teaching in the clinical setting, and particularly, bedside teaching is viewed by patients, students and tutors as an invaluable teaching method. To optimise learning and maximise student engagement, learning activities in the clinical environment should be planned, structured, and aligned with the curriculum, and assessment [50]. Since students learn largely through observing and imitating their tutors, role modelling plays a critical role in influencing students’ learning and behaviour. Role modelling by clinicians, and by senior students, assists in the development of healthcare students’ professional competencies, values, and attitudes. Feedback plays a crucial role in the learning process. By observing, and providing students with accurate feedback, the gap between actual and desired performance is narrowed.


테이크홈 메시지

Take-home message


• 교육 및 학습 활동이 임상 환경에서 이루어질 때 환자의 권리가 항상 존중되는지 확인하십시오.

• 체계적인 형식으로 성공적인 교육 활동을 계획한다.

• "SNAPPS"와 같은 구조화된 교육 방법은 세션 형식을 지정하는 데 도움이 된다.

• 직접적인 관찰과 피드백 제공은 학생 학습에 필수적이다.

• Always ensure the rights of patients are respected when teaching and learning activities take place in the clinical setting.

• Successful teaching activities are well planned, with a structured format.

• Structured teaching methods, such as “SNAPPS”, help to format the session.

• Direct observation and provision of feedback is essential to student learning.








Review

 

. 2020 Dec 3;20(Suppl 2):463.
 doi: 10.1186/s12909-020-02283-2.

Key tips for teaching in the clinical setting

Affiliations 

Affiliations

  • 1The University of Sydney, Faculty of Medicine and Health, Sydney Medical School - Education Office, The University of Sydney, Edward Ford Building A27, Sydney, NSW, 2006, Australia. annette.burgess@sydney.edu.au.
  • 2The University of Sydney, Faculty of Medicine and Health, Sydney Health Professional Education Research Network, The University of Sydney, Sydney, Australia. annette.burgess@sydney.edu.au.
  • 3The University of Sydney, Faculty of Medicine and Health, Sydney Health Professional Education Research Network, The University of Sydney, Sydney, Australia.
  • 4The University of Sydney, Faculty of Medicine and Health, The University of Sydney, Sydney, Australia.
  • 5The University of Sydney, Faculty of Medicine and Health, Sydney Medical School - Education Office, The University of Sydney, Edward Ford Building A27, Sydney, NSW, 2006, Australia.
  • 6The University of Sydney, Faculty of Medicine and Health, Sydney Medical School - Central Clinical School, The University of Sydney, Sydney, Australia.

Abstract

Teaching with real patients in the clinical setting lies at the heart of health professional education, providing an essential component to clinical training. This is true of all the health disciplines - particularly medicine, nursing, dentistry, physiotherapy, and dietetics. Clinical tutorials orientate students to the culture and social aspects of the healthcare environment, and shape their professional values as they prepare for practice. These patient-based tutorials introduce students to the clinical environment in a supervised and structured manner, providing opportunities to participate in communication skills, history taking, physical examination, clinical reasoning, diagnosis and management. It is only through participation that new practices are learnt, and progressively, new tasks are undertaken. The aim of this paper is to provide health professional students and early career health professionals involved in peer and near peer teaching, with an overview of approaches and key tips for teaching in the clinical setting. Although there are many competencies developed by students in the clinical setting, our tips for teaching focus on the domains of medical knowledge, interpersonal and communication skills, and professionalism.

Keywords: Bedside teaching; Clinical reasoning; Clinical teaching; Clinical tutorials; Near-peer teaching; Peer-peer teaching; Role modelling.


임상에서 피드백(BMC Med Educ, 2020)

Feedback in the clinical setting

Annette Burgess1,2*, Christie van Diggele2,3, Chris Roberts1,2 and Craig Mellis4



배경 Background

보건전문교육에서 피드백은 "훈련자의 수행능력을 향상시키려는 의도로 주어진, 훈련생의 관찰된 수행능력과 표준의 비교에 관한 구체적인 정보"로 설명되어 왔다[1]. 피드백은 '선생님'과 '학습자' 사이의 가장 중요한 상호작용 형태 중 하나이다. 그러나 의료 및 기타 보건 전문가 학생은 임상 배치 중에 직접 관찰하고 피드백을 제공하는 경우가 거의 없다는 것이 널리 알려져 있다[2]. 따라서 피드백 촉진에 대한 관심이 증가했다[2]. 

  • 피드백 제공은 학습 과정의 필수적인 부분을 형성하며(그림 1) [2] 실제 성과와 원하는 성과 사이의 격차를 줄이는 데 도움이 된다. 

  • 피드백 프로세스는 학습자에게 수행 품질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고 학습 전략의 개선을 이끈다. 

  • 피드백은 학습자의 효과적인 의사결정을 지원하고 학습 성과를 개선하는 데 도움이 된다. 

  • 피드백은 학습자에게 자신의 수행에 대한 판단을 제공하여 교육적 진보를 돕는 강력한 도구 역할을 한다. 

그러나 건강 전문 교육자, 학생 및 동료들은 피드백 실천을 통해 하나 또는 다른 하나로부터 배우는 것이 어렵다는 것을 발견할 수 있다[3]. 피드백 연습은 종종 지속 불가능하고 학생들에게 활력을 잃게 한다[3, 4]. 피드백을 평가하고 제공하는 능력은 학습된 기술로서 적절한 수준의 훈련을 필요로 한다.

Within health professional education, feedback has been described as “Specific information about the comparison between a trainee’s observed performance and a standard, given with the intent to improve the trainee’s performance” [1]. Feedback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forms of interactions between the ‘teacher’ and the ‘learner’. However, it has been widely reported that medical and other health professional students are rarely directly observed and given feedback during their clinical placements [2]. Accordingly, there has been increased interest in the facilitation of feedback [2]. Provision of feedback forms an integral part of the learning process (Fig. 1) [2], helping to narrow the gap between actual and desired performance. The feedback process engages the learner with information about the quality of their performance, and leads to improvements in learning strategies. Feedback supports learners’ effective decision making, and helps to improve learning outcomes. It serves as a powerful tool to provide the learner with judgements on their performance, assisting in their educational progress. However, health professional educators, students and peers can find it difficult to learn from one and other through feedback practices [3]. Feedback practices are often unsustainable, and de-motivating for students [3, 4]. The ability to assess and provide feedback is a learnt skill, requiring an appropriate level of training.


이 논문은 학습 과정 내에서 피드백의 역할, 피드백 프로세스에 대한 장벽, 피드백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실용적인 가이드라인을 간략히 탐구한다.

This paper briefly explores the role of feedback within the learning process, barriers to the feedback process, and practical guidelines for facilitating feedback.



피드백의 목적 Purpose of feedback

피드백은 학습을 지원하고 강화하는 교육 과정의 지속적인 부분으로 작용한다[5]. 그것은 별도의 교육 유닛이 아니라 지속적인 교육 및 평가 단위의 일부분이다[6]. 형성 평가의 핵심 요소로서[7], 피드백은 세 가지 방법으로 학습을 촉진한다[5].

Feedback acts as a continuing part of the instructional process that supports and enhances learning [5]. It is part of an ongoing unit of instruction and assessment, rather than a separate educational entity [6]. A core component of formative assessment [7], feedback promotes learning in three ways [5]:


• 학생에게 진행 상황을 알린다

• 개선을 위한 관찰된 학습 니즈를 학생에게 통지

• 학생이 적절한 학습 활동에 참여하도록 동기 부여

Informs the student of their progress

Informs the student regarding observed learning needs for improvement

Motivates the student to engage in appropriate learning activities


피드백을 위한 지원 환경 조성

Creating a supportive environment for feedback

지속가능하고 의미 있는 피드백의 필수요건은 [피드백 제공]에서 [피드백의 촉진을 촉진하는 학습 환경의 설계]로 초점을 이동시킨다[3]. 개별적인 정보 제공과 리셉션을 촉진하기보다는 피드백을 적극적 학습의 촉진으로 보아야 한다. 교사는 학생과 동료, 학생과 교직원 간의 상호작용을 촉진할 책임이 있다. 학생들이 스스로 변화의 주체로 보고 자율규제를 강화하고 스스로 학습을 추진하는 학습 환경이 조성돼야 한다. 높은 수준의 학생참여를 육성하면 피드백을 찾고 자신의 성과를 성찰하는 능동적proactive '학습자'로서의 학생의 정체성을 발전시키는 데 도움이 된다.

Requirements for sustainable and meaningful feedback shifts the focus from the provision of feedback to the design of the learning environment that promotes facilitation of feedback [3]. Rather than facilitating individual acts of information provision and reception, feedback should be viewed as the promotion of active learning. Teachers are responsible for fostering interactions between students and their peers, and students and staff. Learning environments should be created where students see themselves as agents of their own change, fostering self-regulation and driving their own learning. Fostering high levels of student engagement helps to develop the identity of students as proactive ‘learners’, who seek feedback and reflect on their own performance.


피드백 프로세스에 대한 장벽

Barriers to the feedback process

피드백의 과정은 상호 작용과 방향을 필요로 하며 임상 교육에 필수적인 것으로 보아야 한다. 피드백이 없을 때, 학습자에게 새로운 임상 환경의 불확실성이 심화된다. 피드백 프로세스에 다음과 같은 여러 가지 장벽이 있을 수 있다.

The process of feedback requires interaction and direction, and should be viewed as essential to clinical education. In the absence of feedback, the uncertainty of a new clinical environment for a learner is intensified. There may be a number of barriers to the feedback process, including:


작업에 대한 직접적인 관찰 부족 피드백은 특정 과제의 직접적인 관찰에 기초하여 제공되었을 때 학생들의 행동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친다[2]. 바쁜 임상 환경에서는 직접 관찰이 부족한 경우가 많다.

Lack of direct observation of tasks. Feedback has the greatest impact on students’ behaviour when it is provided based on direct observation of a specific task [2]. In the busy clinical setting, direct observation is often lacking.


• 정직하고 비판적인 피드백을 통해 학생들의 기분을 상하게 하지 않으려는 욕구[2]. 피드백은 학습자의 성적이 수준 이하일 때 제공하기가 더 어려울 수 있으며, 학습자에게 실망스러울 수 있다. 그러한 피드백을 제공하려면 프로세스와 기술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다. 학습자의 기분을 상하게 하지 않으려는 욕구가 있을 수 있지만, 의미 있는 피드백을 피하는 "바니싱 피드백"[8]이 될 수 있다.

The desire to avoid upsetting students with honest and critical feedback [2]. Feedback can be more difficult to provide when the learner’s performance is below par, and may be disappointing to the learner. The provision of such feedback requires an understanding of the process, and skill. Although there may be a desire to avoid upsetting a learner, this can result in “vanishing feedback” [8], where meaningful feedback is avoided.


외부 피드백 부족. 외부 피드백이 없으면 학생들은 그들 자신의 피드백을 생성할 수 있지만, 자기 평가는 종종 틀린다[4]. 높은 수행자는 자신의 수행 능력을 과소평가하는 경향이 있고, 낮은 수행자는 과대평가하는 경향이 있다[9].

Lack of external feedback. Without external feedback, students may generate their own feedback - but, self-assessment is often wrong [4]. High performers tend to underestimate their own performance, and lower performers tend to overestimate [9].


학습자 피드백 수신

Learner reception of feedback

피드백을 주는 것과 비슷하게, 피드백을 받는 것은 수동적이고 단순한 행동이 아니다. 피드백 수용은 임상기술의 연습과 향상에 대한 솔직한 자기반성과 헌신을 수반한다. 학습자들은 항상 피드백을 받을 준비가 되어 있지 않으며, 더 중요한 것은 피드백을 받아들일 준비가 되어 있지 않다. 또한 피드백에 대한 상황 및 관계적 측면이 있을 수 있다[10]. 분명히, 피드백의 수용과 효과는 제공자의 인식된 신뢰도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10]. 학습자는 제공자가 커리큘럼과 학습 목표를 잘 이해하고 있다고 인식하면 피드백을 더 잘 수용한다.

Similar to giving feedback, receiving feedback is not a passive, simple act. It entails honest self reflection and commitment to practice and improvement of clinical skills. Learners are not always prepared for receiving, and more importantly, accepting feedback. Additionally, there may be contextual and relational aspects regarding the feedback [10]. Clearly, acceptance and effectiveness of the feedback may be dependent upon the perceived credibility of the provider [10]. The learner is more accepting of the feedback if they perceive the provider to have a good understanding of the curriculum, and the learning objectives.


학생 피어 투 피어 피드백

Student peer-to-peer feedback

[또래 학생들에게 피드백을 제공하는 연습]은 학생들에 의해 지식, 기술 및 전문적 속성의 발전에 이로운 것으로 인식된다[11]. 동료에게 피드백 제공을 연습함으로써 학생들에게 높은 수준의 책임을 강화시킬 수 있으며 [11, 12] 일부 학생들은 인식적 이득을 보고한다[11,12,13]. 그러나, 놀랄 것도 없이, 또래 피드백의 정직성과 정확성에 관한 실질적인 우려가 있다[11,12,13,14,15]. 학생들이 또래 학생들에게 건설적인 피드백을 제공할 수 없는 것은 훈련 부족과 사회적 불편함 둘 다에 기인한다[16]. 분명히, 학생들은 동료들에게 부정적인 피드백을 제공하는 것, 그들의 피드백의 질, 그리고 이러한 부정적인 피드백이 동료들의 질문에 미치는 결과에 대해 매우 우려하고 있다[11, 17]. 다행히도, 학생들은 동료들에게 피드백을 제공하기 위해 구조화된 방법을 사용하는 것이 유용하다는 것을 발견한다 [10, 11].

The practice of providing feedback to peers is perceived by students as beneficial to development of knowledge, skills, and professional attributes [11]. Provision of feedback from peers can foster high levels of responsibility in students [11, 12], and some students report metacognitive gains [11,12,13]. However, unsurprisingly, there are real concerns regarding the honesty and accuracy of peer feedback [11,12,13,14,15]. The inability of students to provide constructive feedback to peers has been attributed to both inadequate training, and social discomfort [16]. Obviously, students are very concerned about providing negative feedback to their peers, the quality of their feedback, and the consequences of this negative feedback on their peers’ progession [11, 17]. Fortunately, students find that using a strucutred method for providing feedback to peers is useful [10, 11].


성과에 대한 자체 평가 및 성찰

Self-assessment and reflection on performance

피드백은 학습자의 수행능력을 향상시키는 목적이 있을 뿐만 아니라, 수행에 대한 자기 평가와 반성을 함양하는 도구로 작용한다. 증거는 자기 평가가 부정확하다는 것을 보여준다; 높은 성과를 거둔 사람들은 자신을 과소평가하는 반면, 가난한 성과자들은 과대평가한다[1, 9]. 그러나 외부 피드백을 받는 것은 학습자에게 적절한 기준에 따라 자신의 자체 평가를 벤치마킹할 수 있는 기회를 준다.

Feedback not only has the purpose of improving a learners’ performance, it also acts as a tool to cultivative self-assessment and reflection on performance. Evidence suggests that self-assessment is inaccurate; high performers underestimate themselves, while poor performers overestimate [1, 9]. Receiving external feedback, however, gives learners the opportunity to benchmark their own self assessment against appropriate criteria.


효과적인 피드백 Effective feedback

효과적인 피드백은 학습 과정의 필수적인 부분이다. 효과적이고 규칙적인 피드백은 좋은 관행을 강화하고, 자기 성찰을 촉진하며, 학습자가 원하는 결과를 위해 노력하도록 동기를 부여한다[2]. 피드백 전달 방식은 학생의 결과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피드백은 학생들이 그들의 성과를 성찰하고 향상시키도록 유도할 수도 있고, 부정적이고 사기를 떨어뜨릴 수도 있다. 우리는 표 1에 설명된 펜들턴의 모델(1984)과 같은 구조화된 방법을 사용하는 것이 피드백을 제공하는 데 유용하다는 것을 발견했다 [11, 18,19,20]. 이 피드백 모델은 학습자에게 자신의 관행을 평가하고 개선 방법을 식별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또한 관찰자의 즉각적인 피드백을 허용한다.

Effective feedback is an essential part of the learning process. Effective and regular feedback reinforces good practice, promotes self-reflection, and motivates the learner to work towards their desired outcome [2]. The style of feedback delivery can influence the outcome on the student. Feedback can inspire the student to reflect and improve their performance, or it can be negative and demoralising. We have found that using a structured method, such as Pendleton’s model (1984), illustrated in Table 1, is useful for providing feedback [11, 18,19,20]. This model of feedback offers learners the opportunity to evaluate their own practice, and identify ways of improving. It also allows for immediate feedback from the observer.


표 1 피드백 모델(펜들턴 외, 1984년 데이터) [18]

Table 1 Feedback model (data from Pendleton et al., 1984) [18]



표 2는 펜들턴의 피드백 모델 사용에 대한 연습과 반성을 가능하게 하는 활동을 제공한다.

Table 2 provides an activity that allows practice and reflection on the use of Pendleton’s model of feedback.


표 2 활동: 피드백 제공 및 수신

Table 2 An activity: giving and receiving feedback


효과적인 피드백 제공 

Giving effective feedback

효과적인 피드백을 제공할 때 직접적인 관찰과 명확한 목표가 필요하며, 좋은 성과가 재초점되고, 나쁜 성과가 시정된다[21]. 비록 학습자 수행의 긍정적인 측면과 부정적인 측면을 모두 상세히 기술하는 건설적인 피드백을 제공하는 것은 시간이 많이 걸리고 어려울 수 있지만, 피드백을 제공하지 않는 것은 상당한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신중하게 전달되지 않으면 피드백은 성능 저하를 초래할 수 있다[4, 21]. 만약 제대로 다루지 않으면, 피드백은 또한 학습자에게 방어력과 당혹감을 줄 수 있다. 피드백은 본질적으로 비판단적이고 서술적이어야 한다 [22]. 효과적인 피드백을 수행할 때 고려해야 할 몇 가지 핵심 원칙이 있다[2]. 즉, 피드백은 다음과 같아야 한다.

Direct observation, and clear goals are needed in the provision of effective feedback, with good performance being reinfoced, and poor performance being corrected [21]. Although provision of constructive feedback detailing both positive and negative aspects of the learner’s performance can be time consuming and difficult, not giving feedback can have a substantial negative effect. If not relayed carefully, feedback can result in a deterioration in performance [4, 21]. If handled poorly, feedback can also cause defensiveness and embarrassment to the learner. Feedback must be non-judgemental and descriptive in nature [22]. There are a number of key principles to consider when conducting effective feedback [2]. Namely, feedback should be:


1. 장소, 시기, 환경 등을 고려하여 계획됨

2. 명시적

3. 서술적

4. 성격이 아닌 행동에 초점을 맞춘다.

5. 구체적

6. 간결

7. 피드백 받는 사람에 의해 확인됨

8. 정직한

1. Planned, considering the place, timing and environment

2. Explicit

3. Descriptive

4. Focused on behaviour, not personality

5. Specific

6. Concise

7. Verified by the recipient

8. Honest


피드백 세션의 성공은 아래에 요약되고 표 3에 요약된 구조, 형식 및 내용이라는 세 가지 광범위한 영역에 따라 좌우된다[2, 23].

The success of a feedback session is dependent on three broad areas: structure, format, and content, as outlined below and summarised in Table 3 [2, 23].


표 3 성공적인 피드백 세션의 세 가지 주요 영역 [2]

Table 3 Three key areas of a successful feedback session [2]


구조 Structure

피드백의 타이밍은 적절한 준비 시간을 허용하면서 쌍방에 대해 고려할 필요가 있다. 회의의 목적이 모두에게 명백하게 밝혀지는 등, 피드백이 비밀이 보장되는 장소에서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 필요할 수 있다. 학생을 위협하지 않도록 방 환경도 고려해야 한다. 피드백의 이해를 돕기 위해 서술어를 사용하는 것과 함께, 피드백이 관찰된 태도, 행동 및 지식에 집중되는 것이 중요하다. 상호 신뢰와 존중이 확립되어야 하며, 공동의 목표는 학습자의 성과 향상을 위해 노력하는 것이다[9].

The timing of feedback needs to be considered for both parties, allowing adequate time for preparation. It may be necessary to ensure the feedback is given in a confidential location, with the purpose of the meeting being made clear to all. The room setting should also be considered, so to not intimidate the student. It is important that feedback is focused on the attitudes, behaviour and knowledge observed, with the use of descriptive words to assist in the understanding of the feedback. Mutual trust and respect should be established, with the shared goal being working towards improving the learner’s performance [9].


포맷 Format

제공된 피드백이 정확하고 가치 있으며, 부정적인 점과 긍정적인 점 둘 다 만들어져야 한다[9]. 이 세션의 목적은 학습자의 성과를 향상시키는 것이다. 회의의 단계에는 학습자의 자기평가, 교사의 평가뿐 아니라 향후 성과 개선을 위한 실천계획이 제시된다. 펜들턴의 피드백 모델의 핵심은 자기 성찰을 장려하고 학생이 피드백에 대한 접근법을 선도하도록 하는 것이다(표 1 참조). [18].

It is essential the feedback provided is accurate and valuable, with both negative and positive points being made [9]. The aim of the session is to improve the performance of the learner. The steps in the meeting include the learner’s self-assessment, the teacher’s assessment, as well as providing an action plan for future improvement of performance. The key to Pendleton’s model of feedback is to encourage self-reflection and have the student lead the approach to feedback (see Table 1) [18].


내용 Content

교사와 학습자가 회의를 준비하기 위해서는 적절한 시간이 제공되어야 한다[9]. 공식적인 학습 목표와 개인적 목표는 학습이 이루어진 것을 평가할 때 고려할 필요가 있다. 교사가 학생의 성적을 직접 관찰하게 하는 것은 좋은 성적의 구체적인 예와 개선 영역을 제공할 것이다. 개선을 위한 특정 영역(가장 중요한 영역 중 두 개 또는 세 개만 해당)만 단일 피드백 세션에서 다루어야 한다.

Adequate time needs to be provided in order for the teacher and learner to prepare for the meeting [9]. Formal learning objectives and personal objectives need to be considered when assessing what learning has taken place. Having the teacher directly observe the student’s performance will provide specific examples of good performance, and areas for improvement. Only a limited number of specific areas for improvement (say two or three of the most crucial only) should be addressed in a single feedback session.


피드백을 촉진하기 위한 커리큘럼 설계의 역할

The role of curriculum design in promoting feedback

커리큘럼은 학생들이 피드백에 참여하도록 의도적으로 설계되어야 한다[3]. 피드백은 모든 커리큘럼의 필수 요소로 간주되어야 하며, 학생 학습의 중심이 되어야 한다. 피드백을 촉진하기 위한 개입은 학습자가 자신의 작업에 적용할 수 있는 적절한 표준을 식별할 수 있도록 조직의 커리큘럼과 문화에 '스며들' 필요가 있다[3]. 학생들이 자신의 일에 대해 판단을 내릴 수 있는 능력을 연습하고 적극적으로 구축하기 위해 알찬 학습 환경을 구축해야 한다. 교과과정의 초기에 성과 비교를 장려해야 한다. 이것은 학생들이 현재의 능력에 대한 인식을 발전시키고, 그들 자신의 학습 욕구에 대한 계획을 세우는 것을 돕는다.

The curriculum should be deliberately designed to inspire students to engage in feedback [3]. Feedback should be viewed as a required element of any curriculum, and central to student learning. Interventions to promote feedback need to ‘permeate’ the curriculum and the culture of organisations, to ensure learners are able to identify appropriate standards to apply to their work [3]. Fruitful learning environments should be constructed by students to practice and actively build on their ability to make judgements about their own work. Comparisons of performance should be encouraged early in the curriculum. This helps students to develop an awareness of their current capabilities, and plan for their own learning needs.


자기조절학습(SRL)은 학생들이 자신의 학습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지도할 수 있는 과정을 제공한다[24]. 학생들에게 SRL 사용에 대한 피드백을 제공하여 명확하고 구체적이며 스스로 모니터링하고 반성하는 학습 전략을 장려할 수 있다. 교육자들의 과제는 교육과정 내에서 자기분석을 하나의 기대치로 체계적으로 구축하는 것이다. 정기적인 자기 분석은 자기 분석과 외부 분석의 비교를 촉진하는 습관을 형성하는 데 도움이 된다[3]. 피드백을 핵심 속성으로 포지셔닝하는 커리큘럼 설계 팁:

Self regulated learning (SRL) offers a process that empowers students to actively engage in and direct their own learning [24]. The use of SRL helps students to set goals, actively engage in learning activities, and monitor their own progress and actions in achievement of their goals [24, 25]. Feedback can be given to students on their use of SRL to encourage strategies in learning that are clear and specific, self-monitored, and reflected upon [25]. The challenge for educators is to systematically build self-analysis as an expectation within the curriculum. Regular self-analysis helps to build habits that promote comparison between self-analysis and external analysis [3]. Tips for designing a curriculum that positions feedback as a key attribute include:


• 학생에게 피드백의 목적을 설명

• 학생에게 피드백 방법을 안내

• 형성적 평가 및 피드백을 통해 여러 과제에 대한 기회 촉진

• 점진적으로 도전적인 과제 개발

• 학생이 피드백을 받을 수 있는 기회 제공1

Orientate the students to the purpose of feedback

Orientate students to methods of feedback

Promote opportunities for multiple tasks with formative assessment and feedback

Develop incremental challenges for tasks

Provide opportunities for students to not only receive, but practice giving feedback1


결론 Conclusion

피드백은 학습 과정의 필수적인 요소로서, 커리큘럼의 필수적인 부분으로 간주된다. 피드백을 둘러싼 문학의 몸집이 커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최선의 접근법에 대한 합의는 거의 없다. 모든 임상 상황에서 단일 피드백 모델은 작동하지 않을 것이다. 각 임상 교육자는 피드백 과정에 참여해야 하며, 자신의 모범 사례를 개발하는 기회를 가질 수 있다. 규칙적이고 효과적인 피드백은 좋은 연습을 강화하고 학습자가 원하는 결과를 얻도록 동기를 부여하는 데 도움이 된다. 건강 전문가 학생들에게 피드백을 주고 받는 기술은 좀처럼 가르쳐지지 않기 때문에 임상의가 부족한 경우가 많다. 직접 관찰과 피드백은 학습자에게 특정 시점에서 진행 상황을 알려주는 강력한 도구를 제공한다 [24, 26]. 교육 과정의 실효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학습자와 교사 모두 피드백의 목적과 구조를 이해하는 것이 중요하다.

Feedback is an essential component of the learning process, and is considered an integral part of the curriculum. Despite the growing body of literature surrounding feedback, there is little agreement on the best approach. No single feedback model will work across all clinical contexts. Each clinical educator needs to engage in the process of feedback, and can take the opportunity to develop their own best practice. Regular and effective feedback helps to reinforce good practice and motivate the learner towards the desired outcome. Because skills in giving and receiving feedback are rarely taught to health professional students, they are often lacking in clinicians. Direct observation and feedback offers a powerful tool to inform the learner of their progress at a specific point in time [24, 26]. In order to increase the efficacy of the educational process, it is important for both learners and teachers to understand the purpose and structure of feedback.




테이크홈 메시지

Take-home message


• 학습 환경은 피드백을 강화해야 한다.

• 효과적인 피드백은 스킬을 향상시키고 학습자의 행동을 변화시킬 수 있는 잠재력을 가진다.

• 피드백을 제공하기 위해 구조화된 형식을 사용(예: 펜들턴의 모델)하면 자기 성찰과 명확하고 건설적인 조언 제공에 도움이 된다.

• 커리큘럼은 학생들이 피드백에 참여하도록 의도적으로 설계되어야 한다.

• The learning environment should foster feedback.

• Effective feedback has the potential to improve skills and change the learner’s behaviour.

• Using a structured format to provide feedback (such as Pendleton’s model), assists in self-reflection and the provision of clear, constructive advice.

• The curriculum should be deliberately designed to inspire students to engage in feedback.





Review

 

. 2020 Dec 3;20(Suppl 2):460.
 doi: 10.1186/s12909-020-02280-5.

Feedback in the clinical setting

Affiliations 

Affiliations

  • 1The University of Sydney, Faculty of Medicine and Health, Sydney Medical School - Education Office, The University of Sydney, Edward Ford Building A27, Sydney, NSW, 2006, Australia. Annette.burgess@sydney.edu.au.
  • 2The University of Sydney, Faculty of Medicine and Health, Sydney Health Professional Education Research Network, The University of Sydney, Sydney, Australia. Annette.burgess@sydney.edu.au.
  • 3The University of Sydney, Faculty of Medicine and Health, Sydney Health Professional Education Research Network, The University of Sydney, Sydney, Australia.
  • 4The University of Sydney, Faculty of Medicine and Health, The University of Sydney, Sydney, Australia.
  • 5The University of Sydney, Faculty of Medicine and Health, Sydney Medical School - Education Office, The University of Sydney, Edward Ford Building A27, Sydney, NSW, 2006, Australia.
  • 6The University of Sydney, Faculty of Medicine and Health, Sydney Medical School, Central Clinical School, The University of Sydney, Sydney, Australia.

Abstract

Provision of feedback forms an integral part of the learning process. Receipt of feedback enriches the learning experience, and helps to narrow the gap between actual and desired performance. Effective feedback helps to reinforce good practice, motivating the learner towards the desired outcome. However, a common complaint from learners is that the receipt of feedback is infrequent and inadequate. This paper briefly explores the role of feedback within the learning process, the barriers to the feedback process, and practical guidelines for facilitating feedback.

Keywords: Clinical teaching; Feedback; Peer teaching; Student peer-to-peer feedback.


응답자들은 우리가 물어보는 것에 대해서 뭘 생각하는가? 인지 인터뷰 사용하기 (J Grad Med Educ . 2013)

What Do Our Respondents Think We’re Asking? Using Cognitive Interviewing to Improve Medical Education Surveys 

Gordon B. Willis, PhD

Anthony R. Artino Jr., PhD





최근 대학원 의학 교육의 저널 2개 사설에서 4,5 저자들은 설문지 설계자들이 사용할 수 있는 6단계 의사결정 과정을 제안했다. 본 기사에서는 6가지 의사결정 단계 중 5번째 단계, 특히 "내 응답자가 내가 의도한 대로 내 항목을 해석할 것인가?"를 고려함으로써 그러한 노력을 확대한다.’’

In 2 recent Journal of Graduate Medical Education editorials,4,5 the authors proposed a 6-step decision process for questionnaire designers to use. In this article, we expand on that effort by considering the fifth of the 6 decision steps, specifically, the following question: ‘‘Will my respondents interpret my items in the manner that I intended?’’


설문지는 의학 교육 연구의 주제를 조사하기 위해 정기적으로 사용되며, 표준화된 설문 조사 질문을 대본으로 작성하는 간단한 과정으로 보일 수 있다. 그러나, 연구자들이 완벽히 명확하다고 생각되는 항목들이 종종 유의미한 오해를 받거나, 그렇지 않으면 의도된 바를 측정하지 못한다는 것을 많은 증거들이 증명한다.1.2 예를 들어, "보건전문직"과 같은 추상적인 용어들은 질문지를 만든 사람이 생각한 것을 현저하게 벗어날 수 있는 광범위한 해석을 떠올리게 하는 경향이 있다.

Questionnaires are regularly used to investigate topics in medical education research, and it may seem a straightforward process to script standardized survey questions. However, a large body of evidence demonstrates that items the researchers thought to be perfectly clear are often subject to significant misinterpretation, or otherwise fail to measure what was intended.1,2 For instance, abstract terms like ‘‘health professional’’ tend to conjure up a wide range of interpretations that may depart markedly from those the questionnaire designer had in mind.


여기서 설명하는 방법, 즉 '인지 면접' 또는 '인지 시험'조사 질문(특성, 행동 또는 본질적으로 사실)이 의도한 목적(BOX)을 달성하는지 여부를 조사하기 위해 특별히 고안된 증거 기반의 정성적 방법이다그 방법은 구체적으로 모집된 개인과의 인터뷰에 의존한다. 이들 개인에게는 설문지 최종 초안을 관리하는 것과 동일한 방식으로 설문지 질문을 제시한다. 인지면접은 품질보증 절차로서 자료수집(예측) 전, 자료수집 중 또는 조사를 실시한 후에도 실시된다.

The method we describe here, termed ‘‘cognitive interviewing’’ or ‘‘cognitive testing,’’ is an evidence-based, qualitative method specifically designed to investigate whether a survey question—whether attitudinal, behavioral, or factual in nature—fulfills its intended purpose (BOX). The method relies on interviews with individuals who are specifically recruited. These individuals are presented with survey questions in much the same way as survey respondents will be administered the final draft of the questionnaire. Cognitive interviews are conducted before data collection (pretesting), during data collection, or even after the survey has been administered, as a quality assurance procedure.


1980년대에 인지 인터뷰는 실험 심리학 분야에서 성장했다; 인지 인터뷰의 일반적인 정의는 그러한 기원과 강조를 반영한다. 예를 들어 윌리스는 '인지 인터뷰는 개인이 정신적으로 설문지를 처리하고 응답하는 방식을 경험적으로 연구하기 위한 심리학적 지향적 방법이다'라고 말한다. 그 이론적 기반 때문에 인지 인터뷰는 전통적으로 투란게우가 도입한 4단계 인지 모델에 의존해 왔다. 이 모델은 설문조사 응답 프로세스는 다음의 네 단계를 포함하는 것으로 설명한다. 

  • (1) 이해, 

  • (2) 정보의 검색, 

  • (3) 판단 또는 추정, 

  • (4) 질문에 대한 응답 선택

During the 1980s, cognitive interviewing grew out of the field of experimental psychology; common definitions of cognitive interviewing reflect those origins and emphasis. For example, Willis6 states, ‘‘Cognitive interviewing is a psychologically oriented method for empirically studying the way in which individuals mentally process and respond to survey questionnaires.’’ For its theoretical underpinning, cognitive interviewing has traditionally relied upon the 4stage cognitive model introduced by Tourangeau.7 This model describes the survey response process as involving 

  • (1) comprehension, 

  • (2) retrieval of information, 

  • (3) judgment or estimation, and 

  • (4) selection of a response to the question.


예를 들어, ''지난 해에, 정식 교육 프로그램에 몇 번이나 참여하셨습니까?''라는 질문에 대한 정신적 처리는 아마도 다음의 것이 필요할 것이다. 

  • 요한 용어와 구문을 이해하고 해석한다(예: "지난 해" 및 "교육 프로그램"). 

  • 정답을 회상하고, 정확한 숫자를 보고하기로 결정(예를 들어, 더 높은 값을 제공하는 것보다 더 높음)한다. 

  • 그런 다음, 조사 요건에 부합하는 답변을 작성한다(예: "실제"가 아닌 "5회" 보고). 

For example, mental processing of the question ‘‘In the past year, how many times have you participated in a formal educational program?’’ presumably requires a respondent 

  • to comprehend and interpret critical terms and phrases (eg, ‘‘in the past year’’ and ‘‘formal educational program’’); 

  • to recall the correct answer; to decide to report an accurate number (rather than, for example, providing a higher value); and 

  • then to produce an answer that matches the survey requirements (eg, reporting ‘‘5 times’’ rather than ‘‘frequently’’). 


가장 흔히 이해력 문제가 지배적이다. 예를 들어, '공식 교육 프로그램'이라는 용어가 다양하게 해석되고 있는 것을 발견할 수 있다. 즉, 응답자는 어떤 활동을 세어야 할지 확실하지 않을 수 있고, 나아가 어떤 유형의 참여에 대해 질문받고 있는지 모를 수 있다(예: 학생, 교사 또는 관리자로서의 참여).

Most often, comprehension problems dominate. For example, it may be found that the term ‘‘formal educational program’’ is variably interpreted. In other words, respondents may be unsure which activities to count and, furthermore, may not know what type of participation is being asked about (eg, participation as a student, teacher, or administrator).


보다 최근에 인지 인터뷰는 사회학적/인류학적 노력으로 어느 정도 재개념화되었다. 왜냐하면 조사 항목에 대한 개인주의적 정신 처리뿐만 아니라, 응답자의 삶을 의미 있게 포착하는 질문이 얼마나 잘 표현되는가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배경 사회적 맥락도 강조하기 때문이다. 특히 설문조사가 다양한 환경과 문화의 범위를 점점 더 반영함에 따라, 이러한 관점은 점점 더 대중화되었다. 이러한 관점에서 볼 때, 겉보기에는 '졸업후의학교육'처럼 간단해 보이는 용어의 정의 자체에는 통일성이 결여되어 있을 수 있다.

More recently, cognitive interviewing has to some extent been reconceptualized as a sociological/anthropological endeavor, in that it emphasizes not only the individualistic mental processing of survey items but also the background social context that may influence how well questions meaningfully capture the life of the respondent.8 Especially as surveys increasingly reflect a range of environments and cultures that may differ widely, this viewpoint has become increasingly popular. From this perspective, the definition of a term as seemingly simple as ‘‘graduate medical education’’ might itself lack uniformity.


인지 인터뷰(또는 인지 테스트)—조사 질문이 의도된 목적을 충족하는지 여부를 조사하기 위해 특별히 고안된 증거 기반의 정성적 방법.

Cognitive interviewing (or cognitive testing)—an evidence-based qualitative method specifically designed to investigate whether a survey question satisfies its intended purpose.


동시 탐색 - 응답자가 각 조사 항목을 소리 내어 읽고 답한 후 바로 면접관이 탐색 질문을 관리하는 구두 탐색 기법.

Concurrent probing—a verbal probing technique wherein the interviewer administers the probe question immediately after the respondent has read aloud and answered each survey item.


사전주도적 구두 탐색—잠재적인 문제를 찾기 위해 인지 면접 전에 체계적으로 제작된 구두 조사.

Proactive verbal probes—a verbal probe that is systematically fashioned before the cognitive interview in order to search for potential problems.


반응성 구두 탐색—인지 인터뷰 동안 종종 응답자의 행동에 대응하여 비표준화된 방식으로 개발된 구두 조사.

Reactive verbal probes—a verbal probe that is developed in a nonstandardized way during the cognitive interview, often in response to a respondent’s behavior.


반응성 효과—프로빙 질문에 대한 응답과 그 대답에 대한 설명과 관련된 추가적인 인지적 요구로 인해 발생하는 응답자의 행동의 불편함(대부분 조사 응답자의 일반적으로 행동보다 더 신중하게 고려한 답변을 하게 만든다).

Reactivity effects—bias in a respondent’s behavior caused by the additional cognitive demands related to answering probe questions and explaining those answers (most likely by leading to more carefully thought-out answers than a survey respondent might typically provide).


구두 조사—면접자가 일련의 조사 질문을 관리하는 인지 인터뷰 기법. 일반적으로 응답자가 제공하는 것보다 더 상세한 정보를 이끌어내기 위해 특별히 고안된 것이다.

Verbal probing—a cognitive interviewing technique wherein the interviewer administers a series of probe questions specifically designed to elicit detailed information beyond that normally provided by respondents.


후향적 조사—응답자가 전체 조사(또는 조사의 일부)를 완료한 후 면접관이 조사 질문을 관리하는 구두 조사 기법.

Retrospective probing—a verbal probing technique wherein the interviewer administers the probe questions after the respondent has completed the entire survey (or a portion of the survey).


Think-aloud 면접—조사에서 응답자들이 평가된 조사 항목에 답하려고 할 때 자신의 생각을 적극적으로 말하도록 요구하는 인지 인터뷰 기법.

Think-aloud interviewing—a cognitive interviewing technique wherein survey respondents are asked to actively verbalize their thoughts as they attempt to answer the evaluated survey items.



프로세스 개괄

Process Overview


인지면접은 2가지 주요 절차를 이용하여 실시한다.

Cognitive interviewing is conducted using 2 key procedures


첫째, 설문 응답자(종종 주제나 참여자로 개명)가 설문 질문에 답하려고 할 때 적극적으로 자신의 생각을 구두로 표현해 줄 것을 요청하는 think-aloud 방식의 인터뷰가 필요하다.9 여기서 인터뷰 진행자의 역할은 주로 피험자에게 '계속 이야기'를 하도록 요청함으로써 이러한 활동을 지원하고, 그 결과의 구두 기록, 즉 소위 인지 프로토콜이라고 불리는 것을 나중에 분석하기 위해 기록하는 것이다. 이 절차가 효과적이 되려면, 대상자의 think-aloud 스트림에는 접선적 또는 교묘한 자유 연관성이 아닌 조사 질문 기능의 평가와 관련된 진단 정보가 포함되어야 한다.

First, think-aloud interviewing requests that the survey respondents (often renamed subjects or participants) actively verbalize their thoughts as they attempt to answer the survey questions.9 Here the role of the interviewer is mainly to support this activity by asking the subject to ‘‘keep talking’’ and to record the resultant verbal record, or so-called cognitive protocol, for later analysis. For this procedure to be effective, it is necessary that the subject’s think-aloud stream contain diagnostic information relevant to the assessment of survey question function, as opposed to tangential or meandering free association.


지난 20년간 상당한 영향력을 획득한 [대안적 절차]는 구두 조사로, 인지 면접관이 일반적으로 응답자가 제공하는 것 이상의 상세한 정보를 유도하기 위해 특별히 고안된 일련의 조사 질문을 관리하는 보다 적극적인 형태의 데이터 수집이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탐침은 TABLE 1. 

  • 잠재적인 문제를 찾기 위해 면접 전에 체계적으로 제작하거나(프로액티브 프로브) 

  • 면접 중에 대상 행동에 대응하여 비표준화된 방식으로 개발할 수 있다(리액티브 프로브). 

이와 같이 프로빙은 대개 엄격한 재료 표준화보다는 [면접관의 적응성에 크게 의존]하는 유연한 절차다.

The alternative procedure, which has gained considerable traction over the past 20 years, is verbal probing, which is a more active form of data collection in which the cognitive interviewer administers a series of probe questions specifically designed to elicit detailed information beyond that normally provided by respondents. Commonly used probes are provided in TABLE 1. 

  • Probes may be systematically fashioned before the interview, in order to search for potential problems (proactive probes), or 

  • they may be developed in a nonstandardized way during the interview, often in response to subject behavior (reactive probes). 

As such, probing is usually a flexible procedure that relies to a significant degree on interviewer adaptability rather than on strict standardization of materials.



think-aloud 절차의 장점은 면접관에 대한 요구를 훈련하는 방식에 거의 영향을 주지 않고, [반응을 편향시킬 수 있는 방식으로 지시하는 것]을 피한다는 것이다. 그렇게 말하는 것은, 큰 소리로 생각하는 것은 [피험자들에게 상당한 부담]을 주는데, 그들 중 많은 사람들은 그 과정이 부자연스럽고 어렵다고 생각한다. 게다가, 때때로 어설픈 말로 얻어지는 순전히 많은 양의 think-aloud 분석은 어려운 과제가 될 수 있다.

The advantages to a think-aloud procedure is that it presents little in the way of training demands on the interviewer and avoids being too directive in ways that could bias responses. That being said, thinking aloud places a significant burden on subjects, many of whom find the process to be unnatural and difficult. Further, analysis of think-aloud transcripts can be a daunting task because of the sheer quantity of the sometimes meandering verbalizations obtained.


반면에 구두 탐구는 면접관의 입장에서 더 많은 훈련과 생각을 필요로 하며, 주의 깊게 하지 않으면 [반응성 효과]를 일으킬 수 있다. 즉, 구두 탐구는 탐침 질문에 대답하고 그 대답을 설명하는 것과 관련된 추가적인 인지적 요구를 통해 [피험자의 행동에 편견]을 일으킬 수 있다. 예를 들어, 탐구는 설문 조사 응답자가 일반적으로 제공할 수 있는 것보다 더 세심하게 심사숙고된 답변을 이끌어 낼 수 있다. 그러나 구두 탐구는 일반적으로 효율적이며, 특정 인지 과정(예: 용어 또는 구문의 이해)을 대상으로 할 수 있으며, 피험자가 잘 수용하며, think-aloud 스트림보다 [세그먼트와 코드로 분리하기 쉬운 데이터]를 제공한다.

Verbal probing, on the other hand, requires more training and thought on the part of the interviewer and, if not done carefully, can create reactivity effects. That is, verbal probing may create bias in the subject’s behavior through the additional cognitive demands related to answering probe questions and explaining those answers. For example, probing may lead to more carefully thought-out answers than a survey respondent might typically provide. However, verbal probes are generally efficient, can be targeted toward specific cognitive processes (eg, comprehension of a termor phrase), are wellaccepted by subjects, and provide data that are easier to separate into segments and code than think-aloud streams.


표2

TABLE 2



인지면접 분석 

Analysis of Cognitive Interviews


인지면접은 정성적 절차이기 때문에 분석은 수치 데이터의 엄격한 통계적 분석이 아니라 면접 중(종종 면접자가) 또는 그 이후에(면접자나 분석가가) 취하는 서면 메모의 코딩과 해석에 의존한다.

Because cognitive interviewing is a qualitative procedure, analysis does not rely on strict statistical analysis of numeric data but rather on coding and interpretation of written notes that are taken during the interview (often by the interviewer) or after it (by either the interviewer or an analyst).


일련의 인터뷰는 일반적으로 각 평가 항목과 관련된 노트를 결합하고, 인터뷰 전체에서 취합하며, 공통의 주제를 찾고, 조사 개발자들이 원하는 해석에서 벗어나는 것을 나타낼 수 있는 주요 결과를 식별하여 분석한다. 예를 들어, 만약 "공식 교육 프로그램"의 의미에 대해 (광범위한 주제에서) 거의 일치성이 없다는 것을 발견한다면, 잠재적인 해결책은 조사에서 이 용어를 명시적으로 정의하는 것일 수 있다.

A set of interviews are typically analyzed by combining the notes pertaining to each evaluated item, aggregating across interviews, seeking common themes, and identifying key findings that may indicate departures from the interpretation desired by survey developers. For example, if one finds that there is little concurrence across a range of subjects about what is meant by ‘‘formal educational program,’’ a potential solution may be to explicitly define this term in the survey.


현실적 고려 

Practical Considerations


인지 인터뷰 프로젝트는 일반적으로 범위가 작고 총 10명에서 30명의 과목만 참여할 수 있다. 소규모 GME 프로젝트의 경우, 조사 개발자들이 매우 작은 표본의 편향 가능성에 민감하다면, 5~6명의 대상자만으로도 조사 항목 개선에 유용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인지면접은 종종 반복적인 절차로 수행되는데, 이 절차에서는 소규모 면접(예: 10)이 실시된다. 조사 개발자는 자신의 결과를 분석하고 평가하고, 필요한 경우 조사 항목을 변경한 후 수정된 항목을 사용하여 추가 시험을 한다.

Cognitive interviewing projects are normally small in scope and may involve just 10 to 30 total subjects. For small-scale GME projects, as few as 5 or 6 subjects may provide useful information to improve survey items, as long as the survey developers are sensitive to the potential for bias in very small samples. Cognitive interviewing is often conducted as an iterative procedure, in which a small round of interviews is conducted (eg, 10); the survey developers analyze and assess their results, make alterations to survey items where necessary, and then conduct an additional round of testing using the modified items.


인지 면접은 면접관 주관식 및 자기 주관식 모두에 공통적으로 적용된다.

Cognitive interviewing is commonly applied to both interviewer-administered and self-administered


  • Interviewer-administration에서는, 평가된 각 질문을 소리 내어 읽고 답한 후 탐색으로 구성되는 동시 탐사에 의존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질문을 제시해 응답자가 답하게 한 다음 targeted probe를 묻는 앞뒤로의 반복 과정은 면접관 주관식 설문조사에 잘 기능하는 것으로 보이며 대부분의 사람들에게는 별 어려움이 없다.

Under interviewer administration, it is common to rely on concurrent probing, which consists of probing after each evaluated question is read aloud and answered. The back and forth process of presenting a question, having the subject answer it, and then asking targeted probes appears to function well for interviewer-administered surveys and poses little difficulty for most people.


  • Self-administration에서 interviewer는 보통 침묵하거나 부재한 상태에서 응답자가 아무런 도움 없이 설문조사를 완료하한다. 이 때는 후향적 조사 과정이 적용되는 경우가 많다. 후향적 조사에서는 응답자가 질문지를 완료한 후 인터뷰어 질문은 디브리프 세션에서 이뤄진다.

Under self-administration, where the interviewer is normally silent or absent and the respondent completes the survey unaided, the process of retrospective probing is often applied. In retrospective probing, interviewer questions are reserved for a debriefing session that occurs after the subject has completed the questionnaire.


[동시 탐색]은 그들의 생각이 최근일 때 그리고 아마도 신선할 때 탐구에 응답할 수 있도록 하는 반면, [소급 탐색]은 시간적으로 더 멀리 떨어져 있는 생각을 재방문해야 한다. 그러나 동시 탐구는 중간에 탐색질문을 던지기 때문에 interview를 방해할 수 있다.

Concurrent probing allows the subject to respond to probes when their thoughts are recent and presumably fresh, whereas retrospective probing requires revisiting thoughts that are more remote in time. However, concurrent probing can disrupt the interview through its imposition of probes in a way that retrospective probing does not.


일반적으로 인지인터뷰에서 recruitment의 목적은 [특정 유형의 통계적 표현도 달성하는 것]이 아니라 [시간과 비용의 제약이 있는 상황에서 가능한 한 광범위한 대상자를 포함하여 많은 영역을 포괄하는 것]이다. 인지 인터뷰에 사용된 데이터와 응답자는 최종 조사 연구의 일부로 사용되어서는 안 된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Usually the objective of recruitment is not to achieve any type of statistical representation but rather to cover the territory by including as wide a range of subjects as possible, given the constraints of time and cost. It is important to note, these data and the respondents used for the cognitive interviews should not be used as part of the final survey study.


결론 Concluding Thoughts

인지 인터뷰는 설문 조사 개발자가 설문 조사 내용에 근거한 타당성 증거와 참가자들이 설문 조사 질문에 답하면서 수행하는 사고 과정을 수집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는 증거 기반 도구다.2,8–10

Cognitive interviewing is an evidence-based tool that can help survey developers collect validity evidence based on survey content and the thought processes that participants engage in while answering survey questions.2,8–10



4 Magee C, Byars L, Rickards G, Artino AR Jr. Tracing the steps of survey design: a graduate medical education research example. J Grad Med Educ. 2013;5(1):1–5.


5 Rickards G, Magee C, Artino AR Jr. You can’t fix by analysis what you’ve spoiled by design: developing survey instruments and collecting validity evidence. J Grad Med Educ. 2012;4(4):407–410.










. 2013 Sep;5(3):353-6.
 doi: 10.4300/JGME-D-13-00154.1.

What Do Our Respondents Think We're Asking? Using Cognitive Interviewing to Improve Medical Education Surveys

Free PMC article
No abstract available


의학교육연구에서 복잡성 과학의 현 상태는? (Med Educ, 2019)

What is the state of complexity science in medical education research?

Sayra Cristancho,1,2,3 Emily Field1,4 & Lorelei Lingard1,3,5




도입 

INTRODUCTION


세상이 예전보다 복잡하다는 주장은 우리 포스트모던 사회에서 받아들여진 진실이 되었다. 예는 무궁무진하다. 

  • 조직의 리더십이 더 복잡함, 1–3 

  • 경제 무역은 더 복잡하고, 4–6 

  • 통신 기술은 더 복잡하다, 7,8 

  • 정부 정책은 더 복잡하다,9-11 

  • 사회관계는 더 복잡하고, 12,13 그리고 

  • 의료는 더 복잡하다.14-16 

The claim that the world is more complex than it used to be has become accepted truth in our postmodern society. The examples are endless: organisational leadership is more complex,1–3 economic trade is more complex,4–6 communication technology is more complex,7,8 government policy is more complex,9–11 social relations are more complex,12,13 and health care is more complex.14–16 


의학 교육에서 이는 [우리가 점점 더 복잡해지는 환자, 조직적, 문화적 힘의 맥락에서 유능한 전문 인력을 양성해야 하는 도전에 직면하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In medical education, this means that we are faced with the challenge of developing capable professionals in the context of increasingly complex patient, organisational and cultural forces.


복잡성 과학은 시스템을 조사examine하는 방법으로 약 50년 전에 나타났다. 서로 다른 학문들이 복잡성에 대한 그들의 글에서 다른 진화의 단계에 있다. 비록 어떤 이들은 복잡성이 하나의 근원을 가지고 있는지 아닌지에 대한 문제(즉, 복잡성 대 단순성)에 대해 여전히 고심하고 있지만, 다른 이들은 복잡성의 다중성을 인식하고 수용했다. 우리 논문은 의학교육이 전자의 입장에서 후자의 입장으로 나아가는 것을 옹호할 것이다.

Complexity science emerged around five decades ago as a way to examine systems. Different disciplines are at different stages of evolution in their writings about complexity. Although some are still grappling with the question of whether complexity has a single origin or not (i.e. complexity versus simplicity), others have recognised and embraced its multiplicity. Our paper will advocate for medical education to move from the former stance to the latter.


우리 합성의 장을 마련하기 위해 우리는 다음과 같은 세 가지 학문적 개요에 대한 복잡성 과학 도면을 간략히 소개할 것이다. 

  • 멜라니 미첼의 학문에 걸친 복잡성 과학의 역사; 

  • 브라이언 카스텔라니(Brian Castellani)의 복잡성 과학의 진화에 대한 일시적 설명, 

  • 스티븐 맨슨의 복잡성 과학에 대한 많은 접근에 대한 개념화(Three main orientations)와 관련된 세 가지 주요 방향과 관련된 것이다.

To set the stage for our synthesis, we will briefly introduce complexity science drawing on three scholarly overviews: 

  • Melanie Mitchell’s history of complexity science across the disciplines; 

  • Brian Castellani’s temporal description of the evolution of complexity science, and 

  • Steven Manson’s conceptualisation of the many approaches to complexity science as pertaining to three main orientations.


미첼의 역사는 [복잡한 시스템을 지배하는 공통 원리에 대한 탐구]가 [1940년대 전통적인 환원주의적 접근법이 날씨 예측 불가능성, 살아있는 유기체의 적응성, 사회의 비선형적 행동과 같은 현상을 적절히 설명할 수 없게 되면서] 두드러지기 시작했다고 설명한다.두 명의 핵심 과학자가 이러한 시작을 알렸다. 수학자 노르베르트 비너와 생물학자 루드비히 폰 베르탈란피는 각각 사이버네틱스와 일반 시스템 이론의 학문을 발전시켰다. 이 두 가지 노력이 함께 현재 복잡성 과학으로 알려진 것의 뿌리를 형성했다.18

Mitchell’s history explains that the search for common principles governing complex systems began to take prominence in the 1940s when conventional, reductionist approaches were unable to adequately explain phenomena like the unpredictability of weather, the adaptive nature of living organisms and the non-linear behaviour of societies.17 Two key scientists marked these beginnings: the mathematician Norbert Wiener and the biologist Ludwig von Bertalanffy, who gave rise, respectively, to the disciplines of cybernetics and general systems theory. Together, these two efforts formed the roots of what is now known as complexity science.18


카스텔라니의 연대표는 이러한 뿌리에 기초하여 1940년부터 1950년대까지 복잡과학의 역사적 진화를 지도로 그리고 있다(그림 1).19 그의 지도는 복잡한 과학을 다양한 징계와 인식론적 배경의 학자들이 시너지 효과를 발휘하여 복잡한 시스템의 연구를 지도하는 이론과 개념, 방법의 진화하는 도구 키트를 만들어 내는 네트워크의 산물로 묘사하고 있다.

Castellani’s timeline builds on these roots to map the historical evolution of complexity science from 1940 to the 1950s to the present (Fig. 1).19 His map depicts complexity science as the product of a network of scholars from various disciplinary and epistemological backgrounds working synergistically to create an ever-evolving toolkit of theories, concepts and methods to guide the study of complex systems.



이러한 다양성을 고려해 볼 때, 다른 작가들은 복잡성 이론의 많은 용도에 대한 개요를 제공했다. 예를 들어 리처드슨 외 연구진 20,21은 복잡성에 대한 한 가지 사고방식은 각각 '단단한hard' 복잡성 과학, '부드러운soft' 복잡성 과학 및 그 사이의 어떤 것으로서 3개의 광범위한 사고방식에 관한 것이라고 제안했는데, 이를 '복잡성 사고'라고 한다.

Given this diversity, different authors have offered overviews of the many uses of complexity theory. For instance, Richardson et al.20,21 have suggested that one way of thinking about complexity is in terms of three broad schools of thought as, respectively, ‘hard’ complexity science, ‘soft’ complexity science and something in between, which they call ‘complexity thinking’.


본 논문의 경우, 의료 교육계의 학제간 노력에 귀중한 징계 기원에 대한 명시적인 주의를 제공하기 때문에 만슨의 프레임워크로부터 출발한다.22 만슨의 프레임워크는 [복잡성에 대한 어떤 특정한 정의도 원래 학문의 관점의 색깔에 바탕을 두게 된다]는 전제를 갖는다. 이와 같이, 그는 학문적 동기, 반복적인 정의 용어 및 인식론적 가정을 바탕으로 복잡성 과학 접근방식을 체계화한다,23.

For this paper, we draw on Manson’s framework as it offers explicit attention to disciplinary origins that will be valuable to the interdisciplinary endeavour of the medical education community.22 Manson’s framework is guided by the premise that any particular definition of complexity is coloured by the perspective of the original discipline. As such, he clusters complexity science approaches based on disciplinary motivations, recurring definitional terms and epistemological assumptions,23


Manson은 복잡성 과학에 대한 [세 가지 접근방식]을 개념화한다: 

  • 알고리즘(수학의 기원), 

  • 결정론적(물리학의 기원), 

  • 집합적(생물학의 기원).22 

세 가지 접근법 모두 시스템의 특성이 비저감적 방식으로 구성 요소를 참조하여 특성화하는 방법과 관련이 있다.

Manson conceptualises three approaches to complexity science: 

  • algorithmic (origins in mathematics); 

  • deterministic (origins in physics), and 

  • aggregate (origins in biology).22 

All three approaches are concerned with how the nature of a system may be characterised with reference to its constituent parts in a non-reductionist manner.


[알고리즘 복잡성]은 시스템의 행동을 재현할 수 있는 수학적, 계산적 문제를 해결하는 데 초점을 맞춘다. 알고리즘 복잡성은 정보를 처리하는 뇌의 용량과 같은 물리적 현상의 알고리즘적 표현을 만드는 데 유용하지만, 환경적, 기계적, 사회적 현상을 나타낼 때는 부족하다.

Algorithmic complexity focuses on solving mathematical and computational problems that can reproduce the behaviour of a system. Algorithmic complexity is useful for creating algorithmic representations of physical phenomena such as the capacity of the brain to process information, but it falls short when representing environmental, mechanical or social phenomena.


[결정론적 복잡성]환경적 또는 기계적 현상을 나타내기 위해 필요한 피드백, attractors, nesting 및 결정론적 방정식의 개념을 포함한다. 그 목표는 시스템의 정량화를 위해 방정식을 사용하여 시스템의 정체성 또는 역학을 예측하는 것이다. 따라서, 그것은 실증주의적 전통을 반영한다. 결정론적 복잡성은 작은 방정식의 몇 가지 핵심 변수들이 시스템을 설명할 수 있다는 생각에 의존한다. 예를 들어 로봇 수술의 경우 로봇의 역학을 예측하기 위해 위치, 힘 및 속도 변수가 필요하다.

Deterministic complexity incorporates the notions of feedback, attractors, nesting and deterministic equations that are necessary to represent environmental or mechanical phenomena. Its goal is to predict a system’s identity or dynamics by using equations to quantify the system; hence, it reflects a positivist tradition. Deterministic complexity relies on the idea that a few key variables in a small set of equations can describe the system. For example, in the case of robotic surgery, position, force and velocity variables are necessary to predict the robot’s dynamics.


사회현상을 결정론적 방정식을 통해서 보는 것은 (종종 인간의 행동의 예측 불가능성 때문에) 너무 단순화되기 때문에, [총체적 복잡성]은 보다 전체적인 표현을 제공하려고 시도한다. 이를 위해, [총체적 복잡성]은 또한 알고리즘 및 결정론적 복잡성과 마찬가지로 피드백과 비선형성에 의존하지만, 다음과 같은 다른 상호 관련 개념들을 추가한다. 

  • 엔티티 간의 관계 

  • 내부 구조 및 주변 환경 

  • 학습과 새로운 행동, 

  • 변화와 성장. 

As the characterising of social phenomena via deterministic equations is often too simplistic because of the unpredictability of human behaviour, aggregate complexity attempts to offer more holistic representations. To do this, aggregate complexity also relies on feedback and non-linearity as do algorithmic and deterministic complexities, but adds another set of interrelated concepts: 

relationships between entities; 

internal structure and surrounding environment; 

learning and emerging behaviour, and 

change and growth. 


총체적 복잡성은 [다양한 요소의 상호작용에 의해 시스템이 생성되는 방법]에 더 관심이 있고 변수 측정에는 관심이 더 적은 편이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종합적 복잡성은 부품들 간의 상호작용에서 비롯되는 결과를 적응시키고 학습하기 위한 시스템의 행동을 이해하고 설명하려고 한다. 따라서, 그것은 [구성주의적 전통]을 반영한다.

Aggregate complexity is more interested in how systems are created by interactions of the various elements and less in measuring variables. To this end, aggregate complexity seeks to understand and describe a system’s behaviours to adapt and learn that result from interactions among parts; hence, it reflects a constructivist tradition.


[총체적 복잡성]은 임상 팀과 같은 시스템을 연구하는데 적절할 것이며, 이는 [개별 구성원]과 [그들의 관계]에 의해 크게 추진된다. 예를 들어, 팀 구성원 개개인은 자신의 역할, 업무 일정, 병원 계층 내의 위치, 환자들과의 상호 작용에 의해 정의된 관계를 가지고 있다. 총체적 복잡성에서, 특히 중요한 한 가지 특징은 [자기 조직]이다. 시스템의 요소들이 시스템 전체의 구조와 행동을 더 잘 조정하여 업무를 더 잘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방식으로 그들의 관계를 변화시킨다.

Aggregate complexity would be appropriate for studying systems like clinical teams, which are driven to a great extent by the individual members and their relationships. For example, individual team members have relationships defined by their roles, their work schedules, their place within the hospital hierarchy and their interactions with patients, to name a few. In aggregate complexity, one particularly important feature is self-organisation, in which elements of a system change their relationships in ways that enable the system as a whole to adapt its structure and behaviour to better accomplish its work.


복잡성에 대한 세 가지 방향성을 종합하면, 만손에 의해 기술된 바와 같이, 배타적인 방법이 아닌 보완적인 방법으로 복잡성 사상을 사용할 수 있는 기회를 제시한다. Manson의 방향은 복잡한 시스템을 이해하려면 접근법과 관점 사이의 삼각측정이 필요하다는 것을 암시하는 인식론적 관점의 범위를 수용한다.

Taken together, the three orientations to complexity, as described by Manson,22 present an opportunity for using complexity ideas in a complementary rather than an exclusive way. Manson’s orientations accommodate a range of epistemological perspectives which suggest that understanding complex systems requires triangulation among approaches and viewpoints.


'복잡성'은 의학 교육에서 '신(神) 용어'로 빠르게 자리 잡고 있다(그림 2). 이 논문은 의학 교육이 학문적 연구에서 어떻게 복잡한 생각을 가져왔는지 탐구하고자 한다. 우리는 복잡성 원리의 사용 패턴을 설명하고, 우리 분야에서 '복잡한' 현상에 대한 학술적 대화를 진전시키는 능력에 대해 그러한 패턴의 결과를 고려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Complexity’ is fast becoming a ‘god term’ in medical education (Fig. 2). This paper seeks to explore how medical education has taken up complexity ideas in scholarly research. We aim to describe the patterns of use of complexity principles and to consider the consequences of those patterns for our ability to advance scholarly conversations about ‘complex’ phenomena in our field.



문헌을 찾아서

IN SEARCH OF THE LITERATURE


우리의 문헌 조사에는 두 가지 단계가 포함되어 있었다. 1단계에서는 보건과학과 의학교육 문헌 모두에서 14개의 검토 및 의견서를 사용하여 이러한 분야의 복잡성 과학의 외관을 지도화했다. 2단계에서는 의학 교육 연구에서 복잡성 과학의 현재 이론적 방향과 적용을 식별하기 위해 추가 문헌을 통합한다.

Our search of the literature involved two phases. In Phase 1, we used 14 review and opinion papers in both the health sciences and medical education literatures to map the appearance of complexity science in these fields. In Phase 2, we synthesised additional literature to identify the current theoretical orientations and applications of complexity science in medical education research.


우리는 만슨의 프레임워크22와 다음과 같은 질문을 사용하여 우리의 합성을 이끌었다.

We used Manson’s framework22 and the following questions to guide our synthesis:


  • 1 저자들은 복잡성을 어떻게 활용하고 있는가? 그들의 이론적 성향은 어떠한가?

  • 2 다른 저자들의 개념화와 복잡성 과학의 사용 사이에 어떤 긴장감이나 유사성이 있는가?

  • 3 저자들은 복잡성 과학의 용도를 찾기 위해 주로 누구의 작품을 인용하는가?

1 How are the authors using complexity? What are their theoretical orientations?

2 What are the tensions or similarities between different authors’ conceptualisations and uses of complexity science?

3 Whose work do the authors primarily cite to locate their use of complexity science?



보건과학과 의료교육에서 복잡성 과학이 등장한 것은 언제인가?

WHEN DID COMPLEXITY SCIENCE EMERGE IN THE HEALTH SCIENCES AND MEDICAL EDUCATION?


2001년에, BMJ는 의료 연구에 복잡성 이론을 도입하는 것을 명시적으로 목적으로 하는 특별호를 발행했다. 이 문제의 첫 번째 기사에서는 [모호한 경계, 적응, 비선형성, 예측 불가능성, 유치자 및 자기 조직]을 포함한 [복잡한 시스템을 이해하기 위한 원칙]을 간략히 설명하였다.24 특별호의 다른 기사에서는 이러한 원칙을 사용하여 임상실무, 조직적 리더십 및 교육에서 오랫동안 유지되어 온 가정에 도전하였다. 

  • 예를 들어 임상 실습에서 복잡성 이론은 질병이 단일 생리학적 시스템의 실패라는 생각에서 멀어져 질병은 여러 시스템 내부와 시스템 사이의 동적 상호작용에서 발생한다는 생각을 향한 이동을 뒷받침했다.

  • 리더십에서, 복잡성 이론은 조직을 고립된 부분들의 집합으로 생각하는 것에서 그 부분들 사이의 관계에 대한 생각으로 바꾸게 했다.

  • 교육에서 복잡성 이론은 정적 영역의 역량 강화에서 지식이 끊임없이 변화하는 영역에서 능력이나 적응을 위한 교육으로 초점을 전환하기 위해 사용되었다.

In 2001, The BMJ published a special issue with the explicit purpose of introducing complexity theory to health care research. The first article in the issue outlined the principles for understanding complex systems, including fuzzy boundaries, adaptation, non-linearity, unpredictability, attractors and self- organisation, among others.24 Other articles in the special issue used these principles to challenge long- held assumptions in clinical practice, organisational leadership and education. 

  • In clinical practice, for instance, complexity theory supported a move away from the idea that illness is a failure of a single physiological system, towards the idea that illness arises from dynamic interactions within and between multiple systems.25 

  • In leadership, complexity theory prompted a shift away from thinking of an organisation as a set of isolated parts to thinking in terms of relationships among those parts.

  • 26 In education, complexity theory was used to shift the focus from enhancing competence in static domains to educating for capability or adaptation in domains in which knowledge is everchanging.27


이번 BMJ 특집호에서는 21세기 의료 환경이 의료교육에 미치는 영향과 의사의 직업적 정체성에 대한 심도 있는 분석을 촉발했다.

  • 예를 들어, 급성 치료에서 만성 치료로 의료 관행이 변화함에 따라 병원 밖에서 더 많은 치료를 제공할 필요성이 생겨났다. 이 새로운 치료 모델은 의사가 새로운 전문적 가치(자율성/권위성/전문지식에서 상호의존성으로의 전환으로 표현됨)와 새로운 기대(의료 전문가의 가치에서 공공 전달자, 지도자, 관리자, 옹호자, 교육자, 연구자, 모두 동시에 경력 시작부터 수용하도록 요구한다.

  • 이러한 새로운 기대에 대응하여, 교수 초점의 변화도 일어났다. 여기서 '바이오메디컬 과학'의 전경은 '의료 교육'의 전경에 자리를 내주었고, 그 결과 인문학이 의료 커리큘럼에 포함되었다.

This special issue of The BMJ precipitated in-depth analyses of the influence of the complex 21st century health care environment on medical education and the professional identity of physicians.28–30 

  • For instance, the changes in medical practice from acute to chronic care have created the need to provide more care outside the hospital.31,32 This new care model requires physicians to embrace new professional values (represented by a shift from autonomy/authority/ expertise to interdependency)33 and new expectations (from that of a medical expert to those of a public communicator, leader, manager, advocate, educator, researcher, all at the same time and from the start of a career).34

  •  In response to these new expectations, a change in teaching focus also occurred, whereby the foregrounding of ‘biomedical science’ gave way to the foregrounding of ‘competency-based education’, which resulted in the inclusion of humanities in medical curricula.


2010년대 초, 의료 교육 연구에 복잡성에 관한 언어가 나타나기 시작한다.

In the early 2010s, complexity language begins to appear in medical education research.


의료 교육 연구는 복잡성 과학을 어떻게 사용하는가?

HOW DOES MEDICAL EDUCATION RESEARCH USE COMPLEXITY SCIENCE?


분석하는 동안 의료 교육 연구에서 복잡성 이론의 사용에서 네 가지 패턴을 확인했다. 

  • 째, 복잡성 원리는 다양한 방법으로 설명된다

  • 둘째, 복잡성에 대한 다중 접근방식이 단일 논문에서 결합하여 사용된다

  • 셋째로, 과학이 사용하는 복잡성의 유형은 암묵적으로 방치되는 경향이 있다. 

  • 째, 사용되는 복잡성 방향은 일차 소스 인용보다는 이차 소스 인용문을 사용하는 것이 훨씬 일반적이다.

During our analysis, we identified four patterns in the use of complexity theories in medical education research. 

Firstly, complexity principles are described in a variety of ways. 

Secondly, multiple approaches to complexity are used in combination in single papers. 

Thirdly, the type of complexity science used tends to be left implicit. 

Fourthly, the complexity orientation used is much more commonly located using secondary source citation rather than primary source citation.


우리의 분석은 의료 교육 연구에서 복잡성 아이디어가 설명되어 온 다양한 방법을 보여준다. 일부 출판물은 그것의 기본 원칙이나 개념을 전혀 언급하지 않고 복잡성 과학을 유발한다. 예를 들어, 한 연구는 주치의의 역할에 대한 사고방식으로 복잡성 과학을 제시했지만, 역할에 적용될 수 있는 복잡성의 구체적인 원리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제공하지 않았다.44

Our analysis shows a variety of ways in which complexity ideas have been described in medical education research. Some publications invoke complexity science without making any mention of its basic principles or concepts. For instance, one study offered complexity science as a way of thinking about the role of the attending physician preceptor, but provided no elaboration of the specific principles of complexity that might apply to the role.44


다른 출판물들은 원리에 대하여 구어적colloquial 설명을 사용하면서 복잡성 과학을 묘사했지만, 그것들을 라벨로 표시하지는 않았다. 예를 들어 리더십에 대한 연구에서는 자기 조직화, 출현 및 피드백에 대한 개념이 예시를 통해 효과적으로 설명되었지만, 이러한 개념을 이론적 뿌리에 고정시키기 위한 명시적인 라벨링은 제공되지 않았다.45

Other publications described complexity science by using colloquial explanations of its principles, but not labelling them. For instance, in a study on leadership, notions of self-organisation, emergence and feedback were effectively illustrated through exemplars, but no explicit labelling was provided to anchor these notions to their theoretical roots.45


다른 경우에 복잡성 원칙은 맥락을 제공하기 위하여 라벨을 붙였지만 정의는 제공되지 않았다. 예를 들어, 시뮬레이션 교육을 알리기 위한 복잡성 이론의 사용에 대한 해설에는 관련 복잡성 원리의 목록이 포함되었지만 정의를 제공함으로써 자세히 설명하지는 않았다.39

In other instances, complexity principles were labelled to provide context but no definitions were provided. For instance, a commentary on the use of complexity theory to inform simulation education included a list of the relevant complexity principles but did not elaborate by providing definitions.39


마지막으로, 일부 간행물은 어떤 복잡성 원리를 선택하고 그 정의를 사용하여 현상을 설명했지만, 더 큰 복잡성 원리는 언급하지 않았다. 예를 들어, 한 논문에서는, 보건의료에서 리더십이 제정되는 방법의 역학관계를 설명하기 위해 등장 원리가 전초적으로 제시되었지만, 자기 조직화와 같은 다른 잠재적으로 관련이 있는 원칙은 언급되지 않았다.

Finally, some publications chose some complexity principles and used their definitions to illustrate a phenomenon, but did not mention the larger constellation of complexity principles. For instance, in one paper, the principle of emergence was foregrounded to describe the dynamics of how leadership is enacted in health care,46 but other potentially relevant principles such as self-organisation were not mentioned.


비록 우리는 만손의 프레임워크의 도움으로 많은 논문의 복잡성 방향을 유추할 수 있었지만, 이것들은 대부분 암묵적이었고 종종 방향성의 조합 패턴을 반영했다. 많은 출판물은 하나 이상의 이론적 방향을 암시하는 키워드나 언어를 사용했지만, 그 방향에 명시적으로 라벨을 붙이지 않았다.

Although we were able to infer many papers’ complexity orientations with the assistance of Manson’s framework,22 these were mostly implicit and often reflected a pattern of combination of orientations. Many publications used keywords or language suggestive of one or more theoretical orientations, but did not explicitly label that orientation.


다른 출판물들은 특정한 목적을 명시하지 않고 [복수의 오리엔테이션]을 반영하는 참고문헌을 인용했다. 예를 들어, 검토 논문은 임상적 맥락의 개념을 문제화하기 위해 서로 다른 방향의 주요 출처를 인용했다.48

Other publications cited references reflective of multiple orientations without explicitly indicating their particular purpose. For instance, a review paper cited primary sources from different orientations to problematise the notion of clinical context.48


우리는 또한 복잡한 과학을 사용하는 의학 교육 논문에서 인용의 두 가지 특징에 주목했다. 첫째로, 2차 출처는 1차 출처보다 더 일반적으로 인용되었다. 데이터 집합의 몇몇 논문 41,43,49–51은 복잡성의 정의에 대한 지원으로 2001 The BMJ series24 및 2011년 의학 교육 토론과 같은 독창적인 개념을 요약하고 개작한 논문을 인용했다. 2000년 이전부터 소수의 논문만이 1차 출처를 사용했다는 사실은 1차 출처와의 불충분한 관계를 시사한다. 둘째로, 인용문은 저자들이 복잡성 과학을 사용하는 방식에 항상 적절하거나 정확한 것은 아니었다.

We also noted two features of citation in medical education papers using complexity science. Firstly, secondary sources were cited more commonly than primary sources. Several papers41,43,49–51 in our dataset cited papers that summarised and adapted original concepts, such as the 2001 The BMJ series24 and the 2011 Medical Education debate,52,53 as support for their definitions of complexity. The fact that only a few papers used primary sources from before 200048,50,54 suggests insufficient engagement with primary sources. Secondly, citations were not always appropriate or accurate for the ways in which the authors were using complexity science.


이 사용의 의미는 무엇인가?

WHAT ARE THE IMPLICATIONS OF THIS USE?


우리는 네 가지 패턴을 개별적으로 설명했지만, 그것들이 서로 얽히고 상호 지지될 수 있다고 주장할 것이다. 복잡성 과학에 대한 그들의 접근방법에 대해 명시적인 저자는 거의 없으며, 이것은 부분적으로 왜 의료 교육 연구자들이 그것을 취하는 방식에 그러한 변화가 있는지 설명할 수 있다. 더욱이, 이러한 암묵성implicitness은 인식론적 일관성이 저자나 독자에게 즉각적으로 드러나지 않고 서로 다른 접근법을 결합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더욱이, 2차 원천 인용의 우위는 복잡성 지향 간의 구분을 더욱 모호하게 하며, 암묵적, 때로는 내부적으로 일관되지 않는 접근방식을 결합하여 허용한다.

We have described the four patterns individually, but we would argue that they may be entangled and mutually supporting. Few authors are explicit about their approach to complexity science, which may in part explain why there is such variation in the ways medical education researchers are taking it up. Furthermore, this implicitness means that different approaches can be combined without epistemological incoherence becoming immediately apparent to authors or readers. Moreover, the predominance of secondary source citation further obscures distinctions between complexity orientations and allows the implicit, and sometimes internally inconsistent, combining of approaches to persist.


그 자체로 다양성이 반드시 문제가 되는 것은 아니다. 우리가 서론에서 설명했듯이, 17 카스텔라니19와 맨슨, 22개의 복잡성 과학은 다중이다. 여러 학문에서 생겨났고, 그 지속적인 진화는 교차 훈련 수정에 의해 형성되기 때문에 그것의 기원을 식별하는 것은 간단하지 않다. 따라서 우리는 의학교육학자들이 일치시키는 특정한 복잡성 과학 접근법이나 혈통에 따라 복잡성 과학의 다양한 응용을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Variety in and of itself is not necessarily problematic. As we explained in the introduction, drawing on Mitchell,17 Castellani19 and Manson,22 complexity science is multiple. It is not straightforward to identify its origins because it emerged from multiple disciplines and its continued evolution is shaped by cross-discipline fertilisation. Therefore, we would expect to see a variety of applications of complexity science depending on the particular complexity science approach or lineage that medical education scholars align with.


그러나 무의식적인 다양성은 문제가 있다. 본 표본의 의학교육 논문이 복잡성 과학을 한 가지 방법으로 사용하는 명백한 선택을 거의 인정하지 않았다는 사실은 다음과 같은 질문을 던진다. 

우리 분야의 학자들은 복잡성 과학에 대해서 [특정한 학문적 기원에서 파생되어, 다른 은유에 의존하고 뚜렷한 목적을 가지고 있는] 여러 가지 합법적인 지향이 있다는 것을 이해하고 있는가

However, unconscious variety is problematic. That the medical education papers in our sample rarely acknowledged an explicit choice to use complexity science in one way versus another begs the question: 

Do scholars in our field understand that there are multiple legitimate orientations to complexity science, deriving from particular disciplinary origins, drawing on different metaphors and serving distinct purposes?


복잡성 과학이 복합적이라는 의식의 부재는 우리 분야를 연달은 문제적 결과로 만든다. 

  • 첫째로, 우리는 복잡성 과학이 특이하다고 가정할 수 있다: 즉, 그것을 할 수 있는 방법은 오직 하나뿐이다. 

  • 둘째로, 복잡성 과학이 단수적이라는 가정은 우리가 우리의 방식을 '올바른' 방법으로 인식하게 하고 다른 접근법을 부당한 것으로 무시하게 할 수 있다

  • 셋째로, 부당성illegitimacy에 대한 이러한 인식은 우리의 복잡성 과학에서 영감을 받은 연구에 대해 서로 생산적인 대화를 할 수 있는 우리의 능력을 제한할 수 있다.

An absence of conscious appreciation that complexity science is multiple sets our field up for a cascade of problematic consequences. 

  • Firstly, we may assume that complexity science is singular: that is, there is only one way to do it. 

  • Secondly, the assumption that complexity science is singular may cause us to perceive our way as the ‘right’ way and to disregard other approaches as illegitimate. 

  • Thirdly, this perception of illegitimacy may limit our ability to enter into productive dialogue with one another about our complexity science-inspired research.


보건과학과 의학교육의 최근 두 토론이 그 예다. 각각의 토론은 복잡성 과학의 부당한 사용에 대한 비난에 초점을 맞췄다.

Two recent debates in the health sciences and medical education are illustrative. Each debate centred on an accusation of the illegitimate use of complexity science.


[건강과학 논쟁]에서, 팰리는 '건강관리 문헌에서 일반적으로 복잡성이 해석되는 방법은 복잡성 이론의 모든 요점을 놓치고 있다'고 주장하면서, 건강 연구자들에 의한 복잡성 과학의 '전유appropriation'를 비난했다.56 페일리는 '수학적 개념을 심리학화psychologising'하거나 '자기조직화를 다른 것으로 재해석하는' 유혹에 빠진 사람들을 바로잡을 '과격한 수정'을 요구했다. 

