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가의 공정성 수호하기: 어떻게 교수자가 공동-실천하는가 (Med Educ, 2022)
Safeguarding fairness in assessments—How teachers develop joint practices
Linda Barman1 | Cormac McGrath2 | Staffan Josephsson3 | Charlotte Silén4 | Klara Bolander Laksov2,4

 

1 소개
1 INTRODUCTION

보건 전문가 교육에서 [학생 학습에 대한 평가]는 중심적이지만 어려운 과제이다. 한 가지 과제는 미리 정의된 표준의 적용을 통해 투명성을 달성하는 동시에 교사의 전문적인 판단을 인정하는 것이다. 지난 수십 년 동안 성과 기반 및 역량 기반 커리큘럼 개혁은 [투명성]과 [공공 책무]의 강화를 추진해 왔다. 그러한 투명성을 달성하기 위한 한 가지 방법은 평가 기준을 명시하는 것이다. 그러나 역량, 평가 타당성 및 신뢰성을 포착하는 의미 있는 기준의 개발이 논의된다. 명시적 채점 기준은 학생들이 학습할 것으로 기대되는 내용의 투명성을 높이는 것으로 알려져 있지만, ['일부' 역량만을 선호함]으로써 [역량의 통합적 평가]를 위험에 빠뜨릴 수 있다. 
The assessment of student learning in health professions' education is a central, yet challenging task.1, 2 One challenge involves achieving transparency through the application of pre-defined standards, while also acknowledging teachers' professional judgements. For the past decades, outcome-based and competency-based curriculum reforms have pushed for enhanced transparency and public accountability.3-5 One way to achieve such transparency has been to make the assessment standards explicit.3, 5 However, the development of meaningful criteria capturing competency, assessment validity and reliability are debated.5-9 Explicit grading criteria are known to increase the transparency of what students are expected to learn but may endanger the assessment of integrated competency in favour of ‘pieces of’ competencies.10-12 

다양한 평가 방법의 결과와 평가자 등급의 변동 이유(판단 및 피드백 제공의 숙련도 포함)에 대해서는 많이 알려져 있지만, [임상 교사가 어떤 식으로 평가 관행을 개발하고 평가 표준을 이해하는지]에 대해서는 거의 알려져 있지 않다. Gordon과 Cleland16은 최근 문맥상 변화 관행을 이해하기 위한 비선형 접근법을 요구했다. 이 서술적 연구는 이러한 비선형 접근법을 사용하여 보건직 교사들이 시간에 따라 평가 관행에 대해 어떻게 가고, 명확한 평가 기준을 강조하는 정책과 관련하여 경험적 기반 발견을 기여함으로써 변화 관행에 대한 복잡성을 풀어나간다. 본 연구의 목적은 학생들의 임상 역량을 평가하기 위한 공유 기준이 개발 및 구현될 때 교사의 평가 관행이 어떻게 바뀔 수 있는지를 이해하는 것이다.

While much is known concerning the outcomes of different assessment methods,13 and the reasons for variation in assessor ratings including proficiency in making judgements and providing feedback,14, 15 little is known about how clinically oriented teachers develop assessment practices and make sense of assessment standards. Gordon and Cleland16 recently called for non-linear approaches to understand change practices in context. This narrative study uses such a non-linear approach to unravel the complexity of change practices by contributing empirical-based findings concerning how health professions teachers go about their assessment practice, over time, and in relation to policies emphasising clear assessment criteria. The aim of the present study is to understand how teachers' assessment practice may change when shared criteria for assessing students' clinical competency are developed and implemented.

 

1.1 평가 및 기준에 대한 교사의 접근 방식
1.1 Teachers' approaches to assessment and standards

평가자마다 평정이 다른 이유에 대해 여러 가지 설명이 있다. 예를 들어, 학생 성취도는 [개별 특성의 사회적 분류]에 기초하여 판단된다. Kogan 등은 교수진의 임상 기술 평가 사이에 변화를 초래하는 몇 가지 요인을 보고한다. 그들은 교육 환경, 독특한 임상적 만남, 제도적 문화와 같은 [평가 상황에서 맥락적 요인의 영향]을 강조한다. 17 [교사의 인식론적 관점]은 또한 그들의 평가 관행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기본적인 가정은 '생명을 가지게 되며come to life' 의료 전문가들이 의료행위를 하는 [사회 및 문화적 맥락]의 통합된 부분이다.20 [제정된 견해enacted view]는 평가자의 판단 사이의 차이를 설명할 수 있으며, 또한 연구에 따르면 교사들은 평가의 기능을 다른 방식으로 고려할 수 있다. De Jongge 등은 작업 기반 성과 평가의 다양한 관점에 관한 문헌의 주요 주제를 확인했습니다.

  • (1) 학습에 대한 평가 대 학습에 대한 평가, 
  • (2) 역량의 전체론적 개념화 대 분석적 개념화 
  • (3) 심리측정학 대 사회구성주의 접근법 

There are a number of explanations as to why assessors' ratings differ, for example that student performance is judged based on social categorisations of individual charachteristics.14 Kogan et al.17 report several factors leading to variation between faculty members' assessments of clinical skills. They emphasise the influence of contextual factors in the assessment situation, such as the educational setting, the unique clinical encounter and the institutional culture.17 Teachers' epistemological views are also known to influence their assessment practices.41819 Such fundamental assumptions ‘come to life’ and are an integrated part of the social and cultural context in which health professionals practice.20 Enacted views may explain the variation between assessors' judgements, and also, research suggest that teachers regard the function of assessment in different ways.151821 de Jonge et al.21 identified key themes in the literature regarding different perspectives of work-based performance assessments:

  • (1) assessment for learning versus assessment of learning,
  • (2) holistic versus analytical conceptualisations of competence and
  • (3) psychometric versus social-constructivist approaches.

Hodges22는 [심리측정학 담론]이 평가에 관한 [의학 교육 연구]뿐만 아니라 [교육자]들 사이에서 사고와 실천의 한 방식이었던 방법을 상세히 설명한다(예를 들어 숫자를 이용한 피드백을 제공하는 것이 여기에 해당한다). 단어보다 [숫자를 사용]하는 것은 철학적 가정을 반영하고 시간을 절약할 수 있지만, 연구원들은 이런 방식을 주의할 것을 촉구하고, [평가와 피드백 방법의 조합]의 가치를 강조하며, 다른 목적에 도움이 될 수 있다고 제안한다.23 유사한 논거를 사용하여, 프로그래밍 평가의 옹호자들은 학생들의 능력을 다양한 방법으로 포착하는 더 긴 기간에 걸친 다양한 형성적 및 종합적 평가 방법을 제안한다.1, 24

Hodges22 details how the psychometric discourse has not only dominated the medical education research regarding assessments but also how it has been a way of thinking and practising among educators, for example, by providing feedback using numbers. The use of numbers rather than words reflects philosophical assumptions and may save time, but researchers urge caution and suggest a combination of rating and feedback methods could be valuable and serve different purposes.23 Using a similar rationale, advocates of programmatic assessment suggest a variety of formative and summative assessment methods over longer periods of time that capture students' capabilities in various ways.1, 24

많은 연구가 설명적 요인과 성공적인 평가 방법의 확인에 관한 것이지만, 시간이 지남에 따라 교사들의 시각이 어떻게 변할 수 있는지에 대한 연구는 거의 없다. 본 논문에서, 우리는 교사의 관행 개발을 다루고, 학생들의 평가 표준, 자유방임주의 접근법, 명시적 접근법, 사회-건설주의 접근법 및 실천 공동체 접근법에 대한 교사의 다양한 접근 방식을 개략적으로 설명하는 O'Donovan 등의 19 프레임워크를 적용한다.19

  • 평가에 대한 [자유방임적 접근법]은 학생들이 기준이 어떻게 정해지고 질이 어떻게 평가되는지를 점차적으로 '알게' 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자유방임주의로 접근하는 교사들은 우연한 방식으로 비공식적으로 전달되는 암묵적인 기준에 따라 성과를 판단한다.
  • [명시적 접근법]은 기준을 명시적으로 그러나 수동적으로 명확히 설명하는 평가 기준에 의해 특징지어진다. 이 접근법은 교사들이 소위 명시적인 기준에 너무 많이 의존하게 만든다는 비판을 받아왔다.
  • [사회 구성주의 접근법]은 평가 관행과 관련하여 공동 참여를 인정한다. 학생들은 적극적으로 참여하며, 다양한 활동을 통해 평가 기준에 익숙해져 실제 의미에 대한 이해를 형성합니다.6
  • 네 번째 접근법은 벵거의 26가지 [실천 공동체 이론]에 기초한다. 교사와 학생이 평가 실천에 상호 참여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점을 인정하며, 이를 통해 학습 공동체 내의 명시적 기준과 암묵적 지식이 논의되고 공유되어 상호 이해를 형성한다.

While much research concern the identification of explanatory factors7, 14, 17 and successful methods for assessments,13, 25 little is devoted to how teachers' views may change over time. In this paper, we address teachers' development of practices and apply O'Donovan et al.'s19 framework, which outlines teachers' different approaches to developing students' understanding of assessment standards, the laisse-faire approach, the explicit approach, the social-constructivist approach and the community of practice approach.19 

  • Practising the laisse-faire approach to assessment means students gradually come to ‘know’ how standards are set and how quality is assessed. Teachers with a laissez-faire approach judge performances according to tacit standards that are informally communicated in serendipitous ways.
  • The explicit approach is characterised by assessment criteria that articulate standards explicitly but passively. This approach has been criticised for making teachers rely too much on so-called explicit criteria.
  • The social-constructivist approach acknowledges joint participation with respect to evaluative practice. Students are actively engaged and, through various activities, become familiar with assessment criteria to create an understanding of what they mean in practice.6 
  • The fourth approach builds on Wenger's26 theory of community of practice. It acknowledges the importance of teachers' and students' mutual engagement in the assessment practice, whereby explicit standards and tacit knowledge within the learning community are discussed and shared to form mutual understanding.

2 방법
2 METHODS

2.1 서술적 연구 접근법
2.1 A narrative research approach

이 연구는 인간이 경험을 서술형으로 구성함으로써 어떻게 그들의 경험에 의미를 부여하는가에 대한 서술 이론에 기초하고 있다. [서사적 감각 형성]은 [사람들이 행동과 경험을 설명하기 위해 과거, 현재, 미래의 사건들을 서술로 연결시키는 것]을 의미한다. 브루너는 세상을 이해하는 [두 가지 보완적인 방법]이 있다고 주장한다. [논리-과학적] 그리고 [서사적]. 

  • [과학]은 일반적인 원인을 찾기 위해 논리를 사용하는 첫 번째 것과 경험적 탐구를 통해 검증 가능한 진리를 검증하는 것에 의해 뒷받침된다. 그러나
  • [서사적 감각 형성]은 인간이 일상 생활에서 다른 사건들을 연결함으로써, [자신과 타인의 행동을 어떻게 설명하는지]를 다룬다. 이러한 [스토리가 있는 연결]이 진화하면 모순과 여러 의미를 포함할 수 있습니다. 

This study is based on narrative theory about how humans bring meaning to their experiences by structuring them as narratives.27-29 Narrative sense-making means that people connect past, present and future events into narratives to explain actions and experiences.3031 Bruner27 argues that there are two complementary ways to make sense of the world: the logico-scientific and the narrative.

  • Science is underpinned by the first, in which logic is used to find general causes, and through empirical explorations test verifiable truths.
  • Narrative sense-making, however, deals with how humans explain the actions of themselves and others by making connections between different events in their everyday lives.27 When these storied connections evolve, they may contain contradictions and multiple meanings.28 

이 연구의 근거는 [실천의 발전]은 모순으로 가득 차 있고, 교육 실천을 개선하기 위해서는 [교사들이 변화와 관련된 경험을 어떻게 이해하는지] 더 잘 이해하는 것이 필수적이라는 것이다. [서사의 강점]은 [인간 생활의 지저분하고 모순된 측면]을 조명하는 생동감에 있다. 교사들이 학문과 임상 업무의 다양성에 관여할 때, 그들의 의도는 정적이지 않으며, '능력 개발'의 결과물도 아니다. 오히려 다른 실천방법이 시험되고 반영됨에 따라 의도는 지속적으로 변화한다.

The rationale of this study is that development of practice is filled with contradictions and that a better understanding of how teachers make sense of experiences related to change is essential to improve educational practice. The strength of narratives is their lifelikeness, which illuminates the messy and contradictory aspects of human life.27 When teachers engage in the diversity of academic and clinical work, their intentions are not static or the result of ‘a competence development’. Rather, intentions change continuously as different ways of practising are tested and reflected upon.

2.2 연구 및 샘플링의 맥락
2.2 Context of study and sampling

이번 연구는 스웨덴 고등교육 내 명확한 등급기준 등 투명성을 강조하는 국가개혁과 연계해 진행됐다. 스웨덴 대학은 채점 기준을 어떻게 적용할지를 자율적으로 결정할 수 있기 때문에 대학, 과정, 심지어 학과 내에서도 차이가 있다. 스웨덴의 학습 프로그램은 [과정 기반 시스템]을 중심으로 구성되며, 각 과정이 끝난 후 학생들의 성과를 평가하고 채점하며, 일반적으로 5주 또는 10주 동안 지속된다. 스웨덴에서, [과정 리더]는 수업 요강을 개발하고, 평가와 채점 기준을 결정하며, 보통 시험관의 공식적인 역할을 맡지만, 다른 교사들은 학생들의 성과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의학 및 보건직 교육에서, 각 강의 요강은 커리큘럼과 연계된 학습 결과를 명시해야 하며, 따라서 의도된 대학원 역량으로 연결되어야 한다.4 세부 수준과 학습 성과가 표현되는 방법은 과정마다 다르지만, 일반적으로 채점 기준은 학생 성과에 대한 요구사항을 명시한다.
This study was conducted in conjunction with national reforms stressing transparency such as clear grading criteria within higher education in Sweden. Universities in Sweden have the autonomy to decide how grading criteria are applied, and therefore, there is variation between universities, courses and even within departments. Study programmes in Sweden are organised around a course-based system, where students' performances are assessed and graded after each course, which generally lasts for 5 or 10 weeks. In Sweden, course leaders are mandated to develop the course syllabus, decide assessments and grading criteria and usually have the formal role of examiner, but other teachers can provide input on student performance. In medical and health professions education, each syllabus should specify learning outcomes that are linked to the curriculum and thus to the intended graduate competency.4 The level of detail and the way that learning outcomes are expressed varies between courses but, in general, grading criteria specify the requirements on student performance.

우리의 심층 서술적 연구 접근법에 따라, 우리는 이론에 기초한 표본추출을 사용하여 하나의 [교육적 설정]을 선택했다. 17 우리는 [커리큘럼 개혁에 대한 이데올로기적 접근]에 의해 설명되는 것과 유사한 학생 중심의 학습 관점에 따라, 광범위한 해석에 기초하여 정책을 번역하는 주요 커리큘럼 변경을 시행한 9명의 교사를 모집했다.32 모든 9명의 교사들, 남자, 여자, 모두 병원 현장에서 일했고 스웨덴 대학에 의해 제공되는 하나의 건강 전문 교육에서 주요 과정의 계획, 전달 및 평가(형성 및 종합 평가 포함)를 담당했다. 지난 10년 동안, 학습 프로그램의 대부분의 과정에 대한 책임은 이 교사들 사이에서 돌아가며, 그들은 각각 여러 과목의 과정 지도자와 시험관이었다.
In accordance with our in-depth narrative research approach, one educational setting was chosen using theory-based sampling.17 We recruited nine teachers who had implemented major curriculum changes where they translated policy based on a broad interpretation in line with a student-centred view of learning, similar to what is described by the theoretical construct ideological approach to curriculum reform.32 All nine teachers, men and women, worked at a hospital site and were responsible for the planning, delivery and evaluation (including formative and summative assessments) of the main courses in one health professions education offered by a Swedish university. In the last 10 years, responsibility for the majority of courses in the study programme had rotated between these teachers, who each had been course leaders and examiners for several courses.

이 연구는 교사들에 의해 시작된 [평가 관행을 개선하기 위한 개입]과 함께 수행되었습니다. 교사들은 서로 다른 수준의 공부에서 세 명의 학생들을 모집했고 그들이 각각 다른 환자들을 검사하면서 그들을 비디오로 촬영했다. 검사에는 이력서 작성, 신체검사, 기술기기 취급, 진단 전 소견 해석, 치료 권고 등이 포함됐다. 검사는 약 1시간이 소요될 것으로 예상되었으며 학생들의 최종 임상 기술 검사와 유사한 임상 훈련 환경에서 실제 환자를 대상으로 수행되었습니다. 그 후 교사들은 5개월 간격으로 세 차례에 걸쳐 만났다. 처음 두 번의 회의 동안 모든 교사가 비디오를 시청하고 개별적으로 평가를 수행한 후 평가 결과와 기준 해석에 대해 공동으로 논의하였다. 두 회의 모두 다단계 순위와 전문적 행동에 대한 명확화 등 기준을 개선했다. 두 번째 기준 토론 후 5개월 후, 교사들은 기준 템플릿을 완성하기 위해 다시 만났다. 미팅 사이에 그들은 개정된 기준을 실무에 적용했다.

This study was conducted in conjunction to an intervention initiated by the teachers to enhance their assessment practice. The teachers recruited three students from different levels of study and videotaped them as they each examined different patients. The examination included history-taking, physical examination, handling technical devices, interpretation of findings before diagnosis and recommendations for treatment. The examination was expected to take approximately 1 hour and was performed on authentic patients in a clinical training setting that resembled the students' final clinical skills exam. The teachers then met on three occasions at 5-month intervals. During the first two meetings, all teachers watched the videos and carried out the assessments individually before jointly discussing their assessment outcomes and interpretations of the criteria. Both meetings resulted in refinements of the criteria, such as multi-level rankings and clarifications on professional behaviour. Five months after their second criteria discussion, the teachers met again to finalise the criteria template. In between meetings, they applied the revised criteria in their practice.

2.3 자료 및 분석
2.3 Data and analysis

이 데이터는 교사들이 평가 관행을 개선하기 위해 1년 동안 개입하는 동안, [여러 가지 방법]을 조합하여 생성되었습니다. 녹음되고 녹음된 관찰은 9명의 교사들의 네 번의 회의와 그 회의들 사이의 비공식적인 대화 동안 이루어졌다. 회의 후 그들의 개별 서면 성찰도 수집되었다. 첫 번째 저자가 만든 필드 노트에는 얼굴 표정, 몸짓, 물리적인 방, 유물, 분위기 등이 담겼다. 모든 메모는 관측 당일이나 다음 날 작성되었다. 연말에는 학과에서 가장 오래 근무한 교사(>10년)와 채점기준 개정 조정을 맡은 교사 중 3명을 선발해 단체면접을 진행했다. 이 탐색적 인터뷰(2.5시간)는 교사들이 과거의 경험을 회상하고 그 의미를 발전시킬 수 있는 기회를 제공했고, 그에 따라 풍부한 데이터가 생성되었다. 33 또한 교사 그룹의 일원이었던 프로그램 책임자와 함께 두 번의 추가 인터뷰가 이루어졌다.
The data were generated through a combination of methods throughout the teachers' 1-year intervention to enhance their assessment practice. Tape-recorded and transcribed observations were made during four meetings of the nine teachers and during informal talks between those meetings. Their individual written reflections following the meetings were also collected. The field notes generated by the first author included facial expressions, body language, the physical room and artefacts and the atmosphere.33, 34 The notes were all written out either the same day or the day after the observation. At the end of the year, three of the teachers who had worked the longest at the department (>10 years), and the teacher responsible for coordinating the revision of the grading criteria, were chosen for a group interview. This exploratory interview (2.5 hours) provided an opportunity for the teachers to recall past experiences and evolve the meaning of these, thereby rich data was generated.33 Two additional interviews were held with the Programme Director, who was also part of the teacher group (e.g. course lead and examiner).


저자들 중 세 명이 공동으로 [중요한 사건]을 중심으로 서술 분석을 수행했다. 즉, 교사들이 평가의 공동 개발에 있어서 중요한 것으로 인식되는 사건들, 즉, 기회나 변화에 대한 압력을 조성한다. 표 1을 참조하는 이 중복된 사건들은 10년 전으로 거슬러 올라가는 상황에 대한 선생님들의 이야기를 바탕으로 했다. 분석 중에, 텍스트 자료로 번역된 모든 데이터는 함께 모이게 되어, 교사들의 '우세한 담론'이 그들의 일상적인 행위enactment(생각과 행동)에서 어떻게 표현되었고, 이러한 담론이 시간에 따라 어떻게 발전했는지에 대한 서술적 분석이 가능하게 되었다. 34 

Three of the authors jointly conducted a narrative analysis centred on significant events,28, 29, 34 i.e. events the teachers perceived as significant28 for their joint development of assessments, either by creating opportunities or pressure to change. These overlapping events, see Table 1, were based on stories shared by the teachers about situations that went as far back as 10 years. During analysis, all data, transcribed as text materials, were pooled together, enabling narrative analysis of how the teachers' ‘prevailing discourses’ were expressed in their everyday enactment (thinking and acting) and how these discourses evolved over time.34 

수행된 분석 과정은 모의emplotment라고 알려져 있는데, 이것은 연구자들이 그들의 경험을 이해하기 위해, [교사들이 했던 것과 같은 방식으로 인간의 행동, 의미, 동기, 사건, 결과를 연결했다는 것]을 의미한다.

  • [플롯]은 시작, 중간, 끝을 중심으로 정렬되며, 이는 [인간 추론의 간단한 개요]에 비해서 [서사적 분석의 결과를 더 많이 만들고], [네러티브의 주제 분석의 제시]와는 다르다.
  • [플롯]은 물리적 의미에서의 다양한 사건들이 어떻게 전개되는지를 중심으로 구성될 수도 있지만, 우리가 인간의 변화 경험에 관심을 기울였을 때, 모의emplotment는 [선생님들이 의미 있는 것으로 표현한 사건들에 초점]을 맞추었다. 
  • 우리의 연구 접근법에 따르면, 인간의 [의미 만들기]는 종종 물리적 연대기와는 다른 시간과 상호 연결된 사건의 재창조라고 간주되었다.
  • 전개되는 서술(emplotment)은 여러 번 다시 쓰여졌고 작가들 사이에서 논의되었다. 결국, 그들의 평가 관행이 어떻게 변화했는지와 학생들의 임상 역량을 평가하기 위한 기준을 어떻게 이해했는지에 대한 교사들의 의미 결정(행동 및 경험을 통해 보여짐)을 묘사하면서, 일관된 내러티브가 구성되었다.

The analytical process conducted is known as emplotment, which means that the researchers linked human action, meaning, motives, events and consequences in the ‘same way’ the teachers did, in order to make sense of their experiences.29, 34 

  • Plots are ordered around a beginning, middle and end, which makes the findings from a narrative analysis more than a brief outline of human reasoning and differs from the presentation of a thematic analysis of narratives.3035 
  • Plots may be structured around how different events played out in a physical sense, however, as we attended to human experience of change, the emplotment centred on happenings the teachers expressed as meaningful.
  • In accordance with our research approach, human meaning-making was regarded as a re-creation of time and interconnected events that most often differ from physical chronology.2728 
  • The unfolding narrative (the emplotment) was rewritten several times and discussed among the authors. Eventually, a coherent narrative was structured, depicting the teachers' meaning-making (shown through action and experience) of how their assessment practices had changed and how they made sense of the criteria to assess students' clinical competency.

표 1. 중요 이벤트
TABLE 1. 
Significant events


중요 이벤트

* 투명성 요건이 높아진 대학 개혁에 이어 교육과정 개정도 뒤따랐다.
* 학생들의 성적은 나빠졌고, 그들은 지원이 너무 적다고 불평했고 자퇴를 원했다.
* 교육학에서의 역량 개발은 동료 평가와 미니 CEX의 구현으로 이어졌다.
* 학생들의 임상 기술을 평가하는 평가자의 수를 2명에서 1명으로 줄인다.
* 교육 문제를 논의하기 위한 정기적인 교사 회의를 도입했습니다.
* 학생들은 평가의 불공평함에 대해 불평했다.


Significant events
  • University reform with increased requirements of transparency, followed by curriculum revision.
  • Students' performances deteriorated, and they complained about too little support and wanted to drop out.
  • Competence development in pedagogy resulted in the implementation of peer-assessments and mini-CEX.
  • Reduction in the number of assessors grading students' clinical skills from two to one.
  • Introduced regular teacher-meetings to discuss educational matters.
  • Students complained about unfairness in assessments.

2.4 방법론적 성찰 및 한계
2.4 Methodological reflections and limitations

내러티브는 사회적 맥락에 내재되어 있으므로 독특하고 일반화되지 않는다. 그것들은 현상의 풍부함과 복잡성을 묘사하고 있으며, 독특한 내러티브는 다른 맥락에서 일어나는 일들을 설명하고 이해하기 위해 전이transfer될 수 있고, 그 목적을 위해 여기에 맥락적 설명이 포함된다. 여기에 보고된 서술은 교사들에게 의미 있는 동기와 사건들을 포함한 변화 과정을 보여준다. 자연과학의 관점에서, 사건에 대한 인간의 기억은 편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술적 의미 만들기는 사건의 정확한 연대기적 표현을 반영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내러티브 인 액션 분석]은 [집행된 이야기]와 [인간이 그들의 관점에서 사건을 이해하는 방법]을 조명한다. 우리가 사회 문화적 관점을 채택하고 분석의 단위로 그룹 레벨에 참여했기 때문에, 교사들의 감각 형성에서의 개인 차이는 여기서 다루지 않는다. 이 분석에는 개입을 수행한 9명의 교사로부터 생성된 데이터가 포함되었으며, 한 연구 프로그램에 대한 주된 책임이 있었다. 그러나 학생들을 가르치고 평가한 다른 보건 전문가와 대학 교수진들은 그들의 관점을 공유하지 않았을 수 있다. 게다가, 참여 교사들은 이전에 교수진 개발에 참여했으며, 비록 그들 모두가 평가에 관한 특별한 교육을 받은 것은 아니지만 교육학상 지식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가정했다.

Narratives are embedded in social contexts and therefore unique and not meant to be generalised. They depict the richness and complexity of a phenomenon, and what unique narratives illustrate can be transferred to explain and understand happenings in other contexts, and for that purpose, contextual descriptions are included here.33 The narrative reported here illustrates change processes including motives and events that were meaningful to the teachers. From a natural science perspective, humans' recollection of events may be biased; for example, narrative sense-making may not reflect a precise chronological presentation of events. Narrative-in action analysis thus illuminates enacted stories and how humans make sense of events from their perspective. As we adopted a socio-cultural perspective,26, 36 and attended to the group level as the unit of analysis, the teachers' individual differences in sense-making are not addressed here. The analysis included data generated from nine teachers who conducted an intervention and had the main responsibility for one study programme, although other health practitioners and university faculty who taught and assessed their students may not have shared their perspectives. Furthermore, the participant teachers had previously attended faculty development and assumed to be pedagogically informed, although not all of them had training specifically regarding assessment.

2.5 윤리적 고려사항
2.5 Ethical considerations

이 연구에 대한 윤리적 승인에 따라, 모든 참가자들은 구두와 서면으로 통지를 받은 후 공식적으로 참여하기로 동의했습니다. 교사들에게는 가명이 주어지고, 더 나아가 기밀성을 보장하기 위해, 전문적인 활동에 관한 세부 사항은 공개되지 않는다.

In accordance with the ethical approval for this study, all participants formally consented to take part after being informed orally and in writing. The teachers are here given pseudonyms, and to further ensure confidentiality, no details concerning professional activities are disclosed.

3 결과
3 RESULTS

3.1 평가 공정성 보장
3.1 Safeguarding fairness in assessments

이 연구 결과는 교사들이 학생들의 임상 기술을 평가하기 위한 채점 기준의 사용을 교정하기 위한 도덕적 의도에 의해 동기부여가 된 이야기를 제시한다. 이 섹션에서는 먼저 프롤로그가 우리의 분석을 바탕으로 평가 기준과 교육과정을 재작업하려는 교사들의 의도를 설명한다. 그 다음에, 이야기의 윤곽이 잡힌다.

  • (a) 어떻게 선생님들이 기준을 포함하는 평가 지향적인 문화를 발전시켰는지, 
  • (b) 선생님들께서 이해하셨던 방식들 
  • (c) 평가의 공정성에 대한 그들의 가치와 관련하여 교사들의 채점 기준 개발이 어떻게 다른 방향으로 전환되었는가. 

그리고 나서 에필로그는 선생님들이 그들의 개입을 어떻게 요약했는지 보여준다. 서술에 포함된, 선생님들의 계속되는 대화와 설명은 어떻게 그들의 노력이 명백해졌는지를 묘사한다. 이러한 계정에는 미팅이나 미팅 사이 또는 인터뷰 상황에서 교사들에게 공유된 짧은 이야기가 포함됩니다.

The findings present a narrative where the teachers became motivated by moral intentions to calibrate their use of grading criteria for assessing students' clinical skills. In this section, the prologue first explains, based on our analysis, the teachers' intentions of reworking assessment criteria and the curriculum. Then, the narrative outlines

  • (a) how the teachers developed an assessment-oriented culture in which criteria were embedded,
  • (b) the ways in which the teachers made sense of those and
  • (c) how the teachers' development of grading criteria took different turns in connection with their values of fairness in assessments.

The epilogue then shows how the teachers summarised their intervention. Included in the narrative, the teachers' ongoing dialogues and accounts situate and depict how their endeavours became manifest. These accounts include short stories that were shared among the teachers in and between meetings or in interview situations.

3.2 프롤로그: 변화를 시작한 동기
3.2 Prologue: Motives to initiate change

병원 현장에서 함께 일하는 보건 전문 교사 그룹은 [성과-기반 교육]을 향한 중요한 커리큘럼 개혁을 수행했다.

  • 이 변화 과정의 일환으로, 그들은 임상 기술 훈련에 대한 강조를 증가시키고, 그들의 교육 역할을 재정의하고, 촉진적 역할을 채택하고, 정보 제공자로서 그들의 시간을 줄였다.
  • [임상 기술에 관한 평가의 증가]는 그들이 두 명의 검사관으로부터 한 명의 검사관으로 자원을 절약하도록 강요했다. 이는 다소 신뢰할 수 없는 것으로 느껴졌기 때문에, 그들은 형성적 평가와 총괄적 평가에 유용한 공동 기준을 개발했다.
  • 하지만, 학생들은 점점 더 불평등하게 평가를 받고 있고 일부 교사들이 더 가혹한 판단을 하고 있다고 불평했다
  • 교사들은 처음에는 이러한 불만을 부정했지만, 평가 후 회의를 하는 동안, 그들이 기준에 대한 이해가 서로 다르고, 학생들의 성적을 평가하는 방법도 서로 다르다는 것을 깨달았다.

이를 통해 그들은 학생들의 임상 기술 평가와 기준의 적용을 조화시킬 목적으로 개입을 수행하게 되었다.

A group of health profession teachers working together at a hospital site had conducted a significant curriculum reform towards outcome-based education. As part of this change process, they increased the emphasis on training of clinical skills, re-defined their teaching roles, adopted a facilitating role and reduced their time as information providers. The increase of assessments concerning clinical skills forced them to economise resources from two examiners to one. This felt a bit unreliable, so they developed joint criteria useful for both formative and summative assessments. However, the students increasingly complained that they were being assessed unfairly and that some teachers were making harsher judgements. The teachers at first rejected these complaints, but during post-assessment meetings, they realised that they had different understandings of the criteria and different ways of judging student performance. This led them to conduct an intervention with the aim of harmonising the application of the criteria and assessment of students' clinical skills.

3.3 교사들이 면밀한 조사에 대해 어떻게 개방하였는가?
3.3 How the teachers opened up to scrutiny

3.3.1 서술은 현재 시간에서 시작되며 10년간의 변화가 어떻게 등급 기준의 공동 개발을 가능하게 했는지 개략적으로 설명한다.
3.3.1 The narrative starts in present time and outlines how a decade of changes made joint development of grading criteria possible

평가 기준의 개선 뒤에 있는 아이디어는 지난 10년 동안 발전한 교사들의 실천에서 비롯되었다. 정밀 조사를 개방함으로써, 그들은 [명확한 평가 기준을 적용하는 것이 도덕적 의무]라는 공통의 이해를 위한 길을 열었다. 다음 이야기는 평가를 통한 학생 학습을 지원하기 위해 기준의 사용이 어떻게 그들의 접근법의 필수적인 부분이 되었는지를 묘사한다.
The ideas behind improvements to the assessment criteria arose from the teachers' practice as it evolved over the last 10 years. By opening up to scrutiny, they paved the way for a shared understanding that applying clear assessment criteria was a moral obligation. The following story depicts how the use of criteria had become an integral part of their approach to support student learning through assessments.

 

회의에 가는 길에 존은 한 학생에 의해 제지당했는데, 한 학생이 그녀의 머리를 훈련실 밖으로 내밀고 그에게 손짓했다. 그녀는 '존, 내가 안나를 진찰하는 동안 좀 볼래?'라고 말했다. 만나기 전까지 아직 시간이 좀 남아있던 존은 그녀의 초대에 기쁘고 마음이 놓였다. 이 학생은 수줍음이 많고 지속적인 평가에 참여하는 것을 꺼리는 것으로 알려졌다. 때때로, 그녀가 환자 검사 절차에 대해 자신감이 없는 것인지 아니면 단지 그녀의 성과를 면밀히 검사하는 것이 불편한지 구별하기 어려웠다. 그녀가 마침내 마음을 열게 된 것을 기뻐하며 그는 그녀에게 미소를 지으며 말했다: "기꺼이 그러죠!"
On his way to a meeting, John was stopped by a student who stuck her head out of one of the training rooms and beckoned him. She said, ‘Hey John, would you like to watch while I examine Anna?’ John, who still had some time before his meeting, was happy and relieved by her invitation. The student was known to be shy and reluctant to participate in continuous assessment. Sometimes, it was hard to tell if she was insecure about the patient examination procedures or if she was just uncomfortable having her performances scrutinised. Pleased that she had finally opened up, he smiled at her and said: ‘I'd be happy to!’

 

위의 이야기에서 알 수 있듯이, 부서의 일상적인 정신은 개방적이고 친근했습니다. 몇 년에 걸친 교사들의 끈질긴 작업을 통해, 그리고 서술형 분석에 의해 조명되어, 그들은 [평가 지향적 문화]를 발전시켰는데, 이것은 동료 학습과 평가가 어떻게 지속적으로 적용되는지 보여 주었다. 여러 가지 방법으로, 선생님들은 어떻게 [대화와 동료평가]가 학생들 사이에서, 그리고 그들 자신들 사이에서, 습관적인 관행으로 발전해왔는지를 밝혔다. 그들은 [그들의 가르침에 대한 지속적인 평가]와 [공동으로 교육 개선을 하는 것]에 대해 그들이 어떻게 편안함을 느끼는지에 대해 공개적으로 말했다.
As illustrated by the above story, the everyday spirit at the department was open and friendly. Through the teachers' persistent work over several years, and illuminated by the narrative analysis, they had developed an assessment-oriented culture, which was shown in how peer learning and evaluations were continuously applied. In several ways, the teachers revealed how dialogue and peer assessments had developed into a habitual practice among the students and among themselves. They spoke openly about how they felt comfortable with continuous evaluations of their teaching and of jointly making educational improvements.


우리의 서술적 분석은 교사들이 [공동으로 채점 기준을 개발]하고, [평가를 공정하게 만들기 위한 노력]이 그들이 [점차적으로 면밀한 검토를 받게 된 변화 과정의 결과]라는 것을 보여준다. [평가 기준의 도입]은 서로 다른 교수법과 학습 활동을 적용하는 데 [수년간의 시행착오]가 선행되었다. [동료 평가]는 학생들이 학습에 더 큰 책임을 지는 것을 지원하는 한 가지 방법으로 약 5년 전에 시작되었다. 동료 학습을 적용한 지 몇 년 후, 학생들이 임상 작업을 연습하는 동안 다른 사람을 초대하여 피드백을 제공하는 것이 일반적이 되었다. 교사들은 지속적인 평가가 창의성과 새로운 발전을 위한 공간을 만들면서 '많은 것을 얻었다'고 믿었다. 하지만, [명시적인 평가 기준의 적용]이 그들의 야망을 더 크게 만든 [도덕적 선]을 대표한다는 것이 교사들의 믿음이었다.

Our narrative analysis shows that the teachers' efforts to jointly develop grading criteria and make assessments fair were the result of a change process in which they gradually opened up to scrutiny. The implementation of assessment criteria was preceded by years of trial and error in applying different teaching methods and learning activities. Peer assessments started out, about 5 years ago, as one way to support students taking greater responsibility for their learning. After a few years of applying peer learning, it became commonplace for students to invite others to provide feedback while practising clinical work. The teachers believed, they ‘had gained a lot’ by opening the door to continuous evaluation as it created space for creativity and new developments. However, it was the teachers' belief that the application of explicit assessment standards represented the moral good that drove their ambitions further.

3.4 어떻게 교사들이 '도덕적 선'을 제정하였는가?
3.4 How the teachers enacted the ‘moral good’

3.4.1 이 서술의 두 번째 부분은 왜 채점 기준이 교사들에게 의미 있게 되었는지, 그리고 과거의 법들이 어떻게 공정한 평가를 위한 현재의 이니셔티브를 강화했는지 설명한다.
3.4.1 This second part of the narrative illustrates why grading criteria became meaningful to the teachers and how past enactments reinforced current initiatives to assess fairly

교사들은 그들의 평가 관행을 개선하고 질 높은 교육을 제공하기 위해 몇 가지 계획을 세웠기 때문에, [환자와 학생들을 돌보는 것]이 그들의 핵심 동기였다. 궁극적으로, [평가 기준]은 졸업생들이 필요한 역량을 갖추도록 함으로써 교사들이 환자에 대한 의무를 이행하는 수단이었다. 예를 들어, 시간 제한 평가에 대한 그들의 아이디어는 전문적인 작업에서의 효과와 거의 관련이 없었지만, 오히려 학생들이 신체 검사 동안 환자의 불편함을 최소화해야 했고, 따라서 환자들이 도움을 구하는 것을 두려워하는 것을 막아야 했다. '도덕적 선'을 실행enact하려는 교사들의 노력은 (한나의 높은 관심 기말고사 회상 등과 같이) 과거 학생평가 경험에 대한 이야기로 강화되고 정당화됐다.

As the teachers had taken several initiatives to improve their assessment practice and provide a high quality education, caring for patients and students was their key motivation. Ultimately, the assessment criteria were means for teachers to fulfil their obligations towards patients by ensuring graduates had the necessary competency. For example, their idea of time-limited assessments had little to do with effectiveness in professional work, but rather concern of patients' discomfort during physical examination, which students needed to minimise and thereby preventing patients from being afraid to seek help. The teachers' efforts to enact the ‘moral good’ were reinforced and justified by stories about past experiences of student assessment, such as Hanna's recollection of high-stake final exams.

 

당신의 인생 동안, 당신은 결코 당신의 실제 기술에 대해 평가되지 않습니다. 유일한 시간은 당신이 운전 시험을 볼 때이다. 학생들이 그들의 성과에 대한 평가를 받은 경험이 부족했던 것은 당연하다! 생각해보면 그건 정말 비윤리적이었어요. 그들은 몇 년에 걸쳐 연구를 계속했고, 졸업하기 직전에 임상 성적에 따라 점수를 매겼다. 그들 중 몇몇은 이미 직업을 가지고 있었다. 그리고 나서, 펑, 그들은 기말고사에서 떨어졌어! 그들은 너무 긴장해서 얼굴이 파랗게 질려 쓰러질 것 같았다.

During the course of your life, you are never evaluated on your practical skills. The only time is when you take your driving test. No wonder the students lacked experience of being assessed on their performance! It was really unethical, when you think about it. They pursued their studies over several years, and right before they graduated, they were graded on their clinical performances. Some of them had already got jobs. And then, bang, they failed their final exam! They were so nervous their faces turned green, and they were ready to faint.

 

그런 이야기들이 교사들 사이에서 반복적으로 공유되었고, 현재의 제도에 비해 과거의 평가 관행이 얼마나 미흡했는지에 대한 인식을 심화시켰다. 이런 식으로, 과거의 사건들은 그들이 어떻게 지속적인 임상 기술 훈련을 추가하는 것을 포함한 교육 과정의 개혁이 도덕적으로 정당했는지 확인했습니다. 교사들은 이러한 변화들이 학생들이 더 나은 준비를 하고 더 나은 성적을 거두도록 했다고 믿고 있다. 그들은 또한 [practical skills에 대한 평가를 받는 것]은 학생들에게 새롭고 매우 스트레스를 많이 받는 상황이며, [그 자체가 훈련과 평가를 필요로 하는 능력]으로 간주되어야 하는 것이라는 것을 이해하게 되었다. 그러나, 커리큘럼의 변화와 지속적인 동료 학습 및 피드백의 사용으로, 등급별 평가는 덜 극적으로 되었다. 
Such stories were shared repeatedly among the teachers and deepened the perception of how assessment practices in the past were inadequate, compared with the present system. In this way, past events confirmed how their reformation of the curriculum including adding continuous clinical skills training was morally justifiable. The teachers believed these changes had led to students feeling better prepared and performing better. They had also come to understand that being assessed on practical skills was a new and highly stressful situation for the students and something that should be regarded as an ability in its own right that required training and evaluation. However, with the curriculum changes and the use of continuous peer learning and feedback, the graded assessments had become less dramatic.



임상 기술 평가에 기준을 적용하는 것은 공평하고 환자의 안전을 보장한다는 교사의 가치를 강제하기 때문에 의미가 있다. 그러나 [도덕적 선]에 대한 내러티브를 제정enact하는 것은 때때로 [평가의 공정성, 환자의 책임성, 학습 촉진의 가치]가 충돌한다는 것을 의미했다. 무엇이 공정하고 무엇이 공정하지 않은지 결정하는 딜레마도 제시했다.

Applying criteria to the assessment of clinical skills became meaningful because it enforced the teachers' values of being fair and ensuring patient safety. However, enacting the narrative about the moral good meant that the values of fairness in assessment, patient accountability and facilitation of learning sometimes collided. It also presented the dilemma of deciding what was fair and what was not.

3.5 교사들이 편파적인 평가를 통해 공정성을 어떻게 유지하였는가?
3.5 How the teachers upheld fairness with an unbiased assessment

3.5.1 이 서술의 세 번째 부분은 학생들을 공정하게 평가하려는 교사들의 가치와 관련하여 성적 기준의 공동 개발이 어떻게 다른 방향으로 이루어졌는지를 보여준다.
3.5.1 This third part of the narrative shows how the joint development of grading criteria took different turns associated with the teachers’ value of assessing students fairly

평가를 조화시키는 방법에 대한 논의 동안, 특정 학생의 행동을 촉진하는 방법으로 기준을 적용하려는 교사들의 노력이 분명해졌다. 학생들이 환자 안전 및 우수 관리 기준의 최소 요건을 충족하도록 보장하기 위한 한 가지 방법은 손을 씻거나 기구를 소독하는 것과 같이 환자를 검사할 때 무엇을 해야 하고 해서는 안 되는지에 대한 [절대적인 요건]을 정의하는 것이었다. 이와 같은 성과는 학생들이 이러한 과제를 수행하는 방법의 다양한 품질에 관계없이 합격/불합격으로 평가되었으며, 결과적으로 학생이 이러한 과제를 수행하거나 전체 시험에서 불합격하게 된다. 한편으로, 이러한 '둘 중 하나 혹은 둘 중 하나'의 공연은 평가하기가 쉬운 것으로 보였고, 다른 한편으로는, 학생들이 그러한 활동을 부분적으로 했을 때, 우려의 대상이 되었다. 한 가지 제안은 교사들이 환자를 진찰하는 데 실제로 사용된 모든 기구들이 실제로 소독되었다는 것을 고려할 수 있다는 것이었다. 다만 기준에 따르면 모든 위생적인 측면이 협상 불가로 규정돼 시험에 사용한 적이 있는지 여부와 관계없이 모든 기구 소독을 소홀히 한 학생에게 불합격시키는 것이 타당했다. 일부 교사들은 이러한 유형의 평가를 수행하는 것이 더 쉽고, 협상할 수 없으며, 따라서 공정하다고 주장하면서 이러한 유형의 평가를 지지했다. 이들의 주장의 이면에는 환자에 대한 걱정이 있었고, [모든 기구를 소독하는 것을 소홀히 한 학생]은 [환자를 치료하는 것]도 전적으로 신뢰할 수 없다는 점이 있었다. 이 협상할 수 없는 '어느 쪽인가' 추론도 아래 대화에서 보여지듯이 다른 성격의 성과를 평가하기 위한 기준을 적용할 때 채택되었다.

During the discussions of how to harmonise assessments, the teachers' efforts to apply criteria in ways that promoted certain student behaviours became clear. One way to ensure that the students met the minimum requirements of patient safety and good practice was to define absolute requirements of what they should and should not do when examining patients, such as washing their hands and disinfecting instruments. Performances like that were assessed pass/fail, regardless of the varied quality of how students carried out these tasks, consequently, either the student performed these tasks or the student would fail the entire exam. On the one hand, these ‘either-or’ performances were seen as easy to assess; on the other hand, there was concern when students performed such activities partially, as in the case of a student who cleaned a few of the instruments, but not all of them. One suggestion was that the teachers could take into account that all of the instruments actually used to examine the patient had in fact been disinfected. According to the criteria, however, all hygiene aspects were stipulated as non-negotiable, which made it reasonable to fail students who neglected to disinfect all instruments regardless of whether they had been used in the examination. Some teachers argued in favour of this type of assessment, contending it was easier to conduct, non-negotiable and therefore fair. Behind their argument was a concern for patients and that a student who neglected to disinfect all instruments could not be fully trusted to treat patients. This non-negotiable ‘either-or’ reasoning was also adopted when they applied criteria to assess performances of a different nature, as illustrated by the dialogue below.

 

  • 존: 만약 모든 사람들이 그 학생이 병력 청취를 요약한 적이 없다는 것에 동의한다면, 그 기준이 분명히 그렇게 되어야 한다고 하는데 왜 우리는 모두 그 학생을 합격으로 평가했을까?
  • 티나: 흠, 아주 좋은 질문이야!
  • 에드워드: 하지만 그녀가 한 일, 그녀가 공연한 일들, 그녀는 정말 잘 해냈어요. 그녀는 결코 그것을 완전히 이해하지 못했다.
  • 한나: 나는 우리가 이 기준을 두 부분으로 나눌 필요가 있다고 생각해, 그렇지 않으면 피드백을 주기가 어려울 거야. 첫 번째 부분은 시술 중에 사용된 기술이어야 합니다. 이 경우, 그녀가 한 모든 일에 대해 어느 정도 신뢰를 줄 수 있습니다. 그게 공평할 것 같아요. 그리고 나서, 병력의 요약은 별도의 기준이 될 수 있다.
  • 비트라이스: 만약 우리가 당신의 제안대로 한다면, 요약은 여전히 5포인트로 계산되어야 하며, 우리가 그것들을 낮추기 위해 사용하는 기준이 되어야 하는가? 
  • 제니: 네 말은, 만약 그들이 병력 청취에 대한 요약을 하지 않았다면, 그들은 실패했다는 거야?
  • 한나: 글쎄, 그래, 그래야 한다고 쓰여 있는 한, 여기 템플릿에 있어.
  • 에드워드: 학생들의 눈에는, 네가 이렇게 하지 않으면 시험에 떨어진다는 것이 분명할 거야!
  • 한나: 그래, 그리고 그들은 템플릿이 말한 대로 해!
  • 존: 좋아, 만약 그들이 병력 청취를 요약하지 않으면, 그들은 모든 시험에서 낙제한다는 거야?!
  • 한나: 그래, 만약 그들이 요약하지 못한다면, 우리는 그들이 왜 환자가 먼저 왔는지 이해했는지 절대 알 수 없을 거야. 당신은 그 문제를 정확하게 처리했나요? 글쎄요, 애초에 문제를 파악하지 못했다면 알 방법이 없습니다. 
  • John: If everyone agrees that the student never made a summary of the history-taking, then how come we all graded the student as pass when the criteria clearly says that this should be done?
  • Tina: Hmm, very good question!
  • Edward: But what she did, the things she performed, she did really well. She just never really got it completely.
  • Hanna: I think we need to split this criterion into two parts, otherwise it will be hard to give feedback. The first part should be the technique used during the procedure, so that, in this case we can give some credit for all that she did. I feel that would be fair. And then, the summary of the history-taking can be a separate criterion.
  • Beatrice: If we do as you suggest, should the summary then still count as five points and be a criterion we use to bring them down?
  • Jenny: You mean if they haven't made a summary of the history-taking they fail?
  • Hanna: Well, yes, as long as it says should, here in the template.
  • Edward: In the eyes of the students, it will be clear that you fail your exam if you don't do this!
  • Hanna: Yes, and they do what the template says!
  • John: Ok, so if they don't summarise the history-taking, they fail the whole exam?!
  • Hanna: Well yes, if they fail to summarise, we will never know if they understood why the patient came in the first place. Did you handle the problem correctly? Well, there is no way of knowing if you never identified the problem in the first place.

기준을 개발하기 위한 교사들의 작업 동안, 그들은 과거에 평가가 어떻게 수행되었는지를 반성했습니다. 토론 중 반복적인 논평은 교사 그룹이 과거에 학생 성과에 대한 [주관적인 평가를 하는 것]에서 [가능한 객관적인 것]으로 어떻게 변화했는지를 강조하였다. 한 전직 교수가 한 학생의 시험에 대해 "너무 귀엽다, 합격이다"고 말한 적이 있는 '옛날'의 명시적 기준이 부족했다고 함께 웃었다. 그러나 완전히 객관적인 것은 표준화된 기준을 사용하여 다른 성격의 학생-환자 만남을 평가할 때 어려운 것으로 간주되었고, 토론하는 동안 교사들은 반복적으로 서로에게 '그러나 그것은 다시 주관적이 된다'고 상기시켰다. [주관성]은 주로 [전문적 행동과 의사소통 기술의 평가]와 관련되었으며, 따라서 이러한 기준을 명확히 함으로써 오해할 수 없는 성과 차원을 정의할 필요가 생겼다. 다양한 방법으로 전문적인 행동의 차원을 정의하려고 노력하면서, 선생님들은 행동, 전반적인 의사소통, 병력 청취의 요약, 진단과 치료 그리고 전문용어의 사용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것 사이의 차이에 대해 추론했다. 그들은 전문적인 행동의 평가에 대한 두 가지 다른 이유들 사이에서 망설였다: [전반적인 의사소통과 전문적인 행동을 평가]하거나, [의사소통을 별도의 부분으로 나누고 환자 검사의 각 부분에 연결]했다. 그들은 의사소통 능력이 전문적인 행위와 다소 다르며 아마도 별도로 평가할 수 있을 것이라는 데 동의하였다.

During the teachers' work to develop the criteria, they reflected upon how assessments had been performed in the past. Recurrent comments during the discussions highlighted how the teacher group had changed from making subjective assessments of student performance in the past, to being as objective as possible. Together, they laughed about the lack of explicit criteria back in the ‘old days’ when a former professor once said about a student's examination, ‘She is so cute, she can pass’. However, being entirely objective was considered difficult when using the standardised criteria to assess student–patient encounters of a different nature and during the debates the teachers repeatedly reminded each other ‘but then it becomes subjective again’. Subjectivity was mainly associated with the assessment of professional behaviour and communication skills, and therefore, clarifying those criteria created a need to define performance dimensions that could not be misinterpreted. Trying to, in various ways, defining dimensions of professional behaviour, the teachers reasoned about the differences between behaviour, overall communications, the summary of history-taking, giving information about the diagnosis and treatment and the use of jargon. They teetered between two different rationales on the assessment of professional behaviour: assessing overall communication and professional behaviour or dividing the communication into separate pieces and connecting it to each part of the patient examination. They agreed that communication skills were somewhat different from professional behaviour and could perhaps be assessed separately.

평가에서 공정하고 일관성을 유지하기 위한 시도로, 교사들에 의해 기준과 학생들의 성과에 대한 여러 해석이 면밀히 검토되었다. 그러나 그들은 표준화가, 예를 들어 학생들이 특별히 골치 아픈 환자를 검사할 때처럼, 임상 작업의 현실과 완전히 양립할 수 없다고 믿었다. 
In an attempt to be fair and consistent in assessments, multiple interpretations of criteria and student performances were scrutinised by the teachers. However, they believed that standardisation was not fully compatible with the reality of clinical work, for example, when students examined patients that were considered particularly troublesome.

  • 비트라이스: 시험이 너무 오래 걸려 낙방한 학생들에게 동시에 제한시간을 초과한 친구가 있는데 어떻게 설명할 것인가? 미니 CEX에 사용하는 10%의 시간 마진을 추가해야 할까요? 
  • 조지: 안돼! 템플릿에 그렇게 심하게 조종당해서는 안돼!
  • 제니: 동의해. 우린 로봇이 아니야!
  • 존: 나도 동의해. 만약 그렇다면, 제 말은, 환자가 특별히 힘들어하는 것을 본다면, 여러분은 단지 범죄 행위를 저지르고 틀에서 벗어나야 한다는 것입니다. 

  • Beatrice: How do we explain to students who failed because the examination took too long, when, at the same time they have a friend who passed who also exceeded the time limit? Should we perhaps add the ten percent time margin that we use for the mini-CEX?
  • George: No! You cannot let yourself be steered by the template that hard!
  • Jenny: Agree. We're not robots!
  • John: I agree. If that is the case, I mean if you see that the patient is being particularly difficult, you just have to commit a criminal act and deviate from the template.

위의 대화는 교사들이 기준 템플릿을 따르고 현실을 다면적으로 인식하고 상황의 복잡성을 고려하여 전문적인 판단을 내리는 등 공정성을 이루려 노력했음을 보여준다.

The dialogue above shows how the teachers tried to achieve fairness by following the criteria template and recognised reality as multifaceted and that making professional judgements required considering the complexity of the situation.

3.6 에필로그—완벽한 평가 기준 없음
3.6 Epilogue—No perfect assessment criteria

그들의 개입이 끝날 때, 선생님들은 학생들에게 평등한 상황을 만드는 것이 얼마나 어려운지를 반성했고 완벽한 평가 기준이라는 것은 없다는 결론에 도달했다. 그들의 개입을 반성하면서, 그들은 단일 기준을 다르게 평가했음에도 불구하고, 각 학생들에 대한 전반적인 평가는 그들이 기대했던 것보다 더 동등하다고 느꼈다. 이로 인해 교사들은 평가가 완전히 조화를 이루지 못할지라도, 그들의 공동 토론은 협상 가능한 합의로 이어졌다고 결론을 내리게 되었다.

At the end of their intervention, the teachers reflected upon how hard it was to create equal situations for the students and came to the conclusion that there was no such thing as perfect assessment criteria. Reflecting on their intervention, they felt that even though they valued single criteria differently, the overall assessment of each student was more equal than they had anticipated. This made the teachers conclude that, even if assessments would never be completely harmonised, their joint discussions had led to a negotiable consensus.

4 토론
4 DISCUSSION

이 연구 결과는 어떻게 교사들이 [공통 채점 기준을 개발]할 수 있었는지를 보여주며, 이러한 변화는 그들의 [공정성과 책무성]에 대한 가치관에 의해 추진되었다. 기준은 커리큘럼에 통합되어 형성 및 종합 평가에 유용했다. 그런 방식으로, 그리고 교사들의 관점에서, 기준은 공정한 평가를 보장하고 미래의 환자들이 가능한 최고의 치료를 받을 수 있도록 했다. 그러나 [통합 역량의 평가]와 [분리된 '기술의 조각'의 평가]와 같은 여러 딜레마가 나타났다.
The findings show how the teachers' development of common grading criteria was made possible by their openness to peer scrutiny and that these changes were driven by their values of fairness and accountability. Criteria had been integrated in the curriculum, useful for formative and summative assessments. In that way, and from the teachers' perspective, criteria safeguarded fair assessments and that future patients would receive the best possible treatment. However, a number of dilemmas emerged, such as the assessment of integrated competencies versus the assessment of separate ‘pieces of skills’.

[평가 지향적 문화 정착]은 교사들이 어떻게 채점 기준의 적용을 조화시키는지에 대한 [선결조건]으로 보였다. 암묵적으로 전달된 기대에서 기준에 대한 공유된 이해로 평가 관행의 이러한 변화는 표준 공유에 대한 교사들의 접근 방식에 대한 O'Donovan 등의 모델과 비교하여 이해할 수 있다. 과거 [자유방임주의 접근법]에서와 같이 암묵적인 기준이 얼마나 우세했는지를 언급함으로써, 교사들은 명확한 기준을 적용하기 위한 그들의 선택을 정당화했다. 그 후 암묵적인 기준에 대응하여 채점 기준이 시행되었지만, 교사들은 명확한 기준이 충분하지 않다는 것을 깨달았다. 학생 개개인의 평가 기준에 대한 이해는 다를 수 있으며, 이 연구의 교사들은 [평가와 관련된 그들의 의도]를 충족시키기 위해 [모든 학생들이 동일한 방법]으로 기준을 이해할 필요가 있다는 것을 깨닫게 되었다. 따라서, 학생들의 동료 평가와 병행한 형성적 평가가 커리큘럼 전반에 걸쳐 통합되었고, 이는 [사회 구성주의적 접근법]의 제정을 가능하게 했다. 흥미롭게도, 채점 기준을 적용하는 것에 대한 대화에 학생들을 참여시키는 것은 더 많은 해명의 필요성을 만든 것으로 보인다. 학생들이 그들이 평가하는 기준에 완전히 접근할 수 있을 때, 이러한 기준에 비추어 그들의 성과에 대해 토론할 기회가 있다고 결론짓는 것은 그럴듯해 보인다. 결과적으로, 선생님들은 기준을 해석하는 방법, 받아들일 수 있는 학생 수행의 범위, 그리고 그들의 판단을 정당화하는 방법에 대해 숙고할 필요가 있을 수 있다.

The establishment of an assessment-oriented culture seemed to be prerequisite for how the teachers were committed to harmonise their application of grading criteria. This change in assessment practice, from tacitly conveyed expectations to shared understandings of criteria, can be understood vis-à-vis O'Donovan et al.'s19 model of teachers' approaches to sharing standards. By referring to how tacit standards, as in the laisse-faire approach prevailed in the past, the teachers justified their choice to apply clear criteria. Grading criteria were then implemented, in response to tacit standards, but the teachers realised that articulating criteria were not enough. Individual students' understanding of assessment standards may differ,19 and the teachers in the present study came to realise that, to fulfil their intentions concerning assessments, all students needed to make sense of the criteria in the same way. Thus, formative assessments in parallel with students' peer reviews were integrated throughout the curriculum, which enabled the enactment of a social-constructivist approach.19 Interestingly, it appears that involving students in the dialogue about applying grading criteria created a need for further clarifications. It seems plausible to conclude that, when students have full access to the standards by which they are judged, there is an opportunity to discuss their performances in light of these standards. Consequently, teachers may need to reflect on ways to interpret criteria, the range of acceptable student performances and how to justify their judgements.

우리는 예를 들어, [준거-참조 프레임워크를 통해 표현된 공유 표준]이 피드백을 중재할 수 있다는 Kogan 등의 의견에 동의한다. [명시적 기준]은 학습을 촉진할 수 있지만, 그러한 기준의 질에 대해서는 아무 말도 하지 않으며, 따라서 예를 들어, 교사의 판단이 타당하다는 것을 보장하지 않습니다.1 다른 사람들이 지적하는 바와 같이, 유효성 및 신뢰성은 시험의 내재적 특성이 아니며 단순히 평가 도구를 적용한다고 해서 달성되는 것도 아니다. 교사 커뮤니티 내의 공동 협상은 (이 연구에서 교사들에 의해 열린 토론과 유사하게) 학생 성과에 대한 기준과 판단의 이해를 조화시킬 수 있을 것이다.

We agree with Kogan et al.17 that shared standards articulated via, for example, a criterion-referenced framework can mediate feedback. While explicit criteria can facilitate learning, they say nothing about the quality of those standards and, therefore, do not safeguard that, for example, teachers' judgements are valid.1 As others point out,1 validity and reliability are not immanent traits of tests and will not be achieved simply by applying an assessment instrument. Joint negotiations within teacher communities—similar to the discussions held by the teachers in this study—will likely harmonise the understanding of both criteria and judgements of student performance.

이 연구의 교사들은 [실천 공동체 접근 방식]에서와 같이, 평가 기준을 형성할 때 학생들을 공동 참여자로 초대하지 않았다. 그러나, 그들의 노력은, [부분적]으로, 평가 문제에 대한 공유된 실천 공동체로 이해될 수 있다. 개발 과정을 통해 교사들은 서로의 아이디어와 비평에 대해 마음을 터놓았고, 이는 채점 기준, 역량/역량 및 평가의 공유된 의미에 대한 협상을 가능하게 했다. [학생과 교사가 형성적 평가를 덜 심각하게 받아들이는 문제]는 [저부담 평가와 고부담 평가를 일치]시키고, [평가 지향 문화의 일부로 지속적인 교사와 동료 피드백을 포함]하려는 [교사들의 노력]에 의해 회피avoided되는 것처럼 보였다. 그러나 이러한 변경 프로세스에는 시간이 걸렸고 평가 이유의 변경도 포함되었습니다.

The teachers in this study did not invite their students to be co-participants in formulating assessment criteria, as in the community of practice approach.1926 However, their efforts can be understood, in part, as a shared community of practice around assessment matters. Through a development process, the teachers opened themselves up to each other's ideas and critiques, which enabled negotiations about a shared meaning of the grading criteria, competencies/competency and assessment. The problem of formative assessments being taken less seriously by students and teachers24 seemed to be avoided by the teachers' efforts to align low and high stake assessments and to embed continuous teacher and peer feedback as part of an assessment-oriented culture. However, this change process took time and included shifts in assessment rationales.

교사의 야망ambition은 [평가자 간 신뢰성과 표준화, 환자 조우에서 발생하는 상황적 요인 인정]과 같은 [평가의 딜레마]가 어떻게 드러났는지를 보여준다. [기준에 충실해야 한다]는 생각은 [가끔은 템플릿에서 벗어나야 한다]는 개념과 충돌했고, 그들은 채점 전에 특히 복잡한 환자 사례를 고려해야 한다는 데 동의했다. 비슷한 방식으로, Kogan 등은 교수진이 성과 등급을 만들 때 임상적 만남의 복잡성에 영향을 받는다고 보고하며, 이러한 등급 오류를 수정하기 위해 교수진이 평가 훈련을 받을 필요가 있다고 주장한다. 우리는 교수개발이 유익하다는 것에는 동의하지만, 주어진 맥락에서 무엇이 타당한지를 결정하는 과제는 여전히 남아 있다. 게다가, 그리고 이 연구에 의해 보여지는 것은, 평가 관행이 바뀌고 교사들이 그들의 '새로운 지식'을 실천으로 옮기면서, 그들은 새로운 딜레마에 직면할 수도 있다. 현재의 연구결과는, 교수개발은 [평가자들이 기준을 어떻게 이해하는지]를 다루고, [학생들의 성적 범위에 대한 공동 토론에 임상 교사를 참여시킬 필요]가 있다는 것을 암시한다. 이것이 교사의 평정을 조화시키는 것으로 보인다.

The teachers' ambitions show how dilemmas in assessment manifested, such as inter-rater reliability and standardisation, and acknowledging contextual factors arising in patient encounter. The idea of being steadfast to the criteria collided with the notion of sometimes having to deviate from the template, and they agreed that particularly complex patient cases should be taken into account before grading. In a similar way, Kogan et al.17 report that faculty members' are influenced by the complexity of clinical encounters when making performance ratings, arguing that faculty needs to be trained in assessment to modify such rating errors.17 While we agree that faculty development is beneficial, the challenge to decide what counts as valid in a given context still remains.25, 37 Moreover, and shown by this study, as assessment practices change, and teachers translate their ‘new knowledge’ into practice, they may face new dilemmas. The current findings imply that faculty development needs to address how assessors make sense of criteria and to involve clinical teachers in joint discussions on the range of acceptable student performances, which seem to harmonise teachers' ratings.

평등하고 편파적이지 않은 평가를 달성하기 위해, 이 연구의 교사들은 [학생 수행능력의 서로 다른 조각]들을 [평가 기준에 별도로 명시해야 하는지] 궁금해했다. 결과적으로, 그들은 예를 들어, [전문적 행동]을 2진법으로 판단할 수 있는 하위 범주로 분할함으로써 [전체론적 기준(역량)을 조작화]하려고 했다. 따라서, 비록 그들이 학생들의 기준에 대한 이해에 [사회 구성주의적 접근법]을 채택했지만, 교사들은 채점 기준을 개발하기 위해 다른 근거를 집행enact했다. 그러나 [심리측정학적 합리성]에 기초한 [이진 체크리스트]의 사용에만 의존하는 임상 역량의 [신뢰할 수 있는 측정]을 구성하는 어려움에 대한 의문도 있었다. [준거-참조 평가]와 관련된 비평은 교사들이 [전문적 실천에 유용한 통합적 역량]보다 [수행의 조각]을 판단할 위험이 있다고 주장한다.8 이 연구의 교사들은 [전문직업성의 글로벌 평가]는 [주관적]이며, [환자를 보호]하며, [학생에게 공평하게 하려는 그들의 의도]와 양립할 수 없다고 보았다. 

In order to achieve equal and unbiased assessments, the teachers in this study wondered whether separate pieces of student performance should be stated in the grading criteria. Consequently, they tried to operationalise holistic criteria (competency) by, for example, splitting professional behaviour into subcategories that could be judged binarily. Thus, although they adopted a social-constructivist approach to students' understanding of standards,19 the teachers enacted a different rationale to develop the grading criteria. The challenges of constructing reliable measurements of clinical competency have been acknowledged,38 though, relying solely on the use of binary checklists based on psychometric rationales has also been questioned.12, 39 The critique related to criterion-referenced assessments claims teachers risk judging pieces of performance rather than integrated competencies useful for professional practice.8 Global ratings of professionalism were seen by the teachers in this study as being subjective and incompatible with their intentions of protecting patients and being fair to students.

우리의 해석은 교사들이 [자유방임주의 접근법]과 유사하게, [정보가 없거나 암묵적인 측면에 기초한 평가를 멀리했다]는 것이다. [전체론적 판단]은 [편향되거나 잘못된 판단을 내리는 것]과 혼동될 필요가 없으며, [객관성]은 [완전한 표준화를 통해 얻은 신뢰성]과 동일하지 않다. 이 연구의 교사들이 제기한 문제는 세부 사항에서 '무언가를 잃어버렸느냐'는 것이었다. 교사가 채점을 하기 전에 학생들의 성취도를 종합할 필요가 있다는 것이 이미 정립되었다; '우리가 전체를 볼 때, 우리는 그 부분들을 고립된 채로 볼 때와는 다르게 본다'. [전문적인 보건의료 행위의 특정 성과]는 환자 안전 때문에 협상할 수 없는 것이 필요하지만, 예를 들어, 별도의 차원에서 이원적 판단이 이루어진다면 전문적인 행동의 기준은 덜 타당할 수 있다. 이 연구에서 교사들의 추론은 매우 다른 유형의 성과에 대한 기준을 공식화할 때 같은 논리를 사용하는 것이 얼마나 매력적인지를 보여주었다. 결과적으로, 통합 역량에 대한 평가가 부족할 수 있다. 이는 교사들이 [임상 역량의 표준과 등급]에서 [어떻게 서로 다른 rationale의 동시 사용을 인정할 것인지], 따라서 [이진법과 전체론적 판단의 결합을 어떻게 인정해야 하는지]를 성찰해야 함을 의미한다.

Our interpretation is that the teachers abstained from assessments that were uninformed or based on tacit aspects, similar to the laissez-faire approach.19 Holistic judgements need not be confused with making biased or invalid judgements,22 and objectivity is not equal to reliability obtained through complete standardisation.1, 39 The question the teachers in this study raised was whether ‘something was lost’ in the details. It has previously been established that teachers need to synthesize student achievements before grading; ‘When we see the whole, we see its parts differently than when we see them in isolation’4(p227). While certain performances in professional health practices need to be non-negotiable due to patient safety, criteria of professional behaviour, for example, may be less valid if binary judgements are made on separate dimensions. The teachers' reasoning in this study made visible how tempting it may be to use the same rationale when formulating criteria for performances of very different types. Consequently, the assessment of integrated competencies may be lacking. This implies that teachers should reflect on how standards and ratings of clinical competency need to acknowledge the simultaneous use of different rationales, thus a combination of binary and holistic judgements.

교육 변화와 교사의 평가 실천 발전은 종종 느리고 저항적인 것으로 여겨진다. 이 연구는 어떻게 교사들의 [채점 기준을 개발하려는 동기]가 어떤 식으로 [학생들과 함께 일하는 그들 자신의 실천]과 [환자에 대한 그들의 관심]으로부터 도출되었는지를 보여준다. 그러므로, 사회와 학생들을 위해 선행을 하려는 그들의 의지는 대학으로부터의 압력이나 투명성을 강조하는 정부 개혁과는 거의 관계가 없는 공유된 평가 관행을 만드는 동기였다.
Educational change and teachers' development of assessment practice are often regarded as slow and resistant.18, 21 This study shows how teachers' motivation to develop grading criteria was derived from their own practice working with students and their concern for patients. Thus, their willingness to do good for society and for the students was the incentive for creating a shared assessment practice, which had little to do with pressure from the university or governmental reform stressing transparency.

5 결론
5 CONCLUSION

이 연구는 공유된 평가 기준이 개발되고 실행될 때 교사의 평가 관행이 어떻게 바뀔 수 있는지에 대한 풍부한 설명에 기여한다. 이 논문에서 설명된 변화 프로세스는 [선형 모델]도, [이상적인 개발 프로세스]도 규정하지 않지만, 이 연구에서 많은 시사점을 도출할 수 있다. 이 연구결과는 교사들이 [준거와 수용 가능한 학생들의 성적 범위]에 대한 [공동 토론]을 통해 [그들의 판단에 대한 근거를 정기적으로 재평가할 필요]가 있다는 것을 암시한다. 이러한 논의는 기준 적용에 대한 이해를 조화시킬 뿐만 아니라 교원 공동체 내에서 평가와 역량에 대한 변화하는 이유를 풀어내는 것으로 보인다. 이 연구는 [동료 학습]과 [사회 구성주의 접근 방식]의 적응은 시간이 걸리고, 평가에서 [새로운 선택과 딜레마]를 만들 수 있음을 보여준다. 일부 연구자들은 [수행능력 테스트]에서 엄격함을 증가시켜야 한다고 주장하는 반면, 다른 연구자들은 [전체론적이고 건설적이며 전문적인 접근 방식]을 요구하거나, [더 긴 기간에 걸쳐 평가의 삼각 측량]을 제안합니다. 어떤 평가를 적용하든 [교사의 전문적인 판단을 담당하는 대화]가 필요하다. 이번 연구는 [평가에 대한 교사들의 시각]이 고정된 것이 아니며, 평가 기준과 그들의 판단이 [어떻게 서로 다른 rationale의 동시 사용을 인정해야 하는지] 반성해야 한다는 것을 보여준다. 따라서 [다양한 요구가 있는 환자를 포함하는 개별 학생의 수행능력]을 어떻게 다르게 판단해야 하는지 참조하면서, [이진적 판단 및 전체론적 판단]을 조합하여 적용할 필요가 있다. 우리는 개별 교사들의 견해를 넘어선 평가 관행과 교사들이 어떻게 다른 방법과 기준을 적용하는지에 대한 더 많은 연구를 환영한다.

This study contributes a rich description of how teachers' assessment practices may change when shared assessment criteria are developed and implemented. The change process illustrated in this paper neither stipulates neither a linear model nor an ideal development process, yet a number of implications may be drawn from this study. The findings imply that teachers need to regularly re-evaluate grounds for their judgements through joint discussions of criteria and the range of acceptable student performances. Such discussions seem to not only harmonise the understanding of criteria application but also unravel the shifting rationales on assessment and competency within teacher communities. This study demonstrates the adaptation of peer learning and social-constructivist approaches may take time and create new choices and dilemmas in assessment. Whereas some researchers argue for increased rigour in performance tests, others call for holistic, constructivist and professional approaches or suggest triangulation of assessments over longer periods of time. Regardless of what kind of assessments is applied, conversations that take charge of teachers' professional judgements are necessary. This study shows that teachers' views on assessment are not fixed, and they should reflect on how assessment standards and their judgements must acknowledge the simultaneous use of different rationales. Therefore, with reference to how individual student performances involving patients with various needs should to be judged differently, a combination of binary and holistic judgements needs to be applied. We welcome more research on assessment practices beyond individual teachers' views and on how teachers make sense of applying different methods and standards.

 


Med Educ. 2022 Jun;56(6):651-659.

 doi: 10.1111/medu.14789. Epub 2022 Mar 14.

 

Safeguarding fairness in assessments-How teachers develop joint practices

Affiliations collapse

Affiliations

1Department of Learning in Engineering Sciences, KTH Royal Institute of Technology, Stockholm, Sweden.

2Department of Education, Stockholm University, Stockholm, Sweden.

3Department of Neurobiology, Care Sciences and Society, Karolinska Institutet, Stockholm, Sweden.

4Department of Learning, Informatics, Management and Ethics, Karolinska Institutet, Stockholm, Sweden.

PMID: 35263464

DOI: 10.1111/medu.14789

Abstract

Introduction: In light of reforms demanding increased transparency of student performance assessments, this study offers an in-depth perspective of how teachers develop their assessment practice. Much is known about factors that influence assessments, and different solutions claim to improve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assessments of students' clinical competency. However, little is known about how teachers go about improving their assessment practices. This study aims to contribute empirical findings about how teachers' assessment practice may change when shared criteria for assessing students' clinical competency are developed and implemented.

Methods: Using a narrative-in-action research approach grounded in narrative theory about human sense-making, one group including nine health professions teachers was studied over a period of 1 year. Drawing upon data from observations, interviews, formal documents and written reflections from these teachers, we performed a narrative analysis to reveal how these teachers made sense of experiences associated with the development and implementation of joint grading criteria for assessing students' clinical performances.

Results: The findings present a narrative showing how a shared assessment practice took years to develop and was based on the teachers changed approach to scrutiny. The teachers became highly motivated to use grading criteria to ensure fairness in assessments, but more importantly, to fulfil their moral obligation towards patients. The narrative also demonstrates how these teachers reasoned about dilemmas that arose when they applied standardised assessment criteria.

Discussion: The narrative analysis shows clearly how teachers'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assessment standards are embedded in local practices. Our findings highlight the importance of teachers' joint discussions on how to interpret criteria applied in formative and summative assessments of students' performances. In particular, teachers' different approaches to assessing 'pieces of skills' versus making holistic judgements on students' performances, regardless of whether the grading criteria are clear and well-articulated on paper, should be acknowledged. Understanding the journey that these teachers made gives new perspectives as to how faculty can be supported when assessments of professionalism and clinical competency are developed.

발달적 발달평가 도입의 교훈: 스코핑 리뷰(Med Educ, 2020)
Lessons from the implementation of developmental progress assessment: A scoping review
Christina St-Onge1 | Élise Vachon Lachiver2 | Serge Langevin1 | Elisabeth Boileau3 | Frédéric Bernier1,2,4 | Aliki Thomas5 

 

1 소개
1 INTRODUCTION

보건직 교육(HPE)에서 역량 기반 교육(CBE)의 구현은 교육(예: 학생 중심 전략 및 감독자와 교육자 간의 코칭 관계 선호)과 평가 관행(예: 실제 평가에 보다 중점을 둔 암기 기반 검사 및 진행에 초점을 맞춘 평가)에 상당한 변화를 가져왔다. 평가 문화의 변화는 CBE로의 전환을 지원하기 위해 중요할 뿐만 아니라 교육 변화의 가장 어려운 측면 중 하나입니다.1 교육자와 관리자는 학습자가 유능한 의료 전문가로서 연습하는 데 필요한 지식, 기술 및 태도의 개발과 평가를 촉진하는 데 사용할 수 있는 전략을 구현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2, 3 그러한 전략 중 하나는 훈련생과 교수진에게 유능한 전문 실습으로 가는 길을 명시하는 로드맵을 만들고 제공하는 것이다. [명시적 경로]와 같은 [발달의 종단적 관점의 통합]은 더 나은 건강 전문가의 발전에 기여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학생들에게 예상되는 발달의 예(명시적인 로드맵)를 제공하면, 그들은 주어진 단계에서 그들이 기대하는 것과 그들의 성과를 비교할 수 있다. 이 정보는 자체 평가에 사용될 수 있으며 자체 개발에서 자율성을 높일 수 있습니다.5 따라서, 최근 몇 년 동안 교육자와 연구자들은 이 종적 관점을 개념화하고 구현했다. 이러한 관점의 일반적인 발현은 신뢰할 수 있는 전문 활동(EPA)과 이정표이다.

The implementation of competency-based education (CBE) in health professions education (HPE) has resulted in substantial changes in teaching (eg, favouring student-centred strategies and a coaching relationship between supervisor and trainee) and assessment practices (eg, more emphasis on authentic assessment versus rote memory-based examinations and assessment focused on progression). A change in assessment culture is not only crucial to support the transition to CBE, but it also one of the most challenging aspects of educational change.1 Educators and administrators aim to implement strategies that can be used to foster the development and assessment of knowledge, skills and attitudes required by their learners to practice as competent health professionals.2, 3 One such strategy is to create and provide roadmaps to trainees and faculty members that make explicit the pathway to competent professional practice. The integration of a longitudinal perspective of development -such as an explicit pathway - is thought to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better health professionals.4 When students are provided with an exemplar of their expected development (explicit roadmap), they can compare their performance to what is expected of them at their given stage.4, 5 This information can be used in their self-assessment and increases their autonomy in their own development.5 Thus, in recent years, educators and researchers have conceptualised and implemented this longitudinal perspective. Common manifestations of this perspective are the entrustable professional activities (EPAs) and milestones.3, 6-8

일반적으로 CBE의 구현으로 인한 [관찰된 교육학적 문화의 변화], 그리고 보다 구체적으로 [종단적 발달 경로]는 평가의 다양한 측면에 영향을 미친다. 역량 기반 교육은, 시기적절하고 직접적인 지속적인 직장 기반 평가를 포함하는, 평가에 대한 총체적이고 종적인 접근 방식과 연관되어야 한다.9 역량의 발달 진행을 촉진하기 위해 평가는 이러한 발달 경로에 매핑되어야 한다. 확립된 progression 경로에서 역량을 벤치마킹하면, 학생들의 역량 강화와 자체 개발에 대한 투자를 촉진할 수 있다. 또한 발달 경로에 대한 자신의 진행 상황에 대한 피드백은 전문적 전문 지식의 개발을 촉진하고 궁극적으로 의료의 질을 향상시킨다.10
The observed changes in pedagogical culture due to the implementation of CBE in general, and longitudinal developmental pathways more specifically, have consequences on various aspects of assessment. Competency-based education should be associated with a holistic and longitudinal approach to assessment, involving timely, direct and ongoing workplace-based assessment.9 To facilitate the developmental progression of competence, assessments should be mapped onto these developmental pathways. The benchmarking of competence on an established path of progression could promote students’ empowerment and investment in their own development. In addition, feedback about one's progress on a developmental pathway fosters the development of professional expertise,4 and ultimately increases quality of health care.10

[발달 경로에 매핑된 평가의 구현]에 관심이 커지고 있으며, DPA(Developmental Progress Assessment) 등으로 교육생 및 교수진에게 지침을 제공하는 데 사용된다. 그러나 기대한 이익을 얻기 위해 구현에 대해 이해해야 할 점이 많다. DPA를 성공적으로 구현하기 위한 첫 번째 필수 단계는 문헌에서 DPA가 어떻게 정의되고 개념화되어 있는지, 주요 목표, 관찰된 결과 및 구현에서 얻은 교훈이 무엇인지, 그리고 DPA가 어떻게 실행되거나 교육적 맥락에서 적용되었는지 더 잘 이해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 논문의 목적은 DPA 구현에 관한 문헌의 깊이와 폭을 매핑하는 것이다.
There is great interest in the implementation of assessment mapped on developmental pathways and used to provide guidance to trainees and faculty members, such as Developmental Progress Assessment (DPA). However, there is much that remains to be understood about its implementation to reap its anticipated benefits. The first and necessary step towards successful implementation of DPA is to better understand how DPA is defined and conceptualised in the literature, what are its major goals, observed outcomes as well as lessons learned from the implementation, and how it has been executed or applied across educational contexts. Thus,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map the depth and breadth of literature on the implementation of DPA.

2가지 방법
2 METHODS

우리는 우리의 주요 질문을 다루기 위해 지식 합성의 한 형태인 범위 연구를 수행했다. 범위 검토는 해당 영역에서 어떤 연구가 수행되었는지, 또는 개념이 다양한 출처에 걸쳐 논의 또는 개념화되었는지를 모를 때 새로운 연구 영역 또는 신흥 영역에서 문헌의 초상화를 작성하는 데 유용하다. (예: 회색 문헌, 경험적 문헌, 웹 사이트). 범위 지정 연구를 수행하는 주된 이유는 네 가지입니다.

  • (a) 주어진 분야에서 연구 활동의 범위, 범위 및 성격을 조사한다.
  • (b) 체계적인 검토를 수행할 가치와 적절성을 결정한다.
  • (c) 연구 결과를 요약하고 배포한다.
  • (d) 연구 공백을 식별한다. 

We conducted a scoping study, a form of knowledge synthesis, to address our main question. Scoping reviews are useful for creating a portrait of the literature in a new or emerging area of study when it is unclear what research has been done in that area, or how a concept has been discussed or conceptualised across various sources (eg, grey literature, empirical literature, websites).11 There are four main reasons for conducting a scoping study:

  • (a) to examine the extent, range and nature of research activity in a given field;
  • (b) to determine the value and appropriateness of undertaking a systematic review;
  • (c) to summarise and disseminate research findings, and
  • (d) to identify research gaps.

본 논문에서 보고된 검토는 목표 (a), (b) 및 (c)에 따라 수행되었다. 우리는 Arcsey와 O'Malley11의 범위 검토에 대한 6단계 방법론적 프레임워크를 따랐다.

The review reported in this paper was guided by objectives (a), (b) and (c). We followed the six-step methodological framework for scoping reviews by Arksey and O’Malley11:

  • 1 연구 질문의 식별
  • 2 관련 연구 확인
  • 3 스터디 선택
  • 4 데이터 도표 작성
  • 5 결과 수집 및 보고
  • 6 잠재적 이해 관계자와 협의(선택적 단계)
  • 1 Identifying the research question;
  • 2 Identifying relevant studies;
  • 3 Selecting studies;
  • 4 Data charting;
  • 5 Collating and reporting results, and
  • 6 Consulting with potential stakeholders (optional step).

6단계는 검토의 주요 목적이 아니었고 시기상조라고 여겨졌기 때문에 실행하지 않았다. 나머지 다섯 단계는 아래에 각각 설명되어 있습니다.
We did not execute Step 6 as this was not the major purpose of our review and was considered premature. Each of the other five steps is described below.

2.1 1단계: 조사 질문 식별
2.1 Step 1: Identifying the research question


검토를 안내하는 주요 연구 질문은 '고등교육에서 DPA가 CBE의 맥락에서 어떻게 구현되는가?'였다. 특히, 우리는 다음을 목표로 삼았습니다.

  • 구현된 DPA의 특성을 설명합니다.
  • DPA 구현에 대한 잠재적 촉진제 및 장벽을 식별한다.
  • DPA에 대한 잠재적 결과 및 유효성의 증거를 조사합니다.

The main research question guiding the review was ‘How is DPA implemented in the context of CBE in higher education?’ Specifically, we aimed to:

  1. Describe the characteristics of implemented DPA.
  2. Identify potential facilitators and barriers to the implementation of DPA.
  3. Explore potential outcomes and evidence of validity for DPA.

2.2 2단계: 관련 연구 파악
2.2 Step 2: Identifying relevant studies

첫 번째 저자(CS-O)는 학술 사서와 함께 사용할 수 있는 키워드와 검색을 통해 식별되어야 할 핵심 기사 3, 12-15에 대한 팀원들과의 협의에 따라 측정 및 평가 문헌에 대한 광범위한 지식을 바탕으로 검색 전략(부록 S1)을 정교하게 설명했다.
Working with an academic librarian, the first author (CS-O) elaborated a search strategy (Appendix S1) based on her extensive knowledge of the measurement and assessment literature, following a consultation with team members about potential key words to use and key articles3, 12-15 that should be identified through the search.

우리는 처음에 가장 적절한 전략, 즉 가장 포괄적이었던 전략을 식별하기 위해 서로 다른 키워드 및 키워드 조합을 사용하여 네 가지 다른 파일럿 검색을 수행했다(즉, 빠른 검토를 기반으로 제외된 논문의 비율을 가장 낮게 함). 팀의 콘텐츠 전문가(CS-O)가 대상 논문으로 식별한 3, 12-15개의 주요 기사를 사용하여 검색 전략을 테스트했다. 이 과정을 통해 핵심 기사가 파악되지 않으면 검색 전략을 수정했다.
We initially conducted four different pilot searches using different keywords, and keyword combinations, to identify the most appropriate strategy, that is, the strategy that was the most inclusive (ie, yielding the lowest percentage of excluded papers on the basis of a quick review). We tested the search strategies using identified3, 12-15 key articles that the content experts (CS-O) on the team identified as being target papers. If a key article was not identified through this process, the search strategy was revised.

최종 검색은 다음 데이터베이스에 적용되었다: ERIC (교육 자원 정보 센터); 교육 출처; Ovid; PubMed - MEDLINE; CINAHL(간호 및 제휴 보건 문헌에 대한 누적 지수); 싸이크인포, 에루딧. 이 조사는 2017년 6월 20일에 실시되었다. 포함되기 위해서는 학습자 평가, 진행 상황, 종방향 모니터링 및 CBE에 관한 기사가 포함되어야 했다. 평가의 내용은 지식, 기술, 태도 또는 학습자가 인식하는 효율성일 수 있다. 언어(프랑스어 및 영어 기사만 포함), 임상 컨텍스트(즉, 진단), 아동 발달, 사전 학습 설계, 커리큘럼 개발, 라이센스 평가, 시점 평가 또는 정규 교육 시스템 외부에 기반한 기사를 제외했다. 
The final search was applied to the following databases: ERIC (Education Resources Information Center); Education Source; Ovid; PubMed - MEDLINE; CINAHL (Cumulative Index to Nursing and Allied Health Literature); PsycINFO, and Érudit. This search was conducted on 20 June 2017. To be included, the articles needed to be on learner assessment, in the context of progression, longitudinal monitoring and in CBE. The content of the assessment could be knowledge, skills, attitudes or learner perceived efficacity. We excluded articles based on these criteria: language (only including French and English articles), clinical contexts (ie, diagnosis), child development, pre-post study designs, curriculum development, licensure assessment, point in time assessment or outside a formal education system.

2.3 3단계: 연구 선택
2.3 Step 3: Study selection

두 팀 구성원(CS-O 및 EVL)은 90% 합의에 도달할 때까지 포함 및 제외 결정을 위해 700개(28%)의 제목과 요약을 심사했다. 16 의견 불일치의 경우, 그들은 다양한 관점의 이유인 추상적 내용을 논의했고 합의에 도달했다. 일단 90%의 합의에 도달하면, 그들은 나머지 논문들을 나눠서 요약본을 별도로 심사했다(n = 898개). 한 검토자가 논문을 포함하거나 제외하는 것에 대한 결정에 도달할 수 없는 경우, 그들은 '아마도'로 추상화를 코드화한 다음, 두 번째 검토자에게 (포함되거나 제외된) 추상화를 코드화하도록 요청하였다. 팀 구성원(CS-O 및 EVL)이 모두 결정할 수 없는 경우, 제3의 검토자(EB)는 요약을 포함하거나 제외하는 것에 대해 읽고 결정하도록 요청받았다. 포함 및 제외 기준은 부록 S1에 제시되어 있다.

Two team members (CS-O and EVL) screened 700 (28%) titles and abstracts for inclusion and exclusion decisions until a 90% agreement was reached.16 In case of a disagreement, they discussed the abstract, the reasons for the varied perspective and came to a consensus. Once they reached 90% of agreement, they divided the remaining papers and screened the abstracts separately (n = 898 each). If one reviewer could not reach a decision about including or excluding a paper, they coded the abstract as ‘maybe’ and then asked the second reviewer to code the abstract (as included or excluded). If both team members (CS-O and EVL) could not decide, a third reviewer (EB) was asked to read and decide about including or excluding the abstract. Inclusion and exclusion criteria are presented in Appendix S1.

2.4 4단계: 데이터 차트 작성
2.4 Step 4: Data charting

초기 데이터 추출 양식은 CS-O가 그녀의 광범위한 평가 경험을 바탕으로 개발했다. 양식의 첫 번째 버전은 모든 팀 구성원(CS-O, EVL, SL, EB, FB 및 AT)과 검토 및 논의되었습니다. Microsoft® Excel(Microsoft Corporation, Redmond, WA, USA)에 탑재된 수정된 양식은 CS-O, EB, FB, SL 및 EVL에 의해 5개의 논문에 대해 시범 테스트되었습니다. 선명도를 높이기 위해 추출 그리드를 변경했습니다. 처음에는 4가지 요소(주요 결론, 시사점 또는 결과, 강점과 한계)로 구성되었고 7가지 요소(DPA의 원리, 개념화, 고려사항, 주요 결론, 시사점 또는 결과, 강점과 한계)로 구성되도록 수정되었다.
An initial data extraction form was developed by CS-O based on her extensive experience in assessment. The first version of the form was reviewed and discussed with all team members (CS-O, EVL, SL, EB, FB and AT). The revised form, mounted in Microsoft® Excel (Microsoft Corp., Redmond, WA, USA), was pilot tested by CS-O, EB, FB, SL and EVL on five papers. Changes to the extraction grid were made in order to increase clarity. Initially, it was comprised of four elements (major conclusions, implications or outcomes, strengths and limits) and was modified to be comprised of seven elements (principles of DPA, conceptualisations, considerations, major conclusions, implications or outcomes, strengths and limits).

양식이 완성되면, 두 명의 팀 구성원(CS-O 및 EVL)이 무작위로 선정된 35개의 논문(선택된 총 논문 수의 20%)에서 데이터를 추출하는 작업을 진행했다. 두 팀 구성원 간의 교정의 일환으로 각 구성원은 좋은 추출 예와 나쁜 추출 예제를 문서화한 저널을 작성 및 유지했습니다. 이 과정은 반복적으로 수행되었다. 즉, 이 팀 구성원(CS-O 및 EVL)은 추출된 5-10개의 기사마다 만나 추출에 대해 논의하였다. 추출에 대한 양호한 합의를 달성한 후, 이 두 팀 구성원은 나머지 기사를 별도로 선별하고 추출했다(CS-O의 경우 n = 58, EVL의 경우 57).

Once the form was finalised, two team members (CS-O and EVL) proceeded to extract the data from 35 randomly selected papers (20% of the total number of papers selected). As part of the calibration between the two team members, each member compiled and maintained a journal that documented good and bad extraction examples. This process was done iteratively, that is, these team members (CS-O and EVL) met and discussed their extractions at every 5-10 extracted articles. When they achieved a good agreement for extraction, these two team members then screened and extracted the remaining articles separately (n = 58 for CS-O and 57 for EVL).

2.5 5단계: 결과 수집 및 보고
2.5 Step 5: Collating and reporting results

우리는 각 보유 논문에 보고된 데이터에 대한 수치 분석과 주제 분석을 모두 수행했다. 먼저, 우리는 아카이브에서 추출한 수치 데이터를 분석했고, 그 빈도를 출판 연도, 국가, 교육생의 훈육 및 학습 수준과 같은 데이터에 사용했다. 기술 통계는 spss Version 21.0(IBM Corporation, Armonk, NY, USA)을 사용하여 수행되었습니다.16
We conducted both a numerical and thematic analysis of the data reported in each retained paper. First, we analysed the numerical data extracted from our archive whereby we used frequencies to data such as: year of publication, country, and trainees’ discipline and study level. Descriptive statistics were conducted using spss Version 21.0 (IBM Corp., Armonk, NY, USA).16

Arcsey와 O'Malley, 11 Levac 외 연구진, 17 및 Thomas 외 18의 권고에 따라 정성적 데이터에 대한 주제 분석을 수행하고 Dedoose(Dedoose, Manhattan Beach, CA, USA)18을 사용하여 데이터를 관리했다. Levac 등 17은 Arcsey와 O'Malley 11이 제안한 주제 분석이 어떤 사람들에게는 질적 데이터 분석 기법과 더 유사할 수 있다고 말한다. 우리는 Arcsey와 O'Malley11에서 제안된 용어를 그들의 프레임워크가 우리의 방법론적 선택을 안내했기 때문에 존중하기로 결정했다. 이 범위 지정 연구의 목표는 DPA 구현에 대한 문헌의 깊이와 폭을 매핑하는 것이었다. 구현 프로세스 중에 종종 발생하는 요인에 대한 우리의 발견을 명확히 했다. 19, 20 분석 자체의 경우, 수석 조사관(CS-O)은 기사의 50%를 코딩하고 코딩 트리를 구성했다. CS-O에 의해 구성된 코딩 트리를 사용하여 독립적으로 기사를 코딩한 세 명의 팀 구성원(EB, SL 및 FB)에게 동일한 50%가 분배되었다. CS-O와 팀 구성원들 앞에서 주제 분석의 예비 주제를 논의하여 코딩 트리를 개선하였다. 나머지 기사는 최종 코딩 트리를 사용하여 PI에 의해 분석되었으며, 결과 테마는 모든 팀 구성원(CS-O, EVL, SL, EB, FB 및 AT)에 의해 검토되었다. 추가 토론이 이어졌고 최종 주제 집합으로 이어졌다. 

As per recommendations from Arksey and O’Malley,11 Levac et al,17 and Thomas et al18 we conducted a thematic analysis of the qualitative data and used Dedoose (Dedoose, Manhattan Beach, CA, USA)18 to manage the data. Levac et al17 state that the thematic analysis proposed by Arksey and O’Malley11 may be more akin, for some, to a qualitative data analytical technique. We decided to respect the terminology proposed in Arksey and O’Malley11 as their framework guided our methodological choices. Our goal for this scoping study was to map the depth and breadth of the literature on the implementation of DPA, we articulated our findings around the factors that often come into play during an implementation process.19, 20 For the analysis itself, the principal investigator (CS-O) coded 50% of the articles and constructed a coding tree. The same 50% was distributed amongst three team members (EB, SL and FB), who independently coded the articles using the coding tree constructed by CS-O. CS-O and all in front of team members discussed the preliminary themes from the thematic analysis, which resulted in a refining of the coding tree. The remaining articles were analysed by the PI using the final coding tree and the resulting themes were reviewed by all team members (CS-O, EVL, SL, EB, FB and AT). Additional discussion ensued and led to the final set of themes.

3 결과
3 RESULTS

PRISMA(체계적인 검토 및 메타 분석을 위한 선호 보고 항목) 흐름도는 그림 1에 제시되어 있다. 프랑스어나 영어 이외의 언어로 된 기사, 중복을 제거한 후, 2494편의 논문이 추상 분석을 위해 포함되었다. 포함 및 제외 단계가 끝날 때, 포함 기준을 충족하는 171편의 논문이 유지되었다. 전체 논문 검토 후, 우리는 분석에 총 56개의 기사를 포함했다(그림 1 참조).
The PRISMA (preferred reporting items for systematic reviews and meta-analyses) flow diagram is presented in Figure 1. After eliminating duplicates, articles in languages other than French or English, 2494 papers were included for abstract analysis. At the end of the inclusion and exclusion phase, 171 papers that met the inclusion criteria were retained. After full paper review, we included a total of 56 articles in the analysis (see Figure 1).

3.1 수치 데이터 기술 결과
3.1 Descriptive results for numerical data

그림 2에서 2014년부터 2017년까지 39개의 기사(우리 말뭉치의 70%를 대표하는)가 발행된 가운데 개발 진행도 평가에 관한 기사가 증가했다.
In Figure 2 an increase in articles published on the topic of developmental progress assessment was seen with 39 articles (representing 70% of our corpus) published between 2014 to 2017.

 

그림 3과 같이 대부분의 기사가 미국에서 출판되었으며(n = 31개 기사, 55%), 캐나다와 영국(n = 6개 기사, 11%)이 그 뒤를 이었다.
The majority of articles were published in the United States (n = 31 articles; 55%), followed by Canada and the United Kingdom (n = 6 articles each; 11%) as seen in Figure 3.

 

표 1은 아카이브에 포함된 대부분의 기사가 HPE 문헌에서 가져온 것임을 보여준다. 즉, 기사의 71%가 의학 교육(n = 41), 치과(n = 4), 약학 및 건강 관리(각각 n = 2) 순이었다. 대학원 연구는 아카이브에서 가장 자주 접하는 연구 수준이었고(n = 28; 50%) 학부 연구는 아카이브의 20%를 차지했다(n = 11개 기사).
Table 1 shows that most of the articles included in our archives were from the HPE literature; that is, 71% of the articles were situated in medical education (n = 41), followed by dentistry (n = 4), pharmacy and health management (n = 2 each). Postgraduate studies was the study level most often encountered in our archive (n = 28; 50%), whereas undergraduate studies represented 20% of our archive (n = 11 articles).

 

우리 아카이브에 있는 56개의 기사 중 12개는 연구 목적을 밝히지 않았다. 표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가장 일반적인 네 가지 목적은 다음과 같다: 

  • (a) 새로운 종방향 평가 전략 또는 도구에 대한 타당화 프로세스를 설명합니다(n = 14; 32%).
  • (b) 학생의 progression를 평가하는 데 사용되는 교육 혁신을 설명한다(n = 8; 18%).
  • (c) 새로운 평가 또는 도구 개발 및 구현(n = 7; 16%)
  • (d) CBE 원칙에 부합하는 커리큘럼을 개발한다(n = 7; 16%)

Of the 56 articles in our archive, 12 did not state a study purpose. As shown in Table 2, the four most common stated purposes were to:

  • (a) describe a validation process for a novel longitudinal assessment strategy or tool (n =14; 32%);
  • (b) describe an educational innovation used to assess students’ progression (n = 8; 18%);
  • (c) develop and implement a novel assessment or tool (n = 7; 16%), and
  • (d) develop a curriculum aligned with CBE principles (n = 7; 16%).

 

 

DPA를 위한 특정 평가 도구(일반적인 아이디어, EPA와 마일스톤의 개발 및 구현, 또는 임상 역량 위원회 프로세스와는 반대로)를 다룬 29개의 논문에서 우리는 다양한 도구와 평가 컨텍스트를 관찰했다. 가장 일반적인 도구는 주어진 역량 또는 하위 역량에 대한 개발 수준을 문서화하는 척도(n = 9)였으며, 평균 4.8의 2개에서 10개의 서로 다른 앵커를 가지고 있었다. 다른 인기 있는 도구로는 마일스톤(n = 6), 포트폴리오(n = 3) 및 자기효능감척도(n = 3)가 있습니다. 발달과 진행을 결정하기 위해 임상적 맥락(n = 6), 표준화된 맥락(n = 5) 또는 특정 과제(n = 5)에서 가장 자주 수행이 관찰되었다(표 3).

Of the 29 papers that addressed specific assessment tools for DPA (as opposed to general ideas, development and implementation of EPAs and milestones, or even clinical competence committee processes), we observed different tools and assessment contexts.

  • The most common tools used were scales (n = 9) to document the level of development for given competencies or subcompetencies, they had from two to 10 different anchors with an average of 4.8. Other popular tools included milestones (n = 6), portfolios (n = 3) and self-efficacy scales (n = 3).
  • To determine development and progress, the performances were observed most often in a clinical context (n = 6), in a standardised context (n = 5) or for a specific task (n = 5) (Table 3).

 

 

3.2 정성적 데이터에 대한 기술 결과
3.2 Descriptive results for qualitative data

우리는 질적 주제 분석에서 DPA의 구현에 대한 우리의 이해를 알릴 수 있는 7가지 주요 주제를 식별했다.

  • (a) DPA의 기본 목표
  • (b) DPA에 대한 정보 출처
  • (c) DPA 구현에 대한 장벽
  • (d) DPA 구현의 장벽 또는 촉진자로 작용할 수 있는 상황별 요인
  • (e) DPA 구현 촉진자
  • (f) DPA 구현의 관찰된 결과
  • (g) 타당성을 입증하는 증거

We identified seven major themes in our qualitative thematic analysis that can inform our understanding of the implementation of DPA:

  • (a) underlying aims of DPA;
  • (b) sources of information for DPA;
  • (c) barriers to the implementation of DPA;
  • (d) contextual factors that can act as barriers or facilitators to the implementation of DPA;
  • (e) facilitators to the implementation of DPA;
  • (f) observed outcomes of the implementation of DPA, and
  • (g) documented validity evidence.

각 테마는 여러 하위 테마로 구성되었으며 8-38개의 서로 다른 출처(기사)에 의해 지원되었다. 9개의 기사가 오직 하나의 테마로 제시되었다:

  • 34개의 다른 출처가 지원하는 주제 '실제 결과'의 4개
    26개의 다른 출처가 지원하는 '정보 제공'의 2개
    25개의 다른 출처가 지원하는 '기본 목표'의 2개
    9개의 다른 출처에 의해 지원되는 'model' 중 1개. 

주제, 하위 주제 및 설명은 아래에 인용문과 함께 제시되어 있습니다..

Each theme was comprised of several subthemes, and supported by 8-38 different sources (articles). Nine articles were present in only one theme:

  • four in ‘observed outcomes’ a theme supported by 34 other sources;
  • two in ‘sources of information’ supported by 26 other sources;
  • two in ‘underlying aims’ supported by 25 other sources, and
  • one in ‘barriers’ supported by nine other sources. 

Themes, subthemes and their descriptions are presented below with supporting quotes.

 

3.3 주제 1: DPA의 기본 목표
3.3 Theme 1: Underlying aims to DPA

우리는 DPA의 구현과 관련된 두 가지 주요 목표를 식별했다. (a) 교육생의 진행과 발달에 대한 보고와 (b) 더 나은 전문직으로서의 개발에 기여하기 위한 것이다. DPA의 구현의 근본적인 동기는 [역량을 향한 구체적인 발전 경로]가 주어졌을 때 [교육생과 프로그램에 교육생의 발전 및 발전에 대한 보고서를 제공]하는 것이다. 21-40 교육생에 대한 보고서를 제공하는 것 외에도, DPA는 평가, 피드백, 가이드를 통해 학습 기회를 제공함으로써, 더 나은 직업의 발전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We identified two main goals associated with the implementation of DPA:

  • (a) to report on trainees’ progress and development, and
  • (b) to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better professionals.

An underlying motivation to the implementation of DPA is to provide trainees and programmes with a report on trainees’ progression and development given a specific established path of progression towards competency.21-40 In addition to providing a report on trainees’ progression, DPA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better professionals by providing learning opportunities through assessment, feedback and guidance.

3.4 주제 2: DPA를 위한 정보의 출처
3.4 Theme 2: Sources of information for DPA

우리는 DPA(연수생의 진행과 발전을 문서화하는 방법)의 정보 소스에 기여하는 두 가지 주요 요소를 식별했다. 즉 (a) 학생에 대한 직접적인 관찰과 (b) 미리 설정된 진행 경로. 저자들이 역량 기반 의학교육(CBME)의 맥락에서 DPA의 구현을 논의할 때, 그들은 학생들의 성과에 대한 종방향 문서화와 평가가 학생에 대한 직접 관찰에 의해 informed 되어야 한다는 중요성을 내세웠다. 3, 15, 27, 28, 33, 35, 38, 41 우리가 자주 관찰한 두 번째 요소는 사전 설정된 진행 경로를 통해 DPA에 알려야 할 필요성
We identified two main elements contributing to the sources of information for DPA (how to document trainees’ progress and development) namely:

  • (a) the direct observation of students, and
  • (b) a pre-established path of progression.

When authors discussed the implementation of DPA in the context of competency-based medical education (CBME), they put forward the importance that the longitudinal documentation and assessment of students’ performance be informed by direct observation of students.3, 15, 27, 28, 33, 35, 38, 41 The second element that we frequently observed was the necessity that DPA be informed by a pre-established path of progression.15, 21, 23, 25-27, 30, 32-38, 41-52

3.5 주제 3: DPA의 구현에 대한 장벽
3.5 Theme 3: Barriers to the implementation of DPA

우리는 DPA 구현에 대한 네 가지 주요 장벽 또는 과제를 식별했다. (a) 추가 물류 부담, (b) 경험적 데이터 또는 증거 지원 관행 부족, (c) 관찰 기회를 찾는 도전, (d) 시간이 필요하다. 프로그램에 대한 이러한 추가 부담은 DPA 구현에 대한 장벽으로 간주될 수 있다. 일부 저자들은 경험적 데이터 또는 증거 지원 관행의 부족을 강조하며, 경우에 따라 DPA 구현에 대한 장벽으로 인식될 수 있다고 가정한다. 교육생을 관찰할 시간과 기회도 DPA의 구현에 있어 중요한 장벽으로 간주되었다.

We identified four main barriers or challenges to the implementation of DPA:

  • (a) The additional logistical burden;
  • (b) lack of empirical data or evidence-supported practices;
  • (c) challenge of finding observation opportunities, and
  • (d) time it requires.

These additional burdens on the programmes could be seen as barriers to the implementation of DPA.33, 38, 47, 53-56 Some authors highlight the lack of empirical data or evidence-supported practices, and hypothesise that it can be, in some instances, perceived as a barrier to the implementation of DPA.38, 47, 56, 57 Time and opportunities to observe trainees were also seen as important barriers to the implementation of DPA.15, 33, 58

3.6 주제 4: DPA 구현에 긍정적 또는 부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상황적 요인
3.6 Theme 4: Contextual factors that can positively or negatively influence implementation of DPA

우리는 DPA 구현에 장벽 또는 촉진자로 작용할 수 있는 세 가지 상황적 요인을 식별했다. (a) 적절한 평가 도구 또는 전략, (b) 교수진 개발, (c) 지역 문화. DPA를 구현하기 전에 [적절한 평가 도구 또는 전략이 제공되었을 때], 이를 촉진자로 간주했습니다.3 그러나 이러한 도구와 전략의 개발에 대한 비용과 자원은 DPA의 구현에 대한 장벽으로 간주되었다.38 평가 도구 또는 전략이 DPA의 구현에 적절하거나 제공되지 않은 경우, 이는 DPA의 구현에 대한 장벽으로 간주되었다.38, 43, 47 이러한 평가 도구와 전략에 대한 기대치는 높았고, 충족되지 않을 때, 좌절하게 만들었다.
We identified three contextual factors that could act as either a barrier or facilitator to the implementation of DPA:

  • (a) appropriate assessment tools or strategies;
  • (b) faculty development, and
  • (c) local culture.

When appropriate assessment tools or strategies were made available before the implementation of DPA, this was seen as a facilitator.3 Costs and resources to the development of these tools and strategies, however, were seen as barriers to the implementation of DPA.38 If the assessment tools or strategies were not appropriate or available at the implementation of DPA, this was seen as a barrier to its implementation.38, 43, 47 Expectations towards these assessment tools and strategies are high, and when not met, they lead to frustrations.33, 47, 51, 54(p.2)


DPA의 구현에 대한 장벽 또는 촉진자로 볼 수 있는 두 번째 상황적 요인은 교수진에게 제공되는 교육 기회이다. 교수개발이 DPA의 구현 전 또는 구현 중에 계획되고 전개되었을 때, 이는 DPA의 구현에 대한 촉진자로 간주되었다. DPA의 구현에 앞서서 교수개발을 출시하는 것이 바람직하게 보였지만, 많은 저자들은 이것이 프로그램에 대한 추가적인 부담이라는 사실을 강조했고, 그들은 DPA의 구현에 대한 장벽으로 볼 수 있었다.
A second contextual factor that could be seen as either a barrier or facilitator to the implementation of DPA is the training opportunities provided to faculty members.21, 38, 54, 56, 58, 59 When faculty development was planned and rolled out before or during the implementation of DPA, this was seen as a facilitator to the implementation of DPA.58 Though the roll-out of faculty development prior to the implementation of DPA was seen as favourable, many authors highlighted the fact that this was an additional strain on programmes, who could view it as a barrier to the implementation of DPA.21, 38, 56

마지막으로, DPA의 구현에 장벽 또는 촉진자로 작용할 수 있는 중요한 기여 요소는 [지역 문화]였다. 저자들은 학습의 평가(평가의 전통적인 사용)에서 학습을 위한 평가(개발 촉진에 사용되는 평가)로 이동하려면 중요한 변화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향토 문화로 DPA가 지역 문화와 잘 일치하는 경우, DPA는 구현의 촉진자로 간주되었습니다.54 그러나, 일부 경우에는 DPA가 평가 관행에 상당한 변화를 요구했기 때문에 구현에 대한 장벽으로 간주될 수 있습니다.54, 56

Finally, an important contributing factor that could act as either a barrier or facilitator to the implementation of DPA was the local culture.21, 28, 35, 38, 54 Authors highlighted that moving from assessment of learning (traditional use of assessment) to assessment for learning (assessment used to promote development) requires an important shift in local culture. In instances where DPA aligned well with the local culture, it was seen as a facilitator to its implementation.54 However, in some instances, DPA required a significant shift in assessment practices and could thus be seen as a barrier to its implementation.54, 56

3.7 주제 5: 촉진자
3.7 Theme 5: Facilitators

우리는 DPA의 세 가지 주요 촉진 요인을 식별했다. (a) 구현 컨텍스트에서 제공되는 유연성, (b) CBME의 동시 구현, (c) 구현하기 전에, 다가올 변화에 대한 컨텍스트와 인력의 준비 등. 우리는 아카이브에서 DPA의 구현이 유연성을 제공할 때 촉진될 수 있음을 관찰했다. 즉, 운영화와 구현이 엄격하게 사전 정의되지 않았을 때 DPA를 구현하기가 더 쉬웠다. CBME가 도입되는 동안 DPA의 구현은 또한 평가 관행에 변화의 기회를 제공했기 때문에 상황적 요인으로 간주되었다. 마지막으로, DPA를 시행하기 전에 맥락과 인력의 준비가 중요한 촉진자로 간주되었다.

We identified three main facilitators to the implementation of DPA:

  • (a) the flexibility offered in the context of the implementation;
  • (b) the simultaneous implementation of CBME, and
  • (c) the preparation of the context and people for the upcoming changes, prior to the implementation of DPA.

We observed, in our archive, that the implementation of DPA could be facilitated when it provided flexibility. That is, it was easier to implement DPA when the operationalisation and implementation were not rigidly pre-defined.37, 38, 54 The implementation of DPA during the roll-out of CBME was also seen as a facilitating contextual factor as it provided an opportunity for change in assessment practices.26, 47, 54, 60 Lastly, the preparation of the context and people prior to the implementation of DPA was seen as an important facilitator.21, 25, 26, 33, 37, 54, 58, 61

3.8 주제 6: DPA수행의 관찰된 성과이다.
3.8 Theme 6: Observed outcomes of the implementation of DPA

아카이브에 있는 56개의 기사 중 총 42개는 DPA 구현의 결과를 제공했으며, 여기에는 다음이 포함되었다. 

  • (a) 피드백 촉진,
  • (b) 교정조치가 필요한 전공의 확인,
  • (c) 더 나은 수습 평가 및 프로그램 평가,
  • (d) 진행 상황 모니터링 수단,
  • (e) 명시적 기대치 로드맵

A total of 42 of the 56 articles in our archive provided outcomes from the implementation of DPA, which included:

  • (a) facilitated feedback;
  • (b) identification of residents who need remediation;
  • (c) better trainee assessment and programme evaluation;
  • (d) means to monitor progress, and
  • (e) a road map of explicit expectations.

DPA 구현의 일반적인 긍정적인 결과는 교육생에 대한 피드백이었다. 또한, 몇몇 저자들은 DPA의 구현이 재교육이 필요한 교육생을 식별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했다고 보고했다. 전반적으로, DPA의 시행은 더 나은 연수생 평가와 프로그램 평가를 위한 기회로 간주되었다. DPA는 또한 훈련생들의 진행과 그들의 전문적 역량의 개발을 모니터링하는 수단을 제공하는 것으로 간주되었다. 마지막으로, DPA는 교육생들이 무엇을 성취했고 그들 앞에 무엇이 남아 있는지를 묘사하기 위해 무엇을 사용할 수 있는지에 대한 명시적인 기대의 로드맵으로 보여졌다. 

A common positive outcome of DPA implementation was the facilitated feedback to trainees.22, 25, 29, 30, 32, 37, 47, 49, 54-56, 58, 62-64 In addition, several authors reported that the implementation of DPA provided the opportunity to identify trainees who require remediation.22, 27, 29, 30, 36, 38, 43, 52, 54, 55, 63, 65, 66 Overall, the implementation of DPA was seen as an opportunity for better trainee assessment and programme evaluation.30, 39, 41, 46, 47, 49, 54, 55, 58, 61-65, 67 DPA was also seen as providing a means to monitor trainee progress and the development of their professional competency.21-24, 27, 29, 30, 32, 33, 37, 39, 40, 46, 48, 50, 54, 60, 65, 68 Lastly, DPA was seen as a road map of explicit expectations of what could be used by trainees to picture what they have accomplished and what is left in front of them.

DPA 구현을 위해서는 [명확한 사전 설정된 경로 제공]이 필요하지만, 구현 시 필요하지 않았다면 만들어지지 않았을 수 있어 구현에 긍정적인 결과물로도 평가된다. 이는 전공의 스스로 전문성 개발을 agency를 갖게하겠다는 전략으로도 읽힌다. 오직 두 개의 기사만이 DPA 구현과 관련된 부정적인 결과를 제시한다. 타르디프와 두부아에서 저자들은 교수진 개발의 부족이 평가를 세로 방향으로 볼 수 없는 상황을 초래했다고 말했다. Yadlapati 외 연구진에서, 교육생 중 절반이 예상 시간 내에 기대 수준의 역량을 달성하지 못했다.

Though providing an explicit pre-established path is required for the implementation of DPA, it is also seen as a positive outcome of its implementation as it may have not been created if the implementation didn't require it.21, 23-26, 30, 33, 49, 54, 55, 62-64, 67 This is also seen as a strategy to give residents agency over their own professional development. Only two articles put forward negative outcomes associated with DPA implementation.31, 35 In Tardif and Dubois,35 the authors stated that the lack of faculty development yielded a situation where the assessment was not seen longitudinally. In Yadlapati et al,31 half the trainees did not achieve the expected level of competency in the expected time frame. 

3.9 주제 7: 타당성 근거를 문서화
3.9 Theme 7: Documented evidence of validity

우리는 단지 4개의 기사에서만 타당성을 증명할 수 있었다.

  • Rebel 외 연구진에서, 30명의 저자들은 성장 및 이정표 달성을 문서화하기 위해 성능의 증가와 목표 구조화된 임상 검사(OSCE)의 타당성에 대해 논의한다.
  • Nabors 등은 임상 역량 위원회의 상임위 심사 과정을 기록했다.
  • Pugh 등은 그들의 OSCE가 다른 수준에서 후보들 간의 차별을 할 수 있고 또한 높은 신뢰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progress test 의 한 형태로 사용될 수 있다고 주장한다.
  • 하우어 외 연구진에서, 저자들은 자신들의 연구 결과가 '능력 개발을 어떻게 특징지을 수 있는지, 임상 역량 위원회와 함께 일하는 프로그램 책임자가 훈련 중에 거주자들이 겪거나 겪지 않은 커리큘럼 경험을 식별하기 위해 어떻게 그것들을 사용할 수 있는지를 보여줌으로써 이정표에 대한 유효성의 증거를 구축하는 것'에 기여한다고 제안한다.

We were able to identify validity evidence in only four articles.30, 36, 61, 67 

  • In Rebel et al,30 the authors discuss the increase in performance, and the validity of their objective structured clinical examination (OSCE) to document growth and milestones attainment.
  • In Nabors et al,61 the authors documented the deliberation process for the clinical competence committee.
  • Pugh et al36 argue that their OSCE can be used as a form of progress test as it can discriminate amongst candidates at different levels, and also has high reliability.
  • In Hauer et al,67 the authors propose that their findings contribute to ‘build evidence of validity for the milestones by showing how they may characterise development of competence and how programme directors working with clinical competency committees may use them to identify curricular experiences residents do or do not have during training.’67(p.361)

4 토론
4 DISCUSSION

CBME에서 평가의 보편성을 고려할 때, 학습자와 사회에 대한 설명 책임의 시대에 새로운 평가를 구현하기 위한 노력은 새로운 평가의 성격과 영향에 대한 깊은 이해가 필요하다. 우리는 DPA의 성공적인 광범위한 구현을 위한 첫 번째 필수 단계로서 DPA의 구현에 대한 문헌의 깊이와 폭을 매핑하기 위해 범위 검토를 수행했다. 16, 71 우리는 논문에서 교육생의 개발과 진행을 문서화하기 위해 배치된 다양한 도구와 프로세스를 관찰했다. 이러한 도구와 프로세스의 구현은 일반적으로 두 가지 목표에 의해 뒷받침되었습니다.

  • (a) 교육생의 발전 및 진행 상황을 보고하고,
  • (b) 교육생의 전문성 향상에 기여한다.

DPA는 성과와 예상 개발 궤적을 직접 관찰함으로써 통보되었다. 몇 가지 상황적 요인이 DPA의 구현을 방해하거나 유리할 수 있다.

Given the ubiquitous nature of assessment in CBME,3, 69, 70 efforts to implement novel assessments in an era of accountability to learners and society require that we have a deep understanding of the nature and impact of novel assessments. We conducted a scoping review to map the depth and breadth of literature on the implementation of DPA as a first and necessary step towards its successful widespread implementation.16, 71 In the retained papers, we observed different tools and processes that were put in place to document the development and progression of trainees. The implementation of these tools and processes were, in general, underpinned by two aims:

  • (a) to report on trainees’ development and progression, and
  • (b) to contribute to trainees’ professional development.

Developmental progress assessment was informed by direct observation of performance and expected developmental trajectories. Several contextual factors could hinder or favour the implementation of DPA.

우리는 DPA의 구현에 따라 개인 및 조직 수준에서 몇 가지 잠재적 긍정적인 결과를 관찰했다.19 [교육생]의 경우, DPA는 훈련의 각 단계에서, 자신의 역량을 갖추고 독립적인 실천으로 발전하는 데 사용될 수 있는 [명확한 기대 로드맵]을 제공한다.4 이 아이디어는 CBME의 핵심이며, 한 가지 원칙은 [역량있고 독립적인 실천으로 가는 개발 경로]를 설정하는 것이다. 그리피스 외 9는 또한 이것이 학습 강화에 기여해야 한다고 말한다.

We observed several potential positive outcomes at the individual and organisational levels following the implementation of DPA.19 For trainees, DPA provides an explicit road map of expectations, at each stage of their training, that can be used to guide their development towards competent and independent practice.4 This idea is central to CBME, for which one principle is to establish a developmental pathway to competent and independent practice. Griffith et al9 also state that this should contribute to enhanced learning.

[교육생과 감독자 모두]에게 DPA는 관찰된 성과에 대한 명시적 설명을 제공하고, 관찰된 성과를 발달 진전에 대한 명시적 기대와 비교한다는 점에서 [피드백을 제공하는 촉진자]로 간주된다. 73-76 두 프로세스 모두 피드백이 성인 학습에 효과적일 수 있는 중요한 요소로 인식된다. [기관]에게 DPA는 진행 상황을 모니터링하고 교정조치가 필요한 전공의를 식별할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하며, 교육생 평가와 프로그램 평가도 개선한다. 이러한 잠재적 결과는 교육자와 프로그램 관리자가 제시한 니즈를 충족시킵니다.
For both the trainees and their supervisors, DPA is viewed as a facilitator for providing feedback in that it provides explicit descriptions of observed performance72 and compares observed performance to explicit expectations of developmental progress73-76 both processes are recognised as important factors for feedback to be effective in adult learners. For organisations, DPA provides a mean to monitor progress, identify residents who need remediation and it also provides better trainee assessment and programme evaluation. These potential outcomes fill needs manifested by educators and programme administrators.

DPA의 잠재적인 긍정적인 결과를 관찰했지만, 그 구현에는 몇 가지 과제가 있으며, 그 중 많은 문제는 변화에 대한 내성에 기여할 수 있기 때문에 가볍게 볼 수 없다.9, 71 DPA의 구현은 추가적인 로지스틱컬 부담으로 간주되었다. 일부 저자들은 DPA가 경험적 증거가 부족하다고 생각했지만, 다른 저자들은 그렇지 않았다. 직접 관찰에 필요한 기회와 시간과 관련된 문제를 언급하였다. 직접 관찰은 서로 다른 감독자에 의해 만들어진 다양한 맥락에서 여러 개의 관찰을 갖는 DPA의 초석이다. 이러한 마음가짐에서 평가 지점은 독립적인 스냅샷으로 보이지 않지만 학습자의 잠재 성장 가능성을 보다 완벽하고 감동적으로 포착하는 데 기여하는 것으로 간주된다. 또한 사용자 친화적인 평가 양식에 대한 적시 접근은 필수적입니다.9 이러한 장벽은 증거 정보 HPE를 지원하거나 방해하는 요소를 탐구하는 HPE의 다른 분야의 새로운 연구에서 보고된 장벽과 일치한다.77, 78
Although we observed potential positive outcomes of DPA, there are some challenges to its implementation, many of which cannot be taken lightly as they can contribute towards resistance to change.9, 71 The implementation of DPA was seen as an additional logistical burden; some authors considered that it is lacking empirical evidence, whereas others mentioned issues with the opportunity and time required for direct observation. Direct observation is the cornerstone of DPA with multiple observations in varied contexts made by different supervisors. In this mindset, assessment points are not seen as independent snapshots, but are seen as contributing to a more complete and moving capture of a learner's potential growth. In addition, the just-in-time access to user-friendly assessment forms is quintessential.9 These barriers are in line with those reported in emerging research in other areas of HPE exploring the factors that support or hinder Evidence Informed HPE.77, 78

어떤 경우에는 장벽으로 간주되는 것이 - 다른 상황 또는 다른 상황에서 - 촉진제가 될 수도 있습니다. 이러한 상황적 요인에는 [적절한 도구에 대한 접근성], [교수진 개발] 및 [학습을 위한 평가 원리와 일치하는 지역 문화]가 포함된다(Griffith et al.9). 이러한 연구 결과는 Thomas 등 78과 Onyura 등.77의 연구 결과를 반영하기도 한다. 예를 들어, 적절한 평가 도구에 쉽고 빠르게 접근할 경우 DPA의 구현과 채택이 용이할 수 있지만, 그러한 도구의 개발은 부담으로 간주될 수 있다.
In some instances, what was seen as a barrier could also be - in different contexts or under different circumstances - a facilitator. These contextual factors include having access to appropriate tools, faculty development and a local culture aligned with principles of assessment for learning, as also highlighted recently in Griffith et al.9 These findings also mirror the work by Thomas et al78 and Onyura et al.77 For example, easy and quick access to appropriate assessment tools would facilitate the implementation and uptake of DPA; however, the development of such tools can be seen as burdensome.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대부분의 CBME 컨텍스트 내에서 DPA의 구현은 필수적입니다. 따라서 현재 DPA의 운영화 및 구현 과정을 겪고 있는 학교나 프로그램의 경우 알려진 촉진자를 내장하는 것이 흥미로울 수 있다. 우리는 CBE의 구현과 환경적 유연성이 DPA의 구현을 선호할 수 있다는 것을 관찰했다. 즉, 지역 문화가 이에 큰 역할을 했다.21, 28, 35, 38, 54 DPA로의 이동은 교육생과 교직원이 [학습의 평가]를 보는 대신에 [학습을 위한 평가]를 보는 것을 요구한다. DPA의 구현은 학습을 위한 평가 문화가 이미 존재하는 상황에서 촉진되었다. 
As stated earlier, implementation of DPA within most CBME contexts is mandatory. Thus, for the schools or programmes that are currently going through the process of operationalising and implementing DPA, it might be interesting to build-in known facilitators. We observed that the implementation of CBE and surrounding flexibility could favour the implementation of DPA. Namely, the local culture played a major role in this.21, 28, 35, 38, 54 The move towards DPA requires that trainees and faculty members see assessment for learning instead of seeing assessment of learning. Implementation of DPA was facilitated in the contexts where there was already a culture of assessment for learning.

DPA의 초기 구현 단계에 있기 때문에, 아카이브의 몇 가지 문서만이 타당성을 입증했다. 앞으로, 이 문제는 목적 있는 접근 방식으로 다뤄질 필요가 있을 것이다. 새로운 평가의 검증은 평가와 최종 목표(기대 성능)가 정적일 때 그 자체로 어렵다. 그러나, DPA의 맥락에서, 기대되는 성과(최종 목표)는 움직이는 목표이며, 이는 우리가 정적 성과에 관심이 없다는 것을 의미한다. 오히려 평가의 초점은 [학생들의 발전 궤도에 대한 진행]에 있다. 이러한 평가 초점의 차이(정적 성과 대 성장) 때문에, 우리는 심리 측정 모델이 이 현실에 적합하지 않을 수 있기 때문에 타당성 증거를 문서화하기 위해 배치될 접근법을 주의 깊게 고려할 필요가 있다. 79-81
As we are at the initial implementation of DPA, only a few articles in our archive presented validity evidence. Moving forward, this issue will need to be addressed in a purposeful approach. Validation of a novel assessment is challenging in itself when the assessment and end goal (expected performance) is static. However, in the context of DPA, the expected performance (end goal) is a moving target, meaning that we are not interested in a static performance; rather, the focus of the assessment is students’ progression on a developmental trajectory. Because of this difference in assessment focus (static performance versus growth), we need to carefully consider the approaches that will be put in place to document validity evidences, as psychometric models may not be suited for this reality.79-81

범위 검토에는 데이터를 해석할 때 독자가 명심해야 하는 몇 가지 제한이 있습니다. 개발 및 진전에 대한 평가가 반드시 새로운 아이디어는 아니지만 - CBE에 대한 초기 글에 포함되었다 - 이 주제에 대한 문헌은 부족하고 CBME의 구현에 따른 HPE에 대부분 포함되어 있다. 따라서, 아직 포괄적일 검색 전략을 만들기 위한 적절한 키워드를 식별하기가 어려웠다.; 이와 같이, 그것은 더 높은 비율의 배제 기사를 낳았다. 이 검색 전략은 2017년 5월에 적용되었는데, 그 이후로 새롭고 다른 결과가 발표될 수 있었는지에 대해 의문이 제기될 수 있다. 우리가 조사한 최근 연구(예: 그리피스 외 9)가 검색 전략에서 확인된 기사에서 추출한 것과 유사한 발견을 보고하기 때문에 그럴 가능성은 낮다고 본다. 우리가 검색을 수행한 이후로 이 주제에 대한 중요한 저작이 출판되지 않았습니다. 범위 지정 연구에서 전형적이듯, 우리는 포함된 연구의 품질 평가를 수행하기보다는 주제에 대한 문헌의 폭과 깊이를 매핑하는 것이 목적이었기 때문에 데이터 말뭉치에 포함된 문헌을 비판적으로 평가하지 않았다.

There are some limitations to our scoping review that the reader should bear in mind when interpreting our data. Though the assessment of development and progress is not necessarily a new idea - it was embedded in the initial writings on CBE - the literature on this topic is scarce and mostly in HPE following the implementation of CBME. Thus, it was difficult to identify the appropriate keywords to create a search strategy that would be focused yet inclusive; as such, it resulted in a higher percentage of excluded articles. The search strategy was applied in May 2017, which might bring into question if new and different results could have been published since then. We believe that is unlikely, as the recent studies we surveyed (eg, Griffiths et al9) report similar findings to those we extracted from our articles identified in our search strategy. There has not been a seminal work published on the topic since we conducted our search. As is typical in scoping studies, we did not critically appraise the literature included in our data corpus, as our intention was to map the breadth and depth of the literature on the topic rather than conduct a quality assessment of the included studies.

5 결론
5 CONCLUSIONS

피드백을 제공할 수 있는 시설의 증가, 교정조치가 필요한 교육생의 잠재적 식별, 자체 개발에서 교육생에게 주어지는 기관의 증가에서 볼 수 있듯이, 개발 진행 평가는 미래의 유능한 보건 전문가의 훈련의 필요성을 충족시키는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잠재적인 물류 및 부담스러운 함정이 우리를 기다리고 있다. DPA의 광범위한 구현을 진행하면서, 교육자와 연구원들은 평가 해석의 타당성에 대한 증거를 수집하는 것을 염두에 둘 필요가 있다.

Developmental progress assessment seems to fill a need in the training of future competent health professionals, as can be seen by the increased facility to provide feedback, the potential identification of trainees that require remediation, and the increased agency given to trainees in their own development. Yet, potential logistical and burdensome pitfalls await us. Moving forward with a widespread implementation of DPA, educators and researchers need to be mindful of collecting evidences of the validity of the assessment interpretation.

 


Med Educ. 2020 Oct;54(10):878-887. doi: 10.1111/medu.14136. Epub 2020 Apr 15.

Lessons from the implementation of developmental progress assessment: A scoping review

Affiliations collapse

Affiliations

1Department of Medicine, Faculty of Medicine and Health Sciences, University of Sherbrooke, Sherbrooke, Québec, Canada.

2Faculty of Medicine and Health Sciences, University of Sherbrooke, Sherbrooke, Québec, Canada.

3Department of Family and Emergency Medicine, Faculty of Medicine and Health Sciences, University of Sherbrooke, Sherbrooke, Québec, Canada.

4Research Center - Sherbrooke University Hospital Center (CHUS), Integrated Health and Social Service Centers (CISSS) and Integrated University Health and Social Service Centres (CIUSSS), Sherbrooke, Québec, Canada.

5School of Physical and Occupational Therapy, McGill University, Montreal, Québec, Canada.

PMID: 32083743

DOI: 10.1111/medu.14136

Abstract

Objectives: Educators and researchers recently implemented developmental progress assessment (DPA) in the context of competency-based education. To reap its anticipated benefits, much still remains to be understood about its implementation. In this study, we aimed to determine the nature and extent of the current evidence on DPA, in an effort to broaden our understanding of the major goals and intended outcomes of DPA as well as the lessons learned from how it has been executed in, or applied across, educational contexts.

Methods: We conducted a scoping study based on the methodology of Arksey and O'Malley. Our search strategy yielded 2494 articles. These articles were screened for inclusion and exclusion (90% agreement), and numerical and qualitative data were extracted from 56 articles based on a pre-defined set of charting categories. The thematic analysis of the qualitative data was completed with iterative consultations and discussions until consensus was achieved for the interpretation of the results.

Results: Tools used to document DPA include scales, milestones and portfolios. Performances were observed in clinical or standardised contexts. We identified seven major themes in our qualitative thematic analysis: (a) underlying aims of DPA; (b) sources of information; (c) barriers; (d) contextual factors that can act as barriers or facilitators to the implementation of DPA; (e) facilitators; (f) observed outcomes, and (g) documented validity evidences.

Conclusions: Developmental progress assessment seems to fill a need in the training of future competent health professionals. However, moving forward with a widespread implementation of DPA, factors such as lack of access to user-friendly technology and time to observe performance may render its operationalisation burdensome in the context of competency-based medical education.

필기시험 기반 발달시험: 스코핑 리뷰(Acad Med, 2022)
Written-Based Progress Testing: A Scoping Review
Vincent Dion, Christina St-Onge, PhD, Ilona Bartman, MA, Claire Touchie, MD, MHPE, and Debra Pugh, MD, MHPE 

 

 

더 많은 교육자가 이 평가 형식이 학습 및 장기적인 지식 보존에 미치는 긍정적인 효과를 인식함에 따라 Progress 테스트가 인기를 얻고 있습니다. 1-3 Progress testing는 

  • 포괄적(즉, 전체 커리큘럼을 포함하는 블루프린트), 
  • 종단적(즉, 학습자를 시간에 따라 여러 차례에 걸쳐 평가함) 및 
  • 단면적(즉, 서로 다른 교육 단계의 학습자는 동일한 내용을 사용하여 평가함)의 평가 형태를 말합니다. 4 

불행히도, Progress 시험이 지역 맥락 내에서 작동하도록 조정된 방법에는 많은 가변성이 있다. 평가 프로그램에서 Progress 시험을 구현하는 방법에 대한 [기관의 다양한 결정]은 발달시험의 잠재적인 긍정적인 이익을 저해하거나 강화할 수 있다. 따라서, 우리는 Progress 시험을 시행할 때 채택해야 하는 다양한 관행을 문서화하기 위해 노력했다.

Progress testing is gaining in popularity as more educators recognize the positive effects that this assessment format has on learning and long-term knowledge retention. 1–3 Progress testing refers to a form of assessment that is

  • comprehensive (i.e., the blueprint covers an entire curriculum),
  • longitudinal (i.e., learners are assessed on multiple occasions over time), and
  • cross-sectional (i.e., learners from different stages of training are assessed using the same content). 4 

Unfortunately, there is much variability in how progress testing has been adapted to work within local contexts. The different decisions made by institutions about how to implement progress testing in their programs of assessment could either undermine or reinforce its potential positive benefits. Thus, we sought to document the variety of practices that should be adopted when implementing progress tests.

Progress 테스트는 문제 기반 학습 컨텍스트를 위해 개발되었고, 이는 원래 학생들의 바람직한 학습 행동을 극대화하기 위한 목적이 있었다. 5-7 마스트리흐트 대학과 미주리-캔자스 의과대학 은 1970년대 중반에 Progress testing 방법을 독자적으로 개발한 최초의 대학이다. 맥마스터 대학교는 1991년부터 926년까지, 위트레흐트는 2002년부터 2003년까지 이를 따랐다. 이후 Progress testing은 다양한 교육 맥락에서 폭넓게 도입되었다.

Progress testing was originally developed for problem-based learning contexts to maximize desirable learning behaviors in students. 5–7 The University of Maastricht 5 and the University of Missouri-Kansas City School of Medicine 8 were the first to independently develop the progress testing method in the mid-1970s. McMaster University followed suit in 1991–1992 6 and the University Medical Center Utrecht did so in 2002–2003. 7 Progress testing was then more broadly adopted in numerous educational contexts. 9

그 시작 이래로, Progress 시험의 사용을 위해 문서화된 많은 증거들이 있다. 이러한 종단적 평가 형식은 신뢰할 수 있는 결과 5,6을 산출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시간이 지남에 따라 학습자의 지식이 증가한다는 증거가 있다. 3,6,10–14 나아가, Progress 테스트는 학습을 촉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Progress testing의 설계는 테스트 지향적 학습 전략이 애초에 불가능하기 때문에, 그것을 사용하지 않게 만든다. 오히려 진도 시험은 심화 학습과 장기 보존을 강조하는 공부 전략을 장려한다. 따라서 특정 내용(즉, 시험을 위한 교수 및 학습)에 집중함으로써 nonprogress test가 학습자에게 미칠 수 있는 부정적인 영향이 progress testing에서는 제한적이다. 진도 테스트는 또한 자기 주도 학습을 장려할 수 있는 피드백을 제공할 수 있는 여러 기회를 제공한다.
Since its inception, there has been much evidence documented for the use of progress testing. This longitudinal assessment format has been shown to yield reliable results, 5,6 and there is evidence of an increase in learners’ knowledge over time. 3,6,10–14 Furthermore, progress testing has been shown to promote learning. 1,15 The design of progress tests discourages test-directed learning strategies because it is virtually impossible to study for a single examination when such a large volume of knowledge is assessed. 6,16 Rather, progress testing encourages studying strategies that emphasize deep learning and long-term retention. The negative effect that nonprogress tests can have on learners by focusing on specific content (i.e., teaching and learning for the test) is therefore limited. Progress tests also offer multiple opportunities to provide feedback that can encourage self-directed learning.

Progress 시험에 대한 문헌의 최근 리뷰는 대부분 Progress 시험 구현을 위한 지침을 제공하는 데 초점을 맞추고 있다. 이러한 지식 종합은 비판적 검토 방법론 18 또는 일반적인 검토를 통해 통보되었다. 17,19 이러한 종합에서 얻을 수 있는 것은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다.
Most recent reviews of the literature on progress testing 17–19 have focused on providing guidelines for implementing progress tests. These knowledge syntheses were informed by a critical review methodology 18 or by general reviews. 17,19 What can be gleaned from these syntheses are suggestions about

  • progress test length,
  • direction about guessing (i.e., use of the “don’t know” option),
  • content creation (e.g., blueprint and item banks),
  • administration frequency,
  • scoring and scores/feedback reports to students,
  • summative uses (for students and for comparing schools), and
  • resource requirements.

점점 더 많은 기관이 Progress 테스트를 구현하기 위해 자원 투자를 고려함에 따라, 성공적인 결과와 관련된 특정 기능(즉, 학생들의 학습 증가)을 더 잘 이해할 필요가 있다. 이 연구의 목적은 현재 진행 시험 관행뿐만 아니라 구현에 대한 장벽과 촉진제 및 알려진 품질 모니터링 관행을 문서화하기 위한 문헌을 체계적으로 탐색하는 것이었다. 따라서, 우리는 실행 선택을 하는 프로그램에 대한 증거 기반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해 진행률 테스트 관행의 범위, 범위 및 성격을 엄격하게 조사했다.
As more and more institutions contemplate investing resources to implement progress testing, there is a need to better understand what specific features are associated with successful outcomes (i.e., increased learning in students).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systematically explore the literature to document current progress testing practices as well as the barriers and facilitators to implementation and known quality-monitoring practices. Thus, we rigorously examined the extent, range, and nature of progress testing practices to provide evidence-based data for programs making implementation choices.

방법
Method

Arcsey와 O'Malley가 제안한 원래 범위 검토 방법론에 따라, 우리의 연구는 (1) 연구 질문 식별, (2) 관련 연구 식별, (3) 연구 선택, (4) 데이터 차트 작성, (5) 결과 대조 및 보고의 5단계로 통보되었다. Levac과 동료 21명은 Arcsey와 O'Malley의 지도적 상담 연습 20을 여섯 번째 단계로 포함하는 것에 대해 논증했다. 이 범위 검토에서, 우리의 결과가 꽤 간단했기 때문에 우리는 공식적인 협의를 하지 않았다. 1~5단계는 아래에 제시되어 있습니다.

As per the original scoping review methodology proposed by Arksey and O’Malley, 20 our study was informed by 5 steps:

  • (1) identifying the research question,
  • (2) identifying relevant studies,
  • (3) study selection,
  • (4) data charting, and
  • (5) collating and reporting results.

Levac and colleagues 21 made the case for including Arksey and O’Malley’s

  • facultative consultation exercise 20 as a sixth step.

In this scoping review, we did not do a formal consultation as our results were fairly straightforward. Steps 1 to 5 are presented below.

1단계: 조사 질문 식별
Step 1: Identifying the research question

검토를 안내하는 주요 연구 질문은 "현재 Progress 테스트 관행, 장벽 및 구현 촉진 요인 및 알려진 품질 모니터링 관행은 무엇입니까?"였다. 보다 구체적으로, 우리는 다음을 목표로 삼았다.
The main research question guiding our review was: “What are current progress testing practices, barriers, and facilitators to implementation and known quality-monitoring practices?” More specifically, we aimed to:

  • 실행된 Progress 시험의 특징(예: 길이, 투여 빈도, 목적)을 설명한다.
  • Progress 테스트의 구현에 대한 잠재적 촉진자 및 장벽을 식별합니다.
  • 품질 모니터링 관행과 Progress 테스트 구현의 잠재적 결과 및 결과를 조사합니다.
  1. Describe the characteristics (e.g., length, frequency of administration, purpose) of implemented progress tests.
  2. Identify potential facilitators and barriers to the implementation of progress testing.
  3. Explore quality-monitoring practices and potential consequences and outcomes of progress testing implementation.

2단계: 관련 스터디 식별
Step 2: Identifying relevant studies

두 번째 저자는 학술 사서와 함께 연구팀원들과 협의해 검색 전략을 구체화했다. 이 검색 전략은 Supplemental Digital Appendix 1에 제시되어 있으며 Progress 테스트를 설명하는 데 사용되는 키워드에 초점을 맞추고 있습니다. 
Working with an academic librarian, the second author (C.S.-O.) elaborated a search strategy in consultation with the research team members. This search strategy is presented in Supplemental Digital Appendix 1 at https://links-lww-com-ssl.access.hanyang.ac.kr/ACADMED/B206 and focused on keywords used to describe progress tests.

최종 검색은 6개의 데이터베이스에 적용되었습니다. 학술 검색 완료, CINAHL, ERIC, 교육 출처, MEDLINE 및 PsycINFO. 우리는 교육, 심리학, 사회과학, 의학 문헌을 아우르는 데이터베이스를 검색했다. 또한, 우리는 중복이 가능한 한 적은 데이터베이스를 사용하기로 결정했다. 우리는 2018년 5월 22일(첫 번째 반복)에 초기 검색을 수행했다. 2020년 4월 21일에 검색의 두 번째 반복을 수행하여 검토를 업데이트하고 중요한 최근 데이터를 누락하지 않도록 했다.

The final search was applied to 6 databases: Academic Search Complete, CINAHL, ERIC, Education Source, MEDLINE, and PsycINFO. We searched these databases as they encompass the education, psychology, social sciences, and medical literature. Also, we made a choice to use databases that had as little overlap as possible. We conducted an initial search on May 22, 2018 (first iteration). We used the same strategy to conduct a second iteration of the search on April 21, 2020, to update our review and to avoid missing valuable recent data (see Supplemental Digital Appendix 1 at https://links-lww-com-ssl.access.hanyang.ac.kr/ACADMED/B206).

연구팀은 기존 Progress 테스트의 3가지 주요 특징(즉, 종방향, 단면 및 포괄적)을 가진 평가를 기술한 기사를 포함했다. 우리는 필기 진도 시험과 고등교육의 맥락에서 연구와 관련된 기사만을 포함했다. 영어나 프랑스어로 쓰여진 기사도 포함되어 있었다. 우리는 경험적 연구와 서면 Progress 테스트에 대한 1차 참조의 연구뿐만 아니라 동료 검토 기사를 포함했다. 우리는 지식 종합(리뷰), 사설, 목차, 회의 요약 및 주석 기사를 제외했다.

The research team included articles that described assessments that had the 3 cardinal features of traditional progress tests (i.e., longitudinal, cross-sectional, and comprehensive). We only included articles that described written progress tests and those that related to studies in the context of higher education. Articles written in either English or French were included. We included peer-reviewed articles as well as studies from empirical research and primary references to written progress tests. We excluded knowledge syntheses (reviews), editorials, tables of contents, conference abstracts, and commentary articles.

3단계: 스터디 선택
Step 3: Study selection

첫 번째 검색과 두 번째 검색 반복 동안, 2명의 팀 구성원(C.S.-O. 및 D.P.)은 포함/제외 기준을 위해 모든 제목과 요약을 선별했다. 그들은 모든 이견을 논의했고 합의가 이루어지지 않을 때 전체 텍스트 검토를 했다. 그들은 또한 눈덩이처럼 불어나는 접근법을 사용하여 포함된 참조 목록에서 추가 기사를 식별하고 자격을 위해 제목과 요약본을 선별했다.

During the initial search and the second iteration of the search, 2 team members (C.S.-O. and D.P.) screened all titles and abstracts for the inclusion/exclusion criteria. They discussed all disagreements and did a full-text review when consensus could not be reached. Using a snowball approach, they also identified additional articles from the included reference lists and screened the titles and abstracts for eligibility.

4단계: 데이터 차트 작성
Step 4: Data charting

한 팀원(C.S.-O.)은 3명의 팀원(I.B., C.T. 및 D.P.)과 검토 및 논의한 초기 추출 그리드를 개발했습니다. 엑셀(워싱턴주 레드먼드, 마이크로소프트 코퍼레이션, 엑셀 365)에서 만들어진 수정된 양식은 무작위로 고른 5개의 기사를 사용하여 4명의 팀 구성원(C.S.-O., I.B., C.T. 및 D.P.)에 의해 시범적으로 테스트되었다. 연구팀은 추출 그리드의 명확성과 표준화된 사용을 보장하기 위해 그리드를 수정했습니다.

One team member (C.S.-O.) developed an initial extraction grid that was reviewed and discussed with 3 team members (I.B., C.T., and D.P.). The revised form, created in Excel (Excel 365, Microsoft Corporation, Redmond, Washington), was pilot-tested by 4 team members (C.S.-O., I.B., C.T., and D.P.) using 5 randomly selected articles. The team revised the extraction grid to ensure its clarity and standardized use.

결과 그리드에는 17개 요소가 포함되었다: .
The resulting grid included 17 elements:

  1. progress test characteristics (e.g., number of questions, question format),
  2. frequency of progress test administration,
  3. process for content development,
  4. examinee/study population,
  5. type of feedback provided (if any),
  6. use of score conversion and/or equating,
  7. scoring methods (e.g., formula scoring),
  8. standard-setting procedures (if any),
  9. institutional motivation for implementing progress testing,
  10. facilitators for implementing progress testing,
  11. barriers/challenges to implementing progress testing,
  12. acceptance of progress testing by students and faculty,
  13. use of collaborative networks,
  14. study purpose,
  15. study design,
  16. sources of validity evidence for progress tests (i.e., content, response process, internal structure, relationship to other variables, and consequences), and
  17. outcomes related to the implementation of progress testing.

처음에는 4명의 팀원(C.S.-O., I.B., C.T. 및 D.P.)에 의해 5개의 기사가 독립적으로 코딩되었다. 그리고 나서 15개의 기사가 팀원들의 다이드에 의해 코딩되었고, 이것은 연구팀이 90%의 동의율을 확립할 수 있게 해주었다. 나머지 기사는 4명의 팀원들에게 균등하게 분배되고 독립적으로 코딩되었습니다. 초기 검색에서 포함된 모든 기사에 대한 추출은 각 독립 추출의 체계적인 수정과 원본 기사와의 비교를 수행한 다섯 번째 팀 구성원(V.D.)이 발췌본을 병합하여 데두스(Dedoose, Los Angeles, Social Cultural Research Consultants, California)에 의해 검토되었다. 검색의 두 번째 반복에서 추출은 V.D.에 의해 6개의 기사에 대해 수행되었고 C.S.-O.와 D.에 의해 독립적으로 검토되었다.p.

Five articles were initially coded independently by 4 team members (C.S.-O., I.B., C.T., and D.P.). Then 15 articles were coded by dyads of team members, which allowed the research team to establish a 90% agreement rate. The remaining articles were distributed equally among the 4 team members and coded independently. Extractions for all included articles from the initial search were reviewed by a fifth team member (V.D.) who performed a systematic revision of each independent extraction and comparison with the original article to merge and export the excerpts to Dedoose (Dedoose 8.3.47, SocioCultural Research Consultants, Los Angeles, California). For the second iteration of the search, extractions were made by V.D. for 6 articles and reviewed independently by C.S.-O. and D.P.

5단계: 결과 수집 및 보고
Step 5: Collating and reporting results

발행 연도, 연구 국가, 저널, 연구 목적, 진도 테스트 구현 동기, 연구 설계, 학습자 규율 및 수준, 이해관계(즉, 낮거나 높음), 점수, 테스트 관리 빈도, 테스트 특성(항목 유형, 항목 수, 평가에 주어지는 시간)을 요약하기 위해 빈도를 사용했다. 피드백 관행 및 유효성 증거의 출처(존재 또는 부재). 우리는 이러한 기술 통계량을 계산하기 위해 Dedoose를 Excel과 함께 사용했다.
We used frequencies to summarize the numerical data: year of publication, country of study, journal, study purposes, motivations to implement progress testing, study design, learners’ discipline and level, stakes (i.e., low or high), scoring, administration frequency of the test, test characteristics (item type, number of items, time allowed for the assessment), feedback practices, and sources of validity evidence (present or absent). We used Dedoose conjointly with Excel to calculate these descriptive statistics.

우리는 포함된 기사에서 관찰한 타당성 증거의 출처에 대한 분석과 보고를 알리기 위해 [통합 이론으로서의 타당성]의 개념을 사용했다. 보다 구체적으로, 우리는 (교육 및 심리 테스트 표준 22에 따라) 타당성의 통일 이론 23에 대한 다우닝의 해석을 사용했다. 내용, 대응 프로세스, 내부 구조, 다른 변수와의 관계, 결과 등의 범주별로 타당성 증거의 소스를 구성했다. 우리는 정성적 주제 분석을 사용하여 결과에 관한 증거를 탐구했다.
We used the conceptualization of validity as a unified theory 22 to inform our analysis and reporting on the sources of validity evidence we observed in the included articles. More specifically, we used Downing’s interpretation of the unified theory of validity 23 (as per the Standards for Educational and Psychological Testing22). We organized sources of validity evidence by category: content, response process, internal structure, relationship to other variables, and consequences. We explored the evidence regarding consequences using a qualitative thematic analysis.

Arcsey와 O'Malley가 설명한 대로, 20 우리는 Dedoose를 사용하여 정성적 데이터 24,25에 대한 주제 분석을 수행했다. 이 범위 지정 검토의 목표는 진행률 테스트 사용에 대한 문헌의 깊이와 폭을 매핑하는 것이었으므로, 구현 및 품질 모니터링 프로세스 중에 종종 발생하는 요인(유효성의 문서화된 증거)에 대한 우리의 발견을 명확히 했다.
As described by Arksey and O’Malley, 20 we conducted a thematic analysis of the qualitative data 24,25 using Dedoose. Our goal for this scoping review was to map the depth and breadth of the literature on the use of progress testing, thus we articulated our findings around the factors that often come into play during the implementation and quality-monitoring processes (documented evidence of validity).

보다 구체적으로, 각 추출 범주를 하나씩 작업하면서, 한 팀 구성원(V.D.)은 모든 발췌문을 검토하고 각 추출 범주 내의 본질을 포착할 코드를 생성했다. 코딩 트리는 한 명의 다른 팀 구성원(C.S.-O.)과 반복적인 토론을 통해 생성 및 수정되었으며 모든 추출에 적용되었다. 결과 코딩 트리와 해당 발췌문은 다른 팀 구성원(I.B., C.T. 및 D.P.)에게 제시되었다. 이 세 명의 팀원들은 이어서 내부 코드 일관성을 검증했습니다. 우리는 3명의 팀 구성원 중 2명이 동일한 코드에 특정 발췌문을 독립적으로 할당했을 때 합의가 이루어졌다는 것을 고려했다. 추가적인 논의가 이어졌고, 그 결과들에 대한 우리의 최종 해석과 아래에 제시된 중요한 주제들의 식별로 이어졌다.
More specifically, working through each extraction category one-by-one, one team member (V.D.) reviewed all the excerpts and created codes that would capture the essence within each extraction category. A coding tree was created and revised through iterative discussion with one other team member (C.S.-O.) and applied to all the extractions. The resulting coding tree and corresponding excerpts were presented to the other team members (I.B., C.T., and D.P.). These 3 team members then proceeded to verify the intracode coherence. We considered that agreement was reached when 2 of the 3 team members independently assigned a specific excerpt to the same code. Additional discussion ensued and led to our final interpretation of the findings and the identification of the overarching themes presented below.

결과.
Results

우리는 체계적 검토를 위한 선호 보고 항목과 범위 검토를 위한 메타 분석(PRISMA) 확장 지침을 따랐다. 26 당사의 기사 검색 및 선택 프로세스는 그림 1에 자세히 설명되어 있습니다. 초기 검색(첫 번째 반복)에 이어, 우리는 중복된 문서와 영어 또는 프랑스어로 동료 검토 또는 작성되지 않은 기사를 제거한 다음 나머지 300개 기사의 제목과 요약을 선별했다. 우리의 포함 및 제외 기준을 적용한 후, 167개의 전문 기사가 적격성을 평가받았다. 전체 텍스트 검토와 포함된 참조 목록의 기사 추가(스노볼 접근)를 거쳐 총 97개의 기사가 나왔다. 우리는 검색의 두 번째 반복에 따라 이러한 단계를 반복했고 분석에 포함된 총 104개의 기사에 대해 7개의 기사를 추가했다. 1,3,5–14,16,27–117

We followed the Preferred Reporting Items for Systematic Reviews and Meta-Analyses (PRISMA) Extension for Scoping Reviews guidelines. 26 Our article search and selection process is detailed in Figure 1. Following the initial search (first iteration), we eliminated duplicates and those articles that were not peer reviewed or written in English or French and then screened the titles and abstracts of the remaining 300 articles. After applying our inclusion and exclusion criteria, 167 full-text articles were assessed for eligibility. After the full-text review and the addition of articles from the included reference lists (snowball approach), we had a total of 97 articles. We repeated these steps following the second iteration of the search and added 7 articles for a total of 104 articles included in our analyses. 1,3,5–14,16,27–117

기술 결과
Descriptive results

숫자 데이터와 해당 인용문은 보충 디지털 부록 2에 나와 있습니다. 2005년과 2020년 사이에 79개의 논문(76.0%)이 발표되었고, 시간이 지남에 따라 진행률 테스트에 대한 기사 수가 증가하였다(그림 2 참조).

The numerical data and corresponding citations are presented in Supplemental Digital Appendix 2 at https://links-lww-com-ssl.access.hanyang.ac.kr/ACADMED/B206. We found an increase in the number of articles published on progress testing over time (see Figure 2), with 79 articles (76.0%) published between 2005 and 2020.

연구 국가 및 학술지.
Countries of study and journals.

논문의 대다수는 네덜란드(44.3%) 영국(15.4%) 독일(10.9.6%) 미국(9.8.7%) 등의 연구진이 차지했다. 기사는 4개의 주요 저널에 게재되었다: 의학교사(27명, 26.0%), 의학교육(16명, 15.4%), BMC 의학교육(8명, 7.7%), 보건과학교육의 발전(7명, 6.7%) 순이었다.
The majority of articles were from researchers in the Netherlands (44, 42.3%), the United Kingdom (15, 14.4%), Germany (10, 9.6%), and the United States (9, 8.7%). Articles were published in 4 main journals: Medical Teacher (27, 26.0%), Medical Education (16, 15.4%), BMC Medical Education (8, 7.7%), and Advances in Health Sciences Education (7, 6.7%).

연구 목적, 동기 및 방법론.
Study purposes, motivations, and methodologies.


가장 일반적으로 언급되는 5가지 연구 목적은 

  • (1) 주어진 맥락에서 Progress 시험 점수의 타당성을 탐구(28, 26.9%)
  • (2) Progress 테스트 구현 방법 설명(20, 19.2%)
  • (3) 학교 또는 커리큘럼 비교(16, 15.4%)
  • (4) 학습자 지식 증가(15, 14.4%)를 사용하여 커리큘럼을 평가한다.
  • (5) Progress 시험의 합격 여부 조사(12, 11.5%)

The 5 most commonly stated study purposes were to

  • (1) explore the validity of progress test scores in a given context (28, 26.9%),
  • (2) describe how an institution implemented progress testing (20, 19.2%),
  • (3) compare schools or curricula (16, 15.4%),
  • (4) evaluate a curriculum using learner knowledge growth (15, 14.4%), and
  • (5) explore the acceptance of progress testing (12, 11.5%).

Progress testing를 시행한 이유로는

  • (1) 커리큘럼을 개발하거나 감독하기 위해서(21명, 20.2%)와, 
  • (2) 시험 위주의 학습을 막거나, 더 깊은 학습을 장려하기 위해서(12명, 11.5%)와, 
  • (3) 학습자의 지식증가를 추적하기 위해서(9명, 8.7%), 
  • (4) 피드백 제공(9명, 8.7%)이 가장 많이 언급되었다.

The 4 most commonly stated reasons for implementing progress testing were to

  • (1) develop or supervise a curriculum (21, 20.2%),
  • (2) prevent test-driven learning or promote deeper learning (12, 11.5%),
  • (3) follow learners’ knowledge growth (9, 8.7%), and
  • (4) provide feedback (9, 8.7%).

대부분의 기사는 정량적 연구 설계(87, 83.7%) 또는 정량적-정량적 혼합 설계(8, 7.7%)를 사용했다. 의학 교육 분야에서는 88개 항목(84.6%), 치과 분야에서는 7개 항목(6.7%), 조산 분야에서는 2개 항목(1.9%)이었다. 대부분의 연구는 87, 83.7%의 학부 교육생과 관련된 반면, 15, 14.4%의 대학원 교육생과 관련된 연구는 적었다.
Most articles used a quantitative study design (87, 83.7%) or a mixed quantitative–qualitative design (8, 7.7%). Eighty-eight articles (84.6%) were situated in medical education, 7 (6.7%) in dentistry, and 2 (1.9%) in midwifery. The majority of studies involved undergraduate trainees (87, 83.7%), while fewer involved postgraduate trainees (15, 14.4%).

progress tests 는 형성적 목적(43명, 41.3%)이 많이 사용된 반면 총괄 목적(17명, 16.3%)은 상대적으로 적었다. 11개조(10.6%)는 progress tests 가 형태별·총괄적 목적을 모두 구현한 것으로 나타났고, 33개조(31.7%)는 의도된 목적을 구체적으로 밝히지 않았다. 숫자 맞추기 점수(10, 9.6%)보다 공식 점수 매기기('모름' 옵션을 포함)가 더 자주(64, 61.5%) 사용됐다.
Many progress tests were used for formative purposes (43, 41.3%), while relatively few were used for summative purposes (17, 16.3%). Eleven articles (10.6%) indicated that progress testing was implemented for both formative and summative purposes, while 33 (31.7%) did not specify the intended purpose. Formula scoring (which included the “don’t know” option) was used more frequently (64, 61.5%) than number-correct scoring (10, 9.6%).

테스트 작업 진행
Progress test practices.

progress tests 의 시행 빈도는 다양했지만, 1년에 1~4회 실시되는 경우가 가장 많았다. progress tests 는 연 4회(38명, 36.5%) 시행되는 경우가 많았고, 이어 연 2회(26명, 25.0%), 연 3회(13명, 12.5%), 연 1회(6명, 5.8%) 순이었다. 진도검사 한 건은 2년간 5회(1, 1.0%), 다른 한 건은 3년간 8회(1, 1.0%) 실시됐다. 7개 연구팀(6.7%)은 매년 투여 빈도가 달라졌다고 답한 반면 12개 기사(11.5%)에서는 투여 빈도가 보고되지 않았다.

The frequency of administration of progress tests varied, although 1 to 4 times per year was most common. Many progress tests were administered 4 times a year (38, 36.5%), followed by 2 times a year (26, 25.0%), 3 times a year (13, 12.5%), and 1 time a year (6, 5.8%). One progress test was administered 5 times over a 2-year period (1, 1.0%), and another was administered 8 times over a 3-year period (1, 1.0%). Seven research teams (6.7%) reported that the administration frequency varied from year to year, while there was no reported administration frequency in 12 articles (11.5%).

가장 많이 사용된 항목 유형은 객관식 및 참 또는 거짓 형식(95, 91.3%)이었다. 단답형 항목 사용을 보고한 기사는 2건(1.9%)이었고, 9건(8.7%)은 어떤 형식도 명시하지 않았다. 89개 항목(85.6%)에서 진행률 테스트는 40~400개 항목(중간값 = 200개)으로 구성됐다. 기타 진행도 검사에서는 관리 간 항목 수가 변동하거나 항목 수를 전혀 보고하지 않았다(14명, 13.5%)는 결과가 나왔다.
The item types most frequently used were multiple-choice and/or true-or-false formats (95, 91.3%). Two articles (1.9%) reported the use of short-answer items, and 9 (8.7%) did not specify any format. In 89 articles (85.6%), progress tests comprised 40 to 400 items (median = 200). Other progress tests included a variable number of items between administrations or did not report the number of items at all (14, 13.5%).

테스트 시간은 45분에서 360분까지 다양했으며, 180분이 가장 일반적인 테스트 시간(14, 13.5%)이었다. 허용된 시간과 항목 번호(25, 24.0%)를 모두 보고한 기사 중 항목당 평균 시간은 54초에서 2분(160 = 75초)으로 다양했다.
Testing time varied from 45 to 360 minutes with 180 minutes being the most common testing time (14, 13.5%). Of articles reporting both allowed time and item number (25, 24.0%), the average time per item varied from 54 seconds to 2 minutes (mean = 75 seconds).

피드백 관행.
Feedback practices.

표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기사마다 콘텐츠의 종류와 피드백 방법이 달랐다.
As shown in Table 1, the type of content and methods of feedback varied from article to article.

진행률 시험 점수 해석의 타당성을 뒷받침하는 증거.
Evidence to support the validity of progress test score interpretation.

표 2에는 [내용 타당성 증거], 즉 품목 개발 및 품목 검토를 위해 시행한 관행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일부 progress tests 의 경우, 콘텐츠 개발은 학습자가 습득해야 할 지식을 결정하는 커리큘럼 청사진과 임상실습을 기반으로 했다.

Table 2 includes content validity evidence, that is, the practices put in place for item development and item reviewing. For some of the progress tests, content development was based on the curriculum blueprint, which determined the knowledge learners needed to acquire, and clinical practice.

[대응 프로세스 및 내부 구조와 관련된 증거]는 표 3에 제시되어 있으며, 내부 일관성 관련 추가 데이터는 보충 디지털 부록 3에 보고되어 있다.
The evidence related to response process and internal structure is presented in Table 3 with additional data related to internal consistency reported in Supplemental Digital Appendix 3 at https://links-lww-com-ssl.access.hanyang.ac.kr/ACADMED/B206.

[다른 변수와 관련된 근거]에 [progress tests 점수와 전문가로서의 미래역량 사이에 정량적 상관관계]와 질적 연관성이 나타났고, 졸업시험(9·8.7%), 교육과정 내 기타평가(13·12.5%), 기타학교 진도검사 점수(8·7.7%)가 나왔다. 20개 조항(19.2%)이 사용된 명시적 표준 설정 방법을 보고했다.
Regarding the evidence related to relationship to other variables, quantitative correlations and qualitative associations were made between progress test scores and future competence as a professional (9, 8.7%), graduation exams (9, 8.7%), other assessments in the curriculum (13, 12.5%), and other schools’ progress test scores (8, 7.7%). Twenty articles (19.2%) reported the explicit standard-setting method used.

[결과와 관련된 증거]는 정성적 데이터 분석의 결과로 아래에 제시된다.
Evidence related to consequences
is presented below as the results of our qualitative data analysis.

 

테마
Themes

우리는 우리의 질적 주제 분석에서 진도 테스트 구현에 대한 이해를 알릴 수 있는 4가지 주요 주제를 확인하였다.

  • (1) progress testing 구현에 대한 장벽과 과제,
  • (2) progress testing 구현의 촉진자로서의 협업 확립,
  • (3) progress testing 수용을 증가시키는 요인
  • (4) 개별 및 프로그램 수준의 결과 및/또는 progress testing 사용의 결과.

하위 주제는 15개에서 69개의 다른 기사들에 의해 지원되었다.
We identified 4 major themes in our qualitative thematic analysis that can inform our understanding of the implementation of progress testing:

  • (1) barriers and challenges to the implementation of progress testing,
  • (2) established collaboration as a facilitator of progress testing implementation,
  • (3) factors that increase the acceptance of progress testing, and
  • (4) individual- and program-level outcomes and/or consequences of progress test use.

Subthemes were supported by 15 to 69 different articles.

주제 1: 장벽과 과제
Theme 1: Barriers and challenges.


국지적 맥락에서 진행률 시험의 구현에 대한 네 가지 주요 장벽과 과제가 식별되었다. 첫째, 진도 시험의 구현은 지역 문화와 평가 관행에 변화를 요구한다(n = 8). 예를 들어, [블록 시험 평가 문화에 익숙한 학습자]는 진도 시험을 공정하거나 가치 있는 학습 기회로 인식하지 못할 수 있다. 또한 progress testing의 구현에는 추가 자원(n = 17)이 필요하다. 6,7,9,52,54–66 교직원의 관점에서, 익숙하지 않은 형태의 평가의 구현에는 광범위한 자원, 자격 있는 직원, 시간 및 적절한 인프라가 필요하다.

Four main barriers and challenges to the implementation of progress testing in a local context were identified. First, the implementation of progress testing requires a change in local culture and assessment practices (n = 8). 14,16,48–53 For example, learners accustomed to a block test assessment culture may not perceive progress testing as fair or as a worthwhile learning opportunity. The implementation of progress testing also requires additional resources (n = 17). 6,7,9,52,54–66 From a faculty perspective, the implementation of an unfamiliar form of assessment requires extensive resources, qualified staff, time, and suitable infrastructures.

다음으로, progress testing 의 구현은 종종 새로운 콘텐츠 개발을 요구하며, 이는 난제(n = 8)를 내포한다. 5,13,56,57,63,67-69 진행률 테스트 프로그램 설정의 복잡성은 다음을 요구한다. 

  • 확장된 문제 은행,
  • 데이터를 채점하고 심리측정학 분석을 수행하기 위한 명확한 절차
  • 결과를 보고하기 위한 피드백 메커니즘,
  • 정기적으로 데이터를 수집하고 분석하는 능력
  • 성적이 부진한 수험생에 대한 재교육 계획

청사진 개발은 평가된 지식이 너무 많고 과정과 테스트 내용 간의 직접적인 연결이 없기 때문에 종종 장애물로 간주된다.
Next, the implementation of progress testing often requires new content development, which poses a challenge (n = 8). 5,13,56,57,63,67–69 The complexities of setting up a progress testing program demand

  • an expansive item bank,
  • clear procedures for scoring and conducting psychometric analyses of data,
  • a feedback mechanism for reporting results,
  • an ability to regularly collate and analyze data, and
  • a plan for remediation of poor-performing examinees.

Blueprint development is often considered a hurdle because of the plethora of knowledge assessed and the absence of a direct link between course and test content.

마지막으로, 다른 학교와의 협업이 우선 촉진자로 인식될 수 있지만, 새로운 협업을 만드는 것은 도전으로 가득 찰 수 있습니다(n = 5). 5,52,63,70,71 단점은 품질 관리 절차가 도움이 될 수 있는 높은 수준의 중앙 집중화의 필요성을 포함합니다. 또한 학교는 교육과정 종료 목표(예: 기초 및 임상과학 주제, 난이도, 허용 가능한 항목 품질을 구성하는 항목 포함)와 업무 및 자원의 분배에 대해 의견이 다를 수 있다.
Finally, while collaborating with other schools might be first perceived as a facilitator, the creation of new collaborations can be fraught with challenges (n = 5). 5,52,63,70,71 Downsides include the need for a high level of centralization where quality control procedures would be beneficial. Additionally, schools may have disagreements about the content needed to meet end-of-training curriculum objectives (e.g., inclusion of both basic and clinical science topics, difficulty level, what constitutes acceptable item quality) as well as the distribution of work and resources.

주제 2: progress testing 구현의 촉진자로서 협업을 확립합니다.
Theme 2: Established collaboration as a facilitator of progress testing implementation.

진행률 테스트 구현 시 새로운 협업 구축은 난제로 간주되었지만, 진행 중인 협업과 확립된 협업은 촉진자로 간주되었습니다(n = 15). 8,9,50,52,54,57,58,63,69,70,72–76 비용절감을 위한 시험자료 공유를 넘어, 학교간의 협업이 광범위한 품질관리 절차에 의해 전반적인 시험품질을 강화하고, 커리큘럼 전반에 걸친 표준과 벤치마킹 관행을 비교하며, 평가할 정보를 산출하는 기회를 제공했다. 그리고 특정 분야의 교육을 개선한다.

While establishing new collaborations was deemed a challenge when implementing progress testing, ongoing and established collaborations were considered a facilitator (n = 15). 8,9,50,52,54,57,58,63,69,70,72–76 Going beyond sharing test material to reduce cost and single-institution efforts, collaboration between schools offered opportunities to strengthen the overall test quality by extensive quality control procedures, comparing standards and benchmarking practices across curricula, and yielding information to evaluate and improve education in particular fields.

주제 3: progress testing의 수용을 높이는 요인.
Theme 3: Factors that increase the acceptance of progress testing.

progress testing 수용을 높이는 4가지 주요 요인이 파악됐다.

첫째, 진도 테스트의 운영화학습자 수용에 영향을 미쳤다(n = 7). 예를 들어, 빈번한 테스트는 학습자의 진도 테스트에 대한 인식을 증가시켰다. 시험 내용도 학습자의 평가(n = 11)에 기여했다. 8,11,50,53,55,61,66,80–83 내용에 대한 포괄적인 접근법을 제시한 진도 시험은 문제 기반 학습 커리큘럼의 맥락에서 더 관련성이 있는 것으로 인식되었다. 학습 과정 초기부터 조우 관련 임상적으로 맥락화된 시험 항목이 존재해 호기심을 자극해 학습 과정을 강화해 학습 동기를 높였다.
Four main factors that increase the acceptance of progress testing were identified. First, the operationalization of progress testing influenced learner acceptance (n = 7). 51,53,66,74,77–79 For example, frequent testing increased learners’ appreciation of progress testing. Test content also contributed to learners’ appreciation (n = 11). 8,11,50,53,55,61,66,80–83 Progress tests that presented a comprehensive approach to content were perceived as more relevant in the context of problem-based learning curricula. The presence of clinically contextualized test items related to encounters from early in the learning process enhanced learner motivation by stimulating curiosity and therefore reinforcing the learning process.

학습자에게 제공되는 준비는 진행률 테스트의 수용도를 증가시켰다(예: 방향, 명확한 방향, 진행률 테스트의 목적 설명). 8,48,50,51,53–56,78,84–88 주니어 학습자들 사이에서 수용도를 높이기 위해, 학습 전략을 가이드하기 위하여 progress testing의 장점 뒤에 있는 철학을 설명하려는 노력을 초기에 다루는 것이 좋다. 예를 들어, 학습자의 진도 테스트에 대한 전반적인 수용도는 일반적으로 여러 차례에 걸쳐 증가했는데, 이는 평가의 이해관계(즉, 낮거나 높음)와 무관했다.
The preparation offered to learners increased their acceptance of progress testing (e.g., orientation, clear directions, explaining the purpose of progress testing) (n = 14). 8,48,50,51,53–56,78,84–88 To enhance acceptance among junior learners, efforts in explaining the philosophy behind progress testing practices merit being addressed earlier to guide their learning strategies. For example, learners’ overall acceptance of progress tests generally increased with multiple sittings, as they became aware of their concrete knowledge growth; this was independent of the stakes (i.e., low or high) of the assessment.

학습자에게 제공된 피드백은 progress testing에 대한 평가에도 영향을 미칩니다. (예: 점수 비교, 진행률 테스트 후 문답 사본) (n = 26). 충분하고 개인화된, 상세하고 시기 적절하며 구체적인 피드백을 통해 학습자가 진행률 테스트에 대한 수용도를 높였습니다. 피드백 관행에 대한 학습자의 평가는 제공된 정보의 유형에 따라 달라집니다. (예: 차원 및/또는 전문 분야별 하위 점수, 지식 증가의 척도, 강점과 약점의 식별, 동료들과의 비교)

The feedback offered to learners also influenced their appreciation of progress testing (e.g., score comparison, copy of the questions and answers after the progress test) (n = 26). 1,10,49–51,53–55,60,69,70,77–79,84,86–96 Sufficient, personalized, detailed, well-timed, and specific feedback enhanced learners’ acceptance of progress testing. Learners’ appreciation of feedback practices depended on the type of information provided (e.g., subscores per dimensions and/or specialties, a measure of their knowledge growth, identification of strengths and weaknesses, a comparison with their peers).

마지막으로, 평가의 부담은 학습자의 평가(n = 8)에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5,16,49,50,83,88,97,98 아마도 놀라운 것은 진도 테스트의 형성적 사용이 일반적으로 고부담 총괄 평가에 비해 스트레스가 감소했다는 것입니다.

Finally, the stakes of the assessment can influence learners’ appreciation (n = 8). 5,16,49,50,83,88,97,98 Perhaps not surprisingly, the formative use of progress testing generally decreased stress compared with high-stakes summative assessments.

주제 4: 진행률 테스트 사용의 결과 및 결과.
Theme 4: Outcomes and consequences of progress test use.

우리는 progress testing의 성과와 결과를 개인 수준과 프로그램 수준의 두 가지 주요 범주로 분류했다.
We grouped outcomes and consequences of progress testing into 2 main categories: individual-level and program-level. 

개인 수준의 결과 및 결과(예: 학습자)의 경우 progress testing는 학습자가 더 깊은 학습 전략을 채택하도록 장려했다(즉, 학습에 대한 접근 방식에 영향을 미치고 새로운 학습 방법을 촉진). (n = 24) 시험이 본질적으로 포괄적이기 때문에 진도 시험에서 학습 전략으로서의 벼락치기는 제한적으로 사용된다. (즉, 전체 커리큘럼을 포함하는 시험을 위해 공부하는 것은 어렵다.)  또한 진행률 테스트는 학습자 지식의 증가에 기여했으며(n = 41), 지식 격차 식별에 사용되었다(n = 13).
For individual-level outcomes and consequences (e.g., the learners), progress testing encouraged learners to adopt deeper learning strategies (i.e., influence approach to learning and promote new ways of learning) (n = 24). 5,6,8,16,48–51,53,55,58,63,68–70,74,78,83,88,91,92,95,97,99 Cramming as a studying strategy is of limited use in progress testing because such tests are comprehensive in nature (i.e., it is difficult to study for a test that covers the entire curriculum). Progress testing also contributed to an increase in learner knowledge (n = 41) 3,5,6,8–10,12,14,49,51,55–59,65–69,84,86,87,91,93,95,98–112 and was used to identify knowledge gaps (n = 13). 3,5,6,8,11,49,53,55,66,69,83,95,113

대부분 긍정적인 결과가 관찰되었지만, 다양한 수준의 학습 성장이 발견되었다. 좀 더 구체적으로, 진도 시험에 대한 학습 곡선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감소하기 전에 커리큘럼의 초기 몇 년 동안 더 중요했으며, 이는 학습 성장이 시간에 따라 감속되었음을 시사한다(n = 6). 55,66,94,100,107,109 일부 저자들은 제한된 학습 성과, 즉 제한된 점수 증가(n = 9)를 관찰하기도 했다. 6,16,50, 74, 83,8, 98, 97, 97, 103 이러한 제한된 성과는 대부분 [블록 테스트의 존재, 본질적인 동기 부족 또는 연구의 방법론적 문제](예: 작은 표본)에 기인한다.
While mostly positive outcomes were observed, varying levels of learning growth were found. More specifically, the learning curve on progress testing was more significant in the early years of a curriculum before decreasing over time, suggesting that learning growth decelerated over time (n = 6). 55,66,94,100,107,109 Some authors even observed limited learning outcomes, that is, limited score increase (n = 9). 6,16,50,74,83,88,95,97,103 These limited outcomes were mostly attributed to the presence of block testing, a lack of intrinsic motivation, or even methodological issues with studies (e.g., small samples).

[프로그램 수준]에서, progress testing 는 프로그램 내에서 학습자 진행에 대한 포괄적이고 종적인 그림을 제공할 수 있는 평가 전략으로 간주되었다(n = 11). 따라서 Progress testing 는 종종 커리큘럼 평가를 위한 풍부한 자료 출처로 간주되었다(즉, 커리큘럼 갭을 강조) (n = 20). 

At the program level, progress testing was seen as an assessment strategy that can provide a comprehensive and longitudinal picture of learner progression within the program (n = 11). 5,6,8,56,61,70,71,77,91,98,106 As such, progress tests were often considered to be a rich source of data for curriculum evaluation (i.e., by highlighting curricular gaps) (n = 20). 1,5,6,8,10,49,54,57,61,70,75,79,89,90,100,108,114–117

논의
Discussion

주제에 대한 기사가 늘어나는 것을 볼 수 있듯 Progress testing 의 인기가 높아지고 있다. 새로운 평가 전략, 특히 Progress testing 과 같이 복잡한 전략의 구현은 잠재력을 완전히 달성하기 위해 여러 이해 관계자의 참여를 요구한다. 우리가 진보 시험의 구현에는 여러 당면 과제를 강조해 왔다, 우리도 지속적의 교육자들 및 관리자, 이상적으로는 그들의 내재적 동기 이 평가 형식으로 참여하고 있는 시험에 대한 학생들의 수용을 늘릴 수 있는 방법을 확인하였다. 증가된 내재적 동기, 차례로 학생의 학습에 기여해야 한다.

Progress testing is increasing in popularity, as can be seen by the growing number of articles on the topic. The implementation of a novel assessment strategy, especially one as complex as progress testing, requires the buy-in of several stakeholders to achieve its full potential. While we have highlighted several challenges to the implementation of progress testing, we also identified ways in which educators and administrators can increase students’ acceptance of progress testing and, ideally, their intrinsic motivation to participate in this assessment format. Increased intrinsic motivation should, in turn, contribute to student learning.

Progress testing의 성공적인 이행을 위해 잠재적인 조건 다른 학교나 기관이 참가한 강한 협력을 포함한다. 새로운 협업을 개발하는 것은 처음에는 어려울 수 있지만, 이러한 파트너십은 Progress testing의 구현 가능성을 크게 높인다. 평가 품질에 관한 최근 연구에서 보듯이, 평가 전략을 평가할 때 실현 가능성은 중요한 고려 사항이다. 프로그램, 학교 및 기타 조직은 공통 목표를 향해 협력하고 progress testing 의 개발 및 구현에 협력할 때 작업량을 공유할 수 있으므로 이 작업과 관련된 타당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콘텐츠 개발 등의 업무 공유를 통해 협력 당사자가 공유하는 검토 프로세스를 구현하여 progress testing 의 품질을 높일 수 있는 기회가 있다. 교수진의 부담을 줄이면 진도 시험에 대한 수용도가 높아질 수 있다. 협업의 대안은 작업을 완전히 아웃소싱(예: progress testing 구매)하여 현지 팀의 부담을 줄이는 것일 수 있습니다.
Potential conditions for the successful implementation of progress testing include a strong collaboration with other schools or organizations. While developing new collaborations can be challenging at first, 5,52,63,70,71 these partnerships greatly increase the feasibility of implementing progress testing. 8,9,50,52,54,57,58,63,69,70,72–76 As seen in recent work on the topic of assessment quality, feasibility is an important consideration when evaluating an assessment strategy. 118,119 Programs, schools, and other organizations can share the workload and thus increase the feasibility associated with this task when working together toward common objectives and collaborating on the development and implementation of progress testing. Moreover, through sharing content development and other tasks, there is an opportunity for increasing the quality of progress tests by implementing review processes shared by the collaborating parties. Reducing the burden on faculty members can increase their acceptance of progress testing. An alternative to collaboration could be to outsource the work completely (e.g., by buying a progress test), thus reducing the burden on the local team.

[학습자 수용]은 평가 전략을 구현할 때 중요한 관심사이기도 합니다. Ricci와 동료들은 학생들이 새로운 평가에 매우 비판적일 수 있다는 것을 관찰했다. 다른 저자들은 또한 학생들이 평가 방정식의 중요한 이해당사자라는 견해를 지지한다. [학생들의 참여]는 [평가가 완전한 잠재력(즉, 학생 학습에 기여)에 도달할 가능성]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우리의 데이터는 학생들의 사기가 저하되고 결과적으로 학습에 거의 영향을 미치지 않는 등 학생들의 진도 테스트 수용에 미치는 영향을 보여주었다. [명확한 피드백을 제공]하고 [발달시험에 대한 오리엔테이션]을 제시하는 것이 이러한 잠재적인 부정적인 결과에 대항하는 방법이었다. 게다가, 학습 패러다임을 위한 평가를 선호하기 위해 [지역 문화의 변화]는 학생들의 발달시험에 대한 수용도를 증가시켰다.
Learner acceptance is also an important concern when implementing an assessment strategy. 118,119 Ricci and colleagues 120 observed that students can be very critical of novel assessments. Other authors also support the view that students are important stakeholders in the equation of assessment. 121–126 Student buy-in can greatly impact the likelihood that an assessment will reach its full potential (i.e., contribute to student learning). 5,50,51,53,78,83,91,92,95 Our data showed the impact on student acceptance of progress testing, with lack of buy-in decreasing their morale and subsequently showing little impact on their learning. 16,53,61 Providing explicit feedback 50,53,60,77,79,84,86–88,91,92,94,95 and offering an orientation to progress testing 8,48,54–56,78,86 were ways to counter this potential negative consequence. In addition, a change in local culture, to favor an assessment for learning paradigm, increased students’ acceptance of progress testing. 50,51,53,69,70,78,83,92,95

[시험을 치르는 행위]를 통한 [적극적인 지식 생산]은 반복적인 학습 시간에 비해 정보의 장기 보존에 더 효과적이라는 것이 입증되었다. 이런 식으로 발달시험은 학습자가 반복적으로 시험을 완료해야 하기 때문에 학생 학습에 기여할 수 있다. [반복적인 테스트]는 [정보 검색의 행위]를 통해 향상된 학습과 정보 보존을 촉진한다. 발달시험은 또한 부분적으로 평가된 많은 양의 지식을 포함하는 교육의 최종 커리큘럼 목표를 사용하여 학습을 촉진한다. 진도 테스트는 테스트 지향 학습 전략(예: 테스트에 대한 공부, 암기, 주입식 주입)을 억제한다. 전체 커리큘럼을 포괄하는 한 번의 시험을 위해 공부하는 것은 사실상 불가능하기 때문이다. 게다가, 잦은 시험은 학습자들이 더 자주 공부하도록 격려하고 학습 기간을 띄워주며, 이는 다시 학습을 촉진하고 장기 보존을 강화한다. 반복 테스트는 또한 교육 초기 단계에서 어려움을 겪고 있는 학습자를 식별하는 데 도움이 되며, 이는 교수진이 신속한 교정 및 기타 개입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입니다.

Active production of knowledge through the act of taking a test has proven more effective for long-term retention of information compared with repeated studying sessions. 127–130 In this way, progress testing can contribute to student learning as it requires learners to repeatedly complete the test. Repeated testing promotes enhanced learning and information retention through the act of information retrieval. 127–130 Progress tests also promote learning, in part, through the use of end-of-training curriculum objectives, which involve a large volume of knowledge assessed. Progress testing discourages test-directed learning strategies (e.g., studying to the test, memorization by rote, cramming) because it is virtually impossible to study for a single examination that covers an entire curriculum. 6,16 In addition, frequent testing encourages learners to study more often and space out study periods, which in turn promote learning and enhance long-term retention. 127 Repeated testing also helps to identify learners who are struggling at an earlier stage in their training, a feature that allows faculty to offer rapid remediation and other interventions. 6,66

발달시험 점수는 교육과정 평가를 위한 풍부한 자료 출처를 제공하기 때문에 기관들에게 귀중한 결과이다. 발달시험 점수는 [커리큘럼 격차를 파악하고 교수개발을 지원]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진행률 테스트에 의해 제공되는 지식 성장의 종적 척도는 대다수의 학습자가 어려움을 겪었고 제한된 장기적 지식 보유를 가진 곳을 강조할 수 있다. 이렇게 파악된 격차는 커리큘럼 개선 결정을 안내하고 교수진 개발이 필요한 부서를 특정할 수 있습니다. 일부 커리큘럼은 발달와 관련하여 수집된 데이터를 기반으로 수정되었으며, 다른 커리큘럼은 커리큘럼의 개요를 갖는 것이 유용하다는 것을 발견했다.

Progress test scores are a valuable outcome for institutions as they provide a rich source of data for curriculum evaluation. Progress test scores can be used to identify curricular gaps and support faculty development. The longitudinal measure of knowledge growth offered by progress tests can highlight where a majority of learners have had difficulty and limited long-term knowledge retention. These identified gaps can then guide curricular improvement decisions and pinpoint departments in need of faculty development. 127 A few curricula have been revised based on data collated around progress testing, 54,89,100 while others found it useful to have an overview of their curriculum. 5,8,57,79,90,114,117

제한 사항
Limitations

이 범위 지정 검토에는 몇 가지 제한이 있습니다. 우리는 우리의 연구에 포함된 기사의 질을 평가하지 않았다. 스코핑 리뷰의 [사회 구성적 토대]와 일치하며, 그 목표는 주어진 주제에 대한 문헌의 폭과 깊이를 포착하는 것이다. 131 이 범위 검토의 주요 목표는, 기사의 품질을 평가하기보다는, 연구 설계를 기반으로 광범위하고 깊이 있는 문헌을 지도화하는map 것이었다. 마지막으로, 결과는 샘플에서 네덜란드 기사의 과잉 표현으로 인해 왜곡될 수 있다. 이는 그들이 이 평가 전략 개발에 기여했고 우리의 서술적 분석에서 보여지듯이 발달시험의 열렬한 사용자이기 때문에 예상되었다.

There are certain limitations to this scoping review. We did not assess the quality of the articles included in our study, which is consistent with the socioconstructive underpinnings of a scoping review, the goal of which is to capture the breadth and depth of the literature on a given topic. 131 Based on the study design, the main goal of this scoping review was to map broadly and deeply the literature on progress testing rather than assess the quality of articles. Finally, the results may be skewed by the over representation of articles from the Netherlands in our sample. This was expected as they contributed to the development of this assessment strategy and are, as illustrated in our descriptive analysis, fervent users of progress testing.

결론들
Conclusions

발달시험은 학습자가 교육 종료 커리큘럼 목표와 관련하여 평가되는 여러 컨텍스트에서 사용할 수 있는 종방향 평가입니다. 이 형식은 학습을 위해 테스트 강화 학습 개념화와 평가 원칙을 사용하며 주의 깊게 구현될 때 개인(예: 학습 결과) 및 프로그램(예: 커리큘럼 평가를 위한 데이터) 수준에서 긍정적인 결과를 보여준다. 학습자를 위한 시험 경험을 최적화(예: 진도 시험에 대한 근거 제공 및 빈번한 시험 기회, 시험 완료에 충분한 시간 허용, 상황별 질문 제시, 고품질 피드백 제공)하면 학습자가 발달시험에 대한 수용도를 높이고, 학습자의 발전에 미치는 잠재적 영향을 향상시킬 수 있다.

Progress tests are longitudinal assessments that can be used across multiple contexts in which learners are assessed with regards to the end-of-training curriculum objectives. This format uses a test-enhanced learning conceptualization and principles of assessment for learning and shows positive outcomes at individual (e.g., learning outcomes) and program (e.g., data for curriculum evaluation) levels when it is carefully implemented. Optimizing the test-taking experience for learners (e.g., providing a rationale for progress testing and frequent testing opportunities, allowing enough time for test completion, presenting contextualized questions, providing high-quality feedback) may enhance their acceptance of progress testing and its potential impact on their development.

 


Acad Med. 2022 May 1;97(5):747-757.
 doi: 10.1097/ACM.0000000000004507. Epub 2022 Apr 27.

Written-Based Progress Testing: A Scoping Review

Affiliations collapse

Affiliations

1V. Dion is an undergraduate medical education student, Faculty of Medicine and Health Sciences, Université de Sherbrooke, Sherbrooke, Québec, Canada. He was a research assistant to the Paul Grand'Maison de la Société des médecins de l'Université de Sherbrooke research chair in medical education, Sherbrooke, Québec, Canada, at the time this work was completed.

2C. St-Onge is professor, Department of Medicine, Faculty of Medicine and Health Sciences, Université de Sherbrooke, and the Paul Grand'Maison de la Société des médecins de l'Université de Sherbrooke research chair in medical education, Sherbrooke, Québec, Canada; ORCID: https://orcid.org/0000-0001-5313-0456.

3I. Bartman is medical education research associate, Medical Council of Canada, Ottawa, Ontario, Canada; ORCID: https://orcid.org/0000-0002-2056-479X.

4C. Touchie is professor of medicine, University of Ottawa, Ottawa, Ontario, Canada. She was chief medical education officer, Medical Council of Canada, Ottawa, Ontario, Canada, at the time this work was completed; ORCID: https://orcid.org/0000-0001-7926-9720.

5D. Pugh is medical education advisor, Medical Council of Canada, and associate professor, Department of Medicine, University of Ottawa and The Ottawa Hospital, Ottawa, Ontario, Canada; ORCID: https://orcid.org/0000-0003-4076-9669.

PMID: 34753858

DOI: 10.1097/ACM.0000000000004507

Abstract

Purpose: Progress testing is an increasingly popular form of assessment in which a comprehensive test is administered to learners repeatedly over time. To inform potential users, this scoping review aimed to document barriers, facilitators, and potential outcomes of the use of written progress tests in higher education.

Method: The authors followed Arksey and O'Malley's scoping review methodology to identify and summarize the literature on progress testing. They searched 6 databases (Academic Search Complete, CINAHL, ERIC, Education Source, MEDLINE, and PsycINFO) on 2 occasions (May 22, 2018, and April 21, 2020) and included articles written in English or French and pertaining to written progress tests in higher education. Two authors screened articles for the inclusion criteria (90% agreement), then data extraction was performed by pairs of authors. Using a snowball approach, the authors also screened additional articles identified from the included reference lists. They completed a thematic analysis through an iterative process.

Results: A total of 104 articles were included. The majority of progress tests used a multiple-choice and/or true-or-false question format (95, 91.3%) and were administered 4 times a year (38, 36.5%). The most documented source of validity evidence was internal consistency (38, 36.5%). Four major themes were identified: (1) barriers and challenges to the implementation of progress testing (e.g., need for additional resources); (2) established collaboration as a facilitator of progress testing implementation; (3) factors that increase the acceptance of progress testing (e.g., formative use); and (4) outcomes and consequences of progress test use (e.g., progress testing contributes to an increase in knowledge).

Conclusions: Progress testing appears to have a positive impact on learning, and there is significant validity evidence to support its use. Although progress testing is resource- and time-intensive, strategies such as collaboration with other institutions may facilitate its use.

 

이야기에 대한 감각, 또는 왜 성찰적 글쓰기를 가르치는가? (Acad Med, 2012)
A Sense of Story, or Why Teach Reflective Writing?
Rita Charon, MD, PhD, and Nellie Hermann, MFA

 

여성 두 명이 어린이병원과 장로회 병원 사이 복도를 걷고 있다. "이곳은 정말 큰 장소입니다,"라고 한 여성은 말한다. "여기서 길을 잃을 수도 있을 것 같은데…. 저는 항상 제가 어디로 가는지 알아야 합니다." 그리고 나서 그녀는 두 번째 여자에게 질문을 한다. "그럼." 두 번째 여자가 대답한다. "이 복도를 곧장 내려가서 저 모퉁이에서 좌회전 한 다음 엘리베이터를 타고 B로 내려가면 방사선 종양학으로 갈 수 있습니다."
Two women are walking down the hallway between Children's Hospital and Presbyterian Hospital. “It is such a big place,” says one woman. “I bet you could get lost in here…. I always need to know where I am going.” Then she asks the second woman a question. “Sure,” the second woman answers. “Go straight down this hallway, turn left at that corner, then go down in the elevator to B to get to Radiation Oncology.”

우리 병원에서 이 논평의 저자들 중 한 명이 엿듣는 이 짧은 대화는 암환자가 치료를 시작하기 전에 겪는 곤경을 가시적으로 보여주는 것 같다. 첫 번째 연사의 말을 되새기며, 우리는 그녀의 상실감, 그녀가 길을 잃을까 두려워하는 것의 광대함, 그리고 그녀가 추구하는 확실성을 방사선 종양학에서 찾을 수 있는 가능성이 있는 허무함에 대해 궁금해 한다. 비록 화자가 암에 걸린 자신의 경험에 대해 "의도"하지 않을 지라도, 그것이 그녀가 하고 있는 일인가요? 사실, [통계 데이터의 그래프]가 [그것을 읽는 법을 아는 독자에게만 무언가를 보여줄 수 있는 것]처럼, 이야기는 그것을 구체적으로 말하지 않고spelling out, 잠재적인 의미를 보여준다display. 의미는 그것의 형태에 의해 드러난다.
This brief exchange, overheard by one of the authors of this Commentary in our hospital, seems to make visible the plight of the cancer patient starting out on treatment. Reflecting on the first speaker's words, we wonder about her lostness, the vastness of that in which she fears getting lost, the probable futility of finding in Radiation Oncology the certainty she seeks. Even though the speaker might not “mean” to talk about her experience of having cancer, is that what she is doing? The story, such as it is, displays, without spelling it out, potential meaning, much as a graph of statistical data might display something to a viewer who knows how to read it. The meanings are emitted by their forms.

이런 단절된 말들을 엿듣는 우리들 대부분은 자연스럽게 [이야기의 파편]을 이야기하게 될 것입니다. 물론 우리가 틀릴 수도 있다는 것을 깨닫는 동안, 그것이 담고 있을 수 있는 것을 가시화시키면서 말이죠. 분위기를 파악하고, 특정한 단어를 메모하고, 말하지 않은 것을 채워줌으로써, 우리는 창구원의 상황을 상상할 것이다. 만약 말하는 사람이 환자이고 듣는 사람이 그녀의 의사라면, 임상 실습은 이 상상력 있는 노력에서 생성된 가설을 실험하는 것을 수반할 것이고, 우리는 의사가 그녀의 말에 대해 묻기를 바랍니다"저는 당신이 이 암과 치료의 불확실성에 대해 길을 잃었다고 느끼는지 궁금합니다. 만약 그렇다면, 내가 당신의 고통을 덜어주기 위해 무엇을 할 수 있을까요?"
Most of us overhearing those disconnected utterances would have naturally narrativized the fragment of talk, making visible that which it might have contained while realizing, of course, that we might be wrong. By identifying a mood, noting particular words, filling in the said with the unsaid, we would imagine the situation of the teller. If the speaker were a patient and the listener her doctor, clinical practice would entail testing the hypotheses generated in this imaginative effort, and the doctor would, we hope, ask the patient about her words: “I wonder if you feel lost in the uncertainty of this cancer and its treatment. If so, what might I do to lessen your suffering?”

