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물질성(When I say . . .) (Med Educ, 2017)
When I say . . . sociomateriality
Mark Goldszmidt
내가 사회물질성이라고 말할 때, 나는 연구자들이 교육자들의 마음을 혼란시키고 현혹시키려는 의도적인 시도라고 느낄 수 있는 많은 용어들을 의미한다.; '연기', '조립', '구성적 얽힘'은 단지 몇 가지 그러한 예에 불과하다. 내가 사회물질성이라고 말할 때, 나는 또한 물질이 실천을 형성하는데 근본적인 역할을 한다는 것을 의미하며, 그것들은 더 이상 임상의사, 교육자 또는 학습자에게 무시되어서는 안 된다. 사회물질적 접근방식은 점점 더 실천적 학습에 중요한 것으로 인식되고 있다.1.2
When I say sociomateriality, I mean a host of terms that may feel like a deliberate attempt by researchers to confuse and dazzle the mind of educators; ‘enacted’, ‘assembled’ and ‘constitutive entanglement’ represent just a few such examples. When I say sociomateriality, I also mean that materials play fundamental roles in shaping practice, and they should no longer be ignored by clinicians, educators or learners. Sociomaterial approaches are increasingly being recognised as critical for exploring learning in practice.1,2
사회물질성은 단일 접근방식이라기보다는, 공통의 관심을 공유하는 일련의 관련 접근방식(예: 배우-네트워크 이론, 복잡성 이론, 공간성 이론 등)을 나타내는 포괄적 용어로 간주할 수 있다. 물질와 사회적 실천 사이의 복잡하고 지저분하고 비선형적인 관계를 더 깊이 탐구할 수 있도록 인간을 연구의 중심에서 분산시키는 것이다. 오를리코프스키는 이러한 관계를 '구성적 얽힘constitutive entanglement'이라고 지칭하며 '사회적이면서 물질적이지 않은 것 없고, 물질이면서 사회적이지 않은 것도 없다'고 주장한다.3 물질이라는 것은, 사회적이지 않은 모든 것을 의미한다: 즉 기술, 정책, 일정, 체크리스트, 물리적인 공간...을 의미하며 목록은 계속된다.
Rather than representing a single approach, sociomateriality can be considered an umbrella term for a set of related approaches (e.g. actor-network theory, complexity theory, spatiality theory and many others) that share a common interest in decentring the human as the focus of study to allow for a deeper exploration of the complex, messy and non-linear relationships between materials and social practices. Orlikowski refers to these relationships as ‘constitutive entanglement’ and contends that ‘there is no social that is not also material and no material that is not also social’.3 By material, she means just about everything that is not social: technologies, policies, schedules, checklists, physical spaces ... and the list goes on.
만약 이 모든 것이 너무 복잡하게 들린다면, 절망하지 마라. 다음의 예는 사회물질성과 그것의 독특한 어휘 중 일부를 세상을 다르게 볼 수 있는 기회에 더 접근 가능하고 희망적으로 흥미롭게 만드는 데 도움이 될 것이다. 독자는 주의하라: 일단 여러분이 이런 식으로 세상을 보기 시작하면, 돌아갈 수 없을지도 모른다. 사회물질성 이론가들은 우리에게 '무엇이 무엇이라고 정의하거나, 무엇이 무엇이 되어야 한다고 규정하지 말고, 어떤 것이 창발emerge하는지 자세히 보도록' 장려한다.'.2p.49 다음 예에서 나는 너희들도 주목하기를 권장한다.
If this is all sounding a bit too complicated, don’t despair. The following example should help make sociomateriality and some of its ‘unique vocabulary’ more accessible and hopefully exciting in the opportunity it affords for seeing the world differently. Reader beware: once you start to see the world in this way, there may be no going back. Sociomaterial theorists encourage us ‘not to define what is or to prescribe what should be, but to follow closely what emerges...’.2p.49 In the following example, I encourage you too to notice...
