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학교육에서 감정에 대한 담론: 늘 존재하는 부재(Med Educ, 2013)

Discourse(s) of emotion within medical education: the ever-present absence

Nancy McNaughton





도입

INTRODUCTION


감정은 (전문 지식과 일상적인 담론의 대상으로) 당연한 것으로 간주된다.1 의학에서 감정은 전문적인 가치, 태도, 신념의 핵심 요소로 인식되며, 진단, 상담, 환자 관리를 포함한 전문적 활동에 대한 휴머니즘적 접근법을 지지한다. 그것은 또한 직업적 행복과 환자 만족의 필수적인 측면으로 인식된다.

Emotion is taken for granted as an object of both specialised knowledge and everyday discourse.1 Within medicine, emotion is recognised as a core element of professional values, attitudes and beliefs and is espoused in humanistic approaches to professional activities, including diagnosis, counselling and patient management. It is also recognised as an essential aspect of professional well-being and patient satisfaction.


훈련, 임상적 의사결정 및 일상적 상호작용의 모든 측면에 피할 수 없는 존재임에도 불구하고, 감정은 가치, 태도 및 믿음의 더 큰 구성의 일부분으로서 또는 '이성'으로 잘못 이분화되어, 대부분 귀중한 형태의 지식의 원천으로서 보이지 않게 된다.

Despite its unavoidable presence in all aspects of training, clinical decision making and day-to-day interactions, emotion is either elided as part of a larger construct of values, attitudes and beliefs, or falsely dichotomised with ‘reason’, making it largely invisible as a valuable form and source of knowledge.


이성 vs 감정

Reason Versus Emotion


의학 교육 내에서 정신-신체와 이성-감정과 같은 데카르트적 이분법은 부분적으로 '이성이 부패된 상태로서 초월되어야 할 것'으로 감성을 바라보는 과학과 기술 발달의 효과에 의해 영속된다.9 어떻게 '선량한' 의사가 되려면 이성으로부터 감정을 제거해야 한다는 생각이 영속되어 왔는가? 아니면 적어도 초연적 관심의 형태로 환자의 이익을 위해 그에 상응하는 적정성을 부여할 수 있어야 하는가?10

Within medical education Cartesian dualities,9 such as mind⁄ body and reason⁄ emotion, are perpetuated in part by the effects of scientific and technological developments that find ‘emotion as a corruption of reason that needs to be transcended’.9 How has the idea been perpetuated that to be a ‘good’ doctor one must evacuate emotion from reason or, at very least, be able to titrate it accordingly for the patient’s benefit in the form of detached concern?10


전문직업적, 학문적 고정관념은 이분법적 사고에 달려있다. 예를 들어, 보통 사람들이 흔히 하는 [예절이라고는 전혀 없지만 뛰어난 외과의사]에게 치료를 받는 것이 더 나은 것인지 아니면 [덜 똑똑하지만 환자의 손을 잡아줄 용맹스러운 외과의사]에게 치료받는 것이 더 나은 것인지에 있다. 그러한 구별은 어처구니없을 정도로 환원적일 뿐만 아니라 전문적 정체성 형성에 영향을 미치는 이분법적 관점을 재현한다.

Professional and disciplinary stereotypes rest on binary thinking: for example, a question commonly voiced by lay people concerns whether it is preferable to be treated by a brilliant surgeon who has awful bedside manners OR a less-than-brilliant surgeon who will hold the patient’s hand. Such distinctions are not only insultingly reductive, but reproduce a binary perspective that has implications for professional identity formation.


이분법은 감정과 그 표현에 대한 경계를 전문성, 도덕적 감수성, 지성의 표시로 유지하기 위해 생산적으로 사용된다. 임상 훈련에서 감정을 불법적인 형태의 지식으로 폄하하는 것 또한 의학 교육 내에서 기여가 부족하게 되었다.

Dichotomies are used productively to maintain boundaries around emotion and its expression as signs of professionalism, moral sensibility and intelligence. The disparagement of emotion as an illegitimate form of knowledge (seen as both gendered and unscientific) in clinical training has also led to a paucity of contributions within medical education


감성이란 무엇인가?

What is Emotion?


연구의 대상으로서, 감정은 기술하기 힘들기로 악명 높으며 직업과 학문 사이에는 그것이 무엇인지에 대한 동의가 거의 없다. 그것은 생리학적으로 결정되고, 내적으로 경험되고 자연스럽고, 이성의 요소로서, 사회문화적 가치와 사회문화적 관행의 결과의 전달 매개체로서, 수행과 미적, 도덕적 경험의 중심이라고 다양하게 묘사되고 있다.

