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건전문직 교육에서 학습환경의 개념화(Acad Med, 2019)

Conceptualizing Learning Environments in the Health Professions

Larry D. Gruppen, PhD, David M. Irby, MDiv, PhD, Steven J. Durning, MD, PhD, and Lauren A. Maggio, MS(LIS), PhD



교육자, 연구자, 인증관련 담당자는 보건 직업 교육에 대한 학습 환경(LEs)의 긍정적 효과와 부정적인 영향을 모두 강조해 왔다.133 학습자는 환영, 참여, 지원, 도전을 받는 환경에서는 잘 성장하지만, 학습자가 LE에서 배제당하거나, 지지받지 못하거나, 학대당한다고 인식할 경우 일반적으로 높은 수준의 우울증, 소진, 한계화 및/또는 탈진으로 이어진다.

Educators, researchers, and accreditors have highlighted both the positive and negative effects of learning environments (LEs) on health professions education.1–3 Learners thrive in settings where they are welcomed, engaged, supported, and challenged, but when learners perceive the LE to be exclusionary, unsupportive, and/or abusive, this typically leads to high levels of depression, burnout, marginalization, and/or exhaustion.


그러나 LE의 정의나 LE를 측정하는 도구에는 균일성이 거의 없다.4,5

yet there is little uniformity in definitions and measuring instruments.4,5


환경이라는 용어는 중세 프랑스어 엔비론(environ)에서 온 말로, ‘주변’으로 번역된다. 그러므로 환경은 "주변에 있거나 둘러싸고 있는 것:으로서, '특정 환경의 물리적 또는 사회적 세계'를 의미한다. 그래서 "학습 환경"은 문자 그대로 "배움을 둘러싸고 있는 환경"을 의미한다. 또 다른 정의는 "각 상황에 성격, 정신, 문화를 부여하고 그 조직 내에서 학습자가 되는 것이 어떤 것인지 설명하는 특징들의 집합"이다7(p554)

The term “environment” comes from the Middle French word “environ,” which is translated as “around.” Thus, environment means “that which is around or surrounds”—the physical or social world of a particular setting.6 So the “learning environment” literally means “that which surrounds learning.” Another definition is “a set of features that gives each circumstance and institution a personality, a spirit, a culture and describes what it is like to be a learner within that organization.”7(p554)


LE는 분위기, 학습기후, 조직문화 또는 환경, 교육환경과 자주 동의어처럼 쓰인다. 그것은 사람들이 서로 교류하는 일상적인 방식과 사회문화적 풍토의 어조뿐만 아니라 학습을 둘러싸고 있는 조직구조와 물리적 공간을 묘사한다.8 LE와 관련된 연구 전반에 걸쳐 일관된 것은 [LE의 목적은 그 환경 내에서 모든 것의 학습과 개발을 지원하는 것]이라는 관측이다.

LE is a term that is often used synonymously with atmosphere, learning climate, organizational culture or milieu, and educational environment. It describes the routine ways in which people interact with each other and the tone of the social and cultural climate as well as the organizational structures and physical spaces that surround learning.8 What is consistent across research pertaining to the LE is the observation that its purpose is to support the learning and development of all within that setting.


Josiah Macy Jr.를 위해 실시된 범위 검토에 기초하여. 2018년 4월 보건 분야의 학습 환경 개선에 관한 기초 합의 회의. 우리는 LE에 대해 다음과 같은 정의를 제안했다. 

"학습 환경은 학습자의 경험, 인식, 학습을 둘러싸고 형성하는 사회적 상호작용, 조직 문화와 구조, 물리적·가상적 공간을 말한다."

On the basis of a scoping review conducted for a Josiah Macy Jr. Foundation consensus conference on improving environments for learning in the health professions in April 2018,9 we proposed the following definition: 

“Learning environment refers to the social interactions, organizational culture and structures, and physical and virtual spaces that surround and shape the learners’ experiences, perceptions, and learning.”


LE 개념틀 개발

Developing a Conceptual Framework for LEs


특히 LE의 구성은 특정 이론이나 관점이 "소유"하고 있는 것이 아니다. 실제로, 학습 이론에서 LE가 무시되는 경우가 너무 잦아서, LE의 구조는 이론적인 애매모호한 무언가에 남겨진다. LE의 강력한 개념적 프레임워크를 이용할 수 있을 때까지, LE의 평가와 개선에는 한계가 있을 것이다.

