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공적인 연구 환경으로 무엇이 중요한가? 현실주의자 합성 (Med Educ, 2018)

What really matters for successful research environments? A realist synthesis

Rola Ajjawi,1 Paul E S Crampton2,3 & Charlotte E Rees3



도입 INTRODUCTION

연구 환경은 중요하다. 견실한 연구 품질의 문화나 연구자에 대한 지원과 같은 환경적 고려는 연구 생산성의 가장 영향력 있는 예측 변수라고 생각된다.  25년 이상 전에 Bland와 Ruffin1은 1960년대 중반부터 1990년(Box 1)까지에 걸친 국제 학술 의학 문헌에서 연구하기 쉬운 환경의 12가지 특성을 확인했다.

Research environments matter. Environmental considerations such as robust cultures of research quality and support for researchers are thought to be the most influential predictors of research productivity.1,2 Over 25 years ago, Bland and Ruffin1 identified 12 characteristics of research-favourable environments in the international academic medicine literature spanning the period from the mid-1960s to 1990 (Box 1).


실제로, 기존 검토가 성공적인 연구 환경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더 잘 이해하도록 돕기 시작했지만, 이 연구는 일반적으로 환경적 특성의 상황별 복잡성과 다양성을 무시하고, [연구 결과물의 양과 같은 생산성의 좁은 표지]에 초점을 맞추었다(예: ref.7).

Indeed, although existing reviews have begun to help us better understand what makes for successful research environments, this research has typically ignored the contextual complexities and multiplicity of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1,3–7 and has focused on narrow markers of productivity such as the quantity of research outputs (e.g. ref.7)


Box 1 성공적인 연구환경의 특성1

Box 1 Characteristics of successful research environments1


1 명확한 조직적 연구 목표

2 연구 생산성을 우선순위로 한다. 최소한 다른 활동과 동등한 우선순위로 한다.

3 연구 가치를 공유하는 견고한 연구 문화

4 긍정적인 그룹 기후

5 참여형 거버넌스 구조

6 비위계적, 분산적 구조

7 팀원들 간의 좋은 소통과 직업적으로 의미 있는 관계

8 인력, 자금, 연구 시설 및 시간과 같은 적절한 리소스

9 더 큰 그룹 규모, 적당히 확립된 팀 및 다양성

10 연구 성공에 대한 보상

11 우수 연구원 채용 및 선발

12 연구 전문지식과 기술을 갖춘 연구중심 리더

1 Clear organisational research goals

2 Research productivity as a priority and at least equal priority to other activities

3 A robust research culture with shared research values

4 A positive group climate

5 Participative governance structures

6 Non-hierarchical and decentralised structures

7 Good communication and professionally meaningful relationships between team members

8 Decent resources such as people, funding, research facilities and time

9 Larger group size, moderately established teams and diversity

10 Rewards for research success

11 Recruitment and selection of talented researchers

12 Research-oriented leaders with research expertise and skill


성공적인 연구 환경을 이해하기 위한 상황별 배경

The contextual background for understanding successful research environments


교육의 대량 생산, 연구에 대한 정부 자금 지원 감소, 고등 교육에서의 '새로운 경영자' 문화, 연구의 양과 질에 대한 조사 증가, 연구가 생산되는 연구 환경과 연구의 영향이 불가피해졌다.  실제로 전 세계 고등교육기관(HEI)에서는 개별 연구자 및 연구그룹의 주요 성과 지표의 일부로 연구 생산성이 측정되고 있다.7

Against a backdrop of the mass production of education, reduced government funding for research and ‘new managerialist’ cultures in higher education,8,9 increased scrutiny of the quantity and quality of research, the research environments in which research is produced and the impacts of research has become inevitable.10 Indeed, in higher education institutions (HEIs) globally, research productivity is being measured as part of individual researcher and research group key performance indicators.7


호주, 홍콩, 뉴질랜드, 영국 등 많은 국가에서 HEI 연구는 정부 주도의 연구 평가를 통해 국가적인 규모로 측정된다. 이러한 연구 측정은 대학의 자금 배분 및 경쟁 시장에서 대학의 차별화에 기여해 왔으며, 일부는 '연구 중심대학'으로 제도적 정체성을 확고히 하고, 다른 일부는 상대적 '연구 중심적' 지위를 강조하였다. (예: 기존의 '교육 중심적' 대학') 이러한 제도적 차별화는 '연구활동' 또는 '교육 중심' 진로를 택하도록 점점 더 장려되고 있는 대학 내 개별 학자들과도 유사하다.8,9

In many countries, such as Australia, Hong Kong, New Zealand and the UK,11 HEI research is measured on a national scale through government-led research assessments. Such research measurement has contributed to the allocation of funding to universities and differentiation of universities in the competitive marketplace, with some solidifying their institutional identities as ‘research-intensive’ and others emphasising their relative ‘newcomer-to-research’ status (e.g. previously ‘teaching-intensive’ universities).9,12,13 Such institutional differentiation also parallels that of individual academics within universities, who are increasingly encouraged to take either ‘researchactive’ or ‘education-focused’ career pathways.8,9


표 S1은 주요 용어의 정의를 제공한다.

Table S1 provides definitions of key terms.


이전 리뷰에서 확인된 연구 환경의 주요 특징

Key features of research environments identified in previous reviews


Evans는 다음과 같이 연구 환경을 정의한다: '연구 관행과 산출물을 가치 있고 가치 있고 앞선 활동으로 수용하고 인식하는 것이 중심인 공유된 가치관, 가정, 신념, 의식 및 기타 형태의 행위' 14 이전의 검토는 [연구 역량 구축과 같은 개별 연구자를 대상으로 한 개입]과 [보조금이나 출판물 수 증가와 같은 개인 수준의 결과]에 초점을 맞추는 경향이 있었다. 기존 검토는 일반적으로 연구 역량 강화 개입이 긍정적인 연구 성과로 이어진다는 결론을 내렸다.