As an object of study, emotion is notoriously difficult to delineate and there is little agreement among professions and disciplines about what it is. It is variously described as physiologically determined,11–13 internally experienced and natural,14,15 a component of reason,16–19 a medium for the transmission of socio-cultural values and the result of socio-cultural practices,1,16,20–26 a performance27–29 and central to aesthetic and moral experience.30–32


방법

METHODS


'담론은 그들이 말하는 대상을 체계적으로 형성하는 관습이다.'29

‘Discourses are practices that systematically form the objects of which they speak.’29


푸코디안 프레임워크 내에서, 담론 분석은 제작, 배포 및 수신의 상호 관련 텍스트와 실행의 집합을 말한다. 이는 공식 및 비공식 커리큘럼 형식과 전문 문서에서 전문성과 역량과 관련된 관행과 정책에 영향을 미친다. 감정에 대한 다른 생각들은 구체화되고 법제화된다. 그 후 감정을 연구하기 위한 이산적인 접근은 사회 관계를 통해 역사적으로 제도적 환경에서 형성되는 글쓰기 단어뿐만 아니라 실천으로서 감정에 초점을 맞춘다. 이와 같이, 낙서는 세계에 영향을 주는 사회적 행동의 형태로 조사될 수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우리는 다음과 같은 질문을 던지기 시작할 수 있다: 누가 감정에 대한 일반적인 생각으로부터 이익을 얻는가? 감정이 임상 지식으로 중요한 것을 형성하는 데 어떤 역할을 하는가?

Within a Foucauldian framework, discourse analysis refers to inter-related sets of texts and practices of their production, dissemination and reception. This occurs through both formal and informal curricular forms and in professional documents, producing effects on practices and policy related to professionalism and competency. Different ideas about emotion are taken to be both embodied and enacted. A discursive approach to studying emotion then focuses on emotions as practices, as well as written words that are shaped historically in institutional settings through social relations. As such, discourses can be investigated as forms of social action that create effects in the world. From this perspective, we can begin to ask questions such as: who benefits from prevalent ideas about emotion? What role does emotion play in shaping what counts as clinical knowledge?


감정의 세 가지 담론: 생리적 담론, 기술과 능력으로서의 감정, 그리고 사회문화적 담론(표 1)

three discourses of emotion: a physiological discourse; emotion as skills and abilities, and a socio-cultural discourse (Table 1).




생리학으로서 감정

EMOTION AS PHYSIOLOGY


'생리학으로서의 감정' 담론은 보편적으로 경험된 감정과 우리의 신체적 구성의 일부로서 감정을 본다. 예를 들어, 모든 사람들은 문화나 배경에 상관없이 분노를 경험한다. 이 때, 특정한 신경 화학적 연쇄반응이 시작되어, 우리의 의식적인 통제를 벗어난 많은 경우에 물리적 영향과 행동을 야기한다.

An ‘emotion as physiology’ discourse posits emotion as universally experienced and part of our physical make-up; for example, everyone has experienced anger regardless of culture or background. A particular neurochemical cascade is set off, leading to physical effects and behaviour, in many instances beyond our conscious control.


사람들이 경험하는 감정의 양과 종류는 병리적 상태가 아닌 인간에게서 [동일한 감정을 자극하는 보편적인 정신생물학적 과정의 예측 가능한 결과라고 이해된다.33

The amount and kinds of emotion that people experience are understood to be predictable outcomes of universal psychobiological processes stimulating identical emotions in non-pathological humans.33


이 담론은 생물학적 과정으로 감정을 확보하고 합리적이고 실증주의적인 인신론으로부터 지지를 받는 연구를 통해 재현되고 정당화된다. 생리학과 감정은 질병뿐만 아니라 행동에 대한 경험적 증거를 제공하기 위해 그들의 인과관계를 연구한다. 임상 실습 연구에서 담론은 개인의 의식적 통제나 행동 효과에 대한 인식을 벗어난 신경 화학적 원인을 식별하는 데 관심이 있는 신경 및 인지 과학자와 교육자에 의해 작용에서 명백하다.34–41 의학 교육에서 신경과학자와 인지과학자는 스트레스의 생리적 효과(이것을 감정으로 해석한다)가 인지적 평가 기술 42,43 및 의료 성과 44,45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한다.

This discourse is reproduced and legitimated through research that posits emotion as a biological process and is supported by a rational, positivist ontology. Physiology and emotion are studied for their causal connections to provide empirical evidence for behaviour as well as illness. In clinical practice research, the discourse is evident in work by neuro- and cognitive scientists and educators interested in identifying neurochemical causes that are beyond the individual’s conscious control or awareness of behaviour effects.34–41 In medical education, neuroand cognitive scientists are studying the physiological effects of stress (interpreted as an emotion) on cognitive appraisal skills42,43 and health care performance.44,45


Pottier 등의 연구에서, 46 학생들은 자신의 몸에서 화학적으로 일어나는 스트레스 수준을 의식하지 못했다. 우리의 몸이 우리의 마음과 별개로 작용하고 있다는 생각은 데카트트적 마음-신체, 이성-감정 이분법에 의해 뒷받침된다.

in the work of Pottier et al.,46 the students were not conscious of the level of stress their bodies were registering chemically. The idea that our bodies are acting separately from our minds is supported by a Cartesian mind⁄ body reason⁄ emotion duality.


