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건교육연구의 우선순위 설정: 혼합 방법 연구(Med Teach, 2019)
Setting priorities for health education research: A mixed methods study
Claire Palermoa , Olivia Kinga , Tina Brocka,b , Ted Browna,c , Paul Cramptona,d , Helen Halla,e , Janet Macaulaya,f, Julia Morpheta,e , Matthew Mundya,g, Louise Oliaroa,h, Sophie Payntera,i, Brett Williamsa,j , Caroline Wrighta,k and Charlotte E. Reesa
도입
Introduction
노력의 영향을 극대화하기 위해 모든 연구의 우선순위를 설정하는 것이 필수적이다(Dechartres and Ravaud 2015). 연구 우선순위 설정은 제한된 자원을 맥락과 관련 있는 투자에 집중하며, 이로 인해 더 큰 영향을 미치고(Viergever et al. 2010) 낭비를 최소화해야 한다(Dechartres and Ravaud 2015).
Setting priorities for any research is essential to maximize the impact of efforts (Dechartres and Ravaud 2015). Establishing research priorities focuses limited resources on investments that are relevant to the context, which should lead to greater impacts (Viergever et al. 2010) and minimize waste (Dechartres and Ravaud 2015).
보건 전문직과 과학 교육 분야에서, 우선순위에 대한 연구 노력을 파악하고 집중하는 것은 보건 전문가와 과학자를 어떻게 가장 잘 준비시킬 수 있는지에 대한 우리의 이해를 향상시켜야 하며, 이는 의료 전달을 개선할 수 있는 잠재력을 가지고 있다(Dechartres and Ravaud 2015).
in the field of health professions and sciences education, identifying, and focusing research effort on priorities should improve our understanding of how best to prepare health professionals and scientists for work, which has the potential to improve health care delivery (Dechartres and Ravaud 2015).
보건교육연구우선순위
Health education research priorities
교육 연구 우선 순위 설정 연구는 최근 몇 년 동안 전 세계적으로 많이 수행되었다(Wilkinson et al. 2010; Hodges et al. 2011; Tootunchi et al. 2012; Dennis et al. 2014; Ajjawi et al. 2017).
A number of health professions education research priority setting studies have been conducted across the world over recent years (Wilkinson et al. 2010; Hodges et al. 2011; Tootoonchi et al. 2012; Dennis et al. 2014; Ajjawi et al. 2017).
이러한 연구에서 확인된 공통 우선순위는 전문성(Wilkinson et al. 2010; Ajjawi et al. 2017), 평가(Wilkinson et al. 2010; Ajjawi et al. 2017), 피드백(Wilkinson et al. 2010; Dennis et al. 2014), 실무 준비(Hodges et al. 2011; Dennis et al. 2014; Dennison et et al. 2014; Aj) 등이다. 2014; Aj). 문제(Wilkinson 외 2010; Dennis 외 2014; Ajjawi 외 2017).
Common priorities identified across these studies include
professionalism (Wilkinson et al. 2010; Ajjawi et al. 2017),
assessment (Wilkinson et al. 2010; Dennis et al. 2014; Ajjawi et al. 2017),
feedback (Wilkinson et al. 2010; Dennis et al. 2014),
preparedness for practice (Hodges et al. 2011; Dennis et al. 2014; Ajjawi et al. 2017), and
workforce issues (Wilkinson et al. 2010; Dennis et al. 2014; Ajjawi et al. 2017).
그러나 적절한 표본을 채택하지 않고, 국지적 맥락에 너무 집중하며, 방법론적으로 최적적이지 못하다는 비판을 받았다(Wolley and Schuwirth 2014).
however, been criticized for not engaging appropriate samples, being too focused on local contexts and being methodologically suboptimal (Worley and Schuwirth 2014).
저자들의 지식으로는 호주에서 보건교육 연구 우선순위 설정 연구가 수행되지 않았으며 이전에 완료된 연구 중 여러 보건 전문직과 과학에 걸쳐 우선순위에 초점을 맞춘 연구도 없다.
To the authors’ knowledge, no health education research priority setting studies have been conducted in Australia and none of the previously completed studies have focused on priorities across multiple health professions and sciences.
