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어로는 뭐라고 해요?' 국제적, 간-문화적 질적연구에서 번역을 성찰하기 (Perspect Med Educ, 2017)

‘How would you call this in English?’

Being reflective about translations in international, cross-cultural qualitative research

Esther Helmich1 · Sayra Cristancho2 · Laura Diachun2 · Lorelei Lingard2




도입

Introduction


의학교육의 절박한 문제를 탐구하는 것은 여러 국제 맥락과 문화에서의 연구를 요구하는 경우가 많다 [1, 2]. 그 결과, 의학 교육 연구자들은 다른 언어로 된 데이터를 수집하지만, 그들은 국제 과학계에서 협력하고 의사소통을 하기 위해 전형적으로 영어인 단 하나의 언어만을 사용할 것이다. 따라서, [여러 문화 팀과 영어의 보급을 위해 원래 언어에서 연구가 번역되는 팀 둘 다에 있어서] 의학 교육 연구는 번역의 필요성이 언제나 존재해왔다. 그러나 원어에서 영어로 번역하는 이 번역은 종종 무비판적으로 일어나 참가자들이 마치 영어로 통찰력을 공유한 것처럼 '완벽한' 인용구를 제공한다. 이러한 번역 전략은 출판된 작품에서는 매우 드물게 설명되며, 이는 연구 결과의 신뢰성과 전달성을 저해할 수 있다.

Exploring the pressing problems of medical education often calls for research in multiple international contexts and cultures [1, 2]. As a consequence, medical education researchers collect data in different languages, but they will commonly use only one language, typically English, to collaborate and communicate in the international scientific community. Therefore, medical education research implies an ever-present need to translate, both in cross-cultural teams and in teams where research is translated from its original language for dissemination in English. However, this translation from the original language into English often occurs uncritically, providing ‘perfect’ quotes as if the participants had shared their insights in English. Such translation strategies are very rarely described in published work, which may undermine the trustworthiness and transferability of study results.


번역은 언어가 하나의 (출처) 언어에서 다른 (대상) 언어로 변환될 때 일어난다[3]. 이 과정에 의해 기술적으로나 개념적으로 정확한 번역에 도달해야 한다[4]. 대상 언어의 문자 그대로 번역이 항상 소스 언어의 본질적인 의미를 표현하지는 않기 때문에 개념적 동등성이 중요하다[5].

Translation takes place when language is being converted from one (source) language into another (target) language [3]. By this process, an accurate translation should be reached, both technically and conceptually [4]. Conceptual equivalence is important since literal translations in the target language do not always express the essential meanings of the source language [5].


번역은 연구 과정의 다양한 단계에서 필요할 수 있다. 

Translation can be needed at different stages in the research process: 


A) 자료수집 전(예: 인터뷰 가이드 또는 설문지 개발) [6] 

B) 데이터 수집 시(예: 참가자와의 실시간 대화 중) [7] 

C) 자료 작성 중 (예: 대본 번역) [8]; 

D) 데이터 분석 중 (예: 번역 코드/테마) [9] 및 

E) 소견을 배포할 때(예: 인용문 번역) [10]

A) prior to data collection (e. g. developing the interview guide or questionnaire) [6]; 

B) at data collection (e. g. during real-time conversation with participants) [7]; 

C) during data preparation (e. g. translating transcripts) [8]; 

D) during data analysis (e. g. translating codes/themes) [9]; and 

E) at dissemination of findings (e. g. translating quotes) [10].


국제적 다언어, 다문화 연구에서의 번역

Translations in an international cross-language/ cross-cultural study


연구 묘사

Description of the study


  • 공동 데이터 분석을 허용하기 위해 우리는 네덜란드어 인터뷰의 일부를 영어로 번역했다; 이것은 네덜란드 의대생이 제1저자(EH)와 긴밀히 협력하여 한 것이다. 

