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판이론: HPE에서 작동하는 구조적 요인으로 사고를 넓히기(Acad Med, 2020)
Critical Theory: Broadening Our Thinking to Explore the Structural Factors at Play in Health Professions Education
Elise Paradis, MA, PhD, Laura Nimmon, PhD, Dawit Wondimagegn, MD, and Cynthia R. Whitehead, MD, PhD
현대 HPE는 "비판적" 대화로 넘쳐난다. 비판적 관점은 광범위하고 캡슐화되어 있으며, 예를 들어 비판적 이론, 비판적 성찰, 2 비판적 평가, 3 및 비판적 의식 등이 있다.4 현장에서 힘을 얻고 있는 이 분명치 않은 개념들을 하나로 묶는 접착제는 무엇일까? 비판이나 비난을 퍼붓는 것을 넘어, "비판적"이라는 것은 무엇을 의미하는가?
Contemporary health professions education is awash in “critical” conversations. The critical perspective is broad and encapsulates, for example, critical theory,1 critical reflection,2 critical evaluation,3 and critical consciousness.4 What is the glue that unites these apparently discordant concepts that are gaining traction in the field? What does it mean to be “critical,” beyond proffering a critique or airing criticisms?
이 기사는 겉으로 보기에 서로 다른 것 같은 문제들에 대해 어느 정도 명확성을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개념적 명확성은 보건 전문직 교육계가 통찰력과 숙고를 통해 비판론을 제기할 수 있게 해 사회문화적 발전을 현장에 가져올 것이다. 이 글에서 우리는 비판 이론의 역사를 개략적으로 설명한다. 그런 다음 우리는 비판 이론을 정의하는 핵심 개념과 방향을 기술한다. 마지막으로 이해도를 높이기 위해 비판적 이론가가 특정 사례를 연구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상자 1 참조).
This article aims to provide some clarity around these seemingly divergent issues. Conceptual clarity will allow the health professions education community to invoke critical theory with insight and deliberation, bringing social and cultural advancement to the field. In this article, we outline a history of critical theory. We then delineate the core concepts and orientations that define critical theory. Finally, to enhance understanding, we illustrate how a critical theorist would approach studying a specific case (see Box 1).
비판 이론의 빠른 역사
A Quick History of Critical Theory
사회과학에서 비판 이론은 제1차 세계 대전과 제2차 세계 대전 사이에 발달한 사회 이론의 한 학파인 프랑크푸르트 학파에서 유래한 지식의 한 분야다.5 비판 이론가들은 아우구스트 콤테와 에밀 더크하임 등이 수용한 것과 같은 실증주의적 접근법을 거부했고, 지식창조에 대한 마르크스적 역사, 변증법적, 물질주의적 접근법으로부터 영향을 받았다 . 비판적인 학자들은 인간의 행동에 대한 보편적인 규칙을 찾는 것을 목표로 하는 대신에, [사람들의 물질적인 존재 조건]과 [사회와 지적 삶에 미치는 영향]을 강조하는 접근법을 선호했다.
In the social sciences, critical theory is the branch of knowledge that originated from the Frankfurt School, a school of social theory developed between World War I and World War II, in Germany.5 Critical theorists rejected positivistic approaches such as those embraced by Auguste Comte and Emile Durkheim, among others, and were influenced by the Marxian historical, dialectic, and materialistic approach to knowledge creation. Instead of aiming to find universal rules for human behavior, critical scholars favored approaches that underscore people’s material conditions of existence and the impact on social and intellectual life.
20세기 내내 비판 이론(우산 용어)은 페미니스트, 반차별주의자, 반식민지주의자, 퀴어, 그리고 많은 다른 위치들을 포함하는 일련의 비판론들을 위한 길을 열었다. 오늘날 비판 이론은 거대한 사회적 우려와 다른 갈등 이론, 즉 집단간 투쟁을 강조하고 사람들의 일상 생활에 그들의 분석을 고정시키는 이론들을 수용하는 공간을 대표한다. 이는 흔히 그들이 그들의 성격에 의해 결정되는 것과 같다. 인종 등 통제할 수 없는 개인의 특성으로 정의된다.남성성, 성별, 성적 지향성, 나이 등 상자 2는 주요 용어와 정의를 포함하고 있으며, 상자 3은 주요 참조 목록을 제공한다.
