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직정체성형성: 다양한 영역의 수렴(HEC Forum, 2012)
Professional Identity Formation in Medical Education: The Convergence of Multiple Domains
Mark Holden • Era Buck • Mark Clark • Karen Szauter • Julie Trumble
의학 교육의 전문성에 대한 강조는 지난 수십 년간 증가해 왔으며, 처음에는 의대생과 의대생들의 생명윤리, 의사소통 능력, 그리고 행동들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보다 최근에 저자들은 전문적 정체성 형성(PIF)에 대해 논의하기 시작했으며, 이를 일반인에서 의사로 전환하는 과정에서 경험하는 기초적 과정으로 구분했다(Inui 2003).
There has been increasing emphasis on professionalism in medical education over the past several decades, initially focusing on bioethics, communication skills, and behaviors of medical students and practitioners. More recently, authors have begun to discuss professional identity formation (PIF), distinguishing it as the foundational process one experiences during the transformation from lay person to physician (Inui 2003).
문학은 PIF를 전문성, 심리적 자아 발달, 사회적 상호작용, 다양한 학습 이론 등 다양한 패러다임에서 접근해 왔다.
The literature has approached PIF from various paradigms, including those of professionalism, psychological ego development, social interactions, and various learning theories.
의학 교육에서 PIF의 복잡성을 설명하는 것을 돕기 위해 이러한 다양한 관점을 함께 가져온 작가는 거의 없다. 현재 PIF(Cohen et al)의 과정을 이해하기 위한 통일된 이론적 프레임워크가 없다. 2009).
Few authors have brought these various perspectives together to help explicate the complexities of PIF in medical education. There is currently no unified theoretical framework for understanding the process of PIF (Cohen et al. 2009).
우리는 PIF가 매우 복잡한 과정, 즉 일련의 과정을 반영한다고 가정한다. 이는 전문직업성, 정신사회학적 정체성 개발, 형성과 같은 중요한 중복 영역의 측면을 적용함으로써 가장 잘 이해된다(그림 1).
We posit that PIF reflects a very complex process, or series of processes, best understood by applying aspects of important overlapping domains: professionalism, psychosocial identity development, and formation (Fig. 1).
프로페셔널리즘
Professionalism
의료 전문직업성의 핵심 요소들은 이러한 생물윤리적 원리에 대한 지식, 의사소통 및 대인관계 기술, 이타주의, 성실성, 신뢰도, 동정심, 성실성 등과 같은 속성들을 포함하도록 다양하게 기술되어 왔다(Inui 2003). 현대의학의 전문직업성은 의학과 사회 사이의 사회적 계약, 즉 사회가 직업에 자율성, 위신, 특권을 제공하는 대가로 갖는 암묵적이고 노골적인 기대를 기술한다(ABIM Foundation et al. 2002).
The core elements of medical professionalism have been variably described to include knowledge of these bioethical principles, communication and interpersonal skills, and attributes such as altruism, dutifulness, trustworthiness, compassion, integrity, etc. (Inui 2003). Contemporary medical professionalism describes a social contract between medicine and society, the tacit and explicit expectations society has in exchange for providing the profession with autonomy, prestige, and privilege (ABIM Foundation et al. 2002).
전문직업성의 중요성은 의학 실천의 본질적 토대, 즉 전문직과 치료자의 속성(Cruess et al. 2009). 전문직업성은 의료계와 사회 사이의 계약 뿐만 아니라 의사와 환자 사이의 전문적인 신뢰와 신탁적관계(fiduciary)의 토대 역할을 한다.
The importance of professionalism lies in the essential foundations of the practice of medicine: the attributes of the professional and the healer (Cruess et al. 2009). Professionalism serves as the foundation of the professional trust and fiduciary relationship between physicians and patients, as well as for the contract between the medical profession and society.
의료 훈련에서 전문성을 강조하는 것은 부분적으로 주 면허 게시판, 뉴스 매체, 국회의원, 대중이 지적하는 의사들의 비전문적 행동을 인정하는 것에 대한 반응이다. 의사 직업적 행동의 오류는 의과대학에서 확인된 비전문적 학생의 행동과 관련이 있으며, 특히 ''심각한 무책임' 또는 ''심각하게 자기 계발을 위한 능력이 저하된' 학생에게서 두드러진다(Papadakis et al. 2005). 아마도 이러한 비전문직업적 행동의 예는 PIF가 제대로 되지 않은 것의 결과로서 관찰할 수 있는 징후일 것이다.