의과대학에서 [성찰적 글쓰기]의 지지자들이 학생들에게서 강화하고자 하는 것은 바로 이러한 [이야기 감각]이다. 심리학자 Jens Brockmeier와 Rom Harré1은 다음과 같이 제안한다.
It is this sense of story that proponents of reflective writing in medical schools are seeking to enhance in their students. Psychologists Jens Brockmeier and Rom Harré1 suggest that

  • 구술과 저술 모두, [이야기의 형태]는 [우리의 존재의 본질과 조건을 받아들이려는 우리의 시도를 위한] [근본적인 언어, 심리, 문화, 그리고 철학적 틀]을 구성한다.
    the story form, both oral and written, constitutes a fundamental linguistic, psychological, cultural, and philosophical framework for our attempts to come to terms with the nature and conditions of our existence.

만약 의학이 [우리 존재의 본질과 조건을 받아들이려는 시도]가 아니라면, 무엇이겠는가?
If the practice of medicine is not the attempt to come to terms with the nature and conditions of our existence, what is?

의학 교육에서 성찰적 글쓰기는 가장 생산적이면서 동시에 위험한 단계에 있다. 성찰적인 글을 공부하고 가르치는 사람들은 그들이 의학 교육을 위해 중요한 것을 알고 있지만 실제로 그 분야가 무엇을 할 수 있는지 또는 어떻게 할 수 있는지를 아직 정하지 못한 채 깨달음과 증명 사이의 어딘가를 맴돌고 있다. 조지 엥겔, 로버트 콜스, 아서 클라인먼, 레이첼 레멘과 같은 선각자들은 일찍이 [의료행위가 실증주의적이고 환원적인 성향에 의해 방해받고 있다]는 것을 이해했고, 그들은 [환자와 의사들에 대한 특이한 이야기]를 의학 교육에 받아들이는 것이 [의사들이 환자의 살아 있는 경험을 인식]하는 것을 돕고, [의사 자신의 경험의 의미의 인식]을 서포트할 수 있다고 제안했다. 이 두 가지 변화를 함께 가져오면 의료의 효과와 이를 제공하는 방법을 배우는 과정 모두를 개선할 수 있다고 제안되었다.
The field of reflective writing in medical education is at a most productive and perilous stage. Those who study and teach reflective writing hover somewhere between epiphany and proof, knowing they are on to something important for medical education but having yet to establish what, in fact, the field can do or how it does it. Such visionaries as George Engel, Robert Coles, Arthur Kleinman, and Rachel Remen early understood that medical practice was being hampered by its positivist and reductive bent, and they suggested that admitting singular stories of patients and doctors into medical education might aid doctors to recognize patients' lived experiences and might support doctors' awareness of the meanings of their own experiences. Bringing about these two changes together, it was proposed, could improve both the effectiveness of the health care and the process of learning how to give it.

우리는 이러한 초기 깨달음 이후 상당한 거리를 다루었다. Wald와 동료들이 의대생들의 성찰적 글쓰기의 등급을 매기기 위한 새로운 루브릭에 대해 논한 기사는 이러한 발견과 변화의 발전sweep에 기여하고 있다. 우리는 이 팀을 통해 학생들에게 성찰적인 글쓰기에 대해 구조화된 개별 피드백을 제공하는 방법에 대해 배웠습니다. 그들과 이 교육 연구 분야에서 일하는 다른 사람들은 특히 그러한 작업이 주류 교육자들로부터 종종 받는 반대되는 반대에 비추어, 몇몇 지저분한 개념과 더 지저분한 학습 행동을 조사하고, 명확히 하고, 도구화하는 그들의 진지하고 생산적인 헌신에 대해 칭찬받을 것이다.
We have covered a considerable distance since these early realizations. The article by Wald and colleagues2 discussing a new rubric for rating reflective writing by medical students contributes to this sweep of discovery and change. We have learned from this team about methods of giving structured individualized feedback to students about their reflective writing. They and others working in this area of educational research are to be commended for their serious and productive commitment to examining, articulating, and instrumentalizing some messy concepts and messier learning behaviors, especially in view of the contrary reception such work often gets from mainstream educators.

Wald와 동료들이 채택한 연구 접근법은 성인 학습 심리학에서 파생된 주류 교육 체계 내에서 성찰적 글쓰기를 찾고 이러한 개념을 의학 교육에 적용한다. 이들이 제안한 평가 전략은 [주류 의료 교육의 평가 루틴]과 일치하며, 의료, 간호, 약학 및 물리 치료 교육 문헌의 광범위한 참조 목록에 기초한다. 이 프로젝트와 유사한 프로젝트는 [학생들이 서로 또는 자신의 초기 성과에 대해 성찰 성과를 비교 평가하도록 의도적으로 지원]한다. 즉, 이들의 목표는, 교수진들이 [전통적인 교육 관행에 부합하는 방법]으로, [측정 가능한 기술의 달성]에 대해, [학생들을 한명씩 판단하고 순위를 매기는 것]이다.

The research approach adopted by Wald and colleagues locates reflective writing within mainstream pedagogic frameworks derived from adult learning psychology and applies these concepts to medical education. The rating strategy proposed is congruent with mainstream medical education's assessment routines and is grounded in an extensive list of references from the medical, nursing, pharmacy, and physical therapy education literatures. This and similar projects purposefully support the comparative rating of students' performance of reflection against one another or against their own earlier performance. The aim, that is to say, is for faculty members to judge and then rank students singly and within cohorts on their attainment of a measureable skill in a way that fits with traditional educational practices.

성찰적 글쓰기의 개념적 모델
Conceptual Models for Reflective Writing

Wald와 동료들은 성찰을 "개인 경험이 실천에 영향을 미치는 전문성 강화 메타인지적이고 암묵적인 과정"이라고 정의한다. [다음과 같은 가정]들이 여기와 다른 반성적 글쓰기에 대한 현재 연구에서 함축되어 있는 것으로 보인다.

  • (1) 성찰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선형적으로 발달하는 기술이다. 
  • (2) 의대 교수진들은 성찰 기술을 가지고 있으며, 최소한의 준비로 다른 사람들에게 그것을 가르치고 다른 사람에 대해서 평가할 수 있다. 
  • (3) 성찰은 삶의 경험에 적용되는 심리적인 조작을 통해 가르치고, 배우고, 성취된다. 
  • (4) 글쓰기는 성찰 기술의 성취도를 표시하고 측정하는 데 사용되는 방법이다. 
  • (5) 쓰여진 텍스트는 글쓴이를 투명하게 보여주며, 독자가 글쓴이의 진지한 생각, 동기, 감정에 명확하게 접근할 수 있게 한다. 
  • (6) 쓰여진 글은 모든 독자들이 비슷한 방식으로 읽고 해석할 것이다. 
  • (7) 의료 훈련에 적합한 글은 지시 프롬프트에 대해 규정된 형식과 시간 순서에 따라 작성된 1인칭 산문이다.

Wald and colleagues2 define reflection as an “expertise-enhancing metacognitive, tacit process whereby personal experience informs practice.” The following assumptions seem to be implied here and in other current work on reflective writing:

  • (1) Reflection is a skill that progresses linearly in time.
  • (2) Medical school faculty possess this skill and can, with a minimum of preparation, both teach it to others and assess it in others.
  • (3) Reflection is taught, learned, and accomplished through psychological operations applied to life experiences. (4) Writing is a method used to display and then to measure the attainment of the skill of reflection.
  • (5) Written texts display their writers transparently, allowing the reader unambiguous access to the writer's earnest thoughts, motives, and feelings.
  • (6) Written texts will be read and interpreted by all readers in similar ways.
  • (7) The writing appropriate to medical training is first-person prose about quandary events written to directive prompts in prescribed forms and in chronological sequences.

우리 중 다른 사람들은 [여기에 열거된 가정들을 보완하고 논쟁]하는 성찰, 글쓰기, 그리고 독서에 대한 [또 다른 다른 개념적 가정들]로부터 출발한다. 이러한 가정은 성찰의 본질과 결과, 그리고 성찰과 읽기와 쓰기의 관계에 대해서 조금 다른 믿음에서 비롯된다.
Others of us start from different conceptual assumptions about reflection, writing, and reading that both complement and contest the assumptions on display here. These assumptions arise from different beliefs about the nature and consequences of reflection and the relation of reflection to reading and writing.

[성찰]은 [인지, 감정, 상상력, 창조적 수단을 사용하여 인지하고, 언어로 표현함으로써, 살아있는 경험을 겪어내는, 능동적인 내부 상태]로 이해될 수 있다. 지속적이고 평생에 걸친 성찰의 상태를 통해 사람은 자신의 삶을 경험하게 된다. 
서술 이론, 미학 이론, 현상학을 바탕으로, 성찰은 [존재, 정체성, 자아 인식, 상호 주관성, 윤리적 분별]을 향한 [서술과 서술narrative and narrating의 진입로avenue]로 인식된다. [성찰하는 자아]는 주의 깊은 자아, 현재의 자아, 느낌의 자아, 이야기 감각의 자아와 하나가 된다. 헨리 제임스의 소설가에 대한 6가지 정의를 빌리면, "아무것도 잃지 않는 사람들 중 한 명"이다.
Reflection can be understood to be an active interior state that uses cognitive, affective, imaginative, and creative means to perceive, represent in language, and thereby undergo one's lived experience. Through sustained and lifelong states of reflection, one experiences one's life. Drawing on narrative theory, aesthetic theory, and phenomenology, reflection is recognized as a narrative and narrating avenue toward presence, identity, self-awareness, intersubjectivity, and ethical discernment.3–5 The reflecting self is one with the attentive self, the present self, the feeling self, the self with the sense of story. It is, to borrow Henry James'6 definition of the novelist, “one of the people on whom nothing is lost.”

성찰에서 글쓰기의 역할은 이러한 성찰의 개념에 따라 극적으로 변화한다.

  • Wald와 동료들의 연구에 따르면, 글쓰기는 [다른 곳에서 어떤 식으로든 성찰의 기술이 달성된 후, 그 기술의 성취를 측정하기 위해 사용]된다.
  • 우리가 제안하는 [대안적 개념]에서, 글쓰기는 [성찰 상태state of reflection에 도달하기 위해 사용]된다. '보고'가 아니라 '발견'을 쓰는 것은, [작가가 접근할 수 없는 생각이나 지식의 저장고]를 열어준다. 7 [언어로 경험을 표현하는 것]은 아마도 그것을 [가시적으로 보이게 할 수 있는 가장 강력한 수단]일 것이다. 글쓰기는 [자신의 경험을 되돌아보는 방법]이다. 그것은 마치 [경험한 것]은 어떻게든 [그 사람의 "밖으로" 나와야만 그것이 파악되고 이해될 수 있는 것]과 같다.

The role of writing in reflection changes dramatically with this conception of reflection.

  • According to Wald and colleagues' study, writing is used to measure the attainment of the skill of reflection after that skill has somehow been attained elsewhere.
  • In this alternate conception, writing is used to attain the state of reflection. Not report but discovery, writing unlocks reservoirs of thought or knowledge otherwise inaccessible to the writer.7 Representing one's experience in language is perhaps the most forceful means by which one can render it visible and, hence, comprehensible. Writing is how one reflects on one's experience. It is as if that which is experienced has to be somehow “gotten outside” of the person so that it can be apprehended and then comprehended.

서사 이론은 [서사 행위]를 [말하는 사람과 듣는 사람이 있는 것]으로 정의한다. 의대생 성찰의 청취자는 쓰여진 모든 것의 독자나 감사자이다. 구성 이론가들이 우리에게 가르쳐 주듯이, 글쓰기는 단독 행위가 아니다. 상호 주관적, 대담적, 노출적이다. 글쓰기 행위가 독서 행위와 결합될 때, 타인과의 깊은 자아의 회합을 허용하며, 그 결과로서 자기와 자아 사이의 깊은 회합을 허용한다. 수신자를 통한 자기 설명account of self의 통과는 기업에 매우 중요하며 쓰기와 읽기를 일방적으로 "평가가능한ratable" 것에서 [상호적인 것]으로 변화시킨다.
Narrative theory defines a narrative act as having a teller and a listener. The listener in medical student reflection is the reader or auditor of whatever is written. As composition theorists teach us, writing is not a solitary act.8 Intersubjective, daring, exposing—the writing act, when coupled with the reading act, permits deep congress of self with other and, as a corollary, self with self. The passage of the account of self “through” the receiver is critical to the enterprise and transforms writing and reading from something unilaterally “ratable” to something reciprocal.

글쓰기를 가르치면서 성찰을 가르치다
Teaching Reflection by Teaching Writing

성찰로서의 글쓰기의 개념 안에서 성찰의 가르침과 학습은 특정한 형태를 취한다. 컬럼비아 대학교에서 시작되었지만, 현재 북미와 해외의 다른 의료 센터들에서 뚜렷하게 나타나고 있는 주요 노력은 (학생, 하우스 오피스, 교수진, 모든 종류의 보건 전문가, 환자 등) 학습자들에게 [복잡한 사건과 상황을 표현하고 인식할 수 있는 언어 능력]을 갖추도록 하는 것이다. 우리는 학생들이 이야기를 인식하는 서사적 기술, 즉 그들이 그들의 삶에서 사용했을지도 모르지만 의학에서는 별로 중요하지 않다고 여겼던 기술들을 되찾고, 우리는 그들이 지금 여기서 이러한 기술들을 사용하도록 초대합니다. 대부분의 강의 세션은 시, 소설의 단락, 병의 서술, 인턴의 진행 노트, 기도 같은 [쓰여진 텍스트를 자세히 읽는 것]으로 시작하므로 학습자들은 글쓰기를 연습하는 동안 읽는 것을 배운다. 글쓰기 프롬프트는 특정 질문을 던지는 것이 아니라 글쓴이의 마음을 넓히고 학습자가 방금 읽은 본문의 그늘에서 글을 쓰도록 유도하기 위해 짧고 공들여 개발된다. 프롬프트는 학생들이 임상 경험을 쓰도록 안내할 수 있지만 그럴 필요는 없다.
Within the sights of this conception of writing-as-reflection, the teaching and learning of reflection take on specific forms. Arising at Columbia University but now becoming evident in other medical centers in North America and abroad, the primary effort is to equip learners—students, house officers, faculty, health professionals of all sorts, patients—with the language skills to represent and recognize complex events and states of affairs. We reclaim for students the narrative skills to recognize stories, skills that they perhaps used to use in their lives but have deemed not salient to medicine, and we invite them to use these skills here and now. Learners learn to read while they practice writing, as most teaching sessions begin with the close reading of a written text—a poem, a paragraph from a novel, an illness narrative, an intern's progress note, a prayer. Writing prompts are short and painstakingly developed, not to pose specific questions but to expand the writers' minds and to invite learners to write in the shadow of the text they just read. Prompts can but do not have to guide students to write of clinical experiences.

글의 형태와 내용은 예측할 수 없다. 서정적인 것, 아이러니한 것, 초현실적인 것, 코믹한 것, 또는 실험적인 것으로 특징지어진다. 학생들은 홀로 고독하게 글을 쓰고 업로드하는 대신, 자신이 쓴 글을 소리 내어 읽고 적극적으로 글을 지도하는 협업 워크숍에 참여한다. 모든 쓰여진 텍스트는 읽을 가치가 있고, 독자나 감사자auditor를 얻으며, 보통 여러 수신자의 혜택을 받는다. 적어도 몇몇 독자들은 치밀한 독서close reading에 능숙하다. 정의에 따르면, 이것은 모든 쓰여진 텍스트가 다양한 해석에 놓인다는 것을 의미하는데, 두 명의 독자가 텍스트에서 동일한 "방출emission"을 끌어내지 않을 것이기 때문이다. [작가]는 [자신의 글에 무엇이 포함되어 있는지 아는 마지막 사람]이며, 은유, 시간적 구조, 서술적 목소리, 장르, 사전, 암시, 줄거리와 같은 서술적 특징 때문에 [본문을 주의 깊게 검토하는 다른 사람들]이 글 안에 무엇이 들어있을 수 있는지를 작가에게 밝혀줄 수 있다고 이해된다. 판단 없이, 그리고 고정된 기대 없이 들어봄으로써, 작가와 독자들은 서로가 말로 무엇을 하는지, 글이 그들에게 어떤 인상을 주는지, 그리고 그것이 무엇을 의미하는지 적극적으로 인식하도록 격려 받는다.
The writing is unpredictable in form and content, often marked by the lyrical, the ironic, the surreal, the comic, or the experimental. Instead of writing in solitude and uploading their work, students participate in collaborative workshops where they often read aloud what they have written and their writing is actively coached. Every written text deserves and gets a reader or auditor and usually gets the benefit of several receivers. At least some of the readers are skilled in the acts of close reading. By definition, this means every written text gets multiple interpretations, for no two readers will derive the same “emission” from a text. It is understood that the writer is the last person to know what's contained in his or her writing and that others carefully examining the text—for such narrative features as its metaphors, temporal structure, narrative voice, genre, diction, allusions, and plot—can illuminate for the writer what might be contained within it. By listening nonjudgmentally and with no fixed expectations, writers and readers are encouraged to actively recognize what one another does with words, how the writing strikes them, and what it might mean.

교사의 의무
The Duty of the Teacher

이 모델에서 교사의 의무는 판단하고 평가하는 것이 아니라, 보이는 것을 읽고 말하는 것이다. 면밀한 독서에 대한 교육을 받은 우리 교사들은 [평점 루브릭]이 아니라, 독자가 텍스트의 몇 가지 서술적 특징에 주의를 기울이도록 유도하는 [읽기 가이드]를 갖추고 있다. 따라서 [독자/코치]는 적어도 독자의 관점에서 쓰여진 텍스트에 무엇이 포함되어 있는지 먼저 보고 나서 필자에게 보여줄 수 있으며, 글쓰기의 과정뿐만 아니라 글쓰기가 탄생시킨 성찰의 과정에도 도움이 된다. 독자가 여러 명으로 늘어나면서 교훈을 복잡하게 만든다. 우리가 관찰한 바에 따르면, [독자/작가 그룹]은 강력하고 신뢰할 수 있으며 협력적인 팀을 형성한다. 그래서 우리의 성찰을 위한 훈련은 팀워크, 동료 학습, 신뢰, 그리고 보살핌에서 의학 교육의 다른 어려운 임무도 수행한다.
The duty of the teacher in this model is not to judge and rate but, rather, to read and tell what is seen. Our teachers, having been trained in the acts of close reading, are equipped not with rating rubrics but, rather, with a reading guide that prompts the reader to attend to several narrative features of a text. The reader/coach can thereby first see and then show the writer what is contained in the written text, at least from that reader's vantage point, helping along the process not only of the writing but also of the reflection the writing birthed. Multiple readers swell and complicate the lessons learned. As a dividend, we have observed, the group of readers/writers form strong, trusting, collaborative teams. And so our training for reflection also fulfills other difficult missions of medical education in teamwork, peer learning, trust, and care.

우리는 학생들에게 성찰적인 글쓰기를 제공하려는 우리의 약속에서, [개별 학습자의 성취를 계량화한 지표]처럼, 학교가 원하는 것을 학교에 제공하는 것만을 서두지는 않을까 우려한다. 이러한 충동은 아마도 반성적 글쓰기의 잠재적인 깊은 배당을 왜곡하고 낭비할 것이다. 우리는 학생들과 우리 자신에게 [이야기를 하고 들을 수 있는 능력]을 갖추게 된 것이 심오한 성과라는 것을 기억할지도 모릅니다. 우리는 확실히 이런 능력의 학습을 왜곡하지 않으면서도 학습을 증명할 수 있을 것이다. 복잡한 상황이나 상황의 상태를 표현하고 다른 사람의 말을 수신하고 해독하는 기술을 개발한 의대생은 중심 임상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학생들은 (말, 외모, 몸짓, 신체적인 발견, 침묵 등) [환자들이 발산하는 모든 미묘한 차이]를 받아들이는 사람이 될 것이다. 주의 깊고, 수용적이며, 환자가 자신의 내부 상태를 공유해 준 것에 대해 감사하는 마음으로, 학생은 [환자의 상황을 그 복잡성 속에서 흡수하고, 그 지식을 바탕으로 환자를 대신하여 행동]할 수 있습니다. 그 또는 그녀는 그 임상적 만남을 언어로 나타낼 수 있는데, 이는 과제를 수행하기 위해서가 아니라, 오히려 이 환자와 그 또는 그녀의 붓에서 무슨 일이 일어났는지 경험하고, 따라서 이해하기 위해서이다. 골든 볼 서문에서 헨리 제임스 3세는 "물건을 아주 정확하고 책임감 있게 그리고 끝없이 하는 것"을 제안한다. 우리의 깊어진 이야기 감각은 우리를 광활함, 상실감, 불확실성, 그리고 그들을 돌보기 위해 최선을 다하는 모든 사람들과 우리를 하나로 묶는 의미들로 열어줄 것이다.

We worry that in our commitment to bring reflective writing to our students, we might hurry to provide our schools with what we think they want, like quantified markers of individual learners' achievements. This impulse perhaps distorts and squanders the potential deep dividends of the work of reflective writing. We might remember that it is a profound achievement to equip our students—and ourselves—with the capacity to tell and listen to stories. We can certainly demonstrate this learning, but in ways that will not distort the undertaking itself. The medical student who has developed skills in representing complex situations or states of affairs and in receiving and decoding the utterances of others is equipped to accomplish central clinical tasks. This student will be a nuanced receiver of all that patients emit—in words, appearance, gestures, physical findings, silences. Attentive, receptive, grateful to patients for sharing their interior states, the student will absorb the situation of the patient in its complexity and will then be able to act, on behalf of the patient, on that knowledge. He or she may represent that clinical encounter in language, not in order to fulfill an assignment but, rather, to undergo and, hence, understand what has happened in his or her brush with this patient. In the preface to The Golden Bowl, Henry James3 suggests that “to put things is very exactly and responsibly and interminably to do them.” Our deepening sense of story will open us to the vastness, the lostness, the uncertainty, and the meanings that unite all who are ill and all of us who do our best to care for them.


Acad Med. 2012 Jan;87(1):5-7.

 doi: 10.1097/ACM.0b013e31823a59c7.

Commentary: a sense of story, or why teach reflective writing?

PMID: 22201631

PMCID: PMC3247912

DOI: 10.1097/ACM.0b013e31823a59c7

Free PMC article

Abstract

Reflective writing is being introduced in many medical schools in the United States and abroad for a variety of reasons and with a variety of goals in mind. As Wald and colleagues write, multiple methods, including the rubric introduced in their study, have been proposed for rating or grading this writing to quantify the gains obtained. The authors of this commentary detail the assumptions both about reflection and about writing implied in Wald and colleagues' work. They then describe a reciprocal model of writing as discovery, suggesting that the writing itself is what teaches the skills of reflection. Equipping medical students with a sense of story may well be the active ingredient in whatever gains are observed in teaching reflective writing.

의학교육 도구로서 서사의학: 체계적 문헌고찰(Med Teach, 2019)
Narrative medicine as a medical education tool: A systematic review
M. M. Milota, G. J. M. W. van Thiel and J. J. M. van Delden

 

 

소개
Introduction

기술과 빅데이터가 임상 상호작용에서 차지하는 역할이 점점 더 두드러지면서, 위험은 각 환자의 질병 서사의 특이성과 중요성에 대한 관심이 줄어들 것이라는 점이다. 디지털 의학이 부상하는 것은 [두 종류의 경쟁하는competing 서사]의 출현과 일치할 수 있다: [디지털 기술을 통해 수집된 디지털 서사]와 [그러한 기술을 사용하는 환자의 경험적이고 개인적인 서사]이다.

With the increasingly prominent role that technology and big data play in clinical interactions, the risk is that less attention will be paid to the singularity and significance of each patient’s illness narrative. It is not unconceivable that the rise of digital medicine may correspond with the emergence of two sorts of competing narratives: the digital narratives collected via digital technologies and the experiential, personal narratives of the patients using such technologies.

서사 의학 또는 서사 기반 의학은 "질병에 대한 과학적 이해를 증진시키기 위해 서사적 기술을 사용하는 의학에 대한 접근"을 구성하며, 따라서 이러한 서사적 분열naarative schism을 방지하는 하나의 수단으로 볼 수 있다. [서사 의학을 가르치고 실천하는 사람들]은 그것이 [현대적이고 기술적으로 향상된 의학에 대한 대안이 되기 위한 의도가 아니라]고 주장한다. 오히려, 그것은 [근거 기반 의료행위]가 의사와 환자 사이의 대화적 임상적 만남에서 나타나는 [개인적 증거]와 짝을 이룰 수 있고 또 짝을 이루어야 한다는 것을 의료 전문가들에게 밝히는 수단으로 보여진다. 지지자들은 임상 환경에서 [내러티브에 대한 더 나은 관심과 인정]이 [의사의 의학병리학적 지식]과 [환자의 이야기에 포함된 경험적 지식] 사이의 차이를 메우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고 주장한다.

Narrative medicine, or narrative-based medicine, constitutes “an approach to medicine that employs narrative skills to augment scientific understandings of illness” (Lewis 2011) and can thus be seen as one means of preventing this narrative schism. Those who teach and practice narrative-based medicine claim that it is not intended to be an alternative to modern, technologically enhanced, medicine. Rather, it is seen as a means of revealing to medical professionals that evidence-based practices can and should be paired with the personal evidence that emerges in a dialogic clinical encounter between a doctor and patient (Holmgren 2011; Chin-Yee 2018). Proponents claim that better attention to and appreciation of narratives in the clinical setting can help doctors bridge the gap between their mediopathological knowledge and the experiential knowledge contained in their patients’ stories (Greenhalgh 1999; Greenhalgh and Hurwitz 1999; Launer 1999; Hurwitz 2000).

따라서 서사의학 교육 개입은 의대생들이 그들의 "서사적 역량narrative competence"을 증가시킴으로써 환자와 공유 의사 결정 과정에 참여할 수 있도록 준비하는 중요한 수단으로 작용한다. 이러한 개입은 학생들이 [경청과 관찰 기술을 연마하고, 공감 능력을 자극하며, 성찰과 관점수용 능력을 증가]시키는 것을 목표로 한다. 또한 서사 의학 지지자들은 서사 의학이 더 [상호작용적이고 공감적인 의사-환자 참여의 자극]에만 맞추어져 있지 않다고 주장한다. 영화, 음악, 그림, 조각, 문학 등 예술에 대한 노출과 결합된 [자기성찰 연습]의 이득은 아마도 [동료들과 대중들과의 더 좋고 의미 있는 관계] 뿐만 아니라 [더 나은 자아 인식]으로 이어질 것이다.

Narrative medicine educational interventions thus serve as an important means of preparing medical students’ to engage in the shared-decision making process with their patients (Charon 2008; Charon and DasGupta 2011) by increasing their “narrative competence” (Charon 2007). Such interventions aim to help students

  • hone their listening and observation skills,
  • stimulate their empathic abilities, and
  • increase their capacity for reflection and perspective-taking (Marchalik 2017).

In addition, narrative medicine’s supporters contend that it is not only geared toward the stimulation of a more interactive and empathetic doctor-patient engagement; the dividends of a concerted training in self-reflective practices combined with an exposure to the arts—be it film, music, paintings, sculpture, or literature—will supposedly lead to a better sense of self as well as better and more meaningful relationships with one’s colleagues and the public (Charon 2001; 2006; Yu 2017).


꾸준한 연구 결과는 의료 전문가 훈련에서 [서사 기반 의료행위] 사용의 가치를 계속 보여주고 있다. 최근의 체계적인 검토는 이러한 연구의 영향을 종합하고 분석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하이데트 외 연구진(2016)은 콜롬비아의 서사의학 프로그램에 대한 연구보고를 포함한 의료교육의 예술 기반 과정에 대한 체계적인 검토를 통해 이러한 과정이 의대생들의 공감력, 의사소통, 관찰력, 윤리적 추론 능력 향상과 연결될 수 있음을 발견했다. 바버와 모레노-레기자몬의 서사의학 교육에 대한 문헌검토는(2017)은 9개의 연구만을 포함했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들 출판물에서 네 개의 새로운 주제에 대한 증거를 발견했다.

  • 의사소통 기술을 강조, 특히 공감 능력 증가 
  • 개인적이고 전문적인 성장 
  • 참여 학생들의 즐거움 또는 즐거움 
  • 숙련된 촉진자가 이끄는 소그룹 환경의 눈에 띄는 교육 구조

A steady output of studies continues to valorize the use of narrative-based practices in the training of health care professionals. Recent systematic reviews have attempted to synthesize and analyze the impact of these studies. Haidet et al.’s (2016) systematic review of arts-based courses in medical education, which included studies reporting on Columbia’s narrative medicine program, found that such courses could be linked to increased empathy, communication, observation, and ethical reasoning skills in medical students. Barber and Moreno-Leguizamon’s (2017) literature review of narrative medicine education included only nine studies, but nevertheless found evidence of four emergent themes in these publications:

  • a stress on communication skills, in particular increased empathy;
  • personal and professional growth;
  • pleasure, or enjoyment on the part of participating students; and
  • a noticeable educational structure of small group settings led by skilled facilitators.

저자들은 이러한 보고된 결과의 가치를 인정하면서도 서사의학 교육의 "더 높은 임상적 가치를 확립하기 위한 대규모 자료가 부족하다"고 결론짓는다. 비엘 외 연구진(2017)의 의과대학 교육에서 서술의학에 대한 연구는 이 경우 31개의 관련 출판물을 검토하는 등 그 범위가 더 넓었다. 바버처럼, 저자들은 학생들의 반사적, 공감적, 대인관계적, 사회적 간 능력에 대한 서술적 의학 개입의 가치와 잠재적 이익을 인정하지만, 그들은 "수집된 데이터를 바탕으로, 의학 교육에서 NM[서술적 의학] 접근법의 구조화된 모델이 없다"고 결론짓는다.

While the authors acknowledge the value of these reported results, they conclude that “there is insufficient large-scale data to establish a higher clinical value” (p. 202) of narrative medicine education. Wieżel et al.’s (2017) study of narrative medicine in medical school education was more expansive in its scope, in this case reviewing 31 relevant publications. Like Barber, the authors acknowledge the value and potential benefits of narrative medicine interventions on students’ reflective, empathic, interpersonal, and intersocial capabilities, yet they conclude that “based on the collected data, there is no structured model of NM [narrative medicine] approach in the medical education” (p. 564).

이 연구는 [서사의학을 가르치는 모델]에 대한 문헌에서 사용 가능한 효과의 증거가 무엇인가라는 질문에 대한 포괄적인 답변을 제공함으로써 지속적인 지식 격차를 메우는 것을 목표로 한다.
This study aims to fill a persistent knowledge gap by offering a comprehensive answer to the question: what evidence of effect is available in the literature about models for teaching narrative medicine?

방법들
Methods


우리의 목표는 서사 기반 의학에 대한 이론적 출판물에서 제안된 교육 전략이 보건 교육 환경에 체계적으로 적용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것이다. 이러한 이유로, 우리의 건강교육 체계적 검토는 임상적 환경이나 비건강교육 환경에서 서사의학 사용을 설명하는 기사가 아니라 의료교육 또는 의료실무자의 지속적인 전문적 발전에 대한 구체적인 서사의학 개입에 대해 보고하는 기사에 초점을 맞출 것이다. 이 검토는 다음의 세 가지 하위 질문에 답하려고 시도할 것이다: 

  • 첫째, 건강 교육에 서술 기반 의학의 구조화된 모델의 증거가 있는가? 그리고 만약 그렇다면, 그것이 일관되게 적용되고 있는가?
  • 둘째, 서술 기반 강의실 개입이 측정 가능한 결과를 초래한다는 증거가 있는가?
  • 마지막으로 보고된 결과의 품질과 특성은 무엇입니까?

Our goal is to ascertain whether or not the pedagogic strategies proposed in the theoretical publications about narrative-based medicine were systematically applied in health education settings. For this reason, our health education systematic review (Gordon 2018) will focus on articles that report on specific narrative medicine interventions in medical education or in the continuing professional development of medical practitioners, not on articles that describe the use of narrative medicine in clinical settings or in non-health education settings. This review will attempt to answer the following three sub-questions:

  • first, is there evidence of a structured model for narrative-based medicine in health education, and if so, is it consistently applied?
  • Second, is there evidence that narrative-based classroom interventions result in measurable outcomes?
  • Finally, what is the quality and nature of the reported outcomes?

문헌 검색
Literature search

우리의 체계적인 검토는 두 단계로 실행되었다. 첫째, 우리는 전자 데이터베이스를 검색했고, 둘째, 우리는 서술 의학 관련 주요 저자와 기사를 대상으로 반복적인 검색을 실행했다. 첫 번째 단계의 기사는 다음과 같은 전자 데이터베이스에서 얻었다. PubMed, Medline, Psychinfo, EBSCO 학술 검색 프리미어 및 간호 및 관련 건강 문헌 누적 지수(CINAHL)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별도의 검색 문자열 목록은 부록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가장 관련성이 높은 출처를 검색하기 위한 수단으로 제목, 추상 또는 키워드에 "의학" 또는 "의학 기반 의학"이 포함된 기사를 검색했습니다. 또한 1999년에 서술 의학 또는 서술 기반 의학을 개념으로 설명하는 첫 번째 이론적 출판물과 잠재적 강의실 개입이 출판됨에 따라 2000년부터 발행된 논문으로 검색을 제한했다. 검색어에 대한 합의가 이루어지자 한 저자(M.M.)가 2017년 11월 6일 초기 검색을 실행했다. 이 검색은 2018년 5월 31일에 반복되었다.

Our systematic review was executed in two phases: first, we searched electronic databases; second, we ran an iterative search targeting key authors and articles related to narrative medicine. Articles in the first phase were obtained from the following electronic databases: PubMed, Medline, Psychinfo, EBSCO Academic Search Premier, and the Cumulative Index to Nursing and Allied Health Literature (CINAHL). A list of the separate search strings can be found in the Supplementary Appendix; as a means of retrieving the most relevant sources, we searched for articles that included “narrative medicine” or “narrative-based medicine” in the title, abstract, or keywords. We also limited our search to articles published from 2000 onwards as the first theoretical publications describing narrative medicine or narrative-based medicine as a concept and potential classroom intervention were published in 1999. Once we had reached consensus about the search terms, one author (M.M.) ran an initial search on November 6, 2017. This search was repeated on May 31, 2018.

두 번째 단계에서는 컬럼비아 대학의 서사의학 프로그램의 공동 설립자인 Rita Charon, Sayantani Das Gupta Craig Irvine 및 Maura Spiegel을 대상으로 서사의학 강의실 개입에 대한 주요 기사를 별도로 검색했다. 그런 다음 관련 출처를 찾기 위해 이러한 기사의 참조 목록을 검토했다. 우리는 또한 우리의 연구 질문과 관련이 있을 수 있는 추가 기사를 식별하기 위해 서사의학, 공감 및 의학 교육의 예술에 대한 체계적인 리뷰에서 인용된 작품들을 조사했다. 중복을 제거한 뒤 378건의 글이 남았다.

For the second phase, we ran a separate search on PubMed by author, in this case for the co-founders of Columbia University’s Narrative Medicine Program—Rita Charon, Sayantani DasGupta Craig Irvine, and Maura Spiegel—in order to identify key articles about narrative medicine classroom interventions. We then examined the reference lists of these articles for further relevant sources. We also examined the works cited in systematic reviews on narrative medicine, empathy, and the arts in medical education to identify any additional articles that could be relevant to our research questions (Kuper 2006; Batt-Rawden et al. 2013; Cowen 2016; Barber and Moreno-Leguizamon 2017; Wieżel et al. 2017). After removing duplicates, 378 articles remained.

 

기사선정
Article selection

두 명의 저자(M.M.과 G.V.T.)는 다음과 같은 자격 기준에 기초하여 제목과 요약본을 스캔하여 Cvidence의 전체 텍스트 검토를 위한 관련 기사를 독립적으로 식별했다.
Two authors (M.M and G.v.T.) independently identified relevant articles for full-text review in Covidence by scanning the titles and abstracts on the basis of the following eligibility criteria.

  • 포함 기준: 
    • 학부, 대학원 또는 대학원 수준의 의료 또는 의료 교실 환경에서 서술적 의학 커리큘럼, 과정, 세미나 또는 교수 관행을 설명하는 출판물 
    • 의료 서비스 제공자를 위한 교수진 개발 전문 개발 개입을 설명하는 연구 
    • 질적 및/또는 정량적 평가를 통해 교육학적 도구로서 서술적 의학의 영향을 시험하려는 출판물.

Inclusion criteria: publications that describe narrative medicine curricula, courses, seminars, or teaching practices in a medical or paramedical classroom setting at the undergraduate, graduate, or postgraduate level; studies describing a faculty development professional development intervention for health care providers; publications that attempt to test the impact of narrative medicine as a pedagogic tool with qualitative and/or quantitative assessment.

  • 제외 기준: 
    • 임상 환경에서 서술적 의학 사용에 대해 보고하는 출판물 
    • 서술 의학에 대해 이론화하지만 특정 강의실 환경에서 그것의 사용을 설명하지 않는 출판물 
    • 비의료 환경에서 서술형 의학의 사용을 설명하는 출판물(예: 수의학교) 
    • 서술적 의학을 교육학적 도구로 명시적으로 언급하고 사용하지 않는 출판물 
    • 비영어 출판물; 체계적인 문학 평론

Exclusion criteria: publications that report on the use of narrative medicine in a clinical setting; publications that theorize about narrative medicine but do not describe its use in a specific classroom setting; publications that describe the use of narrative medicine in a non-medical setting (for example, veterinary school); publications that do not explicitly mention and use narrative medicine as a pedagogic tool; non-English publications; systematic literature reviews.

포함 목록을 비교하기 위해 회의를 하고 갈등을 해결한 후, 한 연구원(M.M.)은 자격에 대한 전문 분석을 실시했다. 서사의학 강의실 개입에 대한 총 36개의 연구가 최종 분석에 포함되었다. 그림 1에는 검색 프로세스의 흐름도가 나와 있습니다.
After meeting to compare inclusion lists and resolving any conflicts, one researcher (M.M.) conducted a full-text analysis for eligibility. In total, 36 studies reporting on a narrative medicine classroom intervention were included in the final analysis. Figure 1 contains a flow diagram of the search process.

데이터 추출
Data extraction

한 저자(M.M.)는 전체 텍스트를 검토하고 다음과 같은 일반 정보를 추출했다: 저자, 출판 연도, 강의실 개입 현장, 연구 유형(개입 보고서, 정성 및/또는 정량적 평가 구성요소), 서술 의학 과정 수준 및 분야, 과정 유형(선택, 필수, 교수 개발), 코스 기간 및 참가자 수(참가자 수 포함)에 대해 설명합니다.

또한, 이 추출물은 보고된 서술 의학 과정 내용의 더 자세한 측면을 기록했습니다. 여기에는 다음이 포함됩니다. 코스 자체에 사용된 공식 및 비공식 평가 도구(예: 동료 피드백 또는 의사-작가 및 전문가와의 글쓰기 워크샵 세션)뿐만 아니라 코스에 사용된 특정 예술 형식 또는 이론적 텍스트, 특정 쓰기 과제, 공식 및 비공식 평가 도구 마지막으로, 추출은 또한 교육학적 개입에 대한 정성적 및/또는 정량적 평가를 포함하는 연구에서 보고된 방법, 목표 및 결과를 기록하였다.

One author (M.M.) reviewed the full texts and extracted the following general information: authors, year of publication, site of classroom intervention, type of study (report of intervention, qualitative and/or quantitative assessment component), the narrative medicine course level and field, type of course (elective, required, faculty development), the duration of course, and the number of participants, if mentioned.

In addition, the extraction recorded more detailed aspects of the reported narrative medicine course content. This included: specific art forms or theoretical texts used in the course, specific writing assignments as well as formal and informal assessment tools used in the course itself (for example, peer feedback or writing workshop sessions with a physician-writer and expert). Finally, the extraction also recorded the methods, objectives, and outcomes reported in the studies that included a qualitative and/or quantitative assessment of a pedagogic intervention.

증거 등급
Evidence grading

 

서술형 의학 강의실 개입의 결과를 평가하려고 시도한 연구는 Kirkpatrick 기반 결과 척도 및 증거 척도를 모두 포함하는 BEME(Best Evidence in Medical Education) 글로벌 평가 척도를 사용하여 평가되었다. Kirkpatrick 모델은 원래 기업 조직의 교육 프로그램을 평가하는 수단으로 고안되었으며, 의료 교육을 포함한 고등 교육(Praslova 2010)에서 프로그램의 효과를 측정하는 표준 도구가 되었다. BEME 글로벌 척도는 표 1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Studies that attempted to assess the outcomes of a narrative medicine classroom intervention were rated using the Best Evidence in Medical Education (BEME) Global Rating Scale, which includes both a Kirkpatrick-based outcomes scale and a strength of evidence scale (Hammick et al. 2010). Originally conceived as a means of assessing training programs in business organizations (Kirkpatrick 1959, 1976, 1996), the Kirkpatrick model has become a standard tool for gauging the effectiveness of programs in higher education (Praslova 2010) including medical education (Issenberg et al. 2005; Littlewood et al. 2005; Steinert et al. 2006; Colthart et al. 2008; Tochel et al. 2009; Sullivan 2011). The BEME Global Scale can be found in Table 1.

 

 

데이터 추출을 완료한 후 한 작성자(M.M.)는 BEME Global Scale을 사용하여 포함된 기사를 코드화했습니다. 이 단계가 완료되면 두 번째 작성자(G.V.T.)는 무작위로 선택된 5개의 기사에 대한 독립적인 채점을 완료했다. 그 후 두 저자는 그들의 점수를 비교하고 의견 차이를 해결하기 위해 만났다. 보충 표 2는 증거와 결과 점수의 BEME 강도뿐만 아니라 데이터 추출의 핵심 정보를 제공한다.
After completing the data extraction, one author (M.M.) coded the included articles using the BEME Global Scale. Once this step was completed, a second author (G.v.T.) completed an independent grading of 5 randomly selected articles. The two authors then met to compare their scores and resolve disagreements. Supplementary Table 2 provides key information from the data extraction as well as the BEME strength of evidence and outcome scores.

결과.
Results

서사기반 의료 개입을 위한 구조화된 모델의 증거
Evidence of structured model for narrative-based medicine interventions

보건 교육에서 서술 의학에 대한 이론적 출판물은 일반적으로 세 가지 기본 단계로 구성된 교육학적 전략을 설명한다.

  • 첫 번째 단계는 환자 내러니트, 문학 텍스트, 영화 단편, 예술 작품 또는 음악 작품과의 [성찰적 참여]를 포함한다. 컬럼비아의 내러티브 메디컬 프로그램에서 이 단계는 특정 형태의 예술을 [자세히 읽거나 비판적으로 분석하는 것]을 포함하며, 그들의 내러티브 의학 강의실에서 대표적인 방법으로 여겨진다.
  • 이 참여 동안 얻은 통찰력은 [관련된 쓰기 과제 또는 개인적인 성찰]을 통해 교육학적 전략의 두 번째 단계에서 강화된다.
  • 만남은 세 번째 단계에서 더욱 풍성해지는데, 이것은 이러한 [작은 자기 성찰 행위들을 공유하고 토론하는 것]으로 구성되어 있다. 

Theoretical publications about narrative medicine in health education typically describe a pedagogic strategy consisting of three basic steps.

  • The first step involves a reflective engagement with a patient narrative, literary text, film fragment, art work, or piece of music. At Columbia’s Narrative Medicine Program, this step includes a close reading—or critical analysis—of the art form and is considered the signature method in their narrative medicine classrooms (Charon, DasGupta, et al. 2016, p. 181).
  • The insights gained during this engagement are reinforced in the second step of the pedagogic strategy by means of a corresponding writing assignment or personal reflection.
  • The encounter is further enriched in the third step, which consists of sharing and discussing these small acts of self-reflection (Balmer and Richards 2012, p. 2).

다시 말해서, [서사의학 강의실 개입]은

  • 예술 형태나 서사를 만나거나 분석하고,
  • 이 만남을 성찰하고,
  • 주의 깊게 관찰되고 뒷받침되는 환경에서 자신의 발견을 다른 사람들과 공유하는 것을 포함한다.

In other words, a narrative medicine classroom intervention entails

  • encountering and/or analyzing an art form or narrative,
  • reflecting upon this encounter, and
  • sharing one’s discoveries with others in carefully monitored and supportive environment (Charon, DasGupta, et al. 2016).

본 검토에서 서사의학을 교육학적 도구(N = 36)로 사용하는 것에 대해 보고한 연구들 중, (밀접한) 읽기-반성-응답의 3단계 과정의 증거는 대부분의 기사(N = 22)에서 찾을 수 있다. 소수의 과정에서는 성찰적 글쓰기와 토론만 포함했습니다(N = 12). 극소수는 서면 반영(N = 2)을 포함하지 않았다.

Of the studies in this review that reported on their use of narrative medicine as a pedagogic tool (N = 36), evidence of this three-step process of (close) reading-reflecting-responding could be found in the majority of the articles (N = 22). A minority of courses only included reflective writing and discussion (N = 12). A very small minority did not include written reflection (N = 2).

측정 가능한 결과의 증거
Evidence of measurable outcomes

이 검토에서 23개의 연구는 그들의 서술적 의학 교실 개입의 영향을 평가했다. Kirkpatrick 모델에 따라 분류된 연구 결과의 간략한 요약은 표 2에서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연구의 측정 및 결과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부록에서 확인할 수 있다.

In this review, 23 studies assessed the impact of their narrative medicine classroom interventions; a brief summary of the findings categorized according to the Kirkpatrick model can be found in Table 2. A detailed description of the measures and outcomes of these studies can be found in the Supplementary Appendix.

 

1단계: 참여
Level one: participation

대부분의 연구에는 1단계 또는 2단계 평가가 포함되었다. 수준 1 결과 측정치(N = 14)를 포함하는 연구는 성과척도로서 조사 또는 피드백 양식에 압도적으로 의존했지만 서사의학, 개입 자체에 대한 긍정적인 학생 반응과 감사, 희망, 만족 또는 기쁨과 같은 긍정적인 효과를 보고했다.
The majority of the studies included level one or two assessments. Studies that included level one outcome measures (N = 14) overwhelmingly relied on surveys or feedback forms as outcome measures but reported positive student reactions to the narrative medicine interventions themselves (Winkel 2010; Ross 2014) and positive effects, such as a sense of gratitude, hope, satisfaction, or pleasure (DasGupta and Charon 2004; Feigelson and Muller 2005; Garrison 2011; Chretien 2015).

2단계: 태도, 인식, 지식 또는 기술의 수정
Level two: modification of attitudes, perceptions, knowledge, or skills

예를 들어, 참가자들의 태도나 인식의 변화에 대해 보고한 연구들(레벨 2a; N = 16)은 그들의 동료들과 더 넓은 전문 커뮤니티에 대한 정체성 증가, 그들의 일에 대한 더 많은 만족웰니스 감각, 또는 문화적 다양성에 대한 더 나은 인식을 발견했다. 임상실습 3학년 학생들을 위한 서사의학 환자 스토리텔링 과정에 대한 크레티엔의(2015) 평가 연구는 예시적인 예를 제공한다. 그 과정 동안, 학생들은 환자를 인터뷰하고, 그들의 인터뷰를 서술형으로 쓰고, 그들의 인터뷰 대상자들과 이 쓰여진 작품을 공유해야 했다. 강의가 끝난 후 포커스 그룹과 학생과 참여 환자 모두를 대상으로 한 인터뷰가 진행됐다. 학생들은 이 연습을 통해 다음을 했다고 보고했다

  • 환자로부터 질병 이상의 것을 발견하는데 도움을 주었고,
  • 천천히 듣고 들을 수 있는 기회를 갖도록 더 개방적으로 만들었으며,
  • 이야기들이 환자 치료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것을 확실히 보여주었다.

Studies that reported on modification of participants’ attitudes or perceptions (level 2a; N = 16) found, for example,

  • increased identification with their peers and the broader professional community (Feigelson and Muller 2005; Balmer and Richards 2012; Al-Imari et al. 2016),
  • more satisfaction with their work and sense of wellness (Feigelson and Muller 2005; Graham 2009), or
  • a better awareness of cultural diversity (DasGupta et al. 2006).

Chretien’s (2015) assessment study of a narrative medicine patient storytelling course for third-year medical clerkship students provides an illustrative example. During the course, students had to interview patients, write up their interview as a narrative, and share this written work with their interviewees. Focus groups and interviews with both students and participating patients were conducted after the course was completed. Students reported that the exercise

  • helped them discover that patients are more than their disease,
  • made them more open to taking the opportunity to slow down and listen, and
  • made clear to them that stories can positively impact patient care.

상당수의 연구는 또한 서사의학 개입의 직접적인 결과로 지식이나 기술의 수정을 평가했다(수준 2b; N = 14). Liben(2012)은 서사의학 워크숍의 교수진 참가자들이 후속 테스트에서 서사적 용어 습득을 입증하고 나중에 이러한 서사의 기술을 교육 및 임상 환경에 적용했다고 보고했다. 마찬가지로, Ross(2014)는 서사의학 과정(평균 점수 51.6–71.5, p < 0.001)을 완료하기 전후에 실시한 서사적 기술 평가에서 유의미한 향상을 기록했다. 커닝햄(2018)은 학생들이 자신의 서술적 성찰에서 다음과 같은 주제를 다루었다는 것을 발견했다: 자기 인식, 공감, 정서적 거리와 연민의 균형. 다른 연구들은 의사소통에 대한 이해와 능력이 향상되었다고 보고했다.
A considerable number of studies also assessed the modification of knowledge or skills as a direct result of the narrative medicine intervention (level 2b; N = 14). Liben (2012) reported that faculty participants in a narrative medicine workshop demonstrated the acquisition of narrative terms in a follow-up test and later applied these narrative skills in teaching and clinical settings. Similarly, Ross (2014) recorded significant improvement in a narrative skills assessment administered before and after the completion of a narrative medicine course (mean scores 51.6–71.5, p < 0.001). Cunningham (2018) found that students addressed the following themes in their written narrative reflections: self-awareness, empathy, and balancing emotional distance and compassion. Other studies reported an enhanced understanding of and capability in communication (Garrison 2011; Arntfield et al. 2013; Welch 2016).

많은 연구들은 학생들이 그들의 환자에 대한 공감과 연결성을 증가시켰다고 보고했다. Sands(2008)는 또한 baseline에 비해서 Interpersonal Reactivity Index를 사용한 개입 후 평가에 따라 공감적 관심empathic concern의 개선을 발견했다. 하지만, 서사의학 개입 전후에 공감 수준을 평가하려는 모든 시도가 긍정적인 결과를 가져온 것은 아니다. 서사의학 세미나 세션에 참석하면 번아웃을 줄이고, 공감 능력을 높이고, 반사 능력을 높이고, 주민들이 업무에서 접하는 다중 스트레스 요인을 처리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는 윙클 외(2016)의 가설을 Maslach Burnout Inventory, Interpersonal Reactivity Index 및 Self-Care Inventory를 통해 검증하였으며, 참가자가 서술 의학 세미나를 마친 후 1년 후 기준에서 시행하였다. 그 결과에서, 서사의학 개입 이후 공감적 관심이 약간 증가했다고 보고했습니다(+0.76, p = 0.01). 그러나 전체 수준에서 저자들은 번아웃 수준은 높은 수준을 유지했지만 점수에서 큰 차이를 발견하지 못했다.
A number of studies reported that students had an increased sense of empathy for and connection to their patients (DasGupta and Charon 2004; Maurer 2006; Vannatta and Vannatta 2013; McDonald 2015). Sands (2008) also found an improvement in empathic concern (p = 0.056) according to baseline and post-intervention assessments using the Interpersonal Reactivity Index. This being said, not all attempts to assess empathy levels before and after a narrative medicine intervention resulted in positive results. Winkel et al.’s (2016) hypothesis that attending narrative medicine seminar sessions would reduce burnouts, enhance empathy, increase reflective capabilities, and help residents process the multiple stressors the encountered on the job, was tested by means of a Maslach Burnout Inventory, Interpersonal Reactivity Index, and Self-Care Inventory administered at the baseline and one year after participants’ completion of the narrative medicine seminars. The study reported a small increase in empathic concern after the narrative medicine intervention (+0.76, p = 0.01). Yet at the aggregate level, the authors found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scores, although burnout levels remained high.

3단계: 행동 변화
Level three: behavioral change

이 검토에 포함된 세 가지 연구는 서술 기반 의학 개입의 결과로 행동 변화를 명시적으로 측정하기 위한 시험을 설계하고 실행했다. 이러한 연구에는 여러 측정 도구가 포함되었으며 세 가지 중 두 가지에는 데이터 삼각측량이 포함되었다. Bhavarju는 서사의학 교수 훈련 개입의 영향을 평가하기 위해 사전 및 사후 리커트 척도 설문지를 사용하여

  • 쓰기 및 쓰기 연습 리딩에 대한 자신감 향상(3.1–4.2)과
  • 독서토론 리딩에 대한 높아진 자신감(3.7–4.4)을 확인했다. 참가자들은 또한
  • 강의에 서사의학 도구를 통합한다(2.0–2.7)고 보고했다. 

Three studies included in this review designed and executed tests to explicitly measure behavioral change as a result of a narrative-based medicine intervention (Balmer and Richards 2012; Arntfield et al. 2013; Bhavaraju and Miller 2014). These studies included multiple measurement tools and two of the three included data triangulation (Balmer and Richards 2012; Arntfield et al. 2013). Using pre- and post-intervention Likert Scale questionnaires to assess the impact of a narrative medicine faculty training intervention, Bhavaraju found an

  • increase in participants’ confidence in writing and leading writing exercises (3.1–4.2) and
  • increased confidence in leading literary discussions (3.7–4.4). Participants also reported
  • integrating narrative medicine tools in their teaching (2.0–2.7).

발머의 교수 교육 프로그램 분석은 전문적 성장(교습 전략 학습, 여러 과정에 이러한 전략 적용), 개인적 성장(관점 수용), 집단적 및 공동적 지원의 증거를 발견했다. (다른 사람, 소속감, 그리고 풍부한 연결감을 봅니다.) Arntfield의 학부 서사의학 선택과목 평가는 3가지 데이터 수집 및 분석 수단을 사용했다. 즉, 개입 전 익명 조사, 포커스 그룹, 개입 후 1.5년 후 추적 조사이다. 따라서 이 연구의 결과는 Kirpatrick 모델의 여러 수준으로 분류될 수 있지만, 참가자들은 커뮤니케이션에 대한 이해와 능력의 향상 형태로 행동 변화를 보고했다.

Balmer’s analysis of a faculty training program found evidence of professional growth (learning teaching strategies, applying these strategies to multiple courses), personal growth (perspective taking), and collective and communal support (seeing the “other,” affiliation, and a sense of rich connectedness). Arntfield’s assessment of an undergraduate narrative medicine elective course used three means of data collection and analysis: an anonymous pre-intervention survey, a focus group, and a follow-up survey 1.5 years after the intervention. The outcomes of this study could thus be categorized on multiple levels of the Kirpatrick model, but participants reported behavioral changes in the form of enhanced understanding of and capability in communication.

레벨 4: 조직 관행 또는 환자 상호 작용의 변화
Level four: change in organizational practice or patient interaction

임상 기술 개발에 대한 서술적 의학 강의실 개입의 장기적인 결과를 측정하기 위한 두 가지 연구가 시도되었다. 조직 관행의 변화와 관련하여, Arntfield의 연구 참가자들은 [(환자의 관점에 대한 개선된 인식이란 형태로) 더 나은 치료 전달]을 보고하였다. 발머의 연구의 목표는 진행 중인 [프로세스-지향 서사의학 교수개발 프로그램]이 참가자들에게 미치는 영향을 탐구하는 것이었다. 그리고 저자들은 그들의 의도가 개인 개입 자체를 평가하는 것이 아니라, [대인 관계와 제도적 관행의 진화하는 변화를 살펴보는 것]이라고 명시적으로 말했다. 이 연구는 교수진 개발 프로그램의 참가자들이 나중에 컬럼비아의 새로운 커리큘럼의 규범과 관행을 형성하는 데 도움을 주었다고 결론지었다. 두 연구 모두 교수세미나의 영향에 대한 분석에서 질적 방법만을 사용했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참여자들은 [서사의학적 실천을 더 많이 포함하도록 대학의 의과대학 커리큘럼을 형성]하는 데 결정적이고 측정 가능한 수단hand을 가지고 있다고 확신했다.

Two studies attempted to measure the long-term results of a narrative medicine classroom intervention on clinical skill development (Balmer and Richards 2012; Arntfield et al. 2013). Regarding changes in organizational practice, participants in Arntfield’s study reported better delivery of care in the form of a better awareness of patients’ perspectives. The goal of Balmer’s study was to explore the impact of an ongoing, process-oriented narrative medicine faculty development program on participants, and the authors explicitly stated that their intention was to look at evolving changes in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nd institutional practices, not to assess the individual interventions themselves. The study concluded that the participants in the faculty development program later helped shape the norms and practices in Columbia’s new curriculum. Both studies used solely qualitative methods in their analyses of the impact of the ongoing faculty seminars but were nevertheless confident that those who participated had a decisive and measurable hand in shaping the university’s medical school curriculum to include more narrative medicine practices.

증거품질
Quality of evidence

이 연구에 포함된 소수의 출판물(N = 13)은 개입의 결과를 평가하려고 시도하지 않았으며, 대신 서사의학 수업을 위한 교육 도구 개발에 대한 보고를 선택했다. 예로는 작업장 테마 및 설계(DasGupta 2003) 또는 학생 및 교직원 피드백 가이드에 대한 설명이 있습니다. 이 문서들은 비공식적인 증언 증거나 저자들의 개인적인 의견을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그들은 오직 1의 BEME 증거 점수만을 수여받을 수 있었다.

A minority of publications included in this study (N = 13) did not attempt to assess the outcomes of their intervention, choosing instead to report on their development of pedagogic tools for the narrative medicine classroom. Examples include descriptions of workshop themes and designs (DasGupta 2003) or student and faculty feedback guides (Wald 2010; 2011; Charon, Hermann, et al. 2016). As these articles included informal testimonial evidence or the authors’ personal opinions, they could only be awarded a BEME strength of evidence score of 1.

나머지 논문의 대부분(N = 16)을 2로 채점했는데, 이는 일반적으로 표본 크기가 작거나 하나의 평가 도구만 사용되었기 때문에 결과가 모호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BEME 척도에서 5개의 연구를 3점 만점으로 채점했는데, 이는 이러한 연구의 결론이 결과와 연관될 가능성이 높다는 것을 의미한다. 단 하나의 연구만이 4점을 채점했는데, 이는 결과가 분명하고 사실일 가능성이 높다는 것을 의미한다. 우리의 평가에 따르면, 이 체계적인 검토에 포함된 어떤 연구도 명확한 결과를 제공하지 않았다.

We scored the majority of the remaining articles (N = 16) with a 2, meaning that the results were ambiguous, usually because of the small sample size or the fact that only one assessment tool was used. We scored five studies as a 3 on the BEME scale, meaning that conclusions in these studies could likely be linked to the results; only one study scored a 4, meaning the results were clear and likely to be true. According to our appraisal, none of the studies included in this systematic review provided unequivocal results.

논의
Discussion

이 체계적 검토는 다음의 세 가지 하위 질문에 대한 답변을 시도했다.

  • 첫째, 교육에서 서술 기반 의학의 구조화된 모델의 증거가 있는가? 
  • 둘째, 서술 기반 강의실 개입이 측정 가능한 결과를 초래한다는 증거가 있는가? 
  • 마지막으로 보고된 결과의 품질과 특성은 무엇입니까?

This systematic review attempted to answer the following three sub-questions:

  • first, is there evidence of a structured model for narrative-based medicine in education?
  • Second, is there evidence that narrative-based classroom interventions result in measurable outcomes?
  • Finally, what is the quality and nature of the reported outcomes?

교육학적 접근 방식의 일관성
Consistency in pedagogic approach

우리의 검토는 서술 기반 보건 교육 개입에 대한 일관되고 복제 가능한 방법론과 교육학적 접근법의 명확한 증거를 발견했다. 기사에 설명된 세미나나 강좌는 거의 항상 읽기-성찰-응답read-reflect-respond의 동일한 3단계 모델을 따른다. 
사실, 마지막 단계(응답/응답)는 이 연구에 포함된 모든 기사에 포함되었습니다. 특히 성찰 운동은 중요한 전문적 기술인 [임상추론]과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Maurer(2006)가 설명했듯이, 성찰 연습은 학생들이 자신의 경험과 편견의 원천을 포함한 광범위한 정보를 처리하도록 훈련시킴으로써 학생들의 임상 추론 기술을 촉진하고 개선할 수 있다.

Our review found clear evidence of a consistent and replicable methodology and pedagogic approach for narrative-based health education interventions. The seminars or courses described in the articles almost always followed the same three-step model of read-reflect-respond; in fact, the last step (response/discussion) was present in all of the articles we included in this study. The reflective exercises, in particular, can be directly linked to an important professional skill: clinical reasoning. As Maurer (2006) describes, reflective exercises can promote and refine students’ clinical reasoning skills by training them to process a wide range of information, including their own experiences and sources of bias.

측정 가능한 결과의 차이
Variance in measurable outcomes

BEME Global Scale의 증거 강도와 Kirkpatrick 기반 결과를 사용하여 평가되는 학습 유형과 결과의 품질을 코드화함으로써, 우리는 교육학적 전략으로서 서술 의학에 대한 더 넓은 관점을 취할 수 있었다. 이 검토에 포함된 연구의 우세성은 Kirkpatrick의 처음 두 가지 결과 수준(참여, 태도나 인식의 수정, 지식과 기술의 수정)에 대해 보고했는데, 아마도 이 두 수준이 테스트와 설문조사를 통해 평가하기가 더 쉽기 때문일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연구는 두 가지를 시사한다.

  • 첫째, 이 학생들은 과정 설계자에 의해 요약된 서술적 의학의 목표와 목적에 따라 기술을 배웠다. 
  • 둘째, 이 학생들은 그들이 수강한 과정의 목표와 목적을 의식한다.

By using the BEME Global Scale strength of evidence and Kirkpatrick-based outcomes to code the type of learning being assessed and the quality of the results, we were able to take a broader view of narrative medicine as a pedagogic strategy. The preponderance of studies included in this review reported on Kirkpatrick’s first two outcome levels (participation, modification of attitudes or perceptions, and modification of knowledge and skills), probably because these two levels are easier to assess with tests and surveys. Still, these studies indicate two things:

  • first, these students have learned skills in accordance with the goals and purpose of narrative medicine as outlined by course designers;
  • second, these students are conscious of the goals and purpose of the course they have taken.

이 검토의 연구는 선택 과목과 필수 과목 모두에 대해 보고했지만, 서사의학 과목을 적극적으로 선택한 학생들은 과목의 목적과 내용에 더 긍정적인 경향이 있었을 수 있다는 점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유념해야 할 또 다른 포인트는 포함된 연구의 참여자 수가 적었다는 것이다. 이는 서사의학 활동이 소규모 그룹 환경에 가장 적합하다는 사실에 기인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것은 의과대학 프로그램에서 서술형 의학의 광범위한 통합을 주장하기 더 어렵게 만든다.

While the studies in this review reported on both elective and required courses, it is worth noting that students who actively chose to take a narrative medicine course may have been more positively predisposed to the course aims and content. Another point to keep in mind is that the number of participants in the included studies was low; this is arguably due to the fact that narrative medicine activities are best suited to small group settings. Nevertheless, this makes it more difficult to argue for the broader integration of narrative medicine in medical school programs.

증거의 강도의 차이
Variance in strength of evidence

증거의 강도가 항상 이상적인 것은 아니지만, 서사의학 개입의 결과를 평가하려고 시도한 연구는 거의 전적으로 긍정적인 결과를 측정할 수 있었다. 결과가 대수롭지 않거나 심지어 부정적이었던 사람들은 겉으로 보기에 예상치 못한 결과에 대해 상세한 설명을 해주었다. 예를 들어, Winkel 외(2016)와 Liu 외(2016)는 태도나 인식의 작은 변화, 심지어 부정적인 변화에 대한 잠재적 설명으로 과중한 작업량, 스트레스, 피로, 그로 인한 직업에 대한 환멸과 같은 개입 요인을 들었다. 많은 미국 의과대학과 레지던트 프로그램의 스트레스와 집중적인 특성 때문에, 우리는 이러한 설명들이 타당하다는 것을 알았다.
While the strength of the evidence was not always ideal, the studies that attempted to assess the outcomes of a narrative medicine intervention were able to measure almost exclusively positive outcomes. Those whose results were insignificant or even negative provided detailed explanations for the seemingly unexpected outcomes. For example, Winkel et al. (2016), and Liu et al. (2016) cited intervening factors like heavy workloads, stress, fatigue, and a resulting disillusionment with the profession as potential explanations for the small, even negative, modifications in attitudes or perceptions. Due to the stressful and intensive nature of many American medical school and residency programs, we found these explanations reasonable.

이 검토의 장점과 단점
Strengths and weaknesses of this review

우리 연구에 포함된 기사에 보고된 결과는 유망하지만, 편향의 핵심 원천인 연구의 위치를 다룰 필요가 있다. 보고된 36개의 서사의학 과정 또는 세미나 중 89%(N = 32)가 미국에서 수행되었으며, 이 중 36%(N = 13)가 컬럼비아 대학교에서 유래되었다. 첫눈에, 이것은 콜롬비아나 미국을 바깥에서 이 교육학 도구의 전이가능성에 대한 우려를 불러일으킬 수 있다. 하지만, 우리가 BEME 증거 등급의 강도에 대해 3점 또는 4점을 받은 6개의 연구 중, 단지 3점만이 컬럼비아에서 유래되었습니다. 다른 세 가지 연구는 미국과 캐나다의 다른 대학에서의 개입에 대해 보고했다. 게다가, 아마도 더 많은 교육자들이 그것의 목표와 구현 수단에 대해 알게 되면서, 시간이 지남에 따라 비 콜롬비아 출판물의 증가를 볼 수 있다. 2003년과 2010년 사이에 발표된 이 검토에 포함된 11개 연구 중 55%(N = 6개)가 컬럼비아 출신이었고, 대조적으로 2011년부터 2018년까지 발표된 25개 연구 중 28%(N = 7개)만이 컬럼비아 출신이었다. 서술적 의학 교육 개입에 대한 국제 출판물들의 보도와 함께 유사한 패턴이 나타날지는 두고 봐야 한다.
While the results reported in the articles included in our study are promising, a key source of bias needs to be addressed: the location of the studies. Of the 36 reported narrative medicine courses or seminars, 89% (N = 32) were conducted in the United States and 36% (N = 13) of these originated from Columbia University. At first sight, this may raise concerns about the transferability of the pedagogic tools beyond Columbia or the US. However, of the six studies that we scored a 3 or 4 on the BEME strength of evidence scale, just three originated from Columbia. The other three studies reported on interventions at other universities in the US and Canada. Furthermore, one can see an increase in non-Columbia publications over time, presumably as more educators learned about its goals and means of implementation. Of the 11 studies included in this review that were published between 2003 and 2010, 55% (N = 6) were from Columbia; in contrast, of the 25 studies published from 2011 to 2018, just 28% (N = 7) were from Columbia. It remains to be seen whether or not a similar pattern will emerge with international publications reporting on narrative medicine educational interventions.

비엘 외 연구진(2017)과 바버와 모레노-레기자몬 연구진(2017)은 체계적인 리뷰에 따르면, [의대 개입의 맥락에서 명확한 서사의학 방법론을 찾을 수 없었다]고 결론짓는다. 우리의 연구는 그 반대라는 것을 보여줍니다. 이러한 변화는 우리 연구에서 장점을 구성하는 두 가지 요인의 결과일 수 있다. 첫째, 우리의 평가 방법인 BEME 글로벌 등급 척도는 보고된 결과에 대한 보다 미묘한, 투명한 분석을 용이하게 했다. 둘째, 우리의 체계적인 검토는 바버의 9개 기사 중 3개 기사만 중복되고 27개 기사 중 8개 기사만 중복되는 등 더 크고 다른 연구 세트를 산출했다. 우리가 BEME에게 가장 높은 증거 점수를 준 6개의 기사 중, 오직 3개만이 비엘의 연구에 포함되었고 1개는 바버의 연구에 포함되었다.

Wieżel et al. (2017) and Barber and Moreno-Leguizamon’s (2017) conclude in their systematic reviews that they could find no clear narrative medicine methodology in the context of medical school interventions; our study indicates the opposite. This variation can be the result of two factors, both of which constitute strengths in our study. First, our method of assessment, the BEME Global Rating Scale, facilitated a more nuanced and transparent analysis of the reported outcomes. Second, our systematic review yielded a larger and different set of studies, with only three overlapping articles out of Barber’s nine included articles and just 8 overlapping articles out of Wieżel’s 27 included articles. Of the six articles that we gave the highest BEME strength of evidence scores, only three of were included in Wieżel’s study (Arntfield et al. 2013; Bhavaraju and Miller 2014; Chretien 2015) and one in Barber’s (Chretien 2015).

우리는 서사기반 의학 개입이 의대생들에게 긍정적이고 측정 가능하며 복제 가능한 영향을 미치며 의대생의 전문적이고 개인적인 발전을 자극하는 의미 있는 도구가 될 수 있다고 결론짓는 것이 타당하다고 생각한다. 이 검토에 포함된 연구는 또한 이러한 개입이 자기 성찰과 공감을 자극할 수 있으며 학생들이 다른 관점이나 각도에서 환자에 대해 생각할 수 있도록 도와줌으로써 의사와 환자 관계에 대한 개념을 수정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음을 나타낸다. 그러나 서사의학 수업 개입의 장기적 영향을 검증하기 위한 종단적 연구가 없다면, 우리는 서술적 의학 개입이 미래에 더 참여적이고 공감적이며 궁극적으로 효과적인 의료 전문가로 귀결될 것이라고 분명하게 결론 내릴 수 없다.

We consider it reasonable to conclude that narrative-based medicine interventions have a positive, measurable, and replicable effect on medical students and could constitute a meaningful tool to stimulate medical students’ professional and personal development. The studies included in this review also indicate that such interventions can stimulate self-reflection and empathy and that they can help students think about their patients from a different perspective or angle, thus helping them revise their notions about the doctor-patient relationship. Yet without longitudinal studies to verify the long-term impact of narrative medicine classroom interventions, at this point, we cannot unequivocally conclude that narrative medicine interventions will result in more engaged, empathic, and ultimately effective medical professionals in the future.

결론들
Conclusions

컬럼비아의 서사의학 프로그램의 설립자들은 "서사에 진입하는 것, 그리고 세계에 대한 자신의 관점을 바꾸는 것이 (서사의학) 교육의 핵심"이라고 주장한다(Charon et al., p. 147 서사의학의 경우, 훈련의 이점은 세 가지가 되어야 한다.

  • 환자의 관점을 드러내며,
  • 자기 성찰을 촉진하며,
  • 동료들 사이에 정서적 지원을 제공하는 수단이어야 한다.

다시 말해서, 그 결과는 나중에 의료 전문가들이 자신에 대한 인식, 그들의 감정과 행동에 의미 있게 성찰할 수 있는 능력, 동료들과의 관계, 그리고 환자들과의 상호 작용 속에서 명확하게 드러나야 한다.

The founders of Columbia’s narrative medicine program claim that “to enter a narrative and have one’s perspective of the world altered is at the heart” of the pedagogic practice (Charon et al. 2016, p. 147). In the case of narrative medicine, the benefits of the training should be threefold:

  • to reveal patients’ perspectives,
  • to facilitate self-reflection, and
  • as a means of providing emotional support amongst colleagues (Holmgren et al. 2011, p. 261).

In other words, the results should later be apparent in medical professionals’ awareness of themselves, in their ability to reflect meaningfully upon their emotions and actions, in their relationships with their colleagues, and in their interactions with their patients.

이 연구의 기사들은 서술 의학은 앞서 언급한 두 범주(—더 미묘한 환자 관점과 더 큰 자기 성찰 능력—)에서 긍정적인 결과를 이끌어 낼 수 있다고 주장해 왔다. 그러한 개입의 장기적 영향이 환자에 의해 느껴지는지 또는 그러한 개입이 환자 치료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지는 여전히 불분명하다. 서사의학의 기본 목표 중 하나가 정말로 겸손, 개방, 공감으로 환자의 이야기에 접근하는 것이라면, 이러한 목표들을 교실 환경에서 임상적 만남으로 옮기는 것은 더 많은 연구와 가치 발현을 할 가치가 있다. 다시 말해서, 서사의학의 이상적 실천과 실제 실천 사이의 격차에 대한 더 많은 연구가 필요하다. 매일매일 환자를 진료할 때, [서사의학 수업에서 가르친 해석과 성찰의 기술]이 졸업 후 실제로 학생들에 의해 구현되는지, 어떻게, 그리고 어느 정도까지 구현되는지를 봐야 한다.

While the articles in this study have argued that narrative medicine can lead to positive results in the first two aforementioned categories—more nuanced patient perspectives and a greater capacity for self-reflection—it is still unclear whether the long-term impact of such interventions are felt by patients, or whether such interventions positively impact patient care. If one of the cornerstone goals of narrative medicine is indeed to approach a patient’s story with humility, openness, and empathy (Yu 2017), the transfer of these goals from the classroom setting to the clinical encounter deserves further study and valorization. In other words, more research into the gap between the ideal and real practice of narrative medicine is needed to determine if, how, and to what extent the skills of interpretation and reflection taught in the narrative medicine classroom are actually implemented by students after graduation when they engage with patients in their everyday practice.

이 검토가 시사한 바와 같이, 교육학적 개입으로서의 서사의학은 일관되게 복제 가능한 도구와 전략을 가지고 있다. 그리고, 서사기반 접근법의 목표와 미덕을 찬양하는 이론적 출판물이 부족하지 않지만, 그러한 출판물을 뒷받침하는 이념적 합의가 있는지 여부를 결정하기 위해 더 많은 연구가 필요하다. 예를 들어, scoping review 서사 기반 접근 방식에서 의료인의 가치와 자질이 필수적이거나 중요하다고 간주되는지를 명확히 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 이러한 연구는 또한 이러한 가치와 자질을 다른 의과대학 및 전문 의료 환경에서 암시적 또는 명시적으로 가르치는 역량과 비교하는 방법을 결정할 수 있다.

As this review has indicated, narrative medicine as a pedagogic intervention has a consistent replicable set of tools and strategies. And, while there is no lack of theoretical publications extolling the goals and virtues of a narrative-based approach, more research is needed to determine whether or not there is an ideological consensus undergirding such publications. A scoping review could help clarify, for example, which values and qualities of a medical practitioner are considered essential or important from a narrative-based approach. Such a study could also determine how these values and qualities compare with the competencies implicitly or explicitly taught in other medical school and professional health care settings.

용어집Glossary
내러티브(기반) 의학: 질병의 이야기를 인식하고, 흡수하고, 해석하는 이러한 기술을 가진 의학의 실천; 건강 관리의 새로운 틀로서, 그것은 치료를 받고 있는 사람들을 인식하고 존중하는 것보다 효과적인 건강 관리 시스템을 만드는 것을 목표로 한다.
Narrative-(based) medicine: The practice of medicine with these skills of recognizing, absorbing, interpreting by the stories of illness; as a new frame for health care, it aims to create an effective health-care system than recognizing and respecting the persons undergoing care.
Marini MG. 2015. Narrative medicine: bridging the gap between evidence-based care and medical humanities. eBook: Springer. p. 143.


Med Teach. 2019 Jul;41(7):802-810. doi: 10.1080/0142159X.2019.1584274. Epub 2019 Apr 14.

Narrative medicine as a medical education tool: A systematic review

Affiliations collapse

Affiliation

1a Julius Center for Health Sciences and Primary Care , University Medical Center Utrecht , Utrecht , The Netherlands.

PMID: 30983460

DOI: 10.1080/0142159X.2019.1584274

Abstract

Aim: Narrative medicine has been promoted as an innovative and effective means of stimulating medical students' professional development by teaching them to approach their patients' experiences of illness with more understanding and compassion. This systematic literature review aims to answer the following question: what evidence of effect is available in the literature about models for teaching narrative medicine? Methods: We conducted a narrative review of 36 articles and used the Best Evidence in Medical Education (BEME) Global Scale and Kirkpatrick Scale for strength and importance of evidence to categorize reported assessment strategies and to evaluate the effectiveness of their narrative medicine programs. Results: We found evidence that narrative medicine is an effective pedagogic tool with a clear and replicable structure and methodology. We also determined that a positive impact could be measured when pertaining to participation and modification of attitudes, knowledge, and skills. However, unequivocal evidence of the effect of narrative medicine on students' behavior or ongoing interaction with colleagues and patients is still lacking. Conclusion: While many recent publications describe the goals and virtues of a narrative-based approach, more research is needed to determine whether or not there is an ideological consensus undergirding this approach. In addition, it is still unclear whether the long-term impact of narrative medicine classroom interventions are felt by patients, or whether such interventions positively impact patient care.

학습자의 환자중심성 개발을 위한 계획된 의학교육 전략 최전화: 현실주의 고찰(Med Educ, 2022)
Optimising planned medical education strategies to develop learners' person-centredness: A realist review
Aarti Bansal1 | Sarah Greenley2 | Caroline Mitchell3 | Sophie Park4 | Katie Shearn5 | Joanne Reeve1

 

 

1 소개
1 INTRODUCTION

[사람 중심성]은 임상의가 효과적인 의료 서비스를 제공하는 데 필수적인 속성으로 인식되고 있으며, 의학교육에서 옹호되는 성과이다. 사람 중심의 의사소통 기술 훈련은 많은 의학 교육 커리큘럼의 확립된 부분이다. 3 그러나, 사람 중심의 태도가 의학 교육이 진행됨에 따라 증가하지 않으며, 오히려 감소할 수 있다는 우려가 있었다. 최근 몇 년 동안, 종적 통합 임상실습(LIC)과 같은 특정 유형의 의학교육이 어떻게 [사람 중심성]을 지원할 수 있는지에 대한 증거를 여러 연구가 제시해 왔다. 그러나, 우리는 사람 중심성를 발전시키는 것을 목표로 하는 계획된 광범위한 의학 교육 프로그램이 어떻게, 왜, 그리고 어떤 상황에서 성공하는지 아직 충분한 이해를 하지 못하고 있다. 이 지식은 우리가 사람 중심 의사들의 발전을 위해 의학 교육을 최적화하기 위해 중요하다.

Person-centredness is recognised as an essential attribute for clinicians to deliver effective health care1 and is an espoused outcome for medical education.2 Person-centred communication skills training is an established part of many medical education curricula3; however, there has been concern that person-centred attitudes do not increase in learners as they progress through medical education and may decline.4-10 In recent years several studies have offered evidence on how certain types of medical education, such as longitudinal integrated clerkships (LICs),11-13 can support person-centredness. However, we still have insufficient understanding as to how, why and in what circumstances the range of planned medical education programmes that aim to develop person-centeredness are successful or not. This knowledge is important if we are to optimise medical education for the development of person-centred practitioners.

[사람 중심성]은 [무엇이 건강과 임상적 역할을 구성하는지]에 대한 사람의 관점을 가이드하는 [해석주의적 인식론적 틀]에 기초한다. 이 관점은 [실증주의적 생의학적 관점]과 대조적으로 설명되는 경우가 많다.

  • [실증주의적 생의학적 관점]에서는 [환자의 질병에 대한 보고]는 질병 과정의 존재를 나타내기 위해 취해지며, 임상의의 '전문가' 역할은 환자의 질병을 치료하거나 개선하기 위한 정확한 진단과 관리로 제한된다.
  • [사람 중심적 관점]은 그 사람이 [생물심리사회적 요인과 다른 요인의 복잡한 상호 작용]이며, 그들의 건강 목표가 그들의 고유한 맥락과 그들에게 중요한 점의 관점에 의해 inform되는, 독특한 개인임을 인식한다.
    • 그것은 환자의 주관적인 지식과 전문성을 인정하며, 공유된 의사 결정 과정에서 동등한 파트너로서 환자와 협력하고자 한다.
    • 또한 관계의 질이 건강 결과에 영향을 미치며, [의료 전문가의 자기 인식]이 사람 중심 접근법의 중요한 구성 요소임을 인정한다.

Person-centredness is based on an interpretivist epistemological framework14 which guides one's perspective on what constitutes health and one's clinical role.

  • It is often described in contrast to a positivist biomedical perspective in which patients' reports of illness are taken to indicate the existence of disease processes and the clinician's ‘expert’ role is limited to accurate diagnosis and management of disease to cure or improve the patient's illness.15 
  • A person-centred perspective recognises that the person is a unique individual whose health is a complex interplay of biopsychosocial and other factors and whose health goals will be informed by their unique context and in terms of what matters to them.1617 
    • It recognises patients' subjective knowledge and expertise and seeks to work with patients as equal partners in a shared decision making process.16 
    • It also recognises that the quality of relationships influences health outcomes and that health care professionals' self-awareness is a vital component of a person-centred approach.1819 

경험적 문헌에 대한 미드와 바워의 리뷰는 환자 중심성의 다섯 가지 개념 영역을 설명한다. 

  • 생물심리사회적 관점,
  • '사람으로서의 환자',
  • 권력과 책임의 공유,
  • 치료 동맹,
  • '사람으로서의 의사' 

Mead and Bower's review of the empirical literature describe five conceptual domains of patient-centredness:

  • biopsychosocial perspective,
  • ‘patient-as-person’,
  • sharing power and responsibility,
  • therapeutic alliance and
  • ‘doctor-as-person.’20 

사람 중심 이론은 임상 실무에 대한 사람 중심 접근에 대한 개념적이고 증거적인 근거를 포함한다. 

Person-centred theory involves the conceptual and evidential rationale for a person-centred approach to clinical practice.21

'환자 중심'과 '사람 중심'이라는 용어는 종종 상호 교환적으로 사용되며, 이러한 용어를 뒷받침하는 개념 영역에는 상당한 중복이 있다. 최근 몇 년 동안, 환자로서의 지위뿐만 아니라 개인의 인격을 인정하는 '사람 중심'이라는 용어로의 움직임이 있었다. 그러므로 우리는 리뷰에서 '사람 중심'이라는 용어를 사용하기로 결정했다.
The terms ‘patient-centred’ and ‘person-centred’ are often used interchangeably, and there is considerable overlap in the conceptual domains underpinning these terms. In recent years, there has been a move towards the term ‘person-centred’ to acknowledge the personhood of an individual and not just their status as a patient.22 We therefore chose to use the term ‘person-centred’ in our review.

의료 교육에서 사람 중심의 교육은 종종 [스킬과 역량]의 관점에서 개념화된다. 그러나 연구에 따르면 생물의학 임상의의 관점은 사람 중심의 치료를 제공하는 데 장애가 될 수 있으며, 사람 중심의 접근법은 '당신은 뭐가 문제에요?'에 초점을 맞추는 것에서 '당신에게 중요한 것이 무엇인가요?'에 초점을 맞추는 관점의 전환을 필요로 한다고 주장되어 왔다. 다양한 정책 논문은 [사람 중심 진료에 전념하는 노동력]이 사람 중심 진료 제공에 필수적인 기둥이며, [사람 중심 가치와 원칙]이 사람 중심 행동을 안내하는 데 필수적이라고 권고한다. 의료 교육 전략에 격차가 있는지, 현재 의사소통 능력 훈련에 초점을 맞추고 있는 것이 사람 중심의 이론을 간과할 수 있는지 물었다.
Teaching of person-centredness in medical education is often conceptualised in terms of skills and competencies.23 However, studies have shown that biomedical clinician perspectives may be a barrier to delivering person-centred care24, 25 and it has been argued that a person-centred approach requires a perspective shift from a focus on ‘what is the matter with you?’ to ‘what matters to you?’26 Various policy papers recommend that a workforce committed to person-centred practice is an essential pillar in delivering person-centred care1, 27 and that person-centred values and principles are essential to guiding person-centred behaviours.28 We queried whether there is a gap in medical education strategy and if the current focus on communication skills training may overlook person-centred theory.

우리의 검토는 다음 질문에 대한 답을 찾기 위해 노력했다.

  • 사람 중심성 개발에 계획된 의료 교육 개입의 성공 또는 실패로 이어지는 특정 맥락에서 촉발된 핵심 메커니즘은 무엇인가?
  • 이러한 설명들이 교육 정책, 관행, 연구에 어떤 영향을 미칠까? 

Our review sought to answer the following questions:

  • What are the key mechanisms, triggered in particular contexts, that lead to the success or failure of planned medical educational interventions in developing person-centredness?
  • How might these explanations influence educational policy, practice, and research?

우리의 검토의 목적은 의료 교육자와 정책 입안자에게 유용한 검증 가능한 이론을 만드는 것이었다. 이러한 이유로, 우리는 더 넓은 의료 환경에서 발생하고 의료 교육이 제한된 영향력을 가질 수 있는 경험 있는 교육 과정과는 반대로 계획된 교육 커리큘럼에 초점을 맞추기로 선택했습니다. 우리는 사람 중심의 결과를 관점으로 개념화하여 학습자의 수준에 검토를 집중하기로 결정했다.

The objective of our review was to produce testable theory useful to medical educators and policymakers. For this reason, we chose to focus on the planned education curriculum as opposed to the experienced curriculum which occurs in the wider health care context and over which medical education may have limited influence. We conceptualised the outcome of person-centredness as a perspective and so chose to focus our review at the level of the learner.

2 방법
2 METHODS

우리는 이것이 정책과 실무를 알리기 위해 고안된 실용적인 방법론적 접근 방식이기 때문에 [현실주의 검토]를 수행하기로 결정했다. [현실주의 연구]는 의학 교육(29)과 같은 복잡한 개입을 조사하고 질적, 양적 및 혼합 방법 연구를 합성하는 데 특히 적합하다. 개입이 작동하는지 여부를 이해하고자 하는 표준 체계적 검토와 달리, 현실주의 검토는 설명적인 초점을 가지고 있으며, 어떤 상황에서 어떤 것이 누구에게 효과가 있는지 이해하려고 한다. 우리의 연구는 관점의 수준에서 결과를 이해하는 데 초점을 맞췄고, 따라서 '메커니즘'의 개념을 사용하는 것은 [인간 추론 수준]이며, 여기서 그것은 그들이 제공하는 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학습자의 반응을 나타낸다. 본 논문은 현실주의자 및 메타나래티브 증거 합성에 따른 검토를 보고한다. 발전하는 표준(RAMESES) 출판 표준. 심사는 학부 및 대학원 의학 교육(AB, JR, SP, CM) 경험이 풍부한 의사 4명과 현실주의 방법론자(KS), 정보전문가(SR) 등 6명으로 구성된 팀이 진행했다.

We chose to conduct a realist review as this is a practical methodological approach designed to inform policy and practice. Realist research is also particularly suitable for investigating complex interventions, such as those in medical education,29 and for synthesising qualitative, quantitative and mixed-methods research. Unlike standard systematic reviews that seek to understand whether an intervention works, realist reviews have an explanatory focus and seek to understand what works for whom and in what circumstances.30 Our research focused on understanding outcomes at the level of perspective and so our use of the concept of ‘mechanism’ is at the level of human reasoning,31 where it represents learners' responses to the educational programme they are offered. This paper reports the review according to the Realist and Metanarrative Evidence Syntheses: Evolving Standards (RAMESES) publication standards.32 The review was conducted by a six-person team which included four doctors with extensive experience in undergraduate and postgraduate medical education (AB, JR, SP and CM), a realist methodologist (KS) and an information specialist (SR).

2.1 단계(i): 초기 프로그램 이론 개발
2.1 Step (i): Developing an initial programme theory

우리의 첫 번째 단계는 데이터 수집과 분석을 안내하는 초기 프로그램 이론을 설명하는 것이었다. 우리는 Shearn 등이 개략적으로 설명한 세 가지 전략을 채택했다.

  • 우리 연구팀이 보유한 암묵적 이론을 추출하고, 
  • 실질적인 교육 학습 이론의 개념을 사용하며, 
  • 학문적 및 회색 문헌의 탐색적 검색에서 암묵적 이론을 추출한다. 

범위 지정 검색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개방형 과학 프레임워크에서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출처는 그들이 대표하는 학습 유형을 기반으로 3개의 초안 프로그램 이론으로 구성된 초기 프로그램 이론을 구성하도록 구성된 이론 개념을 생성했다. 

  • 인지적(사람 중심 치료의 대상), 
  • 구성주의적(교육적 학습 환경)
  • 경험적(경험적 배치)

우리의 초기 프로그램 이론의 세부사항은 부록 S1에 있다.

Our first step was to describe an initial programme theory to guide data collection and analysis. We adopted three of the strategies outlined by Shearn et al.33:

  • extracting tacit theories held by our research team,
  • using concepts from substantive educational learning theory and
  • extracting tacit theories from exploratory searches of the academic and grey literature.

Details of our scoping searches are available at the open science framework (https://osf.io/qnkfh/?view_only=d1d36e578dd449a78ec62b13e2efebc5). These sources produced theory concepts that were configured to form an initial programme theory consisting of three draft programme theories based on the types of learning they represented:

  • cognitive (theory of person-centred care),
  • constructivist (transformative learning environments) and
  • experiential (clinical placements).

The detail of our initial programme theory is in Appendix S1.

우리의 초기 프로그램 이론은 학부 및 대학원 의학 교육을 계획하고, 제공하고, 받는 이해 관계자들과 함께 점검되었다. 그들의 피드백은 [초기 프로그램 이론]이 연구 질문에 답하는 데 유용한 출발점을 제공했다는 것을 확인시켜 주었다. 이해관계자 그룹은 전문 그룹 차원에서 검토 범위를 논의했으며 의사의 진단 및 관리 책임이 모든 보건 전문가와 공유되지 않고 사람 중심의 접근방식 개발에 특정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점에서 의대생과 의사에게 검토를 집중하기로 합의했다. 학부 및 대학원 학습 전반에 걸쳐 공통적인 메커니즘이 있을 수 있으므로 의학교육의 연속체에 걸친 논문들이 포함되어야 한다는 데 의견이 일치했다.

Our initial programme theory was checked with stakeholders planning, delivering and receiving undergraduate and postgraduate medical education. Their feedback confirmed that the initial programme theory provided a useful starting point for answering the research question. The stakeholder group discussed the scope of the review in terms of professional groupings and agreed to focus the review on medical students and doctors given that the diagnostic and management responsibilities of doctors are not shared with all health professionals and may have a specific impact in the development of a person-centred approach. It was agreed that there were likely to be mechanisms in common across undergraduate and postgraduate learning and so papers from across the continuum of medical education should be included.

2.2 단계 (ii) : 증거 찾기
2.2 Step (ii): Searching for evidence

우리의 초기 프로그램 이론은 우리의 체계적인 검색 전략을 개발하기 위한 프레임워크를 제공했다. 이전의 범위 지정 검색을 통해 검색 전략을 구체화할 수 있었습니다. 예를 들어, '전문성'이라는 용어로 발견된 대부분의 논문은 숨겨진(경험은 있지만 계획되지 않은) 커리큘럼의 영향에 관한 반면, 우리의 리뷰는 [계획된 커리큘럼]에 초점을 맞췄다. 우리는 '의학 교육'과 '사람 중심' 및 관련 동의어에 대한 자유 텍스트 및 데이터베이스별 주제 제목 용어의 부울 조합을 통해 여러 전자 데이터베이스(2019년 7월 15일 OVID 인터페이스를 통한 Medline, Embase 및 HMIC)를 검색했다. 각 데이터베이스에 대한 전체 검색 전략은 부록 S2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Our initial programme theory provided the framework to develop our systematic search strategy. Earlier scoping searches allowed us to refine our search strategy. For example, most papers found under the term ‘professionalism’ were concerned with the impact of the hidden (experienced but not planned) curriculum, whereas our review focus was on the planned curriculum. We searched multiple electronic databases (Medline, Embase and HMIC via the OVID interface and ERIC via the EBSCO interface on 15 July 2019) through Boolean combinations of free-text and database-specific subject heading terms for ‘medical education’ and ‘person-centred’ and related synonyms. Full search strategies for each database can be found in Appendix S2.


우리는 이러한 용어를 사용하지 않고 사람 중심의 가치, 태도 및 신념에 대한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는 유용한 논문을 놓치고 싶지 않았기 때문에, 결과outcome에 대한 검색 용어를 포함함으로써 검색을 제한하지 않았다. 또한 범위 지정 단계에서 회색 문헌에 대한 이전 검색에서 확인된 관련 연구가 포함되었다. 우리는 이것이 의료 교육에서 환자 중심성과 사람 중심성의 개념이 확립된 시기라고 추론했기 때문에 이 검색은 영어와 2000년 이후 발표된 결과로 제한되었다. 인용 추적 및 저자와의 접촉을 포함한 CLASTER 방법을 사용하여 매우 관련성이 높은 연구와 관련된 추가 논문이 발견되었다. 합성이 진행되면서 '감정 거리를 유지하는 것으로 이해되는 전문성'에 대한 이론의 새로운 요소가 등장했고, 현실주의 합성에서도 권장되는 것처럼, 이 이론의 요소를 뒷받침하거나 반박하거나 다듬을 증거를 찾기 위해 구글 스콜라를 이용해 추가 검색을 했다.

We did not limit the search by including search terms on outcomes as we did not want to miss useful papers that may include data on person-centred values, attitudes and beliefs without using these terms. In addition, relevant studies identified from a previous search for grey literature at the scoping stage were included. The search was limited to the English language and to results published since 2000 as we reasoned that this was when the concepts of patient-centredness and person-centredness became established in medical education. Additional papers relating to highly relevant studies were found using the CLUSTER method34 including citation tracking and contact with authors. As the synthesis progressed, a new element of theory emerged on ‘professionalism being understood as maintaining emotional distance’, and as is recommended in realist synthesis,35 we did additional searching, using Google Scholar, to look for evidence to support, refute or refine this element of theory.

2.3 단계 (iii): 문서의 선정 및 평가
2.3 Step (iii): Selection and appraisal of documents

논문의 선택은 주로 [RAMESS 식별된 관련성 원칙]에 기초했으며, 기사가 연구 질문을 조명하고 이론 개발에 기여했는지 여부이다. 포함 대상 연구 유형에 대한 제한은 없었다. 심사는 AB가 주도했으며, JR, CM, SM, KS 또는 SG가 추상 및 전체 텍스트 단계에서 두 배로 평가한 타이틀의 10%를 무작위로 샘플링했다. 우리는 의대생과 의사를 위한 [계획된 교육 개입]이 있는 논문을 [사람 중심성과 관련된 결과]에 대한 데이터와 함께 포함시켰다. 현실주의 종합에서, 이론 개발을 지원하기 위해 학문적 경계를 넘어서는 관련 데이터의 포함이 권장된다. 따라서 우리는 다른 보건 전문가들이 프로그램 이론의 전반적인 개발을 지지한다고 생각했기 때문에 다른 의료 전문가들과 관련된 세 개의 논문을 우리의 검색에 포함시키기로 합의했다. 숨겨진 커리큘럼에 관한 논문, 개입이 없거나 개입에 대한 설명이 너무 짧아 설명을 도출할 수 없는 논문은 제외했다. 공식 의료 교육 프로그램의 일부가 아닌 특정 정책 맥락에 특정한 의료 개입도 제외되었다(예: 미국의 개인 중심 의료 가정 개입). 또한 행동 수준에서 결과만 보고한 논문(예: 의사소통 능력 향상)도 제외했다. 완전한 포함 및 제외 기준은 PROPERO 데이터베이스에 게시된 프로토콜(CRD4202020168197) 내에서 확인할 수 있다.


Selection of articles was based primarily on the RAMESES identified principle of relevance, whether the article illuminated the research question and contributed to theory development.35 There was no restriction on the type of study eligible for inclusion. Screening was led by AB with a random sample of 10% of titles double appraised by JR, CM, SM, KS or SG at both abstract and full-text stages. We included papers with a planned educational intervention for medical students and doctors with data on outcomes related to person-centredness. In realist synthesis, the inclusion of relevant data from across disciplinary boundaries is encouraged to support theory development. We therefore agreed to include three papers that were returned in our search, which related to other health professionals as we felt they supported the overall development of programme theory. We excluded papers that were about the hidden curriculum, where there was no intervention or where the description of the intervention was too brief to derive explanation. Health care interventions that were specific to a particular policy context and not part of a formal medical educational programme, were also excluded (e.g. person-centred medical home interventions in the USA). We also excluded papers that only reported outcomes at behavioural level (e.g. improvement in communication skills). Full inclusion and exclusion criteria can be found within the protocol published on the PROSPERO database (CRD42020168197).

2.4 단계 (iv) : 데이터 추출 및 정리
2.4 Step (iv): Extracting and organising data

데이터를 추출하기 전에 먼저 포함된 전체 텍스트 논문을 모두 읽고 데이터에 익숙해지십시오. 각 논문의 연구 특성과 요약 결과에 대한 데이터를 Excel 스프레드시트로 추출했습니다. 또한, 각 논문은 연구 결과가 일관되고 타당하다고 간주되었는지 여부에 따라 엄격(높거나 낮음)에 대해 평가되었다. 코딩은 둘 다였다.

  • 귀납적, 즉, 코드는 데이터에서 식별되었다. 
  • 연역적, 즉 초기 프로그램 이론에 의해 정보를 제공받았다. 

Before extracting the data, first read all the included full-text papers to familiarise herself with the data. Data on study characteristics and summary findings for each paper was extracted into an Excel spreadsheet. In addition, each paper was assessed for rigour (high or low) based on whether its findings were considered coherent and plausible. Coding was both

  • inductive, i.e., codes were identified from the data, and
  • deductive, i.e., they were informed by the initial programme theory.

각 논문은 NVivo 12(QSR International, Warrington, UK) 정성 데이터 분석 소프트웨어에 업로드되어 세분화된 수준의 텍스트 코딩을 용이하게 했다. 이러한 코드화된 데이터는 개념으로 묶인 다음 'if-then' 설명문으로 발전되었다. 그런 다음 각 논문의 조사 결과에 대한 설명이 Excel 스프레드시트로 옮겨져 논문 간 설명을 쉽게 볼 수 있게 되었습니다. 이러한 설명은 색상으로 구분되어 있어서 초안 프로그램 이론을 지지, 정제 또는 반박했는지 또는 새로운 이론에 영감을 주었는지 쉽게 확인할 수 있었다. 우리의 현실주의 합성에 포함된 연구의 세부 사항이 포함된 표는 부록 S3에서 이용할 수 있다.

Each paper was uploaded onto NVivo 12 (QSR International, Warrington, UK) qualitative data analysis software, to facilitate coding of text at a granular level. These coded data were grouped into concepts and then developed into ‘if–then’ explanatory statements. Explanations of each paper's findings were then transferred to the Excel spreadsheet for ease of looking at explanations across papers. These explanations were colour coded so we could easily see if they supported, refined or refuted the draft programme theories or whether they inspired new theory. A table with details of studies included in our realist synthesis is available in Appendix S3.

 

2.5 단계(v): 데이터 합성
2.5 Step (v): Data synthesis

데이터 합성 과정에는 결과에 대한 현실적인 인과적 설명을 개발하는 데 도움이 되도록 [데이터와 이론 사이를 지속적으로 이동]하는, [몇 가지 반복적인 사이클]이 포함되었다. 새로운 연구 결과는 설명의 일관성과 타당성을 보장하기 위해 정기적인 연구팀 회의에서 비판적인 평가를 받았다. 우리의 현실적인 설명 이론을 개발하기 위해, 우리는 특정 교육 전략과 결과 사이에 반복적인 패턴(반규칙성)이 있는지 알아보기 위해 논문을 통해 살펴봤다. 그런 다음 결과 및/또는 저자 제안을 찾고 이러한 결과가 어떻게 발생했는지 설명할 수 있는지 유괴적 추론을 사용했다. 그런 다음 데이터 합성은 우리의 이론에 대한 확인 및 확인 증거와 학습자 관점의 변화 또는 결여를 설명할 수 있는 새로운 설명을 위해 데이터를 살펴보는 것을 포함했다.
The data synthesis process involved several iterative cycles where we continually moved between data and theory to help us develop realist causal explanations for outcomes. The emerging findings were subject to critical appraisal at regular research team meetings to ensure the coherence and validity of the explanations. To develop our realist explanatory theories, we looked across papers to see if there were repeated patterns (demi-regularities) between particular educational strategies and outcomes. We then looked for results and/or author suggestion and used abductive reasoning to see if we could explain how these outcomes occurred (mechanisms). Data synthesis then involved looking across the data for confirmatory and disconfirmatory evidence for our theories and, indeed, novel explanations that might explain the change in learner perspective or lack thereof.

[학습 전 학습자의 관점]은 학습에 대한 반응을 나타내는 데이터로부터 추론되었다. 우리는 사람 중심의 관점을 지원하는 것을 목표로 한 모든 개입 전략이 사람 중심의 관점으로 기울어진 참가자들의 관점을 검증했다는 것을 발견했다. 보다 [생물의학적 관점으로 기울어진 학습자들]은 학습에 대해 다양한 반응을 보였으며, 이는 우리의 질적 및 양적 데이터 모두에 반영되는 지배적인 학습자의 관점이었다. 이 단계에서 우리는 [생물의학적 관점으로 기울어진 학습자]에게 교육 전략이 미치는 영향에 대한 설명을 제공하는 데이터 하위 집합에 검토를 집중하기로 결정했다. RAMESES 지침에 따라, 우리는 [학습자의 사람 중심성]을 지원하기 위해 [계획된 의료 교육 전략]이 [어떻게 최적화될 수 있는지]에 대한 문제를 해결하는 측면에서, 교육자와 정책 입안자로서 이 초점이 그들에게 가장 유용할 것이라는 데 동의한 이해관계자들과 함께 점검했다.

A learner's perspective prior to learning was inferred from data indicating their response to the learning. We found that all interventional strategies that aimed to support person-centredness validated the perspective of participants who leaned towards a person-centred perspective. Learners who leaned towards a more biomedical perspective had variable responses to learning and this was the predominant learner perspective reflected in both our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data. At this stage, we chose to focus our review on the subset of data that provided explanations of the impact of educational strategies on learners who leaned towards a biomedical perspective. In line with RAMESES guidance,35 we checked with our stakeholders who agreed this focus would be most useful to them as educators and policymakers in terms of addressing the question of how planned medical educational strategies can be optimised to support learners' person-centredness.

[이론 구성]을 구체화하는 데 몇 가지 모델을 사용할 수 있다. 우리는 [학습자 컨텍스트]를 [교육 전략]과 분리하는 것이 관점의 변화로 이어지는 메커니즘을 분리하는 데 도움이 된다는 것을 발견했다. 따라서 우리는 현실주의적 인과적 설명에 문맥-개입-메커니즘-결과 구성(CIMOc)을 사용하기로 결정했다. 우리는 결과에 따라 CIMOc를 그룹화했고, 역작업은 사람 중심의 관점의 변화로 이어지는 메커니즘(또는 그렇지 않은)을 촉발시킨 교육 전략의 주요 특징을 조사하여 전체 프로그램 이론을 구성할 수 있었다.
Several models are available for articulating theory configurations.36, 37 We found that separating the learner context from the educational strategy helped us to isolate the mechanisms leading to changes in perspective. We therefore chose to use the context–intervention–mechanism–outcome configuration (CIMOc) for our realist causal explanations. We grouped CIMOcs based on their outcome and working backwards were able to investigate the key features of the educational strategies that triggered the mechanisms leading to a change in person-centred perspective (or not) and so to construct an overall programme theory.

 

3 결과
3 RESULTS

초기 검색 결과 4217개의 결과가 나왔다. 그림 1은 최종 현실주의 합성에 61개의 논문 또는 문서가 포함되게 된 필터링 과정을 보여줍니다. 8개의 논문이나 문서가 같은 '개입'을 보고 있었기 때문에 교육개입이 53개였다.

  • 37번의 개입에서 학습자는 학부생이었습니다. 
  • 11학년 때, 그들은 훈련 중인 대학원 박사들이었습니다. 
  • 5명 중, 그들은 숙련된 임상의사 또는 다학제 팀들이었습니다.

교육 개입은 전 세계에 걸쳐 이루어졌지만, 대다수가 북아메리카와 유럽(북미 23명, 유럽 20명, 아시아 5명, 호주 4명, 아프리카 1명)에서 왔다.

The initial search yielded 4217 results. Figure 1 illustrates the filtering process that resulted in 61 papers or documents being included in the final realist synthesis. Eight papers or documents were looking at the same ‘intervention’, so the number of educational interventions looked at was 53.

  • In 37 interventions, learners were undergraduates;
  • in 11, they were postgraduate doctors-in-training; and
  • in five, they were experienced clinicians or multidisciplinary teams in work.

The educational interventions spanned the globe, although the majority were from North America and Europe (23 in North America, 20 in Europe, five in Asia, four in Australia and one in Africa).

중재적 전략은 크게 세 가지 유형이 있었다: 

  • 사람 중심의 의사소통 기술 훈련,
  • 사람 중심 이론과 개입이 없이 사람 중심 이론의 다양한 조합을 제공하는 환자 경험
  • 환자 내러티브 또는 일정시간에 걸친 실제 환자와의 관계(의미 있는 경험)에 참여하고, 반응을 이해할 수 있는 기회.

There were three main types of interventional strategy:

  • person-centred communication skills training,
  • patient experiences without person-centred theory and interventions that offered various combinations of person-centred theory,
  • engagement with patient narrative or real patients over time (meaningful experience) and opportunities to make sense of responses to learning.

개입 기간은 짧은 단일 세션에서 4년 동안 소규모 그룹에서의 정규 학습에 이르기까지 매우 다양했다. 질적 데이터를 제공한 논문은 37편, 정량적 데이터가 14편, 질적 데이터와 정량적 데이터가 모두 8편, 데이터가 없는 개입(자매 논문)에 대한 서술이 2편이었다.

The length of interventions varied widely from brief single sessions to regular learning in small groups over 4 years. Thirty-seven papers offered qualitative data, 14 had quantitative data, eight papers had both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data and two were descriptions of interventions (sister papers) without data.

3.1 정제된 프로그램 이론
3.1 Refined programme theory

우리의 정제된 프로그램 이론은 사람 중심성을 개발하는 것을 목표로 하는 교육 개입이 어떻게 성공할 수도 있고 아닐 수도 있는지를 설명하는 9개의 CIMOc로 구성된다(표 1). 우리의 분석에 따르면 이러한 설명은 의학 교육 연속체(학부, 대학원 및 지속적인 전문 개발)에 걸쳐 기울어진 사람들에게 적용되었다. 그림 2는 우리의 정제된 프로그램 이론을 시각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Our refined programme theory consists of nine CIMOcs that explain how educational interventions that aim to develop person-centredness may or may not succeed (Table 1). Our analysis found that these explanations applied to leaners across the medical education continuum (undergraduate, postgraduate and continuing professional development). Figure 2 is a visual representation of our refined programme theory.

 

 

 

3.2 관점 지속: 교육적 개입이 어떻게 사람 중심성을 발전시키지 못할 수 있는가?
3.2 Perspective endurance: How educational interventions may fail to develop person-centredness

5개의 설명문(CIMOcs 1–5)은 [사람 중심성을 증가시키는 것을 목표로 하는 교육 개입이 어떻게 실패하는지]를 설명한다. 학습자에게서 촉발된 관점지속을 이끌어내는 메커니즘은 모두 [인지적 부조화]와 관련이 있다: 믿음, 가치관 또는 태도가 서로 일치하지 않을 때 발생하는 불편함과 불확실성. 우리의 분석은 역할, 인식론 및 더 넓은 커리큘럼의 인지된 생물의학적 초점과 관련된 세 가지 유형의 부조화를 설명했다.
Five explanatory statements (CIMOcs 1–5) explain how educational interventions that aim to increase person-centredness may fail to do so. The mechanisms triggered in learners that led to perspective endurance all relate to cognitive dissonance: the discomfort and uncertainty that results when beliefs, values or attitudes are not consistent with each other.38 Our analysis described three types of dissonance related to role, epistemology and the perceived biomedical focus of the wider curriculum.

3.2.1 메커니즘 1: 역할에 대한 이해와 불일치
3.2.1 Mechanism 1: Dissonance with understanding of role

학습자들이 [의사로서의 역할에 대한 이해]에는 [역할의 목적]과 [직업적 행동으로 간주되는 것]이 포함되었습니다. 역할과의 불일치에 기여한 대부분의 개입은 사람 중심의 의사소통 기술 훈련을 포함한다. 몇 가지 개입에는 비교적 짧지만 환자 또는 사람 중심 이론과의 의미 있는 연결이나 연속성을 제공하지 않는 환자들에 대한 경험이 포함되었다. 분석에 따르면 역할에 대한 이러한 이해의 불일치가 세 가지 결과로 이어졌습니다.
Learners' understanding of their role as a doctor included the purpose of the role and what was considered professional behaviour. Most interventions that contributed to dissonance with role involved person-centred communication skills training.39-49 A few interventions involved experiences with patients that were relatively brief but did not offer meaningful connection or continuity with patients or any person-centred theory.50-52 Analysis revealed that dissonance in this understanding of role led to three outcomes.

CIMOc 1: 학습자는 의미 있는 역할은 없다고 생각합니다.
CIMOc 1: Learners believe they have no meaningful role


학습자들이 의사의 주요 역할이 [생물의학적 질병 진단과 관리를 통해 도움을 주는 것]이라고 믿었고, 학습 개입에서 포함된 환자가 급성 질환을 갖지 않았을 때, 일부는 이 학습이 그들의 미래 역할과 관련이 있음을 이해하기 어려워했다.

Where learners believed that the main role of the doctor is to help through biomedical disease diagnosis and management, and the learning intervention involved patients who were not acutely unwell,49, 50, 53, 54 some struggled to see the relevance of this learning to their future role.

한 사람은 비교적 건강한 환자를 따라다니라는 것은 '멍청한 생각'이라며 '대학 시절 봉사활동은 충분히 했다'고 말했다. 
One commented that the requirement to follow a patient, who was relatively well, was a ‘dumb idea’, adding, ‘I did enough volunteering during undergraduate’.53

반면에, 환자가 고통을 받고 있지만 치료법이 없다면(예: 임종 시), 질병에 기반한 역할에 대한 이해는 그들을 도울 힘이 없게 만들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if the patient was suffering but there was no cure (such as in end-of-life situations), their disease-based understanding of role could lead them to feel powerless to help.45, 46, 55

상황이 매우 어렵고, 저는 아마도 환자를 돕고 싶지만 그럴 방법이 없어서 부족하다고 느낄 것입니다. 
The situation is extremely difficult, and I would probably feel inadequate, wanting to help the patient but having no means to do that …46


두 경우 모두 [환자의 요구가 질병 진단과 관리 전문성과 맞지 않아, 유의미한 역할이 없다는 느낌]이 기존 관점을 지속하게 만들었다.

In both situations, the feeling that they had no meaningful role with patients whose needs did not fit with an expertise in disease diagnosis or management, resulted in perspective endurance.

CIMOc 2: 학습자는 생체 의학 관점에서 학습을 동화합니다.
CIMOc 2: Learners assimilate learning within their biomedical perspective

개입이 의사소통 기술 훈련을 포함하는 논문의 하위 집합 내에서, 일부 학습자는 [사람 중심의 접근 방식]을 역할에 대한 [기존 생물의학적 이해에 통합함]으로써 경험한 역할 부조화를 다루었다. 이러한 학습자들은 사람 중심 접근법의 목적을 그들의 생물의학적 역할에 효과적인 능력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이해했다. 예를 들어, [경청의 목적]은 [진단을 위해 더 나은 정보를 얻거나, 환자가 자신의 지시에 순응하도록 필요한 신뢰를 만드는 것]으로 이해되었다.
Within the subset of papers where the intervention involved communication skills training,39-49, 56 some learners dealt with the role dissonance they experienced by incorporating person-centred approaches into their existing biomedical understanding of role.39, 40, 42, 44, 47, 48 These learners understood the purpose of person-centred approaches as increasing their ability to be effective in their biomedical role. For instance, the purpose of listening was understood to get better information for diagnosis or to create the trust required for patients to comply with their advice.

환자와 좋은 관계를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왜냐하면 환자는 당신이 말한 대로 할 가능성이 높기 때문입니다. 
I think it's important to have a good relationship with your patients because they are more likely to do what you say …49

 
학습자의 상담을 관찰한 논문은 경청과 같은 전략이 [도구적으로 사용되었다]고 언급했다. [환자가 남기는 단서에 대한 관심을 가지지 않는 상태에서 이뤄지는 경청]은 환자에게 중요한 것이 무엇인지에 대한 [진정한 호기심]을 보여주지 못했다.
Papers that observed learners' consultations noted that strategies such as listening were used instrumentally. Listening did not demonstrate genuine curiosity for the patient and what mattered to them, as cues were left unattended.

커리큘럼이 끝날 무렵, 우리 연구의 학생들은 공개적으로 환자를 초대했고 그들은 듣고 있었습니다... 
학생들은 종종 환자의 인생 경험을 생략했으며, 환자의 감정에 반응하지 않았습니다. 

At the end of the curriculum the students in our study were inviting the patient openly and they were listening … The students often omitted patients' life experiences and did not respond to their emotions.48

 

CIMOc 3: 학습자는 전문적인 규범을 유지하고 정서적 고통으로부터 자신을 보호하기 위해 환자와의 정서적 연결을 피합니다.
CIMOc 3: Learners avoid emotional connection with patients to maintain professional norms and protect self from emotional distress


학습자의 질적 논평은, [임상적 객관성을 유지]하기 위해, [환자로부터 감정적인 분리]를 수반하는 전문적인 행동을 이해한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고통 받는 사람들과 연결되는 것을 포함하는 학습자들의 경험적 학습이 그들의 전문적인 역할에 대한 이해는 어떻게 대응해야 할지에 대한 불확실성으로 이어졌다. 학습자들은 [자신이 느끼는 괴로움을 어떻게 관리해야 할지]에 대한 불확실성뿐만 아니라, [한 명의 인간이자 전문가로서 대응해야 하는 갈등]도 경험했다. 학습자들은 전문적인 규범으로 이해하고 있는 것을 유지하고 또한 정서적 고통으로부터 자신을 보호하기 위해 환자들과의 정서적 연결을 피함으로써 그들의 불협화음과 불확실성을 해결했다. 이러한 [정서적 연결의 회피]는 학습자의 행동에서 관찰되었을 뿐만 아니라, 학습자가 학습에 대한 반응에서도 논의되었다. 
Learners' qualitative comments revealed that they understood professional behaviour to involve emotional detachment from patients in order to remain clinically objective. Where learners' experienced learning that involved connecting with people who were suffering, this understanding of their professional role led to uncertainty on how to respond. Learners experienced a conflict between responding as a human being or as a professional, as well as uncertainty on how to manage the distress that they felt. Learners resolved their dissonance and uncertainty by avoiding emotional connection with patients to maintain what they understood to be professional norms and also to protect themselves from emotional distress. This avoidance of emotional connection was both observed in learner behaviour45, 48 as well as discussed by learners in response to their learning.43, 46, 52, 57

한 학생은 그들 중 한 명이 죽어가는 부부와의 만남에 대해 썼다. 배우자가 죽음의 화제에 접근하자 울기 시작했다.
그 학생은 그녀를 위로하고 싶었지만 자제했다. 
그 여자의 어깨에 손을 얹었더라면 좋았을 텐데, 왜냐하면 그것은 전문적인 것이 아니었을지라도 인간적인 것이었을 것이기 때문이다.
One student wrote about her meeting with a married couple where one of them was dying. The spouse started to cry when they approached the topic of death. The student wanted to comfort her but refrained: I wish I'd put my hand on the woman's shoulder because that would have been human, even though it would not have been professional.52

내가 너무 관여하게 되면 내 삶은 너무 괴로워진다. 제게 가장 어려운 것은 환자의 감정에 너무 얽매이지 않고 '전문적인 역할'을 유지하는 것일지도 모릅니다. 
If I become too involved, my own life becomes too distressing. The most difficult thing for me … may be keeping up ‘the professional role’, not getting too involved in the patient's feelings.46

 

3.2.2 메커니즘 2: 인식론과의 불일치
3.2.2 Mechanism 2: Dissonance with epistemology

 

CIIMc 4: 학습자들은 (인간 중심성에 대한) 학습이 미래의 임상 실습에 덜 중요하다고 믿습니다.
CIMOc 4: Learners believe learning is less important to future clinical practice

많은 논문들은 학습자들이 [지식]을 실증주의적으로 보며, '경성적hard' 객관적 사실로 구성될 수 있는 타당한 지식으로 여김을 밝혀냈다. 해석이 필요하거나 개인의 경험에 기초한 지식은 '연성적soft', '터치감 있는' 또는 '부드러운'으로 지칭되는 방식으로 묘사하며, 덜 과학적이고 덜 타당하다고 간주되었다. 
Many papers revealed that learners had a positivist view of knowledge and considered valid knowledge to be composed of ‘hard’ objective facts. Knowledge that required interpretation or was based on individual experience was considered less scientific and less valid as illustrated by how it referred to as ‘soft’, ‘touchy-feely’ or ‘fluffy’.40, 42, 58

선다운 의과대학 학생들이 의학의 '과학적'에 반대하며 윤리 교육을 논하고 정신 질환의 주제에 대해 어렵고 위협적이며 구체적으로는 덜 과학적이라고 말하는 방식은 모두 지식의 이해를 나타내는 것으로 보였다. 
'하드' 형태와 '소프트' 형태 사이에서 상당히 강하게 양극화 되어 있었습니다.
The ways in which Sundown Medical School students opposed the ‘scientific’ to the ‘human’ side of medicine, discussed their ethics teaching, and related to the subject of mental illness as difficult, threatening and less concretely scientific all appeared to be indicative of understandings of knowledge that were quite strongly polarised between ‘hard’ and ‘soft’ forms …42

학습자들은 [주관적인 환자 경험]과 [광범위한 건강 결정 요소로부터 얻은 지식]을 [질병 기반 임상적 실천]과 통합하는 방법에 대해 혼란을 겪었다. 지식과 학습에 대한 [실증주의적 인식론적 이해] 사이의 이러한 부조화는, 본질적으로 주관적이고 해석적이었으며, 그러한 학습이 그들의 미래 실천에 덜 중요하다고 믿음으로써 해결되었다.
Learners experienced confusion as to how to integrate knowledge from subjective patent experience and wider health determinants with disease-based clinical practice. This dissonance between positivist epistemological understandings of knowledge and learning, which was subjective and interpretive in nature, was resolved by believing such learning was less important to their future practice.

 

이러한 의대생들과 (아마도 일부 또는 심지어) 많은 의대생들에게 사회과학의 담론적인 성격은
종종 그것을 덜 확실하고, 자연과학의 '팩트'보다 조건적이며, 따라서 덜 타당해 보이게 한다. 
For these medical students and (maybe some or even) many medical scientists, the discursive nature of social science often makes it seem less certain, more contingent than natural scientific ‘fact’ and therefore less valid.51

학습자들이 사람 중심의 학습에 참여하기 위해 고군분투하는 주된 이유로, [건강의 생물-심리-사회적 formulation의 근거]와 같은 [사람 중심의 이론에 대한 지식의 부족]이 확인되었다.
A lack of knowledge of person-centred theory, such as the rationale for a bio-psycho-social formulation of health, was identified as a key reason that learners struggled to engage with person-centred learning.

많은 학생들은 또한 환자의 생활 환경, 특히 사회적 관계와 근무 환경을 탐구하는 것에 대해 양심의 가책을 느꼈다고 보고했다. 그 학생들은 건강과 질병에 대한 [심리적 사회적 요인의 관련성에 대한 지식의 부족]을 드러냈다. 따라서, 그들은 전체론적 관점을 부자연스럽게 인식했다. 
Many students also reported scruples about exploring the patient's life circumstances, in particular, social relations and working conditions. The students revealed a lack of knowledge about the relevance of psychosocial factors to health and disease. Thus, they perceived a holistic perspective as unnatural.44


서로 다른 개입을 가진 코호트를 비교한 정량적 데이터를 가진 논문은 사람 중심 이론이 학습에 명확하게 통합되지 않은 코호트에서 사람 중심 태도의 감소를 보였다. 이 CIMOc 를 지원하는 데이터는 학부 및 대학원 환경 및 모든 지리적 영역에서 발견되었다. 

Papers with quantitative data that compared cohorts with different interventions showed a decline in person-centred attitudes in cohorts where person-centred theory was not clearly integrated into learning.59, 60 The data supporting this CIMOc were found across undergraduate and postgraduate settings and from all geographical areas.41, 42, 44, 51, 53, 56, 61, 62

3.2.3 메커니즘 3: 광범위한 커리큘럼에 초점을 맞춘 불일치
3.2.3 Mechanism 3: Dissonance with focus of the wider curriculum

CIIMc 5: 학습자는 향후 임상 실습을 위해 학습의 중요성을 최소화합니다.
CIMOc 5: Learners minimise importance of learning for future clinical practice


[핵심 교육과정의 일부인지 여부]와 [교육과정 내 질병 기반 학습에 부여된 상대적 무게]에 따라, 학습의 상대적 중요성에 대해 많은 학습자들이 힌트를 얻었다. 이는 학습자들이 '과학적' 학습만큼 중요하지 않거나, 미래 실천에 중요하지 않다고 믿고, 지식을 [위계적 범주]로 계속 분리하도록 이끌었다. 

Many learners took their cue about the relative importance of learning based on whether it was part of the core curriculum and the relative weight given to disease-based learning in the curriculum. This led learners to continue to separate knowledge into hierarchical categories, believing that person-centeredness was not as important as ‘scientific’ learning or as important to future practice.42, 43, 54, 55, 61, 63

그림 2의 녹색 선이 끊어진 것에서 알 수 있듯이, 더 넓은 커리큘럼의 초점과의 통합 부족은 모든 유형의 개입에 영향을 미쳤다. 일부 교육 개입은 2년 이상에 걸쳐 커리큘럼을 관통하는 스레드로 통합되었다. 그러나, 어떤 교육적 개입도, 학생들이 무엇을 배웠는지, 그들이 임상 배치 동안 경험했는지 또는 평가된 것의 측면에서, [더 넓은 커리큘럼의 초점과 완전히 통합된 것]으로 인식되지 않았다.
Lack of integration with the focus of the wider curriculum affected all types of interventions, as shown by the broken green line in Figure 2. Some educational interventions were integrated as a thread running through the curriculum across two or more years39, 60, 64, 65; however, none of the educational interventions were perceived as fully integrated with the focus of the wider curriculum in terms of what students were taught, what they experienced during clinical placements or what was assessed.

또 다른 학생은 학문적으로 능숙하고 공감적이기를 원했지만 
의과대학 전체에서 [생물-의학적으로 능숙해지는 것]이 더 높은 우선 순위를 받는다고 느꼈다. 
그의 생각에, 사람들은 의과대학 동안 단지 진단하고, 환자를 참조하고, 시간표와 관련된 것만 배운다. 

Another student wanted to be both academically skilled and empathetic but felt that being bio-medically skillful is given higher priority throughout medical school. In his opinion, one learns only to diagnose, refer patients, and relate to a time schedule during medical school.43

 

3.3 관점 변환: 교육적 개입이 사람 중심성을 개발하는 데 어떻게 성공할 수 있는가?
3.3 Perspective transformation: How educational interventions may succeed in developing person-centredness



데이터 합성(CIMOCs 6–9)의 네 가지 설명문은 교육 개입이 [사람 중심성에 대한 관점 변환으로 이어지는 방법]을 설명한다(표 1). 이 네 가지 진술에 대한 비판적 분석을 통해 사람 중심의 변화를 촉진하는 두 가지 중요한 메커니즘이 확인되었다.

  • 임상실무에서 사람 중심의 관련성에 대한 명확성 제고
  • 감정을 처리하고 가정에 도전할 수 있도록 지원

Four explanatory statements from our data synthesis (CIMOCs 6–9) explain how educational interventions may lead to perspective transformation towards person-centredness (Table 1). Critical analysis of these four statements identified two overarching mechanisms that prompted change towards person-centredness:

  • greater clarity on the relevance of person-centredness to clinical practice and
  • support to process emotions and challenge assumptions.

36편의 논문은 사람 중심성을 향한 관점 변환에 대한 설명에 기여했다.이 논문들 중에서, 31개의 개입은 사람 중심의 이론, 의미 있는 경험, 학습에 대한 응답을 이해할 수 있는 기회 등 두 가지 메커니즘을 촉발할 수 있는 요소의 조합을 제공했다. 이러한 설명에 기여한 다섯 편의 논문만이 이론이나 분별력 없는 경험을 제공했다. 이 다섯 가지 개입에서 제공된 경험은 본질적으로 종단적이거나 환자를 돌보는 데 있어 적극적인 사람 중심 역할을 포함했으며, 이 두 가지 모두 학생들이 임상 실습에 대한 사람 중심성의 관련성에 대해 개인적으로 성찰할 수 있게 해주었을 가능성이 높다.

Thirty-six papers contributed to explanations on perspective transformation towards person-centredness.49, 58, 59, 63-95 Out of these papers, 31 interventions offered a combination of the components that enabled both mechanisms to be triggered: person-centred theory, meaningful experiences and opportunity to make sense of one's responses to learning. Only five papers that contributed to these explanations offered experiences without theory or sense-making opportunities.63, 68, 73, 84, 87 The experiences offered in these five interventions were either longitudinal in nature or involved an active person-centred role in caring for patients, both of which are likely to have enabled students to personally reflect on the relevance of person-centredness to clinical practice.

3.3.1 메커니즘 1: 임상 실무에서 [사람 중심성의 관련성]을 명확히 함
3.3.1 Mechanism 1: Clarity on relevance of person-centredness to clinical practice

CIMOc 6: 건강을 [전체론적으로 이해]하고, [돌봄의 개인화]를 가치 있게 생각합니다.
CIMOc 6: Understand health as holistic and value personalisation of care

 

[사람 중심의 이론을 의미 있는 경험에 적용한 개입]은, 학습자가 환자 치료에 대한 사람 중심의 접근 방식의 관련성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되었다. 이러한 개입에 대한 이론의 기여는 사람 중심 접근법에 대한 개념과 이론적 근거에 대한 교훈적 소개에서부터 이론과 응용에 대한 정기적인 대화형 참여에 이르기까지 다양했다. 간단한 이론적 틀을 사용한 개입은 나머지 개입이 토론을 통해 또는 경험을 통해 이 이론을 실제에 적용하는 것을 지원하는 경우 관점에 대한 중요한 변화를 지원할 수 있다. 
Interventions that applied person-centred theory to meaningful experiences helped learners understand the relevance of a person-centred approach to patient care. The contribution of theory to these interventions varied from didactic introductions on the concepts and rationale for a person-centred approach60, 71, 72, 74, 82, 94 to regular discursive and interactive engagement with theory and application.58, 65, 70, 77, 85, 89 Interventions with brief theoretical framing could support significant changes to perspective if the rest of the intervention supported the application of this theory to practice through discussion or through experience.60, 75, 82, 94

학부생의 경우, [오랜 시간에 걸쳐 환자와 관계]를 맺거나, [환자 치료에 적극적인 역할]을 할 수 있게 된 경험이 더 설득력 있고 기억에 남습니다.
For undergraduate students, experiences that enabled them to engage with patients over time63, 65, 71, 73, 76, 84 and/or take an active role in patient care,74, 83 were more compelling and memorable.

심장병동에서 우리는 그녀의 최근 가슴 통증, 새로운 경색 또는 심리적인 불평의 원인에 대해 논의했고 그녀가 혈관조영술을 다시 거부하자 다음 환자에게 달려갔다. 나중에 생각해보면, 그녀는 혈관조영술이나 개입을 원하지 않고 모든 심장 약물의 최대 용량을 복용하고 있기 때문에 그 병인은 관련이 없을 수 있다. 그녀의 집에 손님으로서, 저는 그녀의 옆에 서 있기보다는 옆에 앉습니다. 그리고 저는 서두르지 않을 수 밖에 없습니다. 나는 그녀가 사람이지 침대 번호가 아니라는 것을 깨달았다. 
In the cardiology ward we debated about the cause of her latest complaint of chest pain, new infarct or psychological and then rush on to the next patient when she refused angiogram again. On hindsight, the aetiology may not be relevant as she does not want any angiogram or intervention and she is on maximum doses of every cardiac medication. As a guest in her home, I sit beside her rather than stand over her, and I am forced not to rush. I realise she is a person and not a bed number …84

3.3.2 메커니즘 2: [감정을 처리하고 가정을 비판적으로 성찰]할 수 있도록 지지
3.3.2 Mechanism 2: Support to process emotions and reflect critically on assumptions

[이론을 의미 있는 경험과 통합한 학습 경험]은 또한 강력한 감정적 반응을 유발하고 학습자의 가정에 도전한다.
Learning experiences that integrated theory with meaningful experiences also generated powerful emotional responses and challenged learner assumptions.

학생들은 당뇨병의 병태생리학과 그 합병증에 대한 이해에도 불구하고, '그것이 일상적으로 어떻게 누군가에게 영향을 미치는지, 그리고 그들이 어떻게 그것을 그들의 모든 일상 활동에 맞추어야 하는지'에 대해 전혀 알지 못한다고 말했다.
학생들은 자신들의 토론으로 인해 '바닥에 깔렸다'고 스스로를 표현했다. 

Students remarked that despite their understanding of the pathophysiology of diabetes and its complications, they ‘had no appreciation how it really impacts someone on a daily basis and how they really have to fit it into all their daily activities’. The students described themselves as ‘being floored’ by their discussion.65


사람 중심으로의 관점 변환에 대한 가장 명확한 질적 데이터에 대한 개입은 모두 학습자에게 학습에 대한 응답을 이해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했다. [피어와 퍼실리테이터의 관계적 연속성이 있는 소규모 그룹 환경]은 이 메커니즘을 촉발할 가능성이 가장 높은 [소속감과 신뢰의 확립]을 가능하게 했다. 학습자가 소그룹 학습을 정기적으로 제공받은 논문들을 넘어, 학습자가 자신의 감정을 표현하고 자신의 생각과 가정에 비판적으로 반영할 수 있도록 하는 '안전'과 '비판단' 설정의 중요성을 표현했다.

The interventions with the clearest qualitative data on perspective transformation towards person-centredness all offered opportunities for learners to make sense of their responses to their learning.49, 53, 58-60, 66, 67, 70, 72, 76, 78, 80, 82, 88-92, 95-98 Facilitated small group environments where there was relational continuity of peers and facilitator enabled the establishment of belonging and trust most likely to trigger this mechanism. Across papers where learners were offered regular small group learning, they expressed the importance of a ‘safe’ and ‘non-judgemental’ setting to enable them to express their feelings and reflect critically on their thoughts and assumptions.49, 53, 58, 70, 77, 80, 92, 96, 98

CIMOc 7: [경청과 공감]을 치료적 가치로 평가
CIMOc 7: Value listening and empathy as therapeutic

학습자는 [자신이 안전하다고 느끼는 비판단적 환경]에서 자신의 감정적 반응을 보고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는 교육적 개입을 통해 듣고 듣는 치료력을 직접 경험할 수 있었다. 이를 통해 학습자는 [건강의 전체론적 특성]과 [경청과 공감을 통해 환자 건강에 대한 자신의 잠재적 기여도]를 모두 볼 수 있습니다. 이러한 관점의 변화는 학습자들이 이전에 자신이 아무런 역할이 없다고 느꼈을 상황에서 환자를 도울 수 있도록 도와주었다.
Educational interventions that offered leaners the opportunity to debrief on their emotional responses in a non-judgemental environment where they felt safe, enabled learners to experience first-hand the therapeutic power of listening and being listened to.53, 58, 65, 70, 80, 86, 91, 92, 98 This enabled learners to see both the holistic nature of health and their own potential contribution to patient health through listening and empathy. This change in perspective helped learners feel able to help patients in situations where they would have previously felt they had no role.

저는 환자들이 필요하다면 더 많은 시간을 함께 보낼 것입니다. 하지만 저는 어떤 면에서 그것이 저를 마르게 하는 것이라고 느꼈습니다. 저는 좌절감을 느낄 것입니다. 제가 무엇을 할 수 있을까요? … 하지만 [지금] 저는 그저 경청하고 그들과 함께 있는 것만으로도 괜찮다고 생각합니다. 그리고 저는 그것이 어떤 면에서 그들에게 더 도움이 된다고 생각합니다. 
그리고 그것은 환자들을 위해 여러분이 할 수 있는 훌륭한 일입니다. 
저는 단지 제 스스로 그것을 배울 필요가 있었다고 생각합니다.91

I will spend extra time with my patients if they need it, but I felt in some ways that it was kind of sucking me dry … I would feel frustrated, like what else can I do? … but [now] I feel OK just to listen and be present with them … and I think that in some ways that helps them more … and that is a wonderful thing that you can do for patients … I just needed to learn that myself, I guess.91

또한, [소그룹에서의 감정적 반응의 공유]는 학습자들이 감정적 반응이 일반적이라는 것을 알 수 있도록 도와주었고, 그들의 감정을 검증하고 정상화하는 데 도움을 주었다. [중요한 개인으로 취급받았기] 때문에, 그들은 이러한 접근 방식을 그들의 전문적 실무에 도입하는 데 더 전념하고 있다고 느꼈다.
Additionally, the sharing of emotional responses in small groups helped learners see that emotional responses were common and helped validate and normalise their feelings.53, 58, 65, 70, 76, 80, 86, 91, 92, 98 Having been treated as individuals who mattered, they felt more committed to taking this approach into their professional practice.

학생으로서 나의 안녕을 걱정하는 사람들이 있다는 점에서 그것은 나의 태도를 바꾸어 놓았다.
그리고 내가 받았기 때문에, 나도 돌려주고 싶다. 

It has changed my attitude in the sense of knowing that there are people who care about my wellbeing as a student. And because I have received, I also want to give back.98

CIMOc 8: [건강을 전체론적인 것으로 이해]하고 [진료의 개인화]를 가치 있게 생각합니다.
CIMOc 8: Understand health as holistic and value personalisation of care

환자와의 경험을 돌이켜보기 위해 모인 소그룹들은 [유사한 조건을 가진 환자들이 어떻게 그들의 질병에 대해 완전히 다른 경험을 할 수 있는지] 그리고 [이것이 반드시 질병의 심각성과 관련이 있는 것은 아니라는 것]을 인식할 수 있었다. 소그룹 설정은 학습자에게 환자 이야기에 대응하여 자신의 반응, 태도, 가정 및 관점이 어떻게 변화하는지 보여주었다. 이러한 경험의 다양성은 학습자가 그룹 전체의 경험으로부터 이익을 얻는 데 도움이 되었을 뿐만 아니라, 임상 의사 결정에서 개인의 상황, 관점 및 가치가 얼마나 중요한지 보여주었다.
Small groups coming together to reflect on their experiences with patients were able to recognise how patients with similar conditions may have completely different experiences of their illness and that this did not necessarily relate to the severity of the disease. The small group setting illustrated to learners how their own responses, attitudes, assumptions and perspectives varied in response to patient stories. Not only did this diversity of experience help learners benefit from the entire group's experience, but it also demonstrated how personal circumstances, perspectives and values matter in clinical decision making.53, 58, 65, 70, 86, 88, 92

그녀가 소그룹에서 배운 당뇨병의 경험의 다양성에 영향을 받은 또 다른 학생은 '나는 같은 질병을 가진 사람들이 모두 정말 다르다는 것을 깨닫게 되었다'고 말했고,
다른 학생은 '그들을 알아가고 그들에게 무엇이 중요한지를 알아내는 것이 문제이다'라고 결론을 내렸다. 

Another student, influenced by the diversity of the experiences with diabetes she had learned about in small group stated, ‘I came to the realization that people are all really different that have this same disease’, while another student concluded, ‘it's just kind of a matter of getting to know them and finding out what's important to them’.65

CIMOc 9: [자기 인식의 중요성] 이해
CIMOc 9: Understand the importance of self-awareness

환자와의 의미 있는 상호작용을 통해 학습자는 [자신의 가정이 얼마나 자주 잘못된 것인지 인식]할 수 있었다. 소그룹에서 이러한 가정에 의문을 제기하고, 이를 뒷받침하는 규범, 가치 및 신념에 대해 비판적으로 성찰할 수 있는 기회는 학습자가 가정이 임상 의사 결정과 환자 치료에 미치는 영향을 인식하는 데 도움이 되었다. 이는 좋은 임상 치료를 실천하는 데 있어 자기 인식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을 촉진시켰다. 자신의 오류성과 인간성에 대한 인식은 학습자들이 겸손, 존경, 호기심이라는 입장에서 환자와 더 많이 연결될 수 있도록 하는 데 도움을 주었다.
Meaningful interactions with patients led learners to recognise how often their assumptions were misplaced. The opportunity to question these assumptions in small groups and to reflect critically on the norms, values and beliefs underpinning them, helped learners recognise the impact that assumptions have on clinical decision making and patient care. This in turn fostered a recognition of the importance of self-awareness to practicing good clinical care.58, 65, 66, 70, 85, 86, 91, 92, 95, 98, 99 The recognition of one's own fallibility and humanity helped learners feel more open to connecting with patients from a position of humility, respect and curiosity.

매달, 직원들과 함께 일하는 교수진들과 어텐딩들은 그들의 경험에 대해 팀원들에게 보고하기 위해 만난다.
가장 놀랍고 일관된 관찰은 얼마나 자주 인턴들이 환자에 대해 알게 된 사실에 '놀랍다'고 보고하는가 하는 것이다.
이러한 보다 깊은 통찰력으로 인해 더 나은 환자 치료를 제공할 수 있는 기회가 반복적으로 생겨났습니다. 
Each month, faculty and attendings working with the house staff meet to debrief the team about their experiences. The most striking and consistent observation is how often house staff report ‘being surprised’ by what they have learned about their patients. This deeper insight, in turn, has repeatedly led to opportunities to provide better patient care.85

소규모 그룹에 대한 일부 개입은 특히 마음챙김과 같은 [특정한 자기 인식 훈련 기술]을 포함했고, 이것들은 학습자들이 그들의 감정과 생각을 더 잘 인지하고 그것들을 다루기 위한 전략을 제공하는 데 도움을 주었다. 

Some interventions in small groups specifically included specific self-awareness training skills, such as mindfulness, and these helped learners be more aware of their emotions and thoughts as well as giving them strategies for addressing them.91, 92, 95, 98


이 과정은 저에게 자기 인식에 관한 것이었습니다.
저는 신체적으로나 감정적으로 제게 무슨 일이 일어나고 있는지 더 잘 인식하는 법을 배웠습니다.
또한 삶의 스트레스를 다루기 위한 새로운 도구들을 배웠다. 

This course has been about self-awareness for me. I have learned to better recognize what is going on for me physically and emotionally. I have also learned a new set of tools for dealing with the stresses in life.98

4 토론
4 DISCUSSION

4.1 조사결과 요약
4.1 Summary of findings

우리의 현실주의 검토는 사람 중심성 개발을 목표로 하는 계획된 의료 교육 프로그램이 어떻게, 왜, 그리고 어떤 상황에서 성공하는지 답하기 위해 시작되었다. 우리는 이 리뷰를 개별 학습자의 수준에서 위치시키고, 사람 중심성을 관점으로 개념화했으며, 생물의학적 관점으로 기울어진 학습자의 반응에 리뷰를 집중했다. 의료 교육은 의료 종사자들에게 사람 중심성을 개발하는 것이 어렵다는 것을 널리 관찰되어 왔다. 우리의 검토에 대한 설명은 이 문제에 대한 이해를 심화시키고 향후 실무에 대한 새로운 해결책을 제공한다. 우리의 [정제된 프로그램 이론]은 학습자가 사람 중심성을 향하도록 도울 수 있는 두 가지 주요 개입 전략을 발견했다. 

  • 의미 있는 경험에 적용되는 사람 중심 이론과
  • 학습자가 기존의 의미 프레임워크에 도전하는 데 필요한 감정적 작업과 비판적 반성을 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소규모 그룹 환경


Our realist review set out to answer how, why and in what circumstances planned medical education programmes that aim to develop person-centredness are successful or not. We located this review at the level of individual learner, conceptualised person-centredness as a perspective and focused our review on the responses of learners who leaned towards a biomedical perspective. It has been widely observed that medical education has found it challenging to develop person-centredness in health care practitioners.4-10 The explanations in our review deepen our understanding of this problem and offer new solutions for future practice. Our refined programme theory found two main interventional strategies that can help learners towards person-centredness:

  • person-centred theory applied to meaningful experiences and
  • small group environments that support learners to do the emotional work and critical reflection needed to challenge existing meaning frameworks.

 

4.2 의미 있는 경험에 적용되는 사람 중심 이론
4.2 Person-centred theory applied to meaningful experiences

우리의 합성은 [적용된 사람 중심 이론]의 핵심적 역할, 즉 임상 실습에 대한 사람 중심 접근법에 대한 개념적이고 증거적인 근거를 발견했다. 사람 중심 이론의 역할은 교육 개입이 어떻게 실패했는지와 그들이 사람 중심성을 개발하는 데 어떻게 성공했는지에 대한 설명에서 강조되었다. 이전의 연구들은 [객관적인 사실]을 더 높게 평가하는 [의학교육의 지식 위계]가 학습자의 [사람 중심성 발달을 저해한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학습자의 가치와 전문적인 역할 이해는 학습에 대한 참여를 가이드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생물의학 중심적 관점]을 강하게 가지고 있을수록 사람 중심 학습에 대한 참여도가 떨어지는 것과 관련이 있다. 또한 사람 중심의 기술 훈련이 태도의 변화 없이 특정 행동을 사용하는 임상의의 증가로 이어질 수 있다는 것이 관찰되었다. 우리의 연구 결과는 [사람 중심 이론의 학습이 부족함]으로 인해 [어떻게 지식 및 역할에 대한 기존 관점과 불일치가 발생하는지]를 설명함으로써, 이러한 연구에서 학습을 확장한다. 우리의 발견은 학습자들이 기존 지식의 토대 위에서 어떻게 새로운 지식을 구성하는지 설명하는 [구성주의 학습 이론]과 일치한다. 
Our synthesis found a key role for applied person-centred theory: the conceptual and evidential rationale for a person-centred approach to clinical practice. The role of person-centred theory was highlighted in explanations for both how educational interventions failed and how they succeeded in developing person-centredness. Previous studies have shown that a knowledge hierarchy in medical education, where objective facts are more highly valued, undermines the development of person-centredness in learners.100, 101 Learners' values and professional role understanding has been shown to guide their engagement with learning, with more biomedical perspectives associated with poorer engagement with person-centred learning.102, 103 It has also been observed that person-centred skills training can lead to an increase in clinicians using certain behaviours without a change in their attitudes.47, 104 Our findings extend the learning from these studies by explaining how a lack of person-centred theory in learning creates dissonance with existing perspectives on knowledge and role which either results in learners minimising the importance of such learning or incorporating learning into existing meaning perspectives. Our findings are in line with constructivist learning theories, which explain how learners construct new knowledge on the foundations of existing knowledge.105

우리의 결과는 또한 사람 중심 이론이 [전문직업적 행위에 대한 이해]와 어떻게 관련이 있는지를 보여준다. 이전의 연구들은 의대생들과 의사들이 고통을 피하기 위한 전략으로 [감정적 분리]를 사용하는 것을 묘사했다. 우리의 결과는 [사람 중심 이론의 적용을 제공하지 않는 개입]은 [역할에 대한 생물의학적 이해(질병 관리)와 전문성(감정적 분리)의 불일치]로 이어질 수 있고, 그 결과로 [학습자가 명확한 생물의학적 역할을 인식하지 못하는 상황을 회피하게 된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우리의 연구 결과는 또한 사람중심 이론의 적용이 어떻게 학습자가 생물의학 전문지식이 제한된 상황에서 환자를 지원하는 역할을 수용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는지 설명하며, 이는 학습자가 전문적인 역할에 대한 확장된 이해를 개발하는 데 도움이 된다.

Our results also show how person-centred theory is relevant to an understanding of professional conduct. Previous studies have described medical students and doctors using emotional detachment as a strategy to avoid distress.106, 107 Our results showed that interventions that do not offer applied person-centred theory may lead to dissonance with a biomedical understanding of role (disease management) and professionalism (emotional detachment) and thus to an avoidance of situations where learners do not perceive a clear biomedical role. Our findings also explain how applied person-centred theory can help learners embrace their role in supporting patients in situations where their biomedical expertise is of limited use, by helping them develop an expanded understanding of professional role.

캐나다의 16개 의과대학 커리큘럼에 대한 최근 연구는 [학습자들이 사람 중심의 개념에 대한 교육을 받고 있는지에 대해 의문]을 제기했다. 의학 교육에서 [명확한 사람 중심 이론의 부족]은 [왜 학생과 의사 모두가 사람 중심성에 대해 피상적이고 불명확한 이해를 가지고 있는지]를 보여주는 연구들을 설명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다. 학습자는 사람 중심의 실천을 [학문적 및 정책 논문에 설명된 패러다임적 실천의 변화]와 대조적으로, '암묵적'이고 '(말하지 않아도) 당연한' 것으로 간주할 수 있다. [사람 중심성에 대한 피상적인 이해]는 [스스로는 사람 중심이라는 임상의의 믿음]과 [(실제로는 그렇지 않은) 임상적 행위] 사이에서 관찰되는 차이를 설명할 수 있다.

A recent study of 16 medical schools curricula in Canada questioned if learners are receiving teaching on person-centred concepts.108 A lack of explicit person-centred theory in medical education may help to explain why studies have shown that both students and doctors hold superficial and unclear understandings of person-centredness.109, 110 Learners may regard person-centred practice as ‘implicit’ and ‘obvious’109 in contrast to a paradigmatic shift in practice described in academic and policy papers.15-17, 20, 27, 111, 112 Superficial understandings of person-centredness may explain the gap observed between clinicians' belief that they are person-centred and their clinical practice.110 

또한 학습자의 사람 중심성을 측정하기 위해 검증된 척도를 사용하는 연구는 '공유sharing'에 비해 '돌봄caring'에서 더 높은 점수를 일관되게 보여준다.

  • '돌봄caring'은 자신의 역할을 여전히 '도와주는' 것으로 보는 생물의학적 관점에 더 쉽게 통합될 수 있는 반면,
  • '공유sharing'는 환자와의 편의적이고 협력적인 접근방식을 필요로 하는 '함께 일하는'로 관점을 전환이다.

사람 중심의 실천 이론에 대한 명확한 개념적 틀과 증거적 근거가 없으면 학습자는 사람 중심의 전문 실천에 전념하기 어려울 수 있다.
Furthermore, studies that use validated scales to attempt to measure learners' person-centredness consistently show higher scores in ‘caring’ compared to the ‘sharing’.4, 24 

  • It may be that ‘caring’ is more easily integrated into a biomedical perspective where one still sees one's role as ‘doing for’,
  • whereas ‘sharing’ involves a shift in perspective to ‘working with’ which requires a facilitative, partnership approach with patients.113114 

Without an explicit conceptual framework and evidential rationale for the theory of person-centred practice,21 it may hard for learners to commit to person-centred professional practice.


우리의 결과는 [사람 중심 이론이 의미 있는 경험에 적용]될 때, 이것은 사람 중심 이론이 임상 실습에 대한 관련성에 대한 이해를 촉발시켰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의미 있는 경험에는 다음이 포함된다.

  • 실제 환자 이야기를 접하는 것,
  • 일정 시간에 걸쳐 환자를 사람으로 알아가는 기회,
  • 환자 치료에 있어 적극적인 사람 중심 역할을 할 수 있는 기회 

Our results showed that when person-centred theory was applied to meaningful experiences, this triggered an understanding of the relevance of person-centredness to clinical practice. Meaningful experiences included

  • engaging with real patient stories,
  • opportunities to get to know patients as people over time, as well as
  • opportunities to take an active person-centred role in their care.

우리의 연구 결과는 환자의 [질병 궤적에 전체에 대한 접근]이 환자 중심성에 대한 학습에 중요한 맥락이라는 것을 보여준 최근의 현실주의 검토와 일치한다. 우리의 연구 결과는 또한 [환자-교육자]의 증가와, [환자를 돌볼 수 있는 적극적인 기회]를 요구하는 문헌을 지지한다. 우리의 결과는 이러한 임상 배치가 의미 있는 경험을 위한 자원으로 어떻게 작용할 수 있는지를 강조함으로써 사람 중심성을 강화하기 위해 입증된 교육 접근법인 LIC에 대한 문헌에 대한 이해를 넓히는 데 도움이 된다.

Our findings fit with a recent realist review that showed that access to patients' whole illness trajectories was an important context for learning about patient-centredness.101 Our findings also support literature that calls for an increase in patient-educators115 and active opportunities to care for patients.116 Our results help to extend an understanding of the literature on LICs, an educational approach that has been demonstrated to enhance person-centredness,11, 12 by highlighting how these clinical placements may act as a resource for meaningful experiences.

4.3 센스 메이킹 지원
4.3 Support for sense making

학습자가 [자신의 감정을 처리]하고, [(부조화를 포함한) 학습에 대한 반응을 비판적으로 성찰할 수 있는 기회]를 통해 [새로운 의미 프레임워크와 자아 인식을 개발]할 수 있었다. 도비는 학습자들이 [자기 인식과 자기 지식]이 [사람 중심의 실천에 중요하다는 사실]을 놓칠 수 있다고 주장해왔다. 그녀는 자기인식을 기르는 데 필요한 정서적 업무와 비판적 성찰을 지원하는 교육이 의료교육 커리큘럼 개혁의 토대가 될 것을 요구해왔다. 보다 최근에, 사람 중심의 관행을 강화하기 위해 의료 교육에 대화형 학습을 통합하는 것이 제안되었다. 대화형 학습은 교사와 학습자가 비위계적 환경에서 만나 환자 경험을 반영할 수 있는 정기적인 기회를 포함한다. 광범위한 건강 관리 맥락에서, 다학제 팀에게 임상 실습에 대한 감정 및 인지 반응을 처리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는 [슈워츠 라운드]는 사람 중심의 태도를 지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opportunity for learners to process their emotions and critically reflect on their responses to learning, including dissonance, allowed them to develop new meaning frameworks and self-awareness. Dobie has argued that learners can miss the fact that self-awareness and self-knowledge are crucial to person-centred practice.117 She has called for education that supports the emotional work and critical reflection needed to develop self-awareness to be the foundation for medical educational curricular reform. More recently, incorporation of dialogic learning into medical education has been proposed to enhance person-centred practice.118 Dialogic learning involves regular opportunities for teachers and learners to meet in non-hierarchical settings to reflect on patient experiences. In the wider health care context, Schwartz rounds, which provide multidisciplinary teams the opportunity to process their emotional and cognitive responses to clinical practice, have been shown to support person-centred attitudes.119


[센스 메이킹]을 가장 지원할 가능성이 높은 개입의 특징은, [학습자와 그룹 퍼실리테이터의 관계적 연속성을 가진 정기적인 소규모 그룹]이었다. 이러한 연속성은 참가자들이 자신의 감정을 표현하고, 정직한 평가에 참여하고, 가정에 도전할 수 있을 만큼 충분히 안전하다고 느낄 수 있도록 하는 [신뢰 관계를 발전]시킬 수 있게 했다. 이러한 조건은 우리의 발견에 설명력을 추가하는 [변혁적 학습]을 촉진하는 것으로 알려진 조건을 반영한다. [변혁적 학습 이론]은 성인 학습자가 기존의 의미 체계를 바꾸려면, [자신의 가치, 의미, 목적을 비판적으로 성찰할 수 있는 지원]이 필요하다고 말한다.  우리의 리뷰에서, 우리는 비판적 성찰과 감정 처리가 함께 이루어졌다는 것을 발견했고, 이것은 비판적 성찰의 능력이 감정을 처리하는 능력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는 변혁적 학습 육성에 대한 최근의 연구에서 뒷받침된다. 

The characteristics of interventions most likely to support sense making were regular small groups with relational continuity of learners and group facilitator. This continuity allowed relationships of trust to develop which enabled participants to feel safe enough to express their emotions, engage in honest appraisal and challenge their assumptions. These conditions mirror those known to foster transformative learning, which adds explanatory power to our findings.120 Transformative learning theory states that for adult learners to change their existing meaning framework, they need support to critically reflect on their values, meanings and purposes.121 In our review, we found that critical reflection and emotional processing took place together and this is supported by more recent work on fostering transformative learning which shows that the capacity for critical reflection may depend on the ability to process emotions.122

4.4 전체 커리큘럼에 대한 교육 개입의 관계
4.4 Relationship of educational interventions to whole curriculum

우리의 검토는 [커리큘럼의 더 넓은 초점과 일치]한다고 여겨질 수 있는 [사람 중심의 개입]을 발견하지 못했다. 의미 있는 경험에 이론을 적용하고 센스 메이킹을 지원하는 것을 포함하여, [모든 개입은 커리큘럼의 생의학적 초점과 상충되는 것]이었고, 일부 학습자들이 [향후 임상 실습에 대한 학습의 중요성을 최소화]하도록 이끌었다. [인식론적 부조화]의 중요성을 인식하였기에, 우리는 [사람 중심의 실천]을 지원하기 위한 [전체 커리큘럼 접근방식]의 강화를 요구한다.
Our review did not find any person-centred interventions that were perceived to be in line with the wider focus of the curriculum. All interventions, including those that applied theory to meaningful experiences and support for sense making, were perceived to be at odds with the biomedical focus of the curriculum and led some learners to minimise the importance of the learning for their future clinical practice. Our recognition of the importance of epistemological dissonance reinforces calls for a whole curriculum approach to support person-centred practice.123

4.5 장점과 한계
4.5 Strengths and limitations

가치관, 태도 및 신념에 의해 정보에 입각한 참여자 관점의 수준에 위치한 사람 중심성에 우리의 리뷰를 집중함으로써, 우리는 의료 교육이 왜 사람 중심주의의 증가로 이어지지 않았는지, 그리고 이것에 대해 결정적으로 무엇을 할 수 있는지에 대한 이해의 차이를 해결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었다. 현실주의 접근 방식을 사용하여, 우리는 학습자의 관점과 중재적 구성 요소의 상호 작용으로 촉발되는 메커니즘을 추론할 수 있었다. 우리의 검토는 계획된 커리큘럼에 초점을 맞추기로 결정함으로써 정책 입안자들에게 사람 중심의 의사 개발을 지원하기 위한 개입을 개발하고 테스트하는 데 사용할 수 있는 실용적인 발견을 제공한다.

By focusing our review on person-centredness, which sits at the level of participant perspective, informed by values, attitudes and beliefs, we have been able to help address the gap in understanding around why medical education has not led to an increase in person-centeredness and crucially what can be done about this. By using a realist approach, we have been able to infer the mechanisms that are triggered by the interaction of interventional components with learner perspectives. By choosing to focus our review on the planned curriculum, our review offers policymakers pragmatic findings that can be used to develop and test interventions to support the development of person-centred doctors.

우리의 연구 결과에는 몇 가지 한계가 있다. 몇 가지 개입을 제외하고, 대부분의 논문은 참가자의 관점의 단기 변화에 대한 데이터를 제공했다. 이 검토는 사람 중심의 관점으로의 장기적 전환과 이를 지원하는 방법에 대한 증거를 뒷받침하는 문헌의 차이를 식별한다. 우리의 연구는 인간 중심성 개발을 목표로 하는 계획된 개입에 초점을 맞추었고, 인간 중심성 개발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평가와 같은 광범위한 교육 관행을 포함하지 않았다. 또한, 우리의 연구는 학습자의 관점이 어떻게 형성되었는지에 대해 의문을 제기했고, 사람 중심 접근법의 정규화와 실행에 대한 의료 제공의 영향을 검토하기 위해 향후 작업이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의료 교육의 상당한 비율은 의료의 더 넓은 맥락에서 발생하며, 계획된 의료 교육은 이러한 상황을 형성하는 데 제한적인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우리의 연구 결과는 사람 중심의 의사의 발전을 어떻게 지원할 것인가라는 더 큰 질문에 대한 부분적인 대답일 뿐이다.

There are several limitations to our research findings. Apart from a few interventions,40, 53, 58, 91 most papers offered data on short-term changes in participant perspectives. This review identifies a gap in the literature supporting evidence about longer term transformation towards a person-centred perspective and how to support this. Our research focused on planned interventions that aimed to develop person-centredness and did not include wider educational practices, such as assessment, which may impact the development of person-centredness. Also, our research did interrogate how learner perspectives were formed, and future work is needed to examine the influence of health care delivery on the normalisation and practice of a person-centred approach. Finally, a significant proportion of medical education takes place in the wider context of health care, and planned medical education has a limited influence in shaping this context. Therefore, our findings are only a partial answer to the larger question of how to support the development of person-centred doctors.

4.6 교육실무에 대한 시사점
4.6 Implications for educational practice

우리의 연구 결과는 [왜 기술 기반 접근법이 의사들의 인간 중심성 개발을 지원하기에 충분하지 않을 수 있는지]를 설명한다. 구성주의 학습 이론에 따라, 우리의 리뷰는 [교육 개입이 학습자의 기존 의미 관점과 상호 작용한다는 것]을 발견했다. 따라서, 생물의학에서 임상 실습으로 더 사람 중심의 접근으로 전환하기 위해, 의대생과 의사들은 [사람 중심의 실천이 왜 건강에 중요한지]를 이해할 필요가 있다. 이것은 [사람 중심 이론에 대한 명시적 학습]과 [의미 있는 경험을 통해 임상 실습에서 그것의 관련성을 경험할 기회]를 통합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Our findings explain why a skills-based approach may be insufficient to support the development of person-centredness in doctors. In line with constructivist learning theory, our review finds that educational interventions interact with learners' existing meaning perspectives. Therefore, in order shift from a biomedical to a more person-centred approach to clinical practice, medical students and doctors need to understand why person-centred practice matters to health. This may be achieved by integrating explicit learning on the theory of person-centeredness with opportunities to experience its relevance in clinical practice through meaningful experiences.

교육적 접근법은 또한 [관점 변환에 필요한 감정적 작업을 인식하고 다룰 필요]가 있다. [감정을 처리하고, 반응에 대해 비판적으로 성찰할 수 있는 정기적인 기회]는 사람 중심으로의 관점을 바꿀 수 있는 새로운 의미 프레임워크의 생성을 지원한다. 동료와 촉진자의 연속성과 함께 정기적인 소규모 그룹 학습이 커리큘럼 전체에 통합될 필요가 있다. 마지막으로, 사람 중심성 개발을 최적화하기 위해 이러한 구성 요소는 교육학 및 전체 커리큘럼 수준에서 통합되어야 한다.

Educational approaches also need to recognise and address the emotional work needed for perspective transformation. Regular opportunities to process emotions and critically reflect on responses support the creation of new meaning frameworks that enable a shift in perspective towards person-centredness. Regular, supportive small group learning, with continuity of peers and facilitators, needs to be integrated throughout the curriculum. Finally, to optimise the development of person-centredness, these components need to be integrated at both pedagogical and whole curricular level.

4.7 연구에 대한 시사점
4.7 Implications for research

우리의 현실주의 검토는 의료 교육 환경에서 효과적일 수 있는 증거 기반 전략에 대한 통찰력을 제공하며, 우리의 정제된 프로그램 이론은 의료 교육자와 정책 입안자들이 실제로 구현할 수 있는 검증 가능한 이론을 제공한다. 추가 연구는 실제로 교육 모델을 개발하고 평가하기 위해 경험적인 작업을 통해 우리의 이론을 테스트하고 다듬어야 한다. 특히, 우리는 프로그램 이론의 구현이 [실천에서 지속적인 사람 중심성으로 이어질 수 있는지에 대한 평가]를 요구한다.

Our realist review provides insights into evidence-based strategies that may be effective in medical education settings, and our refined programme theory offers a testable theory for medical educators and policymakers to implement in practice. Further research should test and refine our theory through empirical work to develop and evaluate educational models in practice. In particular, we call for evaluation of whether implementation of our programme theory can lead to persistent person-centredness in practice. 

실천에 대한 사람 중심성의 관련성을 이해하는 것은 [자기 결정 이론의 자율적 동기의 개념]과 밀접하게 일치한다. 자율적 동기 부여는 학습자가 활동의 가치를 이해하고 그것이 자신의 감각과 일치할 때 발전하며, 몇 가지 경험적 연구는 [자율적 동기 부여]가 [활동의 지속성]과 매우 관련이 있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적용된 사람 중심 이론이 사람 중심 접근법에 대한 지속적인 변화를 지원할 수 있는지 여부를 테스트하기 위한 종단적 연구는 향후 연구에 귀중한 영역이 될 것이다. 게다가, 비록 우리의 검토의 초점이 의대생과 의사들에 집중되었지만, 우리의 연구 결과는 다른 건강 직업들과 관련이 있을 수 있다.

Understanding the relevance of person-centredness to practice is closely aligned with the concept of autonomous motivation in self-determination theory.124 Autonomous motivation develops when learners understand the value of an activity and it aligns with their sense of self, and several empirical studies have shown that autonomous motivation is highly related to persistence of an activity.125, 126 Longitudinal studies to test if applied person-centred theory can support a sustained change towards person-centred approaches would be a valuable area for future research. Furthermore, although the focus of our review was on medical students and doctors, our findings may be relevant to other health professions.

5 결론
5 CONCLUSION

우리의 연구 결과는 [커뮤니케이션 기술 기반 교육 전략이 사람 중심성을 개발하기에 충분하지 않을 수 있는 이유]에 대한 설명을 제공한다. 사람 중심의 경험을 [사람 중심의 경험이 왜 중요한지에 대한 이론]과 통합하고, [센스 메이킹을 지원할 수 있게 하는 것]은 [사람 중심의 경험을 위한 관점적 전환]을 지원할 수 있다. 우리의 연구 결과는 사람 중심성을 지원하는 것을 목표로 하는 의료 교육 전략의 개발에 inform하기 위한 프로그램 및 정책 입안자에게 테스트 가능한 이론을 제공한다.

Our findings offer explanations as to why communication skills-based educational strategies may be insufficient to develop person-centredness. Integrating person-centred experiences with theory on why person-centredness matters, and enabling support for sense making, may support perspective transformation towards person-centredness. Our findings offer programme and policymakers testable theory to inform the development of medical education strategies that aim to support person-centredness.

 


 

 

Med Educ. 2022 May;56(5):489-503. doi: 10.1111/medu.14707. Epub 2021 Dec 22.

 

Optimising planned medical education strategies to develop learners' person-centredness: A realist review

Affiliations collapse

Affiliations

1Academy of Primary Care, Hull York Medical School, University of Hull, Hull, UK.

2Institute of Clinical and Applied Health Research, University of Hull, Hull, UK.

3Academic Unit of Medical Education, Sam Fox House, Northern General Hospital, Sheffield, UK.

4Research Department of Primary Care and Population Health, University College London, London, UK.

5Health and Wellbeing Research Institute - Postgraduate Research Centre, Sheffield Hallam University, Sheffield, UK.

PMID: 34842290

DOI: 10.1111/medu.14707

Free article

 

Abstract

Context: Person-centeredness is a stated aim for medical education; however, studies suggest this is not being achieved. There is a gap in our understanding of how, why and in what circumstances medical education interventions that aim to develop person-centredness are successful.

Methods: A realist review was conducted with a search of Medline, Embase, HMIC and ERIC databases and the grey literature using the terms 'medical education' and 'person-centred' and related synonyms. Studies that involved a planned educational intervention in medical education with data on outcomes related to person-centredness were included. The analysis focused on how and why different educational strategies interact with biomedical learner perspectives to trigger mechanisms that may or may not lead to a change in perspective towards person-centredness.

Results: Sixty-one papers representing fifty-three interventions were included in the final synthesis. Nine context-intervention-mechanism-outcome configuration (CIMOc) statements generated from the data synthesis make up our refined programme theory. Where educational interventions focused on communication skills learning or experiences without person-centred theory, learners experienced dissonance with their biomedical perspective which they resolved by minimising the importance of the learning, resulting in perspective endurance. Where educational interventions applied person-centred theory to meaningful experiences and included support for sense making, learners understood the relevance of person-centeredness and felt able to process their responses to learning, resulting in perspective transformation towards person-centredness.

Conclusion: Our findings offer explanations as to why communication skills-based interventions may be insufficient to develop learners' person-centredness. Integrating experiential person-centred learning with theory on why person-centredness matters to clinical practice and enabling learners to make sense of their responses to learning, may support perspective transformation towards person-centredness. Our findings offer programme and policymakers testable theory to inform the development of medical education strategies that aim to support person-centredness.

성찰적 실천으로서 감정: 피드백 실천과 연구를 위한 새로운 담론(Med Educ, 2022)
Emotion as reflexive practice: A new discourse for feedback practice and research
Rola Ajjawi1 | Rebecca E. Olson2 | Nancy McNaughton3

 

1 소개
1 INTRODUCTION

이상적으로 보건 직업의 학생들은 학부 직원, 임상 교육자, 동료 및 환자로부터 받은 피드백 정보를 비판적으로 평가하고 이에 따라 행동할 수 있는 능력을 개발한다. 이것은 전문가와 평생 학습자로 발전하는 데 중심적이다. 의학이나 건강관리와 마찬가지로 [피드백은 감정으로 가득 찬 행위]이다: 주어진 맥락에서 [자신의 감각]과 [자신의 지위]에 관련된 감정으로 가득 차 있다. 보건 전문 교육 연구는 피드백 문헌에서 감정의 위치를 비판적으로 조사하지 않았다. 우리는 이 관계를 새롭게 보는 것이 실무자와 연구자들이 생산적인 방식으로 감정을 설명하도록 안내해야 한다고 제안한다.
Ideally, students of health professions develop capabilities to critically evaluate and act on the feedback information they receive from academic staff, clinical educators, peers and patients. This is central to developing as professionals and lifelong learners. Like medicine and health care more broadly, feedback is a practice imbued with emotion: saturated with feelings relevant to one's sense of self and one's status within a given context. Health professions education research has not critically investigated the positioning of emotions in the feedback literature. We suggest that looking anew at this relationship should guide practitioners and researchers to account for emotions in productive ways.

피드백 문헌은 광범위한데, 많은 개념화와 실천이 있다. 그러나 이 문헌의 공통점은 [피드백이 정보 전달, 프로세스 또는 공동 구성으로 개념화되었는지 여부에 관계없이], [피드백이 학습으로 이어진다는 것]이다. 문헌을 대충 훑어보는 것만으로도 피드백 관행 내의 감정은 다르게 본다는 것을 강조한다. 간단한 선형 반응부터 피해야 할 피드백 정보, 주의할 상태, 학습자가 자신의 감정을 인식하고 작업할 수 있도록 돕는 감정적 프롬프트에 이르기까지 연속체를 따라 설명된다. 부정적인 감정의 관점에서 피드백의 유산은 수년 동안 지속될 수 있다.
The feedback literature is extensive, with many conceptualisations and practices. Common to this literature, though, is an intention that feedback leads to learning, regardless of whether feedback is conceptualised as information transmission,1 a process2 or co-construction.3 Even a cursory glance at the literature highlights that emotions within feedback practices are viewed differently. They are described as ranging along a continuum

  • from simple linear reactions to feedback information to be avoided,4 
  • to states to be mindful of,5 
  • to affective prompts helping learners recognise and work with their feelings.6 

The legacy of feedback in terms of negative emotions can last for many years.7, 8

[긍정적인 학습 환경을 조성]하고 [방어적인 학습자 반응의 가능성을 줄이기] 위해 다양한 피드백 모델이 긍정과 부정의 동등한 코멘트를 기반으로 한다.9 긍정과 부정의 균형을 넘어, 다른 사람들은 피드백 '제공자'가 학습자의 '심리적 면역 반응'의 활성화를 감소시키려면, 사람보다는 [과제나 과정에 의견을 집중해야 한다]고 권고한다. 그러나, 다른 사람들은 성과에 대한 피드백이 항상 자신을 향한다고 지적하며, '피드백 프로세스에 [학습자를 참여시키는 것]이 감정적 반응을 이끌어내기 위한 피드백 상호작용의 가능성을 협상하는 가장 건강한 방법일 수 있다.'라고 말한다. 여기서 피드백 리터러시의 개념이 작동한다.

Various feedback models are predicated on an equal balance of positive and negative comments in order to create positive learning environments and to reduce the likelihood of defensive learner reactions.9 Beyond a balance of positive and negative, others recommend that feedback ‘givers’ should focus their comments on tasks or processes, rather than the person10 to reduce activation of a learner's ‘psychological immune response’.11 However, others note that feedback about performance is always oriented towards the self and so ‘involving the learner in feedback processes may be the healthiest way to negotiate the potential for feedback interactions to elicit emotional responses’2 (p. 38). This is where feedback literacy comes in.

1.1 피드백 리터러시
1.1 Feedback literacy

[피드백 리터러시]는 '정보를 이해하고, 정보를 업무 또는 학습 전략을 강화하기 위해 사용하는 데 필요한, 이해, 역량 및 성향'으로 정의된다. 간단히 말해서, 그것은 '피드백을 최대치로 활용하기'에 관한 것이다. 피드백 리터러시의 네 가지 요소는 다음과 같다.

  • 피드백 평가하기,
  • 판단 내리기,
  • 감정 관리하기,
  • 행동 취하기

Feedback literacy is defined as the ‘understandings, capacities and dispositions needed to make sense of information and use it to enhance work or learning strategies’12 (p. 1316). In short, it is about ‘making the most of feedback’.13 Four components of feedback literacy are

  • appreciating feedback,
  • making judgements,
  • managing emotions and
  • taking action.

이 개념은 의학 교육 문헌에서 비교적 짧은 기간 동안 인기를 끌었으며, 학자들은 공식적인 피드백 대화와 지저분한 병원 환경을 위해 피드백 리터러시 프로그램을 개발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불행하게도, 피드백 리터러시는 감정은 [피드백 획득에 대한 위협]이기에, [예상되고 관리되어야 하는 것]으로 포장한다. 그렇게 함으로써, 학습자들은 정서적 취약성의 입장에 서게 되는 반면, '학교는 학생의 정서적 트라우마를 가중시킬까 봐 학습자들에게 도전하는 것challening을 단념한다'. 이러한 [감정의 병리화]는 분명히 (그것의 '사라짐'을 포함하여) 피드백에 해로울 수 있다. 피드백 효과의 중재자로서 피드백 리터러시에 대한 관심이 높아짐에 따라, 우리는 감정과 형성 실천에 대한 잠재력에 대한 보다 광범위한 관점을 제공하기 위해 [피드백에 대한 감정]의 위치를 체계적으로 분석하는 것이 시기적절해 보인다.

This concept has become popular in a relatively short timeframe in medical education literature, with scholars calling for feedback literacy programmes to be developed for formal feedback conversations14 and messy hospital settings.15, 16 Unfortunately, feedback literacy casts emotions as a threat to feedback uptake that needs to be anticipated and managed.12, 17 In so doing, learners are socialised into a position of emotional vulnerability whilst ‘academics are dissuaded from challenging learners for fear of adding to their emotional traumas’18 (p. 36). This pathologising of emotions can clearly be detrimental to feedback including its ‘vanishing’.4 Given the increased interest in feedback literacy as a mediator of feedback effectiveness, it seems timely that we systematically analyse the positioning of emotion relative to feedback to offer a more expansive perspective on emotions and their potential for shaping practice.

1.2 감정
1.2 Emotion

매노턴은 의학 교육 문학에 대한 그녀의 중요한 푸코우스의 담론 분석 논문에서 다음과 같은 세 가지 감정의 핵심 담론을 확인하였다.

  • 생리적(EP; 감정은 신체 내부에 위치한다), 
  • 기술(ES; 인지 능력으로서의 감정)
  • 사회문화(ESCM; 사회적, 정치적, 문화적 중재자로서의 감정) 

In her seminal Foucauldian discourse analysis paper of medical education literature, McNaughton19 identified three key discourses of emotion:

  • physiological (EP; emotion is located inside the body),
  • skill (ES; emotion as cognitive competence) and
  • sociocultural (ESCM; emotion as a social, political and cultural mediator).

그녀는 이렇게 썼다. '감정은 이 각각의 담론에 뚜렷하게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그들은 서로로부터 고립되어 있지 않다.' McNaughton은 문헌에서 감정이 어떻게 '작동'되는지를 연구하는 것은 문제가 되는 관행을 재현하는 보이지 않는 감정 체계를 눈에 띄게 만든다고 주장했다. 담론은 '(사람들이) 말하는 대상을 체계적으로 형성하는 관행'으로 정의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담론은 단순히 지식의 표현representation이 아니다. 담론은 능동적active이며, 사람들과 사회를 구성한다. 그러므로 담론의 '일work'에 대해 말하는 것은, [앎의 방법]과 [존재의 방법]을 생산하는데 있어서 담론의 사회적 중요성을 이해하는 것이다. 또한 담론은 숨겨지고, 경쟁하고, 모순될 수 있다.

She writes, ‘emotion is constituted distinctly in each of these discourses; however, they are not isolated from one another’ (p. 78). McNaughton argued that researching how emotions are ‘put to work’ in the literature makes visible the invisible emotion schemas that reproduce problematic practices. Discourse can be defined as ‘practices that systematically form the objects of which they speak’20 (p. 49). In other words, discourses are not mere representations of knowledge; they are active and constitutive of people and society. Therefore, to talk of the ‘work’ of discourses, is to seek to understand their social significance in producing ways of knowing and being, and these may be hidden, competing and contradictory.

건강 전문 교육을 넘어선 문헌에서는 감정을 [반사적 실천(ERP)]으로 보는 담론도 있다. 올슨 외 연구진은 [감정적 성찰성]을 '감정에 의지하여 잠재적으로 독특한 경로를 그리는 과정'으로 묘사하며, 감정적으로나 관계적으로 세계를 관통하는 우리의 길을 만든다. 이 담론이 피드백에서 잠재적으로 우리를 attune하는 것은 [학습자가 자신의 목표와 훈련 프로그램의 목표 사이에서 학습 경로를 탐색하기 위해, 자신과 슈퍼바이저의 감정을 어떻게 해석하고 반응할 수 있는가] 하는 것이다. 이 네 개의 담론은 감정 담론의 범위와 서로 다른 담론이 하는 일(가능하거나 불가능하게 만드는 것)을 검토하는 것을 목표로 한 우리의 비판적 검토의 배경을 형성했다. 우리는 다음을 묻는다.

  • 피드백 문헌에서 감정 담화는 어떻게 표현되는가?
  • 이러한 감정 담론을 뒷받침하는 가정이 피드백의 개념화를 어떻게 형성하는가?

Literature beyond health professions education introduces other discourses including emotion as reflexive practice (ERP). Olson et al.21 describe emotional reflexivity as ‘a process of drawing on emotions to, potentially, chart a unique path’ (p. 2), thus making our way emotionally and relationally through the world. What this discourse potentially attunes us to in feedback is how a learner might interpret and respond to their own and their supervisors' emotions to navigate a path of learning between their own goals and those of a training programme. These four discourses formed the backdrop of our critical review, in which we aimed to examine the range of discourses of emotion and the work the different discourses do (what it makes possible or not possible) to open new agendas for thinking about and researching emotion in feedback. We asked:

  1. How are emotion discourses presented in the feedback literature?
  2. How do the assumptions underpinning these emotion discourses shape our conceptualisation of (and how they intersect with) feedback?

2 방법
2 METHODS

우리는 상위 3대 의학 교육 저널에서 피드백과 감정 문헌에 대한 비판적인 검토를 실시했다. 비판적 검토는 '이전 작업으로부터 어떤 가치가 있는지를 재고하고 평가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최고의 저널로서, 우리는 그것들이 그 분야에서 피드백과 감정 사이의 관계에 대해 받아들여지고 따라서 연습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친다고 인정된 아이디어를 나타낸다고 판단했다.
We conducted a critical review of feedback and emotion literature in the top three dominant medical education journals. A critical review ‘provides an opportunity to take stock and evaluate what is of value from the previous body of work’22 (p. 93). As the top journals, we judged that they represent what is acknowledged to be accepted ideas about the relationship between feedback and emotion in the field and therefore the most influential for practice.

2.1 검색
2.1 The search

[비판적 문헌고찰]는 비판하고 분야를 확장하기 위한 출발점으로 작용한다. 따라서, 비판적 문헌고찰에서는 완전하거나 체계적인 것을 의도하는 것이 아니라, 가장 중요한 항목을 식별하려고 하며, 이는 '목적적'이라고 묘사될 수도 있다. 따라서 영향요인에 따라 등급별로 나열된 '교육, 과학 분야'의 학술지를 바탕으로 학술의학, 의학교육, 보건과학 교육의 발전 등 3대 학술지를 수작업으로 검색했다.
Critical reviews act as a launching point for critiquing and expanding a field. Thus, they are not meant to be exhaustive or systematic, instead they seek to identify the most significant items in the field, also described as purposive.23 Hence, based on journals in ‘Education, Scientific Disciplines’ listed by rank according to impact factor, we manually searched the top three journals: Academic Medicine, Medical Education and Advances in Health Sciences Education.

검색어에는 변형이 없는 '피드백'과 '감성'이 포함되었다. 피드백은 논문에서 다양하게 정의되었지만, 피드백이 학습으로 이어질 것이라는 의도는 공통적이었다. 검색이 완료된 2013년 1월부터 2020년 5월까지 실증연구 논문을 포함했다. 우리는 McNaughton의 중요한 논문이 발표되었을 때이기 때문에 2013년을 선택했는데, 이 날짜 이후에 해당 분야의 감정 담론에 대한 모든 효과가 나타날 수 있다는 추론을 했다. 우리는 의견, 사설, 논평, 편집자에게 보내는 편지, 그리고 피드백 및 감정에만 대충 주의를 기울이는 연구를 제외했다. 피드백과 감정 모두에 초점을 맞춘 경험적 논문은 다른 출판 방식과 비교하여 관련 연설을 결정하는 심층 프레젠테이션을 제공할 가능성이 가장 높았다. 우리는 각 포함 항목의 개념적 기여가 비판적 검토의 초점이기 때문에 포함 논문의 품질 평가를 실시하지 않았습니다.

The search terms included ‘feedback’ AND ‘emotion’ with no variants. Feedback was variously defined in the papers, but common was the intent that feedback would lead to learning. We included empirical research papers from January 2013 to May 2020 when the search was completed. We chose 2013 as this was when the seminal paper by McNaughton19 was published, reasoning that any effects on emotion discourses in the field might be seen following this date. We excluded opinion pieces, editorials, commentary, letters to the editor and studies that only gave cursory attention to feedback and/or emotion. Empirical papers focused on both feedback and emotion were most likely to offer a deep presentation from which to determine the relevant discourses, compared with other modes of publication. We did not conduct a quality assessment of included papers as the focus in critical reviews is the conceptual contribution of each included item.22

2.2 데이터 추출
2.2 Data extraction

두 명의 저자가 각 논문에서 데이터를 추출한 다음 세 명의 저자가 모두 논의하여 합의에 도달했다. 우리는 Olson과 Bialocerkowski가 사용하는 기존 데이터 추출 도구를 수정하고 각 기사에서 다음을 추출했다.

  • 분야, 기관 및 위치를 포함한 저자 세부 사항
  • 제목, 출판 연도, 저널 제목을 포함한 기사 내용
  • 기사 방법론적 접근, 감정, 피드백 및 두 사람의 작업.
  • 사용된 이론과 중요한 주장을 포함한 기사 기여

Data were extracted from each paper by two of the authors and then discussed by all three authors to reach consensus. We modified an existing data extraction tool used by Olson and Bialocerkowski24 and extracted the following from each article:

  1. author details, including discipline, institution and location;
  2. article details including title, year of publication, journal title;
  3. article methodological approach; and discourses of emotion, feedback and the work of both;
  4. article contribution including the theory (ies) used and the overarching argument.

2.3 분석 골조
2.3 Analytical framing

비판적 담화 분석에 대한 Foucauldian 접근법은 우리의 비판적 검토에 대해 inform하였다. 푸코에게 담론은 언어, 말하는 방법, 그리고 말하는 것, 생각하는 것, 그리고 행동하는 것을 체계적으로 정리하는 실천을 말한다. 감정과 피드백을 연구하는 담론적 접근법은 '[사회적 관계를 통해 제도적 환경에서 역사적으로 형성된 단어뿐만 아니라, 실천으로서의 감정에 초점]을 맞춘다. 그리하여 담론은 [세계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적 행동]의 형태로 조사될 수 있다.' 감정에 대한 생각은 건강 전문가 훈련에 중요한 의미를 가지며, 건강 전문가들이 말하고, 하고, 느끼는 것에 대한 규칙뿐만 아니라 학습과 평가의 커리큘럼 구조에 공식적으로 포함되어 있다. 
A Foucauldian approach25 to critical discourse analysis informed our critical review. For Foucault,20 discourse refers to language, ways of speaking and practices that systematically organise what is possible to say, think and do. A discursive approach to studying emotion and feedback ‘focuses on emotions as practices, as well as written words that are shaped historically in institutional settings through social relations. As such, discourses can be investigated as forms of social action that create effects in the world’19 (p. 72). Ideas about emotion have material implications for health professional training and are embedded (in)formally in curricular structures of learning and assessment, as well as in rules about what is possible for health professionals to say, do and feel.26


연구팀에는 피드백 연구자(RA), 감정 사회학 연구자(RO), 담론 전문가(NM)가 포함되었다. 우리는 정기적으로 만나 각 담론에 대한 개념적 이해와 문헌 내에서의 발표, 즉 당연하게 여겨지는 것과 이러한 담론으로부터 우리가 놓치고 얻는 것에 대해 논의했다. 일부 신문의 경우 주요 담론에 대한 합의에 도달하기 위해서는 여러 가지 대화가 필요했다.

The research team included a feedback researcher (RA), sociology of emotions researcher (RO) and a discourse specialist (NM). We met regularly to discuss our developing conceptual understanding of each discourse and its presentation within the literature: what's taken for granted and what we miss and gain from these discourses. Discourses were multiple, overlapping and not necessarily readily untangled; for some papers, it took multiple conversations to reach consensus on the primary discourses.

 

3 연구 결과
3 FINDINGS

이 분야의 상위 3개 저널을 검색한 결과 59편의 논문을 발표했는데, 그 중 32편의 경험적 연구 논문은 피드백과 감정을 조사하였다(학술 의학 7편, 의학 교육 17편, 보건 과학 교육 8편). 학생에 대한 이러한 16가지 지향적 피드백(단일직업 또는 혼합) 중 14개는 교수진 및/또는 학생의 혼합을 포함했고, 2개는 의료 교육 피드백에 환자를 포함했다. 우리는 일차 감정 담론으로 식별된 것들이 피드백 문헌(표 1)에서 어떻게 제시되는지를 정의하고 설명하는 것으로 시작한 다음 각 담론의 '작업'에 대해 논의한다. (논문 및 코드화된 감정 담화 전체 목록은 표 S1A를 참조하십시오.)
A search of the top three journals in the field yielded 59 papers of which 32 empirical research papers matched our inclusion criteria, examining feedback and emotions (7 in Academic Medicine, 17 in Medical Education, 8 in Advances in Health Sciences Education). Of these 16 oriented feedback to students (single profession or mixed), 14 included a mix of faculty and/or students, and 2 included patients in medical education feedback. We start by defining and describing how those identified as primary emotion discourses are presented in the feedback literature (Table 1), then discuss the ‘work’ of each discourse. (For a full list of papers and coded emotion discourses please see Table S1A.)

3.1 피드백 관행 형성에 있어 담론의 '작업'
3.1 The ‘work’ of the discourse in shaping feedback practices

3.1.1 생리학으로서의 감정
3.1.1 Emotion as physiology

논문의 절반(n = 16)이 EP 담론에 맞춰져 있습니다. 이 담론에서 감정은 피드백에 대한 대부분 선형적이고 개인주의적인 '반응'으로 캐스팅되었다. 한 연구에서, [긍정적인 감정]은 학생들이 그들의 학습에 피드백을 통합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 반면, [부정적인 감정]은 피드백의 수정/학습 잠재력을 '간섭interfere'한다고 말했다. 감정을 그렇게 대하는 것은 학습자와 교육자가 감정을 [극복해야 할 것]으로 보도록 촉구한다. 마찬가지로 해리슨 외 연구진도 총체적 평가 후 피드백에 따라 행동하는 데 있어 두려움을 [학습 기회를 제한하는 주요 장애물로 파악]하였다. 다른 이들은 감정이 가라앉을 때까지 피드백을 미뤄야 한다고 제안했다.
Half of the articles (n = 16) aligned with an EP discourse. In this discourse, emotions were cast as mostly linear and individualistic ‘reactions’ to feedback. In one study, positive emotions meant that students could integrate feedback into their learning, whereas negative emotions were said to ‘interfere’ with feedback's corrective/learning potential.33 Such treatment of emotions pushes learners and educators to see emotions as something to overcome. Similarly, Harrison et al.34 identified fear as a major obstacle to acting on feedback following a summative assessment, limiting learning opportunities. Others suggested feedback should be delayed until emotions have subsided.7

이 담론을 바탕으로 한 일부 기사들은 [감정을 문제시]했다. 추 대표 등의 감정은 피드백 전달의 실패로 간주되었기 때문에 피드백의 감정적 Protention를 줄일 수 있는 신뢰 환경을 조성함으로써 피해야 할 것이다. Conforti와 동료들은 배경 소음으로 감정을 던진다. 다른 이들은 부정적인 감정이 '방해hindrance'라며 더 격렬히 반응했다. 예를 들어, 포크마 등은 부정적인 감정을 예측하고 예방하거나 관리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러한 글에서, 긍정적인 감정은 대부분 자신감과 동기 부여와 같은 긍정적인 인지적 지표로 무시되었다.
Some articles drawing on this discourse positioned emotions, as problematic. For Chou et al.27 emotions were seen as a failing of feedback delivery, something to be avoided through creating a trusting environment where feedback's emotional protentional can be reduced. Conforti and colleagues30 cast emotions as background noise. Others were more vehement about negative emotions being a ‘hindrance’. Fokkema et al.,32 for instance, asserted that negative emotions should be anticipated and prevented or managed. In such articles, positive emotions were mostly ignored in favour of positive cognitive markers like confidence and motivation.

세 가지 연구는 처음에 피드백과 학습에 대한 사회 문화적 정의를 제공했지만 불가피하게 그들의 분석에 감정의 생리학적 개념을 적용했다. 이 담론에서 긍정적인 감정이 피드백에 미치는 부정적인 영향을 고려한 연구는 단 한 가지뿐이었다. 네이스미스와 라조이는 긍정적인 감정이 피드백에 대한 관심을 덜 끌 수 있고, 그 반대도 마찬가지라는 것을 보여주며, 감정적 원자가valence와 주의attention 사이의 역관계를 시사했다. 예를 들어 수치심과 같은 성과 목표와 감정은 주의력, 피드백 흡수 및 피드백 탐색 행동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Three studies initially offered sociocultural definitions of feedback and learning7, 38, 41 but inevitably applied physiological conceptions of emotions in their analysis. Only one study in this discourse considered the negative effects of positive emotions on feedback. Naismith and Lajoie28 showed that positive emotions can lead to less attention to feedback and vice versa, suggesting an invers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valence and attention. Performance goals and emotions such as shame, for instance, can positively influence attention, feedback uptake and feedback seeking behaviours.

3.1.2 기술로서의 감정
3.1.2 Emotion as skill

ES를 1차 담론으로 채택한 세 논문에서 [감정과 피드백은 문제가 있는 관계를 가진 것]으로 묘사되었다. 앞의 담론처럼 피드백은 자기가치감과 '자신감'에 challenge할 수 있는 잠재력을 지녔다고 한다. 자존심에 대한 그러한 도전은 [수치심과 불안]이라는 [부정적인 감정]으로 가득 차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피드백이 [프라이드와 같은 긍정적인 도덕적 감정]을 자극할 수 있지만, 이것은 ES 담론을 사용한 어떤 연구에서도 초점이 되지 않았다. 자기 가치 있는 피드백의 정서적 악영향들을 돌리기 위해 사용되는 대처 전략은 적응적 변화를 향한 노력을 탈선시킬 위험이 있다고 한다. 파텔 외 연구진은, 자기 조절 학습 이론을 바탕으로, [부정적인 감정]이 '자기 가치'에 대한 학습자의 개념화에 도전하고, 변화를 저해하는 대처 전략(실패의 정상화와 같은)을 촉구함으로써 [자기 조절 학습을 방해한다]고 결론지었다.
Within the three papers employing ES as the primary discourse, emotion and feedback were depicted as having a problematic relationship. Like the previous discourse, feedback was said to have the potential to challenge self-worth and ‘self-confidence’.42, 43 Such challenges to self-worth were shown to be laden with negative emotions: shame and anxiety. Although it is also likely that feedback can prompt positive moral emotions, such as pride, this was not a focus of any of the studies using the ES discourse. Coping strategies used to divert the emotional ill effects of self-worth-challenging feedback were said to risk derailing efforts towards adaptive change. Patel et al.,44 drawing on self-regulated learning theory, concluded that negative emotions interrupt self-regulated learning, by challenging learners' conceptualisations of ‘self-worth’ and prompting coping strategies (like normalising failure) that undermine change.

이 담론에서 확인된 연구는 [감정]을 피드백으로부터의 학습을 위해서 [개인이 관리해야 하는 것]으로 취급함으로써 이전과 달랐다. 연구자들은 대처전략coping strategies을 수정하기 위한 개입을 시작했는데, 예를 들면 [긍정적인 대처 기술을 가르치기 위한 회복탄력성 훈련]이라든가, [검사 후 피드백에서 상대 대조군normative comparators을 제거하는 것과 같은 부정적인 감정을 예방하는 것]등이 있다. 이러한 담론은 [(효과적인 학습에 덜 도움이 되는 스트레스 관계나 정서적 환경을 만들 수 있는) [학습 환경의 사회적, 정치적, 문화적 특징]]에 초점을 두지 않는다. 패틀 외 연구진은 급우들 사이의 신뢰 관계가 도움을 구하는 것이 정서적으로 안전하다고 느끼는 중요한 지원의 원천이 될 수 있다고 제안했지만, 그들은 의과대학의 문화적 환경의 정서적 차원에서 신뢰를 검토하는 데 그친다.
Studies identified in this discourse diverged from the previous, by treating emotion as something to be managed by the individual in order to learn from feedback. Authors initiated interventions to correct coping strategies, for example, through resilience training to teach positive coping skills42 or by preventing negative emotions—such as removing the normative comparators in post-examination feedback.43 Such a discourse shifts focus away from examining the social, political and cultural features of a learning environment, which may be creating stressful relationships or emotional climates less conducive to effective learning. Although Patel et al.44 suggested trusting relationships between classmates may be important sources of support, where failing classmates feel it is emotionally safe to seek help, they stop short of examining (dis)trust as an emotional dimension of the medical schools' cultural environment.

3.1.3 성찰성적 실천으로서의 감정
3.1.3 Emotion as reflexive practice

ERP 담론에 맞춰 네 개의 기사를 정렬하여, 감정을 (조절regulation이 아니라) 반성reflection이 필요한 관계적이고 불가피하며 중요한 정보로 배치했다. 이 네 개의 논문 중 두 편에는 감정이 피드백에 문제가 있다는 암묵적인 가정이 있었다. 그러한 가정은 반박되었지만 여전히 존재한다. 예를 들어 Kerins 등은 의료 교육자들이 피드백(예: 불안과 죄책감)으로 인한 감정의 잠재적 부정적인 영향에 대해 경각심을 가져야 한다고 제안했지만 계속해서 다음과 같이 주장했다. '학습자에게 부정적인 감정의 가능성을 피하려고 노력하는 것'보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학습자의 존재감presence을 높이고 힘power을 활용하는 것'의 이점을 보여준다.

Four articles were aligned with the ERP discourse, positioning emotions as relational, inevitable and important information requiring reflection (rather than regulation) before their impact can be realised. Within two of these four papers,46, 47 there was an implicit assumption that emotions are problematic to feedback. Such assumptions were countered but still present. Kerins et al.,47 for example, suggested medical educators should remain alert to the potential negative effects of emotions from feedback (e.g., anxiety and guilt) but went on to assert: ‘rather than striving to avoid the possibility of negative emotions in their learners’, such findings suggested the benefits of ‘acknowledging their presence and utilising their power’47 (p. 271).

학습자가 지지적 환경에서 [불안, 두려움, 죄책감, 수치심]을 경험하고, 이런 감정이 성찰을 촉진하는 방식으로 다뤄질 때, 그러한 감정은 잠재적으로 강력한 [변혁적 학습]을 촉진한다고 한다. 이 담론을 활용한 기사 안에서 감정은 학습 경험에 유용하게 쓰일 수 있도록 신중하게 다뤄야 하고 (반성을 통해) 활용해야 하는 피할 수 없는 일상 경험으로 캐스팅됐다.

When anxiety, fear, guilt and shame are experienced by learners in a supportive setting, and handled in a way that promotes reflection, such emotions were said to foster potentially powerful transformative learning. Within articles using this discourse, emotions were cast as unavoidable everyday experiences that should be handled carefully and harnessed (through reflection) so that they can be useful to the learning experience.