헬스케어 전문가는 헬스케어 전달에 중요한 역할을 하며, 따라서 (의학과 더불어) 이러한 그룹에 대한 교육 연구 우선순위를 이해하는 것이 모든 건강 졸업생들이 최적의 업무 준비를 할 수 있도록 하는 데 필수적이다. 간호직이나 제휴 보건직allied health professions에서 교육연구 우선 순위 설정 연구의 예는 없지만, 여러 일반(및 직업별) 연구 우선 순위 설정 연구는 교육 연구 주제를 우선순위로 식별했다.
Healthcare professionals play an important role in the delivery of healthcare, and thus understanding education research priorities for these groups (in addition to medicine) is fundamental to ensuring all health graduates are optimally prepared for work. Although there are no examples of education research priority setting studies in nursing or the allied health professions, several general (and profession-specific) research priority setting studies have identified education research topics as priorities.
예를 들어 랭킨 외 연구진(2012년)은 영국의 물리치료에 대한 국가 연구 전략을 정의하기 위해 수정된 델파이 기법을 사용하여 연구를 수행했다.
For example, Rankin et al. (2012) conducted a study using a modified Delphi technique to define the national research strategy for physiotherapy in the United Kingdom.
몬테로소 외 연구진(2015년)은 오스트레일리아의 두 개의 대형 민간 3차 병원에서 간호 연구 전략을 개발하기 위해 수정된 2라운드 델파이 기법을 채용했다.
Monterosso et al. (2015) employed a modified two round Delphi technique to develop a nursing research strategy in two large private tertiary hospitals in Australia.
Concentine 외 연구진(2018)은 응급간호 분야의 연구 우선순위를 정하기 위해 Delphi 기법을 고용했으며, 임상전문가의 교육 준비 연구(Selectionals et al. 2018)가 높은 중요성을 발견했다.
Considine et al. (2018)employed the Delphi Technique to establish research priorities in emergency nursing and found that research in the educational preparation of clinicians to be of high importance (Considine et al. 2018).
보건 교육 연구의 우선순위와 관점의 차이 이면의 근거
Rationale behind health education research priorities and differences in perspectives
우선 순위를 파악하는 것이 중요한 첫 단계지만, 특정 보건 교육 연구 주제에 우선순위를 매기는 이유를 이해하는 것이 공동 연구 의제 개발에 도움이 된다. 이전의 보건교육 연구 우선 순위 설정 연구는 환자 안전, 건강관리 품질, 미래 인력에 대한 투자, 정책 의제 및 증거 기반 교육 우선 순위를 다양한 주요 근거의 일반적인 이유로 식별했다(Dennis et al. 2014).Ajjawi et al. 2017).
While identifying priorities is a key first step, understanding the reasons behind prioritizing certain health education research topics assists with the development of shared research agendas. Previous health education research priority setting studies have identified patient safety, quality of healthcare, investing for the future workforce, policy agendas, and evidence-based education priorities as common reasons underpinning the various (Dennis et al. 2014;Ajjawi et al. 2017).
이전 작품에서는 연령, 성별, 민족성, 의료의 역할 등이 다른 참여자들(Dennis et al. 2014; Ajjawi et al. 2017)에서 확인된 의료 및 치과 교육 우선순위의 차이가 발견되었다. 이는 보건교육에서 다양한 역할을 하는 사람들과는 여러 가지 다른 관점을 수반할 필요가 있음을 강조한다.
In previous work, differences in identified medical and dental education priorities have been found in participants of different age, sex, ethnicity, and role in health care (Dennis et al. 2014; Ajjawi et al. 2017). This emphasizes the need to involve multiple different perspectives from those with varying roles in health education.
이 연구의 필요성
The need for this study
(i) 복수의 이해관계자에 따라 향후 3~5년간 보건교육 연구 우선순위는 무엇인가?
(ii) 복수의 이해관계자가 특정 보건교육 연구 주제의 우선순위를 정하는 근거는 무엇인가? 그리고
(iii) 이해당사자 범위에 걸친 보건교육 연구 우선순위의 유사점과 차이점은 무엇인가?
(i) What are the health education research priorities over the next 3–5years according to multiple stakeholders?
(ii) What is the rationale provided by multiple stakeholders for prioritizing specific health education research topics? and
(iii) What are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in health education research priorities across the range of stakeholders?
방법
Methods
설계
Design
이전 우선순위 설정 방법론에 근거한 순차 혼합 방법 연구(Dennis et al. 2014; Ajjawi et al. 2017)가 실시되었다(그림 1). 여기에는 다음과 같은 단계가 포함되었다.
