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학교육에서 긍정탐구(AMEE Guide No. 113) (Med Teach, 2016)

Appreciative inquiry in medical education

John Sandars and Deborah Murdoch-Eaton

Academic Unit of Medical Education, The Medical School, The University of Sheffield, Sheffield, UK




도입

Introduction


어떤 상황에서 "무엇이 잘못되고 있는가"를 묻는 일련의 질문에 근거하여 진단을 내리는 문제해결 접근법이 대표적인 의학의 임상적 실천이다. 이와 유사한 접근법이 새로운 교과과정을 개발하는 것에서부터 어려움에 처한 학생들을 지원하는 것까지 의학의 많은 측면에도 자주 적용되고 있다. 그러나, 대안적인 접근방식은 상황에서의 "무엇이 잘 되어가고 있는가"에 초점을 맞춘 긍정탐구(AI)이다. AI 접근방식은 질문을 하는 사람의 사고방식을 변화시킬 필요가 있으며, 현재 상황을 변화시키기 위해 개인과 집단의 힘을 동원하는 것이 핵심 목표이다. AI 접근법의 본질적인 측면은 새로운 상황을 구상하는 협력적 논의를 통해 발생하는 생성 과정이다.

A problem-solving approach, in which making a diagnosis is based on a series of questions that ask about “what is going wrong” with a situation, is typical of the clinical practice of medicine. A similar approach is also frequently applied to many aspects of medical education, from developing a new curriculum to supporting students in difficulty. However, an alternative approach is Appreciative Inquiry (AI), with a focus on “what is going well” with a situation. The AI approach requires an alteration in the mind-set of the person asking the questions, with the key aim of mobilizing individual and collective strengths to change the current situation. An essential aspect of the AI approach is the generative process, which occurs through collaborative discussion, of envisioning a new situation.


AI 접근법은 지난 수십 년간 조직개발(Watkins et al. 2011)을 위해 열성적으로 사용되어 왔으며, 리더쉽 개발(Hart et al. 2008)과 멘토링(Gordon 2008)을 포함한 개인의 발전을 위한 비즈니스 세계에서도 점차적으로 적용되고 있다. 지난 10년간 AI도 일반 교육에서 중요한 지도원리guiding principle로 적용되기 시작했다.

The AI approach has been enthusiastically used over the last few decades for organizational development (Watkins et al. 2011), and is also increasingly being applied in the world of business for the development of individuals, including leadership development (Hart et al. 2008) and mentoring (Gordon 2008). Over the last decade, AI has also begun to be applied as an important guiding principle within general education.


긍정탐구의 원칙

The principles of appreciative inquiry


AI의 핵심 원칙

The core principles of AI


AI의 관행을 뒷받침하는 5가지 핵심 원칙이 설명되었으며, 조직 개발의 폭넓은 실무 경험에 기초하고 있다(Cooperrider et al. 2003).

Five core principles that underpin the practice of AI have been described and are based on extensive practical experience in organizational development (Cooperrider et al. 2003).


1. 구성주의 원칙: 이 원칙의 근본은 개인이 다른 사람들과의 상호작용과 토론의 적극적인 과정을 통해 그들 세계의 현실을 창조하거나 건설한다는 관점이다. 예를 들어, 결핍–관점은 유리잔이 반만 비었다고 생각하는 것이지만, 이것을 '컵이 반이나 찬 것'으로 간주할 수 있도록 긍정적으로 공동 구성될 수 있다는 것이다.

1. The constructionist principle: Fundamental to this principle is the view that an individual creates, or constructs, the reality of their world through an active process of interaction and discussion with other people. For example, the deficit – view is that a glass is considered to be half-empty but this can be positively co-constructed to be regarded as half-full.


2. 동시성 원칙: 이 원칙은 탐구와 변화는 별도의 과정이 아니라는 것을 고려한다. 어떤 주제에 대한 질문이 있을 때마다, 새로운 통찰력과 이해는 미래의 주제를 보는 방법에 영향을 미칠 것이기 때문에, 변화 과정의 동시 시작이 있다.