[ERP 담론]은 또한 역할 모델, 피드백 및 피드백 소스(도구, 감독자)의 다양성을 인식하는 [정서적 몰입 학습emotionally imbued learning] 접근 방식을 지지하는 것으로 보인다. 예를 들어, Karnieli-Miller 외 연구에서 ERP 담론은 피드백의 평가(그리고 경험에 대한 감정 형태의 피드백)와 나쁜 소식을 전하는 '올바른' 방법을 알아내는 것 이상 유용하지만 어떤 종류의 의료 전문가가 되고 싶은지 알아내는 데 유용하게 뒷받침했다. 마찬가지로, Rietmeijer et al과 Telio et al의 연구에서 ERP는 다양한 [정서적 몰입 관계]에 내재된 피드백에 대한 인식을 지원합니다. 즉, 피드백의 인식된 신뢰도와 수신도가 특정 지도자와 학생 간의 관계에 따라 달라진다.

The ERP discourse also seems to support an approach to emotionally imbued learning that recognises multiplicity in role models, feedback and sources of feedback (tools, supervisors). In the Karnieli-Miller et al.46 study, for example, an ERP discourse underpinned an appreciation of feedback (and feedback in the form of one's emotions about an experience) as useful to more than figuring out the ‘right’ way to break bad news but as useful to figuring out what kind of health care professional one wants to be. Similarly, in Rietmeijer et al.'s48 and Telio et al.'s45 studies, ERP supports an appreciation of feedback as embedded within various emotionally imbued relationships—where feedback's perceived credibility and reception depend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a particular supervisor and student.

ERP 담론은 감정을 [정보 교환 프로세스에 방해가 되는 것]이 아니라 [피드백에 도움이 되는 것]으로 배치합니다. 감정은 피드백의 의미, 무게, 강도를 주어 [피드백과 학습의 효과를 심화]시킨다. 피드백이 개인이 자신이 생각하거나 원하는 사람이 아니라는 것을 나타내는 정보를 제공한다면, 그들은 시간이 주어지고 구조화된 방식과 안전한 환경에서 반성한다면 생산적인 행동을 촉발할 수 있는 불쾌한 사회적 감정을 느낀다.

Rather than being disruptive to an information exchange process, the ERP discourse positions emotions as helpful to feedback. Emotions give feedback meaning, weight and intensity—deepening the effects of feedback and learning. If feedback provides information that indicates individuals are not who they think they are or want to be, they feel unpleasant social emotions that, if given time and reflected on in a structured way and safe environment, can prompt productive action.

3.1.4 사회문화로서의 감정
3.1.4 Emotion as socio-cultural

9개의 기사가 ESCM 담론에 대해 전문적인 문화계 내에서 일상적인 실천으로 묘사된 피드백과 감정으로 그려졌다. 이 글에서 [사회적 관계와 문화적 풍토]는 [피드백이 학습자에게 미치는 정서적 영향]에 필수적으로 영향을 미쳤다. 예를 들어, Watling 등은 비판이 문화 내에서 일반화normalized되면, 그 정서적 영향이 감소한다는 것을 발견했다. 만약 비판criticism이 예상하지 못한 것일 경우, 그것의 감정적 영향은 훨씬 극심했다. 이 담론에 내재된 것은, 감정을 [탈맥락화하여], [피드백 실천에 긍정적이거나 부정적인 것으로 보는 Valence화된 방식]으로 보기를 거부함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데이비스와 동료들은 일부 학생들이 감독관들에 의한 존엄성 위반에 대한 부정적인 경험에 대한 설명에도 불구하고, 증가된 학습 결과가 보고되었다고 결론지었다.
Nine articles drew on an ESCM discourse with feedback and emotions depicted as everyday practices within professional cultural worlds. In these articles, social relationships and cultural climate necessarily influenced feedback's emotional impact on learners. For example, Watling et al.56 found that when criticism was normalised within a culture, its emotional impact was dampened; when it was unexpected, its emotional impact was more acute. The embedded understanding of emotion within this discourse meant authors often resisted decontextualised and valenced assessments of emotions as positive or negative to feedback practice. Davis and colleagues,49 for instance, concluded that despite some students' descriptions of negative experiences with dignity violations by supervisors, increased learning outcomes were reported.


ESCM 담론과 정렬된 기사에 걸친 몇 가지 공통 요소는 [장소와 직업의 집단적 과정과 관련하여, 감정적으로 경험되는 현상]으로 피드백을 이해하도록 촉진했다. 
Several common elements across articles, aligned with an ESCM discourse, fostered an understanding of feedback as a phenomenon experienced emotionally in relation to collective processes of place and profession.

첫째, 맥락과 감정은 ([신뢰]가 가장 중요한 지지적 감정이었다) 피드백 프로세스에서 얽혀 있는 것으로 보였다. 즉, 단순히 기술을 평가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전문가로서 [학습자의 이익]을 위해 관찰 가능한 특정 정보를 공유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La Donna 등에서는 [신뢰를 촉진하는 문화적 요인]이 [피드백에 대한 학생들의 태도]에 기여하는 것으로 인식되었다. 이러한 태도는 뒤이어 학생들의 전문적업적 형성 및 [듣기 불편한 정보를 내재화하려는 동기]가 된다. 여기서 평가 상황은 [위계적 관계]와 [더 수준 높은 전문적 개발] 설정이 대조되어, 장소가 감정, 관계 및 피드백의 의미에 미치는 영향을 강조하였다.

First, context and emotion—with trust the cardinal supporting emotion16, 53-56—were seen to be intertwined in feedback processes: sharing specific, observable information for the learner's benefit as a professional not just for assessment of skills. For example, in La Donna et al.,54 cultural factors facilitating trust were recognised as contributing to a students' attitudes towards feedback as part of their professional formation and subsequent motivation to internalise information that may be difficult to hear. Here assessment settings, with their hierarchical relationships, and more level professional development settings were contrasted, emphasising the impact of place on emotions, relationships and feedback's meaning.

둘째, 피드백은 상호 목표를 설정하고, 다루고, 협상할 수 있도록 [피드백 제공자와의 종단적 관계]를 전제로 했다. 여기서는 [돌봄Care]이 [감정을 뒷받침하는 주요 요소]였다. 예를 들어, 피드백 대화는 전공의들이 다른 관리자와 경험하지 않은 방식으로 정서적으로 지지받고 '돌봄'을 느낄 수 있도록 했다. 보이어 외 연구진은 전공의들이 이런 것들을 느꼈다고 말했다. '… 일반적으로 경험하는 것보다 더 평등한 기반에서 관계를 발전시켜 보다 솔직한 대화를 가능하게 했습니다.' (p.950).
Second, feedback was premised on a longitudinal relationship with the feedback provider allowing for mutual goals to be set, addressed and negotiated. Care was the cardinal supporting emotion.49, 52, 54 For example, feedback conversations allowed residents to feel emotionally supported and ‘cared for’ in ways they did not experience with other supervisors. Voyer et al.52 stated that residents felt these ‘… relationships developed on a more equal footing than those they typically experienced … and hence allowed for more honest conversation’ (p. 950).

셋째, [체면을 잃을 염려 없이 실수를 허용하는 피드백]은 ESCM 담론을 채택한 학자들에 의해 특히 중요시되었다. 이는 [인간의 실패]를 [개인의 특성이 아닌 공유된 경험]으로 인식하는 것이다. 여기서는 [자신감]이 감정을 뒷받침하는 주요 요소였다. 학생-감독자 관계는 평가적이 아니라 정보적인 피드백 대화를 통해 학생 개선을 위해 공유할 수 있는 잠재력을 가지고 있다. 학생들은 [감정적 투쟁]을 [학습과 전문가로서의 성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경험했다. 한 학생이 말했듯이, '우리를 깊은 곳에 내던진 것은, 장기적으로 봤을 때 제 자신감에 큰 도움이 되었고, 곧 이것이 모든 것을 제대로 할 필요가 없는 놀라운 학습 기회라는 것을 깨달았습니다.'

Third, feedback that allowed for mistakes without fear of losing face were particularly valued by scholars adopting the ESCM discourse: recognising human failure as a shared experience, not an individual trait. Confidence was the cardinal supporting emotion.49-51 The student–supervisor relationship has the potential to support student confidence through feedback conversations that are not evaluative but informative, shared for the benefit of student improvement. Students experienced emotional struggles as positively impacting their learning and their growth as professionals. As one student stated, ‘Throwing us in the deep end was great for my confidence in the long run and I soon realised this was an amazing learning opportunity where we didn't have to get everything right …’50 (p. 70).

4 토론
4 DISCUSSION

이것은 보건 전문 교육에서 피드백 관행에 대한 연구에서 감정 담론을 비판적으로 분석하는 첫 번째 검토이다. 연구 결과는 개인주의에서 사회적까지 연속체에 존재하는 네 가지의 중복된 담론을 묘사한다.

  • (1) 생리학적인 감정, 
  • (2) 기술로서의 감정, 
  • (3) 성찰적 실천으로서의 감정
  • (4) 사회문화적 중재자로서의 감정

우리의 연구 결과는 감정 담론을 보건 직업 교육 연구에 아직 등장하지 않은 ERP를 포함하도록 확장하고, 각 담론이 피드백 실행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 식별한다.

This is the first review to critically analyse discourses of emotion in studies of feedback practices in health professions education. Findings depict four overlapping discourses existing on a continuum, ranging from individualistic to social:

  • (1) emotion as physiology,
  • (2) emotion as skill,
  • (3) emotion as reflexive practice and
  • (4) emotion as socio-cultural mediator.

Our findings extend discourses of emotions to include ERP, which has not yet featured in health professions education research, and we identify how each discourse influences feedback practice.

[EP 담론]은 전통적인 [심신 이원론]을 강화하여, 감정을 [(마음) 피드백에 대한 긍정적이거나 부정적인 물리적 (신체) 반응]으로 묘사하며, 감정은 실천에 피드백의 통합하는 과정을 촉진하거나 약화시킨다. 이러한 개념화가 지배적이었으며, [모든 논문의 절반]이 이 담론을 사용했다. 그러나 이 글들은 부정적인 감정을 병적으로 해석하고 감정이 일상 생활의 일부라는 현실을 무시하기 위해 작용한다. 또한, 그들은 감정을 피드백 정보 처리의 금기anathema로 여기며, 감정과 피드백 사이의 관계에 대한 구시대적이고 단순한 이해를 강화한다.
The EP discourse reinforces traditional mind–body dualism binaries,57 casting emotion as a positive or negative physical (body) response to (mind) feedback that either facilitates incorporation of feedback into one's practice or undermines this process. Such conceptualisations dominated, with half of all the articles employing this discourse. These articles, however, work to pathologise negative emotions and ignore the reality that emotions are part of everyday life. Further, they reinforce outdated and simplistic understandings of emotion58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 and feedback, such as emotions being anathema to processing feedback information.

[ES 담론]은 감정 조절 기술에 초점을 맞춤으로써 [EP 묘사를 확장]한다. 감정으로부터 자존감을 보호하기 위해 사용되는 [대처 전략]은 피드백에 따라 행동하는 학습자에게 위협으로 던져진다. 이 담론은 학습자는 [감정을 관리하려는 노력]을 통해서 [피드백 과정을 방해하지 않도록 할 수 있음]을 시사하지만, 단순히 학습 환경을 검토하는 데 그친다. 이렇게 범위를 제한함으로써, [ES 담론]은 [피드백이 잘 안 될 경우]에 이를 [개별 학습자의 자존감, 관련 감정 및 대처 전략의 문제]로 보도록 유도한다. 이러한 개념은 교사와 교육기관이 [관계와 학습 환경]의 복잡성을 인식하지 못하게 한다. 비록 이 담론에서 일하는 저자들은 그들의 감정의 개념이 제한적일 수 있고, 감정과 피드백 사이의 관계에 대한 더 많은 사회문화적 이해가 관련될 수 있다는 것을 인정하지만, 이 담론은 [학습자 감정]이라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비교적 직접적인 방법으로 [인지적 접근법]을 위치시킨다.
The ES discourse extends EP depictions by focusing on emotion regulation skills. Coping strategies used to protect self-esteem from emotions are cast as threats to learners acting on feedback. This discourse suggests that with effort, leaners can manage emotions so they do not hinder feedback processes. However, it stops short of examining learning environments. In limiting the scope, an ES discourse pushes us to see individual learners' self-esteem, associated emotions and their coping strategies as the problem when feedback goes awry. This conception shields teachers and institutions from recognising relationships and the learning environment as complicit. Although authors working within this discourse acknowledge that their conception of emotion may be limited, and that more socio-cultural understanding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 and feedback may be relevant, they situate a cognitive approach as a relatively straightforward way to address the ‘problem’ of learner emotions.

[ERP 담론]은 감정의 범위를 개별 학습자를 넘어서는 것으로 확대한다. 이 담론은 우리가 피드백과 감정의 상대성을 인식하고 감정을 피드백의 기초로 보도록 촉구한다. 단지 피드백만이 감정적인 것이 아니다. [피드백 과정 기저의 관계] 또한 감정으로 가득 차 있다. 그러한 느낌은 피드백 관행 내에서 중요한 정보를 제공하지만, ERP는 [피드백 상호 작용에 존재하는 권력 관계]를 포함하지 않는다. 

The ERP discourse expands the scope of emotions beyond the individual learner. This discourse pushes us to appreciate the relationality of feedback and emotions and see emotions as foundational to feedback. It is not just that the feedback is emotional; the relationships underpinning feedback processes are also saturated with feelings. Such feelings provide important information within feedback practices, but ERP does not include the power relations that are ever present in feedback interactions.59

[ESCM 담론]은 [문화와 위계]가 피드백과 관련된 감정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인정하면서, 전문직업적 환경 내에 감정과 피드백을 배치하는 방식으로 범위를 가장 확장한다. 이 담론에서는 [피드백 맥락(관계적, 문화적, 정서적)]이 피드백 프로세스의 중심이다. 학습자의 전문적 발전에 대한 신뢰, 보살핌 및 자신감은 교차하는 피드백-감정 콤플렉스에서 특히 중요하다.
The ESCM discourse broadens the scope furthest to place emotions and feedback within professional environments, acknowledging that cultures and hierarchies influence emotions related to feedback. In this discourse, feedback contexts—relational, cultural and affective—are central to feedback processes. Trust, care and confidence in a learner's professional development are particularly valued in the intersecting feedback–emotion complex.

이러한 발견을 바탕으로, 우리는 감정 담론의 작업을 인정하는 보건 전문 교육 내의 새로운 연구와 실천 의제를 요구한다. 그러한 의제는 [심신 이원론]과 [감정에 대한 형식적 인식]을 넘어 관계적인 것으로 나아간다. 감정을 (병리적인 것이 아니라) 불가피하게, 잠재적으로 마비되고 동기부여가 될 수 있으며, 그리고 무엇보다, 위계적 피드백과 건강 관리 환경 내에서 [관계적이고 위치적인 것relational and situated]으로 간주하는 것이 필요하다. ERP와 ESCM 모두에서 도출된 이러한 의제는 피드백, 환경 및 사회문화적 힘 역학에 내재된 관계적이고 감정적인 것으로의 인식을 향해 우리를 움직인다.

Building on these findings, we call for a new research and practice agenda within health professional education that acknowledges the work of emotion discourses. Such an agenda moves beyond mind–body dualism and tokenistic acknowledgement of emotion as relational. It takes up a call to consider emotions as inevitable (not pathological), as potentially paralysing and motivating and—importantly—as relational and situated within a hierarchical feedback and health care landscape. Drawing from both ERP and ESCM, such an agenda moves us towards an appreciation of emotions as relational and embedded within feedback, environments and socio-cultural power dynamics.

4.1 데이터 세트와 우리의 연구의 한계
4.1 Limitations of the data set and our study

감정과 피드백의 담화는 별개의 범주에 존재하지 않는다. 실제로, 대부분의 기사는 1차 및 2차, 때로는 복수의 2차 담화와 정렬될 수 있다(표 S1A 참조). 모든 지도 연습cartographic exercise은 불완전하지만 지형과 이론적 구분을 이해하는 데 유용한 발견적 방법을 제공한다. '요소를 함께 분석하고 데이터 형태의 차이를 평가함으로써 다양한 의미를 밝혀냄으로써 놀이에 관한 지식을 보다 풍부하게 이해할 수 있습니다.' 

Discourses of emotions and feedback do not exist in discrete categories. Indeed, most articles could be aligned with a primary and secondary, sometimes multiple secondary, discourses (see Table S1A). All cartographic exercises are imperfect—but they offer a useful heuristic for understanding topographical and theoretical distinctions; ‘Piecing elements together and assessing the divergences in forms of data, reveals various meanings during analysis offering a richer understanding of the knowledges at play’60 (p. 172).

우리의 분석에서, 우리는 담론이 얼마나 미끄러운지 주목했고, 저자들의 말을 해석하는 여러 가지 대화가 필요했다. 우리는 또한 감정(및 피드백)의 개념화를 [개인주의적 구조]에서 벗어나려는 저자들의 시도에 주목했다. 그러한 시도는 종종 진실하지만 충분하지 않아 모순되고, 상충적인 담론과 개념화의 뒤죽박죽으로 이어졌고, 동시에 감정을 문제적이고 불가피하며 유용한 것으로 이해하는 것을 포함했다. 대신에, 우리는 감정의 다른 개념화, 즉 담론 이론-실천 연계에 대한 명확하고 정렬적이며 비판적으로 인식할 것을 요구한다. 표 2에 제시된 담화는 이러한 목적을 위한 유용한 발견적 발견을 제공한다.

In our analyses, we noted how slippery the discourses were, requiring multiple conversations interpreting authors' words. We also noted authors' attempts to shift conceptualisations of emotion (and feedback) away from individualistic constructs. Such attempts were often sincere but not sufficient, leading to a hodgepodge of contradictory, competing discourses and conceptualisations, involving at once an understanding of emotions as problematic, inevitable and useful. Instead, we call for clear, aligned and critically aware understandings of the differing conceptualisations of emotion: the discourse-theory-practice nexus. The discourses presented in Table 2 offer a useful heuristic to this end.

4.2 피드백 및 피드백 리터러시에 대한 영향
4.2 Implications for feedback and feedback literacy


감정은 (대부분의 논문에서 개념화된 것처럼) 무시되어야 할 배경의 잡음이 아니다. 감정은 내부적일 뿐만 아니라 우리 사이의 그리고 우리 주변에 있다. 효과적인 피드백은 학습과 연습을 위해 감정을 활용하는 방법을 측정하면서 감정에 개방될 수 있습니다. 감정은 이성의 반대anathema가 아니라, (이성의) 근본이고, (이성과) 연결되어 있다. 

Emotions are not noise in the background to be ignored as conceptualised in the majority of papers; they are not merely internal but between and around us. Effective feedback can be open to emotions, gauging how to leverage them for learning and practice. Emotions are not anathema to reasoning but fundamental and connected.57, 58

우리는 보건 전문 교육학자들이 긍정적인 감정은 피드백에 좋고 부정적인 감정은 피드백에 나쁘다는 단순한 이해에서 벗어나 이 공간에서 대화를 전환해야 한다고 제안한다. 예를 들어, 불편함의 교육학은 배움에 대한 부정적인 감정의 힘을 강조한다. 수치심, 죄책감, 자존심은 주어진 환경에서 무엇을 해야 하는지 학습자에게 가르치는 강력한 친사회prosocial적 감정이다. 감정은 [무시하거나 관리해야 할 문제]라기보다는, [발굴해야 할 자원이며, 적시에 성찰적으로 사용해야 할 자원]이다.
We suggest that health professions education scholars shift the dialogue in this space away from simplistic understandings of positive emotions as good for feedback and negative emotions as bad for feedback. The pedagogy of discomfort,61 for example, highlights the power of negative emotions for learning. Shame, guilt and pride are powerful prosocial emotions that teach learners what (not) to do in given settings.62 Rather than problems to ignore or manage, emotions are resources to excavate and use reflexively in time.

이러한 변화에서, 보건 전문 교육학자는 신중하게 진행해야 한다. 왜냐하면 [피드백을 사회문화적 현상으로 개념화]할 때조차 [EP 담론]이 슬금슬금 들어오기 일쑤이기 때문이다. 그러한 좁은 의미의 감정 개념화는 피드백 관행의 범위를 좁히는 것으로 이어졌다. [비판적 교육학자]와 [감정학자]는 사회문화적 실천과 반사적 노동으로서 감정에 대한 이해에 기여했다. 그러나 보건 전문가들 사이에서 이러한 최근의 감정 개념화는 교육 피드백 문헌에서 거의 받아들여지지 않았다. 이 비판적 검토에서 보여지듯이, 대부분의 연구는 감정을 개념화함에 있어서 [감정의 이진법과 이로 인해 축소된 접근 방식]을 계속 유지하고 있지만, 이는 [이미 틀린 것이 확인]되었기 때문이다.
In making such a shift, health professions education scholars should proceed with caution, as even when feedback was conceptualised as a sociocultural phenomenon, EP discourses often crept in. Such narrow conceptualisations of emotion led to a narrowing of feedback practices. Critical education scholars63-65 and emotions scholars have contributed an understanding of emotion as socio-cultural practice and reflexive labour.60, 66 However, there has been little uptake of these more recent conceptualisations of emotion within health professions education feedback literature. As illustrated in this critical review, most studies continue to maintain debunked emotion binaries67 and concordantly reductive approaches to conceptualising emotion.

[피드백 리터러시]는, 가장 흔히 기술skill로 개념화되며, 현재 [ES 담론]과 가장 잘 일치한다. 우리는 피드백 리터러시의 개발이 피드백이 위치한 사회적 관계와 학습 환경에 의존할 것을 제안하며, 피드백 학자들이 ERP 및 ESCM 감정 담론을 채택하도록 권장한다. 이를 위해서는 [보편적 진리를 향한 실증주의적 탐색]에서 [전문화 과정으로서의 피드백과 전문적 지식 획득과 정체성 형성에 대한 감정의 중요성을 알리는 여러 교차하는 관계의 거미줄]에 대한 이해로 철학적, 방법론적 변화가 필요하다.
Feedback literacy, most often conceptualised as a skill, currently aligns best with the ES discourse. We suggest that the development of feedback literacy is dependent upon the social relations and learning environment within which feedback is situated and encourage feedback scholars to adopt ERP and ESCM discourses of emotions. This requires a philosophical and methodological shift away from positivist searches for universal truths towards an appreciation of the multiple, intersecting webs of relationships that inform feedback as a professionalising process and the importance of emotion to professional knowledge acquisition and identity formation.

5 결론
5 CONCLUSION

우리는 피드백 연구에서 감정이 불연속적으로 위치하는 다양한 방식과 피드백 관행과 보건 전문 교육에서의 경험과의 교차점을 분석했다. 우리는 감정과 피드백이 사회적으로, 그리고 담론적으로 역동적이라는 것을 발견했습니다. 보건 직업 교육에서 감정에 대한 연구는 [특정한 감정 담론은 피드백에 대한 영향을 억제한다는 것]을 인정하면서, 담론-이론-실천 연계성의 결과를 고려해야 한다. 감정 담론을 연구의 최전선에 두는 것은, 개별 학습자를 넘어 감정과 피드백 사이의 연관성에 대한 더 깊은 이해로 이어져야 한다. 우리 논문의 초대는 연구자들이 반사적 이해, 토론 및 신속한 실천 변화를 촉진하기 위해 감정과 피드백 관행이 때로는 겹치는 연설과 함께 다중 논리적으로 어떻게 이해될 수 있는지를 고려하기 위한 것이다.

We analysed the different ways emotion is discursively positioned in feedback studies and its intersections with feedback practices and experiences in health professions education. We found emotions and feedback to be socially and discursively dynamic. Research attending to emotion in health professions education should consider the consequences of the discourse-theory-practice nexus, acknowledging that chosen emotion discourses impact on feedback. Keeping emotion discourses at the forefront of research should lead to deeper appreciation of the connections between emotion and feedback, beyond individual learners. The invitation in our paper is for researchers to consider how emotion and feedback practices can be understood multi-logically with sometimes overlapping discourses in order to foster reflexive understanding, discussion and prompt practice change.

 


Med Educ. 2022 May;56(5):480-488. doi: 10.1111/medu.14700. Epub 2021 Nov 25.

Emotion as reflexive practice: A new discourse for feedback practice and research

Affiliations collapse

Affiliations

1Centre for Research in Assessment and Digital Learning, Deakin University, Melbourne, Victoria, Australia.

2School of Social Science, The University of Queensland, St Lucia, Queensland, Australia.

3Centre for Learning Innovation and Simulation at the Michener Institute, University Health Network, Toronto, Ontario, Canada.

PMID: 34806217

DOI: 10.1111/medu.14700

Abstract

Introduction: Like medicine and health care, feedback is a practice imbued with emotions: saturated with feelings relevant to one's identity and status within a given context. Often this emotional dimension of feedback is cast as an impediment to be ignored or managed. Such a perspective can be detrimental to feedback practices as emotions are fundamentally entwined with learning. In this critical review, we ask: What are the discourses of emotion in the feedback literature and what 'work' do they do?

Methods: We conducted a critical literature review of emotion and feedback in the three top journals of the field: Academic Medicine, Medical Education and Advances in Health Sciences Education. Analysis was informed by a Foucauldian critical discourse approach and involved identifying discourses of emotion and interpreting how they shape feedback practices.

Findings: Of 32 papers, four overlapping discourses of emotion were identified. Emotion as physiological casts emotion as internal, biological, ever-present, immutable and often problematic. Emotion as skill positions emotion as internal, mainly cognitive and amenable to regulation. A discourse of emotion as reflexive practice infers a social and interpersonal understanding of emotions, whereas emotion as socio-cultural discourse extends the reflexive practice discourse seeing emotion as circulating within learning environments as a political force.

Discussion: Drawing on scholarship within the sociology of emotions, we suggest the merits of studying emotion as inevitable (not pathological), as potentially paralysing and motivating and as situated within (and often reinforcing) a hierarchical social health care landscape. For future feedback research, we suggest shifting towards recognising the discourse-theory-practice connection with emotion in health professional education drawing from reflexive and socio-cultural discourses of emotion.

해부학 지식의 영향: 주장의 종합(Clinical Anatomy, 2014)
Influences on Anatomical Knowledge: The Complete Arguments
ESTHER M. BERGMAN,1,2* INGE W.H. VERHEIJEN,3 ALBERT J.J.A. SCHERPBIER,4 CEES P.M. VAN DER VLEUTEN,1 AND ANIQUE B.H. DE BRUIN1

 

 

서론
INTRODUCTION

의학교육에서 기초과학의 역할과 지위가 논의되고 있다. 기초과학은 일반적으로 [임상추론과 의학적 실천의 과학적 토대]로 정의된다. 기초과학 지식의 확고한 토대는 좋은 임상적 추론을 위해 필수적인 것으로 간주되며, [정상적인 구조와 기능에 대한 건전한 지식]은 [비정상적인 구조와 기능에 대한 적절한 이해]에 필요한 것으로 간주된다. 예를 들어, [단학제 교육]에서 [통합 학습]으로, [사실과 세부 사항]에 초점을 맞춘 교육에서 [일반적 원칙, 기전, 개념에 초점을 두는 교육으로의 기초 과학의 역할은 극적으로 변화하고 있다(Bergman and de Goeij, 2010).

The role and position of the basic sciences in medical education are under debate (Norman, 2000, 2012; Fincher et al., 2009). Basic sciences are generally defined as the scientific foundations of clinical reasoning and medical practice (Kaufman et al., 2008); a firm foundation of basic science knowledge is considered indispensable for good clinical reasoning, and a sound knowledge of normal structure and function is deemed necessary for a proper understanding of abnormal structure and function (Swanson and Case, 1997). The role of basic sciences in medical education is changing dramatically owing to shifts in educational concepts, for example, from monodisciplinary teaching to integrated learning and from a focus on facts and details to a focus on general principles, mechanisms and concepts (Bergman and de Goeij, 2010).

해부학적 지식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S ON ANATOMICAL KNOWLEDGE

오늘날 의대생들 사이에서 해부학적 지식이 감소했다는 경험적 증거는 없지만, 이러한 주장은 다음의 8가지 요인 중 하나 또는 몇 가지에 기인한다고 생각하는 저자들에 의해 문헌에서 지속적으로 강조되고 있다(표 1). 

  • (1) 의학적으로 자격이 없는 교사들에 의한 수업, 
  • (2) 핵심 해부학 커리큘럼의 부재로 인해 
  • (3) 해부를 가르치는 도구로서 사용하는 것을 줄였습니다. 
  • (4) 해부학을 맥락에 맞게 가르치는 것의 부족, 
  • (5) 통합 커리큘럼(문제 기반 학습 또는 시스템 기반 커리큘럼), 
  • (6) 해부학적 지식에 대한 부적절한 평가, 
  • (7) 해부학을 가르치는 시간이 줄었고, 
  • (8) 해부학 교육의 수직적 통합에 대한 무시 

Although there is no empirical evidence that anatomical knowledge has declined among today's medical students, the claim is persistently emphasized in the literature by authors who attribute it to one or several of the following eight factors (Table 1):

  • (1) teaching by nonmedically qualified teachers,
  • (2) the absence of a core anatomy curriculum,
  • (3) decreased use of dissection as a teaching tool,
  • (4) lack of teaching anatomy in context,
  • (5) integrated curricula (problem-based learning or systems-based curricula),
  • (6) inadequate assessment of anatomical knowledge,
  • (7) decreased anatomy teaching time, and
  • (8) neglect of vertical integration of anatomy teaching.

이 요소들은 32개의 논문(29개의 다른 제1저자)에서 추출되었으며, 그 중 9개는 해부학 부서에서 주요 직책을 맡았다. 2011년에는 의대생들의 해부학적 지식에 미치는 8가지 요인의 영향을 검증할 수 있는 경험적 증거를 찾기 위한 연구를 발표했다. 그러나 기존 문헌 내의 정보의 질은 어떤 주장을 뒷받침하기에 충분하지 않았다(표 1).

These factors were extracted from 32 articles (29 different first authors, nine of whom held their primary posts in anatomy departments (see Bergman et al., 2011). In 2011, we published a study aimed at finding empirical evidence to verify the influences of the eight factors on medical students' anatomical knowledge. However, the quality of information within the existing literature was insufficient to support any of the claims (Table 1).

 

분명히, 이러한 요인들이 갑자기 나타난 것은 아니다. 몇몇 작가들은 이 공룡들이 영향력이 있다고 언급했고, 그 기원을 설명했다. 각각의 요소 뒤에는 이야기가 있습니다. 이 리뷰를 쓰는 우리의 목적은 이러한 이야기들을 독자와 공유하는 것이다. 문헌에서 찾은 32편의 논문 저자들이 내레이션한 인식과 경험을 바탕으로 한 이야기이기 때문에 주로 인용과 일화를 통해 공유한다. 우리가 "저자"에 대해 말할 때, 우리는 그들 자신을 지칭하는 것이 아니라 그들을 지칭한다. 우리는 그 논문들의 저자들이 그 이야기에 책임이 있다는 것을 강조하고 싶으며, 이 리뷰에서 그 이야기를 서술하는 것은 우리가 그들과 동의한다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그러나, 이 리뷰에서 우리는 이 이야기가 해부학 교육의 추가 연구와 개선을 위한 중요한 소설 추천으로 이어질 수 있다고 느끼기 때문에 이야기를 충분히 탐구하기를 원한다. 비록 우리가 경험적 자료로 그들의 이야기를 뒷받침할 수는 없더라도, 우리는 그 29명의 작가들이 우리에게 말하고 있는 것에 대해 교훈이 있다고 느낀다.
Obviously, these factors did not emerge out of the blue. Several authors have cited them as influential and have described their origins. So behind each factor there is a story. Our aim in writing this review is to share these stories with our readers. Since the stories are based on the perceptions and experiences narrated by the authors of the 32 papers we found in the literature, we share them mainly via quotations and anecdotes. When we speak of “the authors,” we refer to them, not to ourselves. We wish to emphasize that the authors of those papers are responsible for the stories and our narrating them in this review does not imply that we agree with them! However, in this review we want explore the stories fully, as we feel this could lead to important novel recommendations for further research and improvement of anatomy education. We feel there is a lesson in what those 29 authors are telling us, even if we cannot underpin their stories with empirical data (yet)!

요인 1: 의료인 면허가 없는 교수자가 해부학을 가르친다.
Factor 1: Anatomy Is Taught by Nonmedically Qualified Teachers

저자들은 해부학적 지식의 감소에 대한 한 가지 설명은 해부학이 헌신적이고, 잘 훈련되고, 의학적으로 자격을 갖춘 총 해부학자들에 의해 가르쳐지는 것이 극히 드물어지고 있다는 것이라고 생각한다. 해부학 교육은 연구가 주 관심사인 교수진에 의해 제공되며, 이들은 교육을 중요한 책임이라기보다는 성가신 일, 달갑지 않은 일로 간주한다. 저자들은 교수진이 보통 연구 기술과 수입(연구 보조금)을 창출할 수 있는 잠재력을 위해 모집되고 특정 분야의 교수 수요를 충족시키지 않기 때문에 이는 놀라운 일이 아니라고 주장한다.
The authors feel that one explanation for the decline of anatomical knowledge is that it is becoming extremely rare for anatomy to be taught by dedicated, well-trained, medically qualified gross anatomists (Cahill and Leonard, 1999; Older, 2004). It is claimed that anatomy education is provided by faculty whose first interest is research and who look upon teaching as an annoyance, an unwelcome chore, rather than a key responsibility (Fraser, 1991; Halasz, 1999; Monkhouse and Farrell, 1999). The authors argue that this should come as no surprise since faculty are usually recruited for research skills and potential for generating income (research grants), and not to meet teaching needs in particular areas (Cahill and Leonard, 1999; Cahill et al., 2000).

게다가, 저자들은 교육에 전념하는 교수진들은 종종 연구 부서가 나열할 수 있는 연구 출판물의 질보다는 그 수로 측정되는 연구 생산성에 대한 불균형적인 중요성에 의해 전복된다고 말한다. "내거나 죽거나"라는 대학 풍습이 바로 그것이다. 기초과학과 임상과학 양쪽에서 교육은 (학문적 활동으로서 연구보다 가치가 낮기 때문에) 우선순위가 낮다고 한다(Older, 2004).
Moreover, the authors state that faculty who are committed to teaching are subverted by the disproportionate importance placed on productivity in research, often measured by the number rather than the quality of research publications a department can list: the university mores of “publish or perish” (Fraser, 1991; Monkhouse and Farrell, 1999). Teaching in both basic and clinical sciences is said to have low priority because, as an academic activity, it is valued less than research (Older, 2004).

의학적으로 자격을 갖춘 교사들은 무엇보다도 [가르치는 것이 아니라 환자 치료에 관심이 많다는 것]이 저자들의 또 다른 설명이다. 교육에 관심이 있더라도 바쁜 임상 서비스의 업무량과 압력에 제약을 받는 경우가 많습니다. 일부 국가에서, 이 문제는 임상적 자격을 갖춘 모든 사람이 교직을 맡는 것을 지연시키는 눈에 띄게 매력적이지 않은 급여 구조로 인해 더욱 복잡해진다(Older, 2004).
Another explanation given by the authors is that teachers who are medically qualified are first and foremost concerned with patient care and not with teaching. Even if they are interested in teaching, they are often restricted by workloads and pressures from a busy clinical service (Halasz, 1999; Raftery, 2006). In some countries, this problem is compounded by a distinctly unattractive salary structure deterring anyone with clinical qualifications from taking up teaching (Older, 2004).

Halasz (1999)는 다른 유형의 전문학교는 그들이 가르치는 전문직으로서 프랙티스practice를 하지 않는 교수진이 교육하는 커리큘럼의 거의 절반을 차지하지 않는다고 주장한다. [비의학 해부학 교사들]은 [왜 이 과목을 가르치는지] 또는 [왜 그것이 임상적 관점에서 관련이 있는지]에 대한 개념이 없다고 하기 때문에, 의학적으로 자격을 갖춘 해부학 교사의 감소는 학생들의 해부학 지식 숙달의 위협으로 저자들에 의해 저자들은 의학적으로 자격을 갖춘 해부학 교사의 감소를 보고 있다.
Halasz (1999) argues that in no other type of professional school is almost half of the curriculum (i.e., the basic sciences) taught by faculty who do not practice the profession they teach. Since nonmedical anatomy teachers are said to have no notion why the subject is taught or why it is relevant from a clinical perspective, the decline in medically qualified anatomy teachers is viewed by the authors as a threat to students' mastery of anatomical knowledge (Monkhouse, 1992; Pabst, 1992; Monkhouse and Farrell, 1999; Older, 2004; Raftery, 2006).

요인 2: 핵심 해부학 커리큘럼의 부재
Factor 2: The Absence of a Core Anatomy Curriculum

저자는 해부학 교육에 사용하는 시간이 최근 수십 년 동안 감소했다고 지적하고(인자 7 참조), 어떤 경우에는 할당된 시간 내에 해부학을 맞추려는 시도가, 의료전문직과의 연관성에도 불구하고, 해부학의 모든 측면(신체 부위, 기관 시스템 또는 배아학과 같은 주제)을 다소간 제거하도록 이끌었다. 저자들은 이것이 미래의 의사들이 안전하게 의술을 실천하는 능력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느낀다. 기록, 검사, 촉진, 타진, 청진, 영상, 수술은 모두 세포, 조직, 장기 시스템 수준에서 신체가 어떻게 구성되는지에 대한 지식을 요구한다. 시술 직전에 해부학적 사실과 사진을 찾는 것은 해부학에 대한 엄격한 지식을 대체할 수 없습니다(Auer and McDonald, 2003).
The authors indicate that the amount of time available for teaching anatomy has fallen during recent decades (see also factor 7) and, in some cases, attempts to fit anatomy within the allocated time have led to all aspects of anatomy (body regions, organ systems, or topics such as embryology) being pruned to a greater or lesser extent, notwithstanding their relevance for the medical profession (Monkhouse, 1992; Cahill et al., 2000; Older, 2004). The authors feel this directly affects the ability of future doctors to practice medicine safely. History-taking, inspection, palpation, percussion, auscultation, imaging, and surgery all require knowledge of how the body is constructed at the cell, tissue, and organ system levels. Looking up anatomical facts and pictures just before a procedure is no substitute for a rigorous knowledge of anatomy (Auer and McDonald, 2003).

앞의 주장과는 대조적으로, 임상의사들은 종종 해부학자들이 의학 실무와 관련된 해부학적 지식(예를 들어 질 높은 치료를 제공하는 방법)으로 정의하지 않고 너무 많은 세부 사항을 가르친다고 비난한다. 이러한 비판을 설명하기 위해, 학부 교육의 진정한 목적은 잊혀졌다고 주장한다: 학부 의학 교육의 산물은 의사가 "되기 위해" 훈련된 학생이다.
In stark contrast to the preceding arguments, clinicians frequently blame anatomists for teaching too many details and not what they define as the anatomical knowledge relevant to medical practice (such as how to provide high-quality care) (Pabst, 1994; Whitcomb, 2006). To explain this criticism, it is argued that the true purpose of undergraduate education has been forgotten: the product of undergraduate medical education is the student trained “to become” a physician (Fraser, 1991; Drake, 1999; Whitcomb, 2006).

저자들은 이 문제가 (국가) 핵심 해부학 커리큘럼의 부재 또는 재평가/재향성 부족 때문에 발생했다고 주장한다. 그러한 핵심 커리큘럼은 실제 임상 관련 주제를 다루고 학생들이 구조와 기능 사이의 관계를 잘 이해할 수 있도록 할 것이다. 만약 그것이 시행된다면, 교사들(기초과학 및 임상)은 학생들이 무엇을 배우기를 기대하는지 알고 그들이 그 지식을 얻도록 도울 수 있을 것이다(Bergman et al., 2011).

The authors claim this problem has arisen because of the absence, or insufficient re-evaluating/re-orientation, of a (national) core anatomy curriculum (Monkhouse, 1992; Halasz, 1999; Older, 2004; Raftery, 2006). Such a core curriculum would cover topics of real clinical relevance and equip students with a good grasp of the relationship between structure and function (Pabst, 1994; Raftery, 2006). If it were in place, teachers (basic science and clinical) would know what their students were expected to learn and would be able to help them attain that knowledge (Bergman et al., 2011).

요인 3: 해부를 교육 도구로 사용하는 것이 감소
Factor 3: Decreased Use of Dissection as a Teaching Tool

커리큘럼 개혁은 의대생들에게 주어진 해부학적 정보의 양뿐만 아니라 그것이 제시되는 형식도 변화시켰다고 저자들은 생각한다(Drake, 1999). 저자들은 오늘날의 의대생들이 다르다는 것을 인정한다. "우리 학생들의 세계는 멀티모달과 자극에 의존합니다. […] 대다수의 일반 학생들은 더 이상 '자르기', '읽기', '듣기'에만 반응할 수 없습니다." 값비싼 해부실(해부를 위한 것이든 아니든)은 임상 기술 실험실과 컴퓨터실(또는 수익을 창출하는 연구 공간)로 대체되었지만, 저자들이 가장 우려하는 것은 시체 해부라는 오랜 방법에 의한 해부 교육의 감소이다. 그들은 해부학이 이제 해부학 수업을 (기껏해야), 문제 기반 튜토리얼, 특수 학습 모듈 (학생이 선택한 구성 요소), 컴퓨터 보조 교육, 그리고 (최악의) 플라스틱 모델을 통해 배운다고 지적한다. 그들은 모델, 이미지, 그리고 오디오 비주얼의 사용이 학생들에게 실제 조직의 조사적 해부에서 오는 만큼 많은 해부학적 지식을 제공하지 못한다고 생각한다. 그러나 이 주장을 뒷받침할 실질적인 자료가 거의 없다는 것도 인정된다.
Curricular reform is thought by the authors to have altered not only the amount of anatomical information imparted to medical students but also the format in which it is presented (Drake, 1999). The authors acknowledge that today's medical students are different. “The world of our students is multimodal and stimulus dependent. […] the greater majority of average students can no longer solely respond to ‘cut,’ ‘read’ and ‘listen’” (Reidenberg and Laitman, 2002). Expensive anatomy rooms (whether or not for dissection) have been replaced by clinical skills laboratories and computer rooms (or revenue-generating research space) (Monkhouse and Farrell, 1999; Cahill et al., 2000), but what the authors consider most worrying is the increasing decline of anatomy teaching by the time-honored method of cadaveric dissection. They point out that anatomy is now taught via prosections (at best), problem-based tutorials, special study modules (student-selected components), computer-assisted instruction, and plastic models (at worst) (Raftery, 2006). They think that the use of models, images, and audiovisuals fails to provide students with as much anatomical knowledge as comes from the investigative dissection of real tissue. But it is also acknowledged that there are very few substantive data to support this contention (Cahill et al., 2000; Reidenberg and Laitman, 2002; Older, 2004).

요인 4: 해부학을 맥락 속에서 가르치지 않습니다.
Factor 4: Anatomy Is not Taught in Context

저자들의 의견으로는 해부학 교육을 표면 해부학, 살아있는 (방사선) 해부학, 임상 기술까지 확장함으로써 학생들 사이의 해부학 지식이 향상될 수 있다. 해부학은 환자의 신체 검사(예: 청진기, 복부 촉진, 말초 펄스, 인대, 근육 그룹 및 반사)와 영상의 해석(예: X선, CT, MRI, 초음파 및 스코프를 통한 최소 침습적 시각)의 맥락에서 제시되어야 한다고 생각된다. 레이덴버그와 라이트만(2002)은 해부학 프로그램이 "물질의 통합과 학제간 교육과 학습을 위한 집"의 최전선이 되어야 한다고 말하는 반면, 몽크하우스(1992)는 그러한 통합 없이는 "의대생들이 해부학을 연구해야 하는 직업적 필요성에 대한 근거를 발견하는 것"이 불가능하다고 주장한다. 또한, 저자들은 맥락에서의 교육이 임상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해부학적 지식을 사용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고 제안한다. "학생들이 배우는 개념을 임상적 문제를 이해하고 설명하는 데 적극적으로 적용하지 않는 한, 그 지식은 비활성 상태로 남아 곧 잊혀질 것이다."(Norman, 2007).

Anatomical knowledge among students can, in the opinion of the authors, be enhanced by extending anatomy education to surface anatomy, living (radiological) anatomy, and clinical skills. It is felt that anatomy should be presented in a context of physical examination of patients (e.g., stethoscope, abdominal palpation, peripheral pulses, testing of ligaments, muscle groups, and reflexes) and interpretation of images (e.g. X-rays, CT, MRI, ultrasound, and minimally invasive views through scopes) (Monkhouse, 1992; Pabst, 1992; Reidenberg and Laitman, 2002; Older, 2004; Raftery, 2006). Reidenberg and Laitman (2002) even state that anatomy programs “must be at the forefront of integration of material and a home for interdisciplinary teaching and learning,” while Monkhouse (1992) argues that without such integration it is impossible to “see any grounds for the vocational necessity for medical students to study any anatomy.” Additionally, the authors suggest that teaching in context can mean using anatomical knowledge to solve clinical problems: “unless students actively apply the concepts they are learning to understanding and explaining clinical problems, the knowledge will remain inert and will be soon forgotten” (Norman, 2007).

요인 5: 통합 커리큘럼(문제 기반 학습 또는 시스템 기반 커리큘럼)
Factor 5: Integrated Curricula (Problem-Based Learning or Systems-Based Curricula)

오늘날 일부 의과대학은 기초 의학에 대한 공식적인 교육을 대부분 포기하고 학생들이 문제 기반 학습(PBL) 접근 방식만을 통해 이러한 중요한 영역을 탐색하도록 남겨두었다. 저자들은 이것이 학생들의 해부학적 지식에 두 가지 방식으로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우려한다.
Some medical schools today have largely abandoned the formal teaching of basic medical sciences, leaving students to explore these crucial areas through the problem based learning (PBL) approach alone (Williams and Lau, 2004). The authors fear this will affect the students' anatomical knowledge in two ways.

첫째, 저자들은 일부 지역에서는 자기 주도 학습이 교수자가 학습자에 대한 책임을 포기하는 단순한 구실이 되었다고 주장한다(Monkhouse and Farrell, 1999). 또한 PBL은 유능한 교사가 촉진자(종종 해부학적으로 훈련되지 않은 비의학 과학자; 요인 1 참조)로 대체될 수 있으므로 학생들이 영감을 주고 지식이 풍부한 멘토와의 접촉을 박탈하여 해부학적 지식을 덜 습득할 수 있다고 여겨진다. 둘째, 저자들은 PBL이, 학생이 해부학적 정보의 수용된 본문을 학습해야 한다는 사실을 무시하기 때문에, 기본적인 과학적 지식을 습득하는 비논리적이고 비효율적인 방법이라고 주장한다 (Williams and Lau, 2004). 학생들이 호기심과 실험을 통해 이러한 지식을 얻도록 요구하는 것은 귀중한 시간과 자원의 낭비이다.

First, the authors argue that in some places, self-directed learning has become a mere excuse for staff to abandon their responsibilities to students (Monkhouse and Farrell, 1999). It is also felt that PBL can lead to competent teachers being replaced by facilitators (often anatomically untrained nonmedical scientists; see also factor 1), thereby depriving students of contact with inspirational and knowledgeable mentors, so they acquire less anatomical knowledge (Cahill et al., 2000; Williams and Lau, 2004; Fasel et al., 2005). Second, the authors argue that PBL is an illogical and inefficient way to acquire basic scientific knowledge (Williams and Lau, 2004) because it ignores the fact that the student must simply learn an accepted body of anatomical information; requiring students to gain this knowledge through curiosity and experiment is a waste of valuable time and resources (Monkhouse and Farrell, 1999).

몽크하우스와 파렐(1999)은 장기계통 기반 교육이 학생들이 전신의 해부학에 대한 일관된 견해를 얻는 것을 막을 수 있다는 위험성을 더욱 지적했다. 시스템 기반 교육에서, 해부학은 전체 유기체와 무관하게 작은 부분으로 가르치기 때문에, 불가피하게 학생들은 그 분야에 대한 단편적인 지식만 갖게 된다. 저자들은 의사들이 인체 해부학에 대한 건전한 실무 지식을 가져야 한다는 것은 자명하다고 생각한다; 최악의 경우, 그들은 신체의 부분, 다른 부분과의 관계, 그리고 신체 표면에 대한 그들의 관계, 그리고 개입이 필요할 때 어떻게 그들이 안전하게 접근할 수 있는지에 대한 지식에 의해 불이익을 받지 않을 것이다.

Monkhouse and Farrell (1999) further point to the danger that systems-based teaching can prevent students from gaining a coherent view of the anatomy of the whole body. In systems-based teaching, anatomy is likely to be taught in small segments with no regard to the whole organism, inevitably leaving students with only fragmented knowledge of the discipline. The authors consider it self-evident that doctors should have a sound working knowledge of human anatomy; at the very worst, they will not be disadvantaged by knowledge of the parts of the body, their relationships to another and to the body surface, and how they can be approached safely when intervention is necessary.

요인 6: 해부학적 지식을 평가하는 방법
Factor 6: The Way Anatomical Knowledge Is Assessed

저자들은 해부학적 지식이 불충분하게 평가되어 잘 유지retained되지 않는다고 반복해서 말한다. 실용성의 이유로 (해부학) 시험에 대한 문제들이 점점 더 다양해지고 있는 것으로 느껴지는데, 이 시험은 오답 보기를 제거하는 전문성 때문에 잘 하는 "시험보기 능력자"들이 종종 잘 보는 경우가 많다. 또한, 저자들은 평가되는 각 분야의 최소 역량에 대한 요구사항이 없어질 것을 우려하고 있다: "[USMLE] Step 1 Examination에서 직접적인 해부학 문제가 몇 개밖에 없는데 왜 학생들이 전체 해부학을 배워야 하는가?" (Cahill and Leonard, 1999) "해부학에서 정말 어려운 시험이 있어야 하며, 이것은 지원자들이 환자들에게 연습을 시작하기 전에 그들의 해부를 확실히 알기 위한 매우 초기 단계여야 합니다." (래터리, 2006)

The authors repeatedly state that anatomical knowledge is assessed inadequately, so it is poorly retained. It is felt that for reasons of practicality, questions on (anatomy) tests are increasingly of the multiple choice variety, in which good “power-test takers” often do well because of their expertise in eliminating distracter items (Cahill and Leonard, 1999; Paalman, 2000; Ellis, 2002; Older, 2004; Raftery, 2006; Turney, 2007). Furthermore, the authors fear the requirement for minimal competence in each of the disciplines tested is being eliminated (Ellis, 2002; Raftery, 2006; Purkayastha et al., 2007): “why should students learn gross anatomy anyway when there are only a few direct anatomy questions on the [USMLE] Step 1 Examination?” (Cahill and Leonard, 1999). “There should be a really tough examination in anatomy and this should be at a very early stage to be certain that candidates know their anatomy before they start practicing on patients” (Raftery, 2006).

요인 7: 해부학 수업 시간 감소
Factor 7: Decrease in Anatomy Teaching Time

저자들은 최근 수십 년 동안 과학 지식의 폭발로 인해 의료 행위와 관련된 잠재적인 과학적 정보의 양이 강사나 학생들이 학습하기에 너무 많아졌다고 말했다. 기초과학과 임상의학의 관련성은 과정 시간의 단축과 의료 교육의 강조의 변화에 직면하여 불가피하게 재평가되고 있다고 한다(Drake, 2002). 이 문제를 다루기 위한 커리큘럼 개정이 모든 수준의 해부학 교육자들에게 계속 도전하고 있다고 주장한다. 해부학 커리큘럼에 포함할 과목에 대한 선택은 분명히 이루어져야 했지만, 저자들은 이러한 선택이 해부학을 너무 많이 또는 너무 적게 가르쳤다고 생각한다.
The authors stated that the explosion of scientific knowledge during recent decades has made the amount of basic scientific information with potential relevance to medical practice too large for instructors to teach or for students to learn. The relevance of basic sciences to clinical medicine is said to be undergoing re-evaluation, inescapable in the face of reduced course hours and the shifting emphases of medical education (Drake, 2002). It is argued that curricular revision to deal with this problem continues to challenge educators in the anatomical sciences at every level (Carmichael et al., 2002). Clearly, choices about which subjects to include in the anatomy curriculum had to be made, but the authors feel that these choices have led to the teaching of either too much or too little anatomy (see Factor 2).

요인 8: 해부학 교육의 수직적 통합의 무시
Factor 8: Neglect of Vertical Integration of Anatomy Teaching

기초과학 교육은 임상 전 커리큘럼의 큰 부분을 차지한다(Norman, 2007). 안타깝게도 수직적 통합이 임상적으로 가치 있는 기초과학만 가르치도록 돕는다고는 하지만, 그것은 흔히 단방향성으로만 존재한다. 임상 주제는 의학 커리큘럼의 초기 단계(전통적으로 기초과학 교육을 위한 시간표)에 정기적으로 통합되지만, 기초과학을 임상실습 학년에 교육하는 것은 훨씬 드물다. 이러한 개혁으로 인해 (일부에서는 25년 동안 50% 이상 감소했다고 주장하지만) 해부학 교육의 내용(요소 2와 7 참조) 둘 다 시간이 단축되었으며, 이는 전통적인 교수법의 실험실 부분에서 가장 급격한 감소로 이어진 것으로 보인다. 저자들은 학부 총 해부학 교수법이 세계적으로 쇠퇴하고 있으며, 진자가 너무 심하게 흔들려 해부학 교수법이 의학 교육에서 완전히 사라질 위기에 처했을 수 있다고 우려한다. 그래서 해부학 교육의 수직적 통합을 소홀히 하는 것은 총 해부학 교육의 감소를 초래하고, 이는 다시 학생들의 해부학 지식 부족을 초래한다.

Basic science teaching takes up a huge proportion of the preclinical curriculum (Norman, 2007). Unfortunately, although vertical integration is said to help ensure that only clinically valuable basic science is taught (Monkhouse and Farrell, 1999), the authors often experience it as unidirectional. While clinical topics are regularly integrated into the early years of medical curricula (traditionally the time slot for basic science teaching), it is much less common for basic sciences to be taught in later years (traditionally clinical teaching time) (McCrorie, 2000). It is felt that this reform has led to reductions in both the time for (some claim reductions of more than 50% over 25 years) and the content of anatomy education (see also Factors 2 and 7), the most drastic cut being in the laboratory parts of traditional teaching (Cahill and Leonard, 1999; Monkhouse, 1992; Older, 2004). The authors state that undergraduate gross anatomy teaching is in decline worldwide, and it is feared that the pendulum could have swung too far, putting anatomy teaching in danger of disappearing completely from medical education (Fasel et al., 2005; Raftery, 2006). So, neglect of vertical integration of anatomy teaching leads to a decline in gross anatomy teaching, which in turn leads to deficiencies in students' anatomical knowledge.

이에 대응하기 위해 저자들은 전체 의학 커리큘럼(교육과정 후반에 통합된 생물의학에서 도출된 내용)에 걸쳐 더 많은 해부학이 통합되어야 한다고 권고한다. 이것은 또한 [학습이란 새로운 지식을 기존 지식에 통합하는 것으로 구성된다(scaffolding)]는 인지심리학의 근본적인 아이디어에 대한 교육을 적응시킬 것이라고 명시되어 있다. 모든 것을 한꺼번에 가르칠 필요는 없다(Norman, 2007). 피츠제럴드(1992)가 말했듯이: "[…] 시간 제약으로 인해 많은 임상 관련 요점들이 해부학 강좌에서 누락되어야 합니다. 이 딜레마에서 벗어날 수 있는 유일한 방법은 수직적 통합을 통해 임상의가 각 해부학적 공을 차례대로 집어내는 것이다."

To counteract this, the authors recommend that more anatomy should be integrated throughout the entire medical curriculum (content drawn from the biomedical sciences integrated into the later years of the curriculum) (Beaty, 1990; Older, 2004; Whitcomb, 2006). It is stated that this will also adapt education to the fundamental idea from cognitive psychology that learning consists in the integration of new knowledge into existing knowledge (scaffolding); there is no need to teach everything all at once (Norman, 2007). As Fitzgerald (1992) puts it: “[…] many clinically relevant points have to be omitted from the anatomy course owing to time constraints. The only way out of this dilemma (it seems to me) is by way of vertical integration, whereby clinicians pick up each anatomical ball in turn”.

토론 및 권장 사항
DISCUSSION AND RECOMMENDATIONS

우리는 8가지 요인(표 1에 나열)이 의대생들 사이의 해부학적 지식의 감소에 기여했다는 여러 저자들의 주장을 설명했다. 우리의 2011년 검토에서는 이러한 주장을 뒷받침할 경험적 증거가 발견되지 않았으며, 우리는 문맥, 수직적 통합 및 평가 전략에서의 교수 구현에 대한 추가 연구를 권고했다(Bergman et al., 2011). 다음과 같은 추가 권장 사항은 요인 뒤에 숨겨진 이야기에 대한 현재 검토 중에 광범위한 탐색에서 비롯된다. 첫 번째와 두 번째 권장 사항 - 교수에 대한 인지도를 높이고 해부학자의 전문적 인지도를 높이는 -은 최근 문헌에서 다른 저자들의 지지를 얻고 있다. 세 번째 권장 사항은 보다 혁신적입니다. 해부학자들이 교육적 연구에 참여하도록 장려하는 것이다.

We have described the arguments of different authors that eight factors (listed in Table 1) have contributed to the decline of anatomical knowledge among medical students. Our 2011 review revealed no empirical evidence to support these claims, and we recommended further research on the implementation of teaching in context, vertical integration, and assessment strategies (Bergman et al., 2011). The following additional recommendations arise from our extensive exploration during the present review of the stories behind the factors. The first and second recommendations—increasing recognition for teaching and enhancing the professional recognition of anatomists—find support from other authors in the recent literature. The third recommendation is more innovative: to encourage anatomists to participate in educational research.

교수에 대한 인정
Recognition for Teaching

만약 교육이 아카데믹한 가치를 더 많이 인정받는다면, 교사들은 다음의 개발 및/또는 구현에 더 많은 시간과 돈을 투자할 수 있을 것이다. 자신의 해부학적, 임상적 지식과 교육적 기술(인자 1), 핵심 해부학 커리큘럼(인자 2), 다양한 교육 방법(인자 3), 맥락적 교육(인자 4), 평가 전략(인자 6), 수직적 통합(인자 8)이 그것이다.

If teaching received more recognition for its academic value, teachers would have more time and money to invest in the development and/or implementation of: their own anatomical and clinical knowledge and didactic skills (Factor 1), a core anatomy curriculum (Factor 2), different teaching methods (Factor 3), teaching in context (Factor 4), assessment strategies (Factor 6), and vertical integration (Factor 8).

[의대생에게 해부학을 가르치는 것]은 [기초 과학자를 위한 연구 활동]이나 [임상의사를 위한 환자 치료 의무(및 연구 과제)]와 떼어둘 수 없다. 의과대학들은 의과대학 학생들이 의사가 되기 위해 더 진지하게 준비할 책임을 지도록 촉구한다. 대부분의 의과대학에서 결정적이지만 불행하게도 잘 발달되지 않은 분야는 [인적 자원 관리와 교수 업적의 보상]이다. 기초과학과 임상과학의 교육은 학문적 활동으로 평가받지 못하고 결과적으로 낮은 우선 순위를 받는다. 보상에 대한 선택(홍보, 공간, 기부 의자 등)은 교육 및 임상 역량이 아닌 출판물 수와 보조금 기금에 거의 전적으로 기초한다.

Teaching (anatomy to) medical students is almost invariably combined with research activities for basic scientists or patient care duties (and research tasks) for clinicians (Ten Cate et al., 2011). Medical schools are urged to take their responsibility for preparing medical students to become doctors more seriously (Fraser, 1991). A crucial but unfortunately poorly developed area in most medical schools is human resource management and the rewarding of teaching accomplishments (Bergman and de Goeij, 2010). For academic staff, there is a strong emphasis on research targets, whereas teaching in both basic and clinical sciences is less valued as an academic activity and consequently receives low priority (Older, 2004). Selection for rewards (promotions, space, endowed chairs, etc.) is almost exclusively based on the number of publications and grant funding, not on teaching and clinical competence (Cahill and Leonard, 1999; Fasel et al., 2005).

학부 및 기관의 문화에 교육이 가치있게 여겨지고, 장려되며, 내면화될 필요가 있다. (해부학) 교육의 미래 발전과 개선은 우수하고 열정적인 교사들과 교육자들이 그들의 기관의 교육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해 기꺼이 노력함으로써 성취될 수 있다(Bergman and de Goeij, 2010). "교사는 훈련을 받아야 하고, 좋은 교사는 생산적인 연구원들과 마찬가지로 보상을 받아야 하며, 가난한 교사는 상담을 받아야 한다."

Teaching needs to be valued, encouraged, and internalized into the culture of the department and institution (Ten Cate et al., 2011). Future developments and improvements in (anatomy) education can only be accomplished by rewarding excellent and enthusiastic teachers and educationalists willing to work to improve the quality of education in their institution (Bergman and de Goeij, 2010). “Teachers should be trained; good teachers should be rewarded, as are productive researchers; and poor teachers should be counseled” (Monkhouse, 1992).

교수 성과를 보상하지 못하는 것은 부분적으로 의학 교육자로서 성공하기 위해 필요한 복잡한 기술을 인식하지 못했기 때문일 수 있다. 최근의 문헌에는 교육학 및 기타 학습 관련 활동에 대한 학문을 입증하는 데 초점을 맞춘 교육학에 대한 흥미로운 출판물이 포함되어 있다. 과거 기관들이 개인의 학술적 성취를 평가하는 학술활동의 주요 기준은 연구, 과학적 결과에 대한 동료평가, 새로운 지식의 보급이었다. 그러나 의학교육의 혁신, 발전, 변화는 그들의 연구와 환자 치료 임무 외에도 많은 의과대학에서 [교육적 사명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을 증가시켰다. 결과적으로, 학술활동의 정의가 넓어지면서, 각각의 보상 시스템의 상응하는 변화와 함께 나타났다. 가르치는 것은 학문적인 행위일 수 있지만, 심지어 많은 일류 학술 기관들에서도 모든 가르침이 학문적인 것은 아니다. 

The failure to reward teaching accomplishments could in part be due to failure to recognize the complex skills necessary to succeed as a medical educator. The recent literature contains interesting publications on scholarship in education, focusing on demonstrating scholarship in teaching and other learning-related activities (in contrast to educational research, which can be assessed and rewarded using the same types of evidence as basic science or clinical research) (Turner et al., 2012). In the past, the main criteria for scholarly activities by which institutions evaluated individuals' academic progress were research, peer review of scientific results, and dissemination of new knowledge (Srinivasan et al., 2011; Turner et al., 2012). However, innovation, development, and changes in medical education have entailed a growing appreciation of the importance of the educational mission at a number of medical schools, besides their research and patient care missions (Pawlina and Drake, 2010; Turner et al., 2012). In consequence, broader definitions of scholarship have emerged along with corresponding changes in the respective reward systems (Turner et al., 2012). Teaching can be a scholarly act, but even in many top academic institutions not all teaching is scholarly (Beckman and Cook, 2007).

지속적인 학술활동 기록이 학계에서 발전의 기초가 되기 때문에, 교수학자들의 연구를 구현하고 평가하기 위해 교수에 대한 학술활동 평가 기준을 정의하기 위한 다양한 이니셔티브가 발표되었다. 학술적 가르침은 학생들의 자기지식을 변화시키고 확장시켜야 하며, 대중에게 공개되어야 하며, 검토의 대상이 되어야 하며, 다른 교육자들과 교류할 수 있어야 한다는 데 동의한 것 같다(Beckman and Cook, 2007). [가르치는 것과 배우는 것을 위한 학술활동에 참여하는 것]은 해부학자들이 그들이 제공하는 교육적 제품이 품질을 가지고 있고 학생, 기관, 그리고 전문 커뮤니티에 의해 가치를 인정받는 것을 확실히 하기 위한 바람직한 단계로 보인다. 이 검토의 범위를 넘어 실용성에 대해 더 자세히 논의하지만, 우리는 핀처와 동료들(Turner 등, 2012)과 Simpson 등(2007)을 관심 있는 모든 사람이 더 많이 읽을 수 있는 출발점으로 추천할 것이다.

Since a sustained record of scholarship is the foundation for advancement in academia, various initiatives to define criteria for evaluating scholarship in teaching have been published, in order to implement and assess teaching scholars' work (e.g. (Whitcomb, 2003; Moses et al., 2006; Simpson et al., 2007; Fincher et al., 2009; Turner et al., 2012). There seems to be agreement that scholarly teaching must

  • transform and extend students' self-knowledge,
  • be open to the public,
  • be subjected to review, and
  • be accessible for exchange with other educators (Beckman and Cook, 2007).

To engage in scholarship for teaching and learning seems a desirable step for anatomists to ensure that the educational product they deliver has quality and is valued by students, institutions, and professional communities (Srinivasan et al., 2011). It goes beyond the scope of this review to discuss the practicalities further, but we would recommend Fincher and colleagues (Turner et al., 2012) and Simpson et al. (2007) as a start for further reading for anyone interested.

해부학자가 되기 위한 훈련: 전문적 인식 제고
Training to Become an Anatomist: Enhancement of Professional Recognition

해부학자가 되기 위해 공인된 훈련 프로그램을 이수해야 한다면, 전문 그룹으로서 해부학자들은 더 큰 인정을 받게 될 것이다. 그것은 또한 더 넓은 범위의 사람들이 해부학 분야에서 직업을 추구하도록 영감을 줄 가능성이 높으며, 특히 가르치는 것에 주된 관심이 있는 사람들에게도 영감을 줄 것이다. 그것은 또한 해부학자들에게 관리, 교육, 연구에서의 행동과 결정의 질을 향상시켜줄 것이다.
If becoming an anatomist requires completion of an accredited training program, anatomists as a professional group will gain greater recognition. It is also highly likely that it will inspire a wider range of people to pursue careers in anatomy, especially those whose principal interest lies in teaching. It will also give anatomists a much more solid base for, and therefore improve the quality of, actions and decisions in management, education, and research.

많은 나라들은 해부학에서 국가적으로 승인된 훈련 프로그램이 부족하다. 예를 들어, 네덜란드에서, 원하는 사람은 누구나 해부학자라고 부를 수 있다. 이 직함은 일반적으로 해부학 부서에서 자리를 얻자마자 사용됩니다. 영국, 미국, 호주, 뉴질랜드에서도 비슷한 상황이 발생한다. "아나토미스트"라는 직함이 인정된 전문적 자격에 기초하지 않고 결과적으로 존경/명예 또는 매력적인 급여 구조를 가지고 있지 않다는 사실은 여전히 남아 있다. 게다가, 해부학 교육의 현재 상태에서는, 그 과목에 대한 경험이 거의 없는 사람들은 종종 그들에게 실질적으로 알려지지 않은 영역에서 조치를 취하고 결정을 내려야 한다. 
Many countries lack a nationally endorsed training program in anatomy. In the Netherlands, for example, anyone who wishes can call themselves an anatomist. The title is generally used as soon as a position in an anatomy department is acquired. Similar situations obtain in the UK, USA, Australia, and New Zealand. The fact remains that the job title “anatomist” is not founded on an acknowledged professional qualification and consequently carries no regard/prestige or attractive salary structure. Moreover, in the present state of anatomy education, people with little experience of the subject often have to take action and make decisions in areas that are practically unknown to them.

그러나 일부 국가에서는 엄격한 훈련 프로그램을 수료한 사람에게만 해부학자라는 칭호를 수여한다. 예를 들어 독일에서는 (수의학) 의대 졸업자들이 외과나 산부인과 대학원 교육과 비슷하게 "해부학 전문의"가 되기 위해 여러 기관의 훈련 프로그램에 참가할 수 있다. 생물의학 졸업생들을 위해, 독일 해부학 협회는 "전문 해부학자"가 되기 위한 프로그램을 제공한다. 이 프로그램들은 해부학, 배아학, 조직학, 그리고 신체 기증과 시체 보존에 대한 지식을 포함한다. 그들은 시체 해부와 조직학적 고정, 절단, 색칠에 대한 기술 훈련을 제공한다. 훈련을 마쳤다는 것은 봉급이 오르고 해부학부에서 영구적인 지위를 얻을 수 있는 더 좋은 기회를 의미한다. 그러나 앞서 언급한 모든 훈련 프로그램은 [생물의학 연구]에 대한 참여에 초점을 맞추고 있고, [교육 기술]에 대해서는 일반적으로 무시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However, in some countries, the title “anatomist” is only awarded to those who have completed a rigorous training program. In Germany, for example, (veterinary) medical graduates can enter training programs in several institutions to become “medical specialists in anatomy,” similar to postgraduate training in surgery or gynecology. For biomedical graduates, the German Anatomical Society offers a program to become a “professional anatomist.” These programs cover knowledge of (radiological) anatomy, embryology, and histology, and also body donation and cadaver preservation. They offer skills training in cadaver dissection and histological fixation, cutting and coloring. Completion of training means a rise in salary and a better chance of a permanent position in an anatomy department. However, all the aforementioned training programs focus on participation in biomedical research, showing a general neglect of educational skills.

현재 문헌에서는 해부학 분야에서 경력을 쌓기를 원하는 교사들의 전망을 개선하는 데 거의 관심이 없다. 인도와 나이지리아에서의 연구 결과는 [직업적 기회와 적절한 연구 시설의 부족]이 해부학과 같은 비임상 교수 전공을 임상 전공보다 거리어로서 훨씬 덜 매력적인 선택지로 만든다는 것을 보여준다. 해부학자가 되는 것에 관심이 있는 인도 학생들이 공식적인 교수 과정에 대한 소망을 표명한 것은 놀라운 일이다(Anand et al., 2004).

In the current literature, scant attention is paid to improving the prospects of teachers who wish to pursue a career in anatomy. Results from studies in India and Nigeria show that scarcity of job opportunities and of adequate research facilities make nonclinical teaching specialties such as anatomy far less attractive as career options than clinical specialties (Anand et al., 2004; Onakpoya et al., 2009). It is striking that Indian students interested in becoming anatomists expressed a wish for a formal course in teaching (Anand et al., 2004).

우리는 국가 해부학 협회가 자국의 해부학 부서와 협의하여 해부학자들을 위한 공인된 훈련 프로그램을 설치하는 것이 현명하다고 생각한다. 그러한 프로그램은 의학을 전공한 학생들에게 개방되어야 한다. 이상적으로, 훈련은 학생들이 해부학 부서에서 자리를 차지하는 파트타임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프로그램은 최소한 학생들의 해부학적 지식, 해부 및 시체 보존 기술, 그리고 마지막으로 교육 지식과 기술에 초점을 맞추어야 한다. 훈련은 또한 해부학자들이 교육과 연구 모두에서 의료 및 생물의학 직원들과 함께 작업한다는 것을 고려해야 한다. 원하는 경우, 학생들은 생물의학 또는 교육 분야에서 박사 학위를 취득하는 동안 해부학 훈련을 받을 수 있어야 한다.

We feel it would be wise for national anatomical associations, in consultation with the anatomy departments of their countries, to set up accredited training programs for anatomists. Such programs should be open to students with degrees in (bio)medical studies. Ideally, training should be part-time, with students holding a position in an anatomy department. Programs should at least focus on increasing students' anatomical knowledge, on skills in dissection and preservation of cadavers, and last but not least, on educational knowledge and skills. Training should also take into account that anatomists work together with medical and biomedical staff in both education and research. If desired, students should be able to train in anatomy while working toward a PhD in the biomedical or educational field.

교육 업무과 해부학자라는 직업에 대한 더 많은 인정이 있을 때, 해부학 부서는 [연구는 잘하지만, 교육은 잡일로 간주하는 교수진]을 고용할 필요가 없을 것이다. 또한, 그들은 현재 자주 일어나는 것처럼 그 자리를 차지하기 위해 은퇴한 임상의에게 의존할 필요가 없을 것이다. 왜냐하면 구인광고는 상당한 수의 적합한 지원자들을 끌어들일 수 있기 때문이다.

When there is more recognition for teaching and for the profession of anatomist, anatomy departments will be unlikely to have to hire more faculty who are great researchers but regard teaching as a chore. Also, they will not have to rely on retired clinicians to take up those position as often happens at present, because job advertisements might then attract a significant number of suitable applicants.

교육연구 참여
Participation in Educational Research

우리는 각 해부학 부서가 학습 이론과 원칙을 탐색하고, 교육 문헌에 정통하며, 교육 연구에 참여/수행하고, (국제) 교육 회의에 참석할 의향이 있는 (그리고 가능한) 해부학 교사 약 2명을 임명해야 한다고 제안한다. 이러한 방법을 통해, 교육 기술의 개발 및/또는 구현, 핵심 해부학 커리큘럼(요소 2)과 다른 교육 방법(요소 3)과 맥락에서의 교육(요소 4), 평가 전략(요소 6), 수직 통합(요소 8)은 증거에 기초하여 이론에 의해 알려지고 목적적 평가를 받을 수 있다.
We suggest that each anatomy department should appoint about two anatomy teachers (not educationalists!) who are willing (and enabled) to explore learning theories and principles, keep abreast of the educational literature, participate in/perform educational research, and attend (inter)national educational conferences. By these means, the development and/or implementation of didactic skills, a core anatomy curriculum (Factor 2), different teaching methods (Factor 3), teaching in context (Factor 4), assessment strategies (Factor 6), and vertical integration (Factor 8) can be informed by theory, based on evidence, and subjected to purposeful evaluation.

우리는 해부학자들이 해부학 교육을 인수받는 것이 아니라, 해부학자들이 교육 연구에 참여해야 한다는 것을 강조하고 싶습니다. 일부 해부학자들은 이미 교육 과정의 소유권을 교수진으로부터 교육 과정 위원회에 빼앗겼다고 느낀다. 그 후, "무엇을 어떻게 가르치고 있는가"에 대한 그들의 결정은 의대생들의 해부학적 지식에 부정적인 방식으로 영향을 미친 것으로 비난 받는다.
We want to stress that anatomists should engage in educational research, not that educationalists should take over anatomy education. Some anatomists already feel that ownership of the curriculum has been taken away (hijacked) from the teaching faculty to (or by) the curriculum committee. Subsequently, their decisions on “what is being taught and how” are blamed for influencing the anatomical knowledge of medical students in a negative way.

의과대학에서 해부학과는 보통 가장 많은 교수량을 가진 학과 중 하나이다. 그러나 해부학 부서 내의 연구 관심사는 교육적 지향보다는 생의학적 지향을 더 가지고 있다. 또한 해부학과의 직원과 경영진의 배경 때문에 명확한 교육 전략이 없는 경우가 많습니다.

In medical schools, the anatomy department is usually one of those with the highest teaching load. However, research interests within an anatomy department are more often biomedically than educationally directed. Also, owing to the background of staff and management in an anatomy department, a clear educational strategy is often absent.

일부 해부학 교실에서는, 교육이 그들의 핵심 사업이자, "존재의 이유"이지만 안타깝게도 해부학 교사들이 교육 연구에 관심을 나타낼 때 눈살을 찌푸리는 것은 드문 일이 아니다. 놀라운 일이다. 연구 및 진료소에서 상대방의 정기적인 임무에는 최신 문헌 읽기, 최신 접근, 개발 및 이론에 대한 지향, 적절한 경우 기존 습관을 새로운 습관으로 대체하고 비판적인 동료 검토에 그들의 작업을 제출하는 것이 포함된다는 것은 자명하다. 의학에서 [증거 기반 실천]은 널리 받아들여지고 있으며 "[…] 개별 환자의 치료에 대한 결정을 내릴 때 현재 최선의 증거를 양심적이고 명시적이며 현명하게 사용하는 것"으로 정의되어 왔다(Sackett et al., 1996). 이와는 대조적으로, "최고의 증거에 기초한 교육의 방법과 접근방식을 교사들의 실무에 의해 구현"하는 "최고의 증거 의학 교육"은 매우 드물게 구현된다.

For some anatomy departments, teaching is their core business, their “raison d'être,” but unfortunately it is not uncommon for anatomy teachers to be frowned upon when they express interest in educational research. This is remarkable: it is self-evident that the regular duties of their counterparts in research and the clinic include reading the latest literature, being oriented toward the latest approaches, developments and theories, replacing existing habits with new ones when appropriate, and submitting their work to critical peer review (van der Vleuten et al., 2000). In medicine, evidence-based practice is widely accepted and has been defined as “[…] the conscientious, explicit and judicious use of current best evidence in making decisions about the care of individual patients” (Sackett et al., 1996). In sharp contrast, Best Evidence Medical Education, defined as “the implementation, by teachers in their practice, of methods and approaches to education based on the best evidence available” (BEME-Group. 2000), is very rarely implemented.

결론들
CONCLUSIONS

경험적 증거가 없음에도 불구하고, 8가지 요인들이 오늘날 의대생들 사이에서 해부학적 지식의 감소를 야기시킨다고 종종 비난 받는다. 수십 년 동안 이러한 감소에 대한 불만이 있었기 때문에, 해부학적 지식 수준이 떨어졌다는 인식이 세대 갈등에서 발생한다고 제안한다. 그러나, 진실을 밝히기 위해 더 많은 연구가 필요하다.
Despite the absence of empirical evidence, eight factors are often blamed for causing the decline in anatomical knowledge among today's medical students. Since there have been complaints about this decline for decades, we suggest that the perception that anatomical knowledge levels have fallen arises from a generation conflict (Bergman et al., 2011); however, further research is necessary to determine the truth.

비록 그 범위에 대한 다른 의견들이 있지만, 의대생들은 해부학적 지식 없이는, 결과적으로 해부학 교육 없이는 절대 할 수 없다는 일반적인 의견들이 있다. 기관 내에서의 교수 업적, 해부학의 국가 훈련 프로그램, 그리고 그들 부서 내의 해부학자들이 교육, 학습 및 교육 연구에 참여하기 위한 헌신적인 시간에 대한 인식을 증가시키는 것은 획득, 보존 및 전달에 기여하는 요소를 식별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해부학적 지식 및 해부학 교육이 가능한 한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방법에 대한 집중력을 높입니다.

Although there are different opinions regarding its scope, there is a general consensus that medical students definitely cannot do without anatomical knowledge, and consequently without anatomy education. Increasing recognition for teaching accomplishments within an institution, a national training program in anatomy, and dedicated time for anatomists within their departments to involve themselves in the science of teaching, learning, and educational research, could help to identify factors contributing to the acquisition, retention, and transfer of anatomical knowledge and increase the focus on how anatomy education can be made as effective as possible.

 


Clin Anat. 2014 Apr;27(3):296-303. doi: 10.1002/ca.22341. Epub 2013 Dec 19.

Influences on anatomical knowledge: The complete arguments

Affiliations collapse

Affiliation

1Department of Educational Development and Research, School of Health Professions Education, Maastricht University, Maastricht, The Netherlands; Department of Anatomy, Radboud University Medical Centre Nijmegen, Nijmegen, The Netherlands.

PMID: 24357119

DOI: 10.1002/ca.22341

Abstract

Eight factors are claimed to have a negative influence on anatomical knowledge of medical students: (1) teaching by nonmedically qualified teachers, (2) the absence of a core anatomy curriculum, (3) decreased use of dissection as a teaching tool, (4) lack of teaching anatomy in context, (5) integrated curricula (problem-based learning or systems-based curricula), (6) inadequate assessment of anatomical knowledge, (7) decreased anatomy teaching time, and (8) neglect of vertical integration of anatomy teaching. A recent review revealed a lack of evidence underpinning any of the claims owing to the poor quality of papers, and recommendations were made for education and research on teaching in context and the implementation of vertical integration and of assessment strategies. In this article, we will describe the alleged factors fully, revealing additional recommendations for improving anatomy education by promoting recognition for teaching in institutions, by enhancing the professional recognition of anatomists through the implementation of a national postgraduate training program, and by encouraging anatomists to participate in educational research.

Keywords: anatomical knowledge; anatomy education; anatomy teaching; basic sciences; medical education.

'그들'에서 '우리'로: 그룹 경계를 팀 포함성으로 연결하기 (Med Educ, 2019)
From ‘them’ to ‘us’: bridging group boundaries through team inclusiveness
Walter J Eppich1 & Jan B Schmutz2

 

 

이번 달 의학 교육에서, 보차타이는 집단 경계와 학술 의료 센터의 갈등 사이의 관계를 탐구하기 위한 렌즈로서 사회적 정체성 이론을 사용하는 것에 대해 보고한다. 사회적 정체성 이론은 집단 행동을 설명하는 데 도움이 되며, 전문적 및 다학제적 의료 환경에서 잘 알려진 현상, 즉 '집단 내 편애', '집단 외 경멸' 및 부족주의를 명확히 한다. 그룹 내 및 그룹 외 이러한 개념은 종종 '우리 대 그들'의 멘탈리티로 나타난다. 실제로, 보차타이는 [갈등]을 '권력, 역할, 위계에 의해 영향을 받는 개인 또는 집단 간의 의견 불일치의 사회적 과정'으로 정의한다. 놀랄 것도 없이, 그들은 의료 분야의 갈등이 종종 위계적 수준과 전문적 그룹에 걸쳐 발생한다는 것을 발견했다. 또한, 그들의 결과는 다음과 같은 경우에 그룹 프로세스가 어떻게 충돌에 기여하는지를 강조한다.

  • (i) 개별 의료 서비스 제공자들은 그룹 내 참여하기 위해 일한다. 
  • (ii) 그룹 간 경계는 임상의들이 권력 차이가 그들 자신의 그룹을 불리하게 만든다고 느끼게 한다. 

In this month's Medical Education, Bochatay et al.1 report on their use of social identity theory as a lens through which to explore the relationships between group boundaries and conflict at an academic medical centre. Social identity theory helps to explain group behaviours and clarifies phenomena well known in interprofessional and multidisciplinary health care settings, namely ‘in-group favouritism’, ‘out-group derogation’2 and tribalism.3 These notions of the in-group and out-group often manifest in an ‘us versus them’ mentality. Indeed, Bochatay et al.1 define conflicts as ‘social processes of disagreements between individuals and/or groups influenced by power, roles, and hierarchies’. Not surprisingly, they found that conflicts in health care often occur across hierarchical levels and professional groups. Further, their results highlight how group processes contribute to conflict when:

  • (i) individual health care providers work to join the in-group, and
  • (ii) intergroup boundaries lead clinicians to feel that power differentials place their own group at a disadvantage.

어려운 갈등 경험은 잠재적으로 다른 집단에 대한 부정적인 고정관념을 강화시킨다. 비록 보차타이가 [사회적 정체성 이론]을 사용했지만, [사회문화 이론]과 [실천 공동체] 같은 다른 이론적 관점 또한 이러한 상황에서 귀중한 통찰력을 제공한다. 이러한 이론들 역시 [공동체나 '집단'에 새로 온 사람들이, 어떻게 권력과 위계질서의 문제를 협상하고, 집단 관습과 규범을 채택하고, 그들의 직업적 정체성을 개발함으로써, 주변적 구성원에서 핵심 구성원으로 나아가는지]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된다.

Difficult conflict experiences potentially reinforce negative stereotypes of other groups. Although Bochatay et al.1 used social identity theory, other theoretical perspectives, such as sociocultural theories and communities of practice,4 also provide valuable insights in this circumstance. These theories also help us to understand how newcomers to a community or ‘group’ negotiate issues of power and hierarchy and make their way from peripheral to core members by adopting group customs and norms and developing their professional identity.

보차타이의 연구는 갈등의 부정적인 측면을 강조한다. 최근의 다른 문헌들은 좀 더 차별화된 관점을 제시한다. 예를 들어 deWit 등은 작업, 프로세스 및 관계 충돌에서 구별됩니다. [작업 충돌]은 그룹 결과에 긍정적으로 기여하는 반면 [프로세스와 관계 충돌]은 부정적인 영향을 미칩니다. 이러한 복잡성을 감안할 때, 우리 분야는 보건의료에서의 갈등과 긴장의 본질과 다양한 영향을 더 자세히 설명하는 추가 작업이 필요하다. 예를 들어, Eppich 등은 다른 임상의와의 업무 관련 전화 통화가 의사의 임상 교육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 연구했다. 저자들은 특히 전문적, 규율적, 계층적 경계를 넘나드는 [업무 관련 전화 대화]가 [인식되지 않는 학습 기회]를 나타낸다는 것을 발견했다. ['생산적인 대화적 긴장']은 [권력의 차이, 미루기, 불확실성]을 처리하고 관리함으로써 학습을 중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생산적인 긴장은 비록 불쾌하지만, 훈련 중인 의사들에게, [미래의 긴장을 최소화]하기 위해 [전화에서 말하는 것과 말하는 방법]의 측면에서 행동을 수정하도록 동기를 부여하는 것으로 보였다.

Bochatay et al.'s work1 underscores the negative side of conflict. Other recent literature presents a more differentiated view. For example, de Wit et al.5 distinguished among task, process and relationship conflict. Task conflict contributes positively to group outcomes, whereas process and relationship conflicts have negative effects. Given this complexity, our field needs additional work that further delineates the nature and varied influences of conflict and tensions in health care. For example, Eppich et al.6 studied how work-related telephone talk with other clinicians influenced physicians’ clinical education. The authors found that work-related telephone talk, especially across professional, disciplinary and hierarchical boundaries, represented unrecognised learning opportunities. ‘Productive conversational tensions’ appeared to have mediated learning through dealing with and managing power differentials, pushback and uncertainty. These productive tensions, although unpleasant, appeared to motivate physicians in training to modify their behaviour in terms of what they said and how they said it on the telephone in order to minimise future tensions.6

물론, 우리는 교육적 노력과 환자 치료를 모두 위협하는 비생산적인 긴장과 갈등을 최소화하도록 노력해야 한다. 보차타이는 그룹 간의 경계를 넘나들고 충돌 가능성을 최소화하는 개념으로서 관점 수용과 팀 포용성에 대해 언급한다. 우리는 그룹 및 위계의 경계에도 불구하고, '팀'의 감각을 확립하는 네 가지 전략을 확장한다. 

  • (i) 관점 수용
  • (ii) 포용적 리더십과 언어 
  • (iii) 팀 성찰
  • (iv) 그룹 간 구성원 간의 접촉 증가.

Of course, we should seek to minimise unproductive tensions and conflict, which threaten both educational endeavours and patient care. Bochatay et al.1 touch on perspective taking and team inclusivity as notions that span boundaries between groups and minimise potential for conflict. We expand on four strategies that establish a sense of ‘team’ despite group and hierarchical boundaries, including:

  • (i) perspective taking;
  • (ii) inclusive leadership and language;
  • (iii) team reflection, and
  • (iv) increased contact between intergroup members.

[관점 수용]은 '다른 사람의 입장에서 세상을 상상하거나, 다른 사람의 입장에서 자신을 상상하는 것'을 포함하며, 자신과 다른 사람을 더 '자기답게self-like' 만들기 위해 결합한다. 결과적으로, [관점 수용]은 다른 사람들과의 협업을 가능하게 하고 사회적 유대와 연결을 장려합니다. 중요한 것은, [관점 수용]은 다른 사람과 그 사람이 속한 그룹에 대한 이해를 증진시키고, 따라서 고정관념, 편견, 사회적 공격성을 최소화한다. 실질적으로 말해서, [관점 수용]은 다른 사람의 관점에서 상황을 적극적으로 상상하거나, 다른 사람의 관점에서 문제를 고려하도록 다른 사람들을 초대하기 위해 질문을 던지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Perspective taking involves ‘imagining the world from another's vantage point or imagining oneself in another's shoes’,7 merging the self and the other to make the other more ‘self-like’.8 As a result, perspective taking enables collaboration with others and encourages social bonds and connectedness.7 Importantly, perspective taking enhances understanding both of another person and of the group to which the person belongs, and thus minimises stereotyping, prejudice and social aggression.9 Practically speaking, perspective taking might involve actively imagining a situation from another person's point of view or posing questions to invite others to consider an issue from someone else's perspective.10

[포용적 리더십과 리더의 포용적 언어]는 그룹 경계를 넘어 공유된 팀 정체성을 확립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포용적 리더십]은 '그렇게 하지 않았으면 토론과 결정에 부재했을 타인의 목소리와 관점을 포함시키고자' '타인의 기여를 인정하고 초청함을 보여주는 지도자가 보여주는 말과 행위deeds'을 나타낸다. 넴하드와 에드먼드슨은 포용적 리더십이 [심리적인 안전]과 [팀원들이 목소리를 높이는 행동]을 촉진함을 보여주었다. 이러한 리더십은 의료 서비스 제공자 간의 입력 및 감사 증진을 위한 [명시적 초청]의 형태를 취한다. Weiss 등은 [리더의 포용적 언어]가 의료 팀에 미치는 중요한 뉘앙스와 긍정적인 영향을 입증했다.

  • (i) 간호사들에 의해 목소리를 높이는 의사들의 그룹 외 구성원에 대한 명시적 초청과 감사의 사용 
  • (ii) 'we, us, our'와 같은 집단 대명사와 같은 암묵적 포괄적 리더 언어를 훈련 중인 의사들과 같이 더 낮은 지위의 그룹 내 구성원들에게 목소리를 높이는 것을 감독함으로써 사용한다.

이러한 발견은 실수, 우려 또는 불확실성에 대해 말하는 것이 보건 직업의 교육과 환자 안전에 모두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광범위한 의미를 갖는다.

Inclusive leadership11 and inclusive leader language12 help establish a shared team identity across group boundaries. Inclusive leadership represents the ‘words and deeds by a leader or leaders that indicate an invitation and appreciation for others’ contributions’ that serve to ‘include others in discussions and decisions in which their voices and perspectives might otherwise be absent’.11 Nembhard and Edmondson showed inclusive leadership promoted psychological safety and team speaking up behaviours; such leadership takes the form of explicit invitations for input and demonstrations of appreciation among healthcare providers.11 Weiss et al. demonstrated important nuanced and positive effects of inclusive leader language on health care teams:

  • (i) the use of explicit invitations and appreciation on the part of physicians increased out-group member speaking up by nurses, and
  • (ii) the use of implicit inclusive leader language, such as collective pronouns like ‘we, us, our’, by supervising physicians promoted speaking up in in-group members of lesser status, such as physicians in training.12 

These findings have broad implications because speaking up about mistakes, concerns or uncertainty impacts both health professions education and patient safety.

팀의 포괄성에 잠재적으로 기여하는 또 다른 중요한 팀 프로세스는 [팀 성찰]입니다. [목표, 전략, 성과]에 대한 [팀 성찰]은 [공유된 정신 모델]을 만드는 데 도움이 되며, 따라서 [상황에 대한 이해]를 공유하게 되며, 이는 [인식된 포용성]을 향상시킬 가능성이 높다. 우리 자신의 연구에서, 우리는 [집단적 성찰]이 발생할 수 있는 환자 치료 에피소드의 맥락에서 특정 시점을 설명하는 건강 관리의 팀 반사성에 대한 새로운 개념 프레임워크를 개략적으로 설명했다. 환자 치료 전 '작전회의huddle'; 환자 치료 중 및 환자 치료 후 보고하는 '개괄 및 요약'. 
Another important team process that potentially contributes to team inclusiveness is team reflection.13 Team reflection about goals, strategies or outcomes helps create shared mental models and, therefore, shared understandings of a situation, which is likely to enhance perceived inclusiveness. In our own work, we have outlined a novel conceptual framework for team reflexivity in health care that delineates specific time-points in the context of patient care episodes in which collective reflection may occur:13 a ‘huddle’ before patient care; a ‘recap and summary’ during patient care, and debriefing after patient care.

이러한 과정에서, 포용적 리더십 행동과 팀 의견을 초대하는 언어를 사용하면("우리가 놓친 것이 있습니까?" "다른 제안이 있습니까?" "그 밖에 고려해야 할 사항이 있습니까?") 공유된 성찰과 토론을 촉진할 수 있습니다. 우리는 팀 성찰이 팀을 하나로 모으고 잠재적으로 팀 내 및 팀 간 경계를 줄이는 유익한 프로세스를 나타내며, 이는 학제 간 임상 사건 보고를 더 자주 지원한다고 믿는다. 사건 후 디브리핑은, 숙련된 촉진자에 의해 조정될 때, 관점수용을 채택하도록 권장하는 이상적인 상황을 나타낼 수도 있다. 

The use of inclusive leadership behaviours and language that invites team input (‘Did we miss anything?’ ‘Are there any other suggestions?’ ‘Anything else we need to consider?’) at any of these time-points may prompt shared reflection and discussion. We believe team reflection represents a beneficial process that brings teams together and potentially decreases intra- and inter-team boundaries, which supports more frequent interdisciplinary clinical event debriefings.14 Post-event debriefings perhaps also represent ideal contexts in which to encourage perspective taking when they are moderated by skilled facilitators.10

마지막으로, ['접촉 가설']은 서로 다른 그룹의 [사람들을 시공간에서 함께 모이게 함]으로써, [그룹 간 접촉이 증가]하는 것이, 어떻게 그룹 간 갈등과 편견을 감소시키는지를 설명한다. 따라서, 우리는 의료 분야에서 전문적, 규율적, 계층적 경계를 넘어 사회적 상호작용의 기회를 창출해야 한다. 이것은 서로 다른 직업의 임상의들이 서로의 관점을 배우고 팀 아이덴티티를 개발할 수 있도록 전문 간 교육에 대한 노력을 정당화하는 데 도움이 된다. 또한 POC 시뮬레이션과 임상 사건 보고가 전문 분야와 분야에 걸친 제공자 간의 상호작용에 대한 추가적인 기회를 창출할 수 있다. 향후 연구는 인계, 보고 및 기타 공동 교육 이벤트와 같은 전문적 및 다학제적 협력 사건이 충돌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 설명해야 한다.

Finally, the ‘contact hypothesis’ explains how increased intergroup contact decreases intergroup conflict and prejudice by bringing people from different groups together in time and space.15 Hence, we must create opportunities for social interaction across professional, disciplinary and hierarchical boundaries in health care. This helps to justify the push for interprofessional education so that clinicians from different professions can learn about one another's perspectives and develop a team identity. Point-of-care simulations and clinical event debriefings may also create additional opportunities for interaction between providers across professions and disciplines. Future study should delineate how interprofessional and multidisciplinary collaborative events, such as handovers, debriefings and other joint educational events, influence conflict.


비생산적인 긴장과 경계와 위계 간의 갈등은 의료에서 중요한 문제로 남을 것이다. 팀의 포괄성을 촉진하기 위한 전략에 대한 우리의 논의가 혁신과 연구에 대한 더 많은 아이디어에 불을 붙이기를 바랍니다. 이러한 혁신은 교육 및 훈련, 임상의 직업 만족도 및 환자 치료에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Unproductive tensions and conflict across boundaries and hierarchies will remain significant issues in health care. We hope our discussion about strategies to promote team inclusiveness sparks further ideas for innovation and research. Such innovations have the potential to impact education and training, clinician job satisfaction, and patient care.

 


 

Med Educ. 2019 Aug;53(8):756-758. doi: 10.1111/medu.13918. Epub 2019 Jun 24.

From 'them' to 'us': bridging group boundaries through team inclusiveness

Affiliations collapse

Affiliations

1Departments of Pediatrics and Medical Education, Northwestern University Feinberg School of Medicine, Chicago, Illinois, USA.

2Department of Communication Studies, Northwestern University, Evanston, Illinois, USA.

PMID: 31236982

DOI: 10.1111/medu.13918

변화 외에는 다른 선택이 없다: COVID-19이후 의학교육의 미래 (Acad Med, 2022)
We Have No Choice but to Transform: The Future of Medical Education After the COVID-19 Pandemic
Catherine R. Lucey, MD, John A. Davis, MD, PhD, and Marianne M. Green, MD

 

 

의학교육은 [우리나라가 필요로 하는 의료 인력], 즉 [우리의 다양한 환자와 지역사회의 건강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도록 집단적으로 준비된 인력]을 교육하기 위해 존재한다. 코로나19 범유행의 혼란은 매년 수만 명의 잘 훈련된 의사를 졸업시키는 인력 파이프라인의 연속성을 위협했다. 그러나 기관 내 및 기관 전반에 걸친 협업 작업, 혁신적인 사고, 위기 관리는 교육 지도자들이 의료 교육의 연속성을 유지할 수 있게 해주었다. 팬데믹 위기의 종말이 다가옴에 따라, 전국의 교육자들은 팬데믹이 미국 의학 교육의 전략적 변곡점 즉, 우리 연구의 기초가 환자의 건강과 건강 관리 요구를 더 잘 해결하기 위해 바뀔 수 있고 변화해야 하는 시기를 촉진했는지 여부를 고려하고 있다. 
Medical education exists to educate the physician workforce that our nation needs: a workforce that is collectively prepared to positively impact the health of our diverse patients and communities. 1 The disruptions of the COVID-19 pandemic threatened the continuity of the workforce pipeline that graduates tens of thousands of well-trained physicians each year. Yet, collaborative work, innovative thinking, and crisis management within and across institutions enabled educational leaders to sustain the continuum of medical education. As the end of the pandemic crisis seems within reach, educators across the country are considering whether the pandemic has catalyzed a strategic inflection point for American medical education—a time when fundamentals of our work can and must change to better address the health and health care needs of our patients. 2,3

경제, 기술, 정치, 사회 규범의 변화든 간에 모든 산업의 위기는 종종 전략적 변곡점을 촉발한다.

  • 위기는 일부 기존 전략의 가치를 강화하는 동시에, 현재 작업의 취약성과 누락된 요소를 조명한다.
  • 위기는 현상에 대한 의존을 불가능하게 만들고, 살아남기 위해 실험과 혁신을 필요로 한다.
  • 위기는 이해관계자들이 한 때 불가능하다고 여겨졌던 것이 실현 가능할 뿐만 아니라 바람직하다는 것을 깨닫게 함으로써 변화에 대한 안일함과 저항을 극복한다. 
  • 본질적으로, 위기는 지도자들에게 변혁 외에는 다른 선택(실패를 빼면)을 주지 않기에 변화를 촉진한다.

Crises in all industries, whether due to changes in economics, technology, politics, or social norms, often precipitate a strategic inflection point. 4 

  • These crises illuminate the vulnerabilities and missing elements of current work at the same time they reinforce the value of some existing strategies.
  • They make reliance on the status quo impossible, necessitating experimentation and innovation to survive.
  • They overcome complacency and resistance to change by helping stakeholders realize that what was once thought to be impossible is not only feasible but also desirable.
  • In essence, crises catalyze change because they present leaders with no choice but to transform—or to fail.


2020년 3월에 선언된 COVID-19 대유행의 첫 해는 의료 교육에 대한 현재의 접근 방식에 대해 축하할 것이 많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개인과 의사팀이 한 작업은 의료교육의 핵심역량 중심의 교육의 효과를 부각시켰다. 의사 및 보건의료전문인력은 남다른 전문직업성을 보여주었다.

  • 의료 자원이 부족한 지역사회로 이동을 자원했다.
  •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과학적 지식을 사용하여 전염병을 예측하고, 바이러스학, 면역학 및 생리학 개념을 활용하여 새로운 치료 전략을 설계했으며, 새로운 치료제를 찾아내고 잘 설계된 임상시험에서 시험하였다.
  • 제한된 자원의 배치에 대한 윤리적 접근 방식을 모색했고, 집에서 환자를 돌볼 수 있는 새로운 치료 모델을 설계하기 위해 시스템 기반 개선에 대한 지식을 사용했다.
  • 전체적으로, 의사들은 모든 지역사회를 위한 교육, 홍보 및 문제 해결에 참여하기 위해 의사소통과 전문 간 팀워크에 대한 기술을 사용했다.

The first year of the COVID-19 pandemic, which was declared in March 2020, illustrated that there is much to celebrate about current approaches to medical education. The work done by individual and teams of physicians highlighted the effectiveness of education centered on medical education’s core competencies. Physicians and other health professionals exhibited extraordinary professionalism.

  • They volunteered to travel to communities with limited health care resources.
  • They used their scientific knowledge to solve problems, applying epidemiologic principles to predict the pandemic; leveraging concepts in virology, immunology, and physiology to design new care strategies; and identifying new therapeutic agents and testing them in well-designed clinical trials.
  • They sought ethical approaches to the deployment of limited resources and used their knowledge of systems-based improvement to design new care models that enabled care of patients in their homes.
  • Throughout, physicians employed skills in communication and interprofessional teamwork to engage in education, outreach, and problem solving for all communities.

 

의료교육 생태계의 단층선
Fault Lines in Medical Education Ecosystem

그러나, 초기의 대유행 위기는 또한 의료 시스템, 의료 교육 기관, 그리고 전문 단체들의 생태계가 우리 나라가 필요로 하는 인력을 준비하는 방법에 있어서 단층을 드러냈다. 개별 의사의 전문성과 헌신에도 불구하고, 전염병은 우리 환자들의 건강을 위협하고 있는 많은 해결되지 않은 문제들을 부각시켰다.

  • 만성질환이라는 Noncommunicable epidemics은 (심장병, 당뇨병, 비만, 물질 사용 장애 등) 전염병 발병률과 사망률을 증가시켰다.
  • 의사의 지리적, 전문적 분포 불량으로 인해 도시 내, 시골 지역, 그리고 아메리카 원주민의 지역사회에 의사 수와 유형이 부족하게 되었다.
  • 건강 및 건강 관리 불균형의 치명적인 엔데믹endemic 상태는 유색인종 커뮤니티에서 질병과 사망률의 극적으로 다른 수준을 초래했다.
  • 명백하게, 올해 우리는 심각한 건강 상태와 도전적인 사회 문제의 상호작용이 많은 지역사회에 재앙적인 결과를 초래하는 [Syndemic의 시대]에 살고 있다는 우리의 이해를 구체화했다. 

However, the initial pandemic crisis also uncovered fault lines in the ways in which the ecosystem of health care systems, medical education institutions, and professional organizations prepare the workforce our nation needs. Despite the expertise and commitment of individual physicians, the pandemic highlighted the many unsolved problems that are threatening the health of our patients

  • Noncommunicable epidemics of chronic diseases, such as heart disease, diabetes, obesity, and substance use disorder, contributed to pandemic morbidity and mortality.
  • Physician geographic and specialty maldistribution left communities in inner cities, rural areas, and on Native American Land with insufficient numbers and types of physicians.
  • The pernicious endemic state of health and health care disparities resulted in dramatically different levels of morbidity and mortality in communities of color.
  • With clarity, this year crystallized our understanding that we are living in an era of syndemic conditions, where the interaction of serious health conditions with challenging social problems leads to catastrophic outcomes for many communities. 5,6

대유행은 의학 교육의 재설계에 대한 요구가 증가하는 20년 말에서 일어났다. 이러한 권고사항 중 많은 수가 대유행 대응 및 다음과 같은 단층선과 관련된 전략을 제안했다.

  • 더 큰 사회적 책무에 초점을 맞춥니다. 
  • 사회, 행동, 인구 및 데이터 과학을 포함하는 기초 과학의 범위 확장 
  • 핵심 임상 기술로서 시스템 개선을 채택한다. 
  • 보다 공정하고 효과적인 평가 전략과 함께 역량 기반, 시간 변동 교육의 구현 
  • 의사-환자 관계를 넘어선 관계를 통합하기 위한 프로페셔널리즘의 핵심 원칙의 재고 
  • 전문직 간 교육의 중시prioritization
  • 학부 및 대학원 의학 교육(UME 및 GME) 간 이행 재설계
  • 교육 프로그램의 모든 측면에서 다양성, 형평성, 포함의 달성. 

The pandemic occurred at the end of 2 decades of increasing calls for redesign of medical education. 5,6 Many of these recommendations proposed strategies relevant to the pandemic response and these fault lines:

  • a focus on greater social accountability;
  • an expansion of the canon of basic sciences to include social, behavioral, population, and data sciences;
  • adoption of systems improvement as a core clinical skill;
  • implementation of competency-based, time-variable training along with more equitable and effective assessment strategies;
  • reconsideration of core tenets of professionalism to incorporate relationships beyond the doctor–patient relationship;
  • prioritization of interprofessional education;
  • redesign of the transition between undergraduate and graduate medical education (UME and GME);
  • and attainment of diversity, equity, and inclusion in all aspects of the educational program. 7–12

그러나, 변화에 대한 명확하고, 정의되고, 국가적으로 받아들여지는 긴급성 없이, 이러한 권고된 개혁 전략의 채택은 산발적이었고, 의료 교육의 변화는 점진적으로 이루어졌다. 그러한 비전이 없는 경우, 변화의 이익은 변화의 위험보다 덜 설득력 있는 것으로 간주된다.

However, without a clear, defined, nationally accepted urgency to change, the uptake of these recommended reform strategies has been sporadic and change in medical education has been incremental. In the absence of such a vision, the benefits of change are viewed as less compelling than the risks of change.

변화를 촉진하는 긴급성
Urgency Catalyzes Change

대유행은 UME와 GME의 확립된 시스템을 위협하는 희소성, 위험성 및 불확실성의 요소를 도입했다(표 1 참조). 그 결과 의료 교육에 대한 중단은 위에서 설명한 불완전하게 채택된 많은 개혁의 필요성을 검증했을 뿐만 아니라 변화 저항을 초월하는 긴급성의 힘을 보여주었다. 전체적으로, 의과대학, 레지던트 프로그램, 학술 건강 시스템, 국가 면허 및 인증 기관, 전문 기관들은 만약 그들이 바뀌지 않는다면, 수백만 명의 사람들이 죽을 것이라고 인식했다. 이러한 긴박감이 이 생태계의 모든 이해 관계자들을 변화시켰고, 그들은 함께 거의 하룻밤 사이에 환경을 변화시켰습니다. 

The pandemic introduced elements of scarcity, risk, and uncertainty that threatened the established systems of UME and GME (see Table 1). The resulting disruptions to medical education not only validated the need for many of the incompletely adopted reforms outlined above but also demonstrated the power of urgency to transcend change resistance. Collectively, medical schools, residency programs, academic health systems, national licensing and accreditation agencies, and professional organizations recognized that, if they did not change, millions of people would die. It was this sense of urgency that catalyzed all the stakeholders in this ecosystem to change, and together they transformed the landscape almost overnight. 

 

리더십 팀은 의료 교육의 각 단계에서 높은 기술을 가진 의사들로 구성된 코호트를 반드시 졸업시키기 위한 작업에 착수하면서도, 유행병에도 불구하고 기준을 낮추지 않았다. 그들은 주요 교육 요소를 보호하기 위해 전략을 세웠고 확립된 전략을 더 이상 사용할 수 없을 때 작업을 지속할 수 있는 새로운 접근 방식을 설계하도록 혁신했다(표 2 참조).  

Leadership teams embarked on work to graduate a cohort of highly skilled physicians from each phase of medical education, without fail and without lowering standards despite the pandemic disruptions. They strategized to protect key educational elements and innovated to design novel approaches to sustain their work when established strategies were no longer available (see Table 2). 13

 

전염병에도 불구하고, 학생과 교육생의 수업을 졸업할 수 있는 프로그램의 능력을 유지하기 위해 사용된 실험은, [교실과 임상 교육에 대한 다양한 접근 방식을 사용하여 성공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질병의 분자적 기반]뿐만 아니라, [환자와 지역사회가 건강과 질병을 경험하는 맥락]도 다루어야 하는 필요성이 명확했기에, [의사가 Syndemic 조건을 인식하고 협력할 수 있도록 준비하는 교육 전략]의 중요성을 조명했다. 아마도 가장 중요한 것은 [바이러스가 지역사회, 주 경계, 국경을 넘어 대혼란을 일으킨 것]처럼, 모든 사람으로 하여금 [의료 교육 전략과 개혁도 제도적 및 프로그램 경계를 넘어야 한다는 것]을 상기시켰다는 점이다.
The experimentation that was employed to sustain programs’ ability to graduate classes of students and trainees despite the pandemic showed that success can be achieved using many different approaches to classroom and clinical education. The clarity of the need to address not only the molecular basis of disease but also the context in which patients and their communities experience health and illness illuminated the importance of an educational strategy that prepares physicians to recognize and collaborate to tackle syndemic conditions. Perhaps most importantly, a virus that wreaked havoc across communities, state lines, and national borders reminded all that medical education strategies and reform must also cross institutional and program borders.

의료 교육의 미래에 대한 비전은 [재난과 위기관리 과정]과 함께, 다음 유행병에 대비하기 위한 의사 인력 준비의 필요성에 초점을 맞출 수 있다. 그러나 [성공적인 의학교육 전략의 스트레스 테스트]는 [위기가 닥쳐서 개인, 기관, 조직에 의한 짧은 기간 동안 특별한 일을 해내기를 요구할 때조차 Workforce가 최상의 기능을 하게 만드는 방법]이 되어서는 안 된다. 그보다, [의학교육이 환자와 지역사회를 위해 최적의 인력을 생산했는지에 대한 스트레스 테스트]는 우리가 권력과 특권에 상관없이 매일, 모든 지역사회에서, 모든 환자에게 고품질의, 공평한, 환자 중심의 치료를 얼마나 안정적으로 제공하는가 하는 것이다.
Visioning for the future of medical education could focus simply on the need to prepare the physician workforce to be ready for the next pandemic, with coursework in disaster and crisis management. But the stress test of a successful medical education strategy should not be how the workforce functions at its best, when a crisis calls for a short period of extraordinary work by individuals, institutions, and organizations. Instead, the stress test of whether medical education has produced the optimum workforce for our patients and communities is how reliably we deliver high-quality, equitable, patient-centered care every day, in every community, to every patient, regardless of power or privilege.

대유행의 종말이 다가옴에 따라, 사람들은 대유행 기간 동안 의료 교육의 변화를 주도했던 긴박감이 사라졌다고 생각할 수 있다. 만약 우리가 [만성 질환의 신데믹 상황, 부정적인 사회적 건강결정요인, 건강 관리의 차이에서 기인하는 지속적인 질병과 사망률]에 초점을 맞춘다면 지금의 긴박성은 계속될 수 있다. 만약 우리가 이러한 죽음을 막기를 원한다면, 우리는 의료 교육 생태계 전반에 걸쳐 변화할 수밖에 없습니다.

As the end of the pandemic looms, one might assume that the sense of urgency that drove transformational change in medical education during the pandemic is lost. That urgency can continue if we focus on the ongoing morbidity and mortality attributable to the syndemic conditions of chronic diseases, adverse social determinants of health, health care disparities, and more. If we hope to prevent these deaths, we have no choice but to transform—throughout the ecosystem of medical education.

미국 의학교육의 변혁적 비전
A Transformative Vision for Medical Education in the United States

변혁은 aspirational하고 inspirational한 의학교육의 미래에 대한 비전을 필요로 한다. 즉, 의학교육뿐만 아니라 직업과 더 넓은 사회에서 이해 관계자들을 고무시킬 수 있는 개인을 위한 문샷이다. 우리는 다음과 같은 비전과 약속을 제안합니다.
Transformation requires a vision for the future of medical education that is aspirational and inspirational: a moonshot on behalf of personkind that can galvanize stakeholders not only in medical education but also in the profession and broader society. We propose the following vision and promise.

우리의 비전
Our vision

2020년 COVID-19 대유행의 여파로, 미국의 의료 교육 생태계는 모든 공동체의 모든 사람들이, 그들이 필요로 하는 시스템에서, 그들이 원하는 의사들에게 접근할 수 있도록 보장하여, 그들이 예방 가능한 질병과 죽음으로부터 자유롭고, 건강하고, 충실한 삶을 살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노력할 것을 약속한다.
In the wake of the 2020 COVID-19 pandemic, the U.S. medical education ecosystem commits to working to ensure that every person in every community has access to the physicians that they want in the systems they need so that they may live long, healthy, and fulfilling lives, free of preventable illness and death.

우리의 약속
Our promise

우리는 [의학교육의 연속적 변혁]의 10년을 시작할 것입니다.

  • 의료 교육 및 프로그램이 존재하는 지역사회에 대한 모든 이해당사자의 지원을 받고 관여한다. 
  • 우수성, 사회적 책임, 사회적 정의, 지속적인 개선 및 학습자 복지의 원칙에 의해 인도됩니다.

We will embark on a decade of transformation of the continuum of medical education;

  • supported by and involving all stakeholders in medical education as well as the communities in which our programs exist; and
  • guided by principles of excellence, social accountability, social justice, continuous improvement, and learner well-being.

 

혁신을 위한 10년 만기 10개 시점 플랫폼
A 10-Year, 10-Point Platform for Transformation

 

이 비전을 실현하기 위해, 우리는 향후 10년 내에 달성해야 하는 의료 교육의 연속성에 대한 10가지 목표를 제안한다(목록 1 참조). 이러한 목표는 전염병에 대응하기 위해 교육자가 수행한 실험에 의해 정보를 얻고, 의료 교육의 효과적인 전략에 대한 확립된 문헌에 의해 뒷받침된, 변혁적 비전transformative vision을 달성할 인력을 구축하는 우리의 능력을 강화한다. 성공을 위해서는, [의료 교육의 연속체에 걸쳐 동기화되고 시너지 효과를 발휘하는 행동]이 필요할 뿐만 아니라, 개별 프로그램과 학교에서부터 의료 교육과 의료계를 대표하는 국가 조직에 이르는 [통제 지점control points에서의 조정된 노력]이 필요하다. 각 업무 영역에는 일반적으로 성공적인 전략 계획에서 발견되는 모든 요소, 즉 거버넌스, 책임 구조, 메트릭스, 리소스, 커뮤니케이션 전략 및 이해관계자 입력과 같은 포괄적인 접근 방식이 필요합니다.

To realize this vision, we propose 10 goals for the continuum of medical education that must be accomplished in the next decade (see List 1). These goals strengthen our ability to build the workforce that will achieve the transformational vision, informed by experiments conducted by educators to respond to the pandemic and bolstered by the established literature on effective strategies for medical education. Success will require synchronized and synergistic action across the continuum of medical education, as well as coordinated efforts at control points that range from individual programs and schools to national organizations representing medical education and the medical profession. Each area of work requires a comprehensive approach, with all elements typically found in successful strategic plans: governance, accountability structures, metrics, resources, communication strategies, and stakeholder input.

목표 1: 전국의 모든 지역사회에서 보건 및 의료 개선을 위해 헌신하는 성공적인 노동력을 위한 국가적 비전 채택
Goal 1: Adopt a national vision for the successful workforce, committed to improving health and health care in all communities across the country

원칙:
Principle:

현재와 미래의 의료진은 국가 및 세계 보건 위협이 생물학, 행동, 사회 시스템 및 환경 조건의 복잡한 상호 작용에서 비롯된다는 것을 이해하도록 교육해야 한다. 그들은 만성적인 증후군 문제를 해결하고 주기적인 유행병에 대응하기 위해 우리의 다양한 지역사회를 지원하기 위해 집단적으로 일하는 데 필요한 지식, 성향 및 기술을 준비해야 한다. 
The current and future physician workforces should be educated to understand that national and global health threats result from a complex interplay of biology, behavior, social systems, and environmental conditions. They must be prepared with the knowledge, dispositions, and skills needed to work collectively in support of our diverse communities to solve chronic syndemic problems as well as to respond to periodic pandemics. 5

건강에 대한 이러한 복잡한 도전에 대한 해결책을 이해, 제안 및 제정하기 위해, 의사 인력들은 다양한 과학 및 학술 분야의 엄청난 발전을 사용하고 기여할 준비가 되어 있어야 한다. 지적으로, 그들은 충실함과 동정심을 가지고 오늘날의 지식을 적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떠오르는 애매한 문제들을 통해 빠르게 추론할 수 있어야 한다. 그들은 너무 복잡하고 너무 큰 것으로 오랫동안 무시되어 온 건강 관리 격차와 같은 사악한 문제를 찾고 해결해야 하는 필요성을 받아들여야 한다.
To make sense of, propose, and enact solutions to these complex challenges to health, the physician workforce must be prepared to use and contribute to the tremendous advances in a diverse set of scientific and scholarly disciplines. Intellectually, they must be capable not only of applying today’s knowledge with fidelity and compassion but also of rapidly reasoning through emerging ambiguous problems. They must accept the imperative to seek out and address the wicked problems, like health care disparities, that have long been neglected as too complex and too large.

학생부터 전공의, 교수진, 의사까지, 이상적인 유행 후 노동력은 모든 정체성과 관련하여 다양해야 하며 문화적 겸손을 가지고 자신과 다른 사람들에게 접근하는 데 능숙해야 한다. 노동력은 사람과 인구의 건강을 개선하기 위해 필요한 작업에 참여할 수 있는 특정한 마음 습관을 배양하도록 교육되어야 한다(표 3 참조). 그들은 다면적인 원인에 대해 이해하고 다면적인 해결책을 제안하고 실험하기 위해 보건의료전문가들 사이에서 집단적으로 일할 수 있어야 한다. 그들은 기꺼이 사회 정의, 엄격한 과학, 그리고 건강, 의료 서비스 전달 및 의료 교육을 위한 강력하고 신뢰할 수 있는 공평한 시스템의 재정, 설계 및 지속적인 개선을 옹호해야 한다. 마지막으로, 그들은 우리의 일상 업무에 존재하며 위기 상황에서 증폭될 수 있는 의무에 대한 요구를 수용하는 데 동의해야 한다.

The ideal postpandemic workforce, from students to residents to faculty and practicing physicians, must be diverse with regard to all identities and skilled at approaching people different than themselves with cultural humility. That workforce must be educated to cultivate specific habits of mind that enable them to engage in the needed work to improve health for people and populations (see Table 3). They must be able to work collectively within and across health professions to understand multifaceted causes as well as propose and experiment with multifaceted solutions. They must be willing to advocate for social justice; rigorous science; and the financing, design, and continuous improvement of robust and reliably equitable systems for health, health care delivery, and medical education. Finally, they must agree to accept the call to duty that exists in our everyday work and may be amplified in times of crisis.

의사들이 개별적으로 그리고 집단적으로 팬데믹 위기를 해결하기 위해 가정하고 신데믹 컨디션을 해결하기 위해 가정해야 하는 역할의 범위는 CanMEDs 역량에 의해 잘 요약된다.  모든 의사가 모든 의료 분야에서 기본 역량을 개발하고 특정 분야의 전문지식을 개발하듯이, 모든 의사는 일부에 대한 전문지식을 갖춘 이러한 모든 역할에 대한 기본 전문지식을 개발해야 한다. 의사-과학자의 경로는 강화되고 다양화되어야 한다. 의사-공공보건 전문가, 의사-커뮤니티 파트너십 전문가, 의사-반인종주의 전문가가 문제를 분석하고 해결할 수 있도록 유사한 번역 역할을 고안할 수 있다. 보건 및 의료 문제에 대한 보다 통합적이고 체계적인 해결책에 기여하는 비생의학 과학 분야에 대한 깊은 이해를 통합한다.

The breadth of roles that physicians individually and collectively assumed to address the pandemic crisis and must assume to address syndemic conditions is well summarized by the CanMEDS competencies. 14 Just as all physicians develop a basic competency in all medical fields and expertise in specific disciplines, all physicians must develop basic expertise in all of these roles with expertise in some. The physician–scientist pathway must be strengthened and diversified. 15,16 Similar translational roles could be devised for physician–public health experts, physician–community partnership experts, or physician–antiracism experts to analyze and solve problems incorporating deep understanding of nonbiomedical science disciplines that contribute to more integrative and systematic solutions to health and health care challenges.

[미래의 의사가 누구인가에 대한 명확한 비전]과 함께, 우리는 또한 [현재 의사 인력이 차세대 의사를 이 비전의 일부로 교육할 준비가 되어 있는지]를 확실히 해야 하며, 그렇게 하기 위해서는, [현재의 의사 인력]이 이러한 중요한 노력에 대비하기 위해 [지속적인 교육과 개발을 받을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나머지 목표 각각에서, 우리는 의료 교육 프로그램의 교육 우선 순위뿐만 아니라 우리의 개업 의사와 건강 관리 시스템에서 이러한 기술의 육성을 고려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그리고 교육을 통해 아래 필요한 변화를 이끌어내기 위해 그들이 필요로 하는 기술을 배양하기 위해 우리가 취해야 할 조치입니다. 

In conjunction with this clear vision of who the physician of tomorrow should be, we are likewise called to ensure that our current physician workforce is ready to educate the next generation of physicians as part of this vision, and to do so, that they receive ongoing education and development to prepare them for this critical endeavor. In each of the remaining goals, it is imperative that we consider not simply the educational priorities of our medical education programs but also the fostering of these skills in our practicing physicians and health care systems, and the steps we must take to cultivate the skills they need to bring about the transformation needed below through education.

목표 2: 의료 및 의료 교육에서 [구조적 인종차별의 결과 및 징후]를 적극적으로 찾고 제거함으로써 의료 교육 및 의료 보건 분야에서 사회적 정의를 실현합니다.
Goal 2: Achieve social justice in medical education and health care across the country by actively seeking out and eliminating the consequences and manifestations of structural racism in medicine and medical education

원칙:
Principle:

의료계는 모든 지역사회의 모든 환자들이 다음과 같은 확신을 가질 수 있도록 소외된 지역사회의 건강과 건강관리를 위협하는 구조적, 대인관계적 인종차별을 다룰 도덕적, 전문적인 책임이 있다.

  • 의료 시스템은 [의료 격차를 찾아 제거]하도록 설계된다.
  • 모든 의사는 의료 및 의료 교육에서 [구조적 인종차별을 다루도록 설계된 커리큘럼을 교육]을 받았으며, [문화적 겸손함]으로 의사-환자 관계에 전념한다.
  • 의과대학은 [다양한 모집단이 번영할 수 있는 기회를 증가시키는 전략]을 사용하여, 의사가 기여하는 [모든 임무 영역과 모든 전문 분야를 다양의 다양성을 높이는] 데 전념하고 있다.

The medical profession has a moral and professional responsibility to address the structural and interpersonal racism that threatens the health and health care of marginalized communities with the same rigor and commitment that it has addressed patient safety and quality so that all patients in all communities have confidence that:

  • health systems are designed to seek out and eliminate health care disparities;
  • all physicians have been educated in a curriculum designed to address structural racism in medicine and medical education and are committed to engaging in doctor-patient relationships with cultural humility; and
  • medical schools recognize the imperative of and are committed to diversifying all mission areas and all specialties in which physicians contribute, using strategies that increase the opportunity for diverse populations to thrive.

지금까지 문헌에는 [구조적 인종차별]이 열악한 건강과 건강 관리 성과에 영향을 미치며, 소수 공동체 학생들이 의과대학에서의 기회가 어떻게 제한되는지를 조심스럽게 문서화했다. 

The literature has carefully documented the many ways in which structural racism contributes to poor health and health care outcomes and limits the opportunity for students from minority communities to enter, thrive once within, and successfully pursue the most competitive careers following medical school. 17–19

[사회 정의를 달성하는 데 필요한 계획의 포괄성]은 Frye 외 연구진에 의해 요약된다. "인종차별을 없애기 위해서는 사고, 믿음, 행동, 그리고 존재의 혁명만이 문제를 해결할 것입니다."  유색인종에 대한 의료 착취와 실험의 역사, 생물학적인 구조로서의 인종에 대한 잘못된 가르침, 유색인종을 의료계에서 배제함으로써 초래된 피해를 공개적으로 인정하고 복구하는 데 전념해야 한다.

The comprehensiveness of the plan needed to achieve social justice is summarized by Frye et al: “To eliminate racism, nothing short of a revolution in thinking, believing, acting, and being will solve the problem.” 20 The profession must publicly acknowledge and commit to repairing the damage that has been done by the history of medical exploitation and experimentation on people of color, false teachings about race as a biological construct, and exclusion of people of color from the medical profession.

이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의료 교육 생태계 전반에 걸친 포괄적인 전략]이 필요하며, 여기에는 문화 변화가 필수적이다. (보건의료 분야에서 일하고, 배우고, 돌보고, 발견하는) 모든 사람들은 [최고의 과학, 의학, 교육으로 우리 공동체를 위해 봉사하는 능력]은 [사회 정의를 성취하기 위해서는 헌신하는 다양한 노동력]을 필요로 한다는 것을 받아들여야 한다. 의료 시스템과 의료 교육의 모든 정책과 절차는 역사적으로 의학에 의해 소외된 집단의 사람들에게 미치는 차등적 영향을 검사해야 한다. 미국 의과대학의 문화와 관행을 정하는 의과대학 입학전략, 레지던트 후보자의 선발과 랭킹, 교수채용이 재설계돼야 다양성 달성이 가속화될 수 있다. 학생과 전공의에 대한 모든 평가 프로세스, 교직원을 위한 승진 프로세스, 리더십 선발 프로세스도 마찬가지로 편향에 대해 평가되어야 하며, 형평성과 다양성에 최적화되어야 한다. 

Achieving this goal requires a comprehensive strategy across the entirety of the medical education ecosystem with culture change as an essential element. All people who work, learn, care, and discover in the health professions must accept that our ability to serve our communities with the best science, medicine, and education demands a diverse workforce, with all committed to achieving social justice. All policies and procedures in health care systems and medical education must be examined for differential impact on people from groups that have been historically marginalized by medicine. Admissions strategies to medical school, selection and ranking of residency candidates, and selection of faculty who set the culture and practices of U.S. medical schools must be redesigned to accelerate achievement of diversity. All assessment processes for students and residents, advancement processes for faculty, and selection processes for leadership must be similarly evaluated for bias and optimized for equity and diversity.

교육 연속체에 걸쳐, 커리큘럼은 단지 유색인종만이 아니라, 모든 의사가 의료에서의 인종차별의 역사와 보건과 의료에 대한 구조적 인종차별의 파괴적인 결과를 이해하고 구조적 역량과 반인종차별에 대한 기술로 준비하도록 보장하는 내용을 통합해야 한다. 교수진은 신데믹의 개념을 통합하기 위해 기존 강의를 재설계하고, 생물학적 구인으로서 인종을 제거하며, 모든 인구에게 존중되는 언어와 사례를 채택하도록 교육되어야 한다. 국가 차원에서 인가 기관에는 책임 전략이 포함되어야 한다. 또한, 의과대학은 우수성의 핵심 척도로서 [형평성과 포용의 달성을 우선시]하지 않는다면 [어떤 전국적 종합 랭킹 전략에 참여하는 것을 거부]해야 한다.

Curricula across the education continuum must incorporate content that ensures that all physicians, not just those of color, understand the history of racism in medicine and the devastating consequences of structural racism on health and health care and are prepared with skills in structural competency and antiracism. Faculty must be educated to redesign existing lectures to incorporate the concept of syndemics, to eliminate race as a biological construct, and to employ language and cases that are respectful to all populations. At the national level, accountability strategies must be imbedded in accreditation agencies. Furthermore, medical schools should decline to participate in any national summative ranking strategy that does not prioritize achievement of equity and inclusion as a core measure of excellence.

목표 3: 현재와 미래의 모든 의료진이 질병과 질병으로 고통받는 현상의 원인을 해결하는 데 필요한 다양한 역할과 책임을 수용하도록 커리큘럼을 설계합니다.
Goal 3: Design curricula to prepare all in the physician workforce, present and future, to embrace the breadth of roles and responsibilities needed to address syndemic causes of suffering from illness and disease

원칙:
Principle:

의학교육의 근간을 이루는 기초과학과 임상기술의 규범은 [의사가 해결해야 할 문제의 유형]과, 그들이 [사용할 수 있어야 하는 도구]에 기초하여 재정의되어야 한다.
The canon of basic sciences and clinical skills that form the backbone of medical education must be redefined based on the types of problems physicians will be called upon to solve and the tools that they must be able to use.

대유행은 모든 의사들이 전통적인 생물의학 과학을 넘어서는 복잡한 질병의 메커니즘을 이해할 수 있어야 한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이를 위해서는 학교와 프로그램이 더 광범위한 학문 분야를 포함하기 위해 필요한 "기초과학"을 재인식해야 한다(표 4 참조). 사실을 가르치고 평가하는 것에서 벗어나, [각 분야의 문턱 개념]으로 초점을 이동하면 커리큘럼의 공간 부족에 대한 우려를 최소화할 수 있다. 모든 의사에게 요구되는 기준 역량은 각기 다른 과학 분야가 자신의 작업과 관련된 새로운 발견을 읽고 비판적으로 평가할 수 있도록 질문을 조사하는 방법을 이해하는 데 필요한 역량으로 정의할 수 있다. 다양한 영역에서 보다 발전된 역량은 번역 및 발견 기반 의사의 역할과 일치합니다. 국가 면허 시험은, 검색 가능한 사실보다는, [현대의 문제를 해결하고 개념 숙달을 테스트]하는 데 필요한 지식체에 우선 순위를 부여하는 내용으로 레거시 문제를 재설계할 준비를 해야 한다.

The pandemic illustrated that all physicians must be able to understand complex mechanisms of disease that extend beyond traditional biomedical sciences. This requires schools and programs to reconceptualize the required “basic sciences” to include a broader set of scholarly disciplines (see Table 4). Shifting a focus away from teaching and assessing facts and toward a focus on threshold concepts of each of these disciplines can minimize concerns about lack of space in the curriculum. Baseline competency required of all physicians can be defined as the competency needed to understand how different scientific disciplines investigate questions so that they can read and critically evaluate new discoveries relevant to their work. More advanced competencies in different areas fit with the role of translational and discovery-based physicians. National licensing exams must be prepared to redesign legacy questions with content that gives equal priority to the bodies of knowledge needed to address contemporary problems and tests mastery of concepts rather than searchable facts.

전염병 대란은 또한 임상 기술 훈련이 어떻게 진화해야 하는지에 대한 통찰력을 제공했다. =원격 의료와 원격 전자 모니터링]의 빠른 보급은 [모든 의사에게 일상화되어야 하는 새로운 기술 세트]와 [구현의 잠재적 함정]을 드러내었다. 생물학적 구성체로서 인종을 부적절하게 사용하는 방법이 팬데믹에서 볼 수 있는 건강 관리 격차의 유형에 기여할 수 있는 방법의 노출은 인종, 인종 차별 및 불리한 사회적 요인이 임상 프레젠테이션, 임상 추론 연습에 적절하게 통합되는 방법을 재설계해야 할 것이다. 환자 중심의 진료기록카드입니다.

The pandemic disruptions also provided insights into how clinical skills training must evolve. The rapid uptake of telemedicine and remote electronic monitoring introduces a new set of skills that should become routine for all physicians as well as potential pitfalls in their implementation. 21,22 The exposure of ways in which the inappropriate use of race as a biological construct can contribute to the types of health care disparities seen in the pandemic will require redesign of the way race, racism, and adverse social factors are respectfully incorporated into clinical presentations, clinical reasoning exercises, and the patient-oriented medical record. 23 

[컴퓨터 보조 진단 추론]의 유망한 미래를 충족시키려면, 의사들은 이러한 시스템이 해결책을 제안하는 방법과 컴퓨터 생성 편향 요소가 어디에서 어떻게 나타날 수 있는지 가르쳐야 한다. 마지막으로, "모든 사람의 일손을 모을 필요"를 요구하는 전염병은, 훈련의 각 단계에서, 모든 의사에게 임상 기술 지침의 핵심 측면으로서, 전문 간 협업 관리와 팀 기반 시스템 개선의 중요성을 입증했다. 

To fulfill the promise of computer-assisted diagnostic reasoning, physicians must be taught how these systems propose solutions and where and how elements of computer-generated bias may appear. Finally, the pandemic, with its “all hands on deck” needs, demonstrated the importance of interprofessional collaborative care and team-based systems improvement as core aspects of clinical skills instruction for all physicians at each stage of training. 7,24,25

목표 4: 의료 교육 프로그램을 지역 사회 및 정부와 협력하여 이러한 문제에 교육 프로그램을 집중함으로써 전국 지역사회에서 질병과 사망의 가장 긴급한 원인을 식별하고 해결한다.
Goal 4: Identify and address the most pressing causes of morbidity and mortality in communities across the nation by challenging medical education programs to partner with local communities and governments to focus educational programs on these issues

원칙:
Principle:

각 의과대학과 레지던트 프로그램은 [커리큘럼과 학습 경험을 설계하는 데 있어 가지고 있는 자유도latitude]를 사용하여, 그들 자신이 속한 지역의 건강 및 건강 관리 과제와 관련된 내용을 우선시하고 또한 그들 기관의 고유한 사명을 발전시켜야 한다.
Each medical school and residency program should use the latitude they have in designing curricula and learning experiences to prioritize content that is relevant to the health and health care challenges in their communities, while also advancing the unique mission of their institution.

감염의 곡선을 평평하게 만들어야 하는 공중 보건 위기 상황에서, 학술 보건 시스템은 의료 및 사회적으로 서비스가 부족한 지역사회에 의료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교수진, 학생 자원봉사자, 지역사회 지도자들과 함께 열심히 일했다. 의료 교육에 대한 새로운 비전에서, 개별 기관은 유행병 준비의 필요성뿐만 아니라, [지역사회 내에서 진행 중인 질병과 사망률의 미해결 원인]을 해결하기 위해, [커리큘럼과 학생 학습 경험을 설계할 책임]을 수락할 것이다. 그렇게 하려면 단방향 참여 활동에서 상호적이고 존중적인 파트너십으로 이동하기 위해 지역사회 서비스 학습 경험에 대한 의과대학 접근방식을 재설계해야 한다.  

In the setting of a public health crisis that required flattening the curve of infections, academic health systems worked intensely with faculty and student volunteers and community leaders to bring health care to medically and socially underserved communities. In the new vision for medical education, individual institutions would accept the responsibility to design their curricula and student learning experiences to address the need for pandemic preparation as well as the ongoing, unsolved causes of morbidity and mortality within its community. Doing so would require redesigning medical school approaches to community service-learning experiences to move from unidirectional engagement activities to reciprocal and respectful partnerships. 26

목표 5: 의료 교육 전반에 걸쳐 프로그램 평가 전략의 표준을 채택하여 성장 마인드셋을 촉진하고 평생 학습 의사를 지원하며 학습 환경의 형평성을 촉진합니다.
Goal 5: Facilitate growth mindsets and support lifelong learning physicians—and promote equity in learning environments—by adopting a standard of programmatic assessment strategies across the continuum of medical education

원칙:
Principle:

평가의 형평성은 학습자가 평가되는 학습 환경과 학습자가 접하는 교수와의 상호작용이 [경쟁보다는 성장을 촉진하도록 설계]되고, 모든 학습자가 [형평성에 초점을 맞춘 전략]에 기초하여 평가되고, 점수를 받고, 진급하며, [미래 성공을 예측하는 성취에 대한 입증]에 기반하여 인정받고 진입할 수 있는 기회를 의미한다. 
Equity in assessment means that the learning environments in which our learners are assessed and the faculty interactions that learners have are designed to foster growth rather than competitiveness; that all learners are assessed, graded, and advanced based on strategies that focus on equity; and that the opportunity to be recognized and to enter into desirable careers is based on a learner’s demonstration of achievements that predict future success in the field of medicine. 27

평가는 다음과 같이 사용됩니다.

  • 학습을 가이드하고,
  • 학습자를 더 발전된 역량에 맞게 코치하고,
  • 주어진 학습자가 환자 치료와 학습에서 더 많은 독립성을 가질 준비가 되었을 때를 결정하고,
  • 장래의 직업을 위해 졸업생을 선발할 때

학습자는 여러 기관에 걸쳐 이동하기에, [공정하고, 성장에 초점을 맞춘 평가 전략]은 [경계를 초월해야] 하며, 따라서 의학교육 생태계의 병혁을 위해서는 [평가에 대한 국가적 접근법]이 필수적이다.

Assessment is used to

  • guide learning,
  • coach learners to more advanced competencies,
  • decide on when a given learner is ready for more independence in patient care and learning, and
  • select graduates for future careers.

With the movement of learners across many different institutions, equitable and growth-focused assessment strategies must transcend boundaries and thus, a national approach to assessment is essential to a transformed medical education ecosystem.

GME, CME, MOC는 현재 기준 기반 합격/불합격 평가 전략이 사용됩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UME 기관들은 규범적 평가 전략(예: 최고 등급)을 고수하고 더 세분화된 등급(예: 우등, 합격, 불합격)을 사용한다. 이러한 등급 매김과 순위 매김은 학습자들 사이의 [성장 사고방식]보다는, 성과 양성, 학습자 스트레스 증가, 팀워크 감소, 교육 및 직업 기회의 불평등 등 몇 가지 부정적인 결과와 관련이 있다. 팬데믹은 [일부 학생에게서 우수성을 식별하는 것]보다 [모든 의사에서 역량을 식별discerning하는 것에 초점을 맞추는 것]의 중요성을 강조했고, 세분화된 등급 전략 유지의 장애물이 되었다. 이러한 통찰력과 혼란은 순위에 대한 평가로 인해 야기되는 해악과 한계를 인식하고 대신 야심차고 실무적인 의사들의 평가를 위한 국가 접근 방식으로 프로그램 평가를 채택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Current practices in GME, Continuing Medical Education, and maintenance of certification employ criterion-based, pass/fail assessment strategies. Despite this, UME institutions have remained adherent to normative assessment strategies (e.g., top of the class) and use more granular grades (e.g., honors, pass, fail). This grading and ranking approach has been associated with several adverse consequences: fostering a performance rather than growth mindset among learners, increasing learner stress, decreasing teamwork, and inequities in educational and career opportunities. 28–30 The pandemic simultaneously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focusing on discerning competency in all physicians rather than identifying excellence in some and presented barriers to sustaining granular grading strategies. These insights and disruptions present an opportunity to recognize the limitations of and harm caused by assessment for ranking and instead adopt programmatic assessment as the national approach for assessment of aspiring and practicing physicians.

프로그램적 평가는 규범적 결정이 아닌 기준 기반 결정을 지원하기 위해 많은 출처로부터 정성적 및 정량적 데이터를 수집한다. 이러한 데이터를 활용하여 학습자에게 빈번한 피드백을 제공하므로, 고부담 총괄 사건(학습의 평가)에 앞서 개선(학습을 위한 평가)을 위한 코칭이 가능하다. 

프로그램 평가는 단일 교수진이 역량을 결정하거나 해당 역량을 문서화하는 단일 평가 도구에 의존하지 않습니다. 대신, 학습자의 실제 능력에 대한 그림을 제공하기 위해 평가가 수행된 상황에 대한 여러 스냅샷 (예: 보건 전문가 팀의 모든 구성원의 의견, 필기 작업, 시험 점수, 동료 평가 검토)을 통합합니다.  

Programmatic assessment collects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data from many sources to support criterion-based rather than normative decisions. It uses these data to provide frequent feedback to learners, enabling coaching for improvement (assessment for learning) before the high-stakes summative event (assessment of learning). 31 

Programmatic assessment does not rely on a single faculty member to decide on competency or a single assessment tool to document that competency. Instead, it aggregates multiple snapshots of performance (e.g., input from all members of the health professions team; review of written work, exam scores, peer evaluations) and a description of the context in which the assessment took place to provide a picture of the learner’s true abilities 

프로그램 평가에는 많은 이점이 있습니다. 고부담의 총괄적 피드백에 앞서, 여러 가지의 형성적 피드백을 제공하는 평가 전략은, 피드백을 찾고 사용하고자 하는 학습자의 의지를 높이고, Grading에 대한 불안감을 감소시킨다. 여러 평가자의 피드백의 여러 인스턴스를 사용하면 개별 또는 특정 평가 도구의 개별 학습자에 대한 편견이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다. Normative한 전략보다는 Crietrion 전략, 더 세분화된 등급보다는 Pass/Fail이 [관찰된 성능의 작은 차이가 획득 보상의 큰 차이로 이어질 때 발생하는 불평등]을 완화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포괄적인 데이터 합성을 통해 모든 이해 관계자가 평가에 대해 더 큰 확신을 가질 수 있습니다.  
Programmatic assessment has many benefits. Assessment strategies that provide multiple elements of formative feedback before high-stakes summative feedback increase the willingness of learners to seek and use feedback and decrease anxiety about grading. The use of multiple instances of feedback from multiple evaluators can minimize the impact of bias on individual learners from an individual or a particular assessment instrument. 32,33 Criterion rather than normative strategies and pass/fail rather than more granular grading mitigate the inequity that results when small differences in observed performance translate into larger differences in earned rewards. 34 Finally, comprehensive data synthesis enables all stakeholders to have greater confidence in their assessment. 31

학습 및 역량 평가에 대한 프로그램 평가 및 평가의 이점에 대한 증거는 명확합니다. 그러나 경쟁적 프로그램에서 [전공의 선발의 용이성을 위해 의대생의 순위를 매기는 것]에 대한 확고한 견해를 감안할 때, 평가가 수행되는 방식과 그러한 평가의 결과를 재설계하라는 국가적인 지시National directive가 성공적일 것이다.
The evidence on the benefits of programmatic assessment and assessment for learning and competency evaluation is clear. However, given entrenched views on the imperative for ranking medical students for ease of residency selection in competitive programs, nothing short of a national directive to redesign the ways in which assessments are conducted, and the results of those assessments are used, will be successful.

목표 6: 역량 기반 교육 구현을 통한 교육 효율성 향상과 함께 환자 안전 보호
Goal 6: Protect patient safety while improving the efficiency of training by implementing competency-based training

원칙:
Principle:

의학교육의 연속체에 걸친 학습자들은 다음 번 시도에서 성공하는 데 필요한 폭넓은 역량을 성공적으로 입증했을 때에만 다른 교육의 기회로 발전할 수 있는 능력을 가져야 한다.
Learners across the continuum of medical education should have the ability to advance to another educational opportunity only when, but as soon as, they have successfully demonstrated the breadth of competencies needed to succeed in that next endeavor.

[대부분의 의료 교육 프로그램, 면허 기관, 인가 기관 및 인증 위원회]는 역사적으로 [프로그램의 일부 시간 조합, 특정 순환 또는 최소 사례 수]를 역량의 대리지표로 의존해 왔다. 35 임상 훈련 기회의 팬데믹 관련 희소성 환경에서 그리고 정부 관계자들이 의사 인력을 보강하기 위해 학생들의 조기 졸업을 요청함에 따라, 이러한 [전통적인 요구사항]이 완화되었고, 그 결과 의사 인력 파이프라인은 줄어들지 않고 계속 유지될 수 있었다.
Most medical education programs, licensing agencies, accreditation organizations, and certifying boards have historically relied on some combination of time in program, on specific rotations, or case volume minimums as proxies for competence. 35 In the setting of pandemic-related scarcity of clinical training opportunities and as government officials requested early graduation of students to bolster the physician workforce, these traditional requirements were relaxed, allowing the physician workforce pipeline to continue unabated.

역량 기반 시간 변동(CBTV) 교육은 중요한 역량이 부족한 의사로부터 환자를 보호하면서 의료교육 프로그램의 유연성을 높일 수 있는 전략이다.  CBTV는 교육의 다음 단계 또는 단계로 발전하기 위한 명확한 기준을 설명하며, 능력에 대한 시간적 제약 대신 각 개인의 입증된 능력에 의존한다. CBTV는 모든 필수 영역에서 역량을 입증한 학습자가 조기에 진출하여 가정 기관 내에서 또는 지정된 거주지에서 또는 유행병 대응 팀에서 새로운 역할을 맡을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할 수 있다.

Competency-based, time-variable (CBTV) education is a strategy that can increase the flexibility of the medical education program while protecting patients from physicians with critical competency deficiencies. 36 CBTV describes clear criteria for advancement to the next phase or stage of education, relying on the demonstrated abilities of each individual rather than the time-bound proxies for competence. CBTV can provide the opportunity for learners who have demonstrated competency in all required domains to advance early and assume a new role within their home institution or at a designated residency, or on a pandemic response team.

또는 새로운 기술을 추가하는 데 집중할 수도 있습니다. CBTV는 일부 학습자가 예상 능력을 달성하는데 더 많은 시간이 필요하다는 것을 허용한다. 이러한 상황에서 CBTV는 학습자가 안전할 때까지 진행하지 않도록 보장하는 중요한 안전망을 제공합니다. 경험적 데이터는 역량 기반 교육이 매우 효과적일 수 있음을 뒷받침한다. 그러나, CBTV의 완전한 도입은 [임상 작업량을 관리하기 위해 일정 수의 전공의에게 의존하는 내부 시스템]과 [매년 의과대학과 레지던트 사이의 단일 전환 시점과 같은 외부 시스템]에 의해 제한된다. 캐나다는 모든 레지던시 프로그램을 역량 기반 접근으로 옮기기 위한 야심찬 프로그램에 착수했다.  
Alternatively, they may choose to focus on adding new skills. CBTV allows that some learners need more time to achieve expected competency. In this circumstance, CBTV provides an important safety net for ensuring that learners do not progress until it is safe that they do so. Empiric data support that competency-based training can be highly effective. Its full benefits are constrained, however, by internal systems that rely on a certain number of residents to manage the clinical workload and external systems, such as a single transition point between medical school and residency each year. Canada has embarked on an ambitious program to move all residency programs to a competency-based approach. 37

CBTV는 또한 교육 환경의 효율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 한 학생이 훈련의 한 측면에서 더 빠르게 발전한 경우, 기본 역량을 달성하는 데 더 많은 시간이 필요한 동료에게 귀중한 임상 학습 경험을 부여할 수 있습니다. CBTV는 또한 질병이나 가족 구성 활동으로 인해 훈련이 변경된 개인에게 개인과 직업의 균형을 지원할 수 있다.
CBTV can also increase efficiency in the educational environment. If one student has progressed more rapidly in one aspect of their training, they can cede valuable clinical learning experiences to peers who need more time to achieve baseline competency. CBTV can also support personal–professional balance in individuals whose training is altered because of illness or family building activities.

목표 7: 국가 시스템을 재설계하고 [국가 기술 플랫폼]에 투자하여 선발 프로세스의 공정성, 경제성, 효율성 향상
Goal 7: Increase equity, affordability, effectiveness, and efficiency of selection processes by redesigning national systems and investing in national technology platforms

원칙:
Principle:

의과대학 입학 및 GME 교육을 위한 선발을 위한 정책과 운영 절차는 전환 비전을 달성하기 위해 조정되어야 하며 최적의 결과를 지원하도록 설계되어야 하며 또한 학생과 프로그램의 [nonvalue-added 작업을 최소화]해야 한다.
Policies and operational procedures for admission into medical school and selection for GME training should be aligned to achieve the transformational vision and designed to support optimal outcomes, while also minimizing nonvalue-added work for students and programs.

의과대학과 레지던트 지원 과정이 전염병으로 인하여 [All-virtual]로 전환되면서 인해 학습자들은 일반적인 면접 시즌에 요구되는 수천 달러의 여행 비용 없이 프로그램을 탐색하고 자신의 능력을 증명할 수 있었다. 이것은 더 큰 부를 가진 사람들에게 더 이상 혜택을 주지 않음으로써 입학 절차에서 감당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형평성을 증가시켰다. 그러나 대유행은 국가 전공의 매칭 프로그램(NRMP), 전자 전공의 지원 절차(ERAS) 및 프로그램별 선택 및 순위 결정 관행의 기존 관행이 프로세스의 형평성과 효율성을 개선하고 불필요한 학습자 스트레스를 줄이기 위해 재설계할 가치가 있는 영역을 강조하였다.

The pandemic-related move to all-virtual medical school and residency application processes allowed learners across the continuum to explore programs and demonstrate their abilities without the thousands of dollars in travel expenses that the typical interview season demands. This not only increased affordability but also equity in the admission processes by not further advantaging those with greater wealth. However, the pandemic highlighted areas where the legacy practices of the National Residency Matching Program (NRMP), the Electronic Residency Application Process (ERAS), and program-specific selection and ranking practices merit redesign to improve the equity and efficiency of the process and decrease unnecessary learner stress.

[의료 교육의 연속체 전체에 걸쳐 학습자를 추적]할 수 있는 [보다 표준화되고 강력한 성과 데이터베이스의 개발과 광범위한 채택]은 프로그램으로 하여금 [전공의 및 그 이상의 성공에 필요한 광범위한 역량]에 관한 학습자 성장 궤적은 물론, 현재 성과 수준을 평가할 수 있게 할 것이다.  인공지능 전략은 학점 평균과 고부담 시험의 점수보다 더 넓은 데이터 세트를 사용하여 다양한 유형의 학습자를 식별할 수 있게 함으로써 입학 절차를 간소화할 수 있는 가능성을 가지고 있다. (상대평가normative가 아니라) 준거Criterion 기반의 표준 평가서를 설계, 채택하면 프로그램과 학교 교수진 사이의 은밀한 사이드바 대화에서 종종 논의되는 중요한 문제의 유형을 강조할 수 있다. [각 레지던트 프로그램을 성공적으로 이수할thrive 개인의 유형에 대한 투명하고 접근 가능한 정보]는 학습자가 지원하는 프로그램의 수를 줄이고, 프로그램이 임의 선별 지표를 사용하여 심층적으로 검토하는 지원 프로그램의 수를 줄이도록 유도하는 지원 프로그램의 홍수를 최소화할 수 있다.  

The development and widespread adoption of a more standardized and robust performance database that could track learners across the continuum of medical education would enable programs to evaluate learner growth trajectories as well as their current performance levels in the broad set of competencies needed to succeed in residency and beyond. 11 Artificial intelligence strategies hold promise for streamlining admissions processes by enabling the identification of different types of learners, using a wider dataset than grade point averages and scores from high-stakes exams. 38 Design and adoption of criterion-based (rather than normative) standardized letters of evaluation could highlight the types of critical issues that often are discussed in surreptitious sidebar conversations between programs and school faculty. Transparent and accessible information about the type of individual who will thrive in each residency program could decrease the number of programs that learners apply to and minimize the flood of applications that prompt programs to use arbitrary screening metrics to cut down on the number of applications they review in depth. 39

미국 의료 면허 시험 1단계에 대한 합격/불합격 보고로 이행이 임박함에 따라 많은 사람들이 NRMP 및 ERAS 프로세스의 실질적인 재설계를 제안하게 되었다. 제안에는 다음이 포함되었습니다. 

  • 지원에 대한 전공-특이적, 증거 기반 상한선
  • 인터뷰 시 프로그램 선호도 순위, 
  • 다단계 매칭 

NRMP 프로세스의 보다 근본적인 재설계는 다음을 포함할 수 있다. 

  • 팬데믹이 필요한 시기에 인력진입이 용이하도록 연 2회 경기 사이클 
  • CBTV 교육 환경에서 학습자와 프로그램을 위한 유연성 향상 
  • 가임, 육아 또는 질병 관련 휴직을 가진 학습자에게 필요한 경우 변경된 교육 궤적에 대한 지원 
  • 의사-과학자를 비롯하여, 학생집단을 위하여 독립에 필요한 교육 부채와 시간을 줄인다.

The impending move to a pass/fail reporting on the U.S. Medical Licensing Examination Step 1, along with the current pressures faced by programs dealing with high volumes of applications and applicants struggling with a maldistribution of interview slots, has prompted many to propose substantial redesign of the NRMP and ERAS processes. Proposals have included

  • specialty-specific, evidence-based caps on applications;
  • student preference ranking of programs at the time of interviews; and
  • a multistaged match. 40–43 

More fundamental redesign of the NRMP processes might include

  • a twice-a-year match cycle to facilitate entry into the workforce during times of pandemic need;
  • increased flexibility for learners and programs in an environment of CBTV education;
  • support for altered educational trajectories as often required for learners with childbearing, child-rearing, or illness-related leaves of absence; and
  • decrease educational debt of and time to independence for populations of students, including but not limited to physician–scientists.

목표 8: 학습자와 의사의 웰빙을 우선시하여 인력 보호
Goal 8: Protect the workforce by prioritizing learner and physician well-being

원칙:
Principle:

미래와 현재의 의사들은 그들의 복지가 보호되는 환경에서 배우고 일할 수 있어야 하며, 그래야 그들은 개인 생활뿐만 아니라 직업 생활에서도 번창할 수 있다.
Aspiring and practicing physicians should be able to learn and work in environments in which their well-being is safeguarded so that they can thrive in their personal as well as professional lives.

언론의 이야기는 대유행 기간 동안 개인 의료 서비스 제공자들이 짊어진 엄청난 부담을 보여주었고, 종종 다른 가족의 사랑하는 사람들을 돌보면서 그들의 건강을 보호하기 위해 그들 자신의 가족을 남겨두었다. 전국적으로 보건 시스템은 이러한 특별한 시기에 건강 관리를 제공하는 신체적, 사회적, 정서적 부담을 해결하는 것을 돕기 위해 지원을 제공하는 새로운 전략을 신속하게 시행했다.  의료 기관, 산업 및 사회 단체에 의해 COVID-19 환자를 돌보는 일선 제공자들에게 식사, 새로운 정신 건강 지원 방법, 예배 서비스 및 호텔 숙박이 제공되었다. 그러나 교육생을 포함한 다른 일선 의료 서비스 제공자들은 노인/의존 의료, 육아, 그리고 지속 가능한 K-12 교육 프로그램의 부재로 인해 그들의 전문적인 책임을 지속하기 위해 고군분투했다.
Stories in the media showcased the extraordinary burden that individual health care providers shouldered during the pandemic, often leaving their own families to safeguard their health, while caring for the loved ones of other families. Across the nation, health systems quickly put in place new strategies to provide support to help address the physical, social, and emotional burden of providing health care during these extraordinary times. 44 Meals, novel methods of mental health support, chaplaincy services, and hotel accommodations were offered to frontline providers caring for patients with COVID-19 by health care institutions, industries, and social organizations. However, other frontline care providers, including trainees, struggled to sustain their professional responsibilities because of the absence of elder/dependent care, childcare, and sustainable K-12 education programs.

직업 생활과 개인 생활의 균형을 맞추는 스트레스는 전염병 이후 지속될 것이다. 많은 문헌에서 의학에 종사하기 시작한 사람들이 또래들보다 지치고, 우울하며, 자살 충동을 겪을 가능성이 더 높다는 것을 암시한다. 의료와 과학 분야의 여성들은 간호 책임을 관리하는 어려움 때문에 직업을 떠날 가능성이 더 높으며, 이것은 전염병으로 인해 악화되는 현상이다.  

The stresses of balancing professional and personal lives will endure following the pandemic. Ample literature suggests that those who embark on careers in medicine are more likely than peers to suffer from burnout, depression, and suicidal ideation. Women in medicine and science are more likely to leave the profession because of challenges managing caregiving responsibilities, a phenomenon exacerbated by the pandemic. 45

대유행의 와중에 [의료제공자를 케어하기 위하여 업무 책임을 변경하고 더 큰 사회적 지원을 제공할 수 있는 능력]은 재난이 발생할 때 이러한 유형의 개입이 가능하다는 증거를 제공한다. 현재와 미래의 의료 인력의 건강과 복지를 유지하기 위해, 의료 대학과 의료 시스템은

  • [부가가치가 없는 문서 작업에 대한 요구를 영구적으로 제거]하고,
  • [쉽게 접근할 수 있는 강력한 웰빙 및 정신 건강 지원 시스템]을 구축하며,
  • 다른 조직과 협력하여 저렴하고 고품질이며 쉽게 접근할 수 있는 돌봄 시스템을 확장하여 working families를 지원해야 한다.

The ability to alter work responsibilities and provide greater social support to care for the caregivers in the midst of a pandemic provides evidence that these types of interventions are feasible when disaster strikes. To sustain the health and well-being of our current and future health care workforces, medical schools and health systems should

  • advocate with payers to permanently remove requirements for nonvalue-added documentation work;
  • build robust systems with easily accessible well-being and mental health support; and
  • collaborate with other organizations to expand affordable, high-quality, and easily accessible caregiving systems to support working families.

의과대학과 레지던트 프로그램은

  • 유연하고 잠재적으로 단축된 훈련 시간을 지원하기 위해 역량 기반 훈련을 수용해야 한다. 
  • 불필요한 스트레스를 증가시키는 임의적이고 경쟁적인 평가 전략과 같은 관행을 제거한다. 
  • 전공의와 동료들에게 적절한 유급 출산 및 육아 휴가를 보장한다.  

Medical schools and residency programs should

  • embrace competency-based training to support flexible and potentially shortened training times;
  • eliminate practices, such as arbitrary and competitive assessment strategies that increase unnecessary stress; and
  • guarantee adequate amounts of paid childbearing and child-rearing leave for residents and fellows. 46

 

목표 9: 혁신적인 파트너십을 통해 전국 과소 서비스 지역사회의 의료 접근 문제 해결
Goal 9: Address health care access issues for underserved communities across the nation through innovative partnerships

원칙:
Principle:

모든 환자들은 건강한 공동체의 중요한 구성 요소로서 급성, 만성, 생명을 위협하는 질병에 대한 예방 및 치료 관리에 즉시 접근할 자격이 있다.
All patients deserve ready access to preventive and therapeutic care for acute, chronic, and life-threatening illnesses as a critical component of a healthy community.

이 전염병은 전국의 지역사회에서 의사들과 의료 시스템의 지리적 분포가 잘못되었다는 점에 관심을 갖게 만들었다. 의료 전문가들로 구성된 방문 팀은 자원이 부족한 지역사회에 절실히 필요한 지원을 제공했다. 재해 대응의 매우 중요한 요소이긴 하지만, 이러한 팀들은 어느 시점에서 건강에 대한 지속적인 위협과 관련하여 이러한 커뮤니티를 여전히 미비한 상태로 남겨 두어야 합니다. 
The pandemic drew attention to the geographic maldistribution of physicians and health care systems in communities across the nation. Visiting teams of health professionals provided desperately needed support to underresourced communities. While a critically important element of disaster response, those teams must leave at some point leaving those communities still underserved with respect to the ongoing threats to health. 

모든 커뮤니티가 필요한 의사에게 접근할 수 있도록 하는 혁신적 비전을 달성하는 것은 매우 복잡한 과제이며, 학술적 보건 시스템과의 긴밀한 협업이 필요하며, 또한 모든 지역사회에서 교육 및 의료에 자금을 대기 위한 정책과 절차를 고안할 수 있는 지역, 주 및 연방 기관과의 협력도 필요하다. 지리적 또는 인구학적 접근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전략이 존재한다. 대학과 의과대학은 소수민족 봉사기관 및 소외된 지역사회에 있는 고등학교와 지역사회 및 주립대학과의 강력한 파이프라인 프로그램을 구축하기 위해 협력할 수 있다. 이러한 파이프라인 프로그램은 의료 교육 및 인력 전문가가 설계하고 지속 가능한 방법으로 학습자를 주의 깊게 의과대학에 입학시키고 이를 통해 레지던트 프로그램으로 육성해야 한다. 전국의 의과대학들은 또한 학생들이 출신 지역 사회에 가까이 다가갈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의료 서비스가 부족한 지역에 지역 캠퍼스를 건설할 수 있으며, 지역 캠퍼스가 이 지역들에 대한 장기적인 헌신 가능성을 높이도록 뿌리내리게 할 수 있다. 지역사회에 남아 있는 것에 대한 허용 가능한 보상을 보장하거나, 이러한 지역사회로 돌아가는 학생들의 부채 탕감은 지속 가능한 노동력의 가능성을 더욱 증가시킬 것이다.

Achieving a transformational vision to ensure that all communities have access to the physicians they need is a tremendously complex undertaking, requiring close collaboration not only with academic health systems but also with local, state, and federal agencies that can devise policy and procedures to fund education and health care in all communities. Strategies exist to address geographic or demographic access issues. Universities and medical schools can collaborate to establish robust pipeline programs from minority-serving institutions and with high schools and community and state colleges in underserved communities. These pipeline programs must be designed by medical education and workforce experts and resourced in a sustainable way to carefully nurture learners into and through medical school into residency programs. Medical schools across the nation could also build regional campuses in medically underserved areas to allow students to be close to their communities of origin, enabling them to put down roots that increase the likelihood of a long-term commitment to those regions. Debt cancelation for students who return to these communities, along with guarantee of an acceptable compensation for remaining in the communities would further increase the likelihood of a sustainable workforce.

보다 야심찬 프로그램은 [지리적으로 서비스가 부족한 지역의 의사 수를 빠르게 증가]시키거나, [의료계의 모든 구성원들로 하여금 어려움에 처한 지역사회를 지원할 의무가 있다는 기대를 확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연방정부는 모든 의과대학 졸업생들이 의과대학 등록금, 등록금 및 생활비를 연방 인수하는 대가로 1차 이사회 인증에 따른 국가 복무 기간에 동의하도록 요구할 수 있다. 이것은 매년 몇 주 또는 주말 근무가 필요한 헌신적인 연간 근무 또는 주 방위군 전략과 동등한 형태를 취할 수 있다. 
More ambitious programs could quickly increase the number of physicians in geographically underserved regions and establish an expectation that all members of the medical profession have an obligation to support communities in need. For example, the federal government could require all medical school graduates to agree to a period of national service following first board certification in exchange for federal underwriting of medical school tuition, fees, and living expenses. This could take the form of dedicated years of work or of the equivalent of the National Guard strategy, with weeks or weekends of work required each year.

목표 10: 보건 및 웰빙을 지원하는 의료계, 공공, 주 및 연방 정부 간의 사회 계약 강화 및 공포
Goal 10: Strengthen and promulgate the social contract between the medical profession, the public, and state and federal governments in support of health and well-being

원칙:
Principle:

의료 전문직업성의 원칙은 의사가 환자를 돌보고 우리 지역 사회의 건강을 향상시키기 위한 일에서, [의료계와 개별 의사가 착수하기를 기대할 수 있는 일을 사회에 선언]한다. 그 선언은 또한 사회가 최고의 결과를 얻기 위해 의사와 직업과 협력하여 해야 하는 일에 대해서도 분명해야 한다.
The tenets of medical professionalism proclaim to society the work that they can expect the medical profession and individual physicians to embark upon as they care for patients and work to improve the health of our communities. That proclamation must also be clear about the work that society needs to do in partnership with physicians and the profession to achieve the best outcomes.

의료 전문직업성의 바탕이 되는 [사회 계약]은, 의사들이 자기에 대한 위험과 상관없이 아프고 다친 사람들을 돌보는 의무에 응답하기를 암묵적으로 기대한다. 그 대가로, 전문직에는 자율규제의 권리가 주어진다.  대유행 기간 동안 의사들(및 다른 의료 전문가들)은 치명적인 바이러스로 고통 받는 환자들을 돌보는 데 대응했고, 어떤 상황에서는 기관 및 국가 차원의 시스템 장애와 공공 보건에 대한 불충분한 투자로 인해 적절한 지원이나 보호 없이 그렇게 했다.

The social contract on which medical professionalism is based implicitly expects physicians to respond to a call to duty to care for the sick and injured, regardless of the risk to self. In exchange, the profession is afforded the right to self-regulation. 47 During the pandemic, physicians (and other health professionals) did respond to care for patients suffering from a deadly virus and, in some circumstances, did so without adequate support or protection because of failures of systems at the institutional and national level and inadequate investment in public health.

대유행의 교훈은 의료 전문성에 관한 의사 헌장에 명시된 [환자 복지, 환자 자율성, 사회 정의의 기본 원칙의 건전성]을 강화한다. 그러나 정부 관료와 사회의 영향을 받지 않은 구성원들이 내린 결정과는, 대조적으로 대유행 기간 동안 의사와 환자가 견뎌내야 했던 경험lived experience은 [상호 기대와 책임에 대한 명확한 사회 계약의 재설계가 늦었음]을 시사한다. 의료계의 사회계약을 재설계할 때에는 [신데믹에 준비된 의사의 확장된 책임 세트를 수용하겠다는 서약]이 포함될 수 있다. 여기에는 본 비전에 요약된 일련의 영향력 있는 약속들이 포함된다. 

  • 공중위생을 지지하는 사회적 조건을 강력하고 신속하게 옹호한다. 
  • 의료 및 의료 교육에서 구조적 억압의 결과를 뒤집는다. 
  • 의료 분야의 의료 격차, 차별 및 성 희롱을 제거한다. 
  • 의료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일하는 모든 사람들의 복지를 촉진하는 시스템을 구축해야 합니다.

The lessons from the pandemic reinforce the soundness of the fundamental principles of primacy of patient welfare, patient autonomy, and social justice outlined in the Physician Charter on Medical Professionalism. 47 However, the lived experience endured by physicians and patients during the pandemic in contrast to decisions made by government officials and unimpacted members of the society suggests that a redesign of the social contract with clarity about mutual expectations and responsibilities is overdue. 48 A redesign of the social contract from the medical profession might include a pledge to embrace an expanded set of responsibilities for the syndemically prepared physician. Those include the set of impactful commitments outlined in this vision to

  • forcefully and expeditiously advocate for social conditions that support public health;
  • reverse the consequences of structural oppression in health care and medical education;
  • eliminate health care disparities, discrimination, and gender harassment in medicine; and
  • build systems that foster well-being for all of those who work to provide health care.

이러한 책임은 정책 영역에서 Workforce가 [냉정하고 중립적인 관찰자로서의 전문적 정체성]을 벗어나, [더 큰 영향력과 옹호자 역할]을 하도록 바꿔놓는다. 이 [수정된 역할]을 받아들이면서, 의사들과 보건 전문직의 다른 구성원들은 모든 수준의 정부와 광범위한 대중이 인구에 대한 건강을 최적화하는 결정을 내릴 수 있도록 지도하기 위해 의무와 이타주의에 대한 그들의 헌신을 활용할 수 있다. (예: 빈곤 제거, 의료 접근성 개선, 기후 변화 및 환경 독소 해결)  또한 의료 전문가에 대한 불필요한 위험을 제거합니다. (예: 제대로 이행되지 않은 공중 보건 지침, 불충분한 보호 장비, 소모 및 도덕적 고통을 유발하는 시스템 및 정책)

These responsibilities move the workforce away from a professional identity as dispassionate and neutral observers in the policy realm to one of greater influence and advocacy. 49 In accepting this revised role, physicians and other members of the health professions can leverage their commitment to duty and altruism to guide governments at all levels and the broader public to make decisions that both optimize health for populations (e.g., eliminating poverty, improving access to health care, addressing climate change and environmental toxins) and eliminate unnecessary risks to health care professional (e.g., from poorly implemented public health directives, inadequate protective equipment, systems and policies that precipitate burnout and moral distress).

결론들
Conclusions

의학교육은 대학, 보건 시스템, 인증 기관, 규제 기관, 면허 기관, 전문 조직 및 인증 위원회를 포함하는 복잡한 생태계 내에 존재한다. 의대를 비롯한 학술기관은 과학 혁신과 코스워크, 채점, 승진 및 종신 재직권 등 핵심 과정의 안정성을 위해 설계된다. 생태계의 복잡성, 안정성의 편안함, 기존 관행에 대한 교수진의 자신감, 새로운 아이디어의 위험과 실현 가능성에 대한 우려가 결합되어, 중대한 변화를 "변형하는 것 외에는 다른 방법이 없을 때까지" 어려운 일이거나 선택해도 되는 일로 남겨둔다. .

Medical education exists within a complicated ecosystem that includes universities, health systems, accrediting bodies, regulatory agencies, licensing bureaucracies, specialty organizations, and certifying boards. Academic institutions, including medical schools, are designed for innovation in science and stability in core processes such as coursework, grading, and promotion and tenure. The complexity of the ecosystem, the comfort of stability, the confidence of faculty about existing practices, and the concerns about risk and feasibility of new ideas combine to make significant change challenging and optional—until there is no option but to transform.

결과적으로, [혁신의 시급성]을 포착하기 위해서는 [협력적이고 전략적으로 설계된 조치]가 필요할 것이다. 국가 지도력은 변화를 향한 진전을 문제 해결뿐만 아니라 거버넌스 전략을 수립하고, 시스템을 구축하고, 측정 기준을 설정하고, 책임 구조를 설계하기 위해 필요할 것이다. 국립 의학 아카데미는 전문가들을 소집하여 중요한 문제와 변화를 뒷받침할 수 있는 잠재적 해결책에 대한 증거를 수립, 종합 및 전파하는 신뢰할 수 있는 기관으로 자리매김했다. [의사 책무성 연합]은 조직들의 조직으로서, 전염병 동안 리더십을 보여주었고, 현재 UME에서 GME로의 전환을 개선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Consequently, seizing the urgency to transform will require collaborative and strategically engineered action. National leadership will be needed to establish governance strategies, build systems, establish metrics, and design accountability structures for, as well as troubleshoot progress toward transformation. The National Academy of Medicine has established itself as a trusted body to convene experts to establish, synthesize, and disseminate evidence on critical problems and potential solutions to support change. The Coalition for Physician Accountability, as an organization of organizations, has demonstrated leadership during the pandemic and is currently working to improve the UME-to-GME transition.

변혁에 성공하기 위해서는, 이 노력에 학계 보건 시스템의 지도자로서 미국 의과 대학 [학장 협의회]와 [교육 병원 협의회]가 참여해야 한다. 이들은 교육과 의료가 만나는 최전선에서 이 작업을 감독하는 데 필요한 신뢰도, 전문 지식의 폭 및 권한의 범위를 가진 사람들이다. 보건의료 전문직교육은 양질의 헬스케어가 시작되는 곳이기 때문에, 국립보건원이 효과적인 교육전략에 대한 연구에 자금을 지원하는 기관을 출범시켜야 할 시점이다.

To succeed in transformation, they should be joined by the Association of American Medical Colleges Council of Deans and Council of Teaching Hospitals, as convened leaders of academic health systems, who have the necessary credibility, breadth of expertise, and scope of authority to oversee this work at the frontlines, where education and health care meet. Since health professions education is where high-quality health care begins, it is time for the National Institutes of Health to launch an institute that funds research into effective educational strategies.

코로나19 범유행과 관련 인종 불안은 우리가 환자와 사회의 요구를 완전히 충족시키기 위해 미국의 건강 관리 및 의료 교육 시스템을 재설계하기 위한 다년간의 이니셔티브를 시작하도록 용기를 북돋워야 하는 변화된 힘이다. 의료 교육을 주도하고 규제하는 사람들이 대유행에서 얻은 교훈을 분석하고 적용한다면 2020년은 전략적 변곡점으로 볼 것이다. [다음 유행병] 뿐만 아니라, [환자와 커뮤니티의 미해결 의료 요구]를 해결하기 위해 의사 인력 준비를 최적화하려면

  • 의료 교육 프로그램의 목표에 대한 관심 
  • 개별 의사의 역량 및 역할 
  • 의료진의 구성, 배치 및 책임 
  • 의학교육의 연속성을 감독하는 시스템의 설계가 필요합니다. 

The COVID-19 pandemic and associated racial unrest are once in a generation, transformational forces that should embolden us to embark upon a multiyear initiative to redesign the American health care and medical education systems to fully meet the needs of patients and society. The year 2020 will be viewed as a strategic inflection point if those who lead and regulate medical education analyze and apply lessons learned from the pandemic. Optimizing the preparation of the physician workforce to address the next pandemic as well as the unsolved health care needs of our patients and communities will require

  • attention to the goals of medical education programs;
  • the competencies and roles of individual physicians;
  • the composition, deployment, and responsibilities of the physician workforce; and
  • the design of systems that oversee the continuum of medical education.

잘 훈련된 의사들의 건강 관리 요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강력한 파이프라인으로 기대되고 자격이 있는 사회를 대표하여 이러한 위기 및 미래의 위기를 성공적으로 헤쳐나가려면 생태계 내의 모든 사람이 변혁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해야 합니다.

Successfully navigating this and future crises on behalf of a society that expects and deserves a robust pipeline of well-trained physicians to meet their health care needs requires a commitment from all within the ecosystem to make the choice to transform.

 

목록 1 의료 교육 혁신을 위한 10개 시점, 10년 플랫폼

  • 전국의 모든 지역사회에서 보건 및 건강 관리 개선에 초점을 맞춘 성공적인 노동력에 대한 국가 비전을 채택한다.
  • 의료·의료교육에서 구조적 인종차별의 결과와 징후를 적극적으로 발굴하고 제거함으로써 의료교육과 보건의료에 있어 사회적 정의를 실현한다.
  • 질병과 질병으로 고통받는 현상의 원인을 해결하는 데 필요한 광범위한 역할과 책임을 수용하기 위해 현재와 미래의 모든 의사 인력을 준비하는 커리큘럼을 설계한다.
  • 의료 교육 프로그램을 지역 사회 및 정부와 협력하여 이러한 문제에 교육 프로그램을 집중함으로써 전국 지역사회에서 질병과 사망의 가장 긴급한 원인을 식별하고 해결한다.
  • 의료 교육 전반에 걸쳐 프로그램 평가 전략의 표준을 채택하여 미래의 의사들에게 성장 마인드를 촉진하고 평생 학습을 지원하며 학습 환경의 형평성을 촉진합니다.
  • 역량 기반 교육을 구현하여 교육 효율성을 향상시키면서 환자 안전을 보호합니다.
  • 국가 시스템을 재설계하고 국가 기술 플랫폼에 투자하여 선택 프로세스의 공정성, 경제성, 효율성 및 효율성을 높입니다.
  • 학습자와 의사의 복지를 우선시하여 인력을 보호하십시오.
  • 혁신적인 파트너십을 통해 전국의 과소 서비스 지역사회에 대한 의료 접근 문제를 해결합니다.
  • 의료계, 공공계, 주정부 및 연방정부 간의 건강 및 웰빙을 지지하는 사회적 계약을 강화하고 공포한다.

List 1 A 10-Point, 10-Year Platform for Medical Education Transformation

  1. Adopt a national vision of the successful workforce focused on committing to improving health and health care in all communities across the country.
  2. Achieve social justice in medical education and health care across the country by actively seeking out and eliminating the consequences and manifestations of structural racism in medicine and medical education.
  3. Design curricula to prepare all in the physician workforce, present and future, to embrace the breadth of roles and responsibilities needed to address syndemic causes of suffering from illness and disease.
  4. Identify and address the most pressing causes of morbidity and mortality in communities across the nation by challenging medical education programs to partner with local communities and governments to focus educational programs on these issues.
  5. Facilitate growth mindsets and support lifelong learning in future physicians—and promote equity in learning environments—by adopting a standard of programmatic assessment strategies across the continuum of medical education.
  6. Protect patient safety while improving efficiency of training by implementing competency-based training.
  7. Increase equity, affordability, effectiveness, and efficiency of selection processes by redesigning national systems and investing in national technology platforms.
  8. Protect the workforce by prioritizing learner and physician well-being.
  9. Address health care access issues for underserved communities across the nation through innovative partnerships.
  10. Strengthen and promulgate the social contract between the medical profession, the public, and state and federal governments in support of health and well-being.

 

 


Acad Med. 2022 Mar 1;97(3S):S71-S81. doi: 10.1097/ACM.0000000000004526.

We Have No Choice but to Transform: The Future of Medical Education After the COVID-19 Pandemic

Affiliations collapse

Affiliations

1C.R. Lucey is professor of medicine, executive vice dean, and vice dean for education, University of California, San Francisco School of Medicine, San Francisco, California.

2J.A. Davis is professor of medicine, associate dean for curriculum, and interim associate dean for students, University of California, San Francisco School of Medicine, San Francisco, California.

3M.M. Green is Raymond H. Curry, MD Professor of Medical Education, professor of medicine, and vice dean for education, Northwestern University Feinberg School of Medicine, Chicago, Illinois.

PMID: 34789658

PMCID: PMC8855762

DOI: 10.1097/ACM.0000000000004526

Free PMC article

Abstract

Medical education exists to prepare the physician workforce that our nation needs, but the COVID-19 pandemic threatened to disrupt that mission. Likewise, the national increase in awareness of social justice gaps in our country pointed out significant gaps in health care, medicine, and our medical education ecosystem. Crises in all industries often present leaders with no choice but to transform-or to fail. In this perspective, the authors suggest that medical education is at such an inflection point and propose a transformational vision of the medical education ecosystem, followed by a 10-year, 10-point plan that focuses on building the workforce that will achieve that vision. Broad themes include adopting a national vision; enhancing medicine's role in social justice through broadened curricula and a focus on communities; establishing equity in learning and processes related to learning, including wellness in learners, as a baseline; and realizing the promise of competency-based, time-variable training. Ultimately, 2020 can be viewed as a strategic inflection point in medical education if those who lead and regulate it analyze and apply lessons learned from the pandemic and its associated syndemics.

학술의학에서 여성의 동등함 추구: 역사적 관점(Acad Med, 2020)
Seeking Parity for Women in Academic Medicine: A Historical Perspective
Kenneth M. Ludmerer, MD

 

역사적으로, 미국의 여성들은 의사가 되기 위해 많은 장애물에 부딪쳤다. 19세기 전반에는 동성애자, 절충주의자, 톰슨인과 같은 대체의학자alternative 신분에서 여성을 찾아볼 수 있었지만, 어떤 Allopathic 의사신분에서도 찾아볼 수 없었다. 1849년 1월, 엘리자베스 블랙웰은 제네바 의과대학에서 MD 학위를 받았고, 이로써 이 나라에서 그렇게 한 최초의 여성이 되었다. 그 후, 20세기 초반의 3분의 2 동안 여성 의사의 수는 평균 약 6%로 약간 증가했다. 이는 다른 직업의 여성 비율(예: 법학 2%, 공학 1% 미만)과 비교했을 때보다는 조금 낫다. 그러나 미국의 여성 의사 비율은 여전히 유럽 국가들의 여성 의사 비율에 뒤지고 있다. 독일에서는 1960년대에 의사의 30%가 여성이었고, 네덜란드는 20%, 영국은 25%, 소련은 75%였다.
Historically, women in the United States have encountered many obstacles to becoming doctors. During the first half of the 19th century, women could be found among the ranks of “alternative” healers such as homeopaths, eclectics, and Thomsonians but not among the ranks of allopathic physicians. In January 1849, Elizabeth Blackwell received the MD degree from Geneva Medical College, thereby becoming the first woman in this country to do so. Subsequently, the number of women physicians grew modestly, averaging around 6% of the medical workforce for the first two-thirds of the 20th century. This compared favorably with the percentage of women in other professions—for example, 2% in law and less than 1% in engineering. The percentage of women doctors in the United States still trailed the percentage of women doctors in European countries, however. In Germany, 30% of physicians were women in the 1960s, while the proportion was 20% in the Netherlands, 25% in Great Britain, and 75% in the Soviet Union.1 Clearly, the opportunities for women to enter medicine reflected cultural norms.

미국 의학계에서 여성의 비율이 역사적으로 낮은 이유를 설명하기 위해 많은 설명이 제시되었다. 초기 연구에서 메리 월시는 의과대학에 입학하는 여성 의사의 수를 제한하기 위해 의료기관이 만든 명백한 장벽에 기인한다고 말했다. 많은 학교들이 여성을 입학시키지 않았고, 어떤 학교에서는 엄격한 쿼터를 설정했다. 이 주장은 그녀의 책 제목에 구체화되어 있다. [의사 구함: 여성은 지원할 필요 없음]

Many explanations have been offered to account for the historically low representation of women in the U.S. medical profession. In an important early study, Mary Walsh attributed this to explicit barriers created by the medical establishment to limit the number of women physicians admitted to medical school. Many schools would not admit women; others established rigid quotas. This argument is embodied in her book’s title: Doctors Wanted: No Women Need Apply.2

하지만, 여성들은 [입학에서의 명백한 차별] 뿐만 아니라 추가적인 장애에 직면했다. Carol Lopate와 Regina Markell Morantz-Sanchez가 보여주었듯이, 모든 직업에 여성의 진입에 대한 사회적 기대는 완화되었다. 전형적인 여성의 역할은 주부와 주부였다. 여성들은 종종 교사, 어드바이저, 친구, 또는 가족 구성원들로부터 힘든 커리어를 추구하라는 격려를 거의 받지 못했다. 그 결과, 상대적으로 소수의 여성만이 의학 분야에서 커리어를 추구했다. 
However, women encountered obstacles in addition to overt discrimination in admissions. As Carol Lopate and Regina Markell Morantz-Sanchez have shown, societal expectations mitigated against the entry of women into medicine, as they did for the entry of women into all professions. The stereotypical woman’s role was that of housewife and homemaker. Women often received little encouragement from teachers, advisers, friends, or family members to enter demanding careers. The result was that relatively few women sought careers in medicine.1,3

1960년대 후반부터 페미니스트 운동의 부활이 탄력을 받으면서, 의학에 종사하는 여성의 수가 급격히 증가했다. 1980년까지 의대생들의 거의 30%가 여성이었고, 1990년에는 그 비율이 약 40%였으며, 2000년에는 거의 50%가 되었다. 

Beginning in the late 1960s, as the revival of the feminist movement gained momentum, the number of women entering medicine rapidly grew. By 1980, nearly 30% of incoming medical students were women; by 1990, the proportion was roughly 40%; and by 2000, it was nearly 50%.4,5

그러나 의학 분야에서 경력을 쌓고자 하는 여성 의사들은 계속해서 많은 장애물에 부딪혔다. 의과대학의 여성들은 항상 어려움을 겪어왔기 때문에 이것은 새로운 것은 아니었다. 대부분의 기관들은 종종 여성들을 강사나 조교수로 임명했지만, 인지도와 승진은 매우 느렸고, 여성 교수진의 급여는 비슷한 지위와 연공서열의 남성들에 비해 관습적으로 낮았다. 직업의학 분야의 창시자이자 그녀의 학장에 의해 그 분야에서 "어떤 남자보다 매우 우월하다"고 여겨지는 사람인 [앨리스 해밀턴]의 경우를 생각해 보자. 그녀는 하버드 의과대학의 유일한 여성 교수이자 임시직 이상의 어떤 것도 그녀에게 제공하는 것을 거부한 것에 대해 개인적으로 (비록 공개적으로는 아니었더라도) 좌절했다. 그녀는 1935년 조교수로 은퇴했고, 그녀의 기관 밖에서는 높은 영예를 얻었지만 그 안에는 없었다.6 세계 2차 세계 대전 이전에 여성 학장을 임명했던 미국의 유일한 의과대학은 펜실베이니아 여성 의과대학이었다.
However, women physicians aspiring to careers in academic medicine continued to encounter many obstacles. This represented nothing new, for women at medical schools had always experienced difficulties. Most institutions frequently appointed women as instructors or assistant professors, but recognition and advancement came very slowly, and salaries for women faculty were customarily lower than those for men of comparable rank and seniority. Consider the case of Alice Hamilton, the founder of the field of occupational medicine and a person considered by her dean as “greatly superior to any man” in the field. She was privately (though not publicly) frustrated at being Harvard Medical School’s only woman faculty member and at the school’s refusal to offer her anything more than a succession of temporary appointments. She retired in 1935 as an assistant professor, highly honored outside her institution but not within it.6 Before World War II, the only medical school in the nation that had appointed a woman dean was Woman’s Medical College of Pennsylvania.7

1970년 이후, 여성들은 내과, 소아과, 정신과, 산부인과, 가정의학과에 더 많은 비율을 차지하면서, Academic medicine에 진입하기 시작했다. 그러나 초기 경력 교수진 수준에서는 여성이 더 높게 나타났다. 1980년에는 전체 교수의 10% 미만이 여성이었고 학과장의 4%만이 여성이었다. 많은 사람들은 이것이 대부분의 여성 의사들이 아직 매우 어리고 고위 학문적, 행정적 임명이 일반적으로 나이든 개인들에게 돌아간다는 사실에 기인한다고 말했다. 그러나 1995년에는 여성인 정교수와 학과장의 비율이 1980년과 변함이 없었고 2015년에는 그 수가 약간 더 높을 뿐이었다. 여성 학장의 수도 비슷하게 낮았다. 여성들은 사업계, 법조계, 그리고 다른 분야뿐만 아니라 다른 과학 및 학문 분야에서 지도적 지위를 얻는 데 있어 유사한 장애에 직면했다. 
After 1970, women began to enter academic medicine in large numbers, with greater proportions entering internal medicine, pediatrics, psychiatry, obstetrics and gynecology, and family medicine. However, women were more highly represented at the early-career faculty level. In 1980, less than 10% of full professors and only 4% of department chairs were women. Many attributed this to the fact that most women physicians were still very young and that senior academic and administrative appointments generally went to older individuals. However, in 1995, the percentage of full professors and department chairs who were women was unchanged from 1980, and in 2015, the numbers were only slightly higher. The number of women deans was similarly low.8–12 Women encountered similar obstacles to obtaining leadership positions in other scientific and academic fields as well as in business, law, and other areas.13–15

여성 의대생, 전공의, 그리고 주니어 교수진의 파이프라인이 남성들과 동등해진 지 한참 후까지도, Academic medicine에서 고위직에 여성들이 현저하게 과소대표되는 것을 설명하는 것은 무엇인가? 설명의 일부는 1970년대 초의 페미니스트 학계에서 생겨난 개념인 "미시적 불평등microinequities"의 존재에 있다. 이 용어는 [고통스럽고 파괴적이며 여성 의사들의 전문적인 발전을 방해하는, 때로는 분명하지 않지만 실질적인 경시slight]를 가리킨다. 예로는 여성을 비하하는 성적 유머, 여성의 직업적 특성을 과소평가하는 동안 여성의 외모에 초점을 맞추는 것, 여성의 생각을 남성에게 돌리는 것, 남성의 경우 "힘있음" 또는 "강력함"으로 여겨질 행동에 대해 여성 의사는 "과다 공격적"으로 분류하는 것 등이 있다. 이러한 예들은 미시적 불평등의 만연에 비추어 볼 때, 의학 문화가 모든 여성들에게 그저 지지하지 않는다는 것을 암시한다. 그러나 다른 요인들도 지도적 역할에서 여성의 대표성을 과소평가하는 데 기여한다. 문헌에는 다음과 같은 여성 교수진이 직면하는 추가적인 문제의 예들로 가득하다.

  • 상급 교수들이 여성 후배들에게 제공하는 멘토링과 후원의 부족,
  • 다른 사람들이 여성 강사의 일에 대해 공로를 뺏으려는 경향,
  • 경력 개발에 도움이 되지 않는 시간이 많이 걸리는 행정 업무 또는 교수 업무를 수행하도록 요청받는 것
  • (의식적이든 무의식적이든) 여성에게서 제도적 자원과 협력의 기회를 주지 않는 것

What accounts for the significant underrepresentation of women in senior positions in academic medicine long after the pipeline of women medical students, residents, and junior faculty reached parity with men? Part of the explanation lies in the presence in medicine of “microinequities,” a concept arising from feminist scholarship of the early 1970s. This term refers to sometimes unapparent but real slights that are painful and destructive and that interfere with the professional development of women physicians.8 Examples include sexual humor disparaging to women, focusing on a woman’s appearance while downplaying her professional attributes, attributing a woman’s ideas to a man, and labeling women physicians as “overly aggressive” for behavior that in a man would be considered “forceful” or “strong.” These examples suggest that, given the prevalence of microinequities, the culture of medicine is simply unsupportive for all women. Other factors contribute to the underrepresentation of women in leadership roles, however. The literature is replete with examples of additional problems encountered by women faculty, including

  • the lack of mentoring and sponsorship provided to junior women faculty by senior professors,
  • the tendency of others to take credit for the work of women instructors,
  • the frequency with which women faculty are asked to do time-consuming administrative or teaching tasks that do not directly advance their career, and
  • the withholding from women (consciously or unconsciously) of institutional resources and opportunities for collaboration.

여성 교수진의 전문적 진보를 가로막는 훨씬 더 큰 장벽은 의과대학의 구조적인 조직, 즉 연구에 우선 순위를 두는 것에서 비롯되었다. 처음부터, 미국의 의과대학(미국 연구 대학)에서는 연구가 승진, 교수직, 지도직 임명에 대한 주요 결정요인으로 작용했다. 미국의 의과대학과 연구대학이 모두 독일 대학 시스템에 뿌리를 두고 있다는 점을 감안할 때 이것은 놀라운 일이 아니었다. 그것은 모든 교수들, 남성들뿐만 아니라 여성들, 그리고 의대 지도자들에게는 "출판 아니면 멸망"이었고, 교수의 가정적 책임에 대해 거의 관심을 보이지 않았다.
An even greater barrier to the professional advancement of women faculty arose from the structural organization of medical schools: the priority placed on research. From the beginning, at the U.S. medical school—as at the U.S. research university—research served as the primary determinant of promotion, faculty rank, and appointment to leadership positions. This was hardly a surprise, given that both the U.S. medical school and research university had their roots in the German university system.16 It was “publish or perish” for all faculty, women as well as men, and medical school leaders showed little concern for a professor’s home responsibilities.

승진, 테뉴어, 리더십에서 연구가 중심에 있다는 점이 여성을 남성보다 훨씬 불리한 위치에 놓이게 했다. 학문적 성공은 [자신의 프로젝트에 대한 단호한 헌신]에 달려 있었고, 일주일에 60시간 또는 70시간의 노동이 필요했다. 기혼 남성들은 종종 그들의 배우자와 동등하게 육아와 가사일에 참여하지 않음으로써 일에 대한 그러한 일편단심적인 헌신을 할 수 있었다. 이와는 대조적으로 기혼 여성들은 일반적으로 집에 도착하자마자 그들의 "제2의 교대 근무"를 맡아야 했다. 충분한 육아휴직, 현장 육아, 또는 테뉴어 시계 일시정지의 선택권을 제공함으로써 여성 교수진을 수용하는 의대가 거의 없다는 사실은 문제를 더욱 복잡하게 만들었다. 또한 영감과 지도력을 얻기 위해 지도적인 역할을 하고자 하는 여성 후배 교수진을 위한 여성 역할 모델이 부족했다. 반면 자녀가 없는 기혼여성 교수진은 남성만큼 자주 발표됐고, 남성 동료들과 견줄 만한 비율로 학계 서열까지 올랐다. 

The centrality of research to promotion, tenure, and leadership placed women at a great disadvantage relative to men. Academic success depended on a single-minded dedication to one’s projects and required 60- or 70-hour work weeks. Married men could often afford such single-minded devotion to work by virtue of not participating equally with their spouses in child-rearing and household chores. Married women, in contrast, typically had to assume their “second shift” of work on arriving home.9,17,18 The fact that few medical schools accommodated women faculty by providing sufficient parental leave, on-site child care, or the option of pausing the tenure clock only compounded the problem. So did a dearth of female role models for women junior faculty members aspiring to leadership roles to turn to for inspiration and guidance. In contrast, married women faculty without children published as frequently as men and rose through the academic ranks at rates comparable to their male colleagues.9,19,20

물론, 많은 여성 의사들은 모성애를 학문적인 의학 분야에서 충실한 경력과 결합하는 데 성공했다. 그러나 성공은 종종 쉽게 이루어지지 않았고, 종종 남성보다 시간이 더 걸렸다. 저명한 여성 교수진들은 그들의 힘든 여정을 묘사했는데, 밤늦게 원고를 쓰고, 그들의 전문적인 시야를 향상시켰을 수도 있는 여행을 최소화하여, 아픈 아이를 돌보기 위해서 예기치 않게 실험실을 떠나야 했을 수도 있다. [보조금과 출판물을 통해 일찍부터 과학적 "생산성"을 입증해야 할 필요성이 높은 중요한 시기]가 [출산을 하게 되는 시기]와 겹친다는 점에서, 최초 교수 발령 직후의 시간이 가장 취약한 시기였다. 
Many women physicians, of course, did succeed in combining motherhood with a fulfilling career in academic medicine. However, success often did not come easily and frequently took longer than for their male counterparts.9,10 Prominent women faculty members have described their difficult journey—writing manuscripts late at night, minimizing travel that might have enhanced their professional visibility, leaving the laboratory unexpectedly to tend to a sick child.10 The time following an initial academic appointment was the most vulnerable period, given that the need to demonstrate scientific “productivity” early on through grants and publications coincided with important childbearing years.17

최근 몇 년 동안 많은 의과대학과 교육병원이 여성 연수생과 내과의사들에게 기회와 만족도를 높이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예를 들면 다음과 같다.

  • 관리자와 고위 교직원을 위한 성 감성에 대한 교육,
  • 성희롱을 단속하고,
  • 보다 공평한 급여와 자원의 분배를 제공하는 것,
  • 여성들을 위한 멘토링 프로그램을 만들고,
  • 사회적, 직업적 관계를 장려하기 위한 여성 조직을 설립하고,
  • 성차별을 없애고 여성을 위한 건강하고 양육적인 직장 환경을 개발하기 위한 전략을 홍보하는 것

In recent years, many medical schools and teaching hospitals have made efforts to improve opportunities and satisfaction for women trainees and physicians. Examples include

  • training in gender sensitivity for administrators and senior faculty,
  • clamping down on sexual harassment,
  • providing more equitable pay and distribution of resources,
  • creating mentoring programs for women,
  • establishing women’s organizations to encourage social and professional relationships, and
  • promoting strategies to eliminate gender discrimination and develop a healthy and nurturing work environment for women.

특히 주목할 만한 것은 전문가와 개인 및 가족의 책임을 조화시키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노력이다. 많은 의과대학들은 이 방향으로 중요한 조치를 취해왔다.

  • 육아휴직과 관련된 보다 자유주의적인 정책을 시행하고,
  • 현장 육아 제공,
  • 시간외 회의 제거,
  • 시간제 커리어 트랙 생성,
  • 가족 책임 때문에 추가 시간이 필요한 교수진의 종신 재직 기간 연장 

Particularly notable are the efforts to address the challenge of reconciling professional with personal and family responsibilities. Many medical schools have taken important steps in this direction, such as

  • implementing more liberal policies pertaining to parental leave,
  • providing on-site childcare,
  • eliminating after-hours meetings,
  • creating part-time career tracks, and
  • lengthening the tenure clock for faculty needing additional time because of family responsibilities.