(1단계) 보건교육 연구 우선순위 및 이러한 우선순위 배후의 이유를 파악하기 위한 익명 정성적 온라인 조사
(2단계) 최우선 순위 및 이유를 결정하기 위한 익명 정량적 온라인 조사
(3단계) 이전 단계의 결과를 더 자세히 설명하기 위한 개별 및 그룹 인터뷰.
A sequential mixed methods study based on previous priority setting methodology (Dennis et al. 2014; Ajjawi et al. 2017) was conducted (Figure 1). This involved the following stages:
(stage 1) anonymous qualitative online survey to identify health education research priorities and the reasons behind these priorities;
(stage 2) anonymous quantitative online survey to determine top priorities and the reasons why; and
(stage 3) individual and group interviews to further explicate the results from previous stages.
세팅 Setting
표본 Sampling
대학, 주요 교수 병원, 지역사회(도시 및 시골)의 모든 의료 전문직과 보건 과학 전반에 걸친 학생, 교육자, 연구원, 임상의, 고객/환자 등의 편의 표본을 연구의 각 단계에 참여하도록 초대했다.
A convenience sample of students, educators, researchers, clinicians, and clients/patients across all healthcare professions and health sciences from the university, major teaching hospitals, and the community (urban and rural) were invited to participate in each stage of the study.
모집 Recruitment
1단계에서는 연구팀에 의해 핵심 개인이 대학 내 보건교육 및/또는 보건교육 연구에 강하거나 전략적인 관심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어 정성 조사를 완료하도록 초청되었다. 이어서 1단계 참가자를 초청하여 2단계 자원자로서 참여하였으며, 이 샘플은 정량조사에 대한 투입을 극대화하기 위해 보다 광범위한 그룹으로 실질적으로 확대되었다. 마지막으로, 3단계 면접 참가자는 연구 결과에 대해 보다 상세히 논의할 의사가 있음을 나타내는 2단계 응답자 중에서 편리하게 선정되었다.
For stage 1, key individuals were identified by the research team as having a strong or strategic interest in health education and/or health education research within the university and were invited to complete the qualitative survey. Participants from stage 1 were then invited to volunteer for stage 2, with this sample being substantially expanded to a broader group in order to maximize input into the quantitative survey. Finally, stage 3 interview participants were selected conveniently from stage 2 respondents who indicated willingness to discuss the study findings in more detail.
자료 수집
Data collection
1단계 데이터는 Qualtrics 조사 소프트웨어(#2018)를 통해 익명으로 전달된 정성 조사를 통해 수집되었다. 설문조사는 참여자들에게 보건교육 연구의 첫 번째, 두 번째, 세 번째 우선순위 및 선택한 우선순위의 기초가 되는 이유에 대한 질문을 답변하도록 했다. 몇몇 참가자들에게 인구통계학적 및 이해관계자 관련 질문을 했다. 이후 정성 조사 분석에서 파악된 우선순위를 사용하여 2단계 데이터 수집 방법인 정량적 조사에 inform하였다.
Stage 1 data were collected via an online anonymous delivered qualitative survey through Qualtrics survey software (#2018).1 The survey asked participants to respond questions about the to open-ended their first, second and the third priority for health education research and the reasons underlying their selected priorities. Participants were also asked several demographic and stakeholder-related questions. The priorities identified from the qualitative survey analysis were then used to inform the stage 2 data collection method: a quantitative survey.
2단계 데이터는 온라인 익명 정량 조사를 통해 수집되었으며, 다시 Qualtrics(#2018)를 사용하여 수집되었다.1 참가자들은 리커트 등급 척도로 30개 연구 우선순위의 중요성을 1(중요하지 않음)부터 5(매우 중요함)까지 평가하도록 요청받았다. 이러한 30가지 우선순위는 1단계에서 파악되었는데, 여기서 이전 우선순위 설정 연습(Dennis et al. 2014; Ajjawi et al. 2017)에서 24가지 우선순위가 사용되었고, 6가지 새로운 우선순위가 확인되었다. 30개의 식별된 우선순위 목록에서 참가자들에게 상위 3개의 우선순위를 선택하고, 선정의 기초가 되는 이유를 설명하고, 추가 우선순위(아직 제공되지 않음)를 코멘트 박스를 통해 나열하도록 했다. 참가자들은 그 후 몇 가지 인구통계학적 및 이해관계자 관련 질문에 답하도록 요청받았다.