  • 번역 과정 내내, EH는 대본의 모든 중요한 부분을 표로 복사했다. "중요한 부분"이라 함은, 번역이 도전적이거나 논쟁거리가 될 수 있는 예나, 번역이 특히 연구의 초점과 관련될 수 있는 예들을 의미한다. 

  • EH는 번역에 관한 논평이나 정당성과 함께 원문을 네덜란드어로, 그리고 문학적 또는 더 개념적인 영어 번역을 제공했다. 

  • 캐나다 연구자 중 한 명은 여러 차례에 걸쳐 이러한 번역에 응답하여 다른 번역이 가능한 것을 제안하거나 그녀의 캐나다 배경에서 정보를 제공하였다. 

  • 이어서 팀 토론[5][5]이 진행되었는데, 여기서 네 사람은 네덜란드와 캐나다의 관점에서 번역과 성찰에 대해 토론하였다. 다른 가능한 번역을 찾고, 우리가 단어, 개념, 그리고 두 맥락 사이의 차이점과 유사점에 대한 공유된 이해에 도달할 때까지 단어와 문화적 관념들을 고민해보았다.


  • To allow joint data analysis, we translated parts of the Dutch interviews into English; this was done by a Dutch medical student in close collaboration with the first author (EH). 

  • Throughout the translation process, EH copied all salient parts of the transcripts into a table. By salient, we mean instances where translation could be challenging or a matter of debate, or instances where translation could be particularly relevant to the focus of our study. 

  • EH provided the original text in Dutch, and a literal and/or more conceptual translation in English, together with comments or justifications regarding the translation. 

  • One of the Canadian researchers (LD) responded to these translations on multiple occasions, suggesting other possible translations, or offering information from her Canadian background. 

  • This was followed by a team discussion [5], in which the four of us discussed the translations and the reflections from both Dutch and Canadian perspectives, seeking other possible translations, playing with words and cultural notions, until we arrived at a shared understanding of the words, the concepts, and the differences and similarities between the two contexts.


번역의 어려움

Translation challenges


네덜란드어 데이터를 영어로 번역하려는 시도에서, 우리는 문법이나 구문 차이에 주의하고, 은유와 씨름하고, 의미론적 또는 사회언어적 뉘앙스를 포착하는 3차원의 번역 복잡성을 확인했다.

In our attempts to translate Dutch data into English, we identified three dimensions of translation complexity that we will describe below: 

  • attending to grammar or syntax differences, 

  • grappling with metaphor, and 

  • capturing semantic or sociolinguistic nuances.


문법 또는 구문 차이에 주의

Attending to grammar or syntax differences


네덜란드어와 영어 모두 게르만어지만, 시제나 관사, 명사 등 문법적 요소의 사용에서 차이를 발견했다.

Although both Dutch and English are Germanic languages, we found differences in the use of grammatical elements such as tenses, articles, or nouns.


네덜란드어에서는 한 사람이 한 기사('de dood')를 사용하지만, 문자 그대로 '죽음'의 번역은 특정한 강조를 주기 위해 영어로만 사용되었을 것이다. 예를 들어 '모든 사람이 자신이 선택한 죽음에 대해 희망한다'는 것이다.

In Dutch, one uses an article (‘de dood’), but the literal translation of ‘the death’ would only been used in English to give specific emphasis, for instance ‘everyone hopes for the death of their choosing’.


또 다른 예는 의료 교육에서 복잡한 상황을 이야기할 때 참가자들 중 한 명이 다음과 같은 구절을 한 것이다.

Another example was the following phrase by one of the participants when talking about complex situations in medical education:


은유와 씨름하기

Grappling with metaphor


은유나 관용적인 말을 번역할 때, 문자 그대로의 번역은 불만족스러웠다. 대신, 우리는 다르지만 개념적으로 동등한 은유를 찾기 위해 노력할 것이다.

When translating metaphors or idiomatic sayings, literal translations were unsatisfactory. Instead, we would endeavour to find a different, but conceptually equal metaphor.


