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찰적 글쓰기 기반의 포트폴리오에서 참여의 모델: 취약성의 지점과 적응적 행동의 상호작용(Med Teach, 2015)

A model of engagement in reflective writing-based portfolios: Interactions between points of vulnerability and acts of adaptability

SHANNON ARNTFIELD, BRITTNEY PARLETT, CHRISTINE N. MESTON, TAVIS APRAMIAN & LORELEI LINGARD

Western University, Canada




도입

Introduction


역량 기반 의료 교육으로의 국제적인 전환은 의료 훈련 중 본질적인 기술 개발의 새로운 인증 기준을 충족하기 위해 주요 커리큘럼 혁신을 필요로 했다(Canada의 Royal College of Occessors and Occessors of Canada 1996; General Medical Counsulty 2000; Frank 2005; Norcini et al.. 2008; Albanese 외 2010). 포트폴리오에는 자기주도학습(Buckley et al., 2011)을 통한 내재적 역량(Sherbino et al. 2011) 개발을 촉진하기 위해 설계되었다. 2009; Sandars 2009; Toschel 등. 2009; Van Tartwijk & Driessen 2009) 및 반영(Schon 1987; Sandars 2009; Dekker et al. 2013) 및 의료 교육자들이 이러한 요구사항을 해결하는 주요 전략이 되었다(Snadden et al. 1999; Friedman Ben David et al. 2001; Dekker et al). 2009; Van Tartwijk & Driessen 2009).

The international shift toward competency-based medical education has necessitated major curricular innovation in order to satisfy new accreditation standards of teaching and assessing intrinsic skill development during medical training (Royal College of Physicians and Surgeons of Canada 1996; General Medical Counsel 2000; Frank 2005; Norcini et al. 2008; Albanese et al. 2010). Portfolios are designed to promote intrinsic competency (Sherbino et al. 2011) development through self-directed learning (Buckley et al. 2009; Sandars 2009; Tochel et al. 2009; Van Tartwijk & Driessen 2009) and reflection (Schon 1987; Sandars 2009; Dekker et al. 2013) and have become the primary strategy with which medical educators are addressing these requirements (Snadden et al. 1999; Friedman Ben David et al. 2001; Dekker et al. 2009; Van Tartwijk & Driessen 2009).


이후 10년 동안, 포트폴리오, 성찰 및 성찰적 글쓰기(RW)는 의료 커리큘럼에서 상당히 흡수된 서로 얽힌 개념들이 되었고, 일부 지역에서는 의무화되었다(Carr & Carmody 2006; Schele et al. 2008; Dekker et al. 2009; Kind et al. 2009년) 및 타인에서의 면허 및 역량 유지에 필요함(General Medical Council 2005; College of Canada 2007).

Over the next 10 years, portfolios, reflection and reflective writing (RW) became intertwined concepts that saw significant uptake in medical curricula, becoming compulsory in some regions (Carr & Carmody 2006; Scheele et al. 2008; Dekker et al. 2009; Kind et al. 2009) and required for licensing and maintenance of competency in others (General Medical Council 2005; College of Family Physicians of Canada 2007).


Driessen 등은 2005년에 "포트폴리오가 학습과 평가를 위한 강력한 도구가 될 수 있지만, 열악한 조건에 취약하고 실망으로 쉽게 이어질 수 있다"고 보고했다(1235 페이지).

Driessen et al reporting in 2005 that ‘‘portfolios can be a powerful tool for learning and assessment, but the method is vulnerable to adverse conditions and may easily lead to disappointment’’ (p. 1235).


구체적으로, 포트폴리오가 부분적으로 다음 이유 때문에 의대생들의 성찰학습(Wade & Yarboourgh 1996; Pearson & Heywood 2004)이 발생한다고 보장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 성찰을 꼭 학습 전략으로 인식하거나 가치 있게 여기는 것은 아니다(Mann et al.). 2009; Sandars 2009; Van Tartwijk & Driessen 2009; Arntfield et al. 2013; Van Schaik et al. 2013) 

  • 상당한 지침이 없으면 성찰학습에 참여하는 방법을 모를 수 있다(Aertmer & Newby 1996; Driessen et al. 2008; Aronson 2011). 

  • 성찰에 필요한 시간, 노력 및 학습에 의해 위협을 느낄 수 있다(Mann 등). 2009; Van Tartwijk & Driessen 2009).

Specifically, it has been shown that portfolios do not guarantee that reflective learning occurs (Wade & Yarboourgh 1996; Pearson & Heywood 2004), in part, because medical students 

  • do not necessarily recognize or value reflection as a learning strategy (Mann et al. 2009; Sandars 2009; Van Tartwijk & Driessen 2009; Arntfield et al. 2013; Van Schaik et al. 2013) 

  • may not know how to engage in reflective learning without considerable guidance (Ertmer & Newby 1996; Driessen et al. 2008; Aronson 2011) and 

  • may feel threatened by the time, effort and learning required (Mann et al. 2009; Van Tartwijk & Driessen 2009).


멘토는 포트폴리오 학습에 필수적인 것으로 널리 인정받고 있다(Knowles 1975; Schon 1987; Pearson & Heywood 2004; Driessen et al., 2005, 2007; Mansvelder-Longayroux et al. 2006; McMullan 2007; Dekker et al. 2009; Sandars 2009). 하지만, 교수들은 

  • 멘토로서의 그들의 역할을 이해하지 못할 수도 있다(Atkins & Williams 1995; Neary 2000; Bray & Nettelson 2007; Stenfors-Hayes et al. 2011). 

  • 개인적으로 성찰에 참여하지 않을 수 있으며, 결과적으로 학생들에게 충분한 동기를 부여하지 않을 수 있다(Sandars 2009; Van Schaik et al. 2013). 

  • 반성을 통해 학생 학습을 촉진하는 방법을 배우는 데 투자할 시간이나 관심이 없을 수 있다(Wade & Yarboourgh 1996; Pearson & Heywood 2004; Sandars 2009).

Mentors are widely acknowledged to be essential for portfolio learning (Knowles 1975; Schon 1987; Pearson & Heywood 2004; Driessen et al. 2005, 2007; Mansvelder-Longayroux et al. 2006; McMullan 2007; Dekker et al. 2009; Sandars 2009); however, faculty members 

  • may not understand their role as mentors (Atkins & Williams 1995; Neary 2000; Bray & Nettleson 2007; Stenfors-Hayes et al. 2011) 

  • may not engage in reflection personally, and as a result, may not sufficiently motivate students (Sandars 2009; Van Schaik et al. 2013) and 

  • may not have the time or interest to invest in learning how to facilitate student learning through reflection (Wade & Yarboourgh 1996; Pearson & Heywood 2004; Sandars 2009).


이들 연구와 함께 그리고 이 연구를 통해 나타난 것은 포트폴리오를 사용할 때 성공에 필요한 조건을 설명하는 문헌의 한 부분이었다. 

  • 목적을 명확하고 유연하게 의사소통

  • 학습자의 프라이밍

  • 학습자 중심의 구조 

  • 효과적인 멘토링

  • 총괄 평가와 그 한계 및 영향의 고려 

  • 효과적인 서면 피드백과 종단적 피드백

  • 교과과정에 의무적으로 통합.

Emerging alongside and through these studies has been a body of literature describing the conditions necessary for success when using portfolios; these include 

  • a clearly a flexible communicated purpose, 

  • priming of learners, 

  • learner-centered structure, 

  • effective mentorship, 

  • consideration of summative assessments along with their limitations and impact, 

  • effective written feedback and longitudinal, 

  • mandatory integration into the curriculum 

(Wade & Yarboourgh 1996; Roberts et al. 2003; Shumway & Harden 2003; Pearson & Heywood 2004; Driessen et al. 2005; Sandars 2009; Van Tartwijk & Driessen 2009; Reis et al. 2010; Aronson 2011; Donato & George 2012; Wald et al. 2012; Dekker et al. 2013; Van Schaik et al. 2013; Dannefer 2013).


본 연구의 목적은 멘토 중심의 RW를 활용한 학부 의료 교육 포트폴리오 이니셔티브에서 가르치고 배우는 사회적 과정을 탐구하는 것이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social process of teaching and learning in an undergraduate medical education portfolio initiative using mentor-facilitated RW. 


방법 

Methods


과정 설계 Course design


캐나다 주요 의과대학의 3학년 의대생 180명이 새로운 반사 포트폴리오 과정에 등록했는데, 그 목적은 멘토 중심의 RW를 통해 전문적 발전과 성찰 능력을 촉진하는 것이었다. 학생들은 7~8명 26개 그룹으로 나뉘어 교수진 멘토를 배정받았는데, 모두 서부대학교에서 학업에 종사하는 임상 활동 의사였다. 학생들은 서술의학(표 1) (Charon 2001, 2006)의 원칙에 근거한 RW 프롬프트에 대응하여 한 해 동안 안전한 서버를 통해 4개의 RW 항목을 멘토에게 전자적으로 제출하고, CaRMS(Canadian Locker Matching Service)를 준비하기 위한 CV 및 개인 진술서를 제출해야 했다. 멘토들은 추가반성을 촉진하기 위해 각 RW 참가 후 2주 이내에 서면 피드백을 제공해야 했고, 학생들은 피드백을 받고 2주 이내에 피드백에 응답해야 하며, 3부로 구성된 서면 대화를 만들었다.

One-hundred eighty third-year medical students at a major Canadian medical school were enrolled in a new reflective portfolio course, the purpose of which was to stimulate professional development and reflective capacity through mentor-facilitated RW. Students were divided into 26 groups of 7–8 students and assigned a faculty mentor, all of whom were clinically active physicians with academic appointments at Western University. Students were expected to submit four RW entries to their mentor electronically via secure server over the course of the year, in response to RW prompts based on principles of Narrative Medicine (Table 1) (Charon 2001, 2006), as well as a CV and personal statement in preparation for Canadian Resident Matching Service (CaRMS). Mentors were required to provide written feedback within two weeks of each RW entry to promote further reflection, and students were required to respond to feedback within two weeks of receipt, creating a three-part written dialogue.



학생-멘토간 상호작용을 촉진하기 위해, 세 번의 대면 미팅도 올해까지 예정되었다. 

형태 형성적 피드백과 종합적 피드백을 위한 초기 그룹 소개 회의 

    • 수강생들은 강좌의 성격, 목적, 물류, 목표에 대해 두 번의 1시간짜리 입문 세션(부록 A, 온라인에서 보충 자료로 이용 가능)을 받았다. 

    • 멘토들은 같은 이유로 1.5시간 동안 입문 교육을 받았으며, 성찰 학생 글쓰기에 대한 서면 답변 작성에 대한 경험적 스킬 훈련(부록 B, 온라인 보충 자료로 이용 가능)도 받았다. 

    • 한 해 동안, RW에 숙련된 3명의 슈퍼멘토들이 교수 멘토에게 지원을 제공하였고, 멘토-학생 교환을 최소 두 번 이상 검토하였으며, 선택적 보충 RW 스킬 연수를 연중 중간중간에 제공하였다. 

    • 멘토에게는 피드백을 구성하기 위해 생산된 RW의 수준을 식별하는 데 도움이 되는 두 가지 선택적 루브릭이 제공되었다. 루브릭은 평가에 공식적으로 사용되지 않았다. 

    • 형성적 및 총괄적 드백이 모든 학생들에게 제공되었다(부록 C, 온라인에서 보충 자료로 제공). 코스는 필수 과목이었고 사용된 자격은 합격/불합격이었다.

To help facilitate student–mentor interactions, three face-to-face meetings were also scheduled through the year: an initial group introductory meeting, for formative feedback and for summative feedback. 

    • Students received two one-hour introductory sessions on the nature, purpose, logistics and goals of the course (Appendix A, available as supplementary material online). 

    • Mentors received a 1.5 h introductory training session for the same, as well as experiential skills training on crafting written responses to reflective student writing (Appendix B, available as supplementary material online). 

    • Throughout the year, three supermentors skilled in RW provided support to faculty mentors, reviewing the mentor–student exchange at least twice, and providing optional supplementary RW skills training mid-way through the year. 

    • Mentors were provided two optional rubrics to assist in identifying the level of RW produced in order to construct feedback; rubrics were not formally used for assessment. 

    • Formative and summative feedback was provided to all students (Appendix C, available as supplementary material online). The course was mandatory and the qualifications used were pass/fail.


윤리 Ethics approval


연구 설계, 모집, 샘플링 Study design, recruitment and sampling


1단계 완료(질문자 – 부록 D 및 E 참조, 온라인 보충 자료)는 참가 학생과 멘토가 2단계(학생 포커스 그룹 세션 또는 멘토 인터뷰)를 위해 연락을 받기를 원한다는 것을 암시했다.

Completion of the first stage (questionnaire – see Appendix D and E, available as supplementary material online) implied consent that participating students and mentors wished to be contacted for the second stage (student focus groups session or mentor interviews).


참여자 Participants


설문 Questionnaires


설문지에 대한 학생과 멘토 응답은 포커스 그룹과 인터뷰 가이드를 개발하고 다듬는 토대가 되었다.

Student and mentor responses to questionnaires served as a foundation to develop and refine the focus group and interview guides.


포커스그룹 Focus groups


설문지 결과(부록 F, 온라인 보충 자료로 이용 가능)에서 발생하는 주제를 탐구하는 개방형 가이드를 사용하여 포커스 그룹 논의를 촉진했다. 모든 포커스그룹 세션은 1시간이었고 독립적인 연구 보조자에 의해 운영되었다.

Focus group discussions were facilitated using an open-ended guide that explored themes emerging from questionnaire results (Appendix F, available as supplementary material online). All focus group sessions were one hour and run by an independent research assistant.


인터뷰 Interviews


포트폴리오 과정 멘토와 개별 면접은 직접 또는 전화로 진행했다. 설문지 결과, 학생 포커스 그룹 응답 및 연구자 토론에서 개발된 개방형 인터뷰 가이드가 사용되었다(부록 G, 보충 자료로 온라인에서 이용 가능).

Individual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portfolio course mentors either in person or by telephone. An open-ended interview guide, developed from the questionnaire results, student focus group responses and researcher discussion, was used (Appendix G, available as supplementary material online).


질적 분석 Qualitative analysis


본 연구의 데이터 수집은 Charmaz(2006)가 설명한 바와 같이 이론적 충분성에 도달했다고 저자들이 느꼈을 때 중단되었다.

Data collection for this study ceased when the authors felt that theoretical sufficiency was reached, as described by Charmaz (2006).


근거 이론 연구(Charmaz 2006)에서 권장한 바와 같이, 코드를 비교하고 코드 간의 관계를 식별하기 위해 일정한 비교 방법을 사용했다. 세 명의 조사관은 여러 단계에서 함께 분석을 논의했고, 차이점을 논의하여 해결했으며, 새로운 주제를 뒷받침하는 자료의 인용구들이 확인되었다. 코딩이 개선된 후에는 코드 간의 관계를 더 자세히 탐구하고 데이터를 개념적 수준으로 끌어올리기 위해 분석을 실시했다.

The constant comparative method of analysis was used to compare codes and identify relationships between codes, as is recommended for a grounded theory study (Charmaz 2006). The three investigators discussed the analysis together at multiple stages; differences were discussed and resolved, and quotations in the data were identified that supported the emergent themes. Once the coding was refined, analysis was conducted to further explore the relationships between codes and to elevate the data to a conceptual level.


결과 

Results


취약점 및 적응성 행동

Points of vulnerability and acts of adaptability


[취약점]은 학생-멘토 참여의 저하에 작용했고 [적응성 활동]은 참여도를 향상시키는 데 작용했다.

Points of vulnerability worked to degrade student–mentor engagement, and acts of adaptability worked to enhance engagement.


학생-멘토 참여

Student–mentor engagement


참여가 이루어지면 학생들과 멘토들이 충분히 가치 있는 관계를 형성하여 과정에 참여하여 포트폴리오의 긍정적인 성과를 이루었다. 학생들은 [자신의 경험을 기꺼이 공유하고자 하는 접근 가능한 멘토]가 있다면, 첫 만남에서 빠르면 참여engagement 과정이 시작될 수 있다는 것을 확인했다.

When engagement was achieved, students and mentors formed fully a valuable relationship, participated in the course and achieved the positive outcomes of portfolio. Students identified that with an approachable mentor who is willing to share their own experiences, the engagement process could begin as early as the initial meeting.


또 다른 학생은 경험을 공유하려는 멘토의 의지그 의지가 제공하는 확신에 대해 자세히 설명했다.

Another student elaborated on their mentor’s willingness to share experiences and the reassurance this provided.


나의 멘토는 반응이 매우 능숙했고, 뭔가를 validate해주었거나, 심지어 그녀 자신의 예를 들고 나와 동일시했다. 의사가 '나도 네 입장이었던 적이 있고, 나도 전에 이런 느낌을 받았어. 네가 원한다면 할 수 있는 일에 대한 몇 가지 제안이야.'라고 말하는 것은 정말 안심할 수 있었다. (학생, FG#1)

My mentor was very good about her responses and she would either validate things or even come up with her own examples and identify with me. And that was really reassuring to have a physician say, ‘I have been in your shoes and I have felt this way before, these are some suggestions as to what you could do if you wanted to’ (Student, FG#1).


취약점과 적응성 행동 사이의 복잡한 관계를 고려할 때, 참가자마다 학생-멘토 참여 경험이 매우 달랐다. 

Given the complex relationship between points of vulnerability and acts of adaptability, participants had very different experiences of student–mentor engagement. As one mentor summarized


취약점 Points of vulnerability


(1) 구조

(1) Structural


구조적 취약성은 포트폴리오 커리큘럼에서 RW 설계에 내재된 취약성이다. 다수의 학생들이 파악한 구조적 취약성의 한 형태는 RW 프롬프트 형식이었다. 일부 학생들은 프롬프트가 제공하는 초점을 높이 평가했지만, 다른 학생들은 이러한 프롬프트가 개인적인 의미를 갖는 경험을 선택함으로써 글쓰기에 관여하는 능력을 제한한다고 지적했다.

Structural vulnerabilities are vulnerabilities inherent to the design of the RW in the portfolio curriculum. One form of structural vulnerability identified by a number of students was the format of RW prompts. Although some students appreciated the focus provided by the prompts, others indicated that these prompts restricted their ability to engage with the writing by choosing an experience that held personal meaning.


또 다른 구조적 취약성의 원천은 학생들이 RW의 잠재적 청중에 대해서 정직해지는 능력에 관한 것이었다. 어떤 학생들은 서면 성찰을 통해 더 정직해질 수 있다고 느꼈지만, 다른 학생들은 학생-멘토 관계를 넘어 인식된 익명성이 부족하기 때문에 글을 쓸 때 '선택적'이 된다고 했다. "익명이 아니며, 포트폴리오도 익명으로 만들어지지 않는다. 익명성이 부족하면 자연스럽게 약간 방어적이 된다."(학생, FG#2) 또 다른 학생은 "개인적으로 너무 사적인 이야기일 것이기 때문에 내가 말하고 싶지 않은 것들이 있다고 느꼈을 수도 있는 몇 가지 점들이 있었다"고 말했다. 나는 아무것도 공유할 수 있을 것 같지가 않았다."(학생, FG#1)

Another source of structural vulnerability surrounded the ability of students to be honest in RWthat was for an audience. While some students felt that they could be more honest through written reflection, others indicated being ‘‘selective’’ in what they wrote because of a lack of perceived anonymity beyond the student–mentor relationship, ‘‘It’s not anonymous, the portfolio is not made to be anonymous. With lacking anonymity there comes a bit of guardedness by nature’’ (Student, FG#2). Another student elaborated, ‘‘There were some points where I might have felt like there were some things I wouldn’t want to talk about because it would be too personal ...I definitely didn’t feel like I could share [just] anything’’ (Student, FG#1).


학생들은 자신의 RW를 비밀번호로 보호되고 안전한 서버에 업로드했고 각각의 성찰은 개인 멘토에 의해서만 볼 수 있었다. 이런 안전장치에도 불구하고 일부 학생들은 여전히 공개적으로 성찰할 만큼 안전하다고 느끼지 못했다. 한 학생은 일부 멘토들이 학생들이 지원을 고려하고 있는 레지던트 프로그램의 에서 영향력 있는 구성원이었다는 사실에 영향을 받을 수 있다고 말했다.

Students uploaded their RWpieces to a password-protected, secure server, and each reflection was only viewed by their individual mentor. Despite these safeguards, some students still did not feel safe enough to reflect openly. One student indicated this could be influenced by the fact that some mentors were influential members of departments that students may be interested in applying to for residency programs


다른 구조적 취약성의 지점은 학생-멘토 대화와 서면 반사에 대한 멘토 피드백을 위한 주된 의사소통 형태로서 온라인 대화를 사용하면서 발생했다. 한 학생이 설명했듯이'''이메일로 멘토와 실제로 소통하는 것은 어려웠다. 이메일 토론은 상당히 제한적이었다"고 말했다. 한 멘토는 "이메일을 통해 일하는 것에 매우 익숙하지만, 바디랭귀지를 못 본다는 것이 제약이 됨을 느낀다. 나는 이메일을 통한 의사소통을 과도하게 해석하지 않으려고 노력했지만, 그렇지 않기란 어렵다."고 상세히 설명했다. (멘토 #7).

Other points of structural vulnerability arose with the use of electronic dialogue as the predominant form of communication for student–mentor dialogue and mentor feedback about the written reflection. As one student explained, ‘‘It was hard to really communicate with mentors via email. The discussions were quite limited’’ (Student via questionnaire). A mentor elaborated by saying, ‘‘Although I’m very used to working through email, I sense that the lack of my ability to see body language in a way hindered me. I was trying to not over interpret communications through email, but it is hard not to’’ (Mentor #7).


(2) 적성 (2) Aptitudinal


적성 취약성은 멘토와 학생의 타고난 기술 집합의 가변성을 가리킨다. 참여자들의 적성이 포트폴리오 경험에 큰 역할을 하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학생들은 글쓰기와 성찰 모두에서 다양한 수준의 기술을 가지고 그 과정에 입학했다. ''...왜 모든 사람이 그것을 좋아하지 않는지에 대한 한 가지 이유일 수 있다. 모든 사람이 작가도 아니고, 생각을 글로 쓰는 것을 좋아하는 것은 아닐 수도 있기 때문이다."(학생, FG#1)

Aptitudinal vulnerabilities refer to variability in the innate skill sets of mentors and students. The aptitude of participants was observed to play a major role in their experience of portfolio. Students entered the course with varying skill levels in both writing and reflection. ‘‘...Because maybe that is one element as to why not everybody likes it, not everybody is a writer or likes to put their thoughts on paper’’ (Student, FG#1).


마찬가지로, 모든 멘토들이 효과적인 피드백을 제공하는 적성에 있어서 동등하지는 않았다. 학생들은 모호하고 간단하게 진술에 근거한 피드백, ''...내가 누군가에게 뭔가를 쓰고 있다면 '잘했어, 너의 성찰에 감사해'(FG#2)보다 더 많은 답변을 바랄 것이라고 지적했다. 또한 멘토들이 성찰의 내용을 다루기보다는 문법이나 철자법과 같은 RW의 기계적 측면에 초점을 맞출 때 적성적 취약성이 발생하였다.

Similarly, not all mentors were equal in their aptitude for providing effective feedback. Students pointed out that there was little to gain from feedback that was vague and simply statement-based, ‘‘...if I’m writing something to someone, I’d hope for more of a response than, ‘Good job, I appreciate your reflection’’’ (Student, FG#2). Aptitudinal vulnerability also arose when mentors focused on mechanical aspects of the RW entry, such as grammar and spelling, rather than addressing the content of the reflection.


불충분하거나 도움이 되지 않는 멘토 피드백은 이전에 관심이 있었던 학생들에게도 부정적인 결과를 초래할 수 있었다.

Insufficient or unhelpful mentor feedback was capable of producing negative consequences, even for previously interested students.


처음에는 정말 신났던 것 같아, 내가 말했듯이, 난 글 쓰는 걸 좋아해. 나는 내 멘토를 만났고 그녀가 합리적인 사람이라고 생각했지만 피드백은 없었다. 주로 한 문장에 그쳤다. 그 이후로 나는 그렇게 흥분되지 않았다(학생, FG#2).

I think at the beginning I really felt kind of excited about it, like I said, I like to write. I met my mentor and thought she was a reasonable person and then the feedback wasn’t there, it was kind of like one sentence. Then I wasn’t as excited (Student, FG#2).


(3) 문화

(3) Cultural


'문화적 취약성'은 동료, 동료 및 교사의 국소적 태도 또는 의료계 내의 전반적 태도가 포트폴리오에 대한 학생들의 태도에 영향을 미쳤을 때 관찰되었다. 예를 들어, 열정적으로 포트폴리오에 들어간 학생들은 또래들 사이의 부정적인 태도에 취약했다.

Cultural vulnerabilities’ were observed when the attitudes of peers, colleagues and teachers locally, or the attitudes within the global medical community, influenced student attitudes toward portfolio. For example, students who entered portfolio with enthusiasm were vulnerable to the negative attitudes amongst their peers:


만약 다른 모든 사람들이 그것을 귀중한 도구로 본다면, 궁극적으로 당신에게도 영향을 미친다.

if everyone else looks at it as an invaluable tool, then ultimately it does impact you (Student, FG#3).


그 해 포트폴리오가 새로운 과정이었기 때문에 '실험쥐' 또는 '기니아피그'라는 느낌이 들었다는 학생들의 논평을 통해 또 다른 형태의 문화적 취약성이 관찰되었다.

Another form of cultural vulnerability was observed through students commenting that the class had a sense of being ‘‘lab rats’’ or ‘‘guinea pigs’’ because portfolio was a new course that year:


작년 학생들은 이렇게 할 필요가 없었다. 이제는 우리 모두가 써야 한다.

Like, last year’s group didn’t have to do this, and now we all have to write (Student, FG#4).


멘토들의 태도는 문화적 취약성의 또 다른 측면이었다. 한 학생이 이렇게 설명했다.내 생각에 너는 학생뿐만 아니라 교수의 buy-in도 필요할 할 것 같다. 그리고 학생들이 초반에 교수진으로부터 부정적인 경험을 하며, 학생들은 의욕이 떨어질 것이라고 생각한다."(학생, FG#4) 교수가 "기본적으로 이렇게 성찰을 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하지 않고, 이렇게 하는 것을 원하지 않는다"고 말한 학생이 있었는데, 이 경우 전반적인 문화가 의미 있는 RW 경험을 유도하지 않았다.

Attitudes of mentors were another aspect of cultural vulnerability. A student explained, ...I think you just need faculty buy-in, as well as student buy-in. And I think when the students get a bad taste from the faculty initially, then the students are going to be less motivated’’ (Student, FG#4). For a student whose ‘‘preceptor basically said she didn’t think reflecting like this was important and didn’t want to be doing this’’ (Student via questionnaire), the overarching culture was not conductive to a meaningful RW experience.


(4) 시간적

(4) Temporal


시간적 취약성은 과제의 시기, 피드백 시기, 더 큰 규모로 의대 교육과정 내 포트폴리오 과정 시기 등에 내재된 변수였다. 몇 달 후에 멘토 피드백을 받았을 때, 학생들은 피드백을 더 중요하게 여기지 않았고, RW를 완성하려는 동기도 덜했으며, 수업에서 이익을 얻는 것처럼 느낄 가능성도 덜했다. 한 학생은 제출 후 몇 달 후 피드백에 대한 그녀의 반응을 "3개월 후였기 때문에 그것에 대해 생각조차 하지 않았다. 나는 '무슨 상황이었는지도 기억나지 않는다"고 말했다. 피드백이 지연되었을 뿐만 아니라 어떤 경우에는 완전히 부재한 경우도 있었다. 열린 마음과 열정으로 코스에 접근한 많은 학생들에게 지각하거나 부재한 피드백은 과정을 완전히 '관심을 끄게 만들기' 충분했다.

Temporal vulnerabilities were variables inherent to the timing of assignments, the timing of feedback, and on a larger scale, the timing of the portfolio course within the medical school curriculum. When students received mentor feedback months later, they were less likely to value the feedback, less motivated to complete their RWpieces and less likely to feel as though they benefitted fromthe course. One student described her reaction to feedback months after the submission by saying, ‘‘I didn’t even bother thinking about it because it was three months down the line. I was like, ‘I don’t even remember what the situation was’’’ (Student, FG#4). In some instances, feedback was not only delayed, but entirely absent. For many students who approached the course with an open mind and enthusiasm, late or absent feedback was enough to ‘‘turn them off’’ the process entirely.


그러나 학생들은 이 과정에서 상호주의를 인정했다.

However, students did acknowledge reciprocity in this process,


쌍방향적인 것이다. 내가 마감일을 잘 못 맞추었다...내가 그것을 하기 위해 그녀에게 시간을 준 것에 비추어 볼 때, 나는 그녀가 의미 있는 피드백을 하기를 기대할 수 없었다. 내 생각에 내 스승은, 내가 더 일찍 그녀에게 내 RW를 더 잘 주었다면, 그녀는 더 잘 했을 것이다...(학생, FG#4)

...it’s a two-way street. I wasn’t good at my deadlines ...there was no way I could expect her to give meaningful feedback, given the amount of time I gave her to do it ...I think my preceptor, she would have done a better job if I had done a better job in giving her my stuff earlier ...(Student, FG#4)


멘토들은 또한 ''때로는 RW를 읽고, 나의 관찰/질문을 공식화하고, 며칠 안에 학생들에게 대답할 시간을 찾기가 어려웠다"고 말하며 시간 관리를 취약점으로 파악했다. 다시 말하지만, 이 과제는 나에게 늦게 추가된 것이었고, 따라서 나에게 있어서 시간적 측면에서 competing interest였다."(설문서를 통한 의견서).

Mentors also identified time management as a point of vulnerability, saying, ‘‘Sometimes it was difficult to find the time to read the reflections, formulate my observations/ questions and respond to the students within a few days. Again, this assignment was a late addition for me thus the competing interest for my time’’ (Mentor via questionnaire).


(5) 관계

(5) Relational


관계상 취약성은 성공적인 학생-멘토 관계를 형성하는 참가자의 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대인관계 상호 작용으로 분류되었다. 학생들이 멘토의 노력이나 열정이 낮다고 느꼈을 때, 이는 학생-멘토 관계를 형성하는 능력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Relational vulnerabilities were categorized as interpersonal interactions that influenced the ability of participants to form a successful student–mentor relationship. When students perceived mentor effort or enthusiasm to be low, this had a negative impact on their ability to form a student–mentor relationship.


그 결과 모든 관계가 성공적으로 발전한 것은 아니었다. 학생과 멘토 관심사나 개인적 경험을 공유하는 편안함 수준에서 불일치가 발생하면 어려움이 발생했다. 한 학생이 설명했듯이, '...한 번 만난 적 있는 사람에게 사적인 얘기를 많이 한다. 동시에 그 모임에서 어떤 형태의 관계도 형성하지 않았을지도 모른다."(학생, FG#4)

As a result, not all of the relationships developed successfully. Difficulties arose if there was a mismatch between student and mentor interest or comfort level sharing personal experiences. As one student described, ‘‘...you’re talking about a lot of fairly personal things to someone who you have possibly met once. And you may not even have formed any form of a relationship in that meeting’’ (Student, FG#4).


또 다른 학생은 그 과정이 '마음을 쏟아 부었는데, 아무도 당신에게 답을 주지 않는다면, 그것은 정말 나쁜 경험이다'(학생, FG#4)라는 바로 성찰의 개인적 성격 때문에 피드백 부족에 취약하다고 강조했다.

Another student emphasized that the process was vulnerable to a lack of feedback due to the very personal nature of reflection, ‘‘if you pour your heart out, and then no one gets back to you, it’s kind of a really bad experience’’ (Student, FG#4).


멘토들도 이 취약성을 알아봤고, 한 명은 이렇게 말하며 정교하게 설명했다.

Mentors recognized this vulnerability as well, and one elaborated by saying


학생들은 자신의 생각과 감정을 여러 가지 방법으로 전달하고 있다. 교직원인 교직원이 해야 할 감성적인 요소와 전문화된 접근방식이 추가된 것 같다. 만약 사람들이 그들의 영혼을 드러내고 있다면, 우리는 매우 지지적인 방법으로 피드백을 제공할 수 있어야 한다. 나는 그것이 전통적인 교수 역할(멘토 #5)과는 결정적인 차이점이라고 생각한다.

They’re conveying in many ways their thoughts and feelings. I think there’s an added element of sensitivity and a specialized approach that the teacher, the faculty member, needs to make. If people are baring their souls, we want to be able to provide feedback in a very supportive way. I think that’s a critical difference from the traditional teaching role (Mentor #5).


멘토들은 또한 학생-멘토 관계가 늦은 제출을 위해 "추적"해야 하는 상황으로 만들어질 경우 취약하다는 것을 확인했다.

Mentors also identified that the student–mentor relationship was vulnerable if they were made to ‘‘chase’’ or ‘‘hound’’ students for late submissions.


...학생들 중 몇 명은 전 과정에 대해 완전히 저항했다. 그리고 마치 내가 여기서 봉사활동을 하는 것처럼 느껴지고 너희들이 결과를 제출하도록 괴롭히지 않을 거야. 너희는 다 큰 성인이다. 가라앉든지, 수영을 하든지 둘 중 하나다(멘토 #8).

...a couple of the students were just totally resistant to the whole course. And feeling like here I am spending my volunteer time and I’m not going to hound you guys to hand in your results. You’re grown up adults. You can sink or swim (Mentor #8).


적응성 행동

Acts of adaptability


적응성 활동은 취약점에 대응적이거나 선제적으로 발생하며 개인 또는 시스템 수준에서 발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쓰기의 구조적 취약성은 ''제한적'''으로 프롬프트된다. 이는 학생들이 적절하고 반성할 가치가 있다고 느끼는 임상 사건에 대해 쓸 수 있도록 하는 "열린" 프롬프트를 제공하는 방식으로 대응적으로 행동한 과정 관리자 수준의 적응성 행동으로 나타났다.

Acts of adaptability occurred either responsively or preemptively to points of vulnerability and could occur at the individual or system level. For instance, the structural vulnerability of writing prompts as ‘‘restrictive’’. This emerged as an act of adaptability at the level of course administrators who acted responsively to provide ‘‘open’’ prompts that allowed students to write about any clinical event that they felt was relevant and worthy of reflection.


또 다른 시스템 적응성의 행위는 코스 관리자가 연초에 멘토를 대체하기 위해 행동할 때 일어났다. 학생들은 서로 다른 두 멘토 사이의 경험에서 극명한 대조를 보인 것에 대해 다음과 같이 평했다.

Another act of system adaptability occurred when course administrators acted to replace a mentor early in the year. Students commented on the stark contrast in their experience between the two different mentors:


''우리의 멘토 경험은 처음에는 매우 열악했다. 나는 우리가 그것을 교수진에게 가져다주었을 때 이 문제가 얼마나 빨리 해결되었는지에 매우 감명받았다. 그 경험은 결국 대단했다"고 말했다.

the ‘‘Our mentor experience was very poor at beginning. I was very impressed by how quickly this was addressed when we brought it to faculty. The experience was great in the end’’ (Student via questionnaire).


비록 피드백의 질이 적성적 취약점으로서 작용했지만, 멘토들이 학생들과 함께 시간을 내어 그들의 성찰을 실제로 탐구할 때 적응력이 발휘되었다. 학생들은 '나의 멘토가 그 과정에 중요한 역할을 했고 우리에게 더 깊은 문제를 탐구하도록 자극했다'(설문서를 통해 학생)고 성찰하도록 강요한 멘토들에게 고마움을 표시했다.

Although the quality of feedback served as a point of aptitudinal vulnerability, an act of adaptability occurred when mentors took the time to work with students to actually explore their reflections. Students appreciated mentors who pushed them to pursue their reflections in more depth, ‘‘My mentor was instrumental to the process and provoked us to explore deeper issues’’ (Student via questionnaire).


학생과 멘토 모두 시나 예술과 같이 성찰에 적합한 다른 양식이 있다는 것을 확인했으나, 적응력이 더 높아질 수 있는 기회를 놓쳤다. 한 학생의 요청에 따라, 한 멘토는 "나는 그들 중 한 사람에게 시로 쓸 수 있는 자유를 주었다. 이것은 비록 내가 반성을 '차감'하는 것이 더 어렵지만 매우 도움이 되었다."라고 말했다.

There was a missed opportunity for greater adaptability, as both students and mentors identified that there are other modalities suitable for reflection, for example, poetry or art. At the request of one student, a mentor commented, ‘‘I gave freedom to one of them to write in poetry – this was very helpful although more difficult for me to ‘tease out’ the reflection’’ (Mentor via questionnaire).


일부 멘토들은 학생들에게 그들 자신의 성찰적 글쓰기 사례를 제공함으로써 기대 이상의 성과를 거두었다.

Some mentors went beyond expectations by providing students with examples of their own written reflections.


그래서 매번 프롬프트가 나올 때마다 하나를 골라서 내 스스로 반성문을 써서 학생들에게 제출했지...나로서는 내가 스스로 하지 않을 것을 사람들에게 부탁해서는 안 된다는 생각이 들었다(멘토 #4). 

So every time a prompt came out, I chose one and I did my own reflective writing and submitted it to my students ...for me I felt like I shouldn’t ask people to do something I wasn’t willing to do myself (Mentor #4). 


학생들은 이러한 감정에 동의했고 많은 학생들은 일부 멘토들이 보여준 이러한 수준의 헌신에 감사를 표했다. 

Students agreed with this sentiment and many expressed an appreciation for this level of commitment displayed bysome mentors 


...이것은 정말로 그들이 자신의 취약점이나 어려운 경험을 당신에게 보여줄 수 있게 해주며, 그래서 아마도 당신은 그들과 자신의 일부를 공유하는 것에 더 편안함을 느낄지도 모른다... 그렇게 하는 것이 더 쉽다, 만약 당신이 어떤 상호작용을 가지고 있다면, 누군가에게 개인적인 감정을 공개하는 것이 더 쉽다.

...it really allows them to maybe showcase some of their vulnerabilities or their difficult experiences with you and as such maybe you feel more comfortable sharing some of your own with them...it’s easier to do that, to disclose personal feelings to somebody if you have some reciprocity (Student, FG#2). 


토론, 고찰

Discussion and conclusion


우리의 결과는 포트폴리오를 취약한 학습 방법으로 기술한 이전 문헌을 확인하고, 이 개념을 특정 취약점을 식별하고 분류함으로써 확장하며, 학생과 교직원 관계를 강화하는 데 도움이 되는 적응성 활동에 관한 새로운 지식을 기여한다. 우리는 [학생-멘토 참여가 긍정적인 학습 경험 창출의 중심]이 되는, [학생-멘토 참여의 저하를 초래하는 취약점]과 [참여도를 향상시키는 데 효과가 있는 적응성 행동]의 동적 상호작용에 의해 형성되는 포트폴리오 기반 학습 모델(그림 1)을 제안한다. 

Our results confirm previous literature describing portfolio as a vulnerable method of learning, extend this concept by identifying and categorizing specific points of vulnerability and contribute new knowledge regarding acts of adaptability,which serve to strengthen the student–mentor relationship. We propose a model for portfolio-based learning (Figure 1) in which student–mentor engagement is central to creating a positive learning experience and shaped by the dynamic interaction between points of vulnerability, which work to degrade student–mentor engagement, and acts of adaptability,which work to enhance engagement. 



이 모델은 참여 이론과 유사성을 공유하는데, 기본적인 개념은 학생들이 다른 사람과의 상호작용과 가치 있는 과제를 통해 의미 있게 학습 활동에 임해야 한다는 것이다(Kearsley & Schneiderman 1999).

This model shares similarities to Engagement Theory, where the fundamental concept is that students must be meaningfully engaged in learning activities through interaction with others and worth-while tasks (Kearsley & Schneiderman 1999).


드라이센 외 (2005)는 포트폴리오를 "취약한" 학습 방법으로 가장 먼저 설명한 연구로서, [열악한 멘토링, 정의되지 않은 커리큘럼 구조, 학생 평가 부족, 성찰할 의미 있는 경험 부족]과 같은 불리한 조건들이 실망스러운 결과에 기여했다고 보고했다. Driessen 외 (2005) 포트폴리오의 성공적인 성찰적 사용에 필요한 조건의 리스트는 다른 그룹에 의해 확장되었고, 많은 그룹에서 [멘토링, 피드백, 학습의 지지적 문화의 중요성]에 대해 보고하였다(Westberg & Jason 2001; Mann et al). 2009;토첼 외 2009; Stenfors-Hayes et al. 2011; Arntfield et al.2013; Dekker et al. 2013; Van Schaik et al. 2013).

Driessen et al. (2005) were the first to describe portfolio as a‘‘vulnerable’’ method of learning and reported that adverse conditions such as poor mentoring, undefined curricular structure, lack of student assessment and lack of meaningful experiences on which to reflect contributed to disappointing outcomes. Driessen et al.’s (2005) corollary list of conditions required for successful reflective use of portfolios was subsequently expanded upon by others, with many groups reporting on the importance of mentorship, feedback and supportive cultures of learning (Westberg & Jason 2001; Mann et al. 2009;Tochel et al. 2009; Stenfors-Hayes et al. 2011; Arntfield et al.2013; Dekker et al. 2013; Van Schaik et al. 2013).


포트폴리오의 진화에 도움이 되는 이 연구의 새로운 발견은 [적응성의 반응성과 선제적 행동이 상당히 강력할 수 있다]는 것이다; 일부 학생들과 멘토들은 적응성의 행동을 통해 완전히 참여하게 되었다. [반응성]과 [적응성의 선제적 행동]은 포트폴리오 과정에서 "one size fits all" 사고방식이 가질 수 있는 폐해를 강조하며, 특정 의료 교육 기관에 포트폴리오 과정을 맞춤화할 필요성을 보여준다.

A new finding from this study that assists in the evolution of portfolios is the responsive and pre-emptive acts of adaptability could be quite powerful; some students and mentors were resistant became fully engaged through these acts of adaptability. Responsiveness and pre-emptive acts of adaptability highlight the disservice that a ‘‘one size fits all’’ mentality can have in portfolio courses, and stress the need to tailor portfolio courses to specific medical education institutions.


학생-멘토 참여와 관련하여, 우리는 참여가 양방향적이고 주기적인 과정이라는 것을 발견했다. 즉, [학생과 멘토 참여 사이의 강한 불일치]는 양 당사자의 결과에 해를 끼치게 된다. 반대로 초기 참여가 제한적일지라도, 양쪽에서 참여가 작동한다면, 더 긍정적인 방식으로 강화되었다드리센 앤 스크힐(2013년)은 이런 현상을 멘토링과 멘티의 부적절한 매칭이 있는 멘토링에 대한 관계적 장벽으로 설명한다. 마찬가지로 잭슨 외 연구진. (2003)은 친구나 가족과의 관계만큼 복잡할 수 있고, 개인적일 수 있는 멘토링 관계에서 '케미'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With respect to student–mentor engagement, we found that engagement was a bi-directional and cyclical process in which a strong mismatch between student and mentor engagement was damaging to outcomes for both parties, while even limited initial engagement, when it came from both participants, fedforward in a positive fashion. Driessen & Scheele (2013) describe this phenomenon as a relational barrier to mentoring, where there is inadequate match of mentor and mentee. Likewise, Jackson et al. (2003) highlighted the importance of ‘‘chemistry’’ in the mentoring relationship that can be as complex as the relationships with friends or family and as equally personal. 


멘토들은 [제시간에 과제를 제출하지 않은 학생]들을 대할 때 겪게 되는 과정과, 질이 떨어지는 제출물을 평가하기 위해 고군분투해야 할 때 겪는 고충을 토로했다. 이에 학생들은 자기 생각에도 질 낮은 과제를 제출하면, 멘토들로부터 질 높은 피드백을 기대하지 않는다고 보고했다. RW 과정에서 개인적 감정과 경험을 공개하는데 필요한 신뢰를 쌓기 위해서는 [긍정적인 관계를 구축하는 것]이 필수적이었고, 많은 학생들은 이러한 신뢰나 관계를 육성하기 위하여, 멘토링 과정 초기에 개별적으로 또는 학생(들)과 만났거나, 자신의 성찰적 작업물을 공유한 멘토를 높이 평가하였다. 

Mentors reported their motivation to engage in the process suffered when dealing with students who did not hand in work on time and when they had to struggle to evaluate submissions that were of poor quality. In turn, students reported they did not expect quality feedback from their mentors if they knowingly handed in poor-quality work. Establishing a positive relationship was integral to students developing the trust necessary to disclose personal feelings and experiences during the RW process, and many students appreciated mentors who met individually or as a group with students at the beginning of the process to foster this or relationship, who demonstrated reciprocity by sharing their own reflective work.


[학생과 멘토 저항]이 [인문학 기반 커리큘럼 개입]의 1차적 실패 원인임을 감안한다(샤피로 외). 2009년), 긍정적이고 장기적인 문화 변화를 육성하는 능력은 포트폴리오의 성공 요건이 될 것이다. 이와 관련, 가장 최근의 체계적 검토에서는 '문화가 (성찰이라는) 전략을 정당화하지 않으면, 성찰은 사용되지 않을 것이고, 그 잠재적 편익을 상실할 것이며, 부정적인 경험이 발생할 수 있다'(p. 615)고 기술하고 있다.

Given that student and mentor resistance is the primary cause of failure for humanities based curricular interventions (Shapiro et al. 2009), the ability to foster positive, long-term culture change will be a requirement for portfolio to succeed. In keeping with this, the most recent systematic review states that ‘‘if culture does not legitimize the strategy, reflection may not be used, potential benefits may be lost, and negative experiences may result’’ (p. 615).







. 2016;38(2):196-205.
 doi: 10.3109/0142159X.2015.1009426. Epub 2015 Sep 4.

A model of engagement in reflective writing-based portfolios: Interactions between points of vulnerability and acts of adaptability

Affiliations 

Affiliation

  • 1a Western University , Canada.

Abstract

Background: Portfolios are widely used for meeting new accreditation standards in the age of competency-based medicine. However, the method of learning through portfolio has been suggested to be vulnerable.

Aim: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conditions affecting the experience of teaching and learning from the perspective of both students and mentors in a reflective writing-based portfolio initiative.

Method: Using mixed-methods rooted in grounded theory, 139 students and 13 mentors completed questionnaires, 23 students participated in four focus groups and 9 mentors in individual interviews.

Results: The overarching theme in our data was student-mentor engagement. Our results confirm previous literature describing portfolio as a vulnerable method of learning, extend this concept by identifying and categorizing specific points of vulnerability, and contribute new knowledge regarding acts of adaptability, which serve to strengthen the student-mentor relationship.

Conclusion: Engagement is central to the success of portfolio and is shaped by a dynamic interaction between points of vulnerability and acts of adaptability. We propose a model of engagement in portfolio that can be used for faculty development to optimize student-mentor engagement.


의학교육을 위한 성찰적 학습 가이드 개발(Med Teach, 2011)

Development and pilot testing of a reflective learning guide for medical education

LOUISE ARONSON, BRIAN NIEHAUS, JULIE LINDOW, PATRICIA A. ROBERTSON & PATRICIA S. O’SULLIVAN

University of California, USA




도입 Introduction


국가 및 국제적으로 모든 수준의 의료 교육에 성찰을 포함해야 하는 의무가 증가하고 있다(ABIM et al. 2002; GMC 2003; Frank 2005). 의학 교육자들은 다음을 위해서 성찰이 중요하다고 주장해왔다. 

(1) 복잡한 건강 시스템, 임상 사례 및 사회적 상황에 창의적으로 대응한다. 

(2) 팀별로 협력적으로 참여한다. 

(3) 스트레스를 받는 작업 환경에서는 전문적이고 동정적으로 행동한다.

(4) 지속적으로 연습을 개선할 동기와 기술을 보유한다(Maudsley & Strivenes 2000; Mann et al. 2007; Sandars 2009).

There is a growing mandate, nationally and internationally, to incorporate reflection into all levels of medical education (ABIM et al. 2002; GMC 2003; Frank 2005). Medical educators have argued that reflection is critical for training physicians who 

(1) respond creatively to complex health systems, clinical cases, and social situations, 

(2) participate collaboratively in teams, 

(3) behave professionally and compassionately in stressful work environments, and 

(4) have the motivation and skills to continuously improve their practice (Maudsley & Strivens 2000; Mann et al. 2007; Sandars 2009).


교육에서 성찰적 실천에 관한 문헌은 

  • 1930년대 듀이(1933년)가 인간의 마음을 "의미를 만드는 기관meaning making organ"으로 묘사하고 '모든 진정한 교육은 경험과 그 경험에 대한 성찰을 통해 온다'고 진술했다. 

  • 1980년대 저술가인 쇼엔(1983)은 실천의 복잡성에 대처하는 전문가들을 위한 도구로서 성찰의 중요성을 주장했다. 

  • Kolb(1984)는 반성과 행동의 관계를 경험, 반사, 재구성, 실험의 순환으로 개념화했다. 

  • 메지로우(1991)는 습관적인 행동에서, 사려 깊은 행동에서, 성찰에 이어, 궁극적으로 비판적인 성찰에 이르기까지 네 가지 수준의 성찰을 기술했다. 그는 비판적 성찰을 경험에 대한 성찰이 새로운 이해와 미래의 행동을 수정하는 계획으로 이어지는 것을 변혁적 학습으로 정의했다.

  • The literature on reflective practice in education begins with Dewey (1933), in the 1930s, who described the human mind as a meaning-making organ and stated that ‘‘all genuine education comes through experience’’ and reflection on that experience. 

  • Scho¨n (1983), writing in 1980s, argued the importance of reflection as a tool for professionals coping with the complexities of practice. 

  • Kolb (1984) conceptualized the relationship between reflection and action as a cycle of experience, reflection, reframing, and experimentation. 

  • Mezirow (1991) described four levels of reflection: from habitual action to thoughtful action, then on to reflection, and ultimately to critical reflection. He defined critical reflection as transformative learning in which reflection on experience leads to a new understanding and a plan to modulate one’s behavior in the future.


이러한 견실한 이론적 틀에도 불구하고, 우리는 반성을 가르치고 배우는 것에 대해 상대적으로 거의 알지 못한다.

Despite these robust theoretical frameworks, we know relatively little about teaching and learning reflection.


대부분의 연구는 다음의 네 가지 중 하나에 해당한다.

  • (1) 학생의 경험을 이해하기 위한 성찰의 분석(Brady et al. 2002; Dyrby et al. 2007; Roche & Coote 2008), 

  • (2) 학습자의 성찰 능력에 대한 평가(Pee et al. 2002; Boenik et al. 2004; Plack et al. 2007); 

  • (3) 구술 대 서면 반사 또는 동료 대 교수진 피드백과 같은 교육 형식 비교(Platzer et al. 2000; Baerstein & Fryer-Edwards 2003) 및 

  • (4) 성찰 학습의 영향 평가(Sobral 2005; Blatt et al. 2007; Mamede et al. 2008).

Most articles fall into one of the four categories: 

  • (1) analyses of reflections to better understand the learners’ experience(Brady et al. 2002; Dyrbye et al. 2007; Roche & Coote 2008);

  • (2) assessment of the reflective skills of learners (Pee et al.2002; Boenik et al. 2004; Plack et al. 2007); 

  • (3) comparison of educational formats such as oral vs. written reflection or peer vs. faculty feedback (Platzer et al. 2000; Baernstein & Fryer-Edwards 2003); and 

  • (4) evaluation of the impact of reflection on learning (Sobral 2005; Blatt et al. 2007; Mamede et al. 2008).


방법 Methods


가이드 개발 Guide development


설문 조사와 문헌 검토를 바탕으로 학습자와 교수진 모두에게 유용한 간단한 독립형 가이드를 개발하기로 결정했다.

Based on our survey and literature review, we decided to develop a brief, stand-alone guide which would be instructive to both learners and faculty


마지막으로 가이드에 대해 다음과 같은 파라미터를 설정했다.

Finally, we set the following parameters for the guide:


(1) 한 시간 동안 사용할 수 있도록 간략하게 작성해야 한다.

(1) It should be brief enough for use in hour-long sessions.


(2) 넓은 효용성을 위하여, (전문적 개발이나 임상적 추론과 같은 특정한 성찰적 의제를 충족시키기보다는) 성찰적 사고를 촉진하는 데 중점을 두어야 한다. 

(2) For broad utility, it should focus on promoting reflective thinking rather than fulfilling a particular reflective agenda such as professional development or clinical reasoning. 


(3) 이미 꽉 찬 커리큘럼에 추가할 명분과 성찰적 글쓰기가 필요함을 정당화할 수 있어야 한다. 그럼으로써 교수진 및 학생 저항의 공통 원천을 능동적으로 다루어야 한다. 

(3) We should proactively address common sources of faculty and student resistance including justification for adding to a full curriculum and the requirement for written reflection. 


(4) 많은 학습자와 교육자는 성찰적 학습에 대한 공식적인 교육을 받지 않을 것이기 때문에, 가이드는 그 자체로서 독립형 도구로서 적절하게 기능해야 한다.

(4) Because many learners and educators will not have had formal instruction in reflective learning, the guide should function adequately as a stand-alone tool.


(5) 성찰의 단계를 충분히 명확히 하여 교수진 및 동료의 반사 기술에 대한 피드백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5) The guide should make the steps for reflection sufficiently clear, so that they could be used to facilitate feedback on reflective skills from faculty and peers. 


파일럿 Pilot study


2008-2009 학년 동안 코호트 연구를 실시하여 3학년 의대생들의 서면 성찰에 대한 LEAP(Learning as a Professional) 가이드의 영향을 평가하였다.

We conducted a cohort study during the 2008–2009 academic year to assess the impact of the Learning from your Experiences as a Professional (LEaP) guide on the written reflections of third-year medical students


세팅과 참여자 Setting and participants.


UCSF에서는 3학년 커리큘럼이 6개의 블록으로 나뉜다. 2008~2009년 3학년 의대생 122명이 공부 기간 6블록 동안 핵심 산부인과 임상실습을 했다. 학생들이 여러 곳에서 실습을 했지만, 성찰 연습은 임상실습의 필수 요소다.

At UCSF, the third-year curriculum is divided into six blocks. During 2008–2009, 122 third-year medical students took the core obstetrics and gynecology clerkship during the six blocks of the study period. Although students take the clerkship at multiple sites, the reflection exercise is a required component of the clerkship.


개입 Intervention.


모든 학생들은 다음 안내문을 사용하여 전문직업성에 대한 성찰적 글쓰기를 마쳤다. "이 로테이션 중에 자신보다 환자의 요구에 대한 성실성, 존경, 반응성을 입증하는 데 가장 많은 것을 가르쳐 준 임상 상황을 선택하라."블록 1과 블록 2의 학생은 프롬프트만 받았고 블록 3–6의 학생도 LEP 가이드를 받았다. 그리고 간단한 인구 통계 및 만족도 설문지를 작성했다.

All students completed a written reflection on professionalism using the prompt ‘‘Select a clinical situation during this rotation that taught you the most about demonstrating integrity, respect and responsiveness to the needs of the patient above your own.’’ Students in blocks 1 and 2 received only the prompt while students in blocks 3–6 also received the LEaP guide and completed a brief demographic and satisfaction questionnaire.


자료 수집 Data collection.


훈련된 평가자 2명은 0(반사 없음)에서 6(비판적 성찰)까지 0.5점씩 점수를 제공하는 이전에 검증된 루브릭을 사용하여 각 성찰에 점수를 매겼다(Learnerman et al. 2008; O'Sullivan et al. 2010).루브릭의 단계적 진행은 다음과 같다. 

      • 과제를 이해하지 못함 

      • 성찰 없이 설명만 한다. 

      • 학습된 교훈을 정당화하지 않는다. 

      • 학습한 교훈에 대한 제한된(개인적) 정당성을 제공한다. 

      • 학습된 교훈의 증거를 포함한다. 

      • 과거 경험의 요인을 분석한다. 

      • 이전 경험을 현재 이벤트 및 데이터와 통합하여 추가 조치를 알려준다. 

루브릭은 각 단계에 대해 간략하고 정교한 점수 기준과 예를 제공한다.

Two trained raters scored each reflection using a previously validated rubric which provides scores in increments of 0.5 from 0 (no reflection) to 6 (critical reflection) (Learman et al. 2008; O’Sullivan et al. 2010). The rubric’s stepwise progression is as follows: 

      • does not respond to the assignment; 

      • describes without reflecting; 

      • does not justify lessons learned; 

      • provides limited (personal) justification of lessons learned; 

      • includes evidence of lessons learned; 

      • analyzes factors from past experience; and 

      • integrates previous experience with current events and data to inform further action. 

The rubric provides brief and elaborated scoring criteria and examples for each step.


분석 Analysis.


인구통계 및 만족도 설문지는 LEP 가이드의 성별 및 인상에 대한 정보를 요청했다. 구체적으로, 학생들은 강하게 동의하지 않는다(1)부터 강하게 동의한다(5)까지 응답하였다. 질문은 LEAP가 새로운 통찰력을 이끌어내었는지, 학습 계획을 수립하는 데 도움을 주었는지, 잘 성찰하도록 돕는지 등에 대해 5점 리커트 척도로 평가하도록 요청 받았다. 가이드의 사용 편의성과 학생들이 다른 사람에게 추천할 것인지에 대해서도 물었다.

The demographic and satisfaction questionnaire requested information about gender and impressions of the LEaP guide. Specifically, students were asked to rate on a 5-point Likert scale ranging from strongly disagree (1) to strongly agree (5) whether the LEaP led to new insights, helped them formulate a learning plan, and helped them reflect well. It also asked about ease of use of the guide and whether students would recommend it to others.


우리는 평균 성찰 점수, 성별, 모든 조사 질문에 대한 서술적 통계를 계산했다. 독립 t-테스트를 수행하여 사전 간섭 및 LEAP 개입 그룹의 평균 t-테스트 반사 점수를 비교하고 효과 크기를 계산했다(Hojat & Shu 2004).

We calculated descriptive statistics for average reflection score, gender, and all survey questions. We performed an independent t-test to compare the average t-test reflection scores for pre-intervention and LEaP intervention groups and calculated an effect size (Hojat & Xu 2004).



성찰적 실천 가이드 Guide for Critical Reflection

주소 CHIEF COMPLAINT

다음과 같은 질문이나 문제를 유발한 경험을 선택하십시오.

Choose an experience which triggered questions or concerns for you, such as:

1) 필요한 지식이나 기술이 없었던 상황

    • 1) a situation where you didn’t have the necessary knowledge or skills

2) 잘되긴 했지만 왜 그런지는 완전히 알 수 없는 상황

    • 2) a situation that went well but you’re not entirely sure why

3) 복잡하고 놀랍거나 임상적으로 불확실한 상황

    • 3) a complex, surprising or clinically uncertain situation

4) 개인적으로나 직업적으로 도전을 느낀 상황

    • 4) a situation in which you felt personally or professionally challenged.

참고: 이것은 여러분의 학습에 관한 것이므로 여러분이 주요 배우가 아니더라도, 왜 그 경험이 여러분을 돋보이게 하는지, 그리고 그 경험을 통해 무엇을 배울 수 있는지 생각해 보십시오. 그것은 여러분의 전문적 발전을 더 발전시킬 것이다.

Note: this is about your learning so even if you weren’t the major actor, consider why the experience stands out for you and what you can learn from it that will further your professional development


주제 SUBJECTIVE

경험의 내용, 프로세스 및 전제를 고려하십시오.

Consider the content, processes, and premises of the experience:

    • 내용: 무슨 일이 일어났나요? 상황과 그 맥락을 설명하시오. 지적으로나 감정적으로 어떤 반응을 보였습니까? 뭐가 잘 됐나요? 무엇을 바꾸시겠습니까?

      Content: What happened? Describe the situation and its context. What was your reaction, intellectually and emotionally? What went well? What would you change?

    • 프로세스: 어떻게 그런 일이 일어났는지. 그 상황에 어떻게 접근하셨습니까? 어떻게 행동하셨나요? 귀하와 타인이 결과에 더 좋고 더 나쁜 영향을 미쳤는가? 당신의 감정은 당신의 선택에 어떤 영향을 주었는가?

      Process: How it happened. How did you approach the situation? How did you perform? How did you/others affect the outcome for better and worse? How did your emotions affect your choices?

    • 전제: 왜 그런 일이 일어났는지. 왜 그렇게 행동/반응을 보였는가(과거 경험과 개인적 특성을 고려)? 당신과 다른 사람들은 왜 당신이 한 가정을 했는가? 어떤 시스템 요인이 이 문제에 기여했을 수 있으며 왜 시스템이 그러한 방식으로 설정되었는가?

      Premise: Why it happened. Why did you act/ react as you did (consider past experiences and personal characteristics)? Why did you and others make the assumptions you made? What system factors may have contributed to this problem and why is the system set up that way?

목표 OBJECTIVE

다양한 관점에서 그 경험을 재고하라. 다른 사람의 관점을 상상하는 것 이상의 데이터 제시: 

    • 환자, 가족, 감독자, 동료, 친구 및 기타 전문가의 반응에서 [공식적으로든 비공식적으로든] 무엇을 배웠는가? 

    • 어떤 피드백을 받으셨습니까? 

    • 의학 문헌에서 무엇을 배우셨습니까? 

    • 그 밖에 어떤 소식통을 참고하셨습니까?

Reconsider the experience from multiple perspectives. Go beyond imagining others’ perspectives to presenting data: 

    • What did you learn, formally or informally, from the reactions of patients, families, supervisors, peers, friends and other professionals? 

    • What feedback did you get? 

    • What did you learn from the medical literature? 

    • What other sources did you consult?


평가 ASSESSMENT

학습 내용 종합: 

    • 어떤 교육적, 개인적 또는 전문적 도전 과제 및/또는 강점을 확인하셨습니까? 

    • 이러한 분석이 향후 유사한 상황에 어떻게 접근하는지에 어떤 영향을 미쳤는가? 

    • 행동 방식을 바꾸지 않을 것이라고 결론내린다면, 

      • a) 적절한 경험을 선택했는지, 

      • b) 반성을 통해 정말로 상황을 재구성했는지에 대해 생각해 보라.

Synthesize your learning: 

    • What educational, personal or professional challenges and/or strengths have you identified? 

    • How has this analysis affected how you will approach similar situations in the future? 

    • [If you conclude you wouldn’t do anything differently, consider 

      • a) whether you’ve picked an appropriate experience and 

      • b) whether you’ve really reframed the situation with your reflection.]


계획 PLAN

미래의 유사한 상황에 대처하기 위한 계획을 세워라. 이 계획은 구체적이고 측정 가능하며 가까운 장래에 달성할 수 있어야 한다. 

    • 다음에는 무엇을 할 것인가? 

    • 필요한 정보나 도움은 어디서 얻을 수 있는가? 

    • 누구와 언제 체크인하시겠습니까? 

    • 네 계획이 효과가 있는지 없는지 어떻게 알겠니?

Make a plan to address future similar situations. The plan should be specific, measurable, and attainable in the near future: 

    • What will you do next? 

    • Where can you get the information or help you need? 

    • Who will you check in with and when? 

    • How will you know whether your plan is working, or not?


Figure 1. UCSF LEaP: Learning from your Experiences as a Professional.



결과 Results


성찰적 학습 가이드 Reflective learning guide


우리는 성찰적 학습에 대한 LEAP 가이드를 개발했다. 가이드는 페이지의 앞면과 뒷면을 모두 채우는 1페이지 분량의 문서, 즉 성찰에 대한 구조화된 접근방식(앞면)과 성찰 및 성공적인 성찰을 위한 전략(뒤면)에 대한 정보 시트로 구성된다.

We developed the LEaP guide to reflective learning. The guide consists of a one-page document filling both front and back of the page: a structured approach to reflection (front) and an information sheet about reflection and strategies for successful reflection (back).


1면은 학습자를 이론에 기초하여 5단계 과정을 거쳐 임상 기록의 형식을 모델로 한다(그림 1). 

최고 불만 사항(Hatton & Smith 1995; Moon 2004), 

    • 주관적(Schon 1983; Boud et al. 1987; Mezirow 1991), 

    • 목표(Moon 2004), 

    • 평가(Kolb 1984), 

    • 계획(Meziro 1998; Epstein 2007). 

The front page takes the learners through a five-step process based on theory and modeled on the format of clinical notes (Figure 1): 

    • Chief Complaint (Hatton & Smith 1995; Moon 2004), 

    • Subjective (Schon 1983; Boud et al. 1987; Mezirow 1991), 

    • Objective (Moon 2004), 

    • Assessment (Kolb 1984), and 

    • Plan (Mezirow 1998; Epstein 2007). 


SOAP 접근방식은 학습자에게 친숙하고 효과적인 성찰의 핵심 단계가 [주관적 정보의 수집에서 데이터 나열을 통해 모든 정보의 평가와 계획의 입안까지 이동하는] 임상 추론의 핵심 과정과 매우 유사하다는 점을 강조하기 위해 선택되었다.

The SOAP approach was selected for its familiarity to learners and to emphasize that the key steps in effective reflection are much like those in clinical reasoning, moving from gathering of subjective information, through listing of data to an assessment of all information and formulation of a plan.


뒷면은 우리 태스크포스(TF)가 개발한 의학교육에 대한 성찰의 정의로 시작한다. 그런 다음, 성찰의 교육적·전문적 이익에 대한 설명을 제공하고, 성찰력 개발의 성공과 관련된 요소를 열거하며, 성찰적 글쓰기의 개선 전략을 제시한다. 본질적으로, 이 페이지는 왜 성찰이 필요한지 그리고 어떻게 효과적으로 그렇게 할 수 있는지를 설명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The back page begins with the definition of reflection in medical education developed by our Task Force. It then provides an explanation of the educational and professional benefits of reflection, lists factors associated with success in the development of reflective ability, and offers strategies for improving reflective writing. In essence, this page serves the critical role of explaining why the learners are being asked to reflect and how they can do so effectively.


파일럿 연구 Pilot study


3학년 의대생 122명 중 총 115명이 시범연구에 참여했으며, 사전간섭 코호트 37명, LEAP 중재그룹 78명이었다. 표 1은 성찰 점수에 대한 LEP의 영향을 나타낸다. 성찰 점수는 큰 효과크기와 함께 LEAP 사용자에서 더 높았다. LEAP를 사용하는 학습자가 학습한 레슨에 대한 분석을 포함하며 성찰에 증거를 더 자주 포함했음을 보여주었다. 성숙 효과의 증거는 없었다. 다시 말해 블록 3과 4의 점수는 블록 5와 6의 점수와 크게 다르지 않았다.

A total of 115 out of 122 third-year medical students took part in the pilot study, with 37 in the pre-intervention cohort, and 78 in the LEaP intervention group. Table 1 presents the effect of the LEaP on reflection scores. The reflection score was significantly higher with LEaP (p50.001) with a large effect size and scores indicating learners using LEaP included analysis of lessons learned and incorporated evidence into the reflection more often. There was no evidence of a maturation effect; in other words, scores in blocks 3 and 4 did not differ significantly from scores in blocks 5 and 6.



LEAP 간섭 그룹 내 78명의 학습자 중 34명을 대상으로 학습자 만족도와 성별 데이터를 수집했다. 표 2는 조사 결과를 제공한다.

We collected learner satisfaction as well as gender data on 34 of the 78 learners in the LEaP intervention group. Table 2 provides the survey results.



고찰 Discussion


우리는 이 가이드 개발 과정과 다른 사람들에게 유용할 수 있는 파일럿 테스트를 통해 많은 교훈을 얻었다. 비록 우리의 원래 의도는 한 페이지짜리 문서를 만드는 것이었지만, 독립 실행형 가이드의 작성은 모든 학습자가 읽지는 않는 두 번째 페이지를 추가해야 했다. SOAP 프레임워크는 익숙하고 성찰의 핵심 요소를 강조하기 위해 선택했지만, 이 선택 이유를 페이지에 충분히 명확히 하지 않았다. 교육자와 학습자 모두를 위한 단일 지침을 만들기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 우리는 교사들에게 더 분명한 효용성에 대한 정보를 포함시켰다. 

We learned many lessons from this guide development process and pilot testing which may be of use to others. Although our original intent was to produce a one-page document, guide creation of a stand-alone required the addition of a second page, which not all learners read. We chose the SOAP note framework both because of its familiarity and to emphasize the core elements of reflection but did not make the reason for this choice sufficiently clear on the page. In an effort to create a single guidance for both educators and learners, we included information of greater obvious utility to teachers. 


일부 학습자들은, (Boud와 Walker(1998)가 제기한 우려처럼), LEAP가 성찰을 하는 경험에 대해 갖는 의문이나 중요성을 다루기보다는 '레시피 따라하기'에 그치게 한다면서, LEaP가 오히려 성찰 능력을 너무 제약하고 방해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Some learners argued that the LEaP was too constraining and interfered with their ability to reflect, echoing a concern raised by Boud and Walker (1998) about ‘‘recipe following’’ in reflection without actually addressing the questions and significance of the experience being reflected upon. 


그러나 다른 이들은, 학생들이 자신이 이미 성찰하고 있다고 믿고 있으며, 결과적으로 구조화된 연습의 필요성을 인식하지 못한다는 점에 주목했다(Grant et al. 2006). 이 후자는 우리의 경험을 더 정확하게 묘사한다; UCSF의 구조화되지 않은 "성찰"의 대부분은 학습의 증거가 거의 없는 감동적인 사건, 일화, 혹은 자축적인 이야기로 구성되어 있다.

Others have noted, however, that students believe they are already reflecting and consequently do not see the need for structured exercises (Grant et al. 2006). This latter more accurately portrays our experience; a great majority of the unstructured ‘‘reflections’’ at UCSF consist of moving anecdotes, diatribes, or self-congratulatory tales with little evidence of learning.


우리의 시범 연구는 LEAP 가이드를 사용하는 학생들에게 유리한 3학년 의대생들의 평균 성찰 점수에 상당한 차이를 보였다. 가이드가 없이, 거의 모든 학습자들은 3점 이하의 점수를 받은 반사를 썼고, [그들 자신의 모호한 인상을 넘어서지 못하고], 사건에 대한 고려가 매우 적거나 없는 상태에서, 경험에 대한 설명만으로 구성되어 있었다. 가이드를 활용하면, 훨씬 더 많은 학습자들이 다른 사람의 피드백을 구하고 임상적 또는 직업적 불확실성의 문제를 명확히 하기 위해 문헌에 가서 자신의 경험을 재구성하는 등 더 많은 성찰 요소를 통합했기 때문에 더 높은 점수를 얻었다.

Our pilot study demonstrat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average reflection scores of third-year medical students in favor of those using the LEaP guide. Without the guide, nearly all learners wrote reflections which scored below 3 and consisted exclusively of a description of an experience with little or no consideration of the event beyond their own vague impressions. Using the guide, significantly more learners earned higher scores because they incorporated more elements of reflection including reframing their experience by seeking feedback from others and going to the literature to clarify issues of clinical or professional uncertainty.


우리 조종사는 또한 반사 점수와 인구 통계학적 및 만족도 변수 사이의 연관성을 조사했다. 다른 기관의 예비 자료에서 여성이 남성보다 반사 능력이 더 좋을 수 있다고 제시했지만, 우리는 그러한 차이를 발견하지 못했다. (Dannefer & Bier 2008)

Our pilot also examined associations between reflection scores and demographic and satisfaction variables. Although preliminary data from another institution suggested that females might be better at reflection than males, we found no such difference (Dannefer & Bierer 2008).


특정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맞춤화된 많은 개입과 마찬가지로, 개입과 평가 사이의 상호작용이 가능하다. 우리가 보여준 것은 그저 학습자들이, 자극이 되면, 더 높은 점수를 얻을 수 있는 항목을 성찰에 포함시킬 것이라는 것일 수도 있다. 그러나 본 연구의 두 가지 연구 결과는 우리가 실제로 성찰 능력을 측정하고 있음을 시사한다. 

(1) 모든 LEAP 사용자가 가이드의 단계를 따르지는 않았지만, 그들의 성찰 점수는 여전히 통제군 평균보다 높았다. 

(2) 개별 통제군 학생들은 구조 없이 더 높은 성찰 점수를 얻었다.

As with many interventions that are tailored to meet specific objectives, an interaction between the intervention and the assessment is possible. It is possible that we have demonstrated that learners, when prompted, will incorporate items into their reflection that will earn them a higher reflection score. Two findings from this study suggest that we are in fact measuring reflective ability: (1) not all LEaP users followed the steps in the instructions, but their reflection scores were still higher than the control mean; and (2) individual control students achieved higher reflective scores without the structure.


반사 학습에서 중요한 역할 피드백에 대한 의료 교육 노트에서의 반성의 최근 두 가지 리뷰(Mann et al. 2007; Sandars 2009). 그러나 성찰을 채점하고 피드백을 제공하려면 성찰적 글쓰기를 읽을 수 있는 시간을 가진 숙련된 측정자가 필요하다. 우리 기관에서는 학습자에 대한 개별적인 응답을 준 사례를 거의 찾아내지 못했다. 우리 기관에서 더 흔히 볼 수 있는 경우는, 학생 집단을 위해 성찰의 내용을 주제별로 요약하는 방식이었다. 어떤 경우에는 단순히 반사를 수집하여 어떤 유형의 피드백도 주어지지 않았다. 일부 코스 감독들은 학생들의 경험을 이해하고 멀리 떨어진 사무직 사이트를 평가하기 위해 성찰을 이용했지만, 많은 교육자들은 자신이 성찰적 에세이를 활용하지 못한 주된 이유로 시간 부족과 훈련 부족을 꼽았다. 학교와 훈련 프로그램은 반성 속에서 교직원을 양성할 수 있는 자원을 찾고, 성찰에 대응하는 데 필요한 시간을 보상해야 할 것이다.

Two recent reviews of reflection in medical education note of the critical role feedback in reflective learning (Mann et al. 2007; Sandars 2009). But scoring reflections and providing feedback require trained raters with the time to read reflections. At our institution, we found few cases of individual responses to learners. More commonly at our institution, the content of reflections was thematically summarized for large groups of students. In some cases, the reflections were simply collected, and no feedback of any type was given. While some course directors used reflections to understand the student experience and evaluate distant clerkship sites, many educators cited lack of time and lack of training as the principal reasons for how they handled reflective essays. Schools and training programs will need to find resources to train faculty in reflection and compensate them for the time required to respond to written reflections.









. 2011;33(10):e515-21.
 doi: 10.3109/0142159X.2011.599894.

Development and pilot testing of a reflective learning guide for medical education

Affiliations 

Affiliation

  • 1University of California, San Francisco, CA 94118, USA. aronsonl@medicine.ucsf.edu

Abstract

Background: Reflection is increasingly incorporated into all levels of medical education but little is known about best practices for teaching and learning reflection.

Aims: To develop a literature-based reflective learning guide for medical education and conduct a pilot study to determine whether (1) guide use enhances medical students' reflective writing skills and (2) reflective scores correlate with participant demographics and satisfaction.

Methods: Guide development consisted of literature review, needs assessment, single institution survey, and educational leader consensus. The pilot cohort study compared professionalism reflections written with and without the guide by third-year medical students on their core obstetrics and gynecology rotation. Reflections were scored using a previously validated rubric. A demographics and satisfaction survey examined effects of gender and satisfaction, as well as qualitative analysis of optional written comments. Analyses used independent t-tests and Pearson's correlations.

Results: We developed a two-page, literature-based guide in clinical Subjective-Objective-Assessment-Plan (SOAP) note format.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p < 0.001, in the reflection scores between groups, but no effects of gender or satisfaction. Student satisfaction with the guide varied widely.

Conclusions: A single exposure to a literature-based guide to reflective learning improved written reflections by third-year medical students.


의과대학생의 성찰 발달을 위한 가장 효과적인 교육법(BEME Guide No. 51)

A Best Evidence in Medical Education systematic review to determine the most effective teaching methods that develop reflection in medical students: BEME Guide No. 51

Jane Uygura, Ellen Stuarta, Muireann De Paora, Emma Wallacea, Seamus Duffya, Marie O’Sheab,

Susan Smitha and Teresa Pawlikowskab




도입

Introduction


성찰적 실천의 증거가 면허 및 재검증 과정의 일부가 되고 있다(College of Canada Family Officients of Canada). 숙련도 크레딧 유지 관리. Mainpro-C Credits 2016; General Medical Council. 2016년 평가 및 재검증을 위한 지원 정보; 스탠포드 의과대학, 대학원 의학 교육, 핵심 역량). 그러나 이러한 강조에도 불구하고 어떻게 하면 성찰을 가장 잘 가르칠 수 있을지에 대해서는 거의 의견이 일치하지 않는다.

evidence of reflective practice is becoming part of licensing and revalidation processes (College of Family Physicians of Canada. Maintenance of Proficiency Credits. Understanding Mainpro-C Credits 2016; General Medical Council. Supporting Information for Appraisal and Revalidation 2016; Stanford School of Medicine, Graduate Medical Education, Core Competencies). Despite this emphasis, however, there is little concurrence about how to best teach reflection.


성찰은 복잡한 구조로, 그 결과, 이 분야에서 해결해야 할 과제 중 하나는 그 정의에 대한 합의 부족이었다. 그러나, 최근 Nguyen et al.의 문헌에 대한 체계적 검토는 5개의 핵심 요소와 2개의 외부 요소를 확립하여 반영하였다(Nguyen et al. 2014).

Reflection is a complex construct and subsequently, one of the challenges in this area has been lack of consensus around its definition. However, a recent systematic review of the literature by Nguyen et al. established five core components and two extrinsic elements to reflection (Nguyen et al. 2014).


"반성은 자기(S)를 자신의 생각과 행동(TA)과 기본 개념 프레임(CF)과의 주의력, 비판적, 탐구적, 반복적(ACEI) 상호작용에 참여시키는 과정으로, 이를 변화시키고 변화 자체에 대한 관점(VC)을 가지고 있다."

“Reflection is the process of engaging the self (S) in attentive, critical, exploratory and iterative (ACEI) interactions with one’s thoughts and actions (TA), and their underlying conceptual frame (CF), with a view to changing them and a view on the change itself (VC).”


그들의 성찰개념 모델에서, 그들은 성찰에 영향을 미치는 두 개의 외부 요소(트리거 그리고 맥락)를 설명함으로써 다섯 가지 핵심 요소들에 더한다.

In their conceptual model of reflection, they add to the five core components by describing the two extrinsic elements that impact reflection, the trigger, and the context.


의료 훈련 전반에 걸쳐 성찰의 사용을 뒷받침하는 증거가 증가하고 있다. 예를 들어, 'RLS'점수와 '성찰적 자기효능감'에 대한 높은 점수는 의대 2학년 학생들의 학업성취도 향상과 연계되었다(Sobral 2001). 마찬가지로, 성찰 및 re-visitation 역시 Blatt 외 연구진에서 3학년 의대생들의 표준화된 환자에 대한 임상 성과를 향상시켰다. (2007). 내과 레지던트, 마메데 외 연구원이 연구했다. (2008) 복잡하고 특이한 사례를 진단할 때 반성을 연습할 때 더 정확했다.

There is increasing evidence to support the use of reflection throughout medical training. For example, higher scores on the Reflection in Learning Scale and in reflection self-efficacy were linked to better academic performance in second-year medical students (Sobral 2001). Similarly, reflection and re-visitation improved clinical performance with standardized patients in third-year medical students in a study by Blatt et al. (2007). Internal medicine residents, studied by Mamede et al. (2008), were more accurate when diagnosing complex, unusual cases if they were practicing reflection.


미국 의과대학협회(American Medical College Association of Colleges)의 권고에 의해 예시된 바와 같이, 성찰은 학부 의학 커리큘럼의 핵심 임상 기술이 되고 있다(Association American Medical Reference For Chemical Engagements For Cublic Medical Education For Budduclea 2008) 국제적으로도 CPD의 구조는 성찰 기술에 더욱 중점을 두고 있다. 예를 들어, 캐나다의 가족 의사 대학과 영국의 일반의사회는 이제 의사들이 면허 갱신 과정의 일부로 반성의 증거를 만들도록 요구한다(캐나다의 가족 의사 대학). 숙련도 크레딧 유지 관리. Mainpro-C Credits 2016; General Medical Council. 2012년 평가 및 재검증을 위한 지원 정보, Cutrer et al. 2017).

Reflection is becoming a core clinical skill in undergraduate medical curricula, as exemplified by the recommendations from the Association of American Medical Colleges of Colleges, (Association American Medical Recommendations For Clinical Skills Curricula For Undergraduate Medical Education 2008). Internationally, the structure of continuing professional development in medicine is also placing an increased emphasis on reflection skills. For example, the College of Family Physicians in Canada and the General Medical Council in the United Kingdom (UK) now require doctors to produce evidence of reflection as part of their license renewal process (College of Family Physicians of Canada. Maintenance of Proficiency Credits. Understanding Mainpro-C Credits 2016; General Medical Council. Supporting Information for Appraisal and Revalidation 2012, Cutrer et al. 2017).


이 검토의 목적은 다음을 결정하는 것이었다. 

(i) 성찰의 개발을 촉진하기 위해 현재 어떤 교육적 개입이 사용되고 있는지, 

(ii) 반사는 어떻게 평가되고 있는가? 

(iii) 가장 효과적인 개입은 무엇인가. 

The aim of this review was to determine: 

(i) which educational interventions are currently being used to facilitate the development of reflection, 

(ii) how is reflection being assessed, and 

(iii) what are the most effective interventions. 


2차 연구 질문은 또한 제공하도록 설정되었다. 현재 어떻게 성찰이 가르쳐지고 있는지에 대한 어떤 맥락이다. 여기에는 다음이 포함된다. 

(i) 커리큘럼에서 그러한 개입이 제공되거나 권장되는 경우, 

(ii) 이러한 개입을 도입할 때 일반적으로 교수진이 책임지거나 지지되는 경우 

(iii) 이러한 개입을 사용하는 데 장벽은 무엇인가?

Secondary research questions were also set to provide is some context as to how reflection currently being the taught. These included: 

(i) where in curriculum are such interventions offered or recommended, 

(ii) which faculty are generally responsible or endorsed for introducing such interventions, and 

(iii) what are the barriers to using these interventions.


리뷰 방법론

Review methodology


이 검토의 목적은 현행 실무의 지형을 이해하고 효율성을 고려하는 것이었으므로, 구성주의자와 실증주의 패러다임을 모두 기초로 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review was to both understand the landscape of current practice and to consider effectiveness, therefore, it was based on both a constructivist and a positivist paradigm.


개입 유형

Types of interventions


참가자 유형

Types of participants


연구 유형

Types of studies


결과 측정의 유형

Types of outcome measures


포함된 논문의 교육 결과는 슈타인어트 외 연구진이 채택한 교육 성과에 대한 커크패트릭의 프레임워크를 사용하여 평가되었다. (2006). 이 버전은 의료 교육 연구에 대한 바의 적응과 스테이나르트의 원래 레벨 3을 자체 보고(3a)와 관찰 가능한(3b) 행동 변화로 세분화(Barr et al. 2000; Kirkpatrick 및 Kirkpatrick 2006; Steinert 등 2006). 표 1을 참조하십시오. 의료 교육 연구에서 커크패트릭의 프레임워크의 유용성에 대한 비판은 있지만, 많은 BEME 검토에 사용되었고 다른 비 BEME 의료 교육 검토에도 널리 사용되어 왔다(Steinert et al. 2006; Yardley and Dornan 2012).

Educational outcomes of the included papers were assessed using the Kirkpatrick’s framework for educational outcomes adapted by Steinert et al. (2006). This version includes Barr’s adaptations for medical education research and Steinert’s subdivision of the original Level 3 into selfreported (3a) and observable (3b) changes in behavior (Barr et al. 2000; Kirkpatrick and Kirkpatrick 2006; Steinert et al. 2006). See Table 1. Although there are criticisms of the usefulness of Kirkpatrick’s framework in medical education research, it has been used in many BEME reviews and has been widely used in other non-BEME medical education reviews (Steinert et al. 2006; Yardley and Dornan 2012).



검색 전략

Search strategies


포함/제외기준

Inclusion/exclusion criteria


집단 Population


학부 의대생들은, 만약 공부과목이 inter-professional이라면, 그 연구는 포함시켰고, 의대생들은 그 개입의 대상이 된 그룹의 일부였다.

Undergraduate medical students, if study subjects were inter-professional, studies were included, and if medical the students were part of group targeted for the intervention.


개입 유형 Intervention type


비록 유일한 초점은 아닐지라도, 연구 개입은 학생들의 성찰 능력을 발전시키는 방법을 포함해야만 했다.

The study intervention had to involve a method of developing students’ reflective skills, even if this was not the sole focus.


Assessment


Study type


Exclusion criteria


Language and country


Date of review


리뷰의 선별 및 검토

Screening and review of abstracts


4개 팀원(MdP, SD, ES, JU)은 Covidence 소프트웨어(Covidence 2018)를 이용한 전체 텍스트 검토의 적격성을 초기 검색에서 파악한 추상화를 독립적으로 평가했다.

Four team members (MdP, SD, ES, and JU) independently assessed abstracts identified in the initial searches for eligibility of full text reviewing using Covidence software (Covidence 2018).


데이터 추출

Data extraction


포함 기준에 부합하는 기사에 대해서는 전체 논문를 취득했다. 이후 이 논문들은 관련성을 보장하기 위해 독립적으로 5명의 저자가 최종 데이터 추출에 포함되도록 다시 검토되었다.

Full-text papers were acquired for articles that met the inclusion criteria. These papers were then again reviewed for inclusion in the final data extraction by five authors independently in order to ensure relevancy.


연구 검토

Appraisal of studies


정량적 측정을 사용한 연구는 Buckley가 2009년 BEME 리뷰(Buckley et al.)에서 개발한 기준을 사용하여 평가되었다. 2009년) 및 2016 BEME 리뷰에서 Barrett에 의해 추가로 개발되었다(Barrett et al. 2016). 각 기준은 독립적으로 "met," "unmet," 또는 "unclear"로 표시되었다. 이 11개의 품질 지표 중 7개는 높은 품질로 간주되기 위해 연구에 의해 충족되어야 했다. 이러한 기준의 윤리적 측면은 BEME 검토에서 Barrett에 의해 더욱 발전되었으며, 이 추가 기준은 정량적 연구에서도 평가되었다(Barrett et al. 2016). 

Studies using quantitative measures were appraised using criteria developed by Buckley in their 2009 BEME review (Buckley et al. 2009) and further developed by Barrett in their 2016 BEME review (Barrett et al. 2016). Each criterion was independently marked as “met,”“unmet,” or “unclear.” Seven of these 11 quality indicators needed to be met by the study to be deemed of high quality. The ethical aspect of these criteria was further developed by Barrett in their BEME review and this additional criterion was also evaluated in the quantitative studies (Barrett et al. 2016). 


정성적 측정을 이용한 연구는 다른 BEME 심사(Critical Appraisal Skills Program, CASP)에서도 사용되어 왔기 때문에 CASP(Critical Appraisal Skills Program)를 이용하여 평가하였다. CASP 점수에 대한 각 품질 지표는 각 연구를 평가하기 위해 "예" "아니오" 또는 "알 수 없음"으로 답변되었다. 

Studies using qualitative measures were appraised using the Critical Appraisal Skills Program (CASP) as this has also been used in other BEME reviews (Critical Appraisal Skills Program (CASP)). Each quality indicator for the CASP score was answered as “yes”“no” or “can’t tell” to appraise each study. 


마지막으로, 연구의 전반적인 방법론적 강도는 다른 BEME 검토(Buckley et al.)에서와 같이 "Strategy of Findings" 모델을 사용하여 등급이 매겨졌다. 2009). 이 모델에서, 1등급은 "결론을 도출할 수 없다"를 나타내고, 5등급은 "결과는 불분명하다"를 나타낸다. 마지막으로, 검토자의 전체적인 인상은 불량, 허용 가능, 양호 또는 우수하다고 평가되었다. 연구의 종합은 방법론이 빈약한 일부 연구의 약점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방법론적 품질에 대한 논의를 통합했다.

Finally, the overall methodological strength of studies was then graded using the coding form “Strength of Findings” model as done in other BEME reviews (Buckley et al. 2009). In this model, grade one indicates “no conclusions can be drawn”, whereas grade five indicates “results are unequivocal”. Finally, the reviewer’s overall impression was rated as either poor, acceptable, good, or excellent. Synthesis of studies incorporated discussion of methodological quality to address the issue of weaknesses in some of the studies with poor methodologies.


자료 합성

Data synthesis


성찰을 가르치기 위한 교육적 개입을 평가하기 위한 연구 설계는 매우 이질적이었으며, 그 결과 정량적 연구의 메타분석이 가능하지 않았다. 성찰의 정의에 대한 광범위한 개입과 다양한 해석이 있었다. 따라서 확인된 연구는 이러한 다양성을 수용하기 위해 서술적 합성narrative synthesis으로 접근되었다(Pope et al. 2006). 연구는 처음에는 분석을 위한 정성적 연구와 정량적 연구로 분류되었다. 주제가 등장함에 따라 추가 합성을 위해 그에 따라 연구가 그룹화되었다. 리뷰어들은 전문적 판단을 이용해 연구를 총체적으로 보면서 '성찰을 어떻게 가르칠 수 있는가'라는 리뷰 연구 질문에 답하는 과정에서 주어진 연구의 기여도를 평가했다. 검토자들은 또한 기술된 모든 교수법에 대한 개념적, 이론적 또는 방법론적 근거와 연구의 품질과 적절성에 주목하였다. 이 합성의 목적은 교육자들에게 학부 의대생들에게 반성을 가르치기 위한 적절한 방법을 선택하기 위한 이해도 향상과 더불어 학부 의학 교육에서의 성찰 교육의 현주소를 제공하는 것이었다.

The study designs for assessing educational interventions to teach reflection were very heterogeneous and as a result, a meta-analysis of quantitative studies was not possible. There was a wide range of interventions and varied interpretations of the definition of reflection. Therefore, the studies identified were approached with a narrative synthesis to accommodate this diversity (Pope et al. 2006). Studies were initially grouped into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studies for analysis. As themes emerged, studies were grouped accordingly for further synthesis. Using their professional judgment, reviewers assessed the contribution of a given study in answering the review research question, “How can reflection be taught?” looking at studies in a holistic manner. Reviewers also noted the conceptual, theoretical, or methodological basis for any teaching method described and the quality and appropriateness of the study. The aim of the synthesis was to provide educators with an improved understanding for selecting appropriate methods to teach reflection to undergraduate medical students, as well as the current state of the teaching of reflection in undergraduate medical education.



결과 

Results


논문 선정

Selection of papers


그림 1은 검토 과정을 통해 흐름도를 제시하며, 각 단계에서 검토 및 유지되는 기사의 수를 나타낸다.

Figure 1 presents the flow diagram through the review process, indicating numbers of articles reviewed and retained at each stage.




개요 Overview


28개의 핵심 저널 기사는 2005년에서 2017년 사이에 출판되었다. 질적 연구 13건, 양적 연구 11건, 혼합 방법을 이용한 연구 4건이 있었다. 두 명의 저자는 합성에 포함된 두 가지 연구를 했다(Aronson et al. 2011, 2012; Lutz et al. 2013, 2016). 대부분의 연구(n=13)는 미국에서 이루어졌다. 대륙별로는 북미 15개, 유럽 6개, 아시아 5개, 호주 1개, 아프리카 1개 등이었다. 아래의 세 표는 방법론적 접근법(표 2 정량적 연구, 표 3 정성적 연구, 표 4 혼합 방법)별로 연구를 요약한 것이다.

The 28 core journal articles were published between 2005 and 2017. There were 13 qualitative studies, 11 quantitative studies, and 4 studies using mixed methods. Two authors had two studies included in the synthesis (Aronson et al. 2011, 2012; Lutz et al. 2013, 2016). The majority of studies (n¼13) took place in the USA. By continent, 15 studies came from North America, 6 from Europe, 5 from Asia, 1 from Australia, and 1 from Africa. The three tables below summarize the studies by methodological approach (Table 2 Quantitative studies, Table 3 Qualitative studies, and Table 4 Mixed methods).


맥락 Context


학부 의과대학의 임상 기간 동안 20번의 개입이 일어났고 임상 전 해에 8번의 개입이 있었다. 임상 연도의 일부 개입은 학생들이 몇 번의 로테이션을 도는 동안 일어났고, 다른 개입은 임상적 부속에 특정되었다. 이 중 4명은 내과 로테이션 중이었고 산부인과 3명, 소아과 2명, 1차 진료 1명, 2명은 지역사회에 배치됐다. 

    • 일부 개입은 특정 과정이나 모듈과 관련이 있었다. 두 가지 개입은 인문학 과목의 일부였다. 개입과 관련된 다른 과정에는 전문성, 의사소통 기술, 임상 기술, 신체 진단, 해부학 및 연구가 포함되었다. 

    • 10개의 연구에서, 그 개입은 선택적이거나 시범 프로젝트의 일부였으며 핵심 교과과정과 관련이 없었다.

Twenty interventions took place during the clinical years of undergraduate medical school and eight took place in the preclinical years. Some of the interventions in the clinical years occurred while students covered several rotations, others were specific to a clinical attachment. Of these, four were during the medical rotation, three in obstetrics and gynecology, two in pediatrics, one in primary care, and two were in community placements. 

    • Some of the interventions were associated with specific courses or modules. Two interventions were part of the humanities courses. Other courses associated with interventions included professionalism, communication skills, clinical skills, physical diagnosis, anatomy, and research. 

    • In 10 of the studies, the intervention was either an elective or part of a pilot project and not associated with the core curriculum.


7개 연구에서는 어떤 교수가 개입했는지 불분명했다. 개입 중 내과는 11개, 일반 실습은 3, 소아과 2개였다. 산부인과, 방사선과, 해부학과, 1차 진료과 교수진들이 각각 한 번의 개입에 관여했다.

In seven studies, it was unclear which faculty members were involved in the intervention. The faculty of medicine was involved in 11 of the interventions, general practice was involved in 3, pediatrics in 2. Obstetrics and gynecology, radiology, anatomy, and primary care faculty were each involved in one intervention.


개입 길이와 수업 시간의 수는 연구 사이에 매우 다양했다. 개입 기간은 4주에서 3년까지 다양했다. 교육 시간의 수는 때때로 확인하기가 어려웠지만 대략 1시간에서 12시간까지 다양했다.

The length of the intervention and the number of teaching hours ranged greatly between studies. The length of the intervention ranged from four weeks to three years. The number of teaching hours was sometimes difficult to ascertain but ranged from approximately 1h to 12h.


개입 Interventions


트리거(n=23)와 쓰기(n=22)는 개입에 가장 많이 사용되는 구성 요소였다.

Triggers (n¼23) and writing (n¼22) were the most common components used in interventions.


소개 Introduction (n¼9)


소개는 단순히 성찰의 정의를 제공하는 것에서부터 성찰 과정에 대한 2시간의 강의 자료에 이르기까지 다양했다. 정의나 간단한 지시를 제공하는 것은 두 가지 연구에서 수행되었다. 성찰이나 과정에 대한 구두 정보는 세 가지 연구에서 제공되었다. 두 개의 연구는 광범위한 대화형 세션을 열었다. 다른 연구에서는 소개가 있을 수 있지만 명시적으로 설명되지는 않았다.

Introductions ranged from simply providing a definition of reflection to two hours of lecture material on the reflective process. Providing a definition or simple instruction was done in two studies. Verbal information on reflection or the course was provided in three studies. Two studies held extensive interactive sessions. Introductions may have been present in other studies, but were not explicitly described.


트리거(n (23) Trigger (n¼23)


성찰의 가장 흔한 트리거는 임상 경험 (n=14)이었다. 어떤 성찰은 임상 로테이션의 일부로 시작되었고, 다른 것에서는 개입을 위해 특정한 임상적 상호작용을 구성했다. 그 밖의 트리거로는 글쓰기 프롬프트(n = 4)와 전문직업성 또는 문학과 관련된 주제(n¼2) 연구경험(nn1) 가상환자(n¼1) 편향성 검사(n¼1) 등이 있었다.

The most common trigger for reflection was a clinical experience (n¼14). Some reflections were initiated as part of a clinical rotation, while others, a specific clinical interaction was organized for the intervention. Other triggers included writing prompts (n¼4), subject matter related to professionalism (n¼3) or literature (n¼2), research experiences (n¼1), a virtual patient (n¼1), and a test for bias (n¼1).


쓰기 Writing (n¼22)


글쓰기로는, 10개는 성찰적 과제나 에세이, 3개는 포트폴리오, 2개는 저널이 사용되었다. 그 중 6개의 개입에서, 글쓰기는 온라인에서 행해졌다. 이 중 5개는 블로그나 토론 포럼 형식으로 되어 있었다. 여섯 번째는 가상 환자 상호작용 중에 작은 성찰을 쓰는 것이었습니다. 이 중 6가지 개입에서 학생들은 단 한 가지 성찰문만 썼다. 다른 개입에 있어서 학생들로부터 2개에서 15개의 성찰적 글쓰기가 요구되었다.

Writing was described as a reflective assignment or essay in 10, a portfolio in 3, and a journal in 2 of the studies. For six of the interventions, writing was done online. Five of these were in either a blog or discussion forum format. The sixth involved writing small reflections at points during a virtual patient interaction. In six of these interventions, students only wrote one reflection. Two to fifteen reflection accounts were required from students in other interventions.


가이드라인 Guidelines (n¼12)


어떤 사람은 가이드라인을 prompting 질문이나 템플릿과 같이 포괄적으로 설명하였고, 다른 사람들은 사용할 질문의 세부사항을 제공했다. 사용된 구체적 가이드라인의 네 가지 예로는...

      • 전문가로서의 경험으로부터 학습(LEAP) 지침(Aronson et al. 2011), 

      • 서술적 반사 도구(Peterkin et al. 2012), 

      • Gibbs 사이클(Gibbs 1988), 

      • 중대 사건 기법 형식(Flanagan 1954)이다.

Guidelines were described by some more broadly, as prompting questions or templates, while others gave specifics of the questions used. Four examples of specific guidelines that were used are: 

      • learning from your experiences as a professional (LEaP) guidelines (Aronson et al. 2011), 

      • Narrative Reflection Tool (Peterkin et al. 2012), 

      • Gibbs cycle (Gibbs 1988), and 

      • Critical Incident Technique format (Flanagan 1954).


소그룹 토론 Small group discussion (n¼17)


소그룹의 규모는 3명에서 10명까지 다양했다. 이 연구군 중 7개에서 발린트(n¼2)와 학습자 중심 접근법(n22), 체크인 또래지원법(n¼1)과 브룩필드 반성의 단계(n11) 및 임상반사교육(n11) 등 특정 방법에 의해 기능이 안내되었다. 

The size of small groups ranged from 3 to 10 students. In seven of these studies group, the function was guided by a specific method including Balint (n¼2), learner centred approach (n¼2), check-in peer support (n¼1), Brookfield steps of reflection (n¼1), and clinical reflection training(n¼1). 


그룹 토론의 초점은 다음과 같다: 

(i) 환자와의 경험(6), 

(ii) 성찰 기술 기르기(5), 

(iii) 특정 주제: 전문성(1) 마음-신체 기술(1), 편향 관리(1), 학습 목표(1), 연구(1) 등이다. 

The focus of the group discussions included: 

(i)experiences with patients (n¼6), 

(ii) building skills in reflection (n¼5), or 

(iii) specific topics; professionalism(n¼1) mind-body skills (n¼1), managing bias (n¼1),learning goals (n¼1), and research (n¼1). 


두 가지 연구에서 소그룹들은 온라인 토론 포럼으로 운영되었다. 한 연구에서, 소그룹은 학생-주도로 이루어졌다. 

In two studies,the small groups operated as online discussion forums. In one study, the groups were peer led. 


튜터 Tutor (n¼20)


튜터의 역할은 매우 다양했고, 때때로 촉진자 또는 멘토로 묘사되었다. 튜터의 역할은 감독하는 것에서부터 피드백을 제공하는 것, 그리고 촉진하는 것부터 상담까지 다양했다. 학생들과 교사들 간의 상호 작용은 온라인에서, 그룹과 일대일로 이루어졌다. 일부 연구에서는 교사들이 개입에 한 번 참여했고, 다른 연구에서는 개입 중에 여러 번 참여가 이뤄졌다. 

The role of the tutor varied a great deal and was some-times described as a facilitator or as a mentor. The role of the tutor ranged from overseeing to providing feedback and from facilitating to counseling. The interaction between students and tutors happened online, in groups and one-on-one. In some studies, tutors engaged once in the intervention and in others, engagement occurred several times during the intervention. 


피드백 Feedback (n¼17)


이러한 대부분의 연구에서는 피드백의 성격이 무엇이며, 그것이 반사 과정과 직접적으로 관련이 있는지는 완전히 명확하지 않았다. 피드백은 일반적으로 가정교사에 의해 제공되었지만, 일부 연구에서는 또래(n³7)로부터 피드백이 오기도 했다. 피드백은 대면, 서면 또는 온라인이었다. 9개의 연구에서, 개인 교사나 동료들에게 피드백을 제공하는 방법에 대한 교육이나 지침을 제공받았다는 몇 가지 징후가 있었다. 특정 루브릭을 사용하여 기술된 연구는 없지만, Aronson 외 연구진(2012)은 피드백을 위해 사용한 프로토콜을 기술했다. 

In most of these studies, it was not entirely clear what the nature of the feedback was and whether it related directly to the reflective process. Feedback was generally provided by the tutor, but in some studies, feedback also came from peers (n¼7). Feedback was either face-to-face, written, or online. In nine studies, there was some indication that tutors or peers were given some training or guidelines on how to provide feedback. None of the studies described using a specific rubric, but Aronson et al. (2012) did describe a protocol they used for feedback. 


장애요인 Barriers


학생과 튜터 모두의 저항이 언급되었고 이 중 일부는 이미 가득 찬 교육과정에 성찰개입이 추가적으로 도입된 것에 대한 부담과 관련이 있었다. 개입을 완료하는데 까지의 시간이나 학생들이 과제를 제출해야 하는 것도 해결해야 할 문제였다. 학생들은 오직 네 가지 연구에서의 성찰의 관련성에 의문을 제기했다. 학생들의 태도는 일반적으로 개입에 대해 긍정적이지만, 시간을 들여야 하는 것, 과제의 부담workload, 과목 pass와의 관련성 등이 학생들이 관심을 갖는 주된 초점이 되었다

Both student and tutor resistance were mentioned and some of this related to the additional burden of a reflection intervention in an already full curriculum. Timelines to complete interventions and for students to submit assignments were also seen as a challenge. Students questioned the relevance of reflection in only four studies. Students’ attitudes were generally positive toward interventions but time commitment, workload, and relevance to passing exams were the main focus of student concerns. 


정보기술(IT)을 이용한 개입은 설정, 기술적 문제 발생, 교수진 이용자의 편의성에 문제가 있다는 점에 주목했다. IT 플랫폼은 익명성을 제공할 수 있지만, impersonal하게 느껴지기도 했다. 이를 회피하기 위해 온라인 활동에 앞서 소개 또는 소그룹 세션과의 결합이 제안되었다. 편향된 피드백을 예방하고 소그룹 역학을 관리하는 기술을 개발하는 교수진 교육도 장벽을 극복하는 방안으로 거론됐다.

Interventions using information technology (IT) noted that set up, arising technological problems, and faculty user comfort was problematic. IT platforms could provide anonymity, but were also felt to be more impersonal. A combination with an introduction or small group session prior to online activity was proposed to circumvent this. Faculty training to prevent biased feedback and develop skills to manage small group dynamics were also mentioned as ways to overcome barriers.


평가 

Assessment


28개 연구 중 14개 연구에서는 성찰을 평가하는 방법에 대한 명확한 가이드라인을 제시하였다.

Fourteen of the twenty-eight studies provided clear guide-lines about how reflection was assessed.


사용된 세 가지 검증된 루브릭: 

(i) 반사 능력 루브릭(RAR) (Learning Ability Rubric, 2008), 

(ii) GRAS(Groningen Reflection Ability Scale) (Aukes L et al. 2007), 

(iii) 반사 능력 평가 (REFLECT) (Wald et. 2012) 등이 있다. 2012).

There were three validated rubrics used: 

(i) Reflective Ability Rubric (RAR)(Learman et al. 2008), 

(ii) Groningen Reflection Ability Scale(GRAS) (Aukes L et al. 2007), and 

(iii) Reflection Evaluation for Enhanced Competencies Tool (REFLECT) (Wald et al. 2012).


RAR과 REFLECT는 세 가지 연구에, GRAS는 두 가지 연구에 사용되었다. 다른 두 연구에서, 성찰적 글쓰기의 평가는 메지로우의 성찰성에 대한 설명에 기초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

RAR and REFLECT were used in three studies and GRAS in two. In two other studies, assessment of written reflections was described as being based on Mezirow’s descriptions of reflectivity.


19개 연구에서는 그 성찰이 형성적으로 평가되었다. 3개의 연구는 형성적 및 총괄적 평가를 모두 가지고 있었고 1개의 연구는 종합 평가만 사용했다.

In 19 studies, the reflection was assessed formatively. Three studies had both a formative and summative assessment and one study used only summative assessment.


정량적 연구: 치우침 위험

Quantitative studies: Risk of bias


정성 연구: 치우침 위험

Qualitative studies: Risk of bias


결과 Outcomes


교육 결과는 슈타인어트 외 연구진이 채택한 커크패트릭 프레임워크를 사용하여 분류되었다. (2006). 세 가지 연구가 레벨1로 순위가 매겨졌는데, 이는 결과가 개입에 대한 학생들의 반응만을 다루었다는 것을 의미한다. 대다수의 연구(n¼17)가 2a로 순위가 매겨져 학생의 지식과 기술 습득을 알 수 있었다. 8개의 연구는 수준 2 b인 학생들의 태도와 기술의 변화를 보여주었다. 어떤 연구도 3, 4라는 상위 레벨에는 도달하지 못했다.

Educational outcomes were classified using the Kirkpatrick framework as adapted by Steinert et al. (2006). Three studies were ranked as level 1, meaning that outcomes covered student reactions to interventions only. The majority of studies (n¼17) were ranked as 2a, indicating student acquisition of knowledge and skills. Eight studies demonstrated a modification of student attitudes and skills, level 2 b. None reached the higher levels of three and four.


자료 합성 Data synthesis


Aronson 외 연구진(2012년)은 가이드라인(LEaP)이 있거나 없는 성찰적 글쓰기를 비교한 무작위 시험 연구는 이러한 개입에 대한 강력한 증거를 제공한다.

Aronson et al. (2012) in their randomized trial comparing reflective writing with or without a guideline (LEaP) provide strong evidence for this intervention.


아론슨 외 연구진(2012년)의 무작위 시험도 피드백이 성찰적 글쓰기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Aronson et al.’s(2012) randomized trial also looked at the impact of feedback on reflective writing.


데비 외 연구진(2017년)은 2시간 분량의 소개introduction 모듈이 학생 성찰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했다. 비록 이것이 효과적인 것으로 증명되었지만, 핵심 기사의 다른 어떤 연구도 이러한 유형의 개입을 구체적으로 검토하지는 않았다.

Devi et al. (2017) studied the impact of a two-hour introduction module in on student reflection a nonrandomized experimental trial. Although this proved effective, no other studies in the core articles specifically looked at this type of intervention.


역사적으로 통제된 연구에서, Spampinato 외 연구진(2014년)은 해부학의 전문직업성에 관한 소규모 그룹의 개입이 성찰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했다. 이 연구의 중재 그룹에서는 성찰이 개선되지 않았다.

In a historically controlled study, Spampinato et al. (2014) studied the effect of a small group intervention around professionalism in anatomy, on reflection. Reflection did not improve in the intervention group in this study.


Aukes 등은 경험적 학습이 성찰을 강화하는 효과적인 계기가 된다는 것을 사전 및 사후 테스트 연구에서 결론지었다. 개인적 경험을 트리거로 사용하는 것도 위에서 언급한 듀크 외(2015) 개입의 필수적인 부분이었다.

Aukes et al. (2008) concluded from their pre- and posttest study that experiential learning was an effective trigger to enhance reflection. Use of personal experience as a trigger was also an integral part of Duke et al.’s(2015) intervention, mentioned above.


성찰을 촉진하기 위한 온라인 형식 사용은 많은 연구에서 지원되었다.

Use of online formats to promote reflection was supported by a number of studies.


질적 연구는 또한 성찰의 이점을 여러가지로 지적했다. 연구 결과는 학생들이 더 self-aware하게 될 수 있으며, 이것은 자기 관리self-care를 증가시키고 결과를 통해 스트레스를 감소시킬 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다른 가능한 반성의 가능성에는 어려운 임상 상황에서 의사소통을 위한 편견의 감소와 더 창의적인 방법이 포함되었다.

Qualitative studies also pointed to a number of benefits of reflection. Findings indicated that students may become more self-aware, which could increase self-care and outcomes decrease stress. Other possible of reflection included a decrease in bias and more creative ways to communicate in difficult clinical situations.


고찰 Discussion


2014년 Nguyen 외 연구진의 분석은 이 주제에 대한 문헌의 합의 부족을 해결하기 위해 매우 필요한 반성의 정의를 제공했다. 이번 심사에서 기사의 적격성을 평가하는 과정에서 이런 공감대 부족이 여실히 드러났다. 성찰이라는 용어는 여러 가지 다른 방법으로 의학 문헌에서 사용되었다. 가장 단순하게는, 성찰은 학습 자료나 이전의 과제를 검토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되었다. 성찰이라는 용어의 보다 정교하게 사용한 경우, 이는 review가 동반된 자기평가의 과정을 나타냈다.

Nguyen et al.’s analysis in 2014 provided a much needed definition of reflection to address the lack of consensus in the literature on this topic as it proliferated. During the process of assessing articles for eligibility in this review, this lack of consensus was evident. The term reflection was used in the medical literature in a number of different ways. At the more simplistic end of things, reflection was used to describe the process of reviewing learning material or previous tasks. More sophisticated uses of the term reflection indicated a process of self-evaluation associated with the review.


이번 평론에서 기사의 적격성을 평가하는 과정에서 얻은 또 다른 통찰은 많은 교육자들이 학생들에게 성찰의 방법을 가르치지 않고 성찰을 사용하고 있다는 것이었다. 학생들의 성찰적 글쓰기는 성찰 이외의 주제를 대상으로 한 교육 개입 과정에서 학생들의 경험에 대한 통찰력을 얻기 위한 수단으로 많은 연구에서 사용되었다. 특히, 학생들에게 성찰을 가르치거나 성찰을 촉진하기 위한 개입이 없는 상태에서 성찰능력을 평가한 연구는 수없이 많았다. 이 검토의 핵심적 논문에서 나온 결과에 따르면 여러 종류의 개입이 반사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것을 나타내며, 따라서 성찰은 순전히 타고난 능력이라기 보다는 실제로 개발할 수 있는 기술임을 나타낸다. 이 검토 과정은 이러한 지식이 의료 교육계에 널리 퍼지지 않는다는 것을 강조했으며 이는 부타니 외가 소아과 의사 교육자들과 함께 수행한 최근 연구에 의해 뒷받침되고 있다(Butani et al. 2017).

Another insight from the process of assessing articles for eligibility in this review was that many educators were using reflection without teaching students how to reflect. Students’ written reflections were used in many studies as a means of gaining insight into student experiences during educational interventions aimed at topics other than reflection. Significantly, there were numerous studies in which students were assessed on their ability to reflect with no intervention to teach or facilitate reflection. Findings from core articles in this review indicate that several types of interventions can improve reflective ability and therefore indicate that reflection is indeed a skill that can be developed rather than a purely innate ability. The process for this review has highlighted that this knowledge is not widespread in the medical education community and this is supported by a recent study done by Butani et al. with pediatric medical educators (Butani et al. 2017).


이 검토의 주요 연구들은 방법론과 교육 개입 설계 모두에서 이질적이었다. 교육 개입이 이질적이었던 이유는 성찰의 복잡성, 성찰의 정의에 대한 의견의 불일치, 성찰의 과정에 대한 교육자의 이해의 다양성variability 때문일 수 있다.

The core studies in this review were heterogeneous both in methodology and design of educational interventions. The heterogeneity of educational interventions may be due to the complexity of reflection itself, the lack of consensus around the definition of reflection and variability in educators understanding of the reflective process.


이 검토는 성찰이 교육과정 전반에 걸쳐 (임상 전과 사무직 환경, 핵심 프로그램 및 선택과정에), 많은 다른 능력들과 연관되어 사용되고 있다는 것을 발견했다. 이러한 요소들은 모두 간섭 설계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그러나, 성찰에 대한 개입의 효과를 연구하기 위한 목적으로, 이 검토에서, 개입을 분해하고 단순화할 수 있는 것이 증거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것은 명백하다.

This review found that reflection is being used across the curriculum, in pre-clinical and clerkship settings, in core programs and electives and in association with many different faculties. These factors can all have an impact on the intervention design. However, for the purposes of studying the effectiveness of interventions on reflection, it is clear from this review that breaking down and simplifying the interventions can improve the quality of evidence.


성찰을 가르치기 위한 개입에 대한 연구는 한두 가지 구성요소에 집중함으로써 이익을 얻지만, (성찰 자체의 복잡성과 반복적 특성 때문에) 이러한 구성요소를 조합할 경우, 더 나은 결과를 산출할 가능성이 있다(Nguyen et al. 2014). 검토 결과는 성찰의 복잡성을 탐색하기 위해서는 학생들이 어느 정도 도움을 받는 것이 중요하며, 소개, 지침서 작성, 업무에 대한 피드백을 통해 성찰에 대한 학습을 통해 이익을 얻는다는 것을 나타낸다(Aronson et al. 2012, Devi et al. 2017). 또한, 개인적인 경험이 학생들을 성찰 과정에 참여시키는 효과적인 계기가 된다는 것을 강조해왔다. 이는 1980년대 보이드와 팔레스가 "경험"을 성찰의 방아쇠로 식별하였고, 또한 응우옌 외가 최근 성찰의 정의에서 필수적인 부분으로 포함하였다는 점에서 놀랍지 않다.

Although research into interventions to teach reflection would benefit from concentration on one or two components, it is likely that a combination of these components will produce better results, due to the complexity and iterative nature of reflection itself (Nguyen et al. 2014). The review findings indicate that it is important for students to receive some assistance in navigating the complexity of reflection and that they benefit from learning about reflection through introductions, guidelines to writing, and by receiving feedback on their work (Aronson et al. 2012, Devi et al. 2017). In addition, this review has highlighted that personal experience is an effective trigger to engage students in the process of reflection. This is not surprising considering “experience” as a trigger for reflection was identified by Boyd and Fales in the 1980s and it is also an integral part of Nguyen et al.’s recent definition of reflection (Boyd and Fales 1983; Nguyen et al. 2014).


문헌에는 [성찰 과정에 필요한 취약성]에 대한 몇 가지 논의가 있다(Arntfield et al. 2016). 소규모 그룹의 지원 지도교사와 동료들은 (이 검토에서 일부 연구에서 지적한 것처럼) 성찰 과정은 학생의 취약하게 하고, 진화하게 할 잠재력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점에서, 그룹 역학 및 프로세스 관리에서의 튜터 스킬이 소그룹 성공여부의 핵심 요인이 될 가능성이 높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O'Neill et al. 2016). 또한, 학생 성취도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 중 하나는 강사와 학습자 사이의 피드백인 것으로 나타났다(Hattie 2008). 성찰을 포함한 온라인 개입의 긍정적인 결과는 특정한 의문을 제기한다. 

  • 라인 소통의 상대적 익명성이 (학생이 스스로) 취약점을 공유하는 데 도움이 되는가? 

  • 니면 단순히 온라인 포럼은 편리함, 유연성, 서포트로 인해 학생들로 하여금 '가드를 내리게' 하는가?

There is some discussion in the literature about the vulnerability that is required for the reflective process (Arntfield et al. 2016). Supportive tutors and peers in small groups have the potential to enable student vulnerability and evolution through the reflective process as indicated by some studies in this review. However, it is important to note that tutor skills in managing group dynamics and process are likely to be key factors in whether small groups are successful in this regard (O’Neill et al. 2016). In addition, one of the most powerful influences on student achievement has been shown to be feedback between the instructor and the learner (Hattie 2008). The positive outcome of online interventions with reflection raises certain questions. 

  • Does the relative anonymity of online communication facilitate students sharing vulnerabilities? 

  • Or is it simply the ease, flexibility, and support which online forums afford them, which facilitates the lowering of their guards?


이 검토에 의해 조명된 또 다른 문제는 현재 사용 중인 평가 도구였다. 여러 연구에서 검증된 도구가 사용되었지만, 많은 저자들은 성찰을 평가하기 위한 자체적인 고무를 개발하고 있었다. 특정 문맥에 대한 다면적인 개입을 위해 특정 루브릭을 개발할 필요가 있다고 주장할 수 있다(Cook et al. 2015). 그러나 성찰 평가에 이용가능한 도구의 타당성과 신뢰성에 초점을 맞춘 체계적인 검토는 이 분야의 교육자와 연구자에게 유용할 것이다. 또한 이러한 검증 툴 중 일부의 신뢰성에 관한 문헌(Andersen et al. 2014; Moniz et al. 2015)에 우려가 있었음을 고려할 때 이는 설득력이 있다.

Another issue illuminated by this review was the landscape of assessment tools currently being used. Although validated tools were used in several studies, many authors were developing their own rubrics for assessing reflections. It can be argued that specific rubrics may need to be developed for multifaceted intervention in specific contexts (Cook et al. 2015). However, a systematic review concentrating on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available tools to assess reflection would be useful to educators and researchers in this area. This is also compelling considering that there has been some concern in the literature around the reliability of some of these validated tools (Andersen et al. 2014; Moniz et al. 2015).


마지막으로, 이 검토에서 여러 연구의 증거 수준은 커크패트릭 레벨 1과 레벨 2로 제한되었다. 성찰적 실천의 가치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이 분야에서 미래의 연구가 매우 중요하다.

Finally, the level of evidence of studies in this review was limited to Kirkpatrick levels 1 and 2. Future research is critical in this area to ascertain the value of reflection exercises.


교육 개입에 대한 평가 프레임워크로 일반적으로 사용되지만, 커크패트릭 프레임워크는 원래 산업 또는 사업 환경에서 교육 입력의 평가를 위한 관리 렌즈로 구성되었으며, 보다 instructional model of learning을 가정하고 있다. 복잡한 환경에다가 이 모델을 translating 할 때, 커크패트릭의 프레임워크에 내재된 가정은 [다중 인터페이스와 영향을 가진 교육 영역에는 적용이 어려울 수 있음]을 의미한다.

Although commonly used as an evaluation framework for educational interventions, the Kirkpatrick framework was originally constructed with a management lens for the evaluation of training inputs in an industrial or business setting, with a more instructional model of learning. When translating between complex environments, the inherent assumptions behind Kirkpatrick’s framework means that its application in areas of education with multiple interfaces and influences can become difficult,



체계적 검토의 장점과 한계

Strengths and limitations of the systematic review


의료 교육, 연구 및 임상 실무에 미치는 영향

Implications for medical education, research, and clinical practice


이 주제 영역의 증거가 부족하며 단일 요소 개입을 검토하는 추가 연구가 이 지식의 본문에 도움이 될 것이다. 또한, 반영을 위한 평가 도구의 체계적인 검토를 권고한다.

Evidence in this topic area is lacking and further studies looking at single component interventions would be of benefit to this body of knowledge. Furthermore, a systematic review of assessment tools for reflection is recommended.


반성을 개발하기 위한 교육 모듈 설계 권고사항은 

(i) 학습자의 이해를 높이기 위해 성찰을 소개하고 가이드라인을 제공하는 것, 

(ii) 발달적 프로세스를 명확히 기술하고 피드백을 제공하는 것, 

(iii) 학습자에게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는 것이다. 이러한 모든 단계에 대해 현실적인 기간을 고려해야 한다.

Recommendations for designing an education module to develop reflection are: 

(i) introduce reflection and provide guidelines in order to increase the understanding of learners; 

(ii) clearly describe the developmental process and provide feedback; and 

(iii) assess the impact for learners. A realistic timeframe should be considered for all of these steps.


결론

Conclusions



Cutrer WB, Miller B, Pusic MV, Mejicano G, Mangrulkar RS, Gruppen LD, Hawkins RE, Skochelak SE, Moore DE, Jr. 2017. Fostering the development of master adaptive learners: a conceptual model to guide skill acquisition in medical education. Acad Med. 92:70–75.


Arntfield S, Parlett B, Meston CN, Apramian T, Lingard L. 2016. A model of engagement in reflective writing-based portfolios: interactions between points of vulnerability and acts of adaptability. Med Teach. 38:196–205.


Aronson L, Niehaus B, Lindow J, Robertson PA, O’Sullivan PS. 2011. Development and pilot testing of a reflective learning guide for medical education. Med Teach. 33:e515–e521.


Epstein RM. 2008. Reflection, perception and the acquisition of wisdom. Med Educ. 42:1048–1050.


Hattie J. 2008. Visible learning: A synthesis of over 800 meta-analyses relating to achievement. Abingdon: Routledge.


Moniz T, Arntfield S, Miller K, Lingard L, Watling C, Regehr G. 2015. Considerations in the use of reflective writing for student assessment: issues of reliability and validity. Med Educ. 49:901–908.