Stage 2 data were collected via an online anonymous quantitative survey, again using Qualtrics (#2018).1 Participants were asked to rate the importance of the 30 research priorities on a Likert-rating scale from 1 (not important) to 5 (very important). These 30 priorities were identified in stage 1, where 24 priorities were used from previous priority setting exercises (Dennis et al. 2014; Ajjawi et al. 2017) and six new priorities were identified. From the list of 30 identified priorities, participants were asked to select their top three priorities, describe the reasons underlying their selections, and list any additional priorities (not already provided) via a comment box. Participants were then asked to answer several demographic and stakeholder related questions.
3단계에서는 학생, 교사, 임상의 및 환자에게 개인 및 그룹 인터뷰를 통해 정량적 조사 데이터의 분석을 제시하는 것이 포함되었다. 참가자들은 2단계부터 파악된 보건교육 연구 우선순위에 대한 견해를 물었다. 그런 다음, 그들은 자신의 이해에 따라 우선순위가 무엇이어야 하는지와 우선순위의 중요성에 기초하는 이유를 설명하도록 요청받았다. 마지막으로, 참가자를 초청하여 대학의 보건교육 연구전략의 전개에 도움이 되는 피드백과 더불어 2단계 데이터(아래 설명)의 탐색적 요인분석을 바탕으로 한 연구네트워크의 제안된 개발에 도움을 주었다.
Stage 3 involved presenting the analysis of the quantitative survey data to students, teachers, clinicians and patients through one individual and five group interviews. Participants were asked about their perspectives on the health education research priorities identified from stage 2. They were then asked to describe what the priorities should be according to their own understandings and the reasons underlying the importance of the priorities for them. Finally, the participants were invited to give feedback to help with the development of the university’s health education research strategy, plus the proposed development of research networks based on the exploratory factor analysis of stage 2 data (described below).
자료 분석 Data analysis
결과 Results
연구의 모든 단계는 12개 보건 전문직과 연구 기관에서 제공하는 과정을 대표하는 5개 보건 과학에 걸친 이해관계자 그룹에 의해 완료되었다(표 1).
All stages of the study were completed by stakeholder groups across 12 health professions and five health sciences representing the courses offered at the study institution (Table 1).
복수 이해당사자들에 따르면, 두 나라 전역의 두 개의 큰 학력과 캠퍼스를 가진 한 호주 대학교에서 향후 3~5년 동안 보건 교육 연구의 우선순위
The health education research priorities for the next 3–5years at one Australian University with two large faculties and campuses across two countries according to multiple stakeholders
참여 이메일 초대장을 개설한 246명의 응답자(응답률 41%)로부터 총 104건의 질적 설문조사가 돌아왔다. 8개의 주요 보건교육 연구 우선순위 주제는 다음의 주제에 대하여 우선순위를 식별하였다.
(1) 학생,
(2) 교육자,
(3) 근무지 환경에서 타인과 함께 일하는 것,
(4) 직장 학습 환경의 문화,
(5) 커리큘럼 통합,
(6) 커리큘럼 내용,
(7) 커리큘럼 전달,
(8) 평가 및 피드백
A total of 104 qualitative surveys were returned from 246 respondents who opened the email invitation to participate (41% response rate). Eight major health education research priority themes were identified with priorities relating to
(1) students;
(2) educators;
(3) working with others in the workplace environment;
(4) culture of workplace learning environments;
(5) curriculum integration;
(6) curricula content;
(7) curriculum delivery; and
(8) assessment and feedback.
이런 주제 아래 27개 교육연구 우선순위가 파악됐다. 또한 이전 연구에서 확인된 코딩 프레임워크의 3가지 우선 순위(Dennis et al. 2014; Ajjawi et al. 2017)를 2단계(보조 표 1)의 시험에 추가했다.
Under these themes, 27 educational research priorities were identified. In addition, three priorities from coding frameworks identified in previous studies (Dennis et al. 2014; Ajjawi et al. 2017) were added for testing in stage 2 (Supplementary Table 1).
3대 우선순위
top three priorities
(1) 학생들이 업무에 필요한 기술을 개발할 수 있도록 최선의 방법을 이해해야 한다.
(2) 학생의 회복력과 웰빙을 촉진하는 방법을 이해해야 한다.
(3) 커리큘럼이 목적에 맞는지 확인한다(표 2).
(1) understanding how best to ensure students develop the required skills for work;
(2) understanding how to promote resiliency and well-being in students; and
(3) ensuring the curriculum is fit for purpose (Table 2).