다른 경우에 있어서, 우리는 네덜란드어로 된 원래의 구절의 문맥적 의미를 잃지 않고서는, 영어에서 적절한 은유를 찾을 수 없었다. 인터뷰에 응한 학생 중 한 명은 네덜란드 공통어로 '안락사', 합법적인 네덜란드어로 '요청 및 방조 자살' 그리고 영어로 '의사 보조 자살' 또는 '의사 보조 자살'이라고 불리는 것에 대해 이야기했다.

In other cases, we could not find an adequate metaphor in English, without losing the contextual meaning of the original phrase in Dutch. One of the students in the interviews talked about what is called ‘euthanasia’ in common Dutch, ‘termination of life on request and assisted suicide’ in legal Dutch and ‘physician-assisted death’, ‘physician-assisted suicide’ or ‘doctor-assisted dying’ in English.


네덜란드에서는 2002년 4월 1일부터 요청 및 구제에 따른 생명종식(재심 절차)법이 시행되어 매우 엄격한 상황에서 안락사와 의사의 도움을 받은 자살이 합법화되었다. 그러나 거의 15년이 지난 지금 네덜란드에서 안락사에 대한 논의는 이전에 안락사에서 제외되었던 환자들, 예를 들어 정신과 질환이나 치매로 고통받는 환자들을 포함하도록 확대되는 경향이 있다. 무엇이 '비탈 비탈길'이 될지, 너무 쉽게 안락사 요청을 할지도 모르는 의사들에 대한 우려가 표출되고 있다.

In the Netherlands, the Termination of Life on Request and Assisted Suicide (Review Procedures) Act took effect on 1 April 2002, legalizing euthanasia and physician-assisted suicide under very strict circumstances. After almost 15 years, however, the discussion about euthanasia in the Netherlands tends to be broadened to include patients who were previously excluded from euthanasia, for instance patients suffering from psychiatric diseases or dementia. Concerns are being expressed about what might become a ‘slippery slope’, and about doctors who may too easily grant euthanasia requests.


여기서, 연구자들의 전문적 배경과 문화적 맥락은 이 특정 구절에 대한 우리의 해석에 분명히 영향을 주었다.

Here, the professional backgrounds and cultural contexts of the researchers clearly influenced our interpretation of this particular phrase.


의미론적 또는 사회언어적 뉘앙스 포착

Capturing semantic or sociolinguistic nuances


언어는 사회문화적 요인에 의해 영향을 받고, 번역은 이러한 사회언어적 뉘앙스의 의미들을 포착하기 위해 노력해야 한다.

Language is influenced by social and cultural factors, and translations should try to capture these semantic of sociolinguistic nuances.


'옴브렝겐'의 예에서 알 수 있듯이, 문맥은 우리의 번역에 필요한 핵심적 차원이었다. 문맥적 뉘앙스에 주의를 기울인다는 것은 때때로 다른 상황에서 같은 단어를 다르게 번역하는 것을 의미했다.

As the example of ‘ombrengen’ illustrates, context was a key dimension informing our translations. Attention to contextual nuance sometimes meant translating the same word differently in different situations.


이러한 예에서, 우리는 주로 참가자가 설명하는 문맥에 기초한다. EH가 한 오디오 테이프를 들음으로써 의도된 의미에 대한 이해를 더욱 알릴 수 있지만, 우리는 이것이 번역에만 국한된 것이 아니라 보다 일반적인 분석적 접근이라고 생각한다. 이 시점에서, 우리는 필사본은 이미 번역본이라는 것을 깨달았다: 구어에서 문자로의 번역이다.

In these examples, we primarily built on the context described by the participant. Listening to the audio tapes, which EH did as well, can further inform the understanding of the intended meanings, but we think this is not unique to translations, but a more general analytic approach. At this point, we realized that a transcription is already a translation: from spoken language into written text.