Notably, the construct of the LE is not “owned” by any particular theory or perspective. Indeed, all too often the LE is ignored in theories of learning, leaving this construct in something of a theoretical limbo. Until a robust conceptual framework of the LE is available, there will be limited progress in assessing and improving the LE.


2012년 숄록-아데마와 동료들의 문헌 검토에 따르면, 이전에 LE를 frame하려는 시도가 있었다고 한다. 

  • 첫 번째 틀은 1938년 머레이의 작품에서 비롯되었다. 그는 개인의 성격과 이것이 환경에 대한 인식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설명하는 데 초점을 맞췄다. 

  • 두 번째 틀은 1970년대 무스의 작품이었다. 고등교육의 맥락에서 일하면서 Mos는 각 LE를 세 가지 넓은 영역으로 개념화했다. 

    • 개인적 개발 또는 목표 지향교육 목표, 건설적 비판 및 피드백, 관련 학습 내용과 관련된 

    • 관계: 학습자와 교직원이 서로를 어떻게 지원하는지에 초점을 맞추고, 제휴와 정서적 지지를 보여주며, 공개적인 커뮤니케이션 

    • 시스템 유지와 시스템 변화: 명확한 기대, 개방적이고 질서 있는 환경, 혁신, 학생 영향력의 범위와 같은 것 

There have been previous attempts to frame the LE, according to a 2012 review of the literature by Schönrock-Adema and colleagues.4 

  • The first framework arose from the work of Murray10 in 1938. He focused on describing the individual’s personality and how this influenced his or her perceptions of the environment. 

  • The second framework was the work of Moos11,12 in the 1970s. Working in the context of higher education, Moos conceptualized each LE in terms of three broad domains: 

    • personal development or goal direction, which relates to educational goals, constructive criticism and feedback, and relevant learning content; 

    • relationships, which focus on how learners and faculty members support each other, demonstrate affiliation and emotional support, and have open communication; and 

    • system maintenance and system change, which addresses such things as clear expectations, an open and orderly environment, innovation, and the extent of student influence. 


Moos의 프레임워크는 LE의 많은 기존 학습자 자체 보고서 척도에 사용되어 왔으며, 그러한 계측기 항목의 90% 이상을 차지한다. 숄록-아데마와 동료들은 Moos의 프레임워크를 기반으로 건강 전문가들을 위한 LE의 3-도메인 프레임워크를 주장하고 있다. 목표 지향, 관계, 조직/규제.

Moos’s framework has been used in many of the existing learner self-report measures of the LE and accounts for over 90% of the items in those instruments.4 Building on Moos’s framework, Schönrock-Adema and colleagues4 argue for a three-domain framework of the LE for the health professions: goal orientation, relationships, and organization/regulation.


Genn의 2001년 LE 분석에서는, 학습에 영향을 미칠 경우 거의 모든 것이 LE의 일부로 간주될 수 있다고 지적하면서, LE의 이론을 발전시키기 위한 주요 도전을 강조한다. 그는 시간표, 수업 구성, 여가 시간, 임상 팀원 등 많은 변수로 이러한 복잡성을 설명한다. Genn이 제시한 포괄적인 프레임은 반대로 [LE가 아닌 것이 무엇인가]에 대한 의문을 제기한다. LE의 개념적 틀은 [무엇을 포함하느냐] 만큼 [무엇을 배제하느냐]를 제시하는 것으로서 가치가 있다.

Genn’s5,13 2001 analysis of the LE highlights a major challenge to developing a theory of the LE when he notes that almost anything can be considered part of the LE if it has an impact on learning. He illustrates this complexity with a number of variables, such as time tables, class composition, leisure time, clinical team members, and many others. Such a comprehensive framing raises the question of what isn’t part of the LE. A conceptual framework of the LE is valuable as much for what it would leave out as for what it would include.


우리는 LE란 [특정한 환경에서 개인, 사회 그룹 및 조직에 의해 고취되고 상황별 분위기와 문화에 의해 형성되는 복잡한 정신-사회-물리적 구조]라고 생각할 수 있다고 주장한다.8 

We argue that the LE can be thought of as a complex psycho-social-physical construct that is cocreated by individuals, social groups, and organizations in a particular setting and shaped by contextual climate and culture.


위에서 설명한 각 프레임워크는 [타인과의 상호작용과 협업의 중요성]을 강조한다. 왜냐하면, (상호작용과 협업은) "[다른 사람들로부터 지식과 기술을 배움으로써, 또한 자신이 속한 지역사회에 존재하는 규범과 문화적 신념과 태도와 친숙하게 됨으로써] 학생들이 학습하고 참여하는 수단이기 때문이다. 그러나 LE는 단순한 사회적 상호작용이 아니다. 또한 물리적 공간과 가상(디지털) 환경뿐만 아니라 개별적인 심리적 특성을 포함해야 한다.