Murdoch-Eaton D, Sandars JAEC. 2014. Reflection: moving from a mandatory ritual to a meaningful professional development. Arch Dis Child. 99:279–283.











. 2019 Jan;41(1):3-16.
 doi: 10.1080/0142159X.2018.1505037. Epub 2019 Jan 11.

A Best Evidence in Medical Education systematic review to determine the most effective teaching methods that develop reflection in medical students: BEME Guide No. 51

Affiliations 

Affiliations

  • 1a Department of General Practice , RCSI , Dublin , Ireland.
  • 2b Health Professions Education Centre, RCSI , Dublin , Ireland.

Abstract

Introduction: Reflection is thought to be an essential skill for physicians. Although much has been written about it, there is little concurrence about how to best teach reflection in medical education. The aim of this review was to determine: (i) which educational interventions are being used to develop reflection, (ii) how is reflection being assessed, and (iii) what are the most effective interventions.

Methods: Inclusion criteria comprised: (i) undergraduate medical students, (ii) a teaching intervention to develop reflection, and (iii) assessment of the intervention. A review protocol was developed and nine databases were searched. Screening, data extraction, and analysis procedures were performed in duplicate. Due to the heterogeneity of studies, a narrative synthesis approach was performed for the study analysis.

Results: Twenty-eight studies met the inclusion criteria. The interventions in these studies had at least of two of the following components related to reflection: (i) introduction, (ii) trigger, (iii) writing, (iv) guidelines, (v) small group discussion, (vi) tutor and (vii) feedback. Three validated rubrics were used to assess reflective writing in these studies.

Conclusions: The strongest evidence from studies in this review indicates that guidelines for, and feedback on, reflective writing improve student reflection.


성찰적 학습을 촉진하는 교육역량 평가 스케일 개발(Med Educ, 2011)

Development of a student rating scale to evaluate teachers’ competencies for facilitating reflective learning

Mirabelle A Schaub-de Jong,1 Johanna Scho¨nrock-Adema,2 Hanke Dekker,2 Marian Verkerk2 &

Janke Cohen-Schotanus2





도입

INTRODUCTION


최근 몇 년간 전문직업적 행동의 발달은 의학 교육의 필수적인 부분이 되었다.1–3 전문직업적 행동을 개발하기 위한 전제조건은 전문직업적 작업 상황에서 경험과 자신의 행동에 대해 성찰할 수 있는 능력이다.1,4,5 이 과정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필요한 기술을 개발하는 효과적인 방법은 소규모 그룹의 개인적 경험에 대한 성찰을 실천하는 것이다.6–8 이러한 성찰에는 개인의 함축connotation이 내재되어 있으므로 소그룹 설정은 신뢰할 수 있고 안전해야 한다.9 이것은 이러한 그룹의 촉진자들이 특정한 교사 역량이 필요하다는 것을 암시한다.10

In recent years the development of professional behaviour has become a vital part of medical education.1–3 A prerequisite to developing professional behaviour is the ability to reflect on experiences and on one’s own behaviour in a professional work situation.1,4,5 An effective method of developing the skills required to facilitate this process is to practise reflection on personal experiences in small groups.6–8 As personal connotations are inherent in this kind of reflection, the small-group setting needs to be trustworthy and safe.9 This implies that the facilitators of these groups need specific teacher competencies.10


의학교육과정에서 교사는 설정에 따라 정보 제공자, 촉진자, 평가자의 역할을 포함하여 서로 다른 역할을 한다.10

In medical curricula, teachers have different roles, including those of information provider, facilitator and assessor, depending on the setting.10


각 역할은 교육 목적에 따라 특정한 역량의 집합을 요구한다.10 예를 들어, 튜토리얼 그룹에서 학습 촉진을 위한 튜터의 역할은 새로운 이해를 자극하고, 협력적이고 자기주도적인 학습을 포함한다.11,12 촉진자의 역할은 촉진자가 학생들이 발전하도록 자극하고 흔들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대안적 관점을 수정하고, 그들이 학습 과정을 계획하고, 모니터링하고, 평가하는 데 적극적인 역할을 할 수 있도록 돕는다.12

Each role requires a specific set of competencies, depending on its educational aims.10 For example, in tutorial groups the tutor’s role for facilitating learning involves stimulating new understanding, and collaborative and self-directed learning.11,12 The facilitator’s role implies that the facilitator should stimulate students to develop and share alternative views and help them to play an active role in planning, monitoring and evaluating their learning processes.12


소그룹으로 성찰적 학습을 지도하는 촉진자의 역할도 또 다른 역량이 필요하다. 성찰적 학습 그룹에서 학생들은 성찰 기술을 습득한다: 학생들은 자신의 개인적 감정과 전문적인 행동을 포함하여 이론과 전문적인 실습을 비교함으로써 자신의 경험을 분석한다.9,15,16 자신의 경험을 분석하여, 기존의 행동과 그 행동을 조정할 수 있는 선택과 합성을 이끌어야 한다.16 이는 성찰적 학습 그룹의 초점이 고차적higher-order 기술에 집중되어 있음을 의미한다.17

However, the facilitator’s role for guiding reflective learning in small groups requires different teacher competencies. In reflective learning groups, students acquire reflective skills: they analyse their experiences by comparing theory and professional practice, including their own personal feelings and professional behaviours.9,15,16 The analysis of these experiences should lead to a synthesis with existing behaviour and choices to adjust that behaviour.16 This means that the focus in reflective learning groups is on higher-order skills.17


예를 들어, 이성적 추론에 중점을 두고 그룹 과정을 지도하는 교사들보다, 성찰적 학습 그룹을 촉진하는 교사들은 다음의 것들을 더 잘 할 필요가 있다: 

(i) 학생들이 그들의 경험을 좀 더 명확하고 구체적으로 만들도록 돕고, 

(iii) 학생들이 전문적인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감정을 조사하도록 돕고, 

(iii) 학생들의 성찰 능력 향상에 중점을 두어 상호작용을 촉진한다

(iv) 적극적인 경청과 같은 기술 발달을 자극한다.

To a greater degree than, for instance, tutors who guide group processes with an emphasis on rational reasoning, teachers who facilitate reflective learning groups need to: 

(i) help students make their experiences more explicit and concrete; 

(ii) help students investigate emotions that influence professional behaviour; 

(iii) stimulate interactions among students with a focus on improving students’ reflective skills, and 

(iv) stimulate the development of skills such as active listening.8,9,15,18–22


이 기사는 STERLinG(소그룹 내 반사적 학습을 장려하기 위한 교사의 역량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 규모의 개발과 검증에 대해 설명한다.

This article describes the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the STERLinG (Student perceptions of their Teachers’ competencies to Encourage Reflective Learning in small Groups) scale.


방법

METHODS


맥락

Context


이들 학생은 전문성 개발을 중심으로 소규모 그룹 세션(그룹당 7~10명)에 참여한다. 이러한 세션의 목적은 학생들이 전문직으로서의 자신들과 그들의 전문적 기술을 인식하도록 자극하여 전문직 행동의 발전을 장려하는 것이다. 그 과정은 학생들이 반성을 하도록 자극하는 일련의 운동으로 특징지어진다.

These students participate in small-group sessions (of seven to 10 students per group) focusing on professional development. The aim of these sessions is to stimulate students to become aware of themselves as professionals and of their professional skills in order to encourage the development of professional behaviour. The courses are characterised by a set of exercises that stimulate students to reflect.


세션 동안 학생들은 개인적인 경험을 보고하거나 전문직업적 실천으로부터 주제를 소개한다. 이러한 개인적인 경험은 학생들이 의사, 간호사, 환자 또는 고객과 상호작용을 하는 상황에서 온다. 학생들은 자신의 직업적 행동을 발전시키기 위해 이러한 직업적 경험이나 직업적 주제를 토론하고 분석하고 성찰한다. 모든 세션은 선생님에 의해 촉진된다. 교사의 원활한 역할은 모든 학생들이 참여하고 그룹이 협력적이고 개인적인 성찰 과정을 개발하도록 돕는 것을 의미한다. 교사는 또한 그룹을 자극하여 경험의 이유와 원인을 질문하여 자아 인식, 비판적 사고, 깊이 또는 새로운 이해를 촉진시킨다.

During the sessions, students report personal experiences or introduce themes from professional practice. These personal experiences come from situations in which the students interacted with doctors, nurses, patients or clients. The students discuss, analyse and reflect on these professional experiences or professional themes in order to develop their professional behaviour. All sessions are facilitated by a teacher. The facilitating role of the teacher implies involving all students and helping the group to develop collaborative and personal reflection processes. The teacher also stimulates the group into questioning the whys and wherefores of experiences to promote self-awareness, critical thinking and deeper or new understanding.


도구 개발

Instrument development


도구의 타당도

Validation of the instrument


참여자

Participants


절차 

Procedure


중립적인 답변을 피하기 위해 4점 리커트 척도(1 = 전혀 해당되지 않음, 4 = 매우 적용 가능)를 사용했다.

To avoid neutral answers, a 4-point Likert scale (1 = not at all applicable, 4 = highly applicable) was used.


Study 1에서 학생들은 소그룹 회의 중 하나에서 선생님에 의해 연구에 대한 정보를 받았다. 현직 교사의 존재로 인해 사회적으로 바람직한 답변을 하는 학생들이 없도록 하기 위해, 학생들은 전년도 교사의 수행 정도를 평가하도록 하였다.

In Study 1, students were informed about the study by their teachers during one of their small-group meetings. To prevent the students giving socially desirable answers as a result of the presence of their current teacher, the students were asked to rate the performance of their previous year’s teacher.


자료 분석

Data analysis


연구 1에서는 주성분 분석(PCA)을 사용하여 계측기의 내부 구조를 조사했다. 우리는 직교 회전을 적용했는데, 이는 반사 학습을 촉진하는 데 필수적인 가능한 고차 역량에 대한 명확한 이론이 없었기 때문에 이러한 역량이 상관관계가 있는지 여부를 알 수 있는 이론적 근거가 없기 때문이다.24 점수 분포의 정규성을 검사하고 필요한 경우 변환을 수행한 후, 25,26 우리는 최근 권장한 대로 3가지 정신측정학 기준과 4가지 해석가능성 기준을 적용하여 베리맥스 회전으로 PCA를 수행했다.27 

In Study 1, we used principal components analysis (PCA) to investigate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instrument. We applied an orthogonal rotation as we did not have an explicit theory about possible higherorder competencies essential for facilitating reflective learning in advance and hence no theoretical basis for knowing whether these competencies would be correlated.24 After inspecting the normality of the distribution of the scores and performing transformation where necessary,25,26 we performed PCA with varimax rotation applying the three psychometric criteria and four interpretability criteria as recommended recently.27 


관련 정신측정학 기준: 

(i) 스크리 플롯, 

(ii) 고유값 1.5 이상 및 

(iiii) 각 성분은 최소한 분산의 5%를 추가로 설명해야 한다. 

The psychometric criteria concerned: 

(i) the scree plot; 

(ii) eigenvalues > 1.5, and 

(iii) each component explaining at least an approximate additional 5% of the variance. 


해석가능성 기준은 다음과 같이 명시되었다. 

(i) 각 성분은 최소 3개의 상당한 적재가 있는 변수(최소 0.40)를 포함한다. 

(ii) 동일한 구성 요소에 대한 변수 로딩은 동일한 구성을 측정한다. 

(iii) 다른 구성 요소에 대한 변수 로딩은 다른 구성 요소를 측정하고 

(iv) 회전 인자 패턴은 항목이 둘 이상의 구성요소에 유의하게 적재되지 않음을 의미하는 단순한 구조를 나타낸다.

The interpretability criteria stated that: 

(i) each component contains at least three variables with significant loadings (at least 0.40); 

(ii) variables loading on the same component measure the same construct; 

(iii) variables loading on different components measure different constructs, and 

(iv) the rotated factor pattern demonstrates a simple structure, which means that the items do not load significantly on more than one component. 


권고대로, 조사된 정신측정학 기준에 따른 최선의 해결책의 해석 가능성뿐만 아니라, 한두 가지 성분이 더 많고 적은 해결책의 해석 가능성까지 조사했다. 단일 요인 솔루션은 저요인화 위험을 수반하므로,27 해석 가능성 분석에서 이 솔루션을 제외하기로 사전에 결정했다. 또한 완료 시간을 단축하고 이에 따른 응답자 부담을 줄이기 위해 비중요non-significant 적재loadings가 있는 항목을 제거하기로 했다.

As recommended, we investigated not only the interpretability of the best solution according to the psychometric criteria investigated, but also those of solutions with one or two components more and less. As a one-factor solution carries the risk of underfactoring,27 we decided beforehand to exclude this solution from the interpretability analysis. We also decided to eliminate items with non-significant loadings in order to reduce completion time and thus respondent burden.


각 솔루션에 대한 해석 과정은 이중 적재double-loading 항목을 제거하는 것으로 시작되었다. 다른 해석가능성 기준을 충족한다면, 항목의 분류와 인자의 해석은 그대로 유지되는지를 판단하기 위해 이중 적재 항목과 비신호 적재 항목(하중 < 0.4)) 없이 분석을 재실행하였다. 우리는 주관성을 최소화하고 해석의 타당성을 극대화하기 위해 연구자 삼각측량을 적용했다. 따라서, 5명의 교육학자들과 4명의 전문실습 교사가 모든 관련 해결책의 요인을 독립적으로 해석하였다. 그 후, 그들은 그들의 발견에 대해 논의했고 최선의 해결책에 대한 합의에 도달했다.

The interpretation process for each solution started with the elimination of double-loading items. If the other interpretability criteria were met, the analysis was rerun without the double-loading items and without items loading non-significantly (loading < 0.4) in order to determine whether the classification of items and the interpretation of factors remained the same. We applied researcher triangulation to minimise subjectivity and maximise validity of the interpretation. Therefore, five educationalists and four teachers of professional practice independently interpreted the factors for all relevant solutions. Subsequently, they conferred on their findings and reached consensus regarding the best factor solution.


Study 2에서는 원래 3-요인 STERLinG 구조를 검증하기 위해 경사 다중 그룹(OMG) 방법을 사용한 확인 인자 분석을 수행했다.2

    • OMG 방법의 첫 번째 단계는 동일한 척도에 할당된 항목을 조합하여 척도를 구성하는 것으로 구성된다. 

    • 이후 각 항목과 각 척도의 상관관계가 계산된다. 항목은 할당되는 척도와 가장 강하게 상관되어야 한다. 그렇지 않고 항목이 다른 척도와 더 강하게 상관되는 경우 이는 잘못 지정되었음을 나타낸다. 

    • 그 경우, 항목은 가장 상관관계가 있는 척도에 할당되어야 한다.

In Study 2, we performed a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using the oblique multiple group (OMG) method to verify the original three-factor STERLinG structure.28 

    • The first step in the OMG method comprises constructing scales by simply combining the items assigned to the same scale. 

    • Subsequently, the correlation of each item with each scale is calculated. An item should correlate most strongly with the scale to which it is assigned. If this is not the case and an item correlates more strongly with any other scale(s), this indicates that it has been wrongly assigned. 

    • The item should then be assigned to the scale with which it correlates most.


결과

RESULTS


연구1 

Study 1


첫 번째 구성 요소에는 성찰 능력을 계발하여 자기성찰을 자극하고, 개인의 인식을 자극하며, 학생들의 비판적 사고력 향상에 도움을 주는 것을 일컫는 교사 역량이 포함되어 있었다. 패널은 이 구성요소를 Supporting self-insight(18개 항목)로 해석했다. 

The first component contained teacher competencies referring to stimulating self-insight through developing reflection skills, stimulating personal awareness and helping students improve their critical thinking. The panel interpreted this component as Supporting self-insight (18 items). 


두 번째 요소는 신뢰하고 안전한 환경을 의미하는 긍정적인 분위기를 조성하는데 필요한 조건을 제공하는 데 주로 초점을 맞췄다. 이 구성요소는 안전한 환경 조성(7개 항목)이라고 라벨을 붙였다. 

The second component mainly focused on providing the necessary conditions for creating a positive atmosphere, which means a trusting and safe environment. This component was labelled as Creating a safe environment (seven items). 


세 번째 구성 요소에는 학생들이 그들 자신의 학습 과정에 능동적인 역할을 하고 그들의 개인적, 전문적인 학습에 대한 책임을 질 수 있도록 격려하는 데 초점을 맞춘 교사 역량이 포함되어 있었다. 교사들은 학생들의 태도에 대한 피드백을 제공하고 그룹 성과에 대해 건설적인 피드백을 하도록 자극함으로써 이를 장려한다. 게다가, 교사들은 전문적인 행동과 관련된 학습 목표의 개발을 자극한다. 이 구성요소는 자율규제 장려(11개 항목)로 명명되었다.

The third component contained teacher competencies which focus on stimulating students to take an active role in their own learning processes and to take responsibility for their personal and professional learning. Teachers encourage this by providing feedback on the students’ attitudes and by stimulating them to give constructive feedback on group performance. Furthermore, teachers stimulate the development of learning objectives related to professional behaviour. This component was named Encouraging self-regulation (11 items).



연구 2

Study 2


연구 1에서 확인된 STERLinG 구조는 연구 2에서 사용된 데이터 집합의 총 분산 양의 53.0%를 설명했다. 선행 과제는 데이터에 의해 거의 전적으로 지원되었다(표 3). 36개 항목 중 1개 항목만 예상보다 다소 높은 정도로 다른 스케일에 로딩('코치가 경험을 원근법에 넣을 수 있도록 도와준다' 14번 항목)했지만 로딩 차이는 미미했다. 이 항목의 내용이 첫 번째 척도에 더 잘 맞고, 이 항목을 다른 척도로 하는 새로운 OMG 방법이 설명될 정도의 추가 분산(0.1%)을 초래함에 따라, 본 품목을 원래의 하위 척도로 유지하기로 결정했다.

The STERLinG structure identified in Study 1 explained 53.0% of the total amount of variance of the dataset used in Study 2. The a priori assignments were almost entirely supported by the data (Table 3). Only one of the 36 items loaded somewhat higher on another scale than expected (item 14, ‘My coach helps me to put experiences in perspective’, from the first scale Supporting selfinsight), but the difference in loading was negligible. As the content of this item fit better into the first scale and a new OMG method with this item in another scale resulted in a negligible amount of additional variance explained (0.1%), we decided to retain this item in the original subscale.


표 3 오블리크 다중 그룹 방법에서의 인자 적재

Table 3 Factor loadings in the oblique multiple group method

문항(번호)

Item (no.)


선생님은 My teacher…* 

  • 개인적인 감정을 인식할 수 있도록 돕는다 (1) 

  • 내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감정을 인식할 수 있도록 돕는다(2) 

  • 한 걸음 떨어져서 내 행동을 조사하는 데 도움이 된다(3) 

  • 상충되는 감정의 가능성을 깨닫게 한다(4) 

  • 나 자신을 더 잘 이해할 수 있도록 돕는다(5) 

  • 개인적 인식 개발에 도움이 된다(6)

  • 감정을 표현하는 데 도움이 된다(7) 경험의 

  • 경험의 분석이 어려운 상황에 대처하는 데 도움이 되는 능력이라는 것을 깨닫게 한다(8) 

  • 모순된 감정에 주의를 기울이도록 나를 자극한다(9) 

  • 개인적인 통찰력을 자극한다(10) 

  • 나의 사고습관을 자세히 볼 수 있도록 도와준다(11) 

  • 나 자신을 거울에 비추어준다(12) 

  • 행동을 새롭게 바꾸어갈 시작점을 인식하는 데 도움이 된다(13) 

  • 경험을 다른 관점으로 볼 수 있도록 돕는다(14) 

  • 중요 이벤트의 측면에 대한 심층 분석 자극(15) 

  • 사건 분석에 옳고 그름의 답이 없음을 알게 한다(16) 

  • 경험을 구체화하도록 돕는다(17)

  • 내 의견에 대한 문화적 영향을 인지할 수 있도록 돕는다(18) 


Helps me recognise personal feelings (1) 

Helps me be aware of emotions that influence my behaviour (2) 

Helps me investigate my behaviour from a distance (3) 

Makes me aware of the possibility of conflicting feelings (4) 

Helps me to better understand myself (5) 

Helps me to develop personal awareness (6) 

Helps me to express my feelings (7) 

Makes me aware that analysis of experiences is an ability that helps me cope with difficult situations (8) 

Stimulates me to pay attention to contradictory feelings (9) 

Stimulates personal insight (10) 

Helps me to take a closer look at my thinking habits (11) 

Holds up a mirror to myself (12) 

Helps me recognise a starting point from which to move to new behaviour (13) 

Helps me to put experiences into perspective (14) 

Stimulates in-depth analysis of aspects of significant events (15) 

Makes me aware that there is no right or wrong answer in event analysis (16) 

Helps me make my experiences concrete (17)

 Helps me to be aware of the cultural influences on my opinions (18) 


선생님은 My teacher…* 

  • 학생과의 신뢰 관계를 개발한다(19) 

  • 나를 안심하게 한다(20) 

  • 그룹 내 안전한 학습 환경 구축한다(21) 

  • 그룹 내 학생과 개방적인 관계(22) 

  • 그룹 학생에 대한 헌신을 보여준다(23)

  • 나의 가치를 확인해준다(24) 

  • 학생으로부터 피드백을 받을 의향이 있다(25) 

Develops trusting relationships with the students (19) 

Makes me feel safe (20) 

Establishes a safe learning environment in the group (21) 

Has an open relationship with the students in the group (22) 

Shows commitment with the students of the group (23) 

Affirms my self-worth (24) 

Is willing to accept feedback from students (25) 


선생님은 My teacher…* 

  • 나 자신의 학습 과정에 대한 책임을 지도록 나를 자극한다(26)

  • 나만의 학습 목표를 개발하도록 격려한다(27) 

  • 개인적 발전에 대한 책임을 지도록 나를 자극한다(28) 

  • 내 전문적 발전에 대한 책임을 지도록 나를 자극한다(29) 

  • 전문직업적 인식 배양에 도움이 된다(30) 

  • 그룹 성과에 대해 건설적인 피드백을 하도록 나를 자극한다(31) 

  • 내 태도에 대한 피드백 제공한다(32) 

  • 중요한 분석을 통해 배운 내용을 요약하도록 나를 자극한다(33) 

  • 질문하도록 자극한다(34) 

  • 선택을 하도록 자극한다(35) 

  • 나 자신의 성과를 평가하도록 자극한다(36)

Stimulates me to take responsibility for my own learning process (26)

Encourages me to develop my own learning objectives (27) 

Stimulates me to take responsibility for my personal development (28) 

Stimulates me to take responsibility for my professional development (29) 

Helps me develop professional awareness (30) 

Stimulates me to give constructive feedback about our group’s performance (31) 

Gives feedback on my attitude (32) 

Stimulates me to summarise what we had learned from significant analysis (33) 

Stimulates me to ask questions (34) 

Stimulates me to make choices (35) 

Stimulates me to assess my own performance (36)




고찰 

DISCUSSION


STERLinG 척도라는 소규모 그룹의 성찰 학습을 촉진하는 데 필수적인 교사 역량을 평가하기 위해 일관성 있는 내부 타당성을 가진 신뢰할 수 있는 설문지가 개발되었다. 연구 1에서 확인된 STERLinG의 구조는 연구 2의 새로운 데이터 집합을 사용하여 확인되었다.

A reliable questionnaire with consistent internal validity was developed to assess teacher competencies essential for facilitating reflective learning in small groups: the STERLinG scale. The structure of the STERLinG identified in Study 1 was confirmed using a new dataset in Study 2.


최종 36항목 STERLinG는 신뢰성이 높은 세 가지 구성 요소로 구성된다. 

  • 자기통찰의 지원

  • 안전한 환경 형성

  • 자기조절 장려

The final 36-item STERLinG consists of three components with high reliability: 

  • Supporting self-insight; 

  • Creating a safe environment, and 

  • Encouraging self-regulation. 


  • 첫 번째 구성 요소는 교육, 학생들이 성찰적 사고에 참여하도록 자극하는 등 성찰의 내용에 초점을 맞춘 교사역량을 말한다. 

  • 두 번째 요소는 안전하고 신뢰할 수 있는 환경을 구축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교사 역량을 말한다. 

  • 세 번째 요소는 학생들이 전문적인 실천을 준비하기 위해 성찰 능력을 자율적으로 적용할 수 있도록 돕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교사 역량에 관한 것이다.

  • The first component refers to teacher competencies focusing on the content of teaching reflection, such as training and stimulating students to engage in reflective thinking. 

  • The second component refers to teacher competencies aimed at establishing a safe and trustworthy environment. 

  • The third component concerns teacher competencies aimed at helping students to apply reflective skills autonomously in order to prepare them for professional practice.


높은 수준의 학습을 달성하는 데 필수적인 세 가지 교육 기능: 인지, 감정, 메타인지.

three educational functions vital to achieving high-quality learning: cognitive, affective and metacognitive functions.


인지적 교육기능이란 [주요 내용을 제시하고 명확히 하는 것]을 말한다. STERLinG의 첫 번째 구성 요소인 자기통찰 지원(Supporting self-insight)은 이 교육기능과 유사하다. 이 구성요소는 성찰 교육의 주요 목표에 초점을 두고 있는데, 즉 학생들이 어떻게 성찰을 해야 하는가에 대한 통찰을 제공하고, 이 통찰을 적용하도록 돕는 것이다.

The cognitive educational function refers to presenting and clarifying the subject matter. The first component of the STERLinG, Supporting self-insight, resembles this educational function as it focuses on the main goal of teaching reflection, namely, that of providing insight in how to reflect and helping students to apply these insights.


정서적 교육기능은 [긍정적인 동기부여와 정서적 학습 환경을 조성하고 유지]하는 데 관여한다.29,30 두 번째 요소는 안전한 환경을 조성하고 개인적인 경험을 분석할 때 발생하는 감정에 대처하는 학생들을 지원하는 데 초점을 맞추고 있기 때문에 이 교육 기능에 해당한다.

The affective educational function is involved in creating and maintaining a positive motivational and emotional learning environment.29,30 The second component corresponds with this educational function as it focuses on creating a safe environment and supporting students in coping with emotions that arise when analysing personal experiences.


메타인지적 교육기능은 [인지 활동을 지시, 지도, 모니터링하고 학습 및 기분 상태를 조절]하는 데 초점을 맞춘다.29,30 STERLinG의 세 번째 구성요소는 고차적 교육 역량과도 관련이 있으며, 이 기능과 일치한다. 자기조절을 장려한다는 것은 학생들이 전문적 발달 과정에 스스로 책임을 지도록 자극하고, 그룹이 자율적으로 협동적이고 개인적인 반성 과정을 개발하도록 자극하는 과정을 말한다.

The metacognitive educational function focuses on directing, guiding and monitoring cognitive activities, regulating learning and mood states.29,30 The third component of the STERLinG corresponds with this function as it also concerns higher-order teacher competencies. Encouraging self-regulation refers to the process of stimulating students to take responsibility for their professional development processes and stimulating the group to autonomously develop collaborative and personal reflection processes.


교수 및 학습 성찰에 관한 문헌에서 SERLinGover 반복적인 테마에 의해 측정된 교사 역량의 세 영역.

The three domains of teacher competencies measured by the STERLinGcover recurring themes in the literature on teaching and learning reflection.


위에서 서술한 측면의 중요성이 문헌에서 강조되어 왔지만, 분명히 이 세 가지 필수 영역은 이전에 통합되지 않았다.

Although the significance of the aspects described above has been emphasised in the literature, apparently these three essential domains have not been brought together before.


튜터 및 임상 교사의 교육 활동의 품질을 평가하기 위해 여러 가지 기구가 개발되었다.11–14,33 STERLinG는 이러한 기존 기구에 중요한 추가 기구로, 반영 기술 교육에 특정한 교사 역량의 평가가 가능하기 때문이다.

Several instruments have been developed to assess the quality of teaching activities of tutors and clinical teachers.11–14,33 The STERLinG is an important addition to these existing instruments, as it enables the assessment of teacher competencies specific to the teaching of reflective skills,


결론 

CONCLUSIONS


STERLinG는 소규모 그룹의 반사 학습을 촉진하는 데 필수적인 교사 역량을 평가하기 위해 개발되었다.

The STERLinG was developed to assess teacher competencies essential for facilitating reflective learning in small groups.


결론적으로, STERLinG는 교사 역량을 평가하고 고품질 반영을 달성하기 위해 개선이 필요한 역량을 식별하기 위한 실질적이고 유효한 도구로서 소그룹 환경에서 사용하도록 권고될 수 있다.

In conclusion, the STERLinG can be recommended for use in small-group settings as a practical and valid tool for assessing teacher competencies and identifying those competencies that need to be improved in order to achieve high-quality reflective







. 2011 Feb;45(2):155-65.
 doi: 10.1111/j.1365-2923.2010.03774.x.

Development of a student rating scale to evaluate teachers' competencies for facilitating reflective learning

Affiliations 

Affiliation

  • 1Department of Speech and Language Therapy, Centre for Applied Research and Innovation in Health Care and Nursing, Academy of Health Sciences, Hanze University Groningen, Groningen, the Netherlands. m.a.shcaub@home.nl

Abstract

Context: teaching students in reflection calls for specific teacher competencies. We developed and validated a rating scale focusing on Student perceptions of their Teachers' competencies to Encourage Reflective Learning in small Groups (STERLinG).

Methods: we applied an iterative procedure to reduce an initial list of 241 items pertaining to teacher competencies to 47 items. Subsequently, we validated the instrument in two successive studies. In the first study, we invited 679 medical and speech and language therapy students to assess the teachers of their professional development groups with the STERLinG. Principal components analysis (PCA) with varimax rotation was used to investigate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instrument. In the second study, which involved 791 medical, dental, and speech and language therapy students, we performed a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using the oblique multiple group (OMG) method to verify the original structure.

Results: in Study 1, 463 students (68%) completed the STERLinG. The PCA yielded three components: Supporting self-insight; Creating a safe environment, and Encouraging self-regulation. The final 36-item instrument explained 44.3% of the variance and displayed high reliability with α-values of 0.95 for the scale, and 0.91, 0.86 and 0.86 for the respective subscales. In Study 2, 501 students (63%) completed the STERLinG. The OMG confirmed the original structure of the STERLinG and explained 53.0% of the total variance with high α-values of 0.96 for the scale, and 0.94, 0.90 and 0.90 for the respective subscales.

Conclusions: the STERLinG is a practical and valid tool for gathering student perceptions of their teachers' competencies to facilitate reflective learning in small groups considering its stable structure, the correspondence of the STERLinG structure with educational theories and the coverage of important domains of reflection. In addition, our study may provide a theoretical framework for the practice of and research into reflective learning.


성찰의 습지: 대화분석을 통한 그룹 성찰세션의 구조 드러내기(Med Educ, 2017)

The swamplands of reflection: using conversation analysis to reveal the architecture of group reflection sessions

Mario Veen1 & Anne de la Croix2





도입

INTRODUCTION


의학교육에서 성찰

Reflection in medical education


성찰의 이론적 뿌리는 대개 Dewey1과 Schuroon2의 것이라 하지만, 의학 교육 패러다임을 훨씬 뛰어넘는다.3 

    • 듀이는 성찰을 놀랍고 충격적이거나 의심을 불러일으키는 경험에 의해 촉발된 감각적인 실천이라고 묘사했다. 

    • 슈어런은 자신의 습관적인 사고방식에 맞지 않는 예기치 못한 사건이나 현상을 포함하도록 범위를 넓히는 방법으로 보았다. 

The theoretical roots of reflection are usually credited to Dewey1 and Sch€on2 but extend far beyond the medical education paradigm.3 

    • Dewey described reflection as a sense-making practice prompted by a surprising, shocking or doubt-inducing experience. 

    • Sch€on saw it as a way of broadening one’s scope to include unexpected events or phenomena that do not fit one’s habitual ways of thinking. 

불확실성, 의심, 의문점 소명을 이렇게 강조한 것을 보면, 의학 교육 연구에서 성찰을 마치 [실험과 측정에 의해 충분히 이해할 수 있는 깔끔하게 정리할 수 있는 과정]으로 취급하는 경우가 많다는 것은 모순되어 보인다. Ng 등이 최근 지적했듯이, 성찰의 이론적 뿌리는 '명백히 환원주의에 저항하며, 불확실성 내에서 예술성을 위한 공간을 촉진하나, 의학 교육에서는 성찰이 주로 도구 또는 테크닉으로 적용되고 있다'고 한다.3

Given this emphasis on uncertainty, doubt and calling into question taken-for-granted assumptions, it is ironic that medical education research often treats reflection as a neatly orderable process that can be fully understood by experiment and measurement. As Ng et al. noted recently, the theoretical roots of reflection ‘explicitly resist reductionism and promote a space for artistry within uncertainty, yet in medical education, reflection is chiefly applied in instrumental or technical ways’.3


성찰를 연구하는 현재의 의학 교육 접근방식은 Sch€on의 'high ground'라고 볼 수 있다. 여기서 목적은 성찰와 성찰의 의도된 결과에 대한 [단일한 정의], 그리고 성찰을 측정하는 [신뢰할 수 있고 선호되는 정량적인 방법]을 찾는 것이다.6 이 결과는 성찰의 인지 과정을 지도화하려는 시도로 귀결되었다.7,8 그러나 우리는 Wass와 Harrison과 마찬가지로, 성찰의 일반적인 모델을 제안하는 것의 유용성에 대해 의문을 가지고 있다.

The current medical educational approach to studying reflection can be seen as Sch€on’s ‘high ground’,5 where the aim is to find a singular definition of reflection and its intended outcomes, and a reliable, preferably quantitative, way of measuring reflection.6 This has resulted in attempts to map the cognitive processes when people reflect.7,8 However, we side with Wass and Harrison,9 who express doubt about the usefulness of proposing a generic model of reflection.


현재 성찰에 대한 연구가 접근하고 있는 또 다른 방법은 [코딩 도구에 의해 품질을 평가하는 성찰적 글쓰기 과제의 결과]를 연구하는 것이다.10–12 그러나, 이러한 연구는 학습자의 [실제 성찰능력]을 측정하는 것인가, 아니면 [평가하는 사람에게 보여주기 위해 성찰적으로 행동하는 능력]을 측정하는 것인가?13–15

Another way research into reflection is currently approached, is by studying the outcome of reflective writing assignments, the quality of which is assessed by a coding tool.10–12 However, are these studies measuring learners’ competence in reflection or their competence in acting reflectively for the one who assesses it?13–15


성찰 세션에서 퍼실리테이션을 하는 의학교육자는 인지적 및 실험적 접근방식이 제공할 수 있는 것과 다른 도구와 해결책이 필요하다. Sch€on은 실제 교육 관행을 '질퍽질퍽한 저지대'에 비유했다. 즉, '문제들이 복잡하고 혼란스럽고 기술적인 해결책이 불가능한 곳'을 의미한다.5 도구적-합리적 접근방식에서 반성은 서면 또는 구어를 통해 논증적으로 표현하거나 논증적으로 접근할 수 있는 메타인지적 과정으로 개념화된다.16,17 집단반성의 사회과정의 세부사항은 이러한 연구에는 거의 관심이 없으며 주변 현상으로 취급된다.7 그러나, 참여자 그룹과 관련된 의료 교육자들에게는, 사회적 상호작용이 성찰 과정을 안내하고 그 결과를 판단할 수 있는 주요 도구다. 억양, 질문 시기, 침묵 시기 등과 같은 세부 사항은 이 과정에 중요하다.

A medical educator facilitating a reflection session is in need of different tools and solutions than cognitive and experimental approaches can offer. Sch€on likened actual education practice to ‘swampy lowlands, [where] problems are messy and confusing and incapable of technical solution’.5 In the instrumental-rational approach, reflection is conceptualised as a metacognitive process that can be expressed or accessed unproblematically through written or spoken language.16,17 The details of the social process of group reflection are of little interest to these studies and are treated as peripheral phenomena.7 However, for medical educators involved with a group of participants, social interaction is the main instrument to guide the reflective process and to judge its outcomes. Details such as intonation, when to ask a question or when to remain silent, are crucial for this process.


컨텍스트에서 그룹 성찰의 연구

Studying group reflection in context


의학 교육에서 맥락의 역할은 더 이상 '소음'으로 치부되지 않으며, 실제로 일어나는 학습을 이해하는 중심으로 인식된다.20, 20,21

The role of context in medical education is no longer dismissed as ‘noise’ but recognised as central to understanding learning as it actually happens.20,21


대화 분석(CA)은 특히 비디오 녹화물의 면밀한 분석을 통해 사람들의 실생활 관행을 분석하기 때문에 자연적인 맥락에서 반성을 연구하는데 적합하다.19,27,28 CA의 상향식 접근법은 인토네이션, 침묵, 시선과 같은 비언어적 단서들을 포함한 사회적 상호작용의 세부사항을 검토함으로써 보이는 '메시지'를 수용한다. 이러한 세부 사항을 고려할 때 사실상 '모든 점에서 우선순위order'가 존재한다는 것을 보여주었다."29

Conversation analysis (CA) is particularly suitable for studying reflection in its natural context, as it analyses people’s real-life practices through close analysis of video recordings.19,27,28 CA’s bottom-up approach embraces the seeming ‘messiness’ of practice by examining the details of social interaction, including non-verbal cues such as intonation, silences and gaze. It has shown that, when these details are taken into account, there is in fact ‘order at all points’.”29


이 상호작용 순서는 세 가지 다른 레벨로 설명될 수 있다: 

    • 첫째, 턴 테이크 레벨(예: 충족되지 않은 우려를 도출하는 데 있어 한 단어가 환자에게 제공하는 질문에서 얻을 수 있는 차이점 30) 및 

    • 둘째, 순차적 수준(예: 문제 기반 학습 미팅 25 중에 학습 문제가 발생하는 방식)

This interactional order can be explicated on three different levels: 

    • first, at the level of turn-taking (e.g. the difference one word can make in a doctor’s question to a patient in eliciting unmet concerns30); and 

    • second, at a sequential level (e.g. the way a learning issue emerges during a problem-based learning meeting25).


현재 우리의 초점은 세 번째에 있다.

Our focus now lies on 

    • 세 번째 수준의 구조 조직(OSO): 대화의 중요한 목표와 관련하여 구성되는 방법

the third level of overall structural organisation (OSO): the way a conversation is structured in relation to its overarching goal.18,32,33


본 연구의 교육적 맥락

The educational context for this study


의학 교육의 또래 집단 학습은 긴 역사를 가지고 있다: 1970년대에 동료들이 심리학자의 감독 하에 환자 사례를 토론하는 발린트 그룹이 인기를 얻었다. 40–42 발린트 방법은 의대생들의 전문적 성장 과정을 지원하는 데 사용되어왔다.43,44 네덜란드에서, 그것은 가정의학과 활동을 돕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이들은 한때 전문분야가 없는 의사로 보였지만, 전문적인 정체성을 개발한다.45 발린트 그룹의 버전은 여전히 네덜란드에서 일반 실습(GP) 대학원 훈련을 위한 커리큘럼에 자리를 잡고 있다.

Peer-group learning in medical education has a long history: in the 1970s, Balint groups, in which colleagues discuss patient cases under supervision of a psychologist, gained popularity.40–42 The Balint method has also been used to support medical students’ professional growth processes.43,44 In the Netherlands, it was reported to help family doctors, who were sometimes seen as doctors without a specialism, develop a professional identity.45 A version of Balint groups still has a place on the curriculum for general practice (GP) postgraduate training in the Netherlands.


이번 교육은 전공의가 주 4일 GP에서 근무하고, 5일차에는 대학의 주간 발표 프로그램에 참여하는 3년 단위 역량 기반 프로그램으로 구성된다. 이날의 처음 2시간은 GPT(Gepartment of Experience)와 심리학자(PST)라는 두 명의 강사가 진행하는 소그룹 내 체험교류(EoE)에 바쳐 학생들의 경험이 강의의 출발점으로 받아들여진다.46,47

This training consists of a 3-year competency-based programme in which residents work in a GP setting 4 days a week and on the fifth day attend a day-release programme at the university. The first 2 hours of this day are devoted to Exchange of Experiences (EoE) in a small group, facilitated by two tutors, a GP (GPT) and a psychologist (PST), in which the experience of the student is taken as a starting point for teaching.46,47


이 설정에 대한 이전의 연구는 EoE 세션45에서 논의된 주제에 초점을 맞추고 사례 발표와 사례 토론 사이의 전환이 어떻게 이루어졌는지에 대해 확대했다.48 현재 연구에서 우리는 EoE를 형성하는 활동의 유형을 확인하기 위해 다시 '확대'한다.

Our previous research in this setting has focused on the topics that were discussed in EoE sessions45 and zoomed in on how transitions between case presentation and case discussion took place.48 In the current study, we ‘zoom out’ again to identify the types of activity that form EoE.


우리의 주요 연구 질문은: 전공의들과 교사들은 어떻게 그들의 집단 성찰 세션을 구성할 것인가?

Our main research question is: how do residents and tutors structure their group reflection sessions?


방법

METHOD


자료 수집

Data collection


2010년과 2011년에는 최대 변동 표본추출을 통해 13개 그룹(주민 5~14명, 그룹당 2명)을 47회에 걸쳐 기록하여 그룹 규모, 교사, 그룹 단계 및 연도에 대한 이질성을 달성하였다. 이를 통해 118명의 교육생과 20명의 지도교사가 76시간 동안 영상녹화를 하는 성과를 거뒀다. 모든 세션은 두 대의 카메라로 기록되었다(표 1 참조).

In 2010 and 2011, 13 groups (five to 14 residents and two tutors per group) were recorded in 47 sessions through maximum variation sampling, to achieve heterogeneity with respect to group size, tutors, group phase and year. This resulted in 76 hours of video-recording of 118 trainees and 20 tutors. All sessions were recorded with two cameras (see Table 1).



이 기록들은 필사본으로 옮겨졌고 다섯 명의 다른 필사자들에 의해 익명으로 기록되었고 두 명의 연구자들이 필사 정확성을 확인했다. 추가 분석을 위해 선택된 파편들은 제퍼슨식 전사 50을 사용하여 다른 전사자에 의해 상세하게 기록되었다(세 번째 검사 제공). (사서 키의 경우는 표 2 참조).

The recordings were transcribed ad verbatim and anonymised by five different transcribers and checked by two researchers for accuracy of transcription. Fragments selected for further analysis were transcribed in detail by another transcriber (providing a third check) using Jeffersonian transcription50 (see Table 2 for the transcription key).




분석 절차

Analytical procedure


CA 절차에 따라 개별 조각의 상세 분석이 데이터 기반 및 주기적 분석 절차51을 사용하여 데이터 집합 전체를 보는 방식으로 비디오를 분석하였다. 이것은 상호작용의 세부사항에 대한 관찰을 하고, 가설을 제시하며, 다른 단편들의 세부사항에 대해 시험하는 반복적인 과정이다.

Following the CA procedure, we analysed the videos using a data-driven and cyclic analytical procedure51 in which detailed analysis of individual fragments is alternated with a view of the dataset as a whole. This is an iterative process of making observations about details of the interaction, proffering working hypotheses and testing these on details in other fragments.


탐색적 단계에서, 두 명의 연구자가 176건에서 논의된 다른 주제와 이슈에 대한 목록을 만들었다.48 우리는 사례 발표와 사례 토론 사이의 전환과 같은 전환 조각의 말뭉치를 컴파일하기 위해 참가자들 자신이 주제와 과제 전환을 표시하는 관찰 가능한 방법을 사용했다.31 우리는 한 리커스를 발견했다.이러한 패턴은 종종 참여자들이 이 세션에서 지향했던 4가지 단계 또는 활동 유형 간의 전환이라는 점에서, '참가자, 설정 등에 제약이 있는, 사회 구성적이고 한정된 이벤트, 그러나 무엇보다도 허용 가능한 기여의 종류'이다.53

In an explorative stage, two researchers made an inventory of the different topics and issues discussed in the 176 cases.48 We used observable ways in which participants themselves mark topic and task transitions to compile a corpus of fragments of transitions, such as the transition between case presentation and case discussion.31 We noticed a recurring pattern, in that these are often transitions between four different phases or activity types that participants were oriented towards in these sessions: ‘goaldefined, socially constituted, bounded events with constraints on participants, settings, and so on, but above all on the kinds of allowable contributions’.53


성찰성과 연구 과정

Reflexivity and research process



결과

RESULTS


EoE 참여자들은 중요한 이벤트, 공유 이유, 학습 이슈, 학습 이해력 등 활동 유형을 일관되게 지향한다는 것을 발견했다. 표 3은 이러한 데이터를 설명하고 데이터 집합의 세 가지 사례를 제시한다.

We found that EoE participants consistently oriented towards the following activity types: 

  • significant event, 

  • reason for sharing, 

  • learning issue(s) and 

  • learning uptake. 


Table 3 describes them and illustrates them with three cases from our dataset.



중요한 사건

Significant event


중요한 사건이 발생했을 때, 사례 발표자는 사건의 주제를 파악하고 무슨 일이 일어났는지 서술하는 주요 연설자primary speaker였다. 전공의 개인의 체험은 스토리텔링을 통해 그룹의 공유자원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했다.

During the significant event, the case presenter was the primary speaker, who identified the topic of the case and narrated what happened. The personal experience of the resident was made available as a shared resource for the group through storytelling.


Case A, example 1


공유의 이유

Reason for sharing


공유하는 이유 중에는 이러한 특별한 경험을 공유하고 토론하는 동기가 construct되었다. 환자들이 방문 이유를 설명하며 자신의 우려를 'doctorable'한 것으로 만드는 것과 마찬가지로, 공유 이유 55는 그룹 토론에 적합한 후보로서의 경험을 바탕으로 이를 성찰할 수 있도록 했다.

During the reason for sharing, the motive for sharing and discussing this particular experience was constructed. Similar to how patients make their concerns ‘doctorable’ by accounting for their reason for the visit,55 the reason for sharing framed the experience as a suitable candidate for group discussion and thereby made it reflectable.


Case A, example 2


학습 이슈

Learning issue


학습 이슈는 참여자들이 이 사례에 대해 배울 수 있는 것으로 constructed 되었다.25,48 학습 이슈를 통해 참가자들은 성찰 모임을 단순한 나눔 활동뿐만 아니라 학습 활동으로 취급했다. 학습 문제가 무엇인지에 대해 항상 합의가 있었던 것은 아니다. 사례 발표자에게 조언을 주거나 사례와 느슨하게 관련된 보다 일반적인 주제를 탐구하는 등 학습 문제 중에는 다양한 조치가 수행되었다. 종종 여러 가지 학습 문제가 있다.

The learning issue was what participants constructed as learnable about the case.25,48 Through the learning issue, participants treated the reflection meeting as not just an activity of sharing, but also an activity of learning. There was not always agreement about what the learning issue was. A range of actions were performed during the learning issue, such as giving advice to the case presenter or exploring more general themes loosely related to the case – often there are multiple learning issues.


Case A, example 3


학습 활용

Learning uptake


마지막으로, [학습 수용]에서 참가자들은 어떤 방식으로든 토론이 가치가 있도록 construct하였다. 이 때의 가치는 토론 시작 이후 관점의 변화 또는 유익한 토론 또는 교육적 토론의 인정과 같은 발표자가 취해야 할 다음 단계 등이 있다. [학습 수용]을 통해 전공의와 교사들은 토론을 학문적 또는 철학적인 것 이상으로, 일종의 결과를 요구하는 것으로 취급했다.

Finally, in the learning uptake, participants constructed the discussion as (having been) valuable in some way. This value could be expressed as a next step for the presenter to take, a change in perspective since the start of the discussion or an acknowledgement of the discussion having been informative or educational. Through the learning uptake, residents and tutors treated the discussion as more than academic or philosophical, as requiring some kind of result.


Case A, example 4


여러 것들의 지저분한 순서

The messy order of things


대부분의 경우 네 가지 활동을 나열한 순서대로 수행했지만 항상 그런 것은 아니었다. 때로는 중요한 사건을 말하기 전이라도 사례 발표자가 즉시 공유 이유를 제공하거나 토론이 끝날 때만 다루기도 했다. EoE의 OSO는 고정된 연대순서가 아니라 각 사례 논의 중에 어떤 점에서 어떤 식으로든 지향되는 요소들의 체계다.

We stress that, although in the majority of cases the four activities were carried out in the order in which we have listed them, this was not always the case. Sometimes, the reason for sharing was provided immediately by the case presenter, even before telling the significant event, or addressed only at the end of the discussion. The OSO of EoE is not a fixed chronological sequence, but a scheme of elements that are oriented towards in some way, at some point during each case discussion.


Case A, example 5


고찰

DISCUSSION


우리의 분석으로 우리는 네 가지 레벨에 기여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 EoE의 구조에 대한 상세한 설명을 제공하여, 튜터들이 그들 자신의 행동을 성찰할 수 있게 한다.

  • 의학교육의 성찰 연구에서 흔히 나타나는 합리적-도구적 접근방법의 가정에 의문을 제기한다.

  • 성찰의 상호작용적 특징에 초점을 맞추어 이 분야의 연구에 새로운 차원을 추가한다. 

  • 의학교육에서 집단 성찰의 증거 기반에 기여한다.49

With our analysis we aim to make a contribution on four levels: 

  • providing a detailed description of the structure of EoE that can be used by tutors to reflect on their own practice, 

  • questioning assumptions of the rational-instrumental approach that is commonplace in reflection research in medical education, 

  • adding a new dimension to this body of research by focusing on the interactional features of reflection, and 

  • contributing to an evidence base of group reflection in medical education.49


성찰 연구에 대한 인지적 접근방식과 대조적으로, 우리는 이론적 모델이나 반사 행동에 대한 평가 기준 리스트에서 출발하지 않고, 오히려 한 집단의 사람들이 모여 연습을 반성할 때 펼쳐지는 상호작용에서 출발하였다.19 이것은 사례가 만들어지는 네 가지 활동 유형을 설명하는 결과를 낳았다. 공유된, 반성찰가능한, 학습가능한, 가치있는.

By contrast with the cognitive approach to reflection research, we did not depart from a theoretical model or a list of assessment criteria for reflective behaviour, but rather from the interaction that unfolds when a group of people gathers to reflect on practice.19 This resulted in a description of four activity types through which a case is made shared, reflectable, learnable and valuable.



가정에 의문던지기, 새로운 차원 추가

Questioning assumptions and adding a new dimension


우리의 서술적 분석이 문제시하는 처방적 인지적 성찰prescriptive cognitive reflection 모델에 내재된 많은 인식론적 가정들이 있다. 그리고 이번 연구는 성찰의 상호작용 구조에 초점을 맞춤으로써 새로운 차원을 추가하였다. 예를 들어, 우리가 발견한 활동 유형을 그러한 모델 중 하나와 비교해보자. ALACT 모델(그림 1)은 널리 사용되는 성찰 모델이며, 많은 성찰의 인지 모델들이 그렇듯이 Kolb가 제시한 경험학습 사이클에 크게 의존한다. 우리가 어떤 인지 모델을 선택할 수도 있었지만, ALACT는 모델이 집단 성찰의 상호작용 측면으로 어떻게 번역될 수 있는지를 기술한다는 점에서 충분히 정교하다.

There are a number of epistemological assumptions inherent in prescriptive cognitive reflection models that our descriptive analysis calls into question and, by focusing on the interactional structure of reflection, it adds a new dimension. As an illustration, let us compare the activity types we found to one such model. The ALACT model56 (Fig. 1) is a widely used reflection model and, as do many cognitive models of reflection, leans heavily on the experiential learning cycle by Kolb.16,57,58 Although we could have chosen any cognitive model, ALACT is elaborate in the sense that it states how the model can be translated to interactional aspects of group reflection.


우리의 분석에서 발견한 [중요한 사건]은 2단계 '행동를 되돌아보는 것'과 유사하게 보일 수 있다. 그러나, Dohn이 지적한 바와 같이, [인지 모델]에서는 '행동'으로부터의 전환transition에 큰 변화가 없고, 행동을 돌아보며 표현representing하지만, 교실의 현실에서는 그 행동을 되돌아보는 것이 '실천practice을 날것 그대로 제시하는 것이 아니라, 호혜적으로 다시 재맥락화하여 중요성을 보충하는 것'이다.4 

The significant event that we found in our analysis might seem similar to phase 2 ‘looking back on the action’. However, as Dohn noted, there is an assumption in cognitive models that there is no significant change in the transition from the ‘action’ and representing the action by looking back on it, but in the reality of the classroom, looking back on the action does not ‘present practice as it is, but reciprocally recontextualize[s] and suppl[ies] signification’.4 


우리의 연구에서, 우리는 이 재구성reconstruction[그룹 전체에 의해 협력적으로 구성되는 서사의 형태]를 취하고 있으며, [재맥락화는 '원래' 사건에 대한 다른 방향으로의 지향성orientation]이 수반된다는 것을 발견했다. 실제로 (ALAC 모델에서 추천한 대로 항상 수용과 공감에 초점을 맞추는 것이 아니라) 놀람과 토론에 초점을 맞추고 있는 그룹과 튜터들이 함께 이야기를 공동-구성하거나 스토리에 대응하는 방법은 매우 다양하다.

In our study, we found that this reconstruction takes the form of a narrative that is collaboratively constructed by the whole group, and the recontextualisation involves a different orientation to the ‘original’ event. In practice, there is a wide variety of ways that the group and the tutors co-construct the story or respond to the story, not always focused on acceptance and empathy as recommended by the ALAC model,56 but rather on surprise and discussion.


3단계 '본질적 측면의 인식'은 발표자가 자신의 이야기를 공유하기로 선택한 이유를 명확히 하고 사례의 학습성이 공식화됨에 따라 '공유 이유'와 '학습 문제'의 결합으로 볼 수 있다. ALACT 모델에서는 발표자가 명시적인 질문이나 이슈를 성취할 수 있도록 그룹이나 교사를 위한 전략이 언급된다. 그러나, 우리의 연구 결과에서, 그룹 구성원은 협상하고, 때때로 각각의 경우에 중요한 것이 무엇인지 알아내기 위해 애쓴다; 그것은 발표자만의 노력이 아니라 그룹 과정이다.

Phase 3 ‘awareness of essential aspects’ could be seen as a combination of the Reason for Sharing and the Learning Issue, as the presenter clarifies why they chose to share their story and the learnability of the case is formulated. In the ALACT model, strategies are mentioned for the group or teacher to help the presenter achieve an explicit question or issue. In our findings, however, the group negotiates and, at times, struggles to find out what is significant in each case; it is not an effort of the presenter alone but a group process.


마지막으로, 우리는 4단계 '대체 행동 방법 만들기'가 참여자들이 [학습 수용을 구성하는 방법 중 하나일 뿐]이라는 것을 발견했다. ALACT 모델에서, 이 단계의 목표는 발표자가 해결책을 찾고 선택하는 데 도움을 주는 것인데, 이는 사례 논의에서 미래 행동과의 연계가 이루어지지 않는다면, 그것은 어떻게든 중요한 결과를 도출하지 못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경우, 그 그룹은 어떤 해결책도 찾지 못했으며, 모두 '동의'하였지만, 탄식이나 미소로 사건을 종결한 것이다. 

Finally, we found that phase 4 ‘creating alternative methods of action’ is just one of the ways in which participants construct the learning uptake. In the ALACT model, the goal of this step is to help the presenter in finding and choosing solutions, which implies that if a link to future action is not made in a case discussion, it has somehow failed to yield a significant outcome. In our study, the group can find agreement in finding no solutions and closing the case with a sigh or a smile. 


이 발견은 다음과 같은 Dohn의 관찰을 더했다. '성찰적인 글쓰기나 대화에서 나온 통찰이 행동 실천에 '전이transfer'되는지의 여부와 그 시기에 대한 문제는 결코 간단하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 우리의 분석은 그룹 성찰이 그 자체로 가치 있는 실천으로 볼 수 있다는 점에 주목한다. 그룹 성찰은 임상적 실천에 대한 '적용'으로만 존재하는 것이 아니다.

This finding adds to Dohn’s observation that ‘the question of whether and when insights from reflective writings or reflective dialogues are ‘‘transferred’’ to action practices is shown to be anything but simple’.4 Our analysis calls attention to the value of seeing group reflection as a valuable practice in its own right, which not only exists by virtue of its ‘application’ to clinical practice.




의학 교육에 대한 집단 성찰의 증거 기반

An evidence base of group reflection in medical education


언어학자로서 우리는 상호작용을 교육환경에서 간과되고 필수적인 것으로 본다. 성찰이 글로든 구두로든 외부화되는 순간, 성찰은 상호작용적인 성취가 된다. 집단 성찰이든 해부학 세션이든 교육 분야에서는 어느 곳에나 상호 작용이 있다. 학습은 종종 다른 사람과의 상호작용에서 발생하며, 집단적 상호작용은 많은 교육적 환경을 위한 수단이다. 집단이 공유된 목표를 어떻게 상호작용하고 협상하는지, 그리고 이러한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어떻게 대화를 구성하는지 더 많은 통찰력을 갖는 것은 좋은 교육이나 마찬가지다.

We, as linguists, view interactions as much overlooked yet essential in educational settings. The moment reflection is externalised, whether in writing or orally, it becomes an interactional accomplishment. Whether it be group reflection or a session on anatomy, interaction is everywhere in education. Learning often occurs in interaction with others, and group interaction is the vehicle for many educational settings. Having more insight into how groups interact and negotiate shared goals, and how they structure their talk to achieve these goals, is tantamount to good education.


의학교육에서 [놀라움, 불확실성, 가정에 대한 의문]으로 특징지어지는 현상이 이토록 도구적instrumental 방식으로 접근되어 왔다는 것은 아이러니하다. 우리는 기존 문헌이 [사람들이 성찰할 때 일어나는 관찰가능한 일]보다는 [주로 설문지, 인터뷰, 성찰 에세이와 같은 '성찰에 대한 성찰']에 의존한다는 사실을 발견하고 놀랐다. 자연적인 맥락에서 성찰을 공부하는 것은 교육자와 학생들이 [일상적인 교육 관행에서 접하는 현실]로 초점을 옮긴다. OSO를 기술하는 것은 Sch€on과 Dewey가 성찰적 실천의 핵심으로 강조한 [맥락적이고 창발적 특성('swampland')]을 바르게justice 행하는 동시에, 성찰적 실천에서 패턴을 발견하는 방법이다. 연구자의 성찰 범주에서 시작하는 인지적 접근방식과 대조적으로, 우리는 참여자 자신이 교육 과제를 조직하는 방법을 설명했다.59

It is ironic that a phenomenon characterised by surprise, uncertainty and questioning assumptions, has been approached in such an instrumental way in medical education. We were surprised to find the literature mainly relies on ‘reflections on reflection’, such as questionnaires, interviews and reflective essays, rather than what observably happens when people reflect. Studying reflection in its natural context shifts the focus to the reality that educators and students encounter in everyday educational practice. Describing the OSO is a way of discovering patterns in the practice of reflection, while doing justice to the contextual and emergent nature (‘the swamplands’) that Sch€on and Dewey emphasised as being at the heart of reflective practice. By contrast with cognitive approaches that start with researcher’s categories of reflection, we described the way participants themselves organise the educational task.59


성찰적 학습에 종사하는 집단의 대화를 분석한 바에 따르면, 이것이 매우 상호작용적인 과정임을 보여준다. 그 활동들은 상호작용을 통하여 협력적으로 구성되고 협상된다. 비록 참가자들이 토론의 뚜렷한 요소로 이동하지만, 이러한 단계들은 토론에 부과되는 고정된 프레임워크가 아니라, 오히려 그들의 경계가 협상되고 도전될 수 있다. 빌딩 블록이 함께 작용하여 건물을 구성하는 방식에서, 이러한 단계들은 모두 대화의 중요한 목표와 관련이 있다.

Analysing the talk of groups engaged in reflective learning shows that this is a highly interactive process. The activities are collaboratively constructed and negotiated throughout the interaction. Although participants move towards distinct elements of the discussion, these phases are not a fixed framework that is imposed on the discussion; rather, their boundaries can be negotiated and challenged. In the way building blocks work together to compose a building, these phases all relate to the overarching goal of the conversation.


사회적 사건으로서, 집단 성찰은 예를 들어 PBL처럼 'pre-packaged'된 것은 아니지만, 동료와의 점심식사대화처럼 자발적이고 즉흥적인 것도 아니다.53 Schon은 이미 성찰적 실천 중 상호작용의 과정에서 일어나는 끊임없는 조정을 즉흥적 재즈 뮤지션에 비유한 바가 있다. 또한 작품composition이라는 측면에서도, 집단적 성찰은 관현악곡이라기보다는 재즈 즉흥곡에 가깝다. 각각의 사례 논의에서 다루어지는 구별되는 요소들의 관점에는 구조가 존재하지만, 이러한 요소들의 경계와 전환은 중앙 지휘자에 의해 결정되기 보다는 그룹 역학에서 나온다.

As a social event, group reflection is not as ‘prepackaged’ as, for instance, problem-based learning meetings, but nor is it as spontaneous and unscripted as a lunch conversation with a colleague.53 Sch€on already likened the constant adjustment that happens in reflective practice, an adjustment that we found to be reflected in the interaction in our current and previous study,31 to an improvising jazz musician.2 Also in terms of composition, group reflection is more like a jazz improvisation than an orchestral piece. There is a structure in terms of distinct elements addressed in each case discussion, but the boundaries of, and transitions between, these elements emerge from the group dynamics rather than being determined by a central conductor.


실천에 대한 함의: 강의 반영에 대한 반영

Implications for practice: reflecting on teaching reflection


OSO에 대한 이러한 설명은 튜터들이 그들의 practice을 다른 방식으로 반영하기 위해 사용할 수 있다. EoE의 네 가지 활동을 의식하는 것은 튜터들이 한 활동에서 다른 활동으로 이동하는 것을 돕는 도구가 될 수 있다. EoE를 촉진하는 동안 사용할 수 있는 EoE의 '맵'을 제공하여 그룹이 어떤 활동을 하고있는지, 이 활동이 명확했는지, 어떻게 다음 활동으로 이동할 것인지를 결정한다. 이후 EoE 세션에 대한 반성을 통해 그룹 토론에서 효과가 없었던 부분을 진단하는 틀이 될 수 있다. 본 연구에서 제시된 CA 연구는 이러한 원리에 기초한 대화 분석적 역할극 방법(CARM) 튜터 교육에 사용되어 왔다.60 

This description of the OSO can be used by tutors to reflect on their practice in different ways. Being conscious of the four activities of EoE can be a tool for tutors to help them navigate from one activity to another. It provides a ‘map’ of EoE that they can use while facilitating EoE, to determine which activity the group is occupied with, if this activity is clear and how to navigate to the next activity. In reflecting on EoE sessions afterwards, it can be a framework for diagnosing what was not working in the group discussion. The CA research presented in this study has been used for conversation analytical role-play method (CARM) tutor training based on these principles.60 


다른 유형의 통신 훈련과는 대조적으로, CARM은 가상의 시나리오가 아닌 실제 연습의 비디오를 사용한다. 이번 교육에서는 익명화된 영상녹화를 이용한 EoE의 OSO를 제시하고 이를 과거 사례를 분석하는 지도로 활용할 것을 지도교사에게 요청했다. 흥미롭게도, 교사들이 성찰 과정에 대해 불만족스러워했던 거의 모든 경우에서, 교사들은 네 가지 활동 유형 중 적어도 하나가 명확하지 않은 상황이었음을 발견했다. 또한, EoE의 뚜렷한 구성 요소로서 4가지 활동 유형을 모두 집중함으로써 단순히 학습을 습득하기 위한 수단이 아니라 스스로 가치 있는 활동으로 보게 되었다는 의견도 있었다.

By contrast with other types of communication training, CARM uses actual videos from practice rather than fictional scenarios. In this training we presented the OSO of EoE using anonymised video-recordings and asked tutors to use this as a map to analyse past cases. Interestingly, in almost all cases in which tutors were unhappy about the reflection process, tutors found out that one of the activity types was not clear. In addition, some remarked that focusing on all four activity types as distinct building blocks of EoE led them to see these as valuable activities in their own right, rather than just a means to get to the learning uptake.


우리와 같은 서술적 연구는 의학교육자들이 그들의 교육과정에서 성취하고 싶은 학습의 유형에 대한 토론을 유도할 수 있는 증거를 제공한다. 튜터들이 직면하고 있는 도전들의 종류와 이를 해결하기 위해 배치하는 효과적인 전략에 대한 대화 분석적 증거는 애니메이션 비디오 레코딩을 활용하는 훈련의 기본이 될 수 있다. 우리의 연구 결과는 연구 데이터를 먼저 번역할 필요 없이 직접 훈련 자료로 사용함으로써 다시 연습에 도움이 될 수 있다.60

Descriptive studies like ours offer medical educators evidence to feed discussions about the type of learning they want to achieve in their curriculum. Conversation analytical evidence about the kinds of challenges tutors face and effective strategies they deploy to resolve them, can be the basis of training that makes use of animated video-recordings. Our findings can be fed back to practice by letting the research data serve directly as training material rather than having to translate it first.60


성찰과 미래 방향

Reflections and future directions


성찰은 매우 맥락 특이적이다. 그러므로 맥락은 [교육에서 성찰의 현실을 조사해야 한다고 주장하는 모든 연구]의 일부가 되어야 한다. 우리의 연구에서 우리는 대학원의 환경에서 그룹 성찰에 대해 살펴보았다. 맥락의 중요성을 고려할 때, 성찰 그룹의 숫자 만큼 다양한 유형의 그룹 성찰이 있을 수 있다. 서로 다른 성찰 방법, 학부 및 대학원 성찰 등 사이에는 중요한 차이가 있을 수 있다.

Reflection is highly context specific.9,15 Therefore, context should be part of any study that claims to investigate the reality of reflection in education. In our study we looked at group reflection in a postgraduate setting. Given the importance of context, there may be as many types of group reflection as there are reflection groups. There may be important differences between different reflection methods, undergraduate and postgraduate reflection, and so on.


그룹 성찰 행동의 블랙박스를 비추는 얇은 광선조차, 대부분의 작업이 토론의 각 단계를 성취하기 위한 상호 작용 작업으로 이루어져 있음을 보여준다.

Even a thin light beam into the black box of group reflection reveals that much of the work in the swamplands consists of doing interactional work to accomplish each phase of the discussion.



결론

CONCLUSION


협력적 성찰 실천의 블랙박스는 아직 대부분 미개척 상태다. 우리는 실제로 일어나는 것처럼 집단 성찰이 의학교육에서 성찰이 일어나는 맥락에 충실하고 인간 상호작용의 혼돈을 고려하는 것으로 출발했다.

The black box of collaborative reflective practice is still largely unexplored. We have made a start by studying group reflection as it actually takes place, loyal to the context in which reflection occurs in medical education and taking into account the chaos of human interaction.



REFERENCES


3 Ng SL, Kinsella EA, Friesen F, Hodges B. Reclaiming a theoretical orientation to reflection in medical education research: a critical narrative review. Med Educ 2015;49 (5):461–75.


6 Koole S, Dornan T, Aper L, et al. Factors confounding the assessment of reflection: a critical Med Educ 2011;11:1–9.


van der Vleuten CPM. When I say ... context 20 specificity. Med Educ 2014;48 (3):234–5.










. 2017 Mar;51(3):324-336.
 doi: 10.1111/medu.13154. Epub 2017 Jan 18.

The swamplands of reflection: using conversation analysis to reveal the architecture of group reflection sessions

Affiliations 

Affiliations

  • 1Erasmus University Medical Center, Rotterdam, the Netherlands.
  • 2VU University, Amsterdam, the Netherlands.

Abstract

Context: Many medical schools include group reflection in their curriculum, and many researchers have considered both the concept and the outcomes of reflection. However, no research has been carried out on how 'reflective talk' is structured in the classroom. This paper describes how tutors and residents organise group reflection sessions in situ by describing an example of group reflection in medical education. Our aim is to provide an evidence base that can be used by medical educators to think about the way reflection should be included in their curriculum.

Methods: We video-recorded 47 group reflection sessions of the general practice postgraduate training course at Erasmus University Medical School, Rotterdam. We used conversation analysis to unravel their overall structural organisation: the way participants organise and structure a conversation. Through micro-analysis of the moment-to-moment unfolding of group reflection, we distinguished the main building blocks that form the architecture of these sessions.

Results: We found that participants consistently oriented towards the following activity types: significant event, reason for sharing, learning issue and learning uptake. There was variation in the order of the activity types, the amount of time spent on each of them, and how they were accomplished. By studying reflection in its messy social context, we found order, commonalities and patterns that were typical of the architecture of group reflection in this setting, even if no formal structure is prescribed.

Conclusions: In 'Exchange of Experience', the overall structural organisation consisted of activity types through which a case becomes shared, reflectable, learnable and valuable. There are essential discrepancies between cognitive reflection models and the reality of the classroom. Being conscious of this overall structural organisation can be a tool for tutors of these groups to help them navigate from one activity to another or to diagnose what is not working in the group discussion.

마음챙김적 실천(JAMA, 2010)

Mindful Practice

Ronald M. Epstein, MD




이러한 비판적 자기 성찰의 과정은 마음챙김의 유무에 달려 있다. 마음챙김적 실천자는 통상적인 일상 업무 중 자신의 신체적, 정신적 과정에 비심판적인 방법으로 참여하여 명확하고 통찰력 있게 행동한다.11-15

This process of critical self-reflection depends on the presence of mindfulness. A mindful practitioner attends, in a nonjudgmental way, to his or her own physical and mental processes during ordinary everyday tasks to act with clarity and insight.11-15


유전자 검사 절차의 정량적 위험과 편익에 대한 증거 기반 접근법을 취하는 어려움(사용 가능한 정보를 얼마나 신뢰해야 하는가?), 그리고 의료 또는 외과적 개입의 효과에 대한 불확실성(결과에 대해 알고 있다면 누구에게 영향을 미칠 것인가?) 외에도, 그 사례는 중요한 [관계 중심적인 문제]를 제기했다. 

  • 가치(어떤 위험을 감수할 가치가 있는가?) 

  • 환자-의사 관계(환자에게 가장 도움이 되는 접근법은 무엇인가?) 

  • 실용주의(유전학자는 유능하고 존경스러운가?) 

  • 카파시티 (질병과 검사에 대한 두려움, 우울증, 불완전한 이해 등으로 인해 편향된 검사에 대한 환자의 욕구는 어느 정도인가?)

Aside from the difficulties in taking an evidence-based approach to assigning quantitative risks and benefits to the genetic screening procedure (How much should I trust the available information?) and uncertainty about the effectiveness of medical or surgical interventions (Would knowing the results make a difference, and, if so, to whom?), the case raised important relationship-centered questions about 

  • values (What risks are worth taking?), 

  • the patient-physician relationship (What approach would be most helpful to the patient?), 

  • pragmatics (Is the geneticist competent and respectful?), and 

  • capacity (To what extent is the patient’s desire for testing biased by her fears, depression, or incomplete understanding of the illness and tests?).


나에게는 책 지식과 임상 경험이 부족했다. 나는 [우리가 상호간의 결정을 내릴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다음의 것들에 대한 개인적인 지식에 의존해야만 했다. 

  • 환자(그녀가 이전의 행동과 가치관과 일치하는 방식으로 이 상황에 대응하고 있는가?)와 

  • 나 자신 (어떤 가치와 편견이 나 자신과 환자를 위해 이 상황을 프레임으로 만드는 방법에 영향을 미치는가?)  

For me, book knowledge and clinical experience were insufficient. I had to rely on my personal knowledge of 

the patient (Is she responding to this situation in a way concordant with her previous actions and values?) and 

myself (What values and biases affect the way I frame this situation for myself and for the patient?) 

to help us arrive at a mutual decision. 


이러한 반사 활동은 아래에도 동등하게 적용된다.

  • 의학의 기술적 측면(의학적 테스트의 해석을 신뢰할 수 있는지 어떻게 알 수 있는가?) 및 

  • 감정적 영역(불확실성과 위험을 얼마나 잘 견딜 수 있는가?)

These reflective activities applied equally to 

the technical aspects of medicine (How do I know I can trust the interpretations of medical tests?) and 

the affective domain (How well can I tolerate uncertainty and risk?).


명시적, 암묵적 지식

Explicit and Tacit Knowledge


임상적 판단은 명시적 지식과 암묵적 지식 모두에 기초한다.34-36 그러나 의료적 의사결정은 명시적으로 정의된 규칙과 객관적으로 검증 가능한 데이터에 대한 환자의 문제에 대한 의식적 적용으로만 제시되는 경우가 많다.34,37,38 이러한 형태의 명시적 지식은 증거 기반 임상 실습 가이드라인에 포함되는 방식으로 정량화, 모델링, 전달, 번역 등이 용이하다.

Clinical judgment is based on both explicit and tacit knowledge.34-36 Medical decision making, however, is often presented only as the conscious application to the patient’s problem of explicitly defined rules and objectively verifiable data.34,37,38 This form of explicit knowledge can be quantified, modeled, readily communicated, and easily translated into evidence-based clinical practice guidelines.


노련한 실무자들은 또한 [자신들에게 명시적으로 서술되어있거나 알려지지 않은] 많은 지식, 기술, 가치관 및 경험들을 그들의 실무에 적용한다.34 이러한 지식은 다른 유형의 근거를 구성하며, 의료 결정에 강한 영향을 미친다. 일상생활에서는 암묵적인 지식의 예가 많다.

Seasoned practitioners also apply to their practice a large body of knowledge, skills, values, and experiences that are not explicitly stated by or known to them.34 This knowledge may constitute a different kind of evidence, which also has a strong influence on medical decisions. In everyday life, examples of tacit knowledge abound.


경험이 풍부한 신경학자는 환자를 만난 순간의 시간 내에 파킨슨병을 인지한 후 이를 뒷받침할 객관적이고 주관적인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다.

an experienced neurologist can recognize Parkinson disease within moments of meeting a patient, before processing the objective and subjective data to support it.


[명시적 요소]는 정식으로 교육되는 반면, [암묵적 요소]는 대개 관찰과 실천 중에 학습된다.40 우수한 임상의는 [그들을 관찰을 하는 다른 사람보다] [자기 스스로] 자신이 하는 일을 더 잘 표현하지 못하기도 한다. 또한 그들은 그들 자신의 추론 과정의 모든 편견을 높이 평가하지도 않는다.41 부수적 인식subsidiary awareness는 어떻게 의사가 [처리되지 않은 경험과 암묵적인 지식의 흐름에 접근하는지]를 설명하는 용어다.

While explicit elements of practice are taught formally, tacit elements are usually learned during observation and practice.40 Often, excellent clinicians are less able to articulate what they do than others who observe them. Nor do they appreciate all of the biases in their own reasoning processes.41 Subsidiary awareness35 is a term that describes how the practitioner makes accessible the flow of unprocessed experience and tacit knowledge.


아나이스 닌의 말에 의하면, "우리는 사물을 있는 [사물이 무엇이냐]가 아니라 [우리가 누구냐]에 따라 본다"42 증거 기반 의학은 의학적 의사결정을 분석하는 구조를 제공하지만, 전문가 임상적 판단의 보다 암묵적인 과정을 기술하기에는 부족하다.43 모든 데이터는 그 완전성이나 정확성과 관계없이 임상의사가 해석한다. 이를 통해 데이터를 이해하고 임상 실습에 적용한다. 

In the words of Anaïs Nin, “We don’t see things as they are, we see things as we are.”42 Evidence-based medicine offers a structure for analyzing medical decision making, but it is not sufficient to describe the more tacit process of expert clinical judgment.43 All data, regardless of their completeness or accuracy, are interpreted by the clinician to make sense of them and apply them to clinical practice.44


임상적 판단은 과학이며 예술이다.36 [암묵적 지식]이라는 개념을 불편해하는 사람들도 전문적인 능력의 모든 측면을 명시하는 것은 불가능하다는 것은 인식하고 있다.43 증거 기반 의사결정 모델은 매우 강력한 도구지만 임상의가 (특히 복잡한 상황에서) 항상 그것들을 사용하는 것은 아니다.3,56 명시적 모델을 구성하는 데 필요한 정보는 종종 불완전하거나 충돌한다. 성격과 같이, 환자에 대한 몇 가지 중요한 암묵적 지식은 단순히 미리 정의된 범주에 들어맞지 않는다. 임상의에게 이러한 모델(explicit model)은 정확하지만 생명력이 없는 모차르트 스타일의 컴퓨터가 만들어낸 교향곡과 유사할 수 있다.

Clinical judgment is a science and an art.36 Even those who are uncomfortable with the notion of tacit knowledge recognize that it is impossible to make explicit all aspects of professional competence.43 Evidence-based decision models are very powerful tools, but clinicians do not always use them, especially in complex situations.30,56 Information necessary to construct explicit models is frequently incomplete or conflicting. Some important tacit knowledge about the patient, such as personality, simply does not fit into predefined categories. To clinicians, these models may resemble computer-generated symphonies in the style of Mozart—correct but lifeless.



전문 지식과 자각

Professional Knowledge and Self-awareness


Eraut 57,58은 각각 암묵적이거나 명시적일 수 있는 4가지 유형의 전문적 관련 지식을 정의한다(표 1). 

Eraut57,58 defines 4 types of professionally relevant knowledge, each of which can be tacit or explicit (TABLE 1). 


  • 가장 친숙한 것은 명제적 지식, 또는 대부분의 사람들이 사실이라고 것이다. 이론, 개념, 원리인데, 보통 책, 전자 매체 또는 강사로부터 습득한다.

The most familiar is propositional knowledge, or what most people call fact: theories, concepts, and principles, usually acquired from books, electronic media, or instructors.


  • 개인적 지식, 즉 경험 즉 통해 습득한 지식은 전문적 실천을 지도하는 정보, 직관, 해석의 집합체다.35 이 지식은 귀납적이고 인상적인 방법으로 내 마음속에 들어와 명제적 사실 외에 임상적 상황의 게스탈트나 느낌을 제공한다.29 그러나 [개인적 지식]과 [일화적 정보]를 혼동하게 되면 잘 못된 결과를 낳는다. 탈맥락화된 일화를 무비판적으로 적용한 예에는 대장암 진단을 놓친 의사가 그 후 그의 모든 환자를 overtest하는 것을 들 수 있다.

Knowledge acquired through experience, or personal knowledge, is a collection of information, intuitions, and interpretations that guides professional practice.35 This knowledge enters into my mind in an inductive, impressionistic way, providing the gestalt or feel of a clinical situation in addition to the propositional facts.29 However, confusion between personal knowledge and anecdotal information results in both being neglected and discounted during medical training. An example of the uncritical application of a decontextualized anecdote is when a physician who after missing a diagnosis of colon cancer, subsequently overtests all of his patients.


  • 프로세스 지식은 정보 수집, 절차 수행, 의사 결정 및 미래 계획과 같은 작업을 수행하는 방법을 아는 것이다.58 프로세스 지식은 메타프로세싱, 또 자신의 정신적 프로세스에 대한 반성의 과정도 포함한다. 이것은 "우리는 [우리의 질문 방법에 의하여 드러난 자연을 관찰하는 것 만큼]도 자연을 관찰하지 않기 때문에", 특히 중요하다."60

Process knowledge is knowing how to accomplish a task,59 such as gathering information, performing procedures, making decisions, and planning for the future.58 Process knowledge also includes metaprocessing, or the process of reflection on one’s own mental processes. This is particularly important in practice, because “we do not observe nature as much as we observe nature exposed to our method of questioning.”60


메타프로세싱은 생각에 대한 생각, 감정에 대한 감정을 일컫는 것이다. 그것은 둘 다 구체적인 행동(거울 속의 빛의 궤적에서의 수정과 같은)이며, 마음이 자신의 행동(과 행동을 행하고 있는 주체)에 주의를 기울이는 자기관찰의 행동이다. 메타프로세싱은 의사가 무의식적 무역량의 영역을 밝혀낼 수 있게 해준다. 61 '무의식적 무역량'이란 의사가 자신의 결함을 모르는 사각지대를 말한다.

Metaprocessing might be called thinking about thinking or feeling about feelings. It is both a concrete action (such as the modification in a trajectory of light in a mirror) and an act of self-observation in which the mind attends to its own actions (including the subject who is performing those actions). Metaprocessing allows the physician to uncover areas of unconscious incompetence,61 the blind spots wherein a physician might not know his or her deficiencies.


  • 에라우트의 네 번째 전문적 관련 지식인 노하우일을 어떻게 해낼 수 있는지 아는 것이다. 새로운 환경에서 일하는 레지던트는 진단 테스트가 중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지만, 방사선과 의사에게 친절하게 전화를 걸어 시험이 더 빨리 일어날 것이라는 것을 모를 수도 있다.

Eraut’s fourth type of professionally relevant knowledge, know-how, is knowing howto get things done. A resident working in a new setting may know that a diagnostic test is important, but may not know that the test will happen sooner with a friendly call to the radiologist.




마음챙김적 실천

Mindful Practice


마음챙김은 성찰적 실천이란 개념의 논리적 확장이다.4,12,14 마음챙김적 실천가는 행동, 생각, 감각, 이미지, 해석, 감정을 포함한 모든 표현에 있어서 일상적인 경험에 '존재present'한다.12,13,65 마음챙김은 "이론, 태도, 추상적인 생각으로부터 마음으로 돌아오게 한다...경험 그 자체의 상황에으로 돌아오는 것이다". 그 결과 우리는 [자신의 편견, 의견, 예상, 기대감에 사로잡히는 것을 막고] "무의식이라는 구속복"에서 벗어날 수 있게 해준다.11.66 마음챙김은 평범한 것, 명백한 것, 현재에 주의를 기울이는 것이다. 요한 세바스티안 바흐는 어떻게 멜로디를 발견했느냐는 질문에 "문제는 멜로디를 발견하지 않고, 아침에 일어나서 침대에서 일어날 때 멜로디를 밟지 않는 것이다."라고 말한 것으로 알려졌다.

Mindfulness is a logical extension of the concept of reflective practice.4,12,14 The mindful practitioner is present in everyday experience, in all of its manifestations, including actions, thoughts, sensations, images, interpretations, and emotions.12,13,65 Mindfulness “leads the mind back from theories, attitudes and abstractions...to the situation of experience itself,”11 which prevents us from “falling prey to our own prejudices, opinions, projections, expectations” and enables us to free ourselves from the “straight jacket of unconsciousness.”66 Mindfulness is attending to the ordinary, the obvious, and the present. Johann Sebastian Bach is reported to have said, when asked how he found melodies: “The problem is not finding them, it’s—when getting up in the morning and out of bed—not stepping on them.”67


마음챙김은 철학-종교 전통에서 유래한 실천이지만, 12,14,15 근본 철학은 근본적으로 실용적 13이며 행동, 인식, 기억, 감정의 상호의존성에 바탕을 두고 있다.

Although mindfulness is a practice that derives from a philosophical-religious tradition,12,14,15 the underlying philosophy is fundamentally pragmatic13 and is based on the interdependence of action, cognition, memory, and emotion.


정신적 과정에 대한 이해에 대한 서구적 접근방식은 역사적으로 [정신활동]을 [실세계에서의 행동]과 분리시켰고, 행동심리학과 정신역학심리학이 분열하며 이러한 분리가 더욱 강화되었다. 그러나, 11,14 동양에서, 그리고 서양의 현상학적 전통에서, 철학은 [세계in the world에서의 감정, 기억, 행동]을 [인지]와 연결시키고 있다

Western approaches to the understanding of mental processes have historically separated mental activity from action in the world, and the schism between behavioral and psychodynamic psychology has reinforced some of this separation. However, in the East.11,14 and in phenomenological traditions in the West,27 philosophy has linked cognition to emotion, memory, and action in the world.


마음챙김적 실천의 목표는 자신의 정신적 과정을 더 잘 인지하고, 더 주의 깊게 경청하며, 유연해지고, 편견과 판단을 인식하여 원칙과 연민을 가지고 행동하는 것이다(표 2). 마음챙김적 실천은 "완성되지 않은 것"이라는 느낌을 수반한다. 다른 사람의 고통을 불완전하게 이해하는 데 있어서 미지의 것에 대한 호기심과 겸손함을 포함한다. 마음챙김은 멀티태스킹과 정반대다.

The goals of mindful practice are to become more aware of one’s own mental processes, listen more attentively, become flexible, and recognize bias and judgments, and thereby act with principles and compassion(TABLE 2). Mindful practice involves a sense of “unfinishedness,”31 curiosity about the unknown and humility in having an imperfect understanding of another’s suffering. Mindfulness is the opposite of multitasking.



마음챙김적 실천가는 상담 시에 [관찰자를 관찰하면서 관찰대상을 관찰할 수 있는 능력]이 있다. 의료행위에서는 자주 논의되지 않는 이 과정은 음악가들에게 필수적인 것으로 여겨지는데, 음악가의 임무는 연주와 청취를 동시에 하는 것이다. 즉, 음악의 테크닉, 감정 표현, 전반적인 이론적 구조에 동시에 신경을 기울이다.69 뛰어난 음악가는 중간중간 손가락 움직임을 교정하고, 생성된 소리를 상상된 소리와 비교하며, 그리고 동시에, 공연에 표현적인 자발성expressive spontaneity을 가져온다.

Mindful practitioners have an ability to observe the observed while observing the observer in the consulting room. This process, not often discussed in medical practice, is considered essential to musicians, whose task is to perform and listen at the same time, attending simultaneously to the technical challenges, emotional expression, and overall theoretical structure of the music.69 The accomplished musician performs midcourse corrections of finger movements, compares the sound produced with the imagined sound, and, at the same time, brings expressive spontaneity to the performance. 


하지만, 만약 음악가가 표현적인 연주를 구성하는 조화로운 구조와 리듬, 그리고 침묵들을 동시에 분석하면서 각각의 손가락 움직임을 통제하려고 한다면, 연주하는 것은 불가능해질 것이다. 따라서 음악에서 초점 인식focal awareness은 테크닉과 분석에 대한 부수적 인식subsidiary awareness를 동반한다. 이는 [예상치 못하거나 어려운 일이 발생할 때만 강조되는] 주변부 시야peripheral vision와 반자동적인 행동의 혼합을 말한다.

However, if the musician were to attempt to control each finger movement while simultaneously analyzing the harmonic structures, rhythms, and silences that constitute expressive playing, playing would become impossible. Thus, focal awareness on the music is accompanied by subsidiary awareness35 of technique and analysis—a mix of peripheral vision and semiautomatic action that is highlighted only when the unexpected or difficult occurs.


마음챙김의 대상은 의료행위의 어떤 측면과 암묵적 또는 명시적 지식의 어떤 영역 내에 적용될 수 있다. 

  • 내면적 자기인식은 의사가 자신의 강점, 한계, 직업적 만족의 원천을 의식하도록 돕는다. 이는 부모가 알코올 중독자였기 때문에 환자와의 알코올에 대한 논의를 피하는 의사와 같은 개인에게 사각지대를 피하는 데 도움이 된다. 그것은 의사가 되기 위한 깊이 간직된 가치와 동기를 명확히 할 수 있다.

  • 대인관계적 자기인식, 즉 사회지능 70,71은 의사가 다른 사람에게 보이는 대로 자신을 볼 수 있게 하고 동료, 환자, 학생과의 만족스러운 대인관계 구축을 돕는다. 

  • 메타프로세싱에 대한 인식은 의사들이 인지, 기억, 감정 처리 사이에 필요한 연결을 포함하여 그들 자신의 임상 추론을 인식할 수 있게 해준다.28 

  • 학습 요구에 대한 자기인식은 의사가 무의식적인 무능 영역을 인식하고 학습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수단을 개발할 수 있도록 한다.61 

  • 윤리적 자기인식은 의학적인 만남을 형성하고 있는 순간순간의 가치에 대한 인식이다. 

  • 테크니컬 자기인식은 신체검사, 수술, 컴퓨터 조작, 통신 등의 시술 중 자가교정을 위해서 필요하다.

The object of mindfulness can apply to any aspect of medical practice and within any domain of tacit or explicit knowledge. 

  • Intrapersonal self-awareness helps the physician be conscious of his or her strengths, limitations, and sources of professional satisfaction. It helps the individual avoid blind spots, such as a physician who, because his or her parent was an alcoholic, avoids discussions of alcohol with patients. It may clarify deeply held values and motivations for becoming a physician. 

  • Interpersonal self-awareness, or social intelligence,70,71 allows physicians to see themselves as they are seen by others and helps to establish satisfactory interpersonal relationships with colleagues, patients, and students. 

  • Awareness of metaprocessing allows physicians to be aware of their own clinical reasoning, including the necessary connections between cognition, memory, and emotional processing.28 

  • Self-awareness of learning needs allows physicians to recognize areas of unconscious incompetence and to develop a means to achieving their learning goals.61 

  • Ethical self-awareness is the moment-to-moment cognizance of values that are shaping medical encounters. 

  • Technical self-awareness is necessary for self-correction during procedures such as the physical examination, surgery, computer operations, and communication.


종종 성찰은 오류나, 어려운 상황이나, 자신의 행동에 대한 예상치 못한 결과를 수반하는 중요한 사건에 의해 유발된다. 25,72,73 다른 때에는 반성은 이산적인 외부 사건에 의해서가 아니라 아이디어의 성숙에 의해 유발된다. 그러나, 이러한 많은 사건들은 가장 창의적인 사상가들을 제외한 모든 사람들에게서 주목을 받지 못하고 있다.

Often reflection is prompted by a critical incident involving an error, a difficult situation, or an unexpected result of one’s actions.25,72,73 At other times, reflection is prompted by the maturing of an idea rather than by a discrete external event. However, many of these events go unnoticed by all but the most creative thinkers.


마음챙김은 의사가 더 넓은 일련의 지각perceptual 자원을 사용할 수 있게 해준다

  • '초심자의 마음'은 지속적으로 전주의적preattentive, 부차적subsidiary 과정에 대해 일정한 역치 아래의subthreshold 의식을 유지할 수 있는 마음의 유동성fluidity of mind을 의미한다. 초심자의 마음은 개방적이고, 환자가 새로운 의사를 만날 때 일어날 수 있는 것처럼 새로운 진단과 치료 가능성을 허용한다. 

  • 이와는 대조적으로, 전문가의 마음은 관찰을 구분하고 제한하기 위한 사전 경험을 이용하여 가능성을 좁힌다. 

Mindfulness enables the practitioner to use a wider set of perceptual resources. 

  • The fluidity of mind that can maintain some constant subthreshold awareness of preattentive and subsidiary processes has been described as a “beginner’s mind.”12 A beginner’s mind is open and allows for new diagnostic and therapeutic possibilities, as may happen when a patient meets a new physician. 

  • By contrast, the expert’s mind narrows possibilities, using prior experience to delimit and confine observations. 


랭거13은 마음챙김을 "그럴 수도 있지could be"의 상태라고 설명하면서, 불확실성을 피하려고 하기보다는 포용하는 것이라고 말한다. 어려운 환자는 흥미로운 환자가 될 수 있고, 해결할 수 없는 문제는 연구의 수단이 될 수 있다. 비판적 호기심critical curiosity은 (기존) 범주의 한계를 드러냄으로써 더 의미 있는 범주를 만드는 데 도움을 준다. 예를 들어, 공황장애를 흉통 통증의 일반적인 원인으로 인식하면 의사가 증상 증폭기 74에서 중증 치료 가능한 질환을 가진 환자로 이러한 환자를 재분류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 전문지식은 종종 '초심자의 마음'이 있을 때 축적되며, 특히 새롭거나, 익숙하지 않거나, 스트레스를 많이 받는 상황에서는 더욱 그러하다.

Langer13 describes mindfulness as a state of “could be,” welcoming uncertainty rather than trying to avoid it. Difficult patients might then become interesting patients; unsolvable problems might become avenues for research. Critical curiosity shows the limits of categories and helps create more meaningful ones. For example, the recognition of panic disorder as a common cause of chest pain might help physicians recategorize these patients from symptom amplifiers74 to patients with a serious and treatable illness. Expertise is often well served by beginner’s mind, especially in new, unfamiliar, or stressful situations.


마음챙김은 마틴부버75의 "I-Thou" 관계에서 제안된 knower와 known의 관계나, 벨렌키와 동료들이 제안한 아이디어, 사람 또는 사물의 "connected knowing"을 조사하는 것을 의미한다.33 따라서, 지식은 독립적으로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그것을 관찰하고 사용하는 것과 관계되어 있다. 이론은 현실 그 자체가 아니라현실의 취약한 근사치이다.76 서치맨과 매튜스17은 이것을 전문직업적 역할을 초원하여, 환자와 의사 사이에 암묵적인 유대관계tacit bond가 있는 의료행위의 연결적 차원connexional dimension이라고 묘사해 왔다.

Mindfulness implies exami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knower and the known as suggested in the “I-Thou” relationship of MartinBuber75 or the “connected knowing” of ideas, people or things, suggested by Belenky and colleagues.33 Knowledge, then, does not exist independently but rather in relationship to the one observing and using it. Theories are seen as fragile approximations rather than reality itself.76 Suchman and Matthews17 have described this as the connexional dimension of medical practice, in which there is a tacit bond between patient and physician that transcends professional roles.


무신경: 지식, 가치, 행동 사이의 차이

Mindlessness: Gaps Between Knowledge, Values, and Actions


의사들은 인지적, 감정적 요인을 수반하는, 순간순간의 가치 중심적인 결정을 내린다.

Physicians make moment-to-moment value-laden decisions that entail cognitive and emotional factors.


대개 [개인적인 지식, 기술 수준, 효율성, 가치관에 근거한] 이러한 빠른 결정은 궁극적으로 행동을 초래한다. 따라서 의사에게 촉구하는 의료행위의 목표는 의료의 중요한 측면에 대한 수행 능력이나 지식뿐만 아니라 그러한 [실천을 일상 업무에 실제로 사용하는 것]을 포함해야 한다.

These rapid decisions, usually based on personal knowledge, level of skill, efficiency, and values, ultimately result inactions. Thus, objectives for the practice of medicine calling on physicians should include the ability to perform or knowledge about important aspects of medical care77 as well as the requirement to actually use those practices in daily work.


자기지식은 공감, 동정, 이타주의 등 의학에서 핵심가치를 표현하는 데 필수적이다. 공감적이기 위해서는, [환자의 고통과 환자의 고통에 대한 나의 반응을 목격하고 이해]함으로써 환자의 경험과 내 경험을 구별할 수 있어야 한다. 그렇게 해야 이해심을 소통하고, 연민을 가질 수 있으며, 내 존재를 이용하여 고통을 덜어주고 환자의 이익을 우선시할 수 있다. 아마도 자기 인식의 부족은 다음에 대한 이유를 알려준다.

  • 왜 의사들이 이러한 가치들을 실제로는 실천하지 않으면서도 지지하는지  

  • 왜 의사들이 덜 환자 중심적인 경향이 있는지 

  • 왜 의사들이 갈등과 강한 감정을 수반하는 상황에서 자신의 관점과 환자의 관점을 혼동하는지

Self-knowledge is essential to the expression of core values in medicine, such as empathy, compassion, and altruism. To be empathic, I must witness and understand the patient’s suffering and my reactions to the patient’s suffering to distinguish the patient’s experience from my own. Then I can communicate my understanding and be compassionate, to use my presence to relieve suffering and to put the patient’s interests first. Perhaps lack of self-awareness is 

  • why physicians more often espouse these values than demonstrate them78-81 and 

  • why they tend to be less patient-centered82 and confuse their own perspectives with those of the patient1,80 in situations that involve conflict and strong emotions.


호기심은 환자에 대한 배려와 문제해결에 모두 중요하다.83

Curiosity is central both to caring about the patient and to solving problems.83


예를 들어, Stetten18은 그의 주치의들이 그의 황반변성을 치료하려고 시도했을 때, 어떻게 그가 실명에 적응하는 것에 관심이 없었는지를 묘사했다; 그들은 사람이 아니라 병을 보았던 것이다.

caring requires an interest in the patient as a person rather than as an abstraction of disease.84,85 For example, Stetten18 described how his physicians were uninterested in his adaptation to blindness while they attempted to treat his macular degeneration; they saw the disease but not the person.


Mindlessness는 전문직업성에서 벗어난 다양한 상황을 설명한다. 그리고 [감정적으로 충전된charged 상황에서, 불확실성의 상황에서, 그리고 문제를 해결하라는 압력을 받는 경우]에 더 자주 발생하는 것처럼 보인다. 예를 들어, 많은 의대생과 레지던트, 그리고 아마도 개업의들도 관찰되지 않은 발견을 보고하고 오류를 시정하지 않는다. 행동은 능률적이기 위한 시도, 감독관의 비위를 맞추려는 욕구, 당혹감, 압도당하는 느낌 때문에 전문적인 지식과 가치에서 벗어나게 된다. 의사들은 스트레스를 받는 임상 환경에서는 강의실 맥락에서 얻은 지식(예: 윤리 과정)을 적용하지 않을 수 있다. 일탈적 행동deviation에는 (환자에 대한 감정적 감정의 건강한 처리가 아닌), 어려운 문제에 대한 회피, 합리화, 외부화 또는 솔직한 부정 등이 있다.

Mindlessness accounts for many deviations from professionalism, which seem to occur more often in emotionally charged situations, during situations of uncertainty, and under pressure to resolve problems. For example, many medical students and residents, and presumably practitioners as well, report findings that were not observed and do not seek correction for errors.20 Actions diverge from professional knowledge and values because of attempts to be efficient, a desire to please supervisors, feelings of embarrassment, and a sense of being overwhelmed.2,19,21,82,86,87 Practitioners may not think to apply knowledge gained in a classroom context (such as anethics course) in a stressful clinical environment. Deviations often involve avoidance of difficult issues, rationalization, externalization, or frank denial rather than the healthy processing of emotional feelings toward patients.88,89


마음챙김적 실천의 단계

Levels of Mindful Practice


(TABLE 3).


Mindless practice의 한 극단에서 의사의 반응은 부정(수준 0)이다. 그 문제를 "나와 관계 없는 일"로 만들면, 의사는 책임과 반성을 피하거나, 그 상황(또는 환자)을 증거에 반하는 방식으로 묘사할 수 있다.

At the extreme of mindless practice, the practitioner’s response is denial (level 0). By making the problem “out there,” the practitioner may avoid responsibility and reflection or describe the situation (or the patient) in ways that are contrary to the evidence.


레벨 1은 성찰을 하지는 않았지만, 상황에 대해 어느 정도 책임을 지고 행동의 외부 기준을 준수하여 해결하려는 수준을 말한다. 예를 들어, 시술자는 "환자와의 성적인 친밀감은 잘못된 것"과 같은 규칙을 읊음으로써 환자에 대한 자신의 매력을 다룰 수 있지만, 의사들을 비위행위의 위험에 빠뜨리는 요인을 이해하려고 하지는 않는다.

Level 1 describes practitioners who do not necessarily use reflection but take some responsibility for the situation and solve it by conforming to an external standard of behavior. For example, a practitioner might deal with his attraction to a patient by reciting a rule, such as “sexual intimacy with patients is wrong,” but may not seek understanding of the factors that put physicians at risk for misconduct.86


레벨 2는 [명시적 인지 모델이 의사의 행동을 가이드하고, 변화의 핵심은 정보의 전이라는 가정]에 근거하여 의사결정을 내리는 단계이다. 가설과 중요한 질문을 만들기 위해서는 호기심과 성찰이 필요하지만, 이 수준의 의사들은 개인적인 지식, 암묵적인 지식, 감정을 무시한다.

Level 2 describes medical decision analysis based on the assumption that explicit cognitive models guide physician behavior and the key to change is the transfer of information. While curiosity and reflection are required to generate hypotheses and important questions, physicians at this level ignore personal knowledge, tacit knowledge, and emotions.


레벨 3은 감정, 생각, 행동에 대해서 좋거나 나쁜 것으로 억압하거나 꼬리표를 붙이지 않는 호기심이 갖는 단계이다. 감정과 개인적인 지식을 포함시킴으로써 임상의사는 환자 진료를 촉진하는 데 사용할 수 있는 도구를 더 많이 갖게 된다.

Level 3 includes curiosity about feelings, thoughts, and behaviors without attempting to suppress or label them as good or bad. By including emotions and personal knowledge, the clinician has more tools available to promote patient care.


레벨 4인 통찰은 세 가지 면을 가지고 있다: 

  • 문제의 본질을 이해하고, 

  • 문제를 해결하려고 하는 방법을 이해하며, 

  • 의사 자신과 자신이 소유하고 있는 지식 사이의 상호연결성을 이해한다.15 

'통찰' 수준에서는 외부 문제를 수정하는 것 외에도 정신적 과정의 교정을 용이하게 한다.

Level 4, insight, has 3 facets: 

  • understanding the nature of the problem, 

  • understanding how one attempts to solve it, and 

  • understanding the interconnectedness between the practitioner and the knowledge that he or she possesses.15 

Insight facilitates the calibration of mental processes, in addition to correction of the external problem.


마지막으로, 레벨 5의 실무자들은 통찰력을 사용하여 일반화, 미래의 유사한 도전을 극복하고, 새로운 행동과 태도를 통합하고, 연민을 표현하고, be present할 수 있다.

Finally, practitioners at level 5 can use their insight to generalize, overcome similar challenges in the future, incorporate new behaviors and attitudes, express compassion, and be present.


마음챙기기

Becoming Mindful


최근의 연구에서는 자기-인식을 위한 다양한 방법을 기술하고 있다. 

  • 개개인의 수준에서, 의사들은 일기를 쓰고 명상을 하고, 환자와의 세션의 비디오테이프를 검토하고, 학습 계약을 사용할 수 있다. 

  • 의학교육에서 학생과 레지던트를 위한 자기평가 양식은 평가 과정의 중요한 부속물이 되어왔다. 학습자들은 그들의 인식을 선생님이나 멘토의 그것과 비교할 수 있다. 

  • 동료 평가는 학생, 거주자 및 개업의에게 전문성과 사회성 측면에 대한 인식을 심어주는 데 유용했다.91,92 

  • 의사가 실수, 장애, 94 윤리적 딜레마, 95 및 어려운 상황에 대해서 작성한 보고서는 소규모 그룹 환경에서 토론하여, 공통의 상황과 거기에 대한 반응이 어떠했는지에 대한 인식을 높일 수 있다. 

  • 가족 정보 및 문화적 배경을 공유하는 것은, 지노그램이나 질병 내러티브를 사용하여, 임상 치료에 영향을 미치는 기대, 편견, 강점 및 경향에 대해 실무자들이 알 수 있도록 도울 수 있다.96-99

Recent articles1,5,90 have described a variety of ways for becoming more self-aware. 

  • Individually, practitioners might keep a journal, practice meditation, review videotapes of sessions with their patients, and use learning contracts. 

  • In medical education, self-evaluation forms for students and residents have been important adjuncts to the evaluation process. Learners can compare their perceptions with those of a teacher or mentor. 

  • Peer evaluations have been useful in bringing awareness to aspects of professionalism and social skills for students, residents, and practicing physicians.91,92 

  • Critical incident reports written by practitioners about mistakes,20,93 impairment,94 ethical dilemmas,95 and difficult situations can be discussed in small group settings and raise awareness about common situations and one’s reactions to them. 

  • Sharing of family information and cultural background, using genograms or illness narratives, can help practitioners learn about the expectations, biases, strengths, and tendencies that influence clinical care.96-99


이러한 접근방식은 대개 실제 의료행위가 이뤄지는 시공간과 분리된 시공간에서 이뤄진다. 그러나 마음챙김은 한 걸음 더 나아간다. 여기서는 의료행위의 모든 측면에 적용된다. 

These approaches, usually consist of exercises separated in space and time from actual clinical practice. Mindfulness training goes one step further. It applies to all aspects of practice,


그러나 교실 환경에서 성찰하는 능력은 스트레스를 받는 임상 환경에서 성찰하는 것과 같지 않다. 예를 들어, 윤리 과목은 학생들의 지식 기반을 높이고 어려운 문제를 해결하는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지만, 윤리 과목이 반드시 그게 없었던 때보다 행동이 더 윤리적인 의사를 만들어내는 것은 아니다.. 임상의-멘토들은 [가치관이 위태로울 때, 의사결정을 어떠한 지식과 감정에 기반하여 내렸는지에 대한 매 순간순간의 인식]을 모델링함으로써, 학생들이 아이디어를 실행에 옮기도록 도울 수 있다. 전문가는 자신의 행동을 관찰함으로써 개인적인 지식을 명확하게 표현하는 법을 배울 수 있다(나는 불확실성에 어떻게 대응하는가? 나는 리스크를 어떻게 제시해야 하는가? 어려운 기술적 절차를 수행할 때 나는 어떻게 스스로 교정하는가?) 전문적인 지식은 (그 지식의 타당성에 의해서가 아니라), 그 지식이 어떻게 사용되는가에 의해서 정의된다.23

However, the ability to reflect ina classroom environment is not equivalent to reflection in a stressful clinical environment. For example, ethics courses might increase students’ knowledge base and improve their ability to solve difficult problems, but ethics courses do not necessarily produce physicians whose behavior is more ethical than it would be otherwise. Clinician-mentors can help students put ideas into action by modeling a moment-to-moment awareness of their own knowledge and emotions that inform their decisions when values are on the line. Professionals can learn to articulate their personal knowledge by observing their own actions (How do I respond to uncertainty? How do I present risks? How do I self-correct when doing a difficult technical procedure?) Professional knowledge is defined, then, not by its validity, but by how it is used.23


마음챙김에 대해 가르치거나 쓰는 것에는 내재된 역설이 있다. 교사의 임무는 학습자를 마음챙김 상태로 환기시키는 것으로, 따라서 교사는 지식의 전달자가 아니라 안내자 역할만 할 수 있다.

There is an inherent paradox in teaching or writing about mindfulness. The teacher’s task is to invoke a state of mindfulness in the learner, and, thus, the teacher can only act as a guide, not a transmitter of knowledge.


마음챙김에 대한 장벽은 의료 훈련, 심지어 개혁된 커리큘럼에서도 많다. 피로와 독단, 그리고 (의식보다는) 행동에 대한 강조는 생각과 감정에 마음을 닫는다. 드러나지 않은 부정적인 감정은 감정적 거리감과 교만으로 이어진다. McWhinney는 다음과 같은 3가지 추가 장벽을 식별했다.

  • 아직 드러나지 않은 부정적인 감정들, 

  • 상상력의 실패,

  • 문자 그대로의 마음가짐

(I. R. McWhinney, MD, 구두 발표, 런던, 온타리오, 1995년 10월 6일).

Barriers to mindfulness are numerous in medical training, even in reformed curricula. Fatigue, dogmatism, and an emphasis on behavior (rather than on consciousness) 103 close the mind to ideas and feelings. Unexamined negative emotions lead to emotional distance and arrogance. McWhinney identified 3 additional barriers:

  • unexamined negative emotions, 

  • failure of imagination,

  • and literal-mindedness

(I. R. McWhinney, MD, oral presentation, London, Ontario, October6, 1995). 


상상력의 실패는 어떤 탐구 과정의 첫걸음인 호기심을 제한한다. [구체적인 문자 그대로의 사고방식]은 간단한 진단 과정을 잘 제공할 수 있지만, [창의적인 문제 해결을 방해하고 환자를 보는 의사의 관점을 제한]한다.

Failure of imagination limits the curiosity that is the first step in any process of inquiry. Concrete literal mindedness may serve simple diagnostic processes well, but impedes creative problem solving and limits the physician’s view of the patient.


실천에서 '마음챙김'하는 법을 배울 기회가 부족하고, 두려움과 불안을 다룰 공간이 부족할 경우, 장벽은 더 높아진다. 

Lack of opportunities to learn how to become mindful in practice and the lack of forums to deal with fears and anxieties create further barriers.


마지막으로, 어떤 의사들은 마음챙김이 [(필요한 임상적 행동을 지연시킬 수 있는) 지나친 자기도취]와 비슷하다며 두려워할 수 있다. 그러나 반대로 [한 가지만 지나치게 생각하는 것]은 [목표 명확성과 당면한 과제에 주의를 기울이는 마음챙김적 실천]과 반대된다는 것을 교육해야 할 것이다.

Finally, some clinicians may fear that mindfulness is the same as excessive self-absorption that would delay necessary clinical actions. They would need to be educated that navel-gazing is antithetical to mindful practice, which has as its goal clarity and attention to the tasks at hand.


결론

Conclusions


마음챙김, 비판적 성찰, 학습, 환자 치료는 모두 "자신self을 첫 번째, 하지만 유일하지는 않은, 지식의 대상으로 보는 것"에서 시작한다.104 마음챙김적 실천은 감정적 영역을 검토하는 것을 넘어, 임상 실습, 교육, 연구의 모든 영역에서 행동, 암묵적 개인적 지식 및 가치에 대한 비판적 성찰을 포함한다. 마음챙김은 규율discipline이며 마음의 태도다. 세상을 (자신이 보고 싶은 방식대로가 아니라) 있는 그대로 보기 위한 critical informed curiosity와 용기를 필요로 한다. 마음챙김적 실천가는 과거의 무의식적인 행동과 오류를 의식하는 것을 용인한다. 마음챙김의 목표는 광범위한 데이터를 사용하여, 올바른 결정을 내리고, 환자를 이해하고 고통을 덜어주는, 세상에서 온정적인 정보에 입각한 행동이다.

Mindfulness, critical reflection, learning, and patient care all “begin with the self as the first, but not the only, object of knowledge.”104 Mindful practice extends beyond examining the affective domains and involves critical reflection on action, tacit personal knowledge, and values in all realms of clinical practice, teaching, and research. Mindfulness is a discipline and an attitude of mind. It requires critical informed curiosity and courage to see the world as it is rather than how one would have it be. Mindful practitioners tolerate making conscious their previously unconscious actions and errors. The goal of mindfulness is compassionate informed action in the world, to use a wide array of data, make correct decisions, understand the patient, and relieve suffering.


마음챙김적 실천은 멘토링과 지도가 필요하다. 자신의 한계와 무능 영역에 대해 인식하는 것은 감정적으로 어려울 수 있으며, 의욕이 강한 의사들에게조차 회피심을 불러 일으킬 수 있다. 마음챙김은 개인적이고 주관적인 과정이지만, 우리들 각자는 이러한 속성을 구현하는 의사를 식별하고, 그들로부터 배우고, 자기-인식의 독특한 방법을 발견할 수 있다. 교육자들은 교육생들이 의식 함양을 위한 그들의 수단을 명시적으로 모델링함으로써 더 정신을 차릴 수 있도록 돕는 임무를 맡을 수 있다.

Mindful practice requires mentoring and guidance. Recognition of one’s limitations and areas of incompetence can be emotionally difficult and can invite avoidance in even highly motivated practitioners. Although mindfulness is an individual and subjective process, each of us can identify practitioners who embody these attributes, learn from them, and identify unique ways of being self-aware. Educators can take on the task of helping trainees become more mindful by explicitly modeling their means for cultivating awareness.















. 1999 Sep 1;282(9):833-9.
 doi: 10.1001/jama.282.9.833.

Mindful practice

Affiliations 

Affiliation

  • 1Department of Family Medicine, University of Rochester School of Medicine and Dentistry, New York 14620, USA. ronald_epstein@urmc.rochester.edu

Abstract

Mindful practitioners attend in a nonjudgmental way to their own physical and mental processes during ordinary, everyday tasks. This critical self-reflection enables physicians to listen attentively to patients' distress, recognize their own errors, refine their technical skills, make evidence-based decisions, and clarify their values so that they can act with compassion, technical competence, presence, and insight. Mindfulness informs all types of professionally relevant knowledge, including propositional facts, personal experiences, processes, and know-how, each of which may be tacit or explicit. Explicit knowledge is readily taught, accessible to awareness, quantifiable and easily translated into evidence-based guidelines. Tacit knowledge is usually learned during observation and practice, includes prior experiences, theories-in-action, and deeply held values, and is usually applied more inductively. Mindful practitioners use a variety of means to enhance their ability to engage in moment-to-moment self-monitoring, bring to consciousness their tacit personal knowledge and deeply held values, use peripheral vision and subsidiary awareness to become aware of new information and perspectives, and adopt curiosity in both ordinary and novel situations. In contrast, mindlessness may account for some deviations from professionalism and errors in judgment and technique. Although mindfulness cannot be taught explicitly, it can be modeled by mentors and cultivated in learners. As a link between relationship-centered care and evidence-based medicine, mindfulness should be considered a characteristic of good clinical practice.


고등교육에서 강의의 사용과 오용(Health Professions Education, 2015)

On the Use and Misuse of Lectures in Higher Education

Henk G.Schmidtn, StephanieL.Wagener,GuusA.C.M.Smeets,LianneM.Keemink, Henk T.vanderMolen




1. 도입

1. Introduction


강의는 고등교육에서 정보 전달에 가장 많이 사용되는 도구다. 네덜란드의 의학 교육을 대충 살펴보면, 강사들이 참여하는 교육 활동의 약 70%가 학생들에 대한 강의로 이루어져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1

Lecturing is the most employed tool for information transmission in higher education. A cursory look at Dutch medical education demonstrates that around 70% of the teaching activities in which instructors engage consists of lecturing to students.1


인류학자들은 스토리텔링은 문화 전달에 가장 많이 사용되고 가장 성공적인 도구였다고 주장한다. 누군가에게 무언가를 말하고, 그 사람이 당신이 말하는 것에 관심을 보일 때, 그는 결국 그것을 기억하고, 사용하고, 그것을 다음 세대에 전할 것이라는 가정에 근거한다.

Anthropologists argue that story telling used to be the most employed and most successful instrument for cultural transmission. It is based on the assumption that when you tell somebody something, and that person shows interest in what you are telling him, he will eventually remember it, use it, and convey it to a next generation.


책이 싸고 널리 보급되기 전에는 교사는 학생들에게 자신이 알고 있는 것을 단순히 말해주는 것 외에는 다른 수단이 없었다. 그는 문자 그대로 자신의 노트에서 읽어서 학생들이 그가 지시하는 모든 것을 쓸 수 있게 했고, 따라서 거의 그들 자신의 책을 만들기도 했다. 영어 대학 제도에서 교사는 여전히 "독서자" 또는 "강사" ("legere, passivum: "lectus"는 "읽는다"는 뜻의 라틴어다.

In early era education, before books became cheap and widely available, the teacher had no other means than simply telling students what he knew. He would literally read from his own notes, enabling students to write down everything he dictated, thereby more or less creating their own books. In the English university system a teacher is still called a “reader,” or a “lecturer” (“legere,” passivum: “lectus” is Latin for reading).


2. 강의의 단점

2. Shortcomings of lectures


2.1. 학생 참여 부족

2.1. Lack of student engagement


그러나 강의에 대한 비판이 없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 Bligh는 강의가 학생들에게 비판적 사고를 조장하고 싶다면 일반적으로 열악하다는 것을 시사한다. 

    • 켈리와 동료들은 3가지 유형의 교실에서 학생들의 참여를 관찰하면서 교류가 강의실에서 가장 낮다는 것을 발견했다. 

    • 강의 출석률이 낮은 경향이 있다.4 전형적으로, 출석자가 결석자보다 시험에서 더 높은 점수를 받더라도, 출석자의 절반 미만이 출석한다.5 

    • 조사에서, 학생들은 출석해야 할 중요한 이유시험에 출제될 것을 알기 위해서라고 말한다.; 지식 습득은 보통 덜 중요한 것으로 평가된다. 일부 교사들은 시험을 파워포인트 슬라이드를 통해 학생들과 공유하는 정보에서만 출제해서 그러한 태도를 강화하는 것으로 보인다. 

    • 그 결과 학생들이 교과서를 가지고 공부하지 않는다는 결과가 나왔다. 그들의 영역에 대한 지식은 반드시 피상적이고 축약된다. 지식은 인생보다는 시험을 위한 것이 된다.

Lecturing is not without its critics however. 

    • Bligh,2 for instance suggests that lectures are generally poor if one wishes to promote critical thinking in students. 

    • Kelly and colleagues,3 observing student engagement in three types of classrooms, found engagement to be the lowest in the lecture theater. 

    • Attendance of lectures tends to be low.4 Typically less than half of the students show up, even if those who attend score higher on examinations than those absent.5 

    • In surveys, students indicate that an important reason to attend is to get an impression of what will be asked during the examination; acquiring knowledge is usually rated as less important. 

    • Some teachers seem to reinforce such attitudes by focusing during tests exclusively on information shared with students through PowerPoint slides. 

    • The result is that students do not consult textbooks in their area. Their knowledge of the domain necessarily must become superficial and abbreviated; stuff for examinations rather than for life.


그리고 주의집중시간 대한 문제가 있다. 한 번에 15분 이상 강의를 들을 수 없다는 의견도 있다. 어떤 사람들은 이러한 관점에 이의를 제기하지만, 학생들이 강의에 집중할 수 있는 능력이 점점 떨어진다는 점은 교사들 사이에 널리 공유되고 있다. 이것은 서로 채팅하고, 이메일에 답하고, 페이스북과 상담하고, 트위터와 같은 수업 외적인 행동으로 표현된다. 교사는 [무대에서 영감을 주는 현자]라기 보다는 마치 [수업의 경찰]처럼 질서를 회복하는 역할을 하도록 점점 더 강요받고 있다.

Then there is the issue of attention span. Some say that students are unable to attend to lectures for more than 15 min at a time. Although others challenge this point of view, there is a broadly shared opinion among teachers that students are less and less able to stay engaged with a lecture for longer periods of time. This expresses itself in off-task behaviors such as chatting with each other, being engaged in answering emails, consulting Facebook, twittering, etc. The teacher is officer forced more and more to act as a police restoring order than as an inspiring sage on the stage.


시끌벅적한 강연장의 해독제인 카리스마는 대학 교사들 사이에서는 대게 부족하다. 마지막으로 강의 시간에는 제한이 있다. 교사는 학습해야 할 모든 과목을 충분히 상세히 논할 수 없다. 그는 주제를 요약하거나, 그가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것에 초점을 맞추거나, 대략적인 방식으로 묘사하거나, 다른 사람들을 희생시켜 주제를 선택해야 한다. 그러므로 교사들은 종종 그들이 가르치는 자료를 충분히 다루지 못했다고 느낀다.

Charisma, an antidote to noisy lecture theaters, is usually in short supply among university teachers. Finally, lecture time is limited. A teacher cannot, in sufficient detail, discuss all subject matter to be learned. He has to summarize topics, focus on what he sees as essential, describe in approximate fashion, or select topics at the expense of others. Therefore, teachers often feel that they have insufficiently covered the material taught.


2.2. 배움이 없는 강의

2.2. Lack of learning from lectures


하지만 정말 중요한 질문은 학생들이 강의를 통해 배울까? 이다. 그렇다면, 그들은 무엇을 배울까? 강의가 지식을 전달하는데 얼마나 효과적인가에 대한 질문은 놀랍게도 거의 답을 찾지 못했다.

But the really important question is: do students learn from lectures? And if so: what do they learn? The question of how effective lectures are in transmitting knowledge has found surprisingly few answers.


강의의 효과에 대한 관련 시험은 정확히 동일한 시간 동안 두 가지 다른 교육 형식으로 학생들에게 정확하게 동일한 정보를 제공하는 것이다.

A relevant test of the effectiveness of lectures would be to have exactly the same information presented to students in two different teaching formats for exactly the same amount of time.


아르샤드와 동료들은 텍스트로 공부하는 것이 강사의 말을 듣는 것보다 더 우수한 이유가 적어도 네 가지 있다고 제안한다. 

    • 첫 번째는 학생들이 자신의 속도로 본문을 읽을 수 있는 반면, 교사는 강의 중에 교재가 제시되고 처리되어야 하는 속도를 결정한다는 것이다. 

    • 둘째로, 텍스트는 너무 어렵거나 너무 복잡해서 즉시 이해할 수 없는 자료를 다시 읽을 수 있게 해준다

    • 셋째, 글공부를 하는 동안 학생들은 기억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자료의 일부를 연습하거나 자세히 설명할 수 있다. 그리고 

    • 넷째, 정교화 활동을 하더라도, 강사가 새로운 정보를 제시하여 이러한 활동에 지장을 줄 위험이 없다.

Arshad and colleagues suggest that there are at least four reasons why studying from text is superior to listening to a lecturer. 

    • The first is that students can read the text at their own pace, whereas during a lecture the teacher determines the pace with which the material is presented and has to be processed. 

    • Second, a text enables the rereading of materials too difficult or too complex to understand immediately. 

    • Third, while studying a text, the student can rehearse some of the materials or elaborate on them to improve memory. 

    • And fourth, while engaging in elaborative activities, there is no risk that a lecturer will interfere with these activities by presenting new information.


학습강좌에 관한 교육과정 수준의 연구는 사실상 전무하다. 한 가지 예외는 슈미트 외 연구진 1명이 '더 적게 배우면서 더 많이 배우다'라는 제목의 연구다. 조사 결과 의학교육 기간 중 수강해야 하는 강의가 많을수록 이들 학생의 졸업률이 낮아지고 졸업에 필요한 시간이 많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자율학습이 가능한 시간이 많을수록 졸업률이 높고 졸업에 필요한 시간도 짧아진다. 그 차이는 결코 사소한 것이 아니었다.

Curriculum-level studies concerning the lectures on learning are virtually absent. One exception is a study by Schmidt et al.1 entitled “Learning more by being taught less.” The investigators found that the more lectures student had to attend during their years in medical education, the lower the graduation rates of these students and the more time they needed to graduate. On the other hand: the more time for self-study was available, the higher the graduation rates and the shorter the time needed to graduate. The differences were by no means trivial.