요인 분석 결과 6개 요인 내 우선순위 군집화가 나타났다(표 3). 이 6가지 요인은 다음과 같이 확인되었다.
(i) 직장에서 함께 배우는 문화
(ii) 직업work 준비
(iii) 미래의 호주 의료 요구 충족
(iv) 교육학적 효과
(v) 인력 문제
(vi) 커리큘럼 통합.
Factor analysis revealed a clustering of priorities within six factors (Table 3). These six factors were identified as
(i) Culture of learning together in the workplace;
(ii) Preparation for work;
(iii) Meeting future Australian healthcare needs;
(iv) Pedagogical effectiveness;
(v) Workforce issues; and
(vi) Curriculum integration.
특정 보건 교육 연구 주제의 우선순위를 정하기 위해 여러 이해관계자가 제공한 근거
The rationale provided by multiple stakeholders for prioritizing specific health education research topics
1단계에서 참가자의 우선순위 선정을 뒷받침하는 가장 일반적으로 보고된 이유는 다음과 같다(우선순위 높은 순).
학생 학습 향상
현재 교육 문제로 식별되는 우선순위 주제
증거 기반 교육 개발의 중요성
돌봄care 퀄리티 개선
환자 안전 개선
In stage 1, the most commonly reported reasons underpinning participants’ priority selection were (in decreasing order of frequency):
improved student learning (n¼164);
the priority topic being identified as a current educational problem (n¼102);
the importance of developing evidence-based education (n¼102); and
for improvements in the quality of care (n¼59) and patient safety (n¼51).
1단계와 일관되게, 2단계 참가자도 연구 우선순위의 기초가 되는 이유로 개선된 학생 학습을 가장 자주 보고하였다. 데이터 수집의 이 단계에서 새로운 이유 코드가 확인되었다: 졸업생 고용 가능성 또는 직업에 대한 준비. 이것은 2단계에서 두 번째로 자주 언급된 이유였다.
Consistent with stage 1, stage 2 participants most frequently reported improved student learning as the reason underlying their research priorities (n¼505). A new reason code was identified in this stage of data collection: graduate employability or preparedness for career. This was the second most frequently stated reason at stage 2 (n¼380).
2단계에서 자주 언급되는 다른 이유는 다음과 같다.
현재 교육 문제로 식별되는 우선순위 주제
교수진의 안전과 복지를 위해
학생 안전과 웰빙을 위해.
환자 안전
근거 기반 교육의 개발
미래에 대한 투자
돌봄care 퀄리티
...들도 2단계(부차 표 2)에서 일반적으로 언급되는 이유.
Other frequently stated reasons at stage 2 included:
the priority topic being identified as a current educational problem (n¼198);
for faculty safety and wellbeing (n¼183) and
for student safety and wellbeing (n¼180).
Patient safety (n¼153),
the development of evidence-based education (n¼106),
investing in the future (n¼102) and
quality of care (n¼81)
...were also commonly stated reasons at stage 2 (Supplementary Table 2).
3단계에서 참가자들은 종종 학생들의 정신 건강 문제 증가 문제에 플래그를 달았는데, 이것은 학생들의 회복력과 웰빙을 증진시키는 방법에 대한 높은 우선순위를 설명할 수 있다.
In stage 3, participants often flagged the increasing problem of students’ mental health issues, which may explain the high priority around how to promote resiliency and well-being in students.
다양한 이해당사자에 걸친 보건 교육 연구 우선순위의 유사점과 차이점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in health education research priorities across a range of stakeholders
요인 점수와 참가자의 성별, 나이 또는 문화적 배경 사이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발견되지 않았다. 또한 "향후 호주 의료 수요 충족"이라는 요인 3을 제외하고 보건 과학과 보건 전문가 참여자 간 인자 점수에는 큰 차이가 없었다.
There were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found between factor scores and participants’ gender, age, or cultural background. There were also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factor scores between health sciences and health professional participants, apart from factor 3: “meeting future Australian healthcare needs”.
고찰
Discussion
핵심 결과 요약
Summary of key findings
다양한 이해 관계자가 참여하는 순차 혼합 방법 설계를 통해, 본 연구는 학생들이 업무에 필요한 기술을 개발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 학생의 회복력과 웰빙을 증진시키는 방법, 커리큘럼이 학생들의 업무를 준비하도록 하는 방법의 이해와 같은 3가지 우선 순위를 파악했다.