내과 병동의 하루
A DAY ON THE INTERNAL MEDICINE WARD
08.00 h: 의사팀이 방금 팀룸에 모였다. 그것은 네모난 테이블을 둘러싸고 있는 5개의 의자가 있는 작은 방이다. 문이 닫혀 있다. 오늘 팀을 인계받는 주치의는 2학년 레지던트와 2명의 의대생으로 테이블에 앉아있다. 그 선임 의료 레지던트는 작은 컴퓨터 작업대와 마주보고 있는 테이블과 관련하여 옆으로 앉아 있다. 다른 후배 레지던트와 의대생은 다른 의자가 없어 벽에 기대어 있다. 후배 전공의 한 명이 수술용 수술복(팀 내 '포스트콜' 멤버로서의 신분을 알리는 신호탄)을 착용하고 있으며, 어젯밤 입원한 환자 4명에 대해 팀원들에게 알리고 있다. 그의 손에는 그가 만든 입원노트 복사본이 들어 있다. 4명의 환자 모두가 응급실에 아직 누워있기 때문에 환자 차트는 방에 있지 않다. 현재 사용 가능한 병상은 없다. 첫 번째 사례 발표를 하는 도중에, 그는 환자가 빈혈 상태라는 것을 컴퓨터의 혈액 검사 결과를 스캔하는 동안 알게 된 선임 레지던트로부터 방해를 받는다. 그 선배는 B12 레벨이 오더되었는지 알고 싶어했다. 오더에 없었기 때문에, 그는 그것을 추가했다. 그의 발표를 계속하면서, 그 후배가 또 다시 방해받았는데, 이번에는 그의 호출기가 울리면서, 간호사 매니저는 아직도 응급실에 있는 환자 중 누군가가 오늘 퇴원할 수 있을지 궁금해했다.
08.00 h: The physician team has just gathered in their team room. It is a small room with five chairs surrounding a square table. The door is closed. The attending physician, who is taking over the team today, is sitting at the table as are two-first-year residents and two medical students. The senior medical resident is sitting sideways in relation to the table facing a small computer workstation. The other junior resident and medical student lean against the wall as there are no other chairs available. One of the junior residents is wearing surgical scrubs (signalling his status as the ‘post-call’ member of the team) and he is telling the team about the four patients he admitted last night. In his hands are the photocopies he has made of his admission notes. The patient charts are not in the room as all four patients are still bedded in the emergency room; there are no ward beds currently available. Midway through his first case presentation, he is interrupted by the senior resident who noticed while scanning the blood-work results on the computer that the patient was anaemic. The senior wanted to know if a B12 level was ordered; it was not so he adds it to the orders. Continuing on with his presentation, the junior is again interrupted, this time by his pager going off – it was the nurse manager wondering if any of the patients still in the emergency room might be discharged today.
09.30 h: 팀 룸 밖에서 간호사가 20분 만에 세 번째로 방을 지나간다; 아직 닫혀 있는 문을 눈치 채고, 고개를 저으며 지나간다...
09.30 h: Outside the team room, a nurse passes by the room for the third time in 20 minutes; noticing the still closed door, she shakes her head and walks by...
13.00 h: 학제간 팀원들과 함께 선배 레지던트가 '총회'를 위해 모인다. 10분 동안 팀 내 30명의 환자 모두를 대상으로 24-48시간 내에 퇴원할 수 있는 환자와 안전한 퇴원할 수 있도록 필요한 리소스를 중점적으로 논의한다.
13.00 h: The senior resident along with members of the interdisciplinary team gather for ‘bullet rounds’. Over the space of 10 minutes they quickly discuss all 30 patients on the team with a focus on which patients might go home within the next 24– 48 hours and the resources that might be required to ensure they can be discharged safely...