이러한 예들은 ums와 ahs, 그리고 stop과 starts와 같은 [참가자가 사용하는 언어 구문이 번역에서 유지되어야 하는지] 그리고 [어떻게 유지되어야 하는지]에 대해 질문하게 만들었다. 번역에서 그러한 특징들을 정리하는 것은 가독성을 향상시킬 수도 있지만, 그것들이 위의 예에서처럼 원문에 의미를 더하는 천막성의 톤을 만들 때, 그러한 특징들을 유지하는 것이 중요할 수 있다.

These examples led us to question if and how the verbal syntax used by the participant, such as the ums and ahs, and the stops and starts, should be retained in the translation. Cleaning up such features in translation may improve readability, but when they create a tone of tentativeness that adds meaning in the original text, as in the examples above, it may be important to retain such features.


마지막 예는 일부 단어, 개념 또는 개념은 문맥적(문화적, 법적, 정치적)의 많은 의미를 담고 있기 때문에 대상 언어로 문자 그대로 번역될 수 없다는 것을 보여준다.

A final example shows that some words, notions or concepts cannot be translated literally in the target language, because they carry with them a host of contextual (cultural, legal, political) meanings.


번역에 있어서 문헌과의 관계

Relationship to the literature on translations


타당한 번역이란 무엇인가?

What is a valid translation?


연구 과정의 특정 단계에서 번역을 논의하기 전에, 우리는 '무엇이 타당한 번역인가?'라는 질문을 다루고자 한다. 이 질문으로 우리는 인식론적 논쟁[12]에 들어간다. 

    • 실증주의적 패러다임 내의 연구자들은 예를 들어 전문 번역가와 전향 번역과 같은 절차를 사용하여 원문의 '올바른' 버전에 도달하려고 노력하면서 객관성을 추구할 수 있다[8]. 

    • 그러나 구성주의적 접근법을 채택하는 학자들은 서로 다른 언어를 사용하는 사람들이 단 하나의 정확한 번역이 있을 수 없으며, 원천 언어와 대상 언어가 항상 특정한 문화와 정체성을 반영한다는 것을 인정하면서, 사회 생활을 보는 다른 방법을 구성한다는 것을 인정할 것이다[13]. 

번역 작업을 할 때는 의미와 개념적 등가성이 모두 도달하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14, 15]. 의미론적 등가성은 단어들이 정말로 같은 것을 의미하는지 여부에 따라 언어에 걸친 의미 전달과 관련이 있다[16]. 

Before discussing translations in specific stages of the research process, we want to address the question: ‘What entails a valid translation?’ With this question, we enter an epistemological debate [12]. 

    • Researchers within a positivist paradigm may strive for objectivity, trying to reach a ‘correct’ version of the text, for example by using professional translators and procedures such as forward-backward translation [8]. 

    • Scholars adopting a constructivist approach, however, will acknowledge that people who use different languages construct different ways of seeing social life, appreciating that there can be no single correct translation, and that both source and target language always mirror specific cultures and identities [13]. 

When engaging in translations, it is important to make sure that both semantic and conceptual equivalence are reached [14, 15]. Semantic equivalence is concerned with the transfer of meaning across languages, attending to whether words do really mean the same thing [16]. 


언어학자와 번역자는 다음과 같은 다른 종류의 의미를 구별한다. 

    • 참조적 의미(단어가 언급하는 아이디어 또는 대상) 

    • 함축적 의미(단어에 의해 유발되는 감정적 반응), 

    • 사회적 의미(특정 사회적 맥락에서 사용되는 단어) 또는 

    • 감정적 의미(언어가 화자의 견해와 감정을 어떻게 반영하는지) [14]. 

Linguists and translators distinguish between different types of meaning, such as 

    • referential meaning (the ideas or objects the word refers to), 

    • connotative meaning (the emotional response evoked by the word), 

    • social meaning (words that are used in a specific social context), or 

    • affective meaning (how words reflect the views and feelings of the speaker) [14]. 