의학 교육에서 생리적 담론의 또 다른 예는 표준화된 환자(SP)뿐만 아니라 의료인을 훈련시키기 위해 Paul Ekman의 아이디어를 적용한 것이다.47,48,49 Ekman의 연구는 감정의 보편적 생물학적 생성과 그에 따른 얼굴 표정 사이의 논증할 수 없는 연관성에 기초한다.47 Through 미세표현훈련도구(METT)를 이용한 Ekman의 안면행동코딩시스템(FACS)에서의 훈련은 미세표현에 감추어진 감정을 읽음으로써 다른 사람의 내적 감정상태를 신뢰성 있게 분별하는 법을 배울 수 있다.

Another example of a physiological discourse within medical education is the application of Paul Ekman’s ideas for training medical practitioners as well as standardised patients (SPs).47,48,49 Ekman’s research is based on an incontrovertible connection between the universal biological production of emotion and resulting facial expressions.47 Through training in Ekman’s facial action coding system (FACS) using the micro-expression training tool (METT), one can learn to reliably discern other people’s internal emotional states by reading emotions concealed in micro-expressions:


Ekman의 이론은 우리 모두가 [사회적, 문화적 차이와 무관하게 우리의 인식과 통제를 벗어난 보편적으로 측정할 수 있는 방법으로 경험하고 감정을 표현하도록 연결되어 있다]는 것을 암시한다.47

Ekman’s theory, suggests that we are all, regardless of social and cultural differences, wired to experience and express emotion in universally measureable ways that are beyond our awareness and control.47



함의

Implications


신경 영상 실험은 우리에게 감정의 일반적이고 보편적인 특성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활동이다.

Neuro-imaging experiments, are activities that provide us with information about the generalisable and universal characteristics of emotion.


이 담론 안에서 감정은 그들만의 삶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보여지고, 방해가 되고, 어쩌면 우리의 이성을 압도하고 위험한 결정과 행동으로 이어질 수도 있다.  ‘I lost my head’, or I need to get a grip’와 같은 흔한 문구나, blowing off steam or losing one’s cool 과 같은 은유들은 이중적인 사고에 의해 더욱 뒷받침되는 감정에 대한 그러한 이해를 반영한다. 그러나, 현재의 신경과학 연구는 우리의 인식은 본질적으로 감정적인 두 가지 – 사이에 구분split이 없다는 것을 시사한다. 안토니오 다마시오는 '이성이라는그림에서 감정이 완전히 배제될 때...(감정이 우리의 결정에 나쁜 장난을 칠 때보다) 이성은 훨씬 더 결점이 있는 것으로 판명된다.'라고 쓰고 있다.

Within this discourse emotions are seen to have a life of their own, getting in the way, possibly overwhelming our reason and leading to dangerous decisions and actions. Such common phrases as ‘I lost my head’, or I need to get a grip’, or metaphors such as blowing off steam or losing one’s cool reflect such an understanding of emotion which are further supported by dualistic thinking. However, current neuroscience research suggests that there is no split between the two – our cognition is essentially emotional. Antonio Damasio writes, ‘When emotion is entirely left out of the reasoning picture…reason turns out to be even more flawed than when emotion plays bad tricks on our decisions.’11


그러나 이성과 감정 사이에 분열이 없음을 보여주는 연구에도 불구하고, 우리의 감정은 파괴적이며 관리되어야 한다는 생각이 우리의 일상적 사고와 실천에 스며들고 있다.

Yet despite the research that shows there is no split between reason and emotion, the idea that our emotions are disruptive and need to be managed is pervasive and deeply ingrained in our day to day thinking and practices.


이것과 평행한 또 다른 개념은 감정이 자연의 날씨 패턴처럼 일어난다는 것이다.22 이러한 관점에 따르면, 감정이란 긍정적이든 부정적이든 간에 감정 그 자체가 문제가 되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그 발생이 [우리에게 비자발적으로 일어나고 우리의 이성적 능력에 문제를 일으키는 것]처럼 보이기에 문제인 것이다.

Another notion parallel to this one is that emotions occur like naturalised weather patterns.22 In this view, it is not emotions themselves, either positive or negative, that are troublesome, but, rather, their occurrence, which seems to happen to us involuntarily and to connect to our rational capacities in troubling ways.