In the health sciences debate, Paley decried the ‘appropriation’ of complexity science by health researchers, claiming that ‘the way in which complexity is usually interpreted in the health care literature misses the whole point of complexity theory’.56 Paley called for ‘a radical amendment’ that would correct those who ‘succumb to temptation[s]’ such as ‘psychologising mathematical concepts’ and ‘reinterpret[ing] “self- organisation” [to] make it mean something else’.56


[의학 교육 논쟁]에서 노르만52는 의료 교육 현상을 묘사하기 위해 '복잡성'과 '카오스'라는 용어를 사용하는 것에 반대했다. 그는 '정확히 하는 것이 반드시 필요하다'고 주장하면서 '카오스라는 단어는 어떻게든 우리 주변의 세계에서 우리가 관찰하는 복잡성에 대한 설명을 제공해 준다는 것을 상상하는 것은 호소력이 있지만 (교육에서의 발생을 설명하는 은유로서 우리가 그것을 사용한다면) 물리적 이론으로서의 '카오스'는 매우 구체적인 조건들을 가지고 있다.' 라고 경고했다. 

In the medical education debate, Norman52 objected to the use of the terms ‘complexity’ and ‘chaos’ to describe medical education phenomena. Asserting that ‘it is imperative to get it right’, he cautioned that ‘although it is appealing to envision that chaos somehow affords an explanation for the complexities we observe in the world around us (particularly if we use it as a metaphor by which to explain occurrences in education), chaos as a physical theory has some very specific conditions’.52


Paley56과 Norman52 둘 다 복잡한 과학을 사용하는 학자들이 자신의 용어를 신중하게 정의해야 할 필요성에 주목했다. 또한, 그들은 복잡성 과학을 단수라고 보기 때문에 - Paley는 수학적 과학으로, Norman은 물리 과학으로 - 두 저자는 그러한 용어를 사용하는 단 하나의 올바른 방법을 주장하였다.

Both Paley56 and Norman52 drew attention to the need for scholars using complexity science to define their terms carefully. Further, because they viewed complexity science as singular – for Paley a mathematical science and for Norman a physical science – both authors asserted a single correct way to use those terms.


복잡한 과학을 불법적으로 사용했다는 이러한 비난에 대해 그린할그 외 연구진 57명과 레게르53은 용어의 정밀성이 중요하다는 데 동의했다. 그러나 그들은 또한 복잡성 과학 개념을 보건 서비스와 교육 환경에서 현상을 설명하기 위해 적용할 수 있고 적용되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Responding to these accusations that they had used complexity science illegitimately, Greenhalgh et al.57 and Regehr53 both agreed that precision of terms is important. However, they also insisted that complexity science concepts can and should be adapted to explain phenomena in health services and education settings.


노먼에 대한 대응에서, 52 Regehr는 '설명이란 간단해야 한다거나 의미가 있을 수 없다는 생각을 당연시하는 이분법적 방식'에 도전하는 것으로 보이는 [의학 교육에서 복잡성 과학의 인식론적 입장]이 가치 있다고 주장했다.53 그러나, 그는 또한 의료교육이 복잡하다는 걸 보여주기 위한 시도에서 '유추analogies를 지나치게 밀어붙이는 것은 위험이 있다'고 인정했다. 

In his response to Norman,52 Regehr maintained that the epistemological stance of complexity science is valuable in medical education for challenging ‘a dichotomy that appears to take for granted the idea that a description must be simple or it cannot be meaningful’.53 However, he also acknowledged that ‘there is danger in pushing analogies too far’53 in an attempt to show that medical education counts as complex.


두 토론 모두 이 토론에 익숙하지 않은 추가적인 뉘앙스를 포함하고 있다. 우리는 주로 두 가지 점을 설명하기 위해 그것들을 사용한다. 

  • 첫째로, 토론에 임하는 사람들이 [복잡성 과학이 단수인지 다중인지]라는 근본적인 전제에 대해서 동의하지 않을 때, 학문적 토론이 생산적이 되기는 어렵다(즉, 그 분야에 대한 새로운 통찰력을 도출하는 것). 이 근본적인 전제에서 합의 없이, 그리고 사실, 이 의견의 불일치가 문제의 일부로서 명백하게 제시되지 않는 한, 이러한 논쟁들은 극명하게 반대적인 어조를 띠며, 그 누구도 그 어떤 것에도 대해 납득시킬 수 있는 것은 분명하지 않다. 

  • 째로, 복잡성이 복합적이라는 것을 받아들이면, 용어의 정확한 사용은 덜 필요하기는커녕 오히려 더 필요하다.

Both debates contain additional nuances not germane to this discussion. We use them primarily to illustrate two points. 

  • Firstly, it is difficult for a scholarly debate to be productive (i.e. to result in new insights for the field) when those in the debate disagree on a fundamental premise: whether complexity science is singular or multiple. Without agreement on this fundamental premise – and in fact, without the disagreement being explicitly tabled as part of the problem– these debates take on a starkly oppositional tone and it is not clear that anyone manages to convince anyone else of anything. 

  • Secondly, if we accept that complexity is multiple (and we align with Mitchell,17 Castellani,18,19 Manson23 and others in taking this position), the precise use of terms is more, rather than less, necessary.


Kenneth Burke가 지적했듯이, '모든 보는 방법은 보지 않는 방법이다'.58 따라서, 복잡성 과학은 의학 교육 연구원들에게 많은 강력한 시각 방법을 제공한다; 그 중 하나를 선택할 때, 우리는 연구 중인 현상의 어떤 측면에 주의를 돌리고 다른 사람들로부터 주의를 돌린다. Manson과 같은 개념적 프레임워크의 가치는 [우리가 어떤 복잡성 오리엔테이션의 관점에서 어떤 교육 문제를 접근하고 있는지] 볼 수 있도록 이 과정을 가시화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는 것이다.

As Kenneth Burke pointed out, ‘every way of seeing is a way of not seeing’.58 Hence, complexity science offers medical education researchers many powerful ways of seeing; in choosing among them, we direct attention to some aspects of the phenomenon under study and deflect attention fromothers. The value of conceptual frameworks such as that of Manson22 is that they can help make visible this process, allowing us to see which education problems we are approaching from which complexity orientations.


우리는 의학교육 연구자들이 복잡성 과학으로부터 어떤 개념과 도구를 끌어내고 있는지, 왜 그러한 도구들이 그것들에 공명하는지, 그리고 그들이 성취한 통찰력에 대한 선택들의 함의에 대해 생각해보도록 장려할 것이다. 인용문과 키워드에 대한 우리의 분석은 우리의 표본에 있는 대부분의 논문들이 Manson의 총체적인 방향을 반영하였다는 것을 추론할 수 있게 해주었지만, 22 우리는 이 방향이 목적적이었는지 알 수 없으며, 또한 그것이 항상 바람직하다고 주장할 수도 없다. 복잡성에 대한 총체적인 접근방식은 사회현상에 영향을 주며, 확실히 많은 교육관행은 매우 사회적이다. 그러나 모든 것이 그렇지는 않다

  • 복잡성에 대한 알고리즘 접근방식은 실험실의 인지 연구와 관련이 있을 수 있으며, 

  • 복잡성에 대한 결정론적 접근방식은 특정 모의 훈련 개입을 검사하는 강력한 렌즈를 나타낼 수 있다.

We would encourage medical education researchers to think about which concepts and tools they are drawing from complexity science, why those tools resonate with them, and the implications of their choices for the insights they achieve. Although our analysis of citations and keywords allowed us to infer that most papers in our sample reflected Manson’s aggregate orientation,22 we cannot know whether this orientation was purposeful and nor would we assert that it is necessarily always preferable. Aggregate approaches to complexity lend themselves to social phenomena, and certainly many education practices are intensely social. However, not all of them are: 

  • algorithmic approaches to complexity may be relevant for studies of cognition in the laboratory, and 

  • deterministic approaches to complexity may represent powerful lenses through which to examine certain simulated training interventions.


우리는 의료교육에서 복잡성 과학의 이론적 가져오기를 현장에서 '방법론적 수입methodological importing'를 지원하기 위해 Varpio 등이 제공한 전략을 사용하여 개선할 것을 권고한다.60 그들은 [방법론의 개념과 도구가 방법론을 개발한 분야에서 방법론을 주로 알 수 없는 분야로 이전될 때] 방법론적 수입이 발생하는 것으로 기술하였다.

We recommend that the theoretical importing of complexity science in medical education could be improved using the strategies offered by Varpio et al. to support ‘methodological importing’ in the field.60 They described methodological importing as occurring when a methodology’s concepts and tools are transferred from a field in which the methodology was developed to a field in which the methodology is largely unknown.60 


그러한 수입은 도전적인 문제를 새롭고 다각적인 방법으로 탐구하는 강력한 학문적 접근법이다. 그러나, 수입의 위험은 원래 접근법의 기초적인 조건을 누락할 수 있다는 것이다. 이러한 위험에 대처하기 위해, 우리는 연구자들이 주요 출처와 관계를 맺고 개념이나 용어 사이의 긴장을 인정하려는 의식적인 노력을 포함해야 하는 상당한 [정당화 작업]에 참여해야 한다는 Varpio 외 연구원의 권고를 반영할 것이다.

Such importing is a powerful scholarly approach to exploring challenging problems in new and multifaceted ways. However, a risk of importing is that the foundational conditions of the original approach may be left behind.60 To counteract this risk, we would echo Varpio et al.’s60 recommendation that researchers engage in considerable justification work, which, we would argue, should include a conscious effort to engage with primary sources and to acknowledge tensions among concepts or terms.



35 Kuper A, D’Eon M. Rethinking the basis of medical knowledge. Med Educ 2011;


36 Norcini JJ, Banda SS. Increasing the quality and capacity of education: the challenge for the 21st century. Med Educ 2011;


43 Jorm C, Roberts C. Using complexity theory to guide medical school evaluations. Acad Med 2018; 93 (3):399–405.








. 2019 Jan;53(1):95-104.
 doi: 10.1111/medu.13651. Epub 2018 Oct 10.

What is the state of complexity science in medical education research?

Affiliations 

Affiliations

  • 1Centre for Education Research and Innovation, Schulich School of Medicine and Dentistry, University of Western Ontario, London, Ontario, Canada.
  • 2Department of Surgery, Schulich School of Medicine and Dentistry, University of Western Ontario, London, Ontario, Canada.
  • 3Faculty of Education, University of Western Ontario, London, Ontario, Canada.
  • 4Department of Women's Studies and Feminist Research, Faculty of Arts and Humanities, University of Western Ontario, London, Ontario, Canada.
  • 5Department of Medicine, Schulich School of Medicine and Dentistry, University of Western Ontario, London, Ontario, Canada.

Abstract

Context: 'Complexity' is fast becoming a 'god term' in medical education, but little is known about how scholars in the field apply complexity science to the exploration of education phenomena. Complexity science presents both opportunities and challenges to those wishing to adopt its approaches in their research, and debates about its application in the field have emerged. However, these debates have tended towards a reductive characterisation of complexity versus simplicity. We argue that a more productive discussion centres on the multiplicity of complexity orientations, with their diverse disciplinary roots, concepts and terminologies. We discuss this multiplicity and use it to explore how medical education researchers have taken up complexity science in prominent journals in the field.

Methods: We synthesised the health sciences and medical education literature based on 46 papers published in the last 18 years (2000-2017) to describe the patterns of use of complexity science in medical education and to consider the consequences of those patterns for our ability to advance scholarly conversations about 'complex' phenomena in our field.

Results: We identified four patterns in the use of complexity science in medical education research. Firstly, complexity science is described in a variety of ways. Secondly, multiple approaches to complexity are used in combination in single papers. Thirdly, the type of complexity science used tends to be left implicit. Fourthly, the complexity orientation used is much more commonly located using secondary source citation rather than primary source citation.

Conclusions: The presence of these four patterns begs the question: Do medical education scholars understand that there are multiple legitimate orientations to complexity science, deriving from distinct disciplinary origins, drawing on different metaphors and serving distinct purposes? If we do not understand this, a cascade of potential consequences awaits. We may assume that complexity science is singular in that there is only one way to do it. This assumption may cause us to perceive our way as the 'right' way and to disregard other approaches as illegitimate. However, this perception of illegitimacy may limit our ability to enter into productive dialogue about our complexity science-inspired research.

아는 것 만으로는 충분하지 않다: 지식, 힘, 생성적영역(Educational Researcher, 2012)

To Know Is Not Enough: Knowledge, Power, and the Zone of Generativity

Arnetha F. Ball1



올해 연례 회의 주제인 "Non Satis Scire: '아는 것 만으로는 부족하다'는 회원들 간의 대화를 유도하고, 우리 조직의 삶과 미래에 있어 이 시점에서 특히 시의적절한 질문을 이끌어내기 위해 선택되었다.

This year’s annual meeting theme, “Non Satis Scire: To Know Is Not Enough,” was selected to invite dialogue among the membership as well as to elicit—and perhaps address—questions that are particularly timely at this juncture in the life and future of our organization.


이러한 질문에 대한 한 가지 대답은 세자르 차베스가 "모든 지식의 목적은 반드시 타인에 대한 봉사가 되어야 한다"고 결론내렸을 때 제공되었다(The WRITE Institute, 2001). 이 기사는 올해 연례 회의 주제와 관련된 문제들을 고려할 때 고려해야 할 몇 가지 관점뿐만 아니라 이러한 질문들에 대한 몇 가지 추가적인 답변을 제공한다. 이어지는 페이지에 제시된 목소리는 지식 추구를 위한 개인 및 집단적 목표뿐만 아니라 이 조직의 명시적 사명을 반영한다. 독자들이 이 글에서 대표되는 목소리와 관점에 관여하는 만큼 회원들이 '아는 것 만으로는 충분하지 못하다'는 말의 의미와 중요성에 대해 개인적으로 성찰하는 계기로 삼기를 부탁드린다.

One response to these questions was provided by Cesar Chavez when he concluded that “the end of all knowledge should surely be service to others” (The WRITE Institute, 2001). This article provides some additional responses to these questions as well as some perspectives that should be considered when contemplating issues related to this year’s Annual Meeting theme. The voices represented in the pages that follow reflect on the stated mission of this organization as well as on individual and collective goals for the pursuit of knowledge. As readers engage with the voices and perspectives represented in this article, I ask that members use this as an opportunity to personally reflect on the meaning and importance of the statement “to know is not enough.”


AERA 미션에 명시된 바와 같이, 우리 조직의 목표는

As stated in the AERA mission, the goal of our organization is to


교육에 대한 지식을 향상시키고, 교육과 관련된 학문적 연구를 장려하며, 교육을 개선하고 공익을 위해 연구 이용을 촉진한다.

advance knowledge about education, encourage scholarly inquiry related to education, and promote the use of research to improve education and serve the public good.


이 사명 선언문은 세 가지 상호 관련 부분이 있다. 본 논문은 주로 교육을 개선하고 공공의 이익을 위해 연구를 사용하는 것을 촉진하기 위해 우리 임무의 세 번째 부분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This mission statement has three interrelated parts. This paper focuses primarily on the third part of our mission, to promote the use of research to improve education and serve the public good.


조직의 역사 인식: 몇 가지 관찰

Situating Our Organization Historically: A Few Observations


지식-수행 격차에 관한 연구

Explanations Concerning the Knowing–Doing Gap


미국뿐만 아니라 전 세계적으로 연구-실무 또는 실행-실행 공백이 존재하는 이유에 대해 많은 설명이 제공되었다(Broekkamp & van Hout-Wolters, 2007; Fuhrman, 2001; Walters et al. 설명은 다음과 같다.

A number of explanations have been offered concerning why the research–practice or knowing–doing gap exists (Broekkamp & van Hout-Wolters, 2007; Fuhrman, 2001; Walters et al., 2009), not only in the U.S. but across the globe. Explanations include the following:


  • 1. 연구 보고서의 접근 불가능

  • 2. 전문적 규범과 실무자 및 정책 입안자가 연구 결과를 상담하고 활용할 수 있는 시간의 부족

  • 3. 교육 실무자와 정책 입안자는 연구를 거의 수행하지 않는다.

  • 4. 교육 실무자, 정책 입안자 및 연구자 간의 동등한 협력을 위한 포럼의 부재

  • 5. 수전 퍼먼이 지적한 바와 같이, "연구는 종종 정책의 새로운 방향을 정하는 것보다 이미 취해진 정치적 입장을 정당화하는 데 이용된다." 그리고 다른 사람들이 지적했듯이, 연구는 정책을 정당화하는 데 이용되기 위해서 표준적인 과학적 요구 조건을 통과시킬 필요도 없다.

1. the inaccessibility of research reports;

2. a lack of professional norms and time for practitioners and policy makers to consult and use research findings;

3. educational practitioners and policy makers very rarely carry out the research;

4. a lack of a forum for equal collaboration between educational practitioners, policy makers, and researchers; and

5. as Susan Furman has noted, “Research is often used to justify political positions already taken rather than to set a new direction for policy.” And as others have noted, research does not even need to pass standard scientific muster in order to be used to justify policies.


이러한 현실은 정책 수립의 정치적 본질을 부각시킨다. 지식-실무 격차라고도 하는 지식-실무 격차는 교육 분야만의 과제가 아니다. 다른 분야와 영역에서도 "아는 것 만으로는 충분하지 않다"고 인식하고 그들 역시 그 격차를 해소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피퍼와 서튼(2000년)은 재계에서 똑똑하거나 읽고, 듣고, 생각하고, 어려운 현상에 대해 글을 쓰는 것만으로는 충분하지 않다는 결론을 내렸다고 말한다. 홀푸드, 스타벅스, 나이키와 같은 가장 성공적인 사업체들은 단지 사업 관행을 연구하는 것 이상의 것을 할 필요가 있다는 것을 발견했다. 그들은 축적된 지식으로 무언가를 할 필요가 있었다. 그 깨달음은 "저스트 두 잇"이라는 유명한 구절에서 포착되었다. Pfeffer와 Sutton은 또한 "알고 있는-행위의 격차를 줄이는" 것을 중시하고 보상한 CEO들이 그것을 닫을 가능성이 더 높고 그렇게 하는데 더 성공적이라는 것을 발견했다. 

This reality highlights the political nature of policy making. The knowledge–practice gap, which I also refer to as the knowing–doing gap, is not a challenge unique to the field of education. Other disciplines and domains recognize that “to know is not enough” and they, too, are working to address the gap. Pfeffer and Sutton (2000) tell us that in the business world, they have concluded that being smart or reading, listening to, thinking, and writing about a challenging phenomenon is not enough. The most successful business firms—like Whole Foods, Starbucks, and Nike—found that they needed to do more than just research business practices. They needed to do something with the knowledge they accumulated. That realization has been captured in the well-known phrase “Just do it!” Pfeffer and Sutton also found that those CEOs who valued and rewarded “closing the knowing–doing gap” were more likely to close it and more successful in doing so. 


의학으로 간단히 돌아보면, 연구에 기반을 둔 "이중 맹목적인 임상시험" (Lechat 등, 1998)은 의료 관행에 혁명을 일으켰고, 효과적인 신약 치료법의 식별과 후속 채택으로 이어졌다는 것을 알게 된다. 최근 몇 년 동안, 또 다른 형태의 의학 연구가 등장했는데, 바로 중개연구였다. 중개연구는 연구를 실제 실행으로, 즉 새로운 치료법과 연구지식이 실제로 그들이 의도하고 올바르게 구현된 환자나 모집단에 도달하도록 보장하는 것을 말한다(Woolf, 2008). 의사와 과학자의 모자를 쓰고 다학제, 다학제, 다학제 팀의 학술 보건소에서 일하는 개인에 의해 중개연구가 점점 더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의사-과학자들은 지식-실무 격차에 훨씬 더 큰 영향을 미치기 위해 연구를 실험실에서 치료 지점으로 이동시킨다. 연구와 협업 문화를 수행하기 위해 개발된 새로운 구조의 결과, 의학의 분야가 변화되었다.

Turning briefly to medicine, we find that research-based “double-blind clinical trials” (Lechat et al., 1998) revolutionized medical practice and led to the identification and subsequent adoption of effective new drug therapies. In recent years, another type of medical research has emerged: translational research. Translational research refers to translating research into practice, that is, ensuring that new treatments and research knowledge actually reach the patients or populations for whom they are intended and are implemented correctly (Woolf, 2008). Increasingly, translational research is being conducted by individuals who wear the hat of both physician and scientist and who work for academic health centers in multidisciplinary, multiskilled teams. These physician-scientists move research from the laboratory to the point of care in an effort to have an even greater impact on the knowledge–practice gap. As a result of new structures that have been developed for conducting research and cultures of collaboration, the field of medicine has been transformed.


지식-수행 격차 해소 모델

Models for Addressing the Knowledge–Doing Gap


연구 문헌에는 교육에서의 지식-행위의 격차(연구-실무 격차라고도 함)를 해소하기 위해서는 연구자, 정책 입안자, 실무자 간의 더 많은 협력이 필요하다는 공감대가 있다(Broekkamp and van HoutWolters, 2007; Hallennan, 1996; Towne, Wise, 2004; Vanderline & Van Braak, 2010). 교육에서의 연구-실무 격차에 관한 문헌을 검토하면 그 격차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한 실무적 가정이 드러난다. 브로크캄프 및 밴 후트 월터스(2007)는 확인된 네 가지 유형의 접근방식의 모델을 제공한다. 이 네 가지 모델은 다음과 같다.

There is some consensus in the research literature that to address the knowing–doing gap (also referred to as the research–practice gap) in education, more cooperation is needed among researchers, policy makers, and practitioners (Broekkamp and van HoutWolters, 2007; Hallinan, 1996; Towne, Wise, & Winters, 2004; Vanderline & Van Braak, 2010). A review of the literature regarding the research–practice gap in education reveals working assumptions about how the gap can be addressed. Broekkamp and van Hout-Wolters (2007) provide models of four types of approaches that have been identified. Those four models are as follows:


1. 연구개발 확산모형

2. 증거 기반 실행 모델

3. 경계-교차 프랙티스 모델 및

4. 지식 커뮤니티 모델

1. The Research Development Diffusion Model

2. The Evidence-Based Practice Model

3. The Boundary-Crossing Practices Model, and

4. The Knowledge Communities Model



[연구 개발 확산 모델]은 지식 생산의 위계를 반영하고 있으며, 이는 결국 실천의 개선을 이끌 수 있다. 이 모델을 바탕으로 실무 중심의 연구자들은 이론과 보다 상류에서 기초 연구자들에 의해 생산된 탈맥락화된 연구에서 도움을 받는다. 이 모델의 핵심은 [중재자]가 연구와 실천 사이의 필수적인 연결고리라는 것이다. 이 모델에서 mediator의 기능은 연구 내용을 실무자가 맡을 수 있는 보고서, 정책, 교재, 전문 개발 프로그램으로 번역하는 것이다.

The Research Development Diffusion Model reflects a hierarchy of knowledge production that can eventually lead to improved practice. Drawing on this model, practice-oriented researchers draw on theories and decontextualized research produced by basic researchers further upstream. A key point to this model is that Mediators are the integral link between research and practice. The function of Mediators in this model is to translate research into reports, policies, teaching materials, and professional development programs that can be taken up by practitioners.


[근거 기반 실천 모델]은 그 차이를 어떻게 해결해야 하는지에 대한 교육 및 작업 가정의 연구-실무 격차에 관한 또 다른 관점을 반영한다. 이 모델은 메디케이터가 다시 한번 연구와 실무를 연결하는 중심적 역할을 한다는 점에서 이전 모델과 매우 유사하다. 이 근거 기반 실천 모델과 이전 연구 개발 확산 모델의 주요 차이점은 [연구 개발 확산 모델은 개념 체계, 서술적 연구, 학습 과제 등 다양한 연구 결과를 중요시]하는 반면, 이 [근거 기반 실천 모델은 주로 경험적 증거를 중시]한다는 것이다. 그것은 무작위화된 실험 설계의 결과물이다. 다시 말하지만, Mediators는 효과적인 연구에서 발견한 것을 실천으로 옮기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이 모델 내에서, 중재자의 역할은 출판된 교육 관행과 자료를 검토하여, 교육에서 무엇이 효과적이거나 "무엇이 효과가 있는지"를 결정하는 것이다. 그런 다음 실무자들은 "효과적인 것으로 입증된" 방법을 사용한다.

The Evidence-Based Practice Model reflects another perspective regarding the research–practice gap in education and working assumptions for how the gap should be addressed. This model is very similar to the previous model in that Mediators, once again, play a central role in linking research and practice. The key difference between this Evidence-Based Practice Model and the previous Research Development Diffusion Model is that the Research Development Diffusion Model values diverse research results, such as conceptual frameworks, descriptive research, and learning tasks, whereas this Evidence-Based Practice Model primarily values empirical evidence that is a result of randomized experimental designs. Again, the Mediators serve a critical role in translating findings from effective research into practice. Within this model, the role of Mediators is to review published educational practices and materials and determine what is effective or “what works” in education. Practitioners then make use of methods that have been “proven to be effective.”


[경계-교차 관행 모델]은 그 차이를 어떻게 해결해야 하는지에 대한 교육 및 작업 가정의 연구-실무 격차에 관한 세 번째 관점을 반영한다. 이 모델과 다음 모델은 연구가 교육 관행으로 해석되도록 하는 데 있어 협동의 중요성을 강조한다. 그러나 이 경계-교차 관행 모델의 독특한 점은 [중재자의 역할이 축소]되고 연구가 연구원, 실무자, 정책 입안자의 모호한 역할을 통해 실천으로 해석된다는 점이다. 이러한 역할은 이러한 영역에 걸쳐 복수 살해된 한 사람에 의해 동시에 수행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연구자는 교직에 종사할 수 있고 개업자는 연구의 설계와 수행에 종사할 수 있다.

The Boundary-Crossing Practices Model reflects a third perspective regarding the research–practice gap in education and working assumptions for how the gap should be addressed. This model and the next model emphasize the importance of collaboration in ensuring that research translates to educational practice. However, what is unique about this Boundary-Crossing Practices Model is that the role of the Mediator is diminished and research translates to practice through the blurred roles of researchers, practitioners, and policymakers. These roles can be carried out simultaneously by one person who is multiskilled across these areas or, for example, a researcher can engage in teaching and a practitioner can engage in the design and conduct of research.


[지식 공동체 모델]은 그 차이를 어떻게 해결해야 하는지에 대한 교육 및 작업 가정에서의 연구-실무 격차에 관한 네 번째 관점을 반영한다. 이 모델은 이전 모델과 마찬가지로 협업을 중시한다. 그러나, 지식 공동체 모델에서는 [연구자-실행자-정책개발자]의 역할을 모호하게 하는 대신, 다양한 행위자들이 교육적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지식 교환의 파트너십이나 네트워크에 상호 관여함에 따라 전통적인 역할(구분)이 유지된다. 아래의 그림 1은 이 네 가지 모델을 나타낸다.

The Knowledge Communities Model reflects a fourth perspective regarding the research–practice gap in education and working assumptions for how the gap should be addressed. This model, like the previous model, values collaboration; however, instead of blurring the roles of researcher–practitioner– policymaker, in the Knowledge Communities Model, traditional roles are maintained as a diverse group of actors are mutually engaged in a partnership or network of knowledge-exchange as they work to address an educational issue. Figure 1 below provides representations of these four models.



생성적이라는 것은 무엇을 의미할까?

What Does It Mean To Be Generative?


에릭 에릭슨의 정신사회 발전 이론의 7단계에 따르면, 생성성은 우리가 우리를 지속시킬 것들을 창조하거나 육성하기 위해 노력하는 단계다; 우리는 다른 사람들에게 이익이 되는 긍정적인 변화에 기여하기 위해 노력한다. 파워power으로서의 지식은 우리가 세상을 더 나은 곳으로 만드는 데 도움이 되는 지식을 만들 때 발생한다. 그렇지 않은 사람들은 일반적으로 [침체 영역zone of stagnation]에 들어가는데, 침체는 기여할 수 있는 방법을 찾지 못한 것을 말한다.

According to the seventh stage of Erik Erikson’s theory of psychosocial development, generativity is a stage in which we strive to create or nurture things that will outlast us; we strive to contribute to positive changes that benefit others. Knowledge as power occurs when we create knowledge that serves to make the world a better place. Those who do not, generally enter a zone of stagnation, where stagnation refers to the failure to find a way to contribute.


위에서 언급한 관찰에 근거하여, 우리는 지식-행위의 차이가 존재하고 분야와 직업에 걸쳐 만연하고 있음을 알고 있다. 우리는 또한 다른 분야와 직업들이 그 격차를 해소하는데 진전을 이루었다는 것을 알고 있다. 이것을 알고있기에 우리가 교육 연구의 지식 격차를 해소할 수 있다는 것을 더욱 확신하게 한다. 그러나 문제는 여전히 남아있다: 어떻게 해소할 것인가? 먼저 간극이 존재한다는 것을 인정하고 그 다음 우리는 아는-행위의 간극을 좁히도록 선택해야 한다고 제안한다.

Based on the observations noted above, we know that the knowing–doing gap exists and that it is pervasive across fields and professions. We also know that other fields and professions have made progress in addressing that gap. Knowing this makes us more convinced that we can address the knowing–doing gap in education research as well. But the question remains: How? I propose that first we must acknowledge that the gap exists and then we must choose to close the knowing–doing gap;


[생성성 영역]은 다음의 둘 사이의 거리를 구성하는 영역 또는 영역이다. 

  • 현재 연구 수행에 의해 [결정었다고 알려진 것] 

  • 교육 연구자가 연구 수행을 통해 배운 것을 응용(또는 응용을 촉진)할 수 있는 능력을 통해 [알 수 있는 잠재력이 있는 것]. 

The Zone of Generativity is the region or area that constitutes the distance between 

  • what is currently known as determined by the conduct of research and 

  • what education researchers have the potential to know through their ability to apply (or promote the application of) what they have learned through the conduct of research. 


그들의 [연구 지식]과 [그들 자신의 개인적인 지식]을 [연구 맥락에서 얻은 지식]과 결합시킴으로써, 연구자들은 그들의 지식을 교육 향상을 위한 노력에 적용하면서 생성될 수 있다. 연구자들이 하는 것을 통해 배우면서, 그들은 자기 반복적인 변화의 과정을 통해 다른, 더 경험적인 종류의 지식을 얻는다.

By combining their research knowledge and their own personal knowledge with the knowledge they gain from the research context, researchers can become generative as they apply their knowledge in efforts to improve education. As researchers learn through doing, they gain a different, more experiential kind of knowledge through a process of self-perpetuating change.


생성성의 영역

The Zone of Generativity


생성성 영역은 현재 지식 생성 수준에서 시작되며 4단계(그림 2)

The Zone of Generativity begins at our current level of knowledge creation and has four stages (Figure 2):


1. 반성 

2. 자성

3. 비평

4. 퍼스널 보이스

1. Reflection

2. Introspection

3. Critique

4. Personal Voice



첫 번째 단계는 교육 연구자 입장에서의 사려 깊은 성찰로, 이는 인식의 증가와, 어쩌면 아는 것으로는 충분하지 않다는 깨달음으로 이어진다(그림 3). 성찰은 우리의 연구 관행의 규칙적인 부분이 되어야 한다. 이런 질문을 던져야 한다. 내가 연구한 것과 관련된 관행을 알고 있는가? 내 연구의 소비자는 누구인가, 아니면 누가 될 것인가?"

The first stage is thoughtful reflection on the part of education researchers, which leads to increased metacognitive awareness and, perhaps, to the realization that to know is not enough (Figure 3). Reflection should become a regular part of our research practice. We should ask questions such as “Is this research making a difference? Am I aware of the practice in relation to what I research? Who are or will be the consumers of my research?”


우리가 선택한 모델에 따라, 만약 아는 것과 하는 것의 차이를 교육에서 해결하기로 선택했다면, [연구 맥락에서 연구자의 개인적인 경험]이나 [연구사업]에 대하여 신중한 성찰을 함으로써, 연구자, 정책 입안자 및 실무자 간의 협력 필요성의 중요한 역할에 대한 인식 개선 동기를 부여할 수 있다. 이 성찰 단계에 engage하게 되면, 아는 것과 하는 것 사이의 차이를 해결하기 위해 서로 다른 접근법이 식별되었다는 사실에 대한 개인적 각성이 증가하게 된다. 메타인식을 촉진하기 위한 사려 깊은 성찰의 중요성은 모델의 1단계에 나타나 있다.

Depending on the model we choose to operate within, thoughtful reflection on a researcher’s personal experiences in the research context and on the research enterprise motivates increased metacognitive awareness concerning the critical role of the need for cooperation among researchers, policymakers, and practitioners if one chooses to address the knowing–doing gap in education. Engagement with this reflection stage results in an increased sense of personal awakening concerning the fact that different approaches have been identified for addressing the knowing–doing gap. The importance of thoughtful reflection to promote metacognitive awareness is represented in Phase 1 of the model.







두 번째 단계는 [자기 내면을 들여다보고 연구자로서 연구 기업 내에서 자신의 역할을 결정하도록 요구하는 자성]으로, 이는 지식 통합, 협업, 연구 결과의 번역 등의 형태로 지지도를 높여 실천과 정책 커뮤니티에 평가될 수 있도록 한다(그림 4).).

The second stage is introspection, which requires us as researchers to look within ourselves to determine our own role within the research enterprise, which leads to increased advocacy in the form of knowledge integration, collaboration, and the translation of research findings so they are assessable to the practice and policy communities (Figure 4).


우리가 내부에서 운용하기로 선택한 모델에 따라, 이 단계는 이론가, 연구자, 실천가, 혹은 위의 어떤 조합으로서의 우리의 역할을 이해할 수 있도록 자기성찰적이 될 것을 요구한다. 그리고 [우리가 자성을 통해 우리의 역할을 이해하게 될 때], 이것은 우리의 연구가 교육 관행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에 대한 우리의 가정에 대해 더 신중하고 전략적으로 도움이 될 것이다.

Depending on the model we choose to operate within, this stage calls for us to be introspective so we can understand our role as a theorist, a researcher, a practitioner, or some combination of the above. And as we come to understand our role through introspection, this will help us to be more deliberate and strategic about our assumptions on how our work will influence educational practice.




세 번째 단계는 우리의 현재 지식 수준과 현재의 연구 관행에 대한 비판이며, 우리의 연구 지식이 정책 및 실천 공동체에 의해 접근되고 있거나 그렇지 않은 현재의 현실에 대한 비판이며, 이는 우리를 더 많은 행위자성agency으로 이끌 수 있다. 우리의 연구에서는, 우리는 존재하는 지식-수행의 격차를 고려해야 하며, 우리의 작업의 적용이 어떻게 그러한 격차를 해소할 수 있는지를 비판해야 한다(그림 5).

The third stage is critique of our current levels of knowledge and current research practices, and a critique of the current reality that our research knowledge is—or is not—being accessed by the policy and practice communities, which can lead us to increased agency. In our research, we should consider the knowledge–doing gaps that exist and critique how the application of our work can break down those gaps (Figure 5).



네 번째 단계는 개인적인 목소인데, 연구 결과가 실제 실행으로 어떻게 전환되는지에 대한 우리의 연구 결과에 대한 성찰과 지지된 가정으로부터 얻어진 것이다. 또한 자기성찰과 비평(그림 6). 개인의 목소리를 통해, 우리는 지식-행동 격차를 해소하기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 취해진 개별적인 접근법을 증명할 수 있다. 개인의 목소리는 연구-실천 격차 해소를 위한 노력을 어떻게 지원할 것인가를 명확히 할 수 있는 기회일 뿐만 아니라, 지식은 우리가 "공익을 위해 봉사"하는 실천과 정책에 영향을 미치고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우리의 연구에 신뢰성을 부여할 수 있는 기회다. 개인적인 목소리의 예는 이 기사의 마지막 부분에 제시되어 있다.

The fourth stage is personal voice, gained from reflections on our work and our espoused assumptions about how research is translated into practice—as well as through introspection and critique (Figure 6). Through personal voice, we can demonstrate individual approaches taken in an effort to help address the knowing–doing gap. Personal voice is not only our opportunity to articulate how we will support efforts to address the research– practice gaps in a concerted way but will give credibility to our research—where knowledge becomes power as we use it to influence and impact practice and policy to “serve the public good”— which leads to a sense of efficacy. Examples of personal voice are presented in the final section of this article.



'생성적 영역'을 틀로 삼아 성찰, 자기성찰, 비평, 개인의 목소리를 활용해 연구기업에 대한 기여를 지속적으로 실현할 수 있다. 생성의 영역은 인식 인식, 이념화, 내면화, 사회문화적 과정에 의존한다. 그리고 그것은 교육 연구자들의 연구 생활에서 의식적으로 그리고 전략적으로 경험되고 있기 때문에 생성성이 있다(Ball, 2009).

Using the Zone of Generativity as a framework, we can utilize reflection, introspection, critique, and personal voice to continually realize our contribution to the research enterprise. The Zone of Generativity draws on the sociocultural processes of metacognitive awareness, ideological becoming, internalization, and generativity as it is consciously and strategically experienced in the research lives of education researchers (Ball, 2009). 


아래에 묘사된 모델은 Franz Fanon(1986)이 내가 진짜 도약이 발명을 존재에 도입하는 데 있다는 것을 끊임없이 상기해야 한다고 말할 때 말하는 것을 운영하기 위해, 교육을 개선하고 공공의 이익을 위해 우리의 접근방식에서 연구자들이 생성될 기회를 이용할 수 있는 과정을 보여준다. 

The model depicted below illustrates the process by which researchers can make use of opportunities to be generative in our approaches to improve education and serve the public good—to operationalize what Franz Fanon (1986) speaks of when he says I should constantly remind myself that the real leap consists in introducing invention into existence. 


우리가 연구자로서 이 네 가지 단계나 기간을 거쳐 발전함에 따라, 에릭슨이 정의한 대로 지식을 생성적인 방법으로 사용할 때 점점 더 발명을 도입하게 된다. 우리는 의식적으로 우리 자신을 넘어 견딜 수 있는 무언가를 창조하기 위해 노력한다우리는 권력을 행사하며, 권력의 정의는 [다른 사람들에게 영향을 미치고 봉사하는 능력]이다. 이렇게 해서 세상을 더 나은 곳으로 만드는 역할을 하는 연구를 수행함에 따라 지식이 강력해진다.

As we progress through these four stages or periods in our development as researchers, increasingly we introduce invention into existence when we use knowledge in generative ways as Eric Erikson defines it—we consciously work toward creating something that can endure beyond ourselves— we exercise power, defined as the ability to influence and to serve others. In this way, knowledge becomes powerful as we conduct research that serves to make the world a better place.


이러한 자기 반복적인 생성 과정의 개념을 보다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그림 7은 각 단계와 각 발전 단계의 결과를 묘사한다.

To make this notion of a self-perpetuating process of generativity more understandable, Figure 7 depicts each stage and the results of each stage of development.



왜 생성성의 영역인가?

Why a Zone of Generativity?


또 다른 의문점은 다음과 같다. 내가 왜 '생성성 영역'을 도입하는 거지? 왜냐하면 Zone의 개념은 개인의 능력, 헌신, 자신의 옹호 수준, 현재의 아는 수준에 따라 개인들이 서로 다른 지점에서 진입할 수 있게 해주기 때문이다. ZPD와 마찬가지로 그 영역으로 들어가기에 잘못된 장소는 없다. 현재 알고 있는 수준에서 당신이 있는 생성 영역에 들어가 자신의 진척도를 측정한다. 성찰, 자기성찰, 비평, 그리고 개인의 목소리의 발전을 통해, 잠재적인 지식의 수준을 증가시키는 방향으로 성장과 발전의 가능성이 항상 존재한다.

One other question that arises is: Why am I introducing a Zone of Generativity? It’s because the concept of a zone allows individuals to enter in at different points—based on one’s ability, one’s commitment, one’s own level of advocacy, one’s level of current knowing. Like the zone of proximal development (Vygotsky, 1978), there is no wrong place to enter the zone—you enter the Zone of Generativity where you are, at your current level of knowing, and you measure your development against your own progress. Through reflection, introspection, critique, and the development of personal voice, there is always the possibility for growth and development toward increased levels of potential knowing.


교육 연구자로서 우리는 우리가 누구라고 말하는지 계속 살펴보고, 우리가 ZOG에서 어느 지역에 있는지, 그리고 우리가 어디에 있고 싶은지 결정해야 한다. AERA의 일원으로서, 우리는 스스로에게 물어봐야 한다: 혁신적이고, 창조적이며, 21세기의 교육적 도전에 대처하기 위한 강력한 방법에서 발을 내딛는 나의 공헌은 무엇인가. 내가 공익을 위해 봉사할 발명을 존재에 도입하고 있는가? 

As education researchers, we must continue to look at who we say we are, determine where we are within the Zone of Generativity (ZOG), and decide where we want to be. As members of AERA, we must ask ourselves: what are my contributions toward stepping out in innovative, generative, and powerful ways to meet 21st-century educational challenges. Am I introducing invention into existence that will serve the public good? 


나폴레옹 힐(1937년)에 따르면 "노력은, 노력을 그만두기를 거부한 후에야 그 힘을 방출한다!" 또는 "평범한 사업business as usual"에 만족하거나 안주하기를 거부한 후에야, 우리는 아는 것과 하는 것의 차이를 없앨 것이다. 

  • 우리가 실패의 문서화에 만족하는 것을 넘어섰을 때, 

  • 실패에 대한 두려움이 지식 격차를 조장한다는 것을 인식할 때, 

  • 행함으로써 아는 것이 더 깊고 심오한 수준의 지식을 발전시킨다는 현실을 경험할 때

According to Napoleon Hill (1937), “effort . . . only releases its power [its reward], after we refuse to quit!” Only after we refuse to be satisfied or complacent with “business as usual,” 

  • when we move beyond being satisfied with the documentation of failure, 

  • when we recognize that fear of failure fosters the knowing–doing gap, and 

  • when we experience the reality that knowing by doing develops a deeper and more profound level of knowledge

—then, by doing, we will eliminate the knowing–doing gap. 


그렇다면 그리고 그때서야 우리는 우리 앞에 놓여 있는 진정한 도전은 현재의 연구의 경계를 넘어 새로운, 보다 혁신적인 패러다임을 구축하는 것이라는 것을 깨닫게 될 것이다. —그것을 받아들일 사람들을 위해.

Then and only then will we realize that the real challenge that lies before us—for those who will accept it—is to push beyond the current boundaries of research—to forge new, more innovative paradigms.


지식-수행 격차 해소를 위한 과제, 비용 및 제안

A Challenge, a Charge, and Suggestions for Closing the Knowledge–Doing Gap


끝으로 우리 앞에 놓여 있는 도전을 상기시켜 드린다. 그 도전은 다음과 같은 질문을 던진다. 교육 연구자로서 우리는 어떻게 지식 격차를 해소하고 21세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지식을 활용할 수 있을까? 우리는 이 질문에 대답해야 한다.

In closing, I remind you of the challenge that lies before us. That challenge begs the question: How can we—as education researchers—operationalize the Zone of Generativity in order to close the knowing–doing gap and further use our knowledge to address 21st-century challenges? Our response to this question is a charge.


이 혐의를 해소하기 위해서는 우선 올해 주제에서 나온 선도적 질문을 고려해야 한다. 만약 "아는 것만으로는 충분하지 않다"고 한다면, 그렇다면, 무엇이 충분한가?

To address this charge, we must first consider the leading question that emerged from this year’s theme: If “To Know Is Not Enough,” what, then, is enough?


단순화된 답변으로 응답하기 보다는, "지속적인" 것이 모든 학습자를 위한 개선된 교육을 지속적으로, 진보적으로 추구하는 것이라고 제안한다. 그리고 우리 중 누구도 혼자서는 이 일을 해낼 수 없다. 우리는 충분히 할 수 있는 길을 전진하면서 우리 집단의 힘이 필요하다. 우리의 계급 중에는 기초적인 연구자가 필요하고, 교육 관행을 개선하기 위해 일하는 사람들이 필요하다. 우리는 교육 연구를 독특하게 복잡하게 만드는 미세하고 미묘한 미묘함을 드러내는 연구가 필요하다. 그리고 우리는 개인이 사회에 영향을 미칠 수 있도록 대규모 이니셔티브를 설계하고 고안해 낼 필요가 있다. 우리는 지역, 국가, 국제 수준에 정책을 알리고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더 많은 메커니즘이 필요하다. 충분한 것은 여행이지 목적지가 아니다. 

Rather than responding with a simplistic answer, I propose that “enough” is our continual, progressive pursuit of improved education for all learners. And no one of us can accomplish thisfeat alone. We need the strength of our collective as we progres-sively travel on the path of doing enough. Among our ranks  we need basic researchers, we need those who are working to improve educational practices, we need research that reveals the fine-grained, nuanced subtleties that make education research uniquely complex, and we need individuals to design and imple-ment large-scale initiatives so we can—in more strategic ways—impact society. We need more mechanisms to inform and influence policy on local, national, and international levels. Enough is a journey, not a destination. 


이 동적 생성 영역(Zone of Generativity)의 네 번째 단계인 개인의 목소리personal voice는, 연구자가 자신의 참여에 기반한 연구 맥락에서 얻은 연구 지식, 개인 지식 및 지식을 결합하는 능력을 통해, 지식-행동 작업 격차에 대처하기 위해 취한 개별 접근법을 입증하는 시점을 나타낸다. [반성, 자기성찰, 비평을 통하여] 연구자들은 개인의 목소리를 통해 연구-실무 간극을 해소하기 위한 노력을 어떻게 지원할 수 있는지, 그리고 이를 통해 우리가 '공익을 위해 봉사한다'는 정책, 실천에 영향을 미치고 실효성을 가진 정책에 영향을 미침으로써 우리의 연구에 신뢰성을 부여할 수 있는지를 명확히 한다. 개인의 목소리에 의지하여, 우리 회원은 단지 이야기만 하는 것이 아니라, 지식-행위의 차이를 효과적으로 해소하기 위해 취할 수 있는 제안된 조치에 대해 썼다.

The fourth stage of this dynamic Zone of Generativity, personal voice, represents the point at which researchers demonstrate individual approaches taken in an effort to help address the knowing–doing gap through an ability to combine research knowledge, personal knowledge, and knowledge gained from the research context based on their own engagement with reflection, introspection, and critique. Through personal voice, researchers articulate how we can support efforts to address the research–practice gap in a concerted way and give credibility to our research by demonstrating knowledge that becomes power as we use it to influence and impact practice and policy to “serve the public good” with a sense of efficacy. Drawing on personal voice, our membership has not only talked about but written about suggested steps that can be taken to close the knowing–doing gap with a sense of efficacy.


다음은 2012년 AERA 커미셔닝 에세이스트들의 개인적인 목소리로부터 우리가 할 수 있는 몇 가지 일들을 말해주는 몇 가지 더 많은 예들이다. 나는 이 목소리들을 Pfeffer와 Sutton의 (2000) 8가지 행동 지침에서 발견된 구성 요소들과 결합한다.

Following are a few more examples taken from the personal voices of the 2012 AERA Commissioned Essayists that tell us some things we could be doing that would be an “enough.” I combine these voices with the building blocks found in Pfeffer and Sutton’s (2000) Eight Guidelines for Action.


1. 지식-행위의 차이는 깊은 철학적 사고에 의해 추진되기 때문에 만연하고 지속적이며 중요한 문제라는 것을 기억하라. 그렇기 때문에 "지식 자체뿐만 아니라, [지식이 왜 사용되지 않는가에 대한 지식]도 충분하지 않다."(Pfeffer & Sutton, 2000, 페이지 244) 근본적으로, 아는 것과 하는 것의 차이를 좁히는 것은 우리의 근본적인 철학에 관한 것이다. 그래서 우리 주제의 제3부를 구현하려면 강력하고 생성적인 철학을 채택해야 한다. 수필가 와기드와 스마이어스는 우리를 인도할 수 있는 강력하면서도 생성적인 근본 철학으로 '우분투'를 논했다. Ubuntu는 "Action with Care"에 관한 것이고, 인간의 상호의존성에 관한 것이고, 사람들 간의 관계에 관한 것이다. 우분투와 생성적 사고를 결합함으로써 우리는 연구를 21세기 도전에 적용하고 공익에 봉사할 수 있다.

1. Remember that the knowing–doing gap is a pervasive, persisting, and important problem because it is driven by deep philosophical thinking. That is why “knowledge itself, as well as knowledge about why the knowledge is not being used, is not enough” (Pfeffer & Sutton, 2000, p. 244). Fundamentally, closing the knowing–doing gap is about our underlying philosophy. So if we want to implement the third part of our theme, we need to adopt a philosophy that is powerful and generative. The essayists Waghid and Smeyers, discussed “Ubuntu” as a powerful yet generative underlying philosophy that can guide us. Ubuntu is about “Acting with Care,” about human interdependence, and about relationships between and among persons. By combining Ubuntu with generative thinking, we can apply research to 21stcentury challenges and serve the public good.


2. 깊은 종류의 지식은 다른 사람들에게 어떻게 하는지를 가르치는 것에서 생길 수 있다. [함으로써 아는 것]은 깊고 심오한 수준의 지식을 발전시킬 수 있으며, (그 정의상) 아는 것과 행하는 것의 차이를 없앨 수 있다. 수필가 하틀렙과 칼슨에 따르면: "학원이 동료에게 봉사하는 것을 중시해야 할 때야. . . 지식 생성자(학술가)로서, 우리 연구는 지역사회와 협력하여 [인류]의 상태를 개선해야 한다. . . 더 이상 학문적으로 한 가지에만 지나치게 몰두하는 것이 받아들여지고, 인정받거나, 보상되어서는 안 된다. . . . . 학계는 봉사함으로써 리드해야 한다."

2. A deep kind of knowing can occur from doing and from teaching others how. Knowing by doing can develop a deep and profound level of knowledge and can—by definition— eliminate the knowing–doing gap. According to essayists Hartlep and Carlson: “It is high time that the academy values service to its fellow man. . . . As knowledge-generators (academicians), our scholarship should improve the condition of humanity [by working] in concert with the community. . . . No longer should academic navel gazing be accepted, appreciated, or rewarded. . . . The academy must lead by serving.”


3. 행동은 우아한 말과 계획보다 중요하다. "똑똑한 것처럼 말을 하는 것이 스마트한 행동을 하는 것을 너무 자주 대체하는 세상에서는, [계획, 의사 결정, 회의, 대화 등]이 [집행implementation]을 대신하는 경향이 있다. [너무 자주] 사람들은 행동이 아닌 말로 지위를 얻는다."(Pfeffer & Sutton, 2000, 페이지 251). 수필가 아라페에 따르면, 학습을 위한 학습이 충분하지 않다는 것을 인식하고, 공익을 향상시키기 위해 이용되는 학습에 대한 강조의 적용을 통해 교육을 재인식할 필요가 있다고 한다.

3. Action counts more than elegant words and plans. “In a world where sounding smart has too often come to substitute for doing something smart, there is a tendency to let planning, decision making, meetings, and talk come to substitute for implementation. [Too often] people achieve status through their words, not their deeds” (Pfeffer & Sutton, 2000, p. 251). According to essayist Arafeh, there is a need to reconceptualize education through the application of an emphasis on learning that is used to improve the public good, recognizing that learning for the sake of learning is not enough.


4. 모든 학습에는 약간의 실패와 실수가 수반된다는 것을 기억하라: 우리는 그것을 통해서 배우는 것이다. 논술가 이씨에게 있어서, 아는-행위의 차이를 연구와 실천 또는 정책 사이의 단순한 단절이나 의사소통 문제로 생각하는 것은 실수였다. 그녀는 교육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요소들을 고려함으로써 교육 관행과 정책과 관련된 역동적이고 복잡하며 다층적인 문제들을 보고 다루기 위해 보다 복잡한 생태 시스템 접근방식을 사용함으로써 배울 것이 많다고 주장했다.

4. Remember that all learning involves some failure and mistakes: they are things we learn from. For essayist Lee, it has been a mistake to think about the knowing–doing gap as a simple disconnect or communication issue between research and practice or policy. She argued that there is much to be learned by using a more complex ecological systems approach for viewing—and addressing—the dynamic, complex, and multilayered issues related to educational practice and policy by taking into consideration the many different factors that influence education.


5. 두려움은 아는 것과 행하는 것의 차이를 조장하므로 두려움을 몰아낸다. 에세이스트 로빈슨은 두려워서 무언가를 하는 대신, 모든 교육 연구자들은 공공의 이익을 위해 그들의 연구를 이용할 의무가 있다고 겁 없이 말한다. 그녀는 정책 입안자와 실무자들이 현재 연구를 보다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두려움 없는 방법을 제안했다. 

  • 연구 결과에 대한 개방적 접근. 

  • 간결한 연구 보고서 

  • 적시에 결과를 종합한다. 

  • 전문적 판단의 타당성 인정 

  • 결과가 학교에서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는 방법에 대한 정보 제공 

  • 연구자의 윤리적 관행 검토 

  • 자신의 연구를 직접 실천가에게 가져다 준 사람들에게 보상한다

5. Fear fosters the knowing–doing gap, so drive out fear. Instead of operating out of fear, essayist Robinson fearlessly states that all education researchers (not just those in AERA) are obligated to use their research to serve the public good. She suggested fearless ways to make current research more accessible for policy makers and practitioners—including 

  • open access to research findings; 

  • concise research reports; timely synthesis of results; 

  • acknowledging the validity of professional judgment; 

  • providing information on how results can effectively be used in schools; 

  • reviewing the ethical practices of researchers; and 

  • rewarding those who bring their research to the practitioner directly.


6. 결과는 [공통의 노력, 공유된 목표, 그리고 지식을 사용하고], [각 구성원의 성공이 모두의 성공과 연관되어 있다는 것을 기억하는] 것의 산물이다. 

  • 수필가 니에토는 교육 연구자들에게 권력에 진실을 말하라고 충고했다; 결코 중립과 옹호, 연구 대 교육 연구의 활동주의 사이의 오래된 논쟁에 곁길로 빠지지 않았다. 그녀는 그 지식을 가진 사람들이 주류 지식에 도전하고 세상을 모두에게 더 공평한 곳으로 만드는 데 도움을 주기 위해 그 지식을 이용하도록 도전했다. 

  • 수필가 허들리와 웰스는 또한 접근 가능한 연구가 실습을 알려주고, 실무를 알려 주는 루프 시스템을 사용하여 교육에서 더 많은 번역적 연구를 바탕으로 더 나은 협업을 위한 사례를 만들었다.

6. Results are the product of using knowledge toward common effort, shared goals, and remembering that each member’s success is linked to the success of all. 

  • Essayist Nieto admonished education researchers to speak truth to power; never being sidetracked by the age-old argument between neutrality and advocacy, research versus activism in education research. She challenged those with knowledge to use that knowledge to challenge mainstream knowledge and help make the world a more equitable place for all. 

  • Essayists Hudley and Wells further made a case for better collaboration based on more translational research in education using a looping system in which accessible research informs practice, which informs research, which informs practice, and so on.


7. 지식을 행동으로 전환함으로써 차이점과 더 나은 미래를 만들기 위해 할 수 있는 일에 집중하라. 수필가 에이어스, 쿠마시로, 마이어스, 퀸, 스토벌은 지식을 이용하여 자신들의 공동체와 관련된 연구를 만들고 정치인들에게 책임을 묻게 했다. 현직 시카고 시장이 재선에 출마하지 않기로 결정했을 때, 이들 연구자들은 많은 후보자들이 교육에 대해 business-as-usual 로서의 입장을 공유한다는 것을 발견했다. 저자들은 지역사회와 후보자들에게 학교개혁에 대한 연구기반 정보와 새로운 학교개혁 비전을 제공하는 기구를 설립해 연구지식을 변화의 출발점으로 삼았다.

7. Focus on what can be done to create a difference and a better future by turning knowledge into action. Essayists Ayers, Kumashiro, Meiners, Quinn, and Stoval used knowledge to make research relevant to their community and to hold their politicians accountable. When a current Chicago mayor announced the decision not to run for reelection, these researchers found that many of the candidates shared a business-as-usual stance on education. The authors used their research knowledge as a starting point for change by establishing an organization that provided the community and candidates with research-based information on school reform and new visions for reforming schools.


8. 리더가 무엇을 하고, 시간을 어떻게 보내고, 자원을 어떻게 할당하느냐가 중요하다. 우리 조직이 무엇을 하고, 시간을 어떻게 보내고, 자원을 어떻게 할당하느냐가 중요하다. 우리의 일상적인 관행은 지식의 생산뿐만 아니라 그 지식의 활용을 가치 있게 여겨서 교육을 향상시키고 공공의 이익을 위해 봉사하는 문화를 정책 영역뿐만 아니라 실천 영역에서도 구현해야 한다.

8. What leaders do, how they spend their time, and how they allocate resources matters. What our organization does, how it spends its time, and how it allocates its resources matters. Our day-to-day practices must embody a culture that values not only the production of knowledge but also the use of that knowledge to improve education and serve the public good—not only in the policy arena, but in the practice arena as well.










In this 2012 American Educational Research Association (AERA) Presidential Address, the author considers this year’s conference theme—how to take what we know from research and put it to effective (policy and practice) use. The essay challenges members individually and collectively to improve the connection. She reflects on the history of AERA as an organization, why many seminal research studies fail to get relevant uptake, several models that are instructive in considering the translation process, and comments on several of the papers commissioned by AERA, in advance of the 2012 meeting, which also address different aspects of the translation challenge. The author highlights her own model of change, which she refers to as the Model of Generative Change, and explains the stages or phases of generativity that can be experienced in the research lives of education researchers.


과학: 축적되는 근거의 느린 행진(Perspect Med Educ, 2016)

Science: the slow march of accumulating evidence

Katherine Picho1 · Lauren A. Maggio1 · Anthony R. Artino Jr1


과학은 진화하고 있으며, 새로운 발견들이 끊임없이 세상이 어떻게 돌아가는지에 대한 '우리가 알고 있는 것'의 경계를 밀어내고 있다. 그러나 무작위성은 자연에 대해 관찰되는 것에 영향을 줄 수 있기 때문에, 새로운 발견이 '진짜'가 아니라 단지 잘못된 긍정에 불과할 가능성이 항상 있다.

Science is ever evolving, with new discoveries constantly pushing the boundaries of ‘what we know’ about how the world works. However, because randomness can influence what is observed about nature, there is always a chance that new findings, rather than being ‘true,’ are merely false positives.


진정한 발견은 이론적으로 복제될 수 있어야 한다. 따라서, 새로운 발견의 결과가 몇 번의 반복 실험에서 재현될 때, 그 결과는 이론[1]을 위한 다소 견고한 경험적 기초를 제공한다. 복제replication는 과학자들이 작동 이론의 핵심 원리를 시험하고 확인하거나, 새롭고 상반되는 발견을 발견할 수 있게 해주기 때문에 과학적인 성장과 이론 발전의 중심이다. 이렇게 해서 복제는 과학자들이 속담 밀(진정한 효과)을 쐐기풀(허위 양성 또는 우연한 기회에 기초한 발견)과 구분할 수 있게 한다.

True findings should, theoretically, be replicable. Thus, when results from a new discovery are reproduced in several repeated experiments, the findings provide a more or less robust empirical foundation for a theory [1]. Replication is central to scientific growth and theory development because it allows scientists to test and confirm core principles of working theories, or discover new, conflicting findings. In so doing, replication allows scientists to separate the proverbial wheat (true effects) from the chaff (false positives or findings based on chance).


과학적인 발견과 이론 발달에 그것이 중요함에도 불구하고, replication은 연구라는 enterprise에서 주변적인 역할로 밀려났으며, 이는 혁신에 상을 주는prize 출판 준비와 같은 시스템 요소에 기인할 수 있다. 또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은 결과는 그다지 흥미롭지 않고 따라서 발표될 가능성이 낮다는, 아무도 대놓고 말하지는 않지만, 너무 실제적인 개념 때문일 수 있다. 따라서의 publish or perish의 압력은 연구자들은 출판 시스템에 내재된 규칙에 따라 행동하든, 아니면 사지로 나가 시장성이 떨어지는 복제 시도를 출판하려고 시도하든 해야 한다는 결정을 하게 만든다. 결과적으로, 복제는 종종 뒷전으로 밀리고 과학은 결국 어려움을 겪는다.

Despite its importance for scientific discovery and theory development, replication has been relegated to a peripheral role within the research enterprise, which could be attributed to systems factors such as publication arrangements that prize innovation; or the unspoken, but all-too-real notion that non statistically significant results are not very interesting and are, thus, unlikely to be published. Therefore, the pressure to publish or perish leaves researchers with the decision of having to play by the rules inherent in the publication system or go out on a limb and attempt to publish a perhaps less marketable replication attempt. As a result, replication often takes a back seat and science ultimately suffers.


복제를 통해 과학적 정당성을 입증하려는 노력이 예상보다 덜 성공했기 때문에 최근 몇 년 동안 과학 연구의 신뢰성에 대한 도전을 받고 있다[2, 3]. 예를 들어, 100개 이상의 발표된 심리학 연구를 복제하려는 재현성 프로젝트의 시도는 주요 연구 결과의 65%가 재현 불가능한 것으로 보고되었다[3].

The credibility of scientific research has been challenged in recent years as efforts to demonstrate scientific legitimacy through replication have been less successful than expected [2, 3]. For example, attempts by the Reproducibility Project to replicate over 100 published psychology studies reported that 65 % of key findings were not reproducible [3].


이전 연구에서는 바이오의학과 심리학 연구에서 복제의 문제를 부각시켰지만, 의학 교육을 포함한 다른 분야도 똑같이 잘못된 긍정의 위험에 처해 있기 때문에 이와 유사한 정밀조사가 필요하다고 본다.

Although previous work has highlighted the issue of replication in biomedical and psychology research, we believe that other fields, including medical education, are equally at risk of false positives and thus warrant similar scrutiny.


복제: 직접 대 개념

Replication: direct versus conceptual


이론을 개발하기 위해서는 발견과 복제가 필요하다. 견실한 이론은 시간의 시험을 견디며 광범위한 조건에서 반복적으로 시험했을 때 얼마나 잘 버텨내느냐에 따라 측정된다. 복제는 몇 가지 결과 중 하나를 가질 수 있다: 이론이 확인, 수정, 확장 또는 거부된다.

Theory development requires discovery and replication. Robust theories stand the test of time and are gauged by how well they hold up when repeatedly tested under a wide array of conditions. Replication can have one of several outcomes: either the theory is confirmed, revised, extended, or rejected.


복제를 고려할 때, 연구자들은 먼저 과학자가 연구의 모든 요소를 정확하게 복제하려고 노력하는 [직접 복제]를 생각할 수 있다. 직접복제는 가능한 한 실험적인 절차를 가깝게 반복함으로써 과학적 소견의 진실성을 측정하기 위한 연구를 의미한다[4]. 반면에 [개념 복제]는 특정 결과의 기초가 되는 이론을 시험하기 위한 시도다[1].

When considering replication, researchers may first think of direct replication in which a scientist endeavours to precisely replicate all elements of a study. Direct replication refers to research intended to gauge the veracity of scientific findings by repeating, as closely as possible, an experimental procedure [4]. Conceptual replication, on the other hand, is an attempt to test the theory underlying a particular result [1].


[직접 복제]는 주로 특정 연구[1]의 특정 결과를 검증하는 데 초점을 두기 때문에, 직접 복제 연구를 수행하는 과학자는 가능한 한 모든 조건을 원래 연구와 유사하게 유지하려고 시도한다.

Because direct replication focuses primarily on validating a specific finding from a particular study [1], a scientist conducting a direct replication study attempts to keep all conditions as similar to the original study as possible.


직접 복제는 우연한 결과나 위양성 [4, 6] 및 연구 결과(내적 타당도 결여)를 통제하기 때문에 유용하다[4]. 비록 가치가 있지만, 이론 개발에서 직접적인 복제의 역할은 여러 가지 이유로 제한된다. 

  • 첫째, 직접 복제는 findings을 복제하거나 사실을 확인하는 데 초점을 맞춘다[4]. 소견 복제에 대한 이러한 초점은 특정 결과의 기초가 되는 이론의 신뢰성에 대해 거의 조명하지 않으며, 결과적으로 일반성을 확립하는 데 직접적인 복제의 역할을 제한한다[1]. 

  • 둘째, 직접 복제는 원래 연구의 조건과 밀접하게 일치하는 연구 조건을 요구하기 때문에 (특정 소견에 기여했을 수 있는) 원래 연구 설계의 방법론적 또는 설계상의 결함은 특정 현상의 후속 직접 복제 연구에서 그대로일perpetuated 가능성이 높다. 

따라서, 설계 결함design flaws의 경우, 직접 복제 연구를 통해 false original finding이 확인될 수 있다[1]. 이와 같이, 원본 연구의 설계 결함이 후속 직접 복제 연구에서 영구적으로 발생할 경우 시간이 지남에 따라 스스로 교정할 수 있는 문헌의 능력은 상당한 영향을 받을 수 있다.

Direct replications are useful because they control for chance results or false positives [4, 6], and study artifacts (lack of internal validity) [4]. Although valuable, the role of direct replication in theory development is limited for a number of reasons. 

  • First, direct replications focus on replicating findings or confirming facts [4]. This focus on findings replication sheds little light on the credibility of the theory underlying a particular result, which consequently limits the role of direct replication in establishing generality [1]. 

  • Second, because direct replication requires that study conditions closely match those of the original study, any methodological or design flaws in the original study design (that might have contributed to a particular finding) will likely be perpetuated in subsequent direct replication studies of a given phenomenon. 

Therefore, in the case of design flaws, it is possible for false original findings to be confirmed through direct replication studies [1]. In this way, the ability of the literature to self-correct over time can be significantly impacted when design flaws in the original study are perpetuated in subsequent direct replication studies.


반면에 [개념적 복제]주어진 결과에 기초하는 이론의 검증에 초점을 맞춘다[4, 7]. 따라서 개념 복제는 이론 검증theory testing과 거의 비슷하. 즉, 주어진 이론이나 가설이 다양한 조건에서 유지되는지(또는 유지하지 않는지)를 결정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위에서 언급한 시험 강화 학습 효과는 교육 심리학에 그 뿌리를 두고 있지만 의학 교육에서는 개념적으로 복제되었다. 이러한 복제 연구는 이론에 대한 확고한 증거를 구축하기 위해 다양한 설정(실험실 대 교실), 모집단(성인 대 아동 학습자) 및 내용 영역(단어 쌍 대 일반 내용 지식)에서 수행되었다.

Conceptual replications, on the other hand, focus on validating the theory underlying a given result [4, 7]. Thus, conceptual replication is much like theory testing; that is, determining whether a given theory or hypothesis holds (or not) under a variety of conditions. For example, the test-enhanced learning effect referenced above has its roots in educational psychology but has been conceptually replicated in medical education. These replication studies have been conducted in a variety of settings (laboratories vs. classrooms), populations (adult vs. child learners) and content areas (word pairs vs. general content knowledge) to build a robust body of evidence for the theory.


직접 복제와 달리, [개념 복제]의 몇 가지 요소는 주어진 이론이나 가설이 다양한 조건에서 유지되는지 여부를 측정하기 위해 다양할 수 있으며, 대개는 '필수 조건'을 일정하게 유지하는 것이다. 본질적인 조건들은 이론에 의해 지시되고 그 현상이 일어나기 위해 반드시 갖춰져야 하는 조건들을 구성한다. 개념적 복제에서는 복제 연구의 필수 조건들이 원본 [8]의 조건들과 [근접하게 일치하도록만 요구]하는 반면, 유연성이 있어서, 연구의 다른 비필수 조건들을 변화시킬 수 있다.

Unlike direct replication, several elements of conceptual replications can be, and usually are, varied to gauge whether or not a given theory or hypothesis will hold under a variety of conditions, while at the same time holding ‘essential conditions’ constant. Essential conditions are dictated by the theory and constitute those conditions that must be in place for the phenomenon to occur. Conceptual replications only require that the essential conditions of the replication study closely match those in the original [8], while allowing for flexibility to vary other non-essential conditions of a study.


예를 들어, 원래 연구와 다른 다양한 측정, 독립 변수, 방법, 컨텍스트 및 모집단을 개념 복제에 사용하여 주어진 결과에 기초하는 이론적 가정을 삼각측량할 수 있다. 앞에서 언급한 비필수적 요소를 변화시키면 개념 복제 연구를 통해 관찰된 결과가 [수요 특성, 표본 특성 또는 현상의 좁은 정의 때문일 수 있는 가능성]을 배제할 수 있다[6].

For instance, a variety of measures, independent variables, methods, contexts and populations that differ from the original study can be used in conceptual replications to triangulate theoretical postulates that underlie a given result. Varying the aforementioned nonessential elements enables conceptual replication studies to rule out the possibility that observed findings could be due to demand characteristics, sample characteristics, or narrow definitions of a phenomenon [6].


개념적 복제는 또한 반증falsification을 용이하게 한다. 성공적인 개념적 복제는 기존 이론에 신빙성을 부여하지만, 성공하지 못한 개념적 복제(예: 특정 조건 하에서 어떤 이론이 상정된 것처럼 운영되지 않는 경우)는 해당 이론의 한계에 대한 수정을 요구할 수 있다[3]. 개념적 복제는 이론에 대한 이해를 증진시키기 때문에, 우리와 다른 이들은 이론 개발과 궁극적으로는 과학적 진보에 대한 직접적인 복제 상대보다 그것들이 더 가치 있다고 믿는다[1].

Conceptual replication also facilitates falsification. Successful conceptual replications lend credence to extant theories, while unsuccessful ones (such as when a given theory does not operate as posited under certain conditions) might call for revisions to the bounds of said theory [3]. Because conceptual replications further our understanding of theory, we and others believe they are more valuable than their direct replication counterpart to theory development and, ultimately, to scientific progress [1].


개념복제에 대한 한 가지 비판은 종속변수와 독립변수의 운영방식에 유연성이 있을 뿐만 아니라 다른 방법의 수정방식에 유연성이 있기 때문에 개념복제가 성공하지 못할 때 복제 실패의 원인을 확인하기 어려운 경우가 많다[1]. 질문은 다음과 같다. 복제 실패가 우연 및/또는 아티팩트로 인한 것이었는가, 아니면 결과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다른 감지되지 않은 진행자 때문이었는가? 이러한 이유로, 여러 학자들은 직접 복제가 항상 개념 복제[7–9]보다 선행되어야 하며, [결과의 검증]이 [이론의 확장]보다 선행되어야 한다고 제안했다.

One criticism of conceptual replication is that because there is flexibility in how dependent and independent variables are operationalized, as well as flexibility in how other methods are modified, when conceptual replications are unsuccessful, the source of replication failure is often difficult to ascertain [1]. The question becomes: Was the failure to replicate due to chance and/or artifacts, or was it due to other undetected moderators that might have influenced the results? For this reason, several scholars have suggested that direct replications should always precede conceptual replications [7–9], as verification of findings should precede extension of theory.


  • 특정 결과를 검증하고 내부 타당성과 관련된 다른 요인뿐만 아니라, 발견 결과가 우연, 유물 또는 사기의 결과일 가능성이 낮다는 것을 확인하는 것이 목표라면 직접 복제를 선호한다. 

  • 연구자의 목표가 이론을 확장하거나 개발하는 것이라면, 강력한 이론 프레임워크를 점진적으로 테스트하고 구축하는 데 도움이 되는 일련의 임시 서열화, 계층 구조화 및 점점 더 복잡한 개념 복제 연구를 권고한다.

  • If the goal is to verify a specific finding and ascertain that findings are less likely to be a result of chance, artifacts, or fraud, as well as other factors related to internal validity, then a direct replication is preferred. 

  • If the researcher’s goal is to extend or develop theory, then a series of temporally sequenced, hierarchically structured, and increasingly complex conceptual replication studies that help to progressively test and build robust theoretical frameworks is recommended



의료 교육에서의 복제

Replication in medical education


비록 실험 연구가 우세한 인지 심리학과 같은 영역에서 유용하지만, [직접 복제는 종종 비실용적이며, 일부에서는 맥락 특수성과 관련된 요소들이 가장 지배적인 의료 교육 맥락에서 관련이 없다]고 주장할 수 있다.

Although useful in domains such as cognitive psychology where experimental research prevails, direct replication is often impractical – and some might argue, irrelevant – in medical education contexts where factors associated with context specificity reign supreme.


의학 교육에서 직접 복제를 사용할 수 있는 경우는 제한적이지만, 개념적 복제는 (지난 20년 동안 반복적으로 비판 받아온) 의학교육 연구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잠재력을 가지고 있다고 생각한다[5].

Although direct replication may have limited use in medical education, we believe that conceptual replication has the potential to enhance the quality of medical education research, the methods of which have been criticized repeatedly over the past two decades [5].


실제로 다른 학자들은 연구자가 이론을 실험하고 실증적으로 뒷받침되지 않는 이론을 폐기할 수 있는 방법을 사용하여 지식의 점진적 축적과 현상에 대한 이해의 진보로서 다시 개념화함으로써 의학 교육 연구가 개선될 수 있다고 제안했다[11].

Indeed, other scholars have proposed that medical education research can be improved by re-conceptualizing research quality as progressive accumulation of knowledge and advances in understanding of phenomena using methods that allow researchers to test theories and discard those that are weak and empirically unsupported [11].


또한, 의학 교육 연구자들은 교육, 심리학, 사회학을 포함하되 이에 국한되지는 않는 다른 분야의 이론을 채택하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의학교육 연구자들은 기초 이론이 시험한 의학교육의 구체적인 맥락에 적용되는지 여부를 검증하는 것과 관련하여 '루프 닫기'를 하지 않는 경우가 많다. 개념 복제는 의학 교육 연구자들에게 의학 교육 맥락에서 채택된 이론을 시험하고, 그 이후의 연구 결과를 사용하여 이론 개발뿐만 아니라 그 분야의 실용적인 응용에 유용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한다.

Further, medical education researchers often adopt theories from other disciplines including, but not limited to, education, psychology, and sociology. However, medical education researchers often do not ‘close the loop’ with respect to verifying whether or not the underlying theory applies to the specific context of medical education that was tested. Conceptual replication offers medical education researchers a means to test adopted theories within a medical education context and use subsequent findings to inform theory development, as well as practical applications in the field.


의학 교육 연구가 교육 실무에 중대하고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기 위해서는 연구자들이 복제의 복잡성, 특히 개념적 복제에 유창해야 한다고 생각한다.

For medical education research to have a significant, positive impact on educational practice, we believe researchers must become fluent in the intricacies of replication – in particular, conceptual replication.





. 2016 Dec;5(6):350-353.
 doi: 10.1007/s40037-016-0305-1.

Science: the slow march of accumulating evidence

Affiliations 

Affiliations

  • 1Department of Medicine, Uniformed Services University of the Health Sciences, Bethesda, MD, USA. Katherine.picho.ctr@usuhs.edu.
  • 2Department of Medicine, Uniformed Services University of the Health Sciences, Bethesda, MD, USA.
Free PMC article

Abstract

Recent crises over the credibility of research in psychology and the biomedical sciences have highlighted the need for researchers to view and treat replication research as essential to the accumulation of knowledge. In this article, the authors make the case for the utility of replication in medical education research. Specifically, the authors contend that because research in medical education often adopts theories from other disciplines, replication is necessary to gauge the applicability of those theories to the specific medical education context. This article introduces readers to the two major types of replication - direct and conceptual - and provides a primer on conceptual replication. In particular, the article presents key elements of conceptual replication and considers how it can be used to strengthen approaches to knowledge generation, theory testing, and theory development in medical education research.

Keywords: Medical education; Replication; Reproducibility.




개념적 프레임워크를 통해서 교육연구를 강화하기: 의학교육자를 위한 도전과 로드맵(Acad Pediatr, 2019)

Enhancing Educational Scholarship Through Conceptual Frameworks: A Challenge and Roadmap for Medical Educators

Matthew W. Zackoff, MD; Francis J. Real, MD, MEd; Erika L. Abramson, MD, MS; Su-Ting T. Li, MD, MPH; Melissa D. Klein, MD, MEd*; Maryellen E. Gusic, MD*




엄격한 벤치·임상·번역적 연구로 임상진료의 진척 속도는 빠르게 진전되었지만, 의학교육은 전통적으로 엄격한 연구를 통해 수집된 이론과 증거보다는 의식·문화·전통에 의해 추진되어 왔다.1,2 잠재적 연구 주제인 교육학자와 대치할 때, 다른 조사자와 마찬가지로, 조사의 초점을 정의하고, 연구 질문을 개발하거나 가설을 생성하기 위해 확립된 이론을 사용해야 하며, 조사를 적절하게 다루기 위한 방법론을 설계해야 한다.

Although the pace of progress in clinical care has advanced quickly owing to rigorous bench, clinical, and translational studies, medical education has traditionally been driven by ritual, culture, and tradition rather than theories and evidence gathered through rigorous study.1,2 When confronting a potential research topic, an educational scholar, like any investigator, must use established theories to define the focus for inquiry, develop a study question and/or generate a hypothesis, and then design the methodology to appropriately address the inquiry.


개념적 프레임워크문제에 대한 사고방식을 나타내며 교육적 또는 사회적 현상의 복잡성을 검사할 수 있는 렌즈다.3

Conceptual frameworks represent ways of thinking about a problem and are the lens through which one can examine the complexities of educational or social phenomena.3


의학 교육에서, 이러한 프레임워크는 결과에 기여하는 여러 요소들 - 교사, 학습자, 평가 및 맥락과 관련된 요인들 - 을 고려할 수 있게 해준다.5.6 개념적 프레임워크는 "그래서 어쩌라는 것인가so what"를 확립할 수 있는 기반을 제공한다. 즉, 작업의 중요성, 현상에 대한 이해에서 기존의 격차를 어떻게 메우는지, 그리고 어떻게 그것이 프로젝트의 "어떻게"로 이어질 수 있는지 등을 말한다. 이는 교육 방법, 평가 전략 및 결과의 적절한 해석의 선택에 영향을 미친다.

In medical education, these frameworks allow us to consider multiple factors that contribute to outcomes—factors related to the teacher, the learner, the assessment, and the context.5,6 Conceptual frameworks provide the foundation to establish the “so what”—the importance of the work, how it fills an existing gap in understanding the phenomenon, and how it can lead to the “how” of the project—which impacts the choice of educational methods, assessment strategy, and appropriate interpretation of outcomes.


개념적 틀의 결여가 주요 교육 학술지에 제출되는 원고의 게재거부 사유라는 점에 주목했다.7 이 연구의 후속 연구에서 쿡 외 al.8은 2003년과 2004년 사이에 발표된 의학 교육 논문의 체계적 리뷰에서 55%만이 개념적 프레임워크를 사용했다고 지적했다.

The lack of a conceptual framework was noted to have contributed to the rejection of manuscripts submitted to major educational journals 62.2%of the time.7 In a follow up to this study, Cook et al.8 noted in a systematic review of medical education papers published between 2003 and 2004 that only 55%utilized conceptual frameworks.


의학 교육 연구는 종종 비선형적인 길을 걸을 수 있지만, 본 논문에서는 의학 교육 개입과 연구의 설계를 강화하기 위한 도구로서 학술적 과정 초기에 개념 프레임워크를 사용하는 로드맵을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Although medical education research can often take a nonlinear path, in this article we aimto provide a roadmap for using conceptual frameworks early in the scholarly process as a tool to enhance the design of medical education interventions and research.


개념 프레임워크 대 모범 사례

CONCEPTUAL FRAMEWORKS VERSUS BEST PRACTICES


의료교육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개념 체계는 표에 설명되어 있다.

Commonly used conceptual frameworks in medical education are described in the Table.





[개념 체계]와 교육에서 확립된 [모범 사례]의 차이와 관계를 이해하는 것이 중요하다. 둘 다 교육자로서의 일에 있어서 귀중한 자산이다. 모범 사례는 [커리큘럼 설계에 대한 Kern의 6단계] 23, [프로그램 평가를 위한 로직 모델]24, [다단계 결과 측정을 위한 Kirkpatrick의 프레임워크]25를 예로 들 수 있다. 교육 개입의 설계와 평가에서 개념 체계와 모범 사례 접근법의 적용은 모두 교육 연구의 엄격성에 기여한다.

It is important to understand the difference and relationship between conceptual frameworks and established best practices in education. Both are valuable assets in one’s work as an educator. Best practices are accepted approaches, with noted exemplars being Kern’s 6 steps23 for curriculum design, the logic model24 for program evaluation, and Kirkpatrick’s framework25 for measuring multilevel outcomes. Both conceptual frameworks and the application of best practice approaches in the design and evaluation of educational interventions contribute to the rigor of educational scholarship.