2. The simultaneity principle: This principle considers that inquiry and change are not separate processes. Whenever there is inquiry, and questions are asked about a topic, there is a simultaneous beginning of a change process since new insights and understandings will influence how the topic is viewed in the future.


3. 시적 원칙: 시를 읽을 때, 사람들은 단어로부터 의미를 만드는 것에 초점을 맞춘다. AI에서 부족한 점 위주의 단어들은 주제가 어떻게 이해되는지 뿐만 아니라 변화의 가능성에도 제약을 가할 수 있다. AI의 본질적인 측면은 현재 상황을 바라보는 관점을 재정립하는 것이다.

3. The poetic principle: In reading poetry, people focus on making meaning from the words. In AI, the deficit-focused words can constrain not only how the topic is understood but also the possibilities for change. An essential aspect of AI is the reframing of current views of a situation.


4. 기대 원칙: 미래의 잠재적 변화를 상상하는 것은 어려운 상황에 대한 통제감을 만들고 상황을 변화시킬 동기를 강화한다.

4. The anticipatory principle: The envisioning of future potential changes creates a feeling of control over a difficult situation and enhances their motivation to change the situation.


5. 긍정성 원칙: 이 원칙은 다른 모든 AI 원칙과 AI 방법론의 모든 부분을 뒷받침한다. 이 원칙은 강점을 확인하려는 목적의 질문은 사람들을 긍정적인 변화에 끌어들이게 한다는 것이다.

5. The positive principle: This principle underpins all of the other AI principles and also all parts of the AI methodology. The concept is that questions that seek to identify strengths engage people in positive change.


긍정탐구 방법론

The methodology of appreciative inquiry


AI의 원래 방법론은 조직 개발을 위한 것이었으며 "4-D" 사이클을 사용했다(Cooperrider et al. 2003).

The original methodology of AI was for organizational development and used the “4-D” cycle (Cooperrider et al. 2003).


최근에 "5-D 모델"이 도입되었으며(Watkins et al. 2011), 4-D 사이클에서 발견되는 4상 앞에 추가적인 "Definition" 단계가 도입되었다. 이 추가 단계는 본질적으로 "이것이 할 만한 가치가 있는가?"를 정의한다.

recently the “5-D model” has been introduced (Watkins et al. 2011), with an additional “Definition” phase that precedes the four phases that are found in the 4-D cycle. This additional phase essentially defines “is this worth doing”?


그림 1은 4-D 사이클의 주요 단계를 설명한다.

Figure 1 describes the main phases in the 4-D cycle,




교육에서 긍정탐구의 원칙 적용

The application of appreciative inquiry principles to education


긍정교육

Appreciative education


긍정교육은 "개인적으로나 조직적으로나 양질의 교육을 제공하기 위한 틀"이라고 생각할 수 있다. 그것은 개인과 집단이 공동 창조한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강점과 잠재력에 초점을 맞추어 교육 기업을 개선하기 위한 의도적이고 긍정적인 접근법을 제공한다(Bloom et al. 2013, 페이지 5 –6)

Appreciative Education can be considered to be “a framework for delivering high-quality education on both an individual and organizational level. It provides an intentional and positive approach for bettering educational enterprises by focusing on the strengths and potential of individuals and organizations to accomplish co-created goals” (Bloom et al. 2013, pp. 5–6).


긍정 페다고지

Appreciative pedagogy


긍정교육의 개념과 유사하게 AI 원칙이 각색되어 모든 교육 및 학습 활동을 알리는 것으로서, 이러한 활동이 단 20분에서 1시간 정도의 짧은 수업시간, 1시간 동안의 워크숍이든 전체 프로그램(Yballe & O'Connor 2000)이든 모두 긍정 페다고지이다.

