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학교육이 전문직업적 감정상실을 유발하는가? 환자와 자신의 감정에 관심 기울이기(Acad Med, 2011)

Perspective: Does Medical Education Promote Professional Alexithymia? A Call for Attending to the Emotions of Patients and Self in Medical Training

Johanna Shapiro, PhD



알렉시티미아는 감정을 인지, 처리, 조절하는 데 어려움을 겪는 사람들을 묘사하기 위해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다—테일러 GJ, 백비 RM, 파커 JDA.영향 규제 장애: 알렉시스미인 의학 및 정신 질환, 1997

Alexithymia is a term used most commonly to describe people who have difficulties recognizing, processing, and regulating emotions. 

—Taylor GJ, Bagby RM, Parker JDA.Disorders of Affect Regulation: Alexithymiain Medical and Psychiatric Illness, 1997


감정 없이는 지식이 있을 수 없다. 우리는 진실을 알고 있을지 모르지만, 그 힘을 느끼기 전까지는 진실은 우리의 것이 아니다. 뇌의 인식에는 영혼의 경험이 더해져야 한다. —1867–1931년 영국의 소설가 겸 수필가 아놀드 베넷

There can be no knowledge without emotion. We may be aware of a truth, yet until we have felt its force, it is not ours. To the cognition of the brain must be added the experience of the soul. 

—Arnold Bennett, British novelist and essayist, 1867–1931


의대생들은 의대 교육 과정에서 자신과 환자 모두에게 일련의 강렬한 감정들에 직면하는 것은 놀랄 일이 아니다. 학생들은 그들이 동화시켜야 하는 방대한 양의 지식 때문에 지적, 인지적 압박을 경험한다. 그들은 긴 시간과 수면 부족과 관련된 상당한 신체적 스트레스를 받는다. 아마도 가장 도전적인 것은, 그들 자신이 종종 강렬한 감정을 경험하고 있는 환자와 가족들에게 매일 접촉한다는 것, 그리고 점차 책임감을 증가한다는 것이다.

Not surprisingly, medical students confront an array of intense emotions in both themselves and their patients over the course of their medical education. Students experience intellectual and cognitive pressures because of the vast quantities of knowledge they must assimilate. They undergo significant physical stress associated with long hours and lack of sleep. Perhaps most challenging, they have daily contact with, and increasing responsibility for, suffering patients and families who themselves are often experiencing intense emotions.


이러한 모든 상황은 학습자들에게 강력한 감정을 불러일으킨다. 임상적 만남에서 전이 문제(환자의 무의식적 성향으로 인해 젊은 시절의 중요한 타인과 관련된 의사 감정과 태도에 귀속되는)와 역전이 문제(환자의 감정, 경험 또는 문제에 대한 반작용에 대한 의사의 감정)은 이러한 감정 수프를 악화시킨다.1

All of these circumstances generate powerful feelings in learners. Issues of transference (a patient’s unconscious tendency to attribute to the physician feelings and attitudes associated with significant others in his or her early life) and countertransference (the physician’s feelings in reaction to the emotions, experiences, or problems of a patient) in clinical encounters exacerbate this emotional soup.1


연구에 따르면, 감정은 의사-환자 관계에서 [의사 결정, 정보 처리, 대인관계 태도와 같은 분야에서] 환자와 의사 모두의 행동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이 확고하다.4,5 의학 교육자들은 또한 [자신의 심리적인 삶을 살펴보고 받아들이는 것을 어려워하는 학생들]은 다른 사람과 공감적 연결을 하는 것도 어려워한다는 것을 발견했다.6,7

Research has firmly established that emotions influence the behavior of both patients and physicians in areas such as decision making, information processing,and interpersonal attitudes in the doctor–patient relationship.4,5 Medical educators also recognize that students who are not able to examine and come to terms with their own psychological lives find connecting empathically with others to be difficult.6,7


실제로 - 물론, 의학 교육이 문자 그대로의 전문직업적 감정상실을 촉진하는 것은 아니지만 - 의학교육은, 특히 잠재 교육과정의 작용을 통해, 학생들이 감정을 분리하고 거리를 두도록 장려하는 것 같다.