보았는가? 구성적 얽힘(constitutive entanglement) 말이다. 이는 팀의 일상에 짜여지는 사회물질적 관계를 의미한다. 닫힌 문이 어떻게 특정한 '실무'를 하게 되었는지 알아챘는가? 그것은 또한 노크로 이어질 수도 있었다. 빈혈의 식별, 검사 순서 및 중단이 가능한 컴퓨터는 어떤가? 아마 당신은 또 다른 방해를 일으키기 위해 호출기, 전화기, 그리고 빈 곳이 없는 응급실과 같은 '물질material'이 어떻게 '조립assembled'되었는지 알아차렸을 것이다. 마찬가지로, 퇴원 주변의 활동을 조정하기 위해 매일 1시에 'bullet round'을 만들기 위해 병원 과밀 문제, 예산 삭감 및 시간 제약이 '조립'되는 규칙성이다.
Did you see it? By it, I mean the ‘constitutive entanglement’, the sociomaterial relationships that become woven into the everyday work of the team. Did you notice how the closed door led to a particular ‘practice’ – walking by? It could have also led to a knock. How about the computer that allowed for the identification of anaemia, the ordering of a test and an interruption? Maybe you also noticed how ‘materials’ such as a pager, a phone and a full emergency room ‘assembled’ to give rise to another interruption. Similarly, the regularity of the problems of hospital overcrowding, budget cuts and time constraints ‘assembled’ to create the 1300 h daily ‘bullet rounds’ to coordinate activities around discharge.
사회적, 물질적 결합이 어떻게 전문적 실천 뿐만 아니라 이런 맥락에서 전문적 행위를 '집행enact'한다는 것이 무엇을 의미하는지를 보았는가? 충분히 오래 서성거리면 그렇게 될 것이다. 이달 중 많은 시니어 레지던트는 매일 밤 입원허가를 받은 것에 대해 사과하기 시작할 것이며, 이번 주에 퇴원한 환자 수에 대해 자랑하기 시작할 것이다.
Did you see how the social and material combined to shape not only professional practices but also what it means to ‘enact’ professional in this context? If you hang around long enough, you will. Over the course of the month, many of the senior residents will begin to apologise for the number of admissions they admit each night and brag about the number of patients they discharged this week.
요컨대 사회물질성이 새로운 질문을 함으로써 기존의 문제를 탐구할 기회를 창출하는 실천을 위한 새로운 방법을 제공한다는 것을 보여주었기를 바란다. 위의 예를 사용하여, 이제 '임상 설정은 어떻게 조합되어 전문직간 협업을 제정하는가?' 또는 '임상 설정은 어떤 방식으로 조합되어 "시니어 레지던트"의 역할과 가능한 정체성을 형성하는가?'를 질문할 수 있다. 바라건대, 우리가 올바른 질문을 한다면, 우리는 또한 의학 교육을 개선할 새로운 방법들을 발견할 것이다.
In summary, I hope I have shown you that sociomateriality offers new ways for studying practice that create opportunities for exploring existing problems by asking new questions. Using the above example, we can now ask: ‘How does the clinical setting assemble to enact interprofessional collaboration?’ or ‘In what ways does the clinical setting assemble to shape the role, and possibly identity, of “senior resident”’? Hopefully, if we ask the right questions, we will also discover new ways to improve medical education.
2 Fenwick T. Sociomateriality in medical practice and learning: attuning to what matters. Med Educ 2014;48 (1):44–52.
Med Educ. 2017 May;51(5):465-466. doi: 10.1111/medu.13149. Epub 2016 Nov 23.
When I say … sociomateriality.
Author information
- 1
- London, Ontario, Canada.
- PMID:
- 27882580
- DOI:
- 10.1111/medu.13149
'Articles (Medical Education) > 교육이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행동주의, 인지주의, 구성주의: 교육설계 관점에서 중요특징 비교(Performance Improvement Quarterly, 2013) (0) | 2019.09.05 |
---|---|
실천공동체(When I say...) (Med Educ, 2019) (0) | 2019.09.01 |
보건전문직교육연구에서 상황학습이론(Situated learning theory) (Adv Health Sci Educ Theory Pract, 2019) (0) | 2019.08.31 |
사회문화적 학습 이론(When I say...) (Med Educ, 2019) (0) | 2019.08.25 |
커넥티비즘: 디지털 시대의 지식학습이론? (Med Teach, 2016) (0) | 2019.04.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