Evans defines a research environment as including: ‘shared values, assumptions, beliefs, rituals and other forms of behaviour whose central focus is the acceptance and recognition of research practice and output as valued, worthwhile and pre-eminent activity.’14 Previous reviews have tended to focus on interventions aimed at individual researchers, such as research capacity building,4,5,7 and with individual-level outcomes, such as increased numbers of grants or publications.4,5,7 These reviews have typically concluded that research capacity-building interventions lead to positive research outcomes.4,5,7


게다가, 그 검토들은 연구에 대한 개인과 기관의 enabler를 모두 확인했다. 개인 지원자들은 연구를 수행하려는 연구자들의 내재적 동기를 포함했다. 기관적 enabler로는,

  • 료들의 지지, 격려 및 검토,

  • 멘토링 및 협업,

  • 연구 리더십,

  • 명확한 전략과 같은 연구를 지원하는 제도적 구조, 프로세스 및 시스템

  • 호되는 시간 및 재정적 지원

Furthermore, the reviews have identified both individual and institutional enablers to research. Individual enablers included researchers’ intrinsic motivation to conduct research.6,7 Institutional enablers included 

  • peer support, encouragement and review,7 

  • mentoring and collaboration,4,5 

  • research leadership,5,6 

  • institutional structures, processes and systems supporting research, such as clear strategy,5,6 

  • protected time and financial support.5


비록 이러한 검토들이 성공적인 연구 환경의 특징들을 밝히기 시작했지만, 마즈마니아어 외 연구진들은 검토에서 '...어떤 상황에서 무엇이 가장 잘 작동하는지에 대해 거의 알려져 있지 않다'고 결론지었다.

Although these reviews have begun to shed light on the features of successful research environments, Mazmanian et al.4 concluded in their review: ‘...little is known about what works best and in what situations.’


개념 체계: 현실주의 접근법

Conceptual framework: a realist approach


우리는 현실주의 합성이 복합적인 개입이 성공에 어떻게 영향을 미칠 수 있는지를 설명해줄 것이라고 생각했다. 현실주의realism는 외부 현실(실제 세계)의 존재를 전제로 하지만 인간의 감각, 의지, 언어, 문화를 통해 현실(즉, 인지, 해석, 대응)이 여과된다는 것을 전제로 한다현실주의적 접근방식은 왜 개입이 효과가 있을 수 있고 없을 수 있는지, 누구를 위해 그리고 어떤 상황에서든 이론의 개발과 시험을 가능하게 한다. 현실주의적 접근은 개입이 직접적으로 결과를 초래하지 않는다는 것을 인식함으로써 이를 수행한다. 대신, 개입에 의해 제공되는 기회에 대한 [참가자의 반응과 반응]이 결과를 유발한다.

we thought a realist synthesis would bemost likely to elucidate how multiple complex interventions can influence success. Realism assumes the existence of an external reality (a real world), but one that is filtered (i.e. perceived, interpreted and responded to) through human senses, volitions, language and culture.15 A realist approach enables the development and testing of theory for why interventions may or may not work, for whom and under what circumstances.16 It does this through recognising that interventions do not directly cause outcomes; instead, participants’ reactions and responses to the opportunities provided by the intervention trigger outcomes. 


이 접근방식은 연구자들이 개입과 그들이 일하는 상황 사이의 관계, 그들이 어떻게 작용하는지(메커니즘) 그리고 그들의 결과와 같은 복잡한 상황에서의 인과 관계를 식별할 수 있게 할 수 있다. CMO(Context-mechanism-Outcome) 접근법이 반드시 선형적인 것은 아니지만, 상황별 가변성을 우선적으로 고려한 설명을 제공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

This approach can allow researchers to identify causal links in complex situations, such as those between interventions and the contexts in which they work, how they work (mechanisms) and their outcomes.17 Although the context–mechanism– outcome (CMO) approach is not necessarily linear, it can help to provide explanations that privilege contextual variability.18


성공적인 연구 환경의 특징은 무엇이며, 누구에게, 어떻게, 그리고 어떤 환경에서인가?

What are the features of successful research environments, for whom, how and in what circumstances?


방법

METHODS


우리는 (i) 범위 명확화, (ii) 증거 검색, (iii) 품질 평가, (iv) 데이터 추출, (v) 데이터 합성 등 5단계 리얼리스트 종합을 따랐다.19 우리의 방법 또한 RAMES(현실주의 및 메타해설 근거 합성: 진화하는 표준) 보고 지침을 따른다.20

We followed five stages of realist synthesis: (i) clarifying scope; (ii) searching for evidence; (iii) assessing quality; (iv) extracting data, and (v) synthesising data.19 Our methods also follow the RAMESES (realist and meta-narrative evidence synthesis: evolving standards) reporting guidelines.20


범위 명확화

Clarifying the scope


먼저 연구 우수성 프레임워크(REF) 2014년 환경 평가 기준에 근거해 관련 개입을 파악함으로써 현실주의 종합의 범위를 명확히 했다. REF는 영국 HEI가 생산하는 연구의 질, 학계를 넘어선 영향, 연구를 지원하는 환경을 평가하는 국가적 행사다. REF2014 환경 템플릿에 표시된 평가 기준에는 해당 유닛의 연구 전략, 인력(인력 전략, 인력 개발 및 연구 학생 포함), 소득, 인프라 및 시설(IIIF)과 협업의 특징이 포함되었다.21

We first clarified the scope of our realist synthesis by identifying relevant interventions based on the Research Excellence Framework (REF) 2014 environment assessment criteria. The REF is a national exercise assessing the quality of research produced by UK HEIs, its impact beyond academia, and the environment that supports research. The assessment criteria indicated in the REF2014 environment template included the unit’s research strategy, its people (including staffing strategy, staff development and research students), its income, infrastructure and facilities (IIF), as well as features of collaboration.21


(그림 1은 초기 프로그램 이론에 대한 자세한 내용을 제공한다.)

(Fig. 1 gives further details of our initial programme theory).


 


경험적 증거 검색

Searching for empirical evidence


우리는 팀으로 검색어를 고안했고 검색에 경험이 있는 보건 사서의 도움을 받아 반복적으로 이를 다듬었다. 우리는 연구 질문을 세 가지 핵심 개념으로 나누었다: (i) 연구 환경, (ii) 분야, (iii) 연구 지표(즉, 긍정적 또는 부정적)

We devised search terms as a team and refined these iteratively with the help of a health librarian experienced in searching. We split the research question into three key concepts: (i) research environment; (ii) discipline, and (iii) research indicator (i.e. positive or negative).


스터디 선택

Study selection


첫 번째 최상위 검색은 모든 데이터베이스에 걸쳐 8527개의 저널 기사를 도출했다. 중복된 결과가 제거되고 '주제'와 '최근' 연구 매개변수가 강화되면 420개의 논문이 남아 있었다. 검색 및 선택 프로세스는 체계적 검토 및 메타분석(meta-analysses)을 위해 선호되는 보고 항목으로 요약된다(그림 2).