그림 1은 개념 체계와 교육 모범 사례 모델의 통합을 보여준다. 이 예에서, Kern의 6단계 접근방식은 커리큘럼 개발을 위해 널리 받아들여지는 모범 사례를 나타낸다.

Figure 1 illustrates the integration of conceptual frameworks and a best practice model in education. In this example, Kern’s 6 steps approach represents a widely accepted best practice for curriculum development.



개념 프레임워크 선택

SELECTING A CONCEPTUAL FRAMEWORK


개념적 프레임워크를 식별하는 것은 교육 연구 연구를 설계하는 데 있어 중요한 단계다.26,27 고려해야 할 프레임워크는 학자와 학습에 대한 그들의 신념에 공명해야 한다.6 잠재적인 적용 가능한 개념 프레임워크를 식별하기 위한 철저한 문헌 검토는 프로젝트 개발의 필요한 초기 단계다.

Identifying a conceptual framework is a crucial step in designing an educational research study.26,27 Frameworks to consider should resonate with the scholar and their beliefs about learning.6 A thorough literature review to identify potential, applicable conceptual frameworks is a necessary early step in project development.


종종 [이론적 프레임워크]라는 용어가 사회과학 문헌에 활용된다. 이론적·개념적 프레임워크가 때로는 차별화되기도 하지만, 학술연구를 조직하고 강화하는 그들의 적용은 거의 동일하기 때문에 우리는 그 용어를 상호교환적으로 사용한다. 

Often, the term theoretical frameworks is utilized in social science literature. Although theoretical and conceptual frameworks are sometimes differentiated,29 their application to organizing and enhancing scholarship is much the same, so we use the terms interchangeably. 


잠재적으로 관련성이 있는 개념 프레임워크가 확인되면, 기존 문헌을 지속적으로 비판적 분석, 합성하여 연구자는 주제에 대해 이미 알려진 것을 식별하고, 프레임워크의 특정 구성요소나 대체 프레임워크의 사용이 문헌의 기존 격차를 해결하는 데 어떻게 도움이 되는지 고려할 수 있다. 그렇게 되면, 선택한 개념 프레임워크는 개입에 대한 근거를 뒷받침하고 그것이 수행될 이유와 방법을 정당화한다.

When potentially relevant conceptual frameworks have been identified, continued critical analysis and synthesis of the literature allow the investigator to identify what is already known about the topic and to consider how a specific component of the framework or the use of an alternative framework would be helpful in addressing existing gaps in the literature.30 The chosen conceptual framework then supports the rationale for the intervention and justifies why and how it will be undertaken.30


중요한 것은 하나 이상의 개념적 프레임워크가 연구 연구의 설계와 보건 과학 교육의 문제를 다루기 위한 개입에 적용될 수 있다. 각 개념체계는 독특한 질문을 만들 수 있는 다른 플랫폼을 제공하기 때문에, 조사자들은 어떤 문제를 탐구하는 데 가장 적합하다고 생각하는 프레임워크를 선택해야 한다. 개념적 프레임워크의 선택이 교육 개입과 그에 상응하는 연구 프로젝트의 설계를 안내하는 방법은 그림 2에 도해되어 있다.

Importantly, more than 1 conceptual framework may be applied to design a research study and the intervention to address an issue in health sciences education. Because each conceptual framework provides a different platform on which to build a unique question, investigators should choose the framework that they believe is most appropriate to explore an issue. The way in which the choice of conceptual framework guides the design of an educational intervention and corresponding research project is graphically illustrated in Figure 2.



예: 의사의 건강 증진을 위한 교육 개입

AN EXAMPLE: EDUCATIONAL INTERVENTION PROMOTING PHYSICIAN WELLNESS


교육자가 학습자 사이의 건강을 증진시키기 위해 취할 수 있는 수많은 접근법이 있다. 개념적 프레임워크의 선택은 개입의 설계와 개입과 관련된 연구 질문에 영향을 미친다. 

예를 들어 수사관의 신념이 다른 사람의 행동을 관찰하고 모방함으로써 사람들이 배운다는 개념에 바탕을 둔 반두라의 사회 인지 이론과 일치한다면, 이 렌즈는 조사자가 웰빙을 촉진하는 것으로 알려진 행동의 관찰과 에뮬레이션 기회를 제공하는 학습 경험을 설계하고 연구하는데 초점을 맞출 것이다.

There are numerous approaches an educator could take to attempt to promote wellness among learners. The choice of conceptual framework impacts the design of the intervention and the research question to be studied related to the intervention. 

For example, if an investigator’s beliefs align with Bandura’s social cognitive theory, which is grounded in the concept that people learn by observing and imitating other’s behavior,14 this lens would focus the investigator to design and study a learning experience that provides opportunities for observation and emulation of behaviors known to promote wellness.


조사자는 문헌을 검토한 후 사회 인지 이론이 다른 사람들에 의해 새로운 행동의 채택을 촉진하는 교육 개입을 개발하기 위해 사용되었음을 밝혀낸 후에 이 프레임워크를 선택할 수 있다. 다음 단계는 이 개념 체계(즉, 주의력, 보존, 재생산, 동기)의 구성요소가 웰빙을 촉진하는 행동의 채택에 어떻게 기여하는지를 조사하는 [연구 질문을 개발]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임상 전 의대생을 위한 섀도잉 프로그램이 임상 기간 동안 보고된 감정 소모율을 감소시키는가?"와 같은 몇 가지 잠재적인 질문을 사용하여 탐구할 수 있다. 이 경우 그림자 프로그램은 웰니스 활동을 일상 업무에 통합하는 것으로 알려진 고위 임상의들을 그림자처럼 관찰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기 위해 설계될 것이다. 학생들은 건강 증진을 위해 보여진 특정한 건강 개입에 대한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이러한 관찰로부터 배울 수 있도록 준비될 것이다. 학생들은 [자신이 그림자처럼 따라다니는 의사]가 사용하는 활동의 인식된 가치에 대해 추가로 성찰하도록 유도될 것이다.

An investigator may choose this framework after a review of the literature reveals that social cognitive theory has been used by others to develop educational interventions that promote the adoption of new behaviors. The next step is to develop a research question investigating how components of this conceptual framework (ie, attention, retention, reproduction, and motivation) contribute to the adoption of behaviors that promote wellness. Several potential questions could be explored using this conceptual framework—

for example, “Does a shadowing program for preclinical medical students decrease the rate of emotional exhaustion reported during the clinical years?” The shadowing program in this case would be designed with the intention to provide opportunities to shadow senior-level clinicians who are known to incorporate wellness activities into their daily practice. The students would be primed to learn from these observations through the provision of information about specific wellness interventions that have been shown to promote wellness. Students would additionally be prompted to reflect on the perceived value of the activities used by the physicians they are shadowing.


대안적으로, 조사자는 웰니스 행동의 채택을 촉진하기 위한 교육 개입을 설계하고 연구하는 방법을 결정하기 위해 [상황 학습 이론]과 같은 다른 개념적 프레임워크를 선택할 수 있다. 이러한 개념적 틀은 학습자가 처음에는 집단에 변두리적 존재로 구성원이 되고, 실천 공동체로 환영받는 부수적 과정이 될 수 있다는 것을 전제로 한다.20 

본 예에 따르면, 학습자가 지역사회에 건강 증진을 위한 활동에 노출되고 참여할 수 있도록 하는 경험은, 주의력에 관한 레지던트의 정오 회의에 점원직을 노출시키는 것과 같은, 대안적 연구 질문으로 이어질 수 있다. 한 가지 잠재적인 질문은 "웰니스 행동을 촉진하기 위해 고안된 활동에서 가까운 동료들과 함께 하는 것이 졸업생 의대생들의 비인격화와 냉소를 감소시키는가?"이다. 이 경우 평가 전략에는 레지던트의 정오 컨퍼런스에 학생의 참여와 참여 수준을 문서화하는 조치와 접근방식의 효과를 평가하기 위한 졸업 전 비인격화 조치가 포함될 수 있다.

Alternatively, an investigator might select a different conceptual framework, such as the theory of situated learning and legitimate peripheral participation by Lave and Wenger,20 to determine how to design and study an educational intervention to promote the adoption of wellness behaviors. This conceptual framework posits that learning can be an incidental process that occurs as a learner, who at first is peripheral to the group, becomes a member, and is welcomed into a community of practice.20 

Applied to our example, an experience that allows a learner to be exposed to, and engage in, activities that promote wellness for the community, such as exposing medical students on their clerkship to resident noon conferences on mindfulness, might lead to an alternative research question. One potential question is “Does engaging with near peers in activities designed to promote wellness behaviors decrease depersonalization and cynicism in graduating medical students?” The assessment strategy in this case would include measures to document the level of engagement and participation of students in the resident noon conferences and measures of depersonalization prior to graduation to evaluate the effectiveness of the approach.


분야를 발전시키기 

ADVANCING THE FIELD


발표나 간행물에서 개념 프레임워크를 어떻게 활용했는지에 대한 명시적인 언급은 지식 진보를 위한 몇 가지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확립된 증거 기반 프레임워크의 사용은 평론가와 독자들이 작품이 문헌의 공백을 어떻게 메우는지를 더 잘 이해할 수 있게 하고, 개입의 개입과 연구에 사용된 방법론의 엄격성을 평가하고, 결과와 결과의 영향을 그들이 어떻게 분야를 발전시키는지에 대한 맥락에서 해석할 수 있게 한다.

In a presentation or publication, explicit mention of how one utilized a conceptual framework has several important implications for advancing knowledge. The use of an established, evidence-based framework allows reviewers and readers to better understand how the work fills a gap in the literature, to evaluate the rigor of the methodology used in the intervention and study of the intervention, and to interpret the impact of the outcomes and results in the context of how they advance the field.


추가 고려사항

ADDITIONAL CONSIDERATIONS


의료 교육 프로젝트의 성공적인 이행을 위해 몇 가지 추가적인 주요 고려사항이 있다. 초기에는 개입을 구현하고 평가하는 데 [필요한 자원에 대한 면밀한 검토]가 필요하여 [실용적이고 실현 가능한 접근방식]이 취해질 수 있도록 한다. 

문헌을 검토한 후 연구자가 [의도적 연습]의 개념적 프레임워크를 사용하여 연구 질문을 조작한다고 가정하자. 이 프레임워크에 기반한 개입은 교육 강사가 작업장에 기반한 관찰을 수행하고 피드백을 제공하며 시간 경과에 따른 학습자 성과를 재평가해야 한다.

To allow for the successful implementation of a medical education project, there are several additional key considerations. At the beginning, a careful examination of the resources needed to implement and evaluate the intervention is necessary to ensure that a practical and feasible approach is taken. 

Suppose that after a review of the literature an investigator crafts a study question using the conceptual framework of deliberate practice, An intervention based on this framework would require training instructors to do workplace-based observations, provide feedback, and reassess learner performance over time;


프로젝트가 시작될 때 적절한 준비가 흥미롭고, 참신하고, 관련성이 있는 연구 문제를 개발하는 데 중요하지만, 연구 연구의 결론에 대한 사려 깊은 성찰은 간과할 수 없다.

Although adequate preparation at the onset of a project is important to developing a study question that is interesting, novel, and relevant,37 thoughtful reflection at the conclusion of a research study cannot be overlooked.


  • 개입과 방법론이 프레임워크와 일치하였는가?

  • 개입이 계획대로 실행되지 않았는가?

  • 적절한 결과 척도를 선택하였는가?

  • 평가 접근방식이 의도된 결과를 측정하지 못하였는가?

  • 인식되지 않는 교란 요인이 있었는가?

  • 그 결과는 추가 탐구가 필요한 개념적 프레임워크에 대한 새로운 측면을 나타냈는가?

Were the intervention and methodology aligned with the framework?

Were the interventions not implemented as planned?

Were appropriate outcome measures selected?

Did the assessment approach fail to measure the intended outcomes?

Were there unrecognized confounding factors?

Did the results indicate a new aspect about the conceptual framework that requires further exploration?






Review

 

. 2019 Mar;19(2):135-141.
 doi: 10.1016/j.acap.2018.08.003. Epub 2018 Aug 20.

Enhancing Educational Scholarship Through Conceptual Frameworks: A Challenge and Roadmap for Medical Educators

Affiliations 

Affiliations

  • 1Division of Critical Care Medicine, Department of Pediatrics (MW Zackoff),. Electronic address: matthew.zackoff@cchmc.org.
  • 2Division of General and Community Pediatrics, Department of Pediatrics (FJ Real, MD Klein), Cincinnati Children's Hospital Medical Center, Cincinnati, Ohio.
  • 3Division of General Pediatrics, Department of Pediatrics, and Department of Healthcare Policy and Research, Weill Cornell Medical Center (EL Abramson), New York, NY.
  • 4Division of Pediatric Hospital Medicine, Department of Pediatrics, University of California, Davis (S-TT Li).
  • 5Department of Medical Education, University of Virginia School of Medicine (ME Gusic), Charlottesville, Va.

Abstract

Historically, health sciences education has been guided by tradition and teacher preferences rather than by the application of practices supported by rigorous evidence of effectiveness. Although often underutilized, conceptual frameworks-theories that describe the complexities of educational and social phenomenon-are essential foundations for scholarly work in education. Conceptual frameworks provide a lens through which educators can develop research questions, design research studies and educational interventions, assess outcomes, and evaluate the impact of their work. Given this vital role, conceptual frameworks should be considered at the onset of an educational initiative. Use of different conceptual frameworks to address the same topic in medical education may provide distinctive approaches. Exploration of educational issues by employing differing, theory-based approaches advances the field through the identification of the most effective educational methods. Dissemination of sound educational research based on theory is similarly essential to spark future innovation. Ultimately, this rigorous approach to medical education scholarship is necessary to allow us to establish how our educational interventions impact the health and well-being of our patients.

Keywords: conceptual framework; educational research; scholarship.

의학교육에서 적응적 전문성: 자기조절학습을 촉진하여 학습궤적 촉진하기(Med Teach, 2018)

Adaptive expertise in medical education: Accelerating learning trajectories by fostering self-regulated learning

Susanne P. Lajoie and Maren Gube




도입 

Introduction


교육자들은 관련된 모든 사람들에게 최상의 학습 결과를 가져다 주는 학습 환경을 조성하는 일을 맡는다. 그러나 학습자들은 능력, 맥락, 동기 부여, 이전 영역 지식에 따라 달라지는 개별 프로파일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모든 사람의 요구에 맞는 하나의 모든 형태의 강의는 없다. 대부분의 교육자들은 학생들이 학습 궤도를 따라 성장할 수 있도록 돕는 임무를 맡고 있으며, 주로 학생들이 전문가가 될 수 있도록 돕는 일은 아니다.

Educators are tasked with creating learning environments that result in the best learning outcomes for all involved. However, there is no one-size-fits-all form of instruction that matches everyone’s needs since learners have individual profiles that vary according to ability, context, motivation, and prior domain knowledge. Most educators are tasked with helping their students grow along a learning trajectory, and not principally with helping their students become experts.


전문성의 정의

Defining expertise


최근의 위키백과 https://en.wikipedia.org/wiki/Expert 검색은 전문가를 '특정 분야의 실습과 교육을 통해 장기적이거나 강렬한 경험을 가진 사람… [특정한 잘 알려진 영역에서 동료 또는 대중에 의하여올바르고, 정의롭고, 현명하게 판단하거나 결정하는 능력에 대한 권위와 지위를 부여받아, 신뢰할 수 있는 기술 또는 기술의 원천으로 널리 인정됨…연구, 경험 또는 직업과 특정 연구 분야에 기초하여 광범위한 지식 또는 능력을 갖춘 사람'이라고 말했다.

A recent wikipedia https://en.wikipedia.org/wiki/Expert search defined an expert as ‘someone who has a prolonged or intense experience through practice and education in a particular field… widely recognized as a reliable source of technique or skill whose faculty for judging or deciding rightly, justly, or wisely is accorded authority and status by peers or the public in a specific well-distinguished domain…a person with extensive knowledge or ability based on research, experience, or occupation and in a particular area of study.’


K. 에릭슨은 

  • 전문지식을 '전문가와 초보자를 구별하는 특성, 기술, 지식'으로 정의하고, 

  • 전문가는 '도메인의 대표 업무에서 지속적으로 우수한 성과를 발휘할 수 있는 개인'으로 정의한다(에릭슨 2006).

K. Ericsson defines 

  • expertise as ‘the characteristics, skills, and knowledge that differentiate experts from novices’ and 

  • experts as individuals ‘who are consistently able to exhibit superior performance on representative tasks in a domain’ (Ericsson 2006).


전문 지식의 차원

Dimensions of expertise


전문가들은 어떤 것에 전문가지만 모든 것은 아니다; 전문성은 영역별로 다르다. 그러나 연구 결과, 모든 전문가들이 공통적인 속성을 공유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들은 

    • 더 빠르다; 

    • 보다 정확한 솔루션 제공 및 우수한 성능의 일관성 제공 

    • 해당 분야의 정보에 대한 기억력이 우수함 

    • 깊이 있고 고도로 상호연결된 지식과 더 나은 패턴 인식을 가지고 있다. 

    • 자신의 성과를 관찰하고 평가하는 더 나은 자기 평가 기술을 입증한다.(Chi et al. 1988; La).Joie 2003; Ericsson et al. 2006).

Experts are expert at something but not all things; expertise is domain-specific. However, research has shown that all experts share common attributes. They 

    • are faster; 

    • provide more accurate solutions and consistency in their superior performance; 

    • have superior memories for information in their field; 

    • have deeper and more highly interconnected knowledge and better pattern recognition; and 

    • demonstrate better self-regulatory skills observing and evaluating their own performance (Chi et al. 1988; Lajoie 2003; Ericsson et al. 2006).


일상적 전문성 대 적응적 전문성

Routine versus Adaptive expertise


전문성expertise은 지능이나 능력을 뛰어넘는 특성으로 규정한다. 최근, 일상적 전문지식과 적응적 전문지식을 구별하는 구별이 문헌에 나타나고 있다. 비록 모든 전문가들이 그들의 지식을 접근하는 여러 가지 방법을 가지고 있지만(브랜스포드 외) 2000년) 일부 전문가는 자신의 지식을 적응적이고 창의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능력을 가지고 있는 반면, 다른 전문가들은 일상적인 수행 능력을 가지고 있다. 적응형 전문가들은 새로운 상황에 더 효과적이고 혁신적으로 반응하는 반면, 일상적 전문가들은 작업 효율을 계속 향상시킨다(Schwartz et al. 2005).

Expertise has defining characteristics that go beyond intelligence or ability. Recently, a distinction has appeared in the literature that differentiates between routine and adaptive expertise. Although all experts have multiple ways of accessing their knowledge (Bransford et al. 2000), some experts have the ability to apply their knowledge adaptively and creatively, while others stay with routine performances. Adaptive experts respond to novel situations more effectively and innovatively, while routine experts continue improving task efficiency (Schwartz et al. 2005).


일상적이고 적응력 있는 전문가들이 가장 높은 수준의 기술 개발 수준에 있다. 그러나 브랜스포드 외 (2000)는 일상적 전문가를 '장인artisans'이라고 하고, 적응적 전문가를 '거장virtuosos'이라고 한다. 거장이 지식의 경계를 넓힐 수 있는 기회를 찾는 반면, 장인들은 그들의 경계 안에서 계속 일한다. 적응적 전문가는 개인이 영역별 기술을 계속 개발함에 따라 일상적인 전문가(Carbonell et al. 2014)로부터 발전한다. 일반적으로 전문지식은 자동화되거나 일상화되어 학습된 이후 인지자원이 덜 필요하게 된다. 그러나, 이 거장은 지식의 지속적인 사용과 확장을 통해 이러한 자동화를 피하기 위해 의식적인 노력을 기울일 수 있다(Ericsson 2006).

Routine and adaptive experts are at the highest level of skill development. However, Bransford et al. (2000) refer to routine experts as ‘artisans’ and adaptive experts as ‘virtuosos’. Artisans continue to work within their boundaries while virtuosos seek opportunities to broaden their knowledge. Adaptive experts develop from routine experts (Carbonell et al. 2014), as individuals continue to develop domain-specific skills. Generally, expertise becomes automated or routine, requiring less cognitive resources since it is learned. However, its possible that the virtuso makes a conscious effort to avoid such automation by continual use and extension of their knowledge (Ericsson 2006).


적응형 전문가들은 독특한 기여를 하기 위해 더 혁신적이고 즉흥적일 수 있다. 즉흥연주자들은 기억에서 상황에 맞는 청크와 패턴을 자유롭게 회수하는 동시에 뇌의 통제와 검열 기능을 동시에 억제한다. 신경과학 연구에서는 습득한 전문지식이 유동적이고 놀이적으로 현재의 환경과 연계될 때 아이디어의 창조적 생산에 필요한 특정 뇌 패턴이 활성화된다는 것을 밝혀냈다(소이어 2006).

Adaptive experts may be more innovative and improvise to make unique contributions. Improvisers freely retrieve context-appropriate chunks and patterns from memory, while simultaneously curbing the controlling and censoring functions of the brain. Neuroscience research has revealed that certain brain patterns necessary for the creative production of ideas are activated when acquired expert knowledge is flexibly and playfully linked with the current environment (Sawyer 2006).


전문 지식 습득: 역량으로 가는 길

Acquiring expertise: Road to competence revisited


전문지식의 습득은 (꾸준히 잘못 해석되고 있는) 경험의 법칙인 1만 시간의 실천에 의존하고 있는 것으로 인용되어 왔다. 1만 시간 동안 피아노를 연습한다고 해서 피아니스트가 되는 것은 아니다. 모든 연습이 완벽을 만들어주는 것은 아니다. 에릭슨은 특히 무분별한 연습보다는 성과에 대한 피드백을 통해 정확한 스킬에 대한 1만 시간의 의도적 연습에 기반한 전문지식의 개발을 언급했다(Ericsson et al. 1993).

The acquisition of expertise has been quoted as being dependent upon 10,000hours of practice, a rule of thumb that is consistently misrepresented. Practicing the piano for 10,000hours does not make one a concert pianist. All practice does not make perfect. Ericsson specifically referred to the development of expertise based on 10,000hours of deliberate practice on the correct skills with feedback regarding performance, rather than practice indiscriminately (Ericsson et al. 1993).


학습은 점진적인 전환이지, all-or-none 현상이 아니다. 초보자를 보조하기 위해서는, 전문지식으로 가는 길을 보다 가시적으로 만들기 위해, [역량으로 가는 길]을 설계해야 한다. 학습 전환을 식별하고 학습자가 과제에 적응할 수 있도록 돕는 것은 역량을 더 효율적으로 달성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Lajoie 2003).

Learning is a gradual transition, not an all-or-none phenomenon. To assist novices, the road to competence1 should be mapped out to make the path to expertise more visible. Identifying learning transitions and helping learners adapt to challenges can assist them achieve competence more efficiently (Lajoie 2003).


인지 견습 프레임워크(아래 간략하게 설명)는 특정 분야의 전문지식을 위한 학습 환경을 설계하기 위한 지침을 제공한다(전체 설명은 콜린스 외 1987, 브라운 외 1989 참조).

The cognitive apprenticeship framework (described briefly below) provides guidelines for designing learning environments for expertise in particular areas (see Collins et al. 1987; Brown et al. 1989 for full description).


인지적 도제

Cognitive apprenticeship


[전통적인 견습]에서, 학습자들은 다른 사람들이 과제를 하는 것을 관찰하고, 그들의 멘토나 그룹 멤버들이 지도를 하는 동안 그러한 기술을 연습한다. 의대생들은 의사 결정을 안내하는 의사들로부터 그러한 환경에서 배운다(Lajoie 2009, 2017). 다만 [의대생을 가르치는 것]보다, [환자안전을 보장하는 것]이 핵심 우선순위인 만큼 의대 견습은 성과 중심으로 추진된다. 인지 견습은 전통적인 견습을 모방하지만, [학생들이 전문가의 피드백을 받아 자신의 기술을 의도적으로 연습할 수 있는 안전한 학습 환경을 조성한다]는 부가적 가치added value를 가지고 있다(Ericsson et al. 1993). 인지 견습은 초보 학습자의 모델 역할을 하는 인지 영역 지식과 전략의 외부화가 필요하다. 이러한 [전문가 모델을 추출하는 것]은 교육 과정에 필수적이다.

In traditional apprenticeships, learners observe others doing a task and then practice those skills while their mentor or group members provide guidance. Medical students learn in such settings from physicians who guide them in their decision-making (Lajoie 2009, 2017). However, medical apprenticeships are outcome driven as the key priority is to ensure patient safety rather than to instruct the medical student. Cognitive apprenticeships mimic traditional apprenticeships but have the added value of creating a safe learning environment where students can practice their skills deliberately with feedback from experts (Ericsson et al. 1993). Cognitive apprenticeships require the externalization of cognitive domain knowledge and strategies that serve as models for the novice learners. Extracting these expert models is essential to the teaching process.


인지 도제 프레임워크는 [학습자가 특정 영역 내용, 교수법, 교육 순서, 학습의 사회학을 설명함으로써] 전문성을 습득하는 데 도움이 되는 학습 환경을 설계하기 위한 고려사항을 개략적으로 설명한다. 교육 내용은 [특정 영역에서 문제를 해결하고 새로운 사실을 습득하는 데 유용한 전문가 학습 전략]과 함께 명시한다. 교수법에는 모델링, 비계 및 페이딩이 포함된다. 

    • 모델링(Modeling)은 학습자가 자신의 성과를 관찰하고 반영할 수 있도록 전문가 프로세스와 전략을 외부화하는 것을 말한다. 

    • 비계란 학습자의 잠재력에 도달하는 데 도움이 되는 피드백과 지도를 말한다(Vygotsky 1978). 

    • 이런 지원은 학습자가 스스로 학습을 통제하면서 점차 희미해진다. 

The cognitive apprenticeship framework outlines considerations for designing learning environments that assist learners in acquiring expertise by describing specific domain content, teaching methods, instructional sequencing, and the sociology of learning. The instructional content is specified along with expert learning strategies that are useful for solving problems and acquiring new facts in a specific domain. Teaching methods include modeling, scaffolding and fading. 

    • Modelling refers to externalizing the expert processes and strategies for learners to observe and incorporate into their own performances. 

    • Scaffolding refers to feedback and guidance helping learners’ reach their potential (Vygotsky 1978). 

    • Such assistance is gradually faded as learners take control of their own learning. 


에릭슨(2015년)은 의대생들이 [전문가 수행능력의 양상representation을 검사하고, 이를 자신의 수행으로 환산한 후, 그 수행에 대한 평가와 반성을 통해 배우는 방식]을 기술하고 있다. 그는 학습자가 올바른 기술을 습득하고 반복적인 실수를 피하기 위해 필요한 비교와 조정을 할 수 있도록 돕는 의료 교사/교사의 역할에 대해 논한다.

Ericsson (2015) describes how medical students learn from examining representations of expert performance, translating them into their own performance, and subsequently evaluating and reflecting on their performance. He discusses medical tutors/teachers’ roles as helping learners make the necessary comparisons and adjustments to acquire the correct skills and avoid repeating mistakes.


학습과 동기부여를 강화하기 위해서는 [적절한 수준의 도전을 순차적으로 교육하는 것]이 필요하다. [여러 맥락에서 배우는 것]은 지식 전이를 촉진할 수 있다. 가장 중요한 것은 인지적 견습에서는 ['큰 그림'에 대한 더 고차원적 추론]을 지지한다. 이는 한 번에 하나씩 배우는 것이 아니라 역량을 연속적in tandem으로 제시하는 통합적 접근법과 유사하다(Mylopoulos et al. 2017). 

Sequencing instruction with appropriate levels of challenge is necessary to enhance learning and motivation. Learning in multiple contexts can foster knowledge transfer. Most importantly, cognitive apprenticeships support higher order reasoning about the ‘big picture’. This parallels an integrative approach to learning competencies in tandem, rather than one at a time (Mylopoulos et al. 2017). 


학습 과제는 또한 학습자가 [다양한 관점을 공유하고, 논쟁 기술을 쌓고, 자신의 성과를 타인과 비교하며, 해결책과 자신의 이해를 비판적으로 평가]하는 [학습의 사회적 측면]을 육성할 수 있다. 

    • 다원적 관점을 취하도록 권장하는 문제 기반 학습 접근법(Hmelo-Silver 및 Barrows 2008) 및 

    • 성찰, 토론 및 결과 보고를 위한 피드백 기회와 함께 안전한 실험을 제공하는 시뮬레이션 (Kawamura et al. 2016) 

...등은 [집단의 사회학]이 학습과 환자의 결과를 향상시킬 수 있는 맥락의 예들이다. 

Learning tasks can also foster the social aspect of learning where learners share multiple perspectives, build argumentation skills, compare their performance with others, and critically evaluate solutions and their own understanding. 

    • Problem based learning approaches that encourage multiple perspective taking (Hmelo-Silver and Barrows 2008) and 

    • simulations that provide safe experimentation with feedback opportunities for reflection, discussion and debriefs (Kawamura et al. 2016) 

...are examples of contexts where the sociology of the group can improve learning and patient outcomes. 


우리는 그들이 적응적 전문지식을 어떻게 지원하는지에 대한 통찰력을 제공하기 위한 시도로 아래에서 반성과 자율규제에 대해 논의한다.

We discuss reflection and self-regulation below in an attempt to provide insight into how they support adaptive expertise.


자체 규제 학습 활성화

Enabling self-regulated learning


연구에 따르면, 전문가들은 많은 분야에서 초보자들보다 자기 규제 학습(SRL)이 더 높다. 학습자는 학습 에피소드 전후에 자신의 노력을 평가하고 통제함으로써 자신의 학습을 적극적으로 관리할 수 있을 정도로 자율적으로 조절된다. SRL 이론은 정교한 정신 모델을 구축하려는 학습자의 노력을 특징짓는 인지적, 감정적, 전이적, 동기적 과정을 설명한다(Pintrich 2000; Zimmerman 2000; Winne 2001).

Research suggests that experts have higher self-regulated learning (SRL) than novices in many domains. Learners are self-regulated to the extent that they are actively managing their own learning by evaluating and controlling their efforts before, during, and after a learning episode. SRL theories account for the cognitive, affective, metacognitive, and motivational processes that characterize learners’ efforts to build sophisticated mental models (Pintrich 2000; Zimmerman 2000; Winne 2001).


SRL 이론은 몇 가지 일반적인 가정을 공유하지만(Pintrich 2000; Zimmerman 2000), 특정 영역에서 자율 규제 구조들이 어떻게 운영되는지에는 차이가 있다(Alexander et al. 2011). 예를 들어 의료영역의 문제해결 규제는 특정업무에 내재된 선언적·절차적 지식(Lajoie and Poitras 2014; Lajoie 2017)에 의해 안내된다. 일단 우리가 전문가 SRL 프로세스의 특성을 파악하면, 우리는 그것들을 초보자를 위한 기초가 될 수 있다.

Although SRL theories share some common assumptions (Pintrich 2000; Zimmerman 2000), there are differences in how self-regulatory constructs are operationalized in specific domains (Alexander et al. 2011). For example, regulation of problem-solving in the medical domain is guided by the declarative and procedural knowledge that is inherent to the specific tasks (Lajoie and Poitras 2014; Lajoie 2017). Once we identify the nature of expert SRL processes, we can scaffold them for novices.


자기조절적 문제 해결자는 사전 사고, 성과, 성찰의 반복적 사이클을 실천한다

    • 사전 사고는 문제해결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선행신념을 말한다. 

    • 수행단계는 문제 해결을 위해 모니터링되고 통제된 조치를 취하는 것을 포함하며, 

    • 자기 성찰은 성과에 대한 판단과 반응으로 이루어진다. 

Self-regulated problem solvers engage in a recursive cycle of forethought, performance, and reflection (Zimmerman 2000). 

    • Forethought refers to prior beliefs that can affect problem-solving. 

    • The performance phase involves taking monitored and controlled steps to solve the problem, and 

    • self-reflection consists of judgement and reaction to performance. 


의학에서 적응형 SRL 기술은 의료 상황의 역동적 특성을 인식하고 상황 인식 목표를 설정하는 것에 기초한다.

In medicine, adaptive SRL skills are based on recognizing the dynamic nature of the medical situation and establishing context-aware goals.


  • Lajoie 및 Poitras(2014년)는 다음과 같은 예를 제공한다. 빈맥 환자를 진단할 때 

    • 사전 생각 단계에서 문제를 파악하고 필요한 단계를 계획해야 한다. 예를 들어 혈청 수준을 확인하기 위한 실험실 테스트 주문. 

    • 수행에는 진단 타당성을 평가하기 위한 단계 실행(시험 실시)과 결과 모니터링(세럼 레벨)이 포함된다. 

    • 성찰을 통해 의사는 문제의 상태를 재평가하거나 최종 해결책을 상세히 설명한다. 그 후 반성은 후속 단계에 대해 미리 생각한 것에 영향을 미친다.

  • Lajoie and Poitras (2014) provide examples: 

    • Forethought in diagnosing a tachycardia patient requires orienting to the problem and planning the necessary steps; e.g. ordering lab tests to verify serum levels. 

    • Performance involves executing steps (conducting tests) and monitoring outcomes (serum levels) to evaluate the plausibility of the diagnosis. 

    • In reflection, physicians reevaluate the state of the problem or elaborate their final solution. Reflection then influences forethought in relation to subsequent steps.


SRL 프로세스의 적합성은 문제 공간의 요구에 의해 결정된다

    • 즉, 안정적인 환자를 진단할 때, 사용 가능한 모든 정보를 고려하여 방향성이 광범위할 수 있지만, 

    • 악화되는 환자를 안정화할 때는 시간이 짧고 의료 비상사태에 대처하기 위해 경험적 접근법이 필요할 수 있다.

The appropriateness of SRL processes is determined by the demands of the problem space: 

    • when diagnosing a stable patient, orientation can be extensive considering all available information; however, 

    • when stabilizing a deteriorating patient, less time is available and a heuristic approach may be necessary to address medical emergencies.


그림과 같이, 자기조절의 단계는 방향 설정, 계획, 실행, 모니터링, 평가 및 상세화 같은 메타 수준 프로세스를 포함한다. 이러한 프로세스는 적응적 전문지식을 개발하기 위한 Cutrer 외(2017년)의 전제 조건과 일치한다.

    • 실천에 대한 성찰을 위한 개방성, 

    • 단점을 인식하기 위한 메타추론, 

    • 기존 가정에 도전하기 위한 비판적 사고, 

    • 문제를 재구성하는 능력

As illustrated, the phases of self-regulation involve meta-level processes like orienting, planning, executing, monitoring, evaluating, and elaborating. These processes are congruent with Cutrer et al.'s (2017) prerequisites to developing adaptive expertise: 

    • openness to reflect on practice, 

    • metareasoning to recognize shortcomings, 

    • critical thinking to challenge existing assumptions, and 

    • ability to reconstruct the problem. 


SRL은 학습자가 지식을 자동화하기 보다는, [능동적이고 유연하게 유지]하도록 도울 수 있으며, 적응형 전문가는 일상 전문가보다 더 높은 수준의 메타인지를 가지고 있다(Makary 및 Daniel 2016). 

SRL may help learners keep knowledge active and flexible rather than automated, and adaptive experts have more advanced levels of metacognition than routine experts (Makary and Daniel 2016). 


앞에서 논의한 자동성은 앤더슨(1993)의 기술 습득 모델에서도 설명할 수 있는 전문지식의 특성으로, 다음의 3단계를 가리킨다. 

    • 선언적 단계(사실적 지식을 습득하는 것), 

    • 절차적 단계(그런 지식을 적용하는 방법을 아는 것), 

    • 자율적 단계(지식 보다 자동화되고 신속해지는 것

Automaticity, discussed earlier, is a characteristic of expertise that can also be explained by Anderson's (1993) model of skill acquisition that refers to three stages of skill development: 

    • the declarative stage (acquiring factual knowledge); 

    • the procedural stage (knowing how to apply such knowledge); and 

    • the autonomous stage (where knowledge is more automated and rapid).


결론 Conclusions


적응형 전문가에게 있어서 학습은 평생의 과정이며 SRL은 개인이 새로운 지식 습득에 개방적인 상태를 유지하고 지식이 유연하게 사용되도록 보장한다. SRL(인지적, 행동적, 감정적, 전이적, 동기적)의 다항성적 성격을 신중하게 고려해야 한다.

For adaptive experts, learning is a life-long process and SRL ensures that individuals remain open to new knowledge acquisition and that knowledge is used flexibly. One must carefully consider the multi-componential nature of SRL (cognitive, behavioral, affective, metacognitive, and motivational).








. 2018 Aug;40(8):809-812.
 doi: 10.1080/0142159X.2018.1485886. Epub 2018 Jul 23.

Adaptive expertise in medical education: Accelerating learning trajectories by fostering self-regulated learning

Affiliations 

Affiliation

  • 1a Department of Educational and Counselling Psychology , McGill University , Montreal , Canada.

Abstract

Medical school is designed to provide students with the necessary education and training needed to be effective and safe physicians. Debates about how best to instruct medical students along this trajectory are abundant. Students learn through a planned curriculum as well as a self-directed one motivated by their own level of interest and ability to access and integrate the exponential growth of medical information available through technology. The rate of change in clinical findings means that some of what is learned in today's classroom will likely be out of date by the time of graduation. To achieve and maintain expertise, students are faced with this challenge. This article explores ways to support medical students in acquiring the skills they need to become adaptive experts. In particular, instructional strategies for supporting the acquisition of fast, accurate, and superior reproducible performance are described with an emphasis on self-regulated learning where students learn to learn flexibly, seeking out opportunities to take knowledge to new levels.


의학적 의사결정에서 적응적 전문성(Med Teach, 2018)

Adaptive expertise in medical decision making

Pat Croskerry




도입 Introduction


특히 진단 과정의 기초가 되는 임상 추론은 매우 복잡하다. 과거에는 이 분야에서 유능하다고 여겨지는 것이 단순히 "특히 실무적인 문제에서 지각, 분별 또는 차별의 정확성과 깊이"로 정의되는 통찰력을 갖는 것이었다(Merriam-Webster 2018). 집합적으로, 이러한 능력들은 개인의 판단과 의사결정으로 분류할 수 있다. Osler와 같은 초기 마스터 임상의들에게 [자신의 진단 실패를 기록하도록 격려]하면서, [임상추론 기술의 함양에 대한 책임을 개별 임상의들의 발 밑에 분명히 두었다](Roland 1982년).

Clinical reasoning, especially, that which underlies the diagnostic process, is extraordinarily complicated. It used to be that to be regarded as competent in this area was simply to have acumen – defined as “keenness and depth of perception, discernment, or discrimination, especially in practical matters” (Merriam-Webster 2018). Collectively, these faculties group under individual judgment and decision making. Early master clinicians like Osler lay the responsibility for the cultivation of these skills clearly at the feet of individual clinicians, encouraging them to record their diagnostic failures (Roland 1982).



의학지식에 대한 철저한 기초 외에도 연령, 지성, 경험, 성별, 종교 등의 다른 인구통계학적 요인(그림 1의 클러스터 A), 합리성, 성격, 의사결정 스타일 등의 인지/사고적 요인(클러스터 B)이 중요하다(크로스커리 2017c).

Besides having a thorough foundation in medical knowledge, other demographic factors such as age, intellect, experience, gender, religion, and others (cluster A of Figure 1), and cognitive/thinking style factors such as rationality, personality, decision style, and others (cluster B) are important (Croskerry 2017c).


버거(2008, 페이지 100)는 다음과 같이 언급하고 있다: "의사의 역할과 보다 구체적으로, [의사의 인구통계학적 특성이 임상 치료에 미치는 영향]은 상대적으로 간과되어 왔다."

As Berger (2008, p. 100) notes: “The role of the physician and, more specifically, the influence of physicians’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n clinical care—has been relatively overlooked.”


성격 특성의 유전성은 약 50%로 추정되므로(Jang et al. 1996), 이러한 특성과 특성들 중 일부는 다른 특징들보다 더 경직되어 있지만, 그렇다고 해서 훈련을 통한 변화가 불가능한 것은 아니다.

Heritability of personality traits is estimated at about 50% (Jang et al. 1996), so some of these traits and characteristics are more hard-wired than others but this does not make them impervious to modification by training.


  • 또한 [주위ambient 요인], 피로, 수면 부족, 스트레스, 이상 징후와 같은 항상성 및 일주기 요인, 인지 하중(클러스터 C)은 이제 모두 임상 결정이 취할 최종 공통 경로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인식된다(Croskerry 2014). 

  • 네 번째 클러스터(D)는 전체 물리적 발전소, 작업자와 기계 사이의 인체공학적 인터페이스, 그리고 정보 기술의 점점 더 먼 도달거리와 같은 [시스템 요소]로 구성된다. 좋은 환경은 좋은 의사결정을 지원하는 반면 나쁜 환경은 그렇지 않다는 것이 일반적으로 받아들여진다(Hogarth 2010). 

  • 다섯 번째 클러스터(E)는 정확한 진단을 내릴 수 있는 용이성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의료 상태의 특성]을 포함한다. 

  • 여섯 번째 클러스터(F)에는 [환자가 의사결정 과정에 포함되며, 가족, 친구, 간병인]과 함께 자신에게 영향을 미치는 의사결정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 Further, ambient factors, and homeostatic/circadian factors such as fatigue, sleep deprivation, stress, and dysphoria, as well as cognitive loading (cluster C) are now all recognized to influence the final common path that clinical decisions will take (Croskerry 2014). 

  • The fourth cluster (D) comprises system factors: the overall physical plant, the ergonomic interface between workers and machines, and the increasingly far reach of information technology. It is generally accepted that good environments support good decision making while poor ones do not (Hogarth 2010). 

  • The fifth cluster (E) includes characteristics of the medical condition which may influence the ease with which a correct diagnosis may be made. 

  • The sixth cluster (F) includes the patient in the decision-making process, along with their family, friends, and caregivers who play a critical role in the decisions that impact them. 


[일상적 전문성]은 필요한 대부분의 임상적 의사결정에 충분하지만, 어떤 경우에는 이러한 요인의 복잡성과 상호관계의 상호관계는 현재 [적응적 전문성]으로 언급되는 보다 정교한 수준의 전문지식을 필요로 할 것이다(Hatano와 Inagaki 1986).

While routine expertise will suffice for the majority of clinical decisions that need to be made, in some instances, the complexity of these factors and their interrelationships will require a more sophisticated level of expertise, now referred to as adaptive expertise (Hatano and Inagaki 1986).


적응적 의사결정 특성

Characteristics of adaptive decision making


적응형 의사결정자는 다양한 관점을 수용하고 그들 사이의 연결성을 인식할 필요가 있다. [비판적 사고력]과 함께 [성찰]과 [마음챙김] 같은 메타인지적 과정이 필요하다. 핵심 개념의 광범위한 숙달성을 보여주는 종합적인 기술 수준에 도달하기 위해서는 그림 1의 모든 클러스터의 다양한 요소들에 대한 사고, 유연성, 혁신 및 적극적인 참여가 필요하다. 역시 중요한 것은 transfer 능력이다.

The adaptive decision maker needs to embrace multiple perspectives and appreciate the connectivity between them. Critical thinking skills are required, along with metacognitive processes such as reflection and mindfulness. Efficiency of thought, flexibility, innovation, and active engagement with the various factors from all clusters in Figure 1 are needed to reach a comprehensive skill level that demonstrates a wide mastery of core concepts. Important, too, is the ability to transfer.


예를 들어, 합리적인 의사결정의 주요 장애물 중 하나는 인지편향의 침입이다(Staronovic 2011b). 많은 인지적, 감정적 편견이 있지만, 전형적인 예는 의사결정자가 임상적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충분한 검색이 이루어졌다고 스스로 만족하는 검색 만족search satisficing]이다. 이는 방사선학에서 두 번째로 흔한 오류(Bruno et al. 2015)이며 다른 의학 분야에서도 쉽게 입증된다. "응급의료에서 가장 흔히 놓치는 골절은 두 번째 골절"이라는 훈계로 이어져 1차 골절이 발견되면 추가적 탐색search이 중단됐다.

For example, one of the major impediments to rational decision making is the intrusion of cognitive bias (Stanovich 2011b). There are many cognitive and affective biases but a classic example is search satisficing where the decision maker satisfies himself that sufficient search has been done to solve a clinical problem. This is the second most common error in radiology (Bruno et al. 2015) and is readily demonstrated in other medical disciplines. It has led to the admonition that “the most commonly missed fracture in emergency medicine is the second one,” the search having been called off once the first fracture is found.


또한, transfer를 평가하는 데 있어서, 교육자는 미래 학습을 준비하는 trasnfer(PFL)과 격리된 문제 해결(SPS)의 구별을 높이 평가하는 것도 중요하다. PFL은 학습 내용을 수정하고 수정할 수 있는 기회와 함께 피드백이 필요하다. 새롭게 경험된 개념(SPS)을 직접 적용하여 즉시 이전하기 위한 테스트는 초기에 좋지 않은 결과를 산출할 수 있으며, 나중에 transfer의 증거가 나타날 수 있다(Schwartz et al. 2005).

It is important, too, that in evaluating transfer educators appreciate the distinction between transfer that prepares for future learning (PFL) and that in sequestered problem solving (SPS). PFL needs feedback along with the opportunity to revise and refine learning. Testing for immediate transfer through direct application of a newly experienced concept (SPS) may initially yield poor results, with evidence of transfer emerging later (Schwartz et al. 2005).


추론과 문제해결에 중요한 또 다른 특징은 [측면 사고lateral thinking](De Bono 1970)이다 – 구어적으로 "상자 밖의 사고"로 묘사된다. 그것은 간접적이고 종종 창의적인 문제 해결을 위한 길을 택하는 것을 의미하며, 수직적vertical 사고에서 [전통적으로 사용되는 일반적인 단계적 지혜의 논리]로부터 벗어날 필요가 있다. 흥미롭게도, 도발과 같은 측면lateral 사고에서의 몇몇 유용한 전략들은 추리와 의사결정을 향상시키는 탈편향적 전략의 역할을 할 수 있다. '반대를 생각하라'는 도전은 확증편향이나 조기 진단폐쇄와 같은 일반적인 편견을 피할 수 있는 대체적이고 확증되지 않는 전략에 마음을 열 수 있다.

Another characteristic important to reasoning and problem solving is lateral thinking (De Bono 1970) – colloquially described as “thinking outside the box.” It involves taking an indirect, often creative path toward problem solving, necessitating a departure from the usual stepwise logic traditionally used in vertical thinking. Interestingly, some useful strategies in lateral thinking such as provocation can serve as de-biasing strategies to improve reasoning and decision making. The challenge to “think the opposite” can open the mind up to alternate and disconfirming strategies that can avoid common biases such as confirmation bias and premature diagnostic closure. 


그러한 도발은 알려져 있거나 예상된 아이디어에서 벗어나 새로운 아이디어로 이동하도록 장려한다는 점에서 "이동적 가치movement value"를 가지고 있다고 하며, 그렇지 않으면 고려를 받지 못할 수 있고, 예를 들어 비정형적인 발표와 같이 유용할 수 있다. 또한 측면적인 사고는 "왜"에 대해서 반복적으로 질문을 하고, 다시 한번 조기 폐쇄를 피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포장 풀기 원칙unpacking principle을 지지하도록 한다. 이 원칙은 간과되었을 수 있는 가능성을 의사 결정자에게 상기시키고, 감별 진단을 개선할 수 있는 역할을 한다(Redelmeier et al. 1995).

Such provocations are said to have “movement value” in that they encourage movement away from a known or anticipated idea toward novel ideas that might otherwise not receive consideration and may be useful, for example, with atypical presentations. Lateral thinking also encourages asking the question “why” iteratively, again likely avoiding premature closure, as well as supporting the unpacking principle – serving to remind the decision maker of possibilities that may have been overlooked, and possibly improving the differential diagnosis (Redelmeier et al. 1995).


의학 인문학은 다양한 학문들이 의학 교육에 미치는 영향, 내재적 가치, 창의성, 지적 잠재력을 오랫동안 인정해 왔다. 한 세기 전 옥스퍼드대 고전학협회 연설에서 오스러(1919)는 이들의 상호보완적 관계를 인정하면서 "한 줄기의 트윈 베리"라고 표현했다.

The medical humanities have long acknowledged the influence, inherent value, creativity and intellectual potential of diverse disciplines on medical education. A century ago, in an address to the Classical Association at Oxford University, Osler (1919) recognized their complementary relationship, describing them as “twin berries on one stem.”


전문 지식으로 가는 길

The route to expertise


  • 그 과정에서 학습자가 통찰력 없이 단순암기 학습을 사용하여 질문하지 않는 수동적인 태도를 보일 경우, 경험을 축적하지만 전문지식을 습득하지 못할 수 있다. 즉, 경험이 없는 전문가가 되는 것이다(그림 2(A)

  • 그러나, 그들이 통찰력을 가지고 있고 임상 환경에 능동적으로 관여하는 경우, 그들은 숙련도와 능력으로 나아가는 대신 "클래식" 또는 "루틴" 전문지식을 달성하기 위한 효율적이고 정확한 개념 숙달성을 보여줄 수 있다(그림 2(B)). 이것은 레지던트의 최종 단계와 독립 실행의 초기 단계에 해당한다.  

  • 만일 그들이 새로운 사례와 비정형atypical 사례에 대한 혁신적인 접근방식을 채택하는 능력과 함께 질병의 다양한 양상를 통해 경험을 축적하면서, 위에서 설명한 적응적 학습의 특성을 구현하는 학습 접근방식을 지속한다면, 그들은 일상적인 전문지식을 넘어 적응적 전문지식을 향해 나아갈 수 있다(그림).re 2(C) 이것은 앞으로 5년에서 10년의 계획적인 실천에 의해 더 발전할 것으로 예상된다.

  • Along the way, if learners have an unquestioning, passive attitude, using rote learning with minimal insight, they will accumulate experience but may not acquire expertise i.e. they become experienced non-experts (Figure 2(A)). 

  • However, if they do have insight, and actively engage with the clinical setting, they may progress instead toward proficiency and competence, demonstrating efficient and accurate mastery of concepts to achieve “classic” or “routine” expertise (Figure 2(B)). This corresponds to the final stages of residency and early years of independent practice. 

  • If they subsequently sustain a learning approach that imbues the characteristics of adaptive learning described above, accumulating experience with many presentations of disease, together with the capability of adopting innovative approaches toward novel and atypical cases, they may progress beyond routine expertise toward adaptive expertise (Figure 2(C)). This would be expected to develop over a further five to 10 years of deliberate practice.




과제

Challenges


임상 의사결정자들이 직면하는 가장 중요한 도전 중 하나는 [불리한 조건에도 불구하고 합리성을 유지하는 것]에 대한 위협이다. 몇몇은 대표적인데, 그 중 하나는 대표성representativeness의 문제다. 의료 커리큘럼은 흔히 임상 문제를 프로토타입 방식으로 제시하며, "공통적인 것은 흔하다"와 같은 임상적 격언을 따르도록 권한다. 문제는, 실제 임상 세계에서는 비정형적이고 차별화되지 않은 프레젠테이션이 드물지 않다는 점이다. 

    • 예를 들어, 폐색전증은 비정형적이거나 구별되지 않은 방식으로 자주 나타나며, 첫 번째 프레젠테이션에서 최대 50%의 경우를 놓칠 수 있다(Pinea et al. 2001). 시제품이나 고전적인 프리젠테이션을 찾는 것은 도움이 되지 않을 수 있으며, 일부 질병 스크립트는 오류 입증 자체가 학습 기회를 제공하지만 도움이 되지 않을 수 있고, 해로울 수도 있다. 적응형 문제 해결은 의사결정자에게 더 큰 혁신 기술을 제공할 가능성이 높고 최소한 차이에 대한 진단을 고려하고 그것이 올바르게 이루어질 가능성을 개선할 수 있는 개선된 기회를 제공할 것이다.

One of the most important challenges that clinical decision makers face, is the threats against maintaining rationality in the face of adverse conditions. Several stand out; one such is the problem of representativeness. Medical curricula often present clinical problems in a prototypical fashion, along with exhortations to follow clinical maxims such as “common things are common.” The problem in the real clinical world is that atypical and undifferentiated presentations are not uncommon. 

    • Pulmonary embolus, for example, frequently presents in an atypical or undifferentiated way, and may be missed up to 50% of the time on first presentation (Pineda et al. 2001). Looking for prototypes or classic presentations may not help, and some illness scripts will not be helpful, and possibly detrimental, although demonstrating the error itself presents a learning opportunity. Adaptive problem solving would likely equip the decision maker with greater innovation skills and an improved chance of at least considering the diagnosis on the differential and improving the likelihood that it will be made correctly.


두 번째 문제는, 충분히 인식되지 않지만, 임상 추론에서의 오류 관리의 어려움이다. 오류 관리 이론(EMT)은 거짓 음성 및 거짓 양성 오류의 불확실성과 비대칭 비용을 우려한다(Croskerry 2008). 수천 년 전, 진화 적응의 환경에 있는 우리의 조상들에게, 이러한 오류들은 비용이 많이 들 수 있다. 만약 막대기가 뱀처럼 생겼고, 실제로 막대(허위 양성)일 때 뱀처럼 취급하기로 한 결정이었다면, 그 비용은 전략적 우회도로의 가벼운 불편함보다 크지 않았을지도 모른다. 그러나 만약 위음성 오류가 발생한다면 – 뱀일 때 그 물체를 막대기로 취급하는 것 - 비용이 많이 들거나 치명적일 수 있다. 현대 의학에서는 비슷한 트레이드오프가 이루어져야 한다

    • 언급된 바와 같이 폐색전증의 비특이적 양상은 불확실성을 발생시키고, EMT는 잠재적으로 치명적인 진단을 놓치지 않기 위해 우리가 기꺼이 값비싸고 시간 소모적인 시험에 전념할 수 있는 임계값을 고려하도록 강제한다. CT 혈관 조영술이나 인공호흡기 주입 스캔을 몇 번이나 해야 할까? 위양성 비율은 어떻게 되어야 하는가? 다양한 맥락에서, 특히 인지 부하 증가에서 EMT를 위해 어떻게 훈련할 것인가?

A second problem, not fully appreciated, is the challenge of error management in clinical reasoning. Error management theory (EMT) concerns the uncertainty and asymmetric costs of false negative and false positive errors (Croskerry 2008). For our ancestors in the environment of evolutionary adaptation (EEA), many thousands of years ago, these errors could be costly. If a stick looked like a snake and the decision to treat it like a snake was made when in fact it was a stick (false positive), then the cost may have been no higher than the mild inconvenience of a strategic detour. But if a false negative error was made – treating the object as a stick when it was a snake could be very costly, perhaps fatal. In modern times, in medicine, similar tradeoffs have to be made. 

    • The nonspecific presentation of pulmonary embolus, as noted, generates uncertainty and EMT forces a consideration of the threshold at which we would be willing to commit to expensive, timeconsuming tests in order not to miss a potentially fatal diagnosis. How many CT-angiograms or ventilation-perfusion scans do we need to be doing? What should the false positive rate be? How do we train for EMT in varying contexts, especially increased cognitive load?


세 번째 영역은 의사 결정자(클러스터 C)가 [주변 환경과 다양한 항상성의 공격]에 대처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규칙, 알고리즘, 경로 집합은 하루의 차가운 시각에서 잘 쉬고, 잘 먹고, 잘 자는 사람들에 의해 개발될 수 있으며, 앞으로 나아가기 위한 합리적인 알고리즘이 보통 이용 가능하다. 하지만, 마이크 타이슨처럼, 헤비급 권투선수는 "주둥이를 두들겨 맞기 전까진 모든 사람은 계획을 가지고 있다."라고 말했다. 예기치 않은 사건의 전환은 특히 의사결정자의 회복탄력적인 정신을 시험할 것이며, 특히 항상성과 웰빙을 위협하는 경우에 더 그렇다수면부족으로 항상성이 깨지면, 진단 실패가 6배 증가한다(랜드리건 외). 2004). 문제와 문맥 모두에 대한 응답으로 남아있을 수 있는 적응력이 높은 정신은 이러한 조건 하에서 나타날 수 있다.

A third area concerns dealing with the ambient environment and the various homeostatic insults that are leveled at decision makers (cluster C). Sets of rules, algorithms, and pathways can be developed in the cold light of day by people who are well rested, well fed, and well slept, and a rational algorithm for going forward is usually available. However, as Mike Tyson, the heavyweight boxer noted: “Everyone has a plan until they are punched in the mouth.” (Moynagh 2015). An unexpected turn of events will test the most resilient mind, especially, if it is compromised by threats to the homeostasis and well-being of the decision maker. Under the homeostatic insult of sleep deprivation, there is a six-fold increase in diagnostic failure (Landrigan et al. 2004). The more adaptive mind that can remain prevail responsive to both problem and context might under these conditions.


적응적 전문지식을 위해 어떻게 훈련할 수 있을까?

How can we train for adaptive expertise?


전문지식을 습득하기 위한 전통적인 모델은 제한적이며, 특히 그림 1의 클러스터와 이들의 상호작용으로 인해 발생하는 복잡성과 불확실성으로 인해 어느 정도 예측 가능한 속도로 실패할 것이다. 일상적인 전문 지식은 대부분 충분하지만 항상은 아닐 것이다.

Traditional models for attaining expertise are limited and will fail at some predictable rate, especially with the complexity and uncertainty generated by the clusters of Figure 1 and their interplay. Routine expertise will be sufficient most of the time but not all of the time,


    • 1. 훈련과정에서 가장 이른 기회에 비판적 사고에 대한 명시적 훈련을 도입함으로써 추론과 문제해결의 현저한 향상을 이룰 수 있다. 비판적 사고에 대한 립서비스는 자주 지불되지만, 그것을 가르치기 위한 구체적인 전략은 덜 흔하다.

1. Significant improvements in reasoning and problem solving can be made by introducing explicit training in critical thinking at the earliest opportunity in the training process. While lip service to critical thinking is frequently paid, specific strategies to teach it are less common.


    • 2. 마찬가지로, 교육자들 사이에서도 모니터링을 위한 메타인지적 과정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이 존재하지만(Colbert et al. 2015; Sawhney 2015) 성찰과 명상은 다른 인지 능력과 마찬가지로 구체적으로 코칭될 필요가 있다.

2. Similarly, there is an awareness among educators of the importance of metacognitive processes for monitoring thinking (Colbert et al. 2015; Sawhney 2015) but reflection and mindfulness need to be specifically coached, much like any other cognitive skill.


    • 3. 의사 결정에 대한 인지적 편견과 감정적 편견을 반드시 인식해야 한다. 편견에 대한 지식은 인간의 노력의 많은 분야에서 확대되었다. 이러한 편향에 대한 설명은 모든 의학 분야와 일부 하위 분야로 발표되었으며, 현재 의과대학의 수가 증가하는 교육 커리큘럼의 일부가 되었다. 탈편향 전략에 대한 인지도는 낮지만 이 분야에서는 초창기다; 다수의 리뷰가 발표되었고, 탐색 및 연구 전략의 부족함이 없다(Croskerry 2017b), 최근 리뷰는 그 효능을 확립했다(Lambe et al. 2016; Ludolph and Schulz 2018).

3. Awareness of cognitive and affective biases on decision making is imperative. Knowledge about them has expanded in many fields of human endeavor. Accounts of these biases have been published in all disciplines of medicine and in some sub-disciplines, and they are now part of the educational curriculum in increasing numbers of medical schools. There is less awareness of strategies for de-biasing but it is early days in this area; a number of reviews have been published and there is no shortage of strategies to explore and research (Croskerry 2017b); recent reviews have established their efficacy (Lambe et al. 2016; Ludolph and Schulz 2018).


    • 4. 문제 해결을 위해 이용 가능한 많은 전략들은 12,000개 이상의 질병에 대한 양상에 걸쳐서 모두 광범위하게 적용되기 때문에 긍정적인 전이positive transfer의 개념을 분명히 가르치고 장려해야 한다.

4. The concept of positive transfer should be explicitly taught and encouraged as many of the available strategies for problem solving have broad application throughout the presentations of over 12,000 illnesses.


    • 5. 혁신과 창의성 그리고 그것이 번창할 수 있는 조건들에 대해 지속으로 생각할 필요가 있다. 의과대학의 인문학 프로그램은 의학의 적응적 전문지식을 발전시키는데 어떻게 기여할 수 있을까? 학제간 관계는 의사결정자의 관점과 유연성을 어떻게 확장할 수 있는가? (Viney et al. 2015)

5. We need to give continuing thought to innovation and creativity and the conditions under which they might flourish. How might humanities programs in of medical school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adaptive expertise in medicine? How might interdisciplinary relationships expand the perspective and flexibility of decision makers (Viney et al. 2015)?


    • 6. 합리성의 증진을 지향한 많은 노력이 투입되어야 한다. 합리성을 손상시키는compromise 요인은 무엇이며, 개선시키는 요인은 무엇인가? 궁극적으로, 우리는 의대 입학 선발 과정 자체가 어떻게 최적화될 수 있는지 생각해보고 싶을 것이다. 지원자의 합리성 지수(RQ) (Staronovich et al. 2016)를 현재 요구 조건의 부속물로 점수로 하는 것이 유용할까? 우리는 이미 인문학에 대한 인정과 참여를 보여준 지원자를 선발해야 하는가?

6. A major effort should be directed at the promotion of rationality. What are the factors that compromise it, what improves it? Ultimately, we may wish to consider how the selection process for medical school admission itself might be optimized. Would it be useful to have candidate’s rationality quotient (RQ) (Stanovich et al. 2016) scores as an adjunct to current requirements? Should we be selecting candidates who already demonstrate an appreciation of and engagement in the humanities?



Croskerry P. 2017c. Individual variability in clinical decision making and diagnosis. In: Croskerry P, Cosby KC, Graber ML, Singh H, editors. Diagnosis: interpreting the shadows. Boca Raton (FL): CRC Taylor and Francis Group; p. 129–158.









Review
 
. 2018 Aug;40(8):803-808.
 doi: 10.1080/0142159X.2018.1484898. Epub 2018 Jul 23.

Adaptive expertise in medical decision making

Affiliations 

Affiliation

  • 1a Continuing Professional Development and Department of Emergency Medicine, Faculty of Medicine , Dalhousie University , Halifax , Canada.

Abstract

Aim: Recently, a growing awareness has developed of the extraordinary complexity of factors that influence the clinical reasoning underpinning the diagnostic process. The aim of the present report is to delineate these factors and suggest strategies for dealing more effectively with this complexity.

Method: Six major clusters of factors are described here: (A) individual characteristics of the decision maker, (B) individual intellectual and cognitive styles, (C) ambient and homeostatic factors, (D) factors in the work environment including team factors, (E) characteristics of the medical condition, and (F) factors associated with the patient. Additional factors, such as health care systems, culture, politics, and others are also important.

Results: A review of the literature suggests that most clinicians trained under existing methods achieve a level of expertise presently referred to as "routine" or "classic." The results of studies of diagnostic failure, however, suggest that this level of expertise has proved insufficient. A growing literature suggests that more effective clinical decision might be achieved through adaptive reasoning, leading to enhanced levels of expertise and mastery.

Conclusions: It is proposed here that adaptive expertise may be achieved through emphasizing additional features of the reasoning process: being aware of the inhibitors and facilitators of rationality; pursuing the standards of critical thinking; developing a comprehensive awareness of cognitive and affective biases and how to mitigate them; developing a similar depth and understanding of logic and its fallacies; engaging metacognitive processes such as reflection and mindfulness; and through approaches embracing creativity, lateral thinking, and innovation.


숙련된 임상의는 어떻게 직관적으로 임상 진단을 인식하는가(Am J Med, 2017)

How Expert Clinicians Intuitively Recognize a Medical Diagnosis

John E. Brush, Jr, MD,a Jonathan Sherbino, MD, MEd,b Geoffrey R. Norman, PhDc



급성 심근경색과 같은 의료 진단은 종종 전문가 패널에 의해 성문화되는 규칙이나 기준에 의해 정의된다.1,2 그러나 진단이 시작되었을 때, 그러한 규칙은 임상의의 마음에서 더 멀어질 수 없었다. 진단 분석 및 검증에 규칙이 사용되지만 전문 임상의가 사용하는 초기 진단 단계는 규칙 기반이 아니다. 전문 임상의가 가능한 진단을 인지할 수 있는 능력은 직관적이고 비분석적 추론이다.3,4

A medical diagnosis, such as acute myocardial infarction, often is defined by rules or criteria that are codified by panels of experts.1,2 At the outset of making a diagnosis, however, those rules could not be further from the mind of a clinician. Rules are used for analyzing and verifying a diagnosis, but the initial diagnostic step used by expert clinicians is not rule based. The ability of expert clinicians to recognize a possible diagnosis is intuitive, nonanalytic reasoning.3,4


40여 년 전, 다수의 연구자가 독립적으로 진단 과정을 해체하여 전문 임상의가 일반적으로 의대생에 의해 추론에 사용되는 가설 생성과 검증의 동일한 과정을 사용한다는 것을 발견했다.5-8 숙련된 진단학자의 기술은 독특한 추론 과정 때문이 아니었다. 그러나 대신, 가능한 진단 목록을 짧게 작성하기 위해 과거 [경험에서 얻은 지식을 이용]할 수 있는 임상 능력에 의존했다. Elstein et al5 및 Barrows et al7은 전문 임상의들이 진단 조사를 시작한 지 몇 초에서 몇 분 사이에 3 - 5개의 가설을 개발했다고 언급했다. Barrows 외 연구진은 초기 가설 생성이 최종 진단의 정확성에 매우 중요하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만약 임상의사가 5분 이내에 정확한 진단을 내린다면, 최종 정확도는 98%이고, 그렇지 않다면 정확도는 25%로 떨어졌다.7

More than 4 decades ago, a number of researchers independently deconstructed the diagnostic process and found that expert clinicians use the same process of hypothesis generation and verification that is generally used for reasoning by beginning medical students.5-8 The skill of master diagnosticians was not due to a distinctive reasoning process, but instead depended on a clinician’s ability to access knowledge from past experience to generate short lists of possible diagnoses. Elstein et al5 and Barrows et al7 noted that expert clinicians developed 3 to 5 hypotheses within seconds to minutes of starting a diagnostic inquiry. Barrows et al7 showed that early hypothesis generation was critical to the accuracy of the eventual diagnosis. If the clinician thought of the correct diagnosis within 5 minutes, eventual accuracy was 98%; if not, accuracy decreased to 25%.7


인지심리학자 허버트 사이먼은 다음과 같이 말하면서 이 놀라운 인간의 능력을 설명했다. "상황은 힌트를 제공한다. 이 큐는 전문가에게 메모리에 저장된 정보에 대한 접근을 제공한고, 정보는 해답을 제공한다. 직관은 인식recognition에 지나지 않는다."11

The cognitive psychologist Herbert Simon described this astonishing human ability by stating: “the situation has provided a cue; this cue has given the expert access to information stored in memory, and the information provides the answer. Intuition is nothing more and nothing less than recognition.”11


진단 범주 DIAGNOSTIC CATEGORIES


진단 가설을 생성하는 것은 분류 과정이다. 심리학자들은 다양한 의사결정자들이 어떻게 범주를 형성하는지 그리고 어떻게 그들이 그 범주에 새로운 대상을 배치하는지 설명한다. 심리학자 더글러스 메딘에 따르면, "범주는 어떤 주장이나 주장 집합이 적용될 수 있는 분할partitioning이나 계급class이다."12

Generating diagnostic hypotheses is a categorization process. Psychologists describe how various decision-makers form categories and how they place new objects into those categories. According to psychologist Douglas Medin, “a category is a partitioning or class to which some assertion or set of assertions might apply.”12


특정 징후와 증상이 있는 환자를 범주(예: 심근경색)에 넣었을 때, 사전 경험이 있는 전문가는 급성심근경색 환자가 급성심근경색 이전 환자와 닮았기 때문에 급성심근경색이 진단 가능성임을 즉시 인식할 수 있다.

When placing a patient with specific signs and symptoms into a category (eg, myocardial infarction), experts with prior experience can immediately recognize that acute myocardial infarction is a diagnostic possibility because the patient resembles a prior patient with acute myocardial infarction.


환자를 진단 범주에 넣는 이 능력은 새, 개 또는 의자와 같은 일반적인 개체를 범주에 넣는 일반적인 능력과 비슷하다. 사람들은 이전에 다양한 새들을 본 적이 있고 새들의 범주 아래에 그들을 기억 속에 두었기 때문에 울새에서 펭귄에 이르는 다양한 새들을 알아볼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전문 임상의는 이전에 급성 심근경색 환자를 다양하게 보아 급성 심근경색이라는 범주에 속하는 장기기억에 넣었기 때문에 광범위한 급성 심근경색 환자를 인식할 수 있다.

This ability to place a patient in a diagnostic category is similar to the general ability to place a common object such as a bird, dog, or chair into a category. People can recognize a variety of birds, ranging from a robin to a penguin, because they have seen a variety of birds before and have placed them in memory under the category of birds. Likewise, expert clinicians can recognize a broad range of patients with acute myocardial infarction because they have seen a variety of patients with acute myocardial infarction before and have placed them in long-term memory under the category of acute myocardial infarction.


진단 가능성이 항상 즉시 인식되는 것은 아니며, 임상 전문가가 조각그림 퍼즐을 맞추는 것과 같이 임상적 단서를 연결해야 한다. 이러한 과정을 돕기 위해 임상의는 환자의 병력history를 가져다가 내러티브로 정리하는 법을 배우게 된다.13-16 내러티브는 [문맥과 디테일을 더하고 서사적 요소에 우선순위와 무게를 부여]하여 이야기를 구성하는 방법이다. 전문 임상의가 이야기를 리텔링하면 환자의 말이 의사의 말이 된다. '숨이 가빠'는 'dyspnea'이 되고, '땀이 나서'는 '다뇨증'이 된다. 경험이 풍부한 임상의는 의미적 한정자를 추가하게 되는데, 이는 "급성" 또는 "만성"과 같은 의미 있는 형용사, 그리고 "에피소드" 또는 "연속"을 통해 임상적 발현을 충분히 설명할 수 있다.17 인간은 타고난 이야기꾼이며, 환자의 이야기가 일관성 있는 서술로 정리될 때 진단이 더 잘 인식되는 경우가 많다.

Diagnostic possibilities are not always immediately recognizable, requiring the clinician to connect the clinical cues, like piecing together a jigsaw puzzle. To help this process, clinicians are taught patient’s to take a history and organize it into a narrative.13-16 A narrative is a way of organizing a story by adding context and detail, and assigning priority and weight to elements of the narrative. When an expert clinician retells the story, the patient’s words become the doctor’s words. “I’m short of breath” becomes “dyspnea,” and “I broke out in a sweat” becomes “diaphoresis.” The experienced clinician will add semantic qualifiers, which are meaningful adjectives such as “acute” or “chronic,” and “episodic” or “continuous” to fully describe a clinical presentation.17 Humans are natural storytellers, and often the diagnosis is more recognizable when the patient’s story is organized as a coherent narrative.


과거의 경험에 대한 지식의 구조화 방법

HOW KNOWLEDGE OF PAST EXPERIENCE IS STRUCTURED


진단을 인식하는 능력이 특색 있는 추리과정에 덜 의존하고 [과거 경험에 대한 지식]에 더 의존한다면 과거 경험의 기억이 어떻게 저장되고 검색되는지를 이해하는 것이 중요하다.

If the ability to recognize a diagnosis is less dependent on a distinctive reasoning process and more dependent on knowledge of past experience, it is important to understand how memories of past experiences are stored and retrieved.


지식은 맥락적으로 기억되며, 직접적인 경험에서 얻은 경험적 지식은 추상적(예: 책) 학습에서 얻은 정형화된 생물의학 지식과는 다르게 구조화된다. 경험적 지식은 심리학 문헌에서 흔히 "대표적 경험examplar"으로 언급되는 과거 경험의 예로 기억된다.: 기억 속에 분류되고 저장되어 온 이전의 경험들.22 경험을 범주에 할당하는 "instantiation"라는 과정은 경험에 의미를 부여한다. 경험이 쌓임에 따라, 범주는 [거의 용량의 제한이 없고 자동으로 검색할 수 있는] 장기 기억장치에 저장될 많은 예들을 포함할 것이다.

Knowledge is remembered in context, and experiential knowledge gained from direct experience is structured differently than formalized biomedical knowledge gained from abstract (eg, book) learning. Experiential knowledge is remembered as instances of past experience, often referred to in the psychology literature as “exemplars”: prior experiences that have been categorized and stored in memory.22 Assigning an experience to a category gives it meaning, a process called “instantiation.” With experience, a category will contain a number of exemplars that are stored in a nearly limitless long-term memory and are automatically retrievable.


각각의 임상적 만남은 임상의에게 특정한 의미를 갖는 프레젠테이션의 주요 특징에 따라 독특하고 독특한 방식으로 장기 기억으로 표현된다. 이 두 가지 표현 모두 질병의 관련 특징과 이 특정인에게만 고유한 다른 특징을 포함할 수 있다.

Each clinical encounter is represented in long-term memory in a unique and idiosyncratic fashion, attending to key features of the presentation that hold meaning that specific to clinician. This both representation may contain the relevant features of the disease and other features unique to this specific person.


학습자가 전문가가 되면 다른 질병 범주가 어떻게 중복되고 구별되는 특징을 가지고 있는지를 기억하도록 examplars와 비교하고 대조할 수 있다.28

As learners become experts, exemplars can be compared and contrasted to help the learner remember how different disease categories have overlapping and distinguishing features.28


환자 양상은 다양하다. 어떤 환자들은 질병의 특징이 많고, 어떤 환자들은 몇 가지밖에 없다. 예시는 질병 표시의 변화를 다루는데 도움을 주고 질병의 전형적인 특징이 모두 부족한 환자들을 인식할 수 있게 해준다.

Patient presentations vary. Some patients have many disease features, and some have only a few. Exemplars help us handle the variation of disease presentation and allow us to recognize patients who lack all of the typical features of a disease.


공통적인 프리젠테이션은 반복적으로 접하게 되고, 그 결과 보다 쉽게 상기되는 사례가 더 많이 발생하게 된다. 이를 통해 전문가는 범주 내 기능의 기본 비율base rate을 직관적으로 파악할 수 있다.24

Common presentations are repeatedly encountered, resulting in more numerous exemplars that are recalled more readily. This gives the expert an intuitive sense of the base rates of features within a category.24


Examplars를 보완하여 심리학자들은 질병 스크립트 이론을 제안하였다.29 질병 스크립트는 임상의에게만 고유한 스키마 또는 맵이며, 일반적인 프레젠테이션을 설명하기 위해 다양한 정보 노드를 통합하고 연결한다. 예를 들어, 구분되지 않은 가슴 통증 표시에 대한 질병 대본은 이전의 임상 경험(예: 예시)과 정형화된 지식(예: 병리학, 역학)을 연결시킬 것이다. 스크립트를 탐색하면 임상의사가 급성 심근경색이나 대동맥 해부와 같은 진단과 일관되거나 일치하지 않는 프리젠테이션의 특징을 식별할 수 있다.

Complementary to exemplars, psychologists have proposed the theory of illness scripts.29 An illness script is a schema or map, unique to the clinician, integrating and linking various nodes of information to describe a general presentation. For example, an illness script for an undifferentiated chest pain presentation would link previous clinical experiences (ie, exemplars) with formalized knowledge (eg, pathophysiology, epidemiology). Navigating the script allows the clinician to identify features of the presentation that are consistent or inconsistent with a diagnosis such as acute myocardial infarction or aortic dissection.


  • 초보 의대생들은 경험이 부족하여, 인과 추론에 의존하여 진단 가설을 만들어 낸다

  • 연습생들이 경험을 쌓으면서 질병 스크립트를 쓰기 시작한다. 

  • 임상의가 전문가가 되면 초기 가설 생성시에 examplar에 더욱 의존하게 된다.29,30

  • Novice medical students lack experience and rely on causal reasoning to generate diagnostic hypotheses. 

  • As trainees gain experience, they begin to use illness scripts. 

  • As clinicians become experts, they become more reliant on exemplars for early hypothesis generation.29,30


초기 가설 생성이 예시, 프로토타입 또는 질병 스크립트를 통해 가장 잘 설명되는지 여부와 상관없이 전문지식은 환자 결과에 대한 피드백을 통해 제공되는 진정한authentic 임상 경험을 필요로 한다는 것은 분명하다.31

Regardless of whether early hypothesis generation is best explained via exemplars, prototypes, or illness scripts, it is clear that expertise requires authentic clinical experiences informed by feedback on patient outcomes.31


이중 처리 이론

DUAL PROCESS THEORY


이중공정 이론은 우리가 일반적으로 문제를 해결하고 특히 환자를 진단하기 위해 직관적 추론과 분석적 추론의 조합을 어떻게 사용하는가에 대한 하나의 설명이다.4,32,33 이 이론에 따르면, 우리는 "시스템 1"과 "시스템 2"라고 불리는 두 가지의 정의 가능한 사고 체계를 사용한다. 시스템 1 사고는 직관적이고, 자동적이며, 빠르고, 힘들이지 않는다. 시스템 2 사고는 분석적이고, 성찰적이며, 느리고, 노력적이다. 진단을 위해 시스템 1은 장기기억에 저장된 예시를 신속하게 검색하여 진단 가능성을 떠올리게 한다. 이것은 자동적으로, 자연적으로, 의식적인 통제 없이 일어난다. 시스템 2는 진단 가설을 테스트, 분석 및 검증하는 데 사용된다. 이것은 집중력, 주의력, 인지력을 필요로 한다. 기능성 자기공명영상연구는 시스템 1과 시스템 2의 사고가 뇌의 다른 영역을 포함하며 대사 요건이 서로 다르다는 것을 보여주었다.34,35

Dual process theory is one explanation of how we use a combination of intuition and analytic reasoning to solve problems in general and diagnose patients in particular.4,32,33 According to this theory, we use 2 definable systems of thinking called “System 1” and “System 2.” System 1 thinking is intuitive, automatic, quick, and effortless. System 2 thinking is analytic, reflective, slow, and effortful. For making a diagnosis, System 1 enables the quick retrieval of an exemplar stored in long-term memory to bring to mind a diagnostic possibility. This occurs automatically, naturally, and without conscious control. System 2 is used for testing, analyzing, and verifying a diagnostic hypothesis. This requires focus, attention, and cognitive effort. Functional magnetic resonance imaging studies have shown that System 1 and System 2 thinking involve different areas of the brain and have different metabolic requirements.34,35


시스템 1 사고는 종종 휴리스틱스를 이용한다. 이 용어는 그리스어 허리스케인('발견하다'라는 뜻)에서 파생된 말로, 경험을 통해 학습되는 문제해결에 대한 보조수단으로 정의된다. 인지심리학자들은 불확실성의 조건에서 신속한 의사결정을 가능하게 하는 정신적 지름길을 설명하기 위해 이 용어를 사용한다.4, 4,11,36

System 1 thinking frequently makes use of heuristics. This term, derived from the Greek word heuriskein (to discover), is defined as an aid to problem solving that is learned through experience. Cognitive psychologists use the term to describe a mental shortcut that enables rapid decision-making under conditions of uncertainty.4,11,36


조지 폴리아(37) 스탠퍼드대 수학 교수 폴리아 교수는 학생들에게 수학 문제에 접근하기 위해 다양한 간단한 정신적 과정을 사용하는 습관을 가르쳤다. 그는 학생들이 문제의 본질은 무엇인가 등의 질문을 하도록 독려했다. 알려진 것과 알려지지 않은 것은 무엇인가? 전에도 이런 걸 본 적이 있나?"

George Polya,37 a Stanford mathematics professor. Polya taught students the habit of using a variety of simple mental processes to approach mathematics problems. He encouraged students to ask questions such as, “What is the nature of the problem? What is known and what is unknown? Have I seen anything like this before?”


