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과대학과 강의의 이별 - 패러다임 변화인가 지나가는 유행인가?  (NEJM, 2017)

Saying Goodbye to Lectures in Medical School — Paradigm Shift or Passing Fad?

Richard M. Schwartzstein, M.D., and David H. Roberts, M.D.




전통적인 강의 기반 과정으로부터의 이탈은 미국의 의대에서 30년 이상 진행되어 왔다. 혁신은 문제 기반 학습의 도입에서부터 시작되었다. 보다 최근에는 강의 기반의 가르침은 TBL, IPE, 임상 의학과 기초 과학을 통합한 연습으로 점점 대체되고 있다. 그러나 최근의 이러한 변화는 증거에 근거한 것인가, 아니면 단지 의학 교육의 최신 유행에 불과한 것인가? 모든 강의는 지양해야 하는가?

the movement away from traditional lecture-based courses has been under way in U.S. medical schools for more than three decades. Transformation began with the introduction of problem-based learning; more recently, lecture-based teaching has increasingly been replaced by team-based learning, interprofessional education, and exercises integrating clinical medicine and basic science. But are the newest proposed changes evidence-based, or are they merely the latest fad in medical education? Are all lectures to be avoided?


오늘날 대부분의 의사들은 이용 가능한 생물의학 정보가 한 사람이 배우고 보유할 수 있는 정보를 초과한다는 것을 흔쾌히 인정한다. 그러나 학생들이 배워야 하는 콘텐츠의 양, 전통적인 교실 환경에서 학습이 가장 잘 이루어지는지 여부, 그리고 의료 훈련생들이 성공적인 평생 학습자 및 적응 가능한 개업의가 되기 위해 필요한 또 다른 사항은 무엇인지에 대해서는 여전히 의문이 남아 있다.

Most physicians today readily acknowledge that the biomedical information available exceeds what one person can learn and retain. Questions remain, however, regarding how much content students must learn, whether that learning is best done in traditional classroom settings, and what else is required for medical trainees to become successful lifelong learners and adaptable practitioners.


방대한 내용을 담은 수십 장의 파워포인트 슬라이드를 가지고 전통적인 강의를 하는 교육자들은 [가르치는 것]과 [학생들이 배우는 것]을 혼동할 수 있다. 즉, 교사가 정보를 제공했다는 사실이 학생들이 그것을 배웠다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사실, 인지 부하 이론은 우리의 뇌가 한번에 처리할 수 있는 정보의 양에 제한을 받는다는 것을 제안한다. 45분 안에 60개의 슬라이드가 [효과적인 교육 방법]처럼 보일 수도 있지만, [효과적인 학습 방법]이 될 것 같지 않다.

Educators giving a traditional lecture with dozens of content-heavy PowerPoint slides may confuse what they teach with what students learn: the fact that a teacher has presented a piece of information does not mean that students have learned it. In fact, cognitive-load theory suggests that our brains are limited in the amount of information they can process at a time3; 60 slides in 45 minutes may seem like an efficient way to teach, but it is unlikely to be an effective way to learn.


새로운 자료를 배우는 학생들도 '자신이 내용을 알고 이해했다는 환상'에 속아넘어갈 수도 있다.2 학생들이 유창하고 잘 표현된 자료를 듣거나 읽을 때, 그들이 이제 내용을 숙달했다고 믿는 것은 흔한 일이다.

Students learning new material may be deceived by the illusion of knowing and the fallacy of understanding.2 When students hear or read material that is fluent and well presented, it is common for them to believe they have now mastered the content.


의과대학들은 적극적인 학습과 팀 기반 활동을 강조하기 시작했다. 정보의 획득은 교실 밖에서 주로 발생한다: 인지과학에서 도출된 원칙에 따라, 사실적인 내용은 압도적으로 길지 않은 학습 과제에서 제시되고, 그 내용은 학생들이 그들의 이해 수준을 평가할 수 있도록 질문이나 문제들이 교차한다.

medical schools have begun emphasizing active learning and team-based activities. Acquisition of information occurs largely outside the classroom: in accordance with principles derived from cognitive science, factual content is presented in study assignments that aren’t overwhelmingly long, and the content is interspersed with questions or problems to ensure that students can assess their level of understanding.


교실 내에서, 학습은 교사에 의해 촉진될 수 있지만, 상당부분은 학생에 의해 추진drive되어야 한다. 증례는 수업자료의 관련성relevance을 확립하는 데 중요하다.

In the classroom, learning can be facilitated by the instructor, but it must be driven in large part by the student. Case vignettes are important for establishing the relevance of the material.