스킬로서 감정

EMOTION AS SKILL


'기술로서의 감정' 담론에서 '지능'과 '감정'의 개념은 능력, 기술 습득 및 성과에 관한 아이디어와 관련된 궤적을 따라 수렴된다. 이러한 담론은 우리의 감정에 대한 생물학적 근거를 인정하지만, 이제 그것들은 실천을 통해 변화할 수 있는 것으로 보인다.

Within an ‘emotion as skill’ discourse, concepts of ‘intelligence’ and ‘emotions’ converge along a trajectory related to ideas about ability, skills acquisition and performance. This discourse acknowledges the biological basis for our emotions; however, they are now seen as amenable to change through practice.


'우리는 감정 능력이 신체검사 기술과 마찬가지로 (환자 진단이나 사회문화적 배경을 대체하는) 적절하게 정의되고, 가르칠 수 있는(그리고 측정할 수 있는) 기술로 간주될 수 있다고 제안한다.'52

‘We suggest that emotion skills, much like physical examination skills, can be regarded as a properly defined, teachable (and measurable) skill set that supersedes patient diagnoses or socio-cultural backgrounds.’52


이러한 의무는 태도와 가치에 관련된 전문적인 행동을 할 때, 감정을 가시화하는 의사소통 기술 훈련을 통해 부분적으로 충족된다. 행동 훈련은 의사결정의 인지적 측면으로 되돌아온다. 어떻게, 언제, 무엇을 말할 것인가에 대한 결정은 체계적 연습을 통해 개발될 수 있는 기술이다.

This mandate is met in part through communication skills training in which emotion becomes visible in demonstrations of professional behaviours linked to attitudes and values. Behavioural training feeds back into cognitive aspects of decision making. Decisions about how, when and what to say are skills that can be developed through organised practice.


감정지능

Emotional Intelligence


감성 지능(EI)은 감성에 대한 특별한 생각이 의학에서나 일상 생활에서나 작동하게 되는 지배적인 기술이다.

Emotional intelligence (EI) is the dominant technology through which particular ideas about emotion become operationalised both in medicine and throughout our day-to-day lives.


EI의 목적은 연습을 통해 

    • 자신과 타인의 감정을 인지하고 이해하고 관리하는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기술을 개발하고, 

    • 부정적인 감정 경험과 그들의 표현을 감소시키기 위해 그 결과를 평가하는 것이다.

The aim of EI is to develop skills through practice 

    • to improve abilities to perceive, understand and manage emotion in both oneself and others, and 

    • to evaluate the outcomes in order to reduce negative and increase positive emotional experiences and their expression.


'자신과 다른 사람들의 감정을 능숙하게 감지, 이해 및 관리하는 것은 제공자 웰빙, 제공자 만족, 전문성 및 환자 결과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52

‘The skillful detection, understanding and management of emotions in the self and others may impact on provider well-being, provider satisfaction, professionalism and patient outcomes.’52


감성 지능은 의료 전문가를 개발하는 의료의 인문학적 목표를 충족시키는 동시에, 신뢰할 수 있는 포착에 적합하지 않은 것으로 보이는 능력을 측정하고 판단하는 신뢰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한다.

Emotional intelligence meets health care’s humanistic goals of developing caring professionals while providing a dependable method for measuring and judging capacities seen as not otherwise amenable to reliable capture.


감성 지능은 의대 입학 과정, 53 임상 및 서면 평가에 대한 성과와의 상관 관계, SPs.55에 의해 평가된 EI 속성과 학생 임상 기술 사이의 가능한 관계를 포함하는 광범위한 맥락에서 관여하고 연구되고 있다.

Emotional intelligence is being engaged and studied in a wide range of contexts that include medical school admissions processes,53 its correlations with performance on clinical and written assessments54 and the possible relationship between EI attributes and student clinical skills as assessed by SPs.55


스킬의 수행으로서 감정

Emotion as Performance of Skills


Performance는 기술로서 EI가 드러내어지는 매개체. 보이지 않는 전문적 속성을 [개별적인 관찰 가능한 기술과 능력]으로 변환하려면 특정한 종류의 퍼포먼스가 필요하다.

Performance is the medium through which the skills of EI are manifest. The transforming of invisible professional attributes into individual observable skills and abilities requires a specific kind of performance


이 담론에서의 성과는 '인지기능 과정하고는 관련성이 낮고, 행동, 움직임, 언어 및 몸짓과 더 많은 관계가 있다.56

Performance in this discourse ‘has less to do with cognitive processes and more [to do] with action, movement, speech and gesture’.56


감정은 관찰할 수 있고 측정할 수 있는 과제의 수행을 통해 가시화된다. 그것은 분리된 요소(rapport, empiration, eye contact, question style)로 나눠질 수 있으며, 의사소통이 수행된 기술의 더 미세하고 더 미세한 슬라이드로 분석되는 연속체를 따라 평가될 수 있다. 그래서 감정에 관한 정보에 접근하기 위해 개인의 경계 안에 도달하는 것이 아니라, 이 담론은 [역량있는 실천]과 관련된 [특정한 시연demonstration]으로서 감정을 관찰할 수 있게 해준다. 감정은 아직 생물학적으로 생산되고 있지만, 지금은 그 외적인 면을 관찰하고 측정하는 데 초점이 맞춰져 있다.

