활동이론을 활용하여 의학 업무와 학습을 변혁하기 (Med Teach, 2021)
Using activity theory to transform medical work and learning
Yrj€o Engestr€oma and Eeva Py€or€al€ab

소개
Introduction

의사는 의료 기관의 복잡한 사회 시스템에서 필수적인 구성원으로 일합니다. 역량 기반 교육 프레임워크는 미래의 의사가 시스템 기반 진료, 옹호 및 협업을 개발할 수 있도록 의료 교육을 요구합니다(Orsino and Ng 2019). 동시에 의료의 전반적인 대상, 즉 환자가 겪고 있고 치료를 원하는 건강 문제의 스펙트럼에 근본적인 변화가 일어나고 있습니다. 장기 치료가 필요한 노인과 만성 질환 환자의 비율이 증가하고 있습니다. 두 가지 이상의 만성 질환을 앓고 있는 다질환 환자는 의료 자원의 상당 부분을 확대하고 활용하고 있습니다(Barnett et al. 2012; Braithwaite 2018). 동시에 의료 전문가들은 빈곤과 열악한 건강이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으며 사회경제적으로 박탈당한 사람들은 의료 서비스에 대한 접근성이 제한되어 있다는 사실을 점점 더 많이 인식하고 있습니다. 
Physicians work as integral members of the complex social systems of healthcare organizations. Competency-based education frameworks require that medical training develop future physicians’ systems-based practice, advocacy, and collaboration (Orsino and Ng 2019). At the same time, a foundational change is going on in the overall object of medicine, namely the spectrum of health problems patients are suffering from and seeking care for. The proportion of elderly people and patients with chronic conditions requiring long-term care is increasing. Patients with multimorbidity, i.e. suffering from two or more chronic conditions, are expanding and utilizing a significant portion of health care resources (Barnett et al. 2012; Braithwaite 2018). At the same time, medical professionals are becoming increasingly aware that poverty and poor health go hand in hand and the socio-economically deprived have limited access to health care.

환자 치료의 파편화는 의료계의 주요 과제입니다. 의료 시스템은 주로 복잡한 장기 질환과 만성 질환, 정신 장애, 빈곤의 동시 발생보다는 환자의 단일 증상과 질병을 치료하도록 설계되어 있습니다(Walker and Druss 2017).  
Fragmentation of patient care is a major challenge for healthcare practice. Healthcare systems are largely designed to treat patients’ single symptoms and diseases rather than complicated long-term disorders and the co-occurrence of chronic conditions, mental disorders, and poverty (Walker and Druss 2017).

다질환과 치료의 파편화에 관한 연구에 따르면 의료 교육은 환자에게 의료 부서 간, 그리고 치료 중인 환자와의 연속성, 조정 및 협업을 제공하는 접근 방식을 채택해야 합니다(Barnett 외. 2012; Braithwaite 2018; Engeström 2018). 그럼에도 불구하고 대부분의 의학 연구는 포괄적인 환자 치료와 1차 의료와 전문의 진료 간의 협력을 희생하면서 질병 중심의 전문의 관점에 초점을 맞추고 있습니다. 
Studies on multimorbidity and fragmentation of care call for medical education to adopt an approach that provides patients with continuity, coordination, and collaboration across healthcare units and with patients under their care (Barnett et al. 2012; Braithwaite 2018; Engeström 2018). Still, most medical studies focus on disease-centred specialist perspectives at the expense of comprehensive patient care and collaboration between primary healthcare and specialist care.

동시에 의료 시스템은 빠른 이직률과 단기적인 수익을 선호하는 시장 중심의 비즈니스 계산과 경영주의에 의해 점점 더 침투하고 있습니다. 의료의 도구는 합리화, 표준화, 상품화라는 측면에서 틀이 잡히고 있으며, 이러한 개념은 수평적으로 공동 구성된 치료 궤적과 장기적인 사회적 영향보다는 선형적이고 미리 포장된 하향식 프로세스와 절차를 선호합니다. 이러한 힘은 의료 대상의 필요한 확장을 매우 어렵게 만듭니다.  
Concurrently, systems of healthcare are increasingly penetrated by market-oriented business calculations and managerialism that favor rapid turnover and short-term profits. The instruments of medicine are becoming framed in terms of rationalization, standardization, and commoditization, notions that favor linear and pre-packaged top-down processes and procedures rather than horizontally co-constructed care trajectories and long-term societal impact. These forces make the needed expansion of the object of medicine very difficult.

환자 치료와 의학교육의 파편화와 장기 질환 및 동반 질환을 가진 환자의 증가로 인해 의료의 대상에 대한 근본적인 확장, 즉 더 긴 시간의 관점, 더 광범위한 협업 및 학제 간 접근 방식, 의료인과 그 조직의 혁신적 에이전시가 필요합니다. 따라서 우리는 변화, 교란, 논쟁을 조사하기 위해 고안된 이론적, 방법론적 접근이 필요합니다. 
Fragmentation of patient care and medical education as well as the increasing number of patients with long term conditions and comorbidities require a radical expansion of the object of medicine: longer time perspectives, broader collaborative and interdisciplinary approaches, and transformative agency from medical practitioners and their organizations. Therefore, we need a theoretical and methodological approach designed to investigate transformation, disturbances, and controversy.

문화-역사적 활동 이론(CHAT)은 역사적으로 형성된 체계적 모순을 분석의 출발점으로 삼습니다. 그림 1은 활동 시스템의 일반 모델(Engeström 2015, 63쪽)을 사용하여 의료 업무에 만연한 모순에 대한 작업 가설을 구성하는 방법을 보여줍니다. 
Cultural–historical activity theory (CHAT) takes historically formed systemic contradictions as the starting point of the analysis. Figure 1 shows how the general model of an activity system (Engeström 2015, p. 63) can be used to construct a working hypothesis of the pervasive contradictions of medical work.

모순은 일상적인 의료 업무에서 혼란과 갈등을 야기합니다. 다른 한편으로는 일상적인 혁신과 지역적 변화를 촉진하기도 합니다(Martin et al. 2017). 따라서 의료 사회 시스템이 복잡성을 이해하고 관리하며, 모순의 역학을 파악하고, 이를 해방적 변화에 활용하도록 도전합니다. 
Contradictions generate disturbances and conflicts in everyday medical work. On the other hand, they also stimulate everyday innovation and local change (Martin et al. 2017). Thus, they challenge the medical social system to understand and manage complexity, to identify the dynamics of contradictions, and to utilize them in emancipatory transformations.

이 글에서는 CHAT의 주요 개념과 확장적 학습 이론을 소개합니다(Engeström과 Sannino 2010, Engeström 2015, 2018). 확장적 학습은 이론, 경험적 연구, 형성적 개입 사이에 강한 연관성이 있는 연구 전통입니다. 따라서 우리는 의료 전문가와 환자가 치료의 파편화와 의료 활동 시스템의 모순을 해결하기 위해 의료 서비스 맥락에서 구현 된 형성적 개입의 구체적인 사례를 통해 활동 이론을 논의합니다. 
This article introduces key concepts of CHAT and the theory of expansive learning (Engeström and Sannino 2010; Engeström 2015, 2018). Expansive learning is a research tradition with strong links between theory, empirical research, and formative interventions. Therefore, we discuss activity theory with the help of concrete examples of formative interventions implemented in the context of healthcare where healthcare professionals and patients tackled fragmentation of care and contradictions in the activity systems of medical work.

의료 업무의 근접 개발 영역: 협력적이고 변혁적인 전문성
The zone of proximal development of medical work: Collaborative and transformative expertise

활동 이론에서 변화는 미리 정해진 종점을 향한 선형적인 움직임으로 간주되지 않습니다. 이는 근위 발달 영역으로 이해됩니다. 이 개념은 원래 비고츠키(1978, 86쪽)가 개인 학습의 맥락에서 제시했습니다. Engeström(2015, 138쪽)은 집단 활동 수준에서 학습과 발달을 다루기 위해 이 개념을 재정의했습니다. 근접 발달 영역은 현재와 미래 사이의 가능성의 지형으로, 당면한 모순에 대한 해결책으로 활동을 집단적으로 변화시킬 수 있습니다. 
In the activity theory, transformations are not seen as linear moves toward pre-fixed end points. They are understood as zones of proximal development. This concept was originally presented by Vygotsky (1978, p. 86) in the context of individual learning. Engeström (2015, p. 138) redefined the concept to address learning and development at the level of collective activities. Zones of proximal development are terrains of possibilities between the present and the future where activities can be collectively transformed as a solution to the contradictions at hand.

의료 업무와 같은 활동의 근접 발전 영역을 묘사하려면 역사적 변화와 발전의 주요 차원을 파악해야 합니다. 그림 2에서는 의료 전문성의 근위 발전 영역을 개인 전문성과 집단 전문성(수직적 차원), 안정을 위한 학습과 변화를 위한 학습(수평적 차원)이라는 두 가지 차원을 통해 설명합니다. 이 두 가지 차원이 합쳐져 네 가지 영역이 형성되는데, 왼쪽 아래에는 역사적으로 가장 오래된 기술 전문 지식이, 오른쪽 위에는 아직 미지의 영역인 협업 및 혁신 전문 지식이 위치합니다. 
To portray a zone of proximal development of an activity such as medical work, we need to identify the key dimensions of historical change and development. In Figure 2, the zone of proximal development of medical expertise is illustrated with the help of two dimensions: namely, between an individual and a collective locus of expertise (the vertical dimension), and between learning for stability and learning for change (the horizontal dimension). Together, these two dimensions form a fourfold field in which the historically earliest craft expertise is located in the lower-left section and the largely uncharted collaborative and transformative expertise is located in the upper right section.



협력적이고 변혁적인 전문성은 의료진이 지속적인 시스템 변화 노력에 참여한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는 의료진 간의 협업과 의료기관, 환자 및 대상 지역사회, 기타 사회 주체 간의 연합 구축을 통해서만 달성할 수 있습니다. 그림 2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협력적이고 혁신적인 전문성을 향한 세 가지 선봉은 다음과 같다.

  • (1) 전문성을 목적 지향적이고 모순에 기반한 활동 시스템으로 재개념화하기,
  • (2) 전문성을 협상된 매듭으로 추구하기,
  • (3) 확장적 학습으로 전문성 구축하기

다음 섹션에서는 이 세 가지 선봉에 대해 소개합니다.
Collaborative and transformative expertise implies that medical practitioners are involved in ongoing systemic change efforts. This can only be accomplished by means of collaboration among healthcare practitioners and coalition-building between healthcare units, their patients and target communities, and other societal actors. As described in Figure 2, we may identify three spearheads toward collaborative and transformative expertise:

  • (1) reconceptualizing expertise as object-oriented and contradiction-driven activity systems,
  • (2) pursuing expertise as negotiated knotworking, and
  • (3) building expertise as expansive learning.

We will introduce these three spearheads in the following sections.

객체 지향 활동 시스템으로서의 전문성
Expertise as object-oriented activity systems

CHAT의 기본 아이디어 중 하나는 수명이 짧고 목표 지향적인 활동actions과 지속적이고 집단적인 활동activities을 구분하는 것입니다(Leont'ev 1978). 활동activity은 행동을 생성하는 협력적이고 총체적인 시스템으로 이해됩니다. 활동 시스템은 대상object을 지향합니다. 대상은 활동의 장기적인 목적을 구현하여 가능한 행동의 지평을 생성합니다. 의료 서비스에서 일반적인 대상은 건강과 질병이지만, 특정 불만을 가진 각각의 특정 환자는 대상의 구체적인 표현입니다. 
One of the foundational ideas of CHAT is the distinction between short-lived, goal-directed actions and durable and collective activities (Leont’ev 1978). An activity is understood as a collaborative and holistic system that generates actions. An activity system is oriented toward an object. The object embodies the long-term purpose of the activity, generating horizons for possible actions. In healthcare, the general object is health and illness, whereas each specific patient with a specific complaint is a situated manifestation of the object.

의료와 같은 복잡한 사회 제도에는 각 활동 시스템의 노드 내부와 노드 간, 그리고 상호 연결된 활동 시스템 간에 역사적으로 축적된 체계적 모순이 존재합니다. 오늘날 의료 업무의 주요 과제 중 하나는 진료의 파편화, 또는 활동 이론적 용어로 대상의 파편화이며, 특히 여러 만성 질환을 가진 환자를 진료할 때 두드러집니다(Kerosuo and Engeström 2003; Engeström 2018; Meijer 외. 2020, 언론 보도 중). 그림 3은 핀란드 헬싱키시의 의료 시스템에서 여러 의료 전문 분야와 진료소 사이를 떠돌던 한 환자의 치료가 파편화되는 과정을 보여줍니다.
In complex social institutions such as healthcare, there are historically accumulated systemic contradictions within and between the nodes of each activity system, and among interconnected activity systems. One of the major challenges in medical work today is the fragmentation of care, or in activity-theoretical terms, the fragmentation of the object, especially salient in the care of patients with multiple chronic conditions (Kerosuo and Engeström 2003; Engeström 2018; Meijer et al. 2020, in press). Figure 3 portrays the fragmentation of the care of a patient who drifted between several medical specialties and clinics in the health care system of the city of Helsinki in Finland.

파편화는 다음의 경우에 나타났습니다.

  • (a) 서로 다른 전문 간병인이 자신의 제한된 책임과 역량 영역에 '속하는' 증상과 치료에만 집중하고, 
  • (b) 서로 다른 간병인 사이에 공통 언어나 이해가 없으며, 
  • (c) 환자 치료에 관여하는 여러 당사자 간의 조정, 협력 및 의사소통을 보장하는 효율적인 메커니즘이 없을 때 

파편화는 발췌문 1에 예시된 바와 같이 치료의 공백과 중단 위험을 초래했습니다.
Fragmentation emerged when

  • (a) the different specialist caregivers concentrated exclusively on the symptoms and care that ‘belonged’ to their own restricted areas of responsibility and competence,
  • (b) there was neither common language nor understanding between the different caregivers, and
  • (c) there was no efficient mechanism that guaranteed coordination, cooperation, and communication between the different parties involved in the patient’s care.

Fragmentation led to gaps and risks of disruption in the care, as exemplified in Excerpt 1.

발췌문 1
Excerpt 1

환자: 남편은 암으로 사망했고 딸은 이제 열여섯 살이 되었습니다. 우리 둘만 남았기 때문에 딸을 성인이 되도록 키우기 위해 가능한 모든 수단을 동원해 살아남고 신장을 보호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그래서 그것이 저에게 스트레스를 주는 원인이죠.
Patient:
 My husband died of cancer and my daughter is now sixteen. Being just the two of us, I feel I have to stay alive and protect my kidney by all possible means, to bring her up into adulthood. So that’s what causes stress for me.

연구원: 그래서 문제는 급성 상황에서 정보가 한 의사에서 다른 의사로 전달되었는지 여부에 대한 불확실성입니다....
Researcher:
 So the problem is uncertainty in acute situations, whether or not information has been passed from one doctor to the other…

환자: 네, 최근에 있었던 특정 상황처럼 제가 직접 정보를 전달할 수 없는 경우입니다. 제 상황을 설명할 수 없었어요. 그것은 제가 여러 번 생각했던 것입니다...
Patient:
 Yes, if I cannot convey the information myself, like it was in that particular situation recently. I was not able to explain my situation. That’s something I have thought about many times…

치료의 파편화는 활동 시스템 간 및 활동 시스템 내부의 모순으로 인해 발생했습니다. 병원의 전문 진료, 일차 의료의 일반 진료, 아픈 환자 자신의 삶이라는 활동 체계는 각각 다른 대상을 가지고 있었고, 이 대상들은 자주 충돌하고 거의 만나지 못했습니다. 분업은 각 의사의 단독 책임을 강조하여 전문의와 일반의의 책임을 효과적으로 캡슐화했습니다. 또한, 여러 만성 질환을 앓고 있는 환자에게는 공유된 도구가 필요했을 텐데, 이 두 가지 활동 체계는 특정한 별도의 도구로 운영되었습니다. 게다가 시장 경제 규칙에 따라 의료 기관은 단기적인 비용 효율성을 우선시해야 했습니다. 이러한 긴장이 가득한 상황은 그림 4에 개략적으로 설명되어 있습니다.

The fragmentation of care was generated by contradictions between and within activity systems. The activity systems of specialist care in the hospital, general practice in primary health care, and the patient’s own life with ill health each had a different object, and these objects frequently collided and rarely met. The division of labor emphasized solo responsibility of each practitioner, effectively encapsulating the responsibilities of the specialist and the general practitioner. Moreover, these two activity systems operated with specific, separate instruments, whereas a patient with multiple chronic conditions would have needed shared instruments. Furthermore, the market economy rules guided the health care units to prioritize short-term cost-efficiency. This tension-laden constellation is schematically illustrated in Figure 4.

 

매듭을 짓는 전문성
Expertise as knotworking

의료 업무의 근접 개발 영역을 향한 두 번째 선봉은 매듭짓기입니다. 매듭짓기의 개념은 파편화를 극복하기 위한 일련의 개입에서 개발되었습니다(Engeström 외. 1999; Engeström 2008). 학습 과제는 의사와 환자가 간병인 조직 간에 협력하고 환자의 치료를 공동으로 계획 및 모니터링할 수 있는 새로운 방법을 모색하고 확립하는 것이었습니다. 의료 분야에서 영구적인 팀은 당면한 문제에 대응하는 유동적인 전문 지식의 조합, 즉 '매듭'으로 점점 더 대체되고 있습니다(Engeström 2008, Bleakley 2014, Hurlock-Chorostecki 외. 2015, Larsen 외. 2017, Varpio and Teunissen 2020, 보도 중). 
The second spearhead toward the zone of proximal development of medical work is knotworking. The concept of knotworking was developed in a series of interventions aimed at overcoming fragmentation (Engeström et al. 1999; Engeström 2008). The learning challenge was to seek and establish a new way for practitioners and patients to work between the caregiver organizations and collaboratively plan and monitor a patient’s care. In healthcare, permanent teams are increasingly replaced by fluid combinations of expertise, ‘knots’ that correspond to the problem at hand (Engeström 2008; Bleakley 2014; Hurlock-Chorostecki et al. 2015; Larsen et al. 2017; Varpio and Teunissen 2020, in press).

매듭이라는 개념은 느슨하게 연결된 행위자 및 활동 시스템 간의 협업 성과가 빠르게 맥동하고 부분적으로 즉흥적으로 오케스트레이션되는 것을 의미합니다(Engeström 외. 1999). 매듭은 빠른 즉흥성과 장기적인 관점의 계획 및 후속 조치를 모두 포함하는 분리된 활동과 전문 지식의 실타래를 묶고 다시 묶는 방식으로 작동합니다. 의료 분야에서 매듭짓기의 구체적인 도구성은 고객 또는 환자를 협상과 유연한 합의의 동등한 당사자로 간주하는 것과 관련이 있습니다. 이를 위해서는 참여 주체 간에 공유된 언어와 대상이 필요합니다.
The notion of a knot refers to a rapidly pulsating and partially improvised orchestration of collaborative performance between otherwise loosely connected actors and activity systems (Engeström et al. 1999). Knots operate by tying and retying together otherwise separate threads of activity and expertise, involving both rapid improvisation and a long-term perspective of planning and following up. The specific instrumentality of knotworking in healthcare is related to clients or patients as being equal parties in the negotiations and flexible agreements. This requires a shared language and object between the participating actors.

매듭짓기는 대상의 파편화를 극복하기 위한 모델입니다. 환자 치료에 관여하는 여러 전문 분야와 기관의 의료진은 치료 궤적의 다양한 지점에서 환자를 위해 각자의 전문성을 협상, 조정, 결합하는 방법을 모색합니다. 매듭짓기의 한 예로 여러 부서에서 환자의 치료에 관한 모든 관련 정보가 포함된 치료 합의서라는 도구를 공동으로 개발하고 실행하는 것을 들 수 있습니다(Engeström 2018). 발췌문 2는 발췌문 1에 제시된 파편화된 환자 치료를 개선하기 위한 다자간 치료 합의서 협상의 예를 보여줍니다. 
Knotworking is a model for overcoming fragmentation of the object. Practitioners from different specialties and organizations involved in the care of a patient seek ways to negotiate, coordinate, and combine their expertise for the best of the patient in various points of the care trajectory. An example of knotworking is the collaborative development and implementation of an instrument called care agreement that contained all relevant information about the patient’s care in different units (Engeström 2018). Excerpt 2 gives an example of negotiation of the multi-party care agreement to improve the fragmented care of the patient presented in Excerpt 1.

발췌 2
Excerpt 2

주치의[환자 앞에 있는 문서를 가리키며]: 그럼, 1차 진료 보건소에서 환자를 담당하고 있는 의사로서 [환자의 개인 주치의]가 먼저 작성하시겠습니까? 그리고 나서...
Chief physician
 [pointing at a document in front of her]: So, will you [the patient’s personal GP] be first, as the physician responsible for her at the primary care health center? And then we will add…

자문 의사: 여기서는 이미 마련되어 있는 것을 문서화하는 것이지만, 이러한 연락처가 아직 만들어지지 않은 유사한 사례가 있다면 다른 환자들이 혜택을 볼 수 있는 일종의 모델이 될 것입니다.
Consulting physician:
 Here we are kind of documenting what is already in place, but if we had a similar case where these contacts had not yet been created, this would serve as sort of a model from which other patients could benefit.

주치의: 환자의 주치의가 바뀌고 이전 주치의가 휴가를 떠난 후 다음 주치의가 반년 동안 진료하는 상황이 발생하면 매우 중요할 것입니다. 이런 경우 의사가 알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매우 중요합니다.
Chief physician:
 It would be very important if we had a situation where the patient’s personal physician is changed, the previous doctor would go on leave, and the next doctor would come for half a year. In such cases this has great importance, so that the doctor knows…

주치의: 이왕이면 환자도 서명하게 해주세요. .... 서명을 보면 여러 사람이 관련되어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
Chief physician:
 Please let the patient also sign it, while you are at it. …. From the signatures one sees that there are several people involved….

협상된 매듭을 짓는 것은 의료 서비스에서 협상된 치료와 협업을 위한 새로운 도구를 만드는 데 있어 까다로운 단계입니다. 이러한 시도는 잠재적으로 환자를 배제하는 전통적인 형태의 전문가 간 의사소통 및 조정으로 쉽게 돌아갈 수 있습니다. 발췌문 2에서 주치의는 다른 의사들에게 치료 동의서에 환자의 서명이 필요하다는 점을 상기시켜야 했습니다.
Engaging in negotiated knotworking is a demanding step in the creation of new tools for negotiated care and collaboration in healthcare. Attempts easily slip back to the traditional forms of communication and coordination among professionals potentially excluding the patient. In Excerpt 2, the chief physician had to remind the other practitioners that also the patient’s signature was needed in the care agreement.

폭넓은 학습으로서의 전문성
Expertise as expansive learning

확장 학습변화를 위한 학습을 분석하고 촉진하는 독특한 방법을 제공합니다. 확장 학습 이론은 아직 존재하지 않는 새로운 활동 패턴을 학습하는 데 중점을 두며, 설계된 대로 학습합니다(Engeström 2015, 2016). 확장적 학습의 대상은 다양한 관점 사이에서 갈등하고, 협상하고, 혼성화하며, '야생에서' 개념을 종합적으로 형성하는 다중 목소리 학습 과정에 참여합니다(Engeström과 Sannino 2012).
Expansive learning provides a unique way of analyzing and promoting learning for change. The theory of expansive learning focuses on learning of new patterns of activity that are not yet there; they are learned as they are designed (Engeström 2015, 2016). The subjects of expansive learning are involved in a multi-voiced learning process in which they struggle, negotiate, and hybridize between the alternative perspectives and collectively form concepts ‘in the wild’ (Engeström and Sannino 2012).

확장적 학습은 확장적 학습의 주기를 형성하는 학습 행동을 통해 진행됩니다(그림 5). 그림에서 굵어진 화살표는 프로세스에 참여하는 참여자의 수와 헌신적인 노력의 측면에서 증가하는 모멘텀을 나타냅니다. 확장 학습의 주기는 의도적인 개입 없이도 가끔 발생하지만, 이는 드문 경우입니다. 확장적 학습의 주기를 촉발하고, 지원하고, 분석하기 위해 형성적 개입 방법론이 개발되었습니다(Engeström 외. 2014).
Expansive learning proceeds by means of learning actions that form cycles of expansive learning (Figure 5). The thickening arrows in the figure indicate increasing momentum in terms of numbers and commitment of participants involved in the process. Cycles of expansive learning sometimes occur without deliberate intervention, but this is rare. A methodology of formative interventions has been developed to trigger, support, and analyze cycles of expansive learning (Engeström et al. 2014).


변화 실험실이라는 형성적 개입 방법은 1990년대에 주요 변화에 직면한 조직과 직장을 연구하기 위해 개발되었습니다(Engeström 외. 1996, Engeström과 Sannino 2010, Virkkunen과 Newnham 2012, Sannino와 Engeström 2017). 변화 실험실은 광범위한 학습을 촉발하고 지원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변화 실험실은 클리닉과 같은 지역 단위에 초점을 맞출 수도 있고, 더 큰 규모의 모순과 긴장을 해결하기 위해 여러 활동 시스템을 한데 모을 수도 있습니다. 
A formative intervention method called Change Laboratory was developed in the 1990s for studying organizations and workplaces facing major transformations (Engeström et al. 1996; Engeström and Sannino 2010; Virkkunen and Newnham 2012; Sannino and Engeström 2017). Change Laboratory is aimed at triggering and supporting expansive learning. A Change Laboratory may focus on a local unit, such as a clinic, or bring together multiple activity systems to resolve larger-scale contradictions and tensions.

변화 실험실 방법을 사용하려면 연구자가 실제 업무 환경에서 인터뷰, 관찰, 비디오 녹화 등 경험적 자료를 수집해야 합니다. 이 자료에는 연구자가 새로운 활동 패턴을 모색하고 설계하기 위해 변화 실험실 세션 참가자들의 참여, 분석 및 협력 노력을 자극하기 위해 '거울'로 삼을 수 있는 중요한 사건, 장애 및 문제가 포함되어 있으며, 연구자는 이 중에서 발췌하여 제공합니다. 
The Change Laboratory method requires that the researchers collect empirical material, e.g. interviews, observation, and video-recordings, from authentic workplace contexts. The material includes critical incidents, disturbances, and problems of which the researcher selects and provides extracts for a mirror to stimulate involvement, analysis, and collaborative efforts among participants in Change Laboratory sessions to seek and design new patterns of activity.

일반적인 체인지 랩 개입은 6~10개의 세션으로 진행됩니다.

  • 참가자는 먼저 연구자가 선정한 비디오 발췌본을 시청하여 기존 활동 방식에 의문을 제기하는 학습 행동을 유도합니다.
  • 그런 다음 참가자들은 역사적, 경험적 분석을 통해 문제와 그 체계적 원인, 가능한 해결책 또는 해결책을 논의합니다. 문제, 원인 및 제안된 해결책은 필자가 화이트보드나 플립 차트에 기록합니다.
  • 그런 다음 참가자들은 모델링 학습 활동에 참여하여 근위 개발 영역과 새로운 활동 모델을 공동으로 초안을 작성합니다.
  • 새로운 모델의 목표와 내용을 논의하고 모델을 검토하고 테스트하는 활동에 해당하는 세부적인 변경 및 개선 제안이 이루어집니다.
  • 참가자는 모델을 실행하는 학습 행동에 해당하는, 활동의 실질적인 변화를 계획하고 실행합니다.
  • 프로세스는 프로세스를 반성하는 행동으로 수행한 작업을 검토하여 평가합니다.
  • 결과의 통합 및 일반화는 변화 실험실 개입이 끝날 무렵에 시작되며 일반적으로 그 이후에도 계속됩니다.

A typical Change Laboratory intervention proceeds through 6–10 sessions.

  • Participants first view video excerpts selected by the researchers to elicit the learning action of questioning the existing mode of activity.
  • Next, participants discuss the problems, their systemic causes, and possible remedies or solutions – performing historical and empirical analysis. Problems, causes, and suggested solutions are written up on whiteboards or flip charts by a scribe.
  • Then, participants engage in the learning action of modeling, jointly drafting a zone of proximal development and a new model for their activity.
  • The aims and contents of the new model are discussed, and detailed changes and improvement suggestions are made, corresponding to the action of examining and testing the model. 
  • Participants plan and execute practical changes in the activity, corresponding to the learning action of implementing the model. 
  • The process is assessed by examining the work accomplished in an action of reflecting on the process.
  • Consolidation and generalization of the outcomes are initiated toward the end of a Change Laboratory intervention and typically continue after it.

헬싱키에서 일차 의료와 전문 병원 진료 간의 협상된 업무 방식 개발에 관한 핀란드 연구(Engeström 외. 2003; Engeström 2018)는 의료 환경에서 변화 실험실을 성공적으로 구현한 풍부한 설명을 제공합니다. 실제 상황에서 일차 진료와 이차 진료 사이의 환자 치료의 세분화에 대한 데이터를 수집하고, 9번의 Change Laboratory 세션을 진행했으며, 환자 및 환자 치료에 관여하는 실무자와 함께 10개의 환자 사례를 연속적으로 분석했습니다. 
A Finnish study on the development of a negotiated way of working between primary health care and specialized hospital care in Helsinki (Engeström et al. 2003; Engeström 2018) provides a rich description of a successful implementation of Change Laboratory in healthcare settings. Data were gathered on the fragmentation of patient care between primary and secondary care in the real-life contexts, nine Change Laboratory sessions were conducted and ten patient cases were jointly analyzed in successive sessions with the patients and the practitioners involved in their care.

여러 차례에 걸친 확장적 학습을 통해 의사와 환자는 여러 만성 질환을 앓고 있는 환자를 치료하는 과정에서 파편화를 발견한 한 의사가 시작한 치료 계약이라는 새로운 도구를 만들어냈습니다(Kerosuo와 Engeström 2003). 계약서의 첫 번째 초안은 시작 의사와 환자 간에 협상이 이루어졌습니다. 그런 다음 초안을 환자의 치료에 관여하는 다른 의료진에게 보내 당사자 간의 협상을 거쳤습니다. 치료 합의서에는 여러 대상자의 진단과 주요 관심사가 요약되어 있고 치료 계획이 설명되어 있습니다. 또한 새로운 상황이 발생하고 변경 사항이 있을 때 서로에게 최신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도 설명했습니다. 치료 동의서는 환자를 포함한 주요 당사자가 서명했습니다. 치료 동의서 도구에서 중요한 두 가지 도구, 즉 치료 지도와 환자의 치료 달력이 추가로 개발되었습니다. 두 가지 모두 의사와 환자가 공동으로 작성하고 협상했습니다. 
In multiple cycles of expansive learning, practitioners and patients generated a new instrument called the care agreement initiated by a physician who noticed fragmentation in the care of a patient with multiple chronic illnesses (Kerosuo and Engeström 2003). The first draft of the agreement was negotiated between the initiating physician and the patient. The draft was then sent to other healthcare practitioners involved in the patient’s care and negotiated among the parties. The care agreement summarized the diagnoses and key concerns of the different subjects and outlined their plans of care. It also explicated the ways they kept each other up-to-date when new developments occurred and changes were made. The care agreement was signed by the key parties, including the patient. Two additional instruments, important in the care agreement instrumentality were developed, namely that of a care map and a care calendar of the patient. Both were collaboratively constructed and negotiated by the physicians and the patients.

확장적 학습 주기는 세 가지 수준에서 식별되고 지원될 수 있습니다.

  • 환자 치료에서 상호 연결된 활동 시스템 간에 새로운 기본 모델을 생성하고 구현하는 데는 일반적으로 몇 년이 걸립니다(예: Engeström 외. 2007).
  • 중간 수준은 변화 실험실 개입의 도움을 받아 집중적인 지역적 변화로 구성되며, 몇 개월이 소요됩니다(예: Engeström 외. 2013).
  • 가장 작은 규모의 확장 학습 미니 사이클은 단일 개입 세션 또는 이와 유사한 제한된 에피소드로 구성됩니다(예: 누미조키 외. 2018).

Expansive learning cycles may be identified and supported at three levels.

  • To generate and implement a new foundational model between interconnected activity systems in patient care typically takes several years (e.g. Engeström et al. 2007).
  • An intermediate level consists of a focused local transformation with the help of a Change Laboratory intervention, requiring several months (e.g. Engeström et al. 2013).
  • The smallest scale of mini-cycles of expansive learning consists of single intervention sessions or similar restricted episodes (e.g. Nummijoki et al. 2018).

변화 실험실 중재는 핀란드(Engeström 2018), 덴마크(Skipper 외. 2016), 브라질(Vilela 외. 2020; Grilo Diniz 외. 2020, 보도 중), 영국(Reid 외. 2015; Morris 외. 2020, 보도 중)의 다양한 의료 환경에서 수행 및 보고되었습니다. 
Change Laboratory interventions have been carried out and reported in various medical settings in Finland (Engeström 2018), Denmark (Skipper et al. 2016), Brazil (Vilela et al. 2020; Grilo Diniz et al. 2020, in press), and the United Kingdom (Reid et al. 2015; Morris et al. 2020, in press).

의학교육을 위한 교훈
Lessons for medical education

이 글에서는 의학교육의 맥락에서 활동 이론과 확장적 학습 이론을 소개합니다(Engeström 2015, 2018). 확장적 학습은 의료 시스템의 복잡성과 모순을 분석하기 위한 개념적 프레임워크와 다양한 의료 부서와 환자가 함께 협력하여, 그들이 직면한 긴장과 장애물에 대한 새롭고 창의적인 해결책을 찾는 형성적 개입 방법을 제공합니다. 이러한 유형의 접근 방식은 특히 의료계가 직면한 문제를 탐구하는 데 적합합니다(Barnett 외. 2012; Braithwaite 2018; Engeström 2018; Bleakley 2020, 보도 중).
This article introduces activity theory and the theory of expansive learning in the context of medical education (Engeström 2015, 2018). Expansive learning provides a conceptual framework for analyzing the complexities and contradictions of systems of health care and methods for formative interventions where the participants in different healthcare units and patients work together to find new, creative solutions to the tensions and obstacles they face. This type of approach is particularly well suited for exploring the challenges healthcare is facing (Barnett et al. 2012; Braithwaite 2018; Engeström 2018; Bleakley 2020, in press).

협력적이고 혁신적인 전문 지식으로 전환하는 환경에서 의학교육은 미래의 의료 관행을 형성하는 데 공동의 책임이 있습니다. 의료 행위는 그것이 운영되는 더 넓은 커뮤니티의 요구에 부응할 때만 발전할 수 있습니다. 의대생들은 강의실을 넘어 환자를 포괄적으로 치료하고 의사가 환자의 전인적 치료를 옹호하는 실제 의료 환경에서 교육을 받는 경우가 점점 더 많아져야 합니다. 이에 따라 일터에서 일하는 모든 의료인은 의료 교육자가 되어야 합니다. 이는 의료, 고객 커뮤니티, 의학교육이라는 상호 연결된 활동 시스템 간의 협업과 소통을 강화해야만 달성할 수 있습니다. 
In the landscape of transition toward collaborative and transformative expertise, medical education becomes co-responsible for shaping future medical practice. Medical practice can only evolve in response to the needs of the broader communities within which it operates. Beyond classrooms, medical students should increasingly receive education in authentic healthcare settings where patients are treated comprehensively and practitioners advocate for their holistic care. Correspondingly, all medical practitioners in workplaces become medical educators. This can only be achieved by intensifying collaboration and communication between the interconnected activity systems of healthcare, its client communities, and medical education.

의학교육의 새로운 원형과 패러다임, 즉 대상 지역사회, 의료기관, 의과대학, 학생, 의료 전문가, 환자 및 기타 이해관계자 간의 변화 연합이 등장할 것입니다(Coburn and Penuel 2016; Sannino 2020). 형성적 개입의 방법론, 특히 변화 실험실 방법은 이러한 변화 연합을 구축하고 분석하는 데 중요한 자원이 될 수 있습니다(Sannino 외. 2016). 이러한 새로운 형태의 의학교육에 대한 중재주의적 연구가 시급히 필요합니다.
A new prototype and paradigm of medical education will emerge, namely a transformation coalition between target communities, healthcare organizations, medical schools, students, healthcare professionals, patients, and other stakeholders (Coburn and Penuel 2016; Sannino 2020). The methodology of formative interventions, especially the Change Laboratory method, may serve as an important resource for building and analyzing such transformation coalitions (Sannino et al. 2016). Interventionist research in these new forms of medical education is urgently needed.

 


Med Teach. 2021 Jan;43(1):7-13. doi: 10.1080/0142159X.2020.1795105. Epub 2020 Jul 25.

Using activity theory to transform medical work and learning

Affiliations

1Center for Research on Activity, Development and Learning, University of Helsinki, Helsinki, Finland.

2Center for University Teaching and Learning, University of Helsinki, Helsinki, Finland.

PMID: 32715847

DOI: 10.1080/0142159X.2020.1795105

Abstract

This article introduces key concepts of activity theory and expansive learning. Expansive learning builds on the foundational ideas of the cultural-historical activity theory (CHAT). It is a research approach designed for studying the complexities and contradictions in authentic workplace environments. Change Laboratory is a formative intervention method developed for studying workplaces in transition and for stimulating collaborative efforts to design improved patterns of activity. We present concrete examples of formative interventions in healthcare, where good patient care was compromised by the fragmentation of care and disturbances in collaboration between the healthcare experts. This implies that physicians are challenged to develop collaborative and transformative expertise. We present three spearheads into a zone of proximal development, representing opportunities for change of medical expertise: (1) reconceptualizing expertise as object-oriented and contradiction-driven activity systems, (2) pursuing expertise as negotiated knotworking, and (3) building expertise as expansive learning. While medical expertise needs to expand, medical education must also look for ways to evolve and meet the challenges of the surrounding society. We call for adopting an interventionist approach for developing medical education and intensifying collaboration with the practitioners in healthcare units, their patients, and target communities.

Keywords: Activity theory; change laboratory; expansive learning; formative intervention; healthcare; medical education.

분산된 인지: 보건의료전문직교육에 이론적 통찰과 실용적 적용: AMEE Guide No. 159 (Med Teach, 2023)
Distributed cognition: Theoretical insights and practical applications to health professions education: AMEE Guide No. 159 

James G. Boylea, Matthew R. Waltersb, Susan Jamiesonc and Steven J. Durningd aUndergraduate Medical School, School of Medicine, Dentistry and Nursing, University of Glasgow, Glasgow, UK; bSchool of Medicine, Dentistry and Nursing, University of Glasgow, Glasgow, UK; cHealth Professions Education Programme, School of Medicine, Dentistry and Nursing, University of Glasgow, Glasgow, UK; dCenter for Health Professions Education, Department of Medicine, Uniformed Services University of the Health Sciences, Bethesda, MD, USA  

 

소개
Introduction

분산 인지(DCog)는 [ 결과outcome가 시스템의 기능에 따라 달라]지는 [복잡하고 협력적이며 역동적인 시스템]에서 [의료 서비스에 대한 보다 통합적인 관점]을 개발하기 위해 렌즈를 확대할 것을 장려하는 사회 인지 이론 계열에 속하는 이론으로, 의료 서비스에 대한 보다 통합적인 관점을 개발하도록 장려합니다. 따라서 DCog는 의료 서비스 제공 중 의료 전문가 교육에 적용되는 임상 성과(및 오류)를 탐구하는 데 유용한 렌즈입니다. 이 AMEE 가이드에서는 먼저 DCog를 정의하고 이론의 역사적 기원에 대한 세부 정보를 제공합니다. 그런 다음 다양한 의료 환경에서 수행된 이전 이론 기반 작업의 예를 제공한 다음, 진화하는 경험적 임상 스토리에서 10가지 핵심 원칙을 설명하여 이론적 통찰력을 설명하고, 이 사례에서는 내과 회진 팀의 인지 및 임상 추론에 대해 설명할 것입니다. 이 AMEE 가이드에서는 임상 추론을 '임상의가 임상 정보(병력, 검사 결과, 검사 결과), 선호도, 의학 지식, 맥락적(상황적) 요소를 통합하여 개별 환자의 치료에 대한 결정을 내리는 인지 과정'으로 정의합니다(Cook 외. 2019). 각 신조는 보건 전문직 교육에 대한 실질적인 시사점을 보여주는 사례로 마무리합니다.
Distributed cognition (DCog) is a member of a family of social cognitive theories that encourages us to zoom out, widening our lens to develop a more integrated view of healthcare in a complex, collaborative and dynamic system, where outcomes are dependent on how well the system functions. DCog is therefore a fecund lens for exploring clinical performance (and error) as applied to health professions education during healthcare delivery. In this AMEE Guide, we will begin by defining DCog, providing details of the historical origin of the theory. We will then provide examples of previous theory informed work done in different healthcare settings before explicating theoretical insights by expounding on 10 central tenets in an evolving empirical clinical story where we describe cognition and, in this case, clinical reasoning in an internal medicine rounding team. For the purposes of this AMEE Guide we will define clinical reasoning as ‘the cognitive processes by which clinicians integrate clinical information (history, exam findings, and test results), preferences, medical knowledge, and contextual (situational) factors to make decisions about the care of an individual patient’ (Cook et al. 2019). We conclude each tenet with examples of practical implications for health professions education.

분산 인지란 무엇인가요?
What is distributed cognition?

인지에 대한 우리의 이해는 상당한 진전을 이루었으며, 20세기 중반에 등장한 초기 정의는 인지가 정보 처리 활동이라는 견해를 공유했습니다. 예를 들어, Neisser(1967)는 인지'감각 입력이 변형, 축소, 저장, 복구 및 사용되는 모든 과정'을 의미한다고 정의했습니다. 선별된 정보 처리 이론(예: 이중 과정 이론, 인지 부하 이론)은 고도로 맥락화된 현상에서 개별 수준의 데이터를 검사하여 가시화할 수 있는 정신 활동으로서의 인지 연구에 정보를 제공하는 데 사용되어 왔습니다. 이와 동시에 인지에 대한 환경의 역할인지가 맥락 속에서 구체화되고 위치한다는 인식이 증가했습니다(Lave 1977; Greeno 1989).
There has been substantial progress in our understanding of cognition and early definitions, that emerged mid-way through the twentieth century, shared the view that cognition is an information processing activity. For example, Neisser (1967) defined cognition as referring ‘to all of the processes by which the sensory input is transformed, reduced, stored, recovered, and used’. Selected information processing theories (e.g. dual process theory, cognitive load theory) have been used to inform research in cognition as a mental activity that permits the inspection of individual level data from highly contextualized phenomena to be made visible. In parallel, there has been increasing recognition of the role of the environment on cognition; and that cognition is embodied and situated in a context (Lave 1977; Greeno 1989).

DCog는 상황성 이론으로 알려진 사회 인지 계열의 일원입니다. DCog는 가족 구성원의 교리(구체화 인지, 생태 심리학 및 상황 인지)를 수용하고 인지 시스템을 이해하려고 합니다(Durning and Artino 2011). 정보 처리 이론은 인지 과정이 머리 안의 뉴런 시스템 내의 조직에서 나온다고 가정합니다. 그러나 위의 Neisser의 정의는 인지가 발생하는 아키텍처 구조를 명시하지 않으며, 이러한 활동을 수행하는 모든 아키텍처 구조 또는 시스템을 인지적이라고 설명할 수 있습니다(Perry 2003). DCog 렌즈는 관심 있는 시스템에 따라 머리 밖건축 구조의 다양한 공간적 규모를 확대 및 축소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공합니다. 정보 처리 이론과 상황성 이론의 핵심적인 차이점은 표 1에 요약되어 있습니다. 
DCog is a member of a social cognitive family known as situativity theory. DCog embraces the tenets of family members (embodied cognition, ecological psychology and situated cognition) and seeks to understand cognitive systems (Durning and Artino 2011). Information processing theory posits that cognitive processes emerge from the organization within a system of neurons inside the head. Neisser’s definition above, however, does not specify the architectural structure in which cognition occurs; any architectural structure or system performing these activities could be described as cognitive (Perry 2003). The DCog lens provides the potential to zoom in and out at many spatial scales of architectural structure outside the head depending on the system of interest. The core differences between information processing and situativity theories are outlined for the reader in Table 1.

DCog의 역사적 기원은 에드윈 허친스의 선구적인 민족지학적 분석과 1980년대 중후반 미국 해군 함정 USS 팔라우의 항해 과정에 대한 그의 설명에 가장 큰 기원을 두고 있습니다. 현재 표준 텍스트로 자리 잡은 '야생에서의 인지'에서는 배의 위치와 항구에 정박하기 위한 진행 상황을 파악하기 위해 선원들이 지식과 정보를 측정, 조작, 공유하는 과정을 허친스의 광범위한 DCog 분석을 통해 놀라운 수준의 세부 정보를 제공합니다. 허친스(1995)와 샌디에이고 대학의 동료들이 수행한 이 중요한 연구는 선박 갑판의 항해 과정을 최초로 (인간 사회 행위자 그룹인) 선원과 (항해 차트와 같이 인간이 만든 도구인) 인공물을 포함하는 정보 처리 시스템으로 설명하는 데 기여했습니다. 
The historical origin of DCog is most attributed to the pioneering ethnographic analysis of Edwin Hutchins and his description of the navigation processes of the U.S. naval vessel USS Palau into harbour in the mid-late 1980s. In the now canonical text Cognition in the Wild, an incredible level of detail is provided by Hutchins’ extensive analysis of DCog with the ship crew measuring, manipulating, and sharing knowledge and information to determine the ship’s location and progress towards docking in the harbour. This seminal work by Hutchins (1995), and colleagues at the University of San Diego, served as the first description of the navigation process on the ship deck of a vessel as an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that includes the ship crew – a group of human social actors and artifacts – such as human made tools like navigational charts – on the ship.

허친스(1995)는 항해 계급의 계층적 체계와 이러한 각 사회적 행위자가 항해 '수정 수행' 주기에서 수행해야 하는 역할과 책임을 설명합니다. 예를 들어, 

  • 항해사는 항해팀의 모든 활동을 감독합니다.
  • 선박은 전 세계 어딘가에 있으며 선박의 위치를 결정하거나 '수정'한다는 것은 특정 항해 차트에서 선박의 위치에 해당하는 위치를 찾는 것입니다.
  • 선박 승무원은 수정 주기라고 하는 활동 주기에 따라 선박의 위치를 지속적으로 표시해야 합니다. 여기에는 항해 팀원 여러 명이 3분 간격으로 정기적으로 항구에 들어오는 선박의 방위를 측정하고 플로팅하는 작업이 포함됩니다.
  • 수정 주기는 고도로 일상화된 활동으로, 선박이 올바른 항로를 유지하도록 하기 위해 사회적 행위자와 인공물의 복잡한 조율이 필요합니다.

Hutchins (1995) describes the hierarchical system of naval rank and the roles and responsibilities that each of these social actors is expected to play in the navigational ‘fix taking’ cycle. For example,

  • the quartermaster supervises all the activities of the navigation team.
  • The ship is somewhere in the world and to determine or ‘fix’ the position of the ship is to find the location on a particular navigational chart that corresponds to the position of the ship.
  • The ship crew need to continuously plot the ship’s position by a cycle of activity called the fix cycle. This involves several members of the navigation team taking and plotting bearings of the ship as it comes into the harbour, at regular three-minute intervals.
  • The fix taking cycle is a highly routinised activity, requiring the complex coordination of social actors and artifacts – all of which is crucial to ensure that the ship is on the correct course.

DCog는 항공기 조종석(Hutchins and Palen 1997; Hutchins 1995; Hutchins and Klausen 1996), 항공 교통 관제(Halverson 1995), 소프트웨어 팀(Flor and Hutchins 1992), 엔지니어링(Rogers and Ellis 1994), 의료 분야의 다양한 환경(Furniss and Blandford 2006; Furniss et al. 2019) 등 광범위한 업무 환경을 조명해왔습니다. 의료 분야는 위에서 설명한 작업을 기반으로 구축하기에 직관적인 후보였습니다.

  • 의료 전문가는 '공통의 가치 있는 목표를 향해 역동적이고 상호의존적이며 적응적으로 상호 작용하는 두 명 이상의 사람들로 구성된 구별 가능한 집합으로, 각각 수행해야 할 특정 역할이나 기능이 할당되고 멤버십 수명이 제한되어 있는 팀'으로 정의할 수 있는 전문가 간 팀에서 일합니다(Salas 외. 2001).

허친스의 선박 항해 사례와 마찬가지로, 의료 서비스에서의 성공은 시스템 전체가 얼마나 잘 작동하는지에 따라 달라집니다. 즉, 의료 서비스에서의 성공은 어느 한 의료 전문가에게만 기인할 수 없습니다. 예를 들어, 의료 전문가 혼자서 다른 팀원 및 환자의 전자 건강 기록(EHR)과 상호 작용하지 않고 구조화되지 않은 의료 문제를 성공적으로 해결하는 것은 상상하기 어려울 것입니다. 
DCog has shone light on a wide range of workplaces that include an aircraft cockpit (Hutchins and Palen 1997; Hutchins 1995; Hutchins and Klausen 1996), air traffic control (Halverson 1995), software teams (Flor and Hutchins 1992), engineering (Rogers and Ellis 1994) and different settings within healthcare (Furniss and Blandford 2006; Furniss et al. 2019). The workplace of healthcare was an intuitive candidate to build upon the work described above.

  • Health professionals work in interprofessional teams that can be defined as ‘a distinguishable set of two or more people who interact dynamically, interdependently and adaptively toward a common and valued goal, who have each been assigned specific roles or functions to perform and who have a limited life span of membership’ (Salas et al. 2001).

Just like Hutchins’ example of ship navigation, outcomes rely on how well the system functions as a whole – in other words success in healthcare cannot be attributable to any one health professional. For example, it would be difficult to imagine a solitary health professional successfully working through the ill-structured problems of medicine without having to interact with other team members and patients’ electronic health records (EHR).

연구팀은 임상 환경에서의 협업적 팀워크를 조사하기 위해 DCog를 사용할 것을 촉구했습니다(Hazlehurst 외. 2008; Boyle 외. 2020, 2021). 현재까지 DCog는 중환자실(Hazlehurst 외. 2003; Malhotra 외. 2007; Rajkomar and Blandford 2012), 외과 수술실(Hazlehurst 외. 2007), 응급실(Cohen 외. 2006; Feufel 외. 2011), 전문 클리닉(Lippa 외. 2017), 원격 의료(Kaufman 외. 2009) 등 여러 임상 환경을 연구하는 데 사용되었습니다. 특히, DCog는 다음에 사용되었습니다.

  • 복잡한 협업 환경에서 작업의 세부 사항을 밝히고,
  • 임상 치료를 지원하는 인지 인공물의 중재 역할에 초점을 맞추고(Nemeth 외. 2005),
  • 오류에 도움이 될 수 있는 분산된 인지 시스템의 특징을 식별하고(Horsky 외. 2003; Cohen 외. 2006; Malhotra 외. 2007),
  • 상황 인식(Hazlehurst 외. 2007)  공유 의사 결정(Lippa 외. 2017), 재택 원격 의료 워크플로(Kaufman 외. 2009), 의료 기기의 설계 및 사용(Furniss 외. 2015; Rajkomar and Blandford 2012) 을 연구하기 위해
  • 마지막으로 축구 부상으로 응급실에 내원한 환자를 둘러싼 의대생, 레지던트, 주치의 간의 상호작용을 이용한 직장 학습(Pimmer 외. 2013)

다양한 의료 환경에서의 DCog 정보 기반 업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이 AMEE 가이드의 범위를 벗어나지만, 강조 표시된 사례가 독자의 공감을 불러일으키고 추가 탐색을 위한 유용한 이정표가 되기를 바랍니다.

Research teams have called for the use of DCog to examine collaborative teamwork in clinical environments (Hazlehurst et al. 2008; Boyle et al. 2020, 2021). To date, DCog has been used to study several different clinical environments, such as critical care (Hazlehurst et al. 2003; Malhotra et al. 2007; Rajkomar and Blandford 2012), the surgical operating room (Hazlehurst et al. 2007), emergency department (Cohen et al. 2006; Feufel et al. 2011), specialty clinics (Lippa et al. 2017) and telemedicine (Kaufman et al. 2009). In particular, DCog has been used

  • to reveal details of work in complex collaborative settings,
  • to focus on mediating roles of cognitive artifacts in supporting clinical care (Nemeth et al. 2005),
  • identify features of the distributed cognitive system that may be conducive to error (Horsky et al. 2003; Cohen et al. 2006; Malhotra et al. 2007),
  • to study situation awareness (Hazlehurst et al. 2007), shared decision making (Lippa et al. 2017), home telemedicine workflow (Kaufman et al. 2009), the design and use of medical devices (Furniss et al. 2015; Rajkomar and Blandford 2012) and finally
  • to describe workplace learning using interactions between a medical student, resident and attending physician around a patient who attended the emergency department with a soccer injury (Pimmer et al. 2013).

While an exhaustive description of DCog informed work in different healthcare settings is out with the scope of this AMEE Guide, we hope the highlighted examples provided resonate with the reader and provide a helpful signpost for further exploration.

진화하는 임상 스토리
An evolving clinical story

이제 내과 회진 팀의 인지 및 임상 추론에 대해 설명하는 진화하는 경험적 임상 스토리에서 10가지 핵심 원칙을 설명하여 DCog의 이론적 인사이트를 설명하겠습니다. 다양한 임상 추론 과정과 결과가 흔히 발생하는 전형적인 임상 업무 환경을 설명하는 것으로 이야기를 시작하겠습니다:
We will now explicate theoretical insights from DCog by expounding on 10 central tenets in an evolving empirical clinical story where we describe cognition and, in this case, clinical reasoning in an internal medicine rounding team. Let’s begin our story by describing a typical clinical workplace where various clinical reasoning processes and outcomes commonly occur:

'전환' 첫 주 월요일이었습니다. 내과의 아침 회진은 16병상 규모의 급성수용실(ARU)에서 시작되었고, 필요에 따라 종이 케이스 노트가 담긴 트롤리와 모바일 노트북 워크스테이션을 중심으로 매듭작업(임시) 팀이 처음으로 모였습니다: 주치의이자 학부 1년차 책임자인 George, 레지던트 Paula, 인턴 Linda, 수간호사 John, 약사 Richard, 의대생 Olivia가 모여 있었습니다. 간단한 소개가 끝난 후 
It was Monday on the first week of “changeover”. Morning rounds in Internal Medicine began in the 16 bed Acute Receiving Unit (ARU) where a knotwork (adhoc) team assembled, when necessary, around a trolley of paper case notes and a mobile laptop workstation for the first time; George the Attending and Undergraduate Year Director, Paula the Resident, Linda the Intern, John the Staff Nurse, Richard the Pharmacist and Olivia the Medical Student. After brief introductions,

존(수간호사): 1번 침대가 아닌 16번 침대부터 시작해도 될까요? 주드 씨는 흉통으로 입원한 45세 남성입니다. 한 시간 전에 열이 나서 야간 레지던트에게 주드 씨를 검토해달라고 요청해야 했습니다.
John (Staff Nurse): Do you mind if we start with Bed 16 rather than Bed 1? Mr Jude is a 45 year old man who had been admitted with chest pain. We had to ask the night resident to review Mr Jude because he had a fever an hour ago.

폴라(레지던트): 넘겨받은 물건이 많았어요. 제 기억으로는 핸드 오브에서 주드 씨를 언급했던 것 같아요. 화이트보드를 잠깐 볼게요. 네, 어제 저녁에 흉통으로 입원하셨어요. 야간 레지던트는 심장 허혈로 진단했고 트로포닌을 포함한 여러 가지 검사를 보냈다고 말했습니다. 밤새 심장내과 진료를 받았고 심근경색 검사에서 양성이 나오면 알려달라고 했습니다. 열의 원인에 대해 물었을 때 야간 레지던트는 작업 진단에 맞지 않는다고 말했지만 어쨌든 혈액 배양 세트를 채취했습니다. 올리비아, 병상 차트를 가져다 주면 전자 건강 기록에 액세스하기 위해 노트북을 가져올게요.
Paula (Resident): There was a lot of things handed over. From memory, I think Mr Jude was mentioned at handof. Let me have quick look at the white board. Oh yes, he was admitted yesterday evening with chest pain. The night resident said the working diagnosis was cardiac ischaemia and that they have sent off a bunch of tests including a troponin. Cardiology were consulted overnight and said let them know if the myocardial infarction screen was positive. When I asked about the cause of the fever, the night resident said it didn’t quite fit with the working diagnosis, but they have taken a set of blood cultures in any case. Oliva, if you grab the bedside chart, I will grab a laptop to access the electronic health record.

올리비아(의대생): 병상 차트를 찾을 수가 없어요. 흉부 엑스레이를 찍으러 가셨을 때 의사실에 두고 가신 건지 아니면 방사선과에 두고 가신 건지 궁금해요.
Olivia (Medical Student): I can’t seem to find his bedside chart. I wonder if it was left in the Doctors room or at radiology when he went for his Chest x-ray?

리처드(약사): 환자에게 다시 확인했는데 처방약을 복용하고 있지 않다고 합니다. 하룻밤 사이에 모르핀을 투여한 것 같습니다. 아스피린과 저분자량 헤파린이 처방되었지만 아직 투여되지 않았습니다.
Richard (Pharmacist): I double checked with the patient, and they are not on any prescription medication. Looks like they have given morphine overnight. Aspirin and low molecular weight heparin have been prescribed but haven’t been administered yet.

린다(인턴): 좋아 올리비아, 심전도 어때?
Linda (Intern): Okay Olivia, what do you think of the ECG?

올리비아(의대생): 부비동 빈맥 110bpm으로 보입니다. 심근경색의 증거는 보이지 않아요.
Olivia (Medical student): Looks like sinus tachycardia 110 bpm. I can’t see any evidence of myocardial infarction.

John(직원 간호사): 죄송해요, 제 간호 동료가 관찰한 내용을 포켓용 침대 시트에 메모해 두었습니다. 사실 오늘 아침 오른팔 혈압이 190/70mmhg로 꽤 높았어요.
John (Staff nurse): Sorry, my nursing colleague had a note of the observations on their pocket crib sheet. Right arm BP was actually pretty high this morning at 190/70mmhg.

조지(어텐딩, 야간 레지던트가 급히 작성한 서류를 내려다보며). 올리비아, 지금까지는 흉통, 발열, 부비동 빈맥, 고혈압이 있네요. 이것이 심장 허혈의 실제 진단과 일치하나요? 감별 진단을 염두에 두고 있나요?
George (Attending, glances down at the rushed clerking document completed by the night resident). So, Olivia, so far, we have chest pain, fever, sinus tachycardia and hypertension. Does that fit with a working diagnosis of cardiac ischaemia? Do you have a differential diagnosis in mind?

올리비아(의대생): 그렇지는 않지만 심장 허혈은 반드시 진단을 놓치지 말아야 합니다. 폐렴이나 폐색전증이 더 잘 맞는 것 같아요. 감염이 빈맥을 유발하고 통증이 고혈압을 유발할 수 있나요? 감염이나 색전증을 시사하는 염증 표지자나 D-다이머가 상승했는지 알고 싶습니다.
Olivia (Medical Student): Not really, but cardiac ischaemia is a must not miss diagnosis. I think pneumonia or even pulmonary embolus fits better. Could infection lead to tachycardia and the pain cause hypertension? I would like to know if the inflammatory markers or a D-Dimer were raised to suggest infection or embolus.

폴라(거주자, 깊은 한숨과 감탄사). 처음 두 대의 노트북 배터리가 방전되어 지연되어 죄송합니다. 세 번째는 운이 좋았어요! (폴라가 컴퓨터 화면을 가리킨다). 트로포 닌은 음성 인 것 같지만 염증 마커와 D- 이량 체가 올라갑니다. 누가 D-이합체를 검사했나요? 흉통이 흉막염이었나요?
Paula (Resident, deep sigh and interjects). Sorry for the delay, the batteries on the first two laptops were dead. Third time lucky! (Paula points at the computer screen). Looks like troponin is negative, but inflammatory markers and D-dimer are raised. Who checked a D-dimer? Was the chest pain pleuritic?

존(수간호사): 방해해서 죄송하지만 주드 씨의 통증이 점점 심해지는 것 같습니다.
John (Staff Nurse): Sorry to interrupt but Mr Jude’s pain appears to be getting worse.

조지(어텐딩): 팀원들, 가서 환자를 보러 가자. 존, 한 번 더 관찰하면 좋을 것 같아요.
George (Attending): Come on team, let’s go and see the patient. John it would be great if we get another set of observations.

회진팀은 병상 옆으로 가서 주드 씨를 보고, 조지는 관례대로 침대 왼쪽에서 가설에 근거한 병력 청취를 시작합니다.
The rounding team go to the bedside to see Mr Jude and George starts to take a hypothesis driven history from the left side of the bed (as is convention).

존(수간호사): 존은 침대 반대편에 있는 주드 씨에게 다가가 관찰 사항을 다시 확인하기 시작합니다. John은 먼저 산소 포화도와 체온이 정상이라고 팀원들을 안심시킵니다. 그런 다음 John은 전자 혈압계의 깜박이는 빨간색 디스플레이를 가리킵니다. 왼쪽 팔에서 측정한 혈압은 90/60mmHg에 불과합니다.
John (Staff Nurse): John approaches Mr Jude on the other side of the bed and begins rechecking the observations. John first reassures the team that oxygen saturations and temperature are normal. John then points at the flashing and alarming red display on the electronic blood pressure monitor. Blood pressure is only 90/60mmHg when measured on the left arm.

린다 (인턴): 좋아요 팀, 흉부 엑스레이를 잠깐 볼게요. (린다(인턴)가 침대 옆을 떠납니다.
Linda (Intern): Okay team, I’ll take a quick look at the chest x-ray. (Linda leaves the bedside).

린다 인턴은 노트북에서 흉부 엑스레이 이미지를 해석한 후 재빨리 침상 옆으로 돌아옵니다. 그녀는 조지가 불만 사항을 제시하는 기록을 완료할 때까지 기다립니다.
Linda interprets the chest x-ray image on the laptop and then quickly returns to the bedside. She waits until George has completed the history of presenting complaint.

조지(어텐딩): 주드 씨, 갑자기 통증이 시작되어 가슴이 찢어질 것 같네요.
George (Attending): So, Mr Jude, the pain came on suddenly and is tearing in character.

주드 씨: 맞아요, 의사 선생님 - 뭐 좀 처방해 주실 수 있나요? 점점 더 심해져서 이제는 견갑골 바로 사이가 아파요.
Mr Jude: That’s right doc – can you give me anything for it? It is getting worse and is now right between my shoulder blades.

조지(주치의가 시선을 돌리며 린다를 향해 고개를 끄덕이자 린다도 고개를 끄덕입니다):
George (Attending, turning his gaze and nodding towards Linda, who nods back):

주드 씨, 잠시만 기다려주세요 곧 돌아올게요. 리처드, 처방받은 약을 중단하도록 해 주세요.
Mr Jude, please give me a moment, I will be straight back. Richard, please make sure that we discontinue the prescribed medication.

폴라(레지던트): 좋아요, 정맥주사를 맞아야겠어요.
Paula (Resident): Okay, I better get some intravenous access.

린다, 조지, 올리비아가 침대 옆에서 노트북 쪽으로 모여듭니다.
Linda, George and Olivia congregate away from the bedside towards the laptop

린다(어텐딩): 흉부 엑스레이 필름에 종격동이 넓어졌어요.
Linda (Attending): He has a widened mediastinum on the chest x-ray film.

올리비아(의대생): 급성 대동맥 박리인가요?
Olivia (Medical Student): Is it an acute aortic dissection?

이 AMEE 가이드의 독자들이 우리의 임상 사례를 통해 의료 현장에서의 임상적 추론과 오류는 본질적으로 지저분할 수 있다는 점에 동의해 주시기를 바랍니다. 우리는 DCog 이론이 복잡성을 포용하고 그러한 혼란을 헤쳐 나가는 데 유용한 렌즈라고 믿습니다. 
We hope that the readers of this
 AMEE Guide will concur that our clinical story has reinforced that clinical reasoning and error in the wild of the healthcare workplace can be inherently messy. We believe that theory of DCog is a fecund lens with which to embrace the complexity and move forward through such messiness.

이제 다음 10가지 DCog의 핵심 교리를 설명하겠습니다. 이 교리는 모든 내용을 담고 있지는 않지만, 분산형 선박 항법 및 항공기 조종석 시스템에 대한 허친스의 중요하고 일반적으로 인용되는 연구를 이 AMEE 가이드의 독자들이 더 쉽게 이해할 수 있기를 바랍니다. 독자가 보건 전문직 교육 맥락에 익숙해지도록 진화하는 임상 이야기로 돌아가서 독자에게 더 친숙할 수 있는 10가지 원칙 각각에 대한 보건 전문직 교육 사례를 병행하여 제공할 것입니다. 이를 통해 보건 전문직 교육에서 DCog의 잠재적인 실제 적용 사례를 조명하고, 가능한 경우 추가 연구를 위한 질문을 제기할 것입니다. 다시 한 번 말씀드리지만, 이 글은 모든 내용을 담으려는 것이 아니며, 여러 분야에 대한 교리의 실제 적용에는 불가피하게 중복되는 부분이 있을 수 있습니다. 이 원칙을 살펴보면서 독자들은 각자의 상황이나 전문 영역에서 AMEE 가이드에 개념화되지 않은 이전 사례에 대한 잠재적 적용 가능성을 발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합니다. 가이드의 다음 섹션은 표 2에 요약되어 있습니다. 
We will now expound the following ten central tenets of DCog, which are not meant to be exhaustive, but we hope make Hutchins’ seminal and commonly cited works on distributed ship navigation and an aircraft cockpit system to be more accessible to readers of this AMEE Guide. To orientate the reader to the health professions education context we will return to our evolving clinical story and provide a parallel health professions education example of each of the ten tenets that should be more familiar to the reader. By doing so, we will also endeavour to shine a light on some potential practical applications of DCog in health professions education and, where possible, posit questions for further research. Again, this is not meant to be exhaustive and inevitably there will be overlap in the practical applications of tenets to different areas. We anticipate that, as we move through the tenets, readers will identify potential applications to previous examples, perhaps in their own context or area of expertise that have not been conceptualised in the AMEE Guide. The following section of the Guide is summarised in Table 2.

분산 인지의 10가지 핵심 원칙
Ten central tenets of distributed cognition

신조 1: 인지는 시스템에서 탈중앙화되어 있다.
Tenet 1: Cognition is decentralized in a system

첫 번째 핵심 신조는 인지가 탈중앙화되어 있으므로 인지에 대한 분석 단위가 머릿속에만 국한되지 않는다는 것입니다. 처음부터 DCog는 '인지의 한 종류가 아니라 모든 인지에 대한 관점'이라는 점을 이해하는 것이 중요합니다(Hutchins 1991). DCog는 세상에서 일어나는 일에 대한 대규모 설명을 얻는 데 도움이 되는 거시적 이론입니다. 기존의 정보 처리 미시 이론과는 달리, 인지적이라고 간주되는 범위를 개인을 넘어 사회적 행위자와 인공물(예: 시스템) 간의 상호작용까지 포괄하도록 확장합니다. 또한 DCog는 인지 과정을 구성할 수 있는 요소의 범위를 넓혔습니다. Hollan과 동료들은 '단순히 뇌에서 일어난다고 해서 인지적 과정이 아니며, 여러 뇌 간의 상호작용에서 일어난다고 해서 비인지적 과정도 아니다'라고 가정합니다. 임상 사례로 돌아가서, 위에서 설명한 통합 임상 작업장에서 다른 개인이나 인공물과의 상호작용 없이 혼자 일하는 개인을 상상하기는 어려울 것입니다. DCog는 문제를 해결하고 과제(흉통 증상에 대한 임상적 추론의 과정과 결과)를 수행하는 데 사용되는 인지 자원(예: 정보 처리)이  개인(예: 어텐딩 조지)의 피부와 두개골 내에 국한되지 않는다는 것을 이해해야 할 필요성에서 출발했습니다, 더 큰 분석 단위에서 수행되어 인공물(종이 케이스 노트, 인수인계 보드, 침대 시트, EHR 및 병상 관찰 노트)의 사용과 다른 사회적 행위자(나머지 회진 팀과 첫 번째 환자 Jude 씨)의 참여를 통합합니다.

The first central tenet is that cognition is decentralized and thus the unit of analysis for cognition is not limited to inside the head. It is important from the outset to understand that DCog ‘is not a kind of cognition; it is a perspective on all of cognition’ (Hutchins 1991). DCog is a macro theory that helps us obtain a large-scale description of what is occurring in the world. Unlike the traditional information processing micro theories, it extends the reach of what is considered cognitive beyond the individual to encompass interactions between social actors and artifacts (e.g. the system). DCog also broadens the label of what might constitute a cognitive process. Hollan and colleagues posit that ‘a process is not cognitive simply because it happens in a brain, nor is a process noncognitive simply because it happens in the interactions among many brains’. Returning to our clinical story, in the integrated clinical workplace described above, it would be difficult to imagine a solitary individual working without any interaction with other individuals or artifacts. DCog grew out of the need to understand that cognitive resources (like information processing) used to solve a problem and perform a task (such as the process and outcome of clinical reasoning in the presentation of chest pain) are not confined within the skin and skull of an individual (such as George the Attending), they are performed across a larger unit of analysis to incorporate the use of artifacts (the paper case notes, the handover board, the crib sheet, the EHR and the bedside observation notes) and the involvement of other social actors (the rest of the rounding team and our first patient Mr Jude).

독자들이 자신의 의료 전문직 교육 상황과 자신이 속한 인지 체계의 규모를 고려하는 것이 좋습니다. 의과대학이나 병원 부서와 같은 대규모 시스템일 수도 있고 병동, 수술실, 상담 클리닉과 같은 소규모 시스템일 수도 있습니다. 규모가 크든 작든, 그리고 그 사이의 모든 시스템에서 인지는 커리큘럼 계획, 교수 및 학습 활동, 형성 및 총괄 평가와 관련하여 분산될 것입니다. DCog는 보건 전문직 교육 맥락에서 우리가 속한 다양한 시스템에 대한 이해를 향상시킬 수 있는 잠재력을 가진 이론입니다. 이제 임상 추론의 예로 돌아가서 각 신조를 살펴보면서 실제 적용 사례를 찾아보겠습니다. 
We would encourage readers to consider their own health professions education context and what sizes of cognitive system they belong to. It could be a large system like a medical school or hospital department or a smaller system like a ward, an operating theatre or consulting clinic. Large or small and everything in between, cognition will be decentralized whether it be related to curriculum planning, to teaching and learning activities, or to formative and summative assessment. DCog is a theory that has the potential to improve our understanding of the different systems we belong to in our own health professions education context. Let’s now return to our example of clinical reasoning and look for practical applications as we move through each tenet.

신조 2: 분석 단위는 시스템이다
Tenet 2: The unit of analysis is the system

두 번째 핵심 신조는 지식과 정보가 인지 체계의 모든 사람이 공유한다는 가정에서 출발한다는 것입니다. 즉, 이중 과정 이론은 모든 인지 과정이 머릿속에 집중되어 있다고 가정하지만, 허친스는 '모든 인지 사례는 분산된 과정에서 나온 것으로 볼 수 있으며', '항상 분산된 것으로 볼 수 있는 방법이 있다'고 단언합니다(Hutchins 2014). 허친스는 더 나아가 '중앙집중형과 분산형이라는 개념은 항상 조사의 규모에 따라 상대적'이라고 가정합니다. 즉, DCog는 세상을 바라보는 유일한 방법이 아니라 세상을 바라보는 한 가지 방법이라는 것입니다.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DCog의 분석 단위의 경계는 고정되어 있지 않으며 당연히 달라질 수 있습니다.

  • 예를 들어, 항공사 조종석에서는 조종사 개인이 아니라 비행기를 조종하는 데 필요한 조종사조종석 계기(아티팩트)가 분석 단위가 됩니다.
    • 실제로 비행기를 안전하게 비행하기 위해 분석 단위항공 교통 관제 팀으로 확장할 수 있습니다.
  • 임상 사례로 돌아가서 회진 팀, 아티팩트(종이 메모 및 EHR), 환자(주드 씨)를 하나의 시스템으로 설명할 수 있으며, 주드 씨의 흉통과 발열을 성공적으로 진단하고 관리하기 위해서는 개인의 인지적 특성 외에도 이 시스템 내의 임상적 추론이 매우 중요합니다.
    • 조종석의 예와 마찬가지로 분석 단위를 더 확장하여 그날 아침에 발생한 야간 팀핸드오프, 배양이 진행되는 실험실, 영상의학과에서 흉부 엑스레이를 촬영한 방사선사와 필름을 보고해야 하는 방사선사까지 포함할 수 있습니다.

A second central tenet is that DCog begins with the assumption that knowledge and information is shared by all in a cognitive system. In other words, while dual process theory posits that all cognitive processes are centralized inside the head, Hutchins affirms that ‘all instances of cognition can be seen as emerging from distributed processes’ and that there is ‘always a way to see it as distributed’ (Hutchins 2014). Hutchins goes further to posit that ‘the notions of centralized and distributed are always relative to some scale of investigation’. In other words, DCog is one way of looking at the world rather than the only way of looking at the world. As suggested above, the boundaries of the unit of analysis for DCog are not fixed and of course can vary. For example,

  • in an airline cockpit, the pilots and cockpit instrumentation (artifacts) constitute the unit of analysis that are necessary to fly the plane rather than an individual pilot.
    • Indeed, to fly the plane safely, the unit of analysis could be expanded to include the air traffic control team.
  • Returning to our clinical story, the rounding team, the artifacts (paper notes and EHR) and the patient (Mr Jude) could be described as a system – and besides the individual cognitive properties, clinical reasoning within this system is crucial to diagnose and manage Mr Jude’s chest pain and fever successfully.
    • Just like the cockpit example, the unit of analysis could be expanded further to include the night team and the handoff that occurred that morning, to the laboratory that the cultures are being processed in, and the radiographer that carried out chest x-ray in the radiology department and the radiologist who is to report the film.

독자들이 각자의 의료 전문직 교육 맥락에서 분석 단위를 고려할 것을 권장합니다. 예를 들어, 급성 대동맥 박리와 같이 놓쳐서는 안 되는 진단 라벨을 부착하는 데 필요한 진단 및 임상적 추론을 여러 유형의 장비를 사용하는 여러 선수가 참여하는 진정한 팀 스포츠로 간주할 수 있습니다(Thomas and Newman-Toker 2016). 라운딩 시간에 대한 임상 사례에서

  • 팀의 성과를 평가하기 위해 어떤 분석 단위를 사용해야 할까요?
  • 시간 경과에 따른 진단 오류로 이어지는 시스템의 고장을 조사하려면 어떤 분석 단위를 사용해야 할까요?

We encourage readers to consider units of analysis in their own health professions education context. For example, we could consider diagnosis and the clinical reasoning required to attach a must not miss diagnostic label like an acute aortic dissection to Mr Jude as a truly team sport with several players aided by different types of equipment (Thomas and Newman-Toker 2016). In our clinical story of a rounding time,

  • what unit of analysis should we use to assess the team’s performance?
  • What unit of analysis should we use to examine breakdowns in the system leading to diagnostic error through time?

의료 전문직 교육에서 임상 추론의 평가는 선다형 객관식 문제, 실무 기반 평가(예: 미니-CEX) 또는 객관적 구조화 임상시험(OSCE) 등 개인과 머릿속의 인지 과정에 초점을 맞추는 경우가 많습니다(Holmboe and Durning 2014; Daniel 외. 2019; Schuwirth 외. 2020).

  • DCog는 특정 시스템 내에서 팀의 임상 추론 수행에 대한 유효하고 신뢰할 수 있는 평가의 개발과 역량 기반 교육에서 전문가 간 임상 팀의 맥락에서 위탁 가능한 전문 활동의 개발에 정보를 제공할 수 있습니다(Frank 외. 2010; Ten Cate 외. 2018).
  • 또한 DCog 렌즈를 통해 팀에 대한 평가자 인지에 대한 이해를 확장할 수 있습니다(Gingerich 외. 2014).

예를 들어, 여러 전문가 간 관점이 개별 학습자에 대한 팀의 참조 프레임에 어떤 영향을 미칠까요(Kogan 외. 2011). DCog 렌즈를 통해 우리는 다양한 집단 교수 및 학습 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팀의 임상적 추론 역량을 정의하는 방법을 알 수 있습니다(Swing 2007; Frank 외. 2014; Olson 외. 2019).
Assessment of clinical reasoning in health professions education, whether it be by single best answer multiple choice questions, work placed based assessments (e.g. mini-CEX) or objective structured clinical examinations (OSCE), often focuses on the individual and the cognitive processes inside the head (Holmboe and Durning 2014; Daniel et al. 2019; Schuwirth et al. 2020).

  • DCog could inform the development of valid and reliable assessments of team clinical reasoning performance within a specific system as well as entrustable professional activities in the context of interprofessional clinical teams in competency-based education (Frank et al. 2010; Ten Cate et al. 2018).
  • Through a DCog lens we could also extend our understanding of rater cognition for teams (Gingerich et al. 2014).

For example, how do multiple interprofessional perspectives influence a team’s frame of reference for an individual learner? (Kogan et al. 2011). Through a DCog lens we could inform how we define the competencies of clinical reasoning of teams that inform a range of our collective teaching and learning activities (Swing 2007; Frank et al. 2014; Olson et al. 2019).

신조 3: 인지 프로세스는 분산되어 있다.
Tenet 3: Cognitive processes are distributed

세 번째 핵심 신조는 DCog 렌즈를 통해 시스템이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하위 시스템을 조정하도록 스스로를 동적으로 구성'할 것으로 기대한다는 것입니다(Hollan 외. 2000). 이 경우 DCog는 인지 과정이 반드시 공간에서의 공동 위치가 아니라 시스템 내 요소들의 기능적 관계에 따라 사회적, 물질적, 시간적으로 분산되어 있음을 발견할 것으로 기대합니다. 현상의 분포 방식은 다음과 같이 세 가지로 구분할 수 있습니다(Rogers and Ellis 1994; Hollan 외. 2000):
A third central tenet is that through a DCog lens, a system is expected to ‘dynamically configure itself to bring subsystems into coordination to accomplish various functions’ (Hollan et al. 2000). When this occurs DCog expects to find that cognitive processes are sociallymaterially and temporally distributed by the functional relationship of the elements in the system, not necessarily by their co-location in space. Three different ways of phenomena being distributed have been described (Rogers and Ellis 1994; Hollan et al. 2000) and are as follows:

  • 사회적 분산: 인지 과정이 사회 집단의 구성원 전체에 분산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배에서 수리를 하는 동안 선원들이 서로 의사소통을 하거나 레지던트 폴라와 수간호사 존이 밤새 환자의 경과에 대한 지식을 공유하고 회진에서 주드 씨가 마지막이 아닌 첫 번째로 진료를 받았다는 사실을 우선순위에 두는 경우가 이에 해당합니다. 
    Socially distributed
    : cognitive processes may be distributed across the members of a social group. For example, between the ship crew members communicating with each other during fix taking on a ship or between Paula the resident and John the staff nurse sharing their knowledge of the patient’s progress overnight and prioritizing that Mr Jude was seen first rather than last on rounds.
  • 물질적 분산: 인지 과정에는 내부(머리 속)와 외부(머리 밖) 표상 또는 지식 구조 간의 조정이 포함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선박 승무원이 배를 수리하는 동안 배에서 항해 차트를 사용하거나 간호사 John이 침대 시트에 관찰 사항을 기록하거나 야간 팀이 인수인계 보드에 기록하는 것을 들 수 있습니다.
    Materially distributed
    : cognitive processes may involve coordination between internal (inside the head) and external representations (outside the head) or knowledge structures. For example, ship crew members using navigational charts on the ship during fix taking on a ship or John the nurse writing down the observations on a crib sheet or the night team writing on the handover board.
  • 시간적 분산: 인지 프로세스는 이전 이벤트의 산물이 이후 이벤트의 성격을 변화시킬 수 있는 방식으로 시간에 따라 분산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수정 작업 주기가 시작되기 위해서는 먼저 배의 날개에 서서 알리다데(특수 망원경 조준 장치)를 사용하여 해안에 있는 랜드마크를 찾은 다음 알리다데를 사용하여 랜드마크의 방위를 측정하는 선박 승무원이 필요합니다. 임상 사례의 한 예로, 야간 레지던트가 야간 회진을 할 때 일상적인 관찰에서 발열이 발견되어 회진 팀에서 즉시 심장 허혈 진단 라벨을 넘겨받은 일이 있습니다.
    Temporally distributed
    : cognitive processes may be distributed through time in such a way that the products of earlier events can transform the nature of later events. For example, for the fix taking cycle to begin, a ship crew member – called the bearer – initially must find the landmark on the shore by standing on the wings of the ship and then measuring the bearings of the landmark using an alidade (special telescopic sighting device). An example from our clinical story is that the night resident’s handoff of the diagnostic label of cardiac ischaemia was promptly challenged by the team on rounds due to the finding of a fever on routine observations when the nursing staff were doing their rounds overnight.

독자들은 각자의 보건 전문직 교육 맥락에서 인지 과정이 분포하는 세 가지 방법을 고려해 보시기 바랍니다. 몇 가지 다른 맥락을 차례로 살펴보겠습니다:
We encourage readers to consider three ways cognitive processes are distributed in their own health professions education context. Let’s look at some different contexts in turn:

  • 임상 추론을 가르치는 교수진 개발 활동에서 인지 과정이 사회적으로 어떻게 분배되나요? 예를 들어, 교수진은 임상 추론에 대한 동일한 운영 정의를 공유하고 있나요? 
  • 학습 중에 인지 과정이 물질적으로 어떻게 분배되나요? 예를 들어, 팀이 임상 의사결정 지원 시스템에 접근하는 방식이 임상 추론 학습에 어떤 영향을 미칩니까(Leung 외. 2003)? 
  • 학습자의 임상 추론은 시간에 따라 어떻게 분배될까요? 예를 들어, DCog는 종단적 커리큘럼 내에서 의대생의 임상 추론 발달에 대한 데이터를 언제 어디서 수집해야 하는지 알려줄 수 있습니다. 
  • How are cognitive processes socially distributed across our faculty development activities in the teaching of clinical reasoning? For example, do our faculty share the same operational definition of clinical reasoning?
  • How are cognitive processes materially distributed during learning? For example, how does the way teams access clinical decision support systems influence the learning of clinical reasoning (Leung et al. 2003)?
  • How is our learners’ clinical reasoning distributed through time? For example, DCog could inform where and when to gather data of medical students’ development in clinical reasoning within a longitudinal curriculum.

이 세 가지 방법으로 DCog 렌즈를 통해 수집된 데이터는 학습 분석, 학업 궤적 모니터링, 어려움을 겪는 학습자의 적시 식별 및 보건 전문직 교육에서 프로그램적 평가를 향한 움직임 내에서 적응 전문성 분야에 정보를 제공할 수 있습니다(Schuwirth and Van der Vleuten 2011, Chan 외. 2018, Pusic 외. 2018, Landoll 외. 2022). 
Data gathered through a DCog lens in each of these three ways could inform the field of learning analytics, academic trajectory monitoring, the timely identification of struggling learners and adaptive expertise within the movement towards programmatic assessment in health professions education (Schuwirth and Van der Vleuten 2011; Chan et al. 2018; Pusic et al. 2018; Landoll et al. 2022).

신조 4: 인지 과정은 상호작용에서 창발한다.
Tenet 4: Cognitive processes emerge from interactions

네 번째 핵심 신조는 인지를 관심 있는 시스템의 요소들의 상호 작용에서 나타나는 과정으로 항상 조사할 수 있다는 것입니다. 허친스는 여기서 더 나아가 인지의 분포 여부나 시기가 아니라 '인지 체계의 요소, 요소 간의 관계, 그리고 이러한 요소 간의 상호작용으로부터 인지 과정이 어떻게 발생하는지'를 고려하도록 도전합니다. (허친스 1991). 따라서 관심 있는 시스템의 인지가 각 부분 간의 상호 작용에서 비롯된 것으로 간주되도록 다양한 조사 척도를 선택할 수 있습니다. DCog는 인지 과정이 분산되어 있다는 개념을 넘어, 인지 과정이 비선형적이어서 입력에서 예측한 것과 다를 수 있고, 실제로는 부분의 합보다 크거나 작을 수 있는 출력을 생성한다고 가정합니다. 따라서 허친스는 DCog를 '어느 개인에게 귀속되지 않는 공동의 인지적 성취'라고 설명했습니다(Hutchins 1996). 임상 사례로 돌아가서, 병상에서 팀원과 환자 간의 상호작용을 통해 병력, 양쪽 팔의 혈압 차이, 비정상적인 흉부 엑스레이를 함께 구성하여 급성 대동맥 박리라는 가장 가능성이 높은 진단에 대한 공유된 정신 모델을 형성한 과정을 살펴볼 수 있습니다.
A fourth central tenet is that it will always be possible to investigate cognition as a process that emerges from the interactions of the elements in the system of interest. Hutchins goes further by challenging us to ask not if, when or whether cognition is distributed but to consider ‘the elements of the cognitive system, the relations among the elements, and how the cognitive process arise[s] from the interactions among those elements.’ (Hutchins 1991). Thus, one can select different scales of investigation such that cognition in systems of interest is seen as emergent from interactions among their parts. DCog goes beyond the concept that cognitive processes are distributed and posits that they are also non-linear creating outputs that may be different from what is predicted from the inputs – indeed, they could be greater or less than the sum of the parts. Thus, Hutchins has described DCog as a ‘joint cognitive accomplishment not attributable to any individual’ (Hutchins 1996). Returning to our clinical story, we can see how the interaction between team members and the patient at the bedside was co-constructed to elicit an evolving history, the difference in blood pressure in each arm and the abnormal chest x-ray to a form a shared mental model of the most likely diagnosis of acute aortic dissection.

독자들이 자신의 보건 전문직 교육 맥락에서 상호작용을 통해 인지 과정이 어떻게 나타나는지 생각해 볼 것을 권장합니다. 몇 가지 다른 상호작용을 차례로 살펴보겠습니다. DCog는 문제 기반 학습(PBL), 사례 기반 학습(CBL), 팀 기반 학습(TBL)과 같은 학습 및 교수 활동 중에 학생들이 문제 또는 사례를 통해 임상적으로 추론하면서 학습하는 방식에 대한 이해를 높이는 데 사용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 소그룹 학습에서 학습자 간의 상호 작용을 통해 학습자의 임상적 추론이 어떻게 나타날까요?
  • 사용된 자극, 그룹의 규모, 학습자의 수준, 활동의 전문가 간 여부가 상호작용 패턴에 어떤 영향을 미칠까요?
  • 학습자의 임상적 추론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교수진과의 상호작용을 통해 어떻게 발전하나요?
  • 소그룹 학습 중 교수자의 촉진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학습자와의 상호 작용을 통해 어떻게 나타나나요?

인지 과정의 비선형성과 진단적 추론과 관리적 추론의 관계를 더 잘 이해하면 예를 들어 소그룹 교육에 대한 새로운 접근 방식의 교육 설계에 정보를 제공할 수 있습니다(Cook 외. 2018). 
We encourage readers to consider how cognitive processes emerge from interactions in their own health professions education context. Let’s look at some different interactions in turn. DCog could be used to improve our understanding of how students learn as they clinically reason through a problem or case during learning and teaching activities such as problem-based learning (PBL), cased based learning (CBL) and team-based learning (TBL). For example,

  • how does learners’ clinical reasoning emerge through interactions between each other in small group learning?
  • What influence does the stimulus used, the size of the group, the level of the learner and whether the activity is interprofessional have on the patterns of interactions?
  • How does learners’ clinical reasoning emerge through interactions with faculty over time?
  • How does faculty’s facilitation during small group learning emerge through interactions with the learners over time?

A greater understanding of non-linearity of cognitive processes and the relationship of diagnostic versus management reasoning could for example inform the instructional design of new approaches to small group teaching (Cook et al. 2018).

신조 5: 인지 과정은 상호 의존적이다.
Tenet 5: Cognitive processes are interdependent

다섯 번째 핵심 신조는 인지 과정도 상호 의존적이라는 것, 즉 작업을 완수하기 위해서는 서로 의존해야 한다는 것입니다(Durning and Artino 2011). 예를 들어, 미시적 수준의 분석으로 확대하면 인지 프로세스는 지식 구조라고도 하는 표현 상태의 생성, 변환 및 전파를 통해 실현됩니다(Simon 1981; Hutchins 1995). 즉, 조정된 외부 표상은 여러 모드(예: 시선에서 제스처, 음성, 필기 노트 등)로 시스템을 통해 흐릅니다. 허친스는 '픽스 플로팅이라는 비교적 단순하지만 중요한 조정 활동을 위해 일어나는 미디어 전반에 걸친 표상 상태의 세부적인 조정'을 설명합니다(Rogers 1997). 예를 들어, 픽스 플로팅은 다양한 표현 상태의 생성 및 변형으로 특징지어져 왔습니다(Rogers and Ellis 1994).

  • 배의 승무원으로 돌아가서, 한 명의 승무원(소지자)은 랜드마크의 이름과 설명을 기억(내부 표상)하는 동시에 알리다데를 사용하여 랜드마크를 특정 설정과 정렬(물질적으로 매개된 표상 상태의 조정)하는 랜드마크의 목격(외부 표상)과 조율해야 합니다.
  • 플롯을 고정하는 다음 단계는 소지자가 전화 회로를 통해 자신의 판독값을 조종실에 있는 다른 선박 승무원인 방위 타이머 기록자에게 보고하는 것입니다(사회적으로 분산되고 물질적으로 매개된 표상 상태의 조정).
  • 그런 다음 방위 타이머 기록자는 보고된 방위를 방위 일지에 기록합니다(물질적으로 매개된 표상 상태의 조정).
  • 그런 다음 이 정보가 다음의 두 가지 중 하나의 방식으로 다른 선박 승무원인 플로터에게 전파되고 플로터는 다양한 도구를 사용하여 종이 항해도에 이 정보를 플로팅합니다(물질적으로 매개된 표상 상태의 조정).
    • 방위 타이머 기록자가 구두로 정보를 전달하거나(사회적으로 분산된 표상 상태의 조정)
    • 종이 일지를 읽는(다시 내부 및 외부 표상 상태의 조정) 플로터에 의해 

A fifth central tenet is that DCog suggests that cognitive processes are also interdependent – in other words, they must rely on each other to get the job done (Durning and Artino 2011). For example, zooming in to a micro-level of analysis, cognitive processes are realized through the creation, transformation, and propagation of representational states, also known as knowledge structures (Simon 1981; Hutchins 1995). In other words, coordinated external representations flow through the system in multiple modes (for example, gazes to gestures to speech to writing notes). Hutchins describes the ‘detailed coordination of representational states across media that take place for the relatively simple, but critical coordinating activity of plotting a fix’ (Rogers 1997). For example, plotting a fix has been characterized as the creation and transformation of various representational states (Rogers and Ellis 1994).

  • Returning to our ship crew, one member – the bearer – must remember (internal representation) the name and description of the landmark while coordinating with the sighting (external representation) of the landmark using the alidade to line up the landmark with a particular setting (materially mediated coordination of representational states).
  • The next stage of fixing a plot involves the bearer reporting his readings over a telephone circuit to another ship crew member – the bearing timer-recorder – who is located in the pilothouse (socially distributed and materially-mediated coordination of representational states).
  • The bearing timer recorder then writes the reported bearings in a bearings logbook (materially mediated coordination of representational states).
  • This information is then propagated to another ship crew member – the plotter – either
    • by the bearing timer-recorder verbally communicating the information (socially distributed coordination of representational states) or
    • by the plotter reading from a paper logbook (again coordination of internal and external representational states) who then plots this information on a paper navigational chart by using various instruments (materially mediated coordination of representational states).

임상 사례로 돌아가서, 표상은 여러 가지 특성을 가질 수 있는데, 관심 있는 시스템에서 여러 사회적 행위자가 서로 엮고 공동 구성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시간과 공간을 통한 접근성, 영속성 및 안정성에 따라 입증될 수 있습니다(Pimmer 외. 2013; Boyle 외. 2021). 예를 들어, 다음을 들 수 있습니다.

  • 레지던트 간의 잊혀지기 쉬운 인수인계,
  • 초기에 잘못 배치된 병상 관찰 기록,
  • 중요한 흉부 엑스레이 이상을 검토하기 위한 전자 건강 기록에 대한 지연된 액세스

Returning to our clinical story, representations can have several characteristics – they can be interwoven and co-constructed by multiple social actors in the system of interest, as well as substantiated depending on their accessibility, permanence and stability through time and space (Pimmer et al. 2013; Boyle et al. 2021). For example,

  • the ephemeral dyadic handoff between residents,
  • the initially misplaced bedside observation notes, and
  • the delayed access to the electronic health record to review the pivotal chest x-ray abnormality.

공간과 시간을 통한 일련의 표현 상태는 관심 있는 시스템이 목표를 달성하는지 여부(예: 배가 정확한 시간에 항구에 도착하는지 또는 의료팀이 주드 씨에 대한 정확한 진단을 제시간에 내리는지 등)를 밝혀 생명을 구하는 치료의 메커니즘을 밝혀낼 수 있는 잠재력을 가지고 있습니다. 허친스는 '...이 계산 시스템의 속성은 [개별 행위자의 인지적 속성]만큼이나 [표상 매체의 특성과 표상 간의 상호 연결 패턴]에 의해 결정됩니다...'(Hutchins 1992)라고 주장합니다. 
The sequence of representational states through space and time has the potential to shine a light on the mechanism(s) by which the system of interest achieves a goal or not – for example if the ship reaches the harbour at the correct time or if the team reaches the correct diagnosis for Mr Jude in time – in this case for life-saving treatment. Hutchins purports that the ‘…properties of this computational system are determined as much by the nature of the representational media and the pattern of interconnection among representations as they are by the cognitive properties of the individual actors…’ (Hutchins 1992).

독자들이 자신의 보건 전문직 교육 맥락에서 인지 과정이 표상 상태를 통해 어떻게 상호 의존적으로 실현되는지 생각해 볼 것을 권장합니다. Pimmer 등은 이미 직장 학습에 대한 설득력 있는 설명을 제공했으므로 임상 추론을 위한 시뮬레이션 교육이라는 또 다른 예를 고려해 보겠습니다(Pimmer 등, 2013; Rybing 등, 2016; Rybing 2018). 시뮬레이션 시나리오의 설계는 학습자 또는 학습자 그룹이 몰입하는 동안 임상 추론에 어떤 영향을 미칠까요? 병동 또는 수술실의 예와 마찬가지로 시뮬레이션실작은 시스템으로 개념화할 수 있습니다. 콘텐츠와 충실도에 대한 설계 선택은 시스템 내에서 생성되는 표현 상태와 시간이 지남에 따라 변형 및 전파되는 방식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 시나리오에서 심맨 또는 시뮬레이션 환자를 사용하며 두 가지 모두 임상적 추론을 위한 정보 수집을 동일한 방식으로 용이하게 하나요?
  • 인계가 음성으로 이루어지나요, 수기로 이루어지나요, 아니면 둘 다 이루어지나요?
  • 시뮬레이션 룸에 전자 건강 기록이 있으며 학습자에게 이에 대한 안내가 제공됩니까?
  • 또 다른 중요한 고려 사항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시뮬레이션에 어떤 변화가 발생합니까?

We encourage readers to consider how cognitive processes are interdependently realized through representational states in their own health professions education context. Pimmer et al. have already provided a compelling account in workplace learning so let’s consider another example, simulation education for clinical reasoning (Pimmer et al. 2013; Rybing et al. 2016; Rybing 2018). How does the design of a simulation scenario influence a learner or group of learners’ clinical reasoning during immersion? Just like the examples of a ward or operating theatre, a simulation room can be conceptualized as a small system. Design choices around content and fidelity have the potential to greatly influence which representational states are created within the system and how they are then transformed and propagated over time. For example,

  • does the scenario use a Sim Man or a simulated patient and do both facilitate information gathering for clinical reasoning in the same way?
  • Is the handover spoken or handwritten or both?
  • Is there an electronic health record present in the simulation room and are the learners signposted to it?
  • Another important consideration is what changes to the simulation occur over time?

예를 들어, 시뮬레이션된 환자의 스크립트 및 심박수, 혈압, 몰입 중 학습자의 대리인 등 생체 의학적 관찰에 대한 변화는 시스템 내에서 임상적 추론에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매우 높습니다. 교수자가 주도하는 학습자 디브리핑 중에 인지 과정이 표상 상태를 통해 상호 의존적으로 실현되는 방식, 예를 들어 시뮬레이션에서 어떤 클립과 임상 추론 요소에 집중하기로 선택하는지 등을 고려하기 위해 시뮬레이션 제품군의 시스템으로 시간을 더 확대할 수 있습니다(Dreifuerst 2012).
For example, the scripts of the simulated patient(s) and changes to biomedical observations such as heart rate, blood pressure and the agency of the learner(s) during immersion are very likely to influence clinical reasoning within the system. We can zoom out further to the system of the simulation suite through time to consider how cognitive processes are interdependently realized through representational states during faculty led learner debrief and, for example, on what clips and elements of clinical reasoning in the simulation they choose to focus (Dreifuerst 2012).

신조 6: 사회적 조직은 인지적 아키텍처이다.
Tenet 6: Social organization is a cognitive architecture

여섯 번째 핵심 교리는 거시적 분석 수준에서 확대할 때 인지 과정은 관심 시스템의 인지 구조를 반영하는 사회적 조직에 의해 크게 영향을 받는다는 것입니다. Hollan 등(2000)은 다음을 고려할 것을 권장합니다. 

  • '우리가 일반적으로 개인의 마음과 연관 짓는 인지 과정이 개인들의 집단에서 어떻게 구현되는지,
  • 집단의 인지 특성은 그 집단에서 행동하는 사람들의 인지 특성과 어떻게 다른지,
  • 집단 활동에 참여함으로써 개인의 마음의 인지 특성이 어떻게 영향을 받는지'

A sixth central tenet is that when zooming out at a macro-level of analysis, cognitive processes are heavily influenced by social organization which reflects a form cognitive architecture in the system of interest. Hollan et al. (2000) encourages us to consider ‘

  • how are the cognitive processes we normally associate with an individual mind implemented in a group of individuals,
  • how do the cognitive properties of groups differ from the cognitive properties of the people who act in those groups, and
  • how are the cognitive properties of individual minds affected by participation in group activities?’

한 가지 예로 관심 체계 내의 사회 및 목표 구조의 결과를 들 수 있습니다. 사회 조직은 항상 무작위적인 것은 아니며, 위계질서와 목표에 따라 구체화된 사회 행위자의 행동에 영향을 받을 수 있습니다.

  • 예를 들어, 미국 해군 함정 USS 팔라우에서 해군 계급 계층의 역할과 책임을 생각해 보세요. 이 예에서 일부 승무원은 항해 팀의 목표가 달성되었는지 여부에 대해 상급 계급(예: 주임원사)이 판단할 때만 작업을 중단할 수 있습니다.
  • 임상 사례로 돌아가서, 간호사 John이 환자의 임상 상태가 악화되고 있다고 팀에 업데이트했을 때 주치의 George가 전자 건강 기록에 충분한 시간을 보냈다고 판단하는 경우를 예로 들 수 있습니다. 

An example is the consequence of social and goal structure within the system of interest. The social organization is not always random and may be influenced by the behaviour of the embodied social actors due to hierarchy gradients and goals.

  • For example, consider the roles and responsibilities of the hierarchy of the naval rank on the U.S. naval vessel USS Palau. In this example, some ship crew members can only stop when their superior rank – for example the quartermaster – determines that the goals of the navigation team have been met or not.
  • Returning to our clinical story, an example would be George the attending deciding that the team had spent enough time with the electronic heath record when John the nurse updated the team that the patient’s clinical status was deteriorating.

이러한 형태의 위계 구조 내에서 목표는 선박 승무원 또는 임상 팀원 간에 중복되는 책임이 있는 선박 또는 임상 환경을 통해 필터링됩니다. 순차적으로, 병렬적으로 또는 협력적으로 일하는 선박 승무원 또는 임상 팀원 간의 지식도 각 개인의 '환경 증거에 대한 접근성', '초기 활성화 패턴 또는 성향', 직면한 현상에 대한 고유한 '스키마'로 인해 중복되거나 잉여되는 등 가변적입니다(Hutchins 1996). 따라서 선박의 승무원과 임상 팀원은 '서로 다른 종류의 지식을 보유할 가능성이 높으므로 다양한 자원을 모아 임무를 완수할 수 있는 상호작용에 참여할 것'입니다(Rogers 1997).

  • 예를 들어 레지던트 폴라는 인수인계에 대한 지식을 가지고 있고 약사 리차드는 약과 처방전을 조정했습니다. 

Within this form of hierarchy, goals filter down through the ship or clinical setting with overlapping responsibility between ship crew members or clinical team members. Knowledge between ship crew or clinical team members, working sequentially, in parallel or collaboratively, is also variable – both overlapping and redundant due to each individual’s ‘access to environmental evidence’, ‘initial pattern of activation or predispositions’ and idiosyncratic ‘schemata’ for the phenomenon encountered (Hutchins 1996). Crew members on a ship and clinical team members are therefore ‘likely to possess different kinds of knowledge and so will engage in interactions that will allow them to pool the various resources to accomplish their tasks’ (Rogers 1997).

  • For example, Paula the resident had knowledge of the handover and Richard the pharmacist has reconciled the medicines and prescription.

개방적인 상호 작용을 통해 업무 지식 공유를 촉진할 수 있습니다. 

  • - 예를 들어 플로터와 방위 타이머 레코더 간의 상호 작용은 분대장에게 공개되었고, 간호사 John은 주드 씨의 상태가 악화되고 있음을 팀원들에게 공개적으로 강조했습니다. 

개방형 도구를 통해 업무 지식 공유를 촉진할 수도 있습니다. 

  • - 예를 들어 내비게이션 차트의 디자인은 '위치와 동작을 명시적으로 그래픽으로 묘사한 것으로, 솔루션의 특정 측면을 쉽게 확인할 수 있습니다'(Hutchins 1996). 
  • 마찬가지로 전자 혈압계의 디스플레이는 말을 주고받을 필요 없이 팀원들의 즉각적인 조치를 이끌어 냈습니다.

궁극적으로 시스템은 전반적인 목표를 달성할 수 있습니다.

  • - 예를 들어 승무원과 함께 선박을 성공적으로 운항하거나 임상 팀원 모두가 각자의 하위 업무에 집중하여 환자를 진단할 수 있습니다(Hutchins 1995).

Shared task knowledge can be facilitated by open interactions 

  • – for example the interaction between the plotter and bearing timer-recorder was visible to the quartermaster, whilst John the nurse openly highlighted to the team that Mr Jude was deteriorating.

Shared task knowledge can also be facilitated by open tools 

  • – for example the design of the navigation chart ‘is an explicit graphical depiction of the position and motion, it easy to see certain aspects of solutions’ (Hutchins 1996). Similarly, the display on the electronic blood pressure monitor led to immediate action from team members without the need for an exchange of words.

Ultimately, the system can get the overall goal completed

  • – for example successful ship navigation with crew members or patient diagnosis with clinical team members who are all concerned about their local sub-tasks (Hutchins 1995).

독자들이 자신의 보건 전문직 교육 맥락에서 인지 아키텍처를 반영하는 사회 조직에 의해 인지 과정이 어떻게 영향을 받는지 고려해 보시기를 권장합니다. 또 다른 예로 의과대학에서 종단적 임상 추론 커리큘럼을 구현한 사례를 살펴봅시다(Kononowicz 외. 2020; Sudacka 외. 2021). 최근의 연구는 개념, 시간, 동기 부여, 인프라, 교육, 평가, 문화 등 여러 가지 인식된 장벽으로 인해 이러한 실행의 시급한 필요성과 잠재적 어려움을 모두 강조했습니다. 저자들은 이러한 장벽을 복잡하고 상호 연결된 것으로 분류하고 '상황을 악화시키는 상호 인과적 사슬'의 가능성을 제기하며 '수집된 인사이트'가 이를 극복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고 주장합니다(Sudacka 외. 2021).

  • DCog 렌즈가 보건 전문직 교육에서 이 문제에 빛을 비출 수 있을까요?
    • 예를 들어, DCog 렌즈를 통해 종단적 임상 추론 커리큘럼을 하나의 시스템으로 볼 수 있을까요?
    • 그렇다면 또 다른 질문은 사회 조직이 시스템 내에서 그러한 문제의 인지적 구조를 어떻게 반영할 수 있을까요?
    • 그렇다면 DCog는 이 분야에 대한 추가 연구에 정보를 제공할 수 있습니다. 

We encourage readers to consider how cognitive processes are influenced by social organization which reflects a cognitive architecture in their own health professions education context. Let look at another example: the implementation of a longitudinal clinical reasoning curriculum in a medical school (Kononowicz et al. 2020; Sudacka et al. 2021). Recent work has highlighted both the urgent need and potential difficulty of such implementation with several perceived barriers including concept, time, motivation, infrastructure, teaching, assessment, and culture. The authors label the barriers as complex and interconnected and posit the possibility of ‘reciprocal causal chains that aggravate the situation’ and that ‘collected insights’ may help overcome (Sudacka et al. 2021).

  • Could a DCog lens shine a light on this problem with health professions education?
    • For example, through a DCog lens, can the longitudinal clinical reasoning curriculum can be viewed as a system?
    • If so, another question would be how social organization might reflect the cognitive architecture of such a problem within the system?
    • If so, DCog could inform further research in this area.

신조 7: 노동의 분업
Tenet 7: Division of labour

일곱 번째 핵심 신조이자 사회 조직과 관련된 신조는 분업의 개념입니다. 사회적 행위자 그룹은 한정된 에너지 예산을 가지고 있으며, 그 아웃풋은 사회 조직이 구조화된 환경을 최대한 활용할 수 있는 효율성에 따라 달라집니다. Hutchins(1996)는 모든 분업(물리적 분업이든 인지적 분업이든)은 활동을 조정하기 위해 분산된 인지적 프로세스를 필요로 한다고 주장합니다. 허친스(1996)는 두 가지 유형의 인지 노동을 설명합니다.

  • 첫 번째 유형은 과제 그 자체인 인지입니다. DCog에서 인지가 분산되어 있기 때문에 과제는 종종 다른 개인 및 공유 지식을 가진 사회적 행위자에게 분해됩니다. 예를 들어, 인턴 린다와 레지던트 폴라는 주드 씨로부터 급성 대동맥 박리의 전형적인 병력을 듣고 각각 가설에 기반하여 흉부 엑스레이를 검토하고 긴급한 정맥주사를 맞으러 갑니다. 다시 말하지만, 다양한 관점에서 정보와 업무 지식에 대한 공유 액세스는 허친스가 관찰의 지평이라고 설명한 것(다른 팀원들에 대해 가시적인 것), 즉 배 갑판에서 다른 승무원이 무엇을 하고 있는지에 대한 상황 인식과 같은 것이다. 허친스는 '일관성이 있지만 차선책인' 해석을 하는 것이 해석이 없는 것보다 낫다고 주장했습니다(Hutchins 1996).
  • 두 번째 유형의 인지 노동은 작업의 요소들을 조정하는 데 전념하는 인지입니다. Hollan 등(2000)은 '조정을 유지하는 데는 노력이 필요하며, 사람들은 가능할 때마다 인지적 노력을 환경으로 오프로드한다'며 '사회 조직에는 인지적 부하 균형의 역학이 개선되어 있다'고 제안합니다. 따라서 분업은 사회적 행위자의 행동을 예측하고, 서로의 성과를 모니터링하며, 오류를 감지하는 데 매우 중요할 수 있습니다. 

A seventh central tenet – and related to social organization – is the concept of the division of labour. A group of social actors have a finite budget of energy, and the output depends on the efficiency with which the social organization can make the most of the structured environment. Hutchins (1996) asserts that all divisions of labour (whether physical or cognitive) require distributed cognitive processes in order to coordinate activities. Hutchins (1996) describes two types of cognitive labour.

  • The first type is the cognition that is the task. As cognition is decentralized in DCog, tasks are often decomposed to social actors with different individual and shared knowledge. For example, Linda the intern and Paula the resident hearing the typical history of acute aortic dissection from Mr Jude and going to review the chest x-ray in a hypothesis driven way and gain urgent intravenous access respectively. Again, shared access to information and task knowledge from multiple perspectives can facilitate expectations to occur in what Hutchins described as horizons of observation – or what is visible to different members of the team – for example situation awareness of what other crew members are up to on a ship deck. Hutchins has argued that having ‘a coherent but suboptimal’ interpretation is better than having none (Hutchins 1996).
  • A second type of cognitive labour is the cognition dedicated to the coordination of the elements of the task. Hollan et al. (2000) suggest that it ‘takes effort to maintain coordination – people off-load cognitive effort to the environment whenever practical’ and that ‘there are improved dynamics of cognitive load-balancing available in social organisation’. The division of labour might therefore be critical to the anticipation of social actors’ actions, how they monitor each other’s performance and to detection of error.

오류 감지는 시스템에 견고성을 부여하며, 허친스(1996)는 이를 아한 분해라고 설명합니다. 우아한 분해는 선박 운항과 관련된 선원들의 공유된 정보와 중복되는 지식, 업무 책임, 역량에 의해 제공되는 시스템 내의 '유연 조직'으로 설명되었습니다. 우아한 분해는 개선된 표현 상태의 전파를 보장하기 위해 지속적인 분업을 동적으로 재구성할 수 있는 능력입니다. 

  • 예를 들어, 승무원이나 임상 팀원 한 명이 혼자서 선박을 항해하거나 병동 또는 병원 환자를 모두 진단하거나 관리할 수는 없으며, 시스템의 성공은 상호 의존적인 상호 작용과 그에 따른 조정에 달려 있습니다. 

Error detection creates robustness in the system, which Hutchins (1996) describes as the property of graceful degradation. Graceful degradation has been described as a ‘flexible tissue’ within the system afforded by shared information and overlapping knowledge, task responsibility, competency within the crew members involved in ship navigation. Graceful degradation is the ability to dynamically reconfigure their ongoing division of labour to ensure the propagation of an improved representational state.

  • For example, no one crew member or clinical team member can navigate a ship or diagnose or manage all the ward or hospital patients on their own – system success lies in the interdependent interactions and the resultant coordination.

오류 감지 학습의 기회도 제공합니다(Seifert와 Hutchins 1992). 허친스는 수정 계획을 세우는 조정된 활동이 어떻게 함정 승무원에게 구조화된 경험을 제공하여 보다 일반적으로 절차 및 해군의 문화적 관행에 대한 개별 학습을 가능하게 하는지에 대해 설명합니다. 허친스(1995)가 언급했듯이: 

  • '...이 환경에서 대부분의 학습은 실행 과정에서 이루어지기 때문에 외부 미디어와 조정할 수 있도록 내부 미디어를 변경하는 것은 미디어를 서로 조정하는 것과 동일한 프로세스에서 발생합니다. 이 과정에서 발생하는 분기장의 기술과 지식의 변화는 그 과정의 정신적 잔재입니다. 

임상 스토리에서 의대생 올리비아는 임상 추론의 과정과 결과를 통해 팀에 참여하여 학습하고 있으며, 시간이 지남에 따라 실무 진단과 관리가 심장 허혈에서 급성 대동맥 박리로 빠르게 변화하고 있습니다.

Error detection also provides an opportunity for learning (Seifert and Hutchins 1992). Hutchins describes how the coordinated activities of plotting a fix provide a structured experience for the ship crew members, enabling more generally individual learning of procedures and the cultural practices of the navy. As noted by Hutchins (1995):

  • ‘…since most learning in this setting happens in the doing, the changes to internal media that permit them to be coordinated with external media happen in the same processes that bring the media into coordination with one another. The changes to the quartermaster’s skills and the knowledge produced by this process are the mental residua of the process’.

In our clinical story, Olivia the medical student is learning through participation in the team working through the process and outcome of clinical reasoning, with the working diagnosis and management quickly changing through time away from cardiac ischaemia and toward acute aortic dissection.

독자들이 자신의 의료 전문직 교육 맥락에서 인지 과정이 분업의 영향을 어떻게 받는지 생각해 보시기 바랍니다. 이전의 두 가지 예, 즉 임상 추론에 대한 평가와 시뮬레이션 교육으로 간단히 돌아가 보겠습니다. DCog는 특정 시스템 내에서 다양한 관점에서 개별 임상 추론 수행에 대한 유효하고 신뢰할 수 있는 형성 및 종합 평가의 개발에도 정보를 제공할 수 있습니다.

  • 기존 평가의 예로는 여러 교수진의 직접 관찰 및 피드백 또는 360도 피드백 도구와 같은 서술형 보고서가 포함된 평가가 있습니다. 각 평가자의 관찰 범위는 다르지만 중복될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평가자의 인식 차이를 설명할 수 있으며, 시간이 지남에 따라 교수진 내에서 평가 과제가 어떻게 분해되었는지를 통해 이러한 평가의 유용성을 개선할 수 있는 잠재력을 가지고 있습니다.
  • 우리는 이미 시뮬레이션 교육 설계에서 개방형 도구 및 인공물(예: 전자 건강 기록)의 형태로 관찰의 지평이 갖는 역할에 대해 언급했습니다. 예를 들어 진단 제안이나 부정확한 진단 라벨의 전달과 같이 시뮬레이션 시나리오 또는 가상 환자 사례인 시스템에 오류를 삽입하는 것은 특히 시스템이 점진적인 저하 요소로 설계된 경우 안전한 환경에서 학습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할 수 있습니다(Quail and Boyle 2019).

We encourage readers to consider how cognitive processes are influenced by the division of labour in their own health professions education context. Let us briefly return to two previous examples: assessment of, and simulation education for, clinical reasoning. DCog could also inform the development of valid and reliable formative and summative assessments of individual clinical reasoning performance from multiple perspectives within a specific system.

  • Examples of existing assessments include direct observation and feedback from multiple faculty or ratings with narrative reports such 360-degree feedback tools. The different but likely overlapping horizons of observation of each assessor may explain differences in assessment rater cognition and has the potential to improve the utility of such assessment through time, potentially through how assessment tasks were decomposed within faculty.
  • We already alluded to the role of the horizon of observation in the form of open tools and artifacts (e.g. electronic health record) in the design of simulation education. Inserting error into the system that is a simulation scenario or virtual patient case, for example in the form of diagnostic suggestion or the handover of an inaccurate diagnostic label, is likely to present an opportunity for learning in a safe environment, particularly if the system is also designed with elements of graceful degradation (Quail and Boyle 2019).

신조 8: 사회 조직은 커뮤니케이션 시스템이다
Tenet 8: Social organization is a system of communication

여덟 번째 핵심 신조는 다시 사회 조직에 대한 미시적 수준의 분석으로 확대하여 공식적이든 비공식적이든 커뮤니케이션 시스템의 결과관심 시스템을 통해 정보와 지식의 흐름 패턴을 어떻게 알려주는지에 대한 것입니다. 커뮤니케이션 시스템은 다음에 의해 결정되고 결정될 수 있습니다(Hutchins 1996).

  • '누가 누구와 이야기하는지',
  • '무엇을 이야기하는지',
  • '언제 이야기하는지',
  • '얼마나 설득력이 있는지',
  • '어디에서 이야기하는지'

An eighth central tenet, again zooming into a micro-level of analysis of social organization is how the resultant system of communication, both formal and informal, informs patterns in the flow of information and knowledge though the system of interest. The system of communication may determine and be determined by

  • ‘who talks to whom’,
  • ‘what they talk about’,
  • ‘when they talk about it’,
  • ‘how persuasive they are’ and
  • ‘where they talk about it’ (Hutchins 1996).

중요한 것은 사회적 행위자들 간에 정보에 대한 접근을 공유하고 과제 지식을 공유하면 '조정된 행동의 기초에서 기대의 조정이 차례로 나타날 수 있다'는 것입니다. 예를 들어, '명시적으로 묻거나 말하지 않고 누군가를 쳐다보며 자신이 무언가를 할 차례라는 신호를 보낼 때'(Rogers 1997) 발생하는 주관적 의사소통을 들 수 있습니다. 정보와 지식에 대한 공유된 액세스가 없으면 시스템이 조정을 유지하기가 매우 어려워 분산된 행동으로 인해 부정확하거나 잘못된 타이밍에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에 대한 예로 항공업계의 업무를 들 수 있습니다.

  • Rogers와 Ellis(1994)는 비행기를 조종하는 기장과 부기장(F/O)의 몇 초 분량의 비디오를 자세히 분석하여 다음과 같이 이야기합니다. Hutchins와 Klausen(1997)은 수행되어야 할 일상적인 행동에 대한 기대치가 위반되었을 때 어떤 일이 발생하는지 설명합니다. 항공교통관제센터로부터 메시지를 받은 부기장은 일반적인 절차에 따라 기장이 무언가를 말하기를 기대합니다. 기장이 그렇게 하지 않으면 부기장은 어떻게 해야 할지 모릅니다. 그는 기장을 힐끗 쳐다보는 것으로 반응합니다.
  • 진화하는 임상 스토리에서 이러한 유형의 주관적 의사소통을 보여주는 몇 가지 예가 있는데, 특히 인턴 린다와 주치의 조지 사이의 침대 옆에서 고개를 끄덕이는 장면이 가장 대표적입니다.

Importantly, having shared access to information and shared task knowledge among social actors enables ‘the coordination of expectations to emerge in turn from the basis of coordinated action’. For example, the intersubjective communication that occurs when ‘glancing at someone to signal it is their turn to do something rather than explicitly asking or telling them’ (Rogers 1997). Without shared access to information and knowledge, it would be very challenging for the system to maintain coordination, leading to issues with distributed actions – incorrect or at the wrong time. An example of this is the body of work in aviation.

  • Rogers and Ellis (1994) recount ‘in a detailed analysis of a few seconds of video of a captain and a first officer (F/O) flying a plane Hutchins and Klausen (1997) describe what happens when an expectation about a routine action that should have been carried out is violated. Having received a message from Air Traffic Control the F/O expects, as is normal procedure, the captain to say something. When the captain fails to do so the F/O is uncertain what to do. He reacts by glancing at the captain.’
  • There are several examples of this type of intersubjective communication in our evolving clinical story, most notably the nods at the bedside between Linda the intern and George the attending.


독자들이 자신의 의료 전문직 교육 맥락에서 사회적 조직과 그에 따른 시스템 내 인지 과정이 커뮤니케이션 시스템에 어떻게 영향을 받는지 생각해 보시기 바랍니다. 한 가지 예로 팀 맥락에서 의사소통 기술을 가르치고 그 결과 임상적 추론을 위한 정보를 수집하는 것을 들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소그룹 교육을 위한 자극으로 실제 진단 팀의 시뮬레이션 시나리오에 대한 DCog 정보에 기반한 마이크로 분석을 포함할 수 있습니다. 또 다른 예로는 시스템 간에 시간이 지남에 따라 통신이 발생할 때 DCog 기반의 거시적 분석을 위해 시스템을 줌아웃하는 것입니다. 

  • 예를 들어, 한 환자가 아티팩트로 지원되고 때로는 다양한 형태의 원격 진단을 포함하는 여러 치료 팀을 만납니다(Wilson 외. 2020; Boyle 외. 2021).
    • 지역사회와 병원 간 인터페이스 또는 서로 다른 지리적 위치에 있는 전문가 팀 간의 시간 경과에 따른 커뮤니케이션을 통해 서면 의료 기록, 이메일, 의뢰서 및 퇴원서 내의 임상적 추론에 대한 정보를 분석하면 임상적 추론의 교육 및 평가에 정보를 제공할 수 있습니다.
    • 병원 환경의 수술실과 종양위원회 또는 커뮤니티 케어의 다학제 팀 회의와 같은 다른 맥락에서는 각각 인지 아키텍처에 정보를 제공하는 커뮤니케이션 시스템을 갖추고 있을 가능성이 높으며, 임상 추론을 위한 교육을 구성하는 방법을 배울 수 있는 기회가 될 수 있습니다.
  • 임상 추론 평가 영역에서 한 단계 더 나아갈 수 있는 방법은 OSCE 스테이션에서 시뮬레이션 역할의 수를 늘리는 것입니다(예: 병력 청취 시 시뮬레이션 환자와 시뮬레이션 친척이 함께 있거나, 인수인계 시 두 명의 시뮬레이션 임상의가 함께 있음). 교육 또는 형성적 팀 평가를 위해 시뮬레이션 환경에서 정보에 입각한 작업을 DCog로 복귀하는 것도 커뮤니케이션 시스템을 통해 향상될 수 있습니다.

We encourage readers to consider how social organization and the resultant cognitive processes within a system are influenced by the system of communication in their own health professions education context. One example would be in teaching of communication skills in the context of teams and the resultant information gathering for clinical reasoning. For example, this could involve a DCog informed micro-analysis of simulated scenarios of a diagnostic team in action as a stimulus for small group teaching. Another example would be to zoom out for a DCog informed macro-analysis of a system when communication occurs through time between systems.

  • For example, a patient meets several care teams supported by artifacts and sometimes involving various forms of telediagnosis (Wilson et al. 2020; Boyle et al. 2021).
    • DCog informed analysis of clinical reasoning within written medical notes, emails, referral and discharge letters across community and hospital interfaces or communication over time between specialist teams in different geographical locations could inform both the teaching and assessment of clinical reasoning.
    • Different contexts such as operating theatres and tumor boards in a hospital setting or a multi-disciplinary team meeting in community care are likely to each have systems of communication that inform the cognitive architecture, with opportunities for learning how we structure teaching for clinical reasoning.
  • One further step in the area of assessment of clinical reasoning would be to increase the number of simulated roles in an OSCE station (e.g. the presence of a simulated patient with a simulated relative when taking a history, or two simulated clinicians in a handover). Returning to DCog informed work in the simulated setting for education or formative team assessment could also be enhanced by the system of communication.

신조 9: 버퍼링과 필터링
Tenet 9: Buffering and filtering

아홉 번째 핵심 원칙은 버퍼링과 필터링이 정보의 흐름과 관심 있는 시스템의 정보 및 지식 패턴에 정보를 제공하는 두 가지 잠재적 방법이라는 것입니다. 버퍼'병렬로 실행되는 프로세스의 파괴적인 간섭'을 방지하기 위해 '시스템의 한 부분에서 다른 부분으로 통제되지 않은 전파를 방지'할 수 있습니다. 버퍼링의 개념은 Perrow(1984)가 느슨한 결합이라고 설명한 것에 기인합니다. 느슨하게 결합된 시스템에서는 '사전에 계획하지 않았더라도 즉흥적이고 순간적인 버퍼링, 중복 및 대체가 발견될 가능성이 더 높다'는 것입니다.

  • 예를 들어, 방위 일지를 사용하는 방위 시간 기록기의 버퍼링 활동은 플로터가 다른 선박 승무원인 펠로러스 운영자와 통신할 수 있도록 '시스템에 여유를 도입'합니다.
  • 임상 사례에서 인턴 린다(Linda)는 조지가 급성 대동맥 박리의 전형적인 병력을 이끌어낼 때까지 기다렸다가 흉부 엑스레이의 우려스러운 소견을 공유합니다. 

A ninth central tenet is that buffering, and filtering are two further potential ways the flow of information and the pattern of information and knowledge in the system of interest is informed. Buffers may ‘prevent uncontrolled propagation from one part of the system to another’ to prevent ‘destructive interference in processes running in parallel’. The concept of buffering has been attributed to what Perrow (1984) described as loose coupling. In loosely coupled systems ‘there is a better chance that expedient, spur of the moment buffers, and redundancies and substitutions can be found, even though they were not planned ahead of time’.

  • For example, the buffering activity of the bearing-time recorder using the bearing logbook ‘introduces slack into the system’ to allow the plotter to communicate with another ship crew member – the pelorus operator.
  • In our clinical story, Linda the intern waits until George has elicited the typical history of acute aortic dissection before sharing the concerning findings on the chest x-ray.

베어링 타이머 레코더는 또한 베어링을 플로터로 전달할 때 '생산의 시간적 특성을 전달하지 않고' 필터링을 사용합니다. 필터링수신기의 '통신에 필요한 대역폭'과 '처리 요구'를 줄일 수 있지만(예: 베어링 시간 기록기로부터 짧은 전화 통화를 수신하는 플로터), 임상 상황에서는 '프로세스의 어떤 것도 정상적으로 전달되지 않기 때문에' 진단에 오류가 발생할 가능성이 더 커질 수 있습니다(Hutchins 1996). 임상 사례에서 필터링의 한 예로 야간 레지던트가 추론에 대한 정당화 없이 작업 진단을 내린 경우를 들 수 있습니다. Rogers는 '기능 시스템에서 발생하는 프로세스, 속성 및 고장을 식별함으로써 활동의 역동적 측면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고 강조합니다(Rogers 2006). 예를 들어, 커뮤니케이션 시스템을 미시적으로 분석하면 '정상적인 사고'를 유발하는 '사소한 주방 사고'와 같은 오류의 '임신' 순간을 밝혀낼 수 있습니다(Perrow 1984).
The bearing timer-recorder will also use filtering when passing the bearing to the plotter ‘without passing the temporal characteristics of their production’. Filtering can reduce the ‘bandwidth required for communication’ and ‘processing demands’ of the receiver – for example the plotter receiving a short telephone call from the bearing time-recorder – but in a clinical context can make it more likely to make errors in diagnosis as ‘nothing of the process is normally communicated’ (Hutchins 1996). An example of filtering in our clinical story is when the night resident handed off the working diagnosis without any justification of their reasoning. Rogers reinforces that by ‘identifying the processes, properties and breakdowns that occur in functional systems, the focus is very much on the dynamic aspects of activity’ (Rogers 2006). For example, micro-level analysis of the system of communication can reveal ‘pregnant’ moments’ in error such as the ‘trivial kitchen mishaps’ that give rise to ‘normal accidents’ (Perrow 1984).

독자들이 자신의 보건 전문직 교육 맥락에서 시스템 내의 인지 과정이 버퍼링 및 필터링과 같은 개념에 어떻게 영향을 받는지 생각해 볼 것을 권장합니다. 한 가지 예로 인적 요인(예: 상황 인식), 진단 오류 및 환자 안전(예: 조기 종결 및 시스템 요인)이 임상 추론 과정과 결과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 가르치는 것이 있습니다(Graber 외. 2005; Fioratou 외. 2010; Singh 외. 2012; Boyle 외. 2020).

  • 임상 사례에서 알 수 있듯이 임상 환경은 의료 서비스 제공뿐만 아니라 의료 전문직 교육이 이루어지기에도 지저분합니다. 예를 들어, 응급실에서는 환자가 내과로 이동하는 임상 추론 과정에서 여러 차례의 핸드오버를 통해 진료가 중단되거나 전환되는 경우가 많습니다(Bowen 외. 2018; Chan 외. 2018).

버퍼링 및 필터링과 같은 개념이 학습과 성과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통찰력을 얻고 시간이 지남에 따라 임상 추론의 교육 및 평가에 정보를 제공하려면 다른 곳에서 제안한 것처럼 이중 프로세스 또는 인지 부하와 같은 미시 이론과 DCog를 결합해야 할 수 있습니다(Boyle 외. 2022; Daniel 외. 2021). 실제로 다른 연구자들이 강조했듯이, 의료 전문가 교육에서 DCog에 기반한 작업을 통해 치료의 질을 개선할 수 있는 가시적인 가능성이 있습니다(Hazlehurst 2015).

We encourage readers to consider how cognitive processes within a system are influenced by concepts like buffering and filtering in their own health professions education context. One example would be teaching how human factors (e.g. situation awareness), diagnostic error and patient safety (e.g. premature closure and system factors) influence the clinical reasoning process and outcome (Graber et al. 2005; Fioratou et al. 2010; Singh et al. 2012; Boyle et al. 2020).

  • As our clinical story highlights, the clinical setting is not only messy for healthcare delivery but also for health professions education to occur. For example, there is often multiplicity and time pressure in the emergency department and then discontinuity and transitions of care through multiple handovers during the clinical reasoning process when patients then move to internal medicine (Bowen et al. 2018; Chan et al. 2018).

To gain insight into how concepts such as buffering and filtering influence learning and performance and inform the teaching and assessment of clinical reasoning through time may require the combination of DCog with micro-theories such as dual process or cognitive load, as has been suggested elsewhere (Boyle et al. 2022; Daniel et al. 2021). Indeed, as others have highlighted, there is a tangible possibility of improving the quality of care through DCog informed work in health professions education (Hazlehurst 2015).

신조 10: 인지 과정은 문화화된다
Tenet 10: Cognitive processes are encultured

마지막으로, DCog 이론의 열 번째 신조는 인지가 문화화된다는 것입니다. 허친스(1995)는 문화는 구조화된 환경에서 사회적 행위자와 인공물의 상호작용에서 나오지만, 이러한 상호작용을 형성하는 역사적 관행(사회적, 물질적)과 분리될 수 없다고 강조합니다. 관심 있는 시스템의 인지적 과정은 그 문화에 내재되어 있습니다(Hollan 외. 2000). 허친스(1995)는 해변을 빗질하는 개미의 움직임에 대한 사이먼(1981)의 비유를 확장하여 문화적 인지를 우아하게 설명합니다. 이 비유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해변에서 먹이를 찾는 개미의 역사에 대해 생각해 보도록 유도합니다. 시간이 지남에 따라 초기 개미들이 화학 흔적을 남기면서 해변의 풍경이 바뀝니다. 잠시 후, 나중에 개미들이 화학 흔적을 따라 먹이를 찾아 곧장 이동합니다. 허친스는 이렇게 주장한다.

  • 명백히 사이먼의 말이 옳았다. 개미가 점점 더 똑똑해지고 있다는 결론을 내리는 데 그치지 말고 '개미를 관찰하면서 우리는 개미 내부에 있는 것보다 해변에 대해 더 많은 것을 배운다'. 그리고 사람들이 야생에서 생각하는 것을 보면서 우리는 사람의 내부에 있는 것보다 환경에 대해 더 많은 것을 배우고 있을지도 모릅니다'. (허친스 1996).

Finally, a tenth tenet of the theory of DCog is that cognition is encultured. Hutchins (1995) highlights that while culture emerges out of interactions of social actors and artifacts in the structured environment, it cannot be separated from the historical practices – both social and material – that shapes those interactions. The cognitive processes in the system of interest are embedded in that culture (Hollan et al. 2000). Hutchins (1995) elegantly explains cultural cognition by extending Simon’s (1981) parable of an ant’s movements when combing a beach. This parable encourages us to think about a history of ants searching for food on a beach over time. As time passes, the beach’s landscape changes as earlier ants leave chemical trails. After a while, later ants follow the chemical trails to go straight to the food source. Hutchins encourages us to stop short of concluding that the ants are getting smarter by exclaiming

  • ‘Simon was obviously right: in watching the ant, we learn more about the beach than about what is inside the ant. And in watching people thinking in the wild, we may be learning more about their environment for thinking than what is inside them’. (Hutchins 1996).

마찬가지로 허친스는 사회적 행위자들은 그들의 행동을 뒷받침할 수 있는 풍요로운 환경을 가지고 있다고 주장합니다. 선박 항해, 항공기 조종석, 라운딩 팀의 예로 돌아가서, 각 팀은 이전 세대에 의해 채택, 개발, 정착되어 시스템의 문화 유산의 일부를 형성하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라운딩 팀이 조립하고 상호 작용하는 방식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인수인계 보드, 침대 시트 및 EHR과 같은 아티팩트의 지원을 받아 오류를 감지하고 팀 진단에 도달합니다(Smith et al. 2019). 
Similarly, Hutchins argues, social actors have been left with an enriched landscape to support their behaviour. Returning to the examples of ship navigation, an aircraft cockpit and the rounding team, each team has been adopted, developed, and laid down by previous generations that form part of systems’ cultural heritage. For example, the way the rounding team assembled and interacted, supported by artifacts such as the handover board, crib sheet and EHR through time, to detect error and reach a team diagnosis (Smith et al. 2019).

요약하면, 문화화된 시스템'자주 발생하는 문제에 대한 부분적인 해결책'을 축적하는 '학습, 문제 해결 및 추론을 위한 자원의 저장소'라는 DCog 렌즈를 통해 적절하게 설명할 수 있습니다. 풍부한 환경은 도움이 될 수도 있고 해가 될 수도 있습니다

  • - 예를 들어, 오래된 문제에 대한 해결책을 찾기 위해 관심 있는 시스템을 항상 처음부터 시작할 필요는 없습니다.
  • - 예를 들어 조종사가 항공기 계기판에 속도 버그를 배치하고 조정하여 항공기 조종석 시스템이 항공기 무게에 따른 착륙 속도의 안전 매개변수를 기억할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 - 새로운 문제를 해결할 때 숲에서 나무를 보지 못할 수 있습니다.(Hutchins and Klausen 1996).

In sum, through a DCog lens, an encultured system has been aptly described as a ‘reservoir of resources for learning, problem solving, and reasoning’ that accumulates ‘partial solutions to frequently encountered problems’. An enriched landscape can be both helpful and harmful

  • – for example while the system of interest doesn’t always have to start from the beginning to find solutions to old problems
  • – for example pilots placing and adjusting a speed bug on an aircraft instrument to help the aircraft cockpit system remember the safe parameters for landing speeds depending on an aircraft’s weight
  • – it may not be able to see the wood from the trees when tackling new problems (Hutchins and Klausen 1996).

마지막으로, 앞선 아홉 가지 원칙을 통해 독자들이 이미 인지 프로세스가 어떻게 문화화되는지 생각해 보셨을 것으로 예상합니다(이제는 일상화되었을 것입니다). 위의 각 예에서는 커리큘럼 개발, 학습, 교육 및 임상 추론 평가에 이르기까지 인지 과정이 문화화되어 있습니다. 예를 들어, 진화하는 이야기로 돌아가서 라운딩 팀에서 발생하는 임상 추론은 개인이 시스템 내에서 일상화된 방식으로 모이는 시기와 방법 또는 팀 기반 진단을 완료하는 환경의 진화하는 인체공학적 설계에 관계없이 문화화되어 있습니다. 이제 DCog의 9가지 원칙이 시간이 지남에 따라 이 프로세스에 어떤 영향을 미쳤는지 명확히 알 수 있을 것입니다.
Finally, we anticipate that readers have already considered how cognitive processes are encultured having been encouraged to do so during our previous nine tenets – it is perhaps now routine? In each of the examples above, from curriculum development, learning, teaching and assessment of clinical reasoning, cognitive processes have been encultured. For example, returning to our evolving story clinical reasoning occurring with a rounding team is encultured whether it be when and how the individuals assemble in a routinized fashion within the system or the evolving ergonomics of the environment in which they complete their team-based diagnosis. Indeed, it is hopefully now clear how each of the nine tenets of DCog has informed this process over time.

결론
Conclusion

이 AMEE 가이드에서 이 거시적 이론에 초점을 맞추기로 한 것은 DCog가 정보 처리 이론이나 상황성 계열의 다른 사회 인지 이론을 대체해야 한다고 제안하기 위한 것이 아닙니다. 이 AMEE 가이드의 독자들이 DCog가 의료 전문가 교육에 추가적인 통찰력을 제공할 수 있는 보완적인 렌즈라는 점에 동의하기를 바랍니다. 내과 회진 팀에서 발생하는 임상적 추론을 경험적 사례로 조명하기 위해 DCog를 선택했지만, 다양한 의료 전문직 교육 맥락을 선택할 수도 있었습니다. 앞으로 우리 분야에서 DCog에 기반한 더 많은 연구 결과를 읽을 수 있기를 기대합니다.
Our choice to focus on this grand (macro) theory in this AMEE Guide was not intended to suggest DCog should replace information processing theory or other social cognitive theories in the situativity family. We hope that readers of this AMEE Guide concur that DCog is a complementary lens that can provide additional insights in health professions education. While we chose DCog to illuminate clinical reasoning occurring in the internal medicine rounding team as an empirical story, we could have chosen many different health professions education contexts. We now look forward with optimism to reading about more DCog informed work in our field in future years.

 


Med Teach. 2023 Apr 12:1-11. doi: 10.1080/0142159X.2023.2190479. Online ahead of print.

Distributed cognition: Theoretical insights and practical applications to health professions education: AMEE Guide No. 159

Affiliations

1Undergraduate Medical School, School of Medicine, Dentistry and Nursing, University of Glasgow, Glasgow, UK.

2School of Medicine, Dentistry and Nursing, University of Glasgow, Glasgow, UK.

3Health Professions Education Programme, School of Medicine, Dentistry and Nursing, University of Glasgow, Glasgow, UK.

4Center for Health Professions Education, Department of Medicine, Uniformed Services University of the Health Sciences, Bethesda, MD, USA.

PMID: 37043405

DOI: 10.1080/0142159X.2023.2190479

Abstract

Distributed cognition (DCog) is a member of the family of situativity theories that widens the lens of cognition from occurring solely inside the head to being socially, materially and temporally distributed within a dynamic system. The concept of extending the view of cognition to outside the head of a single health professional is relatively new in the healthcare system. DCog has been increasingly used by researchers to describe many ways in which health professionals perform in teams within structured clinical environments to deliver healthcare for patients. In this Guide, we expound ten central tenets of the macro (grand) theory of DCog (1. Cognition is decentralized in a system; 2. The unit of analysis is the system; 3. Cognitive processes are distributed; 4. Cognitive processes emerge from interactions; 5. Cognitive processes are interdependent; 6. Social organization is a cognitive architecture; 7. Division of labour; 8. Social organization is a system of communication; 9. Buffering and filtering; 10. Cognitive processes are encultured) to provide theoretical insights as well as practical applications to the field of health professions education.

Keywords: Clinical reasoning; diagnosis; distributed cognition; error; health professions education; medical education; situated cognition; situativity theory.

마스터의 집 해체하기: HPE에서 형평성과 사회적 정의의 앎의 새로운 방식 (Adv Health Sci Educ Theory Pract. 2020)
Dismantling the master’s house: new ways of knowing for equity and social justice in health professions education
Morag Paton1,2 · Thirusha Naidu3 · Tasha R. Wyatt4 · Oluwasemipe Oni5 · Gianni R. Lorello6,7,8 · Umberin Najeeb9,10 · Zac Feilchenfeld9,10 · Stephanie J. Waterman11 · Cynthia R. Whitehead8,12,13 · Ayelet Kuper8,9,10 

 

 

주인의 집 해체: 보건 전문직 교육에서 형평성과 사회 정의를 위한 새로운 인식의 전환
Dismantling the master’s house: new ways of knowing for equity and social justice in health professions education

글을 쓰는 시점에서 동상이 쓰러지고 있습니다. 거리에서 시위가 벌어지고 있습니다. 틱톡 동영상, 트위터가 풀리고, 페이스북에서 모임이 확산되면서 자금 지원을 중단하라는 요구가 울려 퍼지고 있습니다. 정부 건물 밖에는 천막이 설치되고 있습니다. 의회 건물에서 인종 차별을 규탄하는 시위가 벌어집니다. 물을 끓여 먹으라는 권고가 내려집니다. 이주 노동자들에게 제공되는 밀집된 주거 캠프에서 코로나19가 발생했습니다. 스포츠 프랜차이즈의 이름이 재검토되고 있습니다. 폭력을 당하는 시신이 있습니다. 사망으로 끝나는 건강 검진도 있습니다. 주차장에서 대치가 벌어지고 있습니다. 소셜 미디어에서 열띤 토론이 벌어지고 있습니다. 다른 사람들에게 "네가 왔던 곳으로 돌아가라"고 말하는 사람들이 있습니다. "당신은 잘못했다", "당신은 너무 멀리 갔다", "성난 군중"이 있습니다. 무릎을 꿇은 사람들도 있습니다. 바디 카메라가 있습니다. 약속과 진술, 약속이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임시 프로필 사진이 있습니다. 사임, 이별, 새로운 출발이 있습니다. 인터뷰와 대화가 있습니다. "내가 말했잖아", "왜 이렇게 오래 걸렸어", "우린 몇 년 동안 이 말을 해왔어"가 있습니다. 질문이 오고가고 아이디어가 도전받습니다. 숨을 쉬려고 노력하는 사람들이 있습니다. 
At the time of writing, statues are falling. There are protests on the streets. Calls for defunding resound as TikTok videos, Twitter unrolls, and gatherings proliferate on Facebook. There are tents occupying lands outside government buildings. There are declarations of racism in parliament buildings. There are boil water advisories. There are COVID-19 outbreaks in the dense housing camps offered to migrant laborers. There are names of sports franchises being reconsidered. There are bodies being subjected to violence. There are wellness checks that end in death. There are confrontations in parking lots. There are heated discussions on social media. There are some people telling other people to “go back to where you came from”. There are the “you’re wrongs”, “you’ve gone too far” and “angry mobs”. There are people on their knees. There are body cameras. There are commitments and statements and promises being made. There are temporary profile pictures. There are resignations, partings of ways, and new starts. There are interviews and conversations. There are “I told you so’s” and “what took you so longs” and “we’ve been saying this for years”. There are questions being asked and ideas being challenged. There are people just trying to breathe.

관점에 대한 관점
A perspective on perspectives

백인 중심의 북미(유럽 중심) 사회에서 미디어에서 보여지는 것, 메시지가 전달되는 것, 저녁 식탁에서 토론되는 것의 예는 다음과 같습니다. 이것이 바로 보건직업교육(HPE) 분야의 주요 조직, 규제 기관 및 출판사가 소셜 미디어에서 공유하는 내용이며, 변화를 요구하는 목소리가 많은 이유입니다. 이 백인 중심의 북미 프레임워크는 "마스터의 집"(Lorde 2007)의 한 관점입니다. 이러한 관점을 벗어난 일부(즉 오랫동안 소외되어 온 형평성에 합당한 집단)의 관점에서는 이러한 '깨어 있는' 관점이 이기적이고, 형식적이며, 우려스러울 정도로 수사적이고, 절망적으로 늦은 것으로 묘사되었습니다(Gutierrez 2020; Spaulding 2020; Yancy 2020).  
In the dominant white North American (Eurocentric) society, these are examples of what is being seen in the media, what is being messaged about, and what is being debated over dinner tables. This is what dominant organizations, regulatory bodies, and publishing houses in Health Professions Education (HPE) are sharing on social media and why there have been so many calls for change. This white North American framing is one perspective from “the Master’s House” (Lorde 2007). For some outside this perspective, that of equity-deserving groups who have long been marginalized, this seemingly ‘woke’ perspective has been described as possibly self-serving, perfunctory, concerningly rhetorical, and hopelessly late (Gutierrez 2020; Spaulding 2020; Yancy 2020).

이 저널의 독자는 위의 텍스트 어딘가에서 자신의 관점이 반영된 것을 알아차릴 수 있습니다. 아마도 당신은 HPE 프로그램의 커리큘럼 디렉터일 수도 있고, 이론가, 학장, 수련생, 교사, 임상의 또는 커뮤니티 구성원일 수도 있습니다. 저널 기고자로서 여기에 표시된 저자 팀인 '우리' 역시 다양한 관점을 포괄합니다: '우리'는 병원 리더, 교육 교수, 대학 교수진, 직원 및 학생, 임상의사 및 이론가입니다. 하지만 '우리'는 '나'와 같지 않으며 '우리'의 관점은 다양합니다(의도적으로 그렇습니다).

  • '우리'는 우세한 집단과 공평하게 대우받아야 하는 집단 모두의 관점을 대표합니다.
  • '우리'는 흑인, 갈색, 백인으로 명명됩니다.
  • '우리'는 캐나다, 무슬림, 스코틀랜드, 나이지리아, 미국, 오논다가, 파키스탄, 유대인, 남아프리카공화국으로 명명됩니다.
  • '우리'는 캐나다, 미국, 남아프리카에 거주합니다. '우리'는 기혼, 미혼, 동성 및 이성에 매력을 느끼는 사람으로 구분됩니다.
  • '우리'는 정책을 작성하고, 따르고, 관리합니다.
  • '우리'는 커리큘럼을 만들고, 운영하고, 이론화하고, 경험합니다.

'우리'는 스승의 집 내부에서 글을 쓰고 그것을 해체하려고 시도하고 있습니다. '우리'는 전문성과 경험을 바탕으로 이 학술지의 부편집장인 해당 분야의 선임 저자와 대학원생, 그리고 우리가 공동 저자로 초빙한 이론과 실천의 전문가들이 함께 이 논문을 쓰도록 초대받았습니다. '우리'가 모여 한 팀으로 글을 쓰고 독자 여러분이 이 글을 접할 때, '우리'의 집단적 개별 관점, 정체성, 역할은 모두 긴장 관계에 있습니다. '우리'가 여기에 쓰고 선언적인 것처럼 보이는 진술은 논쟁의 여지가 있습니다. '우리'가 진실이라고 주장하는 진술은 우리 중 한 명에게만 진실일 수 있으며 '우리'는 '우리'의 집단적 경험을 넘어서는 진실을 주장할 수 없습니다. '우리'의 글이나 '우리'가 추구하는 행동에서 '우리'가 주장하는 것은 급진적이고 전투적일 수도 있고, 신중하고 조심스러울 수도 있습니다. 이 백서에서 나오는 아이디어는 다양한 존재론적, 인식론적 전통에서 비롯된 것이므로, '우리'가 글을 쓰고 여러분도 글을 읽으면서 우리가 왜 이 글을 쓰는지, 어떤 관점에서 글을 쓰는지 생각해 보시기 바랍니다. 우리는 어떤 변화하는 특권을 제정할 것인가? 우리는 마스터의 집 내부에서 글을 쓰는가, 아니면 외부에서 글을 쓰는가? 우리의 글쓰기는 정체성, 형식, 수행을 통해 총체적으로 집의 모르타르를 느슨하게 할 것인가, 아니면 너무 익숙한 패턴을 연상시키는 벽돌을 추가할 것인가, 아니면 두 가지를 동시에 하고 있을 것인가? 독자로서 이러한 다양한 관점에 대해 질문하고 동시에 스스로에게 질문해 보시기 바랍니다.  

Readers of this journal may recognize their own perspective reflected somewhere in the above text; perhaps you are a curriculum director of an HPE program, perhaps you are a theorist, a dean, a trainee, a teacher, a clinician or a community member. As journal contributors, ‘we’, the authorship team displayed here also encompass multiple perspectives: ‘we’ are hospital leaders, education professors, university faculty, staff and students, clinicians and theorists. But ‘we’ is not the same as ‘I’ and ‘our’ perspectives are diverse (and purposefully so).

  • ‘We’ represent perspectives of both dominant and equity-deserving groups.
  • ‘We’ are named as Black, Brown, and White.
  • ‘We’ are named as Canadian, Muslim, Scottish, Nigerian, American, Onondaga, Pakistani, Jewish, and South African.
  • ‘We’ live in Canada, the United States, and South Africa.
  • ‘We’ are bounded as married, single, and attracted to members of the same-sex and opposite sex.
  • ‘We’ write, follow, and administer policy. ‘We’ create, operationalize, theorize, and experience curricula.

‘We’ write from within the Master’s House and are attempting to dismantle it. ‘We’ were invited to write this paper by the journal because of our expertise and experience: a senior author in the field who is a Deputy Editor at this journal, her graduate student, and experts in theory and praxis who we invited to join as co-authors. As ‘we’ come together to write as a team, and as you the reader encounters this piece, all of ‘our’ collective individual perspectives, identities, and roles are in tension. Statements that ‘we’ write here and appear to be declarative are debated. Statements that ‘we’ claim are true might only be true for one of us and ‘we’ cannot make claims to truth beyond ‘our’ collective experience. Claims ‘we’ make in ‘our’ writing or actions ‘we’ seek may be both radical and militant and also cautious and careful. The ideas emerging from this paper stem from multiple ontological and epistemological traditions, so as ‘we’ proceed in our writing, and you proceed in your reading, we invite you to consider why we might write this and from which standpoints we write. What shifting privileges do we enact? Are we writing from within the Master’s House, or from outside of it? Will our writing collectively, through identity, form and performance, loosen the mortar of the house, are we still adding bricks reminiscent of an all too familiar pattern, or are we doing both at the same time? We invite you to question these multiple perspectives as a reader, and at the same time, question your own.

주인의 집
The master’s house

그로스포겔은 서구 대학(그리고 더 나아가 HPE)의 지식 구조가 "서유럽 5개국(이탈리아, 프랑스, 영국, 독일, 미국)의 소수의 사람들이 생산한 지식을 바탕으로"(그로스포겔 2013, 74쪽) 15세기 후반의 영토 정복과 종교적 학살로부터 발전한 구조적 토대 위에 세워졌다고 주장합니다(그로스포겔 2013). 기독교 신을 지식의 기초로 삼기보다는 데카르트의 '나' 철학("나는 생각한다, 그러므로 나는 존재한다")과 그를 따르는 계몽주의 사상가들은 서양 철학을 하나의 근본적인 사물의 범주에서 벗어나 몸과 마음을 분리하는 방향으로 나아갔습니다. 이 이원론은 의식, 의도성, 자아에 대한 의문을 제기합니다(Robinson 2020). 인간을 기독교 신을 넘어 마음을 통제 할 수있는 것으로 구성함으로써, 권력을 가진 서양인에게 인식 론적 특권, 즉 지식이 구조화되는 방식에 대한 특권을 부여했습니다 (Robinson 2020). 이러한 특권은 종교와 영토를 정복하는 데 사용되어 왔으며 식민주의를 통해 계속되고 있습니다. 우리는 의학과 의학교육이 이러한 특권에 의존한다고 주장할 수 있습니다. 
Grosfoguel argues that the structure of knowledge upon which the Western University (and, we would argue, by extension HPE) is built on a canon of thought “based on the knowledge produced by a few men from five countries in Western Europe (Italy, France, England, Germany and the USA)” (Grosfoguel 2013, p. 74) and on a structural foundation evolved from late 15th century conquests of territories and religious genocides (Grosfoguel 2013). Rather than a Christian God as the foundation of knowledge, Descartes’s philosophy of “I” (“I think, therefore I am”) and the Enlightenment thinkers that followed him moved Western philosophy away from having one fundamental category of things and towards the separation of the body and the mind. This dualism then raises questions about consciousness, intentionality, and the self (Robinson 2020). Constructing man as having control over the mind, beyond a Christian God, afforded the Western man who held power epistemic privilege: power over how knowledge is structured (Robinson 2020). This privilege has been used in conquests over religion and territories, and continues through colonialism. We would argue that medicine and medical education rely on this privilege.

대부분의 서구 대학과 의학교육에서 지배적인 담론은 지식 생산을 아는 주체의 관점 또는 영점 인식론에 기초한 것으로 자리매김했습니다(Castro-Gómez 2001; de Sousa Santos 2008; Naidu 2020). 영점백인 서구 과학이 지식을 생산하는 방식에 대한 명백히 객관적인 입장을 지칭하는 것으로, 과학자들이 추구하는 '진리'는 어디에도 없으면서 어디에나 존재하므로, 단지 영점으로서 '있다'고 주장합니다. 이는 "중립적 객관성을 스스로 주장하는 사람들의 상상적 입장, 즉 모든 것을 볼 수 있다고 가정하는 보이지 않는 입장"입니다(솔다텐코 2015, 140쪽). 이 틀 안에서 과학은 "적절한 방법을 사용하는 것만으로도 물리적, 사회적 세계에 대한 객관적으로 타당한 지식을 얻을 수 있는" 중립적인 객관적 진리를 찾는 것으로 구성됩니다(Castro-Gómez 2001, 149쪽). 이러한 구조는 "서구화된 대학에서 지식 생산의 정경의 특권과 권위를 독점하고 있는 5개국(프랑스, 영국, 독일, 이탈리아, 미국) 출신의 (백인) 남성들"의 전 세계적 물질적, 사회적 이해관계에 크게 뿌리를 두고 있습니다(Grosfoguel 2013, 87쪽; Cupples와 Grosfoguel 2018).
The dominant discourses at work in most Western universities and medical education have positioned knowledge production as based on the perspective of a knowing subject or zero-point epistemology (Castro-Gómez 2001; de Sousa Santos 2008; Naidu 2020). The zero point is a reference to the avowedly objective stance of how white Western science produced knowledge: the ‘truth’ scientists seek is both nowhere and everywhere; we would claim it just ‘is’, as a zero point. It is an “imaginary position of those who claim neutral objectivity for themselves—an unseen position that presumes to see all” (Soldatenko 2015, p. 140). Within this frame, science is constructed as a search for a neutral objective truth where “it is possible to achieve objectively valid knowledge about the physical and social world by merely using the appropriate method” (Castro-Gómez 2001, p. 149). This construction is heavily rooted in the global material and social interests of (white) “men from five countries (France, England, Germany, Italy and the USA) who are the ones monopolizing the privilege and authority of canons of knowledge production in the Westernized university” (Grosfoguel 2013, p. 87; Cupples and Grosfoguel 2018).

이러한 세계 권력의 역사에 뿌리를 둔 영점 인식론은 인식론적 부정의인식론적 폭력의 형태를 낳습니다(Fricker 2007, Ndofirepi and Gwaravanda 2018, Soldatenko 2015, Spivak 1988). Fricker(2017)는 두 가지 유형의 인식적 부정의, 즉 증언적 부정의해석학적 부정의를 설명합니다.

  • 증언적 부정의편견으로 인해 누군가의 말이 잘못 판단되어 다른 사람의 말보다 덜 가치 있는 것으로 간주될 때 발생합니다. 의료 환경의 예를 들면 편견이나 인종차별 때문에 환자의 의료적 불만을 무시하는 의료 전문가를 들 수 있습니다(호프만 외. 2016; 로리 및 말론 2020).
  • 해석학적 부정의두 사람이 동일한 지식 기반을 충분히 공유하지 않아 상황에 대한 공동의 이해에 도달할 수 없을 때 발생합니다. 의료 서비스를 예로 들면, 특권을 가진 사람이 같은 특권을 갖지 못한 사람이 같은 리소스에 접근할 수 없는 이유를 이해할 수 없을 때 발생할 수 있습니다(Florko 2020).

영점 관점은 이러한 형태의 인식론적 부정의와 결합하여 현대 의료 관행에서 "의료의 일반적인, 아마도 만연한 특징"이 된 방법, 관행, 증거의 형태 및 앎의 방식에 대한 특권으로 더욱 나타납니다(Carel and Kidd 2014, 538쪽). 
Rooted in these global histories of power this zero-point epistemology result in forms of epistemic injustice and epistemic violence (Fricker 2007; Ndofirepi and Gwaravanda 2018; Soldatenko 2015; Spivak 1988). Fricker (2017) describes two types of epistemic injustice: testimonial injustice and hermeneutic injustice.

  • Testimonial injustice occurs when someone’s words are misjudged and considered to be less worthy than another’s due to prejudice. An example in a healthcare setting would be a health professional who ignores a patient’s medical complaints due to prejudice or racism (Hoffman et al. 2016; Lowrie and Malone 2020).
  • Hermeneutic injustice occurs when two people do not sufficiently share the same knowledge base such that a shared understanding of a situation cannot be reached. An example in healthcare may be when those with privilege cannot understand why those without the same privilege are unable to access the same resource (Florko 2020).

The zero-point perspective, combined with these forms of epistemic injustice, further manifest in contemporary healthcare practice as a privileging of methods, practices, forms of evidence, and ways of knowing which have become “a common, possibly pervasive, feature of healthcare” (Carel and Kidd 2014, p. 538).

HPE 프로그램과 이를 구축하는 데 사용하는 증거는 이러한 관점 속에 내재되어 있어 의료 시스템이 구축된 방식이 '자연스러운' 것처럼 보입니다. 우리는 바로 이 시스템을 통해 다음에 대해 의문을 제기하지 않도록 조건화되었다고 가정합니다. 

  • 우리가 왜 우리가 알고 있다고 생각하는지,
  • 왜 어떤 아이디어는 커리큘럼의 '핵심'이라고 생각하는 반면 다른 아이디어는 그렇지 않다고 생각하는지,
  • 왜 HPE의 마스터 하우스에 구축된 모든 것을 개선할 수 있다고 생각하는지

유럽과 북미의 전문 학교는 이러한 영점 인식론을 바탕으로 설립되었으며, 이를 전 세계로 확산하고 있습니다. 우리는 성차별, 인종차별, 가부장제, 권위, 자본주의의 영향을 받고 백인 '5개국 출신 남성'의 영점 인식론의 지배에 기반한 HPE의 심기와 확산이 역사를 통해 명백히 드러난다고 주장합니다.

  • 1852년 뉴먼은 대학을 신사 양성을 위한 진리 수양과 사색의 장으로 자리매김했습니다(Newman and Turner 1996).
  • 1900년대 초에 플렉스너는 이상적인 의학 프로그램을 지식과 사실 추구에 전념하는 프로그램(Flexner 1968, 1972)과 "명예 규범이 있는 질서, 계급"(1968, 30쪽)으로 규정했습니다.
  • 1960년대에 커(1963)는 대학을 "지식의 생산자, 도매업자, 소매업자"(114쪽)로 포지셔닝했습니다.
  • 그 후에도 슬러터와 로즈(2004)는 대학을 학문적 자본주의 지식/학습 체제로 포지셔닝합니다.
  • Saks(2016)는 전문직의 권력과 특권은 국가가 승인한 지식 통제에 기반을 두고 있다고 지적합니다. 

HPE programs and the evidence that we use to build them are so embedded within this perspective that how the health system has been constructed appears to be ‘natural’. We posit that it is through this very system that we have been conditioned not to question why we think we know what we know, or why we think some ideas are ‘core’ to curricula while others are not, or why we think we can improve upon anything built within this Master’s House of HPE. Professional schools in Europe and North America have been built from this zero-point epistemology and have gone on to spread this globally. We argue that the planting and proliferation of HPE as founded on the pillars of sexism, racism, patriarchy, authority, buffeted by capitalism, and grounded in the dominance of the zero-point epistemology of white ‘men from five countries’ is evident in history.

  • In 1852, Newman positions the university as a place for the cultivation and contemplation of the truth for the formation of gentlemen (Newman and Turner 1996).
  • Writing in the early 1900s, Flexner positions the ideal medical program as one devoted to the pursuit of knowledge and facts (Flexner 1968, 1972) and a profession as “an order, a caste [with] a code of honour” (1968, p. 30).
  • In the 1960s, Kerr (1963) positions the university as a “producer, wholesaler, and retailer of knowledge” (p. 114).
  • Later still, Slaughter and Rhoades (2004) position the university as an academic capitalist knowledge/learning regime.
  • Saks (2016) notes that the power and privilege of the professions is based on the state-sanctioned control over knowledge.


HPE 내부에서 마스터스 하우스의 규칙은 어떤 지식이 진리로서 유포되고 언급될 수 있는지, 그리고 의료 전문가가 지역사회에서 어떤 역할을 수행할 수 있는지를 승인합니다. 이러한 교육 프로그램에는 커리큘럼, 표준, 학습 목표, 예상 결과 및 표준화된 시험이 있으며, 이는 지배적인 지식의 방식에 따라 설정됩니다. 이러한 학교를 졸업한 자율 규제 보건 전문직 종사자들은 성문화된 사고 체계를 통해 경계와 지위의 수호자이자 재생산자로 간주됩니다(Freidson 2001). 그러나 "지배의 정치는 종종 교육 환경에서 재생산"됩니다(후크스 2014, 39쪽).

  • 예를 들어, 의사들은 제국주의 투쟁의 공헌자로 여겨져 왔습니다 (Aidoo 1987; Fanon 1994). 이러한 인식론적 폭력은 지속되고 있으며, 의학교육을 통한 식민지화에 대한 우려가 계속 제기되고 있습니다(Muzzin and Martimianakis 2016; Naidu and Kumagai 2016; Whitehead 2016) 및 의료 행위(Sharma 2018).
  • 지식 생산을 추구하는 과정에서 HPE는 해방과 같은 교육의 다른 잠재적 목표보다는 실증주의, 보편주의, 합리주의와 같은 계몽주의 이념에 계속 가치를 두고 있습니다(Freire 2000).
  • 이를 통해 HPE는 지배, 특권, 지위를 창출, 승인, 재생산하며, 교육은 사회 내 상황을 개선하기 위한 수단이 아니라 개인의 성취로 간주된다고 주장합니다.
  • 이러한 지배적인 인식론에 근거하여, 우리는 많은 HPE 교육자들이 실천에서 개인의 직업적 책임을 입증하는 데 주의를 집중하고, 그러한 실천의 사회적 책임에 대해서는 덜 집중한다고 주장합니다. 

From within HPE, the rules of the Master’s House authorize what knowledges can be circulated and spoken of as truths and in turn, what role a practicing health professional serves in the community. In these educational programs there are curricula, standards, learning objectives, expected outcomes, and standardized tests set on the dominant ways of knowing. Those who graduate from these schools, members of self-regulated health professions, are seen as guardians and reproducers of boundaries and status through codified systems of thought (Freidson 2001). However, the “politics of domination are often reproduced in the educational setting” (hooks 2014, p. 39).

  • Physicians, for example, have been viewed as contributors to imperialist struggles (Aidoo 1987; Fanon 1994). This epistemic violence endures and concerns continue to be raised about colonization through medical education (Muzzin and Martimianakis 2016; Naidu and Kumagai 2016; Whitehead 2016) and medical practice (Sharma 2018).
  • In the pursuit of knowledge production, the House of HPE continues to place value on the ideologies of the Enlightenment—on positivism, universalism, and rationalism—rather than other potential goals of education, such as liberation (Freire 2000).
  • In so doing, we argue, HPE creates, authorizes, and reproduces domination, privilege, and status and education is seen as an individual achievement and not a means for improving circumstances within society.
  • Based on these dominant epistemologies, we argue that many HPE educators focus attention in demonstrating an individual’s professional responsibility in practice, and focus less on the social responsibility of that practice.

형평성과 사회 정의는 그 기원으로 인해 HPE 커리큘럼 내에서 다소 불편하게 자리 잡고 있습니다. 형평성과 사회 정의의 개념은 종종 계몽주의의 합리주의적 입장에 반대하는 입장으로 간주되기 때문에 이는 의외일 수 있습니다. 언뜻 보기에 형평성과 사회 정의의 개념은 합리적이고 보편적인 실증주의 생물학적 모델에 반대되는 것처럼 보일 수 있지만, 우리와 다른 사람들은 현대 (정착민) 북미와 유럽의 형평성과 사회 정의 구성이 영점 인식론의 동일한 시작점인 정복, 계몽주의, 그리고 그에 따른 식민주의와 연결되어 있다고 주장합니다. 그것은 주인의 집 안에서 유지되는 식민지적 권력 모델입니다. 심지어 "근대성 역시 그 출발점부터 식민지적이었다"(퀴자노 2000, 549쪽).

  • 불평등과 불공정을 먼저 구축하고 정의하지 않고서는 공평과 사회 정의를 논할 수 없습니다.
  • 인종이라는 구조가 존재하지 않는다면 반인종주의를 논의할 수 없습니다.

마스터의 집이라는 현대의 HPE가 구조적으로 불건전하다면(그리고 우리는 여기서 그렇게 주장합니다), 아무리 암묵적인 편견 교육이나 잘 만들어진 다양성 선언문도 수 세기에 걸친 인식론적 폭력을 지울 수는 없습니다.
Equity and social justice are themselves positioned somewhat uncomfortably within HPE curricula because of their origins. This may be surprising as the idea of equity and social justice is often considered as a stance against the rationalist positioning of the Enlightenment. While at first glance the concepts of equity and social justice may appear to be in opposition to the rational, universal, positivist biomedical model, we and others argue that the modern (settler) North American and European constructions of equity and social justice are tied to the same beginnings of the zero-point epistemology: conquest, the Enlightenment, and subsequent coloniality. It is a colonial model of power that is sustained within the Master’s House. Even “modernity was also colonial from its point of departure” (Quijano 2000, p. 549).

  • One cannot discuss equity and social justice without first having built and defined inequity and injustice.
  • One cannot discuss anti-racism without the existence of the construct of race.

If the contemporary HPE that is the Master’s House is structurally unsound (and we argue here that this is so), then no amount of implicit bias training or well-crafted diversity statements can erase the centuries of epistemic violence.

반 마일더스는 서구 학계에서 다양성 선언의 문제점을 다음과 같이 설명합니다: "현대 대학은 인종, 성별, 계급적 차이의 문제를 모호하게 하기 위해 정체성 정치와 다양성에 대한 근거 없는 찬사를 적절히 활용함으로써 백인이라는 헤게모니적 비가시성을 그대로 방치하고 있습니다(Cupples and Grosfoguel 2018, 47쪽, van Milders). 그의 설명은 다양성 선언이 권력 구조를 그대로 둔다는 점을 강조합니다. 만약 게이트키퍼 역할을 하는 대학이나 전문직 구조가 형평성과 사회 정의의 개념을 정의하거나 이러한 문제에 대한 가정된 해결책을 실행하는 동일한 기관이라면, 그들은 차이(Cupples and Grosfoguel 2018)를 지우고 식민성을 영속화하는 것 외에 아무것도 하지 않을 수 있다는 것이죠. 

Van Milders explains the problem with diversity statements in Western academia thus: “the contemporary university has managed to appropriate identity politics and the unsubstantiated celebration of diversity in order to obscure issues of raced, gendered, and classed difference and thereby leaves the hegemonic invisibility of whiteness untouched (van Milders in Cupples and Grosfoguel 2018, p. 47). His explanation emphasizes that diversity statements leave power structures untouched: if the university or professional structures that act as gatekeepers are the same institutions that define the concepts of equity and social justice, or that implement supposed solutions to these issues, then they may be doing nothing more than erasing differences (Cupples and Grosfoguel 2018) and perpetuating coloniality.

계몽주의 이후 국민국가의 경제, 정치, 법의 구축과 맞물려 과학은 인종의 구성을 통해 사람들을 분리하는 데 활용되었습니다. 과학과 사람이 누구인지, 어디에서 '태어났는지'에 대한 우리의 생각은 세계 시스템의 일부를 형성합니다(Castro-Gómez 2001). 세계 시스템에서 경제를 건설하고 자원에 접근하기 위해 한 민족 국가는 다른 민족 국가를 식민지화했습니다. 식민지 개척자들은 인종, 동양이라는 개념(Said 1979), 남북 이분법 및 기타 분열 관행을 구축했습니다. 형평성, 반인종주의, 사회 정의의 개념을 포함하여, 지배적인 담론에서 '현대 문화'라고 부르는 것에 대한 이해는 모두 영점 인식론의 구축된 보편주의에 의해 유지되는 이 프레임 안에 있습니다. 식민지성과 과학에 기반한 정체성 및 사회적 가치 구성에서 비롯된 노동의 분배와 착취는 인종에 따라 차별화되는 노동 통제 형태를 가져왔고, 따라서 "지배/착취의 새로운 기술, 이 경우 인종/노동은 두 요소가 자연스럽게 연관된 것처럼 보이는 방식으로 표현되었다"(퀴야노 2000, 537쪽). 이러한 역사적 노동 분배와 학계 및 의학계에서 소외된 집단의 지속적인 노동 분배 사이에 직접적인 연관성을 찾을 수 있습니다(미국 의과대학 협회 2020; Henry 외. 2017; Hodges 2020; Nestel 2004). 우리는 과학과, 과학에서 나온 전문직이 계속해서 사람들을 지배하고 통제하며 분열시키고 있다고 주장합니다. 
Intertwined with the building of post-Enlightenment nation-state economics, politics, and law, science was deployed to separate people through the construction of race. Science, and our ideas of who people are or where they ‘come from’ form part of a world-system (Castro-Gómez 2001). To build an economy and gain access to resources in the world-system, one nation state colonized another. Colonizers constructed race, the notion of the Orient (Said 1979), the North/South binary, and other such dividing practices. The understanding of what the dominant discourse calls ‘modern culture’, including notions of equity, antiracism, and social justice, all sit within this frame which is held up by the constructed universalism of zero-point epistemology. The distribution and exploitation of labour stemming from coloniality and science-based constructions of identities and social value brought about forms of labour control that were differentiated by race; thus “a new technology of domination/exploitation, in this case race/labor, was articulated in such a way that the two elements appeared naturally associated” (Quijano 2000, p. 537). One can draw a direct line between this historical distribution of labour and the ongoing distribution of the labour of marginalized groups in academia and medicine (Association of American Medical Colleges 2020; Henry et al. 2017; Hodges 2020; Nestel 2004). We argue that science, and the professions that emerged from it, continue to dominate, control, and divide people.

보건 전문직 교육은 식민주의와 인식론적 폭력에 뿌리를 둔 현재의 모델을 더 이상 지속할 수 없습니다. 형평성과 사회 정의를 재구성하기 위해서는 영점을 넘어 부분적인 관점, 위치 지식, 정체성과 위치의 경계선을 포용하는 인식론적, 존재론적 입장에서 도출된 새로운 HPE 비전이 필요하다고 제안합니다(Anzaldúa 1999; Haraway 1988). 마스터의 집을 해체하는 것은 "새로운 방식의 글로벌 구조화"(카스트로-고메즈 2001, 152쪽)와 새로운 가능성의 교육학(모타 2013)을 제공할 것입니다. 
Health professions education can no longer sustain the continuation of our current models rooted in coloniality and epistemic violence. In order to reframe equity and social justice, we suggest that we need a new vision of HPE; one derived from epistemological and ontological positions that move beyond the zero point to embrace partial perspectives, situated knowledges, and the borderlands of identity and position (Anzaldúa 1999; Haraway 1988). Dismantling the Master’s House will give “way to new ways of global structuring” (Castro-Gómez 2001, p. 152) and new pedagogies of possibility (Motta 2013).

우리는 시간의 순간을 묘사하고, 그 순간을 목격하고, 인식론적 불의를 해결하기 위해 다양한 방식으로 직접 참여하면서 이 작품을 시작했습니다. 아마도 캐나다 시인 디온 브랜드(2020)가 이 순간을 가장 잘 묘사한 것 같습니다. "모든 것이 공중에 떠 있고, 그 순간의 모든 내러티브가 날아가고, 동상이 쓰러지고, 모든 지표가 잠시나마 무너지는 순간"이죠. 
We began this piece describing moments in time, bearing witness to these moments, and participating ourselves in a multitude of different ways to address epistemic injustices. Perhaps the Canadian poet Dionne Brand (2020) describes this moment the best. A moment when “everything is up in the air, all narratives for the moment have been blown open—the statues are falling—all the metrics are off, if only briefly.”

 

마스터의 집 해체하기
Dismantling the master’s house

주인의 집을 해체하려면 HPE 내에서 다음에 대한 조사가 필요합니다.

  • 차이는 어떻게 구성되는지,
  • 이러한 개념화로 인해 누가 혜택을 받았는지,
  • 이러한 개념이 교육과 실무에서 어떻게 나타났는지,
  • 이러한 패턴이 어떻게 HPE에서 불평등을 지속시키는지

오랫동안 지배적인 영점 인식론에 대한 대안은 무엇일까요? 식민지, 젠더와 섹슈얼리티의 구성, 인종 구성 등 서로 연결된 세 가지 사례를 예로 들어 설명하겠습니다. 그러나 이는 세 가지 가능한 부분적인 관점일 뿐이며, 예를 들어 건강 상태, 능력, 종교적 신념, 토착성 또는 사회경제적 지위도 탐구할 수 있습니다. 식민지성, 성별 및 섹슈얼리티, 인종을 선택한 데에는 여러 가지 이유가 있습니다.

  • 첫째, 이 주제들은 정복과 식민지에서 비롯된 영점 인식론에서 비롯된 것이고,
  • 둘째, 글로벌 식민지 권력 매트릭스는 인종주의의 토대 위에서 구성되며 성별과 섹슈얼리티가 권력의 한 영역으로 유지되고 있고,
  • 셋째, 보건 전문직 교육의 구성원으로서 집단적으로나 개인적으로 특히 관심이 있는 분야이며,
  • 넷째, 이러한 질문을 통해 새로운 가능성을 상상할 수 있다는 희망이 있기 때문입니다.

Dismantling the Master’s House calls for an interrogation of

  • how difference is constructed within HPE,
  • who has been advantaged by these conceptualizations,
  • how these have manifested in education and practice, and
  • how these patterns continue to perpetuate inequities in HPE.

What are the alternatives to the long dominant zero-point epistemologies? We will employ three interconnected examples as illustrations: coloniality, the constructs of gender and sexuality, and the construct of race. However, these are just three possible partial perspectives; we could have also, for example, explored health status, ability, religious beliefs, Indigeneity, or socio-economic status. We have selected coloniality, gender and sexuality, and race for a number of reasons.

  • First, they emerge out of zero-point epistemologies stemming from conquest and colonization;
  • second, the global Colonial Matrix of Power is constructed on the foundation of racism and is held up by gender and sexuality as a sphere of power;
  • third, these are areas of particular interest to us collectively and individually as members of health professions education; and
  • fourth, there is hope that through their interrogation, we can imagine new possibilities.

식민지성
Coloniality

식민성의 개념은 식민주의와 탈식민주의에 대한 대응으로 개발되었습니다. 식민주의는 한 집단이 다른 집단을 정복하는 지배의 관행을 말합니다(Kohn and Reddy 2017). 식민주의는 세계 역사에서 계속되어 왔지만, 이 백서에서는 주로 16세기에 시작되어 아시아, 아프리카, 호주와 뉴질랜드, 아메리카 대륙의 사람들과 영토를 포괄하는 유럽 열강에 의한 현재의 식민지 시대를 지칭합니다. 식민주의는 흔히 제국주의 열강이 새로운 영토를 정복하고 자원을 약탈하는 행위로만 생각하기 쉽습니다. 그러나 동시에 제국주의 열강은 경제와 사회가 어떻게 기능해야 하는지를 포함한 계몽주의의 이상을 수출하고 있었습니다. 정교한 전통 교육 관행은 혼란에 빠지거나 근절되었습니다. 식민주의는 여러 세대에 걸친 지식의 패권적 파괴를 통해 문화, 언어, 지식 체계를 죽이는 "문화 학살, 언어 학살, 인식 학살"로 이어졌습니다(Hall and Tandon 2017). 다음과 같은 것은 바로 이러한 이유에서 비롯된 것이라고 우리는 주장한다.

  • 대부분의 캐나다 학교에서 학생들이 영어와 프랑스어로 교육을 받지만 이누크티투트어나 오지브웨이는 배우지 않는 이유,
  • '전통적인' 문학 정전에 셰익스피어는 있지만 소잉카는 포함되지 않는 이유,
  • 우리가 '내러티브'라고 부르는 것이 주로 구술이 아니라 로 된 이유,
  • 우리 몸이 어떻게 기능하는지에 대한 이해가 영적인 것이 아니라 생물학적이라는 이유 등

이러한 지식은 식민지 인식론에서 비롯된 것이며, 현대 대학이 현재 합법적이고 '진짜', '진실'로 간주하는 것의 대부분은 이러한 식민지 지배 규범에서 비롯된 것입니다(Hall and Tandon 2017). 
The concept of coloniality was developed as a response to both colonialism and postcolonialism. Colonialism refers to the practice of domination where one group of people subjugate another (Kohn and Reddy 2017). While colonialism has been ongoing in world history, for the purposes of this paper we refer primarily to the current period of colonization by European powers that started in the 16th century and encompassed people and territories in Asia, Africa, Australia and New Zealand, and the Americas. Colonialism is often only thought of as the act of imperialist powers conquering new territories and plundering their resources. However, at the same time, imperialist powers were exporting the ideals of the Enlightenment, including how economies and societies should function. Sophisticated traditional education practices were disrupted or eradicated. Through the hegemonic disruption of generations of knowledge, colonialism led to “cultural genocide, linguicide and epistemicide”—the killing of culture, language and Knowledge Systems (Hall and Tandon 2017). It is

  • why, we argue, students in most Canadian schools are educated in English and French but not in Inuktitut or Ojibway;
  • why the ‘traditional’ literary canon contains Shakespeare but not Soyinka,
  • why what we call ‘narrative’ is primarily written and not oral, and
  • why our understanding of how our bodies function is biological, not spiritual.

These knowledges stem from colonial epistemologies and much of what the modern university now positions as legitimate, ‘real’ and ‘true’ is positioned from this colonial dominant norm (Hall and Tandon 2017).

탈식민주의는 약 400년에 걸친 유럽 중심의 식민지배에 대한 대응으로 등장했습니다. 그것은 다음과 같이 정의됩니다:
Postcolonialism emerged as a response to approximately 400 years of Eurocentric colonization. It is defined as:

식민주의의 경험과 그 과거와 현재의 영향에 대한 연구로, 식민지 이전 사회의 지역적 수준뿐만 아니라 제국의 후유증으로 여겨지는 보다 일반적인 글로벌 발전의 수준에서 모두 포함됩니다. 탈식민주의는 종종 노예, 이주, 억압, 저항, 차이, 인종, 성별, 장소 등 다양한 종류의 경험에 대한 논의를 포함합니다.... (슈바르츠와 레이 2008, 93쪽)
studied engagement with the experience of colonialism and its past and present effects, both at the local level of ex-colonial societies, as well as at the level of more general global developments thought to be the after-effects of empire. Postcolonialism often involves the discussion of experiences of various kinds such as those of slavery, migration, suppression, and resistance, difference, race, gender, place…. (Schwarz and Ray 2008, p. 93)

탈식민주의는 '자아'가 사회적으로 구성되었으며, 제국주의의 지배 세력이 우리 대 그들, 백인 대 흑인, 서양 대 동양의 이분법을 만들어냈다고 주장합니다(Said 1979). 사회적으로 구성된 정체성은 지배적인 지식 관행에 의해 항상 '타자'와의 관계에서 자신을 바라보도록 조건화되어 다층적으로 구축됩니다(Bhabha 2012). 탈식민주의는 부분적으로는 정치적, 경제적 대응일 뿐만 아니라 인식론적 대응으로서, 계몽주의와 식민지화를 통해 발전한 모든 것을 단적으로 정의할 수 있다는 실증주의적 규범에 도전하는 것입니다. 후기식민주의는 긴밀하게 묶여 있지 않으며 "하나의 분야, 관점 또는 정치적 약속"으로 볼 수 있습니다(Loomba 2015, 4쪽). "탈식민주의"를 정의하는 것은 하나의 합리화되고 환원주의적인 정의로 축소하려는 지식 관행에 대해 (저항하는 것이 아니라) 설명하는 것입니다. 
Postcolonialism argues that the ‘self’ has been socially constructed; the dominant powers of imperialism generating the binaries of us versus them, white versus black, and West versus East (Said 1979). Socially constructed identities are built up in layers, conditioned by dominant knowledge practices to always see oneself in relation to an ‘other’ (Bhabha 2012). Postcolonialism is, in part, not only a political and economic response but an epistemological one, challenging the dominant positivist norm developed through the Enlightenment and colonization that everything can be singularly defined. Postcolonialism is not tightly bound and can be viewed as “a field, or a perspective, or a political commitment” (Loomba 2015, p. 4). Defining “postcolonialism” is describing instead a resistance to knowledge practices that attempt to whittle it down to a single rationalized and reductionist definition.

많은 학자들이 탈식민주의라는 개념에 저항하고, 대신 식민성이라는 개념을 통해 연구를 구성합니다. 식민성은 포스트모더니스트 유럽 중심적 사상가(푸코, 그람시, 데리다 등)에 대한 의존에서 벗어나, 소외된 인식론적 철학, 전통, 사유 체계가 내재된 지식으로 나아가는 식민지 지식의 가시적인 형태로 자리매김하고 있습니다(Grosfoguel 2011). 예를 들어,

  • 글로리아 안잘두자(1999)는 자아를 정복으로부터 해방시키기 위해 국경지대에 대한 새로운 포용적이고 혼합적인 의식을 요구합니다.
  • 프란츠 파농(1963, 2008)과 스티브 비코(2015)는 자아의 변증법적 구성으로부터 사회를 해방시키기 위해 혁명, 힘 또는 폭력이 필요할 수 있다는 점을 고려할 것을 권유합니다.

이들의 공통점은 다름을 인정하는 지식 실천에 대한 찬사입니다. 식민성 또는 탈식민화 프레임을 사용하면 [차이를 지우고, 주체의 위치를 은폐하며, 주체가 "지배적 위치에 있는 것과 같은 인식론적 사고"를 하게 만드는 지식]의 형태에서 신중하게 벗어날 수 있습니다(Grosfoguel 2011, 5쪽). 
Many scholars resist the idea of postcolonialism and instead frame their work through the concept of coloniality. Coloniality positions itself as a tangible form of decolonizing knowledges—moving away from the reliance on postmodernist Eurocentric thinkers (such as Foucault, Gramsci, and Derrida) to knowledge imbued with marginalized epistemological philosophies, traditions, and systems of thought (Grosfoguel 2011). For example,

  • Gloria Anzaldúza (1999) calls for a new inclusive, mixed consciousness of the borderlands to unentangle the self from subjugation.
  • Frantz Fanon (1963, 2008) and Steve Biko (2015) invite one to consider that revolution, force, or violence may be needed to emancipate society from dialectic constructions of the self.

What these have in common is their celebration of a knowledge practice that recognizes difference. Using frames of coloniality or decolonization move us thoughtfully away from forms of knowledge that erase differences, conceal subject positions, and makes subjects “think epistemically like the ones on the dominant positions” (Grosfoguel 2011, p. 5).

서구의 "근대적" 인식론이 어떻게 일부 집단에는 유리하지만 다른 집단에는 불리한지 보여주는 데 도움이 되는 도구 중 하나는 식민지 권력 매트릭스입니다. 이 매트릭스(미뇰로 2007; 퀴자노 2000)는 식민주의를 통해 발전한 근대 글로벌 권력의 기초로서 지식, 인종주의, 가부장제, 자본을 중심에 두고 있습니다. 미뇰로와 퀴야노가 주장했듯이, 현대 글로벌 시스템은 지배의 도구로서 권력의 영역(주체성, 성별과 섹슈얼리티, 권위, 토지 및 노동력 착취)을 부과했습니다. 이러한 도구는 상호 의존적이며 서로 관련되어 작동하며 현대의 글로벌 권력 구성을 유지하고 재생산하는 역할을 합니다(Quijano 2000). 이론가들은 식민지 권력 매트릭스가 "서구 문명의 근본 구조"(Mignolo 2011, 16쪽)이며 "상호 연결된 위계를 생성, 재생산, 수정, 유지하는 논리"(Mignolo 2011, 17쪽)라고 주장합니다. (그림 1) 
One tool that helps demonstrate how a Western “modern” epistemology advantages some groups but not others is the Colonial Matrix of Power. This matrix (Mignolo 2007; Quijano 2000) centres knowledge, racism, patriarchy and capital as the basis of modern global power developed through colonialism. This modern global system, as Mignolo and Quijano have argued, imposed spheres of power (subjectivity, gender and sexuality, authority, and the exploitation of land and labour) as instruments of domination. These instruments are interdependent, operating in relation to one another, and serve to uphold and reproduce the modern construction of global power (Quijano 2000). Theorists argue that the Colonial Matrix of Power is “the very foundational structure of Western civilization” (Mignolo 2011, p. 16) and is “the logic that generates, reproduces, modifies, and maintains interconnected hierarchies” (Mignolo 2011, p. 17). (Fig. 1)

구조적 인종 차별
Structural racism

뉴잉글랜드 의학 저널에 실린 한 논문은 경찰의 불균형적인 공권력 사용으로 미니애폴리스에서 사망한 흑인 남성이 어떻게 미국 의료계가 구조적 인종주의에 맞서야 한다는 요구를 촉발했는지를 설명합니다. 이 논문은 의료 전문가들이 구조적 인종주의를 해체할 책임이 있으며, 이를 위해 구체적인 행동을 취함으로써 이를 시작할 수 있다고 설명합니다.

  • △건강 격차를 초래하는 역사적 인종주의의 뿌리에 대해 배우고
  • △암묵적 편견에 도전하며
  • △인종주의를 목격했을 때 정의하고 이름을 붙이고
  • △우세한 집단의 관점에서 소외된 집단의 관점으로 전환하는 등 

이 논문이 조지 플로이드의 사망 이후인 2020년에 발표되었다고 생각할 수 있지만, 실제로는 2016년에 필란도 카스틸레라는 남성이 경찰의 손에 의해 사망한 사건에 대해 작성되었습니다(Hardeman 외. 2016). Hardeman은 구조적 인종차별을 "미국에서 생명을 단축시키는 폭력의 공통분모"라고 부릅니다(2113쪽). 그녀는 용기와 변화를 모두 요구하지만, 그 이후 많은 변화가 있었을까요? 
A paper in the New England Journal of Medicine describes how a Black man killed in Minneapolis through the disproportionate use of lethal force by the police sparked calls for the medical profession in the United States to confront structural racism. It explains that medical professionals have a responsibility to dismantle structural racism and can begin doing so by taking specific actions:

  • learning about historical racist roots which lead to health disparities;
  • challenging implicit biases;
  • defining and naming racism when it is seen, and
  • ‘centering at the margins’—shifting away from the dominant group’s perspective to that of marginalized groups.

One might imagine this paper came out in 2020 following the death of George Floyd, but it was actually written in 2016 about a man named Philando Castile who also died at the hands of the police (Hardeman et al. 2016). Hardeman calls structural racism “the common denominator of the violence that is cutting lives short in the United States” (p. 2113). She calls for both courage and change, but has much changed since?

인종주의는 식민지 권력 매트릭스 구조의 중심에 있습니다. 인종이라는 개념으로 전 세계 사람들을 분류한 것은 식민주의였지만, 식민주의 구조보다 더 오래 지속되어 온 것은 인종주의입니다(퀴야노 2000). 식민주의를 통해 지리적 출신에 따라 개인을 분류하거나 식별하는 방식은 관찰 가능한 특성(또는 표현형)에 따라 개인을 분류하는 방식으로 바뀌었고, 이는 새로 만들어진 인종이라는 범주에 따라 개인을 분류하는 방식으로 바뀌었습니다(Quijano 2000). 인종주의는 제국과 식민지 경제의 확산을 정당화했습니다. 정복당한 사람들은 식민지 개척자보다 인종적으로 열등한 존재로 구성되었습니다.
Racism is at the centre of the structure of the Colonial Matrix of Power. While it was colonialism that classified the world’s people by the idea of race, it is racism that has endured longer than the colonial structure from whence it came (Quijano 2000). Through colonialism, categorizing or identifying an individual by geographic origin gave way to categorizing individuals based on observable characteristics (or phenotypes) which then gave way to categorizing individuals by the newly-created category of race (Quijano 2000). Racism legitimized the spread of empire and colonial economies. The conquered were constructed as racially inferior to the colonizer.

다윈, 스미스, 생시몽, 콩트, 뉴먼, 밀(그리고 다른 많은 학자들)의 유럽 중심적 렌즈를 통해 유럽 사회는 진보와 발전을 개인주의, 효용, 교육, 질서와 동일시했으며, 이러한 조건은 "'관습'에 얽매이지 않고 관용과 합리적인 토론이 허용되는 사회"에서만 실현될 수 있었습니다(Cowen과 Shenton 1996, 41쪽)(말할 필요도 없이 다른 사람의 문화적 표준만 '관습'으로 비하될 수 있습니다). 식민주의와 인종주의는 제국주의와 경제 확장이 성장함에 따라 이와 유사한 영점 사상이 교육, 보건, 정부 및 그 구조와 제도의 시스템을 통해 만들어지고 엮어졌습니다.
Through the Eurocentric lenses of Darwin, Smith, Saint-Simon, Compte, Newman, and Mill (and many others), European society equated progress and development with individualism, utility, education, and order and these conditions could only be realized in societies “not bound by ‘custom’ and in which tolerance and rational discussion were permitted” (Cowen and Shenton 1996, p. 41) (needless to say, only someone else’s cultural norm would be derided as ‘custom’). Colonialism and racism fit right in and as imperialist and economic expansion grew, these and similar zero-point ideas created and wove their way up and through the systems of education, health, government, and their structures and institutions.

그렇다면 인종주의란 무엇이며, 구조적 또는 제도적 인종주의란 무엇일까요? 여기서는 카마라 존스(2002)의 글을 길게 인용할 가치가 있습니다. 그녀는 이렇게 썼습니다:
What is racism then, and what is structural or institutional racism? It is worth quoting Camara Jones (2002) here at length. She writes:

인종주의는 표현형("인종")에 따라 기회를 구조화하고 가치를 부여하는 시스템으로, 일부 개인과 공동체에 부당하게 불이익을 주고, 다른 개인과 공동체에 부당하게 이득을 주며, 인적 자원의 낭비를 통해 사회 전체의 잠재력을 최대한 실현하는 것을 저해합니다. (p. 10)
Racism is a system of structuring opportunity and assigning value based on phenotype (“race”), that: unfairly disadvantages some individuals and communities; unfairly advantages other individuals and communities; [and] undermines realization of the full potential of the whole society through the waste of human resources. (p. 10)

존스는 이어서 제도화된 인종차별을 다음과 같이 정의합니다:
Jones then goes on to define institutionalized racism as:

"인종"에 따라 사회의 재화, 서비스 및 기회에 차별적으로 접근하는 구조, 정책 또는 규범입니다. 제도화된 인종차별은 규범화되어 있고 때로는 합법화되어 있으며 대물림되는 불이익으로 나타나는 경우가 많습니다. 인종차별은 관습, 관행, 법률 제도에 성문화된 구조적 문제이므로 가해자가 특정되지 않아도 ... 물질적 조건과 권력에 대한 접근성에서 모두 나타납니다. (p. 10)
the structures, policies, or norms resulting in differential access to the goods, services, and opportunities of society by “race.” Institutionalized racism is normative, sometimes legalized, and often manifests as inherited disadvantage. It is structural, having been codified in our institutions of custom, practice, and law so there need not be an identifiable perpetrator … [and it] manifests itself both in material conditions and in access to power. (p. 10)

퀴자노가 주장했듯이 인종주의와 식민주의는 불가분의 관계에 있으며, 경제와 제국의 성장에 초점을 맞춘 영점 인식론의 전 세계적 확장은 저임금 노동, 계약직 노동, 노예제 등 인종주의와 이를 뒷받침하는 구조에 의해 지원되는 노동 세대를 낳았다.
As Quijano has argued racism and colonialism are inextricably linked, such that the global expansion of zero-point epistemology which has been centred around and focused on economic and imperial growth has resulted in generations of labour supported by racism and the structures that support it, including underpaid labour, indentured labour, and slavery.

프란츠 파농은 『검은 피부, 하얀 가면』(1994)과 『지구의 비참한 사람들』(1963)에서 이러한 구조에 억압받아온 사람들의 이야기를 썼습니다. 파농은 마르티니크에서 태어나 리옹에서 정신과 전문의 자격을 취득한 후 알제리에서 진료 활동을 했습니다(Khalfa 2015). 알제리의 병동에서 유럽인과 알제리인 환자를 모두 돌보는 다인종 의사로 일하면서 그는 정신 질환의 형태가 문화적으로 결정된다는 것을 확인했습니다. 파농은 식민지 시대의 권력 매트릭스를 비판하며, 이 매트릭스가 억압자와 피억압자의 생각과 마음 모두에 주입된다는 인식을 가지고 있습니다. 파농은 이러한 형태의 억압 아래서 인간의 삶은 "착취, 비참함, 굶주림과의 싸움의 형태"(2008, 174쪽)에 지나지 않는다고 말하며, 이러한 억압을 해소할 수 있는 유일한 방법으로 폭력을 요구합니다. 그는 "식민주의는 생각하는 기계도 아니고 추론 능력을 부여받은 신체도 아니다. 그것은 그 자체로 폭력이며, 더 큰 폭력에 직면했을 때만 굴복할 것이다"(1963, 61쪽)라고 말합니다. 파농은 그의 작품 전반에 걸쳐 다음을 세심하게 묘사합니다.

  • 식민주의가 식민화된 정신에 어떻게 스며드는지,
  • 억압적 담론이 어떻게 일상화되는지,
  • 불평등이 어떻게 인종화되는지

비록 이 용어가 만들어지기 전에 글을 썼지만, 파농은 식민지적 권력 매트릭스를 묘사하고 있습니다. 
Frantz Fanon writes to those who have been oppressed by these structures in his works Black Skin, White Masks (1994) and The Wretched of the Earth (1963). Fanon was born in Martinique, qualified as a psychiatrist in Lyon and went on to practice in Algeria (Khalfa 2015). Through his work on the wards in Algeria as a racialized physician attending to both European and Algerian patients, he identified forms of psychiatric illness as culturally determined. Fanon critiques the Colonial Matrix of Power, with the recognition that this matrix instills itself both in the thoughts and minds of the oppressor and also the oppressed. Fanon writes that a man’s life under these forms of oppression is conceived as nothing other than “the form of a battle against exploitation, misery, and hunger” (2008, p. 174) and calls for violence as the only method by which this oppression can be lifted. He writes: “colonialism is not a thinking machine, nor a body endowed with the reasoning faculties. It is violence in its natural state, and it will only yield when confronted with greater violence” (1963, p. 61). Throughout his work Fanon carefully describes

  • how colonialism pervades the colonialized mind;
  • how oppressive discourses become normalized, and
  • how inequality is racialized.

Although he was writing before this term was created, Fanon is describing the Colonial Matrix of Power.

파농이 1960년대에, 존스가 2000년대에 묘사한 구조적 인종주의는 HPE와 관행을 포함하여 사회에 계속 만연해 있습니다. 과학은 계속해서 인종차별적인 사람들을 약탈하고 있습니다.

  • 루하 벤자민은 줄기세포 연구(2013)와 기술 설계(Benjamin 2019a, b)가 흑인을 차별하는 방식에 대해 글을 썼습니다.
  • 린다 투히와이 스미스(2008)는 학술 연구와 같은 구조가 원주민에게 어떻게 경쟁의 장이 될 수 있는지 자세히 설명하며, 영점 인식론 내의 연구는 저항해야 할 대상이라고 말합니다. 겉으로는 평등주의적 태도를 보이는 미국의 일부 주치의는 흑인 및 라틴계 인구에 대해 상당한 암묵적 편견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Hostetter and Klein 2018).
  • 오드레 로데(2007)는 학술회의의 구조를 "인종차별적 가부장제의 도구"(110쪽)라고 표현하며, 인종차별적이고 소외된 사람들은 토큰으로만 발표에 초대될 수 있다고 말합니다.
  • 패트리샤 힐 콜린스(1986)와 벨 후크스(2014)는 위계적 형태의 권위적인 학문 전파 방식에서 벗어나 외부의 목소리를 듣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합니다(학술지에 실린 이 논문도 여기에 포함시킵니다). 후크스는 학계가 "인종주의와 성차별과 같은 지배 체계를 다시 기록하는 교육적 관행"(2014, 10페이지)에서 벗어날 것을 제안합니다.  

The structural racism that Fanon describes in the 1960s, and Jones describes in the 2000s, continues to pervade society, including HPE and practice. Science continues to be predatory against racialized people.

  • Ruha Benjamin writes about how stem cell research (2013) and technological design (Benjamin 2019a, b) are discriminatory against Black people.
  • Linda Tuhiwai Smith (2008) details how structures, such as academic research, can be sites of contestation for Indigenous Peoples, with research within zero-point epistemology as something that needs to be resisted. Some primary care physicians in the United States who outwardly demonstrate egalitarian attitudes have been shown to have significant implicit biases against Black and Latino populations (Hostetter and Klein 2018).
  • Audre Lorde (2007) refers to the structure of an academic conference as “the tools of a racist patriarchy” (p. 110) where racialized and marginalized people may only be invited to present as tokens.
  • Patricia Hill Collins (1986) and bell hooks (2014) speak of the importance of listening to voices from outside the authoritative diction of hierarchical forms of academic dissemination (we would include this paper here too, written for a scholarly journal). hooks suggests further that academia move away from “pedagogical practices that … reinscribe systems of domination (such as racism and sexism)” (2014, p. 10).

이러한 사례는 구조적 인종주의가 교육과 의료 분야에서 어떻게 형성되고 자리 잡았는지 설명하는 데 사용된 몇 가지 예에 불과합니다. 우리의 구조, 우리 중 많은 사람들이 누리는 특권, 우리가 추구하는 이점은 그 구조가 인종주의의 토대 위에 세워졌기 때문입니다. 미니애폴리스에서 필란도 카스티야가 살해된 지 4년이 지난 지금도 우리는 여전히 같은 이야기를 쓰고 있습니다.
These are just some examples used to illustrate how structural racism has built and takes its place within education and healthcare. Our structures, the privileges many of us hold, and the advantages we seek, are because the structures are built on a foundation of racism. Four years after the murder of Philando Castile in Minneapolis, we still write the same stories.