이러한 발견에 대한 그들의 설명은 강의가 학습에 별 도움이 되지 않고 오히려 학습에 방해가 될 수 있다는 것이었다자습 시간이 많은 학생들은 시험을 준비하기에 더 나은 위치에 있고, 따라서, 더 많은 수의 자습으로 더 잘 한다.

Their explanation for these findings was that lectures do not add much to learning, but rather can be in the way of learning. Students having more time for self-study are in a better position to prepare themselves for examinations and, hence, do better on them and in larger numbers.


2.3. 왜 강의가 부분적으로만 효과적일까?

2.3. Why are lectures only partially effective?


왜 이러지? 우리는 강의가 우리가 "정보의 오류"라고 부르는 것의 희생물이 된다고 믿는다. 전통적인 강의에 대한 암묵적인 생각은 [정보가 한 사람으로부터 다른 사람에게 직접 전달될 수 있다는 믿음]이다. 그 다음 상대방은 송신자가 통신하는 대로 정보를 저장하고, 수신자가 주의를 기울인다면 전송되는 것은 기억된다. 그러나 이것은 옳지 않다. 인간의 마음이 수신자로서 작용하지 않기 때문이다. 학생들은 미래에 그것을 기억하고 사용할 수 있도록 [정보를 가지고 무언가를 해야 한다]. 그들은 

    • 자신의 사전 지식을 이용하여 정보를 상세히 기술할 수 있어야 하고, 

    • 정보를 자신의 말로 바꾸어 말할 수 있어야 하며, 

    • 정보를 다른 학생이나 선생님과 토론할 수 있어야 하며, 

    • 배운 것을 다른 사람에게 설명할 수 있어야 하고, 

    • 정보를 문제에 적용할 수 있어야 한다.

Why is this so? We believe that lecturing falls prey to what we would call “information fallacy.” the transmission Implicit to conventional lecturing is the idea that information can be directly transmitted from one person to another. The other person then stores the information as communicated by the sender, and what is transmitted is remembered, provided the receiver pays attention. This is a misconception because the human mind does not work as a receiver. Students have to do something with the information to enable them to remember and use it in the future. They have to be able 

    • to elaborate upon the information using their prior knowledge, 

    • to rephrase the information in their own words, 

    • to discuss the information with other students or with the teacher, 

    • to explain what is learned to others, 

    • to apply the information to a problem.


이러한 모든 활동은 학생들이 장기적 사용을 위해 기억 속에 정보를 저장하는 것을 돕는다. 우리의 기억이 건설적이기 때문이다. 사람들이 어떻게 배우는지에 대한 이러한 관점을 구성주의라고 부른다.10 강의는 부분적으로만 이러한 종류의 적극적인 학습을 위한 여지를 줄 뿐이다.

All these help activities students storing the information in memory for longterm use. This is because our memory is constructive. This perspective on how people learn is called constructivism.10 Lectures only partially give room for this kind of active learning.


3. 해결책

3. Solutions


3.1. 어떻게 하면 강의를 더 잘 활용할 수 있을까?

3.1. How can we make better use of lectures?


지난 20년 동안 교육자들은 (위에 스케치된 유형의) 인지 활동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강의를 풍부하게 하려고 노력해왔다.

In the last twenty years educators have sought to enrich lectures such that they enable the kind of cognitive activities sketched above.


Mazur는 이 나라에서 최고인 그의 학생들이 그가 기대했던 것보다 이 시험에서 훨씬 더 저조한 성적을 내고 있다는 것을 발견했다.11 따라서, 그는 그의 교수법을 바꾸기로 결정했다. 그는 강의의 일부로 이른바 "peer teaching"(PI)을 사용한다.

Mazur discovered that his students, the best in the country, were doing much poorer on this test than he expected.11 Therefore, he decided to change his teaching approach. He uses what he calls “peer instruction” (PI) as part of his lectures.


마침내 2011년 사이언스지에 발표된 데슬라우리에스 외 4호의 연구는 주목할 만하다. 그것은 거의 600명의 학생들이 두 개의 큰 강의 시간에 세분화된 실험적인 연구를 포함했다. 이 두 수업은 이전의 성취, 강의 출석, 주제와의 연관성 면에서 동등했다. 한 그룹은 경험이 많은 교사로부터, 다른 그룹은 훈련은 받았으나 경험이 부족한 박사후속 동료로부터 가르침을 받았다. 경험 많은 교사는 내용을 다루기 위해 파워포인트(Powerpoint)를 사용하고, 수업 내용과 예시 문제를 추가했으며, 학생들은 각 수업 전에 미리 읽어야 했다. 경험이 부족한 강사는 강의를 하지 않았다. 오히려 학생들에게 잦은 피드백을 제공받으면서 수업 시간에 물리학자 같은 추론과 문제해결을 연습해야 하는 도전적인 클리커 문항과 과제를 제시하기도 했다. 

Finally a study by Deslauriers et al. 4 published in Science in 2011, deserves attention. It involved an experimental study, in which almost six hundred students were subdivided in two large lecture classes. The two classes were equal in terms of previous achievement, attendance to lectures, and engagement with the subject matter. One group was taught by a highly experienced teacher; the other group by a trained but inexperienced postdoctoral fellow. The experienced teacher taught the subject—electromagnetic waves—in the usual ways, employing Powerpoint to address content, adding in class-demonstrations and example problems, while students were required to do prereading before each class. The inexperienced instructor did not lecture. Rather, he presented the students with a series of challenging clicker questions and tasks that require the students to practice physicist-like reasoning and problem solving during class time while being provided with frequent feedback. 


저자들에 따르면, 이러한 활동의 목표는 학생들로 하여금 [모든 수업 시간을 (관련된 주제에 대한 예측과 논쟁을 만들고 시험하며, 문제를 해결하고, 자신의 추리와 다른 사람들의 추리를 비평하는 형태로) 과학적 사고에 몰두하게 하는 것]이었다. 각 수업이 시작될 때, 학생들은 2인 1조로 편성하도록 요청받았다. 수업시간에 질문을 클리커 문항으로 제시한 후 학생들은 그룹 내에서 문제를 토의하고 답안을 제출했다. 투표가 끝나자 강사는 결과를 보여주며 피드백을 했다. 소그룹 과제는 서면답변을 요구하는 질문이었다. 학생들은 같은 조에서 활동했지만 참여 학점을 위해 각 반의 마지막에 개별 답안을 제출했다.

According to the authors, the goal of these activities was to have the students spend all their time in class engaged in thinking scientifically in the form of making and testing predictions and arguments about the relevant topics, solving problems, and critiquing their own reasoning and that of others. At the beginning of each class, the students were asked to form groups of two. After a clicker question was shown to the class, the students discussed the question within their groups and submitted their answer. When the voting was complete, the instructor showed the results and gave feedback. The small-group tasks were questions that required a written response. Students worked in the same groups but submitted individual answers at the end of each class for participation credit.


이 실험의 결과는 매우 놀라웠다. 통제그룹에 대한 출석과 참여는 그대로였지만 실험그룹에서는 두 가지 '헌신의 지표'가 모두 크게 늘었다. 참석률57%에서 75%로 증가했으며, 참여율은 표준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훈련된 관찰자가 측정한 결과 45%에서 85%로 증가했다. 더 중요한 것은 실험군의 학생들이 전자파에 대해 대조군의 학생들보다 평균 2배 더 많이 배웠다는 것이다.

The results of this experiment were quite astonishing. While attendance to, and engagement in, the lectures remained the same for the control group, both indicators of commitment increased dramatically in the experimental group. Attendance grew from 57 to 75%, and engagement–as measured by trained observers using a standard protocol–increased from 45 to 85%. More importantly, students in the experimental group learned on average twice as much about electromagnetic waves as the students in the control group.


3.2. 강의 중 적극적인 학습에 대한 다양한 접근 방법

3.2. Various approaches to active learning during lectures


앞의 리뷰는 강의실 환경에서 활발한 학습이 다양한 형태를 취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이러한 형식은 

(1) 지식을 습득하는 시기와 방법, 

(2) 학생들에게 제시되는 문제의 형식, 

(3) 강의 중 학생들에게 요구되는 학습 활동의 성격 

(4) 교사 피드백의 정도 

...등 최소한 4가지 차원에서 서로 다를 수 있다.

The previous review suggests that active learning in the classroom setting can take various forms. These forms can differ from each other on at least four dimensions: (1) when and how knowledge is acquired; (2) the format of the problems presented to students; (3) the nature of the learning activities required from students during the lecture; and (4) the extent of teacher feedback.


1. 강의 중 능동적 학습을 목표로 한 모든 접근방식은 학생들이 먼저 사전 독서를 통해 또는 강의실 내 강사의 짧은 발표를 통해 개별적으로 지식을 습득한다고 가정한다.

1. All approaches to active learning during lectures assume that students first acquire knowledge individually, either through pre-reading or through short presentations by the lecturer in-class.


세 번째 학습 가능성의 하나는 학생들이 수업 중에 개별적으로 집중하는 것이다.

A third to study possibility is have students individually focused texts while in class.


2. [문제가 제시되는 형식]은 능동적-학습 접근법의 성공에 결정적이다. 그 문제들은 연루되어 있고 흥미롭게 여겨져야 하며, 코스의 목적과 관련이 있어야 한다.

2. The format in which problems are presented is crucial to the success of the active-learning approach. The problems should be engaging and seen as interesting, and relevant to the purpose of the course.


가장 간단한 형태로는 몇 가지 보기 중 하나의 가능한 답변이 가능한 질문이다. 즉, [객관식 질문]이다.

In its simplest form it consists of a factual question with a couple of possible answers, one of which is the correct one; a multiple choice question in other words.


더 흥미로운 것은 학생들이 [배운 것을 새로운 상황에 적용하도록 유도하는 문제]들이다. 그러한 문제들은 많이 찾았지만 쉽게 달성되지 않는 고등교육의 목표인 지식의 전수를 지원한다.

More interesting are problems that encourage students to apply what they have learned to new situations. Such problems support the transfer of knowledge, a much sought-after but not easily attained goal of higher education.


셋째, 의학 교육에서는 진단과 치료가 의사 양성의 중심이다. 진단 난이도는 공통적으로 증상이 나타나는 가능한 여러 질환을 구분하는 것이다. 여러 가능성있는 진단명과 함께 여러 사례의 황달환자를 제시하면 학생들이 이러한 각각의 질병이 이 사례에서 설명한 증상들을 어떻게 유발할 것인가에 대해 생각하고 토론해야 할 것이다.

Third, in medical education, diagnosis and treatment are central to the training of doctors. The difficulty of diagnosis is to distinguish between different possible diseases that have symptoms in common. Presenting a number of jaundice cases, each with a set of possible diagnoses, would force students to think about and discuss how each of these diseases would cause the symptoms described in the case


더 까다로운 유형의 문제는 [서술형 문제]인데, 클리커를 적용할 수 없고 다양한 반응을 수집할 다른 방법을 찾아야 하기 때문에 생산 측면에서도 그리 많지 않다. 그러나, 개방형 문제는 객관식 버전에 비해 중요한 이점이 있다. 지식의 인식recognition보다는 지식의 리콜recall에 의존하며, 객관식처럼 사고와 추론 과정을 제약constrain하지 않는다.

A more demanding type of problem is the open-ended problem; not so much in terms of its production as well because the clicker technology cannot be applied and the teacher has to look for other ways to collect various responses. However, an open-ended problem has an important advantage over a multiplechoice version. It relies on recall of knowledge rather than on recognition and does not constrain thinking and reasoning processes to the same extent as the multiplechoice version.


3. 학생들을 능동적인 학습 연습에 참여시키는 표준적인 방법은 학생을 2, 3, 4명씩 조별로 세분화하도록 하는 것이다.

3. The standard way to involve students in the active learning exercise is to have the audience subdivide itself in groups of two, three, or four.


여기서 자신의 사전 지식을 바탕으로 한 elaboration이 이루어지며, 이러한 elaboration은 다른 사람들의 생각과 마주하게 된다. 이 글에서 검토한 대부분의 저자들은 경험적 연구에서 관찰된 주제에 대한 보다 깊은 이해를 산출하는 것이 바로 이와 같은 [아이디어의 충돌]이라는 데 동의한다.

Here elaboration based on one’s own prior knowledge takes place and these elaborations are confronted with ideas of others. Most authors reviewed in this article agree that it is this clash of ideas that produces the deeper understanding of the topic at hand observed in the empirical studies.


네 번째 가능성은 서로 다른 의견을 가진 네 명의 학생들로 하여금 교실 앞에서 그들의 해결책을 옹호하게 하고 학생들이 최선의 답을 얻기 위해 투표하게 하는 것이다. 다섯 번째 가능성은 학생들 간의 즐거운 경쟁을 참여의 동력으로 삼는 것이다. 학생들은 앉기 보다는 서 있으라는 요구를 받는다. 그런 다음, 그들에게 많은 참/거짓 질문이 제시된다.

A fourth possibility is to have four students with different opinions defend their solution in front of the class and let the students vote for the best answer. A fifth possibility is to use pleasant competition among students as an engine for involvement. Students are asked to stand rather than to sit. Then they are presented with a number of true/false questions.


4. 해결책을 옹호한 후 제공되는 교사 피드백, 투표 또는 수집된 답변은 짧게, 짧게, 길게는 몇 분 이내로, 잘 준비해야 한다. 다시 말하지만, 다른 매체의 사용은 여기에서 도움이 될 것이다.

4. Teacher feedback provided after the solutions have been defended, the votes cast, or the answers collected, should be short, not more than a few minutes, and should be well prepared. Again, the use of other media would help here.


4. 고찰

4. Discussion


강의는 여러 가지 면에서 부족한 것 같다: 

(a) 강의는 비판적 사고를 조장하는 데 서툴고, 

(b) 일부 학생만 강의에 집중하고

(c) 출석을 하더라도, 참여의 범위가 제한되고,

(d) 학생들은 주제에 대한 관심을 느슨하게 하고, 여러 off-task 행동을 보여준다. 

(e) 학생들은 extensive한 교과서보다 강의 노트를 바탕으로 학습 활동을 집중하는 경향이 있다. 

(f) 강의가 대부분의 수업내용을 다룰 수 있다는 생각은 거짓이며, 

(g) 강의에서 학생이 제한되는 내용에 대한 경험적 학습 문헌


Lectures seem to fall short in a number of ways: 

(a) lectures are poor at promoting critical thinking, 

(b) students attend lectures in limited numbers, and 

(c) while present engage themselves only to a limited extent, 

(d) students loose interest in the subject matter and display all kinds of off-task behaviors, 

(e) students tend to concentrate their learning activities based on the lecture notes rather than the more extensive book, 

(f) the idea that lectures can cover most subject-matter is false, and 

(g) the empirical learn literature on what students from lectures is limited.


강의의 가장 근본적인 문제는 정보 전달 오류에 근거하는 경향이 있다는 점이다. 이것은 선생님이 가르치는 것은 학생에게 기억된다는 생각이다. 그러나 현실적으로 학생들은 가르친 대로 정보를 저장하지 않는다. 그들은 강의한 내용에 대한 해석을 저장한다. 기억은 [구성적]이고, 학생들은 무언가를 기억하고 사용하려면, 배운 것을 가지고 무언가를 해야 한다.

The most fundamental problem of lectures is that they tend to be based on the information transmission fallacy. This is the idea that what is taught by the teacher is remembered by the student. In reality however, students do not store information as taught. They store their interpretation of what is lectured. Memory is constructive and students have to do something with what they learn in order to remember and use.


본 논문은 4가지 공통 요소를 가진 교실에서의 다양한 학습 접근법을 설명했다. 

(a) 학생들이 중요한 아이디어 개념을 숙달하기 위한 초기 개별 학습 시도, 

(b) 교실 환경에서 교사가 관련 문제를 제시해야 한다. 

(c) 문제에 대한 해결책을 마련하기 위한 개별 학생 또는 소규모 그룹의 정교한 활동 

(d) 교사의 피드백

Our paper described various approaches of active learning in the classroom, that have four elements in common: 

(a) an initial individual learning attempt by students to master important concepts of ideas, 

(b) the presentation of a relevant problem by the teacher in the classroom setting, 

(c) elaborative activities of individual students or small groups of students to come up with solutions to the problem, and 

(d) feedback of the teacher.


강의실은 이야기를 하기에 좋은 곳이다. 학문은 사실과 이론으로만 구성되는 것이 아니다. 그것은 또한 세상을 보고 접근하는 방법을 수반한다기여자들이 공유하는 신념, 태도, 공통 윤리, 연구 관행들의 집합; 그 역사를 만든 과학자들에 대한 특정한 역사와 특정한 이야기들. 게다가 책이나 기사에 기술된 과학과 실제로 행해진 과학이 완전히 같은 것도 아니다.

the lecture theater is a good place to tell stories. A discipline does not only consist of facts and theories. It also entails a way to view and approach the world: a collection of beliefs, attitudes, a common ethic, and research practices that its contributors share; a particular history and particular stories about the scientists who made that history. In addition, science as described in books and articles, and science as actually carried out are not entirely the same thing.


문헌들은 대개 과학적인 노력의 최종 산물만을 묘사하고 있으며, 정적이고 형식적인 방법으로 그렇게 한다. 하지만 학생들은 그 모든 이야기를 들을 자격이 있다

  • 연구자가 어떻게 특정한 가설을 발전시켰는지에 대한 이야기 

  • 연구자가 마주한 어려움에 대한 이야기, 그리고 

  • 소중한 가설이 거짓으로 판명되었을 때의 감정 등..

연구자 자신보다 누가 이런 이야기를 더 잘 할 수 있을까?

Articles describe only the end product of a scientific endeavor and do so in a static and formal way. Students however deserve to hear the whole story; 

  • the story of how the researcher developed a particular hypothesis, 

  • the story of the difficulties the researcher encountered, and 

  • his or her emotions when a cherished hypothesis turned out to be false. 

Who can tell these stories better than the researcher him or herself?






On the Use and Misuse of Lectures in Higher Education


Abstract

Background

The purpose of this article was to review the literature on lecture effectiveness and to suggest avenues for improvements.

Methods

Selective literature review with an emphasis on active learning in the classroom setting.

Results

Conventional lectures are effective only to a limited extent in attaining important curriculum objectives. They do not promote critical thinking; student attendance tends to be low and so is cognitive engagement; furthermore, the idea that lectures should and can cover all essential subject matter is false. Moreover, empirical literature on what students actually learn from lectures is lacking. A most fundamental problem of lectures is that they are based on the information transmission fallacy, the idea that students learn just by being told. The paper proposes an alternative approach to lecturing based on studies in teaching the natural sciences: active learning in the classroom. This approach has four key elements: (a) an initial individual learning attempt by students to master important concepts or ideas, (b) the presentation of a relevant problem by the teacher in the classroom setting, (c) elaborative activities of individual students or small groups of peers to come up with solutions to the problem, and (d) feedback of the teacher.

Conclusion

The available evidence suggests that active learning in the classroom setting supports and fosters learning to a much larger extent than conventional large-group teaching.




교수들은 강의에서 어떻게 내러티브를 사용하는가(BMC Med Educ, 2016)

How medical teachers use narratives in lectures: a qualitative study

Graham Easton1,2



배경

Background


의학 교육에서 서사적 학습(내러티브나 이야기를 통한 학습)의 이점에 대한 교육학적이고 이론적인 주장이 강하다. 특히 의미 형성 분야("making sense")[1], 정체성의 발달[2–4], 기억력 향상[2–4], 공감 촉진[5, 6], 실천[7], 그리고 질병 대본이라고 알려진 것을 통한 임상 추론의 발달.[2, 8]

There are strong pedagogical and theoretical arguments for the benefits of narrative learning (learning through narratives, or stories) in medical education—particularly in the areas of meaning-making (“making sense”)[1],the development of identity [2], enhancing memory [2–4], promoting empathy [5, 6], reflection on practice [7], and the development of clinical reasoning through what are known as illness scripts [2, 8].


서사 학습 이론은 서사가 어떻게 학습을 촉진시킬 수 있는지를 설명하기 위한 시도다. 서술 학습 이론의 중심 제안은 다음과 같다.

Narrative learning theory is an attempt to explain how narratives might promote learning. The central proposal for narrative learning theory is that:


"배움이 일어나는 의미 틀은 우리의 삶을 플롯화emplot하거나 테마화thematise하려는 충동에서 나오는 구성이다."([10] p10).

“The frames of meaning within which learning occurs are constructions which grow out of our impulse to emplot or thematise our lives” ([10] p10).


서술적 학습은 교육적 메시지를 전달하는 효과적인 방법이 이러한 구성을 통해 이루어진다는 전제를 깔고 있다: 학습자들은 [새로운 지식]을 [살아온lived 경험]과 연결하고 그것을 [기존에 가지고 있던 의미의 서술]에 엮어낸다[11]. 즉, 우리는 우리의 경험과 행동을 '이야기'하여 이해시키거나, 삶의 혼란으로부터 논리 정연한 내러티브를 만들어내려는 자연스런 성향을 가지고 있다. 

Narrative learning is based on the premise that an effective way to convey educational messages is via these constructions: learners connect new knowledge with lived experience and weave it into existing narratives of meaning [11]. In other words, we have a natural predisposition to make sense of our experiences and actions by “storying” them, or creating coherent narratives from the chaos of life. 


서술 학습 이론은 학습을 경험으로부터 의미구축으로 이해하는 구성주의 학습 이론[12]의 넓은 우산 아래에 있다. 서술 학습 이론과 성인기의 지배적인 학습 이론 사이에는 분명한 유사성이 있다. 이 학습 이론은 경험 학습 이론이다. 즉, 성인의 학습은 살아있는 경험과 통합적으로 연관되어 있다는 것이다.  Clark와 Rossiter는 경험은 항상 전-언어론적pre-linguistic이라고 주장한다. 즉, 학습자가 경험에 의미를 부여하기 위해서는 경험은 '내러티브' 또는 '스토리'의 형태로 변환되어야 한다. 

Narrative learning theories fall under the broad umbrella of constructivist learning theory [12], which understands learning as construction of meaning from experience. There are clear parallels between narrative learning theory and the dominant theory of learning in adulthood—experiential learning theory; the idea that adult learning is integrally related to lived experience [13]. Clark and Rossiter argue that experience is always pre-linguistic—it has to be turned into narrative form, or “storied” before the learner can make meaning from it [14]. 


이야기는 믿을 수 있고(종종 익숙한 것을 낯설게 만든다), 기억에 남으며, 매력적이기 때문에 잠재적으로 강력한 교육 도구로 제안되었다[15]. 내러티브는 청자로 하여금 [기억을 촉진할 수 있는 의미 창조]를 하게끔 요구하고, 등장인물들과 등장인물의 동기 부여는 사실fact만으로는 이룰 수 없는 감정적인 반응을 발생시킨다[11].

Stories have been proposed as potentially powerful educational tools because they are believable (often making the unfamiliar familiar), memorable, and engaging [15]. Narratives demand that listeners become involved in creating meaning which can promote memory, and characters and their motivations encourage an emotional response that facts alone cannot [11].


이야기들이 의학 훈련에서 강의실 밖에서 널리 사용된다는 증거가 있다. 공식적인 사례 이력(임상 사례에 대한 전문적인 서술)은 병동 회진이나 회의 등에서 널리 사용되고 관찰 연구는 더 비공식적인 "일화"("해결 또는 미해결된 임상 사례의 비공식적인 이야기"라고 기술한 것)가 병원의 교육 환경에서 광범위하게 사용된다는 것을 확인했다[2, 16]. 설문 조사 연구에서는 GP 트레이너도 임상 GP 환경에서 연습생 GP를 가르칠 때 일화를 자주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17]. 교육과정에는 많은 다른 예시들이 있다. 예를 들어, 의학 인문학 프로그램[18], 중요한 사건 분석[또는 중대 사건 분석][19], 실무에 대한 성찰[20] 등이 있다.

There is evidence that stories are used widely outside the lecture theatre in medical training. Formal case histories (professional narratives about clinical cases) are used widely, for example on ward rounds or in meetings, and observational studies have confirmed that more informal “anecdotes” (which Hunter describes as “informal stories of clinical cases, solved and unsolved”) are used widely in educational settings in hospitals [2, 16]. A questionnaire study has suggested that GP trainers also use anecdotes frequently in teaching trainee GPs in a clinical GP setting [17]. There are many other examples of narratives being used in the curriculum, for example in medical humanities programmes [18], significant event analysis (or critical incident analysis) [19], and reflection on practice [20].


그러나 기초 의학 강의에서 서술어를 사용하는 것에 대한 연구는 부족하다. 기초의학 강의는 좀 더 형식적이며, 전통적인 환경으로, 좀 더 didactic한 교육 방식을 유도한다. 강의가 정보를 전달하기 위한 다른 교육 방법만큼 효과적일 수 있지만 [21], 강의가 학습자의 행동이나 가치를 수정하거나 흥미를 유발하는 데 어떤 역할을 한다는 증거는 거의 없으며, 학습자가 맥락이 결여된 대량의 정보에 압도될 수 있는 위험성도 있다[9].

However, research is lacking on the use of narratives in basic medical science lectures—where perhaps the more formal and traditional setting encourages a more didactic teaching style. Although lectures may be as effective as any other teaching method for delivering information [21], there is little evidence that they have any role in modifying behaviours or values or inspiring interest, and there is a danger that learners can be overwhelmed by a large volume of information for which they have no context [9].


의학 교육에서 사용되는 내러티브의 "유형"을 개발하려는 시도가 두 번 있었다. 하나는 간호교육의 예를 이용하여 고등교육에서 서술어를 사용하기 위한 이론적 구조를 개략적으로 설명한다 [24]. 다른 유형학은 외과의사들이 수술실에서 수술 훈련생들을 훈련시키는 데 사용하는 서술의 유형에 기초한다[25]. 문헌 조사 결과 강의 환경에서 사용되는 서술형 유형을 설명하려는 시도가 발견되지 않았다.

There have been two attempts to develop a “typology” of narratives used in medical education. One outlines a theoretical structure for the use of narratives in higher education, using examples from nurse education [24]. The other typology is based on the types of narratives used by surgeons in training surgical trainees in the operating theatre [25]. A literature search found no attempt to describe the types of narrative used in the lecture setting.


방법

Methods


이 연구는 다음을 포함하는 데이터 수집에 다중 방법 접근법을 사용했다.

The study used a multi-method approach to data collection which includes:


강의 관찰

Observation of lectures


강사와의 일대일 세미구조 인터뷰 

One-to-one semi-structured interviews with lecturers 


학생과의 그룹 인터뷰 초점

Focus group interviews with students


샘플링

Sampling


그 연구는 목적적 샘플링과 편의적 샘플링을 혼합하여 사용했다. 내러티브나 스토리가 풍부할 것 같은 기초 생물의학 강의는 관찰의 초점이 되는 만큼 관찰하는 것이 중요했다.

The study used a mix of purposive and convenience-based sampling. It was important to observe basic biomedical science lectures which were likely to be rich in narratives or stories, as those were the focus of the observations.


학생 포커스 그룹에 대한 표본 추출은 강의에 참석한 학생들의 관점을 탐구하기 위한 의도적인 것이었기 때문에 강의가 끝난 후 등록 시트를 통해 해당 그룹의 초청을 받았다.

Sampling for the student focus groups was purposive to explore the perspectives of students who had attended the lectures, so the groups were invited from those cohorts via sign-up sheets after the lectures.


자료 분석

Data analysis


서술적 조사가 분석의 기초가 되었다. 저자는 분석의 첫 번째 단계에 대해 데이터 내에서 서술문을 식별하고, 원시 데이터에서 귀납적으로 파생된 범주를 식별했다[27]. 서술적 "단위"를 확인하기 위해 저자는 라보프의 개인 경험 서술 구조에 대한 모델을 사용했는데, 이것은 영어의 다양성에 대한 사회언어학 연구로부터 발전되었다[28]. (그림 1 참조).

Narrative enquiry was the basis for analysis. For the first phase of analysis, the author identified narratives from within the data, and derived categories inductively from the raw data [27]. To identify narrative “units” the author used Labov’s model of the structure of the personal experience narrative, developed from his sociolinguistic work on the varieties of English [28]. (See Fig 1).



이러한 방식으로 서술어를 식별한 후, 주제 분석 접근법을 사용하여 주로 서술 내용이나 주제에 따라 그것들을 코드화한 다음, 강사 및 학생 인터뷰 후에 가능한 구성적 의미(각 서술마다 여러 개가 있음)로 코드화하였다. 그런 다음 저자는 귀납적 분석 과정[29]을 이용하여 동일한 강의 내에서나 다른 강의에서나 추가 서술적 예시의 관찰에 이 지식을 적용했다.

After identifying narratives in this way, a thematic analysis approach was used to code them according primarily to narrative content or theme and then, after lecturer and student interviews, to possible constructed meanings (of which there were often several for each narrative). Using an analytic inductive process [29], the author then applied this knowledge to observations of further narrative examples both within the same lecture, and in different lectures.


윤리적 승인

Ethical approval


과학적 강건함

Scientific rigour


설명의 타당성 위협을 최소화하기 위해 강의와 인터뷰의 오디오 녹음을 사용했으며, 주요 순간과 시간 로그의 현장 메모를 보관했다. 저자는 해석 영역에서 타당성을 유지하는 메이슨의 접근법을 채택하려고 노력해왔다. 즉, 해석이 어떻게 도달했는지 입증하고, 그가 해석한 단계를 정당화하는 것이다. [30].

To minimise threats to validity in description, audio recordings of lectures and interviews were used, and field notes of key moments and time logs were kept. The author has tried to adopt Mason’s approach to maintaining validity in the area of interpretation—demonstrating how the interpretation was reached and justifying the steps through which he made his interpretations [30].


Reissman은 신뢰성과 타당성에 대한 전통적인 생각은 서술적 분석에 적용되지 않는다고 제안하지만 그녀는 서술적 해석의 신뢰성에 대한 주장을 할 수 있는 네 가지 방법을 간략히 설명한다[31]. 다음은 다음과 같다. 

    • 설득력(이 해석이 설득력 있어 보일 때, 종종 이론적 주장이 참가자의 계정에 의해 뒷받침되기 때문에), 

    • 일관성(내레이터의 전체적인 목표가 보다 상세한 언어적 장치와 일치하는 것처럼 보이거나, 또는 핵심 주제가 내러티브를 통해 반복되는 것처럼 보이는 경우) 

    • 실용적 사용(연구가 인용되거나 다른 사람에 의해 사용되는 경우) 

    • 교신(연구자가 연구한 사람에게 결과를 되돌려 주는 경우). 

Reissman suggests that traditional ideas about reliability and validity do not apply to narrative analyses but she outlines four measures through which we can make claims for the trustworthiness of narrative interpretations [31]. These are: 

    • persuasiveness (when the interpretation seems convincing, often because the theoretical claims are supported by participants’ accounts), 

    • coherence (where the overall goals of a narrator seem to match more detailed linguistic devices, or where key themes seem to repeat themselves throughout narratives), 

    • pragmatic use (where a study is cited or used by others), and 

    • correspondence (where researcher takes back results to those who have been studied). 

이 중 저자는 이론과 데이터를 명확하게 일치시켜 연구결과가 설득력 있고, 자신이 인식한 주제들이 내러티브 내에서나 참가자들 사이에 끈질기게 존재한다는 것을 보여주기를 바라고 있다. 

    • 또한 학생들과 강사의 견해를 토론하고, 두 유형의 참가자들에게 강의 중 저자가 말한 서술문을 분석하는 것에 대한 견해를 물어보는 등 서신 왕래가 많았다. 

    • 저자는 인터뷰와 포커스그룹에서 강사와 학생들에게 자신이 파악한 내러티브의 몇 가지 사례를 제시하며 이것이 일종의 '이야기'라는 것에 동의하는지 물었다. 이어 저자는 강사의 의도된 의미가 무엇인지, 학생들의 이야기에 대한 이해가 무엇인지 질문했다. 

    • 추가 질문에서는 강사들이 이야기를 하는 이유, 왜 그것이 특정한 방식으로 이야기되었는지, 학생들이 그것이 학습에 도움이 되는지, 그리고 어떤 방식으로 이야기되었는지에 대해 조사했다. 

    • 마지막으로, 저자는 문제의 이야기에 대한 자신의 분석을 공개하고, 구성된 활자학(주제가 지배적인 주제) 내에서 자신의 위치를 설명하고, 학생들과 강사에게 이 분석이 타당하다고 생각되는지를 질문할 것이다.

Of these, the author hopes to show that the findings are persuasive by clearly matching theory to data, and that themes he has recognised are persistent within narratives and across participants. 

    • There was also extensive use of correspondence by discussing lecturers’ views with students and vice versa, and by asking both types of participant their views on the author’s analysis of the narratives told during the lectures. 

    • During interviews and focus groups, the author presented some examples of narratives he had identified to lecturers and students and asked them whether they agreed this was a type of “story”. 

    • The author then went on to ask what lecturers’ intended meanings were, and what students’ understanding of the stories was. Further questioning explored the lecturers’ reasons for telling the story, why it was told in a certain way, and whether students found it helpful for learning and if so in what ways. 

    • Finally, the author would reveal his own analysis of the story in question, describing its place within the constructed typology—its dominant theme—and ask students and lecturers if they felt that this analysis made sense to them.


결과

Results


강의 1

Lecture 1


의학 서사의 유형

A typology of medical narratives


저자는 반복적이고 분석적인 유도 방식을 사용하여 세 가지 강의에 걸쳐 강사가 사용하던 서술형 유형을 분류했다(표 1 참조).

Using an iterative, analytic induction approach the author developed a classification of the types of narratives that lecturers were using across the three lectures (see Table 1).



내러티브가 학습에 미치는 영향

Impact of narratives on learning


서술형 학습의 이론적 이점을 반영한 데이터에서 핵심 주제가 나왔다. 나는 이 링크를 전체적으로 강조하려고 노력할 것이다. 일부 테마는 많은 또는 모든 서술형 유형에 적용되며, 다른 테마는 하나 또는 두 개의 범주의 주요 특징이다(표 1 참조). 나는 강사와 학생들과의 인터뷰 내용을 발췌하여 결과를 설명할 것이다.

Key themes emerged from the data which echo the theoretical benefits of narrative learning—I will try to highlight these links throughout. Some themes apply to many or all narrative types; others are predominant features of one or two categories (see Table 1). I will illustrate findings with excerpts from interviews with lecturers and students.


의미—만들기, [참가, 이해, 관련 상황]

Meaning—making, [engagement, understanding, relevant context]


강사와 학생 모두 내러티브와 스토리를 통해 이해도를 높이고 학생들이 자료를 이해하도록 돕는 이야기를 자주 했다.

Both lecturers and students often talked about narratives and stories improving understanding and helping students to make sense of the material.


인터뷰에서는 두 가지 특별한 주제가 나왔다: 자료에 참여하게 하고 청중에게 적절한 맥락을 제공하는 것이다.

Two particular themes emerged from the interviews: engagement with the material, and providing a relevant context for the audience.


강사 2는 또한 청중들을 참여engage시키기 위해 관련 서사의 중요성을 강조했고, 또한 흥미를 끄는 자료를 사용하여 "후크"를 제공했다.

Lecturer 2 also highlighted the importance of relevant narratives to engage an audience, and to provide a “hook” using material that also interests him:


참여의 주제와 학습에 관련된 맥락 제공은 또한 누군가 튜브에서 잠드는 것에 대한 강의 1의 이야기에 대한 토론에서도 나타났다(앞부분 참조). 강사 1은 청중들을 끌어들이기 위한 "훅"일 뿐만 아니라 학생들의 일상 생활과 관련된 맥락을 제공하는 방법으로서 다음과 같이 말하고 있다.

The themes of engagement and providing a relevant context for learning also both emerged in discussions about the story in Lecture 1 about someone falling asleep on the tube (see earlier). Lecturer 1 talks about it as a “hook” to engage audiences, but also as a way to provide a context relevant to the students’ everyday lives:


강의 내용을 관찰한 결과 학생들은 이야기를 하는 동안 engage했던 것으로 나타났다; 약간의 웃음과 수다스러움이 있었고, 머리들이 강사를 올려다보고 있었다. 이후 학생들과 가진 인터뷰에서는, 그들은 그 이야기를 유도하지 않고 분명히 기억했지만, 또한 그것이 매력적이고 관련이 있다는 것에 동의했고, 그러한 특징들 때문에 그들이 배우고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되었다고 느꼈다.

From observations of the lecture it appeared that students were engaged during the story; there was some laughter and chatter and heads were looking up at the lecturer. In subsequent interviews with the students, they all clearly remembered the story without prompting, but also agreed that they found it engaging and relevant and felt that because of those features it helped them to learn and understand:


'참여'와 '학습 관련 맥락 제공'이라는 주제는 특히 인물과 투쟁 및 목표에 의해 추진되는 "스토리" 내러티브에서 특히 적용된다. 그러나 이 장르는 다른 장르에 비해서 학생들과 강사에 의해 덜 자주 언급되었다. 또한 이러한 theme은 [학생들에게 특별한 관련성을 제공하는 서술적 범주]에서 더 두드러지는 것처럼 보였다. 그들의 기존 경험(예: 튜브 스토리)과 임상 사례와 관련된 내러티브에 반향을 일으킨 실제 세계 내러티브(실제 및 가상):

The themes of engagement and providing relevant context for learning applied particularly to “story” narratives, driven by characters and struggles and goals (as illustrated by the two examples above); they were less often raised by students and lecturers in discussions of other narrative genres. These learning themes also seemed to appear more often in relation to narrative categories which provided particular relevance for the students—real world narratives that resonated with their existing experiences (eg the Tube Story) and narratives related to clinical cases, both real and hypothetical:


직업 정체성 개발

Professional identity development


면담에서 나온 또 다른 두드러진 서술 주제는 직업 정체성에 관한 것이었다. 여기서의 하위 테마는 전문성(특히 전문적인 태도), 진정성과 신뢰, 전문가가 되는 것, 그리고 과학의 오류가능성에 관한 것이었다.

Another prominent narrative theme which emerged from interviews was around professional identity. The subthemes here were about professionalism (particularly professional attitudes), authenticity and trust, becoming an expert, and the fallability of science:


이 모든 테마는 서사를 사용하여 정체성을 발달시킨다는 측면에서 서사 학습 이론과 공명을 가지고 있으며(이 경우 전문 의사로서), 사회적 용어(허용된 전문적 행동과 의학의 사회적 기업 측면에서)를 가지고 있다. 벵거와 라브의 실천 공동체 이론에서, 강의에 참가한 학생들은 전문 의료계의 "합법적인 주변적 참여자"로서, 공동 활동과 토론을 하고, 서로에게서 배워 공통된 전문적 정체성을 개발하도록 돕는 관계를 형성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32]. 이번 연구를 통해 기초과학 강의에 내러티브가 활용되어 다양한 방법으로 이 역할을 완수하고 있으며, 강사와 학생들은 이를 인정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All these themes have resonance with narrative learning theory in terms of using narratives to develop identity (in this case as a professional doctor), and in social terms (in terms of accepted professional behaviours, and the social enterprise of medical science). In Wenger and Lave’s theory of communities of practice , students in lectures could be seen as being “legitimate peripheral participants” of the professional medical community, engaging in joint activities and discussions, building relationships that help them learn from each other to develop a common professional identity [32]. From this research, it seems that narratives are being used in basic science lectures to fulfil this role in various ways, and lecturers and students acknowledge this.


기억

Memory


기억은 강사와 학생 모두에게서 나온 강한 주제였다. 학생들은 내러티브가 - 특히 "이야기" 장르가 - 정보를 더 잘 기억하도록 도와준다고 느꼈다. 그들은 종종 이야기가 흥미롭기 때문에 기억하는데 도움을 주기도 하지만, 종종 특정 인물과 관련된 구체적인 예라고 언급하기도 했다.

Memory was a strong theme which emerged from both lecturers and students. Students felt that narratives—again particularly the “story” genre—helped them remember information better. They often mentioned that stories helped them remember because they were engaging, but also that they were often specific examples relating to a particular person:


학생들도 내러티브가 기억에 남는다고 봤다. 왜냐하면 내러티브는 학생들의 미래 작업에 대한 관련성을 명확하게 설명했기 때문이다. A&E의 오피오드 과다복용에 관한 이야기(예:

Students also saw narratives as memorable because they clearly outlined the relevance for students in their future work. A story about opiod overdose in A&E for example:


기억의 초점은 [서사의 사용과 기억 사이의 이론적 연결고리]를 뒷받침하는 것으로 보이며, 특히 기억에 대한 가장 많은 토론을 불러일으킨 것은 그들의 캐릭터 중심적인 줄거리와 투쟁과 목표가 있는 "이야기" 장르의 서술이었다는 점이 흥미롭다. 그러나 학생들이 저자가 '스토리'로 분류한 것을 강의에서 가장 기억에 남는 부분으로 꼽는 사례도 여럿 있었다.

The focus on memory appears to back up the theoretical links between the use of narrative and memory, and it is particularly interesting that it was the “story” genres of narrative, with their character driven plots, struggles and goals, that provoked the most discussion around memory. There were however several instances where students would volunteer what the author had classified as “stories”, unprompted, as the most memorable part of the lecture.


공감/연민

Empathy/compassion


특히 실제 경험 및 임상 사례 범주에서 몇 가지 내러티브가 공감과 연민에 대한 코멘트가 있었다. 특히 1강사는 환자의 관점을 보여주는 듯한 여러 가지 내러티브를 들려주며 학생들이 환자의 입장이 되어보도록 격려했다. 렉처 1의 '잠금증후군' 환자에 대한 이야기는 일부 학생들에게 다음과 같은 강한 반응을 불러일으켰다.

Several narratives—especially in the real world experience and clinical case categories—drew comments about empathy and compassion. Lecturer 1 particularly, told several narratives which seemed to be promoting the patient’s point of view, encouraging students to step inside a patient’s shoes. A story in Lecture 1 about a patient with locked-in syndrome triggered some strong reactions in some students:


또 다른 이야기는, 수면 아포아에 관한 것으로, 학생들이 휴대폰이 울리면 몇 분마다 깨는 것이 어떨지 상상하도록 격려했다.

Another story, about sleep apnoea, encouraged students to imagine what it would be like to be woken every few minutes by their mobile phone going off…


이것은 원래 강의 성적표를 관찰하고 분석하여 얻은 결과지만, 나중에 학생들과 강사에게 내 분석에 동의하는지 직접 물어봄으로써 타당성이 입증된 사례다. 강사는 강사 본인에게 언급되기 전까지는 스스로 사용하고 있는 내러티브의 환자적 관점을 알지 못했다.

This is an example of a finding which was originally derived from observation and analysis of the lecture transcript, but which was later validated by asking the students and the lecturer herself if she agreed with my analysis. Before it was mentioned to her, the lecturer was unaware of the patient perspective nature of the narratives she was using:


공감과 연민의 증진은 서술적 교육학의 강력한 이론적 이점이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기초 과학 강의에서도 서술적 학습의 이러한 측면이 실제로 작용하고 있음을 시사한다. 학생들과 강사들은 둘 다 사용된 많은 서술의 가치가 환자의 관점을 증진시키는 데 있다는 것을 인정했다.

The promotion of empathy and compassion is a strong theoretical benefit of narrative pedagogy—these findings suggest that even in basic science lectures, this aspect of narrative learning is indeed at work. Students and lecturers both acknowledged that the value in many of the narratives used was in promoting a patient perspective.


행동에 대한 성찰

Reflection on practice


비록 강의의 형식적인 요소는 아니지만, 토론 과정에서 성찰이 언급되었다. 예를 들어, 강사들은 내러티브를 강의의 쉼표처럼 사용하여 학생들에게 휴식을 주고, 그 전에 있었던 일들을 되돌아보는 시간을 갖는 것에 대해 이야기했다.

Although not a formal element of the lectures, reflection did come up in discussions. For example, lecturers talked about using narratives as punctuation marks in lectures, to give the students a rest, and time to reflect on what’s gone on before.


강의에서 내러티브와 스토리의 사용에 대한 강사 및 학생의 태도

Lecturer and student attitudes to the use of narratives and stories in lectures


특히 의학을 뚜렷하게 [인간의 노력human endeavour]이라고 보는 그들의 관점을 감안할 때, 학생들은 전반적으로 강사들이 과학 강의에서 내러티브나 이야기를 사용한다는 생각에 매우 수용적이었다. 학생들은 또한 [임상적 맥락에서 학생들의 학습을 돕기 위한 서사의 (합법적) 사용]과 [공식적인 과학적 담론에서 이야기들의 (억제되는discouraged) 사용]을 구별하는 것 같았다.

Students, on the whole, were very receptive to the idea of lecturers using narratives or stories in their science lectures, particularly given their view of medicine as a distinctly human endeavour. Students also seemed to distinguish between the (legitimate) use of narratives to aid student learning for a clinical context, and the (discouraged) use of stories in formal scientific discourse:


그러나 소수의 학생들은 강의에서 내러티브를 사용하는 것에 대해 부정적인 의견을 가지고 있었다. 여기서의 세 가지 주요 주제는 내러티브/일화가 학습보다 오락과 더 관련이 있을 수 있다는 것, 즉 너무 자주 (그리고 특히 시험에 집중하지 않는 것), 그러한 내러티브들이 대체로 결국 지루해질 수 있다는 것이었다.

But a minority of students had negative comments to make about the use of narratives in lectures. The three main themes here were that narratives/anecdotes may be more to do with entertainment than learning, that they are too often irrelevant asides (and particularly not focussed on passing exams), and that too many of them can become boring:


강사들은 강의에서도 내러티브를 사용하는 것이 개방적이었고, 상당부분 그들의 '비과학적' 본성이 그들의 가치를 떨어뜨리지 않는다고 느꼈다어떤 사람은 내러티브가 과학 기관에서 다소 "불투명한fluffy" 것으로 인식될 수 있지 않겠냐는 나의 의견에 반대했다.

The lecturers were also open to using narratives in their lectures, and felt quite passionately that their “nonscientific” nature did not detract from their value. One didn’t accept my suggestion that narratives might be perceived as rather “fluffy” in a scientific institution:


그러나 강사들은 모든 학생들이 강의에 내러티브를 사용하는 것에 대해 잘 알고 있지는 않다는 것을 알고 있었다. 강사 2는 이것이 일부 학생들이 단순히 그런 식으로 배우지 않기 때문에 그런 것인지 궁금했다.

But lecturers were aware that not all students were well-disposed towards the use of narratives in lectures. Lecturer 2 wondered whether this was because some students simply don’t learn that way:


L2: 거기에 적극적으로 반항하고 조금 짜증이 나서 시간 낭비라고 생각하는 학생들이 있다. 집중력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스트레이트한 서술이 필요한 특정한 유형의 학습자가 있다. 이 경우 이야기는 이 학생들을 실제로 산만하게 하고, 따라서 그들은 강의에서 손을 뗀다; 나는 그것이 유일한 단점이라고 생각한다.

L2: There are the students who actively rebel against it and get a bit annoyed and think it’s a waste of time. Whether there are particular types of learners who need that straight narrative to maintain concentration, and then by telling a story you are actually distracting them and therefore they disengage with the lecture; I guess that’s the only downside.


강사들이 일부러 내러티브를 사용하는지, 아니면 아예 내러티브와 스토리를 사용하고 있다는 사실까지 알고 있었는지도 관심이었다. 강사 2는 그가 어떤 종류의 내러티브를 사용하고 있다는 것을 알고 있었고, 일부러 다음과 같이 사용했다.

I was interested too in whether the lecturers used narratives deliberately, or were even aware of the fact that they were using narratives and stories at all. Lecturer 2 was aware that he was using certain types of narratives, and did use them deliberately:


그러나 그는 자신이 몇 가지 다른 범주의 이야기를 하고 있다는 사실을 덜 알고 있었다.

But he was less aware that he was telling some other categories of narrative:


마지막으로, 1 강사는 강의와 학습에 [내러티브의 사용]이라는 개념에는 문제가 없지만, 실제 단어인 "이야기"와 "내러티브"라는 단어에 대한 문제를 인지하고 있다고 느꼈다.

Finally, Lecturer 1 felt that while she had no problem with the concept of using narratives in teaching and learning, she did perceive a problem with the actual words “story” and “narrative”:


고찰

Discussion


제시된 연구 결과를 보면, 강사들이 기초 과학 강의에 많은 내러티브를 사용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심지어 그들이 그렇게 생각하지 않을 때에도 말이다. 그들 중 일부는 의도적으로 서술어를 사용하고 있지만, 대개는 의학의 역사와 같은 특정 주제에 대해서만 이야기한다. 유형학은 임상 사례(실제 사례와 가상 사례 모두)부터 환자 경험 또는 그들 자신의 직업 경력에 대한 서술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서술 주제를 설명한다. 

From the findings presented, it appears that lecturers are using many narratives in their basic science lectures – even when they don’t think they are. Some of them are using narratives purposefully, but usually only on certain topics such as the history of medicine. The typology describes a variety of narrative themes, from clinical cases (both real and hypothetical) to narratives about patient experience or their own professional careers. 


특정 범주의 내러티브는 학생과 강사 간에 특별한 공통의 의미를 담고 있는 듯하며, 이는 문헌에 기술된 서술의 이론적 이점을 반영한다 [2, 5, 6] —예를 들어 임상 사례 내러티브와 실제 세계 경험 내러티브는 종종 전문적 정체성에 대한 메시지를 전달한다. 이는 내러티브 이론에서 우리가 "스토리를 통해서by storying them" 우리의 정체성(전문직 정체성을 포함하여)을 창조한다고 주장하는 것과 같다. 

Certain categories of narrative seem to carry particular shared meanings between students and lecturers, and these echo the theoretical benefits of narratives described in the literature [2, 5, 6]—for example, clinical case narratives and real world experience narratives often conveyed messages about professional identity—narrative theory holds that we create our identities—including professional identities—by storying them [2]. 


환자 내러티브는 종종 다른 사람에 대한 공감이나 인식을 증진시키는 것으로 해석되었다. —학습에서 내러티브의 이론적 이익을 추구하며, 듣는 사람이 다른 사람의 입장에 서도록 격려하고, 그렇지 않으면 내러티브가 닫힌 세계로 들어가도록 장려한다[5]. 또한 서술적 학습의 특정 측면과 관련된 특정 범주가 있었다.특히 캐릭터가 주도하는 이야기들은 학생들이 더 잘 기억하고 있는 것 같았고, 특히 그들 자신의 전문적 맥락(예: 임상 사례)과 관련된 내러티브가 더 잘 기억되는 것 같았다.

Patient narratives were often interpreted as promoting empathy or awareness of others—another theoretical benefit of narratives in learning, encouraging the listener to put themselves in another person’s shoes and to enter worlds which are otherwise closed to them [5]. In addition certain categories were associated with particular aspects of narrative learning—character-driven stories in particular seemed to be better remembered by students, especially narratives with relevance to their own professional context (for example, clinical cases).


학생들은 내러티브나 스토리가 포멀한formal 과학 연구 논문에서 사용하기에 적절하지 않을 것이라고 생각했지만, 강의에서 서술어를 학습에 사용한다는 생각에 대부분 수용적이었다. 그러나 소수의 학생들은 내러티브가 특히 시험에서 시험해야 할 학습 목표와 관련이 없다면 관련없는 산만함이 될 수 있다고 생각했다. 이것은 학생마다 다른 학습 스타일 선호를 반영할 수 있다. 교수가 자기가 스토리를 말하고 있었다는 사실이나 말하고 있었던 스토리의 수와 범위를 종종 과소평가했다는 것은 흥미롭다; 이것 자체가 그들을 유용한 학습 도구로 간주하는 것을 꺼리는 것을 반영할 수 있다. 

Whilst students felt that narratives or stories would not be appropriate to use in a formal scientific research paper, they were mostly receptive to the idea of using narratives for learning in lectures. A minority of students though, felt that narratives could be an irrelevant distraction, particularly if not related to learning objectives to be tested in exams. This may reflect different learning style preferences in different students. It is interesting that lecturers often underestimated the number and range of narratives or stories they were telling; this in itself might reflect a reluctance to consider them as useful learning tools. 


일부 교수들은, '스토리'라는 단어가 유치함을 함축하고 있어 문제가 있다는 느낌도 있었지만 강사들은 내러티브와 스토리를 사용하는 태도에 학생들보다 훨씬 긍정적이었다. 일부에서 제시했듯이 의학 교육에서 이야기와 서사를 사용하는 것이 저평가되어 있다는 것은 거의 무의미했다[33].

However on direct questioning, lecturers were even more positive than students in their attitudes to using narratives and stories, although there was some feeling that the word “story” was problematic as it had connotations of childishness. There was little sense, as some have suggested, that the use of stories and narrative in medical education is undervalued, even maligned [33].


대부분의 학생들은 (전부는 아니지만) 내러티브가 가치 있는 학습 도구가 될 수 있다고 느꼈다. 이 연구에서 기존의 문헌과 공명하는 학습 과정의 몇 가지 핵심 부분이 밝혀졌다. 학생들과 강사들 모두 그들에게 적절한 맥락을 제공하는 서사의 가치를 강조했는데, 그 이야기에 학생들을 끌어들이고 참여시킴으로써, 이야기는 학생들이 자료를 더 잘 이해하는데 도움을 주는 것처럼 보였다. 의학 학습자를 포함한 모든 학습자에게 있어 중요한 단계는 자신이 경험하는 것으로부터 의미를 창조하는 것이다. 즉, 의미를 갖도록 하는 것make sense이다. 의미형성은 이해나 이해와 매우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다. 학습자가 의미를 구축하기 위해서는 그 전에 이해해야 한다. 

Most students (but not all) felt that narratives can be a valuable learning tool. Several key parts of the learning process came to light in this study which resonate with the existing literature. Both students and lecturers highlighted narrative’s value in providing a relevant context for them—by drawing them in to the story and engaging them, stories seemed to help them understand the material better. A key step for any learner—including medical learners—is to create meaning from what they experience; to make it make sense. Meaning-making is very closely linked to comprehension or understanding—a learner must comprehend before he or she can create meaning. 


환자의 질병 서사에 대한 많은 연구가 있으며, 의미형성에 있어서 내러티브의 중요성에 대한 이론에다가 경험적 무게를 더하고 있다. 예를 들어, Hanninen은 중독에 걸린 환자들은 [중독에 대한 자기 자신의 성공적인 이야기를 구성할 수 있을 때까지] 자기 회복을 촉진할 수 없다는 것을 발견했다[1]. 그러나 의미구축을 위한 또 다른 중요한 교육학적으로 분리되는 것은 참여engagement이다. 내러티브와 스토리 구조는 기존의 지식과 경험과의 연결을 제공하고, [익숙하지 않은 것을 친숙하게 보이게 함]으로써 학습자들을 참여시키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

There have been many studies of patient’s illness narratives which add empirical weight to the theoretical centrality of narrative in meaning-making. Hanninen, for example, found that patients with addictions were unable to promote self-recovery until they were able to construct a successful narrative of their addiction [1]. But another important pedagogical spin-off of meaning-making is engagement. Narratives and story structure may help to engage learners by offering a connection with existing knowledge and experience, and by making the unfamiliar seem familiar. 


예를 들어 Holt와 다른 사람들[34, 35]은 스토리 구조가 학습자들이 기존 지식체계을 호출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고, 새로운 정보가 목적적합해 보이도록 만들 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특히 학생들은 자신의 직업에서 직면할 가능성이 높은 임상 상황에 대한 이야기를 찾아냈다. 이는 내러티브가 경험적 학습사이클의 핵심 요소라는 개념을 뒷받침하며, 맥노튼이 제안한 것처럼 임상 사례에 대한 정보를 대리 취득하는 효과적인 방법이다[8].

For example Holt and others [34, 35] have shown that story structure can help learners call up existing banks of knowledge, and can make new information seem relevant. In particular, students found stories about clinical situations they are likely to encounter in their careers engaging and relevant. This supports the concept of narratives being a key element of the experiential learning cycle—and as MacNaughton has suggested, an effective way of vicariously acquiring information about clinical cases [8].


학생들과 강사들은 기억력 증진에 있어서 서사의 가치에 큰 초점을 맞췄는데, 이것은 나중에 그들의 직업에서 발견될 유용한 질병서사의 개발에 도움이 될 것 같다. 임상 사례 서사는 이와 관련하여 가장 관련성이 높은 서술 범주로 보였다. Hunter는 병원 내 교육 환경에서 관찰 연구를 통해 내러티브가 의대 학생들이 정보를 보유retain하는 데 유용한 방법이 될 수 있다고 가정했다[2]. 80명의 학부생을 대상으로 한 페르날드의 연구에서, 이야기는 [공식적인 책이나 강의 설명보다] 더 기억될 가능성이 높다는 것을 발견했다[36]. 

Students and lecturers focused a great deal on the value of narratives in promoting memory, something which is likely to help in the development of useful illness scripts to be retrieved later on in their careers. Clinical case narratives seemed the most relevant category of narrative in this regard. Hunter, from her observational studies in educational settings within hospitals, has postulated that narratives may be a useful way for medical students to retain information [2]. Fernald’s study of eighty undergraduates suggested that they found stories more likely to be remembered than formal book or lecture descriptions [36]. 


그러나 이러한 논쟁은 학습자들이 서로 다른 스타일의 학습을 선호할 수 있는 가능성을 다루지 않는다. 어떤 이들은 이야기를 선호할 수도 있고, 다른 이들은 목록이나 도표와 같은 비서사적 접근법을 통해 배우는 것을 선호할 수도 있다[37]. 그러나, 서사적 기술이 개인적인 기억의 장기 보존과 검색에 중심이라는 것이 응용 인지 심리학 분야에서 점점 더 많은 증거로 쌓이고 있다. 예를 들어, 연구들은 논리 정연한 이야기를 구성하는 아이들의 능력이 사건에 대한 더 많은 정보를 제공하는 그들의 능력과 연관되어 있다는 것을 보여주었다[38]. 

However this line of argument doesn’t address the possibility that different learners may have different preferences in learning styles—while some may favour stories, others may prefer to learn through non-narrative approaches such as lists or diagrams [37]. There is, though, increasing evidence from the field of applied cognitive psychology that narrative skills are central to long term retention and retrieval of personal memories. Studies have shown for example that children’s ability to construct coherent narratives is linked to their ability to provide more information about events [38]. 


서사학습 이론은 기억력memory과 관여engagement를 서술 구조의 잠재적인 강점으로 강조한다. 고전 이야기들은 특히 인물들의 행동과 의도에 청자를 포함하기 때문에 기억에 남는다. 그들은 적극적인 의미구축을 요구한다; 우리는 이야기 속에서 의미를 발견하는 것뿐만 아니라 창조해야 한다[11]. 이야기는 학습자를 참여시키고 공감하는 반응을 자극함으로써 학습자를 참여시킨다. – 생생한 인물의 세부사항과 그들의 동기부여는 우리를 이야기로 끌어들이고 관점을 증진시킨다[11]. 이 연구에서는, (비록 학생들도 서사의 가치가 제안되었을 때 알아볼 수는 있었지만), 강사들은 공감을 촉진하고 의학 분야의 전문적인 세계에 대한 통찰력을 제공하는데 있어서 내러티브의 가치를 더 강조하였다.

Narrative learning theory highlights both memory and engagement as potential strengths of narrative structures. Classical stories particularly are memorable because they involve the listener in the actions and intentions of the characters. They demand active meaning-making; we have to fill in any gaps and create as well as discover meanings within stories [11]. Stories engage learners by involving them and stimulating an empathic response – the vivid details of characters and their motivations draw us into a story and promote perspective taking [11]. In this study, lecturers highlighted more the value of narratives in promoting empathy, and offering insights into the professional world of medical science, although students too could see this when it was suggested to them.


문헌에 따르면 서사는 전문적 정체성 발달의 중심이며, 전문적 행동의 문화적 가치와 규범을 여러 세대의 의사를 통해 전수한다[39]:

The literature suggests that narratives are central in professional identity development, passing down cultural values and norms of professional behaviour through generations of doctors [39]:


의학에서 비유는 흔히 '이 엄청난 환자가 있었지'나 '내 인턴 시절에는'에서 출발한다. 뒤이어 벌어지는 이야기는 의사가 된다는 것이 무엇을 의미하는지에 대한 도덕성과 함께 매혹적인 의료 사건에 대한 이야기다.

In medicine, parables often start with “I had this great case” or “When I was an intern.” What ensues is a story about a fascinating medical case with a moral about what it means to be a doctor.


Hunter는 (의학 내러티브에 대한 학문적 연구를 바탕으로) 의학 학습자의 사회화와 전문화를 돕는 데 있어 서사의 중요한 역할을 밝혔다[2]. 내러티브 학습 이론은 정체성 발달과 사회적 측면을 핵심에 가까이 두고 있기 때문에 이론적인 측면에서는 적어도 [서사들이 어떻게 전문적 정체성과 문화의 이슈를 공유할 수 있는 매개체 역할을 할 수 있는지] 쉽게 알 수 있다. 이 연구는 이러한 아이디어에 무게를 더한다. 즉, 종종 전문적 문화, 직업, 과학의 낙오성에 대한 이야기를 선택한다.

Based on her scholarly studies of narratives in medicine, Hunter identifies an important role of narrative in aiding socialisation and professionalization of medical learners [2]. Narrative learning theory holds identity development and social aspects close to its core, so in theoretical terms at least, it is easy to see how narratives could act as a vehicle via which issues of professional identity and culture might be shared. This study adds weight to these ideas—lecturers often choosing to tell stories about professional culture, careers, and the fallability of science.


마지막으로, 확인된 모든 이야기들 중에서, 강조했던 배움의 거의 모든 측면에 대해 가장 많은 토론과 긍정적인 발언을 불러일으킨 것은 [캐릭터 중심적인 줄거리를 가진 "스토리"로 분류된 이야기로서,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어떤 감정적인 투쟁을 다루는 이야기]였다. 이것은 Haven, Bruner, Ricoeur 및 다른 사람들에게 [40–41] 학습 도구로서의 서술의 한 장르로서 캐릭터 주도형 "스토리"에 특히 강력한 무언가가 있을 수 있다는 것을 반향한다.

Finally, of all the narratives identified, it was the ones categorised as “stories” with a character-driven plot, and some emotional struggle towards achieving a goal, which provoked the most discussion and positive remarks about nearly all the aspects of learning I have highlighted. This resonates with Haven, Bruner, Ricoeur and others [40–41], that there may be something particularly powerful about character-driven “stories” as a genre of narrative as a learning tool.



한계

Limitations


결론

Conclusions


서사

Narrative


서술학, 문학 비평, 언어학 분야를 포함한 넓은 문헌에서 파생된 나의 서술에 대한 실무적 정의는 다음과 같다.

My working definition of narrative, derived from a wide literature, including the fields of narratology, literary criticism and linguistics is:


의미를 부여하는 방식으로 서로 연결되어 있는 일련의 사건.

A sequence of events connected together in a way that gives them meaning.


스토리

Story


서술에 대한 이 지나치게 중요한 정의 안에는 다양한 장르의 서술이 자리하고 있다([31], P 231). "이야기"는 특정한 유형의 서술이다; 모든 이야기는 서술이지만 모든 서술이 효과적인 것은 아니다. 이야기는 주인공, 갈등, 클라이맥스, 결심과 같은 인식 가능한 요소들을 가지고 있다. 이것은 스콜스가 널리 사용하는 이야기 해석이다.

Within this over-arching definition of narrative sit many different genres of narrative ([31], P 231). “Story” is a particular type of narrative; all stories are narratives, but not all narratives are effective stories. Stories have recognisable elements such as a protagonist, conflict, climax and resolution. This is Scholes’ widely-used interpretation of story:


…최소한 세 가지 기본 요소로 일련의 사건을 말하거나 재검증하는 것, 

1) 어떤 곤경, 갈등 또는 투쟁을 수반하는 상황, 

2) 목적을 위해 이 상황에 관여하는 생동감 있는 주인공, 

3) 그 곤경이 어떻게든 해결되는 플롯 ([42], 페이지 59)

…a telling or recounting of a string of events with at least three basic elements: 

1) a situation involving some predicament, conflict or struggle, 

2) an animate protagonist who engages with this situation for a purpose, 

3) a plot during which the predicament is somehow resolved ([42], p. 59)


단순성을 위해 나는 이 연구를 위해 Haven의 정의를 채택했다: "장애물을 극복하고 중요한 목표에 도달하기 위한 인물의 고군분투에 대한 상세한 캐릭터 기반 내레이션" [43].

For simplicity I adopted Haven's definition for this study: "A detailed, character-based narration of a character's struggles to overcome obstacles and reach an important goal" [43].






Observational Study
 
. 2016 Jan 7;16:3.
 doi: 10.1186/s12909-015-0498-8.

How medical teachers use narratives in lectures: a qualitative study

Affiliations 

Affiliations

  • 1Imperial College, London, UK. g.easton@imperial.ac.uk.
  • 2Institute of Education, London, UK. g.easton@imperial.ac.uk.
Free PMC article

Abstract

Background: There are strong theoretical arguments for using narratives in teaching and learning within medicine, but little is known about how they are used in medical lectures. This study explores the types of narratives lecturers use, the attitudes of lecturers and students to the use of narratives in teaching, and the aspects of learning that narratives may facilitate.

Methods: Observation of three medical lectures was followed by one-to-one interviews with the respective lecturers, and separate focus group interviews with medical students who attended each of the three lectures.

Results: Lecturers used a variety of narratives on a range of themes, from clinical cases to patient experience narratives or narratives about their professional careers. Students and lecturers highlighted key aspects of narrative learning: for example providing a relevant context, as a "hook" to engage the audience, and as a memory aid.

Conclusion: The findings support existing literature which suggests that narratives may be a useful tool for learning in medicine. This study suggests that narratives tap into several key learning processes including providing a relevant context for understanding, engaging learners, and promoting memory. For medical students in lectures, narratives may be particularly relevant in promoting humanistic aspects of medicine, including professional identity and empathy.


성인학습자를 위한 강의: GME에서 낡은 습관 버리기(Am J Med, 2017)

Lectures for Adult Learners: Breaking Old Habits in Graduate Medical Education

Avraham Z. Cooper, MD,a Jeremy B. Richards, MD, MAb





강의는 적어도 중세 이래로 학습자 그룹에게 정보를 전달하는 일차적인 방법이었다.1 인쇄기가 등장하기 전에는 강의가 공식적인 강의를 제공하는 가장 효율적인 방법이었다. 비록 지난 몇 세기 동안 강의의 많은 측면들이 바뀌었지만, 이러한 형식의 강의는 지금까지 시간의 시험을 견뎌왔다.2

Lectures have been the primary method of conveying information to groups of learners since at least the Middle Ages.1 Prior to the advent of the printing press, lecturing was the most efficient way to provide formal instruction. Although many aspects of lecturing have changed over the past several centuries, this format of instruction has so far withstood the test of time.2


교육학으로서의 강의에 대한 현대의 비평은 1931년으로 거슬러 올라가는데, 해밀턴 홀트가 그 강의를 "교수 공책의 내용이 어느 한쪽의 마음을 거치지 않고 만년필을 이용하여 학생의 공책의 페이지로 옮겨지는 신비한 과정"이라고 묘사했다.3

Modern critiques of lecturing as pedagogy date back to 1931, when Hamilton Holt described the lecture as “that mysterious process by means of which the contents of the professor’s notebooks are transferred by means of the fountain pen to the pages of the student’s notebooks without passing through the minds of either.”3


전통적인 강의 의존에 대한 비판과 대안적인 교육 전략 요구에도 불구하고 4-7 강의는 의학 교육에서 잘 확립되어 있다.

Despite criticism of traditional reliance on lectures and the call for alternative pedagogic strategies 4-7 lecturing remains well established in medical education


성인학습 이론과 관련 인지심리학적 관점을 바탕으로 가정교사와 동료의 필요성과 한계를 맞추기 위해서, GME 강의는 보다 집중적이고 활발하며 지속시간이 짧아야 한다.10

Based on adult learning theory and relevant cognitive psychological perspectives, we argue that to match the needs and limitations of housestaff and fellows, GME lectures must be more focused, active, and shorter in duration.10



인지심리학 : 작업기억과 간섭

COGNITIVE PSYCHOLOGY: WORKING MEMORY AND INTERFERENCE


현재 오전 또는 정오 강의는 보통 1시간 정도 지속된다. 그러나 성인 학습 데이터에 따르면 일반적인 학습자 주의력은 약 15~20분 후에 약 20분 후에 감소한다고 한다.11 20분 후에 강의는 두 가지 이유로 덜 효과적이다: 작업기억간섭.

Current morning or noontime lectures last typically around an hour. However, adult learning data suggest that typical learner attention span wanes after about 15 to 20 minutes.11 After 20 minutes, lectures become less effective for 2 reasons: working memory and interference.


강의가 진행될수록 학습자들은 작업기억에 의한 추가 조작이 필요한 정보를 더 많이 받아 강의의 이전 부분에서 여전히 처리되고 있는 정보의 동화를 저해한다. 이러한 [의미 있고 효율적인 방법으로 새로운 정보를 효과적으로 통합할 수 있는 능력의 감소]는 간섭이라고 불리는 과정이다.12

As a lecture progresses, learners receive more information that requires additional manipulation by working memory, impeding the assimilation of information still being processed from prior parts of the lecture. This decrease in the capacity to effectively incorporate new information in a meaningful and efficient manner is a process called interference.12


성인 학습 이론

ADULT LEARNING THEORY


작업기억과 간섭은 학습자의 참여에 의해 영향을 받을 수밖에 없으며, 새롭거나 낯선 자료를 듣고 작업하려는 [동기]와, 학습자의 동기와 참여가 지식 습득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인식]이 중요하다. 성인 학습 이론, 즉 안드로고지는 이러한 개념을 포괄하는 이론적 체계를 설명한다.13

Working memory and interference are inevitably influenced by learner engagement, and motivation to listen to and work with new or unfamiliar material, as well as awareness of how learner motivation and engagement influences knowledge acquisition, is important. Adult learning theory, or andragogy, describes a theoretical framework that encompasses these concepts.13


성인 학습 이론의 기초 원리는 학습자의 개별 목표와 목표에 내용 적용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성장과 학습에서 자율성의 중요성을 설명한다. 이러한 원칙은 6가지 주요 학습자 관련 요소로 강조된다: 알아야 할 필요성, 학습자의 자기 개념, 학습자의 경험의 역할, 학습 준비성, 학습 지향성, 동기 부여.

The foundational principles of adult learning theory emphasize the importance of applicability of content to a learner’s individual goals and objectives and describe the importance of autonomy in growth and learning. These principles are highlighted by six cardinal learnerrelated factors: the need to know, the learner’s selfconcept, the role of learner’s experiences, readiness to learn, orientation to learning, and motivation.


알아야 할 필요성

NEED TO KNOW


성인 학습자는 자신의 목표 및 목적과의 관련성을 파악할 수 있을 때 보다 쉽게 학습자료에 engage한다.. Taylor와 Hossam에 의해 기술된 바와 같이, 14 [알아야 할 필요성]은, 학습자 불협화음이라고 알려진, 학습자의 기존 지식이 불완전하다고 입증될 때(그리고 학습자가 이해할 때) 시작된다.

Adult learners more readily engage with material when they can identify relevance to their own goals and objectives. As described by Taylor and Hossam,14 the need to know begins when a learner’s existing knowledge is demonstrated (and understood by the learner) to be incomplete, also known as learner dissonance.


불협화음은 교육자와 학습자 모두가 생성할 수 있으며, 학습자의 목표, 관심사 및 목표와 관련된 지식결손을 식별함으로써 발생한다. 교육자는 학습자에게 중요한 핵심 주제와 개념을 세심하게 파악하여 이 원리를 활용할 수 있으며, 교육 세션 중에 학습자에게 맥락, 자원, 외적 동기 부여를 제공함으로써 학습을 강화할 수 있다.

Dissonance is achieved through both the educator and learner identifying knowledge deficits that are relevant to the learner’s goals, interests, and objectives. Educators can leverage this principle by carefully identifying core topics and concepts that are important to their learners and enhance learning by providing context, resources, and extrinsic motivations to learners during teaching sessions.


학습자가 강의 시간 동안 논의된 조건이나 문제가 있는 환자를 진료소에서 볼 때, 학습자의 지식 결손에서 비롯되는 불협화음 및 접하는 개념에 관여하고 씨름해야 할 필요성이 생기므로, 보다 의미 있는 학습으로 귀결된다.

When learners see patients in clinic with the conditions or problems discussed during the teaching session, the dissonance created from the learner's knowledge deficits and the need to engage and grapple with the encountered concepts results in more meaningful learning.


학습자의 자기 개념

LEARNER’S SELF-CONCEPT


특히 레지던트나 펠로우쉽에서 성인 학습자들은 그들의 시간과 정신 에너지에 상충적competing 영향을 미치는 경우가 많다.

Adult learners, especially in residency or fellowship, often have competing influences on their time and mental energy.


학습자들은 주어진 학습 경험에 대한 그들의 목표와 목표가 무엇인지에 대한 본질적인 자기 개념을 가지고 있고, 그 경험의 우선순위는 그 재료가 얼마나 그러한 목표와 잘 조화를 이루느냐에 따라 결정될 것이다. 강의 주제가 자신의 자기 개념과 맞지 않을 경우, 레지던트와 펠로우가 그 강의를 우선순위로 둘 가능성이 낮아지고 따라서 제시되는 내용을 깊이 고려하는 인지 작업에 주의를 기울일 가능성이 낮다.

Learners have an intrinsic self-concept of what their goals and objectives are for any given learning experience , and their prioritization of that experience will be determined by how well the material aligns with those goals. If a lecture topic is not compatible with their self-concept, residents and fellows are less likely to prioritize that lecture and therefore less likely to pay attention or put in the cognitive work of deeply considering the content being presented.


학습자 경험의 역할

ROLE OF LEARNERS’ EXPERIENCES


GME 학습자들은 과거의 교육적, 임상적 경험을 바탕으로 주어진 주제에 대한 기존의 지식체계를 가지고 강의를 찾는다. 그들은 또한 지식의 결핍을 가지고 있다.

GME learners come to a lecture with a preexisting fund of knowledge about a given topic based on past educational and clinical experience. They also have knowledge deficits.


학습할 준비

READINESS TO LEARN


훈련의 어떤 단계에 있느냐에 따라, 학습자들은 각 단계마다 다소 미묘하거나 심화된 자료를 처리할 수 있는 준비도가 달라진다. 초기 인턴들은 중재적 관상동맥 혈관 조영 기술에 대한 강의에서 이익을 얻을 수 있는 임상적 또는 지식적 배경을 가지고 있지 않을 수 있지만 급성 심근경색 진단과 같은 기초적인 주제에서 이익을 얻을 수 있을 것이다.

Depending on where they are in training, learners at different stages will have different levels of readiness to encounter more or less nuanced or advanced material. Early interns may not have the clinical or knowledge background to benefit from a lecture on interventional coronary angiographic techniques, but would benefit from foundational topics such as diagnosis of acute myocardial infarction.


학습 지향

ORIENTATION TO LEARNING


성인 학습자가 접하는 자료에 참여하려면 해당 자료가 적용 가능하고 자신의 당면한 상황에 적합하다고 느껴야 한다. 학습자가 중환자실에서 회전을 하는 동안 호흡부전 관리에 관한 강의를 할 가능성이 더 높다.

For adult learners to engage with encountered material, they must feel that the material is applicable and relevant to their immediate situation. Learners are more likely to engage with a lecture on the management of respiratory failure if it is given while they are rotating in the intensive care unit


학습 동기

MOTIVATION TO LEARN


학습자 행동을 촉진하는 내적 동기에 대한 인식은 주제에 대한 관심과 흥미를 최대화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 보드 시험을 위해 공부하는 시니어 레지던트는 다가오는 시험과 관련된 high-yield 개념을 배우고자 하는 열망에 의해 동기부여가 되며, 그러한 동기를 인정하고 해결하는 강의에 참여할 가능성이 높다.

Awareness of the internal motivations that drive learner behavior can help maximize attention and interest in a topic. Senior residents studying for board examinations are motivated by a desire to learn high-yield concepts relevant to the upcoming examination and will likely engage with a lecture that acknowledges and addresses that motivation;




이론을 실천에 연결하기

BRINGING THEORY TO PRACTICE


우리는 합리적인 강의 조직, 적극적인 학습자 참여 보장, 짧은 강의 시간의 결합이 이러한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접근법을 제공할 것을 제안한다.

We suggest that the combination of rational lecture organization, ensuring active learner participation, and shorter teaching session durations offers an approach to achieve this goal.


합리적 조직

RATIONAL ORGANIZATION


학습자가 정보를 배우고 활용하는 방식을 고려해서, [성인 학습 이론과 인지 심리학의 원리에 부합하는 계획적인 방식]으로 강의를 조직하는 것은 보다 효과적인 교육 경험을 가능하게 할 것이다.

Taking into account how learners learn and using that information to organize lectures in a deliberate manner that aligns with the principles of adult learning theory and cognitive psychology will allow for a more effective educational experience.


학습자들이 어떻게 새로운 정보를 동화시키고 사용하는지를 인식하는 것은 또한 강의의 합리적 설계를 알려줄 수 있다; 지식의 적용을 향한 학습자의 방향을 결정하는 문제나 개념은 즉각적인 관련성을 증가시킬 것이다.14 성인 학습에서 "방법"과 "이유"는 "무엇"만큼 중요하다.

Acknowledging how learners assimilate and use new information can also inform rational design of lectures; framing problems or concepts in a manner that orients learners toward application of knowledge will increase immediate relevancy.14 The “how” and “why” of adult learning is as important as the “what.”


능동적 학습자 참여

ACTIVE LEARNER PARTICIPATION


강의 중 참여 기회와 상호작용 기회를 찾아 활용하게 되면 내용 기억 및 관련성이 향상된다. 능동적 학습에 대한 증거는 설득력이 있다; 다양한 맥락에서 서로 다른 수준의 학습자를 포함하는 수많은 긍정적인 연구는 능동적 학습 대 수동적 강의의 효과를 입증했다.15-23

Identifying opportunities for engagement and interactivity during lectures enhances content retention and relevancy. The evidence for active learning is compelling; numerous positive studies involving learners of different levels in many different contexts have demonstrated the effectiveness of active learning vs passive lecturing.15-23


이 메타 분석 및 기타 연구의 결과는 응용과 상호작용이 학습자 참여와 지식 보유를 증가시킨다는 주장을 뒷받침한다.16-24 성인 학습자에게 지식을 적용할 기회를 제공함으로써 새로운 정보나 낯선 정보를 기존 지식과 연관시킬 수 있는 시간을 제공한다.

The results of this meta-analysis and other studies support the contention that application and interaction increase learner engagement and knowledge retention.16-24 Offering adult learners the opportunity to apply knowledge provides them time to relate new or unfamiliar information to existing knowledge.


짧은 지속시간

SHORTER DURATIONS


한 시간 동안 진행되는 강의는 더 많은 내용을 다룰 수 있고 레지던트는 더 많은 정보에 "노출"되지만, 학습자가 다뤄진 주제를 의미 있게 기억할 것이라는 가정은 "알고 있다는 오류"의 희생자가 될 것이다. 이 오류는 "만약 누군가가 정보에 노출된다면, 그들은 즉시 그것을 배울 것이라는 한다는 가정"을 의미한다.

The hour-long lecture may cover more content and residents are “exposed” to more information, but assuming that the learners meaningfully retained the topics discussed would be to fall victim to the “fallacy of knowing”: the assumption that if someone is exposed to a piece of information, then they must immediately learn it.25



가정을 다시 생각해보기

RETHINKING ASSUMPTIONS


교수진 개발은 검증된 적극적 학습 기법을 강의 시간에 접목하는 데 초점을 맞춰야 하며, 수년 동안 변화 없이 진행해온 강의도 수정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PowerPoint 슬라이드 세트를 학생들에게 읽어주는 것이 적절한 가르침으로 받아들여져서는 안 된다.

Faculty development should focus on incorporating proven active learning techniques into teaching sessions, and lectures that have been delivered without changes for years will need to be revised. Reading from a PowerPoint slide set to a group of learners should not be accepted as adequate teaching.


강의 시간 단축에 대한 우려, 특히 강의 시간 단축에 대한 반론도 있다. GME 강의 단축에 대한 반대론 중 하나는 콘텐츠 전달을 극대화해야 한다는 가정 하에 레지던트와 펠로우를 최대한 핵심 콘텐츠에 노출시키고자 하는 바람이다. 커리큘럼 개발자들은 "모든 것을 끼워 넣겠다"는 이해할 수 있는 욕구를 가지고 있다. 그러나 그러한 충동은 궁극적으로 역효과를 낳는다. 학습자를 많은 양의 자료에 노출시키는 데 집중하기보다는 수익성이 높고high-yield 효과적인 세션을 개발하는 것이 우선되어야 한다.29

There are arguments against modifying lectures, and specifically, concerns about shortening the duration of lectures.27,28 One such argument against shortening GME lectures is the desire to expose residents and fellows to as much core content as possible, with the assumption that maximizing content delivery necessitates longer lectures. Curriculum developers have an understandable desire to “fit it all in.” Such an impulse, however, is ultimately counterproductive. Developing high-yield, effective sessions should be the priority, rather than focusing on exposing learners to large amounts of material.29


결론

CONCLUSION


작업 기억력과 간섭은 모든 학습자의 주의와 참여에 영향을 미치지만, 특히 GME 학습자들은 광범위한 경쟁적 임상 의무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강의 시간을 단축하면 효과성을 높일 수 있다.

Working memory and interference influence attention and engagement for all learners, but are particularly relevant for GME learners because they have extensive competing clinical obligations - making lectures shorter can increase efficacy.



8. Lenz PH, McCallister JW, Luks AM, et al. Practical strategies for effective lectures. Ann Am Thorac Soc. 2014;12:561-566.










. 2017 Mar;130(3):376-381.
 doi: 10.1016/j.amjmed.2016.11.009. Epub 2016 Nov 28.

Lectures for Adult Learners: Breaking Old Habits in Graduate Medical Education

Affiliations 

Affiliations

  • 1Division of Pulmonary, Critical Care, and Sleep Medicine, The Ohio State University, Columbus. Electronic address: avrahamcooper@gmail.com.
  • 2Division of Pulmonary, Critical Care, and Sleep Medicine, and Internal Medicine Clerkship, Medical University of South Carolina, Charleston.


포스트모더니즘과 의학교육(Acad Med, 2020)

Postmodernism and Medical Education

Rachel H. Ellaway, PhD





포스트모더니즘은 아마도 포스트모던 건축(예: 프랭크 게리), 포스트모던 음악(예: 스티브 라이히), 포스트모던 문학(예: 커트 보네거트)을 포함한 많은 다른 응용들 때문에 현대 과학 철학에서 더 오해받고 있는 개념들 중 하나일 것이다. 본 초청 논평은 포스트모더니즘을 과학철학의 맥락에서 서술하고 있으며, 그것이 어떻게 지적 전통으로 발전(그리고 비틀거렸는가), 그것의 핵심 교제와 실천이 무엇인지, 그것의 강점과 약점은 무엇인지, 그리고 의학교육과 장학금에 대한 적용과 교차점을 설명한다.

Postmodernism is perhaps one of the more misunderstood concepts in contemporary philosophy of science, not least because of its many other applications, including postmodern architecture (e.g., Frank Gehry), postmodern music (e.g., Steve Reich), and postmodern literature (e.g., Kurt Vonnegut). This Invited Commentary describes postmodernism in the context of the philosophy of science, how it developed (and stumbled) as an intellectual tradition, what its core tenets and practices are, what its strengths and weaknesses are, and its application to and intersections with medical education and scholarship.

 

포스트모더니즘의 역사적 근거

Historical Basis of Postmodernism

 

포스트모더니즘에 대해 이야기하기 전에 우리는 모더니즘이 무엇을 의미하는지 이해할 필요가 있다. 모더니즘은 19세기 중반에 발달한 광범위한 지적, 창조적, 사회적 경향이었다. 근대주의자들은 이성주의와 과학을 수용하면서 낭만주의적이고 감상적인 세계관을 거부하였다. '진보'의 개념 - 즉, 과학, 기술, 사회혁신이 인간의 상태를 본질적으로 개선할 수 있고 나아가야 한다 - 은 생각은 모더니즘 사상의 핵심 조직개념이었다. 이러한 신조들은 찰스 다윈, 칼 마르크스, 지그문트 프로이트, 칼 융과 같은 모더니즘 사상가들의 작품에 반영되어 있다. 모더니즘은 20세기 전반기에 걸쳐 서구 사상을 지배했으며, 예술 데코나 재즈와 같은 당대의 미학, 대량생산 자동차, 항공 여행, 영화와 같은 신흥 기술들과 상당한 상호작용을 했다. 그러나 모더니즘은 2차 세계대전의 참상, 서구 제국의 몰락, 핵 및 환경 파괴의 위협에도 연루되었다.

Before we can talk about postmodernism, we need to understand what is meant by modernism. Modernism was a broad intellectual, creative, and social trend that developed in the mid- 19th century. Modernists embraced rationalism and science, while rejecting romanticist and sentimental worldviews. The concept of progress, the idea that science, technology, and social innovations can and should lead to intrinsic improvements in the human condition, was a core organizing concept in modernist thought. These tenets are reflected in the work of modernist thinkers such as Charles Darwin, Karl Marx, Sigmund Freud, and Karl Jung. Modernism dominated Western thinking throughout the first half of the 20th century and had significant interactions with the esthetics of the time, such as art deco and jazz, and emerging technologies, such as mass-produced automobiles, air travel, and cinema. However, modernism was also implicated in the horrors of 2 World Wars, the fall of Western empires, and the threat of nuclear and environmental obliteration. 


포스트모더니즘은 20세기 중반 전후 유럽의 맥락에서 많은 철학자들과 예술가들이 모더니즘적 사고와 실천에 비해 점점 회의적이고 비판적인 입장을 취하면서 생겨났다. 모더니즘과 마찬가지로 포스트모더니즘은 하나의 조직적이고 일관성 있는 사업undertaking이 아니었다. 포스트모더니즘은 [현대 세계를 형성한 광범위하고 도전적이지 않은 모더니즘적 가정(예: 본질적인 바람직함, 체계성, 진보의 낙관성, 이런 것들을 가져온 테크놀로지의 중심적 역할)]에 대한 회의론이라는 공통의 원리를 가지고 느슨하게 연결된 많은 활동영역에서 나왔다. Lyotard는 이러한 총체적인 가정을 모더니즘의 웅대한 서술grand narrative이라고 불렀다. 

Postmodernism emerged in the mid- 20th century in the context of postwar Europe as many philosophers and artists took increasingly skeptical and critical positions relative to modernist thinking and practice. Like modernism, postmodernism was not a single organized and coherent undertaking—it emerged out of many loosely connected areas of activity with a common shared principle of skepticism toward the broad, unchallenged modernist assumptions that shaped the modern world (e.g., the intrinsic desirability, systematicity, and optimism of progress, and the central role of technology in bringing it about). Lyotard called these aggregate assumptions the grand narratives of modernism.1 


포스트모던 비평의 대상에는 

  • 자본주의와 공산주의의 이념적으로 대립되는 체제의 본질적 권리, 

  • 서구 제국과 종교의 명백한 운명, 

  • 과학기술의 본질적 이익 등이 포함되었다. 

포스트모던 비평의 다른 대상에는 보건, 교육, 정의, 성별 및 인종의 사회 시스템이 포함되었으며, 2–5는 모두 의료 교육에 영향을 미친다.  

Targets for postmodern critique included 

  • the intrinsic rightness of the ideologically opposed systems of capitalism and communism, 

  • the manifest destinies of Western empires and religions, and 

  • the intrinsic beneficence of science and technology. 

Other targets for postmodern critique have included social systems of health, education, justice, gender, and race,25 all of which affect medical education.6,7

 

포스트모더니즘의 철학적 기초

Philosophical Foundations of Postmodernism

 

온톨로지: 현실의 본질

Ontology: The nature of reality

 

포스트모더니즘은 일관성 있는 사상이나 실천의 학파라기보다는 사고와 실천에 대해 대체로 회의적이고 비판적인 관점을 공유하는 관련 철학, 기법, 모델, 관점의 집합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우리는 [포스트모던주의자들은 세계를 분절된 것으로 보고, 하나의 보편적 현실로 해소할 수 없는unresolvable 것으로 본다]고 일반화한다(그리고 그렇게 하면서 역설적으로 웅대한 서사를 선언할 수 있다). 이는 프리드리히 니체가 그 자신의 모더니즘 사상과의 연관성에도 불구하고 그 뿌리를 두고 있었던 사상이다. 그러므로 포스트모더니즘의 온톨로지란 [권력과 그 근본적인 의미, 조작, 이데올로기가 세상에 대해 행동하고 생각하는 우리의 능력을 형성한다]는 믿음에 입각하고 있다. 포스트모더니즘은 특히 [개인, 문화, 조직, 사회의 이질성을 지우고 조작하려 하는, 그리고 이것들이 마치 우주의 자연질서의 일부인 것처럼 여기에 범주와 정체성을 부과하는] 이런 웅대한 서술에 도전한다.

Rather than being a coherent school of thought or practice, postmodernism is a collection of related philosophies, techniques, models, and perspectives that share a broadly skeptical and critical perspective on thinking and practice. Nevertheless, we can generalize (and in so doing, we proclaim paradoxically a grand narrative) to say that postmodernists see the world as fragmented and unresolvable to a single universal reality, an idea that had its roots in the work of Friedrich Nietzsche despite his associations with modernist thought. An ontology of postmodernism is therefore predicated on the belief that power and its underlying meanings, manipulations, and ideologies shape our ability to act in and think about the world. Postmodernists challenge these grand narratives, particularly where they erase and manipulate the heterogeneity of individuals, cultures, organizations, and societies and impose categories and identities on them as if they were part of the natural order of the universe.

 

인식론: 지식의 본질

Epistemology: The nature of knowledge

 

인식론적으로 포스트모더니즘은 세상의 (다중적이고 대조적이며 심지어 상충되는) 사회적 구조, 그리고 본질적인 공유된 의미들을 탐구하고 이해하며 그에 대한 대안적인 설명과 해석을 고려하려고 한다. 포스트모더니즘은 어떠한 '보편적 진리'에 대한 감각sense조차 거부하는 것에 근간을 두기에, 진리truth의 사회문화적 구조를 탐구한다. 즉, [인간의 시스템과 관계의 형태], [언어가 힘과 이념을 반영하는 방식], [사회적 현실이 형성되거나 조작될 수 있는 방식]에 대한 사회문화적 구조를 탐구한다.

Epistemologically, postmodernism seeks to explore and understand underlying shared meanings (that are often multiple, contrasting, and even conflicting), social structures, and intents in the world and to consider alternative explanations and interpretations for them. Given then that postmodernism is predicated on rejecting any sense of universal truth, it explores the social and cultural construction of truth

in the shape of human systems and relations, the ways in which language reflects power and ideology, or the ways in which social realities are or can be shaped and manipulated. 


실제로 언어 자체가 문제가 되는 경우는, 특히 언어가 마치 객관적 또는 본질적으로 우월한 진리를 표상하는 것처럼 자리할positioned 때이다. 포스트모더니즘의 인식론은 

    • 해석의 인식론이며

    • 기저의 의미와 의도를 발견하고 드러내는 인식론이고

    • 지금까지 절대적이고 공격불가했던 구조와 신념을 해체하고 비판하는 인식론이며,

    • 이러한 현상을 이해하고 설명하는 대안적 방법을 고려하는 인식론이다.

Indeed, language itself can be considered problematic, particularly when it is positioned as representing objective or intrinsically superior truths. Postmodernism is an epistemology 

of interpretation, 

of discovering and exposing underlying meanings and intents, 

of deconstructing and critiquing erstwhile absolute and unassailable constructs and beliefs, and 

of considering alternative ways of understanding and explaining these phenomena. 


일례로 린가드는 학자들이 의학 교육에서 "god term(반박되지 않는 이상화된 우월한 개념)"와 관련된 문제들을 탐구했다.8 린가드는 이러한 god term들을 "낯설게 만들어야 하고, 그것들을 뒷받침하는 동기를 발굴해야 하고, 적응적이고 유연한 담론을 위한 공간을 열어야 한다"고 지적했다.

As an example, Lingard explored issues associated with god terms in medical education (idealized superordinate concepts that cannot be gainsaid), noting that scholars should make these terms unfamiliar, excavating the motivations that underpin them, and opening space for an adaptive and flexible discourse.8

 

공리학: 가치와 가치관이 연구과정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가에 대한 연구

Axiology: The study of values and how they influence the research process

 

공리학적으로 포스트모더니즘은 사회 체계와 구조 내에서 불평등, 억압, 패권(실제적, 의심적)의 표현을 식별하고 분석하는 데 이용되어 왔다. 그러나 포스트모더니즘이 항쟁과 사회진보적 의제를 지지하는 데 쓰였음에도 불구하고 본질적으로 규범적인 규범적 수사normative trope는 존재하지 않는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포스트모더니즘은 사회적 분열과 웅장한 서술이 존재하고 모순되고 문제가 있다는 것을 관찰하지만, 그것들에 대해 무엇을 해야 하는지에 대한 입장을 반드시 떠맡는 것은 아니다. Foucault가 지적했듯이, "권력은 항상 존재한다… 권력을 벗어나 있는 사람은 아무도 없다."9(p141)

Axiologically, postmodernism has been used in identifying and analyzing expressions of inequity, oppression, and hegemony (actual and suspected) within social systems and structures. However, it is important to note that there is no intrinsically normative trope in postmodernism despite its use in support of protest and socially progressive agendas. Although postmodernists observe that social fragmentation and grand narratives exist and that they are contradictory and problematic, they do not necessarily assume a position on what should be done about them. As Foucault noted, power is always already there one is never outside it.9(p141)

 

방법론: 과학적 연구 수행 방법

Methodology: How to conduct scientific research

 

포스트모더니즘 사상 내에서의 일관성이 부족하기 때문에 결정적인 포스트모더니즘 방법론적 입장은 하나도 없다. 그러나 우리는 서로 다른 방법론적 입장을 고려하고 포스트모더니스트들이 무엇을 찾고 어떻게 그것을 찾는지 확인할 수 있다.

Due to the lack of coherence within postmodernist thought, there is no one definitive postmodern methodological stance. However, we can consider different methodological stances and identify what postmodernists look for and how they look for it. 


    • 연구에 대한 접근방식으로, 포스트모더니즘은 웅장한 서사grand narrative를 찾고 분석하는데 초점을 둔다. 그럼으로써 [grand narrative가 사회 시스템을 조직하고 합리화하고 정당화하고 통제하는 데 사용하는 가정과 구조]를 탐색한다1 의학 교육에서는 전문직업성을 [본질적으로 바람직하고 획일적인 구조]로 보는 것에 대한 비판이 그 예시이다. 전문직업성을 대한 포스트모던적으로 해석한다면, 전문직업성이 지금까지 정의되거나 발전해오는 과정에서 어떻게 특정 집단의 희생을 댓가로 다른 개인이나 집단에 이득이나 권위를 부여해왔는지를 탐구할 수 있다. 

As an approach to inquiry, postmodernism focuses on searching out and analyzing grand narratives in terms of their assumptions and structures that are used to organize, rationalize, legitimize, and control social systems.1 An example from medical education could be a critique of professionalism as an intrinsically desirable and uniform construct. A postmodern reading of professionalism might look for ways in which it has been defined or advanced to advantage or give authority to certain individuals or groups at the cost of others. 


    • 두 번째 포스트모더니즘의 초점은 주제와 주제의 창조, 조작, 파괴에 있다.2,3 예를 들어, 의학 교육은 참여자들이 선생님, 학습자, 멘토와 같은 역할(그리고 그와 연관된 합법화된 존재 방식과 행동 방식)을 수행하도록 요구하면서, 동시에 다른 맥락에서의 역할(인종, 종교 공동체)에 대한 참여는 경시하는 경향이 있다. 

A second postmodern focus is on the creation, manipulation, and destruction of subjects and subjectivities.2,3 For example, medical education requires its participants to take on roles (and their associated legitimized ways of being and acting) such as teacher, learner, and mentor, while downplaying their roles in other contexts, such as their participation in ethnic or faith communities. 


    • 세 번째 초점은 권력의 표현에 있다: 힘의 표현을 누가 표현하고 있거나 경험하고 있는가, 이러한 표현들은 어떻게 설명되고 있는가, 그리고 어떤 효과나 결과를 가지고 있는가? 

A third focus is on expressions of power: exploring who is expressing or experiencing expressions of power, how are these expressions articulated, and with what effects or consequences? 


    • 네 번째 초점은 교차성에 대한 것이다: [우리를 정의하는 다양한 차원의 정체성]과 [다양한 정체성 차원에 절대적 또는 선행적 의미를 지정하는 문제] 사이의 교차지점 및 상호작용이다.10,11

A fourth focus is on intersectionalities: the intersections and interactions between the different dimensions of identity that define us and the problems of assigning any absolute or a priori meaning to them.10,11



포스트모더니스트들은 조사를 위해 다른 접근법을 사용할지도 모른다. 

Postmodernists may use different approaches to inquiry. 

    • 첫째는 어떤 절대적인 범주나 구조보다는 [주변의 사물과의 관계 측면]에서 현상을 고려하는 것이다. 여기에는 현상에 대한 설정setting을 면밀히 고려하는 것이 포함되며, 그 설정setting에 의해 현상들이 형성되어 온 방식, 특히 권력의 표현이 이러한 관계에 어떤 영향을 주었는가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포스트모더니즘은 맥락적 의존성을 조사하거나, 상속되었거나/본질적이거나/가정된 자질이나 특성을 비판적으로 평가할 뿐만 아니라, 그들에게 부과되는 범주, 기호, 정체성 등을 비판한다.2,12 

The first is to consider phenomena in terms of their relationships with the things around them rather than in terms of any absolute categories and structures. This involves closely considering the settings for phenomena, and it focuses on the ways in which phenomena have been shaped by their settings, and in particular how expressions of power have influenced these relationships. Not only do postmodernists examine contextual dependencies and critically appraise any inherited, intrinsic, or assumed qualities or characteristics from them, but they also critique the categories, symbols, and identities that are imposed upon them.2,12

    • 예를 들어, 우리는 의료 연수생의 능력을 개개인의 자질로서 간주하는 것이 아니라, 그것이 표현되고 있는 맥락에 따라 순간순간마다 나타나고 변화되는 어떤 것으로서 바라볼 수 있다.13 우리는 또한 '역량'의 구조가 어떻게 의학교육의 사회적 현실과 관행을 형성하는지, 그리고 그것이 어떤 이들을 희생시키면서 어떻게 다른 사람에게 이익을 주는지를 고려할 수도 있다. 

 For instance, we might consider the competence of a medical trainee not as a quality of an individual but as something that emerges and changes from one moment to the next according to the contexts within which it is being expressed.13 We might also consider how the construct of competence shapes the social realities and practices of medical education and how it benefits some at the cost of others.

 

    • 두 번째 접근방식은 해체deconstruction이며, 여기서는 [변종적variant 해석과 의미를 찾기 위해] 현상의 여러 구성요소나 측면을 풀어내는데unpacking, 이 때 특히 모순에 초점을 맞춘다.12 예를 들면, 의학교육의 잠재 커리큘럼은 [학습자가 받는 의도한 메시지와 의도하지 않은 메시지 사이의 모순을 보여준다]는 점에서 탈구성주의자적 접근방식을 구현한다.

A second approach is deconstruction, unpacking the components or aspects of a phenomenon to look for variant interpretations and meanings, with a particular focus on contradictions.12 For instance, the hidden curriculum in medical education (as defined by Hafferty) embodies a deconstructionist approach in that it reflects the contradictions between the intended and unintended messages learners receive.14 


    • 세 번째 접근방식은 담론 분석을 포함하며, 의사소통적 행위에서 존재론적 및 인식론적 가정을 탐구한다(일반적으로 텍스트, 음성 및 이미지의 형태로).9 예를 들어, 우리는 의대, 실천, 정체성, 관계, 정치, 연결 및 서명 시스템을 텍스트 본문이나 다른 의사소통법 내에서 모색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15 예를 들어, 우리는 의대 정책 문서에서 기초적인 가정과 정책을 통해서 보내려 하는 메시지를 연구할 수 있다.16 

A third approach involves discourse analysis, exploring the ontological and epistemological assumptions in communicative acts (typically in the form of text, speech, and images).9 This may include seeking out instances of significance, practice, identity, relationships, politics, connections, and sign systems within a body of text or some other communicative act.15 For instance, we might study medical school policy documents for underlying assumptions and the messages they send.16 



이 세 가지 접근법이 이론적 수준에서 비교적 뚜렷하게 구별되는 것으로 간주될 수 있지만, 실제 실천에서는 덜 뚜렷하고 더 복잡하게 얽혀 있는 경향이 있다. 

It should be noted that while these 3 approaches can be considered as relatively distinct at a theoretical level, in practice they tend to be less distinct and more intertwined.

 

예제

Practical Example

 

의학교육에서 포스트모더니즘적 접근법을 이씨의 사례(상자 1 참조)를 이용하여 예증할 수 있다. 이 사건에 대한 포스트모던적 독서는 여러 가지 점에 초점을 맞출 수 있다. 웅대한 서술의 관점에서, 이 사례는 의학과 의학 교육을 주로 기술적 과제technical undertaking로 보고있다: 정체불명의 환자는 수동적이고 약물을 투여하고 그 결과를 통해 관찰되는 생물학적 실체로 취급된다. 환자에게 오류가 공개됐는지, 환자를 위로하기 위해 취한 온정적 조치나 구제적 조치가 있었는지도 알 수 없다. 

We can illustrate a postmodernist approach in medical education using the example case of Lee (see Box 1). A postmodern reading of this case could focus on a number of points. In terms of grand narratives, the case reflects medicine and medical education as primarily a technical undertaking: the unidentified patient is passive and treated as a biological entity to which drugs are administered and through which the results are observed. There is no indication that the error was disclosed to the patient nor that there were any compassionate or remedial steps taken to comfort the patient. 


또 다른 포스트모더니즘적 해석은 수련생과 주치의 사이의 권력관계에 초점을 맞추거나, 수련생으로서 이씨의 의무와 정체성이 그의 행동과 반응을 형성하는 방식에 초점을 맞출 수도 있다. 

  • 예를 들어, 이씨는 자신의 실수에 화가 났음에도 불구하고 공개와 사건 보고 정책을 준수했고 "우연히" 침착함을 유지했다. 

Another postmodernist reading might focus on the power relations between the trainee and his attendings and the ways in which Lee’s obligations and identity as a trainee shape his actions and reactions. 

  • For instance, Lee complied with disclosure and incident reporting policies and remained outwardly composed,despite being upset at his mistake. 


탈구성 및 담화 분석은 이 서술에서 사용되는 언어의 특성에 초점을 맞출 수 있다. 

  • 예를 들어, 어떤 측면은 공평하게 보고되는 반면, 다른 측면은 더 많은 과장된 언어를 사용한다. 예를 들어, 이씨는 "환자의 곁으로 다시 달려들었고" "대단히 안도했다"고 말했다. 

Deconstruction and discourse analyses could focus on the nature of the language used in this narrative. 

  • For instance, while some aspects are reported dispassionately, others use more hyperbolic language. For instance, Lee “rushed back to the patient’s side” and he “felt hugely relieved.” 


우리는 또한 이 이야기에서 말하지 않은 것을 고려할 수도 있다. 명백히 이 이야기에서 환자는 숨겨져 있고, 여기서 실제로 누가 책임지고 있는지, 이 에피소드의 결과가 관련자들에게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도 불분명하다. 또한 사용된 성별 표시가 없다는 점도 눈에 띈다. 이씨, 환자, 그리고 어텐딩들은 모두 이러한 명명된 역할의 구체적인 범위를 넘어 정체성과 맥락에 대해 추상적이다.

We might also consider what was not said in this narrative. Not only is the patient an apparent cipher, but it is also unclear who is actually responsible here or what the consequences of this episode are for those involved. It is also notable that there are no gender markers usedLee, the patient, and the attendings are all abstract with respect to identity and context beyond the specifics of these named roles.


 

고찰

Discussion

 

포스트모더니즘은 광범위하고 다소 이질적인 철학적 집단일 뿐만 아니라 다른 과학철학, 특히 비판 이론과 겹치는 부분이 많다. 포스트모더니즘보다 먼저 나왔지만, 비판이론은 포스트모더니즘을 통해 실질적으로 진보했다. 또 다른 패러다임과도 중복되는데, 예를 들어, 사회 구성주의와의 다른 중복도 있고, 포스트모더니즘과 포스트구조주의가 사실 구별되는 철학인지에 대해서도 약간의 논쟁이 있다.17

Not only is postmodernism a broad and somewhat heterogeneous philosophical collective but it also has many overlaps with other philosophies of science, in particular with critical theory. Although it predated postmodernism, critical theory was substantially advanced through postmodernism. There are other overlaps, for instance, with social constructionism, and there is also some debate as to whether postmodernism and poststructuralism are in fact distinct philosophies.17


그러나 포스트모더니즘의 가장 눈에 띄는 특징 중 하나는 그것이 얼마나 비판을 받아왔는가 하는 점이다. 아마도 이것의 가장 잘 알려진 예는 [양자 중력이 사회적 언어적 구성물임을 시사하는 논문이 포스트모더니즘 문학 연구 저널에 의해 받아들여진 사건]인 "Sokal hoax"일 것이다.18 해당 논문의 출판과 그것이 사기hoax였다는 선언declaration은 포스트모더니적 학술활동에 엄격함과 지적 장점에 의문을 제기하는 사건이었다.

However, one of postmodernism’s most notable features is the extent to which it has been criticized. Perhaps the most well-known example of this was the “Sokal hoax,” where a paper suggesting that quantum gravity was a social and linguistic construct was accepted by a postmodernist literary studies journal.18 Its publication and the subsequent declaration that it had been a hoax called into question the rigor and intellectual merits of postmodernist academic practices. 


다른 사상가들도 비판적이었다. 예를 들어 노암 촘스키는 포스트모더니즘이 방법이나 지식을 물질적으로 더하지 못한 것에 대해 특히 비판적이었던 반면, 19년 다니엘 데넷은 포스트모더니즘이 절대적 진리에 대해 허무주의적으로 거부한다는 것을 비판해 왔다.20 이것은 과학의 본질에 관한 다소 신랄한 논쟁에서 포스트모더니스트에 대해 (내재해 있는 공유된 진실과 현실이 있다고 믿는) 현실주의자들을 비판한다.21 포스트모더니즘적 관점이 사회문화적 현상의 연구에만 국한되어야 하는지 여부는 이 논쟁의 핵심 부분이다. 

Other thinkers have also been critical. For instance, Noam Chomsky has been particularly critical of postmodernism’s failure to add materially to methods or knowledge,19 while Daniel Dennett has criticized postmodernism for its nihilist rejection of absolute truth (something that has found new voice in the “post-truth” public debates of recent years).20 This pits realists (who believe that there are intrinsic shared truths and realities) against postmodernists in a somewhat acrimonious debate about the very nature of science.21 Whether or not postmodernist perspectives should be limited to the study of sociocultural phenomena is a key part of this debate. 


포스트모더니즘과 그 실천에는 그 자체로 웅장한 서술이 배어 있다는 점도 주목할 필요가 있다. 포스트모더니즘에서는 포스트모더니즘의 교리를 자신에게 적용할 수 없다고 말할 수 있는 것은 아무것도 없지만 - 다시 말해서 포스트모더니즘의 웅대한 서사도 문제화하고 비평할 수 있으나 - 이것이 지금까지 그 분야 내에서 포스트모더니즘적 기여의 실질적인 부분이 되지 않았다는 점이 눈에 띈다. 그러나 현대 의학 교육의 많은 분야에서 재귀적recursive 성찰적 실천이 거의 틀림없이 결여되어 있기 때문에 이것은 포스트모더니즘만의 문제는 아니다. 우리의 일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숨겨진 의제, 편견, 그리고 잠재적으로 교란할 수 있는 다른 요인들에 대해 신중하고 반사적인 것은 의학 교육 분야에서 과학자가 되는 데 필요한 부분이다. 실제로 이러한 비판적 반사성은 어느 정도 객관성을 주장하고자 하는 어떤 사회과학의 필수적인 요소로 제안되어 왔다.22

It is also worth noting that postmodernism and its practices are themselves imbued with grand narratives. While there is nothing in postmodernism to say that its tenets cannot be applied to itself—in other words, to problematize and critique the grand narratives of postmodernism—it is notable that this has not been a substantial part of postmodernist contributions within the field to date. This is not solely a problem for postmodernism, however, since recursive reflective practice is arguably lacking in many areas of contemporary medical education science. Being mindful and reflexive about the hidden agendas, biases, and other potentially confounding factors that can influence our work is a necessary part of being a scientist in the field of medical education. Indeed, this critical reflexivity has been proposed as an essential component of any social science that seeks to claim some level of objectivity.22 


의학 교육의 맥락에서 미셸 푸코와 이반 일리치는 둘 다 의학과 교육의 문제에 대해 다음과 같이 썼다. 

  • 푸코는 주관성과 권력 측면, 

  • 일리히는 개인과 시스템의 오류성 및 제도화의 부정적인 측면

In the context of medical education, Michel Foucault and Ivan Illich both wrote about the problems of medicine and education: 

  • Foucault in terms of subjectivities and power,

  • Illich in terms of individual and system fallibility and the negative aspects of institutionalization.4,5 


우리는 의학과 의학 교육 모두를 (자연적으로 출현하는 것이 아니라) 형성되고 통제되는 사회문화적 체계로 간주하기 위해 이것을 확장할 수 있다. 따라서 의학 교육에 대한 포스트모더니즘적 관점은 다음과 같은 질문을 할 수 있다. 

  • "서구의 의료교육 모델과 이론(문제 기반 학습이나 역량 기반 의료 교육 등)은 어떻게 다른 문화와 맥락으로 번역하고, 번역에서 힘과 통제는 어떻게 집행enact되고 있는가?" 또는 

  • "의사로서의 레지던트와 학습자로서의 레지던트 사이의 긴장감은 대학원 의학 교육의 언어와 문화에서 어떻게 발생하는가?" 

We can expand on this to consider both medicine and medical education as sociocultural systems that are shaped and controlled (rather than naturally emergent). A postmodernist perspective on medical education could therefore ask questions such as: 

  • “How do Western models and theories of medical education (such as problem-based learning or competency-based medical education) translate to other cultures and contexts and how is power and control enacted in translation?” or 

  • “How do the tensions between residents as physicians and residents as learners arise from the language and culture of postgraduate medical education?” 


사회적 임무나 전문성 또는 역량의 추구는 포스트모던 렌즈를 통해 유사하게 검토될 수 있다. 좀 더 근본적인 수준에서, 포스트모더니즘적 관점은 우리가 의학 교육에서 가정하고 있는 이득benevolence이나 무엇이 좋은 의사나 좋은 의학 교육 프로그램을 구성하는가에 대한 우리의 가정에 의문을 제기할 수 있게 해줄 수 있다. 의학 교육 연구에 적용한다면, 우리는 우리가 사용하는 이론의 가정과 이념적 위치, 연구를 수행하는 방법, 또는 의학 교육 연구의 발견이 실천을 형성하는 데 사용되는 방법(또는 그렇지 않은 방법)을 비판할 수 있다.

The pursuit of social missions or professionalism or competence could similarly be examined through a postmodern lens. At a more fundamental level, a postmodernist perspective could allow us to question the assumed benevolence of medical education or our assumptions about what constitutes a good doctor or a good medical education program. Applied to medical education scholarship, we might critique the assumptions and ideological positioning of the theories we use, the way we conduct studies, or the ways in which the findings from medical education research are (or are not) used to shape practice.


결론

Conclusion

 

의학 교육 내에서의 접근방식으로서 포스트모더니즘적 관점은 특히 정의와 형평의 시스템적 문제를 다루는 이익에 있어서 우리가 하는 일의 많은 정치적, 이념적 위치를 밝히고 분석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다. 그러나, 이 일련의 초청된 논평의 취지가 의학 교육에서 과학의 철학을 소개하기 위한 것이라는 점에서, 이 기사는 포스트모더니즘과 그 유산의 깊은 역사적이고 개념적인 복잡성을 얼버무렸다. 예를 들어, 내가 다루지 않은 다른 주요 포스트모더니즘 사상가들도 있는데, 길레스 델레우제나 장 보드리야르드 등이 그것이다. 

As an approach within medical education, postmodernist perspectives can help to expose and analyze the political and ideological positioning of much of what we do, particularly in the interests of addressing systemic problems of justice and equity. However, given that the intent of this series of Invited Commentaries is to serve as an introduction to the philosophy of science in medical education, this article has perforce glossed over the deep historical and conceptual complexities of postmodernism and its legacy. For instance, there are other key postmodernist thinkers that I have not covered, such as Gilles Deleuze and Jean Baudrillard, as well as other issues and other debates.


포스트모더니즘이 극단으로 몰렸을 때 허무주의적일 수 있고 사회적으로 파괴적일 수 있다는 우려는 의학 교육 내에서 현상을 탐구할 수 있는 철학적 렌즈로서의 그 효용을 부정하지 않는다. 그러나 포스트모더니즘을 활용하려는 사람은 [포스트모더니즘의 한계, 그 일관성의 결여, 그리고 그것이 의미 있고 유용하게 적용될 수 있는 현상의 종류]에 대해서 잘 이해할 필요가 있다. 무엇보다, 회의론과 비판적 입장은 과학자에게 건전한 관행이며, 의학교육의 과학과 실천 내에서의 권력관계는 그 분야를 발전시키고 우리의 사회계약에 대응하는 이익에서 문제화되어야 한다. 

The concern that postmodernism, when taken to extremes, can be nihilistic and even socially destructive does not negate its utility as a philosophical lens through which we can explore phenomena within medical education. However, postmodernism’s limitations, its lack of coherence, and the kinds of phenomena to which it can and cannot be meaningfully and usefully applied need to be well understood by those seeking to work with it. After all, skepticism and critical positioning are healthy practices for a scientist, and power relations within the science and practice of medical education should be problematized in the interests of advancing the field and responding to our social contract. 


그러나 [진리를 구성하는 것이 무엇이며] [진리에 대한 우리의 의무]가 점점 더 공론의 중심이 되고 있음을 감안할 때, 포스트모더니즘은 [진리의 본질에 대한 상대주의적 사상]과 [이러한 '국민의 신뢰와 책임의 위기'를 불러온 이념과 의제를 문제화하고 해체할 수 있는 도구와 기법]을 모두 제공하는 것은 역설적이다.

However, given that what constitutes truth and our obligations with respect to truth have become increasingly central to public debate, it is paradoxical that postmodernism both supports relativist ideas about the nature of truth and provides tools and techniques to problematize and deconstruct the ideologies and agendas that have brought about this crisis of public trust and accountability.






Review

 

. 2020 Jun;95(6):856-859.
 doi: 10.1097/ACM.0000000000003136.

Postmodernism and Medical Education

Affiliations 

Affiliation

  • 1R.H. Ellaway is professor, Department of Community Health Sciences, and director, Office of Health and Medical Education Scholarship, University of Calgary, Calgary, Alberta, Canada.

Abstract

Postmodernism emerged in the mid-20th century in the context of postwar Europe where philosophers and artists were taking increasingly skeptical and critical positions on modernist thinking and practice. Postmodernism is not a single organized and coherent perspective; it is a collection of related philosophies, techniques, models, and perspectives that take a skeptical and critical perspective on thinking and practice. Ontologically, postmodernism is predicated on the belief that power and its underlying meanings, manipulations, and ideologies shape our ability to act in and think about the world. Epistemologically, postmodernism seeks to explore and understand underlying meanings, structures, and intents in the world and to consider alternative explanations and interpretations for them. Axiologically, postmodernism can be used to analyze value in the context of inequity, oppression, and hegemony within social systems and structures. Due to the lack of coherence within postmodernist thought, there is no one definitive methodological stance. However, there are many postmodernism-informed methodological stances, which vary both in terms of what is examined and how it is examined. As an approach within medical education, postmodernist perspectives can help to expose and analyze the political and ideological positioning of much of what is done, particularly in the interests of addressing systemic problems of justice and equity. It is somewhat paradoxical that postmodernism allows researchers to challenge the nature and expression of truth, and it allows them to problematize and deconstruct the ideologies and agendas of those who are themselves challenging the nature and expression of truth.


감정 다루기: 의과대학생의 경험 공유에 대한 선호(Med Educ, 2016)

Dealing with emotions: medical undergraduates’ preferences in sharing their experiences

Joy M de Vries-Erich,1 Tim Dornan,2,3 Tobias B B Boerboom,1 A Debbie C Jaarsma4 & Esther Helmich




'모든 상황에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행동의 법칙은 [참여자들에게 "적응fit in"을 의무화하는 규칙]이다. (...) 개인은 '선good'해야 하고, 소란을 일으키면 안 된다. 그는 조립된 회사에 자신을 들이밀거나, 그들의 존재에서 너무 많이 철수하려고 시도하여 자신에게 지나친 관심을 끌지 말아야 한다. 그는 그 상황의 정신이나 기풍을 따라야 한다. 그는 de trop하거나 자리를 비우지 말아야 한다. 심지어 실제로 그와 참석한 다른 몇몇 사람들은 이것이 사실이 아니라는 것을 알고 있을 때 상황에 맞는 것처럼 행동하도록 요청될 때도 있을 수 있다; 어떤 상황에서 조화를 이루기 위해서, 만약 적절히 분위기를 맞추지 못하고 있다면 스스로 타협compromise하거나 심지어 위험을 감수하게endanger 요구받을 수도 있다.' (Goffman1, 1963)

‘The rule of behaviour that seems to be common to all situations is the rule obliging participants to “fit in”. (...) the individual must be “good” and not cause a scene or a disturbance; he must not attract undue attention to himself, either by thrusting himself on the assembled company or by attempting to withdraw too much from their presence. He must keep with the spirit or ethos of the situation; he must not be de trop or drop out of place. Occasions may even arise when the individual will be called upon to act as if he fitted into the situation when in fact he and some of the others present know this is not the case; out of regard for harmony in the scene he is required to compromise and endanger himself further by putting on an air of one who belongs when it can be shown that he doesn’t.’ (Goffman1, 1963).


도입

INTRODUCTION


정서적 경험과 정서적 경험이 전문적 정체성 발달에 미치는 영향이 의료교육에서 더욱 주목받고 있다.2,3 질병과 삶의 질의 저하, 또는 중증 질환으로부터 회복하는 환자와 그 가족을 접하는 것은 [이미 자신의 불확실성, 불안감, 스트레스를 다루고 있는] 청년들에게 강력한 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이다. 

Emotional experiences and their effects on development of professional identity are attracting increasing attention in medical education.2,3 They are doing so because encountering patients and their families struggling with illness and loss of (quality of) life or recovering from severe illness can have a powerful impact on young people, who are simultaneously handling their own uncertainty, anxiety and stress.4–7


(그들의 가장 초기 임상적인 만남에서부터, 임상실습을 거쳐 레지던트에 이르기까지) 의대생들은 그들이 경험하는 광범위한 감정들을 표현하는 것이 어렵다고 생각한다. 1,5,11. 학생들은 자신의 진심을 보여주는 것이 허용되지 않는다는 것을 알아차렸다.1,7 이것이 중요한 이유는 학생들이 가난한 웰빙, 불안, 우울증에 걸릴 위험이 높기 때문이다.12–16

Medical students, from their earliest clinical encounters,8 through clerkships9 and on into residency,10 find it difficult to express the broad range of emotions that they experience.1,5,11. Students noticed that they are not allowed to show their true feelings.1,7 This matters because students are at high risk of poor well-being, anxiety and depression.12–16


이전의 연구는 어떻게 개인의 웰빙이 레지던트의 공감을 높일 수 있는지를 보여주었다.17,18 감정을 인정받지 못한 의사들은 환자 돌봄에도 부정적 영향을 끼친다.19–21 감정은 사람들 자신의 정체성 감각사회적 직업적 정체성의 발달에 영향을 미친다.2,10,22,23 감정 경험을 동료들과 공유한다는 주장이 있다. 의료 커리큘럼 내에서 또래와 정서적 경험을 공유하는 것이 학생들의 전반적인 안녕과 전문적 정체성의 발달을 위해 중요하다고 주장한다.

Previous research has shown how personal well-being can enhance residents’ empathy,17,18 whereas unacknowledged emotions compromise doctors’ care of patients.19–21 Emotions are related to people’s own sense of self and influence development of social and professional identity.2,10,22,23 It is argued that sharing emotional experiences with peers within medical curricula is important for students’ overall well-being 13–16,24 and development of professional identity.22,25


우리는 의대생들이 어떻게 그들의 정서적 경험을 공유하는지, 그리고 왜 그런지를 이해하고 싶었다. 이 연구는 사회적 상호작용에 의해 정체성 발달이 어떻게 형성되는지를 설명하는 상징적 상호작용 이론을 지향하고 있다.28 고프만의 연극적 사회 이론[정체성을 '퍼포먼스'로 취급하는 이론의 집합체 중 하나]로 상징적 상호작용주의의 전통에 부합한다. 고프만에 따르면 사람들은 'construct'로 형성되는데, 이는 다른 사람들이 그들에게 부여한 의무나 기대와 같은 행동 규칙 때문이다. 또한, 개인들이 이러한 행동 규칙을 유지하려고 할 때, 그들은 그들 자신의 특정한 이미지를 유지하기로 약속한다. 그것은 그러한 행동 규칙을 위반하면 불명예를 얻게 된다. 고프만에 따르면 '퍼포밍performing'은 이러한 행동 규칙을 따르거나 외형을 유지하는 것을 말한다.