Over the course of the 20th century, critical theory (the umbrella term) opened the way for strands of critical theories that include feminist, antiracist, anticolonialist, queer, and many other positionalities. Critical theory today represents a space that embraces vast social concerns and other conflict theories—that is, theories that stress intergroup struggles and anchor their analyses in people’s everyday lives, often as they are determined by their ascribed characteristics, defined as individual traits over which one has no control, such as race, ethnicity, gender, sexual orientation, age, etc. Box 2 includes key terms and definitions, and Box 3 provides a list of key references.
상자 2 주요 용어 및 정의 Box 2 Key Terms and Definitions
담론: 다음의 것을 규제하는, 언어와 상징을 통해 매개된 일련의 진술과 아이디어들,
말할 수 있거나 말할 수 없는 것이 무엇인지
누가 말할 수 있는 권한을 가지고 있는지(vs 어떤 목소리를 침묵시키는지),
어떤 지식이 합법화되는지(vs 어떤 지식이 소외되는지), 그리고
사회적 구성과 경험이 유효한지(vs 무효하다고 간주되는지)
Discourse: A set of statements and ideas mediated through language and symbols that regulate
what can or cannot be said,
who has the authority to speak (versus whose voices are silenced),
what knowledge is legitimized (versus what knowledge is marginalized), and
whose social constructions and experiences are valid (versus whose are considered invalid).
비판: 규범적이고 가정된 권력 관계에 도전함으로써, 지배적인 형태의 사고방식에 대한 가정에 의문을 제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일종의 연구나 조사.
Critical: A type of scholarship or inquiry that aims to question the assumptions of dominant forms of thinking by challenging the power relations that are normative and assumed.
비판 이론: 권력 관계의 분석을 통해 사회 구조를 가시화하려는 일련의 이론들을 일컫는 우산 용어. 일련의 비판적 이론들은 페미니스트 이론, 식민지 이후 이론, 마르크스주의 이론, 교차성 등을 포함한다.
Critical theory: An umbrella term for a set of theories that aim to make social structure visible through an analysis of power relations. Strands of critical theories include feminist theories, postcolonial theories, Marxist theories, intersectionality, etc.
구조: 개인의 행동에 영향을 미치고, 따라서 누군가의 사회적 위치에 따라 예측 가능한 패턴을 만들어 내는 정치, 사회, 문화, 역사, 경제 세력.
Structure: The political, social, cultural, historical, and economic forces that influence individual behavior and thus create predictable patterns based on someone’s social location.
(친숙한 것을) 낯설게 만들기: 극작가 겸 감독 베르톨트 브레히트가 만든 문구. 근원적 가정을 밝혀내고 당연하게 여겨지는 것들에 대한 대안적 설명을 제안함으로써 어떤 현상을 보는 지배적인 방법에 도전하는 것.
Making (the familiar) strange: A phrase coined by playwright and director Bertolt Brecht. Challenging the dominant way of seeing a phenomenon by uncovering its underlying assumptions and proposing an alternative explanation of things that are taken for granted.
개념과 지향의 토대
Grounding Concepts and Orientations
온톨로지: 현실의 본질
Ontology: The nature of reality
비판 이론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현실이 사회적, 정치적, 문화적, 경제적, 민족적, 성별 구성과 같은 구조에 의해 형성]된다는 존재론적 입장을 가정한다.6 이러한 구조들과 여러 제도적, 문화적 힘이 역동적으로 상호작용하여 사회적 삶의 태피스트리를 형성한다.7 사회구조는 정교하고 종종 무의식적으로 자신의 생각과 행동을 결정할 수 있다.
Critical theory assumes an ontological position in which reality is shaped over time by structures such as social, political, cultural, economic, ethnic, and gender constructs.6 These structures, and other institutional and cultural forces, interact dynamically to form the tapestry of social life.7 Social structures are elaborate and can determine one’s thinking and behavior, often unconsciously.