성별과 섹슈얼리티
Gender and sexuality

식민주의는 또한 소외된 사람들에게 성별 구조를 강요했습니다. 오예우미(1997)는 영국의 북서아프리카 식민지배가 어떻게 요루바 사회에서 '여성'이라는 개념의 구축과 그 후의 사회 종속을 초래했는지 설명합니다(Lugones(2016) 참조). 성별과 젠더에 대한 식민지 사상의 부과를 설명하는 또 다른 예는 '두 영혼'이라는 용어입니다. 북미 원주민 커뮤니티의 맥락에서 '두 영혼'이라는 용어는 원주민 문화에 내재된 다중 성 정체성, 즉 남성뿐만 아니라 여성뿐만 아니라 둘 이상의 성 지향성(성 지향성은 성적으로 끌리는 개인이 아니라 자신이 일치하는 역할을 의미)으로 정체화하는 개인을 지칭합니다. 그러나 식민주의의 역사, 종교적 교리, 문화적 말살, 기숙 학교 교육의 잔인함, 그리고 그에 따른 세대 간 트라우마로 인해 원주민 공동체 내에서 '두 영혼'의 의미에 대한 가르침이 혼란스러워졌습니다(Cameron 2005). 이마저도 식민지 권력 매트릭스에 의해 지워졌지만, 상당한 저항 노력과 행동주의를 통해 원주민 커뮤니티 내 일부에 의해 두 영혼의 정체성이 되찾아지고 있습니다(Depelteau와 Giroux 2015). 또한 식민지배는 '동성애'라는 범주를 만들어냈고(Mignolo 2011), 이전에는 이러한 방식으로 사람들을 분류하지 않았던 여러 문화의 인식론적 신념을 근절했습니다. 
Coloniality also imposed structures of gender upon the people it marginalized. Oyěwùmí (1997) explains how the British colonization of northwest Africa resulted in both the construction of the concept of “woman” in Yorùbá society and then their subsequent subordination in society (see also Lugones (2016)). Another example to illustrate the imposition of colonial ideas about sex and gender is the term ‘two-spirited’. Within the context of Indigenous communities in North America, the term ‘two-spirited’ referred to a multiple gender position embedded within Indigenous cultures, an individual who identifies as more than one gender orientation—not just male and not just female (gender orientation meaning the roles that one aligns with rather than the individuals to whom one is sexually attracted). However, the history of colonialism, of religious dogma, cultural eradication, the brutality of residential schooling, and subsequent intergenerational trauma led to a disruption of teachings within Indigenous communities about the meaning of ‘two spirited” (Cameron 2005). Even that was being erased by the Colonial Matrix of Power, but through significant resistance efforts and activism the two-spirited identity is being reclaimed by some within Indigenous communities (Depelteau and Giroux 2015). Further, coloniality created the category of ‘homosexuality’ (Mignolo 2011), eradicating the epistemic beliefs of multiple cultures that had not previously categorized its people in these ways.

다시 말해, 지배 사회에서는 '새롭게 실현된' 것처럼 보이지만 이미 존재했던 성 및 젠더 개념이 식민지 사회에서는 동일한 권력을 갖지 못한 채 소외되어 왔다는 것입니다. 우리는 여기서 섹스와 젠더에 대한 이러한 깨달음이 백인 유럽 학계에서 지배적인 영점 인식론에 대한 의문을 제기하는 초기 징후라고 주장합니다. 1949년 출간된 시몬 드 보부아르의 저서 『제2의 성』(2010)과 주디스 버틀러의 저서(1987, 1990, 2004)는 성을 식민주의에 의존한 고정불변의 정체성이 아니라 "문화적 해석"(1987, 36쪽)으로 재구성하고 있습니다. 성별은 생물학적 스펙트럼에 있지만, 젠더는 사회적으로 구성되며 타인과의 관계를 통해 배우는 것입니다. 
In other words, there are conceptions of sex and gender that may appear to have been ‘newly realized’ within the dominant society but had already existed and had then been marginalized in the colonized societies that had not been afforded the same power. We argue here that such realizations about sex and gender were early indications of a questioning of the dominant zero-point epistemology from within the white European academy. The 1949 publication of Simone De Beauvoir’s book The Second Sex (2010) and Judith Butler’s works (1987, 1990, 2004) reconstruct gender not as the fixed immutable identity relied upon through coloniality, but as a “cultural interpretation” (1987, p. 36). While sex may be on a biological spectrum, gender is socially constructed; it is something we learn how to do through our relations with others.

식민지 권력 매트릭스는 인종, 성별, 젠더를 별개의 구분 관행으로 구성하여, 인종과 성별, 젠더가 권력을 통해 상호 연결되는 위계를 만들어 백인 남성이 백인 여성에 대한 권력을 갖고 백인 여성이 흑인 남성에 대한 권력을 갖도록 합니다(Mignolo 2011). 따라서 식민지 매트릭스에 맞서기 위해서는 사회 정의를 위해 함께 노력하면서 역사적 차이를 인정하는 통합된 접근 방식이 필요합니다. 오드레 로데, 벨 훅스, 패트리샤 힐 콜린스는 모두 지배적인 인종차별주의와 가부장제 사회에 저항하는 소외된 목소리의 중요성에 대해 이야기합니다. 여기에서 인종과 성별의 교차성(Crenshaw 1989)을 더 쉽게 확인할 수 있습니다. Lorde(2007)는 소외된 사람들의 생존은 성별, 인종, 나이, 사회경제적 지위 등 자신의 차이를 강점으로 만드는 능력에 달려 있다고 말하며, 독자들에게 개인을 정치화하고 사회 변화를 옹호할 것을 촉구합니다. 후크스는 "말하는 것은 단지 창조적 힘의 표현이 아니라 저항의 행위이며, 우리를 이름도 없고 목소리도 없게 만드는 지배의 정치에 도전하는 정치적 제스처"(2015, 8쪽)라며 목소리와 변화를 더욱 옹호하고 있습니다. 목소리, 직위, 직책이 있다고 해도 사람들이 내 말을 들어준다는 보장은 없습니다. 힐 콜린스(1986)는 흑인 여성에 의한 흑인 여성의 자기 정의와 자기 평가에 긍정적인 변화를 일으키기 위해 외부에서 파생된 이미지를 "진정한 흑인 여성 이미지"(517쪽)로 대체하는 아프리카 중심적 페미니즘 인식론을 주장하며 변화를 촉구합니다. 

The Colonial Matrix of Power constructs race, sex and gender as separate dividing practices, creating hierarchies where race and sex and gender became interconnected through power, such that white men had power over white women, and white women had power over Black men (Mignolo 2011). Confronting the colonial matrix thus requires a unified approach that names historical differences while working together for social justice. Audre Lorde, bell hooks and Patricia Hill Collins all speak of the importance of marginalized voices resisting the dominant racist and patriarchal society. It is here where one can more easily identify the intersectionality (Crenshaw 1989) of both race and gender. Lorde (2007) suggests that the survival of marginalized people depends on their ability to take their differences, such as gender, race, age or socioeconomic status, and make them strengths, urging readers to make the personal political, and advocate for social change. hooks further advocates for voice and change, writing “[t]rue speaking is not solely an expression of creative power; it is an act of resistance, a political gesture that challenges politics of domination that would render us nameless and voiceless” (2015, p. 8). Even though you may have a voice, or position, or title, there is still no guarantee that people will listen. Hill Collins (1986) calls for change, arguing for an Afrocentric feministic epistemology where externally-derived images are replaced by “authentic Black female images” (p. 517) to produce positive change in the self-definition and self-valuation of Black women by Black women.

식민지성과 저작자
Coloniality and authorship

우리는 저자 집단으로서 '우리'가 누구인지에 대한 설명으로 HPE의 주인의 집을 해체하는 이 이야기를 시작하면서, 우리의 여러 교차, 강요, 주장된 정체성이 독자들에게 주의와 회의로 우리의 관점을 읽고 자신의 입장, 관점, 특권에 대해 의문을 제기하도록 경각심을 불러일으킬 수 있다는 생각을 암시했습니다. 독자 여러분이나 저자인 저희는 완벽한 반성적 입장에 도달할 수 있을 거라는 환상을 갖고 있지 않습니다. 이 글의 어느 시점에서 누구의 목소리가, 어떤 관점에서, 어떤 위치에서 말하고 있을까요? 저자 순서를 보면 누구의 목소리가 표현되었는지, 누가 이러한 목소리가 어떻게 표현되는지 결정할 수 있는 권한이 있는지에 대한 단서를 얻을 수 있습니다. 지금 누구의 목소리가 나오는가, 제1저자의 목소리인가? 선임 저자의 목소리인가요? 물론 '우리'라고 주장되는 모든 목소리가 동일하게 대표될 수는 없으며, 어떤 사람들은 이러한 목소리 중 일부는 전혀 대표되지 않는다고 주장할 수도 있습니다. 
We started this story of dismantling the Master’s House in HPE with a description of who ‘we’ are as a collective of authors, alluding to the idea that our multiple intersecting, imposed, and claimed identities should alert the reader to read our perspective with caution and scepticism and to attempt to interrogate their own positions, perspectives, and privileges in the reading. We are under no illusion that either you, dear reader, or we as authors will attain a perfected reflexive positioning. Whose voice is speaking at any point in this piece, from what vantage point, and what position? The authorship order might offer some clues over whose voices are represented and who might have the power to determine how these voices are represented. Whose voice is speaking right now, is it the voice of the first author? The voice of the senior author? Certainly, all the voices that are claimed as ‘we’ cannot be represented equally, and some might argue that some of these voices are not represented at all.

학계의 관례에 따라 제1저자는 학계에서 특권을 가진 목소리로 간주될 수 있으며, 이 논문을 작성하고 잠재적으로 HPE에서 콘텐츠가 수용되는 방식을 형성할 수 있는 권한을 갖습니다. 이 경우 제1저자는 박사 과정 중에 박사 지도교수인 마지막 저자에게 의뢰한 이 논문의 작업에 초대받아 이러한 아이디어를 작성했기 때문에 특권을 주장할 수도 있습니다. 마지막 저자는 저자 목록에 자신의 이름을 올리고 의뢰를 받았다는 점에서 강력하고 자원이 풍부한 북미 공간에서 정당화되고 승인된 합법적인 목소리를 낼 수 있는 특권을 동등하게 주장합니다. 두 목소리 모두 식민지 권력 매트릭스 내에서 중심을 잡고 있습니다. 출판된 논문의 제1저자 직책은 그 자체로 학계 구조 내에서 가치 있는 화폐입니다. 이는 책임과 인정을 의미합니다. 이 사례의 경우처럼, 박사 과정 학생이 자신의 연구에 활용하고자 하는 아이디어를 전파하는 데 도움이 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보조금, 직위 또는 승진을 신청할 때 이력서에 기재하면 도움이 됩니다. 
Academic convention might place the first author as a voice of privilege in the academic space, having the latitude to craft this paper and potentially shape how the content is received in HPE. In this case the first author can also lay claim to privileges, having written about these ideas during the process of her doctoral work she was invited to work on this paper originally commissioned to her doctoral supervisor, the last author. The last author, by the positioning of her name on the authorship list and having been commissioned, equally lays claim to the privileges of a legitimized and approved legitimizing voice in a powerful, well-resourced North American space. Both voices are centred from within the Colonial Matrix of Power. The first author position on a published paper is itself a valuable currency within the structure of academia. It connotes responsibility and recognition. It is often, as is the case here, a helpful position to take for a doctoral candidate disseminating ideas that they intend to employ in their research. It is a helpful position to have on one’s CV when applying for grants, positions, or promotions. 

다른 저자들도 잘 드러나지는 않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활용되는 특권을 가지고 있습니다. 소외되었던 목소리는 이제 백인 남성이나 백인 여성에 비해 인종이나 성별, 식민지성에 대해 개인적인 자제력, 경계심, 판단에 대한 두려움을 덜 느끼며 글을 쓸 수 있습니다. 이러한 특권을 인식하고 이를 활용하는 저자들도 있습니다. 이 공간에서 인종 차별적 관행을 고발하는 목소리가 침묵하지 않을 것이라는 기대가 점점 커지고 있습니다. 동시에 식민지 출신이거나 조상이 식민지였던 지역 출신이거나 식민지 민족의 후손인 저자들도 식민지배와 그 영향에 대해 정당성을 인정받으며 말하고 글을 쓸 수 있습니다. 이러한 위치는 집단적 저자의 목소리에 진정성을 부여할 수 있습니다. 또 다른 사람들은 보건 전문가로서 일하는 특권을 누리는데, 이 특권은 우리가 전통적인 HPE의 지식 방식과 그로 인한 불평등과 사회적 불의를 직접 목격하고, 드러내고, 궁극적으로 해체할 수 있는 공간에서 이루어집니다. 더 나아가 우리 중 일부(첫 번째 저자를 포함)는 병원에 들어가 의료 서비스 제공자로 활동한 적이 없고 앞으로도 없을 것입니다. 우리의 지향점은 실습보다는 이론에 더 기울어져 있습니다. 이론적 접근 방식을 취하는 사람도 있지만, 특히 이 작업에서 그들의 방향은 이론보다는 실무에 더 기울어져 있습니다. 

Other authors too have privileges, less obvious perhaps, but privileges that are leveraged nevertheless. Voices that have been marginalized may now write about race or gender or coloniality with less personal restraint, vigilance, or fear of judgement in one sense than white men or white women could. Some authors here perceive this privilege and leverage that here. There is an increasing expectation that voices that call out racist practices in this space will not be silenced. At the same time, authors who are from or have ancestral origins in colonized territories or who are descendants of colonized peoples can also speak and write with an accepted legitimacy about colonization and its effects. This position may afford authenticity to the collective author voice. Still others have the privilege of working as health professionals in the spaces where we can witness firsthand, reveal, and eventually dismantle traditional HPE ways of knowing and the resulting inequities and social injustices. This goes even further. There are some of us (this first author included) who has never and will never step into a clinic and act as a healthcare provider. Our orientations lean more towards theory rather than praxis. And while some also have a theoretical approach, their orientations in this work in particular will lean more towards praxis than theory.

텍스트의 본문에서 저자의 성찰과 입장으로 관심을 돌리는 것이 이상하게 보일 수 있지만, 권력의 식민성에 대해 글을 쓰고 있는 지금, 이것이 어떻게 제정되는지를 보여줄 수 있는 한 가지 방법임이 분명합니다. 지식, 인종, 자본이 매트릭스의 중심에 있습니다. 그리고 저자 목록의 첫머리에 스코틀랜드계 캐나다인 백인 여성 박사과정 학생이 있는데, 이 학생은 대학에서 관리자로 정규직으로 일하고 있으며 이 책에서 설명하는 문제의 일부임을 인정하고 있습니다. 이 분도 해결책의 일부가 될 수 있을까요? HPE 내에서 마스터스 하우스의 혜택을 받고 이를 유지해온 바로 그 사람들이 자신의 '집'을 해체할 것을 기대할 수 있을까요? 소외의 구조를 해체하는 것은 오로지 소외된 자들의 역할일까요? 지금 우리에게는 답이 없고 질문만 있을 뿐입니다. 개인으로서 그리고 집단적으로 우리는 이러한 생각에 얽혀 있고, 얽혀야만 합니다. 우리는 어떻게 특권을 반성적이고 정중하게 인식하고 활용할 수 있을까요? 작품이 한 방향으로만 흘러가야 하는 것은 아닙니다. 억압받는 사람들이 억압자를 교육하기 위해 보상도 받지 못하는 일을 하라고 (우리 기관이 반복해서 하는 것처럼) 요구하는 것이 공정한 일인가요? 저희는 불공평하다고 생각합니다. 대신 이 논문에서 우리 중 일부는 '다수세majority tax'(Mensah 2020)을 지불하기 시작해야 할지도 모른다.

  • 교육 및 보건 기관에서 서로 다른 역할을 맡은 전문가 그룹을 모으고,
  • 찬성하는 목소리와 반대하는 목소리를 겸손하게 경청하고,
  • 특권을 활용하여 특권이 적은 사람들의 아이디어를 발전시키고,
  • 정직하고 개방적이며 서로에게 반성적으로 사고하고,
  • 주인의 집을 해체하는 데 도움이 될 수있는 논쟁을 함께 배치하는 것이다.

It may seem strange to direct attention away from what might appear as the body of the text to the reflections and positions of its authors, but as we are writing about the coloniality of power, this is certainly one way to demonstrate how this is enacted. Knowledge, race, and capital are at the centre of the matrix. And at the beginning of our authorship list is a white, female, Scottish-Canadian PhD candidate who holds a full-time job as an administrator at a university and admittedly part of the problem being described here. Is it possible to also be part of the solution? Can the very people who have benefitted and uphold the Master’s House within HPE be expected to dismantle their ‘home’? Is it solely the role of those who have been marginalized to dismantle the structures of their marginalization? Right now, we do not have answers, only questions. As individuals and collectively as authors we are entangled in and must tangle with these ideas. How do we recognize and leverage privilege reflexively and respectfully? It is unlikely that the work must only fall in one direction. This work is not being compensated, is it fair to ask (as our institutions do time and time again) for the oppressed to take on uncompensated work to educate their oppressors? We think it unfair. Instead in this paper perhaps some of us start to pay a ‘majority tax’ (Mensah 2020),

  • bringing together a group of experts who hold different roles in education and health institutions;
  • listening to both confirming and dissenting voices with humility,
  • leveraging privilege to advance the ideas of those who have less privilege,
  • being honest and open and reflexive in our thinking and with each other, and
  • positioning an argument together that might help to dismantle the Master’s House. 

아직 부족할 수도 있습니다. 
Perhaps this is still insufficient.

우리는 지금까지 이러한 논쟁에서 주로 이론적인 측면에 집중해 왔습니다. HPE의 구조에는 이론과 실천이 모두 필요하지만, 마스터의 집을 해체하기 위해서는 이론과 실천이 모두 필요합니다. 그래서 우리는 이제 이론에서 생생한 경험으로 옮겨가면서 제1저자와 다른 이론가들의 목소리와 입장으로부터 의도적으로 벗어나고자 합니다. 아마도 우리는 우리 자신의 동상을 무너뜨리기 시작할 것입니다.
We have primarily been focusing on the theoretical side thus far in these arguments. While the structure of HPE needs both theory and praxis, we also need both theory and praxis to dismantle the Master’s House. And so, we move now from theory to lived experience, intentionally away from the voice and positionality of the first author and the other theorists among us. Perhaps we will start toppling some statues of our own.

이론에서 실천으로: 식민지성, 젠더와 섹슈얼리티, 인종주의
From theory to praxis: coloniality, gender and sexuality, and racism

아래 사례 중 일부는 실제 경험에서 직접 도출한 것으로, 식민지 권력 매트릭스가 HPE 내에서 어떻게 제정되는지 보여줍니다. 각 사례와 함께 식민지 권력 매트릭스에 저항할 수 있는 방법도 설명하기 시작합니다. 우리는 마스터의 집을 해체하는 방법을 보여주기 시작합니다. 
In the examples below, some drawn directly from lived experience, we begin to show how the Colonial Matrix of Power is enacted within HPE. Together with each example, we also begin to illustrate ways in which the Colonial Matrix of Power can be resisted. We begin to show how to dismantle the Master’s House.

HPE 프로그램에 참여하는 학생들은 종종 학습 환경 내에서 지속되는 불평등의 피해자입니다. 여러 연구에 따르면 이러한 프로그램 내에서 학생에 대한 학대가 매우 흔하게 발생하며, 이는 거의 전문의가 되기 위한 통과의례로 여겨질 정도입니다(Markman 외. 2019).

  • 예를 들어, 같은 방에 있는 백인 학생은 의대생으로 인정하면서 흑인 학생은 간호사로 무시하는 백인 환자나 인턴십 면접에서 성이 "너무 아랍어로 들린다"는 이유로 담당 외과의사로부터 탈락한 학생을 생각해 보십시오. 이러한 학생들은 보복에 대한 두려움, 학대가 의료 문화의 일부라는 인식, 더 미묘한 형태의 학대를 신고하기 어렵다는 점 등 여러 가지 이유로 이러한 미세 공격에 대한 신고를 주저합니다(Chung et al. 2018).
  • 원주민 학생들도 마찬가지로 인식론적 제국주의에 직면하는 과학, 기술 및 보건 학위에서 불이익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이러한 프로그램에서 원주민의 앎의 방식은 커리큘럼 내에서 위계화되고, 소외되고, 침묵하며, 도전을 받습니다(Cech 외. 2017).
  • 교수진은 또한 인종차별, 불평등, 미시적 침략을 경험하는데, 그 중 상당수는 "미묘하고 미묘하지만 해로운"(Joseph 2020) 것입니다. 이러한 식민주의의 표현으로 인해 일부 교수진은 진실을 말하는 것을 두려워하고, 잘못 해석될까 두려워 발언하기를 꺼리며, 문제가 있는 사람으로 분류되거나 토큰으로 사용될 것을 우려합니다. 이러한 억압적인 환경으로 인해 일부 학계 의사들은 학계를 떠나기로 어려운 결정을 내렸고, 대신 권력에 진실을 말할 수 있는 새로운 공간을 만들었습니다(Blackstock 2020). 

Students in HPE programs are often victims of inequities perpetuated within their learning environments. Several studies have shown that mistreatment of students is so commonplace within these programs that it is almost regarded as a rite of passage into the profession (Markman et al. 2019).

  • Take for example, a white patient who acknowledges the white students in the room as medical students while dismissing the Black student as a nurse, or the student who is dismissed by a staff surgeon from an internship interview because her last name sounded “too Arabic”. These students hesitate to report such microaggressions for many reasons, some of which include fear of reprisal, perception that mistreatment is part of medical culture, or difficulty reporting more subtle forms of mistreatment (Chung et al. 2018).
  • Indigenous students have similarly been shown to be disadvantaged in science, technology and health degrees where they encounter epistemic imperialism. In these programs, Indigenous Ways of Knowing are delegitimatized, marginalized, silenced, and challenged within curricula (Cech et al. 2017).
  • Faculty members also experience racism, inequities and microaggressions, much of it “subtle and nuanced, yet pernicious” (Joseph 2020). This manifestation of coloniality leaves some faculty members fearful of speaking their truth, reluctant to speak up for fear of being misinterpreted, concerned of being labelled as problematic or used as tokens. These oppressive environments have caused some academic physicians to make the difficult decision to leave academic medicine, creating new spaces instead where they can speak truth to power (Blackstock 2020).

HPE 프로그램을 연구하고, 가르치고, 구축하고, 관리하고, 이끄는 사람들은 불평등과 사회 정의에 대한 가르침을 기존의 지배적 이데올로기의 중립적 객관성에 대항하는 구성주의와 인식론적 다원주의와 같은 비지배적 인식론에 다시 집중할 필요가 있습니다. 아마도 HPE 내에서 권력 역학을 해체하는 것이 좋은 출발점이 될 것입니다.

  • 학생들의 불평등에 대한 경험 및 지식이 필요하고 가치 있다고 판단되면, 기꺼이 경청하고 배우려는 교수진이 이러한 지식 중 일부를 불평등과 사회 정의에 대한 교육에 통합할 수 있습니다.
  • 마찬가지로, 교육 연구를 추구하거나 지도하거나 출판하는 사람들은 지배적인 이데올로기를 중심으로 한 단일 관점에 의문을 제기하고 이를 가시화해야 합니다.
    • 연구 경력의 초기 단계에 있는 사람들은 반성적 사고에 대한 안내를 받을 수 있고, 오랜 시간 동안 믿어온 가정에 의문을 제기하는 방법과 위치에 대한 안내를 받을 수 있습니다.
    • 동료 검토자로 참여하는 사람들도 마찬가지로 저자의 가정뿐만 아니라 우리 자신의 가정에 대해서도 반성하도록 요청할 수 있습니다.
  • 영점 인식론으로부터의 전환은 형평성, 다양성, 포용성에 중점을 둔 HPE를 만들 수 있는 잠재력을 가지고 있으며, 학생, 교수진, 교직원, 특히 소수자가 학습 환경의 일부로서 불평등에 맞서 싸우거나 불가피한 현실에 굴복하지 않아도 되는 문화를 조성할 수 있습니다.
    • 교육할 때 백인이 아닌 피부의 피부과 질환에 대한 예를 포함하거나(Rimmer 2020), 인종에 대한 생물학적 정의를 사용하여 환자를 차별화하는 임상 개입이나 치료법에 대해 더 이상 가르치지 않는 것(Witzig 1996)처럼 간단한 것부터 시작할 수 있습니다. 

Those who research, teach, build, administer, and lead HPE programs need to re-centre their teachings of inequity and social justice on non-dominant epistemologies—such as constructivism and epistemic pluralism which counteract the neutral objectivity of the existing dominant ideologies. Perhaps the dismantling of the power dynamic within HPE is a good place to begin.

  • If students’ experiences and/or knowledges of inequity are considered necessary and deemed valuable, then some of this knowledge can be incorporated into training on inequity and social justice by faculty who are willing to listen and learn.
  • Likewise, for those who pursue, mentor or publish educational research, singular perspectives centred around dominant ideologies should be questioned and made visible.
    • Those of us who are early on in our research careers could be guided in reflexivity and guided in how and where to question our long-held assumptions.
    • Those of us who participate as peer reviewers could likewise ask to reflect on not only the author’s assumptions, but also our own.
  • A shift from zero-point epistemology has the potential to create HPE that is centered on equity, diversity, and inclusion, and could cultivate a culture in which students, faculty and staff, especially those who are minoritized, don’t have to take it upon themselves to fight inequity or succumb to its inevitable reality as part of the learning environment.
    • In teaching, we suggest that some of it could be as simple as thinking to include examples of dermatological conditions on non-white skin (Rimmer 2020) or no longer teaching about clinical interventions or treatments that differentiate patients using biological definitions of race (Witzig 1996).

예를 들어, 의학계에서 계속 수행되고 있는 실무 중심의 작업의 대부분은 백인 여성을 중심으로 이루어지고 있으며, 여성의 리더십 직위 승진을 늘려야 한다고 요구합니다. 그러나 백인 여성을 중심으로 한 이러한 노력은 임상의사라는 직업이 주는 일상적인 스트레스의 무게뿐만 아니라 여러 형태의 구조적 인종차별과 암묵적 편견으로 인해 더욱 억압받는 흑인, 원주민 또는 유색인종(BIPOC)으로 분류되는 사람들의 경험을 침묵시키고 동질화하며 무력화시키는 역할을 합니다(Cyrus 2017; Moreton-Robinson 2000). 여러 종속의 축으로 인해 차이를 부정하고 억압의 형태를 만들어내는 구조를 해체하기 위해 우리는 변화를 위한 교차적 접근법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Much of the praxis-oriented work that continues being performed in medicine centres white women, for example, calling for increases in the promotion of women to positions of leadership. But this centring on white women works to silence, homogenize, and negate the experiences of people who identify as Black, Indigenous, or people of colour (BIPOC) who not only carry the weight of the everyday stress of the job of being a clinician, but also carry the burden of multiple forms of structural racism and implicit biases that further oppress them (Cyrus 2017; Moreton-Robinson 2000). To begin to dismantle the structures that negate difference and create forms of oppression due to multiple axes of subordination we can employ an intersectional approach to change.

교차적 관점(콜린스 2015; 크렌쇼 1989, 1991)은 여러 형태의 억압이 누적되어 나타난다는 점을 인식합니다.

  • 예를 들어, 캐나다 태생 국제 의대 졸업생(C-IMG)(일반적으로 캐나다에서 태어나고 자랐지만 다른 나라로 가서 의대를 마친 사람)은 이민 국제 의대 졸업생(I-IMG)(일반적으로 캐나다 밖에서 태어나고 자랐으며 의대 교육을 마친 사람)과 임상 교육 프로그램을 다르게 경험하게 됩니다.
  • IMG는 캐나다 생활에 적응하고 캐나다 의료 시스템을 배워야 하는 반면, C-IMG는 캐나다에서 기대되는 많은 사회적 '규범'을 이미 알고 있습니다. 나지브 외(2019)의 연구에 따르면, C-IMG와 I-IMG 모두 캐나다 밖에서 의대를 졸업했다는 이유로 편견과 차별을 경험하지만, 인종화된 I-IMG는 더 심한 형태의 차별을 경험한다고 합니다.

 

Intersectional perspectives (Collins 2015; Crenshaw 1989, 1991) recognize that there are multiple forms of oppression that are cumulative.

  • For example, a Canadian-born international medical graduate (C-IMG) (someone who typically was born and grew up in Canada but who went to another country to complete medical school) will experience a clinical training program differently compared to an Immigrant international medical graduate (I-IMG) (someone who typically was born, grew up, and completed medical training outside Canada).
  • Whereas IMGs need to adjust to life in Canada and learn the Canadian health system, a C-IMG is already aware of many of the social ‘norms’ expected of them in Canada. In a study by Najeeb et al. (2019), both C-IMGs and I-IMGs experience a form of bias and discrimination from having completed medical school outside Canada but racialized I-IMGs experienced a heightened form.

교차성은 의학이 학습되고, 실행되고, 전달되는 방식에서 사회적 불공정을 완화하기 위한 목적으로 의학을 지배하는 복잡한 권력 관계를 이해하는 수단을 제공합니다. 주치의 제도를 뒷받침하는 헤게모니적 관행을 해체하기 위해, 우리는 자신의 정체성과 관행이 HPE에서 규범적 담론의 공고화와 수출에 어떻게 기여하는지 더 잘 이해하기 위해 비판적 성찰과 반성성을 사용하는 프레이레의 『피억압자의 교육학』(2000) 또는 후크스의 『범법 가르치기』(2014)에서 가져온 것과 같은 다양한 교육학의 사용을 제안합니다(Naidu and Kumagai 2016; Ng et al. 2019). 
Intersectionality provides a means of understanding the complex power relations that dominate medicine with the objective of alleviating social injustices in how medicine is learned, practiced, and delivered. In order to dismantle the hegemonic practices that support the Master’s House, we suggest the use of a range of pedagogies, such as those taken from Freire’s Pedagogy of the Oppressed (2000) or hooks’ Teaching to Transgress (2014), which employ critical reflection and reflexivity to better understand how one’s own identity and practices contribute to the solidification and exportation of normative discourses in HPE (Naidu and Kumagai 2016; Ng et al. 2019).

이 글에서 우리는 교차성 프레임 내에서 비판적 성찰과 반성이 오랫동안 '금과옥조'로 여겨져 온 보건 전문직 교육 및 실무 모델을 뒤흔들 수 있는 잠재력을 가지고 있다고 주장합니다. 젠더 블라인드나 컬러 블라인드로 차이를 지우는 제도적 정책과 관행 또는 연구 관행보다는, 교차성과 이전에는 소외되었던 지역사회 중심의 [교차적 인식론의 도입]

  • 차이를 포용하고,
  • 차이의 지저분함과 얽히는 어려운 작업을 수행하고,
  • 이러한 얽힘이 만들어내는 불편함으로부터 학습을 통해 앞으로 나아갈 수 있게 해줄 수 있습니다.

We argue here that critical reflection and reflexivity within an intersectional frame have the potential to disrupt models of health professions education and practice that have long been upheld as proverbial ‘gold standards’. Rather than institutional policies and practices or research practices erasing differences by being gender-blind or colour-blind, intersectionality and the introduction of intersectional (Eckstrand et al. 2016), previously marginalized, and community-oriented, epistemologies (Battiste 2013; Brayboy 2005; Collins 2002; Dei 2000; Gordon 1990; Naidu 2020; Rasmus et al. 2020; Smith 1999) would better enable us to

  • embrace difference,
  • do the difficult work of tangling with the messiness of difference, and
  • move us forward through learning from the discomfort these entanglements produce.

기관 스스로가 이러한 작업을 주도하고 지원할 수 있습니다. 여기에는 장기적이고 심층적인 반인종주의(또는 반성소수자) 교육의 형태로 보건 전문가와 멘토를 위한 지속적인 전문성 개발, 눈에 잘 띄지 않고 때로는 고립되는 회복 작업을 지원하고 피해를 입힌 사람들에게 책임을 물을 수 있는 공간을 만들고 구조적 지원(시간 및 급여 포함)을 제공하는 것 등이 포함될 수 있습니다(Richardson 2020c), 동료 검토 과정 내의 체계적인 편견으로 인해 종종 불이익을 받는 소외된 집단을 대상으로 자금을 제공하거나(Doll and Thomas 2020), 채용, 승진 또는 포상 과정에서 교차성이 백인보다 낮은 교수 평가를 받는 경향이 있는 인종화된 교수진(특히 인종화된 여성)에 이중으로 영향을 미치는 방식을 고려합니다. 여기에는 다음이 포함될 수 있습니다.

  • 장기적이고 심층적인 반인종주의(또는 반성소수자) 교육의 형태로 보건 전문가와 멘토를 위한 지속적인 전문성 개발
  • 눈에 잘 띄지 않고 때로는 고립된 회복 작업을 지원하기 위해 공간을 만들고 구조적 지원(시간 및 급여 포함)을 제공
  • 해를 끼친 사람들에게 책임을 묻습니다(리처드슨 2020c),
  • 동료 검토 프로세스 내의 체계적인 편견으로 인해 종종 불이익을받는 소외된 그룹을 대상으로 자금을 제공
  • 채용, 승진 또는 포상 과정에서 교차성이 백인보다 낮은 교육 평가를받는 경향이있는 인종화 된 교수진 (특히 인종화 된 여성)에게 이중으로 영향을 미치는 방식을 고려

Institutions themselves can drive and support this work. This might include

  • continuing professional development for health professionals and mentors in the form of longitudinal and deep antiracist (or antisexist) training,
  • creating space and offering structural supports (including time and salary) to aid in the hypervisible and sometimes isolating work of restitution,
  • holding people who cause harm to account (Richardson 2020c),
  • offering funding targeted towards underrepresented groups where systemic biases within peer review processes have often led to disadvantage (Doll and Thomas 2020), or
  • taking into consideration during hiring, promotion, or awards processes how intersectionality doubly affects racialized faculty (and racialized women in particular) who tend to receive lower teaching evaluations than their white counterparts (Chávez and Mitchell 2020; Mohamed and Beagan 2019; Ross and Edwards 2016; Silverberg and Ruzycki 2020).

진정한 구조적 변화를 위한 노력은 토큰주의적이거나 일시적일 수 없으며, 전략적 목표로 나타났다가 곧 사라져서는 안 됩니다. 
Commitment to real structural change can neither be tokenistic nor temporary, it cannot appear as a strategic goal and then disappear soon after.

결론
Conclusion

이 백서에서는 마스터스 하우스와 그 유럽 중심적 기원, 영점 인식론에 대한 의존성, 그리고 이 하우스에 현재 보건 전문직 교육과 사회 정의에 대한 이해와 실천이 얼마나 많이 내재되어 있는지에 대해 설명했습니다. 우리는 퀴자노의 식민지 권력 매트릭스(2000)를 활용하여 식민성, 성, 성별, 인종이 하우스 내에서 어떻게 구성되었는지를 설명하고 질문하면서 그 과정에서 인식론적 불공정의 예를 제시했습니다. 우리는 이 글의 두 섹션에서 개인으로서, 그리고 저자로 구성된 팀으로서 우리 자신의 관점에 대해 꽤 긴 글을 썼고, 식민지 권력 매트릭스 내에서 저술에 대한 몇 가지 성찰을 제공했습니다. 후반부에서는 이론에서 실천으로 넘어가 학습 환경과 실천의 맥락에서 식민성, 젠더와 섹슈얼리티, 인종 차별을 탐구했습니다.  
Within this paper, we have described the Master’s House, its Eurocentric origins, its dependence on zero point epistemology, and how many current understandings and practices of health professions education and social justice are embedded within this House. We utilized Quijano’s Colonial Matrix of Power (2000) to illustrate and interrogate how coloniality, sex and gender and race has been constructed within the house, giving examples of epistemic injustices along the way. We wrote quite at length in two sections of the narrative about our own perspectives as individuals and as a team of authors and provided some reflections on authorship within the Colonial Matrix of Power. In the latter section, we moved away from theory into praxis, exploring coloniality, gender and sexuality, and racism in the context of the learning environment and practice.

우리는 스승의 집의 해체를 주장했습니다. 이는 우리 중 많은 사람들이 일하고 배우고 수입을 얻는 집의 해체를 의미할 것입니다. 이것이 쉽거나 편안할 것이라고 제안하는 것은 아니지만, 반드시 필요합니다. 개인, 위원회, 기관으로서 취할 수 있는 조치는 많으며, 이 작업에 참여하고자 할 때 다양한 관점과 목소리를 찾아보시기 바랍니다. 이 저널의 독자들을 위해 몇 가지 추가 단계를 제안합니다.
We have argued for the dismantling of the Master’s House. It would mean the dismantling of the house in which many of us work and learn, and from where we draw our incomes. We are not suggesting this will be easy, or comfortable, but it is needed. There are many steps we can take as individuals, as committees, and as institutions and we encourage you to seek out many perspectives and voices as you seek to engage with this work. For the audience of this journal, we suggest a few additional steps.

[개인으로서] 우리는 우리의 작업을 어떻게 포지셔닝하는지에 주의를 기울일 수 있으며, 청중이 비슷한 입장에 있다고 가정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합니다. 글을 쓰거나 말할 때 이러한 관점에 대해 더 명확히 밝히고, 우리 자신과 정체성, 그리고 우리가 말하는 입장을 더 많이 공유할 수 있습니다. 우리는 권력이나 목소리 또는 위계질서를 유지하는 데 덜 집중하고, 우리 자신과 다른 인식론적 관점을 가진 사람들과 의미 있는 파트너십을 구축하는 데 더 집중하면서 의미 있는 협업을 구축할 수 있습니다(Richardson 2020a). 강좌의 읽기 목록을 구성할 때 모든 지식이 백인적이고 서구적이라는 믿음을 재현하지 않기 위해 전통적인 정전 밖을 살펴볼 수 있습니다. HPE의 학생으로서, 때로는 교육의 '소비자'로서 다양한 형태의 지식에 특권을 부여하는 프로그램과 과정을 찾을 수 있습니다. 이론의 학생 또는 실무자로서 우리는 연구에 적용하는 이론이 종종 인식론적 불공정성이나 폭력의 과정을 통해 개발된다는 것을 알고 자신과 다른 사람들에게 선택한 이론적 틀에 대한 신중한 고려를 요구할 수 있습니다. 우리는 이것이 어려운 작업이며 우리 모두가 이 여정의 다른 단계에 있다는 것을 알기 때문에 "친절로 혼란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Richardson 2020b). 우리 중 일부는 동맹을 찾아야 할 수도 있고, 일부는 동맹으로 행동해야 할 수도 있으며, 일부는 둘 다 필요할 수도 있습니다.  

As individuals we could pay attention to how we position our work, being mindful of not assuming our audience is similarly positioned. We can be more explicit about these perspectives as we write or speak, sharing more of ourselves, our identities, and the positions from which we speak. We can establish meaningful collaborations with less focus on retaining power or voice or hierarchy and more focus on building meaningful partnerships with people from epistemic perspectives not our own (Richardson 2020a). When structuring a reading list for a course, we can look outside the traditional canon so as to not reproduce the belief that all knowledge is white and Western. As a student in HPE, and as a sometimes named ‘consumer’ of education, one can seek out programs and courses that privilege multiple forms of knowledge. As a student or practitioner of theory we can demand of ourselves and others a careful consideration of a chosen theoretical framework, knowing that the theories we apply to our research are often developed through processes of epistemic injustice or violence. We can “disrupt with kindness” (Richardson 2020b) knowing that this is difficult work, and we are all on different stages of this journey. Some of us may need to find allies, some of us may need to act as allies, and some of us may need both.

[위원회로서] 커리큘럼을 구축하든, 학습자를 입학시키든, 직원과 교수진을 채용하든, 정책을 만들든, 우리는 식민지 시대의 권력 매트릭스를 인식하고, 이를 해체하려는 언어와 관점을 사용하여 제로 포인트가 아닌 인식론의 관행이나 독서를 제안할 수 있으며, 주변부에 위치한 사람들을 중심에 놓고 권한을 부여할 수 있습니다. 시스템을 개발할 때, 우리는 교차성을 고려할 수 있으며, 일부 개인은 시스템과 그 안의 사람들이 내리는 선택에 의해 이중 또는 삼중의 영향을 받는다는 사실을 깨닫게 됩니다. 우리는 지배적인 '규범'에 속하지 않는 아이디어에 귀를 기울이고, 이를 통해 배우고, 이를 위한 공간을 만들 수 있습니다.  
As committees, whether we are building curriculum, admitting learners, hiring staff and faculty or creating policy, we can suggest practices or readings from non-zero-point epistemologies, using language and perspectives that recognize the Colonial Matrix of Power and seek to dismantle it, and we can center and empower the people who are positioned on the margins. As we develop our systems, we can take into account intersectionality, realizing that some individuals are doubly or triply affected by the choices that the system (and the people within it) may make. We can listen to, learn from, and create space for ideas that are not part of the dominant ‘norm’.

[기관으로서] 우리는 암묵적인 편견, 관점 및 구조를 보다 투명하게 만드는 정책과 관행을 개발하고, 지속적인 전문성 개발 또는 행동 변화로 이어지는 기타 관행을 통해 의미 있고 지속적인 변화를 창출하는 데 자원(시간, 자금, 인력)을 투입할 수 있습니다. 다원적 인식론에 기반하고 이를 환영하는 교육 연구 교육 프로그램에 자원을 투입할 수 있습니다 .
As institutions, we can develop policies and practices that make implicit biases, perspectives and structures more transparent, committing resources (time, funding, people) to creating meaningful and lasting change through continuing professional development or other practices that lead to behaviour change. We can commit to resourcing training programs in education research that are built on and welcome pluralistic epistemologies.

우리는 미세한 공격이나 인종 차별적, 성차별적 관행을 고발하는 사람들을 침묵시키거나 최소화하는 대신, 권력에 반대하는 목소리를 내는 사람들을 정당화하여 스승의 집 내 공격자들과 맞설 수 있습니다. 기관은 이러한 변화를 주도하는 사람들의 업무를 더 잘 지원할 수 있으며, 컨설턴트나 위원회 위원으로 활동하는 사람들에게 보호된 시간, 자금, 공간 및 추가 지원을 제공함으로써 이들의 업무에 대한 공정한 보상을 제공할 수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기관은 영점 인식론의 단일한 시연을 고용, 승진 및 보상하는 규범에 뿌리를 둔 기존 관행을 해체하여 보다 공평한 변화 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는 새로운 아이디어와 리더를 위한 길을 만들어야 합니다. 
We can legitimize those who speak out against power, confronting those who are aggressors within the Master’s House, rather than silencing or minimizing those who call out microaggressions or racist and sexist practices. Institutions can better support the work of the people leading these changes, fairly compensating people for their work as consultants or committee members by providing protected time, funding, space, and/or additional support. Finally, institutions need to dismantle the existing practices, rooted in the norms that hire, promote and reward singular demonstrations of zero point epistemology, making way for new ideas and leaders that can construct a more equitable system for change.

이 논문이 게재된 저널은 그 자체로 우리 분야의 기관입니다. 이 논문은 25년 만에 편집장직에서 물러난 제프리 노먼 박사를 기념하기 위해 특별호로 의뢰된 것입니다(Norman and Ellaway 2020). 그 자신도 인정했듯이, 노먼 박사는 25년 동안 이 저널을 이끌며 우리가 쓰고 읽은 이야기를 형성하고 페이지 사이에 담긴 생각과 관점을 큐레이팅해 왔습니다. AHSE는 항상 새로운 아이디어를 위한 길을 열어주는 저널이었으며, 우리 분야의 발전을 축하하고 고착화된 단일한 단어를 넘어 우리를 움직였습니다. 이에 대해 노먼 박사에게 감사를 표하며 새로운 아이디어와 리더를 AHSE에 환영합니다. 우리는 앞으로 25년 동안 어떤 이야기가 나오든 아직 쓰여지지 않았고, 아직 들리지 않았고, 아직 읽히지 않은 수많은 이야기들도 이 페이지에 포함될 것으로 기대합니다. 
The journal in which this paper is published is itself an institution within our field. This paper was commissioned for a special issue in celebration of Dr. Geoffrey Norman who has just stepped down as Editor-in-Chief after 25 years (Norman and Ellaway 2020). As he himself would acknowledge, for a quarter of a century, Dr. Norman has guided this journal, shaped the stories that we have written and read, and curated the thoughts and perspectives bound between its pages. AHSE has always been a journal making way for new ideas; celebrating the advances of our fields, and moving us beyond the staid singular word. And for that, we thank Dr. Norman and also welcome new ideas and leaders to AHSE. We anticipate that whatever comes in the next quarter century will also encompass the plurality of stories that have not yet been written, not yet been heard, and not yet been read within these pages.

우리는 소외되고 억압받고 지워진 수많은 정체성을 어떻게 가장 잘 끌어안고 포용할 수 있을지 잘 안다고 주장하지 않습니다. 우리는 제도와 구조가 그들의 권력에 빚진 역사적 불의를 해결하도록 요구하는 데 항상 성공하지 못했습니다. 지식은 중립적이고 가치관이 없는 것이 아니며, 그렇지 않다고 주장하는 것은 지배 집단의 힘을 강화하는 것일 뿐이라는 사실에 대해 HPE 내부에서도 동의가 이루어졌다고 주장할 수 없습니다. 분명한 것은 우리가 해야 할 일이 있다는 것입니다. 우리 모두가 개인적으로나 집단적으로 근접성, 자유, 안전에 대한 관점이 바뀐 이 새로운 공간에서 숨을 쉬려고 노력할 때, 우리는 우리 주변에 쓰러져가는 동상을 다시 세우지 않을 수 있습니다. 그렇게 하면 과거의 실패를 되풀이할 뿐이며, 불평등과 소외에 대한 똑같은 이야기를 쓰게 될 것입니다. 우리는 마스터의 집을 해체하고 더 공평하고 포용적인 새로운 마스터의 집을 지을 수 있습니다. 우리는 이 새로운 시작을 위해 헌신해야 합니다. 

We do not claim to know how best to engage and embrace the many identities that are marginalized, oppressed, and erased. We have not always been successful in our demands that institutions and structures address the historical injustices to which they owe their power. We cannot even claim that there is agreement within the field of HPE that knowledge is not neutral and value-free, and that claiming otherwise just reinforces the power of the dominant group. Clearly, we have work to do. As we all, individually and collectively, try to breathe within this new space, where our perspectives of proximity, freedom, or safety may have shifted, we can choose not to re-erect the statues that are falling around us. Doing so will simply resurrect our past failures, writing the same stories of inequity and marginalization. We can dismantle the Master’s House and build a new one, one that is more equitable and inclusive. We must commit to this new beginning.

 


Adv Health Sci Educ Theory Pract. 2020 Dec;25(5):1107-1126. doi: 10.1007/s10459-020-10006-x. Epub 2020 Nov 2.

Dismantling the master's house: new ways of knowing for equity and social justice in health professions education

Affiliations collapse

1Continuing Professional Development, Temerty Faculty of Medicine, University of Toronto, 500 University Avenue, 6th Floor, Toronto, ON, M5G 1V7, Canada. morag.paton@utoronto.ca.

2Department of Leadership, Higher and Adult Education, Ontario Institute for Studies in Education, University of Toronto, Toronto, Canada. morag.paton@utoronto.ca.

3Behavioural Medicine, University of KwaZulu-Natal, Durban, South Africa.

4The Medical College of Georgia at Augusta University, Augusta, Georgia.

5MD Program, Temerty Faculty of Medicine, University of Toronto, Toronto, Canada.

6Department of Anesthesiology and Pain Medicine, University of Toronto, Toronto, Canada.

7Department of Anesthesiology and Pain Medicine, Toronto Western Hospital - University Health Network, Toronto, Canada.

8The Wilson Centre, University Health Network/University of Toronto, Toronto, Canada.

9Department of Medicine, Temerty Faculty of Medicine, University of Toronto, Toronto, Canada.

10Division of General Internal Medicine, Sunnybrook Health Sciences Centre, Toronto, Canada.

11Department of Leadership, Higher, and Adult Education, Centre for the Study of Canadian and International Higher Education, Ontario Institute for Studies in Education, University of Toronto, Toronto, Canada.

12Family and Community Medicine, Women's College Hospital, Toronto, Canada.

13Department of Family and Community Medicine, Temerty Faculty of Medicine, University of Toronto, Toronto, Canada.

PMID: 33136279

PMCID: PMC7605342

DOI: 10.1007/s10459-020-10006-x

Free PMC article

 

Abstract

Health professions education (HPE) is built on a structural foundation of modernity based on Eurocentric epistemologies. This foundation privileges certain forms of evidence and ways of knowing and is implicated in how dominant models of HPE curricula and healthcare practice position concepts of knowledge, equity, and social justice. This invited perspectives paper frames this contemporary HPE as the "Master's House", utilizing a term referenced from the writings of Audre Lorde. It examines the theoretical underpinnings of the "Master's House" through the frame of Quijano's concept of the Colonial Matrix of Power (employing examples of coloniality, race, and sex/gender). It concludes by exploring possibilities for how these Eurocentric structures may be dismantled, with reflection and discussion on the implications and opportunities of this work in praxis.

Keywords: Coloniality; Critical theory; Curricula; Decolonization; Equity; Health professions education; Medical education; Social justice.

Conflict of interest statement

The author(s) declare that they have no competing interests.

  • 보건 전문가를 위한 교육학으로서의 변혁적 학습: 스코핑 리뷰(Med Educ, 2019)
    Transformative learning as pedagogy for the health professions: a scoping review
    Susan C Van Schalkwyk,1 Janet Hafler,2 Timothy F Brewer,3 Moira A Maley,4 Carmi Margolis,5 Lakshini McNamee,1 Ilse Meyer,1 Michael J Peluso,6 Ana MS Schmutz,1 Judy M Spak7 & David Davies8 On behalf of the Bellagio Global Health Education Initiative 

 

소개
Introduction

변혁적 학습(TL)은 의료 및 보건 전문직을 포함한 고등 교육의 여러 분야에서 확립된 이론으로 자리 잡았습니다.1 Taylor1는 그의 비판적 리뷰에서 TL에서 성찰의 역할을 강조하고 보건 전문직 교육(HPE)에서 이를 촉진할 수 있는 방법을 설명했습니다. 21세기를 위한 보건 전문직 교육에 관한 중요한 란셋 위원회 논문2이 발표되면서 TL은 보건 전문직 교육을 위한 중요한 교육적 구성 요소로 더욱 확고히 자리 잡았습니다. 프랭크 외2는 TL이 '깨달은 변화 에이전트를 배출하는' 리더십 속성의 개발에 초점을 맞춘다고 설명했습니다. 이들은 세 가지 근본적인 변화를 강조하면서 정의를 구체화했습니다.

  • '사실 암기에서 의사 결정을 위한 정보 검색, 분석 및 종합으로,
  • 전문 자격증 취득에서 보건 시스템에서 효과적인 팀워크를 위한 핵심 역량 달성으로,
  • 교육 모델의 무비판적 채택에서 지역 우선순위를 해결하기 위한 글로벌 자원의 창의적 적용으로'

이러한 이해는 TL이 HPE에게 바람직한 결과라는 점을 분명히 합니다. 

Transformative learning (TL) has become an established theory across numerous disciplines in higher education, including the medical and health professions.1 In his critical review, Taylor1 highlighted the role of reflection in TL and described ways in which it might be fostered in health professions education (HPE). The publication of the seminal Lancet Commission article on HPE for the 21st century2 further entrenched TL as an important pedagogical construct for HPE. Frenk et al.2 described TL as focusing on the development of leadership attributes that ‘produce enlightened change agents’. They further qualified their definition, highlighting

  • ‘three fundamental shifts:
    • from fact memorisation to searching, analysis, and synthesis of information for decision making;
    • from seeking professional credentials to achieving core competencies for effective teamwork in health systems; and
    • from non-critical adoption of educational models to creative adaptation of global resources to address local priorities’.

This understanding clearly positions TL as a desirable outcome for HPE.

이론적 구성체로서의 변혁적 학습은 1991년 메지로우의 형성적 연구를 통해 소개되었습니다.3 기존 교육 이론가들(쿤의 패러다임 개념, 프레이리의 의식화 연구, 하버마스의 학습 영역)의 영향을 받은 메지로우의 초기 입장은 

  • '학습이란 미래의 행동을 안내하기 위해 경험의 의미에 대한 새로운 또는 수정된 해석을 구성하기 위해 이전 해석을 사용하는 과정으로 이해된다'

...는 것이었습니다. 5 이러한 이해는

  • TL을 '고정된 가정과 기대(마음의 습관, 의미, 관점, 사고방식)로 이루어진 문제적 기준틀을 보다 포용적이고, 분별력있고, 개방적이고, 성찰적이며, 정서적으로 변화할 수 있도록 변화시키는 학습'

...이라고 설명하는 것으로 발전했습니다.6 다른 사람들은

  • TL을 '우리가 세상에 존재하는 방식을 극적이고 영구적으로 변화시키는 깊은 구조적 변화'를 수반한다고 설명했습니다.7

Transformative learning as a theoretical construct was introduced through the formative work of Mezirow in 1991.3 Influenced by established educational theorists (Kuhn's conception of paradigms, Freire's work around conscientisation, and Habermas's domains of learning)4 Mezirow's early position on TL was

  • ‘learning [that] is understood as the process of using a prior interpretation to construe a new or revised interpretation of the meaning of one's experience in order to guide future action’.5 

This understanding evolved to describing

  • TL as ‘learning that transforms problematic frames of reference—sets of fixed assumptions and expectations (habits of mind, meaning, perspectives, mindsets)—to make them more inclusive, discriminating, open, reflective, and emotionally able to change’.6 

Others have described

  • TL as involving a ‘deep structural shift … that dramatically and permanently alters our ways of being in the world’.7

TL을 가능하게 할 수 있는 기회를 창출하려면 의도적인 커리큘럼 변화가 필요합니다. 우리는 벨라지오 글로벌 보건 교육 이니셔티브(BGHEI) 내 커리큘럼 개발 작업의 일환으로 이러한 기회를 창출하는 것을 목표로 했습니다. 그러나 논의 과정에서 바로 드러난 것은 구조에 대한 이해가 서로 다르고 이론적으로 명확한 근거가 부족하다는 것이었습니다. 따라서 다음과 같은 연구 질문에 대한 범위 검토에 착수했습니다: HPE 문헌에서 TL은 어떻게 이해되고 있는가? 현재의 경험적 연구는 TL을 어떻게 설명하는가? 검토 팀에는 BGHEI 회원 외에도 HPE 배경 지식을 갖춘 연구원 3명과 사서 1명이 추가되었습니다. 우리의 의도는 커리큘럼 활동에서 TL이 어떻게 활용되는지를 포함하여 TL에 대한 포괄적인 종합 정보를 HPE 커뮤니티에 제공하여 향후 현장에서의 적용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었습니다. 
Creating opportunities that might enable TL requires intentional curriculum change. As part of our curriculum development work within the Bellagio Global Health Education Initiative (BGHEI), we aimed to create such opportunities. Immediately evident from our deliberations, however, was the extent to which our understanding of the construct differed amongst us and lacked a clear theoretically grounded comprehension. We therefore embarked on a scoping review of the following research questions: How is TL understood in the HPE literature? How does current empirical work describe TL? Apart from the BGHEI members, our review team was augmented by the inclusion of three researchers with an HPE background and a librarian. Our intention was to provide the HPE community with a comprehensive synthesis of TL, including how it is taken up in curricular activities, with a view to informing its future application in the field.

방법
Methods

이 범위 검토는 '연구 영역에 포함된 핵심 개념을 매핑하여 ... 현재 문헌의 범위에 대한 신속하고 서술적이며 설명적인 설명을 생성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8 Arksey와 O'Malley의9 6단계 프레임워크를 사용했습니다. 연구 질문은 모든 그룹 구성원을 포함한 협의 과정을 통해 개발되었으며(1단계), 그 후 일련의 포함 및 제외 기준에 따라 광범위한 문헌 검색을 수행하여 잠재적으로 관련성이 있는 연구를 식별했습니다(2단계). 먼저, 알려진 주요 논문을 사용하여 Yale MeSH 분석기10를 사용하여 관련 통제 어휘(MeSH [의학 주제 제목] 용어, 엠트리 및 기타)와 사용할 키워드 용어를 식별했습니다. 그런 다음 각 개념은 데이터베이스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번역되었습니다. 검색된 주요 개념에는 학부 의학교육, 간호 교육, 보건 전문직 교육, 학습 및 변형(변형, 변형 등 포함; 부록 1)과 같은 변형이 있는 통제 어휘와 키워드의 조합이 포함되었습니다. 학부 의학교육은 면허 취득 전 단계의 프로그램으로 정의되었고, 대학원은 대학원 의학교육을 포함한 면허 취득 후 프로그램을 의미했습니다. 
This scoping review aims ‘to map the key concepts contained in a research domain … to produce a quick, narrative, descriptive account of the scope of current literature’.8 We used Arksey and O'Malley's9 six-step framework. The research question was developed through a consultative process including all group members (Step 1), after which potentially relevant studies were identified by conducting an extensive search of the literature based on a set of inclusion and exclusion criteria (Step 2). We began with the Yale MeSH Analyzer10 using key known articles to identify relevant controlled vocabulary (MeSH [Medical Subject Headings] terms, Emtree and others) and keyword terms to be used. Each concept was then translated for use in databases. Major concepts searched included a combination of controlled vocabulary and keywords with variations such as undergraduate medical education, nursing education, health profession education, learning and transformative (including transforming, transform, etc.; Appendix 1). Undergraduate medical education was defined as programmes at the pre-licencing level, whereas postgraduate referred to post-licencing programmes, including graduate medical education.

2017년 2월 27일과 2018년 5월 31일에 숙련된 의학 사서가 다음을 포함한 10개의 서지 데이터베이스를 검색했습니다: Ovid MEDLINE, Ovid Embase, Ovid PsycINFO, Scopus 및 교육자원정보센터(ERIC)(부록 2). 검색 결과는 EndNote X7(클래리베이트 애널리틱스, 미국 펜실베이니아주 필라델피아)에 다운로드하고 중복을 제거했습니다. 검색된 1080개의 초록은 코비던스(코크란 기술 플랫폼)를 사용하여 두 명의 팀원(CM, LM, TB, MP, MM, SvS, DD, JH)이 독립적으로 검토했으며, 충돌이 있는 경우 세 번째 팀원(DD, JH, SvS)이 해결했습니다. 초록은 해당 범위에 속하지 않는 경우, 특히 TL 및 학부 HPE에 관한 것이 아니거나 학회 초록, 편집자에게 보내는 편지 또는 논문 초록인 경우 제외되었습니다. 이 시점에서 검토 대상 기간은 2006년 1월부터 2018년 5월까지로 제한하여 266개의 전체 텍스트를 검토했습니다(3단계, 그림 1). 
On 27 February 2017 and 31 May 2018, an experienced medical librarian searched 10 bibliographic databases, including: Ovid MEDLINE, Ovid Embase, Ovid PsycINFO, Scopus and Education Resources Information Center (ERIC) (Appendix 2). Search results were downloaded to EndNote X7 (Clarivate Analytics, Philadelphia, PA, USA) and duplicates removed. The 1080 retrieved abstracts were independently reviewed by two team members (CM, LM, TB, MP, MM, SvS, DD, JH) using Covidence (a Cochrane technology platform); conflicts were resolved by a third team member (DD, JH, SvS). Abstracts were excluded if they were not within the scope, specifically if they were not about TL and undergraduate HPE, or if they were conference abstracts, letters to the editor or abstracts from dissertations. At this point, the period under review was limited to January 2006 to May 2018, resulting in 266 full texts being considered (Step 3; Fig. 1).

연구 질문에 따라 협의하여 데이터 추출 시트를 개발했습니다(4단계). 각 연구는 다시 두 명의 검토자가 독립적으로 검토하고 세 번째 검토자(SvS)가 갈등을 해결했습니다. 논문에 대한 설명적 데이터 외에도 TL이 어떻게 정의되었는지, 어떤 이론가가 등장했는지, 연구에서 TL이 어떻게 적용되었는지, 학습 개입이 설명되었는지, TL이 평가되었는지 여부 및 방법과 관련된 데이터도 수집되었습니다. 이러한 데이터는 '구조화' 접근법을 분석 프레임으로 사용하여 데이터 전반에서 패턴, 유사성 및 모순을 찾아내는 내용 분석11을 거쳤습니다.12 구조화 이론은 모든 맥락에 존재하는 구조적 차원행위자적 차원을 인정합니다. 이러한 차원은 TL이 구조화되는 방식과 경험되는 방식을 이해하고자 할 때 데이터의 범주화에 영향을 미쳤습니다. 이 분석 결과는 아래 섹션에 제시되어 있습니다(5단계). 
A data extraction sheet was developed consultatively, guided by the research question (Step 4). Each study was again reviewed independently by two reviewers and conflicts resolved by a third (SvS). Apart from descriptive data about the articles, data relating to

  • how TL was defined,
  • which theorists were featured,
  • how TL was applied in the study,
  • whether a learning intervention was described, and
  • whether and how TL was assessed, were also captured.

These data were subjected to content analysis11 using a ‘structuration’ approach as an analytical frame, as we searched for patterns, similarities and contradictions across the data.12 Structuration theory acknowledges the structural and agentic dimensions present in all contexts. These dimensions informed the categorisation of our data as we sought to understand the way in which TL is structured as well as how it is experienced. The results of this analysis are presented in the section below (Step 5).

결과
Results

포함된 연구에 대한 설명
Description of the included studies

99개의 연구 중 총 42개(42%)는 개념적 연구였으며, 57개(58%)의 논문은 경험적 연구를 참조했습니다. 총 50개의 연구가 질적 방법론을 사용했으며, 혼합 방법 접근법을 사용한 연구가 균형을 이루었습니다. 순수하게 정량적 접근법을 사용한 연구는 한 편에 불과했습니다. 
A total of 42 (42%) of the 99 studies were conceptual in nature, whereas 57 (58%) papers referred to empirical work. A total of 50 studies used qualitative methodologies with the balance using a mixed methods approach. Only one study used a purely quantitative approach.

데이터 수집 방법은 심층적이고 반구조화된 포커스 그룹 및 개별 인터뷰(18%), 반성 에세이(9%), 저널 및 내러티브(6%), 설문조사 및 설문지(5%) 등 다양했습니다. 데이터를 생성하는 다른 접근 방식으로는 오디오 일기, 참가자 관찰, 중요 사건 보고서 및 디브리핑 세션 등이 있었습니다. 정량적 연구에는 성찰 설문지의 수정된 버전이 사용되었습니다.13 
The data collection methods varied between in-depth, semi-structured focus groups and individual interviews (18%), written reflection essays (9%), journals and narratives (6%), and surveys and questionnaires (5%). Other approaches to generate data included audio-diaries, participant observations, critical incidence reports and debrief sessions. A modified version of the Reflection Questionnaire was used in the quantitative study.13

포함된 연구에서 가장 많이 등장한 보건 전문직은 간호(52%)였으며, 의학교육 프로그램은 24개(24%) 논문에서 설명되었습니다. 4개의 논문에서는 여러 보건 전문직이 단일 연구에 포함되었습니다. 다른 보건 전문직으로는 치과, 약학, 사회학, 작업 치료 및 물리 치료가 포함되었습니다. 한 논문의 경우 직업이 확인되지 않았습니다. 총 68건(67%)의 논문에서 학부 프로그램을 언급했으며, 31건(31%)의 논문에서는 학부 및 대학원 수련생을 모두 포함했습니다. 실증 연구 중(37%) 참여자의 연령대는 학부 1학년에서 4학년까지 다양했습니다. 한 논문에는 대학원생도 포함되었습니다. 17편(17%)의 논문에서는 참가자의 연구 연도가 확인되지 않았습니다. 개입은 호주(n = 19), 캐나다(n = 8), 에콰도르(n = 2), 가나(n = 1), 일본(n = 1), 멕시코(n = 2), 남아프리카공화국(n = 6), 스웨덴(n = 4), 대만(n = 1), 영국(n = 12), 미국(n = 31), 잠비아(n = 1) 등 다양한 국가에서 농촌 및 도시 환경 모두에서 진행되었습니다. 약 44%의 논문이 글로벌 보건 맥락에서 적용된 것으로 확인되었습니다. 
Nursing was the health profession that featured most in the included studies (52%), whereas programmes in medical education were described in 24 (24%) articles. In four articles, multiple health professions were included in a single study. Other health professions included dentistry, pharmacy, sociology, occupational therapy and physical therapy. In the case of one article, the profession was not identified. A total of 68 (67%) articles referenced undergraduate programmes; 31 (31%) articles included both undergraduate and postgraduate trainees. Amongst the empirical studies (37%) participants ranged from first-year to final-year undergraduate students. One article also included postgraduate students. In 17 (17%) of the articles, the study year of participants was not identified. The interventions took place in various countries, including Australia (n = 19), Canada (n = 8), Ecuador (n = 2), Ghana (n = 1), Japan (n = 1), Mexico (n = 2), South Africa (n = 6), Sweden (n = 4), Taiwan (n = 1), UK (n = 12), USA (n = 31) and Zambia (n = 1), and in both rural and urban settings. Around 44% of articles were identified as having been applied in a global health context.

리뷰에서 확인된 변혁적 학습
Transformative learning in review

이 섹션에서는 TL 이론의 원칙이 포함된 연구에서 개념적으로나 실제적으로 어떻게 나타나는지 종합적으로 설명합니다. 총 69개 연구(70%)가 메지로우의 연구를 참조했으며, 많은 경우 브룩필드, 보이드, 크랜튼, 마이어와 랜드, 프레이레와 같은 다른 이론가들과 함께 인용했습니다. 검토한 HPE 문헌에서 TL을 정의하는 다양한 방식을 분석한 결과, 구성 요소는

  • '입력' 영역(또는 TL을 촉진하는 조건), 학습 과정 자체에 대한 설명,
  • '출력' 영역(또는 TL의 바람직한, 관찰되거나 이론화된 결과)을 중심으로 정리되었습니다.

In this section, we offer a synthesis of how the tenets of TL theory manifest in the included studies, both conceptually and practically. A total of 69 studies (70%) referenced the work of Mezirow, in many instances in tandem with other theorists such as Brookfield, Boyd, Cranton, Meyer and Land, and Freire. Based upon our analysis of the various ways in which TL is defined in the HPE literature reviewed, constituent elements were organised around

  • ‘input’ spaces (or the conditions that foster TL), descriptions of the learning process itself, and
  • ‘output’ spaces, or the desired, observed or theorised outcomes of TL.

변혁적 학습이 일어나는 방식
How transformative learning occurs

학습 이론으로서 TL은 자신에 대한 신념,14 타인에 대한 신념, 실천 등에 대한 신념의 변화 등 변화를 특징으로 합니다. 학습은 자신이 경험한 것에 비추어 자신이 믿고 알고 있는 것에 비판적으로 관여함으로써 발생하며,15,16 이전 학습을 넘어서고 이를 기반으로 한다는 점에서 구성주의 원칙을 기반으로 합니다.17-19 또한 실수로부터 배우는 것을 의미할 수도 있습니다.20 포함 된 많은 연구에서 지배적 인 주제는 TL이 발생하려면 기존의 참조 프레임에 의문을 제기하고 이러한 신념과 편견의 기반이되는 지식과 가치에 의문을 제기 할 수있는 덜 알려진 환경에 들어가기 전에 자신의 신념, 마음의 습관 및 편견을 재평가 할 수있는 기회가 있어야한다는 점을 강조했습니다 .16, 18, 21-37 따라서 TL을 가능하게 하는 것은 자신의 기존 가정을 인식하고 자신의 세계관에 도전을 받는 것입니다.38-53 또한 '자유로운 학습 환경' 또는 '자율적 사고와 자기 권한 개발에 도움이 되는 환경'54, 55은 경험을 재해석하는 데 필요한 것으로 설명되었습니다. TL은 인지 영역17, 27, 40, 56 및 정서 영역23, 27, 54, 57 모두에서 의도적이고 의식적인 행위가 필요하며, 비판적 사고를 수반합니다.17, 31, 58
As a theory of learning, TL is characterised by change: change in one's beliefs about oneself,14 about others, about practices, etc. Conceptualisations draw on constructivist principles in that learning occurs through critically engaging with what one believes and knows in light of what one experiences,15, 16 going beyond and building on prior learning.17-19 It may also mean learning from one's mistakes.20 A dominant theme across a large number of the included studies emphasised that for TL to occur there has to be an opportunity for questioning existing frames of reference, and for reassessing one's beliefs, habits of mind and prejudices before entering a less-known environment where the knowledge and values upon which these beliefs and prejudices are founded might be questioned.16, 18, 21-37 Enablers for TL are therefore becoming aware of one's prior assumptions and having one's world view challenged.38-53 In addition, ‘liberating learning environments’ or ‘those conducive to developing autonomous thinking and self-empowerment’54, 55 were described as necessary for reinterpreting experiences. TL requires an intentional, conscious act that occurs within both the cognitive17, 27, 40, 56 and affective domains,23, 27, 54, 57 and involves critical thinking.17, 31, 58

많은 연구에 따르면 TL은 다른 맥락, 특히 교실 밖에서 몰입을 통해 가장 잘 촉진된다고 합니다.59 이는 학습에서 장소와 맥락의 역할을 인정하는 '장소의 교육학'을 말합니다.29, 60 교수 학습에 대한 일반적인 교육학 및 접근 방식은 학생들이 알고 있는 것과 다른 커뮤니티에 적극적으로 참여해야 하는 것이었습니다.61, 62 덜 친숙한 지역사회에서의 이러한 참여에는

  • 농촌 또는 소외된 지역사회에서 일하기,53, 59-61, 63-68
  • 해외 여행,36, 69
  • 정신건강 기관에서의 봉사 학습,45, 70
  • 소외되고 불우한 사람들을 위한 가정 방문,52, 71, 72 또는
  • 임종 환자 돌보기가 포함되었습니다.73

Many of the studies suggested that TL is often best facilitated through immersion in a different context, specifically outside of the classroom.59 It speaks to a ‘pedagogy of place’ that acknowledges the role of locale and context in learning.29, 60 Common pedagogies and approaches to teaching and learning were those that required active engagement with communities that appeared to be different to what the students knew.61, 62 These engagements in less familiar communities included

  • working in rural or underserved communities,5359-6163-68 
  • travelling abroad,3669 
  • service learning at mental health institutions,4570 
  • visiting homes for marginalised and otherwise disadvantaged persons,527172 or
  • caring for patients at the end of their lives.73

임상 활동(29%)과 워크숍을 통한 대화형 교육(13%)에 중점을 두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온라인 과정30, 74-76 디지털 스토리텔링21, 77 및 영화78, 시뮬레이션20, 25, 32, 48, 50, 51이 사용되었습니다. 중재에는 협력 또는 동료 주도 학습, 그룹 또는 팀워크37, 57, 79-81, 멘토링82, 대화 기회 및 내러티브 사용 등이 포함되었습니다.17, 39, 62 마찬가지로 '체험적' 학습25, 57, 68 및 자연 환경에서의 진정한 경험을 제공하는 학습19, 33, 41, 59, 83은 자원 또는 사회 경제적 관점에서 종종 도전적인 것으로 보였습니다.35, 52
There was a clear focus on clinical activities (29%) and interactive teaching through workshops (13%). Online courses,30, 74-76 digital storytelling21, 77 and film,78 as well as simulation,20, 25, 32, 48, 50, 51 were used. Interventions included collaborative or peer-led learning, group or teamwork37, 57, 79-81 and mentorship,82 with opportunities for dialogue and the use of narrative.17, 39, 62 Similarly, what was described as ‘experiential’ learning25, 57, 68 and learning that provided for authentic experiences19, 33, 41, 59, 83 in natural settings were seen to be challenging often from a resource or socio-economic perspective.35, 52

99개 논문 중 총 64개 논문에서 TL을 촉진하고 평가하는 과정으로서 성찰을 언급했으며, 한 논문에서는 '총체적 성찰 모델'을 제시했습니다.84 성찰을 장려하는 구체적인 방법으로는 인터뷰69, 83 및 디브리핑,32, 85 토론,41, 86 핵심 가치에 집중,29 및 저널 사용을 포함한 성찰적 글쓰기 등이 있습니다.13, 27, 30, 45, 52, 87 성찰은 '개방형',40 '자기 성찰'28 및 '비판적',38, 55, 63, 88-90으로 묘사되었으며, 한 연구에서는 이러한 '비판적 성찰'이 이론과 실무 사이의 간극을 최소화할 수 있다고 제안했습니다.90
A total of 64 of the 99 articles made reference to reflection as a process to both facilitate and assess TL, with one article offering a ‘Model of Holistic Reflection’.84 Specific ways in which reflection was encouraged included interviewing69, 83 and debriefing,32, 85 discussions,41, 86 focusing on core values,29 and reflective writing, including using journals.13, 27, 30, 45, 52, 87 Reflection was described as ‘open-ended’,40 ‘self-reflection’28 and ‘critical’,38, 55, 63, 88-90 with one study suggesting that such ‘critical reflection’ could minimise the gap between theory and practice.90

TL에는 강력한 사회적 의무도 있습니다. 이는 학생과 다른 사고방식과 행동방식을 가진 커뮤니티를 포함한 다른 사람들과의 참여를 전제로 합니다.23, 36, 42, 88, 91 여러 저자가 TL의 사회적 차원을 언급하고 있습니다. 변혁적 학습은 비판적 성찰을 통한 성찰의 과정으로 새로운 사고방식 또는 조명으로 이어질 뿐만 아니라,86 '공감적 경청'37 합리적 담화,30 반성적 담화26 및 타인의 가정에 대한 인식 등 높은 수준의 의사소통 기술을 강조합니다.92
There is also a strong social imperative for TL. It presupposes engagement with others, including communities, who may well have different ways of thinking and doing to those of the student.23, 36, 42, 88, 91 Several authors refer to the social dimensions of TL. Transformative learning is not just the process of introspection through critical reflection that leads to new ways of thinking, or illumination,86 but it also emphasises high-level communication skills, including ‘empathic listening’,37 rational discourse,30 reflective discourse26 and an awareness of the assumptions of others.92

여러 연구41에서는 TL의 '트리거' 역할을 하는 특정 사건이나 조건을 설명했습니다. 메지로우의 변형적 학습의 10단계 중 첫 번째 단계인 '방향성 상실 딜레마'에 대한 개념이 강하게 등장했습니다.23, 36, 40, 51, 93 종종 이것은 특정 사건이나 경험, 일반적으로 위에서 언급한 '진정한' 경험과 연결되며 죄책감 및 두려움과 연관될 수 있습니다.40, 59 어떤 경우에는 TL이 마이어와 랜드의 '역치 개념':41, 43, 47, 77, 94 '어떤 것을 이해하거나 해석하거나 보는 변화된 방식'과 직접적으로 연결되기도 했습니다.95
Several studies41 described specific events or conditions that acted as ‘triggers’ for TL. Mezirow's notion of a ‘disorienting dilemma’, the first of his 10 phases of transformative learning, featured strongly.23, 36, 40, 51, 93 Often this was linked to a particular event or experience, typically the ‘authentic’ experiences mentioned above, and could be associated with feelings of guilt and fear.40, 59 In some instances, TL was directly linked to Meyer and Land's idea of ‘threshold concepts’:41, 43, 47, 77, 94 ‘a transformed way of understanding, or interpreting, or viewing something’.95

변혁적 학습의 결과
Outcomes of transformative learning

연구에 기술된 바와 같이, 변혁적 학습은 학생들의 직업적 정체성 형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45, 47, 62 학생들이 더 차별적인 관점을 개발함에 따라 그들의 세계관이 변화했습니다.47, 53, 58, 66, 96-98 따라서 TL은 가치, 태도 및 행동에 영향을 미쳤으며,30, 37, 57, 61, 72, 99 그리고 자신을 보고 이해하는 방식에 영향을 미쳤습니다.14, 33, 69, 80 학생들은 의료 영역 내의 조건을 포함하여 사물에 대한 새로운 해석을 개발했습니다.22, 93 문화와 사회경제적 지위에 관계없이 타인에 대한 인식이 높아졌고,17, 28, 64 다양한 관점을 고려하는 '다양성'으로 나아감에 따라 서로 다른 의견과 관점23 에 대한 인식이 높아졌습니다.17 연구들은 이러한 인식이 겸손과 성실성,24, 55, 57 및 공감과 배려를 특징으로 하는 환자 중심주의와 같은 인문학적 가치를 어떻게 향상시키는지에 대해 이야기했습니다.17, 22, 45 학생들은 또한 사회적, 전문적, 치료적, 호혜적인 관계를 구축하고 협상할 진정한 기회를 가진 것으로 묘사되었습니다.24, 33, 64, 78, 93, 100, 101.
Transformative learning, as described in the studies, was seen to influence the formation of students’ professional identity.45, 47, 62 As they developed more discriminating perspectives, their worldviews shifted.47, 53, 58, 66, 96-98 Accordingly, TL influenced their values, attitudes and behaviours,30, 37, 57, 61, 72, 99 and how they saw and understood themselves.14, 33, 69, 80 Students developed new interpretations of how things were, including conditions within the realm of health care.22, 93 There was a heightened awareness of others,17, 28, 64 regardless of culture and socio-economic standing,69 and of differing opinions and perspectives23 as they progressed towards ‘multiplicity’ considering multiple viewpoints.17 Studies spoke of how this awareness enhanced humanistic values, such as humility and integrity,24, 55, 57 and patient-centredness, characterised by empathy and caring.17, 22, 45 Students were also described as having authentic opportunities to build and negotiate social, professional, therapeutic and reciprocal relationships.24, 33, 64, 78, 93, 100, 101

TL은 인지적 차원이 강한 것이 특징이지만, 그 영향은 행동 변화로 나타나야 합니다. 학생들은 변화의 주체가 되는 것으로 묘사되었는데,44, 64, 67 이는 사회적 책임과 사회 정의의 문제를 모두 다루는 변화를 주장한 메지로우 이론의 중요한 특징입니다. 변화된 세계관은 개인이 사회적 불공정,58, 74, 102 보건 맥락에서 건강 불평등으로 이어지는 사회적 불공정을 살펴볼 수 있게 해줍니다.31 
Although TL is characterised as having a strong cognitive dimension, its impact should manifest in behavioural change. Students were described as becoming agents for change,44, 64, 67 an important feature of Mezirow's theory, which argued for change that spoke to issues of both social accountability and social justice. The transformed view of the world allows individuals to examine social injustice,58, 74, 102 which in a health context leads to health inequalities.31

학생들의 성찰력 향상자아실현 과정을 촉진하여 자신감과 그에 따른 역량70 및 권한 부여를 구축하는 것으로 보입니다.54, 85 학생들은 문화적 역량감의 결과로 다른 문화권의 환자를 돌보는 데 더 자신감이 있다고 주장했습니다66, 85, 93 일부 연구에서는 위에서 언급한 몰입의 결과로 학생들이 환자, 다른 의료 전문가 및 지역사회 구성원과의 소속감 또는 유대감을 발전시켰다고 제안했습니다.19, 83 
Students’ increased reflectiveness encourages a process of self-actualisation, which is seen to build self-confidence and the resulting competence70 and empowerment.54, 85 Students claimed to be more confident in caring for patients from different cultures66, 85, 93 as a result of a sense of cultural competency.87 Some studies suggested that as a result of the immersion that was mentioned above, students developed a sense of belonging or connectedness with patients, other health care professionals and members of the community.19, 83

학생, 그리고 궁극적으로 환자 치료, 의료 서비스 제공, 심지어 사회에 대한 TL의 가치에 대해 포함된 연구들 전반에 걸쳐 많은 일관성이 있었지만, 논의가 필요한 몇 가지 덜 일반적인 지표도 있었습니다. 예를 들어, 개인적 및 사회적 차원이 설명된 결과에서 강하게 나타났지만, 한 연구에서는 학생들이 여전히 '학문적 지식'을 습득했지만 이전에 경험했던 것과는 '다른 방식'으로 습득했다고 제안했습니다.68 
Although there was much coherence across the included studies as to the value of TL for students, and indeed ultimately for patient care, health care delivery and even society, there were also some less-common indicators that warrant discussion. For example, although personal and social dimensions featured strongly in the described outcomes, one study suggested that students still acquired ‘academic knowledge’ but did so ‘in a different way’ from what they felt they had experienced previously.68

변혁적 학습 경험
Experience of transformative learning

대부분의 연구에서 TL이 개인의 커리어에 상당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학생들이 불안한 경험을 할 수도 있음도 분명했습니다. 위에서 언급한 죄책감과 두려움 외에도 연구들은 학생들이 학습 경험을 '변혁적', '격렬함',72 '불편함'93, '불확실성'을 특징으로 하는 것으로 묘사했습니다.47 경험은 또한 '지적'71, '감정적'63, 71, 101뿐만 아니라 '다름'34, 60 또는 '여정'으로 묘사되기도 했습니다.63
Although most studies framed TL as potentially having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an individual's career, it was evident that students could also have some unsettling experiences. Apart from the guilt and fear mentioned above, studies also described how students experienced learning events as being ‘transformative’, ‘intense’,72 ‘uncomfortable’93 and characterised by ‘uncertainty’.47 Experiences also were described as ‘intellectual’71 and ‘emotional’,63, 71, 101 but also ‘different’34, 60 or as a ‘journey’.63

학생들은 자신의 입장과 기준이 도전받을 때 다양한 관점을 고려할 수 있는 수용성과 역량49 을 갖추어야 합니다. 그들은 어느 정도의 취약성을 경험하는 데 개방적이어야 하며, 환자나 상황으로부터 거리를 두기보다는 '방향 감각을 잃는 딜레마'를 받아들여야 합니다.94 TL 이론에 내포된 사회적 선으로 이어질 수 있는 이해의 공통 기반37을 모색하려는 의도가 있어야 합니다. 필연적으로, 너무 자기중심적이거나 정서적으로 단절되어 혜택을 받지 못하는 학생들이 있을 수 있습니다.63 휴가 마인드는 '해외 유학' 연구에서 인정된 위험입니다.63 마지막으로, 포함된 연구 중 단 한 건만이 수행된 연구가 TL의 증거를 제공하지 않았으며 특히 윤리적 문제와 관련하여 학생들이 직면하는 불확실성과 도전에 어려움을 겪는 경험을 기술했다는 점에 유의해야 합니다.103 이 저자들과 다른 사람들104 은 학생들이 그러한 학습 계획에 미리 준비할 수 있도록 커리큘럼을 갱신할 것을 촉구합니다. 
Students need to be receptive and have the capacity49 to consider multiple viewpoints when their own positions and frames of reference are being challenged. They need to be open to experiencing a level of vulnerability and take the ‘disorienting dilemmas’ on board rather than opting to distance themselves from either the patients or the context.94 There needs to be an intent to seek common ground for understanding37 that will lead to the social good that is implicit in TL theory. Inevitably, there are students who may be too egocentric and/or emotionally disconnected to benefit.63 A vacation mindset was an acknowledged danger in ‘study abroad’ studies.63 Finally, it should be noted that only one included study indicated that the work conducted had provided no evidence of TL and described the experience of students struggling with the uncertainty and challenges that they are presented with, specifically with regards to ethical issues.103 These authors and others104 call for curriculum renewal to prepare students in advance for such learning initiatives.

토론
Discussion

저희가 아는 한, 이 리뷰는 HPE 문헌에서 최초로 작성된 것입니다. 이 검토를 통해 HPE에서 TL이 무엇으로 인식되는지, TL이 어떻게 육성되는지, 학생들이 어떻게 경험하는지에 대해 광범위한 합의가 이루어지고 있음을 알 수 있었습니다. [변혁적 학습]성찰을 장려하는 경험이나 사건을 통해 세상을 보는 방식을 변화시키는 학습으로, 일반적으로 선입견에 도전하여 미래의 긍정적인 행동과 의미 있는 관계를 가능하게 합니다.1 기존 교실 밖에서 학습이 이루어지고 학생들이 덜 익숙한 상황에 노출되며 공식 강의 이외의 전달 및 참여 방식이 채택될 때 더 일반적인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TL이 이루어지려면 학생들이 이러한 낯선 상황에 대응하고 참여할 수 있는 역량이 있어야 합니다. 이러한 역량이 부족하면 TL이 이루어지지 않을 수 있습니다. 
To the best of our knowledge, this review represents the first of its kind in HPE literature. The review showed that there is broad consensus as to what TL in HPE is perceived to be, how TL is fostered, and how students experience it. Transformative learning is described as learning that changes the way we see the world through an experience or event that encourages reflection, typically challenging preconceived understandings, which enables positive future action and meaningful relationships.1 It appears to be more common when learning takes place outside of the conventional classroom, when students are exposed to less familiar contexts, and when modes of delivery and engagement other than formal lectures are adopted. For TL to occur, students must have the capacity to respond to and engage in these unfamiliar contexts. A lack of such capacity can preclude TL.

TL 이론이 학습 이론 담론에 동화되는 방식에 대한 비판이 제기되었습니다.105, 106 예를 들어, 뉴먼은 변화가 TL의 핵심이라고 주장하며 모든 학습이 어떤 식으로든 변화에 관한 것이 아닌지, 그리고 TL을 뚜렷한 현상으로 식별할 수 있는지 의문을 제기합니다.106 아마도 TL 이론은 본질적으로 특정 목적을 위한 학습이지만, 우리가 학습을 더 잘 이해할 수 있는 틀을 제공하는 것일 수 있습니다. 따라서 우리는 TL이 실제로 식별 가능하고 뚜렷한 현상이라고 주장할 수 있습니다. 최근의 한 리뷰에서는 이러한 뚜렷한 특징을 강조하면서 '세계관', 우리가 경험을 이해하는 방식에 영향을 미치는 가정, 신념, 태도 및 보다 복잡한 관점의 발달로 구성된 TL 결과의 유형학을 설명하며 다섯 가지 측면으로 구성된다고 설명합니다:

  • (i) '자아', 책임감, 타인과의 관계에서 자신을 아는 것, 자신의 정체성,
  • (ii) '인식론', 지식이 무엇인지에 대한 변별력을 키우고 다양한 앎의 방식을 인정하는 것,
  • (iii) '존재론', 세상에 존재하는 방식,
  • (iv) '행동', 변화된 관점과 새로운 기술 및 스킬의 영향을 받는 행동,
  • (v) '역량', 인지적 및 정서적 능력으로 구성됩니다. 107

Criticism has been lodged against the way in which TL theory has been assimilated into learning theory discourse.105, 106 For example, Newman argues that change appears to be key to TL and questions whether all learning is not about change in some way and whether it is even possible to identify TL as a distinct phenomenon.106 Perhaps it is that TL theory essentially provides a frame within which we are better able to understand learning, although in this instance it is learning to a particular end. We would therefore argue that TL is indeed identifiable and distinct. A recent review emphasises these distinct features, describing a typology of TL outcomes comprising ‘worldview’, the assumptions, beliefs, attitudes that influence how we make sense of an experience and the development of a more complex perspective, consisting of five aspects:

  • (i) ‘self’, taking responsibility, knowing oneself, also in relation to others, and one's identity;
  • (ii) ‘epistemology’, becoming more discriminating about what knowledge is and acknowledging multiple ways of knowing;
  • (iii) ‘ontology’, ways of being in the world;
  • (iv) ‘behaviour’, action influenced by changed perspectives and even new skills; skills, and
  • (v) ‘capacity’, cognitive and affective ability.107 

이러한 각 영역은 각 연구에 모두 포함되지는 않았지만, 본 검토에서 어느 정도는 존재합니다. 그렇다면 학습 경험은 언제 변혁적이라고 할 수 있을까요? 일반적으로 개입을 설명하는 포함된 연구들은 모두 정보제공적형성적 접근 방식을 넘어서는 학습 유형에 대해 이야기하지만, 이러한 유형론을 포함 기준으로 적용하면 이러한 출판물 중 상당수가 제외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TL을 촉진하는 측면에서 이러한 출판물의 입지는 비판받을 수 있습니다.
Each of these domains is present in our review to a greater or lesser extent, although they are not all present in each of the studies. This prompts the question: when does a learning experience qualify as transformative? Although in general the included studies that describe an intervention all speak to a type of learning that goes beyond informative and formative approaches, the application of such a typology as inclusion criteria would have resulted in excluding many of these publications. Their standing in terms of facilitating TL could therefore be critiqued.

호건은 [깊이 있고 폭넓은 경험과 변화가 일시적이지 않다는 증거]가 TL의 중요한 기준이라고 주장합니다.107 이러한 기준은 메지로의 10단계 TL과도 공감을 불러일으킵니다.

  • 방향을 잃은 딜레마에 직면하는 것에서부터
  • 자신과 자신의 가정에 대한 비판적 성찰,
  • 새로운 역할다른 행동 방침에 대한 고려,
  • 이러한 새로운 역할의 채택,
  • 마지막으로 새로운 존재 방식을 기반으로 한 삶에 재통합

메지로우의 연구는 포함된 연구에서 지배적이었으며, 특히 경험적 연구를 설명하는 연구들에서 이러한 단계가 많이 등장합니다. 
Hoggan argues that depth and breadth of experience and evidence that change is not temporary are important criteria for TL.107 These criteria also resonate with Mezirow's 10 phases of TL, which move

  • from being confronted with a disorienting dilemma,
  • to critical reflection of self and of one's assumptions,
  • to consideration of new roles and a different course of action,
  • to the adoption of these new roles, and
  • finally, reintegration into one's life based on one's new way of being.

Mezirow's work was dominant in the included studies, and many of these phases are featured, particularly in those studies that describe empirical work.

그러나 일반적으로 표현의 빈도는 단계가 올라갈수록 감소하며, 대부분의 연구에서 학생들이 자신의 가정을 반성하도록 도전을 받고, 이를 통해 새로운 관점을 갖게 된다는 점을 인정하지만, 변화된 행동을 강조하는 경우는 적었습니다. 이는 언제 TL을 주장할 수 있는지, 그리고 모든 단계를 거쳐야 하는지에 대한 의문을 다시 제기합니다. TL 이론은 새로운 존재 방식이 통합적이고 되돌릴 수 없다고 주장하지만, 변화가 지속되는 정도에 대한 관점을 제공할 수 있는 종단 연구는 부족하며, 한 가지 예외로 Greenhill 등의 연구(108)가 있습니다. 또한 지속적인 변화를 특정 사건에 기인하는 것은 불가능하다고 주장할 수도 있습니다.
Generally, however, the frequency of representation diminishes the further one moves through the phases, with most studies acknowledging students being challenged to reflect on their assumptions, and suggesting that this leads to new perspectives, but with fewer emphasising changed action. This again raises the question about when a claim for TL can be made, and whether movement through all phases is required. Although TL theory claims that the new ways of being are both integrated and irreversible, there is a dearth of longitudinal studies, one exception being a study by Greenhill et al.,108 that could offer perspectives on the extent to which change is sustained. In addition, one might argue that it is not possible to attribute sustained change to a particular event.

이 연구가 HPE에 주는 시사점은 무엇일까요?

  • 첫째, 맥락이 중요합니다. 의료 전문가 교육이 진료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환경으로 계속 이동함에 따라,109 종종 낯선 환경(병원에서 처음 배우거나 외국에서의 선택 과목 등)에서 잠재적으로 변화를 일으킬 수 있는 학습 경험에 노출될 기회가 늘어날 것입니다. 기존의 교실에서 벗어나면 학생과 교육자 모두 사회 정의와 같이 해당 분야의 원조 이론가들의 연구에 내포된 공식 커리큘럼을 넘어서는 문제를 자유롭게 탐구할 수 있습니다.
  • 둘째, 맥락의 영향에도 불구하고 TL은 개인, 즉 개인의 여정에 관한 것입니다. 이 여정은 인지적 차원과 정서적 차원, 인식론적 입장과 존재론적 입장이 모두 특징이며, 이러한 입장은 서로 얽혀 있어 위에서 언급한 학습의 깊이와 폭을 잠재적으로 제공합니다.
  • 셋째, HPE의 맥락에서 사회적, 관계적, 정서적 구성 요소는 돌봄 직업의 전문가가 되는 것과 특별한 관련성이 있습니다. 앞서 언급했듯이 메지로우는 TL이 궁극적으로 사회 변화를 이끌고 사회 정의를 증진할 수 있다고 생각했습니다. 현재 전 세계 보건 불평등의 맥락에서 볼 때, 미래의 의료 전문가들이 어떤 학습에 노출되기를 바라는지를 고려할 때 이러한 의무는 다른 어떤 것보다도 강력하게 다가옵니다.

What are the implications of this study for HPE?

  • First, context is critical. As the training of health professionals continues to move towards settings where they are active participants in care,109 often in unfamiliar surroundings (whether learning for the first time in a hospital or on an elective in a foreign country), increased opportunities for exposure to learning experiences that are potentially transformative will become available. Moving outside of the conventional classroom offers both students and educators the freedom to explore issues beyond the formal curriculum, such as social justice, that are implicit in the work of the original theorists in the field.
  • Second, despite the influence of context, TL is about the individual – his or her journey. This journey is characterised by both a cognitive and an affective dimension, an epistemological and ontological position, and these are intertwined, potentially providing for the depth and breadth of learning alluded to above.
  • Third, in the context of HPE, the social, relational and emotional components have specific relevance to becoming a professional in any of the caring professions. As mentioned earlier, Mezirow's sense was that TL would ultimately lead to social change and promote social justice. In the context of current global health inequity this imperative strikes a chord more strongly than any other when considering the learning that we would wish future health professionals to be exposed to.

마지막으로, 이 연구 결과는 임상 교육자를 포함한 교사, 커리큘럼 개발자, 위에서 설명한 것과 같이 학습 기회를 창출하고 학습 환경을 조성하는 프로그램 관리자에게도 시사점을 줍니다. 이러한 과제를 수행하려면 교육자 스스로가 자신의 신념과 이것이 자신의 실무에 어떤 의미를 가질 수 있는지에 대해 비판적으로 참여할 준비가 되어 있어야 합니다. 커리큘럼 리뉴얼 활동에는 학생들이 비판적 자기 성찰에 참여할 수 있는 교수 전략이 포함되도록 설계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그에 못지않게 중요한 것은 보건 전문직에 종사하는 교육자가 인지적, 정서적으로 긍정적이든 부정적이든 학생들의 잠재적 반응에 민감하게 반응하는 것입니다. 보건 전문직 교육자에게 TL을 촉진하기 위한 세부적이고 실용적인 지침을 제공하는 것이 이 검토에서 나온 중요한 다음 단계가 될 것입니다. 
Finally, the findings of this study also carry implications for teachers, including clinical educators, for curriculum developers and for programme administrators responsible for creating learning opportunities and establishing enabling learning environments, such as those described above. To fulfil these tasks would require a preparedness on the part of these educators to themselves critically engage with what they believe and what this might mean for their own practice. Curriculum renewal activities can be designed to include teaching strategies that engage students in critical self-reflection. Equally important, however, is for educators in the health professions to be sensitive to students’ potential responses, whether positive or negative, both cognitively and emotionally. Providing detailed and practical guidelines for educators in the health professions about facilitating TL would be an important next step to emerge from this review.

이 검토는 TL에 대한 현재 이해와 기존 HPE 문헌에 표현된 방식 사이의 간극을 해결하고자 했지만, 이 작업에는 한계가 있습니다. 문헌의 범위를 정할 때 깊이보다는 폭을 넓히는 접근 방식을 채택했습니다. 종합 과정에서 고유한 세부 정보가 누락되었을 수 있습니다. 범위 검토의 관례에 따라 포함된 연구의 근거의 질을 공식적으로 검토하지 않았습니다.9 체계적 문헌고찰을 통해 이러한 격차를 해결할 수 있습니다. 또한, 간호 전문직이 포함된 연구에서 가장 많이 대표되는 프로그램이었기 때문에 모든 보건 전문직 학부 프로그램에 대한 이 검토의 관련성에 의문이 제기될 수 있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 연구는 TL을 육성하고 평가하려는 향후 연구에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통찰력을 제공한다고 믿습니다. 더 주목해야 할 또 다른 측면은 TL을 촉진하고 평가하는 데 있어 자기 성찰의 역할입니다. 마지막으로, 검토팀은 임상의, 관리자, 교육자 등 다양한 전문가 그룹으로 구성되었으며, 이들은 각기 다른 관점에서 검토 및 분석 과정에 접근했습니다. 합의에 도달하기 위해서는 격렬한 토론이 필요했지만, 그 덕분에 최종 결과물이 향상되었다고 생각합니다.
Although this review has sought to address a gap in our current understanding of TL and how it is represented in the existing HPE literature, there are limitations to this work. In seeking to scope the literature we adopted an approach that pushed for breadth rather than depth. In the process of synthesis, unique details may have been lost. Following the conventions of scoping reviews, we did not formally review the quality of the evidence in the included studies.9 A systematic review might address this gap. Furthermore, because the nursing profession was the most represented programme in the included studies, the relevance of this review for all health professions’ undergraduate programmes may be questioned. Nevertheless, we believe that the work provides insights that can inform future studies that seek to foster and assess TL. Another aspect that warrants further attention is the role of self-reflection in facilitating and assessing TL. Finally, the review team comprised a diverse group of professionals that includes clinicians, administrators and educationalists, who approached the process of review and analysis from quite different perspectives. Reaching consensus required vigorous debate, but we believe this enhanced the final product.

결론
Conclusions

변혁적 학습 이론은 '가장 진보된 종류의 인간 학습으로 인식될 수 있는 것을 이해하는 데 국제적으로 잘 알려져 있고 인정받는 공헌'이 되었습니다.110 '복잡하고 다면적인',4 '고등교육의 상징적인 교육 철학'1, '분석적 메타이론'107 으로 교육자들에게 학생들의 학습을 바라볼 수 있는 이론적 렌즈를 제공하는 것으로 묘사되어 왔습니다. TL에 대한 비판에도 불구하고 우리가 주목할 가치가 있다는 것은 의심할 여지가 없으며, 이 검토에서 제기된 문제를 탐구하는 추가 작업이 필요합니다. 
Transformative learning theory has become ‘an internationally well known and recognised contribution to the understanding of what may be perceived as the most advanced kind of human learning’.110 It has been described as ‘complex and multifaceted’,4 ‘the iconic education philosophy’1 in higher education, and an ‘analytic metatheory’107 providing educators with a theoretical lens through which to view students’ learning. Notwithstanding critiques levelled at TL, there can be no doubt that it warrants our attention and further work that will explore the issues raised in this review is required.

BGHEI의 주요 목표 중 하나는 글로벌 보건 교육을 위한 커리큘럼 권고안을 제공하는 것과 관련이 있습니다.111 특히 학생들을 준비시키고, 비판적 성찰과 담론을 위한 시간과 공간을 확보하고불편함을 허용하고 '안전한' 공간에서 벗어날 수 있도록 학습 이벤트 또는 경험을 구성하는 측면에서 글로벌 보건 교육 개입에 관여하거나 착수하려는 사람들이 이 검토에서 많은 것을 배울 수 있습니다. 그러나 우리는 이 검토가 더 넓은 관점을 제공하며 21세기 보건 전문직 교육이 직면한 과제를 해결하려면 우리가 살고 있는 세계의 복잡성을 인정하고 우리가 알고 있다고 믿는 것에 의문을 제기하는 '인간 번영'을 가능하게 하는 불확실성의 교육학이 필요하다고 주장합니다.112 변혁적 학습 이론은 그러한 교육학을 제공합니다.
One of the main goals of the BGHEI relates to offering curriculum recommendations for global health education.111 Much can be learned from this review by those who are involved in, or intend to embark on, a global health educational intervention, particularly in terms of preparing students, ensuring time and space for critical reflection and discourse, structuring learning events or experiences to allow for discomfort and a move away from ‘safe’ spaces. However, we would argue that the review offers a broader perspective and that addressing the challenges facing health professions education in the 21st century requires a pedagogy of uncertainty that allows for ‘human flourishing’, acknowledging the complexity of the world we live in and questioning what we believe we know about it.112 Transformative learning theory offers such a pedagogy.

 


Med Educ. 2019 Jun;53(6):547-558. doi: 10.1111/medu.13804. Epub 2019 Feb 14.

Transformative learning as pedagogy for the health professions: a scoping review

Affiliations collapse
 
1Centre for Health Professions Education, Faculty of Medicine and Health Sciences, Stellenbosch University, Cape Town, South Africa.

2Yale School of Medicine, Yale University, New Haven, Connecticut, USA.

3Departments of Medicine and Epidemiology, David Geffen School of Medicine and Fielding School of Public Health, University of California, Los Angeles, California, USA.

4Faculty of Health and Medical Sciences, The University of Western Australia, Crawley, Western Australia, Australia.

5Faculty of Health Sciences, Ben Gurion University, Beer Sheva, Israel.

6Division of Infectious Diseases, University of California-San Francisco Medical Center, San Francisco, California, USA.

7Cushing/Whitney Medical Library, Yale School of Medicine, New Haven, Connecticut, USA.

8Warwick Medical School, University of Warwick, Coventry, UK.

PMID: 30761602

DOI: 10.1111/medu.13804

Abstract

Context: Transformative learning (TL) has been described as learning that challenges established perspectives, leading to new ways of being in the world. As a learning theory it has resonated with educators globally, including those in the health professions. Described as a complex metatheory, TL has evolved over time, eliciting divergent interpretations of the construct. This scoping review provides a comprehensive synthesis of how TL is currently represented in the health professions education literature, including how it influences curricular activities, to inform its future application in the field.

Methods: Arksey and O'Malley's six-step framework was adopted to review the period from 2006 to May 2018. A total of 10 bibliographic databases were searched, generating 1532 potential studies. After several rounds of review, first of abstracts and then of full texts, 99 studies were mapped by two independent reviewers onto the internally developed data extraction sheet. Descriptive information about included studies was aggregated. Discursive data were subjected to content analysis.

Results: A mix of conceptual and empirical research papers, which used a range of qualitative methodologies, were included. Studies from the USA, the UK and Australia were most prevalent. Insights relating to how opportunities for TL were created, how it manifests and influences behaviour, as well as how it is experienced, demonstrated much congruency. Conceptions of TL were seen to be clustered around the work of key theorists.

Conclusions: The training of health professionals often takes place in unfamiliar settings where students are encouraged to be active participants in providing care. This increases the opportunity for exposure to learning experiences that are potentially transformative, allowing for a pedagogy of uncertainty that acknowledges the complexity of the world we live in and questions what we believe we know about it. TL provides educators in the health professions with a theoretical lens through which they can view such student learning.

임상추론의 생태학적 설명(Acad Med, 2022)
An Ecological Account of Clinical Reasoning
Bjorn K. Watsjold, MD, MPH, Jonathan S. Ilgen, MD, PhD, and Glenn Regehr, PhD

 

보건 전문직 교육에서 임상 추론을 구성하고 더 잘 이해하기 위해 수많은 구조가 사용되었습니다. 이러한 문헌에서 임상 추론은 일반적으로 [일반적인 기술] 또는 [특정 지식의 적용]이라는 두 가지 방식 중 하나로 개념화됩니다. 1

  • 임상 추론을 [일반적인 기술]로 정의한 사람들은 임상 추론을 일반적인 문제 해결 과정으로 설명하거나,2,3 메타인지,4 이중 과정 이론,5-8 또는 휴리스틱과 편견과 같은 [광범위한 인지 과정의 관점]에서 설명했습니다. 9-12 이러한 연구는 잠재의식과 의식적 사고가 추론 능력을 형성하는 방식(일반적으로 종이 기반 임상 사례에서 정확도로 측정됨)을 정교화했으며, [잠재적으로 사고 오류를 완화할 수 있는 접근법]을 제안했습니다.
  • 이와는 대조적으로, 다른 저자들은 임상 추론에서 일반화 가능한 프로세스보다 [특정 지식의 적용]이 더 중요할 수 있다고 제안했습니다. 추론을 일반적인 접근 방식이 아닌 지식 구조의 정교화와 적용으로 보는 프레임워크13에서는 질병 스크립트,14 스키마,15 및 예시 1,16와 같은 고급 개념을 사용하여 숙련된 임상의가 이러한 임상 경험을 초심자와 중요하게 구별되는 방식으로 처리하는 이유를 설명합니다.

Numerous constructs have been used to frame and better understand clinical reasoning in health professions education. Across this literature, clinical reasoning is generally conceptualized in 1 of 2 ways: as a general skill or as the application of specific knowledge. 1 

  • Those who have framed clinical reasoning as a general skill have described it either as a process of general problem solving 2,3 or in terms of broad cognitive processes such as metacognition, 4 dual process theory, 5–8 or heuristics and biases9–12 This body of work has elaborated the ways in which subconscious and conscious thinking shape reasoning performance—typically measured as accuracy on paper-based clinical cases—and has suggested approaches that could potentially mitigate errors in thinking.
  • In contrast, other authors have suggested that the application of specific knowledge may be more important than generalizable processes in clinical reasoning. Framing reasoning as the elaboration and application of knowledge structures rather than general approaches, 13 this work has advanced concepts such as illness scripts, 14 schemas, 15 and exemplars 1,16 as a means of explaining why experienced clinicians seem to work through these clinical experiences in importantly distinct ways from novices.

이 두 가지 프레임워크의 차이점에도 불구하고, 두 프레임워크의 핵심은 개인이 업무 현장에서 임상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을 이해하는 수단으로 널리 알려진 [인지주의적 정보 처리(IP) 이론 패러다임]과 일치합니다. 이 IP 패러다임에서는 추론을 정보를 받아들이고, 고려하고, 행동을 선택하는 데 사용하는 과정으로 [개인 내부에 위치]합니다. 이처럼 [개인의 주체성에 중점]을 두기 때문에 이 과정에서 [컨텍스트는 기껏해야 부차적인 고려 사항]으로 취급됩니다. 즉, 맥락은 근본적인(탈맥락화된) 인지 과정을 밝히기 위해 [평균을 내야 하는 잡음]으로 간주되거나, [추론에 영향을 미치는 특정 외부 요인](예: 시간 압박, 빨리 또는 천천히 일하라는 특정 지시, 방해, 환자의 복잡성을 모방한 다양한 조건)으로 구성됩니다. 5,19-23 이러한 의미에서 맥락은 추론 과정(그리고 이를 연구하는 우리의 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복잡한 요소로 간주되지만 추론 과정 자체에 필수적인 요소로 간주되지는 않습니다.
Despite the differences in these 2 framings, at their core, both align with the prevailing cognitivist paradigm of information processing (IP) theory as the means for understanding how individuals tackle clinical problems in their workplace. This IP paradigm locates reasoning within the individual as a process in which information is received, considered, and used to select actions. Because of this heavy focus on individual agency, context is given, at most, secondary consideration in the process. That is, context is framed either as noise that must be averaged across to uncover the underlying (decontextualized) cognitive process or as a set of specific external factors that have influences on reasoning, 17,18 such as time pressure, specific instructions to work quickly or slowly, interruptions, and a variety of conditions that mimic patient complexity. 5,19–23 In this sense, context is seen as a complicating factor that affects the reasoning process (and our ability to study it), but is not seen as integral to the reasoning process itself.

[피할 수 없는 맥락의 영향]이 점점 더 분명해지면서, IP 패러다임의 연구자들은 전문 지식의 복잡성에 대한 맥락의 잠재적 기여를 이해하고 임상의가 맥락에 따라 다르게 보이는 이유를 설명하기 위해, [추론 과정에 대한 맥락의 영향]을 보다 명확하게 다루기 시작했습니다.

  • 임상 추론 평가는 처음에는 단일 사례의 변형인 항목 간의 제한된 수행 상관관계를 이해하기 위한 수단으로 [사례 특이성]이라는 좁게 정의된 문제로 어려움을 겪었습니다. 25
  • 이 정의는 후속 연구에서 [개별 문제 해결의 성공은 특정 내용 지식과 상관관계가 있지만, 동일한 내용 지식을 대상으로 하는 다른 질문에 대한 답의 성공은 상관관계가 낮다]는 사실이 밝혀짐에 따라 [내용 특이성]으로 확장되었습니다. 3,13,26
  • 이러한 결과는 [임상의가 정보를 저장하고 검색하는 방식]을 보여주는 것으로 해석되었으며, 이는 [문제와 관련이 없어 보이는 외부 요인(맥락)이 저장 및 검색에 어떤 영향을 미칠 수 있는지에 대한 가설]을 불러일으켰습니다. 그 결과 이 분야는 [맥락 특이성]에 초점을 맞추게 되었습니다. 25,27,28
  • 그러나 IP 추론 모델에 통합해야 하는 수많은 [고유한 맥락적 요인이 본질적으로 무한하다는 것]이 인식되면서 이러한 접근 방식은 부담스러워졌습니다. 29 따라서 어떤 맥락의 특징을 [신호와 잡음]으로 구분해야 하는지,28 그리고 이러한 요소가 진료 환경에서 다양한 인적 및 물적 자원과 씨름하는 임상의의 사고 과정에 어떤 영향을 미칠 수 있는지 판단하는 것이 어려워졌습니다.

As the unavoidable influence of context became increasingly apparent, 24 researchers in the IP paradigm began to more explicitly address the effect of context on the reasoning process, both to understand its potential contributions to the complexity of expert knowledge and to explain why clinicians seemed to perform differently in different contexts.

  • The assessment of clinical reasoning initially grappled with a narrowly defined problem of case specificity, as a means to understand the limited correlations of performance between items that were variants of a single case. 25 
  • This definition expanded to content specificity as subsequent studies showed that success in solving individual problems correlated with specific content knowledge, but that success in answering different questions targeting the same content knowledge correlated poorly. 3,13,26 
  • These findings were interpreted as a manifestation of how clinicians stored and retrieved information, and this prompted hypotheses as to how external factors seemingly unrelated to the problem—the context—might influence storage and retrieval. This, in turn, shifted the field toward a focus on context specificity25,27,28 
  • However, the approach became overwhelming as the multitude of idiosyncratic contextual factors that would have to be incorporated into IP models of reasoning were recognized to be essentially limitless. 29 It thus became difficult to determine which features of context should be signal versus noise 28 and how these factors might influence the thought processes of clinicians as they grapple with variations of human and material resources in their practice settings.

따라서 최근 의료 전문직 교육 분야의 많은 저자들은 임상 추론에서 맥락의 역할을 더 잘 설명하려면 임상의와 환경이 서로 상호 작용하고 형성하는 방식을 더 잘 설명하기 위해 이러한 [프로세스에 대한 개념화의 전환]이 필요하다고 제안했습니다. 21-30 [개인, 맥락, 당면한 목적 또는 과제 간의 역동적인 상호작용과 적합성을 문제화]하는 추론에 대한 [생태학적 설명]은 보건 전문직 교육자와 연구자가 이러한 현상을 이해하고 탐구하는 방법에 대한 새로운 언어를 제공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이 비판적 검토에서는 생태심리학의 렌즈를 통해 임상적 추론을 재구상하고, 이러한 개념적 전환이 임상 수행의 맥락별 발현을 이해하는 새로운 방법과 개인과 환경이 상호 작용하는 양방향 방식을 어떻게 가능하게 하는지를 다루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Thus, recently, many authors in health professions education have suggested that to better account for the role of context in clinical reasoning requires a shift in our conceptualizations of these processes to better account for the ways in which clinicians and their environments interact and shape one another. 21–30 Ecological descriptions of reasoning that problematize the dynamic interactions and fit between an individual, their context, and the purpose or task at hand may provide a new language for how health professions educators and researchers can understand and explore these phenomena. Therefore, this critical review aims to reimagine clinical reasoning through the lens of ecological psychology, addressing how this conceptual shift enables new ways of understanding context-specific manifestations of clinical performance, and the bidirectional ways in which individuals and their environments interact.

방법
Method

이 비판적 검토31,32에서는 생태 심리학 분야의 기초 및 최신 문헌을 바탕으로 보건 전문직 교육 문헌에 제시된 임상적 추론과 맥락의 개념을 탐구합니다. 우리는 맥락 특이성과 임상적 추론의 개념이 [전통적인 인지주의 또는 IP 패러다임]이 아닌 [다른 인지 이론]에서 어떻게 이해될 수 있는지 탐구하고자 했습니다. 현재 이론에 대한 논의가 진행 중인 경우, 현재 이해를 종합하고 생물학 및 인류학에서 임상 대상자를 위한 사례를 번역했습니다. Google Scholar, PsychInfo, PubMed, ERIC 등의 데이터베이스 검색과 생태학 및 인지 심리학 분야의 저자들의 텍스트를 참고했습니다. 또한 소셜 미디어를 통해 해당 분야 전문가들과의 활발한 토론을 통해 종합적인 정보를 얻었습니다. 이 검색 전략은 본질적으로 재현할 수 없으며, 임상적 추론이나 생태 심리학에 대한 체계적 또는 광범위한 검토32를 제시하려는 의도가 아닙니다.
This critical review 31,32 draws upon foundational and current literature from the field of ecological psychology to explore the concepts of clinical reasoning and context as presented in the health professions education literature. We sought to explore how the concepts of context specificity and clinical reasoning might be understood from cognitive theories other than the traditional cognitivist or IP paradigms. Where theories are currently being debated, we have synthesized current understanding and translated examples from biology and anthropology for a clinical audience. Our sources included database searches such as Google Scholar, PsychInfo, PubMed, and ERIC, and texts by authors in the fields of ecological and cognitive psychology. Our syntheses have also been informed by active discussion with experts in the field using social media. This search strategy is inherently not reproducible, and our intent is not to present a systematic or scoping review 32 of clinical reasoning or ecological psychology.

저자들은 도시, 학계, 응급실에서 근무하는 응급의학과 의사 2명(B.K.W., J.S.I.)과 인지 심리학자 1명(G.R.)이며, 임상 추론 분야에서 광범위한 선행 연구를 수행했습니다(J.S.I., G.R.). 이를 통해 임상의사 저자들이 가장 경험이 많은 임상 추론의 적용 사례와 임상 추론의 기본 구성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며, 임상의사와 임상 환경 간의 상호 작용을 이해하는 새로운 접근법을 제안합니다. 윤리적 승인은 해당되지 않는 것으로 보고되었습니다. 
The authors are 2 emergency physicians practicing in an urban, academic, emergency department (B.K.W., J.S.I.) and a cognitive psychologist (G.R.), and have undertaken extensive prior research in the field of clinical reasoning (J.S.I., G.R.). This informs the clinical practice examples, the application of clinical reasoning with which the clinician authors are most experienced, and the foundational constructs of clinical reasoning that have been used propose new approaches to understanding the interactions between clinicians and their clinical environments. Ethical approval was reported as not applicable.

결과
Results

상황성, 사회물질성, 및 "4E" 그룹(내재화, 구체화, 확장(분산), 제정된 인지)을 포함하여 맥락에서 인지를 설명하기 위해 보건 전문직 교육 문헌에서 다양한 이론이 발전해 왔습니다. 30,33,35,40 이러한 이론은 사소한 상호작용부터 인지가 맥락과 불가분의 관계에 있거나 심지어 맥락에서 나온다는 전제에 이르기까지, [인지가 맥락에 의해 영향을 받는 다양한 방식]을 반영합니다. 이러한 [주장들 사이의 차이점]은 이론가들이 [사고는 임상의의 머리(또는 마음)에서 감각적 입력이 이해와 행동적 출력으로 변환되는 것]이라고 주장하는 [IP의 기본 교리]를 얼마나 밀접하게 고수하는지에 있습니다. 4,30,41,42 이 [IP 패러다임]에서 [추론]은 일반적인 기술이든 지식 구조이든, [개인의 내부 역량, 기술 또는 정보]를 반영하며, 이는 [머리(또는 마음) 안에 있지만 임상의 외부 요인(예: 환경적 단서)에 의해 영향]을 받을 수 있습니다. 그러나 [[인지의 '내부' 과정]과 [환경의 '외부' 영향]을 분리함]으로써 맥락적 추론에 대한 이러한 IP 중심의 개념화는 관찰할 수 없는 인지 현상과 임상적 맥락의 수많은 특징을 조화시키려 할 때 어려움을 겪게 됩니다. 
A variety of theories have been advanced in the health professions education literature to describe cognition in context, including situativity, 33–36 sociomateriality, 37–39 and the “4E” group—embedded, embodied, extended (distributed), and enacted cognition. 30,33,35,40 These theories reflect a spectrum of ways in which cognition is influenced by context, from minor interactions to the premise that cognition is inextricably entangled with, or even emergent from, context. The differences between these claims lie in how closely theorists hold to the fundamental tenets of IP, which maintains that thinking is the transformation of sensory inputs into understandings and behavioral outputs within a clinician’s head (or mind). 4,30,41,42 Within this IP paradigm, reasoning—whether as a general skill or as knowledge structures—reflects an individual’s internal capacities, skills or information, which are housed within their head (or mind), but that can be influenced by factors (such as environmental cues) external to the clinician. Yet by separating the “inside” processes of cognition from the “outside” influences of an environment, this IP-centric conceptualization of contextualized reasoning presents challenges when we try to reconcile the unobservable phenomena of cognition with the innumerable features of clinical context.

[생태 심리학의 렌즈]를 통해 이러한 맥락적 문제를 바라보면, [유기체가 환경과의 상호 작용과 적응을 통해 생존하는 방식]을 고려함으로써 새로운 통찰력을 얻을 수 있습니다. 이 모델에서 [인지]는 일반적으로 [개인이 환경을 탐색하고 환경에 관여하는 과정에서 나타나는 자연스러운 현상]으로 간주되며, [개인의 머릿속에만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개인과 환경 사이의 연결 속에서 존재]합니다. 43,44 실제로 임상의에게 적용한다면, [추론에 대한 생태학적 관점]은 [추론을 가능하게 하거나 제약하는 영향]이 [임상의의 환경에 대한 적응]과 [임상의가 추론 과제를 수행하는 데 사용할 수 있는 환경 자원]의 함수라고 전제할 수 있습니다. 45 이 접근법은 임상에서 추론을 이해하고, 지원하고, 평가하는 방법에 대한 새로운 사고 방식을 제공합니다.
Viewing these contextual challenges through the lens of ecological psychology offers novel insights by considering how organisms survive through their interaction with, and adaptation to, their environment. In this model, cognition is generally considered an emergent phenomenon of individuals exploring and engaging with their environments, and it exists in the connections between individual and environment, not wholly within the individual’s head. 43,44 If applied to clinicians in practice, an ecological view of reasoning would presuppose that the enabling and constraining influences on reasoning are a function of the clinician’s adaptation to their environment and the environmental resources available to the clinician for accomplishing a reasoning task. 45 This approach offers new ways of thinking about how one might understand, support, and assess reasoning in clinical practice.

생태 심리학의 기원과 교리
The origins and tenets of ecological psychology

[생태 심리학]은 실용주의, 급진적 경험주의, 게슈탈트 심리학, 현상학 등 다양한 이론을 바탕으로 심리학자와 철학자가 지각과 행동을 이해하는 방법과 [유기체와 환경이 상호 작용하여 행동을 형성하는 방법]에 정보를 제공해준다. 46 이를 통해 어포던스, 효과성, 환경, 니치 등 [개인과 맥락 간의 상호작용을 설명하는 새로운 언어]를 제공합니다. 이 백서에서는 의료 전문가와 임상 환경과의 상호작용에 초점을 맞추기 때문에 일반적인 원칙을 설명할 때는 '개인'이라는 용어를, 사례를 설명할 때는 생태 심리학 문헌에서 흔히 볼 수 있는 '행위자' 또는 '유기체'라는 용어 대신 '임상의'라는 용어를 사용하기로 결정했습니다.
Ecological psychology draws upon multiple theories, including pragmatism, radical empiricism, Gestalt psychology, and phenomenology to inform how psychological scientists and philosophers understand perception and action, and how organisms and the environment interact to shape behavior. 46 In doing so, it provides a new language for describing interactions between an individual and their context, including affordance,effectivity,environment, andniche. As our focus in this paper is centered on health professionals’ interactions with their clinical environments, we have chosen to use the term “individual” when describing general principles and “clinician” when illustrating examples, rather than “agent” or “organism” as is commonly found in ecological psychology literature.

[의료 전문직의 임상 추론에 대한 초기 설명]에 따르면, 개인은 훈련과 사전 경험을 통해 얻은 기술과 지식을 상황에 적용합니다. 정보를 숙고할 때 개인은 자신의 지식이나 능력에 대한 제한에 의해 제약을 받습니다. 이러한 관점에서는 지식과 기술에 대해 상대적으로 [탈맥락화된 관점]을 가정하므로, 원칙적으로 [심부전에 대한 임상의의 이해]가 [다양한 환자에게 똑같이 유효해야 한다]거나 임상의가 [환자의 위치, 질병의 중증도 또는 장비의 변화에 관계없이 중심정맥관 삽입을 똑같이 능숙하게 할 수 있어야 한다]고 예측할 수 있습니다. 
In early accounts of clinical reasoning in the health professions, an individual brings skills and knowledge to an encounter that they have gained from training and prior experience. As they deliberate over information, the individual is constrained by limits on their knowledge or abilities. This perspective assumes a relatively decontextualized view of knowledge and skill, such that, in principle, it might predict that a clinician’s understanding of heart failure should be equally valid across a variety of patients, or that a clinician should be equally facile at placing a central line independent of changes in patient positioning, illness severity, or equipment.

생태심리학은 [특정 상황에서 개인이 수행할 수 있는 행동]을 나타내는 [이펙티비티]이라는 개념을 통해 이러한 탈맥락적 관점에 도전합니다. 47 [이펙티비티]는 개인의 기술이나 능력 그 이상으로, 개인이 적절한 상황에서 자신의 기술을 적용하여 할 수 있는 일을 설명합니다. 48

  • [이펙티비티]는 특정 기구를 잡을 수 있는 적절한 크기의 손과 같은 개인의 신체적 형태와 홍반이나 염색된 조직학 슬라이드를 정확하게 구별할 수 있는 색각과 같은 [신체적 능력]에 따라 달라집니다. 예를 들어, 색각의 불일치로 인해 일부 개인은 피부 검사를 통한 황달 진단과 같은 일부 효과를 얻지 못할 수 있습니다. 49
  • 그러나 [이펙티비티]는 [학습한 자료]에 따라서도 달라질 수 있습니다.
    • 즉 생리학, 약리학 또는 해부학에 대한 전임상 지식과 같은 [추상적 지식 구조]
    • 신체 검사, 병력 청취 또는 수술 기법 수행 방법과 같은 [절차적 지식]
  • 또한 [신체적 특성]과 [훈련]이 [상호 작용]하여 고유한 효과의 가능성을 창출합니다.
    • 예를 들어 색맹인 병리학자는 붉은 색이 아닌 세포의 구조나 염색의 밀도로 세포 유형을 구별하는 방법을 배울 수 있습니다. 49,50 마찬가지로 왼손이 우세한 사람은 우세한 손으로 오른손 가위를 사용하는 법을 배우거나 비우세한 손으로 가위를 사용하는 법을 배울 수 있으며, 두 경우 모두 오른손이 우세한 사람과 다르게 가위로 절단하는 효과를 학습하게 됩니다. 결과적으로 왼손잡이인 외과 수련의는 오른손잡이인 동료보다 양손잡이라고 보고할 가능성이 더 높지만, 이러한 기능적 양손잡이는 사실 수련의의 타고난 특성이라기보다는 외과 훈련의 산물일 수 있습니다. 51-54 

Ecological psychology challenges this decontextualized perspective through the notion of effectivities, which represent the actions an individual is able to perform in a specific context. 47 Effectivities are more than skills or abilities of the individual; they describe the things an individual can do by applying their skills under appropriate circumstances. 48 

  • Effectivities depend on the individual’s physical form, such as having hands appropriately sized to hold certain instruments, and physical capabilities, such as possessing color vision to accurately discriminate erythema or stained histology slides. Discrepancies in color vision, for example, may prevent some individuals from acquiring some effectivities, such as diagnosing jaundice by examination of the skin. 49 
  • However, effectivities also depend on learned material:
    • abstract knowledge structures such as preclinical knowledge of physiology, pharmacology, or anatomy, and
    • procedural knowledge such as how to conduct a physical examination, take a medical history, or perform a surgical technique.
  • Moreover, physical attributes and training will interact to create the possibility of unique effectivities.
    • For example, color-blind pathologists may learn to discriminate cell types by their structure or the density of staining rather than red color. 49,50 Similarly, a left-hand-dominant individual may learn to use right-handed scissors with their dominant hand, or learn to use scissors with their nondominant hand; in either case, these individuals learn the effectivity of cutting with scissors differently than right-hand-dominant individuals. As a result, surgical trainees who are left-dominant are more likely to report being ambidextrous than their right-handed colleagues, but this functional ambidexterity in context may, in fact, be a product of surgical training rather than an inherent trait of the trainee. 51–54

기술과 지식의 전문화된 하위 영역이 존재한다고 추측하여 위의 예를 IP 프레임워크 내에서 설명할 수도 있지만, 생태심리학은 더 나아갑니다. [이펙티비티]는 임상의에게 존재하는 [다양한 역량과 지식 구조]가 아니라, 임상의가 [특정 환경에 있을 때만 효과가 나타나는 것]으로 개념화되었습니다. 생태심리학 프레임워크에서 '환경'이라는 용어는 보통 [인공물, 구조물, 사람, 사회적 조건] 등 임상의의 주변 환경을 설명하지만, 임상의료행위를 가능하게 하는 [사람, 사물, 조건]을 구체적으로 설명할 때 임상 환경이 됩니다.

One could potentially account for the examples above within the IP framework by speculating the presence of specialized subdomains of skills and knowledge, but ecological psychology goes further. Rather than being an array of capabilities and knowledge structures present in the clinician, effectivities have been conceptualized as emerging only when the clinician is in a specific environment. The term “environment” in the ecological psychology framing describes the clinician’s surroundings, including artifacts, structures, people, and social conditions, but becomes the clinical environment when it specifically describes the people, objects, and conditions in place that enable clinical practice.

개인이 지식이나 능력을 가지고 있더라도, 이를 [상황에 맞게 적용하는 것]은 [특정 상황에서 가치 있는 효과로 나타나는 정도]를 결정하는 것은 [기회]이다. 이를 위해서는 [환경이 "동물에게 좋은 것이든 나쁜 것이든 동물에게 제공하거나 제공하는 것"]으로 정의되는 환경의 상호 보완적인 [어포던스]가 있어야 합니다. 55(p119) [어포던스]는 환경에 존재한다는 점에서 [이펙티비티]와 상호 보완적이지만, 환경이 적절한 [이펙티비티] 가진 개인과 함께 고려될 때만 가능합니다. [어포던스]는 [물체가 가진 크기, 무게, 강성]이 아니라, [적절한 이펙티비티를 가진 개체]가 [물체]와 함께 있을 때 가능해지는 '-able'한 특성(들어 올릴 수 있는, 흔들릴 수 있는)을 말합니다.

  • 예를 들어 [벽돌]을 건축 자재, 지렛대, 문고리 또는 에머리판으로 사용할 수 있는 방법을 생각해 보십시오.
  • 오브젝트 자체는 동일하지만, 각 용도에 따라 벽돌의 어포던스는 달라지며, 이는 개인이 벽돌을 각각의 고유한 용도에 맞게 사용할 수 있는 능력을 보유하고 있는지에 따라 달라집니다.
  • 한 걸음 더 나아가 벽돌을 주변 환경으로 확장하면, 대부분의 성인 인간에게는 위의 어포던스가 존재하는 반면, 그 아래 개미집의 경우 벽돌은 개미를 보호하고 안전하게 벌집을 드나들 수 있도록 해줍니다.

따라서 [어포던스]는 고유한 환경(이러한 조건에서 이 개인이 들어 올릴 수 있는)에서 개인의 [이펙티비티]를 반영하며, 환경 내에서 [특정 이펙티비티]를 가진 개인과 [특정 어포던스]의 결합으로 컨텍스트를 보다 정교하게 파악할 수 있습니다.
While an individual may have knowledge or abilities, it is the opportunity to apply these in context that determine the extent to which they manifest as valuable effectivities for a specific situation. For this to happen, there must be complementary affordances in the environment, defined as what the environment “offers the animal, what it provides or furnishes, either for good or ill.” 55(p119) Affordances are complementary to effectivities in that they are in the environment, but only available when the environment is considered alongside an individual with appropriate effectivities. An affordance is not the dimensions, weight, or rigidity of an object, but the “-able” quality (liftable, swingable) that is possible when an individual with appropriate effectivities is in conjunction with the object.

  • For example, consider the ways in which one might use a brick: as a building material, a cudgel, a doorstop, or an emery board.
  • While the object itself remains the same, each use represents a different affordance of the brick that is dependent on whether an individual possesses effectivities to use the brick for each unique purpose.
  • Extending this a step further, the brick must be considered in its environment: the above affordances are present for most adult humans, whereas for an ant colony beneath it, the brick affords protection and safe entry and egress from its hive.

Affordances thus reflect the effectivities of individuals in their unique environments (liftable by this individual under these conditions) and provide a more elaborated view of context as the conjunction of an individual with certain effectivities within an environment with certain affordances.

[임상 환경]은, 전자의무기록이 임상의가 정보에 액세스하는 방식부터 기기나 진단 테스트가 임상의의 문제 접근 방식을 형성하는 방식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형태]로 [잠재적 어포던스]를 제공합니다. 그러나 환경은 잠재적으로 상호 보완적인 이펙티비티를 가진 개인에게도 어포던스의 적절한 발현을 방해하는 장벽이 될 수 있습니다.

  • 예를 들어, 시끄러운 임상 환경은 미묘한 심장음이나 폐음을 청진하지 못하게 하거나, 임상의가 통역사를 통해 환자로부터 이야기를 이끌어낼 때 병력 청취와 관련된 효과를 구현하는 데 어려움을 겪을 수 있습니다.

생태학적 프레임워크에서 이러한 [맥락적 요인]은 관련 정보에 대한 임상의의 인식을 흐리는 [문자 그대로의 노이즈]와 임상의의 업무 수행 능력을 저해하는 [주관적 노이즈]를 모두 나타냅니다. 중요한 점은 어포던스가 환경에 따라 다르게 나타날 수 있으며, 벽돌의 스타일이 다른 것처럼 지혈기의 모양, 임상 소프트웨어의 변형 또는 다양한 진료 환경에서 접할 수 있는 알고리즘의 스펙트럼이 다를 수 있다는 점입니다. [새로운 환경에 발을 들여놓은 임상의]는 [익숙하지 않은 어포던스]를 인식하는 법을 배울 수 있으며, [적응적 전문성 프레임워크]를 통해 볼 때 새로운 맥락에 동화되고 행동 체계를 학습하는 데 점점 더 능숙해질 수 있습니다. 생태심리학은 임상적 추론이 시행되는 특정 환경에서 [어포던스]에 대한 [이펙티비티]의 적용을 제한하는 제약을 탐구하는 수단을 제공합니다. 따라서 베이츠와 엘러웨이가 제안한 바와 같이, 생태심리학에서의 '전이'

  • [다양한 상황에 기술을 적용하기 위한 학습을 가져오는 문제]라기보다는,
  • [자신의 잠재적 이펙티비티와 환경의 잠재적 어포던스를 일치시킬 수 있는 기회를 인식하는 문제]라고 정의할 수 있습니다. 29,58,59

The clinical environment offers potential affordances in many forms, from the ways that electronic medical records influence how clinicians access information to the ways that instruments or diagnostic tests shape clinicians’ approaches to problems. However, the environment may present barriers that prevent the appropriate manifestation of an affordance even for an individual with potentially complementary effectivities.

  • A noisy clinical environment may, for example, preclude auscultation of subtle heart or lung sounds, or a clinician may have difficulty enacting their effectivities pertaining to history taking when eliciting narratives from a patient via an interpreter.

In an ecological framework, these contextual factors represent both literal noise that obscures the clinician’s perception of relevant information and subjective noise that impairs their ability to accomplish the task. Importantly, affordances may also have different appearances in different environments, and just as there are different styles of brick, there may be different shapes of hemostats, variations in clinical software, or a spectrum of algorithms that one could encounter across various practice environments. A clinician who steps into a new environment may learn to recognize unfamiliar affordances, and when viewed through an adaptive expertise framework, 56,57 become increasingly adept at assimilating into new contexts and learning systems of action. Ecological psychology provides a means of exploring the constraints that limit the application of effectivities to affordances in a particular environment where clinical reasoning is being enacted. Thus, as suggested by Bates and Ellaway, ecological psychology would frame “transfer”

  • less a matter of bringing learning to apply one’s skills to a variety of situations, and
  • more a matter of recognizing the opportunities for matching one’s potential effectivities with potential affordances in the environment. 29,58,59

 

실천의 체계: 시간이 지남에 따라 컨텍스트가 발전하는 방식
Systems of practice: How context develops over time


[생태 심리학]의 패러다임 내에서 맥락을 구성하면 시간이 지남에 따라 전문 지식의 진화와 제정에 대한 우리의 이해도 달라집니다. [생태학적 프레임워크]는 [개인과 환경 간의 상호작용이 끊임없이 변화하고 서로에게 양방향 변화를 일으킨다]는 것을 시사합니다. 개인은 [환경의 잠재적 어포던스]에 [자신의 이펙티비티]를 적응시킬 뿐만 아니라, [잠재적 이펙티비티]에 맞게 [환경을 형성]하기도 합니다. 동시에 환경은 [환경에 포함된 어포던스]에 따라 [어떤 개인을 다른 개인보다 더 많이 초대하고 지원]합니다. 깁슨은 이러한 [특화된 개인-환경 시스템]을 개인이 환경에 서식하는 방식을 포괄하는 구조인 [니치niche]라고 불렀습니다. 진화론적 자연 선택 이론을 차용하고 이를 정교화함으로써, [니치 구성]시간이 지남에 따라 [니치가 발전하는 과정]을 설명합니다. 예를 들어, [동물의 가축화]는 [제약 조건에 대한 적응]이 아니라 [초기 인류가 새로운 자원과 어포던스에 접근할 수 있는 기회]로 활용되었습니다. 이러한 혁신으로 인해 초기 사회의 성격이 바뀌었고, 인간은 [새롭게 이용 가능한 어포던스]를 활용하기 위해 환경을 계속 변화시켰습니다. 65 인간은 [인공물과 구조물을 만들거나 풍경을 리모델링]함으로써, [새롭거나 더 써먹기 쉬운 어포던스를 형성]하고 [부정적인 어포던스나 위험 요소]를 제거했습니다. 이러한 변화는 ['엔지니어링된 세계']를 만들어냈고, 64 미래의 개인에게 [환경에 서식하는 특정 방법]을 가능하게 하는 [물리적 구조와 문화적 관행]을 물려주었습니다. [현재 우리가 의존하는 어포던스]는 [수천 년에 걸친 문화 발전의 산물]로, 우리 각자가 사는 니치 환경은 ['자연적' 환경으로부터 한 층, 한 층 제거]해오고 있습니다. [니치 구성]의 개념을 임상 실무로 확장하면 임상의와 진료 환경이 시간이 지남에 따라 임상의-환경 시스템의 제약에 상호 적응하는 영향을 인식할 수 있다는 점에서 [니치 구성]의 사례로 [전문화]와 [지역화]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The construction of context within the paradigm of ecological psychology also shifts our understanding of the evolution and enactment of expertise over time. The ecological framing would suggest the interactions between individuals and the environment are constantly changing and causing bidirectional change in each other. Individuals not only adapt their effectivities to the potential affordances of their environments but also shape those environments to their potential effectivities. At the same time, environments invite and support some individuals over others by the affordances they contain. Gibson called this specialized individual–environment system a niche, a construct that encompasses how individuals inhabit an environment. 55(pp120–121),60(p35) Borrowing from and elaborating upon evolutionary theories of natural selection, 61–64niche construction describes the development of a niche over time. As an example, animal domestication was not an adaptation to a constraint, but instead was used by early humans as an opportunity to access new resources and affordances. The nature of these early societies was changed by this innovation, and humans in turn continued to alter their environments to exploit newly available affordances. 65 By building artifacts and structures, or remodeling the landscape, humans shaped new or more easily grasped affordances and removed negative affordances or hazards. These changes created an “engineered world,” 64 providing future individuals with an inheritance of physical structures and cultural practices that enable specific ways to inhabit their environments. The affordances we rely upon are the products of millennia of cultural development, such that we are layers and layers removed from the “natural” environment in our respective niches. Extending the notion of niche construction to clinical practice enables one to explore specialization and regionalization as instances of niche construction, in that we may recognize the influences of clinicians and practice environments mutually adapting over time to constraints in the clinician–environment system.

[전문화]는 [문화적 분화]의 한 형태로, [특정 이펙티비티에 대한 잠재력을 훈련]하고, 진료 니치 시장의 발달에 따라 [다양한 어포던스]에 주의를 기울입니다. [전문화]는 [특정 전문의에게 필요한 이펙티비티]를 훈련하는 데 [필요한 지식과 실습의 범위]와 [어포던스의 범위]를 좁혀 의사 [교육과 실습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습니다. [전문 분야]는 해당 전문 분야에 가장 적합한 임상 문제, 이러한 임상 문제에 대한 접근 방식, 이러한 접근 방식을 개선하고 새로운 치료 방식을 제공하기 위한 연구, 그리고 많은 경우 [진료를 최적화하기 위한 특정 도구와 건축 구조]를 자체적으로 개발하는 [진료 니치]로 간주될 수 있습니다. [니치]라는 개념을 통해 [전문 분야의 이펙티비티]를 [그룹화]하고, 넓은 의미에서 [임상 치료의 다양한 어포던스]가 환자를 돌볼 때 [서로 다른 도구]뿐만 아니라 [서로 다른 우선순위]를 제공하는 방법을 이해할 수 있습니다. 
Specialization is a form of cultural differentiation, training the potential for specific effectivities and attending to different affordances based on the development of practice niches. It allows for efficiencies in physician training and practice by narrowing the array of affordances, and the knowledge and practice needed to train necessary effectivities, for any given specialist. A specialty can be considered a practice niche, which will develop its own panel of clinical problems to which the specialty is best suited, approaches to these clinical problems, research to refine these approaches and provide new modalities of treatment, and in many cases, specific tools and architectural structures to optimize practice. The concept of a niche allows us to group the specialty’s effectivities, and in broad terms understand how the various affordances in clinical care will not only provide different tools, but different priorities when caring for patients.

[체액 과부하]는 신장 전문의, 심장 전문의, 호흡기 전문의에게 [각기 다른 임상적 실체]이며, 각 전문의는 [이뇨제]와 같은 일부 [도구를 공유]하지만, 선택한 장기 시스템에 문제가 생겼을 때 투석, 기계식 풍선 펌프, 양압 인공호흡기와 같은 [고유한 도구를 사용]합니다. 극단적으로는 "망치만 있으면 모든 것이 못처럼 보인다"는 매슬로우의 망치 법칙("도구의 법칙")으로 요약할 수 있습니다. 특정 이펙티비티를 가능하게 하는 도구의 사용을 포함하여, [특정 이펙티비티에 대해 훈련받은 전문가]는, 다른 사람보다 더 쉽게 인식하고 파악하도록 훈련받은 특성으로 인해, [특정 어포던스에 편향]되어 있습니다. 임상의 환경 시스템 내에서 임상의의 [전문 분야]는 임상의가 [특정 임상 문제에 접근하고 해결하려고 시도하는 방식]을 형성하는 [고유한 이펙티비티]를 나타냅니다. 환자의 임상 문제와 그에 따른 어포던스를 완전히 파악할 수 없는 경우 적절한 전문가에게 환자를 의뢰하거나 상담을 통해 치료를 지원함으로써 이러한 초점을 장려하고 강화할 수 있습니다.

Fluid overload is a different clinical entity for a nephrologist, cardiologist, and pulmonologist, each of whom shares some tools, such as diuretics, and yet brings unique tools, such as dialysis, mechanical balloon pumps, and positive pressure ventilation, when their chosen organ system fails. At the extreme, this is encapsulated in Maslow’s Hammer (“the law of the instrument”), “If all you have is a hammer, everything looks like a nail.” Specialists trained with certain effectivities, including the use of tools that enable specific effectivities, are biased toward certain affordances by the nature of having been trained to perceive and grasp them more readily than others. Within the clinician–environment system, a clinician’s specialty will present a unique array of effectivities that will shape how that clinician approaches and is likely to try to solve a specific clinical problem. This focus is encouraged and reinforced by referring patients to or consulting appropriate specialists to assist in care when the patient’s clinical problem and the affordances it presents aren’t fully within our grasp.

[지역화]는 [환경적 차이로 인해 진료 패턴이 차별화되는 것]으로, [동일한 전문 분야]의 [두 니치 시장]이 [유사한 임상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서로 다른 이펙티비티와 어포던스에 의존]할 수 있습니다. [지역화]는 [지역적 요인]으로 인해 [지역 특이적 압력]이 발생하여, [진료 니치 시장을 차별화]할 때 발전합니다. 66 전문직 협회, 면허 위원회 및 법적 환경은 진료 표준을 유지하려고 노력하지만, [서로 다른 진료 니치 시장]에서 전문의마다 [소속되었던 기관]에서 [받은 교육이 다양하고, 이용가능한 자원과 기술이 다양]하기 때문에, 전문 분야의 [이펙티비티를 적용]하는 데 제약이 있습니다. 이로 인해 임상 문제에 대한 [접근 방식이 지역화]되어, 같은 전문 분야 내에서도 [환경마다 다른 솔루션의 우선순위가 달라질] 수 있습니다.

  • 고도로 도시화된 전문 치료 센터의 경우, 심근경색과 뇌졸중 치료는 하위 전문 분야 교육을 받은 임상의의 가용성뿐만 아니라 혈관 내 치료를 위한 추가 도구를 통해 지원됩니다.
  • 원격 시설의 임상의는 이러한 환자를 치료하는 데 있어 다양한 어포던스에 직면하게 되며, 적절한 임상적 결정은 전문 치료 센터에서 내린 결정과 상당히 다를 수 있습니다.
  • 또한 지역 및 지역 의료 시스템의 결정에 따라 [자원]을 [고비용 검사 및 치료 방식에 차별적으로 배정]함으로써 치료에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이는 다시 지역별로 최적의 치료가 무엇인지에 영향을 미칩니다.

[특정 지역의 니치 시장]에서 훈련받거나 경험이 풍부한 임상의는 [환자 요인]뿐만 아니라 [클리닉, 병원, 의료 시스템, 규제 요인]에 따라 진료에 사용할 수 있는 [어포던스]가 달라지므로, [새로운 니치 시장]으로 이동하는 데 상당한 조정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Regionalization is a differentiation of practice patterns due to environmental differences, such that 2 niches of the same specialty may rely upon different effectivities and affordances to solve similar clinical problems. Regionalization evolves when local factors produce idiosyncratic pressures that lead to differentiation of practice niches. 66 While specialty professional associations, licensing boards, and legal landscapes try to maintain standards of care, specialists in separate practice niches bring variations in training from home institutions and have access to varying resources and technology that constrain how they can apply the specialty’s effectivities. This leads to localization of approaches to clinical problems such that different environments may prioritize different solutions even within the same specialty.

  • In highly urbanized specialized care centers, care of myocardial infarction and stroke are supported not only by the availability of subspecialty trained clinicians but also with additional tools for endovascular care.
  • The clinician in a remote facility faces a different array of affordances to care for these patients, and appropriate clinical decisions may appear quite different from those made at the specialized care center.
  • Local and regional health system decisions may also influence care by directing resources differentially toward or away from high-cost testing and treatment modalities, again affecting what qualifies as optimal care by region.

Clinicians trained or experienced in one regional niche may require significant adjustment moving into a new niche, as the affordances available to direct their care depend not only on patient factors but also on clinic, hospital, health system, and regulatory factors.

[전문화]와 [지역화]는 특정 임상의의 이펙티비티를 형성하여, [진료 니치 시장]을 정의하는 데 상호 작용하여 [진료 방법과 대상에 대한 제약]을 만들어낸다. 이러한 의미에서 [맥락]은 [즉각적인 상황]뿐만 아니라, 개인과 환경을 형성한 [문화적, 역사적 과정]도 반영합니다. 동시에, [기존의 니치 시장]에 [새로운 임상의]가 도입되면, [(기존의) 표준 관행을 파괴]하고 집단적 제공자-환경 니치 시장을 발전시키는 방식으로 [맥락을 재구성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합니다.
Specialization and regionalization interact in defining practice niches by molding the effectivities of a given clinician, introducing constraints regarding how and to whom they provide care. In this sense, context reflects not only the immediate picture but also the cultural and historical processes that shaped both that individual and environment. At the same time, the introduction of a new clinician to an established niche offers opportunities to disrupt standard practices and reshape the context in ways that evolve the collective provider–environment niche.

토론
Discussion

보건 전문직 교육에서 임상 성과에 대한 이해에서 [맥락의 위치를 재고해야 한다]는 요구와 노력이 증가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이러한 노력 중 상당수는 [개인]과 [그 개인이 행동하는 맥락]을 [이분법적]으로 구분해 왔습니다. 생태심리학은 임상 성과를 이해하기 위한 기본 분석 단위로 통합된 개인-환경 시스템을 가정함으로써 이 문제에 대한 새로운 관점을 제시합니다. 이러한 관점은 [맥락 특이성]을 [인간 인지를 이해하는 데 있어 복잡하게 만드는 요소]가 아니라, [관심의 중심 현상]으로 재배치하고, 이를 이해할 뿐만 아니라 [탐색하고 관리할 수 있는 개념적 도구]를 제공합니다. [니치 구성]이라는 개념을 통해 [맥락 특이성]이 [전문가가 극복해야 하는 한계]가 아니라 [전문가가 내재되어 있고, 환경 속에서 전문가가 성과를 낼 수 있는 기반]이라는 점을 이해할 수 있습니다. 전문가들은 잠재적 효과를 지역적, 역사적 어포던스에 맞게 조정하고 환경의 어포던스를 재구성하여 자신의 업무를 최적화합니다.
In health professions education, there have been growing calls and efforts to reconsider the place of context in our understanding of clinical performance. 18,29,30,33 Yet many of these efforts have continued to dichotomize the individual and the context in which that individual is acting. Ecological psychology offers a new perspective on this challenge by postulating an integrated individual–environment system as a basic unit of analysis for understanding clinical performance. This perspective repositions context specificity not as a complicating factor in understanding human cognition, but rather as the central phenomenon of interest, and gives us conceptual tools not only to understand it but also to explore and manage it. The concept of niche construction allows us to appreciate how context specificity is not a limitation that experts try to overcome, but a firmament in which experts are embedded and which enables their performance in an environment. Experts attune potential effectivities to local, historical affordances and reshape the environment’s affordances to optimize their practice.

[니치 구성]을 [이펙티비티 및 맥락적으로 고유한 환경 어포던스]를 [체계적으로 활용하고 적응하는 종단적 프로세스]로 정의하면 [재현 가능하고 이전 가능한 임상 문제에 대한 전문가 솔루션이 있다]는 [HPE의 일반적인 가정]에 도전할 수 있습니다. 문헌의 풍부한 데이터는 전문가들이 실제로 진료에 대한 [획일적인 전문가 접근 방식으로 수렴하는 경향이 없음]을 시사합니다. [임상적]으로 수술실에서는 외과의의 선호도와 접근 방식에 [특이한 변동성]이 있다는 증거가 있습니다. 67 

  • 전문 외과의가 영상에서 유사한 특징을 발견하더라도 [동일한 수술 계획이나 관리 전략에 도달하지는 않습니다]. 68
  • 전문 피부과 의사는 다른 전문 피부과 의사가 어떤 오류를 범할지 예측할 수 없기 때문에 [공통된 진단 프로세스에 대한 통합]이나 [잘못될 수 있는 방법에 대한 이해]가 거의 이루어지지 않습니다. 69
  • 좀 더 개념적으로, 폐 생리와 같은 영역에 대한 전문 임상의의 인지적 표현을 탐구하려는 노력에서 "연구자와 응답자 [모두 도출된 개념적 네트워크의 특이한 특성]에 놀라움을 금치 못했습니다." 70(78쪽)

Framing niche construction as a longitudinal process of systematically leveraging and adapting effectivities and contextually unique environmental affordances also allows us to challenge the common assumption in HPE that there are expert solutions to clinical problems that are both reproducible and transferrable. Ample data in the literature suggests that experts do not, in fact, tend to converge on a uniform expert approach to practice. Clinically, there is evidence of idiosyncratic variability in surgeon preferences and approaches in the operating room. 67 

  • Even when expert surgeons see similar features on imaging, they do not land on the same operative plan or management strategy. 68 
  • Expert dermatologists can’t predict what errors other expert dermatologists are likely to make, suggesting little convergence on a common diagnostic process or understanding of how it might go wrong. 69 
  • More conceptually, in efforts to explore the expert clinician’s cognitive representation of domains such as pulmonary physiology, “researchers and respondents alike were struck by the idiosyncratic qualities of the derived conceptual networks.” 70(p78) 

[교육적]으로도 전문 임상 교사의 학생 학습 진단 및 관리에서도 [비슷한 불일치]를 발견할 수 있습니다.

  • [평가자 간 오류가 수행 신호를 휩쓸고 있다]는 편재한 발견에서 볼 수 있듯이, [학습자의 임상 수행을 해석하고 채점하는 단일 전문 방법은 없는 것]으로 보입니다. 71
  • 전문 임상 교사들 역시 [학생의 부적당한 수행을 초래하는 특정 문제]에 대해 동의하지 않는 것으로 보입니다. 72
  • 교육 기업에 대한 [숙련된 교사들의 개념]조차도 다양성과 특이성으로 가득 차 있습니다. 73

Educationally, we see similar discrepancies in expert clinical teachers’ diagnosis and management of student learning.

  • There appears to be no single expert way to interpret and score learners’ clinical performances, as seen in the ubiquitous finding of inter-rater error swamping the performance signal. 71 
  • Nor do expert clinical teachers appear to agree on the particular problem that is leading to a student’s suboptimal performance. 72 
  • Even experienced teachers’ conceptions of what the teaching enterprise is about are rife with variability and idiosyncrasy. 73 

이러한 특수성을 인정하는 것은 임상 실습에서 [진단 및 관리 오류에 대한 우리의 기본 가정]에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 예를 들어, 의료 오류에 대한 사후 분석은 74 [임상의의 이펙티비티][특정 사례 및 진료 환경 내의 어포던스] 측면에서 진단 프로세스를 탐색하고 오류에 대해 [개인과 환경 모두의 고유한 기여]에 초점을 맞춰 근본적으로 재구성될 수 있습니다.
  • 또한 오류의 원인이 해당 사례가 발생한 개인-환경 시스템에만 국한된 것인지, 아니면 자원이 제한적이거나 자원이 풍부한 다른 유사한 상황에서는 오류로 분류되지 않았을 수도 있는지를 고려하여 임상 추론 과정과 결과에 대한 규범적 기준을 확장할 수 있습니다.

Acknowledging such idiosyncrasy could have implications for our underlying assumptions of diagnostic and management errors in clinical practice.

  • Post hoc analyses of a medical error, 74 for example, could be radically refashioned to explore the diagnostic process in terms of the clinician’s effectivities and the affordances within in the specific case and practice environment, focusing on the unique contributions to error on the part of both the individual and their environment.
  • We might also consider whether the attribution of error is specific to the individual–environment system in which the case occurred or might not have been labeled an error in other similar resource-constrained or resource-rich situations, thus potentially broadening normative standards around clinical reasoning processes and outcomes.

[[이펙티비티]와 [어포던스] 간의 상호작용]에 초점을 맞추면 [전문가 성과에 대한 정의]뿐만 아니라 [전문가 개발에 대한 이해]도 [맥락과 깊게 얽혀 있는 구조]로 바뀝니다. 생태학적 관점에서 우리는 개인의 지식과 기술이 진화하는 독특한 방식을 이전에 맥락에서 문제에 어떻게 적용되었는지를 반영하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습니다.

  • 생태심리학 관점에서의 과제 분석(45)은 임상 환경에서 "미시적 기술"75을 가르치는 것 이상으로 확장하여, 훈련의 목표로서 [총체적 행동]을 가능하게 하는 [이펙티비티와 어포던스]를 식별할 수 있게 해줄 수 있습니다.
  • [의도적 연습 모델]에서 제안하는 것처럼, 코치나 교사의 역할을 포함하도록 확장한다면, 슈퍼바이저는 학습자가 [자신의 이펙티비티를 환경 어포던스로 형성하려는 노력]을 지원해야 합니다.
  • 임상 수퍼바이저는 수련생이 [임상 환경에서 어포던스를 인식하고 파악하는 방법]을 어떻게 배우고 있는지에 초점을 맞춰 수련생을 모니터링할 것이며, 이상적으로는 수퍼바이저가 전문가인 임상 환경이 적합합니다.
  • 이는 학습자의 [잠재적 이펙티비티]뿐만 아니라 이러한 [이펙티비티를 개발해야 하는 실무 니치]도 인정합니다.

따라서 우리는 [학습자 중심 접근법]을 [학습자-환경 접근법]으로 확장하여 [단일 전문가의 의견이나 접근법, 76 또는 탈맥락화된 역량 목록 77,78]을 역량에 대한 참조 표준으로 사용하기보다는 교육생이 [실습 환경(또는 환경)에 적응habilitate할 수 있는 기능적 절차의 개발]에 초점을 맞출 수 있습니다.
The focus on the interaction between effectivities and affordances not only shifts our definition of expert performance but also our understanding of expert development toward a construction that is deeply intertwined with context. From an ecological perspective, we would interpret the idiosyncratic ways that individuals’ knowledge and skills evolve as a reflection of how they were previously applied to problems in context.

  • Task analysis 45 from the ecological psychology perspective may allow us to expand beyond teaching “micro skills” 75 in a clinical setting to identify effectivities and affordances that together enable summative behaviors as a goal for training.
  • If we extend this to include the role of a coach or teacher, as would be suggested within models of deliberate practice, a learner’s efforts to shape their effectivities to environmental affordances should be supported by supervisors.
  • The clinician supervisor would focus their monitoring of trainees on how they are learning to recognize and grasp the affordances in the clinical environment, ideally one in which the supervisor is expert.
  • This acknowledges not just the learner’s potential effectivities but also the practice niche in which those effectivities must be developed.

Thus, we might expand the learner-centered approach to the learner-in-environment approach, focusing on the development of functional procedures that habilitate the trainee to the practice environment (or environments) rather than using any single expert’s opinion or approach, 76 or decontextualized list of competencies 77,78 as a reference standard for competence.

또한, 우리는 수련의의 신체적 형태나 능력의 불일치로 인해 수련의가 적응하거나 재현할 수 없는 감독자나 교육자의 접근 방식을 반복하는 대신, [수련의의 어포던스 파악 및 임상 과제 수행 능력]을 [역량 표준]으로 삼아 학습 결과를 개발할 수 있습니다. 이런 의미에서 [왼손잡이 전공의]는 오른손잡이 대다수가 개발한 수술 접근법을 가르치기 위해 오른손잡이 기구를 사용하는 [오른손잡이 수퍼바이저 체제]에서는 '수련하기 어렵다'고 할 수밖에 없습니다. 이러한 의미에서 교육자와 수련의는 임상 치료를 가능하게 하는 [다양한 이펙티비티]를 탐구할 뿐만 아니라, [소위 장애를 가진 개인]은 [특정 어포던스에 접근하는 방법]에 대한 우리의 이해에 기여할 수 있는 [귀중한 관점을 가지고 있음]을 인정하고, 색이 아닌 질감으로 조직 병리학 슬라이드를 분류하는 것과 같은 대체 어포던스를 활용하여 교육 및 진단에 대한 접근 방식을 강화할 수 있는 49,50 [반장애주의적 입장]을 취하는 것이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Further, we might develop learning outcomes based on a trainee’s ability to grasp affordances and accomplish clinical tasks as a standard of competence rather than recapitulating a supervisor or educator’s approach, which may not be adaptable or reproducible by a trainee due to mismatches in the trainee’s physical form or capabilities. In this sense, a left-hand-dominant surgical resident is only “difficult to train” in a regime of right-hand-dominant supervisors who use right-handed instruments to teach operative approaches developed by the right-handed majority. In this sense, educators and trainees may benefit from an antiableist stance that explores not only a diversity of effectivities to enable clinical care but also acknowledges that individuals with so-called disabilities have valuable perspectives to contribute to our understanding of how to approach certain affordances, and may exploit alternative affordances, such as the categorization of histopathology slides by texture rather than color, 49,50 that augment our approaches to training and diagnosis.

마지막으로, [진료 니치]의 프레임을 통해 [진료의 변형]을 탐구하는 것은 임상 치료에서 최적의 솔루션(및 문제 정의)을 결정하는 데 있어 [장소의 중요한 역할]을 탐구할 수 있는 추가적인 개념적 도구를 제공할 수도 있습니다. 예를 들어, 농촌 지역에서 농촌 인구를 위한 교육을 개발하려는 노력은 [진료 니치]를 형성하는 중요한 맥락적 요소로서 [지역사회의 요구와 사회적 책무]를 참여시키고, 교육생이 지역 환경에 적응할 수 있도록 [교육의 모든 단계에서 지역 사회에 몰입]하는 데 중점을 두었습니다. 79 이와 대조적으로, [농촌 환경을 위한 원격 교육 모델]은 표준화에 중점을 두고 있으며, 어포던스를 표준화하기 위해 유사한 아키텍처와 기술을 조합하여 [로컬 캠퍼스]와 [위성 캠퍼스] 간에 '비교 가능한 경험'을 제공하려고 시도하고 있습니다. 80 [원격 학습자]가 주로 동료 중심 환경에 있거나 동료 및 강사로부터 고립되어 있을 때 어떻게 다르게 참여하는지, 학습자가 활용할 가능성이 있는 리소스를 포함하여 기관의 벽 밖에서 학습 활동을 계획하는 방법을 조사하여 이 모델을 확장할 수 있습니다. 81 또한 메인 캠퍼스로 표준화된 교육을 받는 원격 학습자에게 어떤 제한이 있는지 살펴볼 수 있습니다. [지역화된 이펙티비티]라는 개념은 표준화된 교육에서 ['대도시 중심적' 규범성]을 피할 수 있는 [지방 의료의 강점과 장점을 파악하는 수단]을 제공할 수 있습니다. 82,83
Finally, exploring variations in practice through the frame of practice niches may also offer us additional conceptual tools to explore the important role of place in determining optimal solutions (and even problem definitions) in clinical care. For example, efforts to develop training in rural areas, for rural populations, have focused on engaging community needs and social accountability as critical contextual factors in shaping the practice niche, and immersion in the community for all phases of training to ensure that trainees are attuned to their local environments. 79 By contrast, distance learning models of training for rural environments have focused on standardization, and attempt to provide a “comparable experience” between local and satellite campuses using a combination of similar architecture and technology to standardize affordances. 80 We could expand on this model by examining how remote learners necessarily engage differently when predominantly in peer-driven settings or isolated from both peers and lecturers, and how we might plan learning activities outside institutional walls, including what resources learners are likely to exploit. 81 Further, we might examine what limitations are placed on remote learners whose education is standardized to the main campus. The concept of regionalized effectivities may provide a means to identify strengths and advantages of rural practice that avoid the “metrocentric” normativity in standardized training. 82,83

결론
Conclusions

생태심리학은 임상의와 임상 환경이 시간이 지남에 따라 상호 작용하고 진화하는 방식을 이해하는 이론적 틀과 새로운 언어를 제공합니다. 맥락적 특수성을 임상적 추론의 기본으로 이해하면 환경에서의 복잡한 행동을 포용할 수 있으며, 전문 지식이나 전문가적 접근 방식에 대한 단일한 정의를 추구하지 않아도 됩니다.

Ecological psychology provides a theoretical framework and new language to understand the ways that clinicians and their clinical environments interact and evolve over time. Context specificity, when understood as fundamental to clinical reasoning, invites us to embrace the complexity of action in an environment and may absolve us from seeking singular definitions of expertise or expert approaches.


Acad Med. 2022 Nov 1;97(11S):S80-S86. doi: 10.1097/ACM.0000000000004899. Epub 2022 Aug 9.

An Ecological Account of Clinical Reasoning

Affiliations collapse

1B.K. Watsjold is assistant professor, Department of Emergency Medicine, University of Washington School of Medicine, Seattle, Washington; ORCID: https://orcid.org/0000-0003-4888-8857 .

2J.S. Ilgen is professor, Department of Emergency Medicine, University of Washington School of Medicine, Seattle, Washington; ORCID: https://orcid.org/0000-0003-4590-6570 .

3G. Regehr is professor, Department of Surgery, and senior scientist, Centre for Health Education Scholarship, University of British Columbia, Vancouver, British Columbia, Canada; ORCID: https://orcid.org/0000-0002-3144-331X .

PMID: 35947479

DOI: 10.1097/ACM.0000000000004899

Abstract

Purpose: The prevailing paradigms of clinical reasoning conceptualize context either as noise that masks, or as external factors that influence, the internal cognitive processes involved in reasoning. The authors reimagined clinical reasoning through the lens of ecological psychology to enable new ways of understanding context-specific manifestations of clinical performance and expertise, and the bidirectional ways in which individuals and their environments interact.

Method: The authors performed a critical review of foundational and current literature from the field of ecological psychology to explore the concepts of clinical reasoning and context as presented in the health professions education literature.

Results: Ecological psychology offers several concepts to explore the relationship between an individual and their context, including affordance, effectivity, environment, and niche. Clinical reasoning may be framed as an emergent phenomenon of the interactions between a clinician's effectivities and the affordances in the clinical environment. Practice niches are the outcomes of historical efforts to optimize practice and are both specialty-specific and geographically diverse.

Conclusions: In this framework, context specificity may be understood as fundamental to clinical reasoning. This changes the authors' understanding of expertise, expert decision making, and definition of clinical error, as they depend on both the expert's actions and the context in which they acted. Training models incorporating effectivities and affordances might allow for antiableist formulations of competence that apply learners' abilities to solving problems in context. This could offer both new means of training and improve access to training for learners of varying abilities. Rural training programs and distance education can leverage technology to provide comparable experience to remote audiences but may benefit from additional efforts to integrate learners into local practice niches.

Career Development and Systems Theory: Connecting Theory and Practice (3rd Edition)

Wendy Patton Queensland University of Technology, Australia and Mary McMahon The University of Queensland, Australia

사회인지진로이론
SOCIAL COGNITIVE CAREER THEORY

직업 심리학의 인지 모델의 개발은 FH Borgen(1991) "인지 혁명"이라고 칭한 것을 반영한다. [인지 혁명][개인이 자신의 발전에 적극적인 주체로서 개인적인 agency을 소유하는 것]으로 보는 관점을 강화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해왔다. 이러한 관점은 [정신분석학적 관점의 결정론]과 [행동주의적 접근에 의해 제안된 유연한 인간의 관점]과는 [대조적]이다. 동시에, 우리는 [긍정적인 변화와 성장]의 [장애가 되는 내적, 외적 요인]들이 있다는 것을 무시할 수 없다. 예를 들어, 크룸볼츠는 개인의 직업 계획에 부정적이거나 긍정적인 요인이 될 수 있는 유전적 재능에 대해 말했다. 마찬가지로, 사회적, 경제적 조건의 변화는 경력 개발에 현저한 영향을 미칠 수 있다.

간단히 말해서, (문화, 성별, 유전적 선천성, 사회 구조적 고려사항, 장애/건강 상태와 같은) 복잡한 요소들이 사람들의 인식과 함께 작동하여 그들의 [직업 가능성]의 본질과 범위에 영향을 미친다.” 해킷(1995)은 직업 선택과 발달에서 사회인지적 메커니즘, 특히 [자기효능감]의 역할이 연구 문헌에서 강하게 지지된다고 주장했는데, 이는 베츠와 베츠와 해킷의 리뷰에서 더욱 뒷받침되는 견해이다. [자기효능감]은 진로선택과 진로결정에 있어서의 [역할] 외에도 [관심, 가치, 목표의 개발]에 있어서도 역할을 한다. Hartung(2010)은 직업심리학 문헌에서 가장 널리 연구된 구성 중 하나로 자기효능감을 꼽았다.

The development of cognitive models of vocational psychology reflects what F. H. Borgen (1991) has termed “the cognitive revolution” (p. 279). The cognitive revolution has been instrumental in strengthening the view of individuals as possessing personal agency, as being active agents in their own development. This view is in contrast to the determinism of psychoanalytic perspectives and the view of humans as malleable proposed by behaviourist approaches. At the same time, we cannot ignore that there are internal and external factors which are barriers to positive change and growth. For example, Krumboltz spoke of genetic endowments which may be negative or positive factors in an individual’s career planning. Similarly, changing social and economic conditions can have a marked effect on career development.

“In short, a complex array of factors – such as culture, gender, genetic endowment, sociostructural considerations, and disability/health status – operate in tandem with people’s cognitions, affecting the nature and range of their career possibilities” (Lent et al., 1996, p. 374). Hackett (1995) asserted that the role of sociocognitive mechanisms, especially selfefficacy, in career choice and development is strongly supported in the research literature, a view further supported in reviews by Betz (2000, 2007) and Betz and Hackett (1997). In addition to its role in career choice and career decision making, self-efficacy has a role in the development of interests, values and goals. Hartung (2010) cited self-efficacy as one of the most widely studied constructs in the vocational psychology literature.

이러한 [인지혁명에 반응]하여, [진로심리학의 이론적 융합 경향]에 기여하고자 사회인지진로이론(SCCT)이 개발되었다. 렌트는 SCCT "진로 퍼즐을 이해하기 위한 상당히 최근의 접근법"으로 인정했다. "기존에 직업 이론가들에 의해 확인된 공통된 조각들 또는 요소들을 하나로 모으기 위한 통일된 프레임워크"로 개발됨에 있어서, SCCT의 목표는 기존 이론의 차이와 불완전한 개념화를 연결하는 구조와 개념을 개발하는 것이다. 이 목표는 직업 발전 이론의 현재 상태에 대한 주요 검토 후에 예고되었으며, 저자들은 이렇게 코멘트하였다.

  • "다음과 같은 통합 이론을 구축하기 시작할 때가 무르익었을 수 있다
    • (a) 개념적으로 관련된 구성(예: 자기 개념, 자기 효능감)을 통합한다;
    • (b) 다수의 경력 이론(예: 만족도, 안정성)에 공통적인 결과를 보다 완전하게 설명한다
    • (c) 겉보기에 다양한 구성(예: 자기 인식, 관심사, 능력, 필요) 간의 관계를 설명한다."

7장에서는 수렴에 대한 SCCT의 기여에 대해 논의한다. 이론 자체의 측면이 이 장에서 제시된다.

In response to this cognitive revolution, and as an attempt to contribute to the trend toward theoretical convergence in career psychology, the Social Cognitive Career Theory (SCCT) was developed (Lent, 2005, 2013; Lent & S. D. Brown, 1996, 2002; Lent et al., 1994, 1996, 2002; Lent & Hackett, 1994). Lent (2005) acknowledged the SCCT as a “fairly recent approach to understanding the career puzzle” (p. 101), a position reiterated in 2013. In being developed as a “unifying framework for bringing together common pieces, or elements, identified by previous career theorists” (Lent, p. 101) its aim is to develop constructs and concepts to bridge differences and incomplete conceptualisations in existing theory. This aim was heralded following a major review of the current state of career development theory (Hackett & Lent, 1992), when the authors commented that

  • “The time may be ripe for beginning to construct integrative theories that
    • (a) bring together conceptually related constructs (e.g., self-concept, self-efficacy);
    • (b) more fully explain outcomes that are common to a number of career theories (e.g., satisfaction, stability); and
    • (c) account for the relations among seemingly diverse constructs (e.g., self-efficacy, interests, abilities, needs)” (p. 443).

Chapter 7 discusses the contribution of SCCT to convergence; aspects of the theory itself are presented in this chapter.

[SCCT]는 반두라의 1986년 [개정된 사회 인지 이론]에서 주로 파생되었다. 또한 해킷과 베츠의 [자기효능감 이론](1981; 6장 참조)과 앞서 논의한 [크룸볼츠의 학습이론]에 의해서도 알려지고 있다. 이는 이러한 각각의 이론적 공식을 반두라의 사회적 인지 이론(1986, 1997)에서 파생된 변화로 업데이트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예를 들어, SCCT의 개발자들은 학습 경험의 중요성과 직업 결정에 대한 [유전적 요인]과 [환경] 조건의 영향을 인정했다. 그러나 그들은 사회 인지 이론이 학습과 조건화의 학습 이론 원칙의 좁은 행동 기반을 넘어선다고 강조했다. 오히려 SCCT는 [진로 결정 행동]에서 학습 경험에 영향을 미치는 [특정 인지 매개자]에 더 초점을 맞춘다. 또한, 이 이론은 관심사, 능력 및 기타 [관련 변수들이 어떻게 상호 연관]되어 있는지, [개인 및 환경적 요인]들이 [진로 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구체적인 방식]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사회 인지 이론은 또한 [개인이 이러한 과정에서 활동적인 주체active agent]라는 것을 강조한다. 렌트는 또한 "SCCT는 [특정 연령과 단계에 덜 관심]을 갖는 경향이 있고, 그보다는 [발달 과제와 기간에 걸쳐across] 경력 행동을 촉진하거나 방해할 수 있는 이론적 요소에 더 관심을 갖는다"고 언급하면서 SCCT와 특성 요인 및 발달 경력 이론 간의 유사점과 차이점을 논한다.

The SCCT was derived primarily from Bandura’s (1986) revised social cognitive theory. It has also been informed by the self-efficacy theory of Hackett and Betz (1981; see chapter 6), and the learning theory of Krumboltz (1979, 1994) discussed previously. It aims to update each of these theoretical formulations with changes derived from the social cognitive theory of Bandura (1986, 1997). For example, the developers of SCCT acknowledged the importance of learning experiences, and the influence of genetic factors and environmental conditions on career decisions. However, they emphasised that social cognitive theory extends beyond the narrow behavioural bases of the learning theory principles of learning and conditioning. Rather, SCCT focuses more on the specific cognitive mediators which influence learning experiences in career decision-making behaviour. In addition, the theory focuses on how interests, abilities and other relevant variables interrelate, and the specific manner in which personal and environmental factors influence career decisions. Social cognitive theory also emphasises that the individual is an active agent in these processes. Lent (2013) also discusses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between SCCT and trait-factor and developmental career theories, noting that “SCCT tends to be less concerned with the specifics of ages and stages, yet more concerned with theoretical elements that may promote or hinder career behaviour across developmental tasks and periods” (p. 117).

SCCT는 세 가지의 연동 세그먼트 프로세스에 초점을 맞춘다:

  • 경력 및 학문적 관심사가 어떻게 발달하는지;
  • 직업 선택이 어떻게 결정되고 집행되는가;
  • 수행능력의 성과는 어떻게 달성되는가.

그것은 반두라(1986)의 [인과관계의 삼차 상호모델 개념]을 사용하여 변수들 사이의 양방향 관계를 설명하고자 한다. 저자들은 이 모델을 이용하여 [세 가지 복잡하게 연관된 사회적 인지 변수(자기효능감, 기대 성과, 개인적 목표)]가 성별과 민족성, 관련 환경 문제, 학습 경험 등 [개인의 측면]과 어떻게 상호 작용하는지 설명했다. 중요한 것은 개인이 세 가지 연동 과정의 중심이라는 것이다.

SCCT focuses on three interlocking segmental processes:

  • how career and academic interests develop;
  • how career choices are made and enacted; and
  • how performance outcomes are achieved.

It seeks to explain a bidirectional relationship between variables using Bandura’s (1986) concept of a triadic reciprocal model of causality. Using this model, the authors described how three intricately related social cognitive variables (self-efficacy beliefs, outcome expectations, and personal goals), interact with aspects of the individual such as gender and ethnicity, their relevant environmental issues, and their learning experiences. Importantly, the individual is central to the three interlocking processes.

반두라(1986)에 따르면, 자기 효능감은 "지정된 유형의 수행능력을 달성하는 데 필요한 행동 과정을 조직하고 실행하는" 능력에 대한 개인의 신념을 의미한다. 사회 인지 이론은 자기 효능감이 정적인 단일 특성이 아니라, 주어진 수행 영역에 고유하고 [다른 개인적, 행동적, 환경적 요인과 상호 작용]하는 [지속적으로 변화]하는 일련의 자기 신념으로 간주된다고 제안한다. 결과 기대는 특정 행동 방침의 가능한 결과에 대한 믿음을 의미한다. 자기효능감 신념과 유사하게, 그것들은 또한 다양한 학습 경험을 통해 도출된다. [최종적인 사회적 인지 변수]인 [개인적 목표]는 [특정한 결과를 생산하기 위해 특정한 활동을 수행하려는 결정]을 의미한다. 목표를 설정함으로써, 개인은 자신의 행동을 조정하고, 지시하고, 유지할 수 있으며, 자기 행동에 있어 에이전트적이다. Lent Hackett(1994)은 이러한 [세 가지 사회적 인지 변수(자기 효능감, 기대 성과, 개인적 목표)]가 [개인의 행동의 자기 조절과 유지]에서 [역동적으로 상호 작용]한다고 제안했다. 특히 관심사 개발, 진로 선택, 진로 관련 성과 등에 초점을 맞췄다. 2006년에, Lent SD Brown은 교육과 업무 만족에 초점을 맞추기 위해 새로운 SCCT 모델을 추가했다. 

According to Bandura (1986), self-efficacy refers to an individual’s beliefs about their capacity to “organize and execute courses of action required to attain designated types of performances” (p. 391). Social cognitive theory suggests that self-efficacy is not a static unitary trait, but rather is seen as a constantly changing set of self-beliefs which are peculiar to given performance areas and which interact with other personal, behavioural, and environmental factors (Hackett & Lent, 1992). Outcome expectations refer to beliefs about the probable consequences of a particular course of action. Similar to self-efficacy beliefs, they are also derived through various learning experiences. The final social cognitive variable, personal goals, refers to the determination to undertake a certain activity to produce a particular outcome. By establishing goals, individuals are able to coordinate, direct and maintain their own behaviour, and thereby be agentic in their behaviour. Lent and Hackett (1994) suggested then that these three social cognitive variables (selfefficacy, outcome expectations, and personal goals) interact in a dynamically reciprocal way in the self-regulation and maintenance of an individual’s behaviour. In particular, they focused on the development of interests, career choice, and career-related performance. In 2006, Lent and S. D. Brown added a new SCCT model to focus on educational and work satisfaction. 

관심사 Interests

[관심사]와 관련하여 SCCT는 [활동과 과제]에 대한 [자기효능감]과 [기대 성과]가 진로 관심사에 영향을 미친다고 제안한다. , 개인은 자신이 잘한다고 생각할 때, 그리고 그것을 수행하는 것이 가치 있는 결과를 만들어낼 것이라고 생각할 때 활동에 대한 지속적인 관심을 형성한다. 결과적으로, 지속적인 관심과 긍정적인 자기 효능감과 결과 기대는 개인이 활동에 계속 참여하도록 장려하는 목표를 촉진할 것이다. 지속적인 긍정적 피드백 루프는 긍정적인 경험에 의해 유지되거나 실패와 함께 수정될 것이다. 이론 개발자들은 "이 과정은 청소년기 후반이나 성인기 초반까지 가장 유동적일 수 있지만, 그 시점에서 관심이 안정되는 경향이 있다"고 가정했다. 그러나 이 저자들은 새로운 경험과 새로운 기술과 같은 요소들이 계속해서 흥미를 자극할 것이라고 인정했다.

In relation to interests, SCCT suggests that self-efficacy and outcome expectations regarding activities and tasks influence career interests. That is, individuals form an enduring interest in an activity when they believe they are good at it, and when they believe that performing it will produce an outcome that is valued. In turn, ongoing interest, and positive self-efficacy and outcome expectations will promote goals which encourage an individual to continue to engage in the activity. An ongoing positive feedback loop will be maintained by positive experiences or revised with failures. The theory developers posited that “this process repeats itself continuously throughout the lifespan, although it is perhaps most fluid up until late adolescence or early adulthood, at which point interests tend to stabilize” (Lent & S. D. Brown, 1996, p. 314). These authors acknowledged, however, that new experiences, and factors such as new technology, will continue to stimulate interests.

[적성(능력) 및 가치]와 관련하여 Lent et al.(1994)은 이익의 발전에 중요하지만 [자기효능감과 기대 성과에 의해 매개]된다고 제안했다. 예를 들어, 한 개인이 대중 연설을 잘할 수도 있지만, 그들은 그들이 대중 연설이 흥미로 발전하기 위해서는 가치가 있다고 믿어야 한다. SCCT는 기대 성과 내에서 작업 가치를 개념화한다. , 작업 가치는 특정 작업 조건 및 인식된 보상(: 지위 또는 금전)에 대한 선호와 관련이 있으며, 작업 가치가 특정 직업의 일부라고 믿는 범위와 관련이 있다.

In relation to aptitudes (abilities) and values, Lent et al. (1994) suggested that while they are important in the development of interests, they are mediated by selfefficacy and outcome expectations. For example, an individual may be good at public speaking, however they must believe they are and also believe that public speaking is worthwhile for it to be developed as an interest. SCCT conceptualises work values within outcome expectations, that is they are related to preferences for particular work conditions and perceived reward (e.g., status or money), and the extent to which they believe they are part of particular occupations.

중요한 것은 이 이론이 젠더, 인종과 민족, 유전적 선천성, 사회경제적 지위와 같은 [다른 사람과 맥락적 변수의 관련성을 강조]한다는 점이다. 렌트가 기술한 것과 같이 "자기효능감과 기대성과는 사회적 진공 속에서 이뤄지지 않는다". SCCT는 [성별과 인종]을 [사회적으로 구성된 것]으로 보고, 사회 문화 환경에서 [성별과 인종을 어떻게 보는지]에 대한 관련성과 기회 구조와의 관계를 강조한다. "성별과 민족성을 사회적으로 구성된 경험의 측면으로 프레임화하면 자연스럽게 [사회 구조적 조건과 프로세스]에 대한 고려로 이어진다. [사회구조적 조건과 프로세스]는 특정 개인이 노출되는 학습 기회, 다양한 활동을 수행할 때 받는 특성 반응 및 예상되는 미래 결과를 형성합니다." 따라서 성별과 민족성이 진로 관심사, 선택 및 성과에 미치는 영향도 자기효능감과 결과 기대를 통해 작용할 수 있다.

Importantly, this theory emphasises the relevance of other person and contextual variables, such as gender, race and ethnicity, genetic endowment, and socioeconomic status, as Lent stated “self-efficacy and outcome expectations do not arise in a social vacuum” (p. 107). SCCT views gender and race as socially constructed and emphasises their relevance to how they are viewed in the sociocultural environment, and their relationship to opportunity structure. “Framing gender and ethnicity as socially constructed aspects of experience leads naturally to a consideration of sociostructural conditions and processes that mould the learning opportunities to which particular individuals are exposed, the characteristic reactions they receive for performing different activities, and the future outcomes they anticipate” (Lent & S. D. Brown, 1996, p. 315). Thus the effect of gender and ethnicity on career interests, choice and performance is also posited to operate through self-efficacy and outcome expectations.

직업 선택 Career Choice

SCCT는 [직업 선택]이 [관심사의 함수]이며, 사람들이 자신을 지원하는 활동으로 향하게 만든다고 제안한다. 이 방정식은 [지지적 환경적 배경]을 필요로 한다. 그러나 직무만족도에 관한 문헌은 개인의 진로선택이 항상 관심사를 반영하는 것은 아니며, 환경조건이 항상 지지적인 것은 아니라는 것을 시사한다(5, 특히 귀무 가설의 논의, Betz, 1989 참조). 통합 모델이 되기 위한 시도에서 SCCT는 관심사와 직업 선택 사이를 중재하는 다양한 요소를 강조한다. 여기에는 상황에 따라 다양한 영향을 미치는 것 외에도 논의된 자기효능감과 결과에 대한 기대가 포함된다. [상황에 따른 영향]은 [긍정적일 수도 있고 부정적일 수도] 있지만, SCCT는 [개인의 공식화된 목표]가 [개인적 행위자성agency의 척도]를 제공한다고 강조한다. SCCT는 각각 Astin Vondracek 외의 환경적 맥락, 기회 구조(6장에서 자세히 설명) 및 상황적 어포던스(이 장의 후반부에서 설명)의 개념화를 기반으로 한다. SCCT는 개인의 경력 개발에 영향을 미치는 이러한 구조를 두 가지 유형으로 나누어 개발합니다:

SCCT proposes that career choice is a function of interests orienting people toward activities which support them. This equation requires a supportive environmental background. However, the literature on job satisfaction suggests that individuals’ career choices do not always reflect interests, and that environmental conditions are not always supportive (see chapter 5, in particular the discussion of the null hypothesis, Betz, 1989). In attempting to be an integrative model, SCCT highlights a range of factors which mediate between interests and career choice. These include self-efficacy and outcome expectations as discussed, in addition to a large array of contextual influences. Although contextual influences can be positive or negative, SCCT emphasises that an individual’s formulated goals afford a measure of personal agency. SCCT (Lent et al., 1994, 1996) draws on the conceptualisations of the environmental context of Astin (1984) and Vondracek et al. (1986), opportunity structure (discussed further in chapter 6), and contextual affordance (discussed later in this chapter) respectively. SCCT further develops these constructs which are influential in an individual’s career development by dividing them into two types:

1. 사회적 인식과 관심을 형성하는 데 [도움이 되는] 더 먼 영향(예: 기술 개발 기회, 문화 및 성 역할 사회화 프로세스, 잠재적인 학문/사회적 역할 모델 범위)

1. more distal influences (such as opportunities for skill development, culture and gender-role socialization processes, one’s range of potential academic/career role models) that help shape social cognitions and interests; and

2. 중요한 선택의 순간에 작용하는 근접한 영향(예: 특정 옵션 선택에 대한 정서적, 재정적 지원, 선호하는 분야의 직업 가용성, 사회 구조적 장벽).

2. proximal influences (for instance, emotional and financial support for selecting a particular option, job availability in one’s preferred field, sociostructural barriers) that come into play at critical choice junctures (Lent et al., 1996, p. 393).

이러한 각각의 구성은 [환경]이 [개인의 경력 개발 과정을 지원하거나 지원하지 못하는 차별적인 방식]을 의미하므로, 논의된 바와 같이 각각 [긍정적]이거나 [부정적]인 것으로 볼 수 있다. 렌트의 단언대로, "상황과 문화적 조건은 때때로 개인적인 관심사에 대한 [타협을 요구]한다. 이러한 경우, 선택은 개인이 [이용할 수 있는 옵션], 자신의 [자기효능감 신념과 기대 성과의 성격], 개인이 지원 [시스템으로부터 받는 메시지의 종류]에 따라 결정된다.

Each of these constructs refers to the differential way in which the environment supports or fails to support an individual’s career development processes, thus as discussed, each can be viewed as being positive or negative. As Lent (2005) affirmed, “Circumstances and cultural conditions sometimes require a compromise in personal interests. In such instances, choices are determined by what options are available to the individual, the nature of his or her self-efficacy beliefs and outcome expectations, and the sorts of messages the individual receives from his or her support system” (p. 110).

경력 관련 성과 Career-related Performance

SCCT는 또한 작업 수행과 작업 활동 또는 [경력에서의 인내(직업 안정성)]와 관련이 있다. 다시 말하지만, [능력]과 [자기효능감, 기대 성과, 목표와 같은 [사회적 인지변수] 사이의 상호작용은 매우 중요하다. 영향 간의 양방향 상호 작용을 강조하는 3-상호 접근 방식과 일치하여, 성능 달성과 추가 행동 사이의 피드백 루프가 가정된다. 그러므로, 특정 과제나 과제에 대한 숙달은 능력을 더욱 발전시킬 것이고, 그 결과 자기효능감과 결과에 대한 기대를 더욱 높일 것이다. 개인 목표의 개발과 수정은 이 루프의 추가 요소입니다. 그림 4.1은 이 이론적 접근법의 도표적 프레임워크를 보여준다.

SCCT is also concerned with work task performance and perseverance at a work activity or career (job stability). Again, an interaction between ability and the social cognitive variables of self-efficacy, outcome expectations, and goals is crucial. Consistent with the triadic-reciprocal approach which emphasises bidirectional interaction between influences, a feedback loop between performance attainment and further behaviour is posited. Therefore, mastery of a certain task or tasks will further develop abilities, and in turn self-efficacy and outcome expectations. The development and revision of personal goals is a further element in this loop. Figure 4.1 presents the diagrammatic framework of this theoretical approach.

SCCT는 비교적 새로운 개발이지만, Lent의 종합적인 검토(2005년 및 2013) SCCT의 중심 변수와 제안을 탐색하고 검증하기 위해 수행된 광범위한 경험적 작업을 강조했다. 그것은 직업 관심사, 선택 및 성과의 개인적 변동성을 설명하기 위해 설계된 귀중한 추가 이론 모델로 서 있다. SCCT라는 이론적 틀이 [특히 중요한 이유]는, [개인적, 환경적 또는 맥락적 요인의 제약] 내에서 개인을 [자신의 삶의 능동적 형성자]로 보는 [구성주의자 관점]을 수용하기 때문이다. 또한, 사회적 인지 변수는 다른 이론적 모델에서 누락된 핵심 설명 메커니즘을 제공한다. 최근에 Betz(2008) SCCT, 특히 자기효능감 기대에 대한 연구 지원을 확인했다. 연구는 또한 일반적으로 이 이론의 주요 가설들을 확인했으며, 특히 다양한 그룹(Betz)에 대한 적용 가능성에 대한 지지를 제공했다. 이후 매년 진행되는 진로 상담 및 개발 실무 및 연구 검토를 통해 SCCT의 풍부한 연구 기반이 확인되었으며, 이는 진로 개발 이론과 실무 문헌에서 SCCT의 지배력을 높이는 데 도움이 되었다. Lent SD Brown은 사회인지적 관점의 적용 가능성을 업무 만족도(2006)와 업무 맥락에서의 주관적 웰빙(2008)으로 확장했다.

While SCCT is a relatively new development, Lent’s comprehensive reviews (2005 and 2013) have highlighted the extensive empirical work conducted to explore and validate SCCT’s central variables and propositions. It stands as a valuable additional theoretical model designed to explain individual variability in career interests, choice and performance. It is a particularly important theoretical framework because it embraces a constructivist view of the individual as an active shaper of his or her life, within the constraints of personal and environmental or contextual factors. Further, the social cognitive variables offer key explanatory mechanisms which are missing from other theoretical models. More recently, Betz (2008) affirmed the research support for the SCCT, in particularly self-efficacy expectations. Research has also generally affirmed the theory’s major hypotheses, and in particular has provided support for its applicability to diverse groups (Betz). Subsequent annual reviews of practice and research in career counselling and development (Bikos, Dykhouse, Boutin, Gowen, & Rodney, 2013; Creager, 2011; Erford & Crockett, 2012; Hartung, 2010; Patton & McIlveen, 2009) have affirmed the abundant research base for SCCT, lending support to its growing dominance in the career development theory and practice literature. Lent and S. D. Brown have extended the applicability of the sociocognitive view to work satisfaction (2006) and to subjective well being in the work context (2008).

Handbook of Career Development: International Perspectives

사회인지진로이론
Social Cognitive Career Theory

Lent, Brown, Hackett에 의해 발전된 사회 인지 경력 이론(SCCT) 또한 경력 이론에 대한 통합적인 접근법이다. 예를 들어 SCCT는 모순되는 것이 아니라 특성 요인 접근법(예: 홀랜드 이론)을 보완하는 위치에 있다(Lent, 2005).

Social Cognitive Career Theory (SCCT) advanced by Lent, Brown, and Hackett (1994) is also an integrative approach to career theorization. For example, SCCT is not positioned to contradict but to complement trait-factor approaches (e.g., Holland’s theory) (Lent, 2005).

SCCT는 반두라(1986)의 [사회 인지 이론]을 [경력 개발에 적용]한 것이다. [직업적 관심사 개발, 직업 선택의 시도와 재제작, 직업적 수행성과]를 설명하는 모델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반두라의 연구에서 주요 영감을 끌어낼 때, [Human agency]와 [Agency가 축소되거나 강화될 수 있는 경로]는 SCCT(예: 성 역할 사회화)에서 중요한 관심을 받는다. [행위자성agency(증폭되거나 축소됨)]은 SCCT에서 주로 다양한 수행 영역과 활동에 대한 [자기효능감 신념]과 [기대 성과]를 사용하여 조작화된다. SCCT에서 핵심적인 추측은

  • 자기효능감 신념(예: "나는 이것을 할 수 있다" 또는 "나는 이것을 할 수 없다")과
  • 기대 성과(예: "내가 이것을 하면 보상을 받을 것이다" 또는 "내가 이 옵션을 선택하면 보상을 받지 못할 것이다")가
  • 학업 및 직업 관심사의 발전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이다.

[현실적이고 긍정적인 자기효능감 신념과 기대 성과]는 진로와 관련된 [관심사의 개발]을 촉진할 가능성이 있으며, [관심사]는 [목표](즉, 수행 영역의 선택과 해당 영역에서 원하는 수행 수준)로 이어지고, 이는 ["활동 선택과 연습"]으로 이어진다. 물론 다른 경로도 모델에 명시되어 있습니다.

  • 이익과 목표/행동 사이의 연결을 끊거나 줄이는 제약 조건(예: 재정적, 가족적)을 더 잘 포착하기 위해 보충 경로(예: 자기효능감 신념과 결과 기대에서 목표 및 행동으로의 직접 경로)가 공식화되었다.
  • [과거의 경험과 적성]은 자기효능감 신념과 기대 성과를 통해 관심사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포지셔닝된다.
  • [맥락적 영향]은 선택 목표, 선택 행동 및 성과에 대한 근위적이고 조정적인 역할뿐만 아니라 원위적이고 중재적인 역할을 모두 수행하는 것으로 제시된다.

As is evident in the name, SCCT is an application of Bandura’s (1986) social cognitive theory to career development. The focus is on models that explain the development of vocational interests, making and remaking of vocational choices, and vocational performance (Lent, 2005). In drawing its principal inspiration from Bandura’s work, human agency and the pathways through which agency can be curtailed or enhanced receive crucial attention in SCCT (e.g., gender-role socialization).Agency (amplified or diminished) is operationalized in SCCT primarily using self-efficacy beliefs and outcome expectations regarding each of varied performance areas and activities. A pivotal conjecture in SCCT is that

  • self-efficacy beliefs (e.g., “I can do this” or “I cannot do this”) and
  • outcome expectations (e.g., “If I do this, I will be rewarded” or “I will not be rewarded if I take this option”)
  • influence the development of academic and career interests (Lent, Brown, & Hackett, 2002).

Realistic and positive selfefficacy beliefs and outcome expectations are likely to facilitate the development of careerrelated interests; interests in turn lead to goals (i.e., selection of a performance domain and the level of desired performance in that domain), which lead to “activity selection and practice” (Lent, 2005, p. 106). Of course, other pathways are also specified in the model.

  • Supplementary pathways (e.g., direct paths from self-efficacy beliefs and outcome expectations to goals and actions) have been formulated to better capture the constraints (e.g., financial, familial) that sever or reduce the linkage between interests and goals/ actions (Lent et al., 2002).
  • Experiences in the past and aptitudes are posited as influencing interests through self-efficacy beliefs and outcome expectations (Lent et al., 2002).
  • Contextual influences are presented as playing both a distal and mediated role as well as a proximal and moderating role on choice goals, choice actions, and performance (see Lent et al., 2002).

SCCT는 미국의 광범위한 연구에 의해 뒷받침된다. 따라서 관심사와 자기효능감 신념 및 결과 기대 간의 관계와 같은 핵심 아이디어에 대한 연구 지원과, 자기효능감 신념 및 결과 기대가 진로 선택에 미치는 영향을 설명하는 부분 매개 모형에 대한 연구 지원이 있다(Lent et al., 2002).

SCCT is backed by extensive research in the United States (Lent et al., 2002). Therefore, there is research support for key ideas such as the relationships between interests and self-efficacy beliefs and outcome expectations; and for a partial mediation model explaining the influence of self-efficacy beliefs and outcome expectations on career choice (Lent et al., 2002).

라이프 스팬 이론 렌즈를 이용한 SCCT 검사
Examining SCCT Using a Life Span Theoretical Lens

SCCT의 관심, 선택 및 성과 모델은 평생 적응 프로세스를 사용하여 명확하게 표현되지 않는다. 그들의 이론에 있는 몇 가지 진술은 라이프 스팬 개념을 다룬다예를 들어, [효능감-강화 중재]는 평생에 걸쳐 유익하지만 초기 청소년기 또는 그 이전에 가장 유용하다. 중요한 것은 [직업적 관심과 선택 모델]은 발달의 선택 및 최적화 프로세스와 호환되는 것처럼 보이는 개념을 포함한다는 것이다. 또한 [성공적인 교육 및 진로 의사 결정과 행동]에 대한 잠재적 장벽을 검토하고 극복하기 위해 상담에서 대차대조표를 사용하는 것은 개발의 손익 역학과 약간 유사한 것으로 보인다.

SCCT’s interest, choice, and performance models are not articulated using lifelong adaptational processes. A few statements in their theory (see Lent et al., 2002) address life span ideas (even if inadequately); for example, that efficacy-enhancing interventions are beneficial all through life but are most useful during or before early adolescence. Importantly, the vocational interest and choice models include notions that seem compatible with selection and optimization processes in development. Also, the use of a balance sheet in counseling, to examine and overcome potential barriers to successful educational and career decisionmaking and action, appears to bear a faint resemblance to gain-loss dynamics in development.

SCCT는 어느 정도까지 가소성에 초점을 맞추는가? 자기효능감 및 결과 기대와 같은 수정 가능한 구성요소를 선택하고 이를 이론의 중심으로 배치함으로써 Lent et al(2002)은 가소성 쪽으로 기울어 보인다. 그러나 능력과 같은 다른 구성의 안정성에 대한 의존성으로 인해 어느 정도 수정 가능성을 제한한다. 따라서 이들이 직업적 관심사를 '확대'할 필요성을 보는 것은 주로 능력 측정과 관심 측정(, 교육이나 진로 선택과 관련된 능력은 높지만 관심은 낮다)의 불일치의 맥락에서이다. 관심사를 넓힌다는 것은 상담에서 그 사람이 능력에 따라 관심사를 가져오는 것을 용이하게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능력 측정이 (보장되지 않는) 긍정적인 그림을 산출하는 경우, 성차별적 사회화는 그러한 접근법을 통해 해결될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가소성에 대한 보다 열린 견해는 안정적인 능력에 대한 의존을 덜 요구할 것이다. 그들에게 유리한 것은 "개인이 최소한의 필요한 능력을 가지고 있는 한 자기효능감 신념은 주어진 학문이나 직업 영역에서 성취를 촉진할 수 있다"는 것이다.

To what extent does SCCT focus on plasticity? By selecting modifiable constructs such as self-efficacy and outcome expectations and by positioning these as central to the theory, Lent et al. (2002) appear to be inclined towards plasticity. However, they limit modifiability to some extent by their dependence on the stability of other constructs such as abilities. Therefore, it is largely in the context of a discrepancy between ability measurement and interest measurement (i.e., the ability related to an educational or career choice is high but the interest is low) that they see a need to “expand” vocational interests. Expanding interests then means that in counseling the person is facilitated in bringing interests in line with abilities. Gender discriminatory socialization, for example, could be remedied through such an approach if and when ability measurements yield a positive picture (which is not guaranteed). Nevertheless, a more open view of plasticity would require less dependence on stable abilities. In their favor is their clarification that “self-efficacy beliefs may facilitate attainment in a given academic or career domain as long as an individual possesses at least minimal levels of requisite ability in that domain” (Lent et al., 2002, p. 291).

바람직한 어려움: 의도적으로 도전적인 학습의 이론과 적용(Med Educ, 2022)
Desirable Difficulty: Theory and application of intentionally challenging learning
Adin Nelson1 | Kinga L. Eliasz2

 

 

1 소개
1 INTRODUCTION

보건 전문 교육생은 졸업하기 위해 광범위한 지식과 기술을 습득해야 하고, 유능한 임상의가 되어야 하며, 고위험 면허 및 자격증 시험에 합격해야 한다. 의료 지식이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함에 따라 의료 전문 교육(HPE)의 고유한 과제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더욱 심화됩니다. 이러한 압박은 교육자와 학습자 모두가 빠르게 변화하는 교육 환경에 적응하기 위해 매우 효과적인 학습 전략을 찾도록 합니다. 교육에 대한 효과적인 전략을 뒷받침하는 증거들이 점점 더 많이 등장했지만, 문학은 수십 년에 걸쳐 학문 분야를 넘나들고 종종 서로 떨어진 사일로에 빠집니다. 다양성이 핵심 아이디어에 타당성을 부여하지만, 그것은 또한 다른 분야의 연구자들과 교육자들에게 혼란을 줄 수 있다.

Health professions trainees must acquire an extensive body of knowledge and skills in order to graduate, become competent clinicians and pass high-stakes licencing and certification exams. That inherent challenge of Health Professions Education (HPE) only intensifies with time as medical knowledge continues to grow at an exponential rate.1 That pressure drives both educators and learners to seek out highly effective learning strategies to adapt to a quickly changing educational landscape. A growing body of evidence has emerged supporting effective strategies for education, but that literature spans decades, crosses scholarly fields and often falls into discrete silos. While that diversity lends validity to the core ideas, it can also sow confusion among researchers and educators in those different disciplines.