We wanted to understand how medical students share their emotional experiences and why. The study’s orientation was towards symbolic interaction theory,28,29 which explains how identity development is shaped by social interaction.28 Goffman’s dramaturgical social theory 29 is one of a group of theories that treat identity as ‘performance’, fitting the tradition of symbolic interactionism. Goffman explains that people are built up as ‘constructs’ due to rules of conduct, such as obligations and expectations, placed upon them by others. Also, when individuals try to maintain these rules of conduct they commit to keeping up a certain image of themselves, which is discredited when those rules of conduct are broken. To maintain these rules of conduct or keep up appearances, is considered performing by Goffman.30


고프만의 고전 작품들은 앞무대뒷무대 영역의 연극적 은유를 사용하여 인간이 어디에 있는지 누구와 함께 있는지에 따라 사회생활의 다른 부분에서 어떻게 다르게 수행하는지 설명한다.29 (자신에 대한 타인의) 인상을 형성하려는 사회적 욕구는 사람들이 자신의 자기 자신으로 퍼포먼스를 위한 무대를 꾸미는지를 결정한다.29 정체성 발달에 관해서, 고프만은 자아self를 [연기자의 자기표현]과 [연기에 반응하는 청중] 사이의 협상의 결과로서 개념화한다.29 정체성과 공연 사이의 상호작용을 홀랜드와 동료(1989)에 의해서도 다음과 같이 기술되었다: '사람들은 다른 사람들에게 자신이 누구인지 말하지만, 더 주목해야 할 사실은 자기 자신이 누구라고 말하고 다니는대로 스스로에게 말하고, 그에 따라 행동하려한다는 점이다'

The classic work of Goffman uses the theatrical metaphor of front and backstage areas to explain how humans perform differently in different parts of their social lives, depending on where they are and who they are with.29 A social need to create impressions determines how people stage their performances as themselves.29 As to identity development, Goffman conceptualises the self as the result of a negotiation between a performer’s presentation of self and the audience that reacts to the performance.29 The interplay between identity and performance was also described by Holland and colleagues (1989) as: ‘people tell others who they are, but even more important they tell themselves and try to act as though they are who they say they are’.31


이전의 연구는 의료 종사자들이 어떻게 환자 치료의 무대 앞 영역에서 사회적으로 적절한 행동을 보였는지를 보여주었지만, 의사들의 행동은 환자가 없는 무대 뒤에서 달랐다. 무대 뒤쪽에서 '비공식적 자아'를 표현할 수 있을 때, 무대 앞에서 보다 격식을 갖춘 역할을 수행할 수 있었고, 이로써 부적절한 행동을 예방할 수 있다. 적절하게 행동하기 위해서, 사람들은 그들이 일하고 있는 위치의 규칙(무대 앞-무대 뒤)에 따라 그들의 감정을 조절한다흥분, 험담, 유머와 같은 무대 뒤에서의 행동이 무대 앞에서의 행동을 가능하게 한다. 싱클레어는 의대생 교육이라는 맥락에서 고프만의 작품 33을 확대했다(그림 1).

A previous study showed how health care workers demonstrated socially appropriate behaviour in the front-stage area of patient care but their behaviour was different backstage, where no patients were present.32 When people can express their ‘unofficial selves’ in backstage areas, they can fulfil more formal roles on the front stage,29,32,33 which prevents inappropriate behaviour.34 In order to behave appropriately, people regulate their emotions 35 according to the rules of the position they are working in.29,34 Backstage behaviours, such as blowing off steam, gossiping and (morbid) humour, enable front-stage behaviour.32 Sinclair expanded Goffman’s work 33 in the context of educating medical students (Fig. 1).



  • 겉으로 보이는manifest 커리큘럼은 공식적인 프런트스테이지에서 가르치고 있으며, 환자, 가족, 의료 교육자 등이 참석한 가운데 공연이 진행된다.33 

  • 공식적인 백스테이지 영역에서의 활동도 환자 및 의료 교육자의 관점에서 볼 때 커리큘럼의 일부지만 보다 여유롭고 비공식적이다.29,33 

싱클레어 역시 학생 교육의 공식적 기능과 무관한 '비공식' 활동을 정의했다. 

  • 비공식적인 프론트스테이지 영역은 예를 들어 학생들과 교육자들이 교류하는 스포츠 대회였다. 

  • 비공식적인 백스테이지 영역도 있었는데, 그곳에는 직원이 없었다. 

마지막으로 무대 밖 구역이 있다. 이것은 의료기관 밖에서의 모든 활동을 의미하며, 학생들의 파트너, 친구, 가족들이 참여했다.

The manifest curriculum is taught on the official front stage, where performances in the presence of patients, families and medical educators take place.33 Activities in the official backstage area, out of view of patients and medical educators, are also part of the curriculum but more relaxed and informal.29,33 Sinclair also defined ‘unofficial’ activities that were unrelated to the official function of educating students. The unofficial front-stage area was, for example, a sports competition, in which students and educators interacted. There was also an unofficial backstage area, where no staff were present. Finally, there was an offstage area. This held all activities outside the medical institution 29,33 and was peopled by students’ partners, friends and families.


학생들이 그들의 정서적 경험을 토론할 수 있는 안전하고 지지적인 분위기를 제공할 목적으로 멘토 프로그램을 의료 커리큘럼, 12,14,16,25,36,37에 도입하는 경향이 두드러지고 있다.

There is a noticeable trend towards introducing mentor programmes into medical curricula,12,14,16,25,36,37 with the intention of providing a safe and supportive atmosphere in which students can discuss their emotional experiences.38,39


방법

METHODS


윤리적 고려

Ethical considerations


맥락

Context


배경은 네덜란드의 한 대학 의료 센터였다. 학부 의학 커리큘럼은 주로 이론적 지식 향상에 초점을 맞추고 자기성찰과 소그룹 세션에서의 튜터링를 포함한 3년간의 임상 전 학사 프로그램으로 구성된다. 다음의 3년 마스터스 프로그램에서 학생들은 4주에서 10주 사이에 길이가 다른 18개의 연속적인 임상 로테이션을 하면서 임상 기술과 전문적인 행동을 개발한다.

The setting was a university medical centre in the Netherlands. The undergraduate medical curriculum consists of a three-year pre-clinical Bachelor programme focused primarily on enhancing theoretical knowledge but including self-reflection and tutoring in small-group sessions. In the following three-year Masters programme, students develop clinical skills and professional behaviour during their participation in 18 successive clinical rotations, which vary in length between 4 and 10 weeks.


멘토 프로그램

Mentor programme


멘토 프로그램은 공식적 백스테이지 영역에 위치한다. 왜냐하면 프론트스테이지 영역은 개인적인 감정이나 의견의 표현을 장려하지 않는 것처럼 보이기 때문이다.29,32,33 학생들이 안전한 환경에서 또래들과 경험을 교환하여 웰빙을 증진시키고 정서적인 지원을 제공하며 전문적인 정체성 발전에 기여하도록 돕는 것이 목적이다.

The mentor programme is situated in the official backstage area because frontstage areas do not seem to encourage expression of personal feelings or opinions.29,32,33 The aim is to help students exchange experiences with peers in a safe environment in order to enhance well-being, provide emotional support and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professional identity.


본 연구의 멘토 그룹 세션은 '사회적 사건'에 대한 Goffman의 설명에 부합한다. 다음을 의미한다.

구조화된 사회적 맥락으로서,

종종 한 사이클의 부분으로서 미리 프로그램되어 있는데,

여기에는 (그리고 참여자가 적절하다고 인정하는) 동일한 사람, 공식 의제, 그룹 활동, 행동 패턴이 동반된다.

Mentor group sessions in this study fit Goffman’s description of ‘social occasions’: 

a structured social context, 

often programmed in advance as part of a cycle, 

with the same people, an official agenda or group activity and a pattern of conduct that is acknowledged by participants as appropriate.1


연구 그룹

Research group


표본

Sampling


우리는 처음 3명의 사무원이 피부과, 안과, 귀, 코, 목 수술이었던 5명의 여학생들의 편의 샘플로 시작했다.

We started with a convenience sample of five female students whose first three clerkships were dermatology, ophthalmology and ear, nose and throat surgery.


13개 멘토 그룹의 총 17명의 여학생과 2명의 남학생이 연구에 참여했다(표 1 참조).

A total of 17 female and two male students from 13 different mentor groups participated in the study (see Table 1).


자료 수집

Data collection


자료 분석

Data analysis


인터뷰는 녹음되어 문자 그대로 옮겨졌다. 우리는 질적 데이터 분석 소프트웨어 MaxQDA 버전 11(Verbi GmbH, 독일 베를린)을 사용하여 주제 데이터 분석을 지원했다.43 

    • Dramatural 이론이 이론적인 틀을 제공했는데, 우리는 대화의 내용이나 학생들이 어떤 감정을 경험했는지에 초점을 맞추지 않고, 어떤 '단계' 감정을 어떤 특정한 '관심'과 왜 공유했는지에 초점을 맞추었기 때문이다. 

    • 내레이션의 바로 그 행위가 정체성 구축의 행위라고 볼 수 있기 때문에, 44 우리는 또한 면담 그 자체를 학생-수행자와 면접관-청중간의 상호 작용으로서, 공동건설과 수행의 현장으로서 고려했다. 

    • 따라서 인터뷰 중 관찰된 비언어적 표현, 행동, 인터뷰 진행자가 경험하는 대응의 구체화 등이 모두 분석의 한 부분이었다.

Interviews were audiotaped and transcribed verbatim. We used qualitative data analysis software MaxQDA Version 11 (Verbi GmbH, Berlin, Germany) to support thematic data analysis.43 

    • Dramaturgical theory 29 provided the theoretical framework, because we did not focus on the content of the conversation nor on what emotions students experienced, but on which ‘stage’ emotions were shared, with what specific ‘audiences’ and why. 

    • As the very act of narrating can be considered an act of identity construction,44 we also considered the interview itself, being an interaction between the student-performer and the interviewer-audience, as a site of co-construction and performance. 

    • Therefore, non-verbal expressions, behaviours observed during the interview and embodied responses experienced by the interviewer, kept in logs, were all part of the analysis.


19개의 개별 인터뷰 후, 연구팀이 확인된 주제와 개념 사이의 상호작용을 이해할 수 있도록 충분한 데이터가 수집되었다. 두 주요 연구자(JdV-E와 EH)는 모두 19개 인터뷰 중 6개를 라인별로 코딩했다. 

    • 새로운 데이터가 여전히 수집되고 있는 동안 데이터 분석이 시작되어 반복적이고 지속적인 비교 프로세스가 이루어졌다.45 합의가 이루어질 때까지 개방형 코드가 논의되었다. 

    • JdV-E는 나머지 데이터를 코드화하고 그녀의 해석을 EH와 논의하여 더 깊은 이해를 구했다. 이 과정에서 그녀는 현상을 더 잘 이해하기 위해 끊임없이 대두되는 코딩 구조를 대본과 기존 문헌과 비교했다. 

    • 더욱이, 이러한 토론에서, 두 연구자들은 반사적인 대화, 면접관의 인터뷰와 반응 동안에 관찰에 대한 토론, 그리고 면접에서 학생들이 제정한 구체적인 성과를 어떻게 드러낼 수 있는지에 대해 토론했다. 

    • JdV-E는 해석이 어떻게 발전했고 어떤 결정이 내려졌는지를 추적하기 위해 반사 로그를 작성했다. 연구의 개념, 데이터 수집, 분석에 관여하지 않았던 연구자(TB)가 감사 추적을 조사하여 코딩 프로세스와 연구 프로세스의 신뢰성에 대한 확인 증거를 제공하는 결정을 재조사했다.46

After 19 individual interviews, sufficient data were collected for the research team to understand the interplay between identified themes and concepts. The two main researchers (JdV-E and EH) both coded six out of 19 interviews on a line-by-line basis. 

    • Data analysis started while new data were still being collected, resulting in an iterative, constant comparative process.45 Open codes were discussed until agreement was reached. 

    • JdV-E coded the remaining data and discussed her interpretation with EH to reach deeper understanding. During this process, she constantly compared the emerging coding structure against transcripts and the existing literature, in order to better understand the phenomenon. 

    • Moreover, in these discussions both researchers engaged in a reflexive dialogue, discussion of observations during the interviews and responses of the interviewer, and how these may reveal specific performances enacted by the students in the interviews. 

    • JdV-E wrote reflective logs to keep track of how interpretations developed and what decisions were made. A researcher (TB) who had not been involved in the conception of the study, data collection or analysis examined the audit trail, retracing the coding processes and decisions to provide confirmatory evidence of the trustworthiness of the research process.46 


결과

RESULTS


무대와 관객

Stages and audiences


비공식 백스테이지

청중: 동료 학생

Unofficial backstage

Audience: fellow students


대부분의 참가자들은 계획한 멘토 그룹이 제공하는 공식적인 무대 뒤에서보다는 비공식적인 무대 뒤에서 동료 학생들과 함께 자신들의 경험을 공유하는 것을 선호했다. [같은 상황]에 있는 것과 [같은 교실department]에 있는 것이 같은 멘토 그룹에 배정되는 것보다 더 중요해 보였다. 

Most participants preferred to share their experiences in the unofficial backstage area, with fellow students on wards, rather than the official backstage provided by planned mentor groups. Being in the same situation and working in the same department seemed more important than being assigned to the same mentor group: 


'그래, 내 동료 학생들은 내가 무슨 말을 하고 있는지 훨씬 더 잘 안다; 내 멘토 그룹에는 외과에서 일하는 사람들이 없었다. 몇몇은 내과, 몇몇은 소아과, 그래서 기본적으로 그들은 매우 다른 하루를 보낸다.' (P16)

‘ Yes, my fellow students know what I am talking about much better; in my mentor group there were no people working in the surgery department. A few did internal medicine, some did paediatrics, sobasically they have a very different day.’ (P16)


복도에서, 점심시간 동안 또는 사물함 옆에서 동료 학생들과 이야기하는 것이 예정된 멘토 그룹 세션을 기다리는 것보다 더 편리했다. 이미 그렇게 했기 때문에, 그룹 세션에서 다시 그렇게 하는 것이 어색해 보였다. 비공식적인 백스테이지보다 그룹 세션의 디자인과 타이밍은 토론을 하기에 덜 좋았conducive다.

Talking to fellow students in the hallways, during lunch hours or by the lockers was more convenient than waiting for scheduled mentor group sessions. Having done so, it seemed awkward to do so again in group sessions, whose design and timing were less conducive to discussion than conversations in the unofficial backstage:


'우리 과의 모든 동료 학생들과 매일 점심을 먹고 그날 누군가 감정적인 경험을 했다면 토론한다.'(P18)

‘ We have lunch every day with all the fellow students in our department and if someone has had an emotional experience that day, we discuss it.’ (P18)


오프스테이지

청중: 파트너, 부모, 친구 및 형제

Offstage

Audience: partner, parents, friends and siblings


일부 참가자들은 무대 밖에서 자신들의 감정을 공유하는 것을 선호한다고 말했다.

Some participants said they preferred to share their emotions offstage:


'글쎄, 나는 그것이 나에게 개인적으로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 부모님이나 파트너와 더 많이 공유한다고 생각해.' (P1)

‘ Well I think I share more about what it does to me personally with my parents or my partner.’ (P1)


오프 스테이지가 가치있었지만, 다른 기회를 대신하기보다는 보완하는 역할이었다. 게다가, 동료 학생들과 레지던트들이 자신들의 상황을 더 잘 이해하기 때문에 더 도움이 되었다. 이들과의 협의가 의료 기밀을 침해할 것이라는 우려는 줄어들었다.

Valuable as the offstage was, it complemented rather than substituted for other opportunities. Moreover, fellow students and residents were helpful listeners because they understood participants’ situations better. There was less concern that discussions with them would breach medical confidentiality:


'가족과 파트너에게 이야기하지만, 나를 좌절하게 한다는 것을 알아차렸다. 왜냐하면 "그것이 나에게 어떤 것인지 정말로 이해하지는 못할거야'라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P17)

‘I talk to my family and my partner but (...)I notice that it frustrates me because I think: you don’t really understand what it is like for me.’ (P17)


공식 백스테이지 영역

청중: 멘토와 동료 멘티

Official backstage area

Audience: mentor and fellow mentees


참가자들이 멘토 그룹 세션에서 감정 경험에 대해 이야기할 때에는, 그렇게 하기 위한 편안한 환경이 제공되었다. [다른 사람들로부터 배우는 것], [그들이 그러한 경험을 겪는 유일한 사람들이 아니라는 것을 깨닫는 것 것]은 그곳에서 감정적인 경험을 공유하는 중요한 이유였다.

When participants did talk about emotional experiences in mentor group sessions, these provided a comfortable setting to do so. Learning from others and realising they were not the only people going through such experiences were important reasons for sharing emotional experiences there:


참가자가 공식 백스테이지 내에서 정서적 경험을 공유하지 않는 주요 이유는 그룹의 규모와 불편함, 그럴 필요가 없다는 느낌이었다. 그룹 프로세스의 특징(멘토와 동료의 행동과 학습 환경의 안전)도 이들이 감정적 경험을 공유하지 못하게 할 수 있다.

The main reasons for participants not sharing emotional experiences within the official backstage area were the size of the group, feelings of discomfort and feeling no need to do so. Features of the group process (the behaviour of the mentor and peers and the safety of the learning climate) could also discourage them from sharing emotional experiences:


'멘토 그룹에서 언급하지 않는 이유는 많은 사람들과 함께 있기 때문이다. 마음에 걸리는 것이 있어도 그것을 7명과 동시에 그것을 공유하고 싶지 않다. 오히려 일대일 상황에서 끝까지 이야기하고 싶다.'(P12)

‘The reason not to mention it in the mentor group is being there with a large number of people. If there is something on my mind, I would not want to share that with seven people at the same time but rather talk it through in a one-on-one situation.’ (P12)



자기표현

Presentations of self


멘토 그룹 중 정체성 생성

Creating identities during mentor groups


면접에서 학생들은 자신의 자기표현을 다른 청중에게 맞추었고, 상황에 따라 어떻게 다른 정체성을 형성했는지를 보여주었다. 그들은 동료 멘티들의 가능한 반응을 고려했고 계획된 멘토 그룹 세션 동안 자신들에 대한 구체적인 프레젠테이션을 표현했다.

In the interviews, students showed they adjusted their presentations of self to different audiences, and how they constructed different identities depending on context. They took the possible responses of their fellow mentees into account and expressed an attuned presentation of self during the planned mentor group sessions:


내 멘토가 여기 같은 병원의 레지던트인 내 누나의 프리셉터가 되었다. 나는 이 것 때문에 내가 참고 있다는 것을 깨달았다. (P1)

‘Well ehm my mentor happens to be the preceptor of my sister who is a resident here at the same hospital, so I do notice I am holding back.’ (P1)


임상 작업 중 정체성 생성

Creating identities during clinical work


임상 작업 중 높은 기대에 직면했을 때, 참가자들은 인터뷰 중 자신의 내러티브와 퍼포먼스가가 사실 그렇지 않다는 것을 보여주었음에도 불구하고, 다른 사람들과 자신들에게 자신이 유능하다는 것을 확신시키기 위해 자신의 발표를 조정했다. 학생들은 때때로 환자나 프리셉터와의 상호작용 동안 자신감 높은 이미지를 보여줌으로써 그들의 진짜 감정을 숨기는 방법을 묘사했다.

When faced with high expectations during clinical work, participants adjusted their presentation of self to convince others and themselves that they were competent, even though their narratives and performance during the interviews showed that in fact they were not. They described how they sometimes masked their true feelings with an image of self-confidence during interactions with patients and preceptors:


'앞자리에 앉은 환자를 어떻게 대해야 할지 같은 상황은 너무 어색할 수 있기 때문에 정말 자신이 무엇을 하고 있는지 전혀 모르기 때문에 엄포를 놓아야 한다.'(P12)

‘Situations like how to deal with a patient that sits in front of you can be so awkward that you have to start bluffing because you really have no idea what you are doing.’ (P12)


모든 참가자는 임상 로테이션 중 발생하는 요구나 기대에 대해 선배 동료들로부터 '스토리'를 들었다. 서로 돕는 방법으로, 동료들은 서로에게 내부 정보를 공유하여서 그에 맞춰 자기표현self presentation을 조정할 수 있도록 했다.

All participants had heard ‘stories’ from senior peers about the demands or expectations made during clinical rotations. To help each other, peers provided participants with inside information so they could adjust their presentation of self accordingly:


'어떤 교사와 함께, 말이 되지 않는 말을 할 때, 그들이 '아 저 학생은 전혀 이해하지 못한다'고 생각하는 것을 두려워한다. [비공식 백스테이지의 동료들, JdV-E]에서는 우리가 질문을 적게 하면, 교사들이 당신이 더 많이 안다고 가정할 수 있기 때문에 더 높은 점수를 받는다고 한다. (P9)

‘With some preceptors, when you say something that doesn’t make sense, you are afraid that they think: ‘Oh that student does not understand it at all’. It has been said [by peers in the unofficial backstage, JdV-E] that if we ask less questions we get higher grades because preceptors may assume that you know more.’ (P9)


일부 참가자는 자신을 진정성authentically있게 표현하는 것에 어려움을 겪었다. 왜냐하면 조직에서 무언가를 요구했거나, 스스로 느낀 제약 때문이다. 어떤 학생은 [사람이 되는 것]과 [임상현장에서 의대생이 되는 것] 사이의 정체성 상실감과 혼란감을 다음과 같이 묘사했다.

Some participants struggled to represent themselves authentically because of the demands of the organisation or the restrictions they felt. One described a sense of identity loss and confusion between being a person and being a medical student in the workplace:


인터뷰 중 정체성 생성

Creating identities during interviews


마침내, 면접을 보는 동안, 학생들은 또한 면접관을 청중으로 하여 정체성을 창조하고 있었다. 이것이 우리가 Goffman을 명시적으로 build on하는 지점이며, 인터뷰 동안 참가자들의 행동과 퍼포먼스를 의도적으로 관찰하고, 공동건설 과정에서 인터뷰 진행자가 청중으로서의 갖는 영향력을 비판적으로 성찰했다. 상자 1에서는 관찰 및 구현된 응답과 함께 데이터의 작은 발췌본을 제시한다.

Finally, during the interviews, students were also creating identities, with the interviewer as the audience. This is where we explicitly build on Goffman, deliberately observing participants’ behaviours and performances during the interviews, and critically reflecting on the influence of the interviewer as the audience during this process of co-construction. In Box 1 we present a small excerpt of our data together with observations and embodied responses.




고찰

DISCUSSION


주요 결과

Main findings


대부분의 참가자들은 [다른 곳에서 일하는 동료 멘티들과의 계획된 멘토 그룹 세션]보다 [같은 과의 동료 학생들과 동시에 같은 일을 겪으며 대화]를 나누는 것을 선호했다. 계획된 멘토 그룹 모임에서 소수만이 그들의 감정적 경험을 공유했고, 그렇게 한 사람들은 그것이 도움이 되는 경험이라고 말했다. 그러나 우리는 학생들이 무대 밖에서도 동료 의대생, 레지던트, 의사들과 정서적 경험을 공유하는 것을 훨씬 선호한다는 것을 발견했다. 그들은 관객들에게 깊은 인상을 주기 위해 퍼포먼스를 조정하면서, 무엇을 누구와 공유할 것인지에 대해 어떻게 숙고했는지 서술했다. 아마도 그들은 다른 관객들에게 '평범한 사람들lay people'보다 동료 학생이나 의학 친구들에게 감동을 줄 필요가 덜하다고 느꼈을 것이다.

Most participants preferred to talk to fellow students in the same department, going through the same things at the same time, rather than during planned mentor group sessions with fellow mentees, working elsewhere. Only a minority shared their emotional experiences within the planned mentor group meetings, and those who did so said it was a supportive experience. We found, however, that, even offstage, students much preferred to share their emotional experiences with fellow medical students, residents and doctors. They narrated how they deliberated on what to share and with whom, adjusting their performances to impress the audience. Perhaps they felt less need to impress fellow students or medical friends than ‘lay people’ in other audiences.


다른 연구와의 관계

Relationship with other publications


자신의 전문 커뮤니티 내에서 감정 경험을 공유하고자 하는 선호도는 1차 그룹과 2차 그룹 간의 지원 간에 구별이 이루어지고 의대생들 사이의 전문적인 포괄성과 사회적 배타성에 관한 이전의 연구와 부합한다. 파트너, 가족, 친구 등 1차 그룹 멤버들과의 감정적 유대감은 더 강하지만, 이들은 오프스테이지 배우actor로서 구체적인 스트레스 요인에 익숙하지 않아 조언과 격려의 가치를 떨어뜨린다.

A preference to share emotional experiences within one’s own professional community agrees with previous research in which a distinction is made between support from primary and secondary groups and touches previous research on professional inclusivity and social exclusivity among medical students. Although the emotional ties with primary group members such as partner, family and friends are stronger, these offstage actors are unfamiliar with specific stressors, which reduces the value of their advice and encouragement.47,48


직장동료 등 2차 그룹 구성원은 (개인의 행복에 정서적으로 덜 투자되지만invested), 같은 사회 그룹에 속해 있으면 비슷한 경험을 바탕으로 하기 때문에 효과적인 정서적 지원을 할 수 있다. 의대생들의 연구는 직업적 포괄성inclusivity이라고 불렸던 직업적 가치를 공유하는 전문적 공동체에 소속되어 학생들의 직업적 정체성 발달이 어떻게 강화되는지를 보여주었다. 

Whilst secondary group members such as co-workers are less emotionally invested in an individual’s wellbeing, being part of the same social group allows them to provide emotional support that is effective because it is based on similar experiences.47 Research among medical students has shown how students’ development of professional identity is reinforced by a sense of belonging to a professional community with shared professional values, which was called professional inclusivity.49 


의대생과 경제대생을 비교한 결과 의대생들은 경제대생보다 의대생들 사이에 훨씬 더 많은 친구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훨씬 더 많은 의대생들이 그들의 코스메이트와 파트너였고 의대생만을 위한 스포츠 클럽과 활동을 갔으며, 64%가 다른 대학 활동으로부터 소외감을 느꼈다(경제대생은 13%).

A comparison between medical and economic students revealed that medical students had significantly more friends within their own medical faculty than economic students. Also, significantly more medical students were partners with their course mates and went to sport clubs and activities for medical students only and 64% felt isolated from other university activities, compared with 13% of the economic students.50 


전문적인 포괄성은 왜 우리의 참가자들이 그들의 전문 커뮤니티에 있는 사람들과 그들의 경험에 대해 토론하기를 선호하는지 설명할 수 있다. 아마도 이러한 선호도 역시 전문 커뮤니티나 팀의 일원이 되어 함께 외모를 유지하고 의사와 의대생에 대한 일반 대중의 기대에 부응해야 했던 결과였을 것이다.

Professional inclusivity could explain why our participants preferred to discuss their experiences with people in their professional community. Perhaps this preference was also a result of being part of a professional community or team, which had to keep up appearances together 29 and meet the general public’s expectations of doctors and medical students.


본 연구에서, 우리는 계획된 멘토 그룹을 사용하는 대신 비공식적인 감정 공유에 대한 선호를 발견했는데, 이는 비공식적인 동료 지원을 사회적 지원의 가장 많이 사용되는 원천으로 설명한 Burk와 Bender 26세의 연구와 일치한다.

In our study, we found a preference for informal sharing of emotions instead of using planned mentor groups, which is in line with research by Burk and Bender,26 who described informal peer support as the most used source of social support.


따라서, 사회적 배타성과 전문적 포괄성의 과정은 왜 학생들이 그들의 경험을 의료 동료들과 공유하기로 선택했는지 설명할 수 있지만, 그들이 [계획된 멘토 그룹 세션을 중심으로 만들어진] 공식적인 백스테이지 프로그램을 종종 사용하지 않는다는 것을 깨닫는 것이 중요하다.

Thus, processes of social exclusivity and professional inclusivity may explain why students chose to share their experiences with medical peers, but it is important to realise that they often do not use the formal backstage programme, which is built around planned mentor group sessions.


참여자들이 멘토에게 털어놓기 어려웠을 수도 있는데, 멘토들은 또한 프리셉터나 또는 임상실습 평가자로서 교수를 공식적으로 대표하여 프론트스테이지 영역에서 활동하기도 하기 때문이다. 권력을 가진 official staff으로서의 교수들의 위계적 지위가 학생들로 하여금 멘토 그룹 세션 동안 감정적 경험을 토론하는 것을 방해했을 수 있다. 싱클레어는 의대생들이 자신의 개인적 정보를 말해주는 것에 대해 얼마나 조심스러웠는지, 어떻게 공공의 조롱을 두려워해 고의로 이를 공개하지 않았는지 등을 설명하였고, 이것이 학생들이 멘토 그룹 세션에서 감정적 경험을 공유하기를 꺼리는 이유를 설명할 수 있다.

It may have been hard for participants to confide in a mentor, who also acts in the front-stage area as a preceptor or clerkship assessor and an official representative of the medical faculty. Their hierarchical positions as official staff members in positions of power may have prevented participants discussing emotional experiences during mentor group sessions. Sinclair described how cautious medical students were about giving away personal information and how they purposefully withheld it for fear of public derision,33 which may account for participants’ reluctance to share emotional experiences in mentor group sessions.


의과대학의 공식 영역 내에서 감정 경험을 공유하지 않는 또 다른 가능한 이유는 의과대학이 역량, 지식, 임상, 기술, 과학 기술의 담론에 초점을 맞추면서 태도와 감정과 같은 의학의 사회적 측면을 나타내는 돌봄의 담론이 빛을 잃게 만들기 때문이다.51 적합성suitability은 [돌봄의 담론] 안에서 [역량과 감정의 담론] 안에 위치하기 때문에, 학생들에게는 의사가 되기 위해 훈련하는 동안 감정을 표현하는 것이 적절하지 않을 수 있다는 메시지를 전달한다.

Another possible reason for not sharing emotional experiences within the official regions of the medical school is the focus of medical schools on the discourse of competence, knowledge, and clinical, technical and scientific skills, overshadowing the discourse of caring, which represents medicine’s social aspects such as attitudes and emotions.51 Because suitability is situated within the discourse of competence and emotions within the discourse of caring,51 a message is sent out to students that expressing emotions may not be the suitable thing to do while training to become a doctor.


강점과 한계

Strengths and limitations


우리가 남학생들을 포함시키려고 노력했지만, 이 연구의 주제는 주로 여학생들을 끌어들였고, 이것은 우리의 결과의 전달성을 제한할 수 있었다. 두 명의 주요 연구원이 모두 여성인 상황에서, 우리는 우리의 해석이 자연적으로 왜곡되어gendered 다른 환경으로의 전달가능성에 또 다른 위협을 가하는 것을 상상할 수 있다. 우리의 분석에 대해 상세한 설명을 하고, (공동구축이) 어떻게 언제 일어났는지를 보여줌으로써 신뢰도를 확보하기 위해 노력했다. 결국 성별에 있어서는 외모와 현실의 구분이 있다. 성별은 사회적으로 구성되는 연극적 행동performative act으로 보여질 수 있는데, 이는 거짓도 진실도 아니다.52

Although we tried to include male students, the topic of this study attracted primarily female students, which could limit the transferability of our results. With the two main researchers both being female (JdV-E and EH), we can even imagine our interpretation to be gendered in nature, posing another threat to transferability to other settings. By giving a detailed account of our analysis, showing how and when (co-)construction occurred, we tried to ensure trustworthiness. After all, when it comes to gender, there is a distinction between appearance and reality. Gender can be seen as a performative act, socially constituted, which can neither be false nor true.52


함의

Implications for medical practice


학부생들의 전문적 정체성의 발전을 도모하기 위해서는 의과대학의 프론트스테이지 영역에서 의사교육자가 감정표현을 장려하는 대안적 방법을 모색할 것을 제안한다. 기존의 멘토 프로그램은 같은 사무직에 있는 학생들과 아마도 2주마다 회의를 더 자주 예약함으로써 개선될 수 있다. 멘토에게는 비판단적 성찰 지원, 학부생들의 경험과 환자와의 의사소통 내면의 감정을 드러내는 데 중점을 둔 교육이 제공될 수 있었다.

In order to foster development of undergraduates’ professional identity, we propose that medical educators should explore alternative ways of encouraging them to express emotions in the front-stage areas of medical school. Existing mentor programmes might be improved by scheduling meetings more often, perhaps 2-weekly, with students in the same clerkship. Mentors could be offered training, focusing on supporting non-judgemental reflection, revealing undergraduates’ experiences and inner feelings in their communication with patients.


Implications for further research


결론

CONCLUSIONS


학생들은 청중들이 어떻게 반응하기를 기대하는지, 혹은 어떤 유형의 공연이 기대되는지에 따라 자기표현presentation를 협상한다. 그들은 그들의 감정 경험을 그들 자신의 전문 커뮤니티의 구성원, 가족, 친구들과 비공식적으로 토론하는 것을 선호한다고 보고했다. 왜냐하면 그들은 이 관객들이 가장 도움이 되는 방식으로 반응할 것이라고 예상했기 때문이다.

Students negotiate their presentation of themselves based on how they expect their audiences to respond or what type of performance they think is expected of them. They reported a preference to discuss their emotional experiences unofficially with members of their own professional community, family and friends because they anticipated that these audiences will respond in the most helpful way.











. 2016 Aug;50(8):817-28.
 doi: 10.1111/medu.13004.

Dealing With Emotions: Medical Undergraduates' Preferences in Sharing Their Experiences

Affiliations 

Affiliations

  • 1Department of Evidence Based Education, Academic Medical Center, University of Amsterdam, Amsterdam, the Netherlands.
  • 2Centre for Medical Education, Queens University Belfast, Belfast, UK.
  • 3University of Maastricht, Maastrich, the Netherlands.
  • 4Center for Research & Innovation in Medical Education, University of Groningen, Groningen, the Netherlands.

Abstract

Context: Patient care evokes emotional responses such as uncertainty, grief and pride in medical students. There is a need for opportunities to share and express such emotions because they influence students' professional development and well-being. There is a trend towards introducing mentor programmes into medical curricula. It remains unknown whether students are willing and able to share their emotional experiences within this formal setting. We set out to explore how medical students share their emotional experiences and why.

Methods: We used thematic analysis, including purposeful sampling, parallel processes of data collection and constant comparative analysis, maintaining an audit trail for validation purposes. The study had a constructivist, interactional design and used Goffman's dramaturgical theory as an interpretive framework. Nineteen students participated in individual, semi-structured interviews.

Results: Participants' narratives revealed a preference for sharing emotional experiences away from people who might expect them to uphold formal behaviour. They deliberately decided with whom to share their emotional experiences. Participants had a preference to talk to fellow students working in the same department, or family and friends outside medical school.

Conclusions: Participants found it difficult to uphold behaviours that they thought patients, preceptors or the organisation expected of them as future doctors. In adjusting their behaviour to meet those expectations, they became attuned to how to best present themselves based on the people present. This influenced how they chose which emotional experiences to share with whom.

전통적 강의가 팟캐스트에서 배울 수 있는 것(J Grad Med Educ, 2020)

What Traditional Lectures Can Learn From Podcasts

Holland Kaplan, MD Divya Verma, MD Zaven Sargsyan, MD




대학원 및 학부 의학 교육의 증가 추세는 전통적인 강의의 사용을 최소화하는 것이다.1.2 의과대학들은 강의에서 이탈하여 능동적인 학습 형식으로 전환한다고 광고하고 일부 커리큘럼은 전통 강의를 완전히 삭제한다.1.3 레지던시 프로그램도 플립 교실이나 다른 쌍방향 학습 형식으로 프로그램을 도입하기 시작했다. 6 이러한 전환은 학습자가 원격으로 강의 녹음을 스트리밍하거나 강의에 완전히 불참하는 경향과 더불어 더욱 노력적인 학습의 장점을 입증하여 알려준다.8-10 그러나 어떤 사람들은 역사적 효능, 규모, 효율성, 다양한 사고방식 및 전문지식에 대한 노출 등의 이점을 들어 강의가 여전히 의학교육에서 중요한 자리를 계속 차지할 것이라고 주장한다.11–13

A growing trend in graduate and undergraduate medical education is to minimize the use of traditional lectures.1,2 Medical schools advertise their departure from lectures and transition to active learning formats, with some curricula removing traditional lectures entirely.1,3 Residency programs have also begun to employ flipped classroom and other interactive learning formats.4–6 These transitions are informed by demonstrated merits of more effortful learning,7 as well as the tendency of learners to stream lecture recordings remotely or miss lectures entirely.8–10 However, others argue that lectures continue to hold an important place in medical education, citing benefits such as historical efficacy, scale, efficiency, and exposure to diverse thinking styles and expertise.11–13


팟캐스트 - 일반적으로 연속적으로 할부로 다시 대여되는 다운로드 가능한 오디오 파일이 의료 교육생들 사이에서 인기를 끌고 있다.14,15 

Podcasts—downloadable audio files typically re-leased as installments in a series—have become popular among medical trainees.14,15 


그들의 영향의 한 예로, 응급의학 레지던트 중 356명 중 72%는 팟캐스트가 그들의 임상 관행을'약간' 또는'아주 많이' 바꾸었다고 보고했다.

As one example of their impact, 72% of 356 responding emergency medicine residents reported that podcasts changed their clinical practice either‘‘somewhat’’ or ‘‘very much,’’ although further research is needed to document higher-level outcomes.17,24


팟캐스트와 전통적인 강의는 많은 유사점을 가지고 있다. 강의와 마찬가지로, 팟캐스트는 많은 학습자들에게 일방적으로 전문지식과 의견을 전달하도록 고안된 것처럼 보일 수 있다. 30 팟캐스트 운영자는 청취자들과 대화를 하거나, TBL과 같은 여러 새로운 커리큘럼이 사용하고 있는 전형적인 적극적인 학습 접근법 중 일부를 사용할 수 없다.

Podcasts and traditional lectures have many similarities. Like lectures, podcasts may appear to be designed to unilaterally transfer expertise and opinions to a large group of learners.30 Podcast speakers cannot create dialogue with their listeners or employ some of the typical active learning approaches that many new curricula embrace, such as team-based learning.


팟캐스트는 언제든지 휴대할 수 있고 접근할 수 있으며, 이는 현대 연습생들에게 중요한 것이다.24,31,32 청취자들이 재생을 가속화하고, 그들이 관심 있는 주제를 처리하고 연구하기 위해 잠시 멈추거나, 친숙하거나 덜 관련이 있는 주제를 건너뛸 수 있게 한다. 비동기 재생과 가속 재생의 인기는 강의에서도 입증되었고, 이는 가능한 한 자주 강의 녹음을 제공하는 것이 좋은 방법일 수 있음을 제안한다. 또한 대부분의 팟캐스트는 전통적인 강의보다 짧으며, 팟캐스트에서 선호되는 15분에서 30분 정도의 시간은 일반적인 성인 학습자의 집중력 범위에 해당된다.4,17 기본 1시간 강의 시간을 단축하는 것이 인지 심리학의 원리와 더 잘 부합할 수 있으며, 바쁜 임상 환경에 있는 교육생들에게 실질적인 혜택을 줄 수 있다.

Podcasts are portable and accessible anytime, which is important to modern trainees.24,31,32 They allow listeners to accelerate playback, pause to process and research topics of their interest, or skip topics they find familiar or less relevant. The popularity of asynchronous and accelerated playback has also been documented for lectures,9 suggesting that offering lecture recordings as often as possible may be prudent. Most podcasts are also shorter than traditional lectures, and their preferred length of 15 to 30 minutes corresponds with the typical adult learner’s attention span.4,17 Shortening the default 1- hour duration of lectures would better align with principles of cognitive psychology and may have practical benefits for trainees in busy clinical environments.


많은 팟캐스트는 여러 진행자들 사이에서 전문가 인터뷰와 토론을 채택하고 있다. 첫째, 이 대화 형식은 사실적인 지식 외에도 사고 과정을 공유하는데 도움이 된다. 아마도 더 중요한 것은, 그것은 호스트와 손님들이 농담, 유머, 그리고 성격을 통합함으로써 캐주얼하고 친근한 분위기를 만들 수 있게 한다는 것이다. 교육생들은 팟캐스트의 매력적 특성과 같은 직종의 다른 구성원들과의 유대감을 형성하는 능력을 설명할 때 이러한 특성을 인용했다. 24 이것은 사회문화적 학습 이론의 렌즈를 통해 볼 때 이해할 수 있다. 32 이 이론에서는 사회적 역할과 규범이 학습의 중요한 조절물modulator이다. 만약 팟캐스트를 듣는 것이 친숙한 토크쇼 진행자와 그 분야의 국가 전문가와 친밀한 모임에 참석하는 것처럼 느껴진다면, 이러한 인식된 맥락이 주의력, 신뢰도, 암묵적인 레슨을 받아들이는 경향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팟캐스트 사용이 갖는 사회적 측면은 레지던트가 팟캐스트의 내용을 동료나 감독자와 논의할 때 더욱 힘을 받게 된다.24

Many podcasts employ expert interviews and discussions among multiple hosts. First, this conversational format helps to share thought processes in addition to factual knowledge. Perhaps more importantly, it allows the hosts and guests to create a casual and friendly atmosphere by incorporating banter, humor, and personality. Trainees have cited this characteristic when describing the engaging nature of podcasts and their ability to engender a sense of connectedness with other members of the profession. 24 This is understandable when viewed through the lens of sociocultural learning theory,32 whereby social roles and norms are important modulators of learning. If listening to a podcast feels like attending an intimate gathering with a familiar talk show host and a national expert in the field, this perceived context may positively influence attention, credibility, and the tendency to adopt implicit lessons. The social aspect of using podcasts is further bolstered when residents discuss their content with peers or supervisors after the fact, which occurs often.24


의도적이든 대화적 형식이 낳은 결과든 간에, 팟캐스트는 또한 스토리텔링을 자주 이용한다. 의사소통의 내러티브적 형식은 연대기, 캐릭터, 인과관계를 묘사한다는 점에서 특징적이며, 과학에 대한 의사소통에 효과적이다. 의학 내러티브로부터 배우는 것은 감각 만들기, 공감, 기억력, 실천에 대한 성찰, 직업적 정체성 형성, 질병 스크립트 개발을 촉진하는 것으로 보여졌으며, 심지어 독특한 신경 네트워크의 사용을 수반할 수도 있다. 팟캐스트에서 내러티브가 사용된 것은 오디오 형식이라는 점 외에도, 의사소통 기술, 환자 관점, 실천practice의 도전과 즐거움, 진행자와 게스트의 경험 같은 주제들이 팟캐스트에 자주 포함되었기 때문일 수 있다. 이러한 관점은 동일한 자료를 혼자서 읽을 때 발생하지 않을 수 있지만, 강의에는 포함될 수도 있다.

Whether by intent or as a consequence of the conversational format, podcasts also make frequent use of storytelling. The narrative format of communication is distinguished by its description of chronology, characters, and cause-and-effect, and it is effective in communicating about science.33 Learning from narratives in medicine has been shown to promote sense-making, empathy, memory, reflection on practice, professional identity formation, and illness script development,33–36 and may even entail use of unique neural networks.37 The use of narratives in podcasts may be aided by their audio-only format, as well as the frequent inclusion of topics such as communication skills, patient perspectives, challenges and joys of practice, and experiences of the speakers and their guests. Such perspectives may not be found when reading the same material independently, but can perhaps be incorporated into lectures.


마지막으로, 매체의 본질적인 한계에도 불구하고, 많은 팟캐스트들은 사례나 질문을 둘러싼 논의의 포인트를 회상, 조작 또는 해석하기 위해 청취자에게 재생을 일시 중지하도록 요구하는 [적극적인 학습 전략]을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기술들 중 많은 것들이 (즉흥적인 비판적 사고에서 서술의 사용까지)이미 설명된 바 있고, 강의에서도 사용되어야 한다고 했지만, 더 광범위하고 일관성 있게 적용될 수 있었다.

Finally, despite the inherent limitation of the medium, many podcasts are able to use some active learning strategies, asking the listener to pause playback in order to recall, manipulate, or interpret points of discussion surrounding cases or questions. Many of these techniques—from prompted critical thinking to the use of narratives—have been described and advocated in lectures as well4,5,34 but could be applied more broadly and consistently.


이러한 가설들이 이론적, 경험적 근거를 가지고 있지만, 우리는 어떤 팟캐스트가 인기있거나 효과적인 이유는 이러한 설명한 특정한 특징들이 아니라 사실은 [진행자와 진행자의 실력때문인지]도 고려해봐야 한다.

Although these hypotheses have theoretical and empirical bases, we must also consider whether it is the particular speakers and their overall performances—not the specific features described above—that make certain podcasts popular and effective.


국제 교육 연구자 모임인 METRIQ Study Coorders는 팟캐스트를 포함한 온라인 자원의 특성, 사용 패턴, 교육 품질을 평가하는 도구를 개발해왔다. 이 작업은 위의 가설 중 일부를 명확히 하고 큐레이션 및 향후 개선에 기여할 수 있다.38,39

The METRIQ Study Collaborators, an international group of educational researchers, has been developing tools to evaluate the characteristics, use patterns, and educational quality of online resources, including podcasts. This work may clarify some of the hypotheses above and contribute to curation and future improvements.38,39


언어와 스토리텔링으로부터 배우는 것은 모든 인간이 가지고 있는 내면화된 기술이다. 커리큘럼에 소그룹과 능동적 학습 세션이 추가되는 경향은 바람직하지만, 강의는 여전히 제 역할을 할 것이다.

Learning from speech and storytelling is an inherent human skill. Despite the welcome addition of small group and active-learning sessions to medical curricula, lectures will continue to play a role.



4. Cooper AZ, Richards JB. Lectures for adult learners: breaking old habits in graduate medical education. Am J Med. 2017;130(3):376–381. doi:10.1016/j.amjmed. 2016.11.009.


12. Schmidt HG, Wagener SL, Smeets GACM, Keemink LM, van der Molen HT. On the use and misuse of lectures in higher education. Health Prof Educ. 2015;1(1):12–18. doi:10.1016/j.hpe.2015.11.010.


34. Easton G. How medical teachers use narratives in lectures: a qualitative study. BMC Med Educ. 2016;16(1):3. doi:10.1186/s12909-015-0498-8.


38. The METRIQ Study. The METRIQ Research Agenda. https://metriqstudy.org/research-agenda/. Accessed March 19, 2020. 







. 2020 Jun;12(3):250-253.
 doi: 10.4300/JGME-D-19-00619.1.

What Traditional Lectures Can Learn From Podcasts


의과대학의 어떤 경험이 전문직정체성발달을 시작하게 하는가? (Teach Learn Med, 2018)

What Experiences in Medical School Trigger Professional Identity Development?

Denise Kay, Andrea Berry , and Nicholas A. Coles

Department of Medical Education, University of Central Florida College of Medicine, Orlando, Florida, USA




도입

Introduction


2010년 카네기 재단은 의과대학 교육과정이 학생과 레지던트의 전문직업적 형성professional formation을 위한 지원 학습 환경을 제공할 것을 권고했다.1

The 2010 Carnegie Foundation call for reform of medical education recommended that the medical school curriculum provide a supportive learning environment for professional formation of students and residents.1


단독으로든 여러가지의 조합으로든, 다양한 발달 이론을 적용하여 다양한 관점에서 전문적인 아이덴티티 형성을 탐구하고 PIF를 다양한 방식으로 설명할 수 있다. 어떤 사람들은 그것을 정신사회적인 과정으로 개념화하고, 다른 사람들은 사회화 과정으로, 그리고 다른 사람들은  식별identification의 과정으로 개념화한다. 어떤 사람들은 PIF를 의과대학에서의 경험으로 인한 결과로 설명한다. 예를 들어, 의과대학 입학 첫날의 representation, 임상 기술 훈련 동안의 정체성에 대한 인식, 임상 전 훈련 동안의 자기 성찰, 그리고 죽음에 대한 첫 번째 경험..등

Applying various developmental theories, alone or in combination, these presentations explore professional identity formation from a variety of perspectives and describe PIF in different ways. Some conceptualize it as a psychosocial process, others a socialization process, and still others a process of identification. Others provide more personal accounts of PIF as a result of some component of the medical school experience, such as medical students’ representations of their profession on the 1st day of medical school,13 perceptions of identity during clinical skills training,14 self-reflections during preclinical training,10 and the first experience with death.15


의학 교육자들은 학생들이 의사로서 자기자신의 정체성 발달을 이해할 수 있는 기회를 갖는 교육학적 공간을 만들도록 권장된다.8

Medical educators are encouraged to create the pedagogical space wherein students have an opportunity to understand the development of their own identities as doctors.8


그러나, 이미 빽빽하게 압축된 커리큘럼에서, 커리큘럼은 효율성이 필요하고, 따라서 PIF를 위해 설계된 교육적 개입은 가장 효과적인 타이밍에 배치되어야 한다고 요구받는다. 하지만 그게 도대체 언제인가?

However, in an already compact and compressed curriculum, the need for curricular efficiency demands that educational interventions designed to shape professional identity formation be deployed when they will be most effective. But when is that?


이전 문헌에서는 의대생들에게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충격적 경험들을 강조하고 있다; 

  • 흰 외투 의식, 

  • 사체와의 첫 경험 또는 생살을 자르는 경험, 

  • 처음 성병력를 청취한 경험, 

  • 외상팀을 처음 지휘한 경험, 

  • 사망을 목격하는 경험들. 3,8,12,15 

Previous literature highlights impactful experiences common to medical students; 

  • the white coat ceremony,18 

  • the first experience with a cadaver or with cutting live flesh,8 

  • taking the first sexual history,18 

  • leading a trauma team for the first time,8 or 

  • the first time witnessing death.3,8,12,15 


이러한 첫 번째 경험들은, 때로는 통과의례나 위기로 묘사되는데, 학생들이 생각하고, 알고, 세상을 보는 방식에 영향을 미치는 인지 불연속부cognitive discontinuities를 일으킨다.8 개념 변화 이론에 따르면, 인지 불연속성 또는 인지 불안정성은 개념 변화를 활성화한다.19,20

These firsts, sometimes described as rites of passage18 or crises, introduce cognitive discontinuities that influence the way students think, know, and see their world.8 According to conceptual change theory, cognitive discontinuity or cognitive disequilibrium activates conceptual change.19,20


개념 변화 이론에 따르면, 개념 변화는 개인이 인지적 갈등cognitive conflict을 경험할 때 시작되는데, 이는 피아제가 인지 불안정disequilibrium을 언급한 것과 비슷하다. 피아제트에 따르면, 개인은 자신과 환경 사이의 안정된 상태나 평형을 추구한다. 그 평형이 붕괴되었을 때, 결과의 불안정 상태가 현재 개념의 변화 필요성을 촉발한다.21 피아제의 이론과 개념 변화 이론 모두 인지 평형으로의 회귀가 이루어지는 과정이라는 점에서 맞닿아 있다. 현재 개념화에 대한 최소한의 개념적 재구성(감정 또는 약한 구조조정)이나 유의적인 조직적 재구성(취약 또는 급진적 구조조정)이 필요할 수 있다.19-21 인지불균형이 발생하면, 개인은 논리적이고, 설득력있고, 도움이 되는 새로운 개념화를 채택하여 불안정을 조정한다.19

According to conceptual change theory, conceptual change is initiated when individuals experience cognitive conflict, a phenomenon that Piaget referred to as cognitive disequilibrium. According to Piaget, individuals seek a steady state or equilibrium between themselves and their environment. When that equilibrium is disrupted, the resulting state of disequilibrium triggers the need for a shift in one’s current conceptualization.21 Both Piaget’s and conceptual change theories blend in relationship to the process wherein the return to cognitive equilibrium is attained. It may require minimal conceptual reorganization (assimilation or weak restructuring) or significant reorganization (accommodation or radical restructuring) of the current conceptualization.19–21 When cognitive disequilibrium is introduced, individuals reconcile the disequilibrium by adopting new conceptualizations that are intelligible, plausible, and fruitful.19


우리는 개념 변화 이론이 의과대학에서 의대생의 자기 인식, [즉 전문직으로서 자기자신self-in-profession에 대한 순진한naive 이론이 어떻게 도전받는지]를 이해할 수 있는 가능성을 가지고 있어 자아 인식과 관련된 인지적 구조조정의 필요성을 촉발한다고 믿는다. 현재 문헌에서 언급된 예들은 다양한 수준의 인지불균형을 도입할 수 있지만, 의대생들의 불안정이 도입되었을 때, 그들이 이러한 위기 경험을 어떻게 조화시키는지, 그리고/또는 인지 구조조정이 일어나는지에 대한 논의는 적다. Jarvis-Selinger8은 의과대학에서의 이러한 경험들이 학생들의 PIF에서 "취약할 수 있는 기간vulnerable periods"을 나타낸다고 제안했다.

We believe that conceptual change theory holds promise for understanding how medical students’ self-perceptions, or naїve theories of self-in-profession, are challenged in medical school, thus triggering the need for cognitive restructuring related to perceptions of self. Although examples mentioned in the current literature may introduce varying levels of cognitive disequilibrium, there is less discussion of medical students’ experiences of when disequilibrium is introduced, how they reconcile these crisis experiences, and/or if cognitive restructuring takes place. Jarvis-Selinger8 suggested that these experiences in medical school represent “vulnerable periods” in students’ PIF.


방법

Methods


세팅

Setting


(우리 대학의) 커리큘럼 정책은 수동적 형태의 학습을 제한하기 때문에(40% 미만) 프로그램에서는 최신 기술, 가상 및 표준화된 환자와의 상호작용, 임상 및 실험실 경험, 연구, 촉진자 주도 소그룹 세션, 팀 기반 학습, 대화형 강의 등을 사용하여 학습 환경을 강화한다. 그리고 학생 중심의 학습과 지식의 응용을 강조한다.

Curriculum policies limit passive forms of learning (less than 40%) so the program uses state-of-the-art technology, interactions with virtual and standardized patients, clinical and laboratory experiences, research, facilitator-directed small-group sessions, team-based learning, and interactive didactic lectures to enhance the learning environment and emphasize student-centered learning and application of knowledge.


교육과정(즉, 다양한 교육학적 접근법을 실험하는 새로운 학교)의 잠재적 특수성을 인식하면서, 더 큰 질적 프로젝트를 통해 우리의 의도는 학생들이 다양한 교육적 접근법을 학습을 향상시키기 위해 어떻게 활용하는지 이해하기 위해 학생들의 경험에 대한 광범위한 관점을 얻는 것이었다.다양한 교육 경험들이 어떻게 그들에게 의사처럼 "의사"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했는지도 잘 알고 있다.

Recognizing the potential uniqueness of our curriculum (i.e., a new school experimenting with diverse pedagogical approaches), our intent with the larger qualitative project was to gain as broad a perspective of the students’ experiences as feasible to understand how students utilize the diverse instructional approaches to enhance their learning, as well as how the various educational experiences afforded them opportunities to “feel” like a doctor.


대상

Subjects


일차 자료원

Primary Data Source.


연간 초점 그룹 수는 표 1에 제시되어 있다.

The number of focus groups per year are provided in Table 1.


이차 자료원

Secondary Data Source.


교육과정 4년 동안의 모든 과정과 사무직에 대한 학생 평가의 코멘트는 데이터 감소 및 인터뷰 데이터의 심층 분석 과정에서 파악된 주제를 더욱 심층적으로 탐구하기 위한 2차 데이터 소스로 활용되었다.

Comments from student evaluations for all courses and clerkships across the 4 years of the curriculum were used as a secondary data source to further explore themes identified during data reduction and in-depth analysis of interview data.




자료 분석

Data analysis


질적 분석은 NVivo 10에서 사용할 수 있는 도구를 사용하여 수행되었다. 면접 데이터의 전통적인 정성 분석은 데이터 감소와 내부 코딩이 뒤따르기 전에 면접을 기록해야 하기 때문에 장황하고 번거롭다.

Qualitative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the tools available in NVivo 10. Traditional qualitative analysis of interview data is lengthy and cumbersome as interviews need to be transcribed before data reduction and indepth coding can ensue.


텍스트의 질적 분석을 실시하기 위한 다양한 접근방식이 있지만, 오디오 텍스트의 분석과 관련된 유사한 프로세스를 기술하는 자원은 확인할 수 없었다. 우리는 오디오 데이터 분석을 위한 조직적 프레임워크로서 일반적으로 서면 텍스트와 관련된 기존 내용분석 원칙을 적용하기로 결정했다.

Although there are a variety of approaches for conducting qualitative analysis of text, we were unable to identify any resource that described similar processes related to analysis of audio text. We elected to apply principles of conventional content analysis,25 typically associated with written text, as an organizing framework for analysis of audio data.


모든 저자가 데이터 감소와 분석에 기여했다. 저자들의 관점은 교육심리학(DK), 조직이론과 업무중심 학습평가(AB), 인지 및 영향(NC) 등 다양한 직업적 배경에서 알려진다. 우리는 처음에 확인된 개념에 대한 공통의 이해를 확립하기 위해 함께 또는 짝을 지어 일했다. 이것이 성립되면서 작가들은 독자적으로 활동했다.

All authors contributed to the data reduction and analysis. The authors’ perspectives are informed from diverse professional backgrounds, including educational psychology (DK), organizational theory and work-based learning and assessment (AB), and cognition and affect (NC). We initially worked together or in pairs to establish a shared understanding of the identified concepts. As this was established, authors worked independently.


이론적 및 선택적 코딩23은 많은 수의 참조 출처(높은 수의 초점 그룹/인터뷰)에 걸쳐 표현된 개념에만 적용되었다.

Theoretical and selective coding23 were applied only to those concepts represented across a high number of reference sources (high number of focus groups/interviews).


이론적 코딩

Theoretical Coding:


이론적 코딩은 연구자가 데이터 감소reduction의 초기 단계에서, 동일한 개념(노드 또는 하위 노드)에 할당된 다른 데이터와 비교하여 원래 데이터 소스의 맥락 안에서뿐만 아니라 현재 데이터를 재방문할 수 있게 한다. 이 과정에서 연구자들은 식별된 개념을 더 깊이 이해할 수 있으며, 이 지식을 통해 다른 주제(노드) 또는 하위 주제(하위 노드)와의 관계 및/또는 전체 연구 초점과의 관계에 대한 가설을 세울 수 있다. 이 단계에서는 데이터의 새로운 개념화가 나타나기 시작한다.

Theoretical coding allows the researcher to revisit the data, not just within the context of the original data source but now in comparison to other data assigned to the same concept (node or subnode) during the initial stages of data reduction. In this process, researchers are able to gain a deeper understanding of the identified concept and, with this knowledge, hypothesize about its relationship to other themes (nodes) or subthemes (subnode) and/or about its relationship to the overall research focus. In this stage, new conceptualizations of the data begin to emerge.


표 2에 열거된 카테고리별 이론 코딩을 실시했다. 이 분석 수준 동안 새로운 테마가 나타날 경우 이 범주 내의 데이터는 재할당되었다. 주제가 등장하면서 학생평가의 코멘트를 포함하도록 질의를 확대했다.

We conducted theoretical coding for each category listed in Table 2. Data within these categories were reassigned if new themes emerged during this level of analysis. As themes emerged, we expanded our inquiry to include comments from the student evaluations.


표 3은 이 코딩 프로세스에서 도출된 전문적 아이덴티티 개발과 관련된 새로운 주제를 나열한다.

Table 3 lists the new themes related to professional identity development derived fromthis coding process.


선택적 코딩

Selective coding:


선택적 코딩에서, 연구자들은 분석의 이전 단계에서 식별된 여러 테마를 연결하는 중심 조직 개념을 식별하고 설명하려고 한다. 이러한 핵심 개념은 분석의 초기 단계에서는 분명하지 않을 수 있지만, 이 수준에서는 새로운 방식으로 데이터를 연결하고 조사 중인 현상에 대한 새로운 개념화를 제공한다. 다음에 제공되는 결과는 "개념 변동"과 "인지적 충돌" 범주의 선택적 코딩에서 도출된다.비록 이론적 코딩 중에 분석의 일부 단위가 이 두 범주에 모두 할당되었지만, 이러한 개념들은 9개의 포커스 그룹/인터뷰에서 독립적으로 제시되었다.

In selective coding, researchers seek to identify and elucidate the central organizing concepts that connect multiple themes identified in previous stages of analysis. These core concepts may not be evident in earlier stages of analysis but, at this level, connect the data in new ways and provide a new conceptualization of the phenomenon under investigation. The results provided next derived from selective coding of the categories “conceptual shift” and “cognitive conflicts.”Although some units of analysis were assigned to both of these categories during theoretical coding, these concepts independently presented in nine focus groups/interviews.




결과

Results


개념 변화 이론을 이용하여, 우리의 의도는 인지 불안정이 도입되고 학생들의 현재 자기 자신에 대한 개념화가 도전받는 경험의 본질, 그 경험의 영향, 그리고 가능하면 불안정성이 어떻게 조정되는지를 파악하는 것이었다. 학생들의 경험 중에서 인지불균형을 발생시키고 뒤이어 다음 개인적 신념 및 현재의 자아 개념화의 변화로 이어진 네 가지 기간을 확인했다. 

  • (a) 학부생에서 의대생으로 전환, 

  • (b) 전임상 기간의 임상 경험 

  • (c) 비지니스로서 의료에 노출 

  • (d) 임상현장에서 의사에게 노출되는 경우.

Using conceptual change theory, our intent was to identify the nature of experiences where cognitive disequilibrium was introduced and students’ current conceptualizations of self were challenged, the impact of those experiences and, when possible, how the disequilibrium was reconciled. We identified four periods wherein students’ descriptions of their experiences represented examples of cognitive disequilibrium followed by a shift in their personal beliefs and/or current conceptualizations of self: 

  • (a) transition from undergraduate student to medical student, 

  • (b) clinical experiences in the preclinical years, 

  • (c) exposure to the business of medicine, and 

  • (d) exposure to physicians in clinical practice.


대학생에서 의대생으로 전환

Transition from undergraduate student to medical student


우리는 모두 의대를 파악하여 학생이 된다는 것이 무엇을 의미하는지, 그리고 당신이 하고자 하는 일에 성공한다는 것이 무엇을 의미하는지 좋아하려고 노력하고 있다.(M1 학생)

We’re all trying to figure out medical school and like what it means to be a student and what it means to succeed in what you’re trying to do. (M1 student)


의과대학에 들어가기 전의 생활에 대한 참가자들의 서술은 그들의 "개인적인" 삶과 "학생적인" 삶 사이의 뚜렷한 경계를 강조한다. 학생들은 의과대학에 들어가기 전에 다양한 취미와 관심사를 가지고 있다고 보고했다. 그러나, 많은 참가자들에게 있어서, 의과대학의 요구에 적응한 결과, 그들의 개인 생활과 학생 생활 사이의 경계가 약화되었다. 일부 참가자는 입학 전 삶과의 관계를 어느 정도 유지하고 의대의 요구를 여전히 관리할 수 있었지만, 학생들은 공통적으로 단일한 정체성singular identity으로의 전환이 나타났다고 묘사했다. 예를 들어, 한 학생은 이전에 다양한 학부 사회 생활에도 불구하고 의대생으로서의 그녀의 지위가 이제 그녀에 대한 유일한 흥미거리라고 말했다. 또 다른 학생은 자신의 삶이 이제 공부 중심으로 돌아간다는 사실을 암시하면서 의대의 요구가 "훨씬 더 희박한 모습의 나"(M2 학생)를 만들어냈다고 인정했다.

Participants’ descriptions of their lives prior to medical school highlight a distinct boundary between their “personal” and “student” life. Students reported engaging in diverse hobbies and interests prior to medical school. However, for many participants, the boundary between their personal and student life eroded as a consequence of adapting to the demands of medical school. Although some of the participants were able to maintain some semblance of their previous life and relationships and still manage the demands of medical school, a shift toward a singular identity emerged as a common theme portrayed by students. For example, one student stated that, despite her previously diverse undergraduate social life, her status as a medical student is now the only interesting thing about her. Another student, alluding to the fact that his life now revolves around studying, conceded that the demands of medical school created “a much lamer version of myself” (M2 student).


단일 정체성으로의 자기 이동은 개인적인 관계에도 영향을 미쳤다. 한 학생은 "의대 다니면서는 가족과 보낼 시간이 없다"(M2 학생)고 말했다. 또 다른 학생(M3)은 예비 파트너가 자신의 바쁜 생활방식을 이해하지 못하기 때문에 의과대학에서 연애의 어려움을 설명했다. 결과적으로, 그녀는 외부인과 사귀지 않는 것을 고려했고, 그녀가 차라리 그 직업 내에서 공감하고 친근한 동료들과 어울릴 것이라고 언급했다.

The self-portrayed shift to a singular identity also impacted personal relationships. One student commented that “there is no time for family in medical school” (M2 student). Another student (M3) described the difficulties of dating in medical school, as potential partners do not understand her busy lifestyle. As a result, she considered not dating outsiders, noting she would rather socialize with her empathetic and relatable peers within the profession.


몇몇 학생들은, 사회적 환경에서, 공감과 동정심과 같은 "의사적인" 자질을 보여주지 못했을 때, 가족이나 친구들에게 받은 지적disapproval을 묘사했다. 몇몇 학생들은 학생 의사처럼 행동하지 않는 것이 받아들여질 때가 언제인지를 공개적으로 고민하면서, 그들이 그들의 사적 삶에서 의사로서의 자질을 지키지 못할 경우에 발생한 불협화음을 경험했을 때의 사건을 묘사했다. 예를 들어, 응급 상황에서 의사의 도움을 받기 위한 공고에 응답하지 않은 것에 대해 죄책감을 느꼈을 때를 묘사했다. 비록 아무것도 하지 않은 것은 정당화되었지만, 그 사건들은 학생들의 practice의 범위와 직업적 역량에 관한 인지적 갈등을 유발했고, 그 반응의 여부와 방법을 결정하고 나중에 그들의 반응을 합리화했다.

A few students described the disapproval of family members or friends when, in a social setting, the students failed to demonstrate “doctorly” qualities, such as empathy and compassion. Several students openly contemplated when it is acceptable to not act like a student doctor, describing incidences when they experienced dissonance if they failed to uphold doctorly qualities in their personal lives. For instance, a couple of students shared incidences when they felt guilty for not responding to a public announcement for a doctor’s assistance in an emergency situation. Although the inaction was justified, the events introduced cognitive conflict regarding scope of practice and professional competence for students, in both determining if and how to respond and later rationalizing their responses.


전임상 시기의 임상경험

Clinical experiences in the preclinical years


나에게 있어서, 내가 처음으로 의사처럼 느꼈던 것은, 시험에 도움이 되지 않을 환자에 대한 어떤 것을 찾아봤을 때였다. …저 환자를 마치 내 환자처럼 돌보는 방법에 대해 더 알고 싶어서 그랬어. (M2 학생)

For me, the first time I felt like a doctor was when I looked up something about a patient that wasn’t going to benefit me on the test. …I did it because I wanted to know more about how to take care of that patient as if they were my own. (M2 student)


의대에 입학하는 학생들은 대부분 늘 시험을 잘 봐왔다. 실제로, 시험을 잘 보는 능력은 일부 학생들이 자신의 성취도, 자신의 정체성을 어떻게 정의하는지에 대한 결정적인 특징이 될 수 있다. 의과대학에서 시험을 잘 치르려는 기대는 줄어들지 않으며, 사실, 학생들이 방금 설명한 단일한 정체성으로 전환하도록 유발하는 긴장을 도입할 수 있다. 많은 학생들이 시험에 대해 매우 상세하게 토론했고, 어떤 학생들은 그로 인한 스트레스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했으며, 다른 학생들은 다양한 학습 접근법과 팁에 대해 토론했다. 그러나 이 분석에서 공통적인 주제는 학생들이 전임상 시기에 preceptorship이나 임상 경험을 통해 환자에 노출되었을 때 공부에 대한 동기부여가 변화한다는 보고였다. 시험을 잘 봐야 한다는 압박감이 환자들에게 좋은 보살핌을 제공하기 위해 좋은 성적을 내고 싶다는 욕구로 바뀌었다.

Students who get into medical school have a history of performing well on tests. Indeed, the ability to perform well on tests may be the defining feature for how some students define their own achievement, their own identity. The expectation to perform well on tests doesn’t diminish in medical school and can, in fact, introduce the tension that triggers students transition to the singular identity just described. Many students discussed exams in great detail, some elaborating on the resulting stress and others discussing various study approaches and tips. However, a common theme in this analysis was students’ report of a shift in their motivation for studying when they were exposed to patients through preceptorships and clinical experiences in the preclinical years. The pressure to perform well on exams shifted to a desire to perform well in order to provide good care for patients.


일부 학생들은 [다른 사람들이 임상 환경에서 어떻게 그들을 인지하였는지] 또는 [그들이 공공장소에서 처음으로 흰색 가운을 입었을 때 변화가 어땠는지]를 설명했다.

Some students described a shift in how others perceived them in the clinical setting or when they wore their white coat for the first time in public.


[임상 전 교사와 관련하여] 그렇지만, 내가 말해야 할 것은, 개인 클리닉에 들어가는 공공장소에서 흰 가운을 입은 것은 처음이었고, 그것은 매우 이상한 경험이었다. …나에 대해 뭔가 달라졌어.(M1학생)

[In reference to preclinical preceptorship] I have to say though, that was my first time ever wearing like a white coat in public going into a private clinic, and it was a very strange experience. … Something’s changed about me. (M1 student)


비지니스로서 의료에 대한 노출

Exposure to the business of medicine


전문직을 벗어난 바깥에서의 생활이 어떤 모습인지에 대한 측면은 … 개인실습에 있는지 아니면 사업을 경영하는지를 결정하는데, 단지 처음 2년 동안은 실제로 현장에서 일하기 전에는 정말 느낄 수 없는 의료업의 다른 미묘한 측면들이다. (M3학생)

The aspects of what life is like outside of the profession … decide if you’re in private practice or running a business, just all of the other kinda subtle aspects of the medical profession that you don’t really consider in the first two years …that you can’t really appreciate until you’re actually working in the field on a daily basis. (M3 student)


많은 학생들이 공평하고 환자 중심적인 치료가 건강관리의 일차적인 목표라고 믿고 환자 지향적인 태도로 의대에 입학한다. 그러나 학생들이 전임상 교과에서 임상 교과로 옮겨감에 따라 새로운 도전을 경험하고 환자와 높은 수준의 자율성을 부여받는 의학 문화에 몰입하게 되며, 의료진에서 자신의 역할을 탐색해야 한다. 학생들은 임상 경험을 통해 "의학 사업"에 노출되면서, 많은 사람들은 환자 치료가 시간 제약적이고 제거되기 때문에, 전문직으로서 자신의 역할에 대한 인식에 영향을 미친다고 관찰했다. 한 학생은 자신의 의대 시절이 환자(M4)와 함께 상당한 시간을 보낼 수 있는 마지막 시기라고 설명했다.

Many students enter medical school with a patient-oriented attitude, believing that equitable, patient-centered care is the primary goal of healthcare. However, as students move from the preclinical to clinical curriculum, they are immersed in the culture of medicine, where they experience new challenges, are given a higher degree of autonomy with patients, and must navigate their role on the medical team. As our participants were exposed to the “business of medicine” through clinical experiences, many observed that patient care was time-restrained and somewhat removed, thus impacting perceptions of their role in the profession. One student described her medical school years as the last time she will be able to spend a substantial amount of time with patients (M4).


시간 제약이 있는 환자 관계를 이해하는 것 외에도, 학생들은 또한 진단과 치료에서 사회 경제적 지위가 상당히 그리고 자주 (불평등한) 역할을 수행한다는 것에 노출되었다. 좀 더 구체적으로, 학생들은 [개인클리닉에서의 이익 요구]와 [병원의 높은 생산성 요구]는 종종 의사들이 환자와 함께 보낼 수 있는 시간의 양을 제한한다는 것을 깨닫게 되었다. 인지불균형은 학생들이 의약에 대한 관심을 자극한 모집단에 돌봄 수준을 제공할 수 없을 가능성을 인식함에 따라 도입되어, 그들이 의료를 어떻게, 어떤 조건에서 할 것인지에 대해 성찰하게 되었다.

In addition to understanding the time-restrained patient relationship, students were also exposed to the large and often unequitable role that socioeconomic status played in diagnosis and treatment. More specifically, students came to realize that profit demands in private practice and high productivity demands in hospitals often limit the amount of time physicians may spend with patients. Cognitive disequilibrium was introduced as students recognized the possibility that they may be unable to provide the level of care to the population that motivated their interest in medicine, prompting them to reflect on how they would practice medicine and under what conditions.


어떤 학생들은 환자 진료가 제약받는다는 것을 깨달으면서 직업적 선택에 대한 의구심이 갖게 되었고, 어떤 학생들은 그들의 레지던트 선택이 환자와 더 많은 시간을 보낼 수 있거나 의료 기록 업무가 덜 한 전공과를 선호하는 것으로 영향을 받았다.

For some, the realization of constrained patient care created doubt over professional choice, and some students reported that their residency choice was influenced by preferences to specialties where they could spend more time with patients or that required less medical record keeping.


의료 실무에서 의사에게 노출됨

Exposure to physicians in clinical practice


내가 의학에 입문했을 때 나는 의사가 사회의 기둥이어야 한다고 생각하고 있었다…. 매우 정직한 시민들과 나는 많은 의사들이 환자 앞에서 좋은 모습을 보여주는 것을 아주 잘 한다고 생각한다. 하지만, 뒤에서, 나는 이 의사들이 서로에게 얼마나 고약할 수 있는지에 놀랐다. 그리고 앞으로, 내가 찾을 무언가가 있을 것이라고 생각한다.너도 알다시피, 내 직업 배경은 사람들이 서로 잘 대해주는 곳으로 가는 거야. (M3 학생)

When I came into medicine I was thinking that doctors should be pillars of society … very upstanding citizens and I think a lot of doctors do a very good job of putting on that face in front of the patient, but behind the scenes, I was surprised at how nasty these physicians can be to one another, and I think going forward, something I’ll look forward in, you know, my career setting is to really hone in on that and make sure I’m going to a place where people treat each other well. (M3 student)


학생들은 의사가 된다는 것이 무엇을 의미하는지 선입견을 가지고 의대에 입학한다. 많은 학생들이 의사들에 대한 인식을 높은 수준의 임상적 역량과 숙련도를 가진 사회의 우호적인 기둥으로 묘사하면서 그들의 초기 지나치게 낙관적이거나 비현실적인 믿음을 공유했다. 그러나, 임상 전 학위, 사무원, 필수 연구 프로젝트에서 의료 전문가에 노출됨으로써, 이전에 가지고 있던 이러한 신념에 인지적 변화가 있었다. 예를 들어, 일부 의료 환경에서는 부정적인 측면이 만연했다. 많은 의사나 레지던트는 멘토링에 거의 관심이 없었고, 뒤에서는 거칠게 행동했다. 이러한 학생들에게, 이러한 노출은 인지적 불안정성을 만들어내, 일부 학생들이 자신의 전문적 선택과 자신이 되고 싶은 의사 유형에 대해 생각하게끔 했다.

Students enter medical school with preconceived notions about what it means to be a doctor. Many students shared their initial overly optimistic or unrealistic beliefs, describing their perceptions of doctors as friendly pillars of society with high levels of clinical competence and proficiency. However, through exposure to medical professionals in preclinical preceptorships, clerkships, and required research projects, there was a cognitive shift in these previously held beliefs. For example, in some medical environments, negativity was pervasive; many doctors or residents possessed little interest in mentoring and/or behaved crudely behind the scenes. For these students, this exposure created cognitive disequilibrium, priming some students to reflect on their specialty choice and the type of physician they want to become.


그 교사는 환자에게 매우 무례하고 동정심이 없는 사람이었다. 이것은 정말 보기 어려웠으며 불행한 일이다. (M3학생)

The preceptor was very rude and not compassionate (at all) to the patient—this was really hard for me to watch and is unfortunate. (M3 student)


직업적 정체성의 관점에서, 학생들의 정체성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변화하며, 그들은 결국 의사로서 식별해야 한다. 우리의 자료는 이 과정이 그들의 의대 경험 동안 진행되고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그러나 예상대로 자신이 유능한 의사라고 완전히 밝힌 학생은 없었다.

From a professional identity perspective, students’ identities do shift over time, and they should eventually identify as physicians. Our data demonstrate that this process is under way during their medical school experiences. However, as expected, no student fully identified himself or herself as a competent physician.


난 여전히 사람들이 나를 "의사"라고 부를 때 항상 사람들에게 나는 의사가 아니라고 바로잡는다. 왜냐하면, 난, 아직, 내가 의사가 되어야 한다고 생각하거나, 그 정도의 책임이 주어지거나, 그런 식으로 보여지지 않기 때문이다. 그들이 잘못된 인상을 받는 것을 원하지 않기 때문이다. (M3 학생)

I still always correct people when they call me “doctor” because I don’t, uh, feel like I amor should be a doctor or given that level of responsibility yet or be looked at that way… definitely don’t want them to have the wrong impression. (M3 student)


고찰

Discussion


임상치료에 대한 조기노출이 의대생의 진단능력, 문제해결력, 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문서화했다.26–28 우리의 결과는 환자 치료에 대한 조기 접근은 추가적인 이점을 제공하며, 잠재적으로 [시험을 잘 보기 위한 동기]를 [환자를 잘 보려는 동기]로 변화시킬 수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 같은 연습(공부)과 코스 내용 및 문헌(전문적 지식과 도구)은 여전히 사용되고 있지만, 목적이 달라지는 것이다. 우리는 이것이 개념적 변화conceptual shift의 증거이며 긍정적인 개념적 변화의 증거라고 주장한다.

The influence of early exposure to clinical care on medical students’ diagnosis skills, problem solving, and attitudes have been documented.26–28 Our results suggest that early access to patient care provides additional benefits, potentially shifting students’ motivation to perform well on exams to performing well in order to provide good patient care. The same practice (studying) and course content and literature (professional knowledge and tools) are still used, but for a different purpose. We contend this is evidence of a conceptual shift and is evidence of positive conceptual change.


[학부생]에서 [의대생]으로 전환하면서 촉발된 불안정성은 학생들로 하여금 이전에 다면적 정체성을 가지고 있던 사람으로 인식했던 자신을 단일한 정체성을 가진 것으로 인식하게끔 변화를 가져왔다. 흥미롭게도, 우리는 학생들이 이 의과대학에서 그들의 [첫 전공 시험을 보는 바로 그 시점]이 이러한 변화의 모멘텀의 최고점이 아닌가 의심한다. 성과 면에서는 보람이 있지만, 이러한 변화는 자기 자신뿐만 아니라 학생들이 이전에 누렸던 활동과 관계의 손실을 나타낼 수 있다. 비록 우리 참가자 중 몇몇이 예전 자신의 일부 버전을 계속 유지했지만, 우리의 결과는 의사가 되는 과정에서 주어진 새로운 요구들에 대한 실질적인 대응의 결과, 학생들은 singular identity로 기능한다는 것을 암시한다. 의과대학의 매력적인 지원자로 만들었던 바로 그 특성들이 [다면적 정체성]에서 [단일한 정체성]으로의 전환 속에서 억압되고 있는 듯 하다.

The disequilibrium triggered via the transition from undergraduate student to medical student resulted in a shift in how students perceived themselves, previously with a multifaceted identity to now, a singular identity. Of interest, we suspect that the momentum of this shift is in full swing just about the time students take their first major exam at this medical school. Although fruitful in terms of performance, this shift can represent a loss not only of self but of the activities and relationships that students previously enjoyed. Although a few of our participants continued to maintain some version of their former self, our results suggest that students primarily function from a singular identity as a practical response to the challenging new demands of becoming a doctor. We wonder if the very characteristics that made the student an attractive candidate for medical school are suppressed in the shift from multifaceted to a singular identity.


핀레이(Finlay)와 파지29(p92)는 의대 경험 보고서에서 "의대를 졸업할 때가 되었을 때, 우리는 입학했던 때와 많이 달라져 있었다. …의학적 역할에 맞게 적응하고, 집단으로서 점점 고립되어 가는 등, 많은 플레어는 가라앉았다." Beagan30은 또한 이러한 경향을 포착했고, 인터뷰한 의대생들의 44%가 때때로 그들이 누구와 연결touch을 잃었다고 느낀다고 말했다고 보도했다. 이러한 가능성을 감안할 때, 우리는 (이 때가) 학생들의 직업적 정체성 발달에 있어 취약한 시기라고 본다. 우리는 이러한 변화의 누적된 영향에 대해 거의 알지 못하며, 조정되지 않은 자아 상실이 시간이 지남에 따라 부적응적 기능을 위한 촉진적 사건으로 작용할 가능성이 있는지에 대해 의문을 제기한다.

In their own report of the medical school experience, Finlay and Fawzy29(p92) noted, “Leaving medical school, we are different from how we were on entering. …Much flair has been subdued, as we have adapted to fit the medical role and become increasingly isolated as a group.” Beagan30 captured this trend as well, reporting that 44% of medical students interviewed indicated they sometimes felt they’d lost touch with who they were. Given this possibility, we see this as a vulnerable period in students’ professional identity development. We know little about the cumulative impact of this shift and question whether unreconciled loss of self has the potential to serve as a precipitating event for maladaptive functioning over time.


우리가 확인한 전문적 정체성 발달과 관련된 인지적 불안정성에 대한 검토에서, 우리는 실제 의료현장에 노출되었을 때 발생하는 불안정성에 대해 가장 우려하고 있다심지어 의사가 되는 것이 의미하는 것에 대한 학생들의 신념을 소유하는 것 조차도 의대에 입학하면서 잘못된 정보를 얻을 수 있다. 그들의 나이브 이론과의 갭("좋은 의사"가 되는 것이 무엇을 의미하는지 정규 교과과정에서 가르치고 강화하려는 것, vs 그들이 임상 환경에서 숨겨진 커리큘럼으로 관찰하고 경험하는 것으로 알려진 것)은 불안unsettling하다. 참여자들이 "의학의 비지니스"이라고 언급한 것에 대한 노출의 영향과 환자 중심적인 상태를 유지하는 우리의 목표의 균형을 맞추는 것은 임상 전 및 임상 교육자들 모두에게 중요한 과제인 것 같다.

In review of the cognitive disequilibrium related to professional identity development that we identified, we are most concerned about the disequilibrium introduced upon exposure to the actual practice of medicine. Even owning that students’ beliefs about what it means to be a physician are likely ill-informed upon entering medical school, the gap between their na€ıve theories, what we attempt to teach and reinforce in the formal curriculum about what being a “good doctor” means, and what they reportedly observe and experience as hidden curriculum in clinical settings is unsettling. Balancing the impact of exposure to what our participants referred to as the “business of medicine” and our goal of remaining patient centered seems a critical task for both preclinical and clinical educators.


부정적인 역할 모델은 학생들의 전문적 발전에 강력한 영향을 미칠 수 있다.33–35 의료 교육에서 이것은 새로운 것이 아니다.31 여전히, 의료계가 "더 잘 알아야 한다"고 가정함에도 불구하고, 학생들은 자신의 가치관과 대립되는 환자에 대한 학대 및 치료의 발생을 계속 보고한다.34

negative role models can have a powerful impact on students’ professional development.33–35 This is not a new concern within medical education.31 Still, despite the assumption that the medical community should “know better,” students continue to report incidences of mistreatment and/or treatment of patients that is at odds with their values.34


학생들에게 미치는 영향의 측면에서 우리가 확인한 네 가지 경험 중 세 가지 공통 주제는 "상실"이다: 

  • 자아의 상실, 

  • 환자 치료에 대한 순진한 신념의 상실

  • 의사가 되는 것이 의미하는 바가 무엇인가에 대한 순진한 신념의 상실이다

The common theme, in terms of impact on students, for three of the four experiences we identified is “loss”: 

  • loss of self, 

  • loss of naive beliefs about patient care, and 

  • loss of naive beliefs of what it means to be a doctor. 


이러한 상실은 (이미 높은 수준의 스트레스가 존재하는) 교육과정 전반에 걸쳐 새로운 요구와 도전을 성공적으로 관리해야 하는 필요성과 맞물리게 된다. 이러한 [연속적인 사건이 학생에게 미치는 누적적인 영향]은 [의대 경험과 주관적인 자아 의식 사이의 합리적인 균형]을 회복하거나 유지하기 위해 학생들이 채택하는 메커니즘에 따라 좌우될 가능성이 높다.

This loss is experienced contiguous with the need to successfully manage the new demands and challenges across the curriculum, demands already associated with high levels of stress. The cumulative impact of these contiguous events on students is likely dependent on the mechanisms students adopt in order to restore or maintain reasonable equilibrium between their experience of medical school and their subjective sense of self.


의사가 되는 길은 어렵고 인지적 구조조정이 필요한데, 무엇인가를 아는 것뿐만 아니라, [그 과정에서 자신을 어떻게 인지하는지]에 대해서도 더 깊이 연관되어 있다. 우리는 학생들의 주관적인 자기 직업 의식과 관련하여 인지적 불안정성을 초래한 네 가지 일반적인 경험을 확인했다. 이러한 경험들이 의과대학에서 적응적 직업 정체성 형성을 위해 특히 취약한 시기를 나타낸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이 시기는, 학생들이 "자신"에 대한 개인적 개념을 형성하고, 전문직에 대한 신념을 형성하는 데 의미 있는 교육 개입을 배치할 수 있는 기회가 될 것이다.

The path to becoming a doctor is difficult and requires cognitive restructuring, not only related to what one knows but, at a deeper level, to how one perceives himself or herself in that process. We identified four common experiences that introduced cognitive disequilibrium in relationship to students’ subjective sense of self-in-profession. We suggest that these experiences represent particularly vulnerable periods for adaptive professional identity formation in medical school and thus represent high yield opportunities to deploy meaningful educational interventions designed to shape students’ personal conceptualizations of “self” within, and their beliefs about, their chosen profession.


한계

Limitations


Appendix

Example of questions asked in semistructured focus group/interviews with M1 and M2 students

1. What “nonscheduled” learning tasks did you engage in this week?

2. How did or will you link the scheduled learning tasks to your own study time?

3. What aspects of the curriculum this week do you believe provided the most “bang for your buck” in terms of your own learning or development? Why?

4. Did you experience anything this week that challenged or shaped your current attitudes and beliefs about any aspect of the medical profession?

5. Did you experience anything this week that made you feel like a “doctor” or that shaped your sense

of identity as a novice physician?


Example of questions asked in semistructured focus group/interviews with M3 and M4 students

1. Think about the first time in your training that you began to feel like a “doctor”—Can you connect any part(s) of the medical school curriculum, learning activities or your own approaches to learning to that sense of your own professional identity?

2. What events or types of events during your medical program so far have had the most impact on your attitudes about the medical profession?

3. What “aha” moments have you experienced during medical school?

4. Do you think people’s perceptions of you have changed as you’ve gone through medical school? How has that affected you?

5. What aspects of the medical school curriculum do you believe provided the most “bang for your buck” in terms of your own learning or development?Why?

6. What is the role of lecture in the 21st-century medical school?







. Jan-Mar 2019;31(1):17-25.
 doi: 10.1080/10401334.2018.1444487. Epub 2018 Apr 2.

What Experiences in Medical School Trigger Professional Identity Development?

Affiliations 

Affiliation

  • 1a Department of Medical Education , University of Central Florida College of Medicine , Orlando , Florida , USA.

Abstract

Phenomenon: This qualitative inquiry used conceptual change theory as a theoretical lens to illuminate experiences in medical school that trigger professional identity formation. According to conceptual change theory, changes in personal conceptualizations are initiated when cognitive disequilibrium is introduced. We sought to identify the experiences that trigger cognitive disequilibrium and to subsequently describe students' perceptions of self-in-profession prior to the experience; the nature of the experience; and, when applicable, the outcomes of the experience. Approach: This article summarizes findings from portions of data collected in a larger qualitative study conducted at a new medical school in the United States that utilizes diverse pedagogies and experiences to develop student knowledge, clinical skills, attitudes, and dispositions. Primary data sources included focus groups and individual interviews with students across the 4 years of the curriculum (audio data). Secondary data included students' comments from course and end-of-year evaluations for the 2013-2017 classes (text data). Data treatment tools available in robust qualitative software, NVivo 10, were utilized to expedite coding of both audio and text data. Content analysis was adopted as the analysis method for both audio and text data. Findings: We identified four experiences that triggered cognitive disequilibrium in relationship to students' perceptions of self-in-profession: (a) transition from undergraduate student to medical student, (b) clinical experiences in the preclinical years, (c) exposure to the business of medicine, and (d) exposure to physicians in clinical practice. Insights: We believe these experiences represent vulnerable periods of professional identity formation during medical school. Educators interested in purposefully shaping curriculum to encourage adaptive professional identity development during medical school may find it useful to integrate educational interventions that assist students with navigating the disequilibrium that is introduced during these periods.

Keywords: cognitive disequilibrium; conceptual change; professional identity.


당신은 누구이고, 무엇이 되고싶은가? 전문직 정체성 발달의 주요 고려사항(Med J Aust, 2018)

Who are you and who do you want to be? Key considerations in developing professional identities in medicine



의학에서는 전문직업적 정체성이 가장 중요하다. 그것들은 전문성의 초석이며, 우리가 일하는 곳에서 윤리적 프레임워크를 우리에게 제공한다.1 

  • 예를 들어, 의사로서의 강한 전문적 정체성을 갖는 것은 당신이 당신의 가치와 그것들이 규정된 가치들(예: 전문성 행동 강령)과 어떻게 관련되는지, 그리고 환자와 동료들의 가치관을 고려할 수 있게 해준다.2 

  • 게다가, 강한 직업적 정체성을 소유하는 것은 자신감을 기를 수 있고, 협력적인 리더십 스타일을 배양하고 웰빙을 발전시킬 수 있다.3 

  • 반대로, 전문적 정체성이 강했을 때, 부정적인 결과(부정적인 직장 행동, 팀워크 불량, 환자와 의사결정을 공유하기 위한 도전, 계층적 리더십 스타일 등)로도 이어질 수 있으며, 이는 환자 안전 위협으로 이어질 수 있다.4

 Professional identities are of utmost importance in medicine. They are the cornerstone of professionalism, providing us with ethical frameworks within which we work.1 For example, having a strong professional identity as a doctor enables you to consider your values and how they relate to those prescribed (eg, professionalism codes of conduct), and to patients’ and colleagues’ values.2 Furthermore, possessing a strong professional identity can foster confidence (both in yourself, and others in you), cultivate collaborative leadership styles and develop wellbeing.3 Conversely, having strong professional identities can lead to negative outcomes —including negative workplace behaviour, poor teamwork, challenges to shared decision making with patients, and hierarchical leadership styles — resulting in patient safety threats.4


정체성의 개념은 다양하게 구성되었다.1 본질적으로, 우리의 정체성은 언어, 옷, 그리고 일상적인 행동을 통해 발휘되는 우리가 누구인지에 대한 주관적인 감정이다. 우리는 다른 사람들과 관련하여 우리 자신의 다른 측면과 연결되는 많은 정체성을 가지고 있다. 실제로, 우리는 gendered, family, professional 및 national을 포함한 다양한 종류의 사회적 정체성을 가지고 있다.1,5

The concept of identities has been variously constructed.1 In essence, our identities are subjective feelings of who we are and who we might be that are played out through language, clothes and everyday behaviour. We have many identities linking to different aspects of ourselves in relation to others (hence, social identities).5 Indeed, we have different types of social identities, including gendered, familial, professional and national.1,5


전문직업적 정체성professional identity은 [우리의 전문직과 관련하여 우리의 속성, 신념, 가치관, 동기, 경험에 근거하여 우리 자신을 전문직으로서 인식하는 방식]으로 정의되어 왔다. 다시 말하지만, 이것들은 여러 가지가 될 수 있다: 아마도 당신은 임상 교사, 연구자, 그리고 의사일 것이다. 그것은 모두 "적합도fit"에 관한 것이다: 한 사람이 전문직업적 정체성을 취하는take on 정도는 그 특정 그룹 내에서 적합성fit에 대한 그 사람의 인식에 달려 있다. 1,5

Professional identities have been defined as how we perceive ourselves as professionals based on our attributes, beliefs, values, motives and experiences in relation to our profession. Again, these can be multiple: perhaps you are a clinical teacher, a researcher and a physician? It is all about “fit”: the extent to which we take on a professional identity depends on our perception of fit within that particular group.1,5


개인 및 직업적 정체성은 분리되어 있지 않다.6 때로는 하나의 정체성이 전면에 배치되는 반면 다른 정체성은 배경화된다.7 이러한 전경과 배경은 맥락에 따라 달라진다: 사회 모임에서 당신은 당신의 더 넓은 의사 정체성과 더 많은 것을 동일시할 수 있다; 의학교육 컨퍼런스에서 당신은 당신의 임상 감독자 정체성과 더 많은 것을 동일시할 수 있다.

Our personal and professional identities are not separate.6 Sometimes identities are foregrounded while others are backgrounded.7 This foregrounding and backgrounding depends on context: at a social gathering outside work, you might identify more with your broader doctor identity; at a medical education conference, you might identify more with your clinical supervisor identity (overlapping with, but extending beyond, your doctor identity).


그러나 이 전경과 배경은 복잡할 수 있다. 이러한 서로 다른 상호관계는 다른 시기에 채택될 수도 있고 다른 감정 상태와 함께 채택될 수도 있으며, 사회적 상호작용에 매우 다른 결과를 가져올 수도 있다.1,7 예를 들어 가상의 앤을 상상해보라. 앤은 아시아의 여성 외과 교육자로 알려져 있다

  • 앤의 정체성이 하나의 복합적인 정체성으로 교차한다면, 그녀는 다른 모든 아시아 여성 수술 교육자(그녀의 소위 그룹 내)들과 동일시하고 다른 사람들(아웃 그룹)들과 차별화 될 것이다. 

  • 만약 그녀의 신분이 위계적이고, 외과의사의 정체성이 지배적이라면면, 그녀는 다른 외과의들을 그녀의 그룹 내(즉, 그룹 내 확대)로 동일시할 것이다. 

  • 만약 앤의 정체성이 구획화되어있다면, 그것들은 맥락에 따라 구체화된다. 예를 들어, 성희롱 상황에서 여성의 정체성이 활성화된다면, 그녀는 다른 여성들과 함께 자신의 집단 내에서 동일시하게 될 것이다. 

  • 마지막으로 자신의 정체성이 융합된다면, 여성들과 아시아인, 외과의사와 교육자들을 그룹 내(가장 포용적인 범주)로 보게 된다

But this foregrounding and backgrounding can be complex. These different interrelations can be adopted at different times or with different emotional states, and can have very different consequences for social interaction.1,7 For example, imagine fictitious Anne. Anne identifies as a female Asian surgical educator. 

  • If Anne’s identities intersect into a single compound identity, she will identify with all other female Asian surgical educators (her so-called in-group) and differentiate herself from others (out-groups). 

  • If her identities are hierarchical, and her surgeon identity dominates, she will identify other surgeons as her in-group(thus broadening her in-group). 

  • If Anne’s identities are compartmentalised, they become context specific. If, for example, her female identity is activated during sexual harassment situations, she will identify with other women as her in-group. 

  • Finally, if her identities merge, she will see females and Asians and surgeons and educators as her in-group (the most inclusive category). 


내집단과 외집단의 포괄성의 정도는 의학적인 맥락에서 중요하다: 그것은 전문가 간의 팀워크와 의사-환자 관계와 같은 측면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The degree of inclusivity of in- and out-groups is important in medical contexts: it can influence aspects such as interprofessional teamwork and doctor-patient relationships.


이것은 우리에게 다음과 같은 질문을 하게 한다: 전문직업적 정체성은 어떻게 형성되는가?

This brings us to the question: how are professional identities formed?


정체성은 사회화의 과정을 통해 형성된다.1 우리가 개인이면서, 동시에 우리는 또한 여러 집단 세계의 일부분이다. 우리의 사고 방식과 행동 방식(이것이 우리 자신과 경험을 이해하는 방법이다)은 우리가 가진 관계와 제도적 구조와 문화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 그러므로 자기-정체화self-identification의 과정을 통해 우리의 정체성은 우리가 사회세계를 고민하면서 매일매일 형성되고 재편된다. 이 프로세스를 통해 내그룹을 식별하고, 외그룹과 차별화하며, 모방하거나 거부할 역할 모델을 찾는다.

Identities are formed through the process of socialisation.1 While we are individuals, we are also part of multiple collective worlds. Our ways of thinking and behaving — through which we make sense of ourselves and our experiences —are influenced by the relationships wehave and by institutional structures and cultures. Thus, through a process of self-identification, our identities are shaped and reshaped everyday as we contemplate our social worlds. Through this process, we identify with in groups, and differentiate ourselves from out-groups, looking for role models to either emulate or reject.1 


우리의 옷, 언어, 가치관, 행동은 모두 우리가 투영하고자 하는 정체성을 반영한다.8 우리가 정체성을 개발하기 시작하면서, 그것은 처음에는 어색하고 의식적인 노력으로 약간 불편한 새로운 신발 한 켤레처럼 느껴질지도 모른다. 하지만 결국, 그 신발들은 부드러워지고 우리 발에 맞게 된다; 우리는 더 이상 그들에게 다시 생각할 필요가 없다. 신발과 마찬가지로, 우리의 정체성은 우리의 일부가 된다.9

Our clothes, language, values and behaviour all reflect the identity we wish to project.8 As we begin to develop an identity, it may initially feel like a new pair of shoes, slightly uncomfortable, with walking an awkward, conscious effort. But eventually, those shoes soften and mould to our feet; we no longer give them a second thought. As with the shoes, our identity becomes part of who we are.9


전문적 정체성을 개발하는 것은 목적지가 끊임없이 변화하는, 도전적인 우여곡절이 있는, 그리고 때로는 닥쳐올 위험이 앞에 놓인 일련의 여행처럼 느껴질 수 있다.

Developing professional identities can feel like a series of (seemingly never-ending) journeys with ever-shifting destinations, challenging twists, turns and, occasionally, dangers ahead.


  • 어떤 개인은 앞으로 나아가지 못하거나, 나아가기를 꺼려하며 여행의 벼랑 끝에 서 있다. 이 경우, 의사가 되려는 동기는 아마도 외부적으로 정의되어 있을 것이다(예: 가족의 기대)

  • 어떤 사람들은 그들의 여행을 열정적으로 시작하지만, 나중에 환멸을 느끼게 된다. 예를 들어, 그들은 정체성의 부조화를 경험할 수 있다. 그들은 발전하는 직업적 정체성과 기존의 개인적 정체성을 연관시키기 위해 애쓴다. 특히 그들의 개인적 정체성(예: 성별, 민족성)이 의료계나 그들이 선택한 전문분야에서 부족하게 표현되는 경우 더욱 그렇다;10 다시 강조하지만, 정체성은 적합성fit의 문제이다.

Some individuals stand at the brink of their journeys, unable or reluctant to move forward. Their motivation to become a doctor is perhaps externally defined (eg, family expectations). Others begin their journeys enthusiastically, only to become disillusioned later. They may, for example, experience identity dissonance. They struggle to relate their developing professional identities with existing personal identities —particularly when their personal identities (eg, gender, ethnicity) are underrepresented in the medical profession or in their chosen specialties;10 remember, it is about fit.1,5


일부 개인은 의료 교육에서 상충하는 가치를 이해하려고 애쓴다. 예를 들어, 다양성 표준화를 들 수 있다.11

Some individuals struggle to make sense of competing values in medical education; for example, the value of diversity versus the standardisation of medical graduates.11


어떤 사람들은 개인 정체성(예: 감정이입적이고 동정심이 많은 인간)과 전문직업적 정체성(예: 객관적이고 고립된 전문가) 사이의 부러진 곳에서 정체성의 부조화를 경험한다.12

Others experience identity dissonance through fractures between personal (eg, being empathic, compassionate humans) and professional (eg, being objective, detached experts) identities.12


그리고 어떤 이들은 직업적 딜레마를 경험할 때 환멸을 느끼게 된다(예: 직업적 전문성이 실추되는 것을 목격하거나 참여함으로써) 때로는 도덕적으로 의심스러운 행동과 도덕적 정체성 사이의 불협화음을 경험하게 된다.2

And some become disenchanted when experiencing professionalism dilemmas (eg, witnessing or participating in workplace professionalism lapses), leading them to experience dissonance between their sometimes morally dubious actions and their moral identities.2


마지막으로 적절한 직업적 정체성이 형성되더라도 다음과 같은 특정 상황에서 위협을 받을 수 있다. 

  • 의사와 환자의 관계 변화(예: 의사의 권위를 위협하는 행위) 

  • 환자 불만 사항 상황, 

  • 형편없는 언론 보도, 

  • 부정적인 정형화된 라벨의 사용 

  • 역할 및 책임의 변화(예: 전문가의 경계를 모호하게 함) 

  • 드레스 코드 제거(예: 흰색 코트) 

  • 규제 프로세스(예: 재검증) 

  • 근로 시간 제한(전통적인 통과의례 위협)13

Finally, even if appropriate professional identities are formed, they might be threatened under certain circumstances, including 

  • changing doctor-patient relationships (eg, threatening doctors’ authority), 

  • patient complaint situations, 

  • poor media reports, 

  • the use of negative stereotypical labels, 

  • changing roles and responsibilities (eg, blurring professional boundaries), 

  • the removal of dress codes (eg, white coats), 

  • regulatory processes (eg, revalidation), and 

  • working hours restrictions (threatening traditional rites of passage).13


직업적 정체성이 약해지거나 발달하지 못하면 어떻게 되는가? 취약한 사회적 정체성은 압박이 있는 상황에서 대처 능력이 떨어지는 것과 관련이 있다: 최근 한 연구는 주니어 의사들의 낮은 수준의 자기 보고 전문적 정체성이 개인, 환자 관련, 그리고 일과 관련된 소진 점수의 높은 수준과 유의하게 관련이 있다는 것을 발견했다.14

What if professional identities are weakened or fail to develop? A weak social identity has been associated with a poor capacity for coping when under duress: a recent study found that junior doctors’ lower levels of self-reported professional identity were significantly related to their higher levels of personal, patient-related and work-related burnout scores (and vice versa).14


약한 직업 정체성의 다른 영향으로는 유지와 팀워크 문제가 있다.15 또는, 강한 긍정적인 직업 정체성의 발달은 건강관리 관행(예: 윤리적 의사결정)과 건강관리 전문가의 직업 선택, 웰빙과 삶의 만족도에 도움이 될 수 있다.14 나아가  강력한 공유된 정체성(예: 전문가 간 정체성)을 갖는 것은 다른 사람의 역할과 책임에 대한 이해로 높은 강도의 상황에서 신뢰를 강화하고 팀워크 수행을 촉진할 수 있다. 

 Other implications of a weak professional identity include retention and teamwork problems.15 Alternatively, the development of a strong positive professional identity can be beneficial to health care practice (eg, ethical decision making), and health care professionals’ career choice, well being and life satisfaction.14 Furthermore, having a strong shared identity(eg, interprofessional identity) with an understanding of the different roles and responsibilities of others can foster trust and facilitate teamwork performance in high intensity situations. 


그러나 앤의 단일 복합체 정체성을 상기시키는 지나치게 강하고 구체적인 직업 정체성을 개발하면 "그들과 우리"의 사고방식으로 이어져 외부 집단에 대한 부정적인 태도를 초래할 수 있다. 또한 정형화된 행동(예: 수술 문화 내에서: 지구력, 권위성, 용감성, 위험 감수, 오만과 남성성)에 참여하도록 이끌 수 있다.13

However, developing an overly strong and specific professional identity —recall Anne’s single compound identity—can lead to a “them and us” mentality resulting in negative attitudes towards out-groups. It can also lead to participation in stereotypical behaviour (eg, within a surgical culture: endurance, authoritativeness, bravery, risk taking, arrogance and masculinity).13


어떻게 하면 강하지만 긍정적인 직업 정체성의 개발을 촉진할 수 있을까? 초기의 의학 전문적 정체성(예: 의사)은 의료 사업장의 제도적 구조와 문화(일명 숨겨진 교육과정)를 통해서뿐만 아니라 공식 및 비공식 커리큘럼을 통해 의과대학 이전과 도중에 때때로 개발되기도 한다.2

How can we facilitate the development of strong, but positive, professional identities? Initial medical professional identities (eg, doctor) are developed sometimes before and also during medical school through formal and informal curricula, as well as through the institutional structures and cultures of the health care workplace (so-called hidden curricula).2


그룹 코칭, 서사적 성찰연습 등 강의실 기반 활동을 통해 교육생들을 위한 전문적 아이덴티티를 발굴할 수 있다.17

Professional identities can be fostered serendipitously for trainees through classroom based activities, including group coaching and narrative reflective practice.17


어떤 이들은 특정 전문분야에 대한 전문적 정체성의 개발을 촉진하기 위한 교육적 이정표의 사용을 주장해왔다.19 그러나 우리는 커리큘럼이 일련의 발달단계를 강요하거나, 합격(또는 불합격) 평가의 과정을 거치도록 강요하는 것이 아니라, 자신이 누구이며, 누가 되고 싶은지에 대한 개별적인 인식을 촉진함으로써 전문직 정체성을 개발하는 것을 명시적으로 목표로 해야한다.

Some have advocated the use of educational milestones to foster the development of professional identity for specific specialties.19 However, we advocate that curricula explicitly aim to develop professional identities, not by forcing people to go through stages of development, passing (or failing) assessments, but through the promotion of individuals’ sense making around who they are and who they want to be.


전문성 커리큘럼이 현재 학부 및 대학원 의학 교육에 잘 내재되어 있지만, 커리큘럼은 전문성 개발을 명시적으로 다루는 경우는 드물다. 따라서 의대생, 연수생, 연수생, 훈련된 의사는 의대, 임상 훈련, 임상 실습, 전문 훈련 등으로의 중요한 전환 과정을 거치면서 자신의 정체성 발달을 위한 대화에 정기적으로 임해야 한다. 프로페셔널리즘 커리큘럼의 일부로서, 개인들은 정체성 위협이나 불협화음의 어떤 느낌에 대해 논의하면서 그들의 경험들이 어떻게 그들의 개인적 그리고 전문적인 정체성과 상호 작용하는지를 탐구하도록 장려되어야 한다. 그들은 자신의 가치관이 위협받고 있다고 느낄 때, 두려움 없이 직업적 정체성을 유지할 수 있도록 격려하고 지원받아야 한다. 우리는 그러한 정체성 커리큘럼(일상적인 교육 및 학습 활동과 전문성 커리큘럼)이 정체성 형성의 가시적인 여정을 통과하는 나침반이 될 수 있다고 생각한다.

While professionalism curricula are now well embedded in undergraduate and postgraduate medical education, curricula rarely explicitly address professional identity development. Therefore, medical students, trainees and trained doctors should regularly engage in conversations about and for their identity development as they progress across important transitions into medical school, clinical training, clinical practice, specialty training and so on. As part of professionalism curricula, individuals should be encouraged to explore how their experiences interplay with their personal and professional identities, discussing any feelings of identity threats or dissonance. They should be encouraged and supported in speaking out when they feel their values are threatened, to uphold their professional identities without fear. We consider that such an identities curricula — interwoven through everyday teaching and learning activities and professionalism curricula —could be the compass aiding navigation through the thorny journey of identity formation.






. 2018 Aug 3;209(5):202-203.

Who Are You and Who Do You Want to Be? Key Considerations in Developing Professional Identities in Medicine

Affiliations 

Affiliations

  • 1Monash Centre for Scholarship in Health Education (MCSHE), Monash University, Melbourne, VIC Monrouxe@me.com.
  • 2Chang Gung Medical Education Research Centre (CG-MERC), Chang Gung Memorial Hospital, Linkou, Taoyuan City, Taiwan.
  • PMID: 30157410


전문직 형성: 의학의 봉사 혈통을 다음 세기로 확장하기(Acad Med, 2010)

Professional Formation: Extending Medicine’s Lineage of Service Into the Next Century

Michael W. Rabow, MD, Rachel N. Remen, MD, Dean X. Parmelee, MD, and Thomas S. Inui, ScM, MD





1910년 아브라함 플렉스너의 카네기 재단 보고서1의 출판은 의학 교육에 실질적이고 유익한 영향을 끼친 것으로 널리 인정받고 있다. Flexner는 실험실 과학과 임상 환경의 경험적 학습을 통합한 커리큘럼을 옹호했다. 이 인프라는 오늘날에도 여전히 우세하다. 덜 널리 알려진 것은 Flexner가 1910년 보고서를 통해 의사 준비에서 교양liberal 교육의 중요성에 대해 강조한 점이다.2,3:

The publication of Abraham Flexner’s Carnegie Foundation report1 in 1910 is widely recognized to have had a substantial and salutary effect on medical education. Flexner championed a curriculum that integrated laboratory science with experiential learning in clinical environments. This infrastructure still prevails today. Less widely recognized is Flexner’s emphasis on the vital importance of a liberal education in the preparation of physicians.2,3 From his 1910 report:


지금까지 우리는 기초과학에 대해서만 분명히 말해왔다. 그들은 실제로 의료 교육의 필수적인 도구적 기초를 제공한다. 그러나 도구적 최소치가 영구적인 전문적 최소치로 작용할 수는 거의 없다. 그것은 심지어 도구적으로도 불충분하다.1

So far we have spoken explicitly of the fundamental sciences only. They furnish, indeed, the essential instrumental basis of medical education. But the instrumental minimum can hardly serve as the permanent professional minimum. It is even instrumentally inadequate.1


오데가르드와 이누이2는 플렉스너가 자신의 보고서에 의해 촉발된 의료교육의 변화가 의료 커리큘럼에서 광범위한 교육broad education을 사실상 없앤 것을 후회하고, 의사에게 필요한 필수 전제조건으로 인문학의 교양교육(철학, 윤리, 문화 포함)을 적극 옹호했다고 지적했다.

Odegaard and Inui2 note that Flexner subsequently regretted that changes in medical education triggered by his report had virtually eliminated a broad education from the medical curriculum and he advocated actively for liberal education in the humanities (including philosophy, ethics, and culture) as a necessary prerequisite for a medical career.


지난 몇 십 년 동안, 의료행위의 운영적operational 가치는 상충되었다. 과학 지식과 기술의 급속한 성장과 함께, [예측 가능성, 측정 가능성, 효율성, 생산성, 비용 효과와 객관성]과 같은 특성이 [해를 피하고avoiding harm, 봉사, 이타성, 삶에 대한 경외심, 연민]등과 같은 전통적 전문직의 특성과 동일한(적어도 덜하지는 않은) 중요도를 갖게 되었다.

in the last few decades, the operational values of medical practice have become conflicted. With the rapid growth of scientific knowledge and technology, the qualities of predictability, measurability, efficiency, productivity, cost-effectiveness and objectivity have come to assume a priority equal to, if not exceeding, older professional qualities of compassion, avoiding harm, service, altruism, and reverence for life.


그러나, 생의학만으로는 고통과 상실, 회복과 치유의 인간의 질병 경험을 다루기에는 부족하다는 것이 점점 더 명백해졌다. 실제로 바이오의약품은 종종 인간의 의제를 심화시킨다. 윤리적 문제가 복잡해지고 한정된 자원의 공정한 분배는 더욱 어려워지며, 예방보다 치료 수요가 우세하다. 과학적 역량의 성장과 도달은 같은 수준으로 인간의 이해와 감수성의 강력한 발전을 요구한다.

However, it has become increasingly apparent that biomedical science alone is insufficient to address human illness experiences of suffering, loss, recovery and healing. In fact, biomedicine often intensifies the human agenda—ethical issues become more complex, fair distribution of limited resources becomes more difficult, and the demand for treatment prevails over prevention. The very growth and reach of scientific competence demands an equally powerful development of human understanding and sensitivity.


다음 세기의 과제를 해결하려면 의료 교육자들이 인지 및 기술적 전문지식에 초점을 맞추는 동시에 "전문적 형성" 즉 학생들의 도덕적이고 전문적인 개발, 임상적 역량의 성장과 개인 성숙도의 통합, 그리고 학생들이 개인의 가치와 그 직업의 핵심 가치에 진심으로 충실한stay true 능력을 적극적으로 지원해야 할 것이다.

Meeting the challenges of the next century will require that medical educators maintain a focus on cognitive and technical expertise while also actively supporting “professional formation”— the moral and professional development of students, the integration of their individual maturation with growth in clinical competency, and their ability to stay true to values which are both personal and core values of the profession.


전문직 형성 정의

Defining Professional Formation


교육자들은 학습자의 통합된 개인 및 전문적 개발을 지원하기 위해 고안된 훈련의 명칭에 아직 동의하지 않았으며, "정체성 형성", "가치 교육" 또는 "전문성 훈련"과 같은 용어를 사용해 왔다.4–7 성직자의 훈련에서 유사한 과정을 "형성"이라고 부른다. 세미나리아에서, 형성은 개인이 소명을 섬기도록 준비하기 위한 과정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여기에는 일반적으로 다음이 포함된다.

Educators have yet to agree on a name for the training designed to support the integrated personal and professional development of learners and have used such terms as “identity formation,” “values education,” or “professionalism training.”4–7 The analogous process in the training of clergy is called “formation.” In seminaries, formation is understood to encompass the processes intended to prepare an individual to serve a calling. It typically includes:


  봉사에 참여engaging

  engaging in service;


  경험과 성찰의 반복

  reiterating cycles of experience and reflection;


  자기 자신 및 그 분야에 대한 지식의 증가

  growth in knowledge of self and of the field; and


  행동의 삶뿐만 아니라 내면의 삶에 대한 끊임없는 관심

  constant attention to the inner life as well as the life of action.


(목록 1 참조). 학생들은 의학의 문화 안에서 규범적 행동과 마주치는 것에 기초하여 가치관의 우선순위를 정하는 것을 배운다. 의과대학에서 일부 가치관(연민 등)은 명시적으로 공언되지만, 다른 가치관(개인적 분리personal detachment 등)은 전문직업적 가치관과 충돌하더라도 학습자에 의해 암묵적으로 규범적 교훈으로 흡수될 수 있다.8,9

(see List 1). Students learn to prioritize their values on the basis of encounters with normative behavior within the culture of medicine. While some values (such as compassion) are professed explicitly in medical schools, others (such as personal detachment) may conflict with professed values but be absorbed tacitly by learners as normative lessons.8,9



전문적 형성의 목표는 학생들이 자신의 개인적 원칙과 직업의 핵심 가치에 묶어두는tether or anchor 것이며, 학생들이 훈련과 실습에서 발생하는 불가피한 갈등을 통해 탐색하도록 돕는 것이다.10 예를 들어, [모든 인간의 삶이 중요하다는 가치와 원리를 고수하는 학생]은 [제한된 자원을 할당해야만 하는 상황에 직면했을 때] 도덕적 스트레스에 직면 할 수 있다. 전문성 형성의 핵심 측면은 학습자들에게 지지적인 전문 커뮤니티 내에서 자신의 진정한 가치와 가치관의 충돌을 인식하고, 탐구하고, 명확하게 하고, 우선순위를 정하고, 공유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는 것이다.

The goal of professional formation is to tether or anchor students to their personal principles and the core values of the profession and help themnavigate through the inevitable conflicts that arise in training and practice.10 For example, students holding to the basic principle of the primacy and value of every human life may encounter moral stress when confronted with the need for the allocation of limited resources. A key aspect of professional formation is to offer learners the opportunity to recognize, explore, articulate, prioritize, and share their authentic values and values conflicts within a supportive professional community.


의사로서의 정체성의 발달은 개별 학생의 매우 개인적인 일로, 특정 학습 환경(비공식 교육과정) 내에서뿐만 아니라 정식 커리큘럼의 맥락에서 진행된다.11 이 두 커리큘럼 모두 기초적인 개인적 가치와 핵심 직업적 가치를 식별하고 헌신하는 학생들의 능력을 지원하거나 잠식할 수 있는 잠재력이 있다.

The development of an identity as a physician is the highly personal work of individual students and proceeds in the context of a formal curriculum as well as within a particular learning environment (the informal curriculum).11 Both of these curricula have the potential to support or erode students’ ability to identify and remain committed to foundational personal values and core professional values.


많은 사람들이 의과대학에 입학하도록 원래 동기를 부여했던 핵심 가치들이 의사가 되는 과정에서 상실되거나 '훈련되어 갈 수 있다'는 사실은 오래 전부터 인식되어 왔다. 많은 교육자들이 학생들의 가치관, 신념, 이상을 잃는 것에 대항하여 "면역"이라는 은유를 채용했다.8

It has long been recognized that the core values that originally motivate many to enter medical school may be lost or “trained away” during the process of becoming a physician. A number of educators have employed the metaphor of “immunizing” students against the loss of their values, beliefs, and ideals.8


학생들이 전문적으로 발전함에 따라, 그들은 동료들에 의해 모델링되고 받아들여지는 것들로부터 새로운 가치를 채택할 수도 있다. 대부분의 학교에서, 이 과정은 비공식적이고 감독되지 않으며, 전문직 공동체로부터의 명시적인 입력input 없이 이뤄진다.

As students develop professionally, they may also adopt new values fromthose modeled and accepted by their colleagues. In most schools, this process is informal, unsupervised, and accomplished without the explicit input of the professional community.


전문직업성 형성은 그들이 의대에 입학할 때 이미 가지고 있었던 가치, 편향, 편견에 대한 고의적이고 엄격한 재검토를 포함하는 능동적인 성숙 과정이다. 다른 학습자 및 교수진과의 솔직한 토론을 통해 개인은 자신의 경험을 심도 있게 살펴보고, 자신이 진실하고 적절하다고 생각하는 가치와 신념에 다시 다가갈 수 있다.

Professional formation is an active maturational process, including a deliberate and rigorous reexamination of the values, biases, and prejudices with which they may have entered medical school. Through candid discussion with other learners and faculty, individuals are enabled to examine their experience in depth and recommit to those values and beliefs they hold as true and appropriate.


의대생들은 그들의 개인적 가치가 그들의 새로운 문화의 규범과 상충될 때 적절하게 상황을 탐색하고 어떤 것을 우선시할지를 선택하며 교육적, 임상적으로 매우 다양한 만남에서 위험에 처한 가치들을 식별하는 법을 배워야 한다.

Medical students must learn to identify the values at stake in a great variety of educational and clinical encounters, choose which to prioritize, and navigate situations appropriately when their personal values conflict with the norms of their new culture.


대규모 연구에서, 4분의 1 이상의 레지던트들이 "지난 1년 동안 부도덕하고, 비윤리적이고, 개인적으로 용납할 수 없는 일을 하도록 요구받았다"고 보고했다.15 Inui12는 학생들이 "불안한 상황에서 균형을 유지하기 위해 분투"를 겪는다고 묘사한다. 말로 표현되는expressed 가치를 위반하는 직업적 행동이 보편적으로 받아들여지는 모습을 관찰하면 도덕적 불협화음이 생긴다.16 학생들은 [옹호된 이상]과 [이상과 불일치하는 일상적인 행동] 사이의 차이를 인식하지만, 그러한 경험에 어떻게 반응해야 하는지에 대한 지침을 거의 받지 못한다.10

In a large study, more than one quarter of residents reported they had been “required to do something during the past year that they believed was immoral, unethical, or personally unacceptable.”15 Inui12 describes students as “struggling to keep one’s balance in precarious situations.” Observing the general acceptance of professional behaviors in violation of expressed values creates moral dissonance.16 Students recognize differences between espoused ideals and discordant day-to-day behaviors but rarely receive guidance on how to respond to such experiences.10


궁극적으로 [행동과 가치관의 일관된 응집성]이 의학을 도덕적 기업enterprise으로서, 그리고 전문성을 "도덕적 헌신"으로서 구별지을 것이다.

Ultimately, a consistent coherence between action and values identifies medicine as a moral enterprise and professionalism as a “moral commitment.”17


전문직 형성은 왜 중요한가?

Why Professional Formation Is Important


전문직업적 형성은 과학적 의학이 인간의 관련성을 유지하게 해주며, 사회적 상호작용에서 증가하는 복잡성을 탐색할 수 있게 해준다. 그것은 의사들이 개별적인 관계에 우선순위를 두고, 의사 결정시에 미묘한 뉘앙스를 인식하도록 장려한다.

Professional formation enables scientific medicine to maintain its human relevance and to navigate the increasing complexities in social interactions. It encourages physicians to accord primacy to individual relationships and recognize nuance in decision making.