The increasing emphasis on professionalism in medical training is in part a response to the recognition of unprofessional behaviors by physicians noted by state licensing boards, news media, lawmakers, and the public. Lapses in physician professional behavior have been correlated with unprofessional student behaviors identified during medical school, most notably in students with ‘‘severe irresponsibility’’ or ‘‘severely diminished capacity for self-improvement’’ (Papadakis et al. 2005). Perhaps these examples of unprofessional behavior are observable manifestations of poor PIF.
최근의 많은 문헌들은 전문성에 대한 이해에 영향을 미치고 PIF에 기여하는 교육 과정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Much of the recent literature has focused on the educational processes that impact an understanding of professionalism and contribute to PIF.
단순히 의료 연수생들에게 전문성 있는 커리큘럼을 제공하는 것은 불충분하다. 코헨(2007)은 전문직업성을 관찰 가능한 행동('연기하는 방식')으로만 보지 않고 휴머니즘('존재하는 방식')을 육성하는 것의 중요성을 의학계에 상기시킨다. 루시와 수바(2010년)는 전문성 제고가 모든 실천 공동체에 중요하다고 강조하고 규칙, 역할 모델, 올바른 행동을 넘어 패러다임 전환을 장려한다.
Simply providing medical trainees with curricula in professionalism is inadequate. Cohen (2007) reminds the medical community of the importance of fostering humanism (‘‘a way of being’’) and not just looking at professionalism (‘‘a way of acting’’) as observable behaviors. Lucey and Souba (2010) emphasize that enhancing professionalism is important to all communities of practice and encourages a paradigm shift beyond rules, role models, and right behaviors.
정체성 개발과 사회적 학습
Identity Development and Social Learning
전문적 정체성의 구축은 전반적인 정체성 형성의 한 부분이다. PIF의 복잡성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정신사회 발전의 시사점에 대한 고려가 필요하다.
The construction of professional identity is a part of overall identity formation. Consideration of the implications of psychosocial development is necessary for understanding the complexities of PIF.
정체성 발달의 과정과 결과는 각 개인에게 독특하다.
The process and outcome are unique to each individual.
대부분의 의대생들은 보통 사람에서 의사로의 전환이 청소년기 후반에 시작된다. 에릭슨(1963년)에 따르면 정체성의 발달은 강한 자아 정체성을 초래하거나 서툴게 해결되더라도 역할혼란으로 이어질 수 있는 심리적 투쟁을 해결하는 청소년기의 일차적인 심리적 작업이다. 이 발달 모델에서, 청소년들은 다양한 선택사항을 탐구하고, 비록 시간이 지남에 따라 안정적이거나 더 많은 변화를 겪을 수 있지만, 결국 심리적 정체성을 형성한다(Klimstra et al. 2010).
For most medical students the transition from lay person to physician begins during late adolescence. According to Erikson (1963), development of identity is the primary psychological work of adolescence, resolving the psychological struggle that may lead to a strong ego identity or, if poorly resolved, to role confusion. In this developmental model, adolescents explore various options and eventually construct a psychological identity, although it may remain stable or undergo further change over time (Klimstra et al. 2010).
마르시아(1966)의 정체성 상태에 관한 연구는 에릭슨의 발달 이론을 상세히 설명하면서, 정체성 형성의 다양한 상태에 대한 설명을 제공했다. 이 패러다임에서 지위는 개발 대안의 탐색과 채택된 옵션에 대한 약속 사이의 균형을 설명한다. 마르시아는 확산, 모라토리엄, 압류, 성취의 네 가지 정체성 발달 상태를 설명했다.
Marcia’s (1966) study on identity status elaborated on Erikson’s developmental theory, providing descriptions of various states of identity formation. In this paradigm, status describes the balance between exploration of developmental alternatives and commitment to adopted options. Marcia described four statuses of identity development: diffusion, moratorium, foreclosure, and achievement.
이러한 상태는 순차적 단계가 아니며 개인은 어떤 순서로든 그들 사이에서 이동move할 수 있으며, 개발 과정의 여러 지점에서 동일한 상태를 재방문할 수 있다.
These statuses are not sequential stages and an individual may move among them in any order and revisit the same status at multiple points in the developmental process.
Status는 탐구와 헌신의 두 가지 차원에 따라 다르다.
정체성 확산은 정체성 옵션의 탐구에 거의 관여하지 않고 어떤 정체성에 대한 헌신도 거의 보이지 않는 상태를 말한다.
정체성 성취 상태에 있는 사람들은 적절한 탐구를 한 후에 중요한 헌신을 한다.