The first top-level search elicited 8527 journal articles across all databases. Once duplicate results had been removed, and ‘topic’ and ‘recentness’ study parameters reinforced, 420 articles remained. The searching and selection process is summarised in a PRISMA (preferred reporting items for systematic reviews and meta-analyses) diagram (Fig. 2).



품질평가

Assessment of quality


우리는 저널의 관련성과 엄격함을 평가했다.20 우리는 '이론이 구축되고/또는 시험에 기여할 수 있는지'에 따라 기사의 관련성을 정의했다.20

We assessed the journal articles for relevance and rigour.20 We defined an article’s relevance according to ‘whether it can contribute to theory building and/or testing’.20


우리는 엄격함을 '특정 데이터를 생성하는 데 사용되는 방법이 신뢰할 수 있고 신뢰할 수 있는지의 여부'를 결정하는 것으로 정의했다.20 연구 품질을 평가하기 위해 두 가지 사전 검증된 도구를 사용했다: 정량적 연구의 품질을 평가하기 위해 MERSQI(Medical Education Research Study Quality Instrument)와 CASP(Critical Emissing Technology Program) 질적 연구와 혼합 연구를 위한 질적 체크리스트.

We defined rigour as determining ‘whether the method used to generate the particular piece of data is credible and trustworthy’.20 We used two prevalidated tools to assess study quality: the Medical Education Research Study Quality Instrument (MERSQI) to assess the quality of quantitative research,27,28 and the Critical Appraisal Skills Programme (CASP) qualitative checklist for qualitative and mixed-method studies.29


5편의 논문은 우리의 이론구축에 기여하지 못하거나 CMO 구성(CMO 구성)이 부족하여 제외되었다. 연구를 배제한 이유를 메모해 두고 토론을 통해 의심을 해소했다(그림 2).

Five papers were excluded as they did not contribute to our theory building or lacked CMO configurations (CMOCs). We kept notes of the reasons for excluding studies and resolved doubts through discussion (Fig. 2).


데이터 추출

Data extraction


복수의 CMOC를 포함하는 데이터가 풍부한 두 기사는 일관성을 보장하기 위해 우리 모두가 유도적으로 그리고 연역적으로 (초기 프로그램 이론에 근거하여) 코드화되었다. 그리고 나서 우리는 우리의 코딩에서 어떤 유사점과 차이점을 토론했다. 현실주의 접근법의 도전에 내재되어 있듯이, 우리는 CMOCs의 식별에서 차이를 발견했는데, 이는 종종 한 특정 구성요소(예: 시간)가 어떻게 한 순간에 결과가 되고 다음 메커니즘이 될 수 있는가와 관련이 있다.

Two data-rich articles containing multiple CMOCs were inductively and deductively (based on the initial programme theory) coded by all of us to ensure consistency. We then discussed any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in our coding. As is inherent in the challenges of realist approaches, we found differences in our identifications of CMOCs, which often related to how one particular component (e.g. time) could be an outcome at one moment and a mechanism the next.


데이터 합성

Data synthesis


결과 RESULTS


연구의 특성

Characteristics of the studies


42개의 논문은 의학교육(n = 4, 10%; 31–34 교육(n = 18, 43%), 35–52 및 의학(n = 20, 48%)을 대표했다.53–72 질적 연구 26개(62%)와 정량 연구 11개(26%) 및 혼합 방법 연구 5개(12%)가 있었다(표 S5). 연구는 호주(n = 10, 24%), 미국(n = 7, 17%), 영국(n = 6, 14%), 캐나다(n = 4, 10%), 남아프리카공화국(n = 4, 10%), 덴마크(n = 2, 5%), 터키(n = 7, 17%) 등 전 세계 국가(e)에서 나왔다.

The 42 papers represented the following disciplines: medical education (n = 4, 10%);31–34 education (n = 18, 43%),35–52 and medicine (n = 20, 48%).53–72 There were 26 (62%) qualitative studies, 11 (26%) quantitative studies and five (12%) mixed-methods studies (Table S5). The studies were from countries across the globe, including Australia (n = 10, 24%), the USA (n = 7, 17%), the UK (n = 6, 14%), Canada (n = 4, 10%), South Africa (n = 4, 10%), Denmark (n = 2, 5%), Turkey (n = 2, 5%) and others (n = 7, 17%) (e.g. Belgium, China, Germany, New Zealand and the Philippines).


초기 프로그램 이론 확장

Extending our initial programme theory


우리의 현실주의 종합에서 중요한 발견은 [동일한 개입이 문맥에 따라 각각 긍정적이거나 부정적인 결과를 초래하는 메커니즘]을 보여주었다는 것이다. 놀랍게도, CMOC는 대부분 3개 분야(예: 의료 교육, 교육 및 의료)에 걸쳐 일관성이 있었으며, 겉으로 보기에는 지역적 맥락이 결과와 더 강하게 상호 작용하는 것처럼 보였다.

A key finding from our realist synthesis was that the same interventions fired either positive or negative mechanisms leading to positive or negative outcomes, respectively, depending on context. Surprisingly, the CMOCs were mostly consistent across the three disciplines (i.e. medical education, education and medicine) with local contexts seemingly interplaying more strongly with outcomes.


적절한 자원(시간 포함)과 연구의 가치평가valuing가 가능했을 때, 연구전략을 수립하는 것은 성공적인 연구환경을 촉진했지만, 산출물, 인센티브, 보상에 너무 좁게 초점을 맞추었을 때는 부정적인 결과를 낳았다. 

    • 사람 면에서는 개별 연구자가 내부적으로 동기부여를 받고 소속감을 가질 필요가 있었으며, 연구를 하기 위해서는 역량강화 활동에 대한 시간과 접근을 보호할 필요가 있었다. 지식, 연구자 정체성, 네트워크 및 시간 부족과 더불어 제한된 리더십 지이 부정적인 연구 결과를 초래하는 메커니즘으로 작용했다. 

    • IIF의 존재는 성공적인 연구 환경을 위해 필요한 것으로 압도적으로 지적되었고 그들의 부재는 전형적으로 해로웠다. 흥미롭게도, 몇몇 논문들은 단기 계약, 고용 안정성의 저하, 임시 하급 직원의 사용이 취약한 연구 환경으로 이어질 수 있기 때문에 외부 자금 지원이 부정적인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고 보고했다.