의학교육의 세계화를 조사하면서, 후기식민주의 비판 이론가는 많은 이론들이 [대부분 유럽계 미국인들의 지배적인 세계관에 의해 개발되었고 이들을 대표적하기 때문에], "전세계적universal 표준"이라는 바로 그 개념에 의문을 제기한다. 예를 들어, 에티오피아의 지역 주민들이 의대 교육과정을 유로-아메리카의 "범용 표준"과 일치시키기 위한 압력을 어떻게 받고 있으며, 어떻게 반응하는지 조사할 것이다.
유사하게, 페미니스트 비판 이론가는 의료 훈련의 위계 구조가 어떻게 생성되고 유지되는지, 그리고 이러한 계층 구조들이 여성 수련의의 미래 성과를 어떻게 제약하는지 조사할 수 있다.
Examining the globalization of medical education, a postcolonial critical theorist could question the very notion of “universal standards,” particularly as these have mostly been developed by and represent the dominant worldview of Euro-Americans. She would investigate how local populations in Ethiopia, for instance, relate and respond to pressures to harmonize their medical school curricula with these Euro-American “universal standards.”
Similarly, a feminist critical theorist might examine how the gendered hierarchies of medical training are created and maintained and how these constrain women trainees’ future achievements.
따라서 비판 이론가들은 [불공평한 권력 관계]에 주의를 기울이며, [여기에 대한 의식을 고양시키는 것]을 목표로 하며, 그렇게 함으로써 일부는 억압적인 사회 역학관계에 얽힌 사람들을 해방시키려 한다.8
Critical theorists are thus attentive to inequitable power relations, aim to raise consciousness, and, in doing so, some seek to emancipate those entangled in oppressive social dynamics.8
비판 이론가들과 학자들은 사회 현실은 부분적으로 담론을 통해 형성되는 것으로 간주한다: 언어와 기호로 매개되어 다음을 규제하는 암묵적 규칙의 집합
말할 수 있거나 말할 수 없는 것
말할 수 있는 권한을 가진 사람
듣고 복종해야 하는 사람
어떤 사람의 사회적 구성과 경험이 유효하거나 유효하지 않은지
Critical theorists and scholars consider social reality as shaped partly through discourses: a set of tacit rules mediated by language and symbols that regulate
what can or cannot be said,
who has the authority to speak,
who must listen and obey, and
whose social constructions and experiences are valid or invalid.7
그러나 이러한 "진리"는 항상 다른 의제를 가진 경쟁 집단들에 의해 도전될 수 있다.7,7,9 잠재적으로 억압적인 담론을 [식별하고 풀고 대체함으로써] 파괴적인 변화가 가능하므로, 비판 이론은 인간의 기관, 저항, 변화의 가능성을 열어준다. 그러나 비판 이론은 [또한 그들 자신이 지각할 수 있는 것을 다른 사람들에게 강요함으로써] 그 자체의 방식으로 다른 사람을 통제하거나 패권주의적일 수 있다. 이들의 관점은 과도하게 정치화되어있거나 종종 이분화된 급진적인 관점일 수 있다.
Yet these “truths” can always be challenged by competing groups with different agendas.7,9 Disruptive change is made possible by identifying, unpacking, and replacing potentially oppressive discourses, and thus critical theory opens up the possibility of human agency, resistance, and change. Yet critical theory can also seem controlling and hegemonic in its own way, by forcing onto others what they can perceive to be a radical view of a future where differences are overly politicized and often dichotomized.
인식론: 지식의 본질
Epistemology: The nature of knowledge
비판 이론은 모든 지식이 특정 입장position에서 구성되며, 이 입장은 [한 사회에서 힘을 분배하는 다양한 구조가 교차하는 지점]에서 결정된다는 인식론적 입장을 취한다.6 비판적인 이론가가 '알 수 있는 것'은 다음의 것에 큰 영향을 받는다.