Similar to the concept of Appreciative Education is the concept of Appreciative Pedagogy, with the adaptation of AI principles to inform all teaching and learning activities, whether these activities are only a short 20minute one to one session, a one hour workshop or a whole program (Yballe & O’Connor 2000).


긍정 조언

Appreciative advising


AI의 원칙은 다양한 학문적 어려움을 겪고 있는 대학생들을 지원하는 데 중점을 두고 감사 조언에 적용되어 왔다.

The principles of AI have been applied to Appreciative Advising, with a focus on supporting College students who are experiencing a variety of academic difficulties.


의학교육에서 긍정탐구의 현실적 적용

The practical application of appreciative inquiry in medical education


개인 수준

Working with individuals


Roarty와 Toogood(2014년)는 AI 원칙을 사용하여 모든 학습 대화를 구성하는 방법에 대한 유용하고 실용적인 팁을 제공한다.

Roarty and Toogood (2014) offer some useful and practical tips on how AI principles can be used to structure all learning conversations:


1. 초점을 둘 성과를 식별하라. 명확한 결과 초점, 즉 목표는 자신의 원하는 결과를 얻기 위해 자신의 장점을 동원하려는 내부 동기의 증가와 관련이 있다(커빙턴 2000).

1. Identify an outcome focus. A clear outcome focus, or goal, is associated with the increase of internal motivation to mobilize their strengths to achieve their own desired outcome (Covington 2000).


2. 이미 잘 되고 있는 것에 집중하라. AI의 본질적인 측면은 의도된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현재의 강점을 기반으로 하는 것이다.

2. Focus on what is already working well. An essential aspect of AI is to build on current strengths to achieve intended goals.


3. "약점"을 개발해야 할 강점으로 다시 표현한다재교육의 행위는 학습자에게 내부적으로 동기를 부여하는 개인의 자존심에 현저한 변화를 가져올 수 있다. 능력에 대한 부적절한 속성은 신속하게 부정적인 감정을 생성하여 동기와 수행을 감소시키는 소용돌이를 초래할 수 있다(와이너 1985).

3. Reframe any “weaknesses” into strengths to be developed. The act of reframing can produce a marked change in an individual’s self-esteem that internally motivates the learner. Inappropriate attributions about ability can quickly produce negative emotions that result in a spiral of decreasing motivation and performance (Weiner 1985).


집단 수준

Working with groups


AI의 4-D 사이클은 경험적 학습 사이클과 문제 기반 학습에 적용되었다.

The 4-D cycle of AI has been applied to the experiential learning cycle and problem-based learning.


경험학습에 대한 적용

Application to Experiential Learning


Experiential Learning의 중요한 측면은 [탐구할 질문의 식별][탐구의 과정]이다. 전통적인 것은 문제 해결에 대한 Experiential Learning의 초점을 가지고 있다. 네빌(2008)은 AI를 솔루션에 초점을 맞춘 경험학습의 보완적 접근방식으로 활용할 수 있다고 제안한다. 예를 들어, 탐구를 위한 질문은 "환자 안전 향상에 있어 가장 큰 문제가 무엇인가?"에서 "환자 안전을 효과적으로 개선하기 위해 어떤 접근법이 사용되었는가?"로 재구성할 수 있다. 전문성을 가르치기 위한 경험적 학습에서 AI를 사용한 사례는 그림 2(온라인에서 보충 자료로 이용 가능)에 나와 있다.

An important aspect of Experiential Learning is the identification of the question for inquiry and the process of inquiry, traditional having a with Experiential Learning focus on problem solving. Neville (2008) proposes that AI can be used as a complementary approach to Experiential Learning, with a focus on solutions. For example, the question for inquiry can be reframed from “What is the biggest problem in improving patient safety?” to “What approaches have been used to effectively improve patient safety?” An illustrative of the use of AI in Experiential Learning to teach professionalism is shown in Figure 2 (available online as Supplemental Material).