Each of the frameworks described above emphasizes the importance of interactions and collaborations with others “as the means for students’ learning/participation, both through learning knowledge and skills from others, and through becoming familiar with the norms, cultural beliefs and attitudes existing in the communities to which they (the learners) are being introduced.”4(p739) However, the LE is more than just social interactions. It must also encompass intraindividual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as well as physical spaces and virtual (digital) environments.


우리는 심리사회적 관점이 개념적 틀을 구축하기 위한 확고한 기초를 제공한다고 믿는다.

We believe that a psychosocial perspective provides a solid foundation for building a conceptual framework.


  • situated learning 관점에서, 학습은 적극적인 참여를 통해 (공동체의 일원이 됨) 새로운 지식 공동체로의 적응을 수반한다.14

Within a situated learning perspective, learning involves acculturation into a new knowledge community (becoming a member of a community) through active participation.14


  • 생태 심리학이나 근무지 학습과 같은 관련 이론들은 학습자들이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환경의 여유에 의해 학습과 관련된 사회적 상호작용이 촉진된다는 것을 강조한다.15

Related theories, such as ecological psychology and workplace learning, emphasize that social interactions related to learning are facilitated by affordances in the environment with which learners actively engage.15


  • 인지 및 활동 이론16 또한 학습자의 사회적 특성과 환경과의 상호작용을 강조한다. 구체적으로는 지식이 습득되는 활동, 맥락, 문화에 내재되어 있다.17

Situated cognition and activity theory16 also emphasizes the social character of learning and the interactions of the learner with the environment. Specifically, knowledge is embedded in the activity, context, and culture in which it is learned.17


  • 사회물질성 이론은 기술, 업무, 조직의 교차점에 기초하고 있다. 이 이론에서는 작업의 물질적 차원과 심리사회적 차원이 서로 얽히고설켜 불가분의 관계에 있다고 상정한다.

Sociomateriality theory builds on the intersection of technology, work, and organizations—suggesting that the material dimensions and psychosocial dimensions of work are intertwined and inseparable.18,19



LE를 위한 개념틀 제안

Proposing a Conceptual Framework for the LE


LE의 규범적 이론이 없었기 때문에, 우리는 생명시스템 관점(모든 생명 시스템, 그들의 구조, 상호작용, 행동 및 개발에 관한 일반적인 이론)을 따라 다중 개념 프레임워크를 합성하고 2차원을 형성하는 5개의 중첩 및 쌍방향 핵심 구성요소를 식별했다.

Lacking a canonical theory of the LE, we followed a living systems perspective20 (a general theory about all living systems, their structure, interaction, behavior, and development) to synthesize multiple conceptual frameworks3,4,11–13,19,21,22 and identified five overlapping and interactive core components that form two dimensions.


LE의 여러 측면

aspects of the LE (Figure 1).




심리사회적 차원

Psychosocial dimension


개인 요소

Personal component.


LE의 개인 구성 요소: 개별 학습자가 어떻게 LE와 상호 작용하는지, 어떻게 LE에 대한 인식을 개발하는지, 어떻게 (LE가) 개인의 성장에 관여하며, 전문직 정체성을 개발하는지.

The personal component of the LE : how individual learners interact with the LE, develop perceptions of the LE, engage in personal growth, and develop professional identity.


Scoping review 에서 우리는 LE의 개인 수준 요소와 긍정적으로 연관된 개입 또는 요인을 식별했다. 

      • 직접 환자 치료에 집중하는 시간, 

      • 동료들의 공동체를 갖는 것, 

      • 좋은 삶의 질과 높은 수준의 회복력, 

      • 웰빙 훈련, 

      • "의미있는" 실천으로 배우는 것, 

      • 학습자를 지원하는 규제된 제도를 신뢰하다.

From our scoping review,9 we identified interventions or factors positively associated with the personal component of the LE: 

      • time focused on direct patient care, 

      • having a community of peers, 

      • a good quality of life and high levels of resilience, 

      • training in well-being, 

      • learning in a “meaningful” practice, and 

      • trust in a regulated system that supports learners.