    • 마지막으로, 협력은 신뢰하는 존경심, 지지적인 리더십, 소속감을 통해 중재된 성공적인 연구를 위해 결정적이었다. 그러나, 부실한 의사소통경쟁 문화는 협업을 저해하고 고립과 낮은 자존감을 초래했으며, 연구 참여와 생산성의 저하를 초래했다.

Having a research strategy promoted a successful research environment when it enabled appropriate resources (including time) and valuing of research; however, it had negative consequences when it too narrowly focused on outputs, incentives and rewards. 

    • In terms of people, individual researchers needed to be internally motivated and to have a sense of belonging, and protected time and access to capacity-building activities in order to produce research. Lack of knowledge, researcher identity, networks and time, plus limited leadership support, acted as mechanisms leading to negative research outcomes. 

    • The presence of IIF was overwhelmingly indicated as necessary for successful research environments and their absence was typically detrimental. Interestingly, a few papers reported that external funding could have negative consequences because short-term contracts, reduced job security and the use of temporary junior staff can lead to weak research environments.40,67,71 

    • Finally, collaboration was crucial for successful research mediated through trusting respectful relationships, supportive leadership and belongingness. Poor communication and competitive cultures, however, worked to undermine collaboration, leading to isolation and low self-esteem, plus decreased research engagement and productivity. Table 1



주요 교차 절단 메커니즘: 시간, ID 및 관계

Key cross-cutting mechanisms: time, identity and relationships


표 1에서 알 수 있듯이, 동일한 개입도 그것이 촉발된 특정 맥락과 메커니즘에 따라 긍정적이거나 부정적인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 이것은 언뜻 보기에 명백하게 보이는 것보다 더 큰 복잡성을 강조한다. 이러한 네 가지 개입을 교차 차단하는 것은 연구 환경의 성공(또는 그렇지 않음)에 대해 정기적으로 확인된 세 가지 메커니즘, 즉 시간, 연구자의 정체성 및 관계였다. 이제 이러한 각 cross-cutting 메커니즘에 대한 주요 결과를 제시하고 이들의 상호 관계가 어떻게 우리의 수정된 프로그램 이론으로 이어지는지에 대해 논의한다(그림 3). 우리가 읽기 쉽도록 이 세 가지 메커니즘을 분리하려고 노력했음에도 불구하고, 그것들은 종종 엉망이 되어 있었다. 표 2는 각 메커니즘이 특정 상황에서 결과를 중재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인용구를 제시한다.

As Table 1 shows, the same intervention can lead to positive or negative outcomes depending on the particular contexts and mechanisms triggered. This highlights greater complexity than is evident at first glance. Cross-cutting these four interventions were three mechanisms that were regularly identified as critical to the success (or not) of a research environment: time; researcher identities, and relationships. We now present key findings for each of these cross-cutting mechanisms and discuss how their inter-relations lead to our modified programme theory (Fig. 3). Note that although we have tried to separate these three mechanisms for ease of reading, they were often messily entangled. Table 2 presents quotes illustrating the way in which each mechanism mediates outcomes within particular circumstances.



시간 Time


시간은 우리의 세 분야에 걸쳐 연구 결과를 모을 수 있는 중요한 메커니즘으로 확인되었다. 시간은 다음과 같이 구분하여 개념화되었다. 

        • 호 시간; 

        • 가용 시간에 영향을 미치는 워크로드 압력 

        • 시간의 효율적 사용 

        • 시간의 유연한 사용. 

        • 간 벌기, 경력 쌓기, 시간 벌기, 경력 쌓기. 

가장 일반적으로 고려된 두 가지 측면은 [보호된 시간]과 [업무량]이였다.

Time was identified as an important mechanism for mobilising research outcomes across our three disciplines. Time was conceptualised severally including as: 

        • protected time; 

        • workload pressures influencing time available; 

        • efficient use of time; 

        • flexible use of time; 

        • making time, and time in career. 

The two most commonly considered aspects were protected time and workload implications.


[보호 시간]의 부족이 연구자의 참여 또는 활동 부족을 초래하고 연구 생산성이 저하되는 등 다양한 맥락과 분야에 걸쳐 대체로 부정적인 측면에서 보호 시간이 언급되었다.32,35–37,41,44,47–49,61–63,67 또한 [이용 가능한 보호 시간은] 다양한 맥락과 학문에 걸쳐서, 그리고 긍정적인 메커니즘의 역할을 하면서, 연구 생산성 향상과 적극적인 연구 참여로 이어지는 것으로 밝혀졌다.

Protected time was largely talked about in the negative across a variety of contexts and disciplines, with lack of protected time leading to lack of researcher engagement or inactivity and reduced research productivity.32,35–37,41,44,47–49,61–63,67 Also across a variety of contexts and disciplines, and acting as a positive mechanism, available protected time was found to lead to increased research productivity and active research engagement.31,36,40,48,49,63,65


[업무량]과 관련하여, 과도한 다른 업무량으로 인한 연구시간의 제한은 다음을 유발했다.

      • 연구 활동 감소, 

      • 연구 생산성 저하, 

      • 질 낮은 연구

      • 연구 교육에 참석할 수 있는 기회 감소

With regard to workload, limitations on the time available for research imposed by excessive other workloads led to 

      • reduced research activity, 

      • lower research productivity, 

      • poor-quality research and reduced – opportunity to attend research training.40,41,47 49,60,67 


임상, 교수, 행정 및 리더십 역할과 같은 여러 책임을 저글링하는 것 또한 연구에 이용 가능한 시간을 단축시킴으로써 연구 생산성을 억제했다.35,40,49 다른 비연구 작업과의 연계는 시간 사용 시 효율성이 향상되어 연구 생산성이 향상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 (표 2, 인용문 1)

Juggling of multiple responsibilities, such as clinical, teaching, administrative and leadership roles, also inhibited research productivity by diminishing the time available for research.35,40,49 The alignment of research with other non-research work was described as driving efficiencies in the use of time leading to greater research productivity (Table 2, quote 1).


정체성 Identity


[정체성]은 또한 우리의 세 분야에 걸친 연구 결과를 동원하기 위한 중요한 메커니즘이었다. 해석에는 개인적 정체성(예: 성별), 직업적 정체성(예: 1차 시술자 또는 1차 연구자) 및 사회적 정체성(예: 소속감)이 포함되었다. 연구자 정체성은 흔히 1차 진료자(따라서 2차 진료자)와 관련하여 언급되었다.