[개인적인 삶에서 가치관의 집합]과 [일에서 가치관의 집합]을 따르는 과정에서, 학생들은 고립되거나, 전문직업적 가면을 쓰거나, "게임 페이스"를 배우거나, "분열된 삶"을 시작할 수 있다. 18 그 결과 활력과 정직성integrity을 잃게 된다.19 이러한 부조화discordance의 스트레스가 너무 심하면 학습자들은 관계나 더 깊은 가치나 미덕에 관심을 잃게 되고, 단순한 기술이나 지적능력의 숙달에만 초점을 맞출 수 있다.8 그러한 부조화의 잠재적 결과로는 냉소주의, 20 우울증, 21개의 교육 불만, 22개의 공감 상실, 23,24개의 양심 위기, 25개의 도덕적 성장 저해, 26 그리고 윤리적 침식이 있다.27

Following one set of values in their personal lives and another in their work, students may become isolated, learn to wear a professional mask, or a “game face,” or begin to live a “divided life,”18 resulting in a loss of vitality and integrity.19 The discordance may become so stressful that learners narrow their focus to the mastery of simple technical or intellectual competencies without attention to relationships or deeper values or virtues.8 The potential outcomes of such discordance and disaffiliation include cynicism,20 depression,21 educational dissatisfaction,22 loss of empathy,23,24 crises of conscience,25 stunting of moral growth,26 and ethical erosion.27


의학의 [공언된 가치관]과 [현실에서의 실천] 사이의 불협화음은 학생들이 어떤 가치를 배워야 하는지를 분별하는 것을 어렵게 한다.3 전문적인 형성, 피드백, 역할 모델링에 대한 불충분한 훈련으로 학생들은 스스로 비전문적인 행동에 취약해진다.

Dissonance between the professed values of medicine and its actual practice makes it difficult for students to discern what values they are supposed to learn.3 With inadequate training in professional formation, feedback, or role modeling, students become vulnerable to unprofessional behavior themselves.


근본적이고 개인적으로 의미 있는 가치를 희생시키는 것은 도덕적 정체성과 자기 신뢰의 상실을 야기하여 의사의 핵심적 기술인 [자기자신의 전문적인 사용professional use of self]을 위협한다.29 의사가 자신들과 정직과 이타주의와 같은 가치로부터 멀어질 때 환자의 안전은 타격을 받을 수 있다. 비인격화, 소진, 열악한 환자 치료는 의료 오류는 물론, 임상의사의 낮은 자기인식과도 연계되어 있다.31

Sacrificing foundational, personally meaningful values creates a loss of moral identity and self-trust, threatening a key physician skill—the professional use of self.29 When physicians are distanced fromthemselves and fromsuch values as honesty and altruism, patient safety may suffer. Depersonalization, burnout, and poor patient care are linked,30 as are medical error and limited clinician self- awareness.31


개인의 의사가 개인의 진실성integrity으로 행동하지 않는다고 여겨질 때, 의사와 환자간의 관계는 위협받을 뿐만 아니라, 의학적 직업과의 사회적 계약도 파괴된다.32 서비스 가치에 대한 개인적 집착은 대대로 우리 직업에서 대중이 걸어온 신뢰의 기초가 된다.

When individual physicians cannot be counted on to act with personal integrity, not only is the doctor–patient relationship threatened,12 but the social contract with the profession of medicine is fractured as well.32 A personal adherence to service values is the foundation of the trust that the public has placed in our profession for generations.


우리의 전문지식은 우리를 유능하게 하지만, 우리의 가치는 우리를 신뢰할 수 있게 만든다.

Our expertise makes us competent, but our values make us trustworthy.


의학교육의 전문성 형성의 현황

The Current Status of Professional Formation in Medical Education


LCME 인증 표준 MS-31-A는 "명백하고 적절한 전문적 속성(성, 행동 및 정체성)의 개발"을 촉진할 필요성에 대해 명시적이다."33 이러한 요건에 대한 결과를 정의, 측정 및 문서화하는 것은 각 의과대학에 맡겨진다.

The LCME accreditation standard MS-31-A is explicit about the need to promote the “development of explicit and appropriate professional attributes (attitudes, behaviors, and identity).”33 It is left to each medical school to define, measure, and document outcomes for these requirements.


현재 대부분의 미국 의과대학은 (비록 프로그램 성과 평가는 제한적이지만) 전문성 형성의 측면을 다루는 선택 커리큘럼이나 필수 커리큘럼을 제공하고 있다.34 모든 학교는 의료윤리 교육을 실시해야 하며, 많은 학교들은 의학 인문학, 영성학, 통합의학 분야의 선택권을 제공해야 한다.

Currently, most American medical schools offer either elective or required formal curricula that address aspects of professional formation, although evaluation of outcomes is limited.34 All schools must offer instruction in medical ethics, and many provide electives in medical humanities, spirituality, and integrative medicine.


전문성 형성 교육 교수진

Faculty in professional formation education


교수 롤모델링 및 멘토링은 학생의 전문적 발전에 중심적이다.7,41 불행히도 대부분의 교수진은 의대생으로서 형성formation 커리큘럼에 노출되지 않았고, 자기 성찰에 대한 교육을 받지 않았으며, 효과적인 가치 기반 피드백을 제공하거나, 또는 전문적 형성을 지원하는 교육을 받지 않았다.41 학생들은 의과대학을 다니면서, 점점 더 많은 퍼센트가 그들의 교수진을 휴머니즘적인 간병인이나 의사-환자 관계를 가르칠 때 좋은 역할 모델로 보지 않는다.42

Faculty role modeling and mentorship are central to the professional development of students.7,41 Unfortunately, most faculty were not exposed to formation curricula as medical students themselves and are untrained in self-reflection, providing effective values-based feedback, or supporting professional formation.41 As students progress through medical school, an increasing percentage do not see their faculty as humanistic caregivers or good role models in teaching the doctor–patient relationship.42


구성 프로젝트의 두 가지 예

Two examples of formation projects


전국적으로 성공적인 많은 전문성 형성 프로젝트들 중에서, 우리는 우리가 가장 잘 알고 있는 두 개의 오랜 프로그램을 설명할 것이다.

Among the many successful professional formation projects nationally, we will describe the two long-standing programs with which we are most familiar.


1991년 미국 샌프란시스코 캘리포니아대에서 개발된 '치유자의 예술'은 현재 미국 60개 의과대학과 캐나다, 이스라엘, 슬로베니아, 호주, 대만의 학교에서 매년 제공되는 1학년과 2학년 학생들을 위한 15시간의 선택과목이다.45

The Healer’s Art, developed at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San Francisco in 1991, is a 15-hour elective course for first- and second-year students now offered annually in 60 medical schools in the United States as well as schools in Canada, Israel, Slovenia, Australia, and Taiwan.45


치유사의 예술은 학생들로 하여금 [한 사람으로서 자신이 누구인가]가 [의사로서의 일의 결과의 중심]이라는 것을 이해하도록 돕는다. 학생들은 또한 그들을 의학에 심취하게 한 평생의 가치들을 성찰하고 명확히 할 수 있는 기회를 가지고 있으며, 의학 내에서 삶의 한 방법으로 그것들을 더 발전시키고 보존할 것을 약속할 수 있다. 봉사, 무해함, 동정심, 평등주의와 같은 개인적인 가치를 다른 사람들에게 보이도록 만드는 데 있어서, 학생들은 종종 그러한 가치들이 그들의 또래와 전문 커뮤니티에 의해 공통적으로 유지되고 있으며, 그러한 가치들이 의학의 대계통grand lineage의 일부라는 것을 발견하고 놀라게 된다.

The Healer’s Art facilitates students in understanding that who they are as a person is central to the outcome of their work as physicians. Students also have the opportunity to reflect on and clarify the lifelong values that have brought them into medicine and to commit to further developing and preserving them as a way of life within medicine. In making personal values like service, harmlessness, compassion, and egalitarianism visible to others, students are often surprised to discover that such values are held in common by their peers and professional community and are, in fact, part of medicine’s grand lineage.


이 과정의 마지막 세션 동안, 학생들은 개인적인 사명선언문을 쓰도록 초대 받는다. 종종 "히포크라테스 선서문 다시 쓰기"라고 불린다. 이러한 사명선언의 분석은 학생들이 존재감, 경외감, 사랑과 같은 요소들을 포함하는 전문성의 확대된 개념을 열망한다는 것을 보여준다.48

During the final session of the course, students are invited to write a personal mission statement—often referred to as “rewriting the Hippocratic Oath.” Analysis of these mission statements reveals that students aspire to an expanded concept of professionalism that includes such elements as presence, awe, and love.48


인디애나대 의과대학(IUSM)에서 제2의 전문직업성 형성 이니셔티브이 등장하고, 교육 환경을 과감하게 리메이크하는 데 초점을 맞추고 있어, 광범위한 정규 교육과정 개정의 발판을 마련하기도 한다.10,49,50

A second professional formation initiative has emerged at the Indiana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IUSM) and is focused on boldly remaking the educational environment, setting the stage for broad formal curricular revision as well.10,49,50


IUSM의 변신transformation은 의대생에서 학장, 그리고 시설에서 서비스 직원으로 이어지는 모든 수준의 학습과 제도적 커뮤니티를 포함했다. 조직 변화는 "긍정 탐구"라고 불리는 기업 세계에서 더 광범위하게 적용되는 과정에 의해 시작되었는데, 조직 내 개인들은 작동하지 않는 것에 초점을 맞추기보다는 자신이 추진하고자 하는 기존 시스템에 대해 무엇이 좋은지 확인하는 조직 개발 방법이다.50

the transformation at IUSM has involved every level of the learning and institutional community, from medical students to the dean and from faculty to service staff. Organizational change was initiated by a process more widely applied in the corporate world referred to as “appreciative inquiry,” an organizational development method in which individuals within the organization identify what is good about the existing system they want to promote, rather than focusing on what is not working.50


Inui et al10은 이 커리큘럼의 한 핵심 요소를 "경험에 뒤따르는 또래 집단에서의 성찰"로 요약했다. IUSM에서 학생 가치는 비공식 커리큘럼과 공식 커리큘럼의 융합을 나타내는 적어도 두 가지 방법으로 지원된다. 

    • 첫째, 의대생들은 의료전문직의 역사에 대해 배우고 그들의 직업적 역할에 대한 이해를 발전시킨다. 

    • 둘째, 학생들은 중요한 사건에 대한 저널링과 토론을 통해 자신의 경험을 반성하도록 장려된다. 궁극적으로, 학생들은 "행동 속에 내재된 가치"에 대해 유념하게 된다.

Inui et al10 have summarized one key component of this curriculum as “experience followed by reflection in a community of peers.” At IUSM, student values are supported in at least two ways, which represent a fusion of informal and formal curricula. First, medical students learn about the history of the profession and develop an understanding of their professional role. Second, students are encouraged to reflect on their experiences, through journaling and discussion of critical incidents. Ultimately, students become mindful of the “values embedded in actions.”


일부 교수진은 초기 감사조회 활동에 참여하여 '체크인(Check in)'을 포함한 모든 소그룹에서 관계업무를 강화하는 스킬 구축 워크숍을 진행했다.

Some faculty participated in the early appreciative inquiry activities and went on to skill- building workshops that strengthened relational work in all small groups, including “checking in” (beginning meetings with an opportunity to say whatever each person needs to say to be fully present),


전문직 형성의 미래

The Future of Professional Formation


전문적 형성에서의 훈련은 경험적이면서도 사색적인 것으로, 개인적인 서술, 이야기, 비유를 바탕으로 하며, 자기, 존재감, 전문지식의 통합에 초점을 맞추고, 학습 공동체에 내재되어 있으며, 안전하고 평등주의적인 학습자 공동체 내에서 중대 사건 및 개인적 경험에 대한 솔직한 토론을 특징으로 한다.53,54

Training in professional formation is both experiential and contemplative, based on personal narratives, stories, and parables, focused on the integration of self, presence, and expertise, embedded in a learning community, and featuring candid discussion of critical incidents and personal experience within a safe, egalitarian community of learners.53,54


목록 2는 전문 형성 교육의 필수적인 요소들을 요약한다. 현재, 많은 미국 의과대학들이 이러한 요소들을 많이 제공하지만, 종종 선택적으로 또는 교육과정 내에서 흩어진다. 의학 교육의 진정한 전환은 전문적인 형성 교육을 필수적으로 만들고, 학습자와 교사 모두에게 그것에 대한 책임을 묻는 것이 될 것이다.

List 2 summarizes the essential elements of professional formation education. Currently, many U.S. medical schools offer a number of these elements, but often electively or scattered within the curriculum. The true transformation in medical education will be to make professional formation education required and to hold both learners and teachers accountable for it.



Flexner의 비전의 완전한 실현은 새로운 입학사정관부터 학장, 그리고 직업 전반에 이르기까지 우리 교육 시스템의 모든 수준에서 변화를 필요로 할 것이다. 개별 학생들은 매일 명상하고 성찰하는 연습을 개발하도록 장려될 수 있다.57 그러한 습관에는 저널링, 성찰, 스토리텔링 및 비판적 사건 검토를 포함하여 입증된 커리큘럼 효과의 요소가 포함될 수 있다.56

The complete realization of Flexner’s vision will involve changes at all levels of our educational system—from the new matriculant to the dean to the profession at large. Individual students can be encouraged to develop a daily practice of mindfulness and reflection.57 Such a habit, built into the practice of medicine, might include elements of proven curricular effectiveness, including journaling, reflection, storytelling, and critical incident review.56


전문적 형식의 공식적인 커리큘럼은 모든 학생들이 가치관을 탐구하고 상충하는 이상과 맥락에서 분별력과 평정을 배우도록 요구할 것이다. 형성Formation 커리큘럼은 해부학 수업에서처럼 학생들이 자신의 몸을 기증한 사람에게 감사하거나 기념할 때 또는 기증자의 가족을 만날 때 수행되는 기본적인 과학 학습으로 통합될 것이다.60

Formal curricula in professional formation would require all students to explore values and learn discernment and equanimity in the context of competing ideals. Formation curricula would be integrated into basic science learning, as has been done in anatomy classes when students thank and/or memorialize the person who donated their body or when students meet the donor’s family.60


전문적인 형성을 위해서는 학생들이 긍정적인 역할 모델링, 적절한 멘토링, 그리고 공동의 가치와 투쟁을 탐구하고 토론할 수 있는 진정한 공동체를 경험할 수 있는 기회를 가질 필요가 있다.26 교수진 개발은 가치 중심 피드백을 제공하고 긍정적인 역할 모델로서 역할을 하는 훈련을 필요로 한다. 의과대학 교수진은 가치관과 행동의 일관성에 대한 책임을 질 것이며, 그들이 가르치는 것과 일관된 방식으로 행동하고 상호작용할 것으로 예상된다.

Professional formation requires that students have an opportunity to experience positive role modeling, adequate mentoring, and authentic community to explore and discuss common values and struggles.26 Faculty development would require training in providing values-driven feedback and in serving as positive role models. Medical school faculty would be held accountable for a consistency between values and action and expected to behave and interact in ways coherent with what they teach.


안전하고 다양한 공동체에서 개인이 자신의 신념과 가치관의 진실이나 적절성을 평가하는 것이 가능하다. [다른 사람들의 관점을 듣고 존중하는 것]은 학습자들이 그들의 행동과 선택 중 일부의 근거가 될 수 있는 [부정적인 편견을 조사하도록 격려]하고, 학생들이 공동체 내에서 자신에 대한 엄격한 분석을 견뎌내는 가치에만 전념하도록 장려한다. 의대생을 위한 학습 커뮤니티에 협업적인 전문가간 팀을 통합하면 중요한 사건에 대한 관점을 확장하고 전문직들 간의 공유된 가치에 대한 더 큰 감각을 제공할 수 있다.

In a safe, diverse community, it is possible for individuals to assess the truth or appropriateness of their beliefs and values. Hearing and respecting the perspectives of others encourages learners to examine the negative biases that might underlie some of their behaviors and choices, encouraging students to remain committed only to those values that withstand a rigorous analysis of self within community. Incorporating collaborative, interprofessional teams into the learning community for medical students may expand perspectives in critical incidents and afford a greater sense of shared values between the professions.


[직업적 가치와 개인적 약속의 영역에서] 성공적인 의학교육 개혁은 [광범위한 조직 변화와 숨겨진 교육과정]을 다루지 않고는 진행될 수 없다.66 의대 내의 구조, 문화 및 관행은 물론 더 넓은 의대 내에서도 우리의 최고 가치에 대한 깊은 헌신을 지원하기 위해 노출, 연구 및 변혁이 필요할 것이다.67 궁극적으로 그러한 변혁은 의대와 우리의 국가기관 내에서의 관심과 재정적 지원의 재조정이 필요할 것이다.

Successful medical education reform in the domain of professional values and personal commitments cannot proceed without widespread organizational change and addressing the hidden curriculum.66 Structures, cultures, and practices within medical schools, but also within the broader medical enterprise, will require exposure, study, and transformation to support a deep commitment to our highest values.67 Ultimately, such transformation will require a rebalancing of attention and financial support within medical schools and within our national medical institutions.


마무리

Closing Comments


근본적 가치와 일상적 관행의 불일치는 의대생과 교직원이 보고하는 냉소주의, 우울증, 불만에 기여할 가능성이 높다. 의과대학의 전문적 형성 교육은 학생과 교사 모두에게 참여하며 각각 의료계의 최고 이상을 구현하는 방식으로 성장하고 발전하기 위해 도전한다.69 [상충되는 가치의 도전]은 모든 의사들에게 친숙하다. 우리 모두는 어느 순간 의사로서의 정체성과 개인으로서의 정체성을 조화시킬 수밖에 없었다.

Discordance between foundational values and daily practice likely contributes to the cynicism, depression, and dissatisfaction reported by medical students and faculty. Professional formation education in medical school engages both the student and the teacher and challenges each to grow and develop in ways that embody the highest ideals of the medical profession.69 The challenge of conflicting values is familiar to all physicians. We have all at some point been forced to reconcile our identity as physicians with our identity as people.


전문성 형성을 진전시키는데 있어서, 교수진들은 [그들이 가르치는 것]과 [그들이 어떻게 행동하는지]에 대한 불일치를 조사하고 이에 대응하도록 요구될 것이며, 그들의 행동과 직업적 선택에 동기를 부여하는 명시적인 오랜 가치관을 만들도록 초청될 것이다. 안전한 학습자 커뮤니티에서 교직원이 용납하지 않는 학습자, 동료, 자신 사이의 행동을 파악하고 건설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권한을 부여한다. 학생들과 교수진들 모두 마찬가지로, 우리 모두는 배울 것이 있고, 원래 우리 모두를 의학medicine으로 이끌었던 가치와 약속의 일부에 다시 연결reconnect해야 하는 공통의 필요성을 가지고 있다.

In advancing professional formation, faculty will be called on to examine and respond to inconsistencies in what they teach and how they behave and will be invited to make explicit long-held values that motivate their behavior and professional choices. In a safe community of learners, faculty will be empowered to identify and constructively respond to behaviors among learners, colleagues, and themselves that they do not condone. We all, students and faculty alike, have something to learn and a shared need to reconnect to some of the values and commitments that originally called us all to medicine.


전문적 형성의 학습은 모든 의학 전문지식의 진정한 학습자 커뮤니티에서만 이루어질 수 있는데, 교수진들은 학생들로부터 스스로를 분리하지 않고, 모두가 안전하다고 느끼고, 자신의 계기와 상처에 직면하고, 모두가 서로 지지하고, 봉사의 꿈을 공유하는 것이다.

Learning in professional formation can only happen in an authentic community of learners at all levels of medical expertise, where faculty do not separate themselves from students, where all feel safe, facing their own acculturation and woundedness, where all support one another and share their dream of service.











. 2010 Feb;85(2):310-7.
 doi: 10.1097/ACM.0b013e3181c887f7.

Professional Formation: Extending Medicine's Lineage of Service Into the Next Century

Affiliations 

Affiliation

  • 1Division of General Internal Medicine, Department of Medicine, University of California, San Francisco, San Francisco, California 94143-1732, USA. mrabow@medicine.ucsf.edu

Abstract

In his 1910 report on medical education, Flexner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competency in basic sciences. Less widely recognized is that he also emphasized the necessity of liberal education. On the Flexner Report's 100th anniversary, medicine is challenged to realize Flexner's full vision for medical education to ensure that physicians are prepared to lead lives of compassion and service as well as to perform with technical proficiency. To meet the complex medical and social challenges of the next century, medical educators must continue to promote cognitive expertise while concurrently supporting "professional formation"-the moral and professional development of students, their ability to stay true to their personal service values and the core values of the profession, and the integration of their individual maturation with growth in clinical competency. The goal of professional formation is to anchor students to foundational principles while helping them navigate the inevitable moral conflicts in medical practice. The consequences of inadequate support for professional formation are profound, impacting individual learners, patients, the profession, and society at large. Among the many successful professional formation projects nationally, two long-standing programs are described in modest detail to identify common elements that might guide future developments elsewhere. Key elements include experiential and reflective processes, use of personal narratives, integration of self and expertise, and candid discussion within a safe community of learners. Committing to professional formation within medical education will require transformation of formal and informal curricula and will necessitate a rebalancing of attention and financial support within schools of medicine.


의과대학 학습환경과 웰빙, 공감과의 관계의 국제연구 (Med Educ, 2016)

International study of medical school learning environments and their relationship with student well-being and empathy

Sean Tackett,1 Scott Wright,1 Robert Lubin,2 Jianing Li3 & Hui Pan3




도입

INTRODUCTION


어려운 의대 학습 환경에 노출되면 건강에 해로울 것으로 생각된다.1.2 의대생들은 또래와 비교했을 때 더 높은 수준의 웰빙으로 교육을 시작하지만 더 고통스럽게 끝난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3,4 의대생이 되는 것은 웰빙의 내리막길downswing을 의미할 수도 있으며, 이는 훈련기간동안 계속된다. 이는 부분적으로 일반 인구에 비해 의사가 경험하는 번아웃의 유병률이 더 높다는 것으로도 확인된다.5-7 일부에서는 의사의 웰빙 저하가 궁극적으로 환자 관리와 건강 시스템의 기능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우려한다.8–10

Exposure to the challenging medical school learning environment is believed to be harmful for one’s health.1,2 Studies have shown that medical students begin their education with higher levels of wellbeing compared with their peers 3 but end up more distressed.3,4 Becoming a medical student may begin a downswing in well-being that continues throughout training, explaining, in part, the higher prevalence of burnout that physicians experience compared with the general population.5–7 Some are concerned that the lack of provider well-being may ultimately lead to negative influences on patient care and the functioning of the health system.8–10


의대 학습 환경은 의대 학생들의 신체적, 사회적, 심리적 학습 환경에 대한 인식으로 구성되며, 학생의 학습 환경, 기관의 기풍에 대한 감각뿐만 아니라 (커리큘럼, 시설 및 동료, 교수진 및 직원과의 상호작용을 포함한) 'academic institution에서의 폭넓은broadest 경험'으로 정의되어 왔다.11 의대생의 학습 환경에 대한 몰입이 학생들의 고통을 증가시키고 전문적 성장을 억제한다는 광범위한 우려에도 불구하고, 학습 환경 질과 학생의 삶의 질 및 과부하와 어떻게 관련이 있는지에 대한 조사는 제한되어 왔다.12,13

Medical school learning environments comprise medical students’ perceptions of the physical, social and psychological learning contexts and have been defined as ‘the student’s broadest experience of an academic institution— including the curriculum, the facilities, and interactions with peers, faculty, and staff—as well as the student’s sense of the learning climate, or institutional ethos’.11 Despite widespread concern that medical students’ immersion in suboptimal learning environments leads to greater student distress and inhibits professional growth, investigation into how learning environment quality relates to student quality of life and burnout has been limited.12,13


많은 사람들은 부적절한 학습 환경도 학생의 공감 저하에 기여한다고 믿는다,14. 공감의 저하는 현재와 미래의 임상적 능력 저하로 연결될 수 있다.15 Neumann 14의 최근 논문은 다른 사람에 의한 학대, 사회적 지지의 결여, 잘 구조화되지 않은 학습경험 등학생들의 공감에 영향을 줄 수 있는 학생들의 학습 환경과 관련된 몇 가지 요인을 제시했다.

Many believe that suboptimal learning environments also contribute to a decline in student empathy,14 which results in poorer current and future clinical performance.15 A recent paper by Neumann 14 suggested several factors related to students’ learning environments that may affect their empathy, such as mistreatment by others, lack of social support and poorly structured learning experiences.


의대생들의 학교 학습 환경에 대한 의견을 탐구하는 연구가 어려운 이유 중 하나는 타당한 평가 도구의 부족이다.16 존스 홉킨스 학습 환경 척도(JHLES)는 최근 '각 학생의 의과대학에서의 관계적, 학문적, 기관적 참여 수준의 풍부함과 다양성을 포착하고자' 현대 의학 교육 환경에 맞추어 개발되었다.

Studies exploring medical students’ opinions about their schools’ learning environments are challenged by a dearth of valid assessment instruments.16 The Johns Hopkins Learning Environment Scale (JHLES) was recently developed for contemporary medical education settings to ‘capture the richness and variety of each student’s relational, academic, and institutional engagement in medical school’.


JHLES의 개발은 최종적인 척도로, (1) 동료 공동체, (2) 교수진 관계, (3) 학업 기후, (4) 의미 있는 참여, (5) 멘토링, (6) 포함 및 안전, (7) 물리적 공간의 7가지 고유한 요소에 걸쳐 인식을 평가하였다.11 JHLES는 심사할 때 의미 있는 학습 환경을 제공했다.미국, 11,18 말레이시아, 19 그리고 대만의 학생들에게 주어진다.20

Development of the JHLES resulted in a final scale that assessed perceptions across seven distinct factors: 

(1) Community of Peers, 

(2) Faculty Relationships, 

(3) Academic Climate, 

(4) Meaningful Engagement, 

(5) Mentorship, 

(6) Inclusion and Safety and 

(7) Physical Space.11 

The JHLES has provided meaningful learning environment assessments when administered to students in the USA,11,18 Malaysia 19 and Taiwan.20


우리의 연구는 Neumann,14가 제안한 개념적 모델에 의해 안내되었는데, 이는 부적절한 학습 환경에서 경험하는 것이 학생들의 괴로움을 초래하고, 결국 공감의 저하를 초래한다고 주장한다.

Our study was guided by the conceptual model proposed by Neumann,14 which posits that experiences in suboptimal learning environments lead to student distress, which in turn leads to a decline in empathy.


방법

METHOD


연구 설계 및 데이터 수집

Study design and data collection


이 단면 조사 연구는 2013~2014학년도 말 3개 의과대학에서 실시되었다.

This cross-sectional survey study was conducted at the end of the 2013–2014 academic year at three medical schools:


TAMS와 PURCSI의 모든 학생들이 설문조사를 받은 반면, PUMC의 4-7년 학생(PUMC의 8년 교육과정에 비교 가능한 인구)은 설문조사를 받았다.

All students at TAMS and PURCSI received surveys, whereas PUMC students in years 4–7 (a comparable population in PUMC’s 8-year curriculum) were surveyed.


연구대상자, 세팅

Subjects and setting


TAMS 프로그램은 1969년에 시작되어 이스라엘 하이파에서 열리는 4년제 대학원 입학 프로그램이다. 대부분의 학생들은 미국이나 캐나다 출신이며 졸업 전에 미국에서 몇 번의 임상시험에 참여한다.

The TAMS programme is a 4-year graduate-entry programme that began in 1969 and takes place in Haifa, Israel. Most of its students come from the USA or Canada and partake in several clinical rotations in the USA prior to their graduation.


PURCSI는 2011년 말레이시아 쿠알라룸푸르 인근에서 시작된 RCSI의 커리큘럼을 바탕으로 5년제 학위수립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조사 관리 당시 PURCSI에는 3개의 코호트의 학생이 있었으며 임시 캠퍼스에서 수업이 진행되고 있었다.

PURCSI has a 5-year school-leaver programme based on RCSI’s curriculum, which started in 2011 near Kuala Lumpur in Malaysia. At the time of survey administration, PURCSI had three cohorts of students and classes were being conducted on a temporary campus.


PUMC는 1906년 중국 베이징에 설립되어 8년제 교육과정을 가지고 있다. 4-7년도는 표준 학부 의학 교육과 거의 유사하다.

PUMC was established in 1906 in Beijing, China, and has an 8-year curriculum. Years 4–7 most closely approximate standard undergraduate medical training.


설문 구성

Survey composition


설문조사는 의대 연령, 성별, 인종, 연도 등 인구통계 변수를 평가하고 개인에게 학급 학업 순위를 상위, 중간, 하위 3위로 표시해 줄 것을 요청했다.

Surveys assessed demographics variables, including age, gender, race and year in medical school, and asked individuals to indicate their class academic rank as top, middle or bottom third.


학습 환경에 대한 인식은 존스 홉킨스 학습 환경 척도(JHLES)를 사용하여 평가되었다. JHLES는 2010년부터 2012년까지 존스 홉킨스 의과대학에서 일련의 단계에 걸쳐 개발되었다.11 그것은 28개의 항목을 가지고 있으며 각각 5개의 포인트 응답 옵션을 가지고 있다. 개발 중 탐색적 요인 분석은 (1) 동료 공동체, (2) 교수진 관계, (3) 학업 기후, (4) 의미 있는 참여, (5) 멘토링, (6) 포함 및 안전, 7) 물리적 공간의 7개 영역을 도출했다. 각 항목에는 JHLES 총점이 28점에서 140점 사이일 수 있도록 1-5점을 매기고, 높은 점수는 학습 환경에 대한 보다 긍정적인 인식을 나타낸다.

Perception of the learning environment was assessed using the Johns Hopkins Learning Environment Scale (JHLES). The JHLES was developed over a series of steps from 2010 to 2012 at Johns Hopkins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11 It has 28 items, each with five-point response options. During development, exploratory factor analysis resulted in seven domains: 

(1) Community of Peers, 

(2) Faculty Relationships, 

(3) Academic Climate, 

(4) Meaningful Engagement, 

(5) Mentorship, 

(6) Inclusion and Safety and 

(7) Physical Space. 

Each item is scored 1-5 so that JHLES totals can range from 28 to 140, with higher scores indicating a more positive perception of the learning environment.


삶의 질은 다른 의학 교육 연구 21,22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single-item 선형 아날로그 자기 평가와 광범위한 다른 삶의 질 연구에서 사용됐다.23–25 이 항목은 개인에게 '가능한 한 나쁜 것' 1에서 '가능한 한 좋은 것'에 이르는 1–5 척도로 그들의 전반적인 삶의 질을 평가해 줄 것을 요청했다.5

Quality of life was assessed using a single-item linear analogue self-assessment commonly used in other medical education studies 21,22 and in a broad range of other quality of life research.23–25 This item asked individuals to rate their overall quality of life on a 1–5 scale, ranging from ‘as bad as it can be’ 1 to ‘as good as it can be’.5


번아웃의 두 가지 차원은 validated single items로 측정했으며, 7포인트(1 = 매일, 7 = 절대) 리커트 척도로 응답자에게 보고하도록 요청한다(1 = 7 = 절대). 얼마나 자주 '내 일에서 소진'(감정적인 피로) 또는 '사람에 대한 냉담'(비인격화)을 느끼는지.

Two dimensions of burnout were measured using validated single items,26–28 which ask the respondent to report along a sevenpoint Likert scale (1 = daily, 7 = never) how often he or she feels ‘burned out from my work’ (for emotional exhaustion) or ‘callous toward people’ (for depersonalisation).


자료 분석

Data analysis


응답자 데이터가 JHLES를 완료했는지 여부를 분석하기 위해 포함되었다.

Respondent data were included for analysis if they had completed the JHLES.


이변량 분석과 다변량 분석에서 JHLES 총점과 도메인 점수는 항목 평균 3.5을 기준으로 이분화되었는데, 이는 불리한 등급보다 더 유리한 등급에 해당하며 대부분의 경우 중위수를 추정했다. 삶의 질은 선으로 이분화되거나('가능한 한 좋은 것'과 '어떤 좋은 것'을 합친 것) 좋지 않은 것으로 분류되었다. 번아웃은 높음(매주 또는 그 이상) 또는 낮음(not high)으로 이분화되었다. 공감은 표본 중위수를 근사하게 계산한 5개 항목 중 4개 항목 평균에서 이분법화되었다.

In bivariate and multivariate analyses, JHLES total and domain scores were dichotomised at itemmeans of 3.5, which corresponded to more favourable than unfavourable ratings and approximated the median in most cases. Quality of life was dichotomised as good (aggregating ‘as good as it can be’ and ‘somewhat good’) or not good. Burnout was 26–28 dichotomised as high (weekly or more often) or not high. Empathy was dichotomised at item-mean of four out of five, which approximated the sample median.


이변량 및 다변량 로지스틱 회귀 모델은 삶의 질, 정서적 소진, 비인격화 및 공감을 종속 변수로, 학습 환경 변수를 예측 변수로 사용하여 구성되었다. 모든 다변량 모델은 학교 내에서 군집화를 설명했고 성별, 의대 학년 및 인식된 학업 등급에 따라 조정되었다. 개념적 모델에 기초하여,14 우리는 학습 환경이 삶의 질과 소모에 근위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며, 공감에 대한 그것의 영향은 이러한 영향과 거리가 될 것이라고 생각했다. 이에 따라 삶의 질과 버너아웃에 대한 다변량 모델은 공감에 맞게 조정되지 않았고, 공감대가 있는 모델은 삶의 질과 버너아웃에 맞춰 조정된 종속변수로 조정됐다.

Bivariate and multivariate logistic regression models were constructed using quality of life, emotional exhaustion, depersonalisation and empathy as dependent variables and learning environment variables as predictors. All multivariate models accounted for clustering within schools and adjusted for sex, medical school year and perceived academic rank. Based on the conceptual model,14 we supposed that learning environment would have proximal effects on quality of life and burnout and that its influence on empathy would be distal to these effects. Accordingly, multivariate models for quality of life and burnout did not adjust for empathy, and models with empathy as the dependent variable adjusted for quality of life and burnout.


결과

RESULTS


표본 전체에서 33%는 자신의 계급이 상위 3위, 52%는 중간, 14%는 하위라고 믿었다(표 1).

Across the sample, 33% believed their class rank was in the top third, 52% in the middle and 14% in the bottom (Table 1).



본인의 석차가 더 높다고 응답한 학생일수록 전체 JHLES 및 네 가지 종속 변수에 대한 더 유리한 반응과 유의하게 연관되었다(p < 0.05).

Higher perceived class rank wa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more favourable responses for overall JHLES and all four dependent variables (p < 0.05).



학습 환경에 대한 인식과 학생의 웰빙 사이의 연관성 

Association between perception of learning environment and student well-being 


학습 환경 인식과 공감 사이의 연관성

Associations between learning environment perception and empathy



고찰

DISCUSSION


이전의 거의 모든 연구는 의과대학 동안 의대생들의 스트레스 척도가 증가한다는 것을 시사했다.1

Nearly all previous research has suggested that measures of medical student distress increase during medical school.1


미국의 5개 의과대학에 대한 한 연구는 단일 항목 학습 환경 평가와 번아웃 사이에 역 연관성을 발견했다.12 브라질 의과대학 22곳의 학생 표본에 대한 또 다른 연구는 DREEM(Dunde Ready Education Environment Measure)에 대한 인식과 삶의 질 등급 사이에 긍정적인 연관성을 발견했다.13

One study of five USA medical schools found an inverse association between a single-item learning environment assessment and burnout.12 Another study of a student sample from 22 Brazilian medical schools found a positive association between perceptions on the Dundee Ready Education Environment Measure (DREEM) and ratings of quality of life.13


우리의 연구는 세 가지 독특한 문화적, 교육적 측면에서 표준 측정 방법을 사용하고, 학생들의 복지와 더 밀접하게 연관될 수 있는 학습 환경 요인을 식별하는데 타당한valid 도구를 사용함으로써 그러한 관계에 대한 이전의 추측을 발전시켰다.

Our work advances previous supposition about such relationships by using standard measurement methods in three unique cultural and educational milieus, and by using an instrument that is valid for identifying learning environment factors that may be more closely connected to student well-being.


특히, 우리는 학생들의 동료들에 대한 존경심과 소속감과 관련된 JHLES 'Community of Peers' 영역의 바람직한 등급이 삶의 질 향상과 정서적 소진 및 비인격화와 관련이 있다는 것을 발견했다. 이것은 '다른 사람들과의 긍정적인 연결감[그리고] ...의 공동체에서의 소속감을 유지하고 공통의 가치감각을 공유하는 것'이 직장에서의 번아웃을 막아주는 효과가 있다는 마슬라크의 이론과 일치한다.

Notably, we found that favourable ratings on the JHLES ‘Community of Peers’ domain, which relates to students’ sense of respect for and belonging among their peers, was associated with better quality of life and less emotional exhaustion and depersonalisation. This is consistent with Maslach’s theory, which states that maintaining community, ‘a sense of positive connection with others [and] ... membership in a group with a shared sense of values’, is protective against workplace burnout.30,31


의대생에 대한 경험적 연구는 또래 공동체의 중요성을 더욱 강조한다. 예를 들어, 학생회에 가입하고 더 나은 사회적 서포트를 보고한 학생은 삶의 질이 향상되었고, 번아웃에 대한 회복탄력성이 더 높았다. 반대로 동료집단에서 탈퇴withdraw하는 학생들은 삶의 질이 더 나빴다.

Empirical studies of medical students further underscore the importance of peer community. For example, medical students who join student associations 32 and report better social support have improved quality of life 4,13 and greater resilience to burnout,33,34 whereas those who withdraw from their peers have worse quality of life.4


따라서, 의대생들 사이의 삶의 질과 번아웃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가장 효과적인 개입은 또래 관계 개선에 초점을 맞춘 개입일 수 있다. 그러한 개입은 사교 모임, 리트리트retreats, 대규모 학급 집단을 소규모 집단으로 학생들을 재편성하는 것까지 다양할 수 있는데, 이것은 공동체의 결속을 높이고 불안과 우울증을 감소시키는 전략이다.36

Therefore, the most effective interventions to address quality of life and burnout issues among medical students may be those that focus on improving peer relationships. Such interventions may range from social gatherings and retreats 35 to the reorganisation of students from one large class cohort into smaller groups within the class, a strategy shown to increase community cohesion and decrease anxiety and depression.36


의과대학에서 '학습 공동체'의 등장은 전형적으로 학생들을 그룹화하고 '개인의 욕구를 충족시키면서 구성원 자격, 영향력, 정서적 유대감을 충족시키려 한다'는 활동을 포함하는 것으로 학생과 교직원 간의 유대감을 증진시킬 수 있는 특별한 약속을 할 수 있을 것이다.37

The emergence of ‘Learning Communities’ in medical schools, which typically group students and include activities that seek to ‘convey a sense of membership, influence, and shared emotional connection while also fulfilling individual needs’ may hold particular promise for enhancing connectedness among students and faculty members.37


학습 환경에 대한 인식과 번아웃 사이의 강한 연관성은 이번 연구의 다양한 문화권에서 공통적으로 지적되었다. 이것은 한 사람의 개인적 특징보다는, 관계적, 학문적, 그리고 다른 맥락적 요소들이 번아웃을 일으킨다는 믿음과 일치한다.35

Strong associations were noted between perceptions of the learning environment and burnout across our culturally diverse study population. This is consistent with the belief that relational, academic and other contextual factors, rather than an individual’s personal characteristics, drive the onset of burnout.35


본 연구에서 JHLES 내의 한 영역인 '학습 분위기'에 대한 바람직한 인식은 보다 적은 번아웃과 가장 밀접한 관련이 있었다. 의대생들에게 있어서, 스트레스 받는 학업적 사건은 그들의 우울증 증상과 관련하여 개인적인 스트레스 요인보다 더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40 마찬가지로, grading scale과 같은 수정 가능한 학업적 요인도 41과 웰빙의 다른 지표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42

In our study, favourable perceptions of the ‘Academic Climate’, one domain within the JHLES, were most strongly associated with less burnout. For medical students, stressful academic events have been shown to be more impactful than personal stressors with respect to their depressive symptoms.40 Likewise, modifiable academic factors, such as grading scale, can influence burnout 41 and other markers of well-being.42


그러나, 학습 분위기 외에도, 우리는 여러 다른 학습 환경 영역들이 소진(burnout)과 연관되어 있다는 것을 발견했다. 이러한 복잡하고 상호연결된 관계는 좋은 의도로 이뤄진 제도적 교육과정 개혁 노력이 학생의 웰빙을 향상시키는데 왜 성공적이지 못했는지를 설명할 수 있다. 43 그보다는 전체적인holistic 접근법을 취하는 교육과정들은 더 성공적일 수 있다.36 학생들의 복지를 향상시키기 위한 인터벤션에 대한 반응을 모니터링 하기 위해서는 학습환경에 대한 인식을 체계적이고 종단적으로 평가하는 것이 유용할 수 있다.

Yet, in addition to Academic Climate, we found multiple other learning environment domains to be associated with burnout. These complex and interconnected relationships may explain why well-intentioned institutional curricular reform efforts may not be successful at improving student well-being,43 whereas those that take a holistic approach can be more successful.36 Evaluating perceptions of the learning environment, systematically and longitudinally, may be useful for monitoring responses to interventions aimed at improving student well-being.


주로 미국의 일련의 연구에서 나온 결과에서, 의대생의 공감 저하에 많은 관심을 기울였다.

A great deal of attention has been paid to the potential decline in empathy among medical students, driven primarily by findings from a series of studies in the USA.44–50


다른 연구들은 의과대학의 학습환경에서 경험이 적은 3학년 학생들과 3학년 학생들을 비교했을 때 의대생들의 공감을 감소시키지 않는다는 것을 보여준다.

Other studies show no decline in medical student empathy when comparing senior students with junior students with less experience in medical schools’ learning environments,


우리의 가설과는 달리, 우리는 학습 환경에 대한 전반적인 인식과 공감 사이에서 유의미한 연관성을 발견하지 못했고, 모든 응답자를 합해서 또는 그룹별로 조사했을 때, 전체 학년 전반에 걸친 (일관된) 공감의 변화 추세를 발견하지 못했다.

Contrary to our hypothesis, we did not find a significant association between overall perceptions of the learning environment and empathy, nor did we find trends in empathy across class years, when examined in aggregate or separately.


우리 일의 몇 가지 한계를 고려해야 한다.

Several limitations of our work should be considered.


교란 변수

confounding variables;


응답 속도,

response rate,


자화자기의

self-reported


인과 관계를 증명할 수 없다

cannot prove causation.



13 Enns SC, Perotta B, Paro HB et al. Medical students’ perception of their educational environment and quality of life: is there a positive association? Med 2016;91 (3):409–17. DREEM XXX


33 Tempski P, Santos IS, Mayer FB, Enns SC, Perotta B, Paro HB, Gannam S, Peleias M, Garcia VL, Baldassin S, Guimaraes KB. Relationship among medical student resilience, educational environment and quality of life. PLoS One 2015;10 (6):e0131535. DREEM XXX




Neumann M, Edelh€auser F, Tauschel D, Fischer MR, 14 Wirtz M, Woopen C, Haramati A, Scheffer C. Empathy decline and its reasons: a systematic review of studies with medical students and residents. Acad Med 2011;86 (8):996–1009.




21 West CP, Shanafelt TD, Kolars JC. Quality of life, burnout, educational debt, and medical knowledge among internal medicine residents. JAMA 2011;306 (9):952–60. Single-item Single item XXX


22 West CP, Tan AD, Habermann TM, Sloan JA, Shanafelt TD. Association of resident fatigue and distress with perceived medical errors. JAMA 2009;302 (12):1294–300. Single-item Single item XXX


26 West CP, Dyrbye LN, Satele DV, Sloan JA, Shanafelt TD. Concurrent validity of single-item measures of emotional exhaustion and depersonalization in burnout assessment. J Gen Intern Med 2014;27 (11):1445–52. Single-item Single item XXX




37 Smith S, Shochet R, Keeley M, Fleming A, Moynahan K. The growth of learning communities in undergraduate medical education. Acad Med 2014;89 (6):928–33. XXX




40 O’Reilly E, McNeill KG, Mavor KI, Anderson K. Looking beyond personal stressors: an examination of how academic stressors contribute to depression in Australian graduate medical students. Teach Learn Med 2014;26 (1):56–63. XXX


41 Reed DA, Shanafelt TD, Satele DW et al. Relationship of Pass/fail grading and curriculum structure with well-being among preclinical medical students: a multi-institutional study. Acad Med 2011;86 (11):1367– 73. XXX


28 Cook AF, Arora VM, Rasinski KA, Curlin FA, Yoon JD. The prevalence of medical student mistreatment and its association with burnout. Acad Med 2014;89 (5):749–54. XXX










. 2017 Mar;51(3):280-289.
 doi: 10.1111/medu.13120. Epub 2016 Nov 29.

International Study of Medical School Learning Environments and Their Relationship With Student Well-Being and Empathy

Affiliations 

Affiliations

  • 1Division of General Internal Medicine, Johns Hopkins Bayview Medical Center, Baltimore, USA.
  • 2Department of Student Services, Technion American Medical Students Program, Haifa, Israel.
  • 3Department of Endocrinology, Peking Union Medical College, Beijing, China.

Abstract

Objective: To assess whether favourable perceptions of the learning environment (LE) were associated with better quality of life, less burnout and more empathy across three undergraduate medical education programmes in Israel, Malaysia and China.

Methods: Cross-sectional surveys were administered at the end of the 2013-2014 academic year at three medical schools: Technion American Medical Students Program (TAMS) in Israel, Perdana University-Royal College of Surgeons in Ireland School of Medicine (PURCSI) in Malaysia and Peking Union Medical College (PUMC) in China. LE perceptions were assessed using the Johns Hopkins Learning Environment Scale (JHLES). Well-being was assessed using validated items for quality of life and the depersonalisation and emotional exhaustion domains of burnout. The 20-item Jefferson Empathy Scale assessed empathy. Statistical analyses included bivariate regressions and multivariate regressions that adjusted for gender, school, class year and perceived academic rank.

Results: Overall, 400/622 (64.3%) students responded, with the following rates by site: TAMS 92/121 (76.0%), PURCSI 160/198 (80.1%) and PUMC 148/303 (48.8%). In multivariate models, favourable overall LE perceptions were associated with higher odds of good quality of life (odds ratio [OR], 3.2; 95% confidence interval [CI], 1.8-5.8; p < 0.001) and lower odds of emotional exhaustion (OR, 0.34; 95% CI, 0.24-0.50; p < 0.001) and depersonaliation (OR, 0.30; 95% CI, 0.24-0.37; p = 0.001). 'Community of Peers', one of seven factors in the JHLES, was the only one to be independently associated with better quality of life and less emotional exhaustion and depersonalisation. After adjusting for covariates, there was not a statistically significant association between overall LE and empathy (OR, 1.4; 95% CI, 0.91-2.2; p = 0.12).

Conclusions: Students' LE perceptions are closely associated with their well-being, and fostering peer community may hold promise for enhancing quality of life and protecting against burnout. Across these three settings, LE and empathy were not closely related, suggesting that any influence of learning environment on empathy would be modest.

의학교육에서 심리적 안전의 구인 탐구(Acad Med, 2019)

Exploring the Construct of Psychological Safety in Medical Education

Sian Hsiang-Te Tsuei, MHSc, MD, CCFP, Dongho Lee, MD, Charles Ho, MD, FRCPC, Glenn Regehr, PhD, and Laura Nimmon, PhD




의학 교육은 심리학적 안전(PS)을 정의하거나 교육적 맥락에서 PS를 최대화하기 위해 실행될 수 있는 방법을 탐구하는 공식적인 문헌을 거의 만들어내지 못했다. 대신에, 많은 연구자들은 의대학생들이 직면하고 있는 사회적, 언어적, 신체적, 성적 학대와 그것이 학생들의 복지에 미치는 결과를 기록하였다.8-17 이러한 안전 학습 환경이 의료 교육에 자주 부재하는 방식에 초점을 맞춘 것은 이러한 유해한 행동을 제거하면 PS가 달성된다는 암묵적인 가정을 시사하는 것 같다.

Medical education has produced little formal literature defining psychological safety (PS) or exploring the methods that might be invoked to maximize PS in the educational context. Instead, many researchers have documented the social, verbal, physical, and sexual mistreatment facing medical students1–7 and its consequences for student well-being.8–17 This focus on the ways in which a safe learning environment is frequently absent in medical education seems to suggest the implicit assumption that removing these harmful behaviors will achieve PS.


그러나 그러한 부정적인 경험의 제거가 그 자체로 심리적으로 안전한 환경을 만들 것이라고 가정하는 것은 잘못된 논리의 비약일 수도 있다. 불행과 더불어 능동적으로 행복을 탐구하는 심리 문헌과 마찬가지로, 의학교육에서 이러한 명백하게 문제가 되는 행동을 연구하는 것은 PS를 positive term으로 탐구하는 방식으로 보완되어야 한다. 즉 PS에 대해서 단순히 회피해야 할 행동만 이해하는 것이 아니라, 직접적으로 PS를 높이기 위해 어떤 노력을 해야하는가를 이해해야 한다.

However, it may be an erroneous leap of logic to assume that the removal of such negative experiences would by itself create a psychologically safe environment. Similar to the psychological literature that actively explores happiness alongside unhappiness,24,25 studying these clearly problematic behaviors in medical education might well be complemented by defining and exploring PS in positive terms—what it is—to understand not merely what actions to avoid but also what efforts can be exerted to directly promote PS.


구조로서의 PS는 Edmondon의 26년과 Kahn의 27개의 세미날 작품에서 PS가 대인관계 위험을 감수하는 데 힘을 실어준다는 것을 발견한 관리 과학에서 유래했다. 에드먼슨의 연구 이후 현대 직장 연구는 유해 활동을 최소화하기보다는 PS와 그에 따른 혜택을 극대화할 수 있는 방법을 28~33으로 검토하는 쪽으로 방향을 전환했다.

PS as a construct has origins in management science where Edmondson’s26 and Kahn’s27 seminal works found that PS empowered interpersonal risk-taking. Since Edmondson’s work, modern workplace research has shifted to examine how to maximize PS and consequent benefits28–33 rather than just minimizing harmful activities.


그러나 nursing mistreatment에 관한 많은 증거 자료는 정의를 제공하는 것이 신뢰와 안전이라는 개념의 조작화를 위한 첫 번째 단계에 불과함을 시사한다.36–40

However, the large body of evidence on nursing mistreatment suggests that providing a definition may be only the first step toward operationalization of such concepts of trust and safety.36–40



방법

Method


세팅

Setting


안전한 학습 환경의 요소들을 연구하기 위해, 우리는 이 연구를 브리티시 컬럼비아 대학교(UBC)의 레지던트 의사 및 2학년 의대생이 2015년에 설립한 동료 보조 학습(PAL) 프로그램인 의학 교육(PMME) 프로그램에 배치했다.

To study the elements of a safe learning environment, we situated this study within a Peer Mentorship in Medical Education (PMME) program, a peer-assisted learning (PAL) program founded in 2015 by a resident physician and a second-year medical student at the University of British Columbia (UBC).


멘토모집 및 설명회, 멘티모집, 커리큘럼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부록 1과 표 1에 수록되어 있다.

Further details on the mentor recruitment and debriefing, mentee recruitment, and curriculum are provided in Appendix 1 and Table 1.



Appendix 1 Mentor Recruitment and Training, Mentee Selection, and Curriculum Development in PMME

Mentor recruitment and training

During the first year, the resident physician founder served as the mentor. Subsequent mentors were recruited from the founding resident physician’s personal connections and email callouts to the family medicine residency program. The mentors were trained in a 2-hour introductory session at the start of the academic year. The mentors debriefed with the founding mentor as needed throughout the program.


Mentee selection

The mentees were recruited annually via email, Facebook, and in-person events. The applicants submitted a statement expressing their interest and envisioned contributions to PMME. The statements were ranked based on their passion to learn medicine and potential to contribute to PMME as a future mentor. The top individuals were invited for interview with a panel of 2 to 3 interviewers made up of medical student executives and resident mentors. A 3-member committee consisting of medical student mentees and resident mentors ultimately selected the student participants.


Curriculum development

Developed by several first-year mentees and 3 core resident physician mentors, the curriculum paralleled the weekly curriculum learning objectives in the UBC undergraduate medical program and aimed to provide more clinical approaches from history to treatment plan. An example of the curriculum is provided in Table 1.


Appendix 2 Interview Guide

Specific interview/journal questions:

1. Tell me about a time in PMME when you felt that the learning environment was emotionally or psychologically “safe.”

2. Tell me about a time in PMME when you felt that the learning environment was emotionally or psychologically “unsafe.”

To explore:

- What made it feel safe?

- How does the peer mentorship structure factor into the safety?

- How does the close-knit group atmosphere factor into the safety?

- How does the consistent meeting time factor into the safety?

- How does the consistent group makeup factor into the safety?

- How does the nongraded nature factor into the safety?

- How did the “safety” affect your overall learning?

- Do you feel that it’s safe to speak up in PMME? If so, does it encourage you to speak up outside of PMME?



참여자

Participants


자료 수집

Data collection


자료수집과 분석은 정성적 연구원칙을 바탕으로 했다. 데이터 수집에는 개별적인 반구조적 인터뷰가 포함되었다. 각각의 인터뷰는 "PS 감각이 학습에 어떤 영향을 미쳤는가?" 또는 "PME에 학습 환경이 정서적으로나 심리적으로 안전하거나 안전하지 않다고 느꼈을 때가 있었는지 알 수 있는가?"라는 개방형 면접 질문으로 시작했다. 후속 질문 및 탐색 기법도 광범위한 의료 교육과정(부록 2)에서 PS에 대한 더 많은 정보를 이끌어내는 데 도움이 되었다. 인터뷰는 스카이프나 구글 행아웃을 통해 진행됐으며, 삭제된 식별정보와 함께 기록, 필사했다.

Data collection and analysis were based on qualitative research principles. Data collection involved individual semistructured interviews. Each interview began with open-ended interview questions: “How did a sense of PS affect your learning?” or “Can you tell if there were times in PMME when you felt that the learning environment was emotionally or psychologically safe or unsafe?” Follow- up questions and probing techniques also helped elicit more information about PS in the broader medical curriculum (Appendix 2). The interviews were conducted over Skype or Google Hangouts, recorded, and transcribed verbatim with identifying information removed.


자료 분석

Data analysis


이 서술적 및 탐구적 연구에서는 주제가 데이터와 강하게 연계되는 유도적 접근법을 사용하여 주제별로 데이터를 분석하였다.47

In this descriptive and exploratory study, data were thematically analyzed using an inductive approach where themes were strongly linked to the data.47


주제의 서술에서 주제의 해석으로 분석이 진행되면서, 47 S.H.T.T.는 주제의 의미를 더 잘 표현하기 위해 사회생태 이론(SET)48을 이용했다. SET는 개인의 주체성과 행동을 제도적, 대인관계적, 인성적 요인의 산물로 개념화한다. McLeroy와 동료들은 이전의 행동 변화와 개인의 발전에 대한 이론을 바탕으로 다음 5가지 영역 내에서 건강증진을 개념화하는 SET를 명시적으로 제안했다. 

    • (1) 개인의 특성과 관련된 개인적 요인 

    • (2) 소셜 네트워크 역학을 설명하는 대인 관계 프로세스 

    • (3) 조직 특성, 규칙 및 규정의 특성을 나타내는 기관 요소 

    • (4) 조직, 기관 및 네트워크 간의 관계를 기술하는 지역사회 요인 

    • (5) 법률 및 정책을 설명하는 공공 정책48

As analysis progressed from description of themes to interpretation of themes,47 S.H.-T.T. drew on social ecological theory (SET)48 to better represent the meaning of the themes. SET conceptualizes an individual’s agency and action as a product of institutional, interpersonal, and intrapersonal factors. Based on previous theories of behavioral change and individual development, McLeroy and colleagues explicitly proposed SET to conceptualize health promotion within the following 5 spheres: 

    • (1) intrapersonal factors that pertain to characteristics of individuals; 

    • (2) interpersonal processes that describe social network dynamics; 

    • (3) institutional factors characterizing organizational characteristics, rules, and regulations; 

    • (4) community factors that delineate relationships between organizations, institutions, and networks; and 

    • (5) public policy which depicts laws and policies.48


결과

Results


PS의 구성요소

Constituents of PS


주제 전반에 걸쳐 지배적인 줄거리는 학생들이 안전하다고 느낄 때 끊임없이 자기 모니터링을 할 필요가 없다는 것에 대한 학생들의 설명이었다. 학생들은 인식된 기준에 비해 자신의 수행이 적절한지 적절한지 판단할 필요 없이 순간적으로 학습에 완전히 집중할 수 있었다.

A dominant thread across themes was the students’ descriptions of the absence of a need to constantly self-monitor when they felt safe. Students could fully focus on learning in the moment without having to judge whether their performance was appropriate or adequate relative to perceived standards.


제도적 요인

Institutional factors.


학생들은 공식적인 평가가 없는 것과 학습 의제가 구조화되지 않은 특성이 모두 PMME에서 PS의 감각에 매우 중요하다고 제안했다. 그렇지 않으면 공식적인 평가와 구체적인 학습 목표가 있다면, 교육 지도자와 교육자에게 중요한 것으로 학습을 제한하도록 강요할 수 있겠지만, 그렇지 않았기에 학생들은 호기심을 탐구할 자유를 가질 수 있었다. 그들은 배움이 더 자기주도적이고 기대에 의한 제약이 없었기에 억제되지 않는다고 묘사했다.

Students suggested that both the lack of formal assessment and the unstructured nature of the learning agenda were critical to their sense of PS in PMME. The lack of formal assessments and specific learning objectives, which would otherwise force them to restrict their learning to what mattered to educational leaders and preceptors, enabled students the freedom to explore their curiosities. They described that learning was more self-directed and uninhibited without the constraint of expectations.



대인관계 요인

Interpersonal factors.


학생들은 또한 PS에 대한 감각이 부분적으로 PMME의 맥락에서 발달한 대인 관계 때문에 생겨났다고 믿는 것 같았다.

Students appeared to also believe that their sense of PS arose in part because of the interpersonal relationships they had developed in the context of the PMME.


대인관계 연계를 통한 그들의 PS 감각이 생겨난 것은 동료들뿐만 아니라 preceptor들에게도 한 사람으로서 이해와 배려를 느꼈기 때문이다. 이들은 "자신의 이익이나 일종의 권력강화"(P#6)에 초점을 맞추기보다는 멘티들의 정서적 상태, 능력, 목표를 스스로 인정하고 지지한다고 강조했다.

Their sense of PS through interpersonal connections arose because they felt understood and cared for as a person, not only by their peers but also by the preceptors. They emphasized that the preceptors appreciated and supported the mentees’ emotional state, abilities, and goals for themselves rather than focusing on “their own benefit or their own sort of aggrandizement” (P#6).


학생들은 이러한 긍정적인 관계 때문에 자신의 행동과 논평, 질문에 대해 끊임없이 평가받는다고 느끼지 않아도 되었다고 표현했다. 이들의 참여가 부정적인 의견이나 파장을 초래하지 않을 것이라는 심리가 강했다. 따라서, 그들은 무지 또는 차선의 성과를 입증하는 결과를 고려하지 않고 당면한 학습에 집중할 수 있다.

Students articulated the sense that because of these positive relationships, they did not feel constantly judged for their actions, comments, and questions. There was a strong sentiment that their participation would not incur negative opinions or repercussions. Thus, they could focus on the learning at hand without having to consider the consequences of demonstrating ignorance or a suboptimal performance:


참석자들은 또 친근하고 유머러스한 환경이 서로 마음이 편안해지는 데 도움이 돼 개인주의 경쟁으로 산만해지는 대신 집단적으로 학습에 집중할 수 있게 됐다고 지적했다.

Participants also indicated that the friendly, humorous environment helped them feel at ease with each other, allowing them to collectively focus on learning instead of being distracted by individualistic competition.


이 아이디어는 한 학생이 PMME에서의 경험과 의과대학에서의 전반적인 경쟁력을 대조하면서 구체화되었다.

This idea was elaborated by a student contrasting the experience in PMME with the overall competitiveness in medical school:


[나는] 병원 안에 집단으로 들어가 있는데, 누군가가 심장학을 좋아하고 심장학에 대해 이렇게 강도 높은 질문을 한다는 것을 알고 있는데, 왜 왼쪽 심장이 오른쪽 심장보다 더 큰지에 대한 바보 같은 질문을 덜 할 것 같아. . . 뛰어난 친구들이 함께 있기 때문에 나는 약간 뒤로 희미해져 갔다. . 나로서는 의대에서는 적어도 비교가 많이 되는 것 같다.(P#1)

[I]n the hospital in like a group setting and I know that someone loves cardiology and they’re just asking all these intense questions about cardiology, I’m less likely to ask my stupid question about why the left heart is bigger than the right heart or something like that. . . . I kind of fade into the background, because there’s some gunner. . . . I think there’s a lot of comparing in med school, at least for me. (P#1)


참석자들은 또 그룹의 대인관계 역학관계에 점점 유창해짐에 따라 다른 사람들이 자신의 행동이나 발언을 어떻게 해석할지를 예상할 수 있어 PS에 대한 감각이 더욱 높아졌다고 제안했다.

Participants also suggested that as they became increasingly fluent with the group’s interpersonal dynamics, their sense of PS increased further because they could anticipate how others would interpret their actions or comments.


내면적 요인

Intrapersonal factors.


내면적 요인은 개인이 '학습 계약서'의 목적을 지킬 수 있다고 스스로 인식했는지 여부를 말하는 것으로, 이는 학습자로서의 참여자의 기대와 관련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 PMME와 의과대학에서의 이러한 기대감은 종종 사회적 비교를 통해 확립되었다. 학생들은 남에 비해 식견이 떨어질수록 편안함이 떨어지고, 역량의 이미지를 투영projecting하는 데 집중했다고 정교하게 설명했다.

Intrapersonal factors refer to whether individuals perceived themselves capable of upholding their end of the “learning contract,” which seemed related to the participants’ expectations of themselves as learners. This sense of expectations in PMME and medical school was often established through social comparisons. Students elaborated that the less knowledgeable they felt compared with others, the less comfortable they felt and the more they focused on projecting an image of competency.


이 동일한 참가자는 PMME 맥락에서 사회적 위치social positioning을 덜 경험하였다고 대조하였다.

This same participant contrasted the absence of social positioning experienced in the PMME context


의대는 여러 면에서 사회적으로 최소한 고등학교처럼 느껴지고 그래서 고등학교 때 내가 사람들보다 높은 학년이고 그 반대의 학년이었던 한 어떻게 이런 바보 같은 우월감을 가졌는지 생각해 볼 수 있을 것이다. (P#4)

Medical school in a lot of ways socially at least feels like high school and so you can kinda think of how, like in high school like I had this stupid sense of superiority as long as I was in a higher grade than people and vice versa. (P#4)


안전하거나 안전하지 않은 환경의 결과

Consequences of safe vs unsafe environments


참가자들이 안전하지 못한 느낌을 상세히 설명했을 때, 그들은 기대와 비교해서 그들이 어떻게 행동하고 있는지에 대한 인식을 증가시켰다고 묘사했다. 그들은 종종 불안하거나 부끄러워하거나 불충분하다고 말했다. 몇몇 참가자는, 예를 들어, 질문을 보류하거나, 말을 적게 하거나, 개인적인 욕구를 적게 표현하는 등, 그들이 자신의 행동의 결과를 알게 될 때까지, 참여하지 않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When the participants elaborated their sense of feeling unsafe, they described increased awareness of how they were performing relative to expectations. They often stated that they felt anxious, ashamed, or inadequate. Several participants described that they would be reticent to engage—by, for example, withholding questions, speaking out less, or expressing fewer personal needs—until they could understand the consequences of their actions.


이와는 대조적으로, 예를 들어 PMME에서 환경이 PS를 제공했을 때, 참가자들은 경멸을 받을 염려 없이 감정적으로 그리고 지적으로 자신이 어디에 있는지를 그룹과 공유할 수 있다는 느낌을 묘사했다.

In contrast, when the environment afforded PS, in PMME for example, the participants often described feeling that they could share where they were emotionally and intellectually with the group without concern of drawing scorn.


본질적으로, 학생들은 당면한 현재의 과제에 더 잘 집중할 수 있었고, PS의 감각을 느낄 때 학습 기회를 더 충분히 탐색할 수 있었다고 설명했다.

In essence, the students described that they were better able to focus on the present task at hand and more fully explore the learning opportunity when they were feeling a sense of PS.


참석자들은 PMME에서 일관되게 지지적인 상호작용이 있었을 때, 이것은 점점 더 긴밀한 관계를 형성하는 자기 강화 관계를 초래한다고 제안했다. 이러한 대인관계 유대는 친밀감을 통해 PS의 감각을 강화시켰다. 예를 들어, 그들은 다른 사람들 앞에서 실패하는 것이 아주 작은 consequences만 발생시켰기에 그룹 내에서 그들이 가지고 있는 대인관계의 신뢰가 높아졌다고 제안했다. 그들이 consequence에 대한 우려없이 위험을 감수할 수 있다는 의식은 그들이 미래에 실수를 중재할 수 있는 지원 시스템을 가졌다고 느낄 수 있게 했다.

Participants suggested that when there were consistently supportive interactions in PMME, this led to a self- reinforcing relationship that resulted in an increasingly tight-knit group. This interpersonal bond reinforced a sense of PS through closeness. For example, they suggested that failing in front of others with minimal consequences improved the interpersonal trust they had within the group. The sense that they could take risks without consequences allowed them to feel they had a support system that would mediate mistakes in the future


참가자들은 또한 서로 안전하다고 느꼈기 때문에, 그들이 다루는 임상적 접근법을 넘어 주제에 초점을 맞추도록 대화를 넓힐 수 있게 해 줄 수 있다고 제안했다. 예를 들어 의료 경력이나 레지던트 매칭 과정 등이 대상이다.

The participants also suggested that feeling safe with each other allowed them to broaden their conversations to focus on subjects beyond the clinical approaches covered. Subjects included, for example, medical career or residency matching processes.


지금은 [MENTOR 2]와 [MENTOR 1] 이메일을 보내는 것이 편하고, 항상 그렇게 하는 것은 아니지만, 그래도 나는 충분히 그렇게 하고 "이봐"라고 말할 수 있을 만큼 편해, 적어도 이 그룹에 헌신하고 정중하게, 예의 바르게 말하는 것 이상일 거야, 우리 사건 말고 다른 것에 대해 너희들에게 말할 수 있다는 것을 표현해 줬어. 매주 배우는 것.

I’m comfortable now to send [MENTOR 2] and [MENTOR 1] an email, and I don’t do it all the time, but I’m comfortable enough to do that and say “hey look” you’ve committed to this group and you’ve politely, at least, I’m sure it’s more than just being polite, expressed that we can talk to you guys about other things than just the case we’re supposed to learn every week. (P#3)


고찰

Discussion


대부분의 의학 교육 문헌은 사회, 언어, 신체적, 성적 학대로 특징지어지는 안전하지 않은 환경에 대한 보고를 통해 PS를 기술했다.1-7 PS의 초점을 학생 mistreatment에 두면서 학습에 대한 더 넓은 개념을 적절하게 운용하는 데 실패했다.

Most medical education literature has described PS through reporting on unsafe environments characterized by social, verbal, physical, and sexual mistreatment.1–7 This dominant focus on student mistreatment has failed to adequately operationalize broader notions of PS and learning.


이번 연구 결과는 PS의 의식이 교육과정 목표, 다른 동료와의 비교, 또는 내부적으로 도출된 표준을 통해 결정되는지 여부에 따라 [학생들이 자신에게 기대되는 것에 대해 자신을 얼마나 지속적으로 평가해야 하는지에 의해 크게 영향을 받는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학생들이 안전하게 느낄수록 현재에 더 집중하고 학습에 참여할 수 있었다. 학생들은 어떻게 그들이 [유능한 이미지를 보여줄 필요성을 덜 경험]했는지를 묘사했고, 그래서 그들은 그들의 [생각과 감정을 더 진솔하게 표현]할 수 있었다.

The findings demonstrated that a sense of PS is strongly affected by how much the students need to continuously assess themselves against what they feel is expected of them, whether it is determined through curriculum objectives, comparison with other peers, or internally derived standards. The safer the students felt, the more they could focus on the present moment and engage in learning. The students described how they experienced less need to present a competent image; thus, they were more able to express their thinking and emotions authentically.


이러한 발견은 현재의 보건 전문직 교육 문헌에 기술된 PS 구축에 뉘앙스를 더한다. 간호 및 관리 과학 문헌에 따르면 PS는 처벌의 두려움 없이 대인관계 위험을 감수할 수 있도록 허용한다.27,30,34,35 그러나 우리의 발견은 PS의 "위험을 감수한다"는 개념을 넘어선다. 오히려 참가자들은 '안전'은 자신의 이미지를 관리하기 위해 '위험'을 모니터링 하는 것이 아니라, 위험을 의식하지 않고 학습 체험에 온전히 임하고 있음을 암시한다고 제안했다. 따라서 의학교육에서 PS를 "교육적 안전"이라고 칭할 것을 제안한다. 이는 학습자가 자신의 투영된 이미지를 스스로 모니터할 필요 없이 학습 과제에 진솔하고 온전히 집중할 수 있도록 타인에 의한 판단의식으로부터 해방된 주관적 상태라고 정의한다. 교육 안전을 지원하는 연구의 주요 요인은 그림 1에 요약되어 있다.

These findings add nuance to the construction of PS as described in the current health professions education literature. The nursing and management science literature suggests that PS frees individuals to take interpersonal risks without fear of punishment.27,30,34,35 However, our findings extend beyond notions of PS as “taking risks.” Rather, participants suggested that “safety” implied that they were not monitoring for “risks” to manage their images; they were engaging fully in the learning experience without a sense of risk. Therefore, we propose that PS in medical education be termed “educational safety,” which we define as the subjective state of feeling freed from a sense of judgment by others such that learners can authentically and wholeheartedly concentrate on engaging with a learning task without a perceived need to self-monitor their projected image. Key factors from our study that support educational safety are summarized in Figure 1.



관계 및 교육적 동맹

Relationships and educational alliance


우리의 연구 결과는 관계적 지원의 중요성을 입증하고 교육 동맹의 개념과 잘 들어맞는다. 교육 동맹은 "학습자의 (교육자에 대한) 호감, 신뢰, 가치관, 그리고 이러한 감정이 상호적이라는 느낌"에서 나온다. 이는 교육자와 학생 사이의 교육적 유대감을 묘사한다. 49 이론적으로나 경험적으로, 더 강한 교육 동맹은 학생들이 preceptor의 피드백을 더 잘 이해하게 한다.49 우리의 맥락에서, 멘토와 친숙한 대인관계 맥락에서 이해되는 판단과 느낌 없이 상호 작용하는 것은 교육적 동맹의 존재를 나타내는 것으로 보였다.

Our findings demonstrate the importance of relational support and fit well with the concept of the educational alliance. An educational alliance describes the quality of educational rapport between the educators and the student, emerging from “the learner’s liking, trusting and valuing of the preceptor and belief that these feelings are mutual.”49 Theoretically and empirically, a stronger educational alliance increases the students’ uptake of the preceptors’ feedback.49 In our context, interacting without judgment and feeling understood in a familiar interpersonal context with a mentor appeared to represent the presence of an educational alliance.


우리의 통찰력은 또한 애착 이론의 렌즈를 통해 정교하게 설명될 수 있다. 애착 이론은 어린이와 보호자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해 처음 개발되었다. 유아들은 쉽게 지원을 받을 때 보호자에게 단단히 붙어 있다고 느끼고 자신의 주변을 자유롭게 탐색한다.51 대조적으로, 일관되지 않거나 위협적인 돌봄은 스트레스 하에서 매우 불안정한 행동을 보이고 심지어 보호자의 보호마저 완전히 회피하는 것으로 나타나는, 잘못된 애착을 초래할 수 있다.51

Our insights could also be elaborated through the lens of attachment theory. Attachment theory was first developed to describe children’s relationship with their caregiver. When infants readily receive support, they feel securely attached to the caregiver and freely explore their surroundings.51 In contrast, inconsistent or threatening care can lead to poor attachment, evidenced by highly anxious behavior under stress, and even avoidance of the caregiver altogether.51


안전한 직장 애착직장에서 다른 사람들을 신뢰할 수 있다는 인식을 향상시키고, 개인들이 대인관계 위험을 감수하도록 이끈다.52,53 PS에 대한 우리의 참가자들의 설명은 안전한 애착 현상과 현저하게 유사함을 보여준다. 학생들은 환경이 우호적이고, 배려하며, 비판단적임을 인식했을 때 신뢰감을 표현했다. 또 약점을 공개하더라도 불이익을 주지는 않을 것으로 봤다. 그 결과 참가자들은 도전적인 주제를 탐구하고, 위험을 감수하고 실패를 경험하며, 그룹 앞에서 이해의 한계를 인정하는 마음이 더 편하다고 설명했다.

Secure workplace attachment improves the sense that others at work are trustworthy and leads individuals to take interpersonal risks.52,53 Our participants’ descriptions of PS show striking resemblance to the phenomenon of secure attachment. The students described a sense of trust when they perceived that the environment was friendly, caring, and nonjudgmental. They also perceived that disclosing weaknesses would not result in penalization. As a result, the participants described feeling more comfortable exploring challenging topics, taking risks and experiencing failures, and acknowledging the limits of their understanding in front of the group.


의대생들이 훈련을 시작할 때 '학업적 아이child'처럼 스스로 살아갈 수 있는 의학적 지식과 경험이 거의 없다고 제안한다. 학생들이 멘토들에게 안전하게 애착을 느낄 때, 그들은 더 쉽게 "학술 놀이터"를 탐험하고 근위부 개발 영역을 넓힐 수 있다.54

We propose that when the medical students start their training, they have little medical knowledge and experience to fend for themselves, akin to an “academic child.” When students feel safely attached to the mentors, they may more readily explore the “academic playground” and expand their zone of proximal development.54


개선된 몰입

Improved flow


그 결과는 참가자들이 안전하다고 느꼈을 때, 그들은 "유능하다는 이미지"를 투영하는 것에 덜 몰두했다는 것을 더욱 조명했다. 그들은 자신들의 행동이 가져올 결과에 대한 걱정에서 벗어나 대신 현재에 초점을 맞추는 쪽으로 시선을 옮겼다. 이를 통해 참가자들은 보다 능동적인 학습에 참여할 수 있었다. 자기보존을 거의 고려하지 않은 채 현재에 대한 집중력이 높아진 것에 대한 그들의 설명은 '몰입'이라는 생각에 강하게 공감하고 있다.

The results further illuminated that when the participants felt safe, they were less preoccupied about projecting an image of competence. They shifted attention away from worrying about the consequences of their actions to focusing on the present moment instead. This enabled the participants to engage in more proactive learning. Their descriptions of increased concentration on the present moment with little regard for the self-preservation strongly resonate with the idea of flow.


나카무라와 크식스젠트미할리이는 이 심리현상을 다른 어떤 것도 중요하지 않은 것처럼 보이는 강렬한 집중력을 가진 활동에 관여하는 것으로 정의했다.55 이러한 '자아로부터의 분리'는 "집중 의식의 깊은 상태에서는 유달리 잘 정돈되어 있기 때문에" 일어난다. 생각, 의도, 감정, 모든 감각은 같은 목표를 향해 집중되어 있다."55(p41) 몰입은 개인이 자의식 상태에서 벗어나, 자아를 통합하고, 55가 소진, 56을 줄이고, 행복감을 높일 수 있다.57

Nakamura and Csikszentmihalyi defined this psychological phenomenon as engaging in an activity with intense concentration such that nothing else seems to matter.55 This detachment from ego into the present moment happens “because in that deep state of concentration consciousness is unusually well ordered. Thoughts, intentions, feelings, and all the senses are focused on the same goal.”55(p41) Flow can help individuals move out of a self-conscious state, integrate the self,55 reduce burnout,56 and augment a sense of well-being.57


함의

Medical education implications


판단에서 자유로운 종적 관계를 가진 지원 환경을 구축하는 것이 멘티들에게는 특히 중요해 보였다. 이러한 육성 환경은 집중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교육적 안전의식을 함양하고, 자의식으로부터 분리하며, 피드백의 습득을 촉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49,58

Establishing a supportive environment with longitudinal relationships free from judgments seemed especially important for the mentees. This nurturing environment appeared to foster a sense of educational safety, which may improve concentration, a detachment from self-consciousness, and the uptake of feedback.49,58


게다가, 연구 결과는 향상된 교육 안전이 "역량있따는 이미지"를 관리해야 하는 부담을 줄일 수 있다는 것을 암시한다. 이는 사실상 의사 소진 등과 연계된 자기의식적 임포스터 신드롬, 즉 "자기 의심의 만성적 감정과 지적 사기 행위로 밝혀질 염려" 59의 발생을 감소시킬 수 있다.

Furthermore, the findings suggest that improved educational safety may diminish the burden to manage a competent image. This may in fact decrease the occurrence of a self-conscious imposter syndrome, “chronic feelings of self- doubt and fear of being discovered as an intellectual fraud,”59 which has been linked to physician burnout.


전반적으로, 교육 안전의 긍정적인 효과는 의과대학에서 mistreatement의 결과 측면에서 PS를 연구한 기존 연구들로부터 통찰력을 확장한다. 즉, PS에 대한 강력한 개념화 및 교수 언어를 구축한다.8-17 이 연구 결과는 그룹 차원의 교육 안전의 특성과 커리큘럼 전반에 걸친 동료-멘토링 이니셔티브 도입의 가치(예: 임상 학습 환경 및 강의실 기반 학습)를 추가로 시사한다.

Overall, the positive effects of educational safety build a robust conceptualization and teaching language for PS that extends insights from the body of research that has examined PS as a consequence of mistreatments in medical school.8–17 The findings further suggest the nature of group-level educational safety and the value of introducing peer-mentoring initiatives across the curriculum (e.g., the clinical learning environment and classroom-based learning).


    • 제도적 차원에서 외부평가 안건의 부담를 줄여 교육안전을 육성할 수 있다. 

    • 대인관계 차원에서, 우호적인 지역사회 구축 환경을 제공하고, 타인에 대한 학업 및 사회적 비교를 완화하며, 더 강력한 지원 관계를 보장한다. 

    • 개인적 차원에서, 그리고 자신의 학습에 대한 멘티들의 기대가 합리적이라는 것을 보장함으로써, 개인적인 차원에서.

    • At an institutional level, educational safety can be fostered by decreasing the load of external assessment agendas; 

    • at an interpersonal level, by providing friendly community-building environments, mitigating the academic and social comparisons against others, and ensuring stronger supportive relationships; and 

    • at an intrapersonal level, by ensuring that the mentees’ expectations for their own learning are reasonable.


한계

Limitations


결론

Conclusions


우리의 연구결과는 교육적 안전은 관계적 산물이며, 안전의식이 충분히 강할 때, 학습자들은 그들의 행동의 결과에 대해 끊임없이 걱정하는 것에서 해방된다는 것을 시사한다. 이를 통해 학습자는 자신의 투영된 이미지를 스스로 모니터할 필요 없이 학습 과제를 수행하는 데 진실로 그리고 전심으로 집중할 수 있다. 학습자의 안전의식은 공동체를 형성하고 그룹 차원의 대인관계 안전의식으로 순환하는 자기보강적 성격을 가지고 있다. 이는 안전성을 단순히 개인 또는 디아디치 프로세스로서가 아니라 더 큰 학습 환경과 상호의존적인 네트워크화된 제품으로서 개념화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을 강조한다.

Our findings suggest that educational safety is a relational product and that when a sense of safety is sufficiently strong, learners are liberated from constantly worrying about the consequences of their actions. This enables learners to authentically and wholeheartedly concentrate on engaging with the learning task at hand without a perceived need to self-monitor their projected image. Learners’ sense of safety has a self-reinforcing nature that builds community and cycles back to a sense of group-level interpersonal safety. This emphasizes the importance of conceptualizing safety not as merely an individual or dyadic process but as a networked, interdependent product that interfaces with the larger learning environment.


55 Nakamura J, Csikszentmihalyi M. The concept of flow. In: Csikszentmihalyi M, ed. Flow and the Foundations of Positive Psychology: The Collected Works of Mihaly Csikszentmihalyi. Dordrecht, the Netherlands: Springer; 2014:239–263.











. 2019 Nov;94(11S Association of American Medical Colleges Learn Serve Lead: Proceedings of the 58th Annual Research in Medical Education Sessions):S28-S35.
 doi: 10.1097/ACM.0000000000002897.

Exploring the Construct of Psychological Safety in Medical Education

Affiliations 

Affiliation

  • 1S.H.-T. Tsuei is a doctoral student, Population Health Sciences, Global Health and Populations Field, Health Systems Specialization, Harvard University, Boston, Massachusetts, and affiliate member, Centre for Health Education Scholarship, Faculty of Medicine, University of British Columbia, Vancouver, British Columbia, Canada. D. Lee is a medical student, Faculty of Medicine, University of British Columbia, Vancouver, British Columbia, Canada. C. Ho is a pediatric psychiatry fellow, Department of Psychiatry, University of British Columbia, Vancouver, British Columbia, Canada. G. Regehr is senior scientist and associate director of research, Centre for Health Education Scholarship, and professor, Department of Surgery, University of British Columbia, Vancouver, British Columbia, Canada. L. Nimmon is scientist, Centre for Health Education Scholarship, and assistant professor, Department of Occupational Science and Occupational Therapy, Faculty of Medicine, University of British Columbia, Vancouver, British Columbia, Canada.

Abstract

Purpose: Psychological safety (PS) is recognized as key in health professions education. However, most studies exploring PS in medical education have focused on mistreatment, thus focusing on what PS is not. The authors set out to explicitly explore learners' concept of PS in the context of medical education to better understand and define PS and its educational consequences for medical students.

Method: This descriptive exploratory study was conducted in the context of a pilot peer-assisted learning (PAL) program. The program brought together residents and medical students for 16 semiformal learning sessions. Eight medical students from a PAL program were recruited for semistructured interviews to explore their experiences of PS. Transcripts were thematically analyzed using an inductive approach, and social ecological theory was integrated in the later stages of analysis.

Results: Students described PS as not feeling judged. Having supportive relationships with peers and mentors improved PS. Students' sense of PS appeared to free them to focus on learning in the present moment without considering the consequences for their image in the eyes of others. Feeling safe also seemed to facilitate relationship building with the mentors.

Conclusions: A sense of PS appears to free learners from constantly being self-conscious about projecting an image of competence. This enables learners to be present in the moment and concentrate on engaging with the learning task at hand. The authors propose that the term "educational safety" be used to describe a relational construct that can capture the essence of what constitutes PS for learners.


정말 의사가 되고 싶은가요? 정체성 개발의 긍정적 감정과 부정적 감정(Med Educ, 2012)

Do you really want to be a doctor? The highs and lows of identity development

Esther Helmich1 & Tim Dornan2




전문적 정체성의 발달, 즉 진실로 의사가 되는 것은 의대생 교육의 중심이다.

The development of professional identity, or truly becoming a doctor, is central to medical students’ education.


사회 정체성 이론은 심리학 이론이며, 따라서 주요 대안인 사회문화적 이론보다 개인주의적 초점을 둔다. 자기 범주화는 [사회적 비교에 기초하여 '집단 내'와 '집단 내'의 식별을 유도하는] 개별적인 행위다. 그러나 사회문화적 관점에서 보건전문가들은 [서로 다른 집단의 멤버십에 의해 분리되기 보다는] 실천에 의해 연합된 것으로 볼 수 있다.2

Social identity theory is a psychological theory and as such has a more individualistic focus than its main alternative, socio-cultural theory. Self-categorisation is an individual act, based on social comparison, that leads to the identification of ‘in-groups’ and ‘outgroups’. However, from a sociocultural perspective, health professionals can be viewed as united by practice rather than separated by membership of different groups.2


집단의 구성원으로서의 자기 범주화는 상당히 정적인 개념을 나타내는 것으로 보인다.3,4 이는 [(사회문화적) 실천 공동체(CoPs)에서 일어나는 다른 개인들과의 상호작용 속에서 발생하는 의미와 정체성의 지속적인 협상]과 비교하면 특히 그러하다. 사회 정체성 이론은 '내 집단' 또는 '외 집단'으로 구분하는 식으로 '사람에 초점을 맞추는 것'이기에, 그룹 간의 [경계 문제]라든가, (집단 간) 긴장관계에 대해 더 민감하다. 반대로 집단의 역동적 성격이나, 지속적인 재협상에는 덜 민감하다. 우리는 결과적으로 사회 정체성 이론이 오늘날의 임상 치료 팀의 유동성에 얼마나 잘 대처할 수 있을지 궁금하다.

Self-categorisation as a member of a group seems to represent a quite static concept when contrasted with the continuous negotiation of meaning and identity in interaction with other individuals that takes place in (socio-cultural) communities of practice (CoPs).3,4 Social identity theory’s focus on people as being ‘in-group’ or ‘out-group’ seems more sensitive to boundary issues among groups and the tensions associated with them than to the dynamic nature of groups and their constant renegotiation. We consequently wonder howwell social identity theory can cope with the fluidity of today’s clinical care teams.


집단 내/집단 내 이분법은 interprofessionalism이라는 개념에 문제가 된다. (내집단-외집단의 이분법은) 공동체의 joint enterprise보다는 집단의 구별성을 강조하기 때문이다. 이와는 대조적으로, CoP는 실천을 중심에 두며, '정체성'이란 [(멤버십에서 나오는 것이 아니라) 본질적으로 공동의communal 상황에서 발생하는 의미 협상에서 발생하는 것]으로 간주한다. CoP에서는 실천-중심성이 명백하지만, 사회 정체성 이론에서는 암묵적으로만 남아 있다.

the in-group / outgroup dichotomy makes the notion of interprofessionalism problematic. It does so by highlighting the distinctiveness of groups rather than the joint enterprise of communities. By contrast, a CoP puts practice at its centre and regards identity as something that emerges not so much from membership as from the negotiation of meaning in an essentially communal situation. The centrality of practice is explicit in a CoP, but is left implicit in social identity theory.


사회 정체성 이론은 의학 교육과 매우 관련이 있는 두 가지 특징, 즉 특정 사회 범주의 접근성적합성을 강조한다.

Social identity theory stresses two features that are very relevant to medical education: the accessibility and fit of a particular social category.


사회적 범주의 [접근성]이라는 개념은 [다양한 의료 학습 환경이 어떻게 서로 다른 참여의 기회를 제공하는지]를 탐구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6 그것은 우리가 어떻게 그리고 어느 정도까지 학생들이 우리의 전문직업적 커뮤니티에 접근할 수 있도록 허락하는지에 대해 생각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 학생들은 '사회적 실천'을 통해서 특정 실천에 주로 관련된 기대, 가치 및 행동을 숙지함으로써 fit-in 하는 방법을 배운다.7 이러한 접근성에 대한 강조가 갖는 중요한 실제적인 의미는 [의학교육자들은 학생들에게 참여 기회를 주고 그들의 역할에 맞는 것을 배울 수 있는 기회를 주거나 거부할 수 있는 힘을 가지고 있다]는 것이다.

The notion of the accessibility of a social category, we suggest, can be used to explore how different medical learning environments offer different opportunities for participation.6 It can help us think about how and to what extent we allow students access to our professional communities. It is within social practice that students learn to fit in by familiarising themselves with the expectations, values and behaviours that prevail in any particular practice.7 The important practical implication of this emphasis on accessibility is that medical educators have the power to give or deny students opportunities to participate and learn to fit into their roles.


적합성fit의 개념과 관련하여, Burford는 지식, 기술, 임상 경험 또는 자신감의 부족은 학생이 의사로 이행하는 것을 어렵게 만든다고 제안한다.1 그러나 의사가 실제로 무엇인지에 대한 (정확하거나 부정확한) 인식은 학생들의 정체성을 개발하려는 투쟁에도 기여할 수 있다. 어떤 학생들은 의사로서 갖춰야 할 역할 특성을 식별하는 것을 꺼릴 수 있는데, 여기서 '식별identification'한다는 것은 자기 자신을 그 역할의 점유자로서 인식하고, 그 역할과 관련된 의미와 기대를 통합하는 것을 말한다.8  인지적 또는 정서적 부조화dissonance는 개인적 가치관이 전문적 정체성의 발달과 불일치할 때 발생할 수 있다.9 의사가 되는 법을 배우는 것은 때때로 개인적인 가치를 희생시키거나 사회적으로 고립될 위험이 있는 전문적인 태도와 행동을 내면화하는 것을 포함한다.

Regarding the notion of fit, Burford proposes that the transition from student to doctor is made difficult by a (perceived) lack of knowledge, skills, clinical experience or confidence.1 But correct or incorrect perceptions of what doctors actually are may also contribute to students’ struggle to develop their identities. Some might be reluctant to identify with the needed role characteristics of a doctor, where ‘identification’ refers to a perception of the self as an occupant of a role, incorporating the meanings and expectations associated with that role.8 Cognitive or emotional dissonance may occur when personal values are dissonant with developing professional identities.9 Learning to be a doctor includes internalising professional attitudes and behaviours, sometimes at the expense of personal values or at the risk of becoming socially isolated.


연령, 성별, 기타 특정 요인에 관계없이 일부 학생들은 매년 첫 번째 임상 경험 후 의대를 중퇴한다. 일부 학생들은 의사보다는 간호사나 다른 의료 전문가로서의 직업을 선호한다는 것을 발견하게 되는데, 이 분야들이 환자와 더 밀접하게 접촉하고 그들이 스스로 enact하는 더 환자 중심적적 정체성과 들어맞기 때문이다. 다른 학생들은, 이러한 의료 관행과 처음 마주친 후에, 그들이 전혀 의학에 맞지 않고 더 이상 환자 치료에서 일하고 싶어하지 않는다고 결정한다.

Regardless of age, gender or other specific factors, a small minority of students drop out of medical school each year after their first clinical experience. Some students discover they would prefer careers as nurses or other health care professionals rather than as doctors because these disciplines have closer contact with patients and the identities they enact are more patient-centred. Other students, after these initial encounters with medical practice, decide they do not fit into medicine at all and no longer aspire to work in patient care.


이 과정은 또한 Monrouxe의 identity and identification에 관한 중요한 최근 논문에서 언급되었다. 여기서 저자는 다음과 같은 관점에서 정체성 부조화와 그것의 가능한 결과를 기술했다. 

  • 거부: 전문적 역할의 거부 

  • 저항: 부적절한 전문적 행동을 보여주는 행위 

  • 회피: 전문적인 상호 작용 또는 역할 수행을 회피


This process was also referred to in Monrouxe’s important recent article on identity and identification,11 in which the author described identity dissonance and its possible consequences in terms of: 

  • rejection of the professional role; 

  • the display of inappropriate professional behaviours as acts of resistance; and 

  • the avoidance of or role-playing in professional interactions.

프레데릭슨은 그녀의 'broaden-and-build' 이론에서 [기쁨, 흥미와 헌신과 같은 긍정적인 감정]은 개개인이 신체적, 지적, 사회적 기술을 쌓도록 이끌며, 개인과 사회적 자원을 깊게 할 수 있도록 이끈다고 말했다.13 지금까지 의학교육에서는 [학생들이 자신의 긍정적 또는 부정적 감정에 민감하게 반응하도록 돕고, (전문직업적 행동과 환자중심성을 함양하기 위한 중요한 단서로서) 감정을 인식하고, 받아들이고, 가치있게 여길 수 있도록 돕는 것]이 그다지 강조되어오지 않았다.14

Frederickson, in her ‘broaden-and-build’ theory, stated that positive emotions, such as joy, interest and commitment, lead individuals to build physical, intellectual and social skills, and to deepen personal and social resources.13 Helping students to be sensitive to their own positive and negative emotions, and to recognise, accept and value emotions as important clues in the development of professional behaviour and patient-centredness, is largely unaddressed in medical education.14


교육자들이 의대생과 신입 의사들의 경험에서 접근성과 적합성이 얼마나 두드러지는지 질문하도록 장려하는 데 있어서 우리는 Burford1을 지지하지만, 정체성 형성과 관련한 정서적 기복highs and lows에도 민감할 것을 촉구한다. 우리는 직장에서의 학습의 정서적 차원을 분명히 고려한다면 이 분야를 한 단계 더 발전시킬 것이며 아마도 더 많은 젊은이들이 의사가 되기를 진정으로 원하는 것을 도울 것이라고 제안한다.

Although we support Burford1 in encouraging educators to question how accessibility and fit are salient in the experiences of medical students and new doctors, we urge them to be sensitive to the emotional highs as well as the lows of identity formation. We suggest that explicitly taking into account the emotional dimension of learning in workplaces will push the field another stepforward and perhaps help more young people really want to be doctors.


1 Burford B. Group processes in medical education: learning from social identity theory. Med Educ 2012;46:143–52.


9 Thompson BM, Teal CR, Rogers JC, Paterniti DA, Haidet P. Ideals, activities, dissonance, and processing: a conceptual model to guide educators’ efforts to stimulate student reflection. Acad Med 2010;85 (5):902–8.


15 Shapiro J. Perspective: does medical education promote professional alexithymia? A call for attending to the emotions of patients and self in medical training Acad Med 2011;86 (3):326–32.





Comment

 

. 2012 Feb;46(2):132-4.
 doi: 10.1111/j.1365-2923.2011.04189.x.

Do You Really Want to Be a Doctor? The Highs and Lows of Identity Development


'영어로는 뭐라고 해요?' 국제적, 간-문화적 질적연구에서 번역을 성찰하기 (Perspect Med Educ, 2017)

‘How would you call this in English?’

Being reflective about translations in international, cross-cultural qualitative research

Esther Helmich1 · Sayra Cristancho2 · Laura Diachun2 · Lorelei Lingard2




도입

Introduction


의학교육의 절박한 문제를 탐구하는 것은 여러 국제 맥락과 문화에서의 연구를 요구하는 경우가 많다 [1, 2]. 그 결과, 의학 교육 연구자들은 다른 언어로 된 데이터를 수집하지만, 그들은 국제 과학계에서 협력하고 의사소통을 하기 위해 전형적으로 영어인 단 하나의 언어만을 사용할 것이다. 따라서, [여러 문화 팀과 영어의 보급을 위해 원래 언어에서 연구가 번역되는 팀 둘 다에 있어서] 의학 교육 연구는 번역의 필요성이 언제나 존재해왔다. 그러나 원어에서 영어로 번역하는 이 번역은 종종 무비판적으로 일어나 참가자들이 마치 영어로 통찰력을 공유한 것처럼 '완벽한' 인용구를 제공한다. 이러한 번역 전략은 출판된 작품에서는 매우 드물게 설명되며, 이는 연구 결과의 신뢰성과 전달성을 저해할 수 있다.

Exploring the pressing problems of medical education often calls for research in multiple international contexts and cultures [1, 2]. As a consequence, medical education researchers collect data in different languages, but they will commonly use only one language, typically English, to collaborate and communicate in the international scientific community. Therefore, medical education research implies an ever-present need to translate, both in cross-cultural teams and in teams where research is translated from its original language for dissemination in English. However, this translation from the original language into English often occurs uncritically, providing ‘perfect’ quotes as if the participants had shared their insights in English. Such translation strategies are very rarely described in published work, which may undermine the trustworthiness and transferability of study results.


번역은 언어가 하나의 (출처) 언어에서 다른 (대상) 언어로 변환될 때 일어난다[3]. 이 과정에 의해 기술적으로나 개념적으로 정확한 번역에 도달해야 한다[4]. 대상 언어의 문자 그대로 번역이 항상 소스 언어의 본질적인 의미를 표현하지는 않기 때문에 개념적 동등성이 중요하다[5].

Translation takes place when language is being converted from one (source) language into another (target) language [3]. By this process, an accurate translation should be reached, both technically and conceptually [4]. Conceptual equivalence is important since literal translations in the target language do not always express the essential meanings of the source language [5].


번역은 연구 과정의 다양한 단계에서 필요할 수 있다. 

Translation can be needed at different stages in the research process: 


A) 자료수집 전(예: 인터뷰 가이드 또는 설문지 개발) [6] 

B) 데이터 수집 시(예: 참가자와의 실시간 대화 중) [7] 

C) 자료 작성 중 (예: 대본 번역) [8]; 

D) 데이터 분석 중 (예: 번역 코드/테마) [9] 및 

E) 소견을 배포할 때(예: 인용문 번역) [10]

A) prior to data collection (e. g. developing the interview guide or questionnaire) [6]; 

B) at data collection (e. g. during real-time conversation with participants) [7]; 

C) during data preparation (e. g. translating transcripts) [8]; 

D) during data analysis (e. g. translating codes/themes) [9]; and 

E) at dissemination of findings (e. g. translating quotes) [10].


국제적 다언어, 다문화 연구에서의 번역

Translations in an international cross-language/ cross-cultural study


연구 묘사

Description of the study


  • 공동 데이터 분석을 허용하기 위해 우리는 네덜란드어 인터뷰의 일부를 영어로 번역했다; 이것은 네덜란드 의대생이 제1저자(EH)와 긴밀히 협력하여 한 것이다. 

  • 번역 과정 내내, EH는 대본의 모든 중요한 부분을 표로 복사했다. "중요한 부분"이라 함은, 번역이 도전적이거나 논쟁거리가 될 수 있는 예나, 번역이 특히 연구의 초점과 관련될 수 있는 예들을 의미한다. 

  • EH는 번역에 관한 논평이나 정당성과 함께 원문을 네덜란드어로, 그리고 문학적 또는 더 개념적인 영어 번역을 제공했다. 

  • 캐나다 연구자 중 한 명은 여러 차례에 걸쳐 이러한 번역에 응답하여 다른 번역이 가능한 것을 제안하거나 그녀의 캐나다 배경에서 정보를 제공하였다. 

  • 이어서 팀 토론[5][5]이 진행되었는데, 여기서 네 사람은 네덜란드와 캐나다의 관점에서 번역과 성찰에 대해 토론하였다. 다른 가능한 번역을 찾고, 우리가 단어, 개념, 그리고 두 맥락 사이의 차이점과 유사점에 대한 공유된 이해에 도달할 때까지 단어와 문화적 관념들을 고민해보았다.


  • To allow joint data analysis, we translated parts of the Dutch interviews into English; this was done by a Dutch medical student in close collaboration with the first author (EH). 

  • Throughout the translation process, EH copied all salient parts of the transcripts into a table. By salient, we mean instances where translation could be challenging or a matter of debate, or instances where translation could be particularly relevant to the focus of our study. 

  • EH provided the original text in Dutch, and a literal and/or more conceptual translation in English, together with comments or justifications regarding the translation. 

  • One of the Canadian researchers (LD) responded to these translations on multiple occasions, suggesting other possible translations, or offering information from her Canadian background. 

  • This was followed by a team discussion [5], in which the four of us discussed the translations and the reflections from both Dutch and Canadian perspectives, seeking other possible translations, playing with words and cultural notions, until we arrived at a shared understanding of the words, the concepts, and the differences and similarities between the two contexts.


번역의 어려움

Translation challenges


네덜란드어 데이터를 영어로 번역하려는 시도에서, 우리는 문법이나 구문 차이에 주의하고, 은유와 씨름하고, 의미론적 또는 사회언어적 뉘앙스를 포착하는 3차원의 번역 복잡성을 확인했다.

In our attempts to translate Dutch data into English, we identified three dimensions of translation complexity that we will describe below: 

  • attending to grammar or syntax differences, 

  • grappling with metaphor, and 

  • capturing semantic or sociolinguistic nuances.


문법 또는 구문 차이에 주의

Attending to grammar or syntax differences


네덜란드어와 영어 모두 게르만어지만, 시제나 관사, 명사 등 문법적 요소의 사용에서 차이를 발견했다.

Although both Dutch and English are Germanic languages, we found differences in the use of grammatical elements such as tenses, articles, or nouns.


네덜란드어에서는 한 사람이 한 기사('de dood')를 사용하지만, 문자 그대로 '죽음'의 번역은 특정한 강조를 주기 위해 영어로만 사용되었을 것이다. 예를 들어 '모든 사람이 자신이 선택한 죽음에 대해 희망한다'는 것이다.

In Dutch, one uses an article (‘de dood’), but the literal translation of ‘the death’ would only been used in English to give specific emphasis, for instance ‘everyone hopes for the death of their choosing’.


또 다른 예는 의료 교육에서 복잡한 상황을 이야기할 때 참가자들 중 한 명이 다음과 같은 구절을 한 것이다.

Another example was the following phrase by one of the participants when talking about complex situations in medical education:


은유와 씨름하기

Grappling with metaphor


은유나 관용적인 말을 번역할 때, 문자 그대로의 번역은 불만족스러웠다. 대신, 우리는 다르지만 개념적으로 동등한 은유를 찾기 위해 노력할 것이다.

When translating metaphors or idiomatic sayings, literal translations were unsatisfactory. Instead, we would endeavour to find a different, but conceptually equal metaphor.


다른 경우에 있어서, 우리는 네덜란드어로 된 원래의 구절의 문맥적 의미를 잃지 않고서는, 영어에서 적절한 은유를 찾을 수 없었다. 인터뷰에 응한 학생 중 한 명은 네덜란드 공통어로 '안락사', 합법적인 네덜란드어로 '요청 및 방조 자살' 그리고 영어로 '의사 보조 자살' 또는 '의사 보조 자살'이라고 불리는 것에 대해 이야기했다.

In other cases, we could not find an adequate metaphor in English, without losing the contextual meaning of the original phrase in Dutch. One of the students in the interviews talked about what is called ‘euthanasia’ in common Dutch, ‘termination of life on request and assisted suicide’ in legal Dutch and ‘physician-assisted death’, ‘physician-assisted suicide’ or ‘doctor-assisted dying’ in English.


네덜란드에서는 2002년 4월 1일부터 요청 및 구제에 따른 생명종식(재심 절차)법이 시행되어 매우 엄격한 상황에서 안락사와 의사의 도움을 받은 자살이 합법화되었다. 그러나 거의 15년이 지난 지금 네덜란드에서 안락사에 대한 논의는 이전에 안락사에서 제외되었던 환자들, 예를 들어 정신과 질환이나 치매로 고통받는 환자들을 포함하도록 확대되는 경향이 있다. 무엇이 '비탈 비탈길'이 될지, 너무 쉽게 안락사 요청을 할지도 모르는 의사들에 대한 우려가 표출되고 있다.

In the Netherlands, the Termination of Life on Request and Assisted Suicide (Review Procedures) Act took effect on 1 April 2002, legalizing euthanasia and physician-assisted suicide under very strict circumstances. After almost 15 years, however, the discussion about euthanasia in the Netherlands tends to be broadened to include patients who were previously excluded from euthanasia, for instance patients suffering from psychiatric diseases or dementia. Concerns are being expressed about what might become a ‘slippery slope’, and about doctors who may too easily grant euthanasia requests.


여기서, 연구자들의 전문적 배경과 문화적 맥락은 이 특정 구절에 대한 우리의 해석에 분명히 영향을 주었다.

Here, the professional backgrounds and cultural contexts of the researchers clearly influenced our interpretation of this particular phrase.


의미론적 또는 사회언어적 뉘앙스 포착

Capturing semantic or sociolinguistic nuances


언어는 사회문화적 요인에 의해 영향을 받고, 번역은 이러한 사회언어적 뉘앙스의 의미들을 포착하기 위해 노력해야 한다.

Language is influenced by social and cultural factors, and translations should try to capture these semantic of sociolinguistic nuances.


'옴브렝겐'의 예에서 알 수 있듯이, 문맥은 우리의 번역에 필요한 핵심적 차원이었다. 문맥적 뉘앙스에 주의를 기울인다는 것은 때때로 다른 상황에서 같은 단어를 다르게 번역하는 것을 의미했다.

As the example of ‘ombrengen’ illustrates, context was a key dimension informing our translations. Attention to contextual nuance sometimes meant translating the same word differently in different situations.


이러한 예에서, 우리는 주로 참가자가 설명하는 문맥에 기초한다. EH가 한 오디오 테이프를 들음으로써 의도된 의미에 대한 이해를 더욱 알릴 수 있지만, 우리는 이것이 번역에만 국한된 것이 아니라 보다 일반적인 분석적 접근이라고 생각한다. 이 시점에서, 우리는 필사본은 이미 번역본이라는 것을 깨달았다: 구어에서 문자로의 번역이다.

In these examples, we primarily built on the context described by the participant. Listening to the audio tapes, which EH did as well, can further inform the understanding of the intended meanings, but we think this is not unique to translations, but a more general analytic approach. At this point, we realized that a transcription is already a translation: from spoken language into written text.


이러한 예들은 ums와 ahs, 그리고 stop과 starts와 같은 [참가자가 사용하는 언어 구문이 번역에서 유지되어야 하는지] 그리고 [어떻게 유지되어야 하는지]에 대해 질문하게 만들었다. 번역에서 그러한 특징들을 정리하는 것은 가독성을 향상시킬 수도 있지만, 그것들이 위의 예에서처럼 원문에 의미를 더하는 천막성의 톤을 만들 때, 그러한 특징들을 유지하는 것이 중요할 수 있다.

These examples led us to question if and how the verbal syntax used by the participant, such as the ums and ahs, and the stops and starts, should be retained in the translation. Cleaning up such features in translation may improve readability, but when they create a tone of tentativeness that adds meaning in the original text, as in the examples above, it may be important to retain such features.


마지막 예는 일부 단어, 개념 또는 개념은 문맥적(문화적, 법적, 정치적)의 많은 의미를 담고 있기 때문에 대상 언어로 문자 그대로 번역될 수 없다는 것을 보여준다.

A final example shows that some words, notions or concepts cannot be translated literally in the target language, because they carry with them a host of contextual (cultural, legal, political) meanings.


번역에 있어서 문헌과의 관계

Relationship to the literature on translations


타당한 번역이란 무엇인가?

What is a valid translation?


연구 과정의 특정 단계에서 번역을 논의하기 전에, 우리는 '무엇이 타당한 번역인가?'라는 질문을 다루고자 한다. 이 질문으로 우리는 인식론적 논쟁[12]에 들어간다. 

    • 실증주의적 패러다임 내의 연구자들은 예를 들어 전문 번역가와 전향 번역과 같은 절차를 사용하여 원문의 '올바른' 버전에 도달하려고 노력하면서 객관성을 추구할 수 있다[8]. 

    • 그러나 구성주의적 접근법을 채택하는 학자들은 서로 다른 언어를 사용하는 사람들이 단 하나의 정확한 번역이 있을 수 없으며, 원천 언어와 대상 언어가 항상 특정한 문화와 정체성을 반영한다는 것을 인정하면서, 사회 생활을 보는 다른 방법을 구성한다는 것을 인정할 것이다[13]. 

번역 작업을 할 때는 의미와 개념적 등가성이 모두 도달하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14, 15]. 의미론적 등가성은 단어들이 정말로 같은 것을 의미하는지 여부에 따라 언어에 걸친 의미 전달과 관련이 있다[16]. 

Before discussing translations in specific stages of the research process, we want to address the question: ‘What entails a valid translation?’ With this question, we enter an epistemological debate [12]. 

    • Researchers within a positivist paradigm may strive for objectivity, trying to reach a ‘correct’ version of the text, for example by using professional translators and procedures such as forward-backward translation [8]. 

    • Scholars adopting a constructivist approach, however, will acknowledge that people who use different languages construct different ways of seeing social life, appreciating that there can be no single correct translation, and that both source and target language always mirror specific cultures and identities [13]. 

When engaging in translations, it is important to make sure that both semantic and conceptual equivalence are reached [14, 15]. Semantic equivalence is concerned with the transfer of meaning across languages, attending to whether words do really mean the same thing [16]. 


언어학자와 번역자는 다음과 같은 다른 종류의 의미를 구별한다. 

    • 참조적 의미(단어가 언급하는 아이디어 또는 대상) 

    • 함축적 의미(단어에 의해 유발되는 감정적 반응), 

    • 사회적 의미(특정 사회적 맥락에서 사용되는 단어) 또는 

    • 감정적 의미(언어가 화자의 견해와 감정을 어떻게 반영하는지) [14]. 

Linguists and translators distinguish between different types of meaning, such as 

    • referential meaning (the ideas or objects the word refers to), 

    • connotative meaning (the emotional response evoked by the word), 

    • social meaning (words that are used in a specific social context), or 

    • affective meaning (how words reflect the views and feelings of the speaker) [14]. 

이러한 뉘앙스의 예는 앞에서 설명한 것처럼 안락사에 관한 구절을 번역하는 우리의 투쟁에서 찾을 수 있다. 개념적 동등성은 사용된 단어가 두 문화권의 기초 개념과 동일한 관계를 가질 때 도달된다[16]. 우리가 개념적 동등성에 도달하는데 어려움을 겪은 한 예는 앞에서 설명한 것처럼 '고데 헐프버러너샤프'를 번역하려고 했을 때였습니다.

An example of these nuances can be found in our struggles with translating the phrase about euthanasia, as we described above. Conceptual equivalence is reached when the words used have the same relationship to underlying concepts in both cultures [16]. One instance where we encountered difficulties in reaching conceptual equivalence was when we tried to translate ‘goed hulpverlenerschap’, as we described above.


구성주의 학자들은 번역을 [일정 수준의 언어 능력을 가진 전문 번역가 또는 연구자들에 의해 공개적인 대화로 수행되는 연구 과정의 일부]로 가시화시키고, 번역을 언어 동등성language equivalence의 '산출물'이 아니라 '실천'으로서 재개념화할 것을 주장한다[17]. 그 결과, 연구자와 번역자 모두에 대해서 역할과 인구통계학적 특성을 투명하게 보고하는 것이 데이터 구축에 어떤 영향을 미쳤을지 반성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간주된다[4, 10, 12].

Constructivist scholars advocate to make translation visible as part of the research process, carried out in open dialogue by professional translators and/or researchers with a certain level of language competence, and to re-conceptualize translation as a practice rather than a product of language equivalence [17]. As a consequence, it is deemed critical to transparently report the roles and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both researchers and translators, reflecting on how they may have influenced the construction of data [4, 10, 12].


번역자는 적어도 사회언어적 역량을 가져야 한다는 공감대가 있다[11]. 우리 자신의 연구에서는 EH가 주요 번역가였고 이러한 기준에 따라 자격을 갖춘 유일한 팀원이었습니다.

There is consensus that a translator should have at least sociolinguistic competence [11]. In our own study, EH was the main translator and the only team member qualified according to these criteria.


분석 중간의 번역

Translating during analysis


네덜란드어 데이터를 분석하기 시작했을 때, 우리는 개방형 코딩의 첫 번째 단계가 영어로 되어야 하는지 아니면 네덜란드어로 되어야 하는지를 고려했다. 인터뷰의 원문과 EH의 제1언어인 네덜란드어 코딩 언어는 면접에서 참가자들의 서술적 보고서에 관여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직관적으로 더 쉬워 보였다. 그러나 과학 문헌 EH 읽기와 쓰기의 대다수가 영어로 되어 있고, 나머지 연구팀들은 네덜란드어로 쓰여진다면 그녀의 개방형 코드와 교전할 수 없기 때문에, 우리는 모든 단계의 코딩이 영어로 되어 있을 것이라고 결정했다.

When we started analysing our Dutch data, we considered whether the first stage of open coding should be in English or in Dutch. As the original text of the interviews and the first language of EH, Dutch as the language for coding seemed intuitively easier as a means of engaging with participants’ narrative reports in the interviews. However, since the vast majority of the scientific literature EH reads and writes is in English, and the rest of the research team could not engage with her open codes if they were written in Dutch, we decided that coding in all stages would be in English.


특히 근거이론 연구를 할 때, 그러나 다른 방법론에서도 초기 코딩에서 중간 코딩, 더 나아가 고급 분석으로 이어지는 다른 순간에는 숙고하여 번역에 대한 선택을 해야 한다[9]. 원어로 초기 코딩을 하면 본문에서 일어나는 일에 대한 대응이 용이해질 수 있다. 이것은 모국어로 더 편안함을 느끼는 연구자들에게 도움이 될 수 있지만, 문법과 구문이 언어에 따라 다르기 때문에 관련이 있을 수도 있다. 그러나, 코딩의 초기 단계에서 번역 노력을 시작하는 것에도 이점이 있다. 그리스어, 이탈리아어 또는 스페인어와 같은 변곡 언어에서의 초기 코딩은 소스 언어에서 더 쉬울 수 있지만, 영어를 더 분석적인 언어로 사용하는 것은 추상화를 촉진할 수 있다[18].

In particular when doing grounded theory research, but also within other methodologies, one should deliberately make choices about translations at different moments, going from initial coding, to intermediate coding and more advanced analysis [9]. Doing the initial coding in the original language may facilitate the response to what is going on in the text. This can be helpful for researchers who feel more comfortable in their own mother tongue, but may also be relevant as grammar and syntax vary across languages. However, there are also advantages to beginning translational efforts at the earliest stages of coding. Whereas initial coding in an inflectional language, such as Greek, Italian or Spanish, may be easier in the source language, the use of English, as a more analytic language, may facilitate abstraction [18].


언어 간의 다른 구조적 차이도 소위 동명사(언어가 명사가 되는 말, 또는 '(-ing word)', 예를 들어 춤, 의심, 데이트 등)의 사용과 같이 코딩 언어의 선택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근거이론 연구자들은 역동적인 움직임을 나타내고 사회적 과정을 강조하기 위해 그러한 '동명사'의 선호되는 사용에 익숙할 수 있지만 [19], 예를 들어 인도네시아어 [5] 또는 이탈리아어 [18]와 같은 여러 언어의 '동명사'에 상응하는 것이 없다는 사실을 알지 못할 수 있다. 우리 자신의 연구는 같은 (인도-유럽어) 언어군에 속하는 두 개의 다른 언어를 포함했으며, 두 언어 모두 다소 분석적인 것으로 간주될 수 있다. 그러나, 영어만큼 동명사가 네덜란드어에 많이 있지는 않다. 두 언어의 구조적인 유사점과 영어에서 동명사gerunds를 사용할 수 있는 가능성 둘 다, 영어로 코딩을 하기로 한 우리의 결정을 지지했다.

Other structural differences between languages may also have implications for the choice of the coding language, such as the use of so-called gerunds (verbs becoming nouns, or ‘-ing words’, e. g. dancing, doubting, dating). Grounded theory researchers may be familiar with the preferred use of those gerunds to indicate dynamic movement and emphasize social processes [19], but may not be aware of the fact that there is no equivalent of ‘gerund’ in several languages, for example in Indonesian [5] or Italian [18]. Our own study involved two different languages that both belong to the same (Indo-European) language family, and can both be considered rather analytic. However, gerunds are not as prevalent in Dutch as in English. Both the structural similarities between the two languages, and the possibility to use gerunds in English, supported our decision to do the coding in English.


다른 언어로 코딩하는 것은 [해석을 향상시킬 수 있고, 원래 언어source language로 decode하고, 목적 언어target language로 recode 하는 것을 필요로 하는 지속적 번역과정이므로] 도전이기도 하지만, 동시에 자원resource이기도 하다. 두 언어로 decode and recode하는 이러한 지속적 과정은 연구자가 데이터를 이해할 수 있는 강력한 절차가 되기도 한다[18].

Coding in another language can be considered a challenge, but also a resource, since it may enhance the interpretation, requiring continuous acts of translation, including decoding in the source language, and recoding in the target language. This continuing process of decoding and recoding in the two languages represents a powerful procedure that allows the researcher to make sense of the data [18].


논문쓰기 중간의 번역

Translating during writing up


글을 쓰면서 번역을 할 때 가장 중요하게 깨달아야 할 것은, 일반적으로, 번역 문제에 대해 아무런 언급도 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마치 문제가 없는 것처럼 말이다. 종종 데이터(문구)는 참가자가 대상(영어) 언어에 유창했던 것처럼 제시되는데, 이는 항상 (대부분은!) 경우가 아니다[10]. 한 언어에서 다른 언어로 옮기고 양쪽 언어로 일관성 있는 텍스트를 가지려고 노력하는 것, 즉 목표 언어에서 정상 소리 또는 정상 읽기 텍스트를 생성하는 것은 원본에 있었던 내용을 수정하는 것을 의미하며, 억제 또는 추가가 필요하다[20]. 

When it comes to translating at writing up, the most important thing to realize may be that, generally, no reference is made to translation issues, as if it were unproblematic. Often data (quotes) are presented as if the participant was fluent in the target (English) language, which is not always (almost never!) the case [10]. Moving from one language into another and trying to have coherent texts in both, i. e. producing a normal-sounding or normal-reading text in the target language, implies making alterations of what was there in the original, requiring suppressions or additions [20]. 


인류학 내에서, 원본 텍스트의 다른 점에 관해서, 일부 작가들은 '못생긴' 번역을 선호하는데, 이것은 읽기 쉽지 않고, 근본적으로 '원어주의적sourcist'이고, 과도하게 맥락화하지만, 그렇기 때문에, 완벽하게 명확하다. 원본 텍스트와 하나 이상의 가능한 번역 모두를 설명 각주 또는 주석과 함께 제시하면 텍스트와 텍스트의 세계를 실제로 열려고 하는 공동 번역 관행이 독자에게 전달된다[20]. 우리는 위와 같은 '통보되지 않은' 번역의 몇 가지 예는 다음과 같다.

Within anthropology, in respect for the otherness of the source text, some writers favour ‘ugly’ translations, that are not easy to read, being radically ‘sourcist’ and radically contextualizing but, as such, perfectly clear. Presenting both the original text and one or more possible translations, together with explanatory footnotes or comments, conveys a collaborative translation practice which seeks to really open up both a text and its world to the reader [20]. We have provided some examples of these ‘annotated’ translations above.


성찰

Reflections


국제 질적 연구 협력에서 번역에 대한 우리의 경험을 되돌아볼 때, 우리가 배운 가장 중요한 교훈은 세 가지다. 

  • 첫째로, 우리는 팀으로서 그리고 개인 연구자로서 국제 연구 공동체에서 항상 존재하는 번역의 필요성에 대해 의식적으로 인식하지 못했다는 것을 깨달았다. 이것은 캐나다 태생의 두 연구원들에게 분명히 사실이었다. 그러나 영어가 모국어가 아닌 팀의 다른 두 멤버들 조차도 이전에 이 문제에 대해 명시적으로 반성한 적이 없었다. 

  • 둘째로, 우리는 번역의 어려움이 언어의 차이뿐만 아니라, 예를 들어 정치, 경제, 교육 시스템, 그리고 의료의 조직과 자금조달에 관한 문화적 또는 사회적 차이와도 관련이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 셋째는, 문화적 차이를 탐구, 축하celebrate하는 것이다. 우리는 라틴 아메리카, 아라비아 또는 아시아 문화를 포함한 문화 간 연구에 비해 [서구 선진국들 사이에서의 문화적 차이가 상대적으로 제한적으로 보일 수 있다는 것]을 인정한다. 그러나, 단어와 개념을 가지고 고민하고, 그리고 (때로는 매우 노력하여!) 미묘한, 문화적인 개념의 의미를 서로에게 전달하기 위해 노력함으로써, 어떤 차이점은 실질적이고 예상치 못한 것으로 드러났다. 따라서 번역에 대해서 성찰적인 자세를 가진다면, 풍부하고, 보람 있고, 자극적이고, 영감을 주는 작업이 되며, 그리고 이러한 관점에서 보자면, 성찰적인 번역은 의학 교육 연구 분야를 더욱 향상시킬 수 있는 유망한 길이라 볼 수 있다.

When reflecting on our experiences with translations in an international qualitative research collaboration, the most important lessons we have learned are threefold. 

  • First, we realized that we, as a team and as individual researchers, had not been consciously aware of the ever-present need to translate in an international research community. This was clearly true for the two Canadian-born researchers. But even the other two members of the team, for whom English is not their first language, had never explicitly reflected on this issue before. 

  • Second, we came to appreciate that translation challenges arise not only from differences in language, but also pertain to cultural or societal differences regarding for example politics, economics, educational systems, and the organization and financing of healthcare. 

  • This relates to our third lesson, which is about exploring and celebrating cultural difference. We do acknowledge that the cultural differences between two Western, developed countries may seem relatively limited, in comparison to cross-cultural research including Latin-American, Arabian, or Asian cultures. However, by playing around with words and concepts, and by working (sometimes effortfully!) to convey to each other the nuanced, culturally flavoured meanings of notions, some differences turned out to be substantial and unexpected. Being reflective about translations thus proved enriching, rewarding, stimulating and inspiring, and from that angle, can be considered a promising avenue for further enhancing the field of medical education research.


따라서 결론적으로, 우리는 연구자들이 연구 과정의 다른 단계들을 통하여 질적 연구에서의 번역과 관련하여 그들이 선택하는 선택에 대해 비판적이고 의식적이어야 한다는 것을 강조하고 싶다. 이는 연구자들이 경험적 연구 논문의 '방법' 표제 아래 자신의 번역 전략을 명시적으로 기술하고 있으며, 원고에 '못된' 번역이나 '알려지지 않은' 번역도 일부 포함하고 있음을 암시한다. 특정 번역 전략에 대한 선택은 연구자들의 인식론적 입장을 반영해야 하며, 따라서 연구의 신뢰성과 품질을 더하여 참가자들을 진정으로 반영하는 정성적 결과를 산출할 가능성이 높다.

Thus, as a conclusion, we would like to emphasize that researchers should be critical and conscious of the choices they make regarding translations in qualitative studies, throughout the different stages of the research process. This implies that researchers explicitly describe their translation strategies, most likely under the ‘methods’ heading of empirical research papers, and that they include some of their ‘ugly’ or ‘annotated’ translations in the manuscript. The choice for a specific translation strategy should mirror the epistemological position of the researchers, and as such, is likely to add to the trustworthiness and quality of the research, producing qualitative findings truly reflective of the participants.