이러한 뉘앙스의 예는 앞에서 설명한 것처럼 안락사에 관한 구절을 번역하는 우리의 투쟁에서 찾을 수 있다. 개념적 동등성은 사용된 단어가 두 문화권의 기초 개념과 동일한 관계를 가질 때 도달된다[16]. 우리가 개념적 동등성에 도달하는데 어려움을 겪은 한 예는 앞에서 설명한 것처럼 '고데 헐프버러너샤프'를 번역하려고 했을 때였습니다.

An example of these nuances can be found in our struggles with translating the phrase about euthanasia, as we described above. Conceptual equivalence is reached when the words used have the same relationship to underlying concepts in both cultures [16]. One instance where we encountered difficulties in reaching conceptual equivalence was when we tried to translate ‘goed hulpverlenerschap’, as we described above.


구성주의 학자들은 번역을 [일정 수준의 언어 능력을 가진 전문 번역가 또는 연구자들에 의해 공개적인 대화로 수행되는 연구 과정의 일부]로 가시화시키고, 번역을 언어 동등성language equivalence의 '산출물'이 아니라 '실천'으로서 재개념화할 것을 주장한다[17]. 그 결과, 연구자와 번역자 모두에 대해서 역할과 인구통계학적 특성을 투명하게 보고하는 것이 데이터 구축에 어떤 영향을 미쳤을지 반성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간주된다[4, 10, 12].

Constructivist scholars advocate to make translation visible as part of the research process, carried out in open dialogue by professional translators and/or researchers with a certain level of language competence, and to re-conceptualize translation as a practice rather than a product of language equivalence [17]. As a consequence, it is deemed critical to transparently report the roles and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both researchers and translators, reflecting on how they may have influenced the construction of data [4, 10, 12].


번역자는 적어도 사회언어적 역량을 가져야 한다는 공감대가 있다[11]. 우리 자신의 연구에서는 EH가 주요 번역가였고 이러한 기준에 따라 자격을 갖춘 유일한 팀원이었습니다.

There is consensus that a translator should have at least sociolinguistic competence [11]. In our own study, EH was the main translator and the only team member qualified according to these criteria.


분석 중간의 번역

Translating during analysis


네덜란드어 데이터를 분석하기 시작했을 때, 우리는 개방형 코딩의 첫 번째 단계가 영어로 되어야 하는지 아니면 네덜란드어로 되어야 하는지를 고려했다. 인터뷰의 원문과 EH의 제1언어인 네덜란드어 코딩 언어는 면접에서 참가자들의 서술적 보고서에 관여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직관적으로 더 쉬워 보였다. 그러나 과학 문헌 EH 읽기와 쓰기의 대다수가 영어로 되어 있고, 나머지 연구팀들은 네덜란드어로 쓰여진다면 그녀의 개방형 코드와 교전할 수 없기 때문에, 우리는 모든 단계의 코딩이 영어로 되어 있을 것이라고 결정했다.

When we started analysing our Dutch data, we considered whether the first stage of open coding should be in English or in Dutch. As the original text of the interviews and the first language of EH, Dutch as the language for coding seemed intuitively easier as a means of engaging with participants’ narrative reports in the interviews. However, since the vast majority of the scientific literature EH reads and writes is in English, and the rest of the research team could not engage with her open codes if they were written in Dutch, we decided that coding in all stages would be in English.


특히 근거이론 연구를 할 때, 그러나 다른 방법론에서도 초기 코딩에서 중간 코딩, 더 나아가 고급 분석으로 이어지는 다른 순간에는 숙고하여 번역에 대한 선택을 해야 한다[9]. 원어로 초기 코딩을 하면 본문에서 일어나는 일에 대한 대응이 용이해질 수 있다. 이것은 모국어로 더 편안함을 느끼는 연구자들에게 도움이 될 수 있지만, 문법과 구문이 언어에 따라 다르기 때문에 관련이 있을 수도 있다. 그러나, 코딩의 초기 단계에서 번역 노력을 시작하는 것에도 이점이 있다. 그리스어, 이탈리아어 또는 스페인어와 같은 변곡 언어에서의 초기 코딩은 소스 언어에서 더 쉬울 수 있지만, 영어를 더 분석적인 언어로 사용하는 것은 추상화를 촉진할 수 있다[18].