첫째, 연구자가 이해하려고 노력하는 대상들의 역사적 위치,
둘째, 사회적으로 구성된 권력 구조에서 연구자 자신의 사회적 위치
Critical theory takes an epistemological position that all knowledge is constructed from a specific position and that this position is determined at the intersection of the multiple structures that distribute power in a society.6 What the critical theorist can know is deeply influenced by,
first, the historical location of the objects she tries to understand; and,
second, by her own social location in the socially constructed structures of power.
예를 들어, 이러한 견해는 페미니스트 인식론자 도나 해러웨이10과 샌드라 하딩(11), 과학에 대한 경험론적 관점을 비판하며 모든 과학자가 맥락적으로 위치해 있다고 주장해 온 연구에서 드러난다. 그래서, 연구가 종종 "객관적인" 것으로 보고되지만, 이 학자들은 "view from nowhere" 같은 것은 없다고 주장하고, 따라서 학자들에게 과학을 하는 사람들의 사회적, 역사적 위치를 연구하도록 요구하여, 학자들이 자신들이 발전시키고자 하는 과학에 대한 자기자신의 맥락적 영향을 탐구할 수 있게 한다. 비판 이론가들의 핵심 목표는 "가정된 규범적 현상assumed normative phenomenon"을 이해하거나 변화시키기 위하여, 이 현상을 문제화하거나 "낯설게" 만드는 것이다.
This view is reflected, for example, in the work of feminist epistemologists Donna Haraway10 and Sandra Harding,11 who have criticized empiricist views of science, arguing that all scientists are contextually situated. And so, while research is often reported as “objective,” these scholars contend that there is no “view from nowhere”12 and so call on scholars to study the social and historical locations of those who do science, so that the influences of their contexts on the science they develop can be examined. A key goal of critical theorists is to problematize or “make strange” an otherwise assumed normative phenomenon to understand and/or change it.
비판 이론을 구별짓는 뚜렷한 요소는 [현실이란 언어에 의해 매개되는 것]으로 인식한다는 것이다. 의학교육에서 언어의 위력을 보여주는 간단하지만 말해주는 한 가지 예는 연구자들이 그 분야에서 국제적으로 인정받는 목소리를 내기 위해 그들의 연구를 영어로 발표하고 출판할 수 있어야 한다는 사실이다. 만약 하룻밤 사이에 합법화된 언어가 중국어나 암하라어로 바뀌거나 라틴어 장학금의 옛날로 되돌아간다면 많은 원어민 영어권 연구자들이 얼마나 어려움을 겪게 될지 생각해 보라! 비판적 이론가들은 언어가 기존의 권력 구조에 기초하여 어떻게 [조절하고 지배하며] [저항하고 도전하며] [힘을 실어주고 자유를 주는지]를 강조한다.
A distinguishing element of critical theory is that reality is recognized to be mediated by language. One simple, yet telling, example of the power of language in medical education is the fact that researchers need to be able to present and publish their research in English to have an internationally recognized voice in the field. Just think about how challenged many native English-speaking researchers would be if overnight the legitimized language changed to Chinese or Amharic, or if they were thrown back to the olden days of Latin scholarship! Critical theorists emphasize how language regulates and dominates, resists and challenges, empowers and liberates based on preexisting power structures.
서로 다른 비판 이론가들은 언어와 힘의 관계에 대해 다른 관점을 가지고 있지만, 대부분의 사람들은 [언어가 현실에 의해 형성되고, (동시에) 현실을 구성한다]는 것에 동의할 것이다.7 따라서 대부분의 비판적인 학자들은 [자신의 데이터가 지닌 언어적 특성]과 더불어, [데이터의 공동-구성에 있어서 자신의 역할과 그 의미]에 극도로 주의를 기울일 정성적 연구자가 될 것이다. 그러나 비판 이론의 관점에서 볼 때 언어는 항상 권력 구조를 반영하므로 중립적일 수 없으며, 이는 연구 논문이 주로 텍스트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양적 및 질적 모든 학문에 적용된다. 과학은 언어와의 관계로부터 탈출할 수 없고, 따라서 권력과의 관계를 피할 수 없다.