. 2017 Apr;6(2):127-132.
 doi: 10.1007/s40037-017-0329-1.

'How Would You Call This in English?' : Being Reflective About Translations in International, Cross-Cultural Qualitative Research

Affiliations 

Affiliations

  • 1Center for Education Development and Research in Health Professions, University of Groningen, Groningen, The Netherlands. e.helmich@umcg.nl.
  • 2Centre for Education Research & Innovation and Department of Medicine, Schulich School of Medicine & Dentistry, Western University, London, Ontario, Canada.

Abstract

Introduction: Medical education researchers increasingly collaborate in international teams, collecting data in different languages and from different parts of the world, and then disseminating them in English-language journals. Although this requires an ever-present need to translate, it often occurs uncritically. With this paper we aim to enhance researchers' awareness and reflexivity regarding translations in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In an international study, we carried out interviews in both Dutch and English. To enable joint data analysis, we translated Dutch data into English, making choices regarding when and how to translate. In an iterative process, we contextualized our experiences, building on the social sciences and general health literature about cross-language/cross-cultural research.

Results: We identified three specific translation challenges: attending to grammar or syntax differences, grappling with metaphor, and capturing semantic or sociolinguistic nuances. Literature findings informed our decisions regarding the validity of translations, translating in different stages of the research process, coding in different languages, and providing 'ugly' translations in published research reports.

Discussion: The lessons learnt were threefold. First, most researchers, including ourselves, do not consciously attend to translations taking place in international qualitative research. Second, translation challenges arise not only from differences in language, but also from cultural or societal differences. Third, by being reflective about translations, we found meaningful differences, even between settings with many cultural and societal similarities. This conscious process of negotiating translations was enriching. We recommend researchers to be more conscious and transparent about their translation strategies, to enhance the trustworthiness and quality of their work.

Keywords: International collaboration; Qualitative research; Translations.


신뢰, 논리, 감정에 어필하여 설득력을 높이기 위하여 레토릭을 사용하기(Perspect Med Educ, 2018)

Using rhetorical appeals to credibility, logic, and emotions to increase your persuasiveness

Lara Varpio1




뜻이 있는 곳이면 어디든지 설득이 있다.—케네스 버크[1]

Wherever there is meaning there is persuasion.—Kenneth Burke [1]


과학적 연구는 많은 사람들에게 객관성과 합리성의 전형이다. 하지만 버크가 우리에게 상기시켜주듯이, 우리의 연구의 의미를 다른 사람들에게 전달하는 것은 설득을 포함한다. 즉, 연구논문을 쓸 때는 독자가 나의 합리성을 받아들이도록 설득할 수 있는 주장을 구성해야 한다.

Scientific research is, for many, the epitome of objectivity and rationality. But, as Burke reminds us, conveying the meaning of our research to others involves persuasion. In other words, when I write a research manuscript, I must construct an argument to persuade the reader to accept my rationality.


과학 연구는 도전적인 질문에 대답하는 것에 초점을 맞춘 사회 활동이다. 이러한 질문에 답할 때, 우리가 제안하는 해결책은 단지 제안일 뿐이다. 우리의 해결책은 [더 설득력 있는 설명을 제공하는 더 나은 제안이 나타날 때까지만] 공동체에 의해 받아들여진다. 즉 우리가 알고 있는 모든 것은 일단 받아들여지지만, 영원히 받아들여지지는 않는 것이다.

Scientific research is a social activity centred on answering challenging questions. When these questions are answered, the solutions we propose are just that—propositions. Our solutions are accepted by the community until another, better proposition offers a more compelling explanation. In other words, everything we know is accepted for now but not forever.


연구 결과를 작성할 때 설득력이 필요하다는 얘기다. 우리는 독자들이 우리의 발견과 그것들로부터 우리가 도출한 결론을 받아들이도록 설득해야 한다. 우리의 결론을 수용하려면 이미 널리 채택된 관점을 철회해야 할 수도 있다. 혹은 독자들에게 어떤 현상에 대한 새로운 사고방식을 채택하도록 요구할 수도 있다.

This means that when we write up our research findings, we need to be persuasive. We must convince readers to accept our findings and the conclusions we draw from them. That acceptance may require dethroning widely held perspectives. It may require having the reader adopt new ways of thinking about a phenomenon.


아리스토텔레스 모든 설득 행위에서 세 가지 호소, 즉 에토스, 로고스, 파토스를 확인했다. 

첫째는 저자에, 

둘째는 주장에, 

셋째는 독자에 초점을 맞춘다.

Aristotle. identified three appeals at play in all acts of persuasion: ethos, logos and pathos. The first is focused on the author, the second on the argument, the third on the reader.


에토스

Ethos


에토스는 저자에 대한 것이다. 에토스는 저자의 신뢰성과 신뢰감을 포함하여, 작가의 성격을 가리킨다. 독자는 저자의 권위를 확신해야 하며, 저자에게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과학연구에서 저자는 엄격하고 전문적인 연구자로서의 신빙성을 확립해야 한다. 그렇다면 에토스의 상당 부분은 이성과 정당성을 갖춘 연구 방법론과 방법을 사용하는 데 있다. 그러나, 저자에 대한 신뢰는 유사성과 경의와 같은 수사적 기법을 사용하여 강화될 수 있다.

Ethos is the appeal focused on the writer. It refers to the character of the writer, including her credibility and trustworthiness. The reader must be convinced that the author is an authority and merits attention. In scientific research, the author must establish her credibility as a rigorous and expert researcher. Much of an author’s ethos, then, lies in using well-reasoned and justified research methodologies and methods. But, a writer’s credibility can be bolstered using a number of rhetorical techniques including similitude and deference.


[시밀리튜드]저자와 독자의 유사성에 호소하여 상호 정체성을 형성한다. 'we'나 'us'와 같은 대명사를 사용하여 작가는 독자와의 공통성을 강화하여 결속감과 공동체 의식을 북돋운다.

Similitude appeals to similarities between the author and the reader to create a sense of mutual identification. Using pronouns like we and us, the writer reinforces commonality with the reader and so encourages a sense of cohesion and community.


번아웃이 우리 전공의들을 계속 괴롭히고 있지만, 의학 교육자들은 아직 이 문제의 근본 원인을 규명하지 못하고 있다. 우리는 전공의에게 이 영역을 탐구해야 할 빚을 지고 있다. 이로서 임상서비스를 하는 기간 동안 전공의들이 안녕을 보장해주어야 한다.

While burnout continues to plague our residents,medical educators have yet to identify the root causes of this problem. We owe it to our residents to delve into this area of inquiry to secure their wellbeing over their lifetime of clinical service.


대:

versus:


번아웃이 계속해서 주민들을 괴롭히고 있지만, 의학 교육자들은 아직 이 문제의 근본 원인을 규명하지 못하고 있다. 의료 교육자들은 전공의에게 빚을 지고 있으며, 평생 동안 그들의 복지를 보장하기 위해 이 조사 영역을 탐구해야 한다.

While burnout continues to plague residents,medical educators have yet to identify the root causes of this problem. Medical educators owe it to their residents to delve into this area of inquiry to secure their wellbeing over their lifetime of clinical service.


첫 번째 문장에서 저자는 레지던트 교육에 관련된 의학 교육자들의 커뮤니티와 자신을 일치시킨다. 저자는 전공의를 부양해야 하는 'we'의 일부분이다. 그녀는 그 소모적인 문제를 그녀와 독자가 함께 해결하도록 요청받은 어떤 것으로 만든다. 두 번째 문장에서, 저자는 자신을 교육자들의 이 공동체로부터 분리시킨다. 그녀는 자신과 독자 사이에 사회적 거리를 만들어 내고, 따라서 이 문제를 해결해야 하는 부담을 자기 자신이 아니라 독자의 어깨에 지운다.

In the first sentence, the author aligns herself with the community of medical educators involved in residency education. The writer is part of the we who has to support residents. She makes the burnout problem something she and the reader are both called upon to address. In the second sentence, the author separates herself from this community of educators. She creates social distance between herself and the reader, and thus places the burden of resolving the problem more squarely on the shoulders of the reader than herself.


두 표현 모두 문법적으로 똑같이 정확하다. 하나는 사회적 연결고리를 만들고, 다른 하나는 사회적 거리를 만든다.

Both phrasings are equally correct, grammatically. One creates social connection, the other social distance.


[경의를 표하는 것]저자가 타인에 대한 존경과 개인적인 겸손함을 나타내는 방법이다. 글쓴이는 내 의견과 같은 문구를 사용하거나 형용사(예: 스미스)나 부사(예: 존스의 중요한 저작)를 사용하여 경의를 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Deference is a way for the author to signal respect for others, and personal humility. The writer can demonstrate deference by using phrases such as in my opinion, or through the use of adjectives (e.g., Smith rigorously studied) or adverbs (e.g., the important work by Jones). For example:


Jane Doe 등에 의해 행해진 사려깊은 연구는, 의사들이 체면을 구긴 학습자들 사이에서 거주자의 소진이 더 흔하다는 것을 암시한다. 다른 사람들의 요구를 반영하여[1], 우리는 이 작업이 화상 경험의 잠재적 기여자로서 동료 학습자의 역할도 고려하도록 확장되어야 한다고 주장한다.

The thoughtful research conducted by Jane Doe et al. suggests that resident burnout is more prevalent among those learners who were shamed by attending physicians. Echoing the calls of others [1], we contend that this work should be extended to also consider the role of fellow learners as potential contributors to resident experiences of burnout.


이 문장은 연구자들의 연구의 질과 그들의 발견이 제공하는 기초 위에 건설하려는 의지를 인정함으로써 이 연구원들에 대한 존경심을 보여준다.

this sentence, shows deference to these researchers by acknowledging the quality of their research and a willingness to build on the foundation provided by their findings.


우리의 글에서 무례하거나 불친절하게 구는 것은 저자를 부정적으로 비추어주는 것 외에는 아무것도 성취하지 못한다.

Being rude or unkind in our writing rarely achieves anything except reflecting poorly on the writer.


할머니가 말하셨듯이, '자갈보다 꿀 위에서 더 멀리 미끄러질 것이다.' 직관성을 확립하고 경의를 표하는 것은 작가로서의 기풍을 확립하는 데 도움이 된다. 그들은 작가가 자갈이 아닌 꿀을 만들게끔 돕는다.

as my grandmother used to say: ‘You’ll slide farther on honey than gravel.’ Establishing similitude and showing deference helps to establish your ethos as an author. They help the writer make honey, not gravel.


로고스

Logos


로고스저자가 제시하는 주장에 초점을 맞춘 수사적 호소력이다. 주장의 명확성과 논리적 무결성을 언급하면서 합리성에 호소하는 것이다. 따라서 로고스는 저자의 주장 중 서로 다른 요소들을 하나로 묶는 추론에 일차적으로 뿌리를 두고 있다.

Logos is the rhetorical appeal that focuses on the argument being presented by the author. It is an appeal to rationality, referring to the clarity and logical integrity of the argument. Logos is, therefore, primarily rooted in the reasoning that holds different elements of the manuscript’s argument together.


저자들은 추론의 일반적인 오류를 피하면서 그들의 주장과 그들이 논리적으로 어떻게 결론들을 이끌어내는지에 대한 지도를 작성하는데 시간을 할애하는 것이 좋다(정의와 예시로 완성되는 가장 일반적인 논리적 오류 중 12개는 퍼듀의 온라인 글쓰기 연구실[2] 참조).

Authors are well advised to spend time mapping out the premises of their arguments and how they logically lead to the conclusions being drawn, avoiding common errors in reasoning (see Purdue’s on-line writing lab [2] for 12 of the most common logical fallacies that plague authors, complete with definitions and examples).


그러나 로고스는 주장 자체의 논리에만 담겨 있는 것은 아니다. 로고는 독자가 작가의 논리를 따를 수 있어야만 달성된다. 원고에 제시된 논리적인 주장을 처리하는 독자의 능력을 뒷받침하기 위해 저자들은 표지판을 사용할 수 있다. 기표란 흔히 단어(예: 첫째, 다음, 특히, 결과적, 결과적 등)구(예: 결과적으로, 그리고 결론적 등)가 원고를 통과하는 동안 독자가 추리의 선을 따르도록 도와준다. 표지판은 독자에게 [다가올 논쟁의 구조], [현재 그들이 논쟁 중에 있는 장소], 그리고 [다음에 올 것을 기대할 수 있는 것]을 나타낸다.

However, logos is not merely contained in the logic of the argument itself. Logos is only achieved if the reader is able to follow the author’s logic. To support the reader’s ability to process the logical argument presented in the manuscript, authors can use signposting. Signposting is often accomplished via words (e.g., first, next, specifically, alternatively, also, consequently, etc.) and phrases (e.g., as a result, and yet, for example, in conclusion, etc.) that help the reader to follow the line of reasoning as it moves through the manuscript. Signposts indicate to the reader the structure of the argument to come, where they are in the argument at the moment, and/or what they can expect to come next.


이것이 나 자신의 원고 소개의 마지막 문장이다.

This is the last sentence in the Introduction of my own manuscripts.


본 연구는 다음 질문을 조사하여 이러한 격차를 해소한다.

This study addresses these gaps by investigating the following questions:


1. 거주자는 의료 환경에서 의사와 간호사에게 비공식적으로 얼마나 자주 교육을 받는가?

1. How often are residents taught informally by physicians and nurses in clinical settings?


2. 의사와 간호사가 거주자에게 비공식적으로 가르치는 역량은 무엇인가?

2. What competencies are informally taught to residents by physicians and nurses?


3. 의사와 간호사가 비공식 교육을 실시하기 위해 사용하는 교육 기법은 무엇인가?

3. What teaching techniques are used by physicians and nurses to deliver informal education?


서론의 마지막에, 이 문장은 독자들에게 신문의 주장이 어떻게 전개될 것인지에 대한 지도를 제공한다. 이제 독자는 원고가 이 순서대로 이 질문들을 하나하나 다 다룰 것이라고 예상할 수 있다. 또한 결과의 하위 제목과 같은 대규모 표지판을 사용할 수 있다.

At the end of the Introduction, this sentence offers a map to the reader of how the paper’s argument will develop. The reader can now expect that the manuscript will address each of these questions, in this order. I could also use large-scale signposting, such as sub-headings in the Results,


고찰에서, 나는 작은 표지판 용어와 구를 사용할 수 있다(단, 대조적으로, 추가, 최종 등).

In the Discussion, I can use small-scale signpost terms and phrases (i.e., however, in contrast, in addition, finally, etc.)


나는 여기서 한 마디 주의할 것을 제안한다: 당신의 표지판을 정확하게 사용하라. 그렇지 않으면, 당신의 글은 논리적으로 develop되지 않을 것이고 당신은 원고의 직장에서 로고스를 약화시킬 것이다.

I must offer one word of caution here: be sure to use your signposts precisely. If not, your writing will not be logically developed and you will weaken the logos at work in the manuscript.


명확하고 정확한 표지판으로 독자는 원고를 가로지르는 당신의 주장을 쉽게 따를 것이다.

With clear and precise signposting, the reader will easily follow your argument across the manuscript.


파토스

Pathos


파토스는 독자에게 초점을 맞춘 수사적 호소력이다. 파토스는 원고를 읽으면서 독자에게서 동요되는 감정을 말한다. 작가는 그들의 글에서 특정한 감정적 반응을 유발하는 것을 추구해야 한다. 그리고, 그렇다, 과학 연구 논문에도 감정의 여지가 있다.

Pathos is the rhetorical appeal that focuses on the reader. Pathos refers to the emotions that are stirred in the reader while reading the manuscript. The author should seek to trigger specific emotional reactions in their writing. And, yes, there is room for emotions in scientific research articles.


예를 들어, 대화에 참여하기: 문제/갭/후크 휴리스틱에서, 링가드는 청중들을 '흥분'시키는 것의 중요성을 강조한다. 이 고리는 '독자들에게 [현재의 문헌에서] 이 차이가 중요한 것임을 확신시킨다'[4]. 저자는 그 주장이 중요하고 독자의 관심을 끌 만한 가치가 있다고 독자를 설득해야 한다. 이것은 독자들의 감정에 호소하는 것이다.

For instance, in Joining the conversation: the problem/gap/hook heuristic Lingard highlights the importance of ‘hooking’ your audience. The hook ‘convinces readers that this gap [in the current literature] is of consequence’ [4]. The author must persuade the reader that the argument is important and worthy of the reader’s attention. This is an appeal to the readers’ emotions.


또 다른 예는 모닥불 빨간 제목에서 찾아볼 수 있다. 링가드의 설명대로, 당신의 원고의 제목은 '연구논문 안에 있는 것에 대한 광고'이다[5]. 그 제목은 독자들의 관심을 끌어야 하고 그 안에서 당신의 원고를 읽고 싶은 욕구를 불러일으켜야 한다. 여기서 다시, 파토스는 과학 연구 논문에 있다; 바로 제목 첫마디에서 독자들의 관심을 끄는 것이다.

Another example is found in Bonfire red titles. As Lingard explains, the title of your manuscript is ‘advertising for what is inside your research paper’ [5]. The title must attract the readers’ attention and create a desire within them to read your manuscript. Here, again, is pathos in action in a scientific research paper: grab the reader’s attention from the very first word of the title.


독자의 감정에 호소하는 또 다른 수사적 기법은 god term의 전략적 사용이다[1]. 버크는 god-term을 '궁극의 동기부여'가 되는 단어나 구절이라고 정의하고, 사람이 근본적으로 중시하는 특성을 구체화한 것이라고 말했다. 카드 게임(예: 브릿지 또는 유크레)에 비유하자면, god-term은 감성적인 트럼프 카드와 같다. 자유, 정의, 의무와 같은 god term은 모순된 감정을 물리치고 인간의 가치를 공유하도록 촉구한다. 우리의 연구에서 god term을 암시함으로써, 우리는 우리 글의 감정적 매력을 증가시킨다.

another rhetorical technique that appeals to the emotions of the reader is the strategic use of God-terms [1]. Burke defined God-terms as words or phrases that are ‘the ultimates of motivation,’ embodying characteristics that are fundamentally valued by humans. To use an analogy from card games (e.g., bridge or euchre), God-terms are like emotional trump cards. God-terms like freedom, justice, and duty call on shared human values, trumping contradictory feelings. By alluding to God-terms in our research, we increase the emotional appeal of our writing.


번아웃이 우리 레지던트들을 계속 괴롭히고 있지만, 의학 교육자들은 아직 이 문제의 근본 원인을 규명하지 못하고 있다. 우리는 그들의 평생 동안의 임상 서비스를 통해 그들의 행복을 확보하기 위해 이 조사 영역을 탐구하는 것이 우리 레지던트 덕분이다.

While burnout continues to plague our residents, medical educators have yet to identify the root causes of this problem. We owe i t to our residents to delve into this area of inquiry to secure their wellbeing over their lifetime of clinical service.


여기서 저자는 독자들에게 전공의들이 평생 의사로서 봉사하게 될 것이며, 우리는 그들을 대중의 건강관리 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그들을 지원할 의무가 있다는 것을 상기시킨다. 작가는 봉사나 의무의 신념을 불러일으키는 방식으로 전공의라는 학습자들을 지지하는 것에 대한 독자의 책임감을 자극한다. 

Here, the author reminds the reader that residents will be in service as physicians for their lifetime, and that we have a duty (i.e., we owe it) to support them in that calling to meet the public’s healthcare needs. Invoking the God-terms of service and duty, the writer taps into the reader’s sense of responsibility to support these learners. 


과학 연구 논문에서 파토스를 과대평가하지 않는 것이 중요하다. 즉 독자들은 감정적 과장을 쉽게 확인할 수 있는 예리하게 지적인 학자들이다.

It is important not to overplay pathos in a scientific research paper—i.e., readers are keenly intelligent scholars who will easily identify emotional exaggeration.


요약

In summary


Peter Gould는 '데이터는 결코 스스로를 대변할 수 없다'고 명문화했다[6].

Peter Gould famously stated: ‘data can never speak for themselves’ [6].



2. Purdue Online Writing Lab. West Lafayette, IN: Purdue University. 1995. 2018. https://owl.english.purdue.edu/owl/resource/659/03/. Accessed 3 Mar 2018.




Editorial
 
. 2018 Jun;7(3):207-210.
 doi: 10.1007/s40037-018-0420-2.

Using Rhetorical Appeals to Credibility, Logic, and Emotions to Increase Your Persuasiveness

Affiliations 

Affiliation

  • 1Department of Medicine, Uniformed Services University of the Health Sciences, Bethesda, MD, USA. lara.varpio@usuhs.edu.
  • PMID: 29736855
  •  

  • PMCID: PMC6002292
  •  

  • DOI: 10.1007/s40037-018-0420-2

  • 질적연구 실행가이드 파트3. 샘플링, 데이터수집, 분석(Eur J Gen Pract, 2018)

    Series: Practical guidance to qualitative research. Part 3: Sampling, data collection and analysis

    Albine Mosera,b and Irene Korstjensc




    도입

    Introduction


    샘플링

    Sampling


    표집 계획이란 무엇인가?

    What is a sampling plan?


    표본 추출 계획은 표본 추출 방법, 표본 크기, 참가자 모집 절차(상자 1)[3]를 명시한 공식 계획이다. 정성적 표본 추출 계획은 연구 결과가 풍부한 데이터를 제공하도록 보장하기 위해 얼마나 많은 관찰, 인터뷰, 초점 그룹 토론 또는 사례가 필요한지를 설명한다.

    A sampling plan is a formal plan specifying a sampling method, a sample size, and procedure for recruiting participants (Box 1)[3]. A qualitative sampling plan describes how many observations, interviews, focus group discussions or cases are needed to ensure that the findings will contribute rich data.


    양적 연구에서는 표본 크기를 포함한 표본 추출 계획이 사전에 상세하게 결정되지만 

    질적 연구 프로젝트는 광범위하게 정의된 표본 추출 계획으로 시작한다.

    In quantitative studies, the sampling plan, including sample size, is determined in detail in beforehand but qualitative research projects start with a broadly defined sampling plan.


    질적 표본 추출 계획의 주요 특징은 다음과 같다. 

      • 첫째, 참가자들은 항상 의도적으로 표본추출을 받는다. 

      • 둘째, 표본 크기는 각 연구에 따라 다르며 작다

      • 셋째, 표본이 연구 중에 나타날 것이다: 데이터 수집 및 분석 과정에서 제기된 추가 질문에 기초하여, 포함 및 제외 기준이 변경되거나 표본 추출 장소가 변경될 수 있다. 

      • 마지막으로, 표본은 주로 대표성에 의해서가 아니라 개념적 요건에 의해 결정된다.

    The key features of a qualitative sampling plan are as follows. 

      • First, participants are always sampled deliberately. 

      • Second, sample size differs for each study and is small. 

      • Third, the sample will emerge during the study: based on further questions raised in the process of data collection and analysis, inclusion and exclusion criteria might be altered, or the sampling sites might be changed. 

      • Finally, the sample is determined by conceptual requirements and not primarily by representativeness.


    표본 추출 계획은 [선택된 참가자와 설정이 연구 중인 현상을 완전히 이해하는 데 필요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을 때] 적절하다.

    The sampling plan is appropriate when the selected participants and settings are sufficient to provide the information needed for a full understanding of the phenomenon under study.


    몇 가지 실용성: 

      • 중요한 첫 번째 단계는 잠재적 참가자에게 접근할 수 있는 설정과 상황을 선택하는 것이다. 

      • 이후, [가장 풍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참가자를 모집하는 것]이 최선의 지원 전략이다. 그러한 참여자들은 현상에 대해 잘 알고 있어야 하고, 분명하게 말하고 성찰할 수 있어야 하며, 여러분과 길고도 깊이 있게 소통할 수 있도록 동기를 부여받아야 한다. 

      • 마지막으로 샘플링 계획을 정기적으로 검토하고, 필요에 따라 adapt해야 한다.

    Some practicalities: a critical first step is to select settings and situations where you have access to potential participants. Subsequently, the best strategy to apply is to recruit participants who can provide the richest information. Such participants have to be knowledgeable on the phenomenon and can articulate and reflect, and are motivated to communicate at length and in depth with you. Finally, you should review the sampling plan regularly and adapt when necessary.




    어떤 샘플링 전략을 사용할 수 있는가?

    What sampling strategies can I use?


    샘플링은 관심 현상에 대한 풍부한 데이터를 제공하는 상황, 맥락, 참여자를 선택하거나 검색하는 과정이다[3]. 질적 연구에서는 무작위가 아니라 의도적으로 표본을 추출한다.

    Sampling is the process of selecting or searching for situations, context and/or participants who provide rich data of the phenomenon of interest [3]. In qualitative research, you sample deliberately, not at random.


    [핵심 정보 제공자]들은 현상에 대해 특별하고 전문적인 지식을 보유하고 있으며, 기꺼이 연구했으며, 연구자로서 여러분과 정보 통찰력을 공유해야 한다[3].

    Key informants hold special and be expert knowledge about the phenomenon to and studied willing and are to share information insights with you as the researcher [3].


    샘플링 유형과 질적 설계 사이의 연관성은 무엇인가?

    What is the connection between sampling types and qualitative designs?


    민족지학에서 주요 전략은 문화에 대해 가장 잘 알고 있고 문화를 공개하고 해석하는 데 있어 대표자로서 활동할 수 있고 의지가 있는 다양한 주요 정보원들의 자발적인 표본추출이다.

    In ethnography, the main strategy is purposive sampling of a variety of key informants, who are most knowledgeable about a culture and are able and willing to act as representatives in revealing and interpreting the culture.


    현상학참가자들이 미리 정의된 기준을 충족하는 기준 샘플링을 사용한다. 가장 두드러진 기준은 연구 중인 현상에 대한 참가자의 경험이다. 연구자는 경험은 공유하지만, [특징]과 [개인 경험]에 차이가 있는 참가자를 찾는다. 예를 들어, 1차 치료 산파에서 정신사회적인 지원을 받은 임산부의 생활 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는 1차 산파관습에서 연령, 동등성, 교육수준이 다른 임산부를 모집할 것이다.

    Phenomenology uses criterion sampling, in which participants meet predefined criteria. The most prominent criterion is the participant’s experience with the phenomenon under study. The researchers look for participants who have shared an experience, but vary in characteristics and in their individual experiences. For example, a phenomenological study on the lived experiences of pregnant women with psychosocial support from primary care midwives will recruit pregnant women varying in age, parity and educational level in primary midwifery practices.


    근거이론은 대개 의도적 표본 추출로 시작하여, 나중에 이론적 샘플링을 사용하여 개발 이론에 가장 잘 기여할 수 있는 참가자를 선택한다. 이론구축이 데이터 수집과 분석과 동시에 이루어짐에 따라, 새로운 참가자의 이론적 샘플링도 떠오르는 이론적 개념과 함께 일어난다.

    Grounded theory usually starts with purposive sampling and later uses theoretical sampling to select participants who can best contribute to the developing theory. As theory construction takes place concurrently with data collection and analyses, the theoretical sampling of new participants also occurs along with the emerging theoretical concepts.


    '빅3' 접근법 외에도 1차 진료 연구에서는 내용 분석이 자주 적용되며, 목적적, 편의적, 눈덩이 샘플링을 사용하는 경우가 매우 많다. 예를 들어, 선택적 정형외과를 위한 병원의 선택에 관한 연구에서는 눈덩이 표본을 사용했다[5].

    In addition to the ‘big three’ approaches, content analysis is frequently applied in primary care research, and very often uses purposive, convenience, or snowball sampling. For instance, a study on peoples’ choice of a hospital for elective orthopaedic surgery used snowball sampling [5].


    샘플링은 또한 세팅의 특성(예: 접근성, 시간, 참여자의 취약성, 이해당사자 유형)에 따라 달라진다. 샘플링이 수행되는 세팅은 상황에 대한 두꺼운 설명을 제공하기 위해 자세히 설명되어 독자가 전달가능성 판단을 할 수 있다(3부: 전달가능성 참조).

    Sampling is also dependent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setting, e.g., access, time, vulnerability of participants, and different types of stakeholders. The setting, where sampling is carried out, is described in detail to provide thick description of the context, thereby, enabling the reader to make a transferability judgement (see Part 3: transferability).


    또 다른 중요한 경우는, '보이지 않는 집단invisible'이나 취약계층의 표본 추출이다. 이러한 참가자의 표본 추출에는 복수의 표본 추출 전략을 적용해야 하며, 표본 추출 및 채용을 위한 프로젝트 계획 단계에서 계산된 시간이 더 많아져야 한다[6].

    Another point of attention is the sampling of ‘invisible groups’ or vulnerable people. Sampling of these participants would require applying multiple sampling strategies, and more time calculated in the project planning stage for sampling and recruitment [6].


    표본 크기와 데이터 포화도는 어떻게 상호작용하는가?

    How do sample size and data saturation interact?


    새로운 분석 정보가 더 이상 발생하지 않을 때 데이터 포화 상태에 도달하며, 이 연구는 현상에 대한 최대 정보를 제공한다. 대조적으로, 양적연구에서 표본 크기는 power analysis에 의해 결정된다. 질적 연구에서 보통 작은 표본 크기는 데이터의 정보 풍부성, 참여자(또는 다른 단위), 연구 질문과 현상의 광범위성, 데이터 수집 방법(예: 개별 또는 그룹 인터뷰), 샘플링 전략의 유형에 따라 달라진다.

    Data saturation is reached when no new analytical information arises anymore, and the study provides maximum information on the phenomenon. In quantitative research, by contrast, the sample size is determined by a power calculation. The usually small sample size in qualitative research depends on the information richness of the data, the variety of participants (or other units), the broadness of the research question and the phenomenon, the data collection method (e.g., individual or group interviews) and the type of sampling strategy.


    대부분, 여러분과 여러분의 연구 팀은 데이터 포화 상태에 도달한 시점과 샘플링을 종료할 수 있는지 그리고 샘플 크기가 충분한지를 공동으로 결정할 것이다. 가장 중요한 기준은 연구 중인 현상의 패턴, 범주 및 다양성을 보여주는 [충분한 심층 데이터]가 가용한지이다.

    Mostly, you and your research team will jointly decide when data saturation has been reached, and hence whether the sampling can be ended and the sample size is sufficient. The most important criterion is the availability of enough in-depth data showing the patterns, categories and variety of the phenomenon under study.


    현상학 연구는 10개 이하의 인터뷰, 근거이론은 20-30개의 인터뷰, 내용 분석은 15-20개의 인터뷰 또는 3~4개의 포커스 그룹 토론을 필요로 한다. 그러나, 이 숫자들은 매우 잠정적이어서 그것들을 사용하기 전에 매우 신중하게 고려되어야 한다.

    while phenomenological studies require theory fewer than 10 interviews, grounded studies 20–30 interviews and content analysis 15–20 interviews or three-to-four focus group discussions. However, these numbers are very tentative and should be very carefully considered before using them.



    자료 수집

    Data collection


    어떤 데이터 수집 방법이 적절한가?

    What methods of data collection are appropriate?


    인터뷰는 면접관이 응답자에게 직접 전화나 온라인으로 [6] 질문을 하는 데이터 수집 방법이다. 질적연구 면접은 참가자의 생활 세계에서 중심적 주제의 의미를 기술하고자 한다. 인터뷰의 주요 임무는 참가자들이 말하는 [5]의 의미를 이해하는 것이다.

    Interviews are data collection method in which an interviewer asks the respondents questions [6], face-to-face, by telephone or online. The qualitative research interview seeks to describe the meanings of central themes in the life world of the participants. The main task in interviewing is to understand the meaning of what participants say [5].


    포커스 그룹 토론은 주어진 주제에 대해 토론하기 위해 소수의 사람들과 함께 데이터 수집 방법이며, 보통 질문 경로를 사용하여 진행자가 안내한다[8]. 한 연구에서 둘 이상의 데이터 수집 방법을 결합하는 것은 질적 연구에서 흔한 일이다.

    Focus group discussions are a data collection method with a small group of people to discuss a given topic, usually guided by a moderator using a questioning route [8]. It is common in qualitative research to combine more than one data collection method in one study.


    설문에서 개방형 문항은 질적 데이터 수집에서 가장 기본적인, '라이트' 버전이라고 볼 수 있다.

    The most basic or ‘light’ version of qualitative data collection is that of open questions in surveys.


    Box 2




    참가자 관찰을 수행할 때 어떤 역할을 채택해야 하는가?

    What role should I adopt when conducting participant observations?


    관찰에 대한 연구자 참여에는 네 가지 유형이 있으며, 질적연구에서는 네 가지 모두를 적용할 수 있다.

    There are four types of researcher involvement in observations, and in your qualitative study, you may apply all four.


    첫 번째 유형에서는 '완전한 참여자'로서 자신의 업무 환경에서처럼 설정의 일부가 되어 내부자 역할을 하게 된다. 접근하기 어려운 사람들을 연구할 때 이 역할이 적절할 수 있다.

    In the first type, as ‘complete participant’, you become part of the setting and play an insider role, just as you do in your own work setting. This role might be appropriate when studying persons who are difficult to access.


    두 번째 유형은 '능동적 참여'이다. 특정 상황에 액세스할 수 있고 연구 대상 그룹을 관찰한 경우. 당신은 마음대로 움직일 수 있고 상세하고 깊이 있고 다른 상황에서 관찰할 수 있다.

    The second type is ‘active participation’. You have gained access to a particular setting and observed the group under study. You can move around at will and can observe in detail and depth and in different situations.


    세 번째 역할은 '온건한 참여'이다. 당신은 실제로 당신이 공부하고 싶은 환경에서 일하는 것이 아니라 연구원으로서 그곳에 존재한다. 당신이 연구하고 싶은 의료 환경에 소속되어 있지 않을 때 이 역할을 채택할 수 있다.

    The third role is ‘moderate participation’. You do not actually work in the setting you wish to study but are located there as a researcher. You might adopt this role when you are not affiliated to the care setting you wish to study.


    네 번째 역할은 '완전한 관찰자'의 역할인데, (관찰자 역할)만 관찰하고 설정에는 전혀 참여하지 않는다. 그러나 의료 세팅에 접근이 불가능하면 관찰을 수행할 수 없다. 이러한 접근은 자신의 1차 치료 환경에서 관찰에 의해 데이터를 수집할 때 쉽게 얻을 수 있다. 예를 들어 병원부터 1차 진료까지 취약한 노인에 대한 퇴원 절차를 준수하는 등 1차 진료와 관련된 다른 관리 설정을 관찰할 수 있는 경우도 있다.

    The fourth role is that of the ‘complete observer’,in which you merely observe (bystander role) and do not participate in the setting at all. However, you cannot perform any observations without access to the care setting. Such access might be easily obtained when you collect data by observations in your own primary care setting. In some cases, you might observe other care settings, which are relevant to primary care, for instance observing the discharge procedure for vulnerable elderly people from hospital to primary care.


    관찰을 수행하는 방법?

    How do I perform observations?


    각각의 개별적인 관찰에서 어떤 점에 초점을 맞출 것인가를 결정하는 것이 중요하다. 결코 모든 것을 관찰할 수 없고, 각각의 상황을 한 번만 관찰할 수 있기 때문에 관찰의 초점이 중요하다. 당신의 초점은 관찰 사이에 다를 수 있다. 각 관찰자는 '누구를 관찰하는가?' '무엇을 관찰하는가', '관찰은 어디서 이루어지는가', '언제 일어나는가', '어떻게 일어나는가', '왜 일어나는 그대로 일어나는가'와 관련된 답을 제공해야 한다.

    It is important to decide what to focus on in each individual observation. The focus of observations is important because you can never observe everything, and you can only observe each situation once. Your focus might differ between observations. Each observation should provide you with answers regarding ‘Who do you observe?’, ‘What do you observe’, ‘Where does the observation take place?’, ‘When does it take place?’, ‘How does it happen?’, and ‘Why does it happen as it happens?’


    관찰은 정적이 아니라 서술적, 집중적, 선택적 세 단계로 진행된다. 

      • 서술적이란 일반적인 질문에 기초하여 설정에서 진행되는 모든 것을 관찰하는 것을 의미한다. 

      • 집중적이란 특정 상황을 일정 시간 관찰하는 것을 의미하며, 일부 영역이 더 두드러지게 된다. 

      • 선택적이란 것은 당신이 고도로 특정한 문제만을 관찰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Observations are not static but proceed in three stages: descriptive, focused, and selective. Descriptive means that you observe, on the basis of general questions, everything that goes on in the setting. Focused observation means that you observe certain situations for some time, with some areas becoming more prominent. Selective means that you observe highly specific issues only.


    이 모든 관측치에서 현장 메모를 작성하고 관찰한 상황에 대한 자신의 성찰을 추가하십시오. 당신은 단어, 전체 문장 또는 상황의 일부, 그리고 당신의 반성을 종이에 적어 넣는다. 관찰 후, 현장 노트를 작성하고 즉시 기록해야 자세한 설명을 포함할 수 있다.

    You take field notes from all these observations and add your own reflections on the situations you observed. You jot down words, whole sentences or parts of situations, and your reflections on a piece of paper. After the observations, the field notes need to be worked out and transcribed immediately to be able to include detailed descriptions.


    면접의 일반적인 특징은 무엇인가?

    What are the general features of an interview?


    인터뷰 뷰어는 인터뷰 질문에 기반한 응답자 간 상호작용을 포함한다.

    Interviews viewer(s) involve interactions between the inter-and the respondent(s) based on interview questions.


    질문의 순서는 미리 정해져 있다. 개별 면접에서 순서는 응답자와 면접의 전개 방식에 따라 달라진다. 인터뷰하는 동안 대화가 진화하면서 질문의 순서를 왔다 갔다 한다. 엄격한 문답 인터뷰가 아니라 대화여야 한다.

    The sequence of the questions is pre-determined. In individual interviews, the sequence depends on the respondents and how the interviews unfold. During the interview, as the conversation evolves, you go back and forth through the sequence of questions. It should be a dialogue, not a strict question–answer interview.


    포커스그룹 토론에서, 순서는 참가자들 간의 상호작용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것이며, 당신은 그들의 토론이 어떻게 진화하는지에 따라 순서를 맞춰갈adapt 수 있다. 인터뷰 가이드 또는 질문 루트로 작업하면 모든 참가자들로부터 특정 주제에 대한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In a focus group discussion, the sequence is intended to facilitate the interaction between the participants, and you might adapt the sequence depending on how their discussion evolves. Working with an interview guide or questioning route enables you to collect information on specific topics from all participants.


    연구자는 [면접에 대한 방향을 제시한다는 측면에서 통제]하는 반면, 참가자들은 [그들의 대답을 통제]한다. 그러나 참가자와 관련된 몇 가지 주제가 인터뷰 가이드나 질문 경로에서 다루어지지 않았을 수 있으며 추가될 필요가 있다는 점을 인식하기 위해 열린 마음을 가져야 한다. 자료수집 과정에서 면접안내서나 질의경로를 추가로 개발하여 분석에 따라 수정한다.

    You are in control in the sense that you give direction to the interview, while the participants are in control of their answers. However, you need to be open-minded to recognize that some relevant topics for participants may not have been covered in your interview guide or questioning route, and need to be added. During the data collection process, you develop the interview guide or questioning route further and revise it based on the analysis.


    인터뷰 가이드 및 질문 경로에는 공개 질문과 일반 질문, 종속 질문, 탐색 및 프롬프트가 포함될 수 있다. 탐사선들은 예를 들어 '이것에 대해 좀 더 말해줄 수 있니?' 또는 '그러면 무슨 일이 일어났니?'와 같은 탐구적인 질문들이다. 프롬프트는 참가자들이 더 많은 것을 말하도록 격려하는 단어와 표지판이다.

    The interview guide and questioning route might include open and general as well as subordinate or detailed questions, probes and prompts. Probes are exploratory questions, for example, ‘Can you tell me more about this?’ or ‘Then what happened?’ Prompts are words and signs to encourage participants to tell more.



    대면 인터뷰란?

    What is a face-to-face interview?


    대면면접은 개별면접, 즉 참여자와 면접자의 대화다. 인터뷰는 과거나 현재 상황, 그리고 개인적인 문제에 초점을 맞출 수 있다. 대부분의 질적 연구는 진행 중인 일의 광범위한 '그림'을 얻기 위해 공개 면접으로 시작한다. 참가자 자신의 경험, 인식, 생각, 감정을 얻고자 하는 것처럼, 많은 지침을 제공하고 '자신의' 관점에 맞는 답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피해야 한다. 참가자들이 자유롭게 발언할 수 있도록 격려해야 한다. 인터뷰가 진화함에 따라, 당신의 후속 주요 질문과 하위 질문들에 더 집중하게 된다. 대면 인터뷰나 개별 인터뷰는 30분에서 90분 사이에 진행될 수 있다.

    A face-to-face interview is an individual interview, that is, a conversation between participant and interviewer. Interviews can focus on past or present situations, and on personal issues. Most qualitative studies start with open interviews to get a broad ‘picture’ of what is going on. You should not provide a great deal of guidance and avoid influencing the answers to fit ‘your’ point of view, as you want to obtain the participant’s own experiences, perceptions, thoughts, and feelings. You should encourage the participants to speak freely. As the interview evolves, your subsequent major and subordinate questions become more focused. A face-to-face or individual interview might last between 30 and 90min.


    대부분의 인터뷰는 반구조적이다[3]. 모든 참가자가 일련의 주제를 다룰 수 있도록 면접 가이드를 준비하려면, 반 구조 면접 가이드[10]를 구성하기 위한 프레임워크를 사용할 수 있다.

    Most interviews are semi-structured [3]. To prepare an interview guide to enhance that a set of topics will be covered by every participant, you might use a framework for constructing a semi-structured interview guide [10]:


      • (1) 반구조적 면접을 이용하기 위한 전제조건을 식별하고, 반구조화 면접이 적절한 데이터 수집 방법인지 여부를 평가한다. 

      • (2) 연구 중인 현상에 대한 종합적이고 적절한 이해를 얻기 위해 기존 지식을 검색하고 활용한다. 

      • (3) 사전 지식을 운영하여 사전 면접 가이드를 작성한다. 

      • (4) 면접가이드 초안을 파일럿테스트하여 내용의 적용 범위와 관련성을 확인하고 질문을 재구성할 필요성이 있는지 확인한다. 

      • (5) 명확하고 논리적인 가이드로 풍부한 데이터를 수집하기 위한 인터뷰 가이드를 완성한다.

    (1) identify the prerequisites to use a semistructured interview and evaluate if a semi-structured interview is the appropriate data collection method; 

    (2) retrieve and utilize previous knowledge to gain a comprehensive and adequate understanding of the phenomenon under study; 

    (3) formulate a preliminary interview guide by operationalizing the previous knowledge; 

    (4) pilot-test the preliminary interview guide to confirm the coverage and relevance of the content and to identify the need for reformulation of questions; 

    (5) complete the interview guide to collect rich data with a clear and logical guide.


    인터뷰의 첫 몇 분이 결정적이다. 참가자는 자신의 경험을 공유하기 전에 안심하기를 원한다. 반구조적 인터뷰에서는 주제와 관련된 공개 질문부터 시작하는데, 이 질문은 참가자를 자유롭게 대화하도록 초대한다. 이 질문들은 참가자들이 감정과 감정을 포함한 개인적인 경험을 말하도록 격려하고 종종 특정한 경험이나 특정한 사건에 초점을 맞추도록 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가능한 한 자세한 정보를 얻고자 하는 경우, 후속 질문을 하거나 프로브와 프롬프트를 사용하거나 짧은 침묵 기간을 유지하여 더 자세한 정보를 말하도록 권장하십시오 [6]. 당신은 먼저 무엇과 왜 질문을 하고 그 다음에 어떻게how 질문을 한다.

    The first few minutes of an interview are decisive. The participant wants to feel at ease before sharing his or her experiences. In a semi-structured interview, you would start with open questions related to the topic, which invite the participant to talk freely. The questions aim to encourage participants to tell their personal experiences, including feelings and emotions and often focus on a particular experience or specific events. As you want to get as much detail as possible, you also ask follow-up questions or encourage telling more details by using probes and prompts or keeping a short period of silence [6]. You first ask what and why questions and then how questions.


    다음과 같이 발생할 수 있는 문제를 다룰 준비를 해야 한다. 

      • 접근권한 획득, 

      • 여러 명의 공식 및 비공식 게이트키퍼들을 상대한다. 

      • 데이터 기록을 위한 협상 공간 및 개인 정보 

      • 참가자들이 사회적으로 바람직한 답변을 하는 것

      • 참가자들이 자신의 이야기를 하는 것을 꺼리는 것

      • 적절한 역할 결정(실제 참여) 

      • 현장 작업에서 엑시트하는 것

    You need to be prepared for handling problems you might encounter, such as 

      • gaining access, 

      • dealing with multiple formal and informal gatekeepers, 

      • negotiating space and privacy for recording data, 

      • socially desirable answers from participants, 

      • reluctance of participants to tell their story, 

      • deciding on the appropriate role (emotional involvement), and 

      • exiting from fieldwork prematurely.


    포커스 그룹 토론이란 무엇이며 언제 사용할 수 있는가?

    What is a focus group discussion and when can I use it?


    포커스 그룹 토론은 특정 관심 주제를 논의하기 위해 사람들을 모으는 방법이다. 포커스 그룹 토론에 참여하는 사람들은 특정한 특성을 공유하거나 비슷한 경험을 공유한다.

    A focus group discussion is a way to gather together people to discuss a specific topic of interest. The people participating in the focus group discussion share certain characteristics, or share similar experiences,


    포커스 그룹 참가자들은 여러분과 서로에게 응답한다.

    Focus group participants respond to you and to each other.


    초점 그룹 토론은 보통 90-120분 동안 지속된다.

    A focus group discussion usually lasts 90–120 mins.


    질문 경로[9]를 개발하기 위해 지침을 사용할 수 있음: 

    You might use guidelines for developing a questioning route [9]: 


      • (1) 다룰 수 있는 주제에 대한 브레인스토밍 

      • (2) 질문 순서: 먼저 일반적인 질문을 정리하고, 그 다음에 더 구체적인 질문을 하고, 부정적인 질문을 하기 전에 긍정적인 질문을 한다. 

      • (3) 질문 문구: 열린 질문을 사용하고, 참가자들에게 자신의 개인적인 경험을 되돌아보고 반성하도록 요청하고, '왜' 질문을 피하며, 단순하게 질문을 유지하고, 질문을 대화적으로 보이게 하고, 예를 들어주는 것에 주의한다. 

      • (4) 각 질문에 대한 시간을 예측하고 고려한다: 질문의 복잡성, 질문의 범주, 참가자의 전문성 수준, 초점 그룹 토론의 크기 및 질문과 관련하여 원하는 토론의 양 

      • (5) 다른 사람들로부터 피드백을 받는다. 

      • (6) 피드백에 따라 질문을 수정한다. 

      • (7) 모의 포커스 그룹 토론을 통해 문제를 시험한다. 모든 질문은 연구 중인 현상에 대한 해답을 제공해야 한다.


      • (1) brainstorm about possible topics you want to cover; 

      • (2) sequence the questioning: arrange general questions first, and then, more specific questions, and ask positive questions before negative questions; 

      • (3) phrase the questions: use open-ended questions, ask participants to think back and reflect on their personal experiences, avoid asking ‘why’ questions, keep questions simple and make your questions sound conversational, be careful about giving examples; 

      • (4) estimate the time for each question and consider: the complexity of the question, the category of the question, level of participant’s expertise, the size of the focus group discussion, and the amount of discussion you want related to the question; 

      • (5) obtain feedback from others (peers); 

      • (6) revise the questions based on the feedback; and 

      • (7) test the questions by doing a mock focus group discussion. All questions need to provide an answer to the phenomenon under study.


    예를 들어, 토론 중 우세한 참가자와 같은 어려움이 발생할 때 관리하기 위한 준비를 해야 한다.

    You need to be prepared to manage difficulties as they arise, for example, dominant participants during the discussion,


    포커스 그룹을 어떻게 구성해야 하며 몇 명의 참가자가 필요한가?

    How should I compose a focus group and how many participants are needed?


    [포커스 그룹 토론의 목적]은 구성을 결정한다. 소규모 그룹은 복잡한 주제(그리고 때로는 논쟁의 여지가 있는)에 더 적합할 수 있다. 또한, 더 작은 포커스그룹은 참가자들에게 그들의 견해를 말할 수 있는 더 많은 시간을 주고 더 상세한 정보를 제공하는 반면, 더 큰 포커스그룹의 참가자들은 더 다양한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더 작거나 더 큰 포커스 그룹을 구성할 때, 여러분은 참가자들이 토론을 자극하는 다른 관점을 가질 수 있도록 해야 한다.

    The purpose of the focus group discussion determines the composition. Smaller groups might be more suitable for complex (and sometimes controversial) topics. Also, smaller focus groups give the participants more time to voice their views and provide more detailed information, while participants in larger focus groups might generate greater variety of information. In composing a smaller or larger focus group, you need to ensure that the participants are likely to have different viewpoints that stimulate the discussion.


    포커스 그룹은 일반적으로 6~12명의 참가자로 구성된다. 각 질문에 답변하는 데 얼마나 많은 시간을 할애할 것인지, 각 참가자가 사용할 수 있는 시간은 얼마인지를 결정해야 하기 때문에 신중한 시간 관리가 중요하다.

    Focus groups generally consist of 6–12 participants. Careful time management is important, since you have to determine how much time you want to devote to answering each question, and how much time is available for each individual participant.


    예를 들어, 90분 동안 포커스 그룹 토론을 계획한 경우. 8명의 참가자가 있으면 15분이 필요할지도 모른다. 서론 및 결론 요약을 위해 이것은 75분이라는 뜻이다. 질문할 때, 그리고 4개의 질문이 있으면, 이것은 총 18분을 허용한다. 각각의 질문에 대해 말할 수 있는 시간. 8명의 응답자가 모두 토론에 참여할 경우, 이는 질문당 응답자당 약 2분의 발언 시간으로 요약된다.

    For example, if you have planned a focus group discussion lasting 90min. with eight participants, you might need 15min. for the introduction and the concluding summary. This means you have 75min. for asking questions, and if you have four questions, this allows a total of 18min. of speaking time for each question. If all eight respondents participate in the discussion, this boils down to about two minutes of speaking time per respondent per question.


    새로운 미디어를 사용하여 정성적 데이터를 수집하는 방법

    How can I use new media to collect qualitative data?


    데이터는 문자 메시지, 비디오 회의, 비디오 통화 또는 몰입형 가상 세계 또는 게임 등과 함께 동기 또는 비동기식으로 수집될 수 있다. 질적 연구는 '가상'에서 '디지털'으로 옮겨간다. 

      • 가상이란 기존 데이터 수집 방법을 온라인 환경으로 가져오고 

      • 디지털이란 그러한 접근방식이 연구를 위해 인터넷의 고유한 특성과 능력을 이용하는 것을 의미한다[10].

    Data can be collected synchronously or asynchronously, with text messaging, video conferences, video calls or immersive virtual worlds or games, etcetera. Qualitative research moves from ‘virtual’ to ‘digital’. 

      • Virtual means those approaches that import traditional data collection methods into the online environment and 

      • digital means those approaches take advantage of the unique characteristics and capabilities of the Internet for research [10].


    분석

    Analysis


    모든 데이터가 수집될 때까지 분석을 기다릴 수 있는가?

    Can I wait with my analysis until all data have been collected?


    반복적인 접근법과 새로운 설계가 질적 연구의 핵심이기 때문에 분석을 기다릴 수 없다.

    You cannot wait with the analysis, because an iterative approach and emerging design are at the heart of qualitative research.


    첫 번째 관찰, 인터뷰 또는 첫 번째 포커스 그룹 토론 직후, 분석을 시작하고 현장 노트를 준비해야 한다.

    Immediately after the very first observation, interview or focus group discussion, you have to start the analysis and prepare your field notes.


    좋은 녹취록은 왜 그렇게 중요한가?

    Why is a good transcript so important?


    첫째, 녹음된 인터뷰와 초점 그룹 토론의 녹취록과 현장 메모가 주요 데이터 출처를 구성한다.

    First, transcripts of audiotaped interviews and focus group discussions and your field notes constitute your major data sources.


    녹음의 가장 중요한 측면은 참가자들의 말에 초점을 맞추고, 오디오 테이프의 모든 부분을 필사하며, 테이프를 다시 주의깊게 다시 보고, 녹취록을 다시 읽는 것이다. 기침, 일시 중지 및 강조와 같은 비언어적 행동의 대화 분석에서 음성 톤은 공식적 전사 시스템을 사용하여 자세히 설명될 필요가 있다(가장 잘 알려진 것은 G. 제퍼슨의 기호들이다).

    Most important aspects of transcribing are the focus on the participants’ words, transcribing all parts of the audiotape, and carefully revisiting the tape and rereading the transcript. In conversation analysis non-verbal actions such as coughing, the lengths of pausing and emphasizing, tone of voice need to be described in detail using a formal transcription system (best known are G. Jefferson’s symbols).


    분석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는 녹취록이 정확한지 확인하고 일시 정지, 구두점, 비언어 데이터를 포함한 인터뷰의 전체성을 반영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질적 데이터를 이해할 수 있으려면 데이터에 몰입하고 데이터와 '살아야live the data'할 필요가 있다.

    To facilitate analysis, it is essential that you ensure and check that transcripts are accurate and reflect the totality of the interview, including pauses, punctuation and non-verbal data. To be able to make sense of qualitative data, you need to immerse yourself in the data and ‘live’ the data.


    민족학, 현상학, 근거 이론, 내용 분석의 분석 사이에 차이가 있는가?

    Are there differences between the analyses in ethnography, phenomenology, grounded theory, and content analysis?


    민족학, 현상학, 근거 이론은 각각 다른 분석적 접근방식을 가지고 있으며, 이러한 접근방식은 각각 다른 사상의 학파를 가지고 있다는 것을 알아야 하며, 이는 또한 다른 학파(상자 4)와 분석적 방법을 통합했을 수도 있다.

    Ethnography, phenomenology, and grounded theory each have different analytical approaches, and you should be aware that each of these approaches has different schools of thought, which may also have integrated the analytical methods from other schools (Box 4).


    일반적으로 질적 분석은 데이터를 정리하는 것으로 시작한다. 많은 양의 데이터를 더 작고 관리 가능한 단위로 저장해야 하며, 이를 쉽게 검색하고 검토할 수 있다. 전체적인 감각을 얻기 위해, 분석은 전체적인 그림을 고려하여, 주제, 감정, 그리고 예상치 못한 것을 보면서 데이터를 읽고 다시 읽는 것으로 시작한다. 당신은 데이터에 몰두한다. 가장 널리 사용되는 절차는 실제 데이터에 기반한 유도 코딩 체계를 개발하는 것이다[11]. 이것은 개방형 코딩, 카테고리 및 추상화의 과정이다. 대부분의 경우 미리 정의된 코드 구성표에서 시작하지 않는다.

    In general, qualitative analysis begins with organizing data. Large amounts of data need to be stored in smaller and manageable units, which can be retrieved and reviewed easily. To obtain a sense of the whole, analysis starts with reading and rereading the data, looking at themes, emotions and the unexpected, taking into account the overall picture. You immerse yourself in the data. The most widely used procedure is to develop an inductive coding scheme based on actual data [11]. This is a process of open coding, creating categories and abstraction. In most cases, you do not start with a predefined coding scheme.


      • 그런 다음 레이블을 수집하고 해석에 따라 예비 범주로 묶는 코드 시트를 만드십시오. 

      • 다음 단계는 유사하거나 다른 범주를 보다 광범위한 상위 순서 범주로 정렬하는 것이다. 각 범주의 이름은 내용-특징 단어들을 사용하여 지어진다. 

      • 그런 다음 연구 중인 현상에 대한 일반적인 설명을 작성하여 추상화를 사용하십시오. 유사한 이벤트와 정보를 가진 하위 카테고리는 카테고리 및 카테고리가 주요 카테고리로 그룹화됨에 따라 함께 그룹화된다.

      • Then, you make a coding sheet, in which you collect the labels and, based on your interpretation, cluster them in preliminary categories. 

      • The next step is to order similar or dissimilar categories into broader higher order categories. Each category is named using content-characteristic you words. 

      • Then, use abstraction by formulating a general description of the phenomenon under study: subcategories with similar events and information are grouped together as categories and categories are grouped as main categories.


    질적연구를 진행하는 동안, 데이터에서 보거나 보지 못하는 것을 성찰한다. '분석 메모'[3], '작문' 또는 '미니분석'을 쓰는 것이 일반적이며, 디자인부터 출판까지 연구 과정에서 자신이 배우고 있다고 생각하는 것에 대해 쓰는 것이 일반적이다. 메모에는 주요 발견 사항과 논평의 요약과 특정 측면에 대한 성찰이 포함될 수 있다.

    Throughout the qualitative study, you reflect on what you see or do not see in the data. It is common to write ‘analytic memos’ [3], write-ups or mini-analyses about what you think you are learning during the course of your study, from designing to publishing. Memos can contain summaries of major findings and comments and reflections on particular aspects.



    현상학에서 분석은 종종 본질적인 종속적 주제와 주요 주제를 식별함으로써 경험의 의미를 기술하고 해석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인터뷰 및 인터뷰 전반에 걸쳐, 때로는 분석 과정에 스터디 참가자 또는 다른 전문가와 관련된 공통 테마를 검색하는 경우. 현상학 연구의 결과는 '살아있는' 경험의 본질적 의미를 포착한 주제를 상세히 기술한 것이다.

    In phenomenology, analysis aims to describe and interpret the meaning of an experience, often by identifying essential subordinate and major themes. You search for common themes featuring within an interview and across interviews, sometimes involving the study participants or other experts in the analysis process. The outcome of a phenomenological study is a detailed description of themes that capture the essential meaning of a ‘lived’ experience.


    근거 이론데이터에서 나온 기본적인 사회 문제가 사회적 환경에서 어떻게 처리되는지 설명하는 이론을 생성한다. 기초 이론은 하나의 데이터 소스(예: 인터뷰)에 존재하는 요소를 다른 소스의 요소와 비교하여 공통점을 식별하는 '지속적 비교' 방법을 사용한다. 분석의 단계는 개방, 축 및 선택 코딩으로 알려져 있다. 분석 내내, 당신은 그 데이터에 대한 아이디어를 방법론적 메모와 이론적 메모에 기록한다. 근거 있는 이론 연구의 결과는 이론이다.

    Grounded theory generates a theory that explains how a basic social problem that emerged from the data is processed in a social setting. Grounded theory uses the ‘constant comparison’ method, which involves comparing elements that are present in one data source (e.g., an interview) with elements in another source, to identify commonalities. The steps in the analysis are known as open, axial and selective coding. Throughout the analysis, you document your ideas about the data in methodological and theoretical memos. The outcome of a grounded theory study is a theory.


    기술적 일반 질적 연구현상에 대한 낮은 추론 설명을 생성하도록 설계된 연구로 정의된다[12]. 샌델로우스키는 모든 연구가 해석을 수반한다고 주장하지만, 질적 서술은 또한 원본 데이터에 대한 '밀접성closer'을 유지하기 위해 이루어진 추론을 최소화하기 위한 시도도 제안하였다[12].

    Descriptive generic qualitative research is defined as research designed to produce a low inference description of a phenomenon [12]. Although Sandelowski maintains that all research involves interpretation, she has also suggested that qualitative description attempts to minimize inferences made in order to remain ‘closer’ to the original data [12].


    귀납적 내용 분석[11]에는 데이터를 더 작은 단위로 분해하고, 단위가 나타내는 내용에 따라 코딩 및 명명하고, 공유 개념에 따라 코드화된 자료를 분류하는 것이 포함된다. 그것들은 나무 모양의 도표로 군집화하여 나타낼 수 있다. 연역적 내용 분석[11]은 이론, 이론적 프레임워크 또는 개념 모델을 사용하여 데이터를 코딩 매트릭스로 조작하여 분석한다. 귀납적 내용 분석은 개방 및 축 코딩과 지속적인 비교와 같은 근거 이론의 몇 가지 기법을 사용할 수 있다. 그러나, 귀나적 내용분석의 발견은 단지 범주의 요약일 뿐이지 근거 이론이 아니라는 점에 유의하라.

    An inductive content analysis [11] involves breaking down the data into smaller units, coding and naming the units according to the content they present, and grouping the coded material based on shared concepts. They can be represented by clustering in treelike diagrams. A deductive content analysis [11] uses a theory, theoretical framework or conceptual model to analyse the data by operationalizing them in a coding matrix. An inductive content analysis might use several techniques from grounded theory, such as open and axial coding and constant comparison. However, note that your findings are merely a summary of categories, not a grounded theory.







    . 2018 Dec;24(1):9-18.
     doi: 10.1080/13814788.2017.1375091. Epub 2017 Dec 4.

    Series: Practical Guidance to Qualitative Research. Part 3: Sampling, Data Collection and Analysis

    Affiliations 

    Affiliations

    • 1a Faculty of Health Care, Research Centre Autonomy and Participation of Chronically Ill People , Zuyd University of Applied Sciences , Heerlen , The Netherlands.
    • 2b Faculty of Health, Medicine and Life Sciences, Department of Family Medicine , Maastricht University , Maastricht , The Netherlands.
    • 3c Faculty of Health Care, Research Centre for Midwifery Science , Zuyd University of Applied Sciences , Maastricht , The Netherlands.

    Abstract

    In the course of our supervisory work over the years, we have noticed that qualitative research tends to evoke a lot of questions and worries, so-called frequently asked questions (FAQs). This series of four articles intends to provide novice researchers with practical guidance for conducting high-quality qualitative research in primary care. By 'novice' we mean Master's students and junior researchers, as well as experienced quantitative researchers who are engaging in qualitative research for the first time. This series addresses their questions and provides researchers, readers, reviewers and editors with references to criteria and tools for judging the quality of qualitative research papers. The second article focused on context, research questions and designs, and referred to publications for further reading. This third article addresses FAQs about sampling, data collection and analysis. The data collection plan needs to be broadly defined and open at first, and become flexible during data collection. Sampling strategies should be chosen in such a way that they yield rich information and are consistent with the methodological approach used. Data saturation determines sample size and will be different for each study. The most commonly used data collection methods are participant observation, face-to-face in-depth interviews and focus group discussions. Analyses in ethnographic, phenomenological, grounded theory, and content analysis studies yield different narrative findings: a detailed description of a culture, the essence of the lived experience, a theory, and a descriptive summary, respectively. The fourth and final article will focus on trustworthiness and publishing qualitative research.

    Keywords: General practice/family medicine; analysis; data collection; general qualitative designs and methods; sampling.


    성찰적 주제분석에 대한 성찰(Qualitative Research in Sport, Exercise and Health, 2019)

    Reflecting on reflexive thematic analysis

    Virginia Brauna and Victoria Clarkeb

    aSchool of Psychology, The University of Auckland, Auckland, New Zealand; bDepartment of Health and Social

    Sciences, University of the West of England, Bristol, UK




    주제 분석(TA), 특히 우리가 개발한 접근법(예: Braun and Clarke 2006, 2012, 2013)은 질적 스포츠 및 운동 연구에 널리 사용되는 방법이다. 우리가 처음 TA에 대해 썼을 때, 우리는 그 방법이 '잘 구분되지 않고 거의 인정받지 못했지만, 심리학에서는 널리 사용되는 질적 분석법'이라는 것을 관찰했다(브라운과 클라크 2006:77)

    Thematic analysis (TA), and specifically the approach we have developed (e.g. Braun and Clarke 2006, 2012, 2013), is a widely used method in qualitative sport and exercise research. When we first wrote about TA, we observed that the method was ‘a poorly demarcated and rarely acknowledged, yet widely used qualitative analytic method’ (Braun and Clarke 2006: 77) in psychology.


    (그 당시에는) 분석 철학과 절차에 대한 논의가 거의 또는 전혀 없는 자격 있는 데이터에서 '테마가 emerge'하고, 질적 데이터에서 테마를 식별하기 위한 (예: 베인, 윌슨, 차이킨트 웨스토크스 1989; 스캔란, 스타인 & 라비자 1989)의 (또는)개념 미달의 '매슈업'과 내용 분석 및 근거 이론 기법을 사용했었다.

    ‘themes emerging’ from qualitative data with little or no discussion of analytic philosophy and procedure, and the use of under- (or un-)theorised ‘mashups’ of, content analysis and grounded theory techniques to identify themes in qualitative data (e.g. Bain, Wilson, and Chaikind Westoaks 1989; Scanlan, Stein & Ravizza 1989).


    빈약하고 혼란스러운 관행의 많은 사례가 있었다.

    many examples of poor and confused practice.


    a) 근거 이론 기법 및/또는 코딩 신뢰성 측정의 사용 등이 혼합된 접근법의 마구잡이 매시업1;

    a) untheorised mashups of our approach1 with grounded theory techniques, and/or use of coding reliability measures;


    b) TA를 단일한 접근방식으로 처리

    b) treating TA as one approach;


    c) [완전히 실현된 테마]와 [데이터 도메인 또는 토픽 요약]의 혼동(fully realized theme이란 중앙 조직 개념에 의해 뒷받침되는 공유된 의미의 표현)

    c) confusing summaries of data domains or topics with fully realised themes (patterns of shared meaning underpinned by a central organising concept) (e.g. Evans, Adams, and Hall 2016;Hilletal.2015).


    우리가 그 방법을 성공적인 결과를 얻기 위해 정확하게 따라야 하는 [베이킹 레시피처럼 취급]하고, 반사성, 이론적 참여, 창의적 장학보다 [절차를 우선시]하고 있는 것으로 추론할 수 있을 것이다. 우리는 우리가 그런 것을 의미한 것이 아니라고 주장한다.

    It might be inferred that we’re treating the method like a baking recipe that must be followed precisely in order to ensure a successful outcome, that we’re prioritising procedure over reflexivity, theoretical engagement and creative scholarship. We reflexively claim we are not.


    우리가 먼저 손을 들고 그 혐의에 대해 '내 탓이로소이다'라고 말할 것이다. 처음에 TA 접근법(Braun과 Clarke 2006)을 설명할 때, 우리는 당연하게 몇 가지를 받아들였다; 우리는 (알 수 없는) 우리의 논문이 단지 '알아낸' 사람들, 그리고 질적 연구에 대한 우리의 이해를 공유하는 사람들의 꽤 적은 청중에게만 관심을 가질 것이라고 생각했다.

    We would be the first to hold our hands up and say ‘mea culpa’ to that charge. When initially articulating a TA approach (Braun and Clarke 2006), we took some things for granted; we (unknowingly) assumed that our paper would only be of interest to a fairly small audience of people who ‘got it’,and who shared our understanding of qualitative research.


    그것은 현재 최근 수십 년간 가장 많이 인용된 학술 논문들 중 하나이다.

    it is now one of the most cited academic papers of recent decades.


    Mauthner와 Doucet(2003)에서 영감을 받은 이 논평에서, 우리는 훈련 경험, 연구 가치 및 이론적 약속이 어떻게 TA에 대한 우리의 접근 방식에 대한 우리의 원래 표현을 형성했는지에 대해 고찰한다(Braun과 Clarke 2006. 우리의 목표는 우리의 접근방식을 뒷받침하는 가정을 더 명확하게 설명하고, 스포츠와 운동 연구자들(및 다른 분야의 연구원)에게 무엇을 제공하는지, 그리고 이것이 TA에 대한 다른 접근방식과 어떻게 다른지를 좀 더 정확하게 구분하는 것이다.

    In this commentary, inspired by Mauthner and Doucet (2003), we consider how our training experiences, research values and theoretical commitments shaped our original articulation of our approach to TA (Braun and Clarke 2006). Our aim is to explain more clearly the assumptions underpinning our approach, to demarcate more precisely what our approach offers sport and exercise researchers (and researchers in other fields), and how this differs from other approaches to TA.


    반성: 교육, 가치 및 약속이 어떻게 TA에 대한 개념화를 제공했는지

    Reflecting back: how our training, values and commitments informed our conceptualisation of TA


    우리는 1990년대 후반에 그곳에서 공부하고 있는 (대부분 질적인) 박사학위 학생들의 크고 활기찬 공동체의 일부인 Loughborough 대학의 사회과학부에서 만났다. 많은 박사 동료들은 이후 정성적 연구에 대해 썼다(예: Fel et al. 2006;Speer 2002; Wiggins 2016).

    We met in the Department of Social Sciences at Loughborough University, part of a large and lively community of (mostly qualitative) PhD students studying there in the late 1990s. Many of our PhD peers have subsequently written about qualitative research (e.g. Peel et al. 2006;Speer 2002; Wiggins 2016).


    셀리아 키칭거와 수 윌킨슨 박사, 그리고 그들의 동료들은 다른 사람들이 (중요한) 질적 연구를 하는 데 관심을 가지고 토론하고 토론하고 지도했다.

    Our PhD supervisors – Celia Kitzinger and Sue Wilkinson – and their colleagues cared about, discussed, debated, and guided others in the doing of (critical) qualitative research.


    이런 맥락은 우리를 지적인 테러로 만들었다:

    최악의 경우, 우리는 오만하고 잔인했다. 

    좋게 봐줘봐야, 우리가 연구할 때 우리에게 부여한 이 깊은 기초는 (방법론, 인식론 및 온톨로지, 그리고 연구의 제시방식에 대하여) 깊은 사고와 'knowingness'가 결여되어 있다는 것을 비판적으로 바라보게 했다. (적어도 우리에게) 그것은 이론적으로 문제있는 행동이었다.

    This context turned us into intellectual terrors: at worst, we were arrogant and bratty; at best, this deep foundation in thinking about research that we had attuned us to be critical of a seeming lack of deep thinking and ‘knowingness’ about methodology, epistemology and ontology, and the presentation of research that was (to us, at least) theoretically troubling.


    우리에게 있어서, 알고 있다는 것knowingness은, 연구들이 숙의 과정으로 취급되고 있다는 증거로서, 단지 설계와 방법뿐만 아니라 온톨로지, 인식론 및 방법론, 그리고 이것들에 대한 합리성과 관련된 결정을 포함하는 증거를 의미했었다. 지식knowingness은 단순한 '레시피 따라하기' 활동이 아닌, 생각의 모험으로서 연구에 대한 참여를 보여주어야 한다.

    By knowingness, we mean evidence of research being treated as a deliberative process, one that involves decisionsrelated not just to design and method, but ontology, epistemology and methodology, and rationales for these, individually and collectively. Knowingness demonstrates engagement with research as a thought-out adventure, rather than simple ‘recipe following’ activity


    우리의 원래 TA 논문을 쓰는 것에 대한 생각의 뿌리는 사람들이 '담론 분석과 근거 이론의 조합'을 사용했다고 주장하는 것을 보고 컨퍼런스에 참석했던 초기의 경험에서 비롯되었다. 우리는 '이러한 방향은 (일반적으로) 철학적으로 양립할 수 없다'고 생각하며 혼란에 빠져 고개를 떨구곤 했는데, 보통은 실제로 이것도 저것도 아닌 분석을 보게 되었다. 이것은 (더 최근에 발전한) '분석적 다원주의'조차 아니었다(예: Dewe와 Coyle 2014).

    The roots of thinking about writing our original TA paper came from early experiences of going to conferences and seeing people claim to have used, analytically, ‘a combination of discourse analysis and grounded theory’.We’d shake our heads in confusion, thinking ‘these orientations are (typically) philosophically incompatible’, and usually seeing an analysis that really was not one or the other. This was not the ‘analytic pluralism’ that has more recently developed (e.g. Dewe and Coyle 2014).


    그것을 바라보는 또 다른 방법은, 우리의 위치가 우리의 교육적 특권을 반영한다는 것이다. 그 당시, 우리는 훌륭한 질적 연구를 하는 실용주의뿐만 아니라 지식 생성 과정과 실천에 대한 반사적이고 개념적인 기초에 대해 깊이 생각하고 관심을 가지는 [지도교수와 다른 학문적 롤모델들을 갖게 된 것이 얼마나 행운인지] 깨닫지 못했다. 이들은 우리에게 - 때로는 고통스러운 - 우리가 무엇을 하고 있는지, 그리고 왜 그러는지에 대한 어려운 질문을 던졌다.

    Another way to look at it – somewhat kinder to ourselves – is that our positioning reflected our educational privilege. At the time, we didn’t realise quite how lucky we were to have had supervisors and other academic role models who thought and cared deeply not only about the pragmatics of doing good qualitative research, but about the reflexive, conceptual bases for knowledge generation processes and practices. Who asked us the – sometimes painful – tough questions about what we were doing, and why.


    우리의 박사학위 감독자들은 특히 질적인 연구가 재미, 놀이, 창의성에 관한 것이라는 의식을 우리에게 심어주었다. 지도교수는 왜(왜 굳이 그걸 하냐)냐고 묻는 대신 "못 할 이유가 뭐냐"고 물었다. 한번 시험해 보고, 무슨 일이 일어나는지 보되, 뛰어들기 전에 당신의 근거에 대해 깊이 생각해 보라고 했다그들은 우리에게 용기를 주었고, 우리에게 자신감을 주었다 – 가장 광범위한 의미에서 연구와 연구 방법을 '실험'하도록, 그것은 우리가 우리의 경력 동안 계속 해왔던 것이다.

    Our PhD supervisors particularly also instilled in us a sense that qualitative research is about fun, play and creativity. Instead of asking why (why do a qualitative survey?), they asked why not? Try it out, see what happens, but think deeply about your rationale before your jump in. They encouraged us – and gave us confidence – to ‘experiment’ in the broadest sense with research and research methods, something we have continued to do throughout our careers.


    2006년 논문은 이중적인 좌절에서 비롯되었다: 

    • 컨퍼런스와와 출판된 연구에서 우리가 봤던 이론, 방법 및 기법의 '엉망진창 실수'에서, 

    • (우리를 포함하여) 'TA를 한다'고 주장하지만, 보고된 테마를 제작하기 위해 관여하는 과정을 투명하게 설명하지는 않는 많은 연구에서

    Our 2006 paper stemmed from dual frustrations: 

    • at the ‘sloppy mishmash’ (Morse 1989: 4) of theories, methods and techniques we saw described at conferences and in published research; and 

    • at there being lots of research (from ourselves included) that claimed to ‘do TA,’ but that did not transparently describe the processes engaged in to produce the themes reported.


    우리에게 있어 '적절한' 질적 연구는 감히 실증주의의 한 줄기 빛조차 포함할 수 없는 것이었다. 보야티스는 자신의 접근방식을 실증주의(양적) 연구와 해석적(정량적) 연구 사이의 '격차 해소'를 시도하려는 시도로 틀었으며, 코딩의 품질과 신뢰성에 대한 보증을 제공하고, 제시된 신뢰성 연구자의 주관성에 대한 위협을 통제하기 위한 '코드 신뢰성' 조치의 사용을 주창하였다. 양적 실증주의자들은 이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하지만 우리에게 있어, '분열을 메우고' 질적 연구의 진실성을 유지하는 것이 불가능했다.

    to us, ‘proper’ qualitative research dare not contain even a whiff of positivism. Boyatzis framed his approach as an attempt to ‘bridge the divide’ between positivist (quantitative) and interpretive (qualitative) research, and advocated the use of ‘coding reliability’ measures to provide warrants of the quality and reliability of coding, and control the threat to reliability researcher subjectivity presented, in a language that would be intelligible to quantitative-positivists. For us, it was not possible to ‘bridge the divide’ and retain the integrity of qualitative research.


    우리는 TA에 대한 우리의 접근방식이 이론적으로 보아티스'와 TA에 대한 몇몇 다른 접근방식으로 개념화되어 있기 때문에, 연구자 주관성이 지식 생산에 대한 (잠재적 위협이 아닌) 자원으로 이해되어, 창의적이고 반사적이며 주관적인 우리의 관점을 반영하고자 하였다(Gough와 Madill 2012 참조).

    We intended our approach to TA to reflect our view of qualitative research as creative, reflexive and subjective, with researcher subjectivity understood as a resource (see Gough and Madill 2012), rather than a potential threat to knowledge production, as it arguably is conceptualised in Boyatzis’ and some other approaches to TA.


    우리에게 있어 질적 연구는 의미와 의미 만들기에 관한 것이며, 이것을 항상 상황에 얽매여 있고, positioned and situated되어있으며, 질적 데이터 분석은 '스토리'에 대해 말하는 것이고, 해석하는 것이고, 창조하는 것이다. '저 바깥에 존재하는' 찾을 수 있고, 데이터로부터 찾을 수 있거나, 데이터 안에 깊이 묻혀 있는 '진실'을 발견하거나 찾아내는 것이 아니다.

    For us, qualitative research is about meaning and meaning-making, and viewing these as always context-bound, positioned and situated, and qualitative data analysis is about telling ‘stories’, about interpreting, and creating, not discovering and finding the ‘truth’ that is either ‘out there’ and findable from, or buried deep within, the data.


    우리에게 최종 분석은 심오하고 장기적인 데이터 몰입, 사려깊고 성찰, 능동적이고 생성적인 어떤 것의 산물이다. 우리는 이 과정을 포착하기 위한 데이터에서 테마가 수동적으로 나오지 않는다는 것을 강조했다(이 과정에 대한 설득력 있는 설명은 Ho, Chiang, Leung 2017 참조).

    For us, the final analysis is the product of deep and prolonged data immersion, thoughtfulness and reflection, something that is active and generative. We emphasised that themes do not passively emerge from data to capture this process (for a compelling account of this process, see Ho, Chiang, and Leung 2017).


    우리는 또한 코드화 및 테마 개발에 대한 엄격하고 체계적인 접근을 장려하는 TA를 하는 방법을 개발하려고 노력했지만, (우리의 방법은) 경직되고 구조화되어 코드북이나 코딩 프레임을 사용하도록 요구하는 것이 아니라 유동적이고 재귀적이었다.

    We also sought to develop a way of doing TA that encouraged a rigorous and systematic approach to coding and theme development, but that was also fluid and recursive, rather than rigid and structured and requiring the use of a codebook or coding frame.


    우리는 윌릭(2008)을 다시 비유하기 위해 (레시피가 아니라) 모험을 제공하는 TA 방식을 원했다.

    We wanted a TA method that offered an adventure, not a recipe, to again paraphrase Willig (2008).


    우리는 질적 연구자에게 그들이 TA의 사용을 inform하는 이론과 그들이 얼마나 정확하게 TA를 enact했는가에 관한 융통성을 제공하기 위한 우리의 접근방식을 의도했지만, 그렇게 함으로써, 그것은 연구자가 그들의 접근방식과 그들이 정확히 어떻게 TA를 제정했는지를 알려주는 가정을 명확히 설명하도록 요구하였다. 

    We intended our approach to offer the qualitative researcher flexibility in terms of the theory informing their use of TA, and how precisely they enacted TA , but in doing so, it required the researcher to articulate the assumptions that informed their approach and how exactly they enacted TA. 


    앞으로 이동: 반사 TA 포장을 푸십시오.

    Moving forward: unpacking reflexive TA


    앞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우리는 대부분의 사람들이 우리의 가정을 이해할 것이라고 가정했다. 우리가 얼마나 틀렸는지!

    As previously noted, we assumed most people would ‘get it’, would understand our assumptions. How wrong we were!


    우리의 접근방식은 다른 분석 절차와 '보완된다supplemented'는 것인데, 때때로 우리의 접근방식이 (표면 의미에 대한) 데이터 설명이나 요약보다 충분히 '덜 복잡하다'고 간주되기 때문이다.

    our approach is ‘supplemented’ with other analytic procedures, sometimes because our approach on its own is deemed not ‘sophisticated’ enough for anything other than (often atheoretical) data description or summary (of surface meaning).


    우리의 '테마'라는 개념이 '도메인 요약'과 혼동이 있었다. 테마는 [데이터 집합 전체에 걸쳐 공유된 의미의 특정 패턴에 대한 이야기]이고, 도메인 요약은 [특정 주제 또는 토론의 '도메인'과 관련된 데이터에서 의미의 범위에 관한 요약]이다.

    Our conceptualisation of themes – as stories about particular patterns of shared meaning across the dataset – is confused with ‘domain summaries’–summaries of the range of meaning in the data related to a particular topic or ‘domain’ of discussion.


    우리의 접근방식은 때때로 경직되고 선형적인 일련의 단계를 포함하는 것으로 제시된다. 또는 연구자에게 '이것 또는 저것'의 선택을 제공하는 것 처럼 제시되기도 했다. 

    Our approach is sometimes presented as involvinga rigid, linear series of stages. Or as offering the researcher ‘either or’ choices: coding can be 

    • semantic or latent, inductive or deductive, 

    • rather than a mix of semantic and latent, inductive and deductive.


    이것들은 우리가 흔히 보는 '오해'들이다. 우리의 접근방식이 오해될 수 있는 방법을 예측하지 못한 것은 부분적으로 2006년 논문에 질적 가치와 가정을 완전히 표현하지 못한 것을 반영하고 있는데, 위에서 언급했듯이, 그것은 부분적으로 우리의 교육적 특권과 우리가 재점검하는 박사교육의 측면에서 우리가 얼마나 운이 좋았는지에 대한 우리의 이해 부족을 반영하고 있다.

    These are the common ‘misapplications’ that we see. Our failure to anticipate the ways in which our approach might be misunderstood partly reflects our failure to fully articulate our qualitative values and assumptions in our 2006 paper, which itself, as noted above, partly reflects our educational privilege and our lack of understanding of how lucky we were in terms of the doctoral training we received.


    질적 연구자들은 항상 생각하고, 반성하고, 배우고, 진화하고 있다 – 더 이상 배울 것이 없는 경지에 도달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우리는 여행중이며, 절대로 목표지점에 도착하지 않는다! 그러므로, 우리의 접근법을 그린 연구자들에게는 우리의 최근 글의 일부를 읽고, 우리의 접근방식에 대한 우리의 생각과 표현방식이 지난 몇 년간 어떻게 발전해 왔는지를 이해하는 것이 핵심이다(예: 브라운과 클라크 2016; 브라운, 클라크, 웨이트 2016; 브라운 외 2018; 테리 외 2017).

    Qualitative researchers are always thinking, reflecting, learning and evolving – we do not reach a point where we have nothing more to learn. We are journeying, not arriving! Therefore, one of our key appeals to researchers drawing on our approach is to read some of our more recent writing, to gain a sense of how our thinking around and articulation of our approach has evolved over the years (e.g. Braun and Clarke 2016; Braun, Clarke, and Weate 2016; Braun et al. 2018; Terry et al. 2017).


    TA를 그때와 지금 개념화(및 당사의 용어 개발)

    Conceptualising TA then, and now (and, developments in our terminology)


    2006년 논문에서, 우리는 TA(일반적으로)를 이론적으로 informed and constrained 방법론보다는 [이론적으로 유연한 방법론]으로 기술했다. 이제 우리는 TA가 generic method로서, 이론적으로 융통성있다고 기술되는 것이 가장 좋다고 생각한다.

    In our 2006 paper, we described TA (in general) as a theoretically flexible method rather than a theoretically informed and constrained methodology. Now we think TA is best described as theoretically flexible only as a generic method;


    우리는 TA에 대한 사고의 주요 변화를 설명하기 위해 이 최종 섹션을 사용한다(표 1에 요약).

    We use this final section to describe some key shifts in our thinking around TA (summarised in Table 1).



    그렇긴 하지만, TA의 특정 형태iteration를 지지하는 사람들이 그들 자신의 기초적인 연구 가치와 가정을 완전히 인정하거나, 실제로 그들 자신을 [질적 연구의 범위landscape 내에 배치하는 접근법]을 개발했는지가 늘 우리에게 명확한 것은 아니다.

    That said, it is not always clear to us that the proponents of specific iterations of TA have developed their approaches fully acknowledging their own underlying research values and assumptions, or indeed situating themselves within the landscape of qualitative research


    우리는 또한 [주제]에 대한 개념화가 근본적으로 다르다는 것을 인식한다. 우리는 테마를 핵심 개념에 의해 뒷받침되거나 결합된 공유된 의미의 패턴으로 개념화한다(나중에 이것을 '중앙조직개념'[Braun and Clarke 2013; Braun, Clarke, Rance 2014]로 개념화했다).

    We also recognise that there are radically different conceptualisations of themes. We conceptualise themes as patterns of shared meaning underpinned or united by a core concept (we later conceptualised this as a ‘central organizing concept’ [Braun and Clarke 2013; Braun, Clarke, and Rance 2014] to emphasise a uniting idea).


    그러나 테마에 대한 우리의 이해(비록 TA에 대해서 우리는 늘 일관성되게 생각하지만)는 모든 사람에게 '자명한' 것도 아니고 '당연한' 것도 아니다. 우리는 종종 이러한 상이한 개념들이 우리의 지침에 따라 TA를 한다고 주장하는 것의 구현에서 명백하게 나타나며, 저자들은 [데이터 영역 요약]을 '테마'로 제시하기도 한다(Clarke and Braun 2018). [도메인 요약]을 테마로 제시하면, 이것은 공유된 주제를 중심으로 구성되지만 공유된 의미를 포함하지는 않는다 – 그것들은 단지 [주제나 관심 영역에 관련된 의미의 다양성을 포착하는 것]을 목표로 할 뿐이다

    But our understanding of themes – something that remains consistent in our thinking around TA – is neither the ‘obvious’ nor the taken-for-granted one. Too often we see these different conceptualisations evident in the implementation of what is claimed as doing TA according to our guidelines, with authors presenting summaries of data domains as ‘themes’ (Clarke and Braun 2018). Domain summary themes are organised around a shared topic but not shared meaning – they aim to capture the diversity of meaning in relation to a topic or area of focus.


    테마의 이름이 종종 데이터 수집 질문을 그대로 옮겨놓는 경우도 있다('~의 유형', '~의 이점', '~의 단점' 등으로 시작하는 테마 제목이 매우 일반적이다; 에반스, 아담스, 2016 참조). 또는 종종 도메인을 식별하는 하나의 단어(예: 만족도)로 테마 이름을 붙이기도 한다. 우리는 이러한 아이디어들이 얼마나 근본적으로 다른지, 그들이 데이터와 분석으로 무엇을 목표로 하는지가 분명하기를 바란다. 보다 최근의 연구(Braun and Clarke 2016; Braun et al. 2018; Clarke and Braun 2018)에서 우리는 TA의 두 가지 주제 개념을 구별했다. 여기서 [도메인 요약 테마]는 일반적으로 개발되지 않은 테마이고, TA에 대한 우리의 접근 방식과 호환되지 않는다고 주장했다.

    Theme titles are often reflective of data collection questions (theme titles that start ‘Type of’, ‘Benefits of’ and ‘Drawbacks of’ are very common; see Evans, Adams, and Hall 2016) or consist of one word that identifies the domain (e.g. satisfaction). We hope it’s clear how fundamentally different these ideas are, in what they aim to do with data and analysis. In our more recent work (Braun and Clarke 2016; Braun et al. 2018; Clarke and Braun 2018), we have distinguished between these two conceptualisations of themes in TA, and also argued that, domain summary themes typically constitute under-developed themes (see also Connelly and Peltzer 2016); they are not compatible with our approach to TA.


    가장 최근의 연구에서, 우리는 우리가 클러스터링하고 부르는 코딩 신뢰성, 코드북, 반사적 접근법으로 구성된 TA의 3자 유형을 제안했다(Braun et al. 2018 참조).

    In our most recent work, we have offered a tripartite typology of TA, consisting of what we cluster and call coding reliability, codebook and reflexive approaches (see Braun et al. 2018).


    해석적으로 TA의 지형을 매핑하는 과정에서, 우리는 접근법을 '브라운과 클라크' 접근법이라고 부르지 않으려고 노력해왔다. 그것은 단지 너무 자의식과잉적 느낌 때문만이 아니라, 우리의 접근법의 특징이 무엇인지 말해주지 않았기 때문이다.

    In interpretively mapping the terrain of TA, we have tried out different names for our approach, seeking to avoid calling it the ‘Braun and Clarke’ approach (as some others do), not just because that feels too egotistical, but more importantly because it does not say anything useful about the distinctive characteristics of our approach.


    우리는 처음에 '유기적'이라는 용어가 우리가 개략적이고 유연하며 반복적인 접근 방식의 성격을 포착했다고 생각했다. 이것이 (후기)실증주의적 코딩 신뢰성 접근과 관련된 코딩 및 테마 개발에 대한 보다 구조화된 접근 방식과 비교해서 특히 다른 점이다.

    We initially thought the term ‘organic’ captured the open, exploratory, flexible and iterative nature of the approach we outlined, compared to the more structured approaches to coding and theme development associated with (post-)positivist coding reliability approaches (like those of Boyatzis 1998,; Guest, MacQueen, and Namey 2012).


    코딩 신뢰성 TA에서 분석은 테마 개발부터 시작된다. 테마는 일반적으로 데이터 도메인(또는 '버킷')으로 개념화되며, 이는 종종 데이터 수집 질문이나 데이터 친숙화에 따라 개발된다. 미리 정해진 코드북이나 코딩 프레임에 의해 안내되는 코딩은 각 버킷과 관련된 소재를 정확하게 식별하기 위한 과정으로 이해된다. '신뢰할 수 있는' 또는 '정확한' 코딩을 목표로 판단의 일관성을 테스트하기 위해 사용되는 코딩 신뢰성 척도가 다수 코더가 표준이다.

    In coding reliability TA, analysis begins with theme development. Themes are typically conceptualised as data domains (or ‘buckets’, as one of our students memorably dubbed this type of theme), which are often developed from data collection questions or following data familiarisation. Coding, guided by a pre-determined codebook or coding frame, is understood as a process for correctly identifying the material relevant to each bucket. Multiple coders are the norm, with coding reliability measures used to test for consistency of judgement – with an aim for ‘reliable’ or ‘accurate’ coding.


    Kidder and Fine's(1987) [small q] [Big Q] 질적 구별 – 다음과 같이 정성적 연구 간의 차이를 발견하였다. 

    a) 도구 및 기법의 사용(실증주의적 패러다임 내에서 수행됨; small q) 또는 

    b) 철학과 절차를 포괄하는 (Big Q) 

    이것은 실증주의 지향적 코딩 신뢰성 접근방식(small q)에서 개념적으로 우리의 '유기적' 또는 '유연적' 접근방식(Big Q)을 구분하는 유용한 방법을 제공하였다.

    We found Kidder and Fine’s(1987) small q/Big Q qualitative distinction – between qualitative research as 

    a) the use of tools and techniques (typically within a positivist paradigm; small q) or 

    b) encompassing a philosophy and procedure (Big Q) 

    – provided a useful way of conceptually demarcating our (Big Q) ‘organic’ or ‘flexible’ approach from positivist-oriented (small q) coding reliability approaches (e.g. Braun, Clarke, and Weate 2016; Clarke and Braun 2016; Clarke, Braun, and Hayfield 2015).


    그러나 이러한 [빅 Q/유기적 TA] vs [작은 q/코딩 신뢰성 TA]와 같이 분류할 때 프레임워크 분석(예: 리치 및 스펜서 1994), 템플릿 분석(예: King and Brooks 2017b)과 같은 접근방식이 어디에 적합한지에 대한 질문을 종종 받았다. 

    However, when presenting this Big Q/organic and small q/coding reliability TA typology, we were often asked about where approaches like framework analysis (e.g. Ritchie and Spencer 1994) and template analysis (e.g. King and Brooks 2017b) would  fit. 


    그들은 약간 '중간' 어딘가에 앉아 있다 – 이러한 접근방식은 좀 더 구조화된 (코드북과 함께) 코딩 방식과 코딩 신뢰성 TA의 초기 테마 개발을 활용하지만, 그것들은 (Big Q) 질적 철학 안에 내재되어 있다.

    They sit somewhere a bit ‘in-between’– although these approaches utilise the more structured coding (with codebook) approach and early theme development of coding reliability TA, they are embedded within a (Big Q) qualitative philosophy.


    비록 우리는 여전히 우리의 TA 접근방식을 빅 Q TA와 유기적 TA로 프레임하고 있지만, 우리는 성찰적 TA라는 용어를 점점 더 선호한다.

    Although we still frame our TA approach as Big Q TA and organic TA, we increasingly prefer the term reflexive TA


    지식 생산에 있어서 연구자의 역할은 우리 접근법의 핵심이다! 성찰적 TA는 [이론적 지식]과 [투명성]을 가지고 구현될 필요가 있다. 연구자는 TA의 사용을 알리는 철학적 감수성과 이론적 가정을 완전히 인식하도록 노력해야한다. 그리고 이것들은 연구의 분석 과정과 보고 과정 전반에 걸쳐 일관되고 일관성 있고 투명하게 집행enact해야한다. 

    The researcher’s role in knowledge production is at the heart of our approach! Reflexive TA needs to be implemented with theoretical knowingness and transparency; the researcher strives to be fully cognisant of the philosophical sensibility and theoretical assumptions informing their use of TA; and these are consistently, coherently and transparently enacted throughout the analytic process and reporting of the research. 


    그들은 분석을 중심으로 의사결정을 내려야 할 필요성을 인식하고 있으며, knowingly 관여하고 의사결정을 내려야 한다(Braun, Clarke & Weate, 2017). 코딩 프로세스는 데이터를 해석하고 코딩할 때 우리가 하고 있는 가정에 의문을 제기하고 질문하는 등 자신에 대한 지속적인 회귀를 요구한다. 테마는 우리의 코딩의 창조적 노력을 통해 그리고 통해 개발된 분석적 산출물이다. 그것들은 상당한 분석적 '작업'을 반영하며, 데이터, 분석 프로세스 및 주관성의 교차점에서 연구자에 의해 능동적으로 생성되어야 한다다 

    They are aware of the need to make decisions around analysis, and they knowingly engage and make them (Braun, Clarke & Weate, 2017). The coding process requires a continual bending back on oneself – questioning and querying the assumptions we are making in interpreting and coding the data. Themes are analytic outputs developed through and from the creative labour of our coding. They reflect considerable analytic ‘work,’ and are actively created by the researcher at the intersection of data, analytic process and subjectivity. 


    테마는 수동적으로 데이터나 코딩에서 나오지 않으며, 데이터 '안에 존재' 하는 것이 아니며, 연구자가 식별하고 검색하기를 기다리고 있는 것이다. 테마는 데이터에 대한 창의적이고 해석적인 이야기로, 연구자의 이론적 가정, 분석적 자원과 기술, 그리고 데이터 자체의 교차점에서 생산된다. 양질의 성찰적 TA는 '정확하고 신뢰할 수 있는' 절차를 따르는 것이 아니라(또는 '정확하고 신뢰할 수 있는' 코딩 또는 코더 간의 합의를 달성하는 것), 연구자의 데이터에 대한 반사적이고 사려 깊은 참여와 분석 프로세스에 대한 반사적이고 사려 깊은 참여에 관한 것이다. 

    Themes do not passively emerge from either data or coding; they are not ‘in’ the data, waiting to be identified and retrieved by the researcher. Themes are creative and interpretive stories about the data, produced at the intersection of the researcher’s theoretical assumptions, their analytic resources and skill, and the data themselves. Quality reflexive TA is not about following procedures ‘correctly’ (or about ‘accurate’ and ‘reliable’ coding, or achieving consensus between coders), but about the researcher’s reflective and thoughtful engagement with their data and their reflexive and thoughtful engagement with the analytic process. 


    우리는 이 과정을 포착하기 위해 '개발developing' (Braun, Clarke, Weate 2016) '구성constructing' (Braun et al. 2018)or '생성generation' (표 1 참조)과 같은 용어를 점점 더 많이 언급하고 있다. 둘 이상의 연구자가 분석 과정에 관여하는 경우, 코딩 접근방식은 의미에 대한 합의점을 찾기보다는 데이터의 보다 풍부한 뉘앙스 읽기를 개발하도록 설계되어 협력적이고 반사적이다.

    We increasingly refer to terms like ‘developing’ (Braun, Clarke, and Weate 2016) ‘constructing’ (Braun et al. 2018)or‘generating’ (see Table 1) to capture this process. If more than one researcher is involved in the analytic process, the coding approach is collaborative and reflexive, designed to develop a richer more nuanced reading of the data, rather than seeking a consensus on meaning.


    요약

    The take away . . .


    ● 방법과 이론의 적용에 있어서 명시적이고, 사려깊고, 신중해지는 것('알고 있는 것')이 중요하다.

    ● Being explicit, thoughtful and deliberate (‘knowing’) in the application of method and theory is important.


    ● 가정과 입장은 항상 질적 연구의 일부분이다. 성찰적 실천은 이것들을 이해하고 푸는 데 필수적이다. 당신이 가정하고 있는 것을 곰곰이 생각해 보고 확인한 다음, 그러한 가정들이 어떤 특정한 프로젝트를 위해 유지되는지 조사하는 것이 좋은 관행이다.

    ● Assumptions and positionings are always part of qualitative research. Reflexive practice is vital to understand and unpack these. It is good practice to reflect on and identify what you’re assuming, and then interrogate whether those assumptions hold for any particular project.


    ● TA에 대한 접근방식은 하나가 아니며, 반드시 서로 호환되는 것은 아니다. 이것을 인식하고 계획적으로 TA를 하는 것은 개념과 실천에서 혼란과 불일치를 피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

    ● There are different approaches to TA – and they’re not necessarily compatible with each other. Being aware of this and doing TA in a deliberate (‘knowing’) way, can help avoid confusion and mismatches in concept and practice.


    ● 연구 목적과 분석적 감수성(이론적이고 개념적인 프레임워크)에 맞는 TA 접근법을 사용하십시오.

    ● Use a TA approach that suits your research purpose and analytic sensibility (theoretical and conceptual frameworks).


    ● 반사적 TA를 하고 있다면 2006년도 논문 이외의 내용을 읽어보십시오. 위에서 인용한 우리의 다양한 논문은 명확성을 찾는 주요 장소를 표시한다. (오클랜드 TA 대학 웹사이트: https://www.psych.auckland.ac.nz/en/about/our-research/research-groups/thematic-analysis.html) 참조).

    ● If you’re doing reflexive TA, do read beyond our 2006 paper. Our various papers cited above signal key places to look for clarification (see also our The University of Auckland TA website: https://www.psych.auckland.ac.nz/en/about/our-research/research-groups/thematic-analysis.html).


    ● 퀄리티가 중요하다. 당신이 무엇을 하고 있는지, 왜 그것을 잘 하고 있는지, 그것을 잘하기 위한 기준이 무엇인지 이해하는 것은 TA를 잘 하는 데 필수적이다.

    ● Quality matters. Understanding what you’re doing, why you’re doing it, and what the criteria for doing it well are, are vital for doing (reflexive) TA well.






    ABSTRACT

    Since initially writing on thematic analysis in 2006, the popularity of the method we outlined has exploded, the variety of TA approaches have expanded, and, not least, our thinking has developed and shifted. In this reflexive commentary, we look back at some of the unspoken assumptions that informed how we wrote our 2006 paper. We connect some of these un-identified assumptions, and developments in the method over the years, with some conceptual mismatches and confusions we see in published TA studies. In order to facilitate better TA practice, we reflect on how our thinking has evolved – and in some cases sedimented – since the publication of our 2006 paper, and clarify and revise some of the ways we phrased or conceptualised TA, and the elements of, and processes around, a method we now prefer to call reflexive TA.


    질적연구에서 주제의 불충분한 발달: 인터뷰와 분석과의 관계(Clin Nurse Spec, 2016)

    Underdeveloped Themes in Qualitative Research: Relationship With Interviews and Analysis

    Lynne M. Connelly, PhD, RN n Jill N. Peltzer, PhD, APRN-CNS




    정성적 연구결과를 이용하거나 연구팀이 정성적 연구결과를 발표하려고 할 때, 연구결과를 제시하기 위해 사용하는 질적 주제가 과소발달된 경우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이것은 좌절, 더 많은 분석 작업, 그리고 어쩌면 그 연구가 출판되지 않을 수도 있다. 궁극적으로, 이것은 유용한 발견이 될 수 있었던 것이 양질의 환자 중심의 간호를 증진시키기 위해 임상의와 연구자들과 공유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When using qualitative findings or when a research team tries to publish its qualitative results, there can be a problem if qualitative themes used to present the findings are underdeveloped. This can lead to frustration, further analytical work, and perhaps the study not being published. Ultimately, this can mean that what could have been useful findings are not shared with clinicians and researchers to advance quality, patient-centered nursing care.


    내용 분석과 주제 분석은 간호사가 작성한 정성적 작업에서 자주 볼 수 있으며, 주요 연구결과는 테마로 제시되는 경우가 많다. 여러 저널의 기사에 대한 검토자로서, 우리는 명확하지 않고, 전달된 내용이 제한적이며, 종종 과소발달된 것처럼 보이는 주제를 가진 특정한 질적 연구 원고에 대한 문제점을 발견해왔다. 이 글에서는 과소발달된 주제의 문제와 몇 가지 원인에 대해 토론하고 제안을 한다.

    content analysis and thematic analysis are frequently seen in qualitative work written by nurses, and major findings are often presented as themes. As reviewers for articles for several journals, we have noticed a problem with particular qualitative research manuscripts with themes that are unclear, limited in what they conveyed, and often seemed to be underdeveloped. In this article, we discuss the problem and some of the causes of underdeveloped themes and offer suggestions.


    주제

    THEMES


    관심 현상에 대한 심층적인 조사를 실시하기 위해 질적 연구를 이용한다. 유도적 또는 연역적 데이터 수집 및 분석을 통해 정성적 연구 방법의 연구 결과는 자신이 연구하고 있는 현상에 대한 이해를 알려주는 풍부한 정보 수집을 기술하고 해석한다. 데이터가 수집되고 코딩된 후, 연구 결과는 일반적으로 분석적 반성과 작업이 필요한 테마, 하위 테마, 범주로 표현된다.

    Qualitative research is used to conduct an in-depth inquiry into a phenomenon of interest. Through inductive or deductive data collection and analysis, the findings in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describe and/or interpret the rich collection of information that informs an understanding of the phenomenon one is studying. After data are gathered and coded, the findings are generally expressed in themes, subthemes, and categories that require analytic reflection and work.


    테마는 일반적으로 연구의 사례에 걸쳐 보다 복잡하고 잠재적인 과정을 설명하는 구문이나 문장이다.2,3 

    • 먼저 의미 있는 데이터의 조각들을 코드화하고 코드를 검토한 다음 범주로 분류한다. 

      • 의미 있는 데이터는 연구 질문에 대답하는 데 도움이 되는 데이터다

    • 테마는 카테고리 및 하위 카테고리를 검토하고 카테고리 및 개념 간의 연결을 식별함으로써 개발된다. 

      • 테마는 해석적 설명이나 현상의 리프레밍을 제공한다.3

    Themes are generally phrases or sentences that describe more complex and latent processes across the cases in the study.2,3 First, pieces of meaningful data are coded; the codes are reviewed, and then grouped into categories. Meaningful data are data that help to answer the research question(s). Themes are developed by reviewing categories and subcategories and identifying links between categories and therefore concepts. Themes provide an interpretative description or a reframing of the phenomenon.3


    테마가 과소발달되면 전달하고자 하는 것이 제한된다. 흔히 문제가 되는 테마는 (간호사들이 교육을 통해 배운) 한두단어짜리 테마나 개념(예를 들어 협업이나 자율성 등)이다. 테마로 보고된 다른 개념의 예로는 지원 부족이나 대처가 있을 수 있다. 결과적으로, 이러한 테마는 새로운 지식을 창출하거나 이미 알려진 것에 첨가하는 어떤 의미도 전달하지 않았다. 조사 결과에서 유의성의 결여에 기여하는 또 다른 문제는 주제와 그 주제를 뒷받침하는 인용문 사이의 단절이다. 주제를 설명하기 위해 제공된 인용문은 그것을 완전히 뒷받침하지 못했다.

    When themes are underdeveloped, they limit what they are meant to convey. Themes that are problematic often are 1- or 2- word themes or concepts that nurses learned through their education, such as collaboration or autonomy. Other examples of concepts reported as themes might be lack of support or coping. Consequently, the themes did not convey anything of significance generating new knowledge or adding to what is already known. Another issue that contributes to the lack of significance in the findings is the disconnect between the themes and the quotes used to support that theme. The quotations provided to illustrate the theme did not fully support it.


    DeSantis와 Ugarriza4는 단어나 짧은 구를 테마로 하는 것은 문제가 있다고 언급했다. 조사자의 일은 데이터로부터 의미 있는 것을 끄집어내고, 아이디어들 간의 관계를 탐구하며, 데이터에 대한 통찰력을 제공하는 데 필요한 해석 작업을 하는 것이다.5 이러한 통찰력을 제공하려면 (심층면접에서 도출되고, 연구자가 선택한 연구방법을 프레임으로 하는 기초적인 교리tenets에 의해 안내된) 현상의 예와 경험을 가진 이야기를 포함하는 상세하고 풍부한 자료를 갖추어야 한다.

    DeSantis and Ugarriza4 have noted that labeling single words or short phrases as a theme is problematic. An investigator’s job is to do the interpretative work necessary to bring out what is meaningful from the data, to explore relationships between ideas, and to offer insights into the data.5 In order to provide these insights, one must have detailed, rich data that include stories that have examples and experiences of the phenomena, which come from in-depth interviewing and are guided by the underlying tenets that frame the chosen research method.


    왜 테마가 과소발달할까?

    WHY THEMES MIGHT BE UNDERDEVELOPED


    과소발달한 주제의 원인은 여러 가지가 있을 수 있지만, 그 중 2가지 주요 원인은 [제보자에 대한 심층 인터뷰가 부족]한 것과 [종합적인 분석과 해석이 부족한 것]으로 보인다. 저개발 주제의 이 두 가지 이유는 상호 연관되어 있다. 왜냐하면 

    • 능숙한 인터뷰가 없으면 얻은 데이터는 상세하지 않고 참가자들의 경험을 충분히 전달하지 못할 수 있기 때문이다. 

    • 충분히 심층적이고 상세한 자료가 없으면 효과적인 분석을 하기 어렵다.

    There can be multiple causes of underdeveloped themes, but 2 of the main reasons seem to be a lack of in-depth interviewing of informants and a lack of comprehensive analysis and interpretation. These 2 reasons for underdeveloped themes are interrelated; because 

    • without skillful interviewing, the data that are obtained are not detailed and may not fully convey the experiences of the participants. 

    • Without sufficiently in-depth, detailed data, it is difficult to conduct an effective analysis.


    또한, 분석 과정에서는, 데이터로부터 테마 개발에 충분한 시간과 노력이 투입될 필요가 있다. 인터뷰가 충분한 질을 갖추어야 하는 것처럼, 분석 또한 [정보 제공자들이 말한 것을 보고하는 것을 넘어서야] 한다. 질적 연구에서의 발견이란 데이터 그 자체가 아니라 데이터의 해석이다.3 Janesick6은 분석에 소비된 시간이 현장에서 소비된 시간과 같아야 한다고 제안했다. 구체적인 목적과 연구 질문, 능숙한 인터뷰 등을 구체화한 연구방법에 대한 지속적인 평가가 없으면 연구 주제가 되는 더 깊은 의미를 위해 연구자들은 명확하고 상세한 경험 자료를 확보하지 못할 것이다.

    In addition, during analysis, sufficient time and effort need to be put into the development of the themes from the data. Just as the interviewing has to be of sufficient quality, so too must the analysis go beyond reporting what the informants said. Findings in a qualitative study are the interpretation of the data, not the data themselves.3 Janesick6 has suggested that the time spent in analysis should equal the time spent in the field. Without a continual appraisal of the research method that has shaped the specific aims, the research questions, and skillful interviewing, researchers are not going to have clear and detailed experiential data to mine for deeper meanings that become the themes in the study.


    주제의 의미성이나 깊이는 제보자를 인터뷰해 얻은 데이터의 풍부함과 직결된다. 일부 연구에서는, 질문과 인용을 살펴보면 연구자들이 참가자들에게 [예시, 사례, 또는 문제의 현상에 대한 더 깊은 이해]를 조사하지 않은 것은 명백한 경우가 있다. 인터뷰 진행자들은 개방형 질문을 하고 간호사나 환자에게 말을 하도록 격려하는 듯했으나, 일단 답을 제시하면 연구자들은 더 깊이 파고들지 않고 너무 빨리 다음 질문으로 넘어갔다. 이것은 질문에 대한 피상적인 대답으로 이어진다. 종종 간호사들이 인터뷰를 할 때, 그들은 학교에서 배운 것을 "옳은 일"이라고 다시 생각하는 것 같았고 그들의 경험에 대한 표면적인 설명만을 제공했다. 경험적 자료가 기초가 되지 않을 때는 적절한 테마를 개발하기 어렵다.

    The meaningfulness or depth of a theme is directly related to the richness of the data that are obtained from interviewing the informants. In some articles, it was apparent from the questions and from the quotes that the researchers had not probed the participants for examples, exemplars, or deeper understandings of the phenomena in question. The interviewers seemed to ask their open-ended questions and encouraged the nurse or patient to speak, but once they provided their answers, the researchers did not delve any deeper and too quickly moved on to the next question. This leads to superficial answers to the questions. Often when nurses were the ones interviewed, they seemed to fall back on what they had learned in school as the ‘‘right thing’’ to say and provided only surface descriptions of their experience. It is difficult to develop appropriate themes when there are not experiential data as the basis.


    정성적 연구 인터뷰

    QUALITATIVE RESEARCH INTERVIEWS


    정성적 인터뷰는 연구자에게 [관심 현상을 경험한 개인의 자발적인 표본에서 풍부한 데이터를 수집]하여 이러한 현상을 이해하는 메커니즘을 제공한다. 그것(관심 현상)은 무엇이고 어떻게 인식되고, 설명되고, 그리고 경험되는가. 인터뷰의 구조는 기초적인 연구 방법과, 가능하다면, 연구 연구를 뒷받침하는 이론적 틀에 따라 달라진다. 

    Qualitative interviews provide a mechanism of gathering rich data from a purposive sample of individuals who have experienced the phenomenon of interest to the researchers to reach an understanding of this phenomenon - what it is and how it is perceived, explained, and experienced. The structure of the interview depends on the underlying research method and, if applicable, the theoretical framework underpinning the research study. 


    인터뷰는 아마도 

    • 구조화되지 않은 (헤르메뉴틱 현상학 연구) 

    • 반구조화 (질적 묘사적), 또는 

    • 체계화된 (이론적 프레임워크를 이용한 정성적 연구의 일종인 도출연구는 중재적 연구에 앞서 수행된다.)8

    Interviews may be 

    • unstructured (hermeneutic phenomenological research), 

    • semi-structured (qualitative descriptive), or 

    • structured (elicitation research, a type of qualitative study using a theoretical framework, which is conducted prior to an intervention study).8


    샌델로우스키7은 질적 인터뷰가 "기만적으로 단순하다"고 인식될 수 있다고 제안하며, 이러한 생각 때문에 질적 연구를 누구나 쉽게 수행할 수 있다는 개념에 기여했다고 지적한다. 그녀는 또한 그러한 관점이 건강 분야 내에서 지식을 발전시키는 데 거의 도움이 되지 않는 질적연구 결과를 낳았다고 주장한다.

    Sandelowski7 proposed that qualitative interviews may be perceived as ‘‘deceptively simple,’’7(p105) contributing to the notion that qualitative research is easy to conduct by anyone. She further argues that such a perspective results in qualitative research studies that do little to advance knowledge within the health disciplines.


    인터뷰 가이드는 보다 광범위한 연구 질문에서 좁혀지는 보다 집중적인 질문 모음입니다.9 관심 현상에 대한 더 풍부한 토론을 촉진하기 위해 오픈 엔드 질문이나 프롬프트를 사용하는 것이 필요하다. 광범위한 프롬프트, 

    "HIV(인간면역결핍바이러스)에 걸린 경험에 대해 말해줘"는 연구자가 필요한 데이터를 수집하는 데 도움이 되는 풍부하고 상세한 답변을 이끌어 낼 수 있다. 또한, 프로브의 사용은 조사자가 이전에 답한 질문에 대한 호기심을 이용하여 답하지 않은 관심 영역을 탐색하고 추가 정보를 계속 유도할 수 있도록 한다. 

    The interview guide is a more focused set of questions narrowing down from the broader research questions.9 Using open-ended questions or prompts is necessary to facilitate a richer discussion about the phenomenon of interest. A broad prompt, ‘‘Tell me about your experience of living with HIV (human immunodeficiency virus)’’ can draw rich, detailed answers that assist the researcher in gathering the requisite data. In addition, the use of probes allows the investigator to use curiosity to draw upon previously answered questions to explore unanswered areas of interest and continue to elicit additional information. 


    프로브의 예는 다음과 같다. 

    • "좀더 자세히 말해봐..."

    • "그 예를 들어 줄 수 있겠나...." 

    • "내가 듣고 있는 것은...그것이 맞습니까? 또 나누고 싶은 게 있나?"

    Examples of probes include 

    • ‘‘Tell me more about...’’ 

    • ‘‘Can you give me an example of....,’’ and

    • ‘‘What I am hearing is...Is that correct? Is there anything else you want to share?’’


    다양한 요인이 연구자와 참가자 관계에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이는 내용 및 품질 면에서 수집된 데이터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10 

    • 나이, 계급, 성별과 같은 구조적 요인은 연구자, 참가자 및 인터뷰 과정 간의 관계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 인터뷰의 사회적 맥락은 연구자와 연구 참가자의 만남을 형성한다. 

    • 연구 참여자가 인터뷰 설정을 선택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는 것은 연구자와 참가자 사이의 힘의 차이의 균형을 맞출 수 있다. 

    • 구조적 요인을 변경하거나 제거할 수 없지만, 나이, 성별, 계층 또는 인종/민족성에 대한 관심은 연구자와 연구 참여자 사이의 상호 관계를 촉진할 수 있다.

    Multiple factors can influence the researcher and participant relationship, which then affect the data collected, both in terms of content and quality.10 

    • Structural factors, such as age, class, and gender, may influence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researcher, the participant(s), and the interview process. 

    • The social context of the interview shapes the encounter between the researcher and research participant(s). 

    • Providing opportunities for the research participant to choose the interview setting can balance the power differential between the researcher and participant.10 

    • Although structural factors cannot be changed or removed, attention to age, gender, class, or race/ethnicity can facilitate a reciprocal relationship between the researcher and research participant(s).


    또한, 인터뷰를 시작하기 전에 연구 참여자와의 관계를 발전시키는 것은 후속 분석을 위한 데이터를 제공하는 데 필요한 정보의 도출력을 향상시킬 것이다.11 "모든 사회에서 조화로운 관계는 문화적으로 정의되기 때문에 관계를 구축하는 보편적 자질을 식별하는 것은 불가능하다."12(p45) 그러나 친분을 쌓기 위한 몇몇 방법에는 [비판단적 태도]와 연구자-연구 참여자- 서로에 대한 탐사를 통해 [관계를 맺기 위한 시간]이 포함된다.12

    In addition, developing a rapport with the research participant prior to beginning the interview will enhance the elicitation of information necessary to provide the data for subsequent analysis.11 ‘‘It is impossible to identify universal qualities that build rapport because harmonious relationships are culturally defined in every society.’’12(p45) However, some methods to establish rapport include a nonjudgmental attitude and time to establish a relationship through an exploration of one another - the researcher and research participant.12


    질적 면접이 데이터를 수집하기 쉬운 방법이라는 인식에도 불구하고, 이 데이터 수집 방법은 다음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다. 

    • [연구 질문에 답하기 위해 필요한 의미 있는 발견]을 제공하는 데 필요한 정보를 끌어내는 기초적인 연구 패러다임, 방법 및 기술 

    • 구체적인 목적, 

    • 그리고 연구의 전반적인 목적. 

    Despite the perception that qualitative interviews are an easy method to collect data, this method of data collection again requires an understanding of the underlying research paradigm, method, and the skill to elicit the information needed to provide meaningful findings to answer the research questions, specific aims, and overall purpose of the research study. 


    질적 인터뷰는 관심 현상에 대한 이해를 증진시키는 실질적인 발견을 제공하는 데 필요한 정보를 도출하는 데 도움이 된다. 피상적 인터뷰는 [심층적인 프롬프트와 조사, 연구자와 연구 참여자 사이의 관계에 대한 고려가 없어서] 실질적인 결과를 제공할 수 있는 깊이가 없는 피상적인 데이터를 낳는다.

    Qualitative interviews are instrumental to eliciting the information required to provide substantive findings that advance the understanding of the phenomenon of interest. At-surface interviewing, without attention to in-depth prompts and probes and consideration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researcher and research participant, results in superficial data that do not have the depth to provide substantive findings.


    정성적 분석: 테마 개발

    QUALITATIVE ANALYSIS: DEVELOPING THEMES


    DeSantis와 Ugarriza4는 주제를 ''반복적인 경험과 그 변종적 발현에 의미와 정체성을 가져오는 추상적 실체'로 정의했다. 이와 같이 테마는 의미 있는 전체에서 경험의 본질이나 근거를 포착하고 통일한다."4(p362)

    DeSantis and Ugarriza4 defined a theme as ‘‘an abstract entity that brings meaning and identity to a recurrent experience and its variant manifestations. As such, a theme captures and unifies the nature or basis of the experience in a meaningful whole.’’4(p362)


    주제 간의 연결은 아이디어, 범주 또는 영역 간의 관계를 나타내며 "큰 그림"에 대한 이해를 제공한다"13 이것은 1개 또는 2개 이상의 단어를 필요로 한다. 연구자는 질적 방법의 종류에 따라 주제에 대한 자료와 문헌에 상당한 시간을 투자해야 한다. 데이터 내에서 명시적 의미와 잠재적 의미를 찾는 것은 연구자의 일이다.

    The linkages between themes signify relationships between ideas, categories, or domains and provide an understanding of the ‘‘big picture.’’13 This requires more than 1 or 2 words. The researcher must spend considerable time with the data and with literature about the topic depending on the type of qualitative methods. It is the job of the researcher to find the manifest and latent meanings within the data.


    예를 들어, 연구자는 사람들이 직접적으로 전달하고 있지 않은 것과 왜 말하고 있는지를 살펴볼 필요가 있을 수 있다. 만약 어떤 것에 대해서 말을 하지 않고 넘긴다면, 그것은 정보 제공자의 입장에서 "모든 사람이 그것을 알고 있다"라는 가정을 나타낼 수도 있고, 혹은 언급하지 않고 넘어가는 특정한 것들에 대한 문화적 이유가 있을 수도 있다.14

    for example, the researcher may need to look beyond what people directly convey and address what is not being said and why. If things are left unsaid, it may indicate assumptions on the informants’ part that ‘‘everyone knows that,’’ or there may be cultural reason for certain things that are left unspoken.14


    주제와 패턴은 다수의 정보 제공자를 관통하는across 발견을 나타내며, 발생하거나 재발생하는 주제나 아이디어다.14 이 수준의 분석에서, 연구자는 연구 질문에 답을 주는 [삶 또는 행동의 식별 가능한 패턴]에 초점을 맞춘다.16 테마를 개발하면서, 연구자는 반복적인 아이디어를 찾아 나서고, 데이터를 완전히 발달된 아이디어로 통합해나간다.

    Themes and patterns represent findings across informants and are topics or ideas that occur and reoccur.14 At this level of analysis, the researcher focuses on identifiable patterns of living and/or behaviors that answer the research question(s).16 In developing themes, the researcher searches for recurrent ideas and an integration of data into unifying fully developed ideas.15,17


    완전히 발달된 테마를 개발하는 것은 쉬운 과정이 아니다. 일부 저자들은 연구자들이 그들 자신의 콘텐츠 전문지식을 벗어나서 읽고 그들의 세계에 대해 호기심을 가질 것을 제안한다.7 또한 외부 동료 검토자가 있어 신선한 관점을 제공하는 것도 도움이 된다. 아마도 가장 중요한 태도 중 하나는 [무언가를 증명하려는 자세]로 접근하지 않고 [무엇인가를 이해하려는 자세]를 갖는 것이다. 

    Developing fully developed themes is not an easy process. Some authors suggest that researchers read outside their own content expertise and to be curious about their world.7 In addition, it is helpful to have outside peer reviewers to provide fresh perspectives. Probably one of the most important attitudes is to approach one’s research in order to understand and not to prove something.


    저개발 테마에는 3가지 추가 이유가 있다.

    there are 3 additional reasons for underdeveloped themes


    조기 종결

    Premature Closure


    연구자가 의미 있는 주제를 식별할 수 있을 만큼 충분한 데이터가 확보되기 전에 데이터 수집을 중단할 때 조기 종결이 발생할 수 있다.18 앞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참가자의 경험에 대한 사례와 상세한 설명을 제공할 수 있는 면담의 깊이가 충분하지 않을 에도 조기종결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연구자가 심층 데이터 분석 과정을 완료하지 않고 피상적인 발견 수준에서 정지했을 때 조기 폐쇄가 발생할 수 있다. 그래서, 예를 들어, 연구자는 데이터를 코드화하고 쉽게 한 단어가 될 수 있는 범주를 개발했지만, 더 이상의 작업을 수행하지 못하면 아이디어나 개념 사이의 연결에 대한 통찰력 있는 의미의 깊이를 개발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연결은 반드시 참가자에 의해 설명되는 것이 아니라 연구자의 분석 작업에 의해 식별된다.

    Premature closure can occur when the researcher stops collecting data before enough data are obtained to be able to identify meaningful themes.18 This also can apply when, as mentioned earlier, there is not enough depth in the interviewing to provide examples and detailed descriptions of the participants’ experience. In addition, premature closure can occur when the researcher has not completed the in-depth data analysis process and stops at the level of superficial findings. So, for example, the researcher has coded the data and developed categories that could easily be 1 word, but then fails to do the further work needs to develop the depth of insightful meaning about the links between ideas or concepts. These links are not necessarily going to be described by the participants, but are identified by the analytical work of the researcher.