지난 100년 동안 의학계에서 여성의 지위는 극적으로 변화했다. 한 세기 전, 여성들은 심지어 투표하는 것조차 허락되지 않았다. 여성들이 의과대학에 입학하고, 의대 교수에 임용되는 데까지는 50년이 더 걸렸다. 과거의 공공연한 차별은 사라졌고, 미시적 불평등은, 여전히 존재하지만, 더 이상 쉽게 간과되거나 용서되지 않는다. 그러나 여성의 의과대학 입학이 남성과 본질적으로 동일했음에도 불구하고 지도적 지위의 평등은 아직 일어나지 않았다. 이 상황을 바로잡는 것은 사회 정의의 관점에서뿐만 아니라, 그 직업이 노동력의 모든 사람들에게 충실한 경력을 제공할 때만이 가장 강해질 수 있기 때문에 매우 중요한 문제이다. 다양성은 학술 보건소를 포함한 모든 조직이나 직업의 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Over the past 100 years, the position of women in medicine has changed dramatically. A century ago, women were not even permitted to vote. It took another 50 years for women to gain admission to medical school and appointments to medical faculties in non-token numbers. The overt discrimination of the past has disappeared, and microinequities, though still present, are no longer so easily overlooked or forgiven. Parity in leadership positions has yet to occur, however, even though the matriculation of women to medical school has long been essentially equal to that of men.9,21 Correcting this situation is a matter of great importance—not only from the perspective of social justice but also because the profession can be at its strongest only if it offers fulfilling careers to everyone in the workforce. Diversity has a positive impact on the performance of any organization or profession, including academic health centers.

의학 분야에서 여성들에게 가장 중요한 도전은 [직업적인 성공]과 [개인적인 성취]를 모두 달성하는 것이다. 이 도전은 모든 교수진에 영향을 미친다. 오늘날, 남성 의사들 또한 업무 과부하 문제와 그로 인한 개인적, 가족적 관계에 대한 부담에 대해 점점 더 목소리를 높여가고 있다. 남녀 의사 모두 보다 예측 가능한 일정으로 '라이프스타일' 분야에 관심을 표명했으며, 많은 남성 의사들도 육아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개인의 관심사에 더 많은 시간을 할애할 계획이다. 연구가 학문적 의학의 화폐가 되는 것을 멈출 것 같지 않고 바람직하지 않지만, 의학계도 모든 직업과 마찬가지로 그것이 존재하는 사회의 관습mores와 가치에 절묘하게 민감하다. 더 나은 일과 삶의 균형을 이루기 위한 운동이 더 일반화될 경우, 학문적 의학 분야의 커리어 패스도 재구성될 가능성이 있다. 여성과 남성 모두가, 높은 학문적 기준을 확고히 유지하면서 테뉴어 및 승진 달성을 위한 유연한 시간프레임을 보편적으로 이용하는 미래를 상상하는 것은 그럴듯하다. 만약 이것이 일어난다면, 그것은 의학 분야에서 여성들에게 깊은 유산을 나타낼 것이다. 그들의 전문적인 희생과 더 공평한 문화에 대한 옹호 세대는 그것의 문화를 바꿀 것이기 때문이다.

The central challenge to women in academic medicine remains: achieving both professional success and personal fulfillment.22 This challenge affects all faculty. Today, male physicians have also become increasingly vocal about the problem of work overload and the resultant strains on personal and family relationships. Physicians of both genders have declared their interest in “lifestyle” fields with more predictable schedules, and many male physicians plan to participate actively in child-rearing and devote more time to personal interests. Although it is unlikely and undesirable that research will ever cease to be the currency of academic medicine, the medical profession, like all professions, is exquisitely sensitive to the mores and values of the society in which it exists. Should the drive to achieve better work–life balance become more generalized, it is possible that career paths in academic medicine might be restructured. It is plausible to imagine a future in which flexible time frames to achieve tenure and promotion are universally available to both women and men, with high scholarly standards firmly maintained. If this occurs, it will represent a profound legacy for women in academic medicine, for their generations of professional sacrifice and advocacy for a more equitable culture will have changed its culture.

 


Acad Med. 2020 Oct;95(10):1485-1487. doi: 10.1097/ACM.0000000000003556.

Seeking Parity for Women in Academic Medicine: A Historical Perspective

Affiliations collapse

Affiliation

1K.M. Ludmerer is professor of medicine, professor of history, and the Mabel Dorn Reeder Distinguished Professor of the History of Medicine, Washington University in St. Louis, St. Louis, Missouri.

PMID: 33002905

DOI: 10.1097/ACM.0000000000003556

Abstract

In this Invited Commentary, the author applies a historical lens to explore a fundamental paradox in U.S. medical education: the fact that long after women gained parity with men in matriculation to medical school, women remain highly underrepresented in leadership positions in academic medicine. The reasons for this are many and complex, but at the core are the subtle but hurtful indignities ("microinequities") experienced by women physicians and an academic culture that expects single-minded dedication to work, regardless of the costs to faculty members' personal lives. Achieving parity for women in academic leadership will require changing the culture of medical schools and teaching hospitals to correct these 2 fundamental obstacles. In recent years, many medical schools and teaching hospitals have made efforts to improve opportunities and satisfaction for women trainees and physicians, enacting reforms to improve work-life balance for all faculty. It is plausible to imagine a future in which flexible time frames to achieve tenure and promotion are universally available to both women and men, with high scholarly standards firmly maintained. If this occurs, it will represent a profound legacy for women in academic medicine, for their generations of professional sacrifice and advocacy for a more equitable culture will have changed its culture.

임상 교수자의 교육개발 참여의 모순: 활동이론 분석(Adv Health Sci Educ Theory Pract. 2019)
Contradictions in clinical teachers’ engagement in educational development: an activity theory analysis
Agnes Elmberger1 · Erik Björck2,3 · Matilda Liljedahl1,4 · Juha Nieminen1 · Klara Bolander Laksov1,5

 

 

 

서론
Introduction

보건 전문 교육(HPE) 내에서 전문화된 교육을 실시해야 한다는 요구가 반복적으로 제기됨에 따라, 많은 의과대학은 임상의의 교육 역할을 지원하기 위한 교육 개발 활동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연구는 그러한 활동의 배치, 범위 및 효과와 개별 임상 교사가 이러한 프로그램에 참여하는 이유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그러나 임상교사의 [교육개발 참여에 대한 시스템적 영향]에 대해서는 충분히 알려져 있지 않다.

Due to recurrent calls to professionalise teaching practice within health professions education (HPE) (Mclean et al. 2008), many medical universities offer educational development activities to support clinicians in their teaching role. Research has focused on the arrangement, scope and effectiveness of such activities (De Rijdt et al. 2013; Leslie et al. 2013; Steinert et al. 2016; Stes et al. 2010), as well as the reasons why individual clinical teachers participate in these programs (Steinert et al. 2010). However, not enough is known about systemic influences on clinical teachers’ engagement in educational development.

[교육 개발]은 "교수진 자체 또는 교직원과 함께 일하는 다른 사람에 의해 계획되고 실행되는 행동"을 기술한다. 고등교육교사의 이러한 교육개발 참여에 대한 이전의 연구는 [내재적 요소]와 [직업적 동기]의 중요성을 보여주었다. 또한, 의학 교육자들 사이에서 개인, 그룹 및 기관 차원에서 교육 발전의 장벽과 기회를 조사하기 위한 노력이 있었다.
Educational development describes “actions, planned and undertaken by faculty members themselves or by others working with faculty, aimed at enhancing teaching” (Amundsen and Wilson 2012, p. 90). Previous research into higher education teachers’ participation in such educational development has shown the importance of both intrinsic factors and professional motives (Knight et al. 2006). Also, there have been efforts to investigate barriers to and opportunities for educational development at individual, group and institutional levels among medical educators (Stenfors-Hayes et al. 2010).

임상 환경에 있는 교사에 초점을 맞추어, 현재의 문헌은, 개인 및 전문적 개발, 같은 생각을 가진 동료와 만날 기회 등, 교육 개발에 참가하기 위한 [시간 관련 장벽]과 [개인의 동기 요소]에 대한 통찰력을 제공합니다. 단, 주로 [임상 교사 개개인에 중점]을 두고 있지만, 교수자가 소속된 복잡한 임상 환경을 인식하고, 교육 개발에 참여하는 데 있어 [시스템적 관점]을 포함하는 것이 중요하다.
Focusing on teachers situated in clinical environments, the current literature offers insights into time-related barriers and individual motivation factors to participate in educational development, including personal and professional development and opportunities to meet like-minded colleagues (Sorinola et al. 2013; Steinert et al. 2009, 2010; Zibrowski et al. 2008). However, the emphasis has primarily been on individual clinical teachers, while it would be valuable to include a systemic perspective on their engagement in educational development, recognising the complex clinical environment of which they are part (Amundsen and Wilson 2012; O’Sullivan and Irby 2011; Steinert et al. 2006).

[개인과 시스템 사이의 상호작용]에 주목하는 한 이론은 [활동 이론]이다. HPE의 복잡한 문제를 연구하기 위한 도구로 제안되었으며, 이전에는 직장 학습의 다양한 측면을 다루기 위해 적용되었다.
One theory that pays attention to interactions between the individual and the system is activity theory (Engeström et al. 1999; Engeström 1987; Virkkunen and Newnham 2013). It has been proposed as a tool for studying complex issues in HPE (Varpio et al. 2017) and has previously been applied to address different aspects of workplace learning (Reid et al. 2015; de Feijter et al. 2011; Larsen et al. 2017) and group interactions (Kent et al. 2016).


[활동체계(그림1)]는 분석의 기본단위로 간주된다. 이 시스템은 [인간 활동의 객체 지향적인 본질]을 주제로 묘사하고 있습니다. 즉, 분석의 관점으로 선택된 개인 또는 집단이 성과를 도출하는 대상에 대해 작업하는 것이다. 활동의 대상object은 활동을 향한 동기(예: 환자 치료)이지만, 그 결과outcome는 활동의 산물(예: 건강 개선)이다. 그 대상object은 개인적인 동기 부여와 연결된 [개인 수준], 즉 '특정 물체the specific object' 또는 사회적 의미와 연결된 [시스템 수준], 즉 '일반화된 물체the generalized object'에 존재할 수 있습니다.

The activity system (Fig. 1) is seen as the basic unit of analysis. It depicts the object-oriented nature of human activity with a subject, i.e. the individual or group whose viewpoint is chosen as the perspective of analysis, working on an object resulting in outcomes (Engeström and Sannino 2010; Leont’ev 1978; Vygotskij and Cole 1978). While the object of an activity is the motive directing it, e.g. patient care, the outcome is the product of the activity, e g. improved health. The object can be present at the individual level where it is connected to personal motivation, called ‘the specific object’, or at the system level connected to societal meaning, referred to as ‘the generalized object’ (Engeström and Sannino 2010).

 

활동 시스템은 또한 [주체와 객체subject and object 사이의 상호작용]을 위한 [중재 도구]의 사용, 즉 [객체object의 달성을 위해 도구tool가 어떻게 주체의 작업을 중재mediate하는지]를 묘사합니다. 이러한 도구는 우리의 문화 역사 및 사회 환경에서 비롯되었으며, 일정과 같은 구체적이거나 언어개념과 같은 추상적일 수 있습니다(Nicolini 2012). 이 주체subject는 [규칙이 활동을 규제하고, 분업division of labour이 공동체 내에서 어떻게 일을 분배하는지를 지정]하는 사회 문화 공동체의 일부이다. 모든 요소는 상호 연결되고 함께 주체의 목적 달성을 중재하거나 방해합니다.
The activity system also depicts the use of mediating tools for the interaction between subject and object, or in other words, how tools mediate the subject’s work towards achieving the object (Engeström and Sannino 2010; Leont’ev 1978; Vygotskij and Cole 1978). Such tools originate from our cultural history and social environment and can be concrete, such as a schedule, or abstract, such as language and concepts (Nicolini 2012). The subject is part of a social and cultural community in which rules regulate the activity and where a division of labour specifies how work is divided within the community. All elements interconnect and together mediate, or hinder, the subject’s ability to achieve the object (Engeström and Sannino 2010).

활동 시스템은 다양한 견해, 전통 및 문화를 구성하며, 잘못 정렬되면 인접 활동 시스템 내부 및 사이에 [모순]을 일으킨다. [모순]은 역사적, 시스템적 긴장이며, 이는 활동의 방해로 나타난다. 그것들은 경험적 연구에서 포착하기 어렵지만, 그들의 징후는 개인의 설명과 말과 행동의 구성에서 인식될 수 있다.
Activity systems comprise a multiplicity of views, traditions and cultures which, when misaligned, give rise to contradictions within and between neighbouring activity systems (Engeström 1987). Contradictions are historic and systemic tensions, which manifest as disturbances in the activity. They are challenging to capture in empirical studies, however, their manifestations can be recognised in individuals’ accounts and constructs of words and actions (Engeström and Sannino 2011).

활동 이론은 개인과 시스템 간의 복잡한 상호작용을 이해하기 위한 도구를 제공하며 교육 개발에 참여하는 시스템성의 일부에 대처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습니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활동 이론의 관점을 채택하여 임상 교사가 교육 개발에 참여하는 것이 어떻게 그들이 행동하는 시스템에 의해 영향을 받는지를 탐구하는 것이었다. 구체적인 조사 질문은 다음과 같습니다.

  • (1) 임상 교사는 어떤 시스템에 속하며 이러한 시스템의 모순은 무엇입니까? 그리고. 
  • (2) 교육 시스템에서 모순은 어떻게 드러납니까?

Activity theory affords a tool for understanding complex interactions between individuals and systems and can aid in addressing parts of the systemness of engaging in educational development. Thus,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mploy an activity theory perspective to explore how clinical teachers’ engagement in educational development is affected by the systems they act within. Our specific research questions were:

  • (1) what systems are clinical teachers part of and what are the contradictions in these systems? and
  • (2) how do the contradictions manifest in the system of education?

방법
Methods

이 연구는 [현실의 구성이 연구자와 연구 대상물 사이의 상호작용을 통해 도출된다는 것]을 인정하는 [해석주의적 접근법]을 채택했다. [활동 이론]을 이론적 틀로 적용하였고, 질적 데이터 수집 방법을 사용하여 다양한 경험을 수집하였다. 연구 그룹은 정성적 방법과 HPE(KBL, ML), 임상 교육(EB, AE) 및 교육 심리학(JN)에 대한 전문 지식을 가진 연구자로 구성되었다. 이를 통해 저자들이 반사적인 데이터 수집과 분석에 관여하는 동적인 논의가 가능해졌다.
The study employed an interpretivist approach, acknowledging that constructions of reality are elicited through interactions between the researcher and the object under study (Bunniss and Kelly 2010). Activity theory (Engeström 1987) was applied as a theoretical framework, and qualitative data collection methods were used to gather various experiences. The research group consisted of researchers with expertise in qualitative methods and HPE (KBL, ML), clinical education (EB, AE) and educational psychology (JN). This enabled a dynamic discussion whereby the authors engaged in reflexive data collection and analysis.

설정
Setting

연구는 스웨덴에 있는 대규모 단일 시설 의과대학에서 수행되었으며, 20개 이상의 학부 HPE 프로그램을 제공했으며, 그 중 일부는 많은 양의 임상실습도 포함하고 있다. 이러한 임상실습은 환자 치료, 연구 및 교육이라는 세 가지 업무를 수행하는 학술 병원에서 이루어집니다. 임상 교사는 다양한 임상 작업을 유지하면서 교육자로서의 역할을 하도록 임명된 임상 의사입니다. 대학에는 의학 교육 센터와 임상 교육 센터가 있으며, 두 센터 모두 임상 교사에게 교육 개발 지원을 제공합니다. 각 보건 분야별 전문 분야별 교육 개발은 별도로 담당한다.
The study was conducted in a large single-faculty medical university in Sweden, offering over 20 undergraduate HPE programmes, several of which include a large amount of clinical clerkships. These clerkships take place in academic hospitals which have the threefold task of patient care, research and education. Clinical teachers are clinicians appointed to roles as educators while maintaining varying amounts of clinical work. The university has a centre for medical education and a centre for clinical education, both of which offer educational development support to clinical teachers. Each health profession discipline is separately in charge of educational development for their professionals.

참가자
Participants

이 연구는 팀 차원에서 교육 개발을 실시하는 것을 제안했던 이전 연구 결과에서 나온 대규모 연구 프로젝트의 일부였습니다. 따라서 임상교사 팀은 자신의 직장에서 교육개발 프로젝트를 추진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교육개발 프로그램]에 참여하도록 초대되었습니다. 5개 팀이 참가했는데, 그 중 3개 팀이 다학문이었다. 연구에 초대된 17명의 참가자 중 한 명은 개인적인 이유로 참석하지 못했다. 16명의 참가자는 2개의 전문병원과 5개의 외과 및 내과 임상과를 대표하며 물리치료사 7명, 의사 4명, 간호사 3명, 작업치료사 1명, 병원 사회복지사 1명으로 구성됐다. 두 명은 남자였고 평균 연령은 45세였다. 교육에 대한 적극적인 참여 기간은 다음과 같다. 5년 이상(8명), 3~5년(5명), 1~2년(2명), 1년(1명).

The study was part of a larger research project in which previous findings had suggested conducting educational development on a team level (Barman et al. 2016; Söderhjelm et al. 2018). Therefore, teams of clinical teachers were invited to participate in an educational development program aiming to support them in pursuing educational development projects in their own workplace. Five teams, of which three were multi-disciplinary, participated in this one-year program. Of the 17 attendees invited to join the study, one was unable to participate for personal reasons. The 16 participants represented two academic hospitals and five clinical departments in surgery and internal medicine, and comprised seven physiotherapists, four physicians, three nurses, one occupational therapist and one hospital social worker. Two were male, and the mean age was 45 years. The duration of active participation in education was: 5+ years (8 participants), 3–5 years (5 participants), 1–2 years (2 participants) and 1 year (1 participant).

3명의 저자가 교육개발 프로그램에서 강의하고 있었기 때문에, 참가자는 다른 저자의 연구(AE)에 초대되어 자발적인 참가이며, 프로그램에서의 성과 평가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는 것을 명확히 알렸습니다. 모든 개별 참가자들로부터 사전 동의를 얻었으며, 스톡홀름 윤리 검토 위원회로부터 윤리적 승인을 받았습니다.
As three of the authors (EB, ML, KBL) were teaching in the educational development program, the participants were invited to the study by another author (AE) and clearly informed that participation was voluntary and would bear no impact on the assessment of their performance in the program. Informed consent was obtained from all individual participants, and ethical approval was received from the Stockholm Ethical Review Board (nr: 2016/1425-31).

데이터 수집
Data collection

포커스 그룹은 참여를 촉진하기 위해 프로그램 데이와 함께 개최되었습니다. 인터뷰 가이드는 액티비티 이론을 사용하여 작성되었으며 다음과 같은 세 가지 중점 영역으로 나뉩니다. 개인, 그룹 및 조직. 인터뷰 주제의 예는 다음과 같습니다: 교육 및 교육 발전을 추구하기 위한 원동력, 경영진과 지역사회가 교육 문제에 어떻게 관심을 기울였는지, 그리고 임상 작업장의 교육 구조.
Focus groups were held in conjunction with a programme day to facilitate participation. The interview guide was developed using activity theory and was divided into three focus areas: the individual, the group and the organisation. Examples of topics were: the driving forces for pursuing education and educational development, how management and the community attended to educational matters and the structure of education in the clinical workplace.

3개의 포커스 그룹 각각에 5~6명의 참가자가 있었다. 첫 번째 그룹은 임상 훈련 병동으로 작업하는 두 개의 팀으로 구성되었고, 두 번째 그룹은 서로 다른 병원에 있지만 환자 특성 및 업무 측면에서 유사한 부서의 두 개의 팀으로 구성되었으며, 세 번째 그룹은 하나의 더 큰 팀으로 구성되었다. 각 포커스 그룹에는 진행자(AE, KBL, ML)와 관찰자(JN, EB, 연구 보조 JC)가 있어 후속 질문에서 진행자를 지원했습니다. 약 1시간 동안 진행된 포커스 그룹 인터뷰는 AE에 의해 음성녹음 및 문자 그대로 기록되었으며 모든 개인 데이터는 비식별화되었다.

Each of the three focus groups had five to six participants. The first group consisted of two teams working with clinical training wards, the second group of two teams from similar departments in terms of patient characteristics and tasks, though at different hospitals, and the third group of one larger team. Each focus group had a moderator (AE, KBL, ML) and an observer (JN, EB, research assistant JC) who supported the moderator in asking follow-up questions. The focus group interviews, lasting approximately one hour, were audio recorded and transcribed verbatim by AE, and all personal data were de-identified.

분석.
Analysis

학술 병원의 활동 시스템은 녹취록(AE, EB, KBL)를 읽고 다시 읽고, 잠재적 시스템(AE, EB, KBL)을 식별하며, 새롭게 드러나는emerging 시스템(모든 저자)에 대해 논의함으로써 모색되었다. 그런 다음 [딜레마, 갈등, 비판적 충돌 및 이중 구속]으로 구분될 수 있는 [모순의 담론적 징후]를 조사했다. 딜레마와 갈등은 각각 'but'과 'no'와 같은 언어적 단서로 표현된다. 비판적인 갈등은 감정적인 설명을 포함한 이야기적 스토리를 사용하여 표현되는 반면, 이중 구속은 무력감의 표현으로 표현됩니다. 모순의 징후를 식별하기 위해 언어적 신호와 데이터의 세심한 읽기가 사용되었다. 서로 다른 종류의 징후들이 서로 겹치고 얽혀 있다는 것을 인정하면서 그룹화 되었다.

The activity systems of the academic hospital were sought by reading and re-reading transcripts (AE, EB, KBL), identifying potential systems (AE, EB, KBL), and discussing the emerging systems (all authors). The data were then interrogated for discursive manifestations of contradictions, distinguishable as dilemmas, conflicts, critical conflicts and double binds (Engeström and Sannino 2011). Dilemmas and conflicts are expressed with the linguistic cues ‘but’ and ‘no’, respectively. Critical conflicts are expressed using narrative stories, including emotional accounts, while double binds are represented by expressions of helplessness (Engeström and Sannino 2011). The linguistic cues and a careful reading of the data were used to identify manifestations of contradictions. The different kinds of manifestations were grouped, acknowledging that they overlapped and intertwined.

다음으로, 주제적 접근방식을 적용하였다. 즉, 발현 부호화(AE), 주제별 코드 대조(AE, KBL, ML), 새로운 주제 검토(모든 저자)이다. 분석의 이 단계에서는 모순 분석 중에 나타난 요소와 시스템 간의 중재도 고려했다.
Next, a thematic approach (Braun and Clarke 2006) was applied as follows: coding of manifestations (AE), collating codes into themes (AE, KBL, ML), and reviewing the emerging themes (all authors). At this stage of the analysis, we also considered the mediations between elements and systems that emerged during the analysis of contradictions.

우리는 교육 개발 프로그램에 대한 저자의 일부(EB, ML, KBL) 관여가 분석에 영향을 미쳤을 수 있음을 인정한다. 따라서 우리는 [데이터에 의해 뒷받침되지 않는 가정]에 지속적으로 이의를 제기하면서, 합의에 도달할 때까지 진행 중인 분석에 대해 반복적으로 논의했다. 또한 주 작성자(AE)는 의사결정과 진행 중인 분석에 대한 [반성을 문서화]하여 성찰 로그를 작성하였다.
We recognise that some of the authors’ (EB, ML, KBL) involvement in the educational development program might have influenced the analysis. Therefore, we iteratively discussed the ongoing analysis until consensus was reached, continuously challenging any assumptions not supported by the data. Also, the main author (AE) kept a reflective log, documenting decisions and reflections on the ongoing analysis.

결과.
Results

학술병원 활동체계: 환자진료, 연구 및 교육
Activity systems of the academic hospital: patient care, research and education

활동 이론에 따라 학술 병원의 활동을 환자 진료, 연구 및 교육 대상이 각각 지시하는 [세 가지 활동 시스템]으로 나누었다(표 1). 이러한 활동은 학술병원이 원하는 "건강의 향상"이라는 결과를 얻기 위해 결합된다. 임상 교사는 이 세 가지 시스템 중 몇 가지 또는 모두 대상이었지만 역할과 책임은 달랐다. 이하에서는, 이러한 시스템간의 모순에 대해, 그 모순과 중재자가 교육 활동에 어떻게 나타나는지에 대해 논의한다.

In keeping with activity theory, we divided the activity of the academic hospital into three activity systems directed by the objects of patient care, research and education respectively (Table 1). These activities join together in the desired outcome of the academic hospital: improved health. The clinical teachers were subjects in several or all of these three systems, yet with different roles and responsibilities. In the section below, the contradictions between these systems will be described followed by a discussion of how the contradictions, as well as mediators, manifested in the activity of education.

학술병원 시스템 간의 모순되는 대상
Contradicting objects between the systems of the academic hospital

세 가지 활동 시스템은, 학술 병원의 성과를 달성하기 위해 함께 협력해야 했기 때문에, 밀접하게 상호 연결되었지만, 환자 치료, 연구 및 교육의 대상이 일치하지 않음에 따라 시스템 간에 모순이 발생한 것이 분명했다(그림 2, 1행 #1). 시간이 끊임없이 부족했기 때문에, 일부 활동이 다른 활동보다 우선시되었고, 시스템 간의 모순을 드러내었으며, 여러 활동이 학술 병원의 업무에서 지니는 가치가 얼마나 불평등한지를 반영하였다.

The three activity systems were closely interconnected as they had to work together to achieve the outcome of the academic hospital, however it was evident that contradictions arose between the systems as their objects of patient care, research and education were not aligned (Fig. 2, line #1). As time was constantly scarce, some activities were prioritized over others, manifesting the contradiction between the systems and reflecting how activities held unequal value in the work of an academic hospital.

 

우리 과는 스트레스를 받고 압박이 가해지면 바로 교육을 중단합니다. (참가자1, 초점그룹3)
Our department drops education as soon as it gets stressed and the pressure is on, then it’s the patient first and education last. (Participant 1, Focus group 3)

이러한 모순으로 인해 개별 교사는 [여러 활동 시스템의 일부]가 되는 데 어려움을 겪었습니다. 활동들 사이에 시간이 나뉘어야 했습니다. 그래서 교사들은 서로 다른 역할과 정체성 사이에서 고민하고 있었습니다. 교육에 종사하는 것과 동료이자 임상의가 되는 것, 그리고 때로는 연구원이 되는 것 사이에서 협상을 해야 했습니다.
This contradiction left the individual teacher struggling with being part of several activity systems where time had to be divided between activities. Hence, the teachers were torn between conflicting roles and identities where they had to negotiate between engaging in education and being a colleague and clinician, and sometimes also a researcher.

우리는 동료들이 교육 업무에 시간을 들여야 할 때 그들이 필요로 하는 지원을 받지 못하기 때문에 부담을 느낍니다. 만약 우리가 거기에 착륙해서 우리가 필요로 하는 며칠 반의 시간을 가질 수 있다면, 우리는 지금과 같은 부담 없이 교육 업무를 더 잘 추진할 수 있을 것입니다. […] 교육 업무를 위해 하루를 예약한 경우, 누군가 일정과 함께 앉아 있는 경우: 

"아니, 교육 업무 때문에 하루 종일 필요하니?" "한나절 클리닉을 할 수 있니?" "적어도 몇 시간 정도는 일할 수 있니?" 
그리고 나서 너무 분명해져서 내가 스스로 자수하려고 노력하지 않으면 내 동료들은 많은 환자와 높은 처리량을 가진 거대한 일을 하게 될 거야. […] 시스템에 공간이 거의 없는 것이 가장 번거롭습니다.(P5, FG 3)

We feel pressured because our colleagues don’t get the back-up they need when we need to take time for educational work and if we could just land in that and be able to take those days and half days that we need to take, then we could pursue the educational work even better, without feeling pressured like we are now. […] If you have reserved a day for educational work and someone is sitting with the schedule:

‘No, do you need the whole day for educational work?’ ‘Can you do clinic half a day?’ ‘Can you at least work some hours?’ and then it becomes so clear that if I don’t try to turn myself inside out, my colleagues will have a huge job with lots of patients and a high throughput. […] That’s the most troublesome, that there is hardly any space in the system at all. (P5, FG 3)

 

이러한 대학병원의 활동간의 끊임없는 교섭에 의해, 교사는 일반적인 교육 업무에 거의 시간을 할애할 수 없게 되어, 결과적으로, 교육 활동과 본질적으로 연계된 활동인 교육 개발educational development에도 거의 시간을 할애할 수 없게 되었다.
This constant negotiation between the activities of the academic hospital left the teachers with little time for educational work in general, and consequently also little time for educational development which was an activity intrinsically interconnected to the activity of education.

교육 개발 작업을 할 여유는 없고, 가능한 한 좋은 품질로 해야 할 최소한의 일에 집중합니다. 그러나 당신은 교육을 더 발전시키고 싶기 때문에 여가 시간에 하지 않으면 그럴 시간이 없습니다.(P2, FG 3)
There is no extra time to carry out educational development work, and instead, you focus on the minimum that needs to be done with as good quality as possible. But you would like to develop the education further, and you don’t have the time for that if you don’t do it in your spare time. (P2, FG 3)

 

교육 활동 시스템의 모순과 중재자의 표현
Manifestations of contradictions and mediators in the activity system of education

 

교육의 가치관과 제정된 가치관의 불일치
Misalignment between espoused and enacted values of education


대학병원의 상반된 대상들 사이의 모순은 교육활동에서 여러 가지 방법으로 나타나서 활동과 그 요소들을 형성하였다. 이러한 표현들 중 하나는 학술병원이 [지지하는espoused 가치들(병원이 주장하는 가치들)]과 [집행되는enacted 가치들(병원이 실제로 하는 일을 통해 암시하는 가치들)] 사이의 불일치에 관한 것이었다.

The contradiction between the conflicting objects of the academic hospital manifested in the activity of education in several ways, thus shaping the activity and its elements. One of these manifestations concerned the misalignment between the espoused values of the academic hospital (what the hospital says it values) and its enacted values (what the hospital implies it values through what it actually does).

중시하는 가치:학술병원에서 일하는 데 필수적인 교육
Espoused values: education as an integral part of working in an academic hospital

학원에서 일하는 데 있어서 공식적인 의무이자 필수적인 부분으로서 교육에 대한 가치관과 규범이 있는 것 같았고, 단지 교육적인 역할을 하는 사람들에게만 국한된 책임이 아니었다. 또한, 참가자들은 교육에 대한 경영진의 접근법이 의료계의 교육에 대한 일반적인 접근법에 어떻게 영향을 미칠 수 있는지 설명했으며, 일부 참가자들은 명확한 교육 초점을 가진 경영진을 묘사했다.

There seemed to be espoused values and norms about education as an official obligation and integral part of working in an academic hospital and not just a responsibility limited to those with an appointed educational role. Further, the participants described how management’s approach towards education could impact the general approach towards education in the clinical community where some participants described having a management with an articulated educational focus.

그것 [경영]은 큰 영향을 끼친다. 이것은 교육이 공간을 차지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는 하나의 방법입니다. 그들이 말하는 것처럼, 뿐만 아니라, 뭔가 일어나고 있다는 것을 의미하기도 합니다. 그들이 교육과 함께 일하고 싶어한다는 것입니다. 그래서 경영진은 이해관계가 있는지 없는지, 무관심하다는 의사를 전달하고, 이를 직원들 사이에서 반영하고 있다고 생각합니다.(P4, FG 2)
It [management] has a huge impact. It’s a way of signalling that education is allowed to take space, not only as they say, but also that something happens, that they want to work with it [education]. So I think that management communicates either that they have an interest or that they don’t care, and this is reflected [among the staff]. (P4, FG 2)

 
 
집행된 가치관: 교육에 대한 지원과 공식적인 인식 부족
Enacted values: lacking support and formal acknowledgment for education

이러한 [지지된 가치]들이 병원의 [집행된 가치]들과 맞지 않는 것처럼 보였다. 예를 들면, 교육 업무에 대한 경영진의 지원이나 참여buy-in의 결여에 반영되어 교육 활동을 규제하는 룰을 형성하고 있다(그림 2의 2행).
These espoused values seemed to misalign with the enacted values of the hospital. For example, the misalignment was reflected in the lack of support and buy-in from management for educational work and as such, this misalignment shaped the rules that regulated the activity of education (Fig. 2, line #2).

제가 원하던 피드백을 받지 못했습니다. 그들은 학생 병동wards를 원하고, 우리가 감독하기를 원하지만, 그에 대한 자원을 얻지 못하기 때문에 어렵다. 물론 힘든 싸움을 하는 것과 같죠. 대학에서는 임상학과와 계약하기를 원하지만, (학과장 책상에) 아직 계약하지 않고 있습니다.[…] 물론 긍정적인 응원은 있지만, 때로는 매우 소모적인 때가 있습니다. (P6, FG 1)
I haven’t really gotten the feedback that I wanted. It’s difficult because at the same time as they say that they want student wards and want us to supervise, we don’t get the resources for it. It’s like fighting an uphill battle, of course. The university wants us to sign a contract with the clinical department, which I have done, but it’s still lying there [at the department head’s desk], I haven’t got it signed […] But of course, there is positive cheering, but sometimes it’s backbreaking. (P6, FG 1)

또, 일부의 참가자는, 학과 이사회에 교육 대표가 없거나, 경영진이 교육 논의에 거의 참가하지 않았다고 이야기했다. 한 가지 경우, 경영진은 교육 문제에 대한 [책임을 임상 교사에게 완전히 위임한 것]으로 묘사되었다. 이는 경영진의 지원과 참여buy-in 부족이 강조되었으며, 환자 관리, 연구 및 교육 간의 노동 분담이 교육에 대한 책임을 교육적 역할을 가진 사람들에게 전가한 반면, 교육적 대표자는 결정이 내려진 포럼 밖에 남겨둔 것을 반영했다.

Further, some participants related that educational representatives were missing from the department’s board of directors or that management rarely took part in educational discussions. In one case, management was described as having delegated the responsibility for educational matters fully to the clinical teachers. This highlighted the lack of support and buy-in from management and reflected how the division of labour between patient care, research and education had shifted the responsibility for education to those with educational roles, while leaving educational representatives outside the forums in which decisions were made.

P1: 음, 만약 당신이 임시 교사와 몇몇 임상 교사를 가지고 있다면, 당신은 관리자로서 교육에 대해 신경 쓸 필요가 없다는 것이 항상 느껴져 왔다. […] 그러면 담당자가 있기 때문입니다. […] 그래서 저는 (매니저들이) 그들도 이 일에 관여해야 한다는 것을 이해하려고 노력했다고 생각합니다.
P1:
 Well, the feeling has always been that if you have an adjunct teacher and some clinical teachers then you as a manager don’t need to care about education. […] Because then you have people that are supposed to take care of it. […] And that’s where I feel I might have struggled a bit, trying to get them [the managers] to understand that they must also be involved in it.

인터뷰 담당자: 당신은 그들이 어떻게 관여해야 한다고 생각합니까?
Interviewer:
 How do you think they should be involved?

P1: 음, 당신은 학생들이 있다는 것을 알아야 합니다. 아니요, 하지만 우리는 이것에 대해 많은 시간을 가지고 이야기했습니다. 그래서 누군가는 학생 기간 동안 스케줄을 짜고 학생과 가르치는 데 실제로 얼마나 많은 시간이 걸리는지 이해합니다. 이제 임상 일을 하면서 회복하려고 노력해야 해
P1:
 Well, you should know that you have students [laughs]. No, but we’ve talked a lot about this with time, so who does the scheduling during the student period and understands how much time it actually takes with students and teaching. Now you have to try to pull through while doing your clinical job at the same time.

P5: 네, 좋은 설명이었습니다. 예를 들어, 교육은 항상 환자가 먼저이기 때문에 시간을 끌 수 없습니다.
P5:
 Yes that was a good description. Like, [education] cannot take any time because it’s always the patient first.

P1: 그리고 그건 그들이 (관리자들이) 그게 뭔지 모르기 때문이라고 생각해요. […] 매니저들은 '그건 네가 알아서 할 거야'라고 말합니다.(FG3)
P1:
 And I think it’s because they [the managers] don’t understand how it is. […] They [the managers] have like ‘well you’ll take care of that’. (FG3)



또 다른 가치관과 제정된 가치관의 불일치의 징후는 많은 교사들이 [교육 업무에 대한 공식적인 인정이 부족하다는 것]을 경험했다는 것이다. 이러한 공식적인 인정의 부족은 예를 들어 교육에 종사하는 임상의에 대한 강의의 부족을 포함하였고, 이러한 인정의 부족이 어떻게 교육자의 진로를 이탈하게 되었는지에 대해 논의하였다.

Another manifestation of the misalignment between the espoused and enacted values was that many teachers experienced a lack of formal acknowledgment for educational work, despite the espoused values of education as integral to academic hospitals. This lack of formal acknowledgment included for example the lack of lectureships for clinicians engaged in education and some discussed how this lack of formal acknowledgment might have led to others leaving the educator career path.

 

임상 작업장에서 교육에 대한 공식적인 논의를 확립하는 데 어려움
Difficulties establishing formal discussions on education in the clinical workplace

참가자들은 [교육에 종사하는 동료들과의 교육 토론]이 어떻게 그들의 참여를 촉진하고 그들의 교육 역할을 지원함으로써 교육 활동 시스템의 도구 역할을 수행했는지에 대해 설명했다. 이러한 논의는 부분적으로 [비공식적인 장소]에서 이루어졌으며, 여기서 교사와 동료들은 근무일 동안 교육적인 대화를 나누었다. 이러한 비공식 모임에서 실제로 모이는 것은 일정이나 점심 습관 등의 일상과 시설, 교육에 관심이 있는 동료가 근처에 있고, 이러한 논의가 이루어질 수 있는 장소에 접근할 수 있는 것에 의해 중재mediate되었다(그림 2, 3a).
The participants described how educational discussions with peers also engaged in education nurtured their engagement and supported them in their teaching role, thus acting as a tool in the education activity system. These discussions partly occurred in informal arenas, where teachers and peers had educational conversations during the working day. The actual coming together in these informal gatherings was mediated by routines and facilities such as schedules and lunch habits, having educationally interested peers nearby as well as having access to meeting places where these discussions could take place (Fig. 2, line #3a).

만약 이 사람들이 교육에도 관심이 있다는 것을 안다면, 여러분 자신이 있는 상황에서 소규모 그룹에 속해 있는 것이 매우 고무적이라고 생각합니다. 교육 개발 코스는 기초를 형성하지만 그 후에 시행되어야 하고, 그리고 나서 여러분은 영감을 주고, 지원하고, 함께 발전시킬 수 있는 팀을 만들기 위해 '지금 여기서 우리가 어떻게 나아갈 수 있을까?'라고 함께 생각하는 몇몇 친구들이 필요합니다.(P4, FG 2)

I find it very inspiring to be in smaller groups if you know that these people are also interested in education, in a context where you yourself are situated. Educational development courses form a base but then it’s supposed to be implemented, and then you need some friends who think together ‘how can we proceed here and now?’ so that you have a team where you can inspire and support and develop together. (P4, FG 2)

 


또한, 교육적 논의는 [교육에 할당된 일정일scheduled day] 등 [공식적인 장소에 대한 접근]으로 중재되었다. 여기서 임상 교사는 병원의 다른 교사들과 만나 교육 문제를 논의한다. 그러나, 이러한 공식 경기장은 종종 외부로 나가 대학에 의해 시작되었으며, 매우 드물었다(보통 1년에 한두 번). 일부 사업장에서는 교육계의 챔피언이 부문 차원의 교육 논의를 공식화하기 위한 노력을 기울였다(그림2 3b). 다른 경우, 참가자들은 [임상 커뮤니티에서 공식 또는 체계적인 교육 토론의 기회를 거의 또는 전혀 경험하지 못했으며], 교육은 학술 병원에서 커뮤니티의 공통 의제에서 누락되었다(그림 2, 3c행). 이는 직장 내 특정 토론을 다른 커뮤니티가 허용하거나 허용하지 않는 방법을 나타내어 교사들이 교육에 대해 논의하기 위해 모이는 방식을 형성했다.
Further, educational discussions were also mediated by access to formal arenas such as scheduled days assigned for education, where clinical teachers would meet with other teachers in the hospital as well as with representatives from the university to discuss educational matters. However, these formal arenas were often off-site and initiated by the university, as well as being quite infrequent (usually one or two times a year). In some workplaces, champions in the educator community had made efforts to formalize educational discussions at a departmental level (Fig. 2, line #3b). In other cases, participants experienced few or no opportunities for formal or structured educational discussions in the clinical community, with education apparently missing from the common agenda of the community in the academic hospital (Fig. 2, line #3c). This indicated how different communities either allowed or disallowed certain discussions in the workplace and thus shaped the way in which teachers gathered to discuss education.

직장에서 다른 일을 하려고 하는 것은 주로 나와 교수[전임상교사]이다. 
실제로 회의의 구조나 정례는 없습니다. 한 학기에 한 번이지만, 뭐랄까, 명확한 계획이 없습니다.(P4, FG2)
In the workplace, then it’s mostly me and the professor [the former clinical teacher] that tries to carry out different things and we don’t have any real structure or regularity for meetings actually, it’s once a semester but without, what shall I say, any clear plan. (P4, FG2)

 

임시 교육 임용으로 교육 업무에 지장을 초래하다
Transient educational appointments hinder educational work

대학병원의 [분업division of labour]은 [교육활동의 규칙]을 형성해, 교사의 교육목표를 향한 업무에 방해가 되는 것 같다(그림2의 4행). 부분적으로, 이것은 [교육적 역할의 직원 배치 방식]과 관련이 있었다. 일부 참가자들은 특별히 교사직에 지원했지만, 그들 중 [다수는 커리어 궤적에서 의도적으로 교사직을 추구하지 않았다]. 대신, 임상 교사의 임명은 종종 임상 커뮤니티의 구성원들에게 [교육적 역할을 할당함]으로써 수행되었다. 예를 들어, 한 부서는 레지던트 프로그램의 일환으로 [레지던트들을 임상 교사로 로테이션 시킬 것]을 계획했습니다.
The division of labour in the academic hospital shaped the rules of the activity of education, and appeared to impede teachers in their work towards their object of education (Fig. 2, line #4). Partly, this had to do with how educational roles were staffed. While some participants had specifically applied for a teaching position, many of them had not intentionally sought the teaching position as part of a career trajectory. Instead, the appointment of clinical teachers was often carried out by allocating educational roles to members of the clinical community. As an example of this, one department was planning for residents to rotate as clinical teacher as part of their residency.

제가 부탁받았거나 교수님과 학과장이 제게 임상 선생님이 되는 것에 관심이 있냐고 물었고, 그 때쯤에는 뭐가 수반되는지는 몰랐습니다만, 그 느낌이나, 재미있었던 것 같습니다. 그리고 생각해볼 틈도 없이 '네'라고 대답했기 때문에 교육에도 관심을 갖게 된 것은 그 과정에서였습니다.(P1, FG1)
I was asked to do it, or our professor and our head of department asked me if I was interested in being a clinical teacher […] and by then I didn’t know what it entailed, but it felt, or it sounded fun. And I said yes without having had the time to reflect on it so it was during the process that I also became interested in education. (P1, FG 1)

게다가, 교사로서의 고용은 종종 1년 또는 2년으로 제한되었고, 이것은 (교육적) 역할이 종종 개인들 사이에서 순환한다는 것을 의미했다. 이는 [지속성을 저해]하기 때문에 장기적인 관점에서 교육 업무와 교육 발전의 기회를 제한하는 것으로 경험되었다.

Moreover, the employment as teacher was often limited to one or two years which meant that the role often shifted between individuals. This was experienced as limiting the opportunities for educational work and educational development in a longer-term perspective as it hindered continuity.

P3: 2년간 과제가 있고, 이직률이 상당히 높기 때문에 (교사로서) 교육을 받지 않았기 때문에 이 직책을 익히려면 시간이 좀 걸리고, 그리고 나서 정말로 그만둘 때가 되었습니다.
P3:
 We have our assignments for two years, and it’s a pretty high turnover, and as we don’t have any education [as teachers], it takes some time to acquaint oneself with the position, and then it’s time to quit really.

P4: 교육적인 개발 작업을 하고 싶은 경우는 곤란합니다. 그러면 갑자기 새로운 동료가 소개되어야 하기 때문입니다.(FG 3)
P4:
 And that makes it difficult if you want to carry out some [educational] development work because then, all of a sudden, there’s a new co-worker who needs to be introduced. (FG 3)

 

교사 정체성 개발 방해
Impeding the development of a teacher identity

참가자들은 공식적인 교육훈련과 교육지식이 부족했기 때문에 [교육자로서의 역할에 완전히 공감하지 못하는 듯] 보였다.
The participants did not seem to identify fully with the role as educator as they lacked formal training and knowledge within education.

하지만 교육훈련이 없기 때문에 내가 알고 있는 아주 작은 것 이상의 것이 있다는 것을 깨달았을 뿐이다. 우리는 교사teacher가 아니다.(P3, FG 3)
But you just realise that there is much more than the tiny, tiny bit that I know because we don’t have any educational training; we’re not teachers. (P3, FG 3)



이와 같이, 교육 제도의 룰이나 규범 중 하나가, 교육자 커뮤니티의 적법한 멤버가 되어, 교육자의 역할과 자신을 동일시하기 위해서, 정식적인 교육 훈련이 필요하다고 생각되었다(그림 2의 5a행). 그 때문에, 참가자는, 정식 연수를 실시하는 툴로서 교육 개발 활동을 일부 요구하고 있어, 교육 개발은 교사로서의 정체성의 확립과 교육자의 커뮤니티에의 소속감을 중개할 수 있다(그림 2 제5 b항).
As such, it seemed as if one of the rules or norms of the education system was that formal training in education was required to become a legitimate member of the educator community and to identify oneself with the educator role (Fig. 2, line #5a). Therefore, the participants partly sought out educational development activities as a tool offering formal training and thus, educational development could mediate the establishment of an identity as teacher and the sense of belonging to the community of educators (Fig. 2, line #5b).

저는 실제로 변화를 주러 온 것이 아닙니다. 모든 것에 익숙하지 않기 때문에 배우러 온 것입니다. 교수-학습은 새로운 것입니다.그러므로, 이 [교육 개발 프로그램]은 과학이나 여러분이 다루는 것으로서 [교육]에 들어가는 방법입니다. (P2, FG 1 )
I’m not really here to change so much, I’m here to learn because I’m so new in everything, teaching and learning is new […] So this [the educational development program] is a way of entering it [education] as a science or something you work with. (P2, FG 1)

 

교육은 임상 업무에서 창조적인 공간을 매개한다.
Education mediates a creative space in routinized clinical work

교육이 [시스템 수준]에서 [일반화된 대상generalized object]이었던 교육 활동 시스템은, 참가자들에게 [개별 수준]에서 몇 가지 [잠재적 결과]를 제공했다. 부분적으로 이러한 성과는 교육이 개인 및 전문적 개발을 매개하는 교육에 대한 개인적인 관심에 관한 것이다(그림2의 6행). 또한, 많은 선생님들은 [환자 진료 활동의 창의성을 위한 공간]에 만족하지 못했고 [일상화된 임상 작업]에 충분히 자극을 받지 못했다. 따라서, [교육적 역할]은 manoeuvre을 하고, 자기주도할 수 있는 자유로, 창조적인 공간을 [매개]하고, 기존의 임상 업무와는 질적으로 다른 작업 방식을 수반하는 것으로 끌렸다.

The activity system of education, in which education was the generalized object on the system level, provided the participants with several potential outcomes on an individual level. Partly, these outcomes related to a personal interest in teaching where education mediated personal and professional development (Fig. 2, line #6). Also, many of the teachers were unsatisfied with the space for creativity within the activity of patient care and felt insufficiently stimulated by clinical work which had become routine. Therefore, the educational role attracted as it mediated a creative space with a freedom to manoeuvre and to be self-directed, and entailed a qualitatively different way of working than traditional clinical work.

그것은 자유입니다. 대학병원에는 많은 것들이 통제되고 있습니다. 그리고 이 역할에서는, 제 모든 아이디어의 배출구가 생깁니다.[…] 그러니까, 즐겁고, 일이 일어나기 때문에, 제 자유는 거기에 있습니다. (P3, FG 3)
It’s the freedom. There is so much that is controlled in an academic hospital, and in this role, I get an outlet for all my ideas, […] I mean, it’s fun, things happen, so it’s where my freedom is. (P3, FG 3)

 

활동 보완 - 교육 레버 리서치
Complementing activities—education levers research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교사들은 교육 업무에 대한 공식적인 인정의 부족을 경험했다. 그러나 일부 부서에서는 예를 들어 연구에 시간과 자금을 제공하는 등 교사들의 작업에 대한 보상을 하려는 노력이 있었다.
As described above, the teachers experienced a lack of formal acknowledgement for educational work. However, there were efforts in some departments to remunerate teachers for their work, for example by offering time and funding for research.

임상교사는 자신의 시간의 33%를 교육용으로 남겨두고 있다. […] 저희 부서에서는 교직이 연구에 33%의 시간을 더 벌어들이고 있습니다[…] 예산은 이 33%의 연구비를 지원하는 특정 예산에서 나옵니다.(P1, FG 1)
The clinical teacher has 33% of his or her time reserved for education. […] In our department, the teaching role generates an additional 33% time for research […] money comes from a specific budget that funds this 33% [time] for research. (P1, FG 1)

또, 교육은 아카데믹 커리어 내의 자격으로서 인식되고 있기 때문에, 교육에 임하는 것은 연구 활동에 한층 더 지렛대를 제공한다(그림 2의 7행).
Also, as education was perceived as a qualification within an academic career, engaging in education offered further leverage in the activity of research (Fig. 2, line #7).

우리 과에서 가르치고 싶은 의욕을 갖게 하는 또 다른 점은 연구가 많다는 것입니다. 그리고 특히 임상 교사로서 의대생들을 가르치는 것은 연구에 매우 가치가 있습니다. 그래서 그 때문에 가르치려는 많은 사람들이 있습니다. (P1, FG 1)
Another thing that makes people motivated to teach in our department is that we have a lot of research. And teaching, especially on that level [as clinical teacher], teaching medical students, is very meriting in research, so there are lots of people [in the department] who want to teach because of that. (P1, FG 1)

 

논의
Discussion


본 연구에서는 활동 이론의 관점을 사용하여, [임상 교사가 교육 개발에 참여하는 것]이 어떻게 그들이 활동하는 [시스템에 의해 영향]을 받는지 조사했다. 임상 교사는 학술 병원의 세 가지 상호작용 활동 시스템인 [환자 치료, 연구, 교육 시스템]의 일부라는 것을 발견했습니다. 이 세 가지 활동은 서로 다른 대상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모순이 발생하여 일부 활동이 다른 활동보다 우선시되었다. 교사의 우선순위는 학술 병원의 우선순위와 상호 작용하여 협상되는 것처럼 보이기 때문에 이는 교육 및 교육 발전에 여러 가지 영향을 미칩니다.

In this study, we employed an activity theory perspective to explore how clinical teachers’ engagement in educational development was affected by the systems they act within. We found that the clinical teachers were part of three interacting activity systems of the academic hospital: the systems of patient care, research and education. Contradictions arose between these three activities as they had differing objects, resulting in some activities being prioritised over others. This has multiple implications for education and educational development, as teachers’ priorities seem to be negotiated in interaction with the priorities of the academic hospital.

우리의 연구결과는 [교육이 (공동체가 특정 활동을 허용하거나 허용하지 않는) 학술병원의 소외된 활동임]을 시사한다. 우리의 연구에서, 이것은 참여 임상 교사에 의해 논의된 많은 예에서 드러났습니다. 예를 들면 다음과 같습니다.

  • 학술병원이 지지하는 가치와 제정된 가치 사이의 불일치
  • 임상 작업장에서 공식적인 교육 논의를 할 수 있는 제한된 기회
  • 의사결정이 내려지는 포럼(회의)에 교육 대표자가 부족함
  • 일정과 작업 부하에 의해 교사에게 부과되는 교육과 환자 치료 간의 지속적인 협상

결국, 대학병원의 [상충하는 목적]은 [임상교수자들이 끊임없이 다른 방향으로 끌려간다는 것]을 의미했다.
Our findings suggest that education is a marginalised activity of the academic hospital where the community allows or disallows certain activities. In our study, this manifested in a number of examples discussed by the participating clinical teachers, including

  • the mismatch between the espoused and enacted values of the academic hospital,
  • the limited opportunities for formal educational discussions in the clinical workplace,
  • the lack of educational representatives in the forums in which decisions were made, and
  • the constant negotiation between education and patient care imposed on the teachers by scheduling and workloads.

Thus, the competing objects of the academic hospital meant that the teachers were constantly pulled in different directions.

병원의 환자 진료든, 대학의 연구든, [교육과 조직의 다른 업무 간의 이러한 긴장감]은 [교육 변화와 교육 개발을 수행할 수 있는 교사들의 가능성을 저해하는 것]으로 묘사되어 왔다. 이는 교육 수준이 낮은 병원에서는 교사 기관과 교육 관행을 개발할 기회가 줄어드는 조직의 리더십과 문화와 관련이 있다고 제안되어 왔다. 이와 같이, 교사의 우선 순위는 학술 병원의 가치나 실천과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는 것 같습니다. 또, 본 연구에서는, 교육과 환자 진료의 모순이, 교사의 교육 개발이나 변화를 추구할 기회를 제한할 가능성이 있는 것을 시사하고 있습니다.
This tension between education and other tasks of an organisation, whether it is patient care in hospitals or research in universities, has been described as impeding teachers’ possibilities to carry out educational change and educational development (Cantillon et al. 2016; Jääskelä et al. 2017; Stenfors-Hayes et al. 2010; Zibrowski et al. 2008). It has been suggested that this relates to leadership and culture in an organisation (Jääskelä et al. 2017; O’Sullivan and Irby 2011), where teachers’ agency and their opportunities to develop educational practices is decreased in hospitals where education has low status (Cantillon et al. 2016). As such, teachers’ priorities seem to closely interact with the values and practices of the academic hospital, and our study suggest that the contradictions between education and patient care may restrict teachers’ opportunities to pursue educational development and change.

[임상교사가 어떻게 학술병원에서 모순되는 대상과의 활동 사이에서 끌려가는지pulled]를 보여주는 이 연구에 비추어 볼 때, 어떻게 하면 이러한 교사들이 교육 개발에 참여할 수 있을지에 대한 불타는 의문은 여전히 남아 있다. 이 복잡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몇 가지 가능한 방법은 본 연구에서 제시한 중재 사례이며, 그 중 하나는 교육적인 토론educational discussions였다. 이러한 [토론]은 교사들의 교육적 역할을 지원하고 교육자들의 커뮤니티를 형성할 수 있게 해주었기 때문에 [교육 활동에서 중요한 도구]로 떠올랐다. 이는 교사 커뮤니티가 교사들의 교육에 대한 이해를 집단적으로 증진시키고, 직장이 가치 있는 학습의 근원으로 부각되는 이전 조사 결과를 고려할 때, 특히 중요한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직장에서 [교육적 토론을 가능하게 하는 경기장arenas]을 조성하는 것이, 전문 병원의 교육 개발자나 관리자에게 있어서 중요한 과제로 부상한다. 이는 교육자 공동체를 촉진·유지해, 임상 직장에서의 학습·교육 발전을 가능하게 하고 있다.

In the light of the present study illustrating how clinical teachers are pulled between activities with contradicting objects in the academic hospital, the burning question remains how to enable these teachers to engage in educational development. Some possible ways to address this complex question were those instances of mediation suggested by this study, one of which was educational discussions. These discussions emerged as a crucial tool in the activity of education as they supported teachers in their educational role and enabled the creation of communities of educators. This appears especially important considering previous findings where communities of teachers have been found to collectively advance teachers understanding of education, with the workplace being highlighted as a valuable source of learning (Jääskelä et al. 2017; Knight et al. 2006; O’Sullivan and Irby 2011; Roxå and Mårtensson 2009). Therefore, creating arenas allowing educational discussions in the workplace emerges as an important task for educational developers and managers in academic hospitals, thus promoting and sustaining communities of educators and enabling learning and educational development in the clinical workplace.

위의 내용은 교육발전을 위한 직장학습과 교육자 커뮤니티의 중요성을 강조하지만, 이 연구의 일부 참가자들은 공식적인 교육훈련이 부족했기 때문에 스스로를 교수자라고 생각하지 않았다. 따라서, 교육 제도의 ['규칙'] 중 하나는 교육 공동체의 합법적인 구성원이 되기 위해서는 공식적인 훈련이 필요하다는 것으로 보였다. 이것은, 여기나 그 외의 장소에서 설명되고 있는 것과 같이, 교육에 있어서의 지식과 스킬을 높이기 위해서, 교육 개발 활동에 종사하는 인센티브와 관련됩니다. 참여자들이 교사의 정체성을 개발하고 교육 공동체의 합법적인 구성원이 될 수 있는 기회를 제한시키는 또 다른 요인은 [교육적 역할의 일시성transience]이었다. 교육적 역할은 종종 [능동적으로 추구]되기 보다는 [수동적으로 할당]되었다. 이전의 연구는 교사 정체성이 직장 문화와 관련하여 협상된다는 것을 시사하고 있으며, 이는 우리 연구에서 학술 병원의 가치와 실천이 참가자들의 교사로서의 의식을 더욱 저해하는 이유를 설명할 수 있다. 우리의 연구결과는 교육개발이 임상의의 교사 정체성 형성과 교육자 커뮤니티에서의 정당한 멤버십을 매개하는 도구로서 기능할 가능성을 시사한다. 이와 같이, 교육개발은 직장에서 경험하는 모순된 가치관을 극복하는 데 중심적인 역할을 할 수 있다. 따라서 우리는 교육개발에 있어서 [교수자의 정체성]에 초점을 맞추자는 이전의 제안에 동의한다.

While the above underscores the importance of workplace learning and communities of educators for educational development, some of the participants in this study did not percieve themselves as teachers as they lacked formal training in education. Accordingly, one of the ‘rules’ of the education system seemed to be that one needs formal training to become a legitimate member of the educator community. This relates to the incentive to engage in educational development activities to increase knowledge and skills within teaching as described here and elsewhere (Bouwma-Gearhart 2012; Steinert et al. 2010; Stenfors-Hayes et al. 2010). Another factor that might have limited participants’ opportunities to develop teacher identities and become legitimate members of the educator community was the transience of educational roles, which were often allocated rather than sought out. Previous research suggests that teacher identity is negotiated in relation to the culture of the workplace (Cantillon et al. 2016), which could explain why the values and practices of the academic hospital in our study might have further impeded the participants’ sense of being teachers. Our findings suggest that educational development have the potential to function as a tool mediating the formation of clinicians’ teacher identity and their legitimate membership in the educator community. As such, educational development may have a central role to play in overcoming some of the contradicting values experienced in the workplace. We therefore agree with previous suggestions to focus on teacher identity in educational development (Steinert and MacDonald 2015; Stone et al. 2002).

본 연구결과는 [임상교사가 참여하는 시스템]이 [교육실천을 발전시키고, 임상직장의 교육변화를 실시conduct하며, 교사로서의 정체성을 발전시킬 기회가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데 중요하다는 것을 시사하기에 교육발전에 대한 함의가 있다. 이러한 이유로, 교육 개발자는, [개별 교사]에 초점을 두기 보다는, [고유의 규칙, 분업, 커뮤니티에의 대처에 의해서 활동 시스템의 개발]로 초점을 옮겨야 한다고 생각한다. 따라서 우리는 다른 사람들과 동의하며 향후 교육 개발 활동에서 [임상교사가 일하는 상황]을 고려하는 것이 필수적이라고 생각한다. 또, [의료 현장의 권력자(경영진 등)]도, 교육 개발 활동에 참가할 필요가 있습니다. 그래야만, 직장의 교육 리더십을 확립해, 교육의 진보를 인정받아 가치 있는 임상 작업장을 만들 수 있습니다. 또, 특히, 항상 그렇지만은 않았던 것을 고려하면, 임상교수자나 그 외 교육 담당자를 임상 부문의 의사결정조직decision making bodies에 포함시키는 것을 강하게 지지한다. 상기의 개입은, 의사결정에 있어서의 교육적인 관점을 촉진하는 것 뿐만이 아니라, 대학병원의 활동을 보다 제휴시켜, 임상 교사가 교육 개발에 임하는 것을 서포트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findings of the present study have implications for educational development in suggesting that the systems clinical teachers participate in are important in determining whether or not they have opportunities to develop their teaching practice, to conduct educational change in the clinical workplace, and to develop their identities as teachers. For these reasons, we believe that educational developers should shift focus from individual teachers to also developing activity systems by addressing the inherent rules, division of labour and communities. We therefore concur with others and regard it as imperative that the context in which clinical teachers work is taken into account in future educational development activities (Jääskelä et al. 2017; O’Sullivan and Irby 2011). Moreover, we suggest that those with power in the clinical workplace, such as management, also need to take part in educational development activities as it would enable us to establish educational leadership in the workplace (Bolander Laksov and Tomson 2017) and to create clinical workplaces in which the advancement of teaching is recognised and valued (Knight et al. 2006). Also, we strongly support the inclusion of clinical teachers or other educational representatives in the decision-making bodies of clinical departments, especially considering the finding that this was not always the case. The above interventions taken together would not only promote an educational perspective in decision-making but would hopefully also help us to better align the activities of the academic hospital, thus supporting clinical teachers in engaging in educational development.

게다가 임상 교육자로서의 진로를 추구할 수 있는 가능성을 확대하는 것을 시사하고 있습니다. 이를 위해서는 교육적 역할을 임상의에게 할당하거나 임명하는 것에서 벗어나야 하는 교육에서의 채용 관행에서 출발하여 교육이 적합한 교육적 진로가 필요합니다. 대신, 이러한 임명은 명확하고 집중적인 직무 기술 및 보상 체계 구축을 통해 매력적으로 만들어져야 한다. 조사결과에서 지적된 바와 같이, 이러한 보상구조 중 하나는 교육강연회나 이와 유사한 역할을 하는 것이 될 수 있으며, 이는 임상의의 교육경로를 가시화하고 매력적으로 만드는 데 기여할 수 있다.
Further, the findings suggest expanding the possibilities to pursue a career as clinical educator. This would require distinct educational career paths where education is meriting, starting with the hiring practices in education where we should move away from allocating or appointing educational roles to clinicians. Instead, these appointments must be made attractive by having a clear and focused job description, and also through the establishment of reward structures. As pointed out in the findings, one such reward structure could be to create educational lectureships or similar roles, as this would contribute to making the educational career path for clinicians visible and appealing.


마지막으로, 본 연구에서 강조된 바와 같이, [학술 병원의 활동 시스템 간의 모순]으로 인해, [단순히 시간을 추가하는 것]만으로는 임상 교사의 교육 개발 참여를 지원하는 데 충분하지 않으며, 그 시간이 다시 환자 진료, 연구 및 교육 간에 불균등하게 분배될 위험이 있다고 생각합니다. 대신, 한 가지 해결책은 임상 교사에게 [교육적 개발이 요구되는 시스템을 구축하는 것]이며, 워크샵과 강좌에 참석하거나 교육 회의에 참석하거나 자신의 직장에서 교육 개발을 추구하거나 그러한 활동에 시간을 할당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는 대학 내 병원과 교수진 개발 단위 간의 지속적인 대화가 요구되며, 여기서 지원은 교육 활동 시스템뿐만 아니라 개별 임상 교사의 요구에 맞춰 조정된다.
Lastly, due to the contradictions between the activity systems of the academic hospital as highlighted in this study, we believe that simply adding more time is insufficient in supporting clinical teachers engagement in educational development, risking that time is again distributed unevenly between patient care, research and education. Instead, one solution could be to establish a system in which educational development is required of clinical teachers, with time earmarked for such activities whether it be attending workshops and courses, partaking in educational conferences or pursuing educational development in the own workplace. This would call for a continuous dialogue between the hospital and faculty development units in the university, where the support is tailored to the needs of the individual clinical teacher, as well as to the activity system of education.

한계 및 향후 연구
Limitations and future research

이 연구는 오직 한 개의 의과대학만을 포함하고 있으며, 참가자들은 한 개의 교육 개발 프로그램에서 추출한 것이기 때문에, 결과의 전달 가능성은 제한적일 수 있다. 그러나 여러 직업과 임상 환경이 제시되어 교육 개발에 참여한 다양한 배경과 다양한 경험을 제시하였다.
Given that this study only included one faculty of medicine, with participants drawn from one educational development program, the transferability of findings might be limited. However, several professions and clinical environments were represented, indicating diverse backgrounds and various experiences of engaging in educational development.

흥미롭게도, 이 연구 결과는 장점, 자금, 시간을 제공함으로써 연구 활동을 활용하는 교육을 제안합니다. 효과가 반대 방향으로도 진행되는지, 아니면 이것이 이러한 활동을 조정하는 방법이 될 수 있는지, 그리고 이것이 왜 더 탐구할 가치가 있는지 알 수 없다. 또, 이 연구에는 다른 건강 직업의 참가자가 포함되었지만, 교육 발전의 기회에 관한 직업간의 차이에는 초점을 맞추지 않았다.
Interestingly, the findings suggest education to lever the activity of research by providing merits, funding and time. We do not know if the effect goes also in the opposite direction, or if this might serve as a way of aligning these activities, why this could merit further exploration. Also, while this study included participants from different health professions, it did not focus on differences between professions regarding the opportunities for educational development, a question requiring further studies.

마지막으로, 이 연구는 정규 교육 개발에 참여하는 교사들의 참여에 대한 통찰력을 제공하지만, 그러한 활동에 참여하지 않는 교사들과 그들이 직면할 수 있는 장벽에 대한 해답은 아직 남아 있다.

Lastly, while this study offers insight into the engagement of teachers who do participate in formal educational development, there are still unanswered questions about teachers who do not participate in such activities and the possible barriers that they encounter.

결론
Conclusion

본 연구에서는 활동 이론의 관점을 사용하여 임상 교사가 교육 개발에 참여하는 것이 어떻게 그들이 행동하는 시스템에 의해 영향을 받는지 조사했다. 우리의 결과는 임상 교사를 환자 치료, 연구 및 교육 시스템이 공존하고 상호작용하는 학술 병원의 일부로 배치하고, 이러한 시스템 간에 대상이 잘못 정렬됨에 따라 모순이 발생함을 시사합니다. 또한, 연구결과는 [임상교사의 우선순위]가 [학술병원의 우선순위]와 상호 작용하여 협상된다는 것을 시사한다. 학술병원의 우선순위에서 교육활동의 가치가 떨어지고 우선순위가 낮은 것으로 보이는 경우, 교육발전의 기회를 제한한다.

In this study, we employed an activity theory perspective to explore how clinical teachers’ engagement in educational development was affected by the systems they act within. Our results situate clinical teachers as part of an academic hospital where the systems of patient care, research and education co-exist and interact, and suggest that contradictions arise between these systems as their objects are misaligned. Further, the findings suggest that the priorities of clinical teachers are negotiated in interaction with the priorities of the academic hospital, where the activity of education appears to be less valued and prioritised, thus limiting the opportunities for educational development.

따라서 임상교사 개개인의 지원·육성을 위해서는 교육개발활동도 중요하지만, 교육의 진보를 촉진하고 중시하는 제도 정비에 중점을 두어 임상교사의 교육개발에 대한 관여를 중개해야 한다. 이에 따라 교육발전에 있어 학술병원의 경영진과 리더를 포함한 병원 내 의사결정기관에 교육대표를 포함시키고, 직장에서의 교육발전을 촉진하기 위한 교육자 커뮤니티 형성을 지원하고 싶다. 마찬가지로, 예를 들어 명확한 보상 구조를 가진 뚜렷한 교육 진로 확립을 통해 교육의 가치 및 보상 방식을 바꾸는 것은 임상 교사들과 그들의 교육 관행 개선을 위한 추구를 지원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Therefore, while educational development activities are important in supporting and developing individual clinical teachers, we must also focus on developing systems where the advancement of education is promoted and valued, thus mediating clinical teachers’ engagement in educational development. Accordingly, we would like to suggest including educational representatives in decision-making bodies in the hospital, including management and leaders of academic hospitals in educational development, as well as supporting the creation of communities of educators to better enable educational development in the workplace. Similarly, changing the way in which teaching is valued and rewarded, for example by establishing distinct educational career paths with clear reward structures, might hopefully serve to support clinical teachers and their pursuit of improving their teaching practice.

 


Adv Health Sci Educ Theory Pract. 2019 Mar;24(1):125-140. doi: 10.1007/s10459-018-9853-y. Epub 2018 Oct 3.

Contradictions in clinical teachers' engagement in educational development: an activity theory analysis

Affiliations collapse

Affiliations

1Department of Learning, Informatics, Management and Ethics, Karolinska Institutet, Tomtebodavägen 18A, 171 77, Stockholm, Sweden. agnes.elmberger@ki.se.

2Department of Molecular Medicine and Surgery, Karolinska Institutet, Stockholm, Sweden.

3Department of Clinical Genetics, Karolinska University Hospital, Stockholm, Sweden.

4Department of Learning, Informatics, Management and Ethics, Karolinska Institutet, Tomtebodavägen 18A, 171 77, Stockholm, Sweden.

5Primary Health Care Unit, Institute of Medicine, The Sahlgrenska Academy, University of Gothenburg, Gothenburg, Sweden.

6Department of Education, Stockholm University, Stockholm, Sweden.

PMID: 30284068

PMCID: PMC6373255

DOI: 10.1007/s10459-018-9853-y

Free PMC article

Abstract

Many medical universities offer educational development activities to support clinical teachers in their teaching role. Research has focused on the scope and effectiveness of such activities and on why individual teachers attend. However, systemic perspectives that go beyond a focus on individual participants are scarce in the existing literature. Employing activity theory, we explored how clinical teachers' engagement in educational development was affected by the systems they act within. Three focus groups were held with clinical teachers from different professions. A thematic analysis was used to map the contradictions between the systems that the participants were part of and the manifestations of these contradictions in the system of education. In our model, clinical teachers were part of three activity systems directed by the objects of patient care, research and education respectively. Contradictions arose between these systems as their objects were not aligned. This manifested through the enacted values of the academic hospital, difficulties establishing educational discussions in the clinical workplace, the transient nature of educational employments, and impediments to developing a teacher identity. These findings offer insights into the complexities of engaging in educational development as clinical teachers' priorities interact with the practices and values of the academic hospital, suggesting that attention needs to shift from individual teachers to developing the systems in which they work.

Keywords: Activity theory; Clinical teacher; Contradictions; Educational development; Faculty development; Health personnel; Qualitative research; Undergraduate medical education.

 

왜 이 학생이 시험을 잘 못 볼까요? 자기조절학습을 활용한 문제 진단 및 해결 (Acad Med, 2018)
Why Does This Learner Perform Poorly on Tests? Using Self-Regulated Learning Theory to Diagnose the Problem and Implement Solutions 
Mary A. Andrews, MD, MPH, William F. Kelly, MD, and Kent J. DeZee, MD, MPH

 

 

문제
Problem

많은 의학 학습자는 객관식 임상시험에 의한 지식테스트에 어려움을 겪고 있으며, 이러한 학습자의 교정에는 리소스가 많이 소요됩니다.1 재교육 방법remediation은 시험기법과 연습문제 작성의 강조에서 의학지식과 임상추론을 개선하기 위한 포괄적인 노력까지 다양합니다. 그러나 최근 검토 결과 그러한 개입의 효과에 대한 근거는 미약했다. 더욱이 교정조치는 종종 교육 이론의 의미 있는 근거 없이 개발되고 구현된다. 여기에서는, 자기조절학습(SRL) 이론에 근거하는, 즉석에서 사용할 수 있는 새로운 테스트 응시 평가 및 교정 프레임워크를 소개하고, 센터에서의 구현을 설명하며, 영속적인 문제에 대한 이 유망한 솔루션의 대규모 연구의 기반을 마련한다.
Many medical learners struggle on multiple-choice, clinical-vignette-based knowledge tests, and remediating these learners is resource intensive.1 Remediation methods range from emphasizing test-taking techniques and completing practice questions, to comprehensive efforts to improve medical knowledge and clinical reasoning.1–3 However, recent reviews found only weak evidence of the effectiveness of such interventions.4,5 Furthermore, remediation methods are often developed and implemented without meaningful basis in educational theory.4 Here we introduce a novel, ready-to-use test-taking assessment and remediation framework based on self-regulated learning (SRL) theory; describe implementation at our center; and lay the foundation for a large-scale study of this promising solution to a perennial problem.

SRL 이론은 많은 분야에서 성과를 향상시키기 위해 성공적으로 사용되어 온 교육 평가 프레임워크입니다. 6,7 SRL은 "개인 목표 달성에 계획되고, 순환적으로 적응되는, 자기 생성적 생각, 감정 및 행동"으로 정의되어 있습니다. SRL 하위 프로세스는 세 가지 태스크 중심 범주로 나눌 수 있습니다: 사전 생각, 퍼포먼스, 그리고 자기 성찰입니다. 이전 연구에서는 SRL 하위 프로세스와 의과대학 성과 간의 상관관계를 보여 왔다. 예를 들어 의과대학 입학시험 점수 조정 후 의과대학 2학년 학생들의 전략적 계획이 미국 의학면허시험 1단계 점수와 유의하게 관련되어 있었다. 시험 성적에 대한 SRL 기반 평가는 어려움을 겪고 있는 수험생을 진단하고 교정하는 데 유용한 수단이라고 가정했습니다.

SRL theory is an educational assessment framework that has been successfully used to improve performance in many disciplines.6,7 SRL has been defined as “self-generated thoughts, feelings, and actions that are planned and cyclically adapted to the attainment of personal goals.”8 SRL subprocesses can be divided into three task-centered categories: forethought, performance, and self-reflection.7 Prior research has shown correlations between SRL subprocesses and medical school performance; for example, strategic planning by second-year medical students wa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United States Medical Licensing Examination Step 1 scores after adjusting for Medical College Admission Test scores.9 We postulated that an SRL-based assessment of test-taking performance would be a useful means of diagnosing and remediating struggling test takers.

접근
Approach

이 방법은 정의된 교육 과제 동안 학습자에게 다른 지점에서 질문을 함으로써 자기 규제 프로세스의 동적, 컨텍스트별 특성을 포착하는 자기조절학습 마이크로 분석 및 훈련(SRL-MAT)의 형태로 설계되었다. 이 방법은 2012년 초 한 저자(K.J.D)에 의해 개발되었으며, 공동 저자에 의해 다듬어졌으며, 클리어리 등이 설명한 5단계 SRL 미세 분석 프로토콜 개발 프로세스와 유사하지만 유사하다. 이 프로젝트는 품질 개선 이니셔티브로 수행되었으며 기관 검토 위원회는 연구가 아니라고 판단했습니다.
This method was designed as a form of Self-Regulated Learning Microanalytic Assessment and Training (SRL-MAT), which captures the dynamic, context-specific nature of self-regulatory processes by posing questions to the learner at different points during a defined educational task.7 The method was developed by one author (K.J.D.) in early 2012, refined by the coauthors, and predates but closely resembles the five-step SRL microanalytic protocol development process described by Cleary et al.6 This project was undertaken as a quality improvement initiative and the institutional review board determined that it was not research.

우리는 라이센스, 인증 및 훈련 중인 시험(ITE)에서 일반적으로 발생하는 유형의 객관식 임상 비그넷 테스트 질문에 답하는 특정 과제를 선택했고, [과제 전략, 자가 평가, 인과 관계 귀인, 적응적 추론]을 위한 대상 SRL 하위 프로세스를 식별했다. 테스트 질문에 올바르게 대답하는 작업에 특화된 SRL 미세 분석 질문을 개발했다(표 1). 과제 전략 질문을 설계하여 훈련자가 잘 개발된 질병 스크립트를 사용하여 올바른 진단에 도달하는 정도를 평가하였습니다. 이는 어려움을 겪는struggling 수험생과 임상 추론 연구에 대한 과거 경험에서 효과적인 전략임을 알 수 있기 때문입니다. 

We selected the specific task of answering a multiple-choice, clinical vignette test question of the type commonly encountered on licensing, certification, and in-training examinations (ITEs) and identified target SRL subprocesses for this task: task strategies, self-evaluation, causal attributions, and adaptive inferences.7,8 We developed SRL microanalytic questions specific to the task of answering test questions correctly (Table 1). We designed the task strategy questions to assess the extent to which the trainee uses well-developed disease scripts to arrive at the correct diagnosis, as past experience with struggling test takers and clinical reasoning research have shown this to be an effective strategy.10 

우리는 학습자가 다음의 활동을 하는 동안 시행될administered 과업수행전략 질문을 설계함으로써 SRL 하위 프로세스를 작업의 시간적 차원에 연결했다: 시험 문제 풀기, 문제풀기-정답고르기 과정 중 특정 지점에서의 자기평가 질문, 선택한 답이 맞는지 학습자에게 알려준 후 인과 관계 귀인, 적응적 추론 문제를 해결하기. [학습자 수행능력의 과거 특징]과 [특정 미세 분석 질문에 대한 학습자의 답변]을 바탕으로 SRL 결함을 식별하는 분류 시스템을 개발했다. 이는 클리어리 등이 추천한 개방형 질문의 완전한 전사 및 독립적 코딩과는 다르지만, 실용성과 사용 편의성을 위해 이 분류 체계를 선택했다. 이 방법은 교사와 학습자가 1시간 세션에서 일대일로 사용하고 학습자의 자기 평가와 연습을 위해 고안되었습니다.

We linked SRL subprocesses to the temporal dimensions of the task by designing the task strategy questions to be administered while the learner works through the test question, self-evaluation questions at specified points during the question–answering process, and causal attribution and adaptive inference questions after the learner was informed whether the selected answer was correct. We developed a categorization system that identified the SRL deficiency based on historical features of the learner’s performance and on the learner’s answers to specific microanalytic questions. This differs from the full transcription and independent coding of open-ended questions recommended by Cleary et al,6 but we chose this categorization scheme for practicality and ease of use. This method was designed for one-on-one use by a teacher and learner in a one-hour session, and for learner self-assessment and practice.

 

미세 분석 질문은 질문 검토 양식(QRF, 부록 1 참조)으로 통합되었습니다. 이 양식을 사용할 때, 교사는 먼저 학습자에게 ITE, 의사면허시험의 Step들, NBME의 과목시험 등을 포함한 객관식 임상시험 기반의 의학지식 테스트에 대한 이전 성과가 어땠는지를 기술하도록 요구한다. 그런 다음, 교수자는 [학습자의 교육 수준에 적합한 임상 실습 질문]을 학습자에게 제시하고, [이 문제를 실제 테스트 문제인 것처럼 풀도록] 요청합니다. 유일한 차이점은 학습자가 큰 소리로 읽고 생각해야 한다는 것입니다. 

The microanalytic questions were combined into a Question Review Form (QRF; see Appendix 1). When using the form, the teacher first asks the learner to describe prior performance on multiple-choice, clinical-vignette-based medical knowledge tests, including ITEs, steps of licensing examinations, National Board of Medical Examiners subject matter examinations, etc. The teacher then presents the learner with a clinical-vignette-based practice question appropriate to the learner’s training level and asks the learner to engage the question as if it were an actual test question, with the only difference being that the learner should read and think out loud.

이 첫 번째 테스트 질문의 경우, 교수자는 학습자를 중단시키지 않고, 미세 분석 질문을 하지 않고, 문제풀기를 쭉 진행합니다. 교사는 학습자의 시험문제에 대한 참여engagement 수준을 아래의 범위로 기록한다. 

  • 매우 피상적인 참여(예: 내부 주석이나 정보에 대한 해석 없이 문제 전체를 큰 소리로 읽는 것)에서
  • 매우 적극적인 참여(예: 임상 정보의 우선 순위와 해석, 문항줄기를 읽는 동안 감별진단을 생성 및 수정)까지

For this first test question, the learner proceeds through the question without interruption from the teacher or administration of any microanalytic questions. The teacher notes the learner’s level of engagement with the test question, which can range from

  • very superficial (e.g., reading the entirety of the question out loud without any interior commentary or interpretation of the information) to
  • highly engaged (e.g., actively prioritizing and interpreting the clinical information and generating and refining a differential diagnosis while reading the stem).

이러한 초기 중단 없는 Think-aloud 연습은 임상 비게트에 제시된 정보에 쉽게 관여하지 않는 학습자의 미발달 질병 스크립트와 같은 특정 시험 응시 결함을 시사할 수 있다.

This initial uninterrupted think-aloud exercise may suggest a particular test-taking deficiency, such as underdeveloped disease scripts in the learner who does not readily engage with the information presented in the clinical vignette.

그런 다음 교사는 QRF와 함께 두 번째 시험 문제를 제시합니다. 선생님은 시험문제의 마지막 문장(예: "진단 내용은 무엇입니까?")을 다룹니다. 또는 "관리에서 차선책은 무엇입니까?"라고 말한 후 학습자에게 QRF 항목 1~6에 답하도록 합니다. 

  • 항목 1~4는 임상 계통에서 질병 스크립트를 식별하는 전략을 사용하는 학습자의 기술을 평가한다. 항목 2 - 4는 학습자의 질병 스크립트의 특수성(즉, 학습자가 질병의 다양한 하위 유형을 얼마나 잘 인식할 수 있는지)을 평가한다. 
  • 항목 5 - 6은 질문-답변 과정의 정의된 지점에서 자가 평가 시 학습자의 기술을 평가하는 자신감 척도이다. 항목 6을 완료한 후 교사는 질문(예를 들어 "관리에서 다음 최선의 단계는 무엇입니까?")을 풀지만 정답은 풀지 않습니다. 

The teacher then presents a second test question along with the QRF. The teacher covers the last sentence (e.g., “What is the diagnosis?” or “What is the next best step in management?”) and asks the learner to answer QRF Items 1 through 6 after thinking aloud through the clinical vignette.

  • Items 1 through 4 assess the learner’s skill in using the strategy of identifying the disease script in the clinical stem. Items 2 through 4 assess the specificity of the learner’s disease scripts (i.e., how well the learner can recognize different subtypes of disease).
  • Items 5 through 6 are confidence scales which assess the learner’s skill at self-evaluation at defined points in the question–answering process. After completing Item 6, the teacher uncovers the question (e.g., “What is the next best step in management?”) but not the answers.
  • 학습자는 질문에 대한 답을 예측하고 해당 답변에 대한 자신감을 평가합니다(항목 7-8). 
  • 그런 다음, 교사는 정답 선택지를 공개하고, 학습자는 선택지를 본 후 예상 답안(또는 유사한 답안)에 대한 자신감을 평가하며(9~11번 항목) 또는 답안 변경 여부를 결정한다(12번 항목). 
  • 그런 다음, 교사가 정답을 밝히고, 학습자는 인과적 속성과 적응적 추론(항목 14~15)을 평가하는 문제에 답합니다. 이 방법은 교사가 다음 섹션에서 설명하는 시험 문제 중 하나를 식별하기에 충분한 증거를 축적할 때까지 새로운 시험 문제에서 반복된다. 각 문제는 SRL 하위 프로세스 부족에 해당한다.
  • The learner predicts the answer to the question and rates his or her confidence in that answer (Items 7–8).
  • Then the teacher reveals the answer choices and the learner rates his or her confidence in his or her predicted answer (or similar answer) after seeing the choices (Items 9–11), and decides if he or she wants to change his or her answer (Item 12).
  • The teacher then reveals the correct answer, and the learner answers the questions assessing causal attributions and adaptive inferences (Items 14–15). The method is repeated with new test questions until the teacher has accumulated enough evidence to identify one of the test-taking problems outlined in the following section, each of which corresponds to an SRL subprocess deficiency.

이 평가 도구는 내과 레지던트 내의 품질 개선 이니셔티브로서 2012-2013학년도 중 2학년 내과 레지던트 16명에게 1명의 교직원이 관리했습니다. 평가방법의 이론적 근거를 설명하고, 방법의 관리방법을 검토하며, 역할극을 통해 교수진의 연습을 허용하는 90분짜리 워크숍도 개발되었습니다.
As a quality improvement initiative within the internal medicine residency, this assessment tool was administered by one faculty member to 16 second-year internal medicine residents during academic year 2012–2013. A 90-minute workshop, which describes the theoretical basis for the assessment method, reviews how to administer the method, and allows for faculty practice with the method via role-play, was developed as well.

결과
Outcomes

약 20명의 고군분투하는 학습자에게 이 방법을 사용한 결과, 대부분의 시험 문제를 다음과 같이 분류할 수 있었다.

  • 스크립트 인식 부족,
  • 스크립트 특이성 부족,
  • 조기 종결,
  • 자신감 부족,
  • 부적응적 인과 귀인
  • 부적절한 적응적 추론

이러한 테스트의 결함에 대해서는, 이하에 간단하게 설명합니다.비디오의 예와 각 타입의 식별과 수정에 관한 상세한 것에 대하여는, 보충 디지털 부록 1을 참조해 주세요.
After using this method with approximately 20 struggling learners, we found that most test-taking problems could be categorized as follows:

  • lack of script recognition,
  • lack of script specificity,
  • premature closure,
  • underconfidence,
  • maladaptive causal attributions, and
  • inappropriate adaptive inferences.

These test-taking deficiencies are briefly described below; video examples and more details about identifying and remediating each type are available in Supplemental Digital Appendix 1 at https://links.lww.com/ACADMED/A389.

첫 번째 시험풀이 결함은 [스크립트 인식 부족]이며, 이는 진단 추론을 위한 질병 스크립트의 작업 전략을 부적절하거나 비효율적으로 사용하는 것을 뜻한다. 이러한 학습자는 임상 스템을 읽는 동안 임상 데이터를 전혀 또는 사실적으로 잘못 해석할 수 없으며 QRF 항목 1 - 4에 답변할 수 없습니다.
The first test-taking deficiency is lack of script recognition, which reflects inappropriate or ineffective use of the task strategy of disease scripts for diagnostic reasoning. These learners offer no or factually incorrect interpretations of clinical data while reading the clinical stem, and they cannot answer QRF Items 1 through 4.

두 번째 유형의 시험풀이 결함은 [스크립트 특이성 부족]이며, 이것도 [과제수행전략]의 문제입니다. 이 결핍을 가진 학습자는 일반적인 질병 범주(우울증 등)를 인식함으로써 두 가지 선택지로 답을 좁히지만, 질병의 특정 임상 하위 유형이나 심각도(노인의 우울증 등)와 그 하위 유형과 관련된 진단 전략, 치료 또는 예후 차이를 인식하지 못한다. 이러한 학습자는 QRF 항목 2 ~ 4에 대해 불완전하거나 부정확한 답을 제시합니다.
The second type of test-taking deficiency is lack of script specificity, which is also a task strategy problem. Learners with this deficiency narrow down the answer to two choices by recognizing a general disease category (such as depression), but do not recognize the specific clinical subtype or severity of disease (such as depression in the elderly) and the differences in diagnostic strategy, therapy, or prognosis related to that subtype. These learners will give incomplete or inaccurate answers to QRF Items 2 through 4.

세 번째 테스트 부족은 [메타인지 모니터링 단계]의 문제인 [조기 종결]입니다. 이러한 결함을 보이는 학습자는 진단을 조기에 결정하고 진단과 일치하지 않는 정보를 무시하거나 과소평가하며 선택한 진단과 일치하지 않는 사실을 QRF 항목 4에 나열하거나(그러나 진단 변경을 거부함) 불일치를 단순히 인식하지 못할 수 있습니다.
The third test-taking deficiency is premature closure, a metacognitive monitoring problem. Learners who exhibit this deficiency make an early decision on the diagnosis, ignore or downplay information inconsistent with the diagnosis, and may list facts that are inconsistent with the chosen diagnosis in QRF Item 4 (yet refuse to change the diagnosis) or simply fail to note the inconsistencies.

네 번째 시험결과는 [메타인지 모니터링과 자기평가 단계]의 문제인 [자신감 부족]이다. 이 결함이 있는 학습자는 여러 번의 시험에 불합격한 전력이 있을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심지어는 정확한 추론을 하고서도, 자기자신의 임상추론을 믿지 않게 된다. SRL 평가 과정에서 이러한 학습자는 올바른 진단을 식별하고 정답을 예측한 경우에도 중간에서 낮은 절반까지의 등급(QRF 항목 5~6,8)에 대한 자신감을 평가합니다.

The fourth test-taking deficiency is underconfidence, which is a metacognitive monitoring and self-evaluation problem. Learners with this deficiency may have a history of several examination failures and have consequently learned to distrust their clinical reasoning, even when it may be correct. During the SRL assessment, these learners rate their confidence on the middle to lower half of the scale (QRF Items 5–6, 8) even when they have identified the correct diagnosis and predicted the correct answer.

다섯 번째 시험풀이시 결함은 SRL의 [자기 성찰 단계]의 결함인 [부적절한 인과 귀인]이다. 이러한 결함은 정답이 맞고, 오답이 틀린 이유에 대한 피상적 또는 잘못된 설명에서 명확하게 드러난다 (QRF 항목 14).
The fifth test-taking deficiency is inappropriate causal attributions, which is a deficiency in the self-reflection phase of SRL. This deficiency is evident from superficial or incorrect explanations of why the right answer is correct and the wrong answer is incorrect (QRF Item 14).

마지막 시험결과는 [부적절한 적응적 추론]이며, 이는 자기성찰의 문제이기도 하다. 이 결함이 있는 학습자는 실습 질문에 답한 후 지식 격차를 식별할 수 있지만 효과적인 학습 계획(QRF 항목 15)을 명확하게 설명할 수는 없습니다.
The last test-taking deficiency is inappropriate adaptive inferences, which is also a self-reflection deficiency. Learners with this deficiency may be able to identify knowledge gaps after answering a practice question, but are unable to articulate an effective learning plan (QRF Item 15).

이 방법을 사용하여 시험 미비점을 식별하고 개선 전략을 제안함으로써 소수의 학습자만이 과거 제어를 사용하지만 시험 성과가 향상되었음을 알 수 있습니다. 이 내과 레지던트에서의 과거 6년간의 평균 ITE 성적 향상은 3년째에 4.6점이었다. 이 평가를 받은 주민의 2013년 ITE 점수는 2년차부터 3년차까지 평균 9.3점(표준편차: 7.7)으로, 과거 데이터에 근거해 예상되는 개선점의 약 2배였다.
In using this method to identify test-taking deficiencies and suggest strategies for improvement, we have found improved test performance, albeit in a small number of learners and using historical controls. Over the previous six years in this internal medicine residency, the average second-year ITE score improvement was 4.6 points in the third year. The average improvement in 2013 ITE score from second year to third year for the residents who underwent this assessment was 9.3 points (standard deviation: 7.7), which is about twice the expected improvement based on historical data.

다음 단계
Next Steps

테스트 성적이 낮은 학습자의 공통적이지만 어려운 문제에 SRL 미세 분석의 새로운 응용 프로그램을 도입했습니다.7 이 방법은 SRL 이론의 견고한 기반, 개별화된 치료 계획 및 상대적 구현 용이성을 포함하여 기존 시험 응시 교정 방법보다 장점이 있다. 적은 수, 동시적 통제집단의 부족, 평균으로의 회귀 가능성에 의해 제한되기는 하지만, 단일 센터 구현의 결과는 유망하다. 이 방법을 사용하기 위해 교직원이 훈련하는 데 필요한 시간은 다를 수 있지만, 우리는 90분짜리 워크숍 형식으로 비디오 예시와 롤 플레이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We have introduced a novel application of SRL microanalysis to the common yet challenging problem of learners who underperform on tests.7 This method has advantages over existing methods of test-taking remediation, including solid foundation in SRL theory, individualized treatment plans, and relative ease of implementation. Although limited by small numbers, lack of contemporary control group, and the possibility of regression towards the mean, the results of our single-center implementation are promising. While the time needed to train faculty to use this method may vary, we have used a 90-minute workshop format with video examples and role-play (Supplemental Digital Appendix 1, https://links.lww.com/ACADMED/A389) at our institution and others.

실현 가능성과 효과성에 대한 대규모 연구에 의해 교육 개입이 뒷받침되어야 하기에, 다음 단계는 대규모 무작위 대조 시험의 설계와 수행이다. 이 연구에는 과목시험이나 면허시험에 불합격한 학생, ITE 점수가 낮은 학생 등 다양한 프로그램 및 훈련 수준의 학습자가 참여해야 하며, 이 방법의 어떤 측면이 개선에 가장 큰 도움이 되는지 평가해야 합니다. 위에서 설명한 분류 시스템은 역사적 특징과 SRL 평가에 의존하며 단일 기관에서 쉽게 구현되어 왔지만, 이 시스템의 신뢰성과 타당성은 더 넓은 환경에서 연구되어야 한다.
Recognizing the need for educational interventions to be supported by large-scale studies of feasibility and effectiveness, the next steps for this method are the design and conduct of a large randomized controlled trial.4,5 This study should include learners from different programs and training levels, such as students who fail a subject matter examination or licensing exam and trainees with low ITE scores, and should assess which aspects of the method contribute the most to improvement. While the categorization system outlined above, which relies on historical features plus SRL assessment, has been easily implemented at a single institution,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is system should be studied in broader settings.

객관식 임상시험에 기초한 의학지식시험에서 저조한 성적을 보이는 학습자는 어디에나 있으며, 저조한 시험성적은 심각한 직업적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 시험에서 고군분투하는 학습자를 지원하기 위해 이론적으로 건전하지만 즉시 실행할 수 있는 개입이 부족하기 때문에, 이 개입과 다른 개입의 효과를 전파하고 조사할 필요가 가장 중요하다.

Learners who underperform on multiple-choice, clinical-vignette-based medical knowledge tests are ubiquitous, and poor test performance can have serious professional consequences. Given the paucity of theoretically sound yet ready-to-implement interventions for assisting learners who struggle on tests, the need to disseminate and investigate the effectiveness of this and other interventions is paramount.4,5

 


Acad Med. 2018 Apr;93(4):612-615.  doi: 10.1097/ACM.0000000000001422.

Why Does This Learner Perform Poorly on Tests? Using Self-Regulated Learning Theory to Diagnose the Problem and Implement Solutions

Affiliations collapse

Affiliation

1M.A. Andrews is assistant professor, Department of Medicine, Uniformed Services University of the Health Sciences, Bethesda, Maryland. W.F. Kelly is associate professor, Department of Medicine, Uniformed Services University of the Health Sciences, Bethesda, Maryland. K.J. DeZee is professor, Department of Medicine, Uniformed Services University of the Health Sciences, Bethesda, Maryland.

PMID: 30248085

DOI: 10.1097/ACM.0000000000001422

Abstract

Problem: Learners who underperform on standardized tests are common throughout all levels of medical education and require considerable faculty time and effort to remediate. Current methods for remediating test-taking difficulties are typically not grounded in educational theory or supported by high-quality evidence.

Approach: A test-taking assessment was developed based on self-regulated learning (SRL) microanalytic assessment and training and used during academic year 2012-2013. This method assesses the SRL subprocesses of strategic planning, self-monitoring, causal attributions, and adaptive inferences during the educational task of answering test questions. The method was designed for one-on-one use by teacher and learner, and for learner self-assessment and practice.

Outcomes: At one academic institution, this method was used to categorize learners into struggling test-taker subtypes which correspond to deficiencies in the SRL subprocesses outlined above. A learning plan based on the SRL deficiency was developed for each struggling test-taker subtype. In a small number of internal medicine residents with low in-training examination scores, use of this method yielded improvements in 2013 in-training examination score that doubled the expected improvement based on historical averages.

Next steps: This method is a novel application of SRL theory to a commonly encountered problem in medical education: the learner who performs poorly on tests. Large-scale, multicenter studies of medical learners at a variety of training levels and program types are needed to determine the effectiveness and generalizability of this intervention.

 

의학교육에서 동료지원학습(PAL): 체계적 문헌고찰과 메타분석(Med Educ, 2021)
Peer-assisted learning in medical education: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Clarissa Brierley BSc MSc1 | Leila Ellis BSc MBChB2 | Emily Roisin Reid BA MA1

 

 

1 도입
1 INTRODUCTION

동료 지원 학습(PAL)은 '전문 교사가 아닌 유사한 사회 집단의 사람들이, 서로 돕고 가르침을 통해, 스스로 학습하는 것'으로 정의되며, 의과대학에서 종종 시행되는 보충 교육의 한 형태이다. PAL은 고학년 학생들이 저학년 학생들을 가르치는 '니어 피어 티칭'과 같은 수준의 학생들이 교습과 튜터의 역할을 번갈아 맡는 '피아 투 피어 티칭'을 포함한 다양한 교육 방법을 포괄하는 용어이다. PAL은 의대생에게 졸업 시 GMC(General Medical Council)가 요구하는 교육 기술을 개발할 기회를 제공할 뿐만 아니라 선행학습 강화와 학업성취도 향상시킵니다. 또, 연구 결과, 커리큘럼내의 PAL은 스탭의 시간을 최적화해, 전체적인 자원의 가용성을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PAL은 교직원과 학생 사이의 접촉 기회를 줄인다는 비판을 받아왔으며, PAL 학생들은 문제 기반 학습(PBL)의 맥락에서 문제를 독립적으로 분석하는 데 어려움을 겪고 있다. 따라서 PAL이 가장 큰 가치가 있는 맥락은 의학 교육에서 추가적인 관심 분야이다.

Peer-assisted learning (PAL), defined as ‘people from similar social groupings who are not professional teachers helping each other to learn and learning themselves by teaching’, is a form of supplemental teaching often implemented in medical schools.1, 2 PAL is an umbrella term encompassing a range of teaching methods, which include ‘near-peer teaching’, where students of a higher year teach students of a lower year, and ‘peer-to-peer teaching’, where students at the same level interchangeably take on the roles of tutors and tutees.3-5 PAL not only provides the opportunity for medical students to develop the teaching skills required by the General Medical Council (GMC) on graduating but also additionally helps reinforce their prior learning and improves their own academic performances.6, 7 Research has also shown that intra-curricular PAL increases overall resource availability by optimising staff time.8, 9 PAL has been criticised for reducing opportunity for contact between faculty and students, and in the context of problem-based learning (PBL), PAL students have reported difficulties in independently analysing problems.10 The context in which PAL is of greatest value is therefore an additional research area of interest within medical education.

PAL은 수십 년 동안 고등교육에 편입되어 왔으며, 영국 의과대학에서 채택되기 전에는 미국에서 시험 성적과 긍정적인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2010년 미국의 한 조사에 따르면, 응답한 의과대학 중 76%가 의학 교육 중에 어떤 형태로든 학생이 PAL에 참여하였다. PAL은 처음에는 저성취 학생을 대상으로 한 튜토리얼 프로그램 또는 이미 확립된 교육에 학생 교사를 포함시키는 프로그램의 형태를 취했습니다. 
PAL has been incorporated into tertiary education for decades, an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exam performance was shown in the United States before it was adopted by medical schools in the United Kingdom.11-13 A 2010 survey in the United States indicated that 76% of responding medical schools had students who engaged in some form of PAL during their medical education.14 PAL initially took the form of tutorial programmes targeted at low achieving students, or programmes that incorporated student teachers into already established teaching.12, 15-19

PAL은 1990년대 초반부터 학부 교육에서 실시되어 왔지만, PAL이 학생에게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는 질적 연구 및 추적 기간이 짧은 학생에 대한 연구 형태로 이루어져 왔다. 이들은 학생들의 능력에 대한 인식 향상뿐만 아니라 학생들의 자기 보고 자신감 향상, 학생들의 기술과 지식의 개발도 보고했다. 2016년 체계적인 검토는 동료 교습을 통해 가르친  성과와 교직원이 가르친 성과를 비교했다. 그룹 간에 유의하게 다른 결과가 식별되지는 않았지만, PAL은 PAL의 혜택이 다를 수 있는 [다양한 교육 맥락에서 PAL 전달의 이질성]을 반영하려는 시도 없이, (마치 모든 PAL이) 단일하고 균일한 것처럼 취급되었다. 
Although PAL has been implemented in undergraduate education since the early 1990s, research into PAL's impact on students has been in the form of qualitative studies and those with short follow-up durations.8, 20-23 These reported an improvement in students' self-reported confidence, the development of students' skills and knowledge, as well as improved perception of students' abilities.8, 20-23 A systematic review in 2016 compared outcomes for undergraduate medical students taught through peer teaching with those taught by faculty.24 Although no significantly different outcomes between groups were identified, PAL was treated as a single, uniform entity, with no attempt to reflect the heterogeneity of PAL delivery in varying educational contexts, where the benefit of PAL may differ.24

본 연구는 의대생을 대상으로 실시한 PAL의 모든 무작위 연구를 체계적으로 검토했다. PAL의 효과를 확립하는 것이 주된 목적이었고, 그 대신 학업성취도를 선택했다. 두 번째 목표는 PAL이 가치를 부가할 수 있는 특정 의료 교육 환경을 식별하는 데 초점을 맞춘다. 우리는 중장기적으로 평가했을 때 임상 전과 학생의 성과, 절차적 기술 또는 이론적 지식의 가르침, 그룹 간 PAL이 학업 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사이의 차이를 식별하기 시작했다.

This study systematically reviewed all randomised studies of PAL conducted using medical students as subjects. The principal aim was to establish the effectiveness of PAL, choosing academic performance as a proxy measure. The secondary aims focus on identifying the specific medical education setting where PAL may add value. We set out to identify any differences between the performance of preclinical and clinical students, the teaching of procedural skills or theoretical knowledge, and the impact of PAL on academic achievement between groups when assessed in the medium to longer term.

2 방법
2 METHODS

2.1 프로토콜 및 등록
2.1 Protocol and registration

이 검토는 체계적 검토 및 메타 분석을 위한 선호 보고 항목(PRISMA)과 증거 합성 보고 교육(STORYS) 진술에 대한 STructured approach를 준수했다. 윤리적 승인이 필요하지 않았다.
This review conformed to the Preferred Reporting Items for Systematic Reviews and Meta-Analyses (PRISMA) and STructured apprOach to the Reporting In healthcare education of Evidence Synthesis (STORIES) statements.25, 26 No ethical approval was required.

2.2 검색 전략
2.2 Search strategy


4개의 전자 데이터베이스(MEDLINE, Ovid Embase, Web of Science and Education Research Complete)에 대한 문헌 검색은 2020년 4월에 C. B.에 의해 수행되었고 2021년 7월에 업데이트되었다. PAL에 대한 다양한 변형이 의료 교육 내에서 시행되고 있으며, 이 용어는 종종 서로 바꿔서 사용됩니다.4 이 다양성은 가능한 많은 관련 연구를 얻기 위해 사용된 검색어에 반영되었다. 각 데이터베이스에 대한 전자 검색 전략에는 의료 주제 제목(MeSH) 용어, 부울 조합 및 20개 키워드의 잘라내기 사용이 포함되었다. 검색어 개발 중에 대상 사서에게 상담했습니다. Embase 검색 전략은 표 S1에 요약되어 있습니다.
A literature search of four electronic databases (MEDLINE, Ovid Embase, Web of Science and Education Research Complete) was conducted by C. B. in April 2020 and updated in July 2021. Many different variations on PAL are being practised within healthcare education, and the terminology is often used interchangeably.4 This variety was reflected within the search terms used in order to obtain as many relevant studies as possible. The electronic search strategy for each database included the use of Medical Subject Headings (MeSH) terms, Boolean combinations and truncations of 20 keywords. A subject librarian was consulted during search term development. Our Embase search strategy is summarised in Table S1.

검색은 저널 기사를 포함했고 제목, 추상, 인간 연구 및 영어로 된 기사들로 제한되었다. 회색 문헌은 포함되지 않았다. 출판 시기에 대한 제한은 없었다. 검토에 포함된 모든 논문의 참조 목록에서 관련 기사를 검색했습니다. 모든 레퍼런스에 대해 전방 인용 검색을 실시했습니다. 모든 원본 연구 기사는 검토를 위해 검색되었으며, 참고 문헌 관리 프로그램인 ENDNOTE X9.2를 사용하여 검색 라이브러리를 만들었습니다.

The search incorporated journal articles and was limited to titles, abstracts, human studies and those in the English language. No grey literature was included. No limits were imposed on the time of publication. The reference lists of all papers included in the review were searched for relevant articles. We performed forwards citation searching for all references. All original research articles were retrieved for examination, and a search library was created using ENDNOTE X9.2, a bibliography management program.

2.3 연구의 선택
2.3 Study selection

기사 제목과 요약은 표 1의 포함 및 제외 기준에 따라 한 명의 검토자(C. B)가 체계적인 검토를 위해 선별 및 선정하였다.

Article titles and abstracts were screened and selected for systematic review by one reviewer (C. B.) based on the inclusion and exclusion criteria in Table 1.


학생의 학습에 영향을 주는 변수의 수를 최소한으로 억제하고, 리모트 또는 온라인 교습을 포함함으로써 발생하는 추가 편견을 피하고 싶기 때문에, 교습이 직접 행해진 연구만을 포함했습니다. 전문 스크리닝은 두 명의 저자(C. B.와 L. E.)가 수행했으며, 합의 수준은 96.4%였다. 갈등은 토론과 합의에 의해 해결되었다.

We only included studies where teaching had occurred face to face as we wished to minimise the number of variables influencing student's learning and avoid the additional biases caused by including remote or online teaching. Full-text screening was performed by two authors (C. B. and L. E.), with the agreement level being 96.4%. Conflicts were resolved by discussion and consensus.

연구는 모든 무작위 연구 암에 대해 평가에서 얻은 전체 평균 및 표준 편차 또는 표준 오차/신뢰 구간(CI)의 보고에 기초해 메타 분석에 포함되도록 선택되었다.

Studies were selected for inclusion in the meta-analysis based on the reporting of, at a minimum, the overall mean and standard deviation or standard error/confidence interval (CI) obtained at assessment for all randomised study arms.

2.4 데이터 수집
2.4 Data collection

적격 연구의 데이터 추출은 두 명의 독립 검토자(C. B.와 L. E.)에 의해 수행되었고, 이후 데이터를 교차 검사했다. 데이터 추출 양식은 학습 설계, 설정, 사용된 용어, 학생 교사와 학습자의 수와 특성, 학습 포함/제외 기준 및 1차 및 2차 결과와 같은 개별 학습 요소를 기록하기 위해 구성되었다. 개입 구분, 제공된 동료 교사 훈련, 제공된 교육의 빈도, 기간 및 세부 사항이 기록되었습니다. 연구 결과는 기록되었고, 가능한 경우 평균, 표준 편차, p 값, 표준 오차, 시험 점수 및 최대 가능 점수로 제한되었다. 피어 티칭 상호작용의 영향은 '커크패트릭의 학습 수준'의 수정된 모델을 사용하여 분류되었다. 데이터가 누락되거나 보고되지 않은 경우 해당 작성자에게 연락하여 응답이 없는 경우 2차 연락하여 4개월의 시간을 부여하였다. 개인이 포함된 연구의 품질은 Cochrane Risk of Biases Tool을 사용하여 평가되었다. 
Data extraction of eligible studies was conducted by two independent reviewers (C. B. and L. E.) who subsequently cross-checked data. A data extraction form was constructed to record individual study elements, such as study design, setting, terminology used, numbers and characteristics of student teachers and learners, study inclusion/exclusion criteria as well as the primary and secondary outcomes. Details of intervention arms, any peer teacher training provided, as well as the frequency, duration and details of teaching provided were recorded. Study outcomes were recorded and, where available, were limited to mean, standard deviation, p value, standard error, test score and the maximum possible score. The impact of peer-teaching interaction was classified using modified models of ‘Kirkpatrick's levels of learning’.27 In the event of missing or unreported data, corresponding authors were contacted and, where there was no response, contacted a second time and given 4 months to respond. The quality of the individual included studies was assessed using the Cochrane Risk of Bias Tool.28

2.5 데이터 분석
2.5 Data analysis

연구에 보고된 개입 후 평가 점수는 교육 방법의 효과성에 대한 객관적인 척도로 사용되었다. 객관식 설문지(MCQ)와 객관식 구조 임상 검사(OSCE)를 통해 학생을 평가한 경우, 가르친 자료를 검토했다. 교육에 포함된 자료가 이론적인 경우 필기 시험 결과를 연구의 주요 결과로 선택한 반면, 실용적이라면 OSCE 결과를 보고했습니다. 연속 데이터를 추출할 수 있는 경우, 95% CI의 표준화 평균 차이(SMD)가 각 연구 비교에 대해 계산되었다. 평균 또는 SD 결과가 보고되지 않은 경우 저자에게 요청하거나, 가능한 경우 답변이 없는 경우 Wan 등의 공식을 사용하여 계산했다. 
Postintervention assessment scores reported in the studies were used as an objective measure of teaching method effectiveness. Where students were assessed by both a multiple-choice questionnaire (MCQ) and an objective structured clinical examination (OSCE), the material taught was reviewed. If the material covered in teaching was theoretical, the written exam outcome was chosen as the primary outcome of the study, whereas, if practical, then the OSCE outcome was reported.29-34 Where continuous data could be extracted, the standardised mean differences (SMDs) with 95% CI were calculated for each study comparison. Where the mean or SD results were not reported, these were requested from the authors or, where possible and in the absence of a reply, calculated using the formula of Wan et al.35

또한 계획된 [하위그룹 분석]이 포함되었습니다.

  • 임상 전 의료 교육 대 임상 의료 교육에서 동료 교육의 효과 분석
  • 동료 교육이 실무/절차적 기술에 미치는 영향 분석(OSCE에 의해 평가됨) 대 이론적 지식(서면에 의한 시험에 의해 평가됨) 
  • 그리고 단기적 지식 보유와 중기적 지식 보유에 대한 동료 교육 효과 분석.

Additionally, planned subgroup analyses included

  1. analysis of effect of peer teaching in preclinical versus clinical medical education;
  2. analysis of impact of peer teaching on practical/procedural skills (assessed by OSCE) versus theoretical knowledge (assessed by written examination); and
  3. analysis of effect of peer teaching on short-term versus medium-term knowledge retention.

적절한 데이터를 추출할 수 없고, 해당 저자에게 연락하여 자료를 구할 수 없어, 메타분석에 포함되지 않은 기사는 6건이었다. 포함된 연구 사이의 이질성을 설명하기 위해 무작위 효과 모델을 사용했다. 연구 간의 이질성은 I2 테스트를 통해 평가되었다. 통계 분석은 검토 관리자에 대해 수행되었다. Stata를 사용하여 깔때기 그림을 만들었습니다. 

Six articles were not included in the meta-analysis as the appropriate data could not be extracted and could not be sourced by contacting the respective corresponding authors.36-41 We used a random-effect model to account for the heterogeneity amongst the included studies. The heterogeneity between studies was assessed with the I2 test. Statistical analyses were performed on Review Manager.42 The funnel plot was created using Stata.43

두 명의 검토자는 교육 개입의 결과를 평가하는 데 널리 사용되는 방법인 커크패트릭 프레임워크의 수정된 버전을 사용하여 각 연구의 교육적 영향을 독립적으로 평가했다. 참가자의 학습경험에 대한 인식(레벨 1), 참가자의 개입에 대한 인식 수정(레벨 2a)과 그들의 지식 및/또는 기술(레벨 2b), 직장으로의 학습 이전(레벨 3), 조직 관행의 변화(레벨 4a) 및 파티의 이익에 따른 연구를 분류한다.(레벨 4b)27 PRISMA가 권장한 선택, 성능, 소모, 검출 및/또는 보고 편향의 위험에 대한 연구도 분석되었다. 

Two reviewers independently assessed each study for their educational impact using the modified version of the Kirkpatrick framework, a widely used method of appraising the outcome of educational interventions.27, 44 It classifies studies according to the inclusion of

  • participants' perceptions of the learning experience (Level 1),
  • modification of participants' perceptions of the intervention (Level 2a) and
  • their knowledge and/or skills (Level 2b),
  • transfer of learning to the workplace (Level 3),
  • change in organisational practice (Level 4a) and
  • benefits to patients (Level 4b).27 

Studies were also analysed for risk of selection, performance, attrition, detection and/or reporting bias, as recommended by PRISMA.25

3 결과
3 RESULTS

3.1 연구의 선택
3.1 Study selection

전자 데이터베이스 검색에서 4731개의 기록을 확인했다(그림 1). 중복 제거 후, 3098개의 기록이 제목과 요약별로 선별되었고, 3033개는 포함 기준을 충족하지 못해 제외되었다. 포함된 연구의 참조 목록을 수동으로 검토한 결과 포함 대상인 다른 두 개의 연구가 확인되었다. 총 65개의 전문 기사가 적격성을 평가받았고, 38개는 제외되었다. 제외 사유는 그림 1과 같다. 체계적 검토와 정성 분석에 총 27개의 연구가 포함되었다. 이 중 21개 연구는 메타 분석에 포함하기에 충분한 데이터(각 코호트에 대해 보고된 평균 점수, SD 및 참가자 수)를 포함했다.

The electronic database search identified 4731 records (Figure 1). After removal of duplicates, 3098 records were screened by title and abstract, and 3033 were excluded for failure to meet inclusion criteria. Manual review of reference lists of included studies identified another two studies for inclusion.2932 A total of 65 full-text articles were assessed for eligibility, and 38 were excluded. Reasons for exclusion are shown in Figure 1. In total, 27 studies were included in the systematic review and qualitative analysis. Of these, 21 studies contained sufficient data (mean scores, SD and number of participants reported for each cohort) to be included in the meta-analysis.

3.2 연구특성
3.2 Study characteristics

포함할 수 있는 27개 기사는 표 S2에 요약되어 있다. 학생 2656명, 교사 225명(8개 기사 포함) 27개 연구 중 13개 연구는 임상 전 학생을 대상으로 한 반면 14개 연구는 임상 학생을 대상으로 했다. 프로그램을 설명하는 데 사용되는 용어는 매우 다양했으며 피어 트레이닝, 피어 튜터링, 피어 티칭, 니어 피어 티칭, 피어 주도 티칭, PAL 및 피어 어시스트 티칭이 포함되었습니다. 

The 27 articles eligible for inclusion are summarised in Table S2. A total of 2656 students and 225 student teachers (eight articles did not report the number of student teachers included30, 34, 38, 40, 41, 45-47). Of the 27 studies, 13 involved preclinical students as subjects, whereas 14 studies involved clinical students. Terminology used to describe the programmes varied greatly and included peer training,36, 45 peer tutoring,29, 39, 47 peer teaching,31, 32, 48-50 near-peer teaching,37 peer-led teaching,38 PAL31, 33, 34, 40, 41, 46, 51-57 and peer-assisted teaching.30, 58, 59

OSCE 결과 데이터는 17개 연구에서 사용되었고 MCQ 결과는 4개 연구에서 사용되었습니다. 13개의 연구에서, 참가자들은 여러 스터디 세션이 아닌 단일 학습 이벤트에 노출되었고, 주로 절차적 실무 기술을 가르쳤다. 지시의 빈도는 가변적이었다.

OSCE results data were used in 17 studies30-34, 37, 45-48, 50, 52, 53, 55, 57-59 and MCQ results for four studies.29, 49, 52, 56 In 13 studies, participants were exposed to a single learning event,32-34, 38, 40, 46-50, 53, 55, 59 rather than multiple study sessions, and it was primarily procedural practical skills that were taught. The frequency of instruction was variable.

3.3 편견의 위험
3.3 Risk of bias

포함된 연구의 편향 위험은 그림 2에 요약되어 있다. 12개 연구는 무작위화 방법을 보고하지 않았으며, 24개 연구는 배분이 은폐되었는지 여부를 명확하게 기록하지 못했다. 실험 참가자들의 눈을 멀게 하는 연구는 없었다. 9개의 연구에서 블라인딩에 대한 불충분한 정보가 제공되었지만, 검토된 대부분의 연구에서 검출 편향이 여전히 낮았다. 과반수는 모든 결과 데이터를 보고했고, 따라서 낮은 소모attrition 편향을 보였으며, 4개의 연구는 최종 분석에서 참가자가 제외되었기 때문에 보고 편향이 높았다. 그림 3에서 볼 수 있는 SMD의 깔때기 그림은 유의한 비대칭을 나타내며, 이는 연구가 결합된 효과 크기에 대해 대칭적으로 분포되지 않기 때문에 출판 편향을 시사한다.

The risk of bias of the included studies is summarised in Figure 2; 12 studies did not report the methods of randomisation, and 24 failed to clearly record if allocation was concealed. No studies overtly blinded participants. In nine studies, insufficient information was provided on blinding; however, detection bias remains low in the majority of studies reviewed. The majority16 reported all their outcome data and therefore had low attrition bias, and four studies had high reporting bias due to participants being excluded from the final analysis.32, 45 The funnel plots for SMD seen in Figure 3 show significant asymmetry, suggesting publication bias as the studies are not distributed symmetrically about the combined effect size.

 

 

3.4 결과의 종합
3.4 Synthesis of results

자격 기준을 충족하는 27개 연구 중 6개는 전체 코호트에 대한 적절한 측정 가능 결과의 보고 부족으로 인해 메타 분석에 포함될 수 없었다. 메타 분석에 포함된 모든 연구의 결과는 그림 4의 숲 그림에 요약되어 있다. 

Of the 27 studies meeting eligibility criteria, six could not be included in the meta-analysis due to a lack of reporting of appropriate measurable outcomes for the entire cohort. Results of all studies included in the meta-analysis are summarised in the forest plot in Figure 4.29-34, 37, 45-53, 55-59

메타 분석에 포함될 수 있는 연구 내에서 PAL에 참여하는 의대생은 비 PAL 수단으로 학습한 학생에 비해 중재 후 평가 결과가 개선되었다(SMD = 0.52 [95% CI 0.18 - 0.85]; 21개 연구, n = 2267; I2 = 93%) (그림 4). 5개의 연구에서 PAL 교습을 경험한 학생들의 중재 후 테스트 점수가 유의하게 향상되었음을 보여주었고, 15개의 연구는 유의미한 차이를 보여주지 않았으며, 1개의 연구에서는 (PAL보다) [PAL이 아닌 것이 더 나음]을 보여주었다. Z 점수는 3.02였고, 전체 p 값은 .003이었습니다. [초판 후 2020년 11월 8일 수정 추가] 이 항의 데이터 값은 이 버전에서 수정되었습니다.]

Within the studies eligible for inclusion in the meta-analysis, the medical students participating in PAL had improved results in their postintervention assessment compared with those who were taught by non-PAL means (SMD = 0.52 [95% CI 0.18 to 0.85]; 21 studies, n = 2267; I2 = 93%) (Figure 4). Five studies demonstrated significantly improved postintervention test scores for those students who had experienced PAL teaching, 15 studies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 and one study showed that non-PAL was better than PAL. Z score was 3.02, with an overall p value of .003. [Correction added on 8 November 2020 after first publication. The data values in this paragraph have been corrected in this version.]

3.5 임상전 의대생 동료교육의 효과
3.5 Effect of peer teaching in preclinical versus clinical medical students

그림 S1A에서 볼 수 있듯이, PAL 교육은

  • [임상 학생]의 개입 후 평가 점수를 크게 향상시켰다. (SMD = 0.63 [95% CI 0.12 - 1.14]) 11개 연구, n = 1516, I2 = 95%, p 값 = 0.02, Z 점수 = 2.42)입니다. 
  • [임상 전 학생]에 대한 영향은 유의하지 않았다(SMD = 0.39[95% CI -0.04 - 0.82]; 10개 연구, n = 751, I2 = 87%, p 값 = 0.08, Z 점수 = 1.77)입니다. 

As shown in Figure S1A, PAL teaching led to a significant improvement in postintervention assessment scores of clinical students (SMD = 0.63 [95% CI 0.12 to 1.14]; 11 studies, n = 1516; I2 = 95%; p value = .02; Z score = 2.42). The impact on preclinical students was not significant (SMD = 0.39 [95% CI −0.04 to 0.82]; 10 studies, n = 751; I2 = 87%; p value = .08; Z score = 1.77). [Correction added on 8 November 2020 after first publication. The data values in the last sentence have been corrected in this version.]

3.6 동료 교습이 실제 기술 교습에 미치는 영향 대 이론적 지식
3.6 Effect of peer teaching on teaching practical skills versus theoretical knowledge

그림 S1B에서 볼 수 있듯이, PAL 교육은

  • 술기를 가르친 학생들의 중재 후 평가 점수를 크게 향상시켰다(SMD = 0.69 [95% CI 0.28 ~ 1.10]; 17개 연구, n = 1758, I2 = 94%, p 값 = .001, Z 점수 = 3.27)입니다.
  • 이론을 가르친 학생에 대한 영향은 크지 않았다(SMD = -0.11 [95% CI -0.29 - 0.06]; 
    네 가지 연구, n = 509, I2 = 0%, p 값 = .21, Z 점수 = 1.27)입니다.

As shown in Figure S1B, PAL teaching led to a significant improvement in postintervention assessment scores of students taught practical skills (SMD = 0.69 [95% CI 0.28 to 1.10]; 17 studies, n = 1758; I2 = 94%; p value = .001; Z score = 3.27). The impact on students taught theory was not significant (SMD = −0.11 [95% CI −0.29 to 0.06]; four studies, n = 509; I2 = 0%; p value = .21; Z score = 1.27).

3.7 동료교육이 단기 및 중기 지식 보유에 미치는 영향
3.7 Effect of peer teaching on short-term versus medium-term knowledge retention

중간값과 범위 학습 시점 평가는 각각 6주, 4~8주였습니다. 그림 S1C에서 보듯이,

  • 과정 완료 후 4주 이후에 테스트한 학생들은 PAL 방법(SMD = 1.20 [95% CI 0.07 ~ 2.34)으로 학습한 경우 훨씬 더 좋은 성과를 보였다. 5가지 연구, n = 659, I2 = 97%, p 값 = 0.04, Z 점수 = 2.08)입니다. 
  • 과정 이수 후 4주 이내에 평가된 학생들은 PAL 방법과 비 PAL 방법으로 학습한 경우(SMD = 0.12[95% CI -0.10 - 0.33])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13개 연구, n = 1309, I2 = 71%, p 값 =.28, Z 점수 = 1.09)

The median and range time to point of study assessment was 6 weeks and 4 to 8 weeks, respectively. As shown in Figure S1C,

  • students tested over 4 weeks after course completion performed significantly better if they had been taught by PAL methods (SMD = 1.20 [95% CI 0.07 to 2.34]; five studies, n = 659; I2 = 97%; p value = .04; Z score = 2.08).
  • Students assessed within 4 weeks of course completion did not perform significantly differently if taught by PAL versus non-PAL methods (SMD = 0.12 [95% CI −0.10 to 0.33]; 13 studies, n = 1309; I2 = 71%; p value = .28; Z score = 1.09).

각 연구의 광범위한 교육적 영향을 평가하기 위해 수정된 커크패트릭 모델을 사용하여, 17개의 연구는 개입에 대한 참가자들의 반응을 보고했다(레벨 1), 15개의 태도 변화(레벨 2A), 26개의 기술 지식 수정(레벨 2B). 2명은 행동 변화(레벨 3), 1명은 조직 관행의 변화(레벨 4A), 그리고 참가자의 학생이나 동료의 변화(레벨 4B)에 주목했다. 리뷰에서 발견된 가장 높은 영향은 레벨 4A였다. 이는 저자들이 신체검사를 1학년까지 가르칠 때 4학년 지도교사만을 교사로 삼는 계획이 진행 중이라고 보고한 것에 의해 달성되었다. 그들은 그들의 연구에서처럼 신체검사가 성공할 것으로 예상했기 때문이다. 표 S2는 검토한 각 기사에 의해 달성된 영향 수준을 요약한다.

Using the modified Kirkpatrick model to evaluate the wider educational impact of each study,

  • 17 studies reported the reactions of participants to the intervention (Level 1),
  • 15 a change in attitude (Level 2A) and
  • 26 a modification of knowledge of skills (Level 2B).
  • Two noted a change in behaviour (Level 3),
  • one a change in the organisation practice (Level 4A) and
  • none a change amongst the participants' students or colleagues (Level 4B).

The highest impact found in the review was Level 4A. This was achieved by the authors reporting that plans were underway to only use fourth-year student preceptors as teachers when teaching physical examination to first years as they anticipated it being as successful as in their study.28 Table S2 summarises the impact levels achieved by each article reviewed.

4 토론
4 DISCUSSION

4.1 전체적인 결과
4.1 Overall outcome

이 체계적 검토의 주요 결과는 [동료들의 참여가 의대생들의 학업 성취도를 크게 향상시킨다는 것]이다. 이 연구는 21개의 PAL 프로그램을 객관적으로 평가하기 위한 정량적 척도를 배치하고, 의료 교육 내 PAL 사용 증가를 뒷받침하는 문헌에 기여한다. 
The principal finding of this systematic review is that peer involvement significantly improves medical students' academic performance. This study deploys quantitative measures to objectively assess 21 PAL programmes and contributes to the literature supporting the increased use of PAL within medical education.11, 13, 24, 60-62

2차 결과는 의대생 코호트와 PAL이 가장 유익한 맥락을 식별하려고 했다. 리뷰는 PAL이 교육의 [임상 단계에서 학생들에게 특히 유용하다]는 것을 확인했다. 학생들은 일반적으로 이 단계에서 더 독립적이며, 임상 환경에서 기술을 습득하는 데 더 많은 시간을 할애하고 교육 세션에서 더 적은 시간을 보낸다. 이러한 맥락에서 PAL의 성공은 PAL이 독립적인 학생 학습을 지원하는 데 적합한 도구라는 것을 의미합니다.
The secondary outcomes sought to identify the medical student cohorts and the context in which PAL is most beneficial. The review identified that PAL is particularly useful to students in the clinical stages of their education. Students are generally more independent at this stage, spending more time acquiring skills in clinical settings and less time at didactic teaching sessions. The success of PAL in this context implies that it is a suitable tool to support independent student learning.

또한, 연구결과는 PAL이 [practical and procedural 임상기술 교육]에 가장 적합하며, [이론적인 지식]만으로 평가한 학생에 비해, 실제 평가 결과가 크게 향상된다는 것을 보여준다. 이러한 [기술을 습득하는 것]은 의대생을 후배 의사로 만드는 데 매우 중요합니다. 분명히, [임상 과제clinical tasks]는 소그룹의 동료 보조 교육이 도움이 되며, 여기서 학생들은 그들의 기술을 연습하고 연마하면서 튜터와 동료 모두로부터 배울 수 있다. 이러한 중요한 발견을 고려할 때, 의과대학 커리큘럼은 의대생을 가까운 또래의 교육에 공식적으로 통합하는 것을 고려해야 한다. 주니어 닥터에 대한 수요가 의대생 졸업생 수를 계속 앞지르고 있고, 코호트 규모가 클수록 학교의 교육 능력 증가가 요구된다는 점을 고려하면 특히 가치가 있을 수 있다.63,64 이러한 증가된 역량은 학생들이 필요한 교육 기술을 배울 수 있도록 지원하는 한편 PAL 프로그램의 확대에 의해 제공될 수 있다. 졸업과 동시에 모든 참가자가 학습을 강화할 수 있도록 합니다.

Furthermore, findings demonstrate that PAL lends itself best to the teaching of practical and procedural clinical skills, resulting in a significant improvement in practical assessment outcomes when compared with students assessed on theoretical knowledge alone. The acquisition of these skills is critical in shaping medical students into junior doctors. Evidently, clinical tasks lend themselves to small-group, peer-assisted teaching, where students can learn both from the tutor and each other while practising and honing their techniques. Given this significant finding, medical school curricula should consider formally integrating medical students in the teaching of their near peers. This may be particularly of value given that demand for junior doctors continues to outstrip medical student graduate numbers, and larger cohort sizes demand increased teaching capacity of the schools.63, 64 This increased capacity could be delivered by the expansion of PAL programmes, while supporting students to learn teaching skills required of them upon graduating and allowing all participants to fortify their learning.6

이 리뷰는 또한 PAL이 학생의 성적에 [더 오랫동안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확인했다. PAL에 참여하는 학생들은 수업 종료 후 [1개월 이상 경과한 후 평가]했을 때 비참가자보다 훨씬 나은 성과를 보였지만, [피어티칭 발생 직후 평가했을 때]는 개입 간에 큰 차이가 없었다. 포함된 연구는 장기적인 결과를 보고하지 않았지만, 이러한 중간 시점에서도 볼 수 있는 차이는 관심 대상이다. 정성적 연구에 따르면 PAL의 실제 경험에 영향을 미치는 [상황적 요인]이 학습 과정의 핵심이다. 이것들은 정량적으로 평가하기에는 복잡하지만, [학습에 대한 PAL의 영향]이 [중기-장기] 차원에서 확인된다는 연구의 관찰을 설명할 가능성이 높다
This review also identified that PAL has a longer lasting impact on student performance. Students participating in PAL performed significantly better than non-participants when assessed more than 1 month after the teaching ended, wherea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interventions when students were assessed shortly after teaching occurred. No included studies reported long-term outcomes, yet the difference seen even at these medium-term time points is of interest. Qualitative studies have suggested that contextual factors impacting on the lived experience of PAL are core to the learning process.65, 66 These are complex to evaluate quantitatively but likely account for our study's observation that PAL's effect on learning is seen in the medium to long term.

중기-장기 차원에서 PAL의 효과가 확인된다는 것과 연관된 사실은 다음이 있다.. 

  • 덜 공식적인 PAL 교육 환경이 뒷받침될 때 학생들의 신뢰수준이 시간이 지남에 따라 높아진다. 
  • PAL 환경의 역동적이고 상호작용적인 특성이 기억 형성에 도움이 된다.  
  • 각 학생이 질문 형성과 질문에 참여할 때, 다른 또래의 학습 과정에 노출되면 상호 이해도가 높아집니다.

PAL 프로그램이 이 실습에 참여하는 의대생들의 단기 및 장기 학업 성과에 미치는 긍정적 및 부정적 영향을 규명하기 위해 여러 연구가 이전에 모색되었다. 그들은 또한 의과대학에서 동료 교사의 장기적인 효과에 대해 어떠한 결론도 도출할 수 없다고 결정했다.

They include the fact

  • that student confidence levels increase over time when supported by the less formal PAL teaching setting,
  • that the dynamic and interactive nature of the PAL environment aids with memory formation and
  • that the exposure to other peers' learning processes as each student participates in question forming and asking leads to greater mutual understanding.6768 

Several studies have previously sought to establish the positive and negative effects that PAL programmes have on the short- and long-term academic outcomes of the medical students engaged in this practice.16, 60, 69-73 They also determined that it was not possible to draw any conclusions about the long-term effects of peer teaching during medical school.61, 62

주관적인 학생 평가를 이 검토의 범위를 벗어난 것으로 간주하여, 이러한 결과는 커크패트릭 프레임워크를 사용하여 각 연구에서 PAL의 교육적 영향을 분류할 때 통합되었다. 이전의 연구에 따라, 이러한 보건 교육 개입은 더 넓은 조직에 대한 영향이 없다는 점에서 더 높은 커크패트릭 수준(3과 4)에서 영향을 보여주지 못했다. 
Having regarded the subjective student assessments as beyond the scope of this review, those findings were incorporated when categorising the educational impact of PAL in each study using the Kirkpatrick framework.74 In line with previous research, these health education interventions failed to show impact at the higher Kirkpatrick levels (3 and 4) in that there was no impact demonstrated on the wider organisation.27, 75, 76

여기에 보고된 예비 조사 결과는 PAL 프로그램을 지원하고 장기적인 학업 성과를 지속적으로 평가하는 것의 중요성을 더욱 강조한다.

The preliminary findings reported here further underscore the importance of supporting PAL programmes and continuing to assess long-term academic outcomes.

4.2 연구의 강점 
4.2 Study strengths

이 검토의 주요 강점은 의과대학 환경에서 PAL의 영향을 객관적으로 평가한 고품질 연구에 대한 포괄적인 평가라는 것이다. PAL에 발표된 무작위 연구의 대부분에 대해 객관적 결과 측정이 보고된다. 평균과 SD를 사용할 수 없는 경우 SMD를 계산하고 데이터 집합을 극대화하기 위해 원시 데이터에 대해 작성자에게 직접 연락했다. 이를 통해 메타 분석에 11%(3/27)의 연구가 추가되었다. 또한, 이 검토는 PAL이 의료 교육을 강화할 수 있는 특정 환경에 새로운 초점을 두고 PAL의 영향을 평가하는 가장 포괄적인 체계적 검토이다.

The principal strength of this review is that it is a comprehensive assessment of high-quality studies, which have objectively assessed the impact of PAL in the medical school setting. Objective outcome measures are reported for the majority of randomised studies published in PAL. Where the mean and SD was not available, authors were contacted directly for the raw data to allow the computation of the SMD and maximise the dataset. In doing so, an additional 11% (3/27) of studies were added to the meta-analysis. Furthermore, this review is the most comprehensive systematic review evaluating the impact of PAL with a novel focus on the specific settings in which PAL may enhance medical education.

4.3 연구의 한계와 향후 연구 방법
4.3 Study limitations and future avenues of research

이 검토에는 몇 가지 본질적인 한계가 있다. 깔때기 그림(그림 3)은 연구의 유의한 출판 편향을 보여준다. 이들은 인구, 통제 그룹, 교육 환경 및 방법론이 서로 다른 고도로 이질적이었다. 추가적인 편견은 교육 시험이 그 성격상 임상시험만큼 정확하게 통제될 수 없다는 사실에서 비롯되며, 긍정적 결과 발표만을 선호하는 편향은 덜 바람직한 효과를 보이는 연구의 부재를 설명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표준 오차(SE)에 대해 표시된 SMD의 깔때기 그림은 왜곡되기 쉬우며, 이는 출판 편향의 존재와 정도를 과대평가할 수 있다. 따라서 이 또한 근본적인 원인으로 배제할 수 없다.77.
This review has several intrinsic limitations. The funnel plot (Figure 3) shows the significant publication bias of the studies. They were highly heterogeneous, with different populations, control groups, educational settings and methodologies. Further bias stems from the fact that educational trials by their very nature cannot be controlled as precisely as clinical trials, and the bias in favour of publishing positive results may explain the absence of studies showing a less favourable effect. Equally, it has been found that funnel plots of the SMD plotted against the standard error (SE) are susceptible to distortion, which may lead to an overestimation of the existence and extent of publication bias—this therefore also cannot be excluded as the underlying cause.77

추가적인 한계는, 많은 연구에서 자원자를 사용했다는 것이고, 이는 높은 자기 선택 편향으로 이어졌을 수 있다. 이상적으로는, 장래의 연구에는, PAL의 개입을 실시하거나 받는 학생의 랜덤 배정이 포함됩니다.
An additional limitation is the use of volunteers in many of the studies, which may have led to a high self-selection bias. Ideally, future studies would include the random allocation of students to both deliver and receive the PAL intervention.

이 리뷰는 또한 PAL 프로그램에서 가르칠 학생으로 선택된 [의대생들에게 요구되는 교육 역량]에 대해서도 다루지 않았다. 교육 역량은 어떤 연구에서도 진정으로 통제되지 않았으며, 이에 대해 평가하거나 보고한 연구는 거의 없었습니다. 이것은 자주 연구되지 않는 PAL의 또 다른 측면과 관련되어 있습니다. PAL이 학생 교사에게 미치는 영향은 무엇입니까? PAL에 종사하는 172명의 최종 학년 시험에 대한 2014년 소급 분석에서는 이 학생들이 동시대 학생들보다 1-3% 더 우수한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12명의 해부학 PAL 튜터를 대상으로 한 2018년 비교 연구에서도 이러한 연구 결과가 뒷받침되었습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PAL의 튜터로 하여금 주요 스킬을 강화하고 지식 통합을 강화해주기에, 튜티학생에게만 PAL의 교육적 영향이 있는 것이 아님을 시사한다. 관찰된 낮은 Kirkpatrick 수준에 반영되어 있는 이 문제를 다루는 빈약한 증거 기반에 접근하는 한 가지 가능한 방법은 학생 교사가 되는 학생들의 성과를 종방향으로 연구하는 것일 수 있다.

This review also did not address what teaching competencies are required of those medical students who choose to teach on PAL programmes. Teaching competency was not truly controlled for in any studies, and few studies assessed or reported on them. This relates to a further aspect of PAL, which is not often researched; what is the impact of PAL on the student teachers? A 2014 retrospective analysis of final-year examinations of 172 students engaged in PAL did establish that those students outperformed their contemporaries by 1–3%, and a 2018 comparative study of 12 anatomy PAL tutors supported these findings.7, 78 These findings point towards the educational impact of PAL being further reaching than on the tutees alone, with the delivery of PAL reinforcing key skillsets and enhancing consolidation of knowledge in the peer tutor. One potential means of approaching the poor evidence base addressing this question (as reflected in the low Kirkpatrick levels observed) may be to longitudinally study the performance of students progressing to student teachers.

메타 분석 결과를 해석할 때 고려해야 할 마지막 고려사항은 포함된 모든 연구의 커리큘럼, 학습 주제 및 그룹 크기에서 유의미한 이질성이다. 이는 표 S2에 표시된 데이터에서 명확하다. 의학 교육을 표준화하고 종합하는 것은 분명 어렵기 때문에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취해야 할 조치를 마련하는 것이 더욱 어려워진다. 우리의 2차 결과는 PAL이 가치가 있는 정확한 시나리오를 제시함으로써 이 복잡성을 인정하고 설명하려고 노력했고, 따라서 데이터의 본질적인 이질성을 감소시켰다.
A final consideration that must be taken into account when interpreting the results of our meta-analysis is the significant heterogeneity in the curricula, topics taught and group sizes of all included studies, which are clear from our data displayed in Table S2. It is clearly hard to standardise and synthesise medical education and thus also makes it more challenging to formulate actions to be taken based on these results. Our secondary outcomes sought to acknowledge and account for this complexity by teasing out the exact scenarios where PAL is of value, thus decreasing the intrinsic heterogeneity in the data.

5 결론
5 CONCLUSIONS


이 체계적인 검토는 PAL이 PAL에 참여하는 의대생들의 학업 성취에 큰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뒷받침하는 강력한 데이터를 제공한다. 이는 비 PAL 개입에 비해 의대생이 PAL 개입 후 더 나은 성과를 보였으며, 그 효과는 실제 임상 기술을 습득하는 동안 임상 연도의 학생에서 가장 두드러졌다. 이 효과는 중기적으로 유지되었다. 궁극적으로, 이 연구는 의대생 커리큘럼에 PAL의 공식 통합이 교육 능력의 개발을 지원하고 중장기적으로 유지되는 특히 임상 능력의 측정 가능한 향상을 보장한다는 고무적인 증거를 제공한다.

This systematic review provides robust data to support that PAL has a significant effect on the academic achievements of medical students who engage in it. It demonstrates that medical students performed better after PAL interventions compared with non-PAL interventions, with the effect being most pronounced in students in the clinical years of training during the acquisition of practical clinical skills. This effect was maintained in the medium term. Ultimately, the study provides encouraging evidence to suggest that the formal integration of PAL in medical student curricula supports both the development of teaching skills and confers a measurable improvement in academic performance, particularly in clinical skills, which are maintained in the medium to long term.

 

 


Med Educ. 2022 Apr;56(4):365-373.  doi: 10.1111/medu.14672. Epub 2021 Oct 24.

Peer-assisted learning in medical education: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Affiliations collapse

Affiliations

1Warwick Medical School, University of Warwick, Coventry, UK.

2Torbay and South Devon NHS Foundation Trust, Torquay, UK.

PMID: 34595769

DOI: 10.1111/medu.14672

Abstract

Objectives: The prevalence of peer-assisted learning (PAL) featuring alongside the core medical curriculum is increasing; however, the evidence base for PAL's efficacy on academic performance is limited. This systematic review of randomised studies of PAL in medical school sets out to assess the impact of PAL on academic outcomes in medical school and evaluate whether PAL confers a benefit in specific educational contexts.

Methods: A literature search was conducted across MEDLINE, Ovid Embase, Web of Science and Education Research Complete. Titles and abstracts were screened, and records were selected following strict eligibility criteria. Following full-text assessment for eligibility, two reviewers independently extracted data from the final selection of records and a meta-analysis was performed. Studies were classified using a modified version of Kirkpatrick's levels of learning. Student test scores were standardised by calculating the standardised mean difference (SMD).

Results: Twenty-seven randomised controlled trials were eligible for inclusion, and twenty-one provided sufficient and complete data to enable meta-analysis. There was a significant improvement in the academic performance of medical students who received PAL compared with those in the control group (SMD = 0.52 [95% confidence interval 0.18-0.85]; p = .003). The impact of PAL was greater amongst clinical medical students (SMD = 0.63; p = .02) than preclinical medical students (SMD = 0.39; p = .08) and when used for teaching practical skills (SMD = 0.69; p = .001) compared with theory (SMD = -0.11; p = .21). Students taught by PAL also achieved better results in assessments conducted more than four weeks after course completion (SMD = 1.20; p = .04). [Correction added on 8 November 2020 after first publication. The data values in the Results section have been corrected in this version.] CONCLUSIONS: Medical students experiencing PAL benefit in terms of academic performance, relative to those not receiving PAL. PAL is of greatest value in the clinical stages of training and for practical skills. The long-term outcomes of PAL remain a priority for future research.

의학교육을 위한 평등한 학습환경 만들기: 사회적 정체성의 편향과 교차(Med Educ, 2021)
Towards equitable learning environments for medical education: Bias and the intersection of social identities
Naike Bochatay1 | Nadia M. Bajwa2,3 | Mindy Ju1 | Nital P. Appelbaum4 | Sandrijn M. van Schaik1

 

 

1 도입
1 INTRODUCTION

전 세계의 의학 교육자들은 [확립된 규범]이 어떻게 [체계적으로 특정 개인을 선호하고 다른 개인을 차별하는지]를 점점 더 평가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불평등은 부분적으로 [특정 집단의 사회적 정체성에 기초한 편견]으로 설명된다. 사회심리학자는 그룹 간 관계를 연구하기 위해 [사회적 정체성 접근법]을 사용하고 있으며, 버포드는 10년 전 의료 교육에 이 접근법을 도입했다.1 그 후 많은 연구가 일반적으로 한 번에 상호 배타적인 두 개의 사회 집단에 초점을 맞춘 보건전문직의 사회적 정체성을 조사했다(예: 간호사 대 의사). 이러한 연구로부터 중요한 교훈을 얻었지만, 이 연구들은 [사람은 (자신이 속한) 여러 사회 집단을 동시에 동일시하는 경우가 많다는 것]을 간과하는 경향이 있다. 게다가 우리 사회가 다양해짐에 따라, 개인은 점점 더 많은 수의 집단과 동일시하게 되어, 집단간의 관계가 복잡해지고 있다. 결과적으로, 사회 심리학자들은 그러한 관계의 증가하는 복잡성을 고려한 그룹 간 관계에 대한 연구를 요구해왔다. 

Across the globe, medical educators are increasingly evaluating how established norms systematically favour certain individuals and discriminate against others. These inequities are explained in part by bias towards certain groups of people based on their social identities. Social psychologists use the social identity approach to study intergroup relations, and Burford introduced this approach to medical education a decade ago.1 Subsequently, a number of studies examined social identity in the health professions, typically focused on two mutually exclusive social groups at a time (e.g. nurses vs. physicians). Although important lessons have been learnt from these studies, they tend to overlook that individuals often identify with multiple social groups simultaneously.2, 3 Furthermore, as our societies become more diverse, individuals identify with a growing number of groups, which increases the complexity of intergroup relations.2, 4 Consequently, social psychologists have called for research into intergroup relations that takes into account the increasing complexity of such relations.2, 4, 5

[사회적 정체성과 관련된 그룹 간 관계intergroup relations]에 대한 사회심리학자들의 연구를 활용하면 편견을 초래하는 메커니즘을 더 깊이 이해할 수 있고 모두를 위한 공평한 학습 환경을 촉진하기 위한 의학교육자들의 노력에 도움이 될 수 있다.

Drawing on social psychologists' work on intergroup relations as they pertain to social identities may provide a deeper understanding of the mechanisms that lead to bias and can help medical educators in their efforts to promote equitable learning environments for all.

 

2 배경: 의학교육에서의 사회적 정체성
2 BACKGROUND: SOCIAL IDENTITIES IN MEDICAL EDUCATION

2012년에 버포드는 의학 교육에서 사회 집단 간의 상호작용을 이해하기 위한 유용한 프레임워크로서 [사회 정체성 접근법]을 소개하는 논문을 발표했다. 사회심리학자인 타지마펠과 터너에 의해 개발된 이 접근법은 민족중심주의, 편견, 차별에 대한 타지마펠의 연구와 터너의 자기분류이론에서 비롯된 사회적 정체성 이론으로 구성되어 있다. [사회적 정체성 접근법]은 특정 집단이 다른 집단과 경쟁하거나 심지어 차별함으로써 특권의 위치를 유지하는 방법을 이해하는데 도움을 준다. 이와 같이, 그것은 [여러 사회 집단 간의 권력 투쟁에 관한 이론]이다.
In 2012, Burford published a paper introducing the social identity approach as a useful framework to understand interactions between social groups in medical education.1 This approach, developed by social psychologists Tajfel and Turner, comprises social identity theory, originating from Tajfel's work on ethnocentrism, prejudice and discrimination6, 7 and Turner's self-categorisation theory.8 The social identity approach helps understand how certain groups seek to maintain their position of privilege by competing with or even discriminating against other groups. As such, it is a theory of power struggles between different social groups.

[사회적 정체성 접근법]에 따르면, 개인의 자아 의식sense of self은 자신이 소속되었다고 느끼는 사회적 그룹에 의해 영향을 받으며, 이러한 그룹을 [내집단in-group]이라고 한다. 이러한 자기 분류를 통해 개인은 내집단 구성원을 호의적으로 보고, 외집단과 차별화하며, 이를 통해 내집단에 대한 긍정적인 이미지를 유지한다.9 한 개인이 다수의 내집단에 속하기 때문에, '다면적 사회적 정체성multiple social identities'를 갖는데, 이는 '개인의 자아 이미지의 측면이 [자신이] 소속된 것으로 인식하는 사회적 범주에서 파생된 것'으로 정의된다. 후자는 맥락에 따라 달라지는데, 이는 [사회적 범주의 현저성salience of a social category]이라고 불리는 현상이다. 

According to the social identity approach, individuals' sense of self is influenced by the social groups to which they feel they belong, termed the in-groups. This self-categorisation leads individuals to view members of in-groups favourably and differentiate them from out-groups, which helps to maintain the in-group's positive image.9 As individuals belong to multiple in-groups, they have multiple social identities, defined as ‘those aspects of an individual's self-image that derive from the social categories to which [they] perceive [themselves] as belonging’.9 The latter vary depending on context, a phenomenon referred to as salience of a social category.9 

또한, 개인이 [어떤 사회 집단과 동일시]할 수 있는지는 [기존 규범]에 따라 결정된다. 이는 개인이 보통 집단의 속성을 갖는다는 의미이다. 이는 프로토타입의 개발이나 사회 집단의 주요 특징의 표현으로 이어집니다. 사회는 [지배적인 사회 집단의 프로토타입]을 긍정적으로 보는 경향이 있는 반면, [권력이 작은 집단의 프로토타입]에 대해서는 부정적인 고정관념을 가지고 있는 경우가 많습니다. 예를 들어, 개인을 소외된 인종 집단으로 분류하는 것은 개인을 비개인적으로 비개인화할 수 있으며, 따라서 그들은 그들 집단의 원형만을 대표하고, 그에 따라 고정관념을 형성할 수 있다. 이것은 [고정관념 위협]을 통해 행동에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고정관념 위협이란 개인이 그들의 사회 집단과 관련된 부정적인 고정관념에 순응하는conform 것을 말한다. 그것은 또한 개인이 그들이 동일시하는 집단이 부정적으로 평가되고 있다고 인식할 때 사회적 정체성 위협으로 이어질 수 있다. 

Furthermore, existing norms determine which social groups an individual can identify with; individuals usually have to possess the attributes of the group. This leads to the development of prototypes or representations of the main characteristics of the social group.10 Prototypes of social groups dominant in society tend to be viewed positively whereas prototypes of groups with less power often carry negative stereotypes. For example, categorisation of individuals into marginalised racial groups can depersonalise individuals so that they only represent the prototype of their group, thereby creating a stereotype.11 This can affect behaviours through stereotype threat where individuals conform to negative stereotypes associated with their social group.12 It can also lead to social identity threat when an individual perceives that a group they identify with is being judged negatively.13

Burford가 도입한 사회적 정체성 접근법에 대해 의학 교육자들은 열광적으로 반응했습니다. 구글 스콜라에 따르면 2021년 7월 이 기사는 227개의 인용문을 가지고 있다. 의학 교육에서 사회적 정체성 접근법을 사용한 기사의 분석을 통해, 우리는 대부분 서로 격리된 다른 사회적 정체성을 검토한다는 것을 깨달았다. 이러한 고립된 일련의 연구에서 저자는 [여러 사회적 정체성을 동시에 갖는 것]의 영향을 고려하지 않고, 자신이 발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권장사항을 제시합니다. 따라서, [교차성intersectionality]의 관점에서 사회적 정체성을 연구하는 것은 의학 교육의 편견에 대한 우리의 이해를 심화시키는 강력한 접근법이 될 수 있다.

Medical educators responded enthusiastically to Burford's introduction of the social identity approach1: the article had 227 citations in July 2021 according to Google Scholar. Through an analysis of articles using the social identity approach in medical education, we realised that most examine different social identities in isolation from each other. In these siloed sets of studies, authors make recommendations to tackle the problems they uncovered without considering the impact of having multiple social identities simultaneously.2-4 Thus, studying social identities through the lens of intersectionality may be a powerful approach to deepening our understanding of bias in medical education.



[교차성Intersectionality]은 개인의 경험을 형성하는 데 있어서, [서로 다른 사회적 정체성]이 상호작용하는 방식을 말한다. 그것은 흑인 여성이 인종 차별 반대론자와 페미니스트 토론에서 어떻게 소외되었는지를 조명하기 위해 개발되었다. 의학 교육의 사회적 정체성에 대한 연구는 지금까지 교차성에 제한적인 관심만을 가져왔다. 의료연수생과 전문직 종사자가 가지는 다면적 사회적 정체성을 가짐을 고려한다면, [교차성]이 복잡한 그룹 간 관계의 맥락에서 편견과 불평등에 대한 이해를 깊게 하고 편견을 완화하는 방법을 찾는 다른 렌즈를 제공할 수 있다고 가정할 수 있다. 
Intersectionality refers to the ways in which different social identities interact to shape an individual's experience.14 It was developed to illuminate how black women were marginalised in both antiracist and feminist discourses.15 Research on social identities in medical education has to date paid limited attention to intersectionality. Considering the multiple social identities held by medical trainees and professionals,16-19 we posit that intersectionality can deepen our understanding of bias and inequities in the context of complex intergroup relations and provide a different lens through which to look for ways to mitigate bias.

이 기사에서 우리는 일반적으로 편견을 유발하는 세 가지 사회적 정체성, 즉 인종, 성별 및 직업에 초점을 맞추어 의학 교육의 사회적 정체성에 대한 선행 연구를 검토한다. 우리는 각 범주에서 편견과 불평등을 완화하기 위한 전략을 분석하고 교차성의 렌즈를 통해 이것들이 어떻게 결합될 수 있는지에 대한 비전을 제안한다. 기사 전체에서 가상의 의료연수생인 아이다를 예로 들 수 있다. 우리는 그러한 예를 사용하는 것이 특정 그룹의 모든 사람을 대표하는 것으로 보이는 경우 고정관념을 영구화할 위험이 있다는 것을 인식한다. 이러한 위험을 인식하면서, 우리는 Vignette가 기존의 고정관념과 의학 교육을 탐색하는 여러 정체성을 가진 개인에게 편견이 나타나는 방법을 설명하고 교차 렌즈 적용의 잠재적 영향을 보여줄 수 있기를 바란다.

In this article, we examine prior studies on social identity in medical education, focusing on three social identities that commonly elicit bias: race, gender and profession.20, 21 We analyse strategies to mitigate bias and inequities in each category and propose a vision for how these can be combined through the lens of intersectionality. Throughout the article, we use a fictional medical trainee, Aida, as an example. We recognise that using such an example carries the risk of perpetuating stereotypes if one vignette is seen as representative of everyone in a certain group. Acknowledging this risk, we hope that the vignette can illustrate existing stereotypes and the ways in which bias presents itself to individuals with multiple identities navigating medical education, as well as demonstrate the potential impact of applying an intersectionality lens.

3 편견을 유발하는 사회적 정체성
3 SOCIAL IDENTITIES THAT ELICIT BIAS

아이다는 미국 버지니아주 리치몬드의 낮은 사회경제적 이웃에 사는 흑인 여학생입니다. 그녀는 아이다가 10살 때 구명 수술을 받은 이모에 의해 길러졌다. 그 후, 아이다는 외과의사가 되고 싶어 했다. 그녀는 가족 중 처음으로 대학에 가고 공부를 지원하기 위해 대학 기간 동안 일을 해야 한다. 결과적으로, 그녀는 과외 활동을 할 시간이 제한되었고, 그녀의 대학 지도교수는 이것이 그녀가 의대에 입학할 수 있는 기회를 희박하게 만든다고 경고한다. 좋은 성적에 고무되어 그녀는 입시 공부를 하고 있다. 아이다는 평판이 좋은 의대에 입학했을 때 의기양양해져서 성공하기 위해 열심히 일한다. 그녀는 반에서 유일한 흑인 학생이고 종종 자신이 어울리지 않는다고 느낀다. 그녀는 똑똑하다는 평판을 받고 있어 환자와의 교감이 쉽지만, 에이다는 그녀의 평가가 동료만큼 긍정적이지 않다는 것을 깨닫고, 그녀의 능력에 의문을 품게 된다.
Aida is an African American female student from a lower socio-economic neighbourhood in Richmond, Virginia (USA). She was raised by her aunt, who underwent a lifesaving surgery when Aida was 10. Since then, Aida has wanted to become a surgeon. She is the first in her family to go to college and has to work during college to support her studies. As a result, she has limited time to engage in extracurricular activities, and her college advisor warns her that this makes her chances to be admitted to medical school slim. Encouraged by good grades, she studies for entrance exams and applies anyway. Aida is elated when she is admitted to a reputable medical school and works hard to succeed. She is the only black student in her class, and she often feels that she does not fit in. She has a reputation to be smart and connects easily with patients, yet Aida notices that her evaluations are never as positive as her peers', making her question her abilities.

3.1 인종
3.1 Race


아이다의 사례는 인종과 관련된 사회적 정체성이 의과대학에 입학하는 과정에서 어떻게 돌출salient되는지를 보여준다. 왜냐하면 그것들은 다른 인종 집단에게 주어지는 기회들에 영향을 미치는 경향이 있기 때문이다. 이는 미국과 같은 제도적 인종차별의 역사적 맥락을 가진 국가들에서 특히 두드러지지만, 전 세계 소수 민족 집단과 관련해서도 유사한 패턴이 나타난다. 소수 인종과 소수 민족 출신의 학생들은 [자원과 기회의 접근 면에서 불평등이 심한] 교육 시스템을 통과해야 한다. 결과적으로, 그들은 의대를 고려할 가능성이 적다. 그들이 그것을 고려할 때, 그들은 입학 절차에서 암묵적인 편견에 직면하게 되고, 따라서 의과대학에 입학하는 인종과 인종적 배경의 학생들의 수는 일반 인구에서 그들의 비율을 밑돌고 있다. 실제로 의과대학이 URM 비율을 높이려는 노력에도 불구하고 미국의 의과대학에 입학하는 URM 수는 감소하고 있다. 

Aida's example illustrates how social identities associated with race are salient during the process of entering medical school, as they tend to influence opportunities afforded to different racial groups.22, 23 This is especially apparent in countries with a historical context of systemic racism like the United States,24-27 although similar patterns also occur with regards to ethnic minority groups throughout the world.28 Students from racial and ethnic minorities must traverse educational systems fraught with inequity in terms of access to resources and opportunites.29, 30 As a result, they are less likely to consider medical school.31 When they consider it, they face implicit bias in admission processes,22 such that the number of students from racial and ethnic backgrounds under-represented in medicine (URM) entering medical schools remains below their percentage in the general population.30, 32 In fact, despite medical schools' efforts to increase the percentage of URMs, the numbers of URMs entering medical school in the United States is decreasing.30

URM 학생들은 의대에 입학하자마자 종종 평가와 다른 형태의 구조적 인종차별에 대한 편견에 직면한다. 그들은 자신들이 의대생의 전형적인 이미지에 맞지 않는다는 것을 끊임없이 상기시키기 때문에 [고정관념 위협]과 미세공격성microaggrssion을 경험할 수 있습니다.38 URM 학생들이 훈련 중에 겪는 불평등은 그들의 경력 내내 지속됩니다. 그들은 지위와 자율성을 제공하는 직업적 정체성과 전통적으로 의학적으로 대표되지 않는 사회 단체에 가입할 수 있는 인종적 정체성을 통합해야 한다. URM 의사는 의사라는 원형적 정체성과 맞지 않으면서, 의료 그룹 내 소속에서 발생하는 '이중 의식double consciousness'이라는 내적 갈등에 시달릴 수 있습니다. 또한 URM 의사가 직면하는 여러 고정관념은 역할에 대한 적합성에 따라 특정 역할에 대한 접근을 제한합니다. 이는 URM 의사의 역할 모델 부족으로 인해 악화되는 배제 문화를 조성한다.

Upon entering medical school, URM students often face bias in assessment and other forms of structural racism.22, 33-37 They may experience stereotype threat and microaggressions as they are consistently reminded that they do not fit the typical image of a medical student.38 The inequities that URM students encounter during their training persist throughout their career. They must integrate their professional identity, which affords them status and autonomy, and their racial identity, which gives them membership to a social group traditionally not represented in medicine.38-40 URM physicians may struggle with an internal conflict of ‘double consciousness’ from belonging to the medical in-group while not fitting in with the prototypical identity of a physician.30, 41, 42 In addition, the multiple stereotypes URM physicians face limit their access to certain roles based on perceived fit for the role.1 This creates a culture of exclusion that is aggravated by the lack of role models for URM physicians.43

[인종 불평등을 줄이기 위한 전략]은 종종 행정 및 정책 접근법, 차별 철폐 조치, URM 학습자의 교육 및 자금 지원 기회를 포함하며, 궁극적으로는 URM 의사의 수를 늘리는 것을 목표로 한다. 그러나 이러한 전략은 [편견을 유발하는 근본적인 사회적 정체성]을 다루지 않는다. 예를 들어, 많은 의과대학들이 차별 철폐 조치를 채택하고 있지만, 이 전략은 제한된 수의 URM 지원자와 그들에게 불이익을 주는 편향된 선발 과정으로 인해 방해를 받고 있다. 따라서 인종 정체성에 대한 편견을 해소하기 위한 노력은, [제도적 편견을 식별]하고, [다양성을 촉진하는 조직 문화]를 만들고, [의학에서 규범을 재정의하기 위한 구조적 변화]를 포함해야 한다(예: 학습자가 성공했다고 판단하는 방법). 또한 입학위원회의 다양성을 높이고 암묵적인 편견에 민감하게 반응함으로써 URM의 채용을 개선할 수 있습니다. 멘토십은 URM 학습자를 지원할 수 있는 더 많은 기회를 제공합니다. 한 연구에서 URM 학습자는 동료 멘토링에 참여함으로써 인종적 정체성과 직업적 정체성을 결합할 수 있었고, 이는 의료 및 URM 사회적 그룹 모두에 소속감을 주장할 수 있게 했다. 또한 동일한 학습자는 비 URM 의사로부터 받은 멘토링을 그룹 내 의료에 대한 회원 자격을 인정하는 방법으로 인식했다. 따라서, 사회적 정체성에 초점을 맞춘 전략은 의학 교육의 인종 불평등을 해결할 수 있는 유망한 방법을 제공한다.

Strategies to reduce racial inequities often aim to increase the number of URM physicians, including administrative and policy approaches, affirmative action, and educational and funding opportunities for URM learners.44 Yet these strategies do not address the underlying social identities that elicit bias. For example, many medical schools embrace affirmative action, but this strategy is hampered by the limited number of URM applicants and a biased selection process that disadvantages them.29 Efforts to address bias towards racial identities therefore need to include structural changes to identify institutional bias, create organisational cultures that promote diversity and redefine norms (e.g. how we determine that a learner is successful) in medicine.45, 46 Furthermore, increasing the diversity of admissions committees and sensitising them to their implicit biases may improve recruitment of URMs.22 Mentorship offers further opportunities to support URM learners.47, 48 In one study, URM learners were able to merge their racial and professional identities through engaging in peer-mentoring, which enabled them to assert their belonging to both the medical and URM social groups.39 The same learners also perceived mentorship from non-URM physicians as a way to recognise their membership to the medical in-group.39 Thus, strategies that focus on social identities offer promising ways of addressing racial inequities in medical education.

아이다는 임상실습 기간 동안 임상 환경에 들어가면서 외과의사가 되고 싶다는 자신의 꿈을 다시 생각하게 된다. 수술 교대로 강의하는 동안 회의실을 둘러보다가 [벽에 걸린 모든 초상화가 백인 남성]임을 알게 된다. 다른 사람들이 그 부서에서 몇 안 되는 (백인) 여성 외과의들을 언급하는 것을 들으면, 그들은 '오만하고bossy' 함께 일하기 어렵다고 말합니다. 겁에 질렸음에도 불구하고, 아이다는 여성 외과의사 중 한 명에게 조언을 구한다. 그녀는 수술 훈련을 받는 데 필요한 것을 가진 사람은 거의 없으며 내과가 그녀에게 더 적합할 수도 있다고 한다. 아이다는 그 후 기본적인 봉합 기술조차 배우지 못하고 수술이 그녀에게 너무 기술적이라는 것을 확신하게 된다. 그녀는 내과 레지던트 연수를 택했다.

As Aida enters the clinical environment during clerkships, she rethinks her dream of becoming a surgeon. Looking around the conference room during lectures in her surgery rotation, she notices that all the portraits on the wall are of white men. When she hears others mention the few (white) female surgeons in the department they talk about them as being ‘bossy’ and difficult to work with. Despite feeling intimidated, Aida asks one of the female surgeons for advice. She is told that very few people ‘have what it takes’ to make it through surgery training and that internal medicine may be a better fit for her. Aida subsequently struggles learning even basic suturing techniques and becomes convinced that surgery is too technical for her. She opts for residency training in internal medicine.

3.2 젠더
3.2 Gender

에이다의 Vignette는 성별 정체성과 관련된 편견이 직업 결정과 기회에 어떻게 영향을 미칠 수 있는지를 보여주는 하나의 예를 제공한다. 2008년 이후 의과대학 졸업자의 거의 50%를 여성이 차지하고 있으며 미국 의과대학 교원의 41%를 차지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성 불평등은 지속되고 있다. 여성들은 종종 리더십 지위, 학술상, 보상과 관련하여 소외당한다. 사회적 정체성 접근법을 사용하면, 우리는 왜 그리고 어떻게 학술 의학이 계속해서 여성들을 위한 '배제 문화'를 만들어 내는지 이해할 수 있다. 
Aida's vignette provides one example of how bias associated with gender identities can influence career decisions and opportunities. Even though women have constituted nearly 50% of medical school graduates since 2008 and make up 41% of faculty in medical schools in the United States, gender inequities persist.49 Women are often marginalised with regard to leadership positions, academic awards and compensation.50-53 Using the social identity approach, we can understand why and how academic medicine continues to create a ‘culture of exclusion’ for women.54

성별은 개인이 어떤 전공에서 수련을 받을지의 결정에 영향을 미친다. 이 현상은 종종 라이프스타일 결정에 의해 설명된다. 여성들은 primary caretaker으로서의 역할을 수용하기 위해 [정규 근무시간을 가진 전문직]을 선택하는 경향이 있다. 그러나 핏/적합성fit의 개념으로 더 잘 설명할 수 있습니다. 그룹이 적합성fit을 요구하면 [그룹 내 차이를 최소화]하고, [그룹 외 차이를 최대화]하려고 합니다. [적합성fit]은 여성을 신경외과와 같은 남성 지배적인 전문분야에서, 남성을 산부인과나 산부인과와 같은 여성 지배적인 전문분야에서 벗어나게 하고 있다. 그 결과, 주어진 그룹 내 또는 전문 분야와 관련된 프로토타입(성별 기반) 정체성이 영속화perpetuated됩니다.  

Gender impacts the specialties that individuals train in.55-57 This phenomenon is often explained by lifestyle decisions; women tend to select specialties with regular working hours to accommodate their role as primary caretaker.58 However, it may be better explained by the concept of fit. When a group invokes fit, they attempt to minimise in-group differences and maximise out-group differences. Notions of fit are keeping women out of male dominated specialties, such as neurosurgery, and men out of female dominated specialties, such as obstetrics and gynaecology.56 As a result, prototypical (gender-based) identities associated with a given in-group or specialty are perpetuated.55

의과대학에서 여성이 남성보다 많음에도 불구하고, 의학은 전통적으로 남성 중심적인 직업이었고, 여성 의사들은 여러 사회적 정체성을 협상하고 서로 다른 그룹의 규범을 고수한다. 예를 들어, 소생술을 이끄는 여성들은 사회 정체성 위협의 한 예인 지도자로서 인식된 평가 절하를 보상하기 위해, (의도적으로) 더 남성적으로 행동할 수 있다. 아이러니하게도, 이러한 행동 변화는 전형적인 남성적 행동을 보이는 여성들에 대한 백래시 효과를 초래할 수 있다. 리더십과 다른 역할에서 여성의 성과를 떨어뜨릴 수 있는 고정관념 위협과 함께, 사회적 정체성 위협은 여성들에게 영향을 미친다. [능력이 떨어진다고 인식되는 것에 대한 걱정]이 유발하는 감정적, 정신적 피로는 남성보다 여성에서 더 높은 번아웃이 나타나는 현상에 기여할 가능성이 있다. 

Despite women now outnumbering men in medical school, medicine has traditionally been a male-dominated profession,59, 60 and female physicians negotiate multiple social identities and adhere to norms of different in-groups.61 For instance, women leading resuscitations may enact more masculine behaviours to compensate for perceived devaluation as a leader,62 an example of social identity threat.63 Ironically, this change in behaviour can lead to a backlash effect against women who demonstrate more stereotypically male behaviours.64 Together with stereotype threat, which may lead to decreased performance of women in leadership and other roles, social identity threat impacts women. The resulting emotional and mental exhaustion from worry over being perceived as less capable likely contributes to the higher rates of burnout noted in women as compared with men.65, 66

많은 기관들이 [공식적인 정책과 절차]를 통해 성 불평등을 해결하려고 노력했지만, 이러한 노력은 직장 내 [비공식적 상호작용]에 대처하지 못했다는 비판을 받아왔다. 그러나, 사회적 정체성이 발휘되고 두드러지는 때는 '비공식적 상호작용'의 순간이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개인과 사회 집단을 대상으로 한 개입이 도움이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한 학술 의료 센터의 모든 교직원을 대상으로 한 개입에서 짧은 프레젠테이션이 참가자들의 결정과 행동에 편견이 어떻게 영향을 미칠 수 있는지에 대한 인식을 높인 것으로 나타났다. 사업에서는, 남성과의 제휴를 촉진하는 개입이 주목을 받고 있다. 남성 동반자는 남성이 '여성과의 관계 구축, 성별에 의해 부여된 사회적 특권 이해, 직장 및 사회에서의 성 불평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적극적인 노력'에 전념할 때 발생한다. 따라서 Allyship은 내집단(남성)과 외집단(여성)을  연결시켜주므로, 사회적 집단은 더 이상 다른 집단과 거리를 두지 않고 함께 모이게 된다. 그룹에 대한 개인의 인식 변화는 수학과 과학 교육과 같이 성별이 두드러진 특징인 다른 환경에서 고정관념의 위협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Many institutions have tried to tackle gender inequities through formal policies and procedures, but these efforts have been criticised for failing to address informal interactions in the workplace.67, 68 It is during these informal interactions, however, that social identities play out and become salient.54, 59 To address this problem, interventions targeting individuals and social groups may be helpful. For example, an intervention targeting all faculty at an academic medical centre found that a brief presentation increased participants' awareness of how bias can affect their decisions and behaviours.69 In business, interventions that promote male allyship have generated attention. Male allyship occurs when men commit to ‘building relationships with women, […] understanding the social privilege conferred by their gender, and demonstrating active efforts to address gender inequities at work and in society’.70 Allyship thus bridges the in-group (men) and out-group (women), so social groups no longer distance themselves from others but come together. Changes to individuals' perceptions of the group have been shown to decrease stereotype threat in other settings where gender is a salient characteristic, such as math and science education.71

아이다는 레지던트를 시작하면서 간호사의 존경과 우정을 얻으려고 한다. 그녀를 모르는 사람들은 그녀가 하얀 코트를 입지 않으면 종종 청소부로 오인하고, 바로잡아주었을 때도 종종 그녀가 의사라는 것을 믿기 힘들어 한다. 트레이닝이 진행됨에 따라 팀장으로서의 요구는 높아지고 있지만, 동시에, 그녀는 자신의 결정에 의문을 느끼고 있기 때문에 그 역할에 대한 자신의 주장을 하는 데 어려움을 겪고 있다. 어느 날 소생 중 간호사는 그녀의 명령을 무시했고, 아이다가 그녀의 요청을 반복하자 간호사는 동의하지 않는다고 말했다. 아이다는 폭발했다. "당신이 의사입니까, 아니면 제가 의사입니까?" 에이다는 자신이 함께 일하기 어려운 사람으로 변했다는 것을 깨닫고, 어쩌다 이렇게 된건지 놀란다.
When Aida starts residency, she tries to earn the respect and friendship of nurses. People who do not know her often mistake her for a janitor if she is not wearing her white coat, and when she corrects them, they often struggle to believe that she is a physician. As she progresses in her training, she is increasingly called upon as team leader, yet at the same time, she has trouble asserting herself in that role because she feels questioned in her decisions. One day during a resuscitation, a nurse ignores her orders, and when Aida repeats her requests, the nurse says she disagrees. Aida snaps: ‘Are you the doctor, or am I?’ Aida realises she has turned into the person who is difficult to work with and wonders how she ended up here.

3.3 직업
3.3 Profession

아이다의 사례는 의료 교육 중에 전문직업적 정체성이 어떻게 두드러져 고립과 갈등으로 이어질 수 있는지를 강조하고 있습니다. 의학 교육 입학을 전에 형성된 인종적, 성별적 정체성과 달리, 직업적 정체성과 학문적 정체성은 훈련 중에 형성된다. 이 과정은 보다 임상적인 책임을 지는 새로운 역할로의 전환과 다른 보건 분야의 학습자와의 상호작용을 통해 이루어집니다. 학부 의학 교육 수준에서 학습자들은 종종 다른 전문가들에게 긍정적인 태도를 보입니다. 예를 들어, 전문직간활동에 참여한 학생들은 다른 보건의료계 동료들로부터 받은 피드백을 똑같이 유용하고 긍정적인 것으로 평가했습니다. 이것은 이 단계에서는 [학생 정체성]이 발달중인 [전문직 정체성]에 비해 더 중요한 정체성이라는 것을 암시한다. 
Aida's example highlights how professional identities can become salient during medical education and lead to silos and conflict. Unlike racial and gender identities, which pre-date individuals' entrance into medical education, professional and disciplinary identities are formed during training. This process occurs through transitions into new roles with more clinical responsibilities72-75 and through interactions with learners from other health professions.76, 77 At the undergraduate medical education level, learners often have positive attitudes towards other professionals.78 For example, students participating in an interprofessional activity rated feedback from peers with different health professional backgrounds as equally useful and positive.79 This suggests that the student identity as an overarching identity is more salient at this stage than the developing professional identities.80

[레지던트 기간] 동안 학습자는 [외집단 구성원]과의 상호작용을 통해 자신의 직업적 정체성을 강화합니다. 이것은 전공의들이 [처음으로 자신을 의사라고 느낀 것이 간호사와 일할 때였다]고 보고하는 것에서 예시된다. 왜냐하면 스스로를 다른 의료 팀과 구별할 수 있게 해주었기 때문이다. 이 단계에서 학습자는 자신의 전문 분야와 관련된 추가적인 사회적 정체성을 개발합니다. 이러한 정체성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더욱 강해집니다. 이론적으로, 이것은 의사가 특정 전공분야의 전문가가 되기 위해 하는 투자(예: 시간, 돈, 노력), 그들이 거치는 [치열한 사회화 과정] 및 그들이 수행하는 [전문적 직무]로 설명할 수 있다. 전공의들은 전문 분야, 기관, 훈련하는 나라에 따라 직업 궤적이 다르다. 그 결과, 점점 동일시하게 되는 내그룹이 작아지게 된다. 트레이닝이 끝난 시점에서, 의사는 프로페셔널 그룹이나 스페셜 그룹내의 멤버쉽을 얻을 수 있는 복수의 사회적 정체성을 개발했습니다.

During residency, learners strengthen their professional identities through interactions with members of out-groups.81 This is exemplified by residents reporting that the first time they felt like doctors was when working with nurses, as it enabled them to distinguish themselves from the rest of the healthcare team.82, 83 At this stage, learners develop additional social identities related to their discipline of specialisation. These identities become stronger over time. Theoretically, this is explained by the investments (e.g. time, money and effort) physicians make to become specialists in a given discipline, the intense socialisation processes they go through and the specialised work they perform.84 Residents have different career trajectories depending on the specialty,72 the institution85 and the country they train in.86 As a result, they identify with increasingly smaller in-groups.87-91 At the end of their training, physicians have developed multiple social identities that afford them membership into professional and specialty in-groups.

전문적 정체성은 의사가 업무를 수행할 수 있게 하지만 효과적인 협업을 방해할 수도 있습니다. 이는 권력power의 정도가 다른 [여러 사회 집단 간의 경쟁과 충돌]에 기인하며, 이 과정에서 내집단 구성원을 선호하게 되고, 결과적으로 외집단 구성원을 덜 호의적으로 대하게 된다.  전문 그룹 간의 편견을 완화하기 위해, 모든 보건 전문 교육 수준에서 Interprofessional Education(IPE; 프로페셔널 간 교육)이 점점 더 많이 채택되고 있습니다. IPE는 서로 다른 전문 그룹의 구성원이 '서로에 대해, 서로로 부터, 그리고 서로와 함께' 배울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IPE 내에서는 그룹 간 관계 개선에 초점을 맞춘 전략도 있습니다. 이러한 전략에는 [팀 성찰성]의 증대가 포함되어 있고, 팀 전체가 공동 작업을 성찰함으로써 [집단적 역량]을 개발할 수 있을 때 얻어진다. 

Although professional identities enable physicians to perform their work, they can also impede effective collaboration. This is due to competition and conflict between different social groups with varying degrees of power,91-97 which often lead individuals to favour members of their in-groups and, consequently, treat out-groups less favourably.98 To mitigate bias between professional groups, interprofessional education (IPE) is increasingly adopted at all levels of health professions education.99, 100 IPE aims to enable members of different professional groups to ‘learn about, from and with each other’.101 Within IPE, some strategies focus on improving intergroup relations. These strategies include increasing team reflexivity, which occurs when an entire team reflects upon their work together to enable development of collective competence.102 

또, 다음의 4개의 분야에 있어서의 스킬의 개발도 포함됩니다.

  • (a) 사회적 자본의 구축: 호의와 상호작용할 수 있는 안전한 공간을 창출하여 개인 간의 관계를 발전시킨다. 
  • (b) 관점 수용: 다른 사람의 관점을 이해하고 포용하는 능력
  • (c) 우선 순위 교섭
  • (d) 갈등 관리: 그룹 간 차이를 완화하기 위함

They also include developing skills in four areas103:

  • (a) social capital building, to develop relationships between individuals by creating goodwill and a safe space to interact;
  • (b) perspective taking, which is the ability to understand and embrace others' viewpoint104;
  • (c) negotiating priorities; and
  • (d) managing conflicts, to mitigate intergroup differences.103 

마지막으로 Paradis와 Whitehead는 학습자의 수준과 경험을 고려한 개발상 적절한 이니셔티브에 초점을 맞추어 권력과 갈등에 대한 명확한 대응을 제안합니다. 이러한 전략을 적용하는 것은 전문성과 전문성의 차이를 해소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기 때문에, 프로간 팀이 가장 중요한 사회적 그룹이 될 수 있습니다. 

Finally, Paradis and Whitehead propose explicitly addressing power and conflict, focusing on developmentally appropriate initiatives that take learners' level and experience into account.100 Applying these strategies may help bridge professional and specialty differences so that the interprofessional team can become the most salient social group.83, 105

4 사회적 정체성과 편견에 관한 교차 렌즈
4 AN INTERSECTIONAL LENS ON SOCIAL IDENTITIES AND BIAS

이전 섹션에서는 인종, 성별 및 직업과 관련된 사회적 정체성이 서로 분리된 의료교육의 편견과 불평등에 어떻게 기여하는지에 대해 논의했으며, 이는 문헌에서 어떻게 표현되는지를 반영했다. 그러나 사회심리학자들이 지적하고 아이다의 사례에서 입증되었듯이, 여러 사회적 정체성은 종종 개인의 경험에 동시에 영향을 미치며, 이는 여러 사회 집단에서 개인의 소외를 초래한다. 이러한 주변부화의 집합aggregated marginalisation은 [교차성]의 관점에서 이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아이다의 인종적 정체성과 성별적 정체성의 교차점은 그녀가 수술 직업에 적합하다는 인식에 영향을 미쳤다. 예를 들어 백인과 여성 등 사회적 정체성이 다른 아이다는 그녀가 접한 소수의 백인 여성 외과의사들로부터 더 많은 격려를 받았을지도 모른다. 그녀는 또한 외과에 더 큰 적합감sense of fit을 가지고 있었을지도 모른다. 
In the previous sections, we discussed how social identities related to race, gender, and profession contribute to bias and inequity in medical education separate from each other, reflecting how they are represented in the literature. However, as noted by social psychologists and demonstrated in Aida's example, multiple social identities often influence individuals' experience simultaneously,2-4 which leads to marginalisation of individuals from multiple social groups. This aggregated marginalisation can be understood through the lens of intersectionality. For instance, the intersection of Aida's racial and gender identities affected her perceived fit for a career in surgery. With a different set of social identities, for example white and female, Aida may have received more encouragement from the few white female surgeons she encountered. She may also have had a greater sense of fit for a career in surgery.

레지던트 기간 동안, 아이다가 간호사들과 싸우는 것은 간호사들이 아이다의 여러 사회적 정체성을 받아들이지reconcile 못했기 때문일 것이다. 실제로, 이러한 정체성은 내부 의사나 팀장의 원형 이미지에 맞지 않습니다. 동시에, 아이다는 자신의 개인적 정체성과 직업적 정체성을 조화시키기 위해reconcile 고군분투할 수도 있고, 정체성의 충돌한다고 보았을 수도 있다. [내집단의 구성원이라고 인식하지 않으면서, 내집단에 속해 있는] 이러한 [이중 의식double consciousness]은 [정체성 부조화identity dissonance]를 촉발할 수 있으며, [정체성 부조화]란 [양립할 수 없는 것처럼 보이는 사회적 정체성 사이에서 개인이 경험하는 내면의 갈등]을 의미한다. 

During residency, Aida's struggles with nurses may have been rooted in nurses' inability to reconcile Aida's multiple social identities. Indeed, these identities do not fit the prototypical image of an internist or a team leader.64 At the same time, Aida may struggle to reconcile her personal and professional identities and may view them as conflicting. This double consciousness of belonging to the medical in-group while not being recognised as a member of the group30, 41, 42 can trigger identity dissonance, which refers to internal conflicts individuals experience between social identities that seem irreconcilable.106

5 사회적 정체성의 교차점에 대처함으로써 편견과 불평등을 완화한다.
5 MITIGATING BIAS AND INEQUITIES BY ADDRESSING THE INTERSECTION OF SOCIAL IDENTITIES


따라서 교차성은 여러 사회적 정체성이 그룹 간 관계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 그리고 의학 교육 중 개인의 경험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이해를 깊게 하는데 도움을 준다. 그것은  한 번에 하나의 사회적 정체성에 초점을 맞추기 보다는, 편견의 여러 원천을 고려함으로써 [편견과 불평등]을 다루기 위한 포괄적인 접근을 이끌 수 있다.

Intersectionality thus helps deepen our understanding of how multiple social identities impact intergroup relations and influence an individual's experience during medical education. It can also guide a more comprehensive approach to addressing bias and inequities, taking different sources of such bias into account rather than focusing on one social identity at a time.

의학 교육의 서로 다른 사회적 정체성과 관련된 편견에 대한 고립된 문헌에서 추론하여, 우리는 모든 사회적 정체성에 대한 편견을 완화하기 위한 [세 가지 주요 전략]을 제안한다. 

Extrapolating from the siloed literatures on bias related to different social identities in medical education, we propose three main sets of strategies to mitigate bias across all social identities.

첫 번째는 개인에 초점을 둔다. 사회적 정체성과 정체성들의 교차성에 대한 인식을 불러일으키기 위한 전략으로서, 내집단과 외집단의 차이를 탐색하는 기술을 기르는 것이다. [스스로를 어떤 사회 집단과 동일시하고 있는지, 그리고 이것이 어떻게 내집단에 대한 선호와 외집단에 대한 편견을 야기할 수 있는지를 인식하는 것]은 편견의 근원이 무엇이든 편견을 완화하기 위한 중요한 첫 번째 단계이다. IPE 문헌에 의해 제안된 그룹 간의 차이를 해결하기 위한 개인 스킬 개발에는 소셜 캐피털 구축, 관점 검토, 협상 및 갈등 관리가 포함됩니다. 보건 분야의 모든 학습자와 실무자가 [자신의 암묵적인 편견과 신념에 민감]하다면, 그들은 자신의 사회적 정체성이 사회 집단 내에서 어떻게 교차하는지를 더 잘 알게 될 것이다. 이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사회적 정체성과 교차성을 다루는 관련 학습 활동을 핵심 의과대학 커리큘럼, 레지던트 트레이닝 및 교직원 개발에 통합해야 합니다.

The first set focuses on individuals and includes strategies to generate awareness of social identities and their intersection to build skills to navigate in-group versus out-group differences. Recognising what social groups individuals identify with and how this can lead to in-group preference and bias towards out-groups is an important first step in mitigating bias regardless of the source.98 Individual skill development to navigate differences between groups proposed by the IPE literature include social capital building, perspective taking, negotiation and conflict management.100, 103 If all learners and practitioners in the health professions are sensitised to their implicit biases and beliefs, they may become more aware of how their own social identities intersect within social groups.16 To reach this goal, relevant learning activities addressing social identity and intersectionality need to be integrated into core medical school curriculum, residency training and faculty development.

편견을 완화하기 위한 두 번째 전략은, [특정 사회 집단에 초점]을 두고, 내집단 결속을 강화하고 [집단 내 교차하는 사회적 정체성을 포함하는 집단적 정체성]을 구축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러한 전략에는 [그룹 내 멘토쉽]이 포함되어 있으며, 멘티로 하여금 자신을 그룹과 점차적으로 동일시하면서 신뢰를 쌓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또한 사회집단(CAUCUSes) 내에서의 논의는 내집단과 외집단의 사회적 정체성과, 그에 따른 편견과 불평등과 관련된 이슈를 검토하는 것을 포함한다. 이러한 전략은 내집단을 '낙인 찍힌 사회적 정체성과 연계된 부정적인 고정관념의 타당성, 관련성, 수용성에 문제를 제기하는' [정체성-안전한 환경identity-safe environment]으로 전환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다. [정체성-안전 환경]에서는 고정관념과 사회적 정체성 위협이 감소하며, (성별, 인종 또는 기타 범주와 관련된) [사회적 정체성을 직업적 정체성에 필수적인 것]으로 간주한다. 이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교차 멘토링 프로그램은 학습자가 그룹 내 멤버 자격을 획득할 수 있도록 의료 커리큘럼 전반에 걸쳐 구현되어야 한다. 이러한 프로그램에는 여러 사회적 정체성을 공유하는 개인뿐만 아니라 그룹 간의 차이를 메우기 위한 장비를 갖춘 개인도 포함되어야 하며, 훈련생의 그룹 구성원으로 인정받는 느낌을 지원해야 한다. 

A second set of strategies to mitigate bias focuses on specific social groups, and aims to strengthen in-group cohesion and build a group identity inclusive of social identities that intersect within the group. These strategies include mentorship within in-groups, which can help individuals build trust as they progressively identify with their groups.39, 47, 48, 107 They also include discussions within social groups (caucuses) to examine issues associated with social identities for both the in- and the out-group and the resulting bias and inequities.70, 108 These strategies may help transform in-groups into identity-safe environments that ‘challenge the validity, relevance, or acceptance of negative stereotypes linked to stigmatized social identities’.109 In identity-safe environments, stereotype and social identity threat are reduced and social identities associated with gender, race or other categories are viewed as integral to professional identities.110 To achieve this goal, intersectional mentorship programmes need to be implemented throughout the medical curriculum to support learners gain membership into in-groups. These programmes need to include individuals who share multiple social identities as well as individuals who have different social identities but are equipped to bridge intergroup difference, to support trainees' feeling recognised as members of the group.39

세 번째 전략은 [그룹 간 관계]를 대상으로 할 수 있습니다. Allyship은 그룹 간 차이를 해소하는 데 기여할 수 있습니다. [소속감을 기르는 것]이 그룹 간 편견의 문제에 대한 가장 생산적인 해결책일 수 있기 때문에, [팀 성찰성]을 길러줌으로써 서로 다른 사회적 집단에 속한 개인을 [더 큰 집단larger group에 소속되어있다는 강한 멤버십 인식]을 발달시키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 또한, 사회적 집단 간의 갈등과 권력을 address하는 것도 집단 간의 관계를 개선할 수 있다. 이를 달성하기 위해 편견을 완화하려는 기존 이니셔티브(예: IPE, 다양성, 형평성 및 포함에 대한 훈련, 성평등 훈련)를 그룹 간 관계 개선을 광범위하게 모색하는 훈련에 결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문 교육 프로그램은 학습자가 서로 다른 전문적 정체성을 어떻게 보유하고 있는지 성찰하도록 장려할 수 있지만, 전문적 경계를 다지기 위해 그룹 내 소속감을 발전시키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는 다른 여러 정체성을 공유할 수 있습니다.
A third set of strategies can target intergroup relations. Allyship may contribute to bridging intergroup differences.38, 70 Team reflexivity may also help individuals from different social groups develop a stronger sense of membership into the larger group,102 as fostering belongingness may be the most fruitful solution to problems of intergroup bias.111 Additionally, addressing power and conflict between social groups may improve intergroup relations.100 To accomplish this, existing initiatives that seek to mitigate bias (e.g. IPE; trainings in diversity, equity, and inclusion; gender equity trainings) could be combined into trainings that broadly seek to improve intergroup relations. For instance, interprofessional education programmes may encourage learners to reflect upon how they hold different professional identities but share multiple other identities that can help them develop in-group belongingness to bridge professional boundaries.

이 세 가지 주요 전략은 그룹 간 편견의 사회적 측면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이 논문의 범위를 벗어나지만, 이를 뒷받침하는 구조적 변화 없이는 공정한 학습 환경을 조성하는 데 성공하지 못할 것이다. 그러나 우리는 사회적 정체성의 교차점에 대처함으로써 편견과 불평등을 완화하기 위한 전략을 결합하는 우리의 비전이 아이다의 궤적을 바꾸기 시작하는 길을 제공한다고 믿는다. 만약 이 모든 전략을 사용한다면,

  • 아이다는, [사람은 독특한 방식으로 그들의 경험을 형성하는 여러 개의 교차하는 사회적 정체성을 가지고 있다는 것]을 모든 사람이 인식하는 환경에 합류하게 될 것이고, 그녀는 의료계에서 더 강한 소속감을 느끼게 될 것이다.
  • 동료들과 함께 그녀는 자신의 관점을 공유하고, 다른 사람들을 이해하고, 의견 불일치를 토론하는 기술을 개발했습니다.103
  • 아이다의 멘토들은 공동의 그룹mutual group 멤버쉽을 바탕으로 그녀와 공감하고, 인식에 따라 가장 적합하다고 생각되는 기술이나 관심사에 맞는 전문성을 찾도록 격려합니다.
  • 아이다의 레지던트 기간 동안, 팀원들은 그녀의 인종과 성별을 기준으로 그녀를 판단하기 보다는 그녀의 전문성과 능력을 중심으로 평가했을 것이다.
  • 마지막으로, 충돌이 있는 경우, 아이다와 그녀의 팀은 상호 이익이 되는 해결책을 찾기 위해 팀의 성찰성을 발휘할 것이다.
  • 그 결과, 아이다는 정체성의 불협화음을 경험하지 않을 수 있으며, Self-aware한, 자신과 다른 사람의 여러 정체성을 수용하는, 편견에 대처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춘, 자신감있고 협력적인 의사로 발전할 수 있는 공간과 지지를 받을 것이다.

These three main sets of strategies focus on social aspects of intergroup bias, and although beyond the scope of this article, they will not be successful in creating equitable learning environments without structural changes to support them. However, we believe that our vision for combining strategies to mitigate bias and inequities by addressing the intersection of social identities offers an avenue to start changing Aida's trajectory. If all these strategies were used,

  • Aida would join an environment in which everyone is aware that they hold multiple intersecting social identities that shape their experiences in unique ways and she would feel a stronger sense of belonging in the medical community.111 
  • Together with her peers, she would develop skills to share her perspective, understand others, and discuss disagreements.103 
  • Aida's mentors would identify with her based on mutual group memberships and would encourage her to find the specialty that truly matches her skills and interests rather than one that she appears most fit for based on perceptions.474864107 
  • During Aida's residency, team members would appreciate her professionalism and competence rather than judging her based on her racial and gender identities.
  • Finally, in situations of conflict, Aida and her team would engage in team reflexivity to find mutually benefitting solutions.102 
  • As a result, Aida may not experience identity dissonance106 and would have the space and support to develop into a confident, collaborative physician who is self-aware, embraces her own and others' multiple identities and is equipped to address bias.

우리는 이 대체 궤적이 지나치게 이상적으로 들릴 수 있고, 우리의 비전이 의학 교육의 불평등 문제를 완전히 다루기에 충분하지 않을 수 있다는 것을 인식한다. 그러나 우리의 비전이 의학 교육자들에게 공평하고 지원적인 학습 환경을 촉진하는 방법에 대한 아이디어를 제공할 수 있기를 바랍니다. 여기서는 편견을 유발하는 흔한 세 가지 주요 사회적 정체성(인종, 성별 및 직업)에 초점을 맞췄지만, 교차성은 모든 사회적 그룹에 대한 인정appreciation을 필요로 한다. 사회 경제적 지위나 성적 성향과 같은 다른 사회적 정체성이 어떻게 편견을 이끌어내는지 조사하는 것은 학습자와 실무자의 경험을 형성하기 위해 서로 다른 사회적 정체성이 어떻게 교차하는지에 대한 우리의 이해를 풍부하게 할 수 있다. 게다가, 의학 교육에서 사회적 정체성이 어떻게 교차하는지에 대한 우리의 이해는 이 영역의 경험적 연구 부족으로 인해 제한된다. 의학 교육에 참여하는 모든 사람을 지원하는 방법을 완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여러 정체성을 가진 사회 집단을 명시적으로 조사하는 더 많은 연구가 필요하다.
We recognise that this alternative trajectory may sound overly idealistic and that our vision may not be sufficient to fully address issues of inequity in medical education. However, we hope that our vision will provide medical educators with ideas for how to promote equitable and supportive learning environments for all. Although we have focused on three main social identities that commonly elicit bias in this article (race, gender and profession), intersectionality requires appreciation of all social groups.20, 21 Examining how other social identities such as socio-economic status112 or sexual orientation elicit bias can enrich our understanding of how different social identities intersect to shape learners' and practitioners' experiences. Furthermore, our understanding of how social identities intersect in medical education is limited by lack of empirical studies in this domain. More research that explicitly examines social groups with multiple identities is needed to fully understand how to support everyone entering medical education.

6 마무리 코멘트
6 CONCLUDING COMMENTS

Burford가 의학 교육 커뮤니티에 사회적 정체성 접근방식을 도입함에 따라 다양한 사회적 정체성에 대한 풍부한 연구가 이루어졌습니다. 그러나 이 연구는 한 번에 하나의 사회적 정체성에 초점을 맞추는 경향이 있다. 이 기사에서, 우리는 그러한 연구가 교차성의 관점에서 어떻게 보일 수 있는지를 분석했다. 우리는 의학 교육의 연구들이 인종, 성별, 직업적 정체성과 관련된 불평등을 어떻게 논의하는지, 그리고 이러한 불평등을 해결하기 위해 채택된 전략을 검토했다. 우리는 서로 다른 사회적 정체성에 대한 편견을 완화하기 위한 기존 전략이 교차성을 수용하고 모두에게 공평한 학습 환경을 촉진하기 위해 어떻게 결합될 수 있는지에 대한 비전을 제안했다. 우리는 결코 우리의 비전이 복잡하고 얽혀 있으며 오랜 역사적 뿌리를 가진 근본적인 문제에 대해 신속하고 완전한 해결책을 제공한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그러나 우리는 교차성을 수용하고 사회적 정체성에 걸쳐 편견을 해소하는 전략을 채택하는 것이 올바른 방향으로 가는 하나의 결실 있는 단계가 될 수 있다고 믿는다.

Burford's introduction of the social identity approach to the medical education community1 has generated rich research into different social identities. Yet this research has tended to focus on one social identity at a time. In this article, we analysed how such research may be viewed through the lens of intersectionality. We examined how studies in medical education discuss inequities pertaining to racial, gender, and professional identities and the strategies that have been adopted to address these inequities. We proposed our vision for how existing strategies to mitigate bias towards different social identities may be combined to embrace intersectionality and promote equitable learning environments for all. We by no means aim to imply that our vision offers a quick or complete fix for the underlying problems, which are complex and intertwined, many with long historic roots. Yet we believe that adopting strategies that embrace intersectionality and seek to address bias across social identities can be one fruitful step in the right direction.


Med Educ. 2022 Jan;56(1):82-90.

 doi: 10.1111/medu.14602. Epub 2021 Aug 24.

Towards equitable learning environments for medical education: Bias and the intersection of social identities

Affiliations collapse

Affiliations

1Department of Pediatrics, University of California San Francisco, San Francisco, California, USA.