PBL에 적용

Application to Problem-Based Learning


전형적으로 PBL은 해결책을 생산하기 위한 문제의 식별에 초점을 맞추고 있으며, 로버츠(2010)는 직업 치료의 맥락에서 PBL의 한계를 논하고 있으며, 특히 무엇이 잘못되었거나 dysfunctional한가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그림 3(온라인에서 보충 자료로 이용 가능)은 AI가 어떻게 PBL에 통합되어 클라이언트 중심적이고 강도에 기반한 접근법을 개발할 수 있는지를 설명한다.

Typically, PBL has a focus on the identification of a problem to produce a solution and Roberts (2010) discusses the limitations of PBL in the context of occupational therapy, especially the focus on what is wrong or dysfunctional. Figure 3 (available online on as Supplemental Material) describes how AI can be integrated into PBL in an attempt to a develop more client-centered and strengths-based approach.


긍정 조언

Appreciative advising


학업에서 어려움을 겪고 있는 학습자를 돕기 위한 일반적인 접근방식은 종종 (성공을 강화하는 것이 아니라) 자신의 약점을 식별하고 교정하는 데 초점을 맞춘 "결핍 교정 교육 모델"이다(Kramer & Associates 2007). 그러나 이와는 대조적으로, 어드바이저는 가능한 변화에 대한 학습자의 자기효율성 신념을 높이고 이전 과정 성공이 어떻게 달성되었는지 식별하는 데 도움을 줌으로써 학습자에게 동기를 부여하는 강점 기반 모델을 채택할 수 있다. 전체 AI 접근법(Bloom et al. 2008) 내에서 6단계 모델을 이용한 학술적 조언은 그림 4(온라인에서 보충 자료로 이용 가능)에 설명되어 있다.

The usual approach to help learners who are experiencing difficulties in their academic studies is often a “deficit remedial education model” which has a focus on the identification and remediation of their weaknesses instead of in their successes (Kramer & Associates 2007). However, contrast, the advisor could adopt a strengths based model that increases the learner’s self-efficacy beliefs about possible change and motivates the learner by helping to identify how previous coursework successes were achieved. Academic Advising using a model of six phases within an overall AI approach (Bloom et al. 2008) is illustrated in Figure 4 (available online as Supplemental Material).


교육과정개발에 긍정탐구 적용

Appreciative inquiry for curriculum development


AI는 [현재 강점을 바탕으로 한 평가와 질 향상 등] 의과대학 커리큘럼 개발에 유용한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차코 2009). 사회적 책무성을 위한 의과대학 교과과정의 개발에 대한 예시는 그림 5(온라인에서 보충 자료로 이용 가능)에 제시되어 있다.

AI can provide a useful method for curriculum development in medical education, including evaluation and quality improvement that builds on current strengths (Chacko 2009). An illustrative example of the development of a socially accountable medical school curriculum is provided in Figure 5 (available online as Supplemental Material).


AI 접근방식은 또한 교과과정의 변화를 위해 부정적인 문화를 다루는데 도움이 된다. 커리큘럼 개발의 중요한 측면은 과정 평가지만, 학생과 직원 모두가 커리큘럼의 장점 대신에 문제에 집중하는 간단한 설문지에 의해 종종 이루어진다. 그림 6(온라인에서 보충 자료로 이용 가능)은 커리큘럼 개발과 문화적 변화를 위한 AI 접근법의 성공적인 사용을 보여준다.

The AI approach also lends itself to tackling a negative culture to change in the curriculum. An important aspect of curriculum development is course evaluation, but often this is by a simple questionnaire, with both students and staff concentrating on problems instead of the strengths of the curriculum. Figure 6 (available online as Supplemental Material) illustrates successful use of an AI approach for curriculum development and cultural change.