    분석 방법에 대한 불안감

    Anxiety About How to Analyze


    질적연구의 초보자는 용어를 혼동할 수 있고, 질적 방법론의 다른 종류에 대한 혼동이 있을 수 있다. 또한 질적 연구자들은 관심 현상과 관련된 그들 자신의 관점과 편견을 인정하지 않을 수 있다.18 연구자는 이 현상을 선험적으로 이해하고 연구에 참여하게 되는데, 이는 자연스럽게 데이터의 해석과 주제 개발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To a novice, the terminology can be confusing, and there can be confusion about the different types of qualitative methodology. In addition, qualitative researchers may fail to acknowledge their own perspectives and biases related to the phenomenon of interest.18 The researcher comes into the study with an a priori understanding of this phenomenon, which naturally can influence the interpretation of the data and the development of the themes.


    데이터 수집 및 분석에 대한 성찰 일지와, 데이터 분석(특히 범주 및 테마의 코딩 및 개발에 대한)의 상세한 감사 추적은 연구자가 데이터의 해석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개인적인 관점과 편견을 인정하고 다루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

    Reflective journaling about the data collection and analysis and maintaining a detailed audit trail of the data analysis, specifically the coding and development of categories and themes, can assist the researcher to acknowledge and address personal perspectives and biases that may influence the interpretation of the data.


    일부 연구에서 도움이 될 수 있는 또 다른 기법은 다양한 범주를 도표화하고 이러한 범주가 서로 어떻게 관련되어 있는지를 검토하는 것이다. 아마도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고 테마로 발전한 다음 데이터로 돌아가 검증할 수 있는 두 가지 범주가 있을 것이다.

    Another technique that can be helpful in some studies is to diagram the various categories and examine how these categories related to each other. Perhaps there are 2 categories that are closely related and that can be developed into a theme and then verified by returning to the data.


    범주와 테마 간의 혼동

    Confusion Between Categories and Themes


    또 다른 우려 영역은 초보 연구자들이 카테고리나 영역과 테마 간의 차이점에 대해 혼동할 수 있다는 점이다. 범주는 확실히 하나의 단어로 명명될 수 있다. 연구에 따라, 범주는 독자들에게 흥미가 될 수 있지만, 그것들은 경험 사이의 관계를 보여주거나 모든 경험에 대해 묘사할 수 있는 주제가 아니다.

    Another area of concern is that novice researchers may be confused about the difference between categories or domains and themes. A category certainly can be labeled as 1 word. Depending on the study, categories can be of interest to readers, but they are not themes that may demonstrate relationships between experiences or describe the over all experience.


    예를 들어, HIV 감염으로 사는 아프리카계 미국 여성들의 경험에 대한 연구에서, 19명의 연구원들은 낙인이라고 적힌 코드 1개와 관계상의 다른 변화를 가지고 있었다. 그러나 이러한 코드나 범주는 그 자체로 주제가 아니다. 이 연구의 주제는 '배신의 여러 층을 가지고 사는 것'이었고, 따라서 다양한 범주들 사이의 관계를 묘사했다.

    For example, in a study about the experiences of African American women living with HIV infection,19 the researchers had 1 code labeled stigma,and another changes inrelationships. But these codes or categories are not by themselves a theme. A theme in this study was ‘‘living with multiple layers of betrayal’,’’ thus depicting the relationship between various categories.


    테마 개발을 위한 제안

    SUGGESTIONS FOR DEVELOPING THEMES


    첫째로, 연구자들은 그들의 관심사와 집중의 연구 질문에 대답하기 위해 사용하고 있는 특정한 질적 방법, 특히 방법론, 인터뷰, 분석 기법에 대한 basic and advanced text를 공부해야 한다. 또한 연구진은 팀원의 전문성에 따라 질적 연구 경험이 있는 멘토나 컨설턴트와 함께 일하고 싶을 수 있다. 이것은 시간과 노력을 절약할 수 있다. 멘토는 초보 연구자가 조기 종결을 막고 분석에 대한 불안감을 극복하도록 도울 수 있다. 이 글의 앞부분에서 약술한 바와 같이, 면접에서 얻은 자료를 가지고 있어야 하고, 경험이 풍부하며, 예시로 가득 차 있어야 한다. 그런 다음 통찰력 있는 연구에 필요한 의미를 찾기 위한 분석이 가능하다.

    First, nurse researchers must study the basic and advanced texts on the particular qualitative method they are using to answer their research questions of interest and focus, specifically the methodology, the interviewing, and the techniques of analysis. In addition, research teams, depending on the expertise of team members, may want to work with a mentor or consultant who has experience with qualitative research. This can save time and effort. The mentor can help the novice researcher prevent premature closure and to overcome anxiety about analysis. As outlined earlier in this article, one must have the data from interviews that are detailed, experience rich, and full of examples. Analysis is then possible for finding the meaning that is needed for a discerning study.


    다음으로 테마를 개발할 때는 테마의 각 단어를 신중하고 신중하게 선택해야 한다각 단어의 의미는 명확하고 연구의 목적에 적합해야 한다. 또한, 주제나 패턴을 지정하는 데는 몇 가지 근거가 있어야 한다.

    Next, when developing a theme, each word in the theme should be carefully and thoughtfully chosen. The meaning of each word should be clear and appropriate for the purpose of the study. In addition, there should be some rationale for designating a theme or pattern.


    일단 테마가 개발되면, 연구자들은 데이터에서 나온 사례를 이용하여 테마에 대한 설명이나 지원을 제공해야 한다. 분석하는 동안, 주제 이름을 잠정적으로 지정하고, 설명을 쓰고, 예를 나열한 다음, 돌아가서 주제 문구를 작업하는 것이 도움이 될 수 있다. 주제의 의미는 그것이 나타내는 경험에 확실히 맞도록 분석되어야 한다. 설명과 사례도 중요하지만, 명시된 주제는 의미 있는 진술로서 홀로 설 수 있어야 한다. 샌델로우스키와 리먼에 따르면, 잘 쓰여진 테마는 둘 다 핵심 아이디어를 요약하고 현상의 복잡성을 전달한다고 한다.

    Once a theme is developed, researchers need to provide explanations or support for the theme using examples from the data. During analysis, it might be helpful to tentatively name a theme, write out the explanation, list the examples, and then go back and work on the wording of the theme. The meaning of the theme should be analyzed to make sure it clearly fits the experience it is representing. Explanations and examples are important, but the stated theme should be able to stand alone as a meaning statement. According to Sandelowski and Leeman,17 a well-written theme both summarizes the key ideas and relays the complexity of the phenomena.


    일반적으로 의미를 전달하는 주제는 구절이나 문장으로 쓴다. 따라서 한 단어로 쓰여진 테마는 의미있는 서술문으로서 홀로 설 수 있는 경우가 드물기 때문에 문제가 되는 경우가 많다. 예를 들어, 연구자가 "협업"과 같은 1단어 테마를 지정하는 경우가 있다.

    Generally, themes that convey meaning are written as phrases or sentence. Therefore, 1-word themes are often problematic because they can rarely stand alone as a meaning statement. For example, when a researcher designates a 1-word theme, such as ‘‘collaboration,’’


    또한, 연구자가 어떤 역사가 깊은 개념이나 용어를 사용할 때 문제가 된다. 예를 들면 'coping'이나 'social support'등이 그것이다. 3 이 개념들을 연구라는 관점에서 정의하는 것이 중요하다: 그것들은 구어체적으로 사용되고 있는가, 그들의 이론적 의미와 맥락에서 사용되고 있는가, 아니면 그것은 연구의 환경에서 현재 "유행어"인가? 아니면 이것은 정보 제공자들이 그들의 교육에서 배우고 그것을 반드시 이용해야 한다고 생각하는 개념일 수도 있다.

    In addition, it is problematic when a researcher uses existing concepts or terms, such as coping or social support, which have a long conceptual history.3 It is important that the concepts be defined in terms of the study: are they being used colloquially, are they being used in their theoretical meaning and context, or is it something that is a current ‘‘buzz word’’ in the environment of the study? Or could it be that this was a concept that informants learned in their education and thought they must use it.


    테마의 정당성은 대부분 인용문 또는 기타 데이터에 의존한다. 분석적 설명과 적용적 추출물 사이에는 균형이 있어야 한다.13 여기서 다시, 인터뷰가 피상적이라면, 연구자들은 데이터와 주제를 명확하게 연결하는 풍부한 경험이나 예시들이 부족하다. 연구원들은 때때로 주제를 완전히 지지하지 않고 독자들을 혼란스럽게 할 수 있는 접선적인 인용구를 사용하도록 강요 받는다. 또한 테마 간의 연결은 명확하게 지원되지 않을 수 있다.

    Justification for a theme depends in large part on supporting quotation(s) or other data. There should be balance between analytic explanations and illustrative extracts.13 Here again, if the interviewing was superficial, the researchers lack the rich examples of experience or exemplars that clearly connect the data with the theme. Researchers are sometimes forced to use tangential quotations that do not fully support the theme and may confuse the readers. In addition, the connections between themes may not be clearly supported.


    물론, 문학에는 테마 개발에 도움을 주는 다른 제안들이 많이 있다. 예를 들면 다음과 같다. 

    • (a) 은유와 유추의 사용14,21,

    • (b) 근거 이론에서 비교 및 대비의 사용22, 

    • (c) 민족학에서 언어 커넥터의 분석(즉, X는 Y의 한 예임). 

    • (d) 누락된 정보 검색14

    Of course, there are many other suggestions in the literature to help with the development of themes. Examples include 

    • (a) the use of metaphors and analogies14,21;

    • (b) the use of comparison and contrast in grounded theory22; 

    • (c) analysis of linguistic connectors (ie, X is an instance of Y) from ethnography; and 

    • (d) searching for missing information.14


    연구 결과를 작성할 때, 저자들은 해석적 해설을 포함시킬 필요가 있다. 데이터는 좀처럼 자신을 대변하지 않는다. 테마는 인용문, 서술형, 그리고 조사자의 데이터 분석으로부터 테마의 타당성을 독자들에게 확신시키기 위한 설명과 지원이 필요할 것이다.7

    When writing up the findings, authors need to include interpretative commentary. Data rarely speak for themselves. Themes will need explanation and support from quotes, narrative vignettes, and from the investigator’s analysis of the data to convince the readers of the validity of the themes.7


    SUMMARY






    , 30 (1), 52-7
     

    Underdeveloped Themes in Qualitative Research: Relationship With Interviews and Analysis

    Affiliations 

    Affiliation

    • 1Author Affiliations: Director of Nursing (Dr Connelly), Benedictine College, Atchison, Kansas; Assistant Professor (Dr Peltzer), School of Nursing, University of Kansas.

    Abstract

    Purpose: In this methodological article, the authors address the problem of underdeveloped themes in qualitative studies they have reviewed. Various possible reasons for underdeveloped themes are examined, and suggestions offered.

    Organizing construct: Each problem area is explored, and literature support is provided. The suggestions that are offered are supported by the literature as well.

    Findings: The problem with underdeveloped themes in certain articles is related to 3 interconnected issues: (a) lack of clear relationship to the underlying research method, (b) an apparent lack of depth in interviewing techniques, and (c) lack of depth in the analysis. Underdeveloped themes in a qualitative study can lead to a lack of substantive findings that have meaningful implications for practice, research, and the nursing profession, as well as the rejection of articles for publication. Fully developed themes require knowledge about the paradigm of qualitative research, the methodology that is proposed, the effective techniques of interviewing that can produce rich data with examples and experiences, and analysis that goes beyond superficial reporting of what the participants have said. Analytic problem areas include premature closure, anxiety about how to analyze, and confusion about categories and themes.

    Conclusions: Effective qualitative research takes time and effort and is not as easy as is sometimes presumed. The usefulness of findings depends on researchers improving their research skills and practices.

    Implications for practice: Increasingly researchers are using qualitative research to explore clinically important issues. As consumers of research or members of a research team, clinical nurse specialists need to understand the nature of this research that can provide in-depth insight and meaning.


    리뷰어와 에디터를 위한 주제분석 문헌을 평가 가이드(Produced by Victoria Clarke and Virginia Braun (2019))

    Guidelines for reviewers and editors evaluating thematic analysis manuscripts

    Produced by Victoria Clarke and Virginia Braun (2019)




    200408 Thematic Analysis Reading List and Resources for Thematic Analysis April 2019 ## XXX.pdf



    방법 및 방법론 평가

    Evaluating the methods and methodology


    1. TA의 사용은 설명되어 있는가(단순히라도)?

    1. Is the use of TA explained (even if only briefly)?


    2. 저자가 사용하고 있는 TA의 종류를 명확하게 명시하고 정당화하고 있는가?

    2. Do the authors clearly specify and justify which type of TA they are using?


    3. 특정 유형의 TA의 사용과 정당성이 연구 질문이나 목적과 일치하는가?

    3. Is the use and justification of the specific type of TA consistent with the research questions or aims?


    4. 연구의 이론적, 개념적 기초와 TA(개념적 일관성)의 특정 유형 사이에 '적합성'이 좋은가?

    4. Is there a good ‘fit’ between the theoretical and conceptual underpinnings of the research and the specific type of TA (conceptual coherence)?


    5. 데이터 수집 방법과 TA의 특정 유형 사이에 '적합성'이 좋은가?

    5. Is there a good ‘fit’ between the methods of data collection and the specific type of TA?


    6. 특정 유형의 TA가 논문 전체에 걸쳐 일관되게 수행enact되고 있는가?

    6. Is the specified type of TA consistently enacted throughout the paper?


    7. TA에 대해 잘못된 가정을 하고 있지는 않은가? 여기에는 일반적으로 다음이 포함된다.

    7. Is there evidence of problematic assumptions about TA? These commonly include:


    • TA를 단일의 균질한 실체로 취급하고, 한 세트의 절차에 대해 폭넓게 합의.

    Treating TA as one, homogenous, entity, with one set of – widely agreed on – procedures.


    • 근거 이론의 개념 및 절차(예: 포화, 지속적인 비교 분석, 라인별 코딩)가 아무런 설명이나 정당성 없이도 TA에 적용된다고 가정한다.

    Assuming grounded theory concepts and procedures (e.g. saturation, constant comparative analysis, line-by-line coding) apply to TA without any explanation or justification.


    • TA가 필수주의자 또는 현실주의자 또는 무신론자라고 가정한다.

    Assuming TA is essentialist or realist, or atheoretical.


    • TA가 데이터 감소 또는 설명적 접근일 뿐이므로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다른 방법과 절차로 보완해야 한다고 가정한다.

    Assuming TA is only a data reduction or descriptive approach and thus has to be supplemented with other methods and procedures to achieve other ends.


    8. 어떤 보충 절차나 방법이 정당하고 필요한가 아니면 단순히 TA를 더 효과적으로 사용함으로써 동일한 결과를 달성할 수 있었는가?

    8. Are any supplementary procedures or methods justified and necessary or could the same results have been achieved simply by using TA more effectively?


    9. TA를 귀납적으로 사용할 때조차도, TA의 이용에 대한 이론적 기초가 명확히 규정되어 있는가(예: 온톨로지, 인식론적 가정, 이론적 프레임워크의 안내)? (귀납적 TA는 이론적 진공에서 분석과 동일하지 않음)

    9. Are the theoretical underpinnings of the use of TA clearly specified (e.g. ontological, epistemological assumptions, guiding theoretical framework(s)), even when using TA inductively (inductive TA does not equate to analysis in a theoretical vacuum)?


    10. 연구자들은 (아주 잠깐이라도) '자신의 관점을 이해하려고' 노력하고 있는가?; 그들의 개인적, 사회적 관점과 위치. (연구자가 사회정의 중심의 연구에 종사하고, 한계 및 취약계층의 '목소리'와 연구자가 소속되지 않은 집단의 '목소리'를 대변할 때 특히 중요하다.)

    10. Do the researchers strive to ‘own their perspectives’ (even if only very briefly); their personal and social standpoint and positioning? (This is especially important when the researchers are engaged in social justice-oriented research and when representing the ‘voices’ of marginal and vulnerable groups, and groups to which the researcher does not belong.)


    11. 분석절차가 명확히 설명되어 있는가?

    11. Are the analytic procedures used clearly outlined?


    12. 개념적, 절차적 혼동의 증거가 있는가? 예를 들어 반사적 TA(Braun & Clarke, 2006)를 수행했다고 말하면서 그와 맞지 않는 절차를 기술하고 있지는 않은지? 

    • 코드북 또는 코딩 프레임의 사용, 

    • 다중 독립 코더 및 컨센서스 코딩 

    • 평가자 간 신뢰성 측정 

    • 주제가 출력이 아닌 분석 입력으로 개념화되며, 따라서 분석이 (코딩에서 주제 개발이 아니라)주제 식별에서 코딩으로 진행되진 않았는지

    12. Is there evidence of conceptual and procedural confusion? For example, reflexive TA (Braun & Clarke, 2006) is the claimed approach but different procedures are outlined such as 

    • the use of a codebook or coding frame, 

    • multiple independent coders and consensus coding, 

    • inter-rater reliability measures, and/or 

    • themes are conceptualised as analytic inputs rather than outputs and therefore the analysis progresses from theme identification to coding (rather than coding to theme development).


    13. 저자들이 TA에 대한 자신들이 주장하는 접근방식을 충분히 이해했는가?

    13. Have the authors fully understood their claimed approach to TA?

     

    분석 평가

    Evaluating the analysis


    14. 주제가 무엇이고 어디에 있는지 분명하니? 원고는 주제 목록, 서술 개요, 주제 표, 주제 지도와 같은 분석의 어떤 종류의 개요로부터 이익을 얻을 수 있을까?

    14. Is it clear what and where the themes are in the report? Would the manuscript benefit from some kind of overview of the analysis: listing of themes, narrative overview, table of themes, thematic map?


    15. 테마는 완전히 실현된 테마가 아니라 도메인 요약으로 보고되는가?

    15. Are themes reported domain summaries rather than fully realised themes?


    •     데이터 수집 질문이 테마로 사용되었는가?

    Have the data collection questions been used as themes?


    • 도메인 요약이 연구의 목적에 적합한가? (만약 그렇다면, 저자들이 반사적인 TA를 사용하고 있다면, 이 수정은 설명되고 정당화되는 주제 개념화에 있는가?)

    Are domain summaries appropriate to the purpose of the research? (If so, if the authors are using reflexive TA, is this modification in the conceptualisation of themes explained and justified?)


    • 원고는 추가 분석을 수행하고 완전히 실현된 주제를 보고함으로써 이익을 얻을 수 있는가?

    Would the manuscript benefit from further analysis being undertaken and the reporting of fully realised themes?


    • 또는 저자가 반사적 TA를 사용한다고 주장하는 경우, 다른 유형의 TA(예: 코딩 신뢰성 또는 코드북)를 사용한다고 주장하는 원고가 이득이 되는가?

    Or, if the authors are claiming to use reflexive TA, would the manuscript benefit from claiming to use a different type of TA (e.g. coding reliability or codebook)?


    16. 비-주제적 맥락 정보가 주제로서 제시되는가? (예: 첫 번째 테마는 상황별 정보를 제공하는 도메인 요약이지만, 보고된 나머지 테마는 완전히 실현된 테마를 말한다) 이 테마가 아닌 상황별 정보로 제시됨으로써 원고가 이익을 얻을 수 있을까?

    16. Is a non-thematic contextualising information presented as a theme? (e.g. the first theme is a domain summary providing contextualising information, but the rest of the themes reported are fully realised themes) Would the manuscript benefit from this being presented as non-thematic contextualising information?


    17. 응용연구라면, 보고된 주제는 실행 가능한 결과를 초래하는가?

    17. In applied research, do the reported themes give rise to actionable outcomes?


    18. 논문에 개념적 충돌과 혼란이 있는가? (예: 코딩 신뢰성에 대한 실증주의적 개념에 대한 우려를 표명하는 동시에 사회 건설론자 접근법을 주장하거나, 참가자의 언어를 경험과 행동에 대한 투명한 반영으로 다루면서 건설론자 접근법을 주장함)

    18. Are there conceptual clashes and confusion in the paper? (e.g. claiming a social constructionist approach while also expressing concern for positivist notions of coding reliability, or claiming a constructionist approach while treating participants’ language as a transparent reflection of their experiences and behaviours)


    19. 약하거나 납득할 수 없는 분석의 증거가 있는가?

    19. Is there evidence of weak or unconvincing analysis?


    • 너무 많은 또는 너무 적은 테마?

    Too many or two few themes?


    • 테마 레벨이 너무 많으십니까?

    Too many theme levels?


    • 코드와 테마 간의 혼동?

    Confusion between codes and themes?


    • 데이터 추출물과 분석 주장 간의 불일치?

    Mismatch between data extracts and analytic claims?


    • 너무 적은 데이터 추출물 또는 너무 많은 데이터 추출물?

    Too few or too many data extracts?


    • 테마 간의 중복?

    Overlap between themes?


    20. 저자는 자기 결과의 일반성이 결여된 것에 대해 문제 있는 진술을 하고, 일반성을 통계적 일반성으로 암묵적으로 개념화하고 있는가?

    20. Do authors make problematic statements about the lack of generalisability of their results, and implicitly conceptualise generalisability as statistical-generalisability?



    PBL에서 그룹 학습의 이론적 관점과 적용(Med Teach, 2015)

    Theoretical perspectives and applications of group learning in PBL

    DARIO M. TORRE1, CEES VAN DER VLEUTEN2 & DIANA DOLMANS2

    1Drexel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USA, 2Maastricht University, The Netherlands





    도입

    Introduction


    문제 기반 학습(PBL)은 의학 교육에서 가장 일반적인 학습 전략 중 하나이며, 전 세계의 많은 의과대학 커리큘럼에서 시행되었다(Barrows 1986; 알바니아 & Mitchell 1993; Schmidt 1993; Neville & Norman 2007). 실천은 이론에 의해 지속적으로 inform되기 때문에(Ramsden 1993), 학습 활동의 이론적 기초에 대한 이해의 강화는 교사의 실천을 촉진하고 강화해야 한다(Ten Cate et al.). 2004; Steinert 등 2006).

    Problem-based learning (PBL) is one of the most common learning strategies in medical education and has been implemented in many medical school curricula around the world (Barrows 1986; Albanese & Mitchell 1993; Schmidt 1993; Neville & Norman 2007). Since practice is continually informed by theory (Ramsden 1993), an enhanced understanding of the theoretical basis of learning activities should facilitate and enhance teachers’ practices (Ten Cate et al. 2004; Steinert et al. 2006).


    PBL의 이론적 기초는 이전에 노먼 & 슈미트(1992), 노먼 & 슈미트(2000), 슈미트(1993)에 의해 설명되었고 주로 인지 학습 이론과 연계되었다(Bruner 1961; Ausubel 1968). 또한 PBL은 학생들의 동기부여를 강화하고 자율성과 관련성(Ryan & Deci 2000; Deci & Ryan 2002; Ten Cate et al. 2011)을 촉진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고 보고되었다. 그러나 다른 이론들은 어떻게 PBL, 특히 그룹 학습에 맞는 이론들과 일치할까? 그룹 학습은 PBL의 주요 학습 특징 중 하나이다. 따라서 그룹 성과와 효과의 향상, 공동의 목표를 달성하고, 사회적 빈둥거림을 피하기 위한 개인 간의 협력을 촉진하는 한편, 새로운 지식의 창조와 공유를 촉진하는 것은 고된 교육 과제지만 가치 있는 목표다.

    The theoretical foundations of PBL have been previously described by Norman & Schmidt (1992), Norman & Schmidt (2000) and Schmidt (1993) and linked predominantly to cognitive learning theories (Bruner 1961; Ausubel 1968). It has also been reported that PBL enhances students’ motivations and may play a role in fostering feelings of autonomy and relatedness (Ryan & Deci 2000; Deci & Ryan 2002; Ten Cate et al. 2011). But how do other theories align with PBL, especially theories that fit with group learning? Group learning is one of the key learning features of PBL. Thus enhancing group performance and effectiveness, fostering cooperation among individuals to achieve a common goal, avoid social loafing, while promoting creation and sharing of new knowledge are arduous educational challenges yet worthy goals.


    이론과 응용

    Theory and applications



    사회적 상호의존성 이론

    Social interdependence theory


    PBL의 중요한 특징 중 하나는 학습이 학생 간의 상호작용이 학습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어야 하는 그룹에서 일어난다는 것이다(Dolmans et al. 2005). SIT(Johnson & Johnson 2013, 페이지 20)는 PBL에서 소그룹 학습에 필수적인 이론적 프레임워크를 제공한다. 사회적 상호의존성은 '개인의 결과가 자신과 타인의 행동에 영향을 받을 때 존재한다.'

    One important characteristic of PBL is that learning takes place in groups where the interaction among students should have a positive impact on their learning (Dolmans et al. 2005). The SIT (Johnson & Johnson 2013, p. 20) provides an essential theoretical framework for small-group learning in PBL. Social interdependence ‘‘exists when the outcomes of individuals are affected by their own and other’s actions’’.


    SIT의 기본 요소로는 

      • 사회적 상호의존성, 

      • 상호의존성의 정도(엔티타티비티), 

      • 촉진적 상호작용, 

      • 사회적 기술, 

      • 개인의 책임 및 개인적 책임에 대한 인식이 있다(Johnson & Johnson 2009, 2013).

    The basic elements of SIT include: 

      • social interdependence, and 

      • the perception of degree of interdependence (entitativity), 

      • promotive interaction, 

      • social skills, 

      • individual accountability and personal responsibility (Johnson & Johnson 2009, 2013).


    사회적 상호의존성긍정적일 수도 있고 부정적일 수도 있다.

    Social interdependence can be positive or negative.


      • 긍정적인 상호의존성어떤 목표의 성취가 다른 사람들의 목표 성취와 연계되거나 상관될 때 발생한다. 그러므로 개인은 개인 목표가 집단의 다른 사람들도 그들 자신의 목표를 달성해야만 달성될 수 있다는 것을 인식한다.

    Positive interdependence occurs when the achievement of a goal is linked or correlated to the goal achievement of others. Therefore, the individual perceives that an individual goal can only be achieved if others in the group achieve their own goals as well.


      • 부정적인 상호의존성개인이 자신의 목표의 성취가 다른 사람의 목표의 성취와 부정적으로 연관되어 있다는 것을 인식할 때 발생한다. 개인의 목표는 다른 사람의 목표와 경쟁하여 개인에게는 유익하지만 집단은 유해할 수 있는 상황을 만들 수 있다.

    A negative interdependence is when the individual perceives that the achievement of their goal is negatively correlated with the achievement of others’ goals. The goals of the individual might then be in competition with those of others, creating a situation that may be beneficial for the individual yet deleterious for the group.


    세 번째 가능성은 상호의존성이 없는 것이다. 이 경우, 각 개인은 자신의 목표 달성이 다른 사람의 목표 달성과 긍정적이든 부정적이든 관련이 없다고 인식한다. 그러한 개인주의적 접근방식은 개인에게만 유익하고 집단에 이익이 되지 않는 결과를 얻는 결과를 낳는다(Johnson & Johnson 2009).

    A third possibility is that of no interdependence. In this instance, each individual perceives that their goal attainment is related neither positively nor negatively to the achievement of others’ goals. Such individualistic approach results in obtaining an outcome that is only beneficial to the individual and not to the group (Johnson & Johnson 2009).


    엔티타티비티는 구성원들이 공통의 목표를 추구하는데 응집력이 있고, 밀접하게 결합된, 통일된 전체로서 그룹을 인식하는 강한 상호의존성 인식이다(Johnson & Johnson 2013).

    Entitativity is the perception of a strong degree of interdependence by which members perceive the group as a unified whole, closely bonded together, coherent in the pursuit of common goals (Johnson & Johnson 2013).


    촉진적 상호작용[집단 수준의 목표 달성을 촉진하는 개인]을 포함한다. 따라서 학생들은 동료들에게 필요할 때 도움을 주고, 그들의 성과를 향상시키기 위한 피드백을 제공하며, 그룹이 최종 목표를 성공적으로 달성하도록 도울 수 있는 자원을 공유한다. 이러한 그룹의 멤버들은 계속해서 서로를 격려하고 지지한다.

    Promotive interaction involves individuals facilitating the accomplishment of the goals for the group. Therefore, students provide their peers with help when needed, provide feedback to improve their performance and share resources that may help the group successfully achieve final goals. Members of the group continuously encourage each other and support one another.


    (개인 책임과 함께) 개인과 집단 책임도 사회적 상호의존성 이론 프레임워크의 또 다른 원칙이며 그룹의 협력적 학습 과정에 핵심적인 역할을 한다. 각 멤버의 성과가 다른 그룹 멤버의 결과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각 사람은 그룹 전체의 성과에 대해 책임을 느낀다고 가정한다. 존슨앤드존슨(2009년, 페이지 368년)이 말한 바와 같이, '자기 혼자 못 하는 것은 나쁘지만, 자기 자신뿐만 아니라 다른 사람까지 못 하게 만드는 것은 더 나쁘다'는 것이다. 학습자가 그룹의 구성원이 자신의 성과를 존중하고 신뢰한다고 느낄 경우, 그룹에 대한 책임의 정도가 증가하여 책임감이 증가한다.

    Individual and group accountability along with personal responsibility are another tenet of the social interdependence theoretical framework and play a key role in the group’s cooperative learning process. Because the performance of each member affects the outcome of other group members, each person is assumed to feel responsible for the performance outcome of the whole group. As stated by Johnson & Johnson (2009, p. 368), ‘‘failing oneself is bad, but failing others as well as oneself, is worse’’. If the learner feels that the members of the group respect and rely on his or her performance, the degree of responsibility toward the group increases, resulting in increased accountability.


    마지막으로 사회성스킬은 SIT의 또 다른 핵심 요소다. 사회성스킬은 그룹 구성원들 간의 보다 긍정적인 관계 개발을 촉진하여 높은 수준의 그룹 성취도를 이끌어 낸다(Johnson 2009). 이러한 & Johnson의 사회성스킬은 구성원들이 서로에 대한 지지, 신뢰, 명확하고 모호하지 않은 의사소통, 요청과 도움뿐만 아니라 생각과 정보를 공유하는 것을 의미한다. 집단의 가장 효과적인 기능을 할 수 있기 때문에 집단의 개인들이 사회적, 대인관계적 기술을 습득하는 것이 중요하다. SIT는 그룹 학습을 위한 핵심 프레임워크를 나타내며, 그 주요 이론적 기초는 PBL에 적용 가능한 큰 관련성과 잠재력을 가질 수 있다.

    Finally, social skills are another key component of SIT. Social skills facilitate the development of more positive relationships among group members, leading to high degree of group achievement (Johnson 2009). Such & Johnson social skills mean that members demonstrate support, trust in each other, have clear and unambiguous communication, ask and give help as well as share thoughts and information. It is important for individuals in the group to gain social and interpersonal skills because it will allow the most effective functioning of the group. SIT represents a key framework for group learning, and its major theoretical foundations may have great relevance and potential for application in PBL.


    두 가지 어려운 문제가 있다.

    There are two challenging issues


    첫째, 집단 상호의존성에 대한 공통적인 우려는 사회적 빈둥거림(무임승차)의 발생이다. 사회적 빈둥거림(Social blocking)은 ‘합산적additive 집단 과제에 대해 다른 사람들과 협력할 때 개별적인 노력의 감소’(Johnson & Johnson 2013, 페이지 269)를 의미하며, 이로 인해 중복적인 비생산적인 노력이 초래된다. 단, [개인의 책임성이 높은 경우], 모든 구성원의 책임이 잘 알려져 있고 정의되어 있으며, 그룹 성과뿐만 아니라 개별 성과도 동료와 교사 모두 식별할 수 있고 평가된다. 이와 같이, 사회적 빈둥거림의 효과는 발생할 가능성이 훨씬 적다(Johnson & Johnson 2009, 2013).

    First, a common concern about group interdependence is the occurrence of social loafing. Social loafing refers to ‘‘a reduction of individual effort when working with others on an additive group task’’ (Johnson & Johnson 2013, p. 269), resulting in redundant unproductive efforts. However, if individual accountability is high, responsibility of every member is well-known and defined, and individual performance as well as group performance is identifiable and assessed by peers and teachers alike. As such, the effect of social loafing is much less likely to happen (Johnson & Johnson 2009, 2013).


    둘째로, 협동학습의 주창자들의 의견과 달리, 부정적인 상호의존성이 발생하면 경쟁적 학습이 일어날 수 있다. 경쟁적 학습에서 학생들은 (집단을 위한) 노력을 보류하고, 자신의 수행도를 낮추고, 다른 사람의 노력을 방해하는 등 자기 보호적 전략을 개발하는 경향이 있다. 결과적으로, 경쟁적 학습은 그룹 성취도를 낮출 수 있다(Johnson & Johnson 2013).

    Second, within the setting of negative interdependence and in contrast with tenants of cooperative learning, competitive learning may occur. In competitive learning, students tend to develop self-protective strategies, such as withholding effort, creating impediments to one’s performance and hindering the effort of others. As a result, competitive learning can lower group achievement (Johnson & Johnson 2013).


    잠재적 애플리케이션

    Potential applications


    SIT에는 두 가지 잠재적 적용이 있다.

    There are two potential applications of SIT


    첫째, 교육 자료를 생성하고, 보다 중요하게는 자료의 상호의존성을 창출함으로써 긍정적인 상호의존성을 키울 수 있다(Johnson & Johnson 2013). 물질적material 상호의존성이 있을 때, 그룹 전체에 분포하는 학습 자료는 상호 관련성이 있으므로, 각 학생은 전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적극적으로 기여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 경우) 다른 학생과 협력하지 않고 한 학생만의 노력으로는(예: 복잡성 때문에, 그리고 다양한 관점이 포함되어야 하기 때문에) 문제를 해결할 수 없다. 

    First, positive interdependence can be fostered by creating instructional material and more importantly material’s interdependence (Johnson & Johnson 2013). In material interdependence, the learning material distributed throughout the group is interrelated, thus each student is expected to contribute actively in order to solve the whole problem; the problem cannot be solved when it is done by one student alone without collaborating with the others (e.g. because of its complexity and because different perspectives should be included).


    문제는 너무 간단하거나 복잡하면 좋지 않다. 양쪽 모두 어느 경우든 협력적인 학습과 긍정적인 상호의존성을 방해할 것이기 때문이다. 이러한 이론적 원리에 따라, 재료와 긍정적인 상호의존성을 함양하기 위한 지침 자료로서 개념 맵의 활용에 초점을 맞춘 응용을 제안한다. 개념지도는 의미를 창조하기 위해 단어들을 연결하여 개념들이 연관되어 있는 지식을 그래픽으로 표현한 것이다(Novakia & Gowin 1984).

    The problem cannot be too simple or too complex,because it will, in either case, hinder cooperative learning and positive interdependence. Following such theoretical principles, we propose an application that focuses on the use of concept maps as an instructional material to foster material and positive interdependence. A concept map is a graphic representation of knowledge in which concepts are related by linking words to create meaning (Novak & Gowin 1984).


    개념 매핑은 이전에 PBL에서 사용되었지만 대부분 다른 목표와 교육 전략을 가지고 있다(Edmondson 1994; Rendas 등 2006).

    Concept mapping has been previously used in PBL, yet mostly with different aims and educational strategies (Edmondson 1994; Rendas et al. 2006)


    개념 맵은 처음부터 생성하거나 미리 정해진 개념을 연결하여 개발할 수 있으며, 동시에 연결된 개념 사이의 관계에 대한 설명을 제공한다(Ruiz-Primo & Shavelson 1996).

    Concept maps can be created from scratch or developed by linking predetermined concepts while providing a description of the relation between the connected concepts (Ruiz-Primo & Shavelson 1996).


    첫 번째 세션에서 각 학생은 사례의 특정 영역(예: 충격 대 분류 대 약리학의 생리학)에 대한 개념을 받고, 의미와 이해를 창출하는 방식으로 개념을 연결하는 지도를 완성함으로써 사전 지식을 활성화하도록 요청 받는다. 이후 학생들은 흰색 게시판에 지도를 공유하며 그룹별로 더 큰 지도를 만들게 되는데, 이 지도는 그룹이 정보를 분석하고, 설명을 제공하고, 사전 지식을 활성화한다. 그룹개념지도는 튜터가 평가하고, 평가요소의 일부가 되어, 개인과 집단의 책임을 창출하고, 추진적인 상호작용과 사회적 기술을 육성한다.

    In the first session, each student receives concepts about only a specific area of the case (for example, physiology of shock versus classification versus pharmacology) and is asked to activate prior knowledge by completing a map linking concepts in a way that creates meaning and understanding. Afterward, the students share their maps on a white board and as a group create a larger map, by which the group analyzes information, provides explanations and activates prior knowledge. The group concept map is evaluated by the tutor and becomes part of the grade, thus creating individual and group accountability, fostering promotive interaction and social skills.


    둘째, 각 학습 활동의 시작 시, 교육자는 그룹의 각 개인이 동료 피드백에 참여한다는 것을 명확히 해야 한다(Gukas 등 2008; Kamp 외 2013). SIT 관점에서 본다면, [과제 결과물]과 [팀워크]에 대한 그룹작업 전체에 걸친 동료 피드백의 도입이 매우 유익할 수 있다. PBL 블록 전체에서 학생들은 그룹 구성원들이 서로를 돕기 위해 취한 조치, 다른 구성원들이 얼마나 자주 교정적 설명을 제공하고 다른 완전한 구성원에 대한 지원을 보여주며 그룹에게 과제를 도와주는지에 대해 질문을 받을 것이다. 이러한 동료 피드백은 과정 중 어느 시점에서든 잠재적으로 익명화하여 그룹 구성원에게 제공될 수 있다. 동료의 피드백은 또한 강사에게 [그룹 내 상호의존성 정도 측정의 기회]를 제공하는 동시에, 사회적 빈둥거림의 영향을 감소시키는 매우 강력한 도구가 될 수 있다.

    Second, at the beginning of each learning activity, the educator should also clarify that each individual in the group will engage in peer feedback (Gukas et al. 2008; Kamp et al. 2013). We argue that in the setting of SIT, the introduction of peer feedback throughout the course on both task work and teamwork can be very beneficial. Throughout a PBL block, students would be asked about actions that group members took to help each other, how frequently other members provide corrective explanations, showed support to other complete members and help the group the assignments. A summary of such feedback can be provided to the group’s members in a potentially anonymous manner at any point during the course. Peer feedback may also be a very powerful tool to diminish the impact of social loafing while providing tutors with an opportunity to better gauge the degree of interdependency within the group.


    네트워크 전문성 커뮤니티의 사회인식 이론

    Socio-cognitive theory of communities of networked expertise


    네트워크 전문성은 "적절한 환경에서 문제를 해결하고 함께 지식을 쌓기 위한 지속적인 협력 노력으로부터 발생하는 높은 수준의 인지 능력을 수반한다" (Hakkarainen et al.). 2004. 페이지 9). 새로운 지식의 기원에 기여하는 학문의 접근법이나 은유법에는 세 가지가 있다. 즉, 습득, 참여(Sfard 1998)와 지식창출 은유법(Paavola et al. 2004).

    Networked expertise entails ‘‘higher level cognitive competencies that arise, in appropriate environments, from sustained collaborative efforts to solve problems and build knowledge together’’ (Hakkarainen et al. 2004, p. 9). There are three approaches or metaphors of learning that contribute to the genesis of new knowledge: acquisition, participation (Sfard 1998) and knowledge creation metaphors of learning (Paavola et al. 2004).


      • '습득' 모델 또는 '습득'이라는 은유의 관점에서 [지식은 개인적 지식 형성의 과정]으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개인적 지식 구조를 사용하는 것이 특징이다.

    In the acquisition model or metaphor of learning, knowledge is a process of individual knowledge formation, characterized by an individual use of knowledge structures to solve problems.


      • '참여'라는 비유에서 [개인은 공동체 내에서 상호작용적 참여과정]에 engage하며, [지식은 행동과 실천에 참여]하는 측면으로 간주된다.

    In the participation metaphor of learning, individuals engage in an interactive process of participation within the community and knowledge is seen as an aspect of participation in actions and practices.


      • [학습의 지식 창조 모델]에는, 다른 두 모델과는 달리, 지식을 창조하고 발전시키는 신중한 과정이 있는데, 여기서 협력적인 관행과 사회 구조의 창조는 새로운 아이디어로 이어지고, 따라서 혁신적인 지식 공동체(IKC)가 된다.

    In the knowledge creation model of learning, unlike the two other models, there is a deliberate process of creating and advancing knowledge, where collaborative practices and the creation of social structures lead to new ideas, and thus innovative knowledge communities (IKC).


    그러한 모델은 '공유적인 활동 대상을 개발하기 위한 집단적 지식 창조의 측면을 강하게 강조한다' (Paavola et al. 2004, 558페이지).

    Such a model ‘‘strongly emphasizes the aspect of collective knowledge creation for developing shared objects of activity’’ (Paavola et al. 2004, p. 558).


    학습의 [지식 창조] 은유에서 학습은 [진정한 협력적 노력]이며, [개인, 공동체, 협업]이 [새로운 지식을 창출하는 공동체]를 개발하는 데 기여하는 삼자적 trialogical 접근법으로 대표된다. 가장 중요한 것은 PBL 그룹에서 자주 발생하는 것처럼, 생성된 지식은 공동체 내에서 협력적으로 공유되고 분산된다는 것이다. 이 설정에서 [지식 창조]의 주체는 고립된 개인이 아니라 [공동체]나 [공동체 자체에 내재된 개인]이다(Paavola & Hakkarainen 2005).

    In a knowledge creation metaphor of learning, learning is a true collaborative effort and is represented by a trialogical approach where individuals, community and collaboration contribute to develop communities that create new knowledge. Most importantly, the knowledge created is then shared and distributed collaboratively within the community as often occurs in a PBL group. In this setting, ‘‘the agent of knowledge creation is not an isolated individual but either an individual embedded in a community or the community itself (Paavola & Hakkarainen 2005).


    따라서, 인지 자원은 그룹 내에서 공유되어 [분산된 인식]의 과정을 만들어낸다. 분산 인식(Distributed connection)은 개인의 인지 자원을 advance시키기 위해 [인지 자원과 프로세스를 집단으로 공유하는 과정]을 말한다(Hutchins & Klausen 1996; Hutchins 1995, 2001). 개인이 혼자서는 달성할 수 없는 목표 달성을 허용할 수도 있는 전략이다.

    Therefore, cognitive resources are shared within the group, creating a process of distributed cognition. Distributed cognition refers to a process where cognitive resources and processes are shared in a group in order to advance cognitive resources of the individual (Hutchins & Klausen 1996; Hutchins 1995, 2001). It is a strategy that may allow for the attainment of goals that an individual may not be able to achieve alone.


    또한 분산 인식은 새로운 개인이 다른 사람들과 일하고 상호 작용함으로써 전문성을 획득할 수 있도록 하여 개인과 집단 인지 성장을 촉진할 수 있다. [그룹 구성원 간 서로 다르면서 동시에 중첩되는 지식과 전문성]을 의미하는 [인지적 다양성]은 개인과 집단의 성과가 보다 효과적이고 혁신적이 되게끔 한다(Dunbar 1995).

    Distributed cognition may also allow new individuals to gain expertise by working and interacting with others, therefore promoting individual and group cognitive growth. Cognitive diversity, where group members have different yet overlapping levels of knowledge and expertise, results in more effective and innovative individual and group achievements (Dunbar 1995).


    [지식 공유 네트워크]는 그룹 내 및 그룹 내 지식 보급에 주된 역할을 한다. 정보의 흐름을 허용하는 지식 네트워크 간의 상호작용은 "강성" 또는 "약성" 네트워크 연결을 이용할 수 있다(Hakkarainen et al. 2004).

    Networks of knowledge sharing play a primary role in knowledge dissemination within and among groups. The interaction among knowledge networks that allows the flow of information, may utilize ‘‘strong’’ or ‘‘weak’’ network linkages (Hakkarainen et al. 2004).


    [강한 유대감이나 연계]는 높거나 유사한 수준의 전문성이나 지식을 가진 집단들 사이에서 만들어지는 반면, [약한 유대감]은 다른 정도의 지식을 가진 집단들 사이에서 발전한다강한 연계는 [유사한 수준의 높은 전문지식을 가진 집단들 간의 지식공유를 중재]하기에, 그러한 집단들 간의 지식의 복잡성을 높이는 데 기여한다. 하지만 강한 연계는 [약한 연계]처럼 새로운 지식을 만들고 발전시키는 데는 기여하지 않는다. 대신 [약한 연계]를 통해 운용되는 지식공유 네트워크는 [비대칭적이거나 다른 정도의 지식을 가진 그룹 간의 지식공유를 제공하기 때문에] 새로운 지식창출에 가장 효율적이다.

    The strong ties or linkages are those created among groups with high and similar level of expertise or knowledge, whereas the weak ties develop among groups with different degree of knowledge. Strong linkages by mediating knowledge sharing among groups with similar high levels of expertise contribute to enhance the complexity of knowledge between those groups yet they do not contribute to create and advance new knowledge to the same degree as weak linkages do. Knowledge-sharing networks that operate through weak linkages instead are most efficient for the creation of new knowledge because they provide knowledge sharing among groups with asymmetric or different degree of knowledge.


    따라서 집단지식창출이 그룹 활동의 주요 목표 중 하나인 PBL 그룹에서 지식네트워크 공유와 분산인식을 가진 IKC는 몇 가지 잠재적 애플리케이션의 프레임워크 역할을 할 수 있는 필수적인 개념이다.

    Therefore, in a PBL group, where collective knowledge creation is one of the main goals of group activity, IKC with knowledge networks sharing and distributed cognition are essential concepts that can serve as a framework for several potential applications.


    [지식의 공유는 노동 집약적인 과정]으로, 신뢰와 협업에 대한 헌신이 필요하다(Kramer 1999). 따라서 개인/학습자가 그러한 과정에 전폭적으로 참여하지 않으면 집단지식 창조는 일어나지 않는다. 토론, 정보공유, 문제해결 활동은 피상적이 되고 비생산적이 되어 그룹 내에서 좌절과 불안을 초래할 수 있다.

    Sharing of knowledge is a labor-intensive process, entails trust and commitment to collaboration (Kramer 1999). Therefore, if individuals/learners do not engage wholeheartedly in such process, collective knowledge creation does not occur. Discussions, information sharing and problem-solving activities can become superficial and unproductive often resulting in frustration and anxiety within the group.


    잠재적 애플리케이션

    Potential applications


    첫째로, 교육자들은 학생들의 역할을 "지식을 가지고 일하는 전문가" 처럼 바라보고, 촉진할 수 있다. 각각의 학생들은 각자의 지식을 가지고 작업하기 시작하고, 어떤 영역이나 주제를 탐구하기 시작하고, 그 후에 그의 습득되거나 새로 만들어진 전문지식의 수준을 그 그룹에 가져간다. 그러나 지식공유 네트워크를 만들고 사회적 빈둥거림을 막기 위해서는 학생 개개인의 헌신과 노력이 필수적이다. PBL 교사는 다양한 콘텐츠 영역과 도메인에서 다양한 수준의 전문 지식을 가진 학습자 그룹이 서로 협력하고 협력하는 접근방식을 개발할 수 있다. [분산 인식] 및 [약한 네트워킹 연계에 기반한 지식 공유의 네트워크] 개념은 개개인뿐만 아니라 다수의 다른 그룹에 적용된다.

    First, educators can facilitate the role of students as ‘‘expert-like working with knowledge’’ (Hakkarainen et al. 2004, p. 144). Each student begins to work with knowledge, delving into an area or topic and subsequently takes his level of acquired or newly created expertise to the group. However, the commitment and work of each student is essential to create a knowledge-sharing network and to discourage social loafing. PBL teachers can develop an approach where groups of learners with various levels of expertise in different content areas and domains collaborate and work with each other. The concepts of distributed cognition and networks of knowledge sharing with weak networking linkages are applied to a number of different groups and not only to the individual.


    For example, (Figure 1).



    이 학습 시나리오에서, 그룹에게 가져오는 사례와 시간에 따라 발생할 수 있는 변화에 대해 특별한 주의를 기울인다. 궁극적으로, 이 그룹들은 PBL 혁신적 지식 커뮤니티의 개발로 이어지는 일련의 세션에서 새롭게 만들어진 전문지식을 공유하고 전달한다. 이 접근법이 효과적이 되려면 학생들은 최소한 그룹 내, 그리고 궁극적으로 그룹들 사이에서 모든 학습 목표에 대한 어느 정도의 지식을 가지고 있어야만 지식과 전문지식의 공유가 보다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In this learning scenario, special attention is given to the transfer of information across the cases they bring to the group and about the changes that may occur across time. Ultimately, the groups share and communicate their newly created expertise in a series of sessions leading to the development of a PBL innovative knowledge community. In order for this approach to be effective, the students should have at least some degree of knowledge of all learning objectives within the group, and eventually among groups, so that sharing of knowledge and expertise can more effectively occur.


    전임상 시기에 PBL-IKC을 이루는 것은 많은 의대생들에게 시기에는 확실히 도전적이다. 그러나 6개월에 걸쳐 환자가 마주치는 것을 간략하게(30분)하고 다수의 일반적인 불만사항에 근거해 환자를 선택하는 경우, 그러한 전략의 실현가능성을 높일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PBL-IKC와 지식공유 네트워크의 적용은 중규모 그룹(30~50명 학생)에 더 적합할 수 있으며, 임상실습 기간에는 더욱 실현가능할 수 있다.

    The creation of PBL-IKC is certainly challenging in the preclinical years for large classes of medical students. However, if the patient encounters are spread over a six-month period are brief (30min), and patients are selected based on a number of common complaints, it might enhance the feasibility of such a strategy. Nevertheless, the application of PBL-IKC and knowledge-sharing network may be better suited for medium-size groups (30–50 students) and possibly more feasible within clinical clerkships.


    둘째로, IKC는 '인지의 다양성을 이용하도록' 신중하게 설계되어 있기 때문에, 학생들은, 이질적 또는 하이브리드 전문지식을 가진 것으로 튜터에 의해 확인된 후, 그룹 전체의 다양한 지적 자원을 통합하여, 궁극적으로 협력적인 문제 해결을 촉진할 수 있도록 돕는다.

    Second, because IKC are ‘‘deliberately designed to capitalize on cognitive diversity’’ (Hakkarainen et al. 2004, p. 144), students, after being identified by tutors as having heterogeneous or hybrid expertise can rotate across groups, help integrate the group’s diverse intellectual resources, ultimately facilitating collaborative problem solving.


    고찰

    Discussion


    첫째로, ('발달'의 개념과 '자료의 상호의존성'의 개념에서 끌어낸 다음) 교사들은 긍정적인 상호의존성과 개인의 책임성을 함양하기 위한 수단으로 [개념 맵을 도입]할 수 있다. 그룹 개념 맵의 개발은 학생들이 준비 없이 사전 지식을 활성화할 수 있게 하여 교육자들이 기존의 지식 구조의 정도를 진정으로 측정하고 학생들이 새로운 문제에 어떻게 적용하는지 평가할 수 있게 한다. 학생은 [지도의 서로 다른 부분들을 연결하는 어려움에 겪게 되면서] 그룹 개념 맵을 만들기 위해 팀으로 활동할 필요를 느낄 것이다. 이것은 또한 학생들이 잘못된 생각을 확인하고 토론하고 연결된 개념에 대한 설명을 제공해야 한다. 강사들은 그룹 개념 맵을 평가하기 위한 훈련을 받아야 하며, 일부 점수 매기기 방법에 익숙해질 수 있다(Novaka & Gowin 1984; Ruiz-Primo & Shavelson 1996). 학생들은 또한 과목이나 의과대학 시작시에 개념 맵에 대한 설명을 받아야 할 것이다.

    First, pulling from the concepts of development and materials’ interdependence and then introducing concept maps as a mean to foster positive interdependence and individual accountability could be utilized by teachers. The development of a group concept map permits the students to activate prior knowledge without preparation, allowing educators to truly gauge the degree of preexisting knowledge structures and assess how students apply it to the new problem. The student will need to work as a team to create a group concept map, facing the challenge of connecting the different parts of the map. This also requires the student to identify and discuss misconceptions and provide explanations for the concepts linked. Tutors will need to be trained in evaluating the group concept maps and possibly become familiar with some of the scoring methods (Novak & Gowin 1984; Ruiz-Primo & Shavelson 1996). Students will also need be introduced to concept maps at the beginning of the course or medical school.


    둘째, 코스 전체에 걸쳐 구조화된 공식적인 동료 피드백 활동은 상호의존성의 정도에 관한 귀중한 정보를 제공하고, 그룹 책임성을 창출하며, 사회적 빈둥거림의 발생을 줄일 수 있다. 학생들은 긍정적이거나 부정적인 상호의존성을 설명할 수 있는 상황이나 사건을 기술하기 위한 코멘트를 제공하고 그룹 내에서 개별 구성원의 책임감을 높이는 방법에 대한 세련된tactful 제안을 제공하도록 권장되어야 한다.

    Second, formal peer feedback activities structured throughout the course can provide valuable information about the degree of interdependency, creating group accountability and challenging the occurrence of social loafing. Students should be encouraged to provide comments to describe situations or events that would illustrate positive or negative interdependence and offer tactful suggestions on how to enhance individual members’ accountability within the group.


    셋째, IKC의 개념 내에서 PBL 프로세스를 비계화하고 인지 다양성을 활용하면 새로운 지식을 창출할 수 있다. 환자와 함께 일하는 학생들의 그룹으로 대표되는 [지식 공유 네트워크]는 정보의 흐름을 개방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함으로써, [임상 지식과 경험의 정도가 다른 집단들 간의 통합]과 [임상 지식의 교환]을 유도한다. 이렇게 함으로써 여러 그룹이 협력하여 더 큰 학생 공동체를 형성하고, 필요한 튜터 교수의 수를 감소시킬 수 있다.

    Third, scaffolding the PBL process within concepts of IKC and capitalizing on cognitive diversity allows for the creation of new knowledge. Networks of knowledge sharing, represented by groups of students working with patients, provide an opportunity to open the flow of information, favoring integration and exchange of clinical knowledge across groups with different degrees of clinical knowledge and experience. This application will also allow multiple groups to work together, creating larger communities of students, possibly decreasing the number of tutors needed.


    넷째, 여러 집단에 걸쳐 하이브리드 능력을 가진 의대생을 로테이션 하는 것은 집단적 지식 창조를 촉진해야 한다. [하이브리드 또는 이질적인 능력을 가진 학생]은 특정한 과제를 수행할 수 있지만, [강한 관계적 기술]을 가지고 있고, [집단의 장점을 이해하고, 누가 특정 과제를 수행하는데 가장 적합할 수 있는지 식별할 수 있는 능력]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학생을 고르는 것은 어려운 일일 수 있고, 일부 학생들이 이 역할을 오해할 수도 있다는 것은 명백하다. 그러나, 이러한 학생은 [경험이 풍부한 튜터와 그룹의 학생 구성원의 합의]로 확인할 수 있다. 이 학생은 로테이션하면서 소위 [전문가 협력 학생-교육자 그룹]에 속할 수 있는데, 이 학생들은 가르치는 것에 관심이 있고, 가치를 부여하며, 학습의 협력적인 면을 즐기고, 미래에 의학교육 관련 커리어를 추구할 수도 있다.

    Fourth, rotating a medical student with hybrid abilities across groups should foster collective knowledge creation. The student with hybrid or heterogeneous abilities is able to carry out a specific task yet has strong relational skills, possesses the ability to understand the strengths of the group, to identify who is willing to be helpful in what and who may be best suited to accomplish a specific task. It is obvious that the selection of such person may be challenging and may lead some students to misjudge this role. However, such person could be identified by a consensus of an experienced tutor and student members of the group. The rotating student can be part of a group of so-called expert collaborative student-educators who have an interest in teaching, value and enjoy the collaborative aspect of learning and may pursue a medical education career in the future.


    사회적 빈둥거림은 긍정적인 상호의존성에 대한 위한 실질적인 위협이다. 사회적 빈둥거림은 그룹 구성원의 기여를 확인할 수 없고, 그룹 크기가 크고, 각 그룹 구성원의 성과가 평가되지 않을 때 발생할 가능성이 더 높다. 그러나 개인의 책임감이 높고, 모든 구성원의 책임이 잘 알려져 있고 정의되어 있으며, 보다 중요한 것은 그룹 성과뿐만 아니라 개인 성과도 식별 가능하고, 동료 및 가정교사에 의한 비판단적이고 구체적인 피드백에 의해 형식적으로 평가된다면, 사회적 빈둥거림의 영향은 훨씬 적게 일어날 가능성이 있다(존소).n & Johnson 2009, 2013). 문헌에서 알 수 있듯이, 특히 사회적으로 응집력이 있는 집단의 맥락에서, [적어도 4명의 학생에 의해 제공되는 동료 피드백]은 어느 정도 차이를 만들 수 있고, 궁극적으로 사회적 책임을 강화할 수 있다(Eva 2001).

    Social loafing is a real threat to the creation of positive interdependence and is more likely to occur when contributions from group members are not identifiable, the group size is large and the performance of each group member is not evaluated. However, if individual accountability is high, responsibility of every member is well known and defined, and more importantly individual performance as well as group performance is identifiable and formatively evaluated by nonjudgmental and specific feedback by peers and by tutors, the effect of social loafing is much less likely to happen (Johnson & Johnson 2009, 2013). As shown in the literature, peer feedback, particularly if provided by at least by four students in the context of a group that is socially cohesive, could make some degree of difference, enhancing social responsibility (Eva 2001).


    부정적 사회적 상호의존성 상태에서 일어날 수 있는 경쟁적 학습은 건설적인 경쟁으로 볼 수 있다. 따라서 개인이 집단의 이익을 위해 효과적으로 임무를 완수하도록 장려하는 경쟁을  촉진하고, 자기 가치 강화와 집단의 다른 구성원들을 지원하는 데 기여하는 느낌은 경쟁적 학습을 건설적이고 유용한 과정으로 만드는 요인이다. 

    Competitive learning, which may occur in the setting of negative social interdependency, can be viewed as constructive competition. Therefore, fostering a competition where individuals are encouraged to complete their task effectively for the benefit of the group, enhancement of self-worth and feeling that completing a task contributes to support other members of the group are factors that would make competitive learning a constructive and useful process. 


    PBL에서는 자율학습의 단계가 결정적이다. 학생 혼자서만 종종 행해지는 이 단계는 PBL에서의 그룹 학습과 일치하지 않는 것 같고, 대신에 그룹의 학습을 더욱 자극하기 위한 중요하고 필수적인 단계로 볼 수 있다. 만약 우리가 자기주도학습이 그룹에게 보고하는 기능인 그룹활동에서 비롯되는 단계라는 것을 학습자에게 개념화하고 명확하게 한다면, PBL 과정의 이 단계는 그룹학습, 사회적 상호의존성, 집단지식창출 및 그룹목표의 달성과 복잡하고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는 것으로 보인다. 

    The phase of self-study is a crucial step in PBL. This phase, often conducted by the student alone, seems not be aligned with group learning in PBL and can be viewed instead as a crucial and essential step to further stimulate the learning of the group as well. If we conceptualize and clarify to the learner that self-directed learning is a step that originates from a group activity whose function is to report to the group, then this phase of the PBL process appears to be intricately and closely related to group learning, social interdependence, collective knowledge creation and achievement of group goals. 


    마지막으로 비록 [지식공유와 지식창조]가 자원집약적 과정이지만, [사회협력의 인지적 가치]를 이해하고, [주제나 프로세스에 대한 서로 다른 전문지식을 가진 그룹 간의 상호작용]을 통해 새로운 지식을 창출하는 것은 IKC 프레임워크의 적용을 중요하고 가치있게 만든다.

    Finally, even though knowledge sharing and knowledge creation are resource intensive processes, understanding the cognitive value of social collaboration and creating new knowledge through interaction among groups with different expertise about topics or processes make the applications of IKC framework important and worthwhile.


    Conclusion









    , 38 (2), 189-95
     

    Theoretical Perspectives and Applications of Group Learning in PBL

    Affiliations 

    Affiliations

    • 1a Drexel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USA .
    • 2b Maastricht University , The Netherlands.

    Abstract

    An essential part of problem-based learning (PBL) is group learning. Thus, an in depth understanding of the theoretical underpinnings of group learning in PBL allows educators to bridge theory and practice more effectively thus providing ideas and tools to enhance PBL practices and research. The theory-driven applications examined in this article establish grounds for future research in PBL.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describe and examine two theoretical perspectives of group learning in PBL and their potential applications to improve educational practice. They include: (1) social interdependence theory and the meaning of positive interdependence, (2) socio cognitive theory of networked expertise and the concept of knowledge creation in innovative knowledge communities (IKC). Potential applications include the following: development of instructional material to foster positive interdependency using concept maps; formal and structured use of peer feedback throughout PBL courses to promote individual and group accountability; creation and sharing of new knowledge about different topics within and across IKC; and use of rotating students with hybrid abilities across PBL groups to foster distributed cognition.


    능동적, 평생학습을 촉진하려면 맥락이 중요하다(Med Educ, 2018)

    Context matters when striving to promote active and lifelong learning in medical education

    Joris J Berkhout,1 Esther Helmich,2 PimWTeunissen,3,4 Cees PMvan der Vleuten3 & A Debbie C Jaarsma2





    어디로 가야하지?

    WHERE DO WE STAND?


    30년 전, 에든버러 의대교육 선언문은 세계 의대교육연맹에 의해 발표되었다.1

    Thirty years ago, The Edinburgh Declaration on Medical Education was published by the World Federation for Medical Education.1


    에딘버러 선언문은 우리가 지금 어디에 서있고 어떻게 나아가야 할지에 대해 논한다. 여기서 초점을 둔 권고는 '지금 널리 보급된 튜토리얼 방법에서 자기주도적이고 독립적인 연구 및 자기주도적 방법을 강조하는 방향으로 전환함으로써 평생 학습의 연속성을 확보하라'이다..

    This article discusses where we stand now and how we can proceed, focusing on one of the recommendations: ‘Ensure continuity of learning throughout life by shifting emphasis from the didactic methods so widespread now to self-directed and independent study as well as tutorial methods’.1


    평생학습의 연속성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능동적인 평생학습이 무엇인지, 그것이 수반되는 것이 무엇인지, 평생학습의 발전을 어떻게 육성할 수 있는지를 이해하는 것이 중요하다. 종종 사용되는 평생학습의 정의는 다음과 같다. 

    지속적인 지지적 과정을 통한 인간의 잠재력 발달로서, 평생학습은 개개인이 삶을 살아나가며 필요로 할 지식, 가치, 기술 그리고 이해를 얻을 수 있도록 자극하고 힘을 준다empower. 또한 개개인은 그렇게 배운 것을 [모든 역할, 환경, 환경]에서 [자신감, 창조성, 그리고 즐거움]을 가지고 적용할 수 있을 것이다.

    To ensure continuity in lifelong learning, it is important to understand what active lifelong learning is, what it entails, and how one can foster the development of lifelong learning. A definition often used to describe lifelong learning is: 

    ‘the development of human potential through a continuously supportive process which stimulates and empowers individuals to acquire the knowledge, values and skills and understanding they will require throughout their lifetimes and apply them with confidence, creativity, and enjoyment in all roles, circumstances, and environment.’2


    평생학습자는 다양한 환경과 맥락에서 언제나 자신의 학습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것이 필수적이다.3 이는 평생학습이 상당부분 개인의 책임임을 시사하는 대목이다. 그러나 능동적인 평생학습이 오직 개인적이고 인지적이며 과정이라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반대로 학습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것은 사람과 맥락에 모두 영향을 받는 과정이다.4

    it is imperative for a lifelong learner to always actively engage in one’s own learning in different circumstances and contexts.3 This implies that lifelong learning is a great responsibility for the individual. However, it does not imply that active lifelong learning is a solely individual, cognitive, process. On the contrary, actively engaging in learning is a process influenced by both person and context.4


    컨텍스트에서 학습

    LEARNING IN CONTEXT


    [인간이 경험으로부터 지식과 의미를 형성한다]는 의미를 지닌 학습에 관한 [구성주의적 이론]에 따라, 우리는 맥락을 다음과 같이 정의할 수 있다: 활동에서 발생하는 물체나 활동들 사이의 간헐적이고 관계적인 속성, 그리고 그 특징들이 역동적으로 정의되는 것. 따라서 맥락은 사람들이 어떤 맥락에서 하는 일, 맥락에서 사람들이 갖는 역할, 대인 관계, 그리고 학습자들이 배우는 물리적 맥락을 포함한다. 그 결과, 맥락은 정적이지 않으며, 유연하고, 창발적이며, 역동적이며, 변화하고, 개인에 의해 다르게 해석될 수 있다.7,8 이것은 서로 다른 맥락에 따라 학습자들이 능동적 학습에 매우 다른 방식으로 관여engage하게 되는 있는 이유이다. 학습자가 능동적인 학습에 어떻게 참여하느냐가 결국 다시 맥락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9

    Following a constructivist theory on learning, meaning that humans construct knowledge and meaning from their experiences, we can define context to be: an occasional, relational property between objects or activities that arises from activity and which features are defined dynamically.6 Therefore context includes what people do in a context, the roles that people have in a context,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nd the physical context in which learners learn. This results in a context that is not static but rather flexible, emergent, dynamic and changing, and can be interpreted differently by individuals.7,8 This explains why learners in different contexts may engage in active learning very differently. How learners engage in active learning will in turn also effect their contexts.9


    • 예를 들어, 최근의 경험적 연구에서, 한 의대생은 임상 병동에서 유일한 학생이 되는 것이 어떻게 그의 능동적 학습에 도움이 되는지 설명했다. 왜냐하면 그것은 의도적으로 학습 기회를 선택할 자유가 생겼기 때문이다. 

    • 이와는 대조적으로, 다른 의대생은 병동에서 유일한 학생이 되는 경우, 다른 학생들과 대화할 수 있는 가능성이 없기 때문에 학습 기회를 제한받는다고 느꼈다.

    For example, in a recent empirical study, one medical student explained how being the sole student in the context of a clinical ward was beneficial for his active learning because it allowed freedom in deliberately choosing learning opportunities. By contrast, another medical student felt that being the sole student on a ward limited her learning opportunities because there were no possibilities to talk to other students, which was one of her main strategies for learning in a clinical ward.7


    의학교육에서 자기조절적 평생학습

    SELF-REGULATED LIFELONG LEARNING IN MEDICAL EDUCATION


    임상진료 전

    Entry to practice


    에든버러 선언 이후 30년 동안 우리는 학습자들이 교실 맥락에서 자신의 학습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도록 하는 방법에 대해 많은 것을 배웠다.10 이것의 대표적인 예는 학습을 자기 주도적, 상황적, 건설적, 협력적 과정으로 강조하는 문제 기반 학습(PBL)에 관한 방대한 양의 연구다.11–14

    In the 30 years since the Edinburgh Declaration, we have learned a lot about how to facilitate learners to actively engage in their own learning in classroom contexts.10 A prime example of this is the vast amount of research regarding problem-based learning (PBL), which emphasises learning as being a self-directed, contextual, constructive and collaborative process.11–14


    최근에는 팀 기반 학습(TBL)이 주목을 받고 있다. TBL에 관한 연구도 학생 스스로의 교육에 높은 참여도를 보이고 있으며, 소그룹과 대그룹 학습의 일정한 측면을 결합하고 있어 교직원의 시간이 적게 소요된다.16–19

    More recently, team-based learning (TBL) has been gaining attention. Studies on TBL also show high student engagement in their own education, and it requires less time from faculty members as it combines certain aspects of small- and large-group learning.16–19


    강의실 학습과는 대조적으로, 학습만을 목적으로 설계된 맥락이 아닌 곳(예컨대 임상현장)에서 평생학습을 위한 능동적 참여를 촉진하는 방법에 대해서는 거의 알려져 있지 않다.20,21 그러나 의학 교육의 주요 부분이 임상맥락 안에서 일어나고, 본질적으로 임상현장은 능동적 학습을 위해 만들어진 곳이 아니기 때문에 중요하다.또한,  임상맥락에서 평생 학습에 능동적으로 참여하려면 강의실과는 다른 학습 전략이 필요하다.

    By contrast with classroom learning, little is known about how to facilitate active engagement in lifelong learning in contexts other than those dedicated to learning, for instance the clinical workplace.20,21 This is important because a major part of medical education happens within clinical contexts and those are not intrinsically suited for active learning.22 Additionally, active engagement in lifelong learning in clinical contexts requires modified learning strategies compared with classroom contexts.7


    따라서 임상적 맥락은 환자 관리, 신체적 환경, 시니어 스태프 및 기타 의료 전문가의 감독, 학습자가 등록되고 동료가 참여하는 커리큘럼에 의해 형성된다.5

    The clinical context is therefore also shaped by: the care of patients, physical settings, supervision from senior staff members and other health care professionals, the curriculum in which learners are enrolled and peers involved.5


    Table 1 Key theories and definitions


    성취목표이론76 Achievement goal theory76 


    성취목표이론은 개인이 과제를 추구하는 목적이나 이유의 문제와 그들이 업무의 능력이나 성공을 평가하는 데 사용하는 기준이나 기준의 문제를 다룬다. '목표 지향goal orientation'이라는 용어는 성취목표가 단순한 목표나 보다 일반적인 목표가 아니라는 생각을 나타내기 위해 사용된다. 그보다는 '목표 지향'이라는 용어는 목적, 역량, 성공, 능력, 노력, 오류 및 표준에 관한 많은 관련 신념을 포함하는 과업task에 대한 일반적인 지향을 나타낸다.

    Achievement goal theory addresses the issue of the purpose of or reason why an individual pursues a task as well as the standards or criteria they use to evaluate their competence or success in the task. The term ‘goal orientation’ is used to represent the idea that achievement goals are not just simple target goals or more general goals, but represent a general orientation to tasks that includes a number of related beliefs about purposes, competence, success, ability, effort, errors and standards.


    Learning100에 대한 구성주의 이론 

    Constructivist theory on learning100 


    학습에 관한 구성주의 이론은 학습이 [주위 환경과 물리사회 세계와 상호작용하는 능동적 학습자]에 의한 [해석적, 재귀적, 비선형적 구성 과정]임을 시사한다. 그것은 단순히 생각의 구조와 단계를 특징짓거나 강화를 통해 배운 행동을 격리시키는 것이 아니라 구조, 언어, 활동 및 의미가 어떻게 생겨나는지를 기술한다.

    Constructivist theories on learning suggest that learning is an interpretive, recursive, nonlinear building process by active learners interacting with their surroundings, and the physical and social world. It describes how structures, language, activity and meaning making come about, rather than simply characterising the structure and stages of thought, or isolating behaviours learned through reinforcement.


    자기결정론

    Self-determination theory71,72 


    자기결정론(SDT)은 사람들이 외부의 영향력과 간섭 없이 무언가를 선택하는 동기와 관련이 있다. SDT는 개인의 행동이 자기 동기부여되고 자기 결정되는 정도에 초점을 맞춘다. 자기 결정에는 능력, 자율성, 심리적 관련성 등 세 가지 주요 본질적 욕구의 충족이 요구된다.

    Self-determination theory (SDT) is concerned with the motivation behind choices people make without external influence and interference. SDT focuses on the degree to which an individual’s behaviour is self-motivated and self-determined. The fulfillment of three main intrinsic needs is required for self-determination: competence, autonomy and psychological relatedness.


    자기조절학습

    Self-regulated learning101,102 


    자기조절학습은 학습자가 [정보 획득, 전문성 확대 및 자기 계발]을 목표로 자신의 행동을 [감시, 지시, 조절]하는 [자율성과 통제]를 강조한다. 자기조절적 학습자들은 자신의 학업적 강점과 약점을 알고 있으며, 학업적 과제의 일상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적절히 적용하는 전략의 레퍼토리를 가지고 있다.

    Self-regulated learning emphasises autonomy and control by a learner who monitors, directs and regulates actions toward goals of information acquisition, expanding expertise and self-improvement. Self-regulated learners are aware of their academic strengths and weaknesses, and they have a repertoire of strategies they appropriately apply to tackle the day-to-day challenges of academic tasks.


    상황 학습

    Situated learning44 


    상황학습 이론은 [개인이 어떻게 전문적인 기술을 습득]하고 [어떻게 합법적인 주변부 참여가 어떻게 실천공동체의 구성원 자격에 이르게 하는지]를 설명한다. '학습과 그것이 일어나는 사회적 상황 사이의 관계를 중점적으로 다룬다.'

    Situated learning theory describes how individuals acquire professional skills and how legitimate peripheral participation leads to membership in a community of practice. Situated learning ‘takes as its focus the relationship between learning and the social situation in which it occurs’.


    근무지 어포던스

    Workplace affordances65 


    근무지 어포던스는 [직장에서 학습이 어떻게 진행되는지], [작업장이 어떻게 학습 기회를 제공하는지] 및 [개인이 어떻게 작업 활동에 참여하도록 elect 하는지] 등의 요소에 대한 것이다. 개인이 작업 활동에 참여하고 지원을 받을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할 수 있는 readiness of the workplace는 작업장에서 학습의 질을 결정짓는 중요한 요인이다.

    Workplace affordances identifies factors that shape how learning proceeds in workplaces, how workplaces afford opportunities for learning and how individuals elect to engage in work activities. The readiness of the workplace to afford opportunities for individuals to engage in work activities and access support is a key determinant of the quality of learning in workplaces.



    자기조절학습

    Self-regulated learning


    SRL에 대해 광범위하게 사용되는 정의는 '자기조절학습은 원하는 성취 수준에 도달하기 위해 학습 경험 전반에 걸쳐 정서적, 인지적 및 행동적 프로세스를 변조하는 것이다'이다.34

    A widely used definition of SRL, overarching separate but related theories, is that: ‘Self-regulated learning is the modulation of affective, cognitive and behavioral processes throughout a learning experience to reach a desired level of achievement’.34


    SRL은 다음과 같이 분류할 수 있는 다양한 조절 프로세스로 구성되어있다.

      • 조절 에이전트(목표 설정), 

      • 조절 메커니즘(계획, 모니터링, 변형, 주의, 학습 전략, 지속성, 시간 관리, 환경 구조, 도움 추구, 동기 부여, 감정 제어 및 노력) 

      • 조절 평가(자기 평가, 귀속 및 자기 효과).34

    SRL consists of various regulatory processes, which can be categorised as: 

      • regulatory agents (goal setting), 

      • regulatory mechanisms (planning, monitoring, metacognition, attention, learning strategies, persistence, time management, environmental structuring, help-seeking, motivation, emotion control and effort) and 

      • regulatory appraisals (self-evaluation, attributions and self-efficacy).34


    전통적으로, 이것은 질서 있고 순환적인 인지 과정으로 이론화되었다.

    it is helpful to use multiple theories to study active learning


    그러나 SRL 연구에서의 최근 연구결과는 SRL 프로세스가 순전히 개별적인 것이 아니라 상황에 크게 의존하고 있기 때문에 SRL은 이와 같이 보아야 한다고 주장한다. (초창기의) SRL 이론은 [학습자가 스스로 많은 목표를 결정해야 하는 평생학습과는 달리] 학습자를 위해 어떤 목표가 이미 정해진 상황에서 비롯되었다.39 그러나 자기조절학습에 필요한 대부분의 기술 또한 효과적인 평생학습에 필수적이다. 

    Traditionally, this was theorised as an orderly, cyclical (meta)cognitive process. However, recent findings in SRL research advocate that SRL processes are not purely individual, but also highly dependent on context and therefore SRL should be regarded as such.34–38 SRL theories originated from settings in which certain goals are set for the learner, by contrast with lifelong learning where learners must determine many goals themselves.39 However, the vast majority of skills required for self-regulated learning are also vital for effective lifelong learning.3,39,40


    사용된 주요 이론은 표 1에 정의되고 요약된다.

    The key theories used are defined and summarised in Table 1.


    자기조절학습은 전통적으로 목표 설정에 의해 시작된 계획되고 질서 있고 순환적이며 (메타) 인지 과정으로 간주된다. 그러나 SRL(과정)의 일부는 기회적이며, 변화무쌍한 상황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7 이것은 임상실습을 하는 있는 의대생들에게 있어서, 학생들이 자기조절하고 평생 학습에 참여하는 방법에 대한 스펙트럼이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 스펙트럼의 한쪽 끝에는 학습자가 스스로 설정한 목표에 의해 시작되는 전통적, 계획적, 순환적 자기조절 학습이 있다. 

      • 스펙트럼의 다른 쪽 끝에는 자신을 갑자기 등장한 학습 활동에 반응하여 시작되는 '반응형' 자기조절 평생학습이 있다.

    Self-regulated learning is traditionally regarded as a planned, orderly, cyclical, (meta)cognitive process initiated by goal setting. However, part of SRL can be opportunistic and reactive to the ever-changing context it takes place in.7 This means that for medical students in a clerkship, there is a spectrum of how students engage themselves in self-regulated, lifelong learning. 

      • At one end of the spectrum there is traditional, planned, cyclical self-regulated learning, initiated by the goals of a learner. 

      • At the other end of the spectrum there is a reactive form of self-regulated, lifelong learning that is initiated by reacting to opportunistic learning activities that present themselves.


    학습자가 자신의 학습을 어떻게 자율적으로 통제하는지에 영향을 미치는 가장 중요한 요소 중 하나는 다른 사람과의 관계다. 사회적 상호작용은 적어도 임상실습 수준의 의대생들에게 중요한 영향을 끼친다. 학생들의 SRL 전략은 질문을 하거나 피드백을 요청하거나 학습 목표를 논의하는 것을 매우 자주 포함하기 때문이다.

    One of the most important elements influencing how learners self-regulate their learning is relationships with others7,8,22 Social interactions have, at least for medical students at the clerkship level, proved to be important influences because students’ SRL strategies very frequently involve asking questions, asking for feedback or discussing learning goals8,42


    학생들이 자신의 SRL에 동원하는 사람은 소셜 네트워크에 의존하는데, 임상적 맥락에서 이 네트워크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확장되고 변화할 수 있다.8 임상적 맥락에 익숙하지 않은 학생들은 [사회적 자본이 상대적으로 제한적일 수 있고, 어떤 맥락에서는 자신의 역할에 대해 불안감을 느낄 수 있기 때문에] 소수의 사람만 SRL에 포함시킬involve 수 있다.43 이것은 그 학생들이 [자신의 학습 목표가 무엇이고, 그러한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사용할 수 있는 전략]에 대해 소수의 사람들과만 상호작용을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리고 이 학생들은 소수의 사람들로부터만 피드백을 수집하여 그들의 진행 상황을 성찰한다.

    Who students involve in their SRL depends on their social network, and in a clinical context this network can expand and change over time.8 Students who are new to a clinical context may have relatively limited social capital and involve only a few people in their SRL because they can feel insecure about their role in a certain context.43 This means they only interact with a few people regarding what their learning goals could be and what strategies they could use to achieve those goals, and gather feedback from these few people to self-reflect on their progress.


    반면에 더 경험이 많은 학생들은 종종 더 큰 사회적 네트워크를 가지고 있고, 따라서 한 사람이 그들의 SRL에 미치는 영향은 더 작다. 그러므로 더 경험이 많은 학생들은 최적의 학습 환경에서 더 회복력이 있으며 전환에 더 잘 대처할 수 있다.

    More experienced students on the other hand often have a larger social network and therefore the influence a single person has on their SRL is smaller. More experienced students are therefore more resilient in suboptimal learning contexts and can better cope with transitions.


    상황학습

    Situated learning


    사회적 관계가 임상맥락에서 의대생의 SRL에서 매우 중요한 이슈라는 것은 상황학습 개념을 사용하여 이해할 수도 있다. 이 개념은 학습자가 실천공동체에 합법적인 주변부 참여LPP를 통해 workplace에서 배우는 방법을 설명한다. 점차 의미 있는 활동을 시작함으로써 수련자들은 의사처럼 생각하고 행동하고 느끼는 법을 배운다. 이 과정 동안, 그들은 임상 실험 공동체의 완전한 구성원이 되고 일상 활동에 협력할 것이다.

    That social relationships are such an important issue in medical students’ SRL in clinical contexts can also be understood using situated learning concepts.44,45 This notion describes how learners learn in the workplace through legitimate peripheral participation in a community of practice. By gradually taking up meaningful activities, trainees learn to think, act and feel like doctors. During this process, they will become full members of a clinical community of practice and collaborate in daily activities.46,47


    임상맥락에 익숙하지 않은 학습자들은 적어도 부분적으로라도 자신의 전문적 정체성을 형성하는 과정에 있기 때문에 자신을 관리manage하기 위해 적극적으로 투쟁struggle하고 있다.48,49

    Learners who are new to a clinical context are in an active struggle to manage themselves, at least partially, because they are in the process of constructing their professional identities in that context.48,49


    학습자들은 미래의 의사처럼 생각하고 행동하고 느끼고, 학문과 좋은 의사가 되는 것이 무엇이라고 믿는지를 결정함으로써, 자신이 임상 공동체의 소중한 일원이라고 느껴야 한다. 따라서 학습자가 임상맥락에서 효과적인 SRL을 하도록 돕기 위해서는 [학습이 무엇이며] [임상적 맥락에서 효과적인 학습 전략이 무엇인지] 이해하도록 돕고, 학습자가 [자신이 어떤 종류의 전문적 정체성을 개발하고자 하는지]에 대한 명확한 생각을 만들어내는 데 도움을 주는 것으로 시작해야 한다.

    Learners need to feel like a valuable member of a clinical community, by thinking, acting and feeling like a future doctor, and deciding what they believe it is to be an academic and a good doctor. Therefore, helping learners to engage in effective SRL in a clinical context begins with helping them to understand what learning is and what effective learning strategies are in a clinical context, and helping learners create a clear idea of what kind of professional identity they want to develop.


    건설적인 학습 환경은 필수적이며, 학습자들은 전문직업적 사회화에 참여engage할 필요가 있으며, 사회적 상호작용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전문직업적 관계형성이 촉진될 필요가 있다. 전문적인 관계를 형성하려면 [시간]과 [환자 치료에 참여할 수 있는 기회]가 필요하다.22 따라서 우리는 학습자를 과 간에 너무 자주 로테이션시키지 않고, 안전한 학습 환경을 조성하여 그들이 특정한 맥락에서 전문적인 관계를 발전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고 제안한다.

    a constructive learning climate is essential, and learners need to be engaged in professional socialisation, and the formation of professional relationships to facilitate social interactions needs to be stimulated.46,50,51 Forming professional relationships requires time and the possibility to participate in patient care.22 We suggest that it is therefore highly important to foster a safe learning environment, without rotating learners between departments too often, to enable them to develop professional relationships in a certain context.


    따라서, 상황학습은 통합임상실습(LIC)에 대한 사례를 강화한다.

    Situated learning therefore strengthens the case for longitudinally integrated clerkships (LICs),


    LIC에 대한 연구는 또한 학생과 직원 간의 더 깊은 관계를 보고하고, 아이덴티티 개발 과정을 지원하고, 팀에 더 적극적으로 참여하며, 더 나은 학습 성과를 보여 주었다.

    Research regarding LICs has also shown benefits in practice, reporting deeper relationships between students and staff, supporting the identity development process, more active involvement in a team, and better learning outcomes.52–56


    학습자의 SRL 참여에 대한 통찰력을 얻기 위한 멘토링, 매핑, [SRL 마이크로 분석 프로토콜 사용] 등은 학습자의 요구에 대한 통찰력을 제공할 수 있으며, 이는 어려움을 겪고 있는 학습자에게 특히 중요하다. 이러한 지식을 활용하여 임상 학습의 시작부터 일반적으로 시간이 지남에 따라 지원이 감소(단일 사무직 내 및 커리큘럼 전반에 걸쳐)하는 형태의 co-regulated learning에 참여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Mentoring, mapping and using microanalysis protocols to gain an insight into learners’ current engagement in SRL may provide insight into the needs of learners, which may prove to be especially important for learners who are struggling.57–63 Using this knowledge to engage in a form of co-regulated learning from the onset of clinical learning, with generally decreasing support over time (both within a single clerkship and throughout the curriculum), seems promising.37,64


    근무지 어포던스

    Workplace affordances


    근무지 어포던스는 WP에서의 [참여 기회]와 [invitational한 특성]을 의미한다.65 근무지 어포던스는 학습자가 쉽게 이용할 수 있는 기회, 학습자가 기회를 창출할 수 있는 가능성, 교육 방식teaching practice을 포함한다.

    Workplace affordances describe the engagement opportunities and invitational qualities of the workplace.65 Workplace affordances include readily available opportunities for learners, possibilities for a learner to create opportunities, and teaching practices.


    근무지 어포던스의 측면에서, [기회]는 임상맥락에서 SRL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 [학습자 주체성agency]은 임상적 맥락에서 학습자의 [학습 기회]를 위해 중요하며, 다시 한 번 개인과 상황 사이의 상호작용을 강조한다. [학습자 주체성]은 학습 기회를 요구하거나, 자신을 옹호함advocate으로써 근무지 어포더스를 창출할 수 있다.

    Similar to workplace affordances, opportunities are an important influence on SRL in a clinical context. learner agency is important for a learner’s learning opportunities in a clinical context, once again emphasising the interplay between individual and context.67 Learner agency can create workplace affordances by asking for learning opportunities or by advocating for yourself.67


    근무지 어포던스는 [활동, 아티팩트, 도구, 목적, 목표, 절차, 가치 및 컨텍스트 규범과 상호작용하는 학습자]로부터 영향을 받는다.69 마찬가지로, [학습자에 의한 영향]은 학생의 SRL에 영향을 주기 위해 [임상적 맥락과 학생이 상호작용]하는 중요한 측면으로 입증되었다.

    Workplace affordances are influenced by learners interacting with activities, artefacts, tools, aims, goals, procedures, values and norms of a context.69 Similarly, these influences proved to be important aspects of how a clinical context and students can interact to influence students’ SRL.4,7,37


    자기결정

    Self-determination


    자율성을 서포트하게 되면 자기 결정과 내적 동기를 촉진할 수 있다. 자율성은 또한 임상적 맥락에서 SRL 참여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소로서 많은 연구에서 학생들이 임상적 맥락에서 배우려면 임상 팀의 진정한 일원처럼 느껴져야 한다고 강조해 왔다. 이것들은 관계성과 자기효능감에 대한 궁극적인 요구가 드러난 것이라고 볼 수도 있다. 이처럼, 관계성에 대한 요구는 SRL 이론에서 설명한 적이 없지만, 자기결정 이론과 결합하면 이치에 맞는다.

    supporting autonomy can foster self-determination and intrinsic motivation. Autonomy is also a major factor influencing engagement in SRL in a clinical context and many studies have highlighted that students need to feel like a true member of a clinical team to learn in a clinical context.9,22,47,54,73–75 These can be considered to be the appearances of an ultimate need for a feeling of relatedness and self-efficacy. Such a need for relatedness has never been described in SRL theories, but makes sense when combined with self-determination theory.


    SRL과 마찬가지로 관계성은 맥락과 불가분의 관계에 있다. 왜냐하면 관계성을 느끼려면 다른 사람들이 존재해야 하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또한 자기결정론적인 관점에서 보면 적극적인 학습을 지원하는 데 있어서 맥락이 중요하다.

    Just like SRL, relatedness is inextricably linked to context, because to have a sense of relatedness other people need to be present. Therefore, also from a self-determination theory viewpoint, context matters in supporting active learning.


    성취목표

    Achievement goals


    성취 목표 이론은 학습자가 SRL에서 스스로 설정한 목표가 무엇인지에 대한 통찰력을 제공한다. [학습자가 특정한 목표를 위해 일work 하기로 결정한 이유는 무엇일지], [왜 학습자가 커리큘럼의 목표보다는 자신의 목표를 추구함으로써 더 나은 결과를 기대할 수 있는지]를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되기 때문이다.

    Achievement goal theory gives insight into what goals learners set for themselves in SRL, because it helps in understanding why learners may decide to work on specific goals and why they may expect better results from pursuing some of their own goals, rather than those of a curriculum.76,77


    학습 지향적인 목표는 탁월함을 달성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Learning-oriented goals aim for achieving excellence. 


    성과 지향적 목표는 이론마다 다르게 분류되지만, 일반적으로

      • 좋은 인상을 주는 것을 목표로 한다(목표 지향성, 성과 접근 목표 지향성). 

      • 무능한 것처럼 보이지 않도록 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목표 지향, 성과 회피 지향). 

      • 수행의 동기가 내면적일 수도 있고(상대 능력 목표 지향) 

      • 수행의 동기가 외부적일 수도 있고(외부 목표 지향).

    Performance-oriented goals are classified differently in various theories, but generally can 

      • aim to make a good impression (proving goal orientation; performance-approach goal orientation), 

      • aim to avoid looking incompetent (avoiding goal orientation; performance-avoid orientation), 

      • be intrinsically driven to perform (relative ability goal orientation) 

      • or extrinsically driven to perform (extrinsic goal orientation).76–81


      • 학습 지향적인 목표를 지향하는 학습자들은 가장 적응적인 학습 행동, 더 높은 자기 규제, 더 높은 자기 효율 그리고 더 나은 성과를 보여주었다. 

      • 상대적 능력 목표를 설정한 학습자들은 또한 적응적 학습 행동, 높은 자기 규제, 높은 자기 효율 그리고 좋은 성과를 보여준다. 

      • 부적 목표를 가진 학습자들은 부적응 학습 행동, 낮은 자기 규제, 낮은 자기 효율, 낮은 성과를 보여주었다.81

      • Learners aiming for learning- oriented goals showed most adaptive learning behaviour, higher self-regulation, higher self-efficacy and better performance. 

      • Learners who set relative ability goals also show adaptive learning behaviour, high self-regulation, high self-efficacy and good performance. 

      • Learners with extrinsic goals showed maladaptive learning behaviour, low self-regulation, low self-efficacy and lower performance.81


    학습자가 다른 사람보다 열등하게 보이는 것을 두려워하고 지속적으로 자신을 증명해야 하는 것을 두려워하게 되면 후속 SRL과 능동적인 학습 결과에 해가 될 수 있기 때문에 여기서 다시 한번 사회적 관계가 중요할 수 있다.

    social relationships once again may be key here because having learners be afraid to appear inferior to others and continuously having to prove themselves, is likely to be detrimental for subsequent SRL and active learning outcomes.82


    직업훈련 단계

    Vocational training phase


    직업훈련에서 능동적인 평생학습 지원법을 연구하는 문헌이 학부 의대교육에 비해 풍부하지는 않지만, 능동적 교육방법이 의사의 수행과 환자의 건강을 바꾸는 데 효과적이라는 증거는 확실히 있다.

    Even though the literature studying how to support active lifelong learning in vocational training is less abundant than for undergraduate medical education, there is certainly evidence that active educational methods are effective in changing doctors’ performance and patients’ health.84


    임상적 맥락에서 전공의의 능동적 학습에 대한 여러 연구는 의대생들과 마찬가지로 능력과 자율성을 기르기 위해 학습 기회를 비계화하는 것의 중요성을 강조해왔다. 다른 연구들도 유사한 결과를 보여준다.

      • 임상적 맥락에서 전공의의 능동적 학습이 계획적 학습과 사후 대응적 학습 모두에 따라 어떻게 변화하는지

      • 다른 사람(예: 환자)의 질문이 능동적 학습에서 어떻게 목표 설정을 위한 강력한 동기 부여자가 되는지

      • 개별화된 학습 계획이 능동적 학습을 지원하는 어떻게 도움이 되는지

    Multiple studies on residents’ active learning in clinical contexts have highlighted the importance of scaffolding their learning opportunities to foster their feelings of competence and autonomy, similar to medical students.91,92 Other studies have shown additional similarities, such as 

      • how residents’ active learning in clinical contexts also varies to include both planned and reactive learning,93 

      • how questions of others (such as the patient) may be strong motivators for goal setting in active learning,94 and 

      • how individualised learning plans may be helpful to support active learning.94


    이 학습을 가이드하기 위하여, 직업 훈련 커리큘럼은 평생 학습 활동을 계획하기 위해 역량 프레임워크를 자주 사용해 왔다.95 그러나 직업 훈련의 학습자들은 이에 고군분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직업훈련의 학습자들은 자기조절 평생학습이 얼마나 값진지를 이해하면서도 자신의 학습을 관리할 수 있는 기술이 부족함을 경험했으며, 전통적인 교사 중심의 접근법을 더욱 중시할 것이라고 보고했다. 이렇게 되는 이유는 학부 교육의 상당 부분이 교사 중심일 가능성이 높고 학습자들이 이에 따라 자신의 학습 전략을 조정했기 때문이라고 이해할 수 있다. 또한, 학습자들은 환자 관리와 학습이 서로 상충하는 목표라고 느낄 수 있다.96

    To guide this learning, vocational training curricula have often been using competency frameworks to plan lifelong learning activities.95 However, learners in vocational training are known to struggle with this.96,97 Learners in vocational training reported understanding how valuable self-regulated lifelong learning is, but experienced a lack of skills to manage their own learning, and would value more traditional teacher-centred approaches.96 This is understandable because much of their undergraduate education was likely to be teacher centered and learners have adjusted their own learning strategies to this. Additionally, learners may feel that patient care and learning are competing priorities.96


    그러나 보다 최근의 연구들은 학부 교육과정에서 보다 적극적이고, 자율적이며, 학습자 중심적으로 만들기 위한 노력들이 대학원 학습에도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However, more recent studies indicate that the efforts to make undergraduate medical education more active, self-regulated and learner centred are also having an effect on postgraduate learning.


    직업훈련의 가장 최근의 혁신 중 하나는 위탁 가능한 직업활동(EPA)의 도입이었다. EPA는 '교육자가 충분한 특정 역량을 획득한 후 감독되지 않은 수행에 맡길 업무나 책임으로 정의되는 전문적 실천요강 단위'이다.99

    One of the most recent innovations in vocational training has been the introduction of entrustable professional activities (EPAs). EPAs are ‘units of professional practice, defined as tasks or responsibilities to be entrusted to the unsupervised execution by a trainee once he or she has attained sufficient specific competence’.99


    EPA는 좀 더 유연하고 개별화된 커리큘럼을 달성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으며, 또한 연습생에게 위탁할 수 있고 능력 있는 것으로 입증된 특정 직무에 대한 모든 책임을 부여할 수 있다. 자기결정 이론의 관점에서 보면, EPA의 시행은 competence 와 autonomy를 키울 수 있기 때문에 적극적인 학습을 향상시킬 가능성이 있다.

    EPAs aim to achieve a more flexible, individualised curriculum, but also allow for granting trainees full responsibility for specific tasks they have proven to be entrustable and competent in.70 From a self-determination theory point-of-view, the implementation of EPAs is also likely to improve active learning as it may nourish feelings of competence and autonomy.


    CPD 단계

    Continuing professional development


    임상적 맥락에서 의사들의 적극적인 평생 학습을 촉진하는 방법을 이해하기 위해 특별히 목표로 한 연구는 거의 없다.

    There is very little research that has specifically been aimed towards understanding how to facilitate doctors’ active lifelong learning in clinical contexts.


    지속적인 전문성 개발에서 능동적인 평생 학습이 더 많은 연구를 필요로 하는 분야로 남아있지만, 이용할 수 있는 제한된 증거는 그것이 여전히 임상적 맥락에서 훈련 중인 학습자들과 크게 다르지 않을 수 있다고 우리를 믿게 한다.

    Even though active lifelong learning in continuing professional development remains an area that requires further study, the limited evidence available leads us to believe it may not be very different from learners still in training in a clinical context.


    결론

    CONCLUSION


    의학 교육은 '지금 널리 퍼져 있는 교육적 방법에서 자습적 방법뿐만 아니라 자기주도적이고 독립적인 연구로 강조점을 전환함으로써 평생 학습의 연속성을 강화하는' 데 있어서 엄청난 진전을 이루었다.

    Medical education has made tremendous progress in ‘ensuring continuity of learning throughout life by shifting emphasis from the didactic methods so widespread now to self-directed and independent study as well as tutorial methods’.1


    임상적 맥락(학부 학습, 직업 훈련 및 지속적인 프로페셔널 개발 포함)에서 능동적 학습에 관한 연구에서 반복적으로 발생하는 한 가지 문제는 능동적 및 평생적 학습에 대한 사회적 상호작용이 얼마나 유익한가 하는 점이며, [연습생과 전문가 간의 학습]에 대한 논의가 촉진되어야 할 것이다.

    One issue that repeatedly arises from studies regarding active learning in clinical contexts, including undergraduate learning, vocational training and continuing professional development, is how beneficial social interaction is for active and lifelong learning, and that discussions about learning between trainees and professionals should be stimulated.


    1 World Federation for Medical Education. The Edinburgh declaration. Med Educ 1988;22 (5):481–2.


    5 Ellaway RH, Bates J. Exploring patterns and pattern languages of medical education. Med Educ 2015;49 (12):1189–96.


    7 Berkhout JJ, Helmich E, Teunissen PW, van den Berg JW, van der Vleuten CPM, Jaarsma ADC. Exploring the factors influencing clinical students’ self-regulated learning. Med Educ 2015;49 (6):589– 600.


    8 Berkhout JJ, Helmich E, Teunissen PW, van der Vleuten CPM, Jaarsma ADC. How clinical medical students perceive others to influence their self- regulated learning. Med Educ 2017;51 (3):269–79.


    58 Patel R, Sandars J, Carr S. Clinical diagnostic decision-making in real life contexts: a trans- theoretical approach for teaching: AMEE Guide No. 95. Med Teach 2015;37 (3):211–27.


    59 Patel R, Tarrant C, Bonas S, Yates J, Sandars J. The struggling student: a thematic analysis from the self- regulated learning perspective. Med Educ 2015;49 (4):417–26.






    , 52 (1), 34-44
     

    Context Matters When Striving to Promote Active and Lifelong Learning in Medical Education

    Affiliations 

    Affiliations

    • 1Center for Evidence-Based Education, Academic Medical Center (AMC-UvA), University of Amsterdam, Amsterdam, The Netherlands.
    • 2Center for Research and Innovation in Medical Education, University Medical Center Groningen, University of Groningen, Groningen, The Netherlands.
    • 3Department of Educational Development and Research, Faculty of Health, Medicine and Life Sciences, Maastricht University, Maastricht, The Netherlands.
    • 4Department of Obstetrics and Gynecology, VU University Medical Center, VU University Amsterdam, Amsterdam, The Netherlands.

    Abstract

    WHERE DO WE STAND NOW?: In the 30 years that have passed since The Edinburgh Declaration on Medical Education, we have made tremendous progress in research on fostering 'self-directed and independent study' as propagated in this declaration, of which one prime example is research carried out on problem-based learning. However, a large portion of medical education happens outside of classrooms, in authentic clinical contexts. Therefore, this article discusses recent developments in research regarding fostering active learning in clinical contexts.

    Self-regulated, lifelong learning in medical education: Clinical contexts are much more complex and flexible than classrooms, and therefore require a modified approach when fostering active learning. Recent efforts have been increasingly focused on understanding the more complex subject of supporting active learning in clinical contexts. One way of doing this is by using theory regarding self-regulated learning (SRL), as well as situated learning, workplace affordances, self-determination theory and achievement goal theory. Combining these different perspectives provides a holistic view of active learning in clinical contexts. ENTRY TO PRACTICE, VOCATIONAL TRAINING AND CONTINUING PROFESSIONAL DEVELOPMENT: Research on SRL in clinical contexts has mostly focused on the undergraduate setting, showing that active learning in clinical contexts requires not only proficiency in metacognition and SRL, but also in reactive, opportunistic learning. These studies have also made us aware of the large influence one's social environment has on SRL, the importance of professional relationships for learners, and the role of identity development in learning in clinical contexts. Additionally, research regarding postgraduate lifelong learning also highlights the importance of learners interacting about learning in clinical contexts, as well as the difficulties that clinical contexts may pose for lifelong learning. However, stimulating self-regulated learning in undergraduate medical education may also make postgraduate lifelong learning easier for learners in clinical contexts.

    의학교육에서 4C/ID: 어떻게 전-과제 학습 기반의 교육프로그램을 설계할 것인가?(AMEE Guide No. 93) (Med Teach, 2015)

    4C/ID in medical education: How to design an educational program based on whole-task learning: AMEE Guide No. 93

    MIEKE VANDEWAETERE1, DOMINIQUE MANHAEVE1, BERT AERTGEERTS1, GERALDINE CLAREBOUT1, JEROEN J. G. VAN MERRIE¨ NBOER2 & ANN ROEX1

    1University of Leuven, Belgium, 2Maastricht University, the Netherlands




    도입

    Introduction


    의학 커리큘럼은 결과 및 역량 기반이어야 한다는 일반적인 합의가 있다(Fernandez et al. 2012). 이는 현대 의학의 일차적인 목표가 학생들이 역량있는 의사가 되도록 훈련시키는 것임을 암시한다(역량 기반 의료 교육 또는 CBME).

    There is a general agreement that medical curricula should be outcome- and competency-based (Fernandez et al. 2012). This implies that the primary goal of modern medical education is to train students to become competent physicians (competency-based medical education or CBME).


    전문가를 위한 캐나다 의학 교육 지침(CanMEDS; Frank & Danoff 2007), 대학원 의학 교육 인증 위원회(Swing 2007), 던디 성과(Davis 2003),

    Canadian Medical Education Directives for Specialists (CanMEDS; Frank & Danoff 2007), Accreditation Council for Graduate Medical Education (Swing 2007) and the Dundee Outcomes (Davis 2003),


    현실에서, CanMEDS 프레임워크에 기술된 역할은 [의사들의 일상적인 활동을 반영하여 매끄러운 전체로 통합]되어야 한다. 따라서, 의사(이 경우, 일반 개업의)가 일상에서 성공적인 수행을 하기 위해서는, 예를 들어 당뇨병에 대한 지식과 통찰력을 갖는 것만으로는 충분하지 않다.

    In practice, the roles as described in the CanMEDS framework have to be integrated into a seamless whole, reflecting the daily activities of the physician. Hence, for a physician’s (in this case, a general practitioner) successful performance in daily practice, it is not sufficient just to have the knowledge about and insight in, for example, diabetes.


    따라서 CanMEDS 프레임워크와 그 구체적 구현은 의학교육이 지식, 기술 및 태도의 통합적 획득을 촉진하는 교육 및 학습 환경에서 이익을 얻을 수 있음을 의미한다. 프랭크(2005)와 반 헤르와든 외 (2009년) 보건 전문가들이 다루어야 할 진짜real, 진짜authentic 업무에 집중하는 것이 그러한 통합 학습을 뒷받침할 것이라고 주장한다. 그렇게 함으로써, 그들은 복잡한 학습 또는 전과제 학습이라고 불리는 것을 가리킨다(박스 1).

    Consequently, the CanMEDS framework and its specific implementations imply that medical education may benefit from instruction and learning environments that foster the integrated acquisition of knowledge, skills and attitudes. Frank (2005) and van Herwaarden et al. (2009) argue that focusing on the real, authentic tasks that health professionals need to deal with will support such integrated learning. By doing so, they refer to what is called complex learning or whole-task learning (Box 1).


    복잡한 학습

    Box 1. Complex learning.


    복잡한 학습이란 [지식, 기술 및 태도의 통합적 획득]과 [질적으로 다른 구성 기술의 조정coordination]을 말한다. 더욱이 복잡한 학습은 또한 학교와 훈련 환경에서 배운 것을 일상 생활이나 전문적 환경으로 전이transfer하는 것을 포함한다(반 메리  n nboer & Kirschner 2013).

    Complex learning refers to the integrated acquisition of knowledge, skills and attitudes and to the coordination of qualitatively different constituent skills. Moreover, complex learning also involves the transfer of what is learned in school and training settings to daily life or professional settings (van Merrie¨ nboer & Kirschner 2013).



    의학교육에서 전과제 학습

    Whole-task learning in medical education


    의학 교육에서 복잡한 학습이나 전과제 학습의 접근법을 사용하는 데는 두 가지 설득력 있는 이유가 있다.

    There are two compelling reasons for using the approach of complex or whole-task learning in medical education.


    첫째, 전과제 모델은 가변적이고 복잡한 환경에서 학생들의 기능을 육성하는 학습 활동의 개발을 위한 탄탄한 틀을 제공한다(Yardley et al. 2013). 전과업 접근법을 사용한 결과, 풍부한 정신 모델과 인지 전략의 개발이 촉진되어, 학생들이 다양한 건강 관리 상황에서 효율적인 문제 해결 전략을 사용할 수 있다. 실제의 진실한 과제를 사용함으로써, 복잡한 학습이 지원되고, 따라서 커리큘럼에서 직장으로의 이전이 더욱 실현가능해진다(2010년 시장, 반 메리 ̈nboer & 스위블러 2010).

    First, whole-task models provide a solid framework for the development of learning activities that foster students’ functioning in variable and complex settings (Yardley et al. 2013). As a result of using a whole-task approach, the development of a rich set of mental models and cognitive strategies is facilitated, allowing students to use efficient problem solving strategies in various health care situations. By using real-life authentic tasks, complex learning is supported and hence the transfer from the curriculum to the workplace becomes more feasible (Mayer 2010; van Merrie¨nboer & Sweller 2010).


    둘째, 전과제 학습 모델은 의학교육에서 근거기반 원칙을 보다 명시적으로 사용해야 한다는 요구를 충족할 수 있다(Gibbs et al. 2011). 역량 기반 커리큘럼CBME의 핵심 측면에 대한 일반적인 합의가 있지만, 그것의 실제 구현은 과학적인 기반이 거의 없었다.

    Second, models of whole task learning may meet the call for a more explicit use of evidence-based principles in the practice of medical education (Gibbs et al. 2011). Although there is a general agreement on the key aspects of competency-based curricula, its practical implementation has had little scientific underpinning.


    4가지 구성요소의 교육적 설계 모델(4C/ID모델; 상자 2) (반 메리 nnboer & Kirschner 2007, 2013; 반 메리 nnboer & 스웨터 2010)은 전과업 학습 환경의 설계 및 개발 프로세스를 지원하는 증거 기반 교육적 설계 모델이다. 그것은 구체적인 지침과 사용 가능한 설계를 제공함으로써 그렇게 한다(Hogveld et al. 2011). 이 모델은 복잡한 기술을 습득하기 위해 이미 여러 영역에 적용되었다.

    The four-component instructional design model (4C/ID model; Box 2) (van Merrie¨nboer & Kirschner 2007, 2013; van Merrie¨nboer & Sweller 2010) is an evidence-based instructional design model that supports the design and development process of whole-task learning environments. It does so by providing concrete guidelines and usable designs (Hoogveld et al. 2011). This model has already been applied in several domains for the acquisition of complex skills


    상자 2. 4C/ID 모델

    Box 2. The four-component instructional design (4C/ID) model.


    4가지 구성 요소 교육 설계(4C/ID) 모델은 [개별 요소와 그 요소들 간의 관계에 대한 시야를 놓치지 않으면서도]실제 업무의 복잡성을 처리함으로써 학습과 교육에 전체론적 접근방식을 적용한다(Ban Merrie  n nboer 1997). 

    이 접근법은 다음과 같은 지속적인 문제를 다룬다. 

    • 구획화: 선언적 지식, 절차적 지식 및 태도와 같은 뚜렷한 부분 또는 범주에서 전체 역량의 분리시키는 것

    • 파편화: 부품 간의 상호작용을 고려하지 않고 작은 부품에서 복잡한 기술 또는 역량을 분해하는 것

    • 전이 패러독스학생들이 복잡한 과제를 고립된 방식으로 배울 때, 그들이 배운 것을 작업 환경의 현실로 이전하는 것은 더 어려운 것. 왜냐하면 고립되고 구체적인 목표는 통합적인 목표에 도달하는 경우에 종종 효과가 없기 때문이다.

    The four-component instructional design (4C/ID) model applies a holistic approach to learning and instruction, hereby dealing with the complexity of real-life tasks without losing sight of the separate elements and the relationships between those elements (van Merrie¨ nboer 1997). This approach deals with persistent problems like: 

    • compartmentalization, separation of a whole competence in distinct parts or categories like declarative knowledge, procedural knowledge and attitudes; 

    • fragmentation, breaking complex skills or competencies in smaller parts without taking into account the interactions between the parts; and 

    • the transfer paradox, when students learn complex tasks in an isolated manner, it will be more difficult for them to transfer what they have learned to the reality of the work settings because what works well for reaching isolated, specific objectives often does not work when it comes to reaching integrated objectives.


    4C/ID 모델: 이론에서 실천으로

    The 4C/ID model: From theory to practice


    모델은 네 가지 주요 구성 요소로 구성된다(그림 1 참조).

    the model comprises four major components, (see Figure 1).



    4가지 구성요소는 

    • (1) 학습 과제, 

    • (2) 지원 정보(이론), 

    • (3) 절차 정보(how to's) 및 

    • (4) 파트태스크 실습(초점 반복 연습 또는 '드릴')

    The four components that are identified are as follows: (1) learning tasks; (2) supportive information (the theory); (3) procedural information (the how to’s) and (4) part-task practice (focused repetitive practice or ‘‘drill’’).


    • 그림 1에서 학습 과제는 원으로 표시된다. 그들은 교육 프로그램의 근간을 제공한다. 직장에서 수행되는 학습 과제를 훈련training 과제라고 한다. 학습자가 학습 과제를 수행할 때 종종 지원 및 안내가 제공되기도 한다. 이는 원을 채우는 것으로 표시된다. 학습자가 더 많은 전문 지식을 습득함에 따라 지원 및 지침support and guidance은 일반적으로 감소할 것이다. 게다가 학습자들은 종종 그들의 과제 수행의 질에 대해 성찰을 요구받게 되는데, 커다란 원과 연결된 다이아몬드로 표시되어있다.

    In Figure 1, the learning tasks are indicated by the circles. They provide the backbone of the educational program. Learning tasks that are performed in the workplace are called training tasks. Often, learners will receive support and guidance when they are working on the learning tasks; this is indicated by the filling of the circles. Support and guidance will typically decrease as learners acquire more expertise. Moreover, learners will often be asked to reflect on the quality of their task performance, which is indicated by the diamonds connected to the large circles.


    • 지원 정보는 L자형으로 표시된다. 이 정보는 학습자가 학습 과제, 즉 문제 해결, 추론 및 의사결정이 필요한 측면을 수행하도록 돕는다.

    The supportive information is indicated by the L-shaped figure. This information helps learners to perform non-routine aspects of learning tasks, that is, aspects that require problem solving, reasoning and decision making.


    • 절차 정보 또는 적시 정보는 위쪽 화살표가 있는 직사각형으로 표시된다. 이 정보는 과제 레벨에서 제공되며 학습자에게 학습 과제의 '반복적recurrent' 요소를 수행하는 방법을 알려준다. 즉 교육 프로그램이 완료된 후 일상적으로 수행해야 하는 측면에 대해 알려준다.

    The procedural information or just-in-time is indicated by the rectangle with upward information pointing arrows. This information is offered at the task-level and informs learners on how to perform ‘‘recurrent’’ aspects of learning tasks, that is, aspects to be performed as routines after the educational program has been completed.


    • 마지막 구성 요소는 직사각형으로 그룹화된 작은 원으로 표시되는 파트 작업 관행이다. 파트-태스크 연습은 많은 반복적인 연습을 포함하며, 작업의 특정 반복적인 측면에 대해 매우 높은 수준의 자동화가 필요할 때 제공된다. 더욱이, 부분과제part-task 연습은 연습 시리즈(다이아몬드로 표시)의 마지막에 성찰 과제를 수반할 수 있다. 목적은 스키마 자동화를 강화하는 것이며, 따라서 일반적으로 연장된 반복 연습이 필요하다.

    The last component is the part-task practice, indicated by the small circles grouped in a rectangle. Part-task practice involves a lot of repetitive practice and is provided when a very high level of automaticity is required for a particular recurrent aspect of the task. Furthermore, part-task practice can be accompanied by a reflection task at the end of the practice series (indicated by a diamond). The aim is to strengthen schema automation, and hence it typically involves extended repetitive practice.


    • 그림 1에 표시된 마지막 요소는 테스트(우측 화살표로 표시됨)이다. 이 시험은 학생의 이미 이용할 수 있는 관련 지식을 평가하는 것 이상의 것으로, 학생들에게 수행 기준에 대해 알리고 학습 과제의 주제와 복잡성을 소개한다.

    A last element that is represented in Figure 1 is the test (indicated by the right-pointing arrow). More than assessing a students’ already available relevant knowledge, this test informs students about the performance standards and introduces them to the topic and complexity of the learning tasks.


    네 가지 구성요소를 확인하는 것은 설계 프로세스의 한 부분일 뿐이다. 4C/ID 기반 학습 환경의 우수한 설계를 지원하는 추가적인 보조 활동이 있다.

    identifying the four components is only one part of the design process. There are additional, auxiliary activities that support the good design of a 4C/ID-based learning environment.


    이 활동들은 함께 설계 과정을 구성하는 10단계(전 과업 코스 개발로) 또는 10단계(반 메리 nnboer & Kirschner 2013)로 기술된다.

    Together, these activities are described as the 10 steps (to whole-task course development) or the 10 activities that make up the design process (van Merrie¨nboer & Kirschner 2013).


    전과제 기반 의료 코스의 내용 개발 10단계

    Ten steps to develop the content of the whole-task based medical course


    구성 요소 1: 학습 태스크

    Component 1: Learning tasks



    첫 번째 요소(그림의 순서 1에서 큰 원으로 표시됨)는 학습 과제(반 메리 nnboer & 반 데르 벨루텐 2012)로 구성되며, 이는 의사의 전문적인 과제를 더 많이 반영한다. 그것들은 세 단계로 요약될 수 있다.

    The first component (indicated with large circles in Figure sequence 1) comprises a of learning tasks (van Merrie¨nboer & van der Vleuten 2012), which more or less mirrors the physician’s professional tasks. They can be concretized in three steps.


    1단계: 학습 과제 설계

    Step 1: Design learning tasks


    학습과제는 의사들이 일하는 것을 대표할represent 수 있는 방법으로 선택된다. 이른바 ‘전체적인 과제’나 복잡한 문제다. 더 높은 학습 전달에 기여하기 위해, 실제 상황에서처럼, 과제마다 서로 다르다.

    The learning tasks are chosen in such a way that they are representative for the physicians work. They are so-called ‘‘whole tasks’’ or complex problems. In order to contribute to a higher transfer of learning, the tasks vary from one another as they would in a real-life situation.


    예를 들어 당뇨병 환자의 발을 평가하는 법을 배울 때, 과제는 간단하고 복잡한 상황, 신경증이나 궤양이 없거나 없는 발 평가, 환자의 건강 상태에 대한 거의 또는 많은 정보를 갖는 것 등에 초점을 맞출 수 있다. 이 '연습의 가변성'은 지식, 기술 및 태도가 익숙하지 않은 다른 상황에 전이transfer되는 데 크게 기여한다(Norman 2009).

    For example, when learning to assess the diabetic patient’s foot, tasks can focus on simple and complex situations; assessing the foot without or with neuropathy or ulcers; having little or much information about a patient’s health condition, and so forth. This ‘‘variability of practice’’ greatly contributes to the transfer of knowledge, skills and attitudes to other, non-familiar situations (Norman 2009).


    대부분의 학습 과제에는 일상적 측면과 비 루틴적 측면이 모두 포함된다

        • 일상적인 측면은 예를 들어, 병력 청취 중 일련의 질문을 하거나 당뇨병 환자의 발을 임상적으로 검사하는 것으로, 학생들이 교육 프로그램을 완료한 후 일상적으로 수행될 것임을 나타내기 위해 '반복적recurrent' 측면이라고도 한다. 

        • 루틴적인 측면은 학생들에게 다소 생소하고, 노력이 필요하며, 특정한 결과를 가지고 있는 행동이다; 그것들은 학생들이 교육 프로그램을 마친 후에도 여전히 문제 해결, 추론 또는 의식적인 의사결정을 요구한다는 것을 나타내기 위해 '비반복적인' 측면이라고도 불린다.

    Most learning tasks include both routine and non-routine aspects. 

        • Routine aspects are, for example, asking a sequence of questions during history taking or a clinical examination of the diabetic’s foot; they are also called ‘‘recurrent’’ aspects, in order to indicate that they will be performed as routine after students have completed the educational program. 

        • Non-routine aspects are actions that are rather new to students, require effort and have a problem specific outcome; they are also called ‘‘non-recurrent’’ aspects to indicate that they still require problem solving, reasoning or conscious decision making after students have finished the educational program.


    예를 들어, 다양한 출처의 정보(병력 청취, 임상 검사 및 혈액 검사 결과)를 결합하는 것은 문제 해결 행동과 인지 전략의 적용에 참여하기 위해 인지 스키마타의 조합을 필요로 하는 비반복적 기술이다(van Merrie bonboer et al. 2002).

    For example, combining information from various sources (history taking, clinical examination and blood test results) is a non-recurrent skill that requires the combination of cognitive schemata in order to engage in problem-solving behavior and the application of cognitive strategies (van Merrie¨nboer et al. 2002).


    과제마다 내용과 제시방식에 차이가 있을 뿐 아니라, 과제마다 instruction이 다를 수 있다. 또한, 학생이 프로그램을 진행함에 따라 지원 및 지침이 감소하고(그림 1의 원 채우기 참조), 특정 과제에 대해서는 과제 완료 후 학생들이 성찰이 요구된다(그림 1의 줄무늬 다이아몬드 참조).

    Besides varying in their content and presentation, tasks may also vary in their instruction. Moreover, there is a decrease in support and guidance as the student proceeds through the program (see the filling of the circles in Figure 1) and for particular tasks, students are invited to reflect after task completion (see striped diamonds in Figure 1).


    제공되는 방법에 대한 표시가 있는 모든 유형의 학습 과제는 부록 A http://informahealthcare.com/journal/mte에서 보충 자료로 제공된다.

    All types of learning tasks with indications on how they can be offered are listed in Appendix A, available as Supplemental Material at http://informahealthcare.com/journal/mte.


    학습 과제의 또 다른 다양성은 [과정 중에 완료할 수 있는 과제]와 [직장 기반 학습 과제]의 구별이다. 그러한 과제의 예는 다음과 같다: 병력청취를 관찰하고 성찰하는 것, 다원적 팀 회의에 참여하는 것, 처방전을 작성하는 것, 그리고 의사나 인턴십 트레이너로부터 피드백을 요청하는 것.

    Another variation in learning tasks is the distinction between tasks that can be completed during the course and workplace-based learning tasks. Examples of such tasks are as follows: observing and reflecting on history taking; participating in a multidisciplinary team meeting, writing prescriptions and asking feedback from the physician or internship trainer.


    2단계: 평가 도구 개발

    Step 2: Develop assessment instruments


    다른 역량 기반 커리큘럼에서와 같이 평가 도구는 복잡한 학습 과정에서 중요한 요소다.

    As in any other competency-based curriculum, assessment instruments are crucial elements in the process of complex learning.


    4C/ID 모델에서 주요 목표는 지식, 구성 기술 및 태도의 통합과 조정을 필요로 하는 일련의 '전체 과제whole task'를 성공적으로 완료하는 것이다. 모든 구성적 기술이 평가 도구에서 표현되도록 하기 위해, 모든 업무, (구성적) 기술 및 그 기술 사이의 상호 관계를 나타내는 평가 매트릭스를 개발할 수 있다.

    In the 4C/ID model, the main objective is the successful completion of a set of ‘‘whole tasks’’, which requires the integration and coordination of knowledge, constituent skills and attitudes. To ensure that all constituent skills are represented in the assessment instruments, one could develop an assessment matrix representing whole tasks, (constituent) skills and interrelations between those skills.


    목표의 일부는 [허용 가능한 수행능력에 대한 표준]이다. 이 표준에는 관련 기준(예: 오류 없이 10분 이내), 값(예: 당뇨병 관리에 대한 최근 지침을 고려하고 전자 건강 기록에 따라) 및 (예: 치료에 대한 관련 태도를 제시하고 대화에서 능동적인 청취 기법을 사용하는)이 포함된다.

    Parts of the objectives are standards for acceptable performance. These standards include relevant criteria (e.g. without error and within 10 minutes), values (e.g. taking into account the recent guidelines for diabetes management and in accordance with the electronic health record) and (e.g. giving relevant attitudes arguments for treatment and using active listening techniques in a conversation).


    학생들에게 성능 기준에 대해 알리기 위해 학습 모듈 시작 시 [자기 평가 퀴즈]를 제공할 수 있다.

    To inform students about the performance standards, one could offer a self-assessment quiz at the beginning of a learning module.


    이 시험은 학생들의 선행지식을 활성화시키는 반면, 학생들은 그들의 성과를 평가할 기준에 익숙해진다.

    this test activates a students’ prior knowledge (Merrill 2002); while on the other hand, students become familiar with the standards by which their performance will be evaluated.