2Unit of Development and Research in Medical Education, Faculty of Medicine, University of Geneva, Geneva, Switzerland.

3Department of General Pediatrics, Children's Hospital, Geneva University Hospitals, Geneva, Switzerland.

4Department of Education, Innovation and Technology, Baylor College of Medicine, Houston, Texas, USA.

PMID: 34309905

DOI: 10.1111/medu.14602

Abstract

Context: Medical educators are increasingly paying attention to how bias creates inequities that affect learners across the medical education continuum. Such bias arises from learners' social identities. However, studies examining bias and social identities in medical education tend to focus on one identity at a time, even though multiple identities often interact to shape individuals' experiences.

Methods: This article examines prior studies on bias and social identity in medical education, focusing on three social identities that commonly elicit bias: race, gender and profession. By applying the lens of intersectionality, we aimed to generate new insights into intergroup relations and identify strategies that may be employed to mitigate bias and inequities across all social identities.

Results: Although different social identities can be more or less salient at different stages of medical training, they intersect and impact learners' experiences. Bias towards racial and gender identities affect learners' ability to reach different stages of medical education and influence the specialties they train in. Bias also makes it difficult for learners to develop their professional identities as they are not perceived as legitimate members of their professional groups, which influences interprofessional relations. To mitigate bias across all identities, three main sets of strategies can be adopted. These strategies include equipping individuals with skills to reflect upon their own and others' social identities; fostering in-group cohesion in ways that recognise intersecting social identities and challenges stereotypes through mentorship; and addressing intergroup boundaries through promotion of allyship, team reflexivity and conflict management.

Conclusions: Examining how different social identities intersect and lead to bias and inequities in medical education provides insights into ways to address these problems. This article proposes a vision for how existing strategies to mitigate bias towards different social identities may be combined to embrace intersectionality and develop equitable learning environments for all.

의학교육의 사회적 권력과 위계에 대해 생각하기(Med Educ, 2021)
Thinking about social power and hierarchy in medical education
Meredith Vanstone1,2 | Lawrence Grierson1,2

 

1 도입
1 INTRODUCTION

[사회적 권력]은 단일한 권위적인authoritative 정의를 가지고 있지 않다. 우리는 [권력]이 [다른 사람에게 영향을 미치는 능력]이라는 견해에 동조한다. 이러한 관점은 권력이 작동하는 방법 중 하나가 [위계 구조]의 확립과 운영을 통해서라는 것을 알 수 있게 한다. [계층][사람이나 집단을 사회적 자원의 소유에 따라 층화stratifies하는 조직적 형태organizational form]이다. 임상 환경은 매우 위계적이며, 임상 작업과 학습은 상호 작용에 좌우되며, 이는 의료 교육과 직접적으로 관련된 권력과 위계를 고려하게 한다.4
Social power has no single authoritative definition. We align ourselves with the view that power is the ability to influence others.1, 2 This perspective allows us to see that one of the ways power operates is through the establishment and operationalization of hierarchies, an organisational form that stratifies people or groups based on their possession of social resources.3 The clinical environment is intensely hierarchical, and clinical work and learning are contingent on interaction, which makes consideration of power and hierarchy directly relevant to medical education.4

본 논문에서 우리는 의학교육에 대한 권력과 위계의 여러 개념화의 유용성에 대한 반성을 제공하며, 이러한 개념이 의학 교육 문헌에 암묵적으로 나타난 몇 가지 방법을 다룬다. 우리는 이러한 개념의 통합이 생산적일 수 있는 곳에 대한 제안을 제공하며, 의학교육의 위계 내에서 권력이 작동하는 여러 가지 방법에 대한 이해를 제한할 수 있는 일반적인 가정에 반대한다.
In the current paper, we offer reflections on the usefulness of several conceptualizations of power and hierarchy to medical education, addressing some of the ways these concepts have appeared, often implicitly, in medical education literature. We offer suggestions for where the incorporation of these concepts may be fruitful and counter common assumptions that may constrain understanding of the multiple ways power operates within hierarchies in medical education.

2 학제 간 협력의 과제와 기회
2 CHALLENGES AND OPPORTUNITIES OF INTERDISCIPLINARITY

전통적으로, 학계academics는 특정 학문분야disciplines에서 훈련을 받는데, 이는 [수용된 형태의 지식] 주위에 경계를 제공하고, 학문분야 그룹의 규범을 탐색하는 능력으로 '내부자'와 '외부자'를 정의한다. 많은 분야들이 '권력'의 상징적 일반화를 개발했는데, 이는 정교한 이론적 작업을 효과적이고 효율적으로 진행할 수 있도록 하는 크고 복잡한 아이디어 집단을 내부자에게 불러오는 약어이다. 권력에 대한 이러한 이해는 뿌리째 뻗어나가고 때로는 예측할 수 없는 방식으로 교차하는 정원 뿌리처럼 다양한 장소에서 성장해 왔습니다. 많은 학문들은 그들 자신의 이론이나 권력의 개념화를 신중하게 다루며, 소중한 유산prized heritage이나 하이브리드 변종을 개발한다.
Traditionally, academics are trained in a particular discipline, which provides a boundary around accepted forms of knowledge, defining ‘insiders’ and ‘outsiders’ by their ability to navigate the norms of the disciplinary group. Many disciplines have developed their own symbolic generalisation of ‘power’, a shorthand that calls to insiders a large and complex body of ideas that allow sophisticated theoretical work to proceed effectively and efficiently.5 These understandings of power have grown from a variety of locations, like garden roots that branch rhizomatically and intersect in sometimes unpredictable ways. Many disciplines carefully tend to their own theories or conceptualizations of power, developing prized heritage or hybrid varieties. 


의학 교육과 같은 [학문 간 분야interdisciplinary field]에서 학자들은 지식을 창출하고 실질적인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다양한 분야에서 통찰력과 전문성을 가져옵니다. 따라서 우리는 권력이 무엇이고, 권력이 어떻게 작동하고, 우리 분야에서 어떻게 사용될 수 있는지에 대한 내부 합의가 부족하다. 이러한 합의의 부족이 권력이라는 개념이 무관하다는 의미는 아니다. 의학교육 이외의 교육 연구는 권력이 학습과 평가와 관련을 갖는 다양한 방법을 지적합니다. 비록 몇몇 의학 교육 학자들이 이러한 이론들에 정통하고, 그들의 학술활동에 유의미하게 포함시키지만, 권력에 대한 개념은 전통적으로 의학에 대한 질문을 외부인들이 들여다보거나, [권력에 대한 미묘한 사회과학연구]를 수행하기 위해 의학 맥락을 사용하는 다른 분야의 연구자들에 의해 받아들여져 왔다. 최근 권력 이론에 관여하는 의학 교육 연구자의 수가 증가하고 있지만, 역사적으로 보자면, 결정적 관련이 있을 듯한 의학 교육 연구에서 권력이 누락되어 있는 예가 더 많다. (의학 교육의 힘의 부재에 대한 해설은 파라디스, 화이트헤드, 도네토 참조).

In an interdisciplinary field like medical education, scholars bring insights and expertise from a variety of locations to generate knowledge and solve practical problems.6, 7 Accordingly, we lack internal agreement about what power is, how it operates and how it can be used in our field. This lack of consensus does not reflect irrelevance of the concept. Education research outside of medicine points to the many ways in which power is relevant to learning and assessment.8, 9 Although some medical education scholars are well versed in these theories and incorporate them meaningfully into their scholarship, the concept of power has traditionally been brought to bear on questions of medical education by outsiders looking in, or researchers in other fields using the context of medicine to conduct nuanced social science research about power.10-13 Although there has been a recent increase in the number of medical education researchers engaging with theories of power, historically there are many more examples of power remaining absent from medical education inquiry where it seems crucially relevant (see Paradis and Whitehead14 and Donetto15 for commentaries on the absence of power in medical education).

여러 가지 면에서 우리는 우리 스스로도 의학교육연구라는 학제간 분야에 진출한 사람으로서 [사회적 권력과 그 관련성에 대한 모호한 이해]를 대변한다고 생각한다. 이 분야의 많은 사람들처럼, 우리는 [사회적 권력에 대한 분야 자체의 개념diciplinary conception이 없는 전통]에서 훈련을 받았습니다. 의학 교육 연구를 통해, 우리는 많은 상호작용적 현상에서 [사회적 구조]라는 구인이 공명한다는 것을 서서히 식별하기 시작했습니다.

  • 아급성 환자의 교육적 가치를 확인하고,
  • 예상되는 증거를 이용할 수 없을 때 진단 의혹을 전달하고,
  • 학대 및 학대를 보고하고,
  • 의과대학 입학 정책과 관행을 제정하고,
  • 의학 학습자가 임상 계층 내에서 낮은 지위를 어떻게 경험하는지 이해한다. 

In many ways, we feel we represent the medical education researchers who entered this interdisciplinary field with only a vague understanding of social power and how it might be relevant. Like many in this field, we trained in traditions that do not have their own disciplinary conception of social power. Through our medical education research, we have slowly begun to identify the resonance of this construct for many interactional phenomena:

  • ascertaining the educational value of subacute patients,16 
  • communicating diagnostic suspicions when expected evidence is not available,17 
  • reporting mistreatment and abuse,18 
  • enacting policies and practices of medical school admissions,1920 and
  • understanding how medical learners experience their low-status position within the clinical hierarchy.2122 

우리는 유용하고 공명적이지만 권력의 개념에 언제 어디서 기대야 하는지, 그리고 어떤 학문분야적 개념에 관여해야 하는지 해석하는 것이 종종 어렵다는 것을 알게 되었습니다. 이를 위해 우리는 다양한 개념과 그 사이의 긴장과 갈등과 씨름하고 있습니다. 여기서부터 우리는 의학교육의 [인식론적 아비투스]에 대해 다음과 같이 말하고 있다.

We have found that while useful and resonant, it has often been difficult to parse when and where to lean into the concept of power–and which disciplinary concepts of power to engage. To do this, we have grappled with the multiplicity of concepts, and the tensions and conflicts between them. It is from this location that we offer the following to the epistemic habitus of medical education.



Albert와 Paradis에 의해 기술된 '인식론적 아비투스Epistemic habitus'는 [과학적 실천이 사회화에 의해 형성되는 방식]을 가리키며, 각 분야마다 [과학, 그리고 과학이 어떻게 수행되어야 하는지에 대한 암묵적인 가정]으로 운영된다. 우리는 [권력과 위계]가 의학 교육 연구자들이 던지는 많은 질문과 관련이 있기 때문에, 의학 교육 연구의 틀과 수행에 있어 명시적으로 고려되어야 한다는 요구를 받아들인다. 이를 운용하는 최선의 방법은 연구자의 개별 주제와 이론적 헌신theoretical commitments에 따라 달라집니다. 이 오퍼링에는 모든 학제간 연구와 마찬가지로 취약점이 있으며, 학제간 그룹에 유용한 정보를 제공하려고 할 때 개별 학제의 기준을 충족하지 못할 수 있습니다. 우리는 하나의 일관성 있는 통합(사실 불가능하다고 생각한다)을 제공하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권력'이 의학 교육 학술활동에 유용할 수 있는 몇 가지 방법의 스냅숏을 제공한다. 아마도 더 정확히 말하면, 우리는 권력과 계급에 관한 몇 가지 일반적인 가정에 관심을 끌어내고자 하며, 이 분야의 의학 교육 연구를 제약하고 있다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Epistemic habitus’, as described by Albert and Paradis, refers to the way that scientific practices are shaped by socialisation, wherein each field operates with a set of tacit assumptions about science and how it should be carried out.23 We pick up the call that power and hierarchy are relevant to many of the questions medical education researchers ask and so should be granted explicit consideration in the framing and conduct of medical education research.14, 15, 24 The best way to operationalise this will vary, being dependent on the individual topics and theoretical commitments of the researchers. There is a vulnerability in this offering, as with all interdisciplinary research, that in attempting to present something of use to an interdisciplinary group, we may fail to meet the standards of individual disciplines. We do not seek to offer a single coherent synthesis—indeed we believe this to be impossible—but rather a snapshot of some of the ways power may be useful to medical education scholarship. Perhaps more pointedly, we wish to draw attention to some common assumptions about power and hierarchy, which we believe are constraining medical education research in this area.

3 사회적 권력이란 무엇인가?
3 WHAT IS SOCIAL POWER?

[사회적 권력]은 다양한 방식으로 발전된 복잡한 개념이다. 어떤 사람들은 주권력sovereign power 또는 다른 사람에 대한 권력power over을 통해 '다른 사람의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능력' 또는 [다른 사람의 생각, 감정 또는 행동에 영향을 미치기 위하여 자신의 의지will를 사용하는 방법]으로 이해한다. 다른 개념화에서 권력은 [사회적 관계에서 자원의 비대칭적 통제력] 또는 [모든 상호작용을 통해 흐르는 확산된 힘으로서, (다른 어떤 것보다) 진리와 지식에 대한 인식에 영향을 줌으로써 개인을 형성]하는 것이라고 기술된다. 이러한 정의를 비교할 때, 일반적으로 학자들은 이러한 측면 중 하나를 전제로 하지만, 권력은 상호작용(마이크로) 및 구조(매크로) 수준에서 모두 작동한다는 점에 주목한다.
Social power is a complex concept that has been developed in diverse ways. Some understand it through the lens of sovereign power, or power over others, as ‘the ability to influence the behaviour of others’2 or a way of using one's will to affect the thought, emotion or actions of others.1, 25 In other conceptualizations, power has been described as asymmetric control of resources in social relations3, 26 or a more diffuse force that flows through all interactions, generatively shaping individuals by (among other things) impacting their perception of truth and knowledge.27 In comparing these definitions, we note that power operates on both an interactional (micro) and structural (macro) level, although typically scholars foreground one of these aspects.

많은 학자들은 권력이 존재하며 사회적 관계 내에서만 행사된다는 것에 동의할 것이다; 권력은 개인의 영구적인 측면이 아니다. 어떤 관계에서는 [영향력을 행사할 수 있는 권력을 주는 지식, 역할 또는 자원]이 다른 관계에서는 관련이 없을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상급 레지던트가 의대생에 대해 가지고 있는 권력은, 그 사람이 담당 의사에게 보고하면 소멸되고, 그들이 가족 구성원의 주택 개조 프로젝트를 도울 때 완전히 부재할 수 있습니다. 권력의 관계적 맥락을 인정하면서, 우리는 [권력의 구조적이고 영속적인 측면]이 [개인의 사회적 관계를 넘어 존재한다]는 것을 인식해야 한다. 예를 들어, [인종과 성별과 같은 사회적 정체성]은 많은 관계에 걸친 권력 관계를 유발한다.
Many scholars would agree that power exists and is exercised only within social relationships; it is not an enduring aspect of an individual.28 The knowledge, role or resources that give a person power to influence in one relationship may not be relevant in a different relationship.3, 28 For example, the power a senior resident has over medical students dissipates when that person reports to their staff physician and may be completely absent when they help a family member with a home renovation project. While acknowledging the relational context of power, we must also recognise that some structural and enduring aspects of power exist beyond individual social relationships. For example, social identities such as race and gender invoke power relations across many relationships.

무엇보다 우리가 [지식 체계와 통제 시스템을 생산하기 위해 구조적 방식이 작동한다는 것]을 고려한다면, [사회적 상호작용에 권력이 편재함ubiquity of power]은 명백하다. [구조적인 수준에서 권력의 작동]에 초점을 맞춘 학자들은 [사회 구조]가 [권력이 작동하는 것]을 정상화하고, 그러한 [구조 속에 포합embedded되어 있는 관찰자]이 [종종 권력을 보지 못하게 만든다는 것]을 강조할 것이다. 푸코는 이것을 권력의 '모세혈관'으로 묘사한다. 권력은 매우 미묘하고 광범위하게 [사고 및 행동 방식을 확립]하기에, 권력은 사회적 생활에서 감지할 수 없는 부분이 된다. 따라서 권력이란 것은 항상 의식적으로 또는 의도적으로 행사되는 것은 아니며, 그 메커니즘이 숨겨져 있을 때 가장 큰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The ubiquity of power in our social interactions is especially evident when we consider the structural ways it operates to produce systems of knowledge and control.27 Scholars who focus on the operation of power at a structural level would emphasise that social structures normalise the operations of power, making them often invisible to observers embedded within those structures.29 Foucault would describe this as the ‘capillary’ aspect of power, establishing ways of thinking and acting so subtly and pervasively that they become an imperceptible part of social life.1, 27 Power is therefore not always wielded consciously or intentionally and can be at its most impactful when its mechanisms are hidden.30

4 위계/계층이란?
4 WHAT IS HIERARCHY?

권력이 작동하는 방법 중 하나는 [권력의 구조적 특징]을 [메소 수준의 조직 형태]로 변환할 수 있는 잠재력을 가진 위계적 구조를 확립하고 유지하는 것이다. 이러한 맥락에서, 우리는 [위계]를 [자원의 통제나 영향력과 같은 '가치 있는 사회적 차원에 대한 개인 또는 집단의 순위rank order']로 이해한다. 위계는 임상 환경의 잘 알려진 특징이다. 수십 년 동안, 사회학자들은 의학의 [위계적 조직]과 이 ['수직적 계층화vertical stratification']가 제공하는 기능에 대해 의문을 제기해 왔다. Friedson이 설명한 바와 같이 의료계는 [지식과 역할에 따라 의사결정을 내리고 집행할 수 있는 권력]을 부여함으로써 [표준을 만들고 집행]할 수 있습니다. 이것은 의료의 전문직업적 자율성과 자치에 필수적이다.
One of the ways power operates is by establishing and maintaining hierarchies, which have the potential to translate structural features of power into meso-level forms of organisation. In this context, we understand hierarchy to be a ‘rank order of individuals or groups with respect to a valued social dimension’ such as control of resources or ability to influence.3 Hierarchies are a well-recognised feature of the clinical environment. For decades, sociologists have interrogated the hierarchical organisation of medicine and the function that this ‘vertical stratification’ serves.31-33 As Friedson has described, imbuing power to make and enforce decisions based on knowledge and role allows the medical profession to create and enforce standards.31, 34 This is essential to medicine's professional autonomy and self-governance.


다른 학술 기관들은 위계가 어떻게 생성되고 유지되며 기능하는지에 대한 이해가 서로 다를 것이다. 의학 교육에서, [상호작용적 권력]을 가진 학자들이 가지고 있는 계급의 개념은 특히 생성적 렌즈generative lens일 수 있다. [상호작용적 권력]에 초점을 두고 본다면, [위계(구조)]가 [사회 환경 내에서 성공하기 위해 개인과 타인의 행동을 통제하도록 장려한다]는 견해를 갖게 된다. 이러한 관점에서, [위계(구조)]는 [공식적으로 제도화instituted]되고, [비공식적으로 개발]되며, [명시적이고 규칙에 의해 설명]되거나, [암묵적이고 주관적으로 이해]될 수 있다. 위계에 대한 이러한 이해는 권력이 통치되어야 할 합법성과 합의된 동의consensual agreement를 통해 작동한다는 것을 암시한다. 이러한 [합의적 참여consensual participation]의 개념은 (학습자가 종종 임상 작업장의 사회적 환경 내에서 이점을 얻기 위해, 의료의 위계에 참여하고자 하는) 의학교육과 매우 관련이 있습니다. 그러나 이러한 관점은 [인종, 성별, 계급 및 소득과 관련된 구조적 형태의 권력]과 같이, 임상적 위계에 결정적으로 중요한 것으로 표시된 다른 유형의 권력에서는 벗어날 것이다.

Other bodies of scholarship will offer different understandings of how hierarchies are generated, sustained and function. In medical education, the notion of hierarchy held by scholars of interactional power may be a particularly generative lens. A focus on interactional power may lead to a view that hierarchies encourage individuals to govern their own and others' behaviour in order to succeed within the social environment.3 In this view, hierarchies can be formally instituted and informally developed and explicit and delineated by rules or implicit and understood subjectively, taken-for-granted. This understanding of hierarchy implies that power operates through legitimacy and consensual agreement to be governed.2 This concept of consensual participation is very relevant to medical education, where learners are often eager to engage the medical hierarchy in order to gain advantage within the social environment of the clinical workplace.21, 35, 36 However, this perspective will elide from view other types of power that some mark as crucially important to clinical hierarchies, such as structural forms of power relevant to race, gender, class and income.11, 37-39

위계에 대한 이러한 견해와 일부 대안 사이의 대조를 설명하기 위해, [사회적 권력에 대한 서로 다른 이해를 가진 두 집단]이 위계를 어떻게 고려할 수 있는지 생각해보자.

  • 권력에 대한 [구조주의자]의 견해에 동의하는 사람들은 계층화된 사회 구조의 다원적plural 개념을 옹호할 가능성이 높으며, [일부 구조와 관계]가 [다른 구조와 관계]보다 더 강력하기 때문에 계층화된 사회 구조가 예시instantiated된다.
  • 하지만 이러한 견해는 [권력은 분산되어] 있으며, [기저 구조나 메커니즘을 통해 흐른다기보다는], 감시, 감독, 판단 및 검사의 결합을 통해 달성되었다고 설명하는 푸코와 같은 [후기 구조주의자]들에 의해 거부된다.

To illustrate the contrast between this view of hierarchy and some alternatives, consider how hierarchy may be considered by two groups with different understandings of social power.

  • Those who subscribe to a structuralist view of power are likely to advocate for a plural conception of stratified social structures, with hierarchies instantiated because some structures and relations are more powerful than others.4041 
  • This view is rejected by post-structuralists such as Foucault who describes power as dispersed and achieved through the confluence of surveillance, supervision, judgement and examination rather than flowing through some underlying structure or mechanism.2740

 

5 위계 구조는 임상 작업과 학습에 어떻게 영향을 미칩니까?
5 HOW DO HIERARCHIES INFLUENCE CLINICAL WORK AND LEARNING?

 

권력은 단지 탄압과 억압에 관한 것이 아니다. 비록 권력이 억제, 처벌, 제한에 사용될 수 있지만, 여러 분야의 학자들은 오랜 기간동안 [권력이 진실을 정의하고, 정상화하고, 주제를 만들고, 칭찬과 보상을 통해 행동을 장려함으로써 어떻게 생산적으로 작용하는지]를 강조해왔다. [조직화된 권력]의 한 가지 형태로서, 우리는 [위계]도 유사한 다양한 효과를 갖는다고 이해한다. [위계]는 단순히 해롭기만 한 것은 아니다. 이러한 다양한 효과는 의료 교육 연구에서는 널리 인식되지 않았다. 의료 교육 연구에서는 대부분의 전형적인 위계 구조가 가볍게만 언급되며, 지위가 낮은 개인에게 개방적인 의사소통을 하지 못하게 함으로서 해를 끼치는 임상 환경의 특징으로 설명된다.
Power is not just about repression and oppression. Although power can be used to constrain, punish and limit, scholars working in multiple traditions emphasise how power operates productively by defining truth, normalising, creating subjects and encouraging action through praise and reward.2, 27, 42 As one organising form of power, we understand hierarchy to have a similar multitude of effects—they are not simply harmful. This multiplicity of effects has not been widely recognised in medical education research, where most typically hierarchy is mentioned only in passing, described as a feature of the clinical environment that harms individuals on low ranks by preventing open communication.

위계는 실제로 해로울 수 있습니다. 임상에서의 위계('지위 비대칭' 또는 '권한 구배'라고도 함)이 상사가 실수를 했을 때 목소리를 내는 것을 꺼리게 함으로써 환자 안전을 저해할 수 있다는 충분한 증거가 있다.36. 위계는 또한 전문가 간 팀워크와 협업을 방해할 수 있다. 임상적 위계의 존재는 교육생들이 무지함, 오류 또는 도움을 요청하기보다는 '가식fake it'을 하도록 장려할 수 있습니다. 위계의 하위 구성원이 되면 훈련생은 상사의 지시가 있을 때 도덕적으로 잘못된 행동을 하게 됩니다. 또한 위계 구조의 확립된 특성을 이해하면 임상 환경에서 [상급자로부터 경험하는 학대 및 괴롭힘을 보고하는 연수생이 거의 없는 이유]를 설명할 수 있습니다. 

Hierarchies can indeed be harmful. There is ample evidence that clinical hierarchies (sometimes called ‘status asymmetry’ or ‘authority gradients’43) can impede patient safety by contributing to a reluctance to speak up when a superior makes an error.36, 44-46 Hierarchies can also obstruct interprofessional teamwork and collaboration.47-50 The presence of the clinical hierarchy may encourage trainees to ‘fake it’ rather than disclose ignorance, error or ask for help.4, 51, 52 Being a low-status member of a hierarchy can result in trainees performing acts they know are morally wrong when instructed by a supervisor.53-55 An understanding of the entrenched nature of hierarchy also helps explain why few trainees report mistreatment and abuse they experience from superiors in the clinical environment.18, 56, 57

우리 분야에서는 [위계 구조의 생산적 영향]과 환자와 학습자 모두에게 [긍정적인 영향의 가능성]은 덜 조사된다.3 우리는 사회질서를 확립하기 위한 위계구조와 예상되는 행동규칙을 이해한다. 의대생들은 이러한 (위계구조의) 규칙을 이해하고 준수하는 것이 전문성을 발휘하고 동료 및 상사와의 성공적인 관계를 발전시키는 중요한 방법이라고 설명했습니다. 위계는 또한 공동의 목표와 역할 기대의 확립을 통해 사회 질서를 제정하고, 효과적인 조화를 촉진할 수 있으며, 환자 안전과 학습자의 편안함에 중요한 기능을 수행하며, 임상 의사결정에 대한 '가장 책임있는' 한 사람을 배치한다. 계층은 임시 팀의 신속한 구성과 효율성을 실현하기 위해 필요한 구조와 안정성을 생성하는 상호작용에 대한 기대를 위한 템플릿을 제공할 수 있습니다. 이 구조는 고위험 및 시간에 쫓기는 상황에서 의사결정과 합의에 필수적인 '신속한 신뢰'를 촉진한다. 
Examined less frequently in our field are the productive effects of hierarchy and the potential of positive impacts for both patients and learners.3 We understand hierarchies to establish a social order and expected rules for conduct. Understanding and adhering to these rules have been described by medical students as an important way to demonstrate professionalism and develop successful relationships with peers and supervisors.21, 58 Hierarchies can also enact social order and facilitate effective coordination through the establishment of shared goals and role expectations,59 which serve a valuable function for patient safety and learner comfort, placing one person as the ‘most responsible’ for clinical decisions. Hierarchies can provide a template for expectations of interaction that generate the structure and stability necessary to enable the quick formation and efficiency of temporary teams. This structure promotes the ‘swift trust’ essential for decision making and agreement in high-risk and time-pressured situations.60

위계 구조는 [학습자가 추구할 표준을 제시하는 롤모델, 코치 및 멘토]를 제공함으로써 교육에 도움이 됩니다. 이 계층은 일부 개인들을 그들의 피드백과 지시가 중요하고 신뢰할 수 있는 위치에 놓이게 한다. 신뢰할 수 있는 피드백 제공자 및 바람직한 역할 모델(능력, 지식, 조직 권한 및 임상 작업에서 존경할 만한 성과)로 만드는 특성에 대한 설명은 일부 학자들이 주권력을 이해하는 방식에 공명하여 긍정적인 영향의 가능성을 보여준다. 
Hierarchies benefit education by providing identifiable role models, coaches and mentors who demonstrate a standard to which learners can aspire.61 The hierarchy places some individuals in a position where their feedback and instruction are seen to be important and credible.61, 62 Descriptions of the characteristics that make a person a credible feedback provider and a desired role model— competence, knowledge, organisational authority and admirable achievements in clinical work— resonate with the way some scholars understand sovereign power, demonstrating the potential for positive forms of influence.61-64

6 유동성 및 석회화 양쪽에 대한 계층 구조
6 HIERARCHIES AS BOTH FLUID AND CALCIFIED

권력과 위계의 개념은 의학 교육 연구자가 학습자가 임상적 위계에서 [자신의 위치를 최적화하는 암묵적 또는 명시적 목적을 가지고 임상 직무현장을 탐색하는 방법]을 이해하는 데 유용한 이론적 렌즈 역할을 한다.
The concepts of power and hierarchy serve as useful theoretical lenses to help medical education researchers understand how learners navigate the clinical workplace, often with the implicit or explicit aim of optimising their position in the clinical hierarchy.

많은 전문직 위계는 경력, 지식 및 자원을 축적하면서 계급 간에 이동하면서 [유동성]을 보입니다. 수련단계에서 위계는 높은 유동성을 가지고 있으며, 학습자는 매년 rank가 바뀌면서 미래의 레지던트, 펠로우십 및 취업 선택 과정에 적극적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의사가 독립 진료에 들어가면 임상적 위계가 강화되어 전문적 지위를 최적화할 기회가 줄어듭니다. 이러한 [석회화]는 훈련 중에 유리한 위치를 차지할 수 있는 기회를 압박할 수 있습니다. 권력의 개념화는 의학 학습자가 자신의 위치를 최적화하기 위해 행동하는 방법 및 자신에게 작용하는 힘을 포함하여 이러한 과정을 경험할 수 있는 이유와 방법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Many professional hierarchies exhibit fluidity, with individuals moving between ranks as they accumulate experience, knowledge and resources. Medical trainee hierarchies have a high degree of fluidity, with learners changing rank with every year, actively positioning themselves for future residency, fellowship and employment selection processes. The clinical hierarchy solidifies once a physician enters independent practice, with fewer opportunities to optimise one's professional position. This calcification may pressurise the opportunity to position oneself favourably during training. Conceptualizations of power help us understand why and how medical learners may experience this process, including ways in which they act to optimise their position and forces which act upon them.

지금까지 우리는 의학에서 전문적인 지명designation과 경험이 [사회 질서의 순위ranks]를 형성하는 방식에 초점을 맞췄다. 그러나 의료 직장은 사회적 공백 내에 위치하지 않으며, [다른 형태의 사회 계층화]가 클리닉에서 작용하고 있으며, 의대생, 주니어 레지던트, 선임 레지던트, 펠로우 및 주치의의 임상 계층 위에 [다른 계층이 중첩]되어 있다. 이 밖에도, 전문 분야간의 [프로페셔널 내 위계 구조] 및 전문 분야간의 [프로페셔널 간 위계 구조]를 인식할 수 있습니다. 또한 [특정 집단에 권력을 축적하고 통합할 기회를 부여하는 구조적 권력]을 포함하여 [여러 형태의 권력 관계에 의해 어떻게 개인 간의 상호작용이 형성되는지]를 고려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권력의 구조적 형태와 관련된 위계]는 유동성이 적을 수 있다. 개별 의학 학습자를 여러 계층에 포함시키는 사회적 정체성의 다양성을 인식하는 것은 그들의 경험을 이해하는 데 중요하다. 다른 위계질서가 임상 등급의 위계질서를 대체하거나 복잡하게 만들 수 있는 시기와 방법을 고려하는 것은 이 분야의 연구를 풍부하게 할 것이다.
So far, we have focused on the way in which professional designation and experience form the ranks of the social order in medicine. However, the medical workplace is not located within a social vacuum, and numerous other forms of social stratification are at work in the clinic, superimposing other hierarchies on top of the clinical hierarchy of medical student, junior resident, senior resident, fellow and attending physician.15 Beyond this, we might recognise intraprofessional hierarchies between specialties and interprofessional hierarchies between professions.12, 48, 65 It is also imperative to consider how interactions between individuals are shaped by other forms of power relations, including structural forces that privilege particular groups with opportunities to accumulate and consolidate power. Hierarchies related to structural forms of power may be less fluid. Recognising the multiplicity of social identities that embed individual medical learners in several hierarchies is important to understanding their experiences. Considering when and how other hierarchies might supercede or complicate the hierarchy of clinical ranks will enrich research in this area.

7 임상 계층 내 힘의 수직적 흐름
7 VERTICAL FLOW OF POWER IN THE CLINICAL HIERARCHY

주권력Sovereign power, 즉 '파워오버power over'는 [개인이 권력을 행사하는 방식]에 초점을 맞추고 있으며, 일반적으로 단방향적인 방식으로 위계를 따라 흐른다. 이 메시지는 일반적으로 억압적이고 지시적이며 조용한 구조로 지시되는 의학교육에서 위계구조가 다뤄지는 [전형적인 방식]과 공명하고 있습니다.
Sovereign power, or ‘power over’, focuses on the ways in which power is exerted by individuals, typically in a unidirectional way down the hierarchy. This message has resonated with the typical way hierarchies are treated in medical education, where they are typically gestured to as oppressive, directive and silencing structures.

그러나 Agency를 행사함으로써 [권력이 '상향'으로 작동할 수 있는 방법]을 고려하는 것도 유용할 것이다. 조직 관리 문헌에서 나온 권력의 개념화는 여기에서 유용할 수 있습니다. 다양한 사회 및 임상 계층에서 자신의 위치에 따라 의료 학습자는 다양한 유형의 자원을 이용할 수 있지만, 모든 사람은 [위계 속에서 유동성에 유리하게 영향을 미치기 위해 이용 가능한 자원을 어떻게 사용하는지에 대해 계획하고 전략을 수립]할 수 있는 행위자성Agency를 가지고 있다. 종종 이것은 '긍정적인 인상 심어주기'를 의미하는데, 이는 다른 조직적 맥락에서 잘 연구되어 왔지만 대부분 의학 교육에는 없는 일반적인 '상향 영향력upward influence' 전략tactic 중 하나이다.
However, it will also be useful for medical education researchers to consider the ways in which power can also work ‘upward’, mainly through the exercise of agency.66 Conceptualizations of power from the organisational management literature can be useful here. Depending on their positionality in the various social and clinical hierarchies, medical learners will have different types of resources available to them, but they all have the agency to plan and strategize about how to use what is available in order to favourably influence their fluidity within the hierarchy.21, 29 Often, this means cultivating positive impressions,67, 68 a common ‘upward influence’ tactic that has been well-studied in other organisational contexts but is mostly absent from medical education.29, 69, 70

행위자성agency이라는 개념, 또는 [권력의 지배력prevailing force에 반대하는 개인의 자율성 정도]는, 합의가 없으며 논란이 있다. 캠벨은 에이전시의 가능성에 대한 이해가 권력을 어떻게 개념화하느냐와 어떻게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는지를 보여주는 유용한 구별을 제공한다:

  • '행위자의 권력power of agency'은 행동을 시작하고 유지하는 행위자actor의 능력이다;
  • '에이전틱 파워agentic power'는 사회 구조의 구속력으로부터 독립적으로 행동하는 행위자actor의 능력을 가리킨다.

The concept of agency, or the degree of autonomy that can be attributed to individuals opposing the prevailing forces of power, is a controversial concept without consensus. Campbell71 offers a helpful distinction that illuminates how an understanding of the potential for agency is closely related to how one conceptualises power:

  • ‘the power of agency’ is an actor's ability to initiate and maintain action;
  • ‘Agentic power’ refers to an actor's ability to act independently of the constraining power of social structure.

의대생들이 임상적 위계를 탐색하는 방법에 대한 연구에서, 우리는 학습자들이 [에이전시의 힘‘the power of agency’]을 행사하는 것을 관찰했다. 즉, [임상적 위계에서 낮은 지위의 개인]으로서 그들은 [단지 높은 지위의 개인들]이 그들에게 가하는 힘에 반응하는 것이 아니라, 행위자-주도적 권력actor-initiated power에 관여했다는 것을 의미한다. 우리가 관찰한 의대생들은, Goffman이 말하는 인상 관리impression management에 참여하기 위해, 그들이 이용할 수 있는 사회적 자원을 모아 그들의 에이전시에 힘을 쏟았다. 이 용어는 개인이 다른 사람에게 원하는 반응이나 감정을 주입하기 위해 자신을 수행적인 방식으로 표현하는 방법을 말합니다. 보다 바람직한 전문적 지위를 달성하기 위한 광범위한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학생들은 [감독관이 어떤 행동을 중시하는지 추론]하고, 다음 만남에서 [그러한 기대에 부응하기 위해 상당한 시간과 에너지를 투자]합니다. 이는 낮은 임상적 위계의 개인이 윗사람의 행동에 영향을 미치기 위해 행동하는 방법의 한 예이다. 상황을 평가하고 감독관이 원하는 것을 추론한 다음 필요한 인상을 주기 위해 행동을 형성하기 위해 상당한 사회적 통찰력이 필요하다.
In our study of how medical students navigate clinical hierarchies,21 we observed learners exercising the power of agency, meaning that as lower status individuals in the clinical hierarchy they engaged in actor-initiated power rather than simply reacting to the power that is exerted on them by higher status individuals.72 The medical students we observed exerted their agency by marshalling the social resources available to them to engage in what Goffman would call impression management.67, 68 This term refers to the way in which individuals will express themselves in a performative way so as to inculcate a desired reaction or feeling within others.67 As part of a broader project to achieve a more desirable professional position, the students would infer which behaviours were valued by their supervisors and would then invest significant time and energy in preparing to perform to those expectations in the next encounter. This is an example of the ways in which individuals who are low in the clinical hierarchy act to influence the behaviours of those above them; it requires significant social acumen to assess the situation, infer what is desired by the supervisor and then mould one's behaviour to make the necessary impression.


만약 우리가 같은 연구를 [에이전트 파워agentic power]의 관점에서 본다면, 우리는 완전히 새로운 일련의 고려사항에 직면하게 된다. 첫째, 우리는 [의대생의 자율권 행사 가능성]을 제한하는 [더 큰 사회 구조]를 볼 것이다. 여기서 비판적 관점을 가지기 위해서는 [특정한 이론체에 의해 가이드되어, 학생의 자율성을 억압하는 다양한 형태의 권력]을 이해하는 것을 필요로 한다. 예를 들어, Bocatay와 동료들은 교차 분석을 사용하여, 의과대학에 대한 학생들의 경험이 그녀의 특정한 정체성에 의해 어떻게 형성되는지를 강조하여, [권력이 임상 환경을 통해 사람의 여정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완전히 다른 관점을 만들어 냅니다. 그들은 [어떻게 구조적인 형태의 권력]이 [고정관념의 위협, 자원에 접근할 기회의 감소, 의료진입 촉진 기회의 감소, 평가의 편향, 구조적 인종차별 및 관련 microaggression, 직업적/인종적 정체성이 통합된 내적 갈등, 인식된 '적합성'에 기초한 특정 역할에 대한 제한된 접근]을 통해 [학생들을 배제의 문화]에 embed 시키는지를 기술한다.
If we view the same study from the lens of agentic power, then we encounter an entirely new set of considerations. First, we would see the larger social structures that constrain the possibility that a particular medical student could exercise their autonomy. A critical perspective here would require us to understand the various forms of power that work to oppress the autonomy of the student, guided by a specific body of theory. For example, Bochatay and colleagues use an intersectional analysis to highlight how a medical student's experience of medical school is shaped by her particular identities, generating an entirely different perspective of how power influences a person's journey through the clinical environment.73 They describe how structural forms of power may embed students in a culture of exclusion through stereotype threat, fewer opportunities to access the preceding resources and opportunities to facilitate entry into medicine, bias in assessment, structural racism and related microaggressions, an internal conflict integrating professional and racial identities, and limited access to certain roles based on perceived ‘fit’.73

 

8 임상 계층 내 힘의 수평 흐름
8 HORIZONTAL FLOW OF POWER IN THE CLINICAL HIERARCHY

또한 의료 학습자의 경험을 계층이 어떻게 형성하는지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권력의 수평적 흐름에 대한 관심이 중요합니다. '권력의 수평적 흐름'이라는 말은, 동일한 수직 순위를 공유하는 개인의 상호 작용 및 그 개인들 사이의 2차적 위계를 지칭한다. 학습을 위한 피어 투 피어 상호작용의 중요성과 공유 목표와 활동에 대한 참여와 관련된 책임을 고려할 때 임상 위계 내 수평적 상호작용은 의료 교육과 매우 관련이 있다. 
Attention to the horizontal flow of power is also important for understanding how hierarchies shape the experiences of medical learners. By horizontal power flow, we refer to the interactions of individuals who share the same vertical rank, as well as the secondary stratification of those individuals. Horizontal interactions within the clinical hierarchy are very relevant to medical education, given the recognised importance of peer-to-peer interactions for learning and the accountability associated with engagement in shared goals and activities.59

교실과 클리닉에서는 사회적 규범이 그룹 내에서 허용되는 행동을 확립합니다. 여기서, 그룹 구성원은 [다른 그룹 구성원의 행동을 감시]하고, [비공식적인 사회적 제재나 보상]을 사용하여 [일부 유형의 행동을 장려하고, 다른 유형의 행동을 억제할 것]이 장려된다. 벵거는 이것을 ['수평적 책임']이라고 불렀는데, 이 경우 그룹의 상호 활동이나 목표는 협상과 실천 기준의 시행을 필요로 한다. 수십 년 전, Friedson과 Rhea는 어떻게 의사 그룹이 지시, 우호적인 토론 또는 수치심을 제공하는 것과 같은 개입을 통해 서로의 행동을 비공식적으로 관찰하고 형성했는지에 대해 기록했습니다. 최근 Tarrant 등은 [동료의 행동을 형성하기 위해 사용하는 다양한 전략]을 설명했습니다. 여기에는 조언이나 도움의 제안, 질문, 주의사항, 날카로운 말, 교육, 농담 등이 들어간다. 일부(예: 조롱과 증거 호출)는 위계에서 유사한 위치를 공유하는 사람들 사이에서 발생할 가능성이 더 높았지만, 이러한 상호작용 전략은 수직적, 수평적 위계에서 모두 사용되었다. 동료의 피드백과 협업에 대한 향후 조사에서는 의학에서 학습자가 [동료와 피드백을 공유하기 위한 의지와 신뢰성]에 대해 위계적 위치hierarchical positions가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 고려할 수 있다. 이는 중요한 피드백을 공유하기를 꺼리는 발견을 설명하고 팀의 역동성을 개선하기 위한 제안을 제공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기 때문이다.
In the classroom and the clinic, social norms establish acceptable behaviour within groups. Here, group members are incentivised to monitor the behaviour of other group members and use informal social sanctions or rewards to encourage some types of action and to discourage others. Wenger has called this a ‘horizontal accountability’, where the mutual activities or goals of a group require the negotiation and enforcement of standards of practice.59 Decades ago, Friedson and Rhea documented how a group of physicians monitored and shaped each other's behaviour informally through interventions such as offering instruction, friendly discussion, or shame.34 More recently, Tarrant and colleagues described a variety of strategies to shape the behaviour of peers: suggestions and offers of advice or help, questions, reminders, sharp words, education and banter.74 These interactional strategies were used both vertically and horizontally, although some (e.g., bantering and invoking evidence) were more likely to occur between those sharing similar positions in the hierarchy.74 Future inquiry into peer feedback and collaboration may consider how hierarchical positions influence the willingness and credibility of medical learners to share feedback with peers, as it may help explain findings of reluctance to share critical feedback and offer suggestions for improving team dynamics.75, 76

[권력의 구조적 형태]는 [동일한 임상 등급에 있는 개인]들 사이에서의 [수평적 계층화] 또는 [차별화differentiation]와도 관련이 있다. 젠킨스는 의학에서 비공식적인 수평적 위계에 대한 그녀의 관찰을 설명하기 위해 지위 분리의 개념을 도입한다. 젠킨스는 미국 병원 두 곳의 내과 레지던트들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 계급, 국가 출신 및 교육 혈통이 미국에서 교육받은 의학박사(MD)와 오스테오패스 의학박사(DO) 학위를 가지고 있거나 국제적으로 교육받은 레지던트들 간의 뚜렷한 분리를 초래하는 것을 관찰했습니다. 그녀는 사회적 가치를 바탕으로 그룹이 계층화될 때 신분 분리가 발생하며, 이러한 분리는 사회적 계층, 후원 및 훈련의 불평등에 기초한 계층화의 누적 효과에서 비롯된 능력의 차이에서 비롯된다고 가정한다.

Structural forms of power are also relevant to horizontal stratification or the differentiation of individuals at the same clinical rank. Jenkins introduces the concept of status separation to explain her observation of informal horizontal hierarchies in medicine.13 In her study of internal medicine residents at two American hospitals, Jenkins observed how class, national origin and educational pedigree results in a distinct separation between residents who are US-trained Doctors of Medicine (MDs) and those who have a Doctor of Osteopathic Medicine (DO) degree or trained internationally.13 She posits that status separation occurs when a group is stratified on the basis of social worth and that this separation results from perceived differences in merit that emanate from the cumulative effects of stratification based on social class, sponsorship and inequalities in training.

[권력의 구조적 형태와 관련된 특징]에 기초한 이러한 유형의 [수평적 계층화]는 [의과대학 입학 과정에 사용되는 '능력merit'의 정의]에 반영된다. 능력merit은 종종 자원, 연결 및 기회에 대한 접근을 reward하는 역할을 한다. 기준을 설정한 집단에서 [지원자마다 사회적 자본에 접근할 수 있는 기회가 다르다는 것]을 인정하지 않을 때 [구조적 권력]이 작용하며, 이는 '우수성excellence'을 입증하거나 강화할 수 있는 기회에 영향을 미칩니다. [사회적 자본에 대한 이러한 차등적 접근]은 종종 인종, 계급 및 성별에 기초한 특권과 관련이 있으며, 시간이 지남에 따라 일부 집단을 교육, 학습 및 의료 개업에서 배제하는 복합적인 효과가 있습니다. [억압적인 유산oppresive legacies]이 의학 학습자의 경험을 형성하는 방식을 인식하는 것이 향후 작업의 핵심 영역입니다. 
This type of horizontal stratification based on features related to structural forms of power is echoed in the definitions of merit used in medical school admissions processes, which often serve to reward access to resources, connections and opportunities.19, 77 Structural power is at work here when the group who sets the standards does not acknowledge that applicants vary in their access to opportunities to access social capital,78 which influences their opportunity to demonstrate or enhance ‘excellence’.20 This differential access to social capital is often related to privilege based on race, class and gender77, 79 and has a compounding effect over time, excluding some groups from teaching, learning and practicing medicine. Acknowledging the ways that oppressive legacies shape the experiences of medical learners is a key area for future work.80-82

9 결론
9 CONCLUSION


이 에세이에서는, 의학교육 scholarship에 권력과 위계질서가 어떻게 통합될지에 대해 몇 가지 고려사항을 제시한다. 임상 작업 공간을 형성하는 여러 위계와 이러한 위계의 [유동성]과 [석회화]의 영향을 강조함으로써, 우리는 의학 교육에서 힘의 방향 흐름에 대한 일반적인 가정이 실제로 이러한 개념의 통합을 더 의미 있는 방법으로 제한하는 데 기여할 수 있다는 주장을 펼친다. 건강 전문가들이 배우고 실천하는 방법에 대한 우리의 집합적인 연구에서는 학습자들이 마주치는 상호작용적이고 구조적인 형태의 파워가 어떻게 행동, 신념 및 스킬을 형성하는지 검토할 수 있는 많은 기회가 있습니다. 이러한 질문들을 수용하는 것은 교육 과학자들에게 친숙한 문제들에 대한 많은 새로운 관점을 열어준다.

In this essay, we offer some considerations for how power and hierarchy might be incorporated into medical education scholarship. By highlighting the multiple hierarchies that shape clinical workplaces, and the effect of the fluidity and calcification of these hierarchies, we make the argument that common assumptions about the directional flow of power in medical education may actually serve to constrain the incorporation of these concepts in a more meaningful way. In our collective study of the ways that health professionals learn and practice, there are many opportunities to examine how the interactional and structural forms of power learners encounter shape their actions, beliefs and skills. Bringing these questions to bear opens up many new perspectives on familiar issues for education scientists.

 


Med Educ. 2022 Jan;56(1):91-97.

 doi: 10.1111/medu.14659. Epub 2021 Sep 15.

Thinking about social power and hierarchy in medical education

Affiliations collapse

Affiliations

1Department of Family Medicine, McMaster University, Hamilton, Ontario, Canada.

2McMaster FHS Program for Education Research, Innovation and Theory (MERIT), McMaster University, Hamilton, Ontario, Canada.

PMID: 34491582

DOI: 10.1111/medu.14659

Abstract

Context: Social power has been diversely conceptualised in many academic areas. Operating on both the micro (interactional) and macro (structural) levels, we understand power to shape behaviour and knowledge through both repression and production. Hierarchies are one organising form of power, stratifying individuals or groups based on the possession of valued social resources.

Discussion: Medicine is a highly organised social context where work and learning are contingent on interaction and thereby influenced greatly by social power and hierarchy. Despite the relevance of power to education research, there are many unrealized opportunities to use this construct to expand our understanding of how physicians work and learn. Hierarchy, when considered in our field, is typically gestured to as an omnipresent feature of the clinical environment that harms low-status individuals by repressing their ability to communicate openly and exercise their agency. This may be true in many circumstances, but this conceptualization of hierarchy neglects consideration of other aspects of hierarchy that may be generative for understanding the experiences of medical learners. For example, medical learners may experience the superimposition of multiple hierarchies, some of which are fluid and some of which are calcified, some of which are productive and helpful and some of which are oppressive and harmful. Power may work 'up' and 'across' hierarchical ranks, rather than just from higher status to lower status individuals.

Conclusion: The conceptualizations of how social power shapes human behaviour are diverse. Often paired with hierarchy, or social arrangement, these social scientific ideas have much to offer our collective study of the ways that health professionals learn and practice. Accordingly, we posit that a consideration of the ways social power works through hierarchies to nurture or harm the growth of learners should be granted explicit consideration in the framing and conduct of medical education research.

비-서구 문화권에서 의료 전문직업성 프레임워크: 내러티브 개괄(Med Teach, 2016)
Medical professionalism frameworks across non-Western cultures: A narrative overview
A. Al-Rumayyana, W. N. K. A. Van Mookb,c, M. E. Magzoubd, M. M. Al-Erakye,f, M. Ferwanaa, M. A. Khana and D. Dolmansb

 

서론
Introduction

지난 25년 동안, 의료 전문직업성에 대한 정의와 합의에 관한 상당한 문헌이 출판되었습니다. 그러나 서양문화의 전문 의료기관이 실시한 연구에서는 이를 [사회와 의료전문직의 계약 이행]으로 규정했다. 1980년대 초 미국내과학회(ABIM)는 다음과 같은 전문성 요소를 결정하는 휴머니즘 프로젝트를 시작했습니다: 책임감, 이타심, 탁월함, 의무, 성실성, 명예. 이 프로젝트는 적어도 미국 사회에서 현대 의학 전문성의 요소와 의미를 정의하는 데 중요한 공헌으로 여겨졌다.
Over the past 25 years, substantial literature has been published on definitions and consensus on medical professionalism (Cruess et al. 2000; ABIM Foundation et al. 2003). However, studies done by professional medical organizations in Western culture thus defined it as a fulfillment of the medical profession’s contract with society (Sohl & Bassford 1986; Pellegrino & Relman 1999). In the early 1980s, the American Board of Internal Medicine (ABIM) started its project on Humanism in which the following elements of professionalism were determined: accountability, altruism, excellence, duty, integrity, and honor (Evetts 2003; Zijlstra-Shaw et al. 2012). This project was considered an important contribution to defining the elements and meaning of contemporary medical professionalism at least in the American society.

이와 관련, 미국 내과의사협회, 미국 내과의사협회, 미국 내과의사위원회 및 유럽 내과의사연맹은 2002년에 의료 전문성에 관한 의사 헌장을 제정했다. 이 중요한 문서에는 사회 정의, 환자 자율성, 환자 복지의 우선을 포함한 의료 전문직업성의 세 가지 기본 토대와 10가지 전문직업적 책임을 함께 열거되어 있다.

  • 환자와의 정직성, 
  • 전문적 역량, 
  • 환자의 기밀성에 대한 헌신, 
  • 질 향상 및 진료 접근성 향상, 
  • 환자와의 적절한 관계 유지, 
  • 과학적 지식, 
  • 신뢰 유지, 
  • 이해 충돌 관리, 
  • 전문직업적 책임
  • 유한 자원의 분배. 

In a related important development, the American College of Physicians, the American Society of Internal Medicine, the American Board of Internal Medicine, and European Federation of Internal Medicine established a Charter for Physician on medical professionalism in 2002. This important document listed three basic foundations of medical professionalism including, social justice, patient autonomy, and primacy of patient welfare, (General Medical Council 2001) along with 10 professional responsibilities, that include:

  • honesty with patients,
  • professional competence,
  • commitment to patients’ confidentiality,
  • improving quality and access to care,
  • maintaining appropriate relationships with patients,
  • scientific knowledge,
  • maintaining trust,
  • managing conflicts of interest,
  • professional responsibilities, and
  • just distribution of finite resources (ABIM Foundation et al. 2003).

그 결과, 역량 기반 커리큘럼과 전문 트레이닝 프로그램이 도입되고 있어 전문성은 학부·대학원 연수·평가 프로그램의 불가결한 부분이 되고 있습니다. 이러한 변화들 중 일부는 일부 사회와 문화로 제한될 수 있는 반면, 다른 것들은 다른 것들보다 더 두드러진다.

As a result, the competence-based curriculum and professional training programs are being introduced, and professionalism is made an integral part of undergraduate and postgraduate training and assessment programs. Some of these changes may be limited to some societies and cultures, whereas others are more prominent in others.

의대생에게 의학 전문직업성을 가르칠 때는 [환자의 이익을 의사의 이익보다 우선시]하는 것을 포함한 기본적인 사회적 계약을 반영해야 한다(Cruess 2006). 따라서 Physician Charter의 편집자가 말한 것처럼, 의료 전문직업성의 사회문화적 맥락의 중요성은 더욱 가치 있고 두드러진다. "이 문서는 헌장 저자들이 의술을 실천한 서양 문화 이외의 문화에서 의학의 전통을 반영하는가?" (Blank et al. 2003) 의료 전문직업성에 대한 보편적인 진실은 없다. Ho et al(2011)은 의료전문성 적용성의 서구적 틀에 도전하여 대만 이해관계자의 가치와 문화유산을 반영한 전문성 틀을 제안했다(Irvine 1997). 많은 연구자들은 의학 전문직업성은 [어떤 문화에서든 맥락적 연결에 관한 명확한 기술이 필요하다]고 제안했다. 문화적 배경은 이론적으로는 전문직업성 개념에 문화적 특정 요소를 추가할 수 있지만(Hafferty 2006), 다른 한편으로는 매우 제한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전문직업성 개념에 대한 영역이 중복되어 있어 전문직의 전문직업성적 특성에 대한 공감대는 아직 검증되지 않았다.

When medical professionalism is taught to medical students, it should reflect the underpinning social contract including placing the of patients’ interests above those of physicians (Cruess 2006). The importance of a sociocultural context of medical professionalism thus becomes more valuable and outstanding as voiced by the Physician Charter editor; “Does this document reflect the tradition of medicine in cultures other than those in the West, where the authors of the charter have practiced medicine?” (Blank et al. 2003).There is no universal truth about medical professionalism. Ho et al. (2011) challenged the Western framework of medical professionalism applicability and proposed a framework of professionalism reflecting the values and the cultural heritage of Taiwanese stakeholders (Irvine 1997). Many researchers suggested that medical professionalism needs a clear description that should be contextually linked to any culture (Van De Camp et al. 2004; Wear & Kuczewski 2004; Hafferty 2006; Woodruff et al. 2008). Cultural backgrounds may theoretically add cultural-specific elements to the concept of professionalism (Hafferty 2006), but on the other hand these are herein shown to be very limited (Cruess et al. 2010). The areas on the concept of professionalism are overlapping; therefore, the consensus on professional characteristics for professionals is not yet validated.

의학교육에서 [여러 문화권에 걸친 전문직업성의 개념화]를 강조하는 것은 [사회적 핵심 가치와 지역사회의 필요성에 대한 인식 차이]에 대응한 것이다. 동양 세계의 가치와 신념은 [집단의 역동성과 존엄화된 페르소나]의 관점에서 유교적 전통에 의해 추진되는propelled 반면, [전문직업성의 진화와 담론]은 서양 문화에서 더 두드러진다(Cruess 2006). 포함된 연구 중 일부에서는 서양의 전문직업성 개념을 문자 그대로 활용했고, 다른 연구에서는 다른 출처의 개념을 인용했다. 이러한 인용은 문화적 전통이 의료 전문성에 미치는 영향에 다른 개념을 가져왔다.
The emphasis on conceptualization of professionalism in medical education across cultures has come in response to perceived differences in societal core values and community needs. While Eastern world values and beliefs are propelled by Confucian traditions in terms of group dynamics and dignified persona (Ho et al. 2011), the evolution and discourse of professionalism are more prominent in the Western culture (Cruess 2006). In some of the included studies, utilization of the Western concept of professionalism was literal (Akhund et al. 2014; Nishigori et al. 2014), and other studies (Ho et al. 2011; Chandratilake et al. 2012; Al-Eraky et al. 2014) included cited concepts from other sources (Cruess et al. 2002; Cruess 2006; Cruess et al. 2010). These citations brought different concepts on the influence of cultural traditions on medical professionalism.


비서방 문화권, 특히 중국과 사우디아라비아의 다른 조사자들은 이러한 추세를 따랐다. Pan 등은 [모든 맥락을 포용하며, 모든 맥락에 적용할 수 있는 전문적 프레임워크는 없다]고 주장했다. 이 연구는 세 가지 비서구적인 전문성 프레임워크를 식별한다. 목표는 세 가지이다.

  • (1) 세 가지 프레임워크와 그 문화 고유의 요소를 설명한다.
  • (2) 세 가지 프레임워크 간의 공통점을 설명한다. 
  • (3) 그 차이점을 설명한다.

Other investigators from non-Western cultures especially China and Saudi Arabia followed this trend Pan et al. (2013). They all advocated that there is no professionalism framework that is comprehensive and applicable in all contexts. This study identifies three non-Western framework of professionalism; the aim is three folds:

  • (1) to describe the three frameworks and their culture-specific elements,
  • (2) to describe the commonalities among the three frameworks, and
  • (3) to describe the differences between them.

방법들
Methods

이 연구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해 내러티브 개괄narrative overview을 사용했다. 서술적 개요는 일반적으로 각 기사의 내용을 요약한 형식으로 저자들의 연구 결과를 보고한다. 이 방법을 사용하는 가장 큰 이유는 기준에 부합하는 기사를 4개만 발견했기 때문입니다. 둘째, 저자들이 비서양 문화권의 전문성 등 중요한 이슈를 조명해 토론을 자극하고 현안 질문에 답하려 할 때 가장 적합하다. 우리의 경우, 우리는 포괄적인 문헌 검토와 기사 선정 기준의 파악을 통해 앞서 언급한 연구 질문에 답하려고 노력하고 있다.

A narrative overview was used to realize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A narrative overview reports the authors’ findings in a condensed format that typically summarizes the contents of each article (Green et al. 2006). The main justification of using this method is the fact that we found only four articles that met the criteria. Second, it is most suitable when the authors intend to bring an important issue such as professionalism in non-Western cultures to light for stimulating discussion and try to answer a pending question. In our case, we are trying to answer our research questions addressed earlier through conducting a comprehensive literature review, and identifying selection criteria of articles.

문헌 검색
Literature search

이 검토에는 1947년부터 현재까지 가장 중요한 국제 생물의학 문헌을 다루는 PubMed, Embase(최신 데이터베이스, PsychInFO, Educational Resources Information Center(ERIC; 교육 정보 센터), 사회학적 추상화, TIMELIT(Topics in Medical Education) 등 여러 방법이 사용되었다. PubMed는 1966년부터 시작되는 문헌을 다루는 우리의 연구와 더 관련이 있다. 2002년부터 2014년까지 PubMed 데이터베이스에 대한 검색을 제한했습니다. 그 해 「Physician Charter」가 확립되었기 때문입니다. 표 1은 검색에 사용된 용어를 보여 줍니다. 선택된 모든 연구의 참조는 이후 손으로 검색되었다. 체계적인 검토, RCT, 보고서 및 저널 기사를 포함한 정량적 및 정성적 연구가 연구의 목적으로 사용되었다. 표 2는 데이터베이스의 히트 수를 나타내고 있습니다. 두 명의 검토자는 총계와 요약본을 스캔하여 선택된 모든 연구의 포함 기준을 평가했다. 기사의 참조 리스트를 스캔 해, 의료 프로페셔널리즘과 같은 중요한 작업을 통합할 수 있는 한층 더 관련 있는 연구를 취득했습니다. 그 후, 동일한 두 검토자가 편견의 위험을 고려하여 전문 기사를 검색하여 검토하였다.

Multiple methods was used in this review including: PubMed; Embase (an up-to-date database, PsychINFO, Educational Resources Information Centre (ERIC); Sociological Abstracts; and Topics in Medical Education (TIMELIT) were covering the most important international biomedical literature from 1947 to the present day. PubMed is more relevant to our study which covers the literature starting from 1966. We limited our search on PubMed database from 2002 to 2014 because the “Physician Charter” was established in that year. Table 1 showed the terms used for the search. References of all selected studies were subsequently hand-searched.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research including systematic reviews, RCT, reports, and journal articles was used for the purpose of the study. Table 2 showed the numbers of hits in the database. Two reviewers assessed the inclusion criteria of all selected studies by scanning the totals and the abstracts. The reference list of the articles was scanned to retrieve the further relevant studies enabling us to incorporate seminal work such as the Medical Professionalism. Subsequently, full text articles was retrieved and reviewed by the same two reviewers taking in consideration the risk of biases.

 

 

포함 기준
Inclusion criteria

비서양 문화에서 의료 전문성을 다루는 연구는 다음과 같은 선정 기준에 따라 선정되었습니다. 
(1) 의사, 의대생, 의대교사, 의료교육자, 구급대원을 모집한 의료전문성에 관한 모든 종류의 원본 기사 
(2) 비서양 문화 전반에 걸친 의료 전문성과 그 치수를 정의한 연구 
(3) 영어로 출판된 연구

Studies addressing medical professionalism in non-Western culture were selected based on the following selection criteria:

  • (1) any type of original article on medical professionalism that recruited physicians, medical students, medical teachers, medical educators, and paramedical staff,
  • (2) research that defined medical professionalism and its dimensions across non-Western cultures, and
  • (3) studies published in English language.

 

제외 기준
Exclusion criteria

비의료/패러메디컬을 포함한 서양 문맥에서 수행된 연구는 제외되었다.

Studies conducted in Western context, included non-medical/paramedical, and in non-English language were excluded.

 

결과.
Results

144개의 전문이 추가 검토를 위해 최종 후보 명단에 올랐으며, 131개의 연구는 비의료 전문성에 중점을 두었기 때문에 제외되었다. 비서양 문화에서 전문직업성을 다룬 기사는 13건뿐이었다. 이 13개 연구 중 [오직 4개 연구]만이 문화 특이적 요소를 포함하는 독특한 비서구적 프레임워크를 가지고 있었다. 이 네 가지 연구로부터 오직 세 개의 다른 프레임워크만이 중국어로 확인되었고 대만 연구는 둘 다 하나의 프레임워크에 초점을 맞추고 있었다. 표 3은 포함된 연구의 특성을 보여준다. 상자 1 ~ 3은 세 가지 프레임워크를 설명합니다. 다른 9개의 연구는 서양의 관점을 통해 전문성을 보기 때문에 제외되었다. 표 4는 3개의 비서양 문화에서 발견된 24개의 속성을 보여줍니다. 3개의 프레임워크에서 공통되는 속성은 3개뿐이며, 12개의 속성은 적어도 2개의 문화에서 공유됩니다. 나머지 9가지 속성은 각 문화마다 고유하다. 즉, 적어도 하나의 문화에서 발견된다.
One hundred and forty-four full-texts were shortlisted for further review; 131 studies were excluded due to its focus on non-medical professionalism. Only 13 articles addressed professionalism in non-Western culture. From these 13 studies, only 4 studies had a unique non-Western framework which includes culture-specific elements. From these four studies, only three different frameworks were identified as the Chinese and the Taiwanese studies were both focusing on one framework. Table 3 presents the characteristics of the included studies. Boxes 1–3 describe the three frameworks. The other nine studies were excluded because they look at professionalism through a Western lens. Table 4 presents 24 attributes found in the three non-Western cultures. Only 3 attributes are common among the three frameworks, while 12 attributes are shared by at least two cultures. The remaining nine attributes are unique to each culture i.e. are found at least in one culture.

 

 

Box 1 중국 문화의 관점에서 본 프레임워크
Box 1 Framework from Chinese cultural perspective

중국의 문화적 관점에서 Ho et al(2011) 프레임워크는 그리스 사원 형태의 스턴의 의료 전문성 프레임워크로 구성되며,

  • 3개의 기본 원칙(소통, 임상 능력, 윤리),
  • 4개의 기둥(설명성, 휴머니즘, 우수성, 이타주의)
  • 빔(integrity)을 포함하고 있다. 빔은 기둥을 위에서 가로지르고 있다. 빈 기둥이 있어서 전문직업성의 가치를 추가하는데 사용할 수 있다.

From China’s cultural perspective, Ho et al. (2011) framework consists of Stern’s medical professionalism framework in the shape of a Greek temple and includes

  • three basic principles (communication, clinical competence, and ethics),
  • four pillars/columns (accountability, humanism, excellence, and altruism), and
  • a beam (integrity), the beam across the top of the columns. Included blank columns are to be used for additional values for professionalism.

그들은 중국 문화에서 integrity과 관련된 문화 개념인 자중(자기 존엄과 존경)을 사용했다. 저자들은 존경과 자긍심을 갖는 것이 전문성 발달의 기본 단계라고 생각하고 그것을 지지 기둥의 맨 위에 대들보로 배치했다. 의료 전문성의 이러한 속성은 서양 문화와 유사하지만, 모든 참가자들이 Zizhong의 개념과 관련된 "integrity"을 추가하기로 동의했기 때문에 이 프레임워크는 Stern에서 벗어난다. 이 틀은 대만과 중국 신앙체계의 문화적 뿌리에 깊이 박혀 있다. Ho와 그녀의 동료들에 대한 연구는 그들의 문화적 맥락에서 전문직업성의 개념을 개발하기 위해 공동체의 의료 전문가들과 구성원들이 포함되었다.

They used the cultural concept of Zizhong (self-dignity and respect) which is associated with integrity in Chinese culture. The authors consider that to be respectful and self-dignified is a fundamental steps in professional development and placed it as a beam on the top of the supporting column. Although these attributes of medical professionalism are similar to Western culture, this framework derails from Stern as all participants agreed to add “integrity” relating to the concept of Zizhong. This framework is deeply embedded in cultural roots of the Taiwanese and Chinese belief system. The study of Ho and her coworkers included allied health professionals and members from the community to develop the concept of professionalism in their cultural context.

Pan et al(2013)은 동일한 개념을 사용했다. 그러나 팀워크, 건강증진, 자기관리, 경제 등 네 가지 카테고리를 통합했다. 이 연구에 따르면, 8개의 범주가 integrity, 임상 능력, 커뮤니케이션, 휴머니즘, 윤리, 이타주의, 설명 책임, 탁월성을 포함한 기존의 틀을 제공했습니다. 이러한 범주는 Ho et al(2011) 및 서구 지향 문화 체계와 유사하다.
Pan et al. (2013) used the same concept. However, they integrated four additional categories of: teamwork, health promotion, self-management, and economics. According to this study, eight categories offered a preexisting framework, which included integrity, clinical competence, communication, humanism, ethics, altruism, accountability, and excellence. These categories are similar to Ho et al. (2011) and Western-oriented cultures frameworks.

 

박스 2 아라비아 프레임워크
Box 2 The Arabian framework

[아라비아 맥락]이란 아랍어를 공용어로 하고, 이슬람교가 대다수 인구의 종교인 중동의 아라비아 국가들에 의해 행해지고 있는 문화, 전통, 믿음, 그리고 행동의 혼합으로 인식될 수 있다. 이러한 행동과 전통은 반드시 이슬람 교리로부터 나온 것은 아니지만, 이러한 나라들 사이에서는 몇 가지 공통된 가치관이 표준으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비록 인종 집단, 부족, 지역 문화, 그리고 지역 실체에 차이가 있지만, 아랍 세계는 여러 독립 국가의 집합이라기 보다는 하나의 중요한 사회이다. 아라비아 맥락에서 알-에라키 외 연구진(2014)은 이슬람의 가치에 기초한 아라비아 문화의 맥락에서 의료 전문성의 [4대문 모델]을 설명했다. 8개의 전문적 속성이 다음과 같은 4개의 테마로 분류되었다.

  • (1) 자기자신을 다루는 것: 자기인식(taqwa)와 자기관리(ehtesab)
  • (2) 과제를 다루는 것: 수월성 다루기, 전문성 개발에 대한 헌신, 성찰적 실천
  • (3) 타인을 다루는 것: 환자, 동료 및 학생에 대한 존중, 전문적 기밀 유지
  • (4) 알라(신)를 다루는 것: 기존 문헌과 다르게, 자기-책무와 자기-동기가 알라(신)와 연계되어서, 이것은 (사람이 아닌) 알라로부터 전문직이 받는 보상이라고 정의했다.

The Arabian context can be perceived as the blend of culture, traditions, beliefs, and behaviors that are being practiced by nations of Arabian countries in the Middle East, where Arabic is the official language and Islam is the religion of majority of the population. Those behaviors and traditions are not necessarily derived from Islamic doctrines, but some common values have been accepted as the norm among populations of these countries. Although there are differences in ethnic groups, tribes, local cultures, and regional entities, the Arab world is a single, overarching society rather than a collection of several independent states. In Arabian context, Al-Eraky et al. (2014) described the Four Gates model of medical professionalism in the context of Arabian culture that is based on the value of Islam. Eight professional attributes were grouped into four themes which include:

  • (1) dealing with self that includes two attributes of self-awareness (taqwa) and self-management (ehtesab),
  • (2) dealing with tasks that deals with excellence, commitment to professional development, and reflective practice,
  • (3) dealing with others that reflects attributes of respect for patients, colleagues and students, and maintaining professional confidentiality, and
  • (4) dealing with Allah (God), a different stream in the literature that reflects attributes of self-accountability and self-motivation that link with Allah defined it as a reward professionals receive from Allah, not from people.

박스3 일본문화의 관점에서 본 프레임워크
Box 3 Framework from Japanese cultural perspective

니시고리 외 연구진(2014년)은 일본의 문화적 맥락에 대해 "무사의 길"은 전문성에 대응한다는 가치체계라고 표현했다. 이 개념은 사무라이의 고대 무사들로부터 추출된 일본의 개인 행동 규범을 상징한다. 무사도의 틀에서 일곱 가지 주요 덕목은 청렴, 정직, 자애, 공손, 용기, 명예, 충직이다

With respect to Japanese cultural context, Nishigori et al. (2014) described the concept of Bushido as a value system that means, “the way of the warrior,” is corresponding to professionalism. This concept symbolizes a Japanese code of personal conduct extracted from the ancient warriors of Samurai. Seven principal virtues were grouped in the framework of Bushido are

rectitude (gi),
honesty (sei),
benevolence (jin),
politeness (rei),
courage (yu),
honor (meiyo), and
loyalty (chugi).

청렴은 사람이 이성에 따라 흔들림 없이 생각하고, 결정하고, 행동하는 방식을 나타냅니다. 그것은 사무라이의 가장 중요한 속성으로 여겨지는 첫 번째 속성이다. 

용기(氣)는 일본의 틀에 특화된 두 번째 덕목이며, 즉 위험에 직면했을 때 어떻게 서고 걷고 행동하고 적절한 행동을 하는지를 나타내는 용기(氣)의 정신이다.

세 번째 덕목인 자애(진)는 사랑, 동정, 연민의 개념을 결합한다. 그것은 인간의 영혼에서 가장 높은 속성으로 평가된다. 그것은 의학에 의해 "인혜로운 예술로서의 약"으로 번역되어 왔다.

일본인은 병원 직원이나 가족 등 집단의 이익과 요구에 대한 충성심을 중시해 개인의 이익과 요구보다 집단의 요구를 중시한다. 그러므로, 무사도는 가족과 그 구성원의 이익을 결합했다.

Rectitude (gi) represents the way a person thinks, decide, and behave based on reason, without wavering. It is the first attribute considered as the most important attribute of the Samurai.

Courage (yu) is the second virtue which is culture specific to Japanese framework means the spirit of bearing and daring, in other word, how one stands, walks, behaves, and doing the appropriate acts when facing danger.

Benevolence (jin), as a third virtue, combines the concepts of love, sympathy, and pity. It is valued as the highest attribute in the soul of human. It has been translated by medical practice as “medicine as a benevolent art.”

The Japanese have considered loyalty (chu-gi) to the interests and needs of the group such as hospital staff and family, and they place the needs of groups above individual interest and needs. Therefore, Bushido combined the interests of family and its members.

논의
Discussion

이 섹션에서는 먼저 세 가지 프레임워크에 대해 논의한 후 이들 간의 공통점과 차이점에 대해 논의한다.
In this section, we will discuss first the three frameworks followed by discussion of commonalities and differences among them.

중국의 프레임워크는 전문직업성의 개념화에 [자기존엄, 팀워크, 건강증진, 자기관리] 등의 측면에서 새로운 범주의 전문직업성을 추가했다. Pan et al (2013) 프레임워크의 강점은 지명된 그룹 기술(NGT)을 사용하는 다원적 전문가 그룹이 중국뿐만 아니라 다른 아시아 문화에서 의료 프로페셔널리즘의 사회적 문화적 속성을 우선시했다는 것이다.
The Chinese framework added new categories of professionalism in terms of self-dignity, team work, health promotion, and self-management to the conceptualization of professionalism. The strength of Pan et al.’s (2013) framework is that multidisciplinary expert groups using Nominated Group Technique (NGT) prioritized social and cultural attributes of medical professionalism which can benefit health-care providers not only in China but also in other Asian cultures.

아랍 문화에서 4대문 모델은 종교 중심 사회에서는 효과가 있을 수 있지만, 비이슬람 아랍 학생이나 교사, 또는 인도주의적 가치를 가진 기관에서는 효과가 없을 수 있습니다. 4개 게이트 모델은 4개의 논리적 영역(게이트)에서 결합되는 연결된 전문적 품질의 구조적 패턴으로 연결하기 위해 독립형 속성의 짧은 목록으로서 의료 전문성에 대한 고전적 인식에서 변화를 제안한다.
The Four-Gates Model in the Arab culture may work for faith-driven societies, but not for non-Muslim Arab students or teachers, or in institutions with humanistic values. The Four-Gates model suggests a move from the classical perception of medical professionalism as a short list of standalone attributes, to link them in a structural pattern of connected professional qualities as coupled in four logical domains (Gates).

자기 책임(self-accountability)을 사용하는 대신, Al-Eraky et al(2014)는 taqwa라는 용어를 도입했다. 프로페셔널리즘에서, 행동과 그 결과에 대한 의사의 본질적인 감각은 그들이 알라에게 대답할 수 있기 때문이다. 자기 동기부여에 대해서는, 의사들이 교육, 학습, 연구에 최선을 다하고 그 대가로 알라로부터 보상을 기대하는 새로운 ehtesab의 구조가 도입되었다. 흥미롭게도, 4게이트의 관심의 중심은 개인이고, 이는 8가지 속성 중 4가지 속성에서 "자신"의 존재로 나타난다. 의료 전문성은 우선 복잡한 의료 시스템에서 일할 수 있도록 전문가들을 준비시키는 것부터 시작됩니다. 요약하면, 6개의 속성으로 이루어진 마지막 3개의 테마는 각각 서구 문화의 틀과 비슷하지만, 이 아라비아 문화 관점에 대한 연구는 사회적 책무social accountability의 개념을 신의 대한 책무divine accountability과 연결시켰다.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프로페셔널리즘의 보편적 속성은 지역 규범과 신념 체계에 따라 다양한 맥락에서 다르게 해석된다.
Instead of using self-accountability, Al-Eraky et al. (2014) introduced the term taqwa; in professionalism, an intrinsic sense of doctor for action and its consequences because they are answerable to Allah. For self-motivation, a new construct of ehtesab in which doctors perform their best in teaching, learning, and research and in return expect reward from Allah was introduced. Interestingly, the center of attention of the Four-Gates is the individual, which is reflected with the presence of “self” in four out of eight attributes. Medical professionalism starts by preparing professionals – themselves – to work in a complex health-care system. In summary, although the last three themes each consisting of six attributes are similar to frameworks of Western culture, this study on the Arabian cultural perspective linked the concept of social accountability with divine accountability. As indicated above, the universal attributes of professionalism are interpreted differently in various contexts, based on the local norms and belief systems.

일본의 문화에 대해서는 의사 헌장 등 자주 언급되는 서양의 전문 가이드의 특성을 부시도 개념과 비교했다. 그들은 종교, 전통, 미덕의 효과를 포함한 속성들 사이의 유사점과 차이점을 설명했다. 연구진은 일본 문화에서 부시도의 7가지 원칙은 의학 전문성에 적용 가능하며 의사 헌장에 상당하다고 주장했다. 눈에 띄는 차이는 부시도에는 있지만 몇 가지가 '의사 헌장'에는 없다는 것이다. 무사도에는 일반적으로 '사회를 위한 행동 규범'으로 설명되는, '청렴' '용기' '예의' '명예' 등이 있다. 반대로 환자 자율성의 개념은 부시도 체제에서는 누락되어 있지만 서양 문화에서는 높이 평가되고 있다.
In regard to the Japanese culture, the attributes of a frequently referenced professionalism Western guide such as the Physician Charter were compared to the Bushido concept. They described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between the attributes including the effect of religion, traditions, and virtues. The researchers suggested that in Japanese culture Bushido’s seven principles were applicable to medical professionalism and were fairly comparable to Physician Charter (Nishigori et al. 2014). The notable differences pointed out was the omission of several commitments such as rectitude, courage, politeness, and honor in the Physician Charter that are mentioned and discussed in Bushido, as the Charter described medical professionalism, whereas Bushido explained generally as a code of conduct for the society. Prominent of other differences is the concept of patient autonomy of the individual which is omitted in the Bushido framework but is highly regarded in Western culture.

따라서 전문성에 대한 비서구적 관점을 다루는 연구는 의료인의 전문적 속성에 관한 몇 가지 주요 유사점과 차이점을 확인했다. 이러한 유사성과 차이는 다음 섹션에서 자세히 다룰 것이다.
The studies addressing non-Western perspectives on professionalism thus identified several key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regarding professional attributes of medical practitioners. Thes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will be addressed in more details in the next sections.

 

서양 이외의 연구에서 인용된 전문성의 공통점
Commonalities of professionalism cited in non-Western studies

이 세 가지 틀은 아랍 문화에 대한 믿음과 중국과 일본 문화에 대한 전통과 같은 문화적 규범에 의해 주도되고 깊이 영향을 받는다. 3개의 기사에서 총 24개의 속성이 식별되었다(표 4). 많은 개념들이 비서양적 문맥을 다루는 연구들 사이에서 비교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서양 문화와도 매우 유사했다. 예를 들어 이타주의, 정직과 진실성, 존경, 책임, 팀워크, 윤리, 임상 능력, 헌신과 소통, 환자의 권리와 환자의 보호 등이다. 

특히 동양에서 존중respect은 [강한 유대감connectivity]을 가지고 있으며, 가르치는 것뿐만 아니라 의료 환경에서 전문직업성을 실천하는 데에도 영향을 미친다. 이는 서양에서도 마찬가지지만, 현대 서구 사회에서는 교육과 환자 진료에 대한 의미가 다르다. 서양 이외의 사회에서는, 의학 교사와 학생, 그리고 의사와 환자의 직업적인 관계는, 가부장적 접근에 근거하고 있다. 이는 주로 전문직이 결정을 내리는 가부장적 접근에 기반하고 있으며, 서양에서는 더 이상 일반적인 관행으로 여겨지지 않는다. 요약하자면, 요소적 유사성은 전문성의 세 가지 비서구적 프레임워크 모두에서 공통분모이다.

These three frameworks are driven and deeply influenced by cultural norms such as faith in Arab culture and tradition in Chinese and Japanese cultures. A total of 24 attributes were identified from the three articles (Table 4). Many concepts not only were comparable among the studies addressing non-Western context, but also very much comparable to Western culture, such as altruism, honesty and integrity, respect, accountability, teamwork, ethics, clinical competence, commitment and communication, and protection of patient’s rights (Chiu et al. 2010; Adkoli et al. 2011; Ho et al. 2011; Pan et al. 2013; Akhund et al. 2014; Al-Eraky et al. 2014; Nishigori et al. 2014) and patients (Cruess et al. 2010; Chandratilake et al. 2012; Leung et al. 2012; Akhund et al. 2014). Notably, in the Eastern world (Al-Eraky et al. 2014; Nishigori et al. 2014), respect has a strong connectivity and influences not only in teaching but also practicing professionalism in medical settings. This is also true in the Western world, but its meaning for teaching and patient care is different in the contemporary Western society. In the non-Western society, the professional relationship between a medical teacher and a student, and likewise, the doctor and the patient is based on the paternalistic approach where decisions are usually made by professionals (Cruess et al. 2010), which has been abandoned as common practice in the Western world, moving toward shared decision-making. In summary, elemental similarities are common denominators in all three non-Western frameworks of professionalism.

서양 이외의 연구에서 인용된 전문성의 차이
Differences of professionalism cited in non-Western studies

세 가지 비서양 프레임워크에서 기술된 몇 가지 중요한 측면은 서구 프레임워크에서 두드러지게 누락되었다. 앞서 말한 세 개의 틀에 대한 깊은 문화적 영향의 공통점은 또한 각각의 문화가 MP에 반영되는 그들만의 고유한 가치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그들 사이의 주요한 차이점의 원천이다. 세 개의 틀 사이의 주요한 차이점은 문화, 우선순위 그리고 각 특성에 대한 해석과 관련이 있다. 예를 들어, 9개의 attribute는 3개의 프레임워크에서 공통 또는 공유되지 않습니다.
Several important aspects described in three non-Western frameworks were notably absent from the Western frameworks. The commonalities stated earlier by the deep cultural influence on the three frameworks are also a source of major differences between them due to the fact that each culture has its own unique values that are reflected in MP. The main differences between the three frameworks are related to culture and prioritization as well as interpretation of attributes. For instance, nine attributes are not common or shared by the three frameworks.

Ho et al(2011)이 Zzong 문화 개념에서 도출한 자기 존엄성과 존중Self-dignity and respect 은 Integrity과 동일하다. Al-Eraky et al(2014)은 알라(신)를 다루는 형태로 아라비아 문화의 의료 전문성의 틀에 독특한 차원을 도입했으며, 이 주제 아래 자기 책임(taqwa)과 자기 동기 부여(ehtesab)가 기술되었다. Pan et al(2013)과 Ho et al(2011)의 프레임워크는 특히 건강 증진, 자기 관리, 팀워크 및 전문성 촉진을 위한 경제적 고려사항 등 4가지 추가 주제 측면에서 다른 두 모델과 다르다.

Self-dignity and respect derived from the Zizhong culture concept by Ho et al. (2011) equate with integrity; Al-Eraky et al. (2014) introduced a unique dimension to the framework of medical professionalism in Arabian culture in the form of dealing with Allah (God), and under the umbrella of this theme, self-accountability (taqwa) and self-motivation (ehtesab) were described. Pan et al.’s (2013) and Ho et al.’s (2011) framework differs from the other two models in terms of four additional themes, especially health promotion, self-management, team work, and economic consideration in promoting professionalism.

이 리뷰는 비서방 연구 간의 차이점을 비교하면서 중국, 홍콩, 대만 지역에서 옹호, 형평성, 인본주의 및 경제적 고려의 속성을 발견한 반면 사우디아라비아와 일본의 문화에서는 전문성의 필수적인 속성을 발견했다. 이러한 속성은 의료 전문가 정신의 필수 요소로 간주되지 않는다. 이전 절에서 설명한 이러한 유사점과 차이점은 사회적, 경제적, 문화적 배경과 관련이 있다.
While comparing the differences between the non-Western studies, this review found the attributes of advocacy, equity, humanism, and economic considerations essential attributes of professionalism in the region of China, Hong Kong, and Taiwan whereas in Saudi Arabia and Japan’s culture, these attributes are not considered essential elements of medical professionalism. Thes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described in the previous sections relate to social, economic, and cultural backgrounds.

실제적 의미
Practical implication

또, 이 조사 결과나 문화의 직업적 속성에 대한 영향에 근거해, 아랍 문화에 대한 신앙이나 일본 문화에 있어서의 부시도등의 사회문화적 요소를 배경 변수로 포함시키는, 직업적 속성에 긍정적이든 부정적이든, 확장된 전문성의 틀을 제안할 수 있다. 속성의 우선순위 부여는 각 문화에 대한 중요성을 반영합니다. 제안된 모델은 환자 및 제공자 만족도와 같은 건강 고발자에 대한 전문적인 속성의 결과인 세 번째 수준을 추가하여 완성할 수 있다.
Based on the findings and the effect of culture on professional attributes, the study may propose an extended framework of professionalism to include sociocultural factors as background variables such as faith in Arabic culture and Bushido in Japanese culture; these background factors positively or negatively influence professional attributes. The prioritization of the attributes reflects the importance to each culture. The proposed model may be completed by adding a third level which is the outcome of professional attributes on health indictors such as patient and provider satisfaction as well as better health care.

이 연구는 전문직업성이 맥락적이라는 강력한 증거를 제시하며, 따라서 논리적으로 보자면, 의학 교육에서 전문직업성을 가르치고 평가할 때 [고유한 문화적 요소]를 커리큘럼과 CPD 프로그램에 포함시켜야 할 것이다. 그러나 제안된 확장된 전문성 모델과 다양한 맥락에서 전문성을 가르치고 평가하는 데 미치는 영향을 개발하고 경험적으로 테스트하기 위해서는 추가 연구가 필요합니다.

This study provides strong evidence that professionalism is contextual, and therefore including culture-specific elements in curricula and continuous professional development programs regarding teaching and assessing professionalism in medical education seems a logical consequence. Further research is however needed to develop and empirically test the suggested extended model of professionalism and the impact on teaching and assessing professionalism in different contexts.

 

연구의 한계
Limitations of the study

이 연구의 한계 중 하나는 방법으로서의 서술적 검토의 활용이다. 소수의 연구에 의존하는 이러한 유형의 검토는 발견의 일반화에 영향을 미치는 편향적인 요소를 우주에 가져올 수 있다 29-30. 다만, 개요를 실시하는 모든 스텝에 주의해, 보다 객관적으로 하기 위한 모든 조치를 취했습니다.
One of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is the utilization of narrative review as a method. This type of review which depends on few studies may bring an element of bias which affects generalization of findings to the universe 29-30. However, we took all the measures to make it more objectives by carefully following all the steps of conducting an overview.

결론들
Conclusions


이 서술적 개요는 네 가지 주요 발견을 드러냈습니다. 

첫째, 일본, 아랍권, 중국을 대표하는 알-에라키 외 연구진(2014년), 호 외 연구진(2011년), 판 외 연구진(2013년)의 세 가지 문화 맞춤형 비서구 프레임워크 개발을 시도한 연구는 4개뿐이었다. Pan et al(2013)은 Ho와 관련자들에 의해 개발된 프레임워크를 확장했다. 이러한 연구는 문화 고유의 요소를 출발 지역을 대표하는 의료 전문직업성의 독특한 개념적 프레임워크에서 제공했다. 

둘째, 확인된 세 개의 비서구 프레임워크는 보편적으로 칭찬받는 속성의 공통점을 가지고 있지만, 그것들은 다양한 문화에서 다르게 해석되었다. 예를 들어, Integrity은 중국 유교적 가치에서 Zizhong과 관련이 있는 반면, 자기 동기 부여와 자기 책임성은 아라비아 문맥에서 각각 taqwa와 ehtesab으로 해석되었다. 따라서 그 차이는 속성의 해석과 우선순위 부여에 관한 것이다. 의료 전문가 정신은 상황에 따라 다릅니다. 모든 국가에서 인정받을 수 있는 단일한 프로페셔널리즘의 틀은 없다. 전문직이 무엇에 전념하는지를 이해하고 그 개념을 의대생과 의사의 전문적 정체성 형성에 반영하기 위해서는 문화지향적 전문성 개념이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저자는 의료에 대한 결과로 이어지는 속성의 배경으로서 문화를 포함하는 확장된 프레임워크를 제안한다.

This narrative overview revealed four major findings.

First, only four studies attempted to develop a three culture-tailored non-Western framework for medical professionalism (Nishigori et al. 2014); Al-Eraky et al. (2014), Ho et al. (2011), and Pan et al. (2013) representing Japan, Arab world, and China, respectively were identified. Pan et al. (2013) extended the framework developed by Ho and associates (Ho et al. 2011). These studies provided culture-specific elements in a unique conceptual framework of medical professionalism representing the region they originated from.

Second, the three identified non-Western frameworks have commonalities of universally praised attributes, but they were interpreted differently in various cultures. For instance, integrity was relevant to Zizhong in Chinese Confucian values, while self-motivation and self-accountability were interpreted as taqwa and ehtesab in Arabian context, respectively. The differences thus concern the interpretation and prioritization of the attributes. Medical professionalism is context-specific. There is no single framework on professionalism that can be globally acknowledged. A culture-oriented concept of professionalism is necessary to understand what the profession is dedicated to and to incorporate the concept into the medical students’ and physicians’ professional identity formation. Finally, the authors propose an extended framework to include culture as background to attributes leading to an outcome on health care.

 


Med Teach. 2017 Apr;39(sup1):S8-S14.

 doi: 10.1080/0142159X.2016.1254740. Epub 2017 Mar 5.

Medical professionalism frameworks across non-Western cultures: A narrative overview

 

1a College of Medicine , King Saud bin Abdulaziz University for Health Sciences , Riyadh , Saudi Arabia.

2b Department of Medical Education , Maastricht University , Maastricht , The Netherlands.

3c Department of Intensive Care Medicines , Maastricht University Medical Centre , Maastricht , The Netherlands.

4d World Health Organization - Eastern Mediterranean Regional Office , Cairo , Egypt.

5e Department of Medical Education , University of Dammam , Dammam , Saudi Arabia.

6f Department of Medical Education , University of Zagazig , Zagazig , Egypt.

PMID: 28417688

DOI: 10.1080/0142159X.2016.1254740

Abstract

Background: Medical professionalism is context-specific, but most literature on professionalism stems from Western countries. This study is about benchmarking of different frameworks on professionalism and interpreting the commonalities and discrepancies of understanding professionalism across different cultures. We need to study the cultural underpinning of medical professionalism to graduate future "global" practitioners who are culturally sensitive enough to recognize differences (and also similarities) of expectations of patients in various contexts.

Aim: This study aims at describing culture specific elements of three identified non-Western frameworks of professionalism, as well as their commonalities and differences.

Method: A narrative overview was carried out of studies that address professionalism in non-Western cultures in the period 2002-2014.

Results: Out of 143 articles on medical professionalism, only four studies provided three structured professionalism frameworks in non-Western contexts. Medical professionalism attributes in non-Western cultures were influenced by cultural values. Out of the 24 identified attributes of professionalism, 3 attributes were shared by the three cultures. Twelve attributes were shared by at least two cultures, and the rest of the attributes were unique to each culture.

Conclusions: The three frameworks provided culture-specific elements in a unique conceptual framework of medical professionalism according to the region they originated from. There is no single framework on professionalism that can be globally acknowledged. A culture-oriented concept of professionalism is necessary to understand what the profession is dedicated to and to incorporate the concept into the medical students' and physicians' professional identity formation.

 

피드백의 심리적 안전: 무엇이며, 교육자들은 어떻게 배우는가? (Med Educ, 2020)
Psychological safety in feedback: What does it look like and how can educators work with learners to foster it?
Christina E. Johnson1,2 | Jennifer L. Keating3 | Elizabeth K. Molloy2

 

 

1 소개
1 INTRODUCTION

피드백은 건강 직업 교육에서 직장 학습의 중심적인 역할을 합니다. 일반적으로 임상 실습에서 학습자의 성과에 대해 논의하는 상급 임상의(교육자)와 하급 임상의(학습자)를 포함한다. 이는 직장 기반 평가나 부착 종료 평가와 같은 공식적인 환경 또는 클리닉 후나 극장 내 상처 봉합 기간과 같은 내재된 비공식적 토론일 수 있다. 피드백의 목적은 학습자가 '퀄리티 있는 작업'이 어떤 모습인지, 자신의 작업이 이러한 기준과 어떻게 비교되는지 이해하고, 이 성과 정보를 활용하여 성과를 향상시키는 것입니다.  

Feedback plays a central role in workplace learning in health professions education.1-4 Commonly in clinical practice, this involves a senior clinician (educator) and a junior clinician (learner) discussing the learner's performance. This may be in formal settings, such as workplace-based assessments or end-of-attachment appraisals, or embedded informal discussions, such as after a clinic or during wound closure in theatre. The aim of feedback is to assist learners to understand what ‘quality work’ looks like and how their work compares with these standards, and to use this performance information to implement practical strategies to improve performance.5-9

이러한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사회적 구성주의 입장으로 뒷받침되는 현대의 피드백 문헌에서는 학습자의 적극적인 참여가 필수적이라는 공감대가 형성되고 있다.10 [학습적 대화learning conversation]는 학습자가 이해를 개선하고 공동 구성된 아이디어를 형성하는 데 기여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예를 들어, 학습자는 자신의 성과를 원하는 성과와 비교하여 사려 깊은 자기 평가를 분명하게 표현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성찰과 평가 판단 과정은 그 자체로 가치 있는 학습을 낳는다(학습에 대한 추가적인 길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또한, 교육자와 학습자 간의 대화는 서로 다른 관점이 상호 작용함에 따라 촉매 반응을 통해 학습자를 돕기 위한 고유한 새로운 통찰력과 전략을 공동 생성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합니다. 이 모든 것은 학습자가 자신의 학습 요구를 솔직하게 밝히고 자신에게 효과가 있는 개선 전략의 설계를 협상할 것을 요구합니다.18 반면에, 학습자가 경험한 어려움을 드러내지 않거나 질문을 하거나, (부분적이거나 결함이 있더라도) 자신의 아이디어를 제안하거나, 아이디어를 두고 논쟁하지 않는 경우, 교육자의 조언은 학습자가 실행에 옮길 만큼 충분히 관련성이 없거나 유용하거나 수용할 수 없다. 
To achieve these aims, there is consensus in contemporary feedback literature, underpinned by a social constructivist stance, that learners’ active engagement is essential.10 Learning conversations offer opportunities for learners to refine their understanding and contribute to shaping co-constructed ideas.5, 11 For example, learners might articulate a thoughtful self-assessment by comparing their own performance with the desired performance. This process of reflection and evaluative judgement engenders valuable learning in itself (as well as offering further avenues for learning).9, 12, 13 In addition, dialogue between an educator and learner offers the opportunity for a catalytic reaction, as their different perspectives interact, to co-create new insights and strategies uniquely tailored to assist the learner.14-17 All this requires a learner to candidly reveal their learning needs and negotiate the design of an improvement strategy that will work for them.18 On the other hand, if a learner does not reveal the difficulties they have experienced, ask questions, propose their own ideas (even if partial or flawed) or contest an idea, then an educator's advice may not be sufficiently relevant, useful or acceptable for the learner to put into practice.17

그러나 피드백 결과를 최적화하는 데 학습자 참여의 중요성이 대두되고 있지만, 이는 일상적인 실천으로 전환되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 관찰 연구는 피드백이 일반적으로 교육자에 의해 지배되는 '일방향' 정보 제공으로 구성된다고 보고했다. 학습자는 종종 교육자의 코멘트가 구체적이거나 명확하지 않으며 이를 '이해성' 및 '활용'하기 위해 애쓴다고 보고합니다. 

However, despite the espoused importance of learner participation in optimising feedback outcomes, this does not appear to have been translated into routine practice. Observational studies have reported that feedback commonly comprises ‘one-way’ information provision, dominated by the educator.19-21 Learners often report that educators’ comments are not specific, clear or actionable and they struggle to ‘make sense’ and ‘make use’ of it.22-26

이러한 학습자 참여 부족에 대응하기 위해 문헌에서는 학습자 기여가 가능한 안전한 공간을 조성하는 데 있어 [교육자-학습자 관계의 가치]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건강 직업 교육에서 엔데는 학습자와 교육자가 '동맹자allies'로서 일할 것을 요구했다. R2C2(관계, 리액션, 내용, 코칭) 피드백 모델은 '신뢰와 존중을 바탕으로 한 긍정적 관계 구축'을 목표로 '관계 구축'을 1단계로 포함하고 있다. '교육적 동맹'의 개념은 심리 치료에서의 '치료적 동맹'에서 파생된 개념으로 제안되었다. 강한 치료 동맹은 치료사가 그들에게 긍정적인 유대감, 그들을 향한 동일한 치료 목표와 전략을 공유한다고 믿을 때 존재한다고 말해진다. 슈퍼바이저와 강한 교육적 연대를 느낀 후배 의사들은 의견을 구하고, 토론할 때 솔직하며, 계획적인 전략을 실행했다고 보고했다. 고등교육에서 Carless는 대화 피드백에서 신뢰의 역할을 탐구했다. 그는 트샤넨-모란의 정의를 사용하여 [신뢰][다른 사람이 개방적이고, 믿을 수 있고, 정직하고, 자비롭고, 유능하다는 믿음의 투자에 기반하여 다른 사람에게 기꺼이 취약해지는 의지]라고 정의했다. Carless는 학습자가 위험을 감수하고 자신의 약점을 드러낼 수 있는 도전적인 학습 활동에 완전히 참여하기 위해서는 신뢰가 필수적이라고 주장했다.
To counter this lack of learner involvement, there has been increasing focus in the literature on the value of the educator-learner relationship in creating safe spaces to allow for learner contribution. In health professions education, Ende called for the learner and educator to work ‘as allies.’27 The R2C2 (relationship, reaction, content, coaching) feedback model includes ‘relationship building’ as the first phase, with the goal to ‘build a positive relationship based on trust and respect.’14, 28, 29 The concept of an ‘educational alliance’ has also been proposed, derived from the ‘therapeutic alliance’ in psychotherapy. A strong therapeutic alliance is said to exist when a client believes the therapist shares with them a positive bond, the same therapeutic goals and strategies for working towards them. Junior doctors, who felt a strong educational alliance with their supervisors, reported seeking feedback, being open and honest during discussions and implementing planned strategies.30, 31 In higher education, Carless explored the role of trust in dialogic feedback.32 He used a definition by Tschannen-Moran that trust is one's willingness to be vulnerable to another based on an investment of faith that the other is open, reliable, honest, benevolent, and competent.33 Carless asserted that trust was essential if learners were to take risks and fully engage in challenging learning activities that may reveal their weaknesses.


우리는 [심리적 안전]이 이러한 개념들을 함께 묶는 가장 중요한 구조(동맹으로 일하는 것, 교육자와 학습자 관계 및 신뢰)이며 참여와 학습에 강력한 영향을 미친다고 제안한다. 심리학 안에서 에드먼드슨의 연구를 바탕으로, [심리적 안전]은 다음과 같이 정의될 수 있다.

  • '교수자-학습자 관계가 대인관계적 위험을 감수하는 데 안전하다는 공통된 믿음'으로서, 상호 존중과 신뢰가 있기에, [교육자]가 [학습자를] 수치를 주거나, 거부하거나, 처벌하지 않을 것이라는 확신을 갖게 한다. 

We propose that psychological safety is an overarching construct that ties these concepts together (working as allies, the educator-learner relationship and trust), which has a powerful influence on engagement and learning. Drawing on Edmondson's work within psychology, psychological safety may be defined as

  • ‘a shared belief that the [educator-learner relationship] is safe for interpersonal risk taking,’ which creates ‘a sense of confidence that [the educator] will not embarrass, reject or punish [the learner] … due to mutual respect and trust.’34 

[대인관계 역학과 의료 성과]를 탐구한 에드먼드슨의 연구는, [높은 심리적 안전성]을 가진 간호 팀에서 질문을 하고, 실수를 논하고, 도움을 구하거나, 새로운 아이디어를 시험하는 것과 같은 생산적인 학습 행동이 흔히 관찰된다는 것을 발견했다. [심리적 안전이 높은 환경]은 다른 사람의 전문지식을 존중하고, 사람들이 좋은 의도를 가지고 있고 다른 사람의 성공에 투자되었다는 신뢰, 그리고 개인으로서 [사람들에 대한 관심, 수용, 보살핌]으로 특징지어진다.34 팀 리더들은 높은 기준을 가지고 있었고, 지속적으로 개선을 추구했다. 그러나 그들은 또한 도움을 주고, 팀을 지도하며, 계층 구조를 최소화하며, 도전을 받았을 때 방어적이지 않고, 학습 행동을 모델링했다. 

Edmondson's research exploring interpersonal dynamics and health care outcomes found that, in nursing teams with high psychological safety, productive learning behaviours were commonly seen, such as asking questions, discussing mistakes, seeking help or trialling new ideas. The environment was characterised by respect for others’ expertise; trust that people had good intentions and were invested in others’ success; and interest, acceptance and care for people as individuals.34 Team leaders held high standards and were continually seeking to improve. Yet they were also supportive, coached their team, minimised hierarchy, were not defensive when challenged, and role modelled learning behaviours.34

심리적 안전이 학습과 성과에 미치는 영향은 건강관리의 다른 영역에서도 입증되었다. [시뮬레이션 기반 교육]에서는 심리적 안전의 중요성이 특히 강조된다. 시작할 때부터 심리적 안전은 교육자 및 학습자 모두가 실제로 '실현'해야 할 목표로서 그라운드룰에 명시적으로 명명된다. [의사-환자 커뮤니케이션 영역]에서 심리적 안전은 더 큰 환자 참여와 의사와 환자 간의 자유로운 정보 흐름을 촉진하여 보다 정확한 평가, 의사 결정, 불확실성 해결, 계획 구현 및 임상 결과 개선을 가져온다.

The effect of psychological safety on learning and performance has been demonstrated in other areas of health care.35-38 In simulation-based education, the importance of psychological safety is particularly emphasised; it is explicitly labelled as a goal at the outset and both educators and learners commit to ground rules that ‘realise it’ in practice.39-41 In the area of doctor-patient communication, psychological safety promotes greater patient involvement and free flow of information between doctor and patient, which results in more accurate assessments, shared decision making, resolution of uncertainties, implementation of plans and improved clinical outcomes.42

이를 [피드백 상호작용]에 적용하면 심리적 안전이 학습자의 참여를 장려하거나 억제하는 핵심 중재자일 수 있습니다. 학습자가 생산적인 학습 행동을 사용할 경우 이전에 감지되지 않은 한계를 드러내고 교육자의 부정적인 반응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비하 발언, 낮은 점수 또는 '가장 선호하는 소수' 그룹에서 제외됩니다. 교육자가 (총괄 평가 또는 전문가 참고문헌에 대한 책임과 같이 학습자의 진급여부를 좌우할 능력을 가진) 시니어 전문직일 경우 잠재적 위협은 증폭된다. 특히 의학은 [강력한 위계질서]를 가지고 있다. 따라서 학습자는 조용히 있거나 최소한 노출을 규제하여 위험을 통제하기로 결정할 수 있다. 피드백 대화 중에 무엇을 자원해야 할지 고민하는 모든 학습자의 핵심 질문은 ['내가 존중, 수용, 도움을 받을 가능성이 얼마나 되느냐, 아니면 그 반대로 내가 굴욕, 질책, 미숙하다고 평가될 가능성이 있느냐?']이다. 
Applying this to feedback interactions, it may be that psychological safety is a key mediator encouraging or deterring learners’ participation. When learners use productive learning behaviours, they may reveal previously undetected limitations and trigger adverse responses from the educator, for example, a disparaging remark, lower grading or exclusion from a group of the ‘favoured few.’29, 34, 43 Potential threats are amplified when educators are senior health professionals with power over learners’ progress, such as having responsibilities for summative assessments or professional references.44, 45 Medicine, in particular, has a powerful hierarchy.46, 47 Hence, a learner may decide to keep quiet, or, at least, to control the risk by regulating their exposure. The key question for any learner contemplating what to volunteer during a feedback conversation is: ‘What is the likelihood that I will be respected, accepted and assisted or the opposite, that I will be humiliated, reprimanded or judged as inept?’29, 39, 46, 47

교육자들이 학습자들과 협력하여 심리적인 안전을 극대화할 수 있다면 피드백 대화가 바뀔 수 있습니다. 학습자는 자신의 성과를 정직하게 반성하고, 자신의 추론을 설명하고, 어려움을 드러내고, 질문을 하고, 개선을 위한 자신의 아이디어를 제안하거나 교육자의 의견에 이의를 제기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학습자의 기여가 가치 있는 교육자의 입력과 상호 작용한다면, 그에 따른 지식의 공동 구성은 학습 성과를 실질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 이러한 심리적 안전의 구조는 다른 맥락에서 연구의 초점이 되어 왔지만, 직장 피드백 논의에서 심리적 안전의 표현은 과소 검토되었다. 따라서 우리의 연구 질문은 다음과 같다. 직장 피드백에서 심리적 안전은 어떤 모습이며, 교육자들은 이를 촉진하기 위해 학습자들과 어떻게 협력할 수 있는가? 피드백에 대한 우리의 정의와 이 연구의 [이론적 위치]는 지식 생성에서 사회적 과정의 상호 의존성을 인정하는 [사회적 구성주의] 안에 있다. 

If educators could work with learners to maximise psychological safety, feedback conversations might be transformed. Learners might honestly reflect on their performance, explain their reasoning, reveal their difficulties, ask questions, propose their own ideas for improvement or contest educators’ comments. If these learner contributions interacted with valuable educator inputs, the resulting co-construction of knowledge could substantially enhance learning outcomes. Though this construct of psychological safety has been the focus of research in other contexts, the manifestation of psychological safety in workplace feedback discussions has been under-examined. Hence, our research question was: What does psychological safety look like in workplace feedback and how can educators work with learners to foster it? Our definition of feedback, and the theoretical positioning of this research, sits within social constructivism with acknowledgement of the interdependence of social processes in knowledge generation.48

2 방법
2 METHODS

2.1 피드백 에피소드 동영상 모음
2.1 Collection of videos of feedback episodes

피드백 관행을 조사하는 광범위한 연구 프로그램의 일환으로, 우리는 일상적인 임상 실무에서 공식적인 대면 피드백 에피소드를 직접 녹화한 비디오를 수집했다. 참여자들은 호주의 주요 병원 네트워크 내에서 함께 일하고 있는 건강 전문 교육자-학습자 쌍이 참여했습니다.19 모집 기간 동안 건강 직업과 전문성, 성별, 감독 경험(교육자), 훈련 레벨(레벨)을 포함한 주요 요소를 고려하기 위하여 잠재적 참가자들에게 롤링 광고를 함으로써 다양성을 추구했습니다. 모든 참가자들은 서면 정보에 입각한 동의를 했다. 본 연구의 윤리 승인은 보건 서비스 및 대학 연구 윤리 위원회로부터 받았습니다(윤리 승인 참조).

As part of a broader programme of research investigating feedback practices, we collected self-recorded videos of formal face to face feedback episodes in routine clinical practice. Participants involved health professional educator-learner pairs who were working together, within a major Australian hospital network.19 During recruitment, diversity was sought by rolling advertising to potential participants, with consideration of key factors including health profession and specialty, gender and supervisor experience (educators) or training level (learners). All participants gave written informed consent. Ethics approval for this study was obtained from the health service and university human research ethics committees (see Ethical Approval).

비디오는 전문적으로 문자 그대로 옮겨졌고 한 연구원은 녹취록(CEJ)을 읽을 때 비디오를 보면서 정확성을 확인했다. 동영상을 볼 때 초기 인상과 관찰 내용을 메모로 기록하고 [피드백 품질 도구(FQI)]를 이용해 교육자의 실습을 분석했다. FQI는 사회적 구성주의 패러다임에 맞춰 교육자들이 고품질의 학습자 중심의 피드백을 촉진하도록 설계되었다. FQI 항목은 학습자의 참여, 동기 부여 및 개선을 가능하게 하는 것으로 간주되는 관찰 가능한 교육자의 행동을 설명한다. 항목은 교육자가 유익한 학습자 결과를 촉진할 수 있는 입증된 방법을 식별하기 위해 광범위한 문헌 검토를 포함하는 프로세스와 전문가 패널과 함께 델파이 프로세스를 통해 개발되었다. FQI의 추가 테스트 및 정제 동안, 심리적 안전에 대한 문헌의 격차가 (서론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명백해졌고, 이것이 본 연구의 영감이 되었다. 우리는 피드백 상호작용을 조정할 수 있는 능력 때문에 교육자의 역할에 초점을 맞추기로 선택했습니다.

Videos were professionally transcribed verbatim and one researcher checked accuracy by watching the videos when reading transcripts (CEJ). When viewing videos, initial impressions and observations were recorded as memos, and educators’ practice was analysed using the feedback quality instrument (FQI). The FQI is designed to assist educators in facilitating high quality, learner-centred feedback, aligning with a social constructivist paradigm. The FQI items describe observable educator behaviours considered to engage, motivate and enable a learner to improve. Items were developed through a process involving an extensive literature review to identify information that substantiated ways educators could promote beneficial learner outcomes and a Delphi process with a panel of experts.19, 49 During further testing and refining of the FQI, the gap in the literature on psychological safety became apparent (as described in the Introduction), which was the inspiration for this study. We chose to focus on the educator's role because of their power to steer feedback interactions.

2.2 본 연구의 데이터 수집 및 분석
2.2 Data collection and analysis for this study

본 연구에서는 [심리적 안전의 징후]와 관련 교육자 접근 방법을 찾아봤는데, 이는 솔직한 학습자 기여가 가능한 조건을 달성하는 데 도움이 되는 것으로 보였다. 우리는 학습자의 '배움을 위한 위험'에 대한 성향이 학습자의 심리적 안전성을 나타내는 지표라고 판단했습니다. 따라서, 우리는 피드백 세션 동안 학습자가 생산적인 학습 행동을 반복적으로 수행하는 경우, 특히 학습자가 학습 요구에 대해 점진적으로 더 솔직해지는 경우를 조사했다. 이러한 학습 행동의 예로는 다음이 포함되었다.

  • 정보 공유,
  • 어려움 설명,
  • 자신의 표준 이하의 성과 확인,
  • 학습 요구 사항 명명,
  • 도움 요청,
  • 질문 또는 해결책 제안

In this study, we looked for signs of psychological safety and associated educator approaches, which seemed to help achieve the conditions that enabled candid learner contributions. We reasoned that learners’ propensity to be forthcoming and participate in ‘risks for the sake of learning’ were indicators of learner psychological safety. Hence, we searched for occasions during the feedback sessions when learners repeatedly undertook productive learning behaviours, particularly when learners became progressively more candid about their learning needs. Examples of these learning behaviours included

  • sharing information,
  • describing a difficulty,
  • identifying their own substandard performance,
  • naming a learning need,
  • asking for help,
  • asking a question or proposing a solution.34 

그런 다음 우리는 이러한 형태의 참여를 촉진하는 것으로 보이는 교육자의 행동을 찾아보았다. 또한 임상 및 시뮬레이션 기반 대화에서 심리적 안전을 증진하기 위해 이전에 제안된 교육자 행동을 살펴보았다. 
We then looked for corresponding educator behaviours that seemed to promote this form of engagement. We also looked for educator behaviours previously proposed to promote psychological safety in clinical and simulation-based conversations.34, 39, 40, 50

녹취록은 심리적 안전에 초점을 맞춘 연구 질문에 의해 유도적으로 코딩되었고, 사회 구성주의의 이론적 프레임워크에 의해 민감해졌다.51 FQI를 사용하여 가장 높게 평가된 총 10개의 비디오 사본(많은 수의 양질의 교육자 행동을 반영함)은 심리적으로 안전한 환경을 포함할 가능성이 가장 높아 보였기 때문에 코딩 프레임워크를 개발하기 위해 사용되었다. 먼저 각 연구자(CEJ, JLK, EKM)에 의해 4개의 사본이 독립적으로 코드화된 후 연구자들이 만나 초기 코드 세트를 논의하고 만들었다. 이후 추가로 6개의 녹취록이 독립적으로 부호화 된 후 쌍으로 논의되었다(CEJ와 EKM에 의해 3개). 
3 by CEJ and JLK), 초기 코딩 프레임워크를 사용하고 수정한다. 추가 팀 논의는 운영 정의와 유사한 속성을 가진 코드가 함께 그룹화된 최종 코딩 프레임워크에 대한 합의를 이끌어냈다. 학습자가 심리적으로 안전하다고 느낄 때와 그렇지 않을 때를 나타내는 표지를 포함하고 해당 교육자의 행동에 주목했다.

Transcripts were inductively coded according to principles of thematic analysis, guided by our research question focusing on psychological safety and sensitised by our theoretical framework of social constructivism.51 A total of 10 transcripts of videos rated most highly using the FQI (reflecting a greater number of quality educator behaviours observed) were used to develop a coding framework, as these seemed most likely to involve a psychologically safe environment. First, four transcripts were open coded independently by each researcher (CEJ, JLK and EKM), then researchers met to discuss and create an initial set of codes. Following this, a further six transcripts were coded independently then discussed in pairs (three by CEJ and EKM; three by CEJ and JLK), using and modifying the initial coding framework. Further team discussions led to consensus on a final coding framework with operational definitions and codes with similar properties grouped together. It included markers suggesting when learners felt psychologically safe and when they did not, noting corresponding educator behaviours.

수석 연구원(CEJ)은 각 비디오를 다시 보고 NVivo 버전 12.5.0(NVivo QRS International Pty Ltd, Vic, Australia)을 활용한 분석 프레임워크를 사용하여 모든 대본을 다시 인코딩했습니다. 설명적인 인용구가 있는 코드의 해석과 주제로의 동화는 세 번의 별도 연구팀 회의에서 이루어졌으며, 최종 핵심 주제는 합의에 의해 합의되었다. 각 회의에서, 연구자들 사이의 일관성과 코딩의 차이를 식별하기 위해 지속적인 비교 과정을 이용했다.52 녹취록과 코드화된 데이터를 반복적으로 검토함으로써 테마가 데이터에 기초할 가능성이 높아졌다.
The lead researcher (CEJ) then rewatched each video and recoded all transcripts using the analytical framework utilising NVivo Version 12.5.0 (NVivo QRS International Pty Ltd, Vic, Australia). Interpretation and assimilation of codes, with descriptive quotes, into themes occurred at three separate research team meetings, with the final key themes agreed by consensus. In each meeting, a constant comparison process was utilised to identify consistencies and differences in coding between researchers.52 Repeated examination of the transcripts and coded data increased the likelihood that themes were grounded in the data.

 

2.3 이론적 골조
2.3 Theoretical framing


[사회적 구성주의]는 생산적인 피드백 상호작용에 대한 우리의 해석을 뒷받침하는 이론적 프레임워크입니다. 사회적 구성주의에 따르면 지식은 사람들이 상호작용하는 과정, 특히 토론을 통해 만들어진다. 따라서 학습은 구체적이고, 본질적으로 관련된 맥락 및 사람들과 연결되어 있다. 효과적인 피드백은 학습자가 원하는 변화를 이행하는 데 달려 있기 때문에 학습자가 토론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이해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따라서 [심리적 안전 확립을 돕기 위한 교육자의 접근 방식]에 초점을 맞췄지만, 보다 면밀하게 검토하고자 하는 피드백 상호 작용 동안 [학습자의 행동]을 표지판에 표시했다. 관찰 방법을 이용한 심리적 안전 분석에서 개인이 '보유'하거나 '경험'하는 현상을 해석할 때의 위험성을 인지했다. 그러나 [학습자의 위험 감수] 및 [지식 공동 구성의 증거]를 심리적 안전에 의해 활성화(또는 제한)된 상호 작용의 지표로 보았다.

Social constructivism is the theoretical framework underpinning our interpretation of productive feedback interactions. According to social constructivism, knowledge is created during the process of people interacting, particularly through discussion; hence, the learning is specific and intrinsically linked to the context and people involved.53 As effective feedback depends on a learner implementing desired changes, it is crucial for the learner to play an active role in understanding and contributing to the discussion. Hence, although we focused on educators’ approaches to helping establish psychological safety, we used learners’ behaviours to signpost periods during the feedback interaction that we wanted to examine more closely. In our analysis of psychological safety using observational methods, we were aware of the risks of interpreting a phenomenon that is ‘held’ or ‘experienced’ by individuals. However, we viewed evidence of learner risk-taking and co-construction of knowledge as markers of an interaction that was enabled (or limited) by psychological safety.

2.4 반사율
2.4 Reflexivity

데이터 해석에 대한 연구자 자신의 관점, 신념 및 경험의 영향인 반사율은 명시적으로 인식되고 논의되었다. CEJ는 피드백에 특별한 관심을 가진 의사, 의료 교육자 및 연구자로 본 연구에 관련된 의료 서비스에서 일하고 있습니다. JLK와 EKM은 모두 의료 전문 교육자 및 연구자로서 피드백 및 직장 기반 평가 분야에서 광범위한 전문 지식을 보유한 물리치료사입니다. 그들의 고용은 대학에 기반을 두고 있으며 본 연구에서 보건 서비스와 연계되어 있지 않다.
Reflexivity, the influence of the researchers’ own perspectives, beliefs and experiences on the interpretation of the data, was explicitly recognised and discussed. CEJ is a physician, medical educator, and researcher with a special interest in feedback, who works at the health service involved in this study. JLK and EKM are both physiotherapists with extensive expertise as health professions educators and researchers in feedback and workplace-based assessment. Their employment is university-based and not linked with the health service in this study.

3 결과
3 RESULTS

총 36편의 피드백 세션 영상이 수집되었다. 참여 대상은 교육자 34명(전문 9개 분야 의료 26명, 간호 4명, 감독 경험 범위 물리치료 전문가 4명)으로 남성이 16명(47.1%)이었고 학습자(경력 범위 학생 및 임상의) 35명(34.3%)으로 남성이 12명(34.3%)이었다. 피드백은 25개(69.4%) 동영상의 특정 작업 및 11개(30.6%) 동영상의 첨부 파일 중간/종료 평가와 관련이 있었다. 이러한 피드백 사례의 대부분은 본질적으로 형성적이었지만, 일부는 종적 평가에 대한 총괄적 평가로 작용했다.

A total of 36 videos of feedback sessions were collected. Participants included: 34 educators (26 medical across nine specialties, four nursing and four physiotherapy professionals with a range of supervisory experience) where 16 (47.1%) were male, and 35 learners (students and clinicians with a range of experience) where 12 (34.3%) were male. Feedback was related to a specific task in 25 (69.4%) videos and a mid/end-of-attachment appraisal in 11 (30.6%) videos. Most of these feedback occasions were formative in nature but some served as summative contributions to longitudinal evaluations.


교육자들은 심리적 안전을 증진시키기 위해 다양한 접근법을 사용했다. 여기에는 교육자들이 솔직한 피드백 상호작용을 위한 상황을 마련하고, 학습자와 함께 협력자로 자리매김하며, 지속적인 개선에 초점을 맞추고, 대화식 대화를 장려하는 것이 포함되었으며, 이는 학습자들에게 정직한 기여가 기대되고 가치 있게 여겨진다는 신호였습니다. 네 가지 주요 테마는 예시적인 인용구와 함께 아래에 제시되어 있습니다.

Educators used a variety of approaches to promote psychological safety. This included educators’ setting the scene for a candid feedback interaction, positioning themselves as allies alongside the learner, focusing on continuing improvement and encouraging interactive dialogue, which signalled to learners that honest contributions were expected and valued. Four key themes are presented below with illustrative quotes.

 

3.1 주제 1: 대화와 솔직함의 장 마련
3.1 Theme 1: Setting the scene for dialogue and candour

피드백 세션이 시작되자 많은 교육자들이 간단하게 세션 주제를 발표했는데, 예를 들어 '그래서 오늘 수술에 대해 이야기하겠다.'(V4)고 한 뒤 신속하게 수행평가로 넘어갔다.
When feedback sessions began, many educators simply announced the topic for the session, for example: ‘So we're going to talk about the surgery today’ (V4) and then moved swiftly onto performance evaluation.

몇몇 교육자들은 상호작용을 위해 더 많은 일을 했다. 여기서 교육자는 세션의 목적과 학습자의 input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다.
A few educators did more to set up the interaction. Here, an educator highlighted the aim of the session and the importance of learners’ input:

 

교육자: 회전의 중간 단계이므로 기초를 잡고 현재 상황이 어떻게 진행되고 있는지 확인하고 모든 것이 정상 궤도에 오르게 할 수 있는 좋은 기회입니다. 그래서, 당신의 관점에서 볼 때, 회전이 지금까지 어떻게 진행되고 있다고 느끼시나요?
Educator: It's midway through the rotation, so it's a good opportunity to … touch base and see where things are at, see how you feel things are going, and … make sure things are on track. So, from your perspective, how do you feel the … rotation is going so far?

학습자: 저에게는 로테이션이 매우 놀라웠습니다. 정신의학은 의료 연수 기간 동안 항상 저의 취약 영역이었고, 그것이 제가 이곳에 와달라고 요청한 주요 이유 중 하나입니다. [I] 일반적으로 포괄적인 정신건강평가를 하지 않는다… 그래서 나는 그것이 꽤 어렵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하지만 다른 한편으로는, 저는 정신 건강과 의학적 문제를 결합하는 것을 배우고 있습니다… 매우 보람을 느낍니다.
Learner: For me, the rotation has been very amazing. Psychiatry has always been my weakest area during my medical training, and that's one of the main reasons that I have requested to come here. [I] don't normally do a comprehensive psychiatric assessment … so I find that it is quite challenging. But, on the other side, I'm learning combining mental health along with the medical issues … I find that … very rewarding. (V19)

 

이 다음 예에서는 교육자가 세션 계획을 설명하여, 학습자가 무엇을 예상해야 하는지 알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가장 뛰어난 기능은 교육자가 [자신의 의견에 이의를 제기하거나 질문을 하도록 명시적으로 초대]하여 생산적인 학습 행동을 장려했다는 것이다.
In this next example, the educator proposed their plan for the session, so the learner knew what to expect. Yet the most outstanding feature was the educator's explicit invitation for the learner to contest their comments or ask questions, thereby encouraging productive learning behaviours:

 

방금 임상 시나리오를 살펴보았습니다. 제가 말씀드리고 싶은 것은 귀하의 성과에 대해 몇 가지 측면에서 지속적으로 연구할 가치가 있는 훌륭한 기술을 수행했다는 것입니다. 향후 몇 년간 귀하의 성과를 개선하기 위해 작업할 수 있는 몇 가지 영역입니다. 언제든지 저를 중단해도 됩니다. 내가 동의하지 않거나 설명이 필요한 말을 하면 말이야. (V3)
We’ve just gone through a clinical scenario and what I’d like to do is talk about a couple of aspects of your performance where you’ve done some really good skills that are worth continuing with and identify … a couple of areas that you can work on, over the next little while, to improve your performance … feel free to stop me at any point in time if I say things that you don’t agree with or that you need clarification on. (V3)



그러나 교육자들은 다음을 통해서 퀄리티 피드백 상호작용의 장을 종합적으로 마련하지는 않았다. 

  • (학습자의 개선을 돕기 위해) 목적을 강조함
  • (수행을 분석하고 학습 계획을 개발하기 위해) 세션에 대한 계획을 제안함
  • 학습에 초점을 맞춘 대화형 대화에 대한 기대를 설정하고, 이용 가능한 시간을 명확히 함

교육자들이 이러한 구성 요소 중 일부를 포함한 상황에서조차, 아무도 [세션 구조]의 어떤 측면도 협상하기 위한 학습자의 의견을 구하지 않았습니다.

However, educators did not comprehensively set the scene for a quality feedback interaction by

  • highlighting the purpose (to help learners improve),
  • proposing a plan for the session (to analyse their performance and develop a learning plan),
  • setting expectations for an interactive dialogue focused on learning and clarifying the time available.

Even when educators did include some of these components, none sought learners’ input to negotiate any aspects of the session structure.

3.2 주제 2: 동맹으로서의 교육자
3.2 Theme 2: Educator as ally

교육자들은 일반적으로 학습자와 함께 일하면서 스스로를 동맹으로 포지셔닝합니다. 그들은 학습자 개발을 촉진하기 위해 지원과 지원을 제공했고 전력 격차를 줄이기 위해 적극적으로 노력했습니다.
Educators commonly positioned themselves as an ally, working alongside the learner. They offered support and assistance, to facilitate learner development and actively tried to reduce the power gap.

3.2.1 지원 및 지원 제공
3.2.1 Offering support and assistance

교육자들은 집단대명사 '우리'를 자주 사용해 학습자와의 연대를 제안했고, 학습자가 겪는 어려움을 공감했다.
Educators frequently used the collective pronoun ‘we,’ suggesting solidarity with the learner, and expressed empathy for the struggles that learners faced.

 

교육자: 그래서, 동맥 라인: 제가 전에 말했듯이, 그것들은 우리가 꽉 채우고, 가장 자주 실패하는 것들입니다. 그들은 어렵고, 그들은 안절부절못하고, 그리고 우리는 종종 그들을 얻기 위해 여러 시도를 합니다. 그렇게 말하면서, 여러분은 그것들을 더 잘하기 위해 무엇을 할 수 있을까요? [trade name] 키트를 사용해 보셨습니까?
Educator: So, arterial lines: like I said before, they're the things that we stuff up, that we fail at the most often … They're difficult, they're fiddly … and … often we … take multiple attempts to get [them in] … Saying that, what can you do to be better at them? Have you used the [trade name] kits?

학습자: 네, 전에도 써본 적이 있어요… 저는 그것이 환자의 혈관에 너무 클 것이라고 생각했어요. 왜냐하면 그녀는 꽤 앙증맞고, 그것들은 좀 더 뚱뚱해 보이기 때문이에요. 그리고 작은 혈관에 그것들을 넣으려고 애썼어요. 그래서 제가 처음에 그렇게 하지 않았던 것 같아요.
Learner: Yes, I have used them before … I thought … it would actually … be a bit too big for [the patient's blood] vessel because she was quite dainty, and … they seem a bit chunkier … and with smaller vessels, I've struggled to get them in. So that's why I didn't initially go for that.

교육자: 아니, 그럴 만도 한데… 디폴트가 뭐야? … [이러한 키트]의 장점은 [동맥에 들어간 후 혈액이 플래시백되는 즉시] 와이어를 삽입할 수 있다는 것입니다. 그러니 생각해 보십시오. 이 키트는 편리하지만 모두가 사용하는 것은 아닙니다. (V28)
Educator: No, fair enough … What’s your default? … The advantage of [these kits] is, as soon as you get a flashback [of blood once you’re in the artery] … you can just put the [guide] wire in … So … have a think about it … I think they're handy but obviously not everyone uses them. (V28)

교육자들이 학습자들의 향상을 돕기 위한 조언을 제공하는 것은 매우 흔한 일이었다. 종종 이것들은 유용한 연습 팁이었다 (위와 같이). 또한 일부 교육자들은 예를 들어 학습 기회를 최대한 활용하기 위한 전략을 제시함으로써 [메타인지 프로세스]를 다루었다.

It was very common for educators to offer advice to help learners improve. Often these were useful practice tips (as above). In addition, some educators addressed meta-cognitive processes, for example by suggesting strategies to make the most of learning opportunities:

 

손을 들고 '내가 가서 네가 하는 것을 봐도 될까?'라고 말하는 것을 두려워하지 마라. … 만약 너에게 필요한 배움의 기회라면… 힘들다는 것을 알아… 바쁠 때… 하지만 아마도 네가 그들을 대신해서 무언가를 해 주겠다고 제안할 수도 있을 것이다. (V36)
Don’t be afraid to put your hand up and say, ‘Can I come and watch you do that?’… if it’s … a learning opportunity that you need … I know that’s hard … when it’s busy … but it might be that you offer to do something on their behalf. (V36)

3.2.2 동력격차 감소
3.2.2 Reducing the power gap

문헌은 [의료전문직 내의 위계구조]가 자신의 한계를 드러내거나 아이디어를 경쟁할 경우 학습자의 부정적 결과에 대한 두려움을 어떻게 악화시킬 수 있는지를 설명한다. 교육자들은 겸손함을 보여주었고 권력 격차를 줄이려고 노력했습니다. 몇몇 교육자들은 실수를 했거나, 모든 것을 알지 못했거나, 아직도 배우고 있다는 것과 같은 [자신의 취약점을 드러냄]으로써 이러한 행동을 했다.


The literature describes how the hierarchy within the health professions may exacerbate a learner's fear of negative consequences if they expose their limitations or contest ideas. We found some educators demonstrated humility and tried to reduce the power gap. A few educators did this by revealing their own vulnerabilities, such as admitting they had made mistakes, did not know everything or were still learning:

 

그래서 항상 배울 것이 있고, 저는 여전히 배우고 있습니다. (V17)
So there's always things to learn, and I'm still learning (V17)

교육자들은 학습자의 의견을 존중하는 모습을 보이거나, [자신의 판단이나 조언이 논란의 여지가 없다고 생각하지 않는다] 등 적극적으로 권력을 나누었습니다. 여기에서 한 교육자는 제한된 관찰로 인해 평가가 학습자의 능력을 정확하게 반영하지 못할 수 있다는 인식을 나타냈다.

Educators actively shared power by showing respect for learners’ opinions or not assuming their own judgement or advice was indisputable. Here, an educator indicated awareness that their evaluations may not accurately reflect the learner's capability due to limited observations:

 

앞서 말씀드렸듯이 매일 여러분과 함께하지 않을 때는 '항상 시연'과 '대부분 시연'[평가 양식에서의 옵션 평가]를 구별하기가 어렵습니다. (V36)
Like I’ve said before, it's hard to differentiate between ‘always demonstrates’ and ‘mostly demonstrates’ [rating options on the assessment form] when I’m not working with you every day. (V36)

이와 유사하게, 교육자는 자신의 존재가 학습자의 성과에 어떤 영향을 미칠 수 있는지 구체적으로 탐색했습니다.
Similarly, an educator specifically explored how their presence may have affected the learner's performance:

 

교육자: 그래서 우리는 미니-CEX[미니 임상 검사] 과정을 거쳤습니다. 한 번도 안 해봤다고 하셨잖아요. 어땠어요?
Educator: So we've just gone through the mini-CEX [mini-clinical examination] process. You mentioned you haven't done one of those before. How did you find it?

학습자: 그게 좋았던 것 같았다. 누군가 그곳에 있다는 것은 다르다 … 학생으로서... 방에 누군가가 있는 경우가 많지만, 잠시 동안 일을 하고, 방에 누군가가 없으면... 처음에는 조금, 아, 위압적이지만 익숙해진다.
Learner: I thought it was good. It’s different having somebody there … As a student … you often have somebody in the room but … when you work for a while, and don’t have someone in the room … it’s a little bit, ah, daunting at first but you get used to it.

교육자: 내가 거기 서서 보고 있어서 다르게 행동한 것 같아?
Educator: Do you think you did things differently because I was standing there watching?

학습자: 평가를 받고 있었기 때문에, 평소에는 하지 않던 무언가를 놓친 것이 아닌가 하는 생각이 계속 떠올랐습니다. 메모하면서 다시 가서 환자한테 확인하곤 했어요
Learner: … because I was being assessed, it kept running through my mind whether I’d missed something, which I wouldn’t normally do. I’d do that as I was writing notes and then go back and check with the patient. (V9)

일부 교육자들은 아이디어를 제시할 때 '당신이 해야 한다', '당신이 해야 한다'가 아닌 ['제안한다', '추천하겠다' 등의 문구를 사용]하고 그 이유를 설명했다. 교육자들은 또한 학습자들의 평가나 추천에 대한 생각을 점검했습니다.
Some educators used phrases such as ‘I suggest’ or ‘I would recommend’ when they offered ideas, rather than ‘you need to’ or ‘you must,’ and explained their reasoning. Educators also checked learners’ thoughts about their judgements or recommendations:

 

교육자: 컨설턴트 병동 회진을 할 때 환자에게 일어난 일을 제시하는 방식이 마음에 드지만, 보다 많은 관리 계획도 필요합니다. 이러한 결정을 내리고 환자의 소유권을 가져가는 것... 여러분이 작업할 수 있는 몇 가지 사항만 있으면 훨씬 더 나아질 수 있습니다.

Educator: When we're doing consultant ward rounds, I like the way you present what's happened to the patient [and] the issues but I'd like more of a management plan as well … Making sure that you're making those decisions and … taking ownership of the patient … Just a few things that you can work on and become even better.

교육자: 공평하게 들리나요?
Educator: Does that sound fair?

학습자: 네, 잘됐네요… 제 생각에 당신이 등록관일 때는 '모든 환자를 고치러 온 컨설턴트구나' 하는 느낌이 들어요… 항상 제가 그동안 어떻게 지냈는지... 그저 그 문제들을 발표하려고요.
Learner: Yeah, that's good … I suppose, when you're a reg [registrar], I feel like, ‘Oh, [the consultant’s] here to fix all the patients’ … It's always … how I have been … just to present the issues.

교육자: 하지만 당신이 나설 수 있다고 생각해요 … 당신이 확실히 확신하지 못하는 것이 있다면, 당신은 말할 수 있어요, '음, 저는 잘 모르지만, 저는 이것이 제가 가야 할 길이라고 생각해요.' 그래서 당신이 100% 확신하지 않더라도, 당신은 무언가를 제안할 수 있습니다. 제 말은, 컨설턴트가 되면, 모든 정답을 알 수는 없겠지만, 그것은 모두 [합리적인] 결정을 내리는 것에 관한 것입니다.
Educator: But I think you … can step up … If there's anything that you're not quite sure about, you can say, ‘Hm, I'm not quite sure, but I think this is the way that I would go.’ … So even if you're not 100% sure, you suggest something. I mean, when you become a consultant, … you may not know all the right answers but it's all about making a [reasonable] decision.

학습자: 그래, 좋아, 좋아. 내가 해볼게
Learner: Yeah, all right, sounds good. I'll work on that. (V1)

 



요약하자면, 많은 교육자들이 [학습자들과 친구가 되고자 하는 그들의 바람을 전달]하기 위해 전략을 사용했습니다. 교육자들의 도움이 되고, 배려하고, 겸손하고, 공손한 반응은 신뢰를 쌓는 것처럼 보였다. 이는 [학습자가 자신의 관점을 더 많이 드러냄]으로써 이러한 안전 신호에 자주 응답하는 것으로 입증되었습니다. 학습자는 피드백 세션 내에서 교육자의 신호를 모니터링했으며, 이는 이후에 자신이 무엇을 기여하기로 선택했는지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In summary, many educators used strategies to convey their desire to be allies with learners. Educators’ helpful, caring, humble and respectful responses (and the absence of punitive ones) seemed to build trust. This was evidenced by learners frequently responding to these safety signals by revealing more of their perspective, as demonstrated in the passages above. Learners were monitoring educator cues within the feedback session, which appeared to influence what they chose to contribute subsequently.

3.3 주제 3: 지속적인 개선 방향
3.3 Theme 3: A continuing improvement orientation

우리는 교육자들이 학습자의 미숙함, 실수, 기술 격차를 다룰 때 심리적으로 안전한 환경을 만들기 위해 시도하는 방법을 관찰했다. 이 접근법은 [지속적인 개선에 초점]을 맞춘 것이 특징이다.
We observed ways educators attempted to create a psychologically safe environment when dealing with learner's inexperience, mistakes and skill gaps. This approach was characterised by a focus on continuous improvement.

3.3.1 배울 때 공백과 실수는 언제나 생기는 것이므로 괜찮습니다.
3.3.1 It's okay, gaps and mistakes are expected when learning


일부 교육자들은 스킬 개발 과정에서 스킬 공백이나 오류가 발생할 것으로 예상된다고 표현했습니다.
Some educators expressed that skill gaps or errors were expected during skill development:

 

실수를 하고 비틀거리는 것은 괜찮다. 왜냐하면 너는 학생이고 중요한 것은 배우는 것이기 때문이다. (V10)
It's okay to make mistakes, and stumble, … because … you're a student and the point is to learn. (V10)

일반적인 전략은 교육자가 스킬을 배울 때 학습자의 [실수를 일반적이라고 말하거나 같은 실수를 인정함으로써 정상화]하는 것이었다. 여기서 외과의사는 몇 가지 기술적 조언을 한다.

A common strategy was for educators to normalise a learner's mistake, by saying it was common or admitting they had made the same mistake when learning the skill. Here a surgeon gives some technical advice:

바로 아래로 내려가야 하는데, 그것은 흔한 실수입니다. 처음 시작할 때 했는데 다들 그러더라고요. (V24)
You need to go … directly down, rather than into it, which is a common mistake. I did it when I first started and everyone does it. (V24)

교육자들은 수행 평가에서 학습자의 경험이나 훈련 수준을 자주 언급했습니다. 교육자들은 이에 따라 기대치를 조정하고, 초보 기술을 익히고, 학습 과정 초기에 부족한 점을 수용했음을 시사합니다.
Educators often mentioned the learner's experience or training level during performance evaluations. This suggested that educators aligned their expectations accordingly, commending fledgling skills and accepting deficiencies early in the learning journey:

 

당신이 들어왔을 때, 당신의 신경 평가 능력은 특별히 강하지 않았어요. 그러나 우리는 당신이 아직 [대학]에서 실제로 그것을 다루지 않았다는 사실을 고려할 필요가 있습니다.(V10)

When you came in, your neuro assessment skills … weren't particularly strong. But … we need to take into account the fact that you haven't actually covered that at [university] yet. (V10)

 

 

때때로 교육자는 학습자와 협력하여 [지나치게 높은 학습자의 기대치를 낮추기]도 합니다.
At times educators worked with learners to reduce excessively high learner expectations:

 

학습자: … 가끔은 너무 바빠집니다… 퇴원, 입원, 모든 것을 제때 관리하는 방법을 배우고 싶습니다… 간호사들은 때때로 정말 바빠지고 그들은 정말 정말 잘 해냅니다…
Learner: … sometimes it gets too busy … one discharge, one admission … [I would like] to learn how to manage all the things on time … The nurses … sometimes get really, really busy and they manage really, really well …


교육자: 2주 동안 왔다가 다시 떠나게 됩니다. 너무 스트레스를 많이 받지 마세요. 왜냐하면 병동에서 시간을 충분히 보내지 못하기 때문입니다. (V10)
Educator: … You guys come in for two weeks and then you're gone again … don't stress too much … because you just don't spend enough time in the ward to have really good time management. (V10)

 

3.3.2 교육자는 학습 전략에 집중할 것
3.3.2 Educator focuses on learning strategies

일부 교육자들은 학습자의 노력, 전략 및 진보를 칭찬하여 성과를 검증하는 것보다 [지속적인 개발]을 장려했습니다.
Some educators commended learners’ effort, strategies and progress thereby privileging ongoing development over validating performance:

 

교육자: 당신의 비판적 사고는 정말 좋은 것 같아요… 당신이 시작한 곳부터 현재 있는 곳까지, 멈춰서 생각하는 능력은, '좋아, 내가 하는 거야. 그래서 하는 거야.' 정말 좋은 거야… 그곳에 도달하기 위해 어떤 전략을 세우고 있니?
Educator: I think your critical thinking is really good … From where you started to where you are at now, that ability to stop and think, ‘Okay, I’m doing this; this is why I’m doing it,’ is really good … What sort of strategies have you put in place to get there … ?

제 생각엔 제가 익숙하지 않은 것 같아요. 누군가에게 가거나 집으로 돌아가거나 반성하고 공부일지를 정리하기 위해서요.
I think [after an experience] … which I’m not familiar with, going to someone or going back home and … reflecting and then going to … our study day notes, just to scrub up on things.

교육자: 여러분은 일하면서 분명히 볼 수 있습니다. 집에 가서 이것저것 찾아보고... 여러분은 매우 예리한 학습자이고, 이는 연습에 분명히 도움이 됩니다. (V36)
Educator: You can … definitely see that in your work; that you've gone home, looked things up … You're a very keen learner, which has obviously helped in your practice. (V36)




요약하자면, 일부 교육자들은 학생이 자신의 스킬을 발전시킬 수 있는 방법에 초점을 맞췄다. 이들은 학습자의 경험을 고려하여 해설을 제공했는데, 이는 [격차와 실수가 학습 과정의 필수적인 부분임]을 시사하며, 지속적인 개발에 도움이 될 수 있는 학습 전략을 최적화하는 데 집중했습니다.

In summary, some educators focused on how learners could progressively develop their skills. They took account of learners’ experience, provided commentary, which implied that gaps and errors were an integral part of the learning process and concentrated on optimising learning strategies that could assist with ongoing development.

 

3.4 주제 4: 대화형 대화 장려
3.4 Theme 4: Encouraging interactive dialogue

우리는 [두 가지 관점이 모두 목소리를 내고, 상대방의 의견과 관련이 있는 반응을 보이는 대화형 대화]가 맞춤형 개선 전략의 공동구성의 기초를 형성한다는 것을 발견했다. 이것은 각자 한번씩 이야기하는 것 이상이다; 새로운 정보가 고려될 때 교육자와 학습자 모두가 그들의 관점을 수정한다는 증거가 있었다.
We found that interactive dialogue, when both perspectives were voiced and responses were related to the other's comments, formed the basis for co-construction of tailored improvement strategies. This went beyond turn-taking; there was evidence of both educators and learners modifying their views, as new information was considered.

3.4.1 정보의 공유
3.4.1 Sharing information

먼저 정보가 어떻게 공유되는지 살펴보면서 각 당사자가 상대방의 관점을 듣고 배려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했습니다. 우리는 교육자들이 일상적으로 그들의 생각과 의견을 표현한다는 것을 발견했습니다. 이와는 대조적으로, 학습자들은 일반적으로 교육자들이 질문을 할 때만 말했고, 심지어 그들의 초기 대답은 짧고 피상적인 경향이 있었다.

First, we looked at how information was shared, offering the opportunity for each party to hear and consider the other's perspective. We found that educators routinely expressed their thoughts and opinions. In contrast, learners typically only spoke when educators asked them questions and even then, their initial answers tended to be brief and superficial.

 

교육자: 먼저 어떻게 지냈는지부터 말해보는 게 어때?
Educator: Why don't you start off by telling me how you went?

학습자: 나는 괜찮다고 생각했다… 크게 잘못된 것은 없었다. (V11)
Learner: I thought it was okay … nothing went terribly wrong. (V11)




몇몇 교육자들은 학습자의 관점을 더 철저히 탐구함으로써 더 큰 이해를 얻기 위해 추가적인 노력을 기울였습니다. 다음 발췌문은 학습자가 딸과 함께 응급실에 있는 노인에 대한 평가에 관한 것이다.

A few educators made additional efforts to gain a greater understanding of the learner's perspective by exploring it more thoroughly. The following excerpt concerned a learner's assessment of an elderly man, accompanied by his daughter, in the emergency department:

 

교육자: 만약 당신이 다시 당신의 시간을 가졌다면, 당신은 다르게 했을 것이 있나요?
Educator: If you had your time again, is there anything that you would have done differently?

학습자: 음… 내가 생각할 수 있는 것은… (오래 멈춤, 교육자에 의해 중단되지 않음)
Learner: Uhm … not that I can think of … [long pause, uninterrupted by the educator].

내 생각에, 아마도, 환자 스스로에 대해 몇 가지만 더 명확히 해 줄 수 있을 것 같아… 나는 딸에게 꽤 많은 이야기를 했어.
I think uugh … maybe, just clarify a few more things with the patient themselves … I spoke quite a lot to the daughter.

교육자: 음, 음.
Educator: Mhm, mhm.

학습자: 나는 환자로부터 약간의 정보를 얻었지만, 그는 어쨌든 과거를 위해 그의 딸을 언급하는 것 같았고, 그래서 나는 조금 더 많은 정보를 얻기 위해 그녀에게 의지했다.
Learner: I got a little bit of information out of the patient, but he … seemed to be referring to his daughter, anyway, for the history, which is why I turned to … her for a bit more information.

교육자: 네.
Educator: Yes.

학습자: 음, 그래서 아마도.. 환자부터 좀 더 시작하고, 그 다음에 딸에게 더 자세한 정보를 확인하려고요.
Learner: Uhm, so maybe … starting off with the patient a bit more … and then just checking in with the … daughter for further information.

교육자: 음.
Educator: Mm.

학습자: 네. [학습자는 그녀가 말을 끝냈다고 말한다.]]
Learner: Yeah. [Learner indicates she has finished talking.]

교육자: 병실에 더 많은 것을 알고 있는 가족이 있을 때는 항상 어렵습니다. 그들은 계속 끼어들기를 원하지만 여러분은 환자와 관계를 구축하려고 합니다. (V9)
Educator: It's always difficult when there's family in the room that know more; they keep wanting to interject but you're trying to build a relationship with the patient [first]. (V9)

 

여기서 교육자는 개방형 질문을 사용하고 [집중 경청]을 시연했습니다. 이러한 기술에는 다음이 포함된다.

  • 학습자가 잠시 멈췄을 때 침묵을 지키고 생각을 한 다음 대화를 계속할 수 있도록 하는 것, 
  • 격려하는 것('듣고 있다, 계속한다', '예'와 같은 소리), 
  • 요약 및 반향하기

학습자는 초기 변형이 있은 후, 사건을 반성하고 어려움을 드러내며 잠재적인 해결책(모든 가치 있는 학습 행동)을 제안합니다. 교육자의 발언은 비판이 아닌 [공감과 지지]라는 점이 특징으로써 심리적 안전을 도모했다.
Here, the educator used open-ended questions and demonstrated attentive listening. These skills include

  • remaining silent when the learner paused, to allow them to think and then continue talking;
  • encouraging (sounds that convey, ‘I’m listening, go on’ such as ‘hmm’ or ‘yes’);
  • summarising and echoing.

After an initial deflection, the learner reflected on events, revealed their difficulties and proposed a potential solution (all valuable learning behaviours). The educator's comments were characterised by empathy and assistance, not criticism, thereby promoting psychological safety.

특히, 학습자는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은 특정한 질문을 받았을 때만 어려움을 드러냈습니다.
In particular, learners typically only revealed difficulties when they were specifically asked about them:



교육자: 병동에서 당신이 힘들어하는 것들은 무엇인가요?
Educator: What are some of the things that you're finding difficult … on the ward?

학습자: 저는 아직도 참을성이 많아서... 아직 그 위에 오르지 못한 것 같아요... 아직도 하고 싶은 일들이 있어요... 시간이 없어서요. (V1)
Learner: I still feel like, with the patient load, … that I haven't really … gotten on top of that yet … There's still things … that I'd like to do that I just haven't got the time to do. (V1)

 
그 대신에, 일부 교육자들은 특정한 상황에 대해서 학습자들에게 의견을 요청했습니다. 다음의 응급 부서 상호 작용에서 볼 수 있습니다.

Alternatively, some educators cited a specific instance and then asked learners for their comments. This example comes later in the emergency department interaction:

 

교육자: 방에 들어가면 딸에게 자신을 소개하는 방법에 대해 말해보세요.
Educator: When you entered the room, tell me about the way that you introduced yourself … to the daughter.

학습자: [내가] 실수를 했어 - 방에 있는 건 알았지만, 아니었어 - 처음에 누구냐고 물었어야 했는데 (V9)
Learner: [I] made the mistake of - I knew she was in the room, but I didn't - I should have initially … asked who she was (V9)

 

3.4.2 상대방의 의견에 대한 대응
3.4.2 Responding to the other's comments

다음으로, 우리는 참가자들이 [커뮤니케이션 루프를 완성하기 위하여 상대방의 의견에 어떻게 반응하는지] 탐색하였다. 여기서 한 학생이 편집증을 보이는 환자에 대한 평가에 대해 논의하고 있었다.

Next, we explored how participants responded to the other's comments, to complete communication loops. Here, a student was discussing their assessment of a patient presenting with paranoia:

 

교육자: 그 외에 더 개선할 수 있었던 것은 무엇이라고 생각하시나요?
Educator: What else do you think you could have improved on?

학습자: 아마도 그녀가 약간 화가 나거나, 아니면 완전히 문을 닫거나… 나는 그녀가 그 주제에 대해 ...그냥 모든 것을 멈추고 자동으로 '나중에 다시 얘기하자' 혹은 그냥 넘어갈 수 있을까?
Learner: Probably handling her getting a little bit upset or … completely shutting down … I had a feeling she might, regarding that topic … Do you automatically just stop everything and go, ‘Okay we’ll come back to it later,’ or can you get past that?



교육자: 그것은 여러분이 정말로 알고 싶어하는 중요한 정보입니다. 이제 여러분은 분명히 그것을 확대시키고 공격적으로 만들고 싶지 않을 것입니다. 민감한 주제인 상황에서는, 여러분은 가만히 앉아서 그들이 대화를 계속해 나갈지 지켜볼 수 있습니다.
Educator: That’s the key information that you really want to find out … Now obviously you don’t want to … make it escalate and get aggressive … In situations … where it is a touchy subject, you may sit back and, just for three or four seconds, wait and see whether they carry on with the conversation.

… 우리가 그녀의 진짜 프레젠테이션을 실제로 보기까지 시간이 좀 걸렸다는 걸 알고 있었니? 그래서 처음과 마찬가지로 10분 동안 그녀는 그 상황을 꽤 잘 맞춰나갔고, 그리고 나서 시작했다. 그녀는 화를 내고, 대화를 끝내고 싶어졌다.
… Did you realise how it took a little bit of time for us to actually see her real presentation? So, like in the first … 10 minutes, she kept it together pretty well … then it … started - she was getting irritable, she wanted to end the conversation …

학습자: 15분이었나? 그렇게 길게 느껴지진 않았어요.
Learner: Was it 15 minutes, really? It didn't feel that long.

교육자: 응… 그래서 대화를 더 오래 지속해야 해… 조금 더 길게...
Educator: Yeah … that's why you need to … keep the conversation going for a longer period of time … Tap in a little bit more …

학습자: 그것은 말이 된다. 왜냐하면 나는 우리가 하는 위험 평가를 발견했기 때문이다… 각각의 교대조들은 … 매우 갑작스러울 수 있다… 그 5분 동안, 모든 사람들이 충분히 열려있지 않다…
Learner: That makes sense because I found the risk assessments that we do … each shift … can be … very abrupt … In those five minutes, not everyone is open enough to …

교육자: 정답입니다.
Educator: Correct.

학습자: ...나중에 [나중에] 그들이 편집증적 생각이나 망상을 가지고 있다고 들었습니다만, 제가 그들에게 말을 걸었을 때는 실제로 그런 것을 보여주지 않았습니다. (V35)
Learner: … I hear later on [that] they've got paranoid thoughts or … delusions but they never actually showed that when I was … talking to them. (V35)


눈에 띄는 점은, 학습자가 교육자에게 직접 도움을 요청했다는 것이다. 이러한 과감한 움직임은 데이터 세트 내에서 독특했습니다. 일반적으로 학습자가 어려움을 언급할 때 이것이 충분한 힌트라고 생각하고 명시적으로 도움을 요청하지 않았습니다(일부 교육자는 응답했지만 다른 교육자는 그렇지 않았습니다).
Notably, the learner directly asked the educator for help; this bold move was unique within our data set. Generally when learners mentioned a difficulty, they appeared to assume this was a sufficient hint and did not explicitly ask for assistance (some educators responded but others did not).

서로 번갈아 가면서 말을 하는 과정에서, 각 참여자가 아이디어(또는 격차)를 명확히 하고 시험하고 발전시키는 공유 정신 구축 영역에 자주 기여할 수 있도록 했다. 교육자는 학습자의 딜레마를 승인하고 해결책을 제시한 후 다시 학습자에게 집중했습니다. 전체적으로 학습자는 담화에서 중심적인 역할을 맡았으며, 교육자는 학습자의 신호를 받아 그에 따라 코멘트를 조정했다.
As the speaker's role alternated, it allowed each participant to frequently contribute to the shared mental construction zone, in which ideas (or gaps) were clarified, tested and developed. The educator endorsed the learner's dilemma, offered a solution and then focused back on the learner. Throughout, the learner had a central role in the discourse, with the educator taking their cues from the learner and tailoring comments accordingly.

그러나 이러한 대화식 대화는 흔하지 않았다. 일반적으로 교육자들은 학습자의 의견을 무시하고 자신의 의제를 추구했습니다. 그들은 일반적으로 세션이 끝날 때 '질문이 있습니까?'라고만 물었다. 학습자는 습관적으로 교육자의 의견에 대해 '그렇다'고 답했지만, 그 이상의 의견은 거의 하지 않았고 교육자의 의견에 대한 답변을 구하는 일은 거의 없었다.
However, such interactive dialogue was not common. Commonly educators ignored learners’ comments and pursued their own agenda. They typically only asked, ‘Do you have any questions?’ at the conclusion of the session. Learners habitually acknowledged educators’ comments by saying ‘yes’ but little input beyond this and rarely sought a response from educators to their comments.

특히, 견해에 대해 논쟁을 하는 경우는 거의 없었다. 우리의 자료에서 교육자의 말에 공개적으로 반대하는 학습자는 없었다. 교육자들이 다른 의견을 표현했을 때, 대부분 그들의 우려와는 달리 그들의 작업이 만족스럽다고 학습자들을 안심시켰다. 이 독특한 사례에서 소아과 전문의는 주니어 의사의 견해에 반박한다.
In particular, views were scarcely contested. In our data, no learner overtly disagreed with an educator's remarks. When educators did express a different opinion, mostly they were reassuring learners that their work was satisfactory, contrary to their concerns. In this unique example, a paediatric specialist counters a junior doctor's view:



교육자: … 이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을 제안하고 싶습니다. ...당신에게는 어린 아들과 부모가 있었습니다. 그들은 그들의 의견과 사물에 대한 그들의 소망이 매우 강했습니다. ... 당신의 경영 계획에 관해서: 당신은 무엇을 하고 싶은지 알고 있었지만, 부모님들의 반응이 어떨지 확신이 없었던 것 같아요.
Educator: … I would encourage you to … [propose] how … to settle this … You had a [young] boy and … parents, who were very strong in their opinions and their wishes on things … In terms of your management plan: I think you knew what you wanted to do but you felt unsure because … of [how the parents might react].

학습자: 내가 아이를 진찰하는 순간, 그리고 엄마는 그녀의 걱정을 강하게 표현했다… 나는 즉시 '부모에게 [필요한 절차]를 제안하기 전에 상담사를 불러야 할 것 같다.' 소아과에서, 당신은 부모가 그들의 목소리를 높일 때 한 걸음 물러서는 경향이 있다. 왜냐하면 당신이 걱정하기 때문이고, 그들이 옳을지도 모르기 때문이다.사이좋게 그들은 목소리를 높일 때 옳다.

Learner: The moment I was examining the child … and the mother … strongly voiced her concerns … I immediately … went, ‘Maybe I should have a consultant here before I even suggest [the required procedure] to the parents’ … In paediatrics, you tend to take a step back when a parent raises their voice because you’re worried, maybe they are right, because occasionally they are right when they raise their voice.

교육자: … 여러분 자신의 접근법에 대한 확신을 갖는 것과 부모들의 관심에 개방적인 것 사이의 어려운 균형은, 비록 그들이 반드시 옳거나 도움이 되지는 않더라도, 우리가 항상 귀담아들어야 하는 것입니다. 그것은 단지 팀의 어린 나이에 대한 경험이 아니라, 당신의 경력을 통해 얻을 수 있는 경험입니다 … 당신은 이것이 어떻게 관리되어야 하는지에 대한 그들 자신의 생각을 가지고 있는 부모들을 가질 것입니다. 그리고 당신은 그 과정에 그들을 참여시키는 방법과 보통 그 행동의 기초가 되는 두려움에 대한 기술을 개발하기 시작합니다.환자 관리의 우선순위가 여전히 준수되고 있는지 확인하면서 …
Educator: … It’s a difficult balance, isn’t it, between having conviction in your own approach and being open to the concerns of the parents, which we always need to listen to, even if they’re not necessarily right or helpful [for the child]? That’s not just an experience of being a little junior in the team, that’s an experience you get all the way through your career … You will have parents who have their own ideas about … how this needs to be managed, and you’re beginning to develop skills on how to engage them in that process and the fear that usually underlies that behaviour, as well as making sure that the priorities for the patient’s management are still followed …

학습자: 흠, 물론이지. 또 다른 것은 - 저는 3학년 때 여러분이 과신하고 있을 때, 여러분이 아는 것이 많지 않을 때, 여러분은 방에 들어가서 '예프, 이 상황을 감당할 수 있어요'라고 생각할 때, 하지만 지나친 자신감은 더 많은 해를 초래할 수 있다는 것입니다. '무엇을 넣거나 하기 전에 항상 도움을 구하라'는 등 항상 자신감이 떨어지는 쪽에 있었던 것 같지만, 그 이후에는 역추적이 항상 도움이 되는 것은 아니기 때문이다.


Learner: Hmm, definitely. The other thing … is – I’m worried that sometimes when, as a junior you’re overconfident, given you don’t know much, you go into a room thinking, ‘Yep, I can handle this situation’ but over-confidence … can lead to more harm. Though I think I’ve always been in the under-confident side, like, ‘Always seek help before you put something in or do something,’ because after that, back tracking won’t always help you.

교육자: 아니요, 당신이 전적으로 옳고 우리는 항상 안전에 대해 인식해야 합니다 … 당신은 대부분 임상적으로 어떤 일이 일어나야 하는지 꽤 명확하게 알고 있습니다 … 약간의 자신감을 가지고 있습니다. 그리고 이것이 제가 해야 할 일이라고 생각합니다만, 저는 제 상담가와 함께 가서 그것을 명확히 할 것입니다. 왜냐하면 [당신의 자녀]가 분명히 고통 받고 있기 때문입니다.'어떤 일이 일어나야 할지에 대한 강한 생각을 가지고 있다.' (V3)


Educator: No, you’re absolutely right and we always need to be cognisant of safety … You know most of the time quite clearly what needs to happen clinically … having a bit of confidence … and saying [to the parent], ‘Look, this is what I think I need to do but I will go and clarify that with my consultant because [your child’s] obviously in distress and you’ve got some strong ideas about what needs to happen.’ (V3)

 



여기서 교육자는 학습자가 겪는 곤경을 공감하고 정상화하면서도, 부모의 견해를 가장 중요하게 여겼다. 그 교육자는 이 도전에 대한 그들의 임상적 통찰력을 공유하며 계속했다. 이러한 대응은 학습자가 관리 계획을 시작하는 데 걸림돌이 된 점을 솔직하게 밝히면서 심리적 안전을 도모하는 것으로 보였다. 이를 통해 교육자는 학습자가 고심하고 있는 특정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자신의 조언을 더 정확하게 공략할 수 있는 기회를 얻게 되었다.

The educator clearly repositioned the parents’ views as paramount, when empathising and normalising the predicament this created for the learner. The educator continued by sharing their clinical insights into this challenge. This response seemed to promote psychological safety as the learner then candidly revealed what had held them back from initiating the management plan. This gave the educator the chance to more accurately target their advice to address the specific problem the learner was grappling with.

요약하자면, [학습자가 자신의 마음가짐을 터놓고 공유]하고, [참여자가 서로의 의견에 호응]하는 쌍방향 대화 사례를 파악했다. 다른 사람들의 생각을 기반으로 대화를 쌓아나가는 '쌍방향 교류'는 이것의 proxy로서 '번갈아가면서 말하기'와 구별되었다. 그러나 이 시나리오는 흔하지 않았다. 학습자들은 초대받을 때만 말하는 경향이 있었다. 따라서 학습자의 어려움, 추론, 질문, 의견, 아이디어 등은 대부분 목소리가 나오지 않아 답변을 할 수 없었다. 그러나, 몇몇 교육자들은 탐구적인 질문과 주의 깊은 청취를 사용했다; 이것은 교육자가 학습자의 의견에 관심을 가지고 가치를 두었다는 것을 말하고 전달하도록 학습자를 초대하는 것을 지속하는 것으로 보였다. 이러한 접근은 심리적 안전 구축에 기여하고 학습자들의 솔직함을 장려하는 것으로 보였다.
In summary, we identified examples of interactive dialogue in which learners openly shared their mindset and participants responded to each other's comments. This building on the thoughts of others was distinct from ‘turn-taking’ as a proxy for ‘two-way interaction.’ However, this scenario was uncommon. Learners tended to speak only when invited. Therefore, learners’ difficulties, reasoning, questions, opinions or ideas were mostly never voiced, and hence, could not be responded to. However, a few educators used exploratory questions and attentive listening; this seemed to sustain the invitation for the learner to speak and convey that the educator was interested in and valued the learner's input. This approach appeared to contribute to building psychological safety and encouraged candour from learners.


그러나 참여자들이 다른 참여자들의 기여에 응답하지 않을 때, 대부분 의사소통 루프는 '어딘가 매달려 남겨진 것처럼' 불완전하였다. 교육자들은 학습자들의 의견에 일상적으로 반응하지 않았습니다. 이는 학습자가 한 말에 대한 교육자의 의견에 대한 학습자 마음의 불확실성을 줄여 심리적 안전을 도모하거나 지원과 도움을 줄 수 있는 기회를 놓쳤다. 게다가 교수자나 학습자 모두 토론이나 의견 차이를 꺼리는 듯 보였다. 따라서 대화 중에 토론 포인트를 더 많이 알아내거나, 명확히 하거나, 이의를 제기하거나, 수정할 수 있는 대부분의 기회는 활용되지 않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두 참가자가 쌍방향 토론에 참여한 몇몇 상황에서, 우리는 양측의 사고방식이 진화하여 명시적으로 공유된 이해(공통적 근거)와 맞춤형 개선전략이 공동개발되는 것을 보았다. 교육자는 학습자가 하기 위해 고군분투하는 것을 정확하게 표현하도록 격려함으로써 그들의 조언을 맞춤화할 수 있었다.

However, mostly communication loops were ‘left hanging’ incomplete, when participants did not respond to the other's contributions. Educators did not routinely respond to learners’ comments. These were lost opportunities to promote psychological safety by reducing uncertainty in the learner's mind regarding the educator's opinion on what the learner had said, or to offer support and assistance. In addition, both parties appeared reluctant to debate or disagree. Hence, most chances to find out more, clarify, challenge or modify discussion points during the conversation were not utilised. Nevertheless, on the few occasions when both participants engaged in an interactive discussion, we saw an evolution in thinking on both sides resulting in explicitly shared understandings (common ground) and co-development of tailored improvement strategies. By encouraging the learner to articulate exactly what they were struggling to do, the educator was able to customise their advice.

심리적 안전이 어떻게 보일 수 있는지와 교육자가 이를 육성하기 위해 학습자와 협력하는 방법을 보여주는 확장된 발췌문은 부록 S1의 온라인 보충 자료를 참조한다.
See online supplementary material, in Appendix S1, for an extended excerpt showcasing what psychological safety could look like and how an educator might work with a learner to foster it.

 

3.5 네 가지 테마를 모두 보여주는 피드백 상호작용
3.5 Feedback interaction illustrating all four themes


심리적 안전이 어떻게 보일 수 있는지와 교육자가 이를 육성하기 위해 학습자와 협력하는 방법을 보여주는 확장된 발췌문은 부록 S1의 온라인 보충 자료를 참조한다.

See online supplementary material, in Appendix S1, for an extended excerpt showcasing what psychological safety could look like and how an educator might work with a learner to foster it.

4 논의
4 DISCUSSION

우리는 구두 피드백 세션에서 교육자들이 어떻게 학습자들과 함께 심리적 안전을 만들었는지 설명하는 네 가지 주제로 분석을 제시했습니다.
We have presented our analysis under four themes that describe how educators worked with learners to create psychological safety in verbal feedback sessions:

  • 대화와 솔직함의 장을 마련한다.
  • 동맹으로서의 교육자;
  • 지속적인 개선 방향, 그리고
  • 쌍방향 대화를 장려합니다.
  1. setting the scene for dialogue and candour;
  2. educator as ally;
  3. a continuing improvement orientation, and
  4. encouraging interactive dialogue.


효과적인 피드백을 위해서는 '신뢰', '관계 구축', '교육 제휴'와 같은 심리적 안전의 측면이 중요하다고 주장하는 문헌에도 불구하고, 직장 피드백 대화에서 이것이 어떻게 보이는지에 대한 경험적 증거는 거의 없다. 이는 교육자들이 공식적인 언어 피드백 세션에서 심리적 안전성을 함양하기 위해 학습자들과 함께 작업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경험적 연구를 통해 해결하려고 시도한 격차입니다. 그러나 여기에 제시된 접근법은 규범적이지도 않고 모든 것을 다 포함한 것도 아니다.
Despite the literature advocating that aspects of psychological safety such as ‘trust,’ ‘relationship building’ and ‘educational alliance’ are crucial for effective feedback, there is little empirical evidence of what this looks like in workplace feedback conversations.22, 28, 31, 32 This is the gap we have attempted to address, using empirical research, to describe ways that educators worked with learners to foster psychological safety in formal verbal feedback sessions. However, the approaches presented here are neither prescriptive nor exhaustive.

중요한 것은 학습자에 대한 undercurrent 또는 '메타 피드백 루프'의 징후로, [교육자의 반응]이 (교육적) 대화에서 [학습자의 개방성과 학습 참여를 촉진하거나 억제한다]는 것이다. 실제로, 이는 피드백 세션을 시작할 때 대화와 솔직함을 위한 현장을 설정하는 교육자의 가치를 강조한다(다만 이 명시적 초청은 교육자가 '무엇을 하는지'에 달려 있으며, 세션 내내 지속적인 지원을 필요로 한다). 학습자들은 심리적인 안전성과 무엇을 말해야 할지에 대한 위험요인 분석에 대해 매 순간적으로 평가를 하는 것처럼 보였다. 교육자가 지원과 지지를 제공할 때(비판이 아님) 학습자가 세부 사항 설명, 의견 제시, 교육자의 추천에 대한 단점 제기 또는 대안 제시와 같은 학습 활동에 보다 솔직하게 참여하는 것을 볼 수 있었습니다. 즉, 학습자들은 [교육자의 신호를 역동적으로 읽어내면서, 전진해야 할지 후퇴해야 할지 결정]하고 있었다. 학습자가 '발끝 담그기'를 하고, 이 때 반응이 심리적 안전을 키워주게 되면, 학습자는 과감하게 한 발 더 깊이 다가갔다. 그러나 이 연구의 많은 피드백 세션에서 교육자들이 대화를 주도했으며 학습자가 초기 의견을 말할 때 이는 무시되었다. 이는 의사-환자 소통에 대한 연구를 반영하는데, 의사의 반응이 환자들이 상담 중에 얼마나 많은 양을 공개했는지에 큰 영향을 미쳤다. 의사들은 종종 환자의 초기 힌트를 무시했고, 이것은 더 이상의 정교함과 협력을 억제했다.56

Importantly, there were indications of an undercurrent or a ‘meta feedback loop’ for the learner, in which educators’ reactions promoted or inhibited learners’ openness and engagement in learning within the conversation. Indeed, this highlights the value of an educator setting the scene for dialogue and candour at the start of a feedback session (although this explicit invitation requires ongoing support throughout the session by what the educator ‘does’). Learners appeared to be making moment-by-moment assessments about psychological safety and the risk-to-benefit analysis of what to say. When educators offered support and assistance (not criticism), we saw learners progressively engage more candidly in learning activities, like explaining details, offering their opinion, broaching drawbacks in educators’ recommendations or suggesting alternatives. In other words, learners were dynamically reading cues from the educator, to determine whether they should advance or retreat. When a learner ‘dipped their toe in,’ where the response fostered psychological safety, the learner boldly took a step deeper. However, it is important to note that in many of the feedback sessions in this study, educators dominated the conversation and when a learner made an initial comment, this was ignored. This closely mirrors research into doctor-patient communication, in which doctors’ responses strongly influenced how much patients disclosed during consultations.42, 54, 55 Frequently doctors ignored patients’ initial hints, which suppressed further elaboration and cooperation.56

이러한 패턴은 교육자가 [학습자 중심의 피드백 상호작용의 가치]를 이해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학습자와 협력하여 임상 실습에서 이 구조를 운영하는 방법에 대한 실용적인 아이디어를 제공]하는 것의 중요성을 강화한다. 교육 진행에 대한 통제는 교육자의 역할에 일반적으로 내재되어 있기 때문에, 임상 교육자는 학습자(학생과 하급 의료진 모두)에 대해 높은 수준의 구조적 힘power을 보유하고 있다. 교육자들이 보이는 초대와 반응(마찬가지로 이것의 부재)이 [생산적인 지적 위험을 감수하는 학습자 성향에 미치는 영향]을 더 잘 인식하도록 한다면, 교육자들이 그들의 관행을 바꾸도록 동기를 부여할 수 있다. [다른 사람의 의제를 도출하고 대응하는 방법에 대한 언어적 예시]가 있다면 교육자가 변화를 집행enact하고, 임상 실습에서 피드백 의식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도록 도울 수 있다.
This pattern reinforces the importance of assisting educators to understand the value of learner-centred feedback interactions, and offering practical ideas on how they could operationalise this construct in clinical practice in collaboration with learners. Clinical educators hold a high degree of structural power over learners (both students and junior clinical staff) as control over training progression is commonly embedded in educators’ roles.18, 57 Helping educators to be more conscious of the impact of their invitations and responses (or lack thereof) on learners’ propensity to take productive intellectual risks, may motivate educators to change their practice. Having linguistic examples of how to elicit and respond to another's agenda may assist educators to enact changes and have a positive impact on feedback rituals in clinical practice.

우리의 연구 결과는 전반적으로 고등 교육, 보건 직업 교육 및 커뮤니케이션 분야에 걸친 이전의 연구를 강화하는데, 이는 학습 행동이 [신뢰, 존중, 공감, 학습자의 관점 이해, 학습 중 실수를 피할 수 없는 것으로 받아들이는 태도]에 의해 촉진된다고 보고했다. 시뮬레이션 기반 교육에서는 문헌 검토와 팀의 전문 지식을 바탕으로 [안전한 학습 환경]을 조성하기 위한 일련의 '약속 실천promising practices'이 제안되었다. 여기에는 다음이 포함됩니다. 

  • 기대치를 명확히 하는 것,
  • 로지스틱의 세부 사항에 집중하는 것,
  • 참가자의 관점에 대한 존중과 호기심을 보여주는 것,
  • 도전적인 학습 환경에서 발생하는 실수를 이해하는 것
  • 학습자의 기술 향상을 돕는 것
  • 학습자에 대한 긍정적인 인식을 유지하는 것

Our findings overall reinforce previous research across the fields of higher education, health professions education and communication, which have reported that learning behaviours are fostered by trust, respect, empathy, seeking to understand the learners’ perspective and an attitude that accepts mistakes as inevitable during learning.29, 32, 50 In simulation-based education, a set of ‘promising practices’ have been proposed for creating a safe context for learning, derived from a literature review and the team's expertise.39, 40 These included

  • clarifying expectations;
  • attending to logistical details;
  • showing respect and curiosity regarding participants’ perspectives;
  • understanding that mistakes occur in challenging learning environments,
  • focusing on assisting learners to enhance their skills and
  • maintaining positive regard for them.

우리가 식별한 주제 중 일부는 시뮬레이션 기반 맥락에서 현상에 대한 이러한 전문가의 통찰력과 일치하지만, 우리의 실용적인 행동과 대화 사례는 심리적 안전을 구축하고자 하는 교육자들이 피드백 만남 동안 특정 상황에 맞게 조정할 수 있는 옵션을 제공한다.

Some of the themes we identified are consistent with these experts’ insights into the phenomenon in simulation-based contexts, but our examples of practical behaviours and dialogue offer options that educators, wanting to build psychological safety, could tailor for specific contexts during their own feedback encounters.

'대화와 솔직함의 장을 마련하라'는 주제는 교육자들이 어떻게 세션의 분위기를 미리 설정했는지 조사했다. 우리의 연구에서, 이것은 잘 수행되지 않았습니다. 교육자가 처음부터 학습자의 기여에 대한 가치를 강조하고, 지지assist할 의사를 밝힐 때, 이는 대화형 대화를 지지하며 학습자가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 있도록 합니다. 교육자-학습자 쌍 중 일부는 서로를 잘 몰랐을 가능성이 크다. 이런 맥락에서, (일상이 확립되지 않은 만큼) 기대에 대해 명시하는 것이 훨씬 더 중요할 것 같다. [(기대를) 투명하게 만들고. 앞으로 일어날 일과 예상되는 일에 대한 어느 정도의 통제를 제공]한다면, 학습자들은 덜 불안할 것이다. 과도한 불안은 주의를 산만하게 하고 복잡한 생각을 방해하며 기억을 손상시키기 때문에 학습 성과에 중요하다. 이 주제는 시뮬레이션 기반 교육 및 의사-환자 커뮤니케이션 기술에 대한 지침과 밀접하게 일치하며, 이는 처음부터 협력적 파트너십의 분위기를 설정하는 것의 중요성을 개략적으로 보여준다. 

The theme ‘setting the scene for dialogue and candour’ examined how educators set the tone for the session upfront. In our study, this was not done well. When educators indicate their intention to assist and highlight the value of learners’ contributions from the outset, this endorses interactive dialogue and enables learners to better position themselves to actively participate. It is likely that some of the educator-learner pairs did not know each other well. In this context, being explicit about expectations is likely to be even more important as routines have not been established. By creating transparency and offering some degree of control about what is going to happen and what is expected, learners are likely to feel less anxious. This is important for learning outcomes as excessive anxiety distracts attention, interferes with complex thinking and impairs memory.7-25, 27-34, 59 This theme aligns closely with guidelines for simulation-based education and doctor-patient communication skills, which outline the importance of setting the tone for a collaborative partnership from the start.35-58


다음 주제인 '동맹으로서의 교육자'는 교육자들이 학습자들에게 어떻게 지원과 지원을 제공하고 권력 불균형을 의도적으로 줄이려고 하는지를 파악했다. 이러한 전략들은 '배움의 기회를 잡는 것'이 학습자들에게 이익을 가져다 줄 가능성을 높임으로써 심리적 안전을 도모하는 것으로 보인다. 베어먼과 몰로이는 '지적 스트리킹(알몸으로 달리기)'라는 문구를 사용하였는데, 이는 교육자들이 학습자들에게 자신의 한계를 '노출'하는 경우를 설명하는 것으로서, 이러한 상호적 취약성의 제스쳐를 통해, [신뢰를 구축]하고 [권력의 불균형을 줄일 수 있는 잠재력]을 가지고 있다. 후속 연구에서, 이 저자들은 ['취약성-신뢰성' 긴장]을 탐구했는데, 이는 교육자들이 [전문가로서의 지위를 유지하기 위해 노력]하면서, 동시에 [학습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복잡한 임상 문제에 관한 불확실성을 드러내는] 것을 뜻한다. 그들은 [완벽주의 추구하기]가 아니라 [오류를 인정하는 문화 구축]의 가치를 옹호했는데, 왜냐하면 error란 직무 전반에 걸쳐 학습의 중심이기 때문이다.

The next theme ‘educator as ally’ identified how educators offered support and assistance to learners and purposefully attempted to reduce the power imbalance. These strategies seem to foster psychological safety by increasing the likelihood that ‘taking a chance on learning’ would reap benefits for learners. Bearman and Molloy used the phrase ‘intellectual streaking’ to describe instances when educators ‘exposed’ their own limitations to learners, with the potential to build trust and reduce the power imbalance through this gesture of reciprocal vulnerability.60 In a subsequent article, the same authors explored the 'vulnerability-credibility' tension in which where educators revealing their uncertainties regarding complex clinical problems to facilitate learning, and when also trying also trying to maintain their standing as experts They advocated for the value of ‘building a culture that acknowledges fallibility’ - as errors are central to learning throughout life at work - ‘rather than honouring perfectionism.’18, 61

'지속적인 개선 방향'이라는 주제는 Dweck이 설명한 '성장 마인드'와 일치합니다. 이러한 사고방식은 지속적인 학습에 특권을 부여하고, 도전적인 과제를 찾고, 효과적인 전략, 노력 및 지속성을 적용하여 기술을 개발하는 데 초점을 맞춥니다. 실수와 지식의 격차는, 학습자가 은폐하거나 교육자가 비판할 대상이 아닌, 배움의 기회로 비쳐진다. 이를 통해 학습 시 실수나 격차가 예상된다는 이해와 함께 높은 전문적 기준을 결합할 수 있는 접근 방식을 제공한다.
The theme ‘a continuing improvement orientation’ aligns with a ‘growth mindset’, as described by Dweck.62 This mindset privileges ongoing learning and focuses on developing skills by seeking out challenging tasks and applying effective strategies, effort and persistence. Mistakes and knowledge gaps are seen as opportunities to learn, not cause for covering up by a learner or criticism from an educator. This offers an approach to combine high professional standards with an understanding that mistakes or gaps are expected when learning.


마지막 주제인 '상호작용 대화 장려'는 교육자들이 참여자들이 서로의 기여를 기반으로 하는 토론을 촉진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이를 통해 공통의 근거(명백히 공유된 이해)가 만들어졌고, 학습자의 어려움을 해소하기 위한 목표 개발전략의 공동구축이 이루어졌다. 이 핵심 발견은 상담 중에 환자와 의사의 관점을 동등하게 우선시하는 '역사 쌓기build a history'를 위한 권고사항과 일치한다. 이는 '두 명의 작가가 두 사람이 모두 만족할 때까지 원고를 협력적으로 쓰는 것'에 비유되어 왔다.'55 두 가지 고유한 기여를 통합하는 이러한 패러다임은 더 나은 환자 신뢰, 만족도 및 임상 결과를 초래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아마도 협력적으로 개발된 계획에 대한 개선된 준수와 관련이 있을 것이다. 그러나, 우리의 연구와 피드백에 대한 다른 연구에서, 이것은 흔히 볼 수 없었다.

The final theme ‘encouraging interactive dialogue’ describes ways that educators facilitated discussions in which participants build on each other's contributions. This led to the creation of common ground (explicitly shared understandings), and the co-construction of development strategies targeted to address the learner's difficulty. This key finding aligns with recommendations to ‘build a history’ by equally prioritising the patient's and doctor's perspectives during a consultation.50, 54 This has been likened to ‘two writers collaborating on a manuscript … until both are satisfied.’55 This paradigm of integrating both unique contributions has been shown to result in better patient trust, satisfaction and clinical outcomes, probably related to improved adherence to plans developed collaboratively.55 However, in our study, and other studies of feedback,63 this was not commonly seen.

4.1 장단점
4.1 Strengths and weaknesses

본 연구는 전문성, 경험 및 성별에 걸쳐 다양한 건강 전문가 참가자들과 함께 일상적인 임상 실습 중 36개의 공식 구두 피드백 세션 비디오를 분석했다. 학습자가 심리적 안전의 지표로 점점 더 정보를 공개하고 학습 활동을 하는 맥락을 살펴봤다. 주제 분석은 안전한 학습 환경의 지표와 관련된 교육자 행동에 대한 엄격하고 식별된 새로운 통찰력이었다. 본 기사는 임상 교육자들이 학습자들을 진솔한 토론과 협업 계획으로 초대하려고 시도하면서 그들이 접근한 방식을 바탕으로 문헌을 추가한다.
Our study analysed 36 videos of authentic formal verbal feedback sessions during routine clinical practice with diversity of health professional participants across specialty, experience and gender. We examined the context in which learners increasingly disclosed information and engaged in learning activities, as a signpost for psychological safety. The thematic analysis was rigorous and identified novel insights into educator behaviours associated with indications of a safe learning environment. This article adds to the literature by drawing on the approaches of clinical educators as they attempted to invite learners into honest discussion and collaborative planning.

4.2 제한사항
4.2 Limitations

우리의 업무는 몇 가지 한계가 있습니다. 우리는 학습자의 입력이나 입력 부족에서 유추된 관련 교육자의 행동을 관찰하고 심리적 안전에 미치는 영향을 가정할 수 있을 뿐이다. 세션 내내 학습자가 솔직해지는 경우를 중심으로 이를 완화하고자 노력했지만, 불안감에도 불구하고 학습자가 자유롭게 자신을 표현했을 가능성이 있다. 우리의 명제를 시험하기 위해서는 더 많은 연구가 필요하다. 교육자-학습자 쌍이 얼마나 오랫동안 함께 일했는지 기록하지 않았다. 이전의 만남은 기록된 피드백 에피소드 내에서 심리적 안전에 영향을 미쳤을 것이다. 또한, 연구에 참여하고 세션을 영상화하는 것이 참가자의 행동에 영향을 미쳤을 수 있습니다. 모든 참가자들이 호주의 단일 대형 보건 서비스에서 근무했기 때문에 피드백이 문화와 맥락에 영향을 받기 때문에 일반성을 제한할 수 있다. 개인의 학습과 커뮤니케이션 선호, 지역 단위 및 관련 기관 등 심리적 안전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다른 요소들은 조사되지 않았다. 

Our work has some limitations. We could only observe associated educator behaviours and postulate effects on psychological safety, inferred from learners’ inputs or lack thereof. It is possible that learners freely expressed themselves despite feeling unsafe, although we attempted to mitigate this by focusing on occasions when learners became increasingly candid throughout the session. Further research is required to test our propositions. We did not record how long educator-learner pairs had worked together. Previous encounters would have likely influenced psychological safety within the recorded feedback episodes. In addition, participating in the study and videoing the session may have influenced participant behaviours. All participants worked at a single large health service in Australia and hence, this may limit generalisability as feedback is influenced by culture and context. Other factors that may effect psychological safety, such as the individual's preferences for learning and communication, the local unit and institution involved, were not investigated.63

5 결론
5 CONCLUSIONS

쌍방향 학습 대화로 특징지어지는 피드백이 학습자에게 더 나은 결과를 가져다 줄 수 있다는 증거가 증가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안전한 기후를 구축하고 피드백 대화에서 학습자가 생산적인 학습 위험을 감수하도록 장려하는 방법에 대해서는 문헌이 부족하다. 우리의 데이터는 학습자와 교육자의 관점을 공유하고, 고려하고, 응답할 때보다 새로운 공동구축된 아이디어가 형성된다는 것을 입증했다. 학습자가 '상황을 살피는testing the waters'징후가 나타났고, 교육자의 반응이 후속 학습자의 참여에 큰 영향을 미쳤다. 심리적 안전의 징후가 보였을 때, 대화는 양측의 의제를 통합한 '빌딩 온(building on)'의 성격으로 나아갔다. 참가자들이 피드백을 통한 학습 최적화에 목표를 둔다면 심리적으로 안전한 환경을 만들어 학습자가 위험을 감수하도록 유도하는 것이 중요하다.

There is increasing evidence to suggest that feedback, when characterised by an interactive learning dialogue, results in better outcomes for learners.8, 15, 32, 64 However, the literature is thin when it comes to explaining how a safe climate is built, to encourage learners to take productive learning risks within a feedback dialogue. Our data demonstrated than when learner and educator perspectives were shared, considered and responded to, new co-constructed ideas were fashioned. There were indications of learners ‘testing the waters,’ with educators’ responses strongly influencing subsequent learner involvement. When there were signs of psychological safety, conversations took on a ‘building on’ tenor, which incorporated the agendas of both parties. If participants set their sights on optimising learning through feedback, creating a psychologically safe environment, to encourage learners to take risks, becomes crucial.

이 심층 관찰 연구는 심리적으로 안전한 직장 피드백 대화가 어떤 모습일 수 있는지를 명확히 하고, 교육자들에게 '지시'가 아닌 '그들과 함께 만들어진' 피드백에 대한 학습자의 기여를 촉진할 수 있는 언어 전략을 제공한다.

This in-depth observational study clarifies what psychologically safe workplace feedback conversations could look like and offers educators linguistic strategies that may foster learners’ contributions to feedback ‘created with them,’ not ‘directed at them.’

 


 

 

Med Educ. 2020 Jun;54(6):559-570.

 

 doi: 10.1111/medu.14154.

 

Psychological safety in feedback: What does it look like and how can educators work with learners to foster it?

Affiliations collapse

Affiliations

1Monash Doctors Education, Monash Health, Clayton, Victoria, Australia.

2Department of Medical Education, Melbourne Medical School, University of Melbourne, Melbourne, Victoria, Australia.

3Department of Physiotherapy, School of Primary and Allied Health Care, Faculty of Medicine Nursing and Health Science, Monash University, Melbourne, Victoria, Australia.

PMID: 32170881

DOI: 10.1111/medu.14154

Abstract

Context: Feedback conversations play a central role in health professions workplace learning. However, learners face a dilemma: if they engage in productive learning behaviours (such as asking questions, raising difficulties, offering opinions or contesting ideas), they risk exposing their limitations or offending the educator. This highlights the importance of psychological safety in encouraging learners to candidly engage in interactive dialogue and the co-construction of knowledge. Previous research has recommended that building safety, trust or an educational alliance is key to productive feedback encounters. Yet it is unclear how to translate this into practice. Hence our research question was: What does psychological safety look like in workplace feedback and how can educators work with learners to foster it?

Methods: We analysed 36 videos of routine formal feedback episodes in clinical practice involving diverse health professionals. A psychologically safe learning environment was inferred when learners progressively disclosed information and engaged in productive learning behaviours during the conversation. We used thematic analysis to identify associated educator strategies, which seemed to promote psychological safety.

Results: Four themes were identified: (a) setting the scene for dialogue and candour; (b) educator as ally; (c) a continuing improvement orientation, and (d) encouraging interactive dialogue. Educators approaches captured within these themes, seemed to foster a psychologically safe environment by conveying a focus on learning, and demonstrating respect and support to learners.

Conclusions: This study builds on claims regarding the importance of psychological safety in feedback by clarifying what psychological safety in workplace feedback conversations might look like and identifying associated educator approaches. The results may offer educators practical ways they could work with learners to encourage candid dialogue focused on improving performance.

보건의료전문직 교육에서 수행능력이 낮은 수련생의 실패-실패 BEME Guide No. 42 (Med Teach, 2016)
The failure to fail underperforming trainees in health professions education: A BEME systematic review: BEME Guide No. 42 
Monica Yepes-Riosa , Nancy Dudekb, Rita Duboycea , Jerri Curtisa, Rhonda J. Allarda and Lara Varpioa

 

배경
Background

성공적인 의료교육의 초석은 교육생 성과에 대한 정직하고 정확한 평가가 있다. 의학 교육자 및 연구자는 오랫동안 평가 전략(예: 객관적인 구조화된 임상 검사, 객관식 질문 시험 등)을 개발하고 개선해 왔다. 또한 졸업생이 고도로 숙련된 의료인이 되도록 하기 위해 성과 기대치에 대한 개념적 프레임워크(예: 역량 기반 의학 교육, 위임가능한 전문 활동 등)를 구축해왔다. 이러한 노력에도 불구하고, 훈련생들의 평가는 여전히 도전으로 가득 차 있다. 한 가지 주목할 만한 과제는 탈락하는 교육생들에 대한 평가와 보고이다. 훈련생(이하 평가인)을 평가하거나 평가하는 임상 교사가 훈련생의 낙제 성과를 보고할 준비가 되지 않았거나 보고하고 싶어하지 않는다는 증거가 증가하고 있다.  

A cornerstone of successful medical education is the honest and accurate assessment of trainee performances. Medical educators and researchers have long been developing and improving their assessment strategies (e.g. objective structured clinical examinations, multiple choice question exams, etc.) and conceptual frameworks for performance expectations (e.g. competency based medical education, entrustable professional activities, etc.) to ensure that graduates are highly skilled medical professionals. Despite these efforts, the assessment of trainees remains fraught with challenges. One notable challenge is the assessment and reporting of trainees who are failing. A growing body of evidence indicates that clinical teachers who evaluate or assess trainees (hereby referred to as assessors) feel unprepared and/or unwilling to report a trainee’s failing performance (Tonesk & Buchanan 1987; Cohen et al. 19901993; Speer et al. 1996; Hatala & Norman 1999; Fitzgerald et al. 2010; Guerrasio et al. 2014; Luhanga et al. 2010; Brown et al. 2012; Cleland et al. 2013; Guerrasio et al. 2014).

두데크 외 연구진. (2005)는 성과가 저조한 교육생들을 낙제시키지 못하는 것에 대한 교수진의 관점을 설명하고, 다음과 같은 성과를 보고하는 데 있어 4가지 주요 장애물을 식별했다. 

  • (1) 문서화 부족, 
  • (2) 문서화할 내용에 대한 지식 부족, 
  • (3) 항소appeal 절차에 대한 걱정
  • (4) 재교육 옵션 부족(Dudek et al. 2005). 

Dudek et al. (2005) described faculty members’ perspectives on failing to fail underperforming trainees and identified four major barriers to reporting poor performance to include:

  • (1) lack of documentation,
  • (2) lack of knowledge of what to document,
  • (3) anticipation of an appeal process, and
  • (4) lack of remediation options (Dudek et al. 2005).

지난 10년 동안 의학(Hovath 2010), 간호(Larocque & Luhanga 2013) 및 치과(Bush et al. 2013) 문헌에서 산재한 보고서들은 [성과가 저조한 교육생들을 낙제시키지 못하는 것]에 대한 유사한 우려를 제기했다. 일부 연구자들은 이 복잡한 문제의 측면에 대한 해결책을 제안했지만, 입증된 개선사항은 종종 규모가 작다[상자 1 참조].

Over the past decade scattered reports from the medical (Horvath 2010), nursing (Larocque & Luhanga 2013) and dental (Bush et al. 2013) literature have raised similar concerns about failing to fail underperforming trainees. Some researchers have proposed solutions to aspects of this complex issue (Duffy 2006; Carr et al. 2010; Luhanga et al. 2010; Jervis & Tilki 2011; Earle-Foley et al. 2012; Bush et al. 2013; Fazio et al. 2013; Larocque & Luhanga 2013; Pratt et al. 2013), but the improvements demonstrated are often small in scale [see Box 1].

 
 

현재까지, 어떤 종합적인 문헌 검토도 [실패-실패 현상]에 대한 평가자의 경험과 인식을 통합하지 못했다. 본 검토는 평가자의 저조한 임상 학업 및 전문 성과 보고 능력과 의지에 관한 의료, 치과 및 간호 문헌의 10년 지식을 체계적으로 통합하고 분석하여 효과적인 개입을 발전시키는 것을 목표로 한다. 우리는 이것이 보건 전문 교육자들이 이 다면적이고 중요한 문제에 대한 효과적인 해결책을 개발하는 데 도움이 되기를 바란다.
To date, no comprehensive literature review has consolidated the knowledge on assessor experiences and perceptions of the failure to fail phenomenon. This review aims to systematically consolidate and analyze a decade of knowledge from medical, dental and nursing literature relating to assessor’s ability and willingness to report poor clinical academic and professional performance, and thereby help advance effective interventions. We hope it assists health professions educators to develop effective solutions to this multifaceted and important issue.

방법들
Methods

본 연구의 방법론은 BEME(Best Infidence in Medical Education) 협업에 의해 검토 및 승인되었으며 선도 기관 윤리 위원회의 승인을 받았습니다. 우리는 PRISMA 지침에 따라 방법론과 결과를 보고한다(Moher 등 2009).
This study’s methodology was reviewed and approved by the Best Evidence in Medical Education (BEME) Collaboration, (http://www.bemecollaboration.org), and approved by the lead institution’s ethics board. We report the methodology and results in accordance with PRISMA guidelines (Moher et al. 2009).

세 가지 의료 분야(즉, 의학, 간호, 치과)에 걸친 실패-실패 현상과 관련된 문헌의 체계적인 검토가 수행되었으며, 이는 보건 직업 교육 연속체의 모든 수준에서 성과가 낮거나 실패한 교육생과 함께 제시되었을 때 평가자의 경험과 인식을 포착하기 위한 것이다. 의대생 및 레지던트). 부록 1(Journal 웹 사이트에서 보충 자료로 온라인 이용 가능)과 BEME Reviews에서 온라인으로 나열된 검색 전략과 용어는 Ovid(In-Process & Other Non-Indexed Institations 및 MEDLINE 2005년 1월부터 현재까지)를 통해 CINAHL, EMASE, MEDLINE의 영문 문헌에 적용되었다.
A systematic review of the literature was conducted, relating to the failure to fail phenomenon across three healthcare disciplines (i.e. medicine, nursing, and dentistry), to capture the experiences and perceptions of assessors when presented with underperforming or failing trainees at any level of the health professions education continuum (e.g. medical students and residents). Search strategies and terms, listed in Appendix 1 (available online on the Journal website as Supplemental Material) and online at BEME Reviews (http://www.bemecollaboration.org), were applied to the English language literature in CINAHL, EMBASE, and MEDLINE via Ovid (In-Process & Other Non-Indexed Citations and MEDLINE 1946 to Present) from January 2005 to January 2015.

2014년 5월, 검색 전략을 실행하면 4625개의 출판물 라이브러리가 생성되었다. 2015년 1월, 업데이트로 총 5330개의 출판물이 발행되었다. 팀은 일련의 포함 및 제외 기준을 개발하였다(부록 1에 기술되어 있으며 저널 웹 사이트에서 보충 자료로 이용할 수 있다). 광범위한 포함 범위를 보장하기 위해, 임상 환경에서 수습 교육생 교육과 관련하여 실패-실패 현상에 대한 평가자의 경험 및/또는 인식과 관련된 모든 기사를 포함했다. 평가 도구의 개발 또는 검토, 커리큘럼 콘텐츠 개발 또는 평가, 교육 개입, 동료 멘토링 및 특정 훈련생 기술, 역량 및/또는 지식을 평가하기 위한 도구와 관련된 연구는 제외했다.
In May 2014, running the search strategies generated a library of 4625 publications. In January 2015, an update brought the total to 5330 publications. The team developed a set of inclusion and exclusion criteria (described in Appendix 1, available online on the Journal website as Supplemental Material). To ensure a broad scope of inclusion, we included all articles related to evaluator experiences of and/or perceptions of the failure to fail phenomenon in relation to trainee education in a clinical setting. We excluded studies related to the development or vetting of assessment tools, and to the development or assessment of curriculum content, of educational interventions, of peer mentoring, and of tools for assessing specific trainee skills, competencies, and/or knowledge.