Different critical theorists have different view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language and power, but most would concur that language is both shaped by reality and it constructs reality.7 Most critical scholars will therefore be qualitative researchers who will be extremely attentive to the linguistic characteristics of their data, as well as their own role co-constructing data and their meaning. From a critical theory perspective, however, language always reflects power structures, and therefore it cannot be neutral—and this is true for all scholarship, both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since research articles are primarily constituted of text. Science has an inescapable relationship to language, and thus to relationships of power.
공리학: 가치와 가치관이 연구과정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가에 대한 연구
Axiology: The study of values and how they influence the research process
비판적인 학자들은 (대부분의 다른 학자들보다 더 명시적이고 반사적으로) 특정한 공리학에 의해 움직인다. 비판 이론의 본질적 가치나 공리학은 [민주주의와 평등주의]인데, 따라서 비판이론의 학술작업은 그러한 가치를 추구하는 경향이 있을 것이다. 비판이론의 학자들은 또한 [인간의 행동은 사회구조에 의해 구속]되고, 동시에 [사회구조를 교란시킬 수 있다]는 가정에 의해 움직일 것이다.7 많은 비판이론 학자들은 평등주의적이고 민주적인 사회구조를 만들기 위해 권력의 생산적인 측면을 이용한다.13,14 비판이론 학문의 인식론적, 방법론적 수준에서의 특징은 [권력역학 및 언어의 파괴적 행위로 의식을 확장시키는 것]에 관심을 갖는다는 점이다.
More explicitly and reflexively than most other scholars, critical scholars are moved by a particular axiology. The intrinsic values or axiology of critical theory are democracy and egalitarianism, and thus critical work will tend to pursue such values. Critical scholars will also be moved by the assumption that human action is at once constrained by social structures and capable of disrupting them.7 A large proportion of critical scholars uses the productive aspects of power to create egalitarian, democratic social structures.13,14 A specificity of critical scholarship at the epistemological and methodological levels is therefore an interest in the expansion of consciousness toward power dynamics and disruptive acts of language.7
공리주의적 측면을 고려하기에, 비판적인 이론가들은 다음과 같은 질문을 한다.
군국주의적 은유(의사의 "오더", 암과의 "전쟁" 등)를 뒷받침하는 가치가 무엇인지, 그리고
왜 의료 시스템에 계층적 구조가 그렇게 만연하고 있는지
비판이론가들이 의학 교육을 연구하는 방식의 또 다른 예시는 이렇다.
암묵적인 계층적 가치가 소외된 목소리(예: 불안정한 노동력, 훈련생, 환자, 사랑하는 사람들)의 표현을 제한한다면, 우리가 그토록 자주 지지하는 학습자 중심적이고 환자 중심적인 목표를 달성할 수 있을까?
또는: 의과대학에서 배운 지식은 사회과학과 인문학의 중요성을 부정하는 기존의 세계관을 어떻게 강화시키고 있는가? 16,17
Paying attention to axiology allows critical theorists to ask questions such as
what values underpin the militaristic metaphors (such as physician “orders,” the “war” on cancer, etc.15) and
why are hierarchical structures so pervasive in health care systems?
In another example of how critical theorists would study medical education, these scholars would ask
If implicit hierarchical values limit representation of marginalized voices (e.g., the precarious workforce, trainees, patients, loved ones), can we ever achieve the learner-centered and patient-centered goals we so often espouse? Or:
How is the knowledge learned in medical school reinforcing preexisting worldviews that deny the importance of the social sciences and humanities?16,17
방법론: 과학적 연구 수행 방법
Methodology: How to conduct scientific research
비판 이론의 인식론적 근거와 존재론적 근거는 중요한 방법론적 결과를 가지고 있다.
첫째, 비판적인 학자들은 사회 현실에 대한 전체주의적totalizing 주장을 거부할 것이다. 예를 들어, 자연, 개인, 사람들의 집단 또는 현상에 대한 동질적인 "범용적 진실"은 "가수적 진실" 즉, 특정한 시간과 장소에서 포착된 제한된 시각에서 오는 진실로서 비판적으로 도전하게 될 것이다. 예를 들어, 비판적 이론가는 (문제 기반 학습이든, 전문가 간 교육(IPE)이든, 역량 기반 의료 교육이든) [어떤 교육 도구가 개발되었던 맥락을 벗어나서도 적절하다]고 가정하지 않을 것이다.