Indeed—although, of course, medical education does not literally promote professional alexithymia—much that occurs in medical education, especially through the action of the hidden curriculum,9 seems to encourage students to separate and distance themselves from emotions.


나는 Merriam-Webster 온라인 사전에 있는 "감정emotion"의 정의를 사용하고 있다. 

  • "a: 의식의 감정적인 측면 

  • b: 감정 상태; 

  • c: (분노나 두려움으로서) 주관적으로 경험하는 의식적인 정신 반응(분노나 두려움으로서)은 대개 특정 대상을 향한 강한 느낌으로, 일반적으로 신체의 생리적, 행동적 변화를 동반한다."10 

I am using the definition of “emotion” found in the Merriam-Webster online dictionary: 

  • “a: the affective aspect of consciousness; 

  • b: a state of feeling; 

  • c: a conscious mental reaction (as anger or fear) subjectively experienced as strong feeling usually directed toward a specific object and typically accompanied by physiological and behavioral changes in the body.”10 


나아가 나는 감정, 인지, 메타인지11의 복잡한 상호작용을 인식하고, 단순하게 말해서, '감정'을 언급할 때 이 관계가 존재한다고 볼 것이다.

Further, I recognize the complex interplay of emotion, cognition, and metacognition11 and posit the existence of this relationship when I refer, for simplicity’s sake, to “emotion.” 


마지막으로, 이 논문에서는 [일반적인 감정과 상황 특이적 스킬로서의 감정]의 두 가지를 모두 다룰 것이다. 감정을 다루는 기술의 일반적인 모델은 다음의 과정을 포함한다.

  • 감정을 식별하는 것, 

  • 주어진 임상 상황에서 의사의 환자 중심 목표를 진전시키는 데 있어 감정의 적절성과 유용성을 평가하는 것,

  • 필요에 따라 감정을 조절하거나 수정하는 것

Finally, I argue that working with emotions is both a general and a situation-specific skill. A general model for the skill set of working with emotions would include the process of 

  • identifying emotions, 

  • evaluating their appropriateness and usefulness in advancing the physician’s patient-centered goals in any given clinical situation, and 

  • working to modulate or reformulate them as needed. 


그러나 상황이 다르면 사람마다 다른 감정이 생기기 때문에 각각의 상황은 개별적인 기준으로 평가되어야 한다. 한편, 서로 다른 두 상황(예: 나쁜 소식을 전하고 죽음과 죽음을 논하는 것)이 학습자에게 유사한 감정(예: 무력감)을 불러일으킨다면, 그들은 한 상황에서 배운 것 중 일부를 다른 상황과 일반화할 수도 있다.

However, different situations trigger different emotions in different people, so each situation must be assessed on an individual basis. On the other hand, if two different situations (e.g., breaking bad news and discussing death and dying) evoke a similar emotion (e.g., helplessness) in learners, then they may generalize some of what they have learned in one situation to the other situation.


환자, 의대생 및 의사의 역할 모델에서의 감정

Emotions in Patients, Medical Students, and Physician Role Models


환자의 감정

Patients’ emotions


의대생들은 환자의 감정에 효과적으로 반응하는 법을 배워야 한다

    • 첫째로, 학생들은 어떤 주어진 상황에서든 환자의 감정을 인지하고 확인identify할 수 있어야 하며, 

    • 다음으로 환자의 감정을 듣고 이해하면서도 판단하지 않는다는 것을 전달할 수 있어야 하며, 

    • 마지막으로 그들은 환자의 가치와 바람에 기반하여, 가능한 (방해하기 보다는) 최선의 임상 결과를 촉진하는 방향으로 환자가 감정을 다룰 수work with 있도록 도울 수 있어야 한다. 

Medical students must learn to respond effectively to the emotions of their patients: 

    • First, students should be aware of and able to identify the patient’s feelings in any given situation; 

    • next, they should be able to convey that they hear and understand, yet do not judge, the patient’s feelings; 

    • and finally, they should be able to help the patient work with his or her emotions in ways that advance, rather than impede, the best possible clinical outcome based on the patient’s values and desires.


선행 연구는 환자의 감정이 임상 결과에 상당한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시사한다. 또한 compliance와 무관하게, 환자의 기분 상태가 의료 조건의 임상 결과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증거도 있다.