연구팀은 150개 인용문의 무작위 표본의 제목을 조사하여 포함 및 제외 기준을 테스트했습니다. 이러한 기준이 실패 현상과 관련된 문헌을 포착한 것에 만족하여 도서관을 두 개 또는 세 명의 검토자가 도서관의 각 절반에 배정되었다(검토자 1팀 = ND, JC; 검토자 2팀 = LV, RD, MY). 각 팀은 포함 및 제외 기준을 절반의 library에 적용하면서 논문의 제목을 검토했다(2665개 타이틀). 한 팀이 합의에 이르지 못할 경우, 다른 검토팀은 인용문을 검토하고 합의된 결정을 내렸다. 이 과정을 통해 도서관은 266개의 제목으로 축소되었다. 각 팀은 133개의 초록을 검토하여 포함 및 제외 기준이 적용되었는지 판단했습니다. 한 검토자가 타당하다고 판단한 모든 초록은 전체 논문 검토로 넘어갔고 전체 검토를 위한 134개의 논문 라이브러리가 생성되었다. 마지막으로, 각 기사는 포함 및 제외 기준(각 검토 팀 절반)에 대해 분석되었고 24개 논문 라이브러리가 생성되었다. 누락된 기사가 있는지 확인하기 위해 24개 기사의 참조 목록을 손으로 검색했습니다. 이 검색에는 28개 논문의 최종 라이브러리에 대한 4개의 인용이 추가되었습니다. (그림 1은 선정 과정을 요약하고 표 1은 선택된 논문을 제시합니다. 이는 저널 웹 사이트에서 보충 자료로 온라인으로 제공됩니다.) 디스틸러SR® 체계적 검토 소프트웨어는 문헌 검토 프로세스의 모든 단계에 걸친 분석을 지원하는 데 사용되었습니다.
The research team examined the titles of a random sample of 150 citations to test the inclusion and exclusion criteria. Satisfied that these criteria captured the literature related to the failure to fail phenomenon, the library was divided in two, with two or three reviewers assigned to each half of the library (reviewer team 1 = ND, JC; reviewer team 2 = LV, RD, MY). Each team reviewed the titles of the articles, applying the inclusion and exclusion criteria to half the library (2665 titles). If one team could not reach consensus, the other team of reviewers examined the citation and came to a consensus decision. Through this process, the library was reduced to 266 titles. Each team reviewed 133 abstracts to determine if inclusion and exclusion criteria applied. Any abstract deemed relevant by one reviewer moved on to full article review, yielding a library of 134 articles for full review. Finally, each article was analyzed against the inclusion and exclusion criteria (half by each reviewer team) yielding a library of 24 articles. We hand-searched the reference lists of the 24 articles to identify any omitted articles. This search added 4 citations for a final library of 28 articles. (Figure 1 outlines the selection process and Table 1 presents the selected articles – these are available online on the Journal website as Supplemental Material). DistillerSR® Systematic Review Software was used to support analysis across all steps of the literature review process.

인구통계학(즉, 출판연도, 국가, 연수생 그룹(의료, 치과, 간호), 평가자 인구통계학, 설정(학술기관 또는 기타 임상 사이트), 연구 방법론의 유형(즉, 정성적, 정량적, 혼합, 검토), 데이터 분석법의 유형(기술적, 지속적 비교), 연구 결과에 inform하기 위해 사용된 이론에 대해 데이터를 추출하고 합성했다. 연구 품질은 Critical Evaluation Skills Program – UK 도구 점검표(CASP UK 2013)로 평가되었다. 이 검토의 초점은 불합격에 대한 평가자의 개인적 통찰력과 인식을 포착하는 것이므로, 검토 결과 대부분 포커스 그룹 또는 개별 인터뷰(N = 15)와 검토 논문(N = 7)에 대한 정성적 연구가 산출된 것은 놀라운 일이 아니다. 세 가지 정량적 연구는 실패에 대한 특정 설문 질문에 대한 응답 빈도를 보고했다. 질적논문과 종설논문은 주제분석을 실시하고 연구팀 전체가 여러 차례 분석, 토론, 성찰 과정을 거쳐 서술형 주제별 분류체계를 개발했다. 정량적 연구의 설문 문항은 주제별 분류와 일치하여 주제별 분석에 통합되었다.
Data were abstracted and synthesized for demographics (i.e. publication year, country, trainee group (i.e. medical, dental, or nursing)), evaluator demographics, setting (i.e. academic institution or other clinical site), type of study methodology (i.e. qualitative, quantitative, mixed, review), type of data analysis method (descriptive, constant comparison) and theory used to inform the research. Study quality was assessed with the Critical Appraisal Skills Program – UK tool checklist (CASP UK 2013). Since the focus of this review is to capture the assessors’ personal insights and perceptions of failure to fail, it is not surprising that the review yielded mostly qualitative studies of focus groups or individual interviews (N = 15) and review papers (N = 7). The three quantitative studies reported frequencies of responses to specific survey questions on failure to fail. For the qualitative and review papers, the authors’ engaged in a thematic analysis and developed a descriptive, theme-based classification system through several cycles of analysis, discussion and reflection by the whole research team. The survey questions in the quantitative studies were aligned with the theme-based classifications and therefore, their results were incorporated into the thematic analysis.

결과.
Results

인구통계학
Demographic

검색된 논문의 인구 통계, 설정 및 연구 방법론의 유형에 대한 설명 요약은 표 1에 제시되어 있다(Journal 웹 사이트에서 보충 자료로 온라인으로 이용 가능). 실패-실패 문헌의 대부분은 간호학과 의학에서 온다. 평가자를 설명하는 인구통계학적 정보는 거의 없다. 모든 정성적 연구는 CASP-UK 체크리스트의 10가지 품질 기준 중 8가지 또는 9가지를 충족했기 때문에 매우 우수한 품질로 평가되었다.

A descriptive summary of the demographics, setting, and type of study methodology of the searched papers is presented in Table 1 (available online on the Journal website as Supplemental Material). The majority of the failure to fail literature comes from Nursing (19/28) and Medicine (6/28). Very little demographic information describing the assessors is included in the publications. All qualitative studies were rated of very good quality since they met 8 or 9 of the 10 quality criteria of the CASP-UK checklist.

주제어
Thematic

우리는 평가자가 [수행능력이 저조한 훈련생을 낙제시킬 때 직면하는 장벽]과 관련된 여섯 가지 주제를 구성했다. 다음은 다음과 같습니다.
We constructed six themes relating to the barriers assessors face when failing a poorly performing trainee. These were:

  • (1) 심사원의 전문적인 고려사항,
  • (2) 심사원의 개인적 고려사항,
  • (3) 연습생 관련 고려사항,
  • (4) 불만족스러운 심사원 개발 및 평가 도구
  • (5) 제도적 문화와
  • (6) 교육생이 이용할 수 있는 교정조치 고려사항.
  • (1) assessor’s professional considerations,
  • (2) assessor’s personal considerations,
  • (3) trainee related considerations,
  • (4) unsatisfactory assessor development and assessment tools,
  • (5) institutional culture and
  • (6) consideration of available remediation for the trainee.

우리는 평가자가 학생에 대한 fail을 가능하게 해주는 것과 관련된 세 가지 주제를 구성했다. 촉진자는 다음과 같다.

  • (1) 환자, 사회, 직업에 대한 의무
  • (2) 불합격 평가 지원, 동료의 지원, 평가자 개발 및 강력한 평가 시스템과 같은 제도적 지원
  • (3) 낙제 후 학생들을 위한 기회들

We constructed three themes relating to the factors enabling assessors to take on the challenge of failing underperforming students. These facilitators were:

  • (1) duty to patients, to society, and to the profession,
  • (2) institutional support such as backing a failing evaluation, support from colleagues, assessor development, and strong assessment systems, and
  • (3) opportunities for students after failing.

우리는 의학, 간호학, 치과 문헌에 걸쳐 보고된 주제에서 차이가 없다는 것을 발견했습니다.

We found that there were no differences in the themes reported across the medical, nursing, and dentistry literatures.

 

장벽 1: 심사원의 전문적인 고려 사항
Barrier 1: assessor’s professional considerations

검토된 논문에 걸쳐 일반적으로 기술되는 한 장벽은, 평가자가 [학생에게 F를 주는 것이 전문적으로 자신에게 미치는 영향]을 염두에 두는 것과 관련이 있었다. 이러한 전문적인 고려사항은 평가자들에게 매우 중요했기 때문에 성적이 낮은 교육생들을 불합격시키는 것보다 합격시키는 것이 더 쉬웠다. 한 학생을 낙제시키는 것은 [엄청난 양의 추가 공부와 시간을 수반]하는데, 이는 성적이 떨어지는 훈련생들을 낙제시키는 중요한 억지력이다. 문서화, 토론 및 계획된 개입 등과 같이 시간 소모적인 프로세스로 인해 평가자는 다른 중요한 일을 하기 어려워졌다.
One barrier commonly described across the reviewed papers involved assessors being mindful of the impact that failing a student had on them professionally. These professional considerations were so significant for the assessors that it was simply easier to pass underperforming trainees than to fail them. Failing a student involved extraordinary amounts of extra work and time, amounting to a significant deterrent to failing underperforming trainees (Dudek et al. 2005; Rutkowski 2007; Cleland et al. 2008; Luhanga et al. 2008; Carr et al. 2010; Luhanga et al. 2010; Watling et al. 2010; Earle-Foley et al. 2012; Fazio et al. 2013; Larocque & Luhanga 2013; Guerrasio et al. 2014). The time-consuming processes of documentation, discussion, and planned intervention moved assessors away from other important responsibilities:

등록된 간호사들은 치료를 전달하고 친척들을 위로하며 다른 전문가들에게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임상 업무의 우선순위를 정해야 한다. 결과적으로, 학생의 평가의 우선순위는 아주 낮아지게 된다. (Rutkowski 2007)

Registered nurses are required to prioritize clinical tasks to deliver care, comfort relatives and provide information for other professionals. As a consequence, a student’s assessment may be deemed low priority. (Rutkowski 2007)

평가자들은 [개별 학생에 대한 제한된 노출]이 [평가 작업에 주어진 낮은 우선순위]와 결합되어 훈련생의 역량을 적절히 평가하기에 불충분한 정보를 가지고 있다는 것을 반영했다(Rutkowski 2007; Cleland et al. 2008; Gopee 2008; Luhanga et al. 2008, 2010; Degan et al. 2012).
Assessors reflected that limited exposure to individual students combined with the low priority given to assessment work, translated into having insufficient information to properly assess the trainee’s competence (Rutkowski 2007; Cleland et al. 2008; Gopee 2008; Luhanga et al. 2008, 2010; Deegan et al. 2012):

연속성의 부족으로 인해 성적이 좋지 않은 학생은 프로시져 첫 시도에 대해 "만족함" 등급을 받게 되었고, 그녀는 다른 직원들에 의해 평가되었기 때문에 계속 그렇게 평가되었다. 그래서 그녀의 무능함은 잡히지 않았다. (부시 외 2013)
The lack of (staff) continuity …resulted in a poorly performing student being graded as “satisfactory” for her first attempt at a procedure, and because she was evaluated by different members of staff, she continued to be graded as such. Thus her inability was not picked up. (Bush et al. 2013)

이러한 전문적인 고려를 더욱 복잡하게 만든 것은 소송에 대한 두려움과 항소 절차에 대한 불안감이었다. 한 논문은 소송에 대한 두려움이 너무 커서 심사원들이 결과에 대한 두려움 때문에 의도적으로 낙제점을 연기하기로 선택했다고 제안했다(Duffy 2006). 실제로, 법적 결과에 대한 두려움은 다음과 같은 실패-실패 현상에 유의적인 기여를 하였다.
Further compounding this professional consideration was a fear of litigation (Williams et al. 2005; Cleland et al. 2008; Watling et al. 2010; Earle-Foley et al. 2012; Guerrasio et al. 2012; Bush et al. 2013) and unease with the appeal process (Dudek et al. 2005; Williams et al. 2005; Cleland et al. 2008; Jervis & Tilki 2011; Earle-Foley et al. 2012; Guerrasio et al. 2014; Larocque & Luhanga 2013). One paper suggested that fear of litigation was so great that assessors intentionally opted to delay assigning a failing grade for fear of repercussions (Duffy 2006). Indeed, the fear of legal consequences was a significant contributor to the failure to fail phenomenon:

우리는 "증명의 부담"이 이 프로그램에 있다고 생각합니다.법정에 끌려갈까 봐 F를 주는 것을 고려하는 것이 매우 망설여진다.
We feel that the “burden of proof” rests squarely with the program… .[We] are very hesitant to consider dismissal for fear that we will be dragged into court. (Guerrasio et al. 2014)

평가자들은 또한 학생을 낙제시키면 그들의 [전문직업적 지위에 해를 끼칠 수 있다는 우려]를 보고했다. 평가자들은 그들이 [불편한 학습 환경을 조성했다]고 비난받거나, [능력 없는 교사라는 꼬리표가 붙을 것]을 우려했다(Rutkowski 2007). 또한 평가자들은 불합격 교육생이 자신의 성과에 대한 평가를 낮추어 재임용 또는 재임용 포부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점을 염두에 두었다(Pratt 등 2013).

Assessors also reported concerns that failing a student would harm their professional standing. Assessors worried that they would be blamed for creating an uncomfortable learning environment, or would be labeled as a poor teacher (Rutkowski 2007). Furthermore, assessors were mindful that failing trainees could result in lower evaluations of their own performance (Rutkowski 2007; Jervis & Tilki 2011; Larocque & Luhanga 2013; Pratt et al. 2013), which could negatively impact their reappointment or tenure aspirations (Pratt et al. 2013):

전공의가 판단을 받는 것이 아니라, 교육자가 심판을 받는 것이다. (Watling et al. 2010)
Before you know it, instead of the resident being judged, you are being judged. (Watling et al. 2010)

마지막으로, 평가자들의 전문적인 고려는 자기중심적일 뿐만 아니라, 그들은 학생을 낙제시키는 것이 전반적인 작업 환경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우려를 공유했다.
Lastly, assessors’ professional considerations were not only self-oriented; they shared concerns that failing a student negatively affected the overall work environment (Duffy & Hardicre 2007; Rutkowski 2007).

 

장벽 2: 평가자의 개인적 고려 사항
Barrier 2: assessor’s personal considerations

검토된 기사들은 평가관들이 수습생을 낙제시켰을 때 [개인적인 실패감과 죄책감]을 느꼈다고 보도했다. 이러한 자기 비난은 경험이 적은 평가자에게서 가장 분명하게 드러나는 장벽이었다(클랜드 외 2008).

The reviewed articles reported that assessors felt a sense of personal failure and guilt when failing a trainee (Duffy 2006; Rutkowski 2007; Cleland et al. 2008; Luhanga et al. 2008; Earle-Foley et al. 2012; Larocque & Luhanga 2013; Pratt et al. 2013; Black et al. 2014). This self-blame was a barrier that was most apparent in less experienced assessors (Cleland et al. 2008):

내 생각엔 이 젊은 간호사를 직업 세계로 나갈 준비를 시키는 것에 실패한다면, 그건 네가 잘못한 것일 수도 있어.
I think part of it is looking at yourself too because you are supposed to be getting this young nurse ready to step out into the professional world, and if she fails, maybe it's something you didn't do right. (Luhanga et al. 2008)

평가자들은 또한 [상반되는 책임], 즉 교육생들을 지원하는 책임뿐만 아니라 교육생들을 정확하게 평가하는 책임과도 씨름했다(Cleland et al. 2008; Vezeau & McAlister 2009). 다른 사람을 돌보는 일에 전념하는 직업의 구성원으로서, 평가자들은 그러한 행위가 [배려하지 않는uncaring 행동]으로 보일 수 있기 때문에 낙제점을 부여하는 것을 꺼렸다. (Earle-Foley 등 2012; Pratt 등 2013):
Assessors also struggled with the personal strain of conflicting responsibilities—that is, the responsibilities of supporting trainees, but also accurately assessing them (Cleland et al. 2008; Vezeau & McAllister 2009). As members of a profession dedicated to caring for others, assessors were reluctant to assign failing grades because that act could be viewed as uncaring behavior. (Earle-Foley et al. 2012; Pratt et al. 2013):

저성과 보고는 임상 지도교수가 "돌보고" 비임상 지도교수가 "교육"하는 광범위한 지원 문화의 일부로 간주되지 않았다. (Carr et al.
Reporting underperformance was not seen as part of the broad, supportive culture, referred to as being “caring” by clinical tutors and “educating” by non-clinical tutors. (Carr et al. 2010)


심사원의 개인적 고려의 또 다른 측면은 훈련생과 평가자 사이에 종종 [발전하는 밀접한 관계]를 포함한다. 평가자들은 성적이 저조한 훈련생을 진심으로 좋아했고(Guerrasio 등 2014), 훈련생과 동료들의 호감을 받기를 원했거나, 향후 상황에서 실패한 훈련생들과 교제해야 하는 것을 두려워했다(New South Wales 간호사 협회 2010). 평가자들은 성적이 낮은 훈련생을 싫어할 경우 그들의 평가가 불공평해질 것을 우려했다(Cland et et al. 2008).
Another aspect of assessors’ personal considerations involved the close relationship that often develops between the trainee and the assessor (Cleland et al. 2008; Luhanga et al. 2008, 2010; Jervis & Tilki 2011; Bush et al. 2013; Guerrasio et al. 2014). Assessors genuinely liked the underperforming trainee (Guerrasio et al. 2014), wanted to be liked by trainees and colleagues (Cleland et al. 2008; Luhanga et al. 2008; Bush et al. 2013), or feared having to socialize with failed trainees in future situations (New South Wales Nurses Association 2010). Assessors also worried about being unfair in their assessments if they disliked an underperforming trainee (Cleland et al. 2008).

또 다른 장벽은 연습생이 F를 받는 것으로 인한 감정적 피해였다. 수련생에게 F를 주는 것은 불쾌하고 감정적으로 괴로운 경험으로 묘사되었다.

An additional barrier was the emotional toll involved in failing a trainee. Failing a trainee was described as an unpleasant, emotionally fraught experience (Duffy 2006; Duffy & Hardicre 2007; Gopee 2008; Cleland et al. 2008; Carr et al. 2010; Watling et al. 2010; Jervis & Tilki 2011; Bush et al. 2013; Larocque & Luhanga 2013; DeBrew & Lewallen 2014):

집에 가서 몇 번이고 다시 살펴봐요 이게 옳은 결정인가요? 내가 뭐 놓친 거 있어? 성격 충돌인가요? 잠 못 이루는 밤을 보내죠! 과장하는 거 아니야!(Jervis & Tilki 2011)
You go home and go over it time and time again. Is this the right decision? Have I missed something? Is it a personality clash? It gives you sleepless nights! I’m not exaggerating! (Jervis & Tilki 2011)

평가자들은 불합격 훈련생과 충돌하거나(클랜드 외 2008; 루항가 외 2008; 브라운 외 2012; 라로크 및 루항가 2013) 훈련생으로부터 도전을 받기를 꺼렸다. 평가자는 [실패하게 될 불행하고 화난 연습생들을 상대하는 것]을 피하고 싶어했다(Fazio et al. 2013).

Assessors were reluctant to engage in a conflict with the failing trainee (Cleland et al. 2008; Luhanga et al. 2008; Brown et al. 2012; Larocque & Luhanga 2013), or be challenged by the trainee (Cleland et al. 2008). They preferred to avoid dealing with the unhappy, angry trainees they would be failing (Fazio et al. 2013):

학생들은 울고, 화가 나서 당신에게 X, Y, Z라고 말합니다. 그것은 감정적인 협박과 같다. 그들은 멘토들에게 언급은커녕 굽히라고 압력을 가한다.
The students cry, are upset and telling you X, Y, Z. It is like emotional blackmail. They put pressure on mentors to bend, not to refer, turn a blind eye and stuff like that. (Luhanga et al. 2008)

 

장벽 3: 교육생 관련 고려 사항
Barrier 3: trainee related considerations

검토된 기사들은 또한 저조한 교육생들과 관련된 심사원의 고려 사항을 보고했다. 평가자들은 실패가 연습생에게 미칠 영향에 대해 불합격 결정을 저울질하였다. 예를 들어, 그들은 낙제점수가 훈련생의 커리어 목표에 미치는 영향(Earle-Foley 등 2012)과 재무보장을 고려하였다.
The articles reviewed also reported assessor considerations related to the underperforming trainees themselves. Assessors weighed the decision to fail the trainee against the effect the failure would have on the trainee (Luhanga et al. 2008; Carr et al. 2010; Earle-Foley et al. 2012; Larocque & Luhanga 2013; Pratt et al. 2013; Black et al. 2014; Guerrasio et al. 2014). For example, they considered the impact of a failing grade on the trainee’s career goals (Earle-Foley et al. 2012), and financial security (Cleland et al. 2008; Luhanga et al. 2008; Carr et al. 2010; Larocque & Luhanga 2013; Pratt et al. 2013; Guerrasio et al. 2014):

학생에게 있어, 배치에 실패하는 것은 중요한 상실 경험이 될 수 있다: 자존감, 시간, 교육비, 자격증, 그리고 경력. "저는 우리 중 누구도 누군가가 4년간의 삶을 창밖으로 내던지는 것을 보고 싶어하지 않는다고 생각합니다."(Larocque & Luhanga 2013)
For a student, failing a placement can be a significant loss experience: loss of self-esteem, time, education money, certification, and career. “I don’t think any of us want to see somebody throw four years of their life out the window.”(Larocque & Luhanga 2013)


연습생의 진로진출과 관련한 [실패 시기]도 고려사항이었다. 한 논문은 훈련생이 "존엄하게 의학교육을 떠날" 수 있도록 허용하기를 원하는 평가자들을 기술했다(Carr 등 2010). 평가자들은 훈련생이 향상될 시간이 있다고 생각하여 훈련생들을 조기에 낙제시키는 것을 꺼렸다.

The timing of the failure in relation to the trainee’s career progression was another consideration. One paper described assessors wanting to allow the trainee to “exit medicine with dignity” (Carr et al. 2010). Assessors were reluctant to fail trainees early in their training believing that the trainee had time to improve; but they were equally reluctant to fail those whose training was advanced:

3년차인데 거기까지 왔으니 꺼림칙함이 있다. (Jervis & Tilki 2011)
There is reluctance because it is a third year and they have come that far. (Jervis & Tilki 2011)

다른 훈련생 관련 고려사항으로는 훈련생들의 정서적 반응과 고통, 개인적 안녕과 자신감, 자존감에 대한 우려가 포함되었다. 평가자들은 F는 "매우 파괴적"(Watling et al. 2010)과 "낙인적stigmatizing"(Carr et al. 2010)이라고 느끼며 교육생을 보호하고자 하는 열망에 주목했다.
Other trainee related considerations included concerns about trainees’ emotional reaction and distress, (Gopee 2008; Brown et al. 2012; Bush et al. 2013; Larocque & Luhanga 2013; Pratt et al. 2013; Black et al. 2014; Guerrasio et al. 2014; Larocque & Luhanga 2013; Pratt et al. 2013), personal well-being and confidence (Bush et al. 2013), and self-esteem (Fazio et al. 2013; Larocque & Luhanga 2013). Assessors noted a desire to protect trainees (Bush et al. 2013), feeling that failure could be “very destructive” (Watling et al. 2010) and “stigmatizing” (Carr et al. 2010):

그녀는 분명히 그것을 너무나 간절히 원했다… 그녀의 목숨은 이 자리를 통과하는 것에 달려 있었고, 그것을 통과하기 위해 그녀가 할 수 있는 모든 것을 할 것이다… 당신은 그러한 문제들에 영향을 받지 않을 수 없다! (Black et al. 2014) 
She clearly so desperately wanted it … her life depended on her passing this placement and she would do anything she could to pass it … you can’t help but be affected by those issues! (Black et al. 2014)


평가자는 [훈련생이 자신의 어려움을 인식하고, 보건 분야에 전념하고, 적극적으로 개선하려고 노력하는 것]으로 인식될 때 저성과를 보고할 가능성이 낮았다(Carr et al. 2010; Larocque & Luhanga 2013).

Assessors were less likely to report underperformance when the trainee was perceived as being aware of their difficulties, committed to the health profession, and/or actively trying to improve (Carr et al. 2010; Larocque & Luhanga 2013).

 

장벽 4: – 불만족스러운 평가자 개발 및/또는 평가 도구
Barrier 4: – unsatisfactory assessor development and/or evaluation tools

평가자들은 스스로 F를 줄 만큼 준비되지 않았고, 경험이 부족했으며, 자신의 평가 역할에 대한 자신감이 부족했다고 보고했다. 이것은 "실력이 떨어지는 학생들에게 (의구심으로 인한) 혜택을 주는 것"이라는 결과를 낳았다(Luhanga et al. 평가자들은 자신의 판단이나 능력을 의심했고, 적절하게 평가할 능력이나 화가 난 교육생들을 관리할 수 있는 능력이 있는지에 대해 자문했다.
Assessors reported feeling unprepared, lacking experience and lacking confidence in their evaluation role (Cleland et al. 2008; Luhanga et al. 2008; Carr et al. 2010; Luhanga et al. 2010; Brown et al. 2012; Deegan et al. 2012; Heaslip & Scammell 2012; Earle-Foley et al. 2012; Bush et al. 2013; Fazio et al. 2013; Pratt et al. 2013). This resulted in giving “the benefit of the doubt to students who were less than competent” (Luhanga et al. 2010). Assessors doubted their own judgment or ability, often questioning if they had the skills to evaluate appropriately (Cleland et al. 2008), or to manage angry or upset trainees (Dudek et al. 2005; Earle-Foley et al. 2012; Bush et al. 2013):

학생이 자신의 평가에 화가 나거나, 화를 내거나, 동의하지 않는 상황을 관리하기에는 나의 실력이 충분하지 않을 것이라는 두려움이 분명했다. 이러한 상황에서 실패하지 않으려는 유혹은 인정된다. (Carr 등 2010)
The dread that skills would not be good enough to manage a situation where a student was angry, upset or disagreed with their assessment were evident. The temptation not to fail under these circumstances is acknowledged. (Carr et al. 2010)


평가관들은 교육생들을 [평가하는 데 있어서 공식적인 교육]을 거의 받지 않았다고 보고했다. 적절한 교육을 받지 못한 교직원들은 "교정이나 실패에 의해 도움을 받을 수 있는 성적이 낮은 학생들을 합격시키는 결과를 인정하지 않을 수 있다." (부시 외 2013) 하슬립의 연구에 참여한 평가자 중 절반 이상이 F학생 관리에 대한 더 많은 교육을 받기를 희망했다(Heaslip & Scammell 2012). 평가자들은 주관적 임상 평가에서 내재된 불일치와 비인지적 기술, 태도 또는 전문직업성 등과 같이 [F등급을 주어야 하는 구체적 행동을 식별하는 기술]에 불편함을 나타냈다.

Assessors reported having little formal training in evaluating trainees (Rutkowski 2007; Bush et al. 2013; Fazio et al. 2013). Staff who had not received adequate training “might not appreciate the consequences of passing underperforming students who could be helped by remediation or by being failed” (Bush et al. 2013). Over half the assessor participants in Heaslip’s study wished for more education on managing failing students (Heaslip & Scammell 2012). Assessors expressed difficulty with the inherent inconsistencies in subjective clinical evaluations, (Vezeau & McAllister 2009; Jervis & Tilki 2011; Brown et al. 2012; Deegan et al. 2012; Earle-Foley et al. 2012; Bush et al. 2013; Guerrasio et al. 2014;) and discomfort with the skill of identifying the specific behaviors that warranted a failing grade, such as non-cognitive skills, attitudes, (Luhanga et al. 2008; Jervis & Tilki 2011) or professionalism (Bush et al. 2013; Guerrasio et al. 2014):

전문직업적 행동은 스펙트럼을 따라 발생하기에, 학생이 역량이 부족하다고 결정할 지점은 명확하게 정의되지 않는다. (Guerrasio 등 2014) 
Professional behavior occurs along a spectrum and the point at which a student is no longer competent is not clearly defined. (Guerrasio et al. 2014)

평가자들은 교육 연속체의 다양한 수준에서 [교육생에게 기대되는 표준에 대한 불확실성]과 씨름했으며, 적절하고 객관적이거나 명시적인 평가 도구의 부족에 대해 우려를 표명했다. 등급Grading 제도가 불공정할 수 있다는 인식이 있었고, 평가자들은 어려움을 겪고 있는 교육생들에게 지나치게 부정적인 관심을 끌고 싶어하지 않았다(Bush et al. 2013; Fazio et al. 2013; Larocque & Luhanga 2013). 더욱이 수련생의 보고와 F부여의 프로세스를 알지 못하는 것도 실패-실패에 기여하였다.
Assessors struggled with uncertainty about the expected standards for trainees at different levels of the educational continuum (Bush et al. 2013), and expressed concern over the lack of appropriate, objective or explicit evaluation tools (Williams et al. 2005; Duffy 2006; Rutkowski 2007; Luhanga et al. 2008; Luhanga et al. 2010; Jervis & Tilki 2011; Brown et al. 2012; Bush et al. 2013). There was a sense that the grading system could be unfair, and assessors did not want to draw undeserved negative attention to struggling trainees (Bush et al. 2013; Fazio et al. 2013; Larocque & Luhanga 2013). Furthermore, being unaware of the processes for reporting and failing a trainee played a role in failing to fail:

우리는 그 절차를 알지 못했다… 만약 우리가 대학에 연락을 해야 할 정도로 약한 학생이 있다면… 그들에게 연락을 했을 때, 그 학생을 낙제시키기에는 너무 늦었다. (듀피 & 하디크레 2007)
We weren't aware of the procedures… that if we had a weak student that we had to contact the university early enough… when we did contact them it was too late to fail the student. (Duffy & Hardicre 2007)


또한 실패가 [뒷받침하는 문서의 부족]에서 비롯될 수 있다는 인식도 있었다.

There was also a recognition that failure to fail could stem from a lack of supporting documentation (Dudek et al. 2005; Williams et al. 2005; Cleland et al. 2008; Bush et al. 2013; Guerrasio et al. 2014):

종종 우리는 녹음하는 것을 충분히 잘 하지 못합니다. 그렇다면 그 학생이 당신에게 도전한다면, 당신은 특정한 사건을 떠올릴 수 없기 때문에 당당히 설 수 없다. (Dudek et al.
Often we don’t do a good enough job of recording performance. Then if the student challenges you, you do not have a leg to stand on because you cannot recall specific incidents. (Dudek et al. 2005)

 

장벽 5: 제도적 문화
Barrier 5: institutional culture

개인 차원의 고려사항 외에도, 평가자들은 제도적 문화 수준에서 장벽을 기술했다. 평가관은 성과가 저조한 교육생 보고에 대한 결정을 내리면서 현재 보건 전문가의 부족과 교육기관의 [재정적 지원] 손실 가능성을 고려했다. [명성]과 관련된 기관의 압력도 언급되었다(Cleland et al. 2008; Fazio et al. 2013).
In addition to considerations at the individual level, assessors described barriers at the institutional culture level. In making decisions about reporting underperforming trainees, assessors considered the current shortages of health professionals (Rutkowski 2007; Luhanga et al. 2008; Earle-Foley et al. 2012), and the institution’s potential loss of financial support (Cleland et al. 2008; Larocque & Luhanga 2013). Pressure from the institution concerned with its reputation was also mentioned (Cleland et al. 2008; Fazio et al. 2013):

또한 대학으로부터 학생들을 통과시키라는 압력이 감지되었다. 이는 높은 실패율을 가진 교수진이 잠재 학생들을 저지할 것이라는 믿음과 함께 재정과 평판 문제와 관련이 있었다. (클랜드 외 2008)
There was also perceived pressure from the university to pass students at one of the schools; this was associated with issues of finance and reputation, accompanied by the belief that faculty with high failure rates would deter potential students. (Cleland et al. 2008)


교육기관의 지원 부족은 [교육생들이 패스를 받을 수 있도록 하는 것을 (암묵적이든 명시적이든 간에) 승인]하는 데 반영되었다.
(Larocque & Luhanga 2013)

Lack of support from the institution was reflected in its endorsement, be it implicit or explicit, of allowing failing trainees to progress or of grade inflation (Gopee 2008; Brown et al. 2012; Earle-Foley et al. 2012; Bush et al. 2013; Guerrasio et al. 2014):

한 고위 학자에 따르면, 그들은 특히 일부 낙제할 학생들이 계속 진급을 하는데, 이것이 F에 대한 일관성 있는 접근법이 없음에도 현재의 토론이 부족하다고 우려했다. (더피 2006; 부시 외 2013)
They [participants] were particularly concerned about the current lack of discussion that, according to one senior academic, meant there was no coherent approach so that some failing students continued to progress. (Duffy 2006; Bush et al. 2013)

평가자들은 [이전의 멘토들]이 연습생에게 F를 주지 않았거나 우려에 따라 행동하지 않았던 것에 대해 분노와 실망감을 표현했다.
Assessors commonly expressed feelings of anger and disappointment directed towards previous mentors for not failing the trainee or for failing to act upon concerns:

모든 게 나한테 떠넘겨진 것 같아. 그리고 난 이제 산산조각이 났어!…이전 멘토들이 그렇게(교육생에게 F를 부여) 하지 못했기 때문입니다. (검은색 등 2014)
I feel that it’s kind of all been dumped on me and I’m picking up the pieces!…because previous mentors had failed to do so [to fail the trainee]. (Black et al. 2014)

이러한 행동 실패는 평가자가 실패에 대한 책임이 어디에 있는지 알지 못하거나, 실패에 대한 결정이 자신의 것이 아니라고 느끼는 경우에 존재할 수 있다.
This failure to act may be present if assessors are not aware of where the responsibility for failure lies (Vezeau & McAllister 2009), or if they feel the decision to fail is not theirs to make (Rutkowski 2007; Gopee 2008; Vezeau & McAllister 2009; Fazio et al. 2013)

평가위원들은 실력이 떨어지는 연수생 합격의 명분 중 일부는 학교에서 패스 압박을 주거나, 불합격 판정을 뒤집은 이력이 있다고 제시했다. 후자는 대학에 대한 배신감과 신뢰의 상실을 야기했다.

Assessors suggested that part of the justification for passing a less-than-competent trainee was pressure from the academic institution to pass or the institution’s history of overturning decisions to fail (Duffy 2006; Rutkowski 2007; Brown et al. 2012; Jervis & Tilki 2011; Larocque & Luhanga 2013; Pratt et al. 2013; Black et al. 2014; DeBrew & Lewallen 2014; Guerrasio et al. 2014). The latter generated a sense of betrayal and loss of trust in the university:

좌절스러워요. 당신은 "다른 학생을 데려가지 않을 거야…"라고 생각하겠죠. 내 의견이 가치 없이 여겨지는 거 알잖아요. 내가 말하는데, 이 사람은 밖에 나가기에 안전하지 않다." 그리고 그것은 그냥 받아들여지지 않는다.
It’s frustrating. You think “I’m not taking another student… You know my opinion is not valued. I’m telling you this person is unsafe to be out there.” And it’s just not listened to. (Larocque & Luhanga 2013)

 

장벽 6: 교육생이 이용할 수 있는 교정 조치 고려
Barrier 6: consideration of available remediation for the trainee

평가관이 수습사원의 불합격에 대해 주저한 것은 수련생이 이용할 수 있는 [재교육 옵션의 가용성에 대한 우려]를 반영했습니다.
Assessors’ reluctance to fail a trainee reflected concern about the availability of remediation options available to the trainee (Dudek et al. 2005; Duffy & Hardicre 2007; Bush et al. 2013; Fazio et al. 2013; Guerrasio et al. 2014):

많은 참가자들이 재교육 조치를 받을 수 없다면 교육생을 낙제시킬 수 없다고 느꼈다. 그들은 교정조치를 제공하는 것이 자신들의 책임이며 그렇게 할 수 없다면 그 사람을 실패시키지 않을 수 있다고 느꼈다. (Dudek et al. 2005)
Many participants felt that they could not fail a trainee if remediation was not available to them. They felt it was their responsibility to provide remediation and, if unable to do so, they might not fail that person. (Dudek et al. 2005)

평가자는 사용 가능한 교정조치 옵션에 대한 불만을 보고하며, "선임 교수와의 재교육 면담이나 "마음을 다잡아봐"라는 정도의 말은 충분한 대응이 아니"며, 평가자가 재교육 조치를 위한 충분한 시간을 보장하기를 원했기 때문에 교정조치 타이밍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또는 그래야 "학생이 존엄성을 가지고 의학을 중단할 수 있다" (Cleland et al. 2008)

Assessors reported dissatisfaction with the available remediation options, lamenting that “the remedial interview with a senior academic and being told to “pull their socks up” is not a sufficient response” (Bush et al. 2013), and that timing of remediation was important since assessors wanted to ensure that there would be sufficient time for remediation or that “a student could exit medicine with dignity” (Cleland et al. 2008).

 

Enabler 1: 환자, 사회 및 직업에 대한 의무
Enabler 1: duty to patients, to society, and to the profession

환자 안전에 대한 책임감, 공공에 대한 의무, 도덕적 청렴성이 평가관이 저조한 훈련생을 낙제시키는 데 있어 주요 주제였다.
Responsibility towards patient safety, duty to the public, and moral integrity were leading themes in supporting assessors in failing an underperforming trainee (Dudek et al. 2005; Scholes & Albarran 2005; Cleland et al. 2008; Bush et al. 2013; Carr et al. 2010; Luhanga et al. 2010; Watling et al. 2010; Jervis & Tilki 2011; Earle-Foley et al. 2012; Pratt et al. 2013; Black et al. 2014).

참가자들은 훈련생을 실패하게 된 주요 동기로 책임감을 언급하였다. 그것은 대중에게 안전 보장할 책임, 전문직에게 평판을 보호할 책임, 훈련생에게 교정 조치의 기회를 제공할 책임이다. (Dudek et al. 2005)
Participants identified a sense of responsibility as the main motive to fail a trainee: to the public to ensure safety, to the profession to protect its reputation, and to the trainee to allow them the opportunity for remediation. (Dudek et al. 2005)

교육생들의 성적이 저조한 평가관들은 [기준을 지켜야 할 의무]가 있다고 느꼈다. 심사원은 [전문직의 문지기]이므로 전문적인 책임감을 입증해야 한다(Rutkowski 2007). 따라서, 성취도가 낮은 학생들을 만나거나 발견하는 것에 윤리적으로 행동하지 않는 것은 용납될 수 없다.
Assessors who failed underperforming trainees felt duty bound to the profession to uphold standards (Rutkowski 2007; Luhanga et al. 2008; Carr et al. 2010; Fitzgerald et al. 2010; Pratt et al. 2013). Assessors are gatekeepers to the profession (Fitzgerald et al. 2010; Black et al. 2014), and so must demonstrate professional accountability (Rutkowski 2007). As such, not acting ethically on encountering or detecting underachieving students is not condonable (Duffy & Hardicre 2007):

학생과 환자 보호와는 별개로, 무능하고 안전하지 못한 의료인으로부터 간호사를 보호해야 한다는 과도한 의무감이 있었다. 무능한 학생이 낙제하지 못하는 것은 그 직업을 평판이 나빠지게 하는 것으로 보였고, 그 믿음은 그 경험을 하나로 만들었다: 당신은 그 직업profession을 지켜야 한다… 나는 내가 매우 자랑스러워하는 registered nurse인 것이 자랑스럽고, 나는 그 직업이 기준을 갖기를 원한다. (Black 등 2014)
Apart from protecting the student and patients, there was an overpowering sense of obligation to protect the nursing profession from incompetent and unsafe practitioners. Failing to fail an incompetent student was seen as putting the profession into disrepute, a belief that united the experience: You’ve got to uphold the profession … I’m proud to be a registered nurse … to belong to a profession that I’m very proud of, and I want that profession to have standards. (Black et al. 2014)


[도덕적 청렴]은 평가관들이 실패한 교육생을 낙제시키는 강력한 원동력으로 떠올랐다.
Moral integrity emerged as a powerful force driving assessors to fail a failing trainee (Scholes & Albarran 2005; Gopee 2008; Pratt et al. 2013; Black et al. 2014):

실패하는 힘은 그들의 도덕적 스트레스를 관리하고 도덕적인 무결성을 보여주는 감정적, 심리적 무결성을 갖는 것으로 특징지어진다.
The strength to fail was characterized by having the emotional and psychological integrity to manage their moral stress and demonstrate moral integrity: “I think sometimes it takes somebody quite tough to actually fail somebody and I appreciate that. (Black et al. 2014)

 

Enabler 2: 기관, 동료 및 평가자 개발의 지원
Enabler 2: support from the institution, from colleagues, and assessor development

교육생을 낙제시킨 것에 대한 [제도적 지지]는 평가자들이 실력이 떨어지는 교육생을 낙제시킬 수 있게 하는 데 중요한 기여를 했다. 평가자들은 비슷한 판단을 했을 수 있는 다른 동료들과 상의하고 그들의 관찰을 확인하거나 뒷받침할 수 있다면, 특히 훈련생이 일회성 사건이 아닌, 행동 패턴을 보인다면 지지를 받았다.
Institutional endorsement for failing a trainee was an important contributor for enabling assessors to fail an underperforming trainee (Scholes & Albarran 2005; Brown et al. 2012; DeBrew & Lewallen 2014). Assessors felt supported if they could consult with other colleagues who may have made similar judgments and could confirm or support their observations, particularly if the trainee exhibited a pattern of behavior, rather than an isolated incident (Carr et al. 2010; Luhanga et al. 2010):

파괴적 행동의 흔적을 보게 되면 다른 사람에게 문제가 생겼기 때문에 자신감이 생기는 것이다. 나뿐만이 아니다. 난 이걸 감당할 수 있다. (Jervis & Tilki 2011)
If you see a trail of destruction, you have confidence because someone else had a problem. It is not just me. I can handle this. (Jervis & Tilki 2011)

기관에서 저조한 수행능력을 인식하고 관찰된 내용을 설명할 수 있는 [평가자 개발을 제공]할 경우, 평가자를 위한 귀중한 지원 원천으로 설명되었다(Scholes & Albarran 2005).
The institution was described as a valuable source of support for assessors when the institution provided assessor development to recognize poor performance and to be able to describe what was observed (Scholes & Albarran 2005):

멘토들은 Fail 가능성이 있는 학생들을 다루기 위한 멘토링 훈련 동안 적절한 준비가 필요하다… 우리는 우리의 책임을 인정해야 한다. 우리는 그들의 [평가자] 역할, 관련된 과정, 기본적으로 문제가 있는 학생이 있다면 무엇을 해야 하는지, 어떻게 대처해야 하는지, 우리의 멘토링 프로그램에서 다룰 필요가 있다고 생각한다. (Duffy 2006)
Mentors need adequate preparation during mentorship training for dealing with the potentially failing student… we need to acknowledge our responsibility. We are not clear enough about their [evaluator] role, the processes involved, basically what to do if you have a problem student, how to deal with it… I think we need to address it in our mentorship programmes. (Duffy 2006)


[확립된 기준을 가진 강력한 평가 시스템]은 평가자의 불합격 결정을 더욱 명확히 하고 지지했으며, 판단 결정에 대한 신뢰를 쌓는 데 도움이 되었다. [명확한 기관 정책과 절차, 행정적 지원 및 불합격 관리 방법에 대한 권고사항]은 평가자에게 지지가 되었으며, F부여으로 인한 잠재적 고통을 더욱 최소화할 수 있다(Pratt 등 2013).
A strong assessment system with established criteria further clarified and supported assessors’ decision to fail, and helped to build confidence in judgment decisions (Duffy 2006; Carr et al. 2010; Brown et al. 2012; Bush et al. 2013). Clear institutional policies and procedures, administrative support and recommendations on how to manage a failure (Carr et al. 2010) supported assessors and may further minimize the potential distress from failing a trainee (Pratt et al. 2013):

학생은 법적 위협을 가했습니다… 이 강사는 멘토에게 가해지는 엄청난 압박을 알고 있었고, 지원이 없었더라면 이 멘토가 "압박에 굴복"하고 만족스러운 평가를 내렸을 것이라고 주장했습니다. (Duffy 2006)
The student made legal threats…this lecturer was aware of the tremendous pressure placed on the mentor and asserted that if it had not been for the support… this mentor may well have “buckled under the pressure” and given a satisfactory assessment. (Duffy 2006)

 

Enabler 3: 실패한 교육생을 위한 기회
Enabler 3: opportunities for trainees after failing

평가관들은 [F를 받은 교육생에게 지원과 지도가 제공되고, 그들의 성과를 성찰하고 실패 경험을 통해 성장할 수 있는 시간이 제공되었을 때], 평가관들이 F부여라는 어려운 과제를 받아들일 수 있게 되었다고 지적했습니다.
Assessors indicated that offering support and guidance to the failing trainee, offering them time to reflect on their performance and to grow from the failure experience, enabled the assessors to come to terms with the difficult task of failing a student (Dudek et al. 2005; Gopee 2008; Carr et al. 2010; Larocque & Luhanga 2013; Pratt et al. 2013):

실패와 부정적인 연관성에도 불구하고, 미래에 성공하는 학생을 촉진하는 긍정적인 요소를 극대화하는 것이 필수적이라는 데 동의했다. (Carr 등 2010)
Despite the negative association with failing it was agreed that maximizing the positive elements that facilitated the student succeeding in future is essential. (Carr et al. 2010)

 

논의
Discussion

이 체계적인 검토는 실패 현상의 원인이 되는 장벽에 대한 이해와 이 과제를 극복하는 데 도움이 되는 요소를 통합한다. 그것은 성적이 낮은 교육생을 낙제시킬 때 교수진이 직면하는 개인적, 직업적 혼란과 교육생이 낙제할 경우, 또는 그 여파로 예상되는 교수진을 지원하는 환경을 조성하는 데 있어 교육기관이 수행하는 중요한 역할을 강조한다. 평가자는 무엇을 문서화해야 하는지, 어떻게 문서화해야 하는지, 실패한 성과에 대한 주관적인 인상을 어떻게 표현해야 하는지에 대해 준비가 되지 않았거나 확신이 없다고 느낀다. 평가자는 또한 자신의 평가가 탈락한 교육생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기관의 프로세스에 어떻게 적합한지 확신하지 못합니다. 문헌은 평가자의 사명감과 도덕적 청렴성, 제도적 지원과 수습 기회 등이 보고된 장벽을 극복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음을 분명히 시사한다. 우리의 관찰은 상대적으로 적은 보고서에 기초하지만, 환자와 직업에 대한 결정적 의무 요인은 추가 탐구를 할 가치가 있다. 우리는 이러한 장벽과 가능 요소가 보건 전문가와 훈련생 수준에 걸쳐 보편적으로 보고되고 있으며 지난 10년 동안 지속적으로 보고되어 왔다는 것을 발견했다.

This systematic review consolidates our understanding of the barriers that contribute to the failure to fail phenomenon, and the enablers that support overcoming this challenge. It highlights the personal and professional turmoil faculty members face when failing an underperforming trainee, and the important role the institution plays in setting a climate that supports faculty members who anticipate, are in the process of, or in the aftermath of failing a trainee. Assessors feel unprepared or unsure of what to document, how to document it, how to articulate subjective impressions of a failing performance. Assessors are also unsure of how their assessment fits into their institution’s process for addressing a failing trainee. The literature clearly suggests that an assessor’s sense of duty and moral integrity along with institutional support and opportunities for trainee remediation can help overcome the barriers reported. Though our observations are based on relatively few reports, the decisive factor of duty to patients and the profession merits further exploration. We found that these barriers and enablers are universally reported across health professions and trainee levels, and have been consistently reported over the past decade.

"실패-실패" 현상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우리는 이제 이러한 장벽에 대한 개입과 해결책을 찾기 위해 앞으로 나아갈 수 있다. 이 일의 일부는 이미 시작되었다. 예를 들어, Dudek 등은 평가자에게 로테이션 종료 평가 양식에 대한 자신의 우려를 표현하는 방법을 가르치는 교수개발 개입을 설계했다. 다른 연구자들은 [성적이 낮은 훈련생들에게 어려운 메시지를 전달하는 것]에 대한 명시적인 평가자 훈련을 요구하고, 훈련생에게 낙제했을 때 경험하는 정신적 피로를 해결하기 위해 지원 시스템을 투자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다른 연구자들은 [전문직의 기준과 윤리를 유지하기 위해 교육자의 윤리적 능력]에 대한 보다 명시적인 훈련을 요구하고 있는데, 이는 교육생을 낙제시키는 중요한 원동력은 깊이 뿌리박힌 의무감이기 때문이다. 영국에서 간호직은 멘토들의 공식적인 훈련과 교육을 시행하고 있다. (Duffy 2006; 간호 및 조산사 협의회 (영국) 2008)
With this understanding of the “failure to fail” phenomena, we can now move forward to find interventions and solutions to these barriers. Some of this work has begun. For example, Dudek et al. designed faculty development interventions to teach assessors how to articulate their concerns on end of rotation assessment forms (Dudek et al. 2013; Dudek & Dojeiji 2014;). Others have called for more explicit assessor training in delivering difficult messages to underperforming trainees, (Jervis & Tilki 2011) and for investing support systems to address the mental fatigue experienced when failing a trainee (Carr et al. 2010; Pratt et al. 2013). Others have called for more explicit training of educators in ethical competence to uphold the standards and ethics of their profession, as a significant enabler of failing a trainee is a deeply rooted sense of duty (Earle-Foley et al. 2012; Gopee 2008; Luhanga et al. 2010; Black et al. 2014). In the UK, the nursing profession has implemented formalized training and education of mentors (Duffy 2006; Nursing and Midwifery Council (UK) 2008)

모든 학생들이 보건의료전문직 교육을  졸업해야 하는 것은 아니라는 것을 기관들이 인정하는 것이 도움이 될 수 있다. 어떤 입시제도도 완벽하지 않기 때문에 기대치나 역량의 기준을 충족시키지 못하는 교육생들이 있을 수밖에 없다. 기관은 [학생에게 F를 주는 것이 불가피하다는 것]에 대해 평가자를 준비시키는 것을 목표로 하는 교수개발을 제공함으로써 심사원을 지원할 수 있습니다.
It may be beneficial for institutions to acknowledge that not all students will or should graduate from their health professions training. Since no admissions system is perfect, it stands to reason that there will be trainees who will fail to meet expectations or standards of competency. Institutions can support assessors by offering faculty development aimed at preparing assessors for the inevitability of failing a student.

더 큰 규모에서, 학부 및 대학원 의료 교육의 운영 기구는 마일스톤과 위탁 가능한 전문 활동과 같은 [교육생의 기대에 대한 보다 명확한 진술을 만드는 프로그램]을 수용했다(Association of American Medical Colleges 2014). 이와 같은 이니셔티브는 훈련생이 무엇을 할 수 있어야 하는지에 대한 평가자 간의 공유된 정신 모델을 만들 수 있는 잠재력을 가지고 있다. 성과에 대한 기대치가 더 명확해지면 감독자가 기준을 충족하지 못하는 임상 성과를 보고하는 것이 더 쉬워질 수 있다.

On a larger scale, governing bodies in both undergraduate and graduate medical education have embraced programs that create more explicit statements of trainee expectations such as the milestones (Swing et al. 2013) and entrustable professional activities (Association of American Medical Colleges 2014). Initiatives such as these have the potential to create a shared mental model across assessors of what a trainee should be able to do. With clearer expectations of performance, it may be easier for supervisors to report clinical performance that is not meeting standards.

결론
Conclusion


우리가 아는 한, 실패 현상에 대한 이용 가능한 지식을 통합한 의학, 간호, 치과 교육 문헌의 체계적인 검토는 이번이 처음이다. 현재 커뮤니티가 직면한 과제는 식별된 장벽을 가장 잘 해결하고 실패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활성화 장치의 힘을 활용하는 방법을 결정하는 것이다.

To our knowledge, this is the first systematic review of the medical, nursing, and dentistry education literature that consolidates the available knowledge on the failure to fail phenomenon. The challenge our community now faces is determining how to best tackle the identified barriers and to harness the power of enablers to resolve the failure to fail problem.

 


 

Med Teach. 2016 Nov;38(11):1092-1099.
 doi: 10.1080/0142159X.2016.1215414. Epub 2016 Sep 7.

 

The failure to fail underperforming trainees in health professions education: A BEME systematic review: BEME Guide No. 42

Affiliations collapse

Affiliations

1a Uniformed Services University of the Health Sciences , Bethesda , MD , USA.

2b Ottawa Hospital Rehabilitation Centre, University of Ottawa , Ottawa , ON , Canada.

PMID: 27602533

DOI: 10.1080/0142159X.2016.1215414

Abstract

Background: Many clinical educators feel unprepared and/or unwilling to report unsatisfactory trainee performance. This systematic review consolidates knowledge from medical, nursing, and dental literature on the experiences and perceptions of evaluators or assessors with this failure to fail phenomenon.

Methods: We searched the English language literature in CINAHL, EMBASE, and MEDLINE from January 2005 to January 2015.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studies were included. Following our review protocol, registered with BEME, reviewers worked in pairs to identify relevant articles. The investigators participated in thematic analysis of the qualitative data reported in these studies. Through several cycles of analysis, discussion and reflection, the team identified the barriers and enablers to failing a trainee.

Results: From 5330 articles, we included 28 publications in the review. The barriers identified were (1) assessor's professional considerations, (2) assessor's personal considerations, (3) trainee related considerations, (4) unsatisfactory evaluator development and evaluation tools, (5) institutional culture and (6) consideration of available remediation for the trainee. The enablers identified were: (1) duty to patients, to society, and to the profession, (2) institutional support such as backing a failing evaluation, support from colleagues, evaluator development, and strong assessment systems, and (3) opportunities for students after failing.

Discussion/conclusions: The inhibiting and enabling factors to failing an underperforming trainee were common across the professions included in this study, across the 10 years of data, and across the educational continuum. We suggest that these results can inform efforts aimed at addressing the failure to fail problem.

 

임상교수자가 고군분투하는 학습자를 도울 방법이 있는가? 문헌의 체계적 통합(Adv Med Educ Pract. 2017)
Is there a way for clinical teachers to assist struggling learners? A synthetic review of the literature
Elisabeth Boileau1 Christina St-Onge2 Marie-Claude Audétat3

 

 

소개
Introduction


임상 교사는 매일 환자를 관리하는 동시에 모든 수준의 교육과 다양한 자율성을 갖춘 의료 훈련생을 감독해야 하는 어려움에 직면해 있다.1 스타이너트는 어려움을 겪고 있는 학습자들을 "훈련 프로그램의 기대를 충족시키지 못하는" 의료 훈련생으로 정의했다. 더 많은 어려움을 겪는 이러한 교육생은 임상 교사에게 훨씬 더 큰 도전을 제기하는 경우가 많은데, 이러한 교육생은 더 면밀한 감독을 필요로 하기 때문이다. 3 이는 [시간]이 많이 걸리고 환자 치료에 소비되는 시간과 경쟁할 수 있지만, [특정 교육 기술]이 필요할 수도 있다.4 그 결과, 어려움을 겪고 있는 학습자들의 감독은 임상 교사들이 종종 이러한 학습자들을 효율적으로 감독할 수 있는 능력이 부족하다고 인식하기 때문에, 좌절하거나 회피에 이르곤 한다.

Clinical teachers are faced with the daily challenge of managing patients while simultaneously supervising medical trainees from all levels of training and with varying degrees of autonomy.1 Steinert has defined struggling learners as medical trainees who do “not meet the expectations of a training program”.2 Such trainees, who experience more difficulties, often pose an even greater challenge to clinical teachers, since these learners warrant closer supervision,3 which may be time-consuming and compete with time spent on patient care, but may also require specific teaching skills.4 As a result, the supervision of struggling learners has been associated with reactions from clinical teachers ranging from helplessness to frustration and avoidance,2,5 as clinical teachers often perceive that they are ill equipped to supervise these learners efficiently.6

임상 교사가 어려움을 겪고 있는 학습자를 감독할 때 느낄 수 있는 불편함은 학습자와 환자 모두에게 구체적인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 [해당 분야의 임상 교사]는 실제 환자와의 실제 수행에 대한 특권적 접근 권한이 있기에, 어려움을 조기에 발견할 수 있는 가장 좋은 위치에 있는 경우가 많다. 무엇보다 어려움을 겪고 있는 학습자가 도움을 요청하기 위해 먼저 나서는 경우는 거의 없기 때문이다. 어려움이 감지되는 즉시 해결되지 않는 경우 교정조치 및 보다 면밀한 후속조치가 수행되기 전에 과도한 지연이 발생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학습자의 애로사항이 사실상 해소되지 않아, 독립의료를 할 만큼 역량을 갖추지 못할 수 있다. 
The discomfort that clinical teachers may feel when supervising struggling learners may have concrete consequences for learners and patients alike. Clinical teachers in the field are often best positioned to detect difficulties early on, due to their privileged access to learners’ actual performances with real patients, and to the fact that struggling learners very rarely step forward themselves to ask for help.7 When difficulties are not addressed as soon as they are detected, undue delays might occur before remediation and closer follow-up can take place.8,9 In certain cases, learners’ difficulties may in fact never be addressed, which may eventually allow less than fully competent trainees to be promoted to independent practice.1012

[어려움을 겪고 있는 학습자를 감독하기 위한 명확하게 설명된 지침]이 이러한 문제에 대한 유용한 해결책을 제공할 수 있지만 교정조치 모범 사례를 안내할 증거가 부족하기 때문에 그러한 지침은 존재하지 않는다. 교정조치에 관한 개입 연구는 종종 소규모 단일 기관 노력으로 제한되었고 인지적 어려움의 교정조치에 초점을 맞추었다. 최근 기관 차원의 교정조치에 대한 권고안이 발표되었지만, 해당 분야의 임상 교사를 위한 최선의 접근방식은 아직 확립되지 않았다.
Although clearly delineated guidelines for supervising struggling learners could offer a useful solution to these issues, no such guidelines exist, due to the paucity of evidence to guide best practices in remediation.9,13 Intervention studies regarding remediation have often been limited to small single-institution endeavors, and have focused on the remediation of cognitive difficulties.9,14 Although recommendations for remediation at an institutional level have recently been published,15 the best approach for clinical teachers in the field remains to be established.

따라서 여기서는 임상 교사가 어려움을 겪고 있는 학습자를 감독하는 일상 업무를 안내할 수 있는 경험적 증거와 이론에 대한 합성 검토를 제시하는 것을 목표로 했다. 이 문서에서는 지금까지 파악 및 탐색한 과제와 솔루션에 대한 현재 지식을 검토합니다.

Therefore, we aimed to present here a synthetic review of the empirical evidence and theory that may guide clinical teachers in their daily task of supervising struggling learners. This article reviews our current knowledge on the challenges and solutions that have been identified and explored.

자재와 방법
Materials and methods

우리의 방법론은 그랜트와 부스의 리뷰 유형에 기반을 두고 있었는데, 이 리뷰는 "최근 또는 현재 문학에 대한 검토"로 정의되며, "분석은 개념적이거나 주제적일 수 있다"며 "일반적으로 서술적"이다. 관련 문헌의 검색은 의료(Medline, Embase) 및 교육(ERC, Education Source) 데이터베이스에서 임상 또는 의대 학생 또는 레지던트와 결합된 저성적, 실패, 위험, 어려움 또는 문제와 같은 검색어를 사용하여 수행되었다. 이 연구는 1995년부터 2015년까지를 다루었으며 영어와 프랑스어로 제한되었다. 이 검색 전략은 440개의 제목을 만들었습니다. 초기 제목 기반 심사를 거쳐 70개의 초록이 읽혔으며, 이 중 37개는 관련성에 따라 불합격되었다. 따라서 총 33개의 논문이 이 검토에 포함되었다(그림 1).

Our methodology was based on Grant and Booth’s16 typology of reviews, which defines a literature review as the “examination of recent or current literature”, whose “analysis may be conceptual or thematic” and is “typically narrative”. A search of the relevant literature was performed in both medical (Medline, Embase) and educational (ERIC, Education Source) databases, using the following search terms: underperformance, fail, at risk, difficult or problem, combined with clinical or medical student or resident. The search covered the 1995-2015 period, and was limited to the English and French languages. This search strategy generated 440 titles. After an initial title-based screening, 70 abstracts were read, of which 37 were rejected based on relevance. A total of 33 articles were thus included in this review (Figure 1).

 

해당 분야의 의학교사 입장에서 학습자가 힘들어하는 문제를 다루거나 자신의 관점을 알릴 수 있는 실증적 근거나 이론을 제시하면 기사에 포함이 검토됐다. 이번 검토는 임상교사의 일상적 감독업무에 초점이 맞춰져 있어 학습자 애로사항을 제도적 또는 체계적인 관점에서만 다룬 기사는 제외됐다. 메타 분석은 광범위한 연구 맥락과 방법론으로 인해 실현 가능성이 없는 것으로 간주되었고, 본 논문의 목적을 철저히 검토하지도 않았다. 오히려 어려움을 겪고 있는 학습자와 함께 일할 때 임상교사를 지도하기 위해 가장 관련성이 높은 개념을 종합하는 것을 목표로 했다.
Articles were considered for inclusion if they addressed the issue of struggling learners from the perspective of medical teachers in the field, or if they presented empirical evidence or theory that could inform their perspective. Because this review focused on clinical teachers’ daily supervision tasks, articles that addressed the issues of learner difficulties solely from an institutional or systematic perspective were excluded. A meta-analysis was not deemed feasible, due to the wide variety of research contexts and methodologies encompassed, nor was an exhaustive review the purpose of this article. Rather, it aimed to synthesize the most relevant concepts to guide clinical teachers when working with struggling learners.

결과.
Results

이론적 틀
Theoretical framework

어려움을 겪고 있는 의료 훈련생들을 다루기 위한 이론적 프레임워크는 Langlois와 Thach,17에 의해 제공되었는데, 그는 처음으로 SOAP(주관적, 객관적, 평가, 계획) 임상 모델을 사용하여 어려움을 겪는 학습자들에 대한 접근 방식을 구조화할 수 있다고 제안했다. 이 모델은 이후 의학 교육에서 반복적으로 사용되어 왔다. 이는 Irby21이 지적한 바와 같이 임상 및 교육학적 진단 접근법 사이에서 종종 도출되는 유사성을 활용한다.1,22–24 어려움을 겪고 있는 학습자에게 적용할 때 SOAP 모델은 임상 의사가 잘 알고 있는 네 가지 단계로 과제를 구분한다. 

  • 1) 주관적인 인상을 바탕으로 문제를 감지한다. 
  • 2) 진단 가설에 따른 객관적 데이터 수집 및 문서화 
  • 3) 평가에 기초한 교육적 진단 작성 
  • 4) 대상 재교육 계획.

A theoretical framework for addressing struggling medical trainees was provided by Langlois and Thach,17 who first suggested that the SOAP (subjective, objective, assessment, plan) clinical model could be used to structure the approach to learners with difficulties. This model has since been used repeatedly in medical education.1820 It takes advantage of the parallel often drawn, since Irby21 pointed it out, between the clinical and pedagogical diagnostic approaches.1,2224 When applied to struggling learners, the SOAP model divides the task into four steps that are well known to clinicians:

  • 1) detecting problems, based on a subjective impression;
  • 2) gathering and documenting objective data, according to diagnostic hypotheses;
  • 3) making a pedagogical diagnosis based on this assessment; and
  • 4) planning a targeted remediation.

이러한 단계는 임상 교사가 환자의 증상을 평가하는 것과 같은 순서로 학습자의 어려움에 접근하도록 안내할 수 있다. 이 검토에서는 관련 문헌 및 권장사항(표 1)도 이 네 가지 주요 단계에 따라 구성된다.
These steps can guide clinical teachers to approach learners’ difficulties in the same order that they assess patient symptoms. In this review, the relevant literature and recommendations (Table 1) are also organized as per these four main steps.


표 1 어려움을 겪고 있는 학습자에게 제안된 접근법
Table 1 Suggested approach to struggling learners

주관적: 주관적 인상을 바탕으로 문제 감지 
Subjective: Detecting a problem based on a subjective impression

• 임상 교사는 자신의 인상을 신뢰해야 한다.
• 의심은 추가적인 관찰과 문서화를 촉진해야 한다.
• 목표는 로테이션의 첫 1/4기간 내에 어려움을 조기에 파악하는 것이어야 한다.

• Clinical teachers should trust their impressions.
• Doubts should prompt further observation and documentation.
• The goal should be early identification of difficulties, within the first quarter of a rotation.

목표: 목표 데이터 수집 및 문서화
Objective: Gathering and documenting objective data

• 데이터는 사용 가능한 소스에 따라 [둘 이상의 컨텍스트와 가능한 한 많은 관찰]에 기초해야 한다: 직접 또는 간접 관찰, 환자 파일의 노트, 교수진 및 직원과의 공식 및 비공식 상호작용.
• 사전 정의된 [마일스톤과 EPA]는 기대 수행능력 수준과의 객관적 불일치를 문서화할 수 있는 유용한 도구이다. 
최소량 이상의 직접적 관찰이 권장된다.
• 후속 단계를 수행하기 전에 [학습자와 비공식 토론 또는 진단적 대화]를 해야 합니다. 

• Data should be based on more than one context and on as many observations as possible, depending on available sources: direct or indirect observations, notes in patient files, formal and informal interactions with faculty and staff.
• Predefined milestones and EPAs are useful tools to document objective discrepancies with the expected performance level. 
• At least a minimal amount of direct observation is recommended.
• An informal discussion, or a diagnostic conversation, should be held with the learner before any further step is undertaken. 

평가 : 수집된 자료의 평가에 따른 교육학적 진단 수행
Assessment: Making a pedagogical diagnosis based on assessment of the collected data

• 교육학적 감별 진단은 [인지적, 태도적, 정신 건강 문제]를 고려해야 한다.
• 이 세 가지 유형의 어려움은 종종 상호 연관되어 있습니다. 이러한 경우 임상 성과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문제부터 시작하여 한 번에 하나씩 문제를 해결해야 한다.
• 인지적 기원의 어려움이 가장 빈번한데, 그 중 [임상 추론 능력과 지식의 부족] 모두를 고려해야 한다.

• A pedagogical differential diagnosis must consider cognitive, attitudinal, and mental health issues.
• These three types of difficulties are often interrelated. When this is the case, issues must be addressed one at a time, starting with that which has the most impact on clinical performance.
• Difficulties of cognitive origin are the most frequent; among them, both clinical reasoning difficulties and insufficient knowledge should be considered.

계획: 대상 교정 계획
Plan: Planning a targeted remediation

• 목표화되고 효율적인 문제 해결을 계획하는 첫 번째 단계는 [근본적인 문제]를 최대한 정확하게 파악하는 것입니다. 
• 재교육이 없을 경우 임상 교사가 어려움의 식별을 추적하지 못할 수 있으므로 [재교육에 대한 명확한 프로세스]가 국지적으로 시행되어야 한다.
• 이상적으로 이 교정조치 프로세스는 학습자의 정기적인 임상 활동에 통합되어야 한다.

• The first step in planning a targeted and efficient remediation is to pinpoint the underlying issue as precisely as possible. 
• A clear process for remediation should be in place locally, since its absence could deter clinical teachers from following up on the identification of difficulties.
• Ideally, this remediation process should be integrated into the learner’s regular clinical activities.


약어: EPA, "위임가능한" 전문 활동
Abbreviations: EPAs, “entrustable” professional activities


주관적: 주관적인 인상을 기반으로 문제 탐지
Subjective: Detecting a problem based on a subjective impression

10%에서 15% 사이의 학습자가 의료 교육 중에 상당한 어려움을 겪습니다.  공식적인 식별로 이어지는 다양한 단계는 [임상 교사의 주관적 인상을 바탕으로 시작되는 경우]가 가장 많다.7 이러한 주관적 인상 또는 직관은 학습자가 행동하는 것을 직접 관찰하거나 학생과 형식 또는 비공식적으로 상호작용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임상 교사의 인식은 실제로 학습자의 어려움을 예측할 수 있는 신뢰할 수 있는 예측자로 여겨진다. 예를 들어 웰러 외 연구진은 임상 교사들에게 어떤 학습자에게 더 면밀한 감독이 필요한지를 주관적으로 식별하도록 요청했을 때 9명의 관찰자가 0.7의 신뢰도 계수에 도달한 반면, 50명의 관찰자가 더 전통적인 측정을 사용할 때 동일한 계수에 도달해야 한다는 것을 발견했다.

Between 10% and 15% of learners will experience significant difficulties during their medical training.2527 The various steps leading to their formal identification are most often initiated based on the subjective impressions of clinical teachers.7 These subjective impressions, or intuitions, can be either shaped by direct observation of the learner in action or by interacting formally or informally with the student.28 Clinical teachers’ perceptions are indeed considered to be a reliable predictor of learners’ difficulties. Weller et al,3 for instance, found that when clinical teachers were asked to identify subjectively which learners required closer supervision, a reliability coefficient of 0.7 was reached with nine observers, whereas 50 observers were required to reach this same coefficient when more traditional measures were used.

이론적으로 학습자의 어려움에 대한 임상 교사의 인식은 문서화, 평가 및 교정조치의 [다음 단계를 신속하게 촉진해야] 한다.23 그러나 현실에서는, 이 단계에서 프로세스가 매우 자주 중단된다. 임상 교사들을 대상으로 한 많은 탐구 연구에 따르면, 이것에 대해 가장 자주 인용되는 이유들 중 하나는 어떤 단계를 따라야 하는지, 그리고 그것들을 어떻게 달성해야 하는지 모르는 불편함이다. 

In theory, clinical teachers’ recognition of difficulties in a learner should prompt the next steps of documentation, assessment, and remediation rapidly, since early identification is considered the gold standard to attain.23 In practice, however, the process is very often halted at this stage.2,9,18,29,30 One of the most frequently cited reasons for this, according to many exploratory studies done with clinical teachers, is the discomfort of not knowing which steps should be followed and how to achieve them.6,3133

임상교수자가 [초기 인상에 따라 조치를 취하지 않을 경우], 학습자의 애로사항을 파악하고 해결하는 일이 빈번하게 지연되는 결과를 초래한다. 라카세는 1쿼터 회전 후에 발생하는 식별로 어려움을 뒤늦게 파악했다. 이것이 발생하면 효율적인 교정조치에 더 적은 시간이 남아 있지만, 위험신호가 켜지기 전에 환자에게 구체적인 결과와 함께 중대한 사고가 발생할 수 있다는 것이 실질적인 함축이다. 2000년 미국 내과 프로그램 책임자를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는 어려움에 처한 주민의 59%가 심각한 사고 이후에 실제로 확인되었음을 밝혀냄으로써 요점을 부각시켰다.35 어려움의 늦은 확인과 관련된 결과를 피하기 위해, 그리고 그들의 주관적인 인상이 신뢰할 수 있다고 간주될 수 있기 때문에, 임상 교사들은 객관적인 데이터를 수집하고 문서화하는 것부터 시작하여 의심이 드는 대로 학습자의 어려움에 대한 그들의 인식에 따라 행동하도록 권장되어야 한다.

The consequence of not acting on clinical teachers’ early impressions is the frequent delay in identifying and addressing learners’ difficulties. Late identification of difficulties was defined by Lacasse34 as identification that takes place after the first quarter of a rotation. When this occurs, practical implications are that less time is left for efficient remediation, but also that critical incidents may take place, with concrete consequences to patients, before a red flag is raised.8,28 A US survey of program directors in internal medicine in 2000 drove the point home by revealing that up to 59% of their residents in difficulty were indeed identified after a critical incident.35 In order to avoid consequences associated with late identification of difficulties, and because their subjective impressions can be considered reliable, clinical teachers should be encouraged to act on their perceptions of difficulties in learners as soon as a doubt arises,34 beginning with the gathering and documenting of objective data.

 

목표: 목표 데이터 수집 및 문서화
Objective: Gathering and documenting objective data

베어만 등에 따르면 의료교육에서 진단을 확립하는 것은 "[기대성과 기준과 보여준 성과 사이의 불일치를 파악한 후, 수행능력 저하의 이유를 규명하는 것]"으로 구성된다. 많은 임상 프로그램에서 훈련의 다양한 단계에서 기대되는 능력은 이정표를 통해 정의되는 반면 학습자가 궁극적으로 신뢰할 수 있는 분야의 주요 업무는 "위탁 가능한" 전문 활동(EPA)으로 정의된다. [마일스톤과 EPA]는 능력부족을 식별 및 문서화하는 데 모두 매우 유용할 수 있다. 그러나 일단 확인되면 [수행능력 저하는 그 자체가 진단이 아니라 증상]으로 봐야 하며, 이는 일단 관찰 단계를 끝내는 것을 정당화할 수 있다. 반대로 어려움을 해결하는 첫 번째 단계는 가장 적절한 대응을 결정하기 위해 [문제를 더 잘 정의하고 원인을 더 명확하게 하기 위한 추가 관찰]로 구성되어야 한다. 형성된 초기 인상을 추가로 검증하면 학습자가 후속 조치가 필요한 어려움을 실제로 경험하고 있는지 여부, 또는 문제가 맥락적이었는지, 또는 고립된 사건이었는지 여부를 파악하는 데 도움이 된다.39

According to Bearman et al,30 establishing a diagnosis in medical education consists in “identifying discrepancy between the expected performance standard and the demonstrated performance, and then trying to establish the reason for underperformance”. In many clinical programs, expected abilities at various stages of training are defined through milestones,36 while key tasks in a discipline that learners should eventually be trusted to perform are defined as “entrustable” professional activities (EPAs).37 Milestones and EPAs can both be very useful in identifying and documenting discrepancy. Once it is identified, however, underperformance should be seen as a symptom, not as a diagnosis in itself, which once made could justify ending the observation phase.17,34,38 The first step in addressing difficulties should consist, on the contrary, in further observations to define the issue better28 and to clarify its cause better, in order to determine the most appropriate response.18,19 Further verification of the initial impression formed also helps determine whether the learner is in fact experiencing difficulties that require follow-up or whether the issue was contextual or even an isolated incident.39

이러한 자료 수집을 통해 [가시적인 사례]들이 모여야 한다. 사례를 모아야 하는 이유는, 같이 자신의 인상을 검증할 임상 교수자를 위해, 피드백의 신뢰성을 확인하고 싶어할 높은 학습자를 위해, 자신의 결정을 더 잘 정당화할 수 있는 기관을 위해 이뤄져야 한다. 객관적 자료는 실제로 공정한 접근법의 필수적인 부분이다. 많은 저자에 따르면, 이 초기 문서는 실제 임상 상황에서 [학습자의 성과에 접근할 수 있는 현장]에서 [임상 교사의 책임]이다. 어려움을 겪고 있는 학습자 중 2%~6%만이 스스로 식별하기 때문에 임상 교사에 의한 임상 성과에 대한 [문서화는 필수적]이다. 학습자 비율이 이렇게 낮은 이유를 설명하기 위해 다양한 가설이 제시되고 있다. 이러한 가설은 학문적, 사회적 결과에 대한 두려움에서부터 실제 성과와는 상당히 다른 자기 평가까지 다양하다. 크루거와 더닝43은 특정 분야에서 "미숙련"인 사람들은 종종 그것을 알지 못한다는 것을 보여주었는데, 이는 같은 지식이 종종 주어진 분야에서 유능하고 자신의 역량에 대한 정확한 인식을 갖기 위해 필요하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시험 점수가 12번째 백분위였던 크루거와 더닝 연구의 참가자들은 자신들이 62번째 백분위라고 추정했다. 이 참가자들은 실력이 향상되어야만 자신의 실수를 인지했다.
Through this collection of data, tangible examples must be gathered. This should be done as much for clinical teachers, who will thus verify their impressions, as for the learner, who is more likely to see credibility in the feedback received,35 and for the institution, who will be able to justify its decisions better.18,34 Objective data are indeed an integral part of a fair approach.28 According to many authors, this initial documentation is the responsibility of clinical teachers in the field, because only they have access to learners’ performances in a real clinical context.30,40,41 The documentation of clinical performance by clinical teachers is essential, since only 2%–6% of struggling learners will self-identify.7,35 Various hypotheses have been put forward to explain why such low rates of learners will themselves ask for help. These hypotheses range from fear of academic and social consequences35 to self-appraisals, which are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actual performance.42 Kruger and Dunning43 have indeed shown that those who are “unskilled” in a certain discipline are often unaware of it, because the same knowledge is often necessary to be both competent and have an accurate perception of one’s competence in a given field. For instance, participants in the Kruger and Dunning study whose test scores were in the 12th percentile estimated themselves to be in the 62nd percentile. These participants only recognized their errors once their skills had improved.

교육학 데이터 수집 방법
How to collect pedagogical data

학습자의 성과를 [간접 또는 직접 관찰]하여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습니다. 후자는 절차나 기법이 관련되지 않는 한 비교적 드물게 발생하지만, 종종 더 효과적이다. 미국 내과 프로그램 디렉터 협회에 대한 전국 설문조사에서 82%의 확실한 다수가 [직접 관찰]을 통해 해당 기관에서 문제 학습자의 어려움이 확인됐다고 답했다. 그러나 난이도는 사례를 제시하는 방식이나 간접 관찰을 통해 추론할 수 있지만, 간접 관찰만이 유일한 유형의 관찰인 경우에는 특정 어려움은 놓칠 수 있다. 학습자가 환자 파일에 기록한 노트를 검토하거나 직원 및 교수진과의 공식 및 비공식 상호작용을 통해 데이터를 수집할 수도 있다. 어떤 접근법을 선호하거나 이용 가능하든, 데이터는 항상 둘 이상의 맥락과 가능한 한 많은 관찰에 기초해야 한다. 

Data collection can be achieved either through indirect or direct observation of learners’ performances. The latter occurs relatively rarely unless procedures or techniques are involved,9,44 but will often be more effective. In a national US survey of the Association of Program Directors in Internal Medicine, a clear majority (82%) reported that problem-learner difficulties had been identified in their institution through direct observation.35 Difficulties, however, can also be inferred from the manner in which cases are presented or from indirect observation,45 but where indirect observation is the only type of observation, certain difficulties could be masked.29 Data can also be collected by reviewing notes written by the learner in patient files or through their formal and informal interactions with staff and faculty. No matter which approach is preferred or available, data should always be based on more than one context and on as many observations as possible.9,46

임상 환경에서 이루어지는 관찰의 [주관적 특성]뿐만 아니라, [사례 특이성] 때문에 실제로 많은 관찰이 필요하다. Nendaz 등이 말했듯이, 한 임상의가 진단할 수 있는 역량은 사례마다 다르다. 따라서 많은 경우에 대해 학습자에게 보다 간략하게 질문하는 것이 더 신뢰할 수 있습니다. [관찰된 행동]이 [(교육적) 진단]으로 이어지기 위해서는 반복적으로, 그리고 다양한 상황에서 관찰되어야 한다. 실제로, 각각의 성과는 내용에 의존하는 만큼 맥락에 따라 달라지며, 따라서 특정 지식에 대한 비조작화가 체계적으로 그것의 부재와 동일하지 않다는 주취안의 진술이다.


Many observations are indeed necessary, due to the subjective nature of observations made in clinical settings, but also due to case specificity. As Nendaz et al47 put it, the competence to diagnose varies from one case to another for the same clinician. It is thus more reliable to question a learner more briefly on many cases. For an observed behavior to lead to a diagnosis, it ought to have been observed repeatedly9 and in various types of situations. Indeed, each performance depends as much on the context as it depends on the content,48 and hence Jouquan’s statement49 that the nonmanifestation of a certain knowledge does not systematically equate with its absence [translation].


힌슨 외 연구진 50은 "진단적 대화"라고 불리는 추가적인 데이터 소스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이러한 대화는 "문제를 파악하고 그 학생에게 일어나는 모든 일을 더 자세히 파악하는 것"으로 구성된다. 
이 대화는 [더 정확한 교육학적 진단]을 가능하게 하는 것 외에도, [인식의 잠재적인 차이를 밝혀]줄 수 있으며, 주어진 상황에 대한 [양 당사자가 동일한 이해를 공유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진단적 대화는 앞으로 [공통의 출발점]으로 사용될 수 있으며, 이는 나중에 진전이 있었는지 없는지에 대한 인식을 공유하기 위한 것이다. 진단적 대화가 잘 이뤄지면, 재교육 계획과 관련하여 학습자의 맥락과 현실을 고려할 수 있게 되고, 이는 보다 현실적인 계획을 수립하여, 계획을 준수할 가능성을 높여준다. 

Hinson et al50 stressed the importance of an additional source of data, which they called “diagnostic conversations”: these conversations consist of “discussing the problem and getting a fuller picture of everything that is going on for that student”. This conversation allows a more accurate pedagogical diagnosis, but may also bring to light potential gaps in perceptions, giving an opportunity for both parties to share the same understanding of a given situation.34 The diagnostic conversation can henceforth be used as a common starting point, which will facilitate a shared appreciation of whether or not progress has been made later on.30 When relevant, it will also allow the taking into account of the learner’s context and reality with regard to the remediation plan, allowing it to be more realistic and increasing the chance that it will be followed.50 

실제로, [관찰된 어려움의 원인]은 학습자와 공동으로 판단해야 한다. 왜냐하면 학습자만이 자신의 개인적 상황을 전체적으로 파악하고 있기 때문이다. 교수진은 학습자의 직업적 성과에 대한 외부의 인식에 내부자의 관점을 더함으로써 얻을 수 있습니다. 진단적 대화는 교대 근무가 끝날 때의 간단한 대화나, 지금까지의 모든 정보를 종합한 무거운 토론의 형태를 취할 수 있지만, 적어도, 후속 단계로 나아가기 전에 최소한 학습자와 비공식적으로 토론하는 것이 좋습니다.

In fact, the reasons for the observed difficulties should be determined jointly with the learner, since only the learners hold the whole picture of their personal situation.28,30,38 Faculty can only gain from adding this insider’s perspective to the outside perception of the learner’s professional performance. Diagnostic conversations can take the form of a brief exchange at the end of a shift or of a more substantial discussion in light of all the assembled information to date, but Lacasse34 recommends that at the very least, an informal discussion be held with the learners themselves before any further step is undertaken.

평가 : 수집된 자료의 평가에 따른 교육학적 진단 수행
Assessment: Making a pedagogical diagnosis based on assessment of the collected data

저조한 성과는 인지, 정신 건강 또는 태도와 관련된 세 가지 주요 어려움 범주 중 하나로 인해 발생할 수 있으며, 그 중 [인지적 어려움]이 가장 빈번하다. 어떤 범주가 관련될 가능성이 높은지 고려할 때, 실적 저하의 원인이 종종 상호 연관되어 있음을 명심해야 한다. 예를 들어, 게라시오와 아가아드의 연구는 53명의 학습자 중 3/4은 충분한 지식(학생의 17%)에서 정신 건강 문제(주민의 12%)에 이르기까지 "동반이환"을 가지고 있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이러한 경우 학습자가 주로 어려움을 겪거나 자신의 업무에 가장 큰 지장을 주는 것부터 시작하여 하나씩 어려움을 해결하는 것이 최선의 접근법이다.
Underperformance may be due to one of three main categories of difficulties – related to cognition, mental health, or attitude – among which cognitive difficulties are the most frequent.27,35,51 When considering which category is most likely involved, it must be borne in mind that causes of underperformance are often interrelated.34 A study by Guerrasio and Aagaard,14 for instance, showed that among 53 learners followed for clinical reasoning difficulties, three-quarters had “comorbidities”, ranging from insufficient knowledge (17% of students) to mental health issues (12% of residents). In such cases, the best approach is to address difficulties one by one, beginning with the predominant difficulty for that learner or the one that interferes most with their work.


학습자가 어려움에 처했을 때 고려해야 할 수행능력 저하의 원인에 대한 문헌을 검토할 때 발견한 한 가지 눈에 띄는 사실은 [감별 진단]에 포함되어야 할 내용과 분류 방법에 대한 저자들의 합의가 없다는 것이다. 실제로, 이 검토에서 최대 17개의 underperformance 분류 시스템이 확인되었다. 이 문서의 목적을 위해 하나의 표로 합성되었으며, 표 2에 제시되어 있다. 이러한 분류의 현저한 차이는 각 저자가 학습자의 어려움을 분류하기 위해 사용하는 출처의 차이와 관련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 인용된 출처는 분류 시스템이 전문가 합의를 기반으로 하는 규제 기관부터 체계적인 검토, 임상 교사의 서술 서술 편찬에 이르기까지 다양하다. 몇몇 사례에서는 출처가 언급되지 않았다. 이러한 다수의 분류 체계는 또한 원작자 이외의 저자에 의해 이 시스템 전체가 재사용되지 않았다는 사실에서 비롯된다. 오히려 기존에 존재하던 하나 이상의 분류를 조정하거나 요약해 매번 새로운 분류체계를 만들었다. 

One prominent finding when reviewing the literature on the causes of underperformance to consider when a learner is in difficulty is the absence of consensus among authors on what the differential diagnosis should include and on how to classify it. Indeed, up to 17 different classification systems of underperformance have been identified in this review. They have been synthesized in one table for the purpose of this article, and are presented in Table 2. This striking disparity of classifications seems to be related to the disparity of sources used by each author to classify learner difficulties. Cited sources vary from regulating institutions, whose classification systems are based on expert consensus7,35,52 to systematic reviews34,53 to compilations of clinical teachers’ narrative descriptions.51,54,55 In a few cases, no source was cited.18,22,56,57 This multitude of classification systems also stems from the fact that none of these systems was reused in its entirety by authors other than the original author. Rather, new classification systems were created each time by adapting or summarizing one or more preexisting classifications.17,19,20,58

표 2에서 이러한 분류 시스템의 합성을 간단히 살펴보면, 저성과의 주요 인지적 원인 중에서 [임상적 추론 어려움]보다 [지식 부족]이 훨씬 더 자주 인용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지식 부족]이 의대생들 사이에서 실제로 훨씬 더 널리 퍼져 있지만, 임상적 추론 어려움은 레지던트 기간 동안 최소한 그만큼 빈번한 것으로 나타났다.7 성과 저하의 원인으로서 고려되는 경우가 매우 적다는 사실(17명의 저자 중 4명이 명시적으로 인용)은 한 연구 분야에서 다른 연구 분야로의 지식 전달 부족을 암시할 수 있다. 임상적 추론은 40년 동안 연구의 주제가 되어 왔지만, 때때로 전문가들 사이의 논쟁에 국한될 수 있는데, 이는 부분적으로 켐파이넨 등이 제안한 바와 같이 인지 심리학에서 사용되는 밀폐된hermetic 용어 때문일 수 있다. 게다가 임상 추론 오류는 임상 실무에서 해당 지식을 적용할 수 없는 것이 아니라, 의학 지식의 부족에 의해 발생한다는 오해가 존재하는 것으로 보인다. 

A quick look at the synthesis of these classification systems in Table 2 reveals that among the main causes of underperformance that are cognitive in origin, a lack of knowledge is cited significantly more often than clinical reasoning difficulties. However, while insufficient knowledge is indeed much more prevalent among medical students in difficulty, clinical reasoning difficulties have been shown to be at least as frequent during residency.7 The fact that its consideration as a cause of underperformance is so markedly less frequent (four authors of 17 cited it explicitly) could also suggest a lack of knowledge transfer from one research field to the other: although clinical reasoning has been the subject of 40 years of research, it may at times be confined to a debate among experts,29 which may be partly due to the hermetic terminology used in cognitive psychology, as suggested by Kempainen et al.59 Moreover, there seems to exist a misconception that clinical reasoning errors are driven by a lack of medical knowledge, rather than an inability to apply that knowledge in clinical practice.60

계획: 대상 교정 계획
Plan: Planning a targeted remediation

게라시오 등은 재교육을 "추가적인 가르침이 없었다면 그 직업에 필요한 기술을 달성하지 못했을 학습자에게 제공되는 표준 커리큘럼을 넘어서 개별화된 추가적인 교육"으로 정의했다. 하우어 외 연구진이 교정조치에 관한 문헌을 주제별로 검토한 결과, 표준화되고 보편적으로 허용되는 교정조치 프로세스는 아직 개발되지 않았다. 따라서 교정조치는 종종 임시적이고 조정되지 않은 프로세스, 또는 결론이 불확실한 전략의 무지성sterile 반복에 의존한다. 표준화된 재교육 프로세스가 없는 한 가지 가능한 원인은 (앞서 언급한 것처럼) [수행능력 저하의 구체적인 원인에 대한 합의된 의견의 부재]일 수 있다. 제대로 정의되지 않은 문제를 해결하는 것은 실제로 훨씬 더 어려우며, 저성과 분류 시스템 간의 차이가 입증되었다는 것은 어려움을 관리하기 위한 공통 지침을 구축할 합의된 기반이 현재 존재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Remediation was defined by Guerrasio et al7 as “additional teaching above and beyond the standard curriculum, individualized to the learner who without the additional teaching would not achieve the necessary skills for the profession”. As pointed out by Hauer et al’s9 thematic review of the literature on remediation, no standardized and universally accepted remediation processes have yet been developed. Remediation initiatives will thus often resort to ad hoc and uncoordinated processes27,61 or to the sterile repetition of inconclusive strategies.30,6264 One possible cause for the absence of a standardized remediation process may very well be the aforementioned absence of consensus on the specific causes of underperformance. It is indeed much more difficult to solve a problem that has not been well defined, and the demonstrated disparity among classification systems of underperformance means that there exists at present no consensual basis on which to build common guidelines for managing difficulties.

실제로 교육학적 진단이 처음부터 제대로 확립되지 않았을 때 효율적인 재교육에도 장애물이 발생한다. 진단을 명확히 하는 이전 단계를 간과한 경우, 치료 방법이 사실상 무의미할 수 있다. 따라서 목표화되고 효율적인 교정 조치를 계획하는 [첫 번째 단계는 근본적인 문제를 가능한 정확하게 파악하는 것]이다. 이 점은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다. 베어만 등이 지적한 것은 우리의 경험과도 일관된다. 현장의 임상 교사들이 [근본적인 문제원인과 재교육을 부합하게 만든다]는 아이디어를 고려하는 경우는 거의 없다. 예를 들어, 이 접근방식은 전문성과 관련된 현안에 대한 교정 전략으로 단순히 보충적인 임상 순환을 추가하는 것으로 이어질 수 있다. 현장에서 임상 교사를 위한 교정 전략이 잘 정의되지 않은 것은 그들이 해결 방법을 모를 어려움을 명명하는 것을 (이해할 수 있는) 저지할 수 있을 뿐이다. 따라서 교육학적 진단에 따라 증거에 기반하고 개별화되며 대상이 되는 교정조치에 관한 추가 연구가 필요하다. 그러나 공식 지침은 없지만, 재교육에 관한 기존 연구에서 일부 가이드 원칙을 도출할 수 있다.
In practice, obstacles to efficient remediation also arise when the pedagogical diagnosis has not been well established at the outset. Remediation may in fact be fruitless if the previous step, clarifying the diagnosis, has been overlooked.28 Therefore, the first step in planning a targeted and efficient remediation is to have pinpointed the underlying issue as precisely as possible. This point cannot be overstressed, knowing that Bearman et al30 have shown, consistent with our anecdotal experience, that the very idea of matching a remediation intervention with the underlying difficulty is rarely a consideration for clinical teachers in the field. This approach may lead, for instance, to simply adding a supplemental clinical rotation as a remediation strategy for issues related to professionalism. The lack of well-defined remediation strategies for clinical teachers in the field can only (understandably) deter them from naming difficulties that they would not know how to address. Therefore, there is a strong need for further research with regard to remediation that is evidence-based, individualized, and targeted according to pedagogical diagnosis.2,18,35,65,66 In the absence of formal guidelines, however, some guiding principles may be drawn from previous studies on remediation.

현장 교정
In situ remediation

비인지적 어려움을 가진 학습자를 참조해야 하지만, 베어만 등이 "현장 학습in situ learning"이라고 불렀던 접근 방식인 학습자의 [현재 로테이션 내에서 인지적 어려움을 먼저 해결하는 것]이 일반적으로 권장된다. 이 접근법이 실패하는 경우에만 다음 제도적 차원으로 이 문제를 옮겨야 한다. 현장 교정은 경험학습의 인지 심리학적 원리에 기초한, [학습자의 일상적인 임상 활동과 통합된 교정법]이 일반적으로 가장 효율적인 것으로 간주된다.

  • 첫째, 학습자는 이미 숙달된 기술과 이미 익숙한 상황에 새로운 지식을 고정시킬 수 있다.
  • 둘째, 이 새로운 지식을 맥락화하고, 즉시 실제 실행 상황으로 전이할 수 있다.
  • 마지막으로 현장 교정은 학습자가 실제로 해결해야 하는 실제 문제에 학습 과정을 집중함으로써 경험적 학습을 활용한다.

Whereas learners with noncognitive difficulties should be referred, it is generally recommended that cognitive difficulties first be addressed within the learners’ current rotations,9,18,67 an approach that Bearman et al30 termed “in situ learning”. Only if this approach fails should the issue be brought to the next institutional level. Remediation that is integrated with the learners’ usual clinical activities is generally regarded as the most efficient,18,30 because in situ remediation is based on the cognitive psychology principle of experiential learning.

  • First, it allows the learner to anchor new knowledge to skills that are already mastered and to a context that is already familiar.65 
  • Second, it also allows this new knowledge to be contextualized and transferred immediately to an authentic practice setting.68,69 
  • Finally, in situ remediation takes advantage of experiential learning by focusing the learning process on real-life issues that the learner truly has to solve.34 

안타깝게도 현실에서는, Saxena 등이 71개의 미국 의대를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에 따르면, 임상 교사가 학습자의 어려움을 교정할 수 있는 능력에 대해 자주 표현하는 신뢰 부족으로 인해 (동일한 연구에 따르면) 이러한 통합 교정 방법이 가장 활용도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Unfortunately, in practice, a survey conducted by Saxena et al65 among 71 US medical schools showed this integrated form of remediation to be the least utilized, possibly (according to the same study) because of the lack of confidence clinical teachers often express regarding their own capacity for remediating learners’ difficulties.

 

시간 효율적인 문제 해결
Time-efficient remediation

어려움을 겪고 있는 학습자의 관리는 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것으로 악명이 높으며, 때로는 두렵기도 합니다. 어려움을 겪는 151명의 의학 학습자를 기반으로 한 한 연구에서, 게라시오 등은 [임상 추론 어려움의 교정]이 학생 1명당 평균 20시간이 소요되는 가장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교정 과정 중 하나임을 관찰했다. 교정조치 활동을 정규 순환과 현실적으로 통합하려면 이러한 활동이 임상 교사가 수용할 수 없기 때문에 시간 효율적인 교정조치 전략이 필요하다. 
The management of struggling learners is notorious – and sometimes dreaded – for being time-consuming.7,14,20,34,61 In one study based on 151 medical learners with difficulties, Guerrasio et al7 observed that the remediation of clinical reasoning difficulties was among the most time-consuming remediation processes, with an average of 20 hours spent on individual interventions per student. There is an obvious need for time-efficient remediation strategies, because for remediation activities to be realistically integrated with a regular rotation, it is crucial that these activities be time-efficient, as they will otherwise not be acceptable to clinical teachers.70

 

논의
Discussion

우리의 리뷰는 어려움을 겪고 있는 의학 학습자에 대한 접근법과 관련하여 많은 원칙이 잘 확립되어 있음을 보여주었다. 표 1에 제시된 바와 같이, 어려움을 겪고 있는 학습자의 임상 감독에 대한 효과적인 접근법은 [반복적인 관찰과 학습자와의 초기 비공식 토론]에 기초하여 [어려움의 조기적이고 정확한 확인]을 목표로 해야 한다. 어려움이 상호 연관될 수 있다는 것을 인정하면서 다양한 데이터 소스에 의해 뒷받침되는 교육학적 진단이 이루어져야 한다. 이러한 교육학적 진단이 명확해지면 목표 교정 전략을 개발하고 학습자의 정기적인 임상 활동과 이상적으로 통합해야 한다. 그러나 이 검토는 이러한 원칙을 더욱 운영하기 위해 해결해야 할 이론적 및 실무적 과제가 남아 있음을 보여주었다. 이러한 과제에 대응하여 세 갈래의 권장사항이 논의된다.

Our review has shown that many principles are well established regarding the approach to struggling medical learners. As presented in Table 1, an effective approach to the clinical supervision of struggling learners should aim for early and precise identification of difficulties, based on repeated observations and on an initial informal discussion with the learner. A pedagogical diagnosis should be made, supported by various sources of data, acknowledging that difficulties can be interrelated. Only once this pedagogical diagnosis is clear should a targeted remediation strategy be developed and ideally integrated with the learner’s regular clinical activities. This review has also shown, however, that there remain both theoretical and practical challenges to address, in order to operationalize these principles further. Three-pronged recommendations are discussed in response to these challenges.

교수진 개발
Faculty development

해당 분야의 모범 사례를 적용하는 데 있어 특정한 장벽은 [교수 개발 노력]에 의해 해결될 수 있다. 

  • 첫째, 임상 교사의 [적절한 문서화 부족]이 실패의 주요 원인 중 하나로 확인되었다. 임상 교사들은 무엇을 관찰하고 구체적으로 기록해야 하는지 모르기 때문에 이 단계는 생략될 수 있다고 제안되었다. 학습자의 역량 증명을 문서화하기 위한 핵심 요소 또는 그 부족에 대한 지식은 각 기관에서 예상되는 개발 경로에 따라 임상 교사에게 명시되어야 한다. 
  • 둘째, [저조한 성과를 설명하기 위한 정밀한 교육학적 진단을 식별하는 것]이 교수개발에서 시급히 필요한 것으로 반복적으로 식별해 왔다. 다음 실무 단계는 이러한 진단에서 도출될 것이기 때문에, 근본적인 문제를 식별하는 데 있어 교수진의 지원은 임상 교사가 어려움을 겪고 있는 학습자에게 효과적인 접근법을 수행하도록 돕는 데 도움이 될 것이다.

Certain barriers to applying best practices in the field could be addressed by faculty-development endeavors.

  • Firstly, a lack of proper documentation by clinical teachers has been identified as one of the main causes of failure. It has been suggested that this step may be omitted, because clinical teachers do not know what to observe and document specifically. Knowledge of key elements to document proof of competence in a learner, or lack thereof, should be made explicit to clinical teachers, in accordance with the expected development path at respective institutions.
  • Secondly, the identification of precise pedagogical diagnoses to explain underperformance has repeatedly been identified by clinical teachers themselves as a pressing faculty-development need. Since the next practical steps will derive from these diagnoses, faculty support in identifying the underlying issues would be instrumental in helping clinical teachers carry through an effective approach to struggling learners.

 

제도적 절차
Institutional procedures

이 검토는 또한 어려움을 겪고 있는 학습자 관리의 몇 가지 단계를 지적했는데, 이는 사전 설정 절차로 현지에서 시행될 경우 교수진 사이에서 공통 참고 자료로 사용될 수 있다. 우리는 학습자를 참조할 수 있는 간단하고 사전 설정된 절차를 갖는 것이 어려움을 겪고 있는 학습자를 조기에 식별하도록 촉진해야 한다고 가정한다.

  • 이러한 관점에서, 공식화하기 위한 첫 번째 프로세스는 [학습자를 재교육 조치에 의뢰할 때 따라야 할 단계를 포괄적으로 설명하는 것]이어야 한다. 그러한 프로세스는 교정조치의 최선의 증거에 기초하여 국지적으로 결정되어야 하며 가용 자원에 따라 조직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임상 교사는 물론 로테이션 감독관도 [문제가 발생할 경우 누구에게 공식 및 비공식적으로 알려야 하는지] 미리 알고 있어야 한다. 교정 프로세스를 감독할 책임이 누구에게 있는지, 그리고 누가 이러한 목적을 위한 교수 자문 역할을 하는지 명확해야 한다.
  • 두 번째 절차는 현지에서 사전 설정될 수 있으며, 예상 역량 수준과 관련하여 학습자를 효과적으로 배치하기situate 위해 임상 교사가 [관찰하고 문서화할 관련 서술자descriptor의 목록]입니다. 이러한 서술자는 일반적으로 각 훈련 단계별 마일스톤에서 도출된다.

This review has also pointed out some steps in the management of struggling learners, which if implemented locally as preset procedures could then serve as common references among faculty. We hypothesize that having a simple and preestablished procedure to which learners could be referred should foster earlier identification of struggling learners.

  • In this perspective, the first process to formalize should be a comprehensive description of steps to follow when referring a learner for remediation. Such processes should be determined locally, based on best evidence in remediation and organized according to available resources. For instance, clinical teachers, as well as rotation supervisors, should know ahead who to notify, formally and informally, if an issue arises. It should be clear who is responsible for overseeing the remediation process, and who serves as faculty advisor for this purpose.
  • A second procedure, which could be preestablished locally, is a list of relevant descriptors for clinical teachers to observe and document, in order to situate the learner effectively with regard to the expected level of competence. Such descriptors will generally be drawn from the milestones relevant to each level of training.

추가 연구
Further research

학습자 어려움을 구성하고 표준화된 교정 전략을 수립하는 공통 프레임워크의 부재가 이 검토에서 강조되었다. 향후 연구가 공통 구조를 중심으로 구축되기 위해서는 그러한 프레임워크의 구축이 우선되어야 한다. 또한 이 목표는 두 번째 긴급 요구를 해결하기 위한 사전 단계인 더 넓은 범위에서 효율적인 교정 전략을 개발하고 평가하는 단계로 나타난다. 그러한 노력은 진단에 따른 교정조치 전략을 목표로 하는 데 초점을 맞춰야 하며, 따라서 공통 프레임워크가 구축되어야 하며, 실무에서의 구현을 방해하지 않도록 시간 효율적인 것을 목표로 해야 한다.
The absence of a common framework to organize learner difficulties and from which to build standardized remediation strategies has been highlighted in this review. The establishment of such a framework should be given priority, in order for future research to build around a common structure. This objective also appears as a preliminary step to address a second pressing need: that of developing and evaluating efficient remediation strategies on a wider scale. Such endeavors should focus on targeting remediation strategies according to diagnosis, hence the need for a common framework to build from, and should aim for them to be time-efficient, so as not to impede their implementation in practice.

결론
Conclusion

이 기사는 임상 감독 동안 어려움을 겪고 있는 학습자에 대한 글로벌 접근법과 관련하여 이용할 수 있는 이론과 경험적 증거를 검토하는 것을 목표로 했다. 우리의 검토는 학습자가 어려움을 겪고 있다는 인식이 임상 교사에 의해 직관적이고 신뢰성 있게 평가되지만, 교육학적 진단에서 교정 전략에 이르는 다음 단계에 대한 익숙하지 않은 것이 이러한 학습자의 공식적인 식별 이전에 지연으로 이어진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어려움을 겪고 있는 학습자를 조기에 식별하는 것이 gold-standard로 간주되어야 하기 때문에, 임상 모델 SOAP를 중심으로 구성된 단계가 여기에 제시되었다. 많은 장애물이 실제 적용에 식별되었으며, 그 중 표준화된 교정조치 절차도 심각한 문제이다. 어려움을 겪고 있는 학습자들을 지도하기 위한 레시피가 있나요? 해답은 아직 미완성이며, 향후 연구 및 교수진 개발 노력은 특정 진단에 대응하여 교정 전략을 추가로 운영하고 이러한 프로세스를 현장의 임상 교사가 더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한다는 공통 목표를 추구해야 한다.

This article aimed to review the theory and empirical evidence available regarding the global approach to struggling learners during clinical supervision. Our review has shown that the perception that a learner is experiencing difficulty is assessed intuitively and reliably by clinical teachers, but that their unfamiliarity with the following steps, from pedagogical diagnoses to remediation strategies, leads to delays before the formal identification of these learners. Because early identification of struggling learners should be considered a gold standard, the subsequent steps for clinical teachers have been presented here, organized around the clinical model SOAP. Many obstacles have been identified to their practical application, among which the lack of standardized remediation procedures is not a lesser deterrent. Is there a recipe for supervising struggling learners? The answer remains to be completed, and future research and faculty-development endeavors should pursue the common goal of further operationalizing remediation strategies in response to specific diagnoses and making these processes more accessible to clinical teachers in the field.


 

 

Adv Med Educ Pract. 2017 Jan 18;8:89-97.

 doi: 10.2147/AMEP.S123410. eCollection 2017.

 

Is there a way for clinical teachers to assist struggling learners? A synthetic review of the literature

Affiliations collapse

Affiliations

1Department of Family and Emergency Medicine.

2Department of Medicine, Université de Sherbrooke, Sherbrooke, QC, Canada.

3Unité des Internistes Généralistes et Pédiatres, Université de Genève, Geneva, Switzerland.

PMID: 28176916

PMCID: PMC5260943

DOI: 10.2147/AMEP.S123410

Free PMC article

 

Abstract

Struggling medical trainees pose a challenge to clinical teachers, since these learners warrant closer supervision that is time-consuming and competes with time spent on patient care. Clinical teachers' perception that they are ill equipped to address learners' difficulties efficiently may lead to delays or even lack of remediation for these learners. Because of the paucity of evidence to guide best practices in remediation, the best approach to guide clinical teachers in the field remains to be established. We aimed to present a synthetic review of the empirical evidence and theory that may guide clinical teachers in their daily task of supervising struggling learners, reviewing current knowledge on the challenges and solutions that have been identified and explored. A computerized literature search was performed using Medline, Embase, Education Resources Information Center, and Education Source, after which final articles were selected based on relevance. The literature reviewed provided best evidence for clinical teachers to address learners' difficulties, which is presented in the order of the four steps inherent to the clinical approach: 1) detecting a problem based on a subjective impression, 2) gathering and documenting objective data, 3) assessing data to make a diagnosis, and 4) planning remediation. A synthesized classification of pedagogical diagnoses is also presented. This review provides an outline of practical recommendations regarding the supervision and management of struggling learners up to the remediation phase. Our findings suggest that future research and faculty development endeavors should aim to operationalize remediation strategies further in response to specific diagnoses, and to make these processes more accessible to clinical teachers in the field.

Keywords: clinical supervision; clinical teachers; pedagogical diagnosis; remediation; struggling learners; underperformance.

재교육에서의 감정: 의학교육 문헌의 스코핑 리뷰(MEd Educ, 2021)
Emotion in remediation: A scoping review of the medical education literature
Lynnea M. Mills1 | Christy Boscardin2 | Elizabeth A. Joyce3 | Olle ten Cate4 | Patricia S. O'Sullivan5

 

1 소개
1 INTRODUCTION

어려움을 겪고 있는 학습자들을 교정하는 것은 의학 교육에 있어 중요한 개입이다. 전문가와 학자들은 재교육 방법에 대한 개선을 요구해 왔으나, 이는 지금까지 큰 변화를 만들어내지는 못했다. 이는 감정과 같이 주소가 낮은 도메인을 탐색하여 교정 조치를 재도약할 수 있는 기회를 나타낸다. 감정은 심리학, 2 신경과학3 및 일반 교육과 같은 분야에서 잘 연구되고 있으며, 특히 교정과 같은 감정 수준이 높은 환경에서 의학 교육을 개선하기 위해 활용할 수 있는 학습에 대한 영향이 잘 설명되어 있다. 그러나 의학교육 재교육 문헌에서 감정이 논의되는 방법은 명확하지 않다. 교정조치의 감정 검토에서 얻은 통찰력은 잠재적으로 교정프로그램을 다시 그려보는re-envision 지침을 제공할 수 있다.

Remediation of struggling learners is a crucial intervention in medical education. Experts and scholars have called for improvement in how remediation is conducted,1 but this has so far not resulted in large-scale change. This represents an opportunity to re-envision remediation by exploring under-addressed domains such as emotion. Emotion is well-studied in fields such as psychology,2 neuroscience3 and general education,4 where it has well-described impacts on learning that could be leveraged to improve medical education, particularly in high-emotion settings like remediation. However, the ways in which emotion is discussed in the medical education remediation literature are unclear. Insights from a review of emotion in remediation can provide guidance potentially to re-envision remediation programmes.

학자들은 의학교육에서의 교정을 '의사가 되기 위한 여정을 시작했다가 진로를 이탈한 수련생들의 교정을 촉진하는 행위'로 정의한다. 의료 학습자는 여러 기술 영역에 걸쳐 어려움을 경험할 수 있고, 어려움을 겪고 있는 학습자는 모든 수준의 의료 훈련 및 실습에 널리 퍼져 있습니다.7 어려움을 겪고 있는 학습자에게 재교육을 하는 것은 환자 안전을 위해 필수적이고, 학습자 입장에서는 고부담 행위이다. 학생의 입장에서 재교육에 실패할 경우, 상당한 재정적 부담과 프로그램에서의 제적될 위험을 겪을 수도 있다.
Scholars define remediation in medical education as ‘the act of facilitating a correction for trainees who started out on the journey toward becoming a physician but have moved off course.’5 Medical learners can experience struggles across skill domains,6 and struggling learners are prevalent at all levels of medical training and practice.7 Remediating struggling learners is imperative for patient safety but is costly for institutions8 and high-stakes for learners, who may also experience significant financial cost8 and risk removal from their programmes if remediation is unsuccessful.


연구자들은 의료 교육에서 교정조치의 여러 측면을 탐구했지만 교정조치는 여전히 개선이 필요한 영역으로 남아 있다. 어려움을 겪고 있는 학습자는 일반적으로 [표준화된 시험, 임상 감독관, 동료 또는 성과 감사]에 의해 제기된 문제를 통해 식별되고, 그 다음 보통은 진행중인 프로그램이나 학업과 동시적으로 이뤄지는 재교육 프로세스에 보내진다. 저자들은 교정조치 프로그램 구현에 대해 조언하고 임상 추론, 커뮤니케이션, 전문성 등을 포함한 특정 학습자 과제에 접근하는 방법에 대한 지침과 함께 점점 더 많은 문헌을 작성했다. 교정조치에 대한 실질적인 접근방식에 대한 문헌이 증가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효과적인 교정 프로그램을 구현하고자 하는 기관이나 개별 교육자를 위한 잘 수용된 증거 기반 지침은 없으며 교정조치의 리더는 종종 그들의 접근방식의 성공에 대한 확신이 부족하다.16 몇몇 저자들은 더 큰 성공을 달성하기 위해 교육자들이 교정조치를 수행하는 방법에 대한 중요한 재구성 및 재구성을 요구했지만, 변화를 구현하는 방법은 여전히 불분명하다.

Researchers have explored multiple aspects of remediation in medical education, but remediation remains an area in need of improvement. Struggling learners are usually identified via performance on standardised exams or through concerns raised by clinical supervisors, peers or performance audit9; they then are referred for remediation, usually via a process that occurs in parallel with their ongoing work or studies.10 Authors have advised on remediation programme implementation11, 12 and generated a growing body of literature with guidance on methods for approaching specific learner challenges, including clinical reasoning,13 communication,14 professionalism15and more. Despite the increasing literature on practical approaches to remediation, there are no well-accepted, evidence-based guidelines for institutions or individual educators looking to implement effective remediation programmes, and remediation leaders often lack confidence in the success of their approaches.16 Several authors have called for a significant reshaping and reframing of how educators conduct remediation in order to achieve greater success1, 10 but how to implement change remains unclear.

교정조치의 효과가 지속적이지 않을 수 있음을 시사하는 증거는 설명이 필요하다. 한 가지 이유는 개선을 보장하기 위해 종종 공식적 또는 비공식적 재평가를 포함하는 전통적인 교정 접근법이 '퍼포먼스'는 촉진하지만, (지식이나 행동의 안정적인 변화로 정의되는) '학습'은 촉진하지 않기 때문이다. 일부에서는 엄격하게 인지 영역 외부, 특히 마음가짐과 같은 심리학적 실체를 탐색하는 것으로 초점을 확장해야 하며, 그것이 평가와 다른 환경에서 학습을 추진하는 더 나은 방법이라고 주장한다.18 실제로, 학습자의 관점에 초점을 맞춘 교정 문헌의 하위 집합에서 학습자들은 다양한 인지적 접근을 응답했지만, (감정을 포함해서) 그들의 성공을 오로지 인지적인 요인에만 귀인하지 않는다.
Evidence suggesting that the effects of remediation may not be durable17 requires explanation. One reason may be that traditional remediation approaches, which often include a formal or informal reassessment to ensure improvement,5 promote performance but not learning, defined as a stable change in knowledge or behaviour.18 Some argue that expanding our focus outside of strictly cognitive realms, specifically into exploration of psychological entities like mindset, is a better method to drive learning in assessment and other settings.18 Indeed, in the subset of the remediation literature that has focused on learners' perspectives, the learners have varied in their responses to different cognitive approaches but attribute their success to addressing factors that are not solely cognitive, including emotions.19, 20

감정이 교정에서 학습을 개선하는 중요한 자원을 나타낼 수 있지만, 연구자들은 이 환경에서 감정을 광범위하게 탐구하지 않았다. 교정조치에 대한 사전 문헌 검토에서 연구자들은 역량 기반 의료 교육과의 관계, 전문직업성 결여, 환자 안전 우려와 같은 특정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접근방식 등등 재교육에 대한 광범위한 개요를 제시했다. 우리의 검색 작업이 끝난 후 발표된 최근의 현실주의 리뷰는, 교정 효과의 두 가지 중요한 정서 영역인 통찰력과 동기 부여와 구체적으로 어떻게 관련되는지 설명했지만, 기존의 지식 합성은 교정에서 의학 학습자의 감정의 역할에 특별히 초점을 맞추지 않았다.
Although emotion may represent an important resource to improve learning in remediation, researchers have not explored it extensively in this setting. Researchers in prior literature reviews on remediation have presented broad overviews of the remediation landscape,9, 21 including its relationship to competency-based medical education,22 as well as approaches to addressing specific challenges like professionalism lapses23 and patient safety concerns.24 A recent realist review, published after the end of our search window, described how the efficacy of remediation relates specifically to insight and motivation,25 two important affective domains, but existing knowledge syntheses have not focused specifically on the role of medical learners' emotions in remediation.

감정은 의료 활동 및 학습 환경을 포함하여 우리의 생각과 행동에 지속적인 영향을 미칩니다. 거의 틀림없이 미국의 뛰어난 감정 연구자인 리사 펠드만 배럿은, 감정을

  • 우리의 내수용적 경험(내적으로 느껴지는, 생리적)의 의미를 만들고,
  • 특정한 목표를 달성하는 것을 돕는 행동을 처방하며,
  • 그 순간 우리의 몸이 어떻게 신체적으로 반응하는지를 조절하는 것

...으로 특징짓는다. 따라서, 감정은 학습과 작업 중에 능동적이고 수동적으로 취하는 행동을 포함하여, 인지적, 신체적 행동의 세계적 원동력이다. 연구자들은 감정과 인지가 분리될 수 없이 얽혀 있다는 것을 알고 있다. 26년, 감정과 인지가 뇌 속에 따로 존재하는 것으로 보았던 이전의 지배적인 모델과 대조된다. 즉, 의료 종사자와 학습자가 수행하는 모든 인지 처리에 감정이 관여한다는 뜻이다.
Emotion exerts a constant influence on our thoughts and behaviours, including in medical work and learning settings. Lisa Feldman Barrett, arguably the preeminent emotions researcher in the United States, characterises emotions as

  • making meaning of our interoceptive (internally felt, physiologic) experiences,
  • prescribing action that helps achieve a specific goal, and
  • allowing us to regulate how our bodies respond physically in the moment.26 

Thus, emotion is a global driver of cognitive and physical actions, including those taken actively and passively during learning and work. Researchers now know that emotion and cognition are inextricably intertwined,26 in contrast to the previously prevailing model that viewed emotion and cognition as housed separately within the brain.26, 27 This means that emotion is involved in all cognitive processing that health care workers and learners undertake.

그것의 지속적인 영향과 함께, 감정은 건강 직업 교육 문헌에서 점점 더 많은 관심을 받고 있다. 웰빙에 관한 기사의 폭발은 정서적 경험이 의료 제공자의 건강과 업무 즐거움에 지속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인식을 말해준다. 연구자들은 나쁜 소식을 전달하는 동안 공감을 전달하는 학습과 같이, 인식 부하 모델에서 '내적 부하'의 일부인 학습 과제에 감정을 인식하고 관리하는 학습 활동을 설명한다. 최근에는 특히 인지 기능을 저해하는 스트레스의 역할을 검사하는 등 의료 종사자들의 감정이 업무 수행에 미치는 영향을 보여주는 연구들이 있다. 점점 더 인지도가 높아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많은 학자들은 감정을 탈-강조de-emphasises하는 잠재 교육과정을 보았을 때, 여전히 의학 교육에서 감성을 부적절하게 고려하고 있다고 주장한다.34, 35
With its ever-present impact, emotion is receiving increasing attention in the health professions education literature. The explosion of articles on well-being28, 29 speaks to awareness that emotional experience has lasting impact on health care providers' health and enjoyment of their work. Researchers describe learning activities in which recognising and managing emotions are inherent or integral to the learning task30—part of the ‘intrinsic load’ in a cognitive load model31—such as learning to convey empathy while delivering bad news. More recently, studies illustrate the impact of health care workers' emotions on their performance, particularly examining the role of stress in hampering cognitive function.32, 33 Despite growing recognition, many scholars argue that we still continue to consider emotion inadequately in medical education, including citing a hidden curriculum that de-emphasises emotion.34, 35

많은 문헌들이 건강 관리 내에서 작업 환경에서 감정의 일반적인 존재에 관심을 기울이지만, 특히 건강 직업에서 주로 이론적인 수준에서 학습 과정에서 감정의 역할을 조사하는 더 작은 문헌들도 있다. 일반교육의 통제가치 이론은 학생들의 학습과제에 대한 동기부여와 참여를 감정을 포함한 다양한 요소와 연관짓고 있으며, 의학 교육에서 제한된 연구에 등장해 왔다. 자기 조절 학습 이론은 의학 교육 문헌에서 인기가 있다. 이 이론은 감정이 메타인지와 동기 부여에 미치는 영향 때문에 학습에서 큰 역할을 한다고 주장한다. 그러나, 학자들은 의학 교육에서 감정 개념을 정의하고 측정하는 데 어려움을 느끼고 있다. 이 영역의 경험적 연구는 어렵다, 왜냐하면 대부분의 연구들이 학습 과제에 integral한 것 보다는 incidental한 감정을 조사하기 때문이다.41 아마도 이러한 도전들 때문에, 감정에 대한 연결은 항상 문헌에 잘 기술되지 않는다, 그리고 전반적인 숫자의 의학 교육에서 감정과 학습에 대한 연구는 작다.

While much literature draws attention to the general presence of emotion in work settings within health care, there is also a smaller body of literature specifically examining the role of emotion in the learning process in health professions, primarily on a theoretical level. The control-value theory from general education relates students' motivation and engagement with learning tasks to various factors, including emotion,36 and has appeared in limited studies in medical education.37 Self-regulated learning theory is popular in the medical education literature38; this theory holds that emotion plays a large role in learning because of its impact on metacognition and motivation. However, scholars have felt stymied in defining and measuring emotion concepts in medical education39, 40; empirical research in this area is difficult, as elicitation of emotions presents ethical challenges, and because most studies investigate emotions that are incidental, rather than integral, to the learning task.41 Perhaps because of these challenges, connections to emotion are not always well-described in the literature, and the overall number of studies on emotion and learning in medical education is small.

다른 학습 상황에서 감정의 영향에 대한 요약은 의학 교육 내에서 조사에 도움이 될 수 있다. McConnell과 Eva는 다른 분야의 [학습에 대한 감정의 영향]에 관한 많은 문헌을 요약하고 의학 교육과의 관련성을 추론했다. 여기에는 감정이 인지 자원(즉, 인지 부하), 학습 전략, 기억, 자기 조절, 흥미 및 동기 부여에 대해 알려진 것이 포함된다. 여기에 더하여, 고등교육에서의 연구에 따르면 [전통적인 학습 환경과 원격 학습 환경에서 감정은 학습과 서로 다른 방식으로 연관]되어 있으며, 과정에 대한 학생들의 감정의 valence가 학습 깊이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이 두 가지 모두 의학 교육과 분명한 관련성을 가지고 있다. 

A summary of the impact of emotion in other learning contexts may help inform investigations within medical education. McConnell and Eva have summarised much of the literature regarding emotion's impact on learning in other disciplines and extrapolated its relevance to medical education; this includes what is known about how emotion impacts cognitive resources (i.e., cognitive load), learning strategies, memory, self-regulation, interest and motivation.41 Adding to that, work in higher education has shown that emotion relates to students' learning differently in traditional versus remote learning settings42 and that the valence of students' emotions regarding a course affects their depth of learning4; both of these have obvious relevance to medical education.

신경과학 분야에서, 연구자들은 오랫동안 감정은 암호화encoding과 장기 보유에 영향을 미침으로써, 기억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밝혀냈다.2 그리고 더 최근의 연구는 스트레스와 같은 감성이 학습에 영향을 미치는 특정한 생화학적 경로를 설명하였다.43 신경과학을 교육 혁신으로 전환하는 것에는 함정들이 있다.아마도, 이 번역 과정의 가능성을 검토하는 작업이 점점 더 많아지고 있다. 이러한 발견의 많은 부분을 종합하여, 학자들은 강의실을 위한 지침을 제안했고, 여기에 따르면,

  • 신경전달물질에 대한 novelty의 유익한 영향을 고려하면 [다양한 교실루틴을 포함]해야 하며,
  • 기억력에 대한 감정적인 개인화의 영향을 고려하면, 학습자들에게 [자기만의 기억술을 만들 것을 요구]해야 한다.
  • '아하!' 학습 순간을 촉진하면 신경회로를 바꿀 가능성이 더 높기 때문에 [긍정적인 감정을 고무]시켜야 한다.

이 새로운 작품은 광범위한 학문과 의학 교육의 시행 기회를 제공할 준비가 되어 있다.

In the neuroscience field, researchers have long identified that emotion impacts memory by facilitating encoding and influencing long-term retention,2 and more recent work has elucidated specific biochemical pathways by which emotions like stress impact learning.43 Though there are pitfalls to translating neuroscience to education innovation too rapidly,44, 45 there is a growing body of work examining potential for this translation process.3, 46 Synthesising many of these findings, scholars have proposed guidelines for the classroom; these include

  • varying classroom routines because of the beneficial impact of novelty on neurotransmitters,
  • asking learners to create their own mnemonics because of the impact of emotional personalisation on memory, and
  • encouraging positive emotions because of their greater likelihood to change neural circuitry through facilitation of ‘aha!’ learning moments.47 

This novel work is poised to offer extensive opportunities for scholarship and implementation in medical education.

재교육은 학습자에게 높은 감정high-emotion 환경일 가능성이 높지만, 감정에 대한 이러한 중요한 연구가 의학 교육 내 또는 외부의 특정 교정 개입에 통합된 정도는 명확하지 않다. 왜냐하면 교정은 이미 높은 강도의 건강 직업 훈련 위에 고조된 감정을 포함할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학자들이 교정 조치에서 감정의 역할을 탐구한 방법을 이해하면 의료 학습자에게 교정 조치를 위한 개입과 학습 성과를 개선할 수 있다. 이 검토에서 우리는 다음과 같은 질문을 조사하는 것을 목표로 했다. 연구자들은 현재 의학 교육의 교정 개입에 관한 문헌의 감정을 어느 정도, 그리고 어떻게 고려하고 있는가?

Though remediation is likely a high-emotion setting for learners, the degree to which any of this important research on emotion has been incorporated into specific remediation interventions in or outside of medical education is unclear. Because emotion is omnipresent in learning settings, and because remediation is likely to involve heightened emotions on top of the already-high-intensity of health professions training, understanding how scholars have explored the role of emotions in remediation can likely lead to improved interventions and improved learning outcomes for remediating medical learners. In this review, we aimed to investigate the question: To what extent, and how, do authors currently consider emotions in the literature on remediation interventions in medical education?

2 방법
2 METHODS

우리는 범위 지정 문헌 리뷰를 수행하기 위해 Arcsey와 O'Malley의 프레임워크를 사용했다.48 우리의 연구 관심사가 범위 지정 방법론을 선택한 두 가지 이유, 즉 '연구 활동의 범위, 특성 및 범위를 조사하기 위해'(교정의 감정에서)와 ' 식별하기 위해'와 '범위 지정 접근법을 선택했다. 기존 문헌의 연구 격차[교정에 대한 감정]

We used Arksey and O'Malley's framework for conducting scoping literature reviews.48 We selected the scoping approach because our research interest aligned well with two of Arksey and O'Malley's reasons for choosing the scoping methodology:

  • ‘to examine the extent, nature, and range of research activity’ (on emotion in remediation) and
  • ‘to identify research gaps [regarding emotion in remediation] in existing literature.’48

2.1 준비
2.1 Preparation

우리의 첫 단계는 기록에서 감정을 어떻게 확인할 수 있는지 결정하는 것이었다. 우리는 여러 감정 목록을 검토하고 [Pekrun의 성취 감정 모델]을 기반으로 하고 이를 의료 교육 환경에 맞춘 MES(Medical Emotion Scale) 49가 이 검토에 가장 적합한 감정 어휘라고 결정했다. MES는 잘 기술되고 출판된 여러 감정 분류법에서 도출했으며, 이 모집단과 함께 사용하기에 적합한지 확인하기 위해 유효성 테스트를 거쳤다. 이 분류법은 학습자가 의료 훈련과 실습에서 특히 경험할 수 있는 감정 범위를 포착하여 이 검토에 가장 적합하다고 느낀다. 저자들은 기록을 읽기 전에 감정을 나타낼 수 있는 언어에 대한 공통된 이해를 얻기 위해 '부끄러움', '희망 없음', '감사함', '안심'을 포함한 단어 목록을 검토했다.

Our first step was to determine how to identify emotion in the records. We reviewed multiple emotion inventories and determined that the Medical Emotion Scale (MES),49 which builds on Pekrun's Achievement Emotions model and tailors it for the medical education setting, was the best-fit emotion lexicon for this review. The MES drew from multiple well-described, published emotions taxonomies and underwent validity testing to ensure appropriateness for use with this population. This taxonomy captures the range of emotions learners are likely to experience specifically in medical training and practice and therefore felt most applicable to this review. The authors reviewed this list of words, including ‘shame,’ ‘hopelessness,’ ‘gratitude’ and ‘relief,’ to gain a common understanding of language that might signify emotion before reading the records.

2.2 관련 연구의 파악
2.2 Identifying relevant studies

우리는 의료 교육의 교정조치를 설명하는 모든 데이터베이스 목록에 있는 영문 출판물을 식별하는 것을 목표로 했으며, 조기 온라인 출판물을 포함하여 2020년 5월 1일까지 언제든지 출판/보급했다. 연구 사서와 함께 학습자 수준에 걸친 의료 교육의 교정 조치를 목표로 PubMed, CINAHL Complete, ERIC, Web of Science 및 APA PsycInfo 검색을 개발했다. 검색 용어는 관련 없는 기사(예: 환경 독소 교정)는 제외하고 가장 광범위한 관련 출판물을 포함하도록 반복적으로 조정되었다. (전체 검색어는 부록 S1을 참조하십시오.) 우리는 의도적으로 'remediate'라는 단어 또는 그 단어의 형태를 포함하는 기록을 캡처하기 위해 고안된 검색을 만들었습니다. 우리는 집중된 검색을 생성하기 위해 대체 용어(예: '고생하는 의사를 위한 코칭' 및 '문제' 레지던트)를 포함하지 않기로 결정했다. 우리의 많은 기록에는 이러한 용어들이 포함되어 있었고, 'remediate'라는 단어의 형태도 포함되어 있었기 때문에 포착되었다. 최종 검색어에 대한 검색이 여러 번 수행되었으며, 마지막 검색은 2020년 5월 1일에 수행되었다. 추가 관련 기사를 식별하는 방법을 이해하기 위해 다양한 출판 유형에 걸쳐 포함된 10개의 레코드에 대한 전체 참조 목록을 손으로 검색했다. 새로 식별된 제목에 이어 이러한 레코드가 검색 기준을 충족하지 못하므로 검색에 레코드를 추가하지 않았음을 나타냅니다. 이 참조 검색에는 민감도가 제한적이었기 때문에 전체 레코드 집합에 대한 인용 참조 검색을 수행하지 않았다.

We aimed to identify all database-listed English-language publications describing remediation in medical education and published/disseminated any time up to 1 May 2020, including early online publication. With research librarians, we developed PubMed, CINAHL Complete, ERIC, Web of Science and APA PsycInfo searches to target remediation in medical education across learner levels. Search terms were refined iteratively to include the broadest range of relevant publications while excluding irrelevant articles (e.g., remediating environmental toxins). (See Appendix S1 for complete search terms.) We purposely created searches designed to capture records containing the word ‘remediate,’ or a form of that word. We chose not to include alternate terminologies (e.g., ‘coaching for struggling physicians’ and ‘“problem” residents’), in order to generate a focused search. Many of our records did include some of these terms and were captured because they also included a form of the word ‘remediate.’ Searches were performed multiple times with the final search terms, with the last search conducted 1 May 2020. We hand-searched complete reference lists for 10 included records, across a range of publication types, to understand how to identify additional relevant articles. Following newly identified titles indicated that these records did not specifically meet our search criteria and thus did not add records to our search. Because this search of references had limited sensitivity, we did not perform citation reference searching for the full set of records.

2.3 스터디 선택
2.3 Study selection

PubMed에서 검색 기준을 충족하는 모든 레코드는 Covidence(호주 멜본) 소프트웨어로 가져오고 다른 데이터베이스의 중복되지 않은 참조를 손으로 검토하였다. 두 명의 저자(LMM 및 CB)가 각 요약을 포함하기 위해 독립적으로 심사했다. 포함 기준: 범위 지정 방법론을 준수하는 모든 유형의 출판물 또는 학술 작업(경험적 연구, 관점 조각, 책 장 등) 

  • 의사 교육생 및 의사의 재교육 조치의 전부 또는 일부에 관한 기록 (의과대학 시작부터 의사로서의 경력에서 은퇴할 때까지의 모든 사람으로 정의됨). 
  • 특정 교정 개입을 언급하거나 이론적 접근방식 또는 개입에 대한 관점을 설명한 기록(기록의 초점이 되었는지 여부에 관계없이)을 포함. 

All records meeting search criteria from PubMed were imported into Covidence (Melbourne, Australia) software and non-overlapping references from other databases were reviewed by hand. Two authors (LMM and CB) independently screened each abstract for inclusion. Inclusion criteria entailed: any type of publication or scholarly work (empirical studies, perspectives pieces, book chapters, etc.), in keeping with the scoping methodology;

  • records pertaining in whole or in part to remediation of physician trainees and physicians, defined as anyone from the start of medical school up until retirement from a career as a physician; and
  • records that mentioned specific remediation interventions or described theoretical approaches or viewpoints on interventions, whether they were the focus of the record or not.

무엇이 '개입'을 구성하는지 결정하기 위해, 우리는 우리의 판단을 사용하여 학습자 '결점'을 개선하기 위한 가능하거나 실제적인 접근법을 설명하는 언어를 포함한 모든 기록을 포함시켰다. 이 단계에서 우리는 또한 추상적인 내용이 없는 모든 기록과 추상적인 내용이 개입 논의에 모호했던 기록도 포함시켰다. 저자들이 기록이 포함 기준을 충족하는지 여부에 대해 동의하지 않은 경우, 우리는 합의에 도달하기 위해 논의했고 포함 측면에서 오류를 범했다. 

To determine what constituted an ‘intervention,’ we used our judgement to include any record with language describing a possible or actual approach to improving learner ‘deficits.’ At this stage, we also included all records without abstracts and records where abstracts were vague about discussion of interventions. In cases where authors disagreed about whether a record met inclusion criteria, we discussed to reach consensus and erred on the side of inclusion.

우리는 우리의 검색에 집중하기 위해 의사 교육생과 의사를 위한 재교육과 관련이 없는 기록을 제외했다. 개입에 초점을 맞추고 있었기 때문에 재교육 개입의 다른 측면(예: 어려움을 겪고 있는 학습자의 식별)을 포함하여 재교육 개입이나 전략을 논의하지 않은 기록은 제외했다.

We excluded records not pertaining to remediation for physician trainees and physicians to keep our search focused. We excluded records that did not discuss remediation interventions or strategies, including those on other aspects of remediation (e.g., identification of struggling learners) because we were focused on interventions.

 

2.4 데이터 추출
2.4 Data extraction

전체 기록은 정성 분석 소프트웨어 Dedoose(미국 Manhattan Beach, CA, USA)에 업로드되었으며, 두 명의 독립 검토자(LMM + EAJ, CB 또는 PSO's)가 각 기록을 읽고 Qualtrics XM 조사 소프트웨어(미국 Provo, UT)를 통해 제공된 양식을 사용하여 데이터 추출을 수행하였다. 우리는 각 기록(예: 국가, 방법론 및 출판물/작업 유형)에 대한 객관적 설명자를 추출했다. 데이터 추출은 기록이 언급한 학습자 감정(예/아니오)에 초점을 맞췄다. 만약 '예'이면, 검토자는 관련 단락('요약')을 강조 표시하고 논의를 설명하였다. 
Complete records were uploaded into qualitative analysis software Dedoose (Manhattan Beach, CA, USA) where two independent reviewers (LMM plus EAJ, CB or PSO'S) read each record and performed data extraction using a form delivered through Qualtrics XM survey software (Provo, UT, USA). We extracted objective descriptors for each record (e.g., country, methodology and type of publication/work). Data extraction then focused on whether the record mentioned learner emotion (Yes/No); if yes, the reviewer highlighted the relevant passages (‘excerpts’) and described the discussion.

우리는 동의어 또는 관련 개념뿐만 아니라 MES의 모든 단어를 포함했고 감정에 대한 보다 일반적인 토론(예: '감정 반응')을 포함했다. 두 검토자의 반응을 비교했다. 36개의 기록에서, 검토자들은 감정이 언급되었는지에 대해 동의하지 않았다. 이러한 불일치는 합의된 논의를 통해 해결되었는데, 검토자들이 설명한 감정이 실제로 교정 학습자들에게 해당되지 않는다는 것을 다시 읽는데 동의한 단 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모두 긍정(' 언급된 감정')의 편을 잘못 들었다.

We included all words from the MES, as well as synonyms or related concepts, and more general discussion of emotion (e.g., ‘emotional reaction’). Responses of the two reviewers were compared. For 36 of the records, reviewers disagreed about whether emotion was mentioned; these discrepancies were resolved via consensus discussion, erring on side of the affirmative (‘mentioned emotion’) in all but one case,50 where reviewers agreed upon reread that the emotion described did not actually pertain to the remediating learners.

또한 MES의 발췌와 강조된 각 발췌에 대한 전문가의 판단을 사용하여 기록에서 감정 언급의 발췌(긍정, 부정 또는 중립/불명확)에 대해 코딩했다.
We also coded for the valence (positive, negative or neutral/unclear) of the emotion mentions in the records using valences in the MES and our expert judgement for each highlighted excerpt.

2.5 데이터 합성
2.5 Data synthesis

우리는 연구 정보를 특성화하기 위해 기술 데이터를 사용했다(예: 방법론). 교정 개입에 대해 검색된 모든 기록을 기준으로 했습니다. 우리는 기록에서 원자가를 포함한 감정의 존재와 성격에 대한 검토자의 합의된 결정을 수집했다. 우리는 조사 결과를 테마별로 구성한 후 팀 내에서 반복적으로 분석 내용을 논의하고 수정했습니다.
We used descriptive data to characterise study information (e.g., methodology). We based percentages on all records retrieved on remediation interventions. We compiled reviewers' consensus determinations of the presence and nature, including valence, of emotion in the records. We organised the findings into themes and then discussed and modified the analysis iteratively within the team.

2.6 반사율
2.6 Reflexivity

우리는 감정의 복잡하고 주관적인 특성 때문에 반사성이 이 검토에 특히 중요하다고 생각했습니다. 수석 연구원은 임상의이자 교육자로서 소속 기관에서 교정 프로그램을 조정하고 지역 및 국가 차원에서 교정 개발에 대한 교수진 개발을 가르쳤다. 한 저자(EAJ)는 기초과학 분야의 학습자와 함께 일하는 전문지식을 가진 연구자로 재교육과 직접 관련이 없다. 다른 저자들은 모든 수준에서 학습자를 가르친 직접적인 경험을 가진 의학 교육자이며, 연구자로서 감정과 관련된 지식 합성 분석 방법 및 이론(예: 인지 부하 이론)에 대해 폭넓은 관점을 가지고 있지만 현재 교정 프로그램과 함께 작업하지는 않는다. 우리의 상이한 역할은 우리의 접근 방식을 광범위하고 포괄적으로 만드는 데 유익한 관점을 더했을 것입니다. 우리는 또한 감정에 대한 다른 문화적 관점을 제공하는 두 나라(미국, 네덜란드)에서 왔습니다. 우리는 그 과정 내내 수시로 체크인을 하고, 감정의 본질과 '경계'에 대한 여러 가지 논의를 진행하며 사고방식을 안내하는 데 도움을 주었다.

We deemed reflexivity to be particularly important for this review, due to emotion's complex and subjective nature. The principal investigator is a clinician-educator who coordinates remediation programmes at her institution and has taught faculty development on remediation at local and national levels. One author (EAJ) is a researcher with expertise working with learners in the basic sciences and is not involved directly in remediation. The other authors are medical educators with direct experience teaching learners at all levels and, as researchers, have broad perspective on knowledge synthesis analytic methods and theories that relate to emotions (e.g., cognitive load theory) but do not currently work with remediation programmes. Our disparate roles likely added a beneficial perspective in allowing us to be broad and inclusive in our approach. We also come from two different countries (the United States and the Netherlands), offering different cultural perspectives on emotion. We checked in frequently throughout the process and engaged in multiple discussions about the nature and ‘boundaries’ of emotion to help guide our thinking.

3 결과 
3 RESULTS

PubMed, CINAHL Complete, ERIC, Web of Science 및 APA PsycInfo 검색은 2020년 5월 1일까지 1644개의 레코드를 충족시켰다. 중복은 제외했고, 나머지 조항은 제목과 추상 차원에서 검토했는데, 포함기준 미달로 855건이 제외됐다. 이 단계에서 포함 기준을 충족하지 못했기 때문에 추가 32개를 제외한 231개 문서를 모두 검토했다(보통 교정조치를 기술하지만 개입은 아님). 이로 인해 전체 데이터 추출을 수행한 전체 검토에 199개의 레코드를 포함하게 되었다(그림 1). 출판일은 1971년부터 2020년까지이다. 199건의 기록 중 상세원래연구가 114건이나 전문가 지침 등 이론적 논의가 더 많이 담긴 부분(56건)이 많았고, 문헌검토, 사설, 편집자에게 보내는 편지 등이 더 적었다. 대부분은 미국 출신이었고, 영국과 캐나다 출신이 더 적었고, 그 후 세계의 다른 지역 출신이 더 적었습니다. 이 기록은 학부 및 대학원 의학 교육에서 동등한 대표성을 가진 모든 학습자 레벨을 포함했다. 기록의 약 3/4에서 교정조치가 단독 또는 주된 초점이었으며, 나머지 기록에서는 다른 교육 주제에 대해 주로 논의하는 기록의 부분적 또는 지엽적 초점이었다. 이 기록에는 지식/시험 응시 및 전문성이 주를 이루지만 다양한 영역의 교정조치가 기술되어 있다. (포함된 모든 기록의 목록은 부록 S2를 참조하고 포함된 기록에 대한 설명 정보는 부록 S3을 참조한다.)

The PubMed, CINAHL Complete, ERIC, Web of Science and APA PsycInfo searches yielded 1644 records meeting criteria through 1 May 2020. Duplicates were excluded, and the remaining articles were reviewed at the title and abstract level, where 855 were excluded for not meeting inclusion criteria. We reviewed 231 articles in full, excluding a further 32 because they did not meet inclusion criteria at this stage (usually for describing remediation but not interventions). This resulted in 199 records to include in the complete review for which we performed full data extraction (Figure 1). Publication dates ranged 1971–2020. Of the 199 records, 114 detailed original research, but a large portion (56) contained more theoretical discussions, such as expert guidelines, and a smaller number were literature reviews, editorials, letters to editors and so on. Most were from the United States, with smaller numbers from the United Kingdom and Canada and then a few each from other regions of the world. The records covered all learner levels, with equal representation from undergraduate and graduate medical education. In about three-quarters of the records, remediation was the sole or primary focus; in the rest, it was a partial or even peripheral focus in a record primarily discussing another education topic. The records described remediation in a range of domains, though predominantly knowledge/test taking and professionalism. (See Appendix S2 for a list of all included records and Appendix S3 for descriptive information for included records.)

포함된 199개의 기록 중 112개는 감정에 대한 일부 언급을 포함했고, 나머지는 교정조치에 대한 개입을 설명했지만 교정조치의 인지적 또는 기타 비친화적 측면에 초점을 맞췄다. (포함된 기록의 표와 그들이 감정에 대해 논의했는지에 대해서는 부록 S2를 참조하십시오.) 우리는 교정 과정에서 감정에 대한 언급이 세 가지 시점으로 떨어진다고 결정했다.

  • 첫 번째 시점은 학습자가 교정 전에 정규 과정 또는 실습 중에 경험한 감정, 
  • 두 번째 시점은 학습자가 교정 조치를 위해 확인 및 참조할 때 경험한 감정, 
  • 세 번째 시점은 교정 중에 발생한 감정(표 1)입니다. 


Of the 199 included records, 112 contained some mention of emotion1, 9-12, 15, 19-21, 51-153; the remainder described remediation interventions but focused solely on cognitive or other non-affective aspects of remediation. (See Appendix S2 for a table of included records and whether they discussed emotion.) We determined that the mentions of emotion fell into three time-points in the remediation process.

  • The first time-point identified emotions that learners experienced during their regular coursework or practice prior to remediation;
  • the second, emotions learners experienced upon being identified and referred for remediation;
  • the third, emotions that occurred during remediation (Table 1).

이렇게 조직화하면, 서로 다른 시점에 학습자의 감정에 대한 저자의 추론이나 가정을 포함하여 문헌에 기술된 내용을 개략적으로 설명했으며, 실제 학습자의 감정은 문서화하지 않았다. 또한 이러한 주제는 교정 학습자가 독특한 감정 경험을 할 수 있다는 점에서 학습자 간의 통일성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저자가 학습자의 감정을 인식하고 설명하는 방법에 대한 추세를 문서화하기 위한 것이다. 이 분석의 주제와 추론은 아래 선택된 주요 참조에서 지원됩니다.

This organisation outlined what the literature describes, including authors' inferences or assumptions about learners' emotions at different time-points, and did not document actual learner emotions. Additionally, these themes are not meant to imply uniformity across learners, given that remediating learners will have unique emotional experiences, but instead to document trends in how authors notice and describe learner emotions. Themes and inferences from this analysis are supported with selected key references below.

 

3.1 식별 전 감정(시점 1)
3.1 Emotion before identification (Time-point 1)

일부 기록에서는 학습자가 교정 개입을 시작하기 전에 경험한 감정에 대해 언급하였다. 이 논의는 저자가 언급하거나 암시했던 감정에 초점을 맞추었으며, 이는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결함'에 기여했다. 199개 레코드 중 25개 레코드(13%)는 이 범주에만 해당하는 언급을 포함했고, 추가로 27개 레코드(14%)는 이 범주에 속하는 토론과 최소한 다른 하나를 포함했다. 이 모든 기사들은 낮은 성과에 기여할 수 있거나 그에 따른 교정과 관련될 수 있는 감정적 요인을 기술했다; 서술자는 '심리사회 스트레스 요인', 58 '감정적 문제', 63 '생리사회 기여자'74 및 '감정적 요인'을 포함했다.59 이러한 기록 중 일부는 연결 유형에 대해 명시적이지 않았지만, 다른 기록들은 재교육 필요성을 감정에 직접적으로 귀속시켰다. (예를 들어, 불안으로 인해 시험 성적이 떨어짐).
Some records mentioned emotions that learners experienced before beginning the remediation intervention; this discussion centred on emotions that the authors stated or implied contributed to ‘deficits’ that impacted performance. Twenty-five of the 199 records (13%) included mentions that fell solely into this category, and an additional 27 (14%) included discussions that fell into this category and at least one other. All these articles described emotional factors that can contribute to or are associated with poor performance and therefore remediation; descriptors included ‘psychosocial stressors,’58 ‘emotional issues,’63 ‘biopsychosocial contributors’74 and ‘affective factors.’59 Although some of these records were not explicit about the type of connection, others directly attributed the need for remediation to the emotion (e.g., anxiety leading to poor performance on exams87, 97).

이 그룹의 감정은 종종 '스트레스'와 '불안'으로 묘사되었다. '불안'이라는 용어가 일반적인 감정인지 특정 정신의학적 진단을 의미하는지는 때때로 불분명하지만, 많은 연구에서 정신 건강 장애(광범위하게 또는 특정 진단과 함께)를 성적 저하의 빈번한 요인으로 명시적으로 언급했다. 다른 사람들은 웰빙을 부르짖으며 종종 과로와 같은 어려움을 학습자의 투쟁의 잠재적인 원인으로 언급한다. 67, 78, 84 이러한 기록들 중 많은 부분에서, 저자들은 학습자를 '진단'하는 중요한 요소가 학문적 투쟁에 대한 정서적 기여자를 이해하는 것이라고 제안하면서, 이러한 요소들을 인식하는 것의 중요성을 개괄적으로 설명했다. 여러 기록에서는 [재교육 노력은 심리학적 평가 또는 외부 정신건강 및 웰빙 자원에 대한 의뢰를 포함할 수 있다]고 명시적으로 언급하였다. 68, 71

Emotions in this group were frequently described as ‘stress’62, 71, 73, 77 and ‘anxiety.’64, 93 While it was sometimes unclear if the term ‘anxiety’ meant a general emotion or a specific psychiatric diagnosis, many articles explicitly mentioned mental health disorders (either broadly or with specific diagnoses) as frequent contributors to poor performance.51, 64, 67 Others invoked well-being, often citing challenges such as burnout as a potential cause of learners' struggles. 67, 78, 84 In many of these records, the authors outlined the importance of recognising these factors, suggesting that an important component of ‘diagnosing’ the learner is understanding emotional contributors to academic struggles. Several records explicitly mentioned that remediation efforts may include psychological assessment or referrals to outside mental health and well-being resources.68, 71

일부 기록에서 이러한 선행 감정의 설명을 언급했지만, 이러한 언급은 모호했고 어떻게 해야 하는지 또는 이것이 학습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명확한 지침을 제공하지 않았다. 예를 들어, 한 논문은 재교육 프로그램에 '감정적 스트레스 요인에 대한 정신 건강 지원'89를 포함해야 한다고 권고했지만, 이를 더 자세히 설명하지는 않았다. 이러한 유형의 높은 수준의 의견은 우리가 검토한 기록에서 흔히 볼 수 있었다. 이 시기의 기록은 실제 학습 과정에 대한 영향보다는, 학습자의 수행(예: 시험)에 대한 감정의 영향에 크게 초점을 맞췄다.
Though some records mentioned accounting for these antecedent emotions, these mentions were vague and did not offer explicit guidance on how to do this or how this affects learning. For example, one paper recommended that remediation programmes should include ‘mental health support for emotional stressors’89 but did not describe this in more detail; this type of high-level comment was common in the records we reviewed. The records in this time-point largely focused on the impact of the emotion on the learners' performance (e.g., exams), rather than the impact on the actual learning process.

 

3.2 교정조치 식별/연기 시 감정(시점 2)
3.2 Emotion at identification/referral for remediation (Time-point 2)


학습자가 [자신의 성과가 저조하다는 것을 깨닫거나 통지를 받고 교정 요청을 받았을 때] 강한 감정을 느낄 수 있습니다. 18개의 레코드(9%)는 이 시점에만 해당하는 감정 참조를 포함했고, 34개의 레코드(17%)는 이 범주에 속하는 감정 언급과 적어도 한 개의 다른 레코드를 포함했다. 거의 모든 언급은 부정적으로 평가되었고 수치심, 두려움, 좌절과 같은 감정을 포함했다.52 다른 기록에서는 부정적인 감정적 토대를 나타내는 반응이나 행동을 언급하였다. 117 대부분의 경우, 저자는 이러한 감정이 학습자의 재교육 참여 능력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언급하거나 암시하였고, 이러한 감정이 교정 결과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나타내는 의견도 있다. 81, 107, 118
Learners likely experience strong emotions when they realise or are notified of their underperformance and are being referred for remediation. Eighteen records (9%) contained emotion references that fell only into this time-point; an additional 34 records (17%) contained emotion mentions that fell into this category and at least one other. Almost all of these mentions were negatively valenced and included such emotions as shame, 110, 123, 126 fear114 and frustration.52 Other records mentioned reactions or behaviours that indicate negative emotional underpinnings: denial107 and defensiveness.117 In most cases, authors stated or implied that these emotions can affect learners' ability to engage with remediation, and some indicated that these emotions can negatively impact remediation outcomes. 81, 107, 118

이 시점에서의 몇몇 기록들은 특히 낙인에 대해 논했다. 오명stigma은 '부끄러움이나 불명예의 표시: 얼룩'으로 정의된다. 낙인은 학습자의 외부에 있지만 감정 조절을 통해 낙인 찍힌 개인에게 정서적으로 상당한 영향을 미칠 수 있어 검토에 낙인을 포함시켰다. 여러 기록에서 학습자가 추가 지원이 필요한 것으로 확인되면 낙인 또는 낙인에 대한 두려움을 경험하거나, 경험할 수 있다고 기술했다. 일부 저자들은 학습자에게 반복 과정을 요구하는 것과 같은 현재의 과정이 낙인에 기여할 수 있는 구체적인 방법에 대해 설명했다. [낙인]은 어려움을 겪는 학습자들이 도움을 구하지 못하게 하고 교정 프로그램의 효과를 제한할 수 있다고 지적된다. 많은 저자들은 [코칭과 도움을 찾는 행동의 정상화]하여, 교정 활동을 탈-낙인화 할 것을 요구한다. 다른 이들은 성과가 낮은 참가자만을 대상으로 하거나 평가에서 제외된 교정 코치를 제공하는 대신 [모든 학습자를 프로그램에 참여]시킬 것을 제안했습니다. 전반적으로, 이러한 주장은 교정과 관련된 오명의 크기와 영향을 줄이기 위해 모든 학습자의 지침 필요성과 성장 가능성에 대한 초점을 높여야 한다.
Several records in this time-point specifically discussed stigma. Stigma is defined as ‘a mark of shame or discredit: stain.’154 Though stigma is external to the learner, it can significantly impact the stigmatised individual emotionally, including via emotion regulation,155, 156 so we included stigma in our review. Multiple records described that learners might or do experience stigma, or fear of stigma, once they are identified as needing extra support. Some authors described specific ways in which current processes, such as requiring learners to repeat courses,19 may contribute to stigmatisation. Authors noted that stigma may prevent struggling learners from seeking assistance84, 105 and may limit remediation programmes' efficacy.116 Many authors called for a normalisation of coaching and help-seeking behaviours to destigmatise engagement in remediation.11, 91 Others suggested inviting all learners to participate in these programmes instead of targeting solely low performers92 or offering remediation coaches who are removed from assessment.83 Overall, these arguments called for increased focus on all learners' need for guidance and potential for growth, in order to reduce the magnitude and effects of stigma associated with remediation.

3.3 교정 중 감정(시점 3)
3.3 Emotion during remediation (Time-point 3)

학습자가 교정조치에 참여함에 따라 교정조치와 관련된 감정을 경험하게 되며, 이는 교정조치에 잠재적으로 활용될 수 있다. 25개(13%)의 레코드가 이 시점에서만 감정을 다루었고, 34개(17%)가 이 시점 및 적어도 한 개의 다른 시점에서의 감정을 논의하여 총 레코드의 약 1/3을 차지했다.
As learners participate in remediation, they experience emotions related to the remediation process, which could potentially be leveraged in remediation design. Twenty-five (13%) records addressed emotion only at this time-point, and 34 (17%) discussed emotion at this and at least one other time-point, totalling roughly one-third of records.

이러한 맥락에서 감정을 기술하는 50개의 레코드는 실제 또는 이론적 교정조치에 대한 특정 접근방식의 이유로 인용했으며, 교정 프로그램 설계에 감정을 의도적으로 통합했음을 나타낼 수 있다. 이러한 기록 중 소수만이 이러한 지원의 결과로 보이거나 예상되는 특정 결과를 포함했지만(예: 학습자가 예상한 스트레스보다 적은 스트레스), '지지'를 명시적으로 포함한 수많은 기록들이 제시되었다. 교정 학습자와 코치 사이의 '신뢰' 목표를 언급한 여러 기록도 있었지만, 보통 이를 달성하기 위한 메커니즘이나 감정이나 학습에 대한 기대 이익을 명시하지는 않았다. 

Fifty records describing emotion in this context cited it as a reason for a particular approach to remediation, actual or theoretical, possibly indicating intentional incorporation of emotion into remediation programme design. Numerous records explicitly suggested including (emotional) ‘support,’10, 12, 19, 78, 102, 103, 127, 136, 143, 146, 148, 153 though only a small number of these records included a specific outcome seen or expected as a result of this support (e.g., less stress than learners expected139). There were also several records referencing a goal of ‘trust’ between remediating learner and coach,11, 124, 125, 130, 144 though they did not usually specify the mechanism to achieve this or the expected benefit for emotion or learning.

몇몇 기록에서는 교정 중에 사후 대응이 학습자에게 영향을 미쳤다는 것을 인지한 상세한 감정을 기록한다. 일부 기록에서는 교정 프로그램에 대한 학습자의 관점에 대한 설문조사를 기술하여 과정 중 학습자의 감정을 드러내기도 한다. 여기에는 다음이 포함된다.

  • 프로세스의 긍정적인 측면에 대한 학습자의 놀라움.
  • 촉진자의 '긍정적 분위기'를 학습자가 필요로함
  • 더 큰 공감을 포함한 학습자의 향상된 '태도'

Several records detailed emotions that authors realised post hoc had affected learners during remediation. Some records described surveys of learners' perspectives on remediation programmes, revealing learners' emotions during the process. These included

  • learners' surprise at positive aspects of the process138;
  • learners' need for ‘positive mood’ in their facilitators130; and
  • learners' improved ‘attitudes,’ including greater empathy.157

발췌한 모든 구절을 분석한 결과 감정에 대한 언급은 대부분 부정적으로 억제된 것으로 나타났다. 발췌한 원자가 코드의 73%는 부정적이고 12%는 긍정적이며 15%는 중립적이거나 불분명했다. 단지 27개의 기록(14%)만이 긍정적인 감정을 담고 있었다. 대부분의 긍정적인 언급은 타임 포인트 3에서 일어났다.

Our analysis of all excerpted passages indicated most mentions of emotion were negatively valenced. Seventy-three percent of excerpt valence codes were negative, 12% were positive, and 15% were neutral or unclear. Only 27 records (14%) contained any positive emotion mentions. Most positive mentions occurred at Time-point 3.

4 논의
4 DISCUSSION

의학 교육의 교정조치 개입에 관한 간행물 중 절반 이상이 감정을 명시적으로 설명했으며, 교정조치 과정 자체에서 발생하는 감정을 기술했으며, 프로그램 설계에 감정을 의도적으로 통합하는 부분을 약간 설명했다. 대부분의 연구자들은 정규 과정이나 실습(시점 1) 또는 교정을 위한 식별 및 참고(시점 2) 중에 학습자에게 발생하는 감정을 [주로 부정적]으로 설명했다교정 중 발생하는 감정(시점 3)은 [긍정적으로 valenced된 감정]을 포함하며, 이 시점은 교정 실천을 개선하기 위해 감정을 통합할 수 있는 잠재력을 제공한다. 타임 포인트 3의 이러한 감정 기록 중 일부는 저자들이 교정 후에야 감정을 인식했음을 나타내지만, 몇몇은 의도적으로 감정을 통합했다. 이러한 통합은 주로 학습자에게 지지적이고 신뢰할 수 있는 코칭 관계를 제공하는 데 초점을 맞췄으며, 이러한 유형의 관계가 학습자의 성장을 향상시킨다는 것을 명시적으로 또는 암묵적으로 나타냅니다. 
Among publications on remediation interventions in medical education, a little over half described emotion explicitly, and about one-third described emotion occurring during the remediation process itself, with a small portion outlining intentional incorporation of emotion into programme design. Most researchers described emotions, predominantly negative, that occurred for learners during their regular coursework or practice (Time-point 1) or at identification and referral for remediation (Time-point 2). A smaller number described emotion occurring during remediation (Time-point 3), some including positively valenced emotions; this time-point offers potential for incorporation of emotion to improve remediation practices. Whereas some of these records of emotion at Time-point 3 indicated the authors recognised emotion only after remediation, several did intentionally incorporate emotion.

이러한 발견들은 학문과 실습을 위한 중요한 다음 단계를 제공한다. 

  • 첫째, 이러한 기록의 대부분은 재교육 조치의 이러한 측면을 구체적으로 검토하도록 설계되지 않았기 때문에, 이러한 기록들은 학습자의 감정 교정과 성공에 영향을 미치는 구체적인 방법을 조사하는 새로운 경험적 연구에 중요한 의제를 제공한다. 
  • 둘째, 재교육 리더의 즉각적인 다음 단계는 코치와 학습자 간의 신뢰 관계에 명시적으로 집중하는 것입니다. 여기에는 이 작업에 대한 코치를 모집할 때 관계 형성의 목표를 구체적으로 파악하는 것은 물론, 학습 개선을 위해 이러한 관계를 조성하고 유지하기 위한 교수진 개발과 코치에 대한 지원을 제공하는 것이 포함될 수 있습니다157. 

후속 연구가 특정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목표 전략과 비교하여 관계에 대한 이 광범위한 초점의 상대적 영향을 설명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

These incorporations focused primarily on providing supportive and trusting coaching relationships for learners, explicitly or implicitly indicating that this type of relationship improves learners' growth. These findings offer important next steps for scholarship and practice.

  • First, because most of these records were not designed to examine this aspect of remediation specifically, they provide an important agenda for new empirical studies examining the specific ways in which the relationship impacts remediating learners' emotions and success.
  • Second, they suggest that one immediate next step for remediation leaders is to focus explicitly on this trusting relationship between coach and learner. This could include specifically identifying a goal of relationship formation when recruiting coaches for this work, as well as providing faculty development and support for coaches around cultivating and sustaining this relationship157 in order to improve learning.

Further work can help elucidate the relative impact of this broad focus on relationship compared with targeted strategies for remediating specific challenges.


감정을 언급한 기록에서, [감정과 학습의 관계]는 일반적으로 불분명했다. 지지 관계에 초점을 맞춰 감정을 고려하는 데 목적을 둔 타임 포인트 3의 레코드 하위 집합 중, 학습자 웰빙과 같은 측면과 달리, [서포트를 학습 과정 자체에 연결하는 메커니즘]은 명확하지 않았다. (기록상으로는 분명하지 않았지만) [낙인]에 대한 논의는 학습보다는 웰빙과 관련이 있을 수 있다. 우리가 검토한 다른 기록들은 퍼포먼스에 대한 감정의 영향(예: 시험 불안)에 대해 논의하였다. [퍼포먼스]와 [학습learning]에는 중첩되는 영역이 있지만, 이 기록들은 [학습자가 기술을 사용하거나 시연하는 방법]에 대해 논의하는데, 이것은 [기술을 학습하는 것]과는 다른 개념이다.

In the records that mentioned emotion,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 and learning was generally unclear. Of the subset of records from Time-point 3 that were purposeful in considering emotion, focusing on supportive relationships, none was clear in a mechanism linking that support to a benefit to the learning process itself, as opposed to an aspect like learner well-being. The discussions of stigma may also have related to well-being, rather than learning; this was not clear in the records. Other records we reviewed discussed the impact of emotion on performance (e.g., test anxiety); though performance and learning overlap, these records discuss ways that learners use or demonstrate their skills, which is a different concept from learning the skills.

연구자들은 학습 개선을 위해 감정이 활용될 수 있는 방법에 대해 거의 설명하지 않았다. 이 발견은 감정과 인식을 별개의 과정으로 유지했던 이전 모델을 강화할 수 있다. 마치 인지cognition이 학습과 더 관련이 있다고 보는 것이다. 이 결과는 또한 [감정이 학습자의 학습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강력하고 명확한 증거]로부터 의학교육 개입도 이익을 얻을 수 있음을 시사하기 때문에 (감정이 성능, 웰빙 및 기타 영역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기존 연구 외에) 향후 연구가 나아가야 할 방향에 대한 중요한 시사점을 가지고 있다. 
Researchers rarely described ways emotions can be leveraged to improve learning. This finding may reinforce the prior model that held emotion and cognition as discrete processes, with cognition more relevant to learning. This result also has important implications for future research, as it suggests that medical education interventions could benefit from robust and clear evidence on how emotion impacts learners' learning, in addition to previously studied impacts on performance, well-being and other domains.

[감정의 조사]는 우리가 검토한 기록들에 대해 명확하게 명시된 목표가 아니었기 때문에, 일부 교육자들은 출판물에 기록되지 않은 방식으로 감정을 고려했을 수도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문헌에서 감정에 대한 강조가 상대적으로 적다는 것은 [재교육 프로그램 설계에서 감정에 대한 명시적 관심이 gap일 수 있음]을 시사한다. 시점 1과 시점 2의 감정 언급 수가 3에 비해 많다는 것은 [연구자들의 감정에 대한 인식(=감정을 문제의 원인 또는 재교육 refer와 관련된 문제로 봄)]이 [교정 프로그램 설계에 감정의 의도적 포함]과는 부합하지 않음을 나타낸다. 많은 작가들이 고군분투하는 학습자들이 경험하는 감정들을 자주 인식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재교육 실무에 감정을 통합하는 것]의 중요성 또는 실질적인 지침에 대해서는 아직 적절한 관심이 없다.

Because an investigation of emotion was not an explicitly stated goal for any of the records we reviewed, some educators may consider emotion in ways not documented in their publications; still, the relatively small emphasis on emotion in this body of literature suggests that explicit attention to emotion in remediation programme design may be a gap. The greater number of emotion mentions at Time-points 1 and 2, compared with 3, indicates that the authors' awareness of emotion (as a cause of challenges or related to being referred for remediation) is not matched by a purposeful inclusion of emotion into the design of remediation programmes. Despite the fact that many authors frequently recognised emotions that struggling learners experience, there is not yet commensurate attention on the importance of, or practical guidance for, incorporating emotions into remediation practice.


우리의 연구 결과는 교정조치 리더가 왜 이러한 논의에 감정을 반영하지 않을 수 있는지에 대한 몇 가지 잠재적인 이유를 제시하는데, 첫 번째는 [인식 부족]이다. 검토된 기록 중 거의 절반은 재교육 개입을 기술했지만,  감정을 언급하지 않았다. 이것은 어떤 교육자들의 마음 속에는 '감정'이 전혀 고려대상이 아니었음을 나타낼지도 모른다. 대부분의 기록은 학습자 과제를 대상으로 하는 [정서적 접근법]보다는 구체적인 [인지적 전략(예: 임상 추론 프레임워크와 질문 뱅크)]에 초점을 맞췄다. 이것은 [감정을 강조하지 않는 의학교육 모델]을 강화시킬 수 있고, [인지와 감정을 별개의 과정]으로 보는 기존 모델에 뿌리둔 것일수 있다

Our findings suggest several potential reasons for why remediation leaders may not incorporate emotion in these discussions, the first being a lack of awareness. Nearly half of our reviewed records described remediation interventions and did not mention emotion; this may indicate that emotion simply is not on some educators' minds. Most records focused on specific cognitive strategies (e.g., clinical reasoning frameworks and question banks) rather than affective approaches for targeting learner challenges. This may reinforce the medical education model that does not emphasise emotion34 and may again be rooted in the prior model that viewed cognition and emotion as separate processes.

교정 프로그램에 대한 문헌에서 감정이 잘 설명되지 않는 또 다른 이유는, [정신 건강과의 관계에 대한 인식]때문일 수 있다. 일부 기록에서는 [감정과 정신건강을 동일시]하고, [감정과 관련된 문제에 대해 정신건강자원에 의뢰]할 것을 권고했다. 한 기관은 교육기관이 학습자를 웰니스 프로그램에 추천한 것을 '감정적 지원과 엄격하고 명확한 기대'를 제공하는 이전에 발표된 모범 사례를 충족한다는 증거로 들었다. 정신 건강 문제에 대한 스크리닝과 학습자를 외부 자원에 언급하는 수많은 기록에서 알 수 있듯이, 의학교육자들은 [낮은 성과와 관련된 감정은 반드시 비정상적]이며 따라서 그들의 범위 밖에 있다고 가정하고 있을지도 모른다.
Another reason that emotion is not well-described in literature on remediation programmes may be its perceived relationship to mental health. Some records lumped emotion and mental health60 and recommended referral to mental health resources for issues related to emotion.71 One cited institutions' referral of learners to wellness programmes as evidence of meeting the previously published best practice of providing ‘emotional support and rigorous, clear expectations.’78 Medical educators may assume that emotions related to underperformance are necessarily abnormal and therefore outside their purview, as illustrated by the numerous records that mention screening for mental health issues and referring learners to outside resources.


교정 문헌에서 감정에 대한 강조가 상대적으로 적은 세 번째 가능한 이유는 교육자들이 감정의 영향을 인식하지만 어떻게 설명해야 할지 확신할 수 없기 때문이다. 현재 의학 교육 문헌에는 교육자들에게 그들의 공부나 프로그램에 감정을 통합하는 방법에 대해 명시적으로 안내할 수 있는 것이 거의 없다. 예를 들어, 심리학 연구에서, 학습자들에게 스트레스를 긍정적인 관점으로 보는enhacing rather than debilitating '스트레스 마인드'를 재구성하도록 가르치는 것은 스트레스의 양과 무관한 결과에 상당한 영향을 미친다. 이는 교정 전략이 스트레스 감소에만 초점을 맞추기보다는 학습자의 사고방식을 바꾸는 연습도 포함한다면 성공할 가능성이 높다는 것을 의미한다.

A third possible reason for the relatively small emphasis on emotion in the remediation literature is that educators may recognise the impact of emotion but feel unsure how to account for it; there is currently little in the medical education literature that can explicitly guide educators on how to incorporate emotion into their studies or programmes, though disciplines outside health professions may offer insights on initial directions for this work. For example, in psychology studies, teaching learners to reframe their ‘stress mindsets,’ seeing stress as enhancing rather than debilitating, has a significant effect on outcomes that is independent of the amount of stress.158 This implies that remediation strategies are more likely to succeed if they also include exercises to shift learners' mindsets, rather than solely focusing on reducing stress.

다른 연구에서는 행동 신경과학 환경에서 [의도적으로 정서적 각성을 생성하는 것]은, [순간적 주의에 대한 영향]보다, 장기 보유를 증가시킴으로써 학습에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이는 유지 문제가 있는 학습자에게 목적적 정서 각성을 포함시킴으로써 교정 환경에서 활용될 수 있다. 수학 교육의 연구는 시험에서 '초크choke'를 하는 학생들이 과제의 각 세부 사항(명시적 모니터링 이론에서 설명됨)에 지나치게 집중하기 보다는, 그들의 감정과 환경에 의한 산만 때문에 그렇게 할 가능성이 더 높음을 보여주며, 감정을 생산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기술을 가르치는 것을 제안한다. 이는 표준화된 시험에서 고군분투하는 의학 학습자들을 돕기 위한 핵심 단계일 가능성이 높다. 이러한 연구는 의료 교육이 감정을 인식하고 이를 교정 조치를 포함한 교육 전략에 통합하는 방법을 조사하고 보다 명시적으로 가르칠 수 있는 중요한 요구를 제공한다.
In other studies, purposely creating emotional arousal in behavioural neurosciences settings can affect learning by increasing long-term retention more than affecting in-the-moment attention (two debated theories),159 which could be leveraged in remediation settings by including purposeful emotional arousal with learners with retention problems. Work in mathematics education shows that students who ‘choke’ on tests are more likely to do so because of distraction by their emotions and environment (described in cognitive load theory) than being hyperfocused on each detail of the task (described in explicit monitoring theory),160 suggesting that teaching skills for managing emotion productively is likely a key step in helping medical learners struggling on standardised tests. Taken together, these studies provide an important call for medical education to investigate and more explicitly teach ways to acknowledge emotions and incorporate them into education strategies, including in remediation.

우리는 또한 교정 문헌이 긍정적으로 평가된 감정을 언급한 기록은 거의 없이, [부정적인 감정에 의해 지배된다는 점에] 주목했다. 학습자는 다르고 다양한 감정을 경험할 가능성이 높지만, 자기 효능감이 낮은 일부 학습자는 코칭의 기회에 희망, 안도, 감사를 느끼는 경우가 많고, 교정 학습자는 향상되면 자부심을 느끼는 경우가 많은 것으로 추정되지만, 이러한 내용은 기록에서 자주 언급되지 않았다. 또한 긍정적인 감정이 주로 사후post hoc에 인식된다는 사실(예: 학습자가 자신이 얼마나 지지를 받았는지에 대해 놀라움을 느끼는 것)은 교육자가 교정 과정과 관련될 긍정적인 감정을 예상하지 못할 수 있음을 나타냅니다. 
We also noted that the remediation literature is dominated by negative emotions, with few records mentioning positively valenced emotions. While learners are different and likely experience varied emotions, we suspect some learners with low self-efficacy often feel hope, relief and gratitude at the opportunity for coaching, and many remediating learners feel pride when they improve, but these were infrequently mentioned in the records. Furthermore, the fact that positive emotions were primarily recognised post hoc (e.g., learners feeling surprised by how supported they felt) indicates that educators may not anticipate positive emotions that will come to bear on the remediation process.

긍정적인 감정을 강조하면 개방성을 촉진하여 학습이 강화되고, 학생들이 내용에 더 깊이 참여할 수 있으며, 동기 부여가 향상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이 모든 것들은 더 큰 의학교육 문헌에 통합되었으며, 재교육의 부담이더 높기 때문에 재교육 setting과 특별한 관련이 있을 가능성이 있다. 학습에 있어 감정가emotion valence에 대한 이러한 연구는, 교정 개입을 설계하는 교육자들에게 부정적인 감정의 영향을 여전히 인식하면서, 긍정적인 감정에 대한 특정 관심을 찾고 끌 수 있는 중요한 교훈을 제공한다.

Emphasising positive emotions is known to enhance learning by facilitating open-mindedness,161 enabling students to engage more deeply with content4 and improving motivation,162 all of which have been synthesised in the larger medical education literature163 and which likely have particular relevance to remediation settings because of their higher stakes. These studies on emotion valence in learning offer an important lesson for educators designing remediation interventions to seek out and draw specific attention to positively valenced emotions, while still recognising the impact of the negative emotions, then harness their power to improve learning.

우리의 연구는 여러 가지 한계를 가지고 있습니다. 

  • 첫째, 교정 또는 교정 학습자(예: '문제 학습자' 및 '어려운 학습자')를 설명할 수 있는 수많은 대안적 방법이 있으며, 우리는 의도적으로 'remediation'이라는 용어(또는 '치료'와 같은 동일한 뿌리를 공유하는 단어)를 사용하여 기록에 좁게 검색을 집중하도록 설계했다. 이는 사서들과 함께 이러한 대체 용어를 포함할 수 있는 검색 기준을 설계할 때 관련 없는 기록도 다수 포착했기 때문이다. 이러한 좁힘은 '수정'이라는 용어가 포함되지 않았다면 이 논의에서 중요한 관점을 나타내는 참고 문헌을 제외했을 수 있다. 
  • 둘째, 우리는 모든 기록의 이중적인 검토와 광범위한 포괄성을 통해 주관성을 완화하려고 시도했지만, 우리 자신의 편견이 이러한 기록을 보는 방식에 영향을 미쳤으며, 다른 사람들은 다른 결정을 내렸을 수 있다. 
  • 셋째, 우리는 감정에 대한 명시적인 언급을 찾았고, 따라서 자기 조절 학습에 대한 일부 기록과 같이 감정이 암묵적인 기록을 강조하지 않았다. 
  • 넷째, 검토 범위 지정에서 흔히 볼 수 있듯이 검토된 기록의 이질성으로 인해 개별 기록에 대한 비판적 평가를 실시하지 않았고, 저자가 학습자에게 감정을 귀속시킨 정확성에 대해서도 언급할 수 없다. 
  • 다섯째, 검토 범위 지정 방법론의 일반적인 한계는 여기에 적용된다: 검토가 반드시 광범위하고 특정 질문에 답하지 않으며 오히려 향후 연구를 안내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는 보다 일반적인 '토지 배치'를 제공한다. 
  • 여섯째, 일부 지침48은 검토 범위 지정의 발견을 확인하기 위해 선택적 전문가 상담을 제안하는데, 이 검토에서는 하지 않았지만 교정에서 감정을 연구하는 데 중요한 추가 단계를 나타낼 수 있다. 
  • 일곱째, 우리는 등록된 검토 프로토콜을 사용하지 않았다. 일반적으로 검토 범위 지정에 사용되고 검토 범위 지정의 반복적이고 반사적인 과정을 방해하지만, 165 등록 프로토콜은 중복 작업을 피하고 투명성을 개선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 
  • 마지막으로, 감정 외에도 수많은 정서적 요인이 있다.학습에 영향을 미치는 동기 및 통찰력으로서, 이러한 것들은 본 검토의 범위를 벗어나 있지만 교정 중 학습을 개선하기 위한 추가 연구 영역을 제공하며 교정 중 자기 조절 학습 및 통제 가치 이론과 관련된 진행 중인 작업에 특별한 적용 가능성을 가질 수 있다.

Our study has multiple limitations.

  • First, there are numerous alternative ways to describe remediation or remediating learners (e.g., ‘problem learner’ and ‘learner in difficulty’), and we purposely designed our searches to be narrowly focused on records specifically using the term ‘remediation’ (or words sharing the same root, such as ‘remedial’). This is because, when working with our librarians to design search criteria that could encompass these alternate terms, we also captured a multitude of irrelevant records; this narrowing may have excluded references that represent important viewpoints in this discussion if they did not also include the term ‘remediation.’
  • Second, though we attempted to mitigate subjectivity through double review of all records and broad inclusivity, our own biases impacted how we viewed these records, and others may have made different determinations.
  • Third, we looked for explicit mentions of emotion and therefore did not highlight records where emotion was implicit, such as some records on self-regulated learning. Fourth, as is common with scoping reviews,164 and as a result of the heterogeneity of our reviewed records, we did not conduct critical appraisal of individual records and also cannot comment on the accuracy with which authors attributed emotions to learners.
  • Fifth, general limitations to the scoping review methodology apply here: the review is necessarily broad and does not answer a specific question but rather gives a more general ‘lay of the land,’ which may help guide future research.
  • Sixth, some guidelines48 suggest optional expert consultation to check the findings of scoping reviews, which we did not do in this review but could represent an important further step in studying emotion in remediation.
  • Seventh, we did not use a registered review protocol; though uncommonly used for scoping reviews164 and arguably impeding the scoping review's iterative and reflective process,165 registered protocols may be helpful in avoiding duplicative work and improving transparency.165 
  • Finally, there are numerous affective factors in addition to emotion, such as motivation and insight, that affect learning; these were outside the scope of this review but offer further areas for study to improve learning during remediation and may have particular applicability in ongoing work related to self-regulated learning and control-value theory in remediation.

5 결론
5 CONCLUSIONS

재교육은 의학교육에서 중요한 프로세스이며, 여전히 개선의 여지가 있다. 교정조정을 개선하는 한 가지 방법은 감정을 보다 명확하게 통합하는 것일 수 있다. 정서는 교정 논의를 포함하여 의학 교육 문헌에서 점점 더 논의되고 있다. 그러나 본 연구는 학습자를 교정하는 감정에 대한 인식이 교정 프로그램 설계의 감정 설명과 일치하지 않는다는 것을 뒷받침한다. 이는 중요한 격차를 나타내며, 학습이 인지 영역에 속하는 상황에서 감정과 인지 영역을 별개의 영역으로 보는 선행 모델의 지속성을 나타낼 수 있다. 우리의 연구는 재교육이라는 고부담의 환경에서 감정이 학습자에게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추가 연구를 요구하며, 잠재적인 개입 영역을 제시한다. 여기에는 지지적 재교육 코칭 관계를 강조하고, 대체로 부정적으로 여겨지는 학습 환경에서 발생할 수 있는 [긍정적인 정서]에 더 많은 관심을 기울이는 것을 포함한다.

Remediation is an important process in medical education, with room for improvement; one way to improve remediation may be through more explicit incorporation of emotion. Emotion is increasingly discussed in the medical education literature, including in discussions of remediation. However, our study supports that the awareness of emotions of remediating learners is not matched with an emphasis on accounting for emotion in the design of remediation programmes. This represents an important gap and may be indicative of the persistence of a prior model that views emotion and cognition as discrete domains, with learning falling under the realm of cognition. Our work serves as a call for further research on how emotion impacts learners in the high-stakes setting of remediation and suggests potential areas for intervention, including emphasis on supportive remediation coaching relationships and greater attention to possible positive emotions in what is largely viewed as a negatively valenced learning setting.

 

 


 

Med Educ. 2021 Dec;55(12):1350-1362.
 doi: 10.1111/medu.14605. Epub 2021 Sep 4.

 

Emotion in remediation: A scoping review of the medical education literature

Affiliations collapse

Affiliations

1Department of Medicine, University of California, San Francisco, San Francisco, CA, USA.

2Department of Anaesthesia and Perioperative Care and Medicine, University of California, San Francisco, San Francisco, CA, USA.

3Department of Microbiology and Immunology, University of California, San Francisco, San Francisco, CA, USA.

4Center for Research and Development of Education, University Medical Center Utrecht, Utrecht, The Netherlands.

5Departments of Medicine and Surgery, University of California, San Francisco, San Francisco, CA, USA.

PMID: 34355413

DOI: 10.1111/medu.14605

Abstract

Objectives: Remediation can be crucial and high stakes for medical learners, and experts agree it is often not optimally conducted. Research from other fields indicates that explicit incorporation of emotion improves education because of emotion's documented impacts on learning. Because this could present an important opportunity for improving remediation, we aimed to investigate how the literature on remediation interventions in medical education discusses emotion.

Methods: The authors used Arksey and O'Malley's framework to conduct a scoping literature review of records describing remediation interventions in medical education, using PubMed, CINAHL Complete, ERIC, Web of Science and APA PsycInfo databases, including all English-language publications through 1 May 2020 meeting search criteria. They included publications discussing remediation interventions either empirically or theoretically, pertaining to physicians or physician trainees of any level. Two independent reviewers used a standardised data extraction form to report descriptive information; they reviewed included records for the presence of mentions of emotion, described the mentions and analysed results thematically.

Results: Of 1644 records, 199 met inclusion criteria and were reviewed in full. Of those, 112 (56%) mentioned emotion in some way; others focused solely on cognitive aspects of remediation. The mentions of emotion fell into three themes based on when the emotion was cited as present: during regular coursework or practice, upon referral for remediation and during remediation. One-quarter of records (50) indicated potential intentional incorporation of emotion into remediation programme design, but they were non-specific as to how emotions related to the learning process itself.

Conclusion: Even though emotion is omnipresent in remediation, medical educators frequently do not factor emotion into the design of remediation approaches and rarely explicitly utilise emotion to improve the learning process. Applications from other fields may help medical educators leverage emotion to improve learning in remediation, including strategies to frame and design remediation.

의과대학에서 의사에 이르기까지 부족한 영역의 재교육: 문헌의 주제 검토(Acad Med, 2009)
Remediation of the Deficiencies of Physicians Across the Continuum From Medical School to Practice: A Thematic Review of the Literature
Karen E. Hauer, MD, Andrea Ciccone, MS, Thomas R. Henzel, EdD, Peter Katsufrakis, MD, MBA, Stephen H. Miller, MD, MPH, William A. Norcross, MD, Maxine A. Papadakis, MD, and David M. Irby, PhD

 

 

의료 교육자와 인증 기관은 교육 과정에서 가르치는 것에서 의대생, 레지던트 또는 개업 의사가 수행할 수 있는 것으로 중점을 전환했습니다. 대부분의 훈련생과 실무의는 임상 및 의사소통 기술에서 역량을 입증할 수 있지만, 소수만이 예상 표준을 충족하지 못해 교정조치가 필요하다. 훈련 중인 의사와 개업의가 역량을 평가받으리라는 기대에 대한 광범위한 지지에도 불구하고, [무능]하거나 [완전히 유능하지 않은] 훈련생과 의사를 정확하고 신뢰성 있게 식별하고 그들의 결함을 효과적으로 교정하는 것은 여전히 어려운 일이다. 완전히 유능하지는 않은 의사나 훈련생은 하나 이상의 전문 진료 분야에서 허용 가능한 기준을 유지하는 데 실패하는 반면, 무능한 의사는 전문 의사 진료 범위 내에서 효과적으로 수행하는 데 필요한 능력과 자질이 부족하다.1
Medical educators and accrediting organizations have shifted their emphasis from what is taught in the curriculum to what a medical student, resident, or practicing physician can perform. Whereas most trainees and practicing physicians can demonstrate competence in clinical and communication skills, a minority fail to meet the expected standard and require remediation. Despite widespread endorsement of the expectation that physicians-in-training and practicing physicians be assessed for their competence, it remains challenging to identify accurately and reliably those trainees and physicians who are incompetent or less than fully competent and to remediate their deficiencies effectively. Less than fully competent physicians or trainees fail to maintain acceptable standards in one or more areas of professional physician practice, whereas incompetent physicians lack the abilities (cognitive, noncognitive, and communicative) and qualities needed to perform effectively within the scope of professional physician practice.1

교정조치는 자신의 기술을 평가하는 동안 역량을 입증하지 못한 연습생 또는 의사를 실제로 [식별하는 것]으로 시작한다.

  • 교정이 필요한 교육생의 식별은 [학부 단계]에서 가장 쉬울 수 있는데, 이는 학생들의 수행 기대치가 비교적 동질적이고 학생들이 학교 내에서 자주 시험을 치르기 때문이다. 미국 의료면허시험(USMLE) Step 2 Clinical Skills (CS) 시험의 등장으로 의과대학에서 학생들의 교육과정에서의 기술 성취도를 평가하고 대학원에서의 면허 시험에 대비하기 위한 임상 기술 평가가 증가하게 되었다.2
  • [졸업후교육(GME) 수준]은 훈련이 전문 분야에 따라 분화되고, 훈련생들이 배우는 것뿐만 아니라 환자에게 필요한 서비스를 제공해야 하기 때문에 더욱 어려워지고 있다. GME의 평가를 위한 역량 프레임워크의 광범위한 채택이 있었지만, 이 구조는 여전히 문헌에 의해 뒷받침되지 않고 있으며, 역량 평가를 위한 유효하고 신뢰할 수 있는 방법은 아직 존재하지 않는다.3 모든 수준의 교육에서 비시술 전문 분야의 감독관이 환자와 함께 교육생을 직접 관찰하는 경우는 드물며, 따라서 감독관은 구술 발표에서 학생과 레지던트의 역량과 다른 의료 기관과의 상호작용에 대한 추론을 도출할 수 있다.4
  • 마찬가지로, [실무에 종사하는 의사들]은 부분적으로 신뢰할 수 있고 유효하며 실현 가능한 평가 도구의 부족으로 인해 작업 환경에서 거의 평가되지 않는다.5 그럼에도 불구하고 대중은 의사가 정기적으로 모니터링되고 필요할 때 교정 개입을 받을 것으로 가정하고 바란다.6

Remediation begins with the identification of trainees or physicians in practice who fail to demonstrate competence during assessments of their skills.

  • Identification of trainees needing remediation may be easiest at the undergraduate level because the performance expectations of students are relatively homogeneous, and students are frequently tested within their schools. The advent of the United States Medical Licensing Examination (USMLE) Step 2 Clinical Skills (CS) exam has prompted an increase in the assessment of clinical skills in medical schools, both to evaluate students' achievement of skills emphasized in their schools' curriculum and to prepare students for the licensing exam.2 
  • Assessment at the graduate medical education (GME) level becomes more challenging because training differentiates along specialty lines and because trainees are expected not only to learn but also to provide necessary service to patients. There has been broad adoption of the competency framework for assessment in GME, but this construct still remains unsupported by the literature, and valid and reliable methods of assessing competencies do not yet exist.3 At all levels of training, it is rare that supervisors in nonprocedural specialties directly observe trainees with patients, which leaves supervisors to draw inferences about the competence of students and residents from their oral presentations and their interactions with other health care providers.4 
  • Similarly, physicians in practice are rarely assessed in their work environments, in part because of the paucity of reliable, valid, and feasible assessment tools.5 Nonetheless, the public assumes and desires that physicians are monitored regularly and will receive remedial intervention when needed.6

결손이 발견되지 않거나 해결되지 않으면 의사 수행과 환자의 안전이 위태로워집니다. 예를 들어 지식 및 전문성 영역의 성과 문제는 주 의료 위원회의 후속 징계와 관련이 있다. 의과대학은 USMLE Step 2 CS 시험에서 핵심 임상 및 커뮤니케이션 기술을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그들의 자원을 투자하고 있으며, 레지던트 프로그램은 ACGME 성과 프로젝트에 의해 정의된 6가지 역량 영역에서 역량을 가르치고 평가하는 혁신적인 방법을 개발하고 있다. 여기에는 전문직업성과 같은 이전에 관심을 덜 받았던 분야도 포함된다. 그러나 역량의 부족을 어떻게 해결해야 하는지는 여전히 불분명하며, 의학교육은 교정조치에 대한 강력한 전략을 개발하는 데 있어 다른 교육 영역에 비해 뒤처진다.
When deficits go undetected or unaddressed, physician performance and patient safety are jeopardized. For instance, performance problems in the domains of knowledge and professionalism have been linked to subsequent disciplinary action by state medical boards.7,8 Medical schools are investing their resources to prepare their students to effectively perform core clinical and communication skills in the USMLE Step 2 CS Exam,9,10 and residency programs are developing innovative methods of teaching and assessing competence in the six competency domains defined by the Outcome Project of the Accreditation Council for Graduate Medical Education,11 including those domains, such as professionalism, that previously received less attention.12 However, it remains unclear how a lack of competence should be addressed before advancement, and medical education lags behind other areas of education13 in developing robust strategies for remediation.

[학습 과학]은 의료 교육에서 교정 프로그램을 구조화하기 위한 지침을 제공한다. 예를 들어

  • 지식과 추론 문제를 다룰 때 학습자가 강력한 지식 구조와 표현(예: 스키마, 대본, 예시 및 프로토타입)을 구축할 수 있도록 돕는 데 중점을 두어야 한다.
  • 지식과 학습 기술(절차 및 커뮤니케이션)을 습득하기 위해 학생들은 의도적 연습(즉, 의식적이고 집중적인)에 참여해야 하며 피드백을 받아야 합니다.20 이러한 개입은 학습자가 깊이 생각하고, 건전하게 추론하고, 의도적이고 반복적으로 연습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 전문직업성의 결여를 해결하기 위해 학습자는 명시적인 지도, 지도된 실습, 멘토링된 성찰, 역할 모델에 대한 관찰 및 상호작용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The learning sciences offer guidance for structuring remediation programs in medical education. For example,

  • when dealing with knowledge and reasoning problems, the focus should be on helping learners to build strong knowledge structures and representations (e.g., schema, scripts, exemplars, and prototypes).14–19 
  • For both gaining knowledge and learning skills (procedural and communication), students need to participate in deliberate (i.e., conscious and focused) practice and need to receive feedback.20 These interventions assist learners in thinking deeply, reasoning soundly, and practicing deliberately and repetitively.
  • To remedy deficiencies in professionalism, learners may need explicit instruction, guided practice, mentored reflection, and observation of and interaction with role models.7,21–26

이 연구의 목적은 학부, 대학원 및 지속 교육의 교정 개입에 대한 문헌을 검토하고 이 문헌이 학습 과학의 연구와 일치하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것이었다. 특히, 교정조치에 사용된 개입을 식별하고, 교정조치가 대상이었던 영역을 조사하며, 교정 노력의 결과를 결정하기 위해 노력했다. 우리의 목표는 문헌과 학습 과학을 기반으로 이상적인 교정 모델을 개발하는 것이었다.
Our purposes in this study were to review the literature on remediation interventions in undergraduate, graduate, and continuing education and to determine whether this literature is congruent with research from the learning sciences. Specifically, we sought to identify interventions that have been used for remediation, to examine the areas that were targeted for remediation, and to determine the outcomes of remediation efforts. Our goal was to develop an ideal model of remediation based on the literature and on the learning sciences.

방법
Method

교정조치는 주정부의료위원회연합이 제안한 기준에 기초한 세 가지 구성요소를 갖는 것으로 정의했다.27

  • 첫째, 개인 수행의 결함은 평가 프로세스를 통해 식별된다.
  • 둘째, 개인에게 교정 교육을 제공하려는 시도가 있다.
  • 셋째, 교정 개입 후, 개인은 그 또는 그녀의 부족한 수행 영역에서 재평가된다.

We defined remediation as having three components that were based on criteria proposed by the Federation of State Medical Boards.27 

  • First, deficiencies in the individual's performance are identified through an assessment process.
  • Second, an attempt is made to provide remedial education to the individual.
  • Third, after the remedial intervention, the individual is reassessed in the area of his or her deficient performance.

문헌 탐색은 학부 의료 교육(UME), GME 및 면허 후 의사의 지속적인 의료 교육(CME)에서 발생한 교정 연구에 초점을 맞췄다. 2008년 4월까지 MEDLINE 데이터베이스에서 교정(치료 또는 교정 교육), 실무자 수준(의대생, 임상 사무원, 인턴십 및 레지던트, 의사) 및 기타 관련 용어(임상 역량, 프로그램 평가 또는 프로그램 개발, 교육 측정)와 관련된 용어를 사용하여 인용을 검색했다.멘트, 커리큘럼, 모델 및 멘토). 우리는 새로 출판된 연구를 식별하기 위해 2008년 10월까지 검색을 확장했다. 또한 검색된 관련 기사의 참고 문헌을 수작업으로 검색하여 해당 분야에 대한 개인적 지식을 바탕으로 기사를 확인하였습니다. 우리는 영어 연구를 포함하고 의견 기사, 검토 기사, 교정 그룹이 없는 커리큘럼에 대한 설명 및 교정 조사에 대해 제외했다.

The literature search focused on studies of remediation that took place in undergraduate medical education (UME), GME, and continuing medical education (CME) of postlicensure physicians. We searched the MEDLINE database through April 2008 for citations by using terms related to remediation (remediation or remedial teaching), level of practitioner (medical students, clinical clerks, internship and residency, and physicians), and other related terms (clinical competence; program evaluation or program development; educational measurement, curriculum, or model; and mentors). We extended the search through October 2008 to identify any newly published studies. In addition, we manually searched the bibliographies of relevant retrieved articles and identified articles from our personal knowledge of the field. We included English-language studies and excluded opinion articles, review articles, descriptions of curricula without a remediation group, and surveys on remediation.

우리는 Best Evidence Medical Education Collaboration Protocol을 기반으로 표준화된 데이터 추출 양식을 개발했다.28 각 기사에서 학습자/물리학자 수준 및 수, 연구 위치, 평가 설명, 기술 영역, 교정 기준(표준 설정), 교정 활동, 재시험 및 교정 결과 정보를 추출했다. 개입의 강도를 평가하기 위해 4단계 Kirkpatrick 계층을 사용하여 행동 영향 수준을 평가했습니다.29 우리는 다음과 같이 영향 수준을 정의했습니다. 

  • 레벨 0 = 기술 연구만(영향 평가 없음), 
  • 레벨 1 = 참여(참가자의 경험에 대한 관점 설명) 
  • 레벨 2a = 참가자의 태도/인식의 수정 
  • 레벨 2b = 참가자의 지식/스킬의 수정; 
  • 레벨 3 = 행동 변화(직장으로의 학습 전이에 대한 문서화) 
  • 레벨 4a = 교육 프로그램에 따른 돌봄 제공의 조직적 변화 확대 
  • 레벨 4b = 환자/수련생에 대한 혜택(교육 프로그램의 직접적인 결과로 환자/수련생의 건강/복지 개선) 

우리는 이 검토가 체계적인 검토가 아니었고 역량 평가에 사용된 측정치가 매우 가변적이었기 때문에 메타 분석을 수행하지 않았다.

We developed a standardized data-extraction form based on the Best Evidence Medical Education Collaboration protocol.28 We extracted the following information from each article: level and number of learners/physicians, study location, description of assessment, skill area, criteria for remediation (standard setting), remediation activities, retesting, and outcomes of remediation. We assessed the level of behavioral impact by using the four-level Kirkpatrick hierarchy to assess the strength of the intervention.29 We defined the levels of impact as follows:

  • Level 0 = descriptive study only (no assessment of impact);
  • Level 1 = participation (a description of the participants' views of the experience);
  • Level 2a = modification of participants' attitudes/perceptions;
  • Level 2b = modification of participants' knowledge/skills;
  • Level 3 = behavior change (documentation of the transfer of learning to the workplace);
  • Level 4a = wider changes in the organizational delivery of care attributable to the educational program; and
  • Level 4b = benefits to patients/trainees (any improvement in the health/well-being of patients/trainees as a direct result of an educational program).

We did not perform a meta-analysis because this review was not a systematic review and because the measurements used to assess competence were highly variable.