교수개발을 위한 긍정탐구

Appreciative inquiry for faculty development


그림 7(온라인에서 보충 자료로 사용 가능)은 모든 의대 학생들이 학술 및 임상 교수진에서 높은 수준의 전문적 행동을 목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미국 의대 교직원 및 레지던트 개발을 위한 주요 방법 중 하나로 AI 접근법을 사용한 방법을 설명한다(Fryer-Edwards et a).2007년).

Figure 7 (available online as Supplemental Material) illustrates how an AI approach was used as one of the main methods for the development of faculty and residents in a US medical school were used to ensure that all medical students would witness a high level of professional behaviors in the academic and clinical teaching staff (Fryer-Edwards et al. 2007).


의학교육연구를 위한 긍정탐구

Appreciative inquiry for medical education research


이러한 이해관계자들에게 중요한 질문과 이슈를 다룰 목적으로 학생부터 교사 및 관리자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이해관계자들과 협력하여 일하는 데 초점을 맞추어 교육 연구에 참여 연구 방법을 사용하는 것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Cohen 등 2013). 이 연구 방법의 본질적인 측면은 이해관계자들이 연구 과정에 적극적인 참여자가 되도록 권한을 부여하는 것이다. AI 접근법의 취지는 참여 연구방법의 초점과 유사하며, 일반 교육연구, 특히 구조면접에 AI가 적용됐다.

There has been increasing interest in the use of participatory research methods in educational research, with a focus on collaboratively working with a range of stakeholders, from students to teachers and administrators, with the intention of addressing questions and issues that are significant to these stakeholders (Cohen et al. 2013). An essential aspect of this research method is empowerment of the stakeholders so that they become active participants in the research process. The intentions of the AI approach are similar to the focus of participatory research methods and AI has been applied to general educational research, especially to structure interviews.


일반 교육연구에서 인터뷰를 구조화하기 위해 AI의 원리를 이용한 사례로는 마이클(2005)이 학교 교사로서의 경험에 대해 연구한 것이 있다. "여기서 일하면서 가장 좋아하는 기억은 무엇인가?" "직장에 대해 가장 좋아하는 것은 무엇인가?" "조직 성공의 핵심이 무엇이라고 생각하는가?" "당신의 조직을 특별하게 만들거나 알고 있는 다른 조직과 다른 점은 무엇인가?"와 같은 AI 사이클의 디스커버리 단계와 관련된 질문들이 쏟아졌다. 그는 참가자들이 자신의 이야기를 들려주는데 열심이었고, 경험하고 싶은 긍정적인 경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이해를 더 많이 하는 등 알려지지 않은 정보를 공개하는 데 더 개방적이라고 지적했다. 흥미로운 측면은 참가자들이 면접을 진행하는 동안 현재의 교육적 실천을 바꿀 수 있는 힘을 느끼기 시작했으며, 인터뷰가 진행됨에 따라 꿈의 단계를 향해 자발적인 움직임을 보였다.

An illustrative example of the use of the principles of AI to structure interviews in general educational research is the work of Michael (2005) on the experiences of being a school teacher. Questions were asked that were related to the Discovery phase of the AI cycle, such as “What’s your favorite memory of working here?”, “What do you like best about your job?”, “What do you think is at the heart of your organization’s success?” and “What makes your organization special, or different from other organizations that you know?”. He noted that participants were eager to tell their stories and were more open to disclose unrehearsed information, including greater understanding of the factors that impacted on the positive experiences that they wanted to experience. An interesting aspect was that participants began to feel empowered during the interview to change their current teaching practice, with spontaneous movement towards the Dreaming phase as their interviews progressed.


의료 교육에서 소셜 미디어의 전문적인 사용을 이해하기 위한 AI 접근방식은 그림 8(온라인에서 보충 자료로 이용 가능)에 나타나 있다(Pereira et al. 2015).

the AI approach to understand professional use of social media in medical education is shown in Figure 8 (available online as Supplemental Material) (Pereira et al. 2015).