LE와 부정적인 연관성을 가진 요인은 

      • 삶의 질이 나빠지면 더 감정적으로 지치는 것

      • 도덕적 디스트레스

      • 탈인간화

      • 미래까지 버틸 수 있는지와 자기 능력에 대한 걱정

Factors with negative associations with the LE were 

      • poor quality of life leading to more emotional exhaustion, 

      • moral distress, 

      • depersonalization, and 

      • worries about future endurance and capacity.


교육자들에게 있어, LE에 대한 학습자들의 개인요인은 가장 중요하다. LE의 이러한 개인적이고 학습자 중심적인 구성요소는 학습자 경험, 학습자 및 인식에 강하게 영향을 미친다. 실제로, LE를 측정하기 위해 고안된 대부분의 도구들은 개별 학습자가 LE를 인지하는 방식에 초점을 맞추고 있지만, 이러한 척도는 LE의 더 큰 사회적, 조직적, 물리적, 가상적 요소를 다루지 못하면서 개인에 집중한다는 한계가 있다.

For educators, the personal dimensions of their learners are of paramount importance. This personal, learner-centered component of the LE strongly influences learner experience, learning, and perceptions. Indeed, most inventories designed to measure the LE are focused on how individual learners perceive it, but this imposes a limitation by focusing on the individual while failing to address the larger social, organizational, physical, and virtual components of the LE.


사회 요소

Social component.


(개인적인 차원에 더해져서) LE의 사회적 요소는 다른 사람들과의 상호작용과 사회적 관계에 대한 부분을 다룬다. 이러한 관계에는 다음의 요소가 있다.

      • 동료-대-동료(경쟁력, 협업, 공유 가치 및 학습자 문화)

      • 학습자-대-교수/직원(신뢰, 피드백, 기대의 명확성, 커뮤니케이션, 교육 전략, 멘토링)

      • 학습자-대-환자(책임, 수용, 신뢰) 

The social component of the LE characterizes interactions and social relations with others, thus adding to the personal dimension. These relationships include 

      • peer-to-peer (competition, cooperation, shared values and learner culture), 

      • learner-to-faculty/staff (trust, feedback, clarity of expectations, communication, instructional strategies, mentoring), and 

      • learner-to-patient (responsibility, acceptance, trust) elements. 


사회적 구성요소는 이러한 상호작용의 퀄리티를 설명한다(형평성과 inclusion, 학습자의 괴롭힘과 학대를 포함) .

The social component describes the quality of these interactions, including equity and inclusion, and harassment and abuse of learners.


사회적 요소를 개선하기 위해 설계된 개입에는 다음이 있다.

      • 긍정적인 학습 환경을 조성하는 데 초점을 맞춘 교수개발 워크숍, 

      • 동료 코칭 프로그램, 

      • 다양성/자본성/적폐성 교육, 

      • 팀워크 교육 

Interventions designed to improve the social component include 

      • faculty development workshops focusing on creating a positive learning climate, 

      • peer coaching programs, 

      • diversity/ equity/inclusion training, and 

      • teamwork training.9


사회적 요소에 대한 조사는 전형적으로 사회학자, 인류학자, 민족지학자들의 관심사이며, 이 연구자들은 개인이 시스템 내에서 어떻게 상호작용하는지에 높은 가치를 둔다.

Investigations of the social component typically fall under the purview of sociologists, anthropologists, and ethnographers, who place high value on how individuals interact with each other and within a system.


이 요소와 관련된 이론은 위치 학습, 위치 인식, 사회 물질성 및 신중한 실천을 포함한다.

Theories that pertain to this component include situated learning, situated cognition, sociomateriality, and deliberate practice.


조직 요소

Organizational component.


사회적 요소와는 달리, 조직 요소는 주로 다음을 다룬다.

      • 아티팩트(또는 사람들이 환경의 물체나 요소와 상호작용하는 방법) 

      • 일군의 개인(개인의 일반적인 사회적 영역에 속하지 않는 사람들)

unlike the social component, the organizational component primarily addresses 

      • artifacts (or how people interact with objects or elements in their environment) and/or 

      • groups of individuals (who are not just a part of the individual’s typical social circle). 


따라서 이 요소는 개인이 어떻게 정책과 상호 작용하는지, 어떻게 조직 성과 척도에 대응하는지, 어떻게 문화 및 특정한 리더십에 대응하는지 등이 포함된다.

Thus, this component emphasizes how individuals interact with policies, navigate organizational performance measures, and respond to culture and/or particular leadership actions.