사이먼은 [구조화되지 않은 문제]와 [구조화된 선택]이라는 두 가지 일반적인 유형의 문제를 설명했다. 사이먼에 따르면, 휴리스틱은 비구조화된 문제에 이용되어 단서들을 정리하고, 문제 공간을 좁히고, 난해해해 보이는 문제를 [관리 가능한 일련의 구조화된 선택]으로 단순화한다. 시몬의 일반적인 휴리스틱스의 개념은 진단 추론을 이해하는 데 유용하다. 왜냐하면 환자들은 초기에는 구조화되지 않고 구분되지 않은 문제를 가지고 있는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Simon described 2 general types of problems: unstructured problems and structured choices. According to Simon, heuristics are used for unstructured problems to organize cues, narrow the problem space, and simplify a seemingly intractable problem into a manageable series of structured choices. Simon’s general concept of heuristics is useful for understanding diagnostic reasoning because patients often present with problems that are initially unstructured and undifferentiated.


휴리스틱스 기반의 비분석적 추리를 통해 전문 임상의는 초기에 진단 정보를 선별하고 분류할 수 있다. 초기 가설 생성은 임상의가 검색 범위를 좁히고 당면한 문제에 더욱 집중할 수 있게 한다. 일단 가상의 진단 가능성이 확인되면, 문제는 시스템 2 분석적 추론을 이용한 추가 평가와 진단 시험에 의해 해결된 구조화된 선택이 된다.

Heuristic-based, nonanalytic reasoning enables the expert clinician to initially sift and sort through diagnostic information. Early hypothesis generation enables the clinician to narrow the search and become more focused on the problem at hand. Once the hypothetical diagnostic possibilities are identified, the problem becomes a structured choice solved by further evaluation and diagnostic testing using System 2 analytic reasoning.


의학에서는 의사들이 "이 문제가 뭘까?"라고 묻는 훈련을 받는다. 현지화인가, 체계화인가? 뭐긴 뭐야? 어떤 비판적 진단을 놓칠 수 있을까?"13-16 이 질문들은 폴리아의 휴리스틱한 문제해결 개념과 비슷한 방식으로 시스템 1과 시스템 2의 사고를 연결시켜주는 것 같다.37

In medicine, physicians are trained to ask, “What could this problem be? Is it localized or systemic? What else could it be? What critical diagnosis can I not miss?”13-16 These questions seem to bridge System 1 and System 2 thinking, in a manner similar to Polya’s notion of heuristic problem solving.37


휴리스틱스는 종종 인지적 편견과 관련이 있다. 카네만4와 트버스키는 무엇보다도 휴리스틱스는 속도와 정확성의 절충을 나타내며, 그 속도가 편향과 오차를 초래할 수 있다고 제안했다.

Heuristics often are linked to cognitive biases. Kahneman4 and Tversky, among others,36 proposed that heuristics represent a speed and accuracy tradeoff, in which their speed may lead to bias and error.


이 휴리스틱은 의사결정자들이 더 자주 기억되는 사건을 어떻게 판단하는지를 설명한다. 이러한 휴리스틱스는 실무에서 임상의에게 유용하지만, Kahneman4와 Tversky는 최근의 사건 또는 기억에 남는 사건이 의사결정자의 빈도 추정치를 어떻게 편향시킬 수 있는지를 기술했다. 대부분의 임상의는 특히 기억에 남는 경우(예: '대동맥 박리' 진단을 놓친 것)가 이후 판단에 영향을 미쳤을 수 있는 에피소드를 기억할 수 있다.

This heuristic describes how decision makers judge events that are more readily remembered as being more frequent. This heuristic is useful for clinicians in practice, but Kahneman4 and Tversky have described how a recent or salient memory can sometimes bias a decision maker’s frequency estimate. Most clinicians can remember an episode when a particularly memorable case (eg, a missed aortic dissection) may have subsequently affected their judgment.


여러 저자가 비분석적 시스템 1 추론을 주요 진단 오류의 근원으로 포함시켰다.40-42 그러나 이 위치를 뒷받침하는 연구는 희박하다.

Several authors have implicated nonanalytic System 1 reasoning as the major source of diagnostic error.40-42 However, research supporting this position is sparse.


그래버 외 45명은 응급 부서에서 100건의 진단 오류 사례를 연구했고, 68%의 사례가 인지 편향, 주로 조기 폐쇄(즉, 필요한 중요한 정보를 모두 수집하기 전에 진단 가설 검색을 종료)와 관련이 있다는 것을 발견했다.45 그러나 조기폐쇄는 시스템 1의 오류라기 보다는 시스템 2의 프로세스의 파괴인 것처럼 보일 수 있다.46

Graber et al45 studied 100 cases of diagnostic errors in the emergency department and found that 68% of cases were associated with cognitive bias, primarily premature closure (ie, terminating the search for diagnostic hypotheses before collecting all of the necessary critical information).45 However, premature closure would seem to be a breakdown of a System 2 process, rather than a System 1 error.46


진단적 정확성 높이기

IMPROVING DIAGNOSTIC ACCURACY


최근 의학 연구소의 보고서는 진단 오류의 높은 유병률에 주목하게 했다.49

A recent Institute of Medicine report brought attention to the high prevalence of diagnostic error.49


품질 전문가인 W. 에드워즈 데밍50은 자신이 하고 있는 일을 하나의 과정으로 묘사할 수 없다면 자신이 하고 있는 일을 모르는 것이다고 말했다. 어떻게 하면 진단 가능성의 직관적인 인식을 개선할 수 있을까?

The quality expert W. Edwards Deming50 said, “If you can’t describe what you’re doing as a process, you don’t know what you’re doing.” How can we improve the intuitive recognition of diagnostic possibilities?


카네만은 다음과 같은 조언을 한다: "시스템1에서 비롯되는 오류를 차단하는 방법은 원칙적으로 간단하다: 인지 지뢰밭에 있다는 신호를 인식하고 속도를 늦추고 시스템 2에 강화를 요청하라." 에반스는 "아마 이중 프로세스 이론의 인식에서 가장 지속적인 오류는 유형 1 프로세스(직관적, 경험적)가 모든 나쁜 사고에 책임이 있고 유형 2 프로세스(반사적, 분석적)가 반드시 올바른 반응을 이끌어 낸다는 생각일 것이다"라고 반박한다. 이런 좋음-나쁨 이분법적 사고방식이 너무나 뿌리깊어서 일부 이중과정 이론들이 핵심 용어에 그것을 내장하고 있다."

Kahneman provides the following advice: “The way to block errors that originate in System1 is simple in principle: recognize the signs that you are in a cognitive minefield, slow down, and ask for reinforcement from System 2.”4 Evans counters by stating, “perhaps the most persistent fallacy in the perception of dual-process theories is the idea that Type 1 processes (intuitive, heuristic) are responsible for all bad thinking and that Type 2 processes (reflective, analytic) necessarily lead to correct responses. So ingrained is this good-bad thinking idea that some dual process theories have built it into their core terminology.”32


속도가 느려지면 시스템 1 오류가 방지되고 진단 성능이 향상되는가? 다수의 연구에 따르면 응답 시간이 빨라지는 것이 정확한 진단과 더 자주 연관되는 것으로 나타나, 숙고(시스템 2)와 관련된 추가 시간이 오류를 줄이지 않을 수 있음을 시사한다. 시험 대상자들에게 천천히 더 분석적이 되라는 지시를 받았을 때(시스템 2 사고에서 시스템 1을 의도적으로 우선시함) 진단의 정확성에 영향을 주지 않기 때문에 분석적 시스템 2 사고를 가지고 시스템 1을 느리게 하고 길들이라는 Kahneman의 권고는 의학 전문가들에게는 적용되지 않을 수 있다.

Will slowing down prevent System 1 errors and improve diagnostic performance? A number of studies show that faster response times are more often associated with a correct diagnosis, suggesting that the additional time associated with deliberation (System 2) may not reduce errors.51-54 When test subjects are instructed to go slow and be more analytic (deliberately overriding System 1 thinking with System 2 thinking), there is no effect on the accuracy of diagnosis.51 Thus, Kahneman’s4 instructions to slow down and tame System 1 with analytic System 2 thinking may not apply to experts in medicine.


일부 조사자들은 잠재적인 편견에 대해 의사들에게 교육하고 의사들이 그들의 생각을 실무에서 일상적으로 토론하도록 권장하는 것을 지지했다.40-42,55 이 권고안을 뒷받침하는 연구는 희박하다.39 의료 훈련생들에게 인지적 편견을 가르치기 위한 교육적 개입의 영향을 조사하는 세 가지 연구들은 그 개입이 효과가 있었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효과 없음.56-58

Some investigators have advocated educating physicians about potential biases and encouraging themto routinely debias their thinking in practice.40-42,55 Research supporting this recommendation is sparse.39 Three studies examining the effects of educational interventions to teach cognitive biases to medical trainees showed that the intervention had no effect.56-58


진단 가설에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경험적 지식에 접근하는 능력]은 질병 스크립트illness script과 대표사례examplars의 보관과 검색 모두에 달려 있다.

The ability to access experiential knowledge to inform a diagnostic hypothesis depends on both storage and retrieval of illness scripts and exemplars.


유사해 보이는 질병 표시 사이의 차이를 식별하기 위해 사례를 비교하고 대조하는 것도 유용해 보인다. 그러나 검토된 48개 기사 중 실증적 증거가 있는 기사는 24개에 불과했고, 검토된 개입은 효과가 작았다.

Comparing and contrasting cases to identify distinctions between look-alike disease presentations also seems useful. However, of the 48 articles reviewed, only 24 had empirical evidence and the interventions that were examined had small effects.


마지막으로, 과거 경험의 검색을 개선하기 위해 조사자들은 체크리스트를 사용할 것을 제안했다.60 한 연구는 차등진단 체크리스트가 의대생들의 진단 정확도를 향상시킨 반면, 디바이어싱 체크리스트는 아무런 효과도 없다는 것을 보여주었다.61

Finally, to improve the retrieval of past experience, investigators have proposed using checklists.60 One study showed that a differential diagnosis checklist improved the diagnostic accuracy of medical students, whereas a debiasing checklist had no effect.61


진단 정확도를 높이는 데 있어서, 경험과 지식(의 축적)을 넘어서는 대안은 없는 것 같다. 진단 가설에 정보를 얻기 위해 예시examplars를 찾는 것은 쉬운 일일 수도 있지만, 이러한 예시를 개발하기 위해서는 지속적인 노력이 필요하다. 임상 경험을 최대한 활용하는 것(예: 환자 결과에 대한 피드백을 제공하는 광범위한 노출)이 진단 품질 향상의 핵심인 것 같다.

It seems that there is no substitute for experience and knowledge for improving diagnostic accuracy. Retrieving exemplars to inform a diagnostic hypothesis may be effortless, but it takes sustained effort to develop these exemplars. Making the most of clinical experience (eg, broad exposure with feedback on patient outcomes) seems to be the key to improving the quality of making a diagnosis.


결론

CONCLUSIONS


경험적 지식을 신속하게 접할 수 있는 능력은 전문지식의 특징이다. 자기 설명, 의도적 성찰, 체크리스트 등 지식지향적 개입은 진단 정확도를 향상시킬 수 있지만, 광범위한 임상노출과 환자 결과에 대한 정기적인 피드백을 통해 얻은 경험을 대체할 수는 없다. 진단 의사결정을 개선하는 것은 의료 교육 및 임상 실습에서 더 큰 중점을 두어야 한다.

The ability to rapidly access experiential knowledge is a hallmark of expertise. Knowledge-oriented interventions such as self-explanation, deliberate reflection, and checklists may improve diagnostic accuracy, but there is no substitute for experience gained through broad clinical exposure and regular feedback on patient outcomes. Improving diagnostic decision-making deserves greater emphasis in medical education and clinical practice.




59. Schmidt HG, Mamede S. How to improve the teaching of clinical reasoning: a narrative review and a proposal. Med Educ. 2015;49:961-973.








Review

 

. 2017 Jun;130(6):629-634.
 doi: 10.1016/j.amjmed.2017.01.045. Epub 2017 Feb 24.

How Expert Clinicians Intuitively Recognize a Medical Diagnosis

Affiliations 

Affiliations

  • 1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Eastern Virginia Medical School and Sentara Healthcare, Norfolk, Va. Electronic address: jebrush@me.com.
  • 2Department of Medicine, McMaster University, Hamilton, Ontario, Canada.
  • 3Department of Clinical Epidemiology and Biostatistics, McMaster University, Hamilton, Ontario, Canada.

Abstract

Research has shown that expert clinicians make a medical diagnosis through a process of hypothesis generation and verification. Experts begin the diagnostic process by generating a list of diagnostic hypotheses using intuitive, nonanalytic reasoning. Analytic reasoning then allows the clinician to test and verify or reject each hypothesis, leading to a diagnostic conclusion. In this article, we focus on the initial step of hypothesis generation and review how expert clinicians use experiential knowledge to intuitively recognize a medical diagnosis.

Keywords: Exemplars; Experiential knowledge; Heuristics; Illness script; Intuition.

임상 수행능력의 상호의존성 고려하기: 평가와 위임에 대한 함의(Med Educ, 2018)

Considering the interdependence of clinical performance: implications for assessment and entrustment

Stefanie S Sebok-Syer, Saad Chahine, Christopher J Watling, Mark Goldszmidt, Sayra Cristancho & Lorelei Lingard





도입

INTRODUCTION


대부분의 의료행위가 진정으로 '독립적'이 아니라는 이해가 증가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독립적인 졸업후 연수생 성과]를 평가할 수 있는 능력은 역량 기반 의료교육(CBME)의 핵심 전제다. 이러한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프로그램은 다양한 과제를 완료함에 따라 교육생의 관찰과 위탁에 초점을 맞춘 새로운 역량 기반 평가 도구를 개발하도록 요구되어 왔다.1 위임 가능한 프로페셔널 활동(EPA)으로 특징지어지는 이러한 작업은 관찰 가능하고 측정 가능한 행동이며, 교육생이 특정 수준의 역량을 달성한 후 (독립적으로) 성공적으로 수행하도록 감독관이 신뢰할 수 있다.2 이러한 위임 결정은 감독되지 않은 환자 진료를 제공할 준비가 되어 있는지 판단하는 데 사용되기 때문에 독립적 실습을 준비하는 선배 훈련생들에게 특히 중요하다.3 그러나 직장 기반 임상 환경에서는 연습생의 성과가 감독하는 교직원과 분리할 수 없이 연계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수행 결과를 특정 연습생 한 명과 연결시키기가 어려울 수 있다.4

Despite an increasing understanding that most clinical practice is not truly ‘independent’, the ability to assess independent postgraduate trainee performance is a key premise of competency-based medical education (CBME). To achieve this goal, programmes have been required to develop novel competency-based assessment tools focused on the observation and entrustment of trainees as they complete various tasks.1 Characterised as entrustable professional activities (EPAs), such tasks are observable and measurable behaviours that supervisors can trust trainees to carry out (independently) with success once they have achieved a particular level of competence.2 These entrustment decisions are particularly important when it comes to senior trainees preparing for independent practice because they are used to judge their readiness to provide unsupervised patient care.3 However, in workplace-based clinical settings, performance outcomes can be difficult to link to one particular trainee because trainees’ performance is often inseparably tied to the faculty members who supervise them.4


게다가, 임상 감독에 대한 연구에 따르면, 교수진들이 환자 안전을 보호하기 위해 훈련병의 독립성을 통제하고 심지어 대항하는 다양한 관행을 제정하는 것을 제안한다.7 이러한 감독 관행이 때때로 [보이지 않는다]는 것을 감안할 때, 훈련병들은 실제보다 자신이 더 높은 독립성을 가지고 있다고 인지할 수 있다.8

Furthermore, studies of clinical supervision suggest that faculty members enact various practices that control and even counteract trainee independence to safeguard patient safety .7 Given that these supervisory practices are sometimes invisible, trainees may perceive more independence than they actually have.8


의사들이 다른 의사들과 고립되어 의료행위를 하는 경우는 거의 없다는 것을 인정하면서도, 의학교육은 [독립적 실천을 위하여 훈련생들이 [감독받지 않거나 간접적으로만 감독받는 상태의 의료행위]를 준비하는 것으로 바뀌어가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변화는 아직 독립성에 대한 강한 초점을 유지하고 있는 평가 담론으로 번역되지 않았다.9-11 평가 모델은 독립적 성과를 측정하기 위해 일반적으로 설계되어 있다는 점을 감안할 때, 이들은 작업장 기반 훈련 환경에서 임상 성과에 대한 집합적collective 특성에 직면했을 때 어려움을 겪는다.

Within medical education, our language has changed from preparing trainees for independent practice to preparing them for unsupervised or indirectly supervised practice, acknowledging that physicians rarely practise in isolation from others. However, this shift has not yet translated into assessment discourse, which retains a strong focus on, and assumption of, independence.9–11 Given that assessment models are conventionally designed to measure independent performance, they struggle when faced with the collective nature of clinical performance in workplace-based training environments.


평가 연구는 복잡한 작업장 기반 성능 환경에서 평가의 정확성에 영향을 미치는 내용 특수성, 12 레이터 분산, 13 또는 컨텍스트의 영향, 14와 같은 분산 출처를 식별했다.

Assessment research has identified sources of variance such as 

  • content specificity,12 

  • rater variance,13 or 

  • the influence of context,14 

....which impact the accuracy of assessments in complex, workplace-based performance environments.


직장 기반 평가의 다른 학자들도 이러한 환경에서 평가해야 할 과제를 인식하고 있으며, 어떤 연구자들은 성과에 관한 질적 데이터에 더 많이 의존해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고, 다른 학자들은 다양성을 최소화하기 위해 평가자를 더 잘 교육해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17 또는 직접 관찰과 같은 행위가 미치는 미묘한 사회문화적 영향에 대한 더 많은 이해가 필요함을 주장한다.

Other scholars of workplace-based assessment have also recognised the challenges of assessing in these environments, with some advocating for more reliance on qualitative data regarding performance,16 and others arguing for better training of raters to minimise variance17 or more nuanced understanding of the sociocultural influences on practices such as direct observation.18


현재의 연구는 임상 및 직장 환경에서의 평가의 복잡성을 유용하게 정교하게 설명하였지만, [독립된 훈련생이 평가 관심의 초점이 된다는 관점]을 유지하는 경향이 있었다. 이 가정은 널리 퍼져있지만 대체로 암묵적이기에, 거의 탐구되지 않았다underexplored. 본 연구는 이러한 근본적인 가정을 명시하고, 의문점을 제기한다.

Although this current scholarship has usefully elaborated the complexity of assessment in clinical and workplace settings, it has tended to maintain the perspective that the independent trainee is the focus of assessment attention. This assumption is pervasive but largely tacit and therefore underexplored. The current study makes explicit, and questions, this fundamental assumption.


많은 의학 교육 학자들은 이 분야의 지배적인 개인주의, 인지주의적인 학습 접근방식을 벗어나 교육, 사회과학, 인문학적 지식에서 [사회문화적 지향성]을 이끌어낼 필요가 있다고 주장해왔다.20-23 사회적 학습 이론, 사회 물질 이론 및 복잡성 이론은 모두 역동적인 임상 시스템에서 협력 작업의 얽힌 차원을 미리 파악할 수 있는 능력에 대해 채택되었다.

Many medical education scholars have argued for the need to move beyond the field’s dominant individualist, cognitivist approaches to learning, to engage sociocultural orientations from education, social science and humanities-based knowledges.20–23 Social learning theories, sociomaterial theories and complexity theory have all been embraced for their ability to foreground entangled dimensions of collaborative work in dynamic clinical systems.


실천과 학습의 사회문화적 차원에 대한 견실한 고려가 있었지만, 의학교육에서 평가의 문제에는 사회문화적 지향성이 거의 적용되지 않았다. 현재의 연구는 이러한 두 영역을 연결하고 독립적 성과에 대한 가정에 의문을 제기함으로써 이러한 격차를 해소한다.

Although there has been robust consideration of the sociocultural dimensions of practice and learning, a sociocultural orientation has rarely been applied to issues of assessment in medical education. The current study addresses this gap by bridging these two domains and questioning the assumption of independent performance.


CBME의 맥락에서 [어떤 연습생 행동과 결정이 연습생들의 독립적인 임상 행동과 결정]을 반영하는 것으로 간주될 가능성이 높은가?

Which trainee actions and decisions in the clinical workplace are likely, in the context of CBME, to be considered a reflection of trainees’ independent clinical actions and decisions?


방법

METHODS

이 연구는 기관 건강 과학 연구 윤리 위원회의 승인을 받았다. 우리는 구성주의적 근거 이론 접근법을 사용하여 작업장 기반 설정에서 '독립적' 연습생 임상 성능의 특성을 탐구했다.29 데이터 수집 및 분석은 반복적인 방식으로 일어났다. 목적적 샘플링 기법을 사용하여, 우리는 12개의 대학원 전문분야에 걸쳐 11명의 임상교직 교직원 및 10명의 선임 교육생(PGY [PGY]4/5)을 대상으로 개별 면접을 실시하였습니다.

This study was approved by the institutional Health Sciences Research Ethics Board. We used a constructivist grounded theory approach to explore the nature of ‘independent’ trainee clinical performances in workplace-based settings.29 Data collection and analysis occurred in an iterative fashion. Using a purposive sampling technique, we conducted individual interviews with 11 clinical teaching faculty members and 10 senior trainees (postgraduate year [PGY]4/5) across 12 postgraduate specialties:


캐나다 중형 단일 의과대학의 교직원과 연수생들에게 이메일이 보내져 30~45분짜리 준구조적 개별면접에 참여하도록 초청했다. 이론적 포화에 도달했을 때 데이터 수집을 중단했는데, 이는 새로운 아이디어가 더 많은 데이터 수집과 동일시되지 않았을 것이라는 것이 아니라, 상호의존성의 차원에 대한 이해를 가능하게 하는 데 충분한 데이터 수집을 달성했다는 것을 의미한다.

E-mails were sent to faculty members and trainees at a single, midsized Canadian medical school, inviting them to participate in a 30–45- minute semi-structured individual interview. We ceased data collection when we reached theoretical sufficiency, which did not mean that no new ideas would have been identified with more data collection, but rather that we had achieved sufficient data collection to enable an understanding of the dimensions of interdependence.30,31


우리는 데이터 수집과 데이터 분석이 동시에 이루어지는 반복적인 프로세스를 이용하여 지속적 비교 귀납적 분석을 실시했고, 각각은 다른 것을 알려주고 영향을 주었다. 구성론자의 근거 이론에 따라, 29 연구자들은 초기, 집중, 이론의 세 가지 분석 단계에 관여했다. 

We conducted constant comparative inductive analysis using an iterative process in which data collection and data analysis were concurrent, each informing and influencing the other. Following constructivist grounded theory,29 the researchers engaged in three analytical stages of coding: initial, focused and theoretical


초기 코딩과 집중 코딩은 대화록이 사용 가능해짐에 따라 반복적으로 이루어졌다. 초기 코딩은 면접 대본을 한 줄씩 읽어 아이디어를 파악하는 것으로 구성됐다. 초기의 코드를 바탕으로, 초점 코딩은 그 다음, 대본 내의 개념이나 주제를 강조하기 위해 사용되었다; 식별된 초기 주제는 '디커플링의 문제'라고 불렸다. 이것은 참가자들이 설명하려고 하는 독립적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들에 대한 지속적인 참조를 언급하였다. 참가자가 설명한 각각의 새로운 사건, 경험 또는 관점을 이전의 사건, 경험 및 관점과 비교하여 주제를 정의하고 다듬었다. 즉, 디커플링에 관한 질문이다.

Initial and focused coding took place iteratively as transcripts became available. Initial coding consisted of reading the interview transcripts line-by-line to identify ideas. Building upon our initial codes, focused coding was then used to highlight concepts or themes within the transcripts; an early theme identified was termed ‘the question of decoupling’, which referred to participants’ persistent references to factors influencing the independent performances they were trying to explain. Each new incident, experience or perspective described by a participant was compared with previous incidents, experiences and perspectives to define and refine the theme – the question of decoupling.


일단 모든 주제 범주가 완성되고 그에 따라 데이터가 조직되면 이론 코딩은 그들 사이의 관계를 탐구하고, 이러한 관계에 대한 이론적 통찰과 질문을 반영하기 위해 분석적 메모를 작성했다. 이 과정에서 우리는 디커플링에서 커플링으로 관심을 전환하여, 참가자들이 특정 임상 성과가 독립적이지 않다고 느끼는 이유를 설명하는 동안, 왜 그것이 상호의존적인지에 대한 통찰력도 제공하고 있다는 새로운 이해를 반영했다.

Once all thematic categories were finalised and the data organised accordingly, theoretical coding explored the relationships among them, and analytical memos were created to reflect theoretical insights and questions about these relationships. At this point in the process, we shifted our attention from decoupling to coupling, reflecting our emerging understanding that, while participants were explaining why they felt a particular clinical performance was not independent, they were also providing insight into why it was interdependent.


결과

RESULTS


면접은 참가자들에게 [독립적인 연습생 수행 사례]에 대해 설명해 달라고 요청하면서 시작되었다. 대부분의 참여자들은 임상 훈련 맥락에서 명백하게 독립적인 성과들이 존재한다고 주장했다. 그러나 모든 인터뷰에 걸쳐 일관적으로 참가자는 대부분의 시간을 독립 연습생 성과에 대한 일련의 거부권 및 예외에 대한 세부사항을 상세히 설명하는데 소비했다. 이러한 예외와 거부권disclaimers을 분석하면서 우리는 상호의존성의 패턴을 설명할 수 있었고, 결국 우리는 이를 '커플링'으로 개념화했다.

The interviews began by asking participants to describe instances of independent trainee performance. Most participants asserted that some clearly independent performances existed in their clinical training context. However, consistent across all interviews, participants spent most of their time detailing an array of disclaimers for, and exceptions to, their examples of independent trainee performance. In analysing these exceptions and disclaimers, we were able to describe patterns of interdependence, which we eventually conceptualised as ‘coupling’.


독립적 수련생 성과

Independent trainee performance


독립성은 당사 수습참가자(PGY4/5)가 직접 감독(참가자 R2) 없이 시료의 총검사 등 임상업무를 수행할 때, 사전승인 없이 환자진료를 제공하고 처분 또는 퇴원 전만 상담(참가자 R5 및 R7)할 때, 또는 당직일 때 발생한다고 기술하였다. 그리고 교수진(참가자 R6 및 R8)과 상의할 필요 없이 임상 결정을 내린다. 한편, 많은 연습생 참가자들은 그들이 하는 모든 것을 독립적인 것으로 특징지었다.

Independence was described by our trainee participants (PGY4/5) as occurring when they perform a clinical task, such as gross examination of specimens, without direct supervision (Participant R2), when they provide patient care without prior approval and only consult before disposition or discharge (Participants R5 and R7), or when they are on-call and make clinical decisions without having to consult with faculty members (Participants R6 and R8). On the one hand, a number of trainee participants characterised ‘everything’ they do as independent.


또한 대부분의 교육생들은 졸업후교육의 후기 단계(즉, PGY4/5)와 교육생들이 직접적인 감독 없이 일하고 있는 임상 상황에서 독립적인 수행이 더 쉽게 관찰될 수 있음을 인정했다.

Most trainees also acknowledged that independent performance was easier to observe in the later stages of postgraduate training (i.e. PGY4/5) and in clinical situations where trainees are working without direct supervision:


검사 오더는 독립적인 연습생 성과를 반영하기 위해 가장 많이 인용된 사례 중 하나였다. 예를 들어, 연습생이 교대시간 내내 어떤 종류의 독립적인 행동과 결정을 내릴 수 있는지를 물었을 때, 한 교직원은 '랩 검사, 약물 주문, 가슴 엑스레이 주문'(참가자 F1)으로 응답했다.

Ordering practices were among the most common examples cited to reflect independent trainee performance. For instance, when asked what sort of independent actions and decisions a trainee might make throughout a shift, one faculty member responded with ‘order lab tests, order medications, and [order] chest x-rays’ (Participant F1).


그러나 '전공의와 교직원이 한 팀으로 일한다'(참가자 R3)는 경험의 결과로서, 연수생 참가자들도 졸업후 교육 내 독립성에 challenge하기도 했다.

However, trainee participants also challenged the very notion of independence within postgraduate training, as a result of their experience that ‘the resident and faculty work as a team’ (Participant R3).


이러한 논평에서 알 수 있듯이, 연습생들은 성과가 상호의존적인 협력 팀의 일원으로 일한다.

As these comments suggest, trainees work as part of a collaborative team, where performance is interdependent.


상호의존적인 연습생 성과

Interdependent trainee performance


교수진과 연습생들이 독립된 연습생 수행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면서, 그들 모두는 독립적으로 보이는 공연이 실제로는 어떻게 독립적이지 않을 수 있는지에 대해 길게 이야기했다. 그들은 '어렵다tricky'(참가자 R5) '불행히도'(참가자 R5) '하지만, 불가능하지는 않더라도 개개의 시술자에 의해 분리하는 것은 어렵다'(참가자 F8) 등 세부적인 예외사항과 부인사항, 복잡요인 등을 제시했고, [명확한 독립성과]를 구분짓는 선을 긋기 위해 고군분투하는 모습을 보였다.

As faculty members and trainees described what constituted independent trainee performance, all of them spoke at length about how a performance that seems to be independent may not be. They offered detailed exceptions, disclaimers and complicating factors, such as ‘it’s tricky’ (Participant R5), ‘unfortunately’ (Participant R5) and ‘but it is difficult, if not impossible, to separate them by individual practitioner’ (Participant F8), and they appeared to struggle to draw a line around clearly independent performance.


인터뷰의 이러한 부분을 분석하면서, 우리는 상호의존적 수행의 패턴을 반복적으로 식별했다; 우리는 이러한 패턴을 다른 팀원들의 수행과 '커플링'하는 것으로 개념화했다. 참가자가 설명한 커플링의 주요 구성은 연습생과 감독자 간이었다.

In analysing these parts of the interviews, we identified recurring patterns of interdependence performance; we have conceptualised these patterns as ‘coupling’ of trainee performance with that of other team members. The main configuration of coupling described by our participants was between trainee and supervisor.


교육생과 감독자의 결합

Coupling of trainees and supervisors


데이터에 나타난 커플링의 주요 구성은 [연습생과 감독자 사이]의 것이었다. 훈련생과 감독자의 상호의존성 성격과 정도는 임상적 맥락과 제공된 감독 유형에 따라 달라졌다. 수술실과 같은 일부 임상적 맥락에서, 커플링은 참가자들이 [과연 전공의가 '독립적'으로 여겨질 수 있는지 의문을 가질 정도]로 강한 용어로 설명되었다.

The predominant configuration of coupling evident in the data was that between a trainee and his or her supervisor. The nature and degree of interdependence of trainee and supervisor depended on the clinical context and the type of supervision provided. In some clinical contexts, such as the operating room, coupling was described in such strong terms that participants questioned whether trainees could ever be considered independent.


또 다른 외과 교수진은 수술 결과에 대한 깊은 책임감 때문에 자신의 감독 수준이 연습생에게 완전한 독립을 허락하지 않았다고 설명했다.

Another surgical faculty member explained that, because of a profound sense of responsibility for the surgical outcome, his level of supervision never abated to allow a trainee full independence:


교직원이 수술실에 만능인 수술의 임상적 맥락은 이처럼 세심한 관찰을 뒷받침했다. 그러나 이것은 수술의 독특한 것이 아니었다. 비수술 프로그램 참가자들도 주의 깊게 관찰되는 느낌을 전했다.

The clinical context in surgery, where the faculty member is omnipresent in the operating room, supported such careful watching. But this was not unique to surgery. Participants from non-surgical programmes also reported a sense of being carefully watched.


누군가 어딘가에서 내 어깨 너머로 보고 있다는 것을 알게 된 것이 그저 너무 위로가 되어 가장 멋진 순간 같았다.(참가자 R6)

It was like the most wonderful moment because it was just so comforting to know that somebody was looking over my shoulder someplace. (Participant R6)


이 연습생은 혼자 수행하는 것이 아니라 누군가 나를 지켜보는 것에 안도감을 표시했지만, 다른 사람들은 독립성에 제약이 된다고 생각하는 것에 대해 좌절감을 표시했다. 다음의 예는 병리학과 실험실 의학에서 나온다.

Although this trainee expressed relief at knowing he or she was not performing alone but were being watched, others expressed frustration at what they perceived to be a constraint on their independence. The following example comes from pathology and laboratory medicine:


졸업하는 날이 지나면 (그 전까지는 하지 못했어도) 곧바로 모든 것을 사인할 수 있다는 것은 이상한 일이다. 그날 밤 마법 같은 일이 일어나 갑자기 능력을 가질 수 있게 되었다.(참가자 R2)

It’s an odd thing where I graduate the next day and I can sign out everything. So something magical happens that night, and I can suddenly have the ability. (Participant R2)


독립된 전공의 수행으로 흔히 투약, 검사, 영상 오더 등이 언급되었지만, 많은 교수진 참여자들은 '대부분, 우리 전공의들은 실제로 약을 오더하기 전에 논의를 기다린다'(참가자)는 감독자와 상의 후에만 그런 주문이 배치되는 경우가 많다는 것을 인정했다.개미 F4).

Although the ordering of medications, tests or imaging was often mentioned as an independent trainee performance, many faculty participants acknowledged that such orders are often placed only after consultation with a supervisor: ‘for the most part, our residents wait to have the discussion before they actually would order the medication’ (Participant F4).


오더 행위는 (예를 들어 전자 건강 기록에 연습자에게 태그가 지정된) 독립적으로 보일 수 있지만 실제로 감독자와 결합된 성과를 반영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이러한 논의는 문서화에서 거의 명백하지 않다.

These discussions are rarely evident in documentation, such that ordering practices may appear independent (tagged to the trainee in the electronic health record, for instance) but actually reflect performance that is coupled with the supervisor.


독립적인 성과에 대한 질문에 대한 참가자들의 반응은 부분적으로 [막후에서 일어나는 일에 대한 인식]에 달려 있었다. 신경과 출신의 한 교직원은 일부 교육생들이 교직원들이 받아쓰기를 검토하고 편집할 것이라는 인식 없이 dictation을 승인sign-off한다고 지적했다.

Participants’ responses to the question of independent performance depended in part on their awareness of the work that occurs behind the scenes. One faculty participant from neurology pointed out that some trainees sign-off on dictations without an awareness that faculty members will review and edit them:


대부분의 전공의들은 종종 자신이 특정 환자의 치료를 계속 맡아서 제공하지 않았기 때문에 환자의 결과에 대해 거의 알지 못하거나, 또는 그러한 환자의 관련 임상 문서가 교직원의 감독 결과로 어떻게 편집되었는지에 대해 거의 알지 못한다고 인정했다.

Most trainees admitted knowing very little about the outcomes of their patients, or how the associated clinical documentation for such patients was edited as a result of a faculty member’s supervision, because the trainee often did not continue to provide the patient’s care:


교수진들은 여러 임상과를 드나들며 로테이션하는 졸업후 교육의 일시적인 특성상 [자신의 성과]가 [(임상 결정을 변경했을 수 있는) 상사의 성과]와 얼마나 강하게 결합되어 있는지를 교육생들이 깨닫기 어렵게 한다고 논평했다.

Faculty members commented that the transient nature of postgraduate training, in which they rotate in and out of clinical workplace settings, makes it difficult for trainees to appreciate how strongly their performance is coupled with their supervisors’, who may have altered clinical decisions:


기타 커플링 구성

Other configurations of coupling


데이터에서는 감독관과 교육생 간의 결합이 주를 이루었지만, 일부 참여자는 교육생과 의료진의 다른 구성원 간의 결합 사례를 제공하기도 했다.

Although coupling between supervisors and trainees was dominant in the data, some participants provided examples of coupling between trainees and other members of the health care team.


많은 참가자들은 각각의 연습생들의 행동이나 결정이 다양한 정도로 결합되어, 그들의 계획을 검토했던 선배 팀원들과 함께 연결될 것이기 때문에, 교수팀teaching team 구조는 임상 수행의 귀속성에 대한 도전을 제시한다고 지적했다. 그리고 어느 팀원이 어떤 시간에 커플링되는지 완전히 예측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한 훈련생은 '내가 긴급히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고 느끼는 어떤 것이든, 예를 들면, 기도의 비상 사태와 같은, 긴급한 주의가 필요하다'고 보고했다. 나는 주치의 뿐만 아니라 선임 레지던트에게도 연락할 것이다.' (참가자 R8)

Many participants pointed out that the teaching team structure presents challenges to the attribution of clinical performances, as each trainee’s actions or decisions will be coupled, to varying degrees, with a more senior team member with whom they reviewed their plans. And it is not entirely predictable which team members are coupled at any given time: for instance, one trainee reported that ‘anything that I feel needs urgent attention, such as an airway emergency. I would contact both the senior resident as well as the attending’ (Participant R8).


참가자들은 또한 간호사, 사회복지사, 실험실 테크니션 등 팀원들의 역할과 행동에 의해 훈련생 독립성이 어떻게 조절되는지에 대한 사례도 제시했다.

Participants also offered examples of how trainee independence is modulated by the roles and behaviours of team members, such as nurses, social workers and laboratory technicians.


고찰

DISCUSSION


교수진과 교육생들에게 독립적인 교육생 수행 사례를 설명하도록 요청하면서, 우리는 교육생 수행의 상호의존성에 대한 통찰력을 얻었다. 우리는 이러한 현상을 '커플링'으로 특징지어 다른 교육생 및 의료 전문가뿐만 아니라 감독자 모두에게 교육생 수행의 상호의존성을 포착했다.

In asking faculty members and trainees to describe instances of independent trainee performance, we gained insight into the interdependence of trainee performance. We have characterised this phenomenon as ‘coupling’ to capture the interdependence of trainee performance with both supervisors as well as with other trainees and health care professionals.


첫째로, 그러나, 결합이라는 용어에 대한 메모가 있다. 우리는 이 용어를 두 팀 구성원(예: 연습생과 감독자) 간의 상호의존성을 나타내기 위해 사용해 왔으며, 조사 결과 인터뷰와 발표의 반환에서 참가자들과 공감했다. 그러나 우리는 [결합]이 복잡한 시스템에서 요소의 상호의존성과 정도를 설명하기 위해 조직과학에서 사용되는 용어라는 것을 인정한다. [결합 이론]에 따르면, 시스템 요소system elements는 응답성responsiveness(즉, 변화에 대응하는 능력과 능력)와 구별성distinctiveness(즉, 시스템 내에서 독립적인 역할의 보존)의 정도에 따라 개념화된다.33 

First, though, a note about the term coupling.We have used it to represent interdependence between two team members (e.g. trainee and supervisor) and the term had resonance with participants in our return of findings interviews and presentations. We recognise, however, that coupling is also a term used in organisational science to describe the nature and degree of interdependence of components in complex systems. According to coupling theory, system elements are conceptualised according to their degree of responsiveness (i.e. capacity and ability to respond to changes) and distinctiveness (i.e. preservation of an independent role within a system).33 


본 논문에서 '커플링'이라는 용어의 사용은 연결 장치 배열의 가장 기본적인 것, 즉 시스템 내의 두 인간 요소 사이의 것만을 반영한다. 그러나 결합 이론은 인간과 물질 모두를 포함한 상호의존성의 보다 정교한 관계를 허용한다.34 본 연구의 데이터에는 결합에 대한 몇 가지 정교한 설명(예: 훈련생, 교수진 및 회전 일정 또는 환자 인구 조사와 같은 시스템 요소 간의 결합)만 포함되어 있지만, 우리는 이 영역에서 연구가 계속됨에 따라, 연습생의 임상 성과를 형성하는 상호의존성의 여러 패턴에 대한 이해를 심화시키기 위해 조직적 결합 이론을 생산적으로 가져올draw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Our use of the term ‘coupling’ in this paper reflects only the most basic of coupling arrangements: between two human elements in a system. However, coupling theory allows for more elaborate relations of interdependence, including among multiple factors, both human and material.34 Although the data from this study contained only a few elaborate descriptions of coupling (e.g. coupling between trainee, faculty member and system factors such as rotation schedule or patient census), we expect that as research continues in this domain, we can draw productively on organisational coupling theory to deepen our understanding of the multiple patterns of interdependence shaping trainees’ clinical performance.


연습생 수행능력이 감독자의 수행능력과 결부되어 있는 것은 놀라운 일이 아니다. 많은 연구들이 의학의 직장 기반 훈련 모델에서 감독 관계의 힘과 중요성을 강조해왔다. 하우어 및 동료의 임상 감독 검토 결과, 감독자, 훈련생, 감독자-훈련생 관계, 업무 및 맥락 등 훈련생 독립성에 영향을 미치는 다섯 가지 중요한 요소가 확인되었다. 케네디의 임상 감시에 대한 관찰 및 인터뷰 연구 결과, 감독관과 연습생 모두 연습생 독립과 환자 안전의 목표의 균형을 맞추기 위한 전략을 수립하는 것으로 나타났다.8,35

It is not surprising that trainee performance is coupled with that of a supervisor. Many studies have highlighted the power and importance of the supervisory relationship in medicine’s workplace- based training model. Hauer and colleagues’4 review of clinical supervision identified five important factors that impact trainee independence: 

  • supervisor, 

  • trainee, 

  • supervisor–trainee relationship, 

  • task and 

  • context. 

Kennedy’s observational and interview study of clinical supervision found that both supervisors and trainees enact strategies to balance the goals of trainee independence and patient safety.8,35


우리는 연습생들과 임상 교수팀의 다른 구성원들, 특히 감독자들 사이에 결합된 수행의 다양한 구성에 대해 설명해왔다. 우리는 커플링의 렌즈를 통해 연습생 성과를 보게 되다면 [(i) 수행이 진정으로 독립적일 수 있는 순간을 식별하는 것]과 [(ii) 수행이 언제 어떻게 상호의존적인지를 판단]하는 두 가지 방식으로 우리에게 도움이 될 수 있다고 주장한다.

We have described various configurations of coupled performance between trainees and other members of the clinical teaching team, particularly supervisors. We contend that viewing trainee performance through the lens of coupling can help us in two ways: (i) to identify moments where performance may be truly independent, and (ii) to appreciate when and how performances are interdependent.


독립성 정의

Defining independence


독립은 정의상 타인의 통제, 영향력 또는 지지로부터 자유로워지는 것을 의미하며, 스스로 생각하고 행동할 수 있는 능력을 가지고 있는 것이다.37 독립된 성과를 평가하기 위해 모색함에 따라, 우리는 연습생들이 다음과 같은 것을 했던 사례를 찾아야 한다. 

    • (i) 직접 감독 없이 임상 작업을 수행해야 한다(예: 요추 구멍). 

    • (ii) 사전 승인 없이 임상 데이터를 수집(예: 혈액 검사 명령)하거나 

    • (iii) 임상 의사결정(예: 응급실 퇴원)을 관리한다. 

Independence, by definition, means being free from control, influence or support of others, with the ability to think and act for oneself.37 As we seek independent performances to assess, we should look for instances in which trainees 

    • (i) perform a clinical task without direct supervision (e.g. a lumbar puncture); 

    • (ii) gather clinical data without prior approval (e.g. ordering bloodwork); or 

    • (iii) manage clinical decision making (e.g. discharge from the emergency room). 


커플링을 인정함으로써 독립적 수행의 그러한 특성을 명확하게 표현할 수 있다. 일단 명확하게 설명되면, 교육자들은 그들 자신의 프로그램에서 어떤 성과가 이러한 특성을 가지고 있는지 식별하고 그것들을 평가하기 위한 최선의 방법을 위한 전략을 세울 수 있다.

An appreciation of coupling allows us to clearly articulate such characteristics of independent performance. Once articulated, educators can identify which performances in their own programmes have these characteristics and make strategies for the best way to assess them.


상호의존성 특성

Characterising interdependence


우리가 제시한 [커플링]의 개념은 연습생의 수행이 다른 개인과 상호의존하는 정도를 명확히 하기 위한 언어를 제공한다. 커플링이라는 개념으로 [독립 성과에 대한 가정]과 [상호의존적 성과에 대한 현실] 사이의 간격을 메울 수 있다.

The concept of coupling we have put forth provides a language for articulating the degree to which a trainee’s performance is interdependent with another individual(s). With this language, we can bridge the gap between the assumption of independent performance and the reality of interdependent performance.


우리의 일은 사회문화적 이해를 높이면서 평가와 측량 접근을 결합marry하려고 한다. 우리는 이 결합이 쉬운 결합이 될 것이라고 기대하지 않는다. 왜냐하면 그것은 이러한 학구적인 공동체들의 신성한 가정에 도전할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그러나 우리는 [평가]와 [사회문화적 관점] 사이의 이러한 결합이 직장 기반 환경에서 임상 수행의 상호의존성을 authentically 포착하기 위해 필요하다고 주장할 수 있다. 

Our work attempts to marry assessment and measurement approaches with an appreciation of sociocultural understandings. We have no expectation that this marriage will be an easy one, as it is likely to challenge sacred assumptions from each of these scholarly communities. However, we would argue that this marriage between assessment and sociocultural perspectives is necessary in order to authentically capture the interdependence of clinical performance in workplace-based settings. 


결합된 수행의 다양한 구성configuration을 평가하기 위해서는 여러 개인, 수많은 과제 차원 및 다양한 결과 조치를 평가할 수 있는 접근방식이 필요하다. 또한 결과 평가에서 contribution과 attribution을 구분하여 결합 성과를 더욱 특성화할 수 있는 방법도 고려할 필요가 있다. 교육적 측정에서 새롭게 등장하는 접근방식은 이 목적을 위해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Andrews et al.40은 최근 Andersen/Rasch (A/R) 다변량 항목 반응 이론(IRT) 모델을 사용했다.

To assess the various configurations of coupled performances, we need approaches that can assess multiple individuals, numerous task dimensions and various outcome measures. We also need to consider how coupled performances could be further characterised by distinguishing between contribution and attribution39 in outcomes assessment. Emerging approaches in educational measurement might prove useful to this end. For example, Andrews et al.40 recently used the Andersen/Rasch (A/R) multivariate item response theory (IRT) model


Wilson, Gochyev, Scalise41은 온라인 학습 환경에서 협력하는 파트너의 데이터를 사용하여 전체 분산 중 약 90%가 그룹에 의해 설명된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교육적 측정을 통한 이러한 연구는 잘못된 이분법을 만들기 보다는 수행의 독립적 및 상호의존적 차원 모두의 측면을 포착하고 스펙트럼을 따라 성과를 특성화하는 방식으로 협업과 같은 기술을 평가하기 위한 초기 접근방식을 제공한다. 의학교육에서 윌슨과 동료들이 제안한 Rasch 측정 모델의 변화는 이미 래이터의 협력적 수행의 측면을 포착하기 위해 사용되어 왔다.42 앞서 언급한 모든 접근방식은 진정한 임상적 성과를 의미 있게 평가하기 위해 집합체를 고려할 것을 요구한다.

Wilson, Gochyyev and Scalise41 used data from partners collaborating in an online learning environment to show that roughly 90% of total variance was explained by groups. These studies from educational measurement provide early approaches for assessing skills such as collaboration in ways that capture aspects of both independent and interdependent dimensions of performance and characterise performance along a spectrum rather than creating a false dichotomy. Within medical education, a variation of the Rasch measurement model proposed by Wilson and colleagues has already been used to capture aspects of rater’s collaborative performance.42 All of these aforementioned approaches require us to consider the collective in order to meaningfully assess authentic clinical performance.


본 연구는 (i) 연습생 수행이 독립적일 때 보다 정밀하고 (ii) 연습생 수행 내에서 결합을 설명할 수 있다는 평가로의 전환을 지지한다. 평가에 대한 커플링의 영향을 설명하려면 trainee ordering practice의 example을 결과 변수로 고려하십시오. 이 결과를 [결합한 것coupled]으로 개념화하는 접근방식은 [연습생 오더가 독립적 결정인지 또는 결합적 결정인지]에 대해서 [특정 교수진의 감독 관행이 미치는 영향]을 고려할 것이다. 또한 임상적 행위가 연습자에게 공정하게 귀속될 수 있는지 또는 최종 결과에 대한 연습생의 기여가 연습생이 수행하는 조건에 대한 보다 정확한 반영을 나타내는지를 판단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다. 더욱이, 이러한 조건은 감독자와 훈련생에게만 국한되지 않는다. 다른 팀원, 임상 자원 및 의료 프로토콜도 임상 실행의 상호의존성에 기여할 수 있다. 

Our study advocates for a shift towards assessment that (i) is more precise about when trainee performance is independent and (ii) can account for coupling within trainee performance. To illustrate the implications of coupling for assessment, consider the example of trainee ordering practices as an outcome variable. An approach that conceptualises this outcome as coupled would take into account the influence of particular faculty members’ supervisory practices on the extent to which a trainee order is an independent decision or a coupled one. It would also help to determine whether the clinical action could be fairly attributed to a trainee or whether the contribution of the trainee to the final outcome represents a more accurate reflection of the conditions under which the trainee performs. Furthermore, these conditions are not limited to supervisor and trainee; other team members, clinical resources and medical protocols could also contribute to the interdependence of clinical practice.


교육생의 오더 행위는 교육생의 전문지식 습득 뿐만 아니라, 교육생의 감독자가 변화함에 따라(그리고 임상 상황의 다른 중요한 측면들이 교체에서 교체로 변화함에 따라) 바뀔 수 있다. 결합된 수행을 위해 특별히 설계된 평가 접근방식은 커플링의 configuration이 변화하면, 그러한 변화를 관찰하고 해석하여 조정할 수 있을 것이다.

Trainees’ ordering practices may well change not only as trainees gain expertise, but also as their supervisors change (and as other salient aspects of the clinical context change from rotation to rotation); an assessment approach designed specifically for coupled performances would allow observation and interpretation of such changes and adjust this information as the configurations of coupling change.


한계

Limitations


결론 CONCLUSION


결합의 개념은 우리가 독립적 성과와 집합적 성과 사이의 풍경을 매핑하고 우리가 측정하고자 하는 구조에 대해 보다 목적적으로 생각하도록 돕기 때문에 앞으로 나아갈 길을 제공한다. 현재까지 [독립적 임상 수행능력]에 대한 평가는 설명되지 않은 분산과 같은 교란 요인들이 난무하고 있다. 우리는 이 '소음'이 경우에 따라 결합의 신호가 될 수 있다고 제안한다.

The concept of coupling provides a way forward, as it helps us begin to map the landscape ‘in between’ independent performance and collective performance and to think more purposefully about the constructs we intend to measure. To date, the assessment of independent clinical performance has been fraught with confounding factors such as unexplained variance; we suggest that this ‘noise’ might, in some cases, be a signal of coupling.


15 Gingerich A, Regehr G, Eva KW. Rater-based assessments as social judgments: rethinking the etiology of rater errors. Acad Med 2011;86:S1–7.


24 Fenwick T. Sociomateriality in medical practice and learning: attuning to what matters. Med Educ 2014;48 (1):44–52.







. 2018 Apr 19;52(9):970-980.
 doi: 10.1111/medu.13588. Online ahead of print.

Considering the interdependence of clinical performance: implications for assessment and entrustment

Affiliations 

Affiliation

  • 1Centre for Education Research and Innovation, Schulich School of Medicine and Dentistry, Western University, London, Ontario, Canada.
Free PMC article

Abstract

Introduction: Our ability to assess independent trainee performance is a key element of competency-based medical education (CBME). In workplace-based clinical settings, however, the performance of a trainee can be deeply entangled with others on the team. This presents a fundamental challenge, given the need to assess and entrust trainees based on the evolution of their independent clinical performance. The purpose of this study, therefore, was to understand what faculty members and senior postgraduate trainees believe constitutes independent performance in a variety of clinical specialty contexts.

Methods: Following constructivist grounded theory, and using both purposive and theoretical sampling, we conducted individual interviews with 11 clinical teaching faculty members and 10 senior trainees (postgraduate year 4/5) across 12 postgraduate specialties. Constant comparative inductive analysis was conducted. Return of findings was also carried out using one-to-one sessions with key informants and public presentations.

Results: Although some independent performances were described, participants spoke mostly about the exceptions to and disclaimers about these, elaborating their sense of the interdependence of trainee performances. Our analysis of these interdependence patterns identified multiple configurations of coupling, with the dominant being coupling of trainee and supervisor performance. We consider how the concept of coupling could advance workplace-based assessment efforts by supporting models that account for the collective dimensions of clinical performance.

Conclusion: These findings call into question the assumption of independent performance, and offer an important step toward measuring coupled performance. An understanding of coupling can help both to better distinguish independent and interdependent performances, and to consider revising workplace-based assessment approaches for CBME.

의학교육에서 불확실성을 해결하기 위한 철학적 접근(Acad Med, 2019)

A Philosophical Approach to Addressing Uncertainty in Medical Education

Mark R. Tonelli, MD, MA, and Ross E.G. Upshur, MD, MA, MSc




의학의 실천에 필수적인 불확실성을 인정하고 받아들이도록 학생들에게 가르치는 것은 대학원 이전과 후기 의학 교육의 목표가 되어야 한다. 확실성이 중시되고 기대되는 생물학이나 물리과학을 전공한 북미의 의대생 대다수가 직업적 불확실성에 직면할 수밖에 없었던 것은 아닌지 의심스럽다.

Teaching students to acknowledge and accept uncertainty, essential for the practice of medicine, should be a goal of both pre- and postgraduate medical education. We suspect that the majority of medical students in North America, having majored in the biologic or physical sciences, where certainty is valued and expected, have not been forced to confront professional uncertainty.


  • 확실성은 지식이나 이해가 자신 있는 임상적 의사결정을 하기에 충분하지 않은 상황을 설명하는 반면, 

  • 호성은 다수의 임상적 선택이 동등하게 합리적으로 보인다는 것을 암시한다.

  • Uncertainty describes situations where knowledge or understanding is insufficient to allow for confident clinical decision making, whereas 

  • ambiguity implies that multiple clinical choices appear equally reasonable.


임상의사들 사이의 모호성과 불확실성의 낮은 내성은 자원 사용의 증가와 의사소통 기술 부족과 관련이 있다.3 의대생들의 불확실성에 대한 낮은 내성은 또한 더 높은 수준의 심리적 고통과 관련이 있다.4

Intolerance of ambiguity and uncertainty among clinicians is associated with increased resource use and poor communication skills.3 Medical students’ intolerance of uncertainty has also been associated with higher levels of psychological distress.4


임상 의학의 불확실성은 진단에서 치료 결정에 이르기까지 임상 실습의 모든 부분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형태로 나타난다.6 철학적으로 분류하면 임상적 불확실성은 다음과 같을 수 있다 

  • 덕적(예: 죽어가는 환자를 위해 옳은 것은 무엇인가?), 

  • 형이상학적(예를 들어 건강하다는 것은 무엇을 의미하는가?)

  • 식론적(예: 이 약이 이 환자에게 도움이 되기보다 더 많은 해를 끼칠 것이라는 확신이 있을 정도로 충분히 알고 있는가?)

Uncertainty in clinical medicine comes in a variety of forms, affecting all parts of clinical practice, from diagnosis to treatment decisions.6 Categorized philosophically, clinical uncertainty may be 

  • moral (e.g., What is the right thing to do for a dying patient?), 

  • metaphysical (e.g., What does it mean to be healthy?), or 

  • epistemic (e.g., Do I know enough to have confidence that this medication will do more harm than good for this patient?).


도덕적 불확실성생명 유지 치료의 철회, 장기 기증 기준, 부족한 자원의 할당과 같은 문제들을 특징짓는다. 그러한 문제들을 중심으로 20세기 중반에 시작된 도덕적 고통의 고조된 감각에 대처하기 위해 임상 의학은 윤리학자와 신학자의 형태로 철학자 쪽으로 방향을 돌려 문제를 명확히 하고 이러한 도덕적 불확실성의 일부를 완화시켰다.7 전체 학문 분야인 생명윤리학이 발달하여 의료교육과 통합되어 있다. 생명윤리학은 도덕적 불확실성을 다루었지만, 형이상학적, 인식론적 불확실성을 다루는 데 있어 학생과 임상의에게 별로 도움이 되지 않았다.

Moral uncertainty characterizes issues such as withdrawal of life-sustaining treatments, organ donation criteria, and allocation of scarce resources. To deal with the rising sense of moral distress that began in the mid-20th century around such issues, clinical medicine turned to philosophers, in the form of ethicists and theologians, to help clarify matters and to alleviate some of this moral uncertainty.7 An entire academic field, bioethics, developed and remains integrated with medical education. While addressing moral uncertainty, bioethics has been of little help to students and clinicians in dealing with metaphysical and epistemic uncertainty.


형이상학적 불확실성은 임상 의학에 침투하지만 실천 과정에서 거의 표현되지 않는다

  • 질병은 무엇으로 정의되는가? 통계적 이상, 기능적 상태 또는 환자 경험?

  • 어떤 사람이 병에 걸렸지만 여전히 건강하다고 여겨질 수 있을까? 

  • 임상 의학은 치료, 기능 회복, 기관 회복이 목표인가? 

Metaphysical uncertainty permeates clinical medicine but is rarely articulated in the course of practice. 

  • Is disease defined by statistical aberration, functional status, or patient experience? 

  • Can one have a disease and yet still be considered healthy? 

  • Does clinical medicine aim to cure, to restore function, or to restore agency? 


형이상학적 불확실성은 치유자 직업에서 다양한 사상의 학파들 사이의 논쟁에 종종 반영된다. 예를 들어, 자연병증(개체 내에서 질병의 발현을 발생으로 보는 경향이 있음)과 동종 요법의학(개체와는 독립적으로 질병이 존재하는 것으로 보는 경우)의 기초는 형이상학적으로 다르다.

Metaphysical uncertainty is often reflected in debates between various schools of thought in the healing professions. For instance, the underpinnings of naturopathy (which tends to view manifestations of disease as occurrences within an individual) and those of allopathic medicine (where disease is viewed as existing independently of individuals) differ metaphysically.8


이러한 가정을 더 잘 이해하면(입증 가능한 진리가 아닌 가정을 나타낸다는 단순한 인식이라도) 임상의사가 다음을 처리하는 데 도움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 

  • 질병의 새로운 진단 및 재분류 불확실성 

  • 질병에 대한 연구 방법론과 이론 사이의 관계 

  • 병, 장애, 건강에 대한 환자의 개념의 중요성 

A better understanding of these assumptions (even simply the recognition that they represent assumptions, not demonstrable truths) would be expected to help clinicians deal with 

  • the uncertainty of new diagnoses and reclassification of diseases; 

  • the relationship between research methodologies and theories of disease; and 

  • the importance of the patient’s conception of illness, disability, and health. 


의사-철학자 둘 다인 설리번과 캐셀은 [건강과 질병의 본질에 대한 새로운 이해]가 만성질환과 다중질환의 시대에 환자를 돌보는 임상의들에게 중요하다고 주장한다. 이 보다 깊은 형이상학적 이해의 이점은 환자와 의사에게 똑같이 부여될 것이라고 각각 주장한다.

Sullivan9 and Cassell,10 both physician–philosophers, assert that a new understanding of the nature of health and disease is crucial for clinicians caring for patients in an era of chronic illness and multimorbidity. The benefits of this deeper metaphysical understanding, each argues, would confer upon patients and physicians alike.


우리는 매일 임상의들이 직면하는 불확실성의 대다수는 인식론적이라 주장한다. 즉, 불확실성은 의료적 의사결정에 도달하는 다양한 원천에서 도출된 지식을 얻고, 이해하고, 평가하고, 적용하는 데 있어 많은 어려움과 관련이 있다.

We assert that the majority of the uncertainty faced by clinicians on a day-to-day basis is epistemic; that is, the uncertainty is related to a great number of challenges in obtaining, understanding, weighing, and applying knowledge derived from a variety of sources in reaching medical decisions.


인식론적 불확실성이 만연하며 진단, 예후 및 치료적 선택과 같은 임상 의사 결정의 모든 차원에 영향을 미친다. 다음의 것들은 모두 인식론적 불확실성의 현대적 원천으로 인한 도전과제이다.

  • 개별 환자에게 임상 연구 결과 적용 

  • (때로는 상충되는) 정보, 지침 및 원칙의 여러 출처 처리 

  • 의학적인 결론에서 어떤 수준의 자신감을 가지고 전달해야 하는지를 결정

Epistemic uncertainty is pervasive and affects all dimensions of clinical decision making: diagnosis, prognosis, and therapeutic choice.11 The challenge of 

  • applying clinical research results to individual patients; 

  • dealing with multiple sources of (at times conflicting) information, guidelines, and principles; and 

  • determining what level of confidence to have and convey in a medical conclusion 

...are all contemporary sources of epistemic uncertainty in medicine.


개인의 가변성variability에 대한 이해가 높아져도 문제를 해결할 수는 없을 것이다. 정밀 의학의 출현으로 불확실성이 완화되기보다는 증가하였기 때문이다.

Nor will a better understanding of individual variability solve the problem, as the advent of precision medicine adds to, rather than mitigates, uncertainty.13,14


단순한 수용보다는, 목표는 불확실성의 다양한 종류와 출처를 이해하고, 가능한 최선의 결정을 내릴 수 있는 전략을 개발하는 데 있어 미래의 임상의들을 돕는 데 초점을 맞추어야 한다.

Rather than simple acceptance, the goal should center on aiding future clinicians in understanding the various kinds and sources of uncertainty and in developing strategies to make the best possible decisions regardless.


의학 교육에 의학의 철학을 도입하다

Introducing the Philosophy of Medicine Into Medical Education


의료행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불확실성의 유형을 명확히 하는 것이 학생들에게 유용할 것이다.16

Clarifying the types of uncertainty that directly impact practice would be useful for students.16


우리는 의대생들을 위해서 의학철학에서 필수과목으로 해야한다고 주장하지는 않는다. 붐비는 의료 교육과정에서 충분한 시간을 찾는 것은 어려운 일이 될 뿐만 아니라, 임상 전 학생들은 아직 실무에서 불확실성에 대한 직접적인 경험이 없기 때문에 대부분의 혜택을 받을 수 있는 위치에 있지 않을 것이다. 실용적으로 보자면, 우리는 대부분의 북미 의과대학과 교수 병원에서 현재의 커리큘럼 이니셔티브(아래 구체적인 예시)의 일부로서 불확실성과 관련된 의학의 철학을 공식적으로 포함시킬 것을 제안한다.

We do not advocate a required course in the philosophy of medicine for undergraduate medical students. Not only would finding sufficient time in a crowded medical curriculum be a challenge, but preclinical students would not be in a position to most benefit, as they do not yet have any direct experience with uncertainty in practice. Being pragmatic, we suggest the formal inclusion of the philosophy of medicine related to uncertainty as part of current curricular initiatives (specific examples below) in most North American medical schools and teaching hospitals.


전문 철학자들 사이에서는 공감대가 형성되기 어려울 수 있지만, 현재는 공감대가 형성되는 분야도 있다. 예를 들어, 일반적 합의에 따르자면 인구 수준 연구에서 얻은 연구 결과만으로는 개별화된 치료 20을 제공하는 데 기초로 불충분하며, 질병의 정의는 malleble하고 종종 가치의존적value-laden하다는 것을 인정한다.21 공감대를 형성하고 집중함으로써 학생들에게 실용적이고 유용한 철학적 교육을 제공할 수 있어 이러한 훈련의 가치를 강화할 수 있다. [인식론적 및 형이상학적 불확실성]의 분석에 필요한 어휘와 방법론을 의대생과 임상의에게 가르치는 것은 윤리적 숙고의 도덕적인 어휘와 틀을 가르치는 것만큼 중요할 것이다. 철학자들은 관심 있는 의사 챔피언들과 협력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이는 임상 의학의 난제를 이해하고 이러한 문제에 대한 철학적 분석을 임상의들에게 의미 있는 방법으로 해석하도록 돕기 위함이다.

Although consensus may be hard to reach among professional philosophers, currently there are some areas of agreement. General consensus acknowledges, for instance, that findings from population-level studies alone are an inadequate basis for providing individualized care20 and that definitions of disease are malleable and often value laden.21 By focusing and building on areas of consensus, students can be provided with a philosophical education that is practical and useful, reinforcing the value of such training. Teaching medical students and clinicians the vocabulary and methodologies necessary for the analysis of epistemic and metaphysical uncertainty will be as important as teaching the moral vocabulary and framework of ethical deliberation. Philosophers will need to partner with interested physician champions, both to understand the challenges in clinical medicine and to help translate the philosophical analyses of these issues to clinicians in a meaningful way.


시작점

Places to Begin


현대 의학 교육의 다음 4가지 특정 영역을 의료행위의 철학적 기초를 탐구하고 인식적 불확실성을 완화하기 위한 올바른 합리화 접근법을 도입하기 위한 이상적인 출발점으로 권고한다.

We recommend the following four specific areas of contemporary medical education as ideal starting places to explore the philosophical underpinnings of medical practice and to introduce well-reasoned approaches for mitigating epistemic uncertainty.


역학/증거 기반 의약품 모듈

Epidemiology/evidence-based medicine modules


증거 기반 의학(EBM)은 대부분의 의과대학과 레지던트 프로그램이 역학 및/또는 의학 문헌 사용법에 대한 전용 단위를 추가함으로써 커리큘럼을 증가시키는 등 의료 교육에 심대한 영향을 끼쳤다. 기본적인 역학적 이해는 의료행위에 확실히 필요하지만, 의료지식 조성과 개별 환자에 대한 응용을 위한 인구수준 연구의 한계에 대한 이해도 역시 마찬가지다. 역학적 불확실성은 의학에서 인식론적 불확실성의 주요 근원을 나타낸다.6 인구 기반 연구에 대한 지나치게 집중하면 특정 개인에 대한 최선의 결정에 도달하기 위해 종종 요구되는 mechanistic한 지식이나 경험적인 지식을 평가절하하는 경향이 있다. 임상의사가 훈련을 통해 진척됨에 따라 임상연구만으로는 다양한 이유로 실패하는 사례가 점점 더 많이 경험한다. 현재 의학교육은 인구 수준 연구에서 도출된 역학적 방법과 지식에 초점을 두면서, [직접적인 임상 경험의 결과로 발달한 지식]이나 [생물학적 원리와 병태생리학을 이해하는 것]보다 낮은 것으로 평가절하하는 경향이 있다.

Evidence-based medicine (EBM) has had a profound impact on medical education, with most medical schools and residency programs augmenting their curricula with the addition of dedicated units on epidemiology and/ or how to use the medical literature. Basic epidemiological understanding is certainly necessary for medical practice, but so too is the understanding of the limitations of population-level research for the generation of medical knowledge and application to individual patients. Epidemiological uncertainty represents a major source of epistemic uncertainty in medicine.6 Too narrow a focus on population-based research tends to devalue the mechanistic and experiential knowledge that is often required to arrive at the best decision for particular individuals. As clinicians progress through training, they may face more and more cases where clinical research fails them for any of a variety of reasons. The current focus of medical education on epidemiologic methods and knowledge derived from population-level research tends to devalue knowledge that develops as the result of direct clinical experience and from understanding biologic principles and pathophysiology.


학부연구연수

Undergraduate research training


우리(R.U) 중 한 명이 '불확실성 이해'라는 학부 건강과학 연구 모듈을 위해 세미나와 자습서를 만들었다. 이 세미나는 윌리엄 오슬러 경이 인용한 "의학은 불확실성과 확률의 기술"이라는 격언을 바탕으로 구성된다.25 세미나는 증거와 불확실성의 관계를 설명하는 비디오 강의를 사용한다. 의학사(특히 헬리코박터균의 발견이 소화성 궤양의 원인)의 예를 들어 의학적 증거의 내재적 잠정성을 강조하고 학생들이 지속적인 학습을 유지해야 하는 규범적 요건으로 이끈다. 그 세미나는 인식론(특히 오류론의 개념*)과 의료윤리 사이의 상호 강화 관계를 보여준다. 발레리 미케의 [증거 윤리에 대한 두 가지 의무]로 마무리된다.

One of us (R.U.) created a seminar and tutorial for the undergraduate health science research module called Understanding Uncertainty. The seminar builds on Sir William Osler’s oft-quoted dictum that “Medicine is a science of uncertainty and the art of probability.”25 The seminar uses a video lecture that explains the relationship between evidence and uncertainty. Using examples from the history of medicine (particularly the discovery of Helicobacter pylori as the cause of peptic ulcers), it emphasizes the inherent provisional nature of medical evidence and leads students to the normative requirement to maintain continuous learning. The seminar shows the mutually reinforcing relationship between epistemology (particularly the idea of fallibilism*) and medical ethics. It concludes with Valerie Miké’s26 two imperatives for an ethics of evidence:


1. 의료 의사 결정의 모든 단계의 기초로서 가능한 최선의 과학적 증거를 작성, 배포, 사용하고,

1. to create, disseminate, and use the best possible scientific evidence as a basis for every phase of medical decision making, and


2. 불확실성의 범위와 궁극적으로는 환원불가한 성질에 대한 인식을 높이고 이를 수용한다.

2. to increase awareness of, and come to terms with, the extent and ultimately irreducible nature of uncertainty.


*Fallibilism은 우리의 모든 과학적 신념이 불확실하고 새로운 발전에 비추어 수정될 수 있다는 것을 고수하는 인식론적 접근법이다. https://www.iep.utm.edu/fallibil을 참조하십시오.

*Fallibilism is an epistemological approach that holds that all of our scientific beliefs are uncertain and subject to revision in light of new developments. See https://www.iep.utm.edu/fallibil.


임상 의학 소개

Introduction to clinical medicine


불확실성에 대한 접근은 임상 의학 강좌의 도입부에서 유용하게 가르쳐질 수 있으며, 침상 교육을 통해 강화된 개념을 가르칠 수 있다. 특히 형이상학적 불확실성은 일단 학생들이 환자에 손을 대기 시작하면 표면화된다. 질병에 걸린 사람과 처음 마주치는 것은 질병의 본질과 질병의 의미에 대한 질문을 자연스럽게 불러일으킨다. 환자를 처음 경험하는 것은 환자의 경험에 대한 공감적 검사examination를 장려한다.

Approaches to uncertainty can usefully be taught in the introduction to clinical medicine course, and the concepts reinforced through bedside teaching. Metaphysical uncertainty, in particular, rises to the fore once students begin to lay hands on patients. Initial encounters with persons who are ill naturally engender questions about the nature of illness and the meaning of disease. Experiencing patients for the first time encourages an empathetic examination of the experience of patients.


의학 교육에서 임상 의사 결정의 기초에 대한 명시적 논의가 항상 강조되는 것은 아니지만, 임상 실습에서 직관력과 경험의 중요한prominent 역할은 학생들이 전문가로 최종적인 발전을 촉진하도록 초기에 분명히 해야 한다.28 [경험적 접근과 직관]의 [중요성과 편재성ubiquity]을 인정하면 그러한 임상 평가에 부적절하게 개입할 수 있는 잠재적 편견을 명시적으로 논의할 수 있다.29

Explicit discussions of the bases of clinical decision making are not always emphasized in medical education, but the prominent role of intuition and heuristics in clinical practice should be made clear to students early on to facilitate their eventual development into experts.28 Acknowledging the importance and ubiquity of heuristics and intuition also allows for explicit discussion of potential biases that may inappropriately enter into such clinical assessments.29


전문직업성 Professionalism


많은 의대와 대학원 연수 프로그램들은 비록 최고의 모델이 여전히 문제시되긴 하지만, 훈련생들의 전문성을 기르기 위해 보다 적극적으로 접근해왔다. 불확실성의 전체 범위를 수용하고 이해하는 것은 의료 행위를 이해하는 데 매우 중요하다. 따라서 의료전문가의 전문직업성에는 의료지식의 한계와 모든 의료결정의 확률론적 성격을 인정하는 것이 포함된다. 의료 훈련생들에게 전문적인 행동을 심어주기 위한 시책은 종종 지나치게 권위적이거나 가부장적인 관행을 수반하는 잘못된 확신의 위험성을 지적하는 것이 좋을 것이다. 

Many medical schools and postgraduate training programs have taken a more active approach to developing professionalism in trainees, although the best model for doing so remains in question.30 Embracing and understanding the full extent of uncertainty is critical to the understanding of the practice of medicine; thus, clinicians’ professionalism includes acknowledging the limits of medical knowledge and the probabilistic nature of all medical decisions. Initiatives to instill professional behavior in medical trainees would do well to point out the perils of false certainty that often accompany overly authoritative or paternalistic practice. 


일부 사람들은 불확실성을 지나치게 강조하면 의사와 환자의 신뢰도에 대한 환자와 사회의 신뢰를 떨어뜨리거나 규제 당국과 과실치상 주장을 더 많이 불러올 수 있다고 주장할 수 있다. 우리는 불확실성을 무시하고 거짓된 자신감과 자신감에 따라 행동하는 데 더 큰 위험이 있다고 본다. 불확실성을 인정하는 것은 [의사의 오류가능성]과 [의사들이 불가피하게 의지할 수 밖에 없는 지식의 오류]를 강조한다. Marcum은 "인식론적으로Epistemically 도덕적인" 임상의의 중요성을 주장해왔다. 그런 의사의 중요한 지적 미덕은 지적 겸손뿐만 아니라 호기심, 용기, 정직도 포함한다. 불확실성은 의료 교육에서 이러한 덕목을 배양해야 한다. 불확실성을 이해하면 전문성을 높일 수 있다.

Some may argue that too much emphasis on uncertainty will undermine the confidence of the patient and society in the credibility of physicians or may also invite more oversight from regulatory authorities and malpractice claims. Our view is that there are greater hazards to ignoring uncertainty and acting on false confidence and self- certainty. Acknowledging uncertainty underscores the fallibility of physicians and of the knowledge that they must, of necessity, rely on. Marcum31 has argued for the importance of an “epistemically virtuous” clinician. The important intellectual virtues of such a physician include curiosity, courage, and honesty as well as intellectual humility. Uncertainty necessitates the cultivation of these virtues in medical education; understanding uncertainty may facilitate professionalism.



의학의 철학을 의학 교육에 도입하는 것의 중요성

The Importance of Bringing the Philosophy of Medicine Into Medical Education


반세기 전, 의학 교육은 철학자와 신학자들의 유입과 투입으로 인해 임상 실습에서 도덕적 불확실성을 해소하고 개선하는데 도움을 주고, 촉진하고, 이익을 얻었다. 임상 의학에서 인식론적, 형이상학적 불확실성의 계속되는 난제는 더 많은 임상 연구로 해결되지 않을 것이다. 의료 교육은 미래의 의사들에게 불확실성을 임상 의학의 일부로 받아들이도록 간청할 뿐만 아니라, 불확실성의 본질에 대한 통찰력과 실무에 스며드는 인식론적 도전과 형이상학적 가정을 다루기 위한 구체적인 접근법을 제공함으로써 미래의 의사들에게 최선의 서비스를 제공할 것이다.

A half century ago, medical education invited, facilitated, and benefited from the influx and input of philosophers and theologians to help address and ameliorate moral uncertainty in clinical practice. The ongoing challenges of epistemic and metaphysical uncertainty in clinical medicine will not be solved by more clinical research. Medical education would best serve future physicians by not only imploring them to accept uncertainty as part of clinical medicine but also providing them insight into the nature of uncertainty and concrete approaches to dealing with the epistemic challenges and metaphysical assumptions that permeate practice.






. 2019 Apr;94(4):507-511.
 doi: 10.1097/ACM.0000000000002512.

A Philosophical Approach to Addressing Uncertainty in Medical Education

Affiliations 

Affiliation

  • 1M.R. Tonelli is professor of medicine and adjunct professor of bioethics and humanities, University of Washington, Seattle, Washington. R.E.G. Upshur is professor, Department of Family and Community Medicine and Dalla Lana School of Public Health, University of Toronto, Toronto, Ontario, Canada.

Abstract

Conveying the uncertainty inherent in clinical practice has rightly become a focus of medical training. To date, much of the emphasis aims to encourage trainees to acknowledge and accept uncertainty. Intolerance of uncertainty is associated with medical student distress and a tendency in clinicians toward overtreatment. The authors argue that a deeper, philosophical understanding of the nature of uncertainty would allow students and clinicians to move beyond simple acceptance to explicating and mitigating uncertainty in practice.Uncertainty in clinical medicine can be categorized philosophically as moral, metaphysical, and epistemic uncertainty. Philosophers of medicine-in a way analogous to ethicists a half century ago-can be brought into medical education and medical practice to help students and physicians explore the epistemic and metaphysical roots of clinical uncertainty. Such an approach does not require medical students to master philosophy and should not involve adding new course work to an already-crowded medical curriculum. Rather, the goal is to provide students with the language and reasoning skills to recognize, evaluate, and mitigate uncertainty as it arises. The authors suggest ways in which philosophical concepts can be introduced in a practical fashion into a variety of currently existing educational formats. Bringing the philosophy of medicine into medical education promises not only to improve the training of physicians but, ultimately, to lead to more mindful clinical practice, to the benefit of physicians and patients alike.


소셜미디어와 의학 전문직업성: 논쟁과 나아갈 길(Acad Med, 2014)

Social Media and Medical Professionalism: Rethinking the Debate and the Way Forward

Tara Fenwick, MEd, PhD




의료 협회, 의료 교육자, 연구자 사이에 blog 및 마이크로블로그(트위터), 소셜 네트워크 작업 사이트(Facebook, Myspace), 콘텐츠 공유 사이트(YouTube, Flickr) 등 소셜 네트워킹 미디어의 사용에 대한 토론에 대한 관심이 급증하고 있다.1 의료 서비스 향상을 위한 소셜 미디어의 이점을 제시하는 새로운 연구에도 불구하고 실천, 출판된 문학은 여전히 그것의 인식된 남용에 대한 강한 우려에 의해 지배되고 있다. 이러한 소셜 미디어의 위험은 일반적으로 의료 프로페셔널리즘에 대한 우려로 프레임되며, 소셜 미디어 사용은 직업 윤리의 문제로 논의되고 있다.

A surge of interest in debating the uses of social networking media—blogs and microblogs (Twitter), social net­ working sites (Facebook, Myspace), and content sharing sites (YouTube, Flickr)—is occurring among medical associations, medical educators, and researchers.1 Despite emerging studies that suggest benefits of social media to enhance medical practice, the published literature remains dominated by strong concerns about its perceived abuses. These social media risks are typically framed in worries about medical pro­fessionalism, and social media use is discussed as a matter of professional ethics.


위험 회피에 대한 이러한 강조는 중요하지만, 소셜 미디어에 의해 제공되는 실험과 새로운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 온라인 행동을 규제하는 가이드라인에 걸려 있는 역학관계를 재고하고 온라인 전문성을 재고하는 것이 도움이 될 수 있다.

This emphasis on risk avoidance, although important, can foreclose experimentation and the new possibilities afforded by social media. What may be helpful is to reconsider the dynamics at stake in the guidelines that regulate online behavior and to rethink online professionalism.


증거 검사: 소셜 미디어 사용 검토

Examining the Evidence: Reviewing the Use of Social Media


의료행위에 소셜미디어를 사용할 경우 발생할 수 있는 잠재적 위험성이 널리 설명되어 있다.4–6 가장 윗부분은 불경스럽고 차별적인 언어 및/또는 술취하거나 성적으로 노골적인 행동을 묘사하는 내용을 게시함으로써 환자의 기밀성을 훼손하고 의료계에서 공공적 confidence를 침식하는 것에 대한 우려사항이다.7 일부 저자들은 전문가들이 전자 매체를 통해 친구들에게 보내는 개인적인 메시지는 프로페셔널리즘 코드에 따라 면밀히 조사될 수 있다고 경고했다. 비전문성 혐의는 블로그와 연관되어 있으며, 고용주를 비난하는 트윗이 유포되었다.6 온라인 환경에 대한 불감증과 익명성이 언론의 넓은 범위에 의해 즉시 증폭된 부적절한 게시물을 만들어낼 수 있다는 일반적인 우려가 있다.4

The potential risks of using social media in medical practice are widely described.4–6 Uppermost are concerns about compromising patient confidentiality and eroding public con­fidence in the medical profession through posting content that contains profanity, discriminatory language, and/or depictions of intoxication or sexually explicit behavior.7 Some authors have warned that professionals’ personal messages to friends via electronic media can be scrutinized according to codes of profes­sionalism. Charges of unprofessionalism are also linked to blogs and tweets per­ceived to criticize employers.6 There is general concern that a sense of dis inhibition and anonymity in online environments may produce inappropriate postings, amplified immediately by the wide reach of the media.4


이러한 우려에 대응하여, 일부 사람들은 특정한 훈련과 연습을 필요로 하는 뚜렷한 새로운 패러다임으로서 "e­professionalism" 3,8을 주장해왔다. 이러한 최근의 추세에 따라, 새로운 정책들은 소셜 미디어 사용을 규제하고 줄이기 위한 자발적인 행동에 대한 처방을 명시적으로 제시하고 있다.9 예를 들어 영국 종합의사회는 2013년 4월 금지 사항을 강조하는 국가 소셜 미디어 정책을 발표했는데, 이 정책은 어디서나 환자에 대한 식별 가능한 정보를 공유하지 말며, 사회와 직업 관계를 혼용하지 말며, 자신을 의사라고 밝힌다면 어떤 사이트에도 익명의 자료를 올리지 말라는 것이다.