The epistemological and ontological bases of critical theory have important methodological consequences.
First, critical scholars will reject totalizing claims about social realities. For example, a homogeneous “universal truth” about nature, individuals, groups of people, or phenomena will be challenged critically as a “singular truth”: a truth that comes from a limited perspective, captured at a specific time and location. To illustrate, a critical theorist would not assume that any educational tool, be it problem-based learning, interprofessional education (IPE), or competency-based medical education, would be appropriate in contexts other than the ones in which they were developed.
둘째로, 비판적 학자들은 일반적으로 귀납적 데이터 수집 접근방식을 선호할 것이다. 여기서 연구자는 가설을 시험하기보다는 하나 이상의 중요한 이론적 기준( 페미니즘, 식민주의 등)을 사용하여 주제를 탐구한다. 이러한 학자들은 실험실 환경에서 특정 목적을 위한 데이터를 수집하기보다는 자연주의적 환경에서 생성된 데이터를 주의 깊게 들을 것이다. 비판적인 이론적 연구 설계는 유연하고 자연주의적일 것이며, 발견은 그들의 사회적, 역사적 현실에 고정될 것이다. 예를 들어, IPE 모델을 단순히 북아메리카에서 아디스아바바로 "중성적으로" 번역하려고 하는 대신, 비판 이론가는 북아메리카와 에티오피아 양쪽의 문화적, 역사적 직업간 계층 구조와 정치적 영향 그리고 그것들이 겹치거나 분기하는diverge 방법에 대한 연구 질문을 대신 할 수 있다.
Second, critical scholars will generally favor inductive data collection approaches, where the researcher explores a topic using one or more critical theoretical frames of reference (feminism, colonialism, etc.) rather than tests a hypothesis. These scholars will listen closely to data generated in naturalistic settings rather than collect data for a specific purpose in a laboratory setting. A critical theoretical research design will be flexible and naturalistic, and findings will be anchored in their social and historical realities. For instance, instead of simply trying to “neutrally” translate an IPE model from North America to Addis Ababa, the critical theorist might instead ask a research question about, for example, the cultural and historical interprofessional hierarchies and political influences in both North America and Ethiopia and the ways in which they overlap or diverge.
셋째, 비판적인 학자들은 그들의 연구를 조작하고, 그들의 연구 질문을 정의하고, 그들의 데이터를 분석하도록 돕고, 그들의 연구 결과를 해석하기 위해 비판이론의 가닥strand을 사용할 것이다. 이론은 연역적으로나 귀납적으로 사용될 가능성이 높다. 학자들은 핵심 개념을 연역적으로 사용하여 (인종, 성별, 계층을 세계를 이해하기 위한 렌즈로 사용) 데이터 분석과 해석을 안내하고 데이터를 사용하여 특정 맥락에서 이론을 유도적으로 다듬을 것이다. 예를 들어 비판이론 학자들은 당면한 연구에서의 학자들의 자신의 역할을 포함하여 개인, 집단, 조직 또는 사회 현상에 미치는 구조와 영향에 항상 민감하게 반응한다. 따라서 아디스 아바바에서 IPE를 연구하는 비판적 학자들은 이 특별한 저밀도 환경에 대한 교육 개입의 영향을 검토하기 위해 식민지 이후 또는 페미니스트 이론을 바탕으로 할 수 있다.
Third, critical scholars will use strands of critical theory to frame their inquiry, define their research question, help analyze their data, and interpret their findings. Theories will likely be used both deductively and inductively: Scholars will use core concepts deductively to guide data analysis and interpretation—using race, gender, or class as lenses through which to understand the world—and use data to inductively refine theory in their specific context. For example, critical scholars are always sensitized to power structures and their impact on individuals, groups, organizations, or social phenomena, including the scholars’ own role in the research at hand. Thus, critical scholars researching IPE in Addis Ababa might draw upon postcolonial or feminist theories to examine implications of this educational intervention in this particular low-resource setting.