조직은 학습을 위한 구조, 지침, 지원을 제공한다. 이러한 지원은 커리큘럼 자원, 지리적 배치 인증 규칙뿐만 아니라 조직 관행, 문화 및 정책(예: 근무 시간, 규제 환경, 교사 통제, 커리큘럼)의 형태를 취할 수 있다.

Organizations provide structure, guidance, and/or support for learning. This support can take the form of curriculum resources, geographic placements, and accreditation rules, as well as organizational practices, culture, and policies (such as duty hours, regulatory environment, teacher control, curriculum).


우리는 또한 이 조직 구성 요소의 지역사회(지리적 설정/위치)에 배치placement도 포함한다.

We also include placements in the community (geographical settings/locations) in this organizational component.


계약, 규제 기관 및 정책 입안자는 일반적으로 LE의 조직 요소에 초점을 맞춘다.

Deans, regulatory bodies, and policy makers typically focus on the organizational component of the LE.



물질 차원

Material dimension


물리적 공간

Physical spaces.


LE 프레임워크의 물질적 차원은 다음을 포함한다. 

      • 학습과 실습이 이루어지는 물리적/가상적 공간 

      • 학습에 영향을 미치는 환경의 객체object (예: 전자 건강 기록 및 주문 입력 시스템, 청진기, 복강경). 

The material dimension of our LE framework includes 

      • the physical and virtual spaces in which learning and practice occur as well as 

      • objects (artifacts) in the environment that affect learning (e.g., electronic health record and order entry systems, stethoscopes, laparoscopes). 


물리적 공간은 벽돌로 된 캠퍼스 기반의 교육 및 학습 건물, 병원과 클리닉 및 커뮤니티 사이트를 포함한다. 학생들은 공부, 토론, 팀 배움의 좋은 장소를 찾는다. 작은 회의실은 환자 진료가 한창인 상황에서 임상 교육에 매우 중요하다. 학생과 레지던트가 일반적으로 환자를 진찰하는 데 전문의보다 시간이 더 오래 걸리는 점을 감안할 때, 적절한 수의 진찰실을 이용할 수 있는 것은 임상 학습에 필수적이다. 

Physical space includes brick-and-mortar campus-based teaching and learning buildings, hospitals and clinics, and community sites. Students search for conducive spaces for study, discussion, and team learning. Small conference rooms are critical to clinical education in the midst of patient care. Availability of an adequate number of examination rooms is essential for clinical learning, given that students and residents typically take longer to examine patients than do board-certified physicians. 


물리적 공간과 관련된 LE를 개선하기 위해 설계된 개입에는 종단적 실습 또는 지역사회 배치가 포함된다.9 공간은 또한 시뮬레이션 시설, 해부 실험실, 컴퓨터화된 시험실 등 다양한 교육 자원의 핵심이다. LE의 공간 구성요소는 주로 특정 학습 활동에 관련된 공간의 양과 질에 대한 것이다.

Interventions designed to improve the LE associated with physical space include longitudinal and community placements.9 Space is also key to various educational resources, such as simulation facilities, anatomy labs, and computerized testing rooms. The space component of the LE directs attention to the quantity and quality of spaces relevant to specific learning activities.


가상 공간

Virtual spaces.


물리적 공간 외에도 학습자에게 콘텐츠를 전달하고 상호 작용과 학습을 위한 포럼을 제공하는 전자 학습 환경, 커리큘럼 관리 도구, 디지털 도우미가 모두 물질 차원에 속한다. 그러나 재료 차원에는 환경의 다른 어포던스(예: 전자 건강 기록 시스템에 내장된 적시 학습, 휴대용 장치, 컴퓨터 네트워크)도 포함된다.

In addition to physical space, the electronic learning environments, curriculum management tools, and digital assistants that deliver content to learners and provide forums for interaction and learning are all part of the material dimension. However, the material dimension also includes other affordances in the environment (e.g., just-in-time learning built into electronic health record systems, handheld devices, computer networks).


사회 물질성 이론과 일치하여 물질적 차원은 두 차원이 불가분의 상호작용을 할 수 없는 심리사회적 차원과 "실천에서 얽히게entangled in practice"된다.18,19 예를 들어 EHR은 가상공간에 존재하는 LE이지만, 이러한 환경은 일반적으로 학습자마다, 팀마다, 기관마다 다르게 정의되고 경험된다. 

In alignment with sociomateriality theory, the material dimension is “entangled in practice” with the psychosocial dimension such that the two dimensions inextricably interact.18,19 For example, the electronic health record is a virtual LE, but this environment is typically defined and experienced differently for the individual learner, the medical team, and the institution overall.