    학생들에게 전문적 행동과 연계된 원하는 수행 기준을 알려주는 한 가지 방법은 worked example를 사용하는 것이다. 작업한 예worked example는 상담 비디오, 환자로부터 동기부여 면접을 받기 위한 단계별 접근, 모범적 해결책(부분)을 제공함으로써 학생이 가장 적절하거나 정확한 답을 얻는 지식 테스트 등의 형태를 취할 수 있다. Worked example의 핵심은 전문가의 행동인 '황금기준'을 보여주는 것이다. 이와 같이, 업무 예제 업무는 해결책뿐만 아니라 해결책까지 나올 수 있는 모델링 작업이 된다. 이것은 학생들이 허용 가능한 성과에 대한 표준을 인식하고 결과에 도달하기 위해 적절히 행동하도록 돕는다.

    One way to inform students about the performance desired standards linked to the professional behavior (to what standards will their performance be compared?) is to use worked examples. A worked example can take the form of a video of a consultation, a step-by-step approach for taking a motivational interview from a patient, a knowledge test where the student is guided toward the most appropriate or correct answer by offering (parts of) a model solution and so forth. Central in a worked example is that it reflects the ‘‘golden standard’’, the expert behavior. As such, a worked example task becomes a modeling task where not only the solution is offered but also the process to come to the solution. This helps students to recognize the standards for acceptable performance and to act accordingly to reach the outcomes.


    그러나 우리는 모든 학생들이 기초적인 기준을 인식할 수 있거나, 전문가의 행동에서 중요한 것과 그렇지 않은 것을 구별할 수 있다고 가정할 수는 없다. 따라서 학생들은 과제를 완료하는 동안 또는 완료 후에 평가될 허용 가능한 성과에 대한 기준에 따라 전문가의 성과를 평가하도록 요청받을 수 있다(Gulikers et al. 2008, Fastre et al. 2010). 그렇게 함으로써, 수행 목표와 표준은 실제적인 맥락에서 학생들에게 소개된다. worked example는 지원 정보의 일부로 제공되어서, 필요할 때 사용할 수 있도록 유지하는 것이 이상적이다(그림 1의 가장 낮은 막대 표시, 우리는 작업 예를 나타낸다). 이로서 학생들은 자기주도적 방식으로 worked example과 그에 딸린 표준을 참조할 수 있다.

    However, we cannot assume that all students are able to recognize the underlying standards, or that they can distinguish what is crucial in the expert’s behavior and what is not. Therefore, students can be asked to evaluate the performance of the expert according to the standards for acceptable performance by which they will be evaluated during or after task completion (Gulikers et al. 2008, Fastre´ et al. 2010). By doing so, performance objectives and standards are introduced to students in a real context. A worked example ideally stays available as part of the supportive information (indicated by the lowest bar in Figure 1; WE stands for worked example). Students are thus able to consult the worked example and its accompanying standards on a self-directed basis.


    자기주도학습 촉진에 발맞추어 의학교육 설정에서 두 가지 유형의 평가를 적용할 수 있다(반 메리  dernboer & 반 데르 블뤼텐 2012): 

    In line with promoting self-directed learning, two types of assessments can be applied in the setting of medical education (van Merrie¨nboer & van der Vleuten 2012): 


    (1) Supported assessment: 모든 보조교재를 이용할 수 있는 상태, 상담이 제공되는 상태에서 학생을 평가.

    (1) supported assessment in which students are assessed while all supporting materials are available and can be consulted in the learning environment


    (2) Unsupported assessment: 학습환경에서 더 이상 지원을 받을 수 없고 학생이 정규 의료실무와 같이 자기주도적인 기준으로 정보를 찾아야 하는 상태에서 평가

    (2) unsupported assessment in which support is no longer available in the learning environment and students have to seek information on a self-directed basis as in regular medical practice.


    필요한 경우, 학생들에게 작업 중 [작은 부분의 자동화]를 촉진하기 위한 파트타임 실습 교육을 받는다. (예: 동기부여 커뮤니케이션 기술 연습). 학생들은 전반적인 업무 성과를 개선하기 위해 과제의 일부에 대한 이해를 깊게 할 수 있다 (예: 환자와의 동기부여 대화에서 여러 단계를 구별하는 방법). 즉각적인 피드백이 제공되며, 파트-태스크 연습과 작업의 작은 부분을 반복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기회가 제공된다.

    If necessary, students are instructed with part-task practice to foster automation of smaller parts of the task (e.g. practicing motivational communication skills) to deepen the understanding of parts of the task (e.g. how to distinguish the different phases in a motivational conversation with the patient) in order to improve their overall task performance. Furthermore, immediate feedback is provided as well as the opportunity to repeatedly perform the part-task practice and smaller parts of the task.


    3단계: 학습 태스크 순서배열

    Step 3: Sequence learning tasks


    위에서 기술한 바와 같이, 일련의 다양한 업무들이 학습 환경의 중추를 형성한다. 이는 지식, 기술 및 태도의 통합을 촉진하며, 따라서 Merrie ̈nboer 역량 획득(van der & van Vleuten 2012)을 촉진한다. 따라서, 4C/ID 모델은 이른바 과제 수업에서 유사한 복잡성 수준과 유사한 필수 지식을 가진 [학습 과제를 그룹화]할 것으로 예측한다. 교육 프로그램 전체에 걸쳐 학습자는 [쉽고 간단한 작업 수업에서 점점 더 어렵고 복잡한 작업]으로 안내될 것이다.

    As described above, a sequence of varying tasks forms the backbone of the learning environment. This facilitates the integration of knowledge, skills and attitudes, hence the Merrie¨nboer acquisition of competences (van der & van Vleuten 2012). Therewith, the 4C/ID model foresees to group learning tasks that have a similar complexity level and similar required knowledge in so-called task classes. Throughout the training program, learners will be guided from easy and simpler task classes to increasingly more difficult and complex task classes.


    태스크 클래스는 성공적 수행을 위해 다른 지식이나 보다 정교한 지식을 요구하는 다른 복잡도 수준의 과제를 구성한다는 점에서 서로 다르다. 단, 한 업무 클래스 내의 업무는 복잡성과 관련하여 유사하지만, 다른 여러 측면에서는 서로 다를 수 있다. [태스크 클래스 내에서 태스크의 가변성을 보장]함으로써, 학습자가 스키마 기반 학습 전송을 허용하는 풍부한 인지 스키마를 개발할 수 있(Paas & van Merrie ̈nboer 1994).

    Task classes differ from each other in that they comprise tasks of a different complexity level requesting different knowledge or more elaborated knowledge for their successful performance. However, although tasks within one task class are similar with respect to complexity, they may differ from each other on many other aspects. Ensuring task variability within a task class, should enable learners to develop rich cognitive schemata, which allow for schema-based transfer of learning (Paas & van Merrie¨nboer 1994).


    따라서 한 태스크 클래스 내의 여러 태스크는 현실의 가변성을 보여줘야 하며, 태스크와 관련된 지원 또는 지침의 양도 달라야 한다. 태스크 클래스 내에서 학습자에게 제공되는 지원은 점차 줄여나가야 한다: 첫 번째 태스크는 최대 지원을 수반하는 반면 마지막 태스크는 추가 지원이 없거나 최소한의 지원만 있어야 한다(그림 1의 원 채움으로 표시됨). 후속 작업 클래스에서 다시 한 번, 첫 번째 작업에는 최대 지원이 수반된다.

    Tasks within a task class should therefore show variability of practice and, differ in the amount of support or guidance that is associated with the tasks. Within a task class, there is a decrease in the support offered to the learner: the first task is accompanied by maximal support, while the last task has no or minimal additional support (indicated by the filling of the circles in Figure 1). In the subsequent task class, then again, the first task is accompanied by maximal support.


    표 1은 학습 과제 개발을 위한 관련 원칙을 요약한 것이다.

    Table 1 summarizes the relevant principles for the development of learning tasks



    삽화

    Illustration



    학습 모듈. 본 가이드에서는, KU Leuven General Practice 부서에서 개발한 "당뇨병 환자"와 "열병을 앓고 있는 어린 아이"라는 모듈을 사용하여 4C/ID 기반 학습 환경을 개발하고 구축할 수 있는 방법을 설명한다.

    Learning modules. Within this Guide, the modules ‘‘Patient with diabetes’’ and ‘‘The young child with fever’’, both developed at the KU Leuven General Practice Department, are used to illustrate how one can develop and structure a 4C/ ID-based learning environment.


    태스크 클래스. 학습 모듈에 들어가면 모듈의 구조(과제 수업)와 과제의 양에 대한 개요를 받을 뿐만 아니라, 과제 수업당 성과목표(과제수업을 마친 후 무엇을 할 수 있을 것인가), 시기 및 마감시간, 퀘스트시 누구에게 연락할 것인가에 대해서도 알려준다.내용에 관한 토막글

    Task classes. When students enter the learning module, they not only receive an overview of the structure of the module (task classes) and the amount of tasks but they are also informed about the performance objectives per task class (i.e. what they will be able to do after finishing the task class), the timing and deadlines and who to contact in case of questions about the content.


    학습 모듈. '당뇨병 환자'에서는 4개의 과제 클래스로 과제를 지시하는데, 모두 학습 모듈의 메인 화면을 그림 2에 그래픽으로 표시하였다. 각 태스크 클래스는 CanMEDS 역할 중 하나에 추가로 초점을 맞추고 있으며 이전 태스크 클래스보다 더 복잡하다. 학습 모듈의 첫 번째 과제 클래스는 당뇨병에 대한 선언적 지식(진단 및 치료 등)에 초점을 맞춘 과제와 사례 연구로 구성된다. 2차 과업수업도 진단과 치료에 대한 과제를 제공하지만 연습의 초점을 당뇨병 환자의 관리로 옮겨 협업자 및 전문가로서의 의사의 역할을 강조한다. 그 후 세 번째 과제수업은 관리자의 역할을 강조하는 과제를 제공하고, 네 번째(그리고 마지막) 과제수업은 통신자의 역할을 강조한다. 한 태스크 클래스에서 다른 태스크 클래스에 포커스(각각 더 많은 도메인 지식의 획득을 의미한다)를 추가함으로써 복잡성은 점차 증가한다.

    In the learning module ‘‘Patient with diabetes’’, the tasks are ordered in four task classes, all presented graphically in Figure 2 showing the main screen of the learning module. Each task class focuses additionally on one of the CanMEDS roles and is more complex than a previous task class. The first task class of the learning module comprises tasks and case studies focusing on the declarative knowledge about diabetes (like diagnosis and treatment). The second task class also provides tasks on diagnosis and treatment but shifts the focus of the exercises to management of patients with diabetes, hence stressing the role of the doctor as a collaborator and professional. The third task class then provides tasks emphasizing the role of manager, while the fourth (and last) task class stresses the communicator’s role. By adding foci (which each imply the acquisition of more domain knowledge) from one task class to the other, the complexity gradually increases.



    과제. 학습 환경에서는 몇 가지 과제가 제공된다. 표 2는 다양한 유형의 작업에 대한 아이콘을 제공한다.

    Tasks. Several tasks are offered in the learning environment. Table 2 provides the icons for different types of tasks.


    학생이 완료할 수 있는 첫 번째 과제(그림 3 파트 A 참조)는 문제 기반 지식 테스트의 실무 예다. 이 시험의 질문에 답함으로써 학생들은 자신의 지식에 대한 정보를 얻고, 그들의 답에 대한 피드백을 받고, 질문에 대한 전문가의 대답과 답을 얻기 위한 추리 과정을 제공받는다. 또한, 태스크 클래스의 내용과 허용 가능한 성능에 대한 표준이 무엇인지에 대해 소개된다. 따라서 학생들은 과제수업을 마친 후에 어떤 지식, 기술 및 태도를 보여줄 것으로 예상되는지(즉, 성과목표).

    The first task (the large circle, see Figure 3, part A) for students to complete is a worked example, in this case, a problem-based knowledge test. By answering the questions on this test, students obtain information about their knowledge, receive feedback on their answers and are provided with the expert’s answer to the question and the reasoning process to come to the answer. Furthermore, they are introduced to the content of the task class and what the standards are for acceptable performance. Hence, students are informed about what knowledge, skills and attitudes they are expected to demonstrate after completing the task class (i.e. the performance objectives).


    두 번째 과제(책 아이콘이 있는 사각형, 그림 3, 파트 B 참조)는 전체 작업 클래스에 대한 지원 정보를 나타낸다. 학생들은 이 과제를 완료하기 위해 자료를 읽도록 지시 받는다. 이것들은 이론적 개요와 과정 장에 초점을 맞춘 문서와 웹 링크에 의해 제공된다. 이 지원 정보는 모든 업무에서 이용할 수 있다. 이것은 또한 가장 낮은 막대로 시각적으로 표시된다(그림 3 파트 F 참조). 다음 절에서는 지원 정보의 설계에 대해 좀 더 자세히 설명한다.

    The second task (the square with the book icon, see Figure 3, part B) represents the supportive information for the whole task class. Students are instructed to read the materials as to complete this task. These are provided by documents and web links focusing on theoretical overviews and course chapters. This supportive information is available throughout all tasks. This is also visually presented by the lowest bar (see Figure 3, part F). In the next section, the design of the supportive information is described in more detail.



    학생이 두 번째 과제의 일부로 지원 정보 문서를 읽은 후에는 몇 가지 과제가 제공된다(큰 원들에 의해 제시됨, 그림 3, 파트 C 참조). 예를 들어, 모듈 "당뇨병 환자"의 두 번째 작업 클래스는 관리에 초점을 맞추었다. 이 과업수업에서 두 번째 과제는 당뇨병에 걸린 환자의 관리 및 치료의 최적화 및 업데이트에 보다 구체적으로 초점을 맞추었다. 이 과제를 완료하기 위해 학생들은 10개의 질문에 다른 형식으로 답해야 했다(복수 답변, 정렬, 즉 빈칸 채우기, 완료 등). 그림 4는 끌어서 놓기 형식으로 질문의 예를 보여준다.

    After a student has read the supportive information documents as part of the second task, several tasks are offered (presented by the large circles, see Figure 3, part C). For example, the second task class in the module ‘‘Patient with Diabetes’’ focused on management. The second task in this task class more specifically focused on the optimization and update of management and treatment for patients with diabetes. To complete this task, students had to answer 10 questions in different formats (multiple answer, sort, fill-in-the-blank, complete, etc.). Figure 4 presents an example of a question in drag-and-drop format.


    이 과제에 포함된 모든 질문들은 동일한 구조를 가지고 있었다. 즉, 환자 사례를 제시하거나 (이전 질문에 비해) 더 상세하게 제시하거나 (이전의 치료와 같이) 고려해야 할 더 많은 요소를 제시한다.

    All questions in this task had the same structure: a patient case is presented, or is presented in more detail (as compared to a previous question), or is presented with more elements to take into account (like previous treatments).


    과제의 대다수는 개별적인 완료를 목표로 하고 있지만, 다른 과업은 수업시간에 완료되거나 논의되는 그룹 과제나 과업이다. 이것은 사람 아이콘이 있는 원으로 표시된다(그림 3, 부분 D, 마지막 원 참조). 이러한 그룹 과제의 예는 다음과 같다: 수업시간 동안 그룹 토론이 뒤따른 환자 사례의 온라인 준비, 강의 시간 동안 피드백을 제공하는 강사와의 토론 포럼에서 환자 사례의 그룹 토론, 치료 계획의 공동 작성 등이다.

    While the majority of tasks aim for individual completion, other tasks are group tasks or tasks that are completed or discussed during class hours. This is indicated by the circle with a people icon within (see Figure 3, part D, last circle). Examples of such group tasks are as follows: the online preparation of a patient case followed by a group discussion during class hours, the group discussion of a patient case on the discussion forums with the instructor providing feedback during class hours, a collaborative writing of a treatment plan, and so forth.


    그림 3 (E부)에 묘사된 마지막 아이콘은 대면 클래스다. 이 수업에서 강사는 학습 모듈의 학습 결과에 대한 피드백을 제공할 수 있다. 강사는 컴퓨터 기반 환경에서 과제 완료 학습 중에 지식, 기술 또는 태도의 차이가 확인되면 추가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작업의 컴퓨터 기반 수정에 기반함).학습 모듈에서 논의된 특정 주제에 대한 광석(포럼 게시물 및 토론 스레드 기준) 또한 대면 수업 아이콘은 언제 학생들이 과제를 완료할 것으로 예상되는지를 나타낸다. 즉, 수업이 구성되기 전, 수업 전후 또는 후에 말이다.

    A last icon that is depicted in Figure 3 (part E) is the face-to-face classes. During these classes, instructors can provide feedback on students’ learning outcomes of the learning module; they can provide additional information if any gaps in knowledge, skills or attitudes were identified during task completion learning in the computer-based environment (based on computer-based correction of tasks); and they can elaborate more on certain topics that were discussed in the learning module (based on forum posts and discussion threads). also The face-to-face class icon indicates when students are expected to complete the tasks: before, around or after the class is organized.


    마지막 유형의 업무는 훈련 또는 직장에 기반한 업무와 관련된다. 예를 들어, 학습 모듈 "노인을 위한 관리"의 교육 과제 중 하나는 다음과 같다: " 인턴 기간 동안 당신은 나이든 환자들을 만나게 될 것이다. 해당 환자 중 한 명의 이니셜을 기록하고 이 환자를 훈련 감독관과 상의하십시오. 노인을 위한 장기적인 건강관리 계획을 어떻게 수립하십니까? 당신이 자신의 일반적인 관행에서 할 수 있는 일은 무엇인가? 주의가 필요한 포인트는 무엇인가? '노인을 위한 돌봄' 3급으로 보고서를 가지고 오십시오. 과제 수업 내 업무의 복잡성이 증가함에 따라 학생은 노인 의료에 대한 모든 지식과 기술을 통합해야 하며, 일반 개업의(의료 전문가, 환자, 가족, 간호사, 동료, 건강과의 커뮤니케이션 및 협업자)로서 의사로서 그리고 좀 더 구체적으로 여러 역할을 수행할 수 있어야 한다. 환자 및 관리 및 계획에 관한 전문가)를 대상으로 교육 또는 작업 공간 작업을 완료한다. 더욱이 훈련 과제에는 지원되지 않는 평가가 수반된다(반 메리 ̈nboer & 반 데르 벨루텐 2012). 모든 지원 자료를 이용할 수 있고 업무에 대한 지원의 양이 점차 줄어든 컴퓨터 기반 학습 환경에서 과제 완료 중 (지원) 평가와 달리, 학생들은 이제 자신의 미래 의료 관행에서도 정보를 찾아야 하기 때문에 자기 주도적인 기준으로 정보를 찾아야 한다. 이는 업무수업 내에서 업무에 대한 지원 및 지침의 양을 줄이는 원칙과 일치한다. 마지막 과제 집합에는 기본 제공 지원이 없으므로 학생들에게 최소한의 지원이나 지원을 제공하지 않는다. '자신의 의술에서 할 수 있는 일이 무엇인가?'와 같은 질문들은 학생들이 고의적인 연습을 하고 그들 자신의 (미래) 수행을 반성하도록 장려한다. 또한, 학생들은 훈련 감독관( 인턴 기간 중)과 강사(수업 시간 중)로부터 피드백을 받고, 다시 의도적인 실천을 도모한다. 학생들의 인턴십을 학습 과정의 연장선상으로 명시적으로 고려함으로써, 교실 학습과 인턴십 학습 사이의 이전(그리고 그 반대).

    A last type of tasks pertains to training or workplace-based tasks. For example, one of the training tasks in the learning module ‘‘Care for the elderly’’ is the following: ‘‘During your internship you will meet older patients. Note the initials of one of those patients and discuss this patient with your training supervisor. How do you set up a long-term healthcare plan for the elderly? What is possible for you to do in your own general practice? What are the points that need attention? Please bring your report with you to class 3 of ‘Care for the elderly’’’. Because of the increasing complexity of tasks within a task class, a student needs to integrate all knowledge and skills about elderly healthcare and should be able to take multiple roles as physician and more specifically, as a general practitioner (medical expert; communicator to and collaborator with patients, family, nurses, colleagues; health promoter towards patients and professional with respect to management and planning) to complete the training or workplace tasks. Moreover, the training tasks are accompanied with unsupported assessment (van Merrie¨nboer & van der Vleuten 2012). Unlike the (supported) assessment during task completion in the computer-based learning environment where all support materials were available and where the amount of support decreased gradually over tasks, students now have to seek information on a self-directed basis as they also should seek information in their future medical practice. This is in line with the principle of decreasing the amount of support and guidance for tasks within a task class. The last set of tasks has no built-in support hence providing minimal or no support to students. Questions such as: ‘‘What is possible for you to do in your own medical practice?’’ encourage students to engage in deliberate practice and to reflect on their own (future) performance. Moreover, students receive feedback from both the training supervisor (during internship) and the instructor (during class hours), again fostering deliberate practice. By explicitly considering the students’ internship as the extension of their learning process, transfer between classroom learning and internship learning (and the other way around) is increased.




    구성 요소 2: 지원 정보

    Component 2: Supportive information



    전통적으로 '이론'이라고 불리는 지원 정보는 학습자들이 학습 과제의 문제 해결과 추론적인 측면을 이해하는데 도움을 준다. 일반적으로, 지원 정보는 학습 과제의 비반복적 측면, 즉 교육 프로그램의 완료 후에도 문제 해결, 추론 또는 의식적인 의사결정이 필요한 측면의 결실을 맺기 위해 중요하다.

    Supportive information, traditionally called ‘‘the theory’’, helps learners with the problem solving and reasoning aspects of the learning tasks. Typically, supportive information is important for the fruitful completion of non-recurrent aspects of learning tasks, that is, those aspects that require problem solving, reasoning or conscious decision making even after the completion of the educational program.




    그림 3

    Figure 3,


    4-6단계: 설계 지원 정보

    Steps 4–6: Design supportive information


    지원 정보는 학습자에게 학습 과제의 [비루틴적 측면]을 완료하는 데 필요한 새로운 정보를 제공한다. 따라서 제공된 지원 정보는 각 태스크 클래스의 내용에 맞춰 조정되며, 학습자는 필요에 따라 액세스할 수 있다. 지원 정보는 학습자가 [인지 스키마](예: 임상 추론이나 의사결정을 위한 질병 스크립트, 치료 프로토콜, 체계적인 접근법 및 규칙)를 구성하도록 도울 뿐만 아니라, 학습자가 자신의 스키마를 전문가 또는 동료 학생의 스키마와 비판적으로 비교하고 대조하도록 유도하여 [인지적 피드백]을 제공할 수 있다.

    The supportive information provides the learner with new information that is needed to complete the non-routine aspects of learning tasks. The provided supportive information is hence tailored to the content of each task class and can be accessed in accordance with the learners’ needs (already existing and yet to be acquired knowledge). It helps learners to construct cognitive schema (e.g. illness scripts, treatment protocols, systematic approaches and rules-of-thumb for clinical reasoning or decision making), but it can also provide cognitive feedback, inviting the learners to critically compare and contrast their own schema with those of experts or peer students.


    지원 정보에 의해 반영되는 [인지적 스키마]는 두 가지 형태로 나타난다.

    The cognitive schema, as reflected by the supportive information, come in two forms.


    첫째, 인지 전략(5단계)이 있으며, 휴리스틱스 및 일반 규칙과 같은 이 영역에서 문제 해결에 대한 체계적인 접근법을 제공한다.

    First, there are the cognitive strategies (step 5), providing systematic approaches to problem solving in this domain, like heuristics and rules-of-thumb


    둘째, 학습영역이 어떻게 구성되어 있는지를 반영하는, 학습영역 내에서 추론을 가능하게 하는 정신적 모델(6단계)이 있다.

    second, there are the mental models (step 6) that reflect how the learning domain is organized and hence allow for reasoning within the learning domain.


    예를 들어 당뇨병 환자에 대한 치료 계획은 내과의사에게 당뇨병 환자의 치료와 추적에 대한 체계적인 접근법을 제공한다. 반면에 멘탈 모델은 적극적으로 만들어지고 비슷한 상황을 겪은 이전의 경험에 의해 알려지는 개인적인 이론으로 묘사될 수 있다.

    For example, treatment plans for patients with diabetes provide physicians with a systematic approach toward treatment and follow-up of patients with diabetes. Mental models, on the other hand, can be described as personal theories that are actively created and are informed by previous experiences with similar situations.


    태스크 클래스 내의 서로 다른 태스크에 대한 이 지원 정보의 관련성을 고려할 때, 지원 정보는 태스크 클래스의 시작 부분에서 제공되며 태스크 클래스의 작업 동안 계속 사용할 수 있어야 한다. 새로운 태스크 클래스는 조금 다르거나 더 정교한 지원정보를 필요로 할 것이다.

    Given the relevance of this supportive information for the different tasks within a task class, this information is offered at the beginning of a task class and should stay available during the work in a task class. A new task class will also request (partly) different or more elaborated supportive information.


    정신 모델과 인지 전략을 제공하는 것 외에, 지원 정보도 [인지적 피드백]을 제공한다. 이러한 유형의 피드백은 비반복적인 퍼포먼스 측면에 대해 제공된다(van Merrie rienboer et al. 2002). 수행의 비반복적인 측면은 단순히 '올바른' 또는 '잘못된' 것으로 평가될 수 없기 때문에, 인지적 피드백은 학습자가 문제 해결 과정에 대한 접근방식의 퀄리티를 성찰하도록 자극한다. 이는 세션, 동료 또는 전문가 비평 및 그룹 토론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van Merrie nnboer et al. 2002). 이와 같이 인지 피드백은 학습자가 일련의 과제를 완료했거나 전체 과제 수업을 마친 후에 가장 잘 제공된다(Ban Merrie ̈nboer et al. 2002).

    Next to the provision of mental models and cognitive strategies, supportive information also encompasses cognitive feedback. This type of feedback is provided on the quality of non-recurrent aspects of performance (van Merrie¨nboer et al. 2002). Because non-recurrent aspects of performance cannot simply be rated as ‘‘correct’’ or ‘‘incorrect’’, but rather as ‘‘more or less effective’’, cognitive feedback stimulates learners to reflect on the quality of their approach to the problem-solving process. This can be done by debriefing sessions, peer or expert critiques and group discussions (van Merrie¨nboer et al. 2002). As such, cognitive feedback is best offered after learners have completed a series of tasks or have finished a whole task class (van Merrie¨nboer et al. 2002).


    요약하면, 지원 정보는 학습자가 학습 과제를 완료하는 동안 문제 해결, 추론 및 의사 결정과 관련된 비복구적 또는 비루틴적 측면을 수행하는 데 도움이 된다. 지원 정보의 단위는 태스크 클래스 수준에서 정의된다(단일 태스크 레벨이 아님).

    Summarizing, supportive information helps the learner to carry out the non-recurrent or non-routine aspects related to problem solving, reasoning and decision making while completing the learning tasks. Units of supportive information are defined at the level of a task class (not at the level of single tasks).


    표 3에는 지원 정보를 명시하기 위해 수행해야 할 단계가 요약되어 있다.

    Table 3 summarizes the steps to be undertaken to specify the supportive information.



    삽화

    Illustration


    지원 정보(그림 3, 파트 F)는 여러 가지 방법으로 제공된다. 첫째, 과제수업을 시작할 때, 학생들은 과제수업을 위해 설정된 성과목표(즉, 학습과제를 완료한 후에 무엇을 할 수 있을 것인가)와 성과기준(예: 허용가능한 성과를 기술하는 기준, 가치관, 태도)에 대해 알게 된다.

    Supportive information (Figure 3, part F) is offered in several ways. First, at the start of the task class, students are informed about the performance objectives that are set for the task class (i.e. what they will be able to do after completing the learning tasks), and performance standards (i.e. criteria, values, attitudes that describe acceptable performance).


    ' 당뇨 환자와의 상담에 대비하여, 학생은 증거 기반 문헌을 집중적으로 검색하고, 관련 결론을 도출하며, 이를 사용하여 당뇨병 환자의 더 나은 진료 품질을 목표로 하며, 지배적 의료 정책과 일치하는 관리 계획을 도출할 수 있다.'

    ‘‘In preparation for a consultation with a diabetic patient, the student is able to perform a focused search for evidence-based literature, to faultlessly draw relevant conclusions, to use these to draw a management plan that aims at a better quality of care for his diabetic patient and that is in line with the ruling healthcare policy’’.


    또한 첫 번째 과제(예제) 동안 학생들은 그들의 답에 대한 피드백을 받고 질문에 대한 전문가의 대답과 가장 적절하거나 수용 가능한 답에 도달하는 추론 과정을 제공한다. 이와 같이 학생들은 전문가들이 사용하는 인지전략과 정신모델에 대해 성찰하고, 도메인이 어떻게 구성되어 있는지에 대한 자신의 모델과 도메인 내 업무에 체계적으로 접근하는 방법을 강화할 수 있다.

    Furthermore, during the first task (worked example) students get feedback on their answer and are provided with the expert’s answer to the question and the reasoning process to come to the most appropriate or acceptable answer. In this way, students are encouraged to reflect on the cognitive strategies and mental models that are used by experts and they can strengthen their own models of how the domain is organized and strategies of how to systematically approach tasks in the domain.


    작업 예제(첫 번째 과제)를 완료한 후 학생들은 지원 자료를 읽게 된다. 전형적으로 이러한 자료들은 이론에 초점을 맞추고, 당뇨병 환자의 치료에 관련된 이론적이고 실용적인 통찰력에 초점을 맞춘 강의, 서술적 발표, 과정 문서와 연구 기사로 구성되어 있다. 이 정보는 필수 정보(즉, 학생은 모든 문서를 읽도록 강력히 권장됨)와 옵션 정보(즉, 학생은 나중에 과제수업과 학습 모듈의 과제를 진행하면서 문서를 읽을 수 있다)로 나뉜다.

    After completing the worked example (first task), students are instructed to read a selection of supportive materials. Typically, these materials focus on the theory and comprise a lecture, a narrative presentation, course documents and research articles focusing on theoretical and practical insights that are relevant in the treatment of patients with diabetes. This information is divided into compulsory information (i.e. the student is strongly encouraged to read all documents) and optional information (i.e. the student can read the documents at a later time, while progressing through the tasks in the task class and learning module).


    학생들에게 지원 정보를 제공하는 마지막 방법은 과제 수행에 대한 [인지적 피드백]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유형의 피드백은 학생들에게 [정답을 제공하고 (가장) 적절한 답에 도달하기 위한 문제 해결 접근법을 제시]함으로써 학생들의 대답과 솔루션에 대한 정교한 피드백을 포함한다. 이와 같이, 이 피드백은 기존의 [정신 모델과 관련될 수 있는 정보]와 [문제 해결을 위한 학생의 인지 전략(이론적인 통찰력, 배제 및 포함 기준 등)]에 연결되며, 궁극적으로는 학생들에게 지원 정보를 consult or re-consult하도록 제안한다.

    A last way by which supportive information is offered to students is by providing them cognitive feedback on task performance. This type of feedback comprises elaborated feedback on students’ answers and solutions by providing the student with the correct answer and by presenting the problem solving approach to reach the (most) appropriate answer. As such, this feedback links to information that can be related to existing mental models and to a students’ cognitive strategies for problem solving (like theoretical insights, exclusion and inclusion criteria) and eventually suggests students to consult or re-consult the supportive information.


    과제 수행에 대한 [인지적 피드백]의 구체적인 형태는 '성찰 촉진자prompt'에 의해 제공된다. 이러한 프롬프트를 사용하면 학생들이 전문가나 동료의 성과를 반성하거나 자신의 성과에 대해 스스로 성찰하도록 촉구할 수 있다(Paas & van Gog 2009). 실제적인 관점에서, 성찰 프롬프트는 [강사가 제공한 토론 주제 또는 동료가 제공한 과제 솔루션에 대하여 협력적으로 토론]하도록 권장하는 보조과제로 주어질 수 있다. 동료들로부터의 이러한 피드백을 바탕으로, 학생들 스스로도 다시 그들의 성과를 성찰하도록 유도되어, 의도적인 연습 기술의 개발을 장려한다.

    A specific form of cognitive feedback on task performance is provided by ‘‘reflection prompts’’. The use of such prompts can urge students to reflect on experts’ or peers’ performance or to self-reflect on their own performance (Paas & van Gog 2009). From a practical point of view, reflection prompts can be given as side-tasks where students are encouraged to collaboratively discuss topics provided by the instructor or task solutions provided by peers. Based on this feedback from peers, students themselves are again prompted to reflect on their performance, encouraging the development of deliberate practice skills.


    구성요소 3: 절차 정보

    Component 3: Procedural information



    과제의 비-루틴적인 측면에 초점을 맞춘 지원 정보와는 대조적으로, 절차적 정보 또는 '적시 정보'는 [학습자가 학습 과제의 반복적 측면을 어떻게 수행해야 하는가], 즉 교육 프로그램이 완료된 후 일상적으로 수행해야 하는 측면에 대한 정보를 제공한다.

    In contrast to supportive information that focuses on non-routine aspects of tasks, procedural information or ‘‘just-in-time information’’ provides information on how to perform recurrent aspects of learning tasks, that is, those aspects that need to be performed by the learner as routines after the educational program has been completed.


    제시된 절차 정보는 [스키마 자동화]를 촉진해야 하며, 그렇게 하기 위해서는 작업 중에 스키마 자동화를 가장 잘 이용할 수 있어야 한다. 이것은 학습자가 과제를 수행하는 동안 필요한 정보로서, 따라서 과제를 수행하는 데 처음 필요할 때 정확히 주어지는 것이 가장 좋다(즉, 정확 and 적시). 이러한 유형의 정보는 절차를 수행하는 데 필요한 절차와 규칙, 사실 및 개념을 구성하므로 단계별로 제공된다.

    The presentation of procedural information should facilitate schema automation and in order to do so, it should best be available during working on the task. This is information that learners need while performing a task, and hence it is best given exactly when they first need it to perform a task (i.e. precisely and just-in-time). This type of information is given step-by-step, since it constitutes the procedures and rules, facts and concepts needed to perform the routine;


    이 정보는 전체 과제에 걸쳐 언제나 이용할 수 있으며, 학습자의 기술이 증가함에 따라 점차 사라지거나 줄여나가야 한다. 절차 정보를 제공하는 한 가지 방법은 교정적 피드백이다. 학습자가 효과적인 수행을 기술하는 규칙을 올바르게 적용하지 않으면 오류를 범한다고 지적하는 것이다. 이처럼 잘못된 규칙 적용이 감지된 직후, 교정적 피드백을 제시해야 한다(반 메리 ̈nboer & Kirschner 2013).

    The information is available throughout the whole task and gradually disappears or fades away as the learner’s skill increases. One way to offer procedural information is corrective feedback. When learners do not correctly apply the rules that describe effective performance, it is said that they make an error. Immediately after such a misapplication of a rule is detected, corrective feedback should be presented (van Merrie¨nboer & Kirschner 2013).


    7–9단계: 설계 절차 정보

    Steps 7–9: Design procedural information


    지원 정보의 개발에서와 같이 이미 유용한 지침 자료(예: 매뉴얼, 체크리스트, 빠른 참조 가이드 및 직무 지원서)가 있는 경우, 추가 개발이 필요 없으며, 해당 자료를 적절한 학습 과제와 연계할 수 있다. 그러나 새로운 절차 정보가 개발되어야 한다면 8단계와 9단계가 도움이 될 수 있다.

    As in the development of supportive information, if there are already useful instructional materials available (e.g. manuals, checklists, quick reference guides and job aids), then no further development is required, and the materials can be linked to the appropriate learning tasks. However, if new procedural information needs to be developed, then steps 8 and 9 can be helpful.


    표 4에는 절차 정보와 관련된 단계가 요약되어 있다.

    Table 4 summarizes the steps related to the procedural information.




    삽화

    Illustration


    절차 정보(그림 3, 파트 G)는 개별 과제의 수준에서 제공되며, 학습 과제의 일상적인 측면을 수행하는 방법에 초점을 맞추고, 따라서 적시에 제공하는 것이 가장 좋다. 이 절차 정보를 제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방법은 단계별 지시다.

    Procedural information (Figure 3, part G) is offered at the level of individual tasks, focuses on how to perform routine aspects of learning tasks and is therefore best provided just-in-time. A preferable way to present this procedural information is step-by-step instruction.


    예를 들어 당뇨병 학습 모듈에서 첫 번째 과제는 상담의 일상적인 단계를 통해 학생들을 단계별로 지도하는 데 집중한다. 과제들은 '방문의 이유가 무엇인가?' '역사에서 가장 중요한 질문은 무엇인가?' '진단 가능성이 가장 높은 것은 무엇인가' '어떤 것이 가장 적절한 치료법인가?'와 같은 질문들에 초점을 맞추었다.

    For example, in the Diabetes learning module, the first tasks concentrate on guiding the students stepwise through the routine steps of a consultation. Tasks focused on questions like ‘‘what is the reason for the visit?’’; ‘‘what is the key question in the history taking?’’; ‘‘what is the most likely diagnosis?’’; ‘‘what is the most suitable treatment?’’


    절차 정보는 작업 수행 중 또는 작업 수행 후 교정적 피드백의 형태로 제공될 수도 있다. 업무는 몇 가지 연습이나 항목으로 나눌 수 있는데, 이는 업무에서 덜 효과적이거나 비효율적인 수행으로 이어질 수 있는 규칙의 오용을 즉각적으로 감지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학생들이 과제 내에서 해결한 모든 운동이나 항목 후에 교정 피드백을 제공할 수 있다.

    Procedural information can also be offered in the form of corrective feedback during or after task performance. Tasks can be split up in several exercises or items as to be able to immediately detect misapplications of rules that could lead to less effective or non-effective performance on tasks. Consequently, corrective feedback can be offered after every exercise or item students solved within a task.



    구성 요소 4: 부분과제 연습

    Component 4: Part-task practice



    직무의 특정 반복적인 측면에 대해 매우 높은 수준의 자동화가 요구되는 경우, 파트-태스크(부분과제) 연습이 도움이 될 수 있다. 목적은 스키마 자동화를 강화하는 것이며, 따라서 일반적으로 반복적인 연습을 많이 포함한다(표 5 참조). 부품 작업 연습이 항상 학습 환경의 일부인 것은 아니다.

    Part-task practice may be helpful when a very high level of automaticity is required for a particular recurrent aspect of the task. The aimis to strengthen schema automation, and hence it typically involves a lot of repetitive practice (see Table 5). Part task practice is not always part of the learning environment,



    10단계: 파트-태스크 실습 설계

    Step 10: Design part-task practice


    의료 교육에서 부분과제 연습은 일반적으로 임상 기술(혈압 측정, 간 팔팔 측정 및 근육 강화)과 기술 기술(예: 정맥주사, 봉합, 심폐소생술)뿐만 아니라 현장 진단 실습에도 초점을 맞춘다. 열이 있는 아동과 상담하여 학습 환경을 설계할 때 소아 전염병의 프로토타입적 예(스폿 진단) 진단에 대한 부분과제를 선택할 수 있다. 올바른 스폿 진단을 수행하는 이 기술은 매우 자동화될 필요가 있다. 학생이 관련 증상을 빠르게 인식하고, 무관한 증상을 배제하고, 진단 추론 과정을 완료하기 위한 다음 단계를 식별할 수 있어야 하기 때문이다. 모든 질문에 대한 사진과 즉각적인 피드백이 포함된 온라인 퀴즈가 좋은 선택이 될 것이다.

    Within medical education, part-task practice typically will focus on to-be-automatized parts of a consultation not only like clinical skills (measuring blood pressure, liver palpation and auscultation) and technical skills (e.g. venipuncture, suturing and CPR) but also practicing spot diagnoses. When designing a learning environment on the consultation with a child with fever, one may choose to offer part-task practice on the diagnosis of prototypical examples of childhood infectious diseases (spot diagnosis). This skill of performing a correct spot diagnosis needs to be highly automatized because it requires that a student is able to quickly recognize the relevant symptoms, to exclude irrelevant symptoms and to identify the next steps for completing the diagnostic reasoning process. An online quiz with photos and immediate feedback on every question would be a good option.


    삽화

    Illustration


    그림 5는 복수 선택 형식의 일련의 파트타임 연습에 대한 개요를 제공한다.

    Figure 5 provides an overview of a set of part-task practice exercises in the multiple-choice format.




    구현 전략 및 관리 계획

    Implementation strategy and management plan


    (4C/ID 모델과 같이) 전체 작업 모델의 개발과 구현은 많은 실용적, 이론적 및 기술적 문제에 의해 억제되거나 심지어 억제되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실행전략관리계획을 수립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development and implementation of whole-task models (like the 4C/ID model) is often inhibited, even restrained, by many practical, theoretical and technical issues. Therefore, it is advisable to have an implementation strategy and management plan.


    kotter(1995)가 제시하고 Steinert 등이 의학 교육에 적용한 변화를 선도하는 모델을 사용할 수 있다. (2007). kotter(1995)는 변화 과정에서 자주 발생하는 8가지 오류를 제시하고 성공적인 변화의 기회를 늘리기 위해 동일한 수의 조치를 제안했다표 6에서는 Kotter(1995년)가 설명한 바와 같이 의료 교육에서 혼합된 전체 직무 학습을 지향하는 변경 주기에서 취해야 할 추가 단계와 함께 그 조치가 나열되어 있다.

    one could use a model for leading change, presented by Kotter (1995) and applied in medical education by Steinert et al. (2007). Kotter (1995) presented eight frequently made errors in the process of change and suggested an equal number of actions in order to increase the chance for successful change. In Table 6, the actions, as described by Kotter (1995), are listed together with additional steps to be taken in the change cycle toward blended, whole-task learning in medical education.





    조치 1: 긴박감 설정

    Action 1: Establish a sense of urgency


    (의료) 교육의 어떤 관행을 개선할 수 있는지 정의하라. 단기 및 장기적 개선 사항 정의 

    Define what practices of (medical) education can an dshould be improved. Define short-term and long-term improvements 


    우리의 경우 이론과 실천의 통합이 충분하지 않고, 수업 중에 배운 것에서 인턴십 중에 본 것(그리고 그 반대로)으로 이전하는 것도 부족하다는 관측이 있었다. 그러나, 의학 교육이 복수의 역량의 통합적 획득을 점점 더 강조함에 따라, [학생들에게 교육을 제공하는 방법]과 [의학의 교육 목표] 사이에는 차이가 있었다. 이것은 교육 관행을 더 높은 수준으로 조정할 필요성에 대한 인식을 높였다. 

    In our case, there was the observation that there was not sufficient integration of theory and practice and that there was also a lack of transfer from what had been learned during classes to what was seen during internship (and the other way around). However, as medical education increasingly stresses the integrated acquisition of multiple competences, there was a discrepancy between the way instruction was offered to students and the goals of medical education. This led to a raised awareness for adjusting the educational practice toward a higher standard. 


    액션 2: 강력한 유도 연합 구성

    Action 2: Form a powerful guiding coalition


    이해관계자를 정의하라: 학습 환경의 최종 사용자, 학습 환경에 익숙한 교육 전문가, 콘텐츠 개발자, 교사 및 관리

    Define the stakeholders: end-users of the learning environment, educational specialists familiar with (blended) learning environments, content developers,teachers and management


    돌만스 외 연구진(2013년)이 제공하는 팁에 따라 이 과정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다음과 같다. 

        • (1) 여러 의료 분야(통신 전문가, 당뇨병 전문가 및 의료 영상 전문가)와 교육 디자이너로 구성된 다분야 팀을 구성한다. 

        • (2) 팀원이 서로 다른 역할(의료전문가, 콘텐츠 제작자, 콘텐츠 리바이저, 교육업무 감독자 등)을 수행하고, 교육방법에 대해 성찰할 수 있도록 준비 및 동기 부여한다. 

    In line with the tips that Dolmans et al. (2013) provide, it is of utmost importance in this process to 

        • (1) form multidisciplinary teams comprising several medical disciplines (like communication experts, diabetes experts and medical imaging experts)and instructional designers, and 

        • (2) prepare and motivate team members to fulfill different roles (medical expert, content creator, content reviser, supervisor for training tasks, etc.) and to reflect on their methods of instruction. 


        • 전자는 Authentic한 과제의 다양한 측면을 통합하는 균형 잡힌 전체 과제의 개발에 중요하다. 

        • 후자는 학습 환경의 개발, 성공적인 구현 및 후속 조치에 있어 부가 가치가 있다.

    The first is crucial for the development of balanced, whole-tasks that integrate different aspects of authentic tasks; 

    the latter is of added value when it comes to the development, successful implementation and follow-up of the learning environment.


    예를 들어, 학습 환경의 재/개발을 지원하기 위해 ID 모델을 사용하기로 결정하면 이해관계자는 모델의 모든 요소를 자산 가치asset value에 맞게 평가할 필요가 있다. 이를 설명하기 위해, 일반 사례 4C/ID 모델에서 일부 학습 모듈에서는 선택한 작업 측면에 대한 높은 수준의 자동성이 특정 학습 모듈의 목표의 일부가 아니기 때문에 파트 작업 관행의 구성요소를 제외했다. 강력한 guiding coalition은 [모델의 모든 요소를 자산으로 간주하는 교육설계자]와 [쉽고 실용적인 요소만을 고려하는 교사 및 콘텐츠 개발자] 사이에서 균형을 잡아준다.

    For example, once decided to use an instructional design model to support the re/development of a learning environment, the stakeholders need to assess every element of the model to its asset value. To illustrate this, in the General Practice 4C/ID model, the component of part-task practice was left out in some learning modules because high levels of automaticity for selected task aspects were not part of the objectives of that specific learning module. A powerful guiding coalition forms a counterbalance for instructional designers that consider all elements in the model as assets (‘‘it is a validated model, after all’’), and for teachers and content developers that consider only those elements that are easy and practical to implement.


    조치 3: 비전 생성

    Action 3: Create a vision


    증거 기반 원칙을 적용하라

    Apply evidence-based principles


    의학 교육 연구는 교육 디자인 연구로부터 경험적으로 타당한 원리를 조사하고 적용함으로써 진화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인지 심리 연구는 의학 교육에 큰 가치가 있을 수 있다(2010년 추월). 이 값의 예시는 반 메리 nnboer & 스웨터(2010)가 보건 전문 교육에 인지 부하 이론을 적용할 수 있는 방법을 논의하는 데 있다. 이러한 맥락에서 매우 목적적합한 한 가지 원칙은 [초보 학습자에게 잘 적용되는 원칙이 항상 유익하지는 않으며 심지어 더 진보된 학습자에게 해로울 수 있음]을 나타내는 expertise reversal effect다.

    Medical education research can genuinely evolve by investigating and applying empirically sound principles from instructional design research. Cognitive psychological research, for example, can be of great value for medical education (Schuwirth 2010). An illustration of this value is given by van Merrie¨nboer & Sweller (2010) discussing how cognitive load theory can be applied in health professional education. One principle that is highly relevant in this context is the expertise reversal effect indicating that principles that work well for novice learners are not always beneficial, and can even be detrimental, for more advanced learners.


    예를 들어, 태스크 클래스의 시작 부분에서 제공되는 worked example는 이미 지식이 충분한 학습자에게는 불필요하다. Worked example는 [주의 깊은 학습을 필요로하는 완전한 해결책]을 제공하여 (novice) 학습자의 인지 부하를 줄이기 위해 도입되었다. 학습자는 해결책을 생성하기 위해 노력을 기울이는 대신, 전문적인 해결책을 연구하고 예를 상세히 설명하는데 모든 노력을 투자할 수 있다. 교육 혁신에 대한 비전을 정의하기 위해 어떤 교육적 설계 원칙이 사용되는지에 관계없이, 그들은 대개 기술 혁신의 설계, 개발 및 구현에서 내려야 할 선택을 정의할 것이다. 따라서, 이러한 비전과 그 기본 원칙을 설명하고 전달하는 것은 모든 이해관계자들이 교육 혁신 과정에 진정으로 기여할 수 있도록 지원할 것이다.

    For example, a worked example that is offered at the beginning of a task class becomes redundant for more knowledgeable learners. Worked initially examples are introduced to reduce a (novice) learner’s cognitive load by providing a full solution that needs to be studied carefully. Instead of investing effort in trying to generate a solution, learners can invest all effort to studying the expert solution and elaborating on the example. Irrespective of what instructional design principles are used to define the vision towards educational innovation, they will largely define the choices to be made in the design, development and implementation of the innovation. Hence, explaining and communicating this vision and its underlying principles will support all stakeholders to genuinely contribute in the process of educational innovation.


    조치 4: 비전 전달

    Action 4: Communicate the vision


    모든 이해관계자와 교육적 접근 방식 논의

    Discuss the instructional approach with all stakeholders


    이 조치는 비전과 그 기본 원칙을 모든 이해관계자에게 명확히 하기 위한 것이다. 초기 회의에서는 교육 설계 방법(본 연구에서는 4C/ID모델)을 도입하여 교육 변경에 관련된 강사 및 콘텐츠 개발자와 논의할 수 있다. 원래 4C/ID 모델에서 시작할 수 있지만, 초기 미팅에서 주어진 이해관계자의 피드백을 바탕으로 수정할 필요가 있을 수 있다. 우리의 구체적인 사례에서, 선생님들과 학생들은 4C/ID 모델에서 구성요소의 구조와 표현이 그들에게 완전히 명확하지 않다는 것을 나타냈다. 결과적으로, 모델의 시각적 표시는 의학 교육에 4C/ID 모델을 적용하기 위해 특별히 개발된 아이콘으로 더 명확해졌다.

    This action is intended to make the vision, and its underlying principles, clear toward all stakeholders. In an initial meeting, the instructional design method (in this study, the 4C/IDmodel) can be introduced to and discussed with the instructors and content developers involved in the educational change. One can start from the original 4C/ID model but may need to make modifications based on the feedback of the stakeholders that is given during the initial meeting. In our specific case, teachers and students indicated that the structure and wording of the components in the 4C/ID model was not entirely clear to them. Consequently, the visual presentation of the model was made clearer with icons that were specifically developed for this application of the 4C/ID model in medical education.


    결과적으로 이러한 아이콘을 사용하여 작업, 지원 및 절차 정보, 작업 예제 등에 라벨을 붙임으로써, 학생, 강사 및 콘텐츠 개발자는 학습 환경의 구조에 익숙해졌고, 쉽게 자신의 길을 찾고 과제와 과제 수업을 탐색할 수 있었다. 또한 과제물의 총 집합을 표시하고 과제수업을 통해 학생들의 진행상황을 알려줌으로써 학생들은 과제와 과제수업 완료를 쉽게 관리할 수 있었다. 접근법을 보다 명확하게 하기 위해 아이콘을 추가하는 것은 초기 단계에서 이해관계자들과 비전에 대해 토론한 결과였다.

    By consequently using these icons to label tasks, supportive and procedural information, worked examples and so forth, students, instructors as well as content developers became familiar with the structure of the learning environment and could easily find their way and navigate through tasks and task classes. Furthermore, by indicating the total set of tasks and informing students of their progress through the taskclasses, students could easily manage the completion of tasks and tasks classes. Adding icons to make the approach more clear was a consequence of discussing the vision with the stakeholders at an early stage.


    조치 5: 다른 사람이 비전에 따라 행동할 수 있도록 권한 부여

    Action 5: Empower others to act on the vision


    선생님들을 교육한다.

    Teach the teachers


    로드맵이나 템플릿은 콘텐츠 개발자에게 개발 과정을 단계적으로 안내하며, 태스크 클래스별로 필요한 요소를 중심으로 구축되어 요소별 추가 정보를 제공한다. 로드맵을 도입하기 위해, 교육적 접근방식이 실제 사례와 함께 설명되는 교사와 콘텐츠 개발자를 위한 실습 세션을 구성할 수 있다. General Practice 4C/ID 모델 개발에 사용된 로드맵은 부록 B에 제시되어 있으며, 부록 B에 보충 자료로 제공되어 있다.

    Roadmaps or templates guide the content developers stepwise through the development process and are built around the elements that are required per task class, providing additional information per element. To introduce the roadmap, one could organize a hands-on session for teachers and content developers wherein the instructional approach is illustrated with practical examples. The roadmap as used for the development of the General Practice 4C/ID model is provided in Appendix B, available as Supplemental Material at http:// informahealthcare.com/journal/mte.


    조치 6: 단기 성공을 계획하고 이루기

    Action 6: Plan for and create short-term wins


    단기적 성공을 향한 계획: 고품질의 학습 자료 사용 또는 재사용

    Plan for short-term wins: use or reuse learning materials of high quality


    의학적 지식, 기술 및 태도의 습득을 위한 (컴퓨터 기반) 학습 환경의 개발에서, 이용 가능한 모든 학습 콘텐츠는 다음 세 가지 각도에서 보아야 한다.

    In the development of a (computer-based) learning environment for the acquisition of medical knowledge, skills and attitudes; all available learning content should be viewed at from three angles:


    (1) 기존 학습자료는 의사들이 임상현장에서 갖춰야 하는 다양한 역할을 고려하여, 지식, 기술 및 태도의 통합적 개발을 촉진하기에 충분한 양질의 학습자료가 되는가?

    (1) Are the existing learning materials of sufficient high quality to foster the integrated development of knowledge, skills and attitudes, taking into account the different roles a physician should be able to take in his/her practice?


    (2) 학습 모듈 내에 과제 유형과 상호작용의 변동이 충분한가? 높은 변동성과 다양한 상호작용성을 보장하기 위해, 기존 학습 자료는 이미 존재하는 변동성과 상호작용성의 정도를 식별하여 분류해볼 수 있다. 다양성과 다양한 형태의 상호작용을 촉진하기 위해, 여러 유형의 학습 과제를 개괄적으로 작성하고, 유형을 나타낼 수 있다. 

        • 어떤 컨텍스트를 제공할 수 있는지(인턴트 교육 과정에서의 과제, 온라인 텍스트 질문, 온라인 비디오) 

        • 어떤 상호작용이 가능했는가(학생, 학생 환경, 학생 강사, 학생 수업) 및 

        • 어떻게 학생 성과를 평가하는지(2단계: 평가 도구 개발)

    (2) Is there sufficient variability in task type and interactivity within the learning modules? To assure high variability and a range of interactivity, existing learning materials can be categorized into the way they are presented (see roadmap in Appendix B, available as Supplemental Material at http://informahealthcare.com/journal/mte) as to identify the degree of variability and interactivity that is already present. 

    To foster variability and different forms of interactivity, one could create an overview of several types of learning tasks (see Appendix A, available as Supplemental Material at http://informahealthcare.com/ journal/mte), and indicate for all types in 

        • what context the task can be offered (training task in internship, task in course class, online text questions, online video), 

        • what interactivity was possible (student–student; student–environment; student–instructor; student–class) and 

        • how student performance could be evaluated (step 2: develop assessment instruments).


    (3) (기존) 학습자료가 컴퓨터 기반 교육을 통해 제공될 수 있을 정도로 적합한가? 이 질문은 온라인 콘텐츠 관리 시스템에서 이 콘텐츠를 학습 환경의 인프라로 제공할 때 종이와 연필을 사용하여 얻은 효과와 효율성이 반드시 유지되는 것은 아니라는 개념에서 비롯된다. 이는 학습 자료의 특성뿐만 아니라 내용이 제공되는 환경의 기술적 특성과 제한에도 기인한다.

    (3) Are the (existing) learning materials suitable enough to be offered via computer-based instruction? This question stems from the notion that the effectiveness and efficiency as obtained by the use of paper-and-pencil materials does not necessarily hold when this content is offered in an online content management system as the infrastructure for the learning environment. Not only is this due to the nature of the learning materials but also to the technical characteristics and restrictions of the environment in which the content is offered.


    단기적인 승리 창출: 최종 사용자를 통한 프로토타입 테스트

    Create short-term wins: prototype testing with end-users


    환경의 장단점에 대한 피드백을 받을 때 [미래의 최종 사용자로서의 학생과 교사의 기여는] 과소평가되어서는 안 된다(Dolmans et al. 2013). 설계, 개발 및 시험 단계의 주요 함정은 미래 사용자의 통찰력을 이용하지 않는 것이다. 이 경우, 강사와 학생 모두 학습 환경의 최종 사용자로 간주되었고, 이미 그들은 학습 환경의 요소를 비판적으로 반영하기 위해 참여하였다. 혁신적인 전과제 접근방식의 이면에 있는 아이디어를 설명하자는 돌만스 외 연구진(2013)의 제안에 따라, 학습 환경의 원칙과 구조를 제시하고 논의하는 사용자 그룹을 구성하였다. 사용자 그룹의 논의는 학습 환경을 더욱 세분화하기 위한 귀중한 정보를 제공했다. 설계와 개발 과정에 사용자를 지속적으로 참여시킴으로써, 첫눈에 중요한 사용자는 새로운 접근법의 최고의 옹호자가 될 수 있다. 게다가, 학생들은 교육 방법과 기대되는 학습 접근법에 익숙해진다.

    The contribution of students and teachers as future end-users should not be underestimated when it comes to receiving feedback on the environment’s strengths and weaknesses (Dolmans et al. 2013). A major pitfall in the design, development and testing phases is not making use of future users’ insights. In this case, both instructors and students were considered as end-users of the learning environment and already in the conceptual design phase they were involved to critically reflect on the elements in the learning environment. In line with the suggestion by Dolmans et al. (2013) to explain the ideas behind the innovative whole-task approach, user groups were organized in which the principles and structure of the learning environment were presented and discussed. The discussions in the user groups provided valuable information to further refine the learning environment. By continuously involving the users in the process of design and development, at first sight, critical users may become the best advocates of the new approach. Moreover, students become familiar with the instructional methods and the expected learning approaches.


    조치 7: 개선 사항 통합 및 더 많은 변화 창출

    Action 7: Consolidate improvements and produce still more change


    미래지향적 작업

    Work future-oriented


    향후의 학습 환경의 발전과 지속가능성에 관해서는, 학습자료에 메타데이터를 접목시킬 수 있다메타데이터는 학습 자료를 [주제, 교육 수준, 성과 목표, 의도된 사용자, 통합할 역할 수] 등의 값을 활용하여 라벨링할 수 있다. 메타데이터가 있을 경우 필수 기준에 맞는 콘텐츠를 찾기 위해 학습 자료의 저장소 검색이 가능해지는 장점이 있으며(Ellaway & Masters 2008) 다른 환경에서 학습 자료의 재사용도 촉진할 수 있다. 본 가이드에서는 학습 자료를 분류하는 기준과 그 매개변수를 기술함으로써 메타데이터 개요에 대한 첫 번째 시도를 제안했다.

    With respect to future development and sustainability of the learning environment, learning materials can be provided with metadata. Metadata can label learning materials with values for subject, education level, performance objectives, intended users, number of roles to integrate, and so forth. The added value of metadata is that they allow for searching repositories of learning materials in order to find content that meets the required criteria (Ellaway & Masters 2008), but they also foster reuse of learning materials in other environments. In this Guide, we have proposed a first attempt to a metadata overview by describing the criteria and their parameters by which learning materials are categorized.


    모든 최종 사용자와 함께 평가

    Evaluate with all end-users


    학생들이 학습 환경에서 모든 과제를 완료한 후( 인턴십 과제를 포함), 질적 평가와 양적 평가를 모두 수행할 수 있다. 세 개의 최종 사용자 그룹이 평가에 참여해야 한다

          • 학습 환경의 주요 최종 사용자로 간주될 수 있는 학생, 

          • 교육 관행의 도구로 학습 환경을 사용한 교사, 그리고 

          • 미래의 혁신 사이클에서 다루어질 필요가 있는 기술적, 실제적인 문제에 직면할 가능성이 있는 개발자 또는 교육 전문가.

    평가는 콘텐츠의 품질뿐만 아니라 사용자 친화성과 학습 환경의 기능성에 초점을 맞출 수 있다.

    After students complete all tasks in the learning environment (including internship tasks), both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evaluations can be performed. Three end-user groups need to take part in the evaluations: 

        • students as they can be considered as the primary end-users of the learning environment; 

        • teachers as they have used the learning environment as a tool in their educational practice; and 

        • developers or educational specialists as they likely have encountered technical and practical issues that need to be dealt with in a future cycle of innovation. 

    Evaluations may focus on the quality of the content as well as on the user-friendliness and functionality of the learning environment.


    문서화

    Document


    학습 환경을 개발하고 구현하는 점진적인 프로세스에서, 무엇이 개발되었는지, 어떤 단계가 취했는지, 어떤 문제가 처리되었는지, 그리고 어떻게 하면 모든 팀 구성원이 존재하는 흐름을 방해하는 다소 불안한 작업으로 보일 수 있다. 그러나, 문서화는 다음 번 성공적인 교육 혁신의 백본 중 하나이기 때문에 큰 이점을 제공한다.

    In the progressive process of developing and implementing a learning environment, documenting what has been developed, what steps have been taken, what issues have been dealt with and how may seem like a rather disturbing task that interrupts the flow wherein all team members are. However, documenting offers great advantages as it is one of the backbones of the next successful educational innovation.


    문서 작성에 충분한 시간을 할애하기로 결정할 수 있는 여러 가지 이유가 있다. 

        • 모든 팀 구성원을 궤도에 올리고, 이해관계자에게 알린다. 

        • 팀 구성원에게 백업을 제공하고 명확성과 추적성을 제공한다. 

        • 그것은 보급의 출발점을 제공하고 좋은 문서로 교사를 지원하고 훈련시키는 데 필요한 시간을 줄인다.

    There are a number of reasons why one could decide to spend enough time on documenting: 

        • it keeps all team members on track, it keeps the stakeholders informed; 

        • it provides a back-up for the team members; it provides clarity and traceability; 

        • it provides a starting point for dissemination and with good documentation, the time needed to support and train teachers is reduced.


    문서화할 항목을 결정할 때 다음 요소를 포함해야 한다. 

        • 직면했던 위험 및 기술적 문제, 그리고 그 문제가 어떻게 처리되었는지

        • 아이콘, 비디오, 사진 등 재사용 가능한 모든 자료 

        • 웹 사이트의 교육 자료 식별 

        • 개발 및 구현에 대한 보고서 

        • 소규모 사용자 그룹의 테스트에 대한 보고서 

        • 이해관계자의 제안 

        • 학습 환경의 미래 최종 사용자를 위해 '할 것'과 '하지 말아야 할 것'이 열거된 문서

    When deciding what to document the following elements should be included: 

        • risks and technical issues that were encountered and how they were dealt with; 

        • all re-usable materials like icons, videos, pictures; 

        • identification of educational materials on websites; 

        • reports on development and implementation; 

        • reports on testing by small user groups; 

        • suggestions made by stakeholders and 

        • a separate document where do’s and don’ts are listed for future end-users of the learning environment.


    조치 8: 새로운 접근법 제도화

    Action 8: Institutionalize new approaches


    배포하고 토론

    Disseminate and discuss


    변경 과정의 마지막 단계로서, Steinert 등. (2007)은 새로운 접근방식을 기관의 문화에 정착시킬 것을 제안했다. 이러한 앵커링을 위해서는 의료 커리큘럼에서 새로운 접근방식을 지지하기 위한 광범위한 지원을 창출하기 위해 보급이 필요하다. 개발 및 구현 과정을 보급함으로써 동료 연구자, 동료 교사 및 동료 설계자로부터 피드백을 받아 현재와 미래의 학습 환경을 최적화하기 위한 input으로 다시 사용한다. 게다가, dissemination은 의학교육의 혁신을 더욱 촉진하기 위해서, 변화 과정의 어떤 성공적인 요소들이 의료 커리큘럼의 다른 부분으로 이전될 수 있는지에 대해 논의할 수 있게 한다.

    As a last step in the change process, Steinert et al. (2007) suggested to anchor the new approaches in the culture of the institution. For this anchoring, dissemination is needed in order to create a widespread support for endorsement of the new approach in the medical curriculum. By disseminating the process of development and implementation, one gets feedback from peer researchers, peer teachers and peer designers, which again provides input for optimization of the current and future learning environments. Moreover, dissemination allows to discuss what successful elements in the change process can be transferred to other parts of the medical curriculum as to further stimulate innovation in medical education.


    결론

    Conclusion


    4C/ID 모델은 교육 설계, 인지 심리학 및 정보 처리 이론에 대한 연구로부터 광범위한 증거 기반 원칙에 기초한다. 따라서 밴 메리 ̈nboer & Kirschner(2013)에 의해 설명된 단계에 따라 모델의 일부를 구현하면 지침 설계가 개선될 가능성이 있다.

    The 4C/ID model is based on a broad range of evidence-based principles from research on instructional design, cognitive psychology and information processing theories, hence implementing parts of the model in accordance with the steps as described by van Merrie¨nboer & Kirschner (2013) and in this Guide, is likely to improve the instructional design.






    , 37 (1), 4-20
     

    4C/ID in Medical Education: How to Design an Educational Program Based on Whole-Task Learning: AMEE Guide No. 93

    Affiliations 

    Affiliation

    • 1University of Leuven , Belgium .

    Abstract

    Medical education increasingly stresses that medical students should be prepared to take up multiple roles as a health professional. This requires the integrated acquisition of multiple competences such as clinical reasoning and decision making, communication skills and management skills. To promote such complex learning, instructional design has focused on the use of authentic, real-life learning tasks that students perform in a real or simulated task environment. The four-component instructional design model (4C/ID) model is an instructional design model that starts from the use of such tasks and provides students with a variety of learning tools facilitating the integrated acquisition of knowledge, skills and attitudes. In what follows, we guide the reader on how to implement educational programs based on the 4C/ID model and illustrate this with an example from general practice education. The developed learning environment is in line with the whole-task approach, where a learning domain is considered as a coherent, integrated whole and where teaching progresses from offering relatively simple, but meaningful, authentic whole tasks to more complex tasks. We describe the steps that were taken, from prototype over development to implementation, to build five learning modules (patient with diabetes; the young child with fever; axial skeleton; care for the elderly and physically undefined symptoms) that all focus on the integrated acquisition of the Canadian Medical Education Directives for Specialists roles in general practice. Furthermore, a change cycle for educational innovation is described that encompasses practice-based challenges and pitfalls about the collaboration between different stakeholders (students, developers and teachers) and the transition from traditional, fragmented and classroom-based learning to integrated and blended learning based on sound instructional design principles.


    의과대학과 강의의 이별 - 패러다임 변화인가 지나가는 유행인가?  (NEJM, 2017)

    Saying Goodbye to Lectures in Medical School — Paradigm Shift or Passing Fad?

    Richard M. Schwartzstein, M.D., and David H. Roberts, M.D.




    전통적인 강의 기반 과정으로부터의 이탈은 미국의 의대에서 30년 이상 진행되어 왔다. 혁신은 문제 기반 학습의 도입에서부터 시작되었다. 보다 최근에는 강의 기반의 가르침은 TBL, IPE, 임상 의학과 기초 과학을 통합한 연습으로 점점 대체되고 있다. 그러나 최근의 이러한 변화는 증거에 근거한 것인가, 아니면 단지 의학 교육의 최신 유행에 불과한 것인가? 모든 강의는 지양해야 하는가?

    the movement away from traditional lecture-based courses has been under way in U.S. medical schools for more than three decades. Transformation began with the introduction of problem-based learning; more recently, lecture-based teaching has increasingly been replaced by team-based learning, interprofessional education, and exercises integrating clinical medicine and basic science. But are the newest proposed changes evidence-based, or are they merely the latest fad in medical education? Are all lectures to be avoided?


    오늘날 대부분의 의사들은 이용 가능한 생물의학 정보가 한 사람이 배우고 보유할 수 있는 정보를 초과한다는 것을 흔쾌히 인정한다. 그러나 학생들이 배워야 하는 콘텐츠의 양, 전통적인 교실 환경에서 학습이 가장 잘 이루어지는지 여부, 그리고 의료 훈련생들이 성공적인 평생 학습자 및 적응 가능한 개업의가 되기 위해 필요한 또 다른 사항은 무엇인지에 대해서는 여전히 의문이 남아 있다.

    Most physicians today readily acknowledge that the biomedical information available exceeds what one person can learn and retain. Questions remain, however, regarding how much content students must learn, whether that learning is best done in traditional classroom settings, and what else is required for medical trainees to become successful lifelong learners and adaptable practitioners.


    방대한 내용을 담은 수십 장의 파워포인트 슬라이드를 가지고 전통적인 강의를 하는 교육자들은 [가르치는 것]과 [학생들이 배우는 것]을 혼동할 수 있다. 즉, 교사가 정보를 제공했다는 사실이 학생들이 그것을 배웠다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사실, 인지 부하 이론은 우리의 뇌가 한번에 처리할 수 있는 정보의 양에 제한을 받는다는 것을 제안한다. 45분 안에 60개의 슬라이드가 [효과적인 교육 방법]처럼 보일 수도 있지만, [효과적인 학습 방법]이 될 것 같지 않다.

    Educators giving a traditional lecture with dozens of content-heavy PowerPoint slides may confuse what they teach with what students learn: the fact that a teacher has presented a piece of information does not mean that students have learned it. In fact, cognitive-load theory suggests that our brains are limited in the amount of information they can process at a time3; 60 slides in 45 minutes may seem like an efficient way to teach, but it is unlikely to be an effective way to learn.


    새로운 자료를 배우는 학생들도 '자신이 내용을 알고 이해했다는 환상'에 속아넘어갈 수도 있다.2 학생들이 유창하고 잘 표현된 자료를 듣거나 읽을 때, 그들이 이제 내용을 숙달했다고 믿는 것은 흔한 일이다.

    Students learning new material may be deceived by the illusion of knowing and the fallacy of understanding.2 When students hear or read material that is fluent and well presented, it is common for them to believe they have now mastered the content.


    의과대학들은 적극적인 학습과 팀 기반 활동을 강조하기 시작했다. 정보의 획득은 교실 밖에서 주로 발생한다: 인지과학에서 도출된 원칙에 따라, 사실적인 내용은 압도적으로 길지 않은 학습 과제에서 제시되고, 그 내용은 학생들이 그들의 이해 수준을 평가할 수 있도록 질문이나 문제들이 교차한다.

    medical schools have begun emphasizing active learning and team-based activities. Acquisition of information occurs largely outside the classroom: in accordance with principles derived from cognitive science, factual content is presented in study assignments that aren’t overwhelmingly long, and the content is interspersed with questions or problems to ensure that students can assess their level of understanding.


    교실 내에서, 학습은 교사에 의해 촉진될 수 있지만, 상당부분은 학생에 의해 추진drive되어야 한다. 증례는 수업자료의 관련성relevance을 확립하는 데 중요하다.

    In the classroom, learning can be facilitated by the instructor, but it must be driven in large part by the student. Case vignettes are important for establishing the relevance of the material.


    "무엇"(예: 저혈압의 원인이 무엇인가)로 시작하는 질문을 하는 대신, 강사들은 "어떻게"와 "왜" 질문을 사용해야 한다(예: "혈압 조절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이 환자는 왜 이런 상태에서는 저혈압이 될 것 같습니까?"). 학생들은 그들이 [지난 주에 토론한 사례]와 [새로운 사례나 예시]를 비교하도록 함으로써 지식의 전이를 더욱 촉진할 수 있다. [여러 개의 정답이 가능한 질문]은 담론과 대조적인 가설 생성을 장려하기 때문에 가장 바람직하다.

    Instead of posing questions that begin with “what” (e.g., “What are the causes of hypotension?”), instructors can use “how” and “why” questions (e.g., “How do you think about blood pressure control?”; “Why would this patient be hypotensive under these conditions?”). Asking students to compare a new case or example with one they discussed the previous week further facilitates the transfer of knowledge.3 Questions for which there can be multiple right answers can be the most compelling because they encourage discourse and generation of contrasting hypotheses.


    학생들이 집단으로 모여, 생각을 토론하고, 아이디어를 시험하고, 의사처럼 생각하는 법을 배우기 시작할 수 있도록 시간이 허용되어야 한다. 이러한 활동들은 사실을 암기하는 데 필요한 것보다 학생들의 노력을 더 필요로 하지만, 지식을 배우고 유지하는 데에도 더 효과적이다.2

    Time must be allowed for students to work in groups to discuss thoughts, test ideas (both theirs and others), and begin to learn how to think like a doctor. These activities require more effort from students than it takes to memorize facts, but they are also more effective for learning and retaining knowledge.2


    이른바 뒤집힌 교실 접근법은 밀레니얼 세대에 속하는 학생들에게 잘 어울린다.4

    This so-called flipped classroom approach is well suited to students who are members of the millennial generation.4


    밀레니얼은 온라인에서 정보를 찾는 것에 익숙해져 그들을 계속 참여시키고 짧은 세그먼트(예: 10분 미만의 비디오)로 제시되는 시각적 호소력 있는 콘텐츠로부터 가장 잘 배운다. 전통적인 강의는 많은 밀레니얼 학생의 관심에서 빠르게 멀어질 것이고, 참여하지 않는unengaged 학생들은 배우지 않을 것이다.

    They are accustomed to finding information online and learn best from visually appealing content that keeps them engaged and is presented in short segments (such as videos that are less than 10 minutes long). The traditional lecture will quickly lose the attention of many of these students, and an unengaged student is not learning.


    한 RCT에서... 

    In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이전 과목에서 [상대적으로 성적이 좋지 않았던 학생]들은, [동료들과 교류하고 그들의 생각을 공유하는 것]이 준비에 도움이 되었기 때문에 통계적으로 시험 점수에 상당한 향상을 보였다. flipped classroom 접근법을 사용하는 교수들은 종종 모든 것을 "커버해야"야 한다는 요건의 폭압으로부터 해방되었다고 느낀다. 정보의 습득은 수업 외의 학생에 의해 이루어지기 때문에 교사와 학생 간의 상호작용은 이해하기 어려운 콘텐츠에 초점을 맞추고, 실제 문제에 새로운 개념을 적용하는 데 초점을 맞출 수 있다.

    Students who had performed relatively poorly in prior courses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improvement in their exam scores — possibly because interacting with their peers and sharing their ideas prepared them better. Faculty using a flipped-classroom approach often feel liberated from the tyranny of the requirement to “cover” everything. Since acquisition of information is accomplished by the student outside class, interactions between teachers and students can focus on content that is difficult to understand and on the application of new concepts to real-world problems.


    그럼 강의의 종말이 왔는가? 만약 "강의lecture"가 수동적으로 정보를 흡수하고 있는 많은 학생 집단 앞에 서서 이야기하는 전통적인 그림을 의미한다면, 그렇다, 우리는 대부분 의과대학에서 이러한 방식의 교육을 포기해야 한다고 생각한다. 그러나 만약 '강의'가 [미리 준비한 학생들과의 대규모 그룹 대화형 학습 세션, 청중들을 대상으로 한 질문, 그룹 토론을 위한 시간, 청중 응답 시스템 사용](예를 들어 이해를 위해 학생들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을 의미한다면, 우리는 대화형 강의 스타일은 남아있어야 하며 효과적인 교육 도구가 될 수 있다.

    So is the lecture dead? If “lecture” refers to the traditional picture of a professor standing in front of and talking at a large group of students who are passively absorbing information, then yes, we believe medical schools should be largely abandoning that teaching format. But if it describes large-group interactive learning sessions with students who have prepared in advance, with frequent questions directed at the audience, time set aside for group discussion, and use of audience response systems (to poll students on a question to assess for understanding, for example), then we believe an interactive lecture style format should remain an option and can be an effective teaching tool.






    , 377 (7), 605-607
     

    Saying Goodbye to Lectures in Medical School - Paradigm Shift or Passing Fad?

    Affiliations 

    Affiliation

    • 1From the Division of Pulmonary, Critical Care, and Sleep Medicine, Beth Israel Deaconess Medical Center, and Harvard Medical School - both in Boston.


    의학교육에서 감정에 대한 담론: 늘 존재하는 부재(Med Educ, 2013)

    Discourse(s) of emotion within medical education: the ever-present absence

    Nancy McNaughton





    도입

    INTRODUCTION


    감정은 (전문 지식과 일상적인 담론의 대상으로) 당연한 것으로 간주된다.1 의학에서 감정은 전문적인 가치, 태도, 신념의 핵심 요소로 인식되며, 진단, 상담, 환자 관리를 포함한 전문적 활동에 대한 휴머니즘적 접근법을 지지한다. 그것은 또한 직업적 행복과 환자 만족의 필수적인 측면으로 인식된다.

    Emotion is taken for granted as an object of both specialised knowledge and everyday discourse.1 Within medicine, emotion is recognised as a core element of professional values, attitudes and beliefs and is espoused in humanistic approaches to professional activities, including diagnosis, counselling and patient management. It is also recognised as an essential aspect of professional well-being and patient satisfaction.


    훈련, 임상적 의사결정 및 일상적 상호작용의 모든 측면에 피할 수 없는 존재임에도 불구하고, 감정은 가치, 태도 및 믿음의 더 큰 구성의 일부분으로서 또는 '이성'으로 잘못 이분화되어, 대부분 귀중한 형태의 지식의 원천으로서 보이지 않게 된다.

    Despite its unavoidable presence in all aspects of training, clinical decision making and day-to-day interactions, emotion is either elided as part of a larger construct of values, attitudes and beliefs, or falsely dichotomised with ‘reason’, making it largely invisible as a valuable form and source of knowledge.


    이성 vs 감정

    Reason Versus Emotion


    의학 교육 내에서 정신-신체와 이성-감정과 같은 데카르트적 이분법은 부분적으로 '이성이 부패된 상태로서 초월되어야 할 것'으로 감성을 바라보는 과학과 기술 발달의 효과에 의해 영속된다.9 어떻게 '선량한' 의사가 되려면 이성으로부터 감정을 제거해야 한다는 생각이 영속되어 왔는가? 아니면 적어도 초연적 관심의 형태로 환자의 이익을 위해 그에 상응하는 적정성을 부여할 수 있어야 하는가?10

    Within medical education Cartesian dualities,9 such as mind⁄ body and reason⁄ emotion, are perpetuated in part by the effects of scientific and technological developments that find ‘emotion as a corruption of reason that needs to be transcended’.9 How has the idea been perpetuated that to be a ‘good’ doctor one must evacuate emotion from reason or, at very least, be able to titrate it accordingly for the patient’s benefit in the form of detached concern?10


    전문직업적, 학문적 고정관념은 이분법적 사고에 달려있다. 예를 들어, 보통 사람들이 흔히 하는 [예절이라고는 전혀 없지만 뛰어난 외과의사]에게 치료를 받는 것이 더 나은 것인지 아니면 [덜 똑똑하지만 환자의 손을 잡아줄 용맹스러운 외과의사]에게 치료받는 것이 더 나은 것인지에 있다. 그러한 구별은 어처구니없을 정도로 환원적일 뿐만 아니라 전문적 정체성 형성에 영향을 미치는 이분법적 관점을 재현한다.

    Professional and disciplinary stereotypes rest on binary thinking: for example, a question commonly voiced by lay people concerns whether it is preferable to be treated by a brilliant surgeon who has awful bedside manners OR a less-than-brilliant surgeon who will hold the patient’s hand. Such distinctions are not only insultingly reductive, but reproduce a binary perspective that has implications for professional identity formation.


    이분법은 감정과 그 표현에 대한 경계를 전문성, 도덕적 감수성, 지성의 표시로 유지하기 위해 생산적으로 사용된다. 임상 훈련에서 감정을 불법적인 형태의 지식으로 폄하하는 것 또한 의학 교육 내에서 기여가 부족하게 되었다.

    Dichotomies are used productively to maintain boundaries around emotion and its expression as signs of professionalism, moral sensibility and intelligence. The disparagement of emotion as an illegitimate form of knowledge (seen as both gendered and unscientific) in clinical training has also led to a paucity of contributions within medical education


    감성이란 무엇인가?

    What is Emotion?


    연구의 대상으로서, 감정은 기술하기 힘들기로 악명 높으며 직업과 학문 사이에는 그것이 무엇인지에 대한 동의가 거의 없다. 그것은 생리학적으로 결정되고, 내적으로 경험되고 자연스럽고, 이성의 요소로서, 사회문화적 가치와 사회문화적 관행의 결과의 전달 매개체로서, 수행과 미적, 도덕적 경험의 중심이라고 다양하게 묘사되고 있다.

    As an object of study, emotion is notoriously difficult to delineate and there is little agreement among professions and disciplines about what it is. It is variously described as physiologically determined,11–13 internally experienced and natural,14,15 a component of reason,16–19 a medium for the transmission of socio-cultural values and the result of socio-cultural practices,1,16,20–26 a performance27–29 and central to aesthetic and moral experience.30–32


    방법

    METHODS


    '담론은 그들이 말하는 대상을 체계적으로 형성하는 관습이다.'29

    ‘Discourses are practices that systematically form the objects of which they speak.’29


    푸코디안 프레임워크 내에서, 담론 분석은 제작, 배포 및 수신의 상호 관련 텍스트와 실행의 집합을 말한다. 이는 공식 및 비공식 커리큘럼 형식과 전문 문서에서 전문성과 역량과 관련된 관행과 정책에 영향을 미친다. 감정에 대한 다른 생각들은 구체화되고 법제화된다. 그 후 감정을 연구하기 위한 이산적인 접근은 사회 관계를 통해 역사적으로 제도적 환경에서 형성되는 글쓰기 단어뿐만 아니라 실천으로서 감정에 초점을 맞춘다. 이와 같이, 낙서는 세계에 영향을 주는 사회적 행동의 형태로 조사될 수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우리는 다음과 같은 질문을 던지기 시작할 수 있다: 누가 감정에 대한 일반적인 생각으로부터 이익을 얻는가? 감정이 임상 지식으로 중요한 것을 형성하는 데 어떤 역할을 하는가?

    Within a Foucauldian framework, discourse analysis refers to inter-related sets of texts and practices of their production, dissemination and reception. This occurs through both formal and informal curricular forms and in professional documents, producing effects on practices and policy related to professionalism and competency. Different ideas about emotion are taken to be both embodied and enacted. A discursive approach to studying emotion then focuses on emotions as practices, as well as written words that are shaped historically in institutional settings through social relations. As such, discourses can be investigated as forms of social action that create effects in the world. From this perspective, we can begin to ask questions such as: who benefits from prevalent ideas about emotion? What role does emotion play in shaping what counts as clinical knowledge?


    감정의 세 가지 담론: 생리적 담론, 기술과 능력으로서의 감정, 그리고 사회문화적 담론(표 1)

    three discourses of emotion: a physiological discourse; emotion as skills and abilities, and a socio-cultural discourse (Table 1).




    생리학으로서 감정

    EMOTION AS PHYSIOLOGY


    '생리학으로서의 감정' 담론은 보편적으로 경험된 감정과 우리의 신체적 구성의 일부로서 감정을 본다. 예를 들어, 모든 사람들은 문화나 배경에 상관없이 분노를 경험한다. 이 때, 특정한 신경 화학적 연쇄반응이 시작되어, 우리의 의식적인 통제를 벗어난 많은 경우에 물리적 영향과 행동을 야기한다.

    An ‘emotion as physiology’ discourse posits emotion as universally experienced and part of our physical make-up; for example, everyone has experienced anger regardless of culture or background. A particular neurochemical cascade is set off, leading to physical effects and behaviour, in many instances beyond our conscious control.


    사람들이 경험하는 감정의 양과 종류는 병리적 상태가 아닌 인간에게서 [동일한 감정을 자극하는 보편적인 정신생물학적 과정의 예측 가능한 결과라고 이해된다.33

    The amount and kinds of emotion that people experience are understood to be predictable outcomes of universal psychobiological processes stimulating identical emotions in non-pathological humans.33


    이 담론은 생물학적 과정으로 감정을 확보하고 합리적이고 실증주의적인 인신론으로부터 지지를 받는 연구를 통해 재현되고 정당화된다. 생리학과 감정은 질병뿐만 아니라 행동에 대한 경험적 증거를 제공하기 위해 그들의 인과관계를 연구한다. 임상 실습 연구에서 담론은 개인의 의식적 통제나 행동 효과에 대한 인식을 벗어난 신경 화학적 원인을 식별하는 데 관심이 있는 신경 및 인지 과학자와 교육자에 의해 작용에서 명백하다.34–41 의학 교육에서 신경과학자와 인지과학자는 스트레스의 생리적 효과(이것을 감정으로 해석한다)가 인지적 평가 기술 42,43 및 의료 성과 44,45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한다.

    This discourse is reproduced and legitimated through research that posits emotion as a biological process and is supported by a rational, positivist ontology. Physiology and emotion are studied for their causal connections to provide empirical evidence for behaviour as well as illness. In clinical practice research, the discourse is evident in work by neuro- and cognitive scientists and educators interested in identifying neurochemical causes that are beyond the individual’s conscious control or awareness of behaviour effects.34–41 In medical education, neuroand cognitive scientists are studying the physiological effects of stress (interpreted as an emotion) on cognitive appraisal skills42,43 and health care performance.44,45


    Pottier 등의 연구에서, 46 학생들은 자신의 몸에서 화학적으로 일어나는 스트레스 수준을 의식하지 못했다. 우리의 몸이 우리의 마음과 별개로 작용하고 있다는 생각은 데카트트적 마음-신체, 이성-감정 이분법에 의해 뒷받침된다.

    in the work of Pottier et al.,46 the students were not conscious of the level of stress their bodies were registering chemically. The idea that our bodies are acting separately from our minds is supported by a Cartesian mind⁄ body reason⁄ emotion duality.


    의학 교육에서 생리적 담론의 또 다른 예는 표준화된 환자(SP)뿐만 아니라 의료인을 훈련시키기 위해 Paul Ekman의 아이디어를 적용한 것이다.47,48,49 Ekman의 연구는 감정의 보편적 생물학적 생성과 그에 따른 얼굴 표정 사이의 논증할 수 없는 연관성에 기초한다.47 Through 미세표현훈련도구(METT)를 이용한 Ekman의 안면행동코딩시스템(FACS)에서의 훈련은 미세표현에 감추어진 감정을 읽음으로써 다른 사람의 내적 감정상태를 신뢰성 있게 분별하는 법을 배울 수 있다.

    Another example of a physiological discourse within medical education is the application of Paul Ekman’s ideas for training medical practitioners as well as standardised patients (SPs).47,48,49 Ekman’s research is based on an incontrovertible connection between the universal biological production of emotion and resulting facial expressions.47 Through training in Ekman’s facial action coding system (FACS) using the micro-expression training tool (METT), one can learn to reliably discern other people’s internal emotional states by reading emotions concealed in micro-expressions:


    Ekman의 이론은 우리 모두가 [사회적, 문화적 차이와 무관하게 우리의 인식과 통제를 벗어난 보편적으로 측정할 수 있는 방법으로 경험하고 감정을 표현하도록 연결되어 있다]는 것을 암시한다.47

    Ekman’s theory, suggests that we are all, regardless of social and cultural differences, wired to experience and express emotion in universally measureable ways that are beyond our awareness and control.47



    함의

    Implications


    신경 영상 실험은 우리에게 감정의 일반적이고 보편적인 특성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활동이다.

    Neuro-imaging experiments, are activities that provide us with information about the generalisable and universal characteristics of emotion.


    이 담론 안에서 감정은 그들만의 삶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보여지고, 방해가 되고, 어쩌면 우리의 이성을 압도하고 위험한 결정과 행동으로 이어질 수도 있다.  ‘I lost my head’, or I need to get a grip’와 같은 흔한 문구나, blowing off steam or losing one’s cool 과 같은 은유들은 이중적인 사고에 의해 더욱 뒷받침되는 감정에 대한 그러한 이해를 반영한다. 그러나, 현재의 신경과학 연구는 우리의 인식은 본질적으로 감정적인 두 가지 – 사이에 구분split이 없다는 것을 시사한다. 안토니오 다마시오는 '이성이라는그림에서 감정이 완전히 배제될 때...(감정이 우리의 결정에 나쁜 장난을 칠 때보다) 이성은 훨씬 더 결점이 있는 것으로 판명된다.'라고 쓰고 있다.

    Within this discourse emotions are seen to have a life of their own, getting in the way, possibly overwhelming our reason and leading to dangerous decisions and actions. Such common phrases as ‘I lost my head’, or I need to get a grip’, or metaphors such as blowing off steam or losing one’s cool reflect such an understanding of emotion which are further supported by dualistic thinking. However, current neuroscience research suggests that there is no split between the two – our cognition is essentially emotional. Antonio Damasio writes, ‘When emotion is entirely left out of the reasoning picture…reason turns out to be even more flawed than when emotion plays bad tricks on our decisions.’11


    그러나 이성과 감정 사이에 분열이 없음을 보여주는 연구에도 불구하고, 우리의 감정은 파괴적이며 관리되어야 한다는 생각이 우리의 일상적 사고와 실천에 스며들고 있다.

    Yet despite the research that shows there is no split between reason and emotion, the idea that our emotions are disruptive and need to be managed is pervasive and deeply ingrained in our day to day thinking and practices.


    이것과 평행한 또 다른 개념은 감정이 자연의 날씨 패턴처럼 일어난다는 것이다.22 이러한 관점에 따르면, 감정이란 긍정적이든 부정적이든 간에 감정 그 자체가 문제가 되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그 발생이 [우리에게 비자발적으로 일어나고 우리의 이성적 능력에 문제를 일으키는 것]처럼 보이기에 문제인 것이다.

    Another notion parallel to this one is that emotions occur like naturalised weather patterns.22 In this view, it is not emotions themselves, either positive or negative, that are troublesome, but, rather, their occurrence, which seems to happen to us involuntarily and to connect to our rational capacities in troubling ways.


    스킬로서 감정

    EMOTION AS SKILL


    '기술로서의 감정' 담론에서 '지능'과 '감정'의 개념은 능력, 기술 습득 및 성과에 관한 아이디어와 관련된 궤적을 따라 수렴된다. 이러한 담론은 우리의 감정에 대한 생물학적 근거를 인정하지만, 이제 그것들은 실천을 통해 변화할 수 있는 것으로 보인다.

    Within an ‘emotion as skill’ discourse, concepts of ‘intelligence’ and ‘emotions’ converge along a trajectory related to ideas about ability, skills acquisition and performance. This discourse acknowledges the biological basis for our emotions; however, they are now seen as amenable to change through practice.


    '우리는 감정 능력이 신체검사 기술과 마찬가지로 (환자 진단이나 사회문화적 배경을 대체하는) 적절하게 정의되고, 가르칠 수 있는(그리고 측정할 수 있는) 기술로 간주될 수 있다고 제안한다.'52

    ‘We suggest that emotion skills, much like physical examination skills, can be regarded as a properly defined, teachable (and measurable) skill set that supersedes patient diagnoses or socio-cultural backgrounds.’52


    이러한 의무는 태도와 가치에 관련된 전문적인 행동을 할 때, 감정을 가시화하는 의사소통 기술 훈련을 통해 부분적으로 충족된다. 행동 훈련은 의사결정의 인지적 측면으로 되돌아온다. 어떻게, 언제, 무엇을 말할 것인가에 대한 결정은 체계적 연습을 통해 개발될 수 있는 기술이다.

    This mandate is met in part through communication skills training in which emotion becomes visible in demonstrations of professional behaviours linked to attitudes and values. Behavioural training feeds back into cognitive aspects of decision making. Decisions about how, when and what to say are skills that can be developed through organised practice.


    감정지능

    Emotional Intelligence


    감성 지능(EI)은 감성에 대한 특별한 생각이 의학에서나 일상 생활에서나 작동하게 되는 지배적인 기술이다.

    Emotional intelligence (EI) is the dominant technology through which particular ideas about emotion become operationalised both in medicine and throughout our day-to-day lives.


    EI의 목적은 연습을 통해 

      • 자신과 타인의 감정을 인지하고 이해하고 관리하는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기술을 개발하고, 

      • 부정적인 감정 경험과 그들의 표현을 감소시키기 위해 그 결과를 평가하는 것이다.

    The aim of EI is to develop skills through practice 

      • to improve abilities to perceive, understand and manage emotion in both oneself and others, and 

      • to evaluate the outcomes in order to reduce negative and increase positive emotional experiences and their expression.


    '자신과 다른 사람들의 감정을 능숙하게 감지, 이해 및 관리하는 것은 제공자 웰빙, 제공자 만족, 전문성 및 환자 결과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52

    ‘The skillful detection, understanding and management of emotions in the self and others may impact on provider well-being, provider satisfaction, professionalism and patient outcomes.’52


    감성 지능은 의료 전문가를 개발하는 의료의 인문학적 목표를 충족시키는 동시에, 신뢰할 수 있는 포착에 적합하지 않은 것으로 보이는 능력을 측정하고 판단하는 신뢰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한다.

    Emotional intelligence meets health care’s humanistic goals of developing caring professionals while providing a dependable method for measuring and judging capacities seen as not otherwise amenable to reliable capture.


    감성 지능은 의대 입학 과정, 53 임상 및 서면 평가에 대한 성과와의 상관 관계, SPs.55에 의해 평가된 EI 속성과 학생 임상 기술 사이의 가능한 관계를 포함하는 광범위한 맥락에서 관여하고 연구되고 있다.

    Emotional intelligence is being engaged and studied in a wide range of contexts that include medical school admissions processes,53 its correlations with performance on clinical and written assessments54 and the possible relationship between EI attributes and student clinical skills as assessed by SPs.55


    스킬의 수행으로서 감정

    Emotion as Performance of Skills


    Performance는 기술로서 EI가 드러내어지는 매개체. 보이지 않는 전문적 속성을 [개별적인 관찰 가능한 기술과 능력]으로 변환하려면 특정한 종류의 퍼포먼스가 필요하다.

    Performance is the medium through which the skills of EI are manifest. The transforming of invisible professional attributes into individual observable skills and abilities requires a specific kind of performance


    이 담론에서의 성과는 '인지기능 과정하고는 관련성이 낮고, 행동, 움직임, 언어 및 몸짓과 더 많은 관계가 있다.56

    Performance in this discourse ‘has less to do with cognitive processes and more [to do] with action, movement, speech and gesture’.56


    감정은 관찰할 수 있고 측정할 수 있는 과제의 수행을 통해 가시화된다. 그것은 분리된 요소(rapport, empiration, eye contact, question style)로 나눠질 수 있으며, 의사소통이 수행된 기술의 더 미세하고 더 미세한 슬라이드로 분석되는 연속체를 따라 평가될 수 있다. 그래서 감정에 관한 정보에 접근하기 위해 개인의 경계 안에 도달하는 것이 아니라, 이 담론은 [역량있는 실천]과 관련된 [특정한 시연demonstration]으로서 감정을 관찰할 수 있게 해준다. 감정은 아직 생물학적으로 생산되고 있지만, 지금은 그 외적인 면을 관찰하고 측정하는 데 초점이 맞춰져 있다.

    Emotion then becomes visible through the performance of tasks that are observable and measureable. It can be broken into discrete component parts (rapport, empathy, eye contact, questioning style) and assessed along a continuum on which communication is parsed into finer and finer slivers of performed skills. So, rather than reaching inside the boundaries of the individual to access information about emotion, this discourse allows one to observe it as a particular demonstration related to competent practice. Emotion is still biologically produced, but now the focus is on observing and measuring its external aspects.


    예를 들어, 테크닉으로서의 공감이나 연민은 벅만의 공감 모델에서 분명히 알 수 있듯이 학습하고 평가할 수 있는 단계로 나눌 수 있다: '감정반응은 다음의 테크닉으로 구성되어 있다

    (i) 감정을 식별하고

    (ii) 감정의 근원을 식별한 두,

    (iii) 이 두 단계 사이를 자신이 어떻게 연결했는지를 보여주는 방식으로 반응하는 것

    For example, empathy or compassion as a technique can be broken into steps that can be learned and assessed, as is evident in Buckman’s model for empathy: ‘The empathic response, for example, is a technique that consists of 

    (i) identifying the emotion, 

    (ii) identifying the source of emotion, and 

    (iii) responding in a way that shows you have made the connection between the first two steps.’57


    감정을 기술이나 기법으로 프레이밍 하는 것은 전문적인 훈련과 연습에 영향을 미친다.

    Framing emotion as a skill or technique has effects on professional training and practice.


    [단순히 다른 형태의 기술로서 감정]을 지탱하는 아이디어는 [사회문화적 맥락을 고려하지 않으며[감정을 관리, 통제, 설명하는데 있어 가장 큰 부분을 개인에게 맡기는] 방식의 설명 모델을 넘어서야 할 필요성을 충분히 인식하지 못한다. 


    Ideas that support emotion as simply another form of skill do not offer sufficient recognition of the need to move beyond explanatory models that put the largest part of the responsibility for managing, controlling and explaining emotion on the individual without addressing the social and cultural context.


    함의

    Implications


    '병원 곳곳에 화장실과 계단통에서 조용한 울음소리가 있다. 동료, 환자, 심지어 친구까지도 어떤 붕괴도 좋은 의사가 되지 못하는 지표로 보고 있다는 인식이다.'58

    ‘There is muted crying in bathrooms and stairwells all over the hospitals. The perception is that colleagues, patients and even friends see any breakdown as an indicator of not being a good doctor.’58


    [개인의 감정 기술과 능력에 초점을 맞춘 책무성 전략]은 개별 workplace을 형성하는 [situated inequalities과 물질적 압력을 눈에 보이지 않게 만들 수 있는 잠재력]을 가지고 있다. 감정이 개인의 것으로, 프라이버시로 정의될 때, 학생과 의사의 고립과 소진을 증가시킬 잠재력을 가지고 있다. [허용 가능한 것]의 규범을 벗어났다고 여겨지는 감정은 어딘가에 숨겨져 있을 수 있으며, '자신에 대한 통제력 확보'나 '감정을 제쳐두는' 방식으로 다뤄지게 개인에게 맡겨질 수 있다. 자신이 전문직에 들어갈 만한 가치가 있다는 것을 증명해야 한다는 엄청난 압박감 속에서, 학생들은 자신들이 환자나 절차에 대해 불편한 감정을 가지고 있다는 것을 인정하기를 두려워하고, 이러한 감정들을 '역량'이라는 망토 뒤에 숨긴다.59

    Accountability strategies that centre on the emotion skills and abilities of the individual have the potential to make invisible the situated inequities and material pressures shaping individual workplaces. Emotion defined as individual and private also has the potential to add to increased student and practitioner isolation and burnout. Emotions identified as outside the norm of what is acceptable may remain hidden and be handled individually by ‘getting control of oneself’ or ‘putting feelings aside’. Under great pressure to prove themselves worthy of entering the profession, students are afraid to admit that they have uncomfortable feelings about patients or procedures and hide these feelings behind a cloak of competence.59


    한 학생은 이런 의견을 표현했다: '그런 감정들은 그냥 방해가 된다. 그것들은 맞지 않아, 나는 그것들을 없애는 법을 배울 거야. 아직 어떻게 해야할지는 모르겠지만, 어떤 것들은 좀 무섭기까지 하다'

    One student expressed the opinion: ‘Those feelings just get in the way. They don’t fit, and I’m going to learn to get rid of them. Don’t know how yet and some of the possibilities are scary.’60


    이 학생의 진술은 훈련을 통해 문제가 되는 감정을 없애기 위해 노력하면서 연민을 유지하도록 요구하는 의사들의 이중 부담double burden을 밝히고 있다.

    This student’s statement identifies the double burden of medical practitioners that requires them to sustain compassion while working to rid themselves of problematic emotions through training.


    EI에 대한 비판

    CRITIQUE OF EI


    이러한 감정 담론에 대해 의학 교육자들은 기꺼이 비판적인 반응을 보여 왔다. 루이스 외 연구진.60은 의료 교육에서 EI의 구조가 [측정할 수 없는 것을 측정하려고 시도하는 것은 아닌지]에 대해 질문을 제기하고, 현재의 모델들이 집단적이고 분산된 감정 모델보다는 개별화된 것을 영구화할 것을 제안한다.

    There has been a welcome critical response by medical educators to this discourse of emotion as skills. Lewis et al.60 raise relevant questions about whether the construct of EI in medical education is attempting to measure the immeasurable and suggest that current models perpetuate individualised rather than collective and distributed models of emotion.


    Lewis 등은 EI를 '집단적 분위기를 고려하며 그룹 환경에서 정서적 행동의 '지능적' 부분으로 공유하는 협력적인 분산 모델로 재배치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60

    Lewis et al. are working towards relocating EI as a collaborative distributed model which ‘takes account of group climate and shared affect as the ‘‘intelligent’’ part of emotional behaviour in group settings’.60


    사회문화적 매개체로서 감정

    EMOTION AS A SOCIO-CULTURAL MEDIATOR


    '감정은 차이와 윤리가 소통되고 협상되고 형성되는 매개체다.'22

    ‘Emotions are a medium, a space in which differences and ethics are communicated, negotiated and shaped.’22


    사회문화적 담론은 [감정이 사회적 교류에서 갖는 기능과 사회적, 정치적, 문화적 중재자로서의 감정의 역할]에 대한 관심을 갖게 한다. 그것은 또한 감정을 신경화학이나 심리학적 과정으로서가 아니라 실천으로서도 전조가 된다.

    A socio-cultural discourse directs our attention to emotion’s function in social exchanges and its role as a social, political and cultural mediator. It also foregrounds emotion as a practice rather than as a neurochemical or psychological process.


    이 마지막 관점은 학습을 위한 상황화된situated 문화적 및 맥락적 요인의 중요성을 인정한다. 이처럼 감정은 언제나 개인과 사회 사이에 매개력mediating force으로 존재한다.

    This last perspective acknowledges the importance of situated cultural and contextual factors for learning. As such, emotion is always between the individual and the social as a mediating force.


    사회문화적 담론은 [감정을 협력적인 것, 즉 특정한 문화적, 사회적 맥락에서 개인들에게 분포된distributed 것]으로 본다.

    A socio-cultural discourse constructs emotions as collaborative and distributed among individuals in particular cultural and social contexts,


    사회적, 물질적 요소들이 우리의 정체성에 미치는 영향을 인정하는 관점은 [안정된 실체가 아닌 힘으로서의 감정]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Lewis et al.의 EI 대체 모델은 그것을 '개별적이고 정적'이 아닌 '협동적이고 역동적인' 것으로 묘사하고 있으며, 공간 뿐만 아니라 시간 차원에서 작동하는 시스템의 창발적 특성이라고 보았다.

    A view that acknowledges the effects that shared social and material artefacts have on our identities, our work and relationships includes emotion as a force, not as a stable entity. For example, Lewis et al.’s alternative model of EI describes it as ‘collaborative and dynamic, rather than individual and static, [and] importantly, as an emergent property of a system operating in time, as well as space’60


    이 저자들은 다음과 같이 제안한다: '이러한 환경에 대한 민감성은 어떤 임상의사가 언제 어떻게 개입하는지를 지배할 수도 있고, 또는 전문가간 팀 절차에 개입하지 않기로 결정할 수도 있다.'60

    These authors suggest: ‘…such sensitivity [to environment] may govern when and how any clinician intervenes, or decides not to intervene in an interprofessional team procedure.’60


    [모든 사람이 자신의 감정을 얼마나 잘 표현할 수 있는지에 관계없이 특정한 맥락에서 자신의 감정을 드러낼 수 있는 권한이 사람마다 동일하지 않다는 것]은 특정 직업적 맥락에서 감정을 실천(표현)함을 형성하는데 있어서, 권력 관계를 인식하는 것이 얼마나 중요한지를 보여준다.

    That not everyone has the same permission to reveal their emotions in particular contexts, regardless of how well they may express them, suggests how important it is to recognise power relations in shaping the practice of emotion in specific professional contexts.


    실천윤리로서 감정

    Emotion as an Ethics of Practice


    [사회적으로 의식적인 감정]이라는 담론을 지지하는 사람들은 의대 과정 내에 인문학에 대한 관심을 높이고 포함시키는 것을 긍정적으로 보고 있다. 연극과 서술을 채택하는 프로그램, 예술의 창조, 음악의 감상 등을 통해 인문계는 인지뿐만 아니라 구체적이고 감정적인 학습의 새로운 길을 열어주는 것으로 점점 더 인정받고 있다.

    Proponents of a socially conscious discourse of emotion see as a positive step the increasing attention to and inclusion of the humanities within medical school curricula. Through programmes that adopt theatre and narrative, the creation of art and appreciation of music, the humanities are increasingly acknowledged as opening up new pathways for learning that are embodied and emotional, as well as cognitive.


    '실천으로서의 윤리는 다층적 주관성의 모든 단계를 아우르는 복잡성의 연극이다. 이 때 인지는 감정에, 지성은 감성에 구속bind되며, 이 모든 것은 다시 사회적으로 내재된 지속가능성의 윤리와 연결시키는 것이다.'61

    ‘Ethics as a practice is related to a play of complexity that encompasses all levels of one’s multilayered subjectivity, binding the cognitive to the emotional, the intellectual to the affective and connecting them all to a socially embedded ethics of sustainability.’61


    이러한 윤리의 관념은 이성과 감정의 이분법적 분열에 의문을 품게 함으로써, 개개인이 '감정을 담아내는 그릇'이라는 개념을 뛰어넘게 한다. 그러나, 예술과 인문학에 기반을 둔 접근방식이 전문성과 실천과 관련된 기존의 생각을 파괴하고 확장하기보다는 재생산하는 역할을 할 위험도 있다.

    Such a conception of ethics move us beyond the notion of the individual as a container of emotion by asking us to question the split between emotion and rationality. However, There is a danger that, artsand humanities-based approaches may serve to reproduce rather than disrupt and expand existing ideas related to professionalism and practice.


    노동으로서 감정

    Emotion as Labour


    의료행위의 핵심은 의사와 환자의 대화적 관계다. 인간의 고통에 관심을 기울이는 것은 정교한 기술적, 임상적 기술을 숙달하고 여러 가지 면에서 자아와 다른 것들에 대한 미묘한 협상을 필요로 한다(개인적이고 전문적인 것 둘 다). 이것은 사회문화적 관점에서 노동의 한 형태로 정의될 수 있다.

    At the heart of the practice of medicine is the dialogical relationship between doctor and patient. Tending to human suffering requires mastery of sophisticated technical and clinical skills and nuanced negotiations of self and other on a number of fronts (both personal and professional). This can be defined as a form of labour from a socio-cultural perspective.


    알리 호치차일드는 서비스업에서 노동의 한 형태로서 감정을 연구해 왔다.21 호치차일드는 노동자들의 정서적 경험을 형성하는 개개인이 아닌 사회적 심리적 힘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이런 관점에서 부정적인 반응을 억누르거나 '하고 싶은 말을 참는' 것과 같은 감정적 결정을 내리게 만드는 것은 사회정치적 환경이다.21

    Arlie Hochschild has studied emotion as a form of labour in service occupations .21 Hochschild focuses on the social, not the individual, psychological forces that shape workers’ emotional experiences. In this view, it is the social and political environment that is seen to produce emotional decisions to suppress a negative reaction or to ‘bite one’s tongue’.21


    사회문화적 관점은 감정을 전문적 발전의 필수적인 부분으로 간주하고 연습과 학습이 일어나는 더 큰 사회적, 정치적 맥락을 반영하는 질문의 생성을 허용한다.

    Socio-cultural perspectives take account of emotion as an integral part of professional development and allow for the generation of questions that reflect the larger social and political contexts in which practice and learning occur.


    함의

    Implications


    '우리가 감정을 (피할 수 없는 생리적 능력이나 단순한 사회적 구성으로 인식하는 정도가 아니라) 사회적, 정치적 맥락에서 형성되는constituted 것으로 볼 때, 우리는 현대의 교육 환경에서 그것을 어떻게 변화시키는데 기여하고자 하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63

    ‘To the extent that we recognise emotion not as an inescapable physiological faculty or simply a social construction but as that which is constituted in social and political contexts, we can assess how we wish to contribute to transforming it in contemporary school settings.’63


    감정은 의학 전문가들이 매일 수행하는 일의 중심에 있다. 이해, 성찰, 감정에 관여하고 표현하는 것은 유능한 의료행위의 중요한 측면이다.

    Emotion is central to the work carried out by medical professionals daily. Understanding, reflecting on, engaging with and expressing emotion are important work-related aspects of competent practice.


    의학 교육 분야의 사회 문화적인 감정 관점은 현재 저개발되어 있다.

    Socio-cultural perspectives of emotion in the field of medical education are currently underdeveloped,


    이 담론 속의 감정에 대한 은유는 유동성을 보여준다. 그것은 교환의 매개체, 22 통화와 역동적인 정치세력, 경이로움의 공간이다.26 아흐메드는 감정은 대상이나 대상에 감정이 상주하지 않고 순환의 효과로 만들어지는 통화currency의 형태라고 주장한다.26 아흐메드는 감정이 국가, 직업, 이익 단체와 같은 개인과 집단 사이를 여행하는 것으로 묘사하고 있다. 감정은 어떤 사람에게는 stick하지만 다른 사람에게는 stick하지 않지만, 언제나 문자 그대로 [우리의 몸과 정신에 포함 또는 배제inclusion or exclusion를 알리는 표식mark]을 남긴다.

    The metaphors for emotion within this discourse reference its fluidity. It is a medium of exchange,22 a currency and dynamic political force, a space of wonder.26 Ahmed argues that emotions are a form of currency in which feelings do not reside in subjects or objects, but are produced as effects of circulation.26 She describes them as travelling between individuals and groups, such as nations, professions and interest groups, sticking to some people and not others, but always leaving impressions literally in the form of marks on our bodies and psyches that signal inclusion or exclusion.


    그러한 이론적 접근은 감정을 내부 상태에 관한 것이라기 보다는 사회 생활에 관한 것으로 해석한다. 교육 및 감정 분야에서 일하는 사회과학 학자들은 감정을 '윤리적, 도덕적, 평가적, 인지적, 감정적, 선정적'을 포함하는 다중적인 측면을 가지고 있다고 본다.26 의과 교육 내에서 우리는 사회문화적 규범과 실천이 전문적 실천에서 감정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아직 충분히 조사하지 않았다.

    Such a theoretical approach construes emotion as being about social life rather than about internal states. Social science scholars working in the field of education and emotion view emotion as having multiple aspects that include the ‘ethical, moral, evaluative, cognitive, affective and sensational’.26 Within medical education we have not yet fully examined how socio-cultural norms and practices influence emotion in professional practice.


    결론

    CONCLUSION


    이러한 각각의 담론에서 감정은 뚜렷하게 형성되지만, 서로 완전히 고립되어 있는 것은 아니다이러한 담론들 중 어느 것도 그 혼자서는 감정과 관련된 전문적인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모든 서사를 제공하지 않으며, 각각은 의료 훈련에서 감정에 대한 보다 포괄적인 이해를 약속하는 방식으로 다른 사람들을 겹치고 확장시킨다.

    Emotion is constituted distinctly in each of these discourses; however, they are not isolated from one another. None of these discourses alone provides an overarching grand narrative with which to resolve professional problems related to emotion, and each overlaps and extends the others in ways that hold promise for a more inclusive understanding of emotion in medical training.








    , 47 (1), 71-9
     

    Discourse(s) of Emotion Within Medical Education: The Ever-Present Absence

    Affiliations 

    Affiliation

    • 1Standardized Patient Program Director of Research, Standardized Patient Program Affiliated Scholar, Wilson Centre for Research in Education Faculty of Medicine, University of Toronto, Toronto, Ontario, Canada. n.mcnaughton@utoronto.ca

    Abstract

    Context: Emotion in medical education rests between the idealised and the invisible, sitting uneasily at the intersection between objective fact and subjective values. Examining the different ways in which emotion is theorised within medical education is important for a number of reasons. Most significant is the possibility that ideas about emotion can inform a broader understanding of issues related to competency and professionalism.

    Objectives: The current paper provides an overview of three prevailing discourses of emotion in medical education and the ways in which they activate particular professional expectations about emotion in practice.

    Methods: A Foucauldian critical discourse analysis of the medical education literature was carried out. Keywords, phrases and metaphors related to emotion were examined for their effects in shaping medical socialisation processes.

    Discussion: Despite the increasing recognition over the last two decades of emotion as 'socially constructed', the view of emotion as individualised is deeply embedded in our language and conceptual frameworks. The discourses that inform our emotion talk and practice as teachers and health care professionals are important to consider for the effects they have on competence and professional identity, as well as on practitioner and patient well-being. Expanded knowledge of how emotion is 'put to work' within medical education can make visible the invisible and unexamined emotion schemas that serve to reproduce problematic professional behaviours. For this discussion, three main discourses of emotion will be identified: a physiological discourse in which emotion is described as located inside the individual as bodily states which are universally experienced; emotion as a form of competence related to skills and abilities, and a socio-cultural discourse which calls on conceptions from the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 and directs our attention to emotion's function in social exchanges and its role as a social, political and cultural mediator.

    좋은 교육자와 고아: 직접 관찰과 피드백(Med Educ, 2019)

    Good educators and orphans: the case of direct observation and feedback

    Chris BT Rietmeijer1 & Pim W Teunissen2




    훌륭한 임상 교육자에게 우리는 무엇을 기대하는가? 깁슨과 동료들은 교육자의 기술과 자질에서 일곱 가지 주제를 확인하고, 특히, [시간을 들여 임상 교육자 역할을 수행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한다. 깁슨과 동료들은 이제 우리가 학습자와 임상 교육자의 입장에서 [좋은 임상 교육]이 무엇인지에 대해서 잘 알고 있는 지점에 도달했다고 말한다.1

    What do we expect from a good clinical educator? Gibson and colleagues identify seven themes in educators’ skills and qualities and, importantly, highlight the overarching concept of taking time to perform the clinical educator role. Gibson and colleagues state that we have now reached a point at which we are well informed about learners’ and clinical educators’ perceptions of what good clinical education entails.1


    Kogan과 동료들은 직접 관찰에 대한 가이드라인에서 설명한다.5 그러나, 코간 외에서도 언급하고 있듯이, 의학 교육에서의 직접 관찰은 드물고, 질도 떨어진다.5

    Kogan and colleagues describe in their guidelines on direct observation.5 Yet, as Kogan et al. also state, direct observation in medical education is often infrequent and of poor quality.5


    증가하는 연구 기구에 따르면 직접적인 관찰과 피드백에 관여하는 것은 레지던트들과 감독자 모두에게 어려운 일이다. 전공의들은 불확실한 부담stake, 평가에 대한 두려움, 관찰자에 대한 신뢰성 판단, 진정성/자율성/효율성 관련 이슈와 씨름하고 있다. 이 문헌에서 종단적 관계는 앞으로 나아가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으로 언급된다.5,6 더구나 피드백에 대한 새로운 관점은 레지던트와 감독자 사이의 종단적 교육 동맹의 중요성을 시사하고 있다(전공의가 감독자를 좋아하고 소중히 여김). 또한 레지던트와 감독자가 학습 목표와 도달 방법에 모두 동의하는 것이 중요하다.

    Engaging in direct observation and feedback, according to a growing body of research, is challenging for residents and supervisors. Residents struggle with unclear stakes, fears of assessment, credibility judgements regarding the observer, and issues around authenticity, autonomy and efficiency.6–10 In this literature, longitudinal training relationships are mentioned as providing a way forward.5,6 Moreover, new perspectives on feedback suggest the importance of a longitudinal educational alliance between the resident and supervisor in which the resident likes and values the supervisor, and both agree on learning goals and the ways these can be achieved.11,12


    본질적으로, 직접적인 관찰과 피드백에 관한 이 문헌은 우리가 알고 있는 훌륭한 임상 교육자가 되는 것에 부합하는 건설적인 교육 상황에 대한 조건을 가리키고 있다.1.3 이 점에서 시간과 노력의 투자는 분명히 기본적인 전제조건이다.

    In essence, this literature on direct observation and feedback points to conditions for constructive educational situations that align with what we know about being a good clinical educator.1,3 In this, the investing of time and effort is clearly a basic prerequisite.


    이제 건설적인 직접 관찰과 피드백을 위한 이러한 조건을 확인했으니, 다음 질문은 이 기본 조건이 충족된 다음의 이야기이다.

    Now that we have identified these conditions for constructive direct observation and feedback, the next question concerns when they are met in the workplace. 


    '문화는 (그 문화가) 가치있게 여기는 것을 관찰한다.'.9 외과의사들은 수술대에서 그들의 전공의를 관찰했다; 정신과 의사들은 전공의들의 병력청취를 관찰했다. 이러한 '가치 있다고 여겨지는 역량'에 대해서는, 시간과 노력의 투자와 같이 건설적인 직접 관찰과 피드백을 위한 기본 조건 중 일부가 제자리에 있는 것처럼 보였다.9

    ‘cultures observed what they valued’.9 Surgeons observed their residents at the operating table; psychiatrists observed residents engaged in history taking.9 With respect to these valued competencies, at least some of the basic conditions for constructive direct observation and feedback, like the investment of time and effort, seemed to be in place.9


    만약 문화가 가치있게 여기는 것을 관찰한다면, 결과적으로, 문화는 덜 가치를 두는 것에는 덜 관심을 기울일 것이다. 9,14 이것은 어떤 역량들이 덜 관찰되고 덜 주목을 받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우리는 이러한 '버려진 역량orphaned competencies'이라고 부르는 것을 제안한다. 이러한 역량은, (e-health와 같이) (새로운 발전과 관련된) 교육자 스스로가 팀워크와 같은 공식적인 훈련을 받은 적이 없거나 숙련된 임상 교육자가 자신이 전문가라고 느끼지 않을 수 있는 새로운 역량이 해당 될 수 있다. 개별 감독자는 의사소통 기술과 같이 일부 역량이 덜 중요하거나 덜 논란의 여지가 있다고 느낄 수 있다. 게다가, 감독관들은 레지던트들이 이미 의과대학에서 어떤 역량을 숙달했어야 했다고 생각하기 때문에 그런 것을 덜 중시할 수도 있다. 9,14

    If cultures observe what they value, they will, in consequence, pay less attention to what they value less.9,14 This means that some competencies are less observed and receive less attention; we suggest calling these ‘orphaned competencies’. These may be competencies in which educators themselves have never been formally trained, such as teamwork, or new competencies relating to new developments, such as e-health, in which seasoned clinical educators may not feel they are expert. Individual supervisors may feel that some competencies are less crucial or less indisputable, such as communication skills. Moreover, competencies such as physical examination may be orphaned because supervisors think that residents should have mastered them in medical school.9,14


    CBME에서 모든 역량에 대한 관심이 보장된다고 주장할 수 있다.15 PGME 설정에서 많은 역량이 다양한 방법과 다양한 도구로 관찰된다.

    One might argue that, in competency-based medical education, attention to all competencies is ensured.15 In PGME settings many competencies are observed in different ways and with different tools,


    그러나 현재 이러한 관찰은 대개 서로다른 관찰자들에 의해 수행되는, 단방향의, 짧은 학습 평가assessment of learning이 대부분이다.16,17 이 관행은 앞서 언급한 [건설적인 직접 관찰 및 피드백]과 상충되어, 학습적 가치가 의심스럽다. 이것은 우리가 '버려진 역량'들을 포함하여, 모든 역량과 관련하여 훌륭한 임상 교육자가 되려면 모든 역량에 대한 건설적인 직접적인 관찰과 피드백을 보장하기 위한 새로운 방법을 찾아야 한다는 결론을 이끌어낸다.

    However, currently, these observations are typically shaped as uni-directional, brief assessments of learning, often performed by different observers.16,17 This practice conflicts with the aforementioned conditions for constructive direct observation and feedback, which makes its value for learning questionable. This brings us to the conclusion that, if we want to be good clinical educators with regard to all competencies, including the orphaned ones, we have to find new ways to ensure constructive direct observation and feedback for all competencies.


    일반적인 연습 훈련에서 감독관은 매 주 한두시간의 양방향 직접 관찰 세션을 시작하는 것으로 확인되었고, 이 한두 세션을 통해 광범위한 활동과 역량을 관찰하고 시연demonstrate하였다.14 중요한 것은, 이러한 방식의 교육적 노력이 하나의 특정 활동이나 역량에 집중되지 않고, 의사로서의 전반적 퍼포먼스에 집중되었다는 것이다. 이 상황에서 많은 역량이 가시화된다.14,18

    In general practice training, supervisors were found to initiate weekly bidirectional direct observation sessions of 1–2 hours, in which they observed and demonstrated a broad spectrum of activities and competencies.14 Importantly, the educational effort was not focused on any particular activity or competency but on the whole performance as a doctor. In this, many competencies became visible.14,18


    따라서 직접 관찰 세션을 광범위하게extensive 갖는다면, 모든 역량의 임상 교육을 위한 기회가 생길 것이다. 그러나, 임상 교육자들의 '버려진 역량'에 대한 인지, 인식, 투자하려는 의지가 중요하다. 여기서, 감독자는 종종 스스로 학습자가 될 것이고, 따라서 감독자와 레지던트는 함께 일하고 배운다. 

    Extensive direct observation sessions thus provide occasions for clinical education in all competencies. However, clinical educators’ awareness and recognition of orphaned competencies , and willingness to invest in them, are equally important. In this, supervisors will often be learners themselves and hence supervisors and residents work and learn together. 


    결론적으로, 우리는 잠재적으로 훌륭한 임상 교육자조차 좋은 임상 교육을 하지 못할 수 있는 버려진 역량orphaned competencies 개념을 제안한다.

    To conclude, we propose the concept of orphaned competencies, for which potentially good clinical educators may fail to engage in good clinical education.





    , 53 (5), 421-423
     

    Good Educators and Orphans: The Case of Direct Observation and Feedback

    Affiliations 

    Affiliations

    • 1Amsterdam University medical centers, location VUmc, Department of General practice and elderly care medicine, Amsterdam, the Netherlands.
    • 2School of Health Professions Education (SHE), Faculty of Health, Medicine and Life Sciences (FHML), Maastricht University, Maastricht, the Netherlands.

    Abstract

    The authors propose the concept of orphaned competencies, those that are good for clinical education, but often are not taken up by good clinical educators. Prolonged direct observation is promoted as a way forward.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