정체성 압류 상태는 강한 헌신을 보여주나, 헌신에 앞선 탐구가 없고
모라토리엄에 있는 사람들은 헌신은 없지만, 상당한 탐구를 보여준다.
The statuses vary along two dimensions: exploration and commitment.
Identity diffusion is a state during which the individual engages in little exploration of identity options and displays little commitment to any identity,
while those in the state of identity achievement have significant commitment after appropriate exploration.
Those in foreclosure demonstrate strong commitment without preceding exploration and
those in moratorium show significant exploration without commitment.
도덕적 발전은 PIF의 핵심 요소로 간주될 수 있다. 도덕적 발전은 4단계로 일어나는 것으로 설명되어 왔지만, 이것이 반드시 순서대로 일어나진 않는다 (Bebeau와 Monson 2008). 다음의 것들이 포함된다.
도덕적 감수성: 행동이 다른 사람에게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인식
도덕적 추론과 판단: 어떤 행동의 방향이 가장 정의로운지에 대한 의사결정에서 도덕적 원칙의 통합
도덕적 정체성과 동기부여: 다른 유형의 가치에 대한 도덕적 가치관의 식별(직관적 또는 심리학적)
도덕적 이행: 장애에 직면하여 도덕적 가치를 집행할 수 있는 능력
Moral development may be viewed as a key component of PIF (Podd 1972; Forsythe 2005). Moral development has been described as occurring in four stages, not necessarily in a linear sequence (Bebeau and Monson 2008). These include
moral sensitivity, an awareness of how actions affect others;
moral reasoning and judgment, an integration of moral principles in decision making about which course of action is most just;
moral identity and motivation, an identification with moral values over other types of values (pragmatic or psychological); and
moral implementation, an ability to enact moral values in the face of impediments.
도덕적 발달은 직업적 정체성의 발전에 필수적인 부분이다. 전문가들이 사회와 맺은 계약을 이해하고 지탱하는 것은 상당한 도덕적 성숙을 요구하는데, 때로는 자기-저술이라고 일컬어지기도 한다(해밀턴 2008; 포사이스 2005).
Moral development is an essential part of the development of professional identity. Understanding and upholding the social contract professionals have with society require considerable moral maturation, sometimes referred to as self-authorship (Hamilton 2008; Forsythe 2005).
학생들이 전문직업적 정체성을 개발하고 도덕적 딜레마에 직면하는 방법을 배우는 방식은 환경적, 맥락적 요인에 의해 강하게 영향을 받는다(van der Zwet et al. 2010). 의학교육은 학생에게 내재된 스트레스 요인(예: 자신과 타인에 대한 기대, 시간 및 내용 도전, 가족과의 분리, 지원 네트워크)을 부과한다(코헨 외). 2009).
The manner in which students develop professional identity and learn to face moral dilemmas is strongly influenced by environmental and contextual factors (van der Zwet et al. 2010). Medical education imposes inherent stressors on students, e.g., expectations of self and others, time and content challenges, separation from family, and support networks (Cohen et al. 2009).
의과대학을 다니며 지지받거나 역량의 감각에 기여하는 정체성은 강화될 것이다. 반대로 무시되거나 비판받는 측면들은 시들거나 왜곡될 것이다. 이러한 지원 또는 그 부족은 동료 학생, 교수진, 직원 및 환자로부터 발생하며, 한편으로는 미묘하거나 반대로 노골적일 수 있다. 따라서, 전문직 정체성은 각 개인의 고유한 필터를 통해 처리된 수많은 경험으로부터 구성된다.
The aspects of identity which are supported and which contribute to a sense of competence will strengthen during medical school;
those aspects which are ignored or criticized will wither or become distorted.
Such support, or lack thereof, comes from fellow students, faculty, staff, and patients and may be subtle or blatant.
Thus, professional identity is constructed from a multitude of experiences processed through the unique filter of each individual.
의학 교육을 구성하는 많은 경험은 그룹과 의료현장에서 발생하는데, 여기서 사회적 발전과 학습 이론이 직무 정체성 형성 과정을 설명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다. 의대생들이 직업적 정체성을 개발하는 과정에서 해야 할 한 가지 과제는 이상화된 의사 개념을 현대 의학의 현실과 조화시키는 것이다(Nieme et al. 2003). 직장은 필연적으로 한 사람을 [기대와 이상]을 비교할 수 있는 현실에 노출시킨다. (Cohen et al. 2009). 또한 동료, 교수진 및 훈련 기관 자체를 포함한 중요한 역할 모델을 제공한다(Kenny et al. 2003). 초기 임상 경험은 PIF 육성을 위한 핵심 전략이 될 수 있다(Littlewood et al. 2005).