Through a sequential mixed method design engaging various stakeholders, our study identified the top three priorities as: understanding how to ensure students develop the required skills for work, how to promote resiliency and wellbeing in students, and ensuring the curriculum prepares students for work.
연구의 우선순위는 다음....의 6가지 요소로 분류되었다.
(i) 직장에서 함께 배우는 문화,
(ii) 업무 준비,
(iii) 향후 호주의 의료 욕구 충족,
(iv) 교육학적 효과,
(v) 인력 문제,
(vi) 커리큘럼 통합
The priorities were grouped under six factors:
(i) Culture of learning together in the workplace;
(ii) Preparation for work;
(iii) Meeting future Australian healthcare needs;
(iv) Pedagogical effectiveness;
(v) Workforce issues; and
(vi) Curriculum integration.
우선순위는 전형적으로 다른 유형의 참가자들 간에 유사했다; 우리는 단지 다른 이해관계자 그룹의 관점에 있어서 세 가지 중요한 차이점을 발견했다.
Priorities were typically similar across different types of participants; we found only thre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perspectives of different stakeholder groups.
이전 연구와 비교한 우선순위
Priorities compared with previous studies
12개 보건 전문직과 5개 보건과학에 걸친 이 연구는 이전 연구와 유사한 보건 교육 연구 우선순위를 확인했다(Wilkinson et al. 2010; Hodges et al. 2011; Dennis et al. 2014; Ajjawi et al. 2017). 학생들이 의료행위에 필요한 기술을 개발할 수 있도록 하는 최선의 방법을 이 연구와 다른 연구(Dennis et al. 2014; Ajjawi et al. 2017)를 통해 지속적으로 우선순위로 파악되었지만, 복원력과 웰빙을 촉진하는 것은 우리의 연구와 다른 연구(Dennis et al. 2014)에서만 확인되었다. 모든 연구에서 학생들이 일을 준비할 수 있도록 하는 커리큘럼을 보장하는 것이 우선순위로 확인되었다(Dennis et al. 2014; Ajjawi et al. 2017). 또한 직장 학습(Wilkinson et al. 2010; Dennis et al. 2014), 인력 채용 및 유지 문제(Wilkinson et al. 2010; Dennis et al. 2014; Ajjawi et al. 2017) 및 커리큘럼 통합(Dennis et al. 2014; Ajawi et al. 2017)과 관련된 요인을 식별하는 기타 우선순위 연구 전반에 걸쳐 일관된 테마가 있었다.
This study across 12 health professions and five health sciences identified similar health education research priorities to previous studies (Wilkinson et al. 2010; Hodges et al. 2011; Dennis et al. 2014; Ajjawi et al. 2017). While understanding how best to ensure students develop the required skills for practice was consistently identified as a priority across this study and others (Dennis et al. 2014; Ajjawi et al. 2017), promoting resiliency and wellbeing was only identified by our study and one other (Dennis et al. 2014). All studies identified ensuring curriculum prepares students for work as a priority (Dennis et al. 2014; Ajjawi et al. 2017). There was also a consistent theme across other priority setting studies that identified factors related to workplace learning (Wilkinson et al. 2010; Dennis et al. 2014), workforce recruitment and retention issues (Wilkinson et al. 2010; Dennis et al. 2014; Ajjawi et al. 2017) and curriculum integration (Dennis et al. 2014; Ajjawi et al. 2017).
이전 연구와 비교한 우선순위 이유
Reasons for priorities compared with previous studies
교육 연구 연구에서 이러한 주제를 우선시하는 이유는 이전과 유사했다(Dennis et al. 2014; Ajjawi et al. 2017). 그러나, 이 현재의 연구는 더 광범위한 이해당사자를 포함한 이 연구로 인해 이전에 확인된 것보다 더 광범위한 이유의 범위를 확인하였다. 예를 들어, 현재 연구에서는 졸업 후 채용 가능성이 우선순위를 높게 매기는 핵심 요소였다. 이러한 발견은 또한 allied health perspectives를 포함했기 때문으로 설명될 수 있다. 여기서 고용가능성employability은 일부 분야의 실무자로 인해 많은 그러한 직업에서 주요 관심 영역이다(2017년 정부 호주 부족). 이러한 고용가능성에 대한 초점은 의료 종사자들이 실무에서 해야 할 일에 대해 적절하게 준비되지 않고 있다는 참가자들의 관점 때문일 수도 있다(Frenk et al. 2010; Ricketts and Fraher 2013; Gorman 2015).