여러 분야와 맥락에 걸쳐 연구된 교육 전략의 한 가지 대표적인 예는 [더 어려운 학습 과정이 학습 결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는 반직관적인 생각이다. 종종 [바람직한 어려움]으로 불리는 이 아이디어는 더 어려운 연습이 학습자에게 더 많은 인지적 노력을 요구하고, 더 많은 노력이 학습을 향상시킨다는 것을 시사한다. 이러한 어려움은 업무와 관련이 있을 수도 있고 아닐 수도 있다. 한 연구는 심지어 읽기 어려운 글꼴로 학습 자료를 제공하는 것만으로도 학습자의 해당 자료에 대한 기억력이 증가한다는 것을 발견했지만, 후속 연구는 정확한 효과를 복제하는 데 어려움을 겪었다. DD의 이점을 설명하는 문헌은 심리학, 인지과학, HPE 및 일반 교육을 포함한 많은 분야에서 등장했다.
One prime example of an educational strategy that has been studied across multiple fields and contexts is the counterintuitive idea that more difficult learning processes can enhance learning outcomes. This idea, often termed Desirable Difficulty (DD),2, 3 suggests that more difficult practice demands more cognitive effort from learners, and that increased effort enhances learning. These difficulties can be task related or not. One study even found that simply providing learning materials in a difficult-to-read font increased learners' memory of that material,4 although subsequent studies have had challenges replicating that exact effect. Literature describing the benefits of DD has emerged from many fields, including psychology, cognitive science, HPE and general education.

이 논문에서, 우리는 

  • (1) DD 효과를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는 이론과 프레임워크를 검토한다. 
  • (2) 이러한 기본 아이디어가 세 가지 일반적인 HPE 학습 전략에 대한 우리의 이론적 이해를 증진시킬 수 있는지 탐구한다. 
  • (3) DD 강화 학습의 향후 발전에 대한 시사점을 고려합니다. 

논문의 마지막 섹션에서, 우리는 DD 전략 조합의 가능한 추가 효과에 대한 새로운 문헌을 소개하고 DD가 HPE에서 학습을 극대화하기 위해 구현될 수 있는 방법에 대해 논의한다. 우리는 DD 효과에 대한 통일된 이론적 이해가 HPE를 향상시키고 증거 기반 교육과 학문의 다음 단계를 위한 토대를 마련할 것이라고 믿는다.

In this paper, we

  • (1) review theories and frameworks synthesised across those fields that can help us understand the DD effect,
  • (2) explore how those fundamental ideas can further our theoretical understanding of three common HPE learning strategies and
  • (3) consider implications for future developments of DD-enhanced learning.

In the final section of the paper, we introduce emerging literature on possible additive effects of combinations of DD strategies and discuss how DD can be implemented to maximise learning in HPE. We believe that a unified theoretical understanding of the DD effect will enhance HPE and set the stage for the next phase of evidence-based education and scholarship.

2 DD 효과의 인지적 및 이론적 기반
2 COGNITIVE AND THEORETICAL UNDERPINNINGS OF THE DD EFFECT

2.1 인간 기억의 메커니즘
2.1 Mechanisms of human memory

DD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먼저 [인간 기억의 기본 메커니즘]을 검토해야 한다. 인간의 뇌는 단기 기억력이 제한되어 있다. 정보가 보존되기 위해 단기 기억에서 무제한 용량을 가진 [장기 기억]으로 인코딩된다. 장기 메모리에 저장된 정보를 이용할 수 있다고 하며, 그 정보의 내구성을 [저장 강도]라고 한다. 저장된 정보를 의식적으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의식적인 단기 기억으로 상기해야 한다. 장기기억에서 쉽게 검색할 수 있는 정보는 [접근성]이 있다고 하며, 그 정보를 떠올리기 쉽다는 것은 [인출 강도]로 알려져 있다. 실용적인 측면에서, 우리가 '무언가를 알고 있는지'는 검색 강도를 가장 정확하게 반영합니다. 사용 가능한 메모리(즉, [저장 강도]는 양호함)가 있지만 액세스할 수 없는 메모리(즉, [인출 강도]는 낮음)가 있으면, 무언가를 알고 있지만 정보를 손끝으로 가져올 수 없다는 답답한 공통 경험을 하게 됩니다. 특정 정보의 검색 강도는 원하는 정보를 찾고 검색할 수 있는 [인출 단서—다른 저장된 메모리 간의 상황별 링크—]에 크게 의존한다. 

To understand DD, we must first review basic mechanisms of human memory. The human brain has limited short-term memory.5, 6 In order to be retained, information is encoded from short-term memory into long-term memory, which has unlimited capacity. Information stored in long-term memory is said to be available, and the durability of that information is termed storage strength.3 To use that stored information consciously, we must recall it into conscious short-term memory.7 Information that can be easily retrieved from long-term memory is said to be accessible, and the ease of recalling that information is known as retrieval strength.3 In practical terms, whether or not we ‘know something’ most accurately reflects retrieval strength. If a memory is available (i.e. has good storage strength) but is not accessible (i.e. has poor retrieval strength), that produces the frustrating common experience of feeling that you know something but not being able to bring the information to your fingertips. The retrieval strength of particular information depends largely on the retrieval cues—the contextual links between different stored memories—that allow us to find and retrieve desired information.7

2.2 기억에서 학습으로 전환
2.2 Pivoting from remembering to learning

교육자로서, 우리는 학습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기억력에 대한 이해를 적용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학습은 넓게 '경험의 결과로 나타나는 정신적 표현이나 연상의 장기적인 변화'로 정의될 수 있으며, 이는 [장기적인 현상]이다. 학습은 새로운 정보를 단기 기억으로 받아들이고, 그것을 장기 기억으로 인코딩하고, 그 정보를 이용할 수 있게 하기 위한 검색 단서를 구축하는 다단계 과정이다. 자세한 내용은 Brown 등을 참조하십시오.
As educators, we aim to apply our understanding of memory to facilitate learning. Learning can be broadly defined as, ‘a long-term change in mental representations or associations as a result of experience’ (Ormrod,7 p. 20), and it is a long-term phenomenon. Learning is a multiphase process of accepting new information into short-term memory, encoding it into long-term memory and building retrieval cues to make that information available; for a detailed discussion, see Brown et al.8

학습의 첫 번째 단계는 [습득]이다; 학습자는 새로운 정보나 기술을 단기 기억으로 가져가고 그것을 반복적으로 실행한다. 그 반복을 흔히 [연습practice]이라고 한다. 취득 중 새로운 정보나 기술이 단기 기억에 저장되는 정도를 [성과performance]라 한다. 그러나 중요한 문제는 초기 성과가 보통 얼마나 많은 (장기적인) '학습'이 발생할지에 대한 신뢰할 수 있는 지표가 아니라는 것이다.
The first phase of learning is acquisition; the learner takes new information or skills into short-term memory and executes it repeatedly. That repetition is often referred to as practice. The degree to which that new information or skill is stored in short-term memory during acquisition is termed performance9; however, a key conundrum is that initial performance is usually not a reliable indicator of how much (long-term) ‘learning’ will occur.10

[내구적 학습]은 단기 기억에서 장기 기억으로 인코딩되는 정보에 따라 달라지며, 다양한 단계에서 다양한 방식으로 평가될 수 있다. [보존retention]은 연습이 끝난 후 학습자가 정보를 얼마나 잘 기억하거나 과제를 수행할 수 있는지를 의미하며, 습득 후 경과한 시간(예: 즉시 보존과 지연 보존)에 따라 차이가 있다. 운동 학습의 연구에서, [유지 테스트]는 학습자가 처음에 연습했던 조건과 맥락을 복제해야 한다. 보다 복잡한 수동 작업 또는 인지 학습에 대한 연구에서 순수 유지 테스트는 학습자에게 동일한 질문에 답하거나 이전에 연습한 정확한 작업을 수행하도록 요청할 수 있다.

Durable learning depends on information being encoded from short-term into long-term memory, and it can be assessed in various ways at different stages. Retention refers to how well the learner can recall the information or perform the task(s) after practice has concluded and it differs depending on the length of time that has passed since acquisition (e.g. immediate versus delayed retention). In studies of motor learning, a retention test must replicate the same conditions and context in which the learner initially practiced. In studies of more-complex manual tasks or of cognitive learning, a pure retention test might ask learners to answer the same questions or perform the exact task they previously practiced.

반면, [전이transfer]은 학습자가 [다른 맥락]에서 새로운 정보나 새로운 기술을 얼마나 잘 검색할 수 있는지를 의미합니다. (예: 다른 시험 조건 및/또는 약간 다른 작업). [보존retention]과 마찬가지로, 전송은 새로운 작업 또는 컨텍스트가 처음에 실행된 작업 또는 컨텍스트와 얼마나 다른지에 따라 [근거리 및 원거리 전이]로 더 세분화될 수 있다. 이러한 차이는 운동 학습의 통제된 연구에서 명확하게 정의될 수 있지만, [응용 환경]이나 [인지 작업]에서 분석parse하는 것은 훨씬 더 어렵다. 본 논문의 목적을 위해, 우리는 학습자가 [처음에 새로운 기술이나 정보를 습득한 후 어느 시점에 측정된 인출 강도]를 지칭하기 위해 '학습'이라는 용어를 사용할 것이며, 본 논문의 범위를 벗어나는 [즉각적 보존 또는 지연된 보존]과 [근전이 또는 원전이]을 구별하려고 시도하지 않을 것이다.

Transfer, on the other hand, refers to how well the learner can retrieve new information or a new skill in a different context (e.g. different testing conditions and/or a slightly different task).9 Like retention, transfer can also be further subdivided into near and far transfer depending on how much the new task or context differs from the initially practiced task or context.9 These distinctions can be clearly defined in controlled studies of motor learning, but they become much more difficult to parse in applied settings or for cognitive tasks. For the purpose of this paper, we will use the term ‘learning’ to refer to retrieval strength measured at some time after a learner initially acquires a new skill or piece of information, and we will not attempt to distinguish between immediate or delayed retention and near or far transfer, as that is beyond the scope of this paper.

2.3 새로운 불용 이론
2.3 New theory of disuse

새로운 불용 이론(NTD)은 DD의 유익한 효과를 설명하기 위해 인간 기억의 기본 메커니즘을 사용한다. 최근에 메모리가 리콜되지 않으면 해당 메모리에 대한 인출 단서retrieval cues가 희미해지기 시작합니다. 마찬가지로, 새로운 정보가 학습될 때, 이러한 새로운 기억들은 이미 사용 중인 인출 단서를 두고 서로 경쟁할 수 있고, 이러한 인출 단서들은 기존 기억에서 분리되고 새로운 기억으로 연결되도록 재목적화 될 수 있다. 메모리에 대한 인출 단서가 [사라지거나 재목적화]됨에 따라 해당 메모리의 [인출 강도]가 감소합니다. 더 다양하고 강력한 인출 단서가 있을수록, 기억은 희미해지는 것에 더 저항력을 갖는다. 즉, 더 큰 인출 강도를 가지고 있고, 여전히 접근 가능하고, 효과적인 학습이 일어났다는 것을 의미한다. 많은 DD 전략들은 원하는 메모리에 대한 [인출 단서]를 구축하고 강화하는 방법(특히 검색 연습, 간격 연습 및 인터리브 연습. 이 문서는 이 문서의 뒷부분에서 자세히 살펴봅니다)으로 이해될 수 있다. [의도적으로 어려운 학습 연습]을 위한 이러한 전략은 다양한 맥락에서 노력적인 기억을 요구한다. DD는 기존의 인출 단서를 강화하고 새로운 단서의 개발을 장려한다. 따라서 이러한 어려움은 개선된 장기 학습의 바람직한 결과를 낳는다.

The New Theory of Disuse (NTD)3 uses those underlying mechanisms of human memory to explain the beneficial effects of DD. When a memory has not been recalled recently, the retrieval cues to that memory begin to fade. Similarly, when new information is learned, those new memories may compete for retrieval cues already in use, and those retrieval cues may be dissociated from an existing memory and repurposed to link to a new memory. As the retrieval cues to a memory fade or are repurposed, the retrieval strength of that memory wanes. The more diverse and robust retrieval cues a memory has, the more resistant it is to fading; it has greater retrieval strength, it remains accessible, and effective learning has occurred. Many DD strategies—particularly retrieval practice, spaced practice and interleaved practice, which we explore in detail in later sections of this paper—can be understood as ways to build and strengthen retrieval cues to desired memories.8 These strategies for intentionally difficult learning practice demand effortful remembering across varying contexts. That strengthens existing retrieval cues and encourages development of new ones. Those difficulties thereby produce the desirable outcome of improved long-term learning.

2.4 과제 포인트 프레임워크
2.4 Challenge point framework

챌린지 포인트 프레임워크(CPF)는 과제 난이도와 학습 사이의 관계에 대한 또 다른 접근 방식과 추가 세부 정보를 제공한다. CPF는 과제 과제(즉, 난이도)와 장기 학습(그림 1 참조) 사이의 포물선 관계를 설명한다. 연습 과제가 너무 어렵거나 충분히 도전적이지 않을 때 학습은 빈약하며, 중간 최적 도전 지점에서 학습이 극대화된다. 그 최적점은 학습해야 할 [과제의 난이도]와 [개별 학습자의 기술 수준] 사이의 상호 작용에 달려 있다.

The Challenge Point Framework (CPF)10 provides another approach and additional detail to the relationship between task difficulty and learning. The CPF describes a parabolic relationship between task challenge (i.e. difficulty) and long-term learning (see Fig. 1). Learning is poor when practice tasks are either too challenging or not challenging enough, and learning is maximised at an intermediate Optimal Challenge Point. That optimal point depends on the interaction between the difficulty of the to-be-learned task and the skill level of the individual learner.10, 11

 

 

또한 CPF는 도전과제수행이 새로운 정보나 기술을 습득하고 장기 학습하는 동안 [성과performance에 어떻게 차별적으로differentially 영향을 미치는지] 구별한다. 간단한 작업은 완료하기 쉬우므로 즉각적인 성능이 높습니다. 작업 난이도가 높아지면 성능이 꾸준히 떨어진다. 특정 지점을 넘어서면, 그 과제는 너무 어려워서 학습자는 그것을 단순히 완성할 수 없다. 반면에 장기 학습은 낮게 시작하여 처음에는 과제 난이도와 함께 증가한다. 과제 난이도가 학습자의 최대 인지적 노력능력을 초과하는 수준으로 높아지면 학습은 정점을 지나가고, 학습에 있어 추가적인 도전요인이 줄어든다. 그 [피크(즉, 최적 도전 지점)는 과제가 학습자의 최대 인지 능력을 요구하지만 초과하지 않는 지점]이다. 과제 난이도가 [최소 난이도]에서 [최적 도전 포인트]로 갈수록 [학습은 증가]하지만 [수행은 감소]하므로, [학습이 최대치]에 도달했을 때 [수행은 이미 최대치에 훨씬 못 미친다].
The CPF also distinguishes how task challenge differentially affects performance during acquisition of new information or skills and long-term learning. Simple tasks are easy to complete, so immediate performance is high. As task difficulty increases, performance drops steadily. Beyond a certain point, the task is so difficult that the learner is simply unable to complete it. Long-term learning, on the other hand, starts low and initially increases with task difficulty. When the task difficulty increases to a level that exceeds the learner's maximum capacity for cognitive effort, learning passes its peak, and additional challenge causes decreases in learning. That peak (i.e. the Optimal Challenge Point) is the point at which the task demands but does not exceed the learner's maximum cognitive capacity. As task difficulty increases from minimal difficulty towards the Optimal Challenge Point, learning increases, but performance decreases, and so when learning reaches its maximum, performance is already well below its maximum.

과제 난이도가 학습과 성과에 미치는 차이를 [성과-학습 역설] 또는 [전이 역설]이라고 하며, 이는 의도적으로 도전적인 학습 과제(즉, DD 강화 커리큘럼)에 대한 많은 학습자의 혐오를 설명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 학습자의 전문성expertise에 대한 자기 판단은 [연습practice 중 즉각적인 성과performance]에 크게 좌우되기 때문에, 최적 도전 지점에 가까운 [어려운 과제에 대한 낮은 성과]는 학습자가 효과적으로 학습하지 못하고 있다고 느끼게 만들 수 있다. [즉각적인 성능performance]이 떨어지는 것을 경험하면, [장기 학습 개선에 대한 이론적 기대]보다 부정적 경험이 커져서, [도전적인 학습 과제에 대한 동기를 감소]시킨다. 간단히 말해서, 학습자들은 그들이 못한다고 느끼는 과제들을 연습하는 것을 즐기지 않는다.

That differential effect of task difficulty on learning and performance is termed the performance-learning paradox10 or the transfer paradox,12 and it may help explain many learners' aversion to intentionally challenging learning tasks (i.e. DD-enhanced curricula). Learners' self-judgement of expertise largely depends on their immediate performance during practice, so poor performance on difficult tasks that fall near their Optimal Challenge Point may make them feel that they are not learning effectively. Experiencing poor immediate performance outweighs the theoretical expectation of improved long-term learning and reduces motivation for challenging learning tasks.13, 14 Put simply, learners do not enjoy practicing tasks that they feel they are bad at.

2.5 인지 부하 이론(CLT)
2.5 Cognitive Load Theory (CLT)

CLT는 지식과 기술 습득을 고려하는 또 다른 관점을 제공한다. CLT는 인간이 제한된 인지 능력을 가지고 있다는 생각에 중점을 두고 있으며, 이는 인지 부하의 세 가지 범주, 즉 내적 부하, 본유적 부하 및 외부 부하를 관리하기 위해 분할되어야 한다.

  • [내재적 부하]는 새로운 기술을 수행하거나 새로운 정보를 획득하는 내재적 인지 작업이다.
  • [본유적 부하(Germane load)]는 [새로운 정보를 장기 기억으로 통합하기 위한 인지적 노력 또는 더 쉽게 말하면 실제 학습의 작업]이다.
  • [외재적 부하]는 산만함을 이겨내 가면서, 여러 소스에 걸쳐 들어오는 정보를 통합하는 데 필요한 추가 작업이다.

CLT15 provides yet another perspective from which to consider knowledge and skill acquisition. CLT centres on the idea that human beings have limited cognitive capacity which must be divided to manage three categories of cognitive load: intrinsic load, germane load and extraneous load.

  • Intrinsic load is the inherent cognitive work of performing a new skill or acquiring new information.
  • Germane load is the cognitive effort of integrating new information into long-term memory or put more simply, the actual work of learning.
  • Extraneous load is the additional work required to integrate incoming information across multiple sources while ignoring distractors.16

CLT를 기반으로 한 교육 설계는 인지 과부하를 방지하고, 외부 부하를 최소화하여 [내재적 및 본유적 부하에 대한 학습자의 인지 능력]을 극대화하는 것을 강조한다. 내적 및 외부 부하의 합이 과도할 때(예: 복잡한 작업이나 정보 또는 지나치게 산만한 학습 환경에서), 학습자는 학습으로 이어지는 본유적 부하에 대한 인지 능력이 불충분하다.

  • 따라서 CLT 기반 안드라고지는 [작업을 단순화하여 내재적 부하를 줄이거나], [지침을 명확히 하고 산만함을 제거하여 외재적 부하를 줄이는 등] 과부하를 완화할 것을 제안한다.
  • 대조적으로, 내재적 부하가 낮을 때(예: 간단한 학습 자료 사용), 학습자는 일반적으로 높은 외재적 부하를 처리할 수 있으므로, 관련된 본유적 부하 및 결과 학습을 증가시키기 위해 의도적으로 내재적 부하를 증가시키는 것이 유용할 수 있다.

Instructional design grounded in CLT emphasises preventing cognitive overload and minimising extraneous load to maximise learners' cognitive capacity for intrinsic and germane load.17 When the combined intrinsic and extraneous loads are excessive (e.g. with complex tasks or information, or overly distracting learning environments), learners have insufficient cognitive capacity for the germane load that leads to learning;

  • CLT-based andragogy would then suggest relieving that overload by simplifying the task to decrease the intrinsic load or clarifying the instructions and eliminating distractions to decrease extraneous load.18 
  • In contrast, when intrinsic load is low (e.g. with straightforward learning material), learners can typically handle high extraneous loads,18 and it can even be beneficial to intentionally increase the intrinsic load in order to increase the associated germane load and the resultant learning.1617

2.6 DD의 기본이 되는 주요 이론적 개념 비교 및 대조
2.6 Comparing and contrasting key theoretical concepts underlying DD

NTD, CPF, CLT는 서로 다른 분야의 연구자들에 의해 특정 문맥을 위해 개발되었으며, 이러한 이론을 논의하는 기존 문헌은 이들을 무관한 아이디어로 취급한다. 그러나 HPE의 실용적인 학습 접근법을 이해하기 위해 그것들을 적용함에 있어, 우리는 이 세 가지 다른 이론적 관점에 걸쳐 짜여진 공통 핵심 원칙을 본다.
The NTD, CPF and CLT were developed for specific contexts by researchers in different fields, and the existing literature discussing these theories treats them as unrelated ideas. In applying them to understand practical learning approaches in HPE though, we see common core principles woven throughout these three different theoretical perspectives.

NTD는 인간 기억의 메커니즘(인출 단서의 희미화 및 강화)을 활용하여 연습 어려움과 학습 결과 사이의 긍정적인 관계를 설명한다. 학습자가 [희미해지기 시작한 기억]을 힘겹게 떠올릴 때, 그 기억의 검색 단서는 강화되고, 그 기억의 검색 강도는 향상된다.
The NTD3 capitalises on mechanisms of human memory—the fading and strengthening of retrieval cues—to explain the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practice difficulty and learning outcomes; when a learner effortfully recalls a memory that has begun to fade, the retrieval cues to that memory are reinforced, and the retrieval strength of that memory is enhanced.

CPF는 두 가지 방식으로 그 아이디어를 확장한다. 

  • 첫째, CPF는 즉각적인 성과와 지연된 보존 또는 전이를 구별하고 연습 과제(따라서 과제가 요구하는 인지적 노력)의 어려움이 학습 과정의 두 단계에 다르게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인정한다. 
  • 둘째, CPF는 도전과 학습의 관계가 한결같이 긍정적인 것이 아니라 포물선적인 것이라고 제안한다. 연습이 너무 어렵거나 충분히 도전적이지 않을 때 학습은 빈약하며, 중간 최적 도전 지점에서 최대화된다.

The CPF10 expands on that idea in two ways.

  • First, the CPF distinguishes immediate performance from delayed retention or transfer and acknowledges that the difficulty of a practice task—and therefore, the cognitive effort the task requires—affects those two phases of the learning process differently.
  • Second, the CPF suggests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challenge and learning is not uniformly positive but parabolic; learning is poor when practice is either too challenging or not challenging enough, and it is maximised at an intermediate Optimal Challenge Point.

CLT은 동일한 포물선 관계에 대해 다른 방식으로 접근한다: 과제가 인지 부하에 대한 학습자의 능력을 초과할 때 학습이 방해되며, 다른 극단적으로 너무 적은 인지 부하를 요구하는 과제도 효과적인 학습으로 이어지지 않는다. NTD와 CPF가 연습 작업의 전반적인 어려움만 고려하는 경우, CLT는 해당 과제를 [세 가지 범주의 인지 부하]로 구분하고 [총 부하]를 조정할 뿐만 아니라 보다 정확하게는 해당 부하의 다른 구성 요소를 균형 있게 조정함으로써 학습을 극대화할 수 있다고 제안한다. 세 가지 이론적 개념은 모두 연습 중 어느 정도와 유형의 난이도가 장기적인 학습 결과에 바람직한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핵심 관점을 공유한다.

CLT18 approaches that same parabolic relationship in a different way: learning is hindered when tasks exceed a learner's capacity for cognitive load, and at the other extreme, tasks that demand too little cognitive load also do not lead to effective learning. Where the NTD and the CPF only consider the overall difficulty of practice tasks though, CLT differentiates that challenge into three categories of cognitive load and suggests that learning can be maximised not only by adjusting the total load but also, more precisely, by balancing the different components of that load. All three theoretical concepts share the core perspective that a certain degree and type of difficulty during practice can have desirable effects on long-term learning outcomes.

3 HPE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DD 전략
3 COMMONLY USED DD STRATEGIES IN HPE

DD를 만들기 위해 많은 교육 전략이 사용되었다. 본 논문에서는 HPE에서 공통적으로 사용되는 세 가지 DD 학습 전략에 초점을 맞춘다.

  • (1) 인출 연습(예: Larsen et al. 19), 
  • (2) 거리두기 연습(예: Kornell 및 Bjork20) 및 
  • (3) 인터리빙 연습(예: Lee와 Simon21) 

이러한 DD 학습 전략을 사용하는 많은 HPE 연구는 그들의 이론적 메커니즘을 명시적으로 탐구하지 않기 때문에, 우리는 이 논문을 점점 더 일반적인 교육 전략에 대한 이론적 이해를 증진시키는 데 도움이 되도록 구성했다. HPE의 교육자들이 DD를 성공적으로 구현하고 평생학습 습관을 증진시키기 위해서는 HPE 교육생들의 제한된 시간을 가장 효과적으로 활용하는 방법에 대한 의도적인 결정을 내리는 데 이론적 이해가 필수적이다.
Many instructional strategies have been used to create DD. In this paper, we focus on three DD learning strategies that are common in HPE:

  • (1) retrieval practice (e.g. Larsen et al.19),
  • (2) spaced practice (e.g. Kornell and Bjork20) and
  • (3) interleaved practice (e.g. Lee and Simon21).

Because many HPE studies using these DD learning strategies do not explicitly explore their theoretical mechanisms, we structured this paper to help advance a theoretical understanding of these increasingly common educational strategies. In order for educators in HPE to successfully implement DD and promote lifelong learning habits, a theoretical understanding is fundamental to making intentional decisions about how to most effectively use HPE trainees' limited time.

3.1 인출 연습
3.1 Retrieval practice

인출 연습은 HPE에서 인기를 얻고 있는 DD를 생산하는 한 가지 기술이다. 인출 연습은 학습자가 수동적으로 교과서나 노트를 다시 읽는 대신, 퀴즈나 복습 문제를 사용하여 새롭게 학습한 정보를 기억에서 적극적으로 검색하도록 장려하는 것을 포함한다. 교육적 설계 관점에서 이 전략은 [테스트 강화 학습]이라고도 하며, 근본적인 현상을 [테스트 효과]라고 합니다. 능동적 검색은 동일한 자료를 수동적으로 검토하는 것보다 더 어렵고 더 큰 인지 노력이 필요하므로 DD가 생성되고 학습이 향상된다. 개념적으로 장기 기억에서 정보를 적극적으로 호출하는 것은 해당 정보에 연결되는 검색 신호를 사용하며, 반복 사용은 검색 신호를 강화한다. 다른 맥락에서 기억을 검색하는 것은, 심지어 단순히 다른 단어를 사용하는 연습 문제를 사용하는 것조차도, 새로운 검색 단서를 구축할 수 있는 기회를 만든다. 검색 단서를 강화하고 구축하는 것은 학습해야 할 정보의 검색 강도를 개발하는 데 도움이 된다. 아리스토텔레스는 '반복적으로 무언가를 떠올리는 운동은 기억력을 강화시킨다'고 썼다.
Retrieval practice is one technique for producing DD that has become popular in HPE.22 Retrieval practice involves using quizzing or review questions to encourage learners to actively retrieve newly studied information from memory instead of passively re-reading textbooks or notes (see excellent summary in Brown et al.8). From an instructional design perspective, this strategy is also known as test-enhanced learning, and the underlying phenomenon is termed the testing effect.23 Active retrieval is more challenging and requires greater cognitive effort than passively reviewing the same material, hence DD is generated and learning is enhanced. Conceptually, actively recalling information from long-term memory uses the retrieval cues that link to that information, and repeated use strengthens those retrieval cues. Retrieving memories in different contexts, even simply by using differently worded practice questions, also creates opportunities to build new retrieval cues.8 Strengthening and building retrieval cues helps to develop the retrieval strength of the to-be-learned information. As Aristotle wrote, ‘Exercise in repeatedly recalling a thing strengthens the memory’ (quoted in Brown et al.,8 p. 28).

인출 연습은 HPE에서 오랜 역사를 가지고 있다. 전통적인 임상 교육은 학습자에게 지식을 탐구하기 위해 질문을 하는 교육자에게 크게 의존해 왔다. 이러한 유형의 가르침은 역사적으로 소크라테스식 방법으로 묘사되어 왔다. 그것은 때때로 '핌핑'이라고도 불리며 해징의 한 형태로 간주되지만, 이러한 뉘앙스를 탐구하는 것은 이 논문의 범위를 벗어난다. 검색 관행은 또한 환자 치료에 내재되어 있다: 모든 임상적 만남은 환자를 올바르게 진단하고 치료하기 위해 훈련자가 기억에서 정보를 인출해야 한다.
Retrieval practice has a long history in HPE. Traditional clinical teaching has relied heavily on educators asking learners questions to probe their knowledge. This type of teaching has historically been described as the Socratic method. It is also sometimes called ‘pimping’ and considered a form of hazing, but exploring these nuances is beyond the scope of this paper. Retrieval practice is also inherent to patient care: every clinical encounter requires a trainee to retrieve information from their memory in order to correctly diagnose and treat their patient.

인출 연습의 이점은 다양한 분야의 다양한 학습자들 사이에서 입증되었습니다. 예를 들어, 한 연구는 소아과와 응급의학 레지던트들을 무작위로 강의에 참여시키고, 한 주제에 대한 검토 유인물과 두 번째 주제에 대한 강의가 이어진다. 6개월 이상 지난 뒤 두 주제 모두 시험을 치렀을 때 주민들이 수동적으로 검토했던 과목보다 자신이 출제된 과목에서 평균 13% 높은 점수를 받았다. 중학교 이과생, 운동학부 학생, 대학원 약학부 학생, 의대 학생, 그리고 많은 다른 학습자들에서도 동일한 효과가 입증되었다.
The benefits of retrieval practice have been demonstrated among various learners across various fields. For example, one study randomised paediatrics and emergency medicine residents to participate in a lecture followed by a review handout on one topic and a lecture followed by a quiz on a second topic. When the residents were tested on both topics more than 6 months later, they scored an average 13% higher on the subject they were quizzed on than on the subject they had passively reviewed.19 The same effect has been demonstrated among middle school science students,24 undergraduate kinesiology students,25 graduate-level pharmacy students,26 medical students,22 and many other learners.27

3.2 간격 연습
3.2 Spaced practice

공간 학습(spaced learning) 또는 분산 연습(distributed practice)은 DD를 생산하기 위한 또 다른 일반적인 전략이다. 공간 연습은 학습(또는 공부)을 시간이 지남에 따라, 간격을 두고 여러 개의 짧은 세션으로 나누는 것을 포함한다. 시간 외 학습 세션 사이의 휴가는 자료에 대한 노출 사이에 발생하는 것을 일부 잊어버릴 수 있게 한다. 각 후속 스터디 세션에서 학습자는 작업 메모리에 원하는 정보를 적극적으로 다시 로드하고 재구성해야 합니다. DD의 관점에서, 빛바랜 기억을 회복하는 도전은 학습자의 인지 노력을 증가시키고 학습을 증진시킨다. 좀 더 기계적인 관점에서, 거리두기 연습은 기존 인출 단서가 약해지기 시작한 후 적극적으로 사용하여 기존 검색 단서를 강화하며, 다양한 맥락에서 장기 기억의 정보를 호출하여 새로운 검색 단서를 구축하도록 장려한다.
Spaced practice (also known as spaced learning or distributed practice) is another common strategy for producing DD. Spaced practice involves breaking up learning (or studying) into multiple shorter sessions spaced out over time. The time off between spaced-out learning sessions allows for some forgetting to take place between exposures to the material. At each subsequent study session, the learner must actively reload and reconstruct the desired information in their working memory (see review in Brown et al.8). From a DD perspective, the challenge of recovering those faded memories demands increased cognitive effort from the learner and boosts learning. From a more mechanistic perspective, spaced practice strengthens existing retrieval cues by actively using them after they have begun to weaken, and it encourages building new retrieval cues by recalling information from long-term memory in varying contexts.3

거리두기 연습은 또한 HPE의 임상 훈련에도 내재되어 있다. 특정 절차를 수행하거나 특정 상태를 한 번 치료한다고 해서 즉시 숙달되는 것은 아니다. HPE 학습자는 훈련 내내 동일한 진단을 받고 동일한 작업을 반복적으로 수행하며, 반복될 때마다 지식과 기술을 쌓는다.
Spaced practice is also inherent to clinical training in HPE. Performing a specific procedure or treating a particular condition once does not confer immediate mastery. HPE learners encounter the same diagnoses and perform the same tasks repeatedly throughout their training, and each repetition builds their knowledge and skills.

거리두기 연습의 학습 이점은 다양한 교육 맥락에서 입증되었다. 한 HPE 사례에서, 새로운 수술 기법을 배우는 외과 레지던트들은 단일 4시간 워크샵(대량 실습) 또는 4시간 연속 주간 워크샵(공간 실습)에 참여하도록 무작위로 처리되었다. 거주자가 한달 후 유지 테스트에서 다시 테스트되었을 때, 공간화된 연습 그룹은 다중 메트릭에서 대량 연습 그룹을 크게 능가했습니다. 공간 연습의 이점은 해부학, 전염병 및 비뇨기학을 다루는 인지 학습 과제에서도 입증되었으며 대학생에서 거주자, 동료 및 노인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학습자와 함께 복제되었다.

The learning benefits of spaced practice have been demonstrated in a variety of educational contexts. In one HPE example, surgical residents learning a new surgical technique were randomised to participate in either a single 4-h workshop (massed practice) or a series of four, hour-long, weekly workshops (spaced practice). When the residents were retested on a retention test a month later, the spaced practice group significantly outperformed the massed practice group on multiple metrics.28 The benefits of spaced practice have also been demonstrated for cognitive learning tasks covering anatomy,29 infectious diseases30 and urology,31 and they have been replicated with a range of learners from college students20 to residents,31 fellows30 and older adults.32, 33

3.3 인터리브 연습
3.3 Interleaved practice

DD를 생성하기 위한 또 다른 일반적인 전략인 [교차(인터리브) 연습]단일 스터디 세션 내에서 서로 다른 주제를 번갈아 사용하는 것을 말합니다. 이 전략이 처음 연구된 운동 학습 문헌에서는 일반적으로 무작위 실습이라고 하는 반면, 심리학 및 교육 영역에서는 단순히 [인터리빙]이라고 한다. 교차 연습은 한 번에 하나의 주제에 집중하는 대신 주제 간의 지속적인 전환이 필요하며, 이는 초기 성능을 저하시키지만, 역설적으로 [상황적 간섭Contextual Interference]이라는 현상을 통해 장기적인 학습을 향상시킨다. 교차 연습의 유익한 효과를 설명하기 위한 두 가지 가설이 있다. 망각-재구성 가설은 인터리브 연습을 간격 연습에 비유한다.

  • 거리두기 연습은 자료에서 떨어진 시간을 사용하여 정보가 [단기 기억에서 사라지도록 수동적으로 허용]하는 반면,
  • 교차 연습은 새로운 주제를 그 자리에 도입함으로써 한 주제를 [단기 기억에서 적극적으로 밀어낸다].

Interleaved practice, another common strategy for generating DD, refers to alternating between different topics within a single study session (see review in Brown et al.8). In the motor learning literature, where this strategy was first studied, this is typically referred to as random practice, while in the psychology and education domains, it is referred to simply as interleaving. Instead of focusing on one topic at a time, interleaved practice requires constant switching between topics, which degrades initial performance but paradoxically improves long-term learning through a phenomenon termed Contextual Interference.34 There are two hypotheses to explain the beneficial effects of interleaved practice. The forgetting-reconstruction hypothesis likens interleaved practice to spaced practice:

  • where spaced practice uses time away from the material to passively allow information to fade from short-term memory,
  • interleaved practice actively forces one topic out of short-term memory by introducing a new topic in its place.21 

공간 연습과 마찬가지로 단기 기억에서 각 후속 주제를 떠올리거나 재구성하는 인지적 도전은 DD를 생성하고 학습을 강화한다. 간단히 말해서, 여러분이 여러 과목의 혼합을 동시에 공부할 때, 여러분은 그것들을 여러분의 마음 속에 똑바로 유지하기 위해 더 열심히 공부해야 합니다. 그 가설은 교차 연습이 다양한 인지적 맥락에서 정보를 단기 기억으로 다시 로드하는 데 적극적으로 사용함으로써, 인출 단서를 강화한다는 것을 시사한다. 대안 가설인 정교화-특이성 관점은 관련 주제 또는 과제에 대한 인터리빙 연습이 학습자가 [비교]를 하고, 그들 사이의 [대비]를 식별하도록 장려한다는 것을 시사한다. 주제 간의 이러한 대비는 종종 새로운 문제를 다룰 때 각 주제 내의 공통점보다 더 중요하다. 개념적으로, 장기 기억에서 서로 다른 정보 조각들 사이의 대조적인 링크들을 개발하는 것은 본질적으로 각 기억들의 집합을 다른 것에 대한 인출 단서로 사용한다.
As with spaced practice, the cognitive challenge of recalling or reconstructing each subsequent topic in short-term memory creates DD and enhances learning. Simply put, when you are simultaneously studying a mixture of multiple subjects, you have to work harder to keep them all straight in your mind. That hypothesis suggests that interleaved practice strengthens retrieval cues by actively using them to reload information into short-term memory in varying cognitive contexts.3 An alternative hypothesis, the elaboration-distinctiveness view, suggests that interleaved practice of related subjects or tasks encourages the learner to make comparisons and identify contrasts between them.3, 21 Those contrasts between topics are often more important than the commonalities within each topic when it comes to addressing novel problems.8 Conceptually, developing those contrasting links between different pieces of information in long-term memory essentially uses each set of memories as retrieval cues for the other.3

검색 연습 및 간격 연습과 마찬가지로 인터리브 연습은 HPE의 작업기반 임상 훈련에서 고유합니다. 어떤 임상의도, 어떤 임상의 훈련생도 매일 똑같은 일을 하지 않습니다. 각각의 새로운 환자들은 궁극적으로 다른 진단으로 이어지는 다른 증상을 보인다. 임상 실습의 무작위적 특성은 학습자에게 조건 간의 미세한 차이를 비교, 대조 및 식별할 수 있는 기회를 자동으로 제공합니다.
As with retrieval practice and spaced practice, interleaved practice is inherent to workplace-based clinical training in HPE. No clinician, and certainly no clinical trainee, does exactly the same thing every day. Each new patient presents different symptoms that ultimately lead to a different diagnosis. The random nature of clinical practice automatically provides learners with opportunities to compare, contrast and identify fine distinctions between conditions.

교차 연습의 이점은 또한 다양한 교육 환경에서 다양한 작업에 대해 입증되었다. 예를 들어, 의과대학 3학년 학생들이 복강경 수술 기술을 블록(즉, 한 번에 한 가지 기술을 연습하는 것) 또는 인터리브 일정에서 배우는 연구는 인터리브 연습을 사용하는 학생들이 작업을 더 빠르고 덜 가변적으로 완료한다는 것을 발견했다. 그 효과는 인지 과제와 다른 교육 환경에서도 입증되었다. 예를 들어, 한 연구는 무작위로 인터리브된 수학 문제를 연습하는 대학생들이 유형별로만 수학 문제를 연습하는 학생들보다 기말고사에서 훨씬 더 높은 점수를 받았다는 것을 발견했다. 비슷한 결과는 유화 화가나 조류 종을 식별하는 것을 배우는 성인들 사이에서도 발견되었다. 
The benefits of interleaved practice have also been demonstrated for a variety of tasks in a variety of educational settings. For example, a study of third-year medical students learning laparoscopic surgical skills under either a blocked (i.e. practicing one skill at a time) or an interleaved schedule found that the students using interleaved practice completed the tasks faster and with less variability.35 The effect has also been demonstrated for cognitive tasks and in other educational settings. For example, one study found that college students practicing randomly interleaved math problems scored significantly higher on a final exam than students practicing math problems exclusively by type.36 Similar results have also been found among adults learning to identify oil painters20 or bird species.37

3.4 DD 학습 전략 결합의 부가 효과
3.4 Additive effects of combining DD learning strategies

HPE의 검색 연습, 공간 연습 및 인터리브 연습에 대한 많은 기존 연구는 이러한 전략 중 하나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그러나 일부 연구는 이러한 전략의 조합을 조사했고, 많은 연구들이 긍정적인 효과를 보여주었다. 예를 들어, 여러 연구에서 [간격을 둔 인출 연습]을 테스트한 결과 표준화된 테스트에서 학습자의 성능이 향상되었습니다. :
Many existing studies of retrieval practice, spaced practice and interleaved practice in HPE have focused on just one of these strategies.20, 22, 25, 26, 31, 36, 38-41 Some studies have examined combinations of these strategies though, and many of them have shown positive effects. For example, several studies have tested spaced retrieval practice—a combined strategy of practice questions assigned to learners at spaced-out intervals—and found that it improved learners' performance on standardised tests.42, 43

여러 연구에서 개별적으로 유익한 학습 전략을 조합하면 부가적인 효과가 있음을 보여주었다. 예를 들어, 운동 과제 학습에 대한 연구에서 울프 등은 두 기술을 결합하면 어느 기술보다 성능이 향상되고 세 기술을 결합하면 훨씬 더 큰 효과가 있음을 발견했다. 인지 학습에 대한 일부 연구에서도 유사한 결과가 나왔다. 예를 들어 골격근해부학을 배우는 학부생들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 간격두기 연습을 사용한 학생과 인출연습을 사용한 학생 모두 어느 쪽도 사용하지 않은 대조군보다 우수한 성적을 보였지만, [간격두기 연습과 검색연습을 조합한 학생]이 최종시험에서 가장 높은 점수를 받았다. 유사한 연구는 [인출 연습과 인터리브 연습]의 부가적인 효과를 여러 생리학 텍스트에서 주요 주제를 합성하는 학부 학생들의 능력에 발견했다. 이론적 관점에서, 이러한 결과는 개별 학습 전략이 DD를 생성하고 학습을 증진시킨다면, 그러한 전략의 조합이 부가적인 효과를 가져 훨씬 더 많은 난이도를 생성하고 학습을 더욱 강화해야 한다는 것을 시사한다.

Several studies have shown additive effects from combinations of individually beneficial learning strategies. In studies of motor task learning, for example, Wulf et al. found that combining two techniques—both of which had already been shown to be individually beneficial—improved performance over either technique alone,44 and that combining three techniques had an even greater effect.45 Similar results have emerged from some studies of cognitive learning. For example, in a study of undergraduate students learning skeletal muscle anatomy, both students who used spaced practice and students who used retrieval practice outperformed controls who used neither, but students who used a combination of spaced practice and retrieval practice scored best of all on the final test.29 A similar study found additive effects of retrieval practice and interleaved practice on undergraduate students' ability to synthesise key themes from multiple physiology texts.46 From a theoretical standpoint, these results suggest that if individual learning strategies produce DD and boost learning, then a combination of those strategies should have an additive effect, producing even more difficulty, and further enhancing learning.

그러나 기존 연구의 결과는 보편적으로 긍정적이지 않았다. 다른 연구들은 개별적으로 유익한 학습 전략의 조합으로부터 추가적인 효과를 발견하지 못했다. 타이밍 예측에 대한 운동 학습 연구에서 학습자는 인터리빙 연습 또는 피드백의 자기 결정 중 하나에서 이익을 얻었지만 두 기술의 조합에서 추가적인 이점은 없었다. 인지학습 분야에서는 아벨과 로디거의 연구에서 검색연습이 외국어 어휘 학습에 대한 수동적 학습보다 월등히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으나, 인터리브 연습 일정의 추가에 의해 그 효과가 수정되지는 않았다.
Results of existing studies have not, however, been universally positive. Other studies have found no additive effects from combinations of individually beneficial learning strategies. In a motor learning study of timing anticipation, learners benefited from either interleaved practice or self-determination of feedback, but there was no added benefit from a combination of both techniques.47 In the area of cognitive learning, a study by Abel and Roediger48 found that while retrieval practice significantly outperformed passive studying for learning foreign language vocabulary, that effect was not modified by the addition of an interleaved practice schedule.

CPF는 이러한 혼재된 결과를 이해하는 데 유용한 프레임워크를 제공할 수 있다. 우리가 DD 전략을 결합하면 누적 난이도가 발생한다고 규정한다면, 학습자가 CPF 곡선의 다른 영역에 빠지는 것으로 학습의 증가 또는 감소를 찾는 연구가 설명될 수 있다. 학습자가 최적 도전 포인트를 초과하지 않는 한(즉, 그림 1의 '학습' 곡선의 증가하는 왼쪽에 머무르는 한), DD 전략을 결합하면 총 난이도가 증가하여 학습에 있어 추가적인 개선이 이루어져야 한다. 반면에, 여러 DD 전략의 조합으로 인해 [누적된 난이도]가 학습자를 최적의 도전과제OCP 바깥으로 밀어낸다면 (즉, 그림 1에서 곡선의 감소된 우측으로 교차한다.) 우리는 그 조합이 어떤 개별 DD 전략보다 더 나쁜 학습 결과를 낳을 것으로 예상한다.

The CPF may provide a useful framework to understand these mixed results. If we stipulate that combining DD strategies produces cumulative difficulty, then studies finding either increases or decreases in learning can be explained by learners falling on different areas of the CPF curve.

  • As long as learners do not exceed their Optimal Challenge Points (i.e. they remain on the increasing left-hand side of the ‘learning’ curve in Fig. 1), combining DD strategies should lead to increased total difficulty, which should produce further improvements in learning.
  • If, on the other hand, the cumulative difficulty generated by a combination of multiple DD strategies pushes learners past their Optimal Challenge Points (i.e. they cross over onto the decreasing right-hand side of the curve in Fig. 1), we would expect the combination to produce worse learning outcomes than any individual DD strategy.

CPF는 개별 DD 전략과 이러한 전략의 조합 사이에 차이가 없음을 보여주는 결과를 유사하게 설명할 수 있다. 하나의 DD 전략(또는 전략의 조합)이 학습자를 최적 과제 지점 아래로 떨어뜨리는 난이도를 만들고, DD 전략의 조합(또는 다른 조합)이 학습자를 최적 과제 지점 이상으로 밀어낸다면, 두 시나리오 모두 동일한(차선의) 장기 학습 수준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 그림 1을 참조하면, 이러한 상황은 [동일한 높이]에서 모두 하부(유지/학습) 곡선의 두 점으로 설명될 것이다. —하나는 피크의 왼쪽에 있고 하나는 피크의 오른쪽에 있습니다. 또는 DD 전략의 조합이 추가 누적 난이도를 발생시킨다는 우리의 초기 규정이 정확하지 않을 수 있다. 그들의 구조와 메커니즘에 따라, 모든 DD 전략이 부가적인 방식으로 결합되지는 않을 수 있다.

The CPF can similarly explain results showing no difference between individual DD strategies and combinations of those strategies. If one DD strategy (or one combination of strategies) creates a degree of difficulty that puts learners below their Optimal Challenge Points, and a combination (or a different combination) of DD strategies pushes learners beyond their Optimal Challenge Points, then both scenarios could result in the same (suboptimal) degree of long-term learning. Referring to Fig. 1, this situation would be described by two points on the lower (retention/learning) curve—one to the left of the peak and one to the right—both at the same height. Alternatively, our initial stipulation that combinations of DD strategies produce additive cumulative difficulty may be incorrect. Depending on their structures and mechanisms, it is possible that not all DD strategies combine in additive ways.

4 신중한 교육 설계 결정을 통한 학습 향상
4 ENHANCING LEARNING THROUGH DELIBERATE INSTRUCTIONAL DESIGN DECISIONS

HPE 연습생들은 그들의 학습 시간에 극심한 제약을 받는다. 2011년 미국에서 근무시간 제한이 시행된 이후 전공의들은 주당 최대 80시간까지 근무할 수 있도록 제한되고 있으며, 이는 그들의 교육 경험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 근무시간 제한은 교육자와 학습자 모두에게 매우 효과적인 학습 전략을 강조함으로써 전공의의 제한된 학습 시간을 최대한 활용하도록 도전해 왔다. 우리는 DD가 이러한 시간 제약 내에서 high-yield 학습을 설계하기 위해 이론 기반, 증거 기반, 실행 가능한 접근 방식을 제공한다고 믿는다. 그러나 기존 문헌과 관련 이론의 다양성으로 인해 임상의-교육자가 이러한 개념을 쉽게 적용할 수 있는 능력이 제한될 수 있으므로 혼란을 극복하고 HPE를 직접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DD에 대한 통일된 개념적 이해가 필요하다.
HPE trainees face intense limitations on their learning time. Since the implementation of duty-hour restrictions in 2011 in the United States, residents are limited to work a maximum of 80 hours per week,49 and that has directly impacted their educational experience.50, 51 Duty-hour restrictions have challenged both educators and learners to make the most of residents' limited learning time by emphasising highly effective learning strategies. We believe that DD provides a theory-grounded, evidence-based, actionable approach to design high-yield learning within those time constraints. The diversity of existing literature and relevant theories may limit clinician-educators' ability to easily apply these concepts though, so a unified conceptual understanding of DD is needed to cut through the confusion and directly enhance HPE.

본 문서는 교육자와 학습자가 DD 접근 방식이 보다 효과적이고 효율적인 학습을 촉진하는 방법과 이유에 대한 기본적인 이해를 구축하는 출발점을 제공합니다. '왜'를 이해하면 교육자와 학습자가 신중한 교육 설계 결정을 바탕으로 교육 개입을 만들고, 구현하고, 관여하는 데 힘을 발휘할 수 있습니다. 교육자의 경우, 특정 교육 설계 결정이 더 큰 학습 성공을 가져올 수 있는 이유를 더 잘 이해하면 학습에 가장 적합한 전략을 사용하여 신중한 결정을 지원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HPE 교육자와 교육생은 의도적으로 도전적인 학습 활동을 두려워해서는 안 된다. 학습자가 특정 연습을 즐기지 않거나, 초기 연습 동안 제대로 수행하지 못할 수 있다는 사실은 그것들이 효과적이지 않거나 바람직하지 않은 학습 경험이라는 것을 나타내지 않는다. 반대로, 학습자들이 열심히 공부하도록 강요하는 그러한 도전적인 연습들은 모든 것 중에서 가장 효과적인 학습 경험들 중 일부일 수 있다. DD의 이론적 토대를 이해함으로써 교육자는 학습자에게 최적의 도전을 제공하여 학습을 촉진하는 동시에 대신 해로울 수 있는 과도한 도전을 피할 수 있습니다. 학습자의 경우, '왜'를 이해하는 것은 의도적으로 어려운 연습을 통해 동기부여와 자신감을 유지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 어려움을 극복하고 힘든 일을 수용하는 습관을 기르는 것은 또한 비동기식 온라인 교육이 보편화됨에 따라 점점 더 중요해지고 있는 평생의사적 실천과 자기조절 학습에 대한 HPE 교육생들의 준비를 한다. 
This paper provides a starting point for educators and learners to build a fundamental understanding of how and why a DD approach promotes more effective and efficient learning. Understanding ‘why’ allows educators and learners to be empowered at creating, implementing and engaging in educational interventions based on deliberate instructional design decisions. For educators, a better understanding of why certain instructional design decisions can produce greater learning success helps support deliberate decisions by using strategies that are most appropriate for learning. HPE educators and trainees should not be afraid of intentionally challenging learning activities. The fact that learners may not enjoy particular exercises, or that they perform them poorly during initial practice, does not indicate that those are ineffective or undesirable learning experiences. On the contrary, those challenging exercises that force learners to work hard may be some of the most effective learning experiences of all. By understanding the theoretical underpinnings of DD, educators can work to optimally challenge learners to facilitate learning while avoiding creating excessive challenges that will instead be detrimental. For learners, understanding the ‘why’ can help maintain motivation and self-confidence through intentionally difficult practice. Building the habits of overcoming difficulty and embracing hard work also prepares HPE trainees for the lifelong deliberate practice and self-regulated learning that are becoming increasingly important as asynchronous online education becomes more and more common.52, 53

5 결론
5 CONCLUSIONS

최근 몇 년 동안 많은 연구 논문, 교과서 및 워크샵에서 DD를 통한 효과적인 교육을 위한 구체적인 전략을 공개했습니다. 그러나 특정 DD 기술을 추천하는 출판물과 그러한 기술의 이론적 근거를 탐구하는 출판물 사이에는 극명한 구분이 있었다. 본 논문에서는 NTD, CPF 및 CLT의 세 가지 구별되지만 중복되는 관점에서 DD의 이론적 메커니즘을 탐색하고 이를 적용하여 HPE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세 가지 증거 기반 DD 강화 교육 전략을 이해하였다. 인출 연습, 간격 연습 및 교차 연습. 우리는 우리의 연구가 과학 분야 전반에 걸쳐 이론과 어휘를 통합하여 특히 DD의 일반적인 것 및 [인출 연습, 간격 연습 및 교차 연습]에 대한 통일된 이론적 토대를 발전시켜 HPE에 가치를 더한다고 믿는다. 우리는 이러한 이론적 토대를 이해하는 것이 더 많은 교육자들이 이러한 접근 방식을 신중하게 적용하여 HPE 및 그 이상의 학습 결과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힘을 얻는 데 도움이 되기를 바란다.

In recent years, many research papers, textbooks and workshops have publicised specific strategies for effective education through DD (e.g. Brown et al.8 and Winn et al.54). There has been a stark division between publications recommending specific DD techniques and publications exploring the theoretical grounding of those techniques, though. In this paper, we explored theoretical mechanisms of DD from three distinct yet overlapping perspectives—the NTD, CPF and CLT—and applied them to understand three evidence-based DD-enhanced instructional strategies commonly used in HPE: retrieval practice, spaced practice and interleaved practice. We believe our work adds value to HPE by integrating theories and vocabulary across scientific disciplines to advance a unified theoretical grounding for DD in general and retrieval practice, spaced practice and interleaved practice in particular. We hope that understanding these theoretical underpinnings will help more educators feel empowered to thoughtfully apply these approaches to enhance learning outcomes in HPE and beyond.

 

 


Med Educ. 2022 Aug 11. doi: 10.1111/medu.14916. Online ahead of print.

Desirable Difficulty: Theory and application of intentionally challenging learning

Affiliations collapse

Affiliations

1Department of Pediatrics, Weill Cornell Medicine, New York, New York, USA.

2New York University Grossman School of Medicine, New York, New York, USA.

PMID: 35950522

DOI: 10.1111/medu.14916

Abstract

Context: Health professions trainees must acquire a vast amount of clinical knowledge and skills, and a deliberate instructional design approach is needed to provide trainees with effective learning strategies. One powerful yet counterintuitive strategy that facilitates long-term learning is incorporating intentional difficulties during the learning process. Difficulties that require more effort from learners may impede short-term learning but are ultimately beneficial for long-term learning and are therefore termed Desirable Difficulties.

Objectives: In this cross-cutting edge paper, we describe the Desirable Difficulty effect from three theoretical perspectives originating in different fields, discuss common evidence-based Desirable Difficulty strategies used in Health Professions Education and explore emerging research that could further optimise Desirable Difficulty-enhanced learning for health professions trainees.

Methods: We synthesise theory and research from psychology, cognitive science and Health Professions Education literatures to further the understanding and application of Desirable Difficulties. We introduce three theoretical perspectives that provide a comprehensive overview of the theoretical underpinnings of the Desirable Difficulty effect: the New Theory of Disuse, the Challenge Point Framework and Cognitive Load Theory. We then illustrate how three common Desirable Difficulty strategies in medical education research-retrieval practice, spaced practice and interleaved practice-can be understood through these theoretical lenses. Finally, we provide relevant examples from the literature and explore emerging research in this area.

Conclusions: This paper summarises the theory and empirical research on Desirable Difficulties during the learning process, from explaining what they are and why they may be effective to how they have been applied in different contexts. We argue that providing educators and trainees with a comprehensive theoretical and applied understanding of Desirable Difficulty will promote deliberate instructional design decisions and lead to more effective learning.

실천적 지혜, 의학교육의 잠자고 있는 특성? (Med Educ, 2019)
Practical wisdom, a dormant character in medical education?
Paul Paes1,2

 

실제로 [이론의 역할]은 수세기 동안 지속되어 온 논쟁이다. 교육 연구에서 이론의 의미 있는 역할은 브라운 등이 의학 교육 이번 호에서 발표한 논문의 초점이며, 그들은 발표된 연구 논문에 제시된 이론의 차이를 강조한다. 저자들은 이론이 연구에서 취할 수 있는 잠재적인 역할과 특징을 일반실천교육에서 이론의 사용에 대한 자체적인 조사를 세우기 전에 언급한다. 그들은 [이야기 속의 역할]에 대한 캠벨의 특성화에 기초하여 이론이 사용되고 표현될 수 있는 방법에 대한 프레임워크를 개발한다. 여기에는 많은 독자들에게 반향을 불러일으킬 주인공, 전조, 동맹, 멘토가 있다.
The role of theory in practice is a debate that has gone on for centuries. The meaningful role of theory in educational research is the focus of an article by Brown et al.2 in this issue of Medical Education, in which they highlight the gap in theory presented in published research papers. The authors reference the potential roles and characters that theory can take in research before setting out their own investigation of the use of theory in general practice education. They develop a framework for the ways in which theory can be used and articulated, based on Campbell's characterisation of roles in a story: the protagonist, the harbinger, ally and mentor,3 which will resonate with many readers.

모든 독자들에게 반향을 불러일으킬 것은 [이론이 상실되는 것]에 대해 저자들이 강조하는 우려이며, [중심적 역할 이론]은 의학교육 연구와 더 넓은 의학교육 그 자체에서 역할을 해야 한다. 의학 교육은 중대한 도전에 직면해 있다. 그것은 [가장 순수하고 학문적인 형태의 교육]과 [모든 인간의 혼란 속에서 이루어지는 임상적 실천] 사이의 현실 세계의 경계 지대에 자리잡고 있습니다. 최근 수십 년 동안 특히 환자 안전이 의학과 의료 교육에서 지배적인 원동력 중 하나가 되면서 [후자]의 의지인 임상 실습이 우세해졌다.
What will resonate with all readers are the concerns the authors highlight around theory becoming lost, and the central role theory should play in medical education research and in wider medical education itself. Medical education faces a major challenge. It sits in a real-world border zone between education in its purest, academic form and clinical practice in all its human messiness. In recent decades, the will of the latter, clinical practice, has predominated as patient safety in particular has become one of the dominating driving forces in medicine and medical education.

이를 통해 다음과 같은 시스템 사고를 위한 서비스 및 교육이 이루어집니다. 커리큘럼과 평가의 꾸준한 수렴과 균질화, 그리고 지역적 변이의 제거, 성과에 초점을 맞춘 교육 모델로 이어진다. 여기서 [외부 규제 및 평가]가 학습을 추진한다: 모든 사람을 위한 역량이 최우선이다.

This leads services and training towards systems thinking:

  • a steady convergence and homogenisation of curricula and assessment, and
  • removal of local variation,
  • leading to educational models that are centrally driven with a focus on outcomes.

Here, external regulation and assessment drive learning; competence for all is the major priority.

… 특히 환자 안전은 의학과 의학 교육에서 지배적인 원동력 중 하나가 되었다.
… patient safety in particular has become one of the dominating driving forces in medicine and medical education

 

이 그림에서 이론은 어디에 들어맞는가? 성과 기반 의료 교육의 평가 과정, 커리큘럼 및 초점 뒤에는 토대가 되는 이론이 있다. 그러나 이론의 지위를 바꿔놓았으며, 이와 경쟁하는 이데올로기가 무엇보다 중요해졌다. 이는 이론이 '잃어버린 등장인물'이 될 수 있는, 점점 기계적이고 서비스 중심적인 교육 모델로 초점이 옮겨음을 의미한다. 그것이 문제입니까? 만약 우리가 그들의 훈련으로부터 의사들에게 정말로 요구되는 것을 성취하는 목적을 잃는다면 그것은 문제이다.

  • 안전하며 대부분의 시간 동안 가이드라인을 준수해야 한다. 
  • 가이드라인에서 벗어나는 시점과 방식을 인식한다. 
  • 드물거나 복잡한 상황을 처리할 때 가끔 영감을 받거나 분야를 벗어날 수 있다.

Where does theory fit in to this picture? There is underpinning theory behind the assessment processes, curricula and focus of outcomes-based medical education. However, the focus has shifted from the place of theory and competing ideologies being at the forefront, to a model of education that is increasingly mechanistic and service driven, where theory can become a ‘lost character’. Is that a problem? It is a problem if we lose purpose in achieving what is really required of doctors from their training:

  • to be safe and follow guidelines much of the time;
  • to recognise when and how to deviate from those guidelines some of the time; and
  • just occasionally to be inspired or left field when dealing with rare or complex situations.

최근 의료 교육 및 서비스 제공 트렌드의 역설은 우리가 의도했던 것과 반대되는 것을 달성하고 있을지도 모른다안전 측면에서 엇갈린 결과, 불만 사항 증가, 직업적 불만 증가, 환자 관리의 과잉 의료화.
The paradox of recent trends in medical education and service delivery is that we may be achieving the opposite of what was intended: mixed results in terms of safety, with more complaints, greater professional unhappiness and an over-medicalisation of patient care.4-6

의학 교육이 번창하기 위해서는 [중심 긴장]을 관리해야 한다. 이론 대 실제, 평가 대 학습, 결과 대 개발 등이 그것이다. 균형이 깨지면 문제가 생긴다.

For medical education to flourish, core tensions need to be kept in check: theory versus practice, assessment versus learning, outputs versus development and so on. When those balances go out of harmony, there is a problem.

특정한 이론과 실제의 논쟁은 최근 몇 세기 동안 일어난 것 중 하나이다. '이론'이라는 단어를 파생시킨 그리스인들은 논쟁을 일으킬 경계선을 인식하지 못했을 것이다. 우리의 이론에 의미와 뉘앙스는 지금까지 계속 진화해왔다. 고전적인 논쟁의 초점은 [이론과 실제]에 대한 것이 아니라, [다양한 종류의 인간 활동]과 [그 활동을 가이드하고 정보를 주는 지식의 유형]에 대한 것이었다. 아리스토텔레스는 인간의 행동의 세 가지 주요 형태를 묘사했다: 이론, 포이시스 그리고 연습.

  • [테오리아]이란 사람들이 진실에 대해 배우고 이해하기 위해 하는 활동에 관한 것이다.
  • [포에시스]가시적인 결과나 생산물로 이어지는 활동에 관한 것이다.
  • [프랙시스]는 포아시스의 최종 산물보다는 실천과 행동을 통해 '좋은' 삶을 촉진하고자 하는 활동을 말한다.

The particular debate of theory versus practice is one of recent centuries. The Greeks, from whom the word ‘theory’ is derived, would not have recognised the same dividing lines. Our understanding of theory has evolved in meaning and nuance. The focus of classical debate was less about theory and practice, and more about different kinds of human activities and the type of knowledge that guides and informs them. Aristotle described three main forms of human action: theoria, poiesis and praxis.

  • Theoria is about activities that people do to learn about and understand the truth.
  • Poiesis is about activities that lead to tangible outcomes or products.
  • Praxis refers to activities that seek to promote a ‘good’ life through actions and behaviours, rather than through the end products of poiesis.

metapraxis-.pdf
0.25MB

비록 '테오리아'를 현대 이론의 개념과 연결하는 것은 이해할 수 있지만, 그것은 너무 단순한 연결이다. 만약 [이론]이 '의미있는 전체로서 전달되는 일련의 이슈에 대한 조직화된, 일관성 있는, 체계적인 표현'이라면, 포에시스와 프랙시스는 모두 명확한 이론적 토대를 가지고 있다.

  • '포에시스'조차도, 가장 실용적인 활동의 형태이지만, 최종 산물을 달성하기 위한 가장 효과적인 원리, 절차 및 조직적 방법인 명확한 이론 '테크네techne'에 의해 뒷받침된다.
  • '프랙시스'는 선을 성취하기 위해 노력하는 것이고, 가장 좋은 전반적인 행동을 결정하기 위해 '실용적인 지혜phronesis'에 의존한다.

지식, 지혜, 지성은 모두 실용적인 지혜와 관련이 있지만, 그것은 또한 고려되고 있는 특정한 상황에 따라 실제로 연결됨으로써 구별될 수 있다. 그러므로 실용적인 지혜는 이론과 실제를 함께 가져온다; 이것이 존재하려면 이론과 실재가 모두 있어야 한다. 선good을 이루기 위한 올바른 행동 방침을 결정하는 것은 상황을 아는 것에 달려 있고, 그 반대의 경우도 마찬가지이다. 또한 다양한 상황에서 무엇을 해야 하는지에 대한 숙고, 성찰, 판단이 필요하다.
Although it is understandable to link ‘theoria’ with modern concepts of theory, it is too simplistic a link. If theory is ‘an organised, coherent and systematic articulation of a set of issues that are communicated as a meaningful whole’,7 then both poiesis and praxis have clear theoretical underpinnings.

  • Even poiesis, the most practical form of activity, is underpinned by clear theory ‘techne’, the most effective principles, procedures and organisational methods to achieve the end product.
  • Praxis is about trying to achieve good and relies on ‘practical wisdom’ (phronesis) to decide on the best overall action.

Knowledge, wisdom and intellect all relate to practical wisdom, but it is also distinguishable by being routed in practice, the particular situation being considered.8 Practical wisdom therefore brings together theory and practice; it cannot exist without both. Deciding on the correct course of action to achieve good relies on knowing the situation, and vice versa. It also requires deliberation, reflection and judgement of what to do in different situations.9

[실용적 지혜]나 [프로네시스]는 다소 난해하거나 난해한 용어로 보일 수 있다. 그러나, 실용적 지혜는 이론과 실제의 상호의존성을 연결하고 강화하는 또 다른 렌즈를 제공할 수 있다.
Practical wisdom or phronesis may seem somewhat arcane or recondite terms. However, practical wisdom can provide another lens through which to bridge and reinforce the interdependence of theory and practice.

의료행위에 모멘텀 변화가 시작되고 있어 의료교육에 좋은 징조가 되고 있다. 의사 결정과 현실적 의학을 공유하고 조잡한 데이터에 대한 의존도를 낮추기 위해 사람들은 아직 공개되지 않았더라도 이론의 실천, 실천적 지혜, 이론의 교반을 볼 수 있습니다. 개인을 규약이나 가이드라인에 맞추는 것보다 우리 앞에 있는 사람을 위해 최선을 다하는 법을 배우고 생각하는 선한 일을 하고 싶은 욕망은 아리스토텔레스가 인식하고 가치 있게 여기는 것입니다. 논쟁의 각성인 변화는 이론과 그것이 교육과 실천을 형성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에 빛을 비추는 기회를 제공한다.

There is starting to be a momentum shift in medical practice, which bodes well for medical education.10, 11 In the drive towards shared decision making and realistic medicine and less reliance on crude data, one can start to see a stirring of praxis, of practical wisdom, of theory even if it is not yet overt. The desire to do good, to learn and think about how to do the best for the person in front of us, rather than fitting individuals into a protocol or guideline, is one that Aristotle would have recognised and valued. A change, a reawakening of debate, provides an opportunity to shine a light on theory and the crucial role it plays in shaping education and practice.


Med Educ. 2019 May;53(5):428-429. doi: 10.1111/medu.13832. Epub 2019 Apr 1.

Practical wisdom, a dormant character in medical education?

Affiliations collapse

Affiliations

1School of Medical Education, Newcastle University, Newcastle upon Tyne, UK.

2Palliative Care, Northumbria Healthcare NHS Foundation Trust, North Shields, UK.

PMID: 30932203

DOI: 10.1111/medu.13832

의학적 실천과 학습에서 사회물질성: 중요한 것에 조음하기(Med Educ, 2014)
Sociomateriality in medical practice and learning: attuning to what matters
Tara Fenwick

 

'과학뿐 아니라 의학에도 예술이 있고, 따뜻함, 동정심, 이해력이 
외과의사의 칼이나 화학자의 약보다 더 클 수 있다는 것을 기억할 것이다.

‘I will remember that there is art to medicine as well as science, and that warmth, sympathy, and understanding may outweigh the surgeon's knife or the chemist's drug’.

서론
Introduction


히포크라테스의 이 말은 이상적이고 확률적인 의료 관행을 제시하고 있으며, 이타적인 환자 중심성에 지나치게 초점을 맞추고 있고, 현대 기술 과학의 복잡성과는 크게 관련이 없다는 것으로 잘못 해석될 수 있다. 그러나 이 발췌문에서는 환자가 중심 초점으로 고립되어 있지 않다. 분명한 것은 나이프와 화학 물질에 더하여, 지식 그 자체, 감정과 의미와 의료행위에는 [광범위한 사회적 힘뿐만 아니라 물질적 힘]이 발동한다는 것이다. 예술과 과학에 대한 매력은 [이성적 확실성과 학문discipline]만큼이나 [창조적인 불확실성과 즉흥성에 의존하는 광대한 세계]를 불러일으킨다. 또한 히포크라테스는 이러한 힘들, 사회적, 물질적 관계들, 그리고 이러한 관계들 속에서 의사의 함축적 의미들 사이의 상호작용을 지적한다. 실제로 히포크라테스는 의사에게 이러한 광범위한 관계 속에서의 참여자로 행동할 윤리적 책임을 부과하고 있다(I will remember 이라는 표현).

Hippocrates may be misinterpreted as presenting an idealised and probabilistic medical practice, overly focused on altruistic patient-centredness and not terribly relevant to the complexities of contemporary technoscientific medicine. Yet in this excerpt the patient is not isolated as the central focus. What is clear is the invocation of broad social as well as material forces in medical practice and knowledge per se, emotion and meaning alongside the knife and the chemical. The appeal to art and science evokes vast worlds that rely upon creative uncertainty and improvisation as much as rational certainty and discipline. Further, Hippocrates points to interplay among these forces, the relationships among the social and material, and the implication of the doctor amidst these relations. Indeed, Hippocrates clearly imposes an ethical responsibility on the doctor – ‘I will remember’ – to act as a participant within these broad relations.

전문적 실천과 학습에 대한 연구에서는 일상 업무의 이러한 사회적 물질적 관계를 왜 중요한가, 그리고 일상적 실천에 영향을 미치는 미시적 역학에 대해 우리를 맹목적으로 볼 수 있는 추상적 개념들이 어떻게 선택될 수 있는가 하는 측면에서 더 정확하게 이해하는 것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사회 물질적 접근 방식에서 일하는 교육자들은 의료종사자에게 [실무, 지식 및 환경]을 한데 묶는 이 [일상적인quotidian 물질적 디테일]을 유의하도록 권고한다. – 단순히 연결고리에 매우 가깝게 조율하는 것뿐만 아니라, 조정하고 즉흥적으로, 끼어들고, 새로운 가능성을 포착하는 것도 가능합니다.

In studies of professional practice and learning more generally, there is growing interest in understanding these sociomaterial relations of everyday work more precisely in terms of why matter matters, and how the abstractions that can blind us to the microdynamics that influence everyday practices can be unpicked. Educators working from sociomaterial approaches are encouraging new practitioners to attend to these quotidian material details that stitch together their practice, knowledge and environments – not just to attune very closely to the connections, but also to tinker and improvise, to interrupt, and to seize emerging possibilities.

 

현재 문제
Current Issues

Mann1이 주장했듯이, [맥락]은 의료 실습과 실제 학습에서 중요하다. Mann은 학습이 개인의 인지 처리의 관점에서만 고려될 수 없다는 것을 보여 온 광범위한 연구자들에 합류한다. [학습의 내용과 과정]은 [특정 상황과 환자, 사용 가능한 도구, 기술, 사회적 관계 및 기타 환경적 역동]에 따라 크게 변화한다. [지식 '획득'과 전이transfer]라는 전통적인 은유는 ['참여'와 공동체에서의 적극적인 관여]라는 이해로 대체되고 있다. Mann은 '실천 공동체'에 초점을 맞춘 전문 교육, 경험적 학습 및 위치된 학습 환경에서의 어포던스가 널리 보급된 것을 정확하게 기록한다. 그녀는 이러한 ['사회 문화적' 학습] 관점이 의학 교육에 특히 유익하다고 결론짓는다.
As Mann1 has argued, context is critical in medical practice and learning in practice. Mann joins a broad river of researchers who have been showing that learning cannot be considered solely in terms of individual cognitive processing. The content and process of learning change dramatically with particular situations and patients, the tools available, technologies, social relations and other environmental dynamics. Conventional metaphors of knowledge ‘acquisition’ and transfer are being replaced with understandings of ‘participation’ and active engagement in communities. Mann2 accurately documents the widespread uptake in professional education of focus on ‘communities of practice’,3 experiential learning and affordances in situated learning environments. She concludes that these ‘socio-cultural’ learning perspectives are particularly fruitful for medical education.2

실제로, [사회문화적 지향]은 [지식은 [과학에 의해 개발되고, 실무자에 의해 구현]되는 것이라는 [고정된 개념]]을 가로막는 것으로서, 전문직 연구 전반에 걸쳐 중요하게 여겨졌다. 그러나, 실천적 접근은 보수주의, 관리주의, 직장에서의 권력 관계의 제한된 분석뿐만 아니라, '공동체'와 전문적 업무에서의 실천에 대한 일반적이고 거의 낭만적인 개념으로 비판을 받아왔다.
Indeed, socio-cultural orientations have been important across professional studies for interrupting fixed notions of knowledge as developed by science and implemented by practitioners. However, the community of practice approach has been critiqued not only for its conservatism, managerialism and limited analysis of power relations in workplaces, but also for its generalised and almost romantic notions of both ‘community’ and practice in professional work.4, 5

추가 이슈는 더 자세히 개발될 것입니다.

  • 첫째, 연구자들은 재료들이 능동적으로 실천과 지식을 구성하는 방법에 대해 훨씬 더 많은 인식을 요구해 왔다. 
  • 둘째로, 학생을 포함한 의료 종사자들이 직면하고 있는 실질적인 도전은 단지 다른 관점이나 의미뿐만 아니라 서로 다른 온톨로지, 즉 서로 다른 사회 물질 '세계'가 수행되고 있다는 측면에서 점점 더 이해되고 있다. 
  • 셋째, 증거 기반 프로토콜과 일상적인 실습 사이의 단절에 대한 구체적인 문제가 소개되어 의료 학습에서 이러한 일반 모델의 역할과 실습의 복잡성에서 정확히 무슨 일이 일어나고 있는지에 대한 의문이 제기된다. 

이 절을 통해 알 수 있듯이,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고군분투하는 연구자들은 새로운 이론에 도달했다. 이것들은 여기서 사회 물질적 접근이라고 널리 언급되며, 다음 절에서 설명될 것이다. 먼저, 이러한 접근법으로 이어지는 현재 문제의 예를 살펴보자.

Further issues will be developed in more detail.

  • Firstly, researchers have pressed for much more recognition of the ways that materials actively configure practice and knowing.
  • Secondly, practical challenges facing medical practitioners including students are increasingly being understood in terms of different ontologies – different sociomaterial ‘worlds’ being performed – not just different perspectives or meanings.
  • Thirdly, specific challenges about the disconnection between evidence-based protocols and everyday practice are introduced, raising questions about the roles of these general models in medical learning, as well as about what exactly is happening in the complexities of practice.

As we see throughout this section, researchers grappling with these issues have reached for new theories. These are broadly referred to here as sociomaterial approaches, and will be explained in the subsequent section. First, let us examine examples of current issues leading to these approaches.

놓치고 있는 것
Missing matter

물질matrerial(things that matter)은 종종 학습을 설명할 때 누락된다. 물질은 [인간 행동의 배경의 일부로 무시]되거나, [의식과 인식에 대한 선입견에서 무시]되거나, [인간의 의도와 설계에 종속된 그저그런brute 도구의 지위]로 밀려나는 경향이 있다. 그러나 의료 실무에서 항생제 및 진통제, 기관지 확장제 및 심전도, 카테터 및 복강경, 정책, 데이터베이스 및 프로토콜 등 특정 환경에서 사용할 수 있는 특정 종류의 재료와 그에 따른 권한의 가중치는 의료 지식뿐만 아니라 의료 지식도 근본적으로 형성한다. 맥락이 중요할 수는 있지만, 단순히 맥락을 [추상적인 컨테이너]로 이해하는 것은, 이 무수한 [비인간적 요소들]뿐만 아니라 맥락의 특정한 역학을 형성하는 [인간 요소들] 사이의 관계의 소란을 놓치는 것이다. 스톨리 박사는 환자의 안전이 종종 물질성에 대한 주의 부족으로 인해 위험에 처한다고 주장한다. 복강 내부에 밸브가 거의 남겨둘 뻔한 프로시져나, 가파른 기울기에서 마찰이 없는 테이블 매트를 가로질러 미끄러질 때 환자가 거의 떨어질 뻔한 사건을 포함하여, [환자, 보건의료인, 루틴과 함께 작용하는 물체 사이의 관계에서, 어떤 방식으로 서로를 변형시켜 위험한 상황을 만드는지]를 보여준다. 스들리는 의사들이 물질들이 실제로 어떻게 작용하는지에 대한 미시적인 세부사항들에 훨씬 더 익숙해지는 법을 배워야 한다고 주장한다.

Materials – things that matter – are often missing from accounts of learning. Materials tend to be ignored as part of the backdrop for human action, dismissed in a preoccupation with consciousness and cognition, or relegated to the status of brute tools subordinated to human intention and design. Yet clearly in medical practice, the particular kinds of materials available and the weight of authority ascribed to them in certain settings – antibiotics and analgesics, bronchodilators and electrocardiograms, catheters and laparoscopes, policies, databases and protocols – fundamentally shape practice as well as medical knowledge. Context may be critical, but to understand context simply as an abstract container is to miss the turmoil of relationships among these myriad non-human as well as human elements that shape, moment to moment, particular dynamics of context. Bleakley6 contends that patient safety is frequently put at risk precisely by lack of attention to materiality. His examples, which include that of a procedure in which a valve was almost left inside an abdominal cavity, and that of an incident in which a patient almost fell when a gel mat slid across a frictionless table mattress in a steep tilt, show how it is the relationships among objects acting together with patients, health personnel and routines that transform one another to create risky situations. Bleakley argues that doctors must learn to become much more attuned to the micro-details of how materials act in practice.6

'물질적 퍼포먼스'로서의 실질적인 과제
Practical challenges as material performances

의학교육의 주요 과제 중, 의과대학에서 의과대학으로의 주니어 의사들의 문제적 전환과 이러한 전환에 수반되는 오류에 대한 일반적인 위험은 친숙한 논의 주제이다.7 그러나, 최근의 연구는 물질적 세계가 어떻게 과도기를 수행하는 의사들의 학습에 관여하는지에 대해 더 가까이서 관찰했다. 예를 들어, Kilminster 등은 기존의 학습 모델들이 의대생들이 접하는 [일상적인 물질적 장벽]이나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배우는 즉흥성]을 설명하지 않는다는 것을 발견했다. Orlikowski에 따라, 우리는 학생들의 정체성과 활동이 [특정한 행위를 구성하는데 작용하는 물질적 대상과 테크놀로지]와 관련하여 수행된다고 말할 수 있다.
Among the major challenges in medical education, the problematic transition of junior doctors from medical schools to wards and the general risks for error that accompany these transitions are a familiar topic of discussion.7 However, recent studies have attended more closely to how material worlds are involved in the learning of doctors undertaking transition. Kilminster et al.,8 for example, have found that conventional models of learning do not explain the everyday material barriers that medical students encounter or the improvisations they learn to work around these problems. We could say, following Orlikowski,9 that students’ identities and activities are performed into being, in relation with the material objects and technologies that act to configure particular practices.

[새로운 테크놀로지]는 (초보자들에게 뿐만 아니라) 지속적인 실질적인 도전을 제기한다. 이러한 구현은 여전히 합리주의적인 [습득-및-전이 모델]에서 진행되며, 종종 직원 워크숍(인쇄된 정보의 큰 바인더로 완성됨)에 이어 실제 구현을 모니터링하기 위한 평가까지 이어진다. 그러나 연구자들은 [구현의 실패]는 많은 물질적 요인에 달려 있으나, 그것은 거의 인식되지 못한다는 것을 발견했다. Allan은 환자 안전과 같은 새로운 통합 치료 경로가 종종 다른 논리를 따르고 다른 실천의 세계를 수행하는 기록 보관 공예품과 같은 기존의 물질적 인프라를 어떻게 방해하는지를 보여준다(범용화된 시스템이 아닌 개별화된 환자 기록). [새로운 시스템]은 말 그대로 [새로운 실천의 세계]를 도입하여, 상충되는 일련의 퍼포먼스를 생산한다. 그러나 임상의사들은 여러 퍼포먼스를 동시에 저글링하는 데 능숙하기 때문에, 앨런이 기록한 바와 같이, [서로 연결되지 않는 문서 기록물]이 쏟아져 나온다.
New technologies also pose continual practical challenges, and not only to novices. The implementation of these still tends to proceed from a rationalist acquire-and-transfer model, often through staff workshops (complete with large binders of printed information) followed up with appraisals to monitor implementation in practice. Yet researchers are finding that failure to implement relies on a host of material factors that are rarely acknowledged. Allan shows how new integrated care pathways, such as for patient safety, often interfere with existing material infrastructures such as record-keeping artefacts that follow a different logic and perform a different world of practice (individualised patient records rather than a universalised system).10 New systems literally introduce a new world of practice, producing a conflicting set of performances. Clinicians, however, are adept at juggling multiple performances simultaneously, and thus results the flurry of paper records that don't connect, as Allan10 documents.

또한, 전문직군 간 의료행위IPP는 의료 분야에서 주요 과제를 계속 제시하는데, 이는 [임상의사들 사이의 우선순위 및 언어, 중복되지만 결합되지 않은 서비스, 상호 신뢰 문제] 등과 관련이 있다. 이러한 문제에 대한 사회적, 문화적 해석을 넘어, 연구자들은 [전문 분야 간 실무에서 물질적 협상]에 점점 더 초점을 맞추고 있다. 그들은 특정 임상의사 그룹에게 특히 중요한 [기구나 텍스트]가, 어떻게 독특한 접근방식을 중개하거나, 심지어는 고정anchor시키는지 추적한다. 그들은 또한 서로 다른 실무자들이 서로 다른 방법, 다른 구체화된 관행 및 다른 인프라로 서로 다른, 심지어 상충되는 사회 물질 세계를 실제로 어떻게 수행하는지 보여준다. 이러한 연구는 현재 [서로 다른 물질적 '온톨로지'] 및 [의료종사자는 그 안에서 그리고 그것들 사이에서 일하는 법을 어떻게 배우는지]에 대해 중요한 질문을 제기하고 있으며, 그 내용은 나중에 더 언급될 것이다.

In addition, interprofessional practice continues to present major challenges in health care, which concern conflict in the priorities and languages of different clinicians, services that overlap but are not joined up, issues of mutual trust, and so forth. Moving beyond social and cultural interpretations of these issues, researchers have increasingly focused on material negotiations in interprofessional practice.11, 12 They trace how instruments or texts that have particular importance for different groups of clinicians mediate and even anchor their unique approaches. They also show how different practitioners actually perform different, even conflicting, sociomaterial worlds with different methods, different embodied practices and different infrastructures. These studies are now raising significant questions about different material ‘ontologies’ and how practitioners learn to work within and across them, about which more will be said later.

증거 기반 관행은 어디에서 왔는가?
Whence Evidence-Based Practice?

근거 기반 관행은 [통제, 즉 바람직한 결과를 도출하리라고 신뢰할 수 있는 표준화된 프로토콜]의 이상을 가정한다. 그러나 프로토콜은 [실천의 중요한 세부 사항을 추적]해보면, [종이에 나타나는 것보다, 또는 대부분의 실무자들이 인정하는 것보다] 훨씬 더 조건에 따라 달라짐contingent이 입증되었다. 실제로, [표준화된 관행]은 종종 일부 환경에서 문제가 있을 뿐만 아니라, 비판적이고 유연한 사고를 억제하는 퇴적된sedimented 패턴을 나타낸다. 예를 들어, 그루프먼은 이러한 퇴적된 패턴에서 얼마나 많은 의학적 진단 오류가 발생하는지 보여줍니다.

  • 가용성 진단(자신의 물질적 현실에서 가장 빈번한 것으로부터 해결책을 제시함)
  • 앵커링(물질적 현실을 가장 친숙하거나 바로 보이는 하나의 강력한 세부 사항과 결합한다), 
  • 또는 확증 편향(선입견이나 희망적 사고에 맞는 물질적 현실을 제시함)

Evidence-based practice presumes an ideal of control, of standardised protocols that can be relied upon to produce desirable results. Yet protocols have proven to be far more contingent when one traces the material details of practice than they ever appear on paper, or than most practitioners are prepared to admit.13, 14 Indeed, standardised practices often represent sedimented patterns that are not only problematic in some settings, but also stifle critical and flexible thinking. For example, Groopman15 shows how many patterns of medical diagnostic error accrue from these sedimented patterns, referring to

  • availability diagnosis (selecting a solution from those most frequent in one's material reality),
  • anchoring (framing material reality with one powerful detail that is most familiar or immediately visible), or
  • confirmation bias (wanting material reality to fit one's preconceptions or wishful thinking).

슈베르트와 같은 다른 사람들은 [의료행위의 우발성contingency과 부분적 해결책]을 조사하여 [신체, 기구, 기타 상충되는 프로토콜, 조직 환경의 특정 물질적 제한]에 의해 [프로토콜이 어떻게 수정되는지]를 보여주었다. 네덜란드의 한 병원에서 당뇨병 관리를 관찰하는 그녀의 오랜 연구에서, Mol17은 임상 실습이 형태를 만들고 변화하는 것을 지켜봤고, 그것들이 '끝없이 구체적이고 놀랍다endlessly specific and surprising'고 결론지었다. 깔끔하고 체계적인 치료 계획 및 프로토콜에도 불구하고 일상적인 치료는 [다루기 힘든 물질에 지속적으로 적응]해야 합니다. 

  • 기술과 신체는 행동하지 않을 수 있다;
    환자들은 실수하고 싶은 유혹을 받을 수 있다.
    그리고 모든 종류의 지저분하고, 냄새나고, 피비린내 나고, 무섭고, 지루한 활동들은 하기 어렵다.

Others, like Schubert,16 have examined the contingency and partial solutions of medical practice, showing how any protocol becomes modified by particular material limitations of bodies, instruments, other conflicting protocols, and organisational settings. In her lengthy study observing diabetes care in a Dutch hospital, Mol17 watched clinical practices taking shape and shifting, and concluded that they were ‘endlessly specific and surprising’. Despite neat and systematic treatment plans and protocols, daily care must continually adjust to unruly materialities:

  • technologies and bodies may not behave;
    patients may be tempted to err,
    and all sorts of messy, smelly, bloody, frightening and tedious activities are difficult to do.

Mol은 '과제를 숙달했더라도, 통제는 착각이다Control is an illusion even if you master the tasks'라고 결론짓는다. 거의 같은 방식으로 그루프만의 의사들은, 이용할 수 있는 의학 지식의 한계와 만일의 사태에 대한 불확실성이 있어서, 대부분 '그냥 만들어낸 것'이라고 주장한다. 그렇다면 지식, 기술, 증거 기반 프로토콜에 대한 숙달이 아니라면, 의료 관행이란 무엇일까요? 분명히, 물질은 중요하지만, 정확히 사회물질적 관점이 무엇이며, 이것들이 학습과 어떻게 관련이 있는가?

Mol concludes that ‘Control is an illusion even if you master the tasks’.17 In much the same way, Groopman's doctors claim they are, mostly, ‘just making it up’, given the limitations in available medical knowledge and the uncertainties of contingency.15 So if it is not mastery of knowledge, skill and evidence-based protocols, what then is medical practice? Clearly, materials matter, but what exactly are sociomaterial perspectives and how are these relevant to learning?

사회 물질적 관점
Sociomaterial Perspectives

사실, 다양한 이론들은 각각 다른 관점과 목적을 가진 '사회물질적(인 것)'이라고 기술될 수 있다. 이 간략한 기사의 목적은 이러한 이론에 걸쳐 공유된 특정 약속과 접근 방식에 대한 매우 일반적인 소개를 제공하는 것이다. 물론 이 전술의 위험은 유용한 이론적 세부사항과 토론이 불가피하게 모호해지고, 지나치게 단순화되거나 생략될 것이라는 점이다. 그러나 이러한 새로운 이론적 지형의 다른 지역에서 열린 의료 실무와 교육에 대한 기여의 범위와 질문을 지적하는 데 있어 얻을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여기서는 특히 어떤 하나의 이론을 유일한 또는 '최고의' 사회 물질적 접근법으로 홍보하는 것은 피할 것이다.
In fact, a range of theories can be described as sociomaterial, each with distinct perspectives and purposes. The objective of this brief article is to provide a very general introduction to certain shared commitments and approaches across these theories. The danger of this tactic, of course, is that useful theoretical details and debates necessarily will be obscured, over-simplified or omitted. However, there are advantages to be gained in pointing to the range of contributions and questions for medical practice and education that are opened in different regions of this new theoretical landscape. This also avoids promoting any one theory in particular as the only or ‘best’ sociomaterial approach.

이 모든 관점이 공유하는 첫 번째는, [일상 업무에서 인간 활동과 맞물려 있는 역동적인 물질에 초점]을 맞추는 것이다. 이것은 Orlikowski9가 '사회와 물질의 구성적 얽힘'이라고 표현한 것이다.

'물질'은 유기적이고 무기적이며, 테크놀로지적, 자연적으로 존재하는 우리 삶의 모든 일상적 물질들을 말합니다:

  • 살과 피, 형태와 체크리스트, 진단 기계와 데이터베이스, 가구와 패스워드, 눈보라, 죽은 세포 구역 등.

'사회적'은 상징과 의미, 욕망과 두려움, 문화적 담론을 의미한다. 물질적 힘과 사회적 힘 모두 일상적 활동을 이끌어내는 데 상호 연관되어 있다. 

What all of these perspectives tend to share, first, is a focus on materials as dynamic and enmeshed with human activity in everyday practices. This is what Orlikowski9 describes as ‘the constitutive entanglement of the social and material’.

‘Material’ refers to all the everyday stuff of our lives that is both organic and inorganic, technological and natural:

  • flesh and blood; forms and checklists; diagnostic machines and databases; furniture and passcodes; snowstorms and dead cell zones, and so forth.

‘Social’ refers to symbols and meanings, desires and fears, and cultural discourses. Both material and social forces are mutually implicated in bringing forth everyday activities.

이것은 [(비록 객체와 연결을 발달시키는 분리된 주체이지만) 객체와 주체가 [상호 작용inter-act]한다]는 가정을 넘어서는 관계에 대한 이해이다. 대신에, [사회 물질적 설명]은 물리학자 바라드가 자연, 기술, 인간성, 모든 종류의 물질의 이기종 요소들의 [내부 작용intra-action]이라고 설명하는 것을 조사한다. 이러한 [요소들과 힘들은 서로 [침투]하여 (그럼으로써 함께 작용하여)], 일상 생활의 [견고한, 분리된, 불변의 물체처럼 보이는 것]을 이끌어낸다. 파동이나 입자와 같은 것들은 우리가 일상적인 물질들을 관찰하고, 일하고, 의미를 만들기 위해 사용하는 바라드가 말하는 'apparatuses'에 따라 특별한 방식으로 나타난다. 우리가 apparatuses를 관찰하고 작업하면서, 우리는 주체와 객체를 정의하는 범주를 만듭니다. 물질의 이러한 '절단'은 (주체와 물체, 활동 및 현상)을 정의하는 경계를 만들지만 [새로운 가능성]을 열어준다. 인과관계를 [원인과 결과 사이의 선형적 관계]가 아니라, [놀라운 효과를 만들어내는 얽힘]을 지칭하는 것으로 다시 생각하는 것이다.

This is an understanding of relationships that pushes beyond assumptions that objects and subjects inter-act, as though they are separate entities that develop connections. Instead, sociomaterial accounts examine what the physicist Barad18 describes as the intra-actions of heterogeneous elements of nature, technologies, humanity and materials of all kinds. These elements and forces penetrate one another – they act together – to bring forth what appear to be the solid, separate, immutable objects of everyday life. Things like waves or particles emerge in particular ways according to what Barad18 calls the ‘apparatuses’ that we use to observe, work with, and make meaning of everyday materials. As we observe and work with them, we create categories that define subjects and objects. These ‘cuts’ in matter create boundaries that define (subjects and objects, activity and phenomena) but also open new possibilities. This is a rethinking of causality as referring to entanglements with surprising effects, not linear relations between causes and effects.

여러 이론이 공유하는 두 번째 이해는 이것이다. [모든 물질 또는 더 정확히 말하면, 모든 [사회물질적 객체objects]는 사실 [이질적인 집합체]라는 것입니다. 그것들은 자연적, 기술적, 인지적 요소들의 이질적인 모임이다. 모든 개체는 도구, 장비, 프로토콜 또는 증거에 관계없이 이러한 모임의 역사history를 [설계와 축적된 사용]을 협상할 때 포함시킨다. 의학이나 의학교육의 특정한 관행을 연구할 때, 연구자들은 특정한 요소들이 어떻게 그리고 왜 조립되는가, 왜 어떤 요소들은 포함되고 다른 요소들은 제외되는가, 그리고 가장 중요한 것은 요소들이 그들이 활동할 때 어떻게 변화하는지 묻는다. 스들리는 행위자-네트워크 이론(ANT)과 같은 분석을 위한 사회 물질적 프레임워크가, 의학 교육에 명백하게 유용함에도 불구하고, 사람과 사물 사이의 관계를 강조하는데 일반적으로 사용되지 않는 것에 놀랐다고 선언한다. 이러한 관계를 통해, 사람과 사물은 새로운 문제나 가능성을 만들기 위해 서로를 번역한다.
This is a second shared understanding: that all materials or, more accurately, all sociomaterial objects, are in fact heterogeneous assemblages. They are gatherings of heterogeneous natural, technical and cognitive elements. All objects embed a history of these gatherings in the negotiation of their design and accumulated uses, whether they are instruments, equipment, protocols or evidence. In examining particular practices of medicine or medical education, researchers ask how and why particular elements become assembled, why some elements are included and others excluded, and, most importantly, how elements change as they come together, as they intra-act. Bleakley6 declares that sociomaterial frameworks for analysis, such as actor–network theory (ANT), are so obviously useful to medical education he is surprised they aren't commonly used to highlight the relationships among people and objects. Through these relationships, people and objects translate one another to create new problems or possibilities.


셋째, 사회 물질적 관점은 인간과 비인간, 하이브리드 및 부품, 지식과 시스템 등 [모든 것을 연결과 활동의 효과]로 본다. 모든 것은 [관계의 거미줄]에서 수행된다. '행위자agents, 그들의 차원, 그들의 존재와 행동은 모두 그들이 관여하는 관계의 형태에 달려 있다.' 물질은 inert한 것이 아니라 enacted된다. Materials은 물질matter이며, 중요하다matter. 다른 유형의 사물 및 힘과 함께, [물질materials는 활동activity을 배제하고, 초대하고, 규제하기 위해 행동act]한다. 이것은 물체에 에이전시가 있다고 주장하는 것이 아니다. 바늘은 정맥에 저절로 들어가지 않는다. 그러나, 캐뉼러에서, 많은 것들이 의사의 손과 함께 결합되어 작용한다: 정맥 직경 및 벽 구성, 흐름, 바늘 크기, 이전 캐뉼러 부위, 박테리아, 환자 상태, 경쟁 병동 요구 등. 어떤 의료 행위도, 개인의 능력만의 문제가 아니며, 집합적 사회물질적으로 집행된다.

Thirdly, a sociomaterial perspective views all things – human and non-human, hybrids and parts, knowledge and systems – as effects of connections and activity. Everything is performed into existence in webs of relations: ‘the agents, their dimensions and what they are and do, all depend on the morphology of the relations in which they are involved’.19 Materials are enacted, not inert; they are matter and they matter. They act, together with other types of things and forces, to exclude, invite and regulate activity. This is not to argue that objects have agency: a needle does not hop into a vein by itself. Yet, in cannulation, many things act in assemblage with the doctor's hands: vein diameter and wall composition; flow; needle size; previous cannulation sites; bacteria; the patient's condition; competing ward demands, and so on. Any medical practice is a collective sociomaterial enactment, not a question solely of an individual's skills.

 

서로 다른 관심사와 접근 방식
Different interests, different approaches

보다 심층적인 탐구에 관심이 있는 사람들을 위해, 이러한 사회 물질적 관점에 대한 완전한 입문서는 다른 곳에서 이용할 수 있다. 전문적 실천과 학습에 대한 현대 연구에서 가장 자주 나타나는 것은 ANT와 '애프터 ANT', 실천 이론, 복잡성 이론, 새로운 지리학, '새로운 유물론' 및 활동 이론이다. 행위자-네트워크 이론은 후기구조주의 지향에서 등장하며, 라투르와 몰과 같은 주요 저자들 사이의 많은 내부적 경쟁을 감안할 때, 이론이라기보다는 감성의 확산 구름에 가깝다. '관계적 중요성', '물질적 기호학', STS(과학기술 연구), '사회-기술' 연구와 같은 문헌의 많은 용어들은 ANT와 core commitment을 공유한다. 그것의 지속적인 영향력은 네트워크화된 현실관이며, 특정한 활동, 사물 및 지식을 생성하기 위해 지속적으로 조립하고 재조립하는 '네트워크'의 동등한 기여자로서 인간과 비인간 요소를 급진적으로 다루는 것이다. 교육에 대한 ANT와 '애프터 ANT' 연구에 대한 장문의 토론을 이용할 수 있다. 
For those who are interested in more in-depth exploration, a full primer to these sociomaterial perspectives is available elsewhere.20 Those that appear most frequently in contemporary research of professional practice and learning include ANT and ‘after-ANT’ approaches, practice theory, complexity theory, new geographies, ‘new materialisms’, and activity theory. Actor–network theory emerges from post-structural orientations, and is more of a diffuse cloud of sensibilities than a theory given its many internal contestations among key writers such as Latour21 and Mol.11, 17 Many terms in the literature, such as ‘relational materiality’, ‘material semiotics’, STS (science and technology studies) and ‘socio-technical’ studies share core commitments with ANT. Its lasting influences are a networked view of reality, and a radical treatment of human and non-human elements as equal contributors to the ‘networks’ that continually assemble and reassemble to generate particular activities, objects and knowledge. A lengthy discussion of ANT and ‘after-ANT’ studies in education is available.22

[복잡성 이론]은 상당히 다른 지향을 가지고 있다. 그것은 사회학에서가 아니라 주로 진화생물학과 물리학(사이버네틱스 및 일반 시스템 이론)에서 나타나는 또 다른 범위의 경쟁적 접근을 수용한다. Barad와 같은 복잡성 이론가들은 전문직 교육에 대한 연구에서 특히 영향력을 갖게 되었고, 우리가 아는 실천에서 '발현emergence', 회절 및 연결성의 역학을 연구할 것을 제안한다. 새로운 인간과 문화적 지형에 눈을 돌리면, 이 이론들은 그들이 어떻게 사회적 생산을 돕는지 보여주기 위해 전문적 실천의 물질적 공간과 장소를 조사하지만, 또한 인간의 활동과 의미에 의해 생산된다. 펜윅 등에서는 도린 매시, 데이비드 하비, 나이젤 트리프트, 앙리 르페브르와 같은 지리학자들이 널리 인용되고 있다. 그러나 교육에서 많은 관심을 끌고 있는 또 다른 연구 분야는 스스로를 '새로운 유물론new materialisms'을 언급하는 것으로 묘사하고 있다. 이들은 종종 특정 사회적, 물질적 힘이 어떻게 매우 다른 존재의 방식을 만들어내는지 조사하기 위해 immanence, 창의성, 집합성의 아이디어와 같은 철학자 질 들뢰즈의 아이디어에서 작업한다.

Complexity theory is quite different in orientation; it embraces another range of competing approaches emerging not from sociology, but chiefly from evolutionary biology and physics (as well as cybernetics and general systems theories). Complexity theorists such as Barad18 have become particularly influential in studies of professional education, and suggest that we examine dynamics of ‘emergence’, diffraction and connectivity in practices of knowing. Turning to new human and cultural geographies, these theories examine the material spaces and places of professional practice to show how they help produce the social, but are also produced by human activity and meaning. In professional education research as explained in Fenwick et al.20, geographers such as Doreen Massey, David Harvey, Nigel Thrift and Henri Lefebvre are widely cited. Yet another branch of studies that is gaining much traction in education describes itself as referring to the ‘new materialisms’.23, 24 These often work from the ideas of the philosopher Gilles Deleuze, such as those of immanence, creativity and assemblage, to examine how particular social and material forces bring forth very different ways of being.

분명히 이 짧은 기사는 전문 학습 연구에서 점점 더 중요해지고 있는 'practice theory'을 홍보하는 것을 포함하여 사회 물질적 초점과 관련된 많은 추가적인 관점을 다룰 수 없다. 이 모든 이론의 한계에 대한 논의도 여기서 생략한다. 예상대로 비판과 반론자들이 넘쳐나고, 다른 곳에서 발견될 수도 있다. 그러나 배제된 한 가지 특히 두드러진 관점은 어느 정도 설명할 가치가 있다. 바로 [문화-역사 활동 이론, CHAT]으로, 엥게스트룀의 전문적인 연구에 가장 많이 관련되어 있다. 이 이론은 건강관리 연구에서 널리 채택되었고 방법론적으로 철저히 개발되었다. 그러나, 그것의 세계관과 지식의 본질은 여기서 설명하는 다른 이론 분야에서 채택된 입장과 질적으로 다르다. 

  • 첫째, 다른 것들은 본질적으로 후기구조주의적이고 비규범적인 반면, CHAT는 자본주의 생산의 관계와 활동 시스템의 내부 모순에 대한 구조적인 마르크스주의 설명에 뿌리를 두고 있다. 
  • 둘째로, CHAT는 인간 활동 시스템을 중재하는 데 도움이 되는 물질적 유물의 중요성을 인정하지만, 이것은 인간 활동(예: 노동, 문화적 규칙과 언어, 시스템에서 인간의 목적과 의미 등)에 대해 가지는 중심적 관심사에 이어 부수적인 것secondary이다. 

Obviously this short article cannot address the many additional perspectives relevant to a sociomaterial focus, including those promoting ‘practice theory’, which are increasingly important in studies of professional learning.25, 26 Also omitted here are discussions of all these theories’ limitations. Critique and rejoinders abound, as one might expect, and may be found elsewhere.20 However, one particularly prominent perspective that has been excluded deserves some explanation: this is cultural–historical activity theory or CHAT, most associated in professional studies with Engeström.5 This theory has been widely taken up in health care research and is thoroughly developed methodologically. However, its views of the world and the nature of knowledge arguably differ qualitatively from the positions adopted by the other theory fields described here.

  • Firstly, whereas the others are essentially post-structural and non-normative, CHAT is rooted in a structural Marxist explanation of the relations of capitalist production and the internal contradictions of activity systems.
  • Secondly, whereas CHAT acknowledges the importance of material artefacts that help mediate human activity systems, this is secondary to its central concern for human activity, which encompasses the division of labour, cultural rules and languages, and the human purposes and meanings in the system. 

따라서, CHAT는 의학 교육 연구자들에게 분명히 중요하지만, 그것의 다른 지향의 결과로, 그것은 이 기사를 위해 남겨지고 있다. 여기서 '사회 물질' 이론이 의미하는 것은 ANT, 복잡성 이론, 새로운 지리 및 새로운 물질주의에서 발생하거나 영향을 받는 이론이다. 이것들은 [실천]이란 [인간 이상의 것]이며, 활동과 학습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인간의 의미와 인간 에이전시에 대한 선입견을 넘어설 필요가 있다]는 가정으로부터 시작된다.

Thus, CHAT is clearly important for medical education researchers, but, as a consequence of its different orientation, it is being set aside for this article. Here, what is meant by ‘sociomaterial’ theories are those accruing from or influenced by ANT, complexity theory, new geographies and new materialisms. These begin with the assumption that practice is more than human, and that to understand activity and learning we need to move beyond preoccupations with human meanings and human agency.

 

물질이 어떻게 실무 및 프로토콜에 중요한가
How matter matters in practices and protocols

Barad는 다음과 같이 쓰고 있다: '앎을 실천하는 것은 세상을 재구성하는 [특정한 물질적 참여]에의 관여이다.' 
Barad writes: ‘Practices of knowing are specific material engagements that participate in (re)configuring the world’.18

물질적 참여와 얽힘entanglement로서의 건강 관리 관행에 대한 면밀한 검토는 실제로 [실천이 고유한 사회 물질적 세계를 형성한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Mol11의 고전적인 연구는 실험실, 의사-환자 진료소, 방사선과, 수술실에서 제정된 이후, 하퇴부 동맥경화증의 치료법을 조사했다. Mol은 죽상동맥 경화증이 이러한 각각의 연습 환경에서 매우 다른 것으로 구체화되었다고 결론지었다. [방법, 담론, 기구의 고유한 집합]마다 서로 다른 세상을 만들었을 뿐만 아니라, 각 환경에서 다른 대상(즉 서로 다른 죽상동맥 경화증)을, 서로 다른 진단 및 치료와 함께 만들었다. 그런 다음 실용적인 질문은 우리가 어떻게 서로 다른 실천 속 앎(knowing-in-practice)세계를 결합할 수 있는지 언급하는데, 비록 그들이 그들 나름의 방법으로 [사회물질적 구성]을 통해 [다른 대상]을 생산하지만, 각각은 [같은 대상]에 관여하는 것처럼 보인다. 증거 기반 관행은 각 환경에서 기능하는 것은 의심의 여지가 없지만, 우리가 근본적인 차이를 이해하고 그들 사이에서 협상하려면 더 광범위하고 유연한 조정이 필요할 수 있다.
Close examination of health care practice as (socio) material engagement and entanglement has shown that, in fact, practices form unique sociomaterial worlds. A classic study by Mol11 examined the treatment of lower-limb atherosclerosis, following its enactment in the laboratory, doctor–patient clinic, radiology department and operating theatre. Mol11 concluded that atherosclerosis materialised as a very different thing in each of these practice settings. A unique assemblage of methods, discourses and instruments not only created a different world, but also produced a different object – a different atherosclerosis – in each setting, with different diagnostics and treatments. The practical question then refers to how we might patch together these different worlds of knowing-in-practice, which each appear to be engaging with the same object, even though they are producing a different object through the sociomaterial configurations of their own methods. Evidence-based practices are no doubt functioning in each setting, but a broader, more flexible attunement may be necessary if we are to appreciate fundamental differences and negotiate among them.

표준화된 프로토콜의 실제 사회 물질적 관행에 대한 연구는 사실, 엄격한 프로토콜조차도 항상 일종의 유연한 팅커링과 함께 독특한 방식으로 수행된다는 것을 발견했다. 급성 치료 환경에서 심폐소생술을 시행한 한 연구에서, 티머먼스와 버그는 80건 대부분의 경우에서 [프로토콜이 의도한 대로 지켜지지 않는다는 것]을 발견했다. 명시되지 않은 약물이 도입되었고, 절망적인 환자, 불안한 가족 또는 사용할 수 없는 장비의 경우 엄격한 지침이 변경되었다. 다시 말해서, 소위 표준이라고 불리는 것은, 실제로는 상호 작용interplay이며, 저자들이 '지역적 보편성local univerality'이라고 부르는 것에서 항상 새롭게 수행된다. 

Research into the actual sociomaterial practice of standardised protocols has found that, in fact, even strict protocols are always performed in unique ways with a sort of flexible tinkering. In one study of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practice in acute care settings, Timmermans and Berg27 found that in most of 80 cases protocol was not followed as intended. Drugs not specified were introduced, strict directives were altered in instances of hopeless patients, anxious families or non-available equipment. In other words, so-called standards are actually interplays, always performed anew in what the authors call ‘local universality’.27

더욱이, 의료 행위 표준의 사회적 중요성을 더 광범위하게 조사하여, 티머먼스와 버그는 [프로토콜이란 것이 어떤 방식으로 일시적인 성취인지] 보여준다. 프로토콜 설계자, 기금 기관, 관련된 의사들의 다양한 그룹, 환자의 희망과 욕망, 조직 시설, 실험실 능력, 제약 회사 및 환자 자신의 장기 탄력성을 포함한 [여러 가지 궤적이 한 순간에 함께 모인다]. 실제로 이러한 [궤적은 수행 순간의 연속적인 내부 작용intra-actions을 통해 '결정화crystallised']된다. 연구에서, 우리는 인간과 인간이 아닌 다양한 에이전트들이 상호 작용하여 문제가 되는 것들을 포함한 특정한 결정화를 만들어내는 것에 전체적으로 주의를 기울일 필요가 있다. 이에 대한 한 가지 예는 수술 체크리스트의 사용 관행에서 찾을 수 있다. 이러한 프로토콜에 대한 논쟁에서 수술 오류의 53-70%가 수술실 밖에서 발생한다는 것이 지적되었다. 

Furthermore, examining the sociomateriality of medical practice standards more broadly, Timmermans and Berg14 show how a protocol is a temporary achievement. Multiple trajectories come together in a moment, including protocol designers, funding agencies, the different groups of doctors involved, patients’ hopes and desires, organisational facilities, laboratory capabilities, drug companies, and the patients’ organs’ own resilience. In practice, these trajectories are ‘crystallised’ through continuous intra-actions in the moment of performance. In research, we need to attend holistically to the diverse agents, human and non-human, that interact to produce particular crystallisations, including those that are problematic. One example of this may be found in the practice of surgical checklist use. Among the debates around these protocols, it has been noted that 53–70% of surgical errors occur outside the operating room.28 

환자 안전 결과를 개선하기 위해, 이러한 연구자들은 체크리스트에 대한 다학제적 입력(병동 의사, 간호사, 외과의사, 마취과 의사, 수술 보조)과 다양한 수술 관리 단계(수술 전, 수술 전, 회복 또는 집중 치료, 수술 후, 수술 후)에 대한 주의를 촉구했다. 이러한 단계에 걸쳐 연구자들은 다음과 같은 [체크리스트에 포함되어야 하는 다양한 물질적 네트워크]를 보여준다. 

  • 영상 연구 검토, 필요한 모든 장비 및 재료의 설명, 환자의 수술 측면의 표시, 수술 후 지침의 인도 및 퇴원 시 환자에게 약물 처방의 제공

To improve patient safety outcomes, these researchers have urged attention to the multidisciplinary inputs into the checklist (ward doctor, nurse, surgeon, anaesthesiologist, operating assistant) and the different stages of operative care (preoperative, operative, recovery or intensive care, postoperative). Across these stages, the researchers show the diverse material networks that should be included on the checklist:

  • a review of imaging studies; an accounting of all necessary equipment and materials; the marking of the patient's operative side; the hand-off of postoperative instructions, and the provision of medication prescriptions to the patient at discharge.

사회물질적 접근법은 이처럼 [자연, 문화, 테크놀로지 사이의 미시적 관계]를 따르는 데 초점을 맞춘다. 중요한 가정은 이것들이 [우발적이고, 계속적이며, 항상 재연되고re-enact 있다]는 것이다. 사회물질적 접근법의 목표는 [무엇을 정의]하거나 [무엇이 되어야 하는지 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물질화matter-ing'의 과정, 즉 [사물과 가능성]이 지속적으로 [존재와 관계] 속으로 유입되는 과정을 면밀히 추적하는 것이다. 바라드의 용어로, '세계는 서로 다른 주권적agential 가능성의 실현에 있어서 의미와 형태를 획득하는 "mattering" 그 자체를 통해 지속적으로 열린 문제의 과정이다.

Sociomaterial approaches to practice focus on following these microdynamic relations among nature, culture and technology. The critical assumption is that these are contingent, ongoing and are always being re-enacted. The aim is not to define what is or to prescribe what should be, but to follow closely what emerges through processes of ‘matter-ing’, that is, processes by which things and possibilities are continually brought into being and into relationships. In Barad's terms, ‘the world is an ongoing open process of mattering through which “mattering” itself acquires meaning and form in the realisation of different agential possibilities’.29

이것의 한 가지 예는 기술이 새로운 형태의 의료 행위를 형성하는 방식에 있다.

  • 샌델로프스키 박사는 환자의 신체에 대한 온정적 관리와 함께 환자의 신체에 대한 영상기술과 디지털 표현이 확산되면서, 간호 실습에서 터치의 중요성이 사라지고 있다고 주장한다.
  • Johnson은 어떻게 특정한 테크놀로지가 다른 [의료 관행]뿐만 아니라 다른 [지식]을 불러일으키는지를evoke 보여준다. 그녀는 사회 물질 분석을 사용하여 실제로 미국과 스웨덴의 산부인과 시뮬레이터를 비교하며, 이러한 [시뮬레이터가 서로 다른 목적으로 구상되고 구성된다는conceived and constructed 점]에 주목한다. 존슨에게 이것은 모델 타당성이 무엇을 의미하는지에 대한 의문을 제기한다.
    • 학생 의사와 시뮬레이터 사이의 '내부 작용'에 관하여
    • 시뮬레이터 설계자와 의료 행위 사이의 '내부 작용'에 관하여
    • (더 넓게는) 이렇게 구성된 관행을 통해 [여성의 신체가 어떻게 생산되는지]에 관하여
  • 오를리코프스키가 전문적인 일에서 기술에 대한 그녀의 많은 연구를 통해 주장하듯이, 이 모든 논의의 요점은 [테크놀로지의 고유한 힘]이 아니라, [사람들이 실제로 테크놀로지에 관여할 때 수행되는 다양한 효과와 정체성]이다. 기술은 선험적으로 주어지지 않는 결과를 가진 물질이지만, 항상 실제에서 인간과의 상호작용을 통해 수행된다. 연구자는 사람과 테크놀로지 사이의 관계에서 일어나는 일에 집중해야 한다.

One example of this is in the ways that technologies are shaping new forms of medical practice.

  • Sandelowski30 argues that the importance of touch in nursing practice is vanishing, along with compassionate care for patients’ material bodies, with the proliferation of imaging technologies and digital representations of patient bodies.
  • Johnson31 shows how particular technologies evoke different knowledges as well as different medical practices. She uses a sociomaterial analysis to compare US and Swedish gynaecological simulators in practice, noting that these are conceived and constructed differently and for different purposes: each reflects and produces a different approach to bimanual pelvic examinations. For Johnson,31 this raises questions about what model validity means,
    • about the ‘intra-actions’
      • between student doctors and simulators, as well as
      • between simulator designers and medical practice, as well as
    • broader issues about how the female body is being produced through the practices configured here.
  • The point in all of these discussions, as Orlikowski9 argues through her many studies of technology in professional work, is not the inherent power of technology, but the different effects and identities that become performed when people engage with technology in practice. Technologies are materials with outcomes that are not given a priori, but are always performed through interaction with humans in practice.9 The researcher must focus on what goes on in the relationships among people and technologies.

그러나 어떠한 방식으로 이러한 효과 중에서 [일부 관행과 객체]는 표준화된 프로토콜과 같은 강력한 어셈블리로 안정되고 정착되는, 반면 다른 것들은 눈에 띄지 않게 되는가? 라투르는 [사실의 문제matter of fact]와 [우려의 문제matter of concern]를 구분한다.

  • [사실의 문제]는 결정되고, 확실하고, 해결되었다고 가정되는 모든 것들이다. [어떻게 작동하는지 제대로 알지 못한 채 운전하는 자동차]처럼, 이런 것들은 [어떻게, 왜 만들어졌는지에 대한 비판적인 질문의 대상이 되지 못한 채]로 실제로 사용되는 '블랙박스'입니다. 블랙박스는 '사실들facts'일 수도 있지만, 일상 업무에서 [관행, 정책, 텍스트, 도구]일 수도 있다.
  • [우려의 문제]는 이슈, 논란, 불확실성이다. 그러나 라투르와 다른 사회 유물론자들이 주장하듯이, [확정된 사실로 받아들여지는 관행]의 대부분의 것들은 [논쟁이 은폐되거나 가려져 있는, 실제로는 정말 관심을 가져야 할 문제]이다. 

But how, among these effects, do some practices and objects become stabilised and entrenched as powerful assemblages – such as standardised protocols – while others go unnoticed? Latour21 delineates matters of fact from matters of concern.

  • Matters of fact are all those things that are assumed to be decided, certain and settled. Like a car that we drive without really knowing how it works, these things are ‘black boxes’ that are used in practice without being subject to critical questioning about how and why they were constructed. Black boxes can be ‘facts’, but they can also be practices, policies, texts and tools in everyday work.
  • Matters of concern are issues, controversies, uncertainties. Yet as Latour21 and other sociomaterialists12 contend, most things that are accepted as settled facts of practice are really matters of concern on which debate has been foreclosed or obscured. 

사회-물질주의자의 목표는, 논쟁을 풀어내어, 마치 사실의 문제인 것처럼 가장하는 블랙박스를 여는 것이다. 이것은 우리가 학습을 [준비와 역량의 획득으로 인식하는 것]에서, 학습을 [조정, 반응 그리고 심지어 중단으로 보는 것]으로 전환해야 한다는 것을 암시한다.

The socio-materialist aim is to unpick the controversies and open the black boxes that masquerade as matters of fact. This suggests that we should turn from perceiving learning as preparation and the acquisition of competency, to seeing learning as attunement, response and even interruption.

실천과 학습에 대한 시사점
Implications for Practice and Learning

사회 물질적 관점에서는, [학습과 지식은 집행enactment]이며, 단순한 정신 활동이나 수용한 지식이 아니다. 결국, 정신mind라는 것은 [수많은 환경적 물질과의 지속적인 신경학적 연결의 역동]입니다. 사회 물질적 관점은 개인 학습에서 더 큰 사회 물질 집단으로, 그리고 젠슨이 설명하듯이 '인식론과 표현에서 실질적인 존재론과 성과주의로' 이동한다.
In sociomaterial perspectives, learning and knowing are also enactments, not simply mental activity or received knowledge. Mind, after all, is a dynamic of continuous neurological connections with the myriad matter of environments. Sociomaterial perspectives shift from an individual learning subject to the larger sociomaterial collective, and ‘from epistemology and representation to practical ontology and performativity’, as Jensen32 explains.

우리가 에이전시로 가득 찬 세상을 받아들일 때, 무언가를 할 때, 배움은 오로지 [지식적 표상을 습득함으로써 이 세상을 준비하는 것]만 강조하기보다, [그 자리in situ에서 현명하게 참여하는 과정]으로 바뀐다. 학습에서의 이슈는 다음과 같은 것이다.

  • 어떻게 작은 변동과 놀라움에 적응할 수 있는지,
  • 어떻게 해결된 것처럼 보이는 문제를 중단하고, [우려의 문제]에 대해 공개적인 논쟁을 벌이는지,
  • 어떻게 자신과 타인이 창발하는 사회물질적 상황에 미치는 영향을 추적할지
  • 어떻게 해결책을 즉흥적으로 만드는지

When we accept a view of the world full of agency, doing things, learning shifts from its sole emphasis on preparing for this world by acquiring knowledge representations, to a process of participating wisely in situ. Learning issues concern

  • how to attune to minor fluctuations and surprises,
  • how to interrupt matters that seem settled and hold open controversies for matters of concern,
  • how to track one's own and others’ effects on the emerging sociomaterial situation, and
  • how to improvise solutions.

알츠하이머병 치료법에 대한 그녀의 연구에서, 모저는 의료에서 물질적 집행을 알츠하이머병의 생의학 과학과 비교하는데, 우리는 그것의 특징적인 병리학적 변화로 대표되는 것에 대해 제한된 이해를 가지고 있다. (신경섬유 엉킴, 시냅스 손실, 세포사, 뇌수축 등이 질병 자체의 원인, 결과 또는 징후인지 알 수 없다.) 임상 실습용 교과서에서 인용한 모서는 하나의 긴장tension을 보여준다: 여기서 치료에서 알츠하이머 병의 '문제matter'는 개별 뇌의 병리학적 변화로 표현되는 것이 아니라, (보호자, 친척, 의료 종사자 및 환경을 포함하는) 인간 및 비인간 참여자 집단 간의 애착attachment으로 표현된다

In her study of treatments for Alzheimer's disease, Moser12 compares the material enactments of medical practice with the biomedical science of Alzheimer's disease, in which we have limited understanding of what is represented by its characteristic pathological changes (we do not know if neurofibrillary tangles, synapse loss, cell death, brain shrinkage and so forth are causes, consequences or manifestations of the disease itself). Citing from textbooks for clinical practice, Moser12 shows a tension: here the ‘matter’ of Alzheimer's disease in treatment is not represented biomedically as pathological changes in individual brains, but as attachments among a collective of human and non-human participants that include carers, relatives, health practitioners and the environment. 

그녀는 계속해서 다른 임상실천을 탐구합니다. 이 모든 것들이 [관계의 시스템]에 전제되어 있습니다. 관계에는 제약적인 관계도 있고(아세틸콜린에스테라아제 억제제 등) 또는 상호작용적 관계도 있다(네덜란드에서 개발된 마르테메오 커뮤니케이션 기반 치료제 등). 이러한 각각의 개입에서, 알츠하이머 병은 다르게 프레임화되고 제정된다. 모저의 핵심 질문은 어떤 방법이 가장 좋은가, 또는 어떤 알츠하이머 병의 제정이 가장 진실하거나 유효한가에 대한 것이 아니다. 대신, 그녀의 관심은 이렇나 것이다.

  • 어떻게 서로 다른 [물질적 집행]들이 어떻게 서로 영향을 주고 간섭하는지,
  • 무엇이 더 또는 덜 가시화되고 무엇이 더 또는 덜 현실적이 되는지,
  • 어떻게 임상 실습의 일부로서 생물의학의 역할이 작용하는지

She goes on to explore other clinical practices, all of which are premised on a system of relationships, whether pharmaceutical (such as acetylcholinesterase inhibitors) or interactional (such as the so-called Marte Meo communication-based treatment developed in the Netherlands).12 In each of these interventions, Alzheimer's disease is framed and enacted – materialised – differently. Moser's key question is not about which method is best, or which enactment of Alzheimer's disease is the most true or valid.12 Instead, she is interested in

  • how these different material enactments influence and interfere with one another,
  • what becomes more or less visible and what becomes more or less real, and
  • how the role of biomedicine works as part of the reality of clinical practice.12

아마도 의학 교육자들에게 특별한 관심사는 환자와 이용 가능한 기관의 치료와 함께 이러한 경쟁적인 버전과 그들의 토론을 중재해야 하는 일반 의사의 입장에 대한 모저의 강조이다. 이러한 중재mediation은 정치적 행위political practice이다. 즉, 논리적이고 분명한 방향의 의미라면, [진정한 선택real choice이란 없다]. 의사는 [각 결정에 수반되는 집행enactment의 일부]가 되고, [돌봄은 진화에 따라 집단에 지속적으로 조정되고 적응하는 과정]이다. 몰은 당뇨병 치료에 대한 연구에서도 비슷한 결론을 내립니다. '통제란 환상이며, 모든 요소들은 변덕스럽다'. 주요 업무는 '모든 것을 다른 모든 것에 맞추는 것이다. 무엇을 만지작거리고, 무엇을 고쳐야 할지가 명백한 경우는 거의 없다. 하려고 하는 일은 잘 안 될 수도 있다. 그러면 다른 것을 해봐야 한다. 계속 땜질을 해야 한다. 닥터링, 그리고 캐어링.' 그루프먼은 심장 생리학에서도 진단과 치료의 전체 사회 물질적 과정에서 나타나는 [예상치 못한 작은 신호에 밀접하게 지속적으로 주의를 기울이는 연습]이 연역적 추론보다 더 생산적일 수 있음을 보여준다.

Perhaps of particular interest for medical educators is Moser's highlighting of the position of the general practitioner, who must mediate these competing versions and their debates, alongside the unique contingencies of the patient and the available institutional care.12 This mediation is a political practice – there is no real choice in the sense of a logical and clear direction here. The doctor becomes part of the enactment with each decision, and care is a process of continuous attunement and adjustment to and with the assemblage as it evolves. Mol17 comes to a similar conclusion in her study of diabetes treatment, in which ‘control is illusionary and all the elements … capricious’. The main task, Mol17 learns, involves ‘attuning everything to everything else, one way or another. What to fiddle with and what to keep fixed, is rarely obvious. What you try to do may not work out. Try something else. Keep on tinkering. Doctoring. Caring’. Groopman15 shows that even in cardiac physiology, practices of attending closely and continuously to unexpected tiny signals emerging in the whole sociomaterial process of diagnosis and treatment can be more productive than deductive reasoning.

의학을 배우는 것은 [땜질의 기술art of tinkering]을 배우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의학은 [국지화된 사회물질적 실천, 즉흥작업, 우발적 협상의 집합]으로 간주될 수 있다. 의학교육은 다음을 더 자세히 살펴볼 수 있다.

  • 특정 장소에서 전문가들이 일을 하는 방식에 가장 영향을 미치는 물질적 요소
  • 어떻게 물질이 실천의 가능성을 제한하거나 향상시키는가
  • 왜 특정 실천이 안정되고 강력해지며, 이러한 블랙박스가 문제를 일으킬 때는 언제인가

Learning to do medicine may then include learning the art of tinkering. Medicine can be appreciated as a set of localised sociomaterial practices, improvisations and contingent negotiations. Medical education can look more closely at

  • the material elements that most influence the ways professionals in a particular place do their work,
  • how materials limit or enhance possibilities for practice,
  • why particular practices become stabilised and powerful and when these black boxes create problems.

학습, 특히 직장 학습은 다음 사항에 집중할 수 있습니다.

  • 사소한 것, 심지어 일상적인 것, 요동, 기이한 실수를 다루는 것,
  • 새로운 아이디어와 행동 가능성에 조음attuning하기 - 즉, 진행중인 물질 과정mattering process의 intra-action
  • [창발하는 것]에 자신과 다른 사람이 미치는 영향을 알아차리기
  • 불확실성 속에서 땜질하기,
  • 논쟁과 소동을 막기 위해 실천의 블랙박스를 중단시키기

Learning, particularly workplace learning, can focus on:

  • attending to minor, even mundane, fluctuations and uncanny slips;
  • attuning to emerging ideas and action possibilities – the intra-actions of ongoing mattering processes;
  • noticing one's own and others’ effects on what is emerging;
  • tinkering amidst uncertainty, and
  • interrupting black boxes of practice to hold open their controversies and disturbances.


전반적으로 사회 물질적 관점은 바라드의 말에 따르면 

  • '앎이란 직접적인 물질적 관여이며, 모여있는 것을 절단하는 것으로, 절단은 폭력을 가하지만, 가능성의 행위적agential 조건을 열어주어, 재작업한다.'

Overall, sociomaterial perspectives help to illuminate how, in Barad's words,

  • ‘knowing is a direct material engagement, a cutting together-apart, where cuts do violence but also open up and rework the agential conditions of possibility’.33

 

결론들
Conclusions

[가능성을 여는 동시에, 무언가를 정의]하는 이 [절단의 역설paradox of the cut], [언제나 물질적으로 불확실한 이성적 확실성]은 의학에서 예술을 감상하는 우리의 출발점을 상기시킨다. 히포크라테스는 의료 윤리와 책임에 관심이 있었다. 이해와 공감을 촉진하는 데 있어서, 그는 분명히 [관계의 중요성]을 주장하고 있었다. 물론, 후속 토론은 환자의 요구에 더 민감하게 반응하도록 의사를 훈련시키는 것이 생물의학에서 역량의 핵심 가치를 위협하는지 여부에 대해 의문을 제기해 왔다. 그러나 히포크라테스의 경구는 [한 사람의 물질적 실천]에 있어서 [인간적 연결과 비인간적 연결 둘 다에 감사하는 것]으로 해석할 수도 있다. 히포크라테스는 과학과 예술을 함께 호출하면서, [이성적인 프로토콜]뿐만 아니라 [불확실성과 즉흥성을 위한 공간]을 허용하는 것의 중요성을 열어준다. 여기에는 작업 중인 수많은 시스템에 대한 조정과 이러한 시스템에 대한 의사 자신의 개입이 절개, 약물 치료, 측정 및 카테터화 시 필요하다.
This paradox of the cut that defines while opening possibilities, the rational certainty that is always materially uncertain, recalls our starting point of appreciating the art in the science of medicine. Hippocrates was concerned with medical ethics and responsibility. In promoting understanding and sympathy, he was clearly arguing for the importance of relationships. Of course, subsequent debates have wondered whether training doctors to be more responsive to patient needs threatens core values of competence in biomedical science. Yet it may also be possible to interpret Hippocrates as appreciating both the human and the non-human connections of one's material practice. His invocation of art alongside science opens the importance of allowing space for uncertainty and improvisation, as well as rational protocols. Here lies a call for attunement to the myriad systems at work, and practitioners’ own enmeshment within these systems when they cut open, drug, measure and catheterise bodies.

이것은 미래의 의학 교육을 옹호하는 사람들에게 반향을 불러일으키며, 그들은 [폭넓은 글로벌 감각]뿐만 아니라, 즉각적인 [국지적 사회물질적 관계]에 대한 조정을 강조한다. Hodges 등이 밝힌 의료 교육의 10가지 우선순위 중 많은 것은 지역 사회의 요구를 해결하면서 더 넓은 시스템에서 자신의 영향을 이해하는 것, 다양한 행위자와 환경과의 관계 조정, 학습 맥락의 다양화, 전문 분야 간 및 인트라 프랙티스의 진전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사회적 책임]은, 쿠퍼와 디온이 [기술과학]과 [환자의 높은 기대]라는 세계 속에서 실천이 이뤄지는 [의학교육의 '재민주화']를 요구하는 주요 주제이기도 하다. 
This resonates with advocates for future medical education, who emphasise attunement to socio-material relations in immediate local as well as broader global senses. Among the 10 priorities for medical education articulated by Hodges et al.34 are many focused on understanding one's effects in wider systems while addressing local community needs, attuning to relationships with diverse actors and environments, diversifying learning contexts and advancing inter- and intraprofessional practice. Social responsibility is a major theme too in Kuper and D'Eon's call for a ‘re-democratisation’ of medical education that humanises practice in a world of technoscience and patients’ high expectations.35

이러한 주장이 [예술과 과학], [생물의학과 환자의 이해], 또는 [증거에 기반한 연습과 일상적인 즉흥 연주 사이]의 [이분법]을 만들거나 재현하자는 것이 아니다. 콘토스가 보여주었듯이, '환자 중심의' 공감형 바이오소셜 의학에 '환원론자' 바이오의학을 반대하는 것은 거짓 전쟁을 일으키고, 더 풍부한 가능성을 닫아버리는 것이다. 여기서 개략적으로 설명한 의료 관행과 학습의 현재 이슈는, [다양한 힘 사이의 상호 작용]과 [이것들이 함께 만들어내는 실천의 집행을 검토]하는 데 관심을 두고 있다. [사회물질적 관점]은 실제와 학습에서 특정 현실을 이끌어내는 [인간 및 비인간 관계의 모세혈관]을 추적하는, 동시에 [변화의 기회와 진입점]을 강조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그러한 관점에서, 실무자들은 모든 만남에서 이용할 수 있는 알려지지 않은 급진적인 미래 가능성뿐만 아니라 물질적 참여의 폭력성을 충분히 인식하도록 장려된다.

The argument is not about creating or recreating dichotomies between art and science, biomedicine and patient understanding, or evidence-based practice and everyday improvisation. As Kontos36 has shown, to pitch ‘reductionist’ biomedicine against ‘patient-centred’ empathic biosocial medicine is to create a false war and shut down richer possibilities. The current issues of medical practice and learning outlined here point instead to an interest in examining the interplay among these diverse forces, and the enactments of practice they produce together. Sociomaterial perspectives offer a way to trace the capillaries of human and non-human relationships that bring forth particular realities in practice and learning, while highlighting opportunities and entry points for change. With such a perspective, practitioners are encouraged to appreciate fully the violence of their material engagements as well as the unknown radical future possibilities that are available in every encounter.

 


Med Educ. 2014 Jan;48(1):44-52. doi: 10.1111/medu.12295.

Sociomateriality in medical practice and learning: attuning to what matters

Affiliations collapse

1School of Education, University of Stirling, Stirling, UK.

PMID: 24330116

DOI: 10.1111/medu.12295

Abstract

Context: In current debates about professional practice and education, increasing emphasis is placed on understanding learning as a process of ongoing participation rather than one of acquiring knowledge and skills. However, although this socio-cultural view is important and useful, issues have emerged in studies of practice-based learning that point to certain oversights.

Methods: Three issues are described here: (i) the limited attention paid to the importance of materiality - objects, technologies, nature, etc.-- in questions of learning; (ii) the human-centric view of practice that fails to note the relations among social and material forces, and (iii) the conflicts between ideals of evidence-based standardised models and the sociomaterial contingencies of clinical practice.

Discussion: It is argued here that a socio-material approach to practice and learning offers important insights for medical education. This view is in line with a growing field of research in the materiality of everyday life, which embraces wide-ranging families of theory that can be only briefly mentioned in this short paper. The main premise they share is that social and material forces, culture, nature and technology, are enmeshed in everyday practice. Objects and humans act upon one another in ways that mutually transform their characteristics and activity. Examples from research in medical practice show how materials actively influence clinical practice, how learning itself is a material matter, how protocols are in fact temporary sociomaterial achievements, and how practices form unique and sometimes conflicting sociomaterial worlds, with diverse diagnostic and treatment approaches for the same thing.

Conclusions: This discussion concludes with implications for learning in practice. What is required is a shift from an emphasis on acquiring knowledge to participating more wisely in particular situations. This focus is on learning how to attune to minor material fluctuations and surprises, how to track one's own and others' effects on 'intra-actions' and emerging effects, and how to improvise solutions.

고약한 문제 씨름하기: 어떻게 행위자의 이론이 새로운 통찰을 줄 수 있는가(Med Educ, 2017)
Tackling wicked problems: how theories of agency can provide new insights
Lara Varpio,1 Carol Aschenbrener2 & Joanna Bates3,4

 

 

 

서론
Introduction

보건 직업 교육(HPE)이 직면하고 있는 일부 도전은 너무 복잡하고 다루기 힘들어서, 우리의 집단적인 해결책에 대한 조각에도 불구하고, 그들은 해결책을 무시한다. 이러한 도전은 '유순한tame 문제'와 구별되는 '사악한 문제'로 정의할 수 있다. 유순한 문제는 다음과 같다.

  • (i) 명확한 문제 진술을 식별할 수 있다. 
  • (ii) 기존의 과학적 또는 분석적 수단을 사용하여 실행 가능한 솔루션을 개발할 수 있다. 
  • (iii) 전문가는 옳고 그름을 객관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솔루션을 생성할 수 있다.

Some of the challenges facing health professions education (HPE) are so complex and unwieldy that, despite our collective chipping away at solutions, they defy resolution. These challenges can be defined as ‘wicked problems’, which are distinct from ‘tame problems’.1 Tame problems are those for which:

  • (i) a clear problem statement can be identified;
  • (ii) workable solutions can be developed using traditional scientific or analytical means, and
  • (iii) experts can generate solutions that can be objectively evaluated as being right or wrong.1 

사악한 문제는 유순한 문제의 반대이다.

  • 사악한 문제들은 잘 정의된 문제 진술에 저항한다. 그것들은 너무 '사회적으로 지저분해서' 모든 참여자와 이해관계자들이 문제의 근원을 다르게 설명한다.
  • 사악한 문제는 또한 [전통적인 선형적 분석 접근 방식]을 통한 해결에도 저항한다. 그들은 문제가 해결되는 동안 변할 수 있는 많은 사회적, 정치적 요소들을 포함한다. 이러한 비선형적이고 끊임없이 변화하는 풍경은 사악한 문제를 해결하는 데 전통적인 분석 수단을 적합하지 않게 만든다.
  • 사악한 문제는 참 또는 거짓 결론으로 해결되지 않는다. 대신 해결책은 현재 특정 상황에서 작동하지만 반드시 장기적으로 작동하지는 않을 수 있으며, 이해관계자마다 좋은지 나쁜지에 따른 판단이 다를 수 있다.

요컨대, 사악한 문제들은 명확한 문제 진술에 저항하고, 전통적인 분석 접근 방식을 무시하고, 결정적인 해결책을 거부한다.
Wicked problems are the opposite of tame problems. Wicked problems resist well-defined problem statements; they are so ‘socially messy’
2 that every participant and stakeholder describes different roots to the problem.3 Wicked problems also resist resolution through traditional linear analysis approaches.1 They involve many social and political factors that can change while the problem is being addressed.4 This non-linear and everchanging landscape makes traditional means of analysis ill suited for addressing wicked problems. Wicked problems are not resolved with true-or-false conclusions; instead, solutions are stakeholder-dependent judgements of better-or-worse alternatives that work in a specific context for the moment but not necessarily in the long term.3 In sum, wicked problems resist clear problem statements, defy traditional analysis approaches, and refuse definitive resolution.


우리는 정기적으로 HPE에서 사악한 문제에 부딪친다. 다양성과 포용력 격차를 해소하고, 효과적인 학생 교정조치를 달성하고, 전문성을 가르치는 것은 사악한 문제들이 우리 공동체에 직면하는 맥락의 일부일 뿐이다. 보건 전문 교육자들은 정의상, 그들이 각 맥락에서 그들 자신을 독특하게 드러내고, 해결책을 회피하고, '최고의 관행' 요약으로 단순화되기를 거부할 때, 어떻게 그러한 문제와 씨름할 수 있는가?

We regularly come up against wicked problems in HPE. Addressing diversity and inclusion disparities, achieving effective student remediation and teaching professionalism are just some of the contexts in which wicked problems confront our community. How can health professions educators contend with such problems when, by definition, they manifest themselves uniquely in each context, eschew resolution, and refuse to be simplified into ‘best practice’ summaries?

우리는 [theory-informed 연구]가 학자들이 복잡한 HPE 문제와 싸우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고 제안한 다른 사람들의 권고에 공명한다. 우리는 이론이 사악한 문제를 해결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다고 제안함으로써 그 주장을 확장한다. 이론에 정통한 연구를 통해 학자들은 '왜 사물이 작용하고 어떤 조건에서 작용하는지'를 이해하기 위한 국지적 개입과 전략을 검토할 수 있다. 이러한 명확화 연구는 HPE 커뮤니티가 사악한 문제를 해결하고 문맥을 통해 이전 가능한 학습 교훈을 설명하는 데 도움이 된다. HPE 학자들이 연구에 광범위한 이론(예: 장르 이론, 인지 부하 이론, 행위자 네트워크 이론, 문화 역사 활동 이론, 자기 결정 이론)을 사용했지만, 많은 이론들이 아직 우리의 영역을 괴롭히는 다루기 힘든 문제에 적용되지 않았다. HPE 학자들이 공통의 근본적인 문제와 사악한 문제에 대한 잠재적 해결책을 식별하기 위해 활용할 수 있는 한 가지 개념은 [에이전시 agency, 행위자성]이다.
We echo the recommendations of others who have suggested that theory-informed research can help scholars contend with complex HPE problems.5, 6 We extend that argument by suggesting that theory can help us address wicked problems. Theory-informed research enables scholars to examine local interventions and strategies to ‘understand why things work and under which conditions’.5 Such clarification research7 helps the HPE community to tackle wicked problems and to describe lessons learned that are transferable across contexts. Although HPE scholars have used a wide range of theories in their research (including, for example, genre theory,8, 9 cognitive load theory,10, 11 actor-network theory,12 cultural historical activity theory [CHAT]13, 14 and self-determination theory15), many theories have yet to be applied to the intractable problems plaguing our domain. One concept that might be harnessed by HPE scholars to identify common underlying issues and potential solutions to wicked problems is agency.

에이전시에 대한 많은 이론적인 치료법이 있지만, 에이전시의 핵심은 [개인이 개인과 사회 생활에서 통제력을 행사할 수 있는 정도]에 관한 것이다. 다시 말해서, 개개인에게 Agency은 다음과 관련된다

  • (i) 무언가 할 수 있는 능력capacity
  • (ii) 무엇인게에 대한 조건condition
  • (iii) 의도성과 권력을 가지고 행동하는 상태 

HPE의 많은 사악한 문제들은 본질적으로 사회적인 것이다. 예를 들어 교육생과 교직원, 환자와 가족, 관리자 및 전문 간 팀을 포함한다. [에이전시 이론]들은 그러한 대인관계적 도전들을 검토하는데 도움이 된다.

There are many theoretical treatments of agency, but, at its core, agency is concerned with the extent to which individuals are able to exert control in their personal and social lives. In other words, agency is concerned with an individual’s

  • (i) capacity to,
  • (ii) conditions for, and
  • (iii) state of acting with intentionality and power.16 

Many of HPE's wicked problems are social in nature: they involve, for example, trainees and faculty members, patients and families, administrators and interprofessional teams. Theories of agency lend themselves to the examination of such interpersonal challenges.

기관의 개념은 HPE 연구에서 아직 널리 채택되지 않았지만, 더 넓은 교육 분야는 교육 관련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 기관을 사용했다. 예를 들어, 기관은 과학의 가르침과 학습을 개선하고, 학생의 목소리를 키우고, 학습 활동 동안 학생들의 참여를 증가시키는 것에 대한 문의에 대해 알려왔다. 이러한 발전은 HPE로 확대될 수 있다.
Although conceptions of agency have yet to be widely adopted in HPE research, the broader field of education has used agency as a means of addressing education-related problems. For example, agency has informed inquiry into improving the teaching and learning of science,17, 18 cultivating the student's voice,19, 20 and increasing student engagement during learning activities.21 These advances could be extended to HPE.

[개인들이 서로 다른 상황마다 어떻게 행위자성을 주장하는지(또는 주장하지 않는지)] 설명하지 않는 것은 HPE 학술연구에서 중요한 누락이다. 행위자성은 본질적으로 HPE의 개입, 평가 구조 및 광범위한 개념화에 관여한다. 우리는 에이전시의 렌즈를 통해 HPE가 직면하고 있는 문제를 조사하는 것이 우리 사회의 장학금에 의미 있게 기여할 수 있다고 제안한다. 이 제안을 뒷받침하기 위해,

  • 우리는 먼저 네 가지 다른 대리 이론을 확인하고 설명할 것이다. 
  • 둘째로, 대리인의 각 이론이 어떻게 사악한 문제에 대한 새로운 사고방식을 지원할 수 있는지를 설명하기 위해 IPE의 예를 사용한다. 
  • 셋째, 이러한 틀에 의해 명백해진 연구와 혁신을 위한 방향을 제안하라.

Failing to account for how individuals assert (or fail to assert) agency in different situations is a significant omission in HPE scholarship. Agency is inherently involved in HPE's interventions, evaluation structures and broad conceptualisations. We suggest that examining problems facing HPE through the lens of agency can meaningfully contribute to our community's scholarship. To support this proposal,

  • we will firstly identify and describe four different theories of agency,
  • secondly, use the example of interprofessional education (IPE) to illustrate how each theory of agency can support new ways of thinking about a wicked problem, and,
  • thirdly, suggest directions for research and innovations that are made evident by these framings.

방법들
Methods

HPE의 사악한 문제를 해결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는 기관의 일부 이론에 대한 개요를 구성하기 위해, 우리는 HPE 공동체 구성원으로서 우리의 역할에서 다루기 힘들다고 느낀 문제의 유형을 식별하는 것으로 시작했다. 그 과정을 알리기 위해, 우리는 HPE에 대한 경험과 전문지식을 이용했습니다. 우리의 협업 팀은 PhD로 훈련된 HPE 연구 과학자(LV)와 의료 교육 리더십 경험(JB 및 CA)을 가진 두 명의 의사로 구성된다. 그 연구 과학자는 인문학과 사회과학의 이론들을 연구하는데 있어서 광범위한 훈련과 경험을 가지고 있다. 의사들은 입학처장, 과정장, 커리큘럼장, 학부 프로그램장, 대학원 프로그램장, 학술 보건 센터의 최고 책임자를 포함한 여러 의학 교육 지도자의 역할을 수행했다. 우리는 에이전시 이론이 HPE의 더 복잡한 문제를 보는 데 유용한 렌즈를 나타낼 수 있는지 함께 고려했다. 우리는 Agency를 고려하는 것이 사악한 문제를 다르게 볼 수 있게 해준다는 것에 빠르게 동의했다.

To construct an overview of some theories of agency that could help us to tackle HPE's wicked problems, we began by identifying the types of problems that we found intractable in our roles as HPE community members. To inform that process, we relied on our experience and expertise in HPE. Our collaborative team consists of a PhD-trained HPE research scientist (LV) and two physicians with medical education leadership experience (JB and CA). The research scientist has extensive training and experience in working with theories from the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 The physicians have served in multiple medical education leadership roles, including as admissions dean, course director, curriculum dean, undergraduate programme dean, postgraduate programme director, and chief executive officer of an academic health centre. Together we considered whether theories of agency might represent lenses through which it would be useful to view HPE's more complex problems. We quickly agreed that considering agency allowed us to view wicked problems differently.

그런 다음 에이전시 이론이 다루기 어려운 문제를 검토하거나 해결하기 위한 노력을 알려 주었는지 확인하기 위해 HPE 문헌을 검색했다. 의학 교육 문헌을 찾아본 결과 theories of agency 이 거의 주목을 받지 못했다는 것을 발견했다. 이것은 우리가 의학 교육 문헌을 넘어 연구를 확장하도록 자극했다. 공식적인 체계적 검토는 검색 범위를 제한하기 위해 일련의 결과, 측정 또는 포함 및 제외 기준을 정의하도록 했지만, 우리의 의도는 공식적인 문헌 검토를 수행하지 않았다. 오히려, 우리는 어떤 theories of agency가 HPE의 사악한 문제에 유용하게 적용될 수 있는지 이해하고, 이 적용에 대해 개발할 수 있는 후속 통찰력을 고려하려고 노력했다. 

We then searched the HPE literature to establish whether theories of agency had informed efforts to examine or contend with intractable problems. Our search of the medical education literature found that theories of agency had received little attention. This spurred us to extend our search beyond the medical education literature. Although a formal systematic review would have had us define a set of outcomes, measures, or inclusion and exclusion criteria to limit the scope of our search, our intention was not to conduct a formal literature review. Rather, we sought to understand which theories of agency might be usefully applied to HPE's wicked problems and to consider subsequent insights that we might develop about this application.

우리는 출판된 문헌의 특정 부분집합에서 대리 이론의 사용을 검토하거나, 대리 이론을 사용한 문헌을 비판하거나, 서로 다른 인식론적 또는 존재론적 근거에서 대리 이론에 대한 논쟁을 검토하려고 하지 않았다. 우리는 이론들을 서로 비교하거나, 그것들을 공통의 원리의 목록으로 합성하거나, 어떤 특정한 이론이 개별적인 사악한 문제들을 가장 잘 다룰 수 있는지를 결정하는 것을 추구하지 않았다. 비록 이 모든 것이 훌륭한 학문적 목표이지만, 우리는 먼저 theories of agency가 HPE 공동체가 직면하고 있는 사악한 문제에 가치 있게 적용될 수 있는지 확인할 필요가 있다고 느꼈다. 따라서, 우리는 에이전시의 어떤 이론을 탐구하기 시작했습니다. 

  • (i) 다른 영역의 학자들에 의해 일반적으로 사용되었습니다. 
  • (ii) HPE의 사악한 문제를 분석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

We were not seeking to examine the use of theories of agency in a specific subset of the published literature, to critique the literature that used different theories of agency, or to examine debates about theories of agency from different epistemological or ontological grounds. We did not seek to compare the theories against each other, to synthesise them into a list of common principles, or to determine which specific theory might best address individual wicked problems. Although these are all laudable scholarly goals, we felt it was necessary to first ascertain if theories of agency were valuably applicable to the wicked problems facing the HPE community. Therefore, we set out to explore which theories of agency:

  • (i) were commonly used by scholars in different domains, and
  • (ii) might help inform the analysis of HPE's wicked problems.

이러한 초점을 감안할 때, 우리는 [내러티브 리뷰]에서 기술을 빌려 우리의 검색 프로세스를 개발했는데, [내러티브 리뷰]는 광범위한 연구 영역을 매핑하고, 한 분야의 기존 과제에 대한 새로운 통찰력을 제시하기 위해 문헌과 이론을 합성하는 것으로 기념되었기 때문이다. 또한, [내러티브 리뷰]는 검토 과정에서 광범위한 출판 장르를 통합한다. theories of agency은 종종 데이터 기반 연구 보고서가 아닌 철학 논문에서 보고되기 때문에 이러한 광범위한 포함은 우리의 목적을 위해 필요했다. 우리는 검색 범위를 제한하기 위해 정의된 결과, 측정 또는 포함 및 제외 기준을 사용하지 않았다. 대신, 우리는 1994년부터 2014년까지 발행된 간행물에 대해 광범위한 분야(특히 ERIC [교육 자원 정보 센터], Web of Science, Scopus, MEDLINE 및 PubMed)를 색인화하는 데이터베이스를 검색했다. 
(검색어: [대리점, 대리점] 및 [이론 또는 이론] 및 [교육]).

Given this focus, we borrowed techniques from narrative literature reviews to develop our search processes because narrative reviews have been celebrated for mapping out broad areas of research22 and for synthesising literatures and theories in order to present new insights into a field's existing challenges.23, 24 Furthermore, narrative reviews incorporate a broad scope of publication genres in the review process.25 Such broad inclusion was necessary for our purposes because theories of agency are often reported in philosophical treatises, and not in data-based research reports. We did not use a defined set of outcomes, measures, or inclusion and exclusion criteria to limit the scope of our search. Instead, we searched databases indexing a broad scope of disciplines (specifically: ERIC [Educational Resources Information Centre], Web of Science, Scopus, MEDLINE and PubMed) for publications published from 1994 to 2014 that examined agency or incorporated an agency-informed perspective in their research (search terms: [agency, agentic OR agent] AND [theory or theoretical] AND [education]).

한 저자(LV)는 이 검색에서 발견된 모든 출판물을 검토하여 각 기사에 사용된 기관의 이론을 확인하고 기술했다. 그 후 이 저자는 각 기관의 이론을 설명하는 원문(예: 철학 논문, 사회과학 이론 출판물)뿐만 아니라 이들 출판물에 인용된 문헌을 읽음으로써 이들 출판물에 기술된 기관의 이론을 연구했다. 상호 참조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본 저자는 이러한 검색 과정에서 발견된 서로 다른 theories of agency의 목록을 만들고 각 이론의 핵심 원리, 연구 초점 및 원본 저자들을 식별했다. 표 1은 이 목록의 약식 버전을 보여줍니다.

One author (LV) reviewed all the publications found in this search to identify and describe the theory(ies) of agency used in each article. This author then studied the theories of agency described in these publications by reading the literature cited in these publications, as well as the original texts describing each theory of agency (e.g. philosophical treatises, social science theory publications). To facilitate cross-referencing, this author created a list of the different theories of agency found during these searches, and identified some of each theory's key principles, research foci and original authors. Table 1 presents an abbreviated version of this list.

이 과정을 통해 HPE의 복잡한 문제에 적용할 수 있다고 판단한 10가지 에이전시 이론을 확인하였다. 이것들은 (여기서는 이론을 옹호하는 핵심 이론가의 성이나 기관이 언급되는 이론적 틀의 이름으로 식별된다.) 아헨, 아처, 반두라, 빌렛, 불터, 수다, 클레그, 기든스, 맥나이, 로스. 본 논문에서 발표를 위한 이론을 선택하기 위해, 우리는 우리가 사악한 문제의 기준을 충족한다고 느꼈고, 그리고 우리 세 그룹 모두가 어떤식으로든 경험했다고 느낀 (예: 행정 지도자로서, 연구 주제 등으로) 세 가지 HPE 문제와 관련하여 각 기관의 이론을 조사했다

  • 커리큘럼 개혁, 
  • IPE,
  • 역량 기반 교육.

Through this process, we identified 10 theories of agency that we considered applicable to HPE's complex problems. These were (identified here by the last name of the key theorist championing the theory or the name of the theoretical framework within which agency is addressed): Ahearn; Archer; Bandura; Billett; Bulter; CHAT; Clegg; Giddens; McNay, and Roth. To select theories for presentation in this paper, we examined each theory of agency in relation to three HPE problems that we felt met the criteria of wicked problems, and that all three of our group had experienced in some capacity (e.g. as an administrative leader, as a topic of research, etc.): curriculum reform; IPE, and competency-based education.

그런 다음 HPE 분야의 집단 경험을 활용하여 HPE의 특정 난치성 문제에 대한 새로운 통찰력을 제공하는 능력 측면에서 각 이론을 논의, 반성 및 고려하였다. 팀으로서, 우리는 각 theory of agency가 이 세 가지 HPE 문제에 대한 우리의 이해를 어떻게 재구성할 수 있는지, 그리고 그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원인과 잠재적 수단을 분석하기 위한 각 이론의 잠재력을 탐구했다. 두 명의 저자(LV, JB)는 또한 서로 다른 사악한 문제에 대해 연구하고 있는 다른 HPE 동료들과 이러한 이론들을 논의함으로써 에이전시 이론이 다른 복잡한 문제들을 어떻게 알릴 수 있는지 확인했다. (구체적으로는,

  • 전문 간 진료에 대한 환자 경험,
  • 커리큘럼 개편에서 모듈 디렉터의 업무,
  • 학부 의학 교육에서 학생 자율 학습.

2년 동안 이러한 논의와 성찰에 참여함으로써, 우리는 만장일치로 HPE의 사악한 문제와 특히 관련이 있다고 결정한 네 가지 이론을 확인했다. 이 네 가지 이론의 다양성은 팀 내 논의뿐만 아니라 특히 복잡한 문제를 연구하는 다른 HPE 학자들과의 논의에서도 매우 다른 아이디어를 낼 수 있게 해주었다.

We then drew on our collective experience in the HPE field to discuss, reflect on and consider each theory in terms of its ability to provide new insights into specific intractable problems in HPE. As a team, we explored how each theory of agency might reshape our understanding of these three HPE problems, and then each theory's potential to inform analysis of causes and potential means for addressing those problems. Two authors (LV, JB) also checked how theories of agency might inform other complex problems by discussing these theories with other HPE colleagues working on different wicked problems (specifically,

  • patient experiences of interprofessional team care,
  • the work of module directors in a reformed curriculum, and
  • student self-regulated learning in undergraduate medical education).

By engaging in these discussions and reflections over a 2-year period, we identified four theories that we unanimously decided were particularly relevant to HPE's wicked problems. The diversity of these four theories enabled very different ideas to emerge not only in discussion within the team, but also in discussions with other HPE scholars examining particularly complex problems.

본 논문에서, 우리는 이 네 가지 이론 각각에 대한 소개 개요를 제공하고, Agency가 IPE에 성공적으로 관여하는 과제에 각 theory of agency을 적용하여 [사악한 문제에 새로운 빛을 비추는 방법]을 설명한다. IPE는 전문가 간 협업 관행(ICP)에 대한 이해에 기초하므로, IPE의 기관 정보 검사는 ICP의 일부 측면을 검사하는 것을 포함한다. 우리는 에이전시 이론을 IPE의 도전(및 관련될 경우 ICP)에 적용하기로 선택했는데, 이는 그들이 명백히 사악한 문제일 뿐만 아니라 우리 팀이 이러한 도전들에 대한 상당한 경험을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즉, 

  • 한 저자[CA]는 IPE를 개발하고 IPE에 초점을 맞춘 보건 전문 교육에 관한 의학 연구소의 글로벌 포럼에 참여한 여러 학교와 상담했다. 
  • 두 명의 저자[LV]와 [JB]는 IPE와 ICP에 발표된 연구자이며, 두 명의 임상의 저자[CA]와 [JB]는 의료 경력을 전문가 간 팀에서 실습하는 데 보냈다.

In this paper, we offer an introductory overview of each of these four theories, and illustrate how agency can shed new light on wicked problems by applying each theory of agency to the challenges of successfully engaging in IPE. As IPE rests on an understanding of interprofessional collaborative practice (ICP), our agency-informed examinations of IPE involve the examination of some aspects of ICP. We chose to apply theories of agency to the challenges of IPE (and, when relevant, ICP) not only because they are clearly wicked problems, but also because our team has considerable experience with these challenges (i.e.

  • one author [CA] consulted with a number of schools that developed IPE and served on the Institute of Medicine Global Forum on Health Professions Education, which focused on IPE;
  • two authors [LV and JB] are published researchers in IPE and ICP, and both clinician authors [CA and JB] have spent their medical careers practising in interprofessional teams).

 

IPE에 에이전시 이론 적용
Applying theories of agency to IPE

기관이 HPE의 사악한 문제를 어떻게 새롭게 조명할 수 있는지를 설명하기 위해, 우리는 IPE와 관련된 경우 ICP에 성공적으로 관여하는 몇 가지 과제에 네 가지 에이전시 이론을 적용한다. 우리는 먼저 IPE가 사악한 문제의 정의에 어떻게 부합하는지 설명한다. 다음으로, 우리는 네 가지 다른 관점에서 에이전시 이론을 제시한다.

  • (i) 주디스 버틀러의 후기구조주의적 지향; 
  • (ii) 앤서니 기든스의 사회학적 지향
  • (iii) CHAT의 지향
  • (iv) 알버트 반두라의 사회적 인지 심리학적 지향

우리는 에이전시에 대한 각 접근 방식을 설명하고 IPE의 문제 중 하나에 적용한다. 이 이론과 설명 조직을 통해 (다른 기관 이론가들이 효과적으로 사용한 접근방식), 우리는 각각의 에이전시의 각 공식화가 기존 HPE 문제에 대한 새로운 통찰력을 어떻게 제공할 수 있는지 보여준다.

To illustrate how agency can shed new light on HPE's wicked problems, we apply four theories of agency to some of the challenges of successfully engaging in IPE and, when relevant, ICP. We first describe how IPE fits the definition of a wicked problem. Next, we present theories of agency from four distinct perspectives:

  • (i) Judith Butler's post-structural orientation;
  • (ii) Anthony Giddens’ sociological orientation;
  • (iii) CHAT's orientation, and
  • (iv) Albert Bandura's social cognitive psychology orientation.

We describe each approach to agency and apply it to one of the problems of IPE. Through this theory-and-illustration organisation (an approach that has been effectively used by other agency theorists26, 27), we demonstrate how each formulation of agency can provide new insights into existing HPE problems.

버틀러, 기든스, 챗 학자, 반두라 모두 theories of agency을 구성하지만, 그들은 서로 다른 방식으로 그리고 매우 다른 언어를 사용한다는 것을 주목할 필요가 있다. 이 논문의 초점은 에이전시 이론이 사악한 문제에 대한 새로운 통찰력을 제공할 수 있는 방식으로 제한된다. 우리는 이러한 방향들 중 어느 하나에서든 전체 작업에 대한 완전한 설명과 적용을 제공하지 않으며, 우리는 다른 이론 자체에 대한 논쟁에 관여하지도 않는다. 오히려, 우리는 이러한 이론에서 도출된 individual agency의 개념에 특히 초점을 맞춘다.

It is important to note that although Butler, Giddens, CHAT scholars and Bandura all construct theories of agency, they do so in different ways and using very different language. The focus of this paper is limited to the way in which theories of agency can provide new insights into wicked problems; we do not offer full explanations and applications of the complete body of work from any of these orientations, nor do we engage in debate about the different theories themselves. Rather, we focus specifically on concepts of individual agency drawn from these theories.

직업 간 교육과 실습: 사악한 문제
Interprofessional education and practice: a wicked problem

IPE에 대한 관심과 요구는 수십 년 동안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오늘날, IPE에 대한 지지는 널리 퍼져 있다. 최근의 검토에서 명확히 요약한 바와 같이: 

  • '만약 우리가 학생들이 팀워크와 전문적인 역할에 대해 배우고, 협력적인 연습을 할 준비가 되기를 바란다면, 우리가 건강 전문 교육과정에 팀워크를 포함시켜야 하며, 결정적으로, 미래의 협업을 촉진하기 위해 학습 활동을 제공하는 가장 효과적인 방법을 탐구하는 것이, 논리적일 뿐만 아니라 교육적으로도 필요할 것이다.’ 

Interest in and calls for IPE have been growing steadily for decades.28, 29 Today, support for IPE is widespread. As a recent review clearly summarises:

  • ‘If we expect students to learn about teamwork and professional roles, and to be ready for collaborative practice, it seems both logical and educationally necessary that we include teamwork in health professional curricula and, critically, that we also explore the most effective way of delivering learning activities to promote future collaboration.’30

IPE의 필요성을 일반적으로 수용함에도 불구하고, IPE 이니셔티브의 구현, 유지 및 평가는 여러 가지 이유로 복잡하고 이해하기 어려운 목표로 남아있다. 
Despite the general acceptance of the need for IPE, the implementing, sustaining and evaluating of IPE initiatives remain complex and elusive goals for multiple reasons.

첫째, IPE 이니셔티브를 개발, 시작 및 유지하는 것은, [사회적으로 혼란]스럽고, [일반적으로 합의된 문제 진술을 무시]하는 일련의 어려움을 유발한다. IPE 이니셔티브를 개발, 개시 및 평가하는 데 필요한 시간을 감안할 때, 구현 환경의 사회적, 정치적 지형은 자주 변경될 수 있다. IPE의 성공에 중요한 챔피언들은 그 기관을 떠날 수도 있다. 세션을 수행하는 교수진이 변경될 수 있으므로 지속 가능성을 위해 지속적인 교수진 개발이 필요합니다. 이러한 사회적 역동적인 맥락에서 IPE 이니셔티브에 참여하는 각 개인은 상호 전문적으로 일하고 IPE 프로젝트를 구현하는 데 필요한 전문적 기술에 대해 고유한 관점을 가질 수 있다. 결과적으로, 각 개개인마다 IPE 이니셔티브가 성공 또는 실패하는 이유에 대해 고유한 관점을 가집니다. 행정 구조(예: 프로그램 운영 비용, 학술 정책), 개별 교수진 및 보건 전문직 학생들은 모두 IPE 이니셔티브의 결과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인이다. 간단히 말해서, IPE의 성공 또는 실패에 대한 근본적인 이유를 확정적으로 식별할 수 없다. 각 이해관계자의 개별 관점은 IPE 이니셔티브의 다른 측면을 장애 또는 촉진자로 강조한다. 그러므로 [IPE 문제의 단일하고 확정적 공식을 합의하기 위해 노력하는 것]은 헛된 일이다.

First, developing, launching and maintaining an IPE initiative poses a set of challenges that are socially messy and defy commonly agreed-upon problem statements. Given the time needed to develop, launch and evaluate an IPE initiative, the social and political landscape of the implementing context is subject to frequent change. Champions of IPE, who are critical to its success,31, 32 may leave the institution. The faculty staff who deliver the sessions may change, requiring continuous faculty development for sustainability. In such socially dynamic contexts, each individual involved in the IPE initiative may hold a unique perspective on the profession-specific skills required to work interprofessionally and to implement the IPE project. Consequently, each individual has a unique perspective on the reasons why IPE initiatives are successful or fail. Administrative structures (e.g. the cost of running programmes, academic policies),33 individual faculty members34 and the health professions students are all critical factors impacting the outcomes of an IPE initiative. In short, the foundational reasons for the success or failure of IPE cannot be conclusively identified; each stakeholder's individual point of view highlights a different facet of the IPE initiative as an impediment or facilitator. Thus, striving for consensus on a single, definitive formulation of the IPE problem is futile.

둘째로, IPE 혁신의 효과를 분석하는 것이 문헌에서 뜨겁게 논의되고 있다. 이는 부분적으로 표준 분석 접근법이 IPE 구조에 맞지 않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대부분의 보건 전문가들이 교육생을 개별적으로 평가하지만, 최근의 보고서에 따르면 교육생에서 IPE 역량을 평가하는 데 사용할 수 있는 몇 가지 검증된 도구는 팀 성과에 초점을 맞춘다.35 또한 전문 인증 기관은 종종 '동일한 직업의 자격을 갖춘 직원이 학생을 평가한다'고 요구한다. 다만 IPE가 전문 간 학습과 협업을 육성하려면, 연수생이나 심사원의 직업에 관계없이, 모든 전문가가 개별 연수생 평가에 발언권을 가져야 하지 않을까? 실제로, IPE를 커리큘럼에 통합하여 [전문직 간 팀]의 파워를 활용하려고 하다보면, 우리는 전통적인 분석 및 평가 시스템이 과제에 적합하지 않다는 것을 인정해야 한다.
Secondly, analysing the effectiveness of an IPE innovation is hotly debated in the literature. This is in part because standard analysis approaches do not fit the IPE construct. For instance, although most health professions assess their trainees individually, recent reports indicate that the few validated tools available for assessing IPE competency in trainees focus on team performance.35 Further, professional accreditation bodies often require that ‘qualified personnel from the same profession assess students’.30 However, if IPE is to foster interprofessional learning and collaboration, shouldn't all professionals have a say in the assessment of individual trainees, regardless of the trainee's or assessor's profession? Indeed, if we are to harness the power of interprofessional teams by incorporating IPE into our curricula, we need to acknowledge that traditional analysis and assessment systems are ill suited to the challenge.


마지막으로, 보건 전문직 인가 기관이 거의 만장일치로 보건 전문 학교에 훈련생 팀워크 준비를 구현하고 강화하도록 요구했지만, 개별 기관에서 IPE를 어떻게 구현해야 하는지에 대한 합의된 접근법은 없다. 2005년과 2010년 사이에 동료 검토 문헌에서 보고된 IPE 활동의 최근 검토에서는 광범위한 이니셔티브 설계를 설명한다.

  • 개입 기간은 6시간에서 1년 사이였다.
  • 빈도의 관점에서 상호작용은 일회성 활동일 수도 있고, 1년에 걸쳐 여러 번 발생하거나 연간 사건일 수도 있다.
  • 교육 전략이 다양하다.
    • 소규모 그룹 토론에서부터 대규모 그룹 강의에 이르기까지,
    • e-러닝 기회에서 직접 대면하는 직업 쉐이딩에 이르기까지,
    • 시뮬레이션 기반 교육에서 환자 상호 작용에 이르기까지 

Finally, although health professions accreditation bodies have almost unanimously required health professions schools to implement and strengthen trainee teamwork preparation,36-40 there is no agreed-upon approach as to how IPE should be implemented at individual institutions. A recent review of the IPE activities reported in peer-reviewed literature between 2005 and 2010 describes a wide range of initiative designs:

  • the duration of interventions ranged from 6 hours to 1 year;
  • in terms of frequency, interactions might be one-time activities, or occurr multiple times over a year, or be annual events; and
  • educational strategies ranged
    • from small-group discussions to large-group lectures,
    • from e-learning opportunities to face-to-face job shadowing, and
    • from simulation-based training to direct patient interactions.41 

이러한 가변성을 감안할 때, 모든 경우에 통용될 수 있는 IPE나, '딱 이렇게 되어야 하는' IPE란 없다. IPE의 이니셔티브는 지역적으로 구성되며, 그러한 맥락에서 이해관계자와 관련이 있으며, 반드시 다른 학교로 전이transfer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Given this variability, it is clear that there is no one-size-fits-all,42 this-not-that IPE solution. Initiatives in IPE are locally constructed, relevant to the stakeholders in that context, and are not necessarily transferable to other schools.

요컨대, IPE는 사악한 문제의 정의에 부합한다. 우리는 다음과 같이 묻는다. IPE 이니셔티브와 성공 가능성을 개선하기 위해 어떻게 서로의 경험을 통해 배울 수 있을까요? 우리는 에이전시 이론이 IPE의 도전과 우리가 서로 배울 수 있는 잠재적으로 이전 가능한 솔루션에 대한 새로운 통찰력을 얻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고 제안한다.

In sum, IPE fits the definition of a wicked problem. We are left to ask: How can we learn from each other's experiences in order to improve our IPE initiatives and their likelihood of success? We suggest that theories of agency can help us gain new insights into the challenges of IPE and the potentially transferable solutions we can learn from one another.

 

주디스 버틀러의 에이전시에 대한 후기구조주의적 접근 방식
Judith Butler's post-structural approach to agency


IPE은 '양질의 의료를 효율적으로 전달하기 위한 효과적인 협업을 촉진하는 통찰력, 공유 지식 및 팀워크 기술'의 개발을 지원하는 것으로 홍보되어 왔다.  효과적인 전문가 간 팀 간 협업이 환자 치료에 긍정적으로 기여하는 것으로 크게 인식되지만, 효과적인 전문가 간 팀을 위한 구축과 교육은 많은 해결되지 않은 문제의 대상이 된다. 주요 질문은 다음과 같습니다.

  • 왜 유능한 개인 실무자로 구성된 팀이 반드시 유능한 팀을 대표하지 않는가? 
  • 왜 어떤 사람이 한 팀에서는 유능한 팀원이 될 수 있지만 다른 팀에서는 그럴 수 없는가? 

Interprofessional education has been touted as supporting the development of ‘insights, shared knowledge and teamwork skills that promote effective collaboration to deliver high-quality care efficiently’.43 Although effective interprofessional team collaboration is largely recognised as positively contributing to patient care, building and educating for effective interprofessional teams remain subject to many unresolved issues. Dominant questions include:

  • Why does a team made up of competent individual practitioners not necessarily represent a competent team?44 
  • Why can an individual be a competent team member in one team, but not in another?44

규제 기관, 전문 조직 및 HPE 학자들은 [전문 간 협업 역량interprofessional collaborative competence]을 이해하고 정의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능력의 문제를 검토하면서, Hodges와 Lingard는 [역량 담론의 건설적인 힘]에 관심을 끈다. (즉, 특정 장소와 시간에 유능한 전문가가 되는 것이 무엇인지 이해하는 데 있어 언어, 행동 및 자료에 내재된 힘). 
이러한 관점에서,

  • [전문 간 협업 역량]의 담론은 [전문직 간 팀에서 유능한 임상의가 되는 것]이 무엇인지에 대한 각 제공자의 이해를 형성한다.
  • 그런 다음 이러한 담론은 IPE 이니셔티브에 정보를 제공합니다.
  • 담론은 IPE 이니셔티브에 구체화되어 있으며, 담론에서 제공된 정의에 따라 trainees를 유능한 팀 구성원이 되도록 교육한다.

Regulatory bodies, professional organisations and HPE scholars are working to understand and define interprofessional collaborative competence. In examining the question of competence, Hodges and Lingard draw attention to the constructive power of the discourses of competence (i.e. the power embedded in the language, behaviours and materials that shape understanding of what it is to be a competent professional in a specific place and time).44 From this perspective,

  • the discourses of interprofessional collaborative competence shape and build each provider's understanding of what it is to be a competent clinician in an interprofessional team.
  • These discourses then inform IPE initiatives.
  • The discourses are embodied in IPE initiatives, educating trainees to be competent team members according to the definitions provided in the discourses.

[전문가 간 협업 역량의 담론]이 [개별 임상의의 Agency]와 어떻게 불가분의 관계에 있는지 조사하면 효과적인 IPE 개입의 구성에 대한 이해를 높일 수 있다. [임상의가 교육을 받는 담론]이 [개인적 힘power에 대한 이해]를 형성한다. 이러한 담론은 [행동하고, 상호작용하고, 전문가들 간의 팀을 포함한 특정한 맥락에서 반응해야 하는 힘power]을 형성한다. IPE를 통한 전문 간 협업 역량 구축의 에이전시의 종류를 이해하기 위해, Butler의 에이전시에 대한 사후 구조 개념은 특히 도움이 된다.
Examining how discourses of interprofessional collaborative competence are inextricably linked to an individual clinician's agency can enhance our understanding of the construction of effective IPE interventions. The discourses with which and through which clinicians are educated shape each individual's understanding of his or her personal power. These discourses shape the power he or she has to act, to interact and to react in specific contexts, including that of the interprofessional team. To understand the kind of agency our discourses of interprofessional collaborative competency construct via IPE, Butler's post-structural conception of agency is particularly helpful.

Butler가 설명한 Agency
Agency as described by Butler

후기구조주의자들은 일반적으로 [Agency을 Discourse과 분리할 수 없는 것]으로 생각한다. [담론]은 [특정 시점에 합법적이라고 간주되는 관행(예: 언어, 행동 및 물질적 관행)과 관련 표현(예: 언어 및 언어, 성과 및 외모, 건축 및 제도)]으로 이해될 수 있다.

  • 후기구조주의 이론가들이 흔히 조사하는 문제는 [개인적 경험의 현실을 구성하고, 의미를 부여하는 데 있어서, 담론의 역할]에 관한 것이다.
  • 많은 포스트 구조주의 학자들에게 있어서 담론은 [조직적인 사고방식]으로 생각되며, 이는 곧 [행동방식]이 된다.
  • 이러한 관점에서 담론은 Agency와 불가분의 관계에 있다. 담론은 [개인이 되는 것이 의미하는 것]과 [개인이 취할 수 있는(또는 취할 수 없는) 행동의 종류]에 대한 바로 그 개념을 구성한다.

Post-structuralists generally conceive of agency as inseparable from discourse. Discourse can be understood as the practices (e.g. the linguistic, behavioural and material practices44) and their associated representations (e.g. speech and language, performance and appearance, architecture and institution44) that, at a given point in time, are considered legitimate.

  • An issue commonly investigated by post-structural theorists concerns the role of discourse in constructing and giving meaning to the reality of personal experiences.
  • For many post-structuralist scholars, discourse is conceived of as organising ways of thinking, which, in turn, become ways of acting.
  • From this perspective, discourse is inextricably joined with agency: discourse constructs the very idea of what it means to be an individual and the kinds of actions that an individual can (or cannot) take.


이러한 관점과 관련된 저명한 후기구조주의 학자는 주디스 버틀러이다. 버틀러는 [담론]이 [개인이 점유할 수 있는 특정한 사회적, 개인적 역할을 구성한다]고 주장한다. 버틀러에게 이러한 역할은 개인에 의해 사용되고 개인을 둘러싸고 있는 담론에 의해 구성된다. 이런 관점에서 볼 때, 개인은 단순히 태어날 때부터 그곳에 있는 것이 아니다. 개인은 사용하는 담론을 통해 자기자신을 존재하게 한다. 개인이 사용하는 담론은 개인을 구속하거나 권한을 부여empower한다.

  • 예를 들어, 버틀러는 젠더는 개인의 타고난 내적 특성이 아니라고 제안한다. 대신 담론을 통해 개인이 수행하는 것이다. 반복적인 공연을 통해, 개인은 그 혹은 자신을 [젠더화된 사람gendered person]으로 만든다.
  • 비슷하게, 개인은 전문직의 담론에 참여함으로써 그 또는 자신을 의사로 만든다.

개인은 어떤 담론을 사용할지 선택할 때 agency를 갖는다. 개인은 이용 가능한 담론과 그 안에서 구성되는 역할을 맡음으로써 자기자신을 구성, 해체, 재구성할 수 있다. 이런 관점에서 Agency는 담론의 수준에서 존재한다. 연습 기관은 개인이 performance을 선택할 것을 요구하고, 따라서 그 또는 자신을 창조할 담론을 선택할 것을 요구한다. 

An eminent post-structuralist scholar associated with this perspective is Judith Butler.45, 46 Butler argues that discourse constructs specific social and personal roles (which Butler labels ‘subject positions’) for individuals to occupy.46 For Butler, these roles are constructed by the discourses that are used by and that surround an individual. From this perspective, an individual isn't simply there from birth. An individual brings him or herself into being through the discourses he or she uses. The discourses an individual uses both constrain and empower that individual.

  • For instance, Butler proposes that gender is not a natural, internal quality of an individual. Instead, it is something that is performed by an individual through discourse. Through repeated performances, the individual makes him or herself into a gendered person.
  • Similarly, an individual makes him or herself into a physician by engaging with the discourses of the profession.

The individual has agency when he or she chooses which discourses to use. An individual can construct, deconstruct and reconstruct him or herself by taking up an available discourse and the roles constructed therein.47 Agency exists, in this perspective, at the level of discourse.27 To exercise agency requires the individual to choose a performance, and thus to choose a discourse through which to create him or herself.46, 48

Butler의 에이전시 개념을 프로페셔널 간 협업 역량에 적용
Applying Butler's conceptions of agency to interprofessional collaborative competency

버틀러의 관점을 이용하여 전문 간 협업 역량의 담론을 조사함으로써, 우리는 임상의들이 활발하게 수행하고 있는 기관을 식별할 수 있다. 우리는 의사와 관련된 [전문 간 협업 능력]의 담론을 통해 이 적용사례를 설명한다. [전문 간 협업 역량]의 담론은 [의료 팀에서 유능한 의사로 인정받기 위해 개별 의사가 특정한 방식으로 생각하고 행동하도록] 한다. 예를 들어 소아과 마일스톤 프로젝트 보고서는 소아과 의사와 관련된 각 역량에 대한 지식, 기술 및 태도의 진행 상황을 설명한다. 이 보고서는 다음과 같은 전문 분야 간 협업 역량을 설명합니다. '팀 구성원은 팀에서 효과적으로 기능하기 위해 필요한 팀 기술, 적절한 팀 행동, 팀 환경에서 이러한 기술과 행동을 수행하는 방법을 알아야 합니다.' 

By examining the discourses of interprofessional collaborative competence using Butler's perspective, we can discern the agency that clinicians are actively performing. We illustrate this application via the discourses of interprofessional collaborative competence related to physicians. The discourses of interprofessional collaborative competence have individual physicians thinking and acting in specific ways in order to be recognised as competent physicians in health care teams.44 To illustrate, the Pediatrics Milestone Project report49 describes the set of competencies, and the progression of knowledge, skills and attitudes for each competency as they pertain to paediatricians. This report describes interprofessional collaborative competence with the following: ‘To function effectively in a team, a team member must know what team skills are required, what team behaviours are appropriate, and how to perform these skills and behaviours in a team setting.’49

이 담론에서는 의사가 의료 팀의 유능한 구성원으로 간주되기 위해 [특정한 수행performance에 참여할 것]을 요구한다. 개별 의사는 이 설명과 일치하는(또는 다른) 방법으로 수행하기로 선택함으로써 Agency를 행사한다. 다시 말해서, 의사는 [진료 팀에서 '효과적'이고 '유능한' 의사의 역할을 위해 선택한 '적절한 행동']에 대해 [어떤 담론으로부터 정보를 얻을지를 결정해야] 합니다.

  • 의사는 환자를 팀의 능동적인 구성원으로 포함시키는 것을 지원하기 위해 [환자 중심 진료 담론]을 사용할 수 있다. 환자 중심의 치료 담론을 사용할 때, 의사는 환자가 치료 팀의 활동적인 일원이라고 결정하고 그에 따라 행동한다.
  • 반대로 의사는 [객관적인 환자 자율성이 진정으로 달성될 수 있는지 여부]에 의문을 가짐으로써, 환자 중심의 치료 개념을 불안정하게 하는 담론을 포함하여 다른 담론을 선택할 수 있다. [환자 중심 치료 개념을 거부하는 담론]을 사용하여 의사는 환자를 팀의 능동적인 구성원으로 인식하지 않으며 그에 따라 행동할 것이다.

우리는 한 선택이 다른 선택보다 낫다고 제안하지 않는다. 대신, 우리는 어떤 담론에 engage할지를 선택함으로써, 의사가 agency를 발위한다는 사실을 강조하는 것이다.

This discourse requires the physician to engage in specific performances in order to be deemed a competent member of a health care team. The individual physician exerts agency by choosing to perform in a way that is congruent (or divergent) with this description. In other words, the physician must decide what discourses will inform his or her choice of ‘appropriate behaviours’ for the role of an ‘effective’ and ‘competent’ physician in a care team.

  • The physician may draw on the discourses of patient-centred care5051 to support the inclusion of the patient as an active member of the team. In using the patient-centred care discourse, the physician decides that the patient is an active member of the care team and acts accordingly.
  • Conversely, the physician may choose a different discourse including, for example, one that destabilises the concept of patient-centred care by questioning whether objective patient autonomy can ever be truly achieved.52 Using a discourse that rejects concepts of patient-centred care, the physician will not recognise the patient as an active member of the team, and will act accordingly.

We do not suggest that one choice is better than another. Instead, we highlight the fact that it is by choosing which discourses to engage with that a physician exercises agency.

버틀러의 에이전시 개념은 IPE 이니셔티브가 [의사가 고려할 수 있는 일련의 담론을 제공해야 함]을 시사한다. (예: 전문 팀 간 관리 책임의 재배포 또는 팀 리더십을 간호사 관리자에게 이전하는 것과 관련된 담론) 의사를 둘러싼 담론이 많을수록, 의사는 더 많은 수행performance 옵션을 선택할 수 있습니다. 개인의 에이전시를 지원하기 위해, IPE는 [전문 간 협업 역량에 대한 여러 개의 담론을 통합]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trainee는 [특정 유형의 협력적 구성원으로 자신을 만들어갈 수 있을 것이다.

Butler's conception of agency suggests that IPE initiatives should provide an array of discourses for the physician to consider (e.g. discourses relating to the redistribution of care responsibilities across the interprofessional team, or to the transfer of team leadership to a nurse manager). The more discourses that surround the physician, the more performance options the physician has available to choose from. To support the individual's agency, IPE can incorporate multiple discourses of interprofessional collaborative competence through which the trainee can create him or herself as a specific kind of collaborative team member.

전문적이고 사회적인 기대와 배치되는 담론을 선택하는 것은 복잡하고 힘든 행동이다. 실제로, 버틀러는 [개인이 담론을 선택하는 행위]가 [얼마나 사회적으로 제약을 받는지]를 논하는 데 자신의 본문의 상당한 부분을 소비한다. 분명히, 이 고려사항은 분석에도 알려야 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버틀러의 Theory of agency은 전문직 간 협력 관행에서 담론의 영향력 있는 역할에 대한 귀중한 통찰력을 제공한다.

Choosing a discourse that runs counter to professional and social expectations is a complicated and laborious act. Indeed, Butler spends a considerable portion of her body of work examining just how socially constrained the act of choosing a discourse (perhaps especially a non-dominant discourse) is for the individual. Clearly, this consideration should also inform analysis. This notwithstanding, Butler's theory of agency offers valuable insights into the influential role of discourses on interprofessional collaborative practices.

에이전시에 대한 앤서니 기든스의 사회학적 접근
Anthony Giddens’ sociological approach to agency

IPE의 성공을 방해하는 것으로 식별되는 또 다른 어려운 영역은 [스케줄링]이다. 단일 IPE 이니셔티브를 실시하기 위해 스케줄링 고려사항은 다음을 포함할 수 있다.

  • (i) 서로 다른 전문학교의 여러 학생 단체를 함께 모이게 하는 것, 
  • (ii) 모든 교육생이 서로 또는 서로 간에 중요한 교류를 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 
  • (iii) 모든 교육생이 교육 활동에 의미 있게 기여할 수 있도록 유사한 수준의 전문지식을 가진 주제에 대해 
  • (iv) 교육을 받고 IPE 이니셔티브에서 일할 의사가 있는 교육자와 함께. 

이러한 모든 고려사항을 일치시키는 것이 어렵다는 것이, [IPE 구현에 대한 가장 빈번하게 보고된 장벽 중 하나로 스케줄링]이 인용된 이유 중 하나이다. 따라서 IPE 스케줄링은 종종 개별 Agency의 영향이 없는 순수한 구조적 문제로 간주된다.

Another difficult area often identified as impeding the success of IPE is that of scheduling.41, 53 To have a single IPE initiative take place, scheduling considerations may include:

  • (i) getting multiple student bodies from different professional schools together;
  • (ii) in a way that enables all the trainees to engage in significant exchanges with, from and about one another;
  • (iii) on a topic in which all trainees have similar levels of expertise so they can all contribute meaningfully in an educational exercise, and
  • (iv) with educators who are trained and willing to work in an IPE initiative.

The difficulty of making all these considerations align is one of the reasons why scheduling has been cited as among the most frequently reported barriers to IPE implementation.41 As such, IPE scheduling is often considered a purely structural issue, devoid of implications of individual agency.


IPE 문제의 이러한 측면을 조사하는 다른 방법은 앤서니 기든스가 개발한 에이전트의 이론적 렌즈를 통해서이다.[Agency과 함께 행동하는 개인의 역량], 그리고 [개별 Agency와 더 큰 사회 구조 사이의 관계]를 검토하기 위하여 [분석을 리프레이밍 하는 것]은 IPE 스케줄링의 장애물을 이해하는 새로운 방법을 제시할 수 있다. 즉, IPE 스케줄링이 어떻게 순전히 구조적인 문제가 아닌지에 대한 통찰력을 제공한다. 

A different way to examine this aspect of the IPE problem is through the theoretical lens of agency developed by Anthony Giddens. Reframing analyses to examine the individual's capacity to act with agency, and the relationships between individual agency and larger social structures can suggest new ways of understanding the obstacles to IPE scheduling – ways that offer insights into how IPE scheduling is not purely a structural problem.

기든스가 설명한 기관
Agency as described by Giddens

사회과학에서 근본적인 논쟁의 포인트는 [개인의 Personal agency와 주변 사회 구조 사이의 관계]를 포함한다. 사회학자들은 일반적으로 [개인의 agency와 사회적 맥락] 사이에 엄격한 분리가 없다는 데 동의하게 되었다. 대신, 이러한 학자들은 개별 agency가 어떤 방식으로든 사회 구조에 의해 형성되고, 촉진되며, 또는 제약을 받는다고 제안한다. 그러나, 동시에, 사회 구조는 개인과 개인의 행동에 의해 형성된다.
A foundational point of debate in the social sciences involves the relationship between an individual's personal agency and his or her surrounding social structures.54 Sociologists have generally come to agree that there is no strict separation between an individual's agency and his or her social context.54 Instead, these scholars propose that individual agency is shaped, facilitated in some ways and constrained in other ways by social structures.27, 54, 55 However, simultaneously, social structures are shaped by individuals and their actions.

개인과 주변 사회구조 사이의 관계를 연구하는 학자는 앤서니 기든스(Anthony Giddens)로, 개별 Agency의 역할과 기능, 요구 사항을 검토한다. 기든스는 [개인의 행동이 Agency이 되기 위해서]는 특정한 조건이 있어야 한다고 제안한다.

  • 첫째, 개인은 [의도성]을 가지고 행동해야 한다.
  • 둘째로, 개인은 자신의 의도에 따라 행동할 수 있는 [능력capacity]이 있어야 한다.
  • 셋째, 개인은 새로운 사건을 만들거나 기존 사건에 개입할 수 있는 [힘power]을 가져야 한다.

A scholar exami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individual and the surrounding social structures is Anthony Giddens, who examines the roles, functions and requirements for individual agency.56 For an individual's actions to have agency, Giddens proposes that certain conditions must be present.56 

  • Firstly, the individual must act intentionally.56 
  • Secondly, the individual must have the capacity to act on his or her intentions.56 
  • Thirdly, the individual must have the power to create a new event or to intervene in an existing event.56

기든스는 [사회 구조와 개별 Agency가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다]고 주장한다.

  • 개인이 특정한 방식으로 반복적으로 행동함에 따라, 그들은 사회적 구조(예: 전통, 도덕 규범, 정부 등)를 만들고 재창조한다.
  • 개인이 다르게 행동할 때 사회 구조는 바뀔 수 있다(예: 그들은 전통을 따르는 것을 멈추고, 다른 도덕 규범을 수용하거나, 새로운 정치 권력에 투표한다). 
  • 그러나, 비록 사회 구조가 개인에 의해 활발하게 생산되고 재생산되지만, 그러한 개인의 행동은 사회 구조의 규칙과 자원에 의존한다. 즉, 개인들은 일을 완수하기 위해 사회 시스템을 사용한다. 
  • 그러나, 동시에, 사회 시스템은 개인의 행동이 그것들을 창조하고 재생시키기 때문에 존재한다.

Giddens argues that social structures and individual agency are intimately related.56 

  • As individuals repeatedly act in specific ways, they create and recreate social structures (e.g. traditions, moral codes, governments, etc.).
  • Social structures can be changed when individuals act differently (e.g. they stop following traditions, embrace different moral codes or vote for new political powers).
  • However, although social structures are actively produced and reproduced by individuals, those same individuals rely on the rules and resources of social structures to act. That is, individuals use social systems to get things done.
  • Yet, at the same time, social systems exist because the actions of individuals create and regenerate them.

IPE 스케줄에 Giddens의 에이전시 개념
Applying Giddens’ conception of agency to IPE scheduling

기든스의 대리점 공식을 통해 IPE 스케줄링의 경험을 검토하면 그러한 이니셔티브의 성공과 실패에 대한 고유한 통찰력을 제공할 수 있다. 다양한 보건 전문학교의 커리큘럼의 사회 시스템과 관련하여 개별 교수진의 Agency를 이해하면 IPE 이니셔티브가 어떻게 그리고 왜 흔들리는지에 대해 새로운 조명을 받을 수 있다.

Examining the experiences of IPE scheduling through Giddens’ formulation of agency can provide unique insights into the successes and failures of such initiatives. Understanding the agency of individual faculty members in relation to the social systems of the curricula of the different health professions schools can shed new light on how and why IPE initiatives falter.

이를 설명하기 위해 IPE 이니셔티브를 구현하기 위해 교육 관행을 변경해야 하는 여러 professional schools의 교직원을 생각해 보십시오. 성공하기 위해서는, 이러한 교수진들이 에이전시에 필요한 조건을 갖추어야 한다. 

  • (i) IPE에 참여하도록 교육 관행을 바꾸려는 의도intention
  • (ii) 그러한 변화를 실현하는 방식으로 행동하는 능력capacity
  • (iii) IPE 이니셔티브를 실현하기 위해 professional school에 걸쳐 과목의 내용을 align시키는 힘power 

To illustrate this, consider the faculty members from different professional schools who are required to change their teaching practices to implement an IPE initiative. To be successful, these faculty members must have the necessary conditions for agency:

  • (i) the intention to change their teaching practices to engage in IPE;
  • (ii) the capacity to act in ways that will bring those changes into being, and
  • (iii) the power to bring the content of their courses into alignment across professional schools to realise the IPE initiative.

이러한 조건이 충족되면, 이러한 교육자들은 IPE를 지원하기 위한 다양한 보건 직업 커리큘럼의 사회 구조와 과정을 바꾸기 위해 그들의 행동을 사용할 수 있다. 단, 이러한 조건이 충족되지 않는다면, 개별 교직원은 IPE 이니셔티브에 참여할 수 있는 충분한 Agency가 없을 것이다.

  • 교수진이 IPE에 참여할 의사가 없는 경우,
  • IPE 맥락에서 가르치는 방법을 배울 수 있는 교수개발 지원이 없는 경우,
  • 다른 보건 전문가 과정의 내용을 반영하도록 교육 과정의 내용을 변경할 힘이 없는 경우

When these conditions are met, these educators can use their actions to change their courses and the social structures of the different health professions curricula to support IPE. However, if these conditions are not met (e.g.

  • if the faculty members don't have the intention to engage in IPE,
  • if they don't have the faculty development support to learn how to teach in an IPE context, or
  • if they don't have the power to change the content of their courses to mirror the content of the other health professions courses),

individual faculty members will not have sufficient agency to engage in IPE initiatives.

교수들은 다른 보건의료전문직 단과대학의 커리큘럼 안에서 근무하기에, 그들이 일하는 사회 구조도 서로 다르다. 이러한 사회 시스템은 IPE 이니셔티브에 참여하려는 교수진의 노력을 방해할 수 있습니다. 커리큘럼은 '지역 정치, 문화, 전문적, 사회적 맥락에서 도출되는 가치'를 반영한다. 이러한 가치가 특정한 커리큘럼 설계방식을 inform하고 create한다. 커리큘럼 디자인은 주어진 학교에서 매우 광범위하게 채택되고 받아들여질 수 있기 때문에, 커리큘럼 변화에 참여하는 것은 이념의 변화를 가져오는 것과 비슷하다. 그러한 커리큘럼의 변경이 불가능한 것은 아니지만, 그러한 변화가 실현되려면 커리큘럼에 내재된 가치가 변화해야 한다. 

These faculty members work inside the curricula of different health professions schools and hence they work within different social structures. These social systems can obstruct the faculty members’ efforts to engage in IPE initiatives. A curriculum reflects the ‘values deriving from the local political, cultural, professional and social context’.57 These values inform and create specific curriculum designs. Curriculum designs can become so broadly adopted and accepted at a given school that to engage in curriculum change is akin to bringing about a change in ideology.57 Such curriculum changes are not impossible, but, if such changes are to be realised, the values embodied in the curriculum need to shift.57 

IPE 이니셔티브를 지원하기 위해 커리큘럼 일정을 변경하려면 커리큘럼 일정을 수정하는 동기를 부여할 수 있도록 IPE가 충분히 가치있게 여겨져야 한다. 다른 전문학교의 교수진들이 IPE 이니셔티브에 참여할 의향, 역량 및 힘을 가지고 있다고 하더라도, 그들은 [사회적 수준]에서 [IPE를 충분히 가치있게 여겨서, 커리큘럼을 재조정하는 작업에 동기를 부여할 힘]이 부족할 수 있다. 이 예에서 우리는 특정 사회 구조(예: 보건 전문 학교의 커리큘럼)가 개인의 Agency(예: IPE 이니셔티브에 참여하는 교수진의 작업)을 방해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한 통찰력을 얻는다.

To change curricula schedules in support of IPE initiatives requires that IPE be sufficiently valued to motivate modifying the curricula schedules. Given that, even if faculty members at different professional schools have the intention, capacity and power to participate in an IPE initiative, they can lack the power to have IPE sufficiently valued at a social level to motivate the task of rescheduling curricula. In this example, we gain insight into how specific social structures (e.g. curricula of health professions schools) can obstruct the individual's agency (e.g. the faculty member's work to engage in an IPE initiative).

이 그림에서 알 수 있듯이, 기든스의 에이전시 개념을 이용한 HPE 연구는 유익한 방식으로 IPE의 문제를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 IPE 스케줄링의 도전에 맞서기 위해 기든스의 에이전시 이론은 다음과 같은 노력을 목표로 삼을 것을 제안합니다. 

  • (i) IPE 이니셔티브에 참여할 수 있도록 개별 교직원을 지원한다(즉, 그들의 의도, 역량 및 힘에 초점을 맞춘다)
  • (ii) 동시에 개별 health professions school에 의해 매우 가치 있게 여겨지는 전문 간 협업을 만들기 위해 작업하는 동시에, IPE를 지원하는 커리큘럼 스케줄링을 수정하는 작업이 정당화된다.

As this illustration demonstrates, HPE research using Giddens’ conception of agency can help us understand the problem of IPE in informative ways. To confront the challenges of IPE scheduling, Giddens’ theory of agency would suggest we target efforts at:

  • (i) assisting individual faculty staff to engage in an IPE initiative (i.e. focusing on their intention, capacity and power), and
  • (ii) simultaneously working to make interprofessional collaboration so deeply valued by individual health professions schools that the work of modifying curricula scheduling in support of IPE is justified.

 

CHAT과 반두라의 에이전시 접근 방식
CHAT's and Bandura's approaches to agency

IPE를 방해하는 또 다른 과제는 [의료팀의 각 개인이 어떻게 고유한unique 개인인지]를 인식하는 것이다. [각 진료팀 구성원]은 [어떻게 진료팀이 상호 작용할지]에 대해, [선호하는 협업 방법 및 고유한 아이디어]를 가져옵니다. 마찬가지로, 각 의과대학과 임상 맥락에는 전문가 간 협업을 형성하는 [고유한 사회적, 물리적 조직]이 있다. 의사가 전문 간 팀의 효과적인 구성원이 되도록 훈련 받는 방법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개인이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이러한 많은 컨텍스트를 통해, 자신의 방식을 협상하는 방법]을 검토해야 한다. 다시 말해서, 우리는 이러한 교훈을 IPE 이니셔티브에 통합할 수 있도록 개별 임상의들이 끊임없이 변화하는 치료 팀의 일원으로서 어떻게 에이전시를 행사하는지 이해할 필요가 있다.
Another challenge impeding IPE concerns the recognition of how each person in the care team is a unique individual. Each care team member brings his or her own preferred ways of collaborating and unique ideas of how the care team should interact. Similarly, each medical school and clinical context has its own social and physical organisation that shapes interprofessional collaborations. To understand how physicians can be trained to be effective members of interprofessional teams requires that we examine how individuals negotiate their way through these many contexts to achieve their goals.58 In other words, we need to understand how individual clinicians exercise agency as members of everchanging care teams so that we can incorporate these lessons into our IPE initiatives.

CAT 및 Bandura가 설명한 기관
Agency as described by CHAT and Bandura


이 도전에 대한 통찰력은 [끊임없이 변화하는 사회 문화적 맥락에서 일하는 개인의 문제]로 재구성함으로써 얻을 수 있다. 이를 위해, 우리는 CHAT(문화사 활동 이론)와 알버트 반두라가 맥락(도구, 언어, 문화적 기대와 제도적 규정 포함)이 인간의 경험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 조사하는 방식으로 눈을 돌릴 수 있다. 
우리는 각 이론이 개인과 사회 사이의 분리의 다른 측면을 어떻게 강조하는지를 강조하기 위해 Agency에 대한 이 두 가지 formulation을 결합한다. 비록 개인과 사회가 어떻게 서로 협력하는지를 검토하지만, Agency에 대한 CHAT접근은 [개인의 Agency에 의해 물질적인 사회적 과정이 어떻게 형성되는지]를 강조하는 반면, 반두라의 접근은 [Agency의 핵심 요소를 개인 안에 있는 것]으로 강조한다.