Many of the experiences comprising physician education occur in groups and in the medical workplace, where social development and learning theories may help elucidate the process of work identity formation. One task of medical students as they develop a professional identity is to reconcile their idealized concept of physician with the realities of modern medicine (Nieme et al. 2003). The workplace provides essential exposure to the reality to which the individual can compare expectations and ideals (Cohen et al. 2009). It also provides critical role models, including peers, faculty, and the training institutions themselves (Kenny et al. 2003). Early clinical experiences may be a key strategy for fostering PIF (Littlewood et al. 2005).
비구츠키는 [언어의 사용]과 [보다 박식한 타인과의 상호작용]을 통해 사회적 환경에서 학습과 인지발달이 일어난다고 제안했다(Swanwick 2010). 비구츠키의 'ZPD'은 개발을 촉진하는 학습 컨텍스트 특성화에도 적용되었다(van der Zwet et al. 2010). Lave와 Wenger(1991)의 연구는 학습이 "실천 공동체" 내에서와 같이 학습자와 활동의 맥락과 문화적 환경 내에 위치하며 사회적 상호작용을 수반한다는 것을 강조한다.’’
Vygotsky suggested that learning and cognitive development occur in social settings through use of language and interaction with more knowledgeable others (Swanwick 2010). Vygotsky’s ‘‘zone of proximal development’’ has also been applied to characterize learning contexts that foster development (van der Zwet et al. 2010). A study by Lave and Wenger (1991) emphasizes that learning is situated within the context and cultural setting of the learner and the activity and involves social interaction, as within a ‘‘community of practice.’’
성숙한 전문가를 양성하기 위한 필수 조건 중 하나는 능력이나 자기 효능감이다. 개인은 '실천 공동체'에서 수용받고, 역량을 인정받음을 경험함에 따라, 스스로 사기꾼imposter처럼 느끼지 않고 의사의 역할을 체화embody할 수 있다(van der Zwet et al. 2010; Stets and Burke 2000; Rabow et al. 2010; Pratt et al. 2006).
One of the requisites for development of a mature professional is a sense of competency or self-efficacy. As individuals experience themselves as accepted and competent in the ‘‘community of practice,’’ they are able to embody the role of physician without feeling like an imposter (van der Zwet et al. 2010; Stets and Burke 2000; Rabow et al. 2010; Pratt et al. 2006).
성직자의 형성
Formation in Clergy
형성은 이전에 다른 직업, 특히 성직자의 교육에서 설명한 고전적인 개념으로, 여기서 가변적으로 성직자의 형성, 정신적 형성 또는 인간 형성을 가리킨다(Foster et al. 2006). 종교적 형성은 그들의 신념과 관행을 형성하는 핵심 지식, 기술, 행동, 그리고 헌신들을 가진 학생들 내부의 응집력 있는 발전을 포함한다. 종교 분야마다 조형훈련의 편차가 있지만 예수회 형성의 요소들에 대한 자세한 논의는 그 475년의 역사, 심오한 교육적 영향, 세계적 영향에 근거한 예시적 사례로 작용하고 있다.
Formation is a classical concept previously described in other professions, especially in the education of clergy, where the term variably refers to priestly formation, spiritual formation, or human formation (Foster et al. 2006). Religious formation involves the cohesive development within students of core knowledge, skills, behaviors, and commitments that shape their beliefs and practices. While there are variations in formation training across religious disciplines, a detailed discussion of the elements of Jesuit formation serves as an illustrative example based on its 475-year history, profound educational influence, and global impact.
의학에서의 전문직정체성형성
Professional Identity Formation in Medicine
문헌에 따르면 의료 연수생들의 PIF에 대해 알 수 있는 것은 무엇인가? 의대생의 PIF에 프로페셔널리즘, 정신사회 발전, 다른 직업의 형성에 대해 알고 있는 것을 어떻게 적용할 수 있을까? 의대생들의 PIF와 관련된 문헌에 보고된 몇 가지 요소들은 관계, 성찰, 스토리텔링, 윤리적 딜레마, 역할 모델링, 일과 삶의 주기를 강조한다.
What does the literature reveal about PIF in medical trainees? How can we apply what we know about professionalism, psychosocial development, and formation in other professions to PIF in medical students? Several factors reported in the literature related to PIF in medical students emphasize relationships, reflection, storytelling, ethical dilemmas, role modeling and work-life cycles.