Prior research suggests that patients’ emotions may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their clinical outcomes. Evidence also shows that patients’ mood states, independent of compliance, may influence clinical outcomes in medical conditions


환자의 감정은 의사와 환자 관계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다.

Patient’s emotions can also influence the doctor–patient relationship.


또 다른 연구는 3학년 학생들 대다수가 환자나 동료들 앞에서 우는 것은 전문가답지 못하다고 믿는다는 것을 발견했다.31 게다가, 비록 학생들은 훈련이 진행될수록 덜 공감하고 더 무관심해질 것이라고 걱정함에도 불구하고, 그리고 비록 환자와 감정적인 관계를 맺고 싶어함에도 불구하고, 학생들은 환자를 향한 감정에 압도당할까봐 두려워한다.3,34

Another study found that a large majority of third-year students believed that crying in front of patients or colleagues is unprofessional.31 Further, although students worry that as their training proceeds they will become less empathetic and more apathetic,32 and although they want to establish emotional connections with patients,33 they also are afraid that they will be overwhelmed by their feelings toward patients.3,34


의대생의 감정

Medical students’ emotions


학생들은 환자의 감정을 인정하고 다루는 법을 배워야 할 뿐만 아니라, 학생들은 자신의 감정을 인지하고 다룰 수 있어야 한다. 정서적 디스트레스는 의대생과 레지던트들 사이에서 흔하다.26 학생들의 첫 번째 환자 접촉에 대한 한 연구에서 학생들은 심각한 질병과 죽음에 직면했을 때의 무력감과 불확실성을 보고했고, 신체 검사에 대한 초기 시도는 불안감을 유발하고 혼란스럽게 한다고 설명했다.27

Not only must students learn to acknowledge and deal with patients’ emotions, they must become aware of and address their own emotions as well. Emotional distress is common among medical students and residents.26 In one study of students’ first patient encounters, students reported feelings of helplessness and uncertainty when faced with serious illness and death, and they described their initial attempts at physical examination as anxiety-provoking and confusing.27


또 다른 연구는 3학년 학생들이 감사, 행복, 연민, 자부심, 안도감 등 긍정적인 감정을 경험했지만 (불확실성, 무력함, 책임감, 책임감, 존중 부족, 존중과 가치관의 충돌 등에 의해서 발생한) 불안, 죄책감, 슬픔, 분노, 수치심 등의 고통스러운 감정도 경험했다는 사실을 발견했다.28 이러한 감정의 범위를 확인하면서, 3학년 학생들의 다른 연구는 비록 환자와의 접촉이 보람 있다고 생각했지만, 학생들은 계속해서 불안, 스트레스, 무능함에 대한 두려움을 느낀다고 결론지었다.29 학생들은 또한 환자에 대한 공격성과 혐오를 경험할 수 있으며, 한 연구는 학생들이 환자들의 행동을 이유로 이러한 부정적인 감정을 합리화하거나 정당화하는 경향이 있다는 결론을 내렸다. 

Another study found that students in the third year of training experienced positive emotions such as gratitude, happiness, compassion, pride, and relief but that they also experienced emotions they found more distressing, such as anxiety, guilt, sadness, anger, and shame, triggered by uncertainty, powerlessness, responsibility, liability, lack of respect, and the conflict of values.28 Confirming this range of emotions, a different study of third-year students concluded that although students found patient contact rewarding, they continued to feel anxious, stressed, and fearful of not being competent.29 Students can also experience feelings of aggression and dislike toward patients, and one study concluded that students tended to rationalize or justify these negative feelings as appropriate because of patient behavior.2


학생들은 자신의 감정을 의심의 눈초리로 보는 것 같다. 예를 들어, 최근의 한 연구에서, 저자들은 잠재교육과정이 의사들로 하여금 자신이 감정을 겉으로 드러내는 것은 물론, 느끼거나 인정하는 것조차 하지 못하는 방향으로 규범을 계속 강화하고 있다고 추측했다.

Students seem to view their own emotions with some suspicion. For example, in one recent study,30 authors speculated that the hidden curriculum9 continues to reinforce norms against physicians’ displaying or even allowing themselves to feel or acknowledge emotion.