Responding to such concerns, some have argued for “e­professionalism”3,8 as a distinct new paradigm requiring particular training and practice. Following this recent trend, new policies have explicitly set forth prescriptions for nor­mative behavior to regulate and reduce social media use.9 The General Medical Council of the United Kingdom, for example, released a national social media policy in April 201310 that emphasizes the prohibitive: Do not share identifiable information about patients anywhere, do not mix social and professional relations, and do not post anonymous material on any site if you identify yourself as a doctor.


한편, 소셜 미디어가 어떻게 의료 관행을 강화할 수 있는지, 그리고 온라인 프리젠테이션이 어떻게 연대를 촉진하고 전문적 발전과 국가/국제적 연계를 확장시킬 수 있는지를 보여주는 연구들이 지금 나타나고 있다.11–13

Meanwhile, studies are now appearing that show how social media can enhance medical practice and how an online pre­sence can foster collegiality and extend professional development and national/ international linkages.11–13


함과 동료 11은 이 문헌에 대한 범위 지정 검토에서 긍정적인 결과가 보고되는 경향이 있지만, 아직 유의미한 효과성을 보이는 평가는 많지 않다고 결론짓는다. 이러한 증거의 부족은 소셜 미디어의 위험요소가 그것의 이익보다 훨씬 더 큰 관심을 끄는 한 가지 이유일 수 있다.

In their scoping review of this literature, Hamm and colleagues11 conclude that while positive results tend to be reported, there is not yet much evaluation showing significant effective­ness. This lack of evidence may be one reason why social media hazards attract far greater attention than do its benefits.


분명히 소셜 미디어와 의료 직업에 대한 연구 확산에도 불구하고, 더 많은 연구가 필요하다.

Clearly, despite the proliferating studies of social media and medical profession­alism, more research is needed


그리슨과 동료 17은 여전히 문제가 있는 내용의 의사 게시물이 전체 프로파간다 위반 건수의 상대적으로 적은 비율에 불과하며, 이러한 게시물은 온라인 상에서 심각한 오프라인 위반을 나타내는 것일 수 있다고 결론짓는다. 즉, 공동체로서 우리는 문제가 되는 행동이 소셜 미디어의 결과인지 더 자세히 살펴볼 수 있다. (따라서 온라인 활동을 감시하고 의대생들에게 온라인 전문성에 대해 가르치는 것이 최선의 방법인지 살펴봐야 한다) 혹은, 어쩌면 온라인 환경은 (이미 존재하는) 의료 전문직업성의 더 싶은 문제를 그저 좀 더 가시적이고 더 공개적인 문제로 만드는 것일지도 모른다.

Greysen and colleagues17 conclude that physician postings of problematic content still constitute only a relatively small percentage of the total number of profes­sional violations, and that these postings may be online manifestations of serious offline violations. That is, as a community, we might look more closely at whether problematic behaviors are a consequence of social media (and therefore best addressed through policing online activity and teaching medical students about online professionalism) or if, perhaps, the online environment simply makes more visible—and more public—some deeper problems in conceptualizing and actualizing medical professionalism.


프로페셔널리즘 재고

Reconsidering Professionalism(s)


의학적 "온라인 전문성"으로 이해되는 것은? 소셜미디어 문학에서 강조되는 것은 부적절한 개별 게시물에 해당된다. 여기서 우리는 전문직업성을 윤리적인 결정을 내리는 개인의 문제로 본다. 이러한 결정은 교육을 통해 발전하고 윤리 규범을 통해 규율할 수 있는 특정한 직업적 가치에서 도출된 합리적이라고 가정한다.

What is understood to be medical “online professionalism”? The emphasis in the social media literature falls on inappropriate individual postings. Here we see a view of professionalism as a matter of individuals making ethical decisions. The decisions are assumed to be rational, drawn from particular professional values that can be developed through education and disciplined through ethical codes.


점점 더, 오랫동안 지속되어온 이 논쟁은 비판적으로 재고되고 있다. 전통적으로 프로페셔널리즘은 신뢰, 전문 지식, 공직에서의 위험을 관리하는 데 필요한 재량권과 관련된 규범적 가치 체계로 표현되어 왔다.18 그러나 비평가들은 프로페셔널리즘은 존재의 방식이 아니라, 오히려 [직업적 봉쇄와 통제를 보장하기 위해 사용되는 이념적 담론]이라고 주장한다.19

Increasingly, this long­standing assump­tion is being critically reconsidered. Traditionally, professionalism has been represented as a normative value system, associated with trust, specialized knowl­edge, and the discretion needed to manage risk in public service.18 However, critics argue that professionalism is not a way of being; rather, it is an ideological discourse used to ensure occupational containment and control.19


예를 들어, Lewis20은 제도화된 의학("전문직")과 "프로페셔널리즘"의 담론 (프로페셔널리즘은 아직도 개별 임상의들의 가치와 행동에 초점을 맞추는 경향이 있다) 사이의 근본적인 모순을 강조한다. 의료전문직은 전문가 중심, 첨단 기술, 고비용 개입을 강조한다. 때로는 인문학적 환자 치료, 사회 정의 및 민주적 조사를 희생시키기도 한다. 그러나 프로페셔널리즘은 개개인이 이타적 치료와 여러 기관에 대한 의무를 모두 책임지게 한다. 전문성 담론은 개인의 실무자들을 통제하고 이 개인들이 상충되는 요구에 부응하기 위해 시스템을 탐색하는 데 일차적으로 책임을 지도록 함으로써 심오한 시스템 갈등을 억제하는 수사학처럼 잘 작동한다.

For example, Lewis20 highlights the fundamental con­flict between the discourses of institution­alized medicine (the “profession”) and of “professionalism” (which still tends to focus on the values and behaviors of individual clinicians). The profession emphasizes expert­driven, high­tech, high­cost interventions—sometimes at the expense of humanistic patient care, social justice, and democratic inquiry. However, professionalism makes the indi­vidual responsible for both altruistic care and duty to multiple authorities. The professionalism discourse works well as rhetoric to contain deep systemic conflicts by controlling individual practitioners and making these individuals primarily accountable for navigating the system to meet conflicting demands.


게다가, 의학 전문성에 대한 최근의 논쟁은 전문직업성의 단일한 프레임의 부적절성을 보여주었다. 이러한 전통적인 프레임워크는 단순히 여러 규제기관, 빠르게 변화하는 증거, 그리고 새로운 형태의 실천요강에 대응할 수 없다.21 증가하는 연구는 의료전문가의 책임의 다원화를 의미한다.22 전문직들은 [제도적 규칙과 효율성, 환자와 가족, 광범위한 사회적 요구, 의학, 전문 표준과 규제 코드, 그리고 그들 자신의 개인적 가치에 대한 의무]를 잘 저글링해야 한다.

Furthermore, recent debates in medical professionalism have shown the inade­quacy of singular frames of profession­alism. These traditional frameworks simply cannot respond to multiple regulators, fast­changing evidence, and new forms of practice.21 Growing research points to the pluralism of medical professionals’ responsibilities.22 Professionals must juggle obligations to institutional rules and efficiencies, to patients and families, to broad social needs, to medical science, to professional standards and regulatory codes, and to their own personal values.


이러한 "약속 거미줄"은 종종 메이23이 "합법적인 타협"이라고 부르는 것을 필요로 한다. 의사들은 [여러 이해당사자들의 우려] 사이의 균형을 맞추되, 그 중 한쪽의 기대만 완전히 충족시키지는 않을 수 있는 행동 경로를 탐색한다.

This “web of commitments” often necessitates what May23 has called “legitimate compromises.” Doctors navigate a path of action that simultaneously balances concerns for different stakeholders with­out necessarily meeting the full expecta­tions of any one.


예를 들어, 소셜 미디어에서, 주니어 의사는 학생들과 교육자들의 공통적인 딜레마를 설명하기 위해 그의 마취 실습에서 발생한 사건에 대해 정기적으로 블로그를 할 수 있다. 게시물은 효과적인 전략을 다룰 수 있지만, 고정된 일상, 상충되는 프로토콜, 조직과 자원의 비효과적인 병원 과정, 의심스러운 직원 역량, 가족 문제 등 문제를 드러낼 수도 있다. 비록 모든 자료가 익명으로 되어 있고 동료들과 대중들의 반응이 압도적으로 긍정적이라고 할지라도, 그러한 블로그는 쉽게 "비전문직업적" 행동으로 치부될 수 있다. 블로그 독자는 어쩌면 환자, 제공자, 직원 또는 다른 사람의 신원을 발견할 수 있을 것이다; 의사는 잠재적으로 고용주의 계약을 위반할 수 있다; 블로그 게시물은 동료에 대한 전문적인 윤리 규정을 어길 수 있다; 그리고 블로그 내용은 일부 환자의 기밀을 해칠 수 있다.

For example, in social media, a junior doctor may regularly blog about incidents from his anesthesia practice to illustrate common dilemmas for students and educators. The postings may cover effective strategies but may also reveal problems: entrenched routines, conflicting protocols, ineffectual hospital processes of organizing and resourcing, questionable staff competence, family issues. Even if all the material is anonymized and responses from colleagues and the public are overwhelmingly positive , such a blog can easily be dismissed as “unprofessional.” Blog readers may be able to discover the identities of patients, providers, staff, or others; the physician may potentially contravene an employer’s contract; blog postings may flout professional codes of ethics  respecting colleagues; and blog content may compromise some patients’ confidentiality.


일부 전문가들은 이러한 갈등에 의해 전문성에 대한 완전히 새로운 이해가 요구된다고 주장해왔다. 예를 들어 비판적 연구24는 [전문직업적 미덕의 보편적 목록]이 현대적 관행의 모순된 요구에 맞지 않는다는 것을 보여준다. 직업사회학자인 이베츠는 병원과 같은 공공기관에 시장을 침투시킴으로써 프로페셔널리즘의 새로운 현실에 주목한다. 즉 그녀는 [프로페셔널리즘 커뮤니티("직업적" 프로페셔널리즘")를 정의하는 기존의 자율규제 및 이타적 약속]이 어떻게 [고용주의 요구와 생산 조치("조직적" 전문성")]에 의해 대체되고 재정의되는지를 보여준다.

Some experts have argued that entirely new understandings of professionalism are called for by these conflicts. For example, critical studies24 show that universal lists of professional virtues are not fit for the contradictory demands of contemporary practice. Evetts,25 a sociologist of professions, draws attention to new realities of professionalism being produced through the infiltration of markets into public institutions such as hospitals; that is, she shows how the conventional self-­regulation and altruistic commitments defining a pro­fessional community (“occupational” professionalism) are being displaced and overridden by employers’ demands and output measures (“organizational” professionalism).


점점 더 많은 연구자들이 복잡한 시스템에 내재된 공동의 노력으로서 전문성을 연구하고 있다. 예를 들어, 마르티미니아키스와 동료 26은 응급실 감독관의 간단한 지시로 바쁜 복도에서 임산부 환자의 빠른 질 검사를 한다는 것이 어떻게 전문직업성의 다중적 갈등을 통합하는지를 보여준다: 환자 중심의 진료, 자원 제약, 역사적 제도적 갈등과 실천, 위계, 성별, 인종, 그리고 의사에게 요구되는 다양한 역할(해결사, 휴머니스트, 교사, 동료, 옹호자, 협력사원)

Increasingly, researchers are studying professionalism as a collec­tive endeavor embedded within complex systems. For example, Martimianakis and colleagues26 show how a simple direction to a clinical clerk from her emergency department supervisor that she conduct a quick internal vaginal examination of a pregnant patient in a busy hallway integrates multiple conflicts of professionalism: patient­centered care, resource constraints, historic institutional conflicts and practice, hierarchies, gender and race, and the different roles demanded of doctors (problem solver, humanist, teacher, colleague, advocate, cooperative employee).


이 모든 문제들은 전문직업성을 이해하는 데 있어 보다 시스템적이고, 관계적이며, 심지어 다원주의적 접근방식에 대해 말한다.

All of these issues speak to a more sys­temic, relational, and even pluralist approach to understanding professionalism.


소셜 미디어에 대한 비판적 생각

Thinking More Critically About Social Media


기술은 디지털 작업 전문가인 Orlikowski에 따르면, 테크놀로지는 사람들이 실제로 그것을 실천할 때에만 가치가 있고, 의미 있고, 그 결과물이 된다. 새로운 소셜 미디어와 같은 테크노로지의 운영과 결과는 고정되거나 결정되지 않는다. 그것들은 실제로 인간과의 상호작용을 통해 항상 출현한다. Orlikowksi27은 가상 공간의 우발적 상호작용을 말한다. 건강 관리에서 소셜 미디어를 통해 상호작용하는 다양한 온라인 사용자들은 쉽게 분리되지 않는다.

Technology becomes valuable, meaning­ful, and consequential only when people actually engage with it in practice, accord­ing to digital work specialist Orlikowski.27 The operation and outcomes of techno­logies such as new social media are not fixed or determining. They are always emergent through interaction with humans in practice: what Orlikowksi27 calls the contingent intermingling of virtual spaces. In health care, the various online users interacting through social media— are not easily separated.


더욱이 소프트웨어 자체에 내장된 알고리즘과 기술적 여유와 같이 비판적으로 고려해야 할 중요한 역학관계가 있다. 이것들은 일상 생활을 지배하는 디지털 인프라를 만든다: 키친과 닷지28이 말하는 "코드스페이스"이다. 소셜 미디어의 기존 역사는 이미 특정 형태의 참여를 형성하고 있다. 페이스북 알고리즘과 루틴은 [무엇을 지식으로 취할 것인지]뿐만 아니라, [지식 교환의 내용과 스타일]을 형성한다. 반다이크의 소셜미디어 이용에 대한 심도 있는 연구는 "친구맺기," "좋아요 누르기," 연결하기, 유행하기, 팔로잉 등의 패턴이 어떻게 관계에 대한 더 넓은 문화적 기대를 형성하게 되었는지를 보여준다. 프라이버시 개념 자체가 온라인 규범을 통해 재구성되고 있다. 관계, 프라이버시, 그리고 지식에 대한 이러한 변화된 생각은 환자와 전문가들이 온라인 상에서 어떻게 관여하는지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Furthermore, there are important dynamics to consider critically, such as the algorithms and technological affordances built into the software itself. These create digital infrastructures that govern everyday practice: what Kitchin and Dodge28 call “codespace.” Existing histories of social media are already shaping particular forms of participation. Facebook algorithms and routines shape the content and style of exchange, as well as what is taken for knowledge. Van Dijk’s29 in­depth study of social media use shows how patterns of “friending,” “favoriting,” linking, trending, and following have come to shape broader cultural expectations for relationships. Notions of privacy itself are being recon­figured through online norms. These changing ideas of relationship, privacy, and knowledge are bound to affect how patients and professionals engage online.


의료계에 종사하는 우리들도 '개방성', 모호한 경계, 연결성이 본질적으로 좋은 것이라는 가정에 더 비판적일 필요가 있다. 사용자는 디지털 법인의 상업적 이익을 창출하는 콘텐츠를 창출하기 위해 무료 노동력을 기부하고, 사용자 연결은 기업 데이터 마이닝에 공급한다.30 이러한 관점에서 소셜 미디어 참여자는 [권한을 부여받은 행위자]이자 동시에 [착취당하는 대상]으로 볼 수 있다. 게다가, "정보격차"는 노령화, 저소득, 또는 시골지역 인구의 진정한 온라인 활동을 계속해서 복잡하게 만들고 있다.

Those of us in the medical community also need to be more critical of assumptions that “openness,” blurred boundaries, and connectivity are inherently good things. Users donate free labor to generate content that creates commercial profits for digital corporations, and user connectivity feeds corporate data mining.30 From this perspective, social media participants can simultaneously be viewed as empowered agents and targets for exploitation. Further, the “digital divide” continues to complicate genuine online outreach to aging, low­income, or rural populations.


이러한 매우 현실적이고 종종 드러나지 않는 문제에도 불구하고 소셜 미디어를 통해 생성된 가상 환경은 의사소통을 위한 고유한 이점을 제공한다. 컨텐츠 반복 및 리믹스(다른 미디어 유형의 컨텐츠와 심지어 기법까지 결합)의 일반적인 관행은 새로운 하이브리드 형태의 지식을 생산하면서 참가자들을 독특한 방식으로 연결시킨다.

Despite these very real, often­ unexamined issues, the virtual environment generated through social media affords unique benefits for communication. Common practices of content reiteration and remixing (combining content and even techniques of different media types) connect participants in unique ways while producing new hybrid forms of knowledge.


가상 환경(사진, 웹 페이지, 게시물, 클릭과 선택 패턴 등)에서 우리의 "경로"나 디지털 발자국이 차지하는 현상은 유용한 방법으로 수확될 수 있는 자원을 만들어낸다.

The phenomenon of our “traces” or digital footprints in virtual environments (photos, Web pages, posts, even our patterns of clicks and selections, etc.) creates resources that can be harvested in useful ways.


추가 연구를 위한 문제

Issues for Further Research


우리는 다른 임상 상황에 있는 의사와 학생들이 실제로 일상 생활에서 소셜 미디어를 어떻게 사용하는지에 대한 견실한 비교 설명이 필요하다.

We need robust, comparative accounts of how physicians and students in different clinical contexts actually use social media in their everyday practice.


소셜 미디어를 통해 어떻게 전문적 정체성이 변화하고 적응할 것인가? 

온라인에서 구성되는 ID는 무엇인가? 

어떤 형태의 전문가-환자 간 의사소통이 온라인으로 진화하고 있는가?

How do professional identities shift and adapt through social media? 

What identities are constructed online? 

What forms of professional–patient communication are evolving online?


우리는 또한 대중을 참여시키고, 서비스를 제공하고, 유용한 정보를 퍼뜨리기 위해 소셜 미디어를 사용하는 것의 효과성에 대한 증거를 제공하는 연구가 필요하다.

We also need studies providing evidence about the effectiveness of using social media to engage the public, provide service, and disseminate useful infor­mation.


이러한 종류의 연구는 소셜 미디어의 전문성에 관한 새로운 지침과 이슈를 식별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다. 소셜 미디어의 전문성에 대한 이념적 폐쇄나 단순한 전문성 제한을 회피한다.

This sort of research could help identify new guidelines for and issues regarding professionalism in social media that avoid the ideological closure or simple restricting of e­professionalism.


결론 

In Sum


온라인 행동의 규제와 교육은 몇몇 당면한 문제들을 해결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지만, 디지털 세계에 대한 학생들의 참여에 대해 비판적으로 생각할 수 있는 능력을 발달시키지는 못할 수도 있다. 또한 전문성에 대한 그러한 제재적이고 지시적 접근은 학생들이 그들의 연습에 있어 중요한 문제, 즉 [전문직과 전문직업성 사이의 중심적 갈등]과 [이해당사자들 사이의 모순된 요구들]을 해결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없다. 사용자들이 하는 일에 반응하여 새로운 소셜 미디어가 지속적으로 등장하고 있으며, 사회 규범과 전문성의 의미 모두에 지대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 이러한 미디어는 상호작용, 관계 구조, 프라이버시의 의미, 그리고 지식의 특정 유형과 신체의 가치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 평가하기 위해 교육자뿐만 아니라 학생들에 의한 광범위한 비판적 검토가 필요하다.

Regulations and in­struction in online behavior can help address some immediate issues but may not develop students’ capacity to think critically about their engagements in digital worlds. Nor can such restrictive, didactic approaches to professionalism help students to navigate the larger issues at stake in their practice: central conflicts between profession and professionalism, and contradictory demands among stakeholders. New social media are continually appearing, often in response to what users do, with profound effects on both social norms and the meaning of professionalism. These media need broad critical examination by educators as well as students to appreciate how they influence interactions, relationship structures, the meaning of privacy, and the value of certain types and bodies of knowledge.


내가 옹호하는 접근방식은 "나쁜" 소셜 미디어 관행을 서둘러 통치하는 것이 아니라, 단순하고 이중적인 선/악의 프레임을 넘어, 소셜미디어 practice가 갖는 현재와 미래의 함의를 보다 면밀하게 그리고 더 비판적으로 보는 것이다.

The approach I advocate does not rush to govern “bad” social media practices but, rather, looks more closely—and more critically—at its current and future implications for practice beyond the simplistic, dualistic good/evil framing.


전문직업성을 단일한 덕목이나 존재상태보다는, 다원적 실천의 범위로 취급하려는 움직임이 확산되는 상황에서 다양한 온라인 실험을 통해 나타나고 있는 새로운 형태의 전문성을 추적하는 데 주력할 수도 있을 것이다.

Given the widespread shift to treat professionalism as a pluralistic range of practices rather than as a singular set of virtues or state of being, we might focus on tracing the new forms of professionalism that are emerging through various online experiments.






. 2014 Oct;89(10):1331-4.
 doi: 10.1097/ACM.0000000000000436.

Social media and medical professionalism: rethinking the debate and the way forward

Affiliations 

Affiliation

  • 1Dr. Fenwick is professor of professional education and director, ProPEL (international network for research in professional practice, education and learning), School of Education, University of Stirling, Stirling, United Kingdom.
Free article

Abstract

This Perspective addresses the growing literature about online medical professionalism. Whereas some studies point to the positive potential of social media to enhance and extend medical practice, the dominant emphasis is on the risks and abuses of social media. Overall evidence regarding online medical professionalism is (as with any new area of practice) limited; however, simply accumulating more evidence, without critically checking the assumptions that frame the debate, risks reinforcing negativity toward social media. In this Perspective, the author argues that the medical community should step back and reconsider its assumptions regarding both professionalism and the digital world of social media. Toward this aim, she outlines three areas for critical rethinking by educators and students, administrators, professional associations, and researchers. First she raises some cautions regarding the current literature on using social media in medical practice, which sometimes leaps too quickly from description to prescription. Second, she discusses professionalism. Current debates about the changing nature and contexts of professionalism generally might be helpful in reconsidering notions of online medical professionalism specifically. Third, the author argues that the virtual world itself and its built-in codes deserve more critical scrutiny. She briefly summarizes new research from digital studies both to situate the wider trends more critically and to appreciate the evolving implications for medical practice. Next, the author revisits the potential benefits of social media, including their possibilities to signal new forms of professionalism. Finally, the Perspective ends with specific suggestions for further research that may help move the debate forward.


학습의 생산적 실패, 생산적 성공, 비생산적 실패, 비생산적 성공(Educational Psychologist, 2016)

Examining Productive Failure, Productive Success, Unproductive Failure, and Unproductive Success in Learning

Manu Kapur




성과와 학습 간의 불일치성

Incommensurability between performance and learning


슈미트와 비요크(1992)는 단기간의 수행을 방해할 수 있는 실험 조작이 장기간의 학습에 실제로 생산적일 수 있다고 제안했다. 그들은 학습자가 수행 딥이 발생하더라도 학습에 유리한 과정에 참여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기 위해 초기 학습 중에 "바람직한 어려움"을 도입하는 개념을 발전시켰다. 바람직한 난관의 예로는 과제의 복잡성/변수성 증가, 지침 없는 문제 해결 또는 초기 학습 중에 피드백을 줄이거나 지연하는 것을 들 수 있다. 그들은 [초기 학습에서 성과를 극대화하는 조건이 반드시 장기적으로는 학습을 최대화하는 조건이 아닐 수 있다]고 결론지었다. 반대로 초기에 성과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조건은 장기적으로 더 나은 학습을 초래할 수 있다.

Schmidt and Bjork’s (1992) suggested that experimental manipulations that may hinder performance in the shorter term can actually be productive for learning in the longer term. They advanced the notion of introducing “desirable difficulties” during the initial learning to afford learners opportunities to engage in processes that are germane for learning even if they result in a performance dip. Examples of desirable difficulties include increasing the complexity of/variability in the task, unguided problem solving, or reducing or delaying feedback during the initial learning. They concluded that conditions that maximize performance in the initial learning may not necessarily be the ones that maximize learning in the longer term. Conversely, conditions that adversely affect performance initially may result in better learning in the longer term.


학습과 수행 사이의 불협화음을 활용하면 네 가지 설계 가능성이 생긴다: 생산적 성공, 생산적 실패, 비생산적 성공, 비생산적 실패.

Exploiting the incommensurability between learning and performance results in four possibilities for design: productive success, productive failure, unproductive success, and unproductive failure.


이 네 가지 설계 가능성 중 첫째는 단기적으로 성과를 극대화하고 장기적으로는 학습을 극대화하는 조건을 설계하는 것이다. 나는 그러한 디자인 노력을 생산적인 성공이라고 부른다. 생산적인 성공은 문제 해결과 지속 가능한 학습에 대한 개선된 성과 달성을 목표로 문제 해결과 학습 활동을 구조화하는 것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문제 기반 학습(PBL)의 장르에 속하는 구성주의적 접근법과 안내식 문답은 학습자가 전문성을 습득함에 따라 지반이 점차 퇴색되면서 학습을 유발하기 위한 비계형 문제 해결 활동을 초기에 포함한다(Puntambekar & Huebscher, 2005; H. G. Schmidtmidt, Royens, Van Gog, & Pas, & Pas, 2007).

First among these four design possibilities is designing conditions that maximize performance in the shorter term and maximize learning in the longer term. I refer to such design efforts as productive success. Productive success involves structuring problem-solving and learning activities with the goal of achieving both improved performance on problem solving and sustainable learning. For example, constructivist approaches that fall into the genres of problem-based learning (PBL) and guided inquiry involve scaffolded problem-solving activities initially to engender learning, with a gradual fading of the scaffolds as learners gain expertise (Puntambekar & H€ubscher, 2005; H. G. Schmidt, Loyens, Van Gog, & Paas, 2007).


둘째는 단기적으로는 성과를 극대화할 수 없지만 장기적으로는 학습을 극대화할 수 있는 조건을 설계할 수 있는 가능성이다. 나는 그러한 디자인 노력을 생산적인 실패라고 부른다. (Kapur, 2008). 생산적인 실패는 학생들이 아직 배우지 못한 개념을 요구하는 문제를 해결하는 데 몰두하게 하고, 그 다음 목표 개념에 대한 통합과 지도가 뒤따른다. 실패는 단순히 학생들이 스스로 올바른 해결책을 만들거나 발견할 수 없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러나 학생들이 사전 지식을 활용하여 문제에 대한 차선책이나 심지어 부정확한 해결책을 도출할 수 있는 정도까지, 이 과정은 이어지는 후속 지침으로부터 더 잘 배울 수 있도록 준비하는데 생산적일 수 있다(Kapur &Bielaczyc, 2012; Schwartz &Martin, 2004).

Second is the possibility of designing conditions that may not maximize performance in the shorter term but in fact maximize learning in the longer term. I refer to such design efforts as productive failure (Kapur, 2008). Productive failure engages students in solving problems requiring concepts they have yet to learn, followed by consolidation and instruction on the targeted concept. By failure, I simply mean that students will typically not be able to generate or discover the correct solution(s) by themselves. However, to the extent that students are able to use their prior knowledge to generate suboptimal or even incorrect solutions to the problem, the process can be productive in preparing them to learn better from the subsequent instruction that follows (Kapur &Bielaczyc, 2012; Schwartz &Martin, 2004).


셋째, 장기적으로는 학습을 극대화하지 않고 단기적으로는 성과를 극대화할 수 있는 조건을 설계할 수 있는 가능성이다. 즉, 초기의 높은 성과에 있어서 학습에 대한 착각이 있는 것이다. 나는 그러한 디자인 노력을 비생산적인 성공이라고 부른다. 예를 들어, 학생들이 무엇을 하고 있는지에 대한 동등한 이해 없이 [암기 과제에 대해 높은 성과를 보여주거나 문제 해결 절차를 수행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훈련 연습이나 암기에 크게 의존하는 교수법]은 이 범주에 속할 것이다. 대표적인 예가 밀러와 길데아의 어휘 학습(1987)에서 나온다. 그들은 주로 사전적 정의에서 단어의 의미와 사용을 배운 아이들이 어떻게 그것을 실천에 옮기지 못하는지를 설명했다. 예를 들어, 비록 그들이 그 단어의 의미를 상관관계로 말할 수 있을지라도, 그들이 실제로 어떻게 그 단어를 사용하는가(예를 들어, 나와 나의 부모님은 상관관계, 왜냐하면 그것들 없이는 나는 여기에 없을 것이기 때문이다)는 완전히 무의미할 수도 있다.

Third is the possibility of designing conditions that may maximize performance in the shorter term without maximizing learning in the longer term. In other words, there is an illusion of learning in initial high performance. I refer to such design efforts as unproductive success. For example, teaching methods that rely largely on drill-and-practice or rote memorization would fall into this category, for it is possible for students to show high performance on memory tasks or carrying out problem-solving procedures without a commensurable understanding of what it is that they are doing. A classic example comes from Miller and Gildea’s (1987) work on vocabulary learning. They described how children who learned the meaning and use of words mainly from dictionary definitions are often not able transfer it appropriately to practice. For example, even though they may be able to state the meaning of the word correlate, how they use the word in practice (e.g., Me and my parents correlate, because without them I wouldn’t be here) may be completely meaningless.


마지막으로, 단기 또는 장기적으로는 성과도 학습도 극대화할 수 없는 조건을 설계할 가능성이 있다. 나는 그러한 디자인 노력을 비생산적인 실패라고 부른다. 비생산적인 실패의 잘 연구된 예는 [순수한 발견 학습]으로, 학생들은 아무런 지도나 지원 없이 문제 해결에 참여함으로써 목표한 개념을 배우거나 발견하게 된다. 이 기사를 통해 나는 "발견 학습"과 "안내되지 않는 문제 해결"을 서로 교환하여 사용한다.

Finally, there is the possibility of designing conditions that maximize neither performance nor learning in the short or long terms. I refer to such design efforts as unproductive failure. A well-studied example of unproductive failure is pure discovery learning, where students are expected to learn (or discover) the targeted concepts by engaging in solving problems without any guidance or support whatsoever. Throughout this article, I use “discovery learning” and “unguided problem solving” interchangeably.


비생산적 실패

UNPRODUCTIVE FAILURE


지도하지 않은 문제 해결이나 발견 학습이 종종 암울한 학습 결과를 초래한다는 교육자(예: Kirschner, Souler, & Clark, 2006)와 구성자(예: HmeloSilver, Duncan, & Chinn, 2007) 사이에 의견이 일치한다. 예를 들어, 교육자들은 새로운 개념을 표적으로 하는 문제를 학습자가 해결하도록 하는 데는 거의 효과가 없으며, 문제 해결 전에 개념에 대한 직접적인 교육을 받아야 한다고 주장하기 위해, 지침이 없거나 최소로 안내된 지침에 대한 실질적인 경험적 증거를 제시한다(더 자세한 검토는 Kirschen 참조).어, Souler, &Clark, 2006; Mayer, 2004).

There is consensus among instructivists (e.g., Kirschner, Sweller, & Clark, 2006) and constructivists (e.g., HmeloSilver, Duncan, & Chinn, 2007) that unguided problem solving or discovery learning often leads to dismal learning outcomes. For example, instructivists bring to bear substantive empirical evidence against unguided or minimally guided instruction to claim that there is little efficacy in having learners solve problems that target novel concepts and that learners should receive direct instruction on the concepts before any problem solving (for fuller reviews, see Kirschner, Sweller, &Clark, 2006; Mayer, 2004).



아마도 이 견해는 Sweller(2009)에 의해 가장 잘 포착된다. "일반적으로 검색이 매우 시간이 많이 걸리고, 차선의 해결책이 될 수도 있고, 심지어 전혀 해결책이 없을 수도 있을 때 학습자에게 해결책을 찾도록 맡겨서 무엇을 얻을 수 있는가?" ( 페이지 128) 이러한 견해는 인지 부하 이론(CLT; Souler, 1988)에 근거하고 있으며, 지침이 없거나 최소로 안내된 발견 학습에 유리하게 (예를 들어, 잘 설계된 사례를 통해) 어떤 형태의 직접 지침을 비교한 많은 증거 기관들에 의해 뒷받침된다. 이로 인해 키르슈네르, 스웰러, 클라크(2006)는 "제어된 실험은 거의 한결같이 새로운 정보를 다룰 때 학습자가 무엇을 해야 하고 어떻게 해야 하는지를 명시적으로 보여줘야 한다는 것을 나타낸다"(p.79)고 주장하게 되었다. 직접 지시에는 일반적으로 독립적인 문제 해결 전에 목표 개념에 대한 지침이 사용되거나 잘 설계된 작업 예제를 사용하여 목표 개념을 설명하고 설명하는 것이 포함된다(Kirschner, Super, & Clark, 2006).

Perhaps this view is best captured by Sweller (2009): “What can conceivably be gained by leaving the learner to search for a solution when the search is usually very time consuming, may result in a suboptimal solution, or even no solution at all?” (p. 128). This view is grounded in cognitive load theory (CLT; Sweller, 1988) and is supported by a large body of evidence that has compared some form of heavily guided direct instruction (e.g., through well-designed worked examples) favorably with unguided or minimally guided discovery learning. This led Kirschner, Sweller, and Clark (2006) to argue that “controlled experiments almost uniformly indicate that when dealing with novel information, learners should be explicitly shown what to do and how to do it” (p. 79). Direct instruction typically involves the use of instruction on the targeted concepts followed by or coupled with the use of well-designed worked examples to illustrate and explain the targeted concepts, before independent problem solving (Kirschner, Sweller, & Clark, 2006).


학습자들이 [학습한 예시worked example를 통한 직접지도 중심의 학습]과 비교했을 때 [지침이 없는 문제풀이]를 통해 많은 것을 배우지 못한다는 것은 놀라운 일이 아니다. CLT의 입장에서는 학생들이 문제를 해결할 지식이 없을 때 시행착오나 수단-끝 분석 등 자원집약적 과정을 거치면서 문제공간에서 해결방안을 찾는 경우가 많아 제한된 작업기억능력에 부담을 준다. 모든 의식적인 프로세싱은 작동 메모리에서 발생하기 때문에, 작업 메모리는 주로 그러한 문제 공간의 검색에 사용된다면 새로운 개념과 절차를 배우는 데 덜 이용된다(Kirschner, Super, & Clark, 2006; Tuovinen & Super, 1999). 

It is not surprising that learners do not learn as much from unguided problem solving when compared with a heavily guided direct instruction through worked examples. From the perspective of CLT, when students do not have the knowledge to solve a problem, they often search the problem space for solutions by engaging in resource intensive processes such as trial and error or means-ends analysis, which burden the limited working memory capacity. Because all conscious processing happens in the working memory, working memory is less available for learning new concepts and procedures if it is mainly occupied with such a search of the problem space (Kirschner, Sweller, & Clark, 2006; Tuovinen & Sweller, 1999). 


학습자에게 정확히 무엇을 해야 하고 어떻게 해야 하는지를 보여줌으로써 [직접적인 교육]은 작업 메모리에 대한 이러한 부하를 줄여줌으로써 올바른 도메인 지식과 절차의 개발을 촉진한다(Klahr & Nigam, 2004; Souler & Chandler, 1991). 학생들이 스스로 올바른 지식과 절차를 전혀 발견하지 못할 수도 있는 [안내되지 않은 문제 해결]과 비교된다(Klahr & the Nigam, 2004). [직접 교육]은 오류와 오해의 인코딩 가능성을 줄이면서 학생들에게 올바른 절차와 지식을 제공하고 습득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Sweller & Chandler, 1991).

By showing the learner exactly what to do and how to do it, direct instruction reduces this load on the working memory, thereby facilitating the development of correct domain knowledge and procedures (Klahr & Nigam, 2004; Sweller & Chandler, 1991). Compared with unguided problem solving, where students may not even be able to discover correct knowledge and procedures on their own at all (Klahr & the Nigam, 2004), direct instruction affords students opportunities to attend to and acquire the correct procedures and knowledge while reducing the probability of encoding of errors and misconceptions (Sweller & Chandler, 1991).


이론적으로나 경험적으로 볼 때 [안내되지 않은 문제해결]보다 [직접지시]가 우위에 있다는 것에 대해서는 의심의 여지가 없다. 지침이 없는 문제해결과의 비교를 바탕으로 직접지도를 생산적인 성공으로 판단할 수도 있었다. 그러나, 나는 우리가 보통 비교에서 도출되는 다음과 같은 그릇된 추론을 좀더 면밀히 추궁할 때까지 판단을 유보할 것을 주장한다.

Theoretically and empirically, there is no doubt about the superiority of direct instruction over unguided problem solving. Based on the comparison against unguided problem solving, one could even judge direct instruction as a productive success. However, I argue to hold off on the judgment until we have more closely interrogated the following fallacious inferences that usually get derived from the comparison:


1. 유도되지 않은 문제 해결에서 상상할 수 있는 이득은 얻을 수 없다.

2. 지침이 없는 문제 해결이 문제이기 때문에 최대의 지침이 해결책이다.

3. CLT는 새로운 것을 배울 때 지침이 없는 문제 해결의 사용에 반대한다.

1. No conceivable benefit can be derived from unguided problem solving.

2. Because unguided problem solving is the problem, maximal guidance is the solution.

3. CLT is against the use of unguided problem solving when learning something new.


유도되지 않은 문제 해결에서 상상할 수 있는 이점이 없을 경우

No Conceivable Benefit Can Be Derived From Unguided Problem Solving


[직접지시]가 [가이드 없는 문제해결]을 능가한다는 것은 학습자가 아직 배우지 못한 개념을 대상으로 하는 문제를 해결하도록 하는 데 거의 효과가 없다는 것을 논리적으로 시사하는 것은 아니다. 그러한 효능이 있는지 판단하기 위해서는 [직접 교육]을 [학생들이 스스로 학습하지 않는 문제를 먼저 해결하는 접근법]과 비교한 후 적절한 교육을 따르는 더 엄격한 비교가 필요하다.

That direct instruction trumps unguided problem solving does not logically imply there is little efficacy in having learners solve problems that target concepts they have not learned yet. To determine if there such an efficacy, a stricter comparison is needed in which one compares direct instruction with an approach where students first engage in unguided problemsolving on their own, followed by appropriate instruction.


필자는 클라라르와 니감(2004)의 연구를 대표적인 사례로 삼고 있는데, 이는 발견 학습에 대한 직접 지도의 효과성을 잘 보여주는 사례로 자주 인용되기 때문이다. 클라라와 니검은 우선 학생들이 스스로 실험을 설계하도록 함으로써 변수전략(CVS)의 통제를 알고 있는지 확인하기 위해 기준선 평가를 실시했다. 기준선 평가의 성공률은 예상대로 매우 낮았다. 이후 발견 학습 조건에 배정된 학생들은 CVS나 피드백에 대한 어떠한 지침도 없이 이러한 실험들을 계속 설계했다. 단, 직접 지시 조건의 학생의 경우, 강사는 교란 실험과 근거 없는 실험 모두의 설계를 적절한 교육 촉진 및 설명과 함께 모델링하고 대조하여 교란 실험은 교란 실험이 교란되지 않는 반면 CVS는 인자의 영향을 분리하는 데 도움이 되는 중요한 특징을 취하도록 했다.

I use Klahr and Nigam’s (2004) study as a case in point because it is often cited as a stellar example of the effectiveness of direct instruction over discovery learning. Klahr and Nigam first conducted a baseline assessment to see if students knew the control of variables strategy (CVS) principle by getting them to design experiments on their own. The success rate on the baseline assessment was expectedly very low. Students who were subsequently assigned to the discovery learning condition simply continued to design these experiments without any instruction on CVS or any feedback. However, for students in the direct instruction condition, the instructor modeled and contrasted the design of both confounded and unconfounded experiments with appropriate instructional facilitation and explanation to make them attend to critical features of why CVS helps isolate the effects of a factor whereas confounded experiments do not.


[직접 지시]가 [시험 후 조치에 대한 발견 학습]보다 더 효과적이라는 것은 놀랄 일이 아니다. 그러나 클라르와 니감(2004)의 연구에서의 기준선 평가는 학생들이 아직 배우지 못한 개념(이 경우 CVS)을 대상으로 하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스스로 해결책을 만들어 내는 발견 학습 단계(이 경우 실험)와 매우 흡사하게 기능하는 것 같다고 주장할 수도 있다. 

It is unsurprising that direct instruction was found to be more effective than discovery learning on posttest measures. However, one can also argue that the baseline assessment in Klahr and Nigam’s (2004) study seems to function very much like a discovery learning phase where students generated their own solutions (in this case, experiments) to solve a problem that targets a concept (in this case, CVS) they had not learned yet. 


만일 그렇다면, 클라라와 니검이 직접 지시에만 귀속하는 바로 그 효과는 직접지시에 따른 순수한 발견 학습 단계(그들의 기준 평가)에 더 적절하게 귀속되는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클라라와 니검은 학생들이 아직 배우지 못한 개념을 요구하는 문제를 탐구하고 해결하는 데 거의 효과가 없다는 것을 보여주기 위해 출발했다. 그러나, 그들의 발견은 다음과 같은 [어떤 형태의 교육을 제공한다면 그러한 발견 학습이 실제로 효과적일 수 있다는 반대되는 주장을 정확히 뒷받침하기 위해 재해석될 수 있다].

If so, the very effects that Klahr and Nigam attribute to direct instruction alone seem more appropriately attributed to a pure discovery learning phase (their baseline assessment) followed by direct instruction. Therefore, much as Klahr and Nigam set out to show that there is little efficacy in students exploring and solving problems requiring concepts they have not learned yet, their findings can be reinterpreted to support precisely the opposing contention that such discovery learning can in fact be efficacious provided some form of instruction that build upon it follows.


안내받지 않는 문제 해결이 문제인 만큼, 최대 안내가 해결책이다.

Because Unguided Problem Solving Is the Problem, Maximal Guidance Is the Solution


[지침이 없는 문제 해결]보다 [직접 지시]가 우위에 있다고 하더라도, 하나의 극단(지도가 전혀 없음)을 거부한다는 것이, 다른 극단(중대한 또는 최대적인 지침)을 가장 효과적인 해결책으로 자동 채택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아마도 초기 학습에서 지침을 설계하는 다른 방법들이 있을 수 있는데, 이는 최대한 유도된 직접 지침과 같거나 훨씬 더 효과적이다.

The superiority of direct instruction over unguided problem solving does not mean that a rejection of one extreme (no guidance at all) implies an automatic adoption of the other (heavy or maximal guidance) as the most effective solution. Perhaps there exist other ways of designing guidance in the initial learning that are just as or even more effective than the maximally guided direct instruction.


발견 학습에 대한 강한 비판에서, 메이어(2004)는 지침이 없는 발견을 안내된 발견과 직접 지시를 비교한 연구를 검토했다. 검토 결과 안내되지 않은 발견이 가장 효과적이지 않은 것으로 분명히 나타났지만, 직접지시는 가장 효과적이지 않은 것이었으며, 실제로 [안내되지 않은 발견]과 [직접지시]를 둘 다 능가하는 것은 [안내지침 발견guided discovery]라는 것도 보여주었다. 예를 들어 키텔(1957)은 순수한 발견을 통한 논리 문제 학습(예: 단어 그룹에서 단어를 제외하는 규칙 찾기), 안내 검색( 힌트가 주어지는 위치), 직접 지시(규칙이 먼저 말해진 위치)를 비교했고, 키텔은 안내 검색이 보존과 전이에 가장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Gagne과 Brown의 연구(1961년)는 수학 학습에서 학생들이 숫자 시리즈를 요약하기 위해 공식을 도출하는 방법을 배워야 하는 유사한 연구 결과를 반영했다. PBL과 같은 다른 방법들도 있는데, 이러한 효과가 항상 일관되지는 않지만, 직접 지시의 효과성이 입증되었다(예: Hmelo-Silver, Duncan, & Chinn, 2007 참조). 생산적 실패에 대한 연구(Kapur, 2008, 2010, 2014)와 미래 학습 준비(Schwartz & Bransford, 1998; Schwartz & Martin, 2004)도 직접 지도보다 더 효과적인 교수법을 나타낸다.

In a strong critique of discovery learning, Mayer (2004) reviewed studies that compared unguided discovery with guided discovery and direct instruction. Although the review clearly showed that unguided discovery was the least effective, it also showed that direct instruction was not the most effective, and that it was in fact guided discovery that outperformed both unguided discovery and direct instruction. For example, Kittel (1957) compared learning of logic problems (e.g., finding the rule for excluding a word from a group of words) through pure discovery, guided discovery (where a hint was given), and direct instruction (where the rule was told first), and Kittel found guided discovery to be the best for retention and transfer. Gagne and Brown’s (1961) study echoed similar findings in the learning of math where students had to learn how to derive formulas to sum a number series. There are other methods, too, such as PBL, the effectiveness of which over direct instruction has been demonstrated, though these effects are not always consistent (e.g., see Hmelo-Silver, Duncan, & Chinn, 2007). Research on productive failure (Kapur, 2008, 2010, 2014) and preparation for future learning (Schwartz & Bransford, 1998; Schwartz & Martin, 2004) also represent teaching methods that are more effective than direct instruction.


요점은 간단하다: (안내되지 않은 문제 해결에서) 지침의 완전한 부족이 문제라고 해서, (자동적으로) 지침의 최대 제공이 논리적으로 가장 효과적인 해결책임을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한 극단에서 다른 극단까지 흔들 필요가 없다. 완전하게 안내되지 않은 문제 해결과 집중적인 직접 지도보다 더 나은 교수법을 설계하는 것이 가능하다. 만일 그렇다면, 직접적인 지시는 발견 학습과 비교할 때 생산적인 성공 사례로 떠오를 수 있지만, 다른 설계와 비교할 때는 그렇지 않을 수 있다. 나는 기사 뒷부분에서 이것을 다룬다.

The point is simple: Just because a complete lack of guidance (in unguided problem solving) is the problem does not logically mean that maximal provision of guidance is the most effective solution; one does not have to swing from one extreme to the other. It is possible to design teaching methods that are better than both completely unguided problem solving and heavily guided direct instruction. If so, direct instruction may come across as an example of a productive success when compared with discovery learning, but that may not hold true when compared with other designs. I take this up later in the article.


CLT는 새로운 것을 배울 때 지침이 없는 문제 해결의 사용에 반대한다.

CLT Is Against the Use of Unguided Problem Solving When Learning Something New


CLT에 따르면, 새로운 정보의 처리는 제한된 작동 메모리 용량과 장기 메모리에 저장된 관련 정보 사이의 상호작용에 의존한다. Kirschner, Souler, Clark(2006)는 "신기한 정보를 다룰 때 작업 기억력의 한계를 무시하거나 익숙한 정보를 다룰 때 그러한 한계가 사라지는 것을 무시하는 어떤 지시 이론도 효과적일 것 같지 않다"(p.77)고 주장했다.

According to CLT, the processing of novel information depends upon an interaction between a limited working memory capacity and relevant information stored in the long-term memory. Kirschner, Sweller, and Clark (2006) argued that “any instructional theory that ignores the limits of working memory when dealing with novel information or ignores the disappearance of those limits when dealing with familiar information is unlikely to be effective” (p. 77).


만약 학습자가 개념에 대해 이미 알고 있는 것(사전 지식)이 CLT에 의해 개념화된 작동 메모리 용량을 제한하거나 확장하는 중요한 결정 요인이라면, CLT에 대한 약속은 대상 개념이 학습자에게 새로운지 여부와 그 정도를 이해하는 약속을 수반한다. 학습자가 목표 개념에 대한 사전 지식이 없다고 가정할 경우, 작업 메모리의 제한적인 측면 내에서 작업하도록 제한된다. 이는 주로 지지자가 직접 지시한 것으로 보이는 측면이다(예: Carroll, 1994; Paas, 1992; Sweller & Chandler, 1991).

If what a learner already knows—prior knowledge— about a concept is a critical determinant of either limiting or expanding the working memory capacity as conceptualized by CLT, then a commitment to CLT entails a commitment to understanding whether and the extent to which the targeted concept is novel to the learner. If one assumes that learners do not have any prior knowledge of the targeted concept, one is constrained to work within the limiting aspects of the working memory, which is of what the proponents direct instruction largely seem to have done (e.g., Carroll, 1994; Paas, 1992; Sweller & Chandler, 1991).


학습자의 사전 지식을 고려한 CLT 연구가 있다는 점에 유의하십시오. 예를 들어, 

    • 칼유가, 챈들러, 스웰러, 투오비넨(2001)은 [학습자가 도메인 지식이 낮거나 없을 때], 효과가 있는 예시를 가진 학습이 처음에 학습자에게 도움이 된다는 것을 발견했다. 

    • 그들의 [도메인 지식이 증가]함에 따라, 안내되지 않은 문제 해결보다 작업한 예제의 효율성은 사라졌다. 

그러나 이러한 연구는 초기 전문지식을 구축하기 위해서는 [직접 교육]을 사용해야 하며, 지침이 없는 문제 해결을 위해 작업한 예제의 사용을 줄이거나 제거해야 한다는 권고를 유지하고 있다.

Note that there are CLT studies that take into account learners’ prior knowledge. For example, Kalyuga, Chandler, Sweller, and Tuovinen (2001) found that the learning with worked examples benefited learners initially when they had low or no domain knowledge. As their domain knowledge increased, the effectiveness of worked examples over unguided problem solving disappeared. However, these studies maintain the recommendation that one should use direct instruction to build initial expertise, and only with the build-up domain expertise that the use of worked examples be diminished or removed in favor of unguided problem solving.


이와는 대조적으로, 개념에 대한 공식적인 지식이 없는 학습자를 위해 안내되지 않은 문제 해결을 사용하는 가능성은 CLT 내에서 탐구되지 않았다. 그러한 학습자들에게, 비록 그들이 아직 공식적으로 그것을 배우지 않았더라도 개념에 대해, 비록 차선적이거나 심지어 부정확하더라도, 그들의 사전 지식을 활성화하고 이끌어낼 수 있는 문제 해결 과제를 설계할 수는 없을까? 이를 달성할 수 있는 정도까지, 장기기억에서 이러한 전리품을 활성화하고 작업함으로써, 작업 메모리 용량의 확장 가능한 측면을 활용할 수 있게 된다. 적어도 이것은 CLT가 허용하는 이론적인 가능성이지만, 아직 충분히 파악되지 않고 있다. 학습자가 사전 지식이 없다고 가정함으로써 CLT의 지지자들은 이론적으로 CLT의 설계 의미를 과소평가한 것으로 보인다.

In contrast, the possibility of using unguided problem solving for learners with initially no formal knowledge of the concept has not been explored within CLT. For such learners, could we not design problem-solving tasks that can activate and elicit their prior knowledge, albeit suboptimal or even incorrect, about a concept even if they have not formally learned it yet? To the extent that we can accomplish this, it follows that by activating and working with these priors in the long-term memory, one can leverage the expandable aspects of the working memory capacity. At the very least, this is a theoretical possibility that CLT allows for, yet it remains underresearched. It seems that the proponents of CLT, by assuming learners have no prior knowledge, have theoretically underdetermined the design implications of CLT.


세 가지 그릇된 추론을 배경으로, 나는 이제 [생산적인 실패] 사례를 증명하는 쪽으로 방향을 틀었다. 나는 처음에 안내되지 않은 문제해결을 통해 학생의 사전지식을 도출하기 위한 문제해결 활동을 설계할 수 있고, 통합의 형태로 적절한 지침을 제공함으로써 그러한 안내되지 않은 문제해결의 효능이 있을 수 있음을 보여 주고, 그 후에 이어지는 지도가 뒤따른다.

Against the backdrop of the three fallacious inferences, I now turn to demonstrating a case for productive failure. I show that it is possible to design problem-solving activities for eliciting students’ prior knowledge through unguided problem-solving initially, and that there can be an efficacy of such unguided problem solving provided an appropriate guidance in the form of consolidation and instruction subsequently follows.


생산적 실패

PRODUCTIVE FAILURE


생산적 실패에는 두 가지 단계가 수반된다: [문제 해결] 단계 다음에 [통합(또는 지시)] 단계가 뒤따른다(설계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Kapur & Bielaczyc, 2012 참조). 

  • 문제 해결 단계는 학생들이 새롭고 복잡한 문제에 대한 다중 해결책의 가치와 제약을 만들고 탐구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 통합 단계에서는 학생 생성 솔루션을 표준 솔루션으로 비교, 대조, 구성 및 조립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Productive failure involves two phases: a problem-solving phase followed by a consolidation (or instruction) phase (for a fuller description of the design, see Kapur & Bielaczyc, 2012). 

  • The problem-solving phase affords opportunities for students to generate and explore the affordances and constraints of multiple solutions to novel, complex problems. 

  • The consolidation phase affords opportunities for comparing and contrasting, organizing, and assembling the relevant student-generated solutions into canonical solutions.


이제 가르치기 전에 새로운 문제에 대한 해결책을 도출하는 것이 학생들이 가르침으로부터 더 나은 학습을 하도록 도울 수 있다는 증거가 늘어나고 있다(Kapur & Rummel, 2012). 증거는 강의실의 실제 생태학(예: Kapur, 2012, 2013; Kapur & Bielaczyc, 2011; Schwartz & Bransford, 1998; Schwartz & Martin, 2004)에서 수행된 quasiexperiment 연구뿐만 아니라 통제된 실험 연구(예: DeCaro & Ritle-Johnson, 2012; Kapur)에서도 나온다.Dinger, 2011; R. A. Schmidt & Bjork, 1992; Schwartz, Chase, Oppezo, & Chin, 2011).

There is now a growing body of evidence that generating solutions to novel problems prior to instruction can help students learn better from the instruction (Kapur & Rummel, 2012). Evidence comes not only from quasiexperimental studies conducted in the real ecologies of classrooms (e.g., Kapur, 2012, 2013; Kapur & Bielaczyc, 2011; Schwartz & Bransford, 1998; Schwartz & Martin, 2004) but also from controlled experimental studies (e.g., DeCaro & Rittle-Johnson, 2012; Kapur, 2014; Loibl & Rummel, 2013, 2014; Roll, Aleven, & Koedinger, 2011; R. A. Schmidt & Bjork, 1992; Schwartz, Chase, Oppezzo, & Chin, 2011).


예를 들어, 8학년 학생들과 함께 한 연구에서 슈워츠와 동료들(2011년)은 학생들을 비교했다. 밀도 개념에 대한 [교육을 받기 전에 대조적인 사례와 함께 솔루션을 개발한 사람]과 [먼저 교육을 받은 후 같은 사례로 연습한 사람]을 비교했다. 이 두 그룹은 절차적 지식에는 영향이 없었지만, [발명 활동은 학생들이 밀도의 깊은 구조를 더 잘 배울 수 있도록 준비시켰고], 이는 순서상 교육을 먼저 받은 학생들보다 더 나은 전이를 초래한다는 것을 발견했다.

For example, in a study with eight-grade students, Schwartz and colleagues (2011) compared students who invented solutions with contrasting cases before receiving instruction on the concept of density with those who were instructed first and then practiced with the same cases. They found that although there was no effect on procedural knowledge, invention activities prepared students to learn the deep structure of density better, which resulted in better transfer than those who received instruction first.


마찬가지로, DeCaro와 Rittle-Johnson(2012년)은 2학년에서 4학년 학생들이 숫자 문장에서 익숙하지 않은 수학 문제를 숫자 문장에 대한 강의를 받기 전이나 후에 풀게 했다. 다시 한 번, 절차적 지식에는 차이가 없었지만, 문제를 먼저 푼 학생들은 처음 교육을 받은 학생들보다 개념적 이해가 더 발달했다.

Likewise, DeCaro and Rittle-Johnson (2012) had second- to fourth- grade students solve unfamiliar math problems on number sentences before or after receiving instruction on number sentences. Once again, there was no difference on procedural knowledge, but students who solved problems first developed better conceptual understanding than those who first received instruction.


좀 더 최근에는 9학년 학생들이 표준편차 개념을 배우는 무작위 통제 실험에서 카푸르(2014년)는 학생들이 지시를 받기 전이나 후에 새로운 문제에 대한 해결책을 개별적으로 만들어 내도록 했다. 그 역시 절차적 지식에서 차이를 발견하지는 못했지만, 강의에 앞서 문제해결에 참여한 학생들은 강의 후 문제해결에 참여한 학생들보다 개념적 이해와 전달에 있어 현저하게 우수한 성과를 보였다.

More recently, in a randomized controlled experiment with ninth-graders learning the concept of standard deviation, Kapur (2014) had students individually generate solutions to a novel problem before or after receiving instruction. He too found no difference on procedural knowledge, but students who engaged in problem solving prior to instruction demonstrated significantly better performance on conceptual understanding and transfer than those who engaged in problem solving after instruction.


교육 이전에 문제 해결의 준비 효과를 뒷받침하는 몇 가지 상호의존적인 메커니즘이 있다. 첫째, 문제 해결부터 시작하여 학생들이 자신의 이전 지식을 사용하여 문제에 대한 차선책 또는 심지어 부정확한 해결책을 생성할 수 있다면 관련 사전 지식을 활성화activating하고 차별화differentiating하는 것이 더 나을 수 있다(DeCaro & Rittle-Johnson, 2012; Schwartz, Chase, Oppezo, 2011; Sigler, 1994). 학생들이 해결책을 생성하기 위해 사전 지식에만 의존할 수 있기 때문에, 이러한 해결책의 특성은 활성화된 지식의 유형과 목표 개념과 관련하여 이 지식이 어떻게 관련되는지를 측정한다(Kapur, 2014; Loibl & Rummel, 2014; Westermann & Rummel, 2012). 

There are several interdependent mechanisms underpinning the preparatory effects of problem solving prior to instruction. First, starting with problem solving may be better at activating and differentiating relevant prior knowledge provided students are able to use their priors to generate suboptimal or even incorrect solutions to the problem (DeCaro & Rittle-Johnson, 2012; Schwartz, Chase, Oppezzo, & Chin, 2011; Siegler, 1994). Because students can rely only on their prior knowledge to generate solutions, the nature of these solutions provides a measure of the types of knowledge that was activated and how this knowledge is relevant in relation to the targeted concept (Kapur, 2014; Loibl & Rummel, 2014; Westermann & Rummel, 2012). 


둘째로, 선행 지식 활성화는 학생들에게 다음 기회를 제공할 수 있다. 

  • (a) 사전 지식의 비일관성과 한계를 인식한다(DeCaro & Rittle-Johnson, 2012; Loibl & Rummel, 2014; Ohlsson, 1996). 

  • (b) 학생 생성 솔루션과 후속 교육 중에 올바른 솔루션을 비교 및 대조하여 학생들이 새로운 개념의 중요한 기능에 참여하고 더 잘 인코딩할 수 있도록 돕는다(Kapur, 2014; Schwartz, Chase, Oppezo, & Chin, 2011). 

Second, prior knowledge activation may in turn afford more opportunities for students to 

  • (a) notice the inconsistencies in and realize the limits of their prior knowledge (DeCaro & Rittle-Johnson, 2012; Loibl & Rummel, 2014; Ohlsson, 1996) and 

  • (b) compare and contrast student-generated solutions and correct solutions during subsequent instruction, thereby helping students’ to attend to and better encode critical features of the new concept (Kapur, 2014; Schwartz, Chase, Oppezzo, & Chin, 2011). 


마지막으로, 인지적 이점 외에도, 교육 이전의 문제 해결은 더 큰 학습자 기관의 영향적 이점뿐만 아니라, 목표한 개념을 학습하기 위한 참여와 동기 또한 가질 수 있다. (Belenky&Nokes-Malach, 2012; Clifford, 1984; Hiebert & Grows, 2007)

Finally, besides the cognitive benefits, problem solving prior to instruction may also have affective benefits of greater learner agency, as well as engagement and motivation to learn the targeted concept (Belenky& Nokes-Malach, 2012; Clifford, 1984; Hiebert & Grouws, 2007).



이러한 연구는 [지침이 없는 문제 해결]의 효과가 있다는 확실한 증거를 제공하지만, 어떤 형태의 통합과 지시가 뒤따를 경우에만 그렇다. 또한 [직접 교육]보다 생산적인 실패의 더 큰 효력은 절차적 지식의 발달이 아니라 개념적 지식과 전달에 있다.

These studies provide robust evidence that there is an efficacy of unguided problem solving, but only if some form of consolidation and instruction follows. Note also that the greater efficacy of productive failure over direct instruction lies not in the development of procedural knowledge but in conceptual knowledge and transfer.


여러 생산적 실패에 관한 연구들을 종합하면 그 이점이 실현될 수 있는 주요 설계 특징을 제안한다. 

  • (a) 초기 문제 해결 과제는 학습자가 탐사에 참여할 수 있을 만큼 충분히 도전적이어야 하지만, 학습자가 포기하도록 너무 도전적이어서는 안 된다. 

  • (b) 여러 해결책, 전략 및 표현을 수용해야 한다. 즉, 탐색을 위한 충분한 문제와 해결책 공간을 제공해야 한다. 

  • (c)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학습자의 사전 지식(직관적이고 형식적)을 활성화해야 한다. 

  • (d) 교사나 전문가는 학생이 만든 솔루션을 올바른 솔루션과 비교 및 대조하여 목표 개념의 중요한 특징에 대한 주의를 유도하고 인코딩을 지원함으로써 이를 토대로 해야 한다.

A synthesis across several productive failure studies suggests key design features for its benefits to be realized: 

  • (a) The initial problem-solving task should be challenging enough to engage the learner in the exploration, but not so challenging that the learner gives up; 

  • (b) it must admit multiple solutions, strategies, and representations, that is, afford sufficient problem and solution spaces for exploration; 

  • (c) the problem should activate learner’s prior knowledge— formal as well as intuitive—to solve the problem; and 

  • (d) a teacher or an expert should build upon the student-generated solutions by comparing and contrasting them with the correct solution, thereby directing attention to and aiding encoding of the critical features of the targeted concept.


학생들이 초기 문제해결 단계에서 반드시 올바른 해결책을 만들거나 배우지 않는 생산적인 실패와 달리, 생산적인 성공은 [문제해결과 학습 모두를 성공적으로 이끌어내는 방법]으로 초기 문제해결 과정을 가이드한다.

Unlike productive failure, where students do not necessarily generate or learn the correct solutions in the initial problem-solving phase, productive success guides the initial problem-solving process in ways that leads to both successful problem solving and learning.


생산적 성공

PRODUCTIVE SUCCESS


  • 생산적인 실패와 생산적인 성공 사이의 차이는 미묘하지만 중요한 것이다. 생산적인 실패의 목표는 이후의 교육으로부터 배우는 준비다. 따라서, 학생들이 처음에 성공적인 문제 해결 성과를 거두지 못해도 상관없다

  • 이와는 대조적으로, 생산적인 성공의 목표는 성공적인 문제 해결 활동 자체를 통해 배우는 것이다. 학생들은 이러한 문제들을 해결할 개념을 모르기 때문에, 문제 해결 과정은 생산적인 실패와는 달리 문제 해결 성공과 학습을 모두 성취하도록 크게 안내된다(Hmelo-Silver, Duncan, & Chinn, 2007).

  • The difference between productive failure and productive success is a subtle but an important one. The goal for productive failure is a preparation for learning from subsequent instruction. Thus, it does not matter if students do not achieve successful problem-solving performance initially. 

  • In contrast, the goal for productive success is to learn through a successful problem-solving activity itself. Because students do not know the concepts to solve these problems, the problem-solving process, unlike in productive failure, is heavily guided to achieve both problem-solving success and learning (Hmelo-Silver, Duncan, & Chinn, 2007).


생산적인 성공의 확립된 잘 알려진 예는 PBL이다. 이름에서 알 수 있듯이, PBL은 학생들의 학습을 협력적이고 진실한 문제 해결 과제와 활동에 배치한다. 학생들은 PBL을 통해 협업, 커뮤니케이션, 성찰 기술은 물론 목표한 도메인 지식을 배운다(Hmelo-Silver, Duncan, & Chinn, 2007). PBL은 재료에 걸쳐 분산된 다양한 비산물에 의해 지원되며, 기술 도구, 그리고 가장 중요한 것은 교사 및 도메인 전문가(Puntambekar & Kolodner, 2005)이다. 교사는 학생의 행동을 모델화하고, 질문을 통해 학생의 문제 해결을 지도하며, 중요한 특징에 주의를 기울여 학습자가 비계와 지도 없이는 할 수 없는 것을 성취하도록 돕는다. 의도된 결과는 성공적인 문제 해결과 학습이다.

An established and well-researched example of productive success is PBL. PBL, as the name suggests, situates student learning in collaborative and authentic problem solving tasks and activities. Through PBL, students learn the targeted domain knowledge, as well as collaboration, communication, and reflection skills (Hmelo-Silver, Duncan, & Chinn, 2007). PBL is supported by a range of scaffolds distributed across the materials; technological tools; and, most important, teachers and domain experts (Puntambekar & Kolodner, 2005). Teachers model behavior, guide student problem solving by asking questions, and directing attention to critical features to help the learner achieve what he or she would not be able to without the scaffolds and guidance. The intended result is both successful problem solving and learning.


PBL은 전통적인 직접 지시와 수많은 비교의 대상이 되어 왔다. 그러나 메타 분석 연구의 증거는 혼재되어 있다(예: 알바네즈 & 미첼, 1993; 버논 & 블레이크, 1993). 예를 들어 버논과 블레이크(1993)는 전통적인 직접지시는 기초 의학지식의 습득에 더 나은 반면, PBL지시는 임상실무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그 지식을 이전하는 데 더 낫다는 것을 발견했다. 도치, 세거스, 반덴 보스체, 기즈벨스(2003) 메타분석 결과 PBL 학생들이 지식응용에서 더 좋은 성적을 냈을 뿐만 아니라 기초지식취득에 대한 PBL보다 직접지식의 이점이 의과대학 2학년 이후 사라졌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Gijbels와 동료(2005)는 유사한 연구 결과를 반복했다: PBL은 도메인의 기본 원칙과 이러한 원칙들이 어떻게 개념을 연결하는지에 대한 더 나은 개념적 이해를 개발하는 데 도움을 주었다. 그들의 분석은 더욱 흥미로웠으며, "학생에 의한 지식의 응용을 평가하는 기구의 능력이 우수할수록 PBL의 확인된 효과는 더 크다"(45 페이지)는 것을 시사했다. 마지막으로, 가장 최근의 270 비교 메타분석에서, H. G. 슈미트, 반 데르 몰렌, 테 윙클, 그리고 바이넨(2009)은 의학 지식과 진단 추리에 작지만 긍정적인 영향을, 그리고 PBL을 지지하는 의학 기술에 훨씬 더 강한 영향을 발견하였다.

PBL has been subject to numerous comparisons with traditional direct instruction. Meta-analytic studies, however, provide mixed evidence (e.g., Albanese & Mitchell, 1993; Vernon & Blake, 1993). For example, Vernon and Blake (1993) found that whereas traditional direct instruction was better for the acquisition of basic medical knowledge, PBL instruction was better in transferring that knowledge to solve problems in clinical practice. Dochy, Segers, Van den Bossche, and Gijbels (2003) meta-analysis found not only that PBL students performed better on knowledge application but also that the advantage of direct instruction over PBL on basic knowledge acquisition vanished after the 2nd year of medical school. Gijbels and colleagues (2005) echoed similar findings: PBL helped develop better conceptual understanding of the underlying principles of the domain and how these principles link the concepts. Even more interesting, their analysis suggested that “the better the capacity of an instrument for evaluating the application of knowledge by the student, the larger the ascertained effect of PBL” (p. 45). Finally, in the most recent meta-analyses of 270 comparisons, H. G. Schmidt, van der Molen, te Winkel, and Wijnen (2009) found small but positive effects on medical knowledge and diagnostic reasoning, and much stronger effects on medical skills in favor of PBL.


앞서 언급한 메타분석에 포함된 거의 모든 연구에는 의대생이 참여했으며, 이는 일반화의 범위를 다른 영역과 연령층으로 제한한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따라서, 의학교육과 고등교육의 맥락에서 PBL의 효과를 검토할 가치가 있다. 예를 들어, preservice 교사들을 대상으로 한 세로적 준 실험 연구에서 데리, 흐멜로 실버, 나가라얀, 체르노빌스키, 베이첼(2006)은 전통적인 가르침보다 PBL에 유리한 이전 효과를 일관되게 보여주었다. 잘 통제된 실험 연구에서, 카폰과 쿤(2004)은 PBL에 종사하는 성인 MBA 학생들이 목표 개념에 대한 강연을 먼저 받은 학생들보다 목표 개념에 대한 더 큰 개념 이해를 보인다는 것을 발견했다. 선언적 지식에는 이렇다 할 영향이 없었다. 쿤과 딘(2005)도 비슷한 결과를 얻었다.

It is important to note that almost all the studies included in the aforementioned meta-analyses involved medical students, which limits the scope of generalization to other domains and age groups. Therefore, it is worthwhile examining the effectiveness of PBL beyond medical education, both in the schools and higher education contexts. For example, in a longitudinal quasi-experimental study with preservice teachers, Derry, Hmelo-Silver, Nagarajan, Chernobilsky, and Beitzel (2006) demonstrated consistently better transfer effects in favor of PBL over traditional instruction. In a well-controlled experimental study, Capon and Kuhn (2004) found that adult MBA students who engaged in PBL followed by a lecture on the targeted concepts demonstrated greater conceptual understanding of the targeted concepts than those who received a lecture first followed by PBL. There were no significant effects on declarative knowledge. Similar results were obtained by Kuhn and Dean (2005).


학교 맥락에서, 아마도 PBL에 대한 가장 설득력 있는 증거는 밴더빌트(1992)의 인지 및 기술 그룹에 의한 고정된 교육, 즉 PBL의 한 종류에 대한 대규모 연구로부터 얻을 수 있을 것이다. 미국 11개 주에 걸쳐 중학교 수학 교실에서 실시된 PBL 학생들은 표준화된 시험과 이전 문제에서 일치된 비교 시험보다 훨씬 더 우수한 성적을 보였다. 고등학교 맥락에서 PBL에 대한 멀티스쿨 연구에서 나온 추가 증거는 전통적인 직접 지도에서 상대 학생보다 PBL 학생들에게 더 나은 지식 이득을 찾아낸 Mergendoller, Maxwell, Bellisimo(2006)의 연구에서 나온다.

In school contexts, perhaps the most convincing piece of evidence for PBL comes from a large-scale study on anchored instruction—a type of PBL—by the Cognition and Technology Group at Vanderbilt (1992). Conducted in middle-school mathematics classrooms across 11 U.S. states, PBL students showed significantly better performance on standardized tests as well as transfer problems than their matched comparison counterparts. Further evidence from a multischool study of PBL in high school contexts comes from a study by Mergendoller, Maxwell, and Bellisimo (2006), who found better knowledge gains for PBL students than their counterparts in traditional direct instruction.


전체적으로 효과의 패턴은 일관성이 있어 보인다. 전통적인 [직접 교육]과 비교하여, PBL은 기본 지식의 습득에는 영향이 없거나 심지어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지만, 개념적 이해와 전이에는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이 증거의 본문은 문제해결 활동을 중심으로 한 지시를 설계한 다음, 성공적인 문제해결과 학습, 즉 생산적인 성공으로 이어지는 방식으로 이러한 활동을 지원하고 지도하는 것이 가능하다는 것을 시사한다.

Overall, the pattern of effects seems consistent. Compared to traditional direct instruction, PBL may have a null or an even negative effect on the acquisition of basic knowledge but a positive effect on conceptual understanding and transfer. This body of evidence suggests that is possible to design instruction centered on problem-solving activities, and then supporting and guiding these activities in ways that lead to successful problem-solving and learning—in other words, productive success.


1. 생산적인 실패와 생산적인 성공 중 어느 것이 학습에 더 효과적인가?

2. 직접 가르침이 비생산적인 성공의 한 형태가 될 수 있을까?

1. Which is more effective for learning: productive failure or productive success?

2. Could direct instruction be a form of unproductive success?


생산적인 실패와 생산적인 성공 중 어느 것이 학습에 더 효과적인가?

Which is more effective for learning: productive failure or productive success?


생산적인 실패와 생산적인 성공 모두 생산적인 학습 성과로 이어질 수 있지만, 한 쪽이 다른 한 쪽보다 나은지는 분명하지 않다. 생산적인 실패가 생산적인 성공에 어떻게 불리하게 작용하는가? 이 질문에 답하는 것은 문제 해결 실패(또는 성공)가 학습에 필요한 조건인지와 그 정도를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다.

Even though both productive failure and productive success can lead to productive learning outcomes, it is not clear if one is better than the other. How does productive failure fare against productive success? Answering this question would help us understand if and the extent to which problem-solving failure (or success) is a necessary condition for learning.


이상적으로, 깨끗한 실험 비교는 처음에 실패로 이어지는 문제 해결과 성공으로 이어지는 문제 해결과 동일한 지침으로 이어지는 문제 해결의 비교를 수반할 것이다. 그러나 내가 알기로는 그런 실험적인 비교는 존재하지 않는다. 그렇긴 하지만, 그러한 비교를 할 수 있을 정도의 몇몇 연구들은 슈워츠, 체이스, 오페초, 친 (2011)의 연구와 앞서 설명한 데카로와 리틀 존슨 (2012)의 연구들이다. 두 연구 모두에서, 처음에는 문제를 해결하는 데 성공했던 학생들의 비율이 매우 낮았다. 그러나 두 연구 모두 문제해결 성공을 거둔 학생들과 그렇지 못한 학생들을 비교한 결과의 분석을 제공하지 않는다. 그러므로 그 문제는 아직 미해결인 채로 남아 있다.

Ideally, a clean experimental comparison would entail comparing problem solving that initially leads to failure followed by instruction with problem solving that leads to success followed by the same instruction. However, to my knowledge, no such experimental comparison exists. That said, a couple of studies that do come close to affording such a comparison are studies by Schwartz, Chase, Oppezzo, and Chin (2011) and DeCaro and Rittle Johnson (2012) described earlier. In both the studies, there was a nontrivial proportion of students who achieved problem solving success initially. However, neither study provides a breakdown of results comparing students who achieved problem-solving success with those who did not. Thus, the question remains an open one.


질문에 대답하는 또 다른 방법은 생산적인 실패 학생들을 그들의 초기 문제 해결에서 올바른 해결책으로 인도하는 것인데, 그것은 마치 생산적인 성공에서 하는 것과 같다. 그리고 나서, 그들은 그들의 초기 문제 해결 활동에서 지침이 없는 보통의 생산적인 실패 학생들과 비교할 수 있을 것이다.

Another way to answer the question would be by scaffolding productive failure students in their initial problem solving to guide them toward a correct solution, much like one would do in productive success. Then on could compare them with the regular productive failure students who are unguided in their initial problem-solving activity.


카푸르(2011년)는 학생들이 생산적인 실패나 직접적인 교육 조건, 또는 안내된 문제 해결 조건이라고 불리는 세 번째 조건에 배정된 준 실험 연구에서 이 질문을 정확하게 다루었다. 생산적 실패 상태에 있는 학생들은 문제 해결 단계 동안 어떠한 형태의 지도나 지원을 받지 못했지만, 유도 상태guided condition에 있는 학생들은 그 과정 내내 인지적 지원과 촉진제를 제공받았다. 그러한 지침은 전형적으로 교사 설명의 형태로, 문제의 중요한 이슈나 매개변수에 초점을 맞추고, 학생의 정교함과 설명을 유발하는 질문 프롬프트와 생산적인 해결 단계를 향한 힌트를 제공했다(Puntambeckar & H€ubscher, 2005). 조사결과에 따르면, 이 지침guidance이 실제로 문제해결 성공으로 이어진 반면, 생산적인 실패는 어느 것도 올바른 해결책을 만들어내지 못했다. 그러나, 교육 후 사후 시험에서, 생산적 고장 조건의 학생들은 절차적 지식, 개념적 이해, 이전 등에 관한 직접적 지도와 유도적 세대 조건의 학생들을 능가했다. 유도 생성과 직접 지시 조건의 차이는 크지 않았다.

Kapur (2011) addressed precisely this question in a quasi-experimental study where students were assigned to either productive failure or direct instruction conditions, or a third condition called the guided problem-solving condition. Whereas students in the productive failure condition did not receive any form of guidance or support during the problem-solving phase, students in the guided condition were provided with cognitive support and facilitation throughout that process. Such guidance was typically in the form of teacher clarifications, focusing attention on significant issues or parameters in the problem, question prompts that engendered student elaboration and explanations, and hints toward productive solution steps (Puntambekar & H€ubscher, 2005). Findings suggested that the guidance did in fact result in problem-solving success, whereas none of the productive failure students were able to generate the correct solution. However, on the posttest after instruction, students from the productive failure condition outperformed those from both the direct instruction and guided generation conditions on procedural knowledge, conceptual understanding, and transfer. The differences between guided-generation and direct instruction conditions were not significant.


Loibl과 Lummel(2013)은 세 가지 유사한 조건을 가진 연구에서 이러한 효과를 독립적으로 재현했다: 

    • 강의 전 안내되지 않은 문제 해결, 

    • 문제 해결 단계 동안 인지적 프롬프트로 학생들이 지원받는 강의 전 안내된 문제 해결, 

    • 직접 지시. 

Loibl and Rummel (2013) independently replicated this effect in a study with three similar conditions: 

    • unguided problem solving prior to instruction, 

    • guided problem solving prior to instruction in which students were supported with cognitive prompts during the problem-solving phase, and 

    • direct instruction. 


그들은 학생들이 더 나은 품질의 해결책을 도출하는 데 도움을 주는 지침에도 불구하고, 절차적 또는 개념적 이해에 관한 [안내가 있거나] [안내가 없는] 문제 해결 조건 사이에는 큰 차이가 없다는 것을 발견했다. 즉, 초기 문제해결 단계에서의 인지적 가이드가 사후 테스트에서 더 나은 학습으로 이어지지 않았다.

They found that, in spite of guidance helping students generate better quality solution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guided and unguided problem-solving conditions on procedural or conceptual understanding. That is, cognitive guidance during the initial problem-solving phase did not result in better learning on the posttest.


두 연구(Kapur, 2011; Loibl &Rummel, 2013)는 초기 문제 해결의 지침이 문제 해결 성공이나 해결책의 질 향상으로 이어질 수 있지만, 이러한 더 나은 수행이 후속 교육에서 더 나은 학습으로 이어지지는 않는다고 제안한다. 그럴듯한 이유는 특히 학생 생성 솔루션과 표준 솔루션 간의 비교와 대조를 통해 저품질 및 고품질 솔루션이 후속 교육 중에 학습 기회를 제공하기 때문일 수 있다. 또 다른 이유는 문제 해결 성공이 그 해결책이 어떻게 그리고 왜 작동하는지 학생들이 이해하도록 보장하지 않기 때문일 수 있다. 따라서, 초기 문제 해결을 가이드하는 것은 문제 해결의 준비 편익에 추가되지 않을 수 있다.

Both studies (Kapur, 2011; Loibl &Rummel, 2013) suggest that although guidance in the initial problem solving may well lead to problem-solving success or better quality of solutions, this better performance does not translate to better learning from the subsequent instruction. A plausible reason could be that both low- and high-quality solutions present opportunities to learn during the subsequent instruction, especially through a comparison and contrast between the student-generated solutions and the canonical solution. Another reason could be that problem-solving success does not guarantee that students understand how and why the solution works. Thus, guiding initial problem solving may not add to the preparatory benefits of problem solving.


물론 이는 모든 지침이 불필요하다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지만, 초기 문제 해결을 지원하기 위해 지침의 유형을 이해하는 데 더 많은 연구가 필요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This of course implies not that all guidance is unnecessary but that more research is needed to understand the types of guidance is necessary to support the initial problem solving.


직접 지시가 비생산적인 성공의 한 형태가 될 수 있는가?

COULD DIRECT INSTRUCTION BE A FORM OF UNPRODUCTIVE SUCCESS?


한 편으로는, 발견 학습보다 [직접 교육]이 일관되게 우월한 성과를 보여준다는 점에서, [직접 교육]을 비생산적인 성공으로 분류하는 것은 오히려 가혹할 것이다. 한편, 앞의 분석에서 보듯이, 생산적인 실패와 생산적인 성공에 대한 [직접 교육]이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직접지시의 저성능 패턴이 주목되었는데, 이는 기초지식의 습득 측면에서는 그다지 큰 것이 아니라 개념적 이해와 양도에 관한 것이었다.