Emotion then becomes visible through the performance of tasks that are observable and measureable. It can be broken into discrete component parts (rapport, empathy, eye contact, questioning style) and assessed along a continuum on which communication is parsed into finer and finer slivers of performed skills. So, rather than reaching inside the boundaries of the individual to access information about emotion, this discourse allows one to observe it as a particular demonstration related to competent practice. Emotion is still biologically produced, but now the focus is on observing and measuring its external aspects.


예를 들어, 테크닉으로서의 공감이나 연민은 벅만의 공감 모델에서 분명히 알 수 있듯이 학습하고 평가할 수 있는 단계로 나눌 수 있다: '감정반응은 다음의 테크닉으로 구성되어 있다

(i) 감정을 식별하고

(ii) 감정의 근원을 식별한 두,

(iii) 이 두 단계 사이를 자신이 어떻게 연결했는지를 보여주는 방식으로 반응하는 것

For example, empathy or compassion as a technique can be broken into steps that can be learned and assessed, as is evident in Buckman’s model for empathy: ‘The empathic response, for example, is a technique that consists of 

(i) identifying the emotion, 

(ii) identifying the source of emotion, and 

(iii) responding in a way that shows you have made the connection between the first two steps.’57


감정을 기술이나 기법으로 프레이밍 하는 것은 전문적인 훈련과 연습에 영향을 미친다.

Framing emotion as a skill or technique has effects on professional training and practice.


[단순히 다른 형태의 기술로서 감정]을 지탱하는 아이디어는 [사회문화적 맥락을 고려하지 않으며[감정을 관리, 통제, 설명하는데 있어 가장 큰 부분을 개인에게 맡기는] 방식의 설명 모델을 넘어서야 할 필요성을 충분히 인식하지 못한다. 


Ideas that support emotion as simply another form of skill do not offer sufficient recognition of the need to move beyond explanatory models that put the largest part of the responsibility for managing, controlling and explaining emotion on the individual without addressing the social and cultural context.


함의

Implications


'병원 곳곳에 화장실과 계단통에서 조용한 울음소리가 있다. 동료, 환자, 심지어 친구까지도 어떤 붕괴도 좋은 의사가 되지 못하는 지표로 보고 있다는 인식이다.'58

‘There is muted crying in bathrooms and stairwells all over the hospitals. The perception is that colleagues, patients and even friends see any breakdown as an indicator of not being a good doctor.’58


[개인의 감정 기술과 능력에 초점을 맞춘 책무성 전략]은 개별 workplace을 형성하는 [situated inequalities과 물질적 압력을 눈에 보이지 않게 만들 수 있는 잠재력]을 가지고 있다. 감정이 개인의 것으로, 프라이버시로 정의될 때, 학생과 의사의 고립과 소진을 증가시킬 잠재력을 가지고 있다. [허용 가능한 것]의 규범을 벗어났다고 여겨지는 감정은 어딘가에 숨겨져 있을 수 있으며, '자신에 대한 통제력 확보'나 '감정을 제쳐두는' 방식으로 다뤄지게 개인에게 맡겨질 수 있다. 자신이 전문직에 들어갈 만한 가치가 있다는 것을 증명해야 한다는 엄청난 압박감 속에서, 학생들은 자신들이 환자나 절차에 대해 불편한 감정을 가지고 있다는 것을 인정하기를 두려워하고, 이러한 감정들을 '역량'이라는 망토 뒤에 숨긴다.59

Accountability strategies that centre on the emotion skills and abilities of the individual have the potential to make invisible the situated inequities and material pressures shaping individual workplaces. Emotion defined as individual and private also has the potential to add to increased student and practitioner isolation and burnout. Emotions identified as outside the norm of what is acceptable may remain hidden and be handled individually by ‘getting control of oneself’ or ‘putting feelings aside’. Under great pressure to prove themselves worthy of entering the profession, students are afraid to admit that they have uncomfortable feelings about patients or procedures and hide these feelings behind a cloak of competence.59


한 학생은 이런 의견을 표현했다: '그런 감정들은 그냥 방해가 된다. 그것들은 맞지 않아, 나는 그것들을 없애는 법을 배울 거야. 아직 어떻게 해야할지는 모르겠지만, 어떤 것들은 좀 무섭기까지 하다'

One student expressed the opinion: ‘Those feelings just get in the way. They don’t fit, and I’m going to learn to get rid of them. Don’t know how yet and some of the possibilities are scary.’60


이 학생의 진술은 훈련을 통해 문제가 되는 감정을 없애기 위해 노력하면서 연민을 유지하도록 요구하는 의사들의 이중 부담double burden을 밝히고 있다.