Insights into this challenge can be gained by reframing it as a problem of individuals working in changing social and cultural contexts. To do this, we can turn to the ways in which CHAT (cultural historical activity theory) and Albert Bandura examine how contexts (including tools, language, cultural expectations and institutional regulations) influence human experiences. We pair these two formulations of agency together to highlight how each theory emphasises a different aspect of the divide between the individual and the social. Although both examine how the individual and the social co-construct one another, CHAT's approach to agency emphasises how material social processes shape by an individual's agency, whereas Bandura's approach accentuates the core elements of agency as resting within the individual.


챗은 비고츠키와 레온티예프의 작품에서 성장한다. 채팅은 개인과 사회 사이의 복잡한 상호 작용과 관계에 대한 분석을 지원합니다. CHAT에 근거한 Agency 분석은 [개인이 어떻게 활동 시스템의 일부인지]를 연구한다. 활동 시스템은 다음과 같은 상호 작용으로 구성됩니다. 

  • (i) 개별 주제 
  • (ii) 목표(즉, 목표) 
  • (iii) 해당 기관이 위치한 업무 공동체 
  • (iv) 노동의 분배 
  • (v) 그 안의 규칙들
  • (vi) 사용할 수 있는 도구

CHAT grows out of the work of Vygotsky59 and Leontiev.60 CHAT supports analysis of complex interactions and relationships between the individual and the social.61 A CHAT-informed analysis of agency studies how an individual is part of an activity system. An activity system is comprised of the interactions among:

  • (i) the individual subject;
  • (ii) his or her object (i.e. goal);
  • (iii) the communities of practice in which he or she is located;
  • (iv) the divisions of labour therein;
  • (v) the rules therein, and
  • (vi) the instruments available for use.

[개인의 Agency]는 [활동 시스템의 이러한 요소들]에 의해 [강력하게 형성되고 구속]된다. 이런 관점에서 개인의 Agency는 완전히 자신의 Agency가 아니다. [CHAT에 대한 보다 고전적 해석]은, [개인과 개인의 Agency는 '사회적 과정의 집단적 역학관계에서 용해'되어 있다]고 가정한다. 그러나 [CHAT에 대한 다른 해석]은, [개인이 활동 시스템 내의 Agent라는 것]을 암시한다. CHAT 연구의 이러한 Branch에서는, 개인이 물질적인 사회적 프로세스에 뿌리를 두고 있으며, 동시에 이러한 프로세스를 형성하는 것으로 간주한다. 다시 말해서, 개인의 Agency는 '사회적 환경 속의 다른 것들과 암시적 또는 명시적으로 협력하고 있다'는 것이다. 개인의 Agency는 활동 시스템의 사회적, 물질적, 개인적 요소가 변화함에 따라 변화할 수 있다. 이러한 방향에서, Agency에 대한 CHAT의 관점은, Agency가 어떻게 개인에만 머물러seated 있지 않고, 특정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다른 사람들과 사회적 물질적 현실과 관계적으로 협상되는지]를 강조한다. 
An individual's agency is powerfully shaped and constrained by these elements of the activity system. From this perspective, an individual's agency is not fully his or her own. The more canonical interpretations of CHAT have posited that the individual and his or her agency are ‘dissolved in the collective dynamics of social processes’.62 However, other interpretations of CHAT suggest that the individual is an agent within the activity system.62 This branch of CHAT research conceives of the individual as both rooted in material social processes and simultaneously shaping those processes.62 In other words, the individual's agency is ‘co-constructed and implicitly or explicitly negotiated with others in a social setting’.63 An individual's agency is open to change as the social, material and personal elements of the activity system change. From this orientation, CHAT's perspective of agency highlights how agency is not seated solely in an individual, but is instead negotiated relationally with others and the social material reality to achieve specific goals.64

에이전시의 또 다른 개념은 반두라(Bandura)에서 나왔는데, 반두라(Bandura)는 [자율적인 개체]도 없고, [개인의 행동이 사회 구조에 의해서만 결정되는 것]도 아니라고 주장한다. 대신, 인간의 행동은 [개인적 요인, 행동, 환경적 결정 요소들 사이의 상호 작용의 산물]이다. 반두라는 에이전시의 네 가지 핵심 특징을 파악한다.

  • 첫째는 의도성, 즉 미래의 행동 방침에 대한 사전 예방적 표현입니다.
  • 두 번째는 개인의 시각화된 목표와 활동을 안내하고 동기를 부여하는 결과예상 이다.
  • 세 번째는 의도성과 사전 생각에 따라 행동하는 자기 반응성이다.
  • 마지막은 자기반성입니다. 자기자신의 행동, 생각, 동기, 감정을 처리하는 메타인지 능력입니다.

Another conception of agency comes from Bandura, who argues that there is no autonomous individual nor is an individual's behaviours determined solely by social structures.65 Instead, human action is a product of the mutual interaction among personal factors, behaviour and environmental determinants.66 Bandura identifies four core features of agency.

  • First is intentionality, a proactive representation of a future course of action.67 
  • The second is forethought, the individual's visualised goals and anticipated outcomes that guide and motivate activities.65 
  • Third is self-reactiveness, which involves acting on intentionality and forethought.65 
  • Last is self-reflectiveness, a meta-cognitive ability of processing one's own actions, thoughts, motivations and feelings that allows for course corrections.65

CHAT와 Bandura의 에이전시 개념을 전문가 간 협업 연습에 적용
Applying CHAT's and Bandura's conceptions of agency to interprofessional collaborative practice

전문가 간 협업 관행에 대한 우리 커뮤니티의 이해는 Agency에 대한 CHAT와 Bandura의 접근 방식을 통해 크게 알 수 있다. CHAT에 근거한 한 가지 가능한 분석은 [팀 내 또는 외부로 개별 팀 구성원의 로테이션]이 협업 업무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강조할 것이다. 각 팀 구성원은 [각자의 고유한 활동 시스템]을 가지고 협업을 한다. 이 시스템이 협력 노력에 어떤 행동과 태도를 가져올지 결정합니다. 예를 들어, [업무 분업에 대한 전공의의 이해]는 [간호 직원들과 상호작용하는 방식]을 형성할 것이다. 다른 전공의가 팀에 들어오면, 새로운 전공의가 분업을 어떻게 이해하는지가 팀 상호 작용을 변화시킬 수 있다. 활동 전반에 걸쳐 Agency가 협상되기 때문에, 팀 구성원이 팀에 합류하거나 탈퇴할 때마다 각 팀 구성원의 Agency는 불안정해지고, 재협상이 이루어진다. 이러한 고려사항은 IPE 이니셔티브에 유용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CHAT에 정통한 IPE를 통해 교육생의 상황 인식을 높이면 이러한 학습자들이 보다 숙련된 전문가 간 협력자가 될 수 있다.

Our community's understanding of interprofessional collaborative practice can be greatly informed by CHAT's and Bandura's approaches to agency. One possible CHAT-informed analysis would underscore how the rotation of individual team members in or out of the team impacts collaborative practice.58, 68 Each individual team member comes to the collaboration from his or her own unique activity system, which shapes the kinds of actions and attitudes that person brings to the collaborative effort. For instance, the resident's understanding of division of labour will shape the way he or she interacts with nursing staff. When another resident rotates into the team, the new resident's understanding of division of labour may change those team interactions. As agency is negotiated across the activity, each time a team member joins or leaves the team, each team member's agency is destabilised and renegotiated. These considerations could usefully inform IPE initiatives. Increasing trainees’ situational awareness69 through CHAT-informed IPE could help these learners be more savvy interprofessional collaborators.

반두라의 이론은 어떻게 각 팀 구성원의 소속사가 자신의 [의도성, 사전 생각, 자기 반응성, 자기 성찰]에 의해 잠재적으로 위협받을 수 있는지 조사하도록 할 것이다. 예를 들어, 주니어 전공의는 입원 환자 팀의 적극적인 기여자가 되려는 [의도]를 완전히 개발했을 수 있으며, 이를 위한 방법에 대해 충분한 [사전 고려]를 할 수 있다. 하지만, 이 후배 레지던트들은 그들이 협력하는 방식이 부적절하다는 것을 이해하기 위해 [자기 반응성과 자기 성찰력]을 충분히 발달시키지 못했을 수도 있습니다. 이런 식으로, Agency의 이 네 가지 요소 중 어떤 것이 개별 팀 구성원에 의해 효과적으로 또는 비효과적으로 초래되고 있는지를 이해함으로써 팀 협업의 강점과 약점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고군분투하는 교육생에게 교정조치 노력은 그러한 고려사항에 의해 통보될 수 있다.

Bandura's theory would have us investigate how each team member's agency could be conceived of as potentially threatened (or supported) by his or her intentionality, forethought, self-reactiveness and self-reflectiveness. For instance, a junior resident may have fully developed intentions of being an active contributor to the in-patient team, and may have sufficient forethought of how to go about doing that. However, this junior resident may have insufficiently developed self-reactiveness and self-reflectiveness to understand that the ways in which he or she is going about collaborating are inappropriate. In this way, it may be possible to understand strengths and weaknesses in team collaborations by understanding which of these four elements of agency are being effectively or ineffectively brought to bear by individual team members. For struggling trainees, remediation efforts could be informed by such considerations.

논의
Discussion

사악한 문제는 완전하게 해결될 수 없다. 그런 식으로 작동하지 않는다. 그러나, 그러한 복잡한 문제에 대한 우리의 분석을 알리기 위해 이론과 심지어 매우 다른 이론을 사용하는 것은 우리가 도전에 대처하고 맥락에 걸쳐 대처 전략을 공유하는 새로운 방법을 찾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 우리는 에이전시 이론이 HPE의 가장 위압적인 도전에 대해 생각하고 맞서는 새로운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고 믿는다. 우리는 IPE를 조사함으로써 이 힘을 설명했지만, 다른 HPE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똑같이 잘 활용될 수 있다.
Wicked problems cannot be definitively resolved. They just don't work that way. However, using theory, and even wildly different theories, to inform our analyses of such complex problems can help us find new ways of contending with the challenges and of sharing coping strategies across contexts. We believe that theories of agency can provide new ways of thinking about and confronting HPE's most daunting challenges. We have illustrated this power by examining IPE, but it could equally well be harnessed to address other HPE challenges.

[Agency의 후기구조주의 개념]은 연구자들에게 개인이 이용할 수 있는 담론과, 그 담론 안에서 만들어진 역할과 Agency를 분석하도록 지시함으로써, 다른 HPE 문제에 대한 분석을 알려줄 수 있다. 이러한 분석은 다음과 같은 질문을 할 수 있다.

  • 개개 임상의가 어떻게 적극적으로 자신의 담론을 선택하도록 하고 있는가? 
  • 개인이 선택하거나 기피하는 [역할 및 관련 Agency의 종류]는 무엇인가?

Butler's post-structuralist conception of agency could inform analysis of other HPE problems by directing researchers to analyse the discourses available to individuals, and the roles and agency created therein. Such analysis might ask:

  • How is the individual clinician actively making him or herself through his or her choice of discourse?
  • What roles and associated kinds of agency is the individual selecting or eschewing?

[기든스의 Agency]에 대한 관점은 HPE 연구원들이 [개인의 포부와 의도에 따라 행동하는 한 명 또는 여러 명의 개인들의 능력]을 조사하도록 할 것이다. 개인의 행동을 분석하면 다음과 같이 묻는다.

  • 개인이 Agency를 가지고 행동하는 데 필요한 조건(즉, 의도, 역량 및 힘)을 충족하였는가?

또한, 이 분석은 개인이 어떻게 사회 구조를 재창조하거나 변화시키고 있는지를 조사할 것이다. 그것은 또한 사회 구조가 특정 행동을 촉진하고 방해하는 방법에 대한 통찰력을 제공할 것이다.

Giddens’ perspective on agency would have HPE researchers examining one or multiple individuals’ ability to act in line with their personal aspirations and intentions. Analysis of individuals’ actions would ask:

  • Has the individual(s) met the conditions necessary to act with agency (i.e. intention, capacity and power)?

Further, this analysis would examine how individuals are recreating or changing social structures. It would also give insights into how social structures both facilitate and obstruct specific actions.

[CHAT에 기반한 지향]은 개인이 위치한located 활동 시스템을 통해, 개인의 Agency가 어떻게 구성되고 협상되는지를 연구할 수 있다. 이 관점은 학자에게 다음과 같이 묻게 할 것이다.

  • Agency는 [이러한 맥락]에서 [이 개인]에 대해 어떻게 실현되는가?

A CHAT-informed orientation could study how an individual's agency is constructed by and negotiated through the activity system in which that individual is located. This perspective would have the scholar ask:

  • How is agency realised for this individual in this context?

반두리아적 관점에서 학자들은 개인의 행동의 의도성, 사전 생각, 자기 반응성, 자기 성찰성을 조사할 수 있었다.
From a Bandurian perspective, scholars could examine the intentionality, forethought, self-reactiveness and self-reflectiveness of an individual's actions.

우리는 theories of agency이 수백 년 동안 뜨겁게 논의되어 온 추상적이고 다면적인 구조라는 것을 인정한다.

  • 예를 들어, 사회학의 역사를 통틀어 Agency은 중심적이지만 논쟁적인 개념이었다.
  • 마찬가지로, 철학에서, 아리스토텔레스가 의도성을 가지고 행동하는 개인의 능력을 숙고했듯이, 현대 철학자들은 컴퓨터 기반의 인공지능이 에이전시를 소유한다고 말할 수 있는지를 숙고한다.
  • 예를 들어, 이러한 영역과 다른 영역의 이론가들은 이런 의문을 제기한다.
    • [개인의 시간적 지평에서의 변동성을 설명하기 위해 Agency가 재인식되어야 하는지](즉, 순간순간과 시간적으로 멀리 떨어진 순간에 초점을 맞춘다) 
    • 오늘날의 인간은 종종 컴퓨터 기술의 적극적인 사용자이기 때문에 기관이 비선택적 요소를 포함하도록 재구성되어야 하는지 여부. 

We acknowledge that theories of agency are abstract, multifaceted constructs that have been hotly debated for hundreds of years.

  • For instance, throughout sociology's history, agency has been a central, but contested, concept.54 
  • Similarly, in philosophy, just as Aristotle pondered an individual's ability to act with intentionality, modern philosophers contemplate whether computer-based artificial intelligence can be said to possess agency.
  • Theorists from these domains and others question, for example,
    • whether agency should be reconceptualised to account for variability in an individual's time horizon54 (i.e. a focus on the immediate moment versus a long-range temporally distant moment), or
    • whether agency should be reconfigured to include non-humans as today's humans are often active users of computer technologies.70 

분명히, 에이전시에 대한 그러한 오랜 논쟁과 관련하여 방대한 양의 문학이 생성되었다. 이 리뷰에서는 에이전시의 일부 개념만 다룬다. 우리는 이것이 에이전시의 개념이나 우리가 논의하는 이론과 저자에 대한 완전하거나 포괄적인 검토가 아니라는 것을 인정한다. 대신, 우리는 HPE 학자들을 Agency 이론과 이러한 formulation들이 HPE 학술활동을 어떻게 알릴 수 있는지에 대해 소개한다. 이러한 이론을 접근 가능한 방식으로 요약하기 위해, 우리는 각 이론의 복잡하고 추상적인 구조를 일련의 주요 특징과 개념으로 요약했다. 우리는 접근성을 위해 각 이론의 강력한 구성의 일부인 많은 중요한 고려 사항을 얼버무렸다는 것을 인정한다. 자신의 질문에 inform하기 위해 Agency 이론을 사용하는 데 관심이 있는 보건 전문 교육 학자들은 이 검토를 도입 참고 자료로 사용해야 한다. 이러한 이론을 능숙하게 적용하기 위해, 학자들은 이론을 최대한 효과적으로 적용할 수 있도록 추가 독서에 몰두해야 한다.

Clearly, a massive body of literature has been generated in relation to such long-standing debates about agency. In this review, we attend to only some conceptions of agency. We acknowledge that this is neither a complete nor a comprehensive review of the concepts of agency, nor of the theories and authors we discuss. Instead, we introduce HPE scholars to some theories of agency and to how these formulations might inform HPE scholarship. To summarise these theories in an accessible manner, we have distilled each theory's complex and abstract constructs down to a series of key features and concepts. We acknowledge that, in the interest of accessibility, we have glossed over many important considerations that are part of each theory's robust construction. Health professions education scholars interested in using theories of agency to inform their inquiry should use this review as an introductory reference. To skilfully apply any of these theories, scholars should immerse themselves in additional readings so that they can apply the theories to their fullest effect.

우리는 보건직 종사자들에게 있어서, 교육자들이 해결해야 할 과제는 [어떤 Agency 이론이 그들의 특정한 학문적 노력에 inform하는지 결정하는 것]이 되리라고 예상한다. 이 검토를 통해, 우리는 학자들이 그들의 특정한 사악한 문제와 싸우는 데 어떤 Agency 이론을 도울 수 있는지를 결정하는 데 도움이 되는 기관의 네 가지 공식을 제시한다. 이러한 formulation을 구분하는 선은 투과성이 있다permeable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일부 공통적인 특징과 철학적 기초는 에이전시에 대한 이러한 접근법에 걸쳐 공유된다.
The challenge, we expect, for health professions educators will be to decide which theory of agency can help inform their particular scholarly efforts. Through this review, we present four formulations of agency to help scholars decide which theory of agency might help them contend with their particular wicked problem. It is important to note that the lines that divide these formulations are permeable. Some common characteristics and philosophical foundations are shared across these approaches to agency.


HPE 학술연구에서 이론의 역할과 가치는 오랫동안 인정되어 왔다. 그러나, 특히 특정 이론 작업이 지역사회에 익숙하지 않을 때, 우리의 학문적 추구에 이론을 통합하는 것은 어렵다. 이 리뷰에서는 사악한 문제에 유용하게 적용될 수 있는 네 가지 다른 Agency 이론을 소개한다. IPE를 통해 응용 프로그램을 설명했지만 에이전시 이론이 HPE의 다른 사악한 문제를 동등하게 알릴 수 있음을 제안한다. 표 2는 기관 정보 연구 질문을 다른 복잡한 문제에 적용하는 추가적인 예를 보여준다. 우리의 의도는 에이전시의 개념을 HPE 학자들과 교사들이 직면한 모든 도전에 대한 만병통치약으로 제시하는 것이 아니다. 대신에, 우리는 이 검토가 학자들에게 HPE 분야에 도전하는 사악한 문제에 대해 생각하고 연구하는 새로운 방법을 제공할 것이라고 믿는다.

The role and value of theory in HPE scholarship has long been acknowledged.6, 71, 72 However, incorporating theory into our scholarly pursuits is difficult,73 especially when particular theoretical works are unfamiliar to the community. In this review, we introduce four different theories of agency that can usefully be applied to wicked problems. Although we have illustrated the application via IPE, we suggest that theories of agency can equally inform other wicked problems in HPE. Table 2 shows additional examples of the application of agency-informed research questions to other complex problems. Our intention is not to present the concept of agency as a panacea for all the challenges faced by HPE scholars and teachers. Instead, we believe that this review will offer scholars new ways of thinking about and studying the wicked problems challenging the HPE field.


 

Med Educ. 2017 Apr;51(4):353-365. doi: 10.1111/medu.13160. Epub 2017 Feb 6.

Tackling wicked problems: how theories of agency can provide new insights

Affiliations collapse

Affiliations

1Department of Medicine, Uniformed Services University of the Health Sciences, Bethesda, Maryland, USA.

2Association of American Medical Colleges (retired), Washington, District of Columbia, USA.

3Department of Family Practice, University of British Columbia, Vancouver, British Columbia, Canada.

4Centre for Health Education Scholarship, University of British Columbia, Vancouver, British Columbia, Canada.

PMID: 28164372

DOI: 10.1111/medu.13160

Abstract

Objectives: This paper reviews why and how theories of agency can be used as analytical lenses to help health professions education (HPE) scholars address our community's wicked problems. Wicked problems are those that resist clear problem statements, defy traditional analysis approaches, and refuse definitive resolution (e.g. student remediation, assessments of professionalism, etc.). We illustrate how theories of agency can provide new insights into such challenges by examining the application of these theories to one particular wicked problem in HPE: interprofessional education (IPE).

Methods: After searching the HPE literature and finding that theories of agency had received little attention, we borrowed techniques from narrative literature reviews to search databases indexing a broad scope of disciplines (i.e. ERIC, Web of Science, Scopus, MEDLINE and PubMed) for publications (1994-2014) that: (i) examined agency, or (ii) incorporated an agency-informed analytical perspective. The lead author identified the theories of agency used in these articles, and reviewed the texts on agency cited therein and the original sources of each theory. We identified 10 theories of agency that we considered to be applicable to HPE's wicked problems. To select a subset of theories for presentation in this paper, we discussed each theory in relation to some of HPE's wicked problems. Through debate and reflection, we unanimously agreed on the applicability of a subset of theories for illuminating HPE's wicked problems. This subset is described in this paper.

Results: We present four theories of agency: Butler's post-structural formulation; Giddens' sociological formulation; cultural historical activity theory's formulation, and Bandura's social cognitive psychology formulation. We introduce each theory and apply each to the challenges of engaging in IPE.

Conclusions: Theories of agency can inform HPE scholarship in novel and generative ways. Each theory offers new insights into the roots of wicked problems and means for contending with them.

교육의 패러다임을 다시 그리기: 인식, 정렬, 다원성을 향하여 (Adv Health Sci Educ Theory Pract, 2021)
Re‑envisioning paradigms of education: towards awareness, alignment, and pluralism
Lindsay R. Baker1,2 · Shanon Phelan3 · Nicole N. Woods4,5 · Victoria A. Boyd5,6 · Paula Rowland5,7 · Stella L. Ng2,5,8

 

 

HPE의 학술연구는 다양한 분야와 관점에서 이끌어낸다. 사회 과학 및 인문학에서 점점 더 많은 학문적 방법과 관행이 차용되거나 수입되지만, 원래 학문이나 교육의 "패러다임"을 주의하지 않고 사용되는 경우가 많다. 쿤은 [패러다임]을 [과학자들에 의해 공유된 믿음의 집합] 또는 [어떻게 문제가 이해되어야 하는지에 대한 합의의 집합]으로 정의한다. 패러다임이라는 용어의 사용은 비록 영감을 받았으나 쿤의 정의를 엄격히 고수하지는 않는다. 본 논문에서 우리는 [교육의 패러다임]을 다소 구어적으로 [교육 원칙과 실천에 대한 사고 체계]를 의미할 것이다. 원칙과 관행이 보건 과학 이외의 여러 분야에서 도출될 수 있지만, 그러한 외부 분야의 학자들은 보건 전문가 교육 저널에 그들의 연구를 거의 발표하지 않으며, 반드시 이론의 보건 전문가 교육 번역에 참여하지도 않는다(Martimanakis). et. al., 2009). 
Scholarship in health professions education draws from a range of disciplines and perspectives. Increasingly, these borrowed or imported scholarly methods and practices derive from the social sciences and humanities (Brosnan & Turner, 2009; Ousager & Johannessen, 2010), yet are often deployed without clear attention to their originating disciplines or “paradigms” of education. Kuhn defines a paradigm as a collection of beliefs shared by scientists, or a set of agreements about how problems are to be understood (Kuhn, 1962). Our use of the term paradigm, though inspired by, does not strictly adhere to, Kuhn’s definition. We use paradigms of education somewhat colloquially to mean a system of thought about educational principles and practices. Although principles and practices might be drawn from an array of disciplines outside of the health sciences, scholars from those external disciplines rarely publish their research in health professons education journals (Norman, 2011) nor do they necessarily participate in the translation of theory into health professions education (Martimianakis et al., 2009).

또한, 보건전문직 분야의 교육자들은 종종 교육 이론이나 실무에 대한 공식적인 훈련을 받지 않은 채로 학문적 리더십 역할을 맡는다(MacDougall & Drummond, 2005; Srinivasan 등, 2011). 이러한 현실은 보건직업 교육의 설계와 전달에 가장 책임이 있는 사람들이 교육, 심리학, 사회학 및 유머의 관련 내용에 각자 다른variable 배경을 갖는 역설적인 시스템을 만든다. 그 결과, 교육 및 평가의 혁신은 의도된 목적 또는 이론적 기원에 맞지 않아 의심스러운 효과와 상당한 저항을 가지고 광범위하게 채택될 수 있다.   

Moreover, educators in the health professions often assume academic leadership roles without formal training in education theory or practice (MacDougall & Drummond, 2005; Srinivasan et al., 2011). This reality creates a paradoxical system in which those most responsible for the design and delivery of health professions education (HPE) have variable background in relevant content from education, psychology, sociology and the humanties. As a result, innovations in teaching and assessment can be launched and widely-adopted with questionable effectiveness and significant resistence due to misalignment with intended purpose or theoretical origins.

교육에 대한 사고 방식: 개요
Ways of thinking about education: an overview

역사를 통틀어, 여러 분야의 학자들은 [교육의 근본적인 가정]에 대해 생각할 수 있는 다양한 방법들을 도입해 왔다. 예를 들어,

  • 철학자들은 종종 교육의 전반적인 목적과 목표, 교육 기관이 무엇을 가르쳐야 하는가에 대한 신념, 교육 실천을 통해 드러난 가치와 규범에 초점을 맞춘다
  • 역사학자들은 어떻게 사회적, 정치적, 문화적 영향이 역사의 다양한 시점에서 가치 있고 커리큘럼에 포함된 것을 형성했는지에 관심이 있다
  • 심리학자들은 인간과 아동 발달 연구의 지식 기반 변화를 중심으로 정리한다
  • 사회학자들은 교육을 사람들의 삶에서의 역할, 그 기반이 되는 사회/경제적 기반, 그리고 학교가 달성하여야 하는 공공의 목표에 따라 분석한다.

Throughout history, scholars across disciplines have introduced a variety of ways to think about the underlying assumptions of education. For example,

  • philosophers often focus on the overall purpose and goals of education, beliefs about what education institutions should teach, and the values and norms revealed through educational practice (Eisner, 1970; Noddings, 2018; Ornstein & Hunkins, 2017; Schiro, 2013).
  • Historians are interested in how social, political and cultural influences have shaped what is valued and included in the curriculum throughout various points in history (Kliebard, 2004; Ornstein & Hunkins, 2017).
  • Psychologists organize around shifts in knowledge bases in the study of human and child development (McInerney, 2013; Ornstein & Hunkins, 2017).
  • And sociologists analyze education according to its role in people’s lives, the social/economic foundations on which it is based and the public goals schools should aim to achieve (Ballantine & Hammack, 2009; Clabaugh & Rozycki, 1990; Ornstein & Hunkins, 2017).

다른 사람들은 교육과정, 교육 및 학습과 관련된 실무 수준에서 [어떻게 기초적인 가정과 믿음이 집행되는지]에 기초하여 교육을 논의한다. 예를 들어,

  • 커리큘럼 이론가들은 커리큘럼 구성에 대한 다양한 개념화 또는 사고 방식을 설명한다. (스미스, 2000)
  • 교육 심리학자는 사람들이 배우는 방법에 대한 유사한 접근법에 기초하여 서로 다른 학습 이론을 그룹화한다. (McInerney, 2013; Ornstein & Hunkins, 2017)
  • 교육 이론가들은 다양한 교육 접근법 또는 관점에 따라 분류한다(밀러 & 셀러, 1990; 프랫, 2002).

Others discuss education based on how underlying assumptions and beliefs are enacted on a practice level related to curriculum, teaching and learning. For example,

  • curriculum theorists describe different conceptualizations or ways of thinking about what makes up curriculum (Smith, 2000),
  • education psychologists group different learning theories together based on similar approaches to how people learn (McInerney, 2013; Ornstein & Hunkins, 2017), and
  • education theorists categorize according to different teaching approaches or perspectives (Miller & Seller, 1990; Pratt, 2002).

이렇게 몇 가지만 살펴보더라도, 교육을 분류하는 여러 방법들은, 교육의 목적, 실천, 그리고 가치에 대해 이야기하고 생각하는 방법의 다양성과 복잡성을 보여준다. 이와 같은 가정은 교육적 학술활동과 실무에 내포되어 있다. 원래 이론가들은 그들 자신의 분야에서 계속 일하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 차용된 사고 방식과 실천 방법에 대한 근본적인 가정은 다른 분야로 흡수된 후에 당연하게 여겨질 수 있다. 

These different ways of categorizing education, while we have only scratched the surface, illustrate the diversity and complexity of ways of talking about and thinking about the purpose, practice and value of education. Assumptions such as these become implicit in education scholarship and practice. Because the original theorists tend to remain working in their own disciplines, the underlying assumptions of borrowed ways of thinking and practicing can be taken for granted after uptake into another field.

HPE에서, 심리학적 관점이나 심리학 이론의 용어들이 교육적 결정과 일상적인 교육 관행을 구성하기 위해 일반적으로 사용된다. 그러나 심리학적 관점은 HPE에서 직장에서 교육적 접근법의 범위를 완전히 대표하지는 않는다. 논쟁의 여지 없이, 어떤 분야가 어떤 한 분야의 프레임에 우선권을 갖고 있을 때, 다른 철학적 가정, 인식론적 기원, 그리고 이러한 관점과 이론과 관련된 역사적, 정치적, 사회 문화적 영향을 고려하기 위해 뒤로 물러서는 것이 도움이 될 수 있다. 이 단계를 취하는 것은 지식의 진보를 제약하지 않도록 관점을 넓히고 가정을 점검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 
In HPE, the language of psychological perspectives and theories are commonly drawn upon to frame curricular decisions and day-to-day educational practices. Yet psychological perspectives do not fully represent the spectrum of educational approaches at work in HPE. Arguably, when a field gives primacy to any one discipline’s framing it can be helpful to step back to consider other philosophical assumptions, epistemological origins and historical, political and sociocultural influences associated with these perspectives and theories. Taking this step can help broaden perspectives and check assumptions, lest they constrain the progression of knowledge. 

 

보건직종을 위한 교육의 패러다임: 새로운 종합
Paradigms of education for the health professions: a novel synthesis

우리는 HPE와 관련된 교육의 6가지 주요 패러다임을 소개한다. 이러한 패러다임은 위의 많은 교육 이념과 분류의 종합을 나타냅니다. 각각에 대해, 우리는 철학이 무엇을 창조할 수 있는지에 대한 종합적인 설명과 심리학 기원을 연결한다. 이 패러다임들은 중첩되는 부분이 있으나, [세상에 무엇이 존재하는가(존재론)]와 [우리가 존재하는 것에 대해 어떻게 알게 되었는지(인식론)]에 대한 그들의 철학적 가정과 관련한 유의미한 차이를 갖는다.

We introduce six major paradigms of education that are relevant to HPE. These paradigms represent our synthesis of many of the educational ideologies and categorizations above. For each, we link a philosophy with origins in psychology with a synthesized description of what that philosophy could create (Ballantine & Hammack, 2009; Clabaugh & Rozycki, 1990; Eisner, 1970; Kliebard, 2004; Miller & Seller, 1990; Ornstein & Hunkins, 2017; Pratt, 2002; Schiro, 2013; Schuh & Barab, 2007; Smith, 2000). The paradigms overlap, but differ meaningfully with respect to their philosophical assumptions about what exists in the world (ontology) and how we come to know about what exists (epistemology).

순차적으로 설명할 각 패러다임을 개별 개체로 제시하지만, 시간적 중복도 있고 뒤쪽에 제시된 패러다임이 앞쪽의 패러다임을 무효화하지도 않는다. 우리의 "철학 목표"의 명명 관례는 첫 번째 단어는 철학을 설명하고, 두 번째 단어는 정렬된 목표에 대한 우리의 해석을 설명합니다.

While we present each paradigm as a separate entity in a sequence, there is also temporal overlap and each subsequent paradigm does not render the previous invalid. Our naming convention of "philosophy-goal" means the first word describes the philosophy, and the second word describes our interpretation of aligned goals.

행동주의-시민권
Behaviourism-citizenship

행동주의-시민권 패러다임에서 교육의 전반적인 목적은 [학습자가 사회의 가치 있는 구성원으로 행동할 준비를 하도록 [바람직한 행동을 형성하는 것이다. 이 패러다임에서는,

  • 하나의 외부 현실이 있고 개인에 의해 획득될 수 있는 유일한 진리에 대한 지식이 있다.
  • 학습자는 빈칸으로 간주되고 학습은 세상에 대한 올바른 정보를 얻는 것을 포함한다.
  • 학습 또는 지식 습득은 다른 자연 현상과 마찬가지로 인과적 과정으로 간주되며, 학습의 바람직한 결과는 관찰 가능한 행동의 형태 또는 빈도 변화이다(사람의 말 또는 행동). (왓슨, 1913)
  • 주제에 정통한 교사들은 체계적인 조건화와 강화를 사용하여 학습자에게 지식을 전달함으로써 관찰 가능한 행동을 형성합니다.
  • 강화는 행동 직후에 자극을 전달하거나 제거함으로써 미래에 특정 행동이 더 자주 발생할 가능성을 증가시킨다.
  • 따라서 원하는 행동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사용에 의해 강화되고 연마되면서 습관, 특성 또는 기질이 된다.
  • 평가는 외부 표준(예: 위탁 가능한 전문 활동)과 비교하여 측정되는 이러한 바람직한 행동을 입증하는 학습자에 초점을 맞춘다(Ten Kate 등, 2015).

The overall purpose of education in the Behaviourism-Citizenship paradigm is to shape desirable behaviours toward preparing learners to behave as valuable members of society. Within this paradigm

  • there is one external reality and knowledge of singular truths are able to be acquired by individuals. Learners are considered blank slates, and learning involves acquiring correct information about the world.
  • Learning or knowledge acquisition is viewed as a causal process, just like any other natural phenomenon, and the desired outcome of learning is a change in form or frequency of observable behaviour (what people say or do) (Watson, 1913).
  • Teachers, who have mastery of subject matter, shape this observable behaviour by transmitting knowledge to learners, using systematic conditioning and reinforcement (McSweeney & Murphy, 2014; Pavlov & Anrep, 2003).
  • Reinforcement increases the likelihood that a specific behaviour will occur more frequently in the future by delivering or removing a stimulus immediately after a behaviour.
  • Desired behaviours thus become habits, traits or dispositions as they are reinforced and honed by use over time. 
  • Assessment and evaluation focus on learners demonstrating these desired behaviours, measured against external standards (for example, entrustable professional activities) (Ten Cate et al., 2015).

보건직업에서는 적절한 성과를 기록하기 위한 행동주의자의 접근이 가장 효과적일 수 있는 많은 사례가 있다. 예를 들어, 감염 예방 및 통제와 개인 보호 장비 착용/제거에 있어 명확한 프로토콜 주도적이고 엄격하게 규제되는 절차가 필요하고 필요합니다. 시민 정체성의 창조는 이 과정의 암기적이고 표준적인 수행이 더 큰 이익을 위해 필요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행동주의자-시민권 패러다임은 통제, 규제 및 감시의 형태가 된다는 비판에 직면해 있고, 이는 [사회적 발전과 개인 성장이라는 교육과 학습의 이상ideal]에 반하기 때문이다(Hodges, 2015).

There are many instances in health professions where a behaviourist approach to inscribing proper performance may be most effective. For example, in managing infection prevention and control and donning / doffing personal protective equipment, we need and want clear protocol-driven, heavily regulated procedures. The creation of a citizen identity means that the performance of this process in a rote and standard manner is necessary to the greater good. The Behaviorist-Citizenship paradigm faces critiques of becoming a form of control, regulation, and surveillance which is counter to the ideals of education and learning as avenues for societal advancement and forms of personal growth (Hodges, 2015).

 

인지주의-전문가
Cognitivism-Expertise

인지주의-전문가 패러다임은 행동주의 패러다임을 [무엇을 해야 하는지 아는 것] 이상으로 [왜 그리고 언제 행동이 적절하지 않을 수 있는지를 이해하는 것]으로 확장한다. 따라서 이러한 변화는 순응할 수 있는 '좋은 시민'이 아닌, [더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는 전문가]들을 개발한다. 인지주의-전문가 패러다임에서,

  • 지식은 여전히 학습자의 외부 내용 또는 정보로 구성되지만, 여기서의 초점은 어떻게 이 정보가 기억 속에 저장되는가에 있다.
  • 관찰 가능한 행동에 초점을 맞추기 보다는, [학습자가 알고 있는 것을 정의하고 새로운 지식을 습득하는 방법을 체계화]하는, 관찰할 수 없는 정신 구조와 과정의 발달과 관련이 있다.
  • 학습을 정의할 때, [선생님에 의한 감각, 경험 또는 공식적인 가르침]을 통한 [지식의 획득]을 포함한다.
  • 학습자는 정보 처리자로 간주되며, 교사는 정보가 어떻게 구성되고, 구성되고, 검색되며, 새로운 상황으로 전달되는지에 대한 집중적인 관심을 통해 이러한 처리를 용이하게 합니다.
    • 예를 들어, 통합 교수 연구는 임상 또는 절차적 지식과 관련된 개념적 지식을 가르치는 것이 더 정확한/전문가 실습으로 귀결된다는 것을 입증했다(Bandiera 등, 2018; Mylopolos 등, 2017).
  • 이 패러다임 내의 평가는 학습의 유지와 근거리 전이near transfer(학습자가 지식이나 기술을 습득한 조건과 새로운 상황 사이에 많은 요소가 중복되는 경우)에 초점을 맞춘다(Castillo 등, 2018).
  • 인식주의적 패러다임은 [마음 속의 정신적 표현]에 너무 편협하게 초점을 맞추고 있다는 비판에 직면하고 있으며, 그 댓가로 [어떻게 지식이 사회적으로 구성되고, 공유되고, 협상되는지]를 희생시키고 있다고 여겨진다.

The Cognitivism-Expertise paradigm extends the behaviourist paradigm beyond knowing what to do, toward understanding why and when the behaviours may or may not be appropriate. This shift thus develops experts who can respond more flexibly, as opposed to ‘good citizens’ who can conform.

  • Knowledge is still framed as content or information external to the learner, however the focus here is on how this information is stored in memory.
  • Rather than focusing on observable behaviours, the cognitivism-expertise paradigm is concerned with development of the unobservable mental structures and processes within the mind, which define what learners know and frames how they come to acquire new knowledge.
  • Learning is considered by definition to involve the acquisition of knowledge through senses, experiences or formal instruction by teachers.
  • Learners are viewed as information processors and teachers facilitate this processing through focused attention on how information is structured, organized and retrieved, and transferred to new situations.
    • For example, studies of integrated instruction have demonstrated that teaching the conceptual knowledge associated with clinical or procedural knowledge results in more accurate/expert practice (Bandiera et al., 2018; Mylopoulos et al., 2017). 
  • Assessment and evaluation within this paradigm focus on retention and near transfer of learning (when many elements overlap between the conditions in which the learner obtained the knowledge or skill and the new situation) (Castillo et al., 2018).
  • The cognitivist paradigm faces critiques for being too narrowly focused on mental representations in the mind, at the expense of how knowledge is socially constructed, shared, and negotiated.

 

구성주의-전문가
Constructivism-Expertise

구성주의-전문주의는 [지식의 본질에 대한 존재론적, 인식론적 변화]를 나타낸다. 지식은 학습자가 습득하는 외부적인 것이 아니다; 지식은 학습자가 자신의 경험을 의미할 때 적극적으로 "구성"하는 것이다. 이 패러다임에서, 

  • 초점은 학습자가 새로운 지식을 구축하도록 지원하기 위한 정신적 표현을 이해하는 것이다.
  • 지식은 역동적인 것으로써, 새로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학습자의 사전 지식으로 새로운 지식이 구성된다.
  • 교육의 목표는 전문가를 양성하는 것이며, [적응형 전문성adaptive expertise]은 전문가 실무 제정에 필요한 지식의 동적 특성을 예시한다.
  • 학습자는 [지식의 발견을 촉진하기 위해 고안된 활동]에 참여하며, 교사의 역할은 인지 발달의 각 단계에 적절한 자원과 지원을 제공하는 것이다.
  • 구성주의 교과 과정은 [특정 내용]보다는 [지식 구축 과정]에 더 초점을 맞춘다. 효과적인 교육과 교육 계획 수립에서 학습자의 사전 지식이 핵심 고려 사항이다.
  • 평가는 새로운 맥락에 대한 지식의 적용 또는 이전과 미래 학습을 위한 준비에 초점을 맞춘다(Mylopolos 등, 2016; Schwartz & Martin, 2004).
  • 이 패러다임은 (사회에서의 학습자의 광범위한 상호작용보다는) 학습자와 정규 교육을 강조한다.

The Constructivism-Expertise marks an ontological and epistemological shift about the nature of knowledge. Knowledge isn’t something external to learners, which they acquire; knowledge is something learners actively “construct” as they make meaning of their experiences (Piaget, 1953). Within this paradigm,

  • the focus is on understanding mental representations to support learners in constructing new knowledge.
  • Knowledge is seen as dynamic, with new knowledge being constructed by learners upon prior knowledge, in order to solve novel problems (Dewey, 1938).
  • The goal of education in this paradigm remains creating experts, and adaptive expertise exemplifies the dynamic nature of knowledge required to enact expert practice (Mylopoulos & Regehr, 2011; Mylopoulos et al., 2018).
  • Learners engage in activities designed to promote discovery of knowledge and the teacher’s role is to provide appropriate resources and support for each stage of cognitive development.
  • A constructivist curriculum focuses less on specific content, and more on the process of knowledge construction. Learners’ previous knowledge is a key consideration in effective teaching and curricular planning.
  • Assessment focuses on application or transfer of knowledge to novel contexts and preparation for future learning (Mylopoulos et al., 2016; Schwartz & Martin, 2004).
  • This paradigm emphasizes the learner and formal education, as opposed to learners’ broader interactions in society.

구성주의-대화
Constructivism-Interlocution

[구성주의-대화]로의 전환은 [교육의 사회적 초점]의 시작을 뜻한다. [구성주의-대화]는 지식이 만들어지는 것은 지식이 형성되는 사회적 환경과 분리할 수 없다고 가정한다.

  • [구성주의-전문가]가 정신적 표현을 이해하는 데 초점을 맞추는 반면
  • [구성주의-대화]는 사회문화적 영향과 상호작용을 통해 지식이 구성되는 방식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Vygotsky, 1980).

The turn toward Constructivism-Interlocution begins the social focus of education. Constructivism-Interlocution posits that the creation of knowledge cannot be separated from the social environment in which it is formed.

  • Whereas constructivsm-expertise focuses on understanding mental representations,
  • constructivsm-interlocution is focused on the ways in which knowledge is constructed through sociocultural influences and interaction (Vygotsky, 1980).

학습은 [정체성 형성]과 [지식의 공동 창조]로 이해된다. 이는 [사회적 맥락에 대한 참여 및 문화화enculturation]로부터 발생한다고 여겨진다. 즉, 새로운 사회 집단의 전문용어, 행동 및 규범을 선택하고, 그 신념 체계를 채택하여, 문화의 구성원이 되는 것이다. 실제로, 교육의 기능은 학습자를 공동체의 적극적 참여자로 만들기 위한 수단으로 여겨진다. 학습자는 능동적인 참여자이고 교사의 역할은 사회적 상호작용과 협력적인 작업을 촉진하는 것이다. [구성주의-대화] 패러다임은 직장 기반 학습과 평가를 설명하며, 실천 공동체 같은 학습에 대한 보다 비공식적인 접근을 제시한다(Lave, 2004; Wenger, 1998). 

Learning is understood as identity formation and the co-creation of knowledge. This is thought to happen through participation in social contexts and enculturation—picking up the jargon, behaviour, and norms of a new social group, and adopting its belief systems to become a member of the culture (Brown et al., 1989). Indeed, the function of education is seen as a means to socialize learners to be active participants in communities. Learners are active participants and the role of the teacher is to facilitate social interactions and collaborative work. The constructivism-interlocution paradigm accounts for workplace-based learning and assessment, and brings forward more informal approaches to learning like communities of practice (Lave, 2004; Wenger, 1998).

그러나 [구성주의-대화]까지는 교육 목표는 여전히 [공식 기관 내에서 확립된 체계적 기대에 따라 구성 및 구조화]된다. 다음의 패러다임(인본주의적 자기실현화 및 변형적 변화 주체)에서, 자신을 위한 학습은 특정 권한에 대한 학습과는 반대로 더 많은 초점을 필요로 하며, 시스템과 구조 자체가 도전받는다.

However, eductional goals are still constructed and structured within formal institutions according to established systemic expectations. In the following paradigms (humanist-self-acualization and transformative-change agency), learning for oneself takes more of a focus as opposed to learning for a particular mandate, and systems and structures themselves are challenged.

 

인문주의-자기실현주의
Humanism-self-actualization

[휴머니즘-자기실현 패러다임]은 학습자가 [자신의 완전한 잠재력과 자율성의 실현(자아실현)]을 향해 나아갈 수 있도록 준비시키는 것을 목표로 한다. (매슬로, 1943년) 이 패러다임은 인지 영역과 정서 영역을 포함하여 학습자 전체를 참여시키는 데 초점을 맞추고 있습니다.

  • 교육의 목표는 학습자를 [한 명의 사람]으로 고려하며, 정서적, 신체적 행복과 관련된 학습에 참여합니다.
  • 이러한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학교는 학습자 중심이고 배움은 개인의 목표의 성취로 여겨진다.
  • 교사들이 학습 과정을 촉진하고 nurturing하는 것이고, 교육에 대한 학습자의 선택과 통제가 강조되고 있다.
  • 교육과정의 기능은 각 개별 학습자에게 [개인적으로 만족스러운 경험을 제공하는 것]이다. 
  • 이러한 맥락에서, 자기 평가는 이 패러다임 내에서 유일한 의미 있는 평가이다.
    • 외부 등급은 irrelevant한 것으로 간주되고, 학생들이 개인적인 만족을 위해서가 아니라 점수를 위해 공부하게끔 만드는 것이다.

The humanism-self-actualization paradigm aims to prepare learners to progress towards the realization or fulfillment of one's full potential and autonomy (self-actualization) (Maslow, 1943). This paradigm is focused on engaging the learner as a whole, including both cognitive and affective domains.

  • The goals of education take into consideration the learner as a person, attending to learning in relation to emotional and physical wellbeing.
  • To achieve these goals, schooling is learner-driven and learning is viewed as the achievement of one’s personal goals.
  • Learners’ choice and control over education are emphasized, with teachers facilitating and nurturing the learning process.
  • This paradigm views the function of the curriculum as providing personally satisfying experiences for each individual learner. 
  • As such, self-evaluation is the only meaningful assessment within this paradigm—
    • external grading is viewed as irrelevant and is thought to encourage students to work for a grade and not for personal satisfaction. 

[휴머니스트-자기실현] 패러다임은 개인에 너무 초점을 맞추고 있다는 비판을 받는다. 이것이 특히 문제가 되는 것은, 근거에 따르면 일반적으로 사람들은 자기 평가를 정확하게 할 수 없기 때문이다. 즉, 자기실현과 관련하여 자기평가를 하는 경우에, 자기평가 목표는 지식 이득의 수준과 정확성을 결정하는 것이 아닐 수 있다. 오히려, 자기평가는 개인이 미리 [정해진 목표를 향한 자신의 여정에 만족감을 느끼는지]를 결정하기 위한 것일 수도 있다. 이러한 자기 평가 대상의 변화는 우리가 자기 평가에 서툴다는 주장을 복잡하게 만든다. 개인적인 의미와 동기는 학습에서 너무 자주 간과되고 있으며, 휴머니스트 패러다임은 교육에 대한 참여를 촉진하는 데 중요한 시각을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패러다임적 포인트를 감안할 때, 목표와 목표를 향한 여정을 기록하기 위해 의학 교육에 흔히 사용되는 [성찰적 포트폴리오]가 교육의 인문주의-자기실현 패러다임 내에 가장 적합할 것이다.

The humanist-self-actualization paradigm arguably focuses too much on the individual, a critique that is compounded by evidence that generally, individuals are not able to accurately self-assess (Eva & Regehr, 2008).That said, when channeling self-assessment in relation to self-actualization, the goal of self-assessment may not be to determine the level and accuracy of knowledge gains. Rather, it may be to determine whether an individual feels satisfied with their journey toward their own pre-determined goals. This shift in object of self-asessment complicates the mantra that we are poor at self-assessment. Indeed personal meaning and motivation are overlooked aspects of learning and humanist paradigms may offer an important angle into promoting engagement in education (Kusurkar & Croiset, 2015). Given these paradigmatic points, the reflective portfolios so commonly used in medical education to document goals and journeys toward them would likely best be situated within the humanism-self-actualization paradigm of education (Driessen et al., 2007).

변혁-변화주체
Transformation-change agency

마지막으로, [변혁-변화주체] 패러다임의 목적은 [학습자가 지속적으로 더 윤리적 관점을 통해 사회 세계를 볼 수 있도록 권한을 부여하는 것]이며, 그 결과로 학습자는 [보다 정의로운 사회를 향한 변화의 주체]로서 [현재 상태에 도전하고, 현재 상태를 변화시킬 것]이다(Freire, 1993; Hooks, 1994).

  • 이 패러다임은 지식을 [사회적 구성social construction]이라고 본다.
  • 학습은 [비판적 성찰이라는 존재의 방식으로 관점을 전환하는 것]이다. 이는 윤리, 정의, 권력을 경계하며, 개인과 사회적 가정과 관행에 지속적으로 도전challenge하는 것을 의미한다. 
    • 반대로, [기존의 전통적인 교육 접근법]은 현상을 강화시켜 사회의 불평등을 지속시키고 학습자 스스로에 대한 억압에 기여하는 것으로 본다.
  • [변혁-변화 주체] 패러다임에서는, 학습자-교사 구분이 최소화된다.
  • [사회 개혁과 사회의 미래에 대한 책임감]은 [지배적인 권력 관계와 구조에 대한 학습자 자신의 인식을 높이는 것]에서부터 출발한다.
  • 평가는 [관점의 변화]에 초점을 맞춘다. 디브리핑과 대화에서의 대화의 초점이나 내용 또는 시스템 수준 시나리오에 대한 대응 등

Finally, the aim of the transformation-change agency paradigm is to empower learners to see the social world through a continually more ethical lens, so that they will challenge and change the status quo as agents of change toward a more just society (Freire, 1993; Hooks, 1994).

  • This paradigm views knowledge as a social construction.
  • Learning is viewed as a shift in perspective toward a critically reflective way of being, which continually challenges individual and societal assumptions and practices, with attention to ethics, justice, and power.
    • Traditional approaches to education are seen to reinforce the status quo, perpetuating inequalities in society and contributing to the oppression of learners themselves (Freire, 1993; Hooks, 1994).
  • Within the transformation-change agency paradigm, the learner-teacher distinction is minimized.
  • Social reform and responsibility to the future of society are central, beginning by raising the learners’ own awareness of dominant power relations and structures.
  • Assessment focuses on shifts in perspective—conversation foci/content during debriefs and dialogue or responses to systems level scenarios.

[변혁-변화 주체] 패러다임은 필수적인 지식과 기술을 얼버무리고 넘어간다는 비판에 직면했다. 게다가, 혁신적이 되는 것은 본질적으로 [반문화적인 것counter-culture]이다. 그러므로 [변혁적 교육]은 [주체(성)agency]를 전제하고 있는데, 일부 학습자들이 이것이 없을 수도 있다. 동시에, [변혁-변화 주체] 패러다임의 장점은 그것이 [개인을 넘어서는 교육]을 목표로 한다는 것이다. 기존 교육적 접근법이 목표를 완전히 달성하지 못한 경우, 변혁적 접근법은 앞으로 나아갈 길을 제공할 수 있다.

  • 예를 들어, IPE만으로는 IPP(interprofessional practice)의 위계적, 직장 기반 측면을 다룰 수 없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Baker 등 2011; Paradis & Whitehead, 2015).
  • 변혁적-비판적 교육 노력을 통해서 [지식 업무의 사회적 위치성]과 [어떻게 시스템이 다양한 전문직 간 경쟁을 유발하는지]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 

이러한 이해는 도움이 되지 않는 위계를 파괴하고 진정한 협업으로 나아가려는 노력을 뒷받침할 수 있습니다. 대화식 교육은 [안전하고 생산적인 방식으로 권력 관계를 다루기 위한 하나의 혁신적인 교육 접근방식]을 나타낸다(Bakhtin, 1981; Kumagai & Naidu, 2015).

The transformative-change agency paradigm has faced critique for glossing over requisite knowledge and skill. Additionally, to be transformative is inherently counter-culture; thus transformative education presumes agency that some learners may genuinely lack. At the same time, the advantage of the transformative-change agency paradigm is that it targets education beyond the individual. In instances where existing educational approaches have not fully realized their goals, transformative approaches may offer a way forward.

  • For example, we have seen that interprofessional education alone cannot address some of the hierarchical, workplace-based aspects of interprofessional practice (Baker et al. 2011; Paradis & Whitehead, 2015).
  • Transformative and critical education efforts may be warranted to help different professionals understand the socially-situated nature of knowledge work and how systems can drive competition between professions.

This understanding can then underpin efforts to disrupt unhelpful hierarchies and move toward genuine collaboration. Dialogic education represents one transformative education approach to addressing power relations in a safe and productive manner (Bakhtin, 1981; Kumagai & Naidu, 2015).

 

이러한 간단한 통합은 여러 분야의 교육적 접근 방식을 적용하기 위한 [필수 지식]이라고 주장하는 것에 대한 소개로 작용한다. 패러다임의 불일치 또는 불일치는 분산적이고 물질적인 결과를 초래할 수 있습니다. 우리는 HPE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이러한 정렬 불일치의 세 가지 예를 제공합니다.

These brief syntheses serve as introductions to what we argue is prerequisite knowledge for applying educational approaches from multiple disciplines. Paradigmatic misalignment or incongruence can have discursive and material consequences; we offer three such examples of misalignment common in HPE.

  • 성찰의 많은 비판들을 고려하라. 일부에서는 이것이 학습을 위한 의미 있는 접근 방식 대신 감시를 위한 메커니즘이 되었으며, 따라서 [진실되지 않고 부담스러운 보여주기]라고 주장한다(Hodges, 2015; Nelson & Purkis, 2004). 다른 사람들은 학습과 평가에 대한 지배적인 사고방식에 따른 성찰을 평가하라는 압력이 처음에는 전문 실무에 대한 지배적이고 기술적인 접근법의 균형을 맞추려는 시도였던 교육 개념의 이러한 도구적 사용에 책임이 있다고 주장하기 위해 이 주장을 확장했다(Ng 외, 201).5. 이 예는 [인본주의-자기실현] 또는 [변혁-변화주체] 패러다임에서 파생된 교육적 접근법이, 이러한 패러다임과 일치하지 않는 관행에 의해 지배되는 상황에서, [패러다임에 대한 인식 없이 적용될 때 발생하는 의도하지 않은 부정적인 결과]를 보여준다(예: 루브릭 기반 평가). 
  • Consider the many critiques of reflection. Some have argued it has become a mechanism for surveillance and thus an inauthentic, burdensome demonstration, instead of a meaningful approach for learning (Hodges, 2015; Nelson & Purkis, 2004). Others have expanded on this argument to suggest that the pressure to assess reflection according to dominant ways of thinking about learning and assessment are to blame for these instrumental uses of an educational concept that was initially an attempt to balance the dominant, technical-rational approaches to professional practice (Ng et al., 2015). This example demonstrates unintended negative consequences when an educational approach, deriving from a humanism-self actualization or transformation-change agency paradigm, is applied without paradigmatic awareness in contexts that are dominated by practices incongruent with these paradigms (e.g. rubric-based assessment).
  • 시뮬레이션 기반 교육과 관련하여 학습자의 인식론적 신념을 조사한 최근 연구에서, Ng 외 연구진(2019)은 [학습을 위한 안전한 공간]이라는 시뮬레이션에 대한 널리 알려진 믿음과, [항상 확실성과 확신을 가지고 수행해야 한다는 학습자의 감각] 사이의 불일치를 확인했다. 이 예는 인식론적 문화나 풍토가 패러다임을 실천과 일치시키는 능력에도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보여준다. 
  • In a recent study examining learners’ epistemological beliefs in relation to simulation-based education, Ng et al. (2019) identified incongruence between the widely held beliefs about simulation as a safe space for learning and learners’ sense that they needed to perform with certainty and confidence at all times. This example shows that the epistemological culture or climate also impact the ability to align paradigms with practices.
  • 마지막으로 사회과학 및 인문학적 접근 방식을 HPE에 적용하려는 시도를 고려하십시오. 의료인문학의 실질적인 목적이 아니라, [그저 충분한 "양dose"의 인문학적 교육과정]을 추가하는 데 초점을 맞추면, 의미 있는 적용을 제한할 뿐만 아니라, 이득은 없이 커리큘럼을 그저 "과밀overstuff"하게 만들 것이다. 겸손, 권력, 학습자 안전에 주의를 기울이지 않으면서, 그저 "Dose"에만 초점을 맞추는 것]은 실제로 보건의료전문직에서 인문학 교육에 도움이 되지 않을 수 있다. 이러한 강령의 목표를 완전히 실현하기 위해서는 [휴머니즘-자기실현] 또는 [변혁-변화 주체] 패러다임이 필요할 수 있다. 패러다임에 주의를 기울이면 콘텐츠의 잠재적 이점이 손실되는 동안 다른 콘텐츠 영역을 추가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습니다. 
  • And finally, consider the attempts to apply social sciences and humanities approaches to HPE. A focus upon adding a sufficient “dose” of humanities content into curricula rather than the actual purposes of health humanities can limit meaningful application (Bishop, 2008; Tsevat et al., 2015) as well as “overstuff” the curriculum without commensurate benefit (Whitehead & Kuper, 2012). Focusing on dose while failing to attend to humility, power, and learner safety can actually make the teaching of humanities unhelpful within health professions programs. A humanism-self-actualization or transformation-change agency paradigm may be required to fully realize the goals of these intiatives. Attention to paradigms can prevent simply adding another content area while potential benefits of the content are lost.

패러다임의 인식과 조정을 위해
Toward paradigmatic awareness and alignment

패러다임이 실제에서 어떻게 다르게 보이는지에 대한 인식을 촉진하고 패러다임적 가치와 가정을 가진 교육, 학습 및 평가 관행 간의 정렬의 중요성을 설명하기 위해 두 가지 사례를 제시한다. 우리는 두 가지 다른 교육 패러다임에 의해 알려졌을 때, [보건 직업의 윤리 교육]이 어떻게 보일 수 있는지 살펴볼 것이다(표 1 참조).

To foster awareness of how different paradigms look in practice and to illustrate the importance of alignment between the teaching, learning and assessment practices with paradigmatic values and assumptions, we present two case examples. We will walk through what an instance of ethics education in the health professions might look like, when informed by two different education paradigms (see Table 1).

사례들은 동일한 목표, 즉 실무자들이 윤리적으로 실천할 수 있도록 준비하는 것이 패러다임에 따라 다른 출발 틀, 즉 윤리적 의사결정을 지원하는 추론 교육 대 윤리적 실천의 기초와 지지를 받는 도덕적인 지향의 틀을 취한다는 것을 보여준다. 이러한 프레임은 교수와 평가가 어떻게 펼쳐지는지 뿐만 아니라 정확히 교수와 평가의 일부로 간주되는 것을 위한 발판을 마련합니다. 

The cases illustrate that the same goal—preparing practitioners to be able to practice ethically—takes a different starting frame depending on paradigm: teaching reasoning that supports ethical decision-making versus inspiring a virtuous orientation that underlies and supports ethical practice. These frames set the stage for how teaching and assessment unfold, as well as for what exactly is considered a part of teaching and assessment.

[인지주의-전문가] 사례에서는 시험을 더 강조하며, [변혁-변화 주체] 사례에서 톤 설정에 더 중점을 둡니다. 그렇다고 인식주의 전문 교육자가 논조를 정하지 않거나 변화 기관 교육자가 배움을 평가하지 않는 것은 아니다. 그러나 어떤 패러다임에서 강하게 영향을 받았는지에 따라, 결과와 우선 순위를 매기는 방법이 다르게 보인다. 

Notice the greater emphasis on testing in the cognitivism-expertise example and the greater emphasis on tone-setting for the transformation-change agency example.This is not to say a cognitivism-expertise educator would not set the tone or a transformation-change agency educator would not assess learning; however, outcomes and how they are prioritized look different for those more strongly influenced by one paradigm over another.

이러한 영향을 인지하는 것이 중요한 이유는, 이것이 결여되었을 때 비생산적인 패러다임의 불일치를 초래할 수 있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강사가 학습자에게 연습으로 인한 윤리적 긴장에 대한 개인적인 이야기를 공유하도록 요청한 후 인지적 테스트 접근 방식을 사용했을 경우 발생할 수 있는 부조화를 상상해 보십시오! 우리의 두 사례 사례는 정렬alignment에 집중된 관심이 교육 설계에서 교육 결과까지의 연결을 강화하는 데 얼마나 도움이 되는지 보여준다.

Awareness of these influences matters because a lack thereof could result in uninformed and unproductive paradigmatic misalignment. For example, imagine the incongruence that would result if an instructor used cognitivist testing approaches after asking learners to share personal stories of ethical tensions from practice! Our two case examples demonstrate how focused attention on alignment can help strengthen the connection from educational design to educational outcomes.

교실 맥락을 넘어서, 더 넓은 제도적 수준에서, 패러다임들 사이의 긴장은 [고등교육의 목적]이 역사적으로 어떻게 이해되어 왔는지를 볼 때 명백해진다. 예를 들어,

  • 20세기까지 대학에 다닌 사람은 거의 없었다. 재정적인 미래가 보장된 학생들만이 "언젠가 그들이 형성될 사회에 시민 참여의 미덕에 대한 이해를 강화하기 위해" 교양 교육을 받으려고 했다. (Raelin, 2007, 페이지 58)
  • 20세기 중반이 되어서야 고등교육이 전문교육과 관련되게 되었다. 이 연관성은 중요한 변화였다. 더 이상 엘리트를 위한 시민 참여에 국한되지 않았고, 컬리지와 대학들은 고용 가능한 졸업생들을 만드는 사업에 뛰어들었다.
  • 학생들을 유치하기 위한 경쟁이 치열해짐에 따라, 이 대학들은 문과대학으로서의 성공을 활기차게 하는 전략을 계속 시행함으로써 그들의 명성과 지위를 확립하려고 노력했다.
  • 이러한 전략들은 명문 학자들을 고용하고, 연구에 대한 강한 강조를 장려하고, 학문 지식을 개발하는 것을 포함했다. 이러한 전략은 (문과대학과 대학의 경우 성공적이기는 했지만) 실제 실무 세계와는 너무 동떨어져 교육 기관과 교육 기관의 가능한 기여도를 평가절하하는 역설적인 효과를 가져왔다. 

Beyond the classroom context, at the broader institutional level, the tensions between paradigms become apparent when looking at how the purpose of higher education has been historically understood. For example,

  • up until the twentieth century, few people attended college. With their financial futures secure, students sought to receive a liberal arts education in order to “refine their comprehension of the virtues of civic participation in a society that they would one day come to shape” (Raelin, 2007, p. 58).
  • It was not until the middle of the twentieth century that higher education became associated with professional education. This association was a significant shift. No longer just about civic participation for the elite, colleges and universities were in the business of creating employable graduates.
  • In the presence of increased competition for attracting students, these colleges and universities attempted to establish their reputation and standing by continuing to implement strategies that had animated their success as liberal arts colleges.
  • These strategies included hiring prestigious academics, encouraging a strong emphasis on research, and developing disciplinary knowledge. These strategies—while successful for liberal arts colleges and universities—became too far removed from the real world of practice and had the paradoxical effect of devaluing the educational institutions and their possible contribution.

고등교육의 목적에 대한 이러한 역사적 긴장감은 [왜 제도적 차원에서 패러다임의식이 중요한지]를 보여준다. (상호 배타적인 이유는 아니지만) 고등교육의 목적이 [시민을 준비시키는 것]인지 또는 [고용 가능한 졸업생을 만드는 것]인지에 대한 신념 시스템이 고등교육 기관을 형성합니다. Raelin(2007)은 [교양 교육]에서 [(기술과 역량에 대한 강조가 수반된) 전문 교육]으로의 꾸준한 전환은 북미 고등교육에서 가장 인정받지 못하는 경향 중 하나였다고 제안한다. 제도적, 사회적 수준에서 이러한 추세에 주목하면서 일부 사회학자들은 의문을 품게 되었다:

  • 만약 우리의 교육 시스템이 계속해서 교양과목에서 멀어진다면, 우리 사회는 우리가 창조하고 있는 기술적 진보와 함께 살아가는 데 필요한 사회적, 정치적 읽고 쓸 수 있는 능력을 갖게 될까? 

This historical tension about the purpose of higher education demonstrates why paradigmatic awareness matters at the institutional level. Belief systems about whether the purpose of higher education is about preparing citizens or creating employable graduates—while not mutually exclusive rationales—do shape higher education institutions. Raelin (2007) proposes the steady shift away from liberal arts towards professional education, with its associated emphasis on skills and competencies, has been one of the most underrecognized trends in higher education in North America. Attending to these trends on an institutional and societal level has led some concerned sociologists to question:

  • if our education systems continue to tilt away from the liberal arts, will our societies have the social and political literacy that we need to live with the technological advances we are creating (Benjamin, 2013)?

우리는 질문을 추가하고자 한다:

  • 점점 더 세계적인 보건 직업 교육 환경에서 확인되지 않은 패러다임적 가정이 의미하는 바는 무엇인가? (Martimianakis & Hafferty, 2013)
  • 교육에 대한 사회 문화 및 사회 정치적 영향을 고려할 때, 교육의 패러다임이 국제적 협력과 지식 동원 노력에 어떻게 영향을 미칠 수 있을까?

[교육의 일상적인 관행에 나타나는 패러다임들 사이의 긴장]은 또한 [교육 제도의 형성]에도 분명히 나타나므로, 모든 교육자들은 이러한 (비)정렬에 대해 신중히 인식해야 한다.

We add to this question:

  • what are the implications of unchecked paradigmatic assumptions in an increasingly global health professions education context? (Martimianakis & Hafferty, 2013).
  • Given the socio-cultural and socio-political influences on education, how might unearthing paradigms of education impact international collaborations and knowledge mobilization efforts?

All this to say, the tensions between paradigms that show up in the everyday practices of education also manifest in shaping the institutions of education and thus awareness of (mis)alignment is prudent for all educators.

다원적 접근으로
Toward a pluralistic approach

패러다임의 합성이 보여주듯이, [많은 다양한 이해관계]가 교육을 가이드하며, HPE 이니셔티브는 [복잡한 맥락]에서 작동된다. 이러한 복잡한 맥락은 학술 병원, 지역사회 환경 및 대규모 고등 교육 기관(대학 및 대학)에 내장되어 있다. 이러한 복잡성은 학습자에게 [상충하는 요구]로 인식되어졌고, 교육 이니셔티브 자체의 영향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심지어 최상의 교육 계획조차 "무효화 작전countervailing force"에 취약하다(롤랜드 외 2019). 
As our synthesis of paradigms demonstrates, many different interests guide education, and HPE initiatives operate in complex contexts, embedded within academic hospitals, community settings, and large higher education organizations (universities and colleges). This complexity has led to a sense of competing demands on learners, and potentially influenced the effects of the education initiatives themselves: even the best laid education plans are subject to “countervailing forces” upon them (Rowland et al. 2019).

실제로, 우리는 패러다임의 순수성을 주장하는 것이 아니다. 대신 교육 접근방식에 있어 [패러다임의 인식, 정렬, (필요시의) 합목적적 불일치]로 특징지어지는 [패러다임적 다원주의]를 요구한다. 이 접근법의 기초는 교육 목표와 폭력이 이해관계자 간에 다를 수 있다는 이해이다. 따라서 이전의 효과적인 접근법과 이론을 버리지 않고 새로운 관심 결과를 주목하고 평가해야 한다. 그리고 교육의 패러다임에 대한 이해와 관심은 다원주의의 전제조건입니다. 우리가 제안하듯이, 깊이 이해하지 못하는 것을 최적으로 혼합할 수 없습니다.

Indeed we are not arguing for paradigmatic purity. Instead we are calling for a paradigmatic pluralism, i.e. an approach to education characterized by paradigmatic awareness, alignment and—when appropriate, purposeful misalignment. Foundational to this approach is the understanding that educational goals and foci may differ between stakeholders, expand, or change; and thus new outcomes of interest must be attended to and assessed, without discarding prior effective approaches and theories. And understanding of and attention to paradigms of education is a prerequisite to pluralism, as we would suggest one cannot optimally mix what one does not deeply understand.

다원주의는 패러다임의 고려가 [교육과정의 모든 수준과 교육의 전체 범위에 걸쳐 일어나야 한다]는 점에서 훨씬 더 중요하다. 커리큘럼은 [프로그램], [과정], [세션] 수준에서 운영된다(Goldman & Schroth, 2012).

  • 보건 직업 훈련 [프로그램]은 주로 한 두 가지 교육 패러다임 내에서 운영될 수 있지만,
  • [과정]이나 [세션] 수준에서는 또 다른 패러다임들이 허우적거리거나 번성할 수도 있다.

Pluralism is even more important given the consideration of paradigms needs to happen at all levels of the curriculum and across the full spectrum of education. Curricula operate at the level of program, course and session (Goldman & Schroth, 2012).

  • And while a health professions training program may operate primarily within one or two paradigms of education,
  • other paradigms may be present at the course or session level where they may flounder or flourish.

우리가 제안하는 것은 [패러다임, 내부 정렬, 의미 있는 혼합에 대한 고려]이지만, 우리는 또한 [여러 교육 패러다임에서 다양한 관행을 의도적으로 적용하는 것이 어렵다는 것]을 인정한다. 다중 패러다임을 고려하려면 증거 기반 및 이론에 근거한 교육의 개념에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펜윅, 2016; 그린할 등, 2003; 트리샤 그린할, 2010; 호슬리 & 레게어, 2018; 반 데르 블뢰텐 외, 2000). 서로 다른 인식론적 전통에서 파생되거나 생성된 데이터와 이론에서 도출할 때, 무엇이 "최고"이고, 무엇이 높은 품질이며, 무엇이 유효한지에 대한 여러 정의가 존재한다.

  • [인지주의자와 구성주의자의 접근법]이 HPE가 가장 잘 받아들여질 수 있는데, 생물의학과 심리사회적 접근법]이 의학을 지배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접근법은 [인식론이 서로 비슷]하기 때문에 서로 잘 맞는다. 모두 과학적 방법과 이 방법이 만들어낼 수 있는 지식의 개념에 대해 지배적으로 합의된 것을 이용한다.
  • [인문주의적 접근법]은, 인식론적으로 볼 때 훨씬 더 개인적인 것에 관심을 둔다는 차이가 있다. 따라서, 일반적인 증거 기반 접근법에 따라 입증하기가 더 어렵다.
  • [변혁적 접근법]은 본질적으로 지배적인 접근법에 도전한다. 즉, 과학적 주장의 측면보다는 이러한 주장의 사회정치적 효과 측면에서, 이러한 특정 윤리 체계 또는 전문성 또는 장애/질병으로부터 누가 이익을 얻는가? 누가 그것 때문에 피해를 입었는가?

While consideration of paradigms, their internal alignment, and their meaningful mixing are what we propose, we also acknowledge that purposefully applying a range of practices from multiple paradigms of education will not come without challenges. The consideration of multiple paradigms also requires attention to the notion of evidence-based and theory-informed education (Fenwick, 2016; Greenhalgh et al., 2003; Trisha Greenhalgh, 2010; Horsley & Regehr, 2018; Regehr, 2010; Van Der Vleuten et al., 2000). When drawing from data and theories derived or generated from different epistemological traditions, multiple definitions exist for what is “best,” what is high quality, what is valid.

  • Biomedical and psychosocial approaches dominate medicine; cognitivist- and constructivist approaches are thus most amenable to HPE. These approaches fit well together because they have similar epistemologies. All draw upon a dominantly agreed upon scientific method and the conceptions of knowledge this method can produce.
  • Humanistic approaches differ, epistemologically, in that their concern is far more personal and thus outcomes are more challenging to demonstrate according to prevailing evidence-based approaches.
  • Transformative approaches inherently challenge dominant approaches—not in terms of their scientific claims, but in terms of the sociopolitical effects of these claims, by asking questions like who benefits from this particular framing of ethics, or professionalism, or disability/disease? Who is harmed by it?

실제로 교사 및 학습자를 지식 창조 또는 발견에서 파트너로 더 많이 위치시키는 교육의 패러다임 또한 전통적인 계층 구조에 도전한다. 교육자로서 [변혁적이 된다는 것]은 [현상에 도전하는 것]이다. 그렇다고 해서, 우리는 기존의 보건 직업 교육 시스템을 완전히 전복시켜야 한다고 제안하지는 않는다. 우리는 각각의 패러다임이 보건 직업 교육의 특정한 측면에 장점이 있다고 믿는다. 예를 들어, [행동주의-시민권 패러다임]은 가장 오래된 패러다임이지만, 감염관리 교육에서는 유용한 실천요강을 제공할 수 있다. 그러나 그것을 다른 패러다임과 연결시키는 것이 더 도움이 될 수 있기 때문에 다원주의에 대한 우리의 주장은 더 도움이 될 수 있다. 
Indeed paradigms of education that position the teacher and learner more as partners in knowledge creation or discovery thus also challenge traditional hierarchies. To be transformative as an educator is to challenge the status quo. That said, we do not propose that one must completely overthrow established health professions education systems. We believe that each paradigm has merits for certain aspects of health professions education. For example, when teaching infection control, a behaviourism-citizenship paradigm, though the most dated of all the paradigms, may offer useful practices.

결론
Conclusion

교육에 대한 다원주의적 접근법을 실천하려면 [교육자들이 교육의 여러 패러다임에 대해 잘 알아야 하며, 패러다임 조정에 능숙]해야 한다. 교육자들이 서로 다른 패러다임이 어떻게 작용하고 서로 상충되는지를 주의 깊게 고려할 수 있어야 적절하게 평가되는 명확하고 정렬된 교육 관행을 보장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조정은 특히 광범위한 교육 개혁 노력이 있는 시기에 중요하다. 보건 직업 훈련 프로그램에서 [성과 중심 결과 측정]이 Academic 건강 과학 시스템을 지배하기 때문이다. 교육자가 인식이 부족하고 조정에 실패하면 차선의 교육을 촉진할 뿐만 아니라 교육 노력을 적절히 평가하거나 교육 노력이 존재하는 곳에 의미 있는 영향을 입증하지 못할 수 있다. 이와 함께, 필연적인 다원적 교육의 패러다임이 잘 맞물려 보건직업 교육의 질을 높일 수 있습니다. 정보에 입각한 다원주의는 보건 분야의 교육에 대한 독단적이거나 사려 깊지 않은 접근법에 빠지는 것을 막아줄 것이다.

A pluralistic approach to education would see educators knowledgeable about multiple paradigms of education, and adept at paradigmatic alignment. Educators would be able to carefully consider how the different paradigms work together and where they conflict, so they can help ensure clear, aligned educational practices that are evaluated appropriately. This alignment matters particularly during a time of widespread curricular reform efforts within health professions training programs, wherein performance-driven outcome measurement rules academic health science systems. If educators lack awareness and fail to align, they may not only promote sub-optimal education, but may also be unable to appropriately evaluate educational efforts or demonstrate meaningful impacts where they exist. With alignment, the inevitable pluralism of paradigms of education can be engaged well, increasing our ability to drive quality in health professions education. Informed pluralism could offer a hedge against slipping into dogmatic or unthoughtful approaches to education in the health professions.


 

Adv Health Sci Educ Theory Pract. 2021 Aug;26(3):1045-1058.

 doi: 10.1007/s10459-021-10036-z. Epub 2021 Mar 19.

Re-envisioning paradigms of education: towards awareness, alignment, and pluralism

Affiliations collapse

Affiliations

1Department of Psychiatry, Faculty of Medicine, University of Toronto, Toronto, Canada. lindsay.baker@unityhealth.to.

2Centre for Faculty Development, Faculty of Medicine, University of Toronto At St. Michael's Hospital, 30 Bond Street, Toronto, ON, M5B 2W8, Canada. lindsay.baker@unityhealth.to.

3School of Occupational Therapy, Faculty of Health, Dalhousie University, Halifax, Canada.

4Department of Family and Community Medicine, University of Toronto, Toronto, Canada.

5The Wilson Centre, Unviersity of Toronto At University Health Network, Toronto, Canada.

6Institute of Health Policy, Management and Evaluation, University of Toronto, Toronto, Canada.

7Department of Occupational Science and Occupational Therapy, Faculty of Medicine, Toronto, Canada.

8Centre for Faculty Development, Faculty of Medicine, University of Toronto At St. Michael's Hospital, 30 Bond Street, Toronto, ON, M5B 2W8, Canada.

9Department of Speech-Language Pathology, Faculty of Medicine, University of Toronto, Toronto, Canada.

PMID: 33742339

PMCID: PMC8338841

DOI: 10.1007/s10459-021-10036-z

Free PMC article

Abstract

In this article we introduce a synthesis of education "paradigms," adapted from a multi-disciplinary body of literature and tailored to health professions education (HPE). Each paradigm involves a particular perspective on the purpose of education, the nature of knowledge, what knowledge is valued and included in the curriculum, what it means to learn and how learning is assessed, and the roles of teachers and learners in the learning process. We aim to foster awareness of how these different paradigms look in practice and to illustrate the importance of alignment between teaching, learning and assessment practices with paradigmatic values and assumptions. Finally, we advocate for a pluralistic approach that purposefully and meaningfully integrates paradigms of education, enhancing our ability to drive quality in HPE.

 

인지 아키텍처와 교수 설계: 20년의 역사(Educational Psychology Review, 2019)
Cognitive Architecture and Instructional Design: 20 Years Later
John Sweller1 & Jeroen J. G. van Merriënboer2 & Fred Paas3,4

 

 

서론
Introduction


[인지 부하 이론]은 학습 과제에 의해 유도된 [정보 처리 부하]가 어떻게 학생들의 [새로운 정보 처리 능력]과 [장기 기억의 지식 구성]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지를 설명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그것의 기본적인 전제인간의 인지 처리가 (한 번에 제한된 수의 정보 요소만 처리할 수 있는 한정된) [작업 기억력에 의해 심하게 제한]된다는 것이다. 인지 부하는 인지 시스템에 불필요한 요구가 부과될 때 증가한다. 인지 부하가 너무 높아지면 학습과 전달을 방해한다. 그러한 요구에는 환경의 불필요한 방해뿐만 아니라 주제에 대해 학생들을 교육하기 위한 부적절한 교육 방법이 포함된다. 인지 부하는 본질적으로 복잡한 과목 정보를 강조하는 교육 방법과 같이 학습과 밀접한 과정에 의해 증가할 수 있다. 학습과 전달을 촉진하려면, 인지 부하를 잘 관리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는 사용 가능한 인지 능력의 한계 내에서 [학습과 무관한 인지 처리는 최소화]되고, [학습과 밀접한 인지 처리는 최적화]하는 것이다. (van Merrienboer et al. 2006).
Cognitive load theory aims to explain how the information processing load induced by learning tasks can affect students’ ability to process new information and to construct knowledge in long-term memory. Its basic premise is that human cognitive processing is heavily constrained by our limited working memory which can only process a limited number of information elements at a time. Cognitive load is increased when unnecessary demands are imposed on the cognitive system. If cognitive load becomes too high, it hampers learning and transfer. Such demands include inadequate instructional methods to educate students about a subject as well as unnecessary distractions of the environment. Cognitive load may also be increased by processes that are germane to learning, such as instructional methods that emphasise subject information that is intrinsically complex. In order to promote learning and transfer, cognitive load is best managed in such a way that cognitive processing irrelevant to learning is minimised and cognitive processing germane to learning is optimised, always within the limits of available cognitive capacity (van Merriënboer et al. 2006).

인지 부하 이론의 뿌리는 1982년으로 거슬러 올라갈 수 있지만, 

  • 이 이론에 대한 첫 번째 완전한 설명은 1988년 "문제 해결 중 인지 부하: 학습에 미치는 영향"이라는 기사에서 제시되었다. 이후 10년 동안 호주의 뉴사우스웨일스 대학과 네덜란드의 트벤터 대학에 위치한 소규모 연구진에 의해 많은 인지 부하 영향과 관련 교육 방법이 조사되었다. 
  • 이러한 긴밀한 협력은 1998년 Cognitive Architecture and Instructional Design(Sweller et al. 1998) 논문에 게재된 인지 부하 이론의 업데이트된 설명으로 이어졌다. 
  • 1998년 이후, 인지 부하 이론은 빠르게 교육 심리학 및 교육 설계 분야에서 가장 인기 있는 이론 중 하나가 되었고, 전 세계의 연구원들이 추가 개발에 기여했습니다. 
  • 1998년 기사는 현재 구글 스콜라에서 5000개 이상의 인용을 받아 교육 분야에서 가장 많이 인용된 기사 중 하나가 되었다. 

The roots of cognitive load theory can be traced back to 1982 (Sweller and Levine 1982), but a first full description of the theory was given in the 1988 article Cognitive Load During Problem Solving: Effects on Learning (Sweller 1988). In the next decade, many cognitive load effects and associated instructional methods were investigated by a small group of researchers located at the University of New South Wales, Australia, and the University of Twente, the Netherlands. This close collaboration led to an updated description of cognitive load theory that was published in the 1998 article Cognitive Architecture and Instructional Design (Sweller et al. 1998). After 1998, cognitive load theory quickly became one of the most popular theories in the field of educational psychology and instructional design, with researchers from across the globe contributing to its further development. The 1998 article became one of the most cited articles in the educational field with currently over 5000 citations in Google Scholar. 

이 후속 기사의 주요 목적은 1998년 기사를 출발점으로 삼고 미래 방향에 대한 설명을 종점으로 삼으면서 지난 20년 동안의 인지 부하 이론의 진화를 되돌아보는 것이다.
The main aim of this follow-up article is to reflect on the evolution of cognitive load theory over the past 20 years, taking the 1998 article as a starting point and a description of future directions as the end point.

인지부하 이론의 짧은 역사
Short History of Cognitive Load Theory

1998년 Cognitive Architecture and Instructional Design 논문는 인지 부하 이론의 개요와 그 일반 원리, 이론에 의해 생성된 7가지 인지 부하 효과의 설명과 인지 부하 측정과 관련된 이슈를 포함한 인간의 인지 구조에 대해 논의하였다. 아래에서는 1998년 기사에서 설명한 인간의 인지 구조와 원래의 인지 부하 영향을 간략히 재검토할 것이다. 
The 1998 article Cognitive Architecture and Instructional Design discussed human cognitive architecture including an outline of cognitive load theory and its general principles, a description of seven cognitive load effects generated by the theory and issues associated with measuring cognitive load. Below, we will briefly revisit the human cognitive architecture and the original cognitive load effects described in the 1998 article; 

1998년에 사용된 인지구조
Human Cognitive Architecture Used in 1998

1998년에 사용된 인지 구조는 그 당시 인간의 인식에 대한 우리의 지식을 반영했다. 그 아키텍처의 기본 구성 요소들, 작업 기억, 장기 기억 그리고 그들 사이의 관계는 잘 알려져 있었다. 비록 작업 기억과 장기 기억 사이의 복잡하고 비판적인 관계가 적어도 일부 독자들에게는 새로운 것처럼 보였지만, 작업 기억이 [정보의 출처가 외부 환경인지 장기 메모리인지 여부]에 따라 다르게 기능한다는 것을 의심하는 독자들에게는 새로운 것이었다. 또한, 인지 아키텍처에서 파생된 지시적 의미는 대부분 알려지지 않았다.
The cognitive architecture used in 1998 reflected our knowledge of human cognition at that time. The basic components of that architecture, working memory, long-term memory and the relations between them were well-known, although the intricate, critical relations between working and long-term memory seemed novel to at least some readers who doubted that working memory functioned differently depending on whether the source of the information was the external environment or long-term memory. In addition, the instructional implications derived from that cognitive architecture were largely unknown.

[작업 기억]의 용량과 지속 시간 한계는 밀러(1956년)와 피터슨 및 피터슨(1959년) 이후로 알려져 왔지만, 이러한 한계는 친숙한 정보가 아닌 [새로운 정보에만 효과적으로 적용]되었다는 사실은 대부분의 치료treatment에서 암시적으로 보였다. 새로운 정보를 다룰 때 작업 기억력의 한계는 대부분의 교육 권고사항에는 없었다. 이러한 권고안은, 특히 지시적 문제 해결의 사용과 관련하여, 마치 작업 기억의 특성이 무관한 고려사항인 것처럼 진행되었다. 실제로 대부분의 교육 권고사항에서는 작업 메모리에 대해 언급하지 않았습니다.
The capacity and duration limits of working memory have been known at least since Miller (1956) and Peterson and Peterson (1959), although the fact that these limits effectively applied only to novel, not familiar information, seemed more implicit rather than explicit in most treatments. The limitations of working memory when dealing with novel information were absent in most instructional recommendations. These recommendations, especially with regard to the use of instructional problem solving, proceeded as though the characteristics of working memory were an irrelevant consideration. Indeed, most instructional recommendations made no mention of working memory.

물론, [장기 기억]도 잘 알려져 있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것은 아마도 암기 학습과 관련이 있을 수 있기 때문에 교육 권고사항에서 거의 역할을 하지 않았다. 암기적 학습은 분명히 장기 기억에 정보를 저장해야 하는 반면, 장기 기억이 이해력을 가진 학습에 최소한의 역할을 하거나 전혀 역할을 하지 않는다는 가정이 있는 것처럼 보였다. 우리가 [학습할 때 장기 기억이 (이해와 일반적인 기술 형성을 통해) 중심적 역할을 한다고 강조한 것]은 인지 부하 이론의 특이한 측면이었다. 그 강조점은 1946년에 [체스 전문지식]에 대한 원래 연구가 출판된 드 그루트의 비평적인 작품에서 비롯되었다. 체스 기술은 기억되는 체스 보드 구성으로 완전히 설명될 수 있다는 그의 발견과 각각의 구성에 대한 최고의 움직임은 문제 해결 기술의 핵심 요소로 장기 기억을 지울 수 없는 것으로 배치했다. 지금까지 이 자리에 거의 없었다. 그러나 여전히, 이 연구결과가 교육설계에 가지칠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교육적 권고사항이 장기기억의 역할에 중점을 둔 경우는 거의 없다.
Long-term memory was, of course, equally well-known in the literature. Nevertheless, it played almost no role in instructional recommendations perhaps because it may have been associated with rote learning. While rote learning obviously required the storage of information in long-term memory, there seemed to be an assumption that long-term memory played a minimal or no role in learning with understanding. Our emphasis on the central role of long-term memory when learning with understanding and in general skill formation was an unusual aspect of cognitive load theory. That emphasis derived from the critical work of De Groot (1965) whose original work on chess expertise was published in 1946. His finding that chess skill could be entirely explained by remembered chessboard configurations and the best moves for each configuration placed long-term memory indelibly as the central factor in problem-solving skill. This presence had heretofore been largely absent. Again, despite the ramifications of this finding for instructional design, few if any instructional recommendations placed any emphasis on the role of long-term memory.

[작업 기억]과 [장기 기억] 각각에 대해서는 잘 알려져 있지만, 그들 사이의 중요한 관계는 훨씬 덜 강조되었다. 작업기억은 새로운 정보를 다룰 때 용량과 지속시간이 제한되었지만 작업기억이 장기 기억에서 전송된 정보를 다룰 때 이러한 제한은 사실상 사라졌다. 장기 기억에서 많은 양의 조직화된 정보를 즉시 사용할 수 있게 되면 그러한 정보를 처리할 때 효과적으로 작업 메모리가 제한되지 않게 된다. 에릭슨과 킨치는 장기 작동 기억 이론에서 이 점을 반영했다. [(장기 기억에 저장된 정보에 의존하는) 전문지식]은 개인과 사회에 대한 교육의 변화적 결과를 반영하여 작업 기억에서 정보를 처리하는 능력을 변화시키고 우리를 변화시킨다. 학습자가 중요한 정보를 장기기억에 축적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교육의 주요 기능이라는 것이다. 새롭기 때문에, 새로운 정보는 작업 기억의 한계를 고려하는 방식으로 제시되어야 한다. 이러한 과정들은 1998년에 인지 부하 이론의 교육적 영향을 초래한 인지 구조를 제공했다.
While working and long-term memory were well-known, the important relations between them were much less emphasised. Working memory was limited in capacity and duration when dealing with novel information but these limitations effectively disappeared when working memory dealt with information transferred from long-term memory. A ready availability of large amounts of organised information from long-term memory results in working memory effectively having no known limits when dealing with such information. Ericsson and Kintsch (1995) in their theory of long-term working memory, reflected this point. Expertise, reliant on information held in long-term memory, transforms our ability to process information in working memory and transforms us, reflecting the transformational consequences of education on individuals and societies. It follows that the major function of instruction is to allow learners to accumulate critical information in long-term memory. Because it is novel, that information must be presented in a manner that takes into account the limitations of working memory when dealing with novel information. These processes provided the cognitive architecture that led to the instructional implications of cognitive load theory in 1998.

인지부하의 범주
Categories of Cognitive Load

1998년에, 우리는 인지 부하의 세 가지 범주에 대해 논의했다: 내재적, 외부적, 그리고 본유적. 

In 1998, we discussed three categories of cognitive load: intrinsic, extraneous and germane.

[내재적 인지 부하]는 [처리 중인 정보의 복잡성]을 의미하며, 요소 간 상호작용의 개념과 관련이 있다. 위에서 설명한 인간 인지 구조의 특성 때문에, 인간에 의해 처리되는 정보의 복잡성을 결정하는 것은 어렵다. 정보의 복잡성에 대한 대부분의 척도는 순전히 정보의 특성에 관한 것이다. 위에서 논의한 작업 기억과 장기 기억 사이의 관계 때문에 인간에 의해 처리되고 있는 정보를 언급할 때 그러한 조치들은 부적절하다. 장기 기억에 조직되고 저장된 정보는 저장되기 전의 동일한 정보와는 매우 다른 특성을 가지고 있다.

Intrinsic cognitive load referred to the complexity of the information being processed and was related to the concept of element interactivity. Because of the characteristics of human cognitive architecture described above, determining the complexity of information processed by humans is difficult. Most measures of informational complexity refer purely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information. Such measures are inadequate when referring to information being processed by humans because of the relations between working and long-term memory discussed above. Information that has been organised and stored in long-term memory has very different characteristics for humans than the same information prior to it being stored.

이 논문의 독자들에게 영어 단어 'characteristics'과 그 로마자는 장기 기억에서 회수된 하나의 요소로 쉽고 무의식적으로 처리된다. 반면, 영어 읽기를 배우는 누군가에게 쓰여진 단어는 아직 장기 기억에 단일 요소로 저장되지 않았기 때문에 여러 개의 상호작용하는 요소로 작업 기억에서 처리되어야 한다. [복잡성 또는 요소 상호작용성]은 [정보의 성격과 정보를 처리하는 사람의 지식의 조합]에 좌우된다.

  • 영어 읽기를 배우는 누군가에게, 'characteristics'이라는 단어를 구성하는 여러 개의 꼬불꼬불한 말을 해석하는 것은 작업 기억을 압도하는 매우 높은 요소 상호작용성 작업이 될 수 있다.
  • 전문가에게, 동일한 구불구불한 선squiggles은 최소 요소 상호작용으로 인해 최소한의 인지 부하를 부과하는 단일 요소만 구성할 수 있다.

For readers of this paper, the English word ‘characteristics’ and its Roman letters are processed easily and unconsciously as a single element retrieved from long-term memory. For someone learning to read English, the written word must be processed in working memory as multiple, interacting elements because the written word has not yet been stored as a single element in long-term memory. Complexity or element interactivity depends on a combination of both the nature of the information and the knowledge of the person processing the information.

  • For someone learning to read English, interpreting the multiple squiggles that constitute the word ‘characteristics’ may constitute a very high element interactivity task that overwhelms working memory.
  • For an expert, the same squiggles may constitute only a single element that imposes a minimal cognitive load due to minimal element interactivity.

따라서, 내재적 인지 부하는 정보의 복잡성과 정보를 처리하는 사람의 지식에 의해 결정된다. 인간 인지 시스템의 이러한 특징들을 고려할 때, (제시된 정보의) 복잡성을 결정할 때 [(기존) 지식을 무시하는 측정]은 대부분 소용이 없다. 이 분석에 기초하여, 내재적 인지 부하는 학습해야 할 것을 변경하거나 학습자의 전문지식을 바꿈으로써만 바뀔 수 있다.

Accordingly, intrinsic cognitive load is determined by both the complexity of the information and the knowledge of the person processing that information. Given these characteristics of the human cognitive system, measures that ignore knowledge when determining complexity are largely useless. Based on this analysis, intrinsic cognitive load only can be changed by changing what needs to be learned or changing the expertise of the learner.

[외재적 인지 부하]는 정보의 본질적 복잡성에 의해 결정되는 것이 아니라, 정보가 어떻게 제시되고 학습자가 지시 절차에 의해 무엇을 해야 하는가에 의해 결정된다. 내재 인지 부하와 달리, 교육 절차instructional procedures를 변경하여 바꿀 수 있다. 1998년에는 요소 상호작용만이 내재 인지 부하와 관련이 있다고 가정했다. 그 결과, 외부 인지 부하(Sweller 2010)를 동일하게 결정한다는 것이 명백해졌다.

  • 효과적인 교육 절차는 요소의 상호작용성을 감소시키는 반면
  • 비효율적인 절차는 요소의 상호작용성을 증가시킨다. 

Extraneous cognitive load is not determined by the intrinsic complexity of the information but rather, how the information is presented and what the learner is required to do by the instructional procedure. Unlike intrinsic cognitive load, it can be changed by changing instructional procedures. In 1998, it was assumed that element interactivity only was relevant to intrinsic cognitive load. Subsequently, it became apparent that it equally determines extraneous cognitive load (Sweller 2010).

  • Effective instructional procedures reduce element interactivity while
  • ineffective ones increase element interactivity. 

[본유적 인지부하]는 학습에 필요한 인지부하으로 정의되었으며, 이는 (외재적 인지 부하가 아니라) 내재적 인지 부하를 다루는 데 사용되어야 하는 작업기억 자원을 가리킨다. 외부 인지 부하를 처리하는 데 더 많은 자원을 할애할수록 내재 인지 부하를 처리하는 데 더 적은 가용성이 제공되므로 학습량이 줄어들 것이다. 그런 점에서 [내재적 인지적 부하]와 [본유적 인지 부하]는 밀접하게 얽혀 있다.
Germane cognitive load was defined as the cognitive load required to learn, which refers to the working memory resources that are devoted to dealing with intrinsic cognitive load rather than extraneous cognitive load. The more resources that must be devoted to dealing with extraneous cognitive load the less will be available for dealing with intrinsic cognitive load and so less will be learned. In that sense, intrinsic and germane cognitive load are closely intertwined.

[본유적 인지 부하]의 이러한 특성은 1998년 논문에서 벗어난 것이다. 본 논문에서 우리는 본유적 인지 하중이 외부 하중을 대체하여 총 인지 하중에 기여한다고 가정했다. 현재, 우리는 [본유적 인지 부하]가 총 부하에 기여하기 보다는, 학습 과제의 본질적인instrinsic 정보를 처리하여, 외부 활동에서 학습과 직접 관련이 있는 활동으로 작업 기억 자원을 재배포한다고 가정한다. 이러한 변경의 필요성은 외부 하중이 감소되었을 때 게르마인 인지 하중이 단순히 외부 하중을 대체했다면 외부 하중의 감소에 따른 총 하중의 변화가 없어야 한다는 문제에서 비롯되었다. 수많은 경험적 연구에 따르면 외부 부하 감소에 따른 부하 감소가 나타났다. 현재 공식은 [본유적 인지 부하]가 그 자체로 부하를 부과하기 보다는, 직무의 외부적 측면에서 본질적 측면으로 [(부하의) 재분배 기능]을 가지고 있다고 가정함으로써 이 문제를 제거한다.
This characterisation of germane cognitive load is a departure from the 1998 paper. In that paper we assumed that germane cognitive load contributed to total cognitive load by substituting for extraneous load. Currently, we assume that rather than contributing to the total load, germane cognitive load redistributes working memory resources from extraneous activities to activities directly relevant to learning by dealing with information intrinsic to the learning task. The need for this alteration arose from the issue that if germane cognitive load simply replaced extraneous load when extraneous load was reduced, then there should be no change in total load following a reduction in extraneous load. Numerous empirical studies indicated a reduction in load following a reduction in extraneous load. The current formulation eliminates this problem by assuming that germane cognitive load has a redistributive function from extraneous to intrinsic aspects of the task rather than imposing a load in its own right.

1998년 보고한 지시효과
Instructional Effects Reported in 1998

1998년 기사에서는 7가지 인지 부하 효과가 보고되었다(표 1의 상단 참조). [변동성 효과]를 제외한 이 모든 효과는 외부 인지 부하 감소와 관련된 요소 상호작용성의 감소에 기인한다. [변동성 효과]는 내재 인지 부하의 변화로 인한 것이다. 이러한 효과는 전 세계 여러 연구 센터에서 수행된 여러 번의 중복 실험과 다양한 재료 및 모집단을 사용한 실험에 기초했다. 그러나, 이러한 실험들 중 다수는 비교 인지 부하를 직접 측정하려고 시도하지 않았다. 오히려, 인지 부하 이론은 교육 기법을 생성하는데 사용되었고 이러한 기술이 학습 결과에 대한 기대 효과를 생성한다면 이론을 강화하는 것으로 가정되었다. 
In the 1998 article, seven cognitive load effects were reported (see the upper part of Table 1). All of these effects with the exception of the variability effect were due to a reduction in element interactivity associated with a decrease in extraneous cognitive load. The variability effect is due to alterations in intrinsic cognitive load. These effects were based on multiple, overlapping experiments carried out in several research centres around the globe and using a variety of materials and a variety of populations. Yet, many of these experiments did not attempt to directly measure comparative cognitive load; rather, cognitive load theory was used to generate instructional techniques and if these techniques produced the expected effects on learning outcomes they were assumed to strengthen the theory. 

표 1 1998년 이전과 이후의 주요 인지부하 영향의 연표
Table 1 Timeline of major cognitive load effects before and after 1998

 

 

목표 부재 효과
Goal-Free Effect

[목표 부재 효과]를 [목표-특이성 감소 효과] 또는 [목표 없음 효과]라고도 합니다. 그것은 기존의 문제들이 일반적으로 [수단-목표means-ends 분석]에 의해 해결된다는 관찰로부터 시작되었는데, 이런 문제해결 방식은 작업 메모리 용량에 유난히 "비싼" 프로세스이다. 왜냐하면 학습자는 작업 기억, 현재 문제 상태, 목표 상태, 그들 사이의 관계, 차이를 줄일 수 있는 문제 해결 연산자 및 하위 문제를 유지하고 처리해야 하기 때문이다. (예: 차량은 1분 동안 정지 상태에서 균일하게 가속됩니다. 그것의 최종 속도는 2km/min이다. 얼마나 멀리 이동했습니까?)

The goal-free effect is also called the reduced goal specificity effect or no goal effect. It is the oldest effect studied in the context of cognitive load theory (Sweller and Levine 1982). It started from the observation that conventional problems (e.g. A car is uniformly accelerated from rest for 1 min. Its final velocity is 2 km/min. How far has it travelled?) are typically solved by means-ends analysis, a process that is exceptionally expensive of working memory capacity because the learner must hold and process in working memory, the current problem state, the goal state, relations between them, problem-solving operators that could reduce differences and any sub-goals.

기존의 문제가 목표가 없는 문제로 대체될 때(예: 차량은 1분 동안 정지 상태에서 균일하게 가속됩니다. 그것의 최종 속도는 2km/min이다. 가능한 한 많은 변수의 값을 계산해보세요), 학습자는 단지 목표 상태가 제공되지 않는다는 이유만으로 현재 문제 상태와 목표 상태 간의 차이를 추출할 수 없다. 이제 그들은 마주치는 각 문제 상태를 고려하여, 적용할 수 있는 문제 해결 연산자라면 무엇이든 다 찾을 수 있다. 일단 연산자가 적용되면, 새로운 문제 상태가 생성되고 프로세스가 반복될 수 있습니다. 

When conventional problems are replaced by goal-free problems (e.g. A car is uniformly accelerated from rest for 1 min. Its final velocity is 2 km/min. Calculate the value of as many variables as you can), learners are no longer able to extract differences between a current problem state and a goal state simply because no goal state is provided. They will now consider each problem state encountered and find any problem-solving operator that can be applied; once an operator has been applied, a new problem state has been generated and the process can be repeated.

[수단-목표 분석]은 지식 구성 프로세스와 거의 관련이 없는 반면, [목표가 없는 문제 해결]은 인지 부하를 크게 감소시키고 낮은 부하와 지식 구성에 필요한 해결책의 정확한 조합을 제공한다.

Whereas means-ends analysis bears little relation to knowledge construction processes, goal-free problem solving greatly reduces cognitive load and provides precisely the combination of low load and focus on solutions that is required for knowledge construction.

 

작업 예제 효과
Worked Example Effect

[작업된 예제]는 기존의 문제로 인한 인지 부하를 줄이고 지식 구성을 용이하게 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작업 예제는 학습자가 주의 깊게 공부해야 하는 전체 문제 해결 방법을 제공합니다. 작업된 예제 효과는 대수학 영역에서 스웰러와 쿠퍼(1985)에 의해 처음 보고되었다. 기존의 문제와 대조적으로, [풀이된 예제]는 학습자의 주의를 문제 상태 및 관련 운영자(즉, 솔루션 단계)에 집중시켜 일반화된 솔루션을 유도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풀이된 예제를 공부하는 것은 실제로 동등한 문제를 해결하는 것보다 지식 구축과 전이라는 학습성과를 더 촉진할 수 있습니다. 
Like goal-free problems, worked examples aim to reduce the cognitive load caused by conventional problems and to facilitate knowledge construction. Worked examples provide a full problem solution that learners must carefully study. The worked example effect was first reported by Sweller and Cooper (1985) in the domain of algebra. In contrast to conventional problems, worked examples focus the learners’ attention on problem states and associated operators (i.e. solution steps), enabling them to induce generalised solutions. Thus, studying worked examples may facilitate knowledge construction and transfer performance more than actually solving the equivalent problems.

작업된 예제 효과에 대한 매우 강력한 경험적 증거가 있지만, 중요한 제약 조건도 있다. 고전문가의 학습자에게 작업 예제는 덜 효과적이고 좋은 작업 예제의 설계는 어렵다. 예를 들어, 학습자가 다른 정보 소스를 정신적으로 통합하거나(아래의 [분산되 주의 효과] 참조) 중복 정보를 결합하도록 요구해서는 안 되기 때문이다 (아래의 [중복 효과] 참조). 예제를 통한 학습에 대한 연구 리뷰는 Renkl(2013)에 의해 제공된다.
Although there is very strong empirical evidence for the worked example effect, there are also important constraints: Worked examples are less effective for high-expertise learners and the design of good worked examples is difficult, for example, because they should not require the learner to mentally integrate different sources of information (see the split-attention effect below) or combine redundant information (see the redundancy effect below). A review of studies on learning from examples is provided by Renkl (2013).

부분완성 문제 효과
Completion Problem Effect

[풀이된 예제]의 잠재적인 단점은 학습자가 주의 깊게 학습하도록 강요하지 않는다는 것입니다. 따라서 Van Merrienboer와 Krammer(1987)는 컴퓨터 프로그래밍 입문 분야에서 [부분완성 문제]를 사용할 것을 제안했다. 그러한 문제들은 주어진 상태, 목표 상태, 학습자에 의해 완성되어야 하는 [부분적인 해결책]을 제공한다. 컴퓨터 프로그래밍 분야에서, 이것은 학습자들이 완성되어야 할 불완전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받는 것을 의미한다. [완전히 풀이된 예제]는 명시적으로 학습하도록 유도하지는 않는 반면, 학습자는 [부분완성 문제]에서 제공되는 [부분적으로 풀이된 예제]를 주의 깊게 공부하고 이해해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솔루션을 올바르게 완료할 수 없기 때문입니다. 
A potential disadvantage of worked examples is that they do not force learners to carefully study them. Therefore, van Merriënboer and Krammer (1987) suggested the use of completion problems in the field of introductory computer programming. Such problems provide a given state, a goal state, and a partial solution that must be completed by the learners. In the field of computer programming, this means that the learners receive incomplete computer programs that need to be finished. Although fully worked examples do not explicitly induced learners to study them, learners must carefully study and understand the partial worked examples provided in completion problems because they otherwise will not be able to complete the solution correctly.

[부분완성 문제]는 [풀이된 예제]와 [전통적 문제] 사이의 가교로도 볼 수 있습니다. [풀이된 예제]는 완전한 솔루션의 완료 문제이고, [전통적 문제]는 부분적인 솔루션이 제시된 [부분완성 문제]입니다. 코스를 설계할 때, 이러한 서로 다른 솔루션 레벨은 거의 완전한 솔루션을 제공하는 완료 문제로 시작할 수 있도록 하며, 점진적으로 전체 또는 대부분의 솔루션이 학습자에 의해 생성되어야 하는 완료 문제로 작용할 수 있도록 합니다. 이 전략은 '완료 전략completion strategy'(1990년 반 메린보어 및 크라머)으로 알려졌으며 아래에서 설명될 guidance-fading effect의 선구자로 볼 수 있다.

Completion problems may also be seen as a bridge between worked examples and conventional problems: worked examples are completion problems with a complete solution and conventional problems are completion problems with a partial solution. When designing a course, these differing solution levels allow commencement with completion problems that provide almost complete solutions and gradually work to completion problems for which all or most of the solution must be generated by the learners. This strategy became known as the ‘completion strategy’ (van Merriënboer and Krammer 1990) and can be seen as a forerunner of the guidance-fading effect that will be described below.

주의 분할 효과
Split-Attention Effect

[주의 분할 효과]는 [풀이된 예제]에 대한 연구에서 비롯되어, Tarmizi와 Sweller(1988)에 의해 처음 보고되었다. 예를 들어, 지오메트리 영역의 [풀이된 예제]는 [다이어그램]과 이에 대한 [풀이법 설명 문장]으로 구성될 수 있습니다.

  • [다이어그램]만으로는 문제에 대한 해결책에 대해 아무것도 드러내지 않으며,
  • [풀이 문장]은 다이어그램과 통합되기 전까지는 학습자가 이해할 수 없습니다.

학습자들은 해결책을 이해하기 위해 두 가지 정보의 원천을 정신적으로 통합해야 하는데, 이 과정은 높은 인지 부하를 산출하고 학습을 방해하는 과정이다. 
The split-attention effect stems from research on worked examples and was first reported by Tarmizi and Sweller (1988). For instance, a worked example in the domain of geometry might consist of a diagram and its associated solution statements.

  • The diagram alone reveals nothing about the solution to the problem and
  • the statements, in turn, are unintelligible for the learners until they have been integrated with the diagram.

Learners must mentally integrate the two sources of information in order to understand the solution, a process that yields a high cognitive load and hampers learning.

이러한 [주의 분할 효과]는 [다이어그램과 솔루션 문구를 물리적으로 통합]하여 정신적 통합을 불필요하게 만들고 작업 예제의 긍정적인 효과를 복원함으로써 예방할 수 있다. 주의 분할 효과는 정보 출처의 [공간적 조직]뿐만 아니라 [시간적 조직]과도 관련이 있다. 메이어와 앤더슨(1992)은 인지 부하를 줄이고 학습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애니메이션과 관련 내레이션이 일시적으로 조정되어야 한다는 것을 발견했다. 분할 주의 효과에 대한 최근 리뷰는 Ayres와 Sweller(2014)에 의해 제공되었습니다.

This split-attention effect can be prevented by physically integrating the diagram and the solution statements, making mental integration superfluous and reinstating the positive effects of worked examples. The split-attention effect not only relates to the spatial organisation of information sources but also to their temporal organisation. Mayer and Anderson (1992) found that animation and associated narration need to be temporally coordinated in order to decrease cognitive load and facilitate learning. A recent review of the split-attention effect is provided by Ayres and Sweller (2014).

중복 효과
Redundancy Effect

[주의 분할 효과]는 [풀이된 예제 효과]에서 나온 반면, [중복 효과]는 [주의 분할 효과]에서 나온 것입니다. 학습자가 독자적으로는 도움이 안 되지만, 통합된다면 이해에 도움이 되는 [두 가지 상호 보완적인 정보원]에 직면할 때 주의가 분산됩니다. 하지만 두 정보의 원천이 [서로에 대한 참조 없이] 스스로 포함되고 이해될 수 있다면 어떻게 될까? Chandler와 Sweller(1991)는 텍스트로 혈액의 흐름을 설명한 진술과 함께 심장, 폐 및 신체의 나머지 부분의 혈액 흐름을 보여주는 다이어그램을 사용했다. 따라서, 다이어그램과 문장은 동일한 정보를 포함하고 있으며 완전히 중복되었습니다. 이 경우 [다이어그램만를 제시]하는 것이, [두 개의 정보 출처를 함께 표시하는 것]보다 우월한 것으로 밝혀졌다. 

While the split-attention effect grew out of the worked example effect, the redundancy effect, in turn, grew out of the split-attention effect. Split attention occurs when learners are confronted with two complementary sources of information, which cannot stand on their own but must be integrated before they can be understood. But what happens when the two sources of information are self-contained and can be understood without reference to each other? Chandler and Sweller (1991) used a diagram demonstrating the flow of blood in the heart, lungs and rest of the body together with statements that described this flow of blood in text. Thus, the diagram and the statements contained the same information and were fully redundant. It was found that only presenting the diagram was superior to presenting both sources of information together.

중복 효과가 발생하는 이유는, [학습자가 두 출처의 정보가 동일하다는 것을 발견하기 위해 노력을 들여 처리해야 하기 때문]입니다. 동일한 정보를 두 번 제공하는 것이 해를 끼치거나 심지어 이롭다는 가정 하에, 이 발견은 중요하지만, 직관적이지 않다. 문헌의 조사 결과, 중복 효과는 수십 년 동안 발견되고, 잊혀지고, 재발견되어 왔다. 1937년 초에, 밀러는 명사를 읽는 법을 배우는 어린 아이들이 단어들이 비슷한 그림과 함께 제시되기 보다는 혼자 제시된다면 더 많은 발전을 이루었다고 보고했습니다.

This redundancy effect is due to the fact that effortful processing is required from the learners to eventually discover that the information from the two sources is identical. This finding is important and counter-intuitive based on the assumption that providing the same information twice can do no harm or is even beneficial. Inspection of the literature shows that the redundancy effect has been discovered, forgotten and rediscovered over many decades: As early as 1937, Miller reported that young children learning to read nouns made more progress if the words were presented alone rather than in conjunction with similar pictures.

제시방식 효과
Modality Effect

1998년 기사에서 논의된 모든 인지 부하 효과는 [다룰 수 있는 요소의 수가 변경할 수 없다는 점]에서, [한 개인에 대해 작업 기억 용량이 고정되어 있다]고 가정했다. 하지만 유일한 예외는 [제시방식 효과]이다. 제시방식 효과는 작업 기억이 부분적으로 독립적인 프로세서로 세분화될 수 있다는 가정에 기초하며, 하나는 청각 작업 기억에 기초한 언어 자료와 다른 하나는 시각 작업 기억에 기초한 도표/그림 정보를 다룬다(예: Baddley 1992). 따라서 어느 한 프로세서만 사용하는 것이 아니라, [시각 및 청각]이라는 두 가지의 [작업 기억] 모두를 사용했을 때, 효과적으로 작업 기억 용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
All cognitive load effects discussed in the 1998 article assumed that working memory capacity is fixed for a given individual in the sense that the number of elements that could be dealt with was unalterable, with the modality effect as an exception. The modality effect is based on the assumption that working memory can be subdivided into partially independent processors, one dealing with verbal materials based on an auditory working memory and one dealing with diagrammatic/pictorial information based on a visual working memory (e.g. Baddeley 1992). Consequently, effective working memory capacity can be increased by using both visual and auditory working memory rather than either processor alone.

무사비 외 연구진(1995)은 기하학 학습에서 제시방식 효과를 최초로 시험한 사람이었다. 그들은 다이어그램을 통합된 필기 텍스트(즉, 시각적)와 제시하거나, 구어 텍스트(즉, 시각적)와 함께 제시했고, [제시방식 효과]로 인해 음성 텍스트와의 조합이 가장 효과적일 것이라고 가정했다. 그들은 실제로 그 이후로 많은 다른 실험에서 제시방식 효과가 재현되는 것을 발견했다. [제시방식 효과]는 [주의 분할 효과]를 처리하는 방법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 [주의 분할]이 발생하는 경우, [글자 정보]를 [청각 모드]로 표시하는 것이, [도표에 물리적으로 통합하는 것]보다 동등하거나 훨씬 더 효과적일 수 있다. 긴스(2005a)는 여전히 읽을 가치가 있는 양식 효과의 메타 분석을 제공했다.

Mousavi et al. (1995) were the first to test the modality effect in geometry learning; they presented a diagram either with integrated written text (i.e. visual) or with auditory, spoken text and they hypothesised that the combination with spoken text would be most effective due to the modality effect. They indeed found the modality effect that has since been replicated in many other experiments. The modality effect has important implications for how to deal with split-attention effects: if split attention occurs, presenting the written information in an auditory mode may be equally or even more effective than physically integrating it in the diagram. Ginns (2005a) provided a meta-analysis of the modality effect that is still worth reading.

변동성 효과
Variability Effect

문제 상황에 대한 [가변성]은, 유사한 특징을 식별할 수 있게 해주고, 관련성이 높은 특징을 관련성이 없는 특징과 구별할 수 있는 확률을 증가시키기 때문에, 학습자가 더 일반화된 지식을 구축하도록 유도할 것으로 예측할 수 있다. 즉, 가변성의 증가는 내재 인지 부하를 증가시켜 증가를 처리하기에 충분한 작업 기억 자원이 있는 경우 더 많은 것을 배울 수 있게 한다. 몇몇 연구는 [가변성]이 [연습 중 인지 부하]를 증가시킬 뿐만 아니라, [학습의 전이transfer]도 증가한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처음에 변동성 효과는 (이전에 보고된 모든 인지 부하 효과와) 모순되는 것으로 보였다. 왜냐하면 그것은 [인지 부하의 감소]가 아니라, [인지부하의 증가]와 '높은 학습성과'를 결합시켰기 때문이다. 
Variability over problem situations is generally expected to encourage learners to construct more general knowledge, because it increases the probability that similar features can be identified and that relevant features can be distinguished from irrelevant ones. In other words, increases in variability increase intrinsic cognitive load allowing more to be learned provided there is sufficient working memory resources to handle the increase. Several studies showed that variability not only increased cognitive load during practice but also increased transfer of learning. Initially, the variability effect seemed to contradict all earlier reported cognitive load effects, because it combines an increase rather than a decrease of cognitive load with higher learning outcomes.

기하학 문제 해결 분야에서 파스와 판 메린보어(1994a)는 인지 부하 이론의 맥락에서 가변성 효과를 최초로 기술했다.

  • 그들은 [높은 변동성]이 [인지 부하가 낮은 상황(즉, 완성된 예제를 통한 학습)]에서 학습과 전이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가정했다. 왜냐하면 그러한 상황에서는 변동성이 내재 인지 부하를 증가시켰다는 사실에 관계없이 총 인지 부하가 한계 내에 머물 것이기 때문이다.
  • 대조적으로, 그들은 [높은 변동성]은 [인지 부하가 이미 높은 상황]에서 학습과 전이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예측했다. 왜냐하면 총 인지 부하가 학습자의 작업 기억력에 과도한 부담을 주기 때문이다.

In the domain of geometrical problem solving, Paas and van Merriënboer (1994a) were the first to describe the variability effect in the context of cognitive load theory: They hypothesised that high variability would have a positive effect on learning and transfer in situations in which cognitive load was low (i.e. learning from worked examples), because in such situations the total cognitive load would stay within limits, irrespective of the fact that variability increased intrinsic cognitive load. In contrast, they predicted that high variability would have a negative effect on learning and transfer in situations in which cognitive load was already high (i.e. learning by solving conventional problems), because the total cognitive load would then overburden learners’ working memory. 

실제로, 문제 형식(풀이된 예제, 전통적 문제)과 변동성(낮음, 높음) 사이의 기대했던 상호작용이 발견되었다. 이와 유사한 발견에 기초하여 학습에 생산적이지 않은 '외부적' 과정과 학습에 생산적인 '본유적' 프로세스에 의해 야기되는 부하 사이에 구별이 도입되었다. 수업instruction을 설계할 때 먼저 외부 인지 부하를 감소시켜야 하는 것은 유효하다. 하지만, 새로운 함의는, 총 인지 부하가 한계 내에 있다면, 외부 인지 부하의 감소는 본유적 인지부하의 증가가 동반되었을 때 훨씬 더 효과적일 수 있다. 

Indeed, the expected interaction between problem format (worked examples, conventional problems) and variability (low, high) was found. Based on this and similar findings, a distinction was introduced between load that is caused by ‘extraneous’ processes not productive for learning and load that is caused by ‘germane’ processes and productive for learning. When instruction is designed, it should first decrease extraneous cognitive load, but as a new implication, instructional designs that are effective in decreasing extraneous cognitive load may become even more effective if they increase germane cognitive load, provided that total cognitive load stays within limits.

'인지 부하 이론의 발전 1998–2018' 섹션에서 설명될 것처럼, 이는 다양한 유형의 인지 부하를 측정하고 저마다의 처리를 증가시키는 것을 목표로 하는 새로운 효과를 식별하는 길을 열었다.

As will be described in the ‘Developments in Cognitive Load Theory 1998–2018’ section, this opened up the way for measuring different types of cognitive load and identifying new effects that explicitly aimed at increasing germane processing.

인지부하 이론의 발전
Developments in Cognitive Load Theory 1998–2018

지난 20년 동안 인지 부하 이론에서 주요한 발전이 있었다.

  • 첫째, 진화 심리학에서 인간의 인지 구조를 위한 강력한 기초를 마련함으로써 그것의 이론적 기반이 강화되었다.
  • 둘째, 4개 요소 교육 설계(4C/ID)는 더 긴 기간의 교육 프로그램 설계(강좌 또는 전체 커리큘럼)에 초점을 맞춘 쌍둥이 이론으로 개발되었다.
  • 셋째, 연구는 소위 복합 효과, 즉 다른 단순한 인지 부하 효과의 특성을 바꾸는 효과를 포함한 일련의 새로운 인지 부하 효과를 산출했다.
  • 네 번째이자 마지막으로, 다양한 유형의 인지 부하를 측정하기 위한 새로운 기기가 개발되었습니다. 우리는 진화 심리학에 기초한 이론적 발전을 고려하는 것으로 시작할 것이다.

There have been major developments in cognitive load theory over the last 20 years.

  • First, its theoretical basis has been strengthened by laying a strong foundation for human cognitive architecture in evolutionary psychology.
  • Second, four-component instructional design (4C/ID) has been developed as a twin theory focussing on the design of educational programs of longer duration (courses or whole curricula).
  • Third, research yielded a series of new cognitive load effects, including the so-called compound effects, that is, effects that alter the characteristics of other, simple cognitive load effects.
  • Fourth and finally, new instruments have been developed to measure different types of cognitive load. We will begin by considering theoretical developments based on evolutionary psychology.

 

진화심리학의 프리즘을 통해 본 인간의 인지구조
Human Cognitive Architecture Seen Through the Prism of Evolutionary Psychology

작업 기억과 장기 기억 사이의 복잡한 관계에 중점을 둔 1998년 버전의 인간 인지 구조는 우리가 어떻게 문제를 배우고, 생각하고, 해결하는지에 대한 중요한 측면을 제공했지만, 인간 인식에 대한 우리의 지식에 있어서 지속적인 진보는 초창기에 갖고 있던 개념이 확장될 필요성을 시사했다. 그 팽창의 대부분은 진화심리를 중심으로 돌아갔는데, 이것은 그 작업에 자극을 주었다.
While our 1998 version of human cognitive architecture, with its emphasis on the intricate relations between working memory and long-term memory, provided a critical aspect of how we learn, think and solve problems, the continual advances in our knowledge of human cognition indicated a need to expand that earlier conceptualisation. Much of that expansion revolved around evolutionary psychology which provided an impetus for that work.

생물학적으로 초등 지식과 중등 지식 사이의 Geary의 구별에 기초하여, [진화적 교육 심리학]은 우리가 이제 인지 부하 이론의 중심인 교육적으로 의미 있는 방식으로 정보를 분류할 수 있게 해준다. 생물학적으로 가장 중요한 지식은 우리가 [수없이 많은 세대를 거쳐 습득하도록 진화해 온 지식]이다. 이러한 지식의 범주는 인간에게 결정적으로 중요한 것을 제공해왔다.

  • 예를 들어, 우리가 듣고 말하고, 얼굴을 인식하고, 기본적인 사회적 기능에 관여하고, 낯선 문제를 해결하고, 이전에 습득한 지식을 새로운 상황으로 이전하고, 일어날 수도 있고 일어나지 않을 수도 있는 미래 사건에 대한 계획을 세우거나, 우리의 현재 환경에 대응하도록 우리의 사고 과정을 규제할 수 있는 지식이다.

Based on Geary’s distinction between biologically primary and secondary knowledge (Geary 2008, 2012; Geary and Berch 2016), evolutionary educational psychology allows us to categorise information in instructionally meaningful ways that now are central to cognitive load theory (Sweller 2016a). Biologically primary knowledge is knowledge that we have evolved to acquire over countless generations. That category of knowledge tends to be critically important to humans providing,

  • as examples, knowledge that allows us to listen and speak, recognise faces, engage in basic social functions, solve unfamiliar problems, transfer previously acquired knowledge to novel situations, make plans for future events that may or may not happen, or regulate our thought processes to correspond to our current environment.

인간은 이러한 매우 복잡한 인지 활동에 참여하는 것을 배워야 하지만, 그들의 중요성 때문에, 우리는 필요한 기술을 쉽고 [자동으로 습득하도록 진화]해 왔다. 결과적으로, 그것들은 대부분의 사람들에게 가르쳐질 수 없다.

Humans must learn to engage in these very complex cognitive activities but because of their importance, we have evolved to acquire the necessary skills effortlessly and automatically. Consequently, they cannot be taught to most people.

생물학적으로 [원초적primary 지식]은 [모듈식]이기에, 한 기술과 다른 기술과 관련된 인지 과정 사이에 거의 관계가 없다. 각각의 기술은 매우 다른 인지 과정을 요구하는 서로 다른 진화 시대에서 진화했을 것이다.

  • 우리의 현재 환경에 대응하도록 우리의 사고 과정을 조절하는 우리의 능력은 의사소통을 위해 제스처를 사용하는 우리의 경향처럼 우리가 현대 인간이 되기 전에 진화했을 가능성이 있는 반면,
  • 우리의 입술, 혀, 숨, 그리고 목소리를 말하기 위해 조직하는 우리의 능력은 훨씬 더 최근에 진화했을 가능성이 있다.

Biologically primary knowledge is modular with little relation between the cognitive processes associated with one skill and another (Geary 2008, 2012). Each skill is likely to have evolved in different evolutionary epochs requiring very different cognitive processes.

  • Our ability to regulate our thought processes to correspond to our current environment is likely to have evolved before we became modern humans as did our tendency to use gestures to communicate, while
  • our ability to organise our lips, tongue, breath and voice to speak is likely to have evolved far more recently.

생물학적으로 매우 많은 주요 기술들은 [일반적인 문제 해결 기술] 또는 심지어 [지식을 구성하는 우리의 능력]처럼 본질적으로 [일반적인 인지generic-cognitive 능력]이다. (Sweller 2015, 2016b; Tricot and Sweller 2014)

  • [일반적인 인지 기술]은 우리가 본능적으로 습득하도록 진화한 기본적인 인지 기술입니다. 왜냐하면 그것은 매우 광범위한 인지 기능에 필수적이기 때문입니다.
  • [일반적인 인식 기술]은 [특정한 주제 자체]보다는, 우리가 문제를 배우고, 생각하고, 해결하는 방법에 더 관심을 가지는 경향이 있다.

A very large number of biologically primary skills are generic-cognitive in nature such as general problem-solving skills or even our ability to construct knowledge (Sweller 2015, 2016b; Tricot and Sweller 2014).

  • A generic-cognitive skill is a basic cognitive skill that we have evolved to acquire instinctively because it is indispensable to a very wide range of cognitive functions.
  • Generic-cognitive skills tend to be more concerned with how we learn, think and solve problems rather than the specific subject matter itself.

지난 수십 년 동안, 그러한 기술의 중요성을 정확히 깨닫고 있는 많은 교육학자들은 [그것들을 가르쳐야 한다]고 주장해왔다. 그러한 캠페인은 실패하는 경향이 있는데, 그 이유는 기술이 중요하지 않기 때문이 아니라 인간에게 매우 중요하기 때문이다. 그래서 우리는 [교육 없이 자동적으로 그것들을 습득]하도록 진화해 왔다. 지난 세기에 일반적인 문제 스킬을 가르치는 데 엄청난 역점을 두었던 것이 한 예를 제공한다. [일반적인 인지 기술]에 대한 교육효과의 증거를 얻기 위해서는 [원거리 전이 시험]를 사용하여 무작위적이고 통제된 시험을 해야 한다. 일반적인 인식 기술의 근거는 광범위한 영역에서 성과를 향상시킬 것이며, 물론 [어떤 수행능력의 향상도 영역별 지식 때문이 아님을 확인하는 것]이 필수적이기 때문에 원거리 전이far transfer가 필요하다.

Over the last few decades, many educationalists, correctly realising the importance of such skills, have advocated that they be taught. Such campaigns tend to fail, not because the skills are unimportant but because they are of such importance to humans that we have evolved to acquire them automatically without instruction. The enormous emphasis on teaching general problem-skills last century provides an example. Evidence for the effectiveness of teaching generic-cognitive skills requires randomised, controlled trials using far transfer tests. Far transfer is required because the rationale of generic-cognitive skills is that they will enhance performance over a wide range of areas and, of course, it is essential to ensure that any performance improvement is not due to domain-specific knowledge.

생물학적인 [원초적primary 기술]의 습득은 [명시적인 교육 없이도, 자동적으로 무의식적]으로 일어나는 경향이 있지만, [기술의 사용]까지 [모든 맥락에서 무의식적으로 발생하는 것은 아니라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 예를 들어, 우리는 명확한 노력 없이 무의식적으로 모국어를 말하는 것을 배우지만, 어떤 주어진 상황에서 적절한 의미를 가진 적절한 단어를 찾기 위해 상당한 노력을 필요로 할 수 있다. 

우리는 생물학적으로 일차적인 지식을 특정 영역에서 사용하는 방법을 배울 필요가 있습니다. 이는 [생물학적 이차 지식biologically secondary knowledge]으로 이어집니다.

It should be noted that while the acquisition of biologically primary skills tends to occur automatically and unconsciously without explicit teaching, it does not follow that use of the skills occurs unconsciously in every context.

  • For example, we learn to speak our native language unconsciously without explicit effort but may require considerable effort to find appropriate words with appropriate meanings in any given situation.

We need to learn how to use biologically primary knowledge in specific domains, which leads to biologically secondary knowledge.

[생물학적 이차 지식]은 [우리의 문화가 그것이 중요하다고 결정했기 때문에 우리에게 필요한 지식]이다. 생물학적 이차 정보의 예는 교육과 훈련 맥락에서 가르치는 [거의 모든 주제]에서 찾을 수 있다. 교육 기관들은 생물학적으로 2차적인 정보에 대한 지식을 습득하기 위한 사람들의 필요성 때문에 발명되었다.
Biologically secondary knowledge is knowledge we need because our culture has determined that it is important. Examples of biologically secondary information can be found in almost all topics taught in education and training contexts. Educational institutions were invented because of our need for people to acquire knowledge of biologically secondary information.

우리는 [2차 지식]을 습득하도록 진화해 왔지만, 그것은 [1차 지식]과는 매우 다르게 습득된다. 1차 지식과 관련된 경우를 제외하고, 보조 지식은 [모듈식]이 아니라, [단일한, 통일된single, unified 시스템]의 일부입니다. 통합된 시스템이기 때문에, 어떤 영역이든 관계없이 [생물학적 2차 지식의 획득]에는 상당한 유사점이 있다. 모든 2차 지식은 학습자의 의식적인 노력과 강사의 분명한 가르침을 필요로 하는 경향이 있다. (2차 지식이) 자동으로 획득되는 경우는 거의 없습니다. 
We have evolved to acquire secondary knowledge but it is acquired very differently to primary knowledge. Except insofar as it is related to primary knowledge, secondary knowledge is not modular but rather, is part of a single, unified system. Because it is a unified system, there are considerable similarities in acquiring biologically secondary knowledge irrespective of the domain under consideration. All secondary knowledge tends to require conscious effort on the part of the learner and explicit instruction on the part of an instructor. It is rarely acquired automatically.

[일차 지식의 습득]과 [이차 지식의 습득] 사이의 차이는 [듣는 것]과 [읽는 것] 사이의 구별에 의해 예시될 수 있다.

  • 위에서 말한 바와 같이, 우리는 수업료 없이 자동적으로 듣는 법을 배운다.
  • 반면, 대부분의 사람들은 자동으로 읽는 법을 배우지 않는다. 수천 년 전에 읽기와 쓰기가 발명되었음에도 불구하고, 현대 교육이 출현하기 전까지 읽고 쓰는 법을 배운 사람은 거의 없었다.

The distinction between the two processes can be exemplified by the distinction between learning to listen and learning to read.

  • As indicated above, we learn to listen automatically, without tuition.
  • Most people do not learn to read automatically. Despite reading and writing having been invented thousands of years ago, few people learned to read and write until the advent of modern education very recently.

대부분의 [생물학적 일차 지식]과 관련된 [일반적 인지 기술]과는 달리, [생물학적 2차 지식]은 도메인별로 상당히 다르다(2015, 2016b; Tricot and Sweller 2014). 우리는 [일반적 인지 기술]을 사용하여 다양한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을 배우도록 진화해 왔다. 하지만 우리는 특정한 단어를 영어나 중국어로 읽고 쓰는 방법이라든가, '(a + b)/c = d에서 a를 구하라'와 같은 문제를 풀 때 가장 좋은 첫 번째 움직임은 양쪽에 분모를 곱하는 것이라는 요령을 자동으로 배우게끔 진화하지 않았다. 이러한 영역별, 생물학적 2차 기술은 명시적으로 가르쳐야 하며, 적극적으로 학습해야 한다.
In contrast to the generic-cognitive skills associated with most biologically primary knowledge, biologically secondary knowledge is heavily domain-specific (Sweller 2015, 2016b; Tricot and Sweller 2014). We have evolved to learn how to solve a variety of problems using generic-cognitive skills. We have not specifically evolved to learn how to read and write a particular word in English or Chinese, or that the best first move when solving a problem such as (a + b)/c = d, solve for a, is to multiply both sides by the denominator on the left side. These domain-specific, biologically secondary skills need to be explicitly taught (Kirschner et al. 2006; Sweller et al. 2007) and actively learned.

대부분의 교육학자들은 직관적으로 [일반적 인지 기술]이 [영역-특이적 기술]보다 인간의 기능에 훨씬 더 중요하다는 것을 포착했으며, 이는 [일반적 인지 기술]을 상당히 강조하는 결과를 가져왔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영역-특이적 기술]은 상당히 가르칠 수 있는 것과 달리, 순수하게 [일반적 인지 기술]은 가르칠 수 없고, 그것들을 가르치려는 시도는 막다른 골목에 이르게 한다는 인식이 증가하고 있다
Most educationists intuitively understand that generic-cognitive skills are far more important to human functioning than domain-specific skills and this understanding has led to a substantial emphasis on generic-cognitive skills. Nevertheless, there is an increasing recognition that while domain-specific skills are eminently teachable, purely generic-cognitive skills are not teachable and attempts to teach them lead to dead-ends (Sala and Gobet 2017).

과거에 [일반적 인지 기술]을 강조한 이유는, 생물학적으로 일차적인 지식과 이차적인 지식의 차이를 깨닫지 못했기 때문이다. [일반적 인지 기술]의 교육에 대한 강조는, 물론, 1998년에 [일반적인 문제 해결 기술]에 대한 교육이 인기를 얻으면서 함께 존재했습니다. 1998년 논문은 부분적으로 그 억양에 대한 반응이었다. 그 단계는 지났지만 다른 일반적인 인식 기술은 살라와 고베에서 알 수 있듯, 더 큰 성공을 거두지 못했다. 

The previous emphasis on generic-cognitive skills is due to a failure to realise the distinction between biologically primary and secondary knowledge (Tricot and Sweller 2014). An accent on teaching generic-cognitive skills was, of course, present in 1998 with the popularity of teaching generic problem-solving skills. The 1998 paper was partially a reaction to that accent. That phase has passed but other generic-cognitive skills have replaced that emphasis with, as indicated by Sala and Gobet, no greater success.

게다가, 약 1세기 동안의 노력에도 불구하고, 원거리 전이 연구far transfer study에서 [영역 특이적 기술]을 초월하는 [일반적 인지 기술]을 가르칠 수 있다는 증거는 거의 나오지 않았다. 생물학적 [1차적, 일반적 인지 기술]을 습득하는 데에 '자연'스러운 것이었던 [최소한의 가이드]는, [쉽게, 무의식적, 자동적으로 습득되지 않는] 생물학적으로 [2차적, 영역-특이적 기술]의 습득에는 부적절했다.

Furthermore, despite about a century of effort, there is little evidence from far transfer studies, that generic-cognitive skills which transcend domain-specific areas can be taught. The ‘natural’, minimal guidance procedures used to acquire biologically primary, generic-cognitive skills are inappropriate for the acquisition of biologically secondary, domain-specific skills that tend not to be acquired easily, unconsciously and automatically.

우리는 위의 주장에서 [생물학적 1차 지식]과 [일반적 인지 능력]이 교육적인 문제와 무관하다고 결론내리지 말아야 한다. 생물학적으로 일차적이고 일반적인 인지 기술을 가르치려는 시도가 성공할지는 의심스럽지만, [생물학적 2차적 영역 특이적 기술]을 가르치는 데 도움을 주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Paas and Sweller 2012)

  • 예를 들어, 학생들은 문제해결 절차에 대한 지도를 받지 않고도 [무작위로 문제 해결 방법을 생성하는 방법]을 알 수 있지만, 어떤 방법이 어떤 영역에서 효과적일 것인가는 알지 못할 수 있다. [문제의 특정 클래스]에 [특정한 일반적 인지 기술]을 사용해야 한다고 학생들에게 지적하는 것은 교육적으로 효과적일 수 있다(유세프-샬랄라 외. 2014).

We should not conclude from the above argument that biologically primary knowledge and generic-cognitive skills are irrelevant to instructional issues. While we doubt that attempts to teach biologically primary, generic-cognitive skills will be successful, they can be used to assist in teaching biologically secondary, domain-specific skills (Paas and Sweller 2012).

  • For example, students may know how to randomly generate problem solution moves without being instructed in the procedures to do so, but may not be aware of the domain-specific conditions where the technique might be effective. Pointing out to students that a generic-cognitive skill should be used on a particular class of specific problems can be instructionally effective (Youssef-Shalala et al. 2014).

게다가, 무엇이든 [가르치는 것]은 [1차 기술과 2차 기술의 조합]을 포함하며, 이 중에서 [2차 기술]만이 학습되는 유일한 부분이라는 것을 주목하는 것이 중요하다.

  • 예를 들어, 의사들은 SBAR 방법을 사용하여 항상 상황, 배경, 평가 및 권고사항에 대해 보고함으로써 응급 팀에서 효과적으로 의사소통하는 방법을 배운다. 분명히, 의사들은 서로 말할 수 있기 때문에 SSAR 방법은 가르쳐질 수 있다. 하지만, 말하는 것이 [1차 지식]이기 때문에 의사들에게 일반적인 의미에서 서로 말하는 법을 가르치는 것은 말이 안 되지만, 특정한 SSAR 방법을 가르치는 것은 [2차 지식]이고 응급 상황에서 팀 의사소통에 매우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Furthermore, it is important to note that teaching anything involves a combination of primary and secondary skills with the secondary skill being the only part that is learned.

  • For example, medical doctors are taught how to effectively communicate in an emergency team using the SBAR method, always reporting on the situation, background, assessment and recommendations (Beckett and Kipnis 2009). Obviously, the SBAR method can be taught because doctors are able to speak with each other. But, although it makes no sense to teach doctors how to speak with each other in a generic sense because this is primary knowledge, teaching them the specific SBAR method is secondary knowledge and might have a very positive effect on team communication in emergency situations.

인지 구조는 [생물학적 이차적 정보]를 처리하는 데 필요하며, 인지 구조는 (인지 부하 이론의 기초를 제공하는) [생물학적 일차적인 과정]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프로세스는 모두 생물학적 진화의 정보 처리 절차(Sweller and Sweller 2006)를 모방하며, 자연 정보 처리 시스템을 구성하는 것으로 설명할 수 있습니다. 그것들은 생물학적으로 [5가지 기본 원리]로 설명될 수 있다. 이러한 원칙들은 인지 부하 이론의 지시 절차에 기초하는 인지 구조를 제공한다.
The cognitive architecture required to process biologically secondary information consists of biologically primary processes that provide a base for cognitive load theory. Together, the processes mimic the information processing procedures of biological evolution (Sweller and Sweller 2006) and can be described as constituting a natural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They can be described by five basic, biologically primary principles. These principles provide the cognitive architecture that underlies the instructional procedures of cognitive load theory.

정보 저장 원칙
The Information Store Principle

인간의 인식과 같은 [자연 정보 처리 시스템]은 우리의 복잡한 자연 세계에서 기능하기 위해 많은 양의 정보를 필요로 한다. [장기 기억]은 인간의 인식에 그런 구조를 제공한다. 우리는 생물학적으로 주요한 기능을 나타내는 정보를 장기 기억에 저장하거나 정리하는 방법을 사람들에게 가르칠 필요가 없다. 장기 기억은 1998년 논문에서 명확하게 표현되었다.
Natural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s such as human cognition require a large store of information in order to function in our complex natural world. Long-term memory provides that structure in human cognition. We do not need to teach people how to store or organise information in long-term memory indicating its biologically primary function. Long-term memory was explicitly articulated in the 1998 paper.

차용 및 재조직 원칙
The Borrowing and Reorganising Principle

장기 기억에 저장된 방대한 양의 정보는 다른 사람들로부터 온다. 인간은 매우 사회적인데, 특히 [다른 사람들로부터 정보를 얻고, 다른 사람들에게 정보를 제공하는 절차] 츠면에서 강력하게 진화하였다는 점에서 그렇다. 그것은 생물학적으로 가장 중요한 기술이기 때문에, 우리는 자동적으로 우리가 우리의 삶 동안 다른 사람들로부터 정보를 제공하고 받을 것이라고 가정한다. 이 원칙은 명시적으로 언급되지는 않았지만 1998년 논문에서 어느 정도 가정되었다. 명확한 지시에 중점을 둔 인지 부하 이론은 이 원리를 중요시한다.
The vast bulk of information stored in long-term memory comes from other people. Humans are intensely social with powerfully evolved procedures for obtaining information from others and for providing information to others. Because it is a biologically primary skill, we automatically assume that we will provide and receive information from others during our lives. This principle was to some extent assumed in the 1998 paper, although it was not explicitly stated. Cognitive load theory with its emphasis on explicit instruction places prominence on this principle.

생성의 임의성 원리
The Randomness as Genesis Principle

장기 기억에 저장된 정보의 대부분은 다른 사람들로부터 얻지만, 만약 그 정보를 빌릴 수 있는 사람이 없다면, 그것은 생성될 필요가 있을 것이다. 새로운 정보는 문제 해결 중에 [무작위 생성 및 테스트 절차]를 사용하여 생성된다. [무작위 생성 및 테스트 절차]는 자신의 또는 다른 사람의 장기 기억에서 정보를 사용할 수 없는 경우에만 사용됩니다. 문제 해결사가 주어진 지점에서 어떤 동작을 수행해야 하는지를 나타내는 정보를 가지고 있지 않을 경우, 무작위로 동작을 생성하고 효과적인 동작을 유지하고 효과적인 동작을 포기한 상태에서 효과성을 시험하는 것 외에는 선택의 여지가 없다. 다시 말하지만, 이 절차는 생물학적으로 일차적이기 때문에 교육instruction이 필요하지 않습니다.
While most of the information stored in long-term memory is obtained from others, if no one is available from whom to borrow the information, it will need to be generated. Novel information is generated using a random generate and test procedure during problem solving. The procedure only is used when information is unavailable from one’s own or someone else’s long-term memory. When problem solvers do not have information indicating which moves should be made at a given point, they have no choice other than to randomly generate a move and test it for effectiveness with effective moves retained and ineffective ones jettisoned. Again, this procedure does not require instruction because it is biologically primary.

협소한 변화원칙
The Narrow Limits of Change Principle

인간의 인식을 다룰 때, 이 원리는 새로운 정보를 처리할 때 작업 기억력의 심각한 한계를 다룬다. 이 원리는 항상 인지 부하 이론의 중심이었고 1998년에 명확하게 설명되었습니다. 원리의 기본적인 가정은, 한 개인에 대해 일반적인 [작업 기억 용량]이 고정되어 있다는 것이다. 작업 기억력 고갈이 인지 노력 후에 발생하고 휴식 후에 회복된다는 최근의 증거와 함께(Chen et al. 2018) 그러한 용량 변화를 허용하도록 가정을 수정해야 한다. (이 문제는 '미래 방향' 섹션에서 자세히 설명합니다.)
When dealing with human cognition, this principle refers to the severe limitations of working memory when processing novel information. This principle has always been central to cognitive load theory and was clearly articulated as such in 1998. A basic assumption of the principle has been that for any given individual, general working memory capacity is fixed. With recent evidence that working memory depletion occurs after cognitive effort and recovers after rest (Chen et al. 2018), that assumption must be modified to allow such capacity variations. (This issue is discussed further in the ‘Future Directions’ section.)

환경정리 및 연계원칙
The Environmental Organising and Linking Principle

[작업 기억]은 새로운 정보를 처리하는 경우에는 제한이 생기지만, 익숙하고 조직된 정보가 장기 기억에서 처리될 때는 알려진 한계가 없다. 정보가 장기 기억에 저장되면 [환경적 단서]를 사용하여 해당 환경에 적합한 작업을 생성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방식으로, 이 원칙은 [(특정) 환경에 적합한 행동을 관장하기 위해 사용될 지식]을 [장기 기억]으로 구성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이미 조직되고 저장된 정보를 이러한 방식으로 사용하기 위한 추진력은 생물학적으로 가장 중요하며 교육비용tuition이 필요하지 않습니다. 이 원리는 인지 부하 이론의 1998년 버전에서 크게 강조되었다.

While working memory is limited when processing novel information, there are no known limits when familiar, organised information from long-term memory is processed. Once information is stored in long-term memory, environmental cues can be used to generate actions appropriate to that environment. In this manner, the previous principles can be used to construct knowledge in long-term memory that can be used to govern action that is appropriate to the environment. The impetus to use previously organised and stored information in this fashion is biologically primary and does not require tuition. This principle was heavily emphasised in the 1998 version of cognitive load theory.

이 인지 아키텍처는 (대부분의 교육 프로그램에서 다루는) [생물학적 2차, 영역-특이적 내용]을 다룰 때 [명시적 교육explicit instruction]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인지 부하 이론]의 기초를 제공한다. 또한 새로운 교육instructional 절차를 생성의 성공에 대한 설명을 제공한다. 교육은 명시적이어야 한다. 왜냐하면 

  • 우리는 [차용과 재조직의 원리]를 통해 다른 사람들로부터 직접 배우도록 진화해왔기 때문이다.
  • [협소한 변경 원리]에 따라, 작업 메모리 로드는 주로 새로운 도메인별 정보를 처리할 때 발생하기 때문에 작업 메모리 로드를 줄이는 방식으로 구성될 필요가 있다.
  • [차용과 재조직 원리]를 사용하여 다른 사람들로부터 정보를 얻는 것은, [창조의 임의성 원리]를 사용하여 정보를 직접 생성하는 방식에 비해 작업 기억 부하를 감소시킨다.
  • [정보 저장 원리]를 통해 정보를 입수하여 장기 메모리에 저장하면 작업 메모리의 한계가 사라진다.
  • [환경 구성 및 연결 원리]를 이용하여 작업 기억으로 정보를 다시 전송한다면, 적절한 작업을 수행할 수 있습니다.

This cognitive architecture, with its emphasis on the importance of explicit instruction when dealing with the biologically secondary, domain-specific content that is characteristic of most educational programs, provides a base for cognitive load theory and an explanation for its success in generating novel instructional procedures. Instruction should be explicit

  • because we have evolved to learn directly from other people via the borrowing and reorganising principle.
  • In line with the narrow limits of change principle, it needs to be organised in a manner that reduces working memory load because working memory load primarily occurs when processing novel, domain-specific information.
  • Obtaining information from others using the borrowing and reorganising principle reduces working memory load compared to generating information ourselves using the randomness as genesis principle.
  • Once information has been obtained and stored in long-term memory via the information store principle, the limitations of working memory disappear and
  • the information can be transferred back to working memory using the environmental organising and linking principle to generate appropriate action.

 

4C/ID 및 인지 부하
4C/ID and Cognitive Load

인지 부하 이론은 근거에 입각한 원칙을 제공한다. 이 원칙은 레슨, 텍스트와 그림으로 구성된 서면 자료, 교육용 멀티미디어(교육용 애니메이션, 비디오, 시뮬레이션, 게임)와 같이 [교육용 메시지] 또는 [비교적 짧은 교육 단위 설계]에 적용할 수 있다. 학습 및 교육 설계(예: Wickens 2008)보다는 작업장 성과에 초점을 맞춘 정신적 작업 부하 모델 및 멀티미디어 자료 설계에 배타적으로 초점을 맞춘 멀티미디어 학습 인지 이론(CTML; Mayer 2014)과 몇 가지 원칙을 공유한다. 인지 부하 이론과 정확히 동일한 인지 구조에 기초하고 완전히 병렬로 개발된 밀접하게 관련된 모델은 4개 요소 지시 설계(4C/ID)이다. 4C/ID 모델은 [더 긴 기간의 교육 프로그램 설계(예: 과정 또는 전체 커리큘럼)에 초점]을 맞추기 때문에 인지 부하 이론으로 중요한 확장을 제공한다.
Cognitive load theory provides evidence-informed principles that can be applied to the design of instructional messages or relatively short instructional units, such as lessons, written materials consisting of text and pictures, and educational multimedia (instructional animations, videos, simulations, games). It shares several of its principles with mental workload models, which focus on workplace performance rather than learning and instructional design (e.g. Wickens 2008), and with the cognitive theory of multimedia learning, which has an exclusive focus on the design of multimedia materials (CTML; Mayer 2014). A closely related model that is based on precisely the same cognitive architecture as cognitive load theory and that has been developed fully in parallel is four-component instructional design (4C/ID). The 4C/ID model provides an important extension to cognitive load theory because it focuses on the design of educational programs of longer duration (e.g. courses or whole curricula).

4C/ID에 대한 최초의 설명은 1992년(van Merrienboer et al. 1992)과 4C/ID 모델에 대한 최초의 완전한 설명을 제공하는 복합 인지능력 훈련(Training Complex Cognitive Skills)이라는 책이 1998년 인지부하 논문(van Merrienboer 1997)과 같은 시기에 등장했다. 4C/ID 모델은 복잡한 기술이나 전문 역량 개발을 목표로 하는 학습 과정에서 높은 요소 상호작용성으로 특징지어지는 복잡한 학습을 독점적으로 다룬다.

  • [4C/ID의 첫 번째 기본 가정]은 복잡한 기술에는 업무와 상황에 대해 일관되고 일상적으로 개발될 수 있는 'recurrent' 기술뿐만 아니라 문제 해결, 추론 및 의사결정에 의존적인 'non-recurrent' 기술이 포함된다는 것이다(반 메리언보어 2013).
  • [두 번째 기본 가정]은 복잡한 기술 개발을 목표로 하는 과정이나 프로그램은 항상 네 가지 구성 요소로 구성될 수 있다는 것이다(그림 1 참조). 
    • (1) 학습 과제,
    • (2) 지원 정보,
    • (3) 절차 정보
    • (4) 파트 과제 연습

The first description of 4C/ID appeared in 1992 (van Merriënboer et al. 1992) and the book Training Complex Cognitive Skills, which provided the first complete description of the 4C/ID model, appeared in the same period as the 1998 cognitive load article (van Merriënboer 1997). The 4C/ID model exclusively deals with complex learning, which is characterised by high element interactivity in a learning process that is often aimed at the development of complex skills or professional competencies.

  • A first basic assumption of 4C/ID is that complex skills include ‘recurrent’ constituent skills, which are consistent over tasks and situations and can be developed into routines, as well as ‘non-recurrent’ constituent skills, which rely on problem solving, reasoning and decision-making (van Merriënboer 2013).
  • A second basic assumption is that courses or programs aimed at the development of complex skills can always be built from four components:
    • (1) learning tasks,
    • (2) supportive information,
    • (3) procedural information and
    • (4) part-task practice (see Fig. 1).

학습 과제(그림 1의 빅 서클에 표시)는 가급적이면 실생활 과제를 기반으로 하며, 이러한 과제를 수행함으로써 학습자는 비반복 및 반복 구성 기술을 모두 습득하고 이를 조정하는 법을 배운다.

첫째, [내재적 인지 부하]를 관리하기 위해, 학습 과제는 복잡성 증가 수준에 따라 먼저 조직된다(그림 1의 일련의 학습 과제 주위에 점선 상자로 표시).

  • 따라서 학습자는 간단한 학습 과제에서 일하기 시작하지만 전문 지식을 습득할수록 더 복잡한 과제(즉, 나선형 커리큘럼)를 수행한다.

둘째, [외재적 인지 부하]를 관리하기 위해 각 복잡성 수준에서 학습자 지원 및 지침이 점진적으로 감소한다(그림 1의 각 복잡성 수준에서 원의 채우기 감소로 나타남).

  • 따라서 학습자는 처음에는 많은 지원과 지도를 받지만, 지원/지도를 받지 않고 특정 수준의 복잡성으로 학습 과제를 수행할 수 있을 때까지, 지원/지도를 점차적으로 감소하게 된다. 그 다음에야 학습자는 처음에 많은 지원/지도를 받는 더 복잡한 학습 과제를 계속 수행하게 된다. 이 모든 과정이 반복된다.
  • 4C/ID 모델은 fading-guidance에 대한 몇 가지 접근방식을 설명하지만, [worked example] => [completion task] => [conventional task]로 이어지는 완수 전략이 특히 중요하다.

셋째, [본유적 처리]를 자극하기 위해, 과정이나 프로그램의 모든 학습 과제는 연습의 높은 가변성(각 학습 과제마다 위치가 다른 삼각형으로 표시)을 통해 학습자가 과제를 서로 비교하고 대조하도록 자극한다.

Learning tasks (indicated by the big circles in Fig. 1) are preferably based on real-life tasks and by performing these tasks learners acquire both non-recurrent and recurrent constituent skills and learn to coordinate them.

In order to manage intrinsic cognitive load, learning tasks are first organised according to levels of increasing complexity (indicated by dotted boxes around series of learning tasks in Fig. 1);

  • thus, learners start to work on simple learning tasks but the more expertise they acquire the more complex the tasks they work on (i.e. a spiral curriculum).

Second, in order to manage extraneous cognitive load, learner support and guidance gradually decrease at each level of complexity (indicated by the diminishing filling of the circles at each level of complexity in Fig. 1);

  • thus, learners first receive a lot of support and guidance but support/guidance gradually decreases until learners can perform the learning tasks at a particular level of complexity without support/guidance—only then, they continue to work on more complex learning tasks for which they initially receive a lot of support/guidance again, after which the whole process repeats itself.
  • The 4C/ID model describes several approaches to fading-guidance but the completion strategy,
    • from studying worked examples
    • via completion tasks
    • to conventional tasks, is a particularly important one.

Third, in order to stimulate germane processing, all learning tasks in a course or program show high variability of practice (indicated by the triangles at different positions in the learning tasks), stimulating learners to compare and contrast tasks with each other.

[지원 정보supportive information (그림 1의 L자 형태로 표시)]는 학습자가 학습 과제의 [비반복적 측면(예: 문제 해결, 추론, 의사결정)]의 수행을 배우는 데 도움이 된다. 그것은 영역이 어떻게 조직되고 (흔히 '이론'이라고 불린다) 도메인 내 과제들이 체계적으로 접근될 수 있는지를 설명한다; 그것은 [복잡성 수준]과 연결된다. 왜냐하면 더 복잡한 과제를 수행하기 위해서, 학습자들은 더 많은 또는 더 정교한 지원 정보를 필요로 하기 때문이다. 학습자가 이미 알고 있는 것과 학습 과제를 성공적으로 수행하기 위해 알아야 할 것 사이의 다리를 제공합니다. [학습 과제를 하는 것]과 [지원 정보를 공부하는 것]은 모두 지식 구축을 목표로 한다(순서, 귀납적 학습과 정교화를 통해)
Supportive information (indicated by the L-shapes in Fig. 1) helps learners learn to perform the non-recurrent aspects of learning tasks (i.e. problem-solving, reasoning, decision-making). It explains how the domain is organised (often called ‘the theory’) and how tasks in the domain can be systematically approached; it is connected to levels of complexity because for performing more complex tasks, learners need more, or more elaborated, supportive information. It provides a bridge between what learners already know and what they need to know to successfully carry out the learning tasks. Both the work on the learning tasks and the study of supportive information aim at knowledge construction (through, in order, inductive learning and elaboration).

[지원 정보supportive information ]는 일반적으로 [높은 상호작용 요소]를 가지기 때문에, 학습자가 학습 과제를 수행하는 동안에는 제공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학습과제를 수행하면서 동시에 지원 정보를 공부하는 것은 거의 확실히 인지 과부하를 일으킬 것이다. 그보다는, 학습자가 [학습 과제에 착수하기 전] 또는 적어도 [학습 과제에 대한 작업과는 별개]로 지원 정보를 제공하는 것이 가장 좋습니다. 이러한 방식으로 학습자는 작업 기억에서 나중에 활성화될 수 있는 장기 기억에서 지식 구조를 구성할 수 있으며 과제 수행 중에 추가로 재구성되고 조정될 수 있다. 이미 구성된 인지 구조를 검색하는 것은 작업 수행 중에 작업 기억에서 외부에 제시된 복잡한 정보를 활성화하는 것보다 인지적으로 덜 요구될 것으로 예상된다.

Because supportive information typically has high element interactivity, it is preferable not to present it to learners while they are working on the learning tasks. Simultaneously performing a task and studying the supportive information would almost certainly cause cognitive overload. Instead, supportive information is best presented before learners start working on a learning task, or, at least apart from working on a learning task. In this way, learners can construct knowledge structures in long-term memory that can subsequently be activated in working memory and be further restructured and tuned during task performance. Retrieving the already constructed cognitive structures is expected to be less cognitively demanding than activating the externally presented complex information in working memory during task performance.

[절차적 정보(위쪽 방향 화살표가 있는 검은색 빔으로 표시)]와 [부분 작업 연습(작은 원 시리즈로 표시)]은 학습자가 지식 자동화를 목표로 하는 학습 과제의 [반복적인 측면recurrent aspects]을 학습하는 데 도움이 된다.

  • 절차 정보는 'how-to instruction'과 수정 피드백corrective feedback으로 구성되며,
  • 절차 정보는 일반적으로 지원 정보보다 훨씬 낮은 상호작용 요소를 가지고 있다.
  • 인지 부하 관점에서, 절차 정보는 학습자가 학습 과제에 대한 작업 중 just-in-time에 제시하는 것이 최선이다.
    • 왜냐하면 (자동화의 한 하위 프로세스) [인지적 규칙의 형성]은 관련성 있는 정보가 이러한 규칙에 포함될 수 있도록 [작업 수행 중 작업 기억에서 활성화되어야 하기 때문이다.
    • 예를 들어, 교사가 연습 중에 학습자에게 '학습자의 어깨너머로 보는 보조자' 역할을 하는 단계별 지시를 하는 경우이다. 

Procedural information (indicated by the black beam with upward pointing arrows in Fig. 1) and part-task practice (indicated by the series of small circles in Fig. 1) help learners learn to perform the recurrent aspects of learning tasks—they aim at knowledge automation.

  • Procedural information consists of ‘how-to instructions’ and corrective feedback and
  • typically has much lower element interactivity than supportive information.
  • From a cognitive load perspective, it is best presented just-in-time, precisely when learners need it during their work on the learning tasks,
    • because the formation of cognitive rules (one subprocess of automation) requires that relevant information is active in working memory during task performance so that it can be embedded in those rules.
    • That is, for example, the case when teachers give step-by-step instructions to learners during practice, acting as an ‘assistant looking over the learners’ shoulder’. 

마지막으로, 특정 반복 작업recurrent task 측면의 [부분 작업 연습]은 인지적 규칙(자동화의 또 다른 하위 프로세스)을 더욱 강화할 수 있다.

  • 일반적으로 [부분 작업 연습]에 과도하게 의존하는 것은 복잡한 학습에는 도움이 되지 않지만,
  • 기본적이거나 중요한 반복 구성 기술(예: 초등교육의 곱셈표, 보건직업 프로그램의 의료기기 운영)을 완전히 자동화하면 전체 학습 수행과 관련된 인지 부하를 줄임으로써 작업 수행 및 학습에 필요한 처리 리소스를 확보할 수 있습니다. 

Finally, part-task practice of selected recurrent task aspects may further strengthen cognitive rules (another subprocess of automation).

  • In general, an over-reliance on part-task practice is not helpful for complex learning
  • but fully automating basic or critical recurrent constituent skills (e.g. the multiplication tables in primary education, operating medical instruments in a health professions program) may decrease the cognitive load associated with performing the whole learning tasks and so free up processing resources for performing and learning non-recurrent task aspects. 

1998년 이후 기술된 지시 효과
Instructional Effects Described After 1998

이 절은 1998년과 2018년 사이에 연구되고 보고된 가장 중요한 인지 부하 영향을 설명할 것이다. 표 1의 하단에 8개의 새로운 효과가 나열되어 있다. 그러나, 우리는 1998년 이전에 이미 알려져 있지만 1998년 기사에서 인지 부하 효과로 제시되지 않은 요소 상호작용 효과에 대해 논의함으로써 이 절을 시작할 것이다. [요소 상호작용 효과]를 앞에서 열거하지 않은 이유는, 이것이 '단순한' 효과가 아니라 다른 인지 부하 효과의 특성을 변화시키는 효과인 소위 [복합 효과compound effect]이기 때문이다. 1998년 기사에서는 [단순 효과simple effect]만 보고되었다. 복합 효과는 종종 다른 인지 부하 효과의 한계를 나타낸다. 아래에서 논의한 8개의 새로운 효과(요소 상호작용 효과 제외) 중 4개도 복합 효과로 분류되어 먼저 논의된다. 이러한 이론은 단순한 효과뿐만 아니라 단순한 효과의 범위를 제한하는 고차 효과를 포함하기 때문에 이것은 이론이 성숙해가는 표시maturing theory로 볼 수 있다.
This section will describe the most important cognitive load effects that have been studied and reported between 1998 and 2018. Eight new effects are listed in the bottom part of Table 1. We will, however, begin this section by discussing the element interactivity effect, an effect already known before 1998 but not presented as a cognitive load effect in the 1998 article. The reason for not previously listing the element interactivity effect is that it is not a ‘simple’ effect but a so-called compound effect, which is an effect that alters the characteristics of other cognitive load effects. In the 1998 article, only simple effects were reported. Compound effects frequently indicate the limits of other cognitive load effects. Four of the eight new effects (excluding the element interactivity effect) discussed below are also classified as compound effects and are discussed first. This may be seen as an indication of a maturing theory, because such a theory not only includes simple effects but also higher-order effects that limit the reach of simpler effects.

요소 상호작용 효과
Element Interactivity Effect

이 효과는 1998년에 이미 알려져 있었지만 복합 효과로서 인지 부하 효과로 분류되지는 않았다(스웰러 1994 참조). [요소 상호작용이 높은 정보]를 사용하여 얻을 수 있는 효과가 [요소 상호작용이 낮은 자료]를 사용했을 때 사라지거나 역효과로 나타나는 것을 의미한다. 요소 상호작용은

  • [전문성 역전 효과]를 입증할 때 발생하는 전문성 수준을 변경하거나(아래 설명 참조)
  • 더 높거나 낮은 수준의 요소 상호작용을 통합하기 위해 학습자료를 변경함으로써 변경될 수 있다. 

This effect was already known in 1998 but as a compound effect, it was not classed as a cognitive load effect (see Sweller 1994). It occurs when effects that can be obtained using high element interactivity information disappear or reverse using low element interactivity material. Element interactivity can be altered either

  • by altering levels of expertise as occurs when demonstrating the expertise reversal effect (see description below) or
  • by changing the material to incorporate either higher or lower levels of element interactivity.

학습자가 높은 요소 상호작용에서 낮은 요소 상호작용으로 처리해야 하는 정보의 변경으로 인해 변경된 교육적 이점의 예는 Chen 외(2015, 2016, 2017)에서 찾을 수 있다. 그들은 학생들이 문제를 풀기 위해 배워야 하는 [고-요소 상호작용성 수학 자료]를 사용하여 전통적인 예제 효과를 얻었다. 대조적으로, 학생들이 수학적 정의를 배워야 했던 [저-요소 상호작용 자료]는 역효과를 낳았다. 적절한 반응을 이끌어 내도록 요구된 학생들은 올바른 반응을 보인 학생들보다 더 많이 배웠다.

Examples of changed instructional advantages due to changing information that learners must process from high to low element interactivity may be found in Chen et al. (2015, 2016, 2017). They obtained a conventional worked example effect using high element interactivity mathematical material in which students had to learn to solve problems. In contrast, low element interactivity material in which students had to learn mathematical definitions yielded a reverse worked example effect. Students who were required to generate an appropriate response learned more than students who were shown the correct response.

전문성 역전 효과
Expertise Reversal Effect

본질적으로, [전문성 역전 효과]는 [요소 상호작용 효과]의 변형이다. 1998년 이전까지, 인지 부하 효과는 높은 요소 상호작용 정보를 처리하는 초보 학습자를 사용하여 얻었다. [전문성이 증가]하면, 요소 상호작용성은 [환경 구성 및 연결 원리]로 인해 감소합니다.

  • 전문지식이 증가함에 따라, [여러 요소로 구성된 개념과 절차]는 (적절한 환경에서 사용하기 위하여 작업 기억으로 전달되는) [단일 요소]로 장기 기억에 저장될 수 있다.
  • 여러 상호작용 요소를 다루는 초보자를 위해 설계된 교육 절차는 전문지식이 증가하고 상호작용 요소가 장기 기억에 저장된 지식 구조에 내장됨에 따라 역효과를 낼 수 있다.

결과적으로, 전문지식이 증가함에 따라 위의 효과는 처음에는 크기가 감소했다가 사라지고 결국 역전될 수 있다(Kalyuga 등, 2003, 2012). 예를 들어, worked examples는 초보자에게 이익이 된다. 지식이 증가함에 따라, 문제를 해결하는 연습은 부정적인 영향을 끼치기 보다는 점점 더 중요해지고 있다.

The expertise reversal effect is, in essence, a variant of the more general element interactivity effect (Chen et al. 2017). The pre-1998 cognitive load effects can be obtained using novice learners processing high element interactivity information. With increases in expertise, element interactivity decreases due to the environmental organising and linking principle.

  • Concepts and procedures that consisted of multiple elements can, with increases in expertise, be stored in long-term memory as a single element that is transferred to working memory for use in appropriate environments.
  • Instructional procedures designed for novices dealing with multiple, interacting elements can be counterproductive as expertise increases and the interacting elements become embedded in knowledge structures held in long-term memory.

As a consequence, with increasing expertise, the above effects first decrease in size, then disappear, and can eventually reverse (Kalyuga et al. 2003, 2012). For example, worked examples benefit novices. With increasing knowledge, practice at solving problems becomes increasingly important rather than having negative effects.

 

가이드-페이딩 효과
Guidance-Fading Effect

[가이드-페이딩 효과]는 [요소 상호작용 효과] 및 [전문성 역전 효과]와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으며, [중복성 효과]가 중심인 또 다른 [복합 효과coumpound effect]이다.

  • 초보자에게는 추가 정보 또는 작업 예제 연구와 같은 특정 활동이 필수적일 수 있습니다.
  • 전문지식이 증가함에 따라 이러한 동일한 활동이 중복될 수 있으며 불필요한 인지 부하를 부과할 수 있다.
  • 어느 시점을 지나면, worked example를 공부하는 것은 역효과를 낼 수 있으므로, faded out되고, 그냥 문제로 대체되어야 한다.

The guidance-fading effect is another compound effect that is closely related to the element interactivity and expertise reversal effects and for which the redundancy effect is central too.

  • For novices, additional information or particular activities such as studying worked examples may be essential.
  • With increases in expertise, these same activities may become redundant and impose an unnecessary cognitive load.
  • Past a certain point, studying worked examples may be counterproductive and they should be faded out and replaced by problems.

이 일반적인 원칙은 [학습자들이 점진적으로 해당 영역에서 더 많은 전문지식을 습득하는 더 긴 기간의 교육 프로그램]에 특히 중요하다. 예를 들어, 그것은 1학년 학생들을 위한 교육 방법이 3학년 학생들을 위한 교육 방법과 다를 필요가 있다는 것을 나타낸다. 3학년 학생들은 영역에 대한 훨씬 더 많은 지식을 갖고 있기 때문이다.

  • [요소 상호작용 효과]는 낮은 요소 상호작용 대 높은 요소 상호작용 자료와 관련이 있고,
  • [전문성 역전 효과]는 낮은 전문성 학습자와 높은 전문성 학습자와 관련이 있는 반면,
  • [지침 페이딩 효과]는 긴 교육 프로그램에서 [프로그램의 시작]과 [프로그램의 끝]의 비교와 관련이 있다.

This general principle is particularly important for educational programs of longer duration, in which learners gradually acquire more expertise in the domain; it indicates, for instance, that instructional methods for first-year students need to be different from instructional methods for third-year students, simply because third-year students have much more knowledge of the domain.

  • Whereas the element interactivity effect pertains to low element interactivity versus high element interactivity materials, and
  • the expertise reversal effect pertains to low expertise learners and high expertise learners,
  • the guidance-fading effects thus pertains to the beginning of a longer educational program versus the end this program.

지침 페이딩 효과의 전조forerunner는 완료 전략completion strategy으로, 여기서 교육 프로그램은 작업 예제를 제공하는 것으로 시작하고, 학습자가 솔루션의 점점 더 큰 부분을 완료해야 하는 완료 문제가 뒤따른다

A forerunner of the guidance-fading effect is the completion strategy, where the educational program starts with providing worked examples, followed by completion problems for which the learners must complete increasingly larger parts of the solution and ending with conventional problems (van Merriënboer and Krammer 1990). 

일시적 정보 효과
Transient Information Effect

[일시적 정보]는 학습자에게 제공되긴 하나, 몇 초 후에 사라지는 정보입니다(예: 음성 텍스트, 교육용 비디오 또는 애니메이션).

  • [비-일시적 정보(예: 그림이 있는 서면 텍스트)]의 경우, 모든 정보는 학습자가 동시에 사용할 수 있으며 필요할 때 다시 검토할 수 있다.
  • [일시적 정보]의 경우, 학습자가 [후속 처리를 위해 작업 기억에 정보를 적극적으로 유지]시켜야 하므로, 외부 인지 부하가 늘어나고, 따라서 학습을 저해한다 

Transient information is information that is presented to learners but disappears after a few seconds, for example, in spoken text or in instructional video or animation (Leahy and Sweller 2011).

  • For non-transient information (e.g. a written text with pictures), all information is available to the learner at the same time and may be revisited when needed;
  • for transient information, it may be necessary for the learner to actively retain information in working memory for later processing which increases extraneous cognitive load and so reduces learning.

이러한 부정적인 효과를 극복하기 위해 [자기-페이싱] 또는 [분할]과 같은 많은 보완적 전략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 [자기 페이스 효과]는 학습자에게 교육 애니메이션의 속도에 대한 제어권을 주는 것이 유익하다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아마도 그것이 이 정보의 일시적인 특성을 다루는 데 도움이 되기 때문일 것이다.
  • [분할 효과]는 분할된 애니메이션(즉, 중간중간 정지된 부분으로 분할된)이 초보 학습자에게는 연속 애니메이션보다 효율적이지만, 사전 지식이 높은 학습자에게는 그렇지 않다는 것을 발견했다.
  • 마지막 예로, 마지막 예로 Leahy와 Sweller(2011, 2016)는 [제시양식modality 효과]에 대한 [일시적 정보]의 상호작용 효과를 보고했다.
    • [시청각 정보의 짧은 부분]은 시각 정보만 있는 경우보다 효과적이었다(예: 전통적인 양식 효과).
    • 그러나 [시청각 정보의 긴 부분]은 청각적 부분에 유지시켜야 할 [일시적 정보]가 너무 많아서, 시각 정보보다 덜 효과적이었다.

To overcome these negative effects, a number of compensatory strategies are available such as self-pacing or segmentation.

  • The self-pacing effect was reported by Mayer and Chandler (2001), who found that it was beneficial to give learners control over the pace of an instructional animation, probably because it helps them deal with the transient nature of this information.
  • The segmentation effect was reported by Spanjers et al. (2011), who found that segmented animations (i.e. segmented in parts with pauses in between) were more efficient than continuous animations for novice learners, but not for learners with higher levels of prior knowledge.
  • As a final example, Leahy and Sweller (20112016) reported an interaction effect of transient information on the modality effect:
    • short pieces of audio-visual information were more effective than visual information only (i.e. traditional modality effect), but
    • longer pieces of audio-visual information were less effective than visual information only because of the abundance of transient information in the longer, auditory piece.

 

자기 관리 효과
Self-Management Effect

[자기 관리 효과]는 가장 최근의 효과 중 하나이다. [자기 관리 효과]는 학생들이 자신의 인지 부하를 관리하기 위해 [CLT 원칙을 스스로 적용하도록 가르칠 수 있다]는 가정에 기초한다. 이상적으로 학생들은 인지 부하를 고려하여 설계된 자료에만 접근해야 한다. 그러나 현실에서 인터넷은 누구나 정보를 만들고 공유할 수 있어서, 학생들은 [인지 부하를 고려하지 않은 상태로 설계된 저품질의 학습 자료]에 직면하게 될 가능성이 더 높다. 자신의 인지 부하(인지 부하에 대한 자기 관리)를 위해 CLT 원칙을 직접 적용하도록 학습된 학생이, [CLT 원칙에 기초한 일관성 있고 잘 구성된 학습 자료의 교육 시스템에만 노출된 학생]보다 잘못 설계된 자료를 처리할 준비가 더 잘 되어 있다고 가정할 수 있다.
One of the most recent effects, the self-management effect, is based on the assumption that students can be taught to apply CLT principles themselves to manage their own cognitive load. Ideally, students should only have access to materials that have been designed with a consideration of cognitive load. However, in reality, the Internet enables information to be created and shared by anyone, which makes it more likely that students will be confronted with low-quality learning materials that have not been designed with any consideration of cognitive load. It can be hypothesised that students who are taught to apply CLT principles themselves to manage their own cognitive load (self-management of cognitive load) are better equipped to deal with these badly designed materials than students who are only exposed to an education system of consistent, well-structured learning materials based on CLT principles.

지금까지 자기 관리 효과는 [주의 분할 학습 자료]로만 연구되어 왔다. 일반적으로 자가 관리 효과를 조사하는 연구는 두 단계로 구성된 세 가지 실험 조건을 비교하였다.

  • 첫 번째 단계에서는 두 가지 실험 조건의 학생들이 멀티미디어 학습 자료를 분할 주의 형식으로 공부한다.
    • 자기 관리 조건에서 학생들은 예를 들어 텍스트와 도표를 재구성하여 자신의 인지 부하를 스스로 관리하는 방법을 배운다.
    • 세 번째, 신체적으로 통합된 조건에서 학생들은 강사가 관리하는 신체적으로 통합된 형식으로 동일한 자료로부터 배웁니다.
  • 두 번째 단계에서는 세 가지 조건 모두에서 학생들은 다른 영역에서 동일한 분할 주의 학습 자료를 받는다. 자기관리 효과를 입증하는 가장 중요한 연구결과는 리콜 및 편입시험의 자기관리 조건에서 학생들의 우수한 성적에 반영된다.

Until now, the self-management effect has only been studied with split-attention learning materials. Typically, studies investigating the self-management effect compare three experimental conditions and consist of two phases (see Roodenrys et al. 2012; Sithole et al. 2017).

  • In the first phase, students in two experimental conditions study multimedia learning materials in a split-attention format.
    • In the self-management condition, students are instructed how to self-manage their cognitive load, for example, by reorganising text and diagrams.
    • In the third, physically integrated condition, students learn from the same materials in an instructor-managed physically integrated format.
  • In the second phase, students in all three conditions are presented with the same split-attention learning materials in another domain. The most important finding demonstrating the self-management effect is reflected in superior performance of the students in the self-management condition on recall and transfer tests.

 

자기 설명 효과
Self-Explanation Effect

[자기 설명 효과]는 인지 부하 이론과 독립적으로 입증되었지만, 이 이론으로 설명할 수 있다. 그것은 작업 예제 효과에서 비롯되며 인지 부하 이론의 맥락에서 렌클 외 연구진(1998)에 의해 처음 설명되었다.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 Worked example은, 학습자들이 이것을 늘 주의 깊게 공부하는 것은 아니며, 그저 기존의 문제를 해결하기 전에 간단히 스캔만 할 수 있습니다. 이 경우, 작업한 예는 학습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지 않을 것이다.
  • 연습에서의 Variability는, 학습자가 서로 다른 예제를 비교하고 대조하도록 자극하기 때문에 예제를 더 깊이 처리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이는 두 개 이상의 예가 제시되면서, 본유적 처리로 인해 증가하는 총 부하가 작업 기억의 용량 한계를 넘지 않았을 때에만 작동합니다.

The self-explanation effect was demonstrated independently of cognitive load theory (Chi et al. 1989) but can be explained by the theory. It stems from the worked example effect and in the context of cognitive load theory was first described by Renkl et al. (1998). As indicated above,

  • learners will not always be inclined to carefully study worked examples and may only briefly scan them before trying to solve conventional problems. In this case, worked examples will not yield positive effects on learning.
  • Variability of practice might help learners to process the examples more deeply, because variation stimulates them to compare and contrast the different examples. But this will only work when more than one example is presented and when the total load, which increases due to the germane processing, remains within the capacity limits of working memory.

반면, 하나의 예만 사용할 수 있는 경우일지라도, 학습자에게 스스로 [정교한 자기 설명]을 유도하는 [자기 설명 프롬프트]를 제공할 수 있다. 여러 연구에 따르면 총 인지 하중이 가용 용량을 초과하지 않는 한 자기 설명 프롬프트가 없는 작업 예제는 작업 예보다 우수할 수 있다.

Alternatively, when only one example is available, one might provide the learner with self-explanation prompts that elicit sophisticated self-explanations from the learners. Several studies showed that worked examples combined with self-explanation prompts can be superior to worked examples without self-explanation prompts, provided that total cognitive load does not exceed available capacity.

상상 효과
Imagination Effect

학습자가 [운동 과제]를 [정신적으로 연습]하도록 요청받으면 학습이 향상된다는 사실은 한동안 알려져 왔다. 또한 개선이 발생하는 정도는 운동과제가 인지 구성요소를 갖는 정도에 따라 달라진다(Ginns 2005b). 이러한 연구결과는 학습자가 동등한 학습 자료를 연구하도록 요청한 것보다 개념이나 과정을 상상하거나 정신적으로 연습하도록 요청했을 때 발생하는 상상력의 효과의 초기 근원을 제공했다. 

It has been known for some time that when learners are asked to mentally rehearse a motor task, learning is improved (Sackett 1934). Furthermore, the extent to which improvement occurs depends on the extent to which the motor task has cognitive components (Ginns 2005b). These findings provided the initial source of the imagination effect that occurs when learners asked to imagine or mentally rehearse a concept or process learn more than learners asked to study equivalent instructional material. 

상상력이 발휘되기 위해서는, 학습자가 관련 개념이나 절차를 상상할 수 있어야 한다. 학습자가 작업 기억에서 정보를 처리할 수 있어야 한다.

  • 특정 영역의 초보자는 새로운 정보를 다룰 때 작업 기억 한계 때문에 높은 요소 상호작용 정보를 적절하게 처리할 수 없을 수 있다. [초보자 학습자]에게는 무언가를 상상하는 것이 어렵거나 불가능할 수 있기 때문에, [정보를 상상하는 것]보다는 [정보를 공부하는 것]에서의 학습이 더 바람직하다.
  • [지식이 증가함에 따라 작업 메모리 한계가 확장]되고, 따라서 자료를 상상하는 것이 점점 더 실현 가능해집니다. 이는 작업 메모리에서 보다 쉽게 처리할 수 있기 때문이다. 정보를 적절히 상상할 수 있게 되면 imagination instruction이 study instruction보다 우수하다(Cooper et al. 2001). 그 시점까지는 study instruction이 imagination instruction보다 우수하다.

In order for an imagination effect to occur, learners must be able to imagine the relevant concepts or procedures. They must be able to process the information in working memory.

  • Novices in a given area may be unable to adequately process high element interactivity information because of working memory limits when dealing with novel information. For such learners, imagination may be difficult or impossible and so studying the information results in enhanced learning compared to imagining the same information.
  • With increased knowledge, working memory limits expand and so imagining the material becomes increasingly feasible because it can be more readily processed in working memory. Once information can be adequately imagined, imagination instructions are superior to study instructions (Cooper et al. 2001). Until that point, study instructions are superior to imagination instructions.

 

격리 요소 효과
Isolated Elements Effect

일부 [매우 높은 요소 상호작용 정보]는 새로운 정보를 다룰 때 작업 기억 한계를 훨씬 초과하므로 작업 기억에서 처리할 수 없다. 그러나 여전히 그 정도로 복잡한 정보 역시 학습가능하기 때문에, 여기에 어떤 프로세스가 사용되는지에 대한 문제가 제기되었다(Pollock 등 2002). 폴록 등은 아마도 [개별 요소들이 그들 사이의 상호작용을 배우지 않고 먼저 학습되었을 것]이라는 가설을 세웠다. 일단 [개별 요소들이 장기 기억에 저장]되면, 요소들 사이의 상호작용을 학습함으로써 요소들을 후속적으로 통합하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만약 이 가설이 옳다면, [일단 개별 요소만 학습자에게 제시한 다음 개별 요소 및 상호 작용을 포함한 모든 정보를 제시하는 것]이, [전체 정보를 두 번 제시하는 것]보다 우월할 것이다. 
Some very high element interactivity information vastly exceeds working memory limits when dealing with novel information and so cannot be processed in working memory. Since such complex information can be learned, the question of which processes are used was raised (Pollock et al. 2002). Pollock et al. hypothesised that perhaps individual elements were learned first without learning the interactions between them. Once the individual elements are stored in long-term memory, it may be feasible to subsequently integrate the elements by learning the interactions between them. If so, a sequence of only presenting the individual elements to learners followed by all of the information including both the individual elements and their interactions would be superior to presenting all of the information twice.

결과는 이 가설을 뒷받침했다.

  • 학습자에게 [모든 정보를 두 번 제시]했을 때는, 작업 메모리 부하가 과도해 어느 경우든 제대로 처리할 수 없었습니다.
  • 이와는 대조적으로, 먼저 [쉽게 처리하고 장기 기억에 저장할 수 있는 분리된 요소]만 제시한 다음, 이후에 [완전히 통합된 정보를 제시]했을 때, 그들은 개별 요소들을 통합하는 방법만 배우면 되었다. 또한 전체, 높은 요소 상호작용 정보들을 더 쉽게 동화시킬 수 있었다.

Results supported this hypothesis.

  • Learners presented all of the information twice were unable to process it properly on either occasion due to an excessive working memory load.
  • In contrast, learners only presented the isolated elements could easily process them and store them in long-term memory. When subsequently presented the fully integrated information, they only needed to learn how to integrate the individual elements and so more readily assimilated the entire, high element interactivity information.

학습자가 [처음에는 단순하고, 낮은 요소 상호작용 버전]을 연습하고, [나중에는 점점 더 복잡한 버전의 과제를 연습]하는 단순-복잡한simple-to-complex 시퀀싱에서도 유사한 효과가 나타난다.

A similar effect is provided by simple-to-complex sequencing, where learners first practice simple, low element interactivity versions of a task and only later increasingly more complex versions of this task (van Merriënboer et al. 2003; van Merriënboer and Sweller 2005, 2010).

집합 작업 메모리 효과
Collective Working Memory Effect

[집단 작업 기억 효과]는 Kirschner 등에 의해 처음 설명되었다. [협력적 학습자]는 [복수의 제한된 작업 기억으로 구성된 단일 정보 처리 시스템]으로 간주될 수 있다고 주장했다. 이 시스템은 더 크고, 더 효과적이며, 집합적인 작업 공간을 만들 수 있다.

  • 이와 같은 [협력적 학습]에서는, 모든 그룹 구성원이 필요한 모든 지식을 보유하거나, 이용 가능한 모든 정보를 단독으로 처리할 필요가 없다. 대신에, 협력적 학습자들은 그룹의 다른 구성원들이 제공하는 지식과의 격차를 메울 수 있다.
  • 그룹 구성원들 사이에 의사소통과 조정이 있는 한, 직무 내의 정보 요소와 직무의 본질적 성격에 의해 야기되는 관련 인지 부하는 더 큰 인지 능력 저장소로 나눌 수 있다.
  • 그러나 의사소통과 조정은 그룹 구성원이 추가적인 인지적 노력(즉, 거래 비용)을 투자할 것을 요구한다.

The collective working memory effect was first described by Kirschner et al. (2009; see also 2011), who argued that collaborative learners can be considered as a single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consisting of multiple, limited working memories which can create a larger, more effective, collective working space.

  • In collaborative learning, it is not necessary that all group members possess all necessary knowledge, or process all available information alone and at the same time, when faced with a gap in their knowledge they can fill that gap from knowledge provided by other members of the group (borrowing).
  • As long as there is communication and coordination between the group members, the information elements within the task and the associated cognitive load caused by the intrinsic nature of the task can be divided across a larger reservoir of cognitive capacity.
  • However, communication and coordination require group members to invest an additional cognitive effort (i.e. transaction costs), an effort that individuals do not have to exert.

Kirschner 외 연구진(2011)은 높은 또는 낮은 인지 부하를 부과하는 과제에서, [그룹 학습 효율성] 대 [개인 학습 효율성]은 그룹 구성원 간의 [정보 처리의 편익]과 [거래 비용] 사이의 균형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보다 구체적으로, 그들은 다음을 나타내는 상호 작용 효과를 발견했다.

  • 높은 인지 부하를 부과하는 과제에서 배우는 것이 보다 효율적인 협업 학습을 유도하고
  • 낮은 인지 부하를 부과하는 과제에서 배우는 것이 보다 효율적인 개별 학습을 초래한다

Kirschner et al. (2011) showed that the efficiency of group versus individual learning from tasks imposing a high or low cognitive load was affected by the trade-off between the benefits of dividing information processing among group members and the transaction costs. More specifically, they found an interaction effect, indicating that

  • learning from tasks imposing a high cognitive load led to more efficient collaborative learning, and
  • learning from tasks imposing a low cognitive load, resulted in more efficient individual learning.

높은 부하를 부과하는 학습 과제의 경우,

  • 개별 학습자는, 정보를 성공적으로 처리할 수 있는 충분한 처리 능력을 가지고 있지 않았다.
  • 협업 학습자는, 서로 [인지 부하를 분산시키는 이점]이 [거래 비용]보다 더 높은 것으로 입증되었습니다.
  • 결과적으로, 학습자는 [여분의freed 인지 능력]을 학습을 촉진하는 활동에 헌신할 수 있었다.

낮은 인지 부하를 부과하는 학습 과제의 경우,

  • 개별적으로 또는 협력적으로 일하는 학습자는 스스로 모든 정보를 처리할 수 있는 충분한 인지 능력을 가지고 있었다. 따라서, 정보의 개별 간 의사소통과 조정은 불필요했고, [협력 학습 과정에서 그룹 구성원들에게 인지 부하를 분배하는 이익]보다 [더 높은 거래 비용]을 초래했다.
  • 결과적으로, 구성된 지식의 질적 차이는 개별적으로 학습한 사람들에게 더 높은 학습 효율로 나타났다.

For learning tasks imposing a high load,

  • individual learners did not have sufficient processing capacity to successfully process the information. For collaborative learners, the benefits of distributing the cognitive load among each other proved to be higher than the transaction costs.
  • Consequently, learners were able to devote the freed cognitive capacity to activities that fostered learning.

For learning tasks imposing a low cognitive load,

  • learners working either individually or collaboratively had sufficient cognitive capacity to process all information by themselves. Hence, inter-individual communication and coordination of information were unnecessary and resulted in transaction costs that were higher than the benefits of distributing the cognitive load across group members during the collaborative learning process.
  • Consequently, when cognitive load was low, qualitative differences in constructed knowledge materialised in higher learning efficiency for those who learned individually than for those who learned collaboratively.

 

휴먼 무브먼트 효과
Human Movement Effect

[일시적인 정보 효과]는 학생들이 일반적으로 [정적 시각화]보다 [동적 시각화]에서 학습이 저하되는 이유를 설명하는데 사용되었지만, [인간 움직임 효과]는 [인간의 움직임을 포함하는 인지 작업]을 가르치는 것에는 정적인 방법보다는 [애니메이션을 사용하는 것이 더 낫다]고 주장한다. 효과는 CLT 연구의 예상치 못한 발견에서 비롯되었으며, 이러한 연구의 공통점은 애니메이션과 정학statics을 사용하여 인간의 운동 기술을 가르쳤다는 것이다(예: 종이 접기, 매듭 묶기). Paas and Sweller (2012)는 [생물학적 일차적인 지식] 개념을 사용하여, 인간이 다른 사람들이 행동에 참여하는 것을 관찰하고 그것을 쉽게 복사할 수 있는 능력을 진화시켰다고 설명했다. 따라서 학습자에게 운동 기술을 배우기 위해 애니메이션을 관찰하도록 요청하는 것은 작업 기억력에 과도한 부담을 주지 않을 수 있습니다
Whereas the transient information effect has been used to explain why students generally learn less from dynamic than from static visualisations, the human movement effect holds that it is better to use animation rather than statics to teach cognitive tasks involving human movement. The effect originated from unexpected findings of CLT research, which indicated superior learning outcomes of transient visualisation formats over non-transient formats (e.g. Ayres et al. 2009; Wong et al. 2009). What these studies had in common was that they used animations and statics to teach human motor skills (e.g. paper folding, knot tying). Paas and Sweller (2012) used Geary’s (2008) concept of biologically primary knowledge to explain that humans have evolved the ability to learn from observing others engage in action and copy it effortlessly. Therefore, asking learners to observe an animation in order to learn a motor skill may not place an excessive burden on working memory resources.

이 아이디어는 애니메이션이 매우 현실적이고 절차-운동 지식이 관련되었을 때 우수한 학습(가장 큰 효과 크기)이 발견된다는 것을 보여준 Höffler와 Leutner(2007)의 메타 분석에 의해 확인되었다. 반 고그 등은 [휴먼 무브먼트 효과]는 행동을 실행하는 데 관여하는 동일한 피질 회로도 같은 행동을 실행하는 다른 사람을 관찰하는 것에 자동적으로 반응한다는 신경과학 연구의 발견을 반영한다고 제안했다. (즉, 거울 뉴런 시스템; Rizzolatti와 Craigheero 2004)

This idea was confirmed by a meta-analysis of Höffler and Leutner (2007), who showed that superior learning (the largest effect size) was found when the animations were highly realistic and procedural-motor knowledge was involved. Van Gog et al. (2009) have suggested that the human movement effect reflects the finding of neuroscience research that the same cortical circuits that are involved in executing an action oneself also automatically respond to observing someone else executing the same action (i.e. mirror neuron system; Rizzolatti and Craighero 2004).

 

인지 부하 측정
Measuring Cognitive Load

1998년 기사의 출판 이후 인지 부하 측정과 관련된 이슈를 조사하기 위한 지속적인 연구 노력이 있어왔다. 따라서, 사람들은 지난 20년 동안 이러한 문제들에 관해 상당한 진전이 이루어졌을 것으로 예상할 수 있을 것이다. 여기서는 이러한 진행 상황을 평가하고 인지 부하 측정과 관련된 세 가지 주요 개발의 간략한 개요를 제시한다. 
Since the publication of the 1998 article, there has been an ongoing research effort to examine issues related to the measurement of cognitive load. Therefore, one would expect that in the past 20 years substantial progress has been made regarding these issues. Here, we evaluate this progress and present a concise overview of three major developments regarding the measurement of cognitive load. 

첫 번째 중요한 발전은, Paas(1992)가 [인지 부하의 전반적인 측정]을 위해 처음 도입한 주관적 측정 기법의 specification와 관련이 있다. 비록 이 측정법이 좋은 사이코메트리 특성을 보여주는 광범위하고 성공적으로 사용되었지만, 일부 연구자들은 인지 부하를 측정하는 능력에 대해 회의적이다. 회의적인 연구자들은 심지어 생리학적 측정 기법과의 비교에서도 주관적 등급 척도가 객관적 기법만큼 유효하고 신뢰할 수 있으며 사용하기 쉽다는 것을 보여주더라도 그러했다 (예: Szulewski 등. 2018). 
The first important development is related to the further specification of the subjective measurement technique that was originally introduced by Paas (1992) to provide an overall measure of cognitive load. Although this measure has been extensively and successfully used showing good psychometric properties, some researchers remain sceptical about its capacity to measure cognitive load, even when comparisons with physiological measurement techniques have shown that the subjective rating scale is just as valid and reliable and easier to use as objective techniques (e.g. Szulewski et al. 2018).

(생리학적 기법과 비교하면) 주관적 기법의 주요 장점은 민감성과 단순성이다. 생리학적 측정 기법과 대조적으로 주관적 등급 척도는 투자한 정신적 노력과 작업 난이도의 작은 차이에 민감하다. 주관적 등급 척도의 단순성이 주요 강점으로 간주되는 반면, 연구와 실무에서 쉽게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많은 사람들이 주요 약점으로 간주하기도 한다. 주관적 측정의 단순성 덕분에, 인지 하중(즉, 내적 + 외부 하중)의 전체적인 측정을 제공하지만, 반면 서로 다른 유형의 인지 부하를 구별하는 데 쉽게 사용할 수 없다. 

The main advantages of the subjective technique over physiological techniques are its sensitivity and its simplicity. In contrast to physiological measurement techniques, the subjective rating scale is sensitive to small differences in invested mental effort and task difficulty. Whereas the simplicity of the subjective rating scale is considered its major strength, because it can be easily used in research and practice, it is also considered by many as its major weakness. Due to its simplicity, it provides an overall measure of cognitive load (i.e. intrinsic plus extraneous load) and therefore cannot easily be used to differentiate between the different types of cognitive load.

이러한 약점이 인지 부하의 (온라인 측정으로 사용될 수 있는) '객관적' 측정 기법에 대한 검색뿐만 아니라 다양한 유형의 인지 부하를 구별하는 데 사용할 수 있는 기법에 대한 검색이 이루어졌다. 이 두 가지 연구 개발에 대해 더 자세히 논의하기 전에, 우리는 먼저 주관적인 등급 척도 기법의 진행 중인 추가 사양을 논의할 것이다.

This has resulted in a search for techniques that can be used to differentiate between the different types of cognitive load as well as a search for ‘objective’ measurement techniques that can be used as an online measure of cognitive load. Before these two research developments are discussed in more detail, we first will discuss the ongoing further specification of the subjective rating scale technique.

두 번째 발전은 [서로 다른 유형의 인지 부하를 구별할 수 있는 설문지를 설계함]으로써 [주관적 기법을 확장하는 것]과 관련이 있다. 여러 연구자들이 한 가지 특정 유형의 인지 부하(예: 2006)에서만 변화를 측정하려고 시도한 반면, 다른 연구자들은 다른 유형의 인지 부하(예: 시어니아크 등)를 측정하는 방법을 조사했다. 2009). 한 가지 주목할 만한 개발은 Leppink 외 연구진(2013, 2014)에 의해 설명되었는데, Leppink 외 연구진은 다양한 유형의 인지 부하가 여러 지표로 표현되는 새로운 사이코메트리 기기의 유용성을 조사했다. 저자들은 [내적 인지 부하]와 [외적 인지 부하]를 구별할 수 있다는 가정을 뒷받침한다고 결론지었다. 예를 들어, 다른 질문을 사용하고 다른 영역을 살펴봄으로써 더 많은 경험적 증거가 필요하다는 것이 분명하지만, 지금까지의 결과를 살펴보면, 서로 다른 유형의 인지 부하를 구별하는 측정도구의 능력에 관해 긍정적으로 평가하고 있다.
The second development is related to extending the subjective technique by designing questionnaires that can differentiate between the different types of cognitive load. Whereas several researchers have tried to measure only changes in one specific type of cognitive load (e.g. Ayres 2006), others have investigated methods to measure the different types of cognitive load (e.g. Cierniak et al. 2009). One notable development was described by Leppink et al. (2013, 2014), who investigated the usefulness of a new psychometric instrument in which the different types of cognitive load were represented by multiple indicators. The authors concluded that the results of both studies provided support for the assumption that intrinsic and extraneous cognitive load can be differentiated using their 10-item psychometric instrument. Although it is clear that more empirical evidence is needed, for example, by using different questions and looking at different domains, the results so far are promising regarding the instrument’s capability of distinguishing between different types of cognitive load.

세 번째 발전은 [인지 부하의 보다 객관적인 측정치]를 찾기 위한 노력과 관련이 있으며, 여전히 진행중이다. 이를 위해 인지 부하 연구자들은 인지 부하에 대한 [2차 작업 기법]과 생리학적 측정을 사용해 왔다. [제한된 작업 기억 용량의 가정]에 기초하여, [2차 작업 기법]은 1차 작업에 의해 부과되는 인지 부하의 지표로서 2차 작업에 대한 성능을 사용한다. 2차 작업에 대한 저성능 또는 고성능은 1차 작업에 의해 부과되는 높은 인지 부하와 낮은 인지 부하를 나타낸다고 가정한다
The third development is related to the ongoing efforts to find more objective measures of cognitive load. To this end, cognitive load researchers have been using secondary task techniques and physiological measures of cognitive load. Based on the assumption of a limited working memory capacity, secondary task techniques use performance on a secondary task as an indicator of cognitive load imposed by a primary task. It is assumed that low or high performance on the secondary task are indicative of high and low cognitive load imposed by the primary task.

최근 2차 과제 기법의 예로는 박 교수와 브룬켄 교수(2015)가 개발한 리듬법이 있다. Korbach 외 연구진(2017)은 이 기법이 정신 애니메이션 그룹, 유혹적인 세부 그룹 및 제어 그룹 사이의 가설된 인지 부하 차이에 민감하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그러나 2차 과제 기법은 비타협성(즉, 1차 과제를 방해할 수 있는 추가 인지 부하를 부과하는 것; Paas 등 2003)과 [서로 다른 유형의 인지 부하를 구별할 수 없다]는 비판을 받아왔다.

A recent example of a secondary task technique is the rhythm method developed by Park and Brünken (2015), which consists of a rhythmic foot-tapping secondary task. Korbach et al. (2017) showed that this technique was sensitive to hypothesised differences in cognitive load between a mental animation group, a seductive detail group and a control group. However, secondary task techniques have been criticised for their intrusiveness (i.e. imposing an extra cognitive load that may interfere with the primary task; Paas et al. 2003) and inability to differentiate between different types of cognitive load.