물리적 공간을 개선하고 온라인 강좌를 설계하는 데 전념하는 자원에도 불구하고, 문헌에서 물질 차원의 영향에 대한 연구는 충분하지 않으며, LE에 관련해서도 그렇다. 이는 LE의 물질적 차원이 연구자로 하여금 정신사회적 및 물질적 차원의 통합을 연구할 것을 강력히 권고하는 환경심리학, 비즈니스 및 고등교육에서 수행된 연구와 대조된다.18,26

Despite the resources devoted to improving physical spaces and designing online courses, the study of the impact of the material dimension is underrepresented in the literature25 and notably so in the study of the LE.9 This contrasts with studies undertaken in environmental psychology, business, and higher education where the material dimension of the LE has led researchers to strongly recommend studying the integration of the psychosocial and material dimensions.18,26


개념틀 적용

Applying the Conceptual Framework


지역사회 병원 실습

Community placements


서호주의 시골임상학교는 1학년 의대생을 10개의 다른 시골과 외딴 곳에 3-10명의 회원으로 구성된 세로 통합 사무소에 배치한다.27

The Rural Clinical School of Western Australia places first-year medical students in longitudinal integrated clerkships, in groups of 3 to 10 members, in 10 different rural and remote sites.27


소규모 사이트와 대규모 사이트 간에는 결과 차이가 없었다. 중간기간의 인터뷰는 학생들의 인식 면에서 DREEM 설문지의 조사 결과와 상당히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소규모 사이트의 학생들은 더 큰 사이트의 학생들보다 그들의 교육 경험에 더 만족했다. 연말 성적과 학습자 만족도는 사이트 규모 간에 차이가 없었다.

There were no differences in results between smaller sites and larger sites. Midyear interviews were shown to correlate significantly with the findings from the DREEM questionnaire in terms of student perceptions. Students at small sites were more satisfied with their educational experience than those at the larger sites. End-of-year grades and learner satisfaction showed no differences among site sizes.


동료학습공동체와 웰빙

Peer learning community and well-being


한 국제 연구는 LE에 대한 호의적인 학생 인식과 삶의 질, 고갈, 공감에 대한 학생 보고서 사이의 관계를 조사했다.29 그들의 발견은 긍정적인 LE 인식이 웰빙과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고 동료 커뮤니티를 육성하는 것이 삶의 질을 향상시키고 고갈을 줄일 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그러나 LE에 대한 인식과 공감은 밀접한 상관관계가 없었다.

An international study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favorable student perceptions of the LE and student reports on quality of life, burnout, and empathy.29 Their findings indicated that positive LE perceptions were closely associated with well-being and that fostering peer community may enhance quality of life and reduce burnout. However, perceptions of the LE and empathy were not closely correlated.


LE의 문제진단 예시

Diagnosing a problem in the LE


예를 들어, 의과대학은 3학년 학생들의 경험에 대한 일상적인 감시를 통해 전반적인 학생 스트레스가 갑자기 증가한다는 것을 발견할 수 있다.

For example, a medical school might discover through its routine surveillance of third-year student perceptions of their experiences that there is a sudden increase in overall student stress.


    • 우선 심리사회적 차원의 개인적 요소를 고려하면, 행정부는 이러한 갑작스런 스트레스의 증가에 기여하는 개인의 특성을 고려할 수 있다. 스트레스가 소수의 학습자에게만 국한된 경우, 공유 속성(예: 대학 1세대, 의학에서 잘 표현되지 않음, 경제적 지위, 회복력)이 있을 수 있다. 만약 스트레스가 광범위하게 분포되어 있다면, 개인의 특성은 덜 가능성이 있어 보일 것이다.

Considering first the personal component of the psychosocial dimension, the administration might consider individual characteristics that are contributing to this sudden rise in stress. If the stress is limited to a small number of learners, there may be a shared attribute (e.g., first generation in college, underrepresented in medicine, economic status, resilience). If the stress was broadly distributed, individual characteristics would seem less likely.


    • 심리사회적 차원의 사회적 또는 대인관계적 요소는 스트레스를 유발하는 역학 또는 사건의 발생원이 될 가능성이 있다. 학습자들 사이에 스트레스가 널리 퍼지면 사회적 요소가 일을 할 가능성이 더 높다. 이 경우에 고려해야 할 사회적 원인은 갑작스런 경쟁의 증가, 수업의 부분들 간의 갈등, 교직원과 학생들 간의 건강하지 못한 상호작용, 또는 학생 괴롭힘과 학대에 대한 널리 공유된 인식일 수 있다. 갑작스런 스트레스의 시작은 이러한 잠재적인 원인들 중 일부를 더 가능성 있게 만들 것이다.