우리 중 한 명(K.E.H.)이 보건학 사서의 도움을 받아 문헌 검색을 수행했고, 다른 모든 저자들은 제목과 초록에 대한 검토를 바탕으로 보존 및 제외된 논문의 적절성을 검토하고 확인했다. 다음으로 UME팀(K.E.H., M.A.P., D.M.I.)과 GME팀(T.R.H., W.A.N., AC., P.K.T.)의 세 팀으로 구성되었다. 각 팀의 기사 요약본에 대해 다른 팀의 조사관 1명이 각 기사를 검토하여 정확성을 검증했습니다. 마지막으로 우리 세 명(K.E.H., M.A.P., D.M.I.)은 각각의 추상화된 기사와 추상화된 정보를 검토하여 정확성을 확인하고 추상화된 정보를 표준화했습니다. 우리는 검색 기준, 데이터 추출 및 연구 결과의 분류에 대한 불일치를 해결하기 위해 합의를 이용했다. 
One of us (K.E.H.) performed the literature search with the assistance of a health sciences librarian, and all other authors reviewed and confirmed the appropriateness of the retained and excluded articles on the basis of their review of titles and abstracts. Next, we worked in three teams—the UME team (K.E.H., M.A.P., and D.M.I.), the GME team (T.R.H., W.A.N., A.C., and P.K.), and the CME team (T.R.H. and W.A.N.)—to abstract each article. For each team's article abstracts, one investigator from another team reviewed each article to validate the accuracy. Finally, three of us (K.E.H., M.A.P., and D.M.I.) reviewed each abstracted article and the abstracted information to confirm accuracy and to standardize the abstracted information. We used consensus to resolve disagreements about search criteria, data extraction, and classification of study results.

 

결과.
Results

확인된 207개의 인용문 중 170개(63 UME, 43 GME, 64 CME)가 제목, 추상 및 관련 있는 경우 전문에 기초하여 추가 검토를 위해 선택되었다. 선정된 문서에는 방법(즉, 성능결손 확인, 교정조치 개입 및 개입 후 성과 재평가)에 열거된 교정조치의 세 가지 구성요소가 모두 포함되었다. 13개의 연구가 적격 기준을 충족했다. 그 결과는 여기와 부록 1에 설명되어 있다. 처음에 검토되었으나 제외된 기사는 성과-문제 식별만 또는 성과 재평가 없이 문제 식별과 교정조치에 대한 설명, 프로그램 책임자 또는 기타 교육자를 대상으로 성능 문제 또는 교정조치에 대한 설문 조사, 의견 조각 등 여러 가지 유형이었다.
Of 207 citations identified, 170 (63 UME, 43 GME, and 64 CME) were selected for further review on the basis of the title, abstract, and, when relevant, the full article. Selected articles contained all three components of remediation as listed in Methods (i.e., identification of performance deficit, remediation intervention, and reassessment of performance after intervention). Thirteen studies met eligibility criteria; the results are described here and in Appendix 1. Articles that were initially reviewed but excluded were of several types: descriptions of performance-problem identification only or of problem identification and remediation without reassessment of performance, surveys of program directors or other educators about performance problems or remediation, and opinion pieces.

스터디 자격 기준
Eligibility criteria for studies

UME.
UME.

의대생 적자deficit 해결을 다룬 기사는 임상 전 학생 관련 기사 1건, 임상 사무원 학생 관련 기사 6건 등 7건이었다. 두 개의 논문은 필기시험에 대한 낮은 점수를 다루고 지식을 향상시키는데 국한된 개입을 묘사했다. 30,31 다섯 개의 논문은 임상능력 부족을 식별하기 위해 표준화된 환자 검사를 사용했고, 한 개의 논문은 객관적인 구조화된 임상검사 형식을 지식평가와 결합하여 재교육을 필요로 하는 학생을 식별했다.34 실제 환자와의 임상 성과에 따른 학습자 결손 진단에 기초한 연구는 없었다.
Seven articles addressed the remediation of deficits of medical students, including one article that reported on preclinical students and six articles that reported on clinical clerkship students. Two articles portrayed interventions limited to addressing poor scores on written examinations and improving knowledge.30,31 Five articles used standardized patient examinations to identify clinical skills deficits,32–36 and one article combined the objective structured clinical examination format with knowledge assessments to identify students who needed remediation.34 No studies based the diagnosis of learner deficits on clinical performance with actual patients.

GME.
GME.

전공의의 적자deficit 해결을 다루는 두 연구 모두 지식 결손 전공의를 식별하기 위해 훈련 중 검사를 사용한 후 교정 조치를 제공했다. 한 교정 프로그램은 독서와 연구 기술을 통한 지식 습득을 다루었지만, 다른 교정 프로그램은 독서와 더불어 반복 임상 로테이션을 의무화했다.37
Both of the studies addressing the remediation of deficits of residents used in-training examinations to identify residents with knowledge deficits and then provided remediation.37,38 Whereas one remediation program addressed knowledge acquisition through a program of reading and study skills,38 the other mandated repeat clinical rotations in addition to reading.37

CME.
CME.


개업 의사 수준에서, 네 가지 연구는 의사의 개업을 평가하고 다양한 결함을 교정했다. 결손은 두 연구에서 동료 평가자에 의해 확인되었고, 다른 두 연구에서 면허 조직에 의해 확인되었으며, 두 연구 모두 교정 조치를 위해 자신을 언급한 일부 의사를 포함했다.

At the practicing physician level, four studies assessed physicians' practice and remediated a variety of deficiencies. Deficits were identified by peer assessors in two studies39,40 and by a licensing organization in two other studies,41,42 both of which included some physicians who had referred themselves for remediation.

방법론적 품질
Methodological quality

연구의 방법론적 질은 피실험자의 훈련 수준에 따라 달랐다. 학부생과 대학원생 모두 교육생을 평가하는 9개 연구 중 8개가 '참가자의 지식/스킬 수정'으로 커크패트릭 계층구조에서 레벨2b로 코딩됐다. 개업의에 대한 세 가지 연구는 수준 3으로 코딩되었다(행동 변화[직장으로의 학습 이전 문서]. 의사의 실무 행동은 전문가의 판단을 사용하여 교정 개입 후 평가되었다. 개업의에 대한 한 연구는 레벨 1(참가자의 경험에 대한 관점에 대한 설명)로 코딩되었다. 왜냐하면 주요 결과 척도는 개입에 참여한 의사가 자신의 학습 목표에 기초하여 스스로 평가한 행동 변화였기 때문이다.
The methodological quality of the studies varied with the subjects' training level. Eight of nine studies evaluating trainees, both undergraduate and graduate, were coded as Level 2b in the Kirkpatrick hierarchy for “modification of participants' knowledge/skills.”30–35,37,38 Three studies of practicing physicians were coded as Level 3 (behavior change [documentation of the transfer of learning to the workplace]). Physicians' practice behaviors were evaluated after the remediation intervention by using expert judgments.39,41,42 One study of practicing physicians40 was coded as Level 1 (participation [a description of the participants' views of the experience]) because the main outcome measure was a behavior change as self-assessed by the physicians involved in the intervention, on the basis of their own learning goals.

두 연구는 교정조치 기준을 설명하지 않았다.33,34 어떤 연구도 교정조치를 받지 않은 저성과자로 구성된 동시 대조군 그룹을 포함하지 않았다. 두 연구는 자체 평가나 만족을 넘어서는 재시험이나 재평가를 설명하지 않았다.36,40
Two studies did not describe the criteria for remediation.33,34 None of the studies included a contemporaneous control group of low performers who did not receive remediation. Two studies did not describe a retest or reassessment beyond self-assessment or satisfaction.36,40

 

교정된 스킬 영역
Remediated skill areas

UME 또는 GME를 다룬 9개 연구 중 6개는 필기 시험을 통해 확인된 지식 결손의 교정 방법을 설명했다. 이 9개 연구 중 4개는 임상 기술의 교정 조치에 초점을 맞추고, 그 4개 연구 중 1개는 지식 부족을 다루었다.35 면허 후 의사에 대한 4개 논문은 차트 검토, 차트 자극 리콜, 인터뷰를 통해 평가된 여러 기술을 포함하는 일반의 사무실 또는 하위 전문 사례의 교정 조치를 설명했다., 및 동료 평가.39-42
Six of the nine studies that addressed UME or GME described the remediation of knowledge deficits identified through written examinations.30,34,35,37,38,43 Four of these nine studies32,33,35,36 focused on remediation of clinical skills, and one of those four also addressed knowledge deficiencies.35 The four articles on postlicensure physicians described remediation of generalist office or subspecialty practice, which encompassed multiple skills assessed through chart reviews, chart-stimulated recall, interviews, and peer assessments.39–42

교정 결과
Outcomes of remediation

의대생 결손 교정 7개 연구는 지식의 필기시험, 30,31 표준화된 환자평가 또는 이 두 가지의 조합을 사용하여 재교육이 필요한 학습자를 진단했다. 이러한 연구 중 하나를 제외하고36은 교정조치 후 결과 측정과 동일한 평가를 사용했으며, 이 6개 연구는 점수 개선을 입증했다. 이러한 연구는 행동 변화에 대한 평가를 포함하지 않은 레벨 2b(지식/기술의 수정)로 분류되었다.
The seven studies on remediation of the deficits of medical students used written examinations of knowledge,30,31 standardized patient assessments,32,33,35,36 or a combination of the two34 to diagnose learners in need of remediation. All but one of these studies36 used the same assessments as outcome measures after remediation, and those six studies demonstrated improvements in scores. These studies were classified as Level 2b (modification of knowledge/skills), which did not include any assessment of behavior change.

GME 수준에서 두 연구는 교육 내 검사를 통해 학습자 결함을 진단하고 교수 멘토링(수술)38 또는 추가 임상 순환(방사선학)을 포함한 개별 연구 계획을 통해 이러한 결함을 교정했다.37 결과는 교육 중 검사와 후속 검사 점수로, 대부분의 참가자들에게 개선되었다. 이 연구들은 또한 레벨 2b로 분류되었다.
At the GME level, the two studies diagnosed learner deficiencies through in-training examinations and remediated those deficiencies through individualized study plans that included faculty mentoring (surgery)38 or additional clinical rotations (radiology).37 Outcomes were in-training examination and subsequent examination scores, which improved for most participants. These studies also were classified as Level 2b.

개업 의사를 검사하는 네 가지 연구 모두 캐나다에서 왔다. 그들은 차트 검토, 차트 자극 리콜, 인터뷰를 포함한 방법 조합을 사용하여 의사의 실제 임상 실습에서 성능 부족을 진단했다. 연구 중 2개는 동료 평가를 사용했다. 39,40개 중 3개는 면접관 또는 차트 리뷰에 의해 평가된 교정 후 개선된 외래 임상 관행을 보여주었고, 그 영향은 수준 3으로 분류되었다(행동 변화[직장으로의 학습 이전 문서]. 한 연구40은 프로그램에 대한 의사의 만족도를 평가했고 참가자들이 그들의 수행이 향상되었다고 느낀다는 것을 보여주었습니다; 이 연구는 레벨 1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류되었습니다(참가자들의 경험에 대한 관점에 대한 설명)되었습니다.
All four of the studies examining practicing physicians came from Canada.39–42 They diagnosed performance deficiencies in physicians' actual clinical practice by using a combination of methods including chart review, chart-stimulated recall, and interviews. Two of the studies used peer assessments.39,40 Three of them showed improved outpatient clinical practice after remediation, as rated by interviewers or chart reviews, and their impact was classified as Level 3 (behavior change [documentation of the transfer of learning to the workplace]).39,41,42 One study40 assessed physician satisfaction with the program and showed that participants felt their performance had improved; this study was classified as having a Level 1 impact (a description of the participants' views of the experience).

논의
Discussion

교육 연속체에 걸친 의사의 결핍에 대한 교정조치에 대한 이 문헌 검토는 교정 효과의 평가와 결합된 교정조정을 설명하는 연구 결과를 놀랍게도 거의 도출하지 못했다. 우리가 확인한 연구는 대부분 소규모의 단일 기관 노력이었다. 교정조치 노력을 평가하는 연구의 부족은 우려되는 부분이며, 더 큰 규모의 결과 기반 교정조치 개입을 수행하고 그러한 개입의 결과를 발표해야 할 필요성을 강조한다.
This review of the literature on remediation of the deficiencies of physicians across the educational continuum yielded surprisingly few studies that described remediation interventions coupled with assessments of remediation efficacy. The studies that we did identify were predominantly small, single-institution efforts. This paucity of studies evaluating remediation efforts is concerning, and it highlights the need to perform more large-scale, outcome-based remediation interventions and to publish the results of those interventions.

의과대학이 교정조치에 이상적인 위치로 보일 수 있기 때문에, 우리는 UME에서 교정 노력을 평가하는 여러 연구를 찾을 것으로 예상했다. 그러나, 의대생의 임상 기술에 대한 교정조치의 결과를 설명한 연구는 단 세 가지뿐이었다. 의대생은 필요할 때 치료를 받을 수 있는 주요 후보이다. 학생들은 환자에 대한 직접적이고 감독되지 않은 책임 없이 훈련 환경에서 기능하기 때문에 고용주와 고용인의 계약 문제가 없으며, 실제 레지던트나 의사보다 더 직접적인 임상 감독을 받는다. [발달 교육]은 대학 수준에서 일하는 사람들이 사용하는 개념적 프레임워크로, 여기서 재교육은 (과목 내 학업, 교수진의 조언 및 멘토링, 의료 훈련의 다른 측면을 통해) 개별 학생들이 학문적으로나 개인적으로 성숙할 수 있도록 돕는 포괄적인 노력을 포함한다. 이러한 유형의 접근법은 임상적 책임을 지는 레지던트 의사보다 의대생에게 더 실현 가능하다.

Because medical school would seem the ideal location for remediation, we anticipated finding multiple studies evaluating remediation efforts in UME. However, only three studies described outcomes of remediation of medical students' clinical skills.32,33,35 Medical students are prime candidates for remediation when needed. Because students function in a training environment without direct, unsupervised responsibility for patients, they are free of employer–employee contractual issues, and they receive more direct clinical supervision than do residents or physicians in practice. Developmental education is a conceptual framework used by those working at the college level, in which remediation incorporates comprehensive efforts to help individual students mature both academically and personally through course work, advice and mentoring from faculty, and other aspects of their medical training.13 This type of approach would be more feasible for a medical student than for a resident physician who shoulders clinical responsibilities.

전공의 교정 조치의 결과를 평가하는 유일한 연구는 지식에 초점을 맞췄지만 역량의 다른 핵심 영역에는 초점을 맞추지 않았다. 전공의가 감독 주치의의 직접적인 관찰 없이 독립적으로 실천하지만, 성과 부족을 입증하는 거주자의 임상 기술 교정을 다룬 연구는 없었다. GME에 발표된 교정조치 개입이 부족한 몇 가지 이유가 있을 수 있다. 교정조치는 많은 자원을 투자해야 하며, 의료 서비스를 제공하는 데 레지던트가 필요하다. 교정조치 참여를 위해 임상 의무에서 제거하는 것은 어려울 수 있다. 교정조치는 검증되지 않은 방법과 일화적인 결과를 사용하여 개별적으로 수행될 가능성이 높다.44 레지던트 프로그램 책임자는 의대생 교육자와 달리 레지던트와의 고용주-고용주 관계에 내재된 법적 정책에 의해 제한된다고 느낄 수 있다. 교육 중 검사에 대한 의존도는 이러한 지식 기반 검사의 사용 가능 여부도 반영합니다. 이러한 도구는 임상 실무의 평가에 침투하는 교란 요인으로부터 자유로운 거주자의 지식 숙달 테스트 및 재테스트 메커니즘을 효율적으로 제공한다.

The only studies we found evaluating the outcomes of resident remediation focused on knowledge, but not on any other of the core domains of competence. Although residents practice independently, usually without direct observation by their supervising attendings, no studies addressed the remediation of the clinical skills of residents demonstrating performance deficits. There may be several reasons for the lack of published remediation interventions in GME. Remediation requires a large investment of resources, and residents are needed to staff clinical services; removing them from clinical duties for participation in remediation can be challenging. Remediation is likely to be conducted on an individual basis by using untested methods and anecdotal outcomes.44 Residency program directors, unlike medical student educators, may feel limited by the legal policies inherent in their employer–employee relationship with the resident. The reliance on in-training examinations also reflects the availability of these knowledge-based examinations. These instruments efficiently provide a mechanism for testing and retesting residents' mastery of knowledge free from the confounders that pervade assessments of clinical practice.

실제 의사의 결손에 대한 교정 연구는 환자와 함께 임상 성과를 조사한 유일한 연구였다. 훈련생에 대한 연구는 서면 및 임상 기술 검사를 통해 얻은 성과 측정에 의존했다. 검사에 기반한 평가에서 실제 임상 실습에 기반한 평가로 초점을 전환하는 것은 지식과 기술의 습득에서 임상 실습으로의 의사의 전문적 발전 과정을 반영한다. 양질의 환자진료는 환자에게 서비스를 제공하는 동안 임상 및 의사소통 능력을 모두 갖춘 지식의 통합이 필요하기 때문에 본질적으로 평가가 어렵다. Dreyfus의 전문지식 개발 모델45와 Miller의 피라미드46은 비슷하게, [역량의 최고 수준]에 도달한 의사는 각각의 사례를 더 넓은 맥락에서 이해하고, 일반적인 패턴에 맞지 않는 요소를 인식하고, 성숙한 판단을 할 수 있다고 강조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우리가 식별한 실제 의사의 교정조치에 대한 네 가지 연구에서, 치료 개입의 평가 결과는 환자 만족도 또는 개선된 조치와 같은 "더 어려운" 결과 측정과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부드럽다"(예: 의사 인터뷰, 차트 검토, 프로세스에 대한 의사 만족도) 질병 통제 능력을 가지고 있다.
The studies of remediation of the deficits of physicians in practice were the only studies we found that examined clinical performance with patients; studies of trainees relied on measures of performance obtained through written and clinical skills examinations. This shift in focus from assessments based on examinations to assessments based on actual clinical practice reflects the progression of a physician's professional development from the acquisition of knowledge and skills to clinical practice. High-quality patient care is inherently difficult to assess because it requires integration of knowledge with both clinical and communication skills during service to patients. The Dreyfus model of the development of expertise45 and Miller's pyramid46 similarly emphasize that, at the highest levels of physician competence, physicians can understand each case in a broader context, recognize elements that do not fit usual patterns, and exercise mature judgment. Nevertheless, in the four studies of remediation of physicians in practice that we identified,39–42 the assessed outcomes of the remedial intervention were relatively “soft” (e.g., physician interviews, chart reviews, and physician satisfaction with process) in comparison with “harder” outcome measures, such as patient satisfaction or improved measures of disease control.

치료를 위한 제안된 모델
Proposed model for remediation

교정조치에 대한 문헌과 학습 과학에서 선별된 연구에 대한 검토를 바탕으로, 우리는 기존 노력을 강화할 수 있는 성공적인 [교정 프로그램의 필수 요소]를 제안한다. 강력한 교정 프로그램의 4가지 핵심 구성요소는 다음과 같습니다. 

  • (1) 여러 평가 도구를 사용하여 결함을 확인하는 초기 평가(또는 선별) 
  • (2) 개별화된 학습 계획의 개발 및 문제 진단 
  • (3) 의도적인 실습, 피드백 및 성찰을 포함하는 지침의 제공, 
  • (4) 역량의 재평가 및 인증(그림 1)

On the basis of our review of the literature on remediation and selected studies in the learning sciences, we propose essential elements of successful remediation programs that would enhance existing efforts. These four core components of a powerful remediation program would be

  • (1) initial assessment (or screening) using multiple assessment tools to identify deficiencies,
  • (2) diagnosis of problems and development of an individualized learning plan,
  • (3) provision of instruction that includes deliberate practice, feedback, and reflection, and
  • (4) reassessment and certification of competence (Figure 1).

 

[교정조치의 첫 번째 구성요소]에는 교정조치가 필요한 개인의 식별과 성능결손 진단이 포함된다. 교정조치에는 교육생과 의사가 부족한 경우 이를 식별하기 위한 [복수의 신뢰할 수 있고 유효한 평가 도구]가 필요하다.47 결함(예: 지식, 임상 및 의사소통 기술 또는 전문성)은 여러 역량 영역에 존재할 수 있기 때문에 [복수의 평가가 필요]하다. 이들은 단일 도구보다 결함을 식별할 가능성이 더 높다.13 이러한 평가 도구의 예는 다음과 같다. 

  • 관찰된 실제 환자와의 만남, 표준화된 환자 만남, 임상 추론의 서면 또는 웹 기반 평가, 기록 검토, 차트 자극 리콜, 감독자 및 동료 관찰, 지식의 객관식 검사.

이러한 평가 양식은 결함을 발견할 뿐만 아니라 확인된 필요 영역으로 교정 전략을 안내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

The first component of remediation includes the identification of those individuals who need remediation and the diagnosis of the performance deficits. Remediation requires multiple, reliable, and valid assessment tools for identification of trainees and physicians with deficiencies.47 Because deficiencies may exist in many domains of competence (e.g., knowledge, clinical and communication skills, or professionalism), multiple assessments are required; they are more likely to identify deficiencies than is a single tool.13 Examples of these assessment tools include

  • observed encounters with actual patients, standardized patient encounters, written or Web-based assessments of clinical reasoning, record reviews, chart-stimulated recall, supervisor and peer observations, and multiple-choice examinations of knowledge.

These assessment modalities not only uncover deficiencies but also can help guide remediation strategies to the identified areas of need.

영국에서 동료 평가와 지식 및 임상 기술 테스트를 결합한, 실무적으로 잘 수행되지 않는 의사를 식별하는 2단계 접근법이 제안되었다.48 학생 수준에서 결손을 진단하는 경우, 임상 능력 검사의 성과 문제는 다음의 6개 영역으로 구분되었다. 

  • 지식 기반, 
  • 임상 추론, 
  • 병력 청취, 
  • 신체 검사, 
  • 커뮤니케이션, 
  • 전문직업성

이러한 범주는 GME와 실무 의사 모두에게 적용된다.
A two-step approach to the identification of poorly performing physicians in practice, combining peer assessment with tests of knowledge and clinical skills, has been proposed in the United Kingdom.48 For diagnosing deficits at the student level, performance problems in clinical skills examinations have been characterized in six domains:

  • fund of knowledge,
  • clinical reasoning,
  • history-taking,
  • physical examination,
  • communication, and
  • professionalism.49 

These categories are applicable for both GME and practicing physicians.


[교정 프로그램의 두 번째 구성요소]는 두 부분으로 구성된다. 

  • (1) 성능 저하를 초래한 근본적인 문제의 진단 및 
  • (2) 학습자 특성과 확인된 요구에 기반한 개별화된 학습 계획의 개발. 

문제의 진단 후, 이러한 계획의 개발은, [허용가능한 성과에 대한 명확한 기대의 표현]을 포함한다. 다음으로 학습자는 이러한 [외부 기준에 비추어 자신의 성과를 정확하게 평가하기 위한 가이드]와 함께, [자기성찰과 개선계획 수립을 위한 코칭]이 필요하다. 학습자가 항상 정확한 자가 평가자는 아니기 때문에 전문가의 지도가 필수적이다. 개인의 장단점을 잘 아는 멘토가 개별화된 학습계획을 수립하는 데 도움이 된다. 이 교정조치가 필수사항인지 선택사항인지, 교정조치 시행 비시행의 결과가 무엇인지 명확해야 한다.

The second component of a remediation program has two parts:

  • (1) diagnosis of the underlying problem that led to the performance deficits and
  • (2) development of an individualized learning plan based on learner characteristics and identified needs.

The development of such a plan involves, after the diagnosis of the problem, an articulation of clear expectations for acceptable performance. Next, learners need guidance in assessing their own performance accurately in light of this external standard, as well as coaching in self-reflection and in planning for improvement. Because learners are not always accurate self-assessors, guidance from an expert is essential. A mentor who is familiar with the individual's strengths and weaknesses is helpful for establishing an individualized learning plan. There should be clarity about whether this remediation is required or voluntary and about what the consequences of remediation or nonremediation will be.

[교정 프로그램의 세 번째 구성요소]는 규정된 학습 활동의 제공이다. 이러한 진단 및 반사 과정에 기초하여 일련의 [구체적인 경험이 규정]되어야 합니다. 학생의 필요에 따라 개인적이고 전문적인 개발을 위한 다양한 서비스를 추천하는 것도 적절할 수 있다.

  • 임상 기술이 부족한 의대생은 인지적 결손과 비인지적 결손이 공존할 수 있다. 따라서 지식을 습득하는 것과 관련된 인지 전략, 사전 지식의 활성화 및 연결, 권장 표준에 대한 이론적 근거의 이해, 그리고 실제로 지식의 적용과 사용이 필요할 수 있다.
  • 전문직업성과 관련된 문제는 문제가 있는 행동을 식별하고, 그러한 행동의 기능 장애 성격에 대한 이유를 제시하며, 예의, 존중, 신뢰성과 같은 새로운 행동을 실천하는 것을 포함하는 행동 접근법을 통해 더 잘 해결될 수 있다.

The third component of the remediation program is the provision of the prescribed learning activities. On the basis of this diagnostic and reflective process, a set of specific experiences should be prescribed. It may also be appropriate to recommend a range of services for personal and professional development, tailored to the student's needs.13 

  • Medical students with deficiencies in clinical skills may harbor coexisting cognitive and noncognitive deficits.49 Thus, cognitive strategies associated with gaining knowledge, activation of and connection to prior knowledge, an understanding of the rationale for recommended standards, and the application and use of knowledge in practice may be needed.
  • Problems with professionalism may be better addressed through a behavioral approach that involves identifying the problematic behaviors, offering rationales for the dysfunctional nature of those behaviors, and practicing new behaviors, such as courtesy, respect, and reliability.


규정된 교정조치 활동은 참가자에게 [피드백이 뒤따르는 의도적인 연습의 기회]를 제공해야 한다. 이러한 활동에는 다음이 포함될 수 있다. 

  • 가이드된 임상 경험,
  • 시뮬레이션 또는 표준화된 환자를 사용한 실습,
  • 학습 및 지식 시험,
  • stimulated recall을 동반한 의료 차트 검토
  • 임상 성과 관찰

The prescribed remediation activities should offer participants opportunities for deliberate practice followed by feedback. These activities might include

  • guided clinical experience,
  • practice with simulations or standardized patients,
  • study and knowledge testing,
  • review of medical charts with stimulated recall, and
  • observation of their clinical performance.

성공의 열쇠는 [구체적이고 시기적절한 피드백을 제공할 수 있는 숙련된 감독관의 지도 아래 신중하고 의도적인 연습]이다. 절차적 기술 훈련에서 시뮬레이터의 유용성은 임상 시뮬레이터의 정교화가 이러한 유형의 실천에 대한 기회를 제공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새로운 임상 문제에 직면하는 것을 배우는 학생의 수준에서든, 복잡한 상태의 여러 환자를 치료하는 의사의 수준에서든, [인지적 접근]은 참가자들에게

  • 환자 프레젠테이션에 의해 제기된 개념에 대해 생각하도록 안내하고,
  • 사례의 다른 측면 및 유사한 임상 문제에 관한 기존 지식과 어떻게 관련되는지 검토하게 하며,
  • 어떻게 그 지식이 미래 사례에 적용될 수 있는지 파악하게 한다.

The key to success is deliberate, conscious practice under the guidance of experienced supervisors who can offer specific and timely feedback. The usefulness of simulators in procedural skills training50 suggests that the increasing sophistication of clinical simulators may offer opportunities for this type of practice. Whether at the level of a student who is learning to face new clinical problems or that of a practicing physician who is treating multiple patients with complex conditions, a cognitive approach would guide participants in

  • thinking about the concepts raised by patient presentations,
  • examining how they relate to other facets of the case and to prior knowledge of similar clinical problems, and
  • discerning how that knowledge can be applied to future cases.

이러한 유형의 [인지적 전략]은 또한 잘못된 감별 진단으로 인해 병력 청취에서 올바른 질문을 하지 못하는 것, 잘못된 임상 추론으로 인해 신체 검사의 중요한 요소 수행을 실패하는 것과 같은 문제에 적합할 수 있다. 교정조치 참여자는 임상 문제 해결, 감별 진단 및 관리 계획 생성, 다른 진단 및 치료 전략 분석을 연습하기 위해 [문제 기반 학습 형식에서의 튜터] 또는 [표준화된 환자 또는 실제 환자]를 가지고 연습할 수 있다.

This type of cognitive strategy might also be suited to problems with clinical skills that stem from faulty clinical reasoning, such as a failure to ask the right questions in taking the history or a failure to perform important elements of the physical examination because of an incorrect differential diagnosis. Participants in remediation might work individually with a preceptor in a problem-based learning format or with standardized or actual patients to practice addressing clinical problems, generating differential diagnoses and management plans, and analyzing different diagnosis and treatment strategies.

반대로, 가르치고 측정할 수 있는 관찰 가능한 행동을 강조하는 [행동적 접근법]기술 문제에서 발생하는 역량을 더 잘 다룰 수 있다. 예를 들어, 신체 검사의 잘못된 수행은 표준화된 환자와의 연습을 통해 교정될 수 있다. 그 다음에 전문가 관찰자가 피드백을 제공하고 성과와 관련된 행동을 코칭 및 평가해주는 것이 좋다. 이 접근법은 학습자가 자신의 성과를 검토하고 원하는 표준과 어떻게 비교하는지 평가할 수 있는 성찰 능력을 개발하도록 돕는 [인지적 노력]이 함께 이뤄지면 더욱 강화될 것이다. [행동 중 성찰]은 자신의 행동이 일어날 때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그 분석에 기초하여 행동을 수정하는 행위이다. 교정 대상자의 경우 이러한 성찰 능력 수준을 달성하려면 벤치마크에 대한 상당한 통찰력과 이해가 필요하다. 무슨 학습 전략을 선택하든, 재교육을 위해서는 피드백이 포함된 여러 가지 형태의 연습이 필요하다.

In contrast, a behavioral approach, which emphasizes observable behaviors that can be taught and measured, might better address dyscompetence arising from problems with technique. For instance, incorrect performance of the physical examination can be remediated through practice with standardized patients, after which expert observers provide feedback and coaching and evaluate the behaviors associated with performance. This approach would be bolstered by simultaneous cognitive efforts to help learners develop reflective abilities that will allow them to review their own performance and evaluate how it compares with the desired standard. Reflection-in-action (also called meta-cognition) is the act of analyzing the impact of one's actions as they are occurring and modifying one's behavior on the basis of that analysis.51 In a candidate for remediation, this level of reflective ability would require significant insight into and understanding of the benchmark to be attained. Regardless of the learning strategy selected, multiple forms of practice with feedback will be required for remediation.

[교정조치의 네 번째이자 마지막 구성요소]는 역량을 인증할 수 있도록 허용 가능한 수준의 성과를 달성했는지 확인하기 위한 [참가자의 재시험]이다. 재시험은 원래 결함이나 역량이 없는 영역을 식별하기 위해 사용되었던 것과 동일한 검사 양식을 포함할 수도 있고, 선택된 난이도를 다루는 더 맞춤화된 평가 방법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이 보고서에서는, 교정 노력이 성공했으며 참가자가 역량을 갖추었다고 간주된다고 가정했다. 그러나 의료 교육 리더와 면허 위원회는 교정조치가 원하는 결과를 달성하지 못할 경우 적절한 조치를 취해야 한다.52 이러한 교정조치의 노력은 환자의 성과 변화와 환자 결과 및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입증하기 위한 결과 기반 연구와 결합되어야 한다.

The fourth and final component of remediation is the retesting of participants to ensure that acceptable levels of performance have been achieved, so that competence can be certified. Retesting may involve the same examination modalities as were originally used to identify deficiencies or areas of dyscompetence, or it may involve more-customized assessment methods addressing selected areas of difficulty. In this report, we assumed that remediation efforts have succeeded and that the participant was deemed competent. However, medical education leaders and licensing boards need to take appropriate action if remediation does not achieve the desired result.52 These remediation efforts must be coupled with outcomes-based research to demonstrate a change in performance with patients and the effect on patient outcomes and satisfaction.

  • 재교육 노력은 UME 수준에서 가장 흔히 이뤄지는데, 이는 학습자에 대한 중앙 집중식 감독이 있고 평가가 교육 환경의 일상적인 부분이기 때문이다.
  • GME 수준의 교정조치는 결함을 식별하고 교정조치의 영향을 측정하기 위해 기존 평가 시스템을 활용해야 한다. 발달적 노력developmental effort은 기존 측정 시스템이 효과적으로 대상으로 하지 않는 역량의 평가와 교정조치에 초점을 맞추어야 한다.
  • CME 수준에서 교정조치를 구현하는 것은 더 어렵다. 왜냐하면 의사의 독립적 문화, 실제로 의사를 관찰하는 것의 로지스틱한 어려움, 그리고 UME 및 GME 환경에 존재하는 것과 유사한 평가 시스템의 부재 때문이다.
  • Efforts at enhancing remediation are most likely to occur at the UME level, where there is centralized oversight of the learners and where assessment is a routine part of the educational environment.
  • Remediation at the GME level should take advantage of existing assessment systems to identify deficiencies and measure the impact of remediation; developmental efforts should focus on assessing and remediating competencies not effectively targeted by existing measurement systems.
  • Implementing remediation at the CME level is more daunting because of the culture of physician independence, the logistical challenges of observing physicians in practice, and the absence of assessment systems comparable with those present in UME and GME settings.


학습자는 일반적으로 교정이 필요한 것으로 식별되는 것을 꺼려하며, 기관 역시 특정 의료인을 재교육 대상자로 식별하기를 주저할 수 있는데, 이는 재교육에 대한 전문성이 부족하거나, 재교육 서비스를 제공할 의사가 없기 때문이다.5 역량이 인정된 교육생 또는 의사교정조치 에드가 부끄럽거나 낙인처럼 느껴질 수 있다. 학생들은 교정 과정 동안 어느 정도 익명성과 안전성을 제공하는 환경으로부터 이익을 얻을 것이다. 그러나 낙인-없는 접근법이 가장 이상적이거나, 가능하지 않을 수 있다. 그것은 또래에 비해 학습자의 수행 상태에 대한 혼란을 초래할 수 있고, 자신의 결핍의 심각성에 대한 이해를 최소화할 수 있다. 우리가 검토한 한 연구는 학습자의 역량에 대한 교정 조치에 다소 대중적으로 초점을 맞추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신중하게 설계된 그룹 워크숍이 학습자들에 의해 높은 평가를 받았다는 것을 발견했다.36

Learners are generally reluctant to be identified as needing remediation, and institutions may manifest similar reluctance to identify practitioners as needing remediation because the institutions lack expertise in remediation or are unwilling or unable to provide remedial services.5 A trainee or physician with recognized dyscompetence who is in need of remediation may be embarrassed or may feel stigmatized. Students will benefit from an environment that affords some anonymity and safety during the remediation process. However, a stigma-free approach may not be optimal or possible. It can lead to confusion among learners about the status of their performance relative to that of their peers, and it can minimize an understanding of the severity of one's deficiencies.32,53 One study we reviewed found that carefully designed group workshops were rated highly by learners, despite the somewhat public focus on remediation of their dyscompetence.36

재교육의 중요성은 [재교육의 높은 비용]과 비교하여 가중치를 부여해야 한다. 대학 수준에서 교정조치에 대한 비용은 기관 및 정책 입안자에게 큰 부담을 준다.54 특히 집중적인 교정조치가 필요한 학습자의 수가 적을 수 있는 의료 교육 환경에서 교정조치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한 한 가지 접근방식은 [기관 간 협력 프로그램]의 구현이다. 기관과 다소 인위적인 UME-GME-CME 장벽을 포괄하고 지식, 자원 및 경험을 결합한 협업 노력이 시작되는 것이 바람직해 보인다. 특정 센터는 교정조치에 대한 전문지식과 자원을 개발하고 전국의 교육 프로그램이나 병원의 의뢰 센터가 될 수 있다.555 이 비용 효율적인 모델은 교정조치에 전문지식을 집중할 수 있다. 문헌 검색 날짜 이후에 기술된 또 다른 효율적인 교정 전략은 학습자가 스스로 그리고 교수진의 지도를 통해 자신의 성과를 자체 평가하여 잠재적인 개선 영역을 파악하는 것이었다.56
The critical importance of remediation must be weighted against the high cost of remediation interventions. At the college level, the expense of remediation challenges institutions and policy makers.54 One approach to increasing the efficiency of remediation, particularly in the medical education setting in which the numbers of learners needing intensive remediation may be small, is the implementation of collaborative programs across institutions. It seems desirable for collaborative efforts to be launched that span institutions and the somewhat artificial UME–GME–CME barriers and that combine knowledge, resources, and experience. Certain centers could develop expertise and resources for remediation and become referral centers from training programs or hospitals around the country.5,55 This cost-effective model would concentrate expertise in remediation. Another efficient remediation strategy, described after the dates of our literature search, involved learners' self-assessment of their performance, both on their own and with faculty guidance, to identify potential areas for improvement.56

이번 문학평론에는 몇 가지 한계가 있다. 부정적인 결과가 포함될 가능성이 더 높은 국가 전문가 회의의 초록은 검토하지 않았다. 따라서, 우리의 연구 결과는 출판 편향과 전국의 재교육 노력에 대한 과소 보고의 대상이 될 수 있다. 검토한 연구의 방법론적 질은 기껏해야 중간 정도였으며, 이러한 연구의 결과는 행동 변화로 이어질 교정 노력에 대한 확실한 결론을 허용하지 않는다. 하지만, 우리는 또한 학습 과학을 지침으로 삼았습니다.
This literature review has several limitations. We did not review abstracts from national professional meetings, which might be more likely to include negative results. Thus, our findings may be subject to publication bias and underreporting of remediation efforts around the country. The methodologic quality of the studies reviewed was moderate at best, and the findings from these studies do not allow firm conclusions about remediation efforts that will lead to behavior change. However, we also drew on the learning sciences for guidance.

결론
Conclusion

모든 수준의 의료 교육에서 교정조치의 "모범 사례"를 안내할 수 있는 증거는 놀랍게도 거의 없다. 우리의 연구 결과는 미래 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결정하기 위해 무능하고 경쟁력이 떨어지는 훈련생과 의사의 결핍을 교정하기 위한 전략에 대한 다중 기관, 결과 기반 연구가 절실히 필요하다는 것을 강조한다. 그러한 연구가 없다면, 우리는 적은 수의 이용 가능한 연구와 학습 과학의 문헌으로부터 추론해야 한다. 이러한 자원은 사실 모두 결함을 식별하기 위한 여러 평가 도구, 개별화된 지침, 피드백과 성찰에 따른 의도적인 실천 및 재평가를 포함하는 모델을 가리킨다.

There is surprisingly little evidence to guide “best practices” of remediation in medical education at all levels. Our findings highlight the dire need for multiinstitutional, outcomes-based research on strategies for remediation of the deficiencies of incompetent and less- than-competent trainees and physicians, accompanied by long-term follow-up, to determine the impact on future performance. Absent such research, we are left to extrapolate from the small number of available studies and from the literature in the learning sciences. These resources do, in fact, all point to a model that includes multiple assessment tools for identifying deficiencies, individualized instruction, deliberate practice followed by feedback and reflection, and reassessment.

 


 

Acad Med. 2009 Dec;84(12):1822-32.

 doi: 10.1097/ACM.0b013e3181bf3170.

 

Remediation of the deficiencies of physicians across the continuum from medical school to practice: a thematic review of the literature

Affiliations collapse

Affiliation

1Department of Medicine, University of California, San Francisco School of Medicine, San Francisco, California 94143-0131, USA. karen.hauer@ucsf.edu

PMID: 19940595

DOI: 10.1097/ACM.0b013e3181bf3170

Abstract

Despite widespread endorsement of competency-based assessment of medical trainees and practicing physicians, methods for identifying those who are not competent and strategies for remediation of their deficits are not standardized. This literature review describes the published studies of deficit remediation at the undergraduate, graduate, and continuing medical education levels. Thirteen studies primarily describe small, single-institution efforts to remediate deficient knowledge or clinical skills of trainees or below-standard-practice performance of practicing physicians. Working from these studies and research from the learning sciences, the authors propose a model that includes multiple assessment tools for identifying deficiencies, individualized instruction, deliberate practice followed by feedback and reflection, and reassessment. The findings of the study reveal a paucity of evidence to guide best practices of remediation in medical education at all levels. There is an urgent need for multiinstitutional, outcomes-based research on strategies for remediation of less than fully competent trainees and physicians with the use of long-term follow-up to determine the impact on future performance.

비판적 리뷰: 의과대학생의 유급 이후 동기부여(Adv in Health Sci Educ, 2016)
Critical review: medical students’ motivation after failure
Chris Holland1

 

 

소개
Introduction

의과대학에 입학한 후 의대생들은 배움과 발전을 위한 힘들고 긴 여정을 시작한다. 학생들은 종종 실제 적용에 거의 의존하지 않고, 많은 양의 사실 자료를 배워야 하는 요구에 직면하게 되며, 이러한 지식의 많은 양이 젊은 의사들에게 졸업할 때쯤에는 쓸모없는 것redundant이 될 것이다(Evensen et al. 2001, 페이지 660). 이 여정을 진행하는 동안 일부는 실패를 경험함으로써 좌절감을 겪게 될 것이고, 여행을 계속할 것인지 여부를 선택해야 할 것이다.

After they attain a place in medical school medical students embark on an arduous and life-long journey of learning and development. Students are faced with the requirement to learn large amounts of factual material, often with little recourse to practical application, and large amounts of this knowledge will have become redundant for the young doctor by the time they graduate (Evensen et al. 2001, p. 660). In the course of this journey some will suffer setbacks by experiencing failure and will have to choose whether to continue their journey or not.

이 비판적 검토의 목적은 실패를 경험하는 의대생들이 실패에 대한 적응을 통해 어떻게 더 잘 지원되고 지도될 수 있는지에 대한 미래 연구를 알리는 개념적 프레임워크를 수립하여 그들이 경험으로부터 배우고 전문 의사로서의 미래 실습에 통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의대생들이 실패를 만났을 때 채택할 수 있는 개인적인 접근법과 이러한 접근법이 이번 실패의 에피소드에 이어 학생들에게 도움이 되는지, 동기 부여에 장애가 되는지에 초점을 맞출 것이다. 그런 다음 의대생들의 공부 방법 및 동기, 동기 부여에 대해 현재 알려져 있거나 이론화된 내용을 개략적으로 설명하겠습니다. 이것은 의과대학에서의 실패의 맥락이 특정한 접근법과 동기를 가진 학생들에게서 어떤 행동을 불러일으킬 수 있는지에 대한 토론으로 이어진다. 마지막으로 향후 학생 지원 프로그램을 설계하고 평가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하겠습니다.
The aim of this critical review is to formulate a conceptual framework that will inform future research into how medical students who experience failure may be better supported and guided through their adjustment to failure so that they may learn from the experience and incorporate it into their future practice as a professional practitioner. I will focus on the personal approaches that medical students may adopt when they encounter failure and whether those approaches are helpful or a hindrance to student motivation subsequent to this episode of failure. I will then outline what is currently known, or theorised, about medical students’ approaches and motivations to study and the implications of their motivations. This is followed by a discussion of what behaviours the context of failure in medical school may evoke in students who hold particular approaches and motivations. Finally, I will suggest ways in which student support programmes might be designed and evaluated in the future.

문헌 검색
Literature search

검색어 "의대생" AND "실패*" AND("motive*" OR "epistem*")를 사용하여 Pubmed, ERIC, Web of Knowledge 및 Google Scholar를 2013년 10월 말에 검색했습니다. 1990년 이전에 발표된 기사는 처음에는 제외되었다. 이번 검색 결과 252편의 논문이 나왔는데, 그 중 요약본은 연구문제와 관련성이 있다고 읽혀 44편의 논문이 최종 선정됐다. 이러한 기사의 참조 목록과 인용문도 검토되었고 포화 상태가 될 때까지 차례로 해당 기사의 서지 목록도 검토되었다. 포화상태는 특정 기사의 참고 문헌 목록이 제시한 기사의 80%가 이미 선별되어 문헌 검색에서 포함되거나 제외되었을 때를 말한다. 이 과정의 두 번째 단계 동안 기사에 대한 출판 날짜 제한은 정해지지 않았으며, 과거에 다른 저자의 저작을 알렸던 특별히 중요한 이론적 글이나 연구의 조각들이 이 검색에서 제외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이 방법론은 총 89편의 글과 서적, 장서를 만들었으며, 대부분 이 작품을 제작하기 위해 인용되었다.

Using the search terms “medical student” AND “fail*” AND (“motive*” OR “epistem*”), Pubmed, ERIC, Web of Knowledge and Google Scholar were searched in late October 2013. Articles published before 1990 were excluded initially. This search produced 252 articles, the abstracts of which were read for relevance to the research question, resulting in a short-list of 44 articles. The reference lists and citations of these articles were also reviewed and the bibliography of those articles in turn and so on until saturation was achieved. Saturation was defined as when 80 % of the articles suggested by any particular article’s reference list had already been screened and either included or excluded from the literature search. Throughout the second stage of this process no publication date limit was set for articles, this was done to ensure that pieces of particularly significant theoretical writing or research that had informed other authors’ work written in the past were not excluded from this search. This methodology produced a total of 89 articles, books and book chapters, most of which were drawn on to produce this piece of work.

의대생들의 연구 접근법
Medical students’ approaches to study

연구 전략 인벤토리은 학생들이 신뢰할 수 있는 방법으로 공부하는 방법을 목록화하기 위해 이전에 개최되었습니다(Moon 2006, 페이지 121). 고등교육에서 학생들의 학습 전략을 설명하기 위해 흔히 사용되는 다양한 학습 전략 인벤토리들이 있습니다. Entwistle과 McCune(2004)은 의도적으로 글로벌 및 다문화적 관점을 취했고 영어권 세계에서 공통적으로 사용되는 6가지를 기술했다.
Study strategy inventories have previously been held to catalogue students’ approaches to study in a reliable way (Moon 2006, p. 121). There are various study strategy inventories commonly used in higher education to elucidate students’ study strategies. Entwistle and McCune (2004) deliberately took a global and multi-cultural perspective and described six in common use in the English-speaking world.

이것들이었다.
These were

  • Approaches to Studying Inventory
  • Study Processes Questionnaire
  • Inventory of Learning Processes—Revised
  • Learning and Study Strategies Inventory
  • Inventory of Learning Styles
  • Motivated Strategies for Learning Questionnaire.

 

  • 인벤토리 검사에 대한 접근 방식
  • 스터디 프로세스 설문지
  • 학습 프로세스 목록—개정
  • 학습 및 연구 전략 인벤토리
  • 학습 스타일 인벤토리
  • 학습 설문지를 위한 동기 부여 전략.

일곱 번째 목록인 학술 동기 척도는 프랑스어권 국가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현재 영어로 번역되어 영어권 연구에 사용되고 있다. Entwistle은 연구 인벤토리 접근법(ASI)의 주요 저자이다. Greasley와 Ashworth(2007)는 연구 목록을 검토하면서 Entwistle이 심리측정학자로서 "학습에 대한 학생들의 접근법에 대한 가장 풍부한 설명"을 달성했다고 주장했다.

A seventh inventory, the Academic Motivation Scale, is widely used in Francophone nations and has now been translated into English and is being used in Anglophone research situations. Entwistle is the major author of the Approaches to Study Inventory (ASI). The ASI was singled out for praise by Greasley and Ashworth (2007) who, in their review of study inventories, claimed that Entwistle, as a psychometrician, had achieved “the richest descriptions of student approaches to learning” (p. 839).

이러한 목록은 문제가 있지만, 학습자가 학습 또는 학습을 선호하는 방법에 따라 선진국(Scott 2010)에 널리 퍼져 있는 많은 문화적 신념과 일치할 수 있으며, 특히 의학 교육자들이 교육 교정과 관련하여 [알로패스적 은유]를 사용할 수 있다(Barone 2013). 다양한 인벤토리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증거는 많은 논쟁의 대상이 되며(Norman 2009), 이들은 학생 행동의 이러한 측면에서 [일정정도의 불변성]을 가정하지만 그렇지 않을 가능성이 가장 높다(Teunissen and Bok 2013). 어떤 인벤토리든, 그 인벤토리는 학생이 명시적으로 탐구하는 연구 접근법의 측면을 구별할 수 있을 뿐이다. 인벤토리에서 의대생이 보유한 [학습에 대한 사회적, 정서적, 직업적 측면]에 대한 통찰력을 추구하지 않는다면, 이런 측면들은 놓칠 것이다(매틱과 나이트 2009). 

These inventories are problematic though, the concept that learners’ can be categorised according to how they prefer to study or learn aligns with many cultural beliefs prevalent in the developed world (Scott 2010) and permits medical educators in particular to use allopathic metaphors concerning educational remediation (Barone 2013). The evidence that informs the various inventories is subject to much debate (Norman 2009), and they assume a degree of immutability in this aspect of student behaviour which is most likely not the case (Teunissen and Bok 2013). Any single inventory can only discern those aspects of students’ study approaches which it explicitly explores, if an inventory does not seek insights into the social, emotional and vocational aspects to their learning that medical students possess then they will be missed (Mattick and Knight 2009).

교육계의 [다양한 동기 이론]들에 대한 인식이 증가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쿠수르카 외(2012)는 지난 세기 동안 개발된 다양한 이론들에 대한 훌륭한 리뷰를 제공하고 있다) 그들은 일반적으로 현재의 공식적인 의료 커리큘럼의 발전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이론의 함의는 학생들의 학습 과정이 학생들이 무엇을 배우고 왜 배우는지 결정하는 방법만을 수반하는 것이 아니라, 그들은 또한 학생을 공부하는 데 있어 명시적으로 또는 암묵적으로 어떤 접근법에 의해 영향을 받을 것이라는 것이다. [특정 접근법을 뒷받침하는 동기]가 무엇이냐에 따라 [학생들이 공부할 때 어떤 선택을 내릴지]에 전혀 다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예를들면

  • 의대생들은 사회적, 정서적 맥락화뿐만 아니라 그들의 학업에 강한 직업 동기를 가져오고, 닥터가 되기 위한 강한 소명을 가진 학생은 이것을 그들의 환자의 이익을 위해 심층적 학습을 위한 동기 부여의 힘으로 사용할 수 있다.
  • 또는 직업적 욕구는 모든 평가를 잘 통과해야 한다는 압력에 대응하여 표면 학습과 같은 학습 전략을 채택하도록 유도할 수 있다(그리즐리와 애쉬워스 2007).
  • 특정한 평가가 어떤 형태로 이루어질지 알게 되면, 의도적으로 전략적 접근을 할 것이다 (Moon 2006, 페이지 122).

Despite growing awareness of the various theories of motivation in educational circles, (Kusurkar et al. (2012) provide an excellent review of the various theories developed during the last century), they have generally not influenced the development of current formal medical curricula. The implication of the theories is that students’ learning processes do not just involve how students decide what to learn and why they learn, they will also be influenced by which approach to studying a student either explicitly or implicitly utilises. The motivations that underpin a particular approach may result in disparate effects on the choices students make when studying. For example,

  • medical students bring a strong vocational motivation to their studies as well as social and emotional contextualisations and a student with a strong vocation to become a Doctor may utilise this as a motivational force to learn deeply and well for the good of their patients,
  • or their vocational desires may drive them to adopt study strategies, such as surface learning in response to the pressure to pass all assessments well (Greasley and Ashworth 2007), or
  • a deliberately strategic approach once they know what form any particular assessment will take (Moon 2006, p. 122).

건강관리 학생들은 일반적으로 대학 공부에 독특한 의도와 동기를 부여한다; [천직과 이타심]뿐만 아니라 이론과 실습을 연결하려는 [더 실용적인 욕망]도 학부생들에게서 흔히 볼 수 있다(Baxter et al. 2013) 그들이 과목의 실용적인 측면에 도달하기 위한 동기의 결과는, 전통적인 커리큘럼의 일부 의대생들이 유급 없이 진급하기 위해, 그들의 임상 전 학업에 본질적으로 [전략적이고 실용적인 접근법]을 채택하는 것이다. 그러다가 임상 의학의 실제 실행에 가면 완전히 다른 접근법을 자연스럽게 채택하게 될 것이다.

Healthcare students in general bring some unique intentions and motivations to their university studies; not just a vocation and a sense of altruism but also a more practical desire to link theory and practice than is commonly seen in other undergraduate students (Baxter et al. 2013). The consequence of this motivation to get on to the practical aspects of their course will be that some medical students in a traditional curriculum adopt an inherently strategic and pragmatic approach to their pre-clinical years of study in order to progress, without interruption, to the actual practice of clinical medicine where they may naturally adopt an entirely different approach (Evensen et al. 2001, p. 659).

그러므로 현재 어떤 학습전략 인벤토리도 학부 의학의 과정 동안 학생들의 공부 전략에 대한 포괄적인 관점을 제공하는 목표를 달성하지 못하고, 현재 이용 가능한 인벤토리 목록들이 [무엇이 의대생들에게 동기를 부여하는지]와 [어떻게 의대생들이 자신들이 다니는 특정한 의대의 문화에 반응하는지]와 같은 일부 독특한 측면을 설명하지 못한다는 것은 명백하다. 마지막으로, 이러한 인벤토리 목록을 지지하는 증거와 이론은 틀릴 수 있으며 많은 논쟁의 대상이 됩니다. 마찬가지로, 학생 동기에 대한 여러 이론이 많은 관심을 불러일으켰지만 아직 공식적인 커리큘럼 설계에는 큰 영향을 미치지 못했다.
It is therefore evident that no one study strategy inventory currently fulfils the goal of providing a comprehensive perspective of students’ study strategies throughout the course of their undergraduate medical studies, nor do the currently available inventories account for some of the unique aspects of what motivates medical students and how they respond to the culture of the particular medical school they attend. Finally, the evidence and theory in support of these inventories is fallible and subject to much debate. Equally, the multiple theories of student motivation have generated much interest but have not yet had any significant impact on the design of formal curricula.

 

의대생 여정
The medical student journey

의대생들의 전기(Hughes 2004, 페이지 400)는 특히 성공적인 방법으로 배우고 수행하는 그들의 능력이 보통 문제가 되지 않는다는 것을 보여준다. 평균보다 훨씬 높은 A-수준 결과(또는 그에 상응하는 결과)를 얻는 것이 의과대학 입학(McManus et al. 2003)에 핵심이 될 것이며, 주로 지식 습득을 테스트하는 평가의 성공이 임상 전 해에 후속 진보를 특징지을 수 있을 것이다.

The biography of medical students (Hughes 2004, p. 400) demonstrates that their ability to learn and perform in assessments in a particularly successful way is usually not in question. Obtaining far above average A-level results (or their equivalent) will have been key to their admission to medical school (McManus et al. 2003) and success in assessments that primarily test the acquisition of knowledge may have characterised their subsequent progress in the pre-clinical years.

의과대학 과정을 시작할 때, 의대생들은 이전의 공부 상황에 비해 그들에게 요구되는 학습 활동의 유형 사이의 큰 차이를 인식하지 못할 수도 있다. 일부 저자들은 의대생들이 그들이 선택한 직업을 따르려는 이타적인 목적을 구별하기 어려운 요소에도 불구하고, 흔히 사용되는 모든 인벤토리는 [의과대학생들이 학습에 대한 심층적, 전략적 접근]에 대한 점수는 높고, [표면적 학습]에 대한 점수는 낮다는 것을 보여준다고 주장한다. 2004; Reid 등 2005). 그러나 좀 더 세부적인 질문에서, 의대생들의 지식에 대한 개인적인 견해는 매우 간단한 것으로 드러난다. 의대생들은 지식은 "확실하고 불변"하다고 믿으며(나이트와 매틱 2006), 그들은 지식의 외부 원천에 대한 신뢰에 동의하고, 그들의 학습에 대해 많이 성찰하지 않는다. Moon의 학습 지도 (그림 1) (Moon 2006, 페이지 138)에서 알 수 있듯이, [가단적 능력에 대한 암묵적인 이론]을 가진 학생들이 성찰적 인지 과정을 더 잘 수행할 수 있고, 따라서 더 심층적 학습을 성취할 수 있다. 
When they begin their course, medical students may not perceive that much difference between the type of learning activities being required of them compared to their previous study contexts. Despite the confounding factor of a difficult to discern altruistic aim of following their chosen vocation, some authors claim that when medical students arrive in medical school all the inventories in common use show that they have high scores for deep and strategic approaches to learning and low scores for surface learning (Mattick et al. 2004; Reid et al. 2005). On more detailed questioning though, students’ personal views of knowledge are revealed as being quite simple—they believe knowledge to be “certain and immutable” (Knight and Mattick 2006), they accord trust to external sources of knowledge and do not reflect on their learning much. As represented in Moon’s Map of Learning (Fig. 1) (Moon 2006, p. 138), students who possess an implicit theory of malleable ability may be better able to perform reflective cognitive processes, and thereby achieve deeper learning.

 

Teunissen과 Bok(2013)은 교차된 최신 논문에서 특정 관련성에 대한 동기 부여 이론 중 하나를 논의한다. Dweck(2000)는 실패에 대한 학생들의 반응을 연구하고 있었는데, 학생이 실패에 직면했을 때 행동 방식에서 두 개의 뚜렷하고 암묵적인 능력 모델을 관찰했다. 

  • 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적 속성이 '변화할 수 있다'며 개발할 수 있다고 주장하는 증분 모델 또는
  • 능력을 고정하고 불변으로 유지하는 더 고정된 능력 모델

학생이 여러 학습 상황에 반응해야 할 때, 이러한 암묵적인 믿음은 그 응답의 본질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그녀는 또한 [증분 모델]을 소유하는 것이 [고정된 모델]보다 학습자 발달에 더 유익하다고 제안한다. 예를 들어, 학생들의 성취에 대한 다양한 반응 또는 성취 부족은 전환기에 가장 명확하게 나타나는 것으로 보인다.

In their cross-cutting edge paper, Teunissen and Bok (2013) discuss one of the more recent theories of motivation of particular relevance. Dweck (2000) was studying students’ reactions to failure when she observed two, distinct, implicit models of ability in the way students behaved when they encountered failure;

  • an incremental model, which holds that the personal attributes which have an effect on ability are ‘malleable’ and can be developed, or
  • a more fixed model of ability, which holds that ability is fixed and immutable.

When a student is required to respond to a different learning context these implicit beliefs can influence the nature of that response. She also suggests that possessing an incremental model is more beneficial for learner development than the fixed model, for example, students’ diverging responses to achievement, or lack of achievement, seem to emerge most clearly during periods of transition.

모든 프로그램의 어떤 단계에서 의대생들은 종종 임상 추론이라고 불리는 진단 과정에서 이론과 실습을 연결하는 더 휴리스틱하고 임상 지향적인 사고 패턴으로 전환해야 한다(Chamberland et al. 2013). 임상적 추론의 개발은 명백한 이유로 인해 모든 의대생과 교수진에게 주요한 학습 목표이다. 챔버랜드 외 연구진(2013)은 이전 연구(Chamberland 등 2011)를 인용하여 친숙하지 않고 복잡한 사례를 학습하는 동안 [자기-설명을 생성]하면, 심층 학습의 이점을 제공하고, 유용한 [자기-모니터링 역할]을 수행할 것이라고 가정했다.

  • [이론적인 생물물리학적 지식을 사용하는 학습 패턴에 심하게 심취한 학생]들은 주로 이러한 형태의 지식을 사용하여 자기 설명을 구성할 것이다.
  • 반면, 임상 추론에 더 능숙한 학생들은 추론의 생물물리학적 모델을 덜 사용하고, 휴리스틱 사고 패턴을 더 많이 사용하여, 그 결과로 실제 임상 실습을 위한 필수 기술을 개발한다. 

챔버랜드 외 연구진은 또한 학생들이 본질적으로 오류를 인식하기만 한다면 자기 설명이 틀리더라도 이 과정으로부터 이익을 얻을 것이라고 주장한다. 
At some stage in every programme medical students must transition to more heuristic and clinically orientated patterns of thought which link theory and practice in the diagnostic process, often called clinical reasoning (Chamberland et al. 2013). The development of clinical reasoning is a major learning objective for any medical student and faculty member, for obvious reasons. Citing previous work (Chamberland et al. 2011), Chamberland et al. (2013) hypothesised that generating self-explanations for oneself during the diagnostic process while learning an unfamiliar and complex case would provide benefits of deeper learning and perform a useful self-monitoring role.

  • Students who are still heavily imbued with patterns of learning that use theoretical biophysical knowledge will construct their self-explanations predominantly using this form of knowledge,
  • whereas students who are more adept at clinical reasoning will use the biophysical model of reasoning less and a more heuristic pattern of thought more, thus developing essential skills for real-world clinical practice.

Chamberland et al. also argue that students will benefit from this process even if their self-explanations are incorrect, so long as they inherently recognise that they have made an error.

의대생들은 성숙하고 그들의 공부를 어떻게 할 것인가에 대한 전략적인 결정을 내려야 하기 때문에, 성문화된 지식을 학습하고, 기억력 테스트에서 지식을 보여주는 데 능숙한 학생들은 [학습 상황이 변화했음에도] (물리적 실체 또는 생물물리학적 지식 영역에서) 잘 갈고닦은 이 기술을 계속 사용하려는 경향이 있다. 아마 학생들은 학습에 필요한 "best possible representation"이 바뀌었음을 인식하는 데 도움이 필요할 수 있다. 그들의 평가 레퍼토리에서 객관적 구조 임상시험(OSCE)의 출현은 아마도 의대생들이 이와 관련하여 경험하는 가장 극적인 변화를 나타낸다. [사회적 및 상황적 임상 영역(OSCE에서의 성과로 측정됨)]의 학습으로 성공적으로 전환한 학생은, 보통 이미 앞서서 심층적 학습 전략을 보여준 학생인 경향이 있다.
As medical students are required to mature and make strategic decisions on how to go about their studies, those who are extremely good at studying codified knowledge and demonstrating that knowledge in tests of recall (Butler and Brydges 2013) will tend to try to continue to utilise these well-honed skills of thinking in terms of physical entities or of discrete arenas of biophysical knowledge, even when their learning situation changes (Cartier 2001; Evensen et al. 2001). They may require assistance in recognising that the required “best possible representation” of their learning has changed. The appearance of Objective Structured Clinical Exams (OSCEs) in their assessment repertoire possibly represents the starkest change that medical students experience in this regard. Students who make a successful transition into learning in the social and situated clinical arena (as measured by their subsequent performance in OSCEs) tend to be the ones who previously displayed deep learning strategies (Martin et al. 2000).

마틴 등은 이 학생들이 의도적으로 심층적 학습 전략을 계속하거나 되돌리기로 선택했기 때문에 이 평가 형식에서 더 잘했는가에 대한 의문을 풀지 못하고 있다. 학생들이 어떤 독특한 행동을 하고 왜 그런 행동을 했는지 알면, 학생들이 의도적으로 전략적으로 그들에게 새로운 평가 방법론에서 수행을 연습할 기회를 찾는지 명확히 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후속 시험에서 유사한 임상적 맥락으로 테스트될 것을 알 것이기 때문에, 학습이 "최상의 표현best possible representation"을 할 수 있도록 하거나, 임상적 실천이 통합된 깊은 방식으로 내용을 학습할 수 있도록 할 것이다.
Martin et al. leave unresolved the question of whether these students did better in this assessment format because they deliberately chose to continue with, or revert to, a deep learning strategy. Knowing what distinct behaviours these students engaged in and why they did so would clarify if the students deliberately and strategically sought opportunities to practice performing in an assessment methodology that was novel to them, thus enabling them to make the “best possible representation” of their learning or if they deliberately went about learning the content in a deep fashion incorporating clinical practice because they knew it would be tested in the subsequent exam in a similar, i.e. clinical, context.

이전 학습환경과 비교했을 때, 달라진 대학의 맥락에 대해서 뿐만이 아니라, [빠르게 습득해야 하는 콘텐츠의 양]에 대해서도 대처하기 위해서 학습전략을 이른 시점에 채택해야 할 필요성에 직면한다. 그들은 단지 그들이 제시받은 교과 과정의 사실적인 내용을 암기하는 것에 대한 다양한 성향을 가질 것이고, 그들의 학습을 심화시키기 위해 그들이 공부하기 위한 접근법과 관련이 있는 성찰과 추상적인 생각의 관점에서 다른 정도의 능력을 가질 것이다. 의대생들은 자신의 능력과 그 능력이 바뀔 수 있는지 없는지에 대해 각기 다른 암묵적 이론을 가질 것입니다. 이 단계에서는 자신이 배우고 있는 것을 깊이 이해하고 싶어할 수 있지만, 지금 전달받고 있는 새로운 지식에 의문을 제기하지 않는 경향이 있는 것은 행운일 수 있다. 어쩌면, 의대생들이 초기 학업에 대한 지적 요구를 감당할 수 있게 만드는 이유 중 하나는, 이러한 의문의 부족 때문일지도 모른다. 만약 그들이 그들의 학업에 [실용적이고 비성찰적인 접근법]을 채택한다면, 의대생들은 이러한 노력을 통해 그들이 동기부여를 받는 것을 돕는 [이타주의와 천직vocation]과 같은 추가적인 동기부여를 받는다. 의대생이 얼마나 심층적인 학습 전략을 채택하는지와 상관없이, 의과대학의 학습은 분명히 큰 인지적 부하를 가한다. 왜냐하면 그들의 정신적 자원에 대한 다른 요구는 실패와 관련된 가장 큰 요인들 중 일부이기 때문이다.
It seems that medical students are faced with the early necessity of adopting study strategies to deal, not only with the different circumstances of their university context compared to their previous learning environment, but also with the volume of content they are expected to rapidly assimilate. They will have varying inclinations towards merely memorising the factual content of the curriculum they are presented with and possess different degrees of ability in terms of reflection and abstract thought that they might bring to bear on their approaches to study in order to deepen their learning. They will have different implicit theories about their abilities and whether or not they can be changed. It may be fortunate at this stage that, while they may wish to understand deeply what they are learning, they do not tend to question the new knowledge they are being presented with and perhaps it is this lack of questioning which makes some of the intellectual demands of their early years of study manageable. If they adopt a pragmatic and non-reflective approach to their studies, medical students have additional motivations such as altruism and vocation to aid them in staying motivated throughout these endeavours. Regardless of to what degree they adopt deeper learning strategies, their studies clearly exert a large cognitive load since other, external, demands on their mental resources are some of the biggest factors associated with failure.

의대생들은 학습 과정의 어떤 단계에 이르면, 교실에서 벗어나, 더 사회적이며 위치적인 학습을 하게 될 것이고, 이와 함께 그들은 객관적이고 통제된 방법으로 이 분야를 모방하려고 시도하는 새로운 평가 과정(OSCE)을 마주하게 될 것이며, 그들은 그들의 학습을 새로운 방법으로 증명해야 한다. 다음 섹션에서는 학생들이 공부하려는 동기와 관련된 이론적 배경을 의과대학의 맥락에서 그들이 과정 내내 채택하는 목표에 대해 검토할 것이다.
At some stage in their course of studies medical students will move out of the classroom and into a more social and situated leaning arena, in tandem with this they encounter novel assessment processes (OSCEs) that attempt to emulate this arena in objective and controlled ways and they are required to demonstrate their learning in novel ways. The next sections will review the theoretical landscape pertaining to the effects students’ motivations to study might have, in the context of medical school, on the goals they adopt throughout their course.

 

의대생의 공부 동기 및 특정 목표 지향 동인
Medical students’ motivations to study and the drivers for particular goal orientations


의과대학 교육과정에서 임상실습에 진입하는 의대생들은 (강의하는 교수가 아니라) 촉진하는 교수자를 접하기 시작하고, 이들은 학생들에게 공부할 과목이 아닌 임상사례(환자)를 제시할 것이다(Evensen 등 2001). 토드레스 외 연구진(2012)은 킹스 칼리지 런던의 4학년 의대생과 인터뷰했다. 이 학생들은 성취도가 높은 학생들과 시험 실패로 인해 1년을 반복하는 두 집단에서 왔다. 성공적인 학생들은 프로그램의 이 단계 동안 의과대학에서의 결과에 영향을 미치는 3가지 핵심 주제, 즉 [학습에 대한 참여, 학습 방법과 경험에 대한 반영, 그리고 미래의 실습에 학습을 적용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성취도가 높은 학생들은 재학생들보다 학습과 어려움에 대처하는 그들의 접근 방식 측면에서 무엇이 효과가 있는지에 대해 더 큰 인식을 보여주었는데, 이는 그들이 현재의 상황에 맞게 공부하기 위해 무엇이 적절하게 성공적인 접근 방식을 구성하는지 더 잘 알고 있음을 시사했다.

Medical students entering the clinical parts of their course will begin to encounter teachers who facilitate rather than lecture and present students with clinical cases (patients) rather than subjects to be studied (Evensen et al. 2001). Todres et al. (2012) interviewed fourth and final year medical students at King’s College London. The students came from two cohorts—high-achieving students and those repeating a year due to failure in exams. Successful students could identify 3 core themes affecting outcomes at medical school during this phase of their programme; engagement with learning, reflecting on learning methods and experiences and, applying learning to future practice. High-achieving students showed a greater awareness of what worked in terms of their approaches to learning and coping with difficulty than re-sitting students, suggesting they were more aware of what constituted appropriately successful approaches to study for their current context.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두 집단 사이의 동료들과의 긍정적 참여 정도에도 차이가 있었고, 그것은 다른 의대생들과의 사교에서 긍정적인 기여를 시사하였다. [경험이 풍부하고 성공적인 학생 그룹]은 성찰이 의과대학에서의 성공적인 진전에 기여하는 중요한 요소라고 확인했고, 앞서 언급한 이론과 실습을 연결하려는 강력한 동기를 재확인했다(Baxter et al. 2013). 합격자와 불합격자 모두를 인터뷰함으로써 토드레스 등은 (Mattick 등이 의과대학에서 의대생들이 피상적이고 전략적이며 딥러닝 전략을 채택하는 경향을 연구할 때 제안했던 것처럼) 상황이 단순하지 않다는 것을 발견했고, 맥락에 따라 자연스럽게 진화한다고 추론했다. 토드레스 등이 인터뷰한 불합격 학생 그룹은 적어도 2년 동안 대부분 임상 환경에 위치한 커리큘럼 단계에 있었다. 토드레스 외 연구진(2012)은 이러한 불합격 학생들이 실제로 학습과 연구에 대한 깊은 접근법을 자동으로 채택하거나 재채택하지 않았다는 것을 발견했다. Evensen 등(2001)은 전통적인 학습 커리큘럼과 문제 기반 학습 커리큘럼에서 의대생 비교 연구의 결과, 학생이 [실패한 내재적 입장]을 보다 [성공적인 딥러닝 접근]으로 쉽게 변화시키기 위해 할 수 있는 [태도의 중요한 내부 변화] 중 하나는, 그들 자신을 [학생으로 생각하는 것]에서 [견습생이 되는 것]으로 바꾸는 것이다. [전형적인 의과대학의 사회 시스템]과 [의과대학이 학생을 종속시키는 개별적인 학습 환경]의 측면들은 (학생들이 이미 그것들을 사용하지 않을 경우) 이러한 자세, 태도 또는 접근 방식이 자연스럽게 변화하도록 유도하지 않을 수 있고, 심지어 자연적으로 그러한 변화를 만드는 경향이 있는 학생마저 방해할 수도 있다.

There were also differences in the degree of positive engagement with peers between the two groups, in a way that suggested a positive contribution from socialising with other medical students, something not commonly accounted for in such analyses, as has been previously noted (above). The experienced and successful group of students identified reflection as being a significant factor contributing to their successful progress in medical school and reaffirmed the strongly-held motivation to link theory and practice mentioned earlier (Baxter et al. 2013). By interviewing both successful and failing students Todres et al. (2012) discovered that things are not as simple as Mattick et al. (2004) proposed when they studied the propensity for medical students to adopt superficial, strategic and deep learning strategies at medical school and deduced that it was a natural evolution according to context. By the time of their exam failure the group of unsuccessful students which Todres et al. interviewed had been in a phase of the curriculum mostly situated in the clinical environment for at least 2 years. Todres et al. (2012) found that these unsuccessful students had not, in fact, automatically adopted, or re-adopted, a deep approach to learning and study in general. Evensen et al. (2001) proposed, as a result of their comparison study of medical students in a traditional versus a problem-based learning curriculum, that one of the key internal changes in attitude a student can make to facilitate the change of an unsuccessful inherent stance to a more successful approach of deep learning is to change from thinking of themselves as a student to becoming an apprentice. Aspects of the typical medical school’s social system and the individual learning environments they subject their students to may not naturally encourage these changes in stance, attitude or approach if students do not already utilise them, and may even hinder those students who are naturally inclined to make such a change.

많은 의대생들의 마음 앞에는 평가가 있으며, 평가는 학부 의대생들의 주요 동기이다(Man 1999). Misch (2002)는 Mahr 2001에서 학습 동기가 필수적이지만 성인 학습자는 실제로 "내적으로 학습 동기가 부여될 수 있다" (Knowles et al. 1998), Misch (2002)는 이 이론이 특히 Misch가 명확하게 설명하듯이 [맥락 의존적인 적용 가능성]을 가지고 있다고 지적한 많은 저자들 중 하나이다. Misch가 분명히 밝혔듯이, 그것은 의대생들에게 적용된다. Misch (2002)는 지속적으로, 의과대학이 [선발 절차의 특성]으로 인해, [평가에서의 수행능력의 가치]를 (직업적인 가치와 같은 학습에 대한 다른 동기보다) 더 강화하여, [동기부여의 행위자]로서 상호작용하면서, [의과대학의 사회 시스템]에 영향을 미친다는 매우 중요한 논점을 제시한다. 일단 학생들이 의대에 입학하면, [대규모 그룹 강의]는 규범적인 학점에 초점을 맞춘 평가로 이어지는 경향이 있고, 따라서 "성공"을 "다른 사람들보다 더 잘 하는 것"으로 정의되게끔 만든다.

At the forefront of many medical students’ minds is assessment, and assessment is a prime motivation for undergraduate medical students (Mann 1999). Motivation, in all its guises, is integral to learning (Maehr 2001) but while adult learners may indeed be “inherently internally motivated to learn” (Knowles et al. 1998), Misch (2002) is one of many authors to point out that this theory has a significant context-dependent applicability, especially, as Misch makes clear, as it applies to medical students. Misch (2002) goes on to make the very important point that, by the nature of their selection procedures, medical schools enhance the value of performance in assessment over and above other, more vocational, motivations to study thus influencing the social system of medical schools as it interacts with the agency of motivation. Once students are enrolled in medical school, large group lectures will tend to lead to assessments which focus on normative grading and so encourage success to be defined as outperforming others.

이러한 매우 바람직한 연구 과정 선택 방법론의 체계적 사회적 영향, 정규적이고 집중적인 평가 및 규범적 등급 부여 시스템은 어느 정도 안드로고그 유형의 행동을 예속시키고 업무의 유능한 수행에 초점을 맞춘 목표 지향성을 육성할 것이다(Dweck 1986).; 엘리엇과 트라쉬 2001; 마이어 2001). 이러한 성과 목표 지향의 대안은 과제 또는 숙달 목표 지향이다. 이러한 형태의 목표 지향은 [학생은 개인으로서의 자신과 평가된 성과]에 초점을  맞추고, [수행되어야 할 과제 자체]에 더 초점을 맞춘다. 마스터 목표 지향 학생들에게 과제는 반가운 도전이며 성공은 역량과 능력을 향상시킬 것입니다(Dweck 2000, 페이지 15).

These systemic social influences of the methodology of selection into a very desirable course of study, regular and intensive systems of assessment and inculcation of normative grading will subjugate androgogue-type behaviours to some degree and will foster a goal orientation that focuses on demonstrating competent performance of a task (Dweck 1986; Elliot and Thrash 2001; Maehr 2001). The alternative to this performance goal orientation is a task or mastery goal orientation (Bandura 1978; Dweck 1986; Maehr 2001). With this form of goal orientation a student focuses less on themselves as an individual and their assessed performance and more on the task itself that is to be performed. For students with a mastery goal orientation the task is a welcome challenge and success will improve competence and ability (Dweck 2000, p. 15).

의대 학생들이 주로 성과목표지향performance goal orientation을 선택할 때, [긍정적인 영향과 부정적인 영향을 모두] 가질 수 있다(Elliot 1999, 페이지 180) 그리고 의과대학 문화는 그것이 학생에게 주입하는 교육, 학습, 평가 문화에 의해 의대 학생들의 [성과 목표]를 향하는 것이 타당하고 유용하다는 지향을 영속시킬 수 있다. McManus 외 연구진(2003)은 지난 20년 동안 A-수준 성적과 같은 성과 척도가 영국 의대 학생 결과의 강력한 예측 변수일 뿐만 아니라 자격 후 의료 경력에도 깊숙이 남아 있음을 설득력 있게 보여주었다. 
If medical students choose a predominantly performance goal orientation it may have both positive and negative effects (Elliot 1999, p. 180) and the culture of medical schools may perpetuate a valid and useful orientation towards performance goals in medical students by the teaching, learning and assessment culture with which they choose to imbue their students. McManus et al. (2003) showed convincingly that, over the past two decades, performance measures such as A-level grades have remained not only a strong predictor of student outcomes at British medical schools but also deep into post-qualification medical careers.

일부 학습자에게는 [성과 목표]가 악영향 없이 동기를 부여할 수 있고, 학생들이 연습한 평가 상황에서 더 침착해지도록 도울 수 있으며, 항상 적응력이 떨어지는 학습 행동을 초래하지는 않을 수 있다. 이는 의대생들에게 [성과목표지향]을 주입하는 것의 결과가 명백하게 부정적이거나 즉각적으로 드러나지 않게 만듦으로써, 의대생들과 그들의 학업의 맥락에서 연구하기 어려운 현상으로 만들었다. 
Performance goals may motivate some learners with no ill-effects, may help students be calmer in assessment situations they have practiced for and may not always results in maladaptive learning behaviours. This makes the consequences of instilling a performance goal orientation in medical students not obviously negative nor immediately apparent, and that has made them difficult phenomena to research in the context of medical students and their studies.


다중 목표 전략에서 [성과 목표]와 [숙달 목표]를 결합하는 것이 학생들이 최적의 편익을 달성하도록 돕는 가장 좋은 방법일 수 있다(Midgley 등 2001). 예를 들어, Sandars와 Cleary(2011)는 주기적인 자기조절 과정의 representation을 보여준다. 예를 들어,

  • 학생은 평가에서 보여줘야 할 학습의 [가능한 최고의 표현]을 생산하거나, 영역에서 [숙달된 성취]에 초점을 맞추는 방법을 능동적proactive으로 설명한다.
  • 그런 다음 학생은 [채택하기로 선택한 목표]와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사용하는 [학습 전략을 통제]하기 위해 이 결정을 사용할 것이다.
  • 마지막으로, 자율 조절 학생은 이전에 식별된 목표를 달성하는데 있어 성공 또는 실패에 비추어 [자신이 한 것을 검토]하고, 미래의 시도에서 더 잘 수행하기 위해 어떤 반복적인 변화가 필요한지 결정할 것이다.

Combining performance goals with mastery approach goals in a multiple goals strategy may be the best way to aid students in achieving optimum benefits (Midgley et al. 2001). For example, Sandars and Cleary (2011) offer a representation of the cyclical process of self-regulation. They describe how a student may, for example,

  • proactively choose to focus on producing the best possible representation of learning that they will be required to provide in an assessment, or on the achievement of mastery in a domain.
  • Then the student would use this determination to exercise control over the goals they choose to adopt, and the study strategies they utilise to achieve those goals.
  • Finally, the self-regulating student will review what they have done in the light of their success or failure in achieving their previously identified goals and determine what iterative changes are required to perform better in future attempts.

목표 지향의 두 가지 유형 모두 valence를 가질 수 있다(엘리오트와 코빙턴 2001).

  • [성과 회피 목표 지향]을 채택하는 학생은 과제를 수행하는 것을 목격할 기회를 피하거나, 그들이 잘 수행할 것 같다고 믿는 목격된 과제만 수행하려고 할 것이다(브로피 2005). 이 접근법을 채택하는 학생들은 억압적이고 위협적인 사회적 환경에서 발생하기 때문에, 이용가능한 임상 교육으로부터 완전한 혜택을 얻지 못할 수 있다. 이 접근법의 잠재적 이점은 "의식적 역량"의 한계를 초과하는 의료행위를 할 가능성이 낮은, [신중하고 보수적인 의료인]을 배출하는 것일 수 있다(Burch 2012).
  • [숙달 방지 목표 지향]은 이러한 목표 지향과 다시 다르며, sub-optimal avoidance goal과 결합된, 숙달에 대한 최적의 욕망으로 간주되는 것으로 구성되기 때문에 더욱 설명하기 어렵다(엘리오트와 맥그리거 2001). 

Both types of goal orientation can also have valence (Elliot and Covington 2001).

  • A student who adopts a performance-avoidance goal orientation will seek to avoid opportunities to be witnessed performing a task or will only seek to perform witnessed tasks that they believe they are likely to perform well in (Brophy 2005). Students adopting this approach may not obtain full benefit from the clinical teaching available to them as it occurs in a social environment which they may find inhibitory and threatening. Potential benefits of this approach might be to produce a cautious, conservative practitioner who is unlikely to practice beyond the bounds of their “conscious competence” (Burch 2012).
  • Mastery-avoidance goal orientations are different again to these goal orientations and even more difficult to elucidate as they are made up of what are regarded as optimal desires for mastery combined with sub-optimal avoidance goals (Elliot and McGregor 2001).

학생 목표 지향에 대한 현재의 사고는 가장 단순하게 2×2 표로 표현되는 학생의 학습 동기에 영향을 미치는 다중 목표를 추구 및 회피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Current thinking of student goal orientations is in terms of the pursuit and avoidance of multiple goals influencing students’ motivations to study (Brophy 2005; Elliot and Covington 2001; Harackiewicz et al. 2002; Maehr 2001) which are most simply represented as a 2 × 2 table (Table 1) (Elliot and McGregor 2001, p. 502).

 

요약하자면, 의과대학에 입학하기 위해 학생들은 보통 수년 전부터 A-level과 같은 시험에서 높은 성취도를 보여야 했고, 이 선발 과정은 그들이 의학 학위를 시작할 때 주로 [성취 목표 지향]의 채택을 장려하는 경향이 있다. 의대생들은 그들이 가르치는 것을 깊이 이해하고 싶은 욕망을 표현할 수 있지만, 그들은 지식은 불변하고 고정적이라고 믿기 때문에 그들이 배우는 것에 대해 깊이 반성하지 않는 경향이 있다. 이것은 그들이 더 동기부여를 한다고 생각하는 부분들에 방해 없이 진행하게 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지만, 그들이 이러한 단계에 도달했을 때 그들의 공부 습관의 변화에 탄력적인 방식으로 반응할 수 있도록 그들의 공부 접근 방식을 성숙시키는 것은 작용하지 않을 것이다. 만약 학생들이 고정된 능력에 대한 암묵적인 모델을 가지고 있다면, 이미 시도해서 검증된 공부 방법을 사용하는 것에 대한 지속적인 성공은, 이러한 믿음에도 도전하지 않을 것이다. [성찰 기술을 개발하는 것], [자신의 목표와 능력에 대한 다원적이고 융통성 있는 접근법], [자기 조절에 대한 기술]은 이것이 모두 의대 후반의 성공과 관련이 있기 때문에 중요하다.

In summary, in order to win a place at medical school students have had to be high-achievers in exams such as A-levels, usually for many years prior, and this selection process may tend to encourage the adoption of predominantly performance goal orientations by the time they start their medical degree. Medical students may voice desires to understand deeply that which they are taught, but they believe that knowledge is immutable and fixed and so tend not to reflect deeply on what they are learning. This may be beneficial in allowing them to progress without hindrance to the parts of the course they find more motivating, but it will not act to mature their approaches to study so that they can respond in a resilient fashion to changes in expectations in their study habits when they reach these stages. If students possess an implicit model of fixed ability, continued success in using tried and tested methods of studying will not have challenged these beliefs either. Developing skills in reflection, a pluralistic and malleable approach to their goals and abilities and skills in self-regulating their learning may be important as these are all associated with success in later stages of medical school, and beyond.

 

어려움을 겪고 실패를 경험하는 의대생들
Medical students who struggle and experience failure

의과대학은 일반적으로 매년 학생들의 10~15%가 과정 중에 어려움을 겪는다고 보고한다(예이츠와 제임스 2006). 포포비치(2010)는 50%에 달하는 학생들이 1학년 시험에서 적어도 한 부분 이상 낙제하는 영국의 의과대학에 대한 연구에서 [두 가지 요소]가 성공과 실패와 상당한 관련이 있다는 것을 발견했다.

  • 자신에게 기대되는 유형의 학습에 대해 잘 알고 있는 학생들은 (그리고 아마도 어떻게 가장 잘 표현될 수 있는지에 대해) 잘 하는 경향이 있었고, 
  • 외부 요구가 많은 학생들은 (부족deprivation과 관련된) 더 나쁜 공부를 하는 경향이 있었다.

이 두 요소만이 학생들의 성공 또는 실패와 이 중요한 연관성을 가지고 있다는 놀라운 발견은 Butler와 Bridges(2013)의 문헌 리뷰에 의해 더욱 뒷받침되었는데, Butler와 Bridges는 어떤 학습 전략이 그들에게 기대되는지를 인식하는 의대생들이 평가에서 더 잘 하는 경향이 있다는 것을 발견했다. 즉, 학생들은 그들이 선택한 [실제 공부 내용]뿐만 아니라 그들이 사용하는 [공부 방법]에서 전략적일 필요가 있다.

Medical schools commonly report that 10–15 % of each year’s intake of students struggle at some stage during their course (Yates and James 2006). In her study of a UK medical school where up to 50 % of students were failing at least one part of their first year exams, Popovic (2010) found two factors wer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either success or failure:

  • those students who were knowledgeable about the type of study expected of them (and presumably how it would be best represented) tended to do well and
  • those students with a lot of external demands (associated with deprivation) tended to do worse.

The surprising finding that only these two factors had this significant association with students’ success or failure was further supported by a literature review by Butler and Brydges (2013) which found that medical students who recognise what study strategy is expected of them tend to do better in assessments i.e. students need to be strategic in the method of study they use as well as the actual content they choose study.

포포비치가 MBBS 평가에서 저조한 성과를 설명하는 두 가지 요소는 실제로 저조한 성과자들이 단일 집단이 아니기 때문에 수많은 문제를 가린다(McLoughlin 2009). 어려움에 처한 학생들은 종종 [정신적 또는 육체적 질병과 특정 학습 장애, 고립과 관련된 우울증, 사회적 박탈 또는 집단 내 학습 불능]등의 문제가 복잡하게 거미줄처럼 묶여서 상호작용한다(Evans et al. 2010; Popovic 2010). 사실, 대학 밖에서 의대생들이 이끌어가는 삶은 실패와 가장 큰 연관성을 가질 수 있으며, 어려움을 겪고 있는 학생들을 위한 총체적인 해결책의 중요성을 강화한다. 의과대학 학부 성적에 대한 알려진 예측 변수들은 또한 '빅 5' 성격 요소들을 포함한다; 정서적 안정성, 외향성, 경험에 대한 개방성, 친화성, 그리고 성실성(Ford et al. 2008). 이러한 건강과 성격 문제는 단기적으로 바꾸기 어려울 수 있으며, 일부 저자들은 일부 학생들이 의대에서 낙제하는 이유에 대해 더 변화무쌍한 "학습 기술"을 제안했다(샌더스와 클리어리 2011). 여기에는 다음이 포함된다.

  • 수동적 학습에 대한 과의존,
  • 문해력과 수해력의 약점,
  • 공부 능력과 시험 치르기 전략의 약점,
  • 비판적 사고의 약점,
  • 자기 통제력 및 학업 성공과 관련된 메타인지 기술

The two factors described by Popovic as explaining poor performance in MBBS assessments actually mask myriad issues as poor performers are not an homogenous group (McLoughlin 2009). Students in difficulties often have a complex web of interacting issues which may include mental or physical illness and specific learning difficulties, depression linked to isolation, social deprivation or an inability to learn in a group (Evans et al. 2010; Popovic 2010). In fact, the life medical students lead outside of university can have one of the biggest associations with failure, reinforcing the importance of holistic solutions for the struggling student. Known predictors of undergraduate performance at medical school also include the ‘Big 5’ personality factors; emotional stability, extroversion, openness to experience, agreeableness, and conscientiousness (Ford et al. 2008). Many of these health and personality issues may be challenging to influence in the short-term and some authors have proposed other, more changeable, “study skills” related explanations as to why some students fail at medical school (Sandars and Cleary 2011). These include;

  • over-reliance on passive learning,
  • weakness in literacy and numeracy,
  • weakness in study skills and test-taking strategies,
  • weakness in critical thinking,
  • self-regulation and metacognitive skills associated with academic success.


이러한 요인을 식별하기 위해 분석, 개발, 합성 및 역량 기반 접근방식(Durning et al. 2011)의 네 가지 광범위한 프레임워크를 사용하여 어려움을 겪고 있는 학생을 분석하였다. 현재 의과대학 평가 프레임워크 또는 교정 프로그램을 사용한 연구는 일반적으로 의대 학생의 성과를 평가하는 데 사용되는 다양한 결과의 분산의 30% 미만을 설명했으며(Durning et al. 2011, 페이지 490), 여전히 숨겨진 다른 요소도 측정된 결과에 기여하고 있음을 시사한다. 어려움을 겪고 있는 학생들에게 가장 효과적인 지원이 될 수 있는 것을 설명하려고 할 때 이러한 숨겨진 요소들이 무엇인지를 아는 것은 분명히 중요하다.

In identifying these factors four broad frameworks were commonly used to analyse struggling students; analytic, developmental, synthetic, and competency-based approaches (Durning et al. 2011). Studies using current medical school assessment frameworks or remediation programmes usually explained less than 30 % of the variance in the various outcomes used to assess medical student performance (Durning et al. 2011, p. 490), suggesting that other, still hidden, factors are contributing to the measured outcomes as well. Discerning what these hidden factors might be is of obvious importance when trying to elucidate what might be the most effective support for students who are struggling.

놀랄 것도 없이, 시험에 떨어진 후, 공부에 대한 동기는 낮지만, [학생이 자신의 역량을 어떻게 인지하는지]는 이러한 반응을 매개하며, 학생이 학습할 수 있는 인지 능력이 다시 증가하기 전에, 그들은 공부하려는 노력에 있어 다시 자율성을 느끼기 시작해야 한다(라이언과 데키 2000, 페이지 59). 한 가지 [귀인 이론]은 인간은 [자신이 배우고 수행하는 환경]뿐만 아니라 [그들 자신을 이해하려는 필요성]에 의해 동기 부여된다고 가정한다. 자신에 대한 이해를 구하는 과정의 일환으로, 개인은 자신의 행동에 대한 [인과적 결정요인]과 행동에서 나오는 결과를 확인하려고 한다. 교육적 맥락과의 특별한 관련성은 학생들이 만드는 귀인 유형이 실패에 따른 인지적, 정서적, 행동적 반응에 영향을 미치므로 미래의 학습 노력을 상당히 예측한다는 것이다.
Unsurprisingly, after failing an exam motivation to study is low but how a student perceives their competence mediates this reaction and, before a student’s perceived competence to study can increase once more, they must begin to feel autonomous again in their efforts to study (Ryan 1982; Ryan and Deci 2000, p. 59). One theory of attribution postulates that human beings are motivated by the need to understand themselves as well as the environments in which they learn and perform (Weiner 2001). As part of this process of seeking understanding, individuals attempt to identify the causal determinants of their behaviours and the outcomes emanating from their actions. Of particular relevance to educational contexts is that the types of attributions students make will impact their cognitive, affective and behavioural reactions following failure and thus are quite predictive of future learning efforts.

귀인은 세 가지 차원 중 하나로 분류될 수 있다:

  • 위치 (원인이 내부 또는 외부),
  • 안정성 (원인이 시간에 따라 얼마나 안정적인지), 그리고
  • 통제가능성 (현상을 통제할 수 있는 범위)

학생들이 성공하기 위해 애쓰거나 학습 중 도전에 직면할 때, 노력과 전략 사용과 같은 [내부적이고 불안정하며 통제 가능한 속성]을 만드는 사람들은 전략의 지속성과 사용에 있어 성취도가 높고 적응력이 높은 경향이 있다(클리어리와 짐머맨 2001; 클리어리 외 2006). 실패나 저조한 진도에 직면했을 때 [개인의 효능감을 유지하는 것]은 학생들의 노력과 끈기를 유지하는 데 가장 중요한 요소 중 하나이다(반두라 1978). 또한 실패에 이어 전략적으로 귀속시키는 것은 학생들이 성공적인 과제 수행과 궁극적으로 연결되는 주요 전략, 프로세스 또는 기법에 관심을 기울이게 할 것이다.

Attributions can be classified into of one of three dimensions:

  • locus (cause is either internal or external),
  • stability (how stable the cause is over time), and
  • controllability (extent to which the phenomenon can be controlled).

When students struggle to succeed or when they encounter challenges during learning, those who make internal, unstable and controllable attributions, such as effort and strategy use, tend to be high achieving and adaptive in their persistence and use of strategies (Cleary and Zimmerman 2001; Cleary et al. 2006). Sustaining a sense of personal efficacy in the face of failure or poor progress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factors in sustaining students’ effort and persistence (Bandura 1978). In addition, making strategic attributions following failure will direct students’ attention on the key strategies, processes or techniques that are ultimately linked to successful task performance (Cleary et al. 2008).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학생들은 [증분 모델] 또는 [고정된 능력 모델]을 가질 수 있습니다(Dweck 2000). 학생이 가지고 있는 암묵적 모델이 대학으로의 전환에서 변함이 없이 살아남았다면, 이제는 학생 실패 시 큰 의미가 된다. [무엇을, 어느 정도까지 실패했을 때 개인적 속성을 바꿀 수 있는지]에 대해 학생이 가지고 있는 [암묵적 모델]은 실패에 대한 적응적 또는 부적응적 반응이 일어날 가능성이 있는 때를 예측할 수 있다(Dweck and Leggett 1988; Knight and Mattick 2006). 만약 학생이 [고정된 능력 모델]을 가지고 있다면, 그들이 만든 내부 귀속성은 그들이 그들의 성과를 향상시키는데 거의 할 수 없다고 믿게 만들 수 있다. 이는 결국 무력감과 무관심의 감정을 유발하여 가능한 한 성과 목표를 회피하려는 시도를 초래할 수 있다. 
As described earlier, students can have an incremental or a more fixed model of ability (Dweck 2000). If the implicit model that a student holds has survived the transition to university unchanged, it now becomes of great significance in the event of student failure. The implicit model that a student holds as to what, and to what degree, they can change their personal attributes in the event of failure can predict when adaptive or maladaptive responses to failure are likely to take place (Dweck and Leggett 1988; Knight and Mattick 2006). If a student holds a fixed model of ability then the internal attributions that they make may lead them to believe that they can do little to improve their performance—assuming that they believe that they applied effort to their maximum capabilities to the task, a behaviour more in keeping with performance-avoidance goal orientation. This may, in turn, engender feelings of helplessness and apathy possibly even resulting in attempts to avoid performance goals wherever possible.

학생들의 반응이 그들의 학습 환경의 사회적 맥락에 영향을 받을 수 있지만, 이 반응에는 뚜렷한 [시스템-행위자성system-agency 요인]이 있다. (위에서) 논의된 바와 같이, 블랙웰 외 연구진(2007)은 학생들에게 고정된 신념 또는 가단적 신념을 명시적으로 가르치는 것이 도전적인 맥락에서 학생들의 수행에 관찰 가능한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것을 입증했다. 학생이 경험하는 [암묵적인 맥락적 풍토] 또한 학생들이 가지고 있는 믿음에 따라 달라지는 영향을 미칠 수 있다.

  • [교수진의 교육 및 평가 전략과 모델링된 행동]을 통한 함축적으로 숙달 목표 지향의 맥락이라면, 증분 모델을 가진 학생이 세트백을 포함하는 상황에서 가장 유리하다.
  • 만약 동기부여적 환경이 성과지향적이면, 실패에 대한 일반적인 반응은 종종 뒤바뀌고, 성과목표를 가진 사람들이 더 적응력이 좋고 동기부여가 더 크다.

There is a marked system-agency factor in this response though where the student’s response can be influenced by the social context of their study environment. As discussed (above) Blackwell et al. (2007) demonstrated that explicitly teaching students about fixed or malleable beliefs can have an observable effect on student performance in challenging contexts. The implicit contextual climate experienced by the student can also have an effect which varies according to the beliefs held by students.

  • If the context is one of implicit mastery goal orientation, by dint of the teaching and assessment strategies used and modelled behaviours of faculty, incremental theorists have the most advantage in situations involving a set-back.
  • If the motivational climate is performance orientated then the usual responses to failure are often reversed and individuals with performance goals are more adaptive and have greater levels of motivation, even rising levels if they become successful once more (Pink 2011).

 

실제적 의미
Practical implications

의대생 교육에 드는 개인 및 사회적 비용은 높으며, 이렇게 비용이 높기에 의료 프로그램 초기부터의 지원을 정당화한다는 것이 널리 인정되고 있다. 그래야 학생들이 적시에 학위를 마칠 수 있도록 하고, 독립적인 의사로서 성장하는 데 필요한 기술을 연습하고 갖추도록 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 목표들은 중요하고 의과대학과 학생, 환자들이 공유하고 있다. 관찰 자료에 따르면 의과대학 초기 시험에서의 F는 이후 직업적 부정행위에 대한 독립적인 위험요소이다. 따라서 모든 이해당사자들에게는 이러한 개인을 과정 내에서 초기에 파악하고 지원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의과대학에서 [첫 학기를 재수강해야 하는 학생들을 위한 필수 교정 프로그램]은 다음 학기로 올라갈 수 있는 가능성을 크게 향상시켰다. 지원 개입이 개선된 결과와 직접적인 관련이 있다고 주장하는 연구는 물론 [평균에 대한 회귀] 또는 [호손 효과]에 의해 편향되었을 수 있다.

The individual and societal costs of training a medical student are high and it is widely accepted that these costs justify support from early in the medical programme to try to ensure students complete their degree in a timely manner, ensure they are fit to practice and equip them with the necessary skills required to flourish as an independent medical practitioner (Cleland et al. 2005). These goals are important and shared by the medical school, the students and patients. Observational data suggests that failure in early examinations in medical school is an independent risk factor for subsequent professional misconduct (Yates and James 2010) therefore it is critical for all stakeholders that these individuals are identified and supported from early on within their course. A mandatory remediation programme for students who failed and had to repeat their first semester at medical school resulted in significant improvement in the chances of a student progressing to subsequent semesters (Winston et al. 2010b). Studies that claim to demonstrate that support interventions correlate directly with improved outcomes may, of course, be biased by regression toward the mean, or the Hawthorne Effect.


Newble과 Entwistle(1986)은 학습 기술 과정이 실제 학습에 배치된 기술에 초점을 맞추어야 한다고 제안했다(페이지 171. 교정 개입에 대한 보다 최근의 연구는 개념화 이론으로서 자기 조절, 메타 인지 및 성찰, 피드백의 주고받기 등을 사용하는 경향이 있다고 보고한다. 시험 기술과 내용에만 초점을 맞춘 단기(6-8주) 과정은 학업 성취도의 보다 장기적인(3년 이상) 향상과 관련이 없다(Pell et al. 2012; Stegers-Jager et al. 2013). 학생들의 학습 능력 개발을 지원하기 위한 프로그램은 [요구와 관련]이 있고, [학습자가 주도]하고, [유연]하고, [몇 주 동안 진행]될 때 가장 효과적인 경향이 있다. 또한 [(학습, 학습 기술, 시험 기술, 메타인지 자기 통제 및 자기 인식 접근과 관련된) 학습 요구에 초점을 맞춘 학습 요구 평가]가 포함되었을 때 가장 효과적이다. 비록 인지과학에 기반을 둔 다른 개념들이 있고 그것들은 일반적인 의학 학위 프로그램에 널리 통합되지 않았지만, 의학 교육에서 널리 인정된 많은 개념들은 치료 심리 치료 세계에서 유래한다(Kusurkar et al. 2012). 어떤 동기가 미래의 의료 종사자들에게 균일하게 부정적인 결과를 초래하는지는 명확하지 않기 때문에 이것은 전적으로 타당한 이유일 수 있다. 

Newble and Entwistle (1986) suggested that study skills courses should focus less on the actual skills deployed to study but more on the process of learning (p. 171). More recent studies of remediation interventions report that they are tending to use self-regulation, metacognition and reflection and the giving and receiving of feedback as conceptualizing theories. Short-term (6–8 weeks) courses focusing on exam technique and content only are not associated with more long-term (3 years plus) improvements in academic achievement (Pell et al. 2012; Stegers-Jager et al. 2013). Programmes to support students in developing their study skills tend to be most effective when they are related to need, driven by the learner, flexible, occur over the course of several weeks and include some form of learning needs assessment focusing on learning needs pertaining to learning, study techniques, examination skills, metacognition self-regulation and self-efficacy approaches (Beckert et al. 2003; Durning et al. 2011; Sayer et al. 2002; Winston et al. 2013). Many of the concepts widely acknowledged in medical education originate in the world of therapeutic psychotherapy (Bandura 1978), although there are others based in the cognitive sciences (Schraw and Moshman 1995) and they have not been widely incorporated into general medical degree programmes (Kusurkar et al. 2012). This may be for entirely valid reasons, since it is not clear that any motivation has uniformly negative consequences for future medical practitioners.

클레랜드 외 연구진(2013)은 체계적 검토에서 공식 연구로만 다룰 수 있는 교정조치 개입의 효과적인 구성요소를 구성할 수 있는 것에 대한 경험적 증거가 지속적으로 부족하다는 것을 발견했다. 또한 [실패 위험이 있는] 학생보다 [실패를 경험한 학생]에게 재교육이 제공되는 경향이 있다는 의견도 제시했습니다. 그 이유는, 다음과 같다.

  • 누가 고통을 겪을지 정확히 예측하기 어렵기 때문에
  • 학생 라벨이 잘못 지정될 수 있는 위험성이 있기 때문에,
  • (문제가 완전히 생기기 전에) 학생이 도움이 필요함을 인정해야 할 필요성이 있기 때문에

Cleland et al. (2013) found in their systematic review that there is a persisting lack of empiric evidence about what might constitute effective components of a remediation intervention that can only be addressed by formal research. They also commented that remediation tends to be offered to students who have experienced failure in preference to students who have been identified as being at risk of failure because of

  • the difficulty of predicting exactly who will struggle,
  • the risks of labelling students incorrectly, and
  • the necessity for students to admit their need for help before it can be fully effective.


개입이 가장 필요한 이들을 가려내는 과제는 다소 논쟁적이다. 종합 평가에서 실패하기 전에, 어려움을 겪고 있고 도움이 가장 필요할 수 있는 학생은 종종 도움을 구하지 못한다(Winston et al. 2010a). 이는 다른 학생 집단에 반영되며, (Dweck 2000, 페이지 22)에서 홍 외 연구진(1998)은 학생을 다음과 같이 분류했는데, 특정 과목에 대해 [고정된 암묵적 능력 신념과 저-숙련 된 (비의료) 학생들][(신념과 무관하게) 고-숙련proficiency된 학생들]보다 교정 수업 제안에 더 관심이 없다는 것을 발견했다. 그러나 [증분적 신념과 저-숙련된 학생들]은 그러한 수업을 들을 가능성이 매우 높았다. [낙제했지만 증분적 신념을 가진 학생들]은 교정 지원 프로그램에 자발적으로 참여할 가능성이 더 높은 반면, [고정된 능력 이론을 가진 학생들]은 종종 참여하기 위한 다른 동기 부여가 필요하며, 종종 충분한 동기 부여는 학생이 고득점 평가에 실패한 경우에만 달성된다. 따라서 치료적 반응을 달성해야 하는 능동적이고 교육적인 개입에 관심이 집중된다는 사실은 의료적 알로패스 모델(Barone 2013)에 적합하지만, 이 중요한 현상을 더 탐구하기 위한 연구자와 참가자의 노력을 프레임화하고 맥락화시킬 것이다.

The challenge of identifying those who are most in need of the intervention is somewhat contentious. Before failure in a summative assessment students who are struggling, and may be most in need of assistance, often fail to seek it (Winston et al. 2010a). This is reflected in other student populations and Hong et al. (1998), in (Dweck 2000, p. 22) suggested a typology for such student behaviours when they found that (non-medical) students with a fixed implicit ability belief and low-proficiency in a particular subject were no more interested in an offer of a remedial class than those with a high proficiency, regardless of what implicit ability belief high proficiency students held. Students with incremental beliefs and low-proficiency were very likely to take such a course however. While students who fail and have an incremental belief seem more likely to engage spontaneously with a programme of remedial support, students who have an entity theory often need some other motivation to engage, often sufficient motivation is only achieved once a student has failed a high-stakes assessment. The fact that attention is therefore focused on an active, educational intervention which should achieve a therapeutic response suits the medical allopathic model (Barone 2013) but will frame and contextualise the efforts of researchers and participants to further explore this vital phenomenon.

이 실험적인 방법론적 속성은 지금까지 연구된 방법론의 효과를 지나치게 강조할 수 있다. 왜냐하면 그들은 시험에 실패하여 변화하려는 동기부여를 받고 그들이 다시 실패하지 않도록 해결책을 찾고 있는 학생들에게 편향될 것이기 때문이다. 학습자 그룹의 변화를 생성하고 감지하는 방법(표 1) 따라서 경험적 데이터는 비록 어려움을 겪고 있지만, 학습 접근법을 바꿀 충분한 동기를 얻지 못했거나 완전히 다른 동기를 가진 학생들의 전기를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This experimental methodological attribute may overemphasise the effectiveness of some of the methodologies which have been studied thus far because they will have been biased towards students who are motivated to change due to having failed an exam and are seeking solutions to ensure they do not fail again, thereby framing resource and research in a way that will produce and detect change in a very particular group of learners (Table 1). Empirical data therefore may not encompass the biographies of students who, although they may be struggling, have not encountered sufficient motivation to change their study approaches, or who possess different motivations entirely.

결론
Conclusion


현재의 증거 기반은 교수진이 직업의 숙달을 목표로 하기 때문에 깊고 성찰적인 학습에 참여하는 의대생의 이상을 소중히 여길 수 있지만, 현실은 다소 다르다는 것을 시사한다(Evensen et al. 2001, 페이지 659).

  • 어린 나이에 의대에 입학하기 위한 경쟁,
  • 학생이 의대에 도착하면 나타나는 사회적 환경, 그리고
  • 많은 의과대학 커리큘럼을 전달하고 평가하기 위해 사용되는 명시적인 방법들은,

...적어도 전통적인 프로그램의 초기 임상 이전 해에, 전략적이고 피상적이며 재치 없는 공부 방법의 접근을 유도하는 경향이 있다. 이러한 영향은 정규 평가 기법의 특정 레퍼토리에 정통하고 침착하며, 많은 양의 성문화된 지식을 재현하는 데 숙련되어있는, 절제되고 고도로 집중된highly focussed 학생들을 양산할 수 있다. 덜 유익하게 그들은 성찰하고 추상적인 추론에 있어서 기술이 부족하거나 기술을 개발할 기회를 놓칠 수 있다. 변화에 대한 어떠한 유인책도 없다면, 그러한 학생들은 그것이 계속해서 성공하는 한 종종 이러한 패턴을 계속하는 경향이 있을 것이다.

The current evidence-base suggests that, while faculty may cherish the ideal of medical students engaging in deep and reflective learning because they are aiming to achieve mastery of a vocational profession, the reality is somewhat different (Evensen et al. 2001, p. 659).

  • The competition to get into medical school at a young age,
  • the social milieu once a student arrives there, and
  • the explicit methods used to deliver and assess many medical school curricula

...all tend to induce an approach of strategic, superficial and unreflective study methods, at least in the early, pre-clinical years of a traditional programme. Possibly beneficially, these influences produce disciplined, highly focussed students who are well versed and remain calm in a certain repertoire of formal assessment techniques and are practiced in the reproduction of large amounts of codified knowledge. Less beneficially they may lack skills, or miss opportunities to develop skills, in reflection and abstract deduction. Without any inducement to change such students will often tend to continue in this pattern for as long as it continues to be successful.

의과대학에 진학한 성과를 통해 많은 학생들이 높은 수준의 자기 효능감을 갖게 될 것이다. [성과 척도에 의해 계층화된 경험]이 어떤 이들에게는 사기를 북돋아주겠지만, 다른 이들에게는, 특히 어려움을 겪거나 실패를 경험하는 이들에게는, 자기 믿음에 도전하게 될 것이다. 앞으로 [달라질 학습전략의 필요성을 sign-post]하거나, [추상적 사고, 문제해결, 자기주도성 등의 기술개발을 자극하는 강좌]는 실패율을 크게 낮추지는 못하지만, 실패에 대한 학생들의 대응력을 향상시킨다. 전통적인 의과대학 과정에서, 1학년 기간의 학습은 3, 4학년의 맥락에서 다가오는 변화를 적절하게 보여주지sign-post 못할 수 있다. 그러다보니, [익숙하고 검증된 표면적 접근 및 성과 목표 지향 접근 방식을 사용하는 학생들]은 자기 계발을 덜 하게 되고, 결국 (지식의 본질이 다르고, 지식의 적용이 본질적으로 전문가 과정인) 더 불확실하고 사회적인 임상 학습 환경에서 어려움을 겪기 시작할 수 있다. 
By dint of the achievement of obtaining a place in medical school, many students will arrive with high-levels of self-efficacy. The experience of being stratified by performance measures will be morale boosting for some, but will challenge self-belief for others, especially those who struggle or experience failure. Courses that sign-post the need for different study strategies, or which provoke the development of skills in abstract thinking, problem solving and self-direction do not significantly reduce failure rates but do improve student resilience in their responses to failure. In traditional medical school courses the first years of study may not adequately sign-post the upcoming change in the context of the clinical years and students using tried and tested surface and performance goal orientated approaches may develop less self-efficacy and begin to struggle in the more uncertain and social clinical learning environment where the nature of knowledge is different and the application of that knowledge is an inherently expert process.

환원주의적이고 경험적인 방법으로 계속 배우려고 노력하는 [학생들 중 일부]는 시험에서 계속 성공하겠지만, 이는 그들이 학업에 대한 [대안적 접근법을 adopt 또는 readopt하는 동료들]만큼의 비율 또는 성공률로 [마음 챙김, 성찰, 공감 능력을 개발하지 않을 것]이라는 것을 암시한다. [변화의 필요성을 깨닫는 것]은 자동적이지 않으며, 변화 능력은 학습 행동에 있어 더 자율적인 학생에게 더 성공적으로 발생하는 것으로 보인다. 또한 학생들이 선천적으로 가단성malleable 있는 개인 능력 모델을 가지고 있다면 더 쉽게 발생할 수 있다(Dweck 2000). 새로운 학습 접근방식을 채택해야 할 필요성을 sign-post하는 것은 일부 이점이 있지만, 근거에 따르면 이러한 새로운 입장을 자연스럽게 채택하지 않는 학생들에게는 [자기 조절 학습 기법에 대한 명시적 훈련이 훨씬 더 효과적]이라는 것을 강력하게 시사한다(Durning et al. 2011). [학생이 되는 것]에서 [견습생이 되는 것]으로 자세를 변화시키는 것은 유용한 비유이다.

Of the students who continue to try to learn in reductionist and empirical ways, some will continue to succeed in their exams, but the implication is that they will not develop skills of mindfulness, reflection or even empathy at the same rate or with the same degree of success as peers who adopt, or re-adopt, alternative approaches to their studies. The recognition of the need for change is not automatic and the ability to change seems to occur more successfully in students who are more self-regulated in their study behaviours, and to occur more readily if students possess an inherently malleable personal model of ability (Dweck 2000). Sign-posting the need to adopt new approaches to study has some benefit but evidence strongly suggests that explicit training in self-regulated learning techniques is even more effective for those students who do not adopt this new stance naturally (Durning et al. 2011). A helpful metaphor for this change in stance is from that of being a student to becoming an apprentice.

[고군분투하는 학생들, 또는 중요한 평가에서 탈락한 학생들]은 그들의 동기 부여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학습과 그들 자신의 성취에 대해 [낮은 자기 효능감과 부정적인 감정]을 갖는 경향이 있을 것이다. 이러한 학생들에게 자기 조절 학습, 숙달 목표 지향, 성찰 및 딥 러닝의 기술 개발을 목표로 하는 명시적 지원을 제공하는 것은 매우 매력적인 일이다. 학생들의 성과를 설명하고자 하는 현재의 모델들은 보이는 모든 차이 중 30%만을 차지하는 것처럼 보이기 때문에, 그러한 과정들에서 명시적으로 무엇을 가르쳐야 하는지는 아직 명확하지 않다. 만약 그러한 과정이 낙제생들에게 의무화된다면, 그들은 학생들의 마음속에 부정적인 연관이 생기겠지만, 만약 학생들이 객관적인 실패를 겪기 전에 그러한 과정들에 참석하도록 요구된다면, 학생들은 그들이 실제로 F가 발생하기 전에 선제적으로 낙제생들을 발견했다고 추론할 수 있다.
Struggling students, or students who fail a significant assessment, will tend to have low self-efficacy beliefs and negative feelings about learning and their own achievements that directly influence their motivation. It is very enticing to seek to offer such students some form of explicit support aimed at developing their skills in self-regulated learning, mastery goal orientation, reflection and deep learning. What to explicitly teach in such courses is not yet clear because current models that seek to explain student performance only seem to account for 30 % of any variance seen. If such courses are mandated for failing students then they can acquire negative associations in students’ minds and if students are required to attend such courses before they have suffered an objective failure then students may infer that their institution has proactively identified them as failing before they have actually done so.

이러한 과정에 어떤 내용이 가장 유용하게 포함되어야 하는지를 식별하려는 시도 외에도, 의학 학위 프로그램 자체가 자율 조절에서 바람직한 기술을 유도하기 위해 어떻게 가장 잘 구성될 수 있는지를 결정하기 위한 추가 연구가 필요하다. 또한 공부하기 위한 다른 성공적인 접근 방식을 가지고 있거나 준비가 되어 있지 않은 학생들에게 성적 저하를 야기하지 않으면서, 가장 많은 혜택을 줄 학생들을 대상으로 이러한 개입을 할 수 있는 최선의 방법에 대해서도 여전히 불분명하다. 미래의 의료인들이 사회가 요구하는 자율적이고 평생학습자로 가장 잘 발전할 수 있도록 학생들이 자유롭게 선택권을 행사할 수 있도록 이러한 프로그램에 대한 공평하고 비사법적인 접근을 만드는 방법도 필요하다.

In addition to attempts to discern what content should be most usefully included in these courses, further research is needed to determine how medical degree programmes themselves can be best structured to induce desirable skills in self-regulation. It also remains unclear as to how best to target these interventions at those who will most benefit from it while not causing a deterioration in performance in those students who have other successful approaches to study or are not ready for them. Ways to create equitable and non-prejudicial access to such programmes so that students freely exercise choice to participate in them when they are ready to do so are also necessary so that the medical practitioners of the future are best able to develop into the autonomous, life-long learners that society requires.

 

 


 

Adv Health Sci Educ Theory Pract. 2016 Aug;21(3):695-710.
 doi: 10.1007/s10459-015-9643-8. Epub 2015 Oct 6.

 

Critical review: medical students' motivation after failure

Affiliations collapse

Affiliation

1Guys, King's and St Thomas' School of Medical Education, King's College London, Henrietta Raphael House, Guys Campus, London, SE1 1UL, UK. Christopher.holland@kcl.ac.uk.

PMID: 26443085

DOI: 10.1007/s10459-015-9643-8

Abstract

About 10 % of students in each years' entrants to medical school will encounter academic failure at some stage in their programme. The usual approach to supporting these students is to offer them short term remedial study programmes that often enhance approaches to study that are orientated towards avoiding failure. In this critical review I will summarise the current theories about student motivation that are most relevant to this group of students and describe how they are enhanced or not by various contextual factors that medical students experience during their programme. I will conclude by suggesting ways in which support programmes for students who have encountered academic failure might be better designed and researched in the future.

Keywords: Academic support; Failure; Student motivation.

고르디우스의 매듭 풀기: 의과대학에서 재교육이 필요한 재교육 문제(BMC Med Educ, 2018)
Untying the Gordian knot: remediation problems in medical schools that need remediation
Layne D. Bennion1*, Steven J. Durning1, Jeffrey LaRochelle2, Michelle Yoon1, Deanna Schreiber-Gregory1,
Brian V. Reamy1 and Dario Torre1

 

 

배경
Background

학문적 교정조치는 의과대학과 레지던트 훈련 프로그램이 직면한 거의 보편적인 문제이다. 연구에 따르면 10%의 의대생이 훈련 중 어느 시점에 학업상 실패에 직면하기에, 교정조치의 필요성이 중요하다[1]. 이러한 필요성에 대응하여, 높은 비율의 의과대학들은 현재 학생들을 위한 어떤 형태의 학문적 지원을 제공하고 있다. 그러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은 칭찬할 만하고 필요하지만, 어려움을 겪고 있는 학생 맞은편에 앉아본 많은 사람들이 증명할 수 있듯이, 기여하는 요소들을 분석하고 해결책을 해독하는 것은 책상 위에 고르디안 매듭을 놓는 것과 비슷합니다.

Academic remediation is a near universal problem faced by medical schools and residency training programs. Studies suggest that the need for remediation is significant given 10% of medical students encounter an academic failure at some point during their training [1]. In response to this need, a high percentage of medical schools now offer some form of academic support for their students. Offering such services is laudable and necessary, but as many who have sat down across from a struggling student can attest, analyzing the contributing factors and deciphering a solution is akin to having a Gordian knot perched on your desk.

미국의 커리큘럼 개혁 노력은 학습자 기반 전략, 역량 기반 프로그램 및 다중 학습 모드에 대한 존중으로 전환되고 있다[2,3,4,5]. 유럽과 영국(영국)의 유사한 커리큘럼 개혁 노력이 최근 몇 년 동안 논의되었다[6]. 여기에는 세계보건기구와 세계의료교육연맹(WHO/WFME) 지침의 통합을 포함한다[7]. 또한, 모집 과정에서는 다양한 배경의 유능한 입학생들을 찾는 범위가 넓어졌으므로 [8,9,10] 학습 관점의 변화가 필요하다. 이 모든 것은 시스템의 측면을 평가하고 수정할 수 있는 고유한 기회를 제공합니다.
Curriculum reform efforts in the US are shifting to learner-based strategies, competency-based programs and respect for multiple modes of learning [2,3,4,5]. Similar curriculum reform efforts in Europe and the United Kingdom (UK) have been discussed and debated in recent years [6] including incorporation of the World Health Organization and World Federation of Medical Education (WHO/WFME) guidelines [7]. In addition, recruitment processes have widened their search for capable matriculants from diverse backgrounds [8,9,10] which requires changes in views of learning. All of these provide a unique opportunity to evaluate and revise aspects of the system.


의대 프로그램 내에서의 학업 교정은 상당한 관심의 주제이며 주목할 만한 출판물(예: 게라시오[11], 칼레와 초우[12]))을 제작했다. 그러나 [체계적인 과정으로서의 교정조치]는 [학문적 투쟁은 교정담당자에게 떠넘기는 개인의 문제라는 전통적인 시각]에서 정비되지 않았다. 이와 관련하여, 우리는 교정조치가 사후적 생각이나 "외부적" 활동이라기보다는 [공동의 책임으로 의료 교육 구조의 명시적 부분이 되어야 한다]는 클랜드 및 동료[13]와 Kalet, Ellaway 및 동료[14, 15]의 의견에 동의한다.

Academic remediation within medical school programs is a topic of significant interest and has produced notable publications (e.g., Guerrasio [11] and Kalet and Chou [12]). However, remediation as a systematic process has not been overhauled from the traditional view that academic struggles are solely an individual problem which is handed off to remediation personnel. In this regard, we agree with Cleland and associates [13] and with Kalet, Ellaway and colleagues [14, 15] that remediation should be an explicit part of the structure of medical education with shared responsibilities rather than as an afterthought or “outsider” activity.

거의 모든 의과대학은 재교육에 자원에 투자하지만, 대부분 [학생이 의사가 되는 발전 과정 동안의 전략적 지점]에서 [교정 전문가와 강사 또는 커리큘럼 관리자 간에 교차 대화를 하지 않는 잘못]을 범한다. 대신 교정은 의학 교육의 핵심 활동에서 벗어나, 어려움을 겪고 있는 학습자들이 학문적 '파울'를 범한 뒤에 보내지는 '벌칙 상자'를 관리하는 일을 맡긴다. 교정 프로그램과 대규모 교육 프로그램 간의 양방향 커뮤니케이션 방법이 없고, 교정 조치를 [어려움을 겪고 있는 학습자를 '고치는' 것으로 보는 관점]을 수정하지 않는다면, 교정조치는 개별 학습자와 학교에 덜 효과적이고 더 많은 비용이 소요될 것이라고 생각한다([16] 참조).
Nearly all medical schools invest in remediation resources, but most err in not having cross-talk between remediation specialists and instructors or curriculum managers at strategic points throughout students’ developmental process of becoming a physician. Instead remediation is relegated away from the core action of medical education; consigned to manage the ‘penalty box’ where struggling learners are sent after committing academic ‘fouls’. Without avenues of two-way communication between the remediation program and the larger educational program and without revising our view of remediation as ‘fixing’ struggling learners, remediation will remain, in our opinion, less effective and more costly to individual learners and to the school (see also [16]).


Cleland 및 관련 기사[13]뿐만 아니라 다른 기사들도 최근 개별 교정조치 필요와 대규모 교육 시스템 사이의 단절에 대해 썼으며 중요한 관련 질문을 제기했다. Cleland와 동료들은 몇 가지 구체적인 제안을 하지만, 전반적으로 구체적인 해결책을 제시하기보다는 더 많은 문제와 토론의 요점을 강조했습니다. 본 논문에서, 우리는 그들의 연구를 바탕으로 더 큰 의료 교육 과정과 교정 사이의 단절과 관련된 세 가지 일반적인 문제를 식별한 다음, 그러한 문제를 최소화하기 위한 네 가지 권장 사항을 제안한다.
Cleland and associates article [13] as well as others have recently written about the disconnect between individual remediation needs and the larger educational system and have raised important associated questions. While Cleland and colleagues do offer some specific suggestions, overall they highlighted more problems and points for discussion rather than providing specific solutions. In this paper, we build upon their work and identify three common problems associated with the disconnect between the larger medical education process and remediation and subsequently propose four recommendations to minimize those problems.

1번 문제. 어려움을 겪고 있는 학습자—시스템이 학습자를 일찍 찾을 수 있습니까?
Problem 1. Struggling learners—Can the system find them early?

어려움을 겪고 있는 학습자를 식별하기 위한 [네 가지 잠재적인 원천]이 있다:

  • 사전 입학 및 인구 통계 데이터,
  • 자기 식별,
  • 학생 진학 또는 학업 검토 위원회,
  • 다중 소스, 상세 시간별 성과 데이터(포트폴리오).

There are four potential sources for identifying struggling learners:

  • pre-matriculation and demographic data,
  • self-identification,
  • student advancement or academic review committees, and
  • the use of multiple-sourced, detailed, across-time performance data (portfolios).


많은 위험 기여자들이 의과대학 입학 첫 날 전에 존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알려진 위험요인 중 일부는 아래에서 간략히 검토한다.

  • 퍼거슨, 제임스, 메이들리는 영국 의과대학에 다니는 학생들과 관련된 그들의 메타 분석에서 (1) 여성이 남성보다 약간 앞서고, (2) 소수민족으로서의 정체성은 약간 불리한 경향이 있다는 것을 발견했다.
  • 최근에 울프, 포츠 & 맥마너스[18]는 영국 의사 훈련에 대한 메타 분석에서 백인 후보자와 비백인 후보자의 광범위한 차이를 발견했다. 또한 학부 성적 평균(GPA)이 의대 성적의 편차를 23%만 예측했으며, 학습 방식(예: 콜브 컨버터나 삼자 모델의 심층 및 전략)은 학업성취도(0.18~0.26)와 상관관계가 약하다는 것을 발견했다.
  • 도넌과 동료들의 MCAT 점수 메타 분석[19]의 의과대학 성적에 대한 예측 유효성은 이후 성과에 대한 다양한 척도에 대해 작거나 중간 정도의 효과 크기(본질적으로 최대 0.4)를 발견했다.
  • 더비 외 연구진. [20] 의과대학 중퇴에 대한 학생들의 "심각한 생각"은 인구통계학적 또는 사건적 요인, 예를 들어 의과대학에서 나이가 더 많거나 아이가 있거나 의과대학 3학년이거나 아메리칸 인디언 또는 태평양 섬 주민이라고 스스로 밝힌 것과 관련이 있다는 것을 발견했다. 예상한 바와 같이, 그들은 학업 문제의 더 큰 위험이 중대한 개인적 질병, 중대한 다른 질병, 그리고 이혼과 같은 중요한 심리사회적 스트레스 요인들과 연관되어 있다는 것을 발견했다.

Many risk contributors have been studied and are known before the first day of medical school. Some of those known risk factors are briefly reviewed below.

  • Ferguson, James and Madeley [17] in their meta-analysis of studies involving students attending UK medical schools found that (1) women slightly out-perform men, and (2) identification as an ethnic minority tends to be a slight disadvantage.
  • More recently, Woolf, Potts & McManus [18] found in their meta-analysis of UK physician training, wide-spread differences between white and non-white candidates. In addition, they found undergraduate grade point average (GPA) predicted only 23% of the variance in medical school grades, and learning style (e.g., Kolb’s convergers or the tripartite model’s deep and strategic) had weak correlations with academic performance (0.18 to 0.26).
  • Donnon and associates’ [19] meta-analysis of Medical College Admissions Test (MCAT) score’s’ predictive validity of medical school performance found small to medium effect sizes (essentially zero up to 0.4) for various measures of later performance.
  • Dyrbye et al. [20] found that students’ “serious thought” of dropping out of medical school was associated with demographic or event factors, e.g., being older in medical school (> 30 years old), having a child, being in the 3rd year of medical school, and self-identifying as an American Indian or Pacific Islander. As anticipated, they also found greater risk of academic problems was associated with significant psychosocial stressors such as major personal illness, major illness in a significant other, and divorce.

위에서 언급한 데이터 포인트가 위험에 처한 학생의 유일한 식별자여야 한다고 제안한 연구자는 없다. 이는 알려진 관계이지만, 우리가 아는 한, 학업 훈련 초기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학습자를 식별하기 위해 [알려진 위험 요소]를 [관련된 초기 성과 데이터]와 결합한 연구자는 없다.

No researchers have proposed that the above noted data points should be the sole identifiers of at-risk students. While these are known relationships, to the best of our knowledge, no researchers have combined known risk factors with concerning early performance data in an effort to identify struggling learners at the beginning of their academic training.

어려움을 겪고 있는 학습자를 식별하기 위한 두 번째 원천은 자기-보고self-referral입니다. 적은 비율의 학생들만이 재교육 리소스에 자기-의뢰self-refer를 한다. 게라시오 외 연구진, 10년간의 자료들을 종합해보면. [21]에 따르면 약 7%의 학생이 의대생과 전문가를 위한 교정 프로그램에 스스로 참여했다고 한다. 우리의 경험에 비추어 볼 때, 이 학생들 중 많은 학생들은 [성취도가 높은 학생]인 경향이 있는데, 이들이 자기-의뢰를 하는 동기는 성적에 대한 만성적인 불안감 때문이다. 따라서 도움이나 안심을 구하는 것은 그들에게 새로운 행동이 아니다. 우리의 관점에 따르면, 이러한 학생군에 대해서는 시스템 수준에서 필요한 변화가 거의 없다.
A second source for identifying struggling learners is self-referral. Only a small percentage of students self-refer to remediation resources. Combining 10 years of data, Guerrasio et al. [21] found approximately 7% of students were self-referred to a remediation program for medical students and professionals. Based on our experiences, many of these students tend to be high achievers whose drivers for self-referral include chronic anxiety about their performance. Thus seeking assistance or reassurance is not a new behavior for them. In our view, there is little change needed at the system level for this subset of struggling learners.

위험에 처한 학생의 식별을 위한 세 번째 출처는 [교수진 또는 학술 또는 역량 검토 위원회]가 주도하는 보다 [공식적인 과정]을 거치는 것이다. 전형적으로 위원회는 중대한 학업이나 성적 실패에 따른 학생의 상황을 검토한 후 학교 내에서의 특정 학생의 지위와 관련하여 학교 지도부에 권고한다. 위원회에서 검토된 학생들이 '위험에 처한' 학습자들이라는 것에는 의문의 여지가 거의 없지만, 이에 따르는 조치는 보통 매우 늦게 일어난다. 즉, 교정 프로그램과 전문가들은 학생 개개인의 [중대한 실패나 일련의 실패가 있을 때까지 '운동장 바깥sideline'을 고수]한다. 이러한 기관 수준의 과정은 전형적으로 느리게 진행되고, 학생들에게 징벌적인 것으로 인식되며, 가장 심각한 학업 또는 직업적 행동 문제(즉 등록 취소의 가능성)에 직면할 수 있는 학생들을 잡아내기 위해 고안되었다.
A third source for identification of an at-risk student is through a more formal process led either by faculty (Ellaway et al. [14]) or an academic or competency review committee. Typically, committees review a student’s situation following a critical academic or performance failure and then make recommendations to the school’s leadership regarding that particular student’s status within the school. While there is little question that the students who are reviewed by such committees are ‘at-risk’ learners, this action commonly occurs very late in the process. That is, remediation programs and experts sit by the “sidelines” until there has been a significant failure or a series of failures by an individual student. These institutional-level processes typically proceed slowly, are perceived as punitive by students and are designed to capture those students with the most serious academic or professional behavior problems, i.e., those who may be facing the possibility of disenrollment.

스테거스-저거와 동료[22]는 최근 시행된 네덜란드의 한 의과대학과는 다른 모델을 제시했는데, 이 의과대학은 4개월, 7개월, 12개월에 발생한 [조기 식별]을 포함했다. [경고]는 4개월과 7개월 시점에, [학사 보호관찰]은 12개월에 적용되었다. 그들은 (이전 과정보다) 이 모델에 따라 지원 서비스에 참여하는 학생들이 더 많다는 것을 발견했다. 그들은 일대일 교정 서비스에 참여하는 학생들이 자격증 전 연구를 만족스럽게 마칠 가능성이 훨씬 더 높다는 것을 발견했다.

Stegers-Jager and colleagues [22] presented a different model from a Dutch medical school implemented recently which did include early identifications occurring at 4, 7 and 12 months into the preclerkship studies. Warnings were given at the 4- and 7-month time points, and academic probation was applied at 12-months. They did find more students participating in supportive services under this model (than the previous process). They found those students participating in one-on-one remediation services were significantly more likely to satisfactorily complete their preclerkship studies.

학술 검토 위원회에 의해 검토된 학생들의 장기적인 기능에 대해 Durning 등은 대학원 후 1학년(PGY1) 레지던트들의 성과를 분석하여 학술 검토에 회부된 사람과 그렇지 않은 사람을 비교했다. 그들은 위원회에 회부되는 것이 PGY-1 기간 동안 평균 이하의 성과에 대한 더 높은 위험과 관련이 있다는 것을 발견했다. 그러나, 그들은 또한 위원회와 교류하고 인턴쉽 기간 동안 평균 이하의 성적을 받은 학생들의 전반적인 비율이 낮다는 것을 발견했다. 저자들은 다음과 같은 더 많은 연구의 필요성에 주목했다. 

  • (a) 교정 노력의 시기 및 강도, 그리고 둘 중 하나가 이후의 성능 문제 및 관련성이 높은지 여부
  • (b) 주로 전문적인 문제를 가진 학생들의 학업 문제를 비교하며, 이후 성과와의 관계의 강점을 살펴본다.

As for longer-term functioning of students reviewed by an academic review committee, Durning et al. [23] analyzed the performance of Post Graduate Year-1 (PGY1) residents comparing those who had been referred for academic review to those who had not. They found that being presented to the committee was associated with a higher risk of below average performance during PGY-1. However, they also found that the overall percentage of those students who interacted with the committee and had below average performance ratings during internship was low. The authors noted the need for more research including:

  • (a) the timing and intensity of remediation efforts and whether either is associated with higher risk for later performance problems and
  • (b) looking at the strength of the relationship with later performance comparing those students with primarily academic issues from those with primarily professional problems.

Kalet 및 동료들과 유사하게[15, 24], 우리는 학생이 커리큘럼 중 늦은 시기에 식별될수록, 학생이 피로, 낙담, 학업 성취도 지연을 보일 가능성이 더 높아지며, 이는 학생의 학습 능력에 잠재적으로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믿는다.성공하다
Similar to Kalet and colleagues [15, 24], we believe that as a student is identified later into the curriculum, the higher the likelihood of that student presenting with exhaustion, discouragement, and a lag in academic performance, which could have a potentially negative impact on the student’s ability to modify or attempt changes in their study process.

식별을 위한 네 번째 잠재적 원천은 [어려움을 겪고 있는 학습자를 조기에 식별하기 위해 분석된 학생들의 다중 소스, 시간별 성과]를 사용하는 것이다. 의대생을 위한 학습 또는 진보 포트폴리오의 개념은 확실히 새로운 것이 아니다(예: [25,26,27,28].

A fourth potential source for identification is the use of multiple-sourced, across-time performance of students analyzed with the goal of early identification of struggling learners. The notion of a learning or progress portfolio for medical students is certainly not new (e.g., [25,26,27,28].

포트폴리오는 학문을 포함하여 사용 가능한 성과 데이터를 종합적으로 수집하는 수단으로 사용될 수 있습니다. 최근에 Kalet과 Pusic[29]은 여러 출처에서 다양한 점수와 등급을 집계하는 전체론적이고 역량 기반 포트폴리오를 사용할 것을 지지했다. 이 과정은 현재 그들의 프로그램(뉴욕 대학교 의과대학)에서 개발 중에 있다. 아쉽게도 이 공정의 관리 및 설계에 대한 세부 사항은 거의 제공되지 않았습니다. 그러나 학생과 멘토가 정기적인 검토를 위해 프로필 측정 기준을 이용할 수 있다는 것은 분명하다. 그들의 장의 한 예제 표는 조직학, 병리학, 약리학 등과 같은 다양한 성과 메트릭에 대한 21개의 특정 내용 "버킷"을 나열하고, 각 내용 영역에 대한 코호트와 비교하여 각 학생의 성과를 박스 앤 휘스커 형식으로 표시했다. 이것은 학생들의 학업 및 직업적 성취도에 대한 개별적이고 매우 상세한 추적 시스템의 한 예로서 포트폴리오에 대한 우리의 의도된 의미와 일치합니다.
Portfolios can be used as to means to comprehensively collect available performance data including academics. Recently, Kalet and Pusic [29] advocated use of a holistic and competency-based portfolio aggregating various scores and ratings from multiple sources. This process is currently in development at their program (New York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Unfortunately, few details were provided regarding the management and design of this process. However, it is clear that the profile metrics are available to the student and their mentor for periodic review. One example table in their chapter listed 21 specific content “buckets” for various performance metrics such as histology, pathology, pharmacology, etc. as well as displaying for each student their performance as compared to their cohort for each content area in a box-and-whisker format. This is an example of an individualized and very detailed tracking system for students’ academic and professional performance and is in concert with our intended meaning for portfolio.

Kalet and Pusic의 학교에서는 이러한 데이터가 학생과 멘토에게 남아 있으며, 위험에 처한 학습자를 식별하는 데 더 큰 시스템에서 사용되지 않는 것으로 보인다. 아마도 꾸준히 학업상 어려움을 보이는 학생은 추가 지원을 요청하겠지만, 시스템이 포트폴리오에 있는 개인의 데이터와 언제 또는 어떻게 상호 작용하거나 사용하는지는 명확하지 않다.

In Kalet and Pusic’s school, it appears such data remains with the student and their mentor and is not used by the larger system in identification of at-risk learners. Presumably, a student who consistently shows academic difficulties would be referred for additional assistance, but when or how the system interacts with or uses individuals’ data in the portfolio is not clear.

 

2번 문제. 교정 -어떤 맛이 어떤 학생에게 먹힐까요?
Problem #2. Remediation—Which flavor works for which student?

교정은 레이블로서 다양한 기술 개발 프레젠테이션, 튜터링, 개념 모델 및 일대일 활동을 포함한 다양한 프로세스에 적용되어 왔다. 몇 가지 주목할 만한 예외(아래 참조)를 제외하면, 절차를 분석하고 가장 중요하게는 어려움을 겪고 있는 특정 학습자의 요구를 충족하기 위해 [교정 조치를 개별화하는 방법]을 자세히 설명하는 것은 거의 없다. Winston[30] 및 다른 사람들이 지적한 바와 같이, [단순히 다음 시험에 합격하기 위해 가르치는 것]은 어려움을 겪고 있는 학습자들에게 장기적으로 효과가 없습니다.
Remediation, as a label, has been applied to a diverse set of processes including various skill-building presentations, tutoring, conceptual models, and one-on-one activities. With a few notable exceptions (see below), little is available which dissects the procedure and, most critically, details how to individualize remediation to meet the needs of a specific struggling learner. As noted by Winston [30] and others, simply teaching to pass the next exam does not work in the longer-term for struggling learners.


의대 교정조치 프로그램의 3분의 2 이상이 시간 관리 전략, 시험 응시 기술, 노트 필기 전략, 수업 시험 검토, 과정 내용 검토, 자원 모델링 사용 및 문제 해결 모델링과 같은 서비스를 제공한다[31]. Cleland와 동료들이 지적한 바와 같이, 위와 같은 교정조치의 가장 눈에 띄는 단점은 [빠르고 쉬운 해결책으로 학습자가 어려움을 겪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을 것]이라는 시스템적 견해로 요약될 수 있습니다[13]. 또는 이러한 일반적인 서비스는 어려움을 겪고 있는 [특정 학습자의 개별 기여자] 중 일부를 무시할 수 있다. 일부 의과대학은 [자료에 대한 조기 노출]과 [학습을 촉진하기 위해 학습 능력 향상 및 튜터링]에 초점을 맞춘 [입학-전 프로그램]을 제공하여 위험에 처한 학생들의 요구를 충족시킨다. Miller [32]는 학생들이 예상 학습 계획을 수정하는 결과를 가져온 그러한 프로그램 중 하나를 설명했지만, 안타깝게도 실제 학업 성과와 관련된 데이터는 제시되지 않았다.

Over two thirds of medical school remediation programs make available services such as time management strategies, test taking techniques, note taking strategies, reviews of class exams, review of course content, modeling use of resources, and modeling problem-solving [31]. As noted by Cleland and colleagues a most noticeable downside to the above practices can be summed up as a systemic view that quick and easy fixes have the ability to address the problem of struggling learners [13]. Alternatively these generic services can ignore some of the individual contributors of a particular struggling learner. Some medical schools address the needs of at-risk students by providing pre-matriculation programs focused on enhancing study-skills and/or tutoring to promote early exposure to and learning of the material. Miller [32] described one such program which resulted in students modifying their anticipated study plan, but unfortunately no data was presented related to actual academic outcomes.

의학교육 연구에 적용되는 교정조치 접근방식은 [분석적, 발달적, 합성적, 역량 기반]이라는 네 가지 모델로 분류되었다[33]. 불행히도 그러한 모델은 임상 기술 개발, 기초 과학 지식 또는 전문성을 언급하든 결과 차이를 거의 설명하지 않는 것으로 밝혀졌다[16, 34,35,36,37].
Remediation approaches applied in medical education research have been categorized into four models: analytic, developmental, synthetic and competency-based [33]. Unfortunately, such models have been found to explain little of the outcome variance whether referring to clinical skills development, basic science knowledge or professionalism [16, 34,35,36,37].


Winston [30]은 [정규 교수진 중심의 소규모 그룹 작업]과 관련된 커리큘럼의 일부를 반복하는 학생들을 위한 심층적이고 1년 길며 집중적인 프로그램에 대해 논의했으며, 이들의 성공을 나타내는 데이터를 제시했습니다. Sayer 등. [38]은 영국 의과대학에서 특히 긴 일대일 튜터링, 협업으로 설계된 교정 계획 및 세심한 개별 평가 프로세스를 통해 학술 문제를 대상으로 한 소규모의 성공적인 프로그램을 설명했다.

Winston [30] discussed an in-depth, year long, multi-pronged, intensive program for students repeating a portion of the curriculum involving regular faculty-facilitated, small group work with integration of study skills and presented data indicating their success. Sayer et al. [38] described a small, reportedly successful program in a UK medical school specifically targeting academic issues with lengthy one-on-one tutoring, a collaboratively designed remediation plan and a careful individualized assessment process.

대안적 접근법은 지식 자금, 임상 추론, 이력 취합, 신체 검사 또는 전문성과 같은 잠재적인 유형의 학습자 결손("진단")을 나열하는 것이다[39]. Gerasio [11]에는 시간 관리 및 조직 기술, 대인관계 기술, 커뮤니케이션, 실습 기반 학습, 시스템 기반 학습 및 정신적 안녕과 같은 추가적인 교정 '진단'이 추가되었다.
An alternative approach is a listing of potential types of learner deficits (“diagnoses”) such as difficulties in fund of knowledge, clinical reasoning, history-taking, physical examination or professionalism [39]. Guerrasio [11] adds the following additional remediation ‘diagnoses’: time management and organizational skills, interpersonal skills, communication, practice-based learning, system-based learning and mental well-being.


서술적 요약과 분산된 결과 메트릭을 살펴보는 것 외에, 효과적인 개별화된 프로세스를 구축하여 성공적인 치료를 제공하는 방법에 대한 연구는 거의 없었다. 교정에서 무엇이 효과가 있는지 없는지 확인하는 것은 어렵습니다. Gerasio[11]는 아마도 콜로라도 의과대학에서 교정 과정을 바탕으로 가장 상세하고 실용적인 논의를 하고 있으며, 그녀는 특정 과정을 뒷받침하는 많은 출처를 부지런히 참조하고 있다. Kalet과 Chou[12] 또한 개별 학생과 교정조치 수행과 관련된 많은 실질적인 측면과 관점을 문서화한다. 이러한 저자와 다른 사람들(예: [13, 40])에 따르면, 의학교육 학술 교정조치에 대한 대부분의 연구는 [불합격 시험의 재응시]에 초점을 맞추고 있으며, 어떤 유형의 학생이 어떤 교정조치가 가장 도움이 되는지 결정하는 데 있어 어떠한 유형의 지원이 필요한지 결정하는 데 거의 기반을 제공하지 않는다. 칼레 등. [12] "의학적 교육에서 교정조치가 작동하는 방법과 이유를 뒷받침하는 증거가 거의 없다"(24페이지)는 이를 직접적으로 언급한다.

Beyond descriptive summaries and looking at scattered outcome metrics, little research has focused on how to build an effective and individualized process to provide successful remediation. Ascertaining what works and doesn’t work in remediation is difficult. Guerrasio [11] has perhaps one of the most detailed and practical discussions based on their remediation process at University of Colorado School of Medicine and she diligently references many sources supportive of particular processes. Kalet and Chou [12] also document many practical aspects and viewpoints related to conducting remediation with individual students. As these authors and others (e.g., [13, 40]) note most research on medical education academic remediation is focused on a retake of a failed examination and provides little basis for determining of what types of support are needed for which students or what type of remediation is most helpful. Kalet, et al. [12] rightly note “as yet [there is] little evidence supporting how and why remediation in medical education works” (pg 24).

효과적인 교정 조치를 개별화할 때 발생하는 두 번째 문제는 교정 프로그램을 만들거나 관리하는 담당 직원의 다양한 배경이다. 134개의 의과대학에 대한 설문조사에 따르면 의과대학 [교정조치를 담당하는 직원의 절반 미만]이 교육, 학습 또는 개인 행동 변화 강화에 대학원 학위를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31]. 이들 직원 중 3분의 1 이상은 학업 지원에 대한 특별한 훈련이나 경험이 없는 것으로 알려졌다. 위와 마찬가지로, 이 데이터는 대학원 수준의 교정조치가 [이론이나 학문에서 확실한 기반이 없는, 젊은 분야]임을 시사한다.
A second complication in individualizing effective remediation is the varied background of staff who are tasked to create or manage remediation programs. A survey of 134 medical schools found that less than half of the staff who were responsible for remediation in medical schools had graduate degrees in education, learning or in enhancing individual behavioral change [31]. Over one third of these staff members reportedly had no particular training nor prior experience in providing academic support. Similar to above, this data suggests remediation at the graduate level is a young field with the added disadvantage of not having a solid basis in theory or discipline.


세 번째 어려움은 학업적 어려움에 대한 기여요인이 여러개라는 점이다. 특정 학생의 경우, 학업적 어려움의 기여요인의 수는 일반적으로 어려움을 겪는 [학습자 당 여러 개]이며, 많은 기여요인은 학생의 [사회 및 가족 환경 내의 배경 경험] 또는 [현재 취약점]과 관련이 있다. 따라서 시간 관리 또는 간격 학습의 개념과 같은 특정 기술을 가르치는 것은 어려움을 겪는 학생 중 적어도 일부에게는 부적절한 대응인 경우가 많다. 또한 Cleland 및 동료[13]는 개별 학생 배경뿐만 아니라 제도적 문화로부터의 압력을 인식할 필요성을 강조한다.

A third complication, as identified by Guerrasio [11], Sayer et al. [38] and Mcloughlin [41] focuses on the numerous contributors to academic difficulties. For a particular student, the number of contributors to academic struggles is typically multiple per struggling learner and many are related to the student’s background experiences and/or to current vulnerabilities within their social and family settings. Thus, teaching specific skills, e.g., time management or the notion of spaced learning, is often an inadequate response for at least a portion of struggling students. Cleland and associates [13] also highlight the need to recognize pressures from institutional culture as well as individual student backgrounds.

Durning 등은 [33]은 다른 접근방식을 취한다. 교정전략을 특정 학생이나 학습장애에 맞추려고 시도하기보다는 주제와 맥락에 일반적인 자기주도학습 과정을 경험적·이론적으로 응용해 어려움을 겪는 의학적 학습자를 위해 적응시켰다. 이 모델인 자기 조절 학습—마이크로 분석적 평가 및 훈련(SRL-MAT)은 3상 순환 루프로 기능하는 문제 해결 접근법이며 학습 상황에 적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세 가지 주기는

  • (a) 전략적 계획 및 동기 부여 요소를 포함한 사전 고려 사항
  • (b) 메타인지 모니터링, 자가 테스트 및 자기 통제를 포함하는 수행능력
  • (c) 인과적 귀속, 자기 평가, 만족도와 같은 성과에 대한 자기 성찰.

Durning and associates [33] take a different approach. Rather than attempting to match remediation strategies to a specific student or their learning difficulties, they took an empirically and theory-based application of a self-directed learning process which is generic to topic and context and adapted it for struggling medical learners. This model, Self-Regulated Learning—Microanalytic Assessment and Training (SRL-MAT), is a problem-solving approach which functions as a three-phase cyclical loop and is applicable across learning situations. Specifically the three cycles are:

  • (a) Forethought including strategic planning and motivational factors,
  • (b) Performance involving metacognitive monitoring, self-testing and self-control and
  • (c) Self-Reflection about performance such as causal attribution, self-evaluation and satisfaction.

이러한 기술은 장기적인 작업 산출물에 즉시 적용하기 위한 것입니다. 특히 이 모델은 여러 학습 상황에서 성공적인 학습 결과를 보여주는 데이터로 교육 연구의 견고한 기초를 기반으로 하며 의대생의 진단 추론 개선에 성공적으로 활용되었다[42].

These skills are intended for the application of immediate to longer-term work products. Notably, this model is based on a solid foundation in educational research with data showing successful learning outcomes from multiple learning contexts and has been successfully utilized in improving the diagnostic reasoning of medical students [42].

넷째, 구조화되지 않은 면담 외에, 학습자의 학문적, 인지적 강점과 약점을 객관적으로 측정하기 위해 애쓰는 학습자에 대한 공식적인 평가가 거의 없다. 많은 교정 프로그램이 과정에 면담을 포함하지만, '면담'이 의미하는 바는 무엇인지, 그 인터뷰의 구조와 취재의 정도, 그리고 그 정보가 어떻게 사용되는지는 명백한 구멍이다.
Fourth, rarely is there any formal assessment of the struggling learner, beyond an unstructured interview, to objectively measure their academic and cognitive strengths and weakness. While many remediation programs include an interview in their process, what is meant by ‘an interview’, the degree of structure and coverage for that interview and how that information is used is a glaring hole.


환영할 만한 예외는 [공식적인 인지 평가]와 관련된 문제를 논의하고, 강점과 약점을 판단하며, 테스트가 이를 뒷받침한다면 의대생 학습 장애 진단을 적용하는 Yellin의 연구[43]이다. 그는 교정 계획을 개별화하기 위한 6개의 신경 발달 구조(주의력, 언어, 기억력, 시간적 순차 순서, 공간 순서 및 고차 인지) 내에서 어려움을 겪고 있는 의대생들의 상대적 강점과 약점을 확인하기 위해 [광범위한 인지 테스트]를 사용할 것을 지지한다. 그의 과정은 학생들이 인지력을 더 잘 이해하고 상대적인 강점과 약점을 배우는 데 도움이 되는 인지 프로파일을 만들기 위한 객관적인 테스트의 사용을 개략적으로 설명한다. 교정 팀은 개별 프로필을 기반으로 맞춤형 학습 계획 또는 "프로파일별 관리" 계획을 수립합니다. 시험이 활용되지 않는 경우, 미묘한 독해 문제, 더 나은 작문 능력 또는 평균 이하의 임상 추론 능력과 같은 일부 학문적 약점을 인식하거나 다루지 못할 수 있다[44]. 위의 과정의 단점은 공식적인 평가에 필요한 높은 비용과 시간뿐 아니라 필요한 검사 도구에 익숙한 전문가(예: 신경심리학자)가 필요하다는 것이다. 그리고 더 중요하게는, (단순히 일반 인구나 연령 기반 규범을 사용하는 것보다) 대학원 의학 교육의 맥락 안에서 평가를 하려는 의지이다. 

A welcome exception is Yellin’s [43] work which discusses the issues associated with formal cognitive assessment, determining strengths and weaknesses and if testing supports it, applying diagnosis of learning disabilities for medical students. He advocates for the use of broad-based cognitive testing to ascertain struggling medical students’ relative strengths and weaknesses within six neurodevelopmental constructs (attention, language, memory, temporal-sequential ordering, spatial ordering and higher-order cognition) to individualize the remediation plan. His process outlines the use of objective testing to create a cognitive profile used to help students better understand their cognitive and learning relative strengths and weaknesses. Based on the individual profile, the remediation team develops a tailored learning plan or a “management by profile” plan. When testing is not utilized, some academic weaknesses may not be recognized or addressed such as subtle reading comprehension problems, a need for better writing skills or below average clinical reasoning skills [44]. A downside to the above process is the high cost and time needed for formal assessment as well as a specialist (e.g., neuropsychologist) who is familiar with the necessary testing tools and, critically important, is willing to frame an evaluation within the context of graduate medical education (rather than simply using general population or age-based norms).

Mclaughlin[41]과 Yellin[43]은 많은 학생들이 중등교육 및 중등교육 활동에서 성공을 거둔 동일한 전략을 사용한다고 언급했다. 의과대학에서 수행상의 어려움에 직면했을 때, 이 학생들은 종종 똑같이 잘 사용되는 전략을 두 배로 사용한다. 새로운 전략을 찾는 것은 시간이 많이 걸리고 새로운 전략을 시도하는 데 있어 잠재적으로 시간 낭비를 감수하는 의대생은 거의 없다. 의대생들은 수십 년 동안 배우고 많은 환경에 적응하면서 매우 성공적인 학습자들이다. 이러한 학생들에게는, 지속적인 학업 실패는 말할 것도 없고, [어떤 심각한 학업 문제]도 생산적인 방법으로 관리하거나 배워본 경험이 없는, 예기치 않은 생소한 어려움이다. 의사로서 초기 직업적 정체성 개발의 고통 속에 있는 학생들에게, 심각한 학업 문제는 그들의 회복력, 동기 부여 및 직업 목표에 도전할 수 있다.

At the individual student level, as Mcloughlin [41] and Yellin [43] noted many students use the same strategies which produced success for them in their secondary and post-secondary educational endeavors. When faced with performance difficulties in medical school, these students often redouble their use of those same well-used strategies. Finding a new strategy is time-intensive and few medical students take the risk of potentially wasted time in trying new strategies. Medical students, almost by definition, are highly successful learners across decades of learning and adaptation to many environments. For these students any serious academic problem, not to mention consistent academic failures, is an unexpected and foreign hardship which they have no experience managing or learning from in productive ways. For the student in the throes of early professional identity development as a physician, serious academic problems can challenge their resiliency, motivation and career goals.

다섯째, 인구통계학적, 문화적 차이를 성별과 나이 이상의 공변량을 통합한 연구가 부족하다. 의료 전문가에서 다양성과 소수자 대표성의 필요성을 옹호하는 많은 사람들이 있다[45,46,47,48,49]. 문화 간 감독 및 의료 교육생의 멘토링과 같은 어려운 문제가 해결되었다[50]. 의학 문헌의 보다 광범위한 다양성 문제를 포함하는 경험적 교정조치 조사에 관심이 거의 집중되지 않는다.
Fifth, research which incorporates demographic and cultural differences as covariates beyond gender and age are lacking. There are many who advocate the need for diversity and minority representation in the medical professional [45,46,47,48,49]. Difficult issues such as communication within cross-cultural supervision and mentoring of medical trainees has been addressed [50]. Little if any attention is focused on any empirical remediation investigations which also included broader diversity issues in the medical literature.


여섯째, 학습자가 [잘 알고 있고 이전에 잘 작동했떤 전략을 변경하려고 할 때 직면하는 어려움]에 대한 교정 문헌에 대한 인식은 거의 없습니다. 교정에서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기술 부족 모델]은 학생들에게 수년간 개인적으로 효과적이고 수천 시간 동안 성공적으로 사용된 전략과 습관을 바꾸도록 요구한다. [깊이 뿌리내린 행동을 바꾸는 것]은 어렵고, 스트레스를 주며, 다른 전략으로 성공을 경험하기 전에 초기 시도는 쉽게 포기될 수 있다.

Sixth, there is scant recognition in the remediation literature of the difficulties all learners face when attempting to change their well-learned and previously servable strategy. The most commonly used skills deficit model in remediation asks students to change strategies and habits which have been personally effective for years and successfully used for thousands of hours. Changing deeply ingrained behaviors is difficult, stressful, and early attempts can be easily abandoned before experiencing success with an alternative strategy.

마지막으로 고려해야 할 것은, 그럼에도 불구하고 [상당수의 학생은 대학원 의학 교육의 도전에 성공적으로 적응하고 있다는 것]을 인정하는 것이다. 불행하게도, 의대생들이 얼마나 높은 성과를 내는지 '평균 이하' 의대생들이 어떻게 적응하는지에 대해서는 거의 알려진 것이 없다. 의과대학에서 '슈퍼' 학습자가 어떻게 변화하고 적응하며 성취하는지에 대한 정보는 교육 문헌에 부족하다. 성공적인 적응 전략을 발견하면 교정 프로세스에 추가 도구가 추가될 수 있습니다.
A final consideration is acknowledgement that a massive percentage of students are masterfully successful in adapting to the challenges of graduate medical education. Unfortunately, almost nothing is known about how high performing versus ‘below average’ medical students adapt. Information regarding how ‘super’ learners in medical school change, adapt and accomplish what they do is lacking in the educational literature. Discovering their successful adaptive strategies may add additional tools to the remediation process.

 

3번 문제. 낙인 — 계속 간섭을 방해
Problem 3. Stigma—It continues to interfere


개별 학생 수준에서 대부분의 의대생은 살아온 역사 속에서 학업상 어려움을 잘 느끼지 못하며[13] 나서서 추가 지원을 요청하기를 꺼린다[41, 51, 52]. 게다가, 일부 학생들은 무엇이 이러한 학업 문제를 야기하는가에 대한 그들의 인식에 편견이 있다. 예를 들어, 클랜드와 동료[40]는 영국 의과대학 4학년 학생들이 평균 이하의 성적을 내는 것은 외부 요인 탓인 경향이 있으며, 가장 최근의 실패는 고립된 사건이라고 믿으며, 교수진이 적절한 도움을 제공하지 않는다고 믿는다는 것을 발견했다. (사실 같은 학생들을 돕기 위해 여러 개의 메시지가 전송되었을 때).

At the individual student level, most medical students are historically unacquainted with academic difficulties [13] and are reluctant to come forward and ask for additional assistance [41, 51, 52]. In addition, some students have a bias in their perceptions of what causes these academic problems. For example, Cleland and associates [40] found that 4th year medical students in a UK medical school with below average performance tended to blame external factors, believe that their most recent failure was an isolated event and believe that faculty did not offer the appropriate assistance (when in fact multiple messages to aid these same students had been sent).

제도적 차원에서, 추가적인 도움이 필요한 학생들에 대한 공공연한 편견을 발견할 사람은 거의 없을 것이다. 그러나 지도자와 대학이 [교정 프로그램을 인식하는 방식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미묘한 믿음]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 구체적으로는 초기 학업에 어려움을 겪는 학생들이 전문성 개발 전반에 걸쳐 지속적으로 고군분투하며, 평범한 의사 기술의 미래로 이어질 것이라는 시각이다. 예를 들어, 클랜드 등이 있다. [40]은 "약한 의대생은 약한 의사가 된다"고 언급하고 두 가지 언급을 인용했다[53, 54]. 인용된 두 출처 모두 전문적인 행동 문제 또는 팀 구성원 간의 의사소통 문제를 강조합니다. 두 출처 모두 [초기 학업의 어려움]과 [나중에 형편없는 의사]와의 관계에 초점을 맞추고 있지 않다.

  • 예를 들어, 첫 번째 출처인 파파다키스와 관련자들[53]은 의료 첫 2년 동안 낮은 MCAT 점수와 낮은 성적이 (초기 전문적인 행동 문제를 가진 학생들이 직면하는 위험에 비해) 후속 징계의 "위험성"만 있다고 결론지었다. 파파다키스와 동료들이 제시한 숫자에 따르면 의과대학 1, 2학년 때 의과대학 학업성적 실패를 한 학생은 주 이사회에서 후속 징계를 받을 위험이 7%에 불과했다. 이에 비해 의과대학 시절 비전문적 행동에 대한 문서가 있는 이들은 주위원회 후속 징계의 위험(26%)이 3배 이상이었다.
  • 유사한 연구에서 Papadakis[55]는 로지스틱 회귀 모델링을 사용했을 때, 학문적 지표가 이후의 전문적인 행동 문제에 대한 중요한 예측 변수라는 것을 발견하지 못했다. (예: 학부 GPA, 하위 사분위 MCAT 성과, 하나 이상의 의과대학 과정 미합격) 이후 징계를 받은 그룹의 학부생과 다른 졸업생들 사이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3.3 대 3.4). 그러나 개별 학생 수준에서 유의한 차이가 아니며 이 변수가 로지스틱 회귀 분석 결과에서 유의한 예측 변수가 아닙니다.

At the institutional level, few would find overt bias against students needing additional assistance. However, there seems to be a subtle belief which may affect how leaders and universities perceive remediation programs. Specifically, a view that students with early academic difficulties will continue to struggle throughout their professional development, leading to a future of mediocre doctoring skills. For example, Cleland et al. [40] stated “weak medical students go on to become weak doctors” and cited two references [53, 54]. Both of the cited sources highlight professional behavior problems and/or communication problems between team members. Neither source is focused on the relationship between early academic difficulties and later “poor” doctoring.

  • For example, the first source, Papadakis and associates [53] concluded that low MCAT scores and low grades during the first two years of medical had “only ¼ the risk” of subsequent disciplinary action (as compared to the risk faced by student with early professional behavior problems). Based on the numbers Papadakis and colleagues presented, a student with an academic failure of a medical course during the 1st or 2nd year of medical school, had only a 7% risk of subsequent disciplinary action by state board. In contrast, those with documentation of unprofessional behavior during medical school, had more than three times that risk (26%) of subsequent disciplinary action by state board.
  • In a similar study Papadakis [55] did not find academic metrics (e.g., undergraduate GPA, lower quartile MCAT performance, not passing one or more medical school courses) were a significant predictor using logistic regression modeling of later professional behavior problem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was noted between the undergraduate GPA of the group with later disciplinary actions and other graduates (3.3 vs. 3.4), but this is not a meaningful difference at the level of individual students nor was this variable a significant predictor in the logistic regression results.

마찬가지로, 

  • 3,000명 이상의 캐나다 의사를 대상으로 한 연구는 지식 역량을 나타내는 점수(선다형 450문항(MCQ)의 기존 필기시험 점수)와 의사들에 대한 향후 환자 불만 사이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관계가 없음을 발견했다[56]. 
  • 학부부터 대학원 의학 교육에 이르는 150명 이상의 어려움을 겪고 있는 학습자들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 전문성 문제만이 보호 관찰의 중요한 예측 변수이며, 의학 지식이 예측 변수가 아니라는 것을 발견했다. 
  • Santen과 Associate가 학업 문제나 행동 문제를 통해 학생 학술 진흥 위원회에 의해 확인된 학생들에 대한 [57] 연구에서, 약 4%의 학생들이 후에 전문적이지 못한 행동에 대해 주 의료 위원회 조치를 받았다. 그들 표본 중 전문적인 거동이 불편한 학생들도 모두 학업상 문제가 있었다. 산텐이 발표한 자료 요약에 대한 정밀 조사 결과, [학업 문제만 있는(행동 장애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지 않은) 학생]은 [나중에 전문적이지 않은 행동으로 인해 주 위원회로부터 징계를 받지 않았을 가능성]이 있다. 
  • 라로셸 외 연구진 [58]은 임상 추론(소그룹 연습, 임상 추론에 초점을 맞춘 객관식 검사 및 객관적 구조 임상 검사(OSE) 성과)에서 자격증 전 성과가 교수진에 의한 의료 전문성 레지던트 등급의 작지만 유의미한 예측 가치를 가지고 있다는 증거를 발견했다.

Similarly,

  • a study of over 3000 Canadian physicians found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a score indicative of knowledge competency (score from a traditional written exam with 450 multiple choice questions (MCQs)) and future patient complaints against the physicians [56].
  • Guerassio [21] in a study of over 150 struggling learners spanning from undergraduate to graduate medical education, found only professionalism issues were a significant predictor of later probation, and that medical knowledge was not a predictor.
  • In Santen and associate’s [57] study of students identified by student academic promotions committee either through academic issues or behavioral problems, approximately 4% of those students later had state medical board actions taken against them for unprofessional behavior. All of the students in their sample who had professional behavior difficulties also had academic issues. Scrutiny of Santen’s published summary of their data suggests it is possible students who only had academic issues and were not also identified as having behavioral problems, were not later disciplined by state boards for unprofessional behavior (however, this is uncertain based on how they presented their data).
  • LaRochelle et al. [58] found evidence that pre-clerkship performance in clinical reasoning (small group exercises, multiple choice examination focused on clinical reasoning and Objective Structured Clinical Examination (OSCE) performance) did have small, but significant predictive value of resident ratings of medical expertise by faculty.

게다가, 초기 학업 성과나 심지어 보드 시험 점수도 [의사 진료의 다른 중요한 비지식적 측면과 관련이 없다]는 연구 결과가 있다.

  • 예를 들어, Hojat 등은는 미국 의료 면허 시험(USMLE) 1단계 시험 점수 및 공감 점수 사이에 아무런 연관성을 발견하지 못했다. 의사-환자 관계의 질 저하, 진단 오류, 치료 오류 또는 환자 만족도의 저하를 일차적으로 또는 실질적으로 기여하는 것으로서 초기 낮은 학업 성취도(의대 진학 전 또는 학위 취득 전)를 직접적으로 연결하는 연구는 발견되지 않았다.

In addition, there are studies that suggest early academic performance or even board examination scores are unrelated to other important non-knowledge-based aspects of physician care.

  • For example, Hojat et al. [59] found no relationship between scores on United States Medical Licensing Examination (USMLE) Step 1 examination and empathy scores. No studies were found directly linking early low academic performance (pre-med school or pre-clerkship) as a primary or substantial contributor to later poor quality of doctor-patient relationships, diagnostic errors, treatment errors, or patient satisfaction.

이 관점은 아마도 높은 학업 성취도가 전통적으로 특정 전문분야에 들어가기 위한 주요 문지기 역할을 해왔다는 것의 양면일 것이다; 학업 성취도는 의사 역량이나 적성을 대신하는 것으로 보여진다. (전공의의 1차 선발 변수로 Step 시험 점수를 사용하는 것에 대한 추가적인 논의는 Prober 등 참조).
This view is perhaps the flip side of a long tradition of high academic performance being the principal gatekeeper for entry into certain specialties; academic performance is seen as a proxy for doctoring capacity or aptitude (see Prober et al. [60] for additional discussion of the pros and cons of using Step exam scores as primary selection variable of residents).


교정조치에 대한 미묘한 제도적 편향을 고려할 때 확인해야 할 또 다른 요인은, 많은 학술 교정 문헌이 [보편적으로 친숙한 의료 모델], 즉 [진단을 찾고, 진단이 알려지면, 진단이 치료를 '결정'한다]는 모델에 기반한다는 점이다. 이 관점이 발견적 유용성을 가지고 있는 것은 분명하지만, 이 관점을 개별 학생의 교정조치로 확장해야 하는 정도는 불분명하다. 이 모델이 질병, 병리학 과정 및 (신체) 시스템 고장에 대한 가정에 집중되어 있는 경우, 의도하지 않았더라도 이 관점의 촉진이 어떻게 부정적인 가정을 가져올 수 있는지 쉽게 상상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학생이 어려움을 겪고 있는 학습자로 확인되더라도, 이것은 반드시 학생이 의사로서 기능하는 것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근본적인 결함이나 결손이 있다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의대 교육 지원 서비스medical education support services의 상당수는, [의대의 속도와 엄격함이 기존의 기술 부족을 드러낸다]는 [근거 없는 가정]에 기반을 두고 있다. 즉, 어떤 학생이 기대보다 낮은 시험 성적을 보이면, 학업이나 학업 능력의 부족 또는 동기 부여 문제를 가지고 있다는 가정을 의미한다.

An additional factor to be identified when considering the subtle institutional bias against remediation is that much of academic remediation literature borrows heavily from the universally familiar medical model, that is, find the diagnosis and once the diagnosis is known, that diagnosis ‘determines’ treatment. While this view obviously has heuristic usefulness, the extent that this viewpoint should be extended to remediation of individual students is unclear. Given this model is steeped in the assumptions of disease, pathology processes and (body) system failures, it is easy to imagine how, even if unintentionally, promotion of this view can carry negative assumptions. For example, even if a student is identified as a struggling learner, this does not necessarily mean that the student has a fundamental flaw or set of deficits that would negatively impact that student’s functioning as a physician. Much of medical education support services, e.g., teaching a specific and presumed missing skill, are based on the above unstated assumption that the pace and rigor of medical school exposes a pre-existing skills deficit. That is, the student performed lower on an examination than expected, therefore the student has an academic or study skills deficit and/or a motivational problem.

 

잠재적 해결책
Potential solutions

다음으로 우리는 의료 교육계가 직면하고 있는 이러한 과제를 다루기 위한 잠재적인 해결책으로 눈을 돌린다. 여기에는 네 가지 권장 사항이 나열되어 있습니다.
Next we turn to potential solutions to deal with these challenges that face the medical education community. Here, we list four recommendations.

권고 #1. 체계적으로 캡처된 데이터, 시간별 다중 소스 정보를 사용하며, 학습자의 조기 식별을 목표로 합니다.
Recommendation #1. Use systematically captured data, across-time, multiple-sourced information with one of the goals being early identification of struggling learners

의학 교육에서 포트폴리오의 개념과 사용은 확실히 새로운 것은 아니다. 그러나 의학 교육 문헌에 인용된 포트폴리오의 많은 사용은 역량 영역으로 조직되지 않고 그러한 역량 영역 내에서 시간 경과에 따른 성장을 나타내는 방법이 없는 학생 성과 자료의 모음인 것으로 보인다. 예를 들어, 처토프와 동료[61]는 의료 교육 연락 위원회(LCME) 인증 의대를 조사했다. 약 절반의 의과대학에서 포트폴리오를 사용한 것으로 보고되었지만, 전체 응답자 중 10% 미만이 포트폴리오 프로세스에 역량 증대의 시각적 표시가 포함되어 있다고 느꼈다고 언급했습니다. 포트폴리오 사용에 주목하는 다른 최신 간행물은 특정 모듈 또는 회전(예: Sanchez Gomez [62]) 또는 시뮬레이션 센터와 같은 훈련의 특정 측면 내에 있다[63]. 이러한 지표는 도움이 되기는 하지만 전반적인 성장 또는 교정조치 시 개개인의 progress 부족의 징후를 제공하지는 않는다.
The concept of and use of portfolios in medical education is certainly not new. However, many uses of portfolios cited in the medical education literature appears to be a collection of student performance datum without organization into competency domains and without ways to represent growth over time within those competency domains. For example, Chertoff and associates [61] surveyed 71 Liaison Committee on Medical Education (LCME) accredited medical school. Approximately half reported use of portfolios, but less than 10% of total respondents noted they felt their portfolio process included a visual display of competency growth. Other recent publications noting uses of portfolios are within particular modules or rotations, e.g., Sanchez Gomez [62] or within particular aspects of training such as simulation centers [63]. While helpful, these do not provide indications of overall growth or, in the case of remediation, lack of individual progress.

Van Tartwijk 등이 논의한 것과 같은 교정조치 프로세스를 안내하고 돕기 위한 커리큘럼 전반의 통합 종단 평가 도구로서의 포트폴리오 사용을 지지한다[64]. 포괄적 포트폴리오에는 다양한 평가가 여러 출처에서 수집되어 Kalet의 그룹에 의해 분류된 하나 이상의 일반 역량 영역 또는 "버킷"에 배치되는 조직 스키마가 포함된다[29]. 학습자와 교사가 학생의 학습을 지원하고 학생의 진도를 면밀히 평가할 수 있다[65].
We advocate for the use of a portfolio as an across-the-curriculum, integrated longitudinal assessment tool to guide and help the remediation process such as discussed by Van Tartwijk et al. [64]. A comprehensive portfolio includes an organizational schema such that various assessments are gathered from multiple sources and placed into one or more general competency domain or “bucket” as labelled by Kalet’s group [29]. It allows learner and teachers to support students’ learning and closely assess students’ progression [65].

구체적으로, 우리는 모든 퍼포먼스 데이터의 포괄적인 포트폴리오를 수집할 것을 권장한다(지식 기반, 그룹 성과, OSCE 유형 성과, 환자 만남에 대한 서면 보고서, 전문적 성장에 대한 자체 평가, 기울어진 상호 작용 비디오 테이프의 평가 또는 해설 등). 또한 이 수집된 데이터를 학생뿐만 아니라 학사 팀의 주요 관계자가 이용할 수 있어야 한다(예: 교정 팀 및 성과 추적 및 어려움을 겪고 있는 학습자의 조기 식별). 중요한 것은 학생 포트폴리오 데이터 검토자 중 적어도 한 명에게는 특히 위에서 논의한 역량 '버킷' 내에서 [학습자의 진행 상황을 종방향으로 보는 임무]를 부여해야 한다는 것이다. 즉, [종방향 검토자]는 현재 과정과 관련된 학생 성과를 평가하거나 채점하는 데 관심이 없지만, 시간이 지남에 따라 역량 영역 내의 한계 성과를 모니터링하는 것이다. 따라서 교정은 단순히 다음 시험을 위한 공부만이 아니라 발달 패턴을 분석하는 것입니다. 또한 포트폴리오 기반 모니터링 및 학습의 개념은 교정조치 프로세스에서 특히 중요할 수 있다[25, 27]. 여러 세팅 및 토픽 영역에 걸쳐, 학습 상호작용과 학습자의 성과에 대한 많은 양의 종단적 정보를 포함하는 포트폴리오를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그러한 정보는 (그렇지 않았다면 확인되지 않았을) 일부 학생을 위한 교정조치 계획을 개발하고 구현하는 데 특히 유용할 수 있으며 것이다. 또한, 이러한 종적 포트폴리오 프로세스가 시행되면, 학교는 결국 이전 연도의 데이터를 분석하여 초기 커리큘럼 경험 내에서 학교별 성과 지표를 식별할 수 있다. 이는 [입학 전 위험 요소]와 결합된면, 나중에 심각한 학업 문제의 위험에 처한 학생을 식별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 
Specifically, we recommend a comprehensive portfolio of all performance data (knowledge-based, group performance, OSCE-type performance, written reports of patient encounters, self-assessment of professional growth, ratings or commentary of videotapes of leaning interactions, etc.) be collected. Further that this collected data be made available to the student as well as to selected key individuals on the academic team (e.g., the remediation team and those charged with tracking performance and with early identification of struggling learners). Importantly, we recommend that at least one reviewer of student portfolio data should be tasked with taking a longitudinal view of the learner’s progress particularly within competency ‘buckets’ as discussed above. That is, the longitudinal reviewer is not as concerned with rating or grading a student performance related to current courses, but is to monitor, over time, for marginal performance within a competency area. Thus, remediation is not just studying for the next exam, but also analyzing developmental patterns. Furthermore the concept of portfolio-based monitoring and learning may be particularly important in the remediation process [25, 27]. The use of a portfolio that contains a large amount of longitudinal information about learning interactions and learners’ performance across settings and topical domains. Thus, such information may be particularly useful in developing and implementing remediation plans for some students which otherwise would have gone unrecognized. In addition, once such a longitudinal portfolio process is put into place, the school could eventually analyze previous years of data to potential identify school-specific performance markers within early curriculum experiences which, when paired with known pre-matriculation risk factors, could help identify students at risk for later serious academic problems.

성과 포트폴리오의 사용은 후속 교수진이나 임상실습 책임교수에게 [성과의 '포워드-피딩']에 대한 우려를 제기한다. 이것은 문헌[16, 24, 66, 67, 68]에서 논의되어 왔다. 분명히 사생활에 대한 우려와 고려해야 할 다른 문제들이 있다. 위의 대화 대부분은 임상실습 책임교수 또는 교직원을 포함하여 누가 그러한 정보에 접근해야 하는지에 초점을 맞추며, 부정적(또는 긍정적인) 편견의 가능성에 대해 논의한다. 우리의 의견은

  • [공식적으로 학생 지위를 결정하는 프로세스](일반적으로 중대한 실패나 일련의 실패에 의해 촉발된 느리게 움직이는 대규모 그룹 기반 프로세스)와
  • [교정 팀](명확히 더 빠르고 역동적인 프로세스)가 분리되어 존재해야 한다는 것이다.

The use of performance portfolio raises the concern of ‘forward-feeding’ performance problems to subsequent faculty or clerkship directors. This has been debated in the literature [16, 24, 66,67,68]. Clearly there are privacy concerns and other issues to consider. Much of above dialogue centered upon who should have access to such information including clerkship directors and/or faculty and discusses the potential for negative (and positive) biases. Our opinion is that there should exist a separation of

  • the processes which determines official student status (typically a slow-moving, large group-based process triggered by significant failure or string of failures) and
  • the remediation team (desirably a faster-moving, dynamic process).

이상적으로 이 후자의 팀은 소규모 그룹이고, 학생들의 성과를 추적하는 데 있어 '실시간'에 더 가깝고, 어려움을 겪고 있는 학생들을 식별하는 데 능숙하다. 그것의 기능은 학생 옹호 서비스student advocate services 에 속하며, 그것은 어려움을 겪고 있는 학생과 일찍 그리고 자주 참여해야 한다. [어려움을 겪고 있는 학습자를 조기에 식별하기 위해 해당 데이터를 검토하고 사용하는 데 관여하는 사람]은 프로그램 내에서 학생 상태student status를 결정하는 절차에서 분리되거나, 적어도 공식적인 투표를 하지 않을 것을 강력히 권고한다. 
Ideally this latter team is a small group, is closer to ‘real time’ in its tracking of student performance and is skilled in its identification of struggling students. Its function falls within student advocate services and it should engage early and often with the struggling student. We strongly recommend those involved in reviewing and using that data for early identification of struggling learners be either separate from or not have a formal vote into procedures which determine student status within the program.

추천 2. 다양한 기여자를 포함하여 개인의 변화 수준에서 의료 교육의 복잡한 과정을 조사하는 연구를 장려하고 후원한다.
Recommendation 2. Encourage and fund research investigating the complex processes of medical education at the level of individual change including a variety of contributors

교정조치를 직접 평가하는 것은 어렵다. 그러나 능동적 변화 행위자active change agent를 찾는 것은 매우 중요합니다. 의학 연구에서는 개인의 복잡한 개인 생활을 민감하게 파헤쳐 암, 당뇨병, 퇴행성 질환 등의 측면을 조사하고 치료 대안을 비교한다. 그러나 유사한 엄격함, 에너지, 자금을 의학교육의 재교육 연구에 적용하는 것은 더디다. 비평가들은 의학 교육 중 학업의 어려움은 질병이나 병리학적 문제가 아니라고 주장하거나, 적은 비율의 학생들에게만 영향을 미치므로 추가적인 자금이나 집중이 필요하지 않기 때문에 문제를 일으키지 않는다고 생각할 수 있다. 우리가 볼 때, 이러한 관점은 의약품 교육의 현재 방향과 가치와 동떨어져 있다.

Directly assessing remediation is difficult. However, finding active change agents is critical. In medical research, we sensitively delve into individuals’ complex personal lives to probe aspects of cancer, diabetes, degenerative diseases, etc. and compare treatment alternatives. However, we are slower to apply similar rigor, energy and funding to medical remediation. Critics may argue academic difficulties during medical education is not a disease nor a pathology which affects the population at large or may consider it a non-problem as only affects a small percentage of students and thus doesn’t need additional funding or focus. In our view, this perspective is out-of-touch with the current directions and values of medication education.

학습에 어려움을 겪는 많은 수의 학습자를 습득하는 것은 기관 차원에서는 어렵지만, 다기관 공동연구가 시행되는 경우에는 그렇지 않다. 작업의 구현에는 소수의 의과대학에 걸친 컨소시엄, 성과 포트폴리오의 공유 개발, 유사한 성과 메트릭의 식별, 기관 간에 식별되지 않은 성과 데이터의 통합 및 분석이 포함될 수 있다.
Acquiring large numbers of struggling learners to study is difficult at the institutional level, but is less so if collaborative multi-institutional studies are implemented. Implementation of work might involve consortiums across a small number of medical schools, shared development of performance portfolios, identification of similar performance metrics, as well as integrating and analyzing de-identified performance data across institutions.


또한 많은 교정조치 프로그램이 독립적인 섬처럼 기능하며 개별 교정조치 전문가의 경험과 기술을 기반으로 하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으로 보인다. 아이디어, 자원 및 프로세스의 더 많은 조정과 공유는 최적의 교정 방법에 관한 가설 중심 질문에 답할 수 있는 데이터를 생성할 뿐만 아니라 더 많은 교정 조치를 진행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

In addition, many remediation programs appear to function as independent islands and offer services that are based on the experience and skillsets of individual remediation specialists. More coordination and sharing of ideas, resources, and processes could help more remediation forward as well as generate data to answer hypothesis-driven questions concerning optimum remediation methods.

추천 3. 탈-낙인 프로세스 및 언어 사용
Recommendation 3. Use of De-stigmatizing processes and language

재교육을 위한 기존의 '진단 => 치료' 관점은 문제가 있습니다. 완벽한 휴리스틱은 없습니다. 그러나 의학 교육에서 어려움을 겪고 있는 학습자들을 개념화하는 더 나은 모델은 [체조선수나 10종 경기 선수들을 위한 운동 훈련]일 것이다. 선수 개개인은 다년간의 경험과 많은 수준 높은 경기력을 가지고 있지만, 선수, 코치, 기관은 자격이 개인 수준이며 다양한 기술 세트나 공연에서 발생되어야 한다고 이해하고 있다. 모든 선수들은 강한 종목과 약한 경기력을 경험합니다. 이러한 고기능 운동선수의 경우 컨디셔닝(또는 교정)은 기존의 결함을 발견하는 것이 아니다. 컨디셔닝의 기초는 최근 성과를 세심하고 세밀하게 분석하고, 상대적인 강점과 약점을 파악한 뒤, 목표한 연습을 설계해 경기력을 높이는 것, 약점 스킬을 쌓는 데 전념하는 시간, 주요 퍼포먼스에 대한 전략 개발 및 연습이다.

The traditional ‘diagnosis➔treat’ view of remediation is problematic. No heuristic is perfect. But perhaps a better model for conceptualizing struggling learners within medical education is that of athletic conditioning for a team of gymnasts or decathlon athletes. Each athlete has years of experience, a history of many high-level performances, but each athlete, each coach and the institution understand qualification is at an individual level and must occur in a variety of skillsets or performances. Every athlete experiences strong events and weak performances. For these high-functioning athletes, conditioning (or remediation) is not about discovering a pre-existing flaw. The foundation of conditioning is a careful and detailed analysis of recent performances, identification of relative strengths and weaknesses and then designing targeted exercises to enhance performance, dedicated time to build up weaker skills as well as developing and practicing strategies for key performances.

교정, 진단, 결손 등과 같은 용어의 사용을 줄일 것을 권고한다. 좀 더 유용한 표현은 '적격기준을 충족하지 못함'과 같은 용어를 사용하는 것일 수 있다. 번거롭기는 하지만, 그러한 표현은 학생이 전체론적 유기체로서 기능 장애가 있거나, 의과대학에서의 성공을 가로막는 필수적인 기술 집합이 결여되어 있다는 암시보다는 특정 수행 사건에 대한 최대 잠재력을 달성하지 못했다는 것을 암시한다.
We recommend reducing the use of terms such as remediation, diagnosis, deficits, etc. A more useful articulation may be using terms such as ‘not meeting a qualification standard’. While cumbersome, such phrasing suggests a student did not achieve their maximum potential for a particular performance event rather than the implication that the student, as a holistic organism, is dysfunctional, incapable or lacks an essential skillset which bars them from a success within the medical school context.


우리는 수년간 한 번에 거의 최대한의 역량을 발휘하고 있는 매우 유능하고 재능 있는 학생들과 함께 일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우리는 학업적 컨디셔닝, 성과 코칭, 학습 강점과 약점(또는 인지 및 학습 프로필), 적응적 전략과 같은 용어를 추천한다. 아마도 "ath-learner"나 "aca-lete"와 같은 용어들도 고려되어야 할 것이다. 이 마지막 제안은 다소 비꼬는 것이지만, 위에서 상세히 설명한 근본적인 개념은 그렇지 않다. 우리는 단순히 라벨 변경을 추천하는 것이 아닙니다. 이 권고안은 본질적으로 [병리학 및 결손을 함축하는 용어의 문화]를 멀리하고 대신 다음을 인식하는 언어를 사용하는 것이다.

  • (a) 성능에 영향을 미치는 복잡한 요인들이 있으며
  • (b) 이 학생들은 high-demand 환경에서 활동하는 평균 이상의 학습자입니다.

We are working with highly qualified and gifted students who are being stretched to their near maximum capacity for years at a time. Thus, we recommend terms such as academic conditioning, performance coaching, learning strengths and weaknesses (or cognitive and learning profile), and adaptive strategies. Perhaps even terms such as “ath-learner” or “aca-lete” should be considered. While this last suggestion is somewhat tongue-in-cheek, the underlying notion detailed above is not. We are not simply recommending a change in the label. The recommendation is to move the culture away from terminology which inherently supports an assumption of pathology and deficit and instead use language which recognizes:

  • (a) there are complex factors impacting performance and
  • (b) these students are above average learners operating in a very high-demand environment.

추천 4. 자아 식별을 장려하고 도움을 찾는 것을 정상화합니다.
Recommendation 4. Encourage self-identification and normalize help-seeking

단순히 위의 메시지를 반복하는 일회성 강의는 행동을 찾는 학생들의 도움을 변화시킬 가능성이 낮다. 프리드먼과 동료들[70]은 정신 건강 사용에 대한 디지그마틱한 태도를 줄이기 위한 노력에서 강의 기반 형식이 의대생들에 의해 후원하는 것으로 인식된다는 것을 발견했다. 그러나, 그들은 학생들이 정신 건강 관련 서비스를 이용하는 사람들의 증언에 더 수용적이라는 것을 발견했다. 최근 연구에서 클레랜드와 동료[13]는 도움 구하기help seeking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제도 문화의 중요성에 대해 논의했고 몇 가지 구체적인 제안을 했다. 예를 들어, 

  • 학생에게 학업 어려움의 기여 요인에 대한 견해를 묻고, 
  • 어려움을 겪고 있는 학습자와 파트너십을 맺고, 
  • 교수가 자기-돌봄을 롤모델링 한다.

A one-time lecture simply reiterating above messages is unlikely to provoke change in student’s help seeking behavior (see [69] for example). Friedman and associates [70] found, in their efforts to reduce de-stigmatizing attitudes toward mental health usage, that a lecture-based format was perceived as patronizing by medical students. However, they did find that students were more receptive to testimonials from individuals who were using mental health-related services. In recent work, Cleland and colleagues [13] discussed the importance of the institutional culture affecting help-seeking behavior and they offered a few specific suggestions, e.g.,

  • asking the student their views of contributors to academic difficulties,
  • working in partnership with struggling learners, and
  • the staff role-modeling self-care.

시간에 따른 [도움 구하기help seeking]를 정상화하기 위한 유용한 옵션은 의과대학이 매년 졸업생과 교수진 사이에서 지원자를 요청하여 [의과대학 동안 사용한 건강한 도움 구하기 방법]의 간단한 개인 오디오 또는 비디오 'testimonial'을 녹음하도록 요청하는 것일 수 있다. 간략한 개요 또는 주의사항(예: 공통 장애물 목록)를 요약하여 자원봉사자가 알려진 장벽(예를 들어, 기밀성, 학생으로서 진로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걱정, 추가적인 욕구가 있는 것으로서 자기 자제를 꺼리는 등)을 해결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 이 때 도움이 [덜 되는 지역 개인이나 제공자를 개별적으로 지명하지 않도록] 지시하는 것이 적절하다.
A useful option to normalize help seeking over time may be for medical schools to annually ask for volunteers among graduating students and faculty to record brief personal audio or video ‘testimonials’ of healthy help-seeking options they utilized during medical school (each volunteer choosing to specifically identify themselves or not). A brief suggested outline or reminders (e.g., list of common hurdles) might assist volunteers to address known barriers, e.g., confidentiality, worries about effect on career as a student, being reluctant to self-identify as having additional needs, etc. [71, 72]. It may be appropriate to instruct the volunteers to not individually name less-than-helpful local individuals or providers.

분명히, 지원자들은 자신이 겪은 어려움에 대한 개인적인 세부사항을 공개하지는 않는다. 의대에 있는 동안 스트레스 요인이 어떻게 그들에게 개인적으로 영향을 미쳤는지에 대한 일반적인 내용만을 제공하고, 경험했던 유용한 옵션에 초점을 맞추도록 요청받을 것이다. 이러한 개인화된 도움 추구 선언은 의과대학 내부의 네트워크를 통해 필요에 따라 접근할 수 있는 연속적인 동료들에게 전자적으로 제공될 수 있다. 의과대학의 지도부와 교수진 내의 특정 개인들이 기꺼이 그러한 testimonial를 제공한다는 것을 알게 하는 것은 졸업하는 학생들도 그렇게 하도록 격려할 수 있다.

Obviously, the volunteers would not be expected to disclosure personal details of their difficulties, but are asked to provide only a generic reference to how stressors impacted them personally while in medical school and then focus on helpful options they experienced which helped them not only manage, but succeed. These personalized help-seeking declarations could then be made electronically available to successive cohorts who could access them as needed through their schooling via networks internal to the medical school. Making it known that certain individuals within leadership and faculty of the medical school are willing to provide such testimonials may encourage graduating students to do the same.

또한, 같은 장소 내에서 학생들이 적절한 도움을 구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현 학교 지도부의 간단한 메시지도 도움이 될 수 있다. 또한, 학교 리더십 메시지의 일부로 [도움을 구하는 의대생의 비율]에 주목한 연구를 언급하는 것이 정상화 요인이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Dyrbye와 동료[71]는 의대생의 약 40%가 매년 공식 또는 비공식적 지원을 구한다는 것을 발견했다.
In addition, brief messages from the current school leadership supporting appropriate help-seeking by students being available within the same venue may be helpful as well. Also, as part of school leadership messages, referencing studies noting the percentage of medical students who do seek assistance can be a normalizing factor. For example, Dyrbye and associates [71] found approximately 40% of medical students annually seek out formal or informal supports.

셋째, 학문적 이슈와 학습자가 어려움을 겪는 것에 대해 잘 확립된 상담의 의학 모델을 적용하는 것을 추천합니다. 다시 말하지만, 리더십과 감독관의 메시지는 매우 중요합니다. 즉, 학업상 문제가 있는 학생들에게 약점과 결손을 발견하고 진단하기 위한 평가가 필요하다고 말하기보다는 추가적인 재원이 필요하다는 것을 학술상담으로 참고할 것을 권한다. 의사로서, 의료 제공자들은 특히 [표준 치료가 효과적이지 않을 경우]에 [전문의의 치료나 평가가 필요한 때가 언제인지]를 인식해야 한다. 왜 비슷한 태도를 의료 훈련의 시작부터 길러서는 안 되는가? 메시지는 "만약 학업에 권장되는 '치료'를 적절히 적용했지만 효과가 없는 경우, 그 때가 바로 상담을 받을 때입니다!"여야 합니다.
Third, we recommend applying the well-established medical model of consultation to academic issues and struggling learners. Again, leadership and supervisor messaging is critical. That is, rather than telling students with academic problems they are in need of an evaluation to detect and diagnosis weakness and deficits, we recommend referring to need for additional resources as an academic consultation. As physicians, providers are expected to recognize when specialty care or evaluation is needed particularly when standard treatments are not effective. Why should not a similar attitude be fostered from the beginning of their medical training? The message should be, “If you have adequately applied the recommended ‘treatments’ to your studies and those are not effective, it is time to obtain a consultation!”.

물론 우리의 논의와 제안에는 한계가 있다. 이 모든 문제들은 도전적이고 어떤 해결책도 모든 상황이나 학교에 맞지는 않을 것입니다. 성공적인 교정조치의 활성 성분 조사와 함께 교정조치가 완료된 학생과 장기적 결과 사이의 연관성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There are, of course, limitations to our discussion and proposals. All of these issues are challenging and no solution will fit all situations or schools. Along with research investigating active ingredients of successful remediation, research into the links between remediated students and longer-term outcomes is needed.

결론들
Conclusions

이 입장서는 의료 교육 분야에서 진행 중인 몇 가지 문제를 논의하고, 네 가지 동시대의 문제를 식별하고 교정 노력을 강화하기 위한 네 가지 권고안을 제안한다. '자격기준 미달' 학습자에 대한 조기 파악과 지원은 많은 이들이 논의해왔지만 체계적인 방식으로 시행되는 경우는 드물다. 우리는 [역량 영역별로 구성된 전문 성과 포트폴리오]를 사용할 것을 권장하며, 이 오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법으로 시간에 따른 학습자 진전을 보여주는 기술을 포함한다. 커리큘럼 개정은 교정조치에 대한 프로그램적 접근법을 통합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특정 학생에게 어떤 유형의 교정 조치가 필요한지 선택하거나 결정하는 것은 고르디안 매듭이다. 다기관 프로젝트, 연구비 지원 등 좀 더 역점을 둘 필요가 있다. 개별 학습자를 강화하고 조건화하는 프로그램과 반대로 의료 교육의 더 큰 미션에서 노력으로서의 교정(교화)은 필요악으로 계속 간주되고 있다. 이러한 프로그램의 언어 사용 및 마케팅에 관한 추천이 제공됩니다.

This position paper discusses some on-going problems within the field of medical education, identifying four contemporary problems and proposing four recommendations to strengthen remediation efforts. Earlier identification and assistance to learners “not meeting qualification standards” has been discussed by many, but is rarely implemented in a systematic manner. We recommend the use of a professional performance portfolio organized by competency domains and include techniques to show learner progress over time as a way of addressing this long-standing problem. Curriculum revision offers opportunities to incorporate programmatic approaches to remediation. Selecting or determining what type of remediation is needed for a particular student is a Gordian knot. More emphasis, including multi-institutional projects and research funding is needed. Remediation as an effort continues to be a seen as a necessary evil within the larger mission of medical education as opposed to a program that strengthens and conditions individual learners, and in turn the institution and ultimately medical practice. Recommendations regarding language use and marketing of such programs are given.

 


BMC Med Educ. 2018 May 31;18(1):120.

 doi: 10.1186/s12909-018-1219-x.

Untying the Gordian knot: remediation problems in medical schools that need remediation

Affiliations collapse

Affiliations

1Uniformed Services University of Health Sciences, 4301 Jones Bridge Road, Bethesda, MD, 20814, USA. layne.bennion@usuhs.edu.

2Uniformed Services University of Health Sciences, 4301 Jones Bridge Road, Bethesda, MD, 20814, USA.

3University of Central Florida, 6850 Lake Nona Blvd, Orlando, FL, 32827, USA.