생리학적 기법은 인지 기능의 변화가 생리학적 변수에 의해 반영된다는 가정에 기초한다. 반면 몇몇 연구자들은 기능성 자기공명영상(fMRI)과 같은 신경영상 기법을 사용할 것을 제안했으으나, 인지 부하 연구에 실제로 사용된 기법은 EEG이다. 하이퍼텍스트 기반 학습 환경을 사용하여, 안토넨코와 니더하우저(2010)는 EEG의 여러 측면이 가정된 인지 부하 차이를 반영한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인지 부하를 측정하기 위해 더 자주 사용되는 기술은 동공 팽창, 깜박임 속도, 고정 시간 및 봉합과 같은 눈 추적 변수에 기초한다. 예를 들어, van Gerven 등은 동공 팽창이 젊은 성인의 인지 부하와 긍정적인 상관관계가 있지만 노인의 경우에는 상관관계가 없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모바일 측정 장치의 개발로 인해 생리학적 측정의 사용이 점점 쉬워지고 있지만, 이러한 기법과 인지 부하를 측정할 수 있는 잠재력에 대한 훨씬 더 많은 연구가 필요하다.
Physiological techniques are based on the assumption that changes in cognitive functioning are reflected by physiological variables. Whereas several researchers have proposed to use neuroimaging techniques, such as functional magnetic resonance imaging (fMRI; e.g. Whelan 2007), a technique that has actually been used in cognitive load research is electroencephalography (EEG; Antonenko and Niederhauser 2010; Antonenko et al. 2010). Using a hypertext-based learning environment, Antonenko and Niederhauser (2010) showed that several aspects of the EEG reflected hypothesised differences in cognitive load. A more frequently used technique for measuring cognitive load is based on eye-tracking variables, such as pupil dilation, blink rate, fixation time and saccades. For example, van Gerven et al. (2004) showed that pupil dilation is positively correlated with cognitive load in young adults, but not in old adults. Although, it has become increasingly easy to use physiological measures due to the development of mobile measuring devices, much more research is needed into these techniques and their potential to measure cognitive load.

 

미래 방향
Future Directions

그것의 시작 이래로, 인지 부하 이론은 새로운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게 되면서 지속적인 이론적 발전을 겪어왔다. 이론적인 발전은 결국 일정한 과정에서 더 많은 데이터를 만들어냈다. 현재, 그러한 소용돌이가 계속되고 있으며 향후 발전에 대한 표지판을 제공하고 있다. 
Since its inception, cognitive load theory has undergone continuous theoretical development as new data have become available. Theoretical developments in turn have generated further data in a constant process. Currently, there is every indication of that spiral continuing and providing a sign-post to future developments. 

작업 메모리 리소스 고갈
Working Memory Resource Depletion

한 가지 새로운 연구 라인은 [작업 기억 자원 고갈 가설]을 기반으로 CLT의 확장 가능성을 제안한 최근 연구에서 도출되었다. 이 가설은 작업 기억 자원이 지속적인 인지적 노력 기간 후에 고갈되어 추가 자원을 투입할 수 있는 용량이 감소된다는 것을 보여준다. 이전의 연구는 general 그리고 specific [고갈 효과]를 발견했다.

  • [일반적인general 고갈 효과]와 관련하여, Schmeicel(2007)은 [자기 통제self-control 작업]을 수행하는 것이, 이어지는 시험에서 [작업 기억의 성능]을 저하시킬 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 [특정적인specific 고갈 효과]와 관련하여 힐리 외 연구진(2011)은 첫 번째 과제의 무시될 자극과 작업 기억 과제의 기억될 자극이 일치할 때만 고갈 효과가 발생한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One new line of research is derived from recent work of Chen et al. (2018), who proposed a possible extension of CLT based on the working memory resource depletion hypothesis. This hypothesis holds that working memory resources become depleted after a period of sustained cognitive exertion resulting in a reduced capacity to commit further resources. Previous research has found both general and specific depletion effects.

  • With regard to general depletion effects, Schmeichel (2007) showed that engaging in self-control tasks can lower performance on subsequent working memory tests.
  • With regard to specific depletion effects, Healey et al. (2011) showed that depletion effects only occurred when there was a match between the to-be-ignored stimuli in the first task and the to-be-remembered stimuli in the working memory task.

비록 많은 연구들이 작업 기억과는 거의 관련이 없다는 것을 주목할 필요가 있지만, 어떤 조건에서의 [작업 기억의 고갈]은 [자아 고갈ego depletion]과 관련이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다이어트를 하는 동안 단 것을 피하는 것이 수학을 배우는 것과 같은 작동 기억의 함축성을 가질 것 같지는 않다. 자아 고갈 과제의 엄청난 차이는 자아 고갈의 영향에 대한 의구심에 기여할 수 있다(상충되는 메타 분석에는 에테르톤 외 2018 및 당 2018 참조). 다만, 인지 부하 이론의 관점에서 고려할 때, 자아 고갈에 대한 대부분의 연구는 학습에 대한 것이 아니며, 상당한 작업 기억 부하가 수반될 가능성이 있는 과제을 포함한 연구는 아주 일부이다. 이러한 작업task의 경우, 학습 중 광범위한 인지 노력이 작업 기억 자원을 상당히 고갈시킬 수 있는 경우, 그 요소는 지시를 설계할 때 중요할 수 있다.
Working memory resource depletion under some conditions may be linked to ego depletion, although it needs to be noted that many studies on ego depletion bear little relation to working memory. For example, it is unlikely that avoiding sweets while on a diet has the same working memory implications as learning mathematics. The vast differences in ego depletion tasks possibly contributes to doubts concerning the effects of ego depletion (see Etherton et al. 2018, and Dang 2018, for conflicting meta-analyses). Considered from a cognitive load theory perspective, most studies on ego depletion do not include learning and only some of the literature used tasks that are likely to have imposed a heavy working memory load. For those tasks, if extensive cognitive effort during learning can substantially deplete working memory resources, that factor may be important when designing instruction.

Chen 등은 [자원 고갈 가설]이 [프리젠테이션 사이의 간격]이나 [연습 사이의 간격]을 두는 방식으로 [정보가 간격을 두고 제시되는 것이 [동일한 시간 동안, 동일한 정보가, 간격 없이 대량 형태로 처리될 때]보다 우수한 것으로 확인된 [간격두기 효과spacing effect]에 대한 설명을 제공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Chen 등은 대량 프레젠테이션이 간격 프레젠테이션에 비해 작업 메모리 용량이 감소했음을 나타내는 데이터와 함께 수학 학습을 사용하여 간격 효과를 얻었다. [몰아치기 연습massed practice]은 [작업 기억 리소스]를 지속적으로 줄게 만들지만, [간격을 둔 연습]은 (작업기억) 리소스를 복구할 시간을 준다.
Chen et al. (2018). They indicated that the resource depletion hypothesis could provide an explanation of the spacing effect that occurs when spaced presentation of information with spacing between presentation or practice episodes is superior to the same information processed for the same length of time in massed form without spacing between episodes. Chen et al. obtained the spacing effect using mathematics learning along with data indicating that massed presentations resulted in a reduced working memory capacity compared to spaced presentations. Massed practice may reduce working memory resources while spaced practice may allow resources to recover.

[간격두기 효과]는 거의 틀림없이 심리학에서 만들어진 가장 오래된 교육 효과이지만 그 원인에 대해서는 합의가 이루어지지 않았다. 후속 연구에 의해 확인될 경우, Chen 등의(2018) 연구 결과는 효과에 대한 이론적 설명으로 인지 부하 이론을 사용할 수 있게 할 수 있다.
The spacing effect is arguably the oldest known psychology-generated instructional effect but there has never been agreement concerning its causes. If confirmed by subsequent work, Chen et al.’s (2018) findings may allow cognitive load theory to be used as a theoretical explanation of the effect.

Chen 외 연구진(2018)은 간격 효과를 통해서 [학습 과제에 대한 작업 메모리 자원 고갈 가설]을 확인하면서, [장기 기억의 내용]이 [작업 기억의 특성]에 대한 [유일한 주요 결정 요인을 제공한다]는(기존의) 인지 부하 이론의 가정은 유지될 수 없다고 주장했다. [협소한 변화 원리]에 기반하자면, [인지 부하 이론]은 개개인에게 있어서 [작업 기억 용량]은 상대적으로 일정하기에, 용량에 영향을 미치는 유일한 주요 요소는 [장기 기억의 내용]이라는 것을 암묵적으로 가정하고 있다. [환경 구성 및 연결 원리]에서 알 수 있듯이, 동일한 정보를 장기 기억에 저장하면 새로운 정보를 처리할 때 작업 기억의 한계를 제거할 수 있다. 일단 조직되고 장기 메모리에 저장되면, [높은 요소 상호작용 정보]가 작업 메모리로 쉽고 빠르게 전송될 수 있기에, 작업 기억에 부하를 최소한의 부하만 부과된다.
By confirming the working memory resource depletion hypothesis for learning tasks using the spacing effect as a vehicle, Chen et al. (2018) argued that the assumption of cognitive load theory that the content of long-term memory provides the only major determinant of working memory characteristics may be untenable. An implicit assumption of cognitive load theory, based on the narrow limits of change principle, has been that working memory capacity is relatively constant for a given individual with the only major factor influencing capacity being the content of long-term memory. As indicated by the environmental organising and linking principle, the limitations of working memory when dealing with novel information can be eliminated if the same information has been stored in long-term memory. High element interactivity information, once organised and stored in long-term memory can be easily and rapidly transferred in large quantities to working memory imposing a minimal working memory load.

Chen 외 연구(2018)의 연구 결과는 작업 기억의 용량은

  • 정보 저장소를 통해 저장된 기존 정보, 빌리고 재구성한 정보, [무작위 생성 원리] 뿐만 아니라
  • 인지 노력으로 인한 [작업 기억의 자원 고갈]에 따라서도 달라질 수 있음을 시사한다.

결과적으로, [인지적 노력에 따른 작업 기억 고갈 가정]을 지지하기 위해서는 [고정된 작업 기억 가정]을 폐기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변화는 상당한 결과를 가져올 것이며 인지 부하 이론의 상당한 확장을 초래할 것으로 여겨진다.

The results of the Chen et al. (2018) study suggest that working memory capacity can be variable depending

  • not just on previous information stored via the information store, the borrowing and reorganising, and the randomness as genesis principles,
  • but also on working memory resource depletion due to cognitive effort.

Consequently, a fixed working memory assumption needs to be discarded in favour of a working memory depletion assumption following cognitive effort. It is believed that this change will have considerable consequences and result in a considerable extension of cognitive load theory.

 

인지부하이론과 자기조절학습
Cognitive Load Theory and Self-Regulated Learning

두 번째 새로운 연구 분야는 [인지 부하 이론]을 [자기 조절 학습]과 관련시킨다. 학습자의 학습 과정에 대한 감시와 제어를 다루는 인지 부하 이론과 자기 통제 학습 모델은 정보가 풍부하고 복잡하며 빠르게 변화하는 사회에서 평생 학습자를 지원하는 데 특히 중요한 관점으로 간주될 수 있다(반 메리엔보어 및 슬루이즈만스 2009). 두 이론적 프레임워크 모두 [인지 자원의 할당](cf. 학습자가 인지 부하를 줄이기 위해 스스로 인지 부하 원리를 적용하는 자기 관리 효과)이나, [학습활동의 선택과 같은 학습자의 조절 결정]에 이미 주의를 기울이고 있다.

A second new line of research relates cognitive load theory to self-regulated learning. Both cognitive load theory and models of self-regulated learning, which deal with learners’ monitoring and control of their learning processes, may be seen as particularly important perspectives for supporting lifelong learners in an information-rich, complex and fast-changing society (van Merriënboer and Sluijsmans 2009). Both theoretical frameworks already pay attention to learners’ regulation decisions, such as the allocation of cognitive resources (cf. the self-management effect, where learners apply cognitive load principles themselves in order to decrease cognitive load) and the selection of study activities.

[인지 부하 이론]의 맥락에서, 파스 외 연구진은 자원 할당의 척도로 '과제 참여'를 도입했다.

  • 과제참여task involvement가 높다면, 학습자가 높은 투자 정신적 노력과 함께 상대적으로 높은 성과를 보인다('고통 없으면 얻는 것도 없다')
  • 과제참여task involvement가 낮다면, 학습자는 낮은 정신적 노력과 함께 상대적으로 낮은 성과를 보인다.

In the context of cognitive load theory, Paas et al. (2005) introduced ‘task involvement’ as a measure of resource allocation:

  • it is high when learners show relatively high performance combined with high invested mental effort (‘no pain, no gain’);
  • it is low when learners show relatively low performance in combination with low invested mental effort.

또한 [과제 선택]은 일련의 실험에서 (자기)조절 정확도의 지표로 사용되어 왔다. 학습자가 연구를 위해 그들 자신의 학습 과제를 선택하도록 요청받을 때, 수행의 측정과 투자된 정신적 노력은 과제 선택의 질에 대한 결론을 도출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즉, 학습자가 너무 어렵거나 너무 쉬운 과제를 선택합니까?) 

In addition, task selection has been used in a series of experiments (e.g. Nugteren et al. 2018) as an indicator of regulation accuracy: when learners are asked to select their own learning tasks for study, measures of performance and invested mental effort can be used to draw conclusions on their quality of task selection (i.e. do learners select tasks that are either too difficult or too easy for them?).

[자기조절 학습의 맥락]에서, [학습 시간의 할당]은 일반적으로 자원 할당의 척도로 사용되며, [학습 활동의 선택]에 있어서는 [학습의 판단 및 재학습 결정('이해도를 높이기 위해 텍스트의 어느 부분을 다시 공부할 것인가?')]은 [수행능력의 척도]와 결합되어서 [자기조절 정확도]의 지표로 사용됩니다. 향후 연구는 자원 할당과 규제 정확도의 서로 다른 측정값을 결합함으로써 이익을 얻을 수 있다.

In the context of self-regulated learning, the allocation of study time is typically used as a measure of resource allocation and for the selection of study activities, judgements of learning and restudy decisions (‘which part of the text do you want to restudy in order to improve your understanding?’) in combination with performance measures serve as an indicator of regulation accuracy. Future research might profit from combining these different measures of resource allocation and regulation accuracy.

반적인 발견은 '학습자가 자신의 학습을 조절하는 데 능숙하지 않다는 것'이고, 따라서 문제는 그것이 교육가능하냐는 것이다.

  • 한편으로, 학습 과정의 자기조절은 일차적인 지식에 크게 의존할 것이고 따라서 가르치는 것이 불가능할 수도 있다.
  • 반면에, 모든 학습은 1차 지식과 2차 지식의 조합을 포함하며, 2차 지식 구성요소는 확실히 가르칠 수 있다.

A general finding is that learners are not good in regulating their learning (Bjork et al. 2013). The question is then whether it can be taught.

  • On the one hand, the self-regulation of learning processes will largely rely on primary knowledge and might thus be impossible to teach.
  • On the other hand, all learning involves a combination of primary and secondary knowledge and the secondary knowledge component certainly is teachable.

다음과 같은 상위 수준의 조절 프로세스는, 1차 지식과 2차 지식의 혼합에 의존할 수 있으므로, 적어도 부분적으로는 가르칠 수 있습니다.

  • 스스로 인지 부하 원리를 적용하여 주의분할의 부정적인 영향을 감소시킨다(cf. 자기 관리 효과).
  • 적절한 학습 과제 선택(cf. 자기주도 학습) 및
  • 관련 학습 자원 선택(cf. 정보 문해력)

Higher-level regulation processes such as

  • reducing the negative effects of split attention by applying cognitive load principles oneself (cf. self-management effect),
  • selecting suitable learning tasks (cf. self-directed learning) and
  • selecting relevant learning resources (cf. information literacy)

...may rely on a mix of primary and secondary knowledge and thus—at least partly—be teachable.

학생들은 학습과 미래 수행에 대해 알려주는 단서들을 사용하는데, 흔히 잘못된 단서들을 사용하는 경향이 있다.

students use cues to inform them about their learning and future performance and, moreover, that they are inclined to use invalid cues.

예를 들어, 학생들은 종종 이해와 미래의 수행에 대한 신호로 '처리 용이성ease of processing'을 사용한다:

  • 만약 지문이 쉽게 읽힌다면, 학생들은 전형적으로 본문에 대한 이해와 미래 시험에서 그들의 성취도를 높게 판단한다. 하지만, 훨씬 더 타당한 단서는 텍스트를 읽은 후에 키워드를 생성할 수 있는 능력일 것이다.
  • 수단-목표 분석을 사용하여 전통적인 문제를 해결하는 경우, 학습자는 [높은 인지 부하]를 단서로(하지만 잘못된) 사용할 수 있다(이는 많은 노력을 소모하므로 나는 많이 배웠음에 틀림없다). 그러나, 더 효과적인 방법은 생성된 해결책을 동료 학생에게 설명하는 능력일 것이다.

따라서 다음 교사들은 학생들이 자신의 학습을 조절하는데 더 [타당한 신호의 사용을 돕는 프롬프트]를 제공할 수 있다(예:

  • '이 텍스트를 읽은 후 약 한 시간 후에 키워드를 생성할 수 있는가?';
  • '이 문제에 대해 방금 생성한 해결책을 동료에게 설명할 수 있는가?').

For example, students often use ‘ease of processing’ as a cue for understanding and future performance:

  • if a text is easily read, students typically judge their understanding of the text and their performance on a future test as high. Yet, a much more valid cue would be the ability to generate keywords some time after reading the text.
  • Similarly, a learner who is solving a conventional problem using means-ends-analysis may use the high cognitive load as an invalid cue for learning (‘this cost me a lot of effort so I must have learned a lot’). Yet, a much more valid cue for germane processing would be the ability to explain the generated solution to a peer student.

Teachers might then give prompts to students that help them learn to use more valid cues for regulating their learning (e.g.

  • ‘Can you generate keywords for this text about one hour after reading it?’;
  • ‘Can you explain the solution that you just generated for this problem to your peer?’).

 

감정, 스트레스, 불확실성
Emotions, Stress and Uncertainty

세 번째 연구 라인은, 인지 부하의 [환경 관련 인과 요인]을 식별하는 것을 목표로 하는 인지 부하의 새로운 모델에 기초한다(최 외 2014). 새로운 모델은 인지 부하와 학습에 대한 물리적 학습 환경의 세 가지 유형의 영향을 구분한다.

  • 인지 효과(예: 불확실성),
  • 생리학적 효과(예: 스트레스),
  • 정서적 효과(예: 감정; 단, 학습에 대한 여러 영향이 밀접하게 얽힐 수 있다는 점에 유의하라)

A third research line is based on a new model of cognitive load that aims to identify the environment-related causal factors of cognitive load (Choi et al. 2014). The new model distinguishes three types of effects of the physical learning environment on cognitive load and learning:

  • Cognitive effects (e.g. uncertainty),
  • physiological effects (e.g. stress) and
  • affective effects (e.g. emotions; but note that the different effects on learning may be closely intertwined; Evans and Stecker 2004).

기본적인 가정은 [스트레스, 감정 및 불확실성]이 업무 관련 프로세스와 경쟁하여, 작업 기억의 용량을 제한할 수 있다는 것이다. 따라서, 그것들은 인지 부하를 증가시키고 학습을 방해하며 전달을 감소시킨다(Moran 2016). 이 현상에 대한 상당한 양의 연구가 있었지만, 대다수의 기본 전제는 [학습]은 [학습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상태를 방지함]으로써 가장 잘 서포트된다는 것이다(예: Plass 및 Kaplan 2016). 
The basic assumption is that stress, emotions and uncertainty may restrict the capacity of working memory by competing with task-relevant processes; thus, they increase cognitive load, hamper learning and decrease transfer (Moran 2016). There has been a considerable amount of research on this phenomenon, but the basic premise of the great majority of this research is that learning is best supported by preventing states that might negatively affect learning (e.g. Plass and Kaplan 2016).

이것은 일반 교육에서는 사실일 수 있지만, 직업 및 전문 교육에서는 감정, 스트레스 및 불확실성이 종종 전문 업무를 수행하는 데 필수적인 부분이다. 

  • 예를 들어, 간호사들은 인생의 마지막 단계에 있는 환자들을 돌볼 때 부정적인 감정을 다루는 법을 배워야 한다. 
  • 보안 담당자들은 고위험 폭력 상황에서 스트레스를 다루는 법을 배워야 하고, 
  • 의사들은 불완전한 환자 정보에 기초하여 빠른 의사결정이 필요할 때 불확실성에 직면하는 법을 배워야 한다. 

This might be true in general education, but in vocational and professional education, emotions, stress and uncertainty are often an integral part of performing professional tasks. For example,

  • nurses must learn to handle negative emotions when caring for patients who are in the last phase of their life;
  • security officers must learn to deal with stress in high-risk violence situations, and
  • medical doctors must learn to face uncertainty when fast decision-making is required on the basis of incomplete patient information.

이러한 경우, 훈련 중 감정, 스트레스 및 불확실성을 예방하는 것은 비생산적이다. 오히려, 교육 프로그램은 학습자가 감정, 스트레스 및 불확실성에 대처하고 전반적인 행복을 유지할 수 있는 능력을 포함하여, 표준에 맞는 전문적인 업무를 수행할 수 있는 전문 역량을 개발할 수 있는 방식으로 신중하게 설계되어야 한다.

In such cases, it is unproductive to prevent emotions, stress and uncertainty during training; on the contrary, educational programs must be carefully designed in such a way that learners develop professional competencies enabling them to perform professional tasks up to the standards, including the ability to deal with emotions, stress and uncertainty and to maintain overall wellbeing.

  • 만약 감정, 스트레스, 불확실성이 [학습에 바람직하지 않은 상태]로 간주된다면, 이러한 상태를 방지하여 감소시켜야 하는 [외적 인지 부하]를 유발한다고 말할 수 있다.
  • 만약 감정, 스트레스, 불확실성이 [학습되어야 하는 과제의 필수적인 요소]로 간주된다면, 그것들은 [내적 인지 부하]에 기여하고 다른 방법으로 다루어져야 한다.
  • If emotions, stress and uncertainty are seen as undesirable states for learning, one might say that they cause extraneous load that should be decreased by preventing these states.
  • But if emotion, stress and uncertainty are seen as an integral element of the task that must be learned, they contribute to intrinsic cognitive load and must be dealt with in another way. 

예를 들어, 과제를 수행하기 전에 상상력이나 정신적 실천은 실제 과제 수행 중 내재적 부하를 낮추고 스트레스, 감정 또는 불확실성으로 인한 높은 부하를 균형 있게 조정하여 학습과 미래 과제에 대한 스트레스, 감정 또는 불확실성 처리 능력을 향상시킬 것으로 예상할 수 있다(아로라 외 2011). 그러나 초보 학습자들은 성공적인 작업 수행에 필요한 과정을 생생한 방식으로는 아직 상상할 수 없을 것이다(Ginns 2005b). 그들에게 상상력은 아마도 효과가 없겠지만, 예를 들어, 협력은 집단적 작업 기억 효과 때문에 효과적인 작업 기억 용량을 증가시킬 수 있으므로 스트레스, 감정 또는 불확실성으로 인한 높은 부하를 상쇄할 수 있다.

For example, imagination or mental practice prior to performing the task may be expected to lower intrinsic load during actual task performance, counterbalancing the high load resulting from stress, emotions or uncertainty and so improving learning and the ability to deal with stress, emotions or uncertainty for future tasks (Arora et al. 2011). Novice learners, however, will not yet be able to imagine the processes that are required for successful task performance in a vivid way (Ginns 2005b). For them, imagination will probably not work but, as an example, collaboration might possibly increase effective working memory capacity because of the collective working memory effect and so counteract the high load resulting from stress, emotions or uncertainty.

 

휴먼 무브먼트
Human Movement

네 번째 새로운 연구 라인은 [휴먼 무브먼트 효과]에 기초한다. 이 효과는 인간의 움직임을 포함하는 인지 작업을 가르칠 때 [애니메이션]이 [정적인 것]보다 더 효과적인 이유를 설명하는데 사용되어 왔다. 인간의 움직임 효과에 대한 연구는 주로 움직임을 관찰함으로써 학습에 초점을 맞췄지만, 최근의 연구는 학습 중에 움직임을 만드는 결과로 인지 부하와 학습에 대한 유사한 영향을 얻을 수 있다고 제안한다. 제스처와 트레이싱tracing 같이, [움직임을 만드는 것]이 가용 작업 기억 자원과 인지 부하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충분한 증거가 있다.

  • 몸짓을 하는 것making gestures이 문제 해결 중 정보의 인지적 오프로드에 사용될 수 있어 작업 기억 부하 감소로 이어질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추적Tracing과 관련하여, Hu 등(2015)은 기하학에서 종이 기반 작업 예제를 공부할 때 집게 손가락으로 각도 관계를 추적한 학생이 예제를 공부한 학생보다 더 높은 학습 성과를 보였다.
  • 마찬가지로, 손가락으로 온도 그래프를 추적 여부를 달리 하여 아이패드로 공부한 초등학생 그룹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 '추적 그룹'에서 더 높은 전송 성능을 발견했다.

A fourth new research line builds on the human movement effect. This effect has been used to explain why animations are more effective than statics when cognitive tasks involving human movement are taught. Although research into the human movement effect has mainly focused on learning by observing movement, recent research suggests that similar effects on cognitive load and learning may be obtained as a result of making movements during learning. There is ample evidence that making movements, such as gestures and tracing, can affect available working memory resources and cognitive load.

  • It has been shown that making gestures can be used for cognitive offloading of information during problem-solving, leading to a reduction in working memory load (Wagner-Cook et al. 2012; Goldin-Meadow et al. 2001; Ping and Goldin-Meadow 2010; Risko and Gilbert 2016).
  • With regard to tracing, Hu et al. (2015) showed that students who traced angle relationships with their index finger when studying paper-based worked examples in geometry showed higher learning outcomes than students who only studied the examples.
  • Similarly, in a study with a group of primary-school children who studied worked examples on an iPad either by tracing temperature graphs with their index finger or without such tracing, Agostinho et al. (2015) found higher transfer performance in the tracing group.

인간의 움직임과 같은 [생물학적 일차적 정보]는 작업기억의 제한에 의해 거의 영향을 받지 않는다는 인지 부하 이론의 견해와 함께, 기초 인지 또는 내재 인지(grounded or embodied cognition)의 이론적 프레임워크는 [인지 부하와 학습에 대한 움직임movement의 영향]을 설명하는데 사용되어 왔다. 이 이론적 프레임워크에서는 (정보 처리 및 학습을 포함한) 인지적 프로세스는 제스처 및 기타 인간 움직임을 포함한 환경 내의 감각 및 운동 기능과 불가분의 관계에 있다고 주장한다 (Barsalou 1999).
Together with the cognitive load theory view that biologically primary information, such as human movement, is at most marginally affected by working memory limitations (Paas and Sweller 2012), the theoretical framework of grounded or embodied cognition has been used to explain the effects of movements on cognitive load and learning, by asserting that cognitive processes, including information processing and learning, are inextricably linked with sensory and motor functions within the environment, including gestures and other human movements (Barsalou 1999).

내장 인지embodied cognition 관점을 지지하는 연구는 [제스처를 관찰하거나 제스처를 취하는 것]이 더 풍부한 인코딩으로 이어지며, 따라서 더 풍부한 인지 표현을 이끌어 낸다는 것을 보여준다. 흥미롭게도, 보다 기본적인 운동 시스템의 개입은 지시 중 작업 메모리에 대한 부하를 감소시키는 것으로 보인다(예: Goldin-Meadow 등). 이는 이러한 풍부한 인코딩이 인지적으로 덜 요구되며 인지 부하 이론의 진화적 설명을 확인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Research supporting the embodied cognition view shows that observing or making gestures leads to richer encoding and therefore richer cognitive representations. Interestingly, the involvement of the more basic motor system seems to reduce load on working memory during instruction (e.g. Goldin-Meadow et al. 2001), which means that this richer encoding is less cognitively demanding and which confirms the evolutionary account of cognitive load theory.

[운동 정보motor information]가 WM의 제한된 자원을 차지할 수 있는 [추가적인 제시방식modality]을 구성할 수 있다는 것이 분명하다. [인지 부하 이론에 의해 채택된 작업 기억 모델]과 [인간 움직임의 인지적 효과]를 확실하게 조화시키기는 어려워 보이기 때문에, [인간의 움직임이 기존 WM 모델 내에서 고려되어야 하는 추가적 제시방식modality]을 구성할 수 있다고 주장할 수 있다. 
From the research, it is clear that motor information may constitute an additional modality that can also occupy WM’s limited resources. As it seems difficult to firmly reconcile the cognitive effects of human movement with the working memory model adopted by cognitive load theory, it can be argued that human movement may constitute an additional modality that should be considered within existing WM models.

 

결론들
Conclusions

이 절은 인지 부하 이론의 발전에 기여한 20년간의 연구에 대한 우리의 성찰을 끝낸다. 진보는 그 이론을 뒷받침하는 심리적 기반, 새로운 교육적 효과, 인지부하이론의 범위scope와 인지부하의 측정 등과 관련이 있다.

  • 가정된 [인지 구조의 기초]는 진화 심리학, 특히 Geary의 [1차 지식과 2차 지식 사이]의 구별을 사용함으로써 확고히 기초함으로써 강화되었다.
  • 가르침에 대한 직접적인 실질적인 함의를 가진 [새로운 교육 효과]가 공식화되었다. 자기 설명 효과, 상상 효과, 고립된 요소 효과, 집단적 작업 기억 효과, 인간 이동 효과가 포함된다.
  • 또한, 소위 [복합 효과]가 확인되었다. 이러한 영향은 다른 인지 부하 효과의 한계를 나타내며, 우리는 그것들이 보다 성숙한 이론의 특징이라고 본다.
  • 인지 부하 이론의 범위가 넓어져서 [인지 부하에 영향을 미치는 뚜렷한 요소로 물리적 환경] 포함하게 되었다
  • 마지막으로, 인지 부하의 [새로운 주관적이고 객관적인 측정]이 개발되어 연구자들이 부하의 다른 유형을 더 잘 구별할 수 있게 되었다.

This section ends our reflection on 20 years of research contributing to the development of cognitive load theory. Advances relate to its psychological basis, new instructional effects, its scope and measurements informing the theory.

  • The basis for the hypothesised cognitive architecture has been strengthened by firmly grounding it in evolutionary psychology, especially by using Geary’s distinction between primary and secondary knowledge.
  • New instructional effects with direct practical implications for instruction have been formulated, including the self-explanation effect, the imagination effect, the isolated elements effect, the collective working memory effect and the human movement effect.
  • In addition, the so-called compound effects have been identified; these effects indicate the limits of other cognitive load effects and we see them as being characteristic for a more mature theory.
  • The scope of cognitive load theory has been broadened by including the physical environment as a distinct factor affecting cognitive load.
  • Finally, new subjective and objective measurements of cognitive load have been developed, enabling researchers to make a better distinction between the different types of load.

인지 부하 이론의 발전은 관련 이론에 반영되었고 또한 미래 발전을 위한 추세를 설정했다. 예를 들어 멀티미디어 학습 자료의 설계에 초점을 맞춘 [멀티미디어 학습의 인지 이론(CTML; Mayer 2014)]은 새로운 인지 부하 효과 중 몇 가지와 전체 과제 과정과 커리큘럼의 설계에 초점을 맞춘 4개 요소 교육 설계(4C/ID; 반 메리엔보어 및 키르슈네르 2018a)를 포함한다.학습자의 전문지식의 성장은 교육 프로그램의 다른 단계에서 최적의 설계 원칙을 선택하는데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복합 효과에 대한 것이다. 
Advances in cognitive load theory have been reflected in related theories and also set the trends for future developments. For example, the cognitive theory of multimedia learning (CTML; Mayer 2014), focusing on the design of multimedia learning materials, includes several of the newer cognitive load effects, and four-component instructional design (4C/ID; van Merriënboer and Kirschner 2018a), focusing on the design of whole-task courses and curricula, builds especially on compound effects because the learners’ growth of expertise has direct implications for selecting optimal design principles in different stages of an educational program.

향후 연구 라인에서는 인지 부하 이론의 추가 개발을 위한 흥미로운 새로운 기회가 열립니다. 

  • [작업 기억 자원 고갈]은 [개별 인지 자원의 고정된 시간적 특성에 의문을 제기]하며, 몇 가지 인지적 부하 효과에 주요한 영향을 미칠 수 있다. 
  • [인지 부하 대한 자기 관리 및 기타 유형의 자기 조절 학습]교육에 있어 [일차적 지식과 이차적 지식의 결합을 재고할 것]을 요구한다. 
  • 스트레스, 감정 및 불확실성을 유발하는 [물리적 환경]은 [인지 부하를 효과적으로 처리하는 방법에 대한 새로운 질문]을 발생시킨다. 
  • [인간의 움직임은 작업기억에서 특별한 역할을 수행]하는 것처럼 보이며, 이는 교육적 설계와 관련하여 인간 인지 구조의 재고를 요구할 수 있다.

Future research lines open up exciting new opportunities for the further development of cognitive load theory:

  • working memory resource depletion questions the fixed temporal character of individual cognitive resources and might have major implications for several cognitive load effects;
  • self-management of cognitive load and other types of self-regulated learning require us to rethink the combination of primary and secondary knowledge in teaching;
  • physical environments that evoke stress, emotions and/or uncertainty generate new questions on how to effectively deal with cognitive load, and
  • the special role that human movement seems to play in working memory might ask for a reconsideration of human cognitive architecture in relation to instructional design.

인지 부하 이론의 생존가능성은 그것의 주요 강점과 관련이 있다.

  • (1) 인간 인지 아키텍처에 대한 지식을 바탕으로 한다.
  • (2) 인간의 인식에 대한 지식이 발전함에 따라 지속적인 개발 중에 있다.
  • (3) 시험 가능한 가설로 이어지며, 음의 결과가 나올 경우 이론이 수정된다.
  • (4) 이론에 의해 생성된 방대한 데이터는 무작위화되고 통제된 시험에 기초한다.
  • (5) 무작위적이고 통제된 시험은 의학 교육에서 영문학에 이르는 광범위한 주제와 함께, 매우 어린 연령에서 성인 학습자에 이르기까지 모든 연령 그룹을 가르치는 전통적인 교실에서 전자 학습에 이르기까지 광범위한 교육적 맥락에서 사용될 수 있는 교육 절차의 효율성에 대한 증거를 제공한다.레의


The viability of cognitive load theory is related to its major strengths, namely,

  • (1) it is firmly based in our—expanding—knowledge of human cognitive architecture;
  • (2) it is under continuous development as our knowledge of human cognition advances;
  • (3) it leads to testable hypotheses with possible negative results leading to modifications of the theory;
  • (4) the vast bulk of the data generated by the theory is based on randomised, controlled trials; and
  • (5) those randomised, controlled trials provide evidence for the effectiveness of instructional procedures that can be used in a wide range of educational contexts from conventional classrooms to e-learning, teaching all age groups from very young to adult learners, with an enormous range of subject matter from medical education to English literature.

이러한 강점들 덕분에 인지 부하 이론은 몇 년 동안 급격히 변화했지만 여전히 좋은 상태를 유지하고 있고, 건전한 연구가 그것의 발전을 이끄는 한, 우리는 그것의 밝은 미래를 봅니다.

Thanks to these strengths cognitive load theory has drastically changed over the years but is still in good shape, and as long as sound research is driving its further development, we see a bright future for it.

결론적으로, 우리는 지난 20년 동안 인지 부하 이론의 중요한 변화를 보아왔고, 현재 교육 연구와 실제 교육 분야 모두에서 인지 부하 이론의 인기를 감안할 때, 우리는 앞으로 20년 동안 똑같이 중요한 변화를 예상한다. 이 글에서, 우리는 비록 미래가 예측 불가능하다는 것을 완전히 인정하지만, 이론의 추가적인 발전을 위해 우리가 전망하는 몇 가지 연구 방향을 스케치했다. 1998년 논문에서는, 진화 심리학, 작동 기억 자원 고갈, 내장 인식embodied cognition에 대한 어떠한 언급도 하지 않았습니다. 하지만, 이러한 생각들은 이론의 추가적인 발전에 결정적인 것으로 드러났습니다. 그러니, 미래를 예측하려고 하지 말고 계속해서 좋은 연구를 해서 미래를 창조하자.

To conclude, we have seen important changes in cognitive load theory over the last 20 years and, given the current popularity of cognitive load theory in both educational research and the practical educational field, we expect equally important changes in the 20 years to come. In this article, we sketched some research directions that we see as promising for the further development of the theory, although we fully acknowledge that the future is unpredictable. In the 1998 article, no mention was made whatsoever of evolutionary psychology, working memory resource depletion or embodied cognition, yet, these ideas turned out to be crucial for the further development of the theory. So, let us not try to predict the future but create it by continuing to do good research.

 

 

 


Abstract

Cognitive load theory was introduced in the 1980s as an instructional design theory based on several uncontroversial aspects of human cognitive architecture. Our knowledge of many of the characteristics of working memory, long-term memory and the relations between them had been well-established for many decades prior to the introduction of the theory. Curiously, this knowledge had had a limited impact on the field of instructional design with most instructional design recommendations proceeding as though working memory and long-term memory did not exist. In contrast, cognitive load theory emphasised that all novel information first is processed by a capacity and duration limited working memory and then stored in an unlimited long-term memory for later use. Once information is stored in long-term memory, the capacity and duration limits of working memory disappear transforming our ability to function. By the late 1990s, sufficient data had been collected using the theory to warrant an extended analysis resulting in the publication of Sweller et al. (Educational Psychology Review, 10, 251–296, 1998). Extensive further theoretical and empirical work have been carried out since that time and this paper is an attempt to summarise the last 20 years of cognitive load theory and to sketch directions for future research.

 

의학교육에서 이론과 신화: 무엇을 가치있게 여기며, 누구에게 복무하는가? (Med Educ, 2019)
Theories and myths in medical education: What is valued and who is served?
James Brown1,2 | Debra Nestel1,3

 

 

그들의 글에서 마르티미아나키스 등은 우리 세계에 대한 구시대적인 설명 이상으로 신화를 주장한다. 그들은 신화를 단순히 설명적인 해석을 제공하는 것 이상의 [사회적 목적을 충족시키는 공유된 담화]라고 생각한다. 이러한 용도는 다음과 같습니다. 
In their article Martimianakis et al.1 position myths as more than dated explanations of our world. They identify myths as shared narratives that fulfil social purposes well beyond simply providing explanatory interpretations. These purposes are: 

• 공유 의미 만들기 
•  Shared meaning making 
• 가치와 이념을 전달하기 위한 수단 
•  A vehicle for values and ideologies 
• 사회 권력 구조를 유지하는 수단
•  A means of maintaining social power structures

그들은 또한 [신화 파괴] 그 자체조차 [의학교육 공동체 내에 존재하는 신화]에 바탕을 둔 활동으로 간주한다. 즉, 의학 교육을 [검증 가능한 진실에 객관적으로 접근하고, 사실이 의미보다 중시되고, 물리과학이 사회과학보다 우월한 위치에 있는 자연과학]으로 간주한다는 신화이다. Martimanakis 등은 우리가 의학교육이 가지고 있는 교리를 신화로 생각할 때, 우리는 그들의 설명 기능뿐만 아니라 사회적 기능도 탐구해야 한다고 권고한다. 이렇게 함으로써, 우리는 우리의 "과학적" 설명뿐만 아니라 의미 형성, 가치, 그리고 정치를 비평의 대상으로 삼을 수 있다.
They also position myth busting as an activity that is itself based on a myth held within our community of medical education. That is, the myth that places medical education as a natural science with an objective approach to truths that are verifiable, where facts are valued over meaning, and physical sciences are positioned as superior to social sciences. Martimianakis et al. recommend that, when we consider tenets held by medical education as myths, we should explore their social function as well as their explanatory function. In doing this, we can subject our meaning making, values and politics to critique as well as our “scientific” explanations.

Hodges와 Kuper에 따르면 [교육 이론]"의미있는 전체로서 전달되는 일련의 문제에 대한 체계적이고 체계적인 표현"으로 정의된다.2 이것은 본질적으로 [사회적으로 공유된 이야기]입니다. 
An educational theory is defined by Hodges and Kuper as an “organised coherent, and systematic articulation of a set of issues … communicated as a meaningful whole”.2 This is essentially a socially shared narrative. 

최근 발간된 "잃어버린 인물 이론?"이라는 글에서 우리는 신화의 사회적 기능을 바탕으로 교육 연구 저술에서 교육 이론의 기능에 대한 조사를 틀에 넣었다.3 우리는 [신화]를 [오랜 세월 동안 인간의 경험으로 울려 퍼졌기 때문에, 힘과 지속성을 가진 나레이션된 사회적 은유]라고 위치시킨 조셉 캠벨의 작품을 이용했다.4 우리는 이론의 한 가지 기능은 [의미를 공유하는 매개체]가 된다는 것을 발견했습니다. 이것은 특히 강력한 현대적 currency를 가진 중범위 이론middle range theories5의 경우였다. 

In our recently published article, “Theory, a lost character?”, we drew on the social function of myth to frame our investigation into the function of educational theory in educational research writing.3 We drew on Joseph Campbell's work, which positions myths as narrativised social metaphors that have power and persistence because they have resonated with human experience over time.4 We found that one function of theory was to be a vehicle for shared meaning making. This was particularly the case with middlerange theories5 that have strong contemporary currency. 

그러한 이론들을 공유된 서술로, 따라서 신화로 보는 것이 도움이 된다. 이러한 세 가지 중범위 이론은 다음과 같다:

  • 성인 학습의 원리,
  • 실천 공동체 이론
  • 역량 기반 교육 이론화.8

It is helpful to view such theories, as shared narratives and therefore as myths. Three such middlerange theories are:

  • the principles of adult learning6,
  • communities of practice theory7, and
  • competency-based education theorising.8



그렇다면 그들이 지니고 있는 공유된 의미, 그들이 지지하는 가치, 그리고 그들이 봉사하는 정치적 구조는 무엇인가?
what then are shared meanings that they carry, the values they support and the political structures they serve?

Knowles에 의해 기술된,6 [성인 학습의 원칙]은 Rogers의 인본주의적 사고와 일치한다. 성인 학습 이론의 주장의 타당성에 대해 의문을 제기하는 많은 저술이 있지만, 11 그것은 의학 교육 연구와 실습을 위한 프레임으로 남아있다. 의대 교육 어휘에서 "성인학습 이론"은 [학습자 중심성]이라는 아이디어를 공유하기 위한 운송수단shared vehicle이 되었다.3
Described by Knowles,6 the principles of adult learning align with the humanistic thinking of Rogers.9,10 Although much has been written questioning the validity of the claims of adult learning theory,11 it persists as a frame for medical education research and practice. In the medical education lexicon, “adult learning theory” has become a shared vehicle for the idea of learner centredness.3

이러한 이론은 [개인의 자율성]에 높은 가치를 두며, 교육은 [개인의 "자기실현"을 위한 고유 능력]을 촉진한다고 간주한다. 그렇게 함으로써, 성인학습이론은 개인에 대한 존중을 요구한다. 개인의 이러한 입장은 민주주의와 자본주의 이데올로기와 권력 구조를 유지하는 데 모두 도움이 되며, 개인이 market으로 간주되고, 개인은 자신의 상황에 대한 책임이 있다고 여김으로써, 권력을 쥐고 사회 정책을 결정하는 사람들의 무죄를 입증한다. 
This theorising puts high value on individual autonomy and positions education as facilitating the individual's inherent capacity to “selfactualise”. In doing so, it demands respect for the individual. This positioning of the individual serves both democratic and capitalist ideologies and power structures where the individual is viewed as a market and is attributed with responsibility for their situation, thus exonerating those who hold power and determine social policy. 

벵거의 [실천 공동체 이론]은 사회주의적 사고에 의해 상당히 영향을 받는 사회 구조와 사회 행동의 논리에 기초한다. "실천 공동체"라는 문구는 의학교육 연구 및 실천 언어의 일부가 되었으며, [공동의 목적을 가지고 함께 일하는 집단]이라는 공유된 생각을 전달한다.3 이 이론은 [학습자와 학습자가 참여하는 실천 공동체 사이의 인터페이스]에 초점을 맞추면서 [학습의 사회적 맥락]이라는 관점을 취한다. 참여, 관여 및 의미 부여는 가치있게 여겨지고 특별하게 여겨진다. 이 이론은 학습을 생산 공동체community of production의 사업으로 전경하고 있으며, 이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제공되고 형성된다. 또한 개별 행위자individual agency보다 사회 구조social structure를 우선하여 정체성의 사회적 특성을 개념화할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한다. 이데올로기적이고 정치적인 관점에서, 실천공동체 이론은 우리 사회를 구성하는 [사회적 생산단위의 요구]를 우선시하며, 특히 이러한 [생산단위를 담당하는 사람들의 의제]에 복무한다. 이러한 관점은 공동체 실천의 객체object에 대해서는 거의 고려하지 않는데, 의료 공동체에서 그 객체는 바로 환자이다.9 
Wenger's theory of communities of practice draws on treatises of social structure and social action that are significantly influenced by socialist thinking.7 The phrase “communities of practice” has become part of the language of medical education research and practice, to carry the shared idea of groups working together with a common purpose.3 This theory takes the perspective of the social context of learning, focusing on the interface between the learner and the community of practice in which they are engaged. Participation, engagement and meaning making are valued and privileged. The theory foregrounds learning as the business of communities of production, which it both serves and is shaped by over time. It also offers a means to conceptualise the social nature of identity, preferencing social structure over individual agency. From ideological and political perspectives, communities of practice theory gives priority to the needs of the social units of production that make up our society and serves particularly the agendas of those in charge of these units of production. This perspective gives little consideration to the object of the community's practice, which in medical communities is the patient.9 

[역량 기반 교육]은, [학습자를 목표된 개입을 통해 변화될 수 있는 대상]으로 보는, 교육에 대한 기계적인 관점을 가진 과학적 환운주의에서 비롯된다.8,12 의학교육 담론에서 "역량 기반 교육"은 합리성과 구조에 대한 아이디어를 담고 있다. 이 이론적 접근법은 [효율성과 책무성]을 중시하므로, [프로세스보다 결과를 우선시]하고, [주관적인 것보다 객관적인 것]을 우선시합니다. 역량 기반 의학에서의 담론은 데카르트어인 바이오의학을 사용한다. 정치적인 관점에서, 역량기반교육은 (관계의 맥락에서 학습자 동기 부여와 의미 형성의 복잡성을 다루기를 회피하는) 단순화된 기계론적 모델을 제공함으로써 교수진들에게 복무한다. 또한 교육의 자금 제공자와 제공자에게 도움이 되는 효율성과 비용 절감에 대한 논의와도 부합합니다.2 
Competency-based education comes from scientific reductionism with a mechanistic view of education where the learner is an object that can be changed through targeted interventions.8,12 In medical education discourses, “competencybased education” carries the idea of rationality and structure. This theoretical approach values efficiency and accountability and therefore prioritises outcomes over process and the objective over the subjective. Discourse in competency[based medicine uses the Cartesian language of biomedicine. From a political perspective, this serves faculty members by providing a simplified mechanistic model that avoids dealing with the complexity of learner motivation and meaning making in the context of relationships. It also fits with the discourse of efficiency and cost reduction that serves the funders and providers of education.2 

Bordage3는 각기 다른 이론적 관점은, [이론의 설명적 기능에 있어서 하나가 다른 것보다 더 옳고 그른 것이 아니라], 각각 다른 것에 대해 다른 렌즈를 제공한다고 주장한다. 우리는 사회적 내러티브로서 이론이 다른 가치와 힘의 중심을 위한 다른 매개체 역할을 한다고 제안한다. 이런 점에서 그들은 옳지도 그르지도 않고, 오히려 무엇이 가치 있고 누구의 이익이 위태로운지를 들여다 볼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한다. 이론이 관점이 아닌 진리로 제시될 때 비로소 헤게모닉 도구로서 문제가 된다. 
Bordage3 puts forward that different theoretical perspectives, rather than being more right or wrong in their explanatory function, each provide a different lens on different things. We suggest that as social narratives, theories also serve as different vehicles for different values and different centres of power. In these respects, they are also neither right nor wrong, rather, they provide the means for a window into what is valued and whose interests are at stake. It is only when theories are held up as truisms, rather than perspectives, that they become problematic as hegemonic tools. 

결론적으로, 마르티미아나키스 등이 이야기한 것처럼, 신화의 사회적 기능을 더 앞으로 드러내는 것foregrounding이 중요하다. 그것은 의학 교육 신념에 대한 비판을 그들이 주장하는 것 이상으로, 특정한 가치와 권력의 중심을 지지하기 위해 그들이 하는 일을 고려하는 것으로 확대한다. 우리는 [교육 이론도 신화의 한 가지 형태로 간주함으로써], 신화를 통한 특정한 신념에 대한 조사를 확장하였다. 이론은 설명적인 기능을 가지고 있고, 또한 [특정한 가치]와 [특정한 정치적 구조]를 유지하는 [공유된 담화]를 제공한다.  
In conclusion, Martimianakis et al.'s foregrounding of the social function of myths is important. It expands the critique of medical education beliefs, beyond what they claim, to considering what they do to support certain values and certain centres of power. We have extended their examination of specific beliefs as myths to considering educational theories as forms of myths. Theories have an explanatory function and they also provide shared narratives that sustain particular values and particular political structures.  

우리는 신화가 의학 교육에서 "참을 수 없는 필요성" 이상이라고 주장한다; 그것들은 의학 교육계의 사회적 구조의 중요한 부분이다.

We contend that myths are more than an “unbearable necessity” in medical education; they are an important part of the social fabric of the medical education community.

3. Brown J, Bearman M, Kirby C, Molloy E, Colville D, Nestel D. Theory, a lost character? As presented in general practice education research papers. Med Educ. 2019;53(5):443-457.

 


Med Educ. 2020 Jan;54(1):4-6.

 doi: 10.1111/medu.14003.

Theories and myths in medical education: What is valued and who is served?

James Brown 1 2Debra Nestel 1 3

Affiliations collapse

Affiliations

  • 1Monash Institute of Health and Clinical Education, Faculty of Medicine, Nursing and Health Sciences, Monash University, Clayton, Victoria, Australia.
  • 2Eastern Victoria GP Training, Churchill, Victoria, Australia.
  • 3Department of Surgery, Faculty of Medicine, Dentistry and Health Sciences, University of Melbourne, Melbourne, Victoria, Australia.

교육과 (의료)서비스: 어떻게 이론이 긴장을 이해하게 하는가 (Med Educ, 2019)
Education and service: how theories can help in understanding tensions
Jennifer Cleland1 & Steven J Durning2

 

도입
INTRODUCTION


의료 환경의 주된 목적은 안전하고 효과적인 의료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입니다. 그러나 고품질의 환자 진료 제공과 동시에 병원, 클리닉 및 기타 의료 시설에서도 미래 세대의 의료 전문가 교육 및 훈련을 진행한다.1 이로 인해 서비스와 교육이 제한된 시간과 자원을 두고 경쟁하는 상황이 초래됩니다.2 의료 교육은 점점 더 압박되고 규제되는 환경에서 일하는 컨설턴트 및 기타 의료 교수진에게 요구되는 여러 가지 [경쟁적 요구competing demands] 중 하나입니다.3–6 훈련 중인 의사(전공의)도 예를 들어, 더 적은 시간 이내에 역량을 달성해야 할 필요성과 의료 및 기술 지식의 확대로 인해 교육 압박이 가중되고 있습니다.10 
The main purpose of health care environments is to provide safe and effective health care. However, at the same time as delivering high-quality patient care, hospitals, clinics and other health care facilities also host the education and training of future generations of health professionals.1 This results in the situation where service and education compete for limited time and resources.2 Medical education is one of multiple, competing demands for consultants and other health care faculty members working in increasingly pressured and regulated environments.3–6 Doctors in training (residents or registrars) also face increasing educational pressures because of, for example, the need to achieve competencies within fewer hours7–9 and the expansion of medical and technological knowledge.10 

간단히 말해, [규제 제한regulatory restriction]이 증가하는 환경에서 [실습과 교육 요구가 증가]하면 교직원이 교육할 수 있는 시간과 오늘날의 의료 환경에서 교육받을 수 있는 시간이 줄어듭니다. 
In short, increased practice and educational demands in the milieu of growing regulatory restrictions mean less time is available for faculty members to teach and for trainees to learn in today’s health care environment. 

교육과 서비스 간 긴장 도전에 대한 대응은 다양했다. 여기에는 의대 교육의 변화를 요구하는 내용도 포함되어 있습니다. 
Responses to the challenge of tension between education and service have been diverse. These have included calls for the transformation of medical education, 

수련생과 레지던트가 환자 진료 제공에 의미 있게 참여하는 의료 환경에서 의료 훈련의 대다수가 계속 제공된다면(그리고 우리는 그렇지 않은 시나리오는 상상할 수 없다), 서비스와 교육이 (서로 분리되고 경쟁하는 활동보다는) 생산적으로 조정될 수 있는 방법을 검토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if the majority of medical training continues to be delivered in health care contexts where trainees and residents meaningfully participate in the delivery of patient care (and we cannot imagine a scenario where this would not be the case), then it is essential to examine how service and education can be aligned productively rather than being seen as separate, competing activities.24–26 


방법
METHODS

우리는 의료 교육 및 훈련의 서비스-교육 긴장에 대한 문헌 검토를 수행했습니다. 우리의 검색 목적은 엄격함을 위해 이 주제에 대해 발표된 연구를 평가하거나 이를 위한 공식적인 방법론을 사용하여 연구 결과를 비교하는 것이 아니었다. 오히려, 우리는 연구의 초점과 이론의 사용, 그리고 견실한 방법론에 관심이 있었습니다.
We carried out a review of the literature on service– education tensions in medical education and training. The purpose of our search was not to assess published research on this topic for rigour, or to compare study outcomes using a formal methodology for doing so. Rather, we were interested in the study focus and use of theory and robust methodologies. 

문헌에서 분명한 것은 의료 교육자와 수련의사 또는 레지던트들이 그들의 훈련 프로그램이 임상 교육과 서비스의 균형에 맞지 않는 인상을 가지고 있다는 것이다. 특히, 전공의들은 (교육보다는) 서비스 쪽의 과잉을 더 자주 보고한다. 비록 서비스 및 교육에 대한 전공의와 Trainer의 정의가 완전히 일치하지는 않지만, 두 그룹 모두 서비스 활동이 교육적으로 가치가 있을 수 있다는 점을 인정합니다. 
What was clear from the literature is that medical educators and doctors in training or residents hold mismatched impressions of their training programmes’ balance of service obligations with clinical education. Specifically, residents more frequently report an overabundance of service. Both groups acknowledge that service activities can be educationally valuable, although the residents’ and trainers’ definitions of service and training are not fully aligned. 

이러한 긴장은 직장 학습에 관한 폭넓은 문헌 측면에서 타당하다. 많은 연구자에 따르면, 업무 참여와 학습 사이에는 구분이 없다.34 [업무 활동, 직장, 기타 근로자, 관찰 및 경청 등]이 작업을 통해 근로자가 직업 활동을 학습할 수 있는 주요 원천으로 일관되게 보고되고 있다.35 그러나 직장 내에서의 여러 활동이 갖는 가치는 사람마다 다르다.
These tensions make sense in terms of the wider literature on workplace learning. For many authors, there is no separation between participation in work and learning.34 Work activities, the workplace, other workers and observing and listening are consistently reported as key sources for workers to learn their vocational activities through work.35 What does differ, however, is the value individuals place on different activities within the workplace. 

학습자는 직장에서 일어나는 [동화적이고 수용적인assimilative and accommodative 학습]에 비해 [공식적인 학습 기회]를 인식하고 더 중시할privilege 높일 가능성이 높습니다.38,39 이러한 점을 감안할 때, 컨설턴트, 트레이너, 교육생 및 레지던트의 관점이 다르다는 것은 놀라운 일이 아닙니다. 무엇보다 Trainer와 Trainee는 동일한 활동에 대해서 서로 다른 관점을 가지고 있으며, 서비스란 무엇이고 교육이란 무엇인지에 대한 서로 다른 정의를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learners are more likely to recognise and privilege formal learning opportunities, and be more motivated to be receptive to these, compared with the more assimilative and accommodative learning that takes place in the workplace.38,39 Given this, it is unsurprising that consultants and trainers, and trainees and residents, have different perspectives on the same activities, and different definitions of what is service and what is education. 

그러나, 우리의 문헌 검색은 이러한 서로 다른 관점이나 긴장의 정확한 성격을 명확히 하려는 시도가 드물게 이루어졌음을 보여주었다. 
However, our literature search indicated that only infrequently have attempts been made to clarify the precise nature of these different perspectives or tensions 

이들은 의학 교육의 다른 여러 분야와 마찬가지로, 이론과 방법론을 다른 분야에서 차용한 분야에 대한 (lags behind하다는) 주요 비판이다. 
These are major criticisms of work on this topic, which, like several others in medical education, ‘lags behind’ areas where theories and methodologies have been borrowed from other fields 

 

이론적 프레임워크의 사용
The use of theoretical frameworks

[이론]은 공통점과 패턴을 강조하고, 개념적 일반화 가능성을 창출하는 방식으로, 데이터를 조직하고 해석할 수 있는 체계를 제공할 수 있다.44,45 이것의 장점은 여러 가지이다. 

  • 첫째, findings이 다른 상황과 다른 맥락에 대한 전이가능성과 적용가능성에 대해 다른 사람들에 의해 평가될 수 있습니다.46 
  • 둘째, 이론 프레임의 사용은 연구 대상 현상에 대한 강력한 설명을 개발하는 데 도움이 되며, 이는 향후 연구에서 정교하게 다듬어질 수 있다.47 
  • 셋째, 이론은 이전에 충분히 탐구되지 않은 현상을 이해하는 데 사용할 수 있는 한 분야의 예상된expected 연관성 및 상호작용 로드맵을 제공할 수 있다. 
  • 마지막으로, 개념적 및 이론적 프레임워크는 연구 대상 문제의 특정 측면을 조명하고 확대하기 위한 수단이다.48 실제로, 둘 이상의 개념적 또는 이론적 프레임워크는 주어진 상황, 특히 복잡한 사회적 이슈를 수반하는 상황과 관련될 수 있다.48,49


Theory can provide a framework to organise and interpret the data in such a way as to highlight commonalities and patterns and generate conceptual generalisability.44,45 The advantages of this are multiple.

  • First, findings can be assessed by others for their transferability and potential for applicability to other situations and different contexts.46
  • Second, the use of theoretical framing helps develop robust explanations of the phenomena under study, which can be elaborated and refined in future research.47
  • Third, theory can provide a roadmap of expected associations and interactions from one field that can be used to understand a previously underexplored phenomenon.
  • Finally, conceptual and theoretical frameworks are a means to illuminate and magnify certain aspects of the problem under study.48 Indeed, more than one conceptual or theoretical framework may be relevant to a given situation, particularly situations that involve complex social issues.48,49


우리는 공통의 근본적인 문제와 교육 서비스 긴장에 대한 잠재적 해결책을 식별하기 위해 네 가지 이론적 프레임워크의 예를 적용합니다.
we apply four examples of theoretical frameworks to identify common underlying issues and potential solutions to education–service tensions.

  • 그림 세계;50 
  • 건축 실습;51,52 
  • 위치 학습, 53-55 그리고 
  • 문화-역사 활동 이론(CHAT 또는 AT)

 

  • figured worlds;50 
  • practice architectures;51,52 
  • situated learning,53–55 and 
  • cultural-historical activity theory (CHAT or AT ).

이러한 (실천 아키텍처) 중 하나는 우리가 아는 한 MER에게는 매우 새로운 것입니다.
One of these (practice architectures) is to the best of our knowledge, quite novel to MER.

하지만 왜 이런 이론들이죠? 우리의 입장은 [학습은 사회적이고 참여적]이며, 따라서 [사회적 맥락에 위치]하기 때문에 우리는 주로 광범위한 [사회문화 이론]의 계통family으로부터 이론을 끌어냈습니다. 이러한 관점에서 서비스와 교육은 사업장의 사회적 맥락에서 발생하며, 사업장의 맥락에서 다른 사람과 상호작용에 의해 형성되고 차례로 형성됩니다. 학습은 특정 지식과 기술을 습득하는 것뿐만 아니라, 직장 내 다른 사람의 특정 전문 커뮤니티와의 참여도 수반합니다. 
But why these theories? Our stance is that learning is social and participatory59 and thus situated in social contexts so we have drawn our theories primarily from the broad family of sociocultural theories. From this perspective, service and education occur in the social context of the workplace and are shaped by, and in turn shape, the other people and interactions in the workplace context. Learning involves not only acquiring particular knowledge and skills but also engagement with a particular professional community of other people in the workplace

어떤 이론들은 다른 이론들보다 학습 맥락, 연습, 정체성 형성에 있어서 유물뿐만 아니라 다른 사람들의 역할도 더 고려한다. 실무 건축 이론과 CHAT에서는 '[환경, 다른 동물, 사물 및 인공물]들은 단순한 배경 상황이나 도구가 아닌, 인간 존재와 사회 생활의 집행enactment에 필수적인 것'으로 취급한다'61.
Some theories take more account of the role of artifacts (‘things’) as well as other people in learning contexts, practices and identity formation than others. Practice architecture theory51,60 and CHAT56–58 are situated within this broadly sociomaterial arena, where ‘environment, other animals, objects and artefacts are treated as integral to the enactment of human existence and social life rather than as simply background context or tools’61.

[인간의 행위자성human agency]은 퍼즐의 한 부분일 뿐이다. 비인간적 물질(예: '로타', 전공의의 포트폴리오, 커뮤니케이션 시스템) 또한 이 사고 학파에서 힘과 영향력을 가지고 있다. 게다가, 다른 사람들은 다양한 방식으로 그들의 사회적 (직장) 환경과 자신을 연관시킵니다. Actor(개인)의 위치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바뀔 수 있으며, 자신의 '역사-문화적 Baggage(예: 성별, 인종, 과거 경험, 기대 등)' 때문에, 활동activities에 대한 배우actor의 인식과 사회적, 문화적 세계에서의 자신의 위치와 관련된 전문적 관행 및 정체성 사이에 차이가 있을 수 있다. 
Human agency is only one part of the jigsaw: non- human materials (e.g. ‘the rota’, the resident’s portfolio, the communication system) also have power and impact in this school of thought. Moreover, different people relate themselves to their social (workplace) surroundings in various ways. Actors’ (individuals’) positions may shift over time, and there may be gaps between actors’ perceptions of activities and the professional practices and identities that are associated with their position in the social and cultural world, because of their own ‘historical–cultural baggage’ (e.g. their gender, ethnicity, past experiences, expectations and so on).50,63 

Table 1.

 

형상화된 세계 Figured worlds

Holland 외 연구진(1998)은 형상화된 세계Figured World(FW)를 [사람들이 새로운 자아 이해(정체성)를 생산(수행)하는 '사회적으로 생산된, 문화적으로 구성된 활동']으로 폭넓게 정의했다. 상상된 세계FW는 문화적, 사회적 기반을 가지고 있으며, 권력, 지위 및 계급의 관계에 의해 조정되며, 일상 활동을 통해 관련되고 조직됩니다. 각자의 상상된 세계FW는 세계가 바탕이 되는 [사회적으로 구성된 선입견]에 의해 조직됩니다(예: 수련의 의사로서, 나는 가르침을 받기 위해 여기에 있습니다). 일상적인 사회적 관행과 활동은 이러한 내러티브에 대하여 해석됩니다(예: 어떤 활동은 서비스 '직무'으로, 다른 활동은 교육의 기회로 간주). Trainee은 동일한 공간 내에서, [학습자]와 [(서비스를 제공하는) 의사]라는 다수의 정체성을 두고 협상해야 하며, 시스템과 정체성에 따라 지속적으로 긴장이 발생합니다.64 
Holland et al. (1998)50 broadly defined figured worlds as ‘socially produced, culturally constituted activities’ where people produce (perform) new self- understandings (identities). Figured worlds are culturally and socially based, mediated by relations of power, status and rank, and implicated and organised through daily activities. Each figured world is organised by socially constructed preconceptions on which the world is based (such as: as a doctor in training, I am here to be taught). Day-to-day social practices and activities are interpreted against these narratives (e.g. one activity is seen as a service ‘job’, another is seen as an educational opportunity). Trainees must negotiate the multiple identities of a learner and a doctor who delivers service within the same space, leading to tensions arising from systems and identities in constant flux.64 

상상된 세계FW는 정적이지 않으며, 일상적인 행동과 '위치'의 과정을 통해 구성되고 재구성됩니다. 즉, 특정 형상화된 세계(예: 연습생, 컨설턴트 또는 감독자)에 있는 사람들에게는 '직위position'가 부여되고, 이를 수락, 거부 또는 협상할 수 있습니다. 이것을 '저작의 공간space of authoring'이라고 한다.50 예를 들어, [형상화된 세계]가 [원래 만들어진 세계]와 다를 때, 개인의 반응은 [특정한 세계]를 향하여(또는 바깥으로) 스스로를 재서술rewrite하는 것일 수 있다. 즉석에서 이루어지는 이러한 개인적 협상은 거시적으로 구성된 의료 교육 세계macro figured world에 대항하여 이루어집니다.65
Figured worlds are not static, rather they are constructed and reconstructed through daily actions and a process of ‘positionality’; that is, the positions ‘offered’ to people in a certain figured world (such as trainee, consultant or supervisor), which they may accept, reject or negotiate. This is called the ‘space of authoring’.50 Where there is a challenge, when for example the figured world is different to what was originally constructed, an individual’s response may be to rewrite themselves into (or out of) that particular world. These personal negotiations, referred to as improvisations, take place against the macro figured world of medical education.65

서비스 교육 긴장에 Figured worlds 이론 적용
Applying the theory of figured worlds to service–training tensions

의료 훈련을 [문화적으로 구성된 세계culturally figured world]라고 생각하게 되면 다음이 드러난다.

  • [서비스 및 훈련에 대한 정책]은 어떤 방식으로 작용하여 실천을 형성하는지,
  • [지배적인 담론(예: 서비스가 수련보다 우선한다)]은 어떤 방식으로 [훈련생과 전공의(및 훈련자)의 실천practice 및 그들에게 허용되는 정체성]을 형성하는지

Conceiving medical training as a culturally figured world reveals

  • how policies about service and training work to shape practices, and
  • how dominant narratives (e.g. service is prioritised over training) may work to shape the practices of, and identities available to, trainees and residents (and their trainers).

이것은 인과관계의 문제가 아니라, 훈련생과 전공의에게 있어서 [시간에 따라 창발하고 변화해 가는 형상화된 세계에 관한 것]이며, [이러한 변화에 기여하는 것이 무엇인지]에 대한 것이다. 

This is not about cause and effect but about the figured world of trainees and residents emerging and shifting over time, and what it is that contributes to shifts. 

예를 들어, 수련생이나 전공의는 교육적 요구가 서포트되었으면 하는 요구에 대한 기대가 충족되지 않는 경우, 교육을 그만두거나 다른 전공으로 옮길 것을 생각할 수 있다.

  • 수년 동안 less-powered한 입장에서의 관찰에도 불구하고, 의료 훈련의 세계가 그들이 기대했던 것이 아니었던 것에 대한 반응일까?
  • 그들이 교육자들에게 가지고 있는 (종종 무언의) 기대가 충족되지 못하고 있기 때문일까? 
  • 개인의 역사와 과거 경험(예: 이전 고용 및 학습 경험) 및 의료 훈련 세계와의 상호작용에 의해 형성되는 개인 간의 공동 구성은 무엇입니까? 
  • 서비스와 교육의 균형이 맞지 않고, 전문적 개발에서 적절히 뒷받침되지 않는다고 느끼는 상황을 경험한다면, 상위 레벨의 교육에 지원할 가능성이 낮아지는가?

For example, where trainee’ and residents’ expectations about how their education needs to be supported are unmet,25,42,74 they may think of quitting training or shifting to another specialty.

  • Are these responses due to the world of medical training not being what they expected, even after many years of observation from the lesser-powered position of student?75
  • Is it because the (often unspoken) expectations they have of their educators are not being meet?76
  • What is the co-construction between individuals, shaped by their history and past experiences (e.g. their previous employment and learning experiences), and their interactions with the world of medical training?
  • If they experience contexts where service and training are not well balanced, where they do not feel they are adequately supported in their professional development, are they less likely to apply for higher-level training? 


현재 지배적인 서술은 훈련보다 봉사가 우선시된다는 것이지만(앞부분 참조), [상상된 세계FW 이론]은 또한 의학 내에서 [학습과 학습자의 정체성을 재정립하는 수단]으로서 [이 담론에 대한 저항을 촉진하는 수단]을 제공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재조정은 파열, 변화 및 기회와 관련하여 발생할 수 있으며,

  • [비판적인 의견]의 공간을 열어주고,
  • [가치 있게 여겨지는 것이 무엇인지]에 대한 담론에 영향을 미치며,
  • [새로운 형상화된 세계]와 [상상된 미래]를 창조할 수 있습니다.50 

Although the current dominant narrative is that service is prioritised over training (see earlier), figured worlds theory may also provide a way of promoting resistance to this discourse, a means of refiguring the identity of learning and learners within medicine. This refiguring is likely to occur in relation to ruptures, changes and opportunities that

  • open up critical comment,
  • have an impact on the discourse of what is valued, and
  • create new figured worlds and imagined futures.50 

 

실천 아키텍처
Practice architectures


Kemmis와 Grootenboer60 및 Shatzki는 [교육적 실천education practice]는 다른 무언가를 희생하는 가운데, 어떤 종류의 행동을 형성하거나, 활성화하거나, 제약하는 전제조건(실천 아키텍처)에 의해 이뤄진다be held고 주장한다. 넓게 말하면, 실천 구조 이론은 개인보다는 [장소]에 초점을 맞춘다. 
Kemmis and Grootenboer60 and Schatzki78,79 propose that education practices are held in place by preconditions (practice architectures) that shape, enable and constrain some kinds of action at the expense of others. Broadly speaking, the theory of practice architectures focuses on place rather than the individual (as is the case in figured worlds theory). 

이 이론은 본질적으로 [사회적, 문화적 개념]으로, [실천practice은 장소 안에서 발생하며 그 장소와 얽혀 있다]는 것을 강조합니다.
This theory is inherently social and cultural, emphasising that practices occur in, and are enmeshed with, places.

예를 들어, 의료훈련의 조직은 전반적으로 매우 유사할 수 있지만, [다양한 현장(실천 환경)]에서 정확히 일어나는 일은 (현장마다) 다를 수 있다. 이러한 실무 아키텍처는 물질적 및 경제적 조건(예를 들어, 의료 조직이 교육 제공에 대해 급여를 받는 방식, 교육 조직 및 관리 방식, 팀에 상주 인원이 부족할 경우 발생하는 현상)과 관련될 수 있다. [팀 내, 훈련생과 감독자 간의 관계 또는 의사와 고용주 간의 관계]와 같은 사회적 및 정치적 관계일 수 있습니다. 문화적 및 담론적일 수도 있다('여기서 일이 어떻게 돌아가는가').
For example, the organisation of medical training may be very similar overall, but what precisely happens in practice at diverse sites (the practice landscapes) may differ. These practice architectures may relate to material and economic conditions (e.g. how health care organisations are paid for delivering training, how training is organised and managed, and what happens if the team is short of a resident). They might be social and political relationships, such as the relationships within a team, between trainees and their supervisors, or between doctors and their employers. They may be cultural and discursive (‘How things are done around here’).

Kemmis 등은 사회적 세계에서의 관행practice이 의미 공간, 물리적 공간, 사회적 공간에서 형성된 '상호 주관성의 3차원'에 함께 존재한다고 제안합니다. 이러한 주관적 공간들은 '말하기', '하기', '관계'를 통해 교육이 이루어질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한다. 실무에서 이러한 '함께 어울림'이라는 개념은 실무가 그 자체로 이러한 행동들 중 하나로 축소될 수 없다는 것을 의미하기 때문에 중요하다.
Kemmis et al.51 suggest that practices in the social world hang together in ‘three dimensions of intersubjectivity’ formed in semantic space, in physical space–time and in social space. These intersubjective spaces form places for education to be enacted through ‘sayings’, ‘doings’ and ‘relatings’. The notion that these ‘hang together’ in a practice is important because it means that practices cannot be reduced to any one of these actions on its own.

Fig. 1.



이러한 이론적 관점에서 실천을 변화시키려면 [개별 참가자의 인식, 이해, 관심 및 기술]을 변화시킬 뿐만 아니라 [기존 관행을 기존의 위치에 고정시키는 실무 아키텍처]를 변화시켜야 합니다. 
From this theoretical perspective, changing practices requires not only changing the awareness, understanding, concerns and skills of individual participants, but also changing the practice architectures that hold existing practices in place. 

서비스 교육 긴장에 실무 아키텍처 이론 적용
Applying practice architecture theory to service–training tensions


[실무 아키텍처 이론]은 다음을 밝히는 데 도움을 줄 수 있습니다. 

  • 훈련과 서비스가 발생하는 조건에 의해 활성화되고 제약되는 방법,
  • 그리고 이러한 조건(실무 아키텍처)이 어떻게 이들을 가능하게 하고 제자리에 고정시키는지

The theory of practice architectures can help reveal

  • the ways training and service are enabled and constrained by the conditions under which they occur, and
  • how these conditions (the practice architectures) make them possible and hold them in place.

또한 의료 교육 훈련을 변경하는 방법을 찾는 데 혁신적 자원이 될 수 있습니다: 현재 상태를 유지하고 있는 것이 무엇인지 파악하고 이해해야만 변화를 시도할 수 있기 때문이다.
It can also be a transformational resource for finding ways to change medical educational training52: only by identifying and understanding what is maintaining the status quo can you attempt to change it. 

그 중 첫 번째는 다음과 같습니다. 개별 행동(말하기, 행동하기, 관계하기)에서 의료 교육 관행은 어떻게 구성되며 이러한 관행은 어떻게 연결되어 있습니까? 
The first of these is descriptive: How are medical training practices constituted in individual actions (the sayings, doings and relatings) and how are these linked? 

두 번째는 [의료 훈련이 놓여진situated 세계world]의 설정set-up에 의해 실무가 어떻게 활성화되거나 제약되는지 탐구하는 분석입니다.

  • 사용 가능한 리소스는 무엇입니까? (예: 후배 의사들이 간호사들과 자기 방이나 따뜻한 책상이 있나요? 어떻게 자금을 지원하죠? 누가 온라인 포트폴리오 리소스를 소유합니까?)
  • 조직 내부와 외부의 규칙, 계층 및 관계 측면에서 어떤 arrangement가 이루어집니까?
  • 개인(기관) 수준에서 관계에 영향을 미치는 것은 무엇입니까(예: 경험, 임상 부하, 의료 및 교육 설정 익숙성, 자료 및 기대치)?
  • 이러한 문화적-담론적, 물질적-경제적, 사회적-정치적 배치가 어떻게 서로를 형성합니까?80

The second is more analytic, exploring how practice is enabled or constrained by the set-up of the world in which medical training is situated.

  • What resources are available? (For example: Do the junior doctors have their own room or hot desk with the nurses? How are things funded? Who owns online portfolio resources?)
  • What are the arrangements like in terms of organisational rules, hierarchies and relationships within and beyond the organisation?
  • At the individual (agency) level, what influences relationships (e.g. experience, clinical load, familiarity with the health care and education set-up, materials and expectations)?
  • How do these cultural-discursive, material-economic and social-political arrangements shape each other?80 

 

이 이론의 세 번째 용도는 실무적 아키텍쳐practice architectures가 어떻게 변화될 수 있는지를 검토하는 것입니다. 일반적으로 의료 교육 및 훈련의 실무 아키텍처는 전통에 잘 내재되어 있으며, 최근에는 [책임 압박, 업무 강화 및 의료의 표준화]로 인하여, 개인이 무슨 말과 행동을 하고, 어떻게 관계하는지를 변경할 수 있는 방해와 가능성disruptions and possibilities 에 대응할 수 있는 방법을 제한할 수 있다. 
The third use of the theory is to examine how practice architectures can be changed. Generally speaking, the practice architectures of medical education and training are well embedded in tradition, and more recently in accountability pressures, work intensification and standardisation of practices, which may limit ways in which individuals may be able to respond to disruptions and possibilities to change what they say and do, and how they relate.60 

실무 아키텍처 이론은 [교육과 서비스의 다양한 차원이 어떻게 상호 연결되는지]를 탐구하는 분석 도구로서 유용합니다. 실천건축이론은 다음을 고려하는 관점에서 실천을 볼 수 있게 해준다. 

  • 개인과 집단이 환경과 사람에 어떻게 반응하는지, 
  • 대응이 어떻게 실천을 형성하고 교육 환경을 변화시키는지

The theory of practice architectures is useful as an analytic tool for exploring how various different dimensions of education and service are interconnected. Practice architecture theory allows us to view practices from a stance that considers

  • how individuals and groups respond to circumstances and people, and
  • how responses shape practice and change the education landscape.

이 이론은 [변화가 학습 및 서비스 제공에 미치는 영향]을 바라보는 프레임워크로 사용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레지던트 프로그램 책임자가 바뀌는 것이 현지local 교육 계획을 어떻게 형성합니까?

This theory could be used as a framework for considering the impact of change on learning and service delivery. For example, how does a change of residency programme director shape the local training arrangements?

위치 학습
Situated learning


위치 학습은 1990년대 장 라브와 에티엔 벵거가 처음 개발한 학습의 관점이다. [위치 학습]은 학습에 대한 [사회적 상호작용]과 [적극적인 참여]의 중요성을 강조합니다. 그것은 의미를 창출하기 위한 실제 경험의 필요성을 더욱 강조합니다. 따라서, Lave와 Wenger는 [학습]을 [살아있는 경험lived experience에 기초한 본질적으로 사회적이고 상호작용적인 과정]으로 봅니다. 그러므로 [배움]은 [사실이나 상징의 획득]이 아니라 [자신의 정체성이 되어감 또는 형성하는 것]입니다. 
Situated learning is a view of learning first developed by Jean Lave and Etienne Wenger in the 1990s.53,81,82 Situated learning emphasises the importance of social interactions and active participation in learning. It goes further in stressing the necessity of actual experiences for creating meaning. Thus, Lave and Wenger view learning as an inherently social and interactive process based on lived experiences. Learning is therefore about becoming or forming one’s identity, as opposed to the acquisition of facts or symbols. 


위치 학습 이론에는 CoP(공동체)와 LPP(합법적 주변 참여)라는 두 가지 핵심 요소가 있습니다. 학습은 [특정 장소와 시간] 내에 이루어지며(즉 situated) [특정 CoP] 내에서 상호 작용해야 합니다. 이 공동체 내의 학습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확대되는 적극적인 참여(또는 연습)를 수반합니다. 
There are two key component parts (which now are sometimes cited as two separate theories) to situated learning theory: communities of practice (CoP) and legitimate peripheral participation (LPP). Learning takes place (i.e. is situated) within a specific place and time and involves interacting within a specific CoP. Learning within this community entails active participation (or practice) that expands over time. 

  • 경험이 풍부하거나 핵심적인 CoP 구성원은 CoP의 관행, 역사 및 문화에 익숙한 반면,
  • 신규 구성원은 더 주변부에 있으며, CoP에 대한 적극적인 참여를 통해 학습을 진전시킨다.
  • More experienced, or core, members of the CoP are familiar with its practices, history and culture,
  • whereas newer members are more peripheral, advancing their learning through greater active participation in the CoP. 


[새로운 회원]은 [시간과 경험이 쌓임에 따라] 주변부에서 완전한 참여로, 또는 초보자에서 보다 전문적인 회원으로 변해간다
Newer members move from peripheral to fuller participation, or from being a beginner to a more expert member, through time and experience.83 

즉, 공동체(CoP)의 진정한 활동에 참여하는 것은 (LPP를 통해) 학습으로 이어지는 관계와 지식을 쌓고, 학습은 공동체의 일부가 되는 것을 수반한다. 
In other words, participation in the authentic activities of the community (CoP) builds relationships and knowledge that lead to learning (through LPP) and in turn learning entails becoming a part of a community.84,85 

CoP는 지역사회 구성원의 상호 목표, 목표 및 이익을 중심으로 나타나는 것으로 여겨집니다. 흥미롭게도, 최근 연구는 인공적으로 만들어진 CoP가 문제가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그들은 내재된 학습의 힘과 잠재력을 포착하기 위해 자연스럽게 진화해야 합니다.

A CoP is believed to emerge around mutual goals, objectives and interests of community members. Interestingly, recent research shows that artificially created CoPs are problematic. They need to evolve naturally to capture the power and potential of situated learning.86

 

위치 학습 이론을 서비스 교육 긴장에 적용
Applying situated learning theory to service–training tensions

중요한 것은 위치 학습situated learning(이 경우 서비스와 교육 사이의) '긴장tension'이 특별히 좋거나 나쁘다고 보지 않으며 (협상을 통한) 긴장이 실제로 배움의 일부라는 것을 인정한다는 것입니다. 지엽적인 것에서 공동체에서의 완전한 참여로 나아감에 따라 다른 역할들은 자연스러운 긴장감으로 이어진다. 
Importantly, situated learning does not view tension (in this case, tensions between service and training) as being good or bad and acknowledges that tensions (through negotiation) are actually a part of learning. The differing roles as one moves from peripheral to fuller participation in the community lead to natural tensions (that can help learning). 

그러므로, 위치 학습situated learning은 [긴장]과 그의 역할을 인정하며, [긴장]의 원천을 이해하고자 노력하며, (학습자가 커뮤니티에서 더 두드러지는 부분이 될 수 있도록) [참여가 최적으로 설계될 수 있는 방법]을 파악하고자 할 것이다. 즉, 목표는 [서비스 대 교육]의 긴장을 제거하는 것이 아니라, 서비스를 최적화하는 것입니다.
Thus, situated learning would acknowledge the tensions and their role and would seek to understand the sources of the tensions and how participation could be designed optimally to enable the learner to become a more prominent part of the community. the goal is not removing the service versus teaching tension but rather optimising it. 

상황 학습 이론은 또한 CoP에서 서비스와 가르침의 역할에 의문을 제기할 뿐만 아니라 이러한 긴장감을 탐색하여 LPP를 최적화하는 방법을 모색할 것입니다. 또한, 현장 학습은 이러한 탐구를 통해 다른 관련 CoP가 어떻게 영향을 받을 수 있는지를 고려한다.86 이러한 이론적 원칙을 활용하여 다음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

  • 신뢰,
  • 학습자의 점진적 독립성,
  • 병동 및 임상 팀의 역학 관계(예: 참여를 증가시키는 동료의 역할은 무엇인가?)
  • 암묵적(또는 명시적)으로 유지되는 가치관, 신념, 편견

Situated learning theory would also question the roles of service and teaching in the CoP, in addition to seeking ways to optimise LPP through exploring these tensions. Further, situated learning would consider how other, related, CoPs may be impacted through this exploration.86 These theoretical tenets could be leveraged to help understand

  • trust,
  • progressive independence of the learner,
  • dynamics of ward and clinical teams (e.g. what is the role of peers in increasing participation?),
  • implicitly (and explicitly) held values, beliefs and biases,

...to name a few potential lines of work. 

현장 학습은 인턴(또는 F1 의사)이 병동 팀 전공의가 되어가는 과정을 탐색하는 유용한 방법을 제공할 수 있습니다.
Situated learning could provide a useful way to explore how interns (or F1 doctors) learn to become ward team residents (registrars).


문화-역사 활동 이론(CHAT 또는 AT)
Cultural-historical activity theory (CHAT or AT)


[문화사적 활동 이론]은 [개인의 행동뿐만 아니라 사회 문화적 맥락까지 고려하여 인간의 행동과 학습을 이해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그것은 다른 방식으로 그렇게 한다. AT는 [전체 활동(또는 작업) 시스템]을 [모든 구성 요소 부분과 상호 작용하는 방식을 포함하는 것]으로 간주합니다. 이러한 구성요소에는 다음이 포함됩니다.

  • 개별 주체,
  • 작업 목표,
  • 커뮤니티,
  • 커뮤니티를 위한 노동 분할,
  • 커뮤니티 규칙
  • 이 모든 것들의 상호작용

Cultural-historical activity theory56–58 offers a way of understanding human action and learning that, takes into account not only the individual but also their social and cultural context. It does so in a different way. AT considers an entire activity (or work) system to include all of its component parts and how they interact. These component parts include

  • individual subjects,
  • objects of work,
  • the community,
  • division of labour for the community,
  • community rules, and
  • their interactions.

Engestroom의 원래 프레임워크는 이후 수년간의 확장을 거쳐서(3세대 AT; 그림 2 참조) 여러 상호작용 활동 시스템의 네트워크를 통합하였으며, 서로 다른 시스템이 중복된다는 것을 인정하게 되었다.
Engestr€om’s original framework has expanded over the years to incorporate networks of multiple interacting activity systems, to acknowledge that different systems overlap (third-generation AT56; see Fig. 2). 



AT는 다섯 가지 원칙을 사용하여 요약할 수 있습니다. CoP, LLP와 달리, 개인이 아니라 [시스템]이 분석 단위입니다.
AT can be summarised with the help of five principles. Unlike CoP and LLP, the system, not the individual, is the unit of analysis.

예를 들어, 전체를 아우르는 시스템은 [의료 훈련 시스템medical training]일 수 있으며, 다른 (하위) 시스템(예: 외과 또는 가정의학 훈련)은 이 중요한 시스템 내에서 작동할 것이다. 
For example, the overarching system could be that of medical training, and other (sub)systems (such as surgical or family medicine training) would operate within this overarching system. 

시스템은 다양한 참가자에 대해, 시스템 내에서, 다양한 직책을 가진, 다수의 목소리multi-voiced로 이뤄져있다.(교육은 일반적으로 훈련의 각각의 단계에 있는 전공의, 감독자, 트레이너 및 교수진, 그리고 관리자와 같은 여러 그룹을 포함합니다). 
The system is multi-voiced with different positions within the system for different participants (education would typically involve residents at different stages of training, supervisors, trainers and faculty members, and possibly other groups such as administrators). 

참가자와 시스템 자체는 역사와 규칙 등을 가지고 있다(이것은 훈련 프로그램이나 레지던트 디렉터가 지역적으로 총괄하는 것과 같은 사회 구조와 위계를 나타낼 수 있다).
Both the participants and the system itself carry histories, rules and so on (this could refer to social structures and hierarchies, such as the training programme or the residency director being in overall charge locally). 

시스템은 자신의 역사와 맥락에 기반하여against 이해되며, 활동 시스템 내부within와 활동 시스템 간between의 모순이나 구조적 긴장은 변화의 원천(확장적 변환)이며 개발의 원천이 될 수도 있고, 혹은, 덜 긍정적으로는, 변화를 차단할 수 있습니다. 
Systems are understood against their own history and context, and contradictions or structural tensions within and between activity systems are a source of change (expansive transformation) and development, or, less positively, can block change. 

상호작용하는 서로 다른 시스템의 네트워크(예: 영국의 의료 훈련에 관련된 수많은 기관과 조직)가 있는 경우, 다중 음성multi-voice 측면이 증폭된다. 
Where there are networks of different systems interacting (e.g. the numerous bodies and organisations involved in medical training in the UK), the multi-voice aspect is multiplied. 

의료 시스템은 교육 시스템을 '주최host'할 것이며, 전체 교육 시스템 내에는 특정 레지던트 프로그램과 같은 소규모 시스템이 포함될 것이다. 
A health care system will ‘host’ an education system, and within the overall education system will be smaller systems such as specific residency programmes, 

AT는 이러한 구성요소와 [시스템 내부 및 시스템 간]의 상호 작용 방식을 명확히 함으로써, 서비스-티칭 긴장의 요소인 [[개인 참여자]와 [사회적 현실] 사이의 격차]를 해소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AT는 개별 구성요소(개체object 포함), 상호작용 및 대형 시스템을 자세히 설명합니다. 
By being explicit about these components and how they interact within and between systems, AT can bridge the gap between the individual participant and the social reality, which is an element of the service–teaching tension. Thus, AT details the individual component parts (to include objects), interactions and the larger system. 

예를 들어 레지던트 자리가 비어 있는 경우 서비스 제공에 대한 즉각적인 문제가 생기며, 이에 더하여 향후 서비스를 위한 컨설턴트 등급에 충분한 수의 의사를 교육해야 하는 장기적 문제가 있습니다. 이를 위해서는 시스템 경계를 넘나들며, 그렇지 않으면 분리된 활동 시스템(예: 의과대학 입학, 대학원 교육 제공자, 고용주, 규제자 및 교육, 계약 문제에 대한 모든 하위 의사의 권리를 지지하는 그룹)을 함께 묶어야 한다. AT는 이러한 각 그룹과 시스템의 역사와 문화를 명확히 하고, 서로 다른 활동 시스템이 상호 작용하는 방식을 검토하여 대화 및 상호 작용 활동 시스템의 여러 관점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AT 프레임워크를 사용하여) 영향과 관계를 더 깊이 이해하게 된다면, progress에 inform하고, 개별 단위는 역사로부터 학습할 수 있습니다.

For example, in contexts where residency posts lie empty, there are immediate issues of service delivery, plus longer-term issues of training sufficient numbers of doctors to consultant grade for future service. To do this will require working across systems boundaries, to tie otherwise separate systems of activity together (e.g. medical school admissions, postgraduate training providers, employers, the regulator, and the groups that stand up for the rights of all junior doctors on education, training and contractual issues). AT can help make explicit the history and culture of each of these groups and systems, and examine how different activity systems interact with each other, to understand dialogues and multiple perspectives of interacting activity systems.87 The deeper understanding of influences and relationships enabled by using the AT framework can inform progress and help units learn from their history.

서비스 교육 긴장에 AT 적용
Applying AT to service–training tensions


AT는 서비스와 교육 간의 긴장을 탐색하기 위한 독특한 접근 방식을 제공합니다. [각 부품component parts]과 [부품이 상호 작용하는 방식]을 명확하게 정의하며, 예상 및 예상치 못한 결과를 모두 파악할 수 있는 렌즈를 제공합니다. AT는 동기 부여, 커뮤니티 규칙 및 분업이 개인과 시스템에 어떤 영향을 미칠 수 있는지 탐구하는 데 사용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활동 이론은 이러한 긴장에 대한 우리의 이해를 높이기 위해, 여러 참가자 그룹과 다양한 규칙과 문화가 있는 복잡한 병동이나 클리닉 환경에 적용될 수 있다.
AT offers a unique approach for exploring the tensions between service and teaching. It clearly defines each of the component parts and how these parts interact, and provides a lens for both anticipated and unanticipated findings. AT could be used to explore how motivation, community rules and division of labour may impact on the individual and the system. For example, activity theory could be applied to complex ward or clinic settings with multiple participant groups and varying rules and cultures to enhance our understanding of these tensions.

AT의 강점은 [서비스-교육 긴장]을 이해하고 분석할 수 있는 이론적 렌즈를 제공한다는 것입니다.

  • 상호작용을 통해 패턴을 식별하고, 추론할 수 있게 한다.
  • 서비스-교육 긴장 현상을 설명하고
  • 이러한 현상을 내장된 언어와 수사학을 통해 표현합니다.

A strength of AT is that it provides a theoretical lens for understanding and analysing service– education tensions,

  • allowing for the identification of patterns and making inferences through interactions,
  • describing the phenomenon of service–teaching tension and
  • presenting this phenomenon through a built-in language and rhetoric.

AT는 시뮬레이션 문헌에 성공적으로 적용었으며, 여러 참가자와 규칙 및 긴장으로 복잡한 활동을 이해할 수 있는 고유한 렌즈를 제공합니다. 
AT has been successfully applied to the simulation literature, providing a unique lens for understanding a complex activity with multiple participants, rules and tensions.87,88

AT는 현장 학습과 마찬가지로 주로 질적 방법을 통해 서비스 교육 긴장을 조사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합니다. 단, 정량적 방법도 사용할 수 있습니다. 또한 AT를 활용하여 '모순'이라는 용어를 통해 교육 및 서비스 내에서 또는 서비스 간에 하위 긴장(또는 긴장을 유발하는 구성요소)을 탐색할 수 있습니다.
Like situated learning, AT brings the opportunity to investigate service–education tensions, primarily through qualitative means although quantitative methods can also be used. Further, AT can be leveraged to explore sub-tensions (or the component parts leading to tensions) within or between teaching and service through the term ‘contradictions’.

결론
CONCLUSION


우리가 제시한 이론들은 일반적으로 질적인 연구 방법 및 데이터 수집 도구와 결합됩니다. 그 이유 중 일부는 사회문화이론이 다른 참여자와 환경과의 상호작용을 수반하기 때문이며, 이는 본질적으로 비선형성과 예측하지 못한 것의 출현을 의미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앞서 언급한 인지 이론과 같이 직장 학습에 대한 다른 이론적 렌즈에는 서로 다른 연구 설계, 방법론 및 데이터 수집 도구가 필요하다.9
The theories we have suggested are typically coupled with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and data collection tools. Part of the reason for this is that sociocultural theories involve interactions with other participants and the environment, which inherently means non-linearity and the emergence of the unforeseen.94 However, on the other hand, a different theoretical lens on workplace learning, such as the aforementioned cognitive theories, would require different study designs, methodologies and data collection tools.95 

이 논문의 우리의 목적은 두 가지를 설명하는 것이었다. 첫째, 봉사와 교육 사이의 긴장을 조사하는 것과 관련하여 '좋은 이론만큼 실용적인 것은 없다'는 것입니다. 두 번째 요점은 서로 다른 이론이 현상의 여러 측면을 조명하고 확대한다는 것입니다. 이 경우 서비스-교육 긴장입니다.

our aim in this paper was to illustrate two things. First, that ‘there is nothing as practical as a good theory’96 in relation to examining the tensions between service and education. Our second point is that different theories will illuminate and magnify different aspects of a phenomenon48,in this case service–education tensions. 

 

 

 


Med Educ. 2019 Jan;53(1):42-55.

 doi: 10.1111/medu.13738. Epub 2018 Oct 24.

Education and service: how theories can help in understanding tensions

Jennifer Cleland 1Steven J Durning 2

Affiliations collapse

Affiliations

  • 1Centre for Healthcare Education Research and Innovation (CHERI), School of Medicine, Dentistry and Nutrition, University of Aberdeen, Aberdeen, UK.
  • 2Department of Medicine, Uniformed Services University of the Health Sciences, Bethesda, Maryland, USA.
  • PMID: 30357894
  • DOI: 10.1111/medu.13738Abstract
  • Objectives: This paper reviews why tensions between service and education persist and highlights that this is an area of medical education research (MER) that, to date, lacks a robust body of theory-driven research. After carrying out a review of the literature on service-education tensions in medical education and training, we turn to consider how theory can help provide new insights into service-education tensions.Results: We identified 44 out of 603 relevant papers. Their focus fell into four broad categories: time residents spent on 'service' and 'education'; perceptions of the balance between service and education; considerations of how best to define service and education, and the impact of structural and systems changes on education/training. Of the papers reporting primary research, the dominant methodology was the bespoke survey. Rarely were the precise natures of tensions or how different factors interact to cause tensions examined in detail.Conclusions: The use of theory in research studies will not resolve service-education tensions. However, what theory can do is illuminate and magnify different aspects of service-education tensions, to generate new insight and knowledge that can then be used to inform future research and changes in practice.
  • Discussion: Through discussion and reflection, we then agreed on the applicability of four sociocultural theories for illuminating some examples of service-education tensions. We present four sociocultural theories: Holland's figured worlds, Kemmis et al.'s practice architectures, Lave and Wenger's situated learning and Engeström's cultural-historical activity theory (CHAT or AT). We describe each and then briefly illustrate how each theory can support new ways of thinking and potential directions for research focusing on education-service tensions.
  • Methods: We conducted a search of the literature on service-education tensions since 1998 to examine the use of theory in studies on this topic.

의학교육에서 젠더는 중요하다 (Med Educ, 2013)
Gender matters in medical education
Alan Bleakley

 

 

소개: 의료진의 여성화
Introduction: the feminising of the medical workforce

 

이 글은 의학 교육에는 거의 적용되지 않지만 문화학 등 다른 학문 분야에서도 잘 정립되어 있는 현대 사회과학의 사고의 흐름을 논하고 있다: 후기 구조주의 페미니즘.1, 2 이러한 사고의 흐름은 성(性)을 다시 생각하는 데 귀중한 시각을 제공한다. 의학 교육 이론과 실천에 관한 쟁점들, 그리고 사회 과학의 현대적 생각들이 어떻게 의학 교육의 혁신을 형성할 수 있는지를 보여준다. 중요한 것은, 후기 구조주의 페미니즘은 남성 페미니스트를 포함하고 현대 의학과 의학 교육을 지배해온 습관적인 가부장적 관행에 도전하는 접근방식이다.
This article discusses a stream of thought in contemporary social science that is rarely applied to medical education, but is well established in other academic fields, such as cultural studies: post-structuralist feminism.1, 2 This stream of thought, which is fully explained later in the article, offers a valuable perspective for rethinking gender issues in medical education theory and practice, and illustrates how contemporary ideas in the social sciences can shape innovation in medical education. Importantly, post-structuralist feminism is an approach that includes male feminists and challenges habitual patriarchal practices that have dominated modern medicine and medical education.

서술적 인구학 연구는 [의학에서 여성women in medicine]에 대한 문헌을 지배하고 있으며, 이 기사의 후반부의 관심사인 후기 구조주의 페미니즘의 대체적alternative 이론적 체계를 고려하기 전에 이 연구의 틀을 감상하고, 이해하고, 비판적으로 다루는 것이 중요하다.
Descriptive demographic studies dominate the literature on women in medicine, and it is important to appreciate, understand and then critically address this body of work prior to considering the alternative theoretical framework of post-structuralist feminism that is the concern of the second half of this article.

전세계적으로 남성보다 여성이 의대에 입학함에 따라 의료 인력에 여성 의사가 과반수를 차지할 것이다.3-6 이러한 인구 변화는 '의학의 여성화'라고 일컬어진다.7 그러나 의학에서 '여성화'의 의미는 인구학적 설명을 넘어 문화적 과정을 설명하는 것으로 확장될 수 있다. 나아가 의학의 페미니즘이 의학의 문화뿐만 아니라 의학교육에도 어떤 의미가 있을지 생각해 보는 것이 중요하다. 이 소개 섹션에서는 인구학적 이슈를 성별 사고 방식과 같은 인구학적, 생물학적 문제를 넘어 성 문제를 탐구할 수 있는 플랫폼으로 소개합니다.

As more women than men enter medical schools worldwide, in time the medical workforce will comprise a majority of women doctors.3-6 This demographic shift has been referred to as the ‘feminisation of medicine’.7 The meaning of ‘feminisation’ in medicine, however, can be extended beyond demographic descriptions to account for cultural processes. Further, it is important to consider what the feminising of medicine might mean not just for the culture of medicine, but also for medical education. In this introductory section, demographic issues are introduced as a platform from which to explore gender issues beyond demography and biology, such as gendered ways of thinking.

인구 이동
Demographic shifts

인구통계학은 문자 그대로 '사람에 관한 글'을 의미하며, 개인보다는 인구에 대한 연구를 말한다. 여성 및 의료: 영국 왕립 의사 대학을 위해 작성된 2009년 보고서인 Women and Medicine: The Future는 서술적 인구통계학의 좋은 예이다.5 여성 학술 사회학자가 작성한 이 보고서는 서술적 통계의 데이터셋을 자세히 설명하고 추론, 추측 또는 이론적 모델링에 거의 포함하지 않는다. 사회과학자들의 그러한 서술적 연구로부터, 트렌드를 포함한 후기 산업 국가의 의학에서의 젠더에 대해 무엇을 알 수 있을까?
Demography literally means ‘writing about the people’ and refers to the study of populations rather than individuals. Women and Medicine: The Future, a 2009 report prepared for the UK Royal College of Physicians, is a good example of descriptive demography.5 Written by a female academic sociologist, the report elaborates on a dataset of descriptive statistics and includes little in the way of inference, speculation or theoretical modelling. From such descriptive work by social scientists, what do we know about gender in medicine in post-industrial countries, including trends?

의학에 진입하는 여성의 수:
Women entering medicine: the numbers

펜실베니아 필라델피아는 미국 최초의 의대를 유치하면서도 1960년 여성을 입학시킬 수 있는 마지막 의대(제퍼슨 의과대학)를 유치한 것이 복합적으로 구별된다. 최초의 여성은 1847년 미국의 의대에 입학했다. 2003년까지 제퍼슨은 대다수의 여자 의대생들을 입학시켰다. 1800년대 후반 미국에서 여성이 개업 의사 중 10%를 차지했지만 1920년대에 이르자 여성들은 사실상 의료 인력에서 사라졌다. 그러나 2003년까지 미국의 의과대학 입학생들은 성별의 균형을 보였고 2005년까지 많은 학교들이 약 60퍼센트의 여성과 40%의 남성으로 구성된 입학 수치를 보였다. 현재 전 세계 의과대학 학생들의 대다수를 여성이 차지하고 있으며 북미, 유럽, 호주 및 러시아에서 평균 60%의 학생 섭취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영국에서는 2003년 62%로 정점을 찍은 뒤 2007년 57%로 낮아져 안정세를 보였을 수도 있다.
Philadelphia, Pennsylvania has the mixed distinction of hosting the first medical school in the USA, but also of hosting the last medical school (Jefferson Medical College) to admit women, in 1960. The first woman was admitted to a medical school in the USA in 1847.6 By 2003, Jefferson was admitting a majority of women medical students (51.5%). Although women comprised 10% of practising doctors in the USA in the late 1800s, by the 1920s women had practically disappeared from the medical workforce. However, by 2003, entrants to medical school in the USA showed a gender balance and by 2005 many schools showed entrance figures comprised of around 60% women and 40% men.6 Women now constitute the majority of students in medical schools worldwide and represent an average of 60% of student intake across North America, Europe, Australia and Russia.3-10 In the UK, the numbers may have stabilised, having peaked at 62% in 2003 and fallen to 57% in 2007.5

이러한 통계는 '의학적 시한폭탄'과 같은 문구를 포함한 헤드라인을 포함한 경보주의 언론기사를 통해 공개되었다.10  인터내셔널 헤럴드 트리뷴의 1면 기사 '서양의학의 얼굴 변화'는 [젊은 여성 세대]가 '한 때 남성 중심적이었던 의대를 변화시키고, 의대를 부풀리고, 1차 진료의 최전선으로 몰아가고 있는' 과정을 자세히 다루고 있다. 미사여구는 신중하게 선택된다: '부글부글'과 '떼짓기'는 아마도 새로운 전문가 집단의 출현을 의미할 것이다.

These statistics have entered the public domain through alarmist press articles carrying headlines that include phrases such as ‘the medical timebomb’.10 A front-page article in the International Herald Tribune entitled ‘The changing face of Western medicine’ detailed how ‘Across the Western world’ a generation of young women ‘is transforming the once-male bastion of medicine, swelling medical schools and flocking to the front lines of primary care’.3 The rhetoric is carefully chosen: ‘swelling’ and ‘flocking’ perhaps signify the emergence of a new family of professionals.

남성들이 의료 지원에서 쫓겨나는 것에 대한 두려움은 근거가 없을지도 모른다. 예를 들어, 영국에서는 의과대학 지원자의 절대적인 증가로 인해 자리를 차지하는 남성의 수가 증가하였다. 2007년에는 의과대학에 1996년보다 1200명의 남자가 합격했다. 또한, 영국에서는 유학생의 수가 증가하고 있으며, 이들은 남성인 경우가 더 많다.5

A fear that men are being driven away from applying for medicine may be unfounded. For example, in the UK, because of an increase in the absolute numbers of applicants to medical schools, the number of males taking up places has increased. In 2007, 1200 more men were accepted for medical school than in 1996 (in comparison with 1760 more women).5 Further, in the UK, numbers of international students are increasing and these tend to be more commonly male.5

미래에는 여성이 다수가 될 것인가?
Will women be in the majority in the future?

전 세계적으로 이 질문에 대한 답은 '예'.3입니다. 영국은 현재 전체 의사의 약 40%, 일반의사(GP)의 42%, 컨설턴트의 28%를 여성이 차지하고 있다.5 그러나 영국에서는 여성이 35세 미만 의사 중 54%를 차지하고 있지만 프랑스와 스페인에서는 각각 58%와 64%를 차지하고 있다.3 2017-2022년까지 영국에서 여성은 방사선, 안과 및 수술을 제외한 모든 분야의 컨설턴트 임용으로 이동하는 전문의 대다수를 차지할 가능성이 높다.5

Worldwide, the answer to this question is ‘yes’.3 In England, women currently account for approximately 40% of all doctors, 42% of general practitioners (GPs) and 28% of consultants.5 However, women constitute 54% of doctors aged < 35 years in the UK, but 58% and 64% of this group in France and Spain, respectively.3 By 2017–2022, in the UK, women are likely to constitute the majority of specialists moving to consultant appointments in all fields other than radiology, ophthalmology and surgery.5

전문직 여성
Women in specialties

전공과목의 트렌드는 나라마다 다릅니다. 예를 들어, 방사선학에서 2009년 미국에서는 여성이 27%를 차지했지만 라트비아, 에스토니아, 벨라루스에서는 80%, 기타 유럽 국가에서는 50-60%를 차지했다. 링크는 여성 의사가 남자 의사보다 환자 및 동료와 더 잘 소통하고 더 적은 위험을 감수하기 때문에 방사선학의 '여성화'가 환자에게 좋은 뉴스라고 지적했다. McKinstry7은 의료진의 여성화에 따른 잠재적 위험성에 주목하면서, '공감력과 의사소통 능력도 중요하지만, 효율성과 위험과 더불어 살아가는 능력도 중요하다'며 '여성화'가 긍정적이라는 데 동의하지 않는다.
Specialty trends differ across countries. In radiology, for example, women constituted 27% of practitioners in the USA in 2009, but as much as 80% in Latvia, Estonia and Belarus, and 50–60% in other European countries.11 Rinck11 notes that the ‘feminisation’ of radiology ‘is good news for patients’ because women doctors communicate better with patients and colleagues and take less risk than their male colleagues. Noting potential dangers of the feminisation of the medical workforce, McKinstry7 disagrees: ‘Empathy and communication skills are important, but so are efficiency and the ability to live with risk.’

전세계적으로 여성들은 수술에서 과소대표되고 소아과와 1차 진료에서 과대대표되고 있습니다.12-14 이로 인해 향후 전문적 부족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는 우려로 이어지고 있습니다. 특히 수술에서 컨설턴트 직위로 이어지는 진로들은 전통적으로 아이를 갖기를 원하는 여성들을 위해 추구하기 어려웠다.15-17 여성은 탄력적 근무시간, 자녀양육 서비스, 지원멘토 등 일정한 구조적 요건이 충족되어야만 수술에서 커리어 사다리에 오를 수 있는 경향이 있다. 여성들은 점차적으로 강한 경쟁적 요소를 접하게 되면서 수술에 흥미를 잃을 수 있다. 왜냐하면 일반적인 여성 의사들은 더 많은 협업적 업무 맥락을 선호하기 때문이다.
Worldwide, women are under-represented in surgery and over-represented in paediatrics and primary care.12-14 This has led to a concern that there may be a future specialty shortfall. Career routes leading to consultant posts, particularly in surgery, have traditionally been harder to pursue for women who wish to have children.15-17 Women tend to be successful on the career ladder in surgery only if certain structural requirements are fulfilled, such as the provision of flexible hours, child-minding services and supportive mentors.18 Women may lose interest in surgery as they progressively encounter a strong competitive element because in general women doctors prefer more collaborative work contexts.19

인구 통계에 의해 제기된 문제
Issues raised by demographics

킬민스터 외 연구진 8은 위에서 요약한 수치와 같은 원시 인구통계 데이터가 네 가지 가능한 결과를 야기한다고 결론내렸다. 

  • 첫째, 이러한 추세는 여성들이 파트타임으로 일하고 조기 퇴사하여 잠재적인 인력 부족을 야기하기 때문에 인력 계획에 문제를 일으킬 수 있다.
  • 둘째, 트렌드는 여성들이 남성들이 가지고 온 것과는 다른 바람직한 자질을 실천에 옮기기 때문에 좋은 것일 수 있다.
  • 셋째, 졸업생들이 의료인력으로 진입하면서, 입학시점의 성별 차이는 줄어들even out 수 있다.
  • 넷째, 의료문화의 구조적 불평등이 지속되어 남성의 우위가 유지될 수 있다.

여기에 자본의 지속적인 문제가 추가될 수 있다.

Kilminster et al.8 conclude that the raw demographic data, such as the figures summarised above, raise four possible consequences.

  • Firstly, the trend may present problems for workforce planning as women will work part-time and leave the profession early, causing a potential workforce shortage.
  • Secondly, the trend may be a good thing as women bring desirable qualities to practice that differ from those brought by men.
  • Thirdly, gender differences at intake may even out as graduates enter the workforce.
  • Fourthly, structural inequalities in medical culture may persist, maintaining a male dominance.

To this can be added a continuing problem in equity.

형평성 문제
Equity issues

의학에서 남녀의 기회균등이라는 측면에서 [구조적인 문제]가 있을 뿐만 아니라 형평성, 즉 정의와 공정성 문제도 존재한다. 의학계 여성은 남성과 같은 일을 하는 것에 대해 더 낮은 보상을 받는다17, 여성이 고위직의 핵심직에서 과소대표되고 있지만, 여성에게 그들의 목표를 달성하는 데 필요한 자원과 기반시설의 제공을 충분히 하지 않음으로써, Medicine은 직업적 열망을 가진 여성들을 계속 실패하게 만들고 있다.20 여의사의 수입은 academic medicine의 남성보다 적다. 여성들의 직위 상승은 더 느리게 진척되고, 리더 역할을 쉽게 달성하지 못합니다. 이는 여성들의 생산성이나 헌신의 퀄리티 문제가 아니라, 구조적 제약을 받기 때문입니다.21
There is not only a structural problem in terms of equality of opportunity in medicine with regard to gender, but there also exists an equity, or justice and fairness, problem. Women in medicine are given poorer rewards for doing the same job as men17 and, although women are under-represented in key positions in the senior ranks, medicine continues to fail women with career aspirations through the poor provision of the resources and infrastructure necessary to help them achieve their goals.20 Women doctors earn less than men in academic medicine, progress through the ranks more slowly and do not readily attain leadership roles, not because of the quality of their productivity or commitment, but because they are subject to structural constraints.21

이러한 제약은 개인의 열망 수준에까지 이어진다: 설문조사에서 여성 의사들은 남성 의사들이 보고한 것보다 25% 정도 낮은 한도를 보고한다.22 전반적으로 여성 의사들은 자신들을 남성 의사들보다 능력이 떨어진다고 일관되게 평가한다.23

Such constraints are then realised at an individual level of aspiration: when asked in surveys what their potential earning power may be, women doctors report a ceiling that is around 25% lower than that reported by male doctors.22 Overall, women doctors consistently rate themselves as less capable than male doctors.23

여의사들이 파트타임으로 일하는 결과
Consequences of women doctors working part-time

상당수의 여의사들이 파트타임으로 출근한다면 리더십과 의료 교육을 포함한 노동자들에게 미칠 충격은 무엇일까? 남성 동료에 비해 여성 의사들은 이미 더 많은 파트타임 근무(85%)10에 종사하고 있으며, 아이를 가질 수 있는 기회를 용이하게 해줄 보다 유연한 근무시간을 원하고 있으며, 일반적으로 여성 GP들은 남성 동료들보다 더 일찍 은퇴할 계획이다.3-6
If a significant number of women doctors come to work part-time, what will be the knock-on effects for the workforce, including in leadership and medical education? In comparison with their male colleagues, women doctors already engage in more part-time work (85%)10 and want more flexible working hours that will facilitate the opportunity to have children, and women GPs in general plan to retire earlier than their male colleagues.3-6

이에 따른 연쇄적인 효과는 여성 의사들이 임상 및 학문적 리더십과 고위 경영자 역할을 추구하는 데 덜 끌리거나 전념하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성별 효과가 '리더십 부족deficit'를 낳을 가능성은 낮다. 지적했듯이, 의학에 입학하는 [남학생의 절대 숫자]가 증가했기 때문이다.5 오히려 이 문제는 기회와 형평성의 평등 중 하나이다.12 Dacre12는 의학의 여성화는 현재와는 다른 (즉, 여성 후보자들을 격려하는 방식으로) 리더십 역할이 구성될 수 있도록 인력 계획을 재고하는 기회를 만들어내고 있다.
A knock-on effect of this is that women doctors are less attracted or committed to seeking clinical and academic leadership and senior management roles. This gender effect is unlikely, however, to create a ‘leadership deficit’ in the future because, as noted, the absolute numbers of male students entering medicine have risen.5 The issue, rather, is one of equality of opportunity and equity.12 Dacre12 suggests that the feminisation of medicine is creating an opportunity to rethink workforce planning in a manner that may allow leadership roles to be configured differently than they are at present, encouraging women candidates.

케네스 루드머러의 미국 의학 교육 역사는 특히 '영웅들이 등장하기엔 너무 크고 단편화된' 맥락에서 현대의 '의학에서 영웅들의 실종'을 지적한다. 이것은 여성 의사들의 대표성이 심각하게 떨어지는 의학 교육의 페미니스트들에게는 좋은 소식처럼 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2007년 영국에서는 임상교수의 12%, 임상강사의 36%만이 여성이었으며 의과대학 34곳 중 2곳만이 여성학장이 있었다. 전체 교수로 임용되는 여의사가 15%, 학과장이 11%에 불과한 미국도 비슷한 입장이다.
Kenneth Ludmerer’s classic history of American medical education points to the contemporary ‘disappearance of heroes from medicine’ in a context in which ‘academic medicine’ in particular ‘has grown too large and fragmented for “heroes” to emerge’.24 This may seem like good news to feminists in medical education, in which women doctors are severely under-represented. For example, in 2007 only 12% of clinical professors and 36% of clinical lecturers in England were women, and only two of 34 medical schools had women deans.5 The position is similar in the USA, where only 15% of women doctors are appointed as full professors and 11% as department chairs.12

그러나 의대 여학생들이 남성들보다 더 효과적인 조력자를 만드는 경향이 있지만, 여의사들이 academic research 및 teaching에 참여할 가능성은 낮다.7 이는 '영웅의 실종'에도 불구하고 새로운 의대생들의 여성 롤모델이 부족함을 보여준다. 그러나 그러한 롤모델은 필요하다. 예를 들어, 의학 학부 커리큘럼에 성별 문제가 도입되는 경우, 이러한 움직임을 시작하는 것은 여성 교수진이다.27

However, although women medical students tend to make more effective facilitators than their male counterparts,25 women doctors are less likely to take up academic research26 and teaching.7 This presents a lack of female role models for new cohorts of medical students, despite the ‘disappearance of heroes’ from the field. Yet such role models are needed. For example, in instances in which gender issues are introduced into the medical undergraduate curriculum, it is women faculty staff who tend to initiate this move.27

컨설팅 스타일 및 커뮤니케이션: 환자를 위한 연쇄 효과
Consulting styles and communication: knock-on effects for patients

존경받는 선배의사들에 의한 역할모델링의 후배를 대상으로 한 연구에 따르면, 여성후배 의사들은 모방하고자 하는 핵심 요소로 '커뮤니케이션'을 보고한 반면, 남성후배 의사들은 의사소통이 훨씬 덜 중요하다고 여겼다고 한다.23 환자들이 궁극적으로 성별에 대해 우려하는지 여부에 대해서는 증거가 모호하지만, 여의사가 남성 동료보다 더 많은 연민과 친밀감을 가지고 환자를 치료하고 있으며, 의학의 심리적, 의사소통적 측면에 더 관심을 가지고 있다. 
A study in junior doctors of role-modelling by respected senior doctors found that women junior doctors reported ‘communication’ as the key element they wished to emulate, whereas male junior doctors considered communication to be much less important.23 Although evidence is equivocal as to whether patients are ultimately concerned about the gender of their doctors,23 women doctors treat patients with more overt compassion and intimacy than their male colleagues do and are more concerned with the psychosocial and communicative sides of medicine.6, 20-22, 28 

[여성 의사]는 [여성 환자]에 더 잘 적응할 수 있을 것이다. 여성 환자들은, (남성 환자보다) 더 많은 질문을 하고 더 많은 정보를 주고, 더 많은 정보를 확인하고, 바꾸어 의사에게 더 명확한 설명을 강요하고, '의사 중심' 상담 스타일이 아닌 '의사 중심'을 명시적으로 요구한다. 남자의사들보다, 여의사들은 (가까운 친구들이 포함된) 지지적 환경의 제공이 업무 만족도에 더 중요하다고 평가한다.

Women doctors may be better adapted to women patients, who ask more questions and give more information than male patients, and check and paraphrase information, thereby forcing the doctor into giving clearer explanations, and explicitly demand a ‘feelings-oriented’ rather than a ‘thoughts-oriented’ consultation style.28 Women doctors also rate the provision of a supportive environment, such as one that includes close friends, as more important to their work satisfaction than do their male colleagues.16

남성 동료들에 비해 더 공감적이고 환자 중심적인 여성 의사들의 스타일은 더 나은 환자 성과를 가져온 것으로 나타났다.12 이와 함께 영국의 2001~2010년 GP 중단 조사 결과 남성이 여성보다 더 많은 불만을 유발했으며 여성보다 5배 더 많은 정직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McKinstry는 '효율성'과 '위험성'에 대처하는 능력은 '공감 및 소통'만큼이나 중요하다고 제안한다. 맥킨스트리는 여성 GP가 환자와 더 오랜 시간을 보내고 refer할 가능성이 높으며, 여성 컨설턴트가 남성 동료보다 환자를 더 적게 보는 경향이 있으며, 이 두 가지 모두 제한된 자원의 확장에 기여한다고 지적한다.
The more empathic, patient-centred style of women doctors, compared with that of their male colleagues, has been shown to result in better patient outcomes.12 In addition, a UK study of the suspension of GPs between 2001 and 2010 found that men attracted more complaints than women and were five times more likely than women to be suspended as a result of investigations into complaints.29 However, McKinstry suggests that ‘efficiency’ and ability to deal with ‘risk’ are as important as ‘empathy and communication’.7 McKinstry points out that women GPs spend longer with patients and are more likely to refer, and that women consultants see fewer patients than their male colleagues, and that both of these tendencies contribute to the stretching of limited resources.7

이러한 원시적 서술적 인구통계학은 의학의 여성화 현상을 완전히 깨닫지 못한 것이며, 의학교육의 여성화에 대한 제한된 설명만 제공한다. 뭔가 더 필요한 게 있다. 데이터가 설명할 수 없을 정도로 발전하려면 설명이 필요하지만 의료 교육 이론과 실무의 요소를 재고할 수 있는 혁신적인 탐구를 유도해야 합니다. 이 논문의 나머지 부분에서는, 어떻게 후기 구조주의자 페미니스트 상상력이 그러한 재고를 이룰 수 있는지 논할 것입니다.

This raw descriptive demography does not fully realise the phenomenon of the feminising of medicine and certainly offers a limited description of the feminising of medical education. Something more is needed. The data clearly need explanation if they are to move beyond description, but also invite innovative explorations to rethink elements of medical education theory and practice. In the remainder of this paper, I will argue how a post-structuralist feminist imagination can achieve such a rethink.

 

페미니스트 이론
Feminist theory

이전 섹션에서 보면, 의학의 여성화로 인한 이득은 간단해 보일 수 있다. 여성이 대다수 인력을 대표하게 되면서 여성 의사들의 컨설팅 스타일에 기반을 둔 문화의 긍정적인 변화가 일어나 환자에게 혜택을 줄 것이다. 하지만 상황은 이보다 더 복잡하며 여성 의사들이 남성 동료들보다 효율적이지 못하고 자원 의존도가 높다는 비판을 넘어섰다.
From the previous section, the benefits of the feminising of medicine may seem straightforward. As women come to represent the majority of the workforce, a positive change in culture, grounded in women doctors’ consulting styles, will occur and will benefit patients. However, the situation is more complex than this and extends beyond criticism of women doctors as being less efficient and more resource-dependent than their male colleagues.

  • 첫째, 역사적으로 형성된 '남성' 혹은 가부장적 의학 문화는 단순히 생물학적으로 남성 의사가 많았기 때문일까? 
  • 둘째, 성별에 대한 생물학적 접근법의 한계는 무엇인가? 예를 들어, 여성들이 여성화에 독점권을 가지고 있는가, 아니면 전통적으로 가부장적이었던 문화를 여성화하는 데 있어서 남성들도 대리인 역할을 할 수 있는가? 
  • 또한, 의학과 의학교육의 여성화에 있어 게이와 레즈비언 의사입장은 어떠한가? 30, 31

 

  • Firstly, is the historically formed ‘masculine’ or patriarchal culture of medicine simply a result of the dominance of biologically male doctors?
  • Secondly, what are the limits of a biological approach to gender? For example, do women have a monopoly on feminisation, or can men also act as agents in feminising a traditionally patriarchal culture?
  • Further, what are the positions of gay and lesbian doctors in the feminisation of medicine and medical education?3031

 

'남성 시위'
The ‘masculine protest’

 

우리가 '여성적' 혹은 '남성적'이라고 말할 때, 우리는 생물학적 성, 즉 본질주의에 대한 문자 그대로의 설명이 아닌 문화적인 의미로 사용한다. 그들은 [은유적]으로 활용될 수 있다. '가부장제'는 남성을 지칭하는 문화적 맥락에만 관련되는 것이 아니며, 영웅주의, 합리주의, 확실성, 지성과 거리감, 객관화, 감상 이전의 설명을 수용하는 특정한 종류의 논리에 기초한 지배적인 문화적 형태를 말한다. 이러한 논리에 의해 채택된 핵심 전략은 [반대주의]이다. 예를 들어, 논리적인 것이 비논리적인 것의 반대이며, 전자는 후자보다 우월하다. 반대주의는 화해나 협력이 아닌 갈등의 전술이다. 
When we talk of the ‘feminine’ or the ‘masculine’, we use these terms in a manner that is not restricted to the literal description of biological sex – essentialism – but is cultural. They can be employed metaphorically. ‘Patriarchy’ does not relate to a cultural context that refers only to men, but refers to a dominant cultural form based on a particular kind of logic that embraces heroism, rationalism, certainty, the intellect, distance, objectification, and explanation before appreciation. A key strategy employed by this logic is oppositionalism: for example, the rational is opposed to the irrational and the former is dominant over the latter. Oppositionalism is a tactic of conflict rather than of reconciliation or collaboration. 

남성들이 현대의학과 의대 교육을 지배했다고 하는 것은 사실이지만, 이는 가부장제의 문화적 형태가 더 넓어진 측면이다. 미셸 푸코는 의학에서 가부장제의 구체적인 모습을 '의학적 시선'이라고 표현했는데, 이는 다양한 '남성의 시선'으로 해석된다. 32, 33 Bordo는 시체가 '여성의 영역'이라고 주장하며, 반면에 남자들은 '육체에 가까이 가지 않고, 그것을 바라보는 시각을 유지하는 것'을 원한다. 따라서 객관화된 '남성 시선'의 지배력에 관한 익숙한 논쟁을 리허설한다.
Although it is a truism to say that men have dominated modern medicine and medical education, this is an aspect of the wider cultural form of patriarchy. Michel Foucault has described the specific appearance of patriarchy in medicine as the ‘medical gaze’, interpreted as a variety of the ‘male gaze’.32, 33 Bordo34 argues that the body is ‘the province of the female’, whereas men, by contrast, want ‘to stand clear of the flesh, to maintain perspective on it’, thereby rehearsing a familiar argument concerning the dominance of an objectifying ‘male gaze’.

푸코의 설명에 따르면, 진단적 시선으로 몸 속 깊숙이 '보는' 의사의 투과 눈은 투과성 팔뚝과 차가운 논리 둘 다와 관련이 있다. 이 논리는 conducting 손과 손가락질 또는 탐침 손가락의 특이하게 남성적인 확장으로서 메스까지 확장됩니다.35 게다가, 의학적 시선은 클리닉의 위생된 하얀 입방체 안에서 정당화된다. 이는 건축에 있어서 냉정한 논리의 궁극적 표현이다. 이 곳에서는 남성 의사가 낯선 여성(환자로서)에 대한 전문적인 정밀 검사를 수행하도록 허가받았으며, 이러한 것은 다른 맥락에서는 금기 사항일 수 있습니다. 페미니스트s는 이 지배적인 가부장적 콤플렉스를 '팔로고 중심적'이라고 칭하게 되었다.

In Foucault’s description, the penetrating eye of the doctor that ‘sees’ into the depths of the body in a diagnostic gaze is associated with both the penetrating phallus and a cold logic. This logic extends to the scalpel as a peculiarly masculine extension of the conducting hand and the pointing or probing finger.35 Further, the medical gaze is legitimated within the sanitised white cube of the clinic, the ultimate expression of cold logic in architecture, in which the male doctor has been sanctioned to perform professional intimate examinations of women strangers, as patients, that would be taboo in other contexts. Feminists have come to term this dominant patriarchal complex ‘phallogocentric’.1

현대의학의 제도적 가부장제는 한 세기 전 정신분석학자 알프레드 아들러가 '남성 시위'라고 묘사한 것에 대한 대가를 치르고 있다.36 무수히 반복된 주장은 [의사들은 너무 많은 고통을 보고 있기 때문에 객관화와 거리 두기를 통해 스스로를 보호해야 한다는 것]이다. 정신분석학적으로, 그들은 부정과 억압이라는 더 강력한 자아 방어 메커니즘을 사용하는 경향이 있다. 그러나 이 '남성 시위'는 궁극적으로 '공감 감소'의 형태로 역효과를 낳는다. 의대생들은 환자를 대상화objectify하는 법을 배운다.37
Modern medicine’s institutional patriarchy is bought at a price, characterising what the psychoanalyst Alfred Adler described nearly a century ago as the ‘masculine protest’.36 The well-rehearsed argument is that doctors see so much suffering that they must protect themselves, through objectification and distancing, from carrying this suffering. Psychoanalytically, they tend to use the stronger ego defence mechanisms of denial and repression. However, this ‘masculine protest’ ultimately has a counterproductive effect in the form of ‘empathy decline’, whereby medical students learn to objectify patients.37

의대생들의 공감저하 연구들은 효과를 과장했다는 비판을 받아왔으며, 공감의 심리측정이 예측가치와 같은 제한된 효용성을 제공하는 것으로 나타났다.39 '공감', 40, 41이라는 용어의 정확한 의미에 대한 논란도 있어 '측정'이 무엇인지 의문을 제기하고 있다. 그러나 공감의 정의에 대한 강력한 방어와 공감 차원에 대한 심리학적 측정의 타당성이 제시되었다.42 또한 공감 감소 현상에 대한 그럴듯한 설명이 제시되었다.43 명시적 커리큘럼 설계를 통해 공감 감소가 억제되었다는 주장이 제기되었지만 측정된 수준은 의대 남학생보다 여학생이 공감 능력이 더 큰 것으로 나타났습니다.44

Studies of empathy decline in medical students have been criticised as exaggerating the effect38 and psychometric measures of empathy have been seen to afford limited utility, such as predictive value.39 There is also debate about the precise meaning of the term ‘empathy’,40, 41 which raises questions about what is supposedly being ‘measured’. However, robust defences of both definitions of empathy and the validity of psychometric measurement of dimensions of empathy have been made.42 Further, plausible explanations for the phenomenon of empathy decline have been offered.43 Although claims are made that empathy decline has been stemmed through explicit curriculum design, measured levels of empathy remain greater in female than in male medical students.44

공감 능력이 저하되면, 특히 의대생들이 임상 기반의 학습을 진행함에 따라, 그리고 특히 남성들 사이에서 억압된 영향은 증상적인 형태로 돌아올 수 있습니다. '남성 시위'의 감염에 저항하지 못하는 의사들 사이에서 약물 남용, 탈진, 우울증, 자살 사상, 자살 등의 비교적 높은 비율이 여기에 포함된다.45, 46 '남성 시위'는 의학의 모든 프로시져에 흐르는 논리를 제공하며, 궁극적으로 수술 문화에서 정점에 도달한다.
If empathy is reduced, particularly as medical students progress to clinically based learning, and particularly amongst men, repressed affect may return in symptomatic form. This includes relatively high rates of substance abuse, burnout, depression, suicide ideation and suicide amongst doctors, who are unable to resist the infection of the masculine protest.45, 46 The ‘masculine protest’ offers a logic that runs through all of medicine’s procedures and reaches its apex in the culture of surgery.

의료교육에서 가부장제의 우위에 대한 두 가지 간단한 실례가 이 부분을 마무리할 것이다. 첫 번째는 임상 기술 훈련에 사용되는 'one-sex' 마네킹의 출현에 관한 것으로, 첨단 기술인 '심맨'에 여성용 마니킨이 없다는 사실이 이를 입증한다. 두 번째는 생명윤리학자 Tod Chambers에 의해 강조되는데, 그는 [의료윤리 사례 연구]조차도 남성의 세계관에 특권을 주는 방식으로 작성되어 있으며, 특정 개인에게 무감각한insensitive 추상적 원칙에 기반을 둔 접근을 통해, '사람'이 대상화되고 분석된다고 제안한다.48

Two brief illustrative examples of the dominance of patriarchy at work in medical education will round off this section. The first concerns the rise of the ‘one-sex’ manikin used for training in clinical skills,47 demonstrated by the fact that the high-tech ‘SimMan’ does not have a female equivalent. The second is highlighted by the bioethicist Tod Chambers, who suggests that even the medical ethics case study is written in a way that privileges a male worldview, whereby the ‘person’ is objectified and analysed through an abstract principles-based approach that is insensitive to the particular individual.48

페미니즘의 부상
The rise of feminisms

[남성 시위masculine protest]에 대응하여 여성과 남성 모두를 참여시키고 가부장적 가치에 대한 도전을 명확히 하는 사회운동이 전개되었다

  • 19세기 말과 20세기 초의 선거권자들은 이전에 여성들에게 거부되었던 여성의 '선거권'을 지지하는 사람들이었다. 이 운동은 1960년대와 1970년대의 '제2의 물결' 페미니즘에 관련된 사람들에 의해 소급적으로 '1차 물결' 페미니즘으로 불렸다. 이 때 쟁점은 기회의 평등, 생식 주기에 대한 통제, 사회적 문제에 대한 형평성 또는 정의에 관한 것이었다. (예를 들어, 1971년 2월까지 스위스에서 여성들은 투표할 수 없었다.)
  • 제2의 물결 페미니스트는 출산을 포함한 생식 주기가 '의학화'되었고 남성 중심의 의료 직종에 의해 통제되었다는 사실을 지적할 것이다.

In response to the masculine protest, a social movement has developed, involving both women and men, and articulating a challenge to patriarchal values.

  • The suffragettes of the late 19th and early 20th centuries were supporters of women’s ‘suffrage’ or the right to vote, previously denied to women. This movement was retrospectively termed ‘first-wave’ feminism by those involved in the ‘second-wave’ feminism of the 1960s and 1970s, in which the issues were largely about equality of opportunity, control over the reproductive cycle, and equity or justice in social matters (although, for example, women were not able to vote in Switzerland until February 1971).
  • Second-wave feminists would point to the fact that their reproductive cycles, including birth, had been ‘medicalised’ and were controlled by a male- dominated medical profession.

여성권리를 지지하는 남성도 포함됐지만, 제2의 물결에서는 남성들을 배제하는 '독재주의자separatist' 페미니즘이 생겨났다. [제3의 물결]의 페미니즘은 1980년대 동안 민족, 동성애, 문화적 정체성의 보다 광범위한 문제를 인정하기 위해 등장했고, 여성에게 기회와 형평성의 평등, 또는 정의와 권리를 촉진하기 위해 가부장제의 우위에 도전하기 위해 동정적인 남성sympathetic men들과 동맹했다.
Although the suffragists included men who supported women’s rights, ‘separatist’ feminism arose in the second wave, from which men were excluded. Third-wave feminism emerged during the 1980s to acknowledge wider issues of ethnicity, gay and cultural identities and allied with sympathetic men to challenge the dominance of patriarchy to promote equality of opportunity and equity, or justice and rights, for women.

[제3의 물결 페미니즘]은 생물학적 본질주의에서 문화의 측면이 젠더, 특히 젠더고정관념을 어떻게 생산하느냐에 관심을 옮겼다. 여기서 쟁점은 [지배적 가치, 사고방식, 가부장적 사회를 재생산하는 활동]을 debate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철학자 윌리엄 제임스는 '터프한 마음'과 '순한 마음' 사이에 긴장이 있다는 생각을 제시한다.49 터프한 마음가짐이 더 남성적이고 '순한 마음가짐'이 더 여성스러운 것으로 인식되지만, 그렇다고 모든 남성이 터프하고 모든 여성이 마음이 여린 것은 아니다.
Third-wave feminism shifted interest away from biological essentialism to focus, rather, on how aspects of culture produced gender, especially gender stereotypes. The issue here is to debate dominant values, ways of thinking and activities that reproduce patriarchal society. For example, the philosopher William James presents the idea that there is a tension between ‘tough-minded’ and ‘tender-minded’ thinking.49 Tough-minded thinking is perceived as more male and ‘tender-minded’ thinking as more female in character, but this does not mean that all men are tough-minded and all women are tender-minded.

의학문화에 이를 적용한다면 의학이 남성에게 지배되고 가치관에서도 강경했던 것은 사실이지만 그렇다고 해서 일부 남성 의사는 tender-minded하고, 일부 여성 의사는 tough-minded하다는 뜻은 아니다. 제임스는 원래 이러한 서술어를 철학의 학교에서 이성적 경험론자와 실증론자의 강인한 학파, 그리고 이성보다 감정과 직관을 높인 부드러운 낭만주의 학파를 묘사하기 위해 사용했습니다.

If we apply this to the culture of medicine, although it is true that medicine has been dominated by men and has also been tough-minded in its values, this does not mean that some male doctors will be tender-minded and some women doctors tough-minded. James used these descriptors originally for schools of philosophy to describe on the one hand the tough-minded school of rational empiricists and positivists, and on the other the tender-minded school of the romantics, who elevated feeling and intuition above reason.

후기 구조주의자 페미니즘
Post-structuralist feminism

제3의 물결 페미니즘은 문화적 담론을 통해 성 정체성이 생성되는 방법에 관심이 있다. 이건 두 갈래로 갈라져. 

  • 첫째, 당신이 여자나 남자 몸을 가지고 태어났다고 해서, 이것은 당신이 특정한 방식으로 행동하도록 운명지어져 있다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 둘째, 문화적 가치의 집단을 '여성적'이라고 부를 수 있다는 것은 이것이 여성이나 어머니의 전유물이라는 것을 의미하지 않는다.

Third-wave feminism is then interested in how gender identities are produced through cultural discourse. This cuts two ways.

  • Firstly, just because you are born with a female or a male body (and some people are born with indeterminate gender), this does not mean that you are destined to act in a particular way.
  • Secondly, that a group of cultural values (such as sensitivity and tenderness) can be called ‘feminine’ does not mean that these are the exclusive domain of women or mothers.

 

2010년 유엔교육과학문화기구(UNESCO)는 '글로벌 사회과학 풍경'과 사회과학이 국제적 이슈에 기여하는 내용을 담은 보고서를 작성했다. 이 보고서는 '사회과학이 이렇게 영향력 있는 것은 처음'이라고 시사했다. 이상하게도 400페이지가 넘는 보고서에는 사회과학이 의학이나 의학교육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구체적으로 언급되지 않고 있지만, '신체'에 대한 한 문단이 있다. 이 단락은 [역사적으로 신체는 의학과 생물학 연구의 영역이었지만, 1990년대 이후 신체는 다양한 사회과학의 학문 간 만남의 지점이 되었다]는 점에 주목한다. 이와 같이 사회과학이 신체를 연구 대상으로 전환함에 따라 [신체를 정교한 기계로 보는 의학적인 관점에 대한 비판]이 제기되었으며, 다음과 같은 생각이 도입되었습니다. '일부 페미니스트와 포스트모던 이론가들에게 신체body는 안정적인 경험의 현장이라기보다는 단지 담론의 효과일 뿐이다.'

In 2010, the United Nations Educational, Scientific and Cultural Organization (UNESCO) produced a report on the ‘global social science landscape’ and the contribution of the social sciences to international issues.50 The report suggested: ‘Never before have the social sciences been so influential.’50 Strangely, in the 400-plus pages of the report, no mention is made specifically of the influence of the social sciences on medicine or medical education, but there is one paragraph on ‘the body’. This paragraph notes that the body has, historically, been the domain of study in medicine and biology, but ‘since the 1990s, the body has been an interdisciplinary meeting point for various social sciences’.50 This turn of the social sciences towards the body as an object of study has led to a critique of the medical view of the body as a sophisticated machine and has introduced the idea that: ‘For some feminist and postmodern theoreticians, the body is just the effect of discourse rather than a stable site of experience.’50

'단지just'라는 단어는 수사학적으로 사용된 것이다; 신체는 문화적 담론과 생물학 둘 다의 효과라고 제안하는 것이 좋을 것이다. 주요 문화적 담론은 성별이며, 1960년대 이후 성 문제는 페미니스트에 특히 관심을 가져왔다. 현대 페미니스트의 사고에는 영미주의와 대륙주의, 두 가지 광범위한 흐름이 있습니다; 후자는 종종 '프랑스' 후기 구조주의로 일컬어집니다.1 영미권의 흐름은 경제적 또는 정치적 전략을 통해 해결할 수 있는 구조적 불평등의 분석에 기초하고 있다. 이 영역은 이 기사의 첫 부분에서 소개되었다. 대륙주의의 흐름은 [분석의 기반]을 [담론의 효과(문화에 기반을 둔 언어와 생각)]로 옮기고, [활동을 형성하게 된 근본적인 사고와 가치관]이 해결되지 않는다면, 구조적 사회 문제를 다루는 것은 cosmetic한 것이 될 수 있다고 주장한다.
The word ‘just’ is used rhetorically; it would be better to suggest that the body is both an effect of cultural discourse and biology. A key cultural discourse is gender and since the 1960s gender issues have been of particular interest to feminists. There are two broad streams of contemporary feminist thinking, Anglo-American and Continental; the latter is often referred to as ‘French’ post-structuralism.1 The Anglo-American stream is grounded in the analysis of structural inequalities that can be addressed through economic or political strategies; this territory was introduced in the first part of this article. The Continental stream moves the ground for analysis to the effects of discourse – culturally based language and thought – and argues that addressing structural social issues can be cosmetic if fundamental ways of thinking and valuing, that come to shape activity, remain unaddressed.

후기 구조주의 페미니즘'란 무엇인가? 1, 2 구조주의는 언어학자 페르디난드 드 사우수의 생각에 근거한 20세기 전반의 가장 영향력 있는 이론적인 틀 중 하나였으며, 언어는 하나의 체계이며, 모든 언어 표현은 보편적이고 근본적인 구조 또는 생성 규칙의 집합이다. 어떤 언어로든 단어(예: '개')와 객체 자체(개)의 관계는 자의적입니다. 이 단어는 [전체 기호 분야(구조)]에서 [다른 단어(예: '고양이')]와의 차이에 의해서만 의미를 갖는다.
What is ‘post-structuralist feminism’?1, 2 Structuralism was one of the most influential theoretical frameworks of the first half of the 20th century, based on the linguist Ferdinand de Saussure’s idea that language is a system, and that all language expressions are subject to a universal, underlying structure or set of generative rules. The relationship between a word in any language (such as ‘dog’) and the object itself (the dog) is arbitrary. The word bears meaning only in its difference from other words (such as ‘cat’) in an overall field of signs (the structure).

그 후, 구조주의자들은 보이지 않는 조직 분야를 반대oppositional 범주에 관한 코드로 축소했습니다. 예를 들어, 인류학자 Lévi-Strauss는 문화 전반에 걸친 복잡한 신화를 기본적인 반대 범주인 '날것과 요리된 것' 또는 자연 대 문화로 축소했다. 촘스키는 언어가 보이지 않는 기본적인 생성 규칙 집합 위에 세워져 있다고 제안했고, 피아제는 인간의 인지 발달이 불변하고 펼쳐지는 일련의 단계를 따른다고 제안했다.

Subsequently, structuralists reduced this unseen organising field to a code concerning oppositional categories. For example, the anthropologist Lévi-Strauss reduced complex mythologies across cultures to a basic oppositional category: ‘the raw and the cooked’, or nature versus culture; Chomsky suggested that language was built on a basic set of unseen generative rules, and Piaget suggested that human cognitive development followed an invariant, unfolding sequence of stages.

20세기 후반에는 [문화적 차이가 환원reduced될 수 있는 보편적 조직 구조]에 대한 생각에 의문이 제기되었다. 더 중요한 것은, 구조주의를 특징짓는 '구조' 그 자체가, 논리의 구조로서 [gendered male]로 보였다는 점이다. 또한, [반대 범주로 구조를 조직하는 것]은 언어 사용과 실제 사회 관계 모두에서 [반대되는 한 극이 다른 극을 지배하고 억압]하게 되었다는 점에서 잠재적으로 '위반'으로 보였다. 예를 들어, '남자'는 '여자'에 반대하며 지배적이다.
In the latter half of the 20th century, the idea of a universal organising structure to which cultural differences could be reduced was questioned. More importantly, the ‘structures’ themselves that characterised structuralism were seen to be gendered male, as structures of logic. Further, the organisation of structures as oppositional categories was seen to be potentially ‘violating’ in its expression in that one pole of the opposition came to dominate and oppress another, both in language use and in actual social relations; for example, ‘Man’ stands in opposition to and is dominant over ‘Woman’.

구조주의에 대한 이러한 의구심이 생기면서 포스트구조주의 철학적, 문화적 비평이 등장했다. 이 운동은 예술과 인문학에서 지배적인 비평의 형태가 되었지만 아직 의학 교육에서는 채용되지 않았다. 이 운동에 따르면, [세계는 보이지 않는 보편적인 원리에 의해 조직된 것]이 아니라 [독특한 문화적 규칙을 통해 지역적으로 표현된다]고 가정한다. 중요한 것은, [후기구조주의자]들은 이러한 [지역적 표현]과 [복수적 표현]의 차이가 그저 용인tolerated될 뿐만 아니라 기념되어야celebrated 한다고 주장한다.
In the wake of these doubts about structuralism, a post-structuralist philosophical and cultural critique emerged. This movement has become a dominant form of critique in the arts and humanities but has yet to be employed within medical education. It assumes that the world is not organised by unseen universal principles, but is expressed locally, through idiosyncratic cultural rules. Importantly, post-structuralists argue that difference between these local and plural expressions should not only be tolerated, but also celebrated.

언어가 실천을 형성shape한다는 점에서, 후기 문화주의자인 페미니스트들은 [언어가 가부장제의 지배적인 문화적 담론을 지지하기 위해 사용]되는 방식 및 [왜 성별 간의 차이가 기념되지 않고, 오히려, 하나의 통제 충동, 즉 남성의 그것을 지지하기 위해 확대되는지]에 특히 관심이 있다. 그들은 여성의 생식 사이클을 남성이 전유하는 것으로부터 해방되는 것과 같은 전통적인 1960년대 후기의 전통적 페미니스트에는 초점을 덜 두며, 그보다는 [사회적 실천을 형성하는 가치에 대한 기준으로 남자의 목소리에 의해서 텍스트가 어떻게 전유되는지appropriated에 ]더 관심이 있다. 
Where language shapes practices, post-structuralist feminists are particularly interested in the way that language is used to support the dominant cultural discourse of patriarchy and why differences between the genders are not celebrated, but, rather, are widened in support of one controlling impulse: that of the male. They are less interested in the foci of traditional post-1960s feminists, such as the liberation from male appropriation of women’s reproductive cycles, and more concerned with how text is appropriated by the male voice as a basis for the values that shape social practices.

후기구조주의자인 페미니즘은 'French'라고 불리는데, 이는 세 명의 프랑스 국가 사상가, 특히 Julia Kristeva, 51 Ellene Cixous 52-54, Luce Irigaray의 영향이다.55 하지만, 미국의 Judith Butler와 같은 다른 작가들 역시 이러한 새로운 성향을 형성하는데 영향을 미쳤습니다. Butler의 관점에서, 젠더는 운명이 아니라, 정체성을 형성하기 위해 '수행되는performed' 것이고, 이는 젠더를 단순히 생물학적 표현을 넘어, 문화적 구성cultural construction으로 이동시킨다.1

Post-structuralist feminism is often referred to as ‘French’ because of the influence of three French national thinkers in particular: Julia Kristeva,51 Hélène Cixous52-54 and Luce Irigaray.55 However, other writers such as the American Judith Butler have also been influential in shaping this new wave of feminism.1 Butler’s view is that gender is not destiny, but is ‘performed’ to construct identity, and this moves gender beyond biological expression to cultural constructions.1

후기구조주의자인 페미니즘은 세 가지 개념으로 특징지어진다.

  • 잠재적으로 억압적인 이분법적 사고의 논리에 도전하는 것,
  • 즉 '차이'를 존중하고 용인하는 것,
  • '타협적' 사고

이러한 각 우려 사항은 여기에 요약되어 있습니다.

Post-structuralist feminism is characterised by three notions:

  • challenging the potentially oppressive logic of binary thinking;
  • respecting and tolerating ‘difference’, and
  • ‘liquid’ thinking.

Each of these concerns will be summarised here.

 

이분법적 사고에 도전하기
Challenging binary thinking

[젠더 연구]는 복잡한 성별 문제를 본질주의로 축소하거나, 순수 생물학적 차이 측면에서 성별을 언급하는 이분법적 사고(예: 남성 대 여성)를 활용하는 경향에 의해 손상된다. 후기구조주의자인 페미니즘은 그러한 수사학에 도전하는데,

  • 첫째는 반대적 사고에 대한 비평이고
  • 둘째는 생물학적 차이 이전에 [언어 사용]에 초점을 맞춘다.

[반대적 사고oppositional thinking]는 재료를 단순한 서술 범주로 축소함으로써 복잡성을 통제하기 위한 기본적인 수사학적 전략으로 볼 수 있다.
Gender studies are compromised by a tendency to utilise binary thinking (such as male versus female), which reduces complex gender issues to essentialism or refers to gender in terms of purely biological differences. Post-structuralist feminism challenges such rhetoric,

  • firstly in a critique of oppositional thinking and
  • secondly in a focus upon language use prior to biological difference.

Oppositional thinking can be seen as a basic rhetorical strategy with which to control complexity by reducing material to simplistic descriptive categories.

[반대적 사고]와 그에 따른 실천에 의하면, 한 용어는 긍정적이 되고, 다른 용어는 남성/여성, 인간/동물, 성인/자녀, 백인/흑인과 같은 비대칭적인 반대에서 지배하게 된다. 예속된 용어는 지배되거나 지배될 뿐만 아니라 쉽게 경시되고 정형화되고 악마화된다. Cixous는 '담론이 어디서 구성되든' 그것은 '항상 같은 은유'이며, 위계로 이어지는 반대주의이거나 이중성duality의 것이라고 지적한다. 예를 들어, 서양의 생각은 항상 반대를 통해 작동해왔는데, 예를 들어 활동/수동성, '여성은 항상 수동성과 연관된다'와 같은 것이다. 의학은 불확실성으로 가득 차 있음에도, 의학의 특징은 subject matter를 반대 범주로 축소함으로써 이를 통제하려는 것이다. 그 예로서, 정상 대 병리학적, 건강 대 질병, 치료 대 관리와 같은 것이 있다.

In oppositionalist thinking and its subsequent practices, one term becomes the positive and comes to dominate the other in an asymmetrical opposition, such as man/woman, human/animal, adult/child, white/black. The subjugated term is not only governed, or ruled, but is easily belittled, stereotyped and demonised. Cixous points out that ‘wherever discourse is organised’ it is ‘always the same metaphor’, that of oppositionalism or duality leading to hierarchy, where Western ‘thought has always worked through opposition’, such as Activity/Passivity, and ‘woman is always associated with passivity’.56 Although medicine is riddled with uncertainty, it characteristically controls this by reducing its subject matter to oppositional categories, such as normal versus pathological, health versus illness, and cure versus care.

Kristeva51은 반대적 사고는 편견을 향해 악화될 가능성이 높다고 말한다. 일반적으로 반대는 주체/객체의 형태를 취합니다. 내가 반대하는 것은 잠재적으로 비인간적이고 비개인적인 것이다. 좌천된 '타인'은 용인할 수 없는 '천한abject' 존재로 빠르게 악마화될 수 있다. 그 천한 존재abject는 배제될 뿐만 아니라, 희생양과 같이 병리적이고 적극적으로 차별된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의사들은 [덜 아픈 환자]를 [더 많이 아픈 환자]보다 더 호의적으로 대하는 경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28

Kristeva51 suggests that oppositional thinking readily deteriorates to prejudice. Typically, opposition takes the form of subject/object. Whatever I oppose is potentially de-humanised and de-personalised. The relegated ‘other’ can quickly become demonised as the ‘abject’ that is considered intolerable. The abject is not only excluded, but pathologised and actively discriminated against, such as by scapegoating. Research has shown that doctors tend to treat their less ill patients more favourably than more ill subjects.28

다름을 축하하기
Celebrating difference

의료의 민주화를 위해서는 위계에 대한 반대countered가 필요하다. 특히 '수평적' 형태의 팀워크가 환자 건강 결과에 도움이 된다는 증거에 비추어본다면 그러하다. 전문직 종사자들이 자신을 반체제적이고oppsed 위계적으로 위치시킨다면, 진정한 전문직 상호주의로 전환될 가능성은 좌절된다. Cixous와 같은 작가들은 [반대주의적 사고]의 습관에 저항해야 한다고 제안한다. ('우리와 그들' 사고방식을 생산해낸) 제국주의와 식민주의 대신, 사람 사이의 여러 가지 차이점에 초점을 맞추고 이를 축하하는 것이다. Cixous와 Clément는 '영원한 자연 그대로의 남성적 구조의 안정'과 '자연적으로' 지배적인 것에 대한 도전을 제시합니다. – 다른 사람들을 주인공protagonist의 자아로 몰아넣는 '자아의 제국'입니다.

Hierarchies need to be countered if we are to democratise medicine, especially in light of evidence that ‘horizontal’ forms of team-working benefit patient health outcomes.57 The possibility of a transition to authentic interprofessionalism is frustrated by professions positioning themselves as opposed and hierarchical. Writers such as Cixous suggest that we must challenge the habit of oppositionalist thinking that has historically informed – and attempted to naturalise – imperialism and colonialism (producing an ‘us and them’ mentality) and instead focus upon, and celebrate, multiple differences among persons. Cixous54 and Clément58 offer a challenge to the ‘stability of the masculine structure that passed itself off as eternal-natural’ and ‘naturally’ dominant – the ‘Empire of the Selfsame’ that forces others into the mould of the protagonist’s self.

 

'유동적' 사고와 은유 사용
‘Liquid’ thinking and the use of metaphor

Irigaray59와 Cixous52는 페미니즘이 자신의 언어를 주장해야 하며, 가부장적 언어의 매체를 통해 일하도록 이끌어서는 안 된다고 제안합니다. Irigaray59는 지배적인 가부장적 언어에 의해 소외된 ways of thinking and knowing을 포착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는 fluid and liquid 언어를 묘사합니다. 의학은 다른 복잡한 praxis처럼 은유와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다. 의학에서의 사고thinking in medicine는 두 가지 방식으로 작용한다. 하나는 문자 그대로 사회-현실적 서술이며, 다른 하나는 비유적 또는 은유적인 표현적 서술이다.
Irigaray59 and Cixous52 suggest that feminism must claim its own language and not be drawn to work through the medium of a patriarchal language. Irigaray59 describes a fluid or liquid language that is highly metaphorical that might be used to capture ways of thinking and knowing that are marginalised by the dominant patriarchal language. Medicine, like any complex praxis, is intimately bound with metaphor. Thinking in medicine works in two ways: literally, as social-realist narrative, and figuratively or metaphorically, as expressive narrative.

문자 그대로의 모습을 형상화함으로써 은유법은 환자의 경험에 더 가까워질 수 있도록 도와줄 수 있다. 예를 들어, 빈센트 램은 할아버지의 종양에 대해 다음과 같이 설명합니다. '그의 왼쪽 옆구리가 마치 풍선이 피부 밑으로 부풀어 오르는 것처럼 부풀어 올랐다. 나는 손가락 끝으로 종양을 부드럽게 눌렀다. 차가운 플라스틱처럼 단단하고 단단했다.' '풍선이 부풀어 오르는 것처럼' '차가운 플라스틱처럼'과 같은 이 텍스트 전반에 걸친 은유와 유추는 패턴 인식을 통해 전문가의 임상 판단에 어떤 것이 채택되는지employed를 반영한다. 램(남성의사)은 할아버지의 '피묻은 오줌'을 '거친 모래와 같은 응고물'을 가진 것으로 묘사한다. 이러한 근접한 인식close noticing과 문자 그대로의 접촉은 Irigaray의 특징적으로 남성적이며 환자를 수동적인 역할에 배치하는 객관적이고 추상적인 진단 시선에 대응하기 위한 전술에 대한 반응을 분명하게 보여줍니다.

By turning the literal into an image, metaphors can help us to get closer to the experience of the patient. For example, Vincent Lam describes his grandfather’s developing tumour: ‘His left flank bulged as if a balloon was being inflated under the skin… I pressed the tumour gently with the tips of my fingers. It was firm, hard like cold plasticine.’60 The metaphors and analogies throughout this text –‘like cold plasticine’, ‘as if a balloon was being inflated’– reflect those employed in expert clinical judgement through pattern recognition. Lam (a male doctor) further describes his grandfather’s ‘bloody pee’ as having ‘clots like coarse sand’.60 This close noticing and literal contact clearly illustrate a response to Irigaray’s call for tactility59 to counter the objectifying and abstracting diagnostic gaze that is characteristically male and serves to place the patient in a passive role.

수잔 손탁은 은유가 가부장제를 대신하여 전략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고 지적한다.61 결핵의 전조에 따라, 암과 후천성 면역 결핍 증후군에 대한 현대적 서술은 문자 그대로의 질병의 설명을 넘어 비난적인 은유를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은유들은 병을 앓고 있는 사람들에게 수치심과 죄책감을 가져오고 적절한 치료를 구하는 것을 방해할 수 있습니다. 이것은 지지와 이해보다는 수치심과 희생양으로 가득찬 문화로 울려 퍼진다. 게다가, 의학은 일반적으로 '암과 싸우는 것'과 같은 일을 묘사하기 위해 [남성적인 군사적 은유]를 사용하는 상황에서, 환자들이 질병을 다루는데 도움을 주지 못할 수도 있다. 이미 지친 환자는 자신이 싸울 수 없다고 느낄 수도 있다.  
Susan Sontag notes that metaphors can be employed strategically on behalf of a patriarchy.61 Following the precursor of tuberculosis, contemporary descriptions of cancer and acquired immune deficiency syndrome (AIDS) can move beyond accounts of literal illness to offer accusatory metaphors.61 These metaphors bring about shame and guilt in those suffering from illness and may prevent them from seeking appropriate treatment. This resonates with cultures of shaming and scapegoating rather than of supporting and understanding. In addition, medicine may fail to help patients to deal with illness in contexts in which it typically employs masculine martial metaphors to describe its work, such as ‘fighting cancer’. The already exhausted patient may feel she is not up to the fight.

아마도 [여성화된 서술적 감수성]은 (형식적인 기계학보다는) 환자를 전체적으로 파악하고, 유동적이고 역동적인 감성을 통해 환자의 복잡성을 파악할 가능성이 더 높을 것이다. Cixous52가 'écriture feminine'이라고 표현한 유동적 사고는 세상을 은유적으로 묘사하고 있는데, 이것은 [위장된 통제 형태]도 아니고 [호혜주의에 대한 요구]도 아닌, 무조건적인 보살핌에 대한 우아한 비유이다.

Perhaps a feminised narrative sensibility is more likely to read the patient holistically and to grasp the complexity of the patient through a fluid, dynamic sensibility rather than a formal mechanics. The liquid thinking that is described by Cixous52 as ‘écriture feminine’ metaphorically inscribes the world with ‘mother’s milk’, an elegant metaphor for nourishing, unconditional care that is neither a disguised form of control nor a demand for reciprocity.

젠더 텍스트로서의 커리큘럼
The curriculum as a gender text

[후기구조주의적 페미니즘]의 기본 전제를 소개한 후, 이 기사의 나머지 부분에서는 이러한 관점이 가부장제와 남성적 항의를 통해 현재 습관적으로 형성되고 있는 [의학교육을 재고하는 데 어떻게 도움을 줄 수 있는지]에 대해 논의할 것이다. 포스트 커리큘럼 페미니즘의 프레임워크를 통해 의학 커리큘럼을 어떻게 재성별할 수 있는가? 몇 가지 실례가 검토된다.

Having introduced the basic premises of post-structuralist feminism, the remainder of this article will discuss how this perspective can help us to rethink medical education that is currently habitually formed through the discourse of patriarchy and the masculine protest. How might the medicine curriculum be re-gendered through the framework of post-structuralist feminism? Several illustrative examples are considered.

커리큘럼 설계
Curriculum design

교육과정을 '성교과서gender text'로 설명하는 것은 의대에서 이례적일 것이다. 그러나 현재 커리큘럼은 남성 대 여성의 구도에서 '여성'을 열등하게 배치하는 전형적인 가부장적 장치를 통해 설계, 구현 및 평가된다. 이 기사의 첫 번째 섹션에 요약된 인구 통계에 따르면 의대생 여학생이 촉진자로서 남학생보다 뛰어나지만, 의학 교육에서 여성이 적절히 대표되지 않는다고 한다. 왜 이 미끄러짐slippage이 발생하는가? 아마도 현재의 커리큘럼 디자인은 의식적으로 또는 무의식적으로 가부장적 형태를 재현했기 때문이다.
It would be unusual in medical education to describe the curriculum as a ‘gender text’,62 yet curricula are designed, implemented and evaluated through typical patriarchal devices that gender-stereotype to place ‘woman’ as the inferior in a male versus female opposition. The demographics summarised in the first section of this article note that women are not represented adequately in medical education, although female medical students outperform male students as facilitators. Why does this slippage occur? Perhaps current curriculum design consciously or unconsciously reproduces patriarchal forms.

예를 들어, 앞서 언급했듯이, [고급 임상 기술 마네킨]은 남성의 모습을 하고 있다. 생물의학자는 사회과학처럼 'Soft' 또는 tender-minded 과목으로 인식되는 것에 대해 적대적인 것으로 악명 높다.63 (역량으로 표현되)는 행동 결과 기반 학습과 같은 커리큘럼 계획에서, 현재의 정통성orthodoxy은 [합리적, 기술적, 도구적, 목표 지향적이고 냉정]하다고 볼 수 있다,64 따라서 남성적 항의masculine protest와 권위주의적 성격의 전형적인 특징을 닮았습니다. 그러한 접근법은 과정, 직관, 그리고 합법적인 학습으로서의 영향을 부정합니다.
For example, as I have noted, advanced clinical skills manikins are gendered male. Biomedical scientists are notoriously hostile towards what they perceive as ‘soft’ or tender-minded subjects such as the social sciences.63 The current orthodoxy in curriculum planning, such as behavioural outcomes-based learning – expressed as competencies – can be seen as rational, technical, instrumental, hierarchical, goal-oriented and cold,64 thus resembling the classic profile of the masculine protest and the authoritarian personality. Such approaches deny process, intuition and affect as legitimate learning.

커리큘럼은 살아있는 경험입니다; 그것은 단순한 강의요목이나 내용목록을 넘어서고, 정체성을 형성하는 역할을 합니다. 의대 교육에서 정체성 관련 목표는 [의대생의 정체성]에서 [수련의사의 정체성]으로의 전환을 말한다. 그러나 만약 이 정체성 구축이 [불확실성과 모호성을 인정하는 것에 대한 방어적 태도]와 [냉소를 초래할 수 있는 감정의 무뎌짐]와 같은 남성적 항의의 고전적인 징후를 수반한다면 어떻게 될까? 이 두 가지 모두 의대생들 사이에서 '공감 감소' 현상이 잘 문서화되어 있다는 증거로, 남성 젠더적 현상male-gendered phenomenon로 읽힐 수 있다. 개인주의적인 '영웅적인' 의학의 시대는 끝났다고 말한 Ludmerer는 옳은가?

The curriculum is a lived experience; it extends beyond a mere syllabus or list of content, and serves to construct identities. In a medical education, the identity-associated goal refers to a transition from the identity of medical student to that of trainee doctor. But what if this identity construction carries with it the classic signs of the masculine protest such as defence against admitting uncertainty and ambiguity, and the hardening of feelings that can lead to cynicism? Both are signs of the well-documented phenomenon of ‘empathy decline’ amongst medical students, which can be read as a largely male-gendered phenomenon. Is Ludmerer24 correct to suggest that the days of individualistic ‘heroic’ medicine are over?

성인교육
Andragogy

의학 교육에서 Andragogy 또는 성인 학습 이론의 광범위한 무비판적 수용은 언어와 사상에 근거한 제도화된 성 편견을 위장한다.65 'andragogy(그리스어: andr-)'의 어원은 '남성' 또는 '남자'를 의미한다. 의학 교육이 'gynagogy'이라면 어떻게 보일까? [자율성]을 특권화하는 이론들도 마찬가지로 협력적인 접근법을 희생시키면서, 의학의 전통적으로 영웅적이고 남성적인 입장을 반영한다.

The widespread uncritical acceptance of andragogy, or adult learning theory, in medical education, disguises an institutionalised gender bias grounded in language and thought.65 The root of ‘andragogy’ (Greek: andr-) means ‘man’ or ‘male’. How might a medical education look if it were a ‘gynagogy’? Learning theories that privilege autonomy also serve to mirror medicine’s traditionally heroic, masculine stance, at the expense of more collaborative approaches.

전문성, 성찰 및 자기 지식
Professionalism, reflection and self-knowledge

의학 교육에서 전문성과 개인적 성찰의 강조가 보다 tender-minded practice을 향한 움직임을 반영하는 것처럼 보일 수 있지만, 전문직업성은 남성적 항의masculine protest의 영향 아래 놓여 있다. 여기에는 '커리큘럼 설계'로 불리는 [명시된 학습 성과를 통한 평가의 엄격한 접근 방식]을 포함한다.
Although the emphasis upon professionalism and personal reflection in medical education may seem to reflect a move towards a more tender-minded practice, professionalism is subject to the influence of the masculine protest, including the supposedly rigorous approach of assessment through stated learning outcomes, referred to under Curriculum design.

교육과정에서 [전문직업성]은 학생들이 [제도화된 형태의 성찰적 실천을 통해 자신을 알게 되는 기술]로 광고되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이는 학습자를 [개인주의적 모델] 또는 [자율적 성찰 모델]로 유도하여 Andragogy의 교리를 확인시킴과 동시에 협력에서는 더 멀어질 수 있습니다.66 Christeva는 실제로 우리는 언제나 '자신에게 낯선 사람'이기 때문에, '나를 아는 것self-knowing'이란 것은 (마스터리의 한 측면인) 잠재적 환상이라고 비판합니다.67
Professionalism in the curriculum is often advertised as a technique by which students come to know themselves through institutionalised forms of reflective practice. However, this may drive learners into individualistic or autonomy-based models of reflection that confirm the tenets of andragogy and move away from collaboration.66 Kristeva critiques such ‘self-knowing’ as potential illusory, an aspect of ‘mastery’, when in reality we are always ‘strangers to ourselves’.67

[자신의 실천, 자기 이미지, 커리어 목표에 대해 더 불확실한 여성 동료들]과 비교했을 때, 남성 의사들은 [강한 자기 이미지]에 부합하고, [협소한 커리어 야망]에 부합하는 그들의 직업에 대해 [확고한 자신감]을 보인다.28 이 차이는 정신분석학적으로 읽힐 수 있는데, 여기서 [지나친 자신감]은 [불확실성의 인식에 대한 방어기제defence]가 되기 때문이다. Kristeva는 자기자신을 알게 되는 것은 역설적으로 '(자기 자신을) 모르는 것'을 통해서 이루어진다고 말한다. 즉, 자아 이미지의 기본적인 불안정성을 인식하는 것이다. 하지만, 다시 말하지만, 이것은 '마스터리'가 아니다('마스터리'역시 또 다른 배제적, 남성적 용어이다).
In comparison with their female colleagues, who are more uncertain about practice, self-image and career goals, male doctors show assertive confidence in their practice congruent with strong self-image and aligned with focused career ambitions.28 This difference can be read psychoanalytically, where over-confidence can offer defence against recognition of uncertainty. Kristeva suggests that it is through ‘unknowing’, or the recognition of basic instability of self-image, that we paradoxically come to know ourselves.67 But, again, this is not ‘mastery’ (another exclusive, masculine term).

또한 [전문직업적 실천]은 주로 [상황 또는 맥락적으로 민감한 윤리]보다는 [원칙 집합을 고수하는 접근법]에 기초한 윤리적 행동에 의해 정의되어 왔다(사례 참조).68 [원칙에 기초한 접근법]은 [명확성과 획일성이라는 보다 남성적인 목적]을 위해 노력하는 반면, [상황적 접근법]은 [모호성에 대한 보다 여성적인 관용]을 허용한다.

Further, professional practice has largely been defined by ethical behaviour based on an approach that adheres to the upholding of a set of principles, rather than on a situated or contextually sensitive ethics (see Cases).68 Principles-based approaches strive for the more masculine purposes of clarity and uniformity, whereas situated approaches allow for a more feminine tolerance of ambiguity.

 

사례
Cases

만약 의학이 '어머니 젖'으로 글을 쓰는 것이 어떤 것인지 은유적으로 묻는 Cixous(52)에 의해 모델링된 것과 같은 여성적이고 여성적인 글쓰기의 관점에 의해 인도된다면, 그러한 윤리의 '사례'는 어떻게 보일까, 아니면 어떻게 기록될까? 이것은 환자 '사례'와 같은 글을 부성애보다는 모성애로 적는 것으로 읽힐 수 있다. 씨소스가 52번이나 '어머니 젖'을 비유로 사용한 것은 남성에게도 글쓰기에 대한 참여를 열어주고, 우리 삶의 글쓰기를 자양분이면서 표현력 있는 모유처럼 (성격이나 정체성 형성의 의미로) 얼룩지는 '표현'하게 해준다.
What would such ethics ‘cases’ look like, or how would they be written up, if medicine were guided by the outlook of écriture feminine, feminine practices of writing, such as those modelled by Cixous,52 who asks, metaphorically, what it is like to write with ‘mother’s milk’? This can be read as (re)inscribing writing, such as a patient ‘case’, with maternalism rather than paternalism. Cixous’s52 use of ‘mother’s milk’ as a metaphor opens participation to men also to treat writing – and the writing out of our lives as identity performances – as nourishing and expressive, ‘expressed’ as breast milk that stains (in the sense of character or identity formation) as it sustains.

Cixous는 남성적인 문체의 지배적인 관례에 대한 저항으로 여성적인 단일한 '목소리'가 어떻게 글로 옮겨질 수 있는지를 더 자세히 설명합니다. 그녀는 어떻게 글쓰기가 지적인 글쓰기의 양식적 요구에 의해 평탄해지지 않을 수 있는지를 보여준다. 그래서 우리는 글쓰기를 숨막히게 하거나 문장과 침묵으로 만들어 낼 수 있다.69

Cixous further describes how a singular, feminine ‘voice’ might be brought into writing by resistance to the conventions of a dominant masculine style. She shows how writing might not be flattened by the stylistic demands of intellectual writing (the scientific report, the ‘case’ presentation) so that we might ‘make the text gasp or form it out of suspenses and silences’.69

돌봄
Care

Martha Nussbaum의 관점에서, 보건의료(예: 자원 분배)에는 ['돌봄'의 질에 대한 여성적 우려]보다 ['정의' 문제에 대한 중요한 남성적 우려]가 더 특권적 위치에 있다.70 우리는 이것이 2008년 영국 의학 저널에 발표된 남성 의사인 McKinstry와 여성 의사인 Dacre 사이에 펼쳐진 토론에서 볼 수 있다., 12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McKinstry는 의학의 여성화 지지자들이 [환자와의 의사소통(관리 품질) 향상에 중점을 두는 것]은, 의료인들이 환자와 더 많은 시간을 보내고 더 많은 의뢰를 제공하는 것을 수반하기 때문에, [자원에 대한 압박과 같은 정의 문제]와 상충된다고 제안합니다. 물론 두 가지 성향 모두 중요하지만, 반대되는 남성적 항의가 대표적이다. 그러나 누스바움은 정의의 윤리가 보살핌의 윤리보다 지속적으로 특권을 누리고 있으며, 이는 불평등을 초래하는 성 편견으로 읽힐 수 있다고 주장한다.70

For Martha Nussbaum, there is an overarching male privileging of issues of ‘justice’ in health care (such as in the distribution of resources) over a female concern with issues of quality of ‘care’.70 We see this played out in the debate published in the British Medical Journal between McKinstry, a male doctor, and Dacre, a female doctor, in 2008.7, 12 As noted earlier, McKinstry suggests that the focus placed by supporters of the feminisation of medicine on improved communication with patients (quality of care) is at odds with justice issues such as pressure on resources because it involves practitioners in spending more time with patients and offering more referrals. Of course, both orientations are important, but it is typical of the masculine protest to place them in opposition. However, Nussbaum argues that an ethic of justice is persistently privileged over an ethic of care, and this can be read as a gender bias leading to inequalities.70

가계
Household

얼마 전까지만 해도 1년차 주치의(주니어 레지던트로 인턴이 진급)를 부르는 용어로서, 병동 팀이라는 맥락에서의 '회사'라는 기술어의 의미, 'house officer'과 'houseman'의 의미를 따지려 했던 의사는 거의 없었을 것이다. 영국에서는 이제 'firm'라는 개념이 사라지고 'foundation doctor'라는 용어가 'house officer'을 대체하게 되었다. 남근적 용어인 'firm'은 이제 무기력flaccid해졌으며, 오히려 유연해지고 유동적이 되었다. 그리고 점차 주니어 의사들은 더 유목적이고 되었고, 덜 'attached'되었다.
Not so long ago, few doctors would have bothered to question the meaning of the descriptors ‘firm’ in the context of the ward team, or ‘house officer’ and ‘houseman’ with reference to the first-year junior doctor (intern progressing to junior resident). In the UK, the notion of the ‘firm’ has now disappeared and the term ‘foundation doctor’ has replaced ‘house officer’. The phallic ‘firm’ is now flaccid or, rather, flexible and ‘liquid’ as junior doctors learn to become more nomadic and less ‘attached’.

이제 대다수의 주니어 의사가 여성인 상황에서, 전형적으로 여성의 영역이었던 household를 어떻게 꾸릴 것인가? 예를 들어, 그들은 사업 가치('firm'은 일반적으로 상업적 벤처나 법률적 설립을 묘사한다)보다 Domestic한 '돌봄' 가치를 더 중요하게 여기며, 돌봄은 비지니스로, 환자는 고객으로 프레임해온 현재의 경영주의 담론에 반대하여 일할 것인가?71 병원을 무조건적 '환대hospitality'를 제공하는 장소라는 근본적 의미로 되돌릴 것인가? 'Firm'은, 우리가 알고 있듯이, 견고하고, 단단하며, 흔들리지 않는 특성을 의미하며, 이는 [상대를 뚫고 들어가는penetrating 의학적 시선]과 쉽게 연결된다. 여성 의사들이 (수적) 우위에 있을 때 그러한 전형적인 남성적, 혹은 남근phallogocentric 중심적인 가치들이 다른 가치들의 집합으로 대체될까?

How will the new female majority of junior doctors establish the household, which is, stereotypically, the woman’s domain? Will they, for example, see domestic ‘care’ values as more important than business values (the ‘firm’ typically describes a commercial venture or a legal set-up) and work against a current discourse of managerialism that frames care as a business and patients as customers?71 Will they return the hospital to its root meaning of a place that offers unconditional ‘hospitality’? ‘Firm’, as we know, also means solid, stiff, unyielding and steadfast, characteristics that are readily linked with the penetrating medical gaze. Will such archetypally masculine, or phallogocentric, values be replaced by a different set of values when women doctors are in the ascendant?

센터
Centres

의학 교육 연구는 협업보다는 자원 경쟁을 계속 강조하고 있다. 보다 민주적인 '네트워크'보다는 연구를 위한 '중심'이 여전히 가장 인기 있는 서술자인데, 이는 협업 모델이 보다 여성적인 어조로 보일 수 있는 구조를 내포하고 있다.

Medical education research continues to emphasise competition for resources rather than collaboration. A ‘centre’ for research is still the most popular descriptor, rather than the more democratic ‘network’, which implies a structure in which collaborative models can be seen to be more feminine in tone.

결론: 의학의 민주주의를 향하여
Conclusions: towards democracy in medicine

의료 교육에 대한 [후기구조주의적 페미니즘]의 기여는 의학에서의 [민주적 습관의 촉진]으로 요약될 수 있다. 의학 교육은 (아마도 논쟁의 여지는 있으나) 역사적으로 [습관적으로 남성적 시위에 근거해온, 역사적이고 끈질긴 독재적 의료 문화]에 민주주의를 도입해온 것으로 기술될 수 있다. 이러한 [민주화 프로세스]가 설득력을 확보하여 동료와의 협업과 환자 중심의 협업을 통해 환자 안전과 환자 관리를 개선할 수 있는 수단이 되도록 하는 것이 필수적입니다.
The contribution of post-structuralist feminism towards medical education can be summarised as the facilitation of democratic habits in medicine. Medical education can be described, perhaps controversially, as the means whereby democracy can be brought to a historically and persistently autocratic medical culture habitually grounded in the masculine protest. It is essential that such a democratising process gains traction so that collaborative teamwork with colleagues and patient-centred collaborations become the means through which patient safety and then patient care can be improved.

이 프로젝트는, 분명히, 후기구조주의 페미니스트 사상을 의학 교육에 고용하는 것보다 더 광범위하다. 그러나 이러한 사고방식은 [인구통계학적 경향에 국한된 여성화]를 넘어서, [민주화 프로젝트] 측면에서 의학교육을 재고할 수 있는 급진적인 플랫폼을 제공한다. 미래의 의학교육은 가부장적 프레임워크의 규약에 의해 가장 잘 알려지는 것이 아니라, 현대 성별 연구와 중요한 페미니즘 분야에 익숙한 의학교육에 의해 가장 잘 알려질 수 있다.

This project, admittedly, is wider than the employment of post-structuralist feminist thought to medical education. However, such a mode of thought offers a radical platform for rethinking medical education in terms of a democratising project that extends beyond a version of feminising that is limited to demographic trends. A future medical education may not be best informed by the conventions of a patriarchal framework, but by a medical education familiar with the fields of contemporary gender studies and critical feminisms.

 


Med Educ. 2013 Jan;47(1):59-70.

 doi: 10.1111/j.1365-2923.2012.04351.x.

Gender matters in medical education

Alan Bleakley 1

Affiliations collapse

Affiliation

  • 1University of Plymouth, UK. alan.bleakley@pms.ac.uk
  • PMID: 23278826
  • DOI: 10.1111/j.1365-2923.2012.04351.xAbstract
  • Context: Women are in the majority in terms of entry to medical schools worldwide and will soon represent the majority of working doctors. This has been termed the 'feminising' of medicine. In medical education, such gender issues tend to be restricted to discussions of demographic changes and structural inequalities based on a biological reading of gender. However, in contemporary social sciences, gender theory has moved beyond both biology and demography to include cultural issues of gendered ways of thinking. Can contemporary feminist thought drawn from the social sciences help medical educators to widen their appreciation and understanding of the feminising of medicine?Conclusions: Women doctors entering the medical workforce can resist and reformulate the current dominant patriarchy rather than reproducing it, supported by male feminists. Such a feminising of medicine can extend to medical education, but will require an appropriate theoretical framework to make sense of the new territory. The feminising of medical education informed by post-structuralist frameworks may provide a platform for the democratisation of medical culture and practices, further informing authentic patient-centred practices of care.
  • Discussion: Post-structuralist feminist critique, drawn from the social sciences, focuses on cultural practices, such as language use, that support a dominant patriarchy. Such a critique is not exclusive to women, but may be described as supporting a tender-minded approach to practice that is shared by both women and men. The demographic feminising of medicine may have limited effect in terms of changing both medical culture and medical education practices without causing radical change to entrenched cultural habits that are best described as patriarchal. Medical education currently suffers from male biases, such as those imposed by 'andragogy', or adult learning theory, and these can be positively challenged through post-structuralist feminist critique.

우리의 세계관을 형성하는 것: 이론에 관한, 이론의 대화(Adv Health Sci Educ Theory Pract. 2021)

Shaping our worldviews: a conversation about and of theory
Lara Varpio1 · Rachel H. Ellaway2

 

 

 

그 유명한 맹인과 코끼리의 은유가 보여주듯이, 사람들은 종종 같은 것을 매우 다른 방식으로 본다. 실제로, 우리의 관점은 우리가 우리 주변의 세계를 인식하는 방식을 형성하고, 과거와 현재의 경험에 대한 해석을 형성하며, 우리가 가지고 있는 기대를 형성합니다. 간단히 말해서, 우리의 세계관은 중요하며, 그들은 서로 다릅니다. 학문의 맥락에서, 우리의 세계관은 우리가 연구할 가치가 있다고 여겨지는 주제들, 우리가 그것들을 어떻게 연구할 것인가, 그리고 우리의 연구에서 이끌어내는 추론들을 알려준다.

As the ubiquitous metaphor of the blind men and the elephant illustrates, people often see the same things in very different ways. Indeed, our perspectives shape the ways in which we perceive the world around us, they shape our interpretations of past and present experience, and they shape the expectations we hold. Simply put, our worldviews matter, and they differ. In the context of scholarship, our worldviews inform which topics we deem worthy of study, how we go about studying them, and the inferences we draw from our studies. 

 

Underhill(2011)은 이것을 우리가 인식하는 것과 학자로서의 인식을 해석할 때 우리가 상상할 수 있는 것의 관점에서 설명한다. [세계관]은 [공유된 문화에 참여하는 것에서 오는 사고방식, 그리고 우리의 개인적인 성향과 관점]이다. 부르디외는 1990년 필드, 하비투스, 도사 사이의 연결고리에서 이것을 반영했다. 예를 들어, 우리가 이 논문에서 피에르 부르디유와 제임스 언더힐과 같은 사상가들을 그린다는 사실은 학자로서의 우리의 세계관을 반영합니다; 많은 독자들은, 아주 합법적으로, 세상을 다르게 볼지도 모릅니다. 그것은 어느 세계관이 옳은가 하는 문제가 아니라, 우리 분야에서 과학을 추구함에 있어서 다른 세계관을 이용하는 효용성의 하나이다.
Underhill (2011) describes this in terms of what we perceive and what we can conceive in interpreting our perceptions as scholars; a worldview is the mindset that follows from participating in a shared culture, and our personal dispositions and perspectives. Bourdieu reflected on this in the links between field, habitus, and doxa (1990). As an illustration, the fact that we draw on thinkers such as Pierre Bourdieu and James Underhill in this paper reflects our worldviews as scholars; many readers may, quite legitimately, see the world differently. It is not a matter of which worldview is correct but rather one of the utility of using different worldviews in the pursuit of science in our field.

학자로서, 우리의 세계관은 우리의 훈련, 우리가 일하는 패러다임, 과학의 담론(다른 세계관 사이의 갈등과 토론을 포함), 우리의 일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적, 사회적 요소, 그리고 우리가 일하는 구체적인 맥락을 포함한 많은 힘에 의해 형성된다. 이러한 요소들이 중요하듯이, 이 논문의 초점은 학문적 노력에 있어서 우리가 (그리고 종종 의존하는) 이론에 있다. 

As scholars, our worldviews are shaped by many forces, including our training, the paradigms we work within, the discourses of science (including the conflicts and debates between different worldviews), the personal and social factors that influence our work, and the specific contexts within which we work. Important as these factors are, the focus of this paper is on the theories we draw on (and that often we rely on) in our scholarly efforts. 

이론은 무엇인가?

What is theory?

[이론]은 여러 가지 방법으로 정의되었으며, 그 중 어느 것도 궁극적으로 권위적인 것은 없다. 그러나 이러한 정의는 일반적으로 Kerlinger의 정의를 반영한다. 
"[현상]에 대한 [설명과 예측]을 목적으로 [변수 간의 관계]를 명시함으로써, 현상에 대한 [체계적인 관점]을 제시하는 일련의 상호 관련된 [구조, 정의, 명제]"이다. (1970).
Theory has been defined in many ways, none of which is ultimately authoritative, However, these definitions generally reflect the definition from Kerlinger:

“a set of interrelated constructs, definitions and propositions that presents a systematic view of phenomena by specifying relations among variables, with the purpose of explaining and predicting the phenomena”. (1970).


이론을 이해하고 이용하는 방법에는 여러 가지가 있다. 이론은 개념화할 수 있다.

  • 특정 영역(예: 사회과학 이론과 생물의학 이론의 비교)의 발전으로서,
  • 주의의 위치에 대한 다른 범위를 가지는 것으로서(예: 행동 이론 대 실천 이론),
  • 서로 다른 목표(예: 설명 대 예측 대 해방),
  • 가변적인 foci (예를 들어, 주제 이론 [온톨로지], 가치 이론 [온톨로지], 방법 이론 [온톨로지]), 그리고
  • 서로 다른 설명력(예: 대 이론, 거시적 이론, 중간 범위 이론, 미시적 이론)을 가지고 있는 것처럼 말이다.

There are many ways of understanding and using theories. Theories can be conceptualized

  • as being developments from specific domains (e.g., social science theories vs biomedical theories),
  • as having different scopes for the locus of attention (e.g., theories of behavior vs theories of practice),
  • as aiming to achieve dissimilar goals (e.g., description vs prediction vs emancipation),
  • as having variable foci (e.g., theories of subject matter [ontological], theories of value [axiological], theories of methods [epistemological]), and
  • as having different explanatory powers (e.g., grand theories, macro-theories, middle-range theories, micro-theories).

이론을 사용할 수 있다.

  • 촉매 및 기초 가설 생성기(예: 객관적 연역적 연구)로서
  • 연구 전체에 inform하는 전제(예: 주관주의자의 완전한 이론 정보 유도 연구)의 기초 집합으로서, 그리고
  • 데이터 분석을 알리는 분석 도구로서(예: 주관주의 이론 정보 유도 데이터 분석) (Varpio et al. 2020)

Theory can be used

  • as the catalyst and foundational hypothesis generator (e.g., objectivist deductive research),
  • as the underpinning set of premises that informs the entirety of a study (e.g., subjectivist fully theory-informed inductive research), and
  • as an analytical tool that informs data analysis (e.g., subjectivist theory-informing inductive data analysis) (Varpio et al. 2020).


이러한 모든 개념화와 용도는 합리적입니다. 이러한 개념화나 용도의 어느 것도 그 자체에서나 "옳은" 것은 아니다; 우리가 이론을 사용하는 방법은 여러 가지 우연한 요인에 달려 있다.

All of these conceptualizations and uses are reasonable. None of these conceptualizations or uses is “right” in and of itself; how we use theory depends on multiple coinciding factors. 

 

실천에는 이론이 필요하다. 이론은 실천을 필요로 한다.
Practice requires theory. Theory requires practice


이론이 무엇인지에 대한 정의는 많지만, 우리는 [이론이란, 우리가 현상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되도록, 개념들 사이의 관계에 대한 추상적인 설명을 제공하는, 논리적으로 관련된 일련의 명제]라는 생각으로 포괄할 수 있다(Varpio et al. 2020). "이론"이라는 용어의 사용은 종종 다원적이고 모호하다. 모델 및 프레임워크를 언급하고, 특정 가설과 헌치를 언급하며, 광범위한 메타 서술에 사용될 수 있다. 이론은 산문 문장, 수학 공식, 도표와 삽화로 표현될 수 있다. 이러한 다양성이 단점으로 보일 수 있는 만큼, 우리는 우리의 경쟁적이고 얽힌 분야의 정신으로 보건직업 교육의 과학에서도 그것이 강점으로 볼 수 있다고 주장할 것이다. 
Although there are many definitions of what theory is, we can try to encompass them by holding to the idea that a theory is a set of propositions that are logically related, providing an abstract description of the relationships between concepts to help us understand a phenomenon (Varpio et al. 2020). Having said that, the use of the term ‘‘theory’’ is often polysemic and ambiguous: it can be used to refer to models and frameworks, to specific hypotheses and hunches, and to broad metanarratives. Theory can be expressed as prose statements, as mathematical formulae, and as diagrams and illustrations. As much as this diversity might seem a disadvantage, we will, in the spirit of our contested and entangled field, argue that, in the sciences of health professions education, it can also be seen as a strength. 

이론의 역할은 우리가 우리 주변의 세상과 그것을 경험하는 방법을 이해할 수 있도록 돕는 것입니다. 그것들이 추상적인 만큼, 이론은 실제 경험들과 밀접하고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실제로, [이론의 중심적 특징]은 [경험, 설명, 또는 예측의 추상화]이다. 이론은 [복잡한 현상에 대한 개념적 틀을 제공(또는 제공해야 한다)하여 우리가 그것들을 더 잘 이해할 수 있도록, 심지어 다른 방식으로 인식하도록] 도와준다(Hodge and Kuper 2012). 
The role of theory, then, is to help us to make sense of the world around us and the ways in which we experience it. As much as they are abstractions, theories are intimately and directly connected to practical experiences. Indeed, it is the abstraction of experience, explanation, and/or prediction that is a central characteristic of theory. Theory provides (or should provide) a conceptual framing of complex phenomena, which helps us to better understand them, even to perceive them in different ways (Hodges and Kuper 2012). 

어느 쪽이든, practice에 참여하려면 실무자가 작업 중인 현상에 대해 일종의 추상적인 이해를 해야 한다(Artino 및 Konopasky 2018). 칸트(Kant)가 관찰하고 많은 다른 사람들이 반추했듯이: "실천 없는 이론은 공허하다; 이론 없는 실천은 맹목적이다." 우리는 이 주장을 질문의 순환으로 재창조할 수 있다(그림 1 참조). 그 자체가 실체를 발견하는 메타 이론이다, 우리는 ADDIE 교육 모델(1984년)에 대한 콜브의 연구에서 주장할 것이다.Molenda 2003) 및 PDSA 모델과 같은 감사 주기(Taylor et al. 2014). 
Either way, engaging in practice necessitates that practitioners have some kind of abstract understanding of the phenomena they are working with (Artino and Konopasky 2018). As Kant (is supposed to have) observed and many others have echoed: ‘‘theory without practice is empty; practice without theory is blind.’’ We can reprise this assertion as a cycle of enquiry (see Fig. 1), itself a metatheory that finds substance, we would argue, in Kolb’s work on experiential learning (1984), the ADDIE instructional design model (Molenda 2003), and audit cycles such as the PDSA model (Taylor et al. 2014). 

 



HPE 연구자와 교육자에게, 이론과 실제의 이 얽힌 순환은 우리의 모든 노력의 기초를 제공한다. 일부 학자들은 역사적으로 기악적이고 이론적인 연구가 HPE의 학습과 변화에 대한 연구를 지배해왔다고 주장한다(Kilminster 2017). 그러나 우리는 (다른 사람들이 그랬던 것처럼) 항상 질문을 알리는 이론이 있다고 주장할 것이다. HPE 연구자들을 압박하는 우려는 두 가지이다. 

  • (1) 이론들은 얼마나 명시적 또는 암시적으로 inquiry를 shaping하는가?
  • (2) 연구자들은 이론이 그들의 실천에 미치는 영향을 얼마나 염두에 두고 있는가? 

For HPE researchers and educators, this intertwined cycle of theory and practice provides the foundations of all our efforts. Some scholars contend that instrumental, atheoretical research has historically dominated HPE’s inquiry into learning and change (Kilminster 2017); however, we would argue (as others have, including Rees and Monrouxe (2010)) that there is always theory informing inquiry. The concern that presses upon HPE researchers is twofold:

  • (1) how explicit or implicit are the theories shaping inquiry, and
  • (2) how mindful are scholars of the influence these theories have on their practices? 


가설-연역적 조사는 이론에 기초한 정교한 제안 또는 제안인 가설의 제안과 테스트를 통해 진행된다. 가설과 이론의 관계는 이 패러다임에서 일하는 데 필수적인 부분이다. 근거 이론(물론 이론 자체가 아니라 이론을 생성하는 방법)과 같은 유도적 접근 방식은 이론과 상당히 다른 관계를 가지고 있다. 
hypothetico-deductive inquiry proceeds through proposing and testing hypotheses which are elaborations or propositions based on theory. The relationships between hypothesis and theory are an essential part of working in this paradigm. Inductive approaches, such as grounded theory (which of course is not a theory per se but a way of generating theory) have quite different relationships with theory. 

 

이론을 사용하기

Using theory

이론을 개념화하는 방법과 사용하는 방법의 다원성은 HPE 학자들이 이론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고 어떻게 사용하는지를 아는 것을 어렵게 만들 수 있다.
The plurality of ways of conceptualizing theory and of using it can make it difficult for HPE scholars to know how to think about and how to employ theory.

우리는 종종 [우리가 이용할 수 있는 이론적 옵션의 만화경에 압도]당하거나, [우리가 익숙한 옵션 이외의 이론적 옵션이 아닌 것에는 무지하다는 것]을 발견한다.
we often find ourselves either overwhelmed by the kaleidoscope of theoretical options available to us or blinded to theoretical options other than those we are familiar with.

이러한 복잡성은 동일한 현상을 다루는(또는 적어도 다루는 것처럼 보이는) 많은 다양한 이론이 있다는 사실 때문에 더욱 악화될 뿐이다. 학습 이론이 그 좋은 예이다. 행동, 인지, 처리, 내용, 동기 부여 및 자기 규제 등과 관련된 많은 이론들을 설명함으로써 Schunk의 백과사전적 논문이 설명되었다 (2000년). 마찬가지로, 측정 이론과 비판 이론과 같은 영역들은 각각 그 자체로 이론이 되기보다는 대조적이고 교차하는 많은 이론들을 포함한다.

This complexity is only exacerbated by the fact that there are often many different theories that address (or at least seem to address) the same phenomenon. Learning theory is a case in point, as Schunk’s encyclopedic (and yet far from exhaustive) treatise on the topic illustrated by describing a multitude of theories related to behaviour, cognition, processing, content, motivation, and self-regulation and so on (2000). Similarly, domains such as measurement theory and critical theory each involve many contrasting and intersecting theories rather than being theories in their own right. 

뭉뚱그려 말하자면 이렇다: 그 현상이 더 복잡할수록, 그것을 설명하기 위해 더 많은 이론이 필요하다. "학습"이라는 HPE 분야의 중심 관심사를 예로 들어보자. 학습을 다루는 많은 이론이 있다(예: 행동 학습 이론, 경험적 학습 이론, 성인 학습 이론, 변형 학습 이론, 위치 인식 이론). 그리고, 이 각각에서, 여러 학자들이 다른 사람들의 이론과 일치하거나, 분리하거나, 공존할 수 있는 이론을 개발하는 토론이 있습니다.

As a general rule of thumb: the more complex the phenomenon, the more theory is needed to explain it. Take for example a central concern in the field of HPE: learning. There are a multitude of theories that address learning (e.g., behavioral learning theory, experiential learning theory, adult learning theory, transformative learning theory, situated cognition theory). And, within each of these, there are debates where scholars develop theories that can align, diverge, or coexist with the theories of others. 

 

예를 들어, 위치 인식 이론situated cognition theory은 다양한 형태를 가지고 있지만, 그들은 모두 인식은 상황적situated이며, 학습은 현장 학습과 불가분의 관계라는 생각을 공유한다(Jenkins 2013).

  • 위치 인식 이론에 주요한 공헌을 한 이론가들은 Lave와 Wenger (1991)와 Brown et al. (1989)이 있다. 설립 기여자로 인정받았지만, 이들 저자에 의해 제시된 이론들은 상당한 비판을 받아왔고, 여러 학자들이 situated cognition을 뒷받침하는 가정에 도전했다(Boaler 1993).
  • 비판자들은 이론 자체의 실증적 검증가능성empirically testable이 명확하지 않음에 의문을 제기하면서, situated cognition theory의 핵심적 가정을 dismiss하고, 이 이론에 치명적인 결함이 있다고 주장하였다(Anderson et al. 1996).
  • 이러한 방식으로, 새로운 위치 인식 이론이 개발되고, 그 주기는 학자들이 새로운 이론에 도전하고, 질문하고, 수정하고/또는 기각하면서 계속된다. 우리는 어떤 현상을 더 잘 이해하기 위한 노력으로 우리의 이론을 개발하고 파괴하고 있습니다. 

For example, situated cognition theory has varied forms but they all share the idea that cognition is situated, and that learning is inseparable from learning in situ (Jenkins 2013). Theorists who have made major contributions to situated cognition theory include Lave and Wenger (1991), and Brown et al. (1989). While recognized as founding contributors, the theories put forth by these authors have been highly criticized, leading other scholars to challenge the assumptions underpinning situated cognition (Boaler 1993), to question the viability of the theory itself since it is not clearly empirically testable (Renkl et al. 1996), and to dismiss the central claims of situated cognition theory as fatally flawed (Anderson et al. 1996). In this way, new situated cognition theories are developed, and the cycle continues with scholars challenging, questioning, revising and/ or dismissing the new theory. We continue to develop and destroy our theories, all in an effort to better understand a phenomenon.

[Inquiry라는 행위]에서 여러 다른 이론의 기능이나 의도를 구별하는 것도 도움이 될 수 있다.

  • 일부 이론은 학습과 인지 이론, 현상학, 민족학과 같은 탐구 주제subject에 초점을 맞춘다(존재론적 이론).
  • 다른 이론은 표본 추출, 담론 또는 오류와 같은 탐구에서 지식에 대한 접근에 초점을 맞추고(인식론적 이론),
  • 다른 이론은 윤리, 비판 이론 또는 미학과 같은 조사의 가치 문제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가치론적 이론). 그림 2를 참조한다.

It can also be helpful to distinguish between the function or intent of different theories in acts of inquiry. 

  • Some theories focus on the subject of inquiry, such as learning and cognitive theory, phenomenology, and ethnography (ontological theories). 
  • Other theories focus on approaches to knowledge in inquiry, such as sampling, discourse, or error (epistemological theories), and yet 
  • other theories focus on matters of value in inquiry such as ethics, critical theory, or esthetics (axiological theories)—see Fig. 2.



요약하자면, 학문적 탐구와 서로 다른 방식으로 상호작용하는 개별 현상에 대한 많은 다양한 이론들이 있으며, 이러한 이론들은 항상 진보되고, 논쟁하고, 세련되고, 업신여기고, 그 뒤에 다른 학자들이 따라오고 있다. 주어진 현상에 대해 배타적이고 본질적으로 "옳은" 이론은 없다.
To summarize, there are many different theories about individual phenomena that interact with scholarly inquiry in different ways, and these theories are always being advanced, contested, refined, upended, and followed by different scholars. There is no theory that is exclusively and intrinsically “right” for any given phenomenon.

성찰적 이론적 성찰성

Reflexive theoretical reflexivity

영어 단어 "이론"은 [외모나 시선look or gaze]을 뜻하는 그리스어에서 유래되었는데, 그것이 바로 이론이 하는 것이다. 이론은 안경이나 선글라스를 쓰는 것과 같다: 그것은 우리가 어떤 방식으로 현상을 볼 수 있게 해준다. 이론들은 우리가 그것들과 더 쉽게 또는 더 집중적인 방법으로 일할 수 있도록 현상을 설명한다. 그러나 케네스 버크가 유명하게 말했듯이, "모든 보는 방법은 또한 보지 않는 방법이다." (Burke 1935, 페이지 70) HPE 학문과 실천의 핵심인 복잡성과 씨름할 수 있도록 여러 가지 이론이 필요하다.

The English word theory is derived from the Greek word for look or gaze—that is what theory does. Theory is like wearing eyeglasses or sunglasses: they allow us to look at phenomena in certain ways. Theories explain phenomena so we can work with them more easily or in a more focused way. But, as Kenneth Burke famously stated, “every way of seeing is also a way of not seeing” (Burke 1935, p. 70). We need multiple theories to help us see phenomena from a variety of ways so that we can grapple with the complexity that lies at the heart of HPE scholarship and practice. 

 

이론은 우리에게 절대적인 진실에 대한 통찰력을 제공하지 않는다. 그것들은 우리가 씨름하고, 동의하고, 동의하지 않고, 거부하거나 받아들일 수 있는 설명과 상세한 전제를 제공한다. 모든 이론은 우리에게 특정한 시각을 제공한다. 우리가 이용할 수 있는 많은 다양한 시각 방법을 파악함으로써 비로소 우리는 안경 렌즈의 상호교환성을 이해하고 우리가 이용할 수 있는 모든 시각 방법을 이해할 수 있다. 세계관의 중요성은 부르디유와 다른 사람들로부터, 학자들이 '반사 반사성reflexive reflexivity'을 추구해야 한다는 요구에 반영되어 있다. 즉, 우리가 어떻게 학문 활동에 종사하는가engage에 대한 지속적인 비판적 인식이다. (Bourdieu와 Waquant 1992)

Theories do not offer us insights into absolute truths; they offer explanations and detailed premises that we can wrestle with, agree with, disagree with, reject and/or accept. Every theory offers us a particular way of seeing. It is only by grasping the many different ways of seeing available to us that we can then understand the interchangeability of the lenses in our glasses and understand all the ways of seeing available to us. The importance of worldview is reflected in the calls, from Bourdieu and others, for scholars to pursue ‘reflexive reflexivity’–a constant critical awareness of how we engage in our scholarly activities. (Bourdieu and Wacquant 1992). 