Identity was also an important mechanism for mobilising research outcomes across our three disciplines. Interpretations included 

      • personal identities (e.g. gender), 

      • professional identity (e.g. as a primary practitioner or a primary researcher), and 

      • social identity (e.g. sense of belongingness). 

Researcher identity was often referred to in relation to first-career practitioners (and therefore second-career researchers).


샤프 외 연구진은 이를 박사학위 연구로부터 직접가 아니라 광범위한 'first-order' 지식과 교육학적 전문지식에 기초하여 고등교육에 채용된 참가자로 정의했다. 이들은 또한 학교나 병원에서 연구를 수행하는 실무자들이었다. 정체성은 초기 연구자, 중간 연구자 또는 선임 연구자와 관련하여 언급되기도 하였다. 학회에서 일하는 학계 직원들은 그들의 만족도, 역량, 연구 활동을 증대시키기 위해 [연구자로서 정체성, 소속성, 연구에 대한 자기 만족도, 자율성] 등을 계발할 필요가 있었다.

Sharp et al.48 defined these as participants recruited into higher education not directly from doctoral study but on the basis of their extensive ‘first-order’ knowledge and pedagogical expertise. These were also practitioners conducting research in schools or hospitals. Identities were also referenced in relation to early, mid-career or senior researchers. Academic staff working in academic institutions needed to develop a sense of researcher identity, belongingness, self-efficacy for research and autonomy to increase their satisfaction, competence and research activity.39,40,44,46,51,67


first-career practitioner실무자(즉, 교사, 의사)의 경우, 동기를 부여하기 위해 연구는 [높은 관련성을 가져야 했으며, 일차적 정체성 업무와 일치]해야 했다.53,59,62,65 이러한 [정렬]은 강력한 연구-교육 넥서스를 갖는 것으로 설명되었다.40,48 이 개념과 연계된 것은 first-career practitioner는 1차적 업무(예: 환자 또는 학생 지향)와 관련하여 연구의 영향을 인식하여, 동기부여를 촉진하고, 연구자 정체성을 개발해야 한다는 것이었다.

For first-career practitioners (i.e. teachers, doctors), the research needed to be highly relevant and aligned to their primary identity work in order to motivate them.53,59,62,65 This alignment was described as having a strong research–teaching nexus.40,48 Linked to this concept was the need for first-career practitioners to see the impact of research in relation to their primary work (e.g. patient- or student-oriented) to facilitate motivation and to develop a researcher identity (Table 2, quote 2).36,37,41,49,53,54,67


연구가 일차적 정체성 작업(예: 영어 교육, 일반 실습)과 무관하다고 여겨진 경우, 연구 중단이 있었다.37,48,52,59,67

Where research was seen as irrelevant to primary identity work (e.g. English language teaching, general practice), there was research disengagement.37,48,52,59,67


관계 Relationships


긍정적인 연구 관계는 상호 신뢰와 존중에 의해 특징지어졌다, 40–43,54,66,72 반면에 다른 이들은 그것을 [발전하는데 시간이 걸리는 우정]이라고 묘사했다.51 상호 지지적 관계는 자신감, 자존감 및 연구 능력을 개발하고 정체성을 전환한다는 측면에서 ECR과 특히 관련이 있는 것처럼 보였다.35,43,48,58,67 네트워크 형태의 관계는 다원적 연구를 통해 연구의 질을 향상시키고 협업의 질을 향상시키는 것으로 고려되었다.33,60

Positive research relationships were characterised by mutual trust and respect,40–43,54,66,72 whereas others described them as friendships that take time to develop.51 Mutually supportive relationships seemed to be particularly relevant to ECRs in terms of developing confidence, self-esteem and research capacity and making identity transitions.35,43,48,58,67 Relationships in the form of networks were considered to improve the quality of research through multicentre research and improved collaboration.33,60


관계의 특정한 형태로서의 지지적 리더십은 성공적인 연구 환경을 촉진하는 중요한 메커니즘이었다. 지지적 리더는 업무량 모니터링, 비전 설정, 연구 가치에 대한 인식 제고 및 긍정적 역할 모델링을 갖춰야 했으며, 이를 통해서 생산성 향상, 연구자 정체성 제고, 연구 환경 조성을 할 수 있었다.

Supportive leadership as a particular form of relationship was an important mechanism in promoting a successful research environment. Supportive leaders needed to monitor workloads, set the vision, raise awareness of the value of research, and provide positive role-modelling, thereby leading to increased productivity, promoting researcher identities and creating thriving research environments (Table 2, quote 3).31,34,37,38,40,41,43,44,46,48,49,53,55,62


성공적인 연구 환경 내에서 시간, 정체성 및 관계 사이의 교차점

Intersections between time, identity and relationships within successful research environments


시간과 정체성

Time and identity


첫째, 시간은 연구자 정체성 개발에 필요한 enabler였다.37,38,41,48,49,54,61,61,61,63,65,67,69 

둘째, 연구자로 스스로를 정체성화한 사람들(즉, 1차 연구자 정체성 보유자)은 보호시간이 부족함에도 불구하고 연구활동 결과를 내기 위해 시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했다.35,43 반대로, 연구에 대한 개인적인 결정과 탄력성이 부족했고, 시간을 보호한 것이 더 나은 연구 활동으로 이어지지 않았다.43 

Firstly, time was a necessary enabler for the development of a researcher identity.37,38,41,48,49,54,59,61,63,65,67,69 Secondly, those who identified as researchers (thus holding primary researcher identities) used their time efficiently to favour research activity outcomes despite a lack of protected time.35,43 Conversely, for other professors who lacked personal determination and resilience for research, having protected time did not lead to better research activity.43 


즉 [시간만으로는 성공적인 연구 환경을 지원하기에 불충분]하며, 시간을 어떻게 활용하고, 연구자들이 우선순위를 정하는가를 강조한다(표 2, 인용 4).

This highlights the fact that time alone is insufficient to support a successful research environment, and that it is how time is utilised and prioritised by researchers that really matters (Table 2, quote 4).


정체성과 관계

Identity and relationships


연구자로 정체성 전환을 지원하는 개입으로는 공식적인 연구 교육, 44,48,52,68 멘토링, 41,48,57,65,72 논문작성 그룹, 72, 또래 및 다른 연구자들과의 협업, 관계를 포함한 여러 메커니즘을 통해 운영되는 39,41,41,43이 포함되었다. 