In particular when doing grounded theory research, but also within other methodologies, one should deliberately make choices about translations at different moments, going from initial coding, to intermediate coding and more advanced analysis [9]. Doing the initial coding in the original language may facilitate the response to what is going on in the text. This can be helpful for researchers who feel more comfortable in their own mother tongue, but may also be relevant as grammar and syntax vary across languages. However, there are also advantages to beginning translational efforts at the earliest stages of coding. Whereas initial coding in an inflectional language, such as Greek, Italian or Spanish, may be easier in the source language, the use of English, as a more analytic language, may facilitate abstraction [18].


언어 간의 다른 구조적 차이도 소위 동명사(언어가 명사가 되는 말, 또는 '(-ing word)', 예를 들어 춤, 의심, 데이트 등)의 사용과 같이 코딩 언어의 선택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근거이론 연구자들은 역동적인 움직임을 나타내고 사회적 과정을 강조하기 위해 그러한 '동명사'의 선호되는 사용에 익숙할 수 있지만 [19], 예를 들어 인도네시아어 [5] 또는 이탈리아어 [18]와 같은 여러 언어의 '동명사'에 상응하는 것이 없다는 사실을 알지 못할 수 있다. 우리 자신의 연구는 같은 (인도-유럽어) 언어군에 속하는 두 개의 다른 언어를 포함했으며, 두 언어 모두 다소 분석적인 것으로 간주될 수 있다. 그러나, 영어만큼 동명사가 네덜란드어에 많이 있지는 않다. 두 언어의 구조적인 유사점과 영어에서 동명사gerunds를 사용할 수 있는 가능성 둘 다, 영어로 코딩을 하기로 한 우리의 결정을 지지했다.

Other structural differences between languages may also have implications for the choice of the coding language, such as the use of so-called gerunds (verbs becoming nouns, or ‘-ing words’, e. g. dancing, doubting, dating). Grounded theory researchers may be familiar with the preferred use of those gerunds to indicate dynamic movement and emphasize social processes [19], but may not be aware of the fact that there is no equivalent of ‘gerund’ in several languages, for example in Indonesian [5] or Italian [18]. Our own study involved two different languages that both belong to the same (Indo-European) language family, and can both be considered rather analytic. However, gerunds are not as prevalent in Dutch as in English. Both the structural similarities between the two languages, and the possibility to use gerunds in English, supported our decision to do the coding in English.


다른 언어로 코딩하는 것은 [해석을 향상시킬 수 있고, 원래 언어source language로 decode하고, 목적 언어target language로 recode 하는 것을 필요로 하는 지속적 번역과정이므로] 도전이기도 하지만, 동시에 자원resource이기도 하다. 두 언어로 decode and recode하는 이러한 지속적 과정은 연구자가 데이터를 이해할 수 있는 강력한 절차가 되기도 한다[18].

Coding in another language can be considered a challenge, but also a resource, since it may enhance the interpretation, requiring continuous acts of translation, including decoding in the source language, and recoding in the target language. This continuing process of decoding and recoding in the two languages represents a powerful procedure that allows the researcher to make sense of the data [18].


논문쓰기 중간의 번역

Translating during writing up


글을 쓰면서 번역을 할 때 가장 중요하게 깨달아야 할 것은, 일반적으로, 번역 문제에 대해 아무런 언급도 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마치 문제가 없는 것처럼 말이다. 종종 데이터(문구)는 참가자가 대상(영어) 언어에 유창했던 것처럼 제시되는데, 이는 항상 (대부분은!) 경우가 아니다[10]. 한 언어에서 다른 언어로 옮기고 양쪽 언어로 일관성 있는 텍스트를 가지려고 노력하는 것, 즉 목표 언어에서 정상 소리 또는 정상 읽기 텍스트를 생성하는 것은 원본에 있었던 내용을 수정하는 것을 의미하며, 억제 또는 추가가 필요하다[20]. 