 

 

 

 


Review

 

Adv Health Sci Educ Theory Pract. 2021 Mar;26(1):339-345.

 doi: 10.1007/s10459-021-10033-2. Epub 2021 Feb 11.

Shaping our worldviews: a conversation about and of theory

Lara Varpio 1Rachel H Ellaway 2

Affiliations collapse

Affiliations

  • 1Center for Health Professions Education & Department of Medicine, F. Edward Hébert School of Medicine, Uniformed Services University of the Health Sciences, 4301 Jones Bridge Road, Bldg53 Suite123, Bethesda, MD, 20814, USA. lara.varpio@usuhs.edu.
  • 2Department of Community Health Sciences, Cumming School of Medicine, The University of Calgary, Calgary, AB, Canada.
    • PMID: 33570671

 

 

 

1과 0: 인공지능의 시대에 의학교육과 이론(Med Educ, 2020)

Ones and zeros: Medical education and theory in the age of intelligent machines
Brian D. Hodges

 

 

 

처음에는 의학교육의 이론 활용이 다소 희박하다는 사실에 놀랐다. 나는 'T' 단어가 어떤 사람들에게는 알레르기 반응을 유발할 수 있다는 것을 관찰했다. 내가 들은 [응용 분야]에서는, 단지 일을 완수하는 데 더 큰 가치가 부여된다.
At first, I was surprised to find medical education's use of theory rather sparse. I observed that the ‘T’ word could induce an allergic reaction for some. In an applied field I was told, greater value is given to just getting things done.

요소들이 무엇이든 간에, 의학 교육은 '(어떤 이론적, 개념적인 틀이 아니라) 전통, 의식, 문화, 그리고 역사의 결과'였던 분야가 더 이상 아니다. 
Whatever the factors, medical education is moving away from being a field that has been more often ‘the result of tradition, ritual, culture, and history than of any easily expressed theoretical or conceptual framework.’4

나는 누군가의 이론적 관점을 밝히는 가장 빠른 방법은 '왜 당신은 _____가 진실이라고 믿는가?'라고 묻는것임을 발견했다. 장소가 회의 패널일 때 대화는 더욱 풍성해진다. 이 세상을 이해하려고 노력하는 사람들 사이의 논의에서 이론이 살아난다.
I discovered the quickest way to illuminate someone's theoretical perspective is to ask ‘Why do you believe that _______ is true’? The dialogue becomes even richer when the venue is a conference panel. Theory comes to life in the discussions between people who are trying to make sense of the world.

내가 [의학교육에 고정된 진실은 없다고 믿고 있으며, 모든 '진실'은 그것이 말해지는 장소와 역사적 시대의 산물]이라고 말한다면, 이를 받아들일 준비가 되어 있는 청중들이 30년 전보다 더 많이 있을 것이라고 생각한다. 헌신적인 구성주의자로서, 제 견해는, 예를 들어, '전문직업성'이라고 불리는 것이, 모든 장소와 시대에 사실이라고 말할 수 있는 것은 없다는 것입니다. 전문가의 이미지는 시간, 장소, 문화에 맞게 구성되고 재구성됩니다.5
I suspect there is a larger audience than three decades ago prepared to accept me saying that I believe there are no fixed truths in medical education; that every ‘truth’ is a product of the place and historical era in which it is uttered. As a committed constructivist, my view is that there is no one thing called ‘professionalism’, for example, that can be said to be true in all places and times. The image of a professional is constructed and reconstructed to fit time, place and culture.5

마찬가지로, 양적 영역에서는 [숫자가 사물을 아름답게 나타낼 수 있지만 숫자가 진실이라고 말할 수 없다]는 것이 더 널리 받아들여지고 있다. 자연적, 물질적, 특히 행동적 현상을 숫자로 변환하는 것은 부정확한 행위이다. 정보가 손실되는 것이다. 객관성을 전달함에도 불구하고 숫자는 진실의 하나의 가능한 표현일 뿐이다.
Similarly, in the quantitative domain, there is greater acceptance that, although numbers can beautifully represent things, numbers cannot be said to be truth. The conversion of natural, material and especially behavioural phenomena to numbers is an imprecise act. Information is lost. Numbers, despite conveying a sense of objectivity, are only one possible representation of truth.

오늘날 나는 우리의 분야에 걸쳐 이론적인 프레임워크가 견고하게 배치되는 것을 보게 되어 자랑스럽다. 치료 방식을 선택하는 임상의처럼, 의학 교육자들은 다른 문제들이 다른 관점을 필요로 한다는 생각에 익숙해지고 있다. 여러 종류의 못에다 대고 하나의 망치를 계속 휘두르려는 시도가 줄어든 것 같다
Today I am proud to see theoretical frameworks deployed robustly across our field. Like clinicians choosing treatment modalities, medical educators are becoming comfortable with the idea that different problems require different perspectives. I see fewer attempts to keep swinging at different kinds of nails with just one hammer ‒

 

그러나 최근까지 나는 이론에 대한 이해력이 있는 것이 우리 분야에서 '좋다'고 생각했다. 그러나 의학교육은 변곡점에 이르고 있다: 변곡점이란 [진실의 위기]이다.7 이 위기는 두 가지 기원을 가지고 있다: 하나는 정치적이고 하나는 기술적이다. 첫 번째 예로, 진실을 구성하는 데 큰 능력을 가진 정치 지도자들의 등장은 진리 이후의 시대를 이끌었다.
Until recently, however, I thought that having a grasp of theory was ‘nice to have’ in our field. But medical education is reaching an inflexion point: that inflexion point is a crisis of truth.7 This crisis has two origins: one is political and one is technological. In the first instance, the rise of political leaders with great facility for constructing truths has ushered in a post-truth era.


네덜란드 위트레흐트대 전 총장인 프랭크 미데마 교수는 발표된 전체 과학연구의 75%가 거짓일 수 있다고 지적하며 가짜뉴스의 출현을 규탄했다.8 그는 이것을 발견의 조기발표를 하는 중매화된 출판업계와 소시지 제조에 보상을 주는 학술진흥 문화 탓으로 돌린다. 진실의 위기의 이런 차원이 의학교육에서 우리에게 도달한 것일까? 의과대학과 교수진들은 미디어에서 그들의 이미지를 큐레이션 해야 한다는 압력을 확실히 알고 있다. 
Professor Frank Miedema, former President of Utrecht University in the Netherlands has decried the rise of fake news in science, noting that up to 75% of all published scientific research may be false.8 He blames this on a mediatised publication industry that prizes premature announcements of discoveries and a culture of academic promotion that rewards sausage making. Has this dimension of the crisis of truth reached us in medical education? Medical schools and faculty members are certainly aware of the pressure to curate their images in the media. 


하지만, 진실의 위기의 또 다른 근원인 인공지능과 빅데이터의 출현은 이미 우리에게 영향을 미치고 있다. 우리의 시대는 진실을 판가름할 알고리즘의 기준점을 만들기 위해 거대한 데이터베이스가 모여들고 있는 시대이다. 예를 들어 피부 병변이 있는 경우 오늘날 AI 기반 알고리즘은 병변이 악성일 가능성을 높은 정확도로 알려줄 수 있다. 즉, 만약 당신이 백인이라면, 그리고 하얀 피부를 가진 사람들로부터 데이타베이스를 축적했다면, 그것은 높은 정확도를 가질 것입니다. 하지만, 피부가 검다면 진단의 정확성은 다를 것이다. 
However, the other origin of the crisis of truth ‒ the rise of artificial intelligence and big data ‒ is already affecting us. Ours is an era in which huge databases are being amassed to create the reference points for algorithms that will adjudicate truth. For example, if one has a skin lesion, an AI-driven algorithm today can tell you with a high degree of accuracy the probability that the lesion is malignant. That is, it will have a high degree of accuracy if you are white and the database was amassed from people with white skin. If you have dark skin, the accuracy (dare I say truth) of the diagnosis will be something else. 

우리가 시험을 분석하고, 의사소통 기술을 이해하거나, 학습과 개발을 연구하기 위해 사용한 많은 이론들 중, 기계 시대의 진실은 말할 것도 없고, 진실의 의미를 심문하는 일에 부응하는 것은 거의 없다. 백신 반대 운동, 과학에 대한 불신, 입시 산업에 대한 믿음의 붕괴 또는 소셜 미디어에서의 가짜 뉴스의 전파에 직면하여, 보다 강력한 이론적 도구가 필요하다.

Of the many theories that we have used to help us analyse examinations, to understand communication skills or to study learning and development, very few are up to the task of interrogating the meaning of truth, let alone truth in a machine age. Faced with the anti-vaccination movement, the discrediting of science, the collapse of faith in the entrance examination industry or the propagation of fake news in social media, more powerful theoretical tools are needed.



 


Med Educ. 2020 Aug;54(8):691-693.

 doi: 10.1111/medu.14149. Epub 2020 Apr 22.

Ones and zeros: Medical education and theory in the age of intelligent machines

Brian D Hodges 1

Affiliations collapse

Affiliation

  • 1Wilson Centre for Research in Education, Toronto General Hospital, University of Toronto, Toronto, ON, Canada.
    • PMID: 32160340

 

전환 학습: 이론에서 실천까지(New directions for adult and continuing education, 1997)

Transformative Learning: Theory to Practice

Jack Mezirow




인간이 되는 것의 결정적인 조건은 [우리가 경험의 의미를 이해해야 한다는 것]이다. 어떤 사람들에게는 권위 있는 인물에 의한 어떤 [비평가적으로 동화된 설명]으로 충분할 것이다. 그러나 현대 사회에서 우리는 다른 사람들의 목적, 신념, 판단, 감정에 따라 행동하기보다는 [우리 자신의 해석을 하는 법]을 배워야 한다. 그러한 이해를 촉진하는 것이 성인 교육의 기본 목표다. 변혁적 학습은 자율적 사고를 발전시킨다.

A defining condition of being human is that we have to understand the meaning of our experience. For some, any uncritically assimilated explanation by an authority figure will suffice. But in contemporary societies we must learn to make our own interpretations rather than act on the purposes, beliefs, judgments, and feelings of others. Facilitating such understanding is the cardinal goal of adult education. Transformative learning develops autonomous thinking.


변혁적 학습 이론

Transformative Learning Theory


전환학습(Mezirow, 1991년, 1995년, 1996년; Cranton, 1994년, 1996년)은 frame of reference (FoRf)에 변화를 일으키는 과정이다. 성인들은 그들의 삶의 세계를 규정하는 연관성, 개념, 가치관, 감정, 조건부 반응 등 일관된 경험의 체계를 얻었다. 참조 틀FoRf 은 우리가 우리의 경험을 이해하는 가정 구조다. 그들은 기대, 인식, 인식, 그리고 감정을 선택적으로 형성하고 구분한다. 그들은 우리의 "행동선line of action"을 설정했다. 일단 설정되면, 우리는 자동적으로 특정한 활동(정신적 또는 행동적)에서 다른 활동으로 이동한다. 우리는 우리의 선입견에 맞지 않는 생각들을 거부하려는 경향이 강하며, 그러한 생각들을 고려할 가치가 없는 것으로 분류한다. 즉, 학대, 터무니없는 것, 무관한 것, 이상한 것, 또는 잘못된 것. 상황이 허락할 때, 전환학습자들은 좀 더 포괄적이고, 분별적이며, 자가성찰적이며, 경험을 통합하는 기준의 틀로 나아간다.

Transformative learning (Mezirow, 1991, 1995, 1996; Cranton, 1994, 1996) is the process of effecting change in a frame of reference. Adults have acquired a coherent body of experience—associations, concepts, values, feelings, conditioned responses—frames of reference that define their life world. Frames of reference are the structures of assumptions through which we understand our experiences. They selectively shape and delimit expectations, perceptions, cognition, and feelings. They set our “line of action.” Once set, we automatically move from one specific activity (mental or behavioral) to another. We have a strong tendency to reject ideas that fail to fit our preconceptions, labeling those ideas as unworthy of consideration—aberrations, nonsense, irrelevant, weird, or mistaken. When circumstances permit, transformative learners move toward a frame of reference that is more inclusive, discriminating, self-reflective, and integrative of experience.


참고의 틀FoRf은 인지적, 능동적, 감정적 요소를 포괄하고 있으며, [마음의 습관]과 [관점]의 두 가지 차원으로 구성되어 있다

A frame of reference encompasses cognitive, conative, and emotional components, and is composed of two dimensions: 

  • habits of mind and 

  • a point of view. 

마음의 습관habits of mind은 일련의 규범을 구성하는 가정에 의해 영향을 받는 광범위하고 추상적이며 지향적이며 습관적인 사고방식, 감정, 행동방식이다. 이러한 코드는 문화적, 사회적, 교육적, 경제적, 정치적 또는 심리적일 수 있다. 마음의 습관은 특정한 관점으로 표현된다. 즉, 특정한 해석을 형성하는 믿음, 가치 판단, 태도, 그리고 신념의 별자리.

Habits of mind are broad, abstract, orienting, habitual ways of thinking, feeling, and acting influenced by assumptions that constitute a set of codes. These codes may be cultural, social, educational, economic, political, or psychological. Habits of mind become articulated in a specific point of view—the constellation of belief, value judgment, attitude, and feeling that shapes a particular interpretation.


[마음의 습관]의 한 예는 자기 집단을 벗어난 타인을 열등하다고 여기는 성향인 민족중심주의다. 이로 인해 발생한 결과적인 [관점]은 특정 개인이나 집단(예: 동성애자, 복지 수혜자, 유색인 또는 여성)에 대해 우리가 가지고 있는 감정, 신념, 판단, 태도 등의 복합성이다.

An example of a habit of mind is ethnocentrism, the predisposition to regard others outside one’s own group as inferior. A resulting point of view is the complex of feelings, beliefs, judgments, and attitudes we have regarding specific individuals or groups (for example, homosexuals, welfare recipients, people of color, or women).


참조 틀FoRf은 주로 문화적 동화 및 일차적 간병인의 특유한 영향의 결과물이다. [마음의 습관]은 [관점]보다 오래 간다. 우리가 문제를 해결하고 가정을 수정해야 할 필요성을 확인하는 내용이나 과정을 되돌아볼 때 [관점은 계속 변경될 수 있다]. 우리가 예상한 대로 작동하지 않는 행동을 이해하려고 할 때마다 이런 일이 일어난다. 우리는 다른 사람의 관점을 시험해 보고 그것을 적합시킬 수는 있지만, [마음의 습관]으로 이런 것을 할 수는 없다. 관점은 다른 사람들의 인식과 피드백에 더 접근하기 쉽다.

Frames of reference are primarily the result of cultural assimilation and the idiosyncratic influences of primary caregivers. Habits of mind are more durable than points of view. Points of view are subject to continuing change as we reflect on either the content or process by which we solve problems and identify the need to modify assumptions. This happens whenever we try to understand actions that do not work the way we anticipated. We can try out another person’s point of view and appropriate it, but we cannot do this with a habit of mind. Points of view are more accessible to awareness and to feedback from others.


위르겐 하버마스(1981)는 문제 해결과 학습은 다음의 네 가지가 가능하다고 이해했다.

  • 도구적—성능 향상에 있어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환경 또는 다른 사람을 조작하거나 제어하는 학습 

  • 인상주의적—다른 사람에 대한 인상을 강화하고 자신을 표현하기 위한 학습 

  • 규범적—공통적 가치와 규범적 특권의식을 지향하는 학습(그룹 구성원은 특정 행동을 기대할 권리가 있다) 

  • 의사소통적—전달되는 것의 의미를 이해하는 학습. 의사소통 학습은 해석의 의미나 신념의 정당성을 이해하려고 노력하는 최소 두 사람을 포함한다. 이상적으로 의사소통 학습은 합의에 도달하는 것을 포함한다.

Jürgen Habermas (1981) has helped us to understand that problem solving and learning may be 

  • instrumental—learning to manipulate or control the environment or other people to enhance efficacy in improving performance; 

  • impressionistic—learning to enhance one’s impression on others, to present oneself; 

  • normative—learning oriented to common values and a normative sense of entitlement (members of the group are entitled to expect certain behavior); 

  • or communicative—learning to understand the meaning of what is being communicated. Communicative learning involves at least two persons striving to reach an understanding of the meaning of an interpretation or the justification for a belief. Ideally, communicative learning involves reaching a consensus.


[도구적 학습]에서 주장의 [진실]은 경험적 시험을 통해 확립될 수 있다. 그러나 [의사소통적 학습]은 목적, 가치, 신념, 감정을 이해하는 것을 포함하며 경험적 시험에 덜 순응적이다. 의사소통적 학습에서 학습자들은 의도, 가치, 믿음, 감정에 바탕을 둔 [가정을 비판적으로 성찰하는 것]이 필수적이 된다.

In instrumental learning, the truth of an assertion may be established through empirical testing. But communicative learning involves understanding purposes, values, beliefs, and feelings and is less amenable to empirical tests. In communicative learning, it becomes essential for learners to become critically reflective of the assumptions underlying intentions, values, beliefs, and feelings.


만약 누군가가 당신을 사랑한다고 주장한다면, 애정의 표현은 얼마나 진실한가? 다정한 낯선 사람의 의도는 당신에게 무언가를 팔거나, 산문적으로 만들거나, 성적 서곡을 하려는 것인가? 아는 사람이 진실한가? 전달되는 것은 단지 합리화일 뿐인가? 그것은 문자 그대로 받아들여지는 것일까, 아니면 비유로 받아들여지는 것일까? 연극의 메시지는 당신이 해석하는 것과 같은 것인가? 이러한 가정 문제questions of assumption를 해결하기 위해, 우리는 우리가 알고 있고, 합리적이고, 객관적이라고 믿는 사람들 사이에서 [잠정적인 최선의 판단]에 의존한다. 우리는 무엇이 전달되고 있는지 검증하기 위해 담론에 참여한다. 우리의 유일한 다른 구원은 우리를 위해 판단을 내리기 위해 권위나 전통에 의지하는 것이다.

If someone claims he loves you, how authentic is the expression of affection? Is the intent of a friendly stranger to sell you something, to proselytize, or make a sexual overture? Is an acquaintance being truthful? Is what is communicated only a rationalization? Is it meant to be taken literally or as a metaphor? Is the message of a play what you interpret it to be? To resolve these questions of assumption, we rely on a tentative best judgment among those whom we believe to be informed, rational, and objective. We engage in discourse to validate what is being communicated. Our only other recourse is to turn to an authority or tradition to make a judgment for us.


(여기서 사용되는) 담론은, 증거, 주장, 대안적 관점을 비판적으로 검토함으로써, 경쟁적competing 해석을 뒷받침하기 위해 제시된 이유를 평가하는 데 전념하는 대화이다. 어떤 믿음에 대한 해석이 많을수록, 더 신뢰할 수 있는 해석이나 합성을 찾을 가능성이 커진다. 우리는 다른 사람들의 (관련된) 경험을 분석하여 새로운 증거나 주장이 나타날 때까지 지속되는 공통된 이해에 도달하도록 함께 배운다learn together.

Discourse, as used here, is a dialogue devoted to assessing reasons presented in support of competing interpretations, by critically examining evidence, arguments, and alternative points of view. The more interpretations of a belief available, the greater the likelihood of finding a more dependable interpretation or synthesis. We learn together by analyzing the related experiences of others to arrive at a common understanding that holds until new evidence or arguments present themselves.


우리는 우리의 해석, 신념, 그리고 마음이나 관점의 습관이나 관점에 기초하는 가정에 대한 비판적인 반성을 통해 우리의 기준의 틀FoRf을 변형시킨다. 우리는 기계적으로 문제를 해결하는 법을 배울 때나 의사소통 학습에 관여할 때 우리나 다른 사람들이 하는 가정들을 비판적으로 성찰할 수 있다. 우리는 책을 읽을 때, 어떤 관점을 들을 때, 업무 중심적인 문제 해결(객관적 재구성)에 관여하거나, 자기성찰적으로 자신의 생각과 신념을 평가할 때(주관적 리프레밍) 가정을 비판적으로 성찰하고 있을 수 있다. 자기 성찰은 상당한 개인적 전환을 초래할 수 있다.

We transform our frames of reference through critical reflection on the assumptions upon which our interpretations, beliefs, and habits of mind or points of view are based. We can become critically reflective of the assumptions we or others make when we learn to solve problems instrumentally or when we are involved in communicative learning. We may be critically reflective of assumptions when reading a book, hearing a point of view, engaging in task-oriented problem solving (objective reframing), or self-reflectively assessing our own ideas and beliefs (subjective reframing). Self-reflection can lead to significant personal transformations.


비판적으로 탐구된 가정은 신념의 자전적 맥락에 있을 수도 있고, 사회, 문화, 경제, 정치, 교육 또는 심리학적 체계를 지지하고 있을 수도 있다. FoRf의 전환은 [마음의 습관의 비판적 성찰과 전환]을 통해 발생하거나, [관점]의 전환이 축적되면서 발생할 수 있다.

Critically explored assumptions may be in the autobiographical context of a belief, or they may be supporting a social, cultural, economic, political, educational, or psychological system. Transformations in frames of reference take place through critical reflection and transformation of a habit of mind, or they may result from an accretion of transformations in points of view.


배움에는 네 가지 과정이 있다

  • 민족 중심적인 예를 언급하자면, 한 가지 과정은 [기존의 [관점]을 상세히 설명하는 것]이다. 즉, 우리는 집단에 대한 우리의 초기 편견을 뒷받침하고 우리의 관점의 범위나 강도를 확장하기 위한 추가 증거를 찾을 수 있다.

There are four processes of learning. Referring to the ethnocentric example, one process is to elaborate an existing point of view—we can seek further evidence to support our initial bias regarding a group and expand the range or intensity of our point of view.


  • 우리가 배우는 두 번째 방법은 [새로운 [관점]을 확립하는 것]이다. 우리는 민족 중심주의에 대한 우리의 성향에 의해 지시된 대로 그들의 인식된 단점에 초점을 맞추어서 새로운 그룹을 마주하고 그들을 위한 새로운 부정적인 의미 체계를 만들 수 있다.

A second way we learn is to establish new points of view. We can encounter a new group and create new negative meaning schemes for them by focusing on their perceived shortcomings, as dictated by our propensity for ethnocentricity.


  • 우리가 배우는 세 번째 방법은 [우리의 [관점]을 바꾸는transform 것]이다. 우리는 이 특정 집단에 대한 우리의 오해에 대해 비판적으로 반성하게 되는 또 다른 문화에서 경험을 할 수 있다. 그 결과는 관련 집단을 향한 관점의 변화일 수 있다. 결과적으로, 우리는 그 그룹의 구성원들을 더 관대해지거나 더 많이 받아들일 수 있다. 만일 이런 일이 여러 가지 다른 집단과 계속해서 일어난다면, 그것은 우리의 정신 지배 습관에 적응함으로써 변화를 이끌 수 있다.

A third way we learn is to transform our point of view. We can have an experience in another culture that results in our critically reflecting on our misconceptions of this particular group. The result may be a change in point of view toward the group involved. As a result, we may become more tolerant or more accepting of members of that group. If this happens over and over again with a number of different groups, it can lead to a transformation by accretion in our governing habit of mind.


  • 마지막으로, 우리는 (자신이 속한 집단과 달리) 다른 집단을 볼 때 갖는 일반화된 편견을 인식하고 비판적으로 성찰함으로써 (민족 중심적인) [마음의 습관]을 변화transform시킬 수도 있다. 그러한 획기적인 변화는 덜 흔하고 더 어렵다. [우리가 배운 것이 우리의 기존 참고 틀FoRf에 편안히 들어맞는 한 우리는 우리가 배우는 방식에 변화를 일으키지 않는다].

Finally, we may transform our ethnocentric habit of mind by becoming aware and critically reflective of our generalized bias in the way we view groups other than our own. Such epochal transformations are less common and more difficult. We do not make transformative changes in the way we learn as long as what we learn fits comfortably in our existing frames of reference.


자율적 사고

Autonomous Thinking


[자율적이고 책임감 있는 행위자]로서 생각하는 것은 민주주의의 완전한 시민권과 급변하는 상황에서 도덕적 의사결정을 위해 필수적이다. 확인된 workforce의 학습 욕구는 자율학습의 중심성을 암묵적으로 인식한다.

Thinking as an autonomous and responsible agent is essential for full citizenship in democracy and for moral decision making in situations of rapid change. The identified learning needs of the workforce implicitly recognize the centrality of autonomous learning.


미국 노동부의 SCANS 보고서(1991)는 정보의 획득 및 사용, 자원 식별 및 구성, 타인과의 협력, 정보 해석, 복잡한 상호관계의 이해 등을 필수적인 역량과 기술로 식별한다.

The U.S. Department of Labor’s SCANS report (1991) identifies acquiring and using information, identifying and organizing resources, working with others, interpreting information, and understanding complex interrelationships as essential competencies and skills.


마찬가지로 호주 정부, 고용주, 학계 등이 파악한 인력 준비의 "핵심 역량"에는 정보 분석, 아이디어 전달, 활동 계획 및 구성, 수학적인 아이디어와 기술 사용, 팀 작업, 문제 해결, 문화 이해 활용 등이 포함된다(곤지 등, 1995년).

Similarly, the “key competencies” for workforce preparation identified by the Australian government, employers, and academics include analyzing information, communicating ideas, planning and organizing activities, using mathematical ideas and technology, working in teams, solving problems, and using cultural understandings (Gonzi and others, 1995).


이러한 목록에 있는 일반적인 가정은 [21세기를 위한 생산적이고 책임감 있는 노동자worker를 준비하기 위해 필요한] 필수적 학습은 다른 사람들의 받은 생각과 판단에 대해 [무비판적으로 행동하기 보다는 협동적인 맥락에서 개인이 자율적 행위자으로 생각할 수 있도록 힘을 실어줘야 한다]는 것이다. 노동자들은 자율적이고, 사회적으로 책임감 있는 사상가가 되어야 할 것이다.

The common presumption in these lists is that the essential learning required to prepare a productive and responsible worker for the twenty-first century must empower the individual to think as an autonomous agent in a collaborative context rather than to uncritically act on the received ideas and judgments of others. Workers will have to become autonomous, socially responsible thinkers.


우리가 다음 세기에, 더 기술적으로 정교한 산업과 서비스 분야로 이동함에 따라, 일work는 단순히 정보를 습득하는 것이 아니라, 더 추상적이 되어 정보를 이해하고 조작하는 것이 된다. 새로운 형태의 기술과 지식이 요구된다. 성인 학습자가 미래의 노동력의 효과적인 구성원이 되기 위해 필요한 필수적인 이해, 기술 및 성향과 관련된 공감대가 증가하고 있다. 경제학자들은 자원이 변화하는 고용 조건에 적응할 수 있는 노동력을 창출하고, 기술 시스템을 관리하는 동안 비판적 판단을 하며, 보다 효과적인 협력적 의사결정에 유연하게 관여해야 한다고 인식한다.

As we move into the next century and more technologically sophisticated industry and service sectors, work becomes more abstract, depending on understanding and manipulating information rather than merely acquiring it. New forms of skill and knowledge are required. There is a growing consensus pertaining to the essential understandings, skills, and dispositions required for an adult learner to become an effective member of the workforce of the future. Economists recognize that resources should be directed toward creating a workforce that can adapt to changing conditions of employment, exercise critical judgement as it manages technology systems, and flexibly engage in more effective collaborative decision making.


성인 학습자 자신도 학습을 자율적이고 책임감 있는 사람으로 보고 중요한 교육목적으로 본다. 예를 들어, 미국 국립 문해연구소(Stein, 1995)는 문해 프로그램에 참여하는 사람들이 다음과 같은 일을 한다는 것을 발견했다. 

  • (1) 정보 접근권을 획득하여 자신이 세계에 적응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 (2) 그들의 생각을 들을 수 있는 확신을 가지고 목소리를 높여야 한다. 

  • (3) 독립적으로 결정하고 행동해야 한다. 

  • (4) 배움으로써 미래를 향한 다리를 건설한다.

Adult learners themselves view learning to think as autonomous, responsible persons as an important educational objective. For example, the U.S. National Institute for Literacy (Stein, 1995) found that those who participate in literacy programs do so to 

  • (1) gain access to information so they can orient themselves in the world; 

  • (2) give voice to their ideas, with the confidence they will be heard; 

  • (3) make decisions and act independently; and 

  • (4) build a bridge to the future by learning how to learn.


그들의 목표는 자율적이고 책임감 있는 사상가가 되는 것이다. 종종 성인 학습자의 즉각적인 초점은 운전 면허의 자격을 얻고, 직업이나 승진을 얻거나, 아이에게 독서를 가르칠 수 있는, 실용적이고 단기적인 목표에 집중된다. 학습의 필요성은 단기 목표와 장기 목표를 모두 인식할 수 있도록 정의되어야 한다는 것을 인식하는 것이 중요하다. 학습자의 [당면 목표]는 주제 숙달, 특정 역량 달성 또는 기타 직무 관련 목표의 관점에서 설명할 수 있지만, 학습자의 [목적goal]은 사회적으로 책임감 있는 자율적 사고자가 되는 것이다.

Their goal is to become autonomous, responsible thinkers. Often, adult learners’ immediate focus is on practical, short-term objectives—to be able to qualify for a driver’s license, get a job or promotion, or teach a child to read. It is crucial to recognize that learning needs must be defined so as to recognize both short-term objectives and long-term goals. The learner’s immediate objectives may be described in terms of subject matter mastery, attainment of specific competencies, or other job-related objectives, but his or her goal is to become a socially responsible autonomous thinker.


성인 교육자는 학습자의 목적과 목표를 모두 인식해야 한다. 교육자의 책임은 학습자들이 좀 더 자율적이고, 사회적으로 책임감 있는 사상가thinker로서 기능할 수 있도록 그들의 목표를 달성하도록 돕는 것이다. 사람들이 특정한 [단기 목표]를 달성하는 것을 배우는 것을 돕는 것은 [도구적 학습]을 포함할 수 있다. 그들이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의사소통적 학습]이 필요하다.

The adult educator must recognize both the learner’s objectives and goal. The educator’s responsibility is to help learners reach their objectives in such a way that they will function as more autonomous, socially responsible thinkers. Helping people learn to achieve a specific short-term objective may involve instrumental learning. For them to achieve their goal requires communicative learning.


여기서 자율성은 자신의 가정을 비판적으로 성찰하고, 보편적 가치를 공유하는 타인의 경험을 통해 자신의 신념을 검증하기 위한 담론에 효과적으로 참여하는 데 필요한 이해, 기술, 기질을 말한다.

Autonomy here refers to the understanding, skills, and disposition necessary to become critically reflective of one’s own assumptions and to engage effectively in discourse to validate one’s beliefs through the experiences of others who share universal values.


[전환 이론]은 도덕적 가치는 담론을 통한 합의에 의해 정당화된다고 주장한다. 진리, 정의, 자유와 같은 가치의 보편성은 그들이 대안보다 더 유익한 행동을 하는 결과를 낳게 되었다는 주장에 근거한다. 유엔의 인권선언은 이를 증명한다. 모든 사람이 담론에 참여할 수 있다면, 이상적인 담론 조건 하에서, 이러한 가치에 관한 보편적인 합리적 합의가 있을 것이라는 주장이다.

Transformation theory holds that moral values are legitimized by agreement through discourse. The universality of such values as truth, justice, and freedom is based on the claim that they have been found to result in more beneficial action than their alternatives. The Declaration of Human Rights by the United Nations attests to this. The claim is that if everyone could participate in a discourse, under the ideal conditions of discourse, there would be a universal rational consensus concerning these values.


지식의 습득이나 역량의 달성이 어떻게 해서든지 자율적으로 생각하는 학습에 관련된 이해, 기술, 그리고 기질을 자동적으로 만들어 낼 것이라는 터무니없는 가정이 있다. 그러나, 다양한 학습 과정과 적절한 교육 개입의 다른 형태가 있다.

There is an egregious assumption that the acquisition of knowledge or attainment of competencies will somehow automatically generate the understandings, skills, and dispositions involved in learning to think autonomously. However, there are different processes of learning involved and different forms of appropriate educational intervention.


파운데이션

Foundations


아이들은 일반적으로 자율적으로 생각하는 데 필요한 특정한 학습의 기초를 얻는다. 여기에는 

(1) 인과관계를 인식하는 능력과 성질, 

(2) 유사성과 일반화를 만드는 데 비공식적 논리를 사용하는 것, 

(3) 자신의 감정을 인지하고 통제하는 것, 

(4) 타인에 대한 감정이입이 되는 것, 

(5) 내러티브를 구성하기 위해 상상력을 사용하는 것, 

(6) 추상적으로 생각하는 것이 포함된다. 

Children commonly acquire a foundation of the specific learning required to think autonomously. This includes the ability and disposition to 

(1) recognize cause-effect relationships, 

(2) use informal logic in making analogies and generalizations, 

(3) become aware of and control their own emotions, 

(4) become empathic of others, 

(5) use imagination to construct narratives, and 

(6) think abstractly. 


청소년들은 

(7) 가정적으로 생각하는 법을 배울 수 있고, 

(8) 읽고 보고 듣는 것에 대해 비판적으로 성찰하게 된다.

Adolescents may learn to 

(7) think hypothetically, and 

(8) become critically reflective of what they read, see, and hear.


성인이 되면 학습자가 새로운 과목의 내용을 이해하도록 돕기 위해 이러한 기반을 강화하고 쌓아가는 것이 과제지만, 그 과정에서 다음과 같이 된다. 

  • (1) 가정을 평가할 때 더 많은 인식과 비판 - 신념, 가치관, 판단 및 감정을 지배하는 자신과 타인 모두에 대해서

  • (2) 기준 및 패러다임 프레임(기준 프레임)을 더 잘 인식하고 더 잘 인식하고 대안을 상상할 수 있어야 한다. 

  • (3) 다른 사람과 협력하여 이유를 종합적으로 평가하고, 문제를 제기하고, 해결하며, 경쟁 관계에 있는 신념과 관련하여 잠정적인 최선의 판단에 도달하기 위해 더 책임감 있고 더 효과적이다.

In adulthood, the task is to strengthen and build on this foundation in order to assist the learner to understand new subject content, but, in the process of doing so, to become 

  • (1) more aware and critical in assessing assumptions—both those of others and those governing one’s own beliefs, values, judgments, and feelings; 

  • (2) more aware of and better able to recognize frames of reference and paradigms (collective frames of reference) and to imagine alternatives; and 

  • (3) more responsible and effective at working with others to collectively assess reasons, pose and solve problems, and arrive at a tentative best judgment regarding contested beliefs.


  • [다른 사람의 가정]을 비판적으로 성찰하는 것은 효과적인 협력적 문제 제기와 해결의 기본이다. 

  • [자신의 가정]을 비판적으로 성찰하는 것이 변화에 적응하는 데 없어서는 안 될 학습의 필수적 차원인, 당연하게 여겨지는 기준의 틀FoRf을 바꾸는 열쇠다.

  • Becoming critically reflective of the assumptions of others is fundamental to effective collaborative problem posing and solving. 

  • Becoming critically reflective of one’s own assumptions is the key to transforming one’s taken-for-granted frame of reference, an indispensable dimension of learning for adapting to change.


변혁적 학습을 위한 교육

Education for Transformative Learning


성인 교육자들은 전환 학습이 [객관적 또는 주관적 재구성 중 하나를 포함하여] 여러 형태를 취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필요가 있다. 전환 학습은 인간의 의사소통 방식에 뿌리를 두고 있으며, 중요한 개인적 변혁에만 전적으로 관심을 한정하지 않는 일반적인common 학습 경험이다.

Adult educators need to understand that transformative learning can take several forms involving either objective or subjective reframing. Transformative learning is rooted in the way human beings communicate and is a common learning experience not exclusively concerned with significant personal transformations.


전환 학습을 촉진하기 위해, 교육자들은 학습자들이 자신과 다른 사람들의 가정을 인식하고 비판하도록 도와야 한다. 학습자들은 참고의 틀을 인식하고 다른 관점에서 문제를 재정의하기 위해 그들의 상상력을 사용하는 연습이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학습자들이 효과적으로 담론에 참여할 수 있도록 도움을 받을 필요가 있다. 담론은 [자신이 무엇을 어떻게 이해하고 있는지 검증]하거나 [신념에 관한 최선의 판단을 내리기 위해] 필요하다. 이런 의미에서 배움은 사회적 과정이며, 담론은 의미를 만드는 데 중심이 된다.

To facilitate transformative learning, educators must help learners become aware and critical of their own and others’ assumptions. Learners need practice in recognizing frames of reference and using their imaginations to redefine problems from a different perspective. Finally, learners need to be assisted to participate effectively in discourse. Discourse is necessary to validate what and how one understands, or to arrive at a best judgment regarding a belief. In this sense, learning is a social process, and discourse becomes central to making meaning.


효과적인 담론은 교육자가 참여자들이 얼마나 잘 참여하는 상황을 만들 수 있느냐에 달려 있다. 

  • 충분한 정보를 가지고 있다. 

  • 강제성이 없다. 

  • 담론의 다양한 역할을 맡을assume 수 있는 기회 균등(신앙, 도전, 방어, 설명, 증거 평가 및 논거 판단) 

  • 가정을 비판적으로 성찰한다. 

  • 다른 관점에 공감하고 개방적이다. 

  • 경청할 용의가 있고 공통의 근거나 다른 관점의 합성을 검색할 용의가 있다. 

  • 행동을 이끌 수 있는 잠정적인 최선의 판단을 할 수 있다. 

Effective discourse depends on how well the educator can create a situation in which those participating 

  • have full information; 

  • are free from coercion; 

  • have equal opportunity to assume the various roles of discourse (to advance beliefs, challenge, defend, explain, assess evidence, and judge arguments); 

  • become critically reflective of assumptions; 

  • are empathic and open to other perspectives; 

  • are willing to listen and to search for common ground or a synthesis of different points of view; and 

  • can make a tentative best judgment to guide action. 


이러한 이상적인 담론 조건들은 성인 학습과 교육의 이상적인 조건이기도 하다.

These ideal conditions of discourse are also ideal conditions of adult learning and of education.


전환 학습은 일반적으로 아동 교육과는 매우 다른 형태의 교육을 필요로 한다. 새로운 정보는 성인 학습 과정의 한 자원일 뿐이다. 의미 있게 되기 위해 학습자는 새로운 정보를 이미 잘 발달된 기준, 즉 사고, 감정 및 기질을 포함하는 능동적인 과정에 통합해야 한다. 또한 학습자가 자신의 참조 프레임을 변형하여 경험을 완전히 이해하도록 도움을 받아야 할 수 있다.

Transformative learning requires a form of education very different from that commonly associated with children. New information is only a resource in the adult learning process. To become meaningful, learning requires that new information be incorporated by the learner into an already well-developed symbolic frame of reference, an active process involving thought, feelings, and disposition. The learner may also have to be helped to transform his or her frame of reference to fully understand the experience.


교육자는 자율적 사고를 명시적으로 포함하는 목표를 설정할 책임을 져야 하며, 이것이 담화에서 비판적 성찰성과 경험을 함양하도록 설계된 경험을 필요로 한다는 것을 인식해야 한다.

Educators must assume responsibility for setting objectives that explicitly include autonomous thinking and recognize that this requires experiences designed to foster critical reflectivity and experience in discourse.


비판적으로 성찰하는 사고, 상상력 있는 문제 제시, 담론을 촉진하는 교육은 학습자 중심적, 참여적, 상호작용적이다. 이러한 교육은 그룹 숙의와 그룹 문제 해결을 포함한다. 교육 자료는 학습자의 실제 경험을 반영하고, 소그룹 토론에 참여하여 이유를 평가하고, 증거를 검토하며, 성찰적 판단에 이르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다. 학습은 문제를 해결하고 재정의하기 위한 은유법의 발견과 상상력을 통해 이루어진다.

Education that fosters critically reflective thought, imaginative problem posing, and discourse is learner-centered, participatory, and interactive, and it involves group deliberation and group problem solving. Instructional materials reflect the real-life experiences of the learners and are designed to foster participation in small-group discussion to assess reasons, examine evidence, and arrive at a reflective judgment. Learning takes place through discovery and the imaginative use of metaphors to solve and redefine problems.


교육자는 [발견 학습]을 촉진하기 위해 학습자의 현재 이해도 측면에서 학습자 질문을 재구성하는 경우가 많다. 학습 계약, 그룹 프로젝트, 역할극, 사례 연구, 시뮬레이션은 변혁적 교육과 관련된 교실 방법이다. 핵심 아이디어는 학습자가 자신의 삶의 맥락에서 제시된 개념을 적극적으로 참여시키고 새로운 지식의 정당성을 집단적으로 평가할 수 있도록 돕는 것이다. 학습자가 함께 행동 연구 프로젝트를 맡는다. 그들은 자주 자신의 가정을 포함하여 가정을 확인하고 검토해야 한다.

To promote discovery learning, the educator often reframes learner questions in terms of the learner’s current level of understanding. Learning contracts, group projects, role play, case studies, and simulations are classroom methods associated with transformative education. The key idea is to help the learners actively engage the concepts presented in the context of their own lives and collectively critically assess the justification of new knowledge. Together, learners undertake action research projects. They are frequently challenged to identify and examine assumptions, including their own.


유용하게 발견된 방법으로는 중대 사건, 은유 분석, 개념 매핑, 의식 고양, 인생사, 레퍼토리 그리드, 사회적 행동 참여 등이 있다(메지로와 어소시에이트, 1990). 이러한 방법들은 담화에 대한 비판적 성찰과 경험을 장려한다. 그 근원과 자연, 결과에 대해 우리가 생각하는 방식을 형성하는 사상과 신념체계의 맥락을 발견하고, 대안적 관점을 상상하는 데 초점을 맞추고 있다.

Methods that have been found useful include critical incidents, metaphor analysis, concept mapping, consciousness raising, life histories, repertory grids, and participation in social action (Mezirow and Associates, 1990). These methods encourage critical reflection and experience in discourse. The focus is on discovering the context of ideas and the belief systems that shape the way we think about their sources, nature, and consequences, and on imagining alternative perspectives.


자기-주도성self-direction을 함양함에 있어 학습자가 서로 배우는 데 점점 능숙해지고, 문제해결군에서 서로 학습할 수 있도록 돕는 환경을 조성하는 데 역점을 두고 있다. 교육자는 주제 문제에 대한 권위자라기 보다는 촉진자, 추진자 역할을 한다. 촉진자는 학습자를 다음과 같이 격려한다. 

  • 교실의 질서, 정의 및 예의범절을 수용하고 서로 학습을 돕는 것에 대한 존중과 책임을 갖는 규범을 만들도록

  • 다양성을 환대하도록 

  • 동료 협력을 촉진하도록

  • 참여 기회가 균등하게 제공되도록

In fostering self-direction, the emphasis is on creating an environment in which learners become increasingly adept at learning from each other and at helping each other learn in problem-solving groups. The educator functions as a facilitator and provocateur rather than as an authority on subject matter. The facilitator encourages learners 

  • to create norms that accept order, justice, and civility in the classroom and respect and responsibility for helping each other learn; 

  • to welcome diversity; 

  • to foster peer collaboration; and 

  • to provide equal opportunity for participation. 

촉진자는 학습자에게 기대되는 [비판적으로 성찰하는 역할]을 모델링한다. 이상적으로, 퍼실리테이터는 학습자가 자기주도적이 되어감에 따라 자신의 지도력leadership을 그룹에 점진적으로 이양함으로써 자신은 공동학습자가 되고 권위자로부터 벗어나야 한다. 이것들은 성인 교육에서 익숙한 개념들이다.

The facilitator models the critically reflective role expected of learners. Ideally, the facilitator works herself out of the job of authority figure to become a co-learner by progressively transferring her leadership to the group as it becomes more self-directive. These are familiar concepts in adult education.


변혁적 학습은 부가물이 아니다. 성인 교육의 본질이다. 이러한 전제를 염두에 두면, 성인 교육의 목표goal는 성인 학습과 소통의 본질에 의해 함축되어 있다는 것은 명백해진다: 다른 사람의 가치와 의미, 목적을 무비판적으로 행하기보다는 자신의 가치와 의미와 목적을 협상하는 법을 배움으로써 개인이 보다 자율적인 사상가가 되도록 돕는 것이다. 이 목표는 당연하게 여겨질 수 없다. 학습자가 변형 학습에 필수적인 이해, 기술 및 기질을 습득하도록 하기 위해 교육 개입이 필요하다. 비판적 성찰, 프레임FoRf의 인식, 담화 참여는 학습 욕구를 정의하고, 교육 목표를 설정하고, 자료와 방법을 설계하고, 포트폴리오와 같은 비전통적인 방법을 사용하여 학습자 성장을 평가하는 데 있어서 중요한 요소가 된다.

Transformative learning is not an add-on. It is the essence of adult education. With this premise in mind, it becomes clear that the goal of adult education is implied by the nature of adult learning and communication: to help the individual become a more autonomous thinker by learning to negotiate his or her own values, meanings, and purposes rather than to uncritically act on those of others. This goal cannot be taken for granted; educational interventions are necessary to ensure that the learner acquires the understandings, skills, and dispositions essential for transformative learning. Critical reflection, awareness of frames of reference, and participation in discourse become significant elements in defining learning needs, setting educational objectives, designing materials and methods, and in evaluating learner growth using nontraditional methods such as portfolios.


결론 Conclusion


전환 이론의 관점에서, 성인 학습의 본질은 성인 교육의 질과 학습을 용이하게 하거나 방해하는 사회정치적 조건 모두를 판단하는 기준이 될 수 있는 그것의 완전한 실현을 위한 이상적인 조건들을 내포하고 있다. 전환 이론의 관점에서, 성인 학습의 완전한 실현을 위한 이상적인 조건들이 있다; 이러한 조건들은 성인 교육의 질과 학습을 용이하게 하거나 방해하는 사회정치적 조건 모두를 판단하는 기준이 될 수 있다. 

From the perspective of transformation theory, the nature of adult learning implies a set of ideal conditions for its full realization that may serve as standards for judging both the quality of adult education and the sociopolitical conditions that facilitate or impede learning. From the perspective of transformation theory, there are ideal conditions for the full realization of adult learning; these conditions can serve as standards for judging both the quality of adult education and the sociopolitical conditions that facilitate or impede learning. 


여기서의 입장은 전환 학습 과정에 내재된 논리, 이상, 목적이 있다는 것이다. 그 과정은 가정에 대한 비판적인 반사를 통해 기준의 틀을 변형하고, 담론을 통해 논쟁의 여지가 있는 신념을 검증하며, 자신의 반사적인 통찰력에 대한 조치를 취하고, 그것을 비판적으로 평가하는 것을 포함한다. 유의미한 성인학습의 성격에 대한 이러한 이해는 교육자에게 적절한 교육 관행을 선택하고 성인 학습을 왜곡하고 구분하는 사회 문화적 힘에 능동적으로 저항할 수 있는 근거를 제공한다.

The position here is that there is an inherent logic, ideal, and purpose in the process of transformative learning. The process involves transforming frames of reference through critical reflection of assumptions, validating contested beliefs through discourse, taking action on one’s reflective insight, and critically assessing it. This understanding of the nature of significant adult learning provides the educator with a rationale for selecting appropriate educational practices and actively resisting social and cultural forces that distort and delimit adult learning.



Mezirow, J. (1997). Transformative learning: Theory to practice. New directions for adult and continuing education1997(74), 5-12.



Abstract

Critical and autonomous thinking must take precedence over the uncritical assimilation of knowledge. Transformative learning is a route to the development of critical thinking.


형상화된 세계에서의 가능성과 행위자성: 좋은 의사 되기 (Med Educ, 2017)

Possibility and agency in Figured Worlds: becoming a ‘good doctor’

Deirdre Bennett,1 Yvette Solomon,2 Colm Bergin,3,4,5 Mary Horgan6 & Tim Dornan7




도입

INTRODUCTION


본 논문의 목적은 점점 더 인정받고 있는 형상화된 세계(Figured Worlds, FW),4 사회 문화 정체성 이론의 기여를 검토하는 것이다. 이 이론은 비고츠키5가 제안한 정체성과 발달의 기초 개념과 상대적으로 인정받지 못하는 바흐친의 담론 이론을 풍부하게 활용한다.6 FW이론은 홀란드, 라치코테, 스키너, 카인이 개발했다.4 학문과 교사들의 정체성을 탐구하기 위해 교육 문헌에 광범위하게 적용되어 왔다. 학교와 교실의 문화 세계에서는 성별, 8,9 인종 10,11, 성별을 포함한 복수 정체성을 협상하는 방법에 적용되어왔다.

The aim of this paper is to review the contribution of Figured Worlds,4 an increasingly recognised socio-cultural identity theory, which makes rich use of foundational concepts of identity and development proposed by Vygotsky5 and the relatively underappreciated discourse theory of Bakhtin.6 Developed by Holland, Lachicotte, Skinner and Cain,4 the theory of Figured Worlds has been applied extensively in the education literature to explore identity in learners and teachers,7 and the ways in which people negotiate multiple identities, including gender,8,9 race10,11 and sexuality,12 in the cultural worlds of schools and classrooms.


FW는 또한 의학 교육에서 새로운 연구의 기초가 되는 이론이다.13–15 

  • 힐 외 연구진은 수술과 여성성의 담론 안에서 여성 외과의들의 자기 구축에 대해 탐구했으며, 이 둘을 성공적으로 결합하는 것은 외과의가 되는 것이 의미하는 바를 재구축해야 한다고 결론지었다. 

  • 도르난 외는 의학계의 문화세계에서 의대생들의 감정과 그들의 정체성 발달 사이의 관계를 조명하기 위해 FW를 적용했다. 

  • 바간은 일반 실습과 병원 환경에서 초기 임상 접촉을 통해 주니어 의대생들의 정체성 발달을 연구했다. 

  • 임상의사 교육자 정체성에 대해 FW접근방식을 취하고 있는 밴 란켈드의 추가 연구가 최근에 발표되었으며, 정체성 형성의 교차 문화적인 측면에 대한 연구가 진행 중이다..

Figured Worlds is also the underpinning theory for an emerging strand of research in medical education.13–15 

  • Hill et al.13 explored women surgeons’ construction of self within the discourses of surgery and femininity, concluding that successfully combining both required a reframing of what it means to be a surgeon. 

  • Dornan et al.14 applied Figured Worlds to illuminate the relationship between medical students’ emotions and their identity development in the cultural world of medicine, and 

  • Vagan15 studied junior medical students’ identity development through early clinical contacts in general practice and hospital settings. 

  • A further study by van Lankveld,16 which takes a Figured Worlds approach to clinician educator identity, was recently published, and research into cross-cultural aspects of identity formation is ongoing.


의사 정체성 담론

DISCOURSES OF DOCTOR IDENTITY


우리가 '좋은 의사'가 되는 것에 대해 말할 때 그리는 담론에는 의학 교육자와 학생들이 '좋은 의사'가 되는 과정을 이해하고 제정enact하는 방식을 형성하는 하위 텍스트가 포함되어 있다. 의대생들의 정체성 형성에 대한 논의는 "의대생과 수련생들에게 주입되어야inculcate 하고, 그들이 그렇게 성장해야 하는 이상적인 '좋은 의사' 정체성이 있다."는 널리 알려진 가정에 의해 뒷받침된다.

The discourses we draw on when we speak about being a ‘good doctor’ contain subtexts that shape the way medical educators and students understand and enact the process of becoming one. Discussion of medical students’ identity formation is underpinned by the widely held assumption that there is an ideal ‘good doctor’ identity that must be inculcated into medical students and trainees,17 and into which they must grow.


화이트헤드18은, 지난 세기 동안 '좋은 의사'라는 개념에 대한 푸콜디안 담론 분석에서 지배적인 담론이 플렉스너의 과학자 의사라는 개념에서 1950년대 동안 전체론적 성격을 바람직한 '성격론characteristics'으로 해부되는 방식으로 어떻게 변화했는지를 그렸다. 이렇게 변화된 담론에서 학생들을 비인격적으로 묘사하여, 전문적인 발견의 여정을 수행하는 개인이 아니라, 교육자들에 의해 조종되고 성형되어야 하는 신체로 묘사한다.18

In her Foucauldian discourse analysis of the concept of the ‘the good doctor’ over the past century, Whitehead18 plotted how the dominant discourse changed from Flexner’s concept of the scientist physician, who was also a man of character, to the dissection of a holistic character into desirable ‘characteristics’ during the 1950s. This discursive shift depersonalised students, depicting them as a body to be manipulated and moulded by educators, rather than as individuals undertaking journeys of professional discovery.18


1970년대에는 역할수행role performance으로서의 역량에 대한 현재의 담론이 표면화되었고, 좋은 의사의 personhood와 agency는 더욱 후퇴하였다. 그 의사는 의료 훈련의 '제조 모델'에서 의료 교육에 의해 생산된 역량의 집합체가 되었다. 역량에 대한 담론은 시간, 사람 및 개인적인 여정에 대한 강조를 축소시킴으로써, [훈련을 통해 생산된 표준화된 '좋은 의사']라는 가정에 기여한다.

During the 1970s, the current discourse of competence as role performance came to the fore, and the personhood and agency of the good doctor receded even further. The doctor became a collection of competencies produced by medical education in a ‘manufacturing model’ of medical training. The discourse of competence, continues the de-emphasis on time, person and personal journey,18 contributing to the assumption of a standardised ‘good doctor’ produced through training.


가치관, 태도, 행동의 일률적인 집합인 이 정체성의 성취는 전문적 정체성 형성의 '완료된completed' 과정의 정점으로 제안되었다.19 이렇게 초점이 좁혀지는 것은 의사들 간 다양한 궤적과 전문적 정체성의 해석과 발전방법에 있어서의 다양성의 가능성을 인정하지 않는다. '아무렇게나 해도 된다'고 말하려는 것이 아니다. 다만 표준화 담론이 '좋은 의사'라는 넓은 우산 아래에는 [의대생과 의사가 적극적으로 다양한 정체성을 구축한다는 것을 인식하지 못함]을 말하려는 것이다.

Achievement of this identity, a uniform set of values, attitudes and behaviours, has been proposed as the pinnacle of a ‘completed’ process of professional identity formation.19 This narrowing of focus does not acknowledge the possibility of diverse trajectories and variations between doctors in how they interpret and develop their professional identities. This is not to suggest that ‘anything goes’, but rather that the standardisation discourse does not recognise that medical students and doctors actively construct diverse identities under the broad umbrella of the ‘good doctor’.


의대생들은 '좋은 의사'의 지배적인 담론 외에도 의사로서 어떻게 해야 하는가에 대한 많은 중복되고 모순된 담론을 경험한다.20–22

In addition to the dominant discourse of the ‘good doctor’, medical students experience many other overlapping and contradictory discourses of how they should be as doctors.20–22


22세의 MacLeod는 학생들이 어떻게 '역량과 돌봄'이라는 담론을 통해 전문적인 정체성을 발전시키는지 설명했다. 역량의 담론은 지식과 기술력을 중시하며, 이와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다.

MacLeod,22 described how students develop professional identities through the discourses of Competence and Caring. The discourse of Competence, with its emphasis on knowledge and technical skill, is closely linked to


화이트헤드의 표준화 담론. 돌봄은 덜 특권적인 담론이며, 이는 환자 상호작용의 심리학적, 감정적 측면과 연결되어 있다.22

Whitehead’s discourse of Standardisation. Caring is a less privileged discourse, which is linked to the psychosocial and emotional aspects of patient interaction.22



MacLeod의 연구에 참여한 학생들은 [자신감, 능력, 적합성의 정체성]을 제정했는데, 이것은 역량의 담론 안에서 가치 있게 평가되며, 무엇을 어떻게 해야 하고 어떻게 해야 하는지에 대한 선입견을 가지고 있었다. 학생들은 또한 다른 사람들을 그들 자신보다 우선시하고 이해와 관심을 보여줌으로써 [돌봄의 담론]과 관련하여 자비심과 겸손의 정체성을 제정했다. 맥리드는 학생들이 불확실하고 예측할 수 없는 정신사회적 문제에 직면했을 때 "돌봄"과 "역량"이라는 담론이 어떻게 긴장 상태에 빠졌는지를 묘사했다. 실제로, MacLeod의 연구에 참여한 일부 학생들은 실무에서 확실성과 자신감(경쟁력)을 제공하는 표준화된 Careing의 방법에 대한 훈련 욕구를 표현했다.22

Students in MacLeod’s study enacted identities of confidence, capability and suitability, which are valued within the discourse of Competence and were predicated on knowing what to do and how to do it. Students also enacted identities of benevolence and humility in relation to Caring, by putting others above themselves and showing understanding and concern. MacLeod described how the discourses of Caring and Competence were in tension when students were confronted with the uncertain, unpredictable nature of psychosocial issues. Indeed, some students in MacLeod’s study expressed a desire for training in standardised methods of Caring, which would provide certainty and confidence (Competence) in practice.22


의대 입학생들 사이의 다양성이 직업과 환자 치료에 좋다는 개념을 내세우는 다양성의 담론도 접하게 되는데, 이는 학생 수가 더 다양해지면 그들이 봉사하는 인구를 더 잘 반영하고 이해하는 의사들이 생기기 때문이다. 사회 구성주의적 접근법을 사용하여, 프로스트와 레게르21은 학생들이 그들의 직업적 정체성을 구축하기 위해 이러한 모순을 어떻게 협상하는지를 설명하면서 표준화와 다양성의 경쟁적 담론들 사이의 긴장을 강조했다.

Medical students also encounter the discourse of Diversity, which puts forward the notion that diversity amongst entrants to medical school is a good thing for the profession and for patient care,21 because a more diverse student population leads to doctors who better reflect, and understand, the populations they serve. Using a social constructionist approach, Frost and Regehr21 highlighted the tension between competing discourses of Standardisation and Diversity, describing how students negotiate these contradictions to construct their professional identities.


FW: 오버뷰

FIGURED WORLDS: AN OVERVIEW


FW이론4는 문화 인류학에서 유래되었으며 주로 20세기 초 러시아의 심리학자 비구츠키5와 동료 러시아인 바흐틴의 연구에 기초하여 세워졌다. 철학자 및 문학 이론가였다.

Figured Worlds theory4 originated in cultural anthropology and is primarily built on the work of the early 20th century Russian psychologist Vygotsky5 and fellow Russian Bakhtin,6 a philosopher and literary theorist.


또한, FW는 Bourdieu23의 영향을 받았는데, 한 사람을 특정한 사회적 실천 내에 위치시키기 위하여 (계급, 성별, 민족성과 같은) 사회 구조의 힘을 이야기한다.

In addition, Figured Worlds incorporates influences from Bourdieu23 regarding the power of social structures such as class, gender and ethnicity to position persons within particular social practices.


따라서 FW는 [문화적 환경에서 활동을 통해 지속적으로 정체성이 출현하는 것]과 [시간이 지남에 따라 형성된 정체성의 보다 내구성 있는 측면('인간의 역사')]을 모두 고려한 [정체성 이론을 개발하려는 열망]에서 비롯되었다. FW는 사회적 실천의 이론으로서, [문화적으로, 역사적으로 정의된 환경]에서 [타인과 함께 조직된 일상 활동을 통한] [정체성의 개발과 표현]을 강조한다. 또한 개인이 행동하는 맥락에서 이용할 수 있는 단어를 전유하고 재조합하여 개인이 스스로 구성('자기저자')한다는 의미에서 담론 이론이기도 하다.

Thus Figured Worlds was borne out of a desire to develop a theory of identity that took account of both the continual emergence of identity through activity in cultural settings and the more durable aspects of identity (‘history-in-person’) that have formed over time in those settings. As a theory of social practice, it emphasises the development and expression of identity through organised daily activity with others in cultural and historically defined settings. It is also a discourse theory, in the sense that individuals construct (‘self-author’) themselves by appropriating and recombining the words that the contexts in which they act make available to them.


사회문화 이론으로서 FW는 카르트적 의미에서의 -이원론적 존재론에 기초한다: [개인]과 [그 또는 그녀의 사회적 맥락]은 하나로 보여지고, 둘 사이에는 상호성과 호혜성이 있다. 마음은 피부 너머까지 확장되는 일련의 상호연결된 관계 안에서 존재하고 발전한다.24 [비-이원론적 존재론] 25의 특징은 [개인은 사회적, 역사적 산물]이며, [개인의 형성은 사회적 맥락에서, 실천적 활동을 통해, 그리고 욕망과 인식의 관계에서 발생]한다는 것이다. 이러한 관점 안에서, 자아는 [관계적 자아/타인]으로 분리되고 그들 사이의 대화성dialogicality은 자아의 이해의 핵심에 있다.

As a socio-cultural theory, Figured Worlds is founded on a non-dualist ontology in the Cartesian sense: the individual and his or her social context are seen as one, and there is mutuality and reciprocity between the two. The mind exists and develops within a set of interconnected relationships that extend beyond the skin.24 Features of non-dualist ontology25 are that the individual is a social and historical product, and that formation of the individual occurs in social contexts, through practical activity and in relationships of desire and recognition. Within this perspective, the self is split into a relational self/other and dialogicality between them is at the core of self-understanding.


예를 들어 의대생이 의사가 되는 것은 사회적, 역사적 산물이다. 그들은 임상 활동에 참여함으로써 임상 환경에서 개인으로 형성된다. 이런 일이 일어나는 의학의 문화적 세계는 지속적인 임상적 실천을 통해 시간이 지남에 따라 형성되고 개혁되어 왔다. 학생들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형성되는 그들 자신의 더 오래 지속되는 면들을 이 새로운 문화 세계에 가져온다. 그들은 미래의 의사로서 인정을 받고자 한다.

For example, medical students becoming doctors are social and historical products. They form as individuals in clinical settings by participating in clinical activities. The cultural worlds of medicine in which this happens have been formed and reformed over time, through on-going clinical practice. Students bring the more durable aspects of themselves, also formed over time, to this new cultural world. They seek and receive recognition as future doctors.


그들은 '좋은 의사'의 담론을 포함하는 여러 개의 가능한 담론을 통해 스스로 저술하거나 의미를 부여하는데, 처음에는 다른 사람의 말로 표현하고, 그 다음엔 그들 자신의 말로 표현한다.

They author, or make meaning of, themselves through multiple available discourses, which include that of the ‘good doctor’, initially expressed in the words of others, which they make their own, and then in their own words.


비구츠키: 정체성의 매개체로서 세계를 파악한 독자

VYGOTSKY: FIGURED WORLDS AS MEDIATORS OF IDENTITY


비고츠키가 FW이론에 필수적 기여를 한 것은 [모든 의미구축은 이용 가능한 문화적 도구들에 의해 매개된다]는 그의 제안이다. 이러한 신체적, 심리적 도구들은 개인들이 자신에 대해 생각하고 느끼는 방법을 포함하여 자신의 생각과 감정을 조직하고 자신의 행동을 지시하는 것을 도울 수 있게 해준다. 의학의 실천과 관련된 많은 문화적 도구들이 있다. 흰색 가운은 북미에서 열린 널리 퍼진 WCC에서 분명히 드러난 강력한 문화적 도구이다. 흰 코트를 입으면 학생들이 자신을 새로운 시각에서 볼 수 있게 되고, 그들은 의사처럼 느껴지게 되고, 이것은 다시 self-direction을 의사처럼 행동하는 쪽으로 향하게 한다. 홀랜드 외 연구진은 이 기호학적 중재에 대한 아이디어를 집중적으로 끌어내어, 어떻게 개인이 의사가운과 같은 문화적 예술적 요소를 내재화하여 자기이해를 발전시키고 스스로 행동하도록 동기를 부여하는지를 기술한다.

Vygotsky’s5 essential contribution to Figured Worlds theory is his proposition that all meaning-making is mediated by available cultural tools. These physical and psychological tools allow individuals to organise their thoughts and emotions, including how they think and feel about themselves, and help direct their own behaviour. There are many cultural tools associated with the practice of medicine. The white coat is a powerful one, evident in the widespread white coat ceremonies held in North America. Donning the white coat allows students to see themselves in a new light; they feel like a doctor, which in turn allows for self-direction to behave like a doctor. Holland et al.4 draw heavily on this idea of semiotic mediation to describe how individuals internalise cultural artefacts, such as white coats, to develop self-understanding and motivate themselves to act.


FW는 사회적으로 구성된 문화 모델이며, 현실의 증류물이며, 사회 관습과 관련된 사고 도구다.4 그것은 '유형types'으로 파악되고 특정한 가치 있는 행동과 결과와 연관되는 '전형적typical' 내러티브로 특징지어진다. 권력과 위계의 관계는 전형적인 내러티브의 일부분이다. FW는 한 사람이 [자신의 행동과 일을 해석하는 맥락]을 형성한다; 이것은 형상화된 정체성Figured Identity이다.

A Figured World is a socially constructed cultural model, a distillate of reality, a thinking tool that relates to social practice.4 It is characterised by ‘typical’ narratives, figured by ‘types’ and associated with certain valued actions and outcomes. Power and hierarchical relations are part of the typical narratives. The Figured World forms a context for interpreting one’s own actions and works; this is Figured identity.


Holland et al.4는 '식별identification'이란 용어를 사용하여 개인이 FW를 전유하고, 그 안에서 스스로 틀을 짜고, 그 동기를 가치 있게 생각하고 감정적으로 연결하는 것을 배울 때 발생하는 변화를 설명한다.26 이러한 FW의 내면화와 그것과 관련된 정체성의 형성은 FW의 활동에 참여함으로써 비롯된다. 그러므로 FW는 사람들이 그들 자신의 행동을 지시할 수 있고, 가능성을 모델링함으로써, 행동을 고무시킬 수 있는 의미의 맥락을 제공한다. 비구츠키는 이것을 '기호학적 부트스트래핑'이라고 불렀는데, 이는 생각과 감정을 조직하고 수정하는 수단이다. 예를 들어 의대생들은 의학계의 대표적인 내러티브와 가치 있는 행동과 결과를 알게 되면서, 그 내러티브와 가치관과 관련하여 자신과 자신의 행동을 해석하기 시작한다. FW는 그들의 행동을 지도한다.

Holland et al.4 use ‘identification’ to describe the shift that occurs when an individual appropriates the Figured World, frames themselves within it and learns to value and connect emotionally with its motivations.26 This internalisation of the Figured World and formation of an identity associated with it, results from participating in its activities. Figured Worlds thus provide a context of meaning in which people can direct their own actions and, by modelling possibilities, inspire action. Vygotsky referred to this as ‘semiotic boot-strapping’, a means to organise and modify thoughts and emotions. For example, as medical students come to know the typical narratives and valued actions and outcomes of the world of medicine, they begin to interpret themselves and their actions in relation to those narratives and values. The Figured World guides their actions.


부르디외: 위치성

BOURDIEU: POSITIONALITY


홀랜드 외 연구진은 FW에 대한 그들의 생각과 Bourdieu가 '분야field(국지적 사회적 실천)'라고 부른 아이디어 사이의 유사성을 관찰한다. 한 분야 내에서 개인들은 권력과 특권의 관계에 위치한다. 그러므로 위치성은 FW이론의 또 다른 핵심 요소다.

Holland et al.4 observe a similarity between their idea of a Figured World and Bourdieu’s23 idea of field – a local social practice. Within a field, individuals are positioned in relations of power and privilege. Hence, positionality is another key element of Figured Worlds theory.


위치적 정체성은 사람이 살아 있는 세계에서 자신의 사회적 위치에 대해 염려하는 것을 말한다. 우리는 사회적 상호작용을 통해 위치를 주장하고 매일 다른 사람을 위치시킨다. 비록 FW는 전형적인 내러티브typical narrative 속에 상상한 자신에 대한 프레임이지만, 특정한 유형type과 관련하여, 위치적 정체성은 포함과 배제, 권리, 침묵, 거리 및 소속에 관한 것이다.4

Positional identity refers to a person’s apprehension of their social position in the lived world. We claim position and we position others every day through social interaction. Although Figured Identity is an imaginative framing of self in typical narratives, relating to particular types, positional identity is about inclusion and exclusion, entitlement, silencing, distance and affiliation.4


초심자가 'FW'에 들어갈 때 [무의식적인 내면화]라는 의미에서 그 안에서 자신의 위치를 파악하게 된다. 대신에, 개인은 그들이 이의를 제기하기 위해contest 선택할 수 있는 입장을 알게 될 수도 있다. 그러므로 문화적 세계에서 매일의 포지셔닝은 정체성의 또 다른 매개체다. 의대생들이 임상 팀의 구성원으로서, 또는 '중요한 길'로 임상적 위치에 서게 되는 방법은 그들의 정체성 발달의 중심 요인이다.

As novices enter a Figured World they gain a sense of their position within it, which they may take up as position becomes disposition, in the sense of unconscious internalisation. Alternatively, individuals may become aware of position, which they may choose to contest. Day to day positioning in cultural worlds is therefore another mediator of identity. The way in which medical students are positioned – and position themselves – on clinical placements, as members of the clinical team or ‘in the way’, is a central factor in their development of identity.


Bakhtin: 여러 가지 담론을 통한 자기 권한 부여

BAKHTIN: SELF-AUTHORING THROUGH MULTIPLE DISCOURSES


비고츠키가 주로 집중한 매개 도구는 언어였고, 사용 중인 언어는 [비구츠키의 기호학적 중재semiotic mediation]와 [바흐틴의 '목소리'와 '다중-목소리성']에 대한 설명이 합쳐진 FW이론에서 큰 역할을 한다. 담론에 대한 푸카울디안 접근법27은 의학 교육에 가장 일반적으로 적용되는 방법이다. 사회정의와 사회 권력분배에 대한 의문을 제도적 차원에서 우려한다는 점에서 비판적 입장을 취하지만, 푸콜디안 분석은 사용 중인 언어의 구조에 세심한 주의를 기울이지 않는다. Bakhtin28과 Gee,29와 같은 다른 접근법들은 언어구조linguistic structure에 더 중점을 두면서도 언어가 사용되는 사회적 맥락에 여전히 초점을 맞추고 있다. 이러한 '메소-언어주의' 접근방식은 FW에 적용되는 것이다.

The mediating tool on which Vygotsky focused primarily was language, and language in use plays a major role in Figured Worlds theory, where Vygotsky’s semiotic mediation and Bakhtin’s account of ‘voice’ and ‘multi-voicedness’ are brought together. The Foucauldian approach to discourse27 is that most commonly applied in medical education. Although it takes a critical stance, in that it is concerned with social justice and a questioning of the distribution of power in society at an institutional level, Foucauldian analysis does not pay close attention to the structure of language in use. Other approaches, such as those of Bakhtin28 and Gee,29 place greater emphasis on linguistic structure while still focusing on the social context in which language is used. This ‘meso-linguistic’ approach is that applied in Figured Worlds.


Bakhtin의 FW에 대한 기여는 대화론과 자아에 대한 이론theory of dialogism and of the self이다. 대화주의는 어드레스티비즘addressivity의 개념에 바탕을 두고 있는데, 이는 [언어, 담론, 문화적 신념을 통해 우리가 끊임없이 세계에 의해 연설addressed되는 방식]을 의미하며, 마찬가지로, [우리가 이 addressing에 대해 세계 속에서 자신의 위치와 그 의미를 '자기-저자'하는 사람으로서 어떻게 대답하는가]를 가리킨다.28

Bakhtin’s contribution to Figured Worlds is his theory of dialogism and of the self. Dialogism is based on the notion of addressivity, which refers to the way in which we are continually addressed by the world, through language, discourses and cultural beliefs, and equally importantly, how we answer this addressing by ‘self-authoring’ an on-going narrative of our place in the world and its meaning.28


그러한 서술은 다수의 '목소리'를 끌어내어 담론의 다양성이나 우리의 문화세계를 채우는 말투, 즉 세상이 어떻게 되어 있는지와 관련하여 가치와 가정을 담고 있는 장르, 모티브, 등록부 등을 재활용하고 재구성한 것이다.

Such narratives draw on multiple ‘voices’, recycling and remoulding the multiplicity of discourses or ways of speaking that populate our cultural world: the genres, motifs and registers that carry values and assumptions in relation to how the world is.


우리는 어쩔 수 없이 세상에 대응해야 하지만 어떻게 대응해야 하는지에 대해서는 선택의 여지가 있다. 자기-저자self-authoring에서는, 우리는 사회 세계에 대한 이러한 [서로 다른 관점을 '주장'해야 하며], [다른 사람들의 말을 끌어내고 우리 자신의 의도를 주입해야 한다]. 우리는 목소리를 조정하고 일관된 방식으로 대응하려고 하며, 이러한 '저자적 자세authorial stance'의 발전은 정체성의 보다 지속 가능한 측면의 형성을 나타낸다.

We are compelled to respond to the world but have choice in terms of how the response is crafted. In selfauthoring, we must ‘orchestrate’4 these different perspectives on the social world, drawing on the words of others and imbuing them with our own intentions. We attempt to orchestrate the voices and respond in a consistent manner, and this development of an ‘authorial stance’ represents the formation of a more durable aspect of identity.


그러나 어떤 담론(예: 규범적 본문이나 규칙서적)은 다른 담론보다 더 많은 권위를 가지고 있다; '권위적 담론'으로서 그것들은 우리가 말하는 '복화ventriloquating'에 구성되지 않은 것처럼 보일 수도 있다. 그렇더라도 우리가 그 담론에 대해 납득이 가지 않는다는 점에서는, 다른 담론보다 설득력이 떨어질 수도 있다. 좋은 의사, 표준화, 다양성, 역량, 돌봄 그리고 많은 다른 것들에 대한 담론에서 의과대학을 통해 발전해나가는 학생들을 다룬다.

However, some discourses (e.g. normative texts or rule books) carry more authority than others; as ‘authoritative discourses’ they may appear unreconstructed in what we say, ‘ventriloquating’ us. Even so, they may be less persuasive than others in the sense that we are unconvinced by them. Discourses of the good doctor, standardisation, diversity, competence, caring and many others address students as they progress through medical school.


일부는 '내부적으로 설득력 있을' 수도 있지만, 6 학생들이 이러한 담론의 '차용된borrowed' 요소들을 사용하여 [자신과 자신의 행동에 대해 다양한 방식으로 의미]를 부여하고, [담론들 사이의 긴장과 모순]은 [의사로서의 '자기-저자'한다는 것이 종종 상충되는 목소리의 조율을 필요로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학생들이 스스로 글을 쓰면서, 그들은 이러한 [요소들을 자신의 것으로 만들고, 그 요소들을 자신의 말과 엮어 세상에 대한 독특한 반응인 '입장stance'을 만들어낸다].

Although some may become ‘internally persuasive’,6 as students make meaning of themselves and their actions in diverse ways using ‘borrowed’ elements of these discourses, tensions and contradictions between them mean that self-authoring as a doctor requires orchestration of often conflicting voices. As students author themselves, they make these elements their own, intertwining them with their own words to produce a unique response to the world: a stance.


형상화된 세계: 예시

FIGURED WORLDS: AN EXEMPLAR


우리는 이제 위에서 설명한 Mainted Worlds 이론의 주요 측면을 설명하기 위해 Sarah와 Adam이라는 두 명의 의대생들의 서면 성찰을 사용한다. 이러한 서술은 이러한 목적을 위해 반사적으로 선택되었다.

We now use the written reflections of two medical students, Sarah and Adam, to illustrate the key aspects of Figured Worlds theory outlined above. These narratives were selected reflexively for this purpose.


사라

Sarah


사라의 이야기는 [학생과 환자에 대한 특정 의사의 행동]에 대한 그녀의 반응에 관한 것이다. 우리의 분석은 미래의 의사로서의 그녀 자신의 예상된 정체성, 즉 그녀의 Figured ID의 관점에서 그녀가 어떻게 이러한 행동에 대해 말하는지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FW는 [의료계라는 FW] 속에서의 전형적인 시나리오로서, 컨설턴트가 그의 팀과 학생들을 병동 라운드로 이끄는 시나리오를 묘사하면서 그녀의 선택을 강조한다. 컨설턴트의 행동은 명료한 의학계의 담론을 표면과 의식적인 인식에 이르게 하는데,4는 사라의 성찰적인 반응을 촉발시킨다.

Sarah’s narrative revolves around her account of her response to a particular doctor’s behaviour towards students and patients. Our analysis focuses on how she talks about this behaviour in terms of her own projected identity as a future doctor – her Figured identity. Figured Worlds emphasises her choices in making sense of herself as she describes a typical scenario in the Figured World of medicine, that of a consultant leading his team and students on a ward round. The behaviour of the consultant brings the discourses of the Figured World of medicine to the surface and to conscious recognition,4 triggering a reflective response from Sarah.


다른 두 명의 학생들과 나는 이 컨설턴트와 그의 팀과 함께 병동 라운드를 하고 있었다. 그는 자기소개를 하거나 우리 이름을 묻지 않았고, 나이가 들면서 살이 찌는 여자들에 대한 엉뚱한 농담은 전혀 하지 않았다. 그는 환자와 대화할 때 우리의 존재를 전혀 언급하지 않았다...

Two other students and I were on a ward round with this consultant and his team. He didn’t introduce himself or ask for our name and, bar an off colour joke about females gaining weight with age, didn’t interact with us at all. He didn’t make any reference to our presence when he talked to patients...


그녀의 서술은 의학의 세계에서 [위치 정체성의 패턴에 대한 그녀의 경험]과 [일상적 권력의 경험에서 발생하는 상대적 위치설정]을 보여준다.4 사라와 그녀의 동료 학생들은 컨설턴트에 의해 위계 하단에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 그들은 심한 모욕과 별개로 인정받지 못한다. 그것들은 환자에게 언급할 가치가 없다. 사라가 [그녀의 독자들에게 컨설턴트와 학생 사이의 힘의 차이를 설명할 필요성을 느끼지 않으며], 왜 그녀가 그의 행동이 [문제제기도 없이 통과되도록 허락하는지 설명하지도 않는다는 것]은 의미심장하다. 

Her narrative illustrates her experience of patterns of positional identity in the world of medicine and the relative positioning that arises from day to day experiences of power.4 Sarah and her fellow students are strongly positioned by the consultant at the bottom of the hierarchy. They are not acknowledged apart from a gendering insult. They are not worth mentioning to patients. It is significant that Sarah does not feel the need to explain to her reader the power differential between consultant and students, nor to account for why she allows his behaviour to pass without challenge. 


이 이야기는 FW of Medicine에서 일어나며, 교수진에게 이야기하면서, 사라는 그 세계의 상황이 어떻게 돌아가는지에 대한 공통된 이해를 가정한다. 이론적으로, 사라는 컨설턴트에게 어떻게 반응하는지에 관한 관점을 가지고 있지만, 사회 구조와 힘의 차이는 그녀의 반응을 제약하고 그녀는 침묵한다(또는 오히려 그녀 자신을 침묵시킨다). 홀랜드 외 연구진은 사건incidents들은 [우리에게 위치적인 힘을 명백히 인식하게 하여, '당연하기 여겨온 것'을 깨뜨림으로써, 저항으로 이어지게 만들 수 있다]고 제안한다. 사라는 이 반성문을 쓰는 데 있어서 어느 정도 저항을 보여주는데, 그녀는 이 글을 교직원이 읽을 것이라고 알고 있다.

This story takes place in the Figured World of medicine and in addressing the narrative to a faculty member, Sarah assumes a shared understanding of how things are in that world. Theoretically, Sarah has agency in terms of how she responds to the consultant, but social structure and power differentials constrain her response and she is silenced (or, rather, silences herself). Holland et al.4 suggest that incidents that cause us to become explicitly aware of positional power, and thus rupture the ‘taken-for-granted’, can lead to resistance. Sarah demonstrates some resistance in writing this reflective piece, which she knows will be read by a faculty member.


하지만 더 중요한 것은, 이 의사가 그의 환자들을 대하는 태도에 매우 당황했다... 그녀는 그녀의 질문에 대답하거나 그녀의 질문에 대답하는 것에 개방적이지 않은 컨설턴트에게 질문을 던졌다. 그는 안절부절못하며 분명히 시간에 쫓기고 있다는 것을 과시하고 있었다. 그는 그녀 옆에 앉아 있는 그녀의 어머니에게 자신을 소개하지 않았고 종종 그녀와 환자 둘 다와 눈을 마주치지 못했다... 이 컨설턴트가 실제로 나에게 직접 말을 한 적은 없지만, 그는 무심코 나에게 많은 것을 가르쳐 주었다. 나는 환자에게 어떻게 행동하지 말아야 하는지를 직접 보았다.

More importantly however, I was quite taken aback at the manner in which this doctor addressed his patients..... She [a patient] put her questions to the consultant, who was clearly not open to answering or interacting with her enquiries. He was fidgeting and demonstrating obviously that he was rushed for time. He didn’t introduce himself to her mother, who was sitting beside her, and often failed to make eye contact with both her and the patient ... While this consultant never actually spoke directly to me, he inadvertently taught me many things. I saw, firsthand, how not to behave towards patients.


그녀가 이 컨설턴트의 단점을 설명하면서, 사라는 의사들이 환자들을 어떻게 '해야 하는가'에 대한 입장을 취하며, 자신을 'FW'의 [지배적인 돌봄 가치]에 맞춰 '좋은 의사'로 자리매김한다. 사라는 컨설턴트의 행동을 이용해 자신의 미래의 행동을 프레임함으로써, 컨설턴트와는 거리를 두고 동일시를 거부(dis-identifying)하는 것이다. 그녀는 의사로서 이렇게 되고 싶지 않다는 것을 알고 있다.

As she recounts this consultant’s shortcomings, Sarah takes a stance on how doctors ‘should be’ with patients, positioning herself as a ‘good doctor’ aligned with the dominant caring values of the Figured World. Sarah uses his behaviour to frame her own future practice by distancing herself from it and dis-identifying herself with him. She knows this is not how she wants to be as a doctor.


나는 일반적인 예의와 예절을 무시해서는 안 된다고 믿는다. 환자의 질문을 실제로 듣는 데 1분 정도 시간을 할애하는 간단한 소개와 모든 임상의가 원하는 바를 직접, 그리고 공감으로 민감하게 해결하는 것이어야 한다.

I believe that common courtesy and manners should never be disregarded. Simple introductions, taking an extra minute to really listen to patients’ questions and addressing any concerns sensitively, directly and with empathy should be what all clinicians strive for.


의사들이 어떻게 '해야 하는가'를 이해하면서, 사라는 자신에게 이용 가능한 문화적 자원을 이용한다. 그녀는 위의 발췌문에서 공식적인 어조와 전문적 언어를 채택하고 임상 선생님과 다른 출처로부터 듣고 읽은 용어를 사용하여 자신을 배려하는 의사로 저술한다.

In making sense of how doctors ‘should be’, Sarah draws on the cultural resources available to her. She adopts a formal tone and professional language in the excerpt above and authors herself as a caring doctor, using terms she has heard and read, from her clinical teachers and other sources.


나는 이상적인 환자 치료와 적절한 의사소통을 하는 것이 때때로 어려울 것이라는 것을 이해한다. 나로서는 개인적인 감정이 환자들과 어떻게 상호작용하는지를 방해하지 않도록 노력할 것이며, 항상 인내와 존경과 배려로 환자를 대하도록 노력할 것이다.

I understand that at times delivering ideal patient care and suitable communication will prove difficult. I, for my part, will try to not allow personal feelings to interfere with how I interact with patients and will endeavour to always treat patients with patience, respect and consideration.


이 대목에서, 사라는 자신을 [자신의 환자를 우선시하는 의사]로 저술한다. 그녀는 내적으로 설득력 있는 담화 속에서 [자신의 말]과 [돌봄의 언어]를 얽어놓음으로써 돌봄의 담론을 내면화하고 그것을 자신의 것으로 만들었다.4

In this passage Sarah authors herself as a doctor who puts her patients first. She has internalised the discourse of Caring and made it her own, by intertwining the language of Caring with her own speech in an internally persuasive discourse.4


그녀는 돌봄을 중요시하는 의사의 뚜렷한 정체성을 표현하면서, 돌봄을 의료행위의 한 측면으로 보고 중시하기로 선택한다. 컨설턴트의 행동에 대한 그녀의 반응은 이것을 보여준다. 그녀는 이러한 가치들이 무시되고 있다는 것을 알게 된 것에 짜증과 실망으로 반응하며, 자신이 불편하고 당황스럽다고 묘사한다. 다음 발췌문이 암시하듯이, 그녀는 컨설턴트의 '팀'에 그녀가 속해 있는 것이, 환자의 눈에는 그의 행동을 묵인하는 것으로 자리 잡았다고 느낀다. 보살핌을 중시하는 의사로서 그녀의 정체성은, 이 위치에 의해 훼손된다.

In expressing a figured identity of a caring doctor, she elects to attend to and value Caring as an aspect of medical practice. Her response to the consultant’s behaviour demonstrates this. She responds with irritation and disappointment to finding that these values are disregarded, and describes herself as uncomfortable and embarrassed. As the next excerpt suggests, she feels that her presence in the consultant’s ‘team’ has positioned her as condoning his behaviour in the eyes of the patient. Her figured identity, as a caring doctor, is compromised by this position.


이 컨설턴트를 만난 후 나는 불편하고, 짜증나고, 당황스럽고, 실망했다. 나는 그가 무례한 행동으로 의료계를 실망시켰다고 느꼈다.

Following my encounters with this consultant I felt uncomfortable, irritated, embarrassed and disappointed. I felt that he had let down the medical profession with his rude behaviour.


그러나 미래와 상상의 나 자신을 투영하면서, 그녀는 자신이 어떤 의사가 될 것인지에 대한 선택에서 대리인의 분명한 표현으로, 미래의 돌봄 전문가로서의 자신을 강하게 형상화figuring하면서 결론을 내릴 수 있다.

However, projecting into the future and her imagined self, she is able to conclude with a strong figuring of herself as a future caring practitioner, with a clear expression of agency in her choice of what sort of doctor she will be.


나는 나 자신이 그러한 특성을 개발하는 것을 허락하지 않기로 스스로 결정할 수 있다. 나는 나 자신의 행동을 통제하고 있으며 부정적인 태도나 무례한 접근을 하지 않으려고 노력할 수 있다.

I can decide for myself not to allow myself to develop such traits. I am in control of my own behaviour and can endeavour not to practice negative attitudes or an ill-mannered approach.


아담 

Adam


아담의 경험에 대한 성찰은 그와 동료 학생이 울기 시작하는 환자로부터 병력청취를 하는 상황에 관한 것이다. 그는 이에 대한 자신의 개인적, 전문적인 대응을 서술하고 있는데, 그것은 그가 보기에 적절한 행동을 하지 못하는 것을 보여주었다. 이 분석은 '돌봄'과 '역량'을 모두 중요시하는 훌륭한 의사로서 자기-저술을 자처하는 아담이 이 상황에서 여러 목소리를 조율하기 위해 고군분투하는 데 초점이 맞춰져 있다.

Adam’s reflection on his experience concerns a situation in which he and a fellow student are taking a history from a patient who begins to cry. He narrates his personal and professional response to this, which has shown, in his view, a failure to act appropriately. This analysis focuses on Adam’s struggle to orchestrate multiple voices in this situation, as he self-authors as a good doctor, who values both Caring and Competence.


아담은 자신의 이전 이력을 그리면서 자신을 어떤 경험을 가진 의료 전문가로 포지셔닝하는 것으로 시작한다; 이 위치의 중심은 환자와 의사소통을 잘 하는 것으로 파악된 정체성이다.

Adam begins by drawing on his previous history, positioning himself as a health care professional with some experience; central to this position is a figured identity of being good at communicating with patients.


... 약대생으로서, 결과적으로 약사로서의 나의 강점 중 하나가 환자 친밀감이었다.

... patient rapport was one of my strong points during my years as a pharmacy student and consequently a pharmacist.


이제 아담은 다른 FW에 있다. 환자들과의 의사소통을 잘 하는 사람이라고 생각하는 그의 생각은 기대만큼 잘 풀리지 않았다. 사라처럼, 그는 자신의 이야기를 말하고 상황을 이해하며 그 안에 있는 자신의 위치를 찾기 위해 의학계의 담론을 그린다. 아담은 또한 '좋은 의사'가 되기를 원하지만, 그는 사라와 다른 방식으로 이러한 담론을 활성화시킨다. 다음 발췌에서 그는 능력 담론의 관점에서 공감할 수 없는 것으로 인식된 실패에 대해 쓴다.22

Now, Adam is in a different Figured World. His figuring of himself as a good communicator with patients has not played out as expected. Like Sarah, he draws on the discourses of the Figured World of medicine in order to tell his story, to make sense of the situation and to locate himself within it. Adam also wants to be a ‘good doctor’, but he activates these discourses in ways that are different to Sarah. In the following excerpt he writes about his perceived failure to be empathic from the point of view of a competency discourse.22


나는 그것을 [공감하는 태도로 그것(환자의 울음)에 대처하지 못하는 나의 무능력]을 내 입장에서 볼 때 심한 실패라고 보았다. 당황해서, 나는 그 상황에 어떻게 대처해야 할지 확신이 없었고, 겨우 '괜찮아, 천천히 해'로 그녀를 위로하려고 했다. 반면에 우리 반 친구는 휴지를 사 주겠다고 했어. 그녀는 환자를 위로하면서 한 손을 팔에 얹었다.

I saw my inability to address it [patient crying] in an empathic manner as a gross failing on my part. Taken aback, I was unsure of how to deal with the situation, and only managed to attempt to comfort her with ‘it’s alright, take your time’. My classmate on the other hand, offered to get her some tissue paper ... As she comforted the patient she put one hand on her arm.


아담의 (실패한) 성과에 대한 자체적인 분석은 역량 부족이라는 측면에서 설득력이 있다. (그의 반 친구의 행동에 의해서 캡슐화된) 유능한 의사는 자신감 있고 환자들과의 상호작용에 능력이 있는 사람이다. 그들을 대할 때 'know how'를 증명하는 사람이다. 이 부분에 대해 아담은 자신의 수행능력을 평가하고, 자신이 부족함을 발견한다. 그의 반 친구는 그가 당황하고 '불안해하는' 동안 침착하게 행동을 취한다. 그녀는 환자의 고통에 효과적으로 대응했고 자신감과 능력을 보여주었다. 그녀는 '역량 있는' 돌봄 전문가다. 아담이 느낀 불편함과 불확실성에 대한 감정은, 자신감과 능력이 중시되는 FW of Medicine에서 그를 '무능력'과 '비효과'로 위치시킨다.

Adam’s own analysis of his (failed) performance is couched in terms of lack of Competence. Encapsulated in the behaviour of his classmate, the competent doctor is one who is confident and capable in interactions with patients, one who demonstrates ‘know how’ when dealing with them.22 Adam evaluates his own performance against this marker and finds himself lacking; his classmate calmly takes action while he is ‘taken aback’ and ‘unsure’. She has responded effectively to the patient’s distress and has demonstrated confidence and capability. She is a ‘competent’ caring professional. Adam’s feelings of discomfort and uncertainty position him as ‘incompetent’ and ‘ineffective’ in the Figured World of medicine, where confidence and capability are valued.


분명히 환자를 효과적으로 돌볼 수 없는 나 자신의 수치심과 죄책감이 생기기 시작한 것은 이 무렵이었다.

It was around this point that my own sense of shame and guilt began to arise, as I clearly was unable to effectively sooth the patient.


아담의 이야기는 여러 개의 음성으로 되어 있다. 그는 '돌봄'에 대해서, 그리고 그것이 의료행위에 있어서 무엇을 의미하는지 형식적인 어투로 글을 쓰며, 따라서 그에 의해 전유되고 재해석되기보다는 그를 통해 말하는 'Tomorrow's Doctor'과 같은 공문서들의 권위 있는 담론에 의해 '환화'된다. 다음 발췌에서 그의 글은 mode of authority를 취한다.

Adam’s narrative is multi-voiced. He writes with a formal tone about Caring, and what it means in medical practice, and he is thus ‘ventriloquated’ by the authoritative discourse of official documents, such as Tomorrow’s Doctors, which speak through him, rather than being appropriated and reinterpreted by him. In the following excerpt his writing is in the mode of authority.


이러한 유형의 신체 접촉은 안심시키고 자신감을 심어주며 공감을 나타내는데 도움을 준다; 비록 사람들이 행동을 그렇게 많이 생각하지는 않겠지만, 무의식적으로 신체적 근접성은 이러한 유형의 반응을 유발한다. 환자의 울음소리에 대한 내 반응의 의도는 의료전문가로부터 기대하는 공감과 확신과 대등했다. 그러나 나의 답변 방식과 정도는 부족했다. 환자를 위로하는 것은 간단한 개념으로 매일 연습할 때 필요하다. 그러나 그것을 능숙하게 하기 위해서는 상상 이상의 기교와 기술이 필요하다.

These types of physical contact help to reassure, instil confidence and display empathy; although one wouldn’t think so much of the act, subconsciously the physical proximity triggers these types of responses. The intentions of my response to the patient’s crying were on par with what is expected from a health care professional: empathy and assurance. The method and extent of my response however were lacking. Consoling the patient is a simple enough concept and is necessary in daily practice. To be proficient at it however requires more finesse and skill than one would imagine.


역량이라는 담론을 논리적으로 확장시켜 나가면서, 아담은 [Caring이 적절한 시기에 올바른 움직임의 알고리즘적 과정을 통해 실행될 수 있다는 믿음]에 기초하여 훌륭한 의사로서의 미래 정체성을 투영한다.

Taking the discourse of Competence to its logical extension, Adam projects his future identity as a good doctor on the basis of the belief that Caring can be executed through an algorithmic process of the right moves at the right time.


나는 우리 반 친구가 사용했던 것과 비슷한 기술을 사용하고자 한다. 이런 시나리오에서는 단어만으로는 불충분할 때가 있다.

I am fully intent on employing similar techniques to those that my classmate used. In these scenarios, words alone are sometimes insufficient.


나중에 그의 성찰에서 아담은 [가족과 친구와의 관계에서 불편한 감정을 느끼는 논리적인 인물]로 자신을 저술한다. 아래 발췌에서는 어느 정도 자기 비판적인 것처럼 보이지만, 역량의 담론에서는 논리, 합리성, 추론이 강한 요소로서, 따라서 미래의 의사로서의 적합성을 (스스로) 확인한다.22

Later in his reflection, Adam authors himself as a logical person who is uncomfortable with emotion in his relations with family and friends. Although, to some extent, he appears to be self-critical in the excerpt below, logic, rationality and deduction are strong elements in the discourse of Competence, and therefore confirm his suitability as a future doctor.22


한 가정주부와의 이 사건을 떠올려 보니 내 의심이 확연히 드러났다. 나는 상식이 부족했다. 개인적인 차원에서, 나는 종종 가족이나 친구들이 우는 경우에 능숙하게 대처하지 못한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나는 초기 문제에 대한 해결책을 합리화하고 논리적으로 추론하려고 한다. 그들의 울음소리가 분별력 있는 것인지 아닌지를 떠나 그 시점에서 위로가 관건임은 두말할 나위도 없다.

Recalling this event with a housemate confirmed my suspicions: I lacked common sense. On a personal level, I find that I am often unable to deal with family and friends crying adeptly as well. I attempt to rationalise, and logically deduce a solution to the initial problem. It goes without saying that at that point consolation is key, regardless of whether their crying is sensible or not.


효과적인 의사가 되지 못한 것으로 인식된 아담의 강한 감정적 반응은 [그의 역량에 대한 가치평가]에 뿌리를 두고 있다. 그에게 돌봄은 기술적 역량의 문제다. 이것은 그가 반 친구가 사용하는 '방법'을 고려하고 그것들에 대항하여 자신의 성과를 측정하기 때문에 명백하다. 그는 그 중요성에 대한 교과서형 설명을 이어간다.

Adam’s strong emotional response to his perceived failure to be an effective doctor is rooted in his valuing of Competence. For him, Caring is a matter of technical competency. This is evident as he considers the ‘methods’ used by his classmate and measures his own performance against them. He follows up with a textbook-type account of their importance:


사회가 의사들에게 기대를 걸고 있기 때문에, 한 사람이 능숙하게tactfully 환자를 위로하지 못하는 것은 그들의 기능에 심각한 장애로 보여진다.

As society has expectations of their physicians, the inability of one to tactfully console their patients is seen as a gross impediment to their function.


['숙련'과 '기술'에 대한 그의 레퍼런스]와 [자신의 수행의 '방법 및 범위'에 대한 평가]는 역량의 담론에서 나온 것이다. 비록 그가 이 사건에 대해 함께 반성해 온 룸메이트와 과거에 위로하지 못한 가족과 친구들의 목소리가 직접적으로 들려오지는 않지만, 아담은 (스스로를 환자를 잘 다루는 약사로 묘사할 때 다소 모순되게 그려내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이 이야기에서 매우 합리적이고 따라서 진정으로 위로하고 위로할 능력이 부족한 사람으로서 자신의 의미를 부여하기 위해 그들을 끌어당긴다. 


His references to ‘proficiency’ and ‘skill’ and his evaluation of the ‘method and extent’ of his own performance come from the discourse of Competence. Although the voices of his roommate, with whom he has reflected on this event, and family and friends he has failed to console in the past are not heard directly, Adam draws on them to make meaning of himself in this narrative as someone who is highly rational, and who therefore lacks the ability to truly console and comfort, despite his somewhat contradictory figuring of himself as a pharmacist who was good at dealing with patients.


아담은 자신을 '케어하는 의사'로 분명히 저술하지는 않지만, 자신이 자신의 성과에 대해 반성하는 것처럼 보살핌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있으며 합리적이고 논리적인 면을 겸비한 특별한 자질을 가지고 있다는 입장을 취하고 있다. 한편으로 그는 실패를 평가하기 때문에 자신에 대한 서술 안에는 긴장이 있지만, 다른 한편으로는 지식의 세계, 성찰의 세계, 그리고 좋은 의사가 되기 위한 길을 가면서 다른 담론들에 목소리를 낸다.

Adam does not clearly author himself as a ‘caring doctor’, but he does position himself as having particular qualities that also constitute aspects of the good doctor, advertising that he is cognisant of the importance of caring, and rational and logical as he reflects on his own performance. There are tensions within his narrative of self, as he on the one hand appraises a failure, but on the other gives voice to other discourses in the Figured World of medicine, positioning himself as informed, reflective and on the way to being a good doctor.


고찰 

DISCUSSION


FW와 의사 정체성의 가능성

Figured Worlds and possibilities for doctor identity


위의 예시에서는 FW를 적용하여 의대생들의 self-authoring에서의 의사정체성의 다양한 구조를 탐구하였다. 아담과 사라는 의료행위에 있어서 Caring의 개념을 이해했고, 따라서 그들은 서로 다른 방식으로 돌봄 전문가로서의 개념을 이해했다. 그들은 공통의 문화적 자원인 '의학의 FW'의 담론을 서로 다른 방식으로 활성화시켰다. 

In the exemplar above, we applied Figured Worlds to explore the diverse constructions of doctor identity in the self-authoring of medical students. Adam and Sarah understood the notion of Caring in medical practice, and hence themselves as caring professionals, in different ways. They activated their common cultural resources, the discourses of the Figured World of medicine, in different ways. 


사라는 현재와 미래의 자신을 caring doctor로 만들었다. 그녀는 돌봄의 담론에 대해 분명한 입장을 취했다. 그녀는 돌봄의 담론을 자신의 말과 엮어 그것을 자신의 것으로 삼았었다. 아담은 사라처럼 자신을 caring professional로 정하지 않았다. 돌봄을 기술적 역량으로 바라보는 아담의 프레임은 [학생들이 (돌봄의 심리사회적 측면의 예측 불가능성을 다루거나) ('Cure'하기 위해 커리큘럼 개입을 모색하는)] MacLeod의 작품과 일치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아담은 Caring이 중요하다는 것을 알고 있었고, 사라만큼 케어링 의사가 되고 싶었지만, 의사로서 self-authoring하는 과정에서 caring과 competence의 '목소리'를 조정하려고 시도하면서 그 의미에 대해서는 다른 입장을 취했다.

Sarah authored herself as a caring doctor, now and in the future. She took a clear stance on the discourse of Caring. She had intertwined the discourse of Caring with her own words and made it her own. Adam did not author himself as a caring professional in the same way. His framing of caring as a technical competence echoed MacLeod’s work, where students sought curricular interventions to deal with or ‘cure’ the unpredictability of the psychosocial aspects of care. Nonetheless, Adam knew that Caring is important, and wanted to be a Caring doctor as much as Sarah did, but took a different stance on what that meant, as he attempted to orchestrate the ‘voices’ of Caring and Competence in his self-authoring as a doctor.


FW는 [의학 교육에서 정체성 개발에 대한 관점을 제공하여] 표준화의 지배적인 담론에 문제를 제기한다. [다양한 학생 구성이 바람직하다는 것]과 [의학교육의 목표가 되는 획일적인 '좋은 의사'로 전문화되는 것] 사이의 긴장감을 조명한다. 'FW'의 개념은 기존의 공동체 가치와 관행 내에서 'becoming'하는 방법의 다양성을 강조한다. 그렇게 함으로써, FW는 선택이 이루어지는 사회적 구조와 권력의 분야field를 인식하면서, [어떻게 세계의 의미를 만들 것인가를 선택하는 데 있어서 개개인의 행위자성]을 강조한다

Figured Worlds provides a perspective on identity development in medical education that troubles the dominant discourse of standardisation. It sheds light on the tension between a diverse student body being desirable and professionalisation into uniform ‘good doctors’ being the goal of medical education. The concept of a Figured World emphasises the diversity of ways of ‘becoming’ within existing community values and practices. In doing so, it emphasises the agency of the individual in choosing how to make meaning of the world whilst recognising the social structures and fields of power within which such choices are made. 


FW는 정체성의 측면이 durable하게 만들어주지만, 유동적이고 항상 변화하는 정체성의 본성을 강조한다. 이는 (전문적) 삶을 통해 지속되는 'becoming'이다. 바크틴에 따르면, 자아는 관점을 취하는 사이트다.28 두 사람이 같은 사이트를 점유할 수 없다; 우리는 각각 다르게 다루어지고, 우리는 [자신이 이용할 수 있는 차용된borrowed 요소들을 사용하여] 다양한 방식으로 의미를 부여한다. 

Figured Worlds allows for aspects of identity to be durable, but highlights the fluid, always changing nature of identity, a ‘becoming’ that continues through (professional) life. According to Bakhtin, the self is a site from which perspective is taken.28 No two people can occupy the same site; we are each addressed differently and we use the borrowed elements available to us to make meaning in diverse ways. 


우리는 두 학생이 그들의 직업 정체성의 핵심 요소를 다른 방식으로 해석하는 것을 보아왔다. 의과대학과 규제당국이 시행하는 대부분의 일은 우리가 [표준화된 '좋은 의사'의 생산]을 위해 노력하고 있고 올바른 교육과정 성분이 원하는 결과를 가져올 것이라는 무언의 가정에 근거하고 있다. FW 이론4는 [표준화된 '좋은 의사'의 지배적인 담론 안에서 강조되지 않는 많은 문제들], [즉 개인적인 여행, 시간의 경과, 정체성이 결코 '완성되지 않는다'는 생각, 그리고 자기 자신에 대한 다양한 정체성의 인식] 등을 포착하기 때문에 중요하다.

We have seen two students interpret a core element of their professional identity in different ways. Much of what medical schools do, and regulators enforce, is predicated on the unspoken assumption that we are working towards the production of a standardised ‘good doctor’ and that the right curricular ingredients will result in the desired outcome. Figured Worlds theory4 is important because it captures many of the issues that are under-emphasised within this dominant discourse of a standardised ‘good doctor’: personal journeys, the passage of time, the idea that identities are never ‘completed’ and the recognition of diverse accounts of self.


Mind Worlds가 의학 교육 연구를 제공할 수 있는 것은 무엇인가?

What can Figured Worlds offer medical education research?


FW가 뒷받침하는 의학 교육에서 이미 발표된 소그룹 연구들의 다양성은 광범위한 잠재적 응용을 시사하는데, 그 중 우리의 예는 하나일 뿐이다. 교육에서 보자면, 바크티니안 담론 접근방식은 [개인들이 FW of Medicine에서 움직이는 과정에서, 어떻게 젠더, 성별, 인종, 사회적 계급의 담론을 그들이 조정하는지]를 분간할 수 있는 렌즈를 제공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것은 우리가 이 profession에 더 많은 다양성을 가져오려고 노력하는 것과 연관된 중요한 문제들이다. 

The diversity of the small group of studies already published in medical education underpinned by Figured Worlds suggests a broad range of potential applications, of which our exemplar is but one. Drawing on its use in education, we can see that a Bakhtinian approach to discourse provides a lens to examine discursively how individuals orchestrate discourses of gender, sexuality, race and social class as they move in the Figured World of medicine. These are important issues as we try to bring greater diversity to the profession. 


힐 외 13세의 연구는 여성 외과의가 되는 것과 그러한 정체성을 구축하기 위해 리프레임 경험이 필요하다는 것을 밝혀냈다. 미래 연구는 자신을 다른 종류의 의사로, 그 문화 세계에서 기대되는 전형적인 프로파일에 맞지 않는 의사로 판단하는 가능성, 그리고 이것이 의사가 되는 개인과 그들이 배우고 일하는 의료 문화에 미치는 영향을 탐구할 수 있을 것이다.

The work of Hill et al.13 has shed light on being a woman surgeon and the necessity of reframing experience in order to construct that identity. Future studies might explore the possibilities for figuring oneself as a different kind of doctor, one who does not fit the typical profile expected in that cultural world, and the implications of this for individuals becoming doctors, and for the medical culture in which they learn and work.


의학 교육의 지속적인 도전은 [중요한 가치와 행동을 공통적으로 가지고 있도록] 학생들을 교육하는 것이다('프로페셔널리즘'), 그러나 이후에 학생들은 사회의 요구에 맞는 다양한 직업 선택을 할 것이다. 의학교육에서 표준화에 대한 담론에도 불구하고, 대부분의 사람들은 의술이 개인과 전문분야 모두에 특정한 방식으로 실행된다는 것을 인정할 것이다. FW of Medicine은 균질하지 않지만, 여러 개의 중첩된 세계들로 구성되어 있고, 각 세계마다 중요시되는 성과와 행동이 다르다. 예를 들어, 내과의와 외과의의 세계들은 매우 뚜렷하게 다르다. 왜 한 학생은 내과에 끌리고 다른 학생은 외과에 끌리는가? 그 반대는 왜 안 돼? 특정 실천 분야에서 의사들의 부족과 지리적 '분포'는 고소득 국가들과 저소득 국가들 모두에서 직면하고 있는 문제들로, 보건 서비스 제공자들에게 큰 도전이 되고 있다. 각 전공의 FW에서 의대생과 전공의의 정체성identification에 대한 탐구는 직업 선택의 과정에 대한 통찰력을 제공할 수 있으며, 그러한 선택이 어떻게 형성될 수 있는지 이해할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할 수 있다.

A perennial challenge for medical education is to educate students who have important values and behaviours in common (‘professionalism’), and yet will make a range of career choices appropriate to society’s needs. Despite the discourse of standardisation in medical education, most would acknowledge that medicine is practised in ways that are both individual and specialty specific. The Figured World of medicine is not homogenous, but consists of many overlapping worlds, where valued outcomes and actions vary. The Figured Worlds of general practice and surgery are quite distinct for instance. Why is one student drawn to general practice and another to surgery? Why not vice versa? Shortages and geographical ‘maldistribution’ of doctors in specific areas of practice are problems faced in both high and low-income countries, creating a major challenge for health service providers. Exploration of medical student and resident identification within specialty Figured Worlds may provide insight into the processes of career choice and perhaps a means to understand how such choices might be shaped.


담론과 목소리를 강조하는 FW 이론은 전문적인 정체성 개발을 지원하기 위해 대화와 성찰을 위한 공간을 제공하는 것의 중요성을 지적한다. 학생들은 다음과 같은 기회가 필요하다.

    • 자신을 의사로서 저술author할 기회,

    • 그들이 마주친 많은 담론과 그들이 겪은 경험들을 결합하기 위해 그들의 행위자성을 사용할 기회

    • 의학이라는 문화 세계에서 그들 자신을 이해시킬 기회

Figured Worlds theory, emphasising discourse and voice, points to the importance of providing space for dialogue and reflection to support professional identity development. Students need opportunities 

    • to author themselves as doctors, 

    • to use their agency to combine the many discourses they have encountered and the experiences they have accrued, 

    • to make sense of themselves in the cultural world of medicine. 


다른 학생들과 의사들과의 대화에서, 그들은 그들을 다루는 담론에 응답하지 않을 수 없다. [성찰적인 토론]은 [학생들과 교수진들이 의학의 문화적 세계와 그 안에서 그들 자신]에 대한 [서로의 저작authroing에 도전하고 질문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오랜 시간에 걸쳐서 교수들은 학생들이 의사로서의 입장을 발달시킬 수 있게 해주고, 의사로서 스스로에 대한 견고한 해석을 할 수 있도록 해주지만, 그것은 직업 생활 전반에 걸쳐 계속해서 변화할 것이다.

In dialogue with other students and with doctors, they are compelled to respond to the discourses that address them. Reflective discussions provide an opportunity for students and faculty members to challenge and question each other’s authoring of the cultural world of medicine and of themselves within it. Over time they allow students to develop a stance, a more durable interpretation of themselves as doctors in the making, but one that will continue to shift throughout professional life.


의학교육에 있어서 대화와 자권

Dialogue and self-authoring in medical education


FW는 의학의 문화적 세계cultural world와 그것이 [의사 정체성 형성과 전문적인 행동에 대한 비공식적이고 숨겨진 커리큘럼]에 주는 영향에 대한 풍부한 통찰력을 제공할 수 있다. 그것은 우리가 움직이는 문화계 안에서의 [figured and positional identity]와 [우리가 마주치는 담론의 조정]을 통해 어떻게 '영향influence'이 내면화되는지를 검토할 수 있는 새로운 방법을 제공한다. 학생들이 임상 환경에서 겪는 [일상적 경험, 포용력, 인정, 배척, 굴욕 등]이 미래의 의사로서 어떻게 자신을 envisage하는지 조명한다. 학생들의 경험에 대한 설명에 바크티니안 접근법을 사용함으로써 우리는 학생들의 자기저작과 그것에 기여하는 여러 목소리를 탐구할 수 있다. 이것은 학생들이 어떻게 시간이 지남에 따라 의사로서 자신을 이해하게 되는지에 대한 풍부한 연구 맥락을 제공한다.

Figured Worlds can provide rich insights into the influence of the cultural world of medicine and its informal and hidden curricula on doctor identity formation and professional behaviour. It provides a new way to consider how ‘influence’ is internalised, through figured and positional identities in the cultural worlds in which we move, and through orchestration of the discourses we encounter. It sheds light on how students’ daily experiences in clinical environments, of inclusion, recognition, exclusion and humiliation, shape how they envisage themselves as future doctors. By using a Bakhtinian approach to students’ accounts of their experiences we can explore their self-authoring and the multiple voices that contribute to it. This offers a rich vein of research into how students come to understand themselves as doctors over time.


FW이론의 강점은 직관적이면서도 명확한 이론적 혈통에 근거한 방식으로 정체성 형성의 복잡성을 설명할 수 있는 능력이다. 특히 담론에 대한 바흐틴의 접근방식의 사용은 추가적인 차원을 더한다. 한계는 사회문화적 이론들 사이에서도 FW는 숙달하기 어려운 이론이라는 것이다. 우리는 의학 교육의 중심인 [전문적 정체성 개발]이라는 비교적 친숙한 영역에서 FW를 사용하여 다루어 보았다. 우리는 FW이론의 사용에 대한 우리의 설명과 실증 실험이 의학 교육에 대한 그것의 이해를 더욱 증가시키기를 바란다.

A strength of Figured Worlds theory is its ability to account for the complexity of identity formation in ways that are both intuitive and grounded in a clear theoretical lineage. Its use of Bakhtin’s approach to discourse in particular adds an extra dimension. A limitation is that, even amongst socio-cultural theories, this is a challenging one to master. We have addressed this by using Figured Worlds in the relatively familiar domain of professional identity development, which is central to medical education. We hope that our explanation and demonstration of the use of Figured Worlds theory will further increase its uptake in medical education.







. 2017 Mar;51(3):248-257.
 doi: 10.1111/medu.13220. Epub 2016 Dec 29.

Possibility and agency in Figured Worlds: becoming a 'good doctor'

Affiliations 

Affiliations

  • 1Medical Education Unit, University College Cork, Cork, County Cork, Ireland.
  • 2Education and Social Research Institute, Manchester Metropolitan University, Manchester, UK.
  • 3Royal College of Physicians of Ireland, Dublin, Ireland.
  • 4Department of Infectious Diseases, St. James' University Hospital, Dublin, Ireland.
  • 5Department of Medicine, University of Dublin Trinity College, Dublin, Ireland.
  • 6School of Medicine, University College Cork, Cork, Ireland.
  • 7Centre for Medical Education, Queen's University Belfast, Belfast, UK.

Abstract

Context: Figured Worlds is a socio-cultural theory drawing on Vygotskian and Bakhtinian traditions, which has been applied in research into the development of identities of both learners and teachers in the wider education literature. It is now being adopted in medical education.

Objective: The objective of this paper is to show what Figured Worlds can offer in medical education. Having explained some of its central tenets, we apply it to an important tension in our field.

Methods: The assumption that there is a uniform 'good doctor' identity, which must be inculcated into medical students, underlies much of what medical educators do, and what our regulators enforce. Although diversity is encouraged when students are selected for medical school, pressure to professionalise students creates a drive towards a standardised professional identity by graduation. Using excerpts from reflective pieces written by two junior medical students, we review the basic concepts of Figured Worlds and demonstrate how it can shed light on the implications of this tension. Taking a Bakhtinian approach to discourse, we show how Adam and Sarah develop their professional identities as they negotiate the multiple overlapping and competing ways of being a doctor that they encounter in the world of medical practice. Each demonstrates agency by 'authoring' a unique identity in the cultural world of medicine, as they appropriate and re-voice the words of others.

Discussion: Finally, we consider some important areas in medical education where Figured Worlds might prove to be a useful lens: the negotiation of discourses of gender, sexuality and social class, career choice as identification within specialty-specific cultural worlds, and the influence of hidden and informal curricula on doctor identity.

의학교육에서 문화에 대한 접근: 세 가지 관점(Med Educ, 2019)

Approaching culture in medical education: Three perspectives

Christopher J. Watling1 | Rola Ajjawi2 | Margaret Bearman2




도입

1 | INTRODUCTION


현대 의학 교육 문헌에는 문화 변화에 대한 요구가 많다. 역량 기반 의료 교육 채택, 1 환자 안전 이니셔티브 강화, 2 의미 있는 피드백 교환 강화, 의사 번아웃 감소와 같은 다양한 당면 과제의 성공은 문화 변화에 달려 있는 것으로 그려졌다. 이러한 묘사는 교육 전략이 어떻게 전개되고, 성공하고, 실패하는지에 있어서 키플레이어로서 '문화'에 대한 인식이 증대되고 있음을 반영한다. 그러나 문화는 여전히 다소 불규칙한 개념으로 남아있다.

Calls for culture change abound in contemporary medical education literature. Challenges as diverse as adopting competency-based medical education,1 strengthening patient safety initiatives,2 enhancing the exchange of meaningful feedback3 and reducing rates of burnout amongst physicians4,5 have been portrayed as hinging on culture change for their success. Such portrayals reflect an increasing acknowledgment of ‘culture’ as a key player in how educational strategies unfold, succeed or fail. However, culture remains a somewhat amorphous notion


이론적으로 근거 있는 문화의 개념이 없다면, 다양한 교육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필수적 precursor로 문화 변화를 요구하는 것은 해석하고 실행하기 어렵다. 대신, 그러한 요구는 변하지 않는 것에 대한 애석함이 된다.

Without a theoretically grounded notion of culture, calls for culture change as a necessary precursor to achieving various educational goals are challenging to interpret and to act upon. Instead, such calls become laments for the unfixable.


학습에 대한 사회문화적 이론

sociocultural theories of learning


Lave와 Wenger의 실천공동체 개념은 학습은 상황에 달려있으며situated, 학습은 개인이 전문직 또는 장인의 공동체 활동에 참여할 때 발생한다고 주장한다.6 참여를 통해, 학습자는 공동체의 관행, 관습, 마음 습관과 가치를 흡수하고 채택한다.6 Wenger는 '우리는 [속해 있는 각각의 실천 공동체]에서 [각기 서로 다른 실천]에 참여한다'는 점에 주목하면서, 사회가 개인에게 미치는 영향을 강조했다. 사람들은 각각의 공동체에 따라 다소 다르게 행동하고, 우리의 다양한 측면을 구성하며, 각기 다른 관점을 습득한다.'7

Lave and Wenger's notion of communities of practice holds that learning is situated, and occurs as individuals participate in the activities of communities of professionals or craftspeople.6 Through this participation, they absorb and adopt the practices, customs, habits of mind and values of those communities.6 Wenger emphasised the impact of the social on the individual, noting that ‘we engage in different practices in each of the communities of practice to which we belong. We often behave rather differently in each of them, construct different aspects of ourselves, and gain different perspectives.’7


'상황화된 인지situated cognition 학습을 문화화 enculturation과정으로 본다.8 상화화된 인지 관점에서는 맥락이 전부이다; 예를 들어, 평가 도구가 실제로 사용되는 방법은 도구 자체보다, 도구가 사용되는 공동체와 그것의 세계관에 더 많이 의존한다.8 [실천 공동체]나 [상황화된 인지]와 같은 이론의 입장을 갖는 연구자의 관심은 개인으로부터 멀어지고, 사회로 향한다. 즉, 연구자들이 연구결과를 설명하고 실천에 대한 그들의 의미를 논할 때 '문화'라는 개념을 불러오는 관점의 변화가 생기는 것이다.

the theory of ‘situated cognition’ frames learning as a process of enculturation.8 The situated cognition perspective holds that context is everything; how an assessment tool is used in practice, for example, depends less on the tool itself and more on the community in which the tool is used and its view of the world.8 When researchers use theories like communities of practice and situated cognition, their attention is directed away from the individual and towards the social—a perspective shift that may prompt researchers to invoke ‘culture’ to both explain findings and consider their implications for practice.


슐만의 시그니쳐 교수법에 대한 설득력 있는 연구는 문화가 어떻게 교육에 각인되는지를 더욱 강조한다. 시그니쳐 교수법은 어떤 전문직이나 학문이 학습자의 훈련을 조직할 때 사용하는 특징적인, 때로는 특이한 교육방법을 의미한다. 슐먼은 시그니쳐 교수법에는 암묵적 구조가 있다고 지적한다. 즉, [직업적 태도, 가치관, 신념에 바탕을 둔 도덕적 차원]이 시그니쳐 교수법을 유지하고 강화하는 경향이 있다. 그 결과, 시그니쳐 교수법을 구성하는 교육 및 학습 패턴은 종종 변화에 대해 크게 저항하는데, 부분적으로는 그 이유는 시그니쳐 교수법이 그 전문직의 '문화'라고 부를 수 있는 이 암묵적 구조에 깊이 뿌리를 두고 있기 때문이다.

Shulman's compelling work on signature pedagogies further highlights how culture imprints itself on education.9 Signature pedagogies are the distinct and sometimes singular ways in which professions or disciplines organise the training of their learners. Shulman notes that signature pedagogies have an implicit structure—a moral dimension grounded in professional attitudes, values and beliefs— that tends to maintain and reinforce them.9 The patterns of teaching and learning that comprise signature pedagogies are thus often highly resistant to change, in part because they are deeply rooted in this implicit structure—what we might call the ‘culture’ of a profession.


슐만이 여기서 '암묵적'이라는 단어를 사용한 것은 시사하는 바가 있다. 비록 [사회 문화 학습 이론]이 의학 교육 연구에서 주목을 끌었지만 (이것은 아마도 의학교육 분야에서 더 완고한 도전 중 일부를 설명할 수 있는 가능성이 있었기 때문일 것이다), 문화는 그 자체로 모호하면서도, 당연하게 여겨지는 개념일 수 있다. 문화는 우리의 교육적 실천의 뒤에 숨어있다; 문화는 학습자들에게 미치는 영향은 암묵적이다. 지금까지 의학 교육 연구가 지금까지 종종 정교하고 이론적으로 정보에 입각한 관점이 결여되어 있었음에도, 다른 한 편으로는 학습이 실제로 어떤 방식으로 그리고 왜 그렇게 전개되는지를 설명하기 위한 도구로 '문화'를 호출하는 데 점점 더 편안해진 것처럼 보인다. 이 단절은 우리를 불편하게 만들어야 한다.

Shulman's use of the word ‘implicit’ here is telling. Although sociocultural learning theories have gained traction in medical education research, possibly because of their potential to explain some of the more recalcitrant challenges in the field, the idea of culture itself can remain a fuzzy, taken-for-granted concept. Culture lurks in the background of our pedagogical practices; its influences on learners are tacit. However, although medical education research often lacks a sophisticated and theoretically informed perspective on what culture actually is, we appear increasingly comfortable invoking culture to explain how and why learning unfolds as it does. This disconnect should make us uneasy.


2 조직 관점

2 | THE ORGANISATIONAL PERSPECTIVE


수십 년에 걸친 연구에도 불구하고 조직문화의 개념은 여전히 논쟁적이고 이해하기 어려운 것으로 남아있다.10,11 조직(문화) 연구자들은 인류학, 사회학, 사회학, 사회심리학을 포함한 문화에 대한 그들의 생각을 형성하는데 있어 다양한 학문들을 끌어왔다.12 그 결과, 정의는 풍부하다. 포괄적으로 말해서, 조직문화는 보통 어떤 설정을 특징짓는 공유된 가정, 믿음, 가치로 프레임된다.11 조직문화는 조직을 묶는 '사회적 접착제'로, 또는 그 구성원을 특징짓는 '마음의 집합적 프로그래밍'으로 묘사되어 왔다.14

Despite several decades of research, the concept of organisational culture remains contested and elusive.10,11 Organisational researchers have drawn on a range of disciplines in shaping their ideas about culture, including anthropology, sociology and social psychology.12 As a result, definitions abound. Broadly, organisational culture is commonly framed as the shared assumptions, beliefs and values that characterise a setting.11 Organisational culture has been described as the ‘social glue’ that binds an organisation,13 or as the ‘collective programming of the mind’ that distinguishes its members.14


그러나 어떤 사람들은 조직문화를 [조직과 조직원이 이용할 수 있는 일련의 자원 또는 전략의 레퍼토리]로 개념화하는 방식으로, 전혀 다른 접근방식을 취한다.

Some definitions of organisational culture take a decidedly different approach, however, conceptualising it as a set of resources or a repertoire of strategies available to an organisation and its members,


이러한 조직문화에 대한 정의 차이는 사람들 사이의 조직에서 발생하는 복잡한 춤, 공유된 가치, 지지된 관행 및 진화와 변화에 대한 서로 다른 전략적 접근법을 반영한다.

These definitional differences reflect the complex dance that occurs in organisations between people, shared values, endorsed practices and strategic approaches to evolution and change.


그러나, 정의와 접근방식의 차이에도 불구하고, 여러 조직에 대한 연구들은 [공통적인 현상]에 대한 탐구를 목표로 한다. 즉, 조직 내에서 사회적 맥락의 생성과 영향을 연구하는 것이다. 이러한 사회적 맥락은 [개별적 상호작용의 산물]로 인식되며, 사회적 맥락은 [상호작용에 강력한 영향력]을 미친다.

However, despite variation in definition and approach, the various lines of organisational research aim to explore a common phenomenon: the creation and influence of social contexts within organisations. These social contexts are recognised as both a product of individual interactions and a powerful influence on those interactions.16


비록 조직학자들이 문화가 무엇인지를 놓고 의견이 갈릴 수 있지만, 왜 문화가 중요한지, 그래서 왜 그것이 연구자들에게 관심을 가져야 하는지에 대해서는 대체적인 합의가 있다. 슈나이더는 한 조직의 문화를 이해하고 싶은 욕구는 거의 늘 [변화의 필요성에 대한 인식]에서 비롯된다고 주장한다.11 문화는 매우 실용적인 이유 때문에 중요하다; 그것은 합병merger이 이루어질 수 있는 용이성, 새로운 기술을 채택할 수 있는 기업의 능력에 영향을 주며, 문화는 한 조직의 성공이 다른 조직에서 복제될 수 있는 가능성에 영향을 준다. 문화는 밑바닥bottom line에 영향을 미친다.

Although organisational scholars may diverge on what culture is, there is greater consensus on why culture matters, and thus on why it should concern researchers. Schneider contends that the desire to understand an organisation's culture nearly always stems from a perceived need for change.11 Culture matters for very pragmatic reasons; it influences the ease with which a merger might be achieved, the ability of a corporation to adopt a new technology, or the likelihood that an organisation's success in one country can be duplicated in a different country. Culture affects the bottom line.


최근의 조직학자들은 문화를 연구하는 것에 대한 접근법을 구별한다. 하나는 문화를 [조직이 무엇인가is]로 보는 것이고, 다른 하나는 [조직은 무엇을 가지고 있는가has]로 보는 것이다.10

Recent organisational scholars distinguish two schools of thought guiding approaches to studying culture. One views culture as something an organisation is, whereas the other views culture as something an organisation has.10


  • 전자의 관점은 [문화를 고정적인 것]으로 그리고 있으며, 변화에 저항하는 경향이 있는 사회적 지지적인 사고와 행동의 패턴을 가지고 있다. 이 관점을 이용한 연구는 조직을 구성하는 사람들 사이에 공유된 기본 가치와 가정을 밝혀내는 데 초점을 맞추는 경향이 있다.11

The former perspective paints culture as rather stable, with shared, socially endorsed patterns of thinking and behaviour that tend to resist change. Research using this perspective tends to focus on unearthing the shared basic values and assumptions of the people who comprise an organisation.11


  • 반면에 후자의 관점은 문화를 역동적이고 잠재적으로 유동적인 것으로 본다. 이러한 관점을 이용한 연구는 조직 간 차이가 어떻게 효과와 연결될 수 있는지에 초점을 맞추는 경향이 있다. 후자의 견해에서는, 문화를 변화의 장벽으로 보기보다는 전략적인 자원으로 볼 수 있는 능력이 있어서, 점점 인정받고 있다.12

The latter perspective, on the other hand, views culture as dynamic and potentially malleable. Research using this perspective has tended to focus on how organisational differences may link to effectiveness. This latter view is becoming increasingly prominent, perhaps because of its capacity to view culture as a strategic resource rather than as a barrier to change.12


문화적 요소를 [수정할 수 있는 것]으로 보는 경향이 증가함에 따라 종종 조직을 대상으로 하는 [처방적 조언]이 제공되고 있다. 문화적 변수를 [조작할 수 있는 것]으로 인식한다면, 이에 따르는 조언은 [경쟁 우위를 위해 문화 자원을 활용하는 것]에 초점을 두는 경향이 있다.10 디마지오에 따르면, 문화는 (변화를) 제약할 수도 있고, 활성화 할 수도 있다; 그것은 개인의 기존 상태에 대한 대안을 생각하는 능력을 제한시키지만, 또한 [가치 있는 목적을 달성을 위하여 다양한 요소들을 전략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 새로운 기회를 제공할 수도 있다.15 문화를 (고정된 가정과 가치 집합이 아니라) [전략적 자원]으로 보는 연구에서는 개개인의 주체성agency를 더 크게 가정하며, 문화를 고정된 것으로 보기보다는, 개인이 주어진 자원을 가지고 어떻게 참여engage하느냐에 대한 선택에 따라 구성되고 재구성되는 것으로 본다.

This increasing tendency to view cultural elements as modifiable infuses the prescriptive advice that is often aimed at organisations. When cultural variables are perceived as something that can be manipulated, then advice tends to focus on leveraging cultural resources for competitive advantage.10 Culture, according to DiMaggio, may both constrain and enable; it constrains individuals’ abilities to think of alternatives to existing arrangements, but it can also offer opportunities for strategic use of its elements to achieve valued ends.15 Research that views culture as a strategic resource, as opposed to an immovable set of assumptions and values, assumes a greater degree of individual agency; it treats culture as inconsistent, subject to construction and reconstruction as individuals make choices about how to engage with its resources.15


문제를 더 복잡하게 만드는 것은, 문화라는 것이 단일한singular 것이 아니라는 것이다. 조직학자들은 조직은 보통 단일한uniform 문화를 가지고 있기보다는, 오히려 그 조직의 기능을 형성하는 [하위문화] 또는 심지어 [반counter 문화]의 집합으로 구성되어 있다고 본다. 게다가, 조직의 일부인 개인은 일상적으로 전문가, 국가 및 초국가적인 다른 문화의 일부분이기도 하다

Further complicating matters, culture is not singular. Organisational scholars recognise that organisations typically do not reflect uniform cultures, but rather are comprised of a collection of subcultures or even countercultures that shape the organisation's function.17 Furthermore, individuals who are part of an organisation are routinely also part of other cultures—professional, national and supranational.17 


전문직이 한 조직의 구성원으로서 조직 내의 사건을 인식하고, 행동 방식을 결정할 때, 이들은 조직의 문화뿐만 아니라 그들이 속한 전문직의 문화도 고려한다어떤 사람들은 [조직 문화]보다 [전문직 문화]가 개개인의 이념이나 도덕적 가치에 더 강하게 뿌리내릴 수 있다고 주장하고, 종종 전문직 문화가 공통 인식과 실천을 구성하는 이유이다. 슐만의 용어를 사용한다면, 이러한 도덕적 차원의 끌림은 매우 강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변화를 공학하는 것engineering은 매우 복잡한 일이다.

When professionals within an organisation make sense of organisational events and hence determine how to act, they look not only to the organisational culture, but also to the culture of their profession. Some contend that professional cultures may be more strongly rooted in ideology or moral values than organisational cultures, which often constitute shared perceptions and practices.17, 18 The pull of these moral dimensions, to use Shulman's terms, can be very strong. As a result, engineering change may be a complex undertaking.


의학 교육이 문화에 대한 '조직' 관점에서 취할 수 있는 것은 무엇인가? 효과와 생산성을 가진 조직연구의 실용주의적 우려는 특히 재정억제의 시대에 의학교육에 잘 들어맞는다. 의학교육 기관은 다른 여러 조직과 마찬가지로 다양한 외부 및 내부 압력에 대응하여 변화하고, 적응하고, 진화할 필요가 있다. [조직 접근법]은 조직문화 변화에 대한 우리의 대화를 재구성할 수 있다. 흔히, 조직문화 변화를 요구하는 것 사람들은 문화를 하나의 문제로 취급한다. 발전progress에 장애물이 된다는 것이다. [조직적 관점]은 우리가 어떻게 변화가 일어나는지에 대한 새로운 사고방식을 고수하면서 문화를 실용적인 자원으로 재구성하도록 돕는다.

What can medical education take from organisational perspectives on culture? Organisational research's pragmatic concerns with effectiveness and productivity resonate in medical education, particularly in an era of fiscal restraint. Medical education institutions, like organisations, need to change, to adapt and to evolve in response to a range of external and internal pressures. The organisational approach could reframe our conversations around culture change. Typically, calls for culture change treat culture as the problem—as a barrier to progress.5,19 The organisational perspective helps us to reframe culture as a pragmatic resource, affording new ways of thinking about how change occurs.


교육 지도자가 특정 학습 현장에서의 [건설적인 피드백 부족과 관련된 의대생들의 불만]과 [학생의 존재가 교직원들에게 부담으로 여겨지는 느낌]에 직면하는 시나리오를 상상해 보라.

Imagine a scenario where an education leader is faced with complaints from medical students related to a lack of constructive feedback at a particular learning site, and to a consistent feeling that their very presence is viewed as a burden to the faculty members there.


예를 들어 [안전하고 효율적인 환자 치료]가 학습 현장의 핵심 전략적 우선순위라면, [임상적 효율성을 보존하는 방법으로 의과대학생을 어떻게 팀으로 통합할 것인가]에 초점을 맞추는 전략이 [교직원을 대상으로 건설적 피드백 방법을 교육하는 전략]보다 더 유용할 수 있다.

If, for example, safe and efficient patient care is the key strategic priority of the learning site, then strategies that focus on how to integrate medical students into teams in ways that preserve clinical efficiency may be more useful than strategies that target training faculty members to deliver constructive feedback.


의학 교육 연구자들은 또한 조직적 관점을 이용하여 [문화를 전지전능한 배경 연주자로 취급하고, 교육과 배움에 불가피하게 영향을 준다는 생각]에서 멀어질 수 있다. 대신, 문화를 행동을 제약하거나 촉진할 수 있는 정체성, 가치관, 사고와 행동의 자원으로 바라보게 될 수 있다.

Medical education researchers might also use the organisational perspective to move away from treating culture as an omnipresent background player, influencing teaching and learning in inevitable ways, and towards treating culture as a resource of identities, values and patterns of thinking and behaving that might either constrain or facilitate action.


또한 조직적 관점은 의료 및 의료 교육이라는 다원적 세계에서 resonate하는 관점으로, [조직 내에서 다수의 문화가 교차하는 상황에서의 문화의 역할]을 상기시킨다.

The organisational perspective also alerts us usefully to the role of multiple intersecting cultures within organisations, a perspective that resonates in the multidisciplinary worlds of health care and medical education.2,17,18



3 정체성 관점

3 | THE IDENTITY PERSPECTIVE


광범위한 사회학 및 인류학 문헌에서는, [정체성]을 설명할 때 문화를 자주 언급한다. 실제로 정체성과 문화는 둘 다 [사회적 집단의 경계]와 관련이 있기 때문에 함께 얽히게 된다.

Explorations of identity across an extensive sociological and anthropological literature make frequent references to culture. Indeed, identity and culture become enmeshed together, as they are both concerned with boundaries of social groups.


정체성 문헌은 다양한 전통에 걸쳐 있다. 사람들이 (하나의 통일된 자아감각보다는) [복수의 정체성을 갖는다는 것]이 일반적으로 받아들여지지만, [복수의 정체성이 어떻게 구성되고 유지되는지]에 대해서는 다양한 이론적 관점이 존재한다. 예를 들어, 상호작용주의적 학파에서는 (내부적이고 안정된 자아에서가 아니라) [사람들 사이의 상호작용을 통해 정체성이 형성된다]고 이론화한다. 이러한 관점에서 정체성은 언어와 신체를 통한 표현이라기보다는, 언어와 신체가 정체성을 역동적으로 구성constitute하는 퍼포먼스이다.

The identity literature spans a broad range of different traditions. Although  it  is  generally  accepted  that  people  have  multiple  identities rather than a singular unified sense of self,20 there are various theoretical perspectives on how multiple identities are constructed and maintained. The interactionalist school, for example, theorises identity as constituted through interactions between people rather than in an internal, stable self. From this perspective, identity is a dynamic performance where language and bodies constitute identity rather than expressing it


정체성 문헌에서 나온 역사적 예를 이용하기 위해 스코틀랜드의 크로이퍼(테넌트 농부)와 같은 사회 집단은 그들의 정체성을 lairds(토지 소유주)에 대한 행동 방식으로 정의한다. 상호작용을 정의하는 그들의 정체성은 앞단계(면전에서)와 뒷단계(등 뒤에서)를 모두 포함하여, 기대되는expected 사회적 위치와 관련된 의식ritual으로 작용한다.

To use a historical example from the identity literature, a social group such as Scottish crofters (tenant farmers) define their identity in the way they behave with respect to the lairds (landowners). Their identity defining interactions play out as rituals associated with expected social positions, encompassing both front-stage (direct interactions) and backstage (behind their backs) dimensions.21


사회 인류학자들은 정체성과 주변 문화 세계 사이의 상호작용을 중심으로 정체성에 대한 다른 생각을 제시한다. '문화적 세계cultural worlds'라는 용어는 여기서 인종, 성별, 국적과 같은 사회 구조의 큰 표기를 의미하는 것이 아니다; 문화적 세계는 사회보다는 공동체에 의해 제한된다. 초점은 특정한 경험의 영역 (즉 '사회생활의 인식된 분야 또는 틀') 에 맞춰져 있다. 이 영역에서의 이론화는 어떻게 사람들이 이 지역화된 문화 세계localized cultural worlds 안에서 그들 자신을 이해하는지, 그들이 이 세계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거나 그 너머로 움직일 수 있는지, 그리고 새로운 문화 세계가 어떻게 만들어지는지를 자세히 설명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Social anthropologists offer other ideas about identity, often focusing on the interplay between identity and the surrounding cultural worlds.22,23 The term ‘cultural worlds’ does not refer here to large demarcations of social structure such as race, gender or nationality; cultural worlds are bounded by communities rather than societies. The focus is on particular spheres of experience: the ‘recognized fields or frames of social life.’22 Theorising in this domain aims to elaborate how people make sense of themselves within these multiple localised cultural worlds, how they can affect these worlds or move beyond them, and how new cultural worlds are created.22


이러한 역학을 이해하기 위한 노력에서 홀랜드 등은 [문화적 세계와 관련된 공동체적 서사]인 '형상화된 세계figured worlds FW'의 역할을 강조한다. 형상화된 세계FW는 

특정한 인물과 배우를 인정하는, 사회적으로, 문화적으로 구성된 해석의 영역. 중요성significance은 특정한 행동에 할당된다. 그리고 특정한 결과들은 다른 것들보다 더 가치있게 여겨진다. 각각은 특정한 힘의 집합에 의해 움직이는 것처럼, 제한된 범위의 의미 있는 행동이나 상태 변화에 관여하는 일련의 요원들에 의해 채워진 단순화된 세계다.

In their efforts to understand these dynamics, Holland et al emphasise the role of ‘figured worlds’: the communal narratives associated with a cultural world.22 A figured world is 

‘a socially and culturally constructed realm of interpretation in which particular characters and actors are recognized, significance is assigned to certain acts, and particular outcomes are valued over others. Each is a simplified world populated by a set of agents … who engage in a limited range of meaningful acts or changes of state … as moved by a specific set of forces.’22


네덜란드의 '형상화된 세계' 관점에 따르면, 정체성은 소유되는 것이 아니라, 개인과 그 혹은 그녀의 사회 세계 사이의 상호작용에서 형태를 찾아 역동적이고 진화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힐 등은 '형상화된 세계' 프레임워크를 이용하여 여성 외과의사들이 남성성을 기대하는 수술의 사회 세계 안에서 자신의 신분을 어떻게 협상하는지, 그리고 그들이 외과 세계를 창의적으로 재구성하고 그들의 경력을 유지하는 방법으로 외과의와 모성의 욕구를 어떻게 일치시키려 하는지 탐구한다.

According to Holland's ‘figured worlds’ perspective, identity is not something that is possessed; rather, it is dynamic and evolving, finding form in the interactions between the individual and his or her social world.24 For example, Hill et al draw on the ‘figured worlds’ framework to explore how women surgeons negotiate their identities within a social world of surgery that expects masculinity, and how they may attempt to align the discourses of surgeonhood and motherhood in ways that creatively refigure the surgical world and sustain their careers.24


의학에는 공동체적 서사communal narratives이 풍부하기 때문에, '형상화된 세계'는 의학 교육 연구에 특히 유용한 렌즈일 수 있다.25 공동체적 서사의 힘은 부분적으로 예시prefigure 능력에 있다. 예시 능력이란 [공동체 구성원들을 위한 상상된 궤적을 제시하는 것이다]  이러한 상상의 궤적을 예상하여 사람들은 프랫이 말하는 '정체성 작업'을 제정한다. 정체성 작업이란 세게 속에 우리의 자아를 형성하기 위해 우리 모두가 하는 일을 말한다

As medicine is rich in communal narratives, ‘figured worlds’ may be a particularly useful lens for medical education research.25 The power of communal narratives rests partly in their ability to prefigure, laying out imagined trajectories for members of the community. In anticipation of these imagined trajectories, people enact what Pratt calls ‘identity work’—the things we all do to build our sense of self in the world.26


의학적인 예를 들면 #안녕내이름은 이라는 운동은 특정한 '문화'를 다시 쓰는 저항행위다. 비록 그 적극성은 처음에는 한 사람의 경험에서 비롯되었지만, 그 힘은 새로운 형상화된 세계를 차지하는 집단에서 명백하다. 이 운동은 의사들을 사회 계층 내에서 재배치하고 새로운 사회 의식의 연속을 가져온다. Holland 등은 이러한 종류의 운동을 통해 우리의 문화적 세계가 다시 그려지고 있다고 주장한다.

To give a medical example, #hellomynameis is an act of resistance that rewrites a particular ‘culture’. Although the activism initially stemmed from a single person's experience, its power is manifest in the collective taking up of the new figured world. This movement seeks to reposition doctors within a social hierarchy—and brings with it a series of new social rituals—(hello my name is …). Through these types of movements, Holland et al contend, our cultural worlds are reimagined.22


Holland 등은 이러한 공동체적 서사가 권력구조와 함께 작동한다고 주장한다.22 사람들은 언어와 행동의식, 그리고 문화적 요소들로 가득찬 사회적 환경에 살고 있다. 이러한 의식과 사실들을 통해, 사람들은 문화 세계 내의 다른 사람들에 대한 그들 자신의 '위치'를 잡는다; 개인이 어떤 특정한 문화적 세계 안에 있는 장소를 차지하고자 할 때(위치적 정체성positional identity), 그들은 그들 자신을 위한 입장stance을 취할 뿐만 아니라, 주변 사람들에게 문화 세계 안에 있는 위치를 부여한다impart.

Holland et al contend that these communal narratives also work in concert with power structures.22 People inhabit social settings replete with linguistic and behavioural rituals, and with cultural artefacts. Through these rituals and artefacts, they ‘position’ themselves with respect to others within the cultural world; when an individual assumes a place within any particular cultural world—a positional identity—they not only take a stance for themselves but also impart a place within the cultural world upon those around them.


이것은 은유적이지만, 동시에 문자 그대로 '위치'를 말하기도 한다. 즉, 컨설턴트가 병동 회진 때 서 있는 위치, 그들이 사용하는 언어, 그리고 '주니어 의사'가 '선배'에게 어떻게 방향을 잡는가를 생각해 보라. 문화적 세계는 문자 그대로 사람들이 서 있는 곳을 지시한다.

This is both a metaphoric and literal positioning: think of where a consultant stands in a hospital ward round, the language they use, and how the ‘junior doctors’ orient themselves to the ‘senior’. The cultural world literally dictates where people stand.


따라서 공유된 내러티브와 사회적 포지셔닝이 [문화적 세계]와 [그 안의 개인]을 형성하지만, 이것이 고정되거나 불변하는 것은 아니다.22 사람들은 그들의 말, 행동, 그리고 그들의 이야기 구조를 통해 문화적 세계 내에서 영향력을 행사한다. 그래서 의대생들은 특정 병동의 문화적 세계를 고려하지만, 동시에 의대생들은 스스로 행동과 선택권을 행사한다. 이것은 복잡한 춤이다.

Shared narratives and social positioning thus shape a cultural world and the individuals within it, but they are not fixed and immutable.22 People exert influence within the cultural world through their words, their actions and the construction of their stories. So the medical student might take account of the cultural world of a particular hospital ward, but they simultaneously exert their own actions and choices. This is a complex dance.


예를 들어, 학생들은 학생에게 어울리는 장소로서, 병동 라운드 때 그룹의 뒤쪽에 위치할 수도 있지만, 그러다가 환자의 해harm를 막기 위해 목소리를 낼 수도 있다; 이런 식으로 학생의 행동은 학생의 [위치적 정체성]과 misalign하지만, 동시에 '좋은 의사'라는 '형상화된 세계'와는 일치할 수도 있다. 그러므로 개인은 인간 활동과 인간 관계를 [문화라고 부를 수 있는] [역사적으로 파생된 사회질서]를 통해 그들 자신의 course를 chart한다.

For example, students may position themselves at the back of the pack in the ward round as befits a student, but then may speak out to prevent patient harm; in this way their actions may misalign with their positional identity but align with the figured world of the Good Doctor. Individuals therefore chart their own courses through the historically derived social orders, which prefigure human activities and relationships—what might be called culture.


종종, 특정한 [형상화된 세계]가 더 이상 중요시되지 않으면loses salience, 개인은 이것을 고려하여 그들 자신의 이야기를 '자기서술self author'할 것이다. 예를 들어, 다른 전문직에 있다가 의사가 되려고 온 사람들은, 변호사나 회계사로서 자신을 말하는 것에서 벗어나, 의학의 문화적 세계와 align하기 시작할 것이다. 사람들은 사회 구조 내에서 즉흥적인 상호작용을 하며, 동시에 그들이 살고 있는 사회 규칙을 수정하고 재현한다.

Often, if a particular figured world loses salience, an individual will ‘self author’ their own story to take account of this. For example, those who come to medicine from other professions will move away from talking of themselves as lawyers or accountants and begin to align themselves with the cultural world of medicine. People improvise interactions within social structures, simultaneously modifying and reproducing the social rules by which they live.


그러나, 이 특정한 이론적 접근방식에서, 개인이 [형상화된 세계]와 관련된 힘의 위계를 변화시키기에는 그 힘이 제한되어있다. 변화는 공동의 과정이다. 한 명의 개인은 저항하기로 선택할 수 있지만, 변화는 (저항이) 집단적일 때에만 퍼져나간다 된다; 문화적 세계를 바꿀 수 있는 것은 이러한 공동의 저항 행위들이다.22

However, in this particular theoretical approach, individuals have limited power to change figured worlds and associated power hierarchies. Change is a communal process. Although an individual can choose to resist, change only becomes pervasive when it is collective; it is these communal acts of resistance that can shift cultural worlds.22


의학적인 예를 들면, [좋은 의사]의 이야기는 인간적인 의사가 어떤 사람이고 어떤 일을 하는지를 요약한다; 이 공동체적 서사에서, 좋은 의사는 환자의 말을 듣고 그들에게 인간적인 관리의 온기를 제공하는 공손하고 사려 깊은 인물이다.25 많은 의대생들은 [좋은 의사]가 되기 위해, 그들 스스로를 이 '서사'에 정렬align시키고자 노력한다. 그러나, 학생들이 의사가 되어감에 따라, [좋은 의사]가 갖는 지시력directive power은 약해질 수 있고, 그들은 특정한 전공과 관련된 또 다른 이상화된 서사idealized narrative와 더 align하고자 노력할 수 있다.

To give a medical example, the story of the Good Doctor encapsulates what a humane doctor is and does; in this communal narrative, the Good Doctor is a courteous, thoughtful figure who takes the time to listen to patients and offer them the warmth of human care.25 Many medical students try to align themselves to be Good Doctors—a possible trajectory revealed through familiar and shared stories. However, as students become practitioners, the directive power of the Good Doctor may wane and they may align themselves more with other idealised narratives, such as those associated with particular specialties.


의학 교육 연구는 문화에 대한 아이덴티티 이론에서 무엇을 얻을 수 있는가? 정체성의 관점은 우리가 문화를 사람들이 생각하는 것에 깊이 내재된 부분으로 재구성하도록 돕는다. 동시에, '형상화된 세계'(그리고 이와 관련된 문화적 포지셔닝)는 개인만큼이나 '집단'을 강조한다.

What can medical education research take from what identity theories say about culture? The identities perspective helps us to reframe culture as a deeply embedded part of what people see themselves to be. At the same time, figured worlds—and associated cultural positioning—emphasise the collective as much as the individual.


예를 들어, 거만한 외과의사는 무례하지만 효과적인 수술의 리더일 수 있다. 이것은 모든 외과의사들이 다른 고정관념보다 더 오만하다는 것을 어떤 방법으로도 암시하지 않는다. 그러나 이러한 이야기들이 존재한다는 것은, 특정한 방식으로 개인을 포지셔닝하는 형상화된 세계, 의식ritual, 문화적 요소들이 존재한다는 것을 보여준다. 그들은 우리에게 기대(not 예상)하는 활동activities과 관계relationships에 대한 [지배적인 공동체적 상상력과 '문화']를 의식하게 만든다.

For example the Arrogant Surgeon—the rude but effective scalpelwielding leader of the operating theatre—might represent a particular figured world of surgery. This does not by any means suggest that all surgeons are arrogant—any more than any other stereotype is true. But the presence of such stories indicates there are figured worlds, rituals and cultural artefacts at play that position individuals in certain ways. They alert us to ‘culture’ and the dominant communal imaginaries that anticipate (but do not predict) activities and relationships.


우리는 우리 자신에게 다음과 같이 물어봐야 할 것이다. 우리는 [사회적 상호작용을 만들어내는 사회구조에 대해서] 어떻게 우리 자신의 정체성을 작성author하는가?

We may be prompted to ask ourselves: How do we author our own identities in light of the social structures that we navigate (and shape) through our social interactions?


일단 의학교육자들에게 익숙한 도전으로 돌아가보자. [일단 교육적인 문제가 확인되었을 때, 어떻게 문화 변화를 자극할 것인가?] 형상화된 세계는 그러한 문화변화를 일으킬 새로운 도구를 제공한다: 즉, [대안적인 이야기]를 만들고, (문화적 세계의 변화를 촉진하기 위해) 이 이야기를 그것들을 공동체에 embed시키는 것이다. 또한 형상화된 세계의 언어는 개인들이 [공유된 상상shared imagining]에 비추어 어떻게 자신의 이야기를 '저술'하는지를 고려하도록 한다. 성찰성reflexivity을 촉진하는 것은 도움이 될 수 있다. 성찰을 통해 개인은 의식적으로 [형상화된 세계에 비추어] [자신이 자기의 역사와 궤적을 묘사해온 방법을] 검토한다.

Let's return to a familiar challenge for medical educators: how to stimulate culture change once an educational problem has been identified. Figured worlds offers a novel tool to effect such change: articulating alternative stories and embedding these into communities to drive shifts in cultural worlds. The language of figured worlds also allows individuals to consider how they ‘author’ their own stories in light of the shared imaginings. Promoting reflexivity may be helpful, whereby individuals self-consciously examine the way they describe their own histories and trajectories in light of the figured worlds.


게다가, 이러한 관점은 우리에게 전체적 문화 변화는 한 개인에게만 의존할 수 없다는 것을 상기시킨다. 문화적 세계를 변화시키는 것은 반드시 공동체의 참여, 즉 풀뿌리 수준에서 공유된 저항 행위를 포함한다. 이것은 쉽지 않지만, 문화적 관행이 오래 지속되고 있지만 변화가 필요한 상황에서 앞으로 나아갈 수 있는 길을 제공할 수도 있다.

Furthermore, this perspective reminds us that wholesale culture change cannot rest with a single individual. Changing cultural worlds necessarily involves community engagement: acts of resistance that are shared at grassroots levels. This is difficult territory but may provide a way forward in situations where cultural practices are longstanding but need to change.


4 실천 관점

4 | THE PRACTICE PERSPECTIVE


앞의 절과 마찬가지로 [통일된 실천이론]은 존재하지 않는다. 실천이론은 철학, 사회이론, 과학과 기술, 문화인류학에서 끌어온 실이 엮어진 것이다. 28 실천 이론은 일어나는 일에 초점을 맞춘다; 어떤 경우에는 [문화에 대한 '상징' 개념]을 완전히 거부하는 경우도 있다. 실천 이론가들은 실천을 다음과 같이 생각한다. 

'자연스럽고 물질적으로 매개된 인간 활동의 배열은 [공유된 실제적 이해]를 중심으로 조직된다.'28 실천은 일련의 행동 이상이다; 실천은 개인을 형성하고, 개인은 실천을 형성한다.29

As with the previous sections, a unified theory of practice does not exist. Practice theories weave together threads drawn from philosophy, social theory, science and technology, and cultural anthropology. 28 Practice theories focus on what happens; in some instances, they reject the symbolic notion of culture altogether. Practice theorists conceive of practices as 

‘embodied, materially mediated arrays of human activity centrally organized around shared practical understanding.’28 Practice is more than a set of actions; practices shape individuals and are also shaped by them.29


니콜리니는 이론 실천에 공통되는 다섯 가지 원칙을 분명히 밝히고 있다.

  • (i) 활동 

  • (ii) 신체 및 물질의 중요한 역할 

  • (iii) 개인 및 재료의 대리점 

  • (iv) 실무 지식의 위치 

  • (v) 사회생활을 구성하는 힘, 갈등, 정치.30

Nicolini, articulating five principles common to practice theories, notes that they privilege: 

  • (i) the activity; 

  • (ii) the critical role of bodies and materials; 

  • (iii) the agency of individuals and materials; 

  • (iv) the situatedness of knowledge in practice, and 

  • (v) the power, conflict and politics that constitute social life.30


실천적 관점의 매력은 '우리가 살고 있는 세계의 중요한 특징들을 [도구, 담론, 그리고 우리의 몸을 사용하여 일상적으로 made and remade되는 것으로 묘사할 수 있는 능력]에 있다.'30

The appeal of the practice perspective ‘lies in its capacity to describe important features of the world we inhabit as something that is routinely made and remade in practice using tools, discourse, and our bodies.’30


실천 이론은 실천을 연구 단위로 채택하기 때문에, 그들은 개인-문화의 이분법을 거부한다. 예를 들어, 개별 감독자들이 특정 문화 내에서 어떻게 피드백을 주는지, 또는 문화가 피드백 대화가 어떻게 전개되는지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탐구하기보다는, 신체, 물체, 행동과 말로 구성된 피드백 실천에 초점을 맞춘다.31

Because practice theories adopt practice as their unit of study, they eschew the individual/culture divide. For example, rather than exploring how individual supervisors give feedback within a particular culture, or how culture influences how feedback conversations unfold, we instead focus on feedback practices as arrangements made up of bodies, objects, actions and words.31


다양한 실천 이론들 중에서, 행위자-네트워크 이론(ANT)은 '문화'에 대해 (그리고 거의 거부) 생각하는 특히 교훈적인 예로서 서 있다. 행위자-네트워크 이론은, 이론이 아니라 거의 30년 전 첫 등장 이후 다양한 접근법으로 진화한 감성sensibility 이다.32

Amongst various practice theories, actor-network theory (ANT) stands as a particularly instructive example of thinking about (and almost rejecting) ‘culture’. Actor-network theory is not a theory but rather a sensibility that has evolved into a multiplicity of approaches since its first appearance almost 30 years ago.32


행위자-네트워크 이론에 따르면, 실천은 지속적인 상호작용 활동이다. 예를 들어, 임상의사의 평가 체크리스트 작성은 자명한 행위처럼 보일 수 있지만, 그것은 매우 많은 다른 상호작용에 달려 있다. 즉, 임상 노하우를 개발하고 컴퓨터를 생산하고 사용하고 평가 자체를 구현하고 설계하는 데 필요한 행위들.33 여러가지 행위activity가 마치 우리에게는 안정적으로 보일 수 있고, 따라서 우리는 그것을 '문화'의 인공물artefact로 보지만, 다르게 본다면, '행위activity'는 행위자(인간과 물질)간의 일련의 활동적인 연결이나 네트워크로도 볼 수 있다. 이 안에서 상황은 끊임없이 변화하고 있으며, 심지어 겉보기에 동일한 상태일 때 조차 상황은 끊임없이 변화하고 있다. 이러한 구성과 해체의 네트워크를 추적함으로써 '당여하게 여겨지는' 관행practice을 드러낼 수 있다.35

Actor-network theory orients us to practices as constant activity of interactions. For example, a clinician's construction of an assessment checklist may seem like a self-evident act, but it is contingent on so many other interactions: those necessary to develop clinical know-how, to produce and use a computer, and to implement and design the assessment itself.33 The activity may appear stable to us, and thus we view it as an artefact of ‘culture’, but it can instead be viewed as a series of active connections or networks between actors (human and material), within which things are constantly changing, even when they may appear the same.34 Tracing these networks of construction and deconstruction can reveal the taken-for-granted practice.35


배우-네트워크 이론은 우리에게 [무엇을 해야 하는가]와 같은 추상적인 관념보다는, [무엇을 했는가]에 대해 생각하게 만든다.36 문화는 존재하지 않는다. 적어도, [사람과 사람의 행위를 지시하는 어떤 보이지 않는 힘]의 형태로 존재하지 않는다. 단지 [특정한 배치arrangement를 속에서, 시간과 공간에서 일어나는 행동]만이 있을 뿐이다.

Actor-network theory alerts us to what is done, rather than to any abstract notions, such as what should be done.36 Culture does not exist, at least not as some unseen force directing people and their practices. There are only actions that happen in time and space through particular arrangements.


따라서 ANT는 항상 로컬 지점의 더 크거나 더 작은 네트워크로 구성된 'flat'한 단일 수준 현실을 구성한다. 숨겨진 구조도 없고, global level 또는 ultimate reality도 없다.'37 여기서 중요한 점은, 특권적 행위와 상호 작용에 초점을 맞추는 것이다; 우리는 [실제로 일어나는 일]에 적응attune하며, [의도된 일이나 보이지 않는 일]로 우리 자신을 산만하게 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Accordingly, ANT constructs a ‘“flat” single-level reality, consisting of larger or smaller networks of always-local points. There are no hidden structures, global levels or ultimate realities.’37 The key point here is that the focus privileges action and interaction; we attune to what actually happens and avoid distracting ourselves with what is intended or what cannot be seen.


[문화를 거부하는 이론]이 어떻게 실제로 우리가 의학 교육에서 문화에 대해 생각하는 데 도움이 되는가? 문화가 존재하지 않는다는 도발적인 제안은 [우리가 문화에 대해 생각하기 보다는] [실제로 어떤 일이 일어나는지]에 초점을 맞추게 한다. 이 접근법은 교육자들을 위해 매우 실용적인 응용을 할 수 있다.

How does a theory that rejects culture actually help us to think about culture in medical education? Its provocative suggestion that culture does not exist frees us to not think about it and to focus instead on what actually happens in practice. This approach may have very pragmatic applications for educators.


예를 들어, 학습자들이 왜 그들의 감독자로부터 피드백을 부적절하다고 계속 경험하고 궁극적으로 상황 개선을 책임지는지를 분석하는 것에 직면하는 교육자를 생각해보자. 실천이론은 교육자의 피드백 행위를 형성하는 다수의 요소를 고려하도록 만든다. 다음과 같은 요소 

  • 피드백 대화가 이루어지는 방의 크기 

  • 이 방들에서 인간과 관련된 컴퓨터의 배열, 

  • 피드백 템플릿과 그들이 동원하는 피드백 대화 형태 

  • 의료 업무 공간에 대한 피드백 대화의 근접성, 

  • 피드백 대화의 시기 

  • 사람들이 병동 라운딩과 피드백 토론에서 자신을 정리하는 방법

Consider, for example, an educator faced with analysing why learners continue to experience feedback from their supervisors as inadequate, and ultimately tasked with improving the situation. Practice theory directs the educator to consider the multitude of elements that shape feedback practices; 

elements such as 

  • the size of the rooms in which feedback conversations occur, 

  • the arrangement of computers relative to humans in these rooms, 

  • the feedback templates and the forms of feedback conversations they mobilise, 

  • the proximity of feedback conversations to the clinical workspace, 

  • the timing of feedback conversations, and 

  • the way people arrange themselves during ward rounds and feedback discussions.


팀의 피드백 행위practice를 관찰하면 팀이 삐- 소리, 경보 또는 다른 직원들에 의한 피드백 대화 내내 여러 번 방해를 받아 대화의 실마리를 잃게 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피드백 자료에 대한 면밀한 검토는 이러한 도구가 특정한 방식으로 피드백 대화의 흐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통찰력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온라인 피드백 양식을 사용하려는 노력은 휴대용 장치에서 액세스할 때 양식의 외관과 사용 편의성 변화에 의해 제한될 수 있다. 따라서 설계자가 의도하지도 않고 예상하지도 않은 영향이 발생할 수 있다. 그리고 그 이유는 material 그 자체 때문이며, material을 사용하는 '사람' 때문이라거나, 그들의 '문화' 때문이 아니다.

An observation of a team's feedback practices might reveal that the team is disturbed multiple times throughout a feedback conversation by bleeps, alarms or other staff, thereby losing the thread of the conversation. A close examination of the materials of feedback may offer insight into how these tools influence the flow of feedback conversations in particular ways; for example, efforts to use an online feedback form may be constrained by the changes in the form's appearance and ease of use when it is accessed on a handheld device. Impacts neither intended nor anticipated by the designers may thus play out because of the materials themselves, rather than the individuals using them or their ‘culture.’


의학 교육 연구자들은 또한 영감과 방향을 잡기 위해 실천 이론을 사용할 수도 있다. '문화'에 대한 가치와 상징적 해석에 대한 가정을 하는 대신, 실천 이론은 연구자들에게 [인간]과 [인간이 아닌 실체]가 어떻게 얽혀있는지 보여줌으로써, 실제 행동을 조사할 수 있게 해준다. 연구원들은 네트워크의 크기, 그것의 내구성, 그것의 노드들 사이의 연결의 강도, 그것의 취약점과 잠재적 파열 지점들을 살펴볼 수 있다. 관행practice을 관찰함으로써, 우리는 어떻게 그것들이 해결책, 팅커링, 번역translation을 통해 시간이 지남에 따라 발전하고 적응하는지를 더 잘 이해할 수 있다. 이러한 이해는 [개인이나 문화에 대해 우리가 생각해 온 가정들 때문에] 잘못된 행동을 지속하지 않을 수 있도록 도울 수 있다. 

Medical education researchers may also draw on practice theories for inspiration and direction. Instead of making assumptions about values and symbolic interpretations of ‘culture’, practice theories attune researchers to how human and nonhuman entities are enmeshed together, enabling actual action to be examined. Researchers can look to the size of the network, its durability, the strength of the connections between its nodes, and its points of vulnerability and potential rupture. By looking at practices, we can better understand how they evolve and adapt over time, through workarounds, tinkering and translations. This understanding may help us to avoid perpetuating dysfunctional practices because of assumptions we have made about the individuals or the culture.


맥레오드 외 연구원의 [원격 의학 교육] 탐구는 이러한 연구 접근법의 예를 행동으로 제시한다.38 그들은 원격교육의 물질mateiral(예: 강사에게 질문을 하기 위해 마이크를 작동시키기 위해 버튼을 누를 필요가 있거나, 또는 얼굴 화면에 큰 투영법)가 학생들의 행동을 유발한다는 것을 발견했다. 

  • 현장에 있던 사람들은 강의가 끝난 후 질문을 했다. 

  • 반면 원격으로 교육받은 사람은 질문하는 것은 아예 피하는 경향이 있었다.38

[사회물질적 실천]에 대한 그들의 초점은 학생들이 피드백을 받지 않기로 선택할 때 무슨 일이 일어나고 있는지에 대한 비판적인 읽기를 제공했다.

MacLeod et al's exploration of distributed medical education provides an example of this research approach in action.38 They found that the materials of distributed education (eg the button needed to be pressed to activate a microphone in order to ask the lecturer a question, or the big projection on the screen of one's face) drove the behaviour of students; 

  • those on site asked questions of the lecturer after the lecture, 

  • whereas those off site tended to avoid asking questions altogether.38 

Their focus on the sociomaterial practices offered a critical reading of what's going on when students choose not to seek feedback.


5 결론

5 | CONCLUSIONS


문화의 정의는 단순하지 않다. 그러나, 그것은 각기 다른 관점에서 접근될 수 있는데, 각각은 가능캐 하는 것(어포던스)와 맹점을 가지고 있다.

Culture resists a simple definition. It can be approached, however, from a range of different perspectives, each with its own affordances and blind spots.


  • 조직적 관점은 직장이나 직업을 공유하는 개인을 묶는 공유된 가치와 가정을 조명하며, 실용적으로는 이러한 문화적 요소는 전략적으로 사용가능한 자원으로 개념화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그러나 이러한 관점은 조직의 집단 내에서 개인의 정체성에 대한 관심을 덜 기울인다.

The organisational perspective illuminates the shared values and assumptions that bind individuals who share a workplace or a profession, and pragmatically suggests that these cultural elements might be conceptualised as resources to be used strategically. However, this perspective pays less attention to the individual identities within the collective of an organisation.


  • 아이덴티티 관점은 그것이 전문직 정체성 형성과 잘 들어맞으며, 'becoming'의 과정과 문화를 연관하여 강조한다. 비록 그것은 공유된 서사과 설화의 영향을 강조하지만, 이러한 관점은 물질 세계에 가까이 다가가지 않는다.

The identity perspective highlights culture as it relates to a process of becoming, resonating with ideas about professional identity formation. Although it highlights the influence of shared narratives and lore, this perspective does not attend closely to the material world.


  • 실천 관점은 우리의 초점을 실천, 사람과 사물에 의해 구성되는 방법, 그리고 시간이 지남에 따라 어떻게 변화할 것인가로 바꾼다. 실천 이론들은 우리의 관심을 행동을 뒷받침할 수 있는 가정과 가치로부터 벗어나 문화를 강조한다.

The practice perspective shifts our focus to practices, how they are constituted by people and things, and how they might shift over time. Practice theories deemphasise culture, deflecting our attention from the assumptions and values that may underpin actions.


각의 관점은 [개인]과 [그들이 살고 있는 세계] 사이에 존재하는 복잡한 관계의 서로다른 요소들을 조명한다; 개인은 세계와 관행을 형성하고, 개인은 다시 세계와 관행에 의해 형성된다. 그러나, 이러한 다양한 관점들은 공통의 실마리를 공유한다: 그들은 우리가 개개인이 형성되고 사회적 세계에 의해 형성되는 공통의 관점으로 일, 학습, 전문적 발전을 탐구할 때, 연구자로서 우리의 시선은 개인을 너머서까지beyond the individual 바라보게 된다.

Each perspective illuminates different elements of the complex relationship between individuals and the worlds they inhabit; as individuals shape those worlds and their practices, so are they shaped by them. However, these diverse perspectives share a common thread: they direct our research gaze beyond the individual as we explore work, learning and professional development with a common perspective that the individual shapes and is shaped by the social world.


의학 교육 연구자들은 그들의 연구가 문화에 닿을 때 특정한 이론이나 관점을 명확히 하는 것을 고려해야 하는가? 우리는 그렇게 생각한다. 우리는 문화의 어떤 개념화가 문화의 개념화를 하지 않는 것보다 낫다고 주장한다. 연구자들이 특정한 이론적 관점을 채택할 때, 그것은 그들의 분석적 초점을 날카롭게 하여, 그렇지 않으면 시야에 숨겨져 있을 수 있는 패턴과 의미에 그것들을 연결시킨다. 문화에 대한 올바른 관점은 없다; 우리가 본 논문에서 강조했던 각각의 관점은 연구자들을 다른 것에 민감하게 만들 것이고, 한 관점에 의해 움직이는 일은 다른 관점에 의해 주도되는 관점을 보완할 수 있을 것이다.

Should medical education researchers consider articulating a particular theory or perspective when their work touches culture? We think so. We argue that some conceptualisation of culture is better than no conceptualisation of culture. When researchers adopt a particular theoretical perspective, it sharpens their analytic focus, attuning them to patterns and meanings that might otherwise remain hidden from view. There is not a ‘right’ perspective on culture; each of the perspectives we have highlighted in this paper would sensitise researchers to different things, and work driven by one perspective might complement that driven by another.


예를 들어 피드백 실천이 학습에 자주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이유를 이해하는 과제는 벅찬 도전이며, 개인이 서로에게 말하는 것을 검사하는 것 이상의 세심한 조사를 분명히 요구한다.39 문화에 대한 이러한 각 관점은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지만, 관점마다 이 문제를 다르게 조명할 수 있다. 

  • 조직적 관점은 연구자들에게 관련된 개인의 가치와 신념과 그러한 가치들이 어떻게 피드백 상호작용에 대한 규범과 기대를 형성하는지 알려줄 것이다. 

  • 형상화된 세계 관점은 특정한 문화 세계 안에서 위치와 정체성과 관련된 의식들이 어떻게 피드백을 형성하고 사람들이 그것에 어떻게 관여하는지를 강조할 것이다. 

  • ANT의 실천적 관점은 재료, 설정 및 타이밍 형태 결과의 방법을 포함하여 의료 환경에서 피드백 실천이 어떻게 전개되는지에 대한 너트와 볼트의 전조가 될 것이다.

For example, the challenge of understanding why feedback practices frequently fail to impact learning is a daunting one, and clearly demands careful scrutiny beyond just examining what individuals say to each other.39 Each of these perspectives on culture could usefully—but differently—illuminate this problem. 

  • The organisational perspective would alert researchers to the values and beliefs of the individuals involved and how those shape the norms and expectations for feedback interactions. 

  • The figured world perspective would highlight how rituals associated with positioning and identity within a particular cultural world shape feedback and how people engage with it. 

  • The practice perspective of ANT would foreground the nuts and bolts of how feedback practices unfold in clinical settings, including the way materials, settings and timing shape outcomes.


연구자들은 점점 더 [개인], [그들의 일]과 [학습 환경]의 교차점을 포함하는 의학 교육의 복잡한 문제들을 탐구하고 있다. 그러나 너무 자주 그들은 그들이 연구하고 있는 문제와 과정에서 사회적, 조직적, 물질적 힘의 역할을 강조하고자 할 때 문화에 대한 ill-defined reference에 만족한다. 그러나 문화를 부정확하게 방치하면 많은 중요한 '어떻게'와 '왜' 의 질문에는 답하지 못할 것이다.

Researchers are increasingly exploring complex issues in medical education that involve the intersection of individuals and their work and learning environments. Too often, however, they settle for ill-defined references to culture when they wish to highlight the role of social, organisational and material forces in the problems and processes they are studying. However, if culture is left amorphous, many critical ‘how’ and ‘why’ questions will be left unanswered.




25. Bennett D, Solomon Y, Bergin C, Horgan M, Dornan T. Possibility and agency in Figured Worlds: becoming a ‘good doctor’. Med Educ. 2017;51:248-257.






 [Online ahead of print]

Approaching Culture in Medical Education: Three Perspectives

Affiliations 

Affiliations

  • 1Centre for Education Research and Innovation, Schulich School of Medicine and Dentistry, Western University, London, Ontario, Canada.
  • 2Centre for Research in Assessment and Digital Learning, Deakin University, Melbourne, Victoria, Australia.

Abstract

Background: The notion of culture is increasingly invoked in the medical education literature as a key influence on how educational strategies unfold, and culture change is frequently identified as a necessary precursor to progress. A meaningful perspective on what culture means is often missing from these discussions, however. Without a theoretically grounded notion of culture, calls for culture change are challenging to interpret and to act upon.

Objective: In this cross-cutting edge paper, we explore how culture has been defined and theorised using three lenses: the organisational perspective; the identity perspective, and the practice perspective. We consider what each perspective might offer to medical education researchers.

Results: Each of these perspectives draws on a range of disciplinary influences, and none represents a singular theory of culture. Broadly, the organisational perspective directs our attention to the shared assumptions and values that bind individuals within an organisation. It tends to view culture through a strategic lens; culture may be either a barrier to or a facilitator of the changes that are inevitably required of an organisation if it is to maintain its relevance. The identity perspective, particularly the notion of figured worlds, alerts us to the power of communal narratives to shape how individuals see themselves within particular cultural worlds. The practice perspective emphasises what actually occurs in practice, avoiding symbolic ideas about culture and shared values and instead privileging activity and human-material networks or arrangements.

Conclusions: These diverse perspectives share a common thread- they shift our research gaze beyond the individual, allowing us instead to see how those individuals form organisations, inhabit cultural worlds and constitute practices. They afford substance and direction for explorations of culture, and thus offer the promise of a more nuanced understanding of some of medical education's most challenging problems.

배우고자 하는 이유(동기): 현대 이론 개괄(Med Educ, 2016)

Motivation to learn: an overview of contemporary theories

David A Cook1,2,3 & Anthony R Artino Jr4




도입

INTRODUCTION


동기부여라는 개념은 우리의 전문적이고 개인적인 삶에 만연해 있다. 우리는 침대에서 일어나, 논문을 쓰고, 집안일을 하고, 전화를 받고, 그리고 물론 배우려는 동기를 구어적으로 말한다. 우리는 학습 동기가 (어법, 지적 발명 또는 에피포네이션이 아닌) 존재한다는 것을 감지한다. 학습 동기는 종속변수(특정 교육 활동에 따른 동기 중 상위 또는 하위 수준)이자 독립변수2(학습 향상을 위한 동기 조작)3-5로서 중요하다. 그러나 우리가 배우려는 동기 부여가 의미하는 것은 무엇이며, 동기 부여에 대한 더 나은 이해가 교육자로서 우리가 하는 일에 어떻게 영향을 미칠 수 있을까?

The concept of motivation pervades our professional and personal lives. We colloquially speak of motivation to get out of bed, write a paper, do household chores, answer the phone, and of course, to learn. We sense that motivation to learn exists (as opposed to being a euphemism, intellectual invention or epiphenomenon) and is important as both a dependent variable (higher or lower levels of motivation resulting from specific educational activities)1 and an independent variable2 (motivational manipulations to enhance learning)3–5. But what do we really mean by motivation to learn, and how can a better understanding of motivation influence what we do as educators?


인간의 동기를 설명하기 위해 수많은 이론들이 제안되어 왔다.6 비록 각자가 동기부여의 구체적인 측면을 조명하지만, 각각의 필요성은 다른 이론을 등한시한다. 다양한 이론들은 대부분 개념적 중첩과 함께 불일치 영역을 가지고 있는데, 많은 사람들이 동일한 개념에 대해 다른 단어를 사용하거나, 다른 개념에 대해 동일한 단어를 사용하는 독특한 어휘를 사용하기 때문에 혼란을 야기한다. 비록 이것이 당황스러울 수 있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각각의 현대 이론은 잠재적으로 새로운 통찰력과 실천과 미래 연구에 대한 뚜렷한 함축으로 독특한 관점에 기여한다.

Countless theories have been proposed to explain human motivation.6 Although each sheds light on specific aspects of motivation, each of necessity neglects others. The diversity of theories creates confusion because most have areas of conceptual overlap and disagreement, and many employ an idiosyncratic vocabulary using different words for the same concept and the same word for different concepts.7 Although this can be disconcerting, each contemporary theory nonetheless contributes a unique perspective with potentially novel insights and distinct implications for practice and future research.


우리의 목표는 최근의 증거에 대한 포괄적인 검토를 제시하는 것이 아니라 의학교육자들이 동기부여의 이론적 기초를 접근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우리는 각각의 이론에 대해 우리가 표면을 긁을 수 없다는 것을 인정하며, 따라서 더 깊이 있게 연구하기를 원하는 사람들에게 더 많은 읽기를 제안한다(표 1 참조).

Our goal is not to present a comprehensive examination of recent evidence, but to make the theoretical foundations of motivation accessible to medical educators. We acknowledge that for each theory we can scarcely scratch the surface, and thus suggest further reading for those who wish to study in greater depth (see Table 1).


이 검토를 위해 우리는 동기부여를 ‘목표지향적 활동을 착수하고 지속하게 만드는 프로세스’,6(pg 5)으로 정의한다. 비록 다른 것들이 존재하지만, 이 정의는 

  • 동기부여는 과정이다

  • 동기부여는 목표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 동기부여는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활동의 시작과 지속을 모두 다룬다.

For this review we define motivation as ‘the process whereby goal-directed activities are instigated and sustained’,6 (pg 5) Although others exist, this definition highlights four key concepts: 

  • motivation is a process; 

  • it is focused on a goal; and 

  • it deals with both the initiation and the continuation of activity directed at achieving that goal.


공통 주제

COMMON THEMES


표 1은 각 이론에 대한 간결한 요약과 중복되는 용어를 명확히 하려는 표 2의 시도를 제공한다.

Table 1 offers a concise summary of each theory and Table 2 attempts to clarify overlapping terminology.







모든 현대 이론은 능력에 대한 믿음과 관련된 개념을 포함한다. 성공, 자기 효과, 자신감, 자기 개념에 대한 다양한 기대치 라벨을 붙인 이 모든 믿음은 본질적으로 ‘내가 그것을 할 수 있을까?’라는 질문을 다룬다. 그러나, 아래에 상세히 기술된 바와 같이 이론과 이론 사이의 중요한 구별이 있다. 예를 들어, 

  • [자기개념]과 [성공 기대치]에 대한 이전의 개념(기대-가치 이론)은 이러한 믿음을 일반적인 용어로 보았다(예: '병법'이나 '임상의학'과 같은 넓은 영역에 걸친 것, 또는 여러 시간이나 상황에 걸쳐 일반화된 것). 

  • 이와는 대조적으로, [자기효능(사회 인식론)]과 이후의 기대치 개념은 이러한 믿음을 훨씬 더 과제와 상황에 따라 특정한 용어로 보았다(예: ‘동맥 협착증의 심각성을 평가할 수 있는가?’).

All contemporary theories include a concept related to beliefs about competence. Variously labelled expectancy of success, self-efficacy, confidence and self-concept, these beliefs all address, in essence, the question ‘Can I do it?’. However, there are important distinctions both between and within theories, as elaborated below. For example, 

  • self-concept and earlier conceptions of expectancy of success (expectancy-value theory) viewed these beliefs in general terms (e.g. spanning a broad domain such as ‘athletics’ or ‘clinical medicine’, or generalising across time or situations). By contrast, 

  • self-efficacy (social-cognitive theory) and later conceptions of expectancy of success viewed these beliefs in much more taskand situation-specific terms (e.g. ‘Can I grade the severity of aortic stenosis?’).


대부분의 이론은 또한 학습 과제의 가치나 예상 결과에 대한 개념을 포함한다. 이러한 믿음은 직무 가치, 결과 기대, 내적 동기 대 외적 동기 등과 같은 구체적인 용어를 포함한다. 모든 사람들은 "내가 그것을 하고 싶은가?" 또는 "내가 한다면 무슨 일이 일어날 것인가?"라는 질문을 다룬다. 다시, 이론들 사이에는 중요한 차이점이 있다. 예를 들어, 

  • 제 가치(기대-가치 이론)는 성공적인 작업 완성의 인식된 중요성 또는 유용성에 초점을 맞추는 반면, 

  • 과 기대(사회인지이론)는 전적인 노력을 기울인다면 어떤 행동의 발생가능성(예상된) 결과에 초점을 맞춘다.

Most theories also include a concept regarding the value or anticipated result of the learning task. These beliefs include specific terms such as task value, outcome expectation and intrinsic versus extrinsic motivation. All address the question, ‘Do I want do to it?’ or ‘What will happen (good or bad) if I do?’. Again, there are important distinctions between theories. For example, 

  • task value (expectancy-value theory) focuses on the perceived importance or usefulness of successful task completion, whereas 

  • outcome expectation (social-cognitive theory) focuses on the probable (expected) result of an action if full effort is invested.


대부분의 이론들은 믿음과 미래의 행동을 형성하는데 있어서 귀인(성)의 중요성에 대해 논한다. 학습자들은 종종 관찰된 사건이나 결과와 이러한 결과를 초래한 개인적 요인(즉, 근본적인 원인) 사이에 의식적이거나 무의식적인 연관성을 확립한다. 학습자가 근본적인 원인을 변경할 수 있고 통제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는, 초기 실패가 있더라도 지속할 가능성이 더 높을 것이다.

Most theories discuss the importance of attributions in shaping beliefs and future actions. Learners frequently establish conscious or unconscious links between an observed event or outcome and the personal factors that led to this outcome (i.e. the underlying cause). To the degree that learners perceive that the underlying cause is changeable and within their control, they will be more likely to persist in the face of initial failure.


마지막으로, 동기부여에 대한 모든 현대적 이론들은 이전의 몇몇 이론들과 대조적으로, 직접적으로 관찰할 수 없는 정신적 과정의 관여를 가정한다는 점에서 '인식적'이다. 더욱이 최근의 이론들은 동기부여가 개별적인 현상으로 충분히 설명될 수 없고 오히려 개인과 더 큰 사회적 맥락 사이의 상호작용을 수반하는 경우가 많다는 것을 점점 더 많이 인식하고 있다. 반두라는 자신의 이론을 '사회 인식론'이라고 이름 붙였지만, 아래에서 논의되는 모든 이론은 사회적 요소와 인지적 요소를 모두 포함한다.

Finally, all contemporary theories of motivation are ‘cognitive’ in the sense that, by contrast with some earlier theories, they presume the involvement of mental processes that are not directly observable. Moreover, recent theories increasingly recognise that motivation cannot be fully explained as an individual phenomenon, but rather that it often involves interactions between an individual and a larger social context. Bandura labelled his theory a ‘social-cognitive theory’ of learning, but all of the theories discussed below include both social and cognitive elements.



기대-가치 이론

EXPECTANCY-VALUE THEORIES


간단히 말해서, 기대 가치 이론20,21은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두 가지 주요 독립적 요인을 식별한다(그림1). 

  • 개인이 노력하면 성공할 것이라고 믿는 정도(성공 기대)와 

  • 그 일을 수행하는 데 개인적인 중요성, 가치 또는 본질적 관심이 있다고 인식하는 정도(과제 가치)

In a nutshell, expectancy-value theories20,21 identify two key independent factors that influence behaviour (Fig. 1): 

  • the degree to which individuals believe they will be successful if they try (expectancy of success), and 

  • the degree to which they perceive that there is a personal importance, value or intrinsic interest in doing the task (task value).



[성공에 대한 기대치] 성공에 대한 기대는 일반적인 능력에 대한 인식 그 이상이다. 그것은 예상된 임무를 완수할 수 있다는 미래지향적인 확신을 나타낸다. 내가 임무를 성공적으로 완수할 것이라고 믿지 않는다면, 나는 시작하지 않을 것 같다. 그러한 믿음은 일반적(예: 글로벌한 자기 개념)이면서 동시에 구체적일 수 있다(특정 기술이나 주제를 배우는 능력의 판단). 위그필드와 에클레스에 따르면, 성공의 기대치는 목표, 자기 개념, 과제 난이도의 세 가지 범주로 분류되는 동기적 신념에 의해 형성된다고 한다. 

  • 목표는 특정 단기 및 장기 학습 목표를 가리킨다. 

  • 자기 개념은 이 업무 영역에서 자신의 능력에 대한 일반적인 인상(예: 학업 능력, 운동 능력, 사교 능력 또는 잘생긴 외모)을 말한다. 

  • 과제 난이도는 특정 업무의 인지된(실제적인) 난이도를 말한다. 

Expectancy of success is more than a perception of general competence; it represents a future-oriented conviction that one can accomplish the anticipated task. If I do not believe I will be successful in accomplishing a task, I am unlikely to begin. Such beliefs can be both general (e.g. global self-concept) and specific (judgements of ability to learn a specific skill or topic). According to Wigfield and Eccles,20 expectancy of success is shaped by motivational beliefs that fall into three broad categories: goals, self-concept and task difficulty. 

  • Goals refer to specific shortand long-term learning objectives. 

  • Self-concept refers to general impressions about one’s capacity in this task domain (e.g. academic ability, athletic prowess, social skills or good looks). 

  • Task difficulty refers to the perceived (not necessarily actual) difficulty of the specific task. 

경험적 연구는 기대 믿음이 학습 활동과 학습 성과(예: 시험 점수 및 성적)에 대한 관여를 예측한다는 것을 보여준다. 사실, 성공의 기대는 과거의 실적보다 더 강력한 성공 예측 변수가 될 수 있다.20

Empirical studies show that expectancy beliefs predict both engagement in learning activities and learning achievement (e.g. test scores and grades). In fact, expectancy of success may be a stronger predictor of success than past performance.20


그러나 기대-가치 이론에 따르면, 동기부여는 내가 성공할 수 있다는 확신 이상의 것을 필요로 한다; 여기에 추가로 어느 정도 즉각적이거나 미래의 개인적인 이익이나 가치를 기대해야 한다. 성공의 기대치처럼, 업무 가치나 valence는 인식에 달린 것이며(꼭 실제적인 것은 아님) 때론 특이하다

According to expectancy-value theorists, however, motivation requires more than just a conviction that I can succeed; I must also expect some immediate or future personal gain or value. Like expectancy of success, task value or valence is perceived (not necessarily actual) and at times idiosyncratic. 


[과제 가치] 최소한 네 가지 요소가 과제 가치에 기여하는 것으로 간주되었다. 

  • 주어진 주제는 학습자에게 특히 흥미롭거나 즐거울 수 있다(관심이나 내적 가치)

  • 주제에 대한 학습이나 기술을 숙달하는 것이 실용적인 이유 또는 미래 목표(유용성 또는 외적 가치)를 향한 필요한 단계로 인식될 수 있다.

  • 기술을 쉽게 배우는 것은 그 자체에서 또는 학습자의 자기 개념(중요 또는 성취 가치)의 확인으로서 개인의 중요성을 가질 수 있으며, 

  • 한 과제에 시간과 에너지를 집중하는 것은 다른 업무가 소홀히 된다는 것을 의미한다(기회비용)

At least four factors have been conceived as contributing to task value

  • a given topic might be particularly interesting or enjoyable to the learner (interest or intrinsic value); 

  • learning about a topic or mastering a skill might be perceived as useful for practical reasons, or a necessary step toward a future goal (utility or extrinsic value); 

  • successfully learning a skill might hold personal importance in its own right or as an affirmation of the learner’s self-concept (importance or attainment value); and 

  • focusing time and energy on one task means that other tasks are neglected (opportunity costs). 


이 밖에 다른 비용과 잠재적인 부정적인 결과에는 불안, 노력 그리고 실패의 가능성이 있다. 예를 들어, 전공의 의사는 단순히 그것이 매혹적이라고 생각하거나, 그것이 환자들에게 더 나은 보살핌을 제공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믿거나, 혹은 이것을 의사로서 그의 인격의 근본적인 부분으로 인식하기 때문에 심근경화를 배우는데 여분의 시간을 할애할 수 있다. 아니면, 그는 외과 기술을 익히는 데 더 많은 시간을 보내기 위해서 혹은 단순히 그것이 노력의 가치가 있다고 느끼지 않기 때문에 이 기술을 배우는 데 더 적은 시간을 쓸 수도 있다. 

Other costs and potential negative consequences include anxiety, effort and the possibility of failure. For example, a postgraduate physician might spend extra time learning cardiac auscultation simply because he finds it fascinating, or because he believes it will help him provide better care for patients, or because he perceives this as a fundamental part of his persona as a physician. Alternatively, he might spend less time learning this skill in order to spend more time mastering surgical skills, or because he simply doesn’t feel it is worth the effort. 


비록 일부 증거가 이러한 네 가지 요소(이자, 효용, 중요도 및 비용)를 측정에서 서로 구별할 수 있다는 것을 제시하지만, 20 학습자들이 실제로 이러한 구분을 하는지 여부는 아직 알려지지 않았다. 과제 가치는 이론적으로, 주로 하나의 동기적 신념, 즉 [감정적인 기억(과거 경험과 관련된 반응과 감정)]에 의해 형성된다. 좋은 경험은 인지된 가치를 향상시키고, 좋지 않은 경험은 그것을 감소시킨다.

Although some evidence suggests that these four factors (interest, utility, importance and cost) are distinguishable from one another in measurement,20 it is not yet known whether learners make these distinctions in practice. Task value is, in theory, primarily shaped by one motivational belief: affective memories (reactions and emotions associated with prior experiences). Favourable experiences enhance perceived value; unfavourable experiences diminish it.


성공에 대한 기대(목표, 자기개념, 과제 난이도)과 과제 가치(감정적 기억력)를 결정하는 동기적 신념은 생활 사건, 사회적 영향(부모, 교사 또는 동료의 압력, 직업적 가치 등)과 환경에 의해 형성된다. 동기부여를 shaping하는 이러한 힘은 학습자의 개인적 관점과 인식(즉, 인지 과정)을 통해 해석된다. 동기부여적 신념을 지배하는 것은 인식이며, 이것은 반드시 현실과 같지는 않다.

The motivational beliefs that determine expectancy of success (goals, self-concept and task difficulty) and task value (affective memories) are in turn shaped by life events, social influences (parents, teacher or peer pressure, professional values, etc.) and the environment. These shaping forces are interpreted through the learner’s personal perspectives and perceptions (i.e. cognitive processes). It is perception, and not necessarily reality, that governs motivational beliefs.


경험적 연구(의학 교육 이외의 거의 모든 연구)는 [성공에 대한 기대]와과 [과제 가치] 둘 다 학습 주제 선택, 학습에 대한 참여 정도(참여와 끈기) 및 성취(성과)를 포함한 학습 성과와 관련이 있음을 보여준다직무 가치는 선택과 가장 강하게 연관되어 있는 것으로 보이는 반면, 성공의 기대치는 참여, 처리 및 학습 성과와 가장 강하게 연관되어 있는 것으로 보인다. 다시 말해서, 어떤 것을 배울 것인가를 선택할 때 업무의 가치task value는 가장 중요하다. 일단 그 선택이 이루어지면, 성공에 대한 기대expectancy of success는 실제 성공과 가장 강하게 연관된다.

Empirical studies (nearly all of them outside of medical education) show that both expectancy of success and value are associated with learning outcomes, including choice of topics to study, degree of involvement in learning (engagement and persistence) and achievement (performance). Task value seems most strongly associated with choice, whereas expectancy of success seems most strongly associated with engagement, depth of processing and learning achievement.20 In other words, in choosing whether to learn something the task value matters most; once that choice has been made, expectancy of success is most strongly associated with actual success.


귀인 이론

ATTRIBUTION THEORY


귀인 이론(그림 2)은 왜 사람들이 주어진 경험에 서로 다르게 반응하는지를 설명하며, 초기 결과의 인지된 원인의 차이에서 다른 반응이 발생한다는 것을 암시한다. 예를 들어, 새로운 기술을 습득하는 것의 성공이나 실패는 개인적인 노력, 타고난 능력, 다른 사람들(예: 교사) 또는 행운에 기인할 수 있다. 이러한 속성은 잠재의식적인 경우가 많지만, 향후 활동에 강하게 영향을 미친다. 능력 부족에 기인하는 실패는 미래의 노력을 저해할 수 있는 반면, 열악한 교육이나 불운에 기인하는 실패는 특히 교사나 운이 바뀔 것으로 예상되는 경우에 다시 시도할 필요성을 시사할 수 있다. 귀인attribution은 

  • 미래의 성공에 대한 기대치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며, 

  • 성공이나 실패에 대한 학습자의 감정적 반응에 의해 매개되는 인식된 가치에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친다.

Attribution theory (Fig. 2) explains why people react variably to a given experience, suggesting that different responses arise from differences in the perceived cause of the initial outcome. Success or failure in mastering a new skill, for example, might be attributed to personal effort, innate ability, other people (e.g. the teacher) or luck. These attributions are often subconscious, but strongly influence future activities. Failure attributed to lack of ability might discourage future effort, whereas failure attributed to poor teaching or bad luck might suggest the need to try again, especially if the teacher or luck is expected to change. Attributions directly influence expectancy of future success, and indirectly influence perceived value as mediated by the learner’s emotional response to success or failure.



기여 이론은 인간이 자신과 환경을 이해하고 숙달하는 암묵적인 목표를 가지고 있으며, 삶에서 일어나는 사건에 대한 인과관계를 확립하는 ‘나이브한 과학자’ 역할을 한다고 가정한다귀속 과정은 학점을 받거나 기술을 배우는 등의 사건으로 시작한다. 

  • 결과가 기대되고 긍정적일 경우 학습자는 만족하고 나이브한 과학자는 흥분하지 않는다(즉, 조사할 것이 없다). 

  • 반대로, 결과가 부정적이거나, 예상치 못했거나, 특히 중요한 경우, 과학자는 가설(예: 능력, 노력, 행운, 건강, 기분 등)을 고안하기 위해 개인적, 환경적 요인을 고려하여 설명을 검색하기 시작한다. 

Attribution theory postulates that humans have a tacit goal of understanding and mastering themselves and their environment, and act as ‘na€ıve scientists’ to establish cause-effect relationships for events in their lives. The process of attribution starts with an event, such as receiving a grade or learning a skill. 

  • If the result is expected and positive, the learner is content and the na€ıve scientist is not aroused (i.e. there is nothing to investigate). 

  • Conversely, if the result is negative, unexpected or particularly important, the scientist begins to search (often subconsciously) for an explanation, taking into account personal and environmental factors to come up with an hypothesis (i.e. an attribution: ability, effort, luck, health, mood, etc.). 

그러나 귀인은 직접적으로 행동에 동기를 부여하지 않는다. 오히려 심리적으로 의미 있는 (행동 가능한) 반응으로 해석되거나 재구성된다. 경험적 연구에 따르면 그러한 해석은 

  • 쿠스(학습자 또는 외부), 

  • 안정성(변경 또는 고정) 및 

  • 어 가능성(학습자의 통제 내 또는 외부)

...의 세 가지 개념적 차원을 따라 발생한다고 한다. 

However, attributions do not directly motivate behaviour. Rather, they are interpreted or reframed into psychologically meaningful (actionable) responses. Empirical research suggests that such interpretations occur along three distinct conceptual dimensions: 

  • locus (internal to the learner or external), 

  • stability (likely to change or fixed) and 

  • controllability (within or outside the learner’s control). 


예를 들어, 학습자의 상황 인식에 따라 낮은 교육 수준(외부 위치)이 안정적일 수도 있고(이 주제에 대한 유일한 교사), 불안정할 수도 있고(다른 여러 명의 교사가 이용할 수 있음), 통제할 수 없거나(학습자가 선택할 수 있음) 통제할 수 없을 수도 있다. 

  • 불운은 전형적으로 외적, 불안정하고 통제할 수 없는 것으로 해석된다. 

  • 개인적 노력은 내적, 변화 가능하고 통제할 수 있으며 

  • 선천적인 기술은 대부분 고정되고 통제할 수 없는 내적이다.

For example, poor instructional quality (external locus) might be stable (the only teacher for this topic) or unstable (several other teachers available), and controllable (selected by the learner) or uncontrollable (assigned by others), depending on the learner’s perception of the situation. 

  • Bad luck is typically interpreted as external, unstable and uncontrollable; 

  • personal effort is internal, changeable and controllable; and 

  • innate skill is internal, largely fixed and uncontrollable.


Weiner는 [성공 기대치]와 [과제 가치]의 구성을 통해 동기를 부여했다.22 [성공의 기대]는 주로 [안정성] 차원을 통해 지각된 원인에 의해 직접적으로 영향을 받는다: '

  • ‘만약 조건(원인의 유무)이 그대로 유지될 것으로 예상되면, 과거에 경험했던 결과가 다시 나타날 것으로 예상된다. ... 

  • 인과관계가 바뀔 가능성이 있다고 판단되면... 후속 결과에 대한 불확실성이 있을 수 있다.22 

Weiner linked attributions with motivation through the constructs of expectancy of success and task value.22 Expectancy of success is directly influenced by perceived causes, primarily through the stability dimension: 

  • ‘If conditions (the presence or absence of causes) are expected to remain the same, then the outcome(s) experienced in the past will be expected to recur. ... 

  • If the causal conditions are perceived as likely to change, then ... there is likely to be uncertainty about subsequent outcomes’.22 

[로커스]와 [관리가능성]은 성공의 기대치와 강하게 연계되지 않을 가능성이 있다. 왜냐하면 과거의 성공(위치 지향성 또는 관리가능성의 정도와 상관없이)이 조건이 안정되면 미래의 성공을 예측하기 때문이다. 

Locus and controllability are not strongly linked with expectancy of success, because past success (regardless of locus orientation or degree of controllability) will predict future success if conditions remain stable.


이와는 대조적으로, [귀인]과 ['목표적 인센티브'(즉, 업무 가치)] 사이의 연결은 덜 직접적이어서, [학습자의 감정이나 '감정적 반응'에 의해 매개]된다.  Weiner는 목표를 달성하는 목적적 가치(예: 1달러를 벌거나 기술을 배우는 것)와 그 성취의 주관적 또는 감정적 가치(예: 행복이나 자존심)를 구별한다. 또한 이렇게 주장한다. '객관적 가치가 인식된 인과관계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고 믿을만한 명백한 이유는 없다. 그러나 [원인규정]은 정서적 반응 또는 목표 달성의 주관적 결과를 결정하거나 지도한다.22'

By contrast, the link between attributions and ‘goal incentives’ (i.e. task value) is less direct, being mediated instead by the learner’s emotions or ‘affective response’. Weiner distinguishes the objective value of achieving a goal (e.g. earning a dollar or learning a skill) from the subjective or affective value of that achievement (e.g. happiness or pride), and argues that there is ‘no blatant reason to believe that objective value is influenced by perceived causality ... but [causal ascriptions] do determine or guide emotional reactions, or the subjective consequences of goal attainment’.22 


다른 감정적 반응에는 감사, 평온, 놀라움, 분노, 죄책감, 절망감, 동정심, 수치심 등이 포함된다. 인지 프로세스는 사건, 인지된 원인 및 귀납된 감정 반응 사이의 상호 작용에 영향을 미치며 복잡하고 종종 특이한 결과(즉, 우리가 어떻게 생각하는지가 우리의 감정에 영향을 미친다)를 가지고 있다. '예를 들면, 

  • 행운 때문에 얻은 1달러는 놀라움을 유발할 수 있다. 