The interventions that supported identity transitions into research included formal research training,44,48,52,68 mentoring,41,48,57,65,72 writing groups,72 and collaboration with peers and other researchers,39,41,43 operating through multiple mechanisms including relationships. 


메커니즘에는 자존감/신뢰감 증가, 네트워크 증가, 연구자로서의 외부 인식, 소속성 및 자기 만족도가 포함되었다.35,41,43–45,52,52,572,72

The mechanisms included self-esteem/ confidence, increased networks, external recognition as a researcher, belongingness, and selfefficacy.35,41,43–45,52,57,72


게다가, 우리의 데이터는 리더십이 연구자 정체성 개발에 도움이 될 수 있다는 것을 암시한다. 특히 리더십은 연구 자율성, 인정, 권한을 부여하고 지원 멘토링 환경을 조성해 연구자 정체성 개발 및 연구 생산성을 이끌어냈다(표 2, 인용 5).34,38,46,48

Furthermore, our data suggest that leadership can be an enabler to the development of a researcher identity. In particular, leadership enabled research autonomy, recognition and empowerment, and fostered supportive mentoring environments, leading to researcher identity development and research productivity (Table 2, quote 5).34,38,46,48


시간과 관계

Time and relationships


관계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발전되고 지속되었다(표 2, 인용 6). 세 가지 분야에 걸쳐 리더(매니저, 이사, 학장 등)의 역할은 연구에 대한 인식을 높이고, 그 다음 상충하는 요구에 중 연구 시간을 우선시하여 효과적인 연구 네트워크, 화합 및 협업을 이끌어 내는 것이었다.31,34,38,43,46,48–50,53,55,70

Relationships were developed and sustained over time (Table 2, quote 6). Across the three disciplines, the role of leaders (managers, directors, deans) was to acknowledge and raise awareness of research, and then to prioritise time for research against competing demands, leading to effective research networks, cohesion and collaboration.31,34,38,43,46,48–50,53,55,70


그러나 연구 리더십은 현재의 대학 문화의 compliance와 counting의 맥락에 의해 [관계를 해치고, 동기를 잃게하며, 평가절하devalue된 감정을 불러일으켜서] 부정적인 영향을 받을 수 있다. 실제로 지도자들이 연구자의 정체성을 인식하지 못한 것은 부정적인 연구 생산성으로 이어졌다.36–38,43,46,48,49

Research leadership, however, could be influenced negatively by the context of compliance and counting in current university cultures damaging relationships, creating a loss of motivation, and raising feelings of devalue. Indeed, the failure of leaders to recognise researcher identities led to negative research productivity.36–38,43,46,48,49


(원래 학문에서 이미 강력한 지원 네트워크를 가지고 있었기 때문에) 새로운 학문의 연구자들과 관계를 맺는데 시간을 투자하지 않았던 second-career PhD 학생들은 졸업 후 연구 네트워크가 제한적이라는 것을 발견했다.48

Second-career PhD students who did not invest time in establishing relationships with researchers in their new disciplines (as they already had strong supportive networks in their original disciplines) found that they had limited research networks following graduation.48



고찰 DISCUSSION


주요 소견 요약

Summary of key findings


  • 첫째로, 우리는 주요 개입이 다양한 맥락에서 긍정적인(주관적이고 객관적인) 결과와 부정적인(주관적이고 객관적인) 결과 둘 다로 이어진다는 것을 발견했다. 흥미롭게도, 우리는 출판물의 수, 보조금 소득, h-지표와 같은 정량적 지표와 함께 오늘날 연구 성공의 두드러진 지표로 여겨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이것들과 연구 영향과 관련된 어떠한 결과도 확인하지 않았다.21 

  • 둘째로, 우리는 [학문분야의 맥락]은 [개인, 지역, 그리고 제도적 맥락]보다 영향력이 낮은 것으로 보인다는 것을 발견했다. 

  • 마지막으로, 우리의 수정된 프로그램 이론은 성공적인 연구 환경과 실패한 연구 환경 모두를 뒷받침하는 메커니즘으로서 세 가지 cross-cutting 메커니즘(시간, 연구자 정체성 및 관계) 사이의 복잡한 상호작용을 보여준다.

Firstly, we found that key interventions led to both positive (subjective and objective) and negative (subjective and objective) outcomes in various contexts. Interestingly, we did not identify any outcomes relating to research impact despite impact nowadays being considered a prominent marker of research success, alongside quantitative metrics such as number of publications, grant income and h-indices.21 

Secondly, we found that disciplinary contexts appeared to be less influential than individual, local and institutional contexts. 

Finally, our modified programme theory demonstrates a complex interplay among three cross-cutting mechanisms (time, researcher identity and relationships) as mechanisms underpinning both successful and unsuccessful research environments.


주요 결과 및 기존 문헌과의 비교

Key findings and comparisons with the existing literature


우리의 연구는 명확한 연구 전략, 연구를 중시하는 조직, 연구 지향적 리더십, 자원(사람, 자금, 연구 시설 및 시간 등)에 대한 접근성, 그리고 의미 있는 관계를 갖는 것의 중요성에 관한 이전의 검토 1,5–7의 결과를 뒷받침한다. 그러나, 우리의 연구는 이러한 개입이 반드시 성공적인 연구 환경을 초래하는 명확한 선형 관계가 존재하지 않는다는 암시를 강화함으로써 이러한 발견을 상당히 확대한다. 예를 들어, 연구전략을 수립하는 것은 지표가 지나치게 초점이 좁거나 지나치게 결과물 지향적으로 보인다면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38,40,46,47,64 마찬가지로, 프로젝트성 자금으로 인해 기간제 계약에 더 많은 시간제 직원이 고용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불안정성, 이직성 및 연구팀의 전문지식이 부족해질 수 있다.40,671,71

Our research supports the findings of earlier reviews1,5–7 regarding the importance of having a clear research strategy, an organisation that values research, research-oriented leadership, access to resources (such as people, funding, research facilities and time), and meaningful relationships. However, our research extends these findings considerably by flagging up the indication that a clear linear relationship, whereby the presence of these interventions will necessarily result in a successful research environment, does not exist. For example, instituting a research strategy can have negative effects if the indicators are seen as overly narrow in focus or output-oriented.38,40,46,47,64 Similarly, project money can lead to the employment of more part-time staff on fixed-term contracts, which results in instability, turnover and lack of research team expertise.40,67,71