엄격성: 연구 품질 평가 기준
Rigor: Criteria for evaluating the quality of research
품질과 엄격함에 대한 기준은 좀 더 실증주의적 패러다임에서 사용되는 기준과 다를 것이다. 타당성, 신뢰성, 객관성 대신, 기준은 (널리 사용되는) 신뢰도, 전이성, 신뢰성 및 확증성을 포함할 것이며, 이에 더하여 실질적인 기여, 홀리즘, Evocativeness, 해방 가능성 등도 사용할 것이다. 퀄리티와 엄격성을 평가할 때 비판이론 학자는 그녀가 [문제가 있는 권력 관계를 노출시키고 위계 구조를 재구성하는 방법을 지적하는 현상]에 대한 맥락적 이해에 기여한 근거가 있는지를 살펴볼 것이다.
Criteria for quality and rigor will differ from those used in more positivistic paradigms. Instead of validity, reliability, and objectivity, criteria will include credibility, transferability, dependability, and confirmability,18 all of which are widely used, but also substantive contribution,19 holism, evocativeness, and emancipatory potential.8,20,21 In assessing quality and rigor, a critical scholar would look for evidence that her research contributed to a contextual understanding of a phenomenon that exposed problematic power relations and pointed to a way to reshape hierarchies.
예를 들어, 그녀의 연구는 북미 연수생들과 환자들이 건강관리 환경에서 더 또는 덜 empower되었다고 느낄 수 있는 가능성을 열어놓고 있는가? 에티오피아 의료 시스템에서 위계질서를 명확히 하려는 연구 프로젝트가 어떻게 관련 에티오피아 교육 모델을 협업으로 이끌 수 있을까? 이러한 의미에서 홀리리즘, 자아도취, 해방적 잠재력은 모두 수준 높은 비판적 연구의 한 단면이라는 것이다.
For example, does her research open possibilities for North American trainees and patients to feel more or less empowered in health care settings? How does a research project that seeks to articulate hierarchies in Ethiopian health care systems lead to relevant Ethiopian models of education for collaboration? It is in this sense that holism, evocativeness, and emancipatory potential are all facets of high-quality critical research.
이씨 사건 조사
Investigating the Case of Lee
이씨(1권)의 사례를 읽을 때, 비판이론 학자는 이씨를 그들의 구조적, 조직적, 대인관계적 맥락 안에 배치하는 것으로 시작할 것이다. 여기에는 그들의 환경이 그들의 "그들"의 오류에 대한 그들의 무력감과 괴로움에 어떻게 기여하는지에 대한 의문이 포함될 것이다. 주요 질문은 다음과 같다.
건강 시스템의 구조, 의학의 문화, 이씨의 특정 레지던트 프로그램에 대한 기대, 또래와 권위 있는 인물들과의 대인관계는 이 행사에 대한 그들의 감정적인 반응에 어떻게 기여하고 있는가?
In reading the case of Lee (Box 1), a critical scholar would start by situating Lee within their structural, organizational, and interpersonal context. This would include questioning how their environment contributes to their sense of disempowerment and distress about “their” error. Key questions would include
how are the structure of health systems, the culture of medicine, expectations of Lee’s specific residency program,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s with peers and authority figures contributing to their emotional response to the event?
이 씨의 성 정체성에 따라 비판적인 학자도 간호사가 아닌 이 씨의 투약관리 책임에 성(性)의 역할에 의문을 제기할 수도 있다. 이씨가 여자라면, 그것을 이씨의 직업으로 본 간호사에게 이런 역할을 부여받았는가, 이것이 이씨가 자신의 일에 가져다주는 의미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
Depending on Lee’s gender identity, a critical scholar might also question the role of gender in Lee’s responsibility for administrating the drug, instead of the nurse. If Lee is a woman, was she given this role by a nurse who saw it as Lee’s job, and how does this impact the meaning Lee brings to her work?