The reasons for prioritizing these topics in education studies research were similar to previous (Dennis et al. 2014; Ajjawi et al. 2017). However, this current study also identified a broader range of reasons than those identified previously, perhaps due to this study including a broader range of stakeholders. For example, in the current study, graduate employability was a key factor for ranking priorities highly. This finding might also be explained by the large number of allied health perspectives obtained, where employability is a key area of concern for many such professions due to practitioner some areas (Australian shortages in Government 2017). This focus on employability may also be due to the perspectives of participants that health practitioners are not being prepared adequately for the work they need to do in practice (Frenk et al. 2010; Ricketts and Fraher 2013; Gorman 2015).
교직원과 학생 건강과 웰빙도 우선순위 선정의 이유로 지목됐다. 고등교육생들에게 상대적으로 정신건강문제 유병률이 높은 것은 새로운 현상이 아니다.
Faculty and student health and wellbeing were also identified as the reason behind the selection of priorities. The comparatively high prevalence of poor mental health in higher education students is not a new phenomenon.
그것은 점점 더 언급하는 것이 받아들여지고 있으며, 정신 건강 악화와 관련된 잠재적인 부정적인 결과들을 고려할 때, 그러한 우려를 다루기 위해 사회적 압력이 증가하고 있다(VanderLinds 2017; Bruffaerts et al. 2018). 의대생 모집단에서는 일반 모집단에 비해 정신건강문제의 유병률이 높다는 사실은 잘 알려져 있다(Heiman et al. 2018). 게다가, 의료 종사자들이 타 직업의 구성원들보다 일반적으로 소진, 우울증, 심지어 자살의 비율이 더 높다(Slavin et al. 2014).
It has become increasingly acceptable to talk about and, given the potential adverse outcomes associated with poor mental health, societal pressure is mounting to address such concerns (VanderLind 2017; Bruffaerts et al. 2018). In the medical school student population a higher prevalence of poor mental health when compared with the general population is well-established (Heiman et al. 2018). Furthermore, the rates of burnout, depression, and even suicide are generally greater in medical practitioners than members of other professions (Slavin et al. 2014).
케르난 외 (2008) 의대생들이 스스로 보고한 나쁜 정신 건강, 스트레스 또는 이러한 인식 가능한 어려움과 학업 성과에 가해지는 위협 조건 사이의 연관성을 확립했다(Kernan et al. 2008).
Kernan et al. (2008) established a link between medical students’ self-reported experiences of poor mental health, stress or relationship these perceivably difficulties and the threat conditions pose to academic performance (Kernan et al. 2008).
좀 더 최근에, 브루페어츠 외 연구진(2018)은 정신 건강 문제를 겪고 있는 학생들이 정신적으로 건강한 동료들에 비해 학업 성취도와 기능 면에서 더 낮은 수준을 객관적으로 보여준다는 것을 발견했다(Bruffaerts et al. 2018).
More recently, Bruffaerts et al. (2018) found that students living with mental health problems objectively demonstrated lower levels of academic achievement and functioning compared with their mentally-well peers (Bruffaerts et al. 2018).
이전 연구와 비교한 이해관계자 그룹 간의 유사점과 차이점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across stakeholder groups compared with previous studies
다른 연구와 달리, 서로 다른 특성을 가진 참가자 간 인자 점수에 큰 차이가 없었다. 이는 한 국가의 여러 기관에서 더 큰 이해당사자 그룹 간의 차이를 탐구한 이전 연구와 비교했을 때, 우리 기관에서는 다양한 보건전문직업 및 보건전문과학 전공의 학생, 교육자 및 임상의사들 간의 일반적인 의견 일치를 시사할 수 있다.
Unlike other studies (Dennis et al. 2014; Ajjawi et al. 2017), there were almost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factor scores between participants across different characteristics. This might suggest a general consensus of opinion amongst students, educators and clinicians across multiple health profession and science backgrounds at our one institution, compared to the previous studies, which explored differences in larger groups of stakeholders across multiple institutions in one country.
두 가지 요소(즉, [직장에서 함께 배우는 것]과 [교육학적으로 효과적인 것])에 대해서 [학생 관점]이 [비학생 관점]과 차이가 나타나는 것은 학생들이 학습을 지원하는 데 있어 중요한 역할을 충분히 이해할 수 있을 만큼 직장 학습을 아직 충분히 경험하지 못했음을 시사할 수 있다. 그들은 또한 그들이 경험한 교육의 효과를 이미 중시할지도 모른다. 실제로, 학습을 둘러싼 학생과 교사의 견해 차이는 다른 곳에서 보고되었다(Limniou와 Smith 2010).