대다수의 논문에서 시간이 연구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메커니즘으로 확인되었지만, 연구자의 정체성은 시간이 부족한 상황에서도 연구 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실제로, 우리는 정체성이 개인의 동기와 탄력성을 통해 연구의 우선순위를 정하는 시간을 효율적으로 찾아냄으로써 제한된 시간을 극복할 수 있는 연구 생산성의 메커니즘으로 작용한다는 것을 발견했다.35,43 따라서 [시간은 단순히 연구를 하는 시간 이상의 것]이었지만, [연구자로서의 정체성 개발에 대한 투자]와 [시간이 지나면서의 다른 연구자들과의 관계]를 포함했다 .37,38,41,48,49,54,59,61,61,63,65,67,69

Although time was identified as an important mechanism affecting research outcomes within the majority of papers, researcher identity positively affected research outcomes even in time-poor situations. Indeed, we found that identity acted as a mechanism for research productivity that could overcome limited time through individuals efficiently finding time to prioritise research through their motivation and resilience.35,43 Time was therefore more than just time spent doing research, but also included investment in developing a researcher identity and relationships with other researchers over time.37,38,41,48,49,54,59,61,63,65,67,69


[관계 구축 개입]은 ECR과 초진료 경력이 있는 연구로 어려운 정체성 전환을 지원하는 데도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지적 리더십은 특정 형태의 관계로서, 보호되는 시간과 합리적인 업무량을 제공하여 연구와 연구자 정체성 형성을 위한 시간에 대한 enabler로 보일 수 있다.343,38,46,48

Relationship-building interventions were also found to be effective in supporting difficult identity transitions into research faced by ECRs and those with firstcareer practitioner backgrounds. Supportive leadership, as a particular form of relationship, could be seen as an enabler to the provision of protected time and a reasonable workload, allowing time for research and for researcher identity formation.34,38,46,48


실제로, 우리의 현실주의 종합 연구결과는 연구자 정체성의 중심적 중요성을 강조하여 연구전략, 자원(예: 시간) 및 연구의 가치평가가 존재하는 곳에서도 연구환경이 번창하지 않는 이유에 대한 참신한 설명을 제공한다.

Indeed, our realist synthesis findings highlight the central importance of researcher identity and thus offer a novel explanation for why research environments may not flourish even in the presence of a research strategy, resources (e.g. time) and valuing of research.


연구자의 정체성은 복잡하고 의사, 교사, 지도자 등의 다른 정체성과 교차한다.

Researcher identity is complex and intersects with other identities such as those of practitioner, teacher, leader and so on.


자신의 정체성을 연구자로 식별한 사람들은 자신의 작업에 우선순위를 다르게 정했다. 연구 생산성이 높은 사람들은 연구를 우선시하는 반면, 연구 생산성이 낮은 집단에 속한 사람들은 가르치는 것을 우선시했다.73

Those who identified as researchers prioritised their work differently: those who were highly productive prioritised research, whereas those in the low-productivity group prioritised teaching.73


흥미롭게도, 고도로 생산적인 연구자들은 연구를 사회적 현상으로 보는 경향이 있었고, 출판물, 발표물 및 보조금이 학문적 네트워크에서 '거래'되고 있었다. Brew 외 연구진 39는 다음과 같이 설명한다: 

'...'거래'라는 관점은 자가 생성 연구자 정체성과 관련이 있다. 연구자 정체성은 출판, 네트워크, 협업 및 동료 검토의 활동에서 개발된다. 이러한 활동들은 연구자로서 한 개인의 정체성 증명을 뒷받침한다. 그들은 또한 성과 측정과 지표에 영향을 미친다.'

Interestingly, highly productive researchers tended to view research as a social phenomenon with publications, presentations and grants being ‘traded’ in academic networks. Brew et al.39 explain that: 

‘...the trading view relates to a self-generating researcher identity. Researcher identity develops in the act of publication, networks, collaborations and peer review. These activities support a person’s identification as a researcher. They also, in turn, influence performance measures and metrics.’


방법론적 강점과 한계

Methodological strengths and limitations


교육 및 연구에 미치는 영향

Implications for education and research


성공적인 연구 환경을 촉진하기 위해 개입을 더 잘 동원하기 위해서는 시간, 정체성, 관계(리더십 포함)에 초점을 맞출 필요가 있다.

We need to focus on time, identity and relationships (including leadership) in order to better mobilise the interventions to promote successful research environments.


    • 연구자 개개인은, 단순히 연구가 외부적 동력에 의해서 추진되는 것이 아니라, 내적으로 동기가 부여될 수 있도록 연구자 정체성 개발을 위하여 [연구에 대한 개념과 연구자 정체성 개발을 위한 노력 등] 자기자신을 연구자로 identify하는 방법과 이유에 대해 성찰할 필요가 있다. 제2경력 연구자 또는 중요한 교수나 실무자 역할을 가진 사람들은 더 넓은 연구 네트워크를 구축하는 동안 그들의 실무에 연구를 맞추는 것을 모색할 수 있다.

Individuals need to reflect on how and why they identify as researchers, including their conceptions of research and their working towards the development of a researcher identity such that research is internally motivated rather than just externally driven. Those who are second-career researchers or those with significant teaching or practitioner roles could seek to align research with their practice while they establish wider research networks.


    • 연구 리더들은, 개별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자 정체성을 개발하고, 연구를 가치 있게 여기고, 연구가 시간이 걸린다는 것을 인식하고, 연구 역량 구축, 강한 관계와 협업을 촉진하는 기회에 접근할 수 있도록 지원할 것을 권고한다. 예를 들어, 리더는 경쟁적 또는 협력적 문화가 육성되는 방법에 주목하면서 연구자의 정체성을 증진하고 연구 관계를 구축하는 개입을 도입할 수 있다.

We recommend that research leaders support individuals to develop their researcher identity, be seen to value research, recognise that research takes time, and provide access to opportunities promoting research capacity building, strong relationships and collaboration. Leaders, for example, may introduce interventions that promote researcher identities and build research relationships (e.g. collaborations, networking, mentoring, research groups etc.), paying attention to the ways in which competitive or collaborative cultures are fostered.


브라운 외 연구진은 최근 정체성 전환을 촉진하기 위해 네 가지 범주에 대한 논의를 권고했다. 