또 다른 연구는 환자의 정서적 고통을 인정하는 의사의 능력이 도전적인 임상 문제에 대한 토론을 시작하는 데 필수적인 첫 번째 단계라고 결론지었다.23 여전히 의대생들은 환자의 감정과 마주쳤을 때 당황하고 불편해하는 경우가 많다.24 한 연구에서 학생들은 분노, 짜증, 두려움, 불만족 등 부정적인 감정을 적어도 부분적으로는 환자 중심의 치료에 장벽으로 표현한 환자를 확인했다.25

Another study concluded that a physician’s ability to acknowledge patient emotional distress is an essential first step in initiating a discussion of challenging clinical issues.23 Still, medical students are often embarrassed and uncomfortable when confronted with patients’ emotions.24 In one study, students identified patients who expressed negative emotions such as anger, annoyance, fear, or dissatisfaction as a barrier, at least in part, to patient- centered care.25


의사 역할 모델이 감정을 다루는 방법

How physician role models deal with emotions


학생들은 레지던트와 주치의가 환자를 만나서 감정적 반응을 어떻게 표현하는지 주의 깊게 관찰한다.3 학생들은 감독관이 표현하는 적개심, 무관심, 좌절, 조급함의 부정적인 감정뿐 아니라 환자에 대한 배려, 동정, 친절의 긍정적인 감정도 금방 알아차린다.

Students pay careful attention to how residents and attendings express emotional responses in patient interactions.3 Students are quick to notice the negative emotions of hostility, indifference, frustration, and impatience that supervisors express—as well as the positive emotions of caring, compassion, and kindness shown toward patients.


일부 연구에서는 의사가 환자의 감정 상태를 정확하게 파악하지 못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암 환자에 대한 연구에서는 종양학자들이 환자의 감정 표현을 인식, 인정 또는 반응하는 데 어려움을 겪는 것으로 나타났다.40–42

Some studies have shown that physicians may lack accuracy in identifying their patients’ emotional states36–38; Studies of cancer patients have found that oncologists seemed to have trouble recognizing, acknowledging, or responding to their patients’ emotional expressions.40–42


의사가 환자의 감정에 반응할 때에도, 그들은 일반적으로 최소한의 공감(예를 들어, 더 깊은 감정의 탐구와 대조적으로 짧은 인정)만을 제공하므로, 39,43 환자의 고통에 대한 추가적인 탐색을 가로막는다. 또한 의사들은 감정적 탐색을 완전히 비껴가는 "차단 행동"(예를 들어, 눈맞춤을 피하거나, 대화 주제를 바꾸는 것)을 하는 경향이 있다. 

even when physicians do respond to a patient’s feelings, they typically offer only minimal empathy (e.g., brief acknowledgment in contrast to exploration of deeper feeling), which tends to discourage further inquiry into the patient’s distress,39,43 or they engage in “blocking behaviors” (e.g., breaking eye contact, changing the topic) that deflect emotional exploration entirely.44


의학 교육에서 현재 감정이 어떻게 다뤄지는가

How Emotions Are Currently Addressed in Medical Education


무시 및 불신

Ignoring and mistrust


의학 교육에서는 긍정적인 감정과 부정적인 감정 모두에 대해서 신뢰하지 못하는 것 같다. (환자를 좋아하고/또는 애정을 느끼는 것과 같은) 긍정적인 감정이 환자에게 영향을 미치는 문제 진단이나 다른 어려운 상황에 직면할 수 있는 의사의 능력을 잠재적으로 저해하는 것으로 보고 있다.

Both positive and negative emotions seem to be regarded with some mistrust in medical education. Positive feelings— such as liking and/or feeling affection for a patient—are seen as potentially inhibiting the physician’s ability to face either problematic diagnoses or otherwise difficult situations that affect the patient.45


반대로, 좌절, 분노, 무력감, 짜증, 혐오, 비난 등 부정적인 감정이 환자 관리를 부실하게 만들 수 있다는 우려도 정당화된다.

On the other side of the coin, concerns that negative emotions such as frustration, anger, helplessness, annoyance, dislike, and blame can result in poor patient care are justifiable:


감정 분리 및 거리

Emotional detachment and distance


그들의 정석 기사 "Vanquishing Virtue: 의학 교육의 영향" 쿨한과 윌리엄스는 이렇게 쓰고 있다. 