또한 중요한 관점은 (누락된 환자관점과 같이) 사례 내의 다른 위계 구조와 압제에 초점을 맞출 수 있다.
이 이야기에서 환자와 가족은 어디에 있는가?
이 사건을 이해하고, 이후의 대응을 공동구축하는 데 이들의 역할은 무엇일까.
이 누락에 대한 역사적, 문화적, 조직적, 정치적 맥락은 무엇인가?
A critical perspective could also focus on other hierarchies and oppressions within the case, for example, the missing perspective of the patient:
Where are the patient and family in this story?
What are their roles in co-constructing Lee’s understanding of the event and later response?
What is the historical, cultural, organizational, and political context for this omission?
마지막으로, 비판이론 학자들은 비그넷과 수집된 데이터에서 사용되는 언어에 세심한 주의를 기울일 것이다.
사용언어를 연구할 때, 리의 괴로움에 기여하는 영향력의 관계를 강조하거나 베일을 씌우는가?
Finally, critical scholars would pay close attention to the language used in the vignette and in any data collected.
When studying language in use, does it highlight or veil relationships of influence that contribute to Lee’s distress?
결론적으로, 우리는 만약 [수행하려는 HPE 연구가 개인주의적이고 환원주의적인 관점을 초월하는 것을 목표로 할 때] 연구를 실시하는 패러다임으로서 비판이론을 이용하도록 장려하고 싶다. 비판 이론은 다양한 구조들이 인간의 조직, 상호작용, 행동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 탐구함으로써 우리의 사고를 넓힌다. 사회정의나 담론적 렌즈를 통해 사회·역사적 프로세스을 살펴볼 때 특히 유용하며며, 권력·저항·해방 연구에 완벽하게 적합하다.
In conclusion, we want to encourage readers to use critical theory as a paradigm to conduct health professions education research when their research aims to transcend individualistic and reductionist perspectives. Critical theory broadens our thinking by exploring how a range of different structures influence human organizations, interactions, and behavior. It is of particular relevance when examining social and historical processes through a social justice or discursive lens, and is perfectly suited for the study of power, resistance, and emancipation.
Critical Theory: Broadening Our Thinking to Explore the Structural Factors at Play in Health Professions Education
- PMID: 31809292
- DOI: 10.1097/ACM.0000000000003108
Abstract
As part of the Philosophy of Science series of Invited Commentaries, this article on critical theory describes the origins of this research paradigm and its key concepts and orientations (ontology, epistemology, axiology, methodology, and rigor). The authors frame critical theory as an umbrella term for different theories, including feminism, antiracism, and anticolonialism. They emphasize the structural analysis that critical scholars conduct to uncover and sometimes address the role that social, political, cultural, economic, ethnic, and gender factors play in health professions education. They note the importance of acknowledging one's social location when doing critical research and highlight the core values of democracy and egalitarianism that underpin critical research. Methodologically, the authors stress how critical scholars reject singular truths in favor of more nuanced portraits of concepts and events, mobilize inductive approaches over deductive ones, and use critical theory to develop their projects and analyze their data. Following upon this elucidation of critical theory, the authors apply this paradigm to analyze the sample case of Lee, a medical resident who was involved in a medication error. The authors conclude that research conducted in the critical tradition has the potential to transcend individualistic accounts by revealing underlying structural forces that constrain or support individual agency.
'Articles (Medical Education) > 의학교육연구(Research)'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사회물질성에 대해 생각하기: 왜 의학교육에서 물질이 중요한가(Acad Med, 2020) (0) | 2020.07.09 |
---|---|
아카데믹 메디신을 구성주의자의 렌즈로 다시 바라보기(Acad Med, 2020) (0) | 2020.07.09 |
보건전문직 연구에서 엣지있기: 시리즈를 마무리하며(Acad Med, 2020) (0) | 2020.07.05 |
이론, 이론적 프레임워크, 개념적 프레임워크의 구분(Acad Med, 2020) (0) | 2020.07.05 |
의학교육에서 비판적 현실주의와 현실주의적 탐구(Acad Med, 2020) (0) | 2020.07.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