긍정탐구를 사용한 개인 발전

Personal development using appreciative inquiry


주된 변화는 개인의 강점을 파악하는 데 초점을 맞춘 마인드셋으로, 변화에 대한 동기부여와 정서적 에너지를 제공하면서도 탄력성, 만족도, 자존심도 향상시켰다(리브 2014). 이러한 접근방식은 [부정적인 함의와 그에 따른 정서적 에너지의 고갈과 동기의 감소]와 같은 "취약성" 식별에 초점을 맞춘 기존의 방식과는 대조적이다. 강점을 바탕으로 하고 감사하는 마음가짐은 "약점"을 무시하지 않고, 이 상황을 특정한 지식이나 기술을 증가시키는 등 발전이 필요한 강점으로 재구성한다. 또한, 원하는 결과를 얻기 위해 동원되어야 할 기존의 강점에 대한 식별도 있다.

The main change is a mind-set that has a focus on identifying personal strengths, providing increased motivation and emotional energy to change but also enhanced resilience, satisfaction and self-esteem (Reeve 2014). This approach is in contrast to the traditional focus on identifying “weaknesses”, with its negative connotation and subsequent draining of emotional energy and reduced motivation. A strengths-based and appreciative mind-set does not ignore “weaknesses” but reframes this situation as being a strength that needs developing, such as to increase particular knowledge or skills. In addition, there is identification of existing strengths that will be required to be mobilized to achieve the desired outcome.


개인의 장점을 확인하는 실질적인 방법은 두 가지가 있다.

There are two practical methods for the identification of personal strengths:


1. 강의 시간이나 커리큘럼 개발 계획 회의 등 어떤 행사 후에라도 개인의 강점을 반영한다.

1. Reflect on personal strengths after any event, such as a teaching session or a curriculum development-planning meeting.


2. 이용된 강점에 대해 그들이 알아챈 것, 특히 이러한 강점이 다른 사람의 변화나 상황의 변화에 어떻게 영향을 미쳤는지에 대해 다른 사람의 피드백을 구한다.

2. Seek feedback from others about what they notice about the strengths that have been used, and especially how these strengths have influenced change in others or a situation.


결론

Conclusions


AI 접근방식은 개인과 그들이 불가결한 구성원인 조직 모두에게 독특하고 혁신적인 발전 기회를 제공하여 개인과 집단적 강점을 식별하고 동원하여 개인과 조직의 잠재력을 달성한다. AI 접근법의 본질적인 측면은 [새로운 상황을 구상할 수 있고 희망하는 미래 상황을 달성하기 위해 동기부여 에너지가 만들어지는] [생성적 과정]이라는 점이다. 이 과정은 모든 개인적이고 조직적인 발전의 핵심이다.

The AI approach provides a unique and innovative developmental opportunity for both individuals, and the organization in which they are an integral member, to identify and mobilize individual and collective strengths to achieve their individual potential and that of the organization. An essential aspect of the AI approach is the generative process, in which a new situation can be envisioned and motivational energy is created to achieve the desired future situation. This process is at the heart of all personal and organizational development.














, 39 (2), 123-127
 

Appreciative Inquiry in Medical Education

Affiliations 

Affiliation

  • 1a Academic Unit of Medical Education , The Medical School, The University of Sheffield , Sheffield , UK.

Abstract

The practice of medicine, and also medical education, typically adopts a problem-solving approach to identify "what is going wrong" with a situation. However, an alternative is Appreciative Inquiry (AI), which adopts a positive and strengths-based approach to identify "what is going well" with a situation. The AI approach can be used for the development and enhancement of the potential of both individuals and organizations. An essential aspect of the AI approach is the generative process, in which a new situation is envisioned and both individual and collective strengths are mobilized to make changes to achieve the valued future situation. The AI approach has been widely used in the world of business and general education, but is has an exciting potential for medical education, including curriculum development, faculty development, supporting learners through academic advising and mentoring, but also for enhancing the teaching and learning of both individuals and groups. This AMEE Guide describes the core principles of AI and their practical application in medical education.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