Differences in student perspectives compared with non-student perspectives in relation to two factors (i.e. learning together in the workplace and pedagogical effectiveness) might suggest that students have not yet experienced workplace learning sufficiently to fully understand its important role in supporting learning. They might also already value the effectiveness of the teaching they have experienced. Indeed, differences in student and teacher perspectives around learning have been reported elsewhere (Limniou and Smith 2010).
연구의 방법론적 강점과 과제
Methodological strengths and challenges of the study
연구 참가자들의 여성 우위성을 포함한 유사한 특성은 호주 전역의 다른 의학, 간호, 연합 보건 및 보건 과학 시설(Brewer and Jones 2013; Brewer et al. 2017)과 유사한 것으로, 우리의 연구 결과가 특히 모나시 대학교에서 현지 연구 활동을 알리기 위해 다른 분야로 이전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The similar characteristics, including female dominance, of study participants to other medicine, nursing, allied health and health sciences facilities across Australia (Brewer and Jones 2013; Brewer et al. 2017) may mean that our findings are transferable to other areas, particularly in Monash University, to inform local research activity.
연구 시사점 및 결론
Study implications and conclusions
긍정적인 연구 문화의 중요성은 이전에 확인되었다(Ajjawi et al. 2018). 연구가 중시되고 뒷받침되는 환경, 리더십과 명확한 연구전략의 명확성, 이용가능한 자원(예: 자금, 시간, 전문성), 연구자가 협업관계를 발전시킬 수 있는 기회 등이 효과적인 연구문화 구축의 핵심요소로 보고되어 왔다. 긍정적인 동료 관계를 육성하고 연구와 리더십에 가치를 두는 그러한 환경은 연구에 대한 긍정적인 태도와 헌신을 길러야 한다(Holligan et al. 2011).
The importance of a positive research culture has been identified previously (Ajjawi et al. 2018). The relevance of an environment in which research is valued and supported, where leadership and a clear research strategy are evident, resources (e.g. funding, time, and expertise) are available and researchers are able to develop collaborative relationships, has been reported as key ingredients to establishing an effective research culture (Ajjawi et al. 2018). Such environments where positive collegial relationships are fostered and where value is placed on research and leadership is evident, should cultivate positive attitudes and commitment to research (Holligan et al. 2011).
Setting priorities for health education research: A mixed methods study
- PMID: 31141390
- DOI: 10.1080/0142159X.2019.1612520
Abstract
Introduction: Identifying priority research topics that meet the needs of multiple stakeholders should maximize research investment. Aim: To identify priorities for health education research. Methods: A three-stage sequential mixed methods study was conducted. Priorities for health education research were identified through a qualitative survey with 104 students, patients, academics, and clinicians across five health sciences and 12 professions (stage 1). These findings were analyzed using framework analysis and transposed into a quantitative survey whereby 780 stakeholders rated and ranked the identified priorities. Descriptive statistics identified priorities, exploratory factor analysis grouped priorities and differences between stakeholders were determined using Mann-Whitney U tests (stage 2). Six individual or group interviews with 16 participants (stage 3) further explicated the results from previous stages. Results: Of 30 priorities identified, the top were: how best to ensure students develop the required skills for work; how to promote resiliency and well-being in students; and ensuring the curriculum prepares students for work. For the majority of priorities, no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between different stakeholder groups. Conclusions: These findings will be used to inform health educational research strategy both locally and nationally. Further research should explore if setting priorities can be translated effectively into education research policy and practice.
'Articles (Medical Education) > 의학교육연구(Research)'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의료인문학 연구에 대해 다시 생각하기: Scoping review와 Narrative synthesis (Med Educ, 2016) (0) | 2020.09.18 |
---|---|
아무도 보지 않은 문제: 의학교육의 철학적 탐험(Teach Learn Med, 2020) (0) | 2020.09.18 |
포스트모더니즘과 의학교육(Acad Med, 2020) (0) | 2020.07.09 |
사회물질성에 대해 생각하기: 왜 의학교육에서 물질이 중요한가(Acad Med, 2020) (0) | 2020.07.09 |
아카데믹 메디신을 구성주의자의 렌즈로 다시 바라보기(Acad Med, 2020) (0) | 2020.07.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