One one hand, given direct instruction’s consistently superior performance against discovery learning, it would be rather harsh to categorize it as an unproductive success. On the other hand, as the preceding analyses showed, direct instruction was found wanting against productive failure and productive success. Also noted was the pattern of underperformance of direct instruction, which was not so much in terms of the acquisition of basic knowledge but more on conceptual understanding and transfer.


직접 지시의 장기적인 부작용을 이 증거에 추가하라. PBL에 대한 도치, 시거스, 반덴 보스체, 기젤스(2003)의 메타 분석에서 주목할 만한 사실은, [의대 2학년 이후 의대생들의 기초지식 습득에 대한 전통적인 직접교육의 이점이 사라졌다]는 것을 기억하라. 즉, 기초지식 습득에 대한 직접지시의 긍정적 효과조차도 장기적으로 사라져 가는 경향이 있었다. 이 발견은 Dochy et al.의 메타 분석에만 국한되지 않았다. 1992년 이후 PBL의 주요 메타분석 8가지를 종합한 결과, 스트로벨과 반 바네벨드(2009)는 PBL이 단기적으로는 기초지식에 대한 표준화된 시험에서 약간 저조한 성과를 보일 수 있지만, 장기보유와 성능향상에 있어서는 더 효과적이라고 결론지었다.

Add to this evidence the longer term adverse effects of direct instruction. Recall that a striking finding fromDochy, Segers, Van den Bossche, and Gijbels’s (2003) meta-analysis on PBL was that the advantage of traditional direct instruction on medical students’ basic knowledge acquisition disappeared after the 2nd year of college. In other words, even the positive effect of direct instruction on basic knowledge acquisition tended to vanish in the longer term. This finding was not limited to just Dochy et al.’s metaanalysis. In a synthesis of eight major meta-analyses of PBL since 1992, Strobel and van Barneveld (2009) concluded that even though PBL could result in slight underperformance on standardized tests of basic knowledge in the shorter term, it was more effective when it came to long-term retention and performance improvement.


직접 교육이 장기적으로 보았을 때 더 성공적이지 않다는 강력한 실험 증거가 더 있다. 예를 들어, Dean과 Kuhn(2006)은 CVS의 학습에 관한 Klahr와 Nigam의(2004) 연구를 복제했지만, 한 가지 예외는 있었다. 딘과 쿤은 한 번의 강의와 문제해결을 수반하는 단기적인 연구 대신 직접지도만으로, 문제해결에 따른 직접지도, 문제해결만으로 인한 상대적 효과를 비교하는 10주간의 연구를 실시했다. 그들은 직접 교육은 "강건한 습득이나 시간 경과에 따른 유지보수를 위해 필요하거나 충분한 조건도 아님"을 확인했다. 이는 의대생(예: Hmelo, 1998)뿐만 아니라 학교 학생(예: Vanderbilt의 인지 및 기술 그룹, 1992) 및 비의료 고등 교육 학생(예: Derry et al., 2006)과도 일치하는 결론이다.

There is further strong experimental evidence suggesting that direct instruction does not fare well over the longer term. For example, Dean and Kuhn (2006) replicated Klahr and Nigam’s (2004) study on the learning of CVS, but with one exception. Instead of a short-term study involving one session of instruction and problem solving, Dean and Kuhn carried out a 10-week study to compare the relative effects of direct instruction alone, direct instruction followed by problem solving, and problem solving alone. They found that direct instruction was “neither a necessary nor sufficient condition for robust acquisition or for maintenance over time” (p. 384)—a conclusion that is consistent with the other longer term PBL studies, not only with medical students (e.g., Hmelo, 1998) but also with school students (e.g., Cognition and Technology Group at Vanderbilt, 1992) and nonmedical, higher education students (e.g., Derry et al., 2006).


마지막으로, [직접 교육]은 창의성과 창의성의 필수 요소인 새로운 해결책을 찾는 것을 실제로 제약할 수 있다는 새로운 증거를 고려하라. 카푸르(2014년)는 생산적인 학생들이 목표 개념에 대한 교육을 받기 전에 5~6개의 솔루션을 설계할 수 있는 반면, 직접적인 교육 상대자들은 목표 개념에 대한 교육 후 해결할 동일한 문제가 주어졌을 때 올바른 솔루션만을 생산하는 경향이 있다는 것을 발견했다. 이것은 비록 (직접)교육은 학생들에게 올바른 해결책을 만들도록 안내할 수 있지만, 그것은 또한 새로운 해결책을 찾는 것을 제약하고 구속할 수도 있다는 것을 암시하는 것 같다.

Finally, consider emerging evidence that direct instruction may actually constrain search for novel solutions, which is a necessary component of inventiveness and creativity. Kapur (2014) found that, whereas productive students were able to design five to six solutions before receiving instruction on the targeted concepts, their direct instruction counterparts tended to produce only the correct solution when given the same problem to solve after instruction on the targeted concepts. This seems to suggest that although instruction may guide students to produce correct solutions, it may also create a lock-in and constrain search for new solutions. 


카푸르의 연구 결과는 보나위츠 외 연구진(2011년)의 연구와 일치하는데, 이들은 어른들의 지도 없이 장난감을 가지고 노는 어린이들에게 비슷한 효과를 보여주었다. 보나위츠 외 연구진(2011년)은 학생들이 지식 있는 성인의 가르침으로부터 자신이 배워야 할 모든 관련 지식과 절차는 이미 가르쳤다는 것을 추론하는 경향이 있다는 설명을 강의 중에 진전시켰다. 한편으로 이런 식의 추론이 올바른 해결책을 산출할 가능성을 증가시키지만, 다른 한편으로 새로운 해결책을 찾는 것을 어렵게하는 댓가를 요구한다.

Kapur’s findings are consistent with the work of Bonawitz et al. (2011), who demonstrated a similar effect on children playing with toys with versus without guidance from adults. Bonawitz et al. (2011) advanced the explanation that students tended to infer from instruction by a knowledgeable adult that all the relevant knowledge and procedures that they need to learn had already been taught during instruction. Such an inference, on one hand, increases the likelihood producing correct solutions but, on the other hand, comes at the expense of limiting exploration and search for new solutions.


직접 지시로 인한 underperformance를 설명할 수 있는 것은 무엇인가? 부분적으로 그 해답은 단순히 인지과학이 오랫동안 잘 확립되고 알려진 것에 있을 수 있다. 전문가들은 초보자와는 다른 점을 주목한다. 전문가들은 도메인의 깊은 구조와 중요한 특징에 주목하는 경향이 있는 반면, 초보자들은 피상적인 특징에 더 많이 관심을 갖는다. 

What might explain the underperformance of direct instruction? The answer, in part, may simply lie in what the cognitive sciences have well-established and known for a very long time: Experts notice different things from novices. Experts tend to notice the deep structure and critical features of the domain, whereas novices attend more to the superficial features (Chase & Simon 1973; Chi, Glaser, & Farr, 1988; De Groot, 1965). 


그렇다면, [직접 교육]을 시작할 때, 초보자는 도메인의 중요한 특징과 깊은 구조를 알아차릴 준비가 되어 있다고 가정한다. 그러나 [초보]의 정의에 따르면, 이 가정은 옹호될 수 있지 않다. 슈워츠와 동료들(Schwartz & Bransford, 1998; Schwartz, Chase, Oppezo, & Chin, 2011; Schwartz & Martin, 2004)은 초보자는 [직접 교육] 동안 도메인 지식의 중요한 특징을 인지하고 인코딩할 수 있는 필요한 사전 지식 분화를 가지고 있지 않다는 것을 입증했다.

It follows, then, that in starting with direct instruction, one makes the assumption that novices are prepared to notice the critical features and deep structure of the domain—an assumption that, by the very definition of a novice, is not tenable. Schwartz and colleagues (Schwartz & Bransford, 1998; Schwartz, Chase, Oppezzo, & Chin, 2011; Schwartz & Martin, 2004) have demonstrated that novices do not have the necessary prior knowledge differentiation to be able to notice and encode critical features of domain knowledge during direct instruction.


[직접 교육]이 인지 부하를 감소시킬 수 있다 하더라도, 초보자가 인지부하 감소의 이점을 인지할 가능성이 낮기 때문에 상쇄될 수 있고, 결과적으로 도메인의 중요한 특징과 깊은 구조를 인코딩할 수 있다. 더 강하게 말하면, [만약 인지 부하 감소]가 [중요하지 않은 특징의 인지 및 인코딩]을 더 촉진한다면, 실제로 역효과를 초래할 수 있다. 개념적 이해와 전이를 가능하게 하는 것은 바로 심층 구조와 중요한 특징의 인식과 인코딩이다(Bassok, 1996; Belenky & Schalk, 2014; Braithwate & Goldstone, 2015; Kaminski, Sloutsky, & Hecler, 2008, 2013).

Even though direct instruction may reduce cognitive load, the benefit of a reduced cognitive of load maybe offset by the lower likelihood of novices to notice and consequently encode critical features and deep structure of the domain. Put more strongly, a reduced cognitive load may in fact be counterproductive if it allows for the noticing and encoding of features that are not critical. It is really the noticing and encoding of deep structure and critical features that makes for conceptual understanding and transfer (Bassok, 1996; Belenky & Schalk, 2014; Braithwate & Goldstone, 2015; Kaminski, Sloutsky, & Heckler, 2008, 2013).


그러므로 학습의 목표가 개념의 전이는 물론이거니와, 그에 상응하는 이해가 아니라, [문제 해결을 위한 기초지식의 습득]이라면, [직접교육]은 상당히 좋은 일을 한다. 그러나 이러한 결론조차도 장기간의 비교에 비추어 볼 때 지나치게 관대할 수도 있다. 그 대신 깊은 이해나 전이가 없는 상태에서 기초지식의 습득을 문제로 본다면 직접적인 가르침을 생산적인 실패와 생산적인 성공에 비례하는 비생산적인 성공으로 분류하는 것은 그렇게 가혹하지 않다. 분류의 [상대적 성격]을 강조하는 것이 중요하다; 어떤 것에 대해 생산적인 성공으로 보이는 것은 다른 것에 대해 비생산적인 성공으로 보일 수 있다.

Therefore, if the goals of learning are largely the acquisition of basic knowledge for problem solving without a commensurate understanding the concepts, let alone being able to transfer them, then direct instruction does a fairly good job. However, even this conclusion may be overly generous in the light of the longer term comparisons. Instead, if one views the acquisition of basic knowledge without deep understanding or transfer as a problem, then it is not as harsh to categorize direct instruction as an unproductive success relative to productive failure and productive success. It is important to emphasize the relative nature of the categorization; what seems productive success against one thing can seem unproductive success against another.


고찰

DISCUSSION


몇 가지 함의가 뒤따른다.

Several implications follow.


[(어떤 쪽이든) extreme은 그다지 유용하지 않다는 것]과 [안내되지 않은 문제해결과 과중지도가 있는 직접지시]의 [이분법은 버려야 한다는 것]은 꽤 분명하다. 두 극단 사이에는 최적의 학습을 달성하기 위해 활용할 수 있는 넓은 디자인 공간이 있다. 

  • 생산적인 실패는 이 설계 공간을 어떻게 활용하여 지침이 없는 문제 해결과 명시적 지시의 탐구적 이점을 결합할 수 있는지를 보여준다(Kapur & Rummel, 2012). 

  • 마찬가지로, 생산적인 성공은 학생들이 학습이 문제에 놓여 있을 때 더 잘 배우는 경향이 있고, 문제 해결과 학습을 모두 성공적으로 이끌어내기 위해 문제를 해결하는 동안 적절한 발판이 마련되는 예를 제공한다(Hmelo-Silver, Duncan, &Chinn, 2007).

It is quite clear that the extremes are not very useful and that we need to abandon the dichotomy between unguided problem solving and heavily guided direct instruction. There is a large design space in between the two extremes that can be exploited to achieve optimal learning. 

  • Productive failure provides an example of how this design space can be exploited to combine the exploratory benefits of unguided problem solving and explicit instruction (Kapur & Rummel, 2012). 

  • Likewise, productive success provides an example of how students tend to learn better when their learning is situated in problems and are appropriately scaffolded during their problemsolving to bring about both successful problem solving and learning (Hmelo-Silver, Duncan, &Chinn, 2007).


더욱이, 무엇이 학습으로 간주될 것인가는 한 사람이 헌신commit하는 학습 목표의 맥락과 종류에 달려 있다(Kuhn, 2007). CLT는 학습을 장기 기억력의 변화를 초래하는 스키마 획득으로 정의한다(Kirschner, Souler, & Clark, 2006). 분명히 정의는 제한되어 있다. 스키마 습득만으로는 배울 것이 없다. 문제해결, 탐구, 논증, 추론, 발명, 메타인지와 자기조절, 인식적 유창성과 유연성, 적응성, 협업성, 지식구축, 학습학습 등은 더욱 중요한 학습목표는 아니더라도 모두 동등하게 중요하다(Beeriter & Scardamalia, 2006). 따라서, 교육 방법의 선택은 다양한 유형의 학습 목표를 고려할 필요가 있다. 반대로, 학습의 좁은 정의에서 도출된 지침 설계 처방을 일반화하여 적용할 수는 없다(Kuhn, 2007).

Furthermore, what counts as learning depends upon the context and the kinds of learning goals one commits to (Kuhn, 2007). CLT defines learning as schema acquisition resulting in a change in the long-term memory (Kirschner, Sweller, & Clark, 2006). Clearly, the definition is limited. There is more to learning than schema acquisition alone. Problem solving, inquiry, argumentation, reasoning, inventing, metacognition and self-regulation, epistemic fluency and flexibility, adaptiveness, collaboration, knowledge building, learning to learn, and so on, are all equally if not even more important goals of learning (Bereiter & Scardamalia, 2006). Therefore, the choice of instructional method needs to take into account the various types of learning goals. Conversely, instructional design prescriptions derived from a narrow definition of learning cannot be applicable more generally (Kuhn, 2007).


CLT는 속담에 나오는 [아기를 목욕물과 함께 버릴 필요 없이] 몇 가지 기본적인 가정을 재고할 필요가 있다. 나는 두 가지 가정에 초점을 맞춘다: 

(a) 인지 부하는 학습의 주요 메커니즘이며, 

(b) 인지 부하는 무조건 학습에 좋지 않다. 

CLT needs a rethink of some its basic assumptions, without necessarily throwing out the proverbial baby with the bathwater. I focus on two assumptions: 

(a) cognitive load is the main mechanismof learning, and 

(b) higher cognitive load is monotonically bad for learning. 


그러나 두 가지 가정 모두 의심스럽다. 

Both assumptions are questionable. 


인지부하는 하나의 메커니즘에 불과하다또한 학습을 위한 설계 시 다른 

  • 지적(예: 주의력, 활성화, 인지 등), 

  • 사회적(예: 협업, 갈등, 설명 및 정교화 등), 

  • 화적(예: 규범, 가치관) 

...메커니즘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다시 말하지만, 설계에 내재된 메커니즘의 선택은 학습 목표에 따라 달라질 것이다.

Cognitive load is but one mechanism. We also need to take into account 

  • other cognitive (e.g., attention, activation, noticing, etc.), 

  • social (e.g., collaboration, conflict, explanation and elaboration, etc.), and 

  • cultural (e.g., norms, values) mechanisms when designing for learning. 

Again, the choice of mechanisms embodied in a design would depend upon the learning goals.


인지 부하가 높을수록 학습이 더 나쁜 것은 아닐 수도 있다. 때로는 높은 인지 부하가 주의를 끌고 사전 지식을 활성화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으며, 이는 학생들이 교육을 통해 더 잘 인식하고 학습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 생산적 실패에 대한 연구에서 초기 문제 해결 단계가 더 높은 인지 부하를 발생시킨다는 증거가 있다(Kapur, 2012, 2014). 그러나, 앞에서 설명한 연구결과에서 알 수 있듯이, 그것은 또한 이후의 교육으로부터 더 나은 학습으로 이어진다. 즉, CLT의 예측과는 달리 인지 부하가 항상 단조롭게 학습에 나쁜 것만은 아닐 수 있다. 일정량의 부하, 심지어 높은 부하도 학습에 생산적일 수 있다.

It may also not always be true that the higher the cognitive load, the worse the learning. A higher cognitive load at times may in fact be good for driving attention and activating prior knowledge, which may in turn help students notice and learn better from instruction. There is evidence from research on productive failure suggesting that the initial problem-solving phase engenders a higher cognitive load (Kapur, 2012, 2014). Yet, as the findings described earlier show, it also leads to better learning from subsequent instruction. In other words, contrary to the predictions of CLT, cognitive load may not always be monotonically bad for learning. A certain amount of load, even high load, can be productive for learning.


CLT의 기본적인 가정 중 일부에 대한 질문과 함께 학습 목표 유형의 다양성을 고려한다면, CLT의 적용 범위를 재고하는 결과를 초래할 뿐이다. 다시 생각해보는 과정은 CLT 커뮤니티 내에서 이미 시작되었다. 칼유가와 싱(2015년)은 CLT 적용 범위에 대한 재검토를 요구했다. 구체적으로는 CLT가 스키마 기초지식 습득이라는 교육목표에 크게 관여해 왔다고 주장했다. 이는 CLT에서 발생하는 교육적 권고를 단지 교육적 목표가 그것일 뿐이며, 복잡한 문제 기반 학습 환경과 같이 기본적인 지식 스키마의 습득을 넘어서는 목표가 되는 맥락으로 확대되지 않을 수 있다고 그들은 주장했다.

Taking the variety in the types of learning goals in account together with a questioning of some of the basic assumptions of CLT will result only in a rethinking of its scope of applicability. The rethinking process has already started from within the CLT community. Kalyuga and Singh (2015) called for a reconsideration of the scope of applicability of CLT. Specifically, they argued that CLT has largely been concerned with the instructional goal of schema acquisition of basic knowledge. This, they argued, may limit the instructional recommendations arising out of CLT to context where the instructional goal is just that, and not extend to contexts where the goals that go beyond acquisition of basic knowledge schemas, such as in complex problem-based learning environments.


마지막으로, 오랜 기간 교육자-구성주의자 논쟁에서(Kirschner, Souler, & Clark, 2006; Tobias & Duffy, 2009), [구성주의자 인식론]에 대한 헌신이 반드시 [발견 학습]에 대한 헌신을 의미하지는 않는다는 것을 명확히 할 가치가 있을 수 있다(Kapur, 2015). 대신에, 그것은 학습자의 사전 지식을 바탕으로 하는 헌신을 필요로 한다. 그러나 그 선행지식이 무엇인지를 애초에 모른다면 선행지식을 바탕으로 쌓을 수 없다. 학습자가 무엇을 알고 있는지, 그리고 그 지식이 어떻게 새로운 개념을 배우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는지 알아내는 것은 비계 개념의 핵심이다(Pea, 2004). CLT는 처음부터 중비계를 주장하기 때문에 비계 개념을 잠시 다시 생각해 볼 가치가 있을 수 있다.

Finally, stepping into the long-standing instructivist– constructivist debate (Kirschner, Sweller, & Clark, 2006; Tobias & Duffy, 2009), it is perhaps worth clarifying that a commitment to a constructivist epistemology does not necessarily imply a commitment to discovery learning (Kapur, 2015). Instead, it requires a commitment to building upon learners’ prior knowledge. However, one cannot build upon prior knowledge if one does not know what that prior knowledge is in the first place. Finding out what a learner knows and how that knowledge can be used to help them learn new concepts is central to the concept of scaffolding (Pea, 2004). Because CLT argues for heavy scaffolding right from the start, it may be worthwhile to briefly revisit the concept of scaffolding.


비계 이론은 [가이드는 최소화되어야 하며, 학습자에게 문제나 과제를 계속 해결할 수 있는 기회가 처음 주어진 후에만 제공되어야 한다]고 주장한다(우드, 브루너, 앤 로스, 1976). 그렇다면 우드, 브루너, 로스(1976)가 원래 구상한 비계의 개념이 결국 근위부 개발 구역(ZPD; 브루너, 1986; 비구츠키, 1978)의 비구츠키 개념과 연결되었다는 것은 놀라운 일이 아니다. 

Scaffolding theory argues for guidance to be minimal and provided only after the learner has first been given opportunities to persist in solving a problem or a task (Wood, Bruner, & Ross, 1976). It is not surprising, then, that the notion of scaffolding originally conceived by Wood, Bruner, and Ross (1976) was eventually linked to the Vygotskian notion of the zone of proximal development (ZPD; Bruner, 1986; Vygotsky, 1978). 


ZPD는 "[독립적인 문제 해결에 의해 결정되는 아동의 실제 발달 수준]과 [성인 지도와 더 유능한 또래와의 협력을 통해 결정되는 더 높은 수준의 잠재적 발달 수준] 사이의 거리"로 정의된다(Vygotsky, 1978, 페이지 86). 학습자가 이 간격을 메울 수 있도록 하려면 지지적 구조의 제공이 필요하다. 지지적 구조가 반드시 더 유능한 '사람'(예: 교사, 전문가)의 형태일 필요는 없지만 도구, 교육 촉진 등을 포함할 수 있다(Puntambeckar &Hubscher, 2005).

The ZPD is defined as the “distance between the child’s actual developmental level as determined by independent problem solving and the higher level of potential development as determined through problem solving under adult guidance and in collaboration with more capable peers” (Vygotsky, 1978, p. 86). Enabling the learner to bridge this gap requires the provision of support structures, which need not necessarily be in the form of a more capable person (e.g., a teacher, expert) but may also include tools, instructional facilitation, and so on (Puntambekar &Hubscher, 2005).


비계 이론과 비구츠키안 ZPD 모두 학습자가 스스로 달성할 수 있는 한계에 대해 먼저 확인해야 한다(Bruner, 1986). 그러나 학습자가 성취할 수 없는 것이 무엇인지 확실히 확인하지 않고는 학습자가 스스로 성취할 수 있는 것의 한계를 확인할 수 없다. 후자를 확인하려면 학습자가 스스로 문제를 해결하거나 과제를 완료하지 못할 수 있다. 그런 다음 이 고장의 분석을 통해 전문가가 적절한 비계를 설계하고 관리하는 데 중요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Pea, 2004).

In both scaffolding theory and Vygotskian ZPD, one must first ascertain the limits of what learners can achieve on their own (Bruner, 1986). But it is not possible to ascertain the limits of what learners can achieve on their own without concomitantly ascertaining what it is that they cannot. Ascertaining the latter would invariably entail learners failing to solve problems or complete tasks on their own. An analysis of this failure would then provide critical information for an expert to design and administer appropriate scaffolds (Pea, 2004).


생산적 성공을 위한 설계에 있어서 비계의 중심성과 앞에서 주장했듯이, 비계란 [필연적으로 학습자가 스스로 달성할 수 없는 것에 대한 결정]을 수반한다는 점을 고려하면, [생산적 성공]이란 [생산적 실패반복적 주기로 구현하는 설계]로 충분히 구상embodied될 수 있다는 것을 논리적으로 따른다.

Given the centrality of scaffolding in designing for productive success, and that scaffolding, as argued earlier, necessarily entails a determination of what a learner is not able to accomplish on his or her own, it logically follows that productive success could well be conceived as a design that embodies iterative cycles of productive failure.


따라서 최종 분석에서 교육주의자 입장이든, 구성주의자 입장이든, [학습자가 이미 알고 있는 것의 primacy]는 양쪽 모두에게 공통적이고 중요한 것으로 보인다. 교육 설계에 대한 직접적인 함의는 학습자의 사전 지식의 성격과 한계를 먼저 이해한 후 이를 토대로 하기 위한 적절한 지침을 설계하는 것이다. 앞서 주장했듯이, CLT와 관련된 문제의 일부는, 앞서 언급한 함축의 첫 부분이 무시되거나 무효로 가정된다는 것이다. 이와는 대조적으로, 생산적인 실패는 학생들이 특히 문제를 해결하는 데 실패했을 때, 학생들이 알고 있는 것을 유도하기 위해 먼저 유도되지 않은 문제에 학생들을 끌어들이고, 그 다음 이 정보를 사용하여 새로운 지식을 통합하고 조립하는 방법을 제시한다.

In the final analysis, therefore, whether one makes commitment to the instructivist or the constructivist camp, the primacy of what a learner already knows seems to be common and important to both. A direct implication for the design of instruction is to first understand the nature and limits of learners’ prior knowledge, before designing appropriate guidance to build upon it. Part of the problem with CLT, as argued earlier, is that the first part of the aforementioned implication is ignored or assumed to be null. In contrast, productive failure presents a way of first engaging students in unguided problemsolving to elicit what students know, especially in the failure to solve the problem, and then using this information to consolidate and assemble new knowledge.







Abstract

Learning and performance are not always commensurable. Conditions that maximize performance in the initial learning may not maximize learning in the longer term. I exploit this incommensurability to theoretically and empirically interrogate four possibilities for design: productive success, productive failure, unproductive success, and unproductive failure. Instead of only looking at extreme comparisons between discovery learning and direct instruction, an analysis of the four design possibilities suggests a vast design space in between the two extremes that may be more productive for learning than the extremes. I show that even though direct instruction can be conceived as a productive success compared to discovery learning, theoretical and empirical analyses suggests that it may well be an unproductive success compared with examples of productive failure and productive success. Implications for theory and the design of instruction are discussed.


변화는 쉽지 않다: 관리 이론이 의학교육의 변화에 적용(Med Educ, 2020)

Change is never easy: How management theories can help operationalise change in medical education

Lisi Gordon1 | Jennifer A. Cleland2




1 도입 

1 | INTRODUCTION


조직 변화와 개발에 대한 표준적인 사고방식은 [변화는 정책 입안자, 지도자 및 관리자가 조직의 비전, 구조 또는 절차를 변경한 후 다른 사람들이 새로운 전략을 실행하도록 설득할 때 발생함]을 시사한다.1,2 그러나 그러한 하향식(최고 경영자[경영자]가 주도) 변화 노력은 종종 의도한 목적을 충족하지 못하며, 그 대신 [혼란, 개인과 집단으로부터의 변화에 대한 저항, 그리고 의도하지 않은 결과를 초래]한다.3 이것은 의학 교육에서도 다르지 않다. 지난 몇 십 년 동안 의학 교육에 큰 변화가 일어났다.

Standard ways of thinking about organisational change and development suggest that change happens when policymakers, leaders and managers change the vision, structure or procedures of an organisation and then persuade others to implement their new strategy.1,2 However, such top-down (driven by the top [management]) change efforts often fail to meet their intended purposes and instead result in disturbance, resistance to change from individuals and groups, and unintended consequences.3 This is no different in medical education. Major changes have occurred in medical education over the last few decades


이러한 주목할 만한 사례들에도 불구하고, 변화를 위한 다른 시도들은 덜 성공적이었다. 의료 교육에는 다양한 교육과정 구성의 변화, 선택 과정과 의과대학 공간, 그리고 새로운 학습 도구의 도입이 어떻게 계획대로 작동하지 않았는지를 보여주는 많은 예가 있다.10-12 변화의 실제 과정 또한 간단하지 않다: 의학 교육에서 커리큘럼을 개혁하려는 시도는 이전에 도전적이고 파괴적인 것으로 묘사되어 왔으며, 종종 프로세스의 실제적인 개혁은 없이 같은 것만 반복하는 형태의 exercise로 나타났다.

Despite these notable examples, other attempts at change have been less successful. There are plenty of examples in medical education that illustrate how the changing of different curricular ingredients, selection processes and medical school space, and the introduction of new learning tools, did not work as planned.10-12 Nor are the actual processes of change straightforward: attempts to reform curricula in medical education have been previously described as challenging13 and disruptive,14 and often manifest as an exercise that results in the repetition of sameness but no actual reform of the process.15,16


왜 이런가? 우리는 의학교육과 훈련이 매우 복잡하며, 사람, 상황 및 시스템 사이의 다중 관계와 연결에 의해 특징지어지기 때문이라고 믿는다.17 이러한 [상호연결은 그 자체가 광범위한 시스템에 영향을] 미치며, [시스템은 다시 개인과 그룹에 발생]시킨다.3 예를 들어, 맥락 또는 주변 환경prevailing environment은 변화가 구현되고 변화가 일어나고 결과가 나타나는 기본 프레임이다.21 이러한 요인에 대한 깊고 넓은 이해 없이, 복잡한 문제를 단순한 해답을 가지고 있는 것처럼 취급하는 것은, 해결주의solutionism의 희생양이 될 위험을 무릅쓰는 것이다. 그러나 한 곳에서 작용하는 것은 다른 곳에서 작용하지 않을 수도 있다. 개인과 팀은 중복되고 상호연결된 여러 컨텍스트에 걸쳐 있을 수 있으므로, 이러한 컨텍스트의 영향을 받을 것이며, 따라서 의학교육의 결과나 목표는 정적인 것이 아니다. 의료의 글로벌 및 국가적 사회적 보건의료와 의학교육의 동인drivers에 기초하여 변화한다. 글로벌 COVID-19 대유행 사태에 대응하여 의료교육이 최근에 현저하게 변화한 것은 매우 적절한 예다.24

Why is this the case? We believe this is because medical education and training are highly complex and are characterised by multiple relationships and connections among people, contexts and systems.17 These interconnections generate their own impacts on the wider system(s) and the system(s) in turn impacts on individuals and groups.3 For example, the context, or prevailing environment,18-20 is the underlying frame within which change is implemented, change occurs, and outcomes emerge.21 Without a deep and broad understanding of these factors, we risk falling prey to solutionism, the theme of this special issue, by treating complex problems as if they have simple answers. However, what works in one place may not work in another. Individuals and teams may straddle multiple, overlapping and interconnected contexts and therefore will be influenced by, and will have influence on, these contexts.3,22 Moreover, the outcomes, or goals, of medical education are not static: they shift on the basis of global and national societal drivers of health care, and health care and medical education,23 a very pertinent example being the recent significant changes in the delivery of medical education in response to the global COVID-19 pandemic.24


의학 교육의 복잡성에 대한 개념은 새로운 것이 아니며, 보건의료 시스템에 대한 생각을 반영한다.

The notion of complexity in medical education is not new25-27 and mirrors thinking about health systems.28-32


의료 교육에는 [복잡성의 담론]이 존재하지만, 복잡성이 언제나 중요하게 여겨지지는 않는 듯 하다. 종종 복잡성을 인정하지 못하거나 이 복잡성이 미치는 영향을 인정하지 않아서 [변화의 바람직하지 않거나 예상치 못한 결과]가 생기기 때문이다. 그러나 의학교육이 단순하지도 않고 안정적이지도 않으며 고도로 맥락화되었기에, 변화와 관련된 우려와 질문을 기술, 이해 및 해결하고자 한다면 근본적으로 다중 연결과 복잡성을 인지해야 한다.

although the discourse of complexity is present in medical education, it does not seem privileged in the everyday sense: undesirable or unanticipated consequences of change are often attributable to failures to acknowledge complexity and the impact of this complexity.34-36 However, if medical education is neither simple nor stable, and is highly contextualised, ways of perceiving multiple connections and complexity are fundamental when seeking to describe, understand and address concerns and questions related to change.14


나아가 우리는 이론을 포용하는 것은 특별한 가치가 있다고 믿는다. 왜냐면, 이는 [서로 다른 수준의 분석을 교차 분석하여] 마이크로 레벨로 '줌인'할 수 있도록 허용하기 때문이다. 또한 [개인 수준(마이크로 수준)에서 일어나고 있는 일]을 더 넓은 [제도적, 심지어 국가적 또는 국제적 수준(매크로 수준)에서 일어나는 것]과 '줌 아웃'하여 연결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Furthermore, we believe there is particular value in embracing theories that cross-cut different levels of analysis and allow us to ‘zoom in’ to micro levels, as well as to ‘zoom out’ and connect what is happening at the individual level (the micro level) to what happens at a wider institutional and even national or international level (the macro level).39


이러한 다단계적 이해는 조직변화가 성공하거나 실패하거나 의도하지 않은 결과를 초래하는 이유를 설명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으며, 변화와 관련된 사람들이 변화 프로세스와 관련된 불확실성을 예측하고 관리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다.

These multi-level understandings can help explain why organisational changes succeed, fail or have unintended consequences, and will help those involved in change to anticipate and manage uncertainty associated with a change process.


우리는 의료 교육에 복잡성complexity 렌즈를 적용하는 것이 우리가 처음이 아니라는 것을 인정한다. 그러나, 의학 교육 연구에서 조직 이론의 더 큰 사용을 고려하라는 문헌상의 이전의 요구에 대응하여, 우리는 조직 연구에서부터 의료 교육의 변화의 복잡성에 이르기까지 이론적 관점을 명시적으로 연결함으로써 그 분야의 지식을 더하고자 한다. 이 궁극적 목적은 사고와 탐구의 새로운 길을 열기 위해 다른 사고 방식을 장려하는 것이다.

We acknowledge that we are not the first to apply a complexity lens to medical education.31-33 However, in response to earlier calls in the literature to consider the greater use of organisational theory in medical education research,40 we add to knowledge in the field by explicitly connecting theoretical perspectives from organisation studies to the complexity of change in medical education, with the ultimate aim of encouraging different ways of thinking in order to open new avenues for thought and exploration.


2 기관 로직

2 | INSTITUTIONAL LOGICS


제도적 로직[(국가 문화와 정치 등) 사회 차원의 제도적 질서와 사회 차원의 규범에 대한 관심이 조직적, 집단적, 개인의 행동을 이해하는 데 결정적]이라고 주장한 프리들랜드와 알포드(41)에 의해 도입되었다. '로직logics'이란 사회적 '현실을 정리하는ordering 방법', 또는 [조직적, 전문적 또는 개인적 수준에서 목표, 행동 및 관행을 형성하는 기대, 규범, 신념 및 규칙]이다.39, 49 

Institutional logics was introduced by Friedland and Alford,41 who argued that attention to society-level institutional orders such as national culture and politics, and society-level norms was crucial to the understanding of organisational, group and individual behaviour. Logics are societal ‘ways of ordering reality’,41 or expectations, norms, beliefs and rules that shape goals, behaviours and practices at an organisational, professional or individual level.39, 49 


최근에 IL은 다음과 같이 정의되었다. '추정, 가치, 신념을 포함하여 [사회적으로 구성된 문화적 상징과 물질적 실천의 역사적 패턴]으로서, 개인과 조직은 이것에 의하여 [그들의 일상 활동에 의미를 부여하고, 시간과 공간을 조직하며, 그들의 삶과 경험을 재현]한다.

More recently, IL has been defined as ‘socially constructed historical patterns of cultural symbols and material practices, including assumptions, values and beliefs by which individuals and organisations provide meaning to their daily activity, organise time and space, and reproduce their lives and experiences’.49


이러한 로직이나 영향은 종종 당연하게 여겨지며, 확립된 규범을 통해 활동을 통제한다.49 예를 들어 서구 의료의 경우, 의료 전문직 로직 [전통적으로 전문가 지식과 자율적 실천에 내재]되어 있었고, 역사적으로 [의료 시스템을 어떻게 바라봐왔는지와 의사 결정이 어떻게 집행enact되어왔는지]를 지배해 왔다.39 그러나 의료 제공에 대한 수요의 증가와 정부의 의료비 지원 능력(또는 성향)의 감소는 [경영주의]와 [시장 및 기업 로직]의 영향 모두를 증가시켰다. 50, 51

These logics, or influences, are often taken for granted and control activity through established norms.49 For example, in Western health care, medical professional logics, traditionally embedded in expert knowledge and autonomous practice, has historically governed how health care systems have been viewed and processes of decision making enacted.39 However, increasing demand for health care provision and reductions in the ability (or inclination) of governments to fund health care in its entirety have led to rises in both managerialism and the influence of market and corporate logics.50, 51


다수의 로직이 동일한 공간에 존재하며(예: 관리주의 대 프로페셔널리즘), 지배력 다툼을 한다.49, 54-56 서로 다른 로직 사이의 관계의 정확한 본질은 많이 논의되고 논쟁이 되어왔지만, 일반적으로는 이러한 서로 다른 로직의 영향력이 동일한 공간에 공존할 수 있다(로직 세그먼팅). 물론 로직이 미치는 영향은 actor에 따라서 다양할 것이며, actor마다 서로 차별적으로 제정되고 확대될 것이다.54

Multiple logics exist in the same space (eg, managerialism versus professionalism) and vie for dominance.49, 54-56 The precise nature of the relationship between different logics is much discussed and debated, but, generally speaking, different logics can coexist in the same space (logic segmenting), although the influence of these different logics on actors will vary, and they will be enacted and expanded on differentially by different actors.54


예를 들어, 의학교육은 일반적으로 [의료]와 [교육]에 내재된 로직의 영향을 모두 받는데, 이것은 서로를 보완하거나 보완하지 않을 수도 있다. 로직과 각각의 영향력의 차이는 논리적인 의미에 변화를 가져올 수 있고 하나의 지배적인 논리에서 다른 논리로 변화할 수 있다.57-59

For example, medical education is typically influenced by the logics inherent in both health care and education, which may or may not complement one another. Differences between logics and their respective influences can lead to change in logic meanings and shifts from one dominant logic to another.57-59



3 IL을 의학교육 연구에 적용

3 | APPLYING IL IN MEDICAL EDUCATION RESEARCH


IL을 사용하는 의학교육 연구는 개인, 팀 및 조직이 [어떻게 practice에서 여러 로직들]로부터, 그리고 [여러 로직 사이의 상호 작용(그리고 잠재적 밀어내기-당기기 긴장)]으로부터 의미를 도출하고 제정하는지에 초점을 맞춰야 한다.56 2010년에 발표된 한 논문은 의학교육에서 [과학]과 [돌봄]의 다원적 로직을 고려하고, 그리고 여러 맥락적 요인(예: 관리적 치료의 증가, 더 많은 수의 여성의 의학으로의 진입)이 어떻게 하나 또는 다른 논리와 연관되었는지, 그리고 이러한 요소들이 어떻게 시간이 지남에 따라 변동하는지, 그리고 미래의 의사들을 어떻게 교육시킬 것인가에 대한 역동적인 긴장을 조성했다.62

Medical education research that uses IL should focus on how individuals, teams and organisations draw meaning from and enact different logics in practice, and the interplay (and potential push–pull tension) between different logics.56 One position paper published in 2010 considered the overarching plural logics of science and care in medical education, and how different contextual factors (eg, the rise of managed care, the entry to medicine of greater numbers of women) were associated with one or other logic, and how these fluctuated over time, and created dynamic tensions about how to educate future doctors.62


우리는 IL을 경험적 작업의 프레임워크로 사용하는 두 논문만 확인했는데, 이들은 모두 같은 팀에서 생산한 논문들로, 지역, 국가 및 국제적 맥락 차이에도 불구하고 보건 전문직 교육 장학단(HPESU)이 가치와 관행을 어떻게 공유하는지 구체적으로 살펴보고 있었다.63,64

We identified only two papers using IL as a framework in empirical work, both of which were produced by the same team, who were looking specifically at how health professions education scholarship units (HPESUs) shared values and practices despite regional, national and international contextual differences.63,64


다음은 (a) 재정적 책임, (b) 응집력 있는 교육 연속성, 그리고 (c) 학문적 연구, 봉사, 교육의 논리였다. 이들은 모든 HPESU에 걸쳐 일반적인 로직이었지만, 저자들은 다양한 로직들이 [더 넓은 국가 시스템을 반영하여, 각 맥락에서 서로 다른 수준의 지배력을 가지고 있음]을 확인했다. 각 논리의 상대적 힘은 활동의 성격(예: 봉사 또는 학술활동에 소비되는 시간의 균형)과 각 단위가 평가한 산출물에 영향을 미쳤다. 그들은 이러한 로직의 이해는 왜 개별 단위가 특정한 방식으로 구조되고 기능하는지에 대한 통찰력을 제공한다고 결론지었다.

These were the logics of: (a) financial accountability; (b) a cohesive educational continuum, and (c) academic research, service and teaching. Although these were common logics across all HPESUs, the authors identified that different logics held different degrees of dominance in each context, reflecting wider national systems. The relative power of each logic influenced the nature of the activities (eg, the balance of time spent on service or scholarship) and outputs valued by each unit. They concluded that understandings of these logics gave insight into why individual units are structured and function in particular ways.


더 넓은 문헌을 살펴보면, IL 관점을 이용한 연구는 [관리managerial 로직]과 [의료medical 로직] 사이에 내재된 투쟁을 보여 주었다.39, 58 의료 교육에서, 예를 들어 봉사와 교육 제공 사이에 유사한 긴장이 존재한다.65

Looking at the wider literature, research using an IL perspective has illustrated an inherent struggle between health care managerial logics and medical logics.39, 58 In medical education, similar tensions exist between, for example, service and education provision.65


세그먼팅segmenting의 예는 [전문직 표준]과 관련된 다중 로직과 관련이 있다. 영국의 General Medical Council 또는 Australian Health Practicer Regulation Agency와 같은 [전문 협회에 의해 설정된 교육 표준]은 [개별 의료 기관이 설정한 직장 표준]의 로직과 경쟁할 수 있고 경쟁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의과대학을 관할하는 [규제기관이 정한 교육기준]은 평가 및 진행과 관련된 [지역 대학 규정]과 긴장관계에 있을 수 있다. 기관 로직은 이러한 로직들이 어떻게 공존하는지를 탐구하는 프레임워크로 사용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전문성과 전문적 행동의 의미에 대한 새로운 관점을 잠재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이 분야의 종단적 작업은 개인과 집단의 행위자성이 조직적 및 전문적 로직 양쪽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드러낼 수 있다.

An example of segmenting in medical education relates to the multiple logics associated with professional standards. Education standards set by professional associations, such as the UK’s General Medical Council or the Australian Health Practitioner Regulation Agency, can and do compete with the logics of workplace standards that have been set by individual health care organisations. Similarly, education standards set by regulators whose remit covers medical schools can be in tension with local university regulations relating to assessment and progression. Institutional logics could be used as a framework to explore how these logics coexist, potentially providing new perspectives on, for instance, meanings of professionalism and professional behaviours. Longitudinal work in this field might reveal the agency of individuals and groups to influence both organisational and professional logics.


4 패러독스 이론

4 | PARADOX THEORY


패러독스 이론은 [오랜 시간동안 공존하고 되어온, 조직 내에서 상충되지만, 상호 연관된 목표와 상충하는 요구]에 초점을 맞추는 이론의 그룹을 말한다.66,67 [이러한 동시적이고 일관성 없는 상태는 아주 흔하며, '혁신과 효율성, 협업과 경쟁, 또는 새로운 것과 낡은 것' 사이]에 있을 수 있다.68 

Paradox theory refers to a group of theories that focus on the conflicting but inter-related goals and competing demands within an organisation that coexist and persist over time.66,67 Considered ubiquitous, these simultaneous, inconsistent states may be between ‘innovation and efficiency, collaboration and competition, or new and old’.68 


  • 예를 들어, 변화 계획 및 집행을 위한 프로젝트 팀 구성(예: 교육과정 개혁)과 관련된 조직적 변화는 역할 모호성을 야기할 수 있다(예: 개혁이 우선인가 평상시처럼 하는 것이 우선인가). 

  • 직원 대 조직 긴장의 다른 예로 상여금(일부 국가의 대학에서는 표준)과 같은 관행을 사용하는 것이 있는데, 이는 동료들 간의 경쟁과 갈등을 유발하고 웰빙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69 

이러한 예는 [(다양한 이해관계자들의 다양한 목표와 입장의 결과로) 어떻게 패러독스가 시스템에 내재되게 되고, 사회적으로 구성되는지]를 보여준다.70

  • For example, organisational change involving the creation of project teams for planning and enacting change (eg, curriculum reform) can create role ambiguity (eg, is the reform or business-as-usual the priority?). 

  • A different example, that of an employee-versus-organisation tension, would be the use of practices such as bonuses (standard in universities in some countries), which can lead to rivalry and conflict among colleagues and have adverse effects on well-being.69 

These examples illustrate how paradoxes are both inherent in systems and socially constructed as a result of different stakeholders’ diverse goals and positions.70


패러독스 관점에서는 [조직 내의 긴장]이 [변화나 붕괴의 시기가 도래할 때까지는 잠재되어 있는 것]으로 보고 있다.70 패러독스에 관심을 기울이지 않는다면, 양가감정, 갈등, 혼란과 붕괴가 뒤따른다그러나 균형 잡힌 접근법을 찾는 것이 핵심이다: 패러독스의 긴장은 '이것 또는 저것' 방식의 접근법에 의해서는 해결될 수 없다. 한 긴장을 강조하면 다른 긴장감을 더 악화시키기 때문이다이러한 방식은 단기적인 안도감을 제공하지만, 궁극적으로 방어적 자세를 유발하고 새로운 작업 방법의 학습을 방해할 수 있다.

The paradox perspective views tensions within organisations as latent until times of change or disruption, at which point they become visible.70 If paradoxes are not attended to, ‘ambivalence, conflict, chaos and collapse ensue’.71 However, finding a balanced approach is key: paradoxical tensions are unresolvable by ‘either … or’ approaches because stressing one tension exacerbates the need for the other, perhaps providing short-term relief but ultimately raising defences and impeding the learning of new ways to work.72


클레랜드 외 연구진(Cleland et al40)은 [매니저와 외과의사, 레지던트 교육생들이 서로 갈등상황에 있는 여러 긴장을 발견했고, 그 이유는 서비스와 훈련의 균형을 맞추는 같은 문제에 대해 서로 다른 관점을 가지고 있었기 때문]이었다. 이러한 긴장은 그룹과 그룹 내의 관계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개인들이 (공동의 목표가 아닌) 자신의 목표를 우선시하게 만들었다. 이러한 긴장감을 통해 일하려는 노력은 관계 개선과 의사소통으로 이어졌지만, 새로운 작업 방식을 찾아내지 못했고, 따라서 교육과 훈련 사이의 균형은 병원 구조 내에서 어떠한 실제적인 의미에서도 변화하지 않았다.

Cleland et al40 found many tensions apparent in the data, with managers, surgeons and resident trainees in conflict because they held differing perspectives on the same issue of balancing service and training. This adversely impacted on relationships across and within these groups and led to individuals prioritising their own goals. Efforts to work through these tensions led to improved relationships and communication, but no new ways of working were identified and hence the balance between education and training did not shift in any real sense within the hospital structures.


패러독스 이론은 [조직의 사회적 맥락에서 반대되는 관점과 양립할 수 없는 입장]을 고려하기 위한 프레임워크이며, [이들의 공존에 대한 인식]을 높이기 위한 프레임워크이다(즉, 잠재된 긴장을 가시화). 이렇게 함으로써 [서로 반대되는 긴장감tension]것이 모두 타당하며 건설적인 'both-and' 반응을 장려하는 수단이 될 수 있다.66, 67, 73 패러독스 이론 사고방식으로 생각하면 사람들이 긴장과 맞서고, 내재된 모순을 면밀히 조사하며, 상호 경쟁적competing 요구에 부응하는 창의적인 방법을 찾을 수 있다.

Paradox theory provides a framework for considering opposing viewpoints and incompatible positions in the social context of an organisation and for raising awareness of their coexistence (ie, making latent tensions visible). The act of doing so affirms opposing tensions as equally valid and can be a means of encouraging constructive ‘both … and …’ responses.66, 67, 73 Put simply, thinking with a paradox theory mindset allows people to confront tensions, scrutinise inherent contradictions and find creative ways to meet competing demands.


특정 유형의 패러독스는 마이크로, 메소, 매크로 레벨에 걸쳐 작동하고 상호작용하며, 역설적 긴장 관리를 위한 다양한 접근방식이 제안되었다. 이들은 공연, 조직, 소속, 학습을 하고 있는데, 각각 긴장 완화와 진보의 가능성을 제공한다는 측면에서 서로 다른 의미를 갖는다. (자세한 내용은 Cleland et al40의 허가를 받아 복제된 표 S1을 참조하십시오.)

Specific types of paradox operate and interact across micro, meso and macro levels, and different approaches to managing paradoxical tensions have been proposed.74 These are performing, organising, belonging and learning, each of which has different implications in terms of providing relief from a tension and potential for progress (for more detail, see Table S1, reproduced with permission from Cleland et al40).


Paradox

Level

Explanation

Outcome

Performing

Where individuals are required to perform multiple, possibly competing, roles and tasks

Micro: individuals’ responses to conflicting demands in their own roles or arising from the roles of others with whom they share joint tasks

Contradictory actions as actors try to perform competing goals, or work towards different versions of success and failure

Organising

Where there are tensions between different possible ways of organising people and work

Macro: the structural conditions in which actors function and experience tensions

Tensions between different organisational tasks and functions, the interplay between structures that shape actions, and actions which shape structures

Belonging

Closely related to individual identity, and tensions between the individual and the collective

Meso: the interactions between individuals, their immediate group and the wider organisation

Actors struggle to reconcile the values and beliefs of their reference group with those of other groups and the wider organisation

Learning

Related closely to change, reflecting tensions that arise when new replaces old and people learn during the change

Multi: occurring within both actors and organisations

An underpinning tension contributing to the other paradoxes


5 패러독스 이론을 의학교육 연구에 적용하기

5 | APPLYING PARADOX THEORY IN MEDICAL EDUCATION RESEARCH


의대와 주립 대학 사이의 긴장을 고려해보라. 상위 조직에 대한 압력은 일반적으로 추가적인 외부 규제의 대상이 되는 의과대학에 대한 압력과 다를 수 있다. 의과대학의 행위자와 구조물은 그들의 맥락에서 더 넓은 참조 그룹과 집단적 시스템(대학)의 일부가 되는 것의 균형이라는 관점에서, 권한 부여와 통제와 같은 긴장, 그리고 그 소속적 긴장 같은 조직화에 어떻게 반응하는가?

consider the tensions between a medical school and its host university. The pressures on the overarching organisation may be different from those on the medical school, which is typically subject to additional external regulation. How do the actors and structures in the medical school respond to organising tensions like empowerment and control, and belonging tensions in terms of balancing being part of a collective system (the university) with the wider reference group of medical schools in their context?


대학은 정기적으로 내부 구조를 재검토하고, 효율성과 효율성을 향상시키고, 전력을 재분배하고, 혁신을 추진하기 위해 구조조정을 한다. 구조조정 중, 새로운 목표가 수립되고, 역할이 변경되며, 행위자 간의 관계가 재정립된다.80 이전 목표와 새로운 목표, 역할 및 관계 사이에 서로 다른 수준에서 긴장이 발생한다.

Universities regularly review internal structures and restructure to improve their efficiency and effectiveness, redistribute power and drive innovation. During restructuring, new goals are established, roles altered, and relationships between actors redefined.80 Tensions occur between the old and the new goals, roles and relationships at different levels.67, 70 


  • Performing의 역설은 개인이 자신의 역할과 공동의 과제를 공유하는 다른 사람의 역할 내에서 구현된 상반된 요구에 대응하려고 애쓰면서 미시적 수준에서 발생한다. 

  • Belonging의 역설은 서로 다른 집단이 다른 가치, 신념, 정체성을 구현하면서 집단의 구성원 자격과 충성심을 뒤흔들면서 메소 수준에서 발생한다.

  • Learning의 역설은 구조조정은 대개 새로운 절차와 새로운 frame of reference 프레임이 수반되기 때문에 발생한다.

  • Paradoxes of performing arise at the micro level as individuals struggle to respond to the conflicting demands embodied within their own roles and within the roles of others with whom they share joint tasks.66 

  • Paradoxes of belonging occur at the meso level as different groups embody different values, beliefs and identities, shaking up group memberships and loyalties.80 

  • The final paradox is that of learning as restructuring is usually accompanied by new procedures and frames of reference.79, 81


조직관리 연구는 맥락이 조직에서 발생하는 패러독스의의 관리와 관련이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이를 감안하여 비교연구에서는 [의과대학]과 [의과대학에 소속된 개인]이 동일한 역설(예: 학습의 도제 모델에서 역량 기반 의학교육[CBME]으로 전환)에 어떻게 대응하는지 살펴볼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반응이 외부적(경제적, 사회문화적, 법적 등) 및 내부적(조직적, 프로세스, 가치 등) 요인과 어떻게 관련되는지 연구할 수 있다.

Management studies indicate that context is relevant to the management of organisational paradoxes. Given this, comparative studies could look at how medical schools and individuals working in medical schools respond to the same paradoxes (eg, shifting from the apprenticeship model of learning to competency-based medical education [CBME]), and how these responses are related to external (economic, sociocultural, legal, etc.) and internal (resources, process, values, etc.) factors.


6 복잡성 리더십 이론

6 | COMPLEXITY LEADERSHIP THEORY


복잡성 리더십 이론'리더십'을 [개인이나 개인의 역량에 할당된 개별적인 역할]보다는 개인, 집단 및 맥락 사이의 상호작용에서 발생하는 집합적 과정으로 간주하는 비교적 새로운 접근법이다. CLT의 초점은 '조직 시스템 내부와 조직 시스템 사이에 존재하는 동적(변화하는, 상호작용하는, 임시적인) 비공식적 상호작용 패턴'이다. 이 때 CLT의 기초는 복잡성 이론의 상호연결성 개념에 있다. 

Complexity leadership theory is a relatively new approach which regards ‘leadership’ as a collective process that arises from interactions among individuals, groups and contexts rather than from a discrete role allocated to an individual or an individual’s capacities.22,83,84 The focus of CLT is the ‘dynamic (changing, interactive and temporal) informal interactive patterns that exist in and among organisational systems’,43 a focus that illustrates CLT’s foundations in complexity theory’s notion of interconnectivity. 


이 틀에서 리더십은 근본적으로 [학습과 새로운 결과를 만들어 내는 시스템적 현상]이며, 즉 [상호 작용과 긴장(인간과 비인간 둘 다 될 수 있음)의 산물]이다. 이와 같이, 리더십(그리고 이에 따르는 변화)은 개인이 적응적 결과를 도출하기 위해 시간에 따라 상호작용할 때 시스템 내의 어느 곳에서나 발생할 수 있다.

In this framework, leadership is fundamentally a system phenomenon, or the product of interactions and tensions (which can be both human and non-human) that generate learning and new outcomes.22,43,85-87 As such, leadership (and, with it, change) can occur anywhere within a system when individuals interact over time to produce adaptive outcomes.


Uhl-Bien과 동료들은 CLT 관점에서 리더십의 3가지 광범위한 기능을 제안한다.22,43 

  • 첫째, 운영리더십조직 내부의 전통적인 위계 구조에 기초하며, 기능, 업무, 질서, 규제 및 규정된 조직적 결과에 초점을 맞춘다. 운영리더십의 중요한 역할은 조직의 구조 내에 아이디어를 translate하고 embed하는 것이다. 

  • 둘째는 기업가적 리더십은, 지역적 수준에서 작동하나, 그러나 동시에 조직과 시스템 내에서 그리고 상호연결된 방식으로 운영되는 경향이 있다. 기업가적 리더십은 ['긴장'과 새로운 도전에 대응하여 발생하는] 적응, 혁신 및 학습(또는 출현)을 가리킨다.43,84 이 유형의 리더십은 [권력이나 권위의 행위]보다는 [비공식적이고 상호작용을 기반으로 하는 것]으로 종종 보여진다.43,84 

  • 마지막으로 Enabling leadership[기업가적 리더십을 통해 발생하는 출현과 적응을 촉진]하고 [조직 내의 연결을 관리]한다. 즉, enabling leadership은 혁신과 적응이 일어날 수 있는 환경이 조성하는 것이며, 조직 구조 전반에 걸쳐 다른 시스템과 행정 구조로 [새로운 지식의 흐름을 보장]한다.

Uhl-Bien and colleagues propose three broad functions of leadership within a CLT perspective.22,43 

  • First, operational leadership is grounded in traditional hierarchies within an organisation, which focus on function, task, order, regulation and prescribed organisational outcomes.43,84 An important role of operational leadership is to translate and embed ideas and innovation in the structures of the organisation.43 

  • Second is entrepreneurial leadership, which tends to operate at a local level, but also at multiple levels within organisations and systems and in interconnected ways. Entrepreneurial leadership refers to the adaptation, innovation and learning (or emergence) that occur in response to ‘tensions’ and new challenges.43,84 It is often seen as informal and based on interactions rather than an act of power or authority.43,84 

  • Finally, enabling leadership works to both facilitate the emergence and adaptation that occur through entrepreneurial leadership and to manage the connections within the organisation.43,84 In other words, enabling leadership will create an environment in which innovation and adaptation can occur whilst ensuring there is flow of new knowledge throughout an organisational structure to other systems and administrative structures.43,84


복잡성 리더십 이론은 마이크로, 메소, 매크로 수준에서 변화의 탐구를 위한 프레임워크를 제공한다.84 CLT를 이용한 연구는 에이전트들 간의 상호작용에 초점을 맞출 수 있다. (예: operational과 enabling 리더십의 교차점) 왜냐하면 이를 통해 우리는 지역적 및 조직적 수준에서 변화가 발생하는 수단에 대한 이해를 연결하고 발전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그것은 또한 왜 변화가 성공할 수도 있고 실패할 수도 있는지를 설명하는 데 도움을 줄 수도 있다.

Complexity leadership theory provides a framework for the exploration of change at the micro, meso and macro levels.84 Research using CLT could focus on the interaction between agents (eg, the intersection between operational and enabling leadership) because through this we can connect and develop understanding of the means by which change occurs at local and organisational levels.84 It also may help us explain why change may or may not be successful.


7 CLT를 의학교육연구에 적용

7 | APPLYING CLT IN MEDICAL EDUCATION RESEARCH


CLT가 적용될 수 있는 문맥의 현대적인 예는 IPE(Interprofessional Education, IPE) 구현에 관련된 과정을 탐구하고 설명하는 것을 말한다. interprofessional practice으로의 전환과 IPE 구현을 위해 교육 기관에 부과되는 그에 상응하는 의무는 글로벌 인력 과제, 고도로 복잡한 의료 요구 및 점점 더 제약되는 예산 충족에 필수적인 것으로 간주된다.

A contemporary example of a context in which CLT might be applied refers to exploring and explaining the processes involved in implementing interprofessional education (IPE). A shift to interprofessional practices and the corresponding obligation placed on educational institutions to implement IPE are seen as vital to the meeting of global workforce challenges, highly complex health care needs and increasingly constrained budgets.88-90 


학생, 교육자 및 서비스 사용자 관점을 탐구하는 최근의 메타합성 연구(IPE의 일부로서)는 학습 과정에 대한 제한된 이해와 관련된 문제를 발견했다. 즉, implementation은 개인에 의존하고 있었으며(따라서 지속가능성과 관련된 잠재적 문제가 생긴다), placement의 목적과 그 안에 있는 이들이 역할에 대한 이해가 부족하게 된다.

A recent meta-synthesis exploring student, educator and service user perspectives on interprofessional placements (as part of IPE) found issues pertaining to limited understanding of learning processes, that implementation relied on individuals (and therefore introduced potential issues with sustainability), and a lack of understanding around the purpose of placements and their roles within them.91


8 이론을 비판적으로 보기

8 | CONSIDERING THEORY CRITICALLY


각각의 이론, 즉 일련의 이론들은 진화의 다른 단계에 있다. 패러독스 이론과 관련 경험적 연구는 35년 전쯤 처음 제안된 이후 진보하고 다양화되었으며, IL은 30년 전 창간 이래 조직적 연구에서 잘 확립되었다.41 그러나 CLT에 대한 연구는 모든 분야에 걸쳐 매우 초기 단계에 있으며 리더십을 새로운 '조직적 현상'으로 보기 위한 중요한 설명 렌즈로서의 CLT의 가치를 확립하기 위해서는 더 많은 연구가 필요하다.92

Each theory, or group of theories, is at a different stage in its evolution. Paradox theory and related empirical work have progressed and diversified since the theory was first proposed some 35 years ago,42 and IL has become well established in organisational studies since its inception 30 years ago.41 However, research on CLT is in very early stages across all disciplines and more study is needed to establish the value of CLT as a critical explanatory lens for seeing leadership as an emergent ‘organisational phenomenon’.92


또한, IL은 [사물을 보는 한 가지 관점과 관련된] 서구화된 조직을 탐구하도록 개발되었기 때문에, 민족 중심적ethnocentric 성격을 비판 받아왔다. 따라서 이러한 관점을 사용할 때 맥락(지역적 및 국가적)을 고려하는 것이 필수적이다.93 기관 로직은 또한 본질적으로 선택적일selective 수 있다: 왜 (다른 로직이 아닌) 특정한 로직을 탐구하고 로직의 '이상형'에 초점을 맞추려고 하는가? 45 연구자 반사성은 여기서 탐구되는 것(그리고 탐구하지 않는 것)을 식별하고 설명하기 위해 필수적이다.94

Additionally, IL has been critiqued for its ethnocentric nature because it was developed to explore Westernised organisations, the focus of which pertains to one way of seeing things; it is therefore essential that contexts (local and national) are considered when using this perspective.93 Institutional logics can also be selective in nature: why choose to explore certain logics and not others and to focus on ‘ideal types’ of logics?45 Researcher reflexivity is essential here in order to identify and explain what is (and what is not) explored.94


  • 역설 이론의 강점은 대립되는 관점과 양립할 수 없는 입장을 고려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해 잠재된 긴장을 가시화하는데 활용할 수 있다는 점이다. 그러나, 역설적인 문제를 해결하는 데 도움이 되는 프레임워크를 제공하지는 않는다. 변화를 구현하는 데 관심이 있는 사람들은 ['어떻게'에 대한 지침]을 위해 문헌의 다른 곳을 찾아봐야 한다. 요컨대 역설을 인식하는 것 자체가 변화를 이끌기에는 충분하지 않다. 

The strength of paradox theory is that it provides a way for considering opposing viewpoints and incompatible positions, and so can be used to make latent tensions visible. However, it does not provide a framework to assist with addressing paradox; those interesting in implementing change must look elsewhere in the literature for guidance on ‘how to’. In short, recognising the paradox is not sufficient in itself to lead to change. 


  • 둘째로, 연구는 역설적 긴장 관리에 대해 주로 조직 차원의 접근방식을 조사하였다. 역설 이론을 진전시키기 위해 개인 및 팀 차원의 분석을 더 면밀히 검토할 필요가 있다.97

Secondly, research has predominantly examined organisation-level approaches to the managing of paradoxical tensions: there is a need to look more closely at individual and team levels of analyses to advance paradox theory.97


  • 셋째, 역설 연구는 사례 연구 방법론에 의해 지배되고 있으며, 연구는 종종 조직 내의 한 가지 변화에 초점을 맞춘다. 역설 이론을 이용한 미래 연구는 더 많은 연구 설계와 방법론적 접근법을 수용함으로써 유익할 수 있다. 

Thirdly, paradox research is dominated by case study methodology and studies often focus on one change within an organisation. Future research using paradox theory may benefit from embracing more study designs and methodological approaches. 


  • 마지막으로, 새로운 증거에 따르면, 어떤 조건들은 역설적인 리더십과 사고방식에 적합한 반면, 다른 것들은 그렇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긴장에 대한 역설 이론 접근법이 부정적인 결과를 가져오는 사례에 대한 연구 보고가 부족하다

Finally, there is also a paucity of research reporting on instances in which a paradox theory approach to tensions has negative consequences, although emerging evidence suggests that some conditions are appropriate for paradoxical leadership and mindsets, whereas others are not.100


일부는 CLT가 [분산된 리더십과 변혁적 리더십의 이론처럼] 다른 리더십 이론과 유사하다고 주장할 수 있다.92 그러나, CLT가 [상호작용을 통한 출현과 건설emergence and construction의 한 층]에 의존하는 리더십에 대한 보다 비판적인 관점을 끌어낼 기회를 제공한다는 것은 논쟁의 여지가 있다. 따라서 역할(예: 누가 리더이고 팔러워인지)은 리더십의 역할과 라인이 상당히 안정적이라는 가정으로부터 멀어지게 된다.92 따라서 CLT는 리더십의 안정적인 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한 틀보다는 현재와 가능한 상태를 이해하고 변화가 왜 효과가 있을지 또는 없을지를 이해하는 잠재적인 도구가 된다. 비판론자들은 CLT가 [복잡성 리더십]보다는 복잡성을 관리하는 [리더 중심적 힘]의 개념에 계속 의존하고 있다고 말한다.92

Some may argue that CLT has similarities to other leadership theories, such as those of distributed leadership and transformational leadership.92 However, it is arguable that CLT brings opportunities to draw on more critical views of leadership which rely on a layer of emergence and construction through interaction. Thus roles (eg, who the leaders and followers are) shift away from the assumption of reasonably stable roles and lines of leadership.92 Therefore, CLT becomes a potential tool for understanding current and possible status and why change may or may not work, rather than a frame for setting up stable systems of leadership. Critics suggest that CLT continues to rely on notions of leader-centric power to manage complexity, rather than on complexity leadership.92


9 결론 

9 | CONCLUSIONS


핀켈슈타인이 말했듯이: '연구자로서 우리는 그것들을 주의 깊게 연구하기 위해 매우 복잡한 과정을 단순화해야 한다는 것을 이해한다. 하지만 우리가 어지러움, 뒤처짐, 현실을 제거하면 무엇이 남는가?' 108.

As Finkelstein put it: ‘I understand that as researchers we need to simplify very complex processes to study them carefully, but what are we left with when we remove the messiness, the back-and-forth, the reality?’108


32. Cristancho S, Field E, Lingard L. What is the state of complexity science in medical education research? Med Educ. 2019;53(1):95-104.








. 2020 Jul 22.
 doi: 10.1111/medu.14297. Online ahead of print.

Change is never easy: How management theories can help operationalise change in medical education

Affiliations 

Affiliations

  • 1Centre for Medical Education, University of Dundee, Dundee, UK.
  • 2Medical Education Research and Scholarship Unit (MERSU), Lee Kong Chian School of Medicine, Nanyang Technological University, Singapore, Singapore.

Abstract

Context: Medical education is neither simple nor stable, and is highly contextualised. Hence, ways of perceiving multiple connections and complexity are fundamental when seeking to describe, understand and address concerns and questions related to change.

Proposal: In response to calls in the literature, we introduce three examples of contemporary organisational theory which can be used to understand and operationalise change within medical education. These theories, institutional logics, paradox theory and complexity leadership theory, respectively, are relatively unknown in medical education. However, they provide a way of making sense of the complexity of change creatively. Specifically, they cross-cut different levels of analysis and allow us to 'zoom in' to micro levels, as well as to 'zoom out' and connect what is happening at the individual level (the micro level) to what happens at a wider institutional and even national or international level (the macro level), thereby providing a means of understanding the interactions among individuals, teams, organisations and systems. We highlight the potential value of these theories, provide a brief discussion of the few studies that have used them in medical education, and then briefly critique each theory.

Conclusions: We hope that by drawing the attention of readers to the potential of these management theories, we can unlock some of the complexity of change in medical education, support new ways of thinking and open new avenues for research.

형상화된 세계에서의 가능성과 행위자성: 좋은 의사 되기 (Med Educ, 2017)

Possibility and agency in Figured Worlds: becoming a ‘good doctor’

Deirdre Bennett,1 Yvette Solomon,2 Colm Bergin,3,4,5 Mary Horgan6 & Tim Dornan7




도입

INTRODUCTION


본 논문의 목적은 점점 더 인정받고 있는 형상화된 세계(Figured Worlds, FW),4 사회 문화 정체성 이론의 기여를 검토하는 것이다. 이 이론은 비고츠키5가 제안한 정체성과 발달의 기초 개념과 상대적으로 인정받지 못하는 바흐친의 담론 이론을 풍부하게 활용한다.6 FW이론은 홀란드, 라치코테, 스키너, 카인이 개발했다.4 학문과 교사들의 정체성을 탐구하기 위해 교육 문헌에 광범위하게 적용되어 왔다. 학교와 교실의 문화 세계에서는 성별, 8,9 인종 10,11, 성별을 포함한 복수 정체성을 협상하는 방법에 적용되어왔다.

The aim of this paper is to review the contribution of Figured Worlds,4 an increasingly recognised socio-cultural identity theory, which makes rich use of foundational concepts of identity and development proposed by Vygotsky5 and the relatively underappreciated discourse theory of Bakhtin.6 Developed by Holland, Lachicotte, Skinner and Cain,4 the theory of Figured Worlds has been applied extensively in the education literature to explore identity in learners and teachers,7 and the ways in which people negotiate multiple identities, including gender,8,9 race10,11 and sexuality,12 in the cultural worlds of schools and classrooms.


FW는 또한 의학 교육에서 새로운 연구의 기초가 되는 이론이다.13–15 

  • 힐 외 연구진은 수술과 여성성의 담론 안에서 여성 외과의들의 자기 구축에 대해 탐구했으며, 이 둘을 성공적으로 결합하는 것은 외과의가 되는 것이 의미하는 바를 재구축해야 한다고 결론지었다. 

  • 도르난 외는 의학계의 문화세계에서 의대생들의 감정과 그들의 정체성 발달 사이의 관계를 조명하기 위해 FW를 적용했다. 

  • 바간은 일반 실습과 병원 환경에서 초기 임상 접촉을 통해 주니어 의대생들의 정체성 발달을 연구했다. 

  • 임상의사 교육자 정체성에 대해 FW접근방식을 취하고 있는 밴 란켈드의 추가 연구가 최근에 발표되었으며, 정체성 형성의 교차 문화적인 측면에 대한 연구가 진행 중이다..

Figured Worlds is also the underpinning theory for an emerging strand of research in medical education.13–15 

  • Hill et al.13 explored women surgeons’ construction of self within the discourses of surgery and femininity, concluding that successfully combining both required a reframing of what it means to be a surgeon. 

  • Dornan et al.14 applied Figured Worlds to illuminate the relationship between medical students’ emotions and their identity development in the cultural world of medicine, and 

  • Vagan15 studied junior medical students’ identity development through early clinical contacts in general practice and hospital settings. 

  • A further study by van Lankveld,16 which takes a Figured Worlds approach to clinician educator identity, was recently published, and research into cross-cultural aspects of identity formation is ongoing.


의사 정체성 담론

DISCOURSES OF DOCTOR IDENTITY


우리가 '좋은 의사'가 되는 것에 대해 말할 때 그리는 담론에는 의학 교육자와 학생들이 '좋은 의사'가 되는 과정을 이해하고 제정enact하는 방식을 형성하는 하위 텍스트가 포함되어 있다. 의대생들의 정체성 형성에 대한 논의는 "의대생과 수련생들에게 주입되어야inculcate 하고, 그들이 그렇게 성장해야 하는 이상적인 '좋은 의사' 정체성이 있다."는 널리 알려진 가정에 의해 뒷받침된다.

The discourses we draw on when we speak about being a ‘good doctor’ contain subtexts that shape the way medical educators and students understand and enact the process of becoming one. Discussion of medical students’ identity formation is underpinned by the widely held assumption that there is an ideal ‘good doctor’ identity that must be inculcated into medical students and trainees,17 and into which they must grow.


화이트헤드18은, 지난 세기 동안 '좋은 의사'라는 개념에 대한 푸콜디안 담론 분석에서 지배적인 담론이 플렉스너의 과학자 의사라는 개념에서 1950년대 동안 전체론적 성격을 바람직한 '성격론characteristics'으로 해부되는 방식으로 어떻게 변화했는지를 그렸다. 이렇게 변화된 담론에서 학생들을 비인격적으로 묘사하여, 전문적인 발견의 여정을 수행하는 개인이 아니라, 교육자들에 의해 조종되고 성형되어야 하는 신체로 묘사한다.18

In her Foucauldian discourse analysis of the concept of the ‘the good doctor’ over the past century, Whitehead18 plotted how the dominant discourse changed from Flexner’s concept of the scientist physician, who was also a man of character, to the dissection of a holistic character into desirable ‘characteristics’ during the 1950s. This discursive shift depersonalised students, depicting them as a body to be manipulated and moulded by educators, rather than as individuals undertaking journeys of professional discovery.18


1970년대에는 역할수행role performance으로서의 역량에 대한 현재의 담론이 표면화되었고, 좋은 의사의 personhood와 agency는 더욱 후퇴하였다. 그 의사는 의료 훈련의 '제조 모델'에서 의료 교육에 의해 생산된 역량의 집합체가 되었다. 역량에 대한 담론은 시간, 사람 및 개인적인 여정에 대한 강조를 축소시킴으로써, [훈련을 통해 생산된 표준화된 '좋은 의사']라는 가정에 기여한다.

During the 1970s, the current discourse of competence as role performance came to the fore, and the personhood and agency of the good doctor receded even further. The doctor became a collection of competencies produced by medical education in a ‘manufacturing model’ of medical training. The discourse of competence, continues the de-emphasis on time, person and personal journey,18 contributing to the assumption of a standardised ‘good doctor’ produced through training.


가치관, 태도, 행동의 일률적인 집합인 이 정체성의 성취는 전문적 정체성 형성의 '완료된completed' 과정의 정점으로 제안되었다.19 이렇게 초점이 좁혀지는 것은 의사들 간 다양한 궤적과 전문적 정체성의 해석과 발전방법에 있어서의 다양성의 가능성을 인정하지 않는다. '아무렇게나 해도 된다'고 말하려는 것이 아니다. 다만 표준화 담론이 '좋은 의사'라는 넓은 우산 아래에는 [의대생과 의사가 적극적으로 다양한 정체성을 구축한다는 것을 인식하지 못함]을 말하려는 것이다.

Achievement of this identity, a uniform set of values, attitudes and behaviours, has been proposed as the pinnacle of a ‘completed’ process of professional identity formation.19 This narrowing of focus does not acknowledge the possibility of diverse trajectories and variations between doctors in how they interpret and develop their professional identities. This is not to suggest that ‘anything goes’, but rather that the standardisation discourse does not recognise that medical students and doctors actively construct diverse identities under the broad umbrella of the ‘good doctor’.


의대생들은 '좋은 의사'의 지배적인 담론 외에도 의사로서 어떻게 해야 하는가에 대한 많은 중복되고 모순된 담론을 경험한다.20–22

In addition to the dominant discourse of the ‘good doctor’, medical students experience many other overlapping and contradictory discourses of how they should be as doctors.20–22


22세의 MacLeod는 학생들이 어떻게 '역량과 돌봄'이라는 담론을 통해 전문적인 정체성을 발전시키는지 설명했다. 역량의 담론은 지식과 기술력을 중시하며, 이와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다.

MacLeod,22 described how students develop professional identities through the discourses of Competence and Caring. The discourse of Competence, with its emphasis on knowledge and technical skill, is closely linked to


화이트헤드의 표준화 담론. 돌봄은 덜 특권적인 담론이며, 이는 환자 상호작용의 심리학적, 감정적 측면과 연결되어 있다.22

Whitehead’s discourse of Standardisation. Caring is a less privileged discourse, which is linked to the psychosocial and emotional aspects of patient interaction.22



MacLeod의 연구에 참여한 학생들은 [자신감, 능력, 적합성의 정체성]을 제정했는데, 이것은 역량의 담론 안에서 가치 있게 평가되며, 무엇을 어떻게 해야 하고 어떻게 해야 하는지에 대한 선입견을 가지고 있었다. 학생들은 또한 다른 사람들을 그들 자신보다 우선시하고 이해와 관심을 보여줌으로써 [돌봄의 담론]과 관련하여 자비심과 겸손의 정체성을 제정했다. 맥리드는 학생들이 불확실하고 예측할 수 없는 정신사회적 문제에 직면했을 때 "돌봄"과 "역량"이라는 담론이 어떻게 긴장 상태에 빠졌는지를 묘사했다. 실제로, MacLeod의 연구에 참여한 일부 학생들은 실무에서 확실성과 자신감(경쟁력)을 제공하는 표준화된 Careing의 방법에 대한 훈련 욕구를 표현했다.22

Students in MacLeod’s study enacted identities of confidence, capability and suitability, which are valued within the discourse of Competence and were predicated on knowing what to do and how to do it. Students also enacted identities of benevolence and humility in relation to Caring, by putting others above themselves and showing understanding and concern. MacLeod described how the discourses of Caring and Competence were in tension when students were confronted with the uncertain, unpredictable nature of psychosocial issues. Indeed, some students in MacLeod’s study expressed a desire for training in standardised methods of Caring, which would provide certainty and confidence (Competence) in practice.22


의대 입학생들 사이의 다양성이 직업과 환자 치료에 좋다는 개념을 내세우는 다양성의 담론도 접하게 되는데, 이는 학생 수가 더 다양해지면 그들이 봉사하는 인구를 더 잘 반영하고 이해하는 의사들이 생기기 때문이다. 사회 구성주의적 접근법을 사용하여, 프로스트와 레게르21은 학생들이 그들의 직업적 정체성을 구축하기 위해 이러한 모순을 어떻게 협상하는지를 설명하면서 표준화와 다양성의 경쟁적 담론들 사이의 긴장을 강조했다.

Medical students also encounter the discourse of Diversity, which puts forward the notion that diversity amongst entrants to medical school is a good thing for the profession and for patient care,21 because a more diverse student population leads to doctors who better reflect, and understand, the populations they serve. Using a social constructionist approach, Frost and Regehr21 highlighted the tension between competing discourses of Standardisation and Diversity, describing how students negotiate these contradictions to construct their professional identities.


FW: 오버뷰

FIGURED WORLDS: AN OVERVIEW


FW이론4는 문화 인류학에서 유래되었으며 주로 20세기 초 러시아의 심리학자 비구츠키5와 동료 러시아인 바흐틴의 연구에 기초하여 세워졌다. 철학자 및 문학 이론가였다.

Figured Worlds theory4 originated in cultural anthropology and is primarily built on the work of the early 20th century Russian psychologist Vygotsky5 and fellow Russian Bakhtin,6 a philosopher and literary theorist.


또한, FW는 Bourdieu23의 영향을 받았는데, 한 사람을 특정한 사회적 실천 내에 위치시키기 위하여 (계급, 성별, 민족성과 같은) 사회 구조의 힘을 이야기한다.

In addition, Figured Worlds incorporates influences from Bourdieu23 regarding the power of social structures such as class, gender and ethnicity to position persons within particular social practices.


따라서 FW는 [문화적 환경에서 활동을 통해 지속적으로 정체성이 출현하는 것]과 [시간이 지남에 따라 형성된 정체성의 보다 내구성 있는 측면('인간의 역사')]을 모두 고려한 [정체성 이론을 개발하려는 열망]에서 비롯되었다. FW는 사회적 실천의 이론으로서, [문화적으로, 역사적으로 정의된 환경]에서 [타인과 함께 조직된 일상 활동을 통한] [정체성의 개발과 표현]을 강조한다. 또한 개인이 행동하는 맥락에서 이용할 수 있는 단어를 전유하고 재조합하여 개인이 스스로 구성('자기저자')한다는 의미에서 담론 이론이기도 하다.

Thus Figured Worlds was borne out of a desire to develop a theory of identity that took account of both the continual emergence of identity through activity in cultural settings and the more durable aspects of identity (‘history-in-person’) that have formed over time in those settings. As a theory of social practice, it emphasises the development and expression of identity through organised daily activity with others in cultural and historically defined settings. It is also a discourse theory, in the sense that individuals construct (‘self-author’) themselves by appropriating and recombining the words that the contexts in which they act make available to them.


사회문화 이론으로서 FW는 카르트적 의미에서의 -이원론적 존재론에 기초한다: [개인]과 [그 또는 그녀의 사회적 맥락]은 하나로 보여지고, 둘 사이에는 상호성과 호혜성이 있다. 마음은 피부 너머까지 확장되는 일련의 상호연결된 관계 안에서 존재하고 발전한다.24 [비-이원론적 존재론] 25의 특징은 [개인은 사회적, 역사적 산물]이며, [개인의 형성은 사회적 맥락에서, 실천적 활동을 통해, 그리고 욕망과 인식의 관계에서 발생]한다는 것이다. 이러한 관점 안에서, 자아는 [관계적 자아/타인]으로 분리되고 그들 사이의 대화성dialogicality은 자아의 이해의 핵심에 있다.

As a socio-cultural theory, Figured Worlds is founded on a non-dualist ontology in the Cartesian sense: the individual and his or her social context are seen as one, and there is mutuality and reciprocity between the two. The mind exists and develops within a set of interconnected relationships that extend beyond the skin.24 Features of non-dualist ontology25 are that the individual is a social and historical product, and that formation of the individual occurs in social contexts, through practical activity and in relationships of desire and recognition. Within this perspective, the self is split into a relational self/other and dialogicality between them is at the core of self-understanding.