This student’s statement identifies the double burden of medical practitioners that requires them to sustain compassion while working to rid themselves of problematic emotions through training.


EI에 대한 비판

CRITIQUE OF EI


이러한 감정 담론에 대해 의학 교육자들은 기꺼이 비판적인 반응을 보여 왔다. 루이스 외 연구진.60은 의료 교육에서 EI의 구조가 [측정할 수 없는 것을 측정하려고 시도하는 것은 아닌지]에 대해 질문을 제기하고, 현재의 모델들이 집단적이고 분산된 감정 모델보다는 개별화된 것을 영구화할 것을 제안한다.

There has been a welcome critical response by medical educators to this discourse of emotion as skills. Lewis et al.60 raise relevant questions about whether the construct of EI in medical education is attempting to measure the immeasurable and suggest that current models perpetuate individualised rather than collective and distributed models of emotion.


Lewis 등은 EI를 '집단적 분위기를 고려하며 그룹 환경에서 정서적 행동의 '지능적' 부분으로 공유하는 협력적인 분산 모델로 재배치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60

Lewis et al. are working towards relocating EI as a collaborative distributed model which ‘takes account of group climate and shared affect as the ‘‘intelligent’’ part of emotional behaviour in group settings’.60


사회문화적 매개체로서 감정

EMOTION AS A SOCIO-CULTURAL MEDIATOR


'감정은 차이와 윤리가 소통되고 협상되고 형성되는 매개체다.'22

‘Emotions are a medium, a space in which differences and ethics are communicated, negotiated and shaped.’22


사회문화적 담론은 [감정이 사회적 교류에서 갖는 기능과 사회적, 정치적, 문화적 중재자로서의 감정의 역할]에 대한 관심을 갖게 한다. 그것은 또한 감정을 신경화학이나 심리학적 과정으로서가 아니라 실천으로서도 전조가 된다.

A socio-cultural discourse directs our attention to emotion’s function in social exchanges and its role as a social, political and cultural mediator. It also foregrounds emotion as a practice rather than as a neurochemical or psychological process.


이 마지막 관점은 학습을 위한 상황화된situated 문화적 및 맥락적 요인의 중요성을 인정한다. 이처럼 감정은 언제나 개인과 사회 사이에 매개력mediating force으로 존재한다.

This last perspective acknowledges the importance of situated cultural and contextual factors for learning. As such, emotion is always between the individual and the social as a mediating force.


사회문화적 담론은 [감정을 협력적인 것, 즉 특정한 문화적, 사회적 맥락에서 개인들에게 분포된distributed 것]으로 본다.

A socio-cultural discourse constructs emotions as collaborative and distributed among individuals in particular cultural and social contexts,


사회적, 물질적 요소들이 우리의 정체성에 미치는 영향을 인정하는 관점은 [안정된 실체가 아닌 힘으로서의 감정]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Lewis et al.의 EI 대체 모델은 그것을 '개별적이고 정적'이 아닌 '협동적이고 역동적인' 것으로 묘사하고 있으며, 공간 뿐만 아니라 시간 차원에서 작동하는 시스템의 창발적 특성이라고 보았다.

A view that acknowledges the effects that shared social and material artefacts have on our identities, our work and relationships includes emotion as a force, not as a stable entity. For example, Lewis et al.’s alternative model of EI describes it as ‘collaborative and dynamic, rather than individual and static, [and] importantly, as an emergent property of a system operating in time, as well as space’60


이 저자들은 다음과 같이 제안한다: '이러한 환경에 대한 민감성은 어떤 임상의사가 언제 어떻게 개입하는지를 지배할 수도 있고, 또는 전문가간 팀 절차에 개입하지 않기로 결정할 수도 있다.'60

These authors suggest: ‘…such sensitivity [to environment] may govern when and how any clinician intervenes, or decides not to intervene in an interprofessional team procedure.’60


[모든 사람이 자신의 감정을 얼마나 잘 표현할 수 있는지에 관계없이 특정한 맥락에서 자신의 감정을 드러낼 수 있는 권한이 사람마다 동일하지 않다는 것]은 특정 직업적 맥락에서 감정을 실천(표현)함을 형성하는데 있어서, 권력 관계를 인식하는 것이 얼마나 중요한지를 보여준다.

That not everyone has the same permission to reveal their emotions in particular contexts, regardless of how well they may express them, suggests how important it is to recognise power relations in shaping the practice of emotion in specific professional contexts.