When it comes to translating at writing up, the most important thing to realize may be that, generally, no reference is made to translation issues, as if it were unproblematic. Often data (quotes) are presented as if the participant was fluent in the target (English) language, which is not always (almost never!) the case [10]. Moving from one language into another and trying to have coherent texts in both, i. e. producing a normal-sounding or normal-reading text in the target language, implies making alterations of what was there in the original, requiring suppressions or additions [20]. 


인류학 내에서, 원본 텍스트의 다른 점에 관해서, 일부 작가들은 '못생긴' 번역을 선호하는데, 이것은 읽기 쉽지 않고, 근본적으로 '원어주의적sourcist'이고, 과도하게 맥락화하지만, 그렇기 때문에, 완벽하게 명확하다. 원본 텍스트와 하나 이상의 가능한 번역 모두를 설명 각주 또는 주석과 함께 제시하면 텍스트와 텍스트의 세계를 실제로 열려고 하는 공동 번역 관행이 독자에게 전달된다[20]. 우리는 위와 같은 '통보되지 않은' 번역의 몇 가지 예는 다음과 같다.

Within anthropology, in respect for the otherness of the source text, some writers favour ‘ugly’ translations, that are not easy to read, being radically ‘sourcist’ and radically contextualizing but, as such, perfectly clear. Presenting both the original text and one or more possible translations, together with explanatory footnotes or comments, conveys a collaborative translation practice which seeks to really open up both a text and its world to the reader [20]. We have provided some examples of these ‘annotated’ translations above.


성찰

Reflections


국제 질적 연구 협력에서 번역에 대한 우리의 경험을 되돌아볼 때, 우리가 배운 가장 중요한 교훈은 세 가지다. 

  • 첫째로, 우리는 팀으로서 그리고 개인 연구자로서 국제 연구 공동체에서 항상 존재하는 번역의 필요성에 대해 의식적으로 인식하지 못했다는 것을 깨달았다. 이것은 캐나다 태생의 두 연구원들에게 분명히 사실이었다. 그러나 영어가 모국어가 아닌 팀의 다른 두 멤버들 조차도 이전에 이 문제에 대해 명시적으로 반성한 적이 없었다. 

  • 둘째로, 우리는 번역의 어려움이 언어의 차이뿐만 아니라, 예를 들어 정치, 경제, 교육 시스템, 그리고 의료의 조직과 자금조달에 관한 문화적 또는 사회적 차이와도 관련이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 셋째는, 문화적 차이를 탐구, 축하celebrate하는 것이다. 우리는 라틴 아메리카, 아라비아 또는 아시아 문화를 포함한 문화 간 연구에 비해 [서구 선진국들 사이에서의 문화적 차이가 상대적으로 제한적으로 보일 수 있다는 것]을 인정한다. 그러나, 단어와 개념을 가지고 고민하고, 그리고 (때로는 매우 노력하여!) 미묘한, 문화적인 개념의 의미를 서로에게 전달하기 위해 노력함으로써, 어떤 차이점은 실질적이고 예상치 못한 것으로 드러났다. 따라서 번역에 대해서 성찰적인 자세를 가진다면, 풍부하고, 보람 있고, 자극적이고, 영감을 주는 작업이 되며, 그리고 이러한 관점에서 보자면, 성찰적인 번역은 의학 교육 연구 분야를 더욱 향상시킬 수 있는 유망한 길이라 볼 수 있다.

When reflecting on our experiences with translations in an international qualitative research collaboration, the most important lessons we have learned are threefold. 

  • First, we realized that we, as a team and as individual researchers, had not been consciously aware of the ever-present need to translate in an international research community. This was clearly true for the two Canadian-born researchers. But even the other two members of the team, for whom English is not their first language, had never explicitly reflected on this issue before. 