    • 신에 대한 성찰 (추상, 경험 및 기대) 

    • 상황의 고려(의견, 우려) 

    • 서포트 (사용 가능한 항목 및 필요한 항목) 및 

    • 략(변화에 대응하고 번창하기 위한 개인 전략).

Browne et al.75 recently recommended discussions around four categories for promoting identity transition: 

    • reflection on self (values, experiences and expectations); 

    • consideration of the situation (circumstances, concerns); 

    • support (what is available and what is needed), and 

    • strategies (personal strategies to cope with change and thrive).


의학 교육의 전문화로, 연구 단위가 1차 및 2차 진료 연구자의 혼합을 포함할 가능성이 점점 높아지고 있으며, 우리의 리뷰는 연구 개념과 연구자 정체성에 대한 논의가 가치 있게 될 것임을 시사한다.

With the professionalisation of medical education,76 research units are increasingly likely to contain a mixture of first- and second-career researchers, and our review suggests that discussions about conceptions of research and researcher identity would be valuable.


마지막으로, 조직은 연구를 중시하고 자원 및 연구 역량 구축 활동에 대한 접근을 제공해야 한다. HEI의 관리주의 문화 내에서, compliance and counting은 이미 승진과 성공 면에서 지배적인 담론이 되었다. 따라서 정책 입안자들은 HEI가 연구 환경에 대한 정책의 완전한 영향을 결정하기 위해 모든 형태의 연구(양적, 품질 및 영향의 주관적이고 객관적인 측정 포함)를 인식하고, 인센티브를 부여하고 보상하는 방법을 고려해야 한다.

Finally, organisations need to value research and provide access to resources and research capacity-building activities. Within the managerialist cultures of HEIs, compliance and counting have already become dominant discourses in terms of promotion and success. Policymakers should therefore consider ways in which HEIs recognise, incentivise and reward research in all its forms (including subjective and objective measures of quantity, quality and impact) to determine the full effects of their policies on research environments.




Supplementary Table 1: Glossary of Terms (in alphabetical order)

Term

Definition

CMOCs

CMOCs spell out the relationship between identified features of the context-mechanism-outcome configuration. CMOCs respond to the question: “How are changes in outcomes produced by interventions introduced to modify the context and balance of mechanisms triggered?” (1)

Context

Responds to the question: “What conditions are needed for an intervention to trigger mechanism(s) to produce outcome(s)?” (1)

Demi-regularity

Semi-predictable patterns of CMOCs. They are the broad lessons for whom, in what circumstances and in what respects an intervention is more likely to succeed.

Environment

Research environment includes: ‘shared values, assumptions, beliefs, rituals and other forms of behaviour whose central focus is the acceptance and recognition of research practice and output as valued, worthwhile and pre-eminent activity’ (2)

Impact

Research impact is any effect on, change or benefit to the economy, society, culture, public policy or services, health, the environment or quality of life, beyond academia. (3)

Intervention

Based on previous work and literature reviews, possible interventions here relate to having a research strategy; people (including research capacity building activities); infrastructure, income and funding (IIF); and research collaborations. (4)

Mechanisms

A mechanism is hidden and brings about changes through the implementation of an intervention in a given context. It involves changes in individuals’ reasoning and their capacity to respond when an intervention is applied in a specific context. Therefore, mechanisms are much more than enablers or barriers to the outcomes of interventions. (5) Mechanisms respond to the question: “What is it about an intervention, which may lead it to have a particular outcome pattern in a given context?” (1)

Outcome

Outcomes respond to the question: “What are the practical effects produced by causal mechanisms being triggered in given contexts?” (1)

Outputs

Outputs are the published products of any form of research including journal articles, monographs and chapters in books, as well as outputs disseminated in other ways such as designs, performances and exhibitions. (3)

Program theory

Sets out how and why outcomes occur within an intervention. The differences between the initial and modified program theory indicate the novel findings of a particular research study. (6)

RAMESES

RAMESES stands for: Realist And Meta-narrative Evidence Syntheses: Evolving Standards. (6)

Realism

‘Realism’ agrees that there is a real world but that our knowledge of it is processed through human senses, brains, language and culture. Realism also argues that we can improve our understandings of reality but the ‘real world’ constrains the interpretations we can reasonably make of it. (7)

REF

The Research Excellence Framework (REF) is the UK’s current national system for assessing the quality of research in UK higher education institutions. (4, 8)




. 2018 Jul 24;52(9):936-950.
 doi: 10.1111/medu.13643. Online ahead of print.

What really matters for successful research environments? A realist synthesis

Affiliations 

Affiliations

  • 1Centre for Research in Assessment and Digital Learning (CRADLE), Deakin University, Geelong, Victoria, Australia.
  • 2Research Department of Medical Education, University College London, London, UK.
  • 3Monash Centre for Scholarship in Health Education (MCSHE), Faculty of Medicine, Nursing and Health Sciences, Monash University, Clayton, Victoria, Australia.
Free PMC article

Abstract

Context: Research environments, or cultures, are thought to be the most influential predictors of research productivity. Although several narrative and systematic reviews have begun to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of research-favourable environments, these reviews have ignored the contextual complexities and multiplicity of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Objectives: The current synthesis adopts a realist approach to explore what interventions work for whom and under what circumstances.

Methods: We conducted a realist synthesis of the international literature in medical education, education and medicine from 1992 to 2016, following five stages: (i) clarifying the scope; (ii) searching for evidence; (iii) assessing quality; (iv) extracting data, and (v) synthesising data.

Results: We identified numerous interventions relating to research strategy, people, income, infrastructure and facilities (IIF), and collaboration. These interventions resulted in positive or negative outcomes depending on the context and mechanisms fired. We identified diverse contexts at the individual and institutional levels, but found that disciplinary contexts were less influential. There were a multiplicity of positive and negative mechanisms, along with three cross-cutting mechanisms that regularly intersected: time; identity, and relationships. Outcomes varied widely and included both positive and negative outcomes across subjective (e.g. researcher identity) and objective (e.g. research quantity and quality) domains.

Conclusions: The interplay among mechanisms and contexts is central to understanding the outcomes of specific interventions, bringing novel insights to the literature. Researchers, research leaders and research organisations should prioritise the protection of time for research, enculturate researcher identities, and develop collaborative relationships to better foster successful research environments. Future research should further explore the interplay among time, identity and relationships.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