"북미 의학교육은 겉으로는 의사에 대한 전통적 가치 - 감정, 동정, 이타주의 - 를 중시하는 듯 보인다. 하지만 암묵적으로는 [감정적 분리, 자기의 이익, 객관성의 윤리]에 근거한 행동에 헌신하고 있다" 다른 사람들은 환자-의사 관계를 정의하는 패러다임의 변화와는 상관없이, 감정통제는 전체적인 원칙의 하나로 남아 있다는 것을 관찰했다. 의학 교육의 문화적 규범도 마찬가지로 정서적 분리, 감정적 거리, 임상적 중립성을 촉진한다.

In their seminal article “Vanquishing Virtue: The Impact of Medical Education,” Coulehan and Williams write, “North American medical education favors an explicit commitment to traditional values of doctoring—empathy, compassion, and altruism among them—and a tacit commitment to behaviors grounded in an ethic of detachment, self-interest, and objectivity.”48 Others have observed that regardless of the shifts in the paradigms defining the patient–doctor relationship, the overriding principle remains one of emotional control.49 The cultural norms of medical education likewise promote emotional detachment, affective distance, and clinical neutrality.50–52


학생들은 스트레스를 참을 수 있어야 하고 감정을 표현해서는 안 된다는 암묵적인 메시지를 받는다. 의대생들은 종종 스트레스를 받고 감정적으로 까다로운 임상 의학 환경에서 여전히 그들 자신의 감정 상태를 조절하는 방법을 배우고 있기 때문에 감정 분리에 특히 취약하다. 이 때 감정 분리는 유혹적인 해결책으로 보일 수 있다. 적어도 처음에는 학생들이 복잡하거나 스트레스로 느끼는 감정적 반응에 대해서 "아무것도 느끼지 않는다"는 식으로의 자기 보호를 제공하기 때문이다. 

Students receive the implicit message that they should be able to tolerate stress and not express emotions.53 Medical students are particularly vulnerable to emotional detachment because they are still learning how to modulate their own emotional states in the often stressful and emotionally demanding environment of clinical medicine.54 Emotional detachment may seem a tempting solution because, at least initially, “not feeling anything” provides a form of self-protection against emotional responses that the learner finds either complicated or distressing.


순수한 인지 과정으로서의 공감

Empathy as a purely cognitive process


의학교육 연구자들은 (공감에 대해서) 점점 더 순수하게 인지적인 접근방식을 채택하는 경향이 있다. Hojat et al58,59에 의해 공식화된 정의와 같은 정의는 

    • Sympathy가 감정적이고, 자기만족적이며, 공동의존적이며, 심지어는 불신적인 관행이 번아웃과 연민피로를 초래한다는 비판을 받는 것과 대조적으로, 

    • Empathy는 환자와 의사 모두에게 "항상" 좋은, 객관적이고, 합리적이며, 정확하고, 지적 과정으로, 간주한다. 

medical education researchers increasingly have tended to adopt a purely cognitive approach to defining the construct. Definitions such as the one formulated by Hojat et al58,59 identify 

    • empathy as an objective, rational, accurate, intellectual process that is “always” good for both patient and practitioner, 

    • in contrast to sympathy, which is criticized as an emotional, self- indulgent, codependent, even histrionic practice that will lead to burnout and compassion fatigue.


공감의 인지적 요소를 분리하기 위한 이러한 노력은 학습자의 식별과 측정이 용이하도록 구조를 만드는 효과를 가질 수 있다. 그러나 공감을 [(단순히 인지적인 이해뿐만이 아니라) 감정적 공명(즉, 임상 상황에 대응하여 감정을 보정하는 방법을 배우는 것)을 통합하는 과정]보다는 [인지 및 행동 기술 집합에 초점을 맞춘 공감 능력]을 가르치기 위한 공식으로 귀결될 수도 있다는 문제점도 있다. 

These efforts to separate out the cognitive elements of empathy may have the effect of making the construct easier to identify and measure in learners, but may also result in formulations for teaching empathy that focus on a set of cognitive and behavioral skills60 rather than a process that incorporates emotional resonance (i.e., learning to calibrate one’s emotions in response to the clinical circumstances) as well as cognitive comprehension.