The social or interpersonal component of the psychosocial dimension would be a likely source of stress-inducing dynamics or events. The social component is more likely to be at work if the stress is widely disseminated among learners. Social causes to consider in this case might be a sudden increase in competition, conflicts among segments of the class, unhealthy interactions between faculty and students, or broadly shared perceptions of student harassment and mistreatment. The sudden onset of stress would make some of these potential causes more likely.


    • 조직적 요소나 제도적 요소도 기여자가 될 수 있다. 원 소속 기관에서 떨어진 기관에서의 필수 로테이션, 교직원과 행정 사이의 갈등, 병원의 합병과 확장, 또는 새로운 리더십에 따라 교육과정 변화는 모두 환경이 위협적이거나 불확실한 톤을 취한다면 학생들의 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기관 수준의 사건들이다.

The organizational or institutional component may also be a contributor. Curriculum changes with required rotations away from home, strife between faculty and administration, mergers and expansions of hospitals, or new leadership are all institutional events that can trickle down to affect student stress if the environment takes on a threatening or uncertain tone.


    • 물질 차원에서도, 연구와 사회적 상호작용을 위한 공식적으로 접근 가능한 공간이 오프라인으로 전환되거나 건설이 접근과 수용량을 방해하는 경우(예: 도서관 시간 및 강의실 접속이 축소되는 경우) 물리적 공간은 스트레스에 기여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가상 인프라는 LE에서 스트레스를 유발할 수 있다.

On the material dimension, physical spaces may also contribute to the stress, if formally accessible spaces for study and social interaction are taken offline or construction interferes with access and capacity (e.g., library hours and classroom access curtailed). Similarly, virtual infrastructure can trigger stress in the LE.


이 예는 또한 작업 환경work environment과 LE 사이의 상호작용을 강조한다. 보건직업교육은 실생활에서의 학습과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기 때문에, workplace의 특성과 역학관계도 LE의 일부가 된다. 본 연구의 모델에서도 작업 환경의 영향을 연과지을 수 있다.

    • 개인 수준 요소의 경우, 작업 환경은 성능, 역량 및 실패의 결과에 대한 개인의 불안으로 인해 발생하는 스트레스를 강조할 수 있다. 

    • 작업 환경은 또한 연습과 학습을 위한 대인관계의 내용, 형식 및 속도에 큰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LE의 대인관계에 영향을 미친다. 괴롭힘과 학대가 없는 환영하고 포용적인 근무 환경은 긍정적인 LE를 창출한다. 

    • 그것은 아마도 조직 차원에서 작업 환경이 LE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이다. 임상 생산성, 조직 구조, 다른 임상 시스템과의 합병 및 경쟁에 관한 제도적 정책 및 많은 다른 측면은 모두 학습이 이루어지는 환경에 기여한다. 이것은 의사 소진이 자주 발생하는 곳으로, LE의 사회적 상호작용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다. 

    • 마찬가지로 작업 환경은 실습과 학습을 위한 물리적 공간 내에서, 학습자가 숙지하고 사용해야 하는 가상 공간과 시스템(예: 전자 의료 기록 시스템) 내에서 발생한다.

This example also highlights the interaction between the work environment and the LE. Health professions education is tightly tied to learning in practice, so the characteristics and dynamics of the workplace also become part of the LE. The influence of the work environment can be considered within each of the components of our model. 

    • For the personal component, the work environment may accentuate stress created by individual anxiety about performance, competence, and the consequences of failure. 

    • The work environment also affects the interpersonal component of the LE because it heavily influences the content, format, and pace of interpersonal interactions, both for practice and for learning. A welcoming and inclusive work environment, free of harassment and abuse, creates a positive LE. 

    • It is, perhaps, at the level of the organization that the work environment has its greatest impact on the LE. Institutional policies on clinical productivity, organizational structure, mergers and competition with other clinical systems, and many other facets all contribute to the environment in which learning takes place. This is where physician burnout often occurs, which has a direct impact on the social interactions of the LE. 

    • Similarly, the work environment takes place within the physical spaces for practice and learning and the virtual spaces and systems (e.g., electronic medical record system) that the learners must master and use.