"무엇"(예: 저혈압의 원인이 무엇인가)로 시작하는 질문을 하는 대신, 강사들은 "어떻게"와 "왜" 질문을 사용해야 한다(예: "혈압 조절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이 환자는 왜 이런 상태에서는 저혈압이 될 것 같습니까?"). 학생들은 그들이 [지난 주에 토론한 사례]와 [새로운 사례나 예시]를 비교하도록 함으로써 지식의 전이를 더욱 촉진할 수 있다. [여러 개의 정답이 가능한 질문]은 담론과 대조적인 가설 생성을 장려하기 때문에 가장 바람직하다.

Instead of posing questions that begin with “what” (e.g., “What are the causes of hypotension?”), instructors can use “how” and “why” questions (e.g., “How do you think about blood pressure control?”; “Why would this patient be hypotensive under these conditions?”). Asking students to compare a new case or example with one they discussed the previous week further facilitates the transfer of knowledge.3 Questions for which there can be multiple right answers can be the most compelling because they encourage discourse and generation of contrasting hypotheses.


학생들이 집단으로 모여, 생각을 토론하고, 아이디어를 시험하고, 의사처럼 생각하는 법을 배우기 시작할 수 있도록 시간이 허용되어야 한다. 이러한 활동들은 사실을 암기하는 데 필요한 것보다 학생들의 노력을 더 필요로 하지만, 지식을 배우고 유지하는 데에도 더 효과적이다.2

Time must be allowed for students to work in groups to discuss thoughts, test ideas (both theirs and others), and begin to learn how to think like a doctor. These activities require more effort from students than it takes to memorize facts, but they are also more effective for learning and retaining knowledge.2


이른바 뒤집힌 교실 접근법은 밀레니얼 세대에 속하는 학생들에게 잘 어울린다.4

This so-called flipped classroom approach is well suited to students who are members of the millennial generation.4


밀레니얼은 온라인에서 정보를 찾는 것에 익숙해져 그들을 계속 참여시키고 짧은 세그먼트(예: 10분 미만의 비디오)로 제시되는 시각적 호소력 있는 콘텐츠로부터 가장 잘 배운다. 전통적인 강의는 많은 밀레니얼 학생의 관심에서 빠르게 멀어질 것이고, 참여하지 않는unengaged 학생들은 배우지 않을 것이다.

They are accustomed to finding information online and learn best from visually appealing content that keeps them engaged and is presented in short segments (such as videos that are less than 10 minutes long). The traditional lecture will quickly lose the attention of many of these students, and an unengaged student is not learning.


한 RCT에서... 

In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이전 과목에서 [상대적으로 성적이 좋지 않았던 학생]들은, [동료들과 교류하고 그들의 생각을 공유하는 것]이 준비에 도움이 되었기 때문에 통계적으로 시험 점수에 상당한 향상을 보였다. flipped classroom 접근법을 사용하는 교수들은 종종 모든 것을 "커버해야"야 한다는 요건의 폭압으로부터 해방되었다고 느낀다. 정보의 습득은 수업 외의 학생에 의해 이루어지기 때문에 교사와 학생 간의 상호작용은 이해하기 어려운 콘텐츠에 초점을 맞추고, 실제 문제에 새로운 개념을 적용하는 데 초점을 맞출 수 있다.

Students who had performed relatively poorly in prior courses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improvement in their exam scores — possibly because interacting with their peers and sharing their ideas prepared them better. Faculty using a flipped-classroom approach often feel liberated from the tyranny of the requirement to “cover” everything. Since acquisition of information is accomplished by the student outside class, interactions between teachers and students can focus on content that is difficult to understand and on the application of new concepts to real-world problems.


그럼 강의의 종말이 왔는가? 만약 "강의lecture"가 수동적으로 정보를 흡수하고 있는 많은 학생 집단 앞에 서서 이야기하는 전통적인 그림을 의미한다면, 그렇다, 우리는 대부분 의과대학에서 이러한 방식의 교육을 포기해야 한다고 생각한다. 그러나 만약 '강의'가 [미리 준비한 학생들과의 대규모 그룹 대화형 학습 세션, 청중들을 대상으로 한 질문, 그룹 토론을 위한 시간, 청중 응답 시스템 사용](예를 들어 이해를 위해 학생들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을 의미한다면, 우리는 대화형 강의 스타일은 남아있어야 하며 효과적인 교육 도구가 될 수 있다.

So is the lecture dead? If “lecture” refers to the traditional picture of a professor standing in front of and talking at a large group of students who are passively absorbing information, then yes, we believe medical schools should be largely abandoning that teaching format. But if it describes large-group interactive learning sessions with students who have prepared in advance, with frequent questions directed at the audience, time set aside for group discussion, and use of audience response systems (to poll students on a question to assess for understanding, for example), then we believe an interactive lecture style format should remain an option and can be an effective teaching tool.






, 377 (7), 605-607
 

Saying Goodbye to Lectures in Medical School - Paradigm Shift or Passing Fad?

Affiliations 

Affiliation

  • 1From the Division of Pulmonary, Critical Care, and Sleep Medicine, Beth Israel Deaconess Medical Center, and Harvard Medical School - both in Boston.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