감정을 가지고 능숙하게 작업하는 법을 배우는 것

Learning to Work Skillfully With Emotions


의학의 감정 주제를 다루기 위한 요구들이 주기적으로 등장하고 있다.1,46 그러나 이러한 호소는 의학이라는 기존의 문화적 규범에 도전하기 때문에 커리큘럼의 pervasive한 변화로 이어지지 않았다. 의사나 의학 교육자들은 감정의 어지러움과 명백하게 걷잡을 수 없는 것을 두려워할 수 있으며, 그들은 [감정을 변화시키는 것]보다 [인식을 수정하는 것]이 더 쉽다는 가정을 할 수도 있다.59

Calls to address the topic of emotions in medicine have emerged periodically.1,46 Yet these appeals have not led to pervasive curricular changes because they pose challenges to the existing cultural norms of medicine. Physicians and medical educators may be afraid of the messiness and apparent uncontrollability of emotions, and they may make the assumption that modifying cognition is easier than changing emotions.59


학생들은 그들 스스로 어려운 변화transition 동안, 그리고 윤리적 딜레마에 직면하여 경험하는 감정을 처리할 수 있어야 할 필요성을 인식하고 있다.32 게다가, 의대생들은 성공적으로 정서적 자각을 발달시킬 수 있다는 증거를 보여주고 있다.62

Students themselves recognize the need to be able to process the emotions that they experience during difficult transitions and in the face of ethical dilemmas.32 Further, evidence shows that medical students can successfully develop emotional self-awareness.62


감정으로부터의 분리는 번아웃 및 동정심 피로와 관련이 있다.63 인정되지 않은 감정은 시간 소모적인 임상적 어려움으로 이어질 수 있다(예: 환자의 의료적 치료법 준수 불량, 의사와의 환자 후속 조치 부족).46 많은 의사 및 의학교육자들은 [정서적 연결이 환자를 돌보고, 시간을 투자하고, 노력을 쏟고, 한걸음 더 나아가게 한다]고 볼 뿐만 아니라, [환자 상태가 나아지는 것에 대한 동정적 기쁨이나 환자의 고통이 완화되는 만족감과 같은 보상을 만들어 내는 것]으로도 이어진다고 믿는다.

Detachment from emotions is associated with burnout and compassion fatigue.63 Unacknowledged emotions can lead to time-consuming clinical difficulties (e.g., poor patient adherence to medical regimen, lack of patient follow-up with physician).46 Many physicians and medical educators believe that emotional connection not only leads to caring for, investing time in, expending effort for, and going the extra mile for a patient but also to producing rewards, such as sympathetic joy at a patient’s progress or satisfaction that a patient’s suffering has eased, for the physician.46,63–65


부정적인 감정에 대한 인식은 임상결과 뿐만 아니라, 어려운 환자-의사 관계를 개선하는 첫 번째 단계가 될 수 있67 그래서 이것들도 유익한 잠재력을 가지고 있다. 규제되지 않은 감정 반응은 임상적, 대인관계적 실수를 초래할 수 있지만, 의사는 그러한 오류에 대해 성찰하고 더 적절한 감정적 반응을 표현하는 법을 배울 수 있다.z

Awareness of negative emotions can be the first step in improving a difficult patient–doctor relationship,66 as well as clinical outcomes,67 so these also have beneficial potential. Although unregulated emotional reactions can likely lead to clinical and interpersonal mistakes, physicians can become reflective about such errors and learn to express more appropriate emotional responses.


개념 모델 및 교육학 도구

Conceptual Models and Pedagogical Tools


감성지능

Emotional intelligence


한 가지 유망한 개념은 다음과 같이 정의되는 정서 지능(EI)의 개념이다. 자기 자신과 타인의 감정에 대해서 다음을 하는 능력이다.