실천윤리로서 감정

Emotion as an Ethics of Practice


[사회적으로 의식적인 감정]이라는 담론을 지지하는 사람들은 의대 과정 내에 인문학에 대한 관심을 높이고 포함시키는 것을 긍정적으로 보고 있다. 연극과 서술을 채택하는 프로그램, 예술의 창조, 음악의 감상 등을 통해 인문계는 인지뿐만 아니라 구체적이고 감정적인 학습의 새로운 길을 열어주는 것으로 점점 더 인정받고 있다.

Proponents of a socially conscious discourse of emotion see as a positive step the increasing attention to and inclusion of the humanities within medical school curricula. Through programmes that adopt theatre and narrative, the creation of art and appreciation of music, the humanities are increasingly acknowledged as opening up new pathways for learning that are embodied and emotional, as well as cognitive.


'실천으로서의 윤리는 다층적 주관성의 모든 단계를 아우르는 복잡성의 연극이다. 이 때 인지는 감정에, 지성은 감성에 구속bind되며, 이 모든 것은 다시 사회적으로 내재된 지속가능성의 윤리와 연결시키는 것이다.'61

‘Ethics as a practice is related to a play of complexity that encompasses all levels of one’s multilayered subjectivity, binding the cognitive to the emotional, the intellectual to the affective and connecting them all to a socially embedded ethics of sustainability.’61


이러한 윤리의 관념은 이성과 감정의 이분법적 분열에 의문을 품게 함으로써, 개개인이 '감정을 담아내는 그릇'이라는 개념을 뛰어넘게 한다. 그러나, 예술과 인문학에 기반을 둔 접근방식이 전문성과 실천과 관련된 기존의 생각을 파괴하고 확장하기보다는 재생산하는 역할을 할 위험도 있다.

Such a conception of ethics move us beyond the notion of the individual as a container of emotion by asking us to question the split between emotion and rationality. However, There is a danger that, artsand humanities-based approaches may serve to reproduce rather than disrupt and expand existing ideas related to professionalism and practice.


노동으로서 감정

Emotion as Labour


의료행위의 핵심은 의사와 환자의 대화적 관계다. 인간의 고통에 관심을 기울이는 것은 정교한 기술적, 임상적 기술을 숙달하고 여러 가지 면에서 자아와 다른 것들에 대한 미묘한 협상을 필요로 한다(개인적이고 전문적인 것 둘 다). 이것은 사회문화적 관점에서 노동의 한 형태로 정의될 수 있다.

At the heart of the practice of medicine is the dialogical relationship between doctor and patient. Tending to human suffering requires mastery of sophisticated technical and clinical skills and nuanced negotiations of self and other on a number of fronts (both personal and professional). This can be defined as a form of labour from a socio-cultural perspective.


알리 호치차일드는 서비스업에서 노동의 한 형태로서 감정을 연구해 왔다.21 호치차일드는 노동자들의 정서적 경험을 형성하는 개개인이 아닌 사회적 심리적 힘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이런 관점에서 부정적인 반응을 억누르거나 '하고 싶은 말을 참는' 것과 같은 감정적 결정을 내리게 만드는 것은 사회정치적 환경이다.21

Arlie Hochschild has studied emotion as a form of labour in service occupations .21 Hochschild focuses on the social, not the individual, psychological forces that shape workers’ emotional experiences. In this view, it is the social and political environment that is seen to produce emotional decisions to suppress a negative reaction or to ‘bite one’s tongue’.21


사회문화적 관점은 감정을 전문적 발전의 필수적인 부분으로 간주하고 연습과 학습이 일어나는 더 큰 사회적, 정치적 맥락을 반영하는 질문의 생성을 허용한다.

Socio-cultural perspectives take account of emotion as an integral part of professional development and allow for the generation of questions that reflect the larger social and political contexts in which practice and learning occur.


함의

Implications


'우리가 감정을 (피할 수 없는 생리적 능력이나 단순한 사회적 구성으로 인식하는 정도가 아니라) 사회적, 정치적 맥락에서 형성되는constituted 것으로 볼 때, 우리는 현대의 교육 환경에서 그것을 어떻게 변화시키는데 기여하고자 하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63

‘To the extent that we recognise emotion not as an inescapable physiological faculty or simply a social construction but as that which is constituted in social and political contexts, we can assess how we wish to contribute to transforming it in contemporary school settings.’63


감정은 의학 전문가들이 매일 수행하는 일의 중심에 있다. 이해, 성찰, 감정에 관여하고 표현하는 것은 유능한 의료행위의 중요한 측면이다.

Emotion is central to the work carried out by medical professionals daily. Understanding, reflecting on, engaging with and expressing emotion are important work-related aspects of competent practice.