예를 들어 의대생이 의사가 되는 것은 사회적, 역사적 산물이다. 그들은 임상 활동에 참여함으로써 임상 환경에서 개인으로 형성된다. 이런 일이 일어나는 의학의 문화적 세계는 지속적인 임상적 실천을 통해 시간이 지남에 따라 형성되고 개혁되어 왔다. 학생들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형성되는 그들 자신의 더 오래 지속되는 면들을 이 새로운 문화 세계에 가져온다. 그들은 미래의 의사로서 인정을 받고자 한다.

For example, medical students becoming doctors are social and historical products. They form as individuals in clinical settings by participating in clinical activities. The cultural worlds of medicine in which this happens have been formed and reformed over time, through on-going clinical practice. Students bring the more durable aspects of themselves, also formed over time, to this new cultural world. They seek and receive recognition as future doctors.


그들은 '좋은 의사'의 담론을 포함하는 여러 개의 가능한 담론을 통해 스스로 저술하거나 의미를 부여하는데, 처음에는 다른 사람의 말로 표현하고, 그 다음엔 그들 자신의 말로 표현한다.

They author, or make meaning of, themselves through multiple available discourses, which include that of the ‘good doctor’, initially expressed in the words of others, which they make their own, and then in their own words.


비구츠키: 정체성의 매개체로서 세계를 파악한 독자

VYGOTSKY: FIGURED WORLDS AS MEDIATORS OF IDENTITY


비고츠키가 FW이론에 필수적 기여를 한 것은 [모든 의미구축은 이용 가능한 문화적 도구들에 의해 매개된다]는 그의 제안이다. 이러한 신체적, 심리적 도구들은 개인들이 자신에 대해 생각하고 느끼는 방법을 포함하여 자신의 생각과 감정을 조직하고 자신의 행동을 지시하는 것을 도울 수 있게 해준다. 의학의 실천과 관련된 많은 문화적 도구들이 있다. 흰색 가운은 북미에서 열린 널리 퍼진 WCC에서 분명히 드러난 강력한 문화적 도구이다. 흰 코트를 입으면 학생들이 자신을 새로운 시각에서 볼 수 있게 되고, 그들은 의사처럼 느껴지게 되고, 이것은 다시 self-direction을 의사처럼 행동하는 쪽으로 향하게 한다. 홀랜드 외 연구진은 이 기호학적 중재에 대한 아이디어를 집중적으로 끌어내어, 어떻게 개인이 의사가운과 같은 문화적 예술적 요소를 내재화하여 자기이해를 발전시키고 스스로 행동하도록 동기를 부여하는지를 기술한다.

Vygotsky’s5 essential contribution to Figured Worlds theory is his proposition that all meaning-making is mediated by available cultural tools. These physical and psychological tools allow individuals to organise their thoughts and emotions, including how they think and feel about themselves, and help direct their own behaviour. There are many cultural tools associated with the practice of medicine. The white coat is a powerful one, evident in the widespread white coat ceremonies held in North America. Donning the white coat allows students to see themselves in a new light; they feel like a doctor, which in turn allows for self-direction to behave like a doctor. Holland et al.4 draw heavily on this idea of semiotic mediation to describe how individuals internalise cultural artefacts, such as white coats, to develop self-understanding and motivate themselves to act.


FW는 사회적으로 구성된 문화 모델이며, 현실의 증류물이며, 사회 관습과 관련된 사고 도구다.4 그것은 '유형types'으로 파악되고 특정한 가치 있는 행동과 결과와 연관되는 '전형적typical' 내러티브로 특징지어진다. 권력과 위계의 관계는 전형적인 내러티브의 일부분이다. FW는 한 사람이 [자신의 행동과 일을 해석하는 맥락]을 형성한다; 이것은 형상화된 정체성Figured Identity이다.

A Figured World is a socially constructed cultural model, a distillate of reality, a thinking tool that relates to social practice.4 It is characterised by ‘typical’ narratives, figured by ‘types’ and associated with certain valued actions and outcomes. Power and hierarchical relations are part of the typical narratives. The Figured World forms a context for interpreting one’s own actions and works; this is Figured identity.


Holland et al.4는 '식별identification'이란 용어를 사용하여 개인이 FW를 전유하고, 그 안에서 스스로 틀을 짜고, 그 동기를 가치 있게 생각하고 감정적으로 연결하는 것을 배울 때 발생하는 변화를 설명한다.26 이러한 FW의 내면화와 그것과 관련된 정체성의 형성은 FW의 활동에 참여함으로써 비롯된다. 그러므로 FW는 사람들이 그들 자신의 행동을 지시할 수 있고, 가능성을 모델링함으로써, 행동을 고무시킬 수 있는 의미의 맥락을 제공한다. 비구츠키는 이것을 '기호학적 부트스트래핑'이라고 불렀는데, 이는 생각과 감정을 조직하고 수정하는 수단이다. 예를 들어 의대생들은 의학계의 대표적인 내러티브와 가치 있는 행동과 결과를 알게 되면서, 그 내러티브와 가치관과 관련하여 자신과 자신의 행동을 해석하기 시작한다. FW는 그들의 행동을 지도한다.

Holland et al.4 use ‘identification’ to describe the shift that occurs when an individual appropriates the Figured World, frames themselves within it and learns to value and connect emotionally with its motivations.26 This internalisation of the Figured World and formation of an identity associated with it, results from participating in its activities. Figured Worlds thus provide a context of meaning in which people can direct their own actions and, by modelling possibilities, inspire action. Vygotsky referred to this as ‘semiotic boot-strapping’, a means to organise and modify thoughts and emotions. For example, as medical students come to know the typical narratives and valued actions and outcomes of the world of medicine, they begin to interpret themselves and their actions in relation to those narratives and values. The Figured World guides their actions.


부르디외: 위치성

BOURDIEU: POSITIONALITY


홀랜드 외 연구진은 FW에 대한 그들의 생각과 Bourdieu가 '분야field(국지적 사회적 실천)'라고 부른 아이디어 사이의 유사성을 관찰한다. 한 분야 내에서 개인들은 권력과 특권의 관계에 위치한다. 그러므로 위치성은 FW이론의 또 다른 핵심 요소다.

Holland et al.4 observe a similarity between their idea of a Figured World and Bourdieu’s23 idea of field – a local social practice. Within a field, individuals are positioned in relations of power and privilege. Hence, positionality is another key element of Figured Worlds theory.


위치적 정체성은 사람이 살아 있는 세계에서 자신의 사회적 위치에 대해 염려하는 것을 말한다. 우리는 사회적 상호작용을 통해 위치를 주장하고 매일 다른 사람을 위치시킨다. 비록 FW는 전형적인 내러티브typical narrative 속에 상상한 자신에 대한 프레임이지만, 특정한 유형type과 관련하여, 위치적 정체성은 포함과 배제, 권리, 침묵, 거리 및 소속에 관한 것이다.4

Positional identity refers to a person’s apprehension of their social position in the lived world. We claim position and we position others every day through social interaction. Although Figured Identity is an imaginative framing of self in typical narratives, relating to particular types, positional identity is about inclusion and exclusion, entitlement, silencing, distance and affiliation.4


초심자가 'FW'에 들어갈 때 [무의식적인 내면화]라는 의미에서 그 안에서 자신의 위치를 파악하게 된다. 대신에, 개인은 그들이 이의를 제기하기 위해contest 선택할 수 있는 입장을 알게 될 수도 있다. 그러므로 문화적 세계에서 매일의 포지셔닝은 정체성의 또 다른 매개체다. 의대생들이 임상 팀의 구성원으로서, 또는 '중요한 길'로 임상적 위치에 서게 되는 방법은 그들의 정체성 발달의 중심 요인이다.

As novices enter a Figured World they gain a sense of their position within it, which they may take up as position becomes disposition, in the sense of unconscious internalisation. Alternatively, individuals may become aware of position, which they may choose to contest. Day to day positioning in cultural worlds is therefore another mediator of identity. The way in which medical students are positioned – and position themselves – on clinical placements, as members of the clinical team or ‘in the way’, is a central factor in their development of identity.


Bakhtin: 여러 가지 담론을 통한 자기 권한 부여

BAKHTIN: SELF-AUTHORING THROUGH MULTIPLE DISCOURSES


비고츠키가 주로 집중한 매개 도구는 언어였고, 사용 중인 언어는 [비구츠키의 기호학적 중재semiotic mediation]와 [바흐틴의 '목소리'와 '다중-목소리성']에 대한 설명이 합쳐진 FW이론에서 큰 역할을 한다. 담론에 대한 푸카울디안 접근법27은 의학 교육에 가장 일반적으로 적용되는 방법이다. 사회정의와 사회 권력분배에 대한 의문을 제도적 차원에서 우려한다는 점에서 비판적 입장을 취하지만, 푸콜디안 분석은 사용 중인 언어의 구조에 세심한 주의를 기울이지 않는다. Bakhtin28과 Gee,29와 같은 다른 접근법들은 언어구조linguistic structure에 더 중점을 두면서도 언어가 사용되는 사회적 맥락에 여전히 초점을 맞추고 있다. 이러한 '메소-언어주의' 접근방식은 FW에 적용되는 것이다.

The mediating tool on which Vygotsky focused primarily was language, and language in use plays a major role in Figured Worlds theory, where Vygotsky’s semiotic mediation and Bakhtin’s account of ‘voice’ and ‘multi-voicedness’ are brought together. The Foucauldian approach to discourse27 is that most commonly applied in medical education. Although it takes a critical stance, in that it is concerned with social justice and a questioning of the distribution of power in society at an institutional level, Foucauldian analysis does not pay close attention to the structure of language in use. Other approaches, such as those of Bakhtin28 and Gee,29 place greater emphasis on linguistic structure while still focusing on the social context in which language is used. This ‘meso-linguistic’ approach is that applied in Figured Worlds.


Bakhtin의 FW에 대한 기여는 대화론과 자아에 대한 이론theory of dialogism and of the self이다. 대화주의는 어드레스티비즘addressivity의 개념에 바탕을 두고 있는데, 이는 [언어, 담론, 문화적 신념을 통해 우리가 끊임없이 세계에 의해 연설addressed되는 방식]을 의미하며, 마찬가지로, [우리가 이 addressing에 대해 세계 속에서 자신의 위치와 그 의미를 '자기-저자'하는 사람으로서 어떻게 대답하는가]를 가리킨다.28

Bakhtin’s contribution to Figured Worlds is his theory of dialogism and of the self. Dialogism is based on the notion of addressivity, which refers to the way in which we are continually addressed by the world, through language, discourses and cultural beliefs, and equally importantly, how we answer this addressing by ‘self-authoring’ an on-going narrative of our place in the world and its meaning.28


그러한 서술은 다수의 '목소리'를 끌어내어 담론의 다양성이나 우리의 문화세계를 채우는 말투, 즉 세상이 어떻게 되어 있는지와 관련하여 가치와 가정을 담고 있는 장르, 모티브, 등록부 등을 재활용하고 재구성한 것이다.

Such narratives draw on multiple ‘voices’, recycling and remoulding the multiplicity of discourses or ways of speaking that populate our cultural world: the genres, motifs and registers that carry values and assumptions in relation to how the world is.


우리는 어쩔 수 없이 세상에 대응해야 하지만 어떻게 대응해야 하는지에 대해서는 선택의 여지가 있다. 자기-저자self-authoring에서는, 우리는 사회 세계에 대한 이러한 [서로 다른 관점을 '주장'해야 하며], [다른 사람들의 말을 끌어내고 우리 자신의 의도를 주입해야 한다]. 우리는 목소리를 조정하고 일관된 방식으로 대응하려고 하며, 이러한 '저자적 자세authorial stance'의 발전은 정체성의 보다 지속 가능한 측면의 형성을 나타낸다.

We are compelled to respond to the world but have choice in terms of how the response is crafted. In selfauthoring, we must ‘orchestrate’4 these different perspectives on the social world, drawing on the words of others and imbuing them with our own intentions. We attempt to orchestrate the voices and respond in a consistent manner, and this development of an ‘authorial stance’ represents the formation of a more durable aspect of identity.


그러나 어떤 담론(예: 규범적 본문이나 규칙서적)은 다른 담론보다 더 많은 권위를 가지고 있다; '권위적 담론'으로서 그것들은 우리가 말하는 '복화ventriloquating'에 구성되지 않은 것처럼 보일 수도 있다. 그렇더라도 우리가 그 담론에 대해 납득이 가지 않는다는 점에서는, 다른 담론보다 설득력이 떨어질 수도 있다. 좋은 의사, 표준화, 다양성, 역량, 돌봄 그리고 많은 다른 것들에 대한 담론에서 의과대학을 통해 발전해나가는 학생들을 다룬다.

However, some discourses (e.g. normative texts or rule books) carry more authority than others; as ‘authoritative discourses’ they may appear unreconstructed in what we say, ‘ventriloquating’ us. Even so, they may be less persuasive than others in the sense that we are unconvinced by them. Discourses of the good doctor, standardisation, diversity, competence, caring and many others address students as they progress through medical school.


일부는 '내부적으로 설득력 있을' 수도 있지만, 6 학생들이 이러한 담론의 '차용된borrowed' 요소들을 사용하여 [자신과 자신의 행동에 대해 다양한 방식으로 의미]를 부여하고, [담론들 사이의 긴장과 모순]은 [의사로서의 '자기-저자'한다는 것이 종종 상충되는 목소리의 조율을 필요로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학생들이 스스로 글을 쓰면서, 그들은 이러한 [요소들을 자신의 것으로 만들고, 그 요소들을 자신의 말과 엮어 세상에 대한 독특한 반응인 '입장stance'을 만들어낸다].

Although some may become ‘internally persuasive’,6 as students make meaning of themselves and their actions in diverse ways using ‘borrowed’ elements of these discourses, tensions and contradictions between them mean that self-authoring as a doctor requires orchestration of often conflicting voices. As students author themselves, they make these elements their own, intertwining them with their own words to produce a unique response to the world: a stance.


형상화된 세계: 예시

FIGURED WORLDS: AN EXEMPLAR


우리는 이제 위에서 설명한 Mainted Worlds 이론의 주요 측면을 설명하기 위해 Sarah와 Adam이라는 두 명의 의대생들의 서면 성찰을 사용한다. 이러한 서술은 이러한 목적을 위해 반사적으로 선택되었다.

We now use the written reflections of two medical students, Sarah and Adam, to illustrate the key aspects of Figured Worlds theory outlined above. These narratives were selected reflexively for this purpose.


사라

Sarah


사라의 이야기는 [학생과 환자에 대한 특정 의사의 행동]에 대한 그녀의 반응에 관한 것이다. 우리의 분석은 미래의 의사로서의 그녀 자신의 예상된 정체성, 즉 그녀의 Figured ID의 관점에서 그녀가 어떻게 이러한 행동에 대해 말하는지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FW는 [의료계라는 FW] 속에서의 전형적인 시나리오로서, 컨설턴트가 그의 팀과 학생들을 병동 라운드로 이끄는 시나리오를 묘사하면서 그녀의 선택을 강조한다. 컨설턴트의 행동은 명료한 의학계의 담론을 표면과 의식적인 인식에 이르게 하는데,4는 사라의 성찰적인 반응을 촉발시킨다.

Sarah’s narrative revolves around her account of her response to a particular doctor’s behaviour towards students and patients. Our analysis focuses on how she talks about this behaviour in terms of her own projected identity as a future doctor – her Figured identity. Figured Worlds emphasises her choices in making sense of herself as she describes a typical scenario in the Figured World of medicine, that of a consultant leading his team and students on a ward round. The behaviour of the consultant brings the discourses of the Figured World of medicine to the surface and to conscious recognition,4 triggering a reflective response from Sarah.


다른 두 명의 학생들과 나는 이 컨설턴트와 그의 팀과 함께 병동 라운드를 하고 있었다. 그는 자기소개를 하거나 우리 이름을 묻지 않았고, 나이가 들면서 살이 찌는 여자들에 대한 엉뚱한 농담은 전혀 하지 않았다. 그는 환자와 대화할 때 우리의 존재를 전혀 언급하지 않았다...

Two other students and I were on a ward round with this consultant and his team. He didn’t introduce himself or ask for our name and, bar an off colour joke about females gaining weight with age, didn’t interact with us at all. He didn’t make any reference to our presence when he talked to patients...


그녀의 서술은 의학의 세계에서 [위치 정체성의 패턴에 대한 그녀의 경험]과 [일상적 권력의 경험에서 발생하는 상대적 위치설정]을 보여준다.4 사라와 그녀의 동료 학생들은 컨설턴트에 의해 위계 하단에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 그들은 심한 모욕과 별개로 인정받지 못한다. 그것들은 환자에게 언급할 가치가 없다. 사라가 [그녀의 독자들에게 컨설턴트와 학생 사이의 힘의 차이를 설명할 필요성을 느끼지 않으며], 왜 그녀가 그의 행동이 [문제제기도 없이 통과되도록 허락하는지 설명하지도 않는다는 것]은 의미심장하다. 

Her narrative illustrates her experience of patterns of positional identity in the world of medicine and the relative positioning that arises from day to day experiences of power.4 Sarah and her fellow students are strongly positioned by the consultant at the bottom of the hierarchy. They are not acknowledged apart from a gendering insult. They are not worth mentioning to patients. It is significant that Sarah does not feel the need to explain to her reader the power differential between consultant and students, nor to account for why she allows his behaviour to pass without challenge. 


이 이야기는 FW of Medicine에서 일어나며, 교수진에게 이야기하면서, 사라는 그 세계의 상황이 어떻게 돌아가는지에 대한 공통된 이해를 가정한다. 이론적으로, 사라는 컨설턴트에게 어떻게 반응하는지에 관한 관점을 가지고 있지만, 사회 구조와 힘의 차이는 그녀의 반응을 제약하고 그녀는 침묵한다(또는 오히려 그녀 자신을 침묵시킨다). 홀랜드 외 연구진은 사건incidents들은 [우리에게 위치적인 힘을 명백히 인식하게 하여, '당연하기 여겨온 것'을 깨뜨림으로써, 저항으로 이어지게 만들 수 있다]고 제안한다. 사라는 이 반성문을 쓰는 데 있어서 어느 정도 저항을 보여주는데, 그녀는 이 글을 교직원이 읽을 것이라고 알고 있다.

This story takes place in the Figured World of medicine and in addressing the narrative to a faculty member, Sarah assumes a shared understanding of how things are in that world. Theoretically, Sarah has agency in terms of how she responds to the consultant, but social structure and power differentials constrain her response and she is silenced (or, rather, silences herself). Holland et al.4 suggest that incidents that cause us to become explicitly aware of positional power, and thus rupture the ‘taken-for-granted’, can lead to resistance. Sarah demonstrates some resistance in writing this reflective piece, which she knows will be read by a faculty member.


하지만 더 중요한 것은, 이 의사가 그의 환자들을 대하는 태도에 매우 당황했다... 그녀는 그녀의 질문에 대답하거나 그녀의 질문에 대답하는 것에 개방적이지 않은 컨설턴트에게 질문을 던졌다. 그는 안절부절못하며 분명히 시간에 쫓기고 있다는 것을 과시하고 있었다. 그는 그녀 옆에 앉아 있는 그녀의 어머니에게 자신을 소개하지 않았고 종종 그녀와 환자 둘 다와 눈을 마주치지 못했다... 이 컨설턴트가 실제로 나에게 직접 말을 한 적은 없지만, 그는 무심코 나에게 많은 것을 가르쳐 주었다. 나는 환자에게 어떻게 행동하지 말아야 하는지를 직접 보았다.

More importantly however, I was quite taken aback at the manner in which this doctor addressed his patients..... She [a patient] put her questions to the consultant, who was clearly not open to answering or interacting with her enquiries. He was fidgeting and demonstrating obviously that he was rushed for time. He didn’t introduce himself to her mother, who was sitting beside her, and often failed to make eye contact with both her and the patient ... While this consultant never actually spoke directly to me, he inadvertently taught me many things. I saw, firsthand, how not to behave towards patients.


그녀가 이 컨설턴트의 단점을 설명하면서, 사라는 의사들이 환자들을 어떻게 '해야 하는가'에 대한 입장을 취하며, 자신을 'FW'의 [지배적인 돌봄 가치]에 맞춰 '좋은 의사'로 자리매김한다. 사라는 컨설턴트의 행동을 이용해 자신의 미래의 행동을 프레임함으로써, 컨설턴트와는 거리를 두고 동일시를 거부(dis-identifying)하는 것이다. 그녀는 의사로서 이렇게 되고 싶지 않다는 것을 알고 있다.

As she recounts this consultant’s shortcomings, Sarah takes a stance on how doctors ‘should be’ with patients, positioning herself as a ‘good doctor’ aligned with the dominant caring values of the Figured World. Sarah uses his behaviour to frame her own future practice by distancing herself from it and dis-identifying herself with him. She knows this is not how she wants to be as a doctor.


나는 일반적인 예의와 예절을 무시해서는 안 된다고 믿는다. 환자의 질문을 실제로 듣는 데 1분 정도 시간을 할애하는 간단한 소개와 모든 임상의가 원하는 바를 직접, 그리고 공감으로 민감하게 해결하는 것이어야 한다.

I believe that common courtesy and manners should never be disregarded. Simple introductions, taking an extra minute to really listen to patients’ questions and addressing any concerns sensitively, directly and with empathy should be what all clinicians strive for.


의사들이 어떻게 '해야 하는가'를 이해하면서, 사라는 자신에게 이용 가능한 문화적 자원을 이용한다. 그녀는 위의 발췌문에서 공식적인 어조와 전문적 언어를 채택하고 임상 선생님과 다른 출처로부터 듣고 읽은 용어를 사용하여 자신을 배려하는 의사로 저술한다.

In making sense of how doctors ‘should be’, Sarah draws on the cultural resources available to her. She adopts a formal tone and professional language in the excerpt above and authors herself as a caring doctor, using terms she has heard and read, from her clinical teachers and other sources.


나는 이상적인 환자 치료와 적절한 의사소통을 하는 것이 때때로 어려울 것이라는 것을 이해한다. 나로서는 개인적인 감정이 환자들과 어떻게 상호작용하는지를 방해하지 않도록 노력할 것이며, 항상 인내와 존경과 배려로 환자를 대하도록 노력할 것이다.

I understand that at times delivering ideal patient care and suitable communication will prove difficult. I, for my part, will try to not allow personal feelings to interfere with how I interact with patients and will endeavour to always treat patients with patience, respect and consideration.


이 대목에서, 사라는 자신을 [자신의 환자를 우선시하는 의사]로 저술한다. 그녀는 내적으로 설득력 있는 담화 속에서 [자신의 말]과 [돌봄의 언어]를 얽어놓음으로써 돌봄의 담론을 내면화하고 그것을 자신의 것으로 만들었다.4

In this passage Sarah authors herself as a doctor who puts her patients first. She has internalised the discourse of Caring and made it her own, by intertwining the language of Caring with her own speech in an internally persuasive discourse.4


그녀는 돌봄을 중요시하는 의사의 뚜렷한 정체성을 표현하면서, 돌봄을 의료행위의 한 측면으로 보고 중시하기로 선택한다. 컨설턴트의 행동에 대한 그녀의 반응은 이것을 보여준다. 그녀는 이러한 가치들이 무시되고 있다는 것을 알게 된 것에 짜증과 실망으로 반응하며, 자신이 불편하고 당황스럽다고 묘사한다. 다음 발췌문이 암시하듯이, 그녀는 컨설턴트의 '팀'에 그녀가 속해 있는 것이, 환자의 눈에는 그의 행동을 묵인하는 것으로 자리 잡았다고 느낀다. 보살핌을 중시하는 의사로서 그녀의 정체성은, 이 위치에 의해 훼손된다.

In expressing a figured identity of a caring doctor, she elects to attend to and value Caring as an aspect of medical practice. Her response to the consultant’s behaviour demonstrates this. She responds with irritation and disappointment to finding that these values are disregarded, and describes herself as uncomfortable and embarrassed. As the next excerpt suggests, she feels that her presence in the consultant’s ‘team’ has positioned her as condoning his behaviour in the eyes of the patient. Her figured identity, as a caring doctor, is compromised by this position.


이 컨설턴트를 만난 후 나는 불편하고, 짜증나고, 당황스럽고, 실망했다. 나는 그가 무례한 행동으로 의료계를 실망시켰다고 느꼈다.

Following my encounters with this consultant I felt uncomfortable, irritated, embarrassed and disappointed. I felt that he had let down the medical profession with his rude behaviour.


그러나 미래와 상상의 나 자신을 투영하면서, 그녀는 자신이 어떤 의사가 될 것인지에 대한 선택에서 대리인의 분명한 표현으로, 미래의 돌봄 전문가로서의 자신을 강하게 형상화figuring하면서 결론을 내릴 수 있다.

However, projecting into the future and her imagined self, she is able to conclude with a strong figuring of herself as a future caring practitioner, with a clear expression of agency in her choice of what sort of doctor she will be.


나는 나 자신이 그러한 특성을 개발하는 것을 허락하지 않기로 스스로 결정할 수 있다. 나는 나 자신의 행동을 통제하고 있으며 부정적인 태도나 무례한 접근을 하지 않으려고 노력할 수 있다.

I can decide for myself not to allow myself to develop such traits. I am in control of my own behaviour and can endeavour not to practice negative attitudes or an ill-mannered approach.


아담 

Adam


아담의 경험에 대한 성찰은 그와 동료 학생이 울기 시작하는 환자로부터 병력청취를 하는 상황에 관한 것이다. 그는 이에 대한 자신의 개인적, 전문적인 대응을 서술하고 있는데, 그것은 그가 보기에 적절한 행동을 하지 못하는 것을 보여주었다. 이 분석은 '돌봄'과 '역량'을 모두 중요시하는 훌륭한 의사로서 자기-저술을 자처하는 아담이 이 상황에서 여러 목소리를 조율하기 위해 고군분투하는 데 초점이 맞춰져 있다.

Adam’s reflection on his experience concerns a situation in which he and a fellow student are taking a history from a patient who begins to cry. He narrates his personal and professional response to this, which has shown, in his view, a failure to act appropriately. This analysis focuses on Adam’s struggle to orchestrate multiple voices in this situation, as he self-authors as a good doctor, who values both Caring and Competence.


아담은 자신의 이전 이력을 그리면서 자신을 어떤 경험을 가진 의료 전문가로 포지셔닝하는 것으로 시작한다; 이 위치의 중심은 환자와 의사소통을 잘 하는 것으로 파악된 정체성이다.

Adam begins by drawing on his previous history, positioning himself as a health care professional with some experience; central to this position is a figured identity of being good at communicating with patients.


... 약대생으로서, 결과적으로 약사로서의 나의 강점 중 하나가 환자 친밀감이었다.

... patient rapport was one of my strong points during my years as a pharmacy student and consequently a pharmacist.


이제 아담은 다른 FW에 있다. 환자들과의 의사소통을 잘 하는 사람이라고 생각하는 그의 생각은 기대만큼 잘 풀리지 않았다. 사라처럼, 그는 자신의 이야기를 말하고 상황을 이해하며 그 안에 있는 자신의 위치를 찾기 위해 의학계의 담론을 그린다. 아담은 또한 '좋은 의사'가 되기를 원하지만, 그는 사라와 다른 방식으로 이러한 담론을 활성화시킨다. 다음 발췌에서 그는 능력 담론의 관점에서 공감할 수 없는 것으로 인식된 실패에 대해 쓴다.22

Now, Adam is in a different Figured World. His figuring of himself as a good communicator with patients has not played out as expected. Like Sarah, he draws on the discourses of the Figured World of medicine in order to tell his story, to make sense of the situation and to locate himself within it. Adam also wants to be a ‘good doctor’, but he activates these discourses in ways that are different to Sarah. In the following excerpt he writes about his perceived failure to be empathic from the point of view of a competency discourse.22


나는 그것을 [공감하는 태도로 그것(환자의 울음)에 대처하지 못하는 나의 무능력]을 내 입장에서 볼 때 심한 실패라고 보았다. 당황해서, 나는 그 상황에 어떻게 대처해야 할지 확신이 없었고, 겨우 '괜찮아, 천천히 해'로 그녀를 위로하려고 했다. 반면에 우리 반 친구는 휴지를 사 주겠다고 했어. 그녀는 환자를 위로하면서 한 손을 팔에 얹었다.

I saw my inability to address it [patient crying] in an empathic manner as a gross failing on my part. Taken aback, I was unsure of how to deal with the situation, and only managed to attempt to comfort her with ‘it’s alright, take your time’. My classmate on the other hand, offered to get her some tissue paper ... As she comforted the patient she put one hand on her arm.


아담의 (실패한) 성과에 대한 자체적인 분석은 역량 부족이라는 측면에서 설득력이 있다. (그의 반 친구의 행동에 의해서 캡슐화된) 유능한 의사는 자신감 있고 환자들과의 상호작용에 능력이 있는 사람이다. 그들을 대할 때 'know how'를 증명하는 사람이다. 이 부분에 대해 아담은 자신의 수행능력을 평가하고, 자신이 부족함을 발견한다. 그의 반 친구는 그가 당황하고 '불안해하는' 동안 침착하게 행동을 취한다. 그녀는 환자의 고통에 효과적으로 대응했고 자신감과 능력을 보여주었다. 그녀는 '역량 있는' 돌봄 전문가다. 아담이 느낀 불편함과 불확실성에 대한 감정은, 자신감과 능력이 중시되는 FW of Medicine에서 그를 '무능력'과 '비효과'로 위치시킨다.

Adam’s own analysis of his (failed) performance is couched in terms of lack of Competence. Encapsulated in the behaviour of his classmate, the competent doctor is one who is confident and capable in interactions with patients, one who demonstrates ‘know how’ when dealing with them.22 Adam evaluates his own performance against this marker and finds himself lacking; his classmate calmly takes action while he is ‘taken aback’ and ‘unsure’. She has responded effectively to the patient’s distress and has demonstrated confidence and capability. She is a ‘competent’ caring professional. Adam’s feelings of discomfort and uncertainty position him as ‘incompetent’ and ‘ineffective’ in the Figured World of medicine, where confidence and capability are valued.


분명히 환자를 효과적으로 돌볼 수 없는 나 자신의 수치심과 죄책감이 생기기 시작한 것은 이 무렵이었다.

It was around this point that my own sense of shame and guilt began to arise, as I clearly was unable to effectively sooth the patient.


아담의 이야기는 여러 개의 음성으로 되어 있다. 그는 '돌봄'에 대해서, 그리고 그것이 의료행위에 있어서 무엇을 의미하는지 형식적인 어투로 글을 쓰며, 따라서 그에 의해 전유되고 재해석되기보다는 그를 통해 말하는 'Tomorrow's Doctor'과 같은 공문서들의 권위 있는 담론에 의해 '환화'된다. 다음 발췌에서 그의 글은 mode of authority를 취한다.

Adam’s narrative is multi-voiced. He writes with a formal tone about Caring, and what it means in medical practice, and he is thus ‘ventriloquated’ by the authoritative discourse of official documents, such as Tomorrow’s Doctors, which speak through him, rather than being appropriated and reinterpreted by him. In the following excerpt his writing is in the mode of authority.


이러한 유형의 신체 접촉은 안심시키고 자신감을 심어주며 공감을 나타내는데 도움을 준다; 비록 사람들이 행동을 그렇게 많이 생각하지는 않겠지만, 무의식적으로 신체적 근접성은 이러한 유형의 반응을 유발한다. 환자의 울음소리에 대한 내 반응의 의도는 의료전문가로부터 기대하는 공감과 확신과 대등했다. 그러나 나의 답변 방식과 정도는 부족했다. 환자를 위로하는 것은 간단한 개념으로 매일 연습할 때 필요하다. 그러나 그것을 능숙하게 하기 위해서는 상상 이상의 기교와 기술이 필요하다.

These types of physical contact help to reassure, instil confidence and display empathy; although one wouldn’t think so much of the act, subconsciously the physical proximity triggers these types of responses. The intentions of my response to the patient’s crying were on par with what is expected from a health care professional: empathy and assurance. The method and extent of my response however were lacking. Consoling the patient is a simple enough concept and is necessary in daily practice. To be proficient at it however requires more finesse and skill than one would imagine.


역량이라는 담론을 논리적으로 확장시켜 나가면서, 아담은 [Caring이 적절한 시기에 올바른 움직임의 알고리즘적 과정을 통해 실행될 수 있다는 믿음]에 기초하여 훌륭한 의사로서의 미래 정체성을 투영한다.

Taking the discourse of Competence to its logical extension, Adam projects his future identity as a good doctor on the basis of the belief that Caring can be executed through an algorithmic process of the right moves at the right time.


나는 우리 반 친구가 사용했던 것과 비슷한 기술을 사용하고자 한다. 이런 시나리오에서는 단어만으로는 불충분할 때가 있다.

I am fully intent on employing similar techniques to those that my classmate used. In these scenarios, words alone are sometimes insufficient.


나중에 그의 성찰에서 아담은 [가족과 친구와의 관계에서 불편한 감정을 느끼는 논리적인 인물]로 자신을 저술한다. 아래 발췌에서는 어느 정도 자기 비판적인 것처럼 보이지만, 역량의 담론에서는 논리, 합리성, 추론이 강한 요소로서, 따라서 미래의 의사로서의 적합성을 (스스로) 확인한다.22

Later in his reflection, Adam authors himself as a logical person who is uncomfortable with emotion in his relations with family and friends. Although, to some extent, he appears to be self-critical in the excerpt below, logic, rationality and deduction are strong elements in the discourse of Competence, and therefore confirm his suitability as a future doctor.22


한 가정주부와의 이 사건을 떠올려 보니 내 의심이 확연히 드러났다. 나는 상식이 부족했다. 개인적인 차원에서, 나는 종종 가족이나 친구들이 우는 경우에 능숙하게 대처하지 못한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나는 초기 문제에 대한 해결책을 합리화하고 논리적으로 추론하려고 한다. 그들의 울음소리가 분별력 있는 것인지 아닌지를 떠나 그 시점에서 위로가 관건임은 두말할 나위도 없다.

Recalling this event with a housemate confirmed my suspicions: I lacked common sense. On a personal level, I find that I am often unable to deal with family and friends crying adeptly as well. I attempt to rationalise, and logically deduce a solution to the initial problem. It goes without saying that at that point consolation is key, regardless of whether their crying is sensible or not.


효과적인 의사가 되지 못한 것으로 인식된 아담의 강한 감정적 반응은 [그의 역량에 대한 가치평가]에 뿌리를 두고 있다. 그에게 돌봄은 기술적 역량의 문제다. 이것은 그가 반 친구가 사용하는 '방법'을 고려하고 그것들에 대항하여 자신의 성과를 측정하기 때문에 명백하다. 그는 그 중요성에 대한 교과서형 설명을 이어간다.

Adam’s strong emotional response to his perceived failure to be an effective doctor is rooted in his valuing of Competence. For him, Caring is a matter of technical competency. This is evident as he considers the ‘methods’ used by his classmate and measures his own performance against them. He follows up with a textbook-type account of their importance:


사회가 의사들에게 기대를 걸고 있기 때문에, 한 사람이 능숙하게tactfully 환자를 위로하지 못하는 것은 그들의 기능에 심각한 장애로 보여진다.

As society has expectations of their physicians, the inability of one to tactfully console their patients is seen as a gross impediment to their function.


['숙련'과 '기술'에 대한 그의 레퍼런스]와 [자신의 수행의 '방법 및 범위'에 대한 평가]는 역량의 담론에서 나온 것이다. 비록 그가 이 사건에 대해 함께 반성해 온 룸메이트와 과거에 위로하지 못한 가족과 친구들의 목소리가 직접적으로 들려오지는 않지만, 아담은 (스스로를 환자를 잘 다루는 약사로 묘사할 때 다소 모순되게 그려내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이 이야기에서 매우 합리적이고 따라서 진정으로 위로하고 위로할 능력이 부족한 사람으로서 자신의 의미를 부여하기 위해 그들을 끌어당긴다. 


His references to ‘proficiency’ and ‘skill’ and his evaluation of the ‘method and extent’ of his own performance come from the discourse of Competence. Although the voices of his roommate, with whom he has reflected on this event, and family and friends he has failed to console in the past are not heard directly, Adam draws on them to make meaning of himself in this narrative as someone who is highly rational, and who therefore lacks the ability to truly console and comfort, despite his somewhat contradictory figuring of himself as a pharmacist who was good at dealing with patients.


아담은 자신을 '케어하는 의사'로 분명히 저술하지는 않지만, 자신이 자신의 성과에 대해 반성하는 것처럼 보살핌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있으며 합리적이고 논리적인 면을 겸비한 특별한 자질을 가지고 있다는 입장을 취하고 있다. 한편으로 그는 실패를 평가하기 때문에 자신에 대한 서술 안에는 긴장이 있지만, 다른 한편으로는 지식의 세계, 성찰의 세계, 그리고 좋은 의사가 되기 위한 길을 가면서 다른 담론들에 목소리를 낸다.

Adam does not clearly author himself as a ‘caring doctor’, but he does position himself as having particular qualities that also constitute aspects of the good doctor, advertising that he is cognisant of the importance of caring, and rational and logical as he reflects on his own performance. There are tensions within his narrative of self, as he on the one hand appraises a failure, but on the other gives voice to other discourses in the Figured World of medicine, positioning himself as informed, reflective and on the way to being a good doctor.


고찰 

DISCUSSION


FW와 의사 정체성의 가능성

Figured Worlds and possibilities for doctor identity


위의 예시에서는 FW를 적용하여 의대생들의 self-authoring에서의 의사정체성의 다양한 구조를 탐구하였다. 아담과 사라는 의료행위에 있어서 Caring의 개념을 이해했고, 따라서 그들은 서로 다른 방식으로 돌봄 전문가로서의 개념을 이해했다. 그들은 공통의 문화적 자원인 '의학의 FW'의 담론을 서로 다른 방식으로 활성화시켰다. 

In the exemplar above, we applied Figured Worlds to explore the diverse constructions of doctor identity in the self-authoring of medical students. Adam and Sarah understood the notion of Caring in medical practice, and hence themselves as caring professionals, in different ways. They activated their common cultural resources, the discourses of the Figured World of medicine, in different ways. 


사라는 현재와 미래의 자신을 caring doctor로 만들었다. 그녀는 돌봄의 담론에 대해 분명한 입장을 취했다. 그녀는 돌봄의 담론을 자신의 말과 엮어 그것을 자신의 것으로 삼았었다. 아담은 사라처럼 자신을 caring professional로 정하지 않았다. 돌봄을 기술적 역량으로 바라보는 아담의 프레임은 [학생들이 (돌봄의 심리사회적 측면의 예측 불가능성을 다루거나) ('Cure'하기 위해 커리큘럼 개입을 모색하는)] MacLeod의 작품과 일치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아담은 Caring이 중요하다는 것을 알고 있었고, 사라만큼 케어링 의사가 되고 싶었지만, 의사로서 self-authoring하는 과정에서 caring과 competence의 '목소리'를 조정하려고 시도하면서 그 의미에 대해서는 다른 입장을 취했다.

Sarah authored herself as a caring doctor, now and in the future. She took a clear stance on the discourse of Caring. She had intertwined the discourse of Caring with her own words and made it her own. Adam did not author himself as a caring professional in the same way. His framing of caring as a technical competence echoed MacLeod’s work, where students sought curricular interventions to deal with or ‘cure’ the unpredictability of the psychosocial aspects of care. Nonetheless, Adam knew that Caring is important, and wanted to be a Caring doctor as much as Sarah did, but took a different stance on what that meant, as he attempted to orchestrate the ‘voices’ of Caring and Competence in his self-authoring as a doctor.


FW는 [의학 교육에서 정체성 개발에 대한 관점을 제공하여] 표준화의 지배적인 담론에 문제를 제기한다. [다양한 학생 구성이 바람직하다는 것]과 [의학교육의 목표가 되는 획일적인 '좋은 의사'로 전문화되는 것] 사이의 긴장감을 조명한다. 'FW'의 개념은 기존의 공동체 가치와 관행 내에서 'becoming'하는 방법의 다양성을 강조한다. 그렇게 함으로써, FW는 선택이 이루어지는 사회적 구조와 권력의 분야field를 인식하면서, [어떻게 세계의 의미를 만들 것인가를 선택하는 데 있어서 개개인의 행위자성]을 강조한다

Figured Worlds provides a perspective on identity development in medical education that troubles the dominant discourse of standardisation. It sheds light on the tension between a diverse student body being desirable and professionalisation into uniform ‘good doctors’ being the goal of medical education. The concept of a Figured World emphasises the diversity of ways of ‘becoming’ within existing community values and practices. In doing so, it emphasises the agency of the individual in choosing how to make meaning of the world whilst recognising the social structures and fields of power within which such choices are made. 


FW는 정체성의 측면이 durable하게 만들어주지만, 유동적이고 항상 변화하는 정체성의 본성을 강조한다. 이는 (전문적) 삶을 통해 지속되는 'becoming'이다. 바크틴에 따르면, 자아는 관점을 취하는 사이트다.28 두 사람이 같은 사이트를 점유할 수 없다; 우리는 각각 다르게 다루어지고, 우리는 [자신이 이용할 수 있는 차용된borrowed 요소들을 사용하여] 다양한 방식으로 의미를 부여한다. 

Figured Worlds allows for aspects of identity to be durable, but highlights the fluid, always changing nature of identity, a ‘becoming’ that continues through (professional) life. According to Bakhtin, the self is a site from which perspective is taken.28 No two people can occupy the same site; we are each addressed differently and we use the borrowed elements available to us to make meaning in diverse ways. 


우리는 두 학생이 그들의 직업 정체성의 핵심 요소를 다른 방식으로 해석하는 것을 보아왔다. 의과대학과 규제당국이 시행하는 대부분의 일은 우리가 [표준화된 '좋은 의사'의 생산]을 위해 노력하고 있고 올바른 교육과정 성분이 원하는 결과를 가져올 것이라는 무언의 가정에 근거하고 있다. FW 이론4는 [표준화된 '좋은 의사'의 지배적인 담론 안에서 강조되지 않는 많은 문제들], [즉 개인적인 여행, 시간의 경과, 정체성이 결코 '완성되지 않는다'는 생각, 그리고 자기 자신에 대한 다양한 정체성의 인식] 등을 포착하기 때문에 중요하다.

We have seen two students interpret a core element of their professional identity in different ways. Much of what medical schools do, and regulators enforce, is predicated on the unspoken assumption that we are working towards the production of a standardised ‘good doctor’ and that the right curricular ingredients will result in the desired outcome. Figured Worlds theory4 is important because it captures many of the issues that are under-emphasised within this dominant discourse of a standardised ‘good doctor’: personal journeys, the passage of time, the idea that identities are never ‘completed’ and the recognition of diverse accounts of self.


Mind Worlds가 의학 교육 연구를 제공할 수 있는 것은 무엇인가?

What can Figured Worlds offer medical education research?


FW가 뒷받침하는 의학 교육에서 이미 발표된 소그룹 연구들의 다양성은 광범위한 잠재적 응용을 시사하는데, 그 중 우리의 예는 하나일 뿐이다. 교육에서 보자면, 바크티니안 담론 접근방식은 [개인들이 FW of Medicine에서 움직이는 과정에서, 어떻게 젠더, 성별, 인종, 사회적 계급의 담론을 그들이 조정하는지]를 분간할 수 있는 렌즈를 제공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것은 우리가 이 profession에 더 많은 다양성을 가져오려고 노력하는 것과 연관된 중요한 문제들이다. 

The diversity of the small group of studies already published in medical education underpinned by Figured Worlds suggests a broad range of potential applications, of which our exemplar is but one. Drawing on its use in education, we can see that a Bakhtinian approach to discourse provides a lens to examine discursively how individuals orchestrate discourses of gender, sexuality, race and social class as they move in the Figured World of medicine. These are important issues as we try to bring greater diversity to the profession. 


힐 외 13세의 연구는 여성 외과의가 되는 것과 그러한 정체성을 구축하기 위해 리프레임 경험이 필요하다는 것을 밝혀냈다. 미래 연구는 자신을 다른 종류의 의사로, 그 문화 세계에서 기대되는 전형적인 프로파일에 맞지 않는 의사로 판단하는 가능성, 그리고 이것이 의사가 되는 개인과 그들이 배우고 일하는 의료 문화에 미치는 영향을 탐구할 수 있을 것이다.

The work of Hill et al.13 has shed light on being a woman surgeon and the necessity of reframing experience in order to construct that identity. Future studies might explore the possibilities for figuring oneself as a different kind of doctor, one who does not fit the typical profile expected in that cultural world, and the implications of this for individuals becoming doctors, and for the medical culture in which they learn and work.


의학 교육의 지속적인 도전은 [중요한 가치와 행동을 공통적으로 가지고 있도록] 학생들을 교육하는 것이다('프로페셔널리즘'), 그러나 이후에 학생들은 사회의 요구에 맞는 다양한 직업 선택을 할 것이다. 의학교육에서 표준화에 대한 담론에도 불구하고, 대부분의 사람들은 의술이 개인과 전문분야 모두에 특정한 방식으로 실행된다는 것을 인정할 것이다. FW of Medicine은 균질하지 않지만, 여러 개의 중첩된 세계들로 구성되어 있고, 각 세계마다 중요시되는 성과와 행동이 다르다. 예를 들어, 내과의와 외과의의 세계들은 매우 뚜렷하게 다르다. 왜 한 학생은 내과에 끌리고 다른 학생은 외과에 끌리는가? 그 반대는 왜 안 돼? 특정 실천 분야에서 의사들의 부족과 지리적 '분포'는 고소득 국가들과 저소득 국가들 모두에서 직면하고 있는 문제들로, 보건 서비스 제공자들에게 큰 도전이 되고 있다. 각 전공의 FW에서 의대생과 전공의의 정체성identification에 대한 탐구는 직업 선택의 과정에 대한 통찰력을 제공할 수 있으며, 그러한 선택이 어떻게 형성될 수 있는지 이해할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할 수 있다.

A perennial challenge for medical education is to educate students who have important values and behaviours in common (‘professionalism’), and yet will make a range of career choices appropriate to society’s needs. Despite the discourse of standardisation in medical education, most would acknowledge that medicine is practised in ways that are both individual and specialty specific. The Figured World of medicine is not homogenous, but consists of many overlapping worlds, where valued outcomes and actions vary. The Figured Worlds of general practice and surgery are quite distinct for instance. Why is one student drawn to general practice and another to surgery? Why not vice versa? Shortages and geographical ‘maldistribution’ of doctors in specific areas of practice are problems faced in both high and low-income countries, creating a major challenge for health service providers. Exploration of medical student and resident identification within specialty Figured Worlds may provide insight into the processes of career choice and perhaps a means to understand how such choices might be shaped.


담론과 목소리를 강조하는 FW 이론은 전문적인 정체성 개발을 지원하기 위해 대화와 성찰을 위한 공간을 제공하는 것의 중요성을 지적한다. 학생들은 다음과 같은 기회가 필요하다.

    • 자신을 의사로서 저술author할 기회,

    • 그들이 마주친 많은 담론과 그들이 겪은 경험들을 결합하기 위해 그들의 행위자성을 사용할 기회

    • 의학이라는 문화 세계에서 그들 자신을 이해시킬 기회

Figured Worlds theory, emphasising discourse and voice, points to the importance of providing space for dialogue and reflection to support professional identity development. Students need opportunities 

    • to author themselves as doctors, 

    • to use their agency to combine the many discourses they have encountered and the experiences they have accrued, 

    • to make sense of themselves in the cultural world of medicine. 


다른 학생들과 의사들과의 대화에서, 그들은 그들을 다루는 담론에 응답하지 않을 수 없다. [성찰적인 토론]은 [학생들과 교수진들이 의학의 문화적 세계와 그 안에서 그들 자신]에 대한 [서로의 저작authroing에 도전하고 질문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오랜 시간에 걸쳐서 교수들은 학생들이 의사로서의 입장을 발달시킬 수 있게 해주고, 의사로서 스스로에 대한 견고한 해석을 할 수 있도록 해주지만, 그것은 직업 생활 전반에 걸쳐 계속해서 변화할 것이다.

In dialogue with other students and with doctors, they are compelled to respond to the discourses that address them. Reflective discussions provide an opportunity for students and faculty members to challenge and question each other’s authoring of the cultural world of medicine and of themselves within it. Over time they allow students to develop a stance, a more durable interpretation of themselves as doctors in the making, but one that will continue to shift throughout professional life.


의학교육에 있어서 대화와 자권

Dialogue and self-authoring in medical education


FW는 의학의 문화적 세계cultural world와 그것이 [의사 정체성 형성과 전문적인 행동에 대한 비공식적이고 숨겨진 커리큘럼]에 주는 영향에 대한 풍부한 통찰력을 제공할 수 있다. 그것은 우리가 움직이는 문화계 안에서의 [figured and positional identity]와 [우리가 마주치는 담론의 조정]을 통해 어떻게 '영향influence'이 내면화되는지를 검토할 수 있는 새로운 방법을 제공한다. 학생들이 임상 환경에서 겪는 [일상적 경험, 포용력, 인정, 배척, 굴욕 등]이 미래의 의사로서 어떻게 자신을 envisage하는지 조명한다. 학생들의 경험에 대한 설명에 바크티니안 접근법을 사용함으로써 우리는 학생들의 자기저작과 그것에 기여하는 여러 목소리를 탐구할 수 있다. 이것은 학생들이 어떻게 시간이 지남에 따라 의사로서 자신을 이해하게 되는지에 대한 풍부한 연구 맥락을 제공한다.

Figured Worlds can provide rich insights into the influence of the cultural world of medicine and its informal and hidden curricula on doctor identity formation and professional behaviour. It provides a new way to consider how ‘influence’ is internalised, through figured and positional identities in the cultural worlds in which we move, and through orchestration of the discourses we encounter. It sheds light on how students’ daily experiences in clinical environments, of inclusion, recognition, exclusion and humiliation, shape how they envisage themselves as future doctors. By using a Bakhtinian approach to students’ accounts of their experiences we can explore their self-authoring and the multiple voices that contribute to it. This offers a rich vein of research into how students come to understand themselves as doctors over time.


FW이론의 강점은 직관적이면서도 명확한 이론적 혈통에 근거한 방식으로 정체성 형성의 복잡성을 설명할 수 있는 능력이다. 특히 담론에 대한 바흐틴의 접근방식의 사용은 추가적인 차원을 더한다. 한계는 사회문화적 이론들 사이에서도 FW는 숙달하기 어려운 이론이라는 것이다. 우리는 의학 교육의 중심인 [전문적 정체성 개발]이라는 비교적 친숙한 영역에서 FW를 사용하여 다루어 보았다. 우리는 FW이론의 사용에 대한 우리의 설명과 실증 실험이 의학 교육에 대한 그것의 이해를 더욱 증가시키기를 바란다.

A strength of Figured Worlds theory is its ability to account for the complexity of identity formation in ways that are both intuitive and grounded in a clear theoretical lineage. Its use of Bakhtin’s approach to discourse in particular adds an extra dimension. A limitation is that, even amongst socio-cultural theories, this is a challenging one to master. We have addressed this by using Figured Worlds in the relatively familiar domain of professional identity development, which is central to medical education. We hope that our explanation and demonstration of the use of Figured Worlds theory will further increase its uptake in medical education.







. 2017 Mar;51(3):248-257.
 doi: 10.1111/medu.13220. Epub 2016 Dec 29.

Possibility and agency in Figured Worlds: becoming a 'good doctor'

Affiliations 

Affiliations

  • 1Medical Education Unit, University College Cork, Cork, County Cork, Ireland.
  • 2Education and Social Research Institute, Manchester Metropolitan University, Manchester, UK.
  • 3Royal College of Physicians of Ireland, Dublin, Ireland.
  • 4Department of Infectious Diseases, St. James' University Hospital, Dublin, Ireland.
  • 5Department of Medicine, University of Dublin Trinity College, Dublin, Ireland.
  • 6School of Medicine, University College Cork, Cork, Ireland.
  • 7Centre for Medical Education, Queen's University Belfast, Belfast, UK.

Abstract

Context: Figured Worlds is a socio-cultural theory drawing on Vygotskian and Bakhtinian traditions, which has been applied in research into the development of identities of both learners and teachers in the wider education literature. It is now being adopted in medical education.

Objective: The objective of this paper is to show what Figured Worlds can offer in medical education. Having explained some of its central tenets, we apply it to an important tension in our field.

Methods: The assumption that there is a uniform 'good doctor' identity, which must be inculcated into medical students, underlies much of what medical educators do, and what our regulators enforce. Although diversity is encouraged when students are selected for medical school, pressure to professionalise students creates a drive towards a standardised professional identity by graduation. Using excerpts from reflective pieces written by two junior medical students, we review the basic concepts of Figured Worlds and demonstrate how it can shed light on the implications of this tension. Taking a Bakhtinian approach to discourse, we show how Adam and Sarah develop their professional identities as they negotiate the multiple overlapping and competing ways of being a doctor that they encounter in the world of medical practice. Each demonstrates agency by 'authoring' a unique identity in the cultural world of medicine, as they appropriate and re-voice the words of others.

Discussion: Finally, we consider some important areas in medical education where Figured Worlds might prove to be a useful lens: the negotiation of discourses of gender, sexuality and social class, career choice as identification within specialty-specific cultural worlds, and the influence of hidden and informal curricula on doctor identity.

의학교육에서 오픈북평가: 지금이 적기다 (Med Teach, 2020)

Assessing open-book examination in medical education: The time is now

Ivry Zagury-Orlya and Steven J. Durningb



코로나바이러스 대유행은 전세계적으로 의료 교육자들이 그들의 교육과 평가를 온라인 환경에 적응하도록 강요했다. 온라인에서 학습자를 평가하면 이론적으로 시험 보안, 특히 고부담 시험(Durning et al. 2016; Fuller et al. 2020)에 대한 우려가 제기된다. 폐쇄형 시험(CBE)과 개방형 시험(OBE)의 관리는 감독되지 않은 것에서부터 오디오 및 비디오 모니터링과 지문 감식이 있는 시험 프로그램까지 다양하다(Fuller et al. 2020). 현재, OBE 대 CBE의 사용은 논쟁거리로 남아 있다 – 그 이유와 함께, OBE와 CBE 중 어느 한쪽의 사용을 지지하는 결정적인 증거가 부족하다. (Durning et al. 2016)

The coronavirus pandemic has forced medical educators, globally, to adapt their teaching and assessment to the online environment. Assessing learners online, theoretically poses a concern for test security, particularly for high-stakes testing (Durning et al. 2016; Fuller et al. 2020). Administration of closed-book examinations (CBEs) and open-book examinations (OBEs) vary from being unsupervised to test-taking programs with audio and video monitoring and fingerprint identification (Fuller et al. 2020). As of now, the use of OBE versus CBE remains a debate – with reason: definitive evidence supporting the use of one over the other is lacking (Durning et al. 2016).


CBE 또는 OBE를 사용하기로 한 결정에는 몇 가지 이론적 가정이 있다. 한 쪽에서, CBE 옹호자들은 일반적으로 

  • 첫째, CBE가 [학습자가 알고 있는 정보]의 지표로서 정보를 이해하고 인출하는 학습자의 능력을 평가하는데 필수적이라고 주장한다. (Durning et al. 2016) 

  • 둘째로, CBE를 복용하는 것은, 외관상 더 수동적인 OBE와 비교했을 때, 시험 효과의 결과로 학습자의 장기 보유에 도움이 될 수 있는 기억력에서 더 많은 노력을 필요로 할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최근 CBE와 OBE를 비교한 체계적 검토에서 시험 성과와 시험 효과에 대해 유의미한 차이는 발견되지 않았다(Durning et al. 2016). 

  • 셋째, 학습자는 OBE가 CBE보다 쉽다고 가정할 수 있으며, 결과적으로 OBE에 대해 덜 공부할 수 있다(Durning et al. 2016). 실제로, 체계적 검토 결과 학습자들은 OBE를 준비하는 데 더 적은 시간을 투자했지만, 포함된 37개 연구 중 70%는 OBE에 대한 사전 경험이 거의 또는 전혀 없었으며, 이는 학생들이 준비하는데 필요한 시간을 과소평가하게 만들 수도 있다(Durning et al. 2016).

There exist several theoretical assumptions underlying the decision to use CBEs or OBEs. On the one hand, advocates for CBE generally contend that, 

  • first, CBEs are essential for evaluating learners’ ability to understand and recall information as an indication of what learners know (Durning et al. 2016). 

  • Second, taking a CBE may require more effortful retrieval from memory, which, as a result of the testing effect, could benefit learners’ long-term retention, as compared to seemingly more passive OBEs (Durning et al. 2016). Nevertheless, in a recent systematic review comparing CBE and OBE, no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noted for exam performance and testing effects (Durning et al. 2016). 

  • Third, learners may assume OBEs are easier than CBEs, and may, consequently, study less for an OBE (Durning et al. 2016). Indeed, the systematic review indicated that learners invested less time preparing for an OBE; however, in 70% of the 37 studies included, participants had little to no prior experience with OBE, which may have led them to underestimate the time required to prepare (Durning et al. 2016).


반면 OBE의 지지자들은 OBE가 교육자들이 암기를 넘어 고차원의 인지 능력과 비판적 사고를 요구하는 질문을 제기할 수 있도록 한다고 주장한다. 학습자의 지식을 평가하지 않는다는 위협은 모든 것을 찾을 시간이 없도록 시험 시간을 제약시킴으로써 극복할 수 있다(Durning et al. 2016). 또는 더 좋은 방법은 'why'에 대한 질문을 함으로써 극복할 수 있다(슈워츠슈타인과 로버츠 2017; 풀러 외 2020). 이러한 질문은 검색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학습자들의 추론적 사고를 밝혀내고 그들의 사고에 도전하는데 도움을 준다. 그리고 의학지식이 핵심역량임에도 불구하고 의료학습자의 지식손실은 상당할 수 있다(D'Eon 2006).

On the other hand, proponents of OBE argue that OBEs allow educators to pose questions that require higher-order cognitive skills and critical thinking, beyond rote memorization (Durning et al. 2016). The threat of not assessing learners’ knowledge could be overcome by time-pressured tests, leaving little time to look up everything (Durning et al. 2016), or better, by asking why questions (Schwartzstein and Roberts 2017; Fuller et al. 2020), which are not only less searchable but also help to uncover learners’ reasoning and challenge their thinking. And although medical knowledge is a core competency, knowledge loss among medical learners can be significant (D’Eon 2006).


암기의 한계를 인식하는 것은 플립 교실 모델(슈워츠슈타인과 로버츠 2017)의 채택과 일치하며, 최근 미국 의료면허시험(USMLE) 1단계를 합격 또는 불합격으로 하기로 연방의료위원회(FSMB)와 국가의료심사위원회(National Board of Medical Examiners, NBME)의 결정과 일치한다. USMLE step 1에서 세 자리 성적을 없앰으로써, 학습자들은 불필요한 사실보다 더 중요하고 관련 있는 정보를 우선시할 것으로 기대한다(Prober 2020).

Recognizing the limits of rote memorization is consistent with the adoption of the flipped classroom model (Schwartzstein and Roberts 2017), and the recent decision by the Federation of State Medical Boards (FSMB) and the National Board of Medical Examiners (NBME) to make the US Medical Licensing Examination (USMLE) Step 1 exam a pass or fail assessment. By eliminating the three-digit score, learners may prioritize more essential and relevant information, over unnecessary facts, they are likely to be tested on (Prober 2020).


OBE와 CBE의 대면 비교를 넘어, OBE는 임상 실습에 보다 정통하며 다양한 전이 가능한 기술의 평가를 허용할 수 있다

  • 학습자가 고품질 정보를 얻기 위해 찾아야 하는 자원(자료)의 유형에 대해 공식적인 교육을 받고 있는가? 

  • 학습자가 시간에 제약된 환경에서 신뢰할 수 있는 증거를 적용하는 방법을 알고 있는가? 

  • 학습자가 불확실성에 대응하는 방법을 알고 있는가? 

Beyond the face-to-face comparison of OBE and CBE, OBEs are more authentic to clinical practice and may allow for assessment of various transferable skills. 

  • Do learners have formal training on the type of resources they must seek to obtain high-quality information? 

  • Do learners know how to apply credible evidence in time-constrained settings? 

  • Do learners know how to respond to uncertainty? 

이 질문들 중 많은 것은 매일 실무자들이 경험하는 것을 나타낸다. 그러나 이러한 질문들은 일반적으로 교육되거나 의도적으로 평가되지 않는다.

Many of these questions represent what practitioners experience daily; yet, these are typically not taught or purposely assessed.


온라인 OBE는 '구글 의사'를 넘어 의사가 현재 임상 실습에서 사용할 것으로 예상되는 치료 시점 자원을 실시간으로 시뮬레이션할 수 있다. 특히 OBE는 학습자가 온라인 자원을 효율적으로 효과적으로 문제 해결에 활용할 수 있도록 설계할 수 있다. 이 때 수행능력이 뛰어나다는 것은 다음과 같은 지식으로 증명될 수 있다: 

  • 무엇을 검색할 것인가, 어느 정도 배경 지식이 있어야 효과적일 수 있다. 

  • 어디서 검색할 것인가, 신뢰할 수 있는 출처를 식별하고 오보의 현저한 시대에 이성의 목소리가 되기 위해 필요한 기술 

  • 어떻게 검색할 것인가, 적절한 키워드, 유효한 검색 전략 및 적절한 리소스 탐색을 최소 시간 내에 검색하는 방법 

  • 어떻게 데이터를 효과적으로 사용할 것인가– 정보 검색에 능숙하다고 해서 지식 번역의 우수성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Online OBEs can provide a real-time simulation of the point-of-care resources – beyond doctor Google – that physicians are currently expected to use in their clinical practice. Specifically, OBEs can be designed for learners to utilize online resources to problem-solve efficiently and effectively. Greater performance could be evidenced by knowing: 

  • what to search, which would require some background knowledge to be effective; 

  • where to search, a necessary skill for identifying credible sources and for being the voice of reason in this striking age of misinformation; 

  • how to search, with appropriate keywords, valid search strategies, and proper resource navigation, in minimal time; and 

  • how to use the data effectively – being proficient at searching for information does not imply excellence in knowledge translation. 


또한 온라인 OBE는 일반적으로 증거 기반 의학이라고 불리는 [임상 의사결정에서 이용 가능한 최선의 증거를 적절히 식별하고 활용하는 것의 중요성]에 대한 학습자의 인식을 높일 수 있다. 과학 정보의 양이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함에 따라 한때 의과대학에서 일찍 습득되었던 지식은 잊혀질 뿐만 아니라 무관할 수도 있다. 온라인 OBE를 관리함으로써, 의대생과 레지던트들도 자기주도 학습자가 되어야 할 의무를 더욱 의식하게 될 수 있다. 그들은 의료행위의 끊임없는 진화에 보조를 맞추는 기술을 개발할 수 있었다.

Online OBEs may also heighten learner awareness of the importance of aptly identifying and utilizing best available evidence in clinical decision-making, commonly referred to as evidence-based medicine. With the quantity of scientific information increasing exponentially, knowledge that was once acquired early in medical school may not only be forgotten but may also be irrelevant. By administering online OBEs, medical students and residents may become more mindful of their duty to be self-directed learners. They could develop skills in keeping up with the constant evolutions of medical practice.


코로나바이러스 대유행으로 인한 CBE의 제한된 실현가능성을 고려할 때, 지금은 의료 교육자인 우리 모두가 의학교육에서 온라인 OBE의 사용을 신중하게 탐구할 때다. 

  • 첫째, 효과성을 연구하기 전에 학습자에게 저부담 환경에서 충분한 OBE 경험을 제공해야 한다. 예를 들어, 우리는 종합 평가 전에 일련의 형성적 OBE를 구현할 수 있다. 

  • 둘째, OBE가 학습자와 교수진에게 어떻게 받아들여지는지를 잘 설계된 조사와 정성적 연구 방법을 사용하여 탐구해야 한다. 

  • 셋째, 우리는 온라인 자원으로 오픈북 시험을 사용하는 것의 효율성과 효과성에 대한 연구를 고려해야 한다. 예를 들어, 현재 사용할 수 있는 시험 응시 기술을 고려할 때, 우리는 학습자가 어떤 자원을 사용하고 있는지 또는 주어진 페이지의 어떤 섹션에 가장 오랜 시간을 소비하는지 평가할 수 있다. 그러한 데이터 분석을 통해 우리는 학습자들에게 미래의 실무자로서 그들에게 도움이 될 수 있는 맞춤형 피드백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Given the limited feasibility of CBEs due to the coronavirus pandemic, now is the time for us, medical educators, to thoughtfully explore the use of online OBEs in medical education. 

  • First, before studying their effectiveness, we should provide learners with sufficient OBE experience in lower-stake settings. For example, we can implement a series of formative OBEs before a summative assessment. 

  • Second, we should explore how OBEs are received by learners and by faculty using well-designed surveys and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 Third, we ought to consider studying the efficiency and effectiveness of using openbook exams with online resources. For example, given the test-taking technology that is currently available, we can assess what resources learners are using, or what section of any given page they spend the longest time on. Such data analytics would allow us to provide our learners with tailored feedback that could benefit them as future practitioners.


그러나 한 가지 시험 모드를 선택하는 대신에 OBE와 CBE를 결합한 혼합 접근법을 사용하여 학습자를 평가할 수 없을까? OBE와 CBE에 대한 체계적 검토의 결론은 각각 장단점과 추천에 대한 혼합된 증거를 고려할 때, 학습 프로토콜은 오픈북과 클로즈북 항목을 모두 사용하여 학습자를 평가할 수 있어야 한다고 제안했다(Durning et al. 2016).

But, instead of choosing one mode of examination over another, could we not assess learners using a blended approach, combining OBEs and CBEs? Conclusions from a systematic review on OBE and CBE suggested that we should; given the pros and cons of each, and the mixed evidence for recommending one versus the other, study protocols could assess learners using both open-book and closed-book items (Durning et al. 2016).


[필수 의료 개념에 대한 학습자의 이해를 평가해야 한다고 주장하는 CBE 지지자]들은 임상 실습에서 결국 기대되는 것인 [학습자의 정보 검색 및 번역 능력을 평가하는 능력을 가진 공개 온라인 검사를 지지하는 OBE 지지자]들과 힘을 합칠 수 있다. 혼합된 평가에는 1부에서, CBE로, 자료를 찾아보지 않고 알아야 할 개념에 대한 학습자의 평가한 뒤, 2부에서 학습자가 연구할 것으로 기대되는 주제에 대한 오픈북이 포함될 수 있다.

Proponents of CBE who reason that we must evaluate learners’ understanding of essential medical concepts can join forces with OBE supporters who advocate for an open, online examination that has the ability to assess learners’ capacity to search and translate information efficiently, as they would be expected to do in clinical practice. A mixed assessment could include a first part, closed-book, evaluating learners on concepts they should know without looking things up, followed by a second part, open-book, on topics learners are expected to research.


  • 학습자의 경우 일상적인 OBE는 [스테로이드 합성에 관한 분자적 상세한 내용]보다는 무엇이 잘못될 수 있고 왜 잘못될 수 있는지에 더 많은 초점을 맞출 수 있다. 교육자가 학습 자료를 제공하거나 탐색하기를 기다리는 대신, 몇 시간 동안 최신의 과학 문헌을 통해 학습자들은 평생 자기조절적학습자가 되는 방법을 배우고 신뢰할 수 있는 연구를 효율적으로 검색하고 해석할 수 있다. 

  • 교육자들에게 OBE는 인터넷 검색의 이점과 한계를 조사하고 학습자의 고차원의 사고 능력을 목표로 하는 데 매력적일 수 있다. 중요도가 높은 CBE에 오픈 엔드 항목을 추가함으로써, 면허소지 기관은 진품이며 증거기반 임상실무와 관련된 기술을 평가할 기회를 갖는다.

  • For learners, routine OBEs could entail focusing less on the molecular details of steroid synthesis, and more on what can go wrong and why. Rather than waiting for educators to provide learning materials or navigating, for hours, through up-to-date, scientific literature, learners can learn how to become lifelong self-regulatory learners and search and interpret credible research efficiently. 

  • For educators, OBEs could be attractive in investigating the benefits and limits of searching the Internet and in targeting their learners’ higher-order thinking skills. By adding open-ended items to high-stakes CBEs, licensing bodies have an opportunity to assess skills that are authentic and relevant to evidence-based clinical practice.



Durning SJ, Dong T, Ratcliffe T, Schuwirth L, Artino AR, Boulet JR, Eva K. 2016. Comparing open-book and closed-book examinations: a systematic review. Acad Med. 91(4):583–599.





. 2020 Aug 28;1-2.
 doi: 10.1080/0142159X.2020.1811214. Online ahead of print.

Assessing open-book examination in medical education: The time is now

Affiliations 

Affiliations

  • 1Faculty of Medicine, Université de Montréal, Montreal, Canada.
  • 2Center for Health Professions Education, Uniformed Services University of the Health Sciences, Bethesda, MD, USA.

Abstract

As a result of the coronavirus pandemic, the feasibility of holding secure closed-book examinations in medical education is compromised. In this Personal View, we compare the underlying reasoning for using open-book and closed-book exams. We rethink the role of open-book assessment and offer ways in which we believe they can complement closed-book exams. We highlight the gap in research, highlight future directions, and call on medical educators to seize our current golden opportunity to explore the impact of open-book exams - on their own or combined to closed-book tests, as a blended approach - on learners, educators, and licensing bodies.

Keywords: e-learning/computers; Assessment; best evidence medical education; evidence-based medicine; independent.


CBME를 위한 평가 진주(J Grad Med Educ, 2017)

Assessment Pearls for Competency-Based Medical Education

Susan Humphrey-Murto, MD, MEd, FRCPC Timothy J. Wood, PhD Shelly Ross, MA, PhD Walter Tavares, PhD Brent Kvern, MD, CCFP, FCFP Ravi Sidhu, MD, MEd, PhD Joan Sargeant, BN, MEd, PhD Claire Touchie, MD, MHPE, FRCPC




1. 모든 평가는 표본이다.

1. All Assessments Are Samples


전공의가 demonstrate할 것으로 기대하는 모든 것을 평가할 수 없기 때문에, 우리는 신중하게 구성된 청사진을 사용하여 의도적으로 대표 지식과 기술을 샘플링해야 한다.2 Blueprint는 평가되고 있는 내용을 정의하며, 또한 충분하고 적절한 샘플링을 보장함으로써 평가 전략이 유효하다는 증거를 제공한다. 예를 들어, 내과용 1 EPA는 "의학 바닥에서 새로운 급성 문제를 가진 입원환자를 수용하고 관리한다."3,4 전공의가 이 EPA를 완료하기 위해서는 기초과학 지식, 임상적 특징 및 관리 전략, 의사소통 기술 및 적절히 focus된 신체검진 수행 능력 등 몇 가지 역량이 필요하다. 각 역량에 대해서는 샘플링 전략이 필요하다.

It is not possible to assess everything residents are expected to demonstrate, so we must deliberately sample representative knowledge and skills using a carefully constructed blueprint.2 A blueprint defines what is being assessed; it also provides evidence that the assessment strategy is valid by ensuring sufficient and appropriate sampling. For example, 1 EPA for internal medicine is ‘‘admit and manage a medical inpatient with a new acute problem on a medical floor.’’3,4 Several competencies are required for a resident to complete this EPA: knowledge of basic science, clinical features and management strategies, as well as communication skills and the ability to perform an appropriately focused physical examination. For each competency, a sampling strategy is required.


2. 부담stakes이 높을수록 샘플이 더 많이 필요함

2. The Higher the Stakes, the More Samples Are Needed


모든 측정은 오차가 있으며, 부담이 더 높을수록 더 많은 평가점(또는 샘플)이 필요하다.5 예를 들어, 평가의 목적이 전공의에게 외래 클리닉에서 환자 관리에 대한 피드백을 제공하는 것이라면, 단일 평가가 적절할 것이다. 반면, 임상 역량 위원회(CCC)가 학습자 진급에 대한 결정을 내리고자 한다면(즉, 평가는 고득점 합격/불합격 결정을 위한 것이다), 평가자료를 1개만 사용하는 것은 방어할 수 없을 것이다. 평가의 목적(높은/낮은 부담)을 정의하면 필요한 샘플 수를 결정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

All measurements have error, and the higher the stakes, the more assessment points (or samples) are required.5 For example, if the purpose of the assessment is to provide feedback to residents on the management of patients in ambulatory clinic, a single assessment would be appropriate. On the other hand, if the Clinical Competency Committee (CCC) wanted to make decisions on learner promotion (ie, the assessment is for higher-stakes pass/fail decisions), then using only 1 faculty assessment would not be defensible. Defining the purpose (high/low stakes) of the assessment can help determine how many samples are needed.


3. 쉬운 것뿐만 아니라 중요한 것이 무엇인지 평가하기

3. Assess What Is Important, Not Just What Is Easy


교육자들은 종종 무엇이 중요한지를 평가하기 보다는 쉬운 것을 평가하는 잘못을 범한다. 우리는 지필시험이 임상 역량의 모든 측면을 평가는데 사용하는 것으로는 적절하지 않다는 것을 알고 있다. CanMEDS 2015 및 ACME(Accreditation Council for Graduate Medical Education) 역량7과 같은 프레임워크에서 내면적intrinsic(의료전문가 외non-medical expert) 역할은 평가하기 어려울 수 있지만(예: 프로페셔널리즘), 이것들이 의사 역량의 중요한 요소들이다. 분명히, 의료 교육자들은 의료 지식(ACGME)이나 CanMEDS 의료 전문가medical expert 역할과 같이 평가하기 쉬운 능력뿐만 아니라, 서로 다른 영역의 역량을 평가하는 도구를 개발하는 데 있어 진전을 이루었다.

Educators often default to assessing what is easy, rather than assessing what is important. We know that using a written examination to assess all aspects of clinical competence is not adequate. The intrinsic (nonmedical expert) roles in frameworks such as CanMEDS 20156 and the Accreditation Council for Graduate Medical Education (ACGME) competencies7 can be difficult to assess (eg, professionalism), yet they are important elements of physician competence. Clearly, medical educators have made progress on developing tools to assess different areas of competence, not just the easier competencies to assess such as medical knowledge (ACGME) or the CanMEDS medical expert role.


BOX: Glossary of Terms 


임상역량위원회(CCC) : 역량 기반 의료교육의 맥락에서 CCC는 복수의 출처에서 수집된 평가 데이터를 조합해 학습자의 진척도를 평가하고 높은 수준의 의사결정을 할 교수진 구성원이 포함된 위원회다. 

Clinical Competency Committee (CCC): In the context of competency-based medical education, the CCC is a committee that includes members of the faculty who will use a combination of assessment data gathered from multiple sources to evaluate learners’ progress and make high-stakes decisions. 


역량: 연습생 또는 의사가 연습의 모든 작업을 효과적이고 일관성 있게 수행할 수 있는 일련의 능력. 그것은 복잡한 구조로 여겨진다. 

Competence: An array of abilities that enables the trainee or physician to do all tasks of practice effectively and consistently. It is considered a complex construct. 


역량: 연습생 또는 의사의 관찰 가능한 (하나의) 능력. 예: 완전하고 정확한 신체 검사를 수행하십시오. 

Competency: An observable ability of a trainee or & physician. Example: perform a complete and accurate physical examination. 


역량 기반 의료 교육: 결과 능력을 지향하고, 역량을 중심으로 조직된, 의사 교육의 접근 방법. 그것은 시간 기반 훈련을 강조하고 더 많은 유연성과 학습자 중심성을 약속한다.16 

Competency-Based Medical Education: An approach to & educating physicians that is oriented to outcome abilities and organized around competencies. It de-emphasizes time-based training and promises more flexibility and learner-centeredness.16 


구성: 행동에서 추론되는 추상적 개념의 무형의 집합. 5 예를 들어 "임상적 역량"과 "전문성"은 평가하는데 흥미가 있을 수 있지만, 작업장에서의 연습생의 행동에서 추론되는 구성물이다. 

Construct: An intangible collection of abstract concepts & that are inferred from behavior.5 For example ‘‘clinical competence’’ and ‘‘professionalism’’ are constructs that may be of interest to assess, but are inferred from the trainee’s behavior in the workplace. 


위탁 가능한 프로페셔널 활동(EPA): 특정 전문 분야에 필수적인 실제 작업으로 정의되며, 일단 역량이 확보되면 교육자에게 위탁할 수 있는 전문직업적 실천 단위. 3 EPA의 예: "다중 진료 설정에 걸쳐 급성 공통 질환 환자 관리" 17. 

Entrustable Professional Activity (EPA): Units of professional practice, defined as real-life tasks essential for a particular specialty and can be entrusted to a trainee once competence has been attained.3 Example of an EPA: ‘‘Manage care of patients with acute common diseases across multiple care settings.’’17 


저부담, 고부담 평가 : 저부담 평가는 승급·선발·인증 면에서 연습생에게 미치는 결과가 제한된 반면, 고부담 평가는 인증 실패 등 광범위한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11 

Low-Stakes and High-Stakes Assessments: Low-stakes assessments have limited consequences for the trainee in terms of promotion, selection, or certification, whereas high-stakes assessments can have far-reaching consequences such as failure to become certified.11 


이정표: 초보자에서 전문가로 옮겨가면서 각 전문성의 단계에서 기대되는 연습생의 능력. 신경학적 신체 검사의 예: 레벨 1—완전한 신경학적 검사를 수행—레벨 4—적합한 모든 추가적 적절한 기동을 정확하게 통합한 관련 신경학적 검사를 효율적으로 수행한다.18 

Milestones: The expected ability of a trainee at a stage of expertise, as he or she moves from novice to expert. Example of neurology physical examination: level 1— performs complete neurological examination—to level 4—efficiently performs a relevant neurological examination accurately incorporating all additional appropriate maneuvers.18 


프로그램식 평가 접근 방식: 학습과 평가를 최적화하기 위해 종단적으로 배치되고 의도적으로 구성된 평가 방법의 사용. 이 프로그램에는 더 높은 지분 통과/실패 결정을 위해 집계된 몇 가지 저점 평가 데이터 포인트가 포함될 것이다.11 

Programmatic Approach to Assessment: The use of & several assessment methods arranged longitudinally and constructed deliberately to optimize learning and assessment. The program would include several low-stakes assessment data points that are aggregated for higher stakes pass/fail decisions.11 


평가자 인식: 의식적 또는 무의식적 수준에서 점수 매기기와 채점 중에 발생하는 정신적 과정.

Rater Cognition: The mental processes that occur during & scoring, at either a conscious or unconscious level.


4. 모든 평가에는 판단이 포함된다.

4. All Assessment Involves Judgment


완벽한 객관성과 표준화는 가능하지도 바람직하지도 않다시험 점수가 생성되려면 성과를 관찰한 다음 점수로 변환해야 하며, 이 점수는 반드시 해석되어야 한다. 모든 단계에는 판단이 필요하다.

Perfect objectivity and standardization is neither possible nor desirable. Considering that in order for a test score to be generated, a performance must be observed and then converted into a score, which then must be interpreted—every step involves judgment.


평가자 인식은 여러 평가자가 서로 다른 관점을 제공하고 전공의의 성과에 대한 더 풍부한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는 잠재력을 가지고 있는 강점으로써 증가된 관심을 받았다.11 반면에, 여러 평가자들에 의한 과도한 평가등급 변동은 신뢰성과 타당성에 대한 우려를 야기시켰다.12 훈련을 통해서 평가자는 개선될 수 있으나, 연구 결과는 엇갈린다.13

Rater cognition has received increased attention as a strength, where multiple raters provide different perspectives and have the potential to provide richer data about a resident’s performance.11 On the other hand, excessive variability in ratings by different raters has raised concerns about reliability and validity.12 Training raters may improve assessment quality, but results are mixed.13


승급promotion의 문턱이나 기준을 명확하게 정하려면 집단적 판단과 전문가의 공감대가 필요하다.11,14

Determining the threshold or standard for promotion clearly requires collective judgments and the consensus of experts.11,14


5. 양적, 질적 방법 상호 보완

5.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Methods Complement One Another


내러티브는 누적된 숫자가 가릴mask 수 있는 성과 요소를 포착하는 것으로 입증되었다. 나아가, 대부분의 직장 평가 상황과 같이 표준화되지 않은 상황에서는 피드백과 학습을 위한 훨씬 더 나은 데이터를 제공한다.11

Narratives have been shown to capture elements of performance that an accumulation of numbers may mask15; further, in unstandardized situations—such as most workplace assessment situations—narrative provides much better data for feedback and learning.11


6. 임상적 역량의 모든 측면을 파악할 수 있는 단일 평가 툴은 없음

6. No Single Assessment Tool Can Capture All Aspects of Clinical Competence


임상적 역량은 다양한 평가 도구와 전략이 필요한 복잡한 구조다.