  • 인식 (감정의 존재에 대한 인식) 

  • 이해 (감정의 본질을 이해하고 서로 다른 감정 상태를 구별할 수 있음) 

  • 관리 (감정에 압도되거나 무시됨) 

  • 사용 (부정적인 환자 결과보다는 긍정적인 결과를 촉진하는 방식으로 감정을 경험, 인정 및 통합할 수 있는 능력) 

One promising concept is that of emotional intelligence (EI), defined as 

  • perceiving (awareness of the existence of emotions), 

  • understanding (comprehending the nature of the emotions and being able to discriminate different emotional states), 

  • managing (neither ignoring nor being overwhelmed by the emotions), and 

  • using (being able to experience, acknowledge, and integrate emotions in ways that promote positive rather than negative patient outcomes) 

  • one’s own and others’ emotions.68–70


감정조절

Emotion regulation


감정조절(ER), 즉 감정경험과 반응을 조절하는 능력, 72도 유망한 개념이다. 그 목표는 단순히 부정적인 감정의 하향 조절(축소)이 아니라 주로 환경 및 대인관계 우발상황의 변화에 적합한 인지적 재평가(즉, 감정적 대응방식을 바꾸기 위해 사고방식을 바꾸는 것)를 통해 저반응과 과반응 사이의 적절한 반응수준을 찾는 것이다73.

Emotion regulation (ER), or the ability to modulate one’s emotional experiences and responses,72 is also a promising concept. Its goal is not simply down-regulation (reduction) of negative emotions but, rather, finding a response between hypo- and hyper- arousal, primarily through a cognitive reappraisal (i.e., changing how we think in order to change how we respond emotionally) that is appropriate to changing environmental and interpersonal contingencies73;


어떤 이들은 ER의 변종으로 mindful emotion regulation을 제안했는데, 이는 골치 아픈 감정에 대응하여 의식 함양과 비활동성nonreactivity을 강조하는 것이다. 이러한 접근방식은 개개인이 자동으로 "미숙한unskillful" 감정에 사로잡히기 보다는 그들이 어떤 감정과 생각들과 동일시하는지를 의식적으로 선택할 수 있게 할 수 있다.

Some have proposed a variant of ER, mindful emotion regulation,73 which emphasizes cultivating awareness and nonreactivity in response to troublesome emotions. This approach may allow individuals to consciously choose which emotions and thoughts they identify with rather than automatically getting caught up in “unskillful” emotions;


관련개념

Related concepts


의료교육에서 감정을 탐구할 때 잠재적 가치의 다른 개념으로는 윤리학자 조디 할펜의 임상적 공감이라는 아이디어가 있는데, 이는 환자가 느끼고 있는 것에 대한 인지적 이해뿐만 아니라 세밀한 경험에 의존한다.

Other concepts of potential value in exploring emotions in medical education include ethicist Jodi Halpern’s46 idea of clinical empathy, which depends on a detailed experiential as well as cognitive understanding of what the patient is feeling.


관계 중심 치료76에는 영향을 주고 감정이 환자-의사 관계의 중심이 되는 사상이 핵심 원칙 중 하나로 포함된다.

Relationship-centered care76 includes as one of its core principles the idea that affect and emotion are central to the patient–doctor relationship.


감정적 자아 인식은 신경과학 연구에 기초하여 자아와 타인의 경험의 구분에 대한 인식이 공감의 결정적인 측면을 구성한다는 것을 입증한다.77

Emotional self-awareness is based on neuroscience research demonstrating that awareness of a distinction between the experiences of self and others constitutes a crucial aspect of empathy.77


월드와 동료는 감정적 회복탄력성을 감정적으로 도전적 상황에서 감정적 붕괴에 굴복하지 않는 역량으로 규정하면서 정서적 회복력 개념을 의학 교육의 세계에 적용했다.

Wald and colleagues78 have applied the concept of emotional resilience to the world of medical education, defining it as the capacity not to succumb to emotional collapse in emotionally challenging situations.


Coulehan79는 정서적 평형이라는 개념, 즉 정서적 안정(자기 자신의 감정이나 다른 사람의 감정에 압도되지 않는 능력)과 정서적 부드러움(다른 사람의 고통에 의해 감동되는 능력)을 결합한 균형을 제공한다.

Coulehan79 offers the concept of emotional equilibrium—a balance combining emotional steadiness (the capacity not to be overwhelmed by one’s own and/or another’s emotions) and emotional tenderness (the capacity to be moved by another’s suffering).