  • 열심히 일해서 벌어들인 1달러는 자부심을 가질 수 있다. 

  • 필요할 때 친구로부터 받은 1달러는 (수치심이나 죄책감을 가질 수도 있지만) 감사를 느낄 수 있다

Other emotional reactions include gratitude, serenity, surprise, anger, guilt, hopelessness, pity and shame. Cognitive processes influence the interplay between an event, the perceived cause and the attributed emotional reaction, with complex and often idiosyncratic results (i.e. how we think influences how we feel).  ‘For example, 

  • a dollar attained because of good luck could elicit surprise; 

  • a dollar earned by hard work might produce pride; and 

  • a dollar received from a friend when in need is likely to beget gratitude’,22 although it might also beget shame or guilt. 


와이너는 결과에 의존하는 감정과 귀속 의존적인 감정을 구별한다. 

  • [결과에 의존하는 감정]은 성공(예: 행복)이나 실패(예: 슬픔과 좌절)의 직접적인 결과다. 

  • [귀인에 의존하는 감정]은 이름에서 알 수 있듯이, 유추된 인과적 차원에 의해 결정된다

    • 자존심과 자존심('내적' 감정)은 [로커스]와 연관되어 있다; 

    • 분노, 감사, 죄책감, 연민과 수치심('사회적' 감정')은 [통제 가능성]과 연관되어 있으며, 

    • 절망감과 그 밖의 많은 감정의 강렬함은 [안정성]과 연관되어 있다 (즉, 변하지 않는 이유 때문에 더 큰 감사나 더 큰 수치심을 느낄 수 있다.)


Weiner distinguishes outcome-dependent and attribution-dependent emotions. 

  • Outcome-dependent emotions are the direct result of success (e.g. happiness) or failure (e.g. sadness and frustration). 

  • Attribution-dependent emotions are, as the name implies, determined by the inferred causal dimension: 

    • pride and self-esteem (‘internal’ emotions) are linked with locus; 

    • anger, gratitude, guilt, pity and shame (‘social’ emotions) are connected with controllability; and 

    • hopelessness and the intensity of many other emotions are associated with stability (i.e. one might feel greater gratitude or greater shame because of a stable cause).


기여 이론은 귀속 과정에 영향을 미치는 몇 가지 '선행 조건'을 제안한다. 

  • 경 선행조건에는 자신과 타인으로부터 받은 사회적 규범과 정보(예: 피드백)가 포함된다. 

  • 개인 선행조건는 인과관계 규칙, 귀인 편견 및 사전 지식의 차이를 포함한다. 기여적 편견 또는 오류는 다음을 포함한다. 

    • 하나의 사건이 개인의 보편적 특성으로 외삽되는 상황 또는 상황별 요인을 무시하는 '근본 귀인 오류' 

    • 성공이 내부 원인에 기인하고 실패가 외부 원인에 기인하는 자급자족 편향 

    • 자신의 행동이 상황별로 다르며 다른 사람의 행동이 일반적인 특성인 행위자-관찰자 바이어스.


Attribution theory proposes several ‘antecedent conditions’ that influence the attributional process. 

  • Environmental antecedents include social norms and information received from self and others (e.g. feedback). 

  • Personal antecedents include differences in causal rules, attributional biases and prior knowledge. Attributional biases or errors include: 

    • the ‘fundamental attribution error’, in which situation or context-specific factors are ignored, such that a single event is extrapolated into a universal trait of the individual; 

    • self-serving bias, in which success is ascribed to internal causes and failure is ascribed to external causes; and 

    • actor-observer bias, in which the learner’s actions are situation specific and the actions of others are a general trait.



사회인지이론

SOCIAL-COGNITIVE THEORY


사회 인식 이론은 대부분 학습 이론이다. 이 이론은 사람들이 단순히 행동의 직접적인 강화(학습의 행동주의 이론에 의해 제안됨)를 통해서가 아니라, 환경과 상호적인 상호작용을 통해 다른 사람들을 관찰함으로써 배운다고 주장한다.23 동기부여에 관해서, 이 이론은 인간은 보상과 처벌에 무의식적으로 반응하는 무분별한 행위자가 아니라, 인식은 개인이 자신의 환경을 어떻게 해석하고 자신의 생각, 감정, 행동을 스스로 규제하는가를 지배한다고 강조한다.

Social-cognitive theory is most generally a theory of learning. It contends that people learn through reciprocal interactions with their environment and by observing others, rather than simply through direct reinforcement of behaviours (as proposed by behaviourist theories of learning).23 As regards motivation, the theory emphasises that humans are not thoughtless actors responding involuntarily to rewards and punishments, but that cognition governs how individuals interpret their environment and self-regulate their thoughts, feelings and actions.


반두라23은 인간의 수행은 세 가지 요인(예: 믿음, 기대, 태도 및 생물학), 행동 요인 및 환경 요인(사회 및 물리적 환경 모두) 사이의 상호 작용에서 비롯된다고 이론화했다. 따라서 인간은 [환경에 의해서만 형성되는 사후 대응적인 유기체]가 아니며, 능동적이고 자기 조절적이다. 즉, ‘자기 환경과 자신의 사회 시스템에 의한 결과물이자, 환경과 시스템의 생산자’이다.24 

Bandura23 theorised that human performance results from reciprocal interactions between three factors (‘triadic reciprocal determinism’): personal factors (e.g. beliefs, expectations, attitudes and biology), behavioral factors, and environmental factors (both the social and physical environment). Humans are thus proactive and self-regulating rather than reactive organisms shaped only by the environment; they are ‘both products and producers of their own environments and of their own social systems’.24 


예를 들어, 매우 경쟁적인 동료들로 가득하고 실수를 거의 참지 못하는 의사가 운영하는 외과실습의 의대생을 생각해보자. 그러한 환경은 학생의 개인적 특성(예: 그의 자신감, 감정, 선행 지식)과 상호 작용하여 그가 어떻게 행동하고 배우는지 여부를 형성할 것이다. 동시에, 그의 행동 방식은 환경에 영향을 미칠 것이며, 그의 개인적인 요소들(예: 그의 생각과 감정)의 일부를 바꿀 수도 있다. 따라서 이 학생이 배우고 수행하려는 의욕의 정도는 자신의 생각과 느낌, 학습 환경의 성격과 행동의 상호 작용에 의해 결정된다.

Consider, for example, a medical student in a surgery clerkship that is full of highly competitive peers and is run by a physician with little tolerance of mistakes. Such an environment will interact with the student’s personal characteristics (e.g. his confidence, emotions and prior knowledge) to shape how he behaves and whether or not he learns. At the same time, how he behaves will influence the environment and may change some of his personal factors (e.g. his thoughts and feelings). Thus, the extent to which this student is motivated to learn and perform is determined by the reciprocal interactions of his own thoughts and feelings, the nature of the learning environment and his actions.


개인의 목표를 추구하기 위해 자신의 행동을 조절regulate하고 환경을 조작하는 적극적인 과정은 동기 부여된 개인으로서의 기능을 발휘하는 데 필수적이다. 사람들이 그들의 목표를 추구하기로 선택했는지 여부는, 상당 부분, 그들 자신의 능력, 가치와 이익에 대한 믿음에 달려 있다.24 이러한 자아신뢰들 중 가장 중요한 것은 자기효능이며, 자기효능감은 ‘사람들이 [자신의 삶에 영향을 미치는 사건]에 대해서 [지정된 수준의 성능을 생산할 수 있는 능력]에 대한 믿음'으로 정의된다.25 

The active process of regulating one’s behaviour and manipulating the environment in pursuit of personal goals is fundamental to functioning as a motivated individual. Whether or not people choose to pursue their goals depends, in no small measure, on beliefs about their own capabilities, values and interests.24 Chief among these self-beliefs is self-efficacy, defined as ‘People’s beliefs about their capabilities to produce designated levels of performance that exercise influence over events that affect their lives’.25 


자기효능은 자신의 신체적 또는 심리적 속성에 대한 개인적인 판단보다는 사람이 무엇을 할 수 있는지에 대한 믿음이다.26 반두라의 말에서, ‘사람들이 자신의 행동으로 원하는 효과를 낼 수 있다고 믿지 않는다면, 행동할 동기가 거의 없을 것이다’.27 따라서 자기효능은 동기부여 행동의 토대를 이룬다.

Self-efficacy is a belief about what a person can do rather than a personal judgement about one’s physical or psychological attributes.26 In Bandura’s words, ‘Unless people believe they can produce desired effects by their actions, they have little incentive to act’.27 Thus, self-efficacy forms the foundation for motivated action.


자기 개념이나 자부심에 대한 광범위한 개념과는 달리, 자기 효율성은 영역, 과제 및 상황에 따라 다르다. 예를 들어 의대생들은 단순한 봉합에 대해 상당히 높은 자기효율을 보고할 수 있지만 다른 외과적 시술에 대해서는 자기효율이 훨씬 낮거나 협력적인 수술보다 경쟁적인 환경에서 자기효율이 낮을 수 있다.

Unlike broader notions of self-concept or self-esteem, self-efficacy is domain, task and context-specific. For instance, a medical student might report fairly high self-efficacy for simple suturing but may have much lower self-efficacy for other surgical procedures, or might have lower self-efficacy in a competitive environment than in a cooperative one.


[자기 효능감]은 [결과에 대한 기대outcome expectancy]와 혼동되지 않아야 한다. 즉, [결과에 대한 기대]란 특정 결과가 주어진 행동에서 비롯될 것이라는 믿음이다(즉, 개인에게 예상되는 값). 한 사람의 자기효능감은 그 사람이 기대하는 결과를 결정하는 데 도움이 되기 때문에, 이 둘은 전형적으로 정적으로 상호 연관되지만, 때로는 자기효능성과 결과 기대치가 서로 다른 경우도 있다. 예를 들어, 성적이 좋고 효과가 뛰어난 대학생은 불합격을 예상하기 때문에 가장 엘리트적인 의대에 지원하지 않기로 선택할 수도 있다. 이 경우 학문적 자기효과는 높지만 결과적 기대는 낮다. 연구에 따르면 [자기 효능감]은 [결과에 대한 기대치]보다 행동의 더 나은 예측 변수라고 한다.26,27 그러나 궁극적으로 자기 효과성과 바람직한 결과 기대 모두 최적의 동기를 위해 요구된다.18

Self-efficacy should not be confused with outcome expectation – the belief that certain outcomes will result from given actions18 (i.e. the anticipated value to the individual). Because self-efficacy beliefs help to determine the outcomes one expects, the two constructs are typically positively correlated, yet sometimes self-efficacy and outcome expectations diverge. For example, a high-performing, highly efficacious college student may choose not to apply to the most elite medical school because she expects a rejection. In this case, academic self-efficacy is high but outcome expectations are low. Research indicates that self-efficacy beliefs are usually better predictors of behaviour than are outcome expectations.26,27 Ultimately, however, both self-efficacy and favourable outcome expectations are required for optimal motivation.18


Bandura, Zimmerman 및 Schunk는 인식, 동기, 영향 및 선택을 포함한 핵심 학습 프로세스를 활성화하는 데 있어 자기 효능감의 역할이 중요함을 식별했다. 학습자에게 어떤 학습 과제가 주어지면 되면, 과거의 경험, 적성 및 사회적 지원으로 자신의 과제 수행 전 자기효능감을 집합적으로 결정한다. 이후에 과제 수행 중에, 그리고 과제 수행 이후에 학습자가 여러 단서를 해석하여 자기효능감을 조금 더 shaping한다. 이러한 자기효능감의 원천들 중에서 가장 강력한 것은 학습자들이 이전의 경험들을 어떻게 해석하는가 하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말해서 성공은 사람의 자기효율을 강화하는 반면 실패는 그것을 약화시킨다. 또한 학습자는 다른 사람의 행동(모델링)의 결과를 해석한다. 

Bandura, Zimmerman and Schunk have identified the key role of self-efficacy in activating core learning processes, including cognition, motivation, affect and selection.6,25,28,29 Learners come to any learning task with past experiences, aptitudes and social supports that collectively determine their pretask self-efficacy. Several factors influence self-efficacy during the task (Fig. 3), and during and after the task learners interpret cues that further shape self-efficacy.27 Among these sources of self-efficacy, the most powerful is how learners interpret previous experiences (so-called enactive mastery experiences). Generally speaking, successes reinforce one’s self-efficacy, whereas failures weaken it. In addition, learners interpret the outcomes of others’ actions (modelling). 



학습자는 다른 사람의 행동(모델)이 자신과 유사하다고 인식하는 경우(예: 근사치) 그러한 대리 경험에 기초하여 자기효능감을 조정할 수 있다. 언어적 설득의 영향("할 수 있어!")은 기껏해야 한계가 있는 것 같다. 게다가, 비현실적이라고 증명되는 설득은 자기효율을 손상시키고 설득자의 신뢰를 떨어뜨릴 수 있다. 마지막으로, 생리적이고 감정적인 정보는 자기효능적 믿음을 형성한다: 열정과 긍정적인 감정은 전형적으로 자기효율을 향상시키는 반면 부정적인 감정은 그것을 감소시킨다.

Learners may adjust their own efficacy beliefs based on such vicarious experiences, particularly if they perceive the model as similar to themselves (e.g. a near-peer). The influence of verbal persuasion (‘You can do it!’) appears to be limited at best. Furthermore, persuasion that proves unrealistic (e.g. persuasion to attempt a task that results in failure) can damage self-efficacy and lowers the persuader’s credibility. Finally, physiological and emotional information shapes self-efficacy beliefs: enthusiasm and positive emotions typically enhance self-efficacy whereas negative emotions diminish it.24,27


사회적 인식 이론이 실용적 적용을 위해 운영되는 한 가지 방법은 학생들이 동기 부여와 학습을 관리하는 방법을 다루는 자기조절(SRL)의 개념을 포함한다. 짐머맨은 세 가지 주기적 단계로 구성된 자기 규제30 모델을 제안했는데, 이 모델은 자기효능성 평가, 목표와 전략 수립, 성과(과제 중, 자기감시 등), 자기반성(과제 후)이다. 자율규제는 의학교육에 있어서 적극적인 조사의 영역이다.

One way in which social-cognitive theory has been operationalised for practical application involves the concept of self-regulation, which addresses how students manage their motivation and learning. Zimmerman proposed a model of self-regulation30 comprising three cyclical stages: forethought (before the task, e.g. appraising self-efficacy, and establishing goals and strategies), performance (during the task, e.g. self-monitoring) and self-reflection (after the task). Self-regulation is an area of active investigation in medical education.14,15


목표지향성(성취목표) 이론

GOAL ORIENTATION (ACHIEVEMENT GOAL) THEORIES


목표 지향 이론에서 ‘목표’의 의미는 대부분의 다른 동기 이론에서와 다르다. 학습 목표('내 목표는 심장학에 대해 배우는 것')를 언급하기 보다는, 이 이론의 군집에서의 목표는 일반적으로 잠재의식인 학습에서의 넓은 방향이나 목적을 가리킨다. 

  • 성과목표에서 가장 큰 관심사는 다른 사람들보다 더 잘 하고 바보같이 보이는 것을 피하는 것이다: ‘좋은 점수를 받고 싶다’는 것이다. 

  • 반면, 숙달목표는 학습의 본질적 가치(즉, 새로운 지식이나 기술을 습득하는 것)에 초점을 맞춘다: ‘자료를 이해하고 싶다’

이러한 두 가지의 포괄적인 지향성이 이어지는 학습 행동이나 접근으로 이어진다. Dweck의 ‘지성의 암시적 이론’은 이러한 두 가지 방향을 더 진전시켜 학습자의 학습 능력에 대한 근본적인 속성(‘마음의 생각’ 또는 성향과 신념)을 반영한다는 것을 시사한다(그림 4).

The meaning of ‘goals’ in goal orientation theories31–34 (also called achievement goal theory) is different from that in most other motivation theories. Rather than referring to learning objectives (‘My goal is to learn about cardiology’), the goals in this cluster of theories refer to broad orientations or purposes in learning that are commonly subconscious. 

  • With performance goals the primary concern is to do better than others and avoid looking dumb: ‘I want to get a good grade’. 

  • Mastery goals, by contrast, focus on the intrinsic value of learning (i.e. gaining new knowledge or skills): ‘I want to understand the material’. 

These broad orientations lead in turn to different learning behaviours or approaches. Dweck’s theory of ‘implicit theories of intelligence’ takes these two orientations further, suggesting that they reflect learners’ underlying attributions (‘mindsets’, or dispositional attitudes and beliefs) regarding their ability to learn (Fig. 4).



성과목표를 가진 학습자는 지능이나 능력이 안정된 고정특성(entity mindset)이라는 자기이론을 가지고 있다. 사람들은 똑똑하거나(또는 농구나 예술에 능하다) 그렇지 않다. 이런 안정된 성질은 바꿀 수 없기 때문에 학습자들은 자신들이 잘해야 하는 ‘충분함’을 가지고 있는 것처럼 보이고 느끼는 것에 대해 우려하고 있다. 

  • 쉽고 낮은 성공이 그들을 더 똑똑하게 느끼게 하고 지속적인 학습을 장려한다; 

  • 도전적이고, 노력하며, 성과가 좋지 않은 것은 학습자들이 점차적으로 흥미를 잃고 결국 포기하도록 유도하는 것으로 해석된다. 

Learners with performance goals have a (subconscious) self-theory that intelligence or ability is a stable fixed trait (an ‘entity’ mindset). People are either smart (or good at basketball or art) or they’re not. Because this stable trait cannot be changed, learners are concerned about looking and feeling like they have ‘enough’, which requires that they perform well. 

  • Easy, low-effort successes make them feel smarter and encourage continued study; 

  • challenging, effortful tasks and poor performance are interpreted as indicating low ability and lead learners to progressively disengage and eventually give up. 

이러한 실체적 사고방식을 가진 학습자들은 실패를 확대하여 성공에 대한 기억을 잊어버리고, 도전에 직면하여 재빨리 포기하고, 방어적이거나 자기모순적인 행동을 취한다. 그들의 능력에 대한 강한 믿음 때문에 그들이 실패 후에도 (끊이지 않고) 인내하도록 이끌지도 모른다. 그러나, 낮은 자신감은 그들이 실패에 대해 지적 능력이 부족하기보다는 노력 부족(‘난 정말 노력하지 않았다’)을 탓하는 것이 심리적으로 더 안전하기 때문에 그들을 ‘불쌍한helpless’ 상태로 몰아가게 할 것이다. Dweck은 '똑똑해 보이는 것에 가장 관심이 있는 학생들이 바로 이런 이유로 불리하게 될 수 있다는 것은 아이러니하다'고 지적했다.32

Learners with this entity mindset magnify their failures and forget their successes, give up quickly in the face of challenge, and adopt defensive or self-sabotaging behaviours. A strong belief in their ability may lead them to persevere after failure. However, low confidence will cause them to disengage into a ‘helpless’ state because it is psychologically safer to blame failure on lack of effort (‘I wasn’t really trying’) than on lack of intelligence. Dweck noted, ‘It is ironic that those students who are most concerned with looking smart may be at a disadvantage for this very reason’.32


이와는 대조적으로, 숙달목표 지향의 학습자들은 학습을 통해 지성과 능력이 증가하거나 향상될 수 있다는 자기이론을 가지고 있다(증가적 사고방식). 사람들은 공부하고 연습함으로써 더 똑똑해진다. 이러한 사고방식은 사람들로 하여금 학습기회를 더 어렵게 만들 것이기 때문에 사람들이 학습기회를 찾도록 유도한다. 그들은 도전과 심지어 초기 실패에도 성공한다. 왜냐하면 그들은 암묵적으로 '고통 없이는 얻는 것도 없다'라는 믿음을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사실, 현재의 능력에 대한 자신감이 낮은 학습자조차도 그들이 점진적인 사고방식을 가지고 있다면 도전적인 과제를 선택할 것이다. 점진적인 사고방식을 가진 학습자들은 학습에 완전히 관여하고 그들의 능력을 확장시킬 때 똑똑함을 느낀다. 쉬운 일은 거의 가치가 없고 실패는 더 나은 전략을 찾고 새로운 노력을 하기 위한 신호로 여겨진다.

Learners with a mastery goal orientation, by contrast, have a self-theory that intelligence and ability can increase or improve through learning (an ‘incremental’ mindset). People get smarter (or better at basketball or art) by studying and practising. This mindset leads people to seek learning opportunities because these will make them smarter. They thrive on challenge and even initial failure because they have an implicit ‘No pain, no gain’ belief. In fact, even learners with low confidence in their current ability will choose challenging tasks if they have an incremental mindset. Learners with an incremental mindset feel smart when they fully engage in learning and stretch their ability (the mastery goal orientation); easy tasks hold little or no value and failure is viewed as simply a cue to look for a better strategy and exert renewed effort.


마인드셋은 귀속 이론의 관리성 및 안정성 차원과 관련이 있다: 

  • 엔티티 마인드는 고정적이고 통제할 수 없는 원인(예: 능력)의 귀속성을 초래하는 반면, 

  • 점증적 마인드셋은 통제 가능하고 변경 가능한 원인(예: 노력)의 귀속성을 초래한다.31,35 

마인드셋은 전형적으로 흑백이 아닌 정도의 문제다., 그리고 특정 영역과 상황에 특정한 것으로 보인다: 학습자는 주로 절차적 작업에 대한 실체적 믿음을 가질 수 있지만 의사소통 기술에 대한 점진적 믿음을 가질 수 있다. 연령에 따라 마인드셋이 변화한다: 어린 아이들은 일반적으로 증가하는 마인드를 가지고 있는 반면, 대부분의 사람들은 12세까지 엔터티 마인드셋으로 옮겨갔다.

Mindsets are related to the controllability and stability dimensions of attribution theory: entity mindsets lead to attributions of fixed and uncontrollable causes (e.g. ability), whereas incremental mindsets lead to attributions of controllable and changeable causes (e.g. effort).31,35 Mindsets are typically a matter of degree, not black-and-white, and appear to be domain and situation specific: a learner might have predominantly entity beliefs about procedural tasks but incremental beliefs about communication skills. Mindsets change with age: young children typically have incremental mindsets, whereas most people have shifted toward entity mindsets by age 12.32


Dweck 등의 연구에 기반을 둔 연구자들은 성과 목표를 학습자를 

  • 지게 보이게 하는 목표(다른 사람을 능가하려고 노력하는 것과 같은 성과 접근 목표)와 

  • 쁜 모습을 피하려고 하는 목표(도전적이고 불확실한 과제를 회피하는 것과 같은 성과 회피 목표)로 구분했다.38,39 

Researchers building on the work of Dweck and others33,36,37 have separated performance goals into 

  • those that make the learner look good (performance ‘approach’ goals such as trying to outperform others) and 

  • those in which the learner tries to avoid looking bad (performance ‘avoidance’ goals such as avoiding challenging or uncertain tasks).38,39 


실제 환경에서 얻은 경험적 결과는 어떤 outcome이냐에 따라 다르다: 성과 목표는 숙달 목표보다 일관되게 더 높은 성과(예: 더 나은 성적)와 더 연관되어 있는 반면, 숙달된 목표는 더 큰 관심과 깊은 학습 전략과 관련이 있다. 이러한 경험적 관찰은 추가적인 설명이 필요하지만 숙달 위주의 연구 전략의 단점을 보여주는 것이거나, 피상적인 학습을 선호하는 채점 시스템을 보여주는 것일 수도 있다.40 반면 성과-회피 목표는 낮은 성과 및 다른 부정적 성과와 일관되게 연관되어 있다.

Empirical results from real-world settings differ for different outcomes: performance-approach goals are consistently more associated with higher achievement (e.g. better grades) than are mastery goals, whereas mastery goals are associated with greater interest and deep learning strategies. These empirical observations require further explanation but could reflect shortcomings in mastery-oriented study strategies (i.e. learners focus on areas of interest rather than studying broadly) or grading systems that favour superficial learning.40 Performance-avoidance goals, by contrast, are consistently associated with low achievement and other negative outcomes.


Dweck의 이론에서 가장 설득력 있는 발견 중 하나는 성장형incremental 사고방식이 가르칠 수 있다는 것이다. 무작위적인 실험은 학생들에게 두뇌가 고갈되고 무한한 학습 능력을 가지고 있다는 것을 가르치면 그들은 더 많은, 더 어렵고, 더 어려운 학습 기회를 추구하고 도전 앞에서 인내하게 된다는 것을 보여준다.32 이러한 효과의 지속과 미래 과제에 대한 이전이 불완전하게 설명된 상태로 남아있다.

One of the most compelling findings of Dweck’s theory is that the incremental mindset is teachable. Randomised trials demonstrate that teaching students that the brain is malleable and has limitless learning capacity leads them to seek more, and more difficult, learning opportunities and to persevere in the face of challenge.32 The duration of this effect and its transfer to future tasks remain incompletely elucidated.


불행히도, 고정형entity 사고방식 역시 가르칠 수 있거나, 최소한 의도하지 않게 (경쟁, 프레임 능력을 정적 또는 빠르고 쉬운 성공을 칭찬하는) 개인 및 학습 분위기에 의해서 강화되는 것으로 보인다. 학습자의 자신감을 북돋우기 위한 피드백("정말 잘했어, 정말 똑똑해야 해!")은 무심코 고정형 사고방식을 부추길 수 있다. 교사들은 선천적인 능력을 강조하기보다는 누구나 타고난 능력을 발휘하면 배울 수 있다는 자신감을 심어줘야 한다.

Unfortunately, the entity mindset also appears to be teachable, or at least unintentionally reinforced by individuals and learning climates that encourage competition, frame abilities as static or praise quick and easy success. Feedback intended to boost a learner’s confidence (‘You did really well on that test; you must be really smart!’) may inadvertently encourage an entity mindset. Rather than emphasising innate ability, teachers should instill confidence that anyone can learn if they work at it.


다른 동기 이론들은 [목표 설정]과 [목표 내용]과 같이, 목표의 다른 측면을 설명하려고 시도한다.6,41 

  • [목표 지향] 이론은 접근과 참여의 이유와 방법에 초점을 맞춘다. 

  • [목표 설정] 이론은 성과 기준에 초점을 맞추고, 목표 특성(근접성, 특이성 및 난이도)과 목표 선택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 목표 달성 수준 및 공약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탐구한다.42 

  • [목표 내용] 이론은 달성하고자 하는 것(즉, 예상되는 결과)에 초점을 맞춘다. 

포드와 니콜스41은 그들이 사람 내 목표(예: 엔터테인먼트, 행복, 지적 창조성)로 분류한 24가지 기본목표와 사람과 환경 사이의 상호작용을 다루는 목표(예: 우월성, 소속성, 형평성, 안전성)의 콘텐츠 분류법을 개발했다.

Other motivation theories attempt to explain other aspects of goals, such as goal setting and goal content.6,41 

  • Goal orientation theories focus on the why and how of approach and engagement. 

  • Goal setting theories focus on the standard of performance, exploring issues such as goal properties (proximity, specificity and difficulty) and the factors that influence goal choice, the targeted level of performance and commitment.42 

  • Goal content theories focus on what is trying to be achieved (i.e. the expected consequences). 

Ford and Nichols41 developed a content taxonomy of 24 basic goals that they categorised as within-person goals (e.g. entertainment, happiness and intellectual creativity) and goals dealing with interactions between the person and environment (e.g. superiority, belongingness, equity and safety).


자기결정이론

SELF-DETERMINATION THEORY


자기결정론(그림 5)은 동기부여가 양(치수)뿐 아니라 질(유형, 방향)에서도 다양하다는 것을 실증한다. 

  • 인간은 본질적으로 자신의 환경과 상호작용하면서 자신의 의지(필요를 충족시키는 방법을 선택할 수 있는 능력)를 사용하기를 원하고, 자기가 본질적으로 즐긴다고 생각하는 활동을 추구하는 경향이 있다. 우리의 최고, 가장 건강하고 가장 창의적이고 생산적인 업적은 일반적으로 우리가 그 일에 대한 본질적인 관심에 의해 동기 부여될 때 일어난다. 

  • 불행히도, 비록 어린 아이들이 본질적으로 흥미롭지 않은 활동을 하기 위해 10대까지, 그리고 성인이 될 때까지 우리는 점차 외부적인 영향들에 직면하게 된다. 경력 목표, 사회적 가치, 약속된 보상, 기한 및 벌금의 형태로 오는 이러한 영향들은 반드시 나쁜 것은 아니지만 궁극적으로는 내재적 동기를 전복시킨다. 강력한 증거는 보상이 내적 동기를 감소시킨다는 것을 보여준다.43 

Deci와 Ryan은 내적 동기를 촉진하는 방법과 외적 압력이 작용했을 때 동기부여를 강화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자기결정 이론을 개발했다. 

Self-determination theory (Fig. 5) posits that motivation varies not only in quantity (magnitude) but also in quality (type and orientation). 

  • Humans innately desire to be autonomous – to use their will (the capacity to choose how to satisfy needs) as they interact with their environment – and tend to pursue activities they find inherently enjoyable. Our highest, healthiest and most creative and productive achievements typically occur when we are motivated by an intrinsic interest in the task. 

  • Unfortunately, although young children tend to act from intrinsic motivation, by the teenage years and into adulthood we progressively face external (extrinsic) influences to do activities that are not inherently interesting. These influences, coming in the form of career goals, societal values, promised rewards, deadlines and penalties, are not necessarily bad but ultimately subvert intrinsic motivation. Strong evidence indicates that rewards diminish intrinsic motivation.43 

Deci and Ryan developed self-determination theory to explain how to promote intrinsic motivation and also how to enhance motivation when external pressures are operative.



내재적 동기선천적인 인간의 성향이기 때문에 생기는 것이 아니라, 불리하거나 유리한 조건에 의해 억압되거나 조장된다. 자기결정 이론의 첫 번째 위 이론인 [인지 평가 이론]은 세 가지 기본적인 심리학적 필요를 충족시키는 것은 

  • 자율성(행동을 통제할 기회) 

  • 능력(자기효능감) 및 

  • 관련성(연관성이 있다고 느끼는 타인과의 관계 또는 소속감).

Intrinsic motivation is not caused because it is an innate human propensity, but it is alternatively stifled or encouraged by unfavourable or favourable conditions. Cognitive evaluation theory, a sub-theory of self-determination theory, proposes that fulfillment of three basic psychosocial needs will foster intrinsic motivation: 

  • autonomy (the opportunity to control one’s actions), 

  • competence (self-efficacy) and 

  • relatedness (a sense of affiliation with or belonging to others to whom one feels [or would like to feel] connected). 


  • 자율성은 선택의 기회를 제공하고, 감정을 인정하고, 판단을 피하고, 행동에 대한 개인적인 책임을 장려함으로써 추진된다. 보상, 처벌, 기한, 판단력 평가 및 기타 통제력 있는 행동은 모두 자율성을 훼손한다. 
  • 역량은 최적의 도전과 자기효율을 촉진하고(위 설명과 같이) 부정성을 회피하는 피드백에 의해 지원된다. 
  • 관계성은 진정한 배려, 상호 존중 및 안전성을 보여주는 환경을 통해 촉진된다.
  • Autonomy is promoted by providing opportunities for choice, acknowledging feelings, avoiding judgement and encouraging personal responsibility for actions. Rewards, punishments, deadlines, judgemental assessments and other controlling actions all undermine autonomy. 

  • Competence is supported by optimal challenge, and by feedback that promotes self-efficacy (as outlined above) and avoids negativity. 

  • Relatedness is promoted through environments exhibiting genuine caring, mutual respect and safety.


외부의 영향에 의해 동기가 부여된 활동에서는 동기부여의 성격과 결과적인 성과 모두 크게 다르다. 처벌을 두려워하여 숙제를 하는 의대생의 동기는 환자에게 최적의 치료를 제공하고자 하는 성실한 열망에 의해 촉발된 학습 의욕과는 매우 다르다. 데키와 라이언은 이러한 질적 차이는 외부 힘이 내실화되고 통합되는 정도(개인의 자아 의식에 따라 평가됨)의 차이로 인해 발생하는 것이라고 제안했다. 두 번째 하위이론인 [유기적 통합 이론]은 이러한 차이를 설명한다.

In activities motivated by external influences, both the nature of the motivation and the resultant performance vary greatly. The motivation of a medical student who does his homework for fear of punishment is very different from motivation to learn prompted by a sincere desire to provide patients with optimal care. Deci and Ryan proposed that these qualitative differences arise because of differences in the degree to which external forces have been internalised and integrated (assimilated into the individual’s sense of self). A second sub-theory, organismic integration theory, explains these differences.


[유기적 통합 이론]은 조절 스타일을 세 가지로 나눈다. 

  • 한 극단은 적 동기이다(매우 생산적이고 자발적임)

  • 사이에는 외적 동기가 있다(외부 힘 또는 규정에 의해 유발되는 조치)

  • 다른 극단은 무동기이다. (완전히 의지의 결여, 행동 실패 또는 동작만 거치는 것) 

Organismic integration theory identifies three regulatory styles: 

  • intrinsic motivation at one extreme (highly productive and spontaneous), 

  • amotivation at the other extreme (complete lack of volition, failure to act or only going through the motions) and 

  • extrinsic motivation in between (actions prompted by an external force or regulation). 


외향적 동기는 차례로 외부 규제가 내면화(가치나 규정을 취함)통합(그 조절 자체이 더 큰 변화로 이어지는 것)의 정도에 따라 변하는 4단계로 나뉜다.

  • 외부 규제: 가장 낮은 수위는 보상을 받거나 처벌을 피하기 위해 행동하는 외부 규제이다. 

  • 규제 내면화: 죄책감이나 불안을 피하기 위한 행동, 또는 자존심이나 자존심을 높이기 위한 행동이다. 그 규정은 부분적으로 내실화되었지만 개인적인 목표로 받아들여지지 않았다. 

  • 규제 인정: 외부적 압력이 개인적으로는 중요한 자기희망 목표가 되었음을 시사하지만, 그 목표는 본질적으로 바람직하기보다는 유용하기 때문에 그 가치를 인정한다.

  • 규제 통합: 함께 외부 영향력은 내부(내부적) 이익과 통합되어 개인의 정체성과 포부의 일부가 된다. 

Extrinsic motivation is divided, in turn, into four levels that vary in the degree to which the external regulation has been internalised (taking in a value or regulation) and integrated (further transformation of that regulation into their own self).44,45 

  • The lowest level is external regulation: acting only to earn rewards or avoid punishment. 

  • Next is introjected regulation: acting to avoid guilt or anxiety, or to enhance pride or self-esteem. The regulation has been partially internalised but not accepted as a personal goal. 

  • Identified regulation suggests that the external pressure has become a personally important self-desired goal, but the goal is valued because it is useful rather than because it is inherently desirable. 

  • Finally, with integrated regulation the external influences are integrated with internal (intrinsic) interests, becoming part of one’s personal identity and aspirations. 


규제력이 규제 인정 또는 규제 통합 단계가 되면 인과관계가 내면에 위치(통제)하게 되고, 행동은 대체로 자율적이고 스스로 결정한 것으로 여기게 된다. 반면, 외부 규제 및 규제 내면화는 인과관계가 외부에 위치함을 반영한다. ‘따라서, 헌신적이고 진정한 것은 내실화와 통합을 통해 이루어지지만, 여전히 개인이 외적으로 동기부여를 받을 수 있다'

Regulatory forces with identified and integrated regulation reflect an internal locus of causality (control) and behaviours are perceived as largely autonomous or self-determined, whereas both external and introjected regulation reflect an external locus of causality. ‘Thus, it is through internalisation and integration that individuals can be extrinsically motivated and still be committed and authentic.’45 


연구에 따르면 위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한 세 가지 심리학적 요구가 다음과 같이 외적 동기의 내면화통합을 촉진한다고 한다. 

  • 내면화에는 관계성과 역량이 중요하고,

  • 통합에는 자율성이 중요하다.

Research suggests that the same three psychosocial needs described above promote the internalisation and integration of extrinsic motivations, with 

  • relatedness and competence being particularly important for internalisation, and 

  • autonomy being critical for integration.


최적의 동기부여와 웰빙은 세 가지 니즈 모두를 충족시켜야 하기 때문에, ‘기본적 욕구 사이의 갈등을 일으키는 사회적 맥락은 소외와 정신이상학의 조건을 설정한다’. 이러한 요구의 중요성은 교육뿐만 아니라 직장 성과, 환자 준수, 전반적인 건강과 웰빙에서도 확인되었다.46

Because optimal motivation and well-being require meeting all three needs, ‘Social contexts that engender conflicts between basic needs set up the conditions for alienation and psychopathology’.45 The importance of these needs has been confirmed not only in education, but also in workplace performance, patient compliance and overall health and well-being.46



이론 간 통합

INTEGRATION ACROSS THEORIES


지난 25년 동안, 현대의 동기 이론들은 점점 더 핵심 개념을 공유하고 차용해 왔다.17 예를 들어, 여기에서 논의된 다섯 가지 이론들은 모두 인간의 인식에 영향을 주고 강력한 동기적 통제력을 발휘하는 것으로 인정한다. 또한 모든 것은 개인과 그들의 사회-환경적 맥락 사이의 상호작용을 강조한다

  • Expectancy의 정의는 자기 효능감과 실질적으로 중복되는 것을 반영하도록 진화해왔다. 

  • 귀인 이론은 앞서 존재하던 기대-가치 이론에서 나왔으며, 기대와 가치의 기원과 선행(왜?)을 설명하기 위한 노력의 일환이다. 결국 사건의 일시적 순서와 감정의 중요성을 강조하였다. 

  • 목표 지향 이론은 초기 목표 이론과 암묵적 귀인 개념을 통합했다. 

  • 자기결정론은 자율성(속성 이론에서의 권리와 통제)과 능력(자율성과 매우 유사함)을 모두 강조한다. 

이러한 개념적 중첩으로, 각 이론 내에서 운용적으로 정의되는 용어와 혼동되기 쉽다. 표 2는 이러한 잠재적 혼동 영역을 명확히 하기 위한 시도다.

Over the past 25 years, contemporary motivation theories have increasingly shared and borrowed key concepts.17 For example, all five theories discussed herein acknowledge human cognition as influencing perceptions and exerting powerful motivational controls. All also highlight reciprocal interactions between individuals and their socio-environmental context. 

  • Definitions of expectancy have evolved to reflect substantial overlap with self-efficacy. 

  • Attribution theory emerged from earlier expectancy-value theories in an effort to explain the origins and antecedents (the ‘Why?’) of expectancies and values, ultimately emphasising the temporal sequence of events and the importance of emotions. 

  • Goal orientation theory merged early goal theories with the concept of implicit attributions. 

  • Self-determination theory emphasises both autonomy (locus and control in attribution theory) and competence (very similar to self-efficacy). 

With this conceptual overlap, it is easy to get confused with the terms as operationally defined within each theory. Table 2 attempts to clarify these areas of potential confusion.


이러한 노력을 통해 우리는 현대 이론들 중에서 역량 신념, 가치 신념, 귀속성 및 사회적 인식 상호작용의 네 가지 반복되는 주제를 확인했다. 우리는 이러한 이론들이 이 네 가지 개념으로 축소될 수 있다고 제안하는 것이 아니라, 이러한 기본 원칙들이 개별 이론에 대한 보다 미묘한 이해를 뒷받침한다고 제안한다. 한 이론적 프레임워크를 사용하여 수행된 연구는 다른 이론과 관련된 통찰력을 얻을 수도 있다.

Through this effort we have identified four recurrent themes among contemporary theories: competence beliefs, value beliefs, attribution and social-cognitive interactions. We do not suggest that these theories can be reduced to these four concepts, but that these foundational principles underpin a more nuanced understanding of individual theories. Research conducted using one theoretical framework might also yield insights relevant to another.


경계가 점차 모호해지고 개념적 중첩이 증가한다는 점을 고려하면, 동기부여에 대한 대통일 이론을 달성할 수 있는가? 우리는 각 이론이 더 큰 그림의 다른 영역에 빛을 비추고, 따라서 개별 학습자와 다양한 사회적 맥락, 주제 및 결과가 포함된 복잡한 현상에 대한 고유한 관점에 기여한다는 점에 주목한다. 게다가, 용어를 명확히 하려는 우리와 다른 사람들의 노력에도 불구하고, 이론들간의 개념적 차이는 사전적 정의가 해결할 수 있는 것보다 훨씬 더 깊다. 주어진 이론적 영역 내에서조차, 서로 다른 조사자들은 매우 다른 결론을 이끌어내는 미묘하지만 중요한 구분을 가진 운영상 정의 개념과 결과 측정치를 가지고 있다.31,37,39 이러한 차이들이 이론적으로나 경험적으로 조정될 수 있는 정도는 여전히 볼 수 있도록 한다.17중복되는 개념과 그들이 감당할 수 있는 풍요로움을 위한 명시적인 이론적 통합에 사려깊게 자본화하면서 이론적 구별을 유지한다.

Given the progressive blurring of boundaries and increasing conceptual overlap, can – or should – we ever achieve a grand unified theory of motivation? We note that each theory shines light on a different region of a larger picture, and thus contributes a unique perspective on a complex phenomenon involving individual learners and varying social contexts, topics and outcomes. Moreover, despite our and others’ efforts7,47 to clarify terminology, conceptual differences among theories run much deeper than dictionary definitions can resolve. Even within a given theoretical domain, different investigators have operationally defined concepts and outcome measures with subtle but important distinctions that lead to vastly different conclusions.31,37,39 The degree to which these differences can be both theoretically and empirically reconciled remains to be seen.17 For now, we encourage maintaining theoretical distinctions while thoughtfully capitalising on overlapping concepts and explicit theoretical integrations for the enrichments they afford.


함의 및 결론

IMPLICATIONS AND CONCLUSIONS


다른 저자들은 동기부여 이론의 실질적인 적용, 대부분의 경우 동기부여를 강화할 수 있는 교육적 변화를 확인했다.

표 S1(온라인에서 이용 가능)에서 우리는 이러한 제안들에 대한 간략한 개요를 제공하며, 거의 모든 제안들은 보건 직업 교육에 대한 조사를 보증한다. 교육자와 연구자는 이러한 개입과 기타 개입을 어느 정도로 적용할지 결정해야 한다.

  • 모든 학습자에게 적용할지(즉, 전반적인 학습 환경과 교육 품질을 개선하기 위해). 

  • 특정한 동기적 특성을 가지 학생에게만 적용할지(예: 낮은 자기효율성, 엔티티 마인드셋, 부적응 속성 또는 외부 동기)

Other authors have identified practical applications of motivation theory, most often instructional changes that could enhance motivation.3,4,6,16,32 In Table S1 (available online) we provide a short summary of these suggestions, nearly all of which warrant investigation in health professions education. Educators and researchers will need to determine whether to apply these and other interventions to all learners (i.e. to improve the overall learning environment and instructional quality) or only to those with specific motivational characteristics (e.g. low self-efficacy, entity mindsets, maladaptive attributions or external motivations).17,48,49


우리는 앞으로의 연구를 위한 고려사항으로 더 이상의 논의를 제한할 것이다. Pintrich50은 동기 연구에 대한 7가지 광범위한 질문을 식별하고 이러한 질문을 조사하기 위한 일반적인 연구 원칙을 제안했다. 우리는 표 S2(온라인에서 이용 가능)에 요약한다. 정교함이나 강조를 통해, 우리는 이론적, 방법론적 경계를 가로지르는 네 가지 넓은 고려사항으로 결론을 내린다.

We will limit our further discussion to considerations for future research. Pintrich50 identified seven broad questions for motivation research and suggested general research principles for investigating these questions; we summarise these in Table S2 (available online). By way of elaboration or emphasis, we conclude with four broad considerations that cut across theoretical and methodological boundaries.


첫째, 동기부여는 단일 구인와는 거리가 멀다. 이것은 분명해 보일 수 있지만, 일반 교육자와 연구자 모두 특정 이론이나 개념적 틀에 대해 명확하지 않은 채 일반적으로 '동기화'를 말한다. 비록 서로 다른 이론들이 서로 완전히 모순되는 경우는 거의 없지만, 각각의 이론들은 동기부여의 다른 측면, 학습의 다른 단계, 다른 학습 과제와 다른 결과들을 강조한다.17,19,51 개념적 혼란을 피하고 그들의 연구의 이론구축 잠재력을 최적화하기 위해, 우리는 연구자들이 명백하게 식별하도록 권장한다. 그들의 이론적 렌즈, 다른 동기적 구조를 정의하고 운용하는 데 정확하고, 연구 계획 초기에 이론별 문헌을 주의 깊게 검토한다.

First, motivation is far from a unitary construct. This may seem obvious, yet both lay educators and researchers commonly speak of ‘motivation’ without clarity regarding a specific theory or conceptual framework. Although different theories rarely contradict one another outright, each theory emphasises different aspects of motivation, different stages of learning, different learning tasks and different outcomes.17,19,51 To avoid conceptual confusion and to optimise the theory-building potential of their work, we encourage researchers to explicitly identify their theoretical lens, to be precise in defining and operationalising different motivational constructs, and to conduct a careful review of theory-specific literature early in their study planning.


둘째, 동기 부여 연구의 결과 측정은 적어도 두 가지 이유로 어렵다. 즉, [측정할 결과](심리적 구성)의 선택과 [선택된 결과를 측정하는 특정 척도]의 선택이다. 결과와 척도의 선택과 결과 평가 시점은 연구 결과에 상당한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예를 들어, 숙달 및 성과 접근 목표 방향에 대한 결과(따라서 결론)는 결과마다 다르다.39 Schunk는 네 가지 일반적인 동기 부여 결과(과제, 노력, 지속성 및 성취도 선택)를 식별하고 이 각각의 측정 도구를 제안했다.6 학습자들은 또한 과정을 얼마나 동기부여하는지를 평가 할 수 있다. 주어진 연구와 가장 관련이 있는 결과는 이론과 연구 질문에 따라 달라질 것이다. 차례로, 각 결과에 대해 일반적으로 복수의 측정 접근법과 특정 척도가 있는데, 각각 강도와 한계가 있다. 예를 들어, 행동 중심의 측정은 인지 과정의 중요성을 감소시키는 반면, 자기 보고 측정은 자기 인식의 정확성에 의해 제한된다모든 계측기에 대해 점수의 유효성을 뒷받침하는 증거는 의도적으로 계획, 수집 및 평가되어야 한다.53,54

Second, measuring the outcomes of motivation studies is challenging for at least two reasons: the selection of which outcomes (psychological constructs) to measure and the choice of specific instruments to measure the selected outcomes. The choice of outcomes and instruments, and the timing of outcome assessment, can significantly influence study results. For instance, results (and thus conclusions) for mastery and performance-approach goal orientations vary for different outcomes.39 Schunk identified four general motivation outcomes (choice of tasks, effort, persistence and achievement) and suggested tools for measuring each of these.6 Learners can also rate how motivating they perceive a course to be.52 The outcome(s) most relevant to a given study will depend on the theory and the research question. In turn, for each outcome there are typically multiple measurement approaches and specific instruments, each with strengths and limitations. For example, behaviour-focused measures diminish the importance of cognitive processes, whereas selfreport measures are limited by the accuracy of selfperceptions. For all instruments, evidence to support the validity of scores should be deliberately planned, collected and evaluated.53,54


셋째, 연구자들은 동기이론의 명확하고 실제적인 적용을 시험해야 한다.50,55,56위에서 논의된 각 이론은 예측 변수 조건(예: 더 높거나 낮은 성공 기대치)과 동기 관련 결과 사이의 이론-예측 연관성을 입증하는 경험적 증거를 가지고 있다. 그러나 이 연구들에서 인과관계가 항상 명확하지는 않다(실험적이라기 보다는 상관관계가 있는 경우가 많다) 더욱이, 발견의 실질적인 의의는 때때로 불확실하다. 예를 들어, 결과 측정의 변화는 학습자의 의미 있고 지속적인 변화를 반영하는가, 아니면 단지 연구 조건의 인공물인가? 잘 계획된 실험은 동기 조작과 결과 사이의 인과관계를 강화할 수 있다.57 

Third, researchers should test clear, practical applications of motivation theory.50,55,56 Each of the theories discussed above has empirical evidence demonstrating theory-predicted associations between a predictor condition (e.g. higher versus lower expectancy of success) and motivation-related outcomes, but the cause-effect relationship in these studies (often correlational rather than experimental) is not always clear. Moreover, the practical significance of the findings is sometimes uncertain; for example, does a change in the outcome measure reflect a meaningful and lasting change in the learner, or is it merely an artifact of the study conditions? Well-planned experiments can strengthen causal links between motivational manipulations and outcomes.57


우리는 자기효율을 최적화하기 위한 개입의 예를 찾을 수 있다. 과제 가치, 귀인, 사고방식 등. 그러나 동기적 조작에 대한 연구는 볼륨과 엄격함 모두에서 크게 제한되어 있다. 또한 컨텍스트(예: 강의실, 임상 또는 제어된 설정)와 학습자 경험 또는 전문 분야와 같은 매개적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동기 부여 개념을 특정 인지 프로세스와 연계시키는 것은 일관성이 없어 보이는 결과를 이해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연구 기반 권고안의 실제 구현은 자원 제한, 물류 제약 또는 관리자 및 교사로부터의 buy-in 부족에 의해 어려움을 겪을 수 있다. Translation과 implementation에 대한 연구가 필수적일 것이다.


 We can find examples of interventions intended to optimise self-efficacy,28 task value,5 attributions17 and mindsets,32 but research on motivational manipulations remains largely limited in both volume and rigour.17 Moreover, moderating influences such as context (e.g. classroom, clinical or controlled setting) and learner experience or specialty can significantly impact results. Linking motivational concepts with specific cognitive processes may be instrumental in understanding seemingly inconsistent findings.17,39 Finally, real-world implementations of research-based recommendations may be challenged by resource limitations, logistical constraints or lack of buy-in from administrators and teachers; research on translation and implementation will be essential.58


마지막으로, 우리는 일반적으로 교육에 대한 동기 이론을 구축하고 확장하는 연구를 요구하고 있다. 특히 보건 전문직 교육. 이론 구축 연구는 ‘개입이 효과가 있는지’외에도 다음을 조사해야 한다. 

  • 왜 작동하는지(즉, 조정 메커니즘) 

  • 누구를 위해 그리고 어떤 조건(즉, 영향을 완화)에서 작동하는지 

Lastly, we call for research that builds and extends motivation theory for education generally50 and health professions education specifically. Theory-building research should investigate ‘not only that the intervention works but also 

why it works (i.e., mediating mechanisms) as well as 

for whom and under what conditions (i.e., moderating influences)’.17 


그러한 연구는 이론적 렌즈, 개입 및 결과를 명시할 뿐만 아니라 독립적이고 종속적인 변수가 서로 어떻게 상호작용하는지 그리고 주제, 과제, 환경 및 학습자 특성과 함께 고려(그리고 이상적으로 예측)한다. Harackiewicz는 동기 관련 변수들 사이에서 가능한 네 가지 관계와 상호작용을 확인했다.

Such research not only specifies the theoretical lens, interventions and outcomes, but also considers (and ideally predicts) how independent and dependent variables2 interact with one another and with the topic, task, environment and learner characteristics.59 Harackiewicz identified four possible relationships and interactions among motivationrelated variables:


1 첨가적(다양한 요인은 단일 결과에 대해 독립적인 첨가제 효과를 가진다.)

2 상호작용적(다른 요인이 단일 결과에 복잡한 영향을 미침)

3 특화적(특정 개입의 영향은 결과에 따라 달라짐) 및

4 선택적(일정한 개입에 대한 결과는 상황에 따라 달라진다. 예를 들어, 맥락이나 주제)39


1 additive (different factors have independent, additive effects on a single outcome),

2 interactive (different factors have complex effects on a single outcome),

3 specialised (the impact of a given intervention varies for different outcomes) and

4 selective (outcomes for a given intervention vary by situation, e.g. context or topic).39


우리는 예비 조사자가 개념적 뉘앙스, 현재 증거, 잠재적 상호작용, 중요한 결과 및 시기적절한 질문을 이해하기 위해 이론별 문학을 더욱 탐구할 것을 권장한다.47,60

We encourage would-be investigators to further explore theory-specific literatures to understand conceptual nuances, current evidence, potential interactions, important outcomes and timely questions.47,60


Table S1. Summary of practical applications of motivation theory.


Table S2. A research agenda for motivation in education.





, 50 (10), 997-1014
 

Motivation to Learn: An Overview of Contemporary Theories

Affiliations 

Affiliations

  • 1Mayo Clinic Online Learning, Mayo Clinic College of Medicine, Rochester, Minnesota, USA. cook.david33@mayo.edu.
  • 2Multidisciplinary Simulation Center, Mayo Clinic College of Medicine, Rochester, Minnesota, USA. cook.david33@mayo.edu.
  • 3Division of General Internal Medicine, Mayo Clinic, Rochester, Minnesota, USA. cook.david33@mayo.edu.
  • 4Division of Health Professions Education, Department of Medicine, Uniformed Services University of the Health Sciences, Bethesda, Maryland, USA.

Abstract

Objective: To succinctly summarise five contemporary theories about motivation to learn, articulate key intersections and distinctions among these theories, and identify important considerations for future research.

Results: Motivation has been defined as the process whereby goal-directed activities are initiated and sustained. In expectancy-value theory, motivation is a function of the expectation of success and perceived value. Attribution theory focuses on the causal attributions learners create to explain the results of an activity, and classifies these in terms of their locus, stability and controllability. Social- cognitive theory emphasises self-efficacy as the primary driver of motivated action, and also identifies cues that influence future self-efficacy and support self-regulated learning. Goal orientation theory suggests that learners tend to engage in tasks with concerns about mastering the content (mastery goal, arising from a 'growth' mindset regarding intelligence and learning) or about doing better than others or avoiding failure (performance goals, arising from a 'fixed' mindset). Finally, self-determination theory proposes that optimal performance results from actions motivated by intrinsic interests or by extrinsic values that have become integrated and internalised. Satisfying basic psychosocial needs of autonomy, competence and relatedness promotes such motivation. Looking across all five theories, we note recurrent themes of competence, value, attributions, and interactions between individuals and the learning context.

Conclusions: To avoid conceptual confusion, and perhaps more importantly to maximise the theory-building potential of their work, researchers must be careful (and precise) in how they define, operationalise and measure different motivational constructs. We suggest that motivation research continue to build theory and extend it to health professions domains, identify key outcomes and outcome measures, and test practical educational applications of the principles thus derived.

GME의 설계와 시행에서 이론과 실천(Acad Med, 2012)

Theory and Practice in the Design and Conduct of Graduate Medical Education

Brian David Hodges, MD, PhD, and Ayelet Kuper, MD, DPhil



이론은 사회가 어떻게 작동하는지, 조직이 어떻게 운영되는지, 왜 사람들이 특정한 방식으로 상호작용하는지에 대한 복잡하고 포괄적인 개념적 이해를 제공한다. —Reeves 등1

Theories provide complex and comprehensive conceptual understandings of things that cannot be pinned down: how societies work, how organizations operate, why people interact in certain ways. —Reeves et al1


의학교육 관행은 [쉽게 표현되는 이론적 또는 개념적 틀]보다 전통, 의식, 문화, 역사의 결과인 경우가 더 많다.

Medical education practice is more often the result of tradition, ritual, culture, and history than of any easily expressed theoretical or conceptual framework.


이론이란 무엇인가?

What Is Theory?


이론은 중력과 같다: 우리의 삶의 경험과 깊이 연관되어 있지만, 물질보다 더 개념적이어서 직접적으로 보이지 않는다. 중력은 인간의 존재 전반에 걸쳐 존재해 왔지만 뉴턴이 중력 이론을 기술하고 나서야 인간은 그 성격과 용도를 논할 개념적 언어를 가지고 있었다물론, 중력이 이론적인 용어로 공식화되기 훨씬 전에 실제로 작용하고 있었다. 그러나, 과학 이론이 출현한 후에야 중력에 대한 심층적인 이해가 연구 개발에 활용될 수 있었다.

Theory is like gravity: profoundly linked to our experience of life, but also more conceptual than material and therefore not directly visible. Gravity has been present throughout human existence, but it was not until Newton described gravitational theory that humans had a conceptual language to discuss its nature and use. Gravity was, of course, used in practice long before it was formulated in theoretical terms. However, only with the advent of scientific theory could an in-depth understanding of gravity be harnessed for research and development.


많은 종류의 이론들이 의학 교육과 실천에서 역할을 한다. 그러나 뉴턴 이전의 중력과 마찬가지로 의학 교육에서의 연습은 쉽게 표현된 이론적 또는 개념적 틀보다는 전통, 의식, 문화, 역사의 결과인 경우가 더 많다.

Theories of many kinds play a role in medical education and practice. Yet, as with gravity prior to Newton, practice in medical education is more often the result of tradition, ritual, culture, and history than of any easily articulated theoretical or conceptual framework.


보르디지2는 의학 교육의 모든 연구개발은 이론적 틀에 근거해야 한다고 주장해 왔다. 그러나 이론과 실제 사이에 인위적인 분열split이 발생할 위험이 있다. 즉, 전자는 상아탑의 이론가로, 후자는 in-the-trenches 의사로 강등시킨다. 

Bordage2 has argued that all research and development in medical education should be based on a theoretical framework. However, there is a risk of developing an artificial split between theory and practice—relegating the former to ivory tower theoreticians and the latter to in-the-trenches practitioners.


스토크는, 파스퇴르의 사분면에서 연구가 실천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이론의 발전]과 [새로운 지식의 사용]을 모두 강조해야 한다고 제안한다.

Stokes,4 in Pasteur’s Quadrant, suggests that research should emphasize both the development of theory and the use of new knowledge to improve practice.


실천과 프락시스라는 단어와 같이, 이론, 개념적 틀, 인식론, 패러다임과 같은 용어는 서로 다르지만 관련된 의미를 갖는다. 그러나 우리는 이러한 용어들의 미묘한 의미에 대한 논의는 제쳐두고 비전문가 독자들의 접근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의도적으로 그것들을 한데 모았다

  • 우리는 "이론"이라는 용어를 리브스와 동료1가 사물이 어떻게 작용하는지에 대해 "복잡하고 포괄적인 개념적 이해"라고 부르는 것이라는 의미로 사용했다. 

  • 마찬가지로, 우리는 가르침/배움/창조/상호작용/리딩/거버닝 등등 집합적으로 교육을 구성하는 모든 활동들을 대표하는 용어로 Practice를 사용하였다.

Terms such as theory, conceptual framework, epistemology, and paradigm have different but related meanings, as do the words practice and praxis. However, we have left aside discussion of these terms’ nuanced meanings and deliberately lumped themtogether to improve accessibility for the nonspecialist reader. 

  • We have used theory to represent what Reeves and colleagues1 have called a “complex and comprehensive conceptual understanding” of how things work. 

  • Similarly, we use have used practice to represent doing—teaching, learning, creating, interacting, leading, governing, and all the other activities that collectively make up education.


GME에 어떤 종류의 이론이 유용한가?

What Kinds of Theories Are Useful to Graduate Medical Education?


(이론이란 것은) "실제" 임상 및 교육 환경으로부터 동떨어져 안락의자 이론가들이 토론하는 상아탑 개념과는 거리가 멀다. 이론은 의과대학의 성격과 그 안에서 사람들이 하는 역할을 분석하는 매우 유용한 방법이다. 이는 사소한 변화에서 급진적인 개혁에 이르기까지 어떤 것을 상상하고 입안하는 데 기여할 수 있다.

—쿠퍼 및 호지6

Far from being ivory tower concepts debated by armchair theorists at great remove from “real” clinical and educational settings …theories are very useful ways to analyse the nature of medical schools and the roles people play within them, in the service of imagining and enacting anything froma minor change to a radical reform. —Kuper and Hodges6


수백 가지 이론이 있다. 그들은 작은 규모에서 큰 규모에 이르기까지 지역마다 다르다. 원대한 이론과 제한된 이론, 학문(경제학, 사회학, 생물학, 물리학), 접근법(비판이론), 학파나 운동(심리학, 마르크스주의)과 관련된 이론들이 있다.

There are hundreds of theories. They range fromlocal to global, fromsmall scale to large. There are grand theories and circumscribed theories, theories tied to disciplines (economics, sociology, biology, physics), to approaches (critical theory), and to schools or movements (psychoanalysis, Marxism).


표 1은 이론 유형별로 집적된 이론 목록을 제시한다.

Table 1 presents a list of theories, clustered by theory type,


생물과학이론의 클러스터에서, 이론은 인간의 뇌가 어떻게 배우는지에 초점을 맞춘다. 그 스펙트럼의 다른 쪽 끝에는 사회학, 인류학, 경제학 및 기타 분야의 사회문화 이론이 존재해서, 왜 의대를 가지고 있으며, 더 큰 사회와 함께 의대가 어떻게 기능하는지에 대한 유용한 관점을 제공한다.

In the bioscience cluster, theories focus on how the human brain learns. At the other end of the spectrum, sociocultural theories fromsociology, anthropology, economics, and other disciplines provide useful perspectives on why we have medical schools at all and how they function vis-a`-vis the larger societies




생명과학이론과 의학교육

Bioscience Theories and Medical Education


생물과학에서 발생하는 이론은 의학 자체가 오랫동안 생물 의학의 실습과 연구 모델에 우선순위를 부여해 왔기 때문에 의학 교육자들에게 가장 친숙하다.

Theories arising from bioscience are the most familiar to medical educators because medicine itself has long given priority to biomedical models of practice and research.


  • 생물과학 접근법은 의학에서 매우 dominant하기 때문에, 그 자체가 이론으로 표현되지 않는 경우가 많다. 이처럼 "생물과학 이론"의 만연하기 때문에 특별한 이론이 사용되고 있지 않다는 인상을 줄 수 있다. 따라서 의사들과 의학교육자들은 때때로 이론 자체의 성격을 식별하는 데 어려움을 겪는다.7 

Because bioscience approaches are so dominant in medicine, they are not often articulated as theories per se. The pervasiveness of such “theories” can lead to the impression that no particular theory is being used. Thus, physicians and medical educators sometimes have difficulty identifying the nature of theory itself.7 


  • (반면)사회과학은 이론이 무엇인지를 분명히 밝히고, 어떤 이론이 어떤 맥락이나 질문과 관련이 있는지를 토론하며, 이론 자체의 역사와 진화를 연구하는 전통을 더 뚜렷하게 가지고 있다. 그러므로 사회과학자들은 서로 다른 이론의 역할과 효용성에 대해 생각해 본 경험이 더 많다.

The social sciences have a stronger tradition of explicitly articulating what theory is, debating which theories are relevant to which contexts and questions, and studying the history and evolution of theory itself. Social scientists therefore have more experience in thinking about the role and utility of different theories.


생명과학이론: 강력한, 종종 당연하게 여겨지는

Bioscience Theories: Powerful, Often Taken for Granted


생물분자 의학과 유전학과 같은 영역에서 발생하는 기본적인 생물과학 이론은 처음에는 의학 교육에 거의 도움이 되지 않는 것처럼 보일 수 있다. 그러나, 유전적 결정론의 개념이 의과대학이나 레지던트 입학에 대한 논의에 얼마나 자주 적용되는지를 알면 놀랄 것이다. 이 토론에서는 의학과 실습에 적합한 속성에 대한 끝없는 논쟁이 벌어진다.

Fundamental bioscience theories arising fromdomains such as biomolecular medicine and genetics may initially seem to offer little to medical education. However, it is striking how often the concept of genetic determinismis applied to discussions about medical school and residency admissions, wherein endless debates occur about attributes appropriate for medical education and practice.


성격과 이후의 행동 사이의 연관성은 많은 영역에서 보여질 수 있고, 인간의 행동에 대한 유전적 결정 요인은 의심할 여지 없이 존재하지만, 환경의 맥락이 분명히 행동 형성에 기여하는 바가 있다. 따라서 생물학적, 유전적, 그리고 다른 결정론적 이론들이 복잡한 행동과 관련이 있지만, 입학선발 과정에서 이 이론들의 암묵적 사용은 맥락의 중요성을 경시한다.

Whereas links between personality and later behavior can be shown in many domains, and although genetic determinants of human behaviors undoubtedly exist, environmental contexts shape behaviors to such an extent that genetic contributions alone cannot be isolated. Thus, although biological, genetic, and other deterministic theories have relevance to complex behaviors, their tacit use in the admission process belies the importance of context;


이와는 대조적으로 신경과학은 교육에 유용한 이론적 개념을 제공한다. 학습의 신경생물학에 대한 최근의 검토는 신경과학이 의학 교육에 어떻게 영향을 미칠 수 있는지를 엿볼 수 있게 해준다.10 예를 들어, 르블랑,11은 시뮬레이션 학습 환경에서 스트레스를 받는동안 HPA 축의 활성화가 약물 복용량 계산에서부터 의사 결정 및 협력자에 이르기까지 모든 것에 얼마나 큰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본다.

Neuroscience, by contrast, offers useful theoretical notions for education. A recent review of the neurobiology of learning provides glimpses of how neuroscience might influence medical education.10 LeBlanc,11 for example, looks at howactivation of the hypothalamic– pituitary axis during stress in simulated learning environments significantly affects everything from drug dose calculations to decision making and collaboration.


생명과학 이론이 의학 교육에 적용된 제3의 영역은 kinesiology 에서 비롯된다. 예를 들어 월시와 동료 15, 브라이지스와 동료 16에 의한 연구는 기술력에서 모터 학습을 이해하기 위해 모터 제어 이론에 의존한다. 기초 운동 학습에 관한 이론들은 테크니컬 스킬을 습득하기 위한 regimen의 설계에 활용되어 왔다.

A third area in which bioscience theory has been applied to medical education arises fromkinesiology. Research by Walsh and colleagues15 and Brydges and colleagues,16 for example, draws on theories of motor control to understand motor learning in technical skills. Theories from basic motor learning have been used to inform the design of regimens for acquiring technical skills.


1950년대부터 많은 심리학자들과 심리측정학자들도 의과대학의 대열에 합류했다. 이러한 연구자들은 일찍부터 의학 교육에 대한 전문성과 중요성을 정당화하기 위해 상당한 옹호 활동을 했다.20 이것은 심리학적 이론이 의학 교육에서 모든 생명과학 이론 중 가장 지배적인 존재가 된 이유 중 하나일 것이다. 예를 들어, 지식이 학습을 위해 어떻게 구성되고, 나중에 회상되고, 실제로 employ되는지를 포함하여 인지적 의사결정을 연구한 오랜 역사가 있다.

Since the 1950s, many psychologists and psychometricians have joined the ranks of medical schools. Fromearly on, these researchers engaged in significant advocacy to legitimize their expertise and their importance to medical education.20 This may be one of the reasons that psychological theories have arguably had the most dominant presence of all bioscientific theories in medical education. For example, there is a long history of studying cognitive decision making, including how knowledge is structured for learning, recalled later, and employed in practice.


멀티미디어 기술의 출현으로 인해 학습의 개념적 모델을 연구하는 인지 심리학의 한 분야에서의 새로운 이론적 연구가 성장하게 되었다. 예를 들어, 멀티미디어 학습의 인지 이론은 사람들이 이 두 가지 다른 종류의 입력을 처리하는 별도의 채널이 있기 때문에 그림과 단어는 서로 다르게 배운다고 가정한다. 작업 메모리에서 정보를 처리하는 능력은 제한되기 때문에 의미 있는 학습은 텍스트와 시각적 이미지를 모두 포함하는 적절한 인지 처리가 필요하다.

The emergence of multimedia technologies has led to the growth of new theoretical research in a branch of cognitive psychology that studies conceptual models of learning. For example, the cognitive theory of multimedia learning posits that people learn differently from words than from  pictures because there are separate channels for processing these two different kinds of inputs. Because the capacity to process information in working memory is limited, meaningful learning requires appropriate cognitive processing that includes both textual and visual images.


다양한 학습 방식의 효과에 대한 논쟁은 생물학적인 측면에서 거의 제기되지 않지만, 다양한 종류의 매체(소셜 미디어 포함), 교실 접근, 시험 방법론의 효과는 뇌가 어떻게 기능하는지에 대한 이론을 구축하면서 생물과학의 렌즈를 통해 접근할 수 있다.

Although debates about the effectiveness of various modes of learning are rarely couched in biological terms, the effectiveness of various kinds of media (including social media), classroom approaches, and testing methodologies can be approached through the lens of bioscience, building on theories about how the brain functions.


학습이론: 흔한, 유용한, 근거기반은 일관되지 않은

Learning Theories: Common, Useful, Variable Evidence Base


환자 이익을 위한 의학의 임상적 효과와 효율성은 의학교육의 질에 기초해야 한다. 그리고 의학 교육의 질은 높은 설명력, 탐구력, 예측력을 제공하는 현대 학습 이론에 근거해야 한다. —Bleakley34

Clinical effectiveness and efficiency in medicine for patient benefit should be grounded in the quality of medical education. In turn, the quality of medical education should be informed by contemporary learning theory that offers high explanatory, exploratory and predictive power. —Bleakley34


학습 이론은 일반적으로 의학 교육 및 특히 GME에 유용하고 인기가 있다. 그러한 이론들은 주로 심리학과 교육학이라는 다양한 학문적 전통에서 기원한다. Mann35는 최근 의학 교육에 일반적으로 적용되는 학습 이론에 대한 유용한 개요를 발표했다. 그녀의 리뷰는 행동주의자, 인지주의자, 휴머니스트, 사회주의자, 그리고 구성주의자다섯 가지 범주에서 이론을 배우는 데 초점을 맞추고 있다. 우리는 이 분야에 관심이 있는 사람들에게 Mann의 분류를 추천한다.

Learning theories are popular and useful for medical education generally and for graduate medical education specifically. Such theories emerge froma range of different disciplinary traditions, primarily psychology and education. Mann35 has recently published a helpful overview of learning theories commonly applied to medical education. Her review focuses on learning theories in five categories: behaviorist, cognitivist, humanist, social, and constructivist. We recommend Mann’s classification to those interested in this area.


비록 학습 이론이 널리 쓰이지만, 그들의 근거 기반은 똑같이 견고하지 않다. 어떤 이론은 진정한 이론이라기보다 학문에 대한 은유라고 볼 수 있을 것 같다. Norman36은 가장 흔히 인용되는 학습 이론 중 하나인 성인 학습 이론을 날카롭게 비판하였다.

Although learning theories are widely employed, their evidence bases are not equally robust. Some seem to operate more as metaphors about learning than as true theories. Norman36 has sharply critiqued one of the most commonly cited learning theories: adult learning theory.


1970년대 초 말콤노울스에 의해 처음 기술된 성인 학습 이론은 성인들이 어떻게 배우는지에 대한 분명해 보이는 공리에 기초하고 있다. 근본가정은 대부분 검증되지 않은 상태로 남아 있으며, 비판적인 분석에 따르면 근본가정도 성인과 어린이 사이의 선천적인 차이보다는 성인들이 속해있는 환경의 산물일 수 있음을 시사한다. 성인 학습의 원칙에 대한 무비판적 의존은 특히 역량 유지의 영역에서 해로운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

Adult learning theory, first described by MalcolmKnowles in the early 1970s, is based on a number of apparently self- evident axioms about how adults learn. The fundamental assumptions remain largely untested, and a critical analysis suggests that they may be largely a product of the environment in which adults find themselves rather than of any innate differences between adults and children…. Uncritical reliance on the principles of adult learning may have detrimental consequences, particularly in the domain of maintenance of competence.


그 중에서도 에바와 레게르(37)는 많은 연구에서 (성인학습이론의 핵심 구인인) 자기 평가와 자기 주도성이 문제가 되는 이유를 이해하기 위해 여러 가지 다른 이론을 비교한다. 간단히 말해서, 자기 평가와 자기 주도성은 증거 기반 구인이 아닌 것 같다고 말한다. 이보다, 자기 모니터링38와 지시된자기유도학습39와 같은 개념은 더 강한 이론적 기초 위에 놓여 있다.

Eva and Regehr,37 among others, compare several different theories in an effort to understand why self-assessment and self- direction—the central constructs at the heart of adult learning theory—are problematic in many studies. Simply put, self-assessment and self-direction seem not to be evidence-based constructs. By contrast, notions such as self-monitoring38 and directed, self-guided learning39 rest on a stronger theoretical base


그녀의 리뷰에서, Mann35는 가장 강력한 학습 접근방식은 학습을 "맥락과 밀접하게 연계되고 공동체 활동에 참여와 적극적인 관여를 통해 발생하는 것"이라고 보는 이론에 기초하고 있음에도, 너무 많은 관심이 학습자에게 개인으로서 집중되어 왔다고 주장한다. 그녀는 의학 교육을 설계하기 위한 강력한 기반으로서 사회적 인지 이론상황 학습 이론을 강조한다.

In her review, Mann35 argues that too much attention has been focused on learners as individuals, noting that the most robust learning approaches are based on theories that view learning as “intimately tied to context and occurring through participation and active engagement in the activities of a community.” She highlights social cognitive theory and situated learning theory as strong bases on which to design medical education.


이러한 이론적 관점은 탈맥락화된 개인 특성의 평가에서 벗어나 학습자의 행동과 연습 환경 참여에 대한 분석을 지향한다. 집단이나 팀뿐만 아니라 기관 전체의 집단 학습에 중점을 두고 있다.

These theoretical perspectives direct attention away from the assessment of decontextualized individual traits and toward analyzing learner behaviors and participation in practice settings. The emphasis is on collective learning, not only in groups or teams but also by whole institutions.


사회문화이론: 덜 사용된, 복잡한, 가치있는

Sociocultural Theories: Underused, Complex, Valuable


사회과학 이론은 

의학 교육의 특정한 방식이 어떻게 구성되는지를 탐구하고, 

그 성격과 기능에 대한 탐구되지 않은 가정들을 조사하며, 

발생한 함의와 부작용을 가시적으로 만드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쿠퍼 및 호지6

Social science theories can be used to 

explore how particular modes of medical education are constructed, 

examine unexplored assumptions about their nature and function, and 

make visible implications and adverse effects of the way they have come to be. —Kuper and Hodges6


오늘날 많은 의학 교육자들은 연구를 위한 맥락을 제공하고 교육 프로그램 설계를 추천하기 위해 학습 이론을 잘 활용하고 있다. 그러나, 지속적인 의학 교육에 이론의 사용을 검토하는 또 다른 기사에서, 만44는 다음과 같은 도전적인 질문을 던진다. 교육 이론이 우리에게 얼마나 도움이 되었는가? 그녀는 이 질문에 대한 답이 mixed 되어있다고 주장한다; 어떤 경우에는 이론이 실제로 교육적 실무에 도움이 되었다. 동시에, 많은 이론적 작업이 적용되기 어려웠거나 (성인 학습 이론과 마찬가지로) 타당성에 의문이 제기되었다. 그녀는 "Practitioner들에게 큰 기회를 줄 수 있는 이론의 새로운 영역은 인류학, 사회학 그리고 사회문화학 연구로부터 온다."44

Many medical educators today are making good use of learning theories to provide context for their research and to recommend educational programdesign. However, in another article reviewing the use of theory in continuing medical education, Mann44 asks a challenging question: How much has educational theory helped us? She argues that the answer is mixed; in some instances, theory has indeed been helpful to inform educational practice. At the same time, a great deal of theoretical work has been difficult to apply or has proved to be of questionable validity (as with adult learning theory). She notes that “an emerging area of theory that may hold great opportunity for practitioners … comes from anthropology and sociology and the study of sociocultural learning.”44


이와 유사하게, Bleakley45는 [더 넓은 교육 문헌에서 제공되는 광범위한 이론]과 [의학 교육에서 특권을 누려온 비교적 좁은 범위의 이론] 사이에 불일치가 존재한다고 주장한다. 그는 Mann과 마찬가지로, 현재 지배적인 학습이론은 개인이 어떻게 학습하는지에 국한되어 있으며, "유동적인 임상 팀과 같은 역동적이고 복잡하고 불안정한 시스템"에서 학습이 어떻게 발생하는지 설명하지 못한다"고 제안한다.45

Similarly, Bleakley45 argues that a mismatch exists between the broad range of theories offered in the wider education literature and the relatively narrow range of theories that have been privileged in medical education. He suggests, like Mann, that currently dominant learning theories are limited in that they address how individuals learn, yet fail to explain how learning occurs in “dynamic, complex and unstable systems such as fluid clinical teams.”45


사회문화 이론은 최근까지 의학 교육자들에게 거의 알려지지 않았다. 의학 밖의 연구자들은 때때로 그러한 이론을 이용하여 의학교육을 연구하기도 했는데, 예를 들어 베커와 동료 46(백인의 소년), 머튼과 동료 47(학생-)과 같은 저명한 사회학자들이 의과대학의 교양에 관한 고전적인 의학사회학 문헌을 만들었다.의사)는 의료 교육에 종사하지 않았다. 그러나 의학 교육자 자신들은 그러한 이론들이 의학 교육의 발전에 적용될 수 있도록 사회 문화 이론에 대해 충분히 알지 못했다. 사회학자, 인류학자, 정치경제학자, 사회과학과 인문학에 대한 전문지식을 가진 다른 사람들이 의학교육 연구 분야에 진출하면서, 그들의 home discipline에서 나온 다양한 관점, 접근법, 이론들을 가지고 오면서, 이것은 지금 변화하고 있다.

Sociocultural theories have been, until recently, largely unknown to medical educators. Researchers outside medicine have sometimes studied medical education using such theories, which produced, for example, classic medical sociology texts about acculturation in medical school by eminent sociologists like Becker and colleagues46 (Boys in White) and Merton and colleagues47 (The Student–Physician), who were not themselves engaged in medical education. Medical educators themselves, however, have rarely known enough about sociocultural theories to enable such theories’ application to the development of medical education. This is now changing as sociologists, anthropologists, political economists, and others with expertise in the social sciences and humanities are entering the field of medical education research, bringing with them a wide variety of perspectives, approaches, and theories from their home disciplines.


언뜻 보면 대규모의 사회 문제를 다루는 그런 이론과 관점은 임상 교사들의 실제적인 관심과는 거리가 멀어 보일 수도 있다. 그러나 사회문화 이론은 매우 실용적일 수 있다. 그들은 의료 교육의 다양한 측면을 선택적으로 부각시키는 렌즈를 제공할 수 있으며, 각각의 렌즈는 차례대로 다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 어떤 이론들은 구조적인 문제에 주의를 환기시켜, 입법이나 정책적 맥락과 의학교육에 대한 제약의 긍정적, 부정적 영향에 대한 면밀한 검토를 가능하게 한다. 

  • 또 다른 이론은 집단과 집단 내의 사회적 관계에 다루면서, 의료 교육의 문화적, 사회적 또는 대인 관계에 대한 조사를 한다. 여기에 속하는 많은 이론들이 비판적이다. 즉, 권력의 영향을 강조함으로써, 그렇지 않으면 알아차리지 못할지도 모르는 불평등에 주의를 환기시킨다는 것을 의미한다. 


At first glance, such theories and perspectives, which often address large- scale societal questions, may seemvague and distant fromthe practical concerns of clinical teachers. However, sociocultural theories can be intensely practical. They can provide lenses that selectively highlight different aspects of medical education, allowing each to be addressed in turn. For example, 

  • some theories call attention to structural issues, enabling a close examination of the positive and negative effects of legislative or policy contexts and constraints on medical education. 

  • Others hone in on social relations between and within groups, exposing to scrutiny the cultural, social, or interpersonal aspects of medical education. Many such theories are critical, which means that they highlight the effects of power, bringing attention to inequities that might otherwise go unnoticed. 


사회문화 이론은 이전에 보이지 않았던 어떤 것을 볼 수 있게 한다; 그리고 나서 새롭게 보이는 문제들을 연구할 수 있고, 새롭게 보이는 해결책들을 실행할 수 있다.

Sociocultural theories make certain previously invisible things visible; newly visible problems can then be studied, and newly visible solutions can be implemented.


이런 식으로 사회문화 이론은 결국 의학 교육의 전면적인 reimagining으로 이어질 수 있다. 미래를 위한 의학 교육: 예를 들어, 정체성, 힘, 그리고 위치에서, 블리클리 교수와 동료는 의료 교육이 환자 중심의 민주적인 미래를 지향해야 한다고 주장하기 위해 몇 가지 비판적인 이론을 사용한다. 그들은 개인주의적인 영웅-의사가 더 이상 전문직업적 이상이 아니라고 주장한다. 오히려 의학교육의 목적은 명확하게 정의된 의료 과제를 달성하기 위해 form and reform하는 분산된 사회 네트워크에 참여할 수 있는 의료전문직을 개발하는 것이라고 주장한다. 그들은 어떻게 모더니즘, 무균, 격리된 교실을 실제 건강 관리의 복잡한 지저분함에 내재된 유연한 인간 규모의 공간으로 대체해야 하는지 설명한다. 또한, 그들은 교실과 클리닉의 인위적인 분리와 시뮬레이션과 실제 경험의 분리를 해체해야 한다고 제안한다.

Sociocultural theories can, in this way, eventually lead to a wholesale reimagining of medical education. In Medical Education for the Future: Identity, Power, and Location, for example, Bleakley and colleagues48 use several critical theories to argue that medical education as a practice must be reoriented toward a patient- focused, democratic future. They contend that the staunchly individualistic hero– doctor is no longer the professional ideal; rather, the purpose of medical education is to develop medical professionals who can participate in dispersed social networks that form and reform to accomplish clearly defined health care tasks. They describe how modernist, sterile, and sequestered classrooms should be replaced by flexible, human- scale spaces embedded in the complex messiness of real-world health care. Further, they suggest that the artificial separations of classroom and clinic and of simulated and real experiences should be dissolved.


GME에 대한 함의는 크다. 미국과 캐나다의 새로운 역량 프레임워크가 의료 전문지식을 넘어서는 역할을 강조하지만, 블리클리 및 동료들의 분석은 협력, 커뮤니케이션, 옹호, 시스템 기반 관행과 같은 역량 육성은 실제 작업장workplace에 포함되어야 하며, academic half-days나 classroom learning에 격리되어서는 안 된다고 제안한다. 더욱이, 이러한 역량의 차원에 대해 배우는 것은 사회적 네트워크, 팀 역학, 그리고 변화하는 의사 및 기타 사회 건강 전문가의 역할과 같은 실체들을 눈에 띄게 만든다. 블리클리 외 연구진은 배우 네트워크 이론문화-역사적 활동 이론과 같은 이론의 특별한 유용성과 이러한 접근법이 의학 교육의 목표를 재인식하는데 어떻게 사용될 수 있는지를 강조한다.

The implications for graduate medical education are significant. Although new competency frameworks in the United States and Canada emphasize roles beyond medical expertise, Bleakley and colleagues’48 analysis suggests that fostering such competencies as collaboration, communication, advocacy, and systems-based practice should be embedded in real workplaces and not sequestered in academic half-days and classroom learning environments. Furthermore, learning about these dimensions of competence makes visible such entities as social networks, team dynamics, and the changing role of doctors and other health professionals in society. Bleakley et al highlight the particular utility of such theories as actor network theory and cultural-historical activity theory and how these approaches can be used to reconceptualize the goals of medical education.


사회문화 이론은 또한 의학 교육에 관한 매우 실용적인 질문들을 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성별, 종교, 인종 및/또는 성적 성향으로 인한 불평등을 눈에 띄게 만드는 페미니스트와 반인종주의 이론은 GME의 가장 큰 문제 중 하나인 숨겨진 커리큘럼을 이해하고 다루기 위해 많은 것을 제공한다.49–51 비록 학생은 수년간의 공식적인 훈련을 통해 뛰어난 의사소통, 협업, 공감, 환자 중심적 태도에 대비할 수 있지만, 이러한 행동을 모델링하지 않는 작업 환경에서 단 몇 분만 있으면 학생의 행동에서 빠르게 사라질 것이다. 우리는 레지던트들에게 단순하게 다른 건강 전문가를 존중하도록 가르칠 수도 있지만, 그들이 직업professions들 사이에 존재하는 힘의 불균형, 계층구조, 경계 투쟁에 대해 생각하는 것에 전혀 노출되지 않는다면, 레지던트가 직장에서의 이러한 역학들을 해석하는 것은 물론, 그것을 다루거나 개선시키지 못할 것이다.52 그러므로 toxic한 학습 환경(인정 과정에서 종종 발굴되는 것)을 해독하기 위한 사회문화적 이론은 부적절한 관행과 숨겨진 커리큘럼을 밝혀줄 수 있다.

Sociocultural theory can also be used to ask very pragmatic questions about medical education. For example, feminist and antiracist theories, which make visible the inequities due to gender, religion, race, and/or sexual orientation, have a great deal to offer for understanding and addressing one of graduate medical education’s biggest problems: the hidden curriculum.49–51 Although a student can be prepared for excellent communication, collaboration, empathy, and patient- centered attitudes through years of formal training, just a few minutes in a work environment that does not model these behaviors will rapidly lead to their extinction in the student’s behaviors. We may teach residents to respect other health professionals in a simplistic way, but if they are never exposed to thinking about the power disparities, hierarchy, and boundary struggles that exist between professions, they will have no way of interpreting, much less coping with or ameliorating, these dynamics in the workplace.52 Thus, using sociocultural theories to decode toxic learning environments (something often unearthed during accreditation processes) can illuminate maladaptive practices and the hidden curriculum.


특정 사회문화 이론가들의 관점은 또한 GME에서 직면하고 있는 특정한 문제들을 푸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 예를 들어 부르디유의 사회자본이은 지원자에 대한 매력, 평판, 입학률의 관점에서 의과대학과 레지던트 프로그램의 차이와 경쟁력을 더 잘 이해하는 데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53 

  • 자본과 계급구조에 초점을 맞춘 신마르크스주의 이론은 보수-진료패턴-커리어 선택 사이의 연관성을 이해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 Foucault의 담론 이론과 그의 정상화 개념은 교육 및 보건 기관의 학생 또는 교사가 말하고, 생각하고, 할 수 있는 것에 대한 제약을 (따라서 해결할 수 있도록) 밝혀준다. 예를 들어, Fouculadian 관점은 가짜 공감이 나타날 수 있는 객관적인 구조화된 임상시험에서 권력이 어떻게 작용하는지를 연구하기 위해 사용되었고, 평가자로서 표준화된 환자 대신 의사를 사용하는 것의 의미를 고심하기 위해 사용되었다.56

The perspectives of certain iconic sociocultural theorists also make it possible to untangle specific problems faced in graduate medical education. For example, 

  • Bourdieu’s social capital theory could be used to better understand the differences and competitiveness of medical schools and residency programs in terms of attractiveness to applicants, reputation, and admission rates.53 

  • Neo-Marxist theories, which focus on capital and class structures, could be used to understand connections among remuneration, practice patterns, and—of great concern to postgraduate education— career choice.54 

  • Foucault’s theory of discourse and his notion of normalization bring to light (and thus allowto be addressed) the constraints on what it is possible for a student or teacher in educational and health care institutions to say, think, and be. For example, a Foucauldian perspective has been used to study how power operates in objective structured clinical examinations, where pseudoempathy can emerge,55 and to grapple with the implications of using physicians as opposed to standardized patients as examiners.56


사회관계 수준에서, 바흐틴의 언어 이론과 그의 notion of utterance, 그리고 스미스의 의미 창조 이론은 환자-의학자 및/또는 연습생-합동적인 dyad 내의 의사소통을 포함하여 대인관계에 대한 이해와 가르침에 대한 접근법을 제공한다. 이러한 사회문화 이론은, 예를 들어, 전문가들 간의 의사소통과 팀 기반의 협업에 대한 훈련이 자주 실패하는 이유를 이해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 실용주의적인 의사소통 기술이나 협업 기술은 배울 수 있지만, 전문적 계층, 권력 차등, 정체성의 힘이 무시된다면 그 기술은 결코 적용employ되지 않을 수도 있고, 더 나쁘게는 의도된 교육의 정반대의 것이 숨겨진 커리큘럼으로 전달될 수도 있다.

At the level of social relations, Bakhtin’s57 theories of language and his notion of utterance, and Smith’s58 theorizing of the intersubjective creation of meaning, offer approaches to understanding and teaching interpersonal communication, including communication within patient–physician and/or trainee–consultant dyads. These sociocultural theories can help us understand why training in interprofessional communication and team-based collaboration, for example, frequently fails. Although pragmatic communication skills or collaboration skills may be learned, if the forces of professional hierarchy, power differentials, and identity are ignored the skills may never be employed, or, worse, the very opposite of the intended pedagogy may be conveyed as a hidden curriculum.


GME에서 이론을 work에 활용하기

Putting Theory to Work in Graduate Medical Education


학문적/이론적 지식과 응용/실용적 작업의 이분법은 인위적이다. 지식과 연습은 따로 있는 것이 아니다.

the dichotomy between academic/theoretical knowledge and applied/practical work is artificial. Knowledge and practice are not separate.


심리치료에서, 그들의 문제에 대한 이론적 이해를 가진 치료사들에 의해 치료된 환자들은 더 나은 회복률을 가지고 있다고 한다. 흥미롭게도, 치료사가 [어떤 이론적 모델을 가지고 있는지]는 [이론적 모델을 가지고 있는지 여부]보다 덜 중요할 수 있다. 이론적 프레임워크를 갖는 것은 자신에게 정당화될 수 있는 합리적인 행동의 선택을 허용하고 오타케와 토론할 수 있기 때문에 교육자들에게도 도움이 될 가능성이 높다.r Rees와 Monrouxe61은 레오나르도 다빈치의 말을 인용한다. "이론 없이 연습을 좋아하는 사람은 방향타와 나침반 없이 배에 탑승하고 그가 어디에 캐스팅될지 모르는 선원과 같다."

It is said that in psychotherapy, patients treated by therapists with a theoretical understanding of their problemhave better recovery rates. Interestingly, it may be less important which theoretical model the therapist holds than that she or he does hold one.60 It seems probable that simply holding a theoretical framework is helpful for educators as well because having a theoretical framework allows for a reasoned choice of action that can be justified to oneself and discussed with others. Rees and Monrouxe61 quote Leonardo da Vinci as saying, “He who loves practice without theory is like the sailor who boards ship without a rudder and compass and never knows where he may cast.”


의료 교육자들이 의료 훈련생들에게 그들의 행동과 그 이유에 대해 성찰하도록 장려하는 것처럼, 우리는 의료 교육자들이 그들의 교육 관행을 안내하는 이론에 대해 좀더 성찰할 것을 권장한다. 학습과 교육에 대한 특정 접근방식에 대해 강하게 느끼는 의료 교육자는 특정한 이론적 프레임워크가 그러한 믿음과 행동을 더 잘 표현하는데 사용될 수 있는지, 자신의 신념과 행동의 기초가 무엇인지에 대해 생각해야 한다.

Just as medical educators encourage medical trainees to be reflective about their actions and the reasons for them, we encourage medical educators to be more reflective about the theories that guide their educational practices. A medical educator who feels strongly about a particular approach to learning and teaching should think aboutwhat theoretical notions underlie his or her beliefs and behaviors, whether a particular theoretical framework could beused to better articulate those beliefs and behaviors


때때로 여러 이론적 관점이 서로 긴장 상태에 있을 수 있다.62 그러나 의학 교육자들의 목표는 다른 무엇보다도 가장 좋은 이론을 선택하는 것이 되어서는 안 된다. 우리의 신념은 의료 교육자들이 패러다임 전쟁과 전공저격disciplinary sniping을 지양해야 한다는 것이다. 이론적 조화의 성공적인 예는 이미 의학 교육 문헌에 존재한다.

Sometimes, theoretical perspectives can be in tension.62 However, the goal of medical educators should not be to choose one best theory above all others. Our belief is that medical educators should avoid paradigm wars and disciplinary sniping. Successful examples of theoretical harmony already exist in the literature of medical education.


개인 수준에서 전문성을 다루는 것은 성격이나 인지적 속성과 관련된 이론들을 요구한다. 

사회적 상호작용주의 이론은 전문성의 대인 관계 차원과 관련된 교수 및 역할 모델링의 구조를 알려준다. 

마지막으로, 사회문화 이론은 제도적 행동과 문화의 정치적, 경제적 동인과 숨겨진 커리큘럼에 의해 행동이 어떻게 형성되는지를 설명할 수 있다.

  • Addressing professionalism at the individual level calls on theories related to personality or cognitive attributes. 

  • Social interactionist theories inform the structure of teaching and role modeling related to the interpersonal dimensions of professionalism. 

  • Finally, sociocultural theories can explain the political and economic drivers of institutional behavior and culture and how behaviors are shaped by hidden curricula.


사회문화 이론은 특히 직장 환경에 깊이 내재되어 있기 때문에 대학원 의학 교육에 적용할 수 있다. Eliot Freidson64는 수십 년 전 그의 저서 "의학 전문가"에서 의사들의 행동은 의사가 학생 때 배우는 어떤 것보다도 직장 본연의 영향을 훨씬 많이 받는다고 주장했다.

Sociocultural theory is particularly applicable to graduate medical education because it is deeply embedded in workplace settings. In his book Profession of Medicine, Eliot Freidson64 argued decades ago that physician behavior is far more influenced by the nature of the workplace than by anything doctors learn as students.


최근 의학 교육 개혁에 대한 요구들, 모든 사람들은 학습 상황, 직장, 그리고 그들이 책임을 져야 하는 사회에서 의사들의 역할에 더 많은 관심을 요구한다. 따라서, 의학교육 연구와 실천에서 생물과학과 학습이론은 계속해서 매우 중요할 것이지만, 아직 덜 사용되고 있는 사회문화적 이론들은, 의학을 배우고 실천하는 환경의 수준에서 설명적인 힘을 가지기에, 특히 PGME의 개혁과 재설계에 대한 이러한 요구에 대응함에 있어서 informative할 수 있다.

Recent calls for medical education reform, all demand greater attention to learning contexts, workplaces, and the roles of physicians in the societies to which they are accountable. Thus, while bioscience and learning theories will continue to be very important in medical education research and practice, underused sociocultural theories, with explanatory power at the level of the environments in which medicine is learned and practiced, may be particularly informative in responding to these calls for reformand redesign of postgraduate medical education.


표2

Table 2.



이러한 요소를 제공하는 우리의 목표는 두 가지다. 즉, 실용적 문제를 다룰 수 있는 생물과학 이론, 학습 이론, 사회문화적 이론의 범위를 설명하고, 다른 저자들은 어떻게 이론을 사용하여 유사한 관행을 이해하거나 평가했는지를 설명하는 것이다.

Our goal in providing these elements is twofold: to illustrate the range of bioscience theories, learning theories, and sociocultural theories that can be brought to bear on practical problems, and to illustrate how authors have used theory to understand or evaluate similar, if not precisely the same, practices.


어떻게 의학교육자들은 활용할 이론을 배울 수 있을까?

How Does a Medical Educator Learn to Use Theories?


한때 혁신적인 교육학적 방법이나 단순한 정량적 연구의 설명을 게재하는 것에 만족했던 의학 교육 저널은 이제 건강 전문 교육의 본질에 대한 온톨로지적, 인식론적 연구를 포함한 더 깊은 이론적 질문으로 눈을 돌리고 있다. —Hodges62

Medical education journals, once content to publish descriptions of innovative pedagogical methods or simple quantitative studies, are now turning to deeper theoretical questions including ontological and epistemological inquiries into the nature of health professional education. —Hodges62


이론들은 본질적으로 개념적이고 설명적이며, 따라서 학술작업, 연구, 저술, 논쟁이 한겹 한겹 쌓아지며 발전한다. 이론은 역동적이고 진화하고 있으며, 항상 반증될 위험이 있다.

Theories, by nature, are conceptual and explanatory and therefore built on layers and layers of scholarly work, research, writing, and debate. Theories are dynamic, evolving, and always at risk of being disproven.


이론에 참여하고, 이론의 개념적 차원을 이해하고, 그들의 기본 개념의 지적 기초를 숙달하는 것은 쉬운 일이 아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론에 정통한 접근법을 숙달하기 위해 발을 들여놓은 사람은 그러한 숙달에는 어느 정도 작업이 필요하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광범위한 독서가 필요하다. 이론을 실제로 사용하는 것은 [교육에 대해 믿는 것]과 [그러한 의견들을 뒷받침하는 증거의 성격]을 명확히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서로 다른 관점을 가진 사람들과의 토론과 논쟁을 인식하고 포용할 수 있는 것이다.

Engaging with theories, understanding their conceptual dimensions, and mastering the intellectual basis of their fundamental concepts are not easy tasks. Nevertheless, anyone setting out to master a theory-informed approach should understand that such mastery is going to take some work. Extensive reading is required. To use a theory in practice is to be able to articulate what one believes about education and the nature of the evidence that supports those contentions, as well as to recognize and embrace discussion and debate with others who hold different, but no less theoretically informed, points of view.


블레이클리 교수와 동료는 20세기 초의 의료교육의 구조개혁이 과학적 명령scientific imperative을 중심으로 전개된 반면, 오늘날 의학교육을 사회문화적 축을 중심으로 새롭게 방향을 잡으려면 이론에 대해서 잘 이해하고 있어야 하며, 이것이 잘 개발된 교육과 연구 기술에 의해서 지속되어야 한다. 미래의 의학교육자들이 읽어야 할 자료들은 단순히 교육, 평가, 연구의 방법에 대한 것 뿐만 아니라, 의학교육자들이 더 개념적 방식으로 사고를 심화시키고 변혁시킬 수 있도록 돕는 자료여야 한다. 이 과정을 뒷받침하기 위한 교수진 개발의 필요성이 명백하다.

Bleakley and colleagues48 have argued that, whereas early 20th-century structural reforms in medical education revolved around a scientific imperative, today’s reorientation of medical education around sociocultural axes requires the development of a corps of medical educators and clinical teachers with a strong grasp of theory, sustained by well-developed pedagogical and research skills. The source materials that medical educators of the future will need to read, they argue, are not simply those that describe methods for teaching, assessment, or research but, rather, those that help medical educators to deepen and transformtheir thinking in conceptual ways. The need for faculty development to support this process is evident.









 2012 Jan;87(1):25-33. doi: 10.1097/ACM.0b013e318238e069.

Theory and practice in the design and conduct of graduate medical education.

Author information

1
Department of Psychiatry, Faculty of Medicine, Ontario Institute for Studies in Education, University of Toronto, Canada. brian.hodges@utoronto.ca

Abstract

Medical education practice is more often the result of tradition, ritual, culture, and history than of any easily expressed theoretical or conceptual framework. The authors explain the importance and nature of the role of theory in the design and conduct of graduate medical education. They outline three groups of theories relevant to graduate medical education: bioscience theories, learning theories, and sociocultural theories. Bioscience theories are familiar to many medical educators but are often misperceived as truths rather than theories. Theories from such disciplines as neuroscience, kinesiology, and cognitive psychology offer insights into areas such as memory formation, motor skills acquisition, diagnostic decision making, and instructional design. Learning theories, primarily emerging from psychology and education, are also popular within medical education. Although widely employed, not all learning theories have robust evidence bases. Nonetheless, many important notions within medical education are derived from learning theories, including self-monitoring, legitimate peripheral participation, and simulation design enabling sustained deliberate practice. Sociocultural theories, which are common in the wider education literature but have been largely overlooked within medical education, are inherently concerned with contexts and systems and provide lenses that selectively highlight different aspects of medical education. They challenge educators to reconceptualize the goals of medical education, to illuminate maladaptive processes, and to untangle problems such as career choice, interprofessional communication, and the hidden curriculum.Theories make visible existing problems and enable educators to ask new and important questions. The authors encourage medical educators to gain greater understanding of theories that guide their educational practices.

PMID:
 
22042213
 
DOI:
 
10.1097/ACM.0b013e318238e069


실천공동체로서 Medicine: 의학교육에대한 함의(Acad Med, 2018)

Medicine as a Community of Practice: Implications for Medical Education

Richard L. Cruess, MD, Sylvia R. Cruess, MD, and Yvonne Steinert, PhD





반세기 전에 머튼1은 의사가 될 사람들에게 [의학의 실천에 필요한 지식과 기술을 제공]하면서 [전문직 정체성을 통해 "의사처럼 생각하고 행동하고, 느끼도록"]하는 것을 표로 하는 의학의 이중적 특성을 지적했다.

Over half a century ago, Merton1 pointed out the dual nature of medical education, whose aims are to provide those wishing to become physicians with the knowledge and skills necessary for the practice of medicine and a professional identity so that they come to “think, act, and feel like physicians.”


보완적이기보다는 종종 경쟁하는 많은 이론의 존재는 커리큘럼 설계에 대한 일관성 있는 접근방식에 그것들을 통합하는 것이 어렵기 때문에 의학 교육자들에게 문제를 일으킬 수 있다. 이 때문에, 이용 가능한 많은 이론들을 식별하고 반영하기 위한 조치가 취해져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되었다. 즉, "그 이론들을 [일관성 있는 증거의 조직체]를 구축할 수 있는 개념적 틀 안에 두어서, 결국 학습 자체에 대한 더 나은 이해를 하게 된다."4

The presence of many theories that are often competing rather than complementary can pose problems for medical educators, as it is difficult to integrate them into a coherent approach to curricular design. Because of this, it has been suggested that action should be taken to identify and reflect on the many available theories, placing “them within a conceptual framework that can build a coherent body of evidence and, eventually, a better understanding of learning itself.”4


[정의된 특정 교육 활동]에 적용되는 대부분의 학습 이론과 달리, 실천공동체는 의학의 지식기반의 다면성을 포괄할 수 있는 능력을 가진 강력하고 광범위한 사회학습이론이다. 이 이론은 [생의학의 기초, 의사 정체성의 특성, 그리고 암묵적 지식과 명시적 지식의 혼합]을 포함한다.

Unlike most learning theories that apply to defined specific educational activities, communities of practice is a robust and broad social learning theory that has the capacity to encompass the multifaceted nature of medicine’s knowledge base, including its foundations in biomedical science, the nature of the identity of a physician, and its rich mix of tacit and explicit knowledge.


실천공동체

Communities of Practice


이론

The theory


20세기 후반에 발전된 이론인 구성주의개인이 경험으로부터 새로운 지식을 구축하고 그 경험을 성찰할 것을 제안한다.2,4 이 운동의 일부로서, [학습은 사회적 활동으로서, 공동체에서 이루어지며, 역사와 문화의 영향을 많이 받는다]고 제안하는 사회학습 이론이 출현하였다.

Constructivism, a theory developed in the latter half of the 20th century, proposes that individuals construct new knowledge from experience and reflect on that experience.2,4 As a part of this movement, social learning theories emerged that propose that learning is a social activity that takes place in communities and is heavily influenced by history and culture.5–7


이 운동의 일환으로, 10 Lave와 Wenger는 1991년에 실천공동체라는 용어를 도입하였다. 그들은 그 개념이 새로운 것이었지만, 후에 나온 글에서, Wenger는 그러한 공동체가 "인간이 동굴에 살던 시절부터" 존재했다고 말했다. Lave와 Wenger는 실습 공동체를 상황학습이론situated learning과 연계하여 학습의 사회적 특성을 강조하는 이론을 제안했다.

As a part of this movement,10 Lave and Wenger introduced the term community of practice in 1991.5 They emphasized that while the concept was new, Wenger, in a later article,10 stated that such communities had existed “since man lived in caves.” Linking communities of practice to the theory of situated learning, Lave and Wenger proposed a theory that emphasizes the social nature of learning.


관심의 대상인 벵거10은 의료전문직이 실천공동체를 이루고 있음을 분명히 지칭했지만, 그 개념을 의학과 의학과 교육으로 연결하는 첫 번째 레퍼런스는 2002년에 나타났다.

Of interest, while Wenger10 clearly indicates that the professions constitute a community of practice, the first reference linking the concept to medicine and medical education appeared in 2002.11


이 용어는 학부, 대학원 및 지속적인 전문 개발 수준에서의 의학교육과 관련하여 사용된다는 점에 유의할 필요가 있다.2,4,12

It is worth noting that the term is used in reference to medical education at the undergraduate, postgraduate, and continuing professional development levels.2,4,12


정의가 중요하며, Barab et al13이 제안한 정의는 의학에 적합하다. 실천의 공동체는

Definitions are important, and the one proposed by Barab et al13 seems appropriate for medicine: A community of practice is


공통의 실천 및 공동사업Mutual enterprise에 초점을 맞춘 

중첩되는 지식 기반, 믿음, 가치, 역사 및 경험을 공유하고 개발하는 개인들의 

지속적이고 지속적인 사회적 네트워크.

a persistent, sustaining social network of individuals who share and develop an overlapping knowledge base, set of beliefs, values, history and experiences focused on a common practice and/or mutual enterprise.


의학을 보는 관점을 기존에 유지되어온 [동료애와 도덕으로 특징지어진 공동체]에서 [학습이 이루어지는 실천공동체]로 전환하는 것은 내재적인 논리성을 가지고 있다. 동료애적 전문직의 문화적, 구조적, 행동적 측면과 그 도덕적 기반은 실천 규범의 일부가 된다.16

The transition from viewing medicine as a community that has long been characterized by collegiality14 and morality15 to the concept of medicine as a community of practice in which learning takes place has inherent logic. The cultural, structural, and behavioral aspects of a collegial profession as well as its moral base become part of the norms of practice.16


개념은 명확하다.4–6,10–12,17–21 개인은 [그룹이 관여된 활동을 수행하는 방법]을 배움으로써 공동 활동에 종사하는 집단에 참여하고자 한다. 그렇게 함으로써, 개인은 합법적인 주변부 참여에서 그 집단의 완전한 멤버십으로 이동함으로써 집단의 일원이 된다. 초창기의 멤버십도 공동체의 신입회원으로 받아들여졌기 때문에 합법적인 것으로 간주된다. 이러한 이동move는 [그룹 구성원이 공유하는 정체성과 더불어 필요한 지식과 기술을 점진적으로 습득하는 것]이 내재되어 있다.5,16–18,20 

The concept is clear.4–6,10–12,17–21 An individual wishes to join a group engaged in a common activity— by learning how to carry out the activities in which the group is engaged. In doing so, the individual becomes a member of the group by moving from legitimate peripheral participation to full membership in the group. The individual’s early membership is viewed as legitimate because he or she has been accepted as a novice member of the community. Inherent in the move is the gradual acquisition of the required knowledge and skills, along with the identity shared by members of the group.5,16–18,20 


핵심이 아닌 항목item은 일부 협상이 가능하지만, 핵심 규범과 가치를 수용하지 못할 경우, aspiring member의 소외나 실제적 배제라는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10,16 표준은 공동체에 의해 결정되며, 도메인 내에서 역량 달성이 필수적이다.20

While some negotiation of noncore items is possible, failure to accept core norms and values can result in marginalization or actual exclusion of an aspiring member.10,16 Achieving competence within the domain is essential, with the standards being determined by the community.20


이 이론에 따르면 학습은 개인의 활동이라기보다는 사회적이며, 그 대부분이 무의식적인 수준에서 발생하여, 암묵적 지식의 large body를 획득하게 된다.4,6,17,18 학습은 공동체에서 "위치situated"하며, 학습내용은 authenticity가 있는데, 왜냐하면 그 내용이 실제로 적용되는 맥락과 동일한 맥락에서 습득되기 때문이다.5,17,18,21 학습자 참여는 필수적인데, 왜냐하면 참여를 통해서만 각 개인은 [추상적이고 이론적인 지식]을 [개인적이고 독특한 것]으로 변형시키면서 의미를 재현할 수 있도록 하기 때문이다. 

According to the theory, learning is a social rather than an individual activity, and much of it occurs at the unconscious level, resulting in the acquisition of a large body of tacit knowledge.4,6,17,18 The learning is “situated” in the community, and the content is given authenticity because it is acquired in the same context in which it is applied.5,17,18,21 Learner participation is essential, as it allows each individual to recreate meaning, transforming knowledge from the abstract and theoretical into something personal and unique.


세가지 필수 요소가 있다.

There are three essential elements


영역

Domain.


스나이더와 벵거18은 명확한 경계를 가진 도메인이 있어서, "공통적인 지반과 공통의 정체성"을 창조해야한다고 명시하고 있다. 이것은 공동체의 목적과 가치를 구성원들과 사회 모두에게 보증affirm한다. 의학의 도메인이란 [인간 질병의 예방과 치료, 그리고 공익을 증진시키는 것]이다.15

Snyder and Wenger18 state that there must be a domain with clear boundaries that creates “common ground and a sense of common identity.” This affirms the purpose and value of the community to both members and society. The domain of medicine is the prevention and treatment of human disease and the promotion of the public good.15


공동체

Community.


공동체의 존재는 배움이 일어나는 사회 구조를 만들어내고, 공동체 내의 구성원 자격 획득이 desirable한 목표로 여겨져야 한다. 공동체가 번영하기 위해서는 리더쉽이 요구되고, 공동체의 목적과 성취에 대한 자부심과, 상호 신뢰와 존중이 필수 요소다.

The presence of a community creates the social fabric within which learning occurs, and membership in the community must be seen as a desirable objective. For the community to flourish, leadership is required and mutual trust and respect are essential elements, as is pride in the purpose and accomplishments of the community.18,20


의학은 많은 실천의 공동체로 구성되며, 의사는 일반적으로 하나 이상의 공동체에 속한다. 명백히, 의사는 글로벌 의료 공동체의 일부분이다. 그러나 의사가 소속하고 충성을 부여하는 국가 및 지역 단체와 조직이 있다. 한 의사의 전공 역시 그 구성원들의 정체성에 특히 강한 영향을 주는 실천공동체이다. 

Medicine consists of many communities of practice, and physicians generally belong to more than one.20,21 Clearly, a physician is a part of a global medical community,22 but there are national and regional groupings and organizations to which physicians belong and give allegiance.18,20 A physician’s specialty is a community of practice that exerts a particularly strong influence on the identity of its members.23


실천

Practice.


실천공동체가 공유하고 발전시키는 구체적인 지식과 기술을 말하며, "공동체 구성원들이 공유하는 틀, 아이디어, 도구, 정보, 스타일, 언어, 이야기, 문서"로 구성되어 있다.10 벵거에 따르면, medicine에서 실천은 임상 치료, 교육 관행, 그리고 연구로 구성되어 있다. 실천이라는 단어는 [일과 배움이 동시에 일어나는 사회적 환경]을 포괄한다.

Practice refers to the specific knowledge and skills that the community shares and develops, consisting of a set of “frameworks, ideas, tools, information, styles, language, stories, and documents that the community members share.”10 According to Wenger,10 in medicine, practice consists of clinical care, educational practices, and research. The word practice encompasses a social environment in which both work and learning take place.


지식기반은 [실천공동체에 가입하고자 하는 사람들이 습득하는 명시적 지식과 암묵적 지식의 혼합]으로 구성되어 있다.4,6 공동체는 (끊임없이 revise되는) 지식기반의 생성과 유지에 대한 책임이 있으며, 지식기반의 생성과 유지는 부분적으로는 새로운 구성원이 "온전한 참여"를 성취해나가는 동안 이루어지는 협상 과정에서 이뤄진다.5,10,12 [공동체 내에서 교사와 학습자 사이의 역동적인 상호작용]은 [개별 학습자에 의한 재창조 과정에서 갱싱됨으로써] [지식기반의 목적적합성과 생명력에 영향을 미친다].10

The knowledge base consists of a mixture of explicit and tacit knowledge that is acquired by those wishing to join the community of practice.4,6 The community is responsible for the creation and maintenance of the knowledge base, which is constantly being revised, in part through the process of negotiation that takes place as new members achieve full participation.5,10,12 The dynamic interplay between teachers and learners within the community has an impact on the relevance and the vitality of the knowledge base by renewing it as it is recreated by individual learners.10


이론에 대한 비판

Criticisms of the theory


이것들은 사회 구조가 기존의 계층 구조, 권력 구조, 불평등을 영구화하면서 스스로 재생산하는 경향이 있다는 부르디유의 관찰을 지지한다. 한 관찰자는 실천 공동체 내에서 일어날 수 있는 "자기-기만적이고 자기-강화적인 사회 행동"을 언급하였다.29

these support Bourdieu’s28 observation that social structures tend to reproduce themselves, perpetuating existing hierarchies, power structures, and inequities. One observer has referred to “self-deluding and self- reinforcing social behavior” that can take place within communities of practice.29


의문의 여지 없이, 이것은 의료계의 행동에 대한 유효한 논평이다.

Without question, these are valid comments on the behavior of the medical profession


역사적으로, 이 직업은 배재적이어서, 여성과 사실상 모든 범주의 소수민족이 커뮤니티에 접근하는데 어려움을 겪고 있다.30–32 의학은 여태껏 공동체 주위에 명확한 경계를 확립해왔으며, 지금도 지속적으로 경계를 확립하여 포함과 배제를 모두 결정한다. 또한 내부적으로 잘 확립된 위계 구조와 권력 관계를 가지고 있다.

Historically, the profession has been exclusionary, with women and virtually all categories of minorities having difficulty accessing the community.30–32 Medicine has established and continues to establish clear boundaries around the community that determine both inclusion and exclusion31,33 and has a well-established internal hierarchical structure and power relationships.31,33


위에서 언급된 행동 패턴은 의료전문직 비롯하여 대부분의 사회적 구조의 특징이며, 그리고 이것은 Lave와 Wenger가 실천공동체라는 용어를 사용하기 훨씬 전에 존재했다는 것을 지적해야 한다.

it should be pointed out that the behavior patterns mentioned above are characteristic of most social structures,9,28 including the medical profession,31 and that they existed long before Lave and Wenger invoked the term communities of practice.


그러나 의료전문직처럼 복잡한 enterprise가 경계/위계/권력구조가 없다는 것을 상상하는 것은 불가능하다.6 비판하고 관심을 가져야 할 가치가 있는 것은 [이러한 본질적인 요소들의 성격과 영향]이지 [그들의 존재 그 자체]가 아니다.

However, it is not possible to envisage any enterprise as complex as the medical profession without boundaries, hierarchies, or power structures.6 It is the nature and impact of these essential elements that sometimes deserve criticism and attention, not their existence.


이러한 한계들 중 일부는 직접적으로 다뤄지기 시작했다. 이제 의료전문직에는 여성과 소수민족이 더 많이 포함되었다. 또한 의학의 위계 및 내부 권력구조의 존재는 인정됨고 동시에 의문이 제기되고 있다.30–32,35

Some of these limitations have been addressed directly. the medical profession is now more inclusive of women and minorities15,30 The presence of medicine’s hierarchies and internal power structures has been both recognized and questioned.30–32,35


추가적인 비판은 [공동체의 규범과 표준을 강요해야 하는 의무]와 [완전한 참여를 향해 나아가면서 자신의 정체성의 중요한 측면을 유지하려는 개인의 욕망] 사이에서 발생하는 긴장에서 비롯된다.33,35 긴장은 정체성의 주요한 변화과정에서 필연적으로 발생한다는 것을 오랫동안 인식해 왔다. 에릭슨36은 개인이 변화를 이루기 위해서는 실제로 자신의 정체성의 일부를 억제해야 한다고 믿었고, 다른 이들은 "정체성 불협화음"이 초래될 수 있다고 제안한다.33 

An additional criticism stems from the tension that arises between the imperative to impose the norms and standards of the community and the desire of individuals to maintain important aspects of their own identities as they move toward full participation.33,35 It has long been recognized that tension is an inevitable consequence of major changes in identity. Erikson36 believed that an individual must actually suppress a portion of his or her identity to achieve change, while others suggest that “identity dissonance” can result.33 


의학의 권력 관계와 계층 구조는 개인이 "내가 누구인가"의 중요한 측면을 유지하는 것을 어렵게 할 수 있다.15,33,37 인정되어온 것처럼, [전문직 종사자가 되는 과정에서] 학습자가 자신의 개인적 정체성을 보존하고 더 발전시킬 수 있도록 허용해야 한다는 의견이 광범위한 합의로 나타났다.

Medicine’s power relationships and hierarchical structure can make it difficult for individuals to maintain important aspects of “who they are.”15,33,37 As this has been recognized, widespread agreement has emerged that learners must be permitted to preserve and further develop their personal identities as they become professionals.15,33,35


실천공동체와 다른 학습이론

Communities of Practice and Other Learning Theories


실천공동체가 이론적 토대의 역할을 할 수 있고, 다른 학습이론이 실천공동체 내에서 일어나는 다양한 교육활동에 대한 이론적 기반을 제공한다는 것이 우리의 믿음이다.

It is our belief that communities of practice can serve as the foundational theory and that other learning theories provide the theoretical base for the multiple educational activities that take place within a community of practice.


우리는 그들의 접근방식이 정확하다고 믿지만, situated learning은 실천공동체 내에서 일어나야지, 그 반대가 되어서는 안되기 때문에, "organizing theory"가 되어야 하는 것은 실천공동체라고 생각한다.

We believe their approach to be correct but that, as situated learning takes place within a community of practice rather than the reverse,5,20,29 it is communities of practice that should be the organizing theory.


실천공동체에 통합될 수 있는 이론의 예로는 직장학습이 있다. (직장학습에서) 학습과 작업work은 학습자가 교육적 연속체를 통해 진행하는 과정에서, (강의실에서 의사의 근무지 영역으로 이동함에 따라) 융합된다. 

An example of a theory that can be integrated into communities of practice is workplace learning. Learning and work converge as learners in medicine proceed through the educational continuum, moving from the classroom to the workplace of the practicing physician—


빌렛은 근무지학습 이론을 실천공동체 내에 place하였으며, 이 이론이 실천공동체의 이론적 힘에 기여하고 힘을 더 강화한다.

Billett’s19,38 theory of workplace learning, which he places within communities of practice, contributes to and strengthens the theoretical power of communities of practice.


멘토와 역할 모델은 오랫동안 일반 대중에서 숙련된 전문가로 개인을 변화시키는데 근본적인 것으로 이해되어 왔다.6,39 반두라의 사회적 인지 이론은 이러한 복잡한 활동을 설명하는데 도움을 주고 개선을 목표로 하는 교육적 이니셔티브를 인도할 수 있다.

Mentors and role models have long been understood to be fundamental to the transformation of an individual from a member of the lay public to a skilled professional.6,39 Bandura’s7 social cognitive theory helps to explain this complex activity and can guide educational initiatives aimed at improvement.


경험적 학습도 의학 교육의 근본이 되어, 명시적 지식과 암묵적 지식을 동시에 습득하도록 이끈다. Kolb의 경험적 학습 이론은 Eraut의 암묵적 학습 분석과 함께 실천 공동체 내에서 일어나는 교육 활동의 중심 부분을 이해하는 기초를 제공한다.

Experiential learning is also fundamental to medical education, leading to the acquisition of both explicit and tacit knowledge. Kolb’s40 experiential learning theory, along with Eraut’s41 analysis of tacit learning, provide a basis for understanding a central part of the educational activity that takes place within communities of practice.



교육과정 설계에 대한 함의

Implications for Curricular Design


Medicine에서 실천공동체는 항상 존재해왔다,5

Communities of practice in medicine have always existed,5


실천공동체 이론에 기초한 현대 의학 교육을 채택하는 것이 반드시 과격한 커리큘럼 변화를 초래하지는 않을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변화의 주요한 장점은 학습의 사회적 특성을 강조한다는 것이다.

Adapting modern medical education based on the theory of communities of practice will not necessarily result in radical curricular change. However, a major advantage of such a shift is that it would emphasize the social nature of learning


또한, 실천공동체를 중심으로 관련 활동의 reorient하는 것은, 명확한 교육 목표를 수립하고 목표와 전략을 더 잘 일치시킬 수 있는 잠재력을 가지고 있다.

Moreover, reorienting relevant activities around communities of practice has the potential to establish clearer educational objectives and better align strategies with objectives.


의학에서의 학습은 [의료행위의 현장을 중심으로, [공식적인 구성 요소와 경험]을 포함하는 교육과정]에서 발생한다. 경험적 학습 또는 비공식적 학습은 학습자가 일반인에서 전문가로, 그리고 주변부에서 공동체의 중심으로 발전함에 따라 predominate한다. 

Learning in medicine occurs in a curriculum that includes formal components and experiences centered in the medical workplace. Experiential, or informal, learning2–4,6,38,41 predominates as learners progress from laypersons to professionals and from the periphery to the center of the community.


"근무지 경험은 '비공식적'이거나 "ad hoc"이 아니라는 점을 강조해야 한다.

it must be stressed that “workplace experiences are not ‘informal’”38 or “ad hoc,”41


근무지 경험은 medical practice의 본질에 확고히 기반을 두고 있으며, 이러한 practice가 일과 학습 행위 모두를 형성한다.20 공식적인 지식은 전달되지만, 학습의 사회적 특성 때문에, 많은 지식 전달이 비공식적이어서, 명시적 지식과 암묵적 지식 모두를 획득하게 된다.

Workplace experiences are solidly grounded in the nature of medical practices, and these practices shape the conduct of both the work and the learning that take place.20 Formal knowledge is transmitted, but because of the social nature of the learning, much knowledge transfer is informal, leading to the acquisition of both explicit and tacit knowledge.19,41


커리큘럼을 실천공동체에 기반한 이론적 토대를 갖도록 방향을 바꾸기 위해서는 또 다른 개입이 수반될 수 있다. 여기에는 의학이 실천공동체를 구성하고 있다는 것을 인식하고, 그 개념을 인지적 토대의 명시적인 부분으로 만드는 것이 포함된다. 전통적으로 공동체의 가치와 규범의 통합을 장려하기 위해 사용되어 온 활동은 이론과 일치하도록 reoriented 되어야 한다. 마지막으로, 커리큘럼 갱신에 필요한 새로운 활동들이 개발될 수 있다.

Reorienting a curriculum so that it has a theoretical base grounded in communities of practice can involve different interventions. These include recognizing that medicine constitutes a community of practice and making the concept an explicit part of the cognitive base that is taught. Activities that have traditionally been used to encourage the incorporation of the values and norms of the community can be reoriented to become congruent with the theory. Finally, new activities necessary for curricular renewal can be developed.


실천공동체로서 Medicine을 바라보기

Acknowledge medicine as a community of practice


Lave와 Wenger의 직업적 정체성의 획득을 포함한 실천공동체에 관한 연구와 빌레트의 직장학습의 개념을 정교하게 기술한 것은 커리큘럼 설계의 기초요소로서의 의의성, 정렬, 연속성의 중요성을 강조한다.6,48,50 이 모든 것들은 의학이 약이라는 것을 공식적으로 인정하도록 요구한다. 실천의 공동체

Lave and Wenger’s work on communities of practice, including the acquisition of a professional identity, and Billett’s elaboration of the concept of workplace learning, stress the importance of intentionality, alignment, and continuity as foundational elements in curricular design.6,48,50 All of these require formal acknowledgment that medicine is a community of practice.


의도성과 정렬은 분명히 연결되어 있다. 의도성은 커리큘럼 설계가 이론과 일치하는 목표에 기초해야 한다는 것을 지시한다. 정렬에 따르면, 교육 전략은 학습자가 실습 커뮤니티에 완전히 참여하고 직업적 정체성을 획득하는 것을 돕기 위한 것이어야 한다. 연속성은 의학의 "도메인"20내에서의 "실무"의 성격과 초보자부터 전문가에 이르기까지 모든 레벨의 개인의 공동체내에서의 존재에 의해 제공된다.

Intentionality and alignment are clearly linked. Intentionality dictates that curricular design should be based on objectives that are congruent with the theory. Alignment suggests that educational strategies should be aimed at assisting learners as they move to full participation in the community of practice and the acquisition of a professional identity. Continuity is provided by the nature of the “practice” within medicine’s “domain”20 and by the presence within the community of individuals at all levels from novice to expert.



실천공동체를 교육과정의 명시적 부분으로 만들기

Make communities of practice an explicit part of the curriculum


무언가를 가르치고 배우고 평가하려면 교육목표가 분명해야 하고 주제를 정의해야 한다.40 이것은 [의도성]과 [정렬]이라는 guiding principle과도 관련이 있다. 여러 연구자들이 [개개인이 전문직 정체성을 발전시켜나가는 과정에서의 서포트]가 커리큘럼에 명시적으로 드러나는 의학 교육의 목표가 되어야 한다고 권고했다. 이 권고가 함축하는 것은, [전문직 정체성의 본질과 사회화 과정에 대한 설명을 공식적으로 가르칠 필요]가 있다는 것이고,  우리는 이것을 "인지적 토대"라고 불렀다.44

If something is to be taught, learned, and assessed, the educational objectives must be clear and the subject must be defined.40 This is also related to the guiding principles of intentionality and alignment. We and others have recommended16,45,46 that the support of individuals as they develop their professional identities become an objective of medical education addressed explicitly in the curriculum. Inherent in this recommendation is the necessity to formally teach the nature of professional identity and an explication of the process of socialization. We have termed this the “cognitive base.”44


이 기초에 우리는 이제 [의학은 실천공동체]라는 개념과 [전문직 정체성이 이런 맥락에서 발생한다]는 개념을 추가한다. 진정으로 집단적 학습의 과정에 참여하려면, 학습자는 주변부 참여에서 완전한 참여에 이르는 여정의 성격을 이해해야 한다.

To this base we now add the concept that medicine is a community of practice and that professional identity occurs in this context. Learners should understand the nature of the journey from peripheral participation to full participation if they are to be truly engaged in a process of collective learning.



주변환경에서 완전한 참여로 이어지는 여정에 학생 참여

Engage students in the journey from peripheral to full participation


전문적 정체성 형성을 서포트하기 위해서는, 학생들을 공동체에 합류하도록 참여시키고, 학생들을 자신의 정체성의 발달에 참여시켜서, 그들이 [일반인들로부터 전문가에 이르는 개인적인 여정]을 더 잘 이해할 수 있도록 도와야 한다. 지금까지의 참여가 늘 암묵적이었다면, 이제는 참여를 공식화하여, 학습자 입장에서의 의식적 행동을 요구해야 한다.

to support professional identity formation, engaging students in joining the community and in the development of their own identities helps them to better understand their personal journeys from laypersons to professionals.12,15,33,44,46 Participation, which has always been implicit, becomes formalized, requiring conscious action on the part of the learner.40


[직업적 정체성 형성의 바탕이 되는 규범]은 지속적인 사회적 협상의 과정을 거쳐서, 실천공동체 의해서, 그리고 사회에 의해서 결정된다.51 합법적인 주변적 참여에서 완전한 참여로 이동하면 "아웃사이더"에서 "인사이더"로 이동move하며, 이를 이해하면 학생과 학생의 mentor가 학습자의 진보를 따라가는 것에 도움이 될 수 있다.

The norms on which a professional identity is constructed are determined by the community of practice5,19 and by society through an ongoing process of social negotiation.51 Moving from legitimate peripheral participation to full participation describes the move from “outsider” to “insider,”31 and understanding this can assist students and their mentors in following the learners’ progress.


관여와 참여는 또한 실천공동체와 직장 학습의 기초적인 요소들이다.48 참여는 "정체성 경험의 구성적 질감을 제공한다."19 배움을 사회적 활동으로 인식한다면, 공동체에 참여하지 않고는 학습이 일어나지 않는다고 볼 수 있다.19,49 [주변부 참여자가 되는 자발적 행동]은 참여에 필요한 첫 번째 단계다. 

Engagement and participation are also foundational elements of communities of practice6,17 and workplace learning.47,48 Participation “provides the constitutive texture of the experience of identity.”19 If learning is perceived to be a social activity, it does not occur without participation in the community.19,49 The voluntary act of becoming a peripheral participant is a necessary first step in engagement. Participation, or coparticipation,19


참여 촉진을 위해 설계된 교육 활동은 [실천 공동체의 성격에 대한 명시적 지식을 전달]하고 [학습된 지식을 진정한 맥락에서 사용하는 활동] 사이에 균형을 이루어야 한다.

Educational activities designed to promote engagement should create a balance between transmitting explicit knowledge about the nature of communities of practice and activities in which the knowledge learned is used in authentic contexts.29,52


Welcoming 커뮤니티 만들기 및 유지

Create and maintain a welcoming community


의학이라는 실천공동체는 의도적으로 만들어지는 것이 아니다. 이론에 따르면, 그것은 공동체 내에서 이루어지는 활동의 결과로서 나타나는 것이다.53 공동체에서의 학습과 직장에서의 학습은 "대상 공동체와 실천에 대한 구성원 자격을 촉진하고, 접근을 촉진함으로써" 장려될 수 있다.53 의도성의 원칙의 연장으로서, 이 목표는 교수와 학생 모두에게 명시적으로 추진되어야 한다.

Medicine’s community of practice has not been created intentionally. According to theory, it emerged as a result of the activities taking place within the community.53 Learning in communities,6 as well as workplace learning,48 is encouraged by “fostering access to and membership in the target community and of practice.”53 As a further extension of the principle of intentionality, this goal should be pursued explicitly with both faculty and students.


Lave와 Wenger5는 원래 기사에서 [실천공동체의 구성]과 [개인과 집단의 관계]의 역동성을 지적했다.

In their original article, Lave and Wenger5 pointed out the dynamic nature of the composition of a community of practice and the relationships between individuals and groups


공동체의 구성은 새로운 개인이 합류하고, 다른 사람들은 주니어에서 시니어 지위로 이동하고, "old timer"가 떠나면서 계속 유동적이게 된다. 가르침은 전통적인 dyadic 관계에 기초하는 것이 아니라, 그 대신 의료 시스템과 그 학습 환경을 채우는 변화무쌍한 "필수 행위자들의 풍부하고 다양한 분야"에 기초한다. 학습자 측의 개별적인 노력이 필요하지만, 동료 학습자와 기성 구성원을 포함한 공동체는 학습과 정체성 형성에 강력한 영향을 미친다.33 공동체는 끊임없이 자신을 재창조하며, 공동체의 미래는 후속 세대에 전달되는 지식 기반에 의존한다.

The composition of a community is in constant flux as new individuals join it, others move from junior to senior status, and “old timers” leave. Teaching is not based on traditional dyadic relationships but instead on an ever-changing “richly diverse field of essential actors” who populate the health care system and its learning environments.5 While individual effort on the part of the learner is required, the community, including fellow learners and established members, has a powerful impact on learning and identity formation.33 The community constantly recreates itself, and its future is dependent on its knowledge base being transferred to another generation.


공동체는 enterprise와 관련된 모든 사람들을 포함해야 하며, 그 enterprise의 미래를 대표하는 주변 사람들을 환영해야 한다. 전통적으로 성별, 성적 성향, 사회경제적 지위 또는 다른 요인 때문에 의학계에서 제외된 사람들에게 특히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30–33 또한 학습자는 자신의 "자기 자신"이라는 개인적 감각을 유지하면서 자신의 직업적 정체성의 개발에 참여할 수 있어야 한다.33,35

The community must be inclusive of all involved in the enterprise and be welcoming to those at the periphery, who represent its future. Particular attention should be paid to those who have traditionally been excluded from medicine’s community because of gender, sexual orientation, socioeconomic status, or other factors.30–33 In addition, learners must be permitted to participate in the development of their own professional identities while maintaining their own personal sense of “self.”33,35


학습자의 관여와 참여는 교육 경험 전반에 걸쳐 적극적으로 지원되어야 한다. 이것은 여러 가지 방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학습 환경은 참여의 근간이며, 존중적이고, 환영적이고, 지지적이어야 한다. Hafferty와 Hafler42가 정의한 비공식 커리큘럼의 부정적인 측면을 다루는 것이 두 배로 중요해진다. 왜냐하면 결함이 있는 학습 환경은 학습을 억제하고 관련된 모든 사람들의 소속감을 감소시키기 때문이다.33 학습자가 자신의 수준에 적합한 활동에 접근할 수 있도록 보장해야 하며, 학습이 이루어지는 상황적 프레임워크를 제공하는 "전문가"39의 지침도 함께 제공해야 한다.

Learners’ engagement and participation should be actively supported throughout their educational experiences. This can be accomplished in several ways. The learning environment is fundamental and should be respectful, welcoming, and supportive.6,33 Addressing the negative aspects of the informal curriculum as defined by Hafferty and Hafler42 becomes doubly important, as a flawed learning environment inhibits learning and diminishes the sense of belonging of all involved.33 Access for all learners to activities appropriate to their level must be assured, along with guidance from “experts”39 who are responsible for providing the contextual framework within which learning takes place.


마지막으로 학습을 사회적 활동으로 간주하는 경우, 성찰은 고립된 활동이라기 보다는 소그룹 55,61 내에서 가장 잘 이루어진다. 12 집단적 문제 해결을 강조하면서 협력적 학습이 이루어질 수 있는 상황을 확립하는 것이 중요하다.29,53 Shared reflection은 학습자에게 복수의 관점 및 정보의 출처를 제공할 기회를 제공한다.55

Finally, if learning is regarded as a social activity, reflection is best done within small groups55,61 rather than as a solitary activity. 12 It is important to establish situations where collaborative learning can take place, stressing collective problem solving.29,53 Shared reflection offers the learner the opportunity for multiple perspectives and sources of information.55


프로페셔널 아이덴티티 형성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 명시적으로 해결

Explicitly address the major factors influencing professional identity formation


롤모델링과 경험적 학습이 가장 강력한 것이라는 일반적인 합의가 있으며, 둘 다 최대의 효과를 위해 성찰을 필요로 한다, .2,4,5,7,15,41

there is general agreement that role modeling and experiential learning, both of which require reflection for their maximum impact, are the most powerful.2,4,5,7,15,41


명확한 목표가 설정될 때, 그리고 경험에 대한 guided relfection을 동반할 때 학습자에게 미치는 영향이 강화된다.55–57

The impact on learners is enhanced when explicit objectives are established55,57 and when they are accompanied by guided reflection on their experiences.55–57


롤모델과 멘토

Role models and mentors.


역할 모델과 멘토는 명시적 지식과 암묵적 지식을 학습자에게 전달하는 데 중심적인 역할을 한다.4,6,7,39,49,42,5556 이러한 이유로, authentic 상황에서 formal한 가르침과 경험 사이의 적절한 균형이 확립되도록 의식적인 조치를 취해야 한다.29 롤모델과 멘토는, formal fashion으로, 실천공동체의 성격과 그 규범에 대한 지식에 대해 인식하고 그것을 전달해야 한다. 또한 롤모델과 멘토는 공동체 내에서 전문직정체성 획득을 적극적으로 지원해야 한다.15,58

Role models and mentors have a central role in transferring both explicit and tacit knowledge to learners.4,6,7,39,42,55,56 For this reason, conscious action should be taken so that a proper balance between formal instruction and experience in authentic situations is established.29 Role models and mentors must be aware of and transmit, in a formal fashion, knowledge about the nature of communities of practice and their norms, and should actively support the acquisition of a professional identity within the community.15,58


암묵적 지식을 공유하기 위해서는 교사와 학습자 사이의 공동 활동을 필요로 하며, 이들 사이의 물리적 근접성을 포함하는 경험 또는 그룹 내에서 기능하는 학습자 간 경험을 요구한다.5,19,20,49,50 사회화의 과정은 이러한 work activities에 의존하며, workplace에서의 학습도 그러하다,33 

The sharing of tacit knowledge requires experiences that include joint activities and physical proximity between teacher and learner or between learners functioning within the group.5,19,20,49,50 The process of socialization is dependent on these work activities,33 as is learning in the workplace.19 


암묵적 지식은 transfer되기 전에 명시적 지식으로 전환(또는 구체화reified)될 수 있다. 다시, 어떤 내용을 암묵적으로 남겨둘지, 또는 어떤 내용을 다른 사람들에게 명백하고 이해할 수 있도록 만들지에 대한 의식적인 결정이 이루어져야 한다.

Tacit knowledge can be converted to explicit knowledge—or reified—prior to its transfer. Again, conscious decisions must be made as to which curricular material will remain tacit and which will be made explicit and comprehensible to others.18,41


경험학습

Experiential learning.


경험적 학습, 또는 실천을 통한 학습은 아리스토텔레스까지 거슬러 올라가는 개념이다.59 성찰과 불가분하게 연관되어 있으며, 그것은 의사의 직업적 정체성뿐만 아니라 지식과 기술을 모두 획득하는데 필수적이다.5,133

Experiential learning, or learning by doing, is a concept that can be traced to Aristotle.59 Inextricably linked to reflection,4,55,56 it is essential to the acquisition of both the knowledge and skills as well as the professional identity of a physician.5,15,33


커리큘럼은 이러한 학습 주기가 발생할 수 있도록 학습자가 진정한authentic 경험에 접근할 수 있도록 보장해야 한다.19,38 과거에 암묵적이었던 많은 것들이 명시적으로 만들어질 것이다. 그러나 명시적으로 할 수 있는 암묵적 지식의 양(41,60)에는 한계가 있고 암묵적 지식의 영향은 상당하다.12

The curriculum must ensure that learners have access to authentic experiences so that this cycle of learning can occur.19,38 Through reflection, much that has been tacit in the past will be made explicit. However, there is a limit to the amount of tacit knowledge that can be made explicit,41,60 and the impact of tacit knowledge is substantial.12


성찰

Reflection.


성찰은 개인이 외부 관찰자의 관점을 가정할 것을 요구한다. 또한 성찰을 함으로써 공동체에 참여를 향한 그들 자기자신의 발전과정을 examine한다. 성찰 과정에서 학습자는 실천공동체와 정체성 형성의 많은 측면을 명확히 할 기회를 갖는다.61 개인 경험에서 배우는 것 외에, 개인은 자신의 실천공동체에 완전한 참여를 향한 여정에서 자신의 "위치"를 인식할 수 있다.19

Reflection requires individuals to assume the perspective of an external observer,61 examining their own progress toward participation in the community. In the process, they have an opportunity to make explicit many aspects of both communities of practice and identity formation.61 In addition to learning from their own personal experiences, individuals can become aware of their own “location” in the journey toward full participation in their community of practice.19


마지막으로, 직장 내외에서 의도적으로 구조화된 사회 행사는 오랫동안 의료계와 연관되어 있던 의식이 할 수 있듯이 소속감을 키울 수 있다.15,33,49,54 그러한 활동이 초보부터 상급자에 이르기까지 지역사회의 모든 구성원에게 영향을 미친다는 것은 주목할 만하다.

Finally, purposely structured social events, both within and outside of the workplace, can foster a sense of belonging, as can the rituals that have long been associated with the medical profession.15,33,49,54 It is noteworthy that such activities have an influence on all members of the community from novice to senior.15,33


모든 학습자가 자신의 레벨에 적합한 책임을 할당하는 것을 포함하여 다양한 authentic 활동에 접근할 수 있어야 한다.19 중요한 것은 롤모델링 및 workplace 경험 후 성찰을 위한 정해진 시간과 비공식적 기회 모두가 커리큘럼에 정기적으로 존재해야 한다는 것이다.55,56

Access for all learners to a range of authentic activities should be made available, including the allocation of responsibility appropriate to their level.19 Importantly, both scheduled time and informal opportunities to reflect after role modeling and workplace experiences must be present at regular intervals in the curriculum.55,56


교수개발 제공

Provide faculty development


주요 커리큘럼 변화의 성공은 교수개발에 좌우된다는 것은 잘 받아들여지고 있다. 62 그리고 실천공동체의 개념을 도입하는 것은 특별한 관심을 필요로 한다.

It is now well understood that major curricular change is dependent for its success on faculty development,62 and introducing the concept of communities of practice requires particular attention.


이 주제를 교수진을 위해 명시적으로 다루어야 하며 쉽게 이해할 수 있는 용어로 정의되어야 한다.63,64 교수진은 개념을 알고, 어휘에 익숙해야 하며, 주요 커리큘럼 중재 계획 수립에 참여할 기회가 주어져야 한다.

It has been found that the subject must be addressed explicitly for faculty and defined in easily understandable terms.63,64 Faculty should know the concepts, be familiar with the vocabulary, and be given an opportunity to participate in planning major curricular interventions.


정체성 형성 및 실천 공동체를 소통하는 데 있어 전문지식의 발달에 특히 중요한 것은 교수진이 공동체 내의 자신의 정체성과 위치를 검토하고 반성할 기회를 갖게 됨으로써, 자신의 personal sense of self and community를 강화한다는 것이다.64

Of particular importance to the development of expertise in communicating identity formation and communities of practice is that faculty have an opportunity to examine and reflect on their own identities and places within the community, reinforcing their personal sense of self and community.64


온전한 구성원 자격을 향한 진전을 기록하기

Chart progress toward full membership


실천공동체에 관한 문헌은 명확하다. 공동체 내에서 표준의 확립과 역량평가가 수행되고, 초보자 및 전체 구성원이 medical community에 책임을 진다.21 공동체 참여를 희망하는 학습자들은 일부 표준에 대해서는 그것을 얼마나 준수할 것인가에 대해서 어느 정도 자유도latitude가 지만, 공동체의 존재에 기반이 되는 어떤 표준(정직, 성실, 돌봄, 열정, 존중)에 대해서는 협상의 여지가 없다.6,15,54

The literature on communities of practice is clear: The establishment of standards and the assessment of competence are carried out within the community,19 and novices and full members are accountable to the medical community.21 While learners wishing to join the community have some latitude in negotiating their compliance with some standards, other standards, such as honesty, integrity, caring, compassion, and respect for others, are so fundamental to the existence of the community that they are nonnegotiable.6,15,54


따라서, 의학교육에서 실천공동체의 구성원 자격 획득이 교육의 목표가 되었을 때, 이 목표를 향한 진보를 charting할 어떤 방법이 필요하다. 의학의 실천공동체에 가입하는 것은 전문직 정체성의 획득과 불가분의 관계가 있기 때문에, "의사처럼 생각하고, 행동하고, 느끼는 것"을 향한 진척도를 측정함으로써 커뮤니티의 가입에 대한 진보를 가늠할 수 있다. 1 개개인마다 서로 다른 속도로 주변부에서 중심부로 이동한다는 사실 때문에 평가가 복잡하다.

Therefore, when membership in medicine’s community of practice becomes an educational goal, some method of charting progress toward this goal is necessary. Because joining medicine’s community of practice is indivisibly linked to the acquisition of a professional identity, progress toward membership in the community can be gauged by measuring progress toward “thinking, acting, and feeling like a doc t or.” 1 Assessment is complicated by the fact that individuals move from peripheral to full participation in the community at different rates.7,20,21,54


Presentation of self가 직업적 정체성에 매우 중심적이기 때문에, 자기평가는 중요하다. 멘토와 협력하여 수행되는 "의사처럼 느끼는 것"을 향한 개인의 진행상황에 대한 평가는 성찰의 중요한 자극이며, 몇 가지 실행 가능한 방법들이 수 있다.68 Progress에 대한 긍정적인 피드백은 전문적 정체성의 발전에 중요한 요소로서, 자신감과 소속감을 부여한다. 마찬가지로 주변으로부터 실천공동체의 중심으로의 이동이 늦어지는 개인을 식별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들은 guide와 및 지원이 필요함.68,69

Because the presentation of self is so central to professional identity,33 self- assessment has been determined to be important.66–68 An individual’s assessment of his or her progress toward “feeling like a doctor,” carried out in collaboration with a mentor, is an important stimulus for reflection, and feasible methods of doing so are available.68 Positive feedback about progress is an important factor in the development of a professional identity, engendering a feeling of confidence and a sense of belonging.12,15,33,53,54 Of equal importance is the identification of individuals whose move from the periphery to the center of the community of practice is impeded. They require guidance and support.68,69



실천공동체의 약속

The Promise of Communities of Practice


실용주의적인 관점에서 보면, 다른 학습 이론에 의해 뒷받침된 실천공동체 이론은 의학 교육의 포괄적인 이론적 기초를 제공할 수 있는 능력을 가지고 있는데, 그것은 현재 우리가 믿지 않는 것이다.

From a pragmatic point of view, the theory of communities of practice, supported by other learning theories, has the capacity to provide a comprehensive theoretical basis for medical education, something that we do not believe exists at the present time.


Dornan et al70이 적절하다고 판단되는 인용문을 마무리한다.

We close with a quote from Dornan et al70 that we believe to be appropriate:


전문성은 단순히 교수자에서 학습자에게 전달되는 특성property이 아니라, 실천공동체 내에 존재하는 동적상품이다. 이론에 따르면 학습은 그러한 공동체의 문화에 흡수되고 흡수되는 과정이다.

Expertise is not simply a property that passes from teacher to learner, but a dynamic commodity that resides within communities of practice; learning, according to the theory, is a process of absorbing and being absorbed into the culture of such a community.



3 Steinert Y. Educational theory and strategies for teaching and learning professionalism. In: Cruess RL, Cruess SR, Steinert Y, eds. Teaching Medical Professionalism: Supporting the Development of a Professional Identity. 2nd ed. Cambridge, UK: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6:68–84.



44 Cruess SR, Cruess RL. General principles for establishing programs to support professionalism and professional identity formation at the undergraduate and postgraduate levels. In: Cruess RL, Cruess SR, Steinert Y, eds. Teaching Medical Professionalism in Support of Professional Identity Formation. Cambridge, UK: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6:113–124.





 2018 Feb;93(2):185-191. doi: 10.1097/ACM.0000000000001826.

Medicine as a Community of Practice: Implications for Medical Education.

Author information

1
R.L. Cruess is professor of surgery and a core faculty member, Centre for Medical Education of McGill University, Montreal, Quebec, Canada. S.R. Cruess is professor of medicine and a core faculty member, Centre for Medical Education of McGill University, Montreal, Quebec, Canada. Y. Steinert is professor of family medicine and director, Centre for Medical Education of McGill University, Montreal, Quebec, Canada.

Abstract

The presence of a variety of independent learning theories makes it difficult for medical educators to construct a comprehensive theoretical framework for medical education, resulting in numerous and often unrelated curricular, instructional, and assessment practices. Linked with an understanding of identity formation, the concept of communities of practice could provide such a framework, emphasizing the social nature of learning. Individuals wish to join the community, moving from legitimate peripheral to full participation, acquiring the identity of community members and accepting the community's norms.Having communities of practice as the theoretical basis of medical education does not diminish the value of other learning theories. Communities of practice can serve as the foundational theory, and other theories can provide a theoretical basis for the multiple educational activities that take place within the community, thus helping create an integrated theoretical approach.Communities of practice can guide the development of interventions to make medical education more effective and can help both learners and educators better cope with medical education's complexity. An initial step is to acknowledge the potential of communities of practice as the foundational theory. Educational initiatives that could result from this approach include adding communities of practice to the cognitive base; actively engaging students in joining the community; creating a welcoming community; expanding the emphasis on explicitly addressing role modeling, mentoring, experiential learning, and reflection; providing faculty development to support the program; and recognizing the necessity to chart progress toward membership in the community.

Comment in

PMID:
 
28746073
 
DOI:
 
10.1097/ACM.0000000000001826


업데이트: 행동주의, 인지주의, 구성주의: 어제의 이론을 오늘의 맥락에 연결짓기 (Performance Improvement Quarterly, 2013)

Article Update: Behaviorism, Cognitivism, and Constructivism: Connecting “Yesterday’s” Theories to Today’s Contexts

Peggy A. Ertmer, PhD, and Timothy J. Newby, PhD





기술의 변화

Changes in Technology


이론 기사가 쓰여진 이후, 테크놀로지 도구에 대한 접근은 문자 그대로 폭발했다.

Since the theory article was written, access to technology tools has literally exploded.


그러나, 인터넷 접속이 용이해지고 콘텐츠가 더 많이 보급됨에 따라, "참여형 웹"은 이제 다수의 작은 기여에서 비롯하는 지식 구축 및 지식 공유 시스템을 가능하게 했다.

However, as the Internet has become more accessible and the creation of content more distributed, the “participatory web” has enabled a knowledge-building and knowledge-sharing system whose value now stems from many small contributions.


웹 1.0과 비교하여, 사용자들은 이제 게시되는 콘텐츠의 특성과 범위에 모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많은 다양한 기회를 가지고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그것에 대해 실시간 통제력을 행사하기도 한다. 그 결과, 비공식적인 학습은 우리의 일상 학습 경험의 중요한 요소가 되었다(Siemens, 2004). 게다가, 우리는 더 이상 개인에 대한 지식을 기대하거나 요구하지 않는다. 오히려 지멘스(2004)가 설명한 대로, "우리는 친구들에게 지식을 저장한다"(제4절).

Compared to Web 1.0, users now have many and varied opportunities to affect both the nature and scope of the content being published and, in some cases, exert real-time control over it. As a consequence, informal learning has become a significant component of our daily learning experiences (Siemens, 2004). Furthermore, we no longer expect or require knowledge to reside within the individual. Rather, as Siemens (2004) described, we “store our knowledge in our friends” (Section 4).


이것은 우리에게 다른 사람들과의 쉬운 접근과 지속적인 상호작용이 실제로 학습 과정을 변화시켰는지 고민하도록 자극한다. 적어도 한 세트의 저자에 따르면, 학습이란 이제 "외부 세계와 그 인공물artefacts[sic], 그리고 다른 학습자 및 교사와의 연속적인 대화"로 재구성되고 있다는 점에 주목하는데, 이는 실제로 그러하다(Sharples et al., 2005. p. 7).

this prompts us to consider whether this easy access to, and constant interaction with, others has actually transformed the learning process. According to at least one set of authors, this is indeed the case, noting that learning is now being reconceptualized as a “continual conversation with the external world and its artefacts [sic], with oneself, and also with other learners and teachers” (Sharples et al., 2005, p. 7).


지멘스(2004)는 "사람과 정보에 접근할 수 있는 능력은 사람들이 배우는 방식을 변화시켰다. know-how와 know-what은 know-where로 보완되어야 한다"(4절). 브라운(2002년)에 따르면, 웹은 정보 및 사회적 자원뿐만 아니라, 상호간의 학습이 지원되고 촉진되는 학습 매체로 구성되는 변형 기술로서 기능해왔다.

Siemens (2004) agreed, stating, “the ability to access people and information has changed the way people learn. . . . Know-how and know-what is being supplemented with know-where (the understanding of where to find knowledge needed)” (Section 4). According to Brown (2002), the web has functioned as a transformative technology, comprising not only an informational and social resource, but a learning medium as well, where learning with and from each other is both supported and facilitated.


학습자의 변화

Changes in Learners


이러한 기술 접근 및 도구의 변화와 관련된 것은 학습자의 변화에 따른 것이다. 프렌스키(2010년)에 따르면, "이제 점점 더 많은 젊은이들이 깊고 영구적으로 기술적으로 향상되어, 그 어느 세대도 없었던 방식으로 동료들과 세상과 연결되고 있다." (p. 2) 오늘날의 학생들은 다르게 배우고 싶어할 뿐만 아니라, 그들은 그 누구보다도 실제 그렇게 할 수 있다.

Related to these changes in technology access and tools are changes attributed to the learners themselves. According to Prensky (2010), “More and more young people are now deeply and permanently technologically enhanced, connected to their peers and the world in ways no generation has ever been before” (p. 2). Not only do today’s students want and prefer to learn differently, they seem exceptionally capable of doing so.


지멘스(2004)는 기술이 실제로 학습자의 뇌를 rewired 시켰다고 제안했다. 비록 우리는 디지털 원주민의 두뇌가 디지털 이민자들의 두뇌와 구조적으로 다르다는 물리적인 증거를 아직 가지고 있지 않지만, 그들의 사고 패턴에서 매우 실제적인 차이를 나타내는 증거가 축적되고 있다(Barone, 2003; Brown, 2002). 윈(Winn, 2001년 프렌스키에서 인용)에 따르면, "컴퓨터를 가지고 자란 아이들은 우리와 다르게 생각한다. 그들은 하이퍼텍스트 마인드를 발달시킨다. 그들은 뛰어다닌다. 마치 그들의 인지 구조가 순차적이 아닌 평행한 것과 같다"(p. 3).

Siemens (2004) suggested that technology has actually rewired learners’ brains. Although we do not yet have physical proof that the brains of digital natives are structurally different than those of digital immigrants, evidence is accumulating that signifies very real differences in their thinking patterns (Barone, 2003; Brown, 2002). According to Winn (cited in Prensky, 2001), “Children raised with the computer think differently from the rest of us. they develop hypertext minds. they leap around. It’s as though their cognitive structures were parallel, not sequential” (p. 3).


지멘스(2004)는 학생들이 사용하는 도구 때문에 이러한 변화가 일어났다고 주장한다. 이 아이디어는 사회심리학자들(cf)의 연구에 의해 뒷받침된다. 니스벳, 펑, 최 & 노렌자얀(2001년)은 우리가 자라온 문화를 포함하여 우리의 경험에 따라 사고 패턴이 변화한다는 것을 암시한다. 디지털 토착민들이 성장해 온 것을 보면, "그들의 비디오 게임, MTV, 인터넷의 경련 속도, 멀티태스킹, 랜덤액세스, 그래픽 우선, 액티브, 커넥티드, 재미, 판타지, 신속 결제 세계에 익숙해져 있다"(Prensky, 2001, 페이지 5). 이러한 경험들이 학습자들의 사고 패턴을 변화시켰다는 제안은 그다지 비약이 아니다.

Siemens (2004) argues that these changes have occurred because of the tools students use. this idea is supported by research from social psychologists (cf. Nisbett, Peng, Choi, & Norenzayan, 2001), which suggests that thinking patterns change depending on our experiences, including the culture in which we grew up. Given that digital natives have grown up “accustomed to the twitch-speed, multitasking, random-access, graphics-first, active, connected, fun, fantasy, quick-payoff world of their video games, MTV, and the Internet” (Prensky, 2001, p. 5), the suggestion that these experiences have changed learners’ thinking patterns does not require a huge leap.


바론(2003년)에 따르면, 오늘날의 학생들은 시각적으로나 사회적으로 모두 배울 수 있는 독특한 능력을 가진 "정보화 시대 사고방식"(p. 42)을 가지고 있다. 이와 같이, 디지털 학생들은 실행doing을 통해 배우는learn 것을 선호한다. 새로운 도구를 제공받은 경우, 이들은 사용자 매뉴얼을 참조하기보다는, 바로 실행시켜서 "이것저것을 해보는 편"이다 (Prensky, 2010). 사실, 이러한 학습자들에게는, doing이 knowing보다 훨씬 중요하고, 그 이유는 doing을 통해 당면한 과제에 대한 보다 깊고 진실한 이해를 발전시킬 수 있기 때이다.

According to Barone (2003), today’s students possess an “information age mindset” (p. 42) that comprises a unique ability to learn both visually and socially. As such, digital students prefer to learn by doing—if given a new tool to use, they are much more likely to get in and “muck around” than refer to an owner’s manual (Prensky, 2010). In fact, for these learners, doing is more important than knowing, as this enables the development of a deeper and more authentic understanding of the task at hand.


그리고 나서, 그들의 새로운 지식을 시험하고 처리하는 것이 중요할 때, 디지털 원주민들은 종종 그들의 공식적인 교육 공동체formal educational communities로부터 상대적으로 단절된 채로 있는 그들 자신의 학습 공동체own learning communities로 눈을 돌린다. 이러한 학습에 대한 새로운 접근방식을 고려할 때 샤플스와 동료(2005)는 대화(단어, 이미지, 비디오, 멀티미디어 등을 포함)가 학습의 현재 동인이 되었다고 제안한다.

then, when it is important to test and process their new knowledge, digital natives turn to their own learning communities, which oftentimes remain relatively disconnected from their formal educational communities. Given these new approaches to learning, Sharples and colleagues (2005) propose that conversation (including words, images, videos, multimedia, and more) has become the current driver of learning.


교수법의 변화

Changes in Teaching Methods


1993년, 구성주의는 새롭게 등장한 분야였다. 따라서, 이러한 관점에 맞는 가르치는 방법은 거의 없었다. 그러나 현재 구성주의는 지배적인 교육 이론으로 간주되고 있다.

In 1993, constructivism was the new kid on the block; as such, there were very few, if any, teaching methods that aligned with this perspective. Currently, however, constructivism is considered the dominant educational theory;


그 결과, 사회적 구성주의, 상황학습, 연결주의(Sharples et al., 2005) 등 다양한 구성주의 이론이 최근 몇 년 동안 유지된 대다수의 교수 방법(예: 문제 기반 학습, authentic 교육, 컴퓨터 지원 협업 학습)의 토대가 되었다.

As a result, various constructivist theories, such as social constructivism, situated learning, and connectivism (Sharples et al., 2005), have become the foundation for the majority of teaching methods that have taken hold in recent years (for example, problem-based learning, authentic instruction, computer-supported collaborative learning).


구성주의를 우리의 교수법의 기초로서 일반적으로 수용하는 것 외에도, 개인적, 사회적 과정으로서 학습을 개념화하는 것은 다음의 세 가지 결정적 변화의 융합으로부터 강화되었다(Sharples et al., 2005)

  • (1) 정보에 대한 즉각적이고 효과적인 접근을 가능하게 하는 기술의 개발

  • (2) 높은 수준의 상호작용과 활동을 촉진하는 학습 경험을 원하고 필요로 하는 학습자의 동기, 

  • (3) 현재 학습자가 직업을 갖기 전에 고용주가 요구할 21세기 기술(예: 비판적 사고, 문제 해결, 창의력)의 습득(Kay, 2010).

In addition to the general acceptance of constructivism as the basis for our teaching methods, the conceptualization of learning as both a personal and social process (Sharples et al., 2005) has been enhanced by the convergence of three critical changes: 

  • (1) the development of technologies that allow for immediate and effective access to information; 

  • (2) the motivation of learners who desire and need learning experiences that promote high levels of interaction and activity; and 

  • (3) the demands of employers who now expect learners to acquire relevant 21st-century skills (for example, critical thinking, problem solving, creativity) before entering the workforce (Kay, 2010).


예를 들어, 문제 해결은 21세기의 핵심 기술이다(Barell, 2010). 

  • 전통적으로, 문제 해결 방법은 문제 해결 과정의 단계를 기술하고 그 후에 학생들이 다양한 난이도 문제에 그러한 단계를 적용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초점을 맞췄다. (폴리야, 1945)

Problem solving, for example, is a key 21st-century skill (Barell, 2010). Traditionally, problem-solving teaching methods focused on delineating the steps of the problem-solving process and subsequently allowing students to apply those steps to problems of varying difficulty (Polya, 1945).


  • 대조적으로, 례 기반 학습이나 문제 기반 학습과 같은 더 구성주의적인 교육 방법은 실제로 학생들을 관련 실제 문제에 참여시키도록 설계된다(Barrows, 1986). 이러한 방법에서 학생들은 진정한 문제 상황을 제시한 후 관련 해결책을 제안해야 한다(Mayer, 2009).

In contrast, more constructivist teaching methods, such as case- or problem-based learning, are designed to actually engage students in relevant, real-world problems (Barrows, 1986). In these methods, students are presented with authentic problem situations and then challenged to propose relevant solutions (Mayer, 2009).


또한, 기술 도구가 발전함에 따라, 학생들은 이제 다음에 대한 접근성이 증가했다.

  • (1) 관련 사례/문제 배경 정보, 

  • (2) 부분적 또는 완전한 해결책을 발견할 수 있는 추가적인 사례 또는 사례 저장소, 

  • (3) 비계, 피드백 및 기타 형태에 대한 지원을 제공할 수 있는 사례/문제 전문가

Furthermore, given the advancements in technology tools, students now enjoy increased access to 

  • (1) relevant case/problem background information; 

  • (2) additional cases or case repositories that may uncover partial or full solutions; and 

  • (3) individuals, including case/problem experts who can provide scaffolding, feedback, and other support for formulating solutions.


두 번째, 21세기에는 협업 능력이 필요하다(Kay, 2010). 전통적인 학교 학습 환경은 전형적으로 독립적인 학습 전략을 장려했지만, 오늘날의 복잡한 문제들은 사람들이 자유로운 아이디어 교환, 작업부하의 분배, 다른 솔루션 경로 간의 비교를 가능하게 하는 환경에서 팀을 이루어 일해야 한다.

A second, related 21st-century skill is the ability to work collaboratively (Kay, 2010). While traditional school learning environments have typically promoted independent learning strategies, today’s complex problems necessitate that people work in teams in environments that enable the free exchange of ideas, distribution of workload, and comparisons among different solution paths.


실천 공동체의 사용을 통합하는 교수법은 매우 효과적이었으며(Brown, 1992) situated cognition(Bereiter, 1997)과 구성주의(Constructivism)와 같은 학습 이론과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다. 그러나, 테크놀로지 발달이 장소와 시간의 제한을 극복함에 따라 이들 공동체의 개념은 상당히 진화해 왔다.

Teaching methods that incorporate the use of communities of practice have been very effective (Brown, 1992) and are closely tied to learning theories such as situated cognition (Bereiter, 1997) and constructivism. However, the concept of these communities has evolved considerably as technology has overcome the restrictions of both place and time.


Schwartz, Lin, Brophy, Bransford(1999)에 의해 입증된 것처럼, "대중에게 나아가는" 능력은 학생들이 서로에게서 배우고, 생각이 표현될 수 있는 다른 방법을 보는 방법을 배우고, 그러한 출판이 만들어내는 동기 부여적 가치를 배우고 경험하는 데 도움을 주었다.

As demonstrated by Schwartz, Lin, Brophy, and Bransford (1999), the ability to “go public” has helped students learn from each other, learn how to view the different ways that ideas can be expressed, and learn and experience the motivational value such publication produces.


리처드슨(2010년)은 고교생의 80% 이상이 온라인 출판에 종사했다고 보고했다. Facebook이 교육방법은 아니지만, 독창적인 유물(이상의, 제품, 이야기 등)이 만들어지고, 게시되고, 타인에 의해 검토됨에 따라, 동종 관계자와 관심있는 타인의 협업을 촉진하는 데 활용될 수 있다.

Richardson (2010) reported that more than 80% of high school students have engaged in online publishing. Although Facebook is not a teaching method, aspects of this technology can be utilized to facilitate collaboration among peers and interested others as original artifacts (ideas, products, stories, and the like) are created, posted, and reviewed by others.


함의와 결론

Implications and Conclusions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지난 20년 동안 엄청난 변화가 있었다. 하지만, 이러한 엄청난 변화에도 불구하고, 우리의 "오래된" 이론의 근본적인 원칙은 여전히 유효하다. 사람들은 여전히 

  • 자극-반응 연관성(예: 게임 기반 학습), 

  • 연습 및 피드백 기회(예: 컴퓨터 시뮬레이션),

  • 협력과 사회적 협상 과정(예: 협력 위키 작성)

...을 통해 배운다. 

As noted above, there have been tremendous changes over the last 20 years . Yet, despite these tremendous changes, the underlying principles of our “old” theories still remain relevant. People still learn 

  • through stimulus–response associations (for example, game-based learning) and 

  • through practice and feedback opportunities (for example, computer simulations), as well as 

  • through the processes of collaboration and social negotiation (for example, collaborative wiki writing). 


그리고 지식 구축을 촉진하는 데 사용되는 도구(개별, 아날로그 도구에서 사회적, 디지털 도구까지)와 같이 학습 컨텍스트(고정된, 공식 설정에서 모바일, 비공식적 설정으로)가 변경되었지만, 이해understanding는 여전히 과거와 유사한 방식으로 구성될 가능성이 매우 높으며, 단지 이러한 구성의 기회가 연중무휴로 증가할 뿐이다.

And although learning contexts have changed (from fixed, formal settings to mobile, informal ones), as have the tools used to facilitate knowledge construction (from individual, analog tools to social, digital ones), understanding is very likely still being constructed in ways similar to the past, only with increasing opportunities to construct that knowledge 24/7.


마찬가지로 (교육)설계자의 역할은 다양한 맥락에서 학생 학습을 지원하는 전략을 최적으로 선택하고 구현하기 위해 각 학습 이론의 장단점을 이해하는 역할로 남아 있다. 학습자가 in-transit으로 학습하든, 친구에게 지식을 저장하든 간에, "일상적인 활동에서 문제를 극복하기 위해 노력하는 한" 학습의 필요성은 여전히 나타난다(그들이 늘 그래왔듯이).  (Vavoula, Sharples et al., 2005. p. 5에서 인용)

Similarly, the role of designers remains that of understanding the strengths and weaknesses of each learning theory in order to optimally select and implement strategies that support student learning in a variety of contexts. Whether learners are learning in-transit or storing their knowledge in their friends, learning needs still emerge (as they have always) “when a person strives to overcome a problem . . . in everyday activity” (Vavoula, cited in Sharples et al., 2005, p. 5).


그러나 달라진 것은 교육자와 교육 설계자들이 설계한 학습 경험위 유형은 [학습자들의 요구를 가장 잘 충족시키는 방법으로 참여시키도록], 현재의 도구들의 affordances의 장점을 활용하도록 만들 필요가 있다. 아주 간단히 말해서, 오늘날의 학생들을 위한 학습 설계는 매우 맥락화되어야 하며, 개인적어야 하고, 협력적이어야 한다(Herrington & Herrington, 2007). 설계자는 이러한 변경사항을 인정하고 수용하여 오늘날의 학습자의 기대와 요구를 충족시키는 데 필요한 ID 작업에서 관련성이 있을 뿐만 아니라 존경받는 파트너(Barone, 2003년)로 남아야 한다.

What has changed, however, is the type of learning experiences educators and instructional designers need to create in order to ensure that our learning designs take advantage of the affordances of current tools to engage learners in ways that best meet their needs. Quite simply, learning designs for today’s students must be highly contextualized, personal, and collaborative (Herrington & Herrington, 2007). Designers must acknowledge and embrace these changes so that they remain not only relevant, but respected partners (Barone, 2003) in the ID work required to meet the expectations and needs of today’s learners.


헤링턴과 헤링턴이 지적한 바와 같이, ". 교사의 [와 디자이너]에게 훌륭한 기회를 창출하는 것은 [이론의 진보]와 [테크놀로지의 어포던스]가 결합된 것이다.

As noted by Herrington and Herrington, “. . . it is the confluence of the advances in theory and the affordances of technology that create excellent opportunities for teachers [and designers]” (2007, p. 1).


만약 우리가 이러한 기회를 이용하지 않는다면 우리는 실망할 것이다. 사실, 우리 학생들은 기대를 할 것이다. 아니, 그들은 그것을 요구할 것이다.

We would be remiss if we did not take advantage of these opportunities. Indeed, our students will expect—no, they will demand it.





It has been 20 years since “Behaviorism, Cognitivism, Constructivism: Comparing Critical Features From an Instructional Design Perspective” was first published in Performance Improvement Quarterly (Vol. 6, Issue 4). Although the bases of the theoretical perspectives presented in “the theory article” have not changed (that is, the answers to the seven organizing questions remain largely the same), much of the world outside of these theories, including where and with whom we learn, as well as how that knowledge is stored and accessed, has changed. In this brief update, we explore three major forces affecting the learning process today, all of which were much less prevalent in 1993. These include (1) the proliferation of the Internet, including the use of Web 2.0 tools; (2) the emergence of a new “kind” of student (for example, the digital native) who thinks and learns diff erently than previous generations; and (3) the adoption of a variety of new teaching methods, which build, almost exclusively, on the tenets of constructivism. We discuss each of these in more detail.

행동주의, 인지주의, 구성주의: 교육설계 관점에서 중요특징 비교(Performance Improvement Quarterly, 2013)

Behaviorism, Cognitivism, Constructivism: Comparing Critical Features From an Instructional Design Perspective

Peggy A. Ertmer and Timothy J. Newby





기초학습 연구와 교육 실천 사이에 교량의 필요성이 오랫동안 논의되어 왔다. 이 두 영역 사이의 강한 연관성을 보장하기 위해 듀이(Reigeluth, 1983년 Reigeluth에 인용)는 "연결linking 과학"의 창조와 개발을 요구했다. 타일러(1978)는 "중간자 입장"을 요구했고, 린치(1945)는 이론을 실천으로 번역하는 보조 수단으로 "공학적인 비유"를 채택한 사람이다.

The need for a bridge between basic learning research and educational practice has long been discussed. To ensure a strong connection between these two areas, Dewey (cited in Reigeluth, 1983) called for the creation and development of a “linking science”; Tyler (1978) a “middleman position”; and Lynch (1945) for employing an “engineering analogy” as an aid for translating theory into practice.


교육설계자는 "학습 및 교육의 원칙을 교육자료와 활동의 specification으로 변환"하는 임무를 맡았다(Smith & Ragan, 1993, 페이지 12). 이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두 가지 기술과 지식이 필요하다.

Instructional designers have been charged with “translating principles of learning and instruction into specifications for instructional materials and activities” (Smith & Ragan, 1993, p. 12). To achieve this goal, two sets of skills and knowledge are needed.


첫째, 설계자는 반드시 실무자의 입장을 이해해야 한다. 이와 관련하여 다음과 같은 질문이 타당할 것이다. 애플리케이션의 상황적 및 맥락적 제약조건은 무엇인가? 학습자들 사이의 개인차이의 정도는?

First, the designer must understand the position of the practitioner. In this regard, the following questions would be relevant: What are the situational and contextual constraints of the application? What is the degree of individual differences among the learners?


설계자는 실질적인 학습 문제를 진단하고 분석할 수 있어야 한다. 의사가 적절한 진단 없이는 효과적인 치료법을 처방할 수 없듯이, 지침 설계자는 지침 문제에 대한 정확한 분석 없이는 효과적인 규범적 해결책을 적절하게 권고할 수 없다.

the designer must have the ability to diagnose and analyze practical learning problems. Just as a doctor cannot prescribe an effective remedy without a proper diagnosis, the instructional designer cannot properly recommend an effective prescriptive solution without an accurate analysis of the instructional problem.


문제를 이해하고 분석하는 것 외에, 두번째로 해결책의 잠재적 원천(즉, 인간 학습의 이론)을 이해하는 것, 즉 연구와 적용을 "bridge"하거나 "link"하기 위해 지식과 기술이 필요하다. 이러한 이해를 통해서, 적절한 규범적 해결책은 주어진 진단 문제와 일치할 수 있다. 그러므로 결정적 연결고리는 [교육 설계]와 [교육 현상에 관한 지식] 사이에 있는 것이 아니라, [교육 설계 문제]와 [인간 배움의 이론] 사이에 있다.

In addition to understanding and analyzing the problem, a second core of knowledge and skills is needed to “bridge” or “link” application with research—that of understanding the potential sources of solutions (i.e., the theories of human learning). Through this understanding, a proper prescriptive solution can be matched with a given diagnosed problem. the critical link, therefore, is not between the design of instruction and an autonomous body of knowledge about instructional phenomena, but between instructional design issues and the theories of human learning.


왜 이렇게 학습의 이론과 연구에 중점을 두는가?

Why this emphasis on learning theory and research?


첫째, 학습이론은 검증된 교육 전략, 전술, 기법의 원천이다. 주어진 지시 문제를 극복하기 위한 효과적인 처방을 선택하려고 할 때 그러한 전략의 다양한 지식은 매우 중요하다.

First, learning theories are a source of verified instructional strategies, tactics, and techniques. Knowledge of a variety of such strategies is critical when attempting to select an effective prescription for overcoming a given instructional problem.


둘째, 학습이론은 지적이고 합리적인 전략 선택을 위한 기초를 제공한다. 설계자는 적절한 전략의 레퍼토리를 제공해야 하며, 각 전략을 언제, 왜 채택해야 하는지에 대한 지식을 보유해야 한다. 이러한 지식은 학습자를 돕는 지침 전략으로 직무의 요구에 부합하는 설계자의 능력에 달려 있다.

Second, learning theories provide the foundation for intelligent and reasoned strategy selection. Designers must have an adequate repertoire of strategies available, and possess the knowledge of when and why to employ each. this knowledge depends on the designer’s ability to match the demands of the task with an instructional strategy that helps the learner.


셋째, 교육적 맥락 안에서 선택된 전략의 통합이 매우 중요하다. 학습 이론과 연구는 교육 구성 요소와 교육 설계 간의 관계에 대한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특정 기술/전략이 특정 맥락 내에서 그리고 특정 학습자와 어떻게 가장 잘 결합될 수 있는지를 지시한다 (Keller, 1979).

third, integration of the selected strategy within the instructional context is of critical importance. Learning theories and research often provide information about relationships among instructional components and the design of instruction, indicating how specific techniques/strategies might best fit within a given context and with specific learners (Keller, 1979).


마지막으로, 이론의 궁극적인 역할은 신뢰할 수 있는 예측을 제공하는 것이다(Richy, 1986). 실제적인 교육 문제에 대한 효과적인 해결책은 종종 제한된 시간과 자원에 의해 제한된다. 선택되고 실행된 전략들이 성공의 가장 높은 기회를 가지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워리어스(1990년)가 제안한 바와 같이, 강력한 연구에 기초한 선택은 "교육 현상"에 근거한 것보다 훨씬 신뢰성이 있다.

Finally, the ultimate role of a theory is to allow for reliable prediction (Richey, 1986). Effective solutions to practical instructional problems are often constrained by limited time and resources. It is paramount that those strategies selected and implemented have the highest chance for success. As suggested by Warries (1990), a selection based on strong research is much more reliable than one based on “instructional phenomena.”


이 글은 학습 과정의 세 가지 뚜렷한 관점(행동주의, 인지주의, 구성주의)을 제시하며, 각각의 독특한 특징들이 많지만, 각각의 관점들이 여전히 같은 현상(학습)을 기술하고 있다는 것이 우리의 생각이다.

this article presents three distinct perspectives of the learning process (behavioral, cognitive, and constructivist) and although each has many unique features, it is our belief that each still describes the same phenomena (learning).


스넬베커(1983년)가 강조한 바와 같이, 실제 학습 문제를 다루는 개인들은 "자신을 하나의 이론적 위치로 제한하는 사치"를 누릴 수 없다. [그들은] 다음을 재촉받는다. 우선 학습과 연구에 있어서 심리학자들에 의해 개발된 각각의 기본적인 과학 이론을 검토해야 하며, 자신의 특정한 교육 상황에 가치가 있는 원칙과 개념을 선택해야 한다.

as emphasized by Snelbecker (1983), individuals addressing practical learning problems cannot afford the “luxury of restricting themselves to only one theoretical position . . . [they] are urged to examine each of the basic science theories which have been developed by psychologists in the study of learning and to select those principles and conceptions which seem to be of value for one’s particular educational situation” (p. 8).


존슨(1992년)이 보고한 바와 같이, 교육기술의 일반적인 영역에서 대학 커리큘럼에서 제공되는 강좌 중 2% 미만만이 그들의 핵심 개념 중 하나로 "이론"을 강조한다.

As reported by Johnson (1992), less than two percent of the courses offered in university curricula in the general area of educational technology emphasize “theory” as one of their key concepts.


이 논문은 현대 학습 이론에 대한 우리의 지식에 존재하는 "몇 가지 틈새를 채우려는" 시도를 하려는 것이다.

this article is an attempt to “fill in some of the gaps” that may exist in our knowledge of modern learning theories.


핵심은, 만약 우리가 학습 이론의 깊은 원리들 중 일부를 이해한다면, 우리는 필요에 따라 세부 사항들을 추론할 수 있다는 것이다. 브루너(1971년)가 말했듯이, "자연 속의 모든 것을 자연을 알기 위해 마주칠 필요는 없다"(p. 18). 학습 이론에 대한 기본적인 이해는 여러분에게 "아주 약간만 기억하면서도 동시에 많은 것에 대해 많은 것을 알 수 있는 영민한 전략"을 제공할 수 있다.

the idea is that if we understand some of the deep principles of the theories of learning, we can extrapolate to the particulars as needed. As Bruner (1971) states, “You don’t need to encounter everything in nature in order to know nature” (p. 18). A basic understanding of the learning theories can provide you with a “canny strategy whereby you could know a great deal about a lot of things while keeping very little in mind” (p. 18).


학습에 대한 정의

Learning Defined


배움은 많은 다른 이론가, 연구원 그리고 교육 실무자들에 의해 수많은 방법으로 정의되어 왔다. 단일 정의에 대한 보편적 동의는 존재하지 않지만, 많은 정의는 공통 요소를 사용한다. 슈엘(Shueell, 1991년 스컹크가 해석한 바와 같이)의 다음 정의는 다음과 같은 주요 사상을 통합한다: "학습은 행동의 지속적인 변화 또는 주어진 방식으로 행동할 수 있는 능력으로, 연습이나 다른 형태의 경험에서 비롯된다"(p. 2)


Learning has been defined in numerous ways by many different theorists, researchers and educational practitioners. Although universal agreement on any single definition is nonexistent, many definitions employ common elements. the following definition by Shuell (as interpreted by Schunk, 1991) incorporates these main ideas: “Learning is an enduring change in behavior, or in the capacity to behave in a given fashion, which results from practice or other forms of experience” (p. 2).


한 이론과 다른 이론을 구분하는 것은 정의 그 자체가 아니다. 이론들 사이의 주요한 차이점은 정의에서보다 해석에 더 많이 있다. 이러한 차이점들은 궁극적으로 각 이론적 관점에서 소유하는 교육적 처방을 기술하는 많은 핵심 이슈들을 중심으로 나타난다.

it is not the definition itself that separates a given theory from the rest. the major differences among theories lie more in interpretation than they do in definition. these differences revolve around a number of key issues that ultimately delineate the instructional prescriptions that fl ow from each theoretical perspective.


Schunk(1991)는 각 학습 이론을 다른 학습 이론과 구별하는 역할을 하는 다음과 같은 다섯 가지 결정적인 질문을 나열한다.

Schunk (1991) lists five definitive questions that serve to distinguish each learning theory from the others:


  • (1) 학습은 어떻게 이루어지는가?

  • (2) 학습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 (3) 기억의 역할은 무엇인가?

  • (4) 전이는 어떻게 발생하는가?

  • (5) 어떤 종류의 학문이 이론에 의해 가장 잘 설명되는가?

(1) How does learning occur?

(2) Which factors influence learning?

(3) What is the role of memory?

(4) How does transfer occur?

(5) What types of learning are best explained by the theory?


우리는 교육 디자이너에게 중요한 두 가지 질문을 추가했다.

we have included two additional questions important to the instructional designer:


  • (6) 이 이론의 기본적 가정/원칙은 교육적 설계와 관련이 있는가? 그리고.

  • (7) 학습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교육은 어떻게 구성되어야 하는가?

(6) What basic assumptions/principles of this theory are relevant to instructional design? and

(7) How should instruction be structured to facilitate learning?


이 글에서 이러한 질문들은 각각 행동주의, 인지주의, 구성주의라는 세 가지 뚜렷한 관점에서 대답된다. 학습이론은 일반적으로 행동과 인지라는 두 개의 범주로 구분되지만, 최근 교육 설계 문헌에 강조되어 있기 때문에 제3의 범주인 구성주의 범주가 여기에 추가된다(예: 베드나르, 커닝햄, 더프 y, & 페리, 1991; Duff y & Jonassen, 1991; Jonassen, 1991, Winn, 1991). 여러 면에서 이러한 관점은 중복되지만, 학습을 이해하고 기술하기 위한 별도의 접근방식으로 취급될 만큼 충분히 독특하다.

In this article, each of these questions is answered from three distinct viewpoints: behaviorism, cognitivism, and constructivism. Although learning theories typically are divided into two categories—behavioral and cognitive—a third category, constructive, is added here because of its recent emphasis in the instructional design literature (e.g., Bednar, Cunningham, Duff y, & Perry, 1991; Duff y & Jonassen, 1991; Jonassen, 1991b; Winn, 1991). In many ways these viewpoints overlap; yet they are distinctive enough to be treated as separate approaches to understanding and describing learning.


차이는 구분을 명확히 하기 위해 강조된다. 이것은 이러한 관점들 사이에 유사점이 없거나 겹치는 특징이 없다는 것을 암시하는 것이 아니다. 사실, 서로 다른 학습이론도 종종 동일한 상황에 대해 동일한 지침 방법을 규정할 것이다(단, 용어가 다르고 의도가 다를 수 있다).

differences are emphasized in order to make distinctions clear. this is not to suggest that there are no similarities among these viewpoints or that there are no overlapping features. In fact, different learning theories will often prescribe the same instructional methods for the same situations (only with different terminology and possibly with different intentions).


역사적 토대 

Historical Foundations


현재의 학습이론은 먼 옛날로 뻗어나가는 뿌리를 가지고 있다. 오늘날의 이론가들과 연구자들이 씨름하고 투쟁하는 문제들은 새로운 것이 아니라 단지 시대를 초월한 주제에 대한 변화일 뿐이다. 지식은 어디서 나오고 사람들은 어떻게 알게 되는가? 지식의 기원에 대한 두 가지 상반되는 입장, 즉 경험주의와 합리주의는 수세기 동안 존재해왔으며 오늘날 학습 이론에서는 여전히 다양한 정도로 명백하다. 행동주의, 인지주의, 구성주의 등의 "현대적" 학습 관점을 비교하기 위한 배경으로 이러한 견해에 대한 간략한 설명이 여기에 포함된다.

Current learning theories have roots that extend far into the past. the problems with which today’s theorists and researchers grapple and struggle are not new but simply variations on a timeless theme: Where does knowledge come from and how do people come to know? Two opposing positions on the origins of knowledge—empiricism and rationalism— have existed for centuries and are still evident, to varying degrees, in the learning theories of today. A brief description of these views is included here as a background for comparing the “modern” learning viewpoints of behaviorism, cognitivism, and constructivism.


  • 경험론은 경험이 지식의 주요 원천이라는 견해이다(Schunk, 1991). 즉, 유기체는 기본적으로 아무런 지식도 없이 태어나고 배운 것은 환경과의 상호 작용과 연관성을 통해 얻어진다. 아리스토텔레스(384–322 B.C)를 시작으로, 경험론자들은 지식은 감각적 인상으로부터 파생된다는 견해를 옹호했다. 그러한 인상은 시간 및/또는 공간에서 연속적으로 연관될 때 복잡한 아이디어를 형성하기 위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Empiricism is the view that experience is the primary source of knowledge (Schunk, 1991). Th at is, organisms are born with basically no knowledge and anything learned is gained through interactions and associations with the environment. Beginning with Aristotle (384–322 B.C.), empiricists have espoused the view that knowledge is derived from sensory impressions. Those impressions, when associated contiguously in time and/or space, can be hooked together to form complex ideas.


예를 들어, 허스, 에게트, 디즈(1980년)가 그린 것처럼 '나무'라고 하는 복잡한 사상은 '가지와 잎'이라는 덜 복잡한 사상에서 만들어질 수 있는데, 이것은 다시 '나무와 섬유성'의 사상에서 만들어지고, 이는 '녹색성, 나무 냄새' 등 기본적인 감각으로 만들어지는 것이다.

For example, the complex idea of a tree, as illustrated by Hulse, Egeth, and Deese (1980), can be built from the less complex ideas of branches and leaves, which in turn are built from the ideas of wood and fiber, which are built from basic sensations such as greenness, woody odor, and so forth.


이러한 관점에서 중요한 교육 설계 문제는 [적절한 연관성이 발생할 수 있도록 개선하고 보장하기 위해 환경을 조작하는 방법]에 초점을 맞춘다.

From this perspective, critical instructional design issues focus on how to manipulate the environment in order to improve and ensure the occurrence of proper associations.



  • 합리주의는 지식이 감각의 도움 없이 이성으로부터 나온다는 관점이다(Schunk, 1991). 마음과 물질의 구별에 대한 이러한 근본적인 믿음은 플라톤(C. 427–347 B.C)에서 비롯되었으며, 인간이 이미 마음 속에 존재하는 것을 회상하거나 "발견"함으로써 배운다는 관점에 반영된다.

Rationalism is the view that knowledge derives from reason without the aid of the senses (Schunk, 1991). this fundamental belief in the distinction between mind and matter originated with Plato (c. 427–347 B.C.), and is reflected in the viewpoint that humans learn by recalling or “discovering” what already exists in the mind.


예를 들어, 일생 동안 나무에 대한 직접적인 경험은 단순히 이미 마음속에 있는 것을 드러내는 역할을 한다. 나무의 "실제" 성질(녹색, 목질, 기타 특성)은 경험을 통해서가 아니라, 주어진 나무의 예에 대한 자신의 생각에 대한 반성을 통해 알려지게 된다. 비록 후기 합리주의자들이 플라톤의 다른 생각들 중 일부에 대해서는 서로 의견이 달랐지만, 중심적 믿음은 그대로 유지되었는데, 그것은 바로 지식은 마음에서 비롯한다는 것이다.

For example, the direct experience with a tree during one’s lifetime simply serves to reveal that which is already in the mind. the “real” nature of the tree (greenness, woodiness, and other characteristics) becomes known, not through the experience, but through a reflection on one’s idea about the given instance of a tree. Although later rationalists differed on some of Plato’s other ideas, the central belief remained the same: that knowledge arises through the mind.


이러한 관점에서, 교육적 설계 문제는 다음의 두 가지를 위해 새로운 정보의 구조를 어떻게 최적화 하는가에 초점을 맞춘다.

  • (1) 새로운 정보의 인코딩 

  • (2) 이미 알려진 정보의 리콜을 용이하게 함

From this perspective, instructional design issues focus on how best to structure new information in order to facilitate (1) the learners’ encoding of this new information, as well as (2) the recalling of that which is already known.


교육 이론이 시작될 때 행동주의가 지배적이었기 때문에( 1950년경), 그것과 함께 생겨난 교육 설계(ID) 기술은 당연히 그 기본적인 가정과 특징의 많은 영향을 받았다. ID는 행동 이론에 뿌리를 두고 있기 때문에, 우리가 먼저 행동주의에 주의를 돌리는 것이 적절해 보인다.

Because behaviorism was dominant when instructional theory was initiated (around 1950), the instructional design (ID) technology that arose alongside it was naturally influenced by many of its basic assumptions and characteristics. Since ID has its roots in behavioral theory, it seems appropriate that we turn our attention to behaviorism first.


행동주의

Behaviorism


배움은 어떻게 발생하는가?

How does learning occur?


행동주의는 학습을 [관찰 가능한 수행]의 형태나 빈도의 변화와 동일시한다. 학습은 특정 환경 자극의 제시 후에 적절한 반응을 보일 때 이루어진다.

Behaviorism equates learning with changes in either the form or frequency of observable performance. Learning is accomplished when a proper response is demonstrated following the presentation of a specific environmental stimulus.


예를 들어, "2 + 4 =?" 방정식을 나타내는 수학 플래시 카드를 제시하면, 학습자는 "6"의 대답으로 답한다. 방정식은 자극이고 적절한 대답은 관련 반응이다. 핵심 요소는 자극, 반응, 그리고 둘 사이의 연관성이다. 주된 관심사는 자극과 반응 사이의 연관성이 어떻게 만들어지고, 강화되고, 유지되는가 하는 것이다.

For example, when presented with a math flashcard showing the equation “2 + 4 = ?” the learner replies with the answer of “6.” the equation is the stimulus and the proper answer is the associated response. the key elements are the stimulus, the response, and the association between the two. Of primary concern is how the association between the stimulus and response is made, strengthened, and maintained.


행동주의는 그러한 수행의 결과의 중요성에 초점을 맞추고 있으며, 강화가 따라오는 반응이 미래에 재발할 가능성이 더 높다고 주장한다. 학생의 지식 구조를 결정하거나 어떤 정신적 과정을 그들이 사용하는 것이 필요한지 평가하려는 시도는 없다(Winn, 1990). 학습자는 환경을 발견하는 데 적극적인 역할을 하는 대신 환경의 조건에 반응하는 것이 특징이다.

Behaviorism focuses on the importance of the consequences of those performances and contends that responses that are followed by reinforcement are more likely to recur in the future. No attempt is made to determine the structure of a student’s knowledge nor to assess which mental processes it is necessary for them to use (Winn, 1990). the learner is characterized as being reactive to conditions in the environment as opposed to taking an active role in discovering the environment.


어떤 요인들이 학습에 영향을 줍니까?

Which factors influence learning?


행동주의자들은 학습자와 환경적 요인을 모두 중요하게 생각하지만, 환경 조건이 가장 큰 강조를 받는다. 행동주의자들은 학습자를 평가하여 교육을 시작할 시점과 특정 학생에게 가장 효과적인 강화자를 결정한다. 그러나 가장 중요한 요소는 환경 내에서 자극과 결과의 배열이다.

Although both learner and environmental factors are considered important by behaviorists, environmental conditions receive the greatest emphasis. Behaviorists assess the learners to determine at what point to begin instruction as well as to determine which reinforcers are most effective for a particular student. the most critical factor, however, is the arrangement of stimuli and consequences within the environment.


기억의 역할은 무엇인가?

What is the role of memory?


행동주의자에게 기억은 보통 일반적인 정의처럼 다뤄지지 않는다. "습관"의 취득이 논의되고 있지만, 이러한 습관들이 향후의 사용을 위해 어떻게 저장되거나 회수되는지에 대해서는 거의 관심을 기울이지 않는다. 망각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반응의 "비사용"에 기인한다. 정기적인 연습이나 복습의 사용은 학습자의 반응 준비를 유지하는 역할을 한다(Schunk, 1991).

Memory, as commonly defined by the layman, is not typically addressed by behaviorists. Although the acquisition of “habits” is discussed, little attention is given as to how these habits are stored or recalled for future use. Forgetting is attributed to the “nonuse” of a response over time. the use of periodic practice or review serves to maintain a learner’s readiness to respond (Schunk, 1991).


전이는 어떻게 발생하는가?

How does transfer occur?


전이(transfer)는 [학습된 지식을 새로운 방법이나 상황에 적용하는 것]뿐만 아니라 선행학습이 새로운 학습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가를 말한다. 행동학습 이론에서, 전이는 일반화의 결과물이다. 동일하거나 유사한 특징들을 포함하는 상황들은 행동들이 공통적인 요소들에 걸쳐 전달될 수 있게 한다.

Transfer refers to the application of learned knowledge in new ways or situations, as well as to how prior learning affects new learning. In behavioral learning theories, transfer is a result of generalization. Situations involving identical or similar features allow behaviors to transfer across common elements.


예를 들어, 느릅나무를 인식하고 분류하는 법을 배운 학생은 같은 과정을 이용하여 단풍나무를 분류할 때 전이를 보여준다. 느릅나무와 단풍나무의 유사성을 통해 학습자는 이전의 느릅나무 분류 학습 경험을 단풍나무 분류 작업에 적용할 수 있다.

For example, the student who has learned to recognize and classify elm trees demonstrates transfer when (s)he classifies maple trees using the same process. the similarities between the elm and maple trees allow the learner to apply the previous elm tree classification learning experience to the maple tree classification task.


어떤 종류의 학습이 이 직책에 의해 가장 잘 설명되는가?

What types of learning are best explained by this position?


행동주의자들은 교육적 단서, 연습 및 보강의 사용을 포함하여 자극-반응 연관성의 구축 및 강화에 가장 유용한 전략을 규정하려고 한다(Win, 1990). 이러한 처방들은 일반적으로 다음...을 포함하는 것이 학습을 촉진하는 데 신뢰할 수 있고 효과적인 것으로 입증되었다.

    • 구별(사실 호출), 

    • 일반화(개념 정의 및 설명), 

    • 연관성(설명 적용) 및 

    • 체이닝(특정 절차를 자동적으로 수행)

Behaviorists attempt to prescribe strategies that are most useful for building and strengthening stimulus-response associations (Winn, 1990), including the use of instructional cues, practice, and reinforcement. these prescriptions have generally been proven reliable and effective in facilitating learning that involves 

    • discriminations (recalling facts), 

    • generalizations (defining and illustrating concepts), 

    • associations (applying explanations), and 

    • chaining (automatically performing a specified procedure).


그러나 행동주의 원리는 상위 수준의 기술이나 보다 심층적인 처리가 필요한 기술(예: 언어 개발, 문제 해결, 추론 생성, 비판적 사고)의 획득을 적절하게 설명할 수 없다는 데 일반적으로 동의한다(Schunk, 1991).

However, it is generally agreed that behavioral principles cannot adequately explain the acquisition of higher level skills or those that require a greater depth of processing (e.g., language development, problem solving, inference generating, critical thinking) (Schunk, 1991).


이 이론의 어떤 기본적인 가정/원칙이 교육적 설계와 관련이 있는가?

What basic assumptions/principles of this theory are relevant to instructional design?


교육 설계와 직접적인 관련이 있는 구체적인 가정이나 원칙은 다음을 포함한다(잠재 가능한 현재 ID 애플리케이션은 나열된 원칙에 따라 괄호[ ]에 열거되어 있다).

Specific assumptions or principles that have direct relevance to instructional design include the following (possible current ID applications are listed in brackets [ ] following the listed principle):


♦ 학생에게 관찰 가능하고 측정 가능한 결과의 생산에 대한 강조[행동 목표, 과제 분석, 기준 참조 평가]

♦ 교육을 시작해야 할 위치를 결정하기 위한 학생 사전 평가 [학습자 분석]

♦ 더 복잡한 수준의 성과로 진행하기 전에 초기 단계를 숙달해야 함을 강조함 [교육 프레젠테이션의 순서, 숙달된 학습]

♦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강화의 활용 [무형 보상, 정보 피드백]

♦ 강력한 자극 반응 연관성을 보장하기 위한 단서, 형상화 및 실천의 사용 [단순한 것에서 복잡한 것으로 순서, 프롬프트 사용]

♦ An emphasis on producing observable and measurable outcomes in students [behavioral objectives, task analysis, criterion-referenced assessment]

♦ Pre-assessment of students to determine where instruction should begin [learner analysis]

♦ Emphasis on mastering early steps before progressing to more complex levels of performance [sequencing of instructional presentation, mastery learning]

♦ Use of reinforcement to impact performance [tangible rewards, informative feedback]

♦ Use of cues, shaping and practice to ensure a strong stimulus response association [simple to complex sequencing of practice, use of prompts]


교육은 어떻게 구성되어야 하는가?

How should instruction be structured?


행동주의자를 위한 가르침의 목표는 목표 자극이 제시된 학습자로부터 원하는 반응을 이끌어내는 것이다. 이를 달성하기 위해 학습자는 적절한 응답과 적절한 응답을 실행하는 방법을 알고 있어야 한다. 따라서, 교육은 목표 자극의 제시와 학습자가 적절한 대응을 연습할 수 있는 기회 제공을 중심으로 구성된다. 자극-반응 쌍의 연계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교육에서는 흔히 신호(반응을 보일 것을 자극하는 최초의 것)와 강화(대상 자극이 있는 경우 올바른 대응을 강화한다)를 사용한다.

the goal of instruction for the behaviorist is to elicit the desired response from the learner who is presented with a target stimulus. To accomplish this, the learner must know how to execute the proper response, as well as the conditions under which that response should be made. therefore, instruction is structured around the presentation of the target stimulus and the provision of opportunities for the learner to practice making the proper response. To facilitate the linking of stimulus-response pairs, instruction frequently uses cues (to initially prompt the delivery of the response) and reinforcement (to strengthen correct responding in the presence of the target stimulus).


행동 이론에 따르면 교사/설계자의 일은

    • (1) 원하는 반응을 이끌어낼 수 있는 단서를 결정하는 것

    • (2) 프롬프트가 처음에는 유도력이 없지만 "자연" (성능) 환경에서 반응을 이끌어낼 것으로 예상되는 목표 자극과 짝을 이루는 연습 상황을 배치하는 것 

    • (3) 학생들이 목표 자극이 존재하는 상태에서 올바른 반응을 할 수 있도록 환경 조건을 조정하고, 그러한 반응에 대한 강화를 받을 수 있도록 하는 것(Gropper, 1987).

Behavioral theories imply that the job of the teacher/designer is to 

    • (1) determine which cues can elicit the desired responses; 

    • (2) arrange practice situations in which prompts are paired with the target stimuli that initially have no eliciting power but which will be expected to elicit the responses in the “natural” (performance) setting; and 

    • (3) arrange environmental conditions so that students can make the correct responses in the presence of those target stimuli and receive reinforcement for those responses (Gropper, 1987).


인지주의

Cognitivism


1950년대 후반, 학습이론은 행동 모델의 사용에서 인지과학의 학습 이론과 모델에 의존하는 접근으로 전환하기 시작했다. 심리학자와 교육자들은 명백하고 관찰 가능한 행동에 우려를 강조하기 시작했으며 대신 사고, 문제 해결, 언어, 개념 형성 및 정보 처리와 같은 보다 복잡한 인지 과정을 강조했다(Snelbecker, 1983). 지난 10년 동안, 교육 설계 분야의 많은 저자들은 인지 과학에서 도출된 학습에 대한 새로운 심리적 가정들에 호의적으로 ID의 전통적인 행동주의 가정들 중 많은 것들을 공개적으로 그리고 의식적으로 거부해왔다. 개방적인 혁명으로 보든 단순하게 점진적인 진화 과정으로 보든, 인지 이론이 현재의 학습 이론의 최전선으로 이동했다는 일반적인 인식이 있는 것 같다(Bednar et al., 1991).

In the late 1950s, learning theory began to make a shift away from the use of behavioral models to an approach that relied on learning theories and models from the cognitive sciences. Psychologists and educators began to de-emphasize a concern with overt, observable behavior and stressed instead more complex cognitive processes such as thinking, problem solving, language, concept formation and information processing (Snelbecker, 1983). Within the past decade, a number of authors in the field of instructional design have openly and consciously rejected many of ID’s traditional behavioristic assumptions in favor of a new set of psychological assumptions about learning drawn from the cognitive sciences. Whether viewed as an open revolution or simply a gradual evolutionary process, there seems to be the general acknowledgment that cognitive theory has moved to the forefront of current learning theories (Bednar et al., 1991).


배움은 어떻게 발생하는가?

How does learning occur?