Clinical competence is a complex construct necessitating a diverse set of assessment tools and strategies.


7. 피드백은 평가의 필수 요소

7. Feedback Is an Essential Element of Assessment


최상의 평가 관행은 하나의 교육 단위를 통과할 수 있을 만큼 충분히 잘 하는 것뿐만 아니라, 수행능력 향상에 도움이 되는 형성적 피드백의 기회를 제공하는 것이다.

best assessment practice is not only about doing well enough to pass a unit of instruction, but also providing an opportunity for formative feedback that contributes to improved performance.


8. 평가는 학습을 촉진한다.

8. Assessment Drives Learning


학습자들은 가능할 때마다 '시험에 대비하여' 학습 전략을 자신이 알고 있는 개념에 집중하여 학습할 것이다. 시험 강화 학습은 교육생들이 시험을 준비하고 완료한 후 피드백을 받을 때 학습을 포함한다.

Learners will ‘‘study to the test’’ whenever possible, focusing their study strategies on concepts they know will be examined. Test-enhanced learning involves learning as trainees prepare for the test, complete it, and then receive feedback.


9. 타당성이 평가 데이터의 가장 중요한 특성임

9. Validity Is the Most Important Characteristic of Assessment Data


간단히 말해서 타당성은 [이론과 증거가 특정 목적을 위한 평가 점수의 해석을 뒷받침하는 정도에 대한 전반적인 판단]이다.5,22 만약 어떤 전공의가 객관식 시험에서 만점을 점수를 받았다면, 우리는 과연 그 전공의가 내과의사에게 오는 모든 상담에 대비해서, 이제 책임지고first call 컨설트를 받을 준비가 되어 있다고 결론을 내릴 수 있을 것인가?

Simply put, validity is the overall judgment of the degree to which theory and evidence support the interpretation of assessment scores for a specific purpose.5,22 If a resident scores perfectly on a multiple-choice examination of knowledge, can we conclude that the resident is ready to take first call for all consultations coming to internal medicine?


객관식 시험 점수를 first call을 받을 준비가 되어 있다는 증거로 해석하는 것은 타당하지 않다: 증거(지식 시험)가 목적(전반적 역량)을 뒷받침하지 않기 때문이다. 이는 중요한 개념을 강조한다: (본질적으로) 타당하거나 타당하지 않은 테스트는 없다는 것이다. 타당성은 항상 특정 목적에 대한 시험 점수에 근거한 추론이나 판단의 적절성을 말한다.

the interpretation of the multiple-choice test score as proof of readiness to take first call is not valid: the evidence (knowledge testing) does not support the purpose (overall competence). This highlights an important concept: that there is no such thing as a valid or invalid test. Validity always refers to the appropriateness of inferences or judgments based on test scores for a specific purpose.


10. 완벽한 평가는 환상이다.

10. Perfect Assessment Is an Illusion


모든 평가와 관련된 많은 기준이 있다: 타당성, 재현성, 동등성, 타당성, 교육 효과, 촉매 효과, 수용성. 23,24 궁극적으로 평가는 항상 어느 정도의 타협을 수반한다.

There are many criteria that are relevant to any assessment: validity, reproducibility, equivalence, feasibility, educational effect, catalytic effect, and acceptability.23,24 Ultimately, assessment always involves some degree of compromise.


  • 진행상황에 대한 데이터와 피드백을 제공하는 것이 목적이라면 저부담 평가를 고려하십시오. 이 경우 실현가능성(행정의 본질), 수용성(전공의와 교직원에 대한 수용성), 교육효과(피드백 촉진), 촉매효과(교육을 강화할 결과를 제공)가 모두 중요하게 고려될 것이다. 

  • 만약 이것이 유의미한 결과를 가진 고부담 평가였다면, 방어 가능한 결과로 이어지기 위해서는 재현성(통계적으로 신뢰할 수 있는 시험)과 동등성(모든 전공의가 동일한 방법으로 시험됨)이 가장 중요할 것이다.

Consider a low-stakes assessment where the purpose is to provide residents with progress data and feedback. In this instance, feasibility (ease of administration), acceptability (for residents and faculty), education effect (facilitates feedback), and catalytic effect (provides results that enhance education) would all be considered important. If this was a high-stakes assessment with significant consequences, then reproducibility (statistically reliable test) and equivalence (every resident is tested in the same way) would be paramount to lead to defensible results.







. 2017 Dec;9(6):688-691.
 doi: 10.4300/JGME-D-17-00365.1.

Assessment Pearls for Competency-Based Medical Education

Free PMC article


의학 전문직업성 평가: 평가도구와 측정특성의 체계적 보고(PLoS One, 2017)

Assessing medical professionalism: A systematic review of instruments and their measurement properties

Honghe Li1, Ning Ding1☯, Yuanyuan Zhang2☯, Yang Liu3, Deliang Wen1*





도입 

Introduction


의료전문가의 사회에 대한 헌신이 의료전달체계 내에서 변화의 외적인 힘에 의해 도전을 받고 있는 가운데, 의료전문직업성은 고품질 환자진료를 제공하는 핵심요인 중 하나로 널리 주목을 받아 왔다[1–4]. 많은 연구에서 입증되었듯이, 전문직업성은 의사-환자 관계 개선, 환자 만족도, 의료 전문가의 경력 만족도, 그리고 심지어 건강관리 결과와도 밀접한 관련이 있기 때문에 의학의 실천에 중심적이다[4–7]. 의료 전문직업성의 핵심 요소들은 모든 의료 전문가들이 의료 서비스를 조직하고 제공할 것을 약속하고, 환자와 대중들 사이에서 신뢰를 구현하며, 각자의 분야에서 자기 감시와 개선을 하도록 요구한다[8–11]. 게다가 전문성에 대한 이해는 시간과 문화적 맥락에 따라 다르다[12]. 전문성이 복합적이고 다차원적인 구조임을 시사한다[9].

Facing medical professionals’ commitment to the society is being challenged by external forces of change within health care delivery systems, medical professionalism has received widespread attention as one of the core factors in providing high-quality patient care [1–4]. As demonstrated by many studies, professionalism is central to the practice of medicine because of its close associations with improvements in physician-patient relationships, patient satisfaction, health care professionals’ career satisfaction, and even healthcare outcomes [4–7]. The core components of medical professionalism require that all medical professionals commit to organize and deliver health care, to implement trust within patients and the public, and to self-monitor and improve in their respective fields [8–11]. Besides, understanding of professionalism varies across time and cultural contexts [12], suggesting that professionalism is a complex, multi-dimensional construct [9].


지난 30년 동안, 의료 전문직업성을 평가하기 위한 다양한 도구들이 개발되었고 많은 경험적 연구에 사용되었다[13–15].

Over the last three decades, various instruments to assess medical professionalism were developed and employed in many empirical researches [13–15].


측정도구 사용에 대한 지침을 제공하기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 발행된 여러 검토 기사에서 내용, 유형 및 구성에 대한 전문성을 평가하는 측정도구를 요약하고 비교하였다[9, 13, 15, 16, 18, 19]. 이러한 검토에 따르면 많은 측정도구들이 측정 특성에 대해 완전히 평가되지 않았으며, 이는 척도의 사용을 제한한다[9, 13, 18].

In an effort to provide guidance for instrument usage, several published review articles have summarized and compared instruments assessing professionalism with respect to their content, type, and construction [9, 13, 15, 16, 18, 19]. These reviews have indicated that many instruments have not been fully evaluated for their measurement properties, which would then limit their usage [9, 13, 18].


COSMIN(Consensus-based Standards for health status Measurement INstruction) 체크리스트는 연구의 방법론적 품질을 체계적으로 평가하기 위해 개발된 프레임워크로, 다양한 분야에서 경험적 연구의 품질을 평가하는 데 사용되어 왔다 [23–25]. 건강관리 결과를 측정하는 기구 외에도, COSMIN 체크리스트는 자가 효능감, 의사 신뢰도 및 근린 환경과 같은 다른 복잡한 건강 관련 문제의 금융상품의 품질을 평가하는 데도 사용되었다 [24, 26, 27].

The COnsensus-based Standards for the selection of health status Measurement INstruments (COSMIN) checklist is a widely accepted framework developed for systematically evaluating the methodological quality of studies [20–22] and has been used for assessing the quality of empirical studies in various fields [23–25]. Besides instruments measuring health care outcomes, the COSMIN checklist was also used to assess the quality of instruments of other complex health-related issues, such as self-efficacy, trust in physicians, and neighborhood environments [24, 26, 27].


연구 자료 및 방법

Materials and methods


검색 전략 

Search strategy


1990년 1월 1일부터 2015년 12월 31일까지 전자 데이터베이스 PubMed, Web of Science, PsycINfo에 대한 무증상 검색은 측정 속성에 대한 보고서(S1 부록)로 의료 전문성을 평가하는 연구를 식별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A systematic search of the electronic databases PubMed, Web of Science, and PsycINFOfrom January 1, 1990 through to December 31, 2015, was conducted to identify studies assessing medical professionalism with reports on measurement properties (S1 Appendix).


본 연구에서는 전문직업성을 아놀드 외 에 의한 분류에 근거하여 완전한 구성물complete construct로 파악하였다. [29] 아놀드 등에서는 의료 전문성을 평가하는 도구를 세 가지 그룹으로 분류하였다. 

    • 역량 면으로서의 전문성을 평가하는 도구, 

    • 종합적인 구성 요소로서의 전문성을 평가하는 도구, 그리고 

    • 휴머니즘과 공감과 같은 전문성의 별도 요소 평가 도구 [29]. 

이 검토에는 전문성의 개별적인 요소만을 가지는 척도가 전문성을 전체적으로 평가하는 척도로 간주되지 않았기 때문에 종합적 구성으로서 또는 역량의 한 측면으로서 전문성의 척도가 포함되었다.

In this study, we identified professionalism to be a complete construct based on the classification of instruments by Arnold, et al. [29]. Arnold, et al., classified instruments assessing medical professionalism into three groups: 

    • those assessing professionalism as a facet of competence; 

    • those assessing professionalism as a comprehensive construct; and 

    • those assessing separate elements of professionalism, such as humanism and empathy [29]. 

This review included measures of professionalism as a comprehensive construct or as a facet of competency, since any measure of only an individual element of professionalism was not considered as a measure assessing professionalism as a whole.


연구 선택

Study selection


자료 추출과 질 평가

Data extraction and quality assessments


포함된 연구의 방법론적 품질과 계측기의 측정 특성을 평가하기 전에 계측기의 짧은 이름, 작성자/년, 국가, 연구 설계, 대상 모집단, 표본 크기, 설정, 연령, 성비 등 포함된 연구의 서술적 변수를 추출했다.

Before assessing the methodological quality of the included studies and the measurement properties of an instrument, descriptive variables of the included studies were extracted, including: the short name of the instrument, author/year, country, study design, target population, sample size, setting(s), age, and sex ratio.


방법론적 퀄리티 평가

Evaluation of methodological quality of the included studies


포함된 연구의 방법론적 품질은 COSMIN 점검표에 기초하여 평가되었다[20]. COSMIN 체크리스트에는 고전적 테스트 이론(CTT) 기반 분석(내부 일관성, 신뢰성, 측정 오류, 내용 유효성, 구조적 유효성, 가설 테스트, 문화 간 유효성, 기준 유효성 및 응답성)을 위한 9개의 상자가 포함되어 있다. 이 box들은 계측기의 측정 속성에 대한 연구의 설계, 방법론 및 보고 품질의 다른 측면을 평가한다. 각 box에는 4점 척도로 측정된 5~18개 항목이 들어 있다. 문항응답이론(IRT) 모델의 경우 방법론적 품질을 평가하기 위한 상자가 1개뿐입니다. 항목 내 어떤 항목의 가장 낮은 점수는 각 상자의 전체 점수를 결정한다.

Methodological quality of the included studies was evaluated based on the COSMIN checklist [20]. The COSMIN checklist includes 9 boxes for classical test theory (CTT) based analyses (internal consistency, reliability, measurement error, content validity, structural validity, hypothesis testing, cross-cultural validity, criterion validity, and responsiveness) to rate different aspects of the design, methodological, and reporting quality of studies on instruments’ measurement properties. Each box contains 5 to 18 items measured on a 4-point scale (excellent, good, fair, or poor). For item response theory (IRT) models, there is only 1 box to rate its methodological quality. The lowest score for any item within the item determined the overall score for each box.


    • 교차 문화 타당성은 번역되거나 문화적으로 조정된 측정도구에서 항목의 성능을 결정하고, 조정된 측정도구가 원래 버전의 계측기 항목의 성능을 적절히 반영하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 대응성은 측정될 구조물의 시간 경과에 따른 변화를 감지할 수 있는 계측기의 능력으로서 COSMIN에 의해 정의되었다. 

9개의 측정 속성에 대한 전체 설명은 COSMIN 분류법[22]에서 얻을 수 있다. COSMIN 체크리스트와 4점 척도는 COSMIN 웹사이트[31]에서 확인할 수 있다.

    • Cross-cultural validity aimed to determine the performance of the items on a translated or culturally adapted instrument and whether or not the adapted instrument adequately reflects the performance of the items of the original version of the instrument. 

    • Responsiveness was defined by COSMIN as the ability of an instrument to detect change over time in the construct to be measured. 

A full description of the 9 measurement properties can be obtained from the COSMIN taxonomy [22]. The COSMIN checklist and the 4-point scale can be found on the COSMIN website [31].


도구의 측정적 특성 평가

Evaluation of measurement properties of the included instruments


측정 속성의 보고된 모든 측면의 추출은 COSMIN 점검표에 따라 수행되었다[20–22]. 식별된 측정의 측정 속성은 Terwee 외 연구진[32]이 개발한 측정 속성의 품질 기준[표 1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에 근거하여 평가하였으며, 이는 다양한 연구 분야에서 많은 체계적인 검토에 이용되어 왔다[33–35].

Extraction of all reported aspects of the measurement properties was performed according to the COSMINchecklist [20–22]. The measurement properties of the identified measures were evaluated based on the criteria for quality of measurement properties developed by Terwee et al [32] (as can be seen in Table 1), which have been used in many systematic reviews in different study fields [33–35].



자료 합성과 질 평가 

Data synthesis and quality assessment


향후 사용을 위한 권장 계기를 결정하기 위해, Cochrane Back Review Group[36, 37]에서 제안한 최선의 증거 합성을 수행하였고, 도구의 속성 수준은 "강", "모더레이트", "제한", "충돌", "알 수 없음"으로 분류되었다(표 2). 가장 좋은 증거 합성은 고려를 위한 세 가지 측면을 결합했다: 

    • 1) 다양한 연구에서 언급된 측정 속성의 방법론적 품질, 

    • 2) 계측기의 측정 속성의 등급, 

    • 3) 각 계측기에 대한 연구 수.

In order to determine instruments for recommendation for future use, best-evidence synthesis as proposed by the Cochrane Back Review Group [36, 37] was performed, with levels of instrument properties categorized as “strong”, “moderate”, “limited”, “conflicting”, or “unknown” (Table 2). The best-evidence synthesis combined three aspects for consideration: 

    • 1) the methodological quality of the measurement property stated by various studies, 

    • 2) the rating of the measurement properties of instruments, and 

    • 3) the number of studies for each instrument.


More rating rules can be seen in Table 2.



결과

Results


문헌 검색 및 연구 선택

Literature search and study selection


선정 과정의 세부사항은 그림 1에서 확인할 수 있다.

The details of the selection process can be seen in Fig 1.


포함된 연구 및 측정도구에 대한 설명

Description of included studies and instruments


포함된 연구의 특성 요약(S2 부록)을 보면 80개 연구 중 78개가 2000년 이후 출판된 것으로 나타났다. 80% 이상의 연구가 북미와 유럽에서 수행되었다.

The summary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included studies (S2 Appendix) show that 78 of the 80 studies were published after 2000. More than 80%of studies were conducted in North America and Europe,


전문성이 종합구축(n = 44)으로 인정되는지, 역량의 면(n = 30)으로 인정받는지에 따라 총 74개의 악기가 두 가지 광범위한 범주로 나뉘었다.

A total of 74 instruments were divided into two broad categories depending on whether professionalism was recognized 

    • as a comprehensive construct (n = 44) or 

    • as a facet of competence (n = 30).


포함된 74개 계측기의 분류는 표 3에서 확인할 수 있으며, 포함된 계측기의 자세한 내용은 S3 부록에서 확인할 수 있다.

The classification of the 74 included instruments’ classification can be seen in Table 3, and details of the included instruments can be found in the S3 Appendix.


미국내과학회(ABIM)의 이론적 프레임워크[3]에 근거하여 12개 악기를 개발하였고, 

캐나다 왕립의학과외과의대학[40]에 근거한 7개 악기는 [40], 그리고 

22개 악기는 모든 악기의 55.4%를 차지하는 대학원 의학교육인증위원회[41]에 근거하였다.

    • 12 instruments were developed based on the theoretical framework of the American Board of Internal Medicine (ABIM) [3], 

    • 7 were based on the Royal College of Physicians and Surgeons of Canada (RCPSC) [40], and 

    • 22 were based on the Accreditation Council for Graduate Medical Education (ACGME) [41], accounting for 55.4%of all instruments.



포함된 연구의 방법론적 품질

Methodological quality of the included studies


내부 일관성 구조적 타당성은 가장 많이 보고된 측정 속성(각각 64개 연구와 54개 연구로 보고됨)인 반면, 

측정 오류, 신뢰성, 기준 유효성 및 응답성은 충분히 보고되지 않았으며, 후속 연구 부족으로 인해 보고되었을 가능성이 가장 높다(표 4 참조).

Internal consistency and structural validity were the most frequently reported measurement properties (reported in 64 and 54 studies, respectively), 

whereas measurement errors, reliability, criterion validity and responsiveness were not reported sufficiently, most likely due to the lack of follow-up studies (See Table 4).


표본 크기가 불충분하고 누락된 데이터를 관리하는 방법에 대한 세부 정보가 부족하여 28개 연구가 방법론적 품질에서 "공정" 또는 "불량"으로 평가되었다. 16개 연구에서 보고된 각 측정 속성은 "양호" 또는 "우수"로 평가되었다.

Inadequate sample sizes and lack of details in how missing data were managed resulted in 28 studies being rated as “fair” or “poor” in methodological quality. In 16 studies, each reported measurement property was rated as either “good” or “excellent”.


    • 17개 연구에서는 내용 타당성이 보고되었으며, 그 중 적합성이나 포괄성이 충분히 평가되지 않았기 때문에 방법론적 품질에서 11개가 "공정" 또는 "불량"으로 평가되었다. 

    • 71개 연구 중 18개 연구에서는 가설 검정을 실시했지만, 4개 연구만 '선'으로 평가되었고, 나머지는 가설을 제시하거나 가설 기대치(효과 방향이나 크기)를 명확히 진술하지 못했다. 

    • 교차 문화의 유효성은 단지 5개의 계기에 대해 시험되었고, 이 속성에서 저조한 성과는 주로 다중 그룹 확인 인자 분석의 부족에 기인했다. 

    • MSF 계수를 사용한 17개 연구 중 하나를 제외한 모든 연구는 내부 일관성 측면에서 저조한 성과를 보였는데, 이는 항목별 판매에 대한 크론바흐의 계수가 계산되지 않았기 때문이다.

    • 17 studies reported content validity, of which 11 were rated “fair” or “poor” in methodological quality because relevance or comprehensiveness was not sufficiently evaluated. 

    • 18 of the 71 studies implemented hypothesis testing, but only 4 were rated as “good”, and the rest failed to propose hypotheses or to clearly state hypothesis expectations (the directions or magnitudes of the effects). 

    • Cross-culture validity was tested for only five instruments, and poor performance in this property was mainly due to the lack of multiple-group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 All but one of the 17 studies using MSF instruments performed poorly with respect to internal consistency, because Cronbach’s coefficients for subscales were not calculated.




측정 품질 특성

Quality of measurement properties


계측기의 측정 특성의 품질은 Terwee의 기준 [32] (표 5)에 근거하여 평가하였다. 대부분의 계측기는 성능이 우수하였으며, 내부 일관성과 구조적 타당성에서 ("+") 긍정적인 평가를 받았다. 콘텐츠 유효성의 불확실한 결과는 주로 불충분한 정보 때문이었다. 다그룹 확정요인 분석의 부족으로, 문화간 타당성에 대한 대부분의 결과도 미확정 상태로 돌아왔다. 기준 유효성에 관하여, 두 연구에서 사용된 금 표준(즉 USMLE, 프로그램GPA)이 사실 유효한 금 표준이라는 증거는 불충분했다[97, 98]. 또한, Pearson 계기와 이러한 공인된 금 표준 간의 상관관계는 0.7 미만이므로 부정적인 결과를 나타낸다. 그 결과, criterion validity은 전반적인 측정 성능이 저조한 것으로 나타났다.

The quality of instruments’ measurement properties were assessed based on Terwee’s criteria [32] (Table 5). Most instruments performed well and were rated positively (“+”) in internal consistency and structural validity. Indeterminate results in content validity were mainly due to insufficient information. Due to the lack of multiple-group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most results for cross-cultural validity also returned indeterminate. As for criterion validity, there was insufficient evidence that the gold standards (i.e. USMLE, programGPA) used in two of the studies were in fact valid gold standards [97, 98]. Additionally, Pearson correlations between the instruments and these recognized gold standards were less than 0.7, signifying negative results. As a results, criterion validity displayed poor overall measurement performance.



최량증거합성

Best-evidence synthesis


최선의 증거 합성은 연구 방법론적 품질의 결과(표 4)와 계측기의 측정 속성 결과(표5)를 통합하여 표 2에 요약한 방법에 따라 수행되었다. 각 계측기의 측정 특성에 대한 성능은 표 6과 같다.

Best-evidence synthesis was performed according to the method summarized in Table 2, by integrating the results of study methodological qualities (Table 4) and the results of measurement properties of instruments (Table 5). The performances of each instrument’s measurement properties are shown in Table 6.


데이터 합성 결과에 따르면 측정 속성에서 3개의 계측기는 최소 2개의 강한 양성("++") 또는 3개의 중간 양성("+") 등급을 가졌고, 측정 속성에서 제한적이거나 음성이거나 "-", "-" 또는 "-" 등급이 없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 이러한 두 가지 기구, 즉 간호학 분야의 자체 관리 등급 척도는 모두 간호학과 학생들을 위한 히사르의 기구[53]와 간호학 개업의 역할 및 역량 척도[80]이다. 

    • 세 번째로는 의대생들의 역량 측면에서의 의학적 전문성에 대한 역할 모델 평가인 PFCI(Preceived Computer Competency Competency Competency Competency Registory)이다[118].

According to the data synthesis results, 3 instruments had at least two strong positive (“+++”) or three moderate positive (“++”) ratings without any limited or negative (“-”, “-” or “-”) ratings in measurement properties and were thus identified as best-rated. 

    • Two of these instruments, both self-administered rating scales in the nursing profession, were Hisar’s instrument for nursing students [53] and the Nurse Practitioners’ Roles and Competencies Scale (NPRCS) [80]. 

    • The third is the Perceived Faculty Competency Inventory (PFCI), a role model evaluation by medical students regarding medical professionalism as a facet of competency [118].




고찰

Discussion


2009년 이전과 2009년 이전에, 여러 기사에서 의료 전문성을 평가하는 데 사용되는 평가 도구 또는 기법을 체계적으로 검토하였다[9, 13, 15, 18]. 그러나 최근의 체계적 검토는 주로 특정 기기 유형(예: MSF)이나 특정 의료 분야에 초점을 맞춘다[30, 121].

Up and prior to 2009, several published articles systematically reviewed the assessment tools or techniques used to assess medical professionalism [9, 13, 15, 18]. However, recent systematic reviews mainly focus on a specific instrument type (eg. multisource feedback) or on a specific medical discipline [30, 121].


본 검토에서는 2008년부터 2015년까지 발표된 새로운 연구와 그에 상응하는 계측기를 포함하였으며, 연구 방법론적 품질과 보고된 계측기의 측정 특성을 분석하여 계측기의 선택과 사용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계측기의 특성을 요약하였다.

In this review, we included new studies and a corresponding instrument published from 2008 to 2015, analyzes the methodological quality of the studies and the measurement properties of the reported instruments, and summarizes the instruments’ characteristics in order to facilitate their selection and use.


직접 관찰(mini-CEX 및 P-MEX를 통한)과 수집된 견해(MSF 및 환자의 의견을 통한)는 전문성을 평가하는 데 중요한 도구로 입증되었다[9, 122]. 이러한 것들은 복수의 평가자와 다른 관점을 제공하며 평가, 신뢰성 및 객관성의 폭을 강화한다[9, 122]

  • 그러나, 본 연구는 전문성을 평가하는 MSF 기기가 14개가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전문성을 종합 개념으로 평가하는 MSF 기기가 거의 없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또한 MSF를 사용한 18개 연구 중 17개 연구에서는 내부 일관성에 대한 "나쁜" 방법론 등급을 얻었거나 이 속성에 대해 보고하지 않았다.

Direct observations (through mini-CEX and P-MEX) and collated views (through MSF and patients’ opinions) have been demonstrated to be crucial instruments for assessing professionalism[9, 122]. These offer different perspectives from multiple assessors and would enhance the breadth of assessment, reliability, and objectivity [9, 122]. 

  • However, despite there being 14 MSF instruments assessing professionalism as a facet of competency, this study showed that there were few MSF instruments assessing professionalism as a comprehensive concept. Furthermore, 17 of the 18 studies using MSF obtained a “poor” methodology rating for internal consistency or did not report on this property.


따라서, 기존의 MSF 계측기의 방법론적 품질을 개선·향상하거나 전문성에 특화된 MSF 계측기를 더 많이 개발해야 한다는 요구가 있다. 밀러의 택사노미[123, 124, 125]는 평가 시스템 개발을 위한 템플릿으로서 의료 교육에서 평가의 상대적 위치와 사용법을 설명하기 위해 자주 사용되어 왔다. 전문성을 comprehensive construct으로 평가하는 기존 도구들도 시뮬레이션 기구가 없어 밀러의 피라미드 모델의 'show how' 수준을 보여주지 못한 반면, 역량의 한 측면a facet of competency으로서의 전문성 평가는 이 수준에서 더 나은 성능을 보였다.

Thus, there is a calling to refine and enhance the existing methodological quality of MSF instruments or to develop more MSF instruments specific to professionalism. Miller’s Taxonomy (knows, knows how, shows, and does) [123], as a template for the development of systems of evaluation [12, 124, 125], has often been used to illustrate the relative position and usage of assessment in medical education. The existing instruments assessing professionalism as a comprehensive construct also failed to demonstrate the “shows how” level of Miller’s pyramid model because of no simulation instruments, whereas assessment of professionalism as a facet of competency held better performance in this level.


그러나 이 연구에서는, 평가도구 중 의사결정을 위한 운용상 사용을 뒷받침할 수 있는 유효성 및 신뢰성에 대한 중요한 기준을 충족하는 도구는 거의 없었다. 이전의 여러 리뷰[9, 15, 18]에서는 의료전문성 평가의 새로운 방법을 개발하는 것보다 기존 측정도구의 측정 특성을 개선하는 것이 더 실용적일 수 있다는 의견을 제시하였다. 그러나 이번 연구에 포함된 도구 중 37개가 새롭게 개발되었으며, 기존 악기 대부분이 정교함이 결여되어 있었다.

However, in this study, very few of the involved instruments met the critical criteria for validity and reliability that would support their operational use for decision-making. Multiple previous reviews [9, 15, 18] have suggested that it may be more practical to improve the measurement properties of existing instruments rather than develop new measures of assessing medical professionalism. However, 37 of the instruments involved in this study were newly developed, and most of the existing instruments lacked refinement.


적절한 후속 조치가 부족하여 많은 연구에서 신뢰성과 측정 오류가 모두 무시되었다. 표 4, 5, 6에서 볼 수 있듯이, 측정 속성의 COSMIN 정의[22] 및 COSMIN 점검표 매뉴얼의 이 측정 속성 요구[127]에 근거한 어떤 연구도 측정 오류를 보고하지 않았다. 그것은 "측정할 구성의 진정한 변화에 기인하지 않는 환자 점수의 체계적이고 무작위적인 오류"로 정의되었으며, 시점 간의 분산을 고려해야 했다. 따라서 이 검토에서 포함된 연구 중 하나는 허용 가능한 측정 오류를 보고하였다.

Both reliability and measurement error were ignored in many studies due to the lack of adequate follow-up. As can be seen in Tables 4, 5 and 6, based on the COSMIN definitions of measurement properties [22] and COSMIN checklist manual’s requirement of this measurement property [127], no study reported measurement error. It was defined as “the systematic and random error of a patient’s score that is not attributed to true changes in the construct to be measured” and needed to take into account the variance between time points. Thus, in this review one of the included studies reported acceptable measurement error.


종단적 연구 부족과 그에 따른 개입이 대응성responsiveness 평가 부족의 주요 원인이다. 또한 기준 유효성criterion validity도 거의 보고되지 않았다. 전문성이 추상적인 개념이라는 게 가장 유력한 이유다. 전문직업성 평가에 합리적인 gold standard는 말할 것도 없고, 현재 전문성에 대한 보편적인 정의는 없다. 의사 신뢰[26], 팀워크[128], 커뮤니케이션 기술[129, 130], 사교 기술[131] 등 다른 많은 분야에서도 마찬가지다.

Lack of longitudinal studies and corresponding interventions are the primary reasons for the lack of evaluation of responsiveness. Additionally, criterion validity was also rarely reported. The most likely reason is that professionalism is an abstract concept. There is currently no universal definition of professionalism, not to mention a reasonable gold standard for its assessment. This is also the case in many other fields, such as trust in physicians [26], teamwork [128], communication skills [129, 130], and social skills [131].


최량증거 합성의 요약에서 보듯이 모든 측정 속성에 대해 측정 기구를 시험한 적은 없지만, 간호학과 학생들을 위한 히사르의 계측기 [53], NPRCS [80], PFCI [118] 등 세 가지 계측기는 방법론적 품질과 측정 속성 모두에서 더 나은 성능을 보였다. 앞의 두 개의 자기보고식 등급 척도는 밀러의 택사노미의 "knows" 수준과 "knows how" 수준에 속했다. 이것은 밀러의 피라미드 모델의 높은 인지 수준에 대한 의료 전문성을 평가하는 도구와 고품질 연구의 필요성을 강조한다. 더욱이 3가지 권장기구 중 2개는 간호사의 전문성을 평가한 반면 3번째 기구는 의대생을 대상으로 했다. 이것들은 의사와 같은 다른 의료 하위 분야의 전문성을 평가하는 기구의 개발 또는 개선을 위해 참조될 수 있다.

As seen in the summary of best-evidence synthesis, no measurement instrument had been tested for all measurement properties, but three instruments—Hisar’s instrument for nursing students [53], the NPRCS [80], and the PFCI [118]—had better performance in both methodological quality and measurement properties. The former two self-administered rating scales belonged to the “knows” and “knows how” levels of Miller’s Taxonomy. This highlights the need for high-quality studies and for instruments that assess medical professionalism on higher cognitive levels of Miller’s Pyramid Model. Moreover, two of three recommended instruments assessed professionalism in nurses, while the third instrument targeted medical students. These could be referenced for the development or improvement of instruments assessing professionalism in other medical subfields, such as physicians.


결론

Conclusion


측정도구는 도구 사용 및 대상 모집단이 다양했지만, 측정 속성의 성능 및 해당 연구의 방법론적 품질이 다양했다. 구체적으로는 적절한 후속 조치가 미흡하여 많은 연구에서 신뢰성과 측정 오류가 무시되었고, 종적 연구와 그에 상응하는 개입이 부족하여 응답성이 거의 보고되지 않았다. 보고된 척도의 속성에서, 내용타당도와 준거타당도는 부정적이거나 불확실한 등급이 더 많아 계측기의 사용과 평가결과의 유의성을 제한할 수 있었다.

The instruments were diverse in tools’ use and target population, but the performance of their measurement properties and the methodological quality of the corresponding studies were varied. Specifically, reliability and measurement error were ignored in many studies due to the lack of adequate follow-up, and responsiveness was rarely reported due to lack of longitudinal study and corresponding intervention. For the measurement properties that were reported, content validity and criterion validity had more negative or indeterminate ratings, which would limit the usage of the instruments and the significance of assessment results.


9. Wilkinson TJ, Wade WB, Knock LD. A blueprint to assess professionalism: results of a systematic review. Acad Med. 2009; 84: 551–558. https://doi.org/10.1097/ACM.0b013e31819fbaa2 PMID: 19704185


19. Goldie J. Assessment of professionalism: a consolidation of current thinking. Med Teach. 2013; 35: e952–956. https://doi.org/10.3109/0142159X.2012.714888 PMID: 22938675










Review

 

. 2017 May 12;12(5):e0177321.
 doi: 10.1371/journal.pone.0177321. eCollection 2017.

Assessing medical professionalism: A systematic review of instruments and their measurement properties

Affiliations 

Affiliations

  • 1Research Center of Medical Education, China Medical University, Shenyang, Liaoning, China.
  • 2School of Public Health, Dalian Medical University, Dalian, Liaoning, China.
  • 3School of Public Health, China Medical University, Shenyang, Liaoning, China.
Free PMC article

Abstract

Background: Over the last three decades, various instruments were developed and employed to assess medical professionalism, but their measurement properties have yet to be fully evaluated. This study aimed to systematically evaluate these instruments' measurement properties and the methodological quality of their related studies within a universally acceptable standardized framework and then provide corresponding recommendations.

Methods: A systematic search of the electronic databases PubMed, Web of Science, and PsycINFO was conducted to collect studies published from 1990-2015. After screening titles, abstracts, and full texts for eligibility, the articles included in this study were classified according to their respective instrument's usage. A two-phase assessment was conducted: 1) methodological quality was assessed by following the COnsensus-based Standards for the selection of health status Measurement INstruments (COSMIN) checklist; and 2) the quality of measurement properties was assessed according to Terwee's criteria. Results were integrated using best-evidence synthesis to look for recommendable instruments.

Results: After screening 2,959 records, 74 instruments from 80 existing studies were included. The overall methodological quality of these studies was unsatisfactory, with reasons including but not limited to unknown missing data, inadequate sample sizes, and vague hypotheses. Content validity, cross-cultural validity, and criterion validity were either unreported or negative ratings in most studies. Based on best-evidence synthesis, three instruments were recommended: Hisar's instrument for nursing students, Nurse Practitioners' Roles and Competencies Scale, and Perceived Faculty Competency Inventory.

Conclusion: Although instruments measuring medical professionalism are diverse, only a limited number of studies were methodologically sound. Future studies should give priority to systematically improving the performance of existing instruments and to longitudinal studies.


소셜미디어 가이드라인: 보건의료 전문직 대상(Clin Teach, 2019)

Social media guidelines: a review for health professionals and faculty members

Catherine M Hennessy1 , Claire F Smith1, Sue Greener2 and Gordon Ferns1

1Brighton and Sussex Medical School, Falmer, Brighton, UK

2Brighton Business School, University of Brighton, UK




도입

Introduction


소셜 미디어의 사용 증가는 eHealth의 현상과 유사하다. 세계보건기구(WHO)는 eHealth를 다음과 같이 정의했다. 

'건강을 위한 정보통신기술(SNS 포함) 활용'이며, '전자적 수단을 통해, 보건 서비스 전달과 보건 시스템 관리를 지원하기 위한 정보의 흐름을 개선하는 것'이다.

The increasing use of social media has been paralleled by the phenomenon of eHealth, defined by the World Health Organization as the ‘use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ncluding social media) for health’ and ‘is about improving the flow of information, through electronic means, to support the delivery of health services and the management of health systems’.1 


건강 전문가들은 eHealth 도구를 사용하여 환자와 접촉할 것을 권장하고 있다. 특히 소셜 미디어는 사용자가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한다.2 'ePatients'로 알려진 일부 환자들은 이미 소셜 미디어를 [더 나은 건강 관리가 가능하도록 조언과 지원을 구하기 위해 동료 환자와 교감하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하고 있다.

Health professionals are being encouraged to use eHealth tools to engage with patients, particularly social media because of the ease of communication that it offers and the broad online community that it allows users to reach.2 Some patients, known as ‘ePatients’, are already taking advantage of social media to communicate with fellow patients to seek advice and support to enable better health care.3


e환자(ePatients)는 '의료 제공업체와의 상호 협력의 결과가 우리가 협력하지 않을 때보다 훨씬 낫다'는 점을 인정하면서, 의료 전문가들이 소셜 미디어에 그들과 함께 참여할 것을 요구해 왔다.4 일부 의료 전문가들은 이미 소셜 미디어를 환자 관리에 통합하기 시작했다. 예를 들어, 페이스북 페이지는 당뇨병 환자들의 혈당 수치를 관리하는데 도움을 주기 위해 사용되었다. 건강한 레시피, 지역 걷기 또는 달리기 행사, 운동 프로그램, 혈압을 낮추는 방법에 대한 팁을 보급하기 위해 체중 관리가 필요한 환자들에게 페이스북 페이지도 제안되었다.

ePatients have called for health professionals to engage with them on social media, acknowledging that ‘the results of mutual partnership with our healthcare providers are far better than if we don’t collaborate’.4 Some health professionals have already started to incorporate social media into patient management: for example, a Facebook page has been used to help patients with diabetes manage their blood glucose levels.6 Facebook pages have also been suggested for patients who require weight management, in order to disseminate healthy recipes, local walking or running events, exercise programmes and tips on how to keep blood pressure low.2


일부 보건 전문가들은 대중과의 소통과 상호작용을 개선할 수 있는 소셜 미디어의 잠재력을 보고 있지만, 많은 사람들은 전문성에 대한 도전과 그 함의 때문에 소셜 미디어에서 환자와 관계를 맺는 것을 극도로 경계하고 있다. 소셜 미디어에 대한 비전문적 행동의 결과로 규제 기관에 의해 미국과 영국의 의사들이 의사면허를 정지당하고 심지어 취소당했다는 보고에 비추어 볼 때 이러한 경계는 정당화될 수 있다.

Although some health professionals have reported seeing the potential of social media to improve communication and interaction with the public, many remain extremely wary of engaging with patients on social media because of the challenges and implications for professionalism.7 This wariness may be justified given reports of doctors in both the USA and the UK having their licence to practice suspended, and even revoked, by regulatory bodies as a result of unprofessional behaviour on social media.8,9


상자 1. 소셜 미디어 사용의 어려움

Box 1. Challenges of using social media


• 부적절한 내용 게시: 학생과 초보 소셜 미디어 사용자는 과도한 음주, 불법 약물 사용 및 성적인 내용을 제안하는 게시물과 같이 불쾌한 글이나 사진을 포함하는 게시물이 자신과 건강 전문가에게 미칠 수 있는 영향을 이해하지 못할 수 있다.10 교육자는 학생들에게 조부모 앞에서 말할 수 있는 것이 아니라면 소셜 미디어에 어떠한 것도 게시하지 말라고 권고할 수 있다.

• Posting inappropriate content: students and novice social media users may not understand the impact that posts containing offensive text or photos can have on themselves or the health profession, such as posts suggesting excessive alcohol use, illegal drug use and sexual content.10 Educators could advise students to not post anything on social media that they would not say in person to their grandparents!


• 모호한 경계: 학생과 초보 사용자는 소셜 미디어가 친구, 가족, 강사, 선배 동료 및 환자와 같은 여러 개인 그룹을 자신의 소셜 미디어에 액세스하도록 허용한다는 사실을 깨닫지 못할 수 있다. 개인의 사생활과 직업적 또는 교육적 생활 사이의 경계가 모호해질 수 있다.11–13 교육자들은 학생들에게 온라인 청중이 개인 친구에서 선배 동료와 환자까지 다양할 수 있다는 것을 고려할 필요가 있으며, 따라서 학생들이 자신을 어떻게 묘사하기를 원하는지 고려할 필요가 있다고 조언해야 한다.

• Blurred boundaries: students and novice users may also not realise that social media allows several groups of individuals such as friends, family, lecturers, senior colleagues and patients to access their social media. The boundaries between one’s private life and professional or educational life can become blurred.11–13 Educators should advise students that they need to consider that their online audience may range from their personal friends to senior colleagues and patients, and therefore they need to consider how they wish to portray themselves


• 환자 정보 공유: 소셜 미디어는 종종 일상생활에서 뉴스를 공유하기 위해 사용되며, 따라서 학생들이 흥분한 상태에서, placement 중에 우연히 환자에 대한 정보를 게시하는 것은 이해할 수 있다.14 교육자는 환자를 식별하는 정보를 게시하는 것은 환자의 기밀성과 프라이버시를 침해하며 게시해서는 안 된다는 점을 학생들에게 분명히 해야 한다. 교육자들은 학생들에게 그들이 직업을 대표하고 있고 환자 기밀의 위반은 보건업계에 매우 나쁜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상기시켜야 한다.

• Sharing patient information: social media is often used to share news from one’s daily life and so it is understandable that students may, in a state of excitement, accidently post information about a patient when on placement.14 Educators must make clear to students that posting any information that identifies the patient breaches the confidentiality and privacy of the patients, and must not be posted. Educators should remind students that they are representing the profession and any breaching of patient confidentiality reflects extremely badly on the health profession


• 통제력 부족: 소셜 미디어 포스트의 도달 범위는 예측할 수 없으며 사생활 설정에 따라 완전히 통제 불능이 될 수 있다.10,15 예를 들어, 트위터는 전세계 다른 트위터 사용자들에게 트윗이 다가갈 수 있는 잠재력을 가지고 있다는 것을 의미하는 공공 플랫폼이다. 교육자들은 학생들에게 게시물이 예상보다 훨씬 더 멀리까지 도달할 수 있다는 것을 분명히 해야 한다. 교육자는 학생들이 비전문적인 이유로 사용하고자 하는 계정을 비공개(private)로 설정하도록 권장해야 한다.

• Lack of control: the reach of a social media post is unpredictable and, depending on privacy settings, can be completely out of one’s control.10,15 For example, Twitter is a public platform meaning that a tweet has the potential to reach any other Twitter user worldwide. Educators should make it clear to students that posts can have much further reach than anticipated. Educators should encourage students to set any accounts that they wish to use for non-professional reasons to private


• 학생들은 자신의 소셜 미디어 풋프린트가 전문성 표준을 유지하도록 자신에 대해서 스스로 구글이나 소셜 미디어 검색을 정기적으로 수행하도록 상기해야 한다.

• Students should be reminded to perform regular Google or social media searches on themselves to ensure that their social media footprint maintains professionalism standards


방법

METHODS


주요 국제 영어 사용 국가의 의료 관리 기구가 발행한 9건의 지침 문서를 검토했다(표 110–18).

Nine guidance documents published by medical governing bodies in major international Englishspeaking countries were reviewed (Table 110–18).



결과

RESULTS


그림 1은 각 지침 문서에서 확인된 5가지 공통 주제와 각 주제에 기여하는 하위 주제를 보여준다. 모든 문서에 각 하위 항목이 포함된 것은 아니다(그림 1 참조).

Figure 1 illustrates the five common themes that were identified in each of the guidance documents and the sub-themes that contribute to each theme. Not all documents contain each subtheme (as indicated in Figure 1),



다섯 가지 주제 중 네 가지는 보건 전문가로서 소셜 미디어를 사용하는 것의 잠재적인 위험에 대한 경고와 관련이 있고, 이것은 소셜 미디어 사용에 대한 확장적인 접근보다는 더 조심스러운 접근을 야기시킬 가능성이 있다. 마지막 주제는 소셜 미디어 이용의 잠재적인 이점에 대해 탐구한다. 이 메시지는 모든 안내문서에 수록되어 있지만, 진압subdue되어 있다.

Four of the five themes relate to warnings about the potential risks of using social media as a health professional, and this is likely to engender a more guarded, rather than an expansive, approach to social media use. The final theme explores the potential benefits of using social media. Although this message is contained within all of the guidance documents, it is subdued.


2번 상자. 소셜 미디어 사용에 대한 교육 세션의 제안 과제

Box 2. Suggested task for a training session on the use of social media


• 회사 이메일 주소를 사용하여 전문 Twitter 계정 열기

• Open a professional Twitter account using your work e-mail address


• SNS의 사용 방법을 결정하고, 전달하고자 하는 온라인 정체성을 고려

• Decide on how you want to use it and consider the online identity that you want to convey


• 프로필 설계:

• Design your profile:


o 프로필 사진 선택(작업 환경을 나타내는 사진)

o choose a profile picture (perhaps to represent your work environment)


o 당신의 전체 이름을 사용하라, 특히 당신이 건강관리에 대해 논의할 예정이라면.

o use your full name, especially if you are going to be discussing health care


o 자신을 건강 전문가라고 밝히고 당신의 직업을 명시하라 – 대중은 당신의 게시물을 읽을 때 이것을 고려할 것이다.

o identify yourself as a health professional and specify your occupation – the public will consider this when reading your posts


o 당신의 고용주의 이름을 지었지만 당신의 게시물이 당신의 고용주의 관점을 반드시 반영하지 않는다는 것을 간결하게 인정하기 위해 'views are my own'라고 진술하라.

o name your employer but state that ‘views are my own’ to concisely acknowledge that your posts do not necessarily reflect the views of your employer


o 이해의 상충을 진술하다.

o state any conflicts of interest


o '아빠', '베이커', '커피 애호가'와 같은 개인 정보나 관심사를 포함할 수 있다.

o can include personal information or interests, such as ‘Dad’, ‘baker’ or ‘coffee lover’


• 개인 정보 설정 결정 – Twitter의 경우 다른 사용자가 더 쉽게 follow 할수 있도록 하기 위해 시작할 수 있는 공용public 계정을 갖는 것이 가장 쉬울 수 있음

• Decide on your privacy settings – for Twitter it might be easiest to have a public account to start with in order to allow others to follow you more easily


• 검색창에서 관련 동료나 협회를 검색하여 네트워크를 탐색하고 구축하십시오. 유사한 연구나 관심사를 가진 관련 동료들을 따라가 보십시오. 언제든지 해당 동료들을 해제할 수 있습니다!

• Explore and build your network by searching for relevant colleagues or associations in the search bar – try following relevant colleagues with similar research or work interests, you can always unfollow them!


• 최근에 읽은 출판물을 기반으로 건강 관련 주제에 대한 게시

• Post about a health-related topic based on a recent publication that you’ve read


• 선택한 임상 교육 컨퍼런스 해시태그 준수

• Follow a clinical education conference hashtag of choice


• 소셜 미디어 프로필이 설정되고 사용되면, 서로의 소셜 미디어 계정에 대한 동료 관찰peer observation 연습을 수행하십시오. 이는 대중이 볼 수 있는 개인 정보 설정과 콘텐츠를 테스트하기 위한 것이다.

• Once social media profiles have been set up and used, conduct a peer observation exercise of each other’s social media accounts – this is to test the privacy settings and content that is visible to the public


가이드라인이 실제로 의미하는 바는 무엇인가?

What do the guidelines mean in practice?


환자 기밀을 유지한다고 해서 환자 사례로부터 학습을 공유하는데 소셜 미디어가 사용될 수 없다는 뜻은 아니다. 소셜미디어의 장점 중 하나는 보건전문가가 동료나 환자와 지식을 공유할 수 있게 해 교육적인 환자 사례를 포함해야 한다는 점이다. 주의를 기울인다면, 환자 신원은 성별과 나이와 같은 세부사항을 의도적으로 변경하거나, 상담 날짜와 아마도 질병의 해부학적 부위에 대해 비특정적이 됨으로써 기밀로 유지될 수 있다.19 문서 9개 중 6개는 익명화에도 불구하고 환자로부터 서명된 동의를 얻을 것을 권고하며, 우리는 이것을 제안한다. 환자의 질병 이미지를 포함한 경우에 특히 중요하며, 이는 환자가 확인될 가능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

Maintaining patient confidentiality does not mean that social media cannot be used to share learning from patient cases. One of the advantages of social media is that it allows health professionals to share knowledge with colleagues and patients, which should include educational patient cases. With care, patient identity can be kept confidential by deliberately changing details such as gender and age, or by being nonspecific about the date of consultation and perhaps the anatomical site of the ailment.19 Six of the nine documents recommend that signed consent is obtained from the patient despite anonymisation, and we suggest that this is particularly important if the case includes images of the patient’s ailment, which may increase the likelihood of the patient being identified.


명예훼손은 환자든 동료든 상품이든 용납할 수 없다. 건강 전문가가 소셜 미디어를 어떻게, 왜 사용하려고 하는지, 그리고 그들이 전달하고 있는 온라인 존재감이나 정체성에 대해 되돌아보는 시간을 가져야 한다. 소셜 미디어에서 누구를 팔로우하고 싶은지 또는 누구를 팔로우하도록 허용받고 싶은지에 대한 선호도를 고려하십시오. 연구 관련 글을 자주 올리면 연구 활동적인 동료들을 더 많이 끌어들이기 쉽다. 건강 전문가의 온라인 정체성은 종종 환자, 동료, 조직에 대한 첫인상이며, 프로필 사진을 포함한 소셜 미디어 프로필을 개발할 때 고려해야 한다. 온라인 청중이 게시물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요소를 인지할 수 있도록 프로필에 이해관계가 있거나 이해관계가 상충되는 부분을 명확히 표시해야 한다.

Defamation is clearly unacceptable, whether it be of patients, colleagues or products. Time should be taken to reflect on how and why a health professional intends to use social media, and the online presence or identity that they are conveying. Consider your preference for who you would like to follow you on social media or who you would like to be allowed to follow. If you post frequently about research, you are likely to attract more researchactive colleagues. The online identity of a health professional is often the first impression made to patients, colleagues and organisations, and this should be a consideration when developing a social media profile, including the profile picture. Any affiliations or conflicts of interest should be clearly stated in the profile so that the online audience is aware of factors that may influence postings.


소셜 미디어에서는 프라이버시를 보장할 수 없으며, 따라서 프라이버시를 보장하기 위해 가이드라인은 건강 전문가들이 보수적인 프라이버시 설정을 사용하여 개인 및 전문 소셜 미디어 계정을 별도로 설정할 것을 권고한다. 그러나 개인 전문 계정private professional account을 갖는 것은 게시물의 범위와 건강 관련 정보를 공유할 수 있는 능력이나 공개적으로 동료들과 소통할 능력을 제한할 것이다. 전문적인 트위터와 인스타그램 계정의 경우, 그들을 공개하고 공공 행사에서 건강 관련 정보를 유포하는 것과 같은 방식으로 이러한 공간을 사용하기로 결정하는 것은 가치 있는 일일 수 있다. 그러나 건강 전문가들은 일부 소셜 미디어 계정을 비공개로 유지하기를 원할 수 있으며 개인 정보 보호 설정은 다음과 같이 정기적인 점검을 수행하여 테스트해야 한다: '친구'나 '팔로워'가 아닌 신뢰할 수 있는 동료에게 (대중 임의의 멤버를 복제하기 위해) 사용자의 구글 검색을 수행하도록 요청하십시오(아마 당신의 이름을 사용하여). 소셜 미디어 프로필과 정보에 접근할 수 있다. 이것은 프라이버시 설정이 적절한지 확인하는 매우 유용한 실습일 수 있다.

Privacy cannot be guaranteed on social media, and so to ensure privacy the guidelines recommend that health professionals set up separate personal and professional social media accounts using conservative privacy settings; however, having a private professional account will limit the reach of posts and the ability to share healthrelated information and openly communicate with colleagues. For professional Twitter and Instagram accounts, it may be worthwhile keeping them public and deciding to use these spaces in the same way as if disseminating healthrelated information at a public event. Health professionals might want to keep some social media accounts private, however, and the privacy settings should be tested by conducting regular checks as follows: ask a trusted colleague who is not a ‘friend’ or ‘follower’ (to replicate a random member of the public) to perform a Google search of you (probably using your name) to ascertain what access they have to your social media profiles and information. This can be an extremely informative practical exercise to ensure that the privacy settings are appropriate.


보건 전문가들은 대중의 신뢰를 유지할 책임이 있다. 비록 좋은 평판을 유지하는 것이 통치 기구governing body의 주요 관심사일지라도, 이것은 의료 전문가들이 일과 관련된 문제에 대한 그들의 이해를 향상시키기 위해 대화에 참여하는 것을 방해해서는 안 된다. 보건 전문가가 지식의 부족이 환자 관리의 부실로 이어졌을 수도 있다고 밝히는 것은 아마도 부적절할 것이다. 하지만 만약 의사가 수술 후 유방암 환자의 지원시스템에 대한 정보를 요청한다면, 예를 들어, 그들은 유용한 정보를 얻을 수 있을 것이다. 여기에는 지역 자발적인 암 지원 단체들이 제공할 수 있는 환자 지원이 포함될 수 있다. 

Health professionals have a responsibility to maintain public trust. Although maintaining a good reputation is a primary concern for governing bodies, this should not inhibit health professionals from engaging in dialogue to improve their understanding of workrelated issues. It is probably inappropriate for a health professional to reveal that a lack of knowledge may have led to poor patient management, but if a doctor tweets asking for information about breast cancer support following surgery, for example, they are likely to receive useful information, including perhaps what patient support can be provided by local voluntary cancer support groups. 


일부 사람들은 의사가 이러한 지원을 알고 있어야 한다고 주장할 수 있지만, (다른 보건 전문가와 마찬가지로) 이러한 모습은 의사도 환자에게 제공될 수 있는 다른 지원 방법을 모색하고 지속적인 학습과 정보 수집을 보여줄 수 있는지를 보여준다. 나아가 보건전문가들은 소셜미디어에서 건강관리 문제에 대한 논의를 시작할 수 있다고 느껴야 하며, 가이드라인에 따르면 [소셜미디어가 변화를 구현하는 통로]로 활용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Although some may argue that the doctor should have been aware of this support, it illustrates how a doctor, like any other health professional, may explore other avenues of support to offer patients, and demonstrates continued learning and information gathering. Furthermore, health professionals should feel that they can start a discussion about health care issues on social media, and the guidelines indicate that social media can be used as a conduit to implement change.


소셜미디어를 사용하는 이유는 다양하며, 가이드라인은 보건전문가들이 동료들과의 네트워킹과 같은 혜택과 최신 모범사례 공유 및 토론에 대해 소셜미디어를 사용하도록 인정하고 장려하지만, 보건전문가들이 소셜미디어를 어떻게 사용할 수 있는지에 대한 실질적인 사례와 아이디어가 부족하다. '#colorectalthcorration'이라는 제목의 한 연구 기사는 이 트위터 해시태그가 어떻게 국제 대장내과 의사들이 연습 공동체를 형성하고 다른 수술 기법을 사용한 경험을 공유할 수 있게 했는지에 대한 설명을 제공한다.20 소셜 미디어에 게재하는 것은 학자들과 보건 전문가들 모두 자주 사용된다. 공유: 연구의 범위와 가독성을 높이기 위한 방법으로 전체 기사에 접근할 수 있는 웹 링크를 포함한 소셜 미디어에 대한 연구 데이터가 인용 부수를 증가시킬 수 있다.

There are many reasons to use social media, and the guidelines acknowledge and encourage health professionals to use social media for benefits such as networking with colleagues, and for sharing and discussing latest best practice; however, there is a lack of practical examples and ideas for how health professionals can use social media. One research article entitled: ‘#colorectalsurgery’ gives an account of how this Twitter hashtag allowed international colorectal surgeons to form a community of practice and share their experiences of using different surgical techniques.20 Posting publications on social media is frequently used by academics and health professionals alike: sharing research data on social media including a weblink to access the full article (where publication rules allow) as a way of increasing the reach and readability of the research may lead to increased citations.







Review

 

. 2019 Oct;16(5):442-447.
 doi: 10.1111/tct.13033. Epub 2019 May 29.

Social media guidelines: a review for health professionals and faculty members

Affiliations 

Affiliations

  • 1Brighton and Sussex Medical School, Falmer, Brighton, UK.
  • 2Brighton Business School, University of Brighton, UK.

Abstract

Background: The rising societal use of social media has encouraged health professionals to use social media in their professional activities; however, this can be a daunting task, particularly for those who are uncertain about the boundaries for the professional use of social media. This article summarises the guidelines provided by medical governing bodies on social media use and provides practical advice on how social media can be used, which is transferrable across the health professions.

Methods: Nine guidance documents published by medical governing bodies in major international English-speaking countries were reviewed and analysed to identify their key common messages.

Findings: Five key themes were identified across all of the guidance documents, as follows: maintain patient confidentiality; defamation is unacceptable; privacy cannot be guaranteed; responsibility to maintain public trust; and reasons to use social media.

Conclusions: The guidelines predominantly focus on the risks of using social media. Although this is necessary, it is likely to inhibit the exploration of the potential uses of social media in health care education and practice. All of the guidance documents from governing bodies encourage the use of social media to engage with patients and to network with colleagues; however, there is relatively little practical guidance on how to use social media as a health professional. This article offers some practical advice for faculty members who wish to run development sessions on how to use social media for professional purposes. … there is relatively little practical guidance on how to use social media as a health professional.

학생평가에 성찰적 글쓰기 사용시 고려사항: 신뢰도와 타당도(Med Educ, 2015)

Considerations in the use of reflective writing for student assessment: issues of reliability and validity

Tracy Moniz,1 Shannon Arntfield,2 Kristina Miller,3 Lorelei Lingard,4 Chris Watling4 & Glenn Regehr5




도입 INTRODUCTION


의료 교육자는 학습자의 성찰 능력 성장을 지원하는 도구를 개발하거나, 더 깊은 의미를 얻고 미래의 행동을 인도하는 방법으로 경험을 검토, 해석 및 이해하는 능력을 개발했다.9,10 성찰적 글쓰기는 포트폴리오를 학습하는 맥락에서 점점 더 많이 사용되는 그러한 도구 중 하나이다.

medical educators have developed tools that support the growth of reflective capacity in learners, or the ability to review, interpret and understand experiences in ways that achieve deeper meaning and guide future behaviour.9,10 Reflective writing is one such tool that is used increasingly in the context of learning portfolios.4,9–22


교육 도구로서의 성찰적 글쓰기의 증가는 의학교육자들 사이에서 점차 [의대생의 성찰 능력을 '전문적 발전의 지표로서' 공식적으로 평가하기 위한 평가 도구로도 사용될 수 있다]는 기대가 늘어나는 결과를 낳았다. 즉 해석적, 관계적, 성찰적 기술에서의 정체성 형성과 성장 모두에 관하여 평가할 수 있다고 보았다. 이러한 가정과 기대를 부채질하는 것은 의학의 역량 기반 교육 운동의 성장인데, 이는 학생들이 훈련 과정 동안 중요한 이정표를 달성했다는 것을 확인하기 위한 평가 메커니즘을 필요로 한다.

The rise of reflective writing as an educational tool has resulted in tentative, but increasing, assumptions and expectations among medical educators that it can also be used as an assessment tool to formally assess a medical student’s reflective capacity ‘as an indicator of professional development’,10 with respect to both identity formation and growth in interpretive, relational and reflective skills.10,12,20,22 Fuelling these assumptions and expectations is the growth of the competency-based education movement in medicine,23,24 which requires assessment mechanisms to affirm that students have accomplished key milestones over the course of their training.


따라서 우리의 연구는 학부 의학 교육에서 평가 방법으로서 성찰적 쓰기 포트폴리오를 점점 더 광범위하게 채택하고 있는 것을 고려한다.

Our study, therefore, considers – and questions – the increasingly widespread uptake of the reflective writing portfolio as an assessment method in undergraduate medical education.



방법 

METHODS


포트폴리오 모듈 설계 

Portfolio module design


2012/2013학년도 캐나다 의대 3학년 의대생 170명이 임상실습 포트폴리오 모듈에 참여했다. 내러티브 의학에 뿌리를 둔 3 포트폴리오 모듈은 [정체성 형성의 문제, 환자의 질병 경험 이해, 사람 중심의 치료]에 집중하기 위한 학습 도구로 성찰을 사용했다.28

Over the 2012/2013 academic year, 170 Year 3 medical students at a Canadian medical school participated in the portfolio module of clerkship. Rooted in narrative medicine,3 the portfolio module used reflection as a learning tool to focus on issues of identity formation, understanding the patient’s illness experience, and person-centred care.28


학생들은 한 해 동안 완료한 네 번의 성찰적 글쓰기 연습에 대해 제공된 각 질문 목록에서 선택한 성찰적 글쓰기 프롬프트에 대한 응답으로 각각의 성찰을 작성했다. 표 1은 학생들이 선택할 수 있는 완전한 쓰기 프롬프트 세트를 보여준다.

Students wrote each reflection in response to a reflective writing prompt, which they selected from a list of prompts provided for each of the four reflective writing exercises completed throughout the year. Table 1 presents the complete set of writing prompts from which students could choose.


참가자 Participants


성찰 능력 측정 Measurement of reflective capacity


REFLECT rubric10은 신뢰성 연구의 대상이 된 반사적 글쓰기 작품에서 입증된 반사 수준을 코드화하기 위한 몇 안 되는 출판된 도구 중 하나이다.25

The REFLECT rubric10 is one of the few published tools for codifying the level of reflection demonstrated in reflective writing pieces that has been subject to studies of reliability.25


기타 학생 성취도 측정 Other measures of student performance


의대 2학년 때 학생들은 MCQ 시험을 이용해 평가한 8개 과정 모듈을 이수했다.

During the second year of medical school, students completed eight course modules assessed using MCQ examinations.


의과대학 4학년 동안 학생들은 10개의 표준화된 환자 기반 스테이션으로 구성된 OSCE를 이수했다.

During Year 4 of medical school, students completed an OSCE that consisted of 10 standardised patient-based stations.


연구는 생물의학 지식 이상을 포함하는 커뮤니케이션, 임상적 추론, 전문성과 같은 본질적 기술의 발달과 반사 능력의 개발을 연관시켰다. 이러한 점을 고려할 때, OSCE에 의해 생성된 이러한 내재적 기술(가장 두드러진 커뮤니케이션 도전에서의 성능)의 측정은 성찰적 글쓰기 능력과 관련이 있을 것으로 예상하였다.

Research has associated the development of reflective capacity with that of intrinsic skills, such as communication, clinical reasoning and professionalism,1–8 which encompass more than biomedical knowledge. Given this, we anticipated that measures of these intrinsic skills as generated by the OSCE (most notably performance on a communication challenge) would be related to reflective writing capacity.


절차 Procedure


4명의 측정자를 대상으로 한 REFLECT 루브릭에 대한 교육에는, 보충 디지털 콘텐츠를 포함하여 Wald 등이 보고한 자료에 대한 검토가 포함되었고, 루브릭을 어떻게 적용할 수 있는지에 대한 그룹 토론이 이어졌다.

Training on the REFLECT rubric for the four raters included a review of the material reported by Wald et al.,10 including the supplemental digital content, followed by a group discussion on how the rubric might be applied.


4명의 측정자는 훈련을 마친 후 참가자 성찰의 428개 표본을 모두 평가하였다(훈련에 사용된 표본을 재평가하는 것을 포함).

Following training, the four raters assessed all 428 samples of participant reflections (which included the re-rating of those used in training).


주어진 작품에 대한 최종 '성찰' 점수를 결정하기 위해, 우리는 네 명의 평가자들의 평균 점수를 사용했다.

To determine the final ‘reflection’ score for a given piece, we used the average score across the four raters.


통계 분석 Statistical analysis


표본에 대한 경주 간 신뢰도를 결정하기 위해, 우리는 4개의 쓰기 표본 세트 각각에 대한 4-Rater Cronbach의 a-값 30과 전체 428개의 표본에 대한 4-Rater a-값 및 Srout 및 Fleiss31 사례 2 단일-Rater 내 상관 계수(ICC)를 별도로 계산했다. 이 전체 표본 ICC에서 우리는 스피어맨-브라운 예언 공식 32를 사용하여 최소 0.80의 신뢰도 값을 달성하는 데 필요한 측정기 수를 결정했다.

To determine the inter-rater reliability for our sample, we separately calculated four-rater Cronbach’s a-values30 for each of the four sets of writing samples, as well as the four-rater a-value and the Shrout and Fleiss31 Case 2 single-rater intraclass correlation coefficient (ICC) for the full 428 samples. From this full-sample ICC, we used the Spearman–Brown prophecy formula32 to determine the number of raters needed to achieve a reliability value of at least 0.80.


성찰적 글쓰기 점수의 발산적/수렴적 타당도를 탐구하기 위해, 4개의 쓰기 샘플과 REFLECT 점수의 Pearson 제품-모멘트 상관 계수(r)를 통해 각 참가자의 평균 REFLECT 점수를 계산했다. 2학년 MCQ 점수(전위적 타당성)와 4학년 OSCE 점수(전위적 타당성)로.

To explore the divergent and convergent validity of the reflective writing scores, we calculated the average REFLECT score for each participant across the four writing samples and the Pearson product– moment correlation coefficients (r) of the REFLECT score with students’ Year 2 MCQ scores (divergent validity) and Year 4 OSCE scores (convergent validity).




결과 RESULTS


평가자 간 신뢰도 Inter-rater reliability


4개의 쓰기 샘플에 대한 네 평가자의 a-값은 0.72 - 0.82 범위였으며, 모든 쓰기 샘플에서 a = 0.771(단일 기록 ICC: 0.457)이었다. 스피어맨-브라운 예언 공식의 적용은 최소 0.80의 평가자 간 a-계수를 달성하기 위해 5명의 레이터가 주어진 반사를 점수화할 필요가 있음을 나타냈다.

Four-rater a-values for the four writing samples ranged from 0.72 to 0.82; across all writing samples, a = 0.771 (single-rater ICC: 0.457). Application of the Spearman–Brown prophecy formula indicated the need for five raters to score a given set of reflections to achieve an inter-rater a-coefficient of at least 0.80.


여러 글쓰기 간 신뢰도 Reliability across writing samples


표 2는 학생 참가자가 제작한 4개의 반사적 글쓰기 샘플 각각에 대한 평균, SD 및 점수 범위를 나타낸다(각각 4명의 측정자가 채점).

Table 2 reports the mean, SD and range of scores for each of the four samples of reflective writing produced by the student participants (each scored by the four raters).


4개의 쓰기 샘플 간의 상관관계는 중간(r = 0.407)에서 낮은(r = 0.097)까지 다양했으며, 4-표본 a-값은 0.541(단일표본 ICC: 0.228)이었다. 스피어맨-브라운 예언 공식의 적용에 따르면 적어도 0.80의 신뢰도 값을 얻으려면 학생당 14개의 쓰기 샘플이 필요하다.

The correlations between the four samples of writing ranged from moderate (r = 0.407) to low (r = 0.097), resulting in a four-sample a-value of 0.541 (single-sample ICC: 0.228). Application of the Spearman–Brown prophecy formula indicated that 14 writing samples per student are required to achieve a reliability value of at least 0.80.


변별 및 수렴 타당도 Divergent and convergent validity


표 3은 MCQ와 OSCE 총점, 글로벌 및 통신 점수에 대한 기술 통계량을 나타낸다.

Table 3 presents descriptive statistics for the MCQ and OSCE total, global and communication scores.


표 4는 모든 측정에 걸친 상관관계의 패턴을 보여준다. REFT 점수와의 상관관계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Table 4 presents the pattern of correlations across all measures. None of the correlations with the REFLECT score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고찰 DISCUSSION


학부 의학 커리큘럼에서, 성찰적 쓰기는 학생들의 성찰 능력을 평가하는 주요 도구가 되었다. 4,10–12,20

In undergraduate medical curricula, reflective writing has become a primary tool for the assessment of students’ reflective capacity.4,10–12,20


이전 연구와 일관된 방식으로, 우리는 REFLECT 루브릭을 의료 교육 환경에서 반사적 쓰기 성능을 계량화하는 도구로 사용하여 합리적인 평가자 간 신뢰성을 입증했다. 우리의 연구는 지금까지 가장 큰 표본 크기를 사용했다: 107명의 참가자들이 각각 4개의 서술문을 써서 분석을 위한 총 428개의 서술문을 제공했다.

In a manner consistent with previous research, we demonstrated reasonable inter-rater reliability using the REFLECT rubric as a tool for quantifying reflective writing performance in a medical education setting. Our study used the largest sample size to date: 107 participants each wrote four narratives to provide a total of 428 narratives for analysis.


우리의 평가자 간 신뢰성은 월드 외 연구진.10이 보고한 것 보다 다소 낮았다(최종 반복에서 단일 경주자 ICC 0.632를 발견했다). 우리의 낮은 값이 샘플링 오차를 나타내는지 아니면 측정자 사이의 루브릭에 덜 친숙함을 나타내는지 우리는 모른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우리의 연구 결과는 적어도 0.80의 래터간 신뢰도를 얻는 데 필요한 래터 수에 영향을 미친다: 우리의 연구는 4~5명의 평가자가 필요하다고 결론내린 반면, Wald와 동료은 2~3명의 사용을 제안했다.

Our inter-rater reliability was somewhat lower than that reported by Wald et al.10 (who found a single-rater ICC of 0.632 in their final iteration). Whether our lower values represent sampling error or less familiarity with the rubric among our raters, we do not know. Regardless, our findings have implications for the number of raters needed to obtain inter-rater reliability of at least 0.80: our study concluded the need for four or five raters, whereas Wald and colleagues10 proposed the use of two or three raters based on their results.


아마도 더 놀라운 것은, 우리는 하나의 성찰적 글쓰기 능력이 다른 글의 성능을 강하게 예측하지 못한다는 것을 발견했다. 4명의 측정자 평균을 바탕으로 한 반사 쓰기 점수에 대한 단일표본 ICC는 0.228에 불과했는데, 이는 반사 쓰기 성능을 안정적으로 측정하기 위해 약 14개의 쓰기 표본이 필요하다는 것을 보여준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성찰적 글쓰기가 [의학 교육에서 평가된 다른 많은 기술들만큼] 맥락 의존적인 것임을 암시한다. 그 결과 성찰적 글쓰기 표본 하나만으로는 학생의 반사적 쓰기 능력에 대한 특별히 정확하거나 안정적인 추정치가 되지 못한다.

Perhaps more strikingly, we found that performance on one reflective writing sample did not strongly predict performance on another. The single-sample ICC for reflective writing scores based on the average of four raters was only 0.228, which indicated that approximately 14 writing samples are required to obtain a stable measure of reflective writing performance. These findings suggest that reflective writing appears to be as context-dependent as many other skills assessed in medical education, such that a single sample of narrative reflection is unlikely to be a particularly accurate or stable estimate of a student’s reflective writing competency. 


실제로, 우리의 연구 결과는 성과에 대한 신뢰할 수 있는 추론을 도출하기 위해 학생당 14개의 반사적 쓰기 샘플이 필요하다는 것을 시사한다. 이 요건은 OSCE(성능의 안정적 추정치를 달성하려면 15~20개의 관측소가 필요함) 또는 미니임상 평가 연습(미니-CEX)과 같은 다른 평가와 호환된다(37 성능 점수에 대한 합리적인 신뢰도를 달성하기 위해 약 14개의 등급 표본이 필요함).

Indeed, our study results suggest the need for 14 reflective writing samples per student to draw reliable inferences about performance. This requirement is compatible with other assessments, such as OSCEs (which require 15–20 stations to attain stable estimates of performance36) or mini-clinical evaluation exercises (mini-CEXs) (which require around 14 samples of rating to achieve reasonable confidence in performance scores37).


성찰적 글쓰기 포퍼먼스에 대한 연구를 설계할 때, 연구자들은 표본당 너무 적은 샘플 또는 너무 적은 평가자를 사용함으로써 발생하는 부정확한 측정에 의해 연구가 제한되지 않도록 해야 한다.

in designing a study in which reflective writing performance is a dependent measure, researchers must ensure that findings are not limited by inaccurate measurements of reflective writing that result from the use of too few samples or too few raters per sample.


우리의 연구 결과는 또한 의학 교육이 현재 평가 도구로서 성찰적 글쓰기 포트폴리오를 통합하고 제공하는 방식에 상당한 변화가 필요하다는 것을 시사한다. 성찰적 글쓰기 기반 평가는 [OSCE 또는 Mini-CEX와 같은 다른 평가 도구]와 동등한 수준의 연구 및 자원 투입을 요구한다. 이 정도의 헌신이 없다면, 성찰적 글쓰기를 신뢰성과 타당도를 갖춘 평가로 자신 있게 사용될 수 없다.

Our findings further suggest the need for a significant shift in the way medical education currently incorporates and provides resources for reflective writing portfolios as assessment tools. Reflective writing-based assessment demands the same levels of research and resource commitment as have been applied to other assessment tools such as the OSCE or the mini-CEX. Without such a commitment, reflective writing cannot confidently be used as a reliable and valid form of assessment.


비록 우리가 반사적 글쓰기를 측정하는 것이 간단하지 않다는 것을 보여주었지만, 성찰적 글쓰기가 쉽게 수량화되지 않는다는 사실이 교육 도구로서의 RW의 가치를 부정하지 않는다. 사실, 차론과 헤르만38은 [성찰적 글쓰기를 계량화하려는 바로 그 노력이 그것의 교육적 가치를 훼손했을 수도 있다]고 주장해 왔다. 그들은, 의료 교육자들이 성찰적 글쓰기의 사용을 학습에서 평가로 확대함에 있어서, 성찰적 글쓰기를 환원적인 방식으로 사용하게 되었다고 제안한다. 그 결과, 성찰적 글쓰기가 학습에 대하여 가지는 잠재적 효용을 완전히 감소시킬 수 있다. 지금과 같은 평가의 맥락에서, '글쓰기란, 특정 기술이 이미 다른 곳에서 획득된 다음에, 그 기술의 달성 정도를 측정하기 위해 사용된다'.38

Although we have shown that measuring reflective writing is not simple, the fact that reflective writing is not easily quantifiable does not negate its value as an educational tool. In fact, Charon and Hermann38 have argued that the very effort of quantifying reflective writing may have undermined its educational value. They suggest that, in extending the use of reflective writing from learning to assessment, medical educators have come to use reflective writing in a reductive manner – one that may reduce its potential utility for learning altogether. In the current context of assessment, ‘writing is used to measure the attainment of the skill of reflection after that skill has somehow been attained elsewhere’.38 


글쓰기를 '발견discovery'으로 보는 대안적 관점에서는, 글쓰기란 '사실상 성찰 상태에 도달하기 위해' 사용되어야 한다고 주장한다.38 성찰적 글쓰기를 판단하고 평가할 때, 글쓰기는 '개별 학습자의 성취에 대한 정량화된 마커'에 불과하다. 성찰적 글쓰기를 판단하고 평가하면, 글쓰기가 그 자체로 성찰 기술을 가르치는 발견적 과정이 되지 못하는 것이다. 38. 평가를 목적으로 성찰적 글쓰기를 사용하는 것은 학생들이 무엇을 어떻게 쓰느냐의 성격과 방법을 변화시킨다: 그들은 '반성reflect'하기 보다는 겉으로 보이는 '수행perform'하기 위해 쓴다. [평가에 집중하는 것]은 '성찰을 통한 학습'이 더 이상 목표가 아니기 때문에 실제로 [학생의 학습 능력]과 충돌할 수 있으며, 샤론과 헤르만이 주장하듯이, '이 충동은 아마도 성찰적 글쓰기의 잠재적인 진정한 이득을 왜곡하고 낭비할 수 있다'.38

In their alternative view of writing as ‘discovery’, Charon and Hermann argue that writing should, in fact, be used ‘to attain the state of reflection’.38 The act of judging and rating reflective writing turns that writing into ‘quantified markers of individual learners’ achievements’38 instead of a discovery process that, in and of itself, teaches the skills of reflection. Using reflective writing for assessment purposes changes the nature and method of what and how students write: they write to ‘perform’ rather than to ‘reflect’. Focusing on assessment may then actually conflict with a student’s ability to learn because ‘learning through reflection’ is no longer the goal and, as Charon and Hermann argue, ‘this impulse perhaps distorts and squanders the potential deep dividends of the work of reflective writing’.38


우리의 자료를 토대로 볼 때, 개개인의 안정적인 구조로서 반사능력에 대한 의미 있는 결론을 도출하기 위해서는 학생당 14개의 쓰기 샘플이 필요한 것으로 보이며, 각 샘플은 4~5명의 측정자가 평가해야 한다. 이러한 적지 않은 요구사항은 학부 의학교육에서 성찰적 글쓰기를 평가 도구로 사용하는 것의 타당성과 유용성에 관한 중요한 고려사항을 제기한다.

Based on our data, it seems that to draw meaningful conclusions about reflective capacity as a stable construct in individuals requires 14 writing samples per student, each of which must be assessed by four or five raters. This daunting requirement raises important considerations regarding the feasibility and utility of using reflective writing as an assessment tool in undergraduate medical education.


우리는 이번 연구가 학생들의 성찰능력을 평가하기 위한 성찰적 글쓰기의 사용에 관한 중요한 경고의 이야기를 제공한다고 믿는다. 적어도 우리의 자료는 그 분야가 평가 도구로서 반사적 글쓰기를 사용하는 방향으로 계속 나아가고 있다면, 향후 연구는 실행하기에 신뢰할 수 있고 타당하며 실용적인 반사적 글쓰기의 척도 개발에 초점을 맞춰야 한다고 제안한다. 아마도 더 비판적으로, 우리의 결과는 교육적 도구로서 성찰적 글쓰기의 사려 깊은 사용의 필요성을 강화시키고, 유의미하게 충족시킬 수 없는 목적을 위하여 성찰적 글쓰기를 급작스럽게 채택하는 것을 경계한다.

we believe our findings offer an important cautionary tale regarding the use of reflective writing to assess students’ reflective capacity. At minimum, our data suggest that if the field continues to move towards the use of reflective writing as an assessment tool, then future research must focus on the development of measures of reflective writing that are reliable, valid and practical to implement. Perhaps more critically, our results reinforce the need for the thoughtful use of reflective writing as a pedagogical tool, and caution against its precipitous adoption to serve purposes it cannot meaningfully fulfil.


38 Charon R, Hermann N. A sense of story, or why teach reflective writing? Acad Med 2012;87 (1):5–7.










. 2015 Sep;49(9):901-8.
 doi: 10.1111/medu.12771.

Considerations in the use of reflective writing for student assessment: issues of reliability and validity

Affiliations 

Affiliations

  • 1Department of Communication Studies, Mount Saint Vincent University, Halifax, Nova Scotia, Canada.
  • 2Department of Obstetrics and Gynaecology, Western University, London, Ontario, Canada.
  • 3Department of Health and Rehabilitation Sciences, Western University, London, Ontario, Canada.
  • 4Centre for Education Research and Innovation, Western University, London, Ontario, Canada.
  • 5Centre for Health Education Scholarship, University of British Columbia, Vancouver, British Columbia, Canada.

Abstract

Context: Reflective writing is a popular tool to support the growth of reflective capacity in undergraduate medical learners. Its popularity stems from research suggesting that reflective capacity may lead to improvements in skills such as empathy, communication, collaboration and professionalism. This has led to assumptions that reflective writing can also serve as a tool for student assessment. However, evidence to support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reflective writing as a meaningful assessment strategy is lacking.

Methods: Using a published instrument for measuring 'reflective capacity' (the Reflection Evaluation for Learners' Enhanced Competencies Tool [REFLECT]), four trained raters independently scored four samples of writing from each of 107 undergraduate medical students to determine the reliability of reflective writing scores. REFLECT scores were then correlated with scores on a Year 4 objective structured clinical examination (OSCE) and Year 2 multiple-choice question (MCQ) examinations to examine, respectively, convergent and divergent validity.

Results: Across four writing samples, four-rater Cronbach's α-values ranged from 0.72 to 0.82, demonstrating reasonable inter-rater reliability with four raters using the REFLECT rubric. However, inter-sample reliability was fairly low (four-sample Cronbach's α = 0.54, single-sample intraclass correlation coefficient: 0.23), which suggests that performance on one reflective writing sample was not strongly indicative of performance on the next. Approximately 14 writing samples are required to achieve reasonable inter-sample reliability. The study found weak, non-significant correlations between reflective writing scores and both OSCE global scores (r = 0.13) and MCQ examination scores (r = 0.10), demonstrating a lack of relationship between reflective writing and these measures of performance.

Conclusions: Our findings suggest that to draw meaningful conclusions about reflective capacity as a stable construct in individuals requires 14 writing samples per student, each assessed by four or five raters. This calls into question the feasibility and utility of using reflective writing rigorously as an assessment tool in undergraduate medical education.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