MBM(Mind-Body Medicine)은 흥미로운 가능성을 제공한다. 왜냐하면 그것은 환자의 전체 사람뿐만 아니라 의사의 자기 관리에도 영향을 미치기 때문이다.80–82

Mind– body medicine (MBM) offers interesting possibilities because it has implications for the self-care of physicians as well as care of the whole person of patients.80–82


감정 작업을 위한 도구

Tools for working with emotions


몇몇 교육자들은 학습자들의 감정적인 반응을 의식하기 위해 마음챙김 명상 훈련 64,85를 사용했다.

Several educators have used training in mindfulness meditation64,85 to bring mindful awareness to learners’ emotional responses,


서사 의학 87,88은 환자와 의사 경험의 감정적 차원에 관심을 가져온다.

Narrative medicine87,88 brings attention to the emotional dimension of both patient and physician experience.


일반적인 의료인문학, 특히 성찰적 글쓰기, 8,91 또한 학생들이 의학에서 감정과 자신의 역할을 더 잘 인식하도록 돕고, 임상 실습에서 감정의 역할에 대해 비판적으로 질문하는 방법을 배우고, 그 결과 다차원적 공감을 표현하는 데 도움을 준다는 측면에서 이론적, 일화적, 그리고 약간의 경험적 약속을 보여주었다.

The medical humanities in general,89,90 and reflective writing in particular,8,91 have also shown theoretical, anecdotal, and some empirical promise in terms of helping students to become more aware of emotions and their role in medicine, to learn how to critically question the role of emotions in clinical practice, and, as a result, to express multidimensional empathy.


학생들이 (내가 개인적으로 친숙한) 감정 관리 기술을 반영하고 개발할 수 있도록 돕는 또 다른 혁신적인 수단은 캘리포니아 대학교 어바인 의과대학이 제공하는 4학년 선택과목인 '닥터링의 예술'이다.

Another innovative means of helping students to reflect on and develop skills for managing emotions (with which I am personally familiar) is the fourth-year elective course, Art of Doctoring, that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Irvine, School of Medicine offers.



결론

In Sum


이 시점에서 의료진이 실제로 덜 이해하고 동의하는 것은 학생-의학자들이 이러한 감정을 인지하고 일할 수 있도록 어떻게 준비해야 하는가에 관한 것이다. 이론적이고 번역적인 작업이 많이 남아 있다.

At this point, what medical personnel actually understand and agree on less is how they should prepare student–physicians to be aware of and work with these emotions. Much theoretical and translational work remains to be done.



4 Oatley K, Keltner D, Jenkins JM. Understanding Emotions. 2nd ed. Malden, Mass: Wiley-Blackwell; 2006.


48 Coulehan J, Williams PC. Vanquishing virtue: The impact of medical education. Acad Med. 2001;76:598–605. http://journals.lww.com/ academicmedicine/Fulltext/2001/06000/ Vanquishing_Virtue__The_Impact_of_ Medical.8.aspx. Accessed November 15, 2010. XXX







. 2011 Mar;86(3):326-32.
 doi: 10.1097/ACM.0b013e3182088833.

Perspective: Does Medical Education Promote Professional Alexithymia? A Call for Attending to the Emotions of Patients and Self in Medical Training

Affiliations 

Affiliation

  • 1Program in Medical Humanities & Arts, University of California, Irvine, School of Medicine, Irvine, California, USA. jfshapir@uci.edu

Abstract

Emotions--one's own and others'--play a large role in the lives of medical students. Students must deal with their emotional reactions to intellectual and physical stress, the demanding clinical situations to which they are witness, as well as patients' and patients' family members' often intense feelings. Yet, currently few components in formal medical training--in either direct curricular instruction or physician role modeling--focus on the emotional lives of students. In this article, the author examines patients', medical students', and physician role models' emotions in the clinical context, highlighting challenges in all three of these arenas. Next, the author asserts that the preponderance of medical education continues to address the emotional realm through ignoring, detaching from, and distancing from emotions. Finally, she presents not only possible theoretical and conceptual models for developing ways of understanding, attending to, and ultimately "working with" emotions in medical education but also examples of innovative curricular efforts to incorporate emotional awareness into medical student training. The author concludes with the hope that medical educators will consider making a concerted effort to acknowledge emotions and their importance in medicine and medical training.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