인지 이론은 지식과 내부적 정신 구조의 획득을 강조하며, 이와 같이 인식론 연속체의 합리주의적 종말에 더 가깝다(Bower & Hilgard, 1981). 학습은 반응 확률의 변화보다는 지식 상태 간의 이산적 변화와 동일하다. 인지 이론은 학생들의 학습 과정의 개념화에 초점을 맞추고 있으며, 정보가 어떻게 전달, 조직, 저장, 회수되는지에 대한 문제를 다룬다.

Cognitive theories stress the acquisition of knowledge and internal mental structures and, as such, are closer to the rationalist end of the epistemology continuum (Bower & Hilgard, 1981). Learning is equated with discrete changes between states of knowledge rather than with changes in the probability of response. Cognitive theories focus on the conceptualization of students’ learning processes and address the issues of how information is received, organized, stored, and retrieved by the mind.


배움은 학습자가 무엇을 하는지에 대한 것이 아니라, 그들이 무엇을 알고 어떻게 그것을 습득하게 되는지에 대한 것이다(Jonassen, 1991b). 지식 습득은 학습자에 의해 내부 코딩과 구조를 수반하는 정신적 활동으로 설명된다. 학습자는 학습 과정에 매우 적극적인 참여자로 간주된다.

Learning is concerned not so much with what learners do but with what they know and how they come to acquire it (Jonassen, 1991b). Knowledge acquisition is described as a mental activity that entails internal coding and structuring by the learner. the learner is viewed as a very active participant in the learning process.


어떤 요인들이 학습에 영향을 줍니까?

Which factors influence learning?


인지주의는 행동주의와 마찬가지로 환경 조건이 학습을 용이하게 하는 역할을 강조한다. 지침 설명, 데모, 사례, 일치된 비고사례는 모두 학생 학습을 지도하는 데 도움이 되는 것으로 간주된다. 마찬가지로, 교정적 피드백과 함께 실천의 역할에 중점을 둔다. 이 정도까지는 이 두 이론 사이에 거의 차이가 감지되지 않는다.

Cognitivism, like behaviorism, emphasizes the role that environmental conditions play in facilitating learning. Instructional explanations, demonstrations, illustrative examples and matched non-examples are all considered to be instrumental in guiding student learning. Similarly, emphasis is placed on the role of practice with corrective feedback. Up to this point, little difference can be detected between these two theories.


그러나 학습자의 "능동적" 성질은 전혀 다르게 인식된다. 인지적 접근은 반응을 이끌어내는 학습자의 정신 활동에 초점을 맞추고, 정신 계획, 목표 설정 및 조직 전략의 과정을 인정한다(Shueell, 1986). 인지 이론은 환경적 "cue"와 교육적 요소만으로는 교육적 상황에서 발생하는 모든 학습을 설명할 수 없다고 주장한다.

However, the “active” nature of the learner is perceived quite differently. the cognitive approach focuses on the mental activities of the learner that lead up to a response and acknowledges the processes of mental planning, goal-setting, and organizational strategies (Shuell, 1986). Cognitive theories contend that environmental “cues” and instructional components alone cannot account for all the learning that results from an instructional situation.


추가 주요 요소에는 학습자가 정보를 수집, 코드화, 변환, 리허설, 저장 및 검색하는 방법이 포함된다. 학습자의 생각, 신념, 태도, 가치관도 학습 과정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간주된다(Winne, 1985). 인지적 접근법의 진짜 초점은 적절한 학습 전략을 사용하도록 권장함으로써 학습자를 바꾸는 것이다.

Additional key elements include the way that learners attend to, code, transform, rehearse, store and retrieve information. Learners’ thoughts, beliefs, attitudes, and values are also considered to be influential in the learning process (Winne, 1985). the real focus of the cognitive approach is on changing the learner by encouraging him/her to use appropriate learning strategies.


기억의 역할은 무엇인가?

What is the role of memory?


위에서 설명한 것처럼 기억력은 학습 과정에서 두드러진 역할을 한다. 학습은 정보가 체계적이고 의미 있는 방식으로 메모리에 저장될 때 발생한다. 교사/설계자는 학습자가 최적의 방식으로 정보를 구성할 수 있도록 도울 책임이 있다. 설계자는 학습자가 새로운 정보를 사전 지식에 연결하도록 돕기 위해 고급 계획자, 유사성, 계층적 관계 및 행렬과 같은 기법을 사용한다. 잊어버리는 것은 정보에 접근하는 데 필요한 간섭, 메모리 손실 또는 누락 또는 불충분한 단서 때문에 메모리로부터 정보를 검색할 수 없는 것이다.

As indicated above, memory is given a prominent role in the learning process. Learning results when information is stored in memory in an organized, meaningful manner. Teachers/designers are responsible for assisting learners in organizing that information in some optimal way. Designers use techniques such as advance organizers, analogies, hierarchical relationships, and matrices to help learners relate new information to prior knowledge. Forgetting is the inability to retrieve information from memory because of interference, memory loss, or missing or inadequate cues needed to access information.


이전은 어떻게 발생하는가?

How does transfer occur?


인지 이론에 따르면, 전이(transfer)는 정보가 기억 속에 어떻게 저장되는지의 함수라고 한다(Schunk, 1991). 학습자가 다른 맥락에서 지식을 적용하는 방법을 이해할 때, 전이가 발생한다. 이해라는 것은 규칙, 개념, 구별의 형태로 지식기반을 구성하는 것으로 여겨진다(Duff y & Jonassen, 1991).

According to cognitive theories, transfer is a function of how information is stored in memory (Schunk, 1991). When a learner understands how to apply knowledge in different contexts, then transfer has occurred. Understanding is seen as being composed of a knowledge base in the form of rules, concepts, and discriminations (Duff y & Jonassen, 1991).


사전 지식은 새로운 정보의 유사성과 차이점을 식별하기 위한 경계 제약boundary constraint을 확립하기 위해 사용된다. 지식 그 자체는 기억 속에 저장되어야 할 뿐만 아니라 그 지식의 사용도 저장되어야 한다. 특정 교육적 또는 현실적 이벤트는 특정한 반응을 유발하지만, 학습자는 어떤 지식을 활성화하기 전에, 그 지식이 주어진 상황에서 유용하다고 믿어야 한다.

Prior knowledge is used to establish boundary constraints for identifying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of novel information. Not only must the knowledge itself be stored in memory but the uses of that knowledge as well. Specific instructional or real-world events will trigger particular responses, but the learner must believe that the knowledge is useful in a given situation before he or she will activate it.


어떤 종류의 학습이 이 직책에 의해 가장 잘 설명되는가?

What types of learning are best explained by this position?


정신 구조에 대한 강조 때문에 인지 이론은 일반적으로 더 행동적인 관점보다 복잡한 형태의 학습(이성, 문제 해결, 정보 처리)을 설명하는데 더 적합한 것으로 간주된다(Schunk, 1991). 그러나, 이 시점에서 이러한 두 가지 관점에 대한 강의의 실제 목표가 종종 동일하다는 것을 나타내는 것이 중요하다: 가능한 한 가장 효율적이고 효과적인 방법으로 학생들에게 지식을 전달하거나 소통하는 것이다(Bednar et al., 1991).

Because of the emphasis on mental structures, cognitive theories are usually considered more appropriate for explaining complex forms of learning (reasoning, problem-solving, information-processing) than are those of a more behavioral perspective (Schunk, 1991). However, it is important to indicate at this point that the actual goal of instruction for both of these viewpoints is often the same: to communicate or transfer knowledge to the students in the most efficient, effective manner possible (Bednar et al., 1991).


지식 전달의 이러한 효과와 효율성을 달성하는데 양 진영에서 사용하는 두 가지 기술은 단순화와 표준화다. 즉, 지식은 분석, 분해, 그리고 기본적인 구성 요소로 단순화할 수 있다. 관련 없는 정보가 제거되면 지식 전달이 빨라진다.

Two techniques used by both camps in achieving this effectiveness and efficiency of knowledge transfer are simplification and standardization. Th at is, knowledge can be analyzed, decomposed, and simplified into basic building blocks. Knowledge transfer is expedited if irrelevant information is eliminated.


예를 들어 워크숍에 참석하는 연습생에게는 가능한 한 빠르고 쉽게 새로운 정보를 동화 및/또는 수용할 수 있는 방법으로 "sized"와 "chunked"의 정보가 제공될 것이다.

For example, trainees attending a workshop would be presented with information that is “sized” and “chunked” in such a way that they can assimilate and/or accommodate the new information as quickly and as easily as possible.


행동주의자들은 그러한 전달을 최적화하기 위한 환경 설계에 초점을 맞추고, 인지주의자들은 효율적인 처리 전략을 강조할 것이다

Behaviorists would focus on the design of the environment to optimize that transfer, while cognitivists would stress efficient processing strategies.


이 이론의 어떤 기본적인 가정/원칙이 교육적 설계와 관련이 있는가?

What basic assumptions/principles of this theory are relevant to instructional design?


인지학자들이 옹호하고 활용하는 많은 교육 전략들 또한 행동주의자들에 의해 강조되지만, 대개는 다른 이유로 강조된다. 분명한 공통점은 피드백의 사용이다

    • 행동주의자는 피드백(강화)을 사용하여 원하는 방향으로 행동을 수정하는 반면, 

    • 인지주의자는 피드백(결과 지식)을 활용하여 정확한 정신연계를 안내하고 지원한다(Thompson, Simonson & Hargrave, 1992).

Many of the instructional strategies advocated and utilized by cognitivists are also emphasized by behaviorists, yet usually for different reasons. An obvious commonality is the use of feedback. A behaviorist uses feedback (reinforcement) to modify behavior in the desired direction, while cognitivists make use of feedback (knowledge of results) to guide and support accurate mental connections (Thompson, Simonson, & Hargrave, 1992).


학습자와 과제 분석은 또한 인식론자와 행동론자 모두에게 매우 중요하지만, 다른 이유로 다시 한 번 더 중요하다. 

    • 인지학자들은 학습자의 학습 성향을 판단하기 위해 학습자를 본다. (즉, 학습자가 어떻게 학습을 활성화, 유지 및 지시하는가?) (Th 옴슨 외, 1992). 또한, 인지학자들은 학습자가 쉽게 동화될 수 있도록 교육을 설계하는 방법을 결정하기 위해 학습자를 검사한다(즉, 학습자의 기존 정신 구조는 무엇인가?).

Learner and task analyses are also critical to both cognitivists and behaviorists, but once again, for different reasons. Cognitivists look at the learner to determine his/her predisposition to learning, (i.e., How does the learner activate, maintain, and direct his/her learning?) (Th ompson et al., 1992). Additionally, cognitivists examine the learner to determine how to design instruction so that it can be readily assimilated (i.e., What are the learner’s existing mental structures?).


    • 이와는 대조적으로 행동주의자들은 어디서 수업을 시작해야 하는지(즉, 현재 어떤 수준에서 성공적으로 수행되고 있는가?) 어떤 강화가 가장 효과적이어야 하는지(즉, 학습자가 가장 원하는 결과는 무엇인가?)를 결정하기 위해 학습자를 본다.

In contrast, the behaviorists look at learners to determine where the lesson should begin (i.e., At what level are they currently performing successfully?) and which reinforcers should be most effective (i.e., What consequences are most desired by the learner?).


지침 설계와 직접적인 관련이 있는 구체적인 가정 또는 원칙은 다음을 포함한다.

Specific assumptions or principles that have direct relevance to instructional design include the following


♦ 학습 과정의 학습자의 적극적인 참여 강조 [학습자 제어, 인지 훈련(예: 자기 계획, 모니터링 및 수정 기법)]

선행 조건 관계를 식별하고 설명하기 위한 계층 분석의 사용 [인식 작업 분석 절차]

♦ 최적 처리를 위한 정보의 구조화, 정리, 배열 등에 대한 강조[개요, 요약, 합성기, 사전 기획자 등 인지 전략의 활용]

♦ 학생들이 이전에 학습한 자료와 연결할 수 있도록 하고 권장하는 학습 환경 조성 [필수 조건 기술 회수; 관련 예제 사용, 유사 자료 사용]


♦ Emphasis on the active involvement of the learner in the learning process [learner control, metacognitive training (e.g., self-planning, monitoring, and revising techniques)]

♦ Use of hierarchical analyses to identify and illustrate prerequisite relationships [cognitive task analysis procedures]

♦ Emphasis on structuring, organizing, and sequencing information to facilitate optimal processing [use of cognitive strategies such as outlining, summaries, synthesizers, advance organizers, etc.]

♦ Creation of learning environments that allow and encourage students to make connections with previously learned material [recall of prerequisite skills; use of relevant examples, analogies]


교육은 어떻게 구성되어야 하는가?

How should instruction be structured?


    • 동 이론은 교사들이 학생들이 제시된 자극에 적절히 반응하도록 환경 조건을 조정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 인지 이론지식을 의미 있게 만들고 학습자가 새로운 정보를 구성하고 기억에 존재하는 지식과 연관시키는 것을 돕는 것을 강조한다. 

지도는 학생의 기존 정신 구조, 즉 스키마를 기반으로 해야 효과적이다. 그것은 학습자가 새로운 정보를 어떤 의미 있는 방법으로 기존 지식과 연결할 수 있도록 정보를 구성해야 한다. 비유와 은유는 이러한 유형의 인지 전략의 예들이다.

Behavioral theories imply that teachers ought to arrange environmental conditions so that students respond properly to presented stimuli. Cognitive theories emphasize making knowledge meaningful and helping learners organize and relate new information to existing knowledge in memory. Instruction must be based on a student’s existing mental structures, or schema, to be effective. It should organize information in such a manner that learners are able to connect new information with existing knowledge in some meaningful way. Analogies and metaphors are examples of this type of cognitive strategy.


다른 인지 전략에는 프레임 사용, 개요, 니모닉 사용, 개념 매핑, 사전 계획자 등이 포함될 수 있다(West, Farmer, 1991).

Other cognitive strategies may include the use of framing, outlining, mnemonics, concept mapping, advance organizers, and so forth (West, Farmer, & Wolff , 1991).


이러한 인지적 강조는 교사/설계자의 주요 업무가 다음을 포함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 (1) 개인은 학습 상황에 다양한 학습 경험을 가져오며, 이것이 학습 결과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이해 

    • (2) 이전에 습득한 지식, 능력 및 경험을 활용하기 위해 새로운 정보를 구성하고 구성하는 가장 효과적인 방법 결정 

    • (3) 새로운 정보가 효과적이고 효율적으로 동화 및/또는 학습자의 인지 구조 내에서 수용될 수 있도록 피드백을 통해 실천을 정돈한다(Stepich & Newby, 1988).

Such cognitive emphases imply that major tasks of the teacher/designer include 

(1) understanding that individuals bring various learning experiences to the learning situation which can impact learning outcomes; 

(2) determining the most effective manner in which to organize and structure new information to tap the learners’ previously acquired knowledge, abilities, and experiences; and 

(3) arranging practice with feedback so that the new information is effectively and efficiently assimilated and/or accommodated within the learners’ cognitive structure (Stepich & Newby, 1988).


인지적 접근법을 활용하는 학습 상황의 다음 예를 고려해보자: 대기업 교육부의 한 관리자가 새로운 인턴에게 다가오는 개발 프로젝트를 위해 비용-편익 분석을 완료하도록 가르쳐 달라고 요청 받았다. 이 경우, 사업 환경에서 비용 편익 분석에 대한 경험이 없는 것으로 가정한다. 그러나, 이 새로운 작업을 인턴이 더 많은 경험을 가진 매우 유사한 절차와 연관시킴으로써, 관리자는 이 새로운 절차의 원활하고 효율적인 기억으로의 동화를 촉진할 수 있다. 이러한 익숙한 절차에는 개인이 자신의 월 급여 수표를 배분하는 과정, 사치품 구매와 관련하여 구매/무구매 결정을 내리는 방법, 심지어 주말 지출 활동이 어떻게 결정되고 우선 순위가 매겨지는지 등이 포함될 수 있다. 그러한 활동에 대한 절차는 비용-효익 분석의 절차와 정확히 일치하지 않을 수 있지만, 활동 사이의 유사성은 익숙하지 않은 맥락 안에 낯선 정보를 넣을 수 있게 한다. 당사에서는 처리 요건이 감소하고 회수 신호의 잠재적 효과성이 증가한다.

Consider the following example of a learning situation utilizing a cognitive approach: A manager in the training department of a large corporation had been asked to teach a new intern to complete a cost-benefi t analysis for an upcoming development project. In this case, it is assumed that the intern has no previous experience with cost-benefit analysis in a business setting. However, by relating this new task to highly similar procedures with which the intern has had more experience, the manager can facilitate a smooth and efficient assimilation of this new procedure into memory. these familiar procedures may include the process by which the individual allocates his monthly pay check, how (s)he makes a buy/ no-buy decision regarding the purchase of a luxury item, or even how one’s weekend spending activities might be determined and prioritized. the procedures for such activities may not exactly match those of the cost-benefit analysis, but the similarity between the activities allows for the unfamiliar information to be put within a familiar context. Th us, processing requirements are reduced and the potential effectiveness of recall cues is increased.


구성주의

Constructivism


행동 이론과 인지 이론 둘 다에 기초하는 철학적인 가정들은 주로 객관성이다; 즉 세상은 실제적이고 학습자에게 외재적이다. 교육의 목표는 세계의 구조를 학습자에게 매핑하는 것이다(Jonassen, 1991b).

the philosophical assumptions underlying both the behavioral and cognitive theories are primarily objectivistic; that is: the world is real, external to the learner. the goal of instruction is to map the structure of the world onto the learner (Jonassen, 1991b).


많은 현대의 인지 이론가들은 이러한 기본적인 객관적 가정에 의문을 갖기 시작했고 학습과 이해에 대해 보다 구성주의적인 접근법을 채택하기 시작하고 있다: 지식은 "개인이 자신의 경험으로부터 어떻게 의미를 창조하는가에 대한 함수이다" (p. 10).

A number of contemporary cognitive theorists have begun to question this basic objectivistic assumption and are starting to adopt a more constructivist approach to learning and understanding: knowledge “is a function of how the individual creates meaning from his or her own experiences” (p. 10).


구성주의는 완전히 새로운 학습 방식이 아니다. 대부분의 다른 학습 이론과 마찬가지로, 구성주의는 특히 피아제, 브루너, 굿맨(Perkins, 1991년)의 작품에서 금세기 철학적, 심리적 관점에 복수의 뿌리를 두고 있다.

Constructivism is not a totally new approach to learning. Like most other learning theories, constructivism has multiple roots in the philosophical and psychological viewpoints of this century, specifically in the works of Piaget, Bruner, and Goodman (Perkins, 1991).



배움은 어떻게 발생하는가?

How does learning occur?


구성주의는 학습을 경험으로부터 의미를 창조하는 것과 동일시하는 이론이다(Bednar et al., 1991). 구성주의는 인지주의의 한 분야(두 가지 모두 정신적 활동으로 학문을 인식하는 것)로 간주되지만, 여러 가지 면에서 전통적인 인지 이론과 구별된다. 

    • 대부분의 인지심리학자들은 정신을 현실 세계에 대한 참조 도구reference tool로 생각한다; 

    • 구성주의자들은 정신이 자신만의 독특한 현실을 만들기 위해 세계로부터의 입력을 필터링한다고 믿는다.

Constructivism is a theory that equates learning with creating meaning from experience (Bednar et al., 1991). Even though constructivism is considered to be a branch of cognitivism (both conceive of learning as a mental activity), it distinguishes itself from traditional cognitive theories in a number of ways. Most cognitive psychologists think of the mind as a reference tool to the real world; constructivists believe that the mind filters input from the world to produce its own unique reality (Jonassen, 1991a).


플라톤 시대의 합리주의자들과 마찬가지로 정신은 모든 의미의 근원으로 믿어지고 있지만, 경험주의자들처럼 개인적이고 직접적인 환경 경험도 중요하다고 여긴다. 구성주의는 이 두 변수 사이의 상호작용을 강조함으로써 두 범주를 넘나든다.

As with the rationalists of Plato’s time, the mind is believed to be the source of all meaning, yet like the empiricists, individual, direct experiences with the environment are considered critical. Constructivism crosses both categories by emphasizing the interaction between these two variables.


구성주의자들은 (인지주의자나 행동주의자들과) 지식이 정신에 의존하고 학습자에게 "매핑"될 수 있다는 믿음을 공유하지 않는다. 구조주의자들은 현실 세계의 존재를 부정하는 것이 아니라 우리가 세계에 대해 알고 있는 것은 우리의 경험에 대한 우리 자신의 해석에서 비롯된다고 주장한다. 인간은 그것을 획득하는 것과 반대로 의미를 창조한다. 어떤 경험으로부터든 얻을 수 있는 많은 의미들이 있기 때문에, 우리는 미리 정해진 "올바른" 의미를 달성할 수 없다.

Constructivists do not share with cognitivists and behaviorists the belief that knowledge is mind-independent and can be “mapped” onto a learner. Constructivists do not deny the existence of the real world but contend that what we know of the world stems from our own interpretations of our experiences. Humans create meaning as opposed to acquiring it. Since there are many possible meanings to glean from any experience, we cannot achieve a predetermined, “correct” meaning.


학습자는 외부 세계로부터 얻은 지식을 기억으로 전달하지 않고, 오히려 개인의 경험과 상호작용을 바탕으로 세계에 대한 개인적 해석을 구축한다. 우리보다 지식의 내면적 표현은 끊임없이 변화에 열려있다; 학습자가 알기 위해 노력하는 객관적인 현실은 없다. 지식은 그것이 관련된 맥락에서 나타난다. 따라서, 개인 내에서 일어난 학습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실제 경험을 조사해야 한다(Bednar et al., 1991).

Learners do not transfer knowledge from the external world into their memories; rather they build personal interpretations of the world based on individual experiences and interactions. Th us, the internal representation of knowledge is constantly open to change; there is not an objective reality that learners strive to know. Knowledge emerges in contexts within which it is relevant. therefore, in order to understand the learning which has taken place within an individual, the actual experience must be examined (Bednar et al., 1991).


어떤 요인들이 학습에 영향을 줍니까?

Which factors influence learning?


학습자와 환경적 요인은 모두 구성주의자에게 매우 중요하다. 왜냐하면 지식을 창출하는 것은 두 변수 사이의 특정한 상호 작용이기 때문이다. 구성주의자들은 행동이 상황적으로 결정된다고 주장한다(Jonassen, 1991a). 새로운 어휘 단어의 학습이 (사전으로부터 그 의미를 배우는 것과는 반대로) 문맥에서의 그러한 단어들과의 노출과 그 후의 상호작용에 의해 향상되는 것과 마찬가지로, 내용 지식도 그것이 사용되는 상황에 내재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Both learner and environmental factors are critical to the constructivist, as it is the specific interaction between these two variables that creates knowledge. Constructivists argue that behavior is situationally determined (Jonassen, 1991a). Just as the learning of new vocabulary words is enhanced by exposure and subsequent interaction with those words in context (as opposed to learning their meanings from a dictionary), likewise it is essential that content knowledge be embedded in the situation in which it is used.


브라운, 콜린스, 듀기드(1989)는 상황이 실제로 활동을 통해 (인식과 함께) 지식을 공동 생산한다고 제안한다. 모든 행동은 "이전 상호작용의 전체 역사를 바탕으로 한 현재 상황에 대한 해석"으로 본다(Clancey, 1986). 주어진 단어의 의미들의 그림자들이 단어에 대한 학습자의 "현재" 이해를 끊임없이 변화시키고 있는 것처럼, 개념들 또한 계속해서 새로운 용도를 발전시킬 것이다. 이러한 이유로, 학습은 현실적인 환경에서 발생하며, 학습과제는 학생들의 생생한 경험과 관련이 있는 것이 중요하다.

Brown, Collins, and Duguid (1989) suggest that situations actually co-produce knowledge (along with cognition) through activity. Every action is viewed as “an interpretation of the current situation based on an entire history of previous interactions” (Clancey, 1986). Just as shades of meanings of given words are constantly changing a learner’s “current” understanding of a word, so too will concepts continually evolve witheach new use. For this reason, it is critical that learning occur in realistic settings and that the selected learning tasks be relevant to the students’ lived experiences.


기억의 역할은 무엇인가?

What is the role of memory?


교육의 목표는 개인이 특정한 사실을 확실히 아는 것이 아니라 정보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고elaborate 해석하는interpret 것이다. "'이해'는 지속적, 상황적 사용을 통해 개발되며, 기억에서 불러올 수 있는 범주형categorical 정의로 결정되지 않는다(Brown et al., 1989, 페이지 33). 앞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개념은 각각의 새로운 용도에 따라 계속 진화할 것이다.

the goal of instruction is not to ensure that individuals know particular facts but rather that they elaborate on and interpret information. “Understanding is developed through continued, situated use . . . and does not crystallize into a categorical definition” that can be called up from memory (Brown et al., 1989, p. 33). As mentioned earlier, a concept will continue to evolve with each new use


따라서 "기억"은 상호 작용의 누적 이력으로서, 늘 구성construction 중에 있다. 경험의 표현은 공식화되거나 선언적 지식의 한 조각으로 구조화되고 다음 머리에 저장되는 것이 아니다. 강조점은 온전한intact 지식 구조를 인출retrieve하는 것이 아니라, 당면한 문제에 적합한 다양한 출처에서 사전 지식을 "조립"함으로써 학습자에게 새롭고 상황별 이해를 창출할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하는 것이다.

therefore, “memory” is always under construction as a cumulative history of interactions. Representations of experiences are not formalized or structured into a single piece of declarative knowledge and then stored in the head. the emphasis is not on retrieving intact knowledge structures, but on providing learners with the means to create novel and situation-specific understandings by “assembling” prior knowledge from diverse sources appropriate to the problem at hand.


구성주의자들은 미리 포장된 스키마의 인출보다는 기존의 지식의 유연한 사용을 강조한다(Spiro, Feltovich, Jacobson, 1991). 과제 수행을 통해 개발된 정신적 표현은 환경의 일부가 동일하게 유지되는 한 후속 작업이 수행되는 효율성을 증가시킬 가능성이 있다. "환경의 특징을 복구하는 것은 행동 순서를 재반복하게 만들 수 있다." (브라운 등, 페이지 37).기억은 맥락-독립적인 과정이 아니다.

Constructivists emphasize the flexible use of preexisting knowledge rather than the recall of prepackaged schemas (Spiro, Feltovich, Jacobson, & Coulson, 1991). Mental representations developed through task-engagement are likely to increase the efficiency with which subsequent tasks are performed to the extent that parts of the environment remain the same: “Recurring features of the environment may thus afford recurring sequences of actions” (Brown et al., p. 37). Memory is not a context-independent process.


분명히 구성주의의 초점은 그들이 사용되는 문화의 지혜와 개인의 통찰력과 경험을 재조명하는 인지적 도구를 만드는 데 있다.

Clearly the focus of constructivism is on creating cognitive tools which reflect the wisdom of the culture in which they are used as well as the insights and experiences of individuals.


성공하고, 의미 있고, 지속적이 되려면, 학습은 활동(실무), 개념(지식), 문화(컨텍스트)의 세 가지 중요한 요소를 모두 포함해야 한다(Brown et al., 1989).

To be successful, meaningful, and lasting, learning must include all three of these crucial factors: 

    • activity (practice), 

    • concept (knowledge), and 

    • culture (context) (Brown et al., 1989).


전이는 어떻게 발생하는가?

How does transfer occur?


구성주의적 입장에서는 의미 있는 맥락에 anchor되어 있는 authentic task에 참여함으로써 전이를 촉진할 수 있다고 가정한다. 이해는 경험에 의해 "색인화"되기 때문에(단어의 의미가 특정 사용 사례와 연관되어 있는 것처럼), 경험의 authenticity는 개인의 아이디어 사용 능력에 매우 중요해진다(Brown et al., 1989). 구성주의자의 관점에 있어서 본질적인 개념은 학습은 항상 특정 맥락에서 일어나고 그 맥락은 그것에 내재된 지식과 분리할 수 없는 연관성을 형성한다는 것이다(Bednar et al., 1991).

the constructivist position assumes that transfer can be facilitated by involvement in authentic tasks anchored in meaningful contexts. Since understanding is “indexed” by experience (just as word meanings are tied to specific instances of use), the authenticity of the experience becomes critical to the individual’s ability to use ideas (Brown et al., 1989). An essential concept in the constructivist view is that learning always takes place in a context and that the context forms an inexorable link with the knowledge embedded in it (Bednar et al., 1991).


따라서, 교육의 목표는 과제를 정확하게 묘사portray하는 것이지, 과제를 달성하는 데 필요한 학습의 구조structure of learning를 정의하는 것은 아니다. 학습에서 맥락이 제거된다면 전이가 일어날 가망은 거의 없다.

therefore, the goal of instruction is to accurately portray tasks, not to define the structure of learning required to achieve a task. If learning is decontextualized, there is little hope for transfer to occur.


사람은 단순히 규칙 목록을 따르는 방식으로 도구 세트를 사용하는 것을 배우지 않는다. 적절하고 효과적인 사용은 학습자가 실제 상황에서 도구를 실제 사용하게 함으로써 발생한다. 따라서, 학습의 궁극적인 척도는 학습자의 지식 구조가 [도구가 사용되는 시스템 내에서] 사고와 수행을 촉진하는 데 얼마나 효과적인가에 기초한다. 

One does not learn to use a set of tools simply by following a list of  rules. Appropriate and effective use comes from engaging the learner in the actual use of the tools in real-world situations. Thus, the ultimate measure of learning is based on how effective the learner’s knowledge structure is in facilitating thinking and performing in the system in which those tools are used. 


어떤 종류의 학습이 이 직책에 의해 가장 잘 설명되는가?

What types of learning are best explained by this position?


구성주의적 견해는 학습의 유형이 내용 및 학습의 맥락과 무관하게 identify될 수 있다는 가정을 수용하지 않는다(Bednar et al., 1991). 구조주의자들은 관계의 계층적 분석에 따라 지식 영역을 나누는 것은 불가능하다고 믿는다.

the constructivist view does not accept the assumption that types of learning can be identified independent of the content and the context of learning (Bednar et al., 1991). Constructivists believe that it is impossible to divide up knowledge domains according to a hierarchical analysis of relationships.


비록 성과와 가르침에 대한 강조가 상대적으로 구조화된 지식 영역에서 기본적인 기술을 가르치는 데 효과적이라는 것이 입증되었지만, 많은 교육내용들은 구조화되지 않은 영역의 고급 지식을 포함한다. 요나센(1991a)은 지식 습득의 3단계(내부, 고급, 전문가)를 기술하고 있으며, 구성주의적 학습 환경이 고급 지식 습득의 단계에 가장 효과적이라고 주장한다.

Although the emphasis on performance and instruction has proven effective in teaching basic skills in relatively structured knowledge domains, much of what needs be learned involves advanced knowledge in ill-structured domains. Jonassen (1991a) has described three stages of knowledge acquisition(introductory, advanced, and expert) and argues that constructive learn-ing environments are most effective for the stage of advanced knowledge acquisition


Jonassen은 입문적 지식 습득은 더 객관적 접근법(행동적 및/또는 인지적)에 의해 더 잘 뒷받침된다는 것에 동의하지만, 학습자가 복잡하고 잘못된 구조적인 문제를 다루는 데 필요한 개념적 힘을 제공하는 더 많은 지식을 습득함에 따라 구성주의적 접근법으로의 전환을 제안한다.

Jonassen agrees that introductory knowledge acquisition is better supported by more objectivistic approaches (behavioral and/or cognitive) but suggests a transition to constructivistic approaches as learners acquire more knowledge which provides them with the conceptual power needed to deal with complex and ill-structured problems.


이 이론의 어떤 기본적인 가정/원칙이 교육적 설계와 관련이 있는가?

What basic assumptions/principles of this theory are relevant to instructional design?


구성주의 설계자는 학습자가 복잡한 주제/환경에 대해 능동적으로 탐구할 수 있도록 돕고, 해당 영역의 전문가가 생각하는 식의 사고방식으로 이들을 이동시키는 교육 방법을 specify한다.

the constructivist designer specifies instructional methods that will assist learners in actively exploring complex topics/environments and that will move them into thinking in a given content area as an expert user of that domain might think.


지식은 추상적이지는 않으며, 학습중인 맥락과 참여자들이 맥락에 가져오는 경험과 연관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학습자들은 그들 자신의 이해를 형성하고 사회적 협상을 통해 이러한 새로운 관점을 검증하도록 권장된다. 콘텐츠는 미리 지정되어 있지 않다. 많은 출처의 정보가는 필수적이다.

Knowledge is not abstract but is linked to the context under study and to the experiences that the participants bring to the context. As such, learners are encouraged to construct their own understandings and then to validate, through social negotiation, these new perspectives. Content is not pre-specified; information from many sources is essential.


예를 들어, 전형적인 구성주의자의 목표는 초보 ID 학생들에게 교육 설계에 대한 사실을 똑바로 가르쳐 주는 것이 아니라, 학생들이 교육 설계자로서 ID 사실을 사용할 수 있도록 준비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성과목표는 건설과정에 관한 것만큼 콘텐츠와 크게 관련되지 않는다.

For example, a typical constructivist’s goal would not be to teach novice ID students straight facts about instructional design, but to prepare students to use ID facts as an instructional designer might use them. As such, performance objectives are not related so much to the content as they are to the processes of construction.


구성주의자가 활용하는 구체적인 전략의 일부는 다음과 같다. 

    • 과제를 현실 세계의 상황에 situate시킨다

    • 인지적 도제 사용(전문가 성과에 대한 학생 모델링 및 지도) 

    • 다양한 관점 제시(대체 관점을 개발하고 공유하기 위한 협력적 학습) 

    • 사회적 협상(논의, 토론, 증거 제공) 

    • "삶의 한 조각"과 같은 실제 사례 활용

    • 성찰적 인식

    • 구성주의적 프로세스의 사용에 대한 상당한 가이드 제공

Some of the specific strategies utilized by constructivists include 

    • situating tasks in real world contexts, 

    • use of cognitive apprenticeships (modeling and coaching a student toward expert performance), 

    • presentation of multiple perspectives (collaborative learning to develop and share alternative views), 

    • social negotiation (debate, discussion, evidence-giving), 

    • use of examples as real “slices of life,” 

    • reflective awareness, and 

    • providing considerable guidance on the use of constructive processes.


다음은 구성주의자 입장에서 본 몇 가지 구체적인 가정이나 원칙이다.

the following are several specific assumptions or principles from the constructivist position


♦ 기술을 습득하고 그 후에 적용할 맥락의 식별에 대한 강조[의미있는 문맥으로 학습 집중]

학습자 통제와 학습자가 정보를 조작할 수 있는 능력에 대한 강조 [학습한 내용을 능동적으로 사용] 

다양한 방법으로 정보를 제시할 필요성 [다양한 시간, 재배치된 상황, 다른 목적, 다른 개념적 관점 등].

♦ 학습자가 "주어진 정보 이상"으로 갈 수 있도록 하는 문제 해결 스킬의 활용 지원[패턴 인식 스킬을 개발하고, 문제를 표현하는 다른 방법을 제시한다].

♦ 지식과 기술의 전이에 초점을 맞춘 평가 [초기 지시 조건과 다른 새로운 문제와 상황 제시]


♦ An emphasis on the identification of the context in which the skills will be learned and subsequently applied [anchoring learning in meaningful contexts].

♦ An emphasis on learner control and the capability of the learner to manipulate information [actively using what is learned].

♦ the need for information to be presented in a variety of different ways [revisiting content at different times, in rearranged contexts, for different purposes, and from different conceptual perspectives].

♦ Supporting the use of problem solving skills that allow learners to go “beyond the information given” [developing pattern-recognition skills, presenting alternative ways of representing problems].

♦ Assessment focused on transfer of knowledge and skills [presenting new problems and situations that differ from the conditions of the initial instruction].


교육은 어떻게 구성되어야 하는가?

How should instruction be structured?


행동주의자-인지주의-구성주의 연속체를 따라 움직일 때, 가르침의 초점은 가르침에서 배움으로, 사실과 루틴의 수동적인 전달에서 문제에 대한 아이디어의 능동적인 적용으로 옮겨간다.

As one moves along the behaviorist—cognitivist—constructivist continuum, the focus of instruction shifts from teaching to learning, from the passive transfer of facts and routines to the active application of ideas to problems.


인식론자와 구성론자 모두 학습자가 학습 과정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것으로 간주하지만, 구성주의자는 학습자를 단순한 정보 처리자 이상의 능동적 프로세서로 본다. 학습자는 주어진 정보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고 해석한다(Duff y & Jonassen, 1991). 의미는 학습자에 의해 만들어진다: 학습 목표는 미리 지정되지 않거나, 학습 목표가 미리 지정되지 않는다.

Both cognitivists and constructivists view the learner as being actively involved in the learning process, yet the constructivists look at the learner as more than just an active processor of information; the learner elaborates upon and interprets the given information (Duff y & Jonassen, 1991). Meaning is created by the learner: learning objectives are not pre-specified nor is instruction predesigned.


"구성주의자의 관점에 있어서의 가르침의 역할은 

    • 학생들에게 지식을 구성하는 방법을 보여주고

    • 다른 사람들과의 협력을 촉진하여 특정한 문제를 다룰 수 있는 여러 가지 관점을 보여주며

    • 자신이 동의하지 않는 다른 관점들의 토대를 인식하면서, 동시에 스스로 선택한 입장을 정하고, 거기에 헌신하도록 하는 것이다" (Cunningham, Cunningham).

“the role of instruction in the constructivist view is 

    • to show students how to construct knowledge, 

    • to promote collaboration with others to show the multiple perspectives that can be brought to bear on a particular problem, and 

    • to arrive at self-chosen positions to which they can commit themselves, while realizing the basis of other views with which they may disagree” (Cunningham, 1991, p. 14).


학습자 구성에 중점을 두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교육 디자이너/교사의 역할은 여전히 중요하다(Reigeluth, 1989). 설계자의 과제는 두 가지로 구분된다. 

    • (1) 학생들에게 의미 구성 방법과 이러한 구조를 효과적으로 모니터링, 평가 및 업데이트하는 방법을 가이드하는 것, 

    • (2) 학습자를 위한 경험을 align하고 설계하여 authentic, relevant 맥락을 경험할 수 있도록 한다.

Even though the emphasis is on learner construction, the instructional designer/teacher’s role is still critical (Reigeluth, 1989). Here thetasks of the designer are two-fold: 

    • (1) to instruct the student on how to construct meaning, as well as how to effectively monitor, evaluate, and update those constructions; and 

    • (2) to align and design experiences for the learner so that authentic, relevant contexts can be experienced.


구성주의자의 손에 맡겨진 학생은 "도제" 경험에 몰입할 가능성이 높다. 

a student placed in the hands of a constructivist would likely be immersed in an “apprenticeship” experience. 


예를 들어, 요구 평가에 대해 배우기를 원하는 초보 교육 설계 학생은 그러한 평가가 완료되어야 하는 상황에 놓일 것이다. 

    • 실제 사례에 관련된 전문가의 모델링과 코칭을 통해, 초보 설계자는 실제 문제 상황의 진정한 맥락에 내재된 과정을 경험하게 된다. 

    • 시간이 지남에 따라 학생은 몇 가지 추가 상황을 경험하게 될 것이며, 이 모든 상황은 유사한 필요성 평가 능력을 필요로 한다. 

    • 각각의 경험은 이전에 경험하고 건설된 것을 기반으로 하고 적응하는 역할을 할 것이다. 

    • 그 학생이 더 많은 자신감과 경험을 얻었을 때, 그는 토론이 중요해지는 학습의 협력적인 단계로 나아갈 것이다. 

    • 다른 사람들(피어, 고급 학생, 교수, 디자이너)과 대화함으로써, 학생들은 필요성 평가 과정에 대한 그들 자신의 기준을 더 잘 표현할 수 있게 된다. 

    • 순진한 이론을 들추어내면서, 그들은 그러한 활동을 새로운 시각으로 보기 시작하는데, 이것이 그들을 개념적 리프레밍(학습)으로 인도한다. 

    • 학생들은 복잡한 상황에서 분석과 행동에 익숙해져 결과적으로 그들의 시야를 넓히기 시작한다. 

    • 관련 서적을 접하고, 컨퍼런스 및 세미나에 참석하며, 다른 학생들과 이슈를 논의하며, 지식을 활용하여 주변의 수많은 상황을 해석한다(특정 설계 문제뿐만 아니라). 

    • 초보에서 '예산 전문가'로 옮겨가면서 학습자가 서로 다른 유형의 학습에 관여했을 뿐 아니라 학습 과정의 성격도 달라졌다.

For example, a novice instructional design student who desires to learn about needs assessment would be placed in a situation that requires such an assessment to be completed. Through the modeling and coaching of experts involved in authentic cases, the novice designer would experience the process embedded in the true context of an actual problem situation. Over time, several additional situations would be experienced by the student, all requiring similar needs assessment abilities. Each experience would serve to build on and adapt that which has been previously experienced and constructed. As the student gained more confidence and experience, (s)he would move into a collaborative phase of learning where discussion becomes crucial. By talking with others (peers, advanced students, professors, and designers), students become better able to articulate their own under-standings of the needs assessment process. As they uncover their naive theories, they begin to see such activities in a new light, which guides them towards conceptual reframing (learning). Students gain familiarity with analysis and action in complex situations and consequently begin to expand their horizons. They encounter relevant books, attend conferences and seminars, discuss issues with other students, and use their knowledge to interpret numerous situations around them (not only related to specific design issues). Not only have the learners been involved in different types of learning as they moved from being novices to “bud-ding experts,” but the nature of the learning process has changed as well.


일반 고찰

General Discussion


이는 강사/설계자가 다음 두 가지 중요한 질문을 하도록 유도한다. 하나의 "최상의" 접근방식이 있고 한 접근방식이 다른 접근방식에 비해 더 효율적인가?

this leads instructors/designers to ask two significant questions: Is there a single “best” approach and is one approach more efficient than the others?


아마도 이 질문들에 대한 가장 좋은 대답은 "그때그때 다르다"이다. 학습은 많은 출처의 많은 요인에 의해 영향을 받기 때문에 학습 과정 자체는 진행됨에 따라 자연과 다양성 모두에서 끊임없이 변화하고 있다(Shueell, 1990).

perhaps the best answer to these questions is “it depends.” Because learning is influenced by many factors from many sources, the learning process itself is constantly changing, both in nature and diversity, as it progresses (Shuell, 1990).


[복잡한 지식의 본체를 처음 접하는 초보 학습자에게 가장 효과적일 수 있는 것]은 [내용에 더 친숙한 학습자]에게 효과적이고 효율적이거나 자극적이지 않을 것이다. 채택된 교육 전략과 (깊이 및 넓이 모두에서) 다루는 내용은 학습자의 수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What might be most effective for novice learners encountering a complex body of knowledge for the first time, would not be effective, efficient or stimulating for a learner who is more familiar with the content. Both the instructional strategies employed and the content addressed (in both depth and breadth) would vary based on the level of the learners.


우선 주어진 내용에 더 익숙해짐에 따라 학습자의 지식이 어떻게 변하는지 생각해 보자. 사람들은 주어진 내용에 대해 더 많은 경험을 쌓을수록, 지식의 하위부터 상위까지 연속체를 따라 발달한다.

  • 1) 직업의 표준 규칙, 사실 및 운영을 인식하고 적용할 수 있는 능력(knowing what) 

  • 2) 이러한 일반적인 규칙에서 구체적인, 문제가 있는 경우로 추론하기 위해 전문가처럼 생각하는 것(knowing how) 

  • 3) 익숙한 범주와 사고방식이 실패할 때 새로운 형태의 이해와 행동을 개발하고 시험하는 것(RIA) (Schon, 1987).

Consider, first of all, how learners’ knowledge changes as they become more familiar with a given content. As people acquire more experience with a given content, they progress along a low-to-high knowledge continuum from 

  • 1) being able to recognize and apply the standard rules, facts, and operations of a profession (knowing what), to 

  • 2) thinking like a professional to extrapolate from these general rules to particular, problematic cases (knowing how), to 

  • 3) developing and testing new forms of understanding and actions when familiar categories and ways of thinking fail (reflection-in-action) (Schon, 1987).


학습자가 자신의 직업적 지식의 발달(무엇을 알고 vs. 반성을 어떻게 하는지 아는 것) 측면에서 연속체에 "sit"한 위치에 따라, 가장 적절한 교육적 접근방식은 연속체에 대한 그 점에 해당하는 이론이 주장하는 것이 될 것이다. 그것은 

  • 행동 접근법: 직업의 내용을 효과적으로 숙지하도록 할 때(knowing what). 

  • 인지 전략: [정의된 사실과 규칙]을 낯선 상황에서 적용할 문제 해결 전략을 가르칠 때 (knowing how) 

  • 구성주의 전략: 특히 RIA를 통해 정의되지 않은 문제를 다룰 때

Depending on where the learners “sit” on the continuum in terms of the development of their professional knowledge (knowing what vs. knowing how vs. reflection-in-action), the most appropriate instructional approach would be the one advocated by the theory that corresponds to that point on the continuum. Th at is, 

  • a behavioral approach can effectively facilitate mastery of the content of a profession (knowing what); 

  • cognitive strategies are useful in teaching problem-solving tactics where defined facts and rules are applied in unfamiliar situations (knowing how); and 

  • constructivist strategies are especially suited to dealing with ill-defined problems through reflection-in-action.


두 번째 고려사항은 학습해야 할 과제의 요건에 따라 달라진다. 필요한 인지 처리 수준에 근거하여, 다른 이론적 관점에서의 전략이 필요할 수 있다.

A second consideration depends upon the requirements of the task to be learned. Based on the level of cognitive processing required, strategies from different theoretical perspectives may be needed.


예를 들어 

  • 낮은 수준의 처리가 필요한 과제(예: 기본 쌍체 연관성, 차별성, 로트 암기)는 행동주의적 관점(예: 자극-반응, 피드백/강화)과 가장 빈번하게 관련된 전략에 의해 촉진되는 것으로 보인다.

For example, tasks requiring a low degree of processing (e.g., basic paired associations, discriminations, rote memorization) seem to be facilitated by strategies most frequently associated with a behavioral outlook (e.g., stimulus-response, contiguity of feedback/reinforcement).


  • 처리 수준을 높아진 과제(예: 분류, 규칙 또는 절차적 실행)는 주로 인지적 강조가 강한 전략(예: 도식적 조직, 유사 추론, 알고리즘 문제 해결)과 관련이 있다.

Tasks requiring an increased level of processing (e.g., classifications, rule or procedural executions) are primarily associated with strategies having a stronger cognitive emphasis (e.g., schematic organization, analogical reasoning, algorithmic problem solving).


  • 높은 수준의 처리를 요구하는 과제(예: 경험적 문제 해결, 개인 선택 및 인지 전략 모니터링)는 구성주의자의 관점(예: 위치 학습, 인지 견습, 사회적 협상)에 의해 진전된 전략을 통해 가장 잘 학습된다.

Tasks demanding high levels of processing (e.g., heuristic problem solving, personal selection and monitoring of cognitive strategies) are frequently best learned with strategies advanced by the constructivist perspective (e.g., situated learning, cognitive apprenticeships, social negotiation).


우리는 "어느 이론이 가장 좋은가?"가 아니라 "어떤 이론이 특정한 학습자들에 의한 특정 과제에 대한 숙달성을 육성하는데 가장 효과적인가?"라고 질문 설계자들이 질문해야 한다고 믿는다. 전략을 선택하기 전에 학습자와 과제를 모두 고려해야 한다.

We believe that the critical question instructional designers must ask is not “Which is the best theory?” but “Which theory is the most effective in fostering mastery of specific tasks by specific learners?” Prior to strategy(ies) selection, consideration must be made of both the learners and the task.


그림 1에서 이 두 연속체(학습자의 지식 수준 및 인지 처리 요구)를 묘사하고 각 이론적 관점에 의해 제공되는 전략이 적용 가능한 정도를 설명하려고 시도한다. 그림은 다음의 것을 보여준다.

  • (a) 특정 사례에서 서로 다른 관점에 의해 추진된 전략이 중복된다는 것 

  • (b) 각 학습 이론의 고유한 초점으로 인해 연속체의 다른 지점을 따라 전략이 집중된다는 것

An attempt is made in Figure 1 to depict these two continua (learners’ level of knowledge and cognitive processing demands) and to illustrate the degree to which strategies offered by each of the theoretical perspectives appear applicable. the figure is useful in demonstrating: (a) that the strategies promoted by the different perspectives overlap in certain instances , and (b) that strategies are concentrated along different points of the continua due to the unique focus of each of the learning theories.




이는 어떤 전략을 교육 설계 프로세스에 통합할 때, 한 접근방식을 다른 접근방식보다 선택하기 전에 학습 과제의 특성과 관련 학습자의 숙련도 수준을 모두 고려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this means that when integrating any strategies into the instructional design process, the nature of the learning task and the proficiency level of the learners involved must both be considered before selecting one approach over another.


실제로 성공적인 교육 관행은 사실상 세 가지 관점(예: 적극적인 참여와 상호작용, 실천과 피드백)에 의해 뒷받침되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In fact, successful instructional practices have features that are supported by virtually all three perspectives (e.g., active participation and interaction, practice and feedback).


이러한 이유로, 우리는 의식적으로 하나의 이론을 다른 이론보다 옹호하는 것이 아니라, 대신 각각의 이론에 익숙해지는 유용성을 강조하기로 결정했다. 그 상황에서 최적의 교육적 결과를 얻기 위한 적절한 방법을 지능적으로 선택할 수 있어야 한다.

For this reason, we have consciously chosen not to advocate one theory over the others, but to stress instead the usefulness of being wellversed in each. one must be able to intelligently choose, the appropriate methods for achieving optimal instructional outcomes in that situation.


Smith and Ragan(1993, p. Viiii)에 의해 언급된 바와 같이: "reasoned and validated 이론적 다양성은, [전체 설계 프로세스에 대해 완전한 규범적 원칙을 제공하는 단일 이론적 기반이 없기 때문에] 우리 분야의 핵심 강점이었습니다."

As stated by Smith and Ragan (1993, p. viii): “Reasoned and validated theoretical eclecticism has been a key strength of our field because no single theoretical base provides complete prescriptive principles for the entire design process.”


가장 중요한 설계 과제 중 일부는 어떤 전략을 사용할지, 어떤 내용을 사용할지, 어떤 학생을 위해 그리고 어떤 시점에 사용할지를 결정할 수 있어야 한다.

Some of the most crucial design tasks involve being able to decide which strategy to use, for what content, for which students, and at what point during the instruction.


그러나 각양각색의 이론이 되려면 결합되고 있는 이론에 대해 적지 않은 것을 알아야 한다. 위에 제시된 학습 이론에 대한 철저한 이해는 어떤 설계 모델도 정확한 규칙을 제공하지 않는 결정을 지속적으로 내려야 하는 전문 설계자들에게 필수적인 것으로 보인다.

It should be noted however, that to be an eclectic, one must know a lot, not a little, about the theories being combined. A thorough understanding of the learning theories presented above seems to be essential for professional designers who must constantly make decisions for which no design model provides precise rules.


실무자는 실제적인 의미를 제공할 수 있는 어떤 이론도 무시할 수 없다. 수많은 잠재적 설계 상황을 고려할 때, 설계자의 "최상의" 접근방식은 이전 접근방식과 동일하지 않을 수 있지만, 진정으로 "맥락에 따라 달라지게 될 것이다. 이러한 유형의 교육적 "체리피킹"는 "체계적 다양성주의"라고 불리며, 교육적 설계 문헌에서 많은 지지를 받았다(Snelbecker, 1989).

the practitioner cannot afford to ignore any theories that might provide practical implications. Given the myriad of potential design situations, the designer’s “best” approach may not ever be identical to any previous approach, but will truly “depend upon the context.” this type of instructional “cherry-picking” has been termed “systematic eclecticism” and has had a great deal of support in the instructional design literature (Snelbecker, 1989).


마지막으로, 우리는 P. B. Drucker의 인용구를 확장하고 싶다. (Snelbecker, 1983년 Snelbecker에 인용) "이들의 오래된 논쟁은 내내 거짓이었습니다. 

  • 우리는 학습과 기억을 확대하기 위해 행동주의자의 3가지 연습/강화/피드백을 필요로 한다. 

  • 우리는 목적, 결정, 가치, 이해가 필요하다(인지적 카테고리). 학습이 행동action보다는 단순한 behavioral activity이면 안되기 때문이다." (p. 203)

In closing, we would like to expand on a quote by P. B. Drucker, (cited in Snelbecker, 1983): “these old controversies have been phonies all along. We need the behaviorist’s triad of practice/reinforcement/feedback to enlarge learning and memory. We need purpose, decision, values, understanding—the cognitive categories—lest learning be mere behavioral activities rather than action” (p. 203).


그리고 여기에 우리는 

  • 최적의 조건이 존재하지 않을 때, 상황이 예측 불가능할 때, 그리고 과제가 변화할 때, 문제가 지저분하고 잘못된 형태일 때, 그리고 해결책이 창의성, 즉흥성, 토론, 사회적 협상에 달려 있을 때, 잘 기능할 수 있는 적응적 학습자가 필요하다는 것을 덧붙일 것이다.

And to this we would add that we also need adaptive learners who are able to function well when optimal conditions do not exist, when situations are unpredictable and task demands change, when the problems are messy and ill-formed and the solutions depend on inventiveness, improvisation, discussion, and social negotiation.









Abstract

The way we define learning and what we believe about the way learning occurs has important implications for situations in which we want to facilitate changes in what people know and/or do. Learning theories provide instructional designers with verified instructional strategies and techniques for facilitating learning as well as a foundation for intelligent strategy selection. Yet many designers are operating under the constraints of a limited theoretical background. This paper is an attempt to familiarize designers with three relevant positions on learning (behavioral, cognitive, and constructivist) which provide structured foundations for planning and conducting instructional design activities. Each learning perspective is discussed in terms of its specific interpretation of the learning process and the resulting implications for instructional designers and educational practitioners. The information presented here provides the reader with a comparison of these three different viewpoints and illustrates how these differences might be translated into practical applications in instructional situations.


실천공동체(When I say...) (Med Educ, 2019)

When I say . . . community of practice

Heather Buckley,1,2 Yvonne Steinert,3,4 Glenn Regehr2,5 & Laura Nimmon2,6




'실천 공동체'라는 개념에 의해 내포된 다양한 용도와 의미에 대해 광범위한 교육 및 의료 분야에서 혼란이 존재한다.12 이러한 혼란을 인정할 때, 일부 학자들은 사용자를 비난하며, 이론이 그러한 다양한 집단과 관행을 참조하기 위해 사용되고 있다면 그것은 반드시 부주의한 사용 때문일 것이라고 제안한다.2 다른 이들은 '실천공동체'라는 개념 자체에 대해 곰곰이 생각한다3 많은 맥락에서 그것의 적용이 그것을 '학술적으로 쓸모없게 만들었다'고 주장한다.4 따라서 실천공동체를 guiding conceptual framework로 채택하고자 하는 교육 연구원들과 혁신자들은 용어에 관여할 때 점점 더 많은 질문을 탐색하고 명확히 해야 한다. 이 논문에서 우리의 목적은 그 이론에 대한 상세한 설명을 제공하는 것이 아니다. 오히려 우리는 이 개념이 어떻게 시간이 흐르면서 진화해 왔는지를 기술하고 우리가 사용하는 '실천공동체'라는 용어를 명확히 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Confusion exists in the broader educational and health care fields about the different uses and meanings implied by the concept ‘community of practice’.1,2 When acknowledging this confusion, some academics fault the user, suggesting that if a theory is being used in reference to such varied groups and practices, it must be due to careless use.2 Others ruminate about the concept of ‘community of practice’ itself3 and argue that its application in so many contexts has rendered it ‘academically useless’.4 Thus, educational researchers and innovators who wish to employ communities of practice as a guiding conceptual framework must increasingly ask probing and clarifying questions when engaging with the term. Our purpose in this paper is not to provide a detailed description of the theory. Rather, we aim to describe how this concept has evolved over time and offer clarification of when we say ‘community of practice’.


'실천공동체'라는 용어는 1991년 Lave와 Wenger에 의해 설명되었는데, Lave와 Wenger는 [재단사의 견습과 같이] 자연발생적으로 확립된 전문가 집단에서 초보자들이 어떻게 배웠는지를 조사하고 있었다.5 초보자들이 합류하여 공동체의 중심이 되는 참여 과정을 '합당한 주변적 참여LPP'라고 불렀다. 이 이론의 독창적이고 대중적인 사례에서는, 초보자들이 어떻게 행위, 행동, 언어를 통해 커뮤니티의 구성원 자격이 높아진다는 '신호'를 보내는지를 탐구했다. 이러한 신호 전달을 통해 초보자들은 실천공동체의 주변으로부터 사회적으로 승인된 중앙 책임과 합법성으로 이동했다. 이 이론의 기본적 초점과 가치는 [참여와 사회화의 situated process]을 통해 발생하는 학습을 기술하는 데 있었다. 그 당시, 이것은 자극적인 개념이었는데, 왜냐하면 그때까지 학습을 [마음속에서 일어나는 개별적인 과정]으로 보는 더 지배적인 인지적 학설에서 무시되어왔기 때문이다

The term ‘community of practice’ was described in 1991 by Lave and Wenger, who were examining how novices learned in naturally occurring established communities of experts, such as the apprenticeship of tailors.5 The process of participation by which novices joined and became central to the community, was called ‘legitimate peripheral participation’. This original and popular instantiation of the theory explored how novices learned to ‘signal’ increasing membership of the community through their actions, behaviours and language. Through this signalling, novices moved from the periphery of a practice community to a socially sanctioned central responsibility and legitimacy. The primary focus and value of this original version of the theory was in describing the learning that occurs through a situated process of participation and socialisation. At the time, this was a provocative notion, one that had largely been neglected in the more prevailing cognitive theories of learning that constructed learning as an individual process occurring in the mind.4


Lave에 따르면, 이론의 원래 버전은 '[무엇을 다르게 할 것인가] 또는 [더 나은 교실이나 사업을 어떻게 만들 것인가]'에 대한 처방적 또는 규범적 모델로 의도된 것이 아니다.6 그러나 시간이 흐르면서 '실천공동체'라는 용어는 이러한 독창적인 개념적 관점으로부터 진화해 왔다. 그것은 사회적 학습 과정을 기술한 용어에서 지식 개발과 관리를 위한 의도적인 도구로서 '도구적instrumental' 포커스를 포함하는 용어로 발전했다.4 학습 환경 설계를 안내하기 위한 실천 커뮤니티의 이 도구적 개념은 보건 직업 교육에서 채택되었다.7 이 도구적 접근방식은 보건 전문가 교육자에게 관심을 받았는데, 왜냐하면 이 접근방식이 개인적이고 집단적인 학습과 혁신을 지원하기 위해 실천공동체를 어떻게 개발하고, 경작하고, 지속시킬 것인가의 과정을 중시하기 때문이다.8    

According to Lave, the original version of the theory was ‘not intended as a normative or prescriptive model for what to do differently or how to create better classrooms or businesses’.6 Yet over time, the term ‘community of practice’ has evolved from this original conceptual perspective. It has developed from a term that described an in situ social learning process, to one that encompasses an ‘instrumental’ focus as an intentional tool for knowledge development and management.4 This instrumental concept of community of practice, to guide the design of learning environments, has been taken up in health professions education.7 The instrumental approach is of interest to health professional educators because it foregrounds the process of how to develop, cultivate and sustain a community of practice for the purpose of supporting individual and collective learning and innovation.8


실천공동체 이론의 초기 버전은 situated learning을 강조하며, 기본적으로 '공식적 학습 방식과 담론의 거부'였다.2 실천공동체의 초기 이론공식적이거나 다른 중요한 교육적 맥락과 양립할 수 없다고 말하는 것은 아니다. 실제로 투먼스2는 초기 이론이 보다 공식적인 교육 환경에 적용되기 위한 한 방법으로 벵거의 후기 작품9에서 도출한 '학습 아키텍처'의 개념을 제시했다.

The initial version of community of practice theory emphasises situated learning and essentially ‘rejects modes and discourses of formal instruction’.2 This isn’t to say that the initial iteration of community of practice theory is incompatible with more formal or other instrumental educational contexts. In fact, Tummons2 has suggested the concept of ‘learning architecture’ drawn from Wenger’s later work9 as a way for the initial theory to apply to more formal educational settings.


보다 최근에, 이론의 가장 최근의 반복에서, 벵거-트레이너와 벵거-트레이너10은 '지식가능성knowledgeability'의 개념을 도입하기 위해 단일한 실천공동체를 중심으로 발전된 이론의 원래 개념의 일부를 확장한다. 지식가능성은 한 개인의 폭넓은 실천 환경 내에서 여러 커뮤니티와의 관계를 인정한다. 한 사람은 다른 커뮤니티의 관행에 대해 잘 알고 있을 수 있지만, 동시에 그 커뮤니티의 멤버십이 없거나, 능력에 대해 합법적으로 주장하지 못할 수 있다. 이것의 예로서, 많은 교직원들과 함께 일하는 교수개발자들을 상상해보라. 교수개발자들은 여러 교수들의 다양한 실천방식의 landscape에 대해서 잘 알고 있을 것이지만, 그 practice에 대해 competent하다고 주장하지는 않는다.

More recently, in the most current iteration of the theory, Wenger-Trayner and Wenger-Trayner10 expand on some of the theory’s original conceptualisations developed around a singular community of practice to introduce the concept of ‘knowledgeability’. Knowledgeability acknowledges a person’s relationship to multiple communities within a broader landscape of practice. A person can be knowledgeable about different communities’ practices, at the same time having no membership of those communities, nor legitimate claims to competence. As an illustration of this broadening, imagine faculty developers who work with many faculty members. Faculty developers can be knowledgeable about the diverse landscape of their faculty members’ practices, although not claiming competence in these practices.


벵거 자신은 이러한 이론의 우여곡절을 인정하면서도, 또한 그것이 '학습이 무엇인가에 대한 분명한 이론'이라는 것을 강조한다.1 실제로, 이러한 다른 세대의 이론들과 '실천공동체' 이론은 [참여적 사회적 과정으로서의 학습]이라는 개념을 공통적으로 가지고 있다. 그러나 각각의 상징이 다르기 때문에 각각 다른 현상에 적용할 수 있는 수준도 다르다. 그렇다면, 의학교육 학자들은 그들이 어떤 특정한 목적을 위해 어떤 버전의 이론을 도입할 것인지에 대해 의도적이어야 한다.

Wenger himself acknowledges these twists and turns of the theory, yet also emphasises that it ‘is unambiguously a theory of what learning is’.11 Indeed, these different generations and notions of ‘community of practice’ theory have in common the idea of learning as a participatory social process. However, because of their different emphases, each also has varying levels of applicability to different phenomena. Medical education scholars, then, must be intentional about which version of the theory they invoke for any given purpose.


예를 들어, 기존의 커뮤니티의 중심 구성원이 되는 'becoming'의 모델로서 능동적인 견습과 합법적인 주변적 참여를 강조한다는 점에서, 원래의 이론적 렌즈는 수많은 임상(및 기타) 훈련 프로그램에서 발생하는 직장 학습과 꾸준히 밀접한 관련성을 가질 것이다. 그러나 학습 그룹을 지원하거나 양성하고자 하는 사람들에게는, 이 이론의 도구적 관점이 더 도움이 될 수 있다. 

For example, the original theoretical lens, with its emphasis on active apprenticeship and legitimate peripheral participation as a model for ‘becoming’ a central member of an established community, continues to have strong relevance to the workplace learning that occurs in so many clinical (and other) training programmes. But for those who wish to support or cultivate learning groups, an instrumental perspective of the theory may be more helpful. 


예를 들어, 교수개발을 지원하기 위해 시작된 것과 같은 집단의 '도구적' 학습 맥락을 탐구하고자 하는 교수진 개발자를 상상해 보라.12 이 이론에 대한 확고한 이해가 없는 상태라면, 이 교수개발자는 '합당한 주변부 참여'와 '그룹 구성원이 되는 것'을 강조하는 초기이론을 발동시킬 수 있다. 그러나 'deliberate group cultivation'를 강조하는 후기 이론을 안다면, 이것을 사용하는 것이 더 도움이 되었을지도 모른다.

Imagine, for example, a faculty developer who wishes to explore the ‘instrumental’ learning context of groups, such as those being initiated to support faculty development.12 Without a robust understanding of the theory, this faculty developer might invoke the original theory with its emphasis on ‘legitimate peripheral participation’ and ‘becoming a group member’. However, it may have been more helpful for this individual to draw on the later instrumental iteration of the theory that emphasises ‘deliberate group cultivation’.


그러므로 어떤 특정한 차원을 도출하기 위해서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그 이론의 진화를 이해해야 한다. 이러한 용어의 역사를 인식하는 것은 용어의 적용과 다양한 현상에 대한 관련성을 혼동하지 않기 위해 필수적이다. 따라서 교육자와 학자는 '사상의 진보를 촉진하기 위해 [그 용어]가 다양하게 사용되는 방식을 풀untangle 필요가 있다.'.13 '실천공동체'는 진화하고 다면적인 이론이기 때문에, 이 용어를 사용하게 되면 통일된 이론적 틀이 발동될 것이라는 가정은 오해의 소지가 있다. 더욱이, 벵거는 '실천공동체'라는 용어를 쓸 때 주의를 요했다: '실천공동체의 개념은 단지 사람들의 "집단"을 지칭하는 것은 아니다;11 [학습에 종사하는 개인의 집합]이 언제나 반드시 실천공동체인 것은 아니다.

Thus, to know what specific dimensions of the theory to draw upon requires an understanding of its evolution over time. This recognition of the term’s history is vital to avoid confusing the term’s application and relevance to various phenomena. Educators and scholars need to thus ‘untangle the variety of ways [the] term is used for the sake of furthering progress of thought’.13 Because ‘community of practice’ is an evolving and multifaceted theory, the assumption that the use of the term will invoke a unified theoretical framework is misleading. Furthermore, Wenger cautions about when to invoke the term community of practice: ‘the notion of a community of practice does not primarily refer to a “group” of people’;11 not every collection of individuals engaged in learning is necessarily a community of practice.


어떤 용어도 진화의 영향에서 벗어나있지 않으며, 이론적으로 명확한 정의가 없으면 혼란을 야기할 수 있다.13,14 따라서 '실천공동체'라는 용어의 복잡성을 해소하는 방법은 아마도 두 가지 동시 전략을 수반할 것이다.

No terms are immune to evolution, and without a clear theoretically refined definition they can cause confusion.13,14 The way forward in untangling the complexities of the term ‘community of practice’, therefore, probably involves two concurrent strategies.


첫째, 이론의 다양한 반복(포함 기준)에 걸쳐 일관된 실천공동체의 특성을 살펴보는 것을 제안한다. 예를 들어, 대부분의 실천공동체는 '멤버십의 한 측면으로서 반드시 '배움'을 수반하는 사회적으로 구성된 공간'이라는 데 동의할 것이다.2

First, we suggest looking at the characteristics of a community of practice that are consistent across the various iterations of the theory (inclusion criteria). Most would agree, for example, that communities of practices are ‘socially configured spaces that necessarily involve learning as an aspect of membership’.2


둘째, 용어 사용에 명확성과 개념적 깊이를 가져오기 위해 우리는 '실무 공동체'라는 용어를 호출할 때, 저자들이 관심을 가지고 있는 맥락 안에서 발생하는 학습을 조명하기 실천공동체 이론의 어떤 측면이나 어떤 세대를 지칭하고 있는지를 분명히 표현해야 한다. 그런 다음 저자는 이론의 그 차원과 관련된 용어와 정의를 호출하기로 선택한 이유를 명시적으로 밝힐 수 있다. 그렇게 하는 것은 작가들이 자신의 목적을 위해 이론의 적절한 사용을 환기시키고 있다는 것을 확실히 할 것이다.14 이러한 방식으로 자신의 관점을 논증하는 것은 또한 어떤 현상에 초점을 맞추기로 선택했고, 따라서, 다른 방법으로는 베일에 가려지거나 숨겨질 수 있는 것을 밝히는 데에도 도움이 된다.

 Second, to bring clarity and conceptual depth to the use of the term we suggest that when invoking the term ‘community of practice’, authors explicitly articulate which aspect or generation of community of practice theory is being invoked in order to shed light on the learning that occurs within the context of interest. Authors might then explicitly clarify why they have chosen to invoke that dimension of the theory and the associated terms and definitions. Doing so will ensure that authors are invoking theappropriate use of the theory for their purpose.14 Articulating one’s perspective in this way also serves to illuminate what phenomenon one has chosen to focus on and therefore, what may otherwise be veiled or hidden.


15 Hodges BD, Kuper A. Theory and practice in the design and conduct of graduate medical education. Acad Med 2012;87 (1):25–33.





 2019 Aug;53(8):763-765. doi: 10.1111/medu.13823. Epub 2019 Mar 11.

When I say … community of practice.

Author information

1
Department of Family Practice, University of British Columbia, Vancouver, British Columbia, Canada.
2
Centre for Health Education Scholarship (CHES), University of British Columbia, Vancouver, British Columbia, Canada.
3
Department of Family Medicine, McGill University, Montreal, Quebec, Canada.
4
Centre for Medical Education, McGill University, Montreal, Quebec, Canada.
5
Department of Surgery, University of British Columbia, Vancouver, British Columbia, Canada.
6
Department of Occupational Science and Occupational Therapy, University of British Columbia, Vancouver, British Columbia, Canada.
PMID:
 
30859612
 
DOI:
 
10.1111/medu.13823


사회물질성(When I say . . .) (Med Educ, 2017)

When I say . . . sociomateriality

Mark Goldszmidt




내가 사회물질성이라고 말할 때, 나는 연구자들이 교육자들의 마음을 혼란시키고 현혹시키려는 의도적인 시도라고 느낄 수 있는 많은 용어들을 의미한다.; '연기', '조립', '구성적 얽힘'은 단지 몇 가지 그러한 예에 불과하다. 내가 사회물질성이라고 말할 때, 나는 또한 물질이 실천을 형성하는데 근본적인 역할을 한다는 것을 의미하며, 그것들은 더 이상 임상의사, 교육자 또는 학습자에게 무시되어서는 안 된다. 사회물질적 접근방식은 점점 더 실천적 학습에 중요한 것으로 인식되고 있다.1.2 

When I say sociomateriality, I mean a host of terms that may feel like a deliberate attempt by researchers to confuse and dazzle the mind of educators; ‘enacted’, ‘assembled’ and ‘constitutive entanglement’ represent just a few such examples. When I say sociomateriality, I also mean that materials play fundamental roles in shaping practice, and they should no longer be ignored by clinicians, educators or learners. Sociomaterial approaches are increasingly being recognised as critical for exploring learning in practice.1,2


사회물질성은 단일 접근방식이라기보다는, 공통의 관심을 공유하는 일련의 관련 접근방식(예: 배우-네트워크 이론, 복잡성 이론, 공간성 이론 등)을 나타내는 포괄적 용어로 간주할 수 있다. 물질와 사회적 실천 사이의 복잡하고 지저분하고 비선형적인 관계를 더 깊이 탐구할 수 있도록 인간을 연구의 중심에서 분산시키는 것이다. 오를리코프스키는 이러한 관계를 '구성적 얽힘constitutive entanglement'이라고 지칭하며 '사회적이면서 물질적이지 않은 것 없고, 물질이면서 사회적이지 않은 것도 없다'고 주장한다.3 물질이라는 것은, 사회적이지 않은 모든 것을 의미한다: 즉 기술, 정책, 일정, 체크리스트, 물리적인 공간...을 의미하며 목록은 계속된다.

 Rather than representing a single approach, sociomateriality can be considered an umbrella term for a set of related approaches (e.g. actor-network theory, complexity theory, spatiality theory and many others) that share a common interest in decentring the human as the focus of study to allow for a deeper exploration of the complex, messy and non-linear relationships between materials and social practices. Orlikowski refers to these relationships as ‘constitutive entanglement’ and contends that ‘there is no social that is not also material and no material that is not also social’.3 By material, she means just about everything that is not social: technologies, policies, schedules, checklists, physical spaces ... and the list goes on.


만약 이 모든 것이 너무 복잡하게 들린다면, 절망하지 마라. 다음의 예는 사회물질성과 그것의 독특한 어휘 중 일부를 세상을 다르게 볼 수 있는 기회에 더 접근 가능하고 희망적으로 흥미롭게 만드는 데 도움이 될 것이다. 독자는 주의하라: 일단 여러분이 이런 식으로 세상을 보기 시작하면, 돌아갈 수 없을지도 모른다. 사회물질성 이론가들은 우리에게 '무엇이 무엇이라고 정의하거나, 무엇이 무엇이 되어야 한다고 규정하지 말고, 어떤 것이 창발emerge하는지 자세히 보도록' 장려한다.'.2p.49 다음 예에서 나는 너희들도 주목하기를 권장한다.

If this is all sounding a bit too complicated, don’t despair. The following example should help make sociomateriality and some of its ‘unique vocabulary’ more accessible and hopefully exciting in the opportunity it affords for seeing the world differently. Reader beware: once you start to see the world in this way, there may be no going back. Sociomaterial theorists encourage us ‘not to define what is or to prescribe what should be, but to follow closely what emerges...’.2p.49 In the following example, I encourage you too to notice...


내과 병동의 하루

A DAY ON THE INTERNAL MEDICINE WARD


08.00 h: 의사팀이 방금 팀룸에 모였다. 그것은 네모난 테이블을 둘러싸고 있는 5개의 의자가 있는 작은 방이다. 이 닫혀 있다. 오늘 팀을 인계받는 주치의는 2학년 레지던트와 2명의 의대생으로 테이블에 앉아있다. 그 선임 의료 레지던트는 작은 컴퓨터 작업대와 마주보고 있는 테이블과 관련하여 옆으로 앉아 있다. 다른 후배 레지던트와 의대생은 다른 의자가 없어 벽에 기대어 있다. 후배 전공의 한 명이 수술용 수술복(팀 내 '포스트콜' 멤버로서의 신분을 알리는 신호탄)을 착용하고 있으며, 어젯밤 입원한 환자 4명에 대해 팀원들에게 알리고 있다. 그의 손에는 그가 만든 입원노트 복사본이 들어 있다. 4명의 환자 모두가 응급실에 아직 누워있기 때문에 환자 차트는 방에 있지 않다. 현재 사용 가능한 병상은 없다. 첫 번째 사례 발표를 하는 도중에, 그는 환자가 빈혈 상태라는 것을 컴퓨터의 혈액 검사 결과를 스캔하는 동안 알게 된 선임 레지던트로부터 방해를 받는다. 그 선배는 B12 레벨이 오더되었는지 알고 싶어했다. 오더에 없었기 때문에, 그는 그것을 추가했다. 그의 발표를 계속하면서, 그 후배가 또 다시 방해받았는데, 이번에는 그의 호출기가 울리면서, 간호사 매니저는 아직도 응급실에 있는 환자 중 누군가가 오늘 퇴원할 수 있을지 궁금해했다.

08.00 h: The physician team has just gathered in their team room. It is a small room with five chairs surrounding a square table. The door is closed. The attending physician, who is taking over the team today, is sitting at the table as are two-first-year residents and two medical students. The senior medical resident is sitting sideways in relation to the table facing a small computer workstation. The other junior resident and medical student lean against the wall as there are no other chairs available. One of the junior residents is wearing surgical scrubs (signalling his status as the ‘post-call’ member of the team) and he is telling the team about the four patients he admitted last night. In his hands are the photocopies he has made of his admission notes. The patient charts are not in the room as all four patients are still bedded in the emergency room; there are no ward beds currently available. Midway through his first case presentation, he is interrupted by the senior resident who noticed while scanning the blood-work results on the computer that the patient was anaemic. The senior wanted to know if a B12 level was ordered; it was not so he adds it to the orders. Continuing on with his presentation, the junior is again interrupted, this time by his pager going off – it was the nurse manager wondering if any of the patients still in the emergency room might be discharged today.


09.30 h: 팀 룸 밖에서 간호사가 20분 만에 세 번째로 방을 지나간다; 아직 닫혀 있는 문을 눈치 채고, 고개를 저으며 지나간다...

09.30 h: Outside the team room, a nurse passes by the room for the third time in 20 minutes; noticing the still closed door, she shakes her head and walks by...


13.00 h: 학제간 팀원들과 함께 선배 레지던트가 '총회'를 위해 모인다. 10분 동안 팀 내 30명의 환자 모두를 대상으로 24-48시간 내에 퇴원할 수 있는 환자와 안전한 퇴원할 수 있도록 필요한 리소스를 중점적으로 논의한다.

13.00 h: The senior resident along with members of the interdisciplinary team gather for ‘bullet rounds’. Over the space of 10 minutes they quickly discuss all 30 patients on the team with a focus on which patients might go home within the next 24– 48 hours and the resources that might be required to ensure they can be discharged safely...


보았는가? 구성적 얽힘(constitutive entanglement) 말이다. 이는 팀의 일상에 짜여지는 사회물질적 관계를 의미한다. 닫힌 문이 어떻게 특정한 '실무'를 하게 되었는지 알아챘는가? 그것은 또한 노크로 이어질 수도 있었다. 빈혈의 식별, 검사 순서 및 중단이 가능한 컴퓨터는 어떤가? 아마 당신은 또 다른 방해를 일으키기 위해 호출기, 전화기, 그리고 빈 곳이 없는 응급실과 같은 '물질material'이 어떻게 '조립assembled'되었는지 알아차렸을 것이다. 마찬가지로, 퇴원 주변의 활동을 조정하기 위해 매일 1시에 'bullet round'을 만들기 위해 병원 과밀 문제, 예산 삭감 및 시간 제약이 '조립'되는 규칙성이다.

Did you see it? By it, I mean the ‘constitutive entanglement’, the sociomaterial relationships that become woven into the everyday work of the team. Did you notice how the closed door led to a particular ‘practice’ – walking by? It could have also led to a knock. How about the computer that allowed for the identification of anaemia, the ordering of a test and an interruption? Maybe you also noticed how ‘materials’ such as a pager, a phone and a full emergency room ‘assembled’ to give rise to another interruption. Similarly, the regularity of the problems of hospital overcrowding, budget cuts and time constraints ‘assembled’ to create the 1300 h daily ‘bullet rounds’ to coordinate activities around discharge.


사회적, 물질적 결합이 어떻게 전문적 실천 뿐만 아니라 이런 맥락에서 전문적 행위를 '집행enact'한다는 것이 무엇을 의미하는지를 보았는가? 충분히 오래 서성거리면 그렇게 될 것이다. 이달 중 많은 시니어 레지던트는 매일 밤 입원허가를 받은 것에 대해 사과하기 시작할 것이며, 이번 주에 퇴원한 환자 수에 대해 자랑하기 시작할 것이다.

Did you see how the social and material combined to shape not only professional practices but also what it means to ‘enact’ professional in this context? If you hang around long enough, you will. Over the course of the month, many of the senior residents will begin to apologise for the number of admissions they admit each night and brag about the number of patients they discharged this week.


요컨대 사회물질성이 새로운 질문을 함으로써 기존의 문제를 탐구할 기회를 창출하는 실천을 위한 새로운 방법을 제공한다는 것을 보여주었기를 바란다. 위의 예를 사용하여, 이제 '임상 설정은 어떻게 조합되어 전문직간 협업을 제정하는가?' 또는 '임상 설정은 어떤 방식으로 조합되어 "시니어 레지던트"의 역할과 가능한 정체성을 형성하는가?'를 질문할 수 있다. 바라건대, 우리가 올바른 질문을 한다면, 우리는 또한 의학 교육을 개선할 새로운 방법들을 발견할 것이다.

In summary, I hope I have shown you that sociomateriality offers new ways for studying practice that create opportunities for exploring existing problems by asking new questions. Using the above example, we can now ask: ‘How does the clinical setting assemble to enact interprofessional collaboration?’ or ‘In what ways does the clinical setting assemble to shape the role, and possibly identity, of “senior resident”’? Hopefully, if we ask the right questions, we will also discover new ways to improve medical education.



2 Fenwick T. Sociomateriality in medical practice and learning: attuning to what matters. Med Educ 2014;48 (1):44–52.






 2017 May;51(5):465-466. doi: 10.1111/medu.13149. Epub 2016 Nov 23.

When I say … sociomateriality.

Author information

1
London, Ontario, Canada.
PMID:
 
27882580
 
DOI:
 
10.1111/medu.13149


보건전문직교육연구에서 상황학습이론(Situated learning theory) (Adv Health Sci Educ Theory Pract, 2019)

Situated learning theory in health professions education research: a scoping review

Bridget C. O’Brien1 · Alexis Battista2





배경

Background


SLT(Sitated Learning Iron)는 1980년대와 1990년대 초에 교육을 지배했던 개인을 중심에 두는 인지적 행동주의 관점에서 출발하여 학습에 대한 관점을 제공했다(Farnsworth et al. 2016; Barton and Tusting 2005). 1991년에 출판된 초기 연구에서, Lave와 Wenger는 상황학습을 CoP(Lave and Wenger 1991)에서 합법적인 주변참여(LPP)를 통해 발생하는 과정이라고 설명했다. 그들은 학습이란 

  • 일상적 활동, 맥락, 문화에 내재하고, 

  • 근본적으로 사회적이며, 

  • 종종 의도적이기보다는 의도적이지 않은 것이고, 

  • 학습자의 참여가 점차 증진되는 것으로 특징지었다(Lave and Wenger 1991). 

Situated Learning Theory (SLT) offered a perspective on learning that departed from the individual-focused, cognitive and behaviorist views dominating education in the 1980 s and early 1990s (Farnsworth et al. 2016; Barton and Tusting 2005). In their initial work published in 1991, Lave and Wenger described situated learning as a process that occurs through legitimate peripheral participation (LPP) in communities of practice (CoP) (Lave and Wenger 1991). Their work characterized learning as: 

  • embedded in everyday activity, context, and culture; 

  • fundamentally social; 

  • often unintentional rather than deliberate; and 

  • progressive with respect to learners’ participation (Lave and Wenger 1991). 


Lave와 Wenger는 학습을 newcomer과 old-timer 또는 더 박식한 다른 사람들 사이에서의 관계와 상호작용의 중요성을 강조했다(Lave and Wenger 1991). 이것은 실천을 지도/지지/공동형성/재개념화하는 역동적 프로세스이다. SLT는 특히 강의실이 아닌 환경에서 학습 프로세스를 개념화하고 연구하는 새로운 방법을 제공했다.

Lave and Wenger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relationships and interactions between newcomers and old-timers or more knowledgeable others to frame learning as a dynamic process of guidance, support, and co-construction or reconceptualization of practice (Lave and Wenger 1991). SLT offered new ways of conceptualizing and studying learning processes, particularly in non-classroom settings.


1998년, 벵거는 보다 심도 있게 정채성 개발을 설명하고, CoP를 특징짓는 3가지 상호 관련 차원을 설명함으로써 이러한 초기 노력을 상세히 하였다(Wenger 1998). 

  • 공동업무

  • 상호 참여

  • 공유된 레파토리

In 1998, Wenger elaborated on this initial effort by explaining identity development in greater depth and describing three interrelated dimensions that characterize CoPs: 

  • joint enterprise, 

  • mutual engagement, and 

  • shared repertoire (Wenger 1998). 


2000년, 벵거는 조직이 어떻게 "지식 공유, 학습, 변화"를 육성하는 CoP를 배양할 수 있는지를 설명하면서, 이를 실천 중인 공동체communities in action라고 불렀다(벵거와 스나이더 2000). 이러한 커뮤니티는 예를 들어 전략 추진, 새로운 서비스 라인 도입, 신속한 문제 해결 및 모범 사례 전송을 지원함으로써 조직에 상당한 가치를 부가할 수 있다(Wenger 및 Snyder 2000). 또한 벵거는 맥더모트와 스나이더와의 2002년 저서에서 조직이 채택할 수 있는 모델과 접근방식에 대한 상세한 설명을 제공함으로써 CoP를 개발하고 육성할 수 있다는 개념을 계속 발전시켰다(Wenger 등, 2002년).

In 2000, Wenger described how organizations could cultivate CoPs that foster “knowledge sharing, learning and change,” calling them communities in action (Wenger and Snyder 2000). These communities in action could add substantial value to an organization by, for example, by helping them drive strategy, introduce new lines of service, solve problems quickly and transfer best practices (Wenger and Snyder 2000). Further, in his 2002 book with McDermott and Snyder, Wenger continued to build on the notion that CoPs could be developed and cultivated by providing detailed descriptions of models and approaches organizations could employ (Wenger et al. 2002).


보다 최근에, 벵거-트레이너와 동료들은 CoP에 관한 방대한 문헌을 조사하여, CoP에 대한 생산성이라는 특징을 가지고 있지만, 단일 CoP와 개별 "CoP의 주변부에서 심장부까지의 도제 궤적"에 지나치게 초점을 맞추고 있다고 지적했다(Wenger-Trayner 등, 2015). 이 논문에서, 그들은 개인이 여러 개의 CoP를 어떻게 탐색navigate하는지를 강조하는 실천의 환경에 어떻게 참여하는지에 대한 아이디어를 다시 검토했다. Wenger-Trayner와 동료들은 또한 개인이 여러 CoP들 사이에서 어떻게 경계를 통과하고 journeying하는지, 그리고 이것이 정체성 발달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서도 다루었다. 표 1은 SLT와 관련된 주요 용어 및 정의를 제공한다.

More recently, Wenger-Trayner and colleagues took stock of the large body of literature on CoPs, characterizing it as productive, yet too focused on single CoPs and individual “apprenticeship trajectories from periphery to heart of the CoP” (Wenger-Trayner et al. 2015). In this work, they revisited ideas about how individuals’ participate in landscapes of practice, which emphasizes how individuals navigate multiple CoPs. Wenger-Trayner and colleagues also addressed how individuals engage in boundary crossing, journeying among multiple CoPs, and the way this influences identity development. Table 1 provides key terms and definitions associated with SLT.



HPE에서 상황학습 이론 사용법 탐구

Exploring situated learning theory use in HPE


Lave와 Wenger가 그들의 대표적 작품을 발표한 지 거의 30년이 지난 지금, HPE의 많은 학자들은 SLT와 관련 개념(예: CoP, LPP)을 사용한다. HPE(Health Professions Education, HPE)에서 학자들은 SLT와 같은 다른 분야에서 유래한 이론을 도출한다. 학자들이 새로운 맥락의 문제에 이론을 적용하면, 그 분야의 지식을 발전시키고, 실천력을 향상시키며, 원래의 이론을 확대하거나 다듬을 기회가 생긴다(Tunissen 2010; Varpio et al. 2017). 그러나 그러한 적용은 또한 학자들이 목적, 패러다임적 자세, 범위, 한계 및 용어에 대한 인식이 부족하거나 잘못된 경우 이론이 유용misappropriating될 위험이 있다(Brown et al. 2019; Farnsworth et al. 2016; Lave 2008).

Now, nearly 30 years after Lave and Wenger published their seminal work, many scholars in HPE use SLT and its related concepts (e.g., CoP, LPP). In Health Professions Education (HPE), scholars draw upon theories, such as SLT, that originate from other fields. When scholars apply a theory to a problem in a new context, opportunities arise to advance knowledge in their field, to inform and improve practice, and to expand or refine the original theory (Teunissen 2010; Varpio et al. 2017). Yet, such applications also run the risk of misappropriating theory if scholars lack awareness of or misconceive the purpose, paradigmatic stance, scope, limitations, and terminology (Brown et al. 2019; Farnsworth et al. 2016; Lave 2008).


이 점은 CoP의 가치를 의료분야에 대한 전략 또는 개입으로 검토한 두 가지 체계적인 리뷰에서 명백하다(Li et al. 2009a, Ranmuthgala et al. 2011), 이 리뷰에서는 주로 CoP의 정의, 구현, 효과 및 영향에 초점을 맞추었다. 1991년부터 2005년까지 건강관리 및 비즈니스 문헌을 검토한 결과, 리 교수와 동료들은 "CoP 개념이 어떻게 운영operationalize되는지에 대한 일반적인 경향은 없다"고 밝혔다(Li et al. 2009a). 리 외 연구진의 연구는 상황학습이라는 더 넓은 개념보다, CoP라고 라벨된 그룹이라는 협소한 개념화 또는 CoP를 guiding framework로 사용한 것에만 제한하여 초점을 맞추었다. 

This point is evident in two systematic reviews that examined the value of CoPs as a strategy or intervention in the healthcare sector (Li et al. 2009a, Ranmuthugala et al. 2011), focusing primarily on the definition, implementation, effectiveness, and impact of CoPs. From their review of healthcare and business literature from 1991 to 2005, Li and colleagues found, “no common trend in how the CoP concept is operationalized,” (Li et al. 2009a). Li et al.’s work focused on a narrow conceptualization of groups labeled as CoPs or developed using CoP as the guiding framework, rather than on the broader concept of situated learning. 


또 다른 리뷰에서 란무투갈라와 동료들은 1990년과 2009년 사이에 건강관리 분야에서 CoP의 현상을 조사하여 "[CoP]가 확립되는 방법과 이유의 다양성"(2011, 페이지 14)을 찾아냈다. 그러나, Li(2009a)와 마찬가지로, Ranmuthgala et al. (2011)는 HPE와 관련된 일반적인 학습 프로세스보다는 행동, 작업 관행, 임상 프로세스 또는 임상 결과의 변화나 개선을 위한 잠재적 메커니즘으로서 주로 CoP의 운영 관점에 초점을 맞추었다.

In another review, Ranmuthugala and colleagues examined the phenomena of CoP in healthcare between 1990 and 2009, finding “much diversity in how and why [CoPs] are established” (2011, p. 14). However, like Li (2009a), Ranmuthugala et al. (2011) focused primarily on an operational view of CoPs—as potential mechanisms for change or improvement in behaviors, work practices, clinical processes or clinical outcomes—rather than on general learning processes relevant to HPE.


본 논문에서, 우리는 Biesta와 동료들은 "교육 연구에서의 이론과 이론의 실제적 역할"을 교육 연구에서의 이론을 통한 역량 구축의 지원 수단으로 "가능성과 세부적 이해"를 요구한다. 우리는 건강 직업 교육에서 특정 이론인 '상황 학습 이론'의 사용과 미래의 잠재력을 탐구함으로써 이것을 한다.

In this paper, we heed Biesta and colleagues call for “a more nuanced and detailed understanding of both the possible and, importantly, the actual roles of theory and theorising in educational research” (2011, p. 234) as a means of supporting capacity building through theory in educational research. We do this by exploring the use and future potential for one particular theory—Situated Learning Theory—in health professions education.


방법

Methods


리뷰 유형

Type of review


"기존 지식을 체계적으로 탐색, 선정, 통합하여 [정의된 분야나 분야와 관련된 핵심 개념, 증거의 종류 및 연구의 격차를 매핑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탐구적 연구 질문을 다루는 지식 종합의 한 형태"로 정의한 scoping review (Colquhoun et al. 2014, 페이지 1292)를 선정했다. HPE의 경우와 같이 문헌이 포괄적으로 검토되지 않은 경우지식의 본체가 다양할 때(Arksey 및 O'Malley 2005; Levac et al. 2010) Scoping Review가 적절하다. 또한, Scoping Review는 일반적으로 기존 문헌을 그것의 특성, 특징 및 광범위한 주제에 근거하여 분류하고 분류하기 때문에, 접근방식은 '단계적 후퇴step back' 하려는 우리의 의도에 적합하며, SLT가 사용된 방식과 HPE에 어떤 기여를 했는지 고려한다.

We selected a scoping review, defined as “a form of knowledge synthesis that addresses an exploratory research question aimed at mapping key concepts, types of evidence and gaps in research related to a defined area or field by systematically searching, selecting, and synthesizing existing knowledge” (Colquhoun et al. 2014, p. 1292). Scoping reviews are appropriate when a body of literature has not been comprehensively reviewed and when the body of knowledge is diverse (Arksey and O’Malley 2005; Levac et al. 2010), as is the case in HPE. Additionally, because scoping reviews typically categorize and group existing literature based on its nature, features and breadth of topics, the approach fit with our desire to ‘step back’ and consider the ways in which SLT has been used and what it has contributed to HPE.


절차들

Procedures


우리는 레바크 외 연구진(2010)의 수정판 아크와 오말리가 권고한 범위 검토 프레임워크에 설명된 단계를 따랐다(Arksey 및 O'Malley 2005).

We followed the steps outlined in Levac et al’s. (2010) modified version of Arksey and O’Malley’s recommended framework for scoping reviews (Arksey and O’Malley 2005).


1단계: 연구 질문 식별 다음 질문을 통해 검토: HPE 문헌에서 SLT를 어떻게 사용하고 있는가?

a. 어떤 유형의 기사(예: 경험적, 관점)?

b. 이러한 조항은 어떤 목적(예: 설명, 정당성, 설명)을 제공하는가?

c. 어떤 주제/현상들을 다루는가? 어떤 맥락에서?

d. SLT에서 사용되는 개념과 방법은?


Step 1: Identify research questions The following questions guided our review: How is SLT used in the HPE literature?

a. What types of articles (e.g., empirical, perspective)?

b. What purposes do these articles serve (e.g. description, justification, clarification)?

c. What topics/phenomena are addressed? In what contexts?

d. Which concepts from SLT are used and how?


2단계: 관련 문헌 탐색. Li와 동료들이 1991-2005년에 발표한 기사에 대한 사전 검토에서 관련 연구 빌딩을 식별하기 위해 우리는 사서들과 협력하여 2006년 1월 1일부터 2016년 12월 31일까지 HPE에서 SLT를 다루는 사용 가능한 기사(즉, 인쇄 전 또는 전자적으로 사용 가능한 기사)를 포착하기 위해 검색 전략("부록 A")을 설계했다. 우리는 Li 등이 보고한 검색 전략을 사용했다. (2009a) 용어의 출발점으로 HPE에 초점을 맞추고 CoP(예: LPP)를 넘어 SLT의 개념을 포함하도록 수정하였다. 검색에는 CINAHL, ERIC, PubMed, Scopus, Web of Science의 5개의 데이터베이스가 포함되었다(그림 1). 우리는 또한 모든 포함된 기사의 참조 목록을 검토했고, 처음 검색에서 확인되지 않았지만 포함 기준을 충족한 기사를 회수했다.

Step 2: Identify relevant studies Building from Li and colleagues’ prior review of articles published 1991–2005, we worked with a librarian to design a search strategy (“Appendix A”) to capture available articles (i.e., in print or electronically available ahead of print) that addressed SLT in HPE from January 1, 2006 to December 31, 2016. We used the search strategy reported by Li et al. (2009a) as a starting point for terminology, then made modifications to focus on HPE and to include concepts from SLT beyond CoP (e.g., LPP). Our search included five databases: CINAHL, ERIC, PubMed, Scopus, and Web of Science (Fig. 1). We also reviewed the reference list of all included articles and retrieved articles that were not identified in our initial search but met our inclusion criteria.


3단계: 검토에 포함할 연구를 선택. 레벨 1과 레벨 2 선별에 대한 우선 순위를 개발했다(그림 1). 레벨 1 심사 중, 두 명의 검토자(BO 및 연구 보조자)가 주제에 대한 제목과 초록을 검토했다. 

(a) 주요 용어(즉, CoP, 위치 학습, LPP 및/또는 Lave 및 Wenger 또는 Wegner의 작업에 대한 참조), 

(b) HPE(예: 의료, 간호, 약국), 교육, 교육, 교육, 학습, 그리고 

(c) 정체성 형성, 교수진 개발, 평가, 평가. 


Step 3: Select studies to include in the review We developed inclusion criteria a priori for level 1and 2 screening (Fig. 1). During level 1 screening, two reviewers (BO and a research assistant) reviewed titles and abstracts for: 

    • (a) use of key terms (i.e., CoP, situated learning, LPP, and/or reference to any works by Lave and Wenger or Wegner); 

    • (b) relevance to HPE (e.g., medicine, nursing, pharmacy), and 

    • (c) topics such as curriculum, instruction, teaching, learning, identity formation, faculty development, assessment, evaluation. 


경험적 연구, 관점/논평, 프로그램 평가/혁신/ 커리큘럼 설명, 문학 리뷰 등을 포함. 모든 연구 설계가 적격이었다(즉, 정성적, 정량적, 혼합적 방법). 우리는 자격 기준을 충족하지 못하거나, 전문으로 얻을 수 없거나, 영어로 사용할 수 없는 기사는 제외했다.

We included empirical studies, perspectives/commentaries, program evaluations/innovations/curricular descriptions, and literature reviews. All study designs were eligible (i.e., qualitative, quantitative, mixed-methods). We excluded articles that did not meet eligibility criteria, we were unable to obtain in full-text, or were not available in English.


레벨 2 스크리닝 중, 2명의 검토자(BO, AB)가 독립적으로 각 글의 전문을 검토하여 SLT나 개념을 피상적으로 활용한 기사를 식별하고 제외했다. 피상적인 사용이란, 설명이나 정의 없이 주요 용어(예: LPP, CoP)를 사용했거나, 한 번만 언급하고 추가 고찰이 없는 것, 벵거와 동료의 일차 출처에 대한 언급이 없는 경우로 정의했다.

During level 2 screening, two reviewers (BO, AB) independently reviewed the full text of each article to identify and exclude articles that utilized SLT or concepts in a superficial way. We defined superficial use as instances in which authors used key terms (e.g., LPP, CoP) with no explanation or definition, or used a single mention of a key term with no additional discussion, and/or with no reference to primary sources by Wenger and colleagues.



4단계: Colquhoun 등(2014년)에서 권장하는 모범 사례에 따라 데이터를 차트화했으며, 아래 설명된 일련의 반복 단계를 통해 데이터를 차트화했다(Colquhoun 등, 2014년).

Step 4: Chart the data In line with best practices recommended by Colquhoun et al. (2014), we charted the data through a series of iterative phases, which we describe below (Colquhoun et al. 2014).





1단계

Phase one


우리는 검토의 목표와 연구 질문에 관련된 정보를 추출하기 위해 데이터 차트 작성 양식을 개발했다. 추출의 일관성을 확보하기 위해 Qualtrics® 조사 플랫폼을 사용하였습니다. 당사의 데이터 차트 작성 양식("별지 A")의 최종 버전에는 기사 특성, 주제/현상, 설정 또는 맥락, SLT의 주요 개념에 대한 질문이 포함되었다. 각 기사가 SLT를 어떻게 사용하는지를 구마시와 동료 이론 토크 프레임워크에서 도출하여 분류하였다(Kumasi et al. 2013). "이론 토크" 프레임워크는 도서관과 정보 과학 내에서 이론 사용을 포착하도록 설계되었기 때문에, 우리는 연구의 초점에 맞게 범주를 수정했다(예: HPE 연구 내에서 하나의 특정 이론이 어떻게 사용되는지 조사). 표 5에는 각 범주의 이름과 우리가 사용한 운영 정의가 수록되어 있다.


We developed a data-charting form to extract information relevant to the goals of our review and our research questions. We used the Qualtrics® survey platform to ensure consistency in extraction. The final version of our data-charting form (“Appendix A”), included questions about article characteristics, the topics/phenomenon addressed, setting or context, and which key concepts of SLT were employed. We classified how each article used SLT, drawing from Kumasi and colleagues theory talk framework (Kumasi et al. 2013). Because the “theory talk” framework was designed to capture theory use within the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s, we modified the categories to fit the focus of our study (e.g., examining how one specific theory is used within HPE research). Table 5 includes the name of each category and the operational definitions we used.


2단계

Phase two


포함된 기사의 패턴을 조사하기 위해, 우리는 기술 통계(즉, 빈도, 백분율)를 계산하기 위해 Qualtrics®에서 Microsoft Excel 및 SPSS로 차트 데이터를 가져왔고, 기사에서 다루는 주제/현상, 설정 또는 상황, 직업 등을 계산하기 위해 개방형 코드화 절차를 사용했다.

To examine patterns among included articles we imported charted data from Qualtrics® into Microsoft Excel and SPSS to calculate descriptive statistics (i.e., frequency, percentage) and used open coding procedures to further categorize: topics/phenomenon addressed in the article, the setting or context, and profession.


3단계

Phase three


쿠마시 분류는 기사의 저자들이 SLT 이론을 어떻게 사용하는지를 설명하는 데 도움이 되었지만, 포함된 기사의 목적을 적절하게 다루지는 못했다. 따라서, 우리는 쿡과 동료들의 설명(2008)에서 연구 목적의 분류를 지도하기 위해, 기술(무엇을 했는가?), 정당화(그것이 효과가 있었는가?), 명확화 프레임워크(왜 또는 어떻게 작용했는가?)를 도출했다.

While the Kumasi categorization helped describe how included articles’ authors used SLT theory, it did not adequately address the purposes of included articles. Therefore, we drew from Cook and colleagues’ (2008) description (what was done?), justification (did it work?), clarification framework (why or how did it work?) to guide categorization of study purpose.


5단계: 결과 수집, 요약 및 보고. 3단계 이후, 우리는 서술적 통계를 다시 계산하고 보고를 안내하기 위해 Tricco 등(2018년)에서 도출했다.

Step 5: Collate, summarize and report results Following phase three, we recalculated descriptive statistics and drew from Tricco et al. (2018) to guide reporting.


6단계: 주요 이해관계자들과 협의. 1단계부터 SDRME(Society for Research Directors of Medical Education) 및 미국 교육 및 연구 협회(AERA) 심포지엄 참석자들과 예비 조사 결과를 공유하였다. 양쪽 청중의 구성원들은 HPE에서 이론 사용을 검토하는 것의 가치를 강조했고 우리가 더 넓은 HPE 커뮤니티와 결과를 공유하도록 격려했다.

Step 6: Consult with key stakeholders We shared preliminary findings from phase one with members of the Society for Directors of Research in Medical Education (SDRME) and attendees of an American Education and Research Association (AERA) symposium. Members of both audiences emphasized the value of examining theory-use in HPE and encouraged us to share findings with the broader HPE community.


결과.

Results


문학검색

Literature search


우리의 검색 결과 1928건의 기사가 나왔다(그림 1). 

Our search yielded 1928 articles (Fig.  1). 


포함된 품목 특성(표 2)

Included article characteristics (Table 2)


SLT의 개념에 대한 연구 수가 2006년(n = 11)에서 2016년(n = 23)으로 증가하여 이론의 지속적인 공명을 시사했다.

The number of studies drawing on concepts from SLT increased from 2006 (n = 11) to 2016 (n = 23), suggesting continued resonance of the theory





HPE 문헌에서 위치 학습이론은 어떻게 사용되고 있는가?

How is situated learning theory used in the HPE literature?


어떤 기사의 유형과 어떤 목적을 제공하는가? (표 3) 경험적 기사의 53% 중 가장 많은(81%)를 명확화 연구(왜 또는 어떻게 작용했는가?)로 분류했다. 이 문서들은 학습 과정이 어떻게 작용하는지 또는 개인이 특정한 맥락(예: 임상 작업 공간, 온라인/전자 학습)에서 어떻게 학습을 경험했는지를 명확히 하는 경향이 있었다.

What types of articles and what purposes do they serve? (Table 3) Among 53% of empirical articles, we categorized most (81%) as clarification studies (why or how did it work?). These articles tended to clarify how a learning process worked or how individuals experienced learning in a particular context (e.g., clinical workplaces, online/e-learning).



어떤 주제/현상들을 다루고 있는가? 어떤 맥락에서? (표 4) 논문에서 다루는 가장 일반적인 세 가지 주제: 

a) 특정 컨텍스트나 프로그램에서 다루는 학습 프로세스 또는 경험(40%), 

b) 개인의 그룹이나 네트워크 사이에서 학습을 촉진 또는 지원하기 위한 의도적 노력(36%), 

c) 정체성(9%) 등이 포함되었다.

What topics/phenomena are addressed? In what contexts? (Table 4) The three most common topics addressed in the articles, included: a) learning processes or experiences in a particular context or program (40%), b) intentional efforts to facilitate or support learning among groups or networks of individuals (36%), and c) identity (9%).






특정 상황에서 학습 프로세스/경험

Learning processes/experiences in a specific context


이 범주의 조항은 주로 전문 교육 프로그램의 일부였던 임상 배치와 같이 임상 작업장에서 배우는 데 초점을 맞추었다. 이 연구 결과는 (인지 및 행동 학습 이론보다) 실천을 통한 학습 또는 견습 학습에 대한 보다 전체적인 개념화를 추구했던 Lave 및 Wenger(1991년)와 Wenger(1998년)의 상황학습에 관한 초기 연구와 일치한다. 다른 맥락에는 전문가 간 교육, 라이브 또는 가상 시뮬레이션, 온라인/이 학습 환경, 동료 또는 전문 그룹이 포함되었다.

Articles in this category primarily focused on learning in clinical workplaces, such as clinical placements that were part of a professional education program. This finding aligns with the earlier works on situated learning by Lave and Wenger (1991) and Wenger (1998) that sought a more holistic conceptualization of learning through practice, or apprenticeship learning, than cognitive and behavioral learning theories offered. Other contexts included interprofessional education, live or virtual simulation, online/elearning environments, and peer or professional groups.


학습을 촉진하거나 지원하기 위한 의도적인 노력

Intentional efforts to facilitate or support learning


이 범주에는 CoP를 개입(공통 목표, 관심 또는 필요에 따라 개인들을 연결하도록 설계된 전략 또는 구조)으로 기술한 기사가 포함되었다. 이러한 기사의 하위 집합은 가상 또는 온라인 커뮤니티 및/또는 교수진 개발 또는 지속적인 전문 개발(CPD)의 맥락에서 설정되었다. 이러한 연구는 CoP의 주요 특성과 목표를 정의하고 이를 육성하기 위한 전략을 기술한 벵거와 동료(2000, 2002)의 이후의 연구와 일치했다.

This category included articles that described CoP as an intervention—a strategy or structure designed to connect individuals based on a common goal, interest or need. A subset of these articles described a virtual or online community and/or were set in the context of faculty development or continuing professional development (CPD). These studies aligned with later work by Wenger and colleagues (2000, 2002) that defined key characteristics and objectives of CoPs and described strategies for cultivating them.


신원

Identity


아이덴티티는 SLT(표 1 참조)와 HPE에서 모두 핵심 개념이다. 이전 두 가지 현상보다 더 구체적인 현상임에도 불구하고, 임상 작업 공간, 훈련 또는 직업 생활에서의 전환, 동료 또는 전문 그룹 등 다양한 맥락에서 정체성을 다루는 논문들의 상당한 부분 집합을 발견했다.

Identity is a core concept in both SLT (see Table 1) and in HPE. Though a more specific phenomenon than the previous two, we found a substantial subset of articles addressing identity in diverse contexts, including: clinical workplaces, transitions in training or professional life, and peer or professional groups.



SLT에서 사용되는 핵심 개념은 무엇이며, 그 방법은 무엇인가? Lave와 Wenger(1991년), Wenger(1998년)의 초기 작품들이 가장 많이 인용되었으며(각각 71%와 61%), Wenger 등이 그 뒤를 이었다. (2002) (23%). 다른 모든 주요 출처는 10% 미만의 기사에서 인용되었다. 거의 모든 기사(95%)가 CoP에 대해 논의했고, ID(49%), 상황학습(42%), LPP(38%) 순이었다. 공동 기업, 상호 참여, 공유 레퍼토리 또는 경계 교차 등과 같은 개념에 대해 10% 미만이 언급했다.

Which key concepts from SLT are used and how? The earliest works by Lave and Wenger (1991) and Wenger (1998) were the most commonly cited (71% and 61%, respectively), followed by Wenger et al. (2002) (23%). All other primary sources were cited in less than 10% of articles. Nearly all articles (95%) discussed CoP, followed by identity (49%), situated learning (42%) and LPP (38%). Less than 10% mentioned concepts such as joint enterprise, mutual engagement, shared repertoire or boundary crossing.



또한 각 기사에서 SLT와 관련 개념이 어떻게 사용되었는지를 기술하기 위해 쿠마시와 동료들의 이론 토크 프레임워크(2013)를 적용했다. 아래 설명된 바와 같이 SLT의 특정 특징과의 적합성을 개선하기 위해 일부 범주를 수정한 후 각 기사(표 5)에 대해 'best-fit' 범주를 선택했다. 우리는 쿠마시 외 (2013)에 의해 제시된 계층 구조에서 범주를 제시한다.

We also applied Kumasi and colleagues’ theory talk framework (2013) to describe how SLT and related concepts were used in each article. We selected a ‘best-fit’ category for each article (Table 5) after modifying some categories to improve fit with specific features of SLT, as described below. We present the categories in the hierarchical structure presented by Kumasi et al. (2013).




이론 누락

Theory dropping


우리의 초기 465개의 전체 텍스트 기사 집합에서, 우리는 이론 토크 프레임워크의 첫 번째 범주, 이론의 누락과 일치하는 모든 범주를 '피상적인 사용'으로 제외했다(n = 272).

From our initial set of 465 full-text articles, we excluded all that matched the first category in the theory talk framework, theory dropping, due to superficial use (n = 272).


이론 포지셔닝/프레이밍

Theory positioning/framing


포함된 연구(N = 193)의 18%는 이론적 포지셔닝(연구 설계에 제한적인 연관을 가진 시작 또는 끝의 이론 도입) 또는 이론적 프레이밍(학습의 관점을 확립하기 위한 이론의 사용)으로 분류했다.

We categorized 18% of included articles (N = 193) as theory positioning (introducing theory at the beginning or end with limited connection to study design) or theory framing (use of theory to establish a perspective on learning). 


이 글에서 저자들은 '대 이론grand theory'(Reeves et al. 2008) 수준에서 SLT 또는 CoP를 언급하였다. 이는 학습에 대한 저자의 관점을 설명하거나 이 글의 핵심 사항 또는 연구의 기초를 이루는 학습에 대한 기본적인 전제를 설명하는 이론이다. 몇몇 기사들은 또한 자기주도 학습, 직장 학습 또는 성찰적 실천과 같은 다른 학습 이론을 추가했다. 이 논문에서 SLT는 학습 프로세스에 대한 중요한 관점을 제공하거나 다른 이론들이 할 수 없는 발견을 설명하는 데 사용되었다

In these articles, authors referenced SLT or CoP at the level of ‘grand theory’ (Reeves et al. 2008)—a theory that explained the author’s perspective on learning or established basic premises about learning that underpinned the study or key points in the article. Several articles also added other learning theories such as self-directed learning, workplace learning, or reflective practice. In these articles, SLT provided an overarching perspective on learning processes and/or was used to explain a finding the other theories could not. 


일부 기사는 CoP를 사용하여 특정 기술을 배우거나, 공동작업을 하거나, 서로 지원하도록 사람들을 모으는 것을 목표로 하는 이니셔티브의 목표를 정당화했다. 또 다른 논문에서는 SLT를 고찰에서 다루면서, [새로운 통찰력이나 추가적 연구에 대해서는 논의하지 않고] 연구 결과가 CoP나 LPP와 같은 개념에 부합한다고 언급했다.

Some articles used CoP to legitimize the goals of an initiative aimed at bringing people together to learn certain skills, collaborate, or support one another while others introduced SLT in the discussion, noting that findings aligned with concepts such as CoP or LPP, without discussing novel insights or opportunities for further lines of inquiry based on SLT.


우리는 이 범주를 수정하여 쿠마시와 동료의 원래 서술보다 더 집약적인 방법으로 SLT를 사용한 몇 개의 기사에 대한 이론 프레이밍을 포함시켰다. 이 분류에서는, 저자들은 SLT를 [방법론에 대한 함축적 의미를 지닌] 학습을 이해하는 한 방법이라고 설명했다

We modified this category to include theory framing for a few articles that used SLT in a more intensive way than suggested by Kumasi and colleagues’ original description. In these articles, authors described SLT as a way of understanding learning with implications for methodology. 


예를 들어, 켈(2014년)은 

    • 학습에 대한 사회적 관점이 임상적 위치에 있는 물리치료 학생들의 학습에 대한 이전 연구와 어떻게 다른지departed from

    • 이 틀이 "학생 및 교육자들이 '생각하는 것'이 아니라 '실제로 무엇을 하고 어떻게 하는지'에 대해서," (45) 방법론적 접근과 현장작업의 초점에 어떻게 영향을 미쳤는지. 

For example, Kell (2014) explained 

    • how a social perspective on learning departed from prior studies of physiotherapy students’ learning in clinical placements and 

    • how this framing influenced the methodological approach and the focus of fieldwork “from what the students and/or educators think to what they actually do and how they do it,” (p. 45). 

이러한 작업은 SLT를 [실천을 통한 학습]을 프레임(또는 리프레임)하는 relevant하고 적용가능한 방법으로 강화한다. 작가는 앞을 내다보는 시선으로 이 골격의 가치를 그대로 강조했다. 왜냐하면 이것이 "실무와 교육 상호작용을 시작하고, 기록하고, 분석하는 새로운 방법을 물리치료사에게 제공한다." (p. 52).

Such work strengthens the case for SLT as a relevant, applicable way of framing (or reframing) learning through practice. With a forward-looking gaze, the author emphasized the value of this framing as it “offers physiotherapists a new way to conceive, record and analyse practice and education interactions” (p. 52).


이론 다양화/매핑

Theory diversification/mapping


포함 기사의 7%를 이론의 다양성(주제와 관련성이 있는 복수의 이론을 도입) 또는 이론 매핑(이론이 어떻게 기여할 수 있는가를 더욱 차별화)로 분류했다. 이 범주의 논문은 [현상을 이해하는 다른 방법을 보다 완전하게 묘사하거나 비교/ 대조하는 방법으로 다른 이론(예: 활동 이론, 직장 학습, 경험적 학습)과 관련하여] 상황 학습 개념을 논의하였다. 여기서 논의한 '현상'으로는 경험을 통한 학습, 비공식적인 전문직간 학습/전문직간 교육, 시뮬레이션된 임상 경험, 역량/계속적인 전문 개발(CPD)의 유지 등이 있었다. 이 범주의 기사는 대부분 문학 평론이나 논평/견해적 작품들이었다.

We categorized 7% of included articles as theory diversity (introducing multiple theories with relevance to the topic) or theory mapping (further differentiating how theory could contribute). The articles in this category discussed situated learning concepts in relation to other theories (e.g., activity theory, workplace learning, experiential learning), as a way of more fully describing or comparing/contrasting different ways of understanding a phenomenon. Phenomena included learning through experience, informal interprofessional learning/interprofessional education, simulated clinical experiences, and maintenance of competence/continuing professional development (CPD). Most articles in this category were literature reviews or commentary/perspective pieces.


많은 기사들이 다음과 같이 그 분야에 기여했기 때문에 이론 매핑의 개념을 추가했다. 

    • SLT와 관련 이론 간의 유사성/차이성을 명확히 함 

    • SLT와 관련 이론의 렌즈를 통해 연구의 이점을 얻을 수 있는 문제 및 현상 파악, 

    • 그리고 현상을 연구하기 위해 이와 관련된 이론적 구조를 그리는 방법을 고안한다.

We added the concept of theory mapping because many articles contributed to the field by: 

    • clarifying similarities/differences between SLT and related theories, 

    • identifying problems and phenomenon that could benefit from study through the lens of SLT and related theories, 

    • then mapping out ways to draw on these related theoretical constructs to study a phenomenon.


이론대화

Theory conversation


포함된 논문의 21%를 이론대화(이론/현상 사용 신청)로 분류했다. 대부분의 이론 대화 기사는 커리큘럼이나 기타 교육적 개입 또는 교육적 연구의 개발을 안내하기 위해 SLT를 사용하도록 권장하는 논평, 관점, 리뷰 또는 기타 유형의 non-empirical 작업이었다. 일부 기사는 [현상을 보거나 HPE의 지속적인 문제를 탐구]하는 새로운 방법을 제공하기 위해 SLT를 도입했다. 예를 들어 CoP의 렌즈를 통한 수술 교육, 실습 기반/직장 학습, 온라인/전자 학습, 교수진 개발/CPD 및 신원 개발 등이 있었다. 이 문서들은 이후의 경험적 연구와 응용을 위한 기초를 마련함으로써 HPE 분야에 기여한다.

We categorized 21% of included articles as theory conversation (advocating for use of a theory/phenomena). Most theory conversation articles were commentaries, perspectives, reviews or other types of non-empirical work that recommended use of SLT to guide the development of curricula or other educational interventions or educational research. Some articles introduced SLT to offer a new way of viewing a phenomenon or exploring a persistent problem in HPE. Examples included understanding surgical education through the lens of CoP, practice-based/workplace learning, online/e-learning, faculty development/CPD, and identity development. These articles contribute to the HPE field by laying groundwork for subsequent empirical studies and applications.


이론적 응용

Theory application


논문의 37%를 이론적 응용(설계 및 분석에 사용하기 위한 이론 도입)으로 식별했다. 이 범주 안에서 우리는 두 가지 주요 유형의 응용 프로그램을 발견했다. 한 유형은 CoP를 프로그램 설계에 대한 개입 또는 청사진으로 묘사했다. 이러한 개입은 교직원 개발을 위한 CoP 설립, 커리큘럼 개발 촉진, CPD 지원을 위한 네트워크(실제 또는 가상) 구축, 시골지역 또는 외딴 지역의 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고립 감소 및 교육 프로그램 구조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이 기사들 중 다수는 2000년대 초(Wenger 2000, Wenger and Snyder 2000, Wenger et al. 2002)에 벵거 작품의 운영방향을 그리고 있으며 교육적 실천educational practice을 지향했다.

We identified 37% of articles as theory application (employing theory to inform design and analysis). Within this category we found two main types of applications. One type portrayed CoP as an intervention or blueprint for program design. These interventions sought to: establish a CoP for faculty development, facilitate curriculum development, build networks (real or virtual) to support CPD, reduce isolation for those in rural or remote locations, and provide structure for an educational program. Many of these articles drew on the operational orientation of Wenger’s work in the early 2000’s (Wenger 2000; Wenger and Snyder 2000; Wenger et al. 2002) and were directed toward educational practice.


Lave와 Wenger(1991년)와 Wenger(1998년)의 초기 작품들을 인용한 두 번째 유형의 적용 논문은 (수술실/수술적 부착물, 임상적 배치물, 시골 장소, 직업간 훈련 병동, 시뮬레이션-기반 학습, 훈련에서 실천으로, 실천에서 아카데미아로의 전환과 같은) 특정한 맥락에서 학습 과정과 경험을 탐구explore하기 위한 LPP, CoP, 정체성과 같은 개념에 초점을 두고 있다. 

The second type of application articles cited earlier works by Lave and Wenger (1991) and Wenger (1998), focusing on concepts such as LPP, CoP and identity to explore learning processes and experiences in particular contexts such operating rooms/surgical attachments, clinical placements, rural placements, interprofessional training wards, simulation-based learning, transitions from training to practice or from practice to academia. 


이 논문들은 연구 설계, 데이터 수집 및 분석을 guide하기 위해 SLT 구조를 사용했다. 이러한 이론적 적용은 특정한 맥락에서 개별적인 경험과 상호작용을 위한 설명적 힘을 준다. 그들은 일반적으로 프로그램, 실습, 임상 배치 또는 작업장을 조정하거나 개선하는 데 사용할 수 있는 미시 분석 수준에서 통찰력을 제공한다.

These articles used the SLT constructs to guide study design, data collection, and analysis. These theory applications contribute explanatory power for individual experiences and interactions in specific contexts. They generally offer insights at the micro-analytic level that can be used to adjust or improve programs, practices, clinical placements or workplaces.


이론 테스트/검증

Theory testing/verification


기사의 10%를 이론테스트(기존 이론의 경험적 타당성) 또는 검증(SLT를 반박하기 위한 근거 탐색)으로 분류했다. 벵거의 후기 작품 중 일부는 CoP를 경작되어야 할cultivated 실체로 제시했으며, 이는 목표한 결과와 평가에 대한 개입으로 해석될 수 있다. 이 범주로 CoP를 기술한 연구에는 다음의 성과를 달성하기 위한 개입이 포함된다.

    • 개인 그룹 간의 연구 카파와 생산성 증가, 

    • 다양한 맥락에서 일하는 개인들 간의 지식 교환 또는 공유, 

    • 협력적 실천

    • 증거 기반 실천의 도입

We classified 10% of articles as theory testing (empirically validating existing theory) or verification (seeking to support of refute SLT). Some of Wenger’s later works presented CoPs as entities to be cultivated, which could be interpreted as interventions with targeted outcomes and evaluations. Studies describing CoPs in this category included interventions to achieve outcomes such as 

    • increased research capacity and productivity among a group of individuals, 

    • knowledge exchange or sharing among individuals working in diverse context, 

    • collaborative practice, and 

    • implementation of evidence-based practices. 


몇몇 연구는 CoP 참여를 목표로 하는 개인들의 그룹 사이에 [공유 레퍼토리, 상호 참여, 공동 기업의 증거]를 토대로 CoP 설립 여부를 평가했다. 이 범주의 연구에서 나온 연구 결과가 CoP에 대해 뒷받침되는 증거를 제공했을 때, 저자들은 CoP의 보급과 추가 개발을 장려하는 경향이 있었으며, 다른 사람들의 노력이 이 글에 기술된 것 이후에 그들의 노력을 모델화할 것을 권고했다.

A few studies evaluated whether or not a CoP was established, based on evidence of shared repertoire, mutual engagement, and joint enterprise among a group of individuals targeted for participation in a CoP. When findings from studies in this category provided supportive evidence for CoPs, authors tended to encourage dissemination and further development of CoPs, recommending that others’ model their efforts after those described in the article.


우리는 이 범주를 SLT의 예측 해석보다는 분석적 해석에 부합하는 개념인 [이론 검증]을 포함하도록 확장했다. 일부 연구는 SLT에서 생성된 가설을 직접적으로 시험하려고 하기보다, 학습 경험을 '상황학습' 또는 LPP를 통한 CoP에서의 학습으로 특징지은 다음, 이 특성을 검증하려고 했다. 

We expanded this category to include theory verification, a concept that aligns with the analytic rather than predictive interpretation of SLT. While not directly trying to test a hypothesis generated from SLT, a subset of articles characterized a learning experience as ‘situated learning’ or learning in a CoP through LPP, then sought to verify this characterization. 


예를 들어, Hayes et al. (2015)는 "이러한 전환을 탐구함으로써, 본 논문의 목적은 문화 간 전환을 이해하기 위한 렌즈로서의 CoP의 유용성을 비판적으로 평가하는 것이다."라고 썼다. (p. 28) 일부 연구에서는 이 접근방식이 이론의 gap을 식별하여 후속 이론 개발을 guide하였다. 예를 들어, 헤이스 외 연구진(2015년)은 "실천공동체가 대학으로의 전이를 맥락화하는데 영향을 미쳤지만, 이 모델은 문화간 전이를 완전히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되지 않는 것 같다"고 언급했다(p. 26).

For example, Hayes et al. (2015) wrote “through exploring this transition, the aim of this paper is to critically evaluate the usefulness of CoP as a lens for understanding intercultural transitions,” (p. 28). In some studies, this approach identified gaps in the theory that could be used to guide subsequent theory development. For example, Hayes et al. (2015) noted, “while communities of practice have been influential in contextualising transitions to university, this model does not seem to help us fully understand intercultural transitions in the case study university”) (p. 26).


이론생성

Theory generation


우리는 적합 이론 생성(이론 건설 또는 확장)을 거의 발견하지 못했다(7%) . 이 범주의 논문들은 이론적 통찰력을 제공하기 위해 새로운 맥락에서 SLT를 사용함으로써 SLT를 발전시키려고 했다. 예를 들어, Sayer(2014년)는 SLT와 CoP의 개념을 "기본 이론적 프레임워크로서" 사용하여 "실습 환경에서 지역사회 간호사의 전문 교육을 이해한다"(p. 430년). 그녀의 연구결과는 SLT(이론 검증)의 구성요소를 확인했을 뿐만 아니라, "Lave and Wenger's CoP 현상, [시간 경과에 따른 커뮤니티(재생산) 방식]을 확대했다." (p. 430) (이론 생성).

We found few studies (7%) fitting theory generation (building or expanding theory). Articles in this category sought to advance SLT by using SLT in a new context to offer theoretical insights. For example, Sayer (2014) set out to “understand the professional education of community nurses in practice settings” using the concepts of SLT and CoP “as an underpinning theoretical framework,” (p. 430). Her findings not only confirmed components of SLT (theory verification) but extended “Lave and Wenger’s CoP phenomenon, [identifying] how communities are (re)produced over time.” (p. 430) (theory generation).



또 다른 이론 생성 기법은 [SLT와 다른 이론적 관점을 결합]하여 관심 현상의 보다 완전한 그림을 제공하는 것이다. 

  • 예를 들어,Hutchings 등 (2013)은 다음을 추구했다. "사회 구성주의와 위치 학습 이론이 프락시스 및 성찰성을 통해 상호 연계되고 통합될 수 있도록 메타 이론적 프레임워크를 제시한다."(358페이지) 

  • 또 다른 예에서 소퍼(2016년)는 다음과 같은 목표를 세웠다. "현재의 학습 기회를 현재의 상태로 만드는 것의 일부로 중요성을 고려할 필요성 충족"(p. 820) 그리고 세 가지 다른 설정(교실, 시뮬레이션 세션 및 임상 배치)에서 병원 침대의 형태 관행을 조사함으로써 그렇게 했다.

  • 이 작품은 더 많은 연구를 장려하기 위해 다중 구성 학습 개념을 도입하였다. "사람, 실습, 사물이 공간, 시간, 물질성에 걸쳐 어떻게 연결되고 연결되지 않는지(p. 830).

Another theory-generating technique combined SLT with other theoretical perspectives to provide a more complete picture of a phenomenon of interest.

  • For example, Hutchings et al. (2013) sought to “make a case for a meta-theoretical framework [of interprofessional learning] enabling social-constructivist and situated learning theories to be interlinked and integrated through praxis and reflexivity.” (p. 358) 

  • In another example, Soffer (2016) aimed to “illustrate the need to consider materiality as part of what makes situated learning opportunities what they are” (p. 820) and did so by examining how a hospital bed shaped practice in three different settings (classrooms, simulation sessions, and clinical placements).

  • This work introduced the concept of multi-configured learning to encourage further exploration of “how people, practices, and things are connected and disconnected across space, time, and materiality in more or less durable ways,” (p. 830).


마지막으로, 예를 들어, 일부 이론 생성 기사는 Van Schalkwyk et al.(2015)에 의해 설명된 마이크로 레벨 이론 구축에 초점을 맞췄다. "궁극적으로, 우리의 목표는 시골의 임상 학습 공간과 변혁적 학습을 촉진할 수 있는 가능성을 이해하는데 inform할 수 있는 이론을 세우는 것이다."(p. 590) 

Lastly, some theory-generating articles focused on micro-level theory-building as, for example, articulated by Van Schalkwyk et al. (2015), “Ultimately, our aim is to build theory that will inform our understanding of the rural clinical learning space and its potential to foster transformative learning.”(p. 590) 


저자들의 분석은 다음과 같은 여러 이론들을 통합했다. 

  • 변혁적 학습 이론(Mezirow 2003), 

  • 전문직 정체성 구성(Bleakley et al. 2011; Jarvis-Selinger et al. 2012) 

  • 주체성 (Archer 2000) 

이것을 LPP, CoP와 함께 시골의 임상적 배치에서 학생들의 '의사 생활과 의사 생활'의 3부 모델을 제안한다. 

The authors’ analysis incorporated multiple theories, including 

  • transformative learning theory (Mezirow 2003), 

  • professional identity construction (Bleakley et al. 2011; Jarvis-Selinger et al. 2012), and 

  • agency (Archer 2000) 

along with LPP and CoP to propose a three-part model of students’ ‘being and becoming a doctor’ in rural clinical placements. 


이러한 용도는 사회 이론에 대한 경험적 연구가 이론의 설명력을 확대하는 새로운 개념의 필요성을 초래할 수 있다는 벵거-트레이너의 주장과 일치한다(Farnsworth et al. 2016).

Such uses are consistent with Wenger-Trayner’s assertion that empirical research on a social theory can result in the need for new concepts that expand the theory’s explanatory power (Farnsworth et al. 2016).


고찰

Discussion


Lave와 Wenger의 위치학습과 실천이론에 대한 성찰의 통찰

Insights from Lave and Wenger’s reflections on situated learning and communities of practice theory


2008년 장 라브는 SLT의 본래 취지와 현대적 응용에 대한 우려를 분명히 밝히면서 "상황학습에서 도출된 아이디어는 [학습, 실행, 사회적 변화에 대한 전통적인 이론에 대한 비평]이면서 [학습이 진행되는 모든 종류의 상황을 분석하는 수단]으로 의도된 것이었다"고 말했다. 연구원들에게 ...을 소개하다. 그것은 특별히 무엇을 다르게 하거나 더 나은 교실이나 사업을 만드는 방법에 대한 규범적 또는 처방적 모델로 의도되지 않았다. '실용 공동체'라는 개념을 사용하는 많은 이들은 이제 본래의 의도(및 그 한계)를 모르는 듯 하며, 그것을 단순히 전통적인 이론에 동화시킨다.(p. 283) 

In 2008, with palpable dismay, Jean Lave articulated the original intent of SLT and concerns about contemporary applications, stating “The ideas worked out in Situated Learning were intended as both a critique of conventional theories of learning, doing, and social change and as a means of analyzing situations of all kinds in which learning was of inter est to researchers.… It was specifically not intended as a normative or prescriptive model for what to do differently or how to create better classrooms or businesses. Many who use the concept of ‘communities of practice’ now seem ignorant of the original intent (and its limitations), and simply assimilate it into conventional theory.” (p. 283) 


벵거도 마찬가지로 실천공동체를 [규범적이거나 처방적인 것이 아니라] 학습을 이해하기 위한 분석적이고 해석적인 렌즈라고 주장한다. 하지만 그는 실천을 인도하는 이론과 이론을 알리는 실천에 대한 역할을 인정한다. (Farnsworth et al. 2016)

Wenger similarly endorses a view of Communities of Practice as an analytic and interpretive lens for understanding learning rather than a normative and prescriptive one, though he does acknowledge a role for theory to guide practice and for practice to inform theory. (Farnsworth et al. 2016).


벵거 교수는 사회학적이론은 '진실인지 거짓인지'가 아니며, '제안'이나 '진실의 진술'로 이해해서는 안 된다는 점에서 자연과학의 이론과 다르다고 설명한다. 대신, 그는 사회학적 이론은 "인간의 상태에 대한 의미 있는 이야기를 들려준다는 유용성을 통해 타당화된다"고 설명한다

Wenger describes social theories as different from theories in the natural sciences in that they are not “true or false” and should not be understood as “propositions” or “statements of truth.” Instead, he explains, a social theory is “validated through its usefulness, for telling meaningful stories about the human condition.” 


Wenger는 또한 이론의 사용자와 소비자들에게 다음을 격려한다. 

다음을 이해해야 한다.

    • 목적("학습을 [의미 만들기]로서의 [사회적으로 구성되는 경험]으로 설명하기"), 

    • 입장("경험을 사람과 사회 세계의 관계에 위치시키며, 사람과 사회세계는 서로를 구성constitute한다.")

    • 용어("의미의 협상, 실천, 공동체, 정체성, 역량" 포함) 

다음을 고려해야 한다.

    • 범위 또는 경계(이론이 설명하거나 설명하지 않는 것) (Farnsworth et al. 2016 p. 142)

Wenger also encourages users and consumers of theory 

to understand its 

    • purpose (“to give an account of learning as a socially constituted experience of meaning making”), 

    • stance (“locate(s) this experience in the relation between the person and the social world as they constitute each other”), and 

    • technical terms (including “negotiation of meaning, practice, community, identity, competence”) and 

to consider 

    • the scope or boundaries (what the theory does and does not account for) (Farnsworth et al. 2016 p. 142).


표면 긁기: HPE에서 SLT의 표면적 사용

Scratching the surface: superficial use of SLT in HPE


Jean Lave's와 Etienne Wenger-Trayner의 논평에 비추어 우리가 검토한 HPE 기사들을 되돌아볼 때, 우리는 오용의 많은 증거를 본다. 대다수의 기사(포함 및 제외)는 SLT와 관련 개념을 피상적으로 사용했으며, 이론의 목적, 입장, 기술적 용어 및 범위에 대한 인정은 제한적이었다. 실천공동체라는 용어는 눈에 띄고 따라서 널리 사용되지만, 종종 [정체성, 공동 기업, 경계 교차]와 같은 SLT의 다른 핵심 개념에 대한 언급 없이 사용된다. 게다가, 우리는 많은 기사들이 주로 Lave와 Wenger의 초기 작품들에 초점을 맞추었고 그들의 작업을 SLT를 사용한 HPE의 유사한 연구와 연결시킬 기회를 놓쳤다는 점에 주목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HPE 연구 전체에서 이론의 불충분하거나 약한 사용에 대한 우려, 특히 지식 기반을 발전시키고 복잡한 현상에 대한 우리의 이해를 향상시키기 위한 우려에 공명한다(Brown et al. 2019; Hean et al. 2016; Regehr 2010).

As we reflect upon the HPE articles we reviewed in light of Jean Lave’s and Etienne Wenger-Trayner’s commentary, we see much evidence of misuse. The majority of articles (included and excluded) used SLT and related concepts superficially, with limited acknowledgement of the purpose, stance, technical terms, and scope of the theory. The term, communities of practice, is catchy and thus widely used—but often without reference to any other key concepts of SLT, such as identity, joint enterprise and boundary crossing. Furthermore, we noted that many articles primarily focused on Lave and Wenger’s earlier works and/or missed opportunities to connect their work to similar research in HPE that used SLT. These findings resonate with concerns about insufficient or weak use of theory in HPE research as a whole, particularly to advance the knowledge base and improve our understanding of complex phenomena (Brown et al. 2019; Hean et al. 2016; Regehr 2010).


HPE 문헌의 실질적인 SLT 사용: 두 가지 패턴

Substantive SLT use in the HPE literature: two patterns


SLT와 관련 개념을 실질적인 방법으로 논의한 193개 기사는 두 가지 패턴 중 하나에 들어맞는다. 

The 193 articles that discussed SLT and related concepts in substantive ways fit one of two patterns. 


    • 한 가지 패턴으로, 저자들은 특정 상황에서 프로세스나 경험을 이해하거나 명확히 하기 위해 SLT의 개념을 적용했다. 위의 Jean Lave와 Etienne Wenger-Trayner가 설명한 목적과 목적과 크게 일치하며, 이 기사들은 SLT를 기술적이거나 분석적인 렌즈로 취급했는데, 이 렌즈들은 인간 경험의 특정 측면, guided question, framed finding, 그리고 몇 가지 경우에서 새로운 구성이나 마이크로 이론을 생성했다(Farnsworth et al. 2016).

In one pattern, authors applied concepts from SLT to understand, or clarify, learning processes or experiences in particular contexts. Largely consistent with the purpose and intent described by Jean Lave and Etienne Wenger-Trayner above, these articles treated SLT as a descriptive or analytic lens that focused attention on particular aspects of human experience, guided questions, framed findings, and, in a few cases, generated new constructs or micro-theories (Farnsworth et al. 2016).


    • 다른 패턴에서, 저자들은 CoP를 개입으로 개념화하고/또는 운영상의 목적으로 적용하여 지식 창출과 공유, 개인 또는 전문적 성장 및 아이덴티티 개발을 촉진하는 학습 경험(때로는 CoPs가 명시적으로)을 만들고 지속시켰다. 이 논문들에서, 저자들은 SLT를 처방적이거나 규범적이라고 해석했고, 어떤 경우에는 이론을 시험하려고 했다. 이 패턴은 Jean Lave와 Etienne Wenger-Trayers가 SLT와 CoP 이론의 목적과 입장을 최근에 설명한 것에서 비롯된다.

In the other pattern, authors conceptualized CoP as an intervention and/or applied it for operational purposes to create and sustain learning experiences (sometimes CoPs explicitly) that facilitated knowledge creation and sharing, personal or professional growth, and/ or identity development. In these articles, authors interpreted SLT as prescriptive or normative and in some cases sought to test the theory. This pattern drifts from Jean Lave and Etienne Wenger-Trayners’s more recent descriptions of the purpose and stance of SLT and CoP theory.


두 패턴 모두 일반 교육, 의료 및 조직/관리 과학(Li et al 2009b; Hodkinson and Hodkinson 2004; Hughes et al. 2007; Ranmuthgala et al 2011)을 포함한 다른 분야에서 발견되는 것과 일치하며, SLT와 CoP의 글 및 해석에 모호성을 반영할 가능성이 있다. 휴즈와 동료들은 1991년 초창기 연구로 거슬러 올라가 "실천공동체들 사이에서 Lave와 Wenger는 다음의 둘 사이에서 진동한다. 하나는 [학습의 분석적 이론으로서 실천공동체를 두는 것]이며 다른 하나는 [교육 실무자들에게 이상적인 모델을 제시하는 것]이다.."(Hughes et al. 2007, p. 6). 

Both patterns are consistent with those found in other fields, including general education, healthcare, and organizational/managerial science (Li et al 2009b; Hodkinson and Hodkinson 2004; Hughes et al. 2007; Ranmuthugala et al 2011) and likely reflect ambiguity in the writings and interpretations of SLT and CoP. Hughes and colleagues trace the equivocality back to the original 1991 work, noting, “Lave and Wenger oscillate between positing communities of practice as an analytic heuristic of learning and presenting the model as an ideal for educational practitioners,”(Hughes et al. 2007, p. 6). 


Wenger의 관점에서 CoP는 "배움이 무엇인가에 관한 이론"이 아니라 "배움이 무엇인가에 관한 이론"이다(Farnsworth et al. 2016, p. 144) 그러나 그는 "실천에 이론을 사용하는 것이 이론 자체에 도움이inform 된다"(p. 144)라는 점에 주목하면서 이론이 실천을 guide하고, 실천이 이론을 inform하는 역할을 인정하고 있다. 다음 두 섹션에서, 우리는 먼저 이론과 실제 사이의 관계를 고려한다. SLT가 HPE의 학습 프로세스와 교육 관행의 이해에 더 기여할 수 있는 방법을 고려한다. 그런 다음 HPE에서 SLT를 사용하는 것이 이론 개발에 어떻게 기여할 수 있는지를 숙고할 것이다.

From Wenger’s perspective, CoP is “unambiguously a theory of what learning is” not a theory about “how learning should be.” (Farnsworth et al. 2016, p. 144) Yet he recognizes a role for theory to guide practice and for practice to inform theory, noting, “the challenges of using the theory in practice inform the theory itself.” (p. 144) In the next two sections, we consider the relationship between theory and practice, first by considering ways SLT can further contribute to understanding of learning processes and educational practices in HPE. Then by contemplating how use of SLT in HPE can contribute to theory development.


전망: HPE에서 SLT의 보다 강력한 사용

Looking forward: towards a more robust use of SLT in HPE


우리는 우리의 발견에 대해 두 가지 잠재적인 해석을 제안한다. 

    • 낙관적인 해석은 HPE가 아직 SLT의 완전한 분석력과 관련성을 풀지 못했다고 주장한다. 

    • 우울한 해석은 SLT의 가치와 관련성을 제한하는 이론의 문제점을 시사한다.

We propose two potential interpretations of our findings. The optimistic interpretation holds that HPE has yet to unlock the full analytic power and relevance of SLT; the gloomier interpretation suggests problems with the theory that limits its value and relevance.


복잡한 HPE 현상에 대한 이해를 높이기 위해 더 강력한 연결 설정

Making stronger connections to enhance the understanding of complex HPE phenomena


후속 연구에 대한 한 가지 유망한 지침은 HPE의 사회적 학습 프로세스에 대한 더 깊은 이해를 촉진하기 위해 여러 연구를 통해 더 강력한 연결을 만드는 것이다. 예를 들어, 캔틸론 외 연구진(2016년)은 CoP, 특히 '실천 영역'과 '책임 평면'이라는 개념을 사용하는 것이 "임상 교사가 되는 개별 프로세스에 대한 이해에 기여할 수 있다"(p. 1004)고 설명했으며, 향후 연구가 이러한 개념을 사용하여 교사의 정체성 형성과 전문적 발달에 대한 통찰력을 제공할 수 있는 방법을 제안했다. 우리는 보건 직업 전반에 걸쳐 교사 정체성 형성에 관한 몇 가지 기사를 발견했지만, 이 연구들 중 칸틸론이나 동료들이 상상한 것처럼 교사 정체성 형성에 대한 보다 정교한 이해를 위해 만들어진 방법으로 서로를 참조하고 CoP를 사용한 것은 거의 없었다.

One promising direction for future work would be to make stronger connections across studies to foster a deeper understanding of social learning processes in HPE. For example, Cantillon et al. (2016) described how use of CoP, specifically the concepts ‘regimes of practice’ and ‘planes of accountability,’ could “contribute to our understanding of the interindividual processes of becoming a clinical teacher,” (p. 1004) and suggested ways future research could use these concepts to provide insights into teacher identity formation and professional development. We found several articles on teacher identity formation across health professions, but few of these studies referenced one another and used CoP in ways that built toward a more sophisticated understanding of teacher identity formation as envisioned by Cantillon and colleagues (2016).


여러 연구를 통해 더 강한 연관성을 만드는 것 외에도, 우리는 CoP에서 다른 개념과 이론으로 개념을 연결할 수 있는 가능성을 본다. 예를 들어, 학습의 사회적이론으로서 SLT는 개별적인 심리 과정이나 CoP에 영향을 미치는 경제, 정치, 조직, 문화 세력에 직접적으로 관여하지 않는다(많은 비평이 그러기를 원하지만). 벵거 교수는 간소함parsimony 정신에서 "이 이론이 이미 호환 이론에 존재하고 있을 때 추가 개념으로 과중한 부담을 주고 싶지 않다"고 경고한다(Farnsworth et al. 2016 p. 142). 대신, 그는 "플러그 앤 플레이 접근법"을 권장한다. 즉, 유사한 뿌리와 방향을 공유하지만 다른 영역을 커버하는 이론들의 사려 깊은 결합이다. 

In addition to making stronger connections across studies, we also see the potential to connect concepts from CoP to other concepts and theories. For example, as a social theory of learning, SLT does not directly attend to individual psychological processes or to economic, political, organizational, and cultural forces that influence CoPs (though many critiques wish it did) (Barton and Tusting 2005; Hodkinson and Hodkinson 2004; Hughes et al. 2007). In the spirit of parsimony, Wenger cautions that “you don’t want to overload a theory with additional concepts when they already exist in a compatible theory” (Farnsworth et al. 2016 p. 142). Instead, he encourages a “plug-and-play approach”—a thoughtful combining of theories that share similar roots and orientations, but cover different territory. 


한 연구가 이러한 접근법을 어떻게 사용했는지에 대한 예로는 케네디와 동료들의 연구(2009)가 있다. 여기서 훈련생들이 왜 도움을 요청하기를 꺼려하는지를 연구했는데, SLT를 마이그레이션 이론과 결합하였다. SLT를 사용하여 정체성 문제를 탐구하였고, 마이그레이션 이론을 가지고 조직 이슈를 이해하였다이러한 조합이 반드시 SLT를 확장하거나 진전시키는 것은 아니지만, 어떻게 두 이론이 상호 보완적인 통찰력과 복잡한 현상에 대한 보다 포괄적인 관점을 제공하는 데 사용될 수 있는지를 보여준다. 이와는 대조적으로, So er(2016)는 학습 분석에 물질성을 통합하여 SLT를 확장하는 것을 명시적으로 목표로 하였고, 그 결과 "다중 구성 학습"(p. 830)의 개념을 도입하였다.

An example of how one study used this approach was Kennedy and colleagues’ (2009) study of trainees’ reluctance to ask for help which combined SLT with migration theory, using SLT to explore issues related to identity and migration theory to understand organizational issues. While this combination does not necessarily expand or advance SLT, it shows how two theories can be used to provide complementary insights and a more comprehensive perspective of complex phenomenon. By contrast, So er (2016) explicitly aimed to extend SLT by incorporating materiality in the analysis of learning and, as a result, introduced the concept of “multi-configured learning,” (p. 830).


추가적인 예로는 CoP에 상호 작용하거나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조직 및 문화 세력을 설명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는 Engeström의 활동 이론(2001)과 같은 보완적 이론(예: SLT와 유사한 철학, 인식론을 가진 이론)의 조합이 있다. 또 다른 예로는 CoP(Rogoff 1995; Paradise and Rogoff 2009)에서 신참자의 작업 관계와 보다 박식한 타인의 작업 관계에 대한 면밀한 분석을 지원할 수 있는 Barbara Rogo의 Guided Participation 이론이 있다. 

Some additional examples include the combination of complementary theories (e.g., theories with similar philosophies, epistemologies as SLT), such as Engeström’s perspectives on Activity Theory (2001), which could help account for the organizational and cultural forces that may interact or influence CoP. Another example includes Barbara Rogo ’s theories of Guided Participation, which could support the closer analysis of the working relationships of newcomers and more knowledgeable others in a CoP (Rogoff 1995; Paradise and Rogoff 2009). 


SLT의 완전한 분석 능력 확보: 단순화된 관점 극복

Unlocking the full analytic power of SLT: getting beyond simplified perspectives


우리의 연구 결과와 해석 벵거의 CoP에 대한 최근의 반성을 바탕으로, 우리는 HPE 학자들이 그들의 학문적 연구의 목적과 그것이 SLT나 CoP의 목적과 패러다임의 자세와 어느 정도 일치하는지 신중하게 생각할 것을 권장한다또한 이론과 관련된 개념과 기술적 용어 및 이러한 용어들이 저자들의 초기 작업에서 발전한 방법에 익숙해질 것을 권고한다.

Based on our findings and interpretation Wenger’s most recent reflections on CoP, we encourage HPE scholars to carefully think through the purpose of their scholarly work and the extent to which it aligns with the intent and paradigmatic stance of SLT or CoP while also becoming familiar with the concepts and technical terms associated with the theory and the ways in which these have evolved from the authors’ early work.


또한 후속 연구는 [교육 환경 설계에서 Wenger의 학습 아키텍처(예: 상상력, 정렬, 참여)의 구성요소]에 주의를 기울이면서 CoP의 이론적 기반에 대한 명확한 연결을 함으로써 개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Lees and Meyer(2011년)와 Tax et al.(2012년)의 기사는 지식 교환, 협업 사례, 연구 생산성 또는 새로운 관행이나 프로토콜의 구현과 같은 가치 있는 목표를 지원하도록 학습 활동과 환경을 설계할 수 있는 방법의 예를 제공한다. 이러한 연구에서 나온 발견들은 종종 맥락특이적이고 보편적 "작업"에 대해 증명될 수 없었지만, 그들은 학자적인 교육자들이 어떻게 이론을 삶에 적용할 수 있는지, 그리고 어떻게 다른 사람들에게 정체성 형성, 개인적이고 전문적인 개발, 의사소통, 역량과 관련된 목표를 지원하는 새로운 교육학적 접근법을 상상하도록 고무할 수 있는지를 보여준다.

Additionally, future work can also be enhanced by making explicit connections to the theoretical basis of CoP, attending to components of Wenger’s learning architecture (e.g., imagination, alignment, engagement) in the design of educational environments. For example, articles by Lees and Meyer (2011) and by Tax et al. (2012) provide examples of ways in which learning activities and environments can be designed to support valued goals such as knowledge exchange, collaborative practice, research productivity or implementation of new practices or protocols. Although findings from these studies were often context specific and could not be proven to universally “work,” they illustrate how scholarly educators can bring theory to life and inspire others to imagine new pedagogical approaches that support goals related to identity formation, personal and professional development, communication, or competence.


전문직 교육을 사회적학습으로 개념화를 통해 HPE 보기

Viewing HPE with an overarching conceptualization of professional education as social learning


HPE를 사회적학습으로 개념화하는 것이 어떤 모습인지의 예로서, 크루스(Cruess)와 동료(2018)는 의료교육의 이론적 기반으로 실천공동체를 채택할 것을 제안했다. 

"이러한 변화의 주요 장점은 [학습의 사회적 본질을 강조]한다는 것과, [이론적 기반을 바탕으로 전통적 교육전략과 새로운 교육전략이 의학교육의 지속 전반에 걸쳐 구성될 수 있는 틀을 만들 수 있다]는 것이다."(p. 187)

As an example of what conceptualization of HPE as social learning might look like, Cruess and colleagues (2018) proposed adoption of communities of practice as the theoretical base of medical education, explaining that “a major advantage of such a shift is that it would emphasize the social nature of learning and would be robust enough to serve as a framework around which both traditional and new educational strategies, with their theoretical underpinnings, could be structured throughout the continuum of medical education.” (p. 187) 


이 틀은 사회적학습의 관점에 맞춘 alignment를 위하여 커리큘럼, 목표, 교육활동의 방향을 바꾸게 할 수 있고, 그에 따라 정체성 형성, 참여, 관여 등 지금까지 적은 관심만을 받아온 기타 실무 영역에 대한 더 큰 관심을 갖게 할 수 있다. 학습의 사회적 측면에 중점을 두는 것은 이해당사자들이 다양한 맥락(예: 임상, 시뮬레이션, 강의)에서 학습자의 경험을 조사하기 위해 개인이 다중 CoP를 어떻게 탐색하는지를 강조하는 벵거의 최근 작업에서 도출할 수 있다. 그러한 프레이밍은 또한 공통의 이론적 관점에 기초하고, 주요 주제를 중심으로 조직되며, 유사한 구성과 용어에 대한 그리기를 촉진할 수 있다.

This framing could lead to reorientation of curricula, objectives, and educational activities for alignment with a social learning perspective and thereby paying greater attention to identity formation, engagement, participation, and other domains of practice that have received limited explicit attention. Placing an emphasis on the social aspect of learning would allow stakeholders to draw from Wenger’s more recent works examining landscapes of practice, which emphasize how individuals navigate multiple CoP, to examine learners’ experiences across diverse contexts (e.g., clinical, simulation, lectures). Such framing could also facilitate programs of research grounded in a common theoretical perspective, organized around key topics, and drawing on similar constructs and terminology.


HPE의 응용적 특성과 SLT의 교차점 탐색

Exploring the intersection of SLT with the applied nature of HPE


HPE 이해관계자는 학습과 실습을 개선하는 방법을 알고 싶어한다. 이러한 실용적인 방향은 분석적 프레임워크로서의 SLT의 이해와 반드시 상충되는 것은 아니지만, SLT에 기초한 학습의 분석에서 실제의 개선이 어떻게 도출될 수 있는지에 대한 더 많은 이해의 필요성을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어, 특정한 맥락에서 학습 과정과 경험에 대한 발견에서 실제의 개선으로 합리적인 진전이 있을 수 있다. 또한 SLT 개념(예: 참여, 역량 체계, 궤적)을 고려하여 학습 활동 및 경험을 설계하는 것이 합리적일 수 있다. 우리의 우려는 연구자들이 CoP를 특정 성과를 달성하기 위해 구축된 entity in and of itself로 취급하는 것이다. 이 용도는 저자들이 SLT에 제시된 사회적 학습의 많은 측면을 완전히 인식하지 않고 개념을 적용하기 위해 뛰어드는 것일 수 있음을 시사한다.

HPE stakeholders want to know how to improve learning and practice. This practical orientation is not necessarily at odds with an understanding of SLT as an analytic framework; it may, however, signal a need for more understanding of how improvements in practice can be derived from analysis of learning based on SLT. For example, there may be a reasonable progression from findings about learning processes and experiences in particular contexts to improvements in practice. It may also be reasonable to design learning activities and experiences based on consideration of SLT concepts (e.g. participation, regimes of competence, trajectories). Our concerns arise when authors treat CoP as an entity in and of itself, something to be built to achieve specific outcomes and then tested. This use suggests authors may be jumping to application of the concept without fully appreciating the many facets of social learning laid out in SLT.


HPE에서 SLT, CoP 및 기타 학습 이론의 좋은 사용에 대한 의견 분할

Parting thoughts on good use of SLT, CoP, and other learning theories in HPE


많은 사람들은 HPE에서 이론의 더 많은 더 나은 사용을 요구했다. (Bordage 2009; Teunissen 2010; Rees and Monrouxe 2010; Regehr 2010) SLT는 많은 사람들이 이 호출을 충족시키기 위해 사용했던 하나의 이론적 프레임워크를 제공하지만, 우리의 리뷰는 이론의 적용과 더 이상의 이론적 개발에 있어 개선의 여지가 있음을 보여준다. 이론을 잘 사용하는 작가는 비스타와 동료들이 "theoretical connoisseurship" 라고 묘사한 것을 한다. 즉 이론이 문제에 대한 현상이나 해결책에 대한 특정 분야(및 독자)의 이해에 어떤 기여를 하는지 선택, 적용, 평가할 때 "현명하고 정보에 입각한 판단"을 한다. (비스타 외, 2011년, 페이지 236). 이러한 사용은 학문적 담론을 촉발하고 이론 및/또는 실천을 진전시킬 수 있는 후속 연구의 토대를 마련한다.

Many have called for more and better use of theory in HPE (Bordage 2009; Teunissen 2010; Rees and Monrouxe 2010; Regehr 2010). SLT offers one theoretical framework that many have used to meet this call, but our review shows there is room for improvement in application of the theory and further theory development. Authors who use theory well (be it SLT, CoP, or others) do what Biesta and colleagues describe as “theoretical connoisseurship”—making “wise and informed judgements” when selecting, applying and evaluating the contributions a theory offers to a field’s (and reader’s) understanding of a phenomenon or solution to a problem. (Biesta et al. 2011, p. 236). Such use sparks scholarly discourse and lays the groundwork for subsequent studies that can advance theory and/or practice.


연구자와 교육자가 SLT와 CoP를 사용하여 사회적 학습 경험과 과정을 이해하고 학습 환경의 교육학, 커리큘럼 또는 특징에 대해 계속적으로 정보를 제공함에 따라, 우리는 그들이 다른 전문직이나 분야의 연구에 그들의 작업을 연결시키기 위해 더 많은 노력을 기울일 것을 권장한다. SLT와 CoP의 렌즈를 통해 들려주는 다양한 이야기들을 연결함으로써, 우리는 다른 이론과의 통합을 통해 추가적인 조사나 탐구를 보증하는 gap과 limitation를 포함하여, 이 이론적 관점의 가치를 보다 폭넓게 이해할 수 있다.

As researchers and educators continue to use SLT and CoP to understand social learning experiences and processes and to inform pedagogy, curricula, or features of learning environments, we encourage them to make greater effort to connect their work to scholarship in other professions or fields. By connecting the diverse stories told through the lens of SLT and CoP, we can gain a broader sense of the value of this theoretical perspective, including the gaps and limitations that warrant further investigation or exploration through integration with other theories.


한계Limitations


결론 

Conclusions


이 범위 검토의 목적은 HPE의 지식 및 지침 실천을 진전시키기 위해 SLT가 어떻게 사용되어 왔는지를 검토하는 것이었다. 우리는 HPE에 대한 대부분의 연구가 SLT와 관련 개념(예: CoP, LPP, Identity)을 제한적이거나 좁은 용량capatity으로 분석적 휴리스틱(즉, 학습 현상과 맥락을 명확히 하기 위해 이론을 사용함) 또는 처방적 휴리스틱(즉, 교육적 개입의 개발 및 설계 또는 CoP 사용)으로 사용했다는 것을 발견했다. 이러한 방식의 사용은 다른 전문 영역과 일치하지만, 저자가 CoP를 처방된 개입으로 적용하고 시험했을 때 SLT의 설립자들의 원래 의도 및 지속적 의도와 일부 상충되는 점을 발견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coping review was to examine how SLT has been used to advance knowledge and guide practice in HPE. We found that most research in HPE used SLT and its related concepts (e.g., CoP, LPP, Identity) in a limited or narrow capacity, as an analytic heuristic (i.e., using the theory to clarify learning phenomena and contexts) or as a prescriptive heuristic (i.e., to guide the development and design of an educational intervention or using CoP as the intervention). While these uses are consistent with other professional domains, we found some conflicts with the original and continuing intentions of SLT’s progenitors when authors applied and tested CoP as a prescribed intervention. With these


Rees, C. E., & Monrouxe, L. V. (2010). Theory in medical education research: How do we get there? Medical Education, 44(4), 334–339. https  ://doi.org/10.1111/j.1365-2923.2009.03615  .x.









 2019 Jun 22. doi: 10.1007/s10459-019-09900-w. [Epub ahead of print]

Situated learning theory in health professions education research: a scoping review.

Author information

1
Department of Medicine, Center for Faculty Educators, University of California, San Francisco, 533 Parnassus Avenue, Suite U-80, Box 0710, San Francisco, CA, 94143, USA. bridget.obrien@ucsf.edu.
2
Graduate Programs in Health Professions Education, Department of Medicine, Uniformed Services University of the Health Sciences, 4301 Jones Bridge Road, Bethesda, MD, 20814-4712, USA.

Abstract

At a time when cognitive and behavioral theories dominated the landscape of learning theories, Lave and Wenger's situated learning theory(SLT) opened new territory by illuminating social and cultural learning processes. Many researchers and educators in the health professionsembraced this theory, but few have considered how SLT has been used and what has been learned or improved through its use in healthprofessions education (HPE). In this scoping review, the authors examine these questions and consider opportunities for future work with SLT in HPE. The authors followed Levac's modified scoping review framework. They conducted a search of CINAHL, ERIC, PubMed, Scopus, and Web of Science for articles referencing SLT or related concepts in HPE between 2006 and 2016. Two reviewers screened all titles and abstracts, then screened full text for inclusion based on substantive treatment of SLT. Two authors extracted, analyzed and synthesized data from the final set of 193 articles. The authors identified two patterns of theory use. One sought an understanding of social learning processes in a specific context. The other aimed to design and/or evaluate interventions associated with communities of practice. These patterns are similar to other literatures (e.g., general education, healthcare, and organizational development) and, according to Lave and Wenger, may reflect confusion about the purpose, stance, and terminology of SLT. The authors discuss their findings in relation to primary source literature and consider opportunities for HPE researchers to employ and contribute to SLT going forward.

KEYWORDS:

Communities of practice; Health professions education; Identity; Legitimate peripheral participation; Scoping reviewSituated learning

PMID:
 
31230163
 
DOI:
 
10.1007/s10459-019-09900-w


사회문화적 학습 이론(When I say...) (Med Educ, 2019)

When I say . . . sociocultural learning theory

Renate Kahlke, Joanna Bates & Laura Nimmon



임상실습 로테이션 때 숀은 그 팀과 '회진'하고 있다. 각 침대 머리맡에서 학습자는 조립된 팀에게 환자의 상태, 조사 결과 및 진화하는 관리 계획에 대한 최신 정보를 제공한다. 감독하는 preceptor가 몇 가지 질문을 하고 가끔 제안을 한다. 드디어 숀의 차례다. 그녀는 환자 차트를 집어들고 관찰한 형식에 따라 맥케나 양의 사례를 제시한다. 교감은 청진기를 꺼내 환자의 심장 소리를 듣고 심장의 부정맥에 대해 몇 가지 질문을 한다. supervising resident는 숀이 대답하자 고개를 끄덕이며, 그들이 바로 어제 침대 머리맡에서 이 문제를 검토했다는 것을 기뻐했다. 팀이 다음 침대로 이동하면서 숀은 차트에 몇 개의 메모를 한다. 맥케나 양은 무엇을 쓰고 있는지 묻고 숀은 팀을 따라잡기 위해 뛰기 전에 '심장 부정맥'을 간단히 설명한다.

On her clerkship rotation in medicine, Shawn is ‘rounding’ with the team. At each bedside, a learner gives the assembled team an update on the patient’s condition, results of investigations and evolving management plans. The supervising preceptor asks a few questions and makes the occasional suggestion. Finally, it is Shawn’s turn. She picks up her patient’s chart and, following the format she has observed, presents Ms McKenna’s case. The preceptor pulls out her stethoscope, listens to the patient’s heart sounds and asks a few questions about cardiac arrhythmia. The supervising resident nods as Shawn answers, pleased that they reviewed this in a bedside teaching session just yesterday. As the team moves on to the next bed, Shawn makes a few notes on the chart. Ms McKenna asks what she is writing, and Shawn briefly explains ‘cardiac arrhythmia’ before running to catch up with the team.


이 '루틴'한 만남은 [병동의 물리적 공간과 주변의 사물들의 존재하에], [각 개인의 역할]과 [그들이 어떻게 상호작용을 할 것인지]에 대한 내재된 가정들로 가득 차 있다. 이러한 가정들은 종종 이것들이 아닌 다른 것이 될 수 있는 세계를 상상하기 어려울 정도로 임상 생활의 일부분이 된다.

This ‘routine’ encounter is rife with embedded assumptions about the role of each person and how they will interact with each other, with the physical space of the ward and with the objects around them. These assumptions become a taken-forgranted part of clinical life to the extent that it is often difficult to imagine a world in which these things could be other than they are.


사회문화학습이론(SCLT)은 그러한 가정이 어떻게 내면화되는지를 밝히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 이 이론은 사회문화적 맥락의 기능을 담당하는 이론의 계열인 '사회문화적 이론'이라는 큰 우산 아래에 있다. 사회문화학습이론 자체는 문화역사활동이론(CHAT), 1 실천이론(CoP)2 및 배우-네트워크이론(ANT)과 같이 학습에 초점을 맞춘 여러 사회문화이론을 포괄한다.3

Sociocultural learning theory (SCLT) can help reveal how such assumptions are internalised. This theory falls under the larger umbrella term of ‘sociocultural theory’, a family of theories that attend to the functioning of sociocultural contexts. Sociocultural learning theory itself encompasses a number of sociocultural theories focused on learning, such as cultural historical activity theory (CHAT),1 communities of practice theory (CoP)2 and actor-network theory (ANT).3


또한 SCLT는 사회물질주의와 밀접한 관련이 있으며, 그 둘 사이에는 상당한 중복이 있다. 특히 배우-네트워크 이론과 CHAT는 사회문화적, 사회물적 이론가들에 의해 종종 주장된다. 그러나 

  • 사회물질주의는 물질계와 관련된 사회적 실천 에 더 중점을 두는 경향이 있는 반면 

  • 사회문화이론은 사람과 사회적 실천 사이의 관계에 더 많이 기여한다.

In addition, SCLT is closely related to sociomaterialism4 and there is considerable overlap between the two. Actor-network theory and CHAT, in particular, are often claimed by both sociocultural and sociomaterial theorists. However, sociomaterialism tends to place more emphasis on social practices involving the material world, whereas sociocultural theory attends more to the relationships between people and social practices.


SCLT를 구성하는 이론의 배열과 복잡성을 고려할 때, 의학교육 연구자들은 이 모든 것이 무엇을 의미하는지, 왜 그것이 유용한지 모르더라도 용서받을 수 있다. 그러나 SCLT는 의학 교육 연구자들이 분석을 심화시키는 데 도움이 되는 귀중한 도구를 제공할 수 있다.5

Given the array and complexity of theories that constitute SCLT, medical education researchers can be forgiven if they lose sight of what this all means and why it might be useful. However, SCLT can offer a valuable tool to aid medical education researchers in deepening their analyses.5


아래의 세 가지 핵심 개념은 숀의 것과 같은 임상 학습 경험에 내재된 가정 중 일부를 가시적으로 보여준다.

The three core concepts below make visible some of the assumptions embedded in clinical learning experiences like Shawn’s.


개념 1 학습은 사회적 맥락의 참여를 통해 이루어진다. 배움이란 공식적(의도적으로 가르쳐지는 것)비공식적(그 환경에서 '사물이 어떻게 작용하는지'에 대한 암묵적 학습)이다. 숀은 공식적으로든 비공식적으로든 이미 이 맥락의 규범을 배웠다. 즉 '누가, 어떤 순서로 말하며, 차트가 하는 역할, 침상에서 침상사이를 걸어가는 과정, 그리고 어떤 정보가 우선시되는가를' 등이다. 그녀는 또한 그녀가 발견한 것에 대해 합법적으로 이야기하기 위해 심장 소리를 식별하는 데 필요한 의학적 전문지식과 언어를 배웠다. 이러한 규범은 이 특정 병동, 이 특정 병원, 더 넓게는 임상 교육 단위 또는 의료 기관과 연계될 수 있다.

Concept 1, learning occurs through participation in a social context. Learning is both formal (what is deliberately taught) and informal (implicit learning about ‘how things work’ in that setting). Shawn has already ‘learned’, either formally or informally, about the norms of this context: who speaks and in what order, the role the chart plays, the process of walking from bedside to bedside, and what information is prioritised. She has also learned the medical expertise required to identify heart sounds and the language through which to talk legitimately about what she finds. These norms might be tied to this specific ward, this hospital, clinical teaching units or health care organisations more broadly.


개념 2, 사회적 맥락은 사용 가능한 언어 및 물질적 도구를 만들고, 반대로 그것에 의해 형성된다. SCLT에서 'tools'의 정의는 의도적으로 광범위하며, 예를 들어 언어, 행동, 물리적 객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도구들, 그리고 도구가 내재된 사회적 맥락은 사회적, 역사적, 문화적 이다. 이런 의미에서 이것들은 사회문화적이며, 사회적 상호 작용과 문화적 규범을 다루고 있다. '도구'의 한 예는 '심장 부정맥'이라는 용어를 포함하여 맥케나 양의 사건을 논할 때 사용되는 의학의 언어다. 의사와 수련자는 이 전문화된 언어를 사용하여 서로 정보를 공유하고 전문지식을 표시한다.

Concept 2, social contexts shape and are shaped by available linguistic and material tools. The definition of ‘tools’ in SCLT is intentionally broad and can include, for example, language, practices and physical objects. These tools, and the social contexts in which they are embedded, are social, historical and cultural. In this sense, they are sociocultural, dealing with social interactions and cultural norms. One example of a ‘tool’ is the language of medicine used to discuss Ms McKenna’s case, including the term ‘cardiac arrhythmia’. Physicians and trainees use this specialised language to share information with each other and to signal their expertise.


우리의 시나리오에서 더 중요한 도구의 예는 차트다. 그룹이 환자의 침대 머리맡을 향해 움직이자 숀은 그녀가 매케나 양의 보살핌과 사례 발표를 이끌 책임이 있다는 신호를 보내기 위해 차트를 집어들었다.

An example of a more material tool in our scenario is the chart. As the group moves toward her patient’s bedside, Shawn picks up the chart to signal that she is responsible for Ms McKenna’s care and for leading the case presentation.


사회물리학자들도 마찬가지로 상호작용을 형성하는데 있어서 차트의 역할을 강조할 수 있지만, SCLT에 관심이 있는 사람들은 차트를 강조할 때, 전문화된 의학 용어를 호출하는 방식에 초점을 맞출 수 있다.

Sociomaterialists might particularly emphasise the role of the chart in shaping interaction, whereas those interested in SCLT might focus equally on the chart and the way it invokes the specialised language of medicine.


개념 3은 문화적 규범과 도구가 행동을 제약하는 만큼, 또한 개인이 그러한 규범에 저항할 수 있는 공간을 만든다는 것을 시사한다. 우리 시나리오의 루틴은 비교적 안정적이며 각 환자 프리젠테이션이 같은 방식으로 진행되는 것을 쉽게 상상할 수 있다. 그러나, 만약 맥케나 양이 숀에게 무엇을 쓰고 있느냐고 질문한다면, 그 루틴은 약간 흐트러질 것이다. Ms McKenna는 다른 팀원들과 마찬가지로 차트의 정보에 접근할 수 있어야 한다고 주장할 수 있다.

Concept 3 suggests that as much as cultural norms and tools constrain behaviour, they also create space for individuals to resist those norms. The routine in our scenario is relatively stable and it is easy to imagine each patient presentation going the same way. However, when Ms McKenna asks Shawn what she is writing, the routine is slightly disrupted. Ms McKenna asserts that she, like the rest of the team, ought to have access to the information in the chart.


경우에 따라, 이와 같은 작은 변화는 숀이나 맥케나 양이 미래에 이 루틴에 참여하는 방법을 바꿀 수 있다. 이러한 disruptive moment가 [사람을 단지 환경의 산물 이상의 것]으로 생각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숀과 맥케나 양자는 그들에게 선택 가능한 것을 가지고 있고, 이러한 선택들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일상과 규범의 변화를 초래할 수 있다.

In some cases, a small change like this can alter the way Shawn or Ms McKenna will participate in this routine in the future. Such disruptive moments offer a way of thinking about people as more than just a product of their environment; both Shawn and Ms McKenna have choices available to them, and these choices can result in changed routines and norms over time.


종합하면, 이 세 가지 개념이 사회적 맥락 안에 내재된 정해진 절차, 도구, 역할 및 계층 구조를 조명하는 데 사용할 수 있다. 의학의 언어, 도표의 역할, 의사들의 이러한 도구들의 사용은 새로운 것이 아니다. 누가 무엇을 말하고 무엇을 언제 가르치는지 지시하는 위계도 아니다. SCLT의 도구는 연구자들에게 커뮤니티의 '정상' 또는 '루틴' 관행을 식별하고, 형상화하고, 질문을 던질 수 있는 독특한 렌즈를 제공한다. 여기에는 

  • 이러한 사회적 관행이 시간에 따라 어떻게 학습되고 재현되는지, 

  • 어떤 개인에게 권한을 부여하고 다른 개인에게 권한을 부여하는 기능을 하는지

  • 어떻게 그들이 더 나은 것을 위해 질문받고 변화할 수 있는지에 대한 질문이 포함된다.

Taken together, these three concepts can be used to illuminate the taken-for-granted routines, tools, roles and hierarchies embedded within social contexts. The language of medicine, the role of the chart and doctors’ use of these tools are not new. Neither is the hierarchy that dictates who speaks or teaches about what and when. The tools of SCLT offer researchers a unique lens through which to identify, shape and ask questions about the ‘normal’ or ‘routine’ practices of a community. These include questions about 

  • how these social practices are learned and reproduced over time, 

  • how they function to empower some individuals and disempower others, and, perhaps most importantly, 

  • how they might be questioned and changed for the better.



Goldszmidt M. When I say ... sociomateriality. Med 4 Educ 2017;51 (5):465–6.






 2019 Feb;53(2):117-118. doi: 10.1111/medu.13626. Epub 2018 Jun 25.

When I say … sociocultural learning theory.

Author information

1
Royal College of Physicians and Surgeons of Canada Research Unit, Ottawa, Ontario, Canada.
PMID:
 
29943464
 
DOI:
 
10.1111/medu.13626


커넥티비즘: 디지털 시대의 지식학습이론? (Med Teach, 2016)

Connectivism: A knowledge learning theory for the digital age?

John Gerard Scott Goldie

Section of General Practice and Primary Care, Division of Community Based Sciences, Glasgow University, Glasgow, Scotland, UK



도입

Introduction


인터넷의 출현, 특히 웹 2.0은 공식적인 교육 기관 내외부의 새로운 형태의 의사소통 및 지식 형성을 위한 기회를 열어주는 광범위한 개인의 견해와 의견에 대한 접근을 제공했다. 사용 가능한 정보를 탐색하고 필터링하는 이전의 방법은 이러한 새로운 맥락에서 효과적이지 않다는 것을 입증되었다. 관련 정보에 접근하고 다른 사람의 견해와 의견이 제공하는 자원을 활용하는 능력은 특히 평생 학습의 필요성으로 인해 중요한 기술이 되었다. 공식적으로든 비공식적으로든 이 능력은 모두 개인, 조직 및 기관에서 점점 더 인정받고 있다(Ceston et al. 2013; Flynn et al. 2015).

The emergence of the internet, particularly Web 2.0, has provided access to the views and opinions of a wide range of individuals opening up opportunities for new forms of communication and knowledge formation inside and outside of formal educational institutions. Previous ways of navigating and filtering available information are likely to prove ineffective in these new contexts. The ability to access relevant information and harness the resources offered by the views and opinions of others have become important skills particularly as the need for lifelong learning, both formal and informal is increasingly recognized by individuals, organizations and institutions (Cheston et al. 2013; Flynn et al. 2015).


연결주의는 e-러닝 환경을 위해 개발된 가장 두드러진 네트워크 학습 이론 중 하나이다. 지멘스(2005년)가 온라인 출판물 '연결주의: Downes가 개발한 디지털 시대를 위한 학습 이론'(2005년, 2006년, 2012년)을 발표하면서, 디지털 기술을 사용하여 가르치고 배우는 것이 더 잘 이해되고 관리될 수 있는 렌즈를 제공한다고 주장하였고, 이후 의학 교육자(Sandars & Haythornthwaite 2007; Sandars & Morison 2007; Lau 2011; Mehta et al. 2013; Downes 2015)에게도 인정받기 시작하고 있다.

Connectivism is one of the most prominent of the network learning theories that have been developed for e-learning environments. It first appeared in Siemens (2005) on-line publication ‘‘Connectivism: A learning theory for the digital age’’, ideas which have been developed by Downes (2005, 2006, 2012). It is beginning to be recognized by medical educators (Sandars & Haythornthwaite 2007; Sandars & Morrison 2007; Lau 2011; Mehta et al. 2013; Downes 2015; Flynn et al. 2015) due to its claim to provide a lens through which teaching and learning using digital technologies can be better understood and managed.



커넥티비즘/연결주의

Connectivism


연결주의는 [학습을 기술과 사회화에 영향을 받는 네트워크 현상]으로 보는 개념적 프레임워크다(Siemens 2006). 혼돈, 네트워크, 복잡성, 자기 조직 이론에 의해 탐구된 원리에 뿌리를 두고 있다(Siemens 2005). 다운스(2012년)는 그것이 연결주의, 연관성, 그래프 이론에 의해서도 지지된다고 주장한다.

Connectivism is a conceptual framework which views learning as a network phenomenon influenced by technology and socialization (Siemens 2006). It is claimed to have roots in principles explored by chaos, network and complexity and self-organization theories (Siemens 2005). Downes (2012) asserts it is also supported by connectionism, associationism and graph theory.


연결주의의 인식론적 틀은, '분산된 지식distributive knowledge'의 개념(Downes 2006)에 근거하고 있으며, 객관주의, 실용주의, 해석주의의 인식론적 전통과는 구별되는 것으로 여겨진다. 지멘스(2005)는 이러한 기존의 전통을 학습에 대한 intrapersonal한 관점, 기술과 조직 내에 위치한 학습을 다루지 못함, 지식-풍요 환경에서 이루어져야 할 가치 판단에 대한 기여 부족으로 인해 제한적이라고 간주한다.

Its epistemological framework, based on the concept of distributive knowledge (Downes 2006), is considered distinct from the epistemological traditions of objectivism, pragmatism and interpretivism. Siemens (2005) considers these existing traditions limited due to their intrapersonal view of learning, their failure to address the learning that is located within technology and organizations and their lack of contribution to the value judgments that need to be made in knowledge-rich environments.


Siemens에 따르면 연결주의의 원칙은...

The principles of connectivism, after Siemens (2005) are:

  •   학습과 지식은 의견의 다양성에 달려있다.

  •   학습은 전문화된 노드나 정보 소스를 연결하는 과정이다.

  •   학습은 비-인간 도구존재할 수 있다.

  •   Capacity to know은 지금 무엇을 아는가보다 더 중요하다.

  •   지속적인 학습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는 연결을 강화하고 유지하는 것이 필요하다. 

  •   분야, 아이디어, 개념 간의 연결을 보는 능력이 핵심이다.

  •   정확한 최신 지식(최신성currency)은 모든 연계 학습 활동의 목표다.

  •   의사결정은 그 자체로 학습 과정이다.

  •   Learning and knowledge rest in diversity of opinion.

  •   Learning is a process of connecting specialized nodes or information sources.

  •   Learning may reside in non-human appliances.

  •   Capacity to know is more critical than what is currently known.

  •   Nurturing and maintaining connections is needed to facilitate continual learning. 

  •   Ability to see connections between fields, ideas, and concepts is a core skill.

  •   Accurate, up-to-date knowledge (currency) is the aim of all connectivist learning activities.

  •   Decision-making is a learning process in itself.


연결주의에서 학습의 출발점은 [학습자가 학습 커뮤니티에 연결되고 참여함으로써 지식이 작동될 때] 발생한다. 학습 공동체(Learning Community)는 "상호작용, 공유, 대화 및 사고를 함께 허용하는 유사한 관심 영역의 집합"으로 정의된다(Siemens 2005). 학습자들과 더 많은 지식을 가진 다른 사람들을 포함한 지역사회 구성원들 간의 대화에 참여하게 된다.

In connectivism the starting point for learning occurs when knowledge is actuated by learners connecting to and participating in a learning community. Learning communities are defined as ‘‘the clustering of similar areas of interest that allows for interaction, sharing, dialoguing and thinking together’’ (Siemens 2005). Participation results in conversations between learners and other members of the community including more knowledgeable others.


연결주의자 모델에서 학습 커뮤니티는 하나의 노드로서, 항상 더 큰 네트워크의 일부이다. 노드는 네트워크에서 발견되는 연결 지점에서 나온다. 이 때 노드는 조직, 라이브러리, 웹 사이트, 저널, 데이터베이스 등의 다양한 정보 소스일 수 있다(Siemens 2006). 네트워크는 자원을 공유하기 위해 연결된 2개 이상의 노드로 구성된다.

In the connectivist model the learning community is described as a node, which is always part of a larger network. Nodes emerge from the connection points found on a network. Nodes may also be organizations, libraries, web sites, journals, databases or any other sources of information (Siemens 2006). Networks comprise two or more nodes which are linked in order to share resources.


성공적인 네트워크는 다음과 같은 특성을 가진다(Downes 2006, 2012).

Successful networks are considered to have the following characteristics (Downes 2006, 2012):

  •   다양성 – 가능한 가장 넓은 범위의 관점.

  •   참가자의 자율성.

  •   개방성 – 시스템에 새로운 관점이 추가가능하게 만드는 메커니즘

  •   연결성 – 노드 간의 연결

  •   Diversity – the widest possible spectrum of points of view.

  •   Autonomy of participants.

  •   Openness – mechanisms which allow perspectives to be entered into the system.

  •   Connectivity – connections between its nodes.


학습자가 접속하는 네트워크는 작고 지역적이거나 광대하고 글로벌할 수 있다.

The networks learners connect to can be small and local or vast and global.


결주의는 지식과 지식을 배우는 것은 분산적distributive이라고 주장한다. 즉, 지식은 특정 장소에 위치하는 것이 아니라, 대신에 개인, 사회, 조직과 그것들을 연결하는 기술들 사이의 경험과 상호작용에서 형성된 연결망으로 구성된다. 지식은 인간과 그 유물의 네트워크를 통해 흐르는 과정, 유동적이고 역동적인 흐름으로 간주된다. 그것이 흘러들어 네트워크의 일부가 되면서 그것은 여러 해석과 변화에 개방된다. 어떤 개인도 혼자서 지식을 소유하고 있지 않으며, 지식은 네트워크 내에 존재하고, 그것은 다양한 디지털 형식으로 저장될 수 있다.

Connectivism asserts that knowledge and learning know-ledge are distributive, i.e. they are not located in any given place, but instead consists of networks of connections formed from experience and interactions between individuals, societies, organizations and the technologies that link them. Knowledge is viewed as a process, fluid and dynamic flowing through networks of humans and their artifacts. As it flows through and becomes part of the network it is open to multiple interpretations and change. Knowledge resides within networks, without any individual necessarily possessing it, and it can be stored in a variety of digital formats.


개인들이 같은 개념을 다르게 해석할 때 지식은 personal한 것으로 간주된다. 그것은 독자적인 상징적 표현이 아니라, 풍부한 세계관, 이전의 경험, 그리고 그것이 포함된 틀 안에서만 이해할 수 있는 맥락-민감한 것이다. 이용가능한 지식이 점점 복잡해짐에 따라 무언가를 이해하는 데 가장 중요한 것은 개별적인 요소가 아니라 각 요소들이 연결된 패턴이다.

Knowledge is viewed as personal as individuals may interpret the same concept differently. It is context sensitive not a stand-alone symbolic representation, but comprehensible only within the rich set of world views, previous experiences and frames in which it is embedded. As the available knowledge becomes increasingly complex it is the patterns of connections rather than the individual elements that become most important in gaining understanding.


학습은 네트워크의 구축과 횡단을 통해 이루어진다. 네트워크 활동에 참여하게 되면 연결을 생성하거나 제거하게 되고 또는 연결의 강도를  조정하게 된다. 학습을 구성하는 네트워크상의 지각에 의한 패턴의 민감성을 인식한다. 이러한 연결은 상호작용을 통해 뇌 바깥과 개인의 뇌 안에서 집합적으로 나타난다. 연결주의적 관점에서는 학습이 기술에 의해 저장되고 조작될 수 있는 "비인간 기기"에도 존재할 수 있다고 제안한다(Siemens 2006). 연결주의에서는 지식을 전수하거나, 지식을 만들거나, 지식을 쌓는다는 개념이 없다. 대신에 지식이란 네트워크 활동 중에 형성되는 연결에서 나온다. 인지, 감각 및 의미 제작 및 필터링을 인적 및 기술적 [노드의 네트워크에 분산하는 것]은 가용 지식의 급속한 확장에 대처하는 데 도움이 된다(Siemens 2006). 다운스(2006)는 지식의 출현을 네 가지 요소의 연결로 설명한다.

Learning occurs through the construction and traversing of networks. Participation in network activities results in the creation, removal or adjustment in strength of connections. It is recognition of the salience of patterns by perceivers in the network which constitutes learning. These connections emerge collectively outside the brain through interaction and within the brains of individuals. Connectivism proposes that learning may also reside in ‘‘non-human appliances’’ where it may be stored and manipulated by technology (Siemens 2006). In connectivism there is no real concept of transferring knowledge, making knowledge, or building knowledge. Instead it emerges from the connections that are formed during network activity. Distributing cognition, sense and meaning making and filtering to networks of human and technological nodes helps cope with the rapid expansion of available knowledge (Siemens 2006). Downes (2006) explains the emergence of knowledge as the conjunction of four elements:


  •   맥락(컨텍스트) – 네트워크의 정보 소스 현지화.

  •   돌출(샐리언스) – 네트워크에서 패턴이 반복됨. 신호가 이전에 활성화된 연결 집합의 활성화를 생성하는 경우, 이 신호는 두드러진 것으로 간주된다.

  •   출현(이머전스) – 네트워크의 패턴 개발. 패턴이 지각자에게 두드러지면 그것은 네트워크에서 나타난다.

  •   기억(메모리) – 중요한 신호 또는 인식에서 비롯되는 연결 패턴의 지속성.

  •   Context – the localization of information sources in a network.

  •   Salience – the recurrence of a pattern in the network. If a signal creates activation of a set of connections that were previously activated, it is considered salient.

  •   Emergence – the development of patterns in the network. When a pattern is salient to a perceiver it emerges in the network.

  •   Memory – the persistence of patterns of connectivity that result from, and in salient signals or perceptions.


학습 과정은 반복적cyclical한 것으로, 학습자들은 네트워크에 연결하여 새로운 정보를 찾고 공유하며, 새로운 학습의 관점에서 그들의 믿음을 수정한 다음, 그들의 새로운 이해를 공유하고 더 많은 정보를 찾기 위해 다시 연결한다.

The learning process is cyclical, learners connect to a network to find and share new information, modify their beliefs in terms of their new learning then reconnect to share their new understandings and find further information.


커넥티비즘의 적용

Application of connectivism


주요 교육적 방법은 대규모 공개 온라인 강좌(MOOC)의 형태를 취하였다. 이것들은 Siemens와 Downes(2008, 2009)에 의해 학습자들이 학습을 설계하고 지시하기 위해 접근하고 사용할 수 있는 연결된 사람들과 자원의 거대한 네트워크로 개념화되었다.

The main pedagogical method has taken the form of massive open online courses (MOOCs). These were conceptualized by Siemens and Downes (2008, 2009) as huge networks of connected people and resources that learners can access and use to design and direct their learning.


Siemens와 Downes의 MOOC에서 모든 과정 콘텐츠는 RSS 피드를 통해 이용할 수 있었고, 학습자들은 그들이 선택한 도구, 즉 무들에서의 토론, 블로그 게시물, Second Life 및 동기식 온라인 미팅에 참여할 수 있었다. 학습자는 블로그, 위키, 소셜 미디어 플랫폼과 같은 디지털 플랫폼을 사용하여 콘텐츠, 학습 커뮤니티 및 기타 학습자와 연결하여 지식을 만들고 구축한다.

All course content was available through RSS feeds, and learners could participate with their choice of tools: threaded discussions in Moodle, blog posts, Second Life and synchronous online meetings. Learners use digital platforms such as blogs, wikis, and social media platforms to make connections with content, learning communities and other learners to create and construct knowledge.


이러한 MOOC는 대학 기반 플랫폼에서 제공되며 대부분 전통적인 과정 자료, 학습 이론 및 교수 방법을 모델로 한다. 퀴즈나 토론 포럼 등 대화형 요소가 포함되는 경우가 많지만, 주로 플랫폼에 게시되는 사전 녹화된 비디오 강의를 중심으로 편성된다. 컴퓨터 표시 MCQ와 같은 전통적인 평가 방법이 주로 활용된다. 대부분의 MOOC는 과정에 등록한 사람들(그리고 대부분의 상업적 MOOC가 지불한)에게만 이용 가능하기 때문에 "열린" 것이 아니다. 다운스는 cMOOC와 xMOOC라는 용어를 만들어 두 유형을 구분했다. cMOOC의 "c"는 MOOC의 연결론적connectivist 특성을 나타내는 반면, xMOOC는 대학 과정의 확장extension으로 간주된다.

These MOOCs are offered on university based platforms and most often modeled on traditional course materials, learning theories and teaching methods. They are usually organized around pre-recorded video lectures, which are posted on the platform, although interactive elements including quizzes and discussion forums are often included. Traditional assessment methods such as computer marked MCQs are mainly utilized. Most MOOCs are not ‘‘open’’ as they are only available to those who have signed up (and in most commercial MOOCs paid) for the course. Downes has coined the terms cMOOC and xMOOC to differentiate the two types. The ‘‘c’’ in cMOOC represents the connectivist nature of the MOOC, whereas the xMOOCs are seen as extensions of university courses.


연결주의에 대한 비판

Criticism of connectivism


네트워크 학습을 위한 새로운 이론이라는 연결주의의 주장은 그것의 기본 원리의 많은 부분이 여전히 목적에 적합하다고 여겨지는 전통적인 인식 패러다임, 특히 구성주의 이론에서 도출될 수 있기 때문에 의문시되었다.

Connectivism’s claim to be a new theory for network learning has been questioned as many of its underlying principles can be drawn from theories from the traditional epistemological paradigms, particularly constructivist theories, which are still considered fit for purpose


예를 들어, 비고츠키의 사회구성주의 공식화, Engestruroom의 활동론, 반두라의 (1987) 사회인식론, 라베와 벵거의 (2002) 상황학습론, 파퍼트의 구성론(Papert & Id 1991) 및 클라크의 (1997년) 모두 사회적 상황 및 지식과 학문의 관계적 측면을 강조하고 있다. 

For example, Vygotsky’s (1987) formulation of social constructivism, Engestr€om’s (1987) Activity theory, Bandura’s (1986) social cognitive theory, Lave and Wenger’s (2002) Situated Learning theory, Papert’s theory of constructivism (Papert & Idit 1991) and Clark’s (1997) theory of embodied action cognition all emphasize the social, situational and relational aspects of knowledge and learning.


커넥티비즘의 지식에 대한 설명도 개인을 중심으로 한 것으로 보이는데, 이는 전통적인 인식 패러다임에서 나온 기존 이론에 대한 지멘스의 주요 비판 중 하나였다(Clara & Barbera 2013).

Connectivism’s explanations of knowing also appear to focus on the individual, which was one of Siemens major criticisms of existing theories from traditional epistemological paradigms (Clara & Barbera 2013).


경험적 시험의 부족도 비판을 받았다(Bell 2011).

The lack of empirical testing has also been criticized (Bell 2011).


그것의 한계에도 불구하고 대부분의 저자들은 디지털적으로 포화되고 연결된 세계에서 학습이 어떻게 일어날 수 있는지에 대한 유용한 관점을 제공하는 연결주의의 가능성을 인정한다(Verhagen 2006; Foster 2007; Ker 2007; Kop & Hill 2008; Bell 2011; Lange 2012; Clara & Barbera 2013). Verhagen(2006년)은 통제권이 튜터에서 보다 자율적인 학습자로 전환되는 환경에서, 연결주의가 커리큘럼 수준에서 유용할 수 있다고 본다.

Despite its limitations most authors recognize connectivism’s potential to provide a useful perspective as to how learning might occur in the digitally saturated, connected world we live in (Verhagen 2006; Foster 2007; Kerr 2007; Kop & Hill 2008; Bell 2011; Lange 2012; Clara & Barbera 2013). Verhagen (2006), e.g. views its relevance at the curricular level contributing to new pedagogies in environments where control is shifting from the tutor to more autonomous learners.


의학교육에서 잠재적 적용가능성

Potential application in medical education


일상 생활에서 연결주의를 수용하는 데 관심이 있는 교사들은 다음과 같은 제안을 고려하기를 원할 수 있다(Bell 2009 이후).

Teachers interested in embracing connectivism in their day to day practice may wish to consider the following suggestions (after Bell 2009):


  •    교육 기술로 혁신하는 사람들의 블로그를 팔로우하라.

  •    Follow the blogs of those who innovate with educational technologies.

  •    실습에서 교육과 학습을 풍부하게 할 수 있는 웹 서비스 및 도구를 사용하여 (편안한 영역 내에서) 실험하라.

  •    Experiment (within your comfort zone) with web services and tools that might enrich teaching and learning in your practice.

  •    학생들이 웹을 학술적 자원으로 사용할 것을 권장한다. 즉, 비판적이고 선택적이며, 출처를 밝히게 하는 것이다. 교사들은 발판과 지원을 제공할 수 있고 성찰의 기회를 제공할 수 있다.

  •    Encourage students to use the web for scholarly resources – being critical and selective, and attributing sources. Teachers can offer scaffolding and support and provide opportunities for reflection.

  •    블로그, 위키, 사진 및 비디오 공유 사이트를 통해 리소스 사용, 게시 및 공유. 이는 예를 들어 문제 및 사례 기반 자료를 사용하여 집합적 자원을 구축하고 모범 사례를 공유하는 등 진정한 맥락을 통합하는 유연한 기울기 환경을 조성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

  •    Use, publish and share resources through blogs, wikis, photo and video sharing sites. This can help in the creation of flexible leaning environments that incorporate authentic context, e.g. using problem and case-based material to build collective resources and share best practice.

  •    프로세스를 보고하기 위해 미디어를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학생 활동과, 상황에 따라 성과도 할당하십시오.

  •    Assign student activities that enable effective use of media to report process and, where appropriate, outcomes.

  •    소셜 미디어를 사용하여 온라인 커뮤니티를 만드는 것은 소셜 모션의 연결성을 높인다. 의학 교육의 미디어가 학습자의 참여, 피드백 및 협업, 전문성 개발을 촉진한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Ceston et al. 2013; Hollinderbaumer et al. 2013). 그러나, 그것은 그것의 도전들이 없는 것은 아니다. Cheston 외 연구진(2013년)의 리뷰에서는 학생과 교사 모두 소셜 미디어 플랫폼, 가변 학습자 참여 및 프라이버시, 전문성 및 환자 기밀성 문제가 특히 안전하지 않은 네트워크에 있는 경우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Creating online communities using social media prousing social motes connectivity. Studies have shown media in medical education promotes learner engagement, feedback and collaboration, and the development of professionalism (Cheston et al. 2013; Hollinderbaumer et al. 2013). However, it is not without its challenges. Cheston et al.’s (2013) review found both students and teachers experienced technical problems with social media platforms, variable learner participation and issues with privacy, professionalism and patient confidentiality particularly if on unsecured networks.

  •    온라인 학습 커뮤니티를 구축할 때, 파킨슨병 환자에 대한 다원적 관리 제공을 촉진하기 위해 설립된 네덜란드의 파킨슨넷 프로그램(Nijkrake et al. 2010)과 같이 인정된 모델을 살펴보는 것이 유용하다.

  •    When establishing online learning communities, it is useful to look at recognized models, e.g. the ParkinsonNet programme from the Netherlands (Nijkrake et al. 2010), which was established to promote the provision multidisciplinary care for patients with Parkinson’s disease.

학부 의학의 맥락에서 Siemens와 Downes에 의해 고안된 MOOCS를 운영하는 것은 불가능할 수 있는데, 왜냐하면 학습이 더 구조화되어있어야 하고 그들이 진정으로 '개방된open' 것이 될 수 없기 때문이다.

To run MOOCS as conceived by Siemens and Downes would not be possible in the context of undergraduate medical education as learning needs to be more structured and they could not be truly ‘‘open’’.


예를 들어 다운즈(2012년)는 효과적인 학습을 위해 다음과 같이 권고한다.

For example, Downes (2012) advises for effective learning the content should be:

  •   상호작용성 – 관심 영역이 같은 학습자가 참여하도록 함

  •   사용가능성  – 사용자가 복잡하고 풍부한 정보를 탐색할 수 있어야 한다.

  •   관련성 – 이것은 정밀성과 단순성에 의해 촉진된다. 예를 들어 각 수업을 각 페이지에 배치하고, 검색자를 콘텐츠로 유도하는 단어와 구를 포함하고, 관련 콘텐츠의 논리적으로 설계된 디렉토리에 배치하여 학습자가 필요한 것을 정확히 찾을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것은 효과적인 검색 엔진을 필요로 한다.

  •   Interactive – involving learners who share the same area(s) of interest.

  •   Usable – users need to be able to navigate through complex and rich information.

  •   Relevant – this is promoted by precision and simplicity, e.g. placing each lesson on its own page, making sure the page contains words and phrases that would lead a searcher to its content and placing it in a logically designed directory of related content ensure that learners find exactly what is needed. This requires effective search engines.


교육과정을 과정과 지식의 발달로 보는 연결주의적인 관점은 명확한 방향성의 결여, 교사 통제 상실, 평가의 어려움으로 인해 비판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다. 방향은 학습 성과를 명확하게 명시함으로써 제시가능하다. 학생들이 점점 더 자율적이 되어감에 따라 교사의 역할은 '촉진자'가 되겠지만, 교사들은 여전히 그 과정에서 중추적인 역할을 한다. 연결주의 접근법에서 학습은 개별적인 지식 이득의 관점에서뿐만 아니라 학습 프로세스의 평가를 통해서도 평가될 것이다. 

The connectivist view of curriculum as process and knowledge gain developmental is likely to lead to criticism due to perceived lack of clear direction, loss of teacher control and difficulty with assessment. Direction is provided by having clearly stated learning outcomes. Teachers have a pivotal role in the process although as students become increasingly autonomous their role would be more facilitative. In the connectivist approach learning would be assessed not only in terms of individual knowledge gain, but also through evaluation of the learning process. 


예를 들어, 학습자가 다른 사람과 연결하여 공동 작업을 하고 지식의 생성과 학습 자원의 소비뿐만 아니라 생산도 있다. 온라인 네트워크에 의해 생성된 데이터의 양은 그러한 평가를 위한 기회를 제공한다. 학습을 개선하기 위해 학습자에 대한 데이터의 분석 및 표현인 학습 분석은 교육자가 학습을 이해하고 학생들에게 피드백을 제공할 수 있는 새로운 렌즈다. 학습자에 대한 데이터의 양이 급격하게 증가한 데 뿌리를 두고 있으며, 정량적 지표에 초점을 맞춘 경영 접근방식과 연계되어 있다(Clow 2013).

For example, the ways learners connect with others to collaborate and share the creation of knowledge and also the production as well as consumption of learning resources by students. The amount of data generated by the online networks provides opportunities for such evaluation. Learning analytics, the analysis and representation of data about learners in order to improve learning, is a new lens through which educators can understand learning and provide feedback for students. It is rooted in the dramatic increase in the quantity of data about learners, and linked to management approaches that focus on quantitative metrics (Clow 2013).


Conclusions






 2016 Oct;38(10):1064-1069. Epub 2016 Apr 29.

Connectivism: A knowledge learning theory for the digital age?

Author information

1
a Section of General Practice and Primary Care, Division of Community Based Sciences , Glasgow University , Glasgow , Scotland, UK.

Abstract

BACKGROUND:

The emergence of the internet, particularly Web 2.0 has provided access to the views and opinions of a wide range of individuals opening up opportunities for new forms of communication and knowledge formation. Previous ways of navigating and filtering available information are likely to prove ineffective in these new contexts. Connectivism is one of the most prominent of the network learningtheories which have been developed for e-learning environments. It is beginning to be recognized by medical educators. This article aims to examine connectivism and its potential application.

CONTENT:

The conceptual framework and application of connectivism are presented along with an outline of the main criticisms. Its potential application in medical education is then considered.

CONCLUSIONS:

While connectivism provides a useful lens through which teaching and learning using digital technologies can be better understood and managed, further development and testing is required. There is unlikely to be a single theory that will explain learning in technological enabled networks. Educators have an important role to play in online network learning.

PMID:
 
27128290
 
DOI:
 
10.3109/0142159X.2016.1173661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