의학 교육의 맥락에서, Monrouxe(2010)는 [언어, 경험, 상징적 사건(예: White Coat 의식), 상호작용을 통해 영향을 받고 구축된] 개인적이고 전문적인 정체성은 역동적이며 종종 성별, 민족성, 직업군 등 복수의 정체성을 포함한다고 보고한다. 이러한 발견은 경험의 지속적인 재해석으로서 그리고 복수의 '하위 정체성'의 균형으로서 전문적 정체성의 특성화와 일치한다(Beiaard et al. 2004).
In the context of medical education, Monrouxe (2010) reports that personal and professional identity, influenced and constructed through language, experiences, symbolic events (such as the White Coat Ceremony), and interactions are dynamic and often include multiple identities, such as gender, ethnicity, and occupational group. These findings are consistent with the characterization of professional identity as an ongoing reinterpretation of experiences and as the balance of multiple ‘‘sub-identities’’ (Beijaard et al. 2004).
의대생에 대한 연구는 의대생 정체성 발달에 있어서 자기성찰과 환자 상호작용 및 의사소통 능력의 중요성을 입증했다(Niemi 1997;Va˚gan 2009).
Studies of preclinical medical students have demonstrated the importance of self-reflection and patient interaction and communication skills in medical student identity development (Niemi 1997;Va˚gan 2009).
하이데와 공동저자(2008)는 의대생 교육과 그들의 전문적 정체성 구축 과정에서 다중적 대인관계의 중요성을 확인했다.
Haidet and co-authors (2008) identified the significance of multiple interpersonal relationships during the education of medical students and the construction of their professional identities.
나이트와 매틱(2006)은 의대생들의 인식론적 사고와 신념 또한 PIF와 함께 또는 PIF의 일부로 교육하는 동안 발전하고 변화함을 제안했다.
Knight and Mattick (2006) proposed that medical students’ epistemological thinking and beliefs also develop and change during their education along with or as part of their PIF.
따라서 지금까지 의대생들의 PIF를 조사하는 작업은 전문성, 정체성 개발 및 형성의 여러 영역에서 나온 주제를 반영한다. 유도된 성찰, 내면화, 관계구축, 역할모델의 필요성, 초기경험의 필요성, 탐구 및 헌신의 과정은 이러한 상호관련 영역 전반에 걸쳐 나타나는 테마들이다.
Thus the work to date examining PIF in medical students reflects themes fromthe multiple domains of professionalism, identity development and formation. Guided reflection, internalization, relationship building, the need for role models, the need for early experiences, and the processes of exploration and commitment are themes that appear throughout these interrelated domains.
의학에서 PIF의 복잡한 과정을 더 잘 정의하고 평가하기 위한 중요한 작업은 아직 행해지지 않았다.
Significant work is yet to be done to better define and assess the complex processes of PIF in medicine.
Professional Identity Formation in Medical Education: The Convergence of Multiple Domains
- PMID: 23104548
- DOI: 10.1007/s10730-012-9197-6
Abstract
There has been increasing emphasis on professionalism in medical education over the past several decades, initially focusing on bioethical principles, communication skills, and behaviors of medical students and practitioners. Authors have begun to discuss professional identity formation (PIF), distinguishing it as the foundational process one experiences during the transformation from lay person to physician. This integrative developmental process involves the establishment of core values, moral principles, and self-awareness. The literature has approached PIF from various paradigms-professionalism, psychological ego development, social interactions, and various learning theories. Similarities have been identified between the formation process of clergy and that of physicians. PIF reflects a very complex process, or series of processes, best understood by applying aspects of overlapping domains: professionalism, psychosocial identity development, and formation. In this study, the authors review essential elements of these three domains, identify features relevant to medical PIF, and describe strategies reported in the medical education literature that may influence PIF.
'Articles (Medical Education) > 전문직업성(Professionalism)'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전문직정체성 발달의 서포트: 일반 원칙(Med Teach, 2019) (0) | 2020.05.21 |
---|---|
정말 의사가 되고 싶은가요? 정체성 개발의 감정기복(긍정적 감정과 부정적 감정)(Med Educ, 2012) (0) | 2020.05.20 |
의학교육에서 감정에 대한 담론: 늘 존재하는 부재(Med Educ, 2013) (0) | 2020.03.20 |
의과대학 기간의 공감 변화가 지리-사회-문화적으로 영향을 받는가? (Med Educ, 2019) (0) | 2020.02.24 |
의학교육에서 공감의 발달 평가: 체계적 문헌고찰(Med Educ, 2016) (0) | 2020.02.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