  • Second, we came to appreciate that translation challenges arise not only from differences in language, but also pertain to cultural or societal differences regarding for example politics, economics, educational systems, and the organization and financing of healthcare. 

  • This relates to our third lesson, which is about exploring and celebrating cultural difference. We do acknowledge that the cultural differences between two Western, developed countries may seem relatively limited, in comparison to cross-cultural research including Latin-American, Arabian, or Asian cultures. However, by playing around with words and concepts, and by working (sometimes effortfully!) to convey to each other the nuanced, culturally flavoured meanings of notions, some differences turned out to be substantial and unexpected. Being reflective about translations thus proved enriching, rewarding, stimulating and inspiring, and from that angle, can be considered a promising avenue for further enhancing the field of medical education research.


따라서 결론적으로, 우리는 연구자들이 연구 과정의 다른 단계들을 통하여 질적 연구에서의 번역과 관련하여 그들이 선택하는 선택에 대해 비판적이고 의식적이어야 한다는 것을 강조하고 싶다. 이는 연구자들이 경험적 연구 논문의 '방법' 표제 아래 자신의 번역 전략을 명시적으로 기술하고 있으며, 원고에 '못된' 번역이나 '알려지지 않은' 번역도 일부 포함하고 있음을 암시한다. 특정 번역 전략에 대한 선택은 연구자들의 인식론적 입장을 반영해야 하며, 따라서 연구의 신뢰성과 품질을 더하여 참가자들을 진정으로 반영하는 정성적 결과를 산출할 가능성이 높다.

Thus, as a conclusion, we would like to emphasize that researchers should be critical and conscious of the choices they make regarding translations in qualitative studies, throughout the different stages of the research process. This implies that researchers explicitly describe their translation strategies, most likely under the ‘methods’ heading of empirical research papers, and that they include some of their ‘ugly’ or ‘annotated’ translations in the manuscript. The choice for a specific translation strategy should mirror the epistemological position of the researchers, and as such, is likely to add to the trustworthiness and quality of the research, producing qualitative findings truly reflective of the participants.







. 2017 Apr;6(2):127-132.
 doi: 10.1007/s40037-017-0329-1.

'How Would You Call This in English?' : Being Reflective About Translations in International, Cross-Cultural Qualitative Research

Affiliations 

Affiliations

  • 1Center for Education Development and Research in Health Professions, University of Groningen, Groningen, The Netherlands. e.helmich@umcg.nl.
  • 2Centre for Education Research & Innovation and Department of Medicine, Schulich School of Medicine & Dentistry, Western University, London, Ontario, Canada.

Abstract

Introduction: Medical education researchers increasingly collaborate in international teams, collecting data in different languages and from different parts of the world, and then disseminating them in English-language journals. Although this requires an ever-present need to translate, it often occurs uncritically. With this paper we aim to enhance researchers' awareness and reflexivity regarding translations in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In an international study, we carried out interviews in both Dutch and English. To enable joint data analysis, we translated Dutch data into English, making choices regarding when and how to translate. In an iterative process, we contextualized our experiences, building on the social sciences and general health literature about cross-language/cross-cultural research.

Results: We identified three specific translation challenges: attending to grammar or syntax differences, grappling with metaphor, and capturing semantic or sociolinguistic nuances. Literature findings informed our decisions regarding the validity of translations, translating in different stages of the research process, coding in different languages, and providing 'ugly' translations in published research reports.

Discussion: The lessons learnt were threefold. First, most researchers, including ourselves, do not consciously attend to translations taking place in international qualitative research. Second, translation challenges arise not only from differences in language, but also from cultural or societal differences. Third, by being reflective about translations, we found meaningful differences, even between settings with many cultural and societal similarities. This conscious process of negotiating translations was enriching. We recommend researchers to be more conscious and transparent about their translation strategies, to enhance the trustworthiness and quality of their work.

Keywords: International collaboration; Qualitative research; Translations.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