의학 교육 분야의 사회 문화적인 감정 관점은 현재 저개발되어 있다.

Socio-cultural perspectives of emotion in the field of medical education are currently underdeveloped,


이 담론 속의 감정에 대한 은유는 유동성을 보여준다. 그것은 교환의 매개체, 22 통화와 역동적인 정치세력, 경이로움의 공간이다.26 아흐메드는 감정은 대상이나 대상에 감정이 상주하지 않고 순환의 효과로 만들어지는 통화currency의 형태라고 주장한다.26 아흐메드는 감정이 국가, 직업, 이익 단체와 같은 개인과 집단 사이를 여행하는 것으로 묘사하고 있다. 감정은 어떤 사람에게는 stick하지만 다른 사람에게는 stick하지 않지만, 언제나 문자 그대로 [우리의 몸과 정신에 포함 또는 배제inclusion or exclusion를 알리는 표식mark]을 남긴다.

The metaphors for emotion within this discourse reference its fluidity. It is a medium of exchange,22 a currency and dynamic political force, a space of wonder.26 Ahmed argues that emotions are a form of currency in which feelings do not reside in subjects or objects, but are produced as effects of circulation.26 She describes them as travelling between individuals and groups, such as nations, professions and interest groups, sticking to some people and not others, but always leaving impressions literally in the form of marks on our bodies and psyches that signal inclusion or exclusion.


그러한 이론적 접근은 감정을 내부 상태에 관한 것이라기 보다는 사회 생활에 관한 것으로 해석한다. 교육 및 감정 분야에서 일하는 사회과학 학자들은 감정을 '윤리적, 도덕적, 평가적, 인지적, 감정적, 선정적'을 포함하는 다중적인 측면을 가지고 있다고 본다.26 의과 교육 내에서 우리는 사회문화적 규범과 실천이 전문적 실천에서 감정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아직 충분히 조사하지 않았다.

Such a theoretical approach construes emotion as being about social life rather than about internal states. Social science scholars working in the field of education and emotion view emotion as having multiple aspects that include the ‘ethical, moral, evaluative, cognitive, affective and sensational’.26 Within medical education we have not yet fully examined how socio-cultural norms and practices influence emotion in professional practice.


결론

CONCLUSION


이러한 각각의 담론에서 감정은 뚜렷하게 형성되지만, 서로 완전히 고립되어 있는 것은 아니다이러한 담론들 중 어느 것도 그 혼자서는 감정과 관련된 전문적인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모든 서사를 제공하지 않으며, 각각은 의료 훈련에서 감정에 대한 보다 포괄적인 이해를 약속하는 방식으로 다른 사람들을 겹치고 확장시킨다.

Emotion is constituted distinctly in each of these discourses; however, they are not isolated from one another. None of these discourses alone provides an overarching grand narrative with which to resolve professional problems related to emotion, and each overlaps and extends the others in ways that hold promise for a more inclusive understanding of emotion in medical training.








, 47 (1), 71-9
 

Discourse(s) of Emotion Within Medical Education: The Ever-Present Absence

Affiliations 

Affiliation

  • 1Standardized Patient Program Director of Research, Standardized Patient Program Affiliated Scholar, Wilson Centre for Research in Education Faculty of Medicine, University of Toronto, Toronto, Ontario, Canada. n.mcnaughton@utoronto.ca

Abstract

Context: Emotion in medical education rests between the idealised and the invisible, sitting uneasily at the intersection between objective fact and subjective values. Examining the different ways in which emotion is theorised within medical education is important for a number of reasons. Most significant is the possibility that ideas about emotion can inform a broader understanding of issues related to competency and professionalism.

Objectives: The current paper provides an overview of three prevailing discourses of emotion in medical education and the ways in which they activate particular professional expectations about emotion in practice.

Methods: A Foucauldian critical discourse analysis of the medical education literature was carried out. Keywords, phrases and metaphors related to emotion were examined for their effects in shaping medical socialisation processes.

Discussion: Despite the increasing recognition over the last two decades of emotion as 'socially constructed', the view of emotion as individualised is deeply embedded in our language and conceptual frameworks. The discourses that inform our emotion talk and practice as teachers and health care professionals are important to consider for the effects they have on competence and professional identity, as well as on practitioner and patient well-being. Expanded knowledge of how emotion is 'put to work' within medical education can make visible the invisible and unexamined emotion schemas that serve to reproduce problematic professional behaviours. For this discussion, three main discourses of emotion will be identified: a physiological discourse in which emotion is described as located inside the individual as bodily states which are universally experienced; emotion as a form of competence related to skills and abilities, and a socio-cultural discourse which calls on conceptions from the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 and directs our attention to emotion's function in social exchanges and its role as a social, political and cultural mediator.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