PMID: 29855302

PMCID: PMC5984332

DOI: 10.1186/s12909-018-1219-x

Free PMC article

Abstract

This position paper discusses on-going academic remediation challenges within the field of medical education. More specifically, we identify three common contemporary problems and propose four recommendations to strengthen remediation efforts. Selecting or determining what type of remediation is needed for a particular student is akin to analyzing a Gordian knot with individual, institutional and systemic contributors. More emphasis, including multi-institutional projects and research funding is needed. Recommendations regarding language use and marketing of such programs are given.

Keywords: Academic remediation problems; Medical education.

교육자 역할을 나의 정체성에 통합하기: 초기 학부 의학 교수자 질적연구(Adv in Health Sci Educ, 2017)
Integrating the teaching role into one’s identity: a qualitative study of beginning undergraduate medical teachers
T. van Lankveld1,2 • J. Schoonenboom1,3 • R. A. Kusurkar2 • M. Volman4 • J. Beishuizen1 • G. Croiset2

 

 

소개
Introduction

학생 중심의 문제 기반 교육은 노력과 직원 측면에서 집약적이다. 안타깝게도 많은 직원이 일시적으로만 교직 역할을 수행하기 때문에 교직원의 연속성이 제한된다(Hirsh et al. 2007). 이는 특히 학생 중심 또는 문제 기반 교육에 대한 전문지식을 개발하는 데 수년간의 경험이 필요하기 때문에 학부 교육의 질을 위험에 빠뜨린다. 낮은 연속성에 대한 설명 중 하나는 교사 역할에 대한 낮은 동일시 일 수 있습니다. 의학 교사들은 종종 교사가 되는 것보다 주로 의사나 연구원이 되는 것과 동일시한다(Bartle and Thistlethwaite 2014; O'Sullivan 2012). 그러나 이 낮은 동일시를 설명하는 것에 대한 통찰력은 제한적이다.
Student-centred and problem-based education is intensive in terms of effort and staff. Unfortunately, continuity in the teaching workforce is limited as many staff members perform the teaching role only temporarily (Hirsh et al. 2007). This puts the quality of undergraduate education at risk, as developing expertise in teaching, especially in student-centred or problem-based education, requires several years of experience (Crosby 1996; Irby 2014). One of the explanations for the low continuity might be a low identification with the teaching role. Medical teachers often primarily identify with being a doctor or a researcher rather than with being a teacher (Bartle and Thistlethwaite 2014; O’Sullivan 2012). Insight into what explains this low identification however is limited.

최근 몇 년 동안 의대생과 주니어 의사의 정체성 형성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지만(예: Bar 등, Dornan 등, 2012년, Monrouxe 2010년, Vivekananda-Schmidt 등, Weaver 등), 의료 교사의 정체성 형성에 대한 연구는 여전히 부족하다(Albley 등, 2011년). 교사 역할을 정체성에 원활하게 통합하는 것이 교사들을 계속 가르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그들의 발전에 투자하고 자신 있게 가르칠 수 있도록 할 수도 있기 때문에 안타까운 일이다(Monrouxe 2010; Wenger 1998). 
Though there has been a growing interest in the identity formation of medical students and junior doctors in recent years (e.g. Barr et al. 2014; Dornan et al. 2015; Helmich et al. 2012; Monrouxe 2010; Vivekananda-Schmidt et al. 2015; Weaver et al. 2011), research on the identity formation of medical teachers is still scarce (Bleakley et al. 2011). This is a pity, since a smooth integration of the teaching role into their identity may not only encourage teachers to continue teaching, but also to invest in their development and teach with confidence (Monrouxe 2010; Wenger 1998).

 

이론적 틀
Theoretical framework

정체성은 [다른 사람들과의 관계와 세계에서의 자신의 위치에 기반한 자기이해]를 수반한다. 사람들이 무엇을 해야 할지, 무엇을 선택해야 할지 고민할 때, 그들은 종종 자신이 누구인지 또는 어떤 사람이 되고 싶은지에 대한 이해와 관련하여 암묵적으로 이것을 고려한다. 그러므로 정체성은 자신을 정당화하고 정당화하기 위해 사용되는 교사의 삶의 구성 요소이다. 현재 연구에서 우리는 정체성 연구에 사회 문화 및 대화 방식을 결합한다(Akkerman and Meijer 2011; Hermans and Kempen 1993; Holland and Lachicotte 2007; Penuel and Wertsch 1995).

Identity involves an understanding of oneself in relation to others and one’s place in the world (Beauchamp and Thomas 2009). When people consider what to do or what to choose, they often implicitly consider this in relation to their understanding of who they are or would like to be. Identity therefore is an organising element in teachers’ lives used to legitimize and justify oneself (Beauchamp and Thomas 2009). In the current study, we adopt a combined socio-cultural and dialogical approach to the study of identity (Akkerman and Meijer 2011; Hermans and Kempen 1993; Holland and Lachicotte 2007; Penuel and Wertsch 1995). 

이러한 접근법은 네 가지 기본적인 가정을 공통으로 가지고 있다.

  • 첫째, 정체성을 자아의 구성으로 본다. 자신이 누구인지, 무엇을 소중히 여기는지에 대해 [다른 사람과 자신을 설득]하는 것과 [자신을 세상에 위치시키는 것]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포지셔닝을 위해 사람들은 자기 자신이나 이야기를 분류하기 위해 라벨과 같은 담론적 수단과, 특정한 옷을 입는 것과 같은 비담론적 수단을 사용합니다. 
  • 두 번째 가정은 정체성이 타인과 관련하여 형성된다는 점에서 사회적이라는 것이다. 사람들은 그들이 참여하는 공동체와 관련하여 정체성을 구축한다; 이러한 공동체의 구성원은 그들의 정체성을 구성한다. 
  • 세 번째 가정은 정체성이 정서적 차원을 수반한다는 것이다. 교사들이 그들의 역할에 감정적으로 애착을 느낄 때, '선생님'이라는 범주는 그들의 사고와 추론의 보다 구조적인 부분이 된다(Akkerman and Meijer 2011; Holland and Lachicotte 2007). 
  • 네 번째 가정은 정체성이 대화적이라는 것입니다. 사회문화적 접근과 대화적 접근 모두 다중 정체성의 존재를 인정한다. 동시에 사람들이 이러한 서로 다른 정체성 사이의 긴장을 줄이거나 최소한 정체성이 서로 충돌할 때 괴로워하고, 이러한 다른 정체성을 통합하고 일관성 있는 전체로 통합하려는 노력을 하기를 기대한다.

These approaches have four basic assumptions in common.

  • First, identity is seen as a construction of the self. It is concerned with persuading others (and oneself) of who one is and what one values, and with positioning oneself in the world (Penuel and Wertsch 1995). For this positioning, people use discursive means like labels to categorise oneself or stories, and non-discursive means like wearing certain clothes.
  • The second assumption is that identity is social in the sense that it is formed in relation to others: “identity formation employs a process of simultaneous reflection and observation, by which the individual judges himself in the light of what he perceives to be the way in which others judge him” (Erikson 1968, in Penuel and Wertsch 1995, p. 87). People construct their identities in relation to the communities they participate in; the membership of these communities constitutes their identity (Wenger 1998).
  • The third assumption is that identity involves an emotional dimension (Meijers and Wardekker 2001; Penuel and Wertsch 1995). When teachers feel emotionally attached to their role, the category of ‘teacher’ becomes a more structural part of their thinking and reasoning, it becomes ‘part of who they are’ (Akkerman and Meijer 2011; Holland and Lachicotte 2007).
  • The fourth assumption is that identity is dialogical. Both the socio-cultural and the dialogical approach acknowledge the existence of multiple identities, while at the same time expecting people to work at reducing the tensions between these different identities, or at least to be distressed when the identities conflict with each other, and to make an effort to synthesise and integrate these different identities into a coherent whole (Akkerman and Meijer 2011; Holland and Lachicotte 2007).

 

교사가 교사 역할을 그들의 정체성에 어떻게 통합하고 그들이 의사나 연구원의 정체성에 어떻게 더하는지 이해하기 위해, 우리는 [피규어 세계 이론][대화적 자기 이론]의 개념을 이용한다. 피규어 세계이론(Holland et al. 1998; Holland and Lachicotte 2007)은 정체성이 홀랜드 등(1998)이 [피규어 세계]라고 부르는 사회적으로 생산되고, 문화적으로 건설된 활동에 위치한다고 주장한다. [피규어 세계figured world]는 "특정 인물과 행위자가 인정되고, 특정 행위에 중요성이 부여되며, 특정 결과가 다른 행위보다 중시되는 사회문화적으로 구성된 해석의 영역realm"이다(Holland 등 1998, 페이지 52). 그들이 가르치기 시작하기 전에, 의료 교사들의 정체성은 보통 [의료나 연구의 세계]에 확고히 기반을 두고 있다. 이러한 상상의 세계 안에서, 집단적인 이야기들은 초보 교사들이 그들의 정체성을 형성하기 위해 끌어당기는 문화적 자원을 형성합니다. 

To understand how teachers integrate the teacher role into their identity and how they add it to the identity of doctor and/or researcher, we draw upon concepts from figured world theory, and dialogical self theory. Figured world theory (Holland et al. 1998; Holland and Lachicotte 2007) holds that identities are situated in socially produced, culturally constructed activities—what Holland et al. (1998) call figured worlds. Figured worlds are “socially and culturally constructed realms of interpretation in which particular characters and actors are recognized, significance is assigned to certain acts, and particular outcomes are valued over others” (Holland et al. 1998, p. 52). Before they begin teaching, beginning medical teachers’ identity is usually solidly grounded in the figured world of health care or research. Within these figured worlds, collective stories are told that form the cultural resources that beginning teachers draw upon to construct their identity.

이러한 초보 의학 교사들은 또한 의료, 연구 또는 교육의 세계에서 교사 역할이 다른 사람들에 의해 어떻게 인식, 인식 또는 평가되는지를 고려한다. 그들은 스스로에게 다음과 같은 질문을 한다. 자신을 선생님이라고 부르는 것은 무엇을 의미합니까? 다른 사람들은 교사의 역할을 어떻게 평가하는가? (Warin et al. 2006; Zittoun 2014) 몇몇 연구들은 의료와 연구의 세계에서의 집합적 이야기들이 교사들과 교수들을 긍정적인 방향으로 배치시키지 않는다고 제안한다. 실제로, 많은 의학 교사들은 환자 치료와 연구에 비해 [교육은 명성과 인정이 부족하다]고 믿는다. 초보 교사들에게 이것은 교사 역할을 정체성에 통합하는 과정에서 어려움을 초래할 수 있다. 그러한 어려움이나 긴장은 자아 가치관이 낮거나 좌절감을 느끼는 등 부정적인 감정을 수반하는 [정체성 부조화identity dissonance]로 이어질 수 있다(Monrouxe 2010; Warin et al. 2006).

These beginning medical teachers also consider how the teacher role is perceived, recognised or valued by others in the figured worlds of health care, research or teaching (cf. Dornan et al. 2015). They ask themselves questions like: What does it mean to call oneself a teacher? How do others judge the teacher role? (Warin et al. 2006; Zittoun 2014). Several studies suggest that the collective stories in the figured worlds of health care and research do not position teachers and teaching in a positive way. Indeed, many medical teachers believe that teaching lacks prestige and recognition when compared to patient care and research (Hu et al. 2015; Huwendiek et al. 2010; Joyce et al. 2009; Kumar et al. 2011; Levinson and Rubenstein 2000; Sabel and Archer 2014). For beginning teachers, this might lead to difficulties in the process of integrating the teacher role into their identity. Such difficulties or tensions can lead to identity dissonance, which involves negative emotions such as having a low sense of self-worth or feeling frustrated (Monrouxe 2010; Warin et al. 2006).

[피규어 세계 이론]은 교사의 역할을 정체성에 통합하는 과정에서 긴장이 어떻게 그리고 왜 발생할 수 있는지에 대한 통찰력을 제공한다. 다만 이러한 긴장감을 줄이는 방식으로 어떻게 새로운 역할과 기존의 역할이 통합될 수 있는지 이해하는 것은 도움이 되지 않는다. 따라서 우리는 이 과정을 이해하는 데 필요한 개념적 도구를 제공하는 [대화식 자기 이론dialogical self theory ]을 이용한다. 대화식 자기 이론(DST)에 따르면, 정체성 형성은 [협상된 과정] 또는 [대화식 방식으로 상호 작용하는 여러 위치(일명 I-position) 사이의 합성 활동]으로 볼 수 있다(Akkerman과 Meijer 2011; Hermans 2012) 의대 초임 교사의 경우 [교사라는 새로운 I-position 도입]에 앞서 [의사나 연구원의 I-position]을 채택했을 가능성이 높기에, [의사나 연구원의 I-position]과 '대화'를 벌인다. 이 대화가 반드시 조화롭지는 않은데, 가르침에 대한 집단적 이야기의 성격에 따라 입장 간 긴장이 있을 수 있기 때문이다.
Figured worlds theory provides insight into how and why tensions can arise in the integration of the teacher role into one’s identity. However, it does not help us to understand how new and existing roles can be integrated in such a way that these tensions are reduced. Therefore, we draw upon dialogical self theory (Hermans 2001, 2012, 2013; Hermans and Kempen 1993), which offers the conceptual tools necessary to understand this process. According to dialogical self theory (DST), identity formation can be seen as a negotiated process or as a synthesising activity between multiple positions (the so-called I-positions) that interact with each other in a dialogical fashion (Akkerman and Meijer 2011; Hermans 2012). In the case of beginning medical teachers, it is likely that they have adopted the I-position of doctor or researcher prior to the introduction of the new I-position of teacher, which hence engages in ‘dialogue’ with the I-position of doctor or researcher. This dialogue is not necessarily harmonious because, depending on the nature of the collective stories about teaching, there can be tensions between positions.

대화적 자기 이론에 따르면, 사람들은 정체성 서술identity narratives을 개발한다. 이는 다른 정체성 위치를 일관성 있는 전체로 통합하기 위해, 유연하고 창의적으로 사용될 수 있는 대화적 도구이다. 헤르만스와 헤르만스-코놉카(2010)는 세 가지 종류의 정체성 내러티브를 설명한다.

  • 첫 번째는 두 개 이상의 I-position 사이에 연합coalition을 만드는 것인데, 예를 들어 가르침이 연구에 기여하거나 연구가 가르침에 기여한다는 것을 인식하는 것이다. 이러한 지위 간의 연합은 두 지위의 이익을 고려한 다음 더 포괄적인 구조의 일부로 결합하기 때문에 강력한 동기를 유발할 수 있는 잠재력을 가지고 있다.
  • 두 번째 종류의 정체성 서술은 입장 간의 갈등을 완화하거나 완화하는 제3의 입장을 만드는 것이다. 의료 교사의 경우, 이는 '환자 중심의 의료 서비스의 질 향상'이라는 입장을 채택하는 것을 수반할 수 있으며, 이는 교사와 의사의 입장 간의 잠재적인 충돌을 줄여준다.
  • 세 번째 정체성 서술은 메타 포지션을 취하는 것으로 구성되는데, 이는 자신에게 거리를 두어, 그 포지션을 성찰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정체성 서술은 기존의 I-포지션이 협상, 결합 또는 재정의되고 새로운 I-포지션이 생성되는 대화 공간을 만드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

According to dialogical self theory, people develop identity narratives, discursive tools which can be used flexibly and creatively in order to integrate different identity positions into a coherent whole (Hermans and Hermans-Konopka 2010). Hermans and Hermans-Konopka (2010) describe three kinds of identity narratives.

  • The first involves the creation of coalitions between two or more I-positions, for example by recognising that teaching adds to research or that research adds to teaching. Such coalitions between positions have the potential to generate strong motivation, since they take the interests of both positions into account and then combine them as parts of a more encompassing structure.
  • The second kind of identity narrative concerns the creation of a third position that conciliates or mitigates the conflict between positions. In the case of medical teachers, this might involve adopting the position of ‘improver of the quality of patient-centred health care’, which lessens any potential conflict between the positions of teacher and doctor.
  • The third identity narrative consists of taking a meta-position, which means distancing oneself and reflecting on the positions. These identity narratives can help in creating a dialogical space in which existing I-positions are negotiated, combined, or redefined, and new I-positions are created.

위에서 논의한 바와 같이, 의료 교사들의 정체성은 그들이 가르치기 전에 [의료나 연구의 세계]에 확고히 기반을 두고 있다고 기대할 수 있다. 문제는 그들이 [어떻게 교수자의 I-position를 의사나 연구원의 I-position에 추가하느냐]와, [서로 다른 I-position 사이의 잠재적 긴장을 극복하기 위해 어떤 내러티브를 개발하느냐]이다. 지금까지 교사의 역할을 정체성에 통합하는 과정을 설명한 연구는 없었다. 또한 존재하는 의료 교사의 정체성 형성에 대한 드문 경험적 연구는 경험이 풍부한 교사들로 제한된다(Hu et al. 2015; Kumar et al. 2011; Sabel and Archer 2014; Star et al. 2003; Steinert and Macdonald 2015).

As discussed above, medical teachers’ identity can be expected to be solidly grounded in the figured world of health care or research before they start to teach. The question is how they add the I-position of teacher to the I-position of doctor and/or researcher, as well as what narratives they develop to overcome any possible tensions between the different I-positions. Thus far, no studies have described this process of integrating the teacher role into one’s identity. Further, the scarce empirical research on the identity formation of medical teachers that does exist is limited to experienced teachers (Hu et al. 2015; Kumar et al. 2011; Sabel and Archer 2014; Starr et al. 2003; Steinert and Macdonald 2015). 

이 연구들은 이중적인 그림을 그리고 있다.

  • 경험 많은 교사들은 한편으로 소외감과 자존감 부족에 대한 감정을 보고한다(Hu et al. 2015; Kumar et al. 2011; Sabel and Archer 2014; Stenfors-Hayes et al. 2010). 이들은 학계의학 분야에서 teaching이 낮은 지위의 직업으로 인식돼, 임상 업무나 연구보다 가치가 떨어진다고 보고 있다. 저자들은 이러한 발견을 학문의학의 연구 생산성에 대한 강조가 강한 만큼 학문의 커리어가 구조화되는 방식 탓으로 돌리고 있다. 의료 교육의 진로 진입은 종종 계획되지 않고 우연히 이루어지기 때문에, 교사의 역할에 대한 식별은 종종 점진적으로만 발전한다(Bartle and Thistlethwaite 2014; Hu et al. 2015). 
  • 반면에, 경험이 많은 교사들 또한 일반적으로 가르치는 것을 그들의 정체성의 중요한 부분으로 본다. 많은 사람들은 가르치는 것을 직업에 무언가를 돌려주어야 하는 책임감이나 도덕적 약속으로 본다. 다른 이들은 다음 세대의 발전에 기여하고자 하는 열망을 언급한다. 가르치는 것 자체가 주는 즐거움, 즉 학생들이 배우는 것을 지켜보고 성취에 자부심을 갖는 즐거움도 언급되며, 가르치는 것이 자신의 학습을 지속하는 데 제공하는 기회도 언급된다.

These studies portray a dual picture.

  • On the one hand, experienced teachers report feelings of marginalisation and a lack of self-esteem (Hu et al. 2015; Kumar et al. 2011; Sabel and Archer 2014; Stenfors-Hayes et al. 2010). They believe that in the field of academic medicine, teaching is perceived as a low-status occupation and that it is thus less valued than clinical work or research. The authors attribute these findings to the way academic careers are structured, as there is a strong emphasis on research productivity in academic medicine. As career entry in medical education is often unplanned and serendipitous, identification with the role of teacher often develops only gradually (Bartle and Thistlethwaite 2014; Hu et al. 2015).
  • On the other hand, experienced teachers also generally see teaching as an important part of their identity (Hu et al. 2015; Kumar et al. 2011; Sabel and Archer 2014; Starr et al. 2003; Steinert and Macdonald 2015). Many see teaching as a responsibility or a moral commitment to give something back to the profession. Others mention a desire to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the next generation. The joy of teaching itself, that of watching students learn and taking pride in their accomplishments, is also mentioned, as are the opportunities that teaching provides for continuing one’s own learning.

앞서 언급한 연구들은 주로 졸업후교육 수준에서 가르치는 의사들을 대상으로 한다. 비록 그들이 주로 가르치는 것에 종사하지만, 그들은 또한 약간의 임상 실습을 유지하고 때때로 연구를 수행하기도 한다. 지금까지 학부 의학교육에 있어서 교사와 관련하여 이용할 수 있는 연구는 제한적이다. 학부 교육에 학생 중심 및 문제 기반 커리큘럼의 도입과 임상 추론, 커뮤니케이션 기술, 전문적 행동에 대한 관심이 증가함에 따라, 최근 학부 교육을 담당하는 학술 인력이 강하게 증가했을 뿐만 아니라 변화하고 있다(Smith and 번튼 2012). 교수들의 대규모 강의가 이루어졌던 전통적인 학부 교육에서 강의는 높은 평가를 받는highly regarded 학술적 활동이었다(Van Rossum 2012). 그러나 학생 중심의 문제 기반 사전 임상 학부 교육에 필요한 튜터의 수에 도달하기 위해 소규모 그룹 강의의 대부분은 하급 직원, 상급 학생, 박사 과정 학생, 박사 후 연구원 또는 전임 교사가 수행한다(Mates et al. 2002). 이러한 직책들이 과거 교수들이 갖던 배타성과 지위를 반드시 구현하지는 않는다.
The aforementioned studies primarily concern doctors who teach at the postgraduate level. Although they are primarily engaged in teaching, they also maintain some clinical practice and sometimes also conduct research. So far, there is only limited research available concerning teachers in undergraduate medical education. Due to the introduction of student-centred and problem-based curricula in undergraduate education, as well as the increased attention paid to clinical reasoning, communication skills, and professional behaviour, the academic workforce responsible for undergraduate teaching in recent years has not only grown strongly, but has also changed (Smith and Bunton 2012). In traditional undergraduate education, where large-scale lectures were given by professors, teaching was a highly regarded academic activity (Van Rossum 2012). However, in order to reach the number of tutors needed in student-centred and problem-based preclinical undergraduate education, much of the small group teaching is performed by junior staff, senior students, PhD students, postdoctoral researchers, or full-time teachers (Matthes et al. 2002). These positions do not necessarily embody the exclusivity and status that used to be ascribed to professors in the past.

현재 연구의 목표는 학부 교육의 시작 의학 교사들이 어떻게 교사의 역할을 그들의 정체성에 통합하는지 설명하는 것이다. 또는 대화적 자기 이론의 관점에서 초보 교사들이 교사의 I-position 를 그들의 정체성에 통합하기 위해 어떤 정체성 내러티브를 사용하는가 하는 것이다. 이러한 정체성 서술에 대한 통찰력을 갖추면 의과대학이 전문직 초기 학부 교사들을 지원할 수 있는 출발점을 마련할 수 있을 것이다.
The goal of the current study is to describe how beginning medical teachers in undergraduate education integrate the teacher role into their identity. Or, in terms of dialogical self theory, what identity narratives novice teachers use to integrate the I-position of teacher into their identity. Having insight into these identity narratives will provide medical schools with starting points for supporting undergraduate teachers during their early professional years.

방법
Method

우리는 연구자-참여자 상호 작용에서 의미가 구성된다고 가정하고 정성적 방법에 의존하는 경향이 있는 [해석주의적 인식론적 관점]에서 심층 정성적 연구를 수행했다(Bunnis and Kelly 2010).
We conducted an in-depth qualitative study from an interpretivist epistemological perspective, which assumes that meaning is constructed in the researcher-participant interaction, and which tends to rely on qualitative methods (Bunniss and Kelly 2010).

맥락
Context


이 연구는 2012년과 2013년에 네덜란드의 한 의과대학에서 실시되었다. 의과대학은 3년제 학사과정과 3년제 석사과정으로 구성되어 있다. 매년 350명의 1학년 학생들이 입학한다. 2005년부터 학사 커리큘럼은 학생 중심의 수직 통합 커리큘럼으로 소규모 그룹 교육에 중점을 두고 있다. 능동적이고 자기주도적인 학습을 촉진하고 지식 탐구를 육성하며 학생들의 협동력을 높이기 위해 소규모 그룹 교습이 도입되었다(Crosby 1996). 이 그룹은 12명의 학생들로 구성되어 있으며, 모든 학과와 계층의 교사들이 지도한다. 교육 업무task of teaching은 의사뿐만 아니라 박사과정 학생들과 박사후 연구자들에게도 할당된다. 점점 더 많은 학과들이 그들의 교육 요건을 충족시키는 것을 돕기 위해 전임 교사를 임명하는 것에 착수했다.

The study was conducted in 2012 and 2013 in a Dutch medical school. The school’s preclinical undergraduate programme in medicine consists of a three-year bachelor’s phase and a three-year master’s phase. It has an annual intake of 350 first-year students. Since 2005, the bachelor’s curriculum is a student-centred vertically integrated curriculum, with an emphasis on small group teaching. Small group teaching was introduced to promote active and self-directed learning, to foster the exploration of knowledge and to enhance students’ cooperative skills (Crosby 1996). The groups consist of 12 students and are led by teachers from all departments and from all levels of the hierarchy. The task of teaching is not only assigned to medical doctors, but also to PhD students and postdoctoral researchers. Increasingly, departments have taken to appointing full-time teachers to help meet their teaching requirements.

참가자
Participants

교사의 역할을 정체성에 통합하려는 교사들이 사용하는 정체성 내러티브를 탐색하고 있었기 때문에 교사의 정체성을 적극적으로 탐구하는 초보 교사들의 표본을 찾아봤다. 그러므로 우리는 의도적으로 다음에서 참가자를 모집했다.

  • 대학 교수 자격 과정의 자발적 참여자(모듈식 과정과 직장 포트폴리오 포함) 
  • 교수자 커뮤니티(즉, 강의에서 직면하는 문제에 대해 토론하는 정기 회의 중에 서로 배우고 함께 배우는 교사 그룹)(Gercama et al. 2014; Van Lankveld et al. 2016)

Since we were exploring the identity narratives that are used by teachers who try to the integrate the teacher role into their identity, we sought a sample of beginning teachers that were actively exploring the identity of teacher. We therefore purposefully recruited participants

  • from a voluntary university teaching qualification course (165 h, including modular courses and a workplace portfolio) and
  • from teacher communities (i.e. groups of teachers who learn with and from each other during regular meetings in which they discuss any problems they face in their teaching) (Gercama et al. 2014; Van Lankveld et al. 2016).

우리는 5년 이하의 교사 경력만 포함시켰다(즉, 의도적인 표본 추출). 18명의 선생님들이 이 연구에 참여했습니다. 일부는 의학적 배경(MD 학위)을 가지고 있었고, 다른 이들은 비의학적 배경(사회과학 또는 보건생명과학 석사)을 가지고 있었다. 여성이 82%로 교원자격제 및 교원공동체 참여율(78%)에 해당하지만, 이 의대에 근무하는 여성교사 비율(52%)에는 해당되지 않았다(표1).
We only included teachers with no more than 5 years teaching experience (i.e. purposive sampling). Eighteen teachers participated in the study. Some had a medical background (MD degree), while others had a non-medical background (Masters in social sciences or health and life sciences). Eighty two percent were women, which is representative of the percentage of women attending the teaching qualification programme and the teacher communities (78 %), but not of the percentage of female teachers working in this medical school (52 %) (Table 1).

 

데이터 수집
Data collection

우리는 두 번의 반구조적인 인터뷰를 했습니다. 첫 번째 면접에서, 우리는 선생님들이 그들의 정체성 안에서 가르치는 역할과 선생님들의 역할을 성찰하도록 했습니다. 우리는 그들의 교육 경력, 직업적 정체성, 다른 역할과 관련하여 교사로서의 역할에 대한 그들의 입장, 그리고 환경과 관련된 그들의 정체성 등 여러 분야를 탐구했다. 2차 면접에서는 교사들에게 면접 기간(7개월) 동안 보관해 온 주간 일지 파편들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하는 등 이러한 문제들을 더욱 탐색했다. 2차 면접에서 프롬프트로 사용된 로그북 단편은 연구자가 선택했으며 강의가 어떻게 평가되었는지에 대한 관련 진술(예: 질문의 경우 표 2 참조)을 참조했다. 인터뷰는 정성적 연구 방법을 활용한 경험이 있는 교육학자 TvL이 진행, 녹음했다. 두 인터뷰의 평균 시간은 137분(범위 93-198분)이다. 데이터 수집과 분석은 반복적인 과정에서 일어났습니다. 처음 다섯 번의 인터뷰가 완료된 후 데이터를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초기 분석 통찰력은 후속 데이터 수집에 정보를 제공할 수 있었다. 이러한 통찰력은 교사가 사용하는 정체성 서술에 민감하게 작용했고, 이는 이후의 면접에서 더 나은 프롬프트를 공식화하고 나중에 로그북 조각을 더 선명하게 선택하는 데 도움이 되었다. 13번의 인터뷰가 더 진행된 후, 우리는 재분석을 위해 처음 5번의 인터뷰로 다시 돌아갔습니다.

We conducted two semi-structured interviews. In the first interview, we let the teachers reflect on their teacher role and on the role of teaching in their identity. We explored several areas: their teaching career so far, their professional identity, their stance towards their role as a teacher in relation to other roles, and their identity in relation to the environment (see “Appendix” for the interview guide). In the second interview, we further explored these issues by asking the teachers to elaborate on fragments from the weekly logbook that they had kept during the period between the interviews (7 months). The logbook fragments that were used as prompts in the second interview were selected by the researcher and concerned statements about how teaching was valued (see Table 2 for example questions). The interviews were conducted and audio recorded by TvL, an educationalist with experience using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The average duration of the two interviews in sum is 137 min (range 93–198 min). The data collection and analysis occurred in an iterative process. After the first five interviews were completed, the data were analysed. This allowed early analytic insights to inform the subsequent data collection: these insights sensitized us to the identity narratives used by the teachers, which helped us to formulate better prompts in later interviews and make a sharper selection of logbook fragments later. After another 13 interviews had been conducted, we went back to the first 5 interviews for re-analysis.

 

윤리적 승인
Ethical approval

이 연구에 대한 윤리적 승인은 네덜란드 의료 교육 협회의 윤리 검토 위원회(NVMO-ERB 참조 번호 169)에 의해 승인되었다. 참가자들은 연구의 범위와 성격에 대해 알게 되었고, 그들은 모두 서면으로 참가에 동의했습니다. 기밀성을 유지하기 위해 모든 데이터는 익명으로 기록되고 분석되었다.

Ethical approval for this study was granted by the Ethical Review Board of the Dutch Association for Medical Education (NVMO-ERB reference number 169). The participants were informed about the scope and nature of the study, and they all gave written consent to participate. To maintain confidentiality, all of the data were transcribed and analysed anonymously by using pseudonyms.

데이터 분석
Data analysis

그 데이터는 두 명의 학생 조교들에 의해 기록되었고, 그리고 나서 TvL에 의해 정확성을 확인되었습니다. 데이터 분석은 데이터의 근접 읽기와 재독해, 데이터 감소(선택, 코딩 및 요약에 의한) 및 사례 내 및 사례 간 행렬에서의 데이터 표시, 해석(Miles and Huberman 1984)을 통해 여러 차례 진행되었다.
The data were transcribed by two student assistants and then checked for accuracy by TvL. The data analysis proceeded through several rounds of close reading and re-reading of the data, data reduction (by selecting, coding and summarising) and data display in within-case and cross-case matrices, and interpretation (Miles and Huberman 1984).

첫째, 기술 코드는 TvL에 의해 아틀라스.ti에서 할당되었으며, 이는 데이터를 나중에 검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주된 목적이었다. 교사 역할에 대한 자부심, 교사와 의사 역할의 관계, 교사와 연구원의 역할의 관계, 미래에 대한 야망 등의 코드를 유도적으로 개발하여 TvL이 수정하고 다듬었다. 코드와 예시적인 데이터 추출에 대한 설명은 JS와 논의되었습니다. 10개의 인터뷰 또한 JS에 의해 독립적으로 코딩되었다. 차이점에 대한 논의는 코드 설명의 추가 명세로 이어졌다.
First, descriptive codes were assigned in Atlas.ti by TvL with the primary purpose of making the data accessible for later retrieval. The codes, such as pride in teacher role, relation between teacher and doctor role, relation between teacher and researcher role, and ambitions for the future, were developed inductively and then revised and refined by TvL. Descriptions of the codes and illustrative data extracts were discussed with JS. Ten interviews were also independently coded by JS. A discussion about the differences led to the further specification of code descriptions.


다음으로, 세그먼트는 참가자의 정체성과 관련된 원본 데이터에 위치했다. 이는 각 참가자에 대해 하나씩 사례 내 행렬로 요약되고 요약되었다. 사례 내 매트릭스로의 데이터 축소는 정체성과 관련된 데이터를 선택하고 집중하며 구조화된 방식으로 분류하고 정리하는 데 도움이 되었다(마일즈와 휴버먼 1984). 데이터는 요약되었고 풍부하고 대표적인 원본 인용문이 포함되었다. 이로써 총 44페이지 분량의 본문이 완성되었다.

Next, segments were located in the original data that related to the participant’s identity. These were condensed and summarised in within-case matrices, one for each participant. The data reduction into within-case matrices helped us to select and focus on the data that related to identity and sort and organize it in a structured way (Miles and Huberman 1984). The data were summarized, while rich and representative original quotes were included. This resulted in a total of 44 pages of text.

이러한 매트릭스 중에서 모든 참가자를 포함하는 15페이지 매트릭스로 데이터를 추가로 요약했다. 참가자의 정체성에 대한 서술적 설명, 교사의 I 위치를 정체성에 통합하는 과정에서 경험한 긴장감, 교사의 역할을 정체성에 통합하는 데 사용된 정체성 서술 등이 포함되었다. 대표적인 인용문이 데이터에 포함되었다(행렬의 한 행의 예는 표 3 참조). 데이터를 대소문자 행렬로 표시함으로써 우리는 접근 가능하고 압축된 형태로 정리된 데이터를 모아서 참가자의 전체 그림의 맥락에서 풍부하고 대표적인 인용문을 해석할 수 있었다(마일스와 휴버만 1984).
Out of these matrices, we further summarised the data into one all-encompassing 15-page matrix that included all participants. The columns included:

  • a narrative description of the participant’s identity,
  • tensions experienced in integrating the I-position of teacher into one’s identity, and
  • the identity narratives that were used to integrate the role of teacher into one’s identity.

Representative quotes were included in the data (see Table 3 for an example of one row of the matrix). Displaying the data in a cross-case matrix allowed us to assemble organized data into an accessible, compressed form so that we could interpret the rich and representative quotes in the context of the complete picture of the participant (Miles and Huberman 1984).

 

 

최종 데이터 분석에는 사례 내 및 사례 간 매트릭스에 포함되었던 풍부하고 대표적인 인용문에 대한 미시 및 매크로 분석이 결합되었다. (Akkerman과 Meijer 2011; Monrouxe 2010) 다음의 두 계층을 밝혀내고 결합하고자 했다.

  • (1) 일관성 있는 정체성을 유지하기 위해 교사가 사용한 정체성 내러티브,
  • (2) 그것들이 도출된 집합적 이야기, 그리고 그것들이 교육, 연구 및 건강 관리의 세계에 내재된 방식. 

The final data analysis entailed a combination of micro- and macro-analysis of the rich and representative quotes that had been included in the within- and cross-case matrices. (Akkerman and Meijer 2011; Monrouxe 2010), in order to uncover and combine two layers:

  • (1) the identity narratives that teachers used to maintain a coherent identity; and
  • (2) the collective stories from which they were drawn and the way these were embedded in the figured worlds of teaching, research and health care.

우리의 경우,

  • 마이크로 분석은 교사들이 그들의 정체성에서 교사의 I 위치를 통합하기 위해 채택한 내러티브와 그들이 교사, 연구원, 의사의 I-포지션을 채택하고 전환하는 방법에 대한 분석을 수반했다(Akkerman과 Meijer 2011).
  • 매크로 분석은 참가자들의 설명에서 반영된 바와 같이, 연구, 교육, 의료의 세계에서 교육에 대해 이야기되는 집합적 이야기에 대한 분석을 수반했다. 
  • 이 둘을 결합함으로써, [집단적인 이야기가 교사들의 정체성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이해가 이루어졌다. 

In our case,

  • the micro-analysis entailed an analysis of the narratives teachers adopted to integrate the I-position of teacher in their identity, and how they adopted and shifted between the I-positions of teacher, researcher and doctor (Akkerman and Meijer 2011).
  • The macro-analysis on the other hand, entailed an analysis of the collective stories being told about teaching in the figured worlds of research, teaching and health care, as echoed in the participants’ accounts.
  • By combining the two, an understanding was reached regarding how the collective stories impinged on the teachers’ identity.

 

결과는 다른 연구자들과 논의되었는데, 처음에는 JS와, 나중에는 사례 간 매트릭스 분석에 대한 동료 검토를 수행한 연구팀 외부의 두 명의 연구원과 논의되었다. 한 명은 정성적 방법의 전문가였고, 한 명은 대화적 자기 이론의 관점에서 정체성을 연구하는 전문가였습니다. 두 연구원 모두 우리 연구팀으로부터 독립적이었기 때문에 데이터에 대한 중요한 거리를 가지고 있었다. 분석에 대한 중간 해석은 팀의 모든 구성원이 공동으로 논의하였다.

The outcomes were discussed with other researchers, first with JS and later with two researchers from outside the research team, who conducted a peer review of the analysis of the cross-case matrix. One was an expert in qualitative methods and one was an expert in studying identity from a dialogical self theory perspective. Both researchers were independent from our research team and therefore held a critical distance to the data. Interim interpretations of the analysis were jointly discussed by all members of the team.

연구의 신뢰성과 신뢰도를 높이기 위해 연구팀 내부와 외부에서 복수의 연구원이 분석에 참여했다(Malterud 2001). 우리 스스로가 자신의 가치를 강요하고 너무 일찍 결론을 내리는 것을 막기 위해 자료를 반복적으로 읽고 원본 자료를 다시 확인했다. 우리는 또한 고의적으로 오해를 불러일으키는 증거를 찾아내고, '조기 폐쇄 효과'를 방지하기 위해 특이치, 극단적인 사례 및 놀라움에 각별히 주의를 기울였다(Robson 2002). 이를 통해 보다 미묘한, 세련된 설명이 이어졌다. 연구 결과는 여러 차례 연구팀에 의해 논의되어 분석에 도전과 이의를 제기할 수 있었다. 연구팀은 의학교육(GC, RK)과 일반교육(TvL, JS, MV, JB)에 모두 이력이 있는 연구자로 구성됐다. 팀원들의 다양한 배경은 우리가 의학 교육 문맥에서 다소 벗어나게 하는 동시에, 참가자들의 맥락에 대한 세부사항을 충분히 이해할 수 있도록 도움을 주었다.

To enhance the study’s credibility and trustworthiness, multiple researchers were involved in the analysis, both from within and from outside the research team (triangulation of researchers) (Malterud 2001). In order to prevent ourselves from imposing our own values and drawing conclusions too early, we repeatedly read the data and checked back in the original data several times. We also deliberately searched for disconfirming evidence and paid extra attention to outliers, extreme cases, and surprises in order to prevent a ‘premature closure effect’ (Robson 2002). This led to more nuanced and refined explanations.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discussed by the research team several times, allowing for the analyses to be challenged and contested. The research team consisted of researchers with backgrounds in both medical education (GC, RK) and general education (TvL, JS, MV, JB). The diverse backgrounds of the members of the team helped us to be somewhat removed from the medical education context, while at the same time allowing us to be sufficiently informed to understand the details of the participants’ context.

결과.
Results

초기 자료 분석 과정에서 교사들의 절반이 교사 역할을 정체성에 통합하는 과정에서 긴장을 경험했다는 사실이 분명해졌다. 이러한 긴장은 참가자들이 사용한 정체성 서술의 많은 부분이 해석되어야 하는 배경을 형성하는 것처럼 보이기 때문에 첫 번째 섹션에서 설명될 것이다. 그런 다음 우리는 두 번째 섹션에서 이러한 정체성 서술에 대해 설명할 것입니다.
During the initial data analysis, it became clear that half of the teachers experienced tensions in the process of integrating the teacher role into their identity. These tensions will be described in the first section, since they seem to form a background against which many of the identity narratives that the participants used should be interpreted. We will then describe these identity narratives in the second section.

교사와 의사 또는 연구자의 I-포지션 사이의 긴장
Tensions between the I-positions of teacher and doctor or researcher

몇몇 학부 교사들은 [가르치는 것]이 임상 작업과 연구라는 두 가지 다른 역할에 비해 열등하다는 인식과 관련하여 긴장을 경험했다. 이러한 긴장은 두 그룹의 학부 교사들이 경험했다.
Several of the undergraduate teachers experienced tensions in relation to their perception that teaching is regarded as inferior to the two other roles, namely clinical work and research. These tensions were experienced by two different groups of undergraduate teachers.

반면 의학 석사 학위를 가진 교사들은 같은 환경의 다른 사람들이 가르치는 것을 임상 업무에 비해 열등하다고 여긴다는 생각을 가지고 있었다. 그들은 종종 왜 그들이 가르치는 것을 선택하는지, 특히 의학 학위를 가진 다른 사람들에게 설명해야만 했다. 교사가 되기로 한 그들의 결정에 대한 대화에서는 가르치는 것이 "실패한 의사들을 위한 것"이라는 불편한 침묵이나 미묘한 발언으로 특징지어진다.

The teachers with a master’s degree in medicine, on the one hand, held the notion that others in their environment regarded teaching as inferior compared to clinical work. They often had to explain why they choose teach, especially to others with a medical degree. Conversations about their decision to become a teacher were marked by uncomfortable silences or subtle remarks suggesting that teaching is regarded as “something for failed doctors”:

제가 선생님이라고 하면, 의학적 배경을 가진 사람들이 가끔 이렇게 반응합니다. 어떻게 해야 공손할까요? 마치 내가 열등한 선택을 한 것처럼, B-선택. '그래서 병원 대신 교육쪽 일을 하는구나? ' 왜 그런 것일까요? 당신은 병원에서 대처할 수 없었나요?' 말 그대로 나와서 그런 말을 하는 건 아니지만 그게 그들이 발산하는 태도다. (롯데, 25세, 의사 학위)
When I say that I’m a teacher, people with a medical background sometimes respond a bit like…. How should I put this politely? As if I had made an inferior choice, a B-choice. They make you feel like they’re thinking, ‘Oh, so you work in education instead of in a hospital? Why is that? Were you unable to cope in a hospital?’ They don’t literally come out and say that, but that’s the attitude they radiate. (Lotte, 25, full-time teacher, MD degree)




특히 대학원 교육을 마치고 전임교사로 진로를 바꾸기 전 몇 년간 임상 업무를 했던 이들 교사들은 [죄책감과 수치심]에 몸부림쳤다. 예를 들어, 윌은 다른 임상의들에게 교직에 대한 그녀의 변화가 확정적이라는 것을 말하지 않고, 교사가 되는 것이 수치스럽다는 것을 암시한다. 윌은 자신을 패배자로 보지 않고 가르친 것에 죄책감을 느낀다고 말했다.


In particular, those teachers who had finished their postgraduate education and done clinical work for several years before making a career change to full-time teaching struggled with feelings of guilt and shame. Will, for example, does not tell other clinicians that her career change to teaching is definitive, implying that it is shameful to be a teacher. Will addresses that she does not see herself as a loser (implying that, in a way, she does), but that she does feel guilty that she teaches:

외부인과 얘기할 때 늘 '네, 아이를 위해서 의사 일을 그만뒀고, 아이가 더 크면 돌아가겠습니다'라고 말한다. 하지만 절대 안 돼… 다시는 돌아가고 싶지 않아. 하지만 난 아직 외부인들이 그걸 알길 원하지 않아.
When I’m talking to outsiders, I always say, ‘Yes, I stopped working as a doctor for my child’s sake, and I’ll go back when my child is older.’ But no way … I don’t want to go back ever again. But I don’t want outsiders to know that yet.

왜 안 되나요?
Why not?

왜냐면 마음속으로는 네가 평생 의사인 것 같거든요. 제 자신을 패배자로 보는 건 아니지만 가끔 다른 의사들에 대해 죄책감을 느껴요. […] 나는 '나는 내가 해야 할 일을 포기하고 다른 사람에게 맡겼다.'라고 생각하는 나를 발견한다. […] 당신은 평생 의사가 되고, 난 여기서 내 의사 면허로 아무것도 안 해. (윌, 41세, 의사 학위)

Well, because deep down, I do feel like you’re a doctor for life. I feel sort of … well, it’s not that I see myself as a loser, but I do feel guilty sometimes about all those other doctors. […] I find myself thinking, ‘I gave up and left it up to others to do what I’m supposed to be doing.’ […] You become a doctor for life, and here I am doing nothing with my MD. (Will, 41, full-time teacher, MD degree)

 

반면 의학적 배경이 없는 기초과학부 교사들(심리학자, 생물의학자, 신경과학자, 해부학자)은 [가르치는 것보다 연구가 더 중요하다고 보는 집단적 스토리]와 씨름했다. 이들은 학과 동료들이 연구를 중심 업무로 여겼으며, 이런 동료들이 가르치는 것을 '실제' 업무에서 산만하게 하는 '부담'으로 본다고 전했다. 이 때문에 일부 교사들은 강한 억양과 주장의 반복이 두드러지는 등 많은 좌절감을 보였다. 이들은 고등교육 맥락에서 보상제도가 출판물에 초점이 맞춰져 있다는 점을 강조했는데, 이는 연구가 중요하고 가르침은 그렇지 않다는 암묵적 메시지로 해석했다. 특히 연구문화가 강한 학과에서 근무하는 교사들은 답답함, 외로움, 낮은 자존감 등 강한 긴장감을 경험했다. 그들은 자신의 학부에서 동료(교수 포함)들이 가르치는 것을 중요하지 않게 여긴다고 보고한다.

Teachers from the basic sciences departments who had non-medical backgrounds (psychologists, biomedical scientists, neurological scientists, anatomists), on the other hand, wrestled with the collective story that research is seen as more important than teaching. They reported that colleagues from their departments regarded research as the central task, and that such colleagues see teaching as “a burden” that distracts them from their “actual” work. Some of the teachers showed much frustration because of this, marked by a strong intonation and repetition of arguments. They stressed that reward systems in the higher education context are focused on publications, which they interpreted as an implicit message that research counts and that teaching does not. Especially the teachers working in departments with a strong research culture experienced strong tensions, such as frustration, loneliness, and a low sense of self-worth. They report that in their departments, colleagues (including professors) regard teaching as unimportant:

가르치는 것이 정말 감사받지 않는 것 같다. 그들은 단순히 좋은 가르침의 중요성을 이해하는 것처럼 보이지 않는다. 그 시간들을 채우는 것이 유일한 목표인 것 같다. 누가 그 일을 하고, 어떻게 하고, 무엇을 하는지는 중요하지 않다. 마치 내가 가르치는 것을 좋아하기 때문에 너무 많은 시간을 빼앗아서는 안 되는 취미를 추구한다고 생각하는 것 같다. (라이크, 34세, 박사후 과정, 보건/생명과학 학위)
I feel as though teaching is not really appreciated. They simply don’t appear to understand the importance of good teaching…. It seems as though the only goal is to get those hours filled in [in the schedule] …. It doesn’t matter who does the job, how it’s done, or what gets done… […] It’s as though they think that, because I like teaching, that I’m pursuing some sort of hobby, which shouldn’t be allowed to take up too much time. (Lieke, 34, post doc, health/life sciences degree)

 

요약하자면, 초기 학부 교사들은 가르치는 것에 대한 두 가지 집단적인 이야기에 직면했는데, 두 가지 모두 교사의 역할에 대한 다소 부정적인 함축과 관련이 있었다. 그들은 의료의 세계에서는 "교육은 임상 업무의 기준을 충족시키지 못하는 실패한 의사들을 위한 "이라는 집단적인 이야기가 나오는 반면, 연구의 세계에서는 "교육은 연구만큼 중요하지 않다"는 이야기가 나오는 것을 경험했다. 두 개의 세계 모두에서 교사의 역할은 명시적으로 평가되지 않습니다. 이러한 집단적인 이야기들은 선생님들이 선생님이라는 I-position을 받아들이기 어렵게 만들었습니다. 이는 교사의 I입장과 교단에 대한 집단이야기 사이뿐만 아니라 I입장 사이에서도 반쪽의 교사의 갈등을 초래했다. 비록 거의 모든 참가자들이 위에서 설명한 집단적인 이야기들을 인정했지만, 어떤 참가자들은 다른 사람들보다 더 강한 긴장을 경험했다. 모순되는 정체성 위치를 일관성 있는 전체로 통합하기 위해, 교사들은 다음 절에서 설명하는 다양한 정체성 서사를 사용했다.

To sum up, the beginning undergraduate teachers were confronted with two collective stories about teaching, both of which involved rather negative connotations of the role of teacher. They experienced that within the figured world of health care, a collective story is told about “teaching being for failed doctors who cannot meet the standards of clinical work”, whereas within the figured world of research, a story is told that “teaching does not count as much as research”. Within both figured worlds, the role of teacher is not explicitly valued. These collective stories made it hard for the teachers to adopt the I-position of teacher. This led to conflicts for half of the teachers, not only between the I-position of teacher and the collective story about teaching, but also between I-positions. Although almost all participants acknowledged the collective stories described above, some experienced stronger tensions than others. To integrate the conflicting identity positions into a coherent whole, the teachers used a variety of identity narratives, which are described in the next section.

 

교사의 역할을 정체성에 통합하기 위해 사용되는 정체성 서술
Identity narratives used to integrate the teacher role into one’s identity

우리는 학부 교사들이 교사의 역할을 그들의 정체성에 통합하기 위해 사용한 5가지 정체성 서사를 발견했다:

  • (1) 교사의 I 위치와 다른 I-포지션 사이의 연합.
  • (2) 교사의 I 위치가 통합되지 않음: 다른 I-포지션 유지;
  • (3) 교사의 I 위치 및 반대되는 다른 I 위치의 구성
  • (4) 교사의 I 위치와 조정자의 제3의 위치 사이의 연합.
  • (5) 메타 위치: 상태의 중요성을 사소한 것으로 간주합니다.

이러한 서술의 도식은 그림 1에 제시되어 있다.
We found five identity narratives that beginning undergraduate teachers used to integrate the teacher role into their identity:

  • (1) coalition between the I-position of teacher and other I-positions;
  • (2) no integration of the I-position of teacher: holding on to other I-positions;
  • (3) construction of the I-position of teacher and other I-positions as opposites;
  • (4) coalition between the I-position of teacher and a third position of coordinator; and
  • (5) meta-position: trivialising the importance of status.

A schematic representation of these narratives is given in Fig. 1.

 

설명 1: 교사의 I 위치와 다른 I-포지션 사이의 연합
Narrative 1: coalition between the I-position of teacher and other I-positions

첫 번째 정체성 서술은 교사의 I 위치와 의사나 연구원의 I 위치 사이의 연합(헤르만과 헤르만 코놉카 2010)을 포함했다. 8명의 교사가 이 서사를 사용했는데, 이 서사는 가르치는 것이 의사나 연구자로서 자신의 야망을 성취하는 데 도움이 된다는 주장이다.
The first identity narrative encompassed a coalition (Hermans and Hermans-Konopka 2010) between the I-position of teacher and that of doctor or researcher. Eight teachers used this narrative, in which it is argued that teaching helps one to achieve one’s ambitions as a doctor or researcher.

일부 교사들은 가르치는 것과 환자 돌봄의 유사성을 강조했다. 그들은 가르치는 기술을 발전시킴으로써 더 나은 의사가 될 것이라고 주장했습니다. 다시 말해, 의사 I이 중심이 되는 의료 세계에 대한 교육의 가치를 강조함으로써 강의에 대한 결정은 정당화되었다.
Some teachers emphasised the similarities between teaching and patient care. They argued that through developing teaching skills, they will become better doctors. In other words, the decision to teach was justified by emphasising its value to the figured world of health care in which the doctor I-position is central:

저는 가르침이 궁극적으로 제가 더 나은 의사가 되는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왜냐하면 그것은 제가 사람들이 이해할 수 있는 아주 기본적인 용어로 설명하는 방법을 배울 수 있도록 도와주기 때문입니다. 환자들과 소통하는 데 유용한 기술이죠
I think that teaching will ultimately help me to become a better doctor, because it helps me learn how to explain things in very basic terms that people can understand. And that’s a useful skill for interacting with patients. (Margot, 24, PhD student, MD degree)




다른 교사들은 교육에 참여하는 것이 학계에서 경력을 쌓는 좋은 방법이라고 강조하거나, 그렇지 않으면 가르치는 것이 임상 실습에 그들의 연구 주제를 도입하는 방법이라고 주장했다. 따라서 가르치는 것은 연구에 대한 그들의 헌신과 관련이 있었다. 예를 들어, 자신이 의사가 아닌 기초과학부 교사 중 한 명은 학부 프로그램에서 의사와 환자의 상호작용을 가르침으로써 의학계에 기여하는 것을 자랑스러워한다고 주장했다.
Other teachers emphasised that being engaged in education is a good way to build a career in academia or else they argued that teaching is a way to introduce their research topic to clinical practice. Teaching was thus related to their commitment to research. For example, one of the teachers from a basic sciences department, not being a doctor herself, argued that she is proud of making a contribution to the medical world by teaching about doctor–patient interaction on the undergraduate programme:

저는 제 연구 분야와 임상 실습의 연관성이 매우 자랑스럽습니다. 그 지식을 전문적인 훈련에 사용할 수 있어서 좋습니다. 비록 그것이 꽤 이론적이긴 하지만요. 나는 종종 의사들이 그들이 의학 교육을 받는 동안 그런 종류의 교육을 받은 적이 없으며, 현재 세대 학생들에게 그것을 제공하는 것을 중요하게 생각한다고 말한다.
I’m very proud of the connection between my own field of research and clinical practice. It’s nice to be able to use that knowledge in professional training, even though it’s quite theoretical. Quite often, I hear doctors say that they never received that kind of teaching during their own medical training, and that they consider it important that we’re offering it to the current generation of students. (Frances, 32, post doc, social sciences degree)

 

이 첫 번째 서술에서 교사의 I 위치는 의사나 연구자의 I 위치를 기반으로 하며, 후자를 강화하는 궁극적인 목표를 제공한다. 따라서 교수직은 연구나 의료의 세계 안에서 주어집니다.
In this first narrative, the I-position of teacher is built on the I-position of doctor or researcher, and it serves the ultimate goal of strengthening the latter. Teaching is hence given a place within the figured world of research or health care.

 

설명 2: 교사의 I 위치가 통합되지 않음: 다른 I-포지션을 고수함
Narrative 2: no integration of the I-position of teacher: holding on to other I-positions


교사 중 6명은 의사나 연구원으로서 1차 I직을 고수하고 교사 I직을 채택하지 않았다. 그들 중 일부는 [가르치는 것을 일시적인 일]로 보는 박사과정 학생들이다. 따라서, 그들에게 연구원의 I 위치는 일차적인 위치를 유지한다. 하지만 다른 이들은 의학 학위를 가진 전임 교사들인데, 그들은 더 이상 의사로서 진료를 하지 않아도 의사로서의 I 자리를 고수한다. 이 교사들은 주로 자신을 의사라고 생각한다.

Six of the teachers held on to their primary I-position as doctor or researcher and did not adopt the I-position of teacher. Some of them are PhD students who see teaching as a temporary task. Thus, for them, the I-position of researcher remains primary. Others, however, are full-time teachers with a degree in medicine, who still, even though they work full-time as a teacher and do not practice as a doctor any longer, hold on to their I-position as a doctor. These teachers primarily consider themselves to be doctors:

저는 의사이자 선생님이라고 소개하겠습니다. 저는 의사로서의 제 역할을 꼭 지키고 싶기 때문에 그렇게 말하는 것을 좋아합니다. 저는 종종 '저는 전문의지만, 현재 병원에서 주니어 인턴을 가르치는 일을 하고 있습니다.'라고 말합니다. 그리고 제가 학생들에게 환자를 진찰하는 방법을 가르치기 위해 머리맡에 서 있을 때마다 저는 제가 의사라는 것을 느낍니다. 그럴 때 난 선생님이 아닌 것 같아.
I introduce myself as a doctor/teacher. I like to put it that way because I really want to hold on to my role as a doctor. I often say ‘I’m a [specialist], but I’m currently tasked with teaching junior interns in the hospital.’ And whenever I’m standing at a bedside [as a teacher on the first year of the master’s programme] to teach students how to examine patients, I do feel that I’m a doctor. At such moments, I don’t really feel like a teacher. (Suzanne, 46, full-time teacher, MD degree)

이 서술에서 교사의 I 위치는 교사의 정체성에 통합되지 않는다. 대신, 그것은 생략되었다.
In this narrative, the I-position of teacher is not integrated into the teachers’ identity. Instead, it is omitted.

 

설명 3: 교사의 I 위치 구성과 반대되는 다른 I-포지션의 구성
Narrative 3: construction of the I-position of teacher and other I-positions as opposites

교사 중 4명은 의료나 연구라는 가상의 세계와 거리를 두고 의사나 연구자의 I입장을 거부하는 서사를 사용했다. 예를 들어 기초과학부 교사들은 학계의 치열한 경쟁과 그들이 직면한 높은 요구에 대해 비판적인 발언을 했다. 마찬가지로, 의학박사 학위를 가진 교사들은 병원의 위계적 문화와 긴 근무시간을 비판했다.
Four of the teachers used a narrative in which they distanced themselves from the figured world of health care or research and rejected the I-position of doctor or researcher. The teachers from the basic sciences departments, for example, made critical remarks about the competitiveness of academia and the high demands that they face. Likewise, the teachers with an MD degree criticised the hierarchical culture in the hospital and the long working hours:

(병원에서) 그들은 당신의 요청에 동의하지 않을 뿐이고, 궁극적으로 당신의 상사에게 듣고 싶어합니다. 가끔 위계질서 문제가 나를 괴롭힌다. […] 병원에 비하면 가르치는 것은 정말 따뜻한 목욕이라고 생각합니다. (롯데, 25세, 전임 교사, 의학명언)
[At the hospital] They simply disagree with your request, and ultimately, they want to hear it from your supervisor…. The hierarchy problem gets to me sometimes. […] Compared to the hospital, I think teaching really is a warm bath. (Lotte, 25, full-time teacher, MD degree)



이 서술에서 서로 다른 I-포지션들 사이의 경계가 명확해졌는데, 이는 한편으로는 교사의 I-포지션과 다른 한편으로는 의사나 연구원의 L-포지션이 암묵적으로 또는 명시적으로 반대되는 것으로 구성되었기 때문이다.

In this narrative, the boundaries between the different I-positions were sharpened, since the I-position of teacher on the one hand and the l-position of doctor or researcher on the other were either implicitly or explicitly constructed as opposites.

설명 4: 교사의 I 위치와 조정자의 세 번째 위치 사이의 연합
Narrative 4: coalition between the I-position of teacher and a third position of coordinator

세 명의 교사가 사용한 네 번째 서술에서는 조정과 교육발달 책임이 강조되었다. 이 서사를 사용한 교사들은 의사나 연구자의 I입장을 반드시 거부하지 않고 교사의 I입장을 채택했다. 그들의 조정 책임을 강조함으로써, 그들은 대신 제3의 조정자의 위치를 채택했고, 이것은 교사의 I 위치에 지위를 부여한다. 그들은 이러한 책임들이 가치 있는 것으로 여겨지는 교육의 세계에 그들 자신을 위치시켰다. 조정 책임이 있는 교사들은 이러한 과제를 자신의 경력에서 한 단계 발전하는 것이며 다른 사람들에게 인정받는 한 방법으로 보았다.

In the fourth narrative, which was used by three teachers, coordination and educational development responsibilities were emphasised. The teachers who used this narrative adopted the I-position of teacher without necessarily rejecting the I-position of doctor or researcher. By stressing their co-ordinating responsibilities, they instead adopted a third position of co-ordinator, which then gives status to the I-position of teacher. They positioned themselves in the figured world of teaching, in which these responsibilities seem to be considered valuable. Teachers with coordinating responsibilities saw these tasks as a step forward in their career and as a way to be recognised by others:

제가 코스를 발전시키는 데 더 많은 책임을 지게 되면, 사람들은 저를 도움을 요청할 수 있는 사람으로 더 많이 보게 될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벌써부터 학기 조정 담당자들이 나를 알아보는 것 같아.
I think that once I get more responsibility to develop the course, people will see me more as the one to turn to for assistance. I’m already noticing that the people in charge of semester co-ordination are now starting to recognise me. (Margriet, 35, full-time teacher, MD degree)


이 서사를 사용한 한 선생님은 의학 석사 학위를 가진 전임 교사 루시이다. 루시는 교육계에서 경력을 쌓기를 열망하지만, 이 선택이 다른 사람들에 의해 무시당한다고 느낀다. 불편한 침묵을 막기 위해, 그녀는 이제 (농담 반, 진지하게) 의과대학의 교육장이 되고 싶다고 말한다. 루시는 4번째 이야기를 미래의 시각으로 활용함으로써, 아직 그러한 과제를 떠맡지 않은 채, "교습은 실패한 의사들을 위한 것"이라는 부정적인 집단 이야기를 상쇄할 수 있는 창의적인 방법을 찾아냈다.

One teacher who used this narrative is Lucy, a full-time teacher with a master’s degree in medicine. Lucy aspires to a career in education, but feels that this choice is looked down on by others (“They treat you as though you have no ambition”). To prevent uncomfortable silences, she now (half jokingly, half seriously) says she wants to become the educational director of the medical school. By using narrative four as a future perspective, without actually having taken on those tasks yet, Lucy found a creative way to counterbalance the negative collective story that “teaching is for failed doctors”.

설명 5: 메타 포지셔닝: 상태의 중요성을 사소한 것으로 간주
Narrative 5: meta-position: trivialising the importance of status

마지막으로 교사들 중 4명은 신분적 역할을 질문하거나 사소하게 하는 정체성 서사를 채택했다. 이 다섯 번째 정체성 서술에서 교사들은 연구나 건강관리의 세계 내의 집단 이야기로부터 일정한 거리를 두고 메타 포지션을 채택한다. 이 메타 포지션을 채택함으로써 교사들은 '지위status'를 덜 중요하게 만들고, 따라서 교사의 I 포지션을 그들의 정체성에 더 쉽게 통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윌은 [의사가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사람들과 거리를 두기 때문에], 환자 진료와 연구의 높은 지위를 시야에 넣는다.

Finally, four of the teachers adopted the identity narrative of questioning or trivialising the role of status altogether. In this fifth identity narrative, the teachers adopt a meta-position (Hermans and Hermans-Konopka 2010) by taking a certain distance from the collective stories within the figured world of research or health care. By adopting this meta-position, the teachers render ‘status’ less important, thereby making it easier to integrate the I-position of teacher into their identity. Will, for example, distances herself from people who think doctors are important, thereby putting the higher status of patient care and research into perspective:

아뇨, 전 제가 무슨 일을 하는지 절대 말하지 않아요. 내가 의사라고 하면 사람들이 날 다르게 대한다는 걸 알아채고 난 그게 정말 싫어 아니면 깜짝 놀랐을 수도 있지 내가 그렇게 높은 교육을 받을 줄은 몰랐거든 사람들이 가끔 어떻게 표현해야 할지 좀 더 친절해지는 것 같아요. 그리고 난 그게 싫어. 나는 우리가 사람들을 있는 그대로 받아들여야 한다고 생각하고, 그들의 학력, 민족적 배경, 또는 그 밖의 다른 것들에 근거하여 그들을 판단하는 것을 피해야 한다고 믿는다. 나는 일이 인생에서 가장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사람이 아니다. (윌, 41세, 전임교사, 의사명언)
No-o, I never say what kind of work I do. I notice that if I say I’m a doctor, people treat me differently, and I really hate that. Or they are shocked, because they hadn’t expected that I’m that highly educated. I notice that people sometimes… well how to put this… get a bit more friendly. And I don’t like that. I believe we should accept people the way they are and avoid judging them based on their education, ethnic background or anything else. I am not the kind of person who thinks that work is the most important thing in life. (Will, 41, full-time teacher, MD degree)

논의
Discussion

본 연구는 흔히 자신을 교사가 아닌 의사나 연구자로 보는 학부 의대 초급 교사들이 교사 역할을 정체성에 어떻게 통합하는지 탐구하는 데 목적이 있었다. 분석 결과, 의료와 연구의 세계에서 교사들이 접하는 교육 사업의 가치에 대한 부정적인 메시지에 의해 [교사 역할이 정체성의 원활한 통합]이 저해된다는 것이 밝혀졌다. 교사들 중 절반은 이런 부정적인 집단이야기로 인해 강한 긴장을 경험하지만, 나머지 절반은 이를 저항하거나 변형시키거나 각색하는 행위자성agency을 보여준다. 이러한 이야기들을 다루기 위해, 선생님들은 다섯 가지 정체성 서사를 사용했습니다.

  • 내러티브 중 세 가지는 헤르만스와 헤르만스-코놉카(2010)가 설명한 정체성 내러티브에 관한 것이었다.
  • 우리는 또한 두 가지 추가적인 정체성 서술도 발견했습니다: 하나는 서로 다른 I-포지션이 반대되는 것으로 구성되었고, 다른 하나는 교사의 I-포지션이 교사의 정체성에 전혀 통합되지 않은 것입니다.

This study aimed to explore how beginning teachers in undergraduate medical education, who often see themselves as doctors or researchers rather than as teachers, integrate the teacher role into their identity. The analysis revealed that the smooth integration of the teacher role into identity is hampered by the negative messages concerning the value of their educational undertakings that teachers encounter in the figured worlds of health care and research. Half of the teachers experience strong tensions due to these negative collective stories, but the other half show agency to resist, transform or adapt them. In order to deal with these stories, the teachers used five identity narratives.

  • Three of the narratives concerned the identity narratives as described by Hermans and Hermans-Konopka (2010): coalitions, third positions, and meta-positions.
  • We also found two additional identity narratives: one in which the different I-positions were constructed as opposites and one in which the I-position of teacher was not at all integrated into the teachers’ identity.

최근 수십 년 동안 많은 의과대학은 임상 전 학부 프로그램을 수직 통합, 문제 기반 또는 학생 중심 커리큘럼으로 전환했다(Bandiera et al. 2013; Elliott 1999). 이로 인해 소그룹 학습을 원활하게 할 수 있는 교사가 더 필요하다. 그 결과, 강의의 상당 부분은 자기 업무의 일부분으로만 교육을 하는 젊은 연구자들이나, 임상 업무를 중단하고 현재 전임으로 가르치는 전직 의사들이 담당하고 있다(Mates et al. 2002). 이러한 변화는 teaching의 명망prestige에도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teaching은 더 이상 교수들에 의해 주로 수행되었던 경우와 같이 더 이상 높이 평가되는 학문적 활동으로 여겨지지 않는다. 대신, 우리의 연구에 참여한 선생님들은 의료와 연구의 세계에는 가르치는 것에 [다소 부정적인 의미를 갖는 집단적인 이야기]가 존재한다는 것을 경험한다. 이러한 집단적인 이야기들은 교사의 역할이 개인의 정체성에 원활하게 통합되는 것을 방해한다.
In recent decades, many medical schools have transformed their preclinical undergraduate programmes into vertically-integrated, problem-based or student-centred curricula (Bandiera et al. 2013; Elliott 1999). Due to this, more teachers are needed to facilitate small group learning. As a consequence, a significant proportion of teaching is undertaken by young researchers who teach as only a small part of their job, or by former doctors who have stopped doing clinical work and now teach full-time (Matthes et al. 2002). This transition seems to have had consequences for the prestige of teaching: it is no longer seen as a highly regarded academic activity, as was the case when teaching was mainly performed by professors (Van Rossum 2012). Instead, the teachers in our study experience that in the figured worlds of health care and research, collective stories exist that exhibit rather negative connotations to teaching. These collective stories hamper the smooth integration of the teacher role into one’s identity.


초보 의료교사의 절반이 부정적인 집단이야기로 인해 강한 [정체성 부조화]를 경험했다. 그들은 좌절, 죄책감, 낮은 자존감과 같은 불협화음과 부정적인 감정을 경험했다. 정체성 부조화는 교사들이 자신 있게 실천하는 것을 방해할 수 있기 때문에 문제가 있다(Monrouxe 2010). 반면에, 이 연구는 또한 몇몇 선생님들이 가르치는 것을 둘러싼 부정적인 연관성에 저항하고 대신 그들 자신의 정체성 이야기를 만들어냈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이 교사들은 [회복탄력성resilience]을 보여주었습니다; 그들은 기존의 이야기들에 저항하거나 변형하거나 각색했습니다. 이는 [행위자성agency]의 개념, 즉 자신의 정체성을 형성하고, 문화적 관행을 변형적으로 재구성할 수 있는 개인의 역량과 일치한다(Billett 2006; Etelépelto et al. 2013).

Half of the novice medical teachers experienced strong identity dissonance due to the negative collective stories. They experienced disharmonious and negative emotions like frustration, guilt and a low sense of self-worth. The identity dissonance is problematic, since it might hinder the teachers to practise with confidence (Monrouxe 2010). On the other hand, the study also showed that several teachers managed to resist the negative associations surrounding teaching and instead created their own identity story. These teachers showed resilience; they resisted, transformed or adapted the existing stories. This resonates with the notion of agency, the capacity of individuals to shape their identity and remake cultural practices in transformative ways (Billett 2006; Eteläpelto et al. 2013).

교사들은 교육, 연구, 진료라는 세 가지 세계와 관계를 맺고 있다. 놀랍게도, 교육이라는 형상화된 세계figured world는 다른 두 곳보다 훨씬 덜 두드러졌다. 그것은 분명히 학부 초급 교사들을 위한 적절한 자료들을 많이 제공하지 않는 것처럼 보였다. 다른 연구에서 설명한 대학원 교사와 비교하여, 본 연구의 학부 교사들은 확인할 수 있는 긍정적인 이야기가 적은 것 같았다(Kumar et al. 2011; Steinert and Macdonald 2015). '직업에 무엇인가를 돌려준다'거나 '다음 세대에 기여한다'거나 '학생들이 배우고 성장하는 것을 보는 것이 기쁨이다'(스타이너트·맥도널드 2015) 같은 이야기가 초보 학부 교사들에게는 적용되지 않는 것도 한 가지 이유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우리 샘플의 젊은 참가자들에게는, 많은 이들이 석사과정과 대학원 과정 사이에 있었고, 따라서 그들 자신이 차세대이기 때문에, 이러한 이야기들을 사용하기에는 너무 이르다고 생각할 수 있다. 그들은 아마도 가르치는 것을 순수한 즐거움으로 보기엔 너무 초보라고 느꼈을 것이다.
The teachers positioned themselves in relation to three figured worlds: that of teaching, research and health care. Remarkably, the figured world of teaching was far less prominent than the other two. It apparently did not seem to offer many appropriate resources to identify with for beginning undergraduate teachers. Compared to postgraduate teachers described in other studies, the undergraduate teachers in our study seemed to have fewer positive stories available to identify with (Kumar et al. 2011; Steinert and Macdonald 2015). One reason for this could be that stories like ‘giving something back to the profession’, ‘contributing to the next generation’ or ‘it’s a joy to see students learn and grow’ (Steinert and Macdonald 2015) do not apply to novice undergraduate teachers. For the younger participants in our sample, for example, it might be too early to use these stories, since many were in between their master’s and postgraduate training, thus being the next generation themselves. They perhaps felt too much of a beginner to see teaching as an undiluted pleasure.

우리의 연구에 따르면, 교육의 피규어 세계는 연구 및 의료의 피규어 세계보다 덜 두드러지고 덜 발전된 피규어 세계인 것 같습니다. 이는 [교육에 대한 보상이 대체로 무형적이고 상징적이며, 의료 교육에서 진로 경로가 불분명]하기 때문에, 교수 세계가 가시성이 결여된 불분명한 관행으로 설명되고 있는 최근의 연구와 일치한다(Hu et al. 2015; Sabel and Archer 2014). 게다가, 교육의 피규어 세계는 잘 정의된 활동 범위가 부족하다. 예를 들어, "medical education"이라는 단어는 다른 방식으로 해석된다. 일부는 교육 활동을 추구하는 동의어로 보는 반면, 다른 이들은 교육 연구를 추구하는 동의어로 본다(Hu et al. 2015; Sabel and Archer 2014). 이러한 모호하고 눈에 잘 띄지 않는 교수 세계의 특성은 의료 교사들이 교수 역할과 동일시하는 데 방해가 될 수 있다. 
Based on our study, it seems that the figured world of teaching is a less pronounced and less developed figured world than the figured worlds of research and health care. This is in line with recent studies, in which the figured world of teaching has been described as an indistinct practice which lacks visibility, since rewards for teaching are largely intangible and symbolic and career pathways in medical education are unclear (Hu et al. 2015; Sabel and Archer 2014). Moreover, the figured world of teaching lacks a well-defined scope of activities. The word “medical education” for example, is interpreted in different ways: some see it as synonym for pursuing teaching activities, whereas others see it as synonym for pursuing educational research (Hu et al. 2015; Sabel and Archer 2014). This ambiguous and not very visible character of the figured world of teaching might hinder medical teachers in identifying with the teaching role.

이 연구에서, 우리는 교사 역할을 한 사람의 정체성에 통합하기 위해 사용되는 다섯 가지 다른 정체성 서술들을 발견했다. Hermans와 Hermans-Konopka (2010)에 따르면, 위치 간의 [연대/연합coalition]를 만드는 첫 번째 정체성 서술은 장기적으로 영구적인 동기를 창출하는 데 있어 가장 가능성이 있다. 그러한 연정에서는 연구자나 의사의 역할뿐만 아니라 교사의 역할에 대한 관심도 고려된다. 따라서 이 두 위치 사이에 혼합된 연합을 만드는 것은 교사들이 두 개의 가상 세계에 모두 기대게 하고 전략적이고 유연하게 I-포지션을 사용할 수 있게 한다.
In this study, we found five different identity narratives being used to integrate the teacher role into one’s identity. According to Hermans and Hermans-Konopka (2010), the first identity narrative of creating coalitions between positions has the most potential in the long run, in creating enduring motivation. In such a coalition, the interest of the role of teacher is taken into account, as well as the interest of the role of researcher or doctor. Creating a hybrid coalition between these two positions therefore allows the teachers to fall back on both figured worlds and to use both I-positions strategically and flexibly.


우리의 연구는 [정체성 형성]이란 포지셔닝과 협상의 [역동적이고 대화적이며 감정적인 과정]이라는 것을 보여주었다.

  • 교사들이 마주한 집단 이야기를 단순히 반복하거나 채택하는 것이 아니라 이에 대해 적극적인 입장을 취하거나 스스로 창의적으로 답변을 전개한다는 점에서 역동적이라는 것을 알게 됐다.
  • 교사가 교사, 연구원 및 의사의 I-position를 대화식(조화적이지 않고) 방식으로 채택했기 때문에 대화식임을 발견했다.
  • 마침내, 우리는 교사들의 절반이 경험했던 강한 긴장감 때문에 감정적이라는 것을 알게 되었다. 비록 이것은 교사들의 절반에게만 해당되는 것처럼 보였지만.

Our study displayed that identity formation is a dynamic, dialogical, and emotional process of positioning and negotiation.

  • We found it to be dynamic, since the teachers did not simply repeat or adopt the collective stories they were faced with, but also took an active stance against them or creatively developed their own answers.
  • We found it to be dialogical, as teachers adopted the I-positions of teacher, researcher and doctor in a dialogical (and not harmonious) way.
  • Finally, we found it to be emotional, due to the strong tensions that half of the teachers experienced—though this appeared to be the case for only half of the teachers.

 

장점 및 한계
Strengths and limitations

이 연구의 한 가지 장점은 교육 인력의 정체성 형성과 관련하여 문제 기반 또는 학생 중심 커리큘럼의 결과를 다루는 것이 우리가 아는 한 최초라는 것이다. 이번 연구는 교수진을 위한 '숨겨진 커리큘럼'을 탐구하는 최초의 연구 중 하나이기도 하다: 교사들이 학문적 의학에서 교사가 되는 것이 무엇을 의미하는지 이해하게 되는 미묘하고 때로는 간접적인 방법. 이러한 숨겨진 커리큘럼은 잘 문서화되거나 잘 이해되지 않는다(Hafler 등 2011). 이 연구의 이론적 기여는 피규어 세계 이론과 대화적 자기 이론의 결합이 문화와 개인이 어떻게 상호 연관되어 있는지를 가시적으로 보여줄 수 있다는 것이다. 부정적인 집단이야기의 존재나 긍정적인 집단이야기의 부족이 어떻게 개인적 차원에서 경험하는 긴장감으로 이어질 수 있는지를 보여준다. 게다가, 이 연구는 비록 교사 개개인이 [이러한 이야기들을 재구성하거나 저항하고 그것들에 대한 그들만의 답을 제시]하지만, [때로는 부정적인 집단 이야기에 의해 방해]받는 정체성 형성의 역동적인 성격을 보여준다.

One strength of this study is that it is, to the best of our knowledge, the first to address the consequences of problem-based or student-centred curricula in relation to the identity formation of the teaching workforce. It is also one of the first studies that explores the ‘hidden curriculum’ for faculty: the subtle and sometimes indirect ways in which teachers come to understand what it means to be a teacher in academic medicine. This hidden curriculum is neither well-documented nor well-understood (Hafler et al. 2011). A theoretical contribution of this study is that it shows that the combination of figured worlds theory and dialogical self theory can make visible how the cultural and the personal are interrelated. It shows how the presence of negative collective stories or the lack of positive collective stories can lead to tensions experienced at the personal level. Furthermore, the study shows the dynamic nature of identity formation, which is sometimes hindered by negative collective stories, although at the same time individual teachers have agency to reshape or resist these stories and offer their own answer to them.

여기서 주목해야 할 점은 본 연구에서는 대학 교수 자격 과정에 자발적으로 참여하거나 교사 커뮤니티에서 교수 경험을 논의하는 초급 의료 교사가 포함되었다는 것이다. 이 그룹들은 교사의 I 위치를 적극적으로 탐색하고 있을 가능성이 높았습니다. 우리는 이 특정 교사 그룹이 어떤 정체성 내러티브를 사용했는지에 대한 질문에 관심이 있었기 때문에 이 그룹을 의도적으로 선택했습니다. 그러나 주목할 것은 우리가 초급 의료 교사들의 전체 그룹에 걸쳐 일반화하는 것을 목표로 하지 않았다는 것이다. 교사로서의 경력을 열망하지 않는 교사들은 우리의 표본의 참가자들이 했던 것 보다 다른 정체성 서사를 사용할 가능성이 높다. 경험 많고 확립된 의학 교사들이 어떤 정체성 서술이 사용되는지 알아내기 위해서는 더 많은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It is important to note here that in this study beginning medical teachers were included who voluntarily participated in a university teaching qualification course or in a teacher community of tutors discussing teaching experiences. These groups were likely to be actively exploring the I-position of teacher. We purposefully selected this group, since we were interested in the question what identity narratives this particular group of teachers used. It is important to note though, that we did not aim to generalise across the complete group of beginning medical teachers. It is likely that teachers who do not aspire to a career in teaching, use other identity narratives than the participants in our sample did. Further research would be needed to find this out, as well as what identity narratives are used by experienced, well-established medical teachers.

우리는 또한 여기서 우리의 연구가 주로 [연구를 기반으로 커리어가 발전하고, 교육 혁신에 대한 교육학적 장점이나 기여도에 따라 승진할 가능성이 여전히 제한적인 네덜란드의 맥락]에 강하게 묶여 있음을 인정하고 싶다(Ten Cate 2007). 아마도 네덜란드는 다른 나라보다 학부 교수 인력이 임상적으로 활동하지 않는 교사들로 비교적 많이 구성되어 있을 것이다. 특히 네덜란드에서는 젊은 MD들이 레지던트 이전에 가르치거나 연구를 하는 것이 상당히 일반적이다(Capaciteitsorgaan 2015). 이 젊은 의사 그룹은 환자 치료에서 경력을 시작하기 전에 교사의 정체성을 잠정적으로 탐구하는 것일 수도 있다.

We also would like to acknowledge here that our study is strongly bound to the Dutch context, where careers are mainly advanced based on research, and where the possibilities for promotion based on pedagogical merits or contributions to educational innovation are still limited (Ten Cate 2007). Maybe in the Netherlands, more than in other countries, the undergraduate teaching workforce consists of a relatively large amount of teachers who are not clinically active. Specifically, it is quite common in the Netherlands for young MDs to teach and/or do research before residency (Capaciteitsorgaan 2015). This particular group of young MDs might only be tentatively exploring a teacher identity, before they start their career in patient care.

게다가, 이 연구가 수행된 의과대학은 여전히 전통적인 교육과정으로부터 학생 중심의 교육과정으로의 전환기에 있었다. 비록 새로운 교육과정은 본 연구가 일어나기 7년 전에 도입되었지만, 교직에 대한 인식은 (아직) 크게 바뀌지 않았다.

Additionally, the medical school where this study was performed was still in the transition phase from a traditional to a student-centred curriculum. Although the new curriculum was introduced 7 years before the study took place, the recognition of teaching had not (yet) changed significantly, neither formally in terms of promotion and tenure, nor informally in terms of status.


게다가, 우리는 이번 결과가 우리 표본에 여성의 과잉 표현이 있었다는 사실에 영향을 받았을 수도 있다는 것을 지적하고 싶다. 이전의 연구는 남녀 주니어 의사들의 학부 교수에 대한 태도가 비슷하지만, 여성들은 남성들보다 자신감이 떨어진다는 것을 보여주었다(Prichard et al. 2011). 비록 우리는 여성과 남성이 교사의 역할을 그들의 정체성에 다르게 통합하는지 알 수 없지만, 이것은 발견을 색칠했을지도 모른다. 따라서 남자 교사들 사이의 추가적인 연구는 가치가 있을 것이다.

Furthermore, we like to point out that the findings might have been influenced by the fact that there was an overrepresentation of women in our sample. Earlier research has shown that while male and female junior doctors have similar attitudes toward undergraduate teaching, women feel less confident than men (Prichard et al. 2011). This might have coloured the findings, although we do not know whether women and men integrate the teacher role into their identity differently. Further research among male teachers would hence be valuable.

마지막으로, 우리는 연구원들이 연구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몇 가지 성찰적인 의견을 내고자 합니다. 연구자의 배경은 연구자가 연구한 관계와 가장 적절하다고 판단되는 결과 모두에 영향을 미친다(Berger 2015). 이 연구의 면접관은 교육학자이기 때문에, 그녀는 교수계를 대표했습니다. 이는 참가자들이 스스로 발표하는 방식에 영향을 미쳤을 수 있다. 다만 참가자들과의 공감대를 형성하고 주제에 신선한 각도에서 접근하는 데 도움이 됐기 때문에 면접관의 학력도 강점으로 볼 수 있다고 본다. (학술 의학의 문화에 익숙하지 않은) 의학 교육의 구체적인 맥락을 확실히 이해하기 위해 의학교육 전문가 2명을 연구팀에 포함시켰다.

Finally, we would like to make some reflective comments here on the impact of the researchers on the study. A researcher’s background affects both the researcher-researched relationship and the findings that are considered most appropriate (Berger 2015). As the interviewer in this study is an educationalist, she represented the figured world of teaching. This might have impacted the way the participants presented themselves. However, we believe that the educational background of the interviewer could also be seen as a strength, since it helped in achieving rapport with the participants and in approaching the topic from a fresh angle. In order to ensure we would comprehend the specific context of medical education (not being familiar with the culture of academic medicine), we included two medical education experts in the research team.

실무 및 향후 연구에 미치는 영향
Implications for practice and future research

의과대학이 초보 의학 교사들을 지원하기 위해 무엇을 할 수 있을까? 우리는 교원 역할이 교사의 정체성에 원활하게 통합되는 것은 교직 세계를 적극적으로 발전시켜 나갈 수 있다고 주장한다. 이것은 네 가지 방법으로 도달할 수 있습니다.
What can medical schools do to support novice medical teachers? We argue that the smooth integration of the teacher role into teachers’ identity can be enhanced by actively developing a figured world of teaching. This can be reached in four ways.

첫째, 교육의 피규어 세계는, 교사들을 정체화하기 위한 자원들이기 때문에, 교육에 대한 긍정적인 이야기들을 적극적으로 소개하거나 강화함으로써 발전할 수 있다. 의과대학이 자신의 이야기를 다른 사람에게 들려주고 긍정적인 롤모델로부터 이야기를 들을 수 있는 초임교사 기회를 만드는 것이 중요하다. 여기에는 교수진 육성이 한몫할 수 있다. 핀란드 교사 교육 분야에서는 개인의 새로운 정체성 포지션을 채택하는 데 도움이 되는 정체성 코칭 프로그램을 통해 긍정적인 경험이 보고되고 있다. 이러한 긍정적인 경험들은 의학 교육에 가치가 있을 수 있습니다.
First, a figured world of teaching can be developed by actively introducing or reinforcing positive stories about teaching, since these are the resources for beginning teachers to identify with. It is important for medical schools to create opportunities for beginning teachers where they can tell their stories to others and hear stories from positive role models. Faculty development could play a role in this. From the field of Finnish teacher education, positive experiences are reported with identity coaching programmes that help individuals to adopt new identity positions (Kalliola and Mahlakaarto 2011). These positive experiences might be valuable for medical education.

전통, 행사, 활동을 창조함으로써 교육의 세계를 발전시킬 수도 있다(Holand et al. 1998) Teaching의 형상화된 세계가 더욱 가시화되기 위해서는 교사가 중심적인 역할을 하고, 그 역할의 의의를 기리는 활동과 행사들이 소개되는 것이 중요한 것 같다. 예를 들어, [교원 자격 증명서를 수여하는 의식]은 교원 상과 특색이 수여되는 축제 의식뿐만 아니라 그러한 역할을 할 수 있다. 그러한 사건은 초보 교사들에게 그들이 식별할 역할 모델을 찾을 수 있는 플랫폼을 제공할 수 있다.

A figured world of teaching can also be developed by creating traditions, events and activities (Holland et al. 1998). In order for the figured world of teaching to become more visible, it seems important that activities and events are introduced, in which teachers have a central role, and in which the significance of their role is celebrated. Ceremonies in which teaching qualification diplomas are granted could for example play such role, as well as festive ceremonies in which teaching awards and distinctions are conferred. Such events could provide beginning teachers a platform where they can find role models to identify with.

교육의 세계를 발전시키는 또 다른 방법은 공동체를 만드는 것이다. 공동체에서 교사들은 다른 사람들과의 유대감과 그들의 역량에 대한 인식감을 발견하며, 이것이 그들을 높이 평가하게 만든다(Van Lankveld 등 앞으로 다가올 일; Wenger 1998). 커뮤니티는 또한 이야기를 나눌 수 있는 플랫폼을 제공합니다. 직원 개발 활동은 의료 교사를 시작하는 데 그러한 공동체를 제공할 수 있지만, 이것이 반드시 영구적인 공동체로 이어질 필요는 없다. 우리는 의료 교사 협회와 같이 교사들 간의 지속적인 접촉을 촉진할 것을 제안한다(Cook et al. 2003; Dewey et al. 2005).

An additional way to develop a figured world of teaching is to build community. In a community, teachers find a sense of connectedness with others and a sense of recognition for their competences, which makes them feel appreciated (Van Lankveld et al. forthcoming; Wenger 1998). A community also provides a platform for sharing stories. Staff development activities can provide such community for beginning medical teachers, though this might not necessarily lead to an enduring community. We suggest to facilitate enduring contacts between teachers, like in associations for medical teachers (Cooke et al. 2003; Dewey et al. 2005),


끝으로, 진정한 의미의 교수세계를 구축하기 위해서는 교사들이 소중함을 느끼는 보상제도와 승진구조를 만드는 것이 중요하다. 가르치는 것을 보상하라고 거듭 권고했지만(Christakis 1995) 여전히 긍정적인 경험은 드물다.

Finally, in order to truly build a figured world of teaching, it is important to create reward systems and promotion structures in which teachers feel valued. Despite the repeated recommendation to reward teaching (Christakis 1995), positive experiences are still scarce.

향후 연구를 위해, 교사들의 정체성 형성에 도움이 되는 계획들이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는 것은 흥미로울 것이다. 최근 종신 재직권 및 승진을 위한 교수 포트폴리오를 도입하고, 펠로우십을 실시하며, 교육 혁신 및 교육 연구를 위한 보조금을 지급하는 등 이러한 방향으로 이니셔티브가 진행되고 있다. 이러한 이니셔티브들이 교육에 대한 집단적 이야기를 변화시켜 더 좋고 적합한 정체성 내러티브를 이용할 수 있게 만드는지 조사하는 것은 흥미로울 것이다.

For future research, it would be interesting to explore whether initiatives which help to build a figured world of teaching have a positive effect on the identity formation of teachers. Initiatives have recently been taken in this direction, like the introduction of a teaching portfolio for tenure and promotion, teaching fellowships (Engbers et al. 2015; Lown et al. 2009; Steinert et al. 2010), grants for educational innovation, and educational research (Adler et al. 2015). It would be interesting to investigate whether these initiatives change the collective stories about teaching and thus make better and more suitable identity narratives available.

향후 연구를 위한 추가적인 제안은 학과가 위치한 관행을 탐구하는 것인데, 학과 수준에서 집합적 이야기가 유지되거나 변경되기 때문이다. 민족지리학적 연구는 특히 이러한 종류의 연구에 적합한 것으로 보이는데, 이는 부서 문화의 위치 관행을 조사할 수 있기 때문이다(Hammersley and Atkinson 2007).

A further suggestion for future research would be to explore the situated practices of the department, in which the collective stories about teaching are maintained or changed, since it is at the departmental level where the collective stories are re-told and redefined. Ethnographic studies seem especially suited to this kind of research, since they allow the investigation of the situated practices of departmental culture (Hammersley and Atkinson 2007).

 

Sabel, E., & Archer, J. (2014). ‘‘Medical education is the ugly duckling of the medical world’’ and other challenges to medical educators’ identity construction: A qualitative study. Academic Medicine, 89, 1474–1480. doi:10.1097/acm.0000000000000420.

 


Adv Health Sci Educ Theory Pract. 2017 Aug;22(3):601-622.

 

 doi: 10.1007/s10459-016-9694-5. Epub 2016 Jun 18.

 

Integrating the teaching role into one's identity: a qualitative study of beginning undergraduate medical teachers

Affiliations collapse

Affiliations

1Academic Centre for Human Behaviour and Movement, Faculty of Behavioural and Movement Sciences, LEARN!, VU University Amsterdam, De Boelelaan 1105, 1081 HV, Amsterdam, The Netherlands. t.van.lankveld@vu.nl.

2VUmc School of Medical Sciences Amsterdam, LEARN!, VU University Medical Center, Amsterdam, The Netherlands. t.van.lankveld@vu.nl.

3Academic Centre for Human Behaviour and Movement, Faculty of Behavioural and Movement Sciences, LEARN!, VU University Amsterdam, De Boelelaan 1105, 1081 HV, Amsterdam, The Netherlands.

4Department of Education, University of Vienna, Vienna, Austria.

5VUmc School of Medical Sciences Amsterdam, LEARN!, VU University Medical Center, Amsterdam, The Netherlands.

6Research Institute of Child Development and Education, University of Amsterdam, Amsterdam, The Netherlands.

PMID: 27318712

PMCID: PMC5498609

DOI: 10.1007/s10459-016-9694-5

Free PMC article

 

Abstract

Beginning medical teachers often see themselves as doctors or researchers rather than as teachers. Using both figured worlds theory and dialogical self theory, this study explores how beginning teachers in the field of undergraduate medical education integrate the teacher role into their identity. A qualitative study was performed, involving 18 beginning medical teachers at a Dutch medical school. The teachers were interviewed twice and kept a logbook over a period of 7 months. The study shows that the integration of the teacher role into the teachers' identity was hampered by the idea that teaching is perceived by others as a low status occupation. Some teachers experienced significant tension because of this, while others showed resilience in resisting the negative associations that were thought to exist regarding teaching. The teachers used five different identity narratives in order to integrate the teacher role into their identity, in which the positions of teacher and doctor or researcher were found to be combined, adopted or rejected in diverse ways. The five identity narratives were: (1) coalition between the I-position of teacher and other I-positions; (2) no integration of the I-position of teacher: holding on to other I-positions; (3) construction of the I-position of teacher and other I-positions as opposites; (4) coalition between the I-position of teacher and a third position of coordinator; and (5) meta-position: trivialising the importance of status. These identity narratives offer starting points for supporting undergraduate teachers during their early professional years.

Keywords: Dialogical self; Figured world; Identity; Medical teacher; Narrative.

 

의학교육에서 교육과정 개혁을 서포트하기 위한 접근가능하고 적응적인 교수개발 (Acad Med, 2021)
Accessible and Adaptable Faculty Development to Support Curriculum Reform in Medical Education
Sandrijn M. van Schaik, MD, PhD

 

교수진 개발은 교육과정 개혁의 필수적이지만 종종 과소평가되는 측면이다. 현재의 의학교육 개혁 노력은 21세기의 의사들이 환자 치료를 제공하고 건강을 증진시킬 필요가 있는 의사들은 환자 치료를 제공하고 건강을 증진시킬 필요가 있다. 이러한 개념과 기술은 현재의 의사-교육자들이 의과대학에서 공식적으로 배우지 않은 많은 분야(interprofessional teamwork; informatics; health care systems improvement; and diversity, equity, and inclusion)를 포함한다. 결과적으로, 교수들은 의도된 교육과정 개혁을 시행할 준비가 되어있지 않을 수 있다. 동시에, 학술 센터의 교수진에 대한 요구는 지난 수십 년 동안 극적으로 증가하여 바쁜 학술 의사의 요구를 적응적으로 충족시키고 그들의 학습을 일상 업무에 통합할 수 있는 교수진 개발에 대한 새로운 접근 방식이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 저는 다양한 교수진의 요구에 접근하고 적응할 수 있는 전략을 사용하여 커리큘럼 개혁을 지원하기 위한 교수 개발 지침 세트를 제시합니다. 저는 이러한 원칙들을 이론적 틀에서 기초하고 문헌의 개념을 시험했으며, 전공 교육 개혁 중 큰 학술 기관의 경험으로부터 예를 들었습니다.

Faculty development is an essential but often underappreciated aspect of curricular reform. 1–3 Current curricular reform efforts in medical education focus on the broad concepts and skills physicians of the 21st century need to provide patient care and advance health. 4–6 These concepts and skills include many areas that current physician–educators were not formally taught in medical school; examples include interprofessional teamwork; informatics; health care systems improvement; and diversity, equity, and inclusion. 4 As a result, faculty may not be prepared to enact the intended curricular reform. 1,7,8 At the same time, the demands on faculty at academic centers have increased dramatically over the past decades, 9,10 necessitating new approaches to faculty development that can adaptively meet the needs of busy academic physicians and integrate their learning into their daily work. In this paper, I offer a set of guiding principles for faculty development to support curricular reform, using strategies that are accessible and adaptable to meet the needs of diverse faculty. I ground these principles in theoretical frameworks and tested concepts from the literature and provide examples from the experience of a large academic institution during major curricular reform.

배경
Background

의학 교육의 교수진 개발은 전통적으로 소규모 그룹 교육, 커리큘럼 개발, 효과적인 피드백과 같은 교육 기술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이러한 교수진 개발은 일반적으로 대부분 자칭 교육자들이 참여하는 공식적인 프로그램을 통해 이루어집니다. 성공적인 커리큘럼 개혁을 보장하기 위해 교수 개발은 커리큘럼에 채택된 새로운 교육 전략과 더불어 새로운 커리큘럼 내용을 다루어야 한다. 그리고 모든 상황에서 모든 수준의 학습자와 상호 작용하는 모든 교수진을 대상으로 해야 합니다. 교육 대상 교수진에는 교육자로 자처하지 않아 직장에서 학습자를 감독하거나 기초과학 내용을 가르치거나 둘 다 가르치더라도 교육적 기술 개발에 참여할 가능성이 낮은 사람이 포함되어야 한다. 이렇게 범위를 확장하려면 광범위한 교수진이 접근하고 적응할 수 있도록 교수 개발 기회가 확대되어야 합니다. 
Faculty development in medical education traditionally focuses on educator skills such as small-group teaching, curriculum development, and effective feedback. This faculty development is typically delivered through formal programs, which are mostly attended by self-identified educators. 11,12 To ensure successful curricular reform, faculty development should address new curricular content in addition to novel educational strategies employed in the curriculum. And it should target all faculty who interact with learners at all levels in all contexts. The targeted faculty should include those who do not self-identify as educators and are therefore less likely to engage in educational skill development, even though they supervise learners in the workplace, teach basic science content, or both. This larger scope requires expanded opportunities for faculty development that are accessible and adaptable to a wide range of faculty. 1,8,13,14


데이비스와 동료들은 [교수개발]과 [CME] 사이의 결합을 제안했고, 의료와 교육의 새로운 모델을 준비하기 위해 교수진들이 계속해서 전문적으로 발전하는 모델을 만들었다. 이 모델은 교육 기술 개발(전통적으로 교수진 개발의 목적)과 새로운 콘텐츠 지식(전통적으로 의료 교육을 지속하는 목적)의 습득을 결합한다. 이 둘을 결합하게 되면,

  • 주로 자신을 교육자로 보지 않는 임상 교수진을 참여시키고,
  • 학습자와 환자의 결과를 최적화할 수 있게 하며,
  • 학술 의학의 임상, 연구 및 교육 사명을 조정할 수 있게 한다.

Davis and colleagues proposed a union between faculty development and continuing medical education, creating a model of continuing professional development to prepare faculty for new models of health care and education. 1 This model combines educational skill development (traditionally the purpose of faculty development) with acquisition of new content knowledge (traditionally the purpose of continuing medical education). Joining the 2

  • engages clinical faculty who do not necessarily see themselves primarily as educators;
  • enables them to optimize outcomes for learners and patients; and
  • aligns the clinical, research, and education missions of academic medicine.

이러한 통합된 접근 방식은 매력적이지만, 특히 커리큘럼 개혁 중에 모든 교직원들을 위한 포괄적이고 지속적인 전문 개발 프로그램을 만드는 것은 어려워 보일 수 있다. 의료진은 상대 가치 단위, 시간 소모적인 전자 건강 기록 및 규정 준수로 인해 업무량이 증가함에 따라 시간에 대한 많은 상충하는 요구를 가지고 있다. 시간 집약적이고 심층적인 프로그램에 참여하기 위한 교수진의 가용성과 동기는 제한적일 수 있습니다. 게다가, 통합적 접근법은 의학 교육의 많은 커리큘럼 변화에 영향을 받는 기초 과학 교수진에는 적용되지 않는다. 

While this unified approach is attractive, creating comprehensive continuing professional development programs for all faculty can seem daunting, especially during curricular reform. Clinical faculty have many competing demands on their time, with the pressures of relative value units, time-consuming electronic health records, and compliance regulations contributing to an increasing workload. 15–17 Faculty availability and motivation to participate in time-intensive, in-depth programs may be limited. 2,13,18 In addition, the unified approach does not apply to basic science faculty affected by many of the curricular changes in medical education. 19,20

따라서 커리큘럼 개혁을 지원하기 위한 교수진 개발의 중요성은 분명히 밝혀졌지만, 지금까지의 문헌은 그러한 노력의 설계와 실행에 대한 제한된 지침을 제공한다.
Thus, while the importance of faculty development to support curricular reform has been clearly articulated, 1,8,13,14 the literature to date offers limited guidance for the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such efforts.

우리의 접근 방식
Our Approach


2016년, 캘리포니아 대학교 샌프란시스코 의과대학은 새로운 지식과 기술 영역뿐만 아니라 새로운 교육적 접근법을 통합한 브리지스 커리큘럼으로 알려진 커리큘럼을 출시했다. 교육과정과 관련 교수진 개발 활동을 전개하는 동안, 우리는 성공을 좌우하는 요소뿐만 아니라 도전에 직면했다. 이 경험은 교육과정 개혁을 지원하기 위한 교수진 육성을 위한 지침의 창조에 도움이 되었다. 저는 이러한 원칙들을 구현에 중점을 두고 Kern의 교육과정 개발 단계에 따라 정리합니다(표 1). 각각의 원리에 대해, 나는 UCSF의 경험 사례와 관련 문헌을 제공합니다.

In 2016,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San Francisco (UCSF), School of Medicine rolled out a curriculum known as the Bridges Curriculum, which incorporates new educational approaches as well as new knowledge and skill domains. During the rollout of the curriculum and associated faculty development activities, we encountered challenges as well as factors that determined success. This experience informed the creation of guiding principles for faculty development to support curricular reform. I organize these principles according to Kern’s steps of curricular development, 21 with an emphasis on implementation (Table 1). For each principle, I provide examples from UCSF’s experience and references to relevant literature.

 

원칙 1 : 교수육성활동 설계 및 시행을 알리는 청사진 작성
Principle 1: Create a blueprint to inform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faculty development activities

필요한 활동을 완벽하게 이해하기 위해 교수진 육성이 필요한 새 교육과정의 핵심 요소를 담은 청사진을 만들었습니다(그림 1). 이 청사진을 통해 우리는 각 커리큘럼 요소에 대한 이해 관계자와 대상 청중을 식별할 수 있었습니다. 우리는 관계자들의 의견을 토대로 청사진을 다듬었고, 니즈 평가, 출판된 베스트 프랙티스를 위한 문헌 검토 등을 진행했습니다. 또한 청사진에서는 프로젝트 관리: 작업 및 팀 할당, 설계 및 구현의 진행 상황 추적, 평가, 피드백 및 그에 따른 수정 사항 문서화 등을 안내했습니다.

To gain full understanding of the activities needed, we created a blueprint with key elements of the new curriculum requiring faculty development (Figure 1). This blueprint enabled us to identify stakeholders and the target audience for each curricular element. We refined the blueprint based on stakeholders’ input, targeted needs assessments, and review of the literature for published best practices. The blueprint also guided project management: assigning tasks and teams; tracking the progress of design and implementation; and documenting evaluation, feedback, and resulting modifications.

 

원칙 2: 기존 리소스, 네트워크 및 커뮤니티를 기반으로 구축
Principle 2: Build on existing resources, networks, and communities

오설리반과 어비가 제안한 [커뮤니티 기반 교수진 육성 모델]은 교수진 육성 업무를 de novo의 노력으로 취급해서는 안 된다는 인식을 심어줬다. 이 모델은 초점을 개별 교수진에서 교수진 개발이 일어나는 맥락으로 이동시킨다. 이 모델과 우리의 청사진에 따라, 우리는 우리의 작업을 기존의 자원, 네트워크, 커뮤니티와 연결했습니다. 예를 들어, 우리 기관은 UCSF 교육자 센터를 통해 교육 기술 워크샵을 개발하고 제공할 수 있는 기존 구조를 가지고 있었습니다. 우리는 기존의 워크샵을 활용하거나 조정하고 등록, 인증 및 평가를 위해 확립된 프로세스를 활용하여 직접 교수진 개발 활동의 많은 부분을 위해 이 리소스를 활용했습니다. 150명 이상의 회원이 있는 UCSF의 의학 교육 아카데미(Academy of Medical Educators)는 교수진 개발을 보급하는 데 유용한 네트워크를 제공했다. 아카데미 회원들은 모두 임상, 연구 또는 교육 작업과 관련된 다양한 커뮤니티의 일부이며, 교수진 개발과 전반적인 교육 개혁 노력에 있어 강력한 챔피언이었다.
The community-based faculty development model proposed by O’Sullivan and Irby 22 helped us recognize that we should not treat our faculty development work as a de novo effort. This model shifts the focus from individual faculty to the contexts within which faculty development takes place. Guided by this model and our blueprint, we connected our work to existing resources, networks, and communities. For example, our institution had a pre-existing structure to develop and deliver educational skills workshops through the UCSF Center for Faculty Educators. We tapped into this resource for much of our in-person faculty development activities, utilizing or adapting existing workshops and capitalizing on established processes for registration, certification, and evaluation. UCSF’s Academy of Medical Educators, with more than 150 members across the institution, provided a useful network to disseminate faculty development. Academy members are all part of various communities related to their clinical, research, or education work and were powerful champions for faculty development and overall curricular reform efforts.

우리는 또한 교육 영역 외부와 기관 외부의 자원을 활용했다. 예를 들어, 우리는 의료 시스템 리더 및 AAMC(American Medical Colleges) Te4Q(Te4Q) 프로그램과 파트너십을 맺고 품질 개선과 환자 안전 교육을 위한 교수진 개발을 창출했다.  
We also capitalized on resources outside of the education realm and outside of our institution; for example, we partnered with health systems leaders and the Association of American Medical Colleges (AAMC) Teaching for Quality (Te4Q) program to create faculty development for teaching of quality improvement and patient safety. 23

마지막으로, 우리는 사회 학습social learning의 힘을 교수진 개발의 일부로 인식하고 공동체 구축과 피어 투 피어 학습을 위한 기회를 통합했습니다. 임상능력개발을 지도하는 56명의 교수진으로 구성된 의대생 코칭 프로그램이 대표적이다. 교수진 육성 프로그램의 일환으로 코치들과 코치들 간의 정보교류를 위한 온라인 포럼을 만들었고, 소규모 그룹들이 서로의 경험을 배울 수 있는 기회도 마련했습니다. 다른 곳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이러한 노력은 코치들 사이에 실무 커뮤니티를 형성하여 코치 역할에 대한 전문지식을 발전시키고 가속화했습니다. 

Lastly, we recognized the power of social learning as part of faculty development and incorporated opportunities for community building and peer-to-peer learning. 9,11,24 One example is our medical student coaching program, which consists of 56 faculty who coach students in clinical skills development. As part of their faculty development program, we created an online forum for information exchange among coaches and coach days, with opportunities for small group work to learn from each other’s experiences. As described elsewhere, this effort resulted in the formation of communities of practice among coaches, which augmented and accelerated the development of expertise in their coaching role. 25

원칙 3: 다양한 교수 그룹에 대한 다양한 요구 사항 및 역량 수준 목표
Principle 3: Target different needs and competency levels for different groups of faculty

우리의 청사진은 새로운 커리큘럼에서 효과적인 교사와 감독이 되기 위해서는 서로 다른 교수진과 다른 기술들이 필요하다는 것을 깨닫는 데 도움이 되었습니다. 학습자와 교류하는 모든 교직원이 전반적인 교육목표에 대한 이해가 필요한 반면, 엄선된 교직원 그룹만이 깊이 있는 전문지식과 다양한 콘텐츠 영역 및 교육요소에 대한 이해를 필요로 했다. 이러한 접근 방식은 학습자를 접하는 모든 교수진이 핵심 교수 기술을 개발해야 하며, 교육에 더 큰 책임을 지는 교수진은 고급 교육을 추구해야 한다는 권고로 반향을 불러일으킨다. 따라서 AAMC Te4Q 프로그램을 본떠 다양한 역할을 가진 교수진에게 다양한 역량 수준이 요구되었습니다.

  • 숙련가 (실습 및 모델 기술),
  • 전문가 (기술 교육 및 평가 가능),
  • 마스터 (다른 교수진 개발, 혁신 및 장학금 추구 가능) 

Our blueprint helped us realize that different faculty need different knowledge and skills to be effective teachers and supervisors in the new curriculum. While all faculty who interact with learners needed to have an understanding of the overall curricular goals, only select groups of faculty required in-depth expertise and understanding of different content areas and curricular elements. This approach resonates with recommendations that all faculty who encounter learners should develop core teaching skills, while faculty with greater responsibilities in education should pursue advanced training. 18 Thus, we required different competency levels for faculty with different roles, modeled after the AAMC Te4Q program 23,26:

  • proficient (can practice and model skills),
  • expert (can teach and assess skills), and
  • master (can develop other faculty, innovate, and pursue scholarship).

이러한 지정은 교수 개발 활동의 설계에 영향을 미쳤다(그림 1). 예를 들어, 우리는 모든 교수진 간의 기본적인 이해를 높이기 위해 새로운 커리큘럼 콘텐츠 도메인을 설명하는 짧은 온라인 모듈을 만들었다. 우리는 또한 이 내용을 가르치거나 그들의 일상적인 (교육) 실습에 적용할 수 있는 교수진이 필요했기 때문에, 하위 교직원을 위한 기술 개발을 목표로 더욱 강도 높은 교수 개발 활동을 설계했습니다. 이러한 계층적 접근 방식을 통해 더 많은 수의 교수진이 교수진 개발에 접근할 수 있었고, 교수진 개발 활동을 특정 그룹의 요구에 맞게 보다 정확하게 조정할 수 있었다.

These designations informed the design of faculty development activities (Figure 1). For example, we created short online modules describing the new curricular content domains to generate basic understanding among all faculty. Because we also needed faculty who could teach this content or apply it to their daily (educational) practice, we designed more intensive faculty development activities aimed at skill building for subgroups of faculty. This tiered approach made faculty development accessible to larger numbers of faculty and allowed for more precise alignment of faculty development activities with the needs of specific groups.

원칙 4: 직장 내 공동 창조를 장려
Principle 4: Encourage cocreation in the workplace

Hafferty가 주장했듯이, 커리큘럼 개혁은 단지 커리큘럼을 수정하는 것만이 아니라 학습 환경을 개혁하는 것이다. 이 점을 인지하지 못하면 임상 환경에서 학생들의 경험이 교양에서 배운 내용을 반영하지 못할 때처럼 정규 교육과정의 의도에 반하는 숨겨진 커리큘럼이 나타날 수 있다. 우리가 커리큘럼에 새로운 역량을 포함시킬 때, 학습 환경은 이와 같은 역량을 지원해야 한다. 예를 들어, 팀워크를 둘러싼 역량은 임상 작업장이 팀워크를 수용하는 경우에만 "붙을" 것이다. 공동생성 또는 공동창조란 서로 다른 이해관계자들이 새로운 전략, 워크플로우 또는 프로세스의 생성, 구현, 지속적인 개선을 위해 협력하는 설계 프로세스를 말한다. 임상학습 환경의 학습자, 교수진, 기타 이해당사자들이 함께 새로운 역량을 지원하는 활동을 공동창조할 때, 이 경험에서 모두가 배울 수 있고 동시에 학습환경을 변화시킬 수 있다.
As Hafferty has argued, curricular reform is not just about modifying curricula but also about reforming the learning environment. Failing to recognize this point may result in a hidden curriculum that counteracts the intentions of the formal curriculum, as occurs when students’ experiences in the clinical environment do not reflect what they are taught in didactics. 27 When we embed new competencies in the curriculum, the learning environment has to support these same competencies. 7 For example, competencies around teamwork will only “stick” if the clinical workplace embraces teamwork. Cocreation or coproduction refers to a design process in which different stakeholders collaborate in the creation; implementation; and continuous improvement of new strategies, workflows, or processes. 28,29 When learners, faculty, and other stakeholders in clinical learning environments work together to cocreate activities that support new competencies, all can learn from this experience and simultaneously transform the learning environment.

예를 들어, 우리의 새로운 커리큘럼에는 [시스템 개선] 및 [전문직 간 협업]과 관련된 역량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또한 커리큘럼은 임상 마이크로시스템 임상실습을 통해 초기 임상 환경에서 의대생들을 통합하며, 이 기간 동안 학생들은 코치의 지도 하에 시스템 프로젝트를 수행한다. 학생들은 시스템 개선에 대해 배우고 전문가들 사이의 팀원과 협력하여 프로젝트를 만듭니다. 많은 마이크로시스템에서 [전문직 간 협업]이 (이전에는 최소한으로 존재하거나 아예 존재하지 않았던 곳에서도) 이루어지며, 따라서 직장에서의 경험과 정규 커리큘럼을 일치시킨다. 이러한 전문가 간 협업을 통해 코치는 학생 및 다른 전문가와 함께 또는 함께 학습할 수 있으며, 이는 본질적으로 비공식적인 교수진 개발을 구성한다. 추가적인 이점으로서, 학생 프로젝트는 마이크로 시스템의 의미 있는 개선으로 이어졌습니다. 30 이러한 방식으로 공동창조를 적용하는 것은 [일하는 것과 배우는 것이 구별된다]는 개념에 도전하여, 배움이 직장 내부와 직장 모두에서 일어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므로 조직역량이 강화된다.  
As an example, our new curriculum includes competencies related to systems improvement and interprofessional collaboration. The curriculum also integrates medical students early in clinical settings through a clinical microsystems clerkship, during which students work on a systems project under the guidance of their coach. Students learn about systems improvement and create projects in collaboration with members of the interprofessional team. In many microsystems, interprofessional collaborations now occur where they had previously been minimally present or absent altogether, thereby aligning experiences in the workplace with the formal curriculum. Such interprofessional collaborations have also allowed coaches to learn together with and from the students, and from other professionals, in what essentially constitutes informal faculty development. As an additional benefit, student projects have led to meaningful systems improvements in the microsystems. 30 Applying cocreation in this manner challenges the notion that working and learning are distinct and demonstrates that learning can take place both in and for the workplace, thereby strengthening organizational capacity. 31,32

5원칙: 콘텐츠 전문가와 교수진 개발자 간의 협업 촉진
Principle 5: Promote collaboration between content experts and faculty developers

교수기술 향상을 위한 교수개발은 일반적으로 교수진 개발에 대한 전문지식을 가진 숙련된 의학교육자의 영역이다.  그러나 의학교육자들은 새로운 커리큘럼 주제 영역에 대한 콘텐츠 전문지식이 부족할 수 있다. 반대로, 콘텐츠 전문가들은 교수진 개발에 경험이 없을 수 있다. 1 교육 개혁이 새로운 교육 전략과 새로운 콘텐츠를 모두 포함한다면 영역 다툼으로 이어질 수 있다. 게다가, 교수들은 종종 커리큘럼 개혁에 저항하여 교수 발전을 더욱 복잡하게 만든다. 우리 기관에서는 경험이 풍부한 교수개발자들이 교수진 육성의 설계와 시행을 위해 콘텐츠 전문가를 돕는 전략을 채택했습니다. 이러한 노력의 책임자로서, 저는 우리의 청사진에 있는 각 교수진 개발 요소별로 이해관계자(새로운 교육과정을 전달하는 교수진)와 콘텐츠 전문가들로 구성된 소규모 팀을 구성했습니다. 이러한 팀은 목표된 니즈 평가를 돕고, 콘텐츠와 디자인에 대한 입력input을 제공하며, 교수 개발 활동의 구현에 기여했습니다. 새로운 교육과정의 어떤 부분도 설계하거나 전달하는 데 관여하지 않았기 때문에, 저는 교수진 개발 경험을 혁신적인 전략을 소개하고, 전통을 깨고, 증거 기반의 접근을 촉진하는 데 사용할 수 있었습니다. 동시에 이해당사자와 콘텐츠 전문가의 포함으로 바이인(buy-in)이 발생하고 콘텐츠의 검증이 보장되었다. 또한 이해관계자 포함은 다양한 커리큘럼 요소에서 진행 중인 교수진 개발을 책임지는 미래의 교수진 개발자를 개발하기 위한 메커니즘을 만들었다. 전통적인 규범과 절차를 깨는 데 도움이 되는 외부 관점을 가져오는 이러한 접근 방식은 변화에 대한 저항이 있을 때 신속하게 혁신을 달성하기 위해 비즈니스 조직에서 사용되는 [스컹크워크 프로그램]의 기본입니다. 

Faculty development in teaching skills is typically the domain of skilled medical educators with expertise in faculty development. 22,31,33,34 However, these educators may lack content expertise in new curriculum topic areas. Conversely, content experts may not be experienced in faculty development. 1 This can lead to turf wars if curricular reform encompasses both new educational strategies and new content. Moreover, faculty frequently resist curricular reform, further complicating faculty development. 3,19 At our institution, we employed a strategy in which experienced faculty developers helped content experts with the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faculty development. As the person in charge of this effort, I assembled small teams of stakeholders (the faculty delivering the new curriculum) and content experts for each element of faculty development on our blueprint. These teams helped with targeted needs assessments, provided input on content and design, and contributed to the implementation of faculty development activities. Because I was not involved with designing or delivering any part of the new curriculum, I was able to use my experience in faculty development to introduce innovative strategies, break with tradition, and promote an evidence-based approach. At the same time, the inclusion of stakeholders and content experts created buy-in and ensured the validation of content. In addition, stakeholder inclusion created a mechanism for developing future faculty developers, responsible for ongoing faculty development in the different curricular elements. This approach, bringing in external perspectives to help break traditional norms and procedures, is the basis of skunkworks programs used in business organizations to rapidly achieve innovation when there is resistance to change. 35,36

원칙 6: 전문성 개발을 위한 교수진의 본질적인 동기를 활용합니다.
Principle 6: Tap into faculty’s intrinsic motivation for professional development

준수해야 하는 규정이 늘어나면서 전문 실습의 일환으로 다양한 교육 모듈을 이수해야 한다는 교수에 대한 요구가 높아지고 있다. 따라서 우리는 교육 개혁에서 의무적인 교수개발을 지양했습니다. 대신 자율성, 역량, 관계성 등 자기결정론의 원칙에 따라 필요한 지식과 기술을 습득하기 위한 교수진의 내재적 동기를 활용할 수 있는 다양한 방법을 사용했다. 우리는 교수들이 편리한 시간과 속도로 완료할 수 있는 활동을 포함하여 교수 개발 제공에 유연한 옵션을 만들어 자율성의 원칙을 수용했습니다. 교수진의 일상 업무와의 관련성을 부각시켜 행동과 성과에 있어 동기가 효과를 느끼고자 하는 욕망에서 나온다는 역량의 원리를 채용했다. 예를 들어, 많은 교수진이 임상 작업의 일부로 품질 향상에 참여할 것으로 기대되며, 이는 교수진의 교육 품질 개선이 임상 및 교육 실습 모두에 있어 중요한 역할을 하게 한다.
With increasing compliance regulations, the demand on faculty to complete various training modules as part of professional practice is increasing. We therefore avoided mandatory faculty development in our curricular reform. Instead, we employed various ways to tap into faculty’s intrinsic motivation to acquire the necessary knowledge and skills, following principles of self-determination theory: autonomy, competence, and relatedness. 37 We embraced the principle of autonomy by creating flexible options in our faculty development offerings, including activities that faculty could complete at a time and pace convenient for them. We employed the principle of competence, which states that motivation comes from a desire to feel effective in action and performance by highlighting the relevance to faculty’s daily work. For example, many faculty are expected to engage in quality improvement as part of their clinical work, making faculty development in teaching quality improvement important for both clinical and educational practice.

마지막으로, 하지만 아마도 가장 중요한 것은 자기결정론의 연관성에 대한 개념에 주목했다는 것입니다. 이 개념은 [상호 연결성interconnectedness]과 [참여의식engagement]이 있다면 내재적 동기가 증가한다고 말한다. 우리는 몇몇 교수진 그룹이 새로운 커리큘럼의 챔피언이 되어 교수진 개발자가 되도록 장려하여 다른 교수진과의 관계를 활용하여 참여를 강화했습니다. 예를 들어, 우리는 객관식에서 개방형 응답형 문제로 시험 재설계 시 챔피언이 될 기초 과학 교수진을 초청하여 동료들에게 튜터가 될 수 있는 추가 전문 지식을 빠르게 개발할 수 있는 심층적인 교수진 개발을 제공했습니다. 교수 개발 활동을 직장으로 끌고오고, 기존 활동을 특정 환경에서 교수진의 특정 요구에 맞추게 되면, 자기 결정 이론의 세 가지 요소가 모두 더 중요시될 수 있다. 이러한 맞춤형 접근 방식은, 교수진이 [과거 활동에 대한 피드백을 제공]하고, [미래 활동에 대한 투입input]을 제공할 수 있는 지속적인 요구 평가와 같이 이뤄지면, 교수 개발이 교수 및 조직의 요구와 우선순위에 대응하도록 보장한다. 내재적 동기부여는 물론, 기회가 있을 때마다 지속적인 의학교육과 인증학점 유지로 참여를 유도하고 보상을 주어 외적 동기부여 메커니즘을 만들었습니다.
Lastly, but perhaps most important, we paid attention to the self-determination theory concept of relatedness. This concept states that intrinsic motivation is augmented if there is a sense of interconnectedness and engagement. We encouraged several groups of faculty to be champions of the new curriculum and become faculty developers, thereby leveraging their relationships with other faculty to enhance engagement. For example, we invited basic science faculty to become champions in the redesign of exams from multiple-choice to open-response questions, offering them in-depth faculty development to quickly develop the additional expertise to become tutors to their peers. 38 All 3 elements of self-determination theory are honored further by bringing faculty development activities to the workplace, tailoring existing activities to the specific needs of faculty in specific settings. This tailored approach, together with ongoing needs assessments that allow faculty to provide feedback on past activities and input on future activities, ensures that faculty development is responsive to the needs and priorities of faculty and the organizations in which they work. 9 In addition to tapping into intrinsic motivation, we created mechanisms for extrinsic motivation by incentivizing and rewarding participation with continuing medical education and Maintenance of Certification credits whenever we could.

원칙 7: 커리큘럼 리더 및 교수진 개발자 개발
Principle 7: Develop curriculum leaders and faculty developers

[교육과정 개혁]은 일시적이고 시간제한적인 노력의 형태를 띠는 경향이 있다. 그러나 [교수 개발]은 커리큘럼 개혁을 지원하고, 기술 유지를 보장하며, 새로운 교수진을 수용하기 위하여 지속되어야 한다. 의학 교육의 변화는 또한 새로운 교육 리더십 역할로 이어지며, 교수진 개발은 이러한 새로운 역할에 대한 교육자들을 준비시킬 필요가 있다. 나아가 의료환경의 급격한 변화에 발맞추려면, 의학교육은 일회성 개혁이 아닌 지속적인 과정 개선으로 교육과정 변화에 접근할 필요가 있다는 인식이 확산되고 있다. 따라서 커리큘럼 변화를 지원하는 교수진 개발에는 [지도자]와 [교수진 개발자]의 개발이 포함되어야 한다

Curricular reform tends to take the form of episodic, time-limited efforts. Yet faculty development to support curricular reform needs to be sustained, to ensure the maintenance of skills and to accommodate new faculty. Changes in medical education also lead to new educational leadership roles, and faculty development needs to prepare educators for these new roles. 39 Moreover, it is increasingly recognized that medical education needs to approach curricular change as continuous process improvement rather than episodic reform to keep up with rapid changes in the health care environment. 32,40 Thus, faculty development to support curricular change should include the development of leaders and faculty developers.

우리의 많은 노력에서, 우리는 train-the-trainer 접근 방식을 통합했다. 예를 들어, Te4Q에 대한 초기 워크샵에 참여했던 여러 교수진이 나중에 워크샵에 교수 개발자로 참여하여 다른 교수진에게 이러한 기술을 가르쳤습니다. 마찬가지로, 의대생 코칭 프로그램이 2년 동안 시행되고 모든 코치가 코칭 기술을 개발하면, 우리는 추가적인 교수진 개발을 위한 설계와 구현을 담당하는 코치 태스크 포스를 만들었습니다. 새로운 교육과정이 출시되면서 교육 리더십 경험이 없는 많은 교수진에게 교육적 요소를 개발하고 이끌도록 했다. 리더십 스킬 개발의 필요성을 인식하여 기존 구조물을 기반으로 하는 두 번째 원칙에 따라 Teach for UCSF 교수진 개발 시리즈의 일환으로 리더십 자격증 프로그램을 만들었습니다. 41

In many of our efforts, we integrated train-the-trainer approaches. For example, several faculty members who participated in our initial workshop on Te4Q subsequently participated as faculty developers in workshops, teaching other faculty these skills. 23 Similarly, once our medical student coaching program had been in existence for 2 years and all coaches had developed coaching skills, we created a coach task force charged with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further faculty development. As the new curriculum rolled out, many faculty who had no experience in educational leadership were asked to develop and lead curricular elements. Recognizing the need for leadership skill development, we created a leadership certificate program as part of the Teach for UCSF faculty development series, in line with the second principle, building on existing structures. 41

 

원칙 8: 지속적인 개선을 위한 평가
Principle 8: Evaluate for continuous improvement

모든 교육 활동이 그렇듯이, 교수진 육성에 대한 평가는 필수적이며, 교수진과 그들이 가르치는 학습자 모두에게 미치는 영향을 포함해야 한다. 교육과정 개혁의 맥락에서 교수진이 새로운 교육과정을 의도한 대로 실제로 가르치고 있는지 확인하기 위해서는 조기 평가early evaluation가 특히 중요하다. 게다가, 교육과정 개혁은 종종 예상치 못한 도전에 부딪히고 반복적인 과정인 경향이 있다. 따라서, 교수개발 이후의 적응adaptation을 가이드하기 위한 지속적인 평가가 필요하다. 우리 기관에서는 교육과정 감독자, 평가단, 교직원 개발자의 긴밀한 협업이 교육과정은 물론 교직원 육성이 지속적으로 개선될 수 있는 메커니즘을 만든다. 예를 들어, 학생 코칭 프로그램의 경우 정기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코치들 간의 포커스 그룹을 구성하여 교수진 육성 활동이 그들의 요구에 부합하는지 평가하고 있습니다. 우리는 또한 코치가 학생들이 커리큘럼의 목표를 달성하도록 돕는 데 성공했는지 평가하기 위해 학생들로부터 데이터를 수집합니다. 이러한 접근 방식을 통해 코치의 기술 격차를 파악하고 교수진 개발에 필요한 조정을 할 수 있습니다.

As is true for all education activities, evaluation of faculty development is essential and should encompass the impact on both the faculty and the learners they teach. 31 In the context of curricular reform, early evaluation is especially important to ensure that faculty are indeed teaching the new curriculum as intended. Furthermore, curricular reform often meets with unanticipated challenges and tends to be an iterative process. 20 Therefore, ongoing evaluation to guide subsequent adaptations in faculty development is needed. At our institution, close collaboration between those with curriculum oversight, the assessment team, and faculty developers creates a mechanism for continuous improvement of not only the curriculum but also faculty development. For the student coaching program, for example, we conduct regular surveys and focus groups among coaches to assess whether faculty development activities meet their needs. We also collect data from students to assess whether the coaches are successful in helping students meet the objectives of the curriculum. This approach allows us to identify gaps in coaches’ skills and make the necessary adjustments in faculty development.

결론들
Conclusions

8가지 지침 원칙은 교수 개발에 관한 문헌과 연결되고 추가되며, 그 예들은 커리큘럼 개혁을 지지하는 교수진 개발을 위한 이러한 원칙의 가치를 보여준다. 현재 학부 및 대학원 의학 교육의 교육 개혁 물결을 고려할 때, 이러한 원칙은 다른 기관의 교수진 발전을 이끌 수 있다.
The 8 guiding principles both connect and add to the literature on faculty development, and the examples demonstrate the value of these principles for faculty development in support of curricular reform. Considering the current wave of curricular reform in both undergraduate and graduate medical education, these principles can guide faculty development at other institutions.

분명한 한계는 대형 학술기관 부설 의과대학 1곳의 교육과정 개편 과정에서 나온 사례라는 점이다. 다른 기관들은 그들의 교육과정 개혁에 다른 요소들을 가지고 있고 다른 자원들을 이용할 수 있을 것이다.
A clear limitation is that the examples come from the curriculum reform process at one medical school affiliated with a large academic institution. Other institutions will likely have different elements to their curricular reform and different resources available.

이러한 각 원칙의 주요 메시지는 다른 기관에도 적용될 수 있습니다. 특정 컨텍스트에 관계없이 Blueprint는 요구 사항을 매핑하고 기존 리소스, 네트워크 및 커뮤니티를 식별하는 데 유용합니다. 그러한 자원은 기관마다 다르겠지만, 그것들을 식별하는 것은 역량 강화에 도움이 되는데, 이것은 어떤 커리큘럼 개혁이 추가적인 일을 만들기 때문에 중요하다. 유연하고 적응할 수 있는 기회가 있는 다양한 레퍼토리는 교수진 개개인의 관련성을 최적화합니다. 직장 내 공동창조cocreation in the workplace 를 장려하는 것은 교수진 개발을 위한 비공식적인 기회를 창출함으로써 교수진 참여를 더욱 용이하게 하는데, 이는 특히 바쁜 환자 치료 환경에서 임상 교수진에게 매력적이다. 교직원 개발자와 콘텐츠 전문가 간의 협업이 바이인(buy-in)을 강화할 수 있으며, 교직원 고유의 고유한 동기를 활용하는 것은 참여를 높일 수 있습니다. 후자를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인 메커니즘은 제도마다 다르겠지만, 자기 결정 이론의 렌즈를 사용하면 성공할 가능성이 있는 접근법을 식별하는 데 도움이 된다. 마지막으로 미래의 교수진 개발자와 교육 리더를 교육하는 것은 지속적인 평가와 함께 미국 의과대학 의과대학에 대한 의학교육표준연락위원회가 요구하는 지속적인 커리큘럼 개선을 위한 지속 가능한 접근을 가능하게 한다. 42

The main message in each of these principles, however, can apply to other institutions. Regardless of the specific context, a blueprint is useful to map out the needs and identify existing resources, networks, and communities. Such resources will differ by institution, yet identifying them helps with capacity building, which is important because any curricular reform creates additional work. A varied repertoire with flexible and adaptable opportunities optimizes relevance for individual faculty members. Encouraging cocreation in the workplace further facilitates faculty participation by creating informal opportunities for faculty development, which is particularly attractive for clinical faculty in busy patient care environments. Collaboration between faculty developers and content experts can enhance buy-in, and tapping into faculty’s own intrinsic motivation increases engagement. The specific mechanisms to accomplish the latter will vary by institution, but using the lens of self-determination theory helps identify approaches likely to succeed. Lastly, training future faculty developers and educational leaders, together with ongoing evaluation, allows for a sustainable approach toward the continuous curriculum improvement required by the Liaison Committee on Medical Education standards for U.S. medical schools. 42

 

 

 


Acad Med. 2021 Apr 1;96(4):495-500.

 doi: 10.1097/ACM.0000000000003804.

Accessible and Adaptable Faculty Development to Support Curriculum Reform in Medical Education

Affiliations collapse

Affiliation

1S. M. van Schaik is professor of pediatrics and director of faculty development, University of California, San Francisco, School of Medicine Bridges Curriculum, San Francisco, California; ORCID: https://orcid.org/0000-0002-2297-3511.

PMID: 33060398

DOI: 10.1097/ACM.0000000000003804

Abstract

Contemporary curricular reform in medical education focuses on areas that current physician-educators were likely not exposed to during medical school, such as interprofessional teamwork; informatics; health care systems improvement; and diversity, equity, and inclusion. Thus, faculty may not be ready to support the planned curricular reform without adequate faculty development to acquire the necessary knowledge and skills. In an era with increasing demands on faculty, new approaches that are flexible and adaptable are needed.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San Francisco, School of Medicine implemented a new curriculum in 2016, which constituted a major curricular overhaul necessitating extensive faculty development. Based on this experience, the author proposes 8 guiding principles for faculty development around curricular reform: (1) create a blueprint to inform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faculty development activities; (2) build on existing resources, networks, and communities; (3) target different needs and competency levels for different groups of faculty; (4) encourage cocreation in the workplace; (5) promote collaboration between content experts and faculty developers; (6) tap into faculty's intrinsic motivation for professional development; (7) develop curriculum leaders and faculty developers; and (8) evaluate for continuous improvement. Each of these principles is illustrated with examples, and when available, supported by references to relevant literature. Considering the current wave of curricular reform, both at the undergraduate and graduate levels, these principles can be useful for other institutions.

피드백을 효과적으로 만드는 것은 무엇인가? 학생과 교수의 관점(Assessment & Evaluation in Higher Education, 2018)
What makes for effective feedback: staff and student perspectives

Phillip Dawsona , Michael Hendersonb , Paige Mahoneya, Michael Phillipsb ,
Tracii Ryanb , David Bouda and Elizabeth Molloyc

 

소개
Introduction

피드백은 학생 학습에 가장 강력한 영향 중 하나가 될 수 있다. 연구 문헌에는 효과적인 것으로 간주되는 피드백 접근법에 대한 수많은 연구가 포함되어 있으며, 이는 여러 검토 연구(Hattie and Timperley 2007; Shute 2008)에서 통합되었다. 피드백에 대한 증거 기반은 피드백이 수행되어야 하는 방법에 대한 이해에 영향을 미친 몇 가지 개념 모델을 개발하는 데에도 사용되었다(Carless et al. 2011; Boud and Molloy 2013). 따라서 피드백이 더 효과적으로 만들어질 수 있는 방법에 대한 실질적인 조언을 얻을 수 있다. 
Feedback can be one of the most powerful influences on student learning (Hattie and Timperley 2007). The research literature contains numerous studies on feedback approaches that are regarded as effective, and these have been synthesised in several review studies (Hattie and Timperley 2007; Shute 2008). The evidence base on feedback has also been used to develop several conceptual models that have been influential in our understandings of how feedback should be done (Carless et al. 2011; Boud and Molloy 2013). Substantial advice is thus available on how feedback might be made more effective.

문헌에 설명된 효과적인 피드백 가능성과는 달리, 학생들은 일반적으로 고등교육에서 피드백이 다른 측면과 비교하여 잘 수행되지 않는다고 조사에서 보고한다(Carroll 2014; 영국 고등교육 기금 지원 위원회; Bell and Brooks committee for England committee for higher Education funding 2014; Bell and brooks comks 곧 발표). 그러나 학생 만족도 조사(특히 영국 전국 학생 조사 및 호주 등가물)의 실질적인 문제는 피드백에 대한 구시대적인 이해에 기초한다는 것이다. 질문은 학생들이 교육자(윈스톤과 피트 2017)로부터 받은 코멘트의 양과 질에 대해 만족하는지 묻는 경향이 있다. 이는 지난 10년 동안 추가적인 학습으로 이어지는 과정으로서 피드백에 대한 이해를 지향하는 문헌의 강한 변화와는 대조적이다(Sadler 2010; Carless et al. 2011; Molloy 20).13).  
In contrast to the effective feedback possibilities expounded in the literature, students generally report in surveys that feedback is done poorly in higher education, compared with other aspects of their studies (Carroll 2014; Higher Education Funding Council for England 2014; Bell and Brooks forthcoming). However, a substantial problem with student satisfaction surveys (particularly the UK’s National Student Survey and its Australian equivalent) is that they are based on an outmoded understanding of feedback. Questions tend to ask if students are happy with the volume or quality of comments they receive from their educators (Winstone and Pitt 2017); this contrasts with a strong shift in the literature over the past decade towards understandings of feedback as a process that leads to further learning (Sadler 2010; Carless et al. 2011; Molloy and Boud 2013).

평가 및 피드백 분야에서 다양한 용어의 의미는 최근 수십 년 동안 변화했다(Cookson). 2010년대 초에는 피드백에 대한 이해가 [학생들에게 '주어지는' 것]에서 [학생들이 능동적인 역할을 수행하는 과정]으로 변화하였다. 슈트(2008)의 피드백 검토는 '학습자에게 전달된 정보'에 초점을 맞추고, 해티와 팀펄리(2007)는 '에이전트가 제공한 정보'에 초점을 맞춘 반면, 보다 최근의 이해는 피드백을 생물학 또는 공학에 대한 개념적 근간을 두고, [작업의 개선으로 이어지는 과정]으로 피드백을 재배치한다(Boud and Moloy 2013). 피드백이 이해되는 방법의 이러한 변화는 교육자부터 학생까지의 '희망적으로 유용한' 의견 제공보다 피드백의 특징에 더 많은 중점을 둔다. 현재 문헌에서 두드러지는 피드백의 개념화에서는 전체 피드백 프로세스를 고려한다. 즉, 교육자보다는 [학생에 의해 주도]되고 [다수의 참여자가 참여]하며, 그리고 필수적으로 [학생이 변화를 일으키기 위해 정보를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문헌은 피드백을 이해하는 방식으로 발전해 왔지만 피드백에 관련된 사람들이 피드백과 함께 참여했는지는 명확하지 않다.

The meanings of various terms in the field of assessment and feedback have changed over recent decades (Cookson forthcoming). The early 2010s marked a shift in how feedback was positioned within the literature, with understandings of feedback moving from something ‘given’ to students towards feedback as a process in which students have an active role to play. Where Shute’s (2008) review of feedback focused on ‘information communicated to the learner’, and Hattie and Timperley (2007) focused on ‘information provided by an agent’, more recent understandings reposition feedback within its conceptual roots in biology or engineering, as a process leading to improved work (Boud and Molloy 2013). This shift in how feedback is understood places emphasis on many more features of feedback than just the provision of ‘hopefully useful’ comments from educators to students. The conceptualisations of feedback currently prominent in the literature consider the entire feedback process, driven by the student rather than the educator, involving a multitude of players, and necessarily involving the student making use of information to effect change. The literature has thus moved forward in how it understands feedback – but it is not clear if those involved in feedback have been brought along with it.

2010년대 초 이러한 변화 이전에는 피드백에 대한 직원과 학생의 인식에 대한 다양한 연구가 있었다. 몇몇은 학생들이 생각하는 것에만 집중했습니다. 예를 들어, Poulos와 Mahony(2008)는 호주의 한 대학의 보건 학생들이 형식과 시기적절함뿐만 아니라 피드백 출처의 신뢰도에도 관심이 있다는 것을 발견했다. 직원과 학생의 관점을 모두 고려한 연구에서 피드백 실천에 대한 학생과 교육자의 인식 사이에는 일반적으로 불일치가 있었다. 예를 들어, 홍콩의 한 연구에서 교육자들은 피드백에 대한 비슷한 질문을 받았을 때 학생들보다 훨씬 더 긍정적인 그림을 보고하는 경향이 있었다(Carless 2006). 호주의 한 연구에서는 교육자들의 지지된 피드백 이론과 실습이 실제 피드백 행동과 유사한 불일치를 보였으며, 실제 실습은 종종 개인의 이상에 미치지 못한다는 것을 발견했다(Orrell 2006). 일반적으로 보면, 실제 실습, 교육자 관점 및 학생 관점 사이의 불일치가 있는 것으로 보인다(Li 및 De Luca 2014).

Prior to this shift in the early 2010s, there had been a range of studies about staff and student perceptions of feedback. Some focused only on what students thought. For example, Poulos and Mahony (2008) found that health students at an Australian university were interested not just in modality and timeliness, but also the credibility of the feedback source. In studies that considered both staff and student perspectives, there were generally discrepancies between student and educator perceptions of feedback practices. For example, in one Hong Kong study, educators tended to report a much more positive picture than students when both were asked similar questions about feedback (Carless 2006). An Australian study found a similar mismatch between educators’ espoused feedback theories and practices and their actual feedback behaviours, with actual practices often falling short of individuals’ ideals (Orrell 2006). The general message appears to be one of inconsistencies between understandings of actual practices, educator perspectives and student perspectives (Li and De Luca 2014).

그러나 2010년대 초반 연구자 및 전문가 피드백 이해도가 변화한 이후 직원과 학생들이 효과적인 피드백으로 경험하는 것에 대한 연구는 부족했다. 특히 다양한 제도적·징계적 맥락의 교직원과 학생이 모두 포함된 공부가 부족했다. 피드백에 대한 인식에 대한 일반적인 2010년 이후의 연구는 단일 기관의 단일 분야에 초점을 맞추고 있으며, 학생 연구 참여자는 200명 미만이고 직원 참여자는 없다(예: Dowden et al. 2013; Robinson, Pope and Holyoak 2013; Bayerlein 2014; Pitt and Norton 2017). 소수의 직원 또는 여러 분야(예: Orsmond and Merry 2011; Sanchez and Dunworth 2015; Mulliner and Tucker 2017)를 포함하는 소수의 연구가 있었지만, 이들은 여전히 특정 성별에 치우쳐 있고 제한된 분야 그룹에 집중된 공동 조직 연구였다. 피드백 연구를 일반화할 때 주의해야 할 필요성에 대한 새들러(2010)의 주의를 고려할 때, 학문, 제도, 연도 수준, 성별 및 기타 특성 측면에서 더 포괄적이고 포괄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However, since the shift in researcher and expert understandings of feedback in the early 2010s, there has been a dearth of studies on what staff and students experience as effective feedback. In particular, there has been a lack of studies that include both staff and students from a range of institutional and disciplinary contexts. The typical post-2010 study on perceptions of feedback focuses on a single discipline at a single institution, with a convenience sample of less than 200 student research participants and no staff participants (e.g. Dowden et al. 2013; Robinson, Pope, and Holyoak 2013; Bayerlein 2014; Pitt and Norton 2017). While there have been a handful of studies that also include a small number of staff or several disciplines (e.g. Orsmond and Merry 2011; Sanchez and Dunworth 2015; Mulliner and Tucker 2017), these have still largely been single-institution studies with cohorts skewed toward particular genders and concentrated in limited discipline groups. Given Sadler’s (2010) caution about the need to be careful when generalising in feedback research, there is a need for studies that are more inclusive and comprehensive in terms of disciplines, institutions, year levels, gender and other characteristics.

피드백에 대한 직원과 학생의 인식에 대한 광범위한 연구가 부족한 것은 문제가 되는데, [문헌에서 일어나는 피드백에 대한 이해의 변화]와 함께 [직원과 학생의 변화]가 어느 정도까지 오게 되었는지 알 수 없기 때문이다. 평가에서 교육자는 학생들이 무엇을 할 것으로 예상되는지를 설계하는 사람들이며, [무엇이 효과적인지에 대한 그들의 의견]은 [무엇이 일어나는지에 대한 연구 증거]보다 더 영향력이 있을 수 있다(Bearman et al. 2017). 마찬가지로, 프로세스 중심의 피드백 개념화에서 학생들은 주요 행위자(Boud and Molloy 2013)이며, 피드백이 무엇에 적합한지, 무엇을 효과적으로 만드는지에 대한 그들의 이해는 정교한 디자인을 구현하기 위해 필요하다.
The lack of broader studies on staff and student perceptions of feedback is problematic, because we do not know to what extent staff and students have been brought along with the changing understandings of feedback occurring in the literature. In assessment more broadly, educators are the people who design what students are expected to do, and their opinions about what is effective may be more influential than research evidence about what occurs (Bearman et al. 2017). Similarly, in a process-oriented conceptualisation of feedback, students are the main actors (Boud and Molloy 2013), and their understandings of what feedback is for and what makes it effective are necessary to implement sophisticated designs.

본 논문은 대규모 피드백 설문조사의 의도적인 샘플에 대한 정성적 분석을 통해 교육자와 학생들이 피드백이 무엇에 대한 것이라고 생각하고 효과적인 피드백을 위해 무엇을 만드는지에 대한 이해의 격차를 해소한다. 특히 다음과 같은 연구 질문을 다룬다.

This paper addresses a gap in our understanding around what educators and students think feedback is for, and what they think makes for effective feedback, through qualitative analysis of a purposive sample from a large-scale feedback survey. In particular, it addresses the following research questions:

RQ1: 직원과 학생들은 피드백의 목적이 무엇이라고 생각하나요?
RQ1: What do staff and students think is the purpose of feedback?

RQ2: 직원과 학생들은 무엇이 효과적인 피드백을 만든다고 생각하는가?
RQ2: What do staff and students think makes for effective feedback?

방법
Method

우리는 2016-2017년에 호주 2개 대학의 직원과 학생들을 대상으로 피드백에 대한 대규모 설문조사를 실시했습니다. Creative Commons ShareAlike 4.0 International License에 따라 무료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4514명의 학생과 406명의 직원으로부터 유효한 답변을 받았습니다. 설문조사는 주로 양적이었지만, 공개 응답 항목도 소수 포함되어 있었다. 본 논문은 평가 책임이 있는 직원(즉, 교육자)과 학생들이 피드백이 무엇에 대한 것이라고 생각하는지, 무엇을 효과적인 피드백으로 구성한다고 생각하는지, 경험했던 효과적인 피드백의 예를 제공하는 공개 응답 데이터의 하위 집합에 대한 정성적 분석에 대해 보고한다.
We administered a large-scale survey about feedback to staff and students at two Australian universities in 2016–2017. The survey instrument is available at www.feedbackforlearning.org/wp-content/uploads/Feedback_for_Learning_Survey.pdf and is free to use under a Creative Commons ShareAlike 4.0 International Licence. Valid responses were received from 4514 students and 406 staff. The survey was primarily quantitative, but it also included a small number of open response items. This paper reports on our qualitative analysis of a subset of the open response data where staff with assessment responsibilities (i.e. educators) and students discussed what they thought feedback was for, what they thought constituted effective feedback, and gave examples of effective feedback they had experienced.

이 조사 데이터는 호주 정부 학습 및 교육 사무소가 자금을 지원하는 연구 프로젝트의 첫 번째 단계의 일부로 수집되었으며 두 개의 호주 대학이 수행했다. 이 프로젝트는 코스워크 학생과 대학 직원(학술 및 전문직 모두)의 피드백 경험과 실천을 이해하는 데 광범위한 초점을 맞췄다. 모든 데이터를 수집하기 전에 두 대학의 인간 연구 윤리 위원회로부터 승인을 받았다. 설문 참여는 자발적이었고, 참가자들은 작은 인센티브를 위해 경품 추첨에 들어갈 수 있는 기회가 제공되었다. 우리는 연구의 옵트인 성격과 인센티브가 모집된 참가자의 대표성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것을 인정한다.
The survey data were collected as part of the first phase of a research project funded by the Australian government Office for Learning and Teaching and undertaken by two Australian universities. The project had the broad focus of seeking to understand the feedback experiences and practices of coursework students and university staff (both academic and professional). Approval was received from the Human Research Ethics Committees of both universities prior to all data collection. Participation in the survey was voluntary, and participants were offered the opportunity to go into a prize draw for a small incentive. We acknowledge that both the opt-in nature of the study and the incentive may affect the representativeness of the participants recruited.

샘플
Sample

리소스 제약으로 인해 심층적인 정성 분석을 수행하기 위해 데이터를 샘플링해야 했습니다. 따라서 성별, 국제/학생 등록, 온라인/학생 등록 및 교수진 측면에서 전체 모집단의 특성을 대표하는 각 기관의 학생 응답 표본 200개(총 N = 400)를 선택했다. 교육자의 전체 데이터 세트가 비슷한 크기(n = 323명 참가자)였기 때문에 샘플 대신 교육 직원의 모든 데이터를 사용하기로 결정했습니다.

Resource constraints dictated that we needed to sample the data in order to conduct in-depth qualitative analysis. We therefore opted for a sample of 200 student responses from each institution (total N = 400) that was representative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overall populations in terms of gender, international/domestic enrolment, online/on-campus enrolment, and faculty. As the entire data-set of educators was of comparable size (n = 323 participants) we opted to use all data from teaching staff rather than a sample.

분석.
Analysis

이 논문에서 분석은 두 개의 개방형 응답 질문의 하위 집합에 초점을 맞췄다. 평가 책임이 있는 학생과 교직원은

  • (a) 피드백의 목적으로 본 것을 진술하고,
  • (b) 최근 스스로 선택한 피드백 사례가 효과적이었다고 생각하는 이유를 진술하도록 요청받았다.

For this paper, analysis focused on a subset of two open-response questions. Students and staff with assessment responsibilities were asked to:

  • (a) state what they saw as the purpose of feedback; and
  • (b) state why they considered a recent, self-selected instance of feedback had been effective.


브라운과 클라크(2006)가 설명한 프로세스와 유사한 데이터의 주제 분석을 실시했다. 다른 주제 분석과 마찬가지로, 개발된 주제와 분석 결과를 형성하는 연구 설계 동안 일련의 선택이 이루어졌다. 존재론적으로 이 연구는 광범위하게 현실주의에 기초한다(Maxwell 2012). 우리는 참가자들이 피드백을 실제처럼 경험하며, 교육자와 학생들이 동일한 피드백 현실에서 매우 다른 경험을 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 우리는 피드백 연구자로서 일련의 도메인 이론을 주제에 가져오고, 데이터로부터 수동적으로 'emerge'되도록 하기보다는 적극적으로 주제를 구성한다는 것을 인정하여 귀납적 분석을 수행했다(Varpio 등 2017). 잠재된 의미를 식별하는 것보다 참가자들이 명시적으로 쓴 내용에 더 관심이 있었기 때문에 우리는 '의미적' 주제(Braun과 Clarke 2006)를 개발했다. 개방형 질적 조사 질문에 대한 응답은 종종 더 깊은 형태의 분석을 지원하기에는 너무 '얇은' 경향이 있다.

We conducted a thematic analysis of the data similar to the process described by Braun and Clarke (2006). As with any thematic analysis, a series of choices were made during the research design that shaped the themes developed and the outcomes of the analysis. Ontologically, the study is broadly based in realism (Maxwell 2012); we think the participants experience feedback as a real thing, and it is possible for educators and students to have very different experiences of the same feedback reality. We undertook an inductive analysis, with the acknowledgement that as feedback researchers we bring a set of domain theory to the topic, and that we actively construct themes rather than have them passively ‘emerge’ from the data (Varpio et al. 2017). We developed ‘semantic’ themes (Braun and Clarke 2006), because we were more interested in what our participants explicitly wrote than we were in identifying latent meanings; responses to open-ended qualitative survey questions often tend to be too ‘thin’ to support deeper forms of analysis (LaDonna, Taylor, and Lingard 2018).

우리의 코딩 프레임워크는 데이터의 하위 세트를 읽고, 노트를 공유하고, 예비 코드를 테스트하는 반복적인 프로세스를 통해 개발되었다. 이 과정에는 4명의 연구원(MH, PD, MP, TR)이 5번의 주요 반복 과정을 거쳤다. 이 과정을 통해 예비 프레임워크가 개발되면, 개발(PM)에 관여하지 않은 다른 연구원과 코드북으로 공유되었고, 연구팀의 두 구성원(PD, MH)과 협의하여 코드를 수정하기 전에 50명의 참가자의 데이터를 코드화했다. 최종 프레임워크는 전체 샘플에 적용되었습니다.
Our coding framework was developed through an iterative process of reading subsets of the data, sharing notes and testing preliminary codes. This process involved four researchers (MH, PD, MP, TR) going through five major iterations. Once a preliminary framework was developed through this process it was shared as a codebook with another researcher not involved in its development (PM), who then coded data from 50 participants before making minor amendments to the codes in consultation with two members of the research team (PD, MH). The final framework was then applied to the entire sample.

결과 및 토론.
Results and discussion

RQ1: 직원과 학생들은 피드백의 목적이 무엇이라고 생각하나요?
RQ1: What do staff and students think is the purpose of feedback?

참가자들은 피드백의 네 가지 주요 목적을 나타냈다: 성적 정당화, 일의 장단점 확인, 개선, 정서적 목적. 이러한 목적의 확산은 우리가 관찰한 하위 주제와 함께 표 1에 제시되어 있다. 개별 참가자의 데이터가 여러 테마로 코딩되었을 수 있기 때문에 표에 제시된 데이터가 100% 이상 추가될 수 있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Participants indicated four main purposes of feedback:

  • justifying grades;
  • identifying strengths and weaknesses of work;
  • improvement; and
  • affective purposes.

The prevalence of each of these purposes is presented in Table 1, along with subthemes where we observed them. It should be noted that data presented in tables may add up to more than 100% because individual participants’ data may have been coded in multiple themes.

 

 

피드백은 성적 향상에 대한 것인가, 아니면 성적을 정당화하는 것인가?
Is feedback about improvement, or justifying a grade?

대다수의 응답자가 피드백의 목적으로 학생 90%, 교직원 89%가 일종의 개선을 언급할 정도로 피드백은 개선에 관한 것이라고 표현했다. 직원의 경우 피드백의 개선 목적이 성적 정당화 목적보다 10배 우세했고, 학생의 경우 개선 목적이 정당화 목적보다 20배 이상 우세했다. 일부 참여자들은 개선을 피드백의 '명백한' 목적이라고 여겼는데, 이는 이 주제가 널리 퍼지고 있다는 점을 고려할 때 놀라운 일이 아닐 수 있다. Carless 등(2011), Sadler(2010), Boud and Molloy(2013)가 제안한 의견과 같은 대중적인 피드백 아이디어의 기본 요소이기 때문에 개선 가능성이 높은 것은 고무적이다. 그러나 학생과 교직원이 개선에 대해 글을 쓸 때 표 2에 요약된 것처럼 개선 대상으로 간주하는 부분에서 현저한 차이가 있었다.
The vast majority of responses expressed that feedback is about improvement, with 90% of students and 89% of staff mentioning some sort of improvement as a purpose of feedback. For staff, an improvement purpose of feedback was ten times as prevalent as a grade justification purpose; for students, improvement was more than twenty times as prevalent as justification. Improvement was regarded by some participants as an ‘obvious’ purpose of feedback, which is perhaps unsurprising given the prevalence of this theme. It is heartening to see such a high prevalence for improvement, as it is the fundamental element of popular feedback ideas such as those proposed by Carless et al. (2011), Sadler (2010) and Boud and Molloy (2013). However, when students and staff wrote about improvement, there was a marked difference in what they regarded as the object of improvement, as outlined in Table 2.

참석자들이 가장 많이 응답한 내용은 피드백의 목적이 개선이지만 개선의 대상을 밝히지 않았다는 것이었다. 특정되지 않은 개선을 언급한 참여자들은 암묵적으로 개선의 일부 기본 초점을 가정하였거나 전반적인 일반적인 개선을 가정했을 수 있다.

The most common response by participants was that the purpose of feedback was improvement but they did not state an object of the improvement. Those participants who referred to unspecified improvement may have implicitly assumed some default focus of improvement or an overall, general improvement.

참가자들이 개선을 위해 특별히 초점을 맞춘다면, 그것은 보통 학생들의 공부, 이해의 향상 또는 학습이나 공부 전략의 향상이었다. Boud and Molloy(2013)의 연구를 바탕으로 Carless(2015)는 피드백을 '학습자가 다양한 출처의 정보를 이해하고 이를 활용하여 작업이나 학습 전략의 질을 높이는 대화 과정'으로 정의했다.(192쪽) 데이터의 작업 전략과 학습 전략 모두에 대한 개선이 널리 퍼진다는 것은 일부 교육자와 학생이 피드백의 목적에 대한 우리의 이해를 공유한다는 것을 시사한다. 또한 해티와 팀펄리(2007)가 피드백이 자율성 향상에 초점을 맞춰야 한다고 권고한 일부 측면이 교육자와 학생의 이해로 나타날 수 있음을 시사한다.
Where participants did specify a particular focus for improvement, it was usually improvements to students’ work, improvements in understanding, or improvements in learning or study strategies. Building on work by Boud and Molloy (2013), Carless (2015) defined feedback as ‘a dialogic process in which learners make sense of information from varied sources and use it to enhance the quality of their work or learning strategies.’ (p. 192). The prevalence of improvements to both work and learning strategies in the data suggests that some educators and students share our own understanding of the purpose of feedback. It also suggests that some aspects of Hattie and Timperley’s (2007) recommendation that feedback should focus on improving self-regulation may be represented in the understandings of educators and students.


평가 및 피드백 문헌은 최근 '평가적 판단evaluative judgement'으로 알려진 품질에 대한 학생들의 이해와 양질의 작업에 대한 의사 결정 능력 개발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소수의 참여자들은 평가 판단과 관련된 개선 사항(예: 자기 평가 개선 또는 기준 이해 향상)에 대해 썼다. 그러나, 중요한 능력으로서의 평가적 판단은 데이터 세트에 비중있는 존재는 아니었다. 교육자들과 학생들은 주로 일의 개선과 일의 생산 능력 향상에 초점을 맞추었고, 학생들의 업무 평가 능력 향상은 아니었다.

The assessment and feedback literature has recently increased its focus on the development of students’ understandings of quality and their ability to make decisions about quality work, known as ‘evaluative judgement’ (Tai et al. forthcoming). A small set of participants wrote about improvements related to evaluative judgement, such as improved self-evaluation or improved understanding of standards. However, evaluative judgement as an overarching capability was not a substantive presence in the data-set. Educators and students were predominantly focused on improvements to work, and an improvement in the ability to produce work, not on an improvement in the ability of students to evaluate work.

장점과 단점을 지적하는 것
Pointing out strengths and weaknesses

학생 작업의 강점과 약점을 식별하는 것은 때때로 개선을 위한 정보의 사용에 대한 언급 없이 참여자들에 의해 보고되었다. 이것은 피드백의 목적에 대한 [비교적 오래된 정보 중심의 이해]와 일치할 수 있는데, 피드백은 학생들에게 일의 좋은 점과 나쁜 점을 알려주는 것이지만, 학생들에게 그것을 개선하는 방법을 알려주거나 학생들에게 그 정보를 개선을 위해 사용하는 것에 대한 것이 아니다. 이 주제에 대한 전형적인 표현은 한 교육자에 의해 만들어졌는데, 한 교육자는 피드백의 목적이 '학생들이 그 과제에 대한 자신의 장단점이 어디에 있는지 알 수 있게 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The identification of strengths and weaknesses in student work was sometimes reported by participants without mention of the use of that information for improvement. This perhaps corresponds to older, information-centric understandings of the purpose of feedback, such that feedback is about telling students what is good and bad about their work, but not about telling students how to improve it or students using the information for improvement. A typical expression of this theme was made by one educator, who said the purpose of feedback was ‘to allow the student to see where their strengths and weaknesses for that task lie.’

학생들의 기분을 좋게 만들고 동기를 부여하는 피드백
Feedback to motivate and make students feel good

소수의 직원과 소수의 학생들이 피드백을 위해 정서적인 목적을 언급했습니다. 이러한 참가자들에게 피드백의 목적 중 하나는 학생들이 일을 더 잘하도록 동기를 부여하고, 학생들의 노력을 인정하거나, 학생들을 격려하거나, 그들의 일에 대해 좋게 느끼도록 하는 것이었다. 한 학생은 그것이 피드백의 주된 목적은 아니지만, 정서적인 목적이 결과에 반영되지 않으면 상처를 입을 수 있다고 언급했다.
A small number of staff, and a smaller number of students, mentioned affective purposes for feedback. For these participants, one of the purposes of feedback was to motivate students to do better work, to acknowledge student effort, to encourage students, or to make them feel good about their work. One student noted that although it is not the primary purpose of feedback, if affective purposes are not attended to the results can be hurtful:

[피드백의 목적은] 주로 미래의 개선을 위한 것이지만, 또한 칭찬과 동기를 부여하고 노력한 시간과 노력을 긍정적으로 강화하는 것입니다. 평가자가 아무런 긍정도 없이 트집잡고 비판만 할 때 그것은 완전히 산산조각이 납니다.
[The purpose of feedback is] primarily to improve in future, but also to compliment and motivate and provide positive reinforcement to the effort and time put in. It’s absolutely shattering when the assessor does nothing but nit-pick and criticise with no positivity at all.

이것은 영향을 피드백의 목적으로서 고려하는 다소 일반적인 방법이었다.
This was a somewhat common way of considering affect as a purpose of feedback: as a secondary but essential purpose.

RQ2: 직원과 학생들은 무엇이 효과적인 피드백을 만든다고 생각하는가?
RQ2: What do staff and students think makes for effective feedback?

피드백의 목적보다 효과적인 피드백을 위해 무엇이 만들어지는지에 대해 직원과 학생이 더 의견이 갈렸습니다. 직원과 학생들이 피드백 경험을 효과적으로 만드는 것을 설명할 때, 눈에 띄는 주제는 의견의 내용, 피드백 설계의 측면 및 피드백 정보의 출처였다. 이러한 각 최상위 테마의 분포는 표 3에 나와 있습니다.
Staff and students diverged more on what makes for effective feedback than they did for the purpose of feedback. When staff and students were describing what made a feedback experience effective, the prominent themes were the content of the comments, aspects of the feedback design and the source of the feedback information. The prevalence of each of these top-level themes is shown in Table 3.

 

피드백 설계
Feedback design

앞에서 논의한 바와 같이, 피드백 문헌은 학생에게 더 나은 정보를 제공하는 것(예: 학생 업무에 대한 피드백 의견)의 초점에서 학생이 참여하는 과제와 활동의 설계(예: 학생이 두 번째 과제에서 피드백 의견을 사용하도록 요구하는 것)로 이동했다. 교육자 중 많은 수가 그들의 수업에서 피드백을 효과적으로 만드는 것으로 디자인을 언급했지만, 상대적으로 적은 수의 학생들이 디자인을 언급했습니다. 구체적인 특징은 표 4에 요약되어 있다.

As discussed earlier, the feedback literature has moved from a focus on providing better information to students (e.g. feedback comments on student work) to also consider designing the tasks and activities in which students engage (e.g. requiring students to use feedback comments from their first assignment in their second assignment). A slight majority of educators mentioned design as what made feedback in their classes effective; however, relatively few students mentioned design at all. The specific features are summarised in Table 4.

학생들과 비교했을 때, 더 많은 비율의 직원들이 디자인을 그들이 논의한 스스로 선택한 효과적인 피드백 사례를 뒷받침한다고 생각했다. 이것은 일반적으로 디자인에 적용되었고 피드백 설계의 거의 모든 특정 특징에 적용되었다. 이에 대한 한 가지 가능한 설명은 교육자들이 학생들보다 디자인에 대해 더 잘 알고 있을 수 있다는 것이다. 피드백 디자인은 교육자들에게 상당한 시간과 고려가 필요한 반면, 학생들은 디자인을 알아차리지 못하고 대신 디자인에서 만들어진 제품product에 초점을 맞출 수 있다(예: 코멘트).

Compared with students, a higher proportion of staff thought design was what supported the self-selected effective feedback instance they discussed. This was true for design in general, and for almost all specific features of feedback design. One possible explanation for this is that educators may be more aware of design than students; feedback design can take educators significant time and consideration, whereas students may not notice the design and instead focus on the products of the design (e.g. comments).

학생들은 종종 더 시기적절한 피드백을 원하는 것으로 간주되며(Li와 De Luca 2014), 교육기관에서는 특정 기간 내에 피드백 코멘트를 학생들에게 제공하도록 요구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피드백의 신속한 제공turnaround은 소수의 학생들, 그리고 10%의 교육자들에 의해 언급되었다. 그러나 피드백의 즉각적인 전환은 실제로 2차 관심사라고 주장할 수 있다. 시기적절성에 대한 가장 중요한 우려는 학생들이 다음 과제를 수행할 때 제때 피드백 정보를 이용할 수 있다는 것이다. 피드백 정보를 학생이 필요로 할 때 이용할 수 있는 형태의 적시성은 학생들에 의해 언급되지 않았고, 매우 적은 수의 직원들에 의해 언급되었다. 우리는 후속 작업을 위한 피드백 코멘트의 적시 제공 여부를 피드백이 전혀 발생하지 않는 근본적인 요구 사항으로 간주할 것이며, 이 테마의 상대적 희소성은 이 견해를 많은 학생과 교육자가 보유하고 있지 않거나, 애초에 언급할 가치가 없다고 간주함을 시사한다.
Students are often regarded as wanting more timely feedback (Li and De Luca 2014), and it is common for institutions to require feedback comments be provided to students within a particular timeframe. Prompt turnaround of feedback was mentioned by a very small number of students, and 10% of educators. However, we would argue that prompt turnaround of feedback is actually a second-order concern; the most important concern for timeliness is that feedback information is available to students in time for them to undertake the next task. Timeliness in the form of feedback information being available when the student needs it was not mentioned by students, and was mentioned by a very small number of staff. We would regard the availability of feedback comments in time to do subsequent work as a fundamental requirement for feedback to occur at all, and the relative scarcity of this theme suggests this view is either not held by many students and educators, or it is perhaps so taken-for-granted that it was not considered worth mentioning.


피드백의 또 다른 당연시되는 특징은 피드백이 반복적이거나 연결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학생들은 한 과제에서 다음 과제로 개선을 입증할 수 있는 방식으로 구성된 과제를 가져야 한다(Boud and Molloy 2013). 효과적인 피드백의 특징으로 이를 언급한 교육자와 학생은 거의 없었다. 학생들이 이 주제를 언급할 때, 그들은 피드백이 동일한 과제에 대한 반복적인 시도, 유사한 과제에 대한 반복적인 시도, 과제들을 조각으로 나누어 피드백이 산재된 것, 또는 개선된 제출에 대한 피드백에 따른 피드백에 의해 효과적으로 만들어졌다고 말했다. 그러나 상대적으로 적은 수의 학생들에 의해 언급되었음에도 불구하고, 그 학생들 중 몇 명은 그들의 특정한 피드백 사례를 효과적으로 만드는 유일한 특징으로 이것을 언급했다. 마찬가지로, 수업에서 효과적인 피드백의 특징으로 반복적이거나 연결된 과제를 언급한 많은 직원의 경우, 데이터에서 이 주제가 유일한 주제였다.

Another potentially taken for granted feature of feedback is that it needs to be iterative or connected; students need to have tasks structured in such a way that they can demonstrate their improvement from one task to the next (Boud and Molloy 2013). Few educators and fewer students mentioned this as a feature of effective feedback. Where students mentioned this theme, they said feedback was made effective either by repeated attempts at the same task, repeated attempts at similar tasks, tasks split into pieces and interspersed with feedback, or in-class feedback followed by feedback on an improved submission. However, despite being mentioned by relatively few students, several of those students mentioned this as the only feature that made their specific instance of feedback effective. Similarly, for many of the staff who mentioned iterative or connected tasks as a feature of effective feedback in their classes, this was the only theme found in their data.

일부 특정 피드백 설계 기능은 최근 몇 년 동안 피드백 문헌에서 인기를 끌었다. 특히 동료 피드백, 예시 및 피드백 조정의 사용 등이 그것이다. [동료 피드백의 거의 부재]는 우리의 맥락 내에서 동료 피드백을 일부 사용하는 것을 알고 있지만 학생과 교육자의 이러한 접근 방식에 대한 저항도 알고 있기 때문에 잠재적으로 놀랍지 않다. (Liu 및 Carless 2006; Tai 외 2016; Adachi, Tai 및 Dawson 2018) [모범적 접근법]의 부재는 교육자와 학생들이 피드백 프로세스의 일부로 보지 않는 모범적 접근법으로 설명될 수 있다. 모범적 접근법은 피드백 마크 2(Boud and Molloy 2013)와 같은 모델과 호환되지만, 일상적인 교육자나 학생의 피드백 정의에는 맞지 않을 수 있다. [피드백 조정]에 대한 코멘트가 부족한 것은 이 과정이 학생들에게 거의 보이지 않거나 상대적으로 니치 프락티스이기 때문일 수 있다. 

Some specific feedback design features have gained popularity in feedback literature over recent years; in particular peer feedback, the use of exemplars and feedback moderation. The near absence of peer feedback is potentially unsurprising, as although we are aware of some use of peer feedback within our contexts, we are also aware of resistance to these approaches from students and educators (Liu and Carless 2006; Tai et al. 2016; Adachi, Tai, and Dawson 2018). The absence of exemplar approaches may be explained by exemplars not being viewed by educators and students as part of feedback processes; although exemplars are compatible with models like Feedback Mark 2 (Boud and Molloy 2013), they may not fit within everyday educator or student definitions of feedback. We suspect the lack of comments about feedback moderation (the review of educator feedback comments by other educators, as described in Broadbent, Panadero, and Boud 2018) may be due to this process being largely nonvisible to students, or it being a relatively niche practice.

학생들이 가장 많이 언급한 설계 요소는 양식, 즉 피드백 정보가 제공되는 형태와 관련이 있습니다. 이러한 논평은 특정 양식의 인식된 수용성과 관련된 경향이 있었다. 즉, 

  • 루브릭스는 '정확한' 또는 '상세적인' 것으로 기록되었고, 
  • 디지털 녹음은 '이해하기 쉬운' 또는 더 많은 양이었으며, 
  • 대면 피드백은 개인화되고 철저했다. 

자동화된 소스(예: 형성적 객관식 퀴즈)에 대한 학생들의 의견 부족은 아마도 놀랍다. 그러나, 이것은 이러한 소스가 효과적이지 않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다. 그것은 단지 그것들이 이러한 학생들에게 가장 효과적인 최근 피드백 경험의 일부가 아니었다는 것을 의미한다(또는 잠재적으로 피드백으로 간주되지 않는다).
The design elements most mentioned by students related to modalities – that is, the forms in which feedback information was provided. These comments tended to relate to the perceived affordances of particular modalities:

  • rubrics were noted as ‘accurate’ or ‘detailed’;
  • digital recordings were ‘easy to understand’ or more voluminous;
  • face-to-face feedback was personalised and thorough.

The lack of comments from students around automated sources (e.g. formative multiple-choice quizzes) is perhaps surprising. However, this does not imply these sources are ineffective; it merely implies they were not a part of the most effective recent feedback experience for these students (or, potentially, are not considered to be feedback as such).


본 논문에서 채택된 피드백의 개념화 내에서, 코멘트는 학생들이 적극적으로 사용할 때까지 '데이터를 물고 늘어지는 것'(Sadler 1989, 페이지 121)이다. 피드백을 효과적으로 만드는 것 중 직접적으로 [학생들의 역할]을 언급한 교육자와 학생은 매우 소수였다. 예를 들어, 한 교육자는 이러한 디자인의 측면이 피드백을 효과적으로 만드는 것이라고 말했다.

Within the conceptualisation of feedback adopted in this paper, comments are ‘dangling data’ (per Sadler 1989, p. 121) until they are actively used by students. A small number of educators and a very small number of students directly referred to students taking an active role as what had made feedback effective. For example, one educator said that this aspect of design was what made feedback effective:

학생들은 에세이 초안에 대해 매우 상세한 코멘트를 받았다. 그들은 최종 초안과 초안에 대한 의견을 설명/정당하게 하는 성찰적인 내용을 작성해야 했다.
Students were given very detailed comments on an essay draft. They were required to produce a final draft, and a reflective piece that explained/justified their response to comments on their draft.

 

피드백 루프를 완료하여 피드백의 자격을 갖추기 위해 피드백을 제정해야 한다는 것이 점점 더 받아들여질 수 있지만, 학생들을 피드백의 행위자로 만든 설계의 상대적 부족은 다소 놀라웠다. 또한, 이 테마의 데이터가 학생들이 활동적인 것을 반영했지만, 일반적으로 피드백 추구와 같은 대리인, 학생 주도적인 관행을 설명하지는 않았다.
While it may be increasingly accepted that feedback needs to be enacted in order to complete the feedback loop and thus qualify as feedback, the relative scarcity of designs that made students the actors in feedback was somewhat surprising. In addition, although data in this theme reflected students as active, it did not usually describe agentic, student-driven practices such as feedback-seeking.

피드백 코멘트
Feedback comments

학생 응답에서 확인된 가장 일반적인 최상위 테마는 [양질의 '피드백 정보']가 효과적인 피드백의 일부라는 것이었다. 이는 학생들이 가장 원하는 피드백의 특징 중 일부가 '개인적이고, 설명할 수 있고, 준거-참조적이고, 객관적이고, 추가 개선에 적용할 수 있다'는 점에 주목한 Li와 De Luca의 2014년 체계적 검토 결과와 일치한다(390쪽). 하지만, 우리는 상대적으로 적은 수의 교육자들이 피드백 정보의 질을 언급하는 것을 보고 놀랐습니다. 교육자와 학생이 언급한 피드백 코멘트의 구체적인 특징은 표 5에 요약되어 있다.

By far the most common top-level theme identified in student responses was that high-quality ‘feedback information’ is part of effective feedback. This aligns with findings from Li and De Luca’s (2014) systematic review that noted some of the features of feedback most desired by students were that it was ‘personal, explicable, criteria-referenced, objective, and applicable to further improvement’ (p. 390). However, we were surprised to see that the quality of feedback information was mentioned by proportionally fewer educators. The specific features of feedback comments noted by educators and students are summarised in Table 5.

 

코멘트에 대한 데이터에서 가장 두드러진 주제는 학생들은 '사용가능한' 코멘트를 효과적으로 보았다는 것이다. 본 논문에서 채택된 피드백의 개념화를 고려할 때, 그러한 진술은 근본적이거나 심지어 동조적으로 들릴 수 있다. 그러나 그 보급률을 감안할 때, 학생의 관점에서 효과적인 피드백에 있어 가장 일반적인 활성화 요소는 [개선되어야 할 사항을 전달하는 것]이었다는 것을 강조할 필요가 있다. 이것은 보통 학생들의 공부나 이해도 향상으로 표현되지만, 일부 학생들은 학습 전략 향상에 초점을 맞춘 피드백도 효과적이었다고 언급했다.
The most prominent theme in the data about comments is that students found usable comments effective. Given the conceptualisation of feedback adopted in this paper, such a statement may sound fundamental or even tautological. However, given its prevalence, it is worth emphasising that the most common active ingredient in effective feedback from the student perspective was communicating what needs to be improved. While this was usually expressed in terms of improvements to the students’ work or understanding, some students also mentioned that feedback which focused on improvements to learning strategy was also effective.


그 다음으로 학생들이 가장 많이 생각하는 코멘트 내용은 피드백이 상세하고 구체적이거나 철저해야 한다는 것이었다. '자세한 피드백'을 언급한 많은 학생들에게는, 이것이 피드백을 효과적으로 만드는 유일한 특징이었다. 관련되어있지만, 덜 흔한 주제는 피드백이 명확하고, 집중적이고, 정확해야 하며, 직접적이어야 한다는 것이었다. 
The next most prevalent theme for students in terms of the content of comments was that feedback needs to be detailed, specific or thorough. For many students who mentioned detail, it was the sole feature that made their instance of feedback effective. A related, less common theme was that feedback needed to be clear, focused, precise or direct.

일부 학생들은 자신의 피드백 경험이 개인화되거나 개인화됨으로써 효과적이라고 언급했다. 이러한 설명은 용어의 의미에 대한 설명 없이 '개인화'와 같은 용어를 자주 사용했기 때문에 분석하기 어려운 것으로 밝혀졌다. 이 설문 조사의 일부 응답을 명확히 하기 위해 수행된 탐색적 포커스 그룹에서 우리는 학생들에게 '개인화'라는 용어가 무엇을 의미하는지 물었고, 우리는 학생들이 평가자가 실제로 자신의 과제물을 읽고, 이에 대해 구체적으로 언급할 때 피드백을 개인화했다고 생각하는 일관된 응답을 받았다. 코호트의 작업에 대한 일반적인 피드백 정보를 받는 것에 반대된다. 이를 바탕으로, 우리는 개별화된 주제와 개인화된 주제를 분리할 수 없는 것으로 간주한다. 그러나 우리는 그것이 조사 데이터에서 독립적인 것으로 보았기 때문에 여기서 그것들을 구별되는 코드로 보고한다. 대조적으로, 일반적인 피드백 의견(개인화된 피드백의 반대)이 효과적이라는 것을 발견한 소수의 학생과 교직원도 있었다. 

Some students mentioned that their feedback experience was made effective by being personalised or individualised. These descriptions proved difficult to analyse as they often used a term like ‘personalised’ without explanation of what the term meant. In exploratory focus groups conducted to clarify some responses from this survey, we asked students (n = 28) what the term ‘personalised’ meant to them, and we received the consistent response that students thought feedback was personalised when they felt the assessor had actually read their work and was making comments specifically about it – as opposed to receiving generic feedback information about the cohort’s work. Based on this, we consider the individualised and personalised themes to be perhaps inseparable; however, we report them as distinct codes here because that was what we saw in the survey data as standalone. In contrast, there was also a small set of students and staff who found generic feedback comments (the opposite of personalised feedback) effective.

소수의 학생들은 자신의 작품에 대한 코멘트가 친절하고 긍정적이거나 건설적이거나 지지적이거나 격려적이거나 동기부여가 되는 광범위한 감성적인 특징 덕분에 최근의 효과적인 피드백 경험이 효과적이라고 말했다. 이 두 가지 주제를 논의한 소수의 학생들에게는 이 주제만이 언급되었지만, 대부분의 학생들에게는 이 주제들이 다른 특징들과 함께 언급되었다. 
A small number of students indicated that their recent effective feedback experience was made effective thanks to broadly affective features of the comments made about their work: the comments were nice, positive or constructive, or supportive, encouraging or motivating. For a substantial minority of students who discussed either of these themes it was the only theme mentioned; however, for most students these themes were mentioned alongside other features.


Li와 De Luca(2014)의 검토와 평가 판단에 대한 최근 작업(Tai 등)을 바탕으로, 우리는 스태프와 그보다 덜한 범위의 학생들이 표준이나 기준을 참조하는 의견을 가치 있게 여길 것으로 예상했다. 다른 질적 연구의 학생 참여자(예: Poulos와 Mahony 2008)는 종종 피드백의 효과적인 기준점으로 '준거criteria'
를 언급했다. 놀랍게도, 우리 연구에서 이러한 특징을 언급한 직원이나 학생은 매우 적었고, 피드백 설계에서 루빅 양식 하위 테마를 다시 확인했을 때도 표준이나 기준에 대한 명시적인 언급이 거의 없었다. 지속 가능한 피드백(Carless et al. 2011) 또는 피드백 마크 2(Boud and Molloy 2013)와 같은 정교한 피드백 모델은 [해당 표준에 대한 학생의 이해를 높이기 위해 표준을 명시적으로 참조하는 피드백]에 일부 의존한다. '기준Standard'이 많은 직원과 학생들에게 효과적인 피드백 경험의 특징이 아니었다는 것은 우려스럽다. 대부분의 학생들은 개선 방법을 식별한 코멘트를 언급했지만, 그러한 개선의 기준점을 언급한 학생은 거의 없었다.

Based on Li and De Luca’s (2014) review, as well as recent work on evaluative judgement (Tai et al. forthcoming), we expected that staff, and to a lesser extent students, would value comments that made reference to standards or criteria. Student participants in other qualitative studies (e.g. Poulos and Mahony 2008) often mentioned criteria as an effective reference point for feedback. To our surprise, very few staff or students in our study mentioned these features, and even when we re-checked the rubric modality subtheme from feedback design, there was little explicit mention of standards or criteria. Sophisticated feedback models like sustainable feedback (Carless et al. 2011) or Feedback Mark 2 (Boud and Molloy 2013) are dependent in some part on feedback that makes explicit reference to standards, in order to develop student understanding of those standards; it is concerning that standards were not a feature of effective feedback experiences for many staff and students. Most students mentioned comments that identified how to improve, but few mentioned the reference point for those improvements.

결론
Conclusion

본 연구의 연구 질문으로 돌아가서, 우리는 대체로 직원과 학생들이 피드백의 목적이 개선이라고 생각한다는 것을 발견했습니다.

  • 직원의 관점에서 피드백은 주로 타이밍, 방식, 연결된 작업과 같은 [설계 관련 문제]를 통해 효과적으로 만들어졌습니다.
  • 학생 입장에서 피드백은 [사용가능하고, 충분히 상세하고, 감정에 신경쓰고, 자신의 과제와 관련있는 듯 보이는 양질의 코멘트]일 때 효과적이었다.

Returning to the research questions for this study, we have found that, broadly speaking, staff and students think the purpose of feedback is improvement.

  • From the staff perspective, feedback was made effective primarily through design concerns like timing, modalities and connected tasks.
  • From the student perspective, feedback was made effective through high-quality comments which were usable, sufficiently detailed, attended to affect and appeared to be about the student’s own work.

그러나, 효과적인 피드백에 대해서 종종 서로 모순되는 듯한 의견도 있었다. 예를 들어, 많은 학생들이 자신에게 맞춘 피드백 정보를 효과적인 피드백 경험이라고 언급한 한 반면, 다른 학생들은 일반적인 의견을 높이 평가하였다. 여기서 직원과 학생들의 경험은 새들러(2010)가 피드백에 대한 4개의 리뷰 연구에서 관찰한 것과 일치하는 것으로 보인다.
However, we were also very interested to find other, sometimes seemingly incongruous experiences of effective feedback. For example, while many students had effective feedback experiences involving feedback information tailored to them, some others appreciated generic comments. Here, the experiences of staff and students seem to concur with what Sadler (2010) observed from four review studies on feedback:

피드백에 대해 알려진 것의 복잡성을 얼버무릴 위험을 무릅쓰고, 일반적인 그림은 형태, 시기 및 효과 사이의 관계가 복잡하고 가변적이라서, 마법의 공식이란 없다는 것이다. (Sadler 2010, 페이지 536)
At the risk of glossing over the complexities of what is known about feedback, the general picture is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its form, timing and effectiveness is complex and variable, with no magic formulas. (Sadler 2010, p. 536)


교수는 [피드백 설계]에 초점을 맞추고, 학생은 [피드백 코멘트]에 초점을 맞추면 직원과 학생이 가장 쉽게 알아볼 수 있는 피드백 프로세스 요소를 반영할 수 있습니다. 피드백을 개선함에 있어 학생들이 학습에 도움이 되는 디자인 요소에 집중하고 성찰하는 것이 도움이 될 수 있다. 피드백 설계에 대한 더 나은 이해는 Winstone 등(2017)이 피드백에 대한 더 많은 에이전트 참여를 지지하는 것으로 발견한 '평가 문해력' 피드백 수신자 프로세스의 요소이다. 또한, '더 나은 피드백 코멘트'가 아니라 '더 나은 피드백 디자인'
으로 학생들의 요구가 바뀐다면, 피드백 방식을 바꾸기를 원하는 교육자들을 지원할 수 있습니다.

The staff focus on feedback designs and the student focus on feedback comments may reflect the elements of feedback processes that are most readily noticeable to staff and students. In improving feedback, it may be helpful for students to attend to and reflect on the design elements that support their learning. Better understandings of feedback designs are an element of the ‘assessment literacy’ feedback recipience process that Winstone et al. (2017) find to be supportive of more agentic engagement in feedback. In addition, student demand for better feedback designs – rather than just better feedback comments – may support educators who wish to change how they do feedback.

직원들과 학생들은 때때로 피드백에 대한 퇴행적인 관점을 가지고 있다는 편견이 있는데, 우리는 우리의 샘플 대부분이 그렇지 않다는 것을 알고 용기를 얻었습니다. 우리의 참가자들은 특히 그 목적에 관하여 우리가 상대적으로 긍정적이고 정교한 피드백의 관점을 가지고 있었다. 그러나 피드백에 대해 더 많이 생각하는 교육자와 학생들이 잠재적으로 주제에 대한 설문조사를 완료할 가능성이 더 높기 때문에 선택 편향의 결과일 수 있음을 경고한다. 
Staff and students are sometimes stereotyped as holding regressive views of feedback, and we were heartened to find that this was not the case with most of our sample. Our participants held what we would regard as relatively positive and sophisticated views of feedback, especially with respect to its purpose. However, we caution that this could be a result of selection bias, with educators and students who think more about feedback potentially more likely to complete a survey on the topic.


그러나 이러한 정교함에도 불구하고, 우리의 참여자들에 대한 최근 효과적인 피드백 경험에 포함되지 않은 피드백에 대한 몇 가지 주제들이 여전히 존재한다. 평가적 판단, 동료 피드백, 예시 및 피드백 조정은 연구자들에 의해 보유 메리트로 간주되는 개념 또는 실천이다(Liu와 Carless 2006; Carless와 Chan 2016; Broadbent, Panadero, Boud 2018; Tai 등). 그러나 참가자들에 의해 가장 효과적인 것으로 인식되거나 경험 또는 우선순위화되지 않았다. 

However, despite this sophistication there are still several frontier topics in feedback that have not featured in recent effective feedback experiences for our participants. Evaluative judgement, peer feedback, exemplars and feedback moderation are concepts or practices that are regarded as holding merit by researchers (Liu and Carless 2006; Carless and Chan 2016; Broadbent, Panadero, and Boud 2018; Tai et al. forthcoming), but either weren’t noticed, experienced or prioritised as most effective by our participants.

이 연구는 연구원과 학술 개발자들이 그들의 노력에 다시 집중할 수 있도록 도울 수 있다. 예를 들어, 피드백이 [학점을 정당화하는 것]이 아니라 [향상에 관한 것]이라는 것을 교육자와 학생들의 표본에 납득시키기 위한 개입은 거만한 것처럼 보일 수 있다. 그러나, 학생들에게 '코멘트의 질'에 초점을 맞추는 것에서 '그들이 그 코멘트로 무엇을 하는지'에 초점을 바꾸도록 하는 개입은 좋은 평가를 받을 수 있다. 왜냐하면, 학생들이 코멘트의 품질에 중점을 두었지만, 효과적인 코멘트의 가장 일반적으로 확인된 특징은 사용 가능하다는 것이었기 때문이다. 이 연구에서는 정서적, 관계적 문제가 크게 부각되지 않았다. 그러나, 우리는 다른 연구를 통해 이러한 문제들이 결정적이고 학생들의 다른 신체에 다르게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고 있다. 이러한 교육자들과 학생들과의 정서적 문제에 대한 발전을 목표로 하는 것은 가치가 있을 수 있다.

This study may assist researchers and academic developers in refocusing their efforts. For example, interventions to convince this sample of educators and students that feedback is about improvement rather than justifying a grade may seem patronising. However, interventions to shift students from a focus on the quality of comments towards what they do with those comments may be well received, as, although there was a strong focus on the quality of comments, the most commonly identified feature of effective feedback comments was that they were usable. Affective and relational matters did not feature strongly in this study; however, we know from other research that these matters are crucial and impact different bodies of students differently (Telio, Ajjawi, and Regehr 2015; Ryan and Henderson forthcoming). It may be worthwhile to target development around affective matters with these educators and students.


본 연구의 분석은 피드백이 무엇인지에 대한 현대적인 이해에 바탕을 두고 있다. 즉, 피드백이란 [교육자가 설계하고 학습자가 수행하는 프로세스로서, 필연적으로 개선에 관한 것]이다. 피드백 연구 분야가 이러한 종류의 피드백 개념화를 적절하게 채택하려면, 이 프레임워크 내에서 해당 분야의 기본적인 발견과 가정을 재검토할 필요가 있을 수 있다. 비록 귀납적 접근법을 취했지만, 우리는 최근 몇 년간의 주요 개념적 주장을 무시할 수 없었다. 다른 귀납적 분석은 이 프레임 내에서 수행될 경우 피드백의 직원과 학생 경험에 대한 새로운 통찰력을 제공할 수 있다. 실용적인 관점에서도 제도적, 국가적 조사를 피드백의 보다 현대적이고 정교한 개념화로 옮겨갈 필요성이 크다(윈스톤과 피트 2017).

The analysis in this study was informed by a modern understanding of what feedback is: a process, designed by educators, undertaken by learners, which is necessarily about improvement. If the field of feedback research is to properly adopt this sort of conceptualisation of feedback, there may be a need to re-examine some of the fundamental findings and assumptions of the field within this framework. Although we took an inductive approach, we were unable to ignore key conceptual arguments from recent years; other inductive analyses may similarly yield new insights on the staff and student experience of feedback if conducted within this frame. From a practical perspective, there is also a great need to move institutional and national surveys toward more modern and sophisticated conceptualisations of feedback (Winstone and Pitt 2017).

그러나 우리의 현대적인 틀에도 불구하고, 우리는 몇몇 구식의 생각들이 여전히 널리 퍼져있다는 것을 발견했다. 예를 들어, 학생들은 피드백을 효과적으로 만든 것에 대해 '코멘트의 내용'에 압도적으로 집중했는데, 이는 언뜻 피드백 마크 2(Boud and Molloy 2013)와 같은 모델과 배치되는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이에 비해 학생들의 관점에서 효과적인 코멘트의 가장 일반적인 특징은 '사용가능한 코멘트'였다. 
Despite our modern framing, however, we found that some old-fashioned ideas remain prevalent. For example, students had an overwhelming focus on the content of comments as what had made feedback effective, which at first glance appears to run counter to models like Feedback Mark 2 (Boud and Molloy 2013). However, balanced against this, the most common feature of comments that made them effective from the student perspective was that they were usable.

이 연구는 교육자들과 학생들이 때때로 그들이 인정받는 것보다 더 정교한 피드백의 관점을 가질 수 있다는 것을 증명했다. 그러나 효과적인 피드백을 만드는 것에 대한 직원과 학생의 차이에도 불구하고, 피드백 연구자로서 피드백의 목적과 효과성을 고려하는 참여자와 저자의 차이가 가장 극명했다. 학생과 교직원은 코멘트를 '제공'하는 데 있다고 계속 믿고 있었고, 이는 피드백이 개선으로 이어질거라는 (종종 모호한) 생각과 관련된다. 그러나 그러한 믿음은 우리가 양질의 입력(정보 제공)이 어떤 모습인지에 대한 명확한 감각을 가지고 있다는 생각을 지나치게 강조한다. 대신, 우리는 피드백이 [학생들이 그들의 일에 대한 정보로 무엇을 하는지], 그리고 [이것이 그들의 일과 학습 전략에 어떻게 입증 가능한 개선으로 귀결되는지]를 보고 판단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즉, 효과적인 피드백은 효과를 입증할 필요가 있습니다. 그렇게 함으로써 우리는 의견의 형태를 포함한 전체 피드백 시스템을 가장 잘 판단하고 그에 따라 조정할 수 있습니다.

This study has demonstrated that educators and students may hold more sophisticated views of feedback than they are sometimes credited with. But despite the differences between staff and students around what makes for effective feedback, the starkest differences were between the participants and what we the authors, as feedback researchers, regard as the purpose of feedback and what makes it effective. Students and staff continue to believe the purpose of feedback is largely to ‘provide’ comments with (often vague) notions that it leads to improvement. However, such beliefs overemphasise the idea that we have a clear sense of what quality input (provision of information) looks like. Instead, we argue that feedback should be judged by looking at what students do with information about their work, and how this results in demonstrable improvements to their work and learning strategies. In other words, effective feedback needs to demonstrate an effect. In doing so we can best judge, and adapt accordingly, the entire feedback system, including the form of comments.

 


 

Abstract

Since the early 2010s the literature has shifted to view feedback as a process that students do where they make sense of information about work they have done, and use it to improve the quality of their subsequent work. In this view, effective feedback needs to demonstrate effects. However, it is unclear if educators and students share this understanding of feedback. This paper reports a qualitative investigation of what educators and students think the purpose of feedback is, and what they think makes feedback effective. We administered a survey on feedback that was completed by 406 staff and 4514 students from two Australian universities. Inductive thematic analysis was conducted on data from a sample of 323 staff with assessment responsibilities and 400 students. Staff and students largely thought the purpose of feedback was improvement. With respect to what makes feedback effective, staff mostly discussed feedback design matters like timing, modalities and connected tasks. In contrast, students mostly wrote that high-quality feedback comments make feedback effective – especially comments that are usable, detailed, considerate of affect and personalised to the student’s own work. This study may assist researchers, educators and academic developers in refocusing their efforts in improving feedback.

 

전문직 정체형 형성을 촉진하기: 코칭 대 역량(Acad Med, 2020)

Coaching Versus Competency to Facilitate Professional Identity Formation
Adam P. Sawatsky, MD, MS, Brandon M. Huffman, MD, and Frederic W. Hafferty, PhD

 

 

"실패가 선택지에 없다면, 우리는 배움, 창의력, 혁신을 잊을 것이다." -브레네 브라운, 대어링 그레이트: 연약해지기 위한 용기가 우리가 살아가는 방식, 사랑, 부모, 리드1을 변화시키는 방법
“When failure is not an option we can forget about learning, creativity, and innovation.” ―Brené Brown, Daring Greatly: How the Courage to Be Vulnerable Transforms the Way We Live, Love, Parent, and Lead1

 

나는 매치데이에 레지던트 업무실에 들어갔다.* 내년에 주민들이 펠로우십을 어디로 향할지 기대가 컸다. 주민들이 환자 차트를 스캔하고 그날 경과 노트를 끝내자 컴퓨터가 줄지어 있는 병실은 아수라장이었다. 시니어 레지던트 중 한 명의 등을 두드렸어요. 그녀는 돌아서서 쭈뼛쭈뼛한 표정을 지으며 내 혀끝에서 질문을 하지 말라고 눈짓으로 부탁했다. 그날 그녀가 이미 너무도 고통스럽게 대답한 질문이었다. 나는 어쩔 수 없이 돌아서서 걸어갔다. 나는 나중에 그녀가 하위 전문 펠로우쉽에 매칭이 되지 않았다는 것을 알았다.
I entered the resident work room on Match Day.* I was excited to see where the residents were headed for fellowship next year. The room, lined with computers, was abuzz as residents scanned patient charts and finished progress notes for the day. I tapped one of the senior residents on the back. She turned and looked crestfallen, bidding me with her eyes not to ask the question on the tip of my tongue. It was a question that she had painfully answered too many times already that day. I obliged, turned, and walked away. I found out later that she had not matched into a subspecialty fellowship.

나는 레지던트 생활 동안 그녀와 정기적으로 함께 일했었다. 레지던트 연속성 클리닉에서 환자를 소개할 때, 그녀는 정기적으로 질문을 하고, 성장의 기회를 쉽게 인정하며, 진정으로 배움에 참여했습니다. 그녀는 주치의들에게 자신감과 결단력을 발휘하기 위해 그것을 피하기보다는 불확실성을 인정하고 포용하면서 환자들을 위한 사려 깊은 치료 계획을 제시했다. 어느 순간, 그녀는 제 사무실에 들러 환자 치료를 지연시킨 실수를 한 사건에 대해 논의했고, 개선을 위한 피드백을 구하고, 그 상황에서 비롯된 죄책감에 대해 논의했습니다. 시니어 레지던트가 되면서, 그녀는 1학년 레지던트들과 의대생들의 질문에 기꺼이 "모른다"고 대답하고 그들의 질문에 대한 답을 찾는 데 참여했습니다. 이러한 자질들이 의심할 여지 없이 그녀가 훌륭한 의사로 성장하도록 도왔지만, 저는 이러한 자질들을 진실로 보여주는 것이 펠로우 매치에서 그녀에게 상처를 입혔을지도 모른다고 생각하지 않을 수 없었습니다. 나는 그녀가 직업적 정체성의 발전과 그녀의 미래 경력에 실질적인 결과를 가져온 공식적인 평가 시스템 사이에 끼어있는 것을 보았다.

I