마무리

Concluding Observations


우리의 정신 사회/물질적 프레임워크는 몇 가지 장점을 가지고 있다. LE의 사회적 측면과 물리적 측면을 통합함으로써 다른 개념적 프레임워크보다 더 포괄적이다. 그것은 사회적 상호작용이 ([심리사회적 차원]과 [특정 LE의 구성요소들 사이의 복잡한 상호작용을 생각하는 비계scaffold]를 따라) 다층적 수준(개인, 사회, 조직)에서 일어난다는 것을 인식한다. 

our psychosocial/materiality framework has several strengths. By incorporating the social and the physical aspects of the LE, it is more inclusive than other conceptual frameworks. It recognizes that social interactions take place at multiple levels (personal, social, organizational) along the psychosocial dimension and scaffolds thinking about complex interactions among the components of any given LE.


우리의 개념적 틀은 자연스럽게 많은 권고사항으로 이어진다. 

  • 첫째, 학술 저널은 저자가 LE를 정의하지 않은 경우 또는 저자가 자신들의 개념적 프레임워크와 구체적인 LE를 고려하지 않은 경우 논문을 발행해서는 안 된다.

  • 둘째, 연구자들은 LE의 전체 차원성을 정확하게 평가하기 위해 심리사회적, 물질적 차원를 반영하는 평가 방법을 개발할 필요가 있다. 

  • 셋째, 연구자들은 LE에 대한 [학습자 인식]마나 사용하는 현실을 넘어서야 한다. 대신 물리적 공간과 가상 공간을 평가하는 것은 물론 사회적, 조직적 차원에서 대책을 개발할 필요가 있다. 

  • 넷째, 교육자들은 이 구조의 중요성을 인식해야 하며, 교육 혁신을 제안하고 시험하기 위해 문헌에 기반할 필요가 있다.

Our conceptual framework naturally leads to a number of recommendations. 

  • First, academic journals should not publish articles on the LE without the authors having defined the LE, describing their conceptual framework and specific LE(s) under discussion. 

  • Second, researchers need to develop assessment methods that reflect the psychosocial and material dimensions to accurately assess the full dimensionality of LEs. 

  • Third, researchers need to move beyond the sole use of learner perceptions of the LE. Instead, they need to develop measures at the social and organizational level, as well as assess physical and virtual spaces. 

  • Fourth, educators need to recognize the importance of this construct and use the literature to propose and test educational innovations.



9 Gruppen L, Irby DM, Durning S, Maggio L. Interventions designed to improve the learning environment in the health professions: A scoping review. https:// www.mededpublish.org/manuscripts/1944. Published 2018. Accessed March 4, 2019.


29 Tackett S, Wright S, Lubin R, Li J, Pan H. International study of medical school learning environments and their relationship with student well-being and empathy. Med Educ. 2017;51:280–289.






, 94 (7), 969-974
 

Conceptualizing Learning Environments in the Health Professions

Affiliations 

Affiliation

  • 1L.D. Gruppen is professor, Department of Learning Health Sciences, University of Michigan Medical School, Ann Arbor, Michigan; ORCID: http://orcid.org/0000-0002-2107-012. D.M. Irby is professor emeritus, Department of Medicine, University of California, San Francisco, San Francisco, California. S.J. Durning is professor, Department of Medicine, and director, Graduate Programs in Health Professions Education, Uniformed Services University of the Health Sciences, Bethesda, Maryland. L.A. Maggio is associate professor, Department of Medicine, and associate director, Graduate Programs in Health Professions Education, Uniformed Services University of the Health Sciences, Bethesda, Maryland; ORCID: http://orcid.org/0000-0002-2997-6133.

Abstract

The learning environment (LE) is an important and frequently discussed topic in the health professions education literature. However, there is considerable inconsistency in how the LE is defined and described. The authors propose a definition of the LE and a conceptual framework to facilitate health professions educators in understanding, studying, and designing interventions to improve the LE. To arrive at this conceptual framework, the authors employed a living systems perspective that draws on various frameworks and theories, including ecological psychology, workplace learning, situated cognition, and sociomateriality theory. The conceptual framework identifies five overlapping and interactive core components that form two dimensions: the psychosocial dimension and material dimension. The psychosocial dimension comprises three components: the personal, social, and organizational. Intertwined with the psychosocial dimension at each level is the material dimension, which encompasses physical and virtual spaces. This theoretical lens can facilitate identifying and analyzing problems in the LE and guide development of interventions to mitigate them. The authors conclude with several practical suggestions for health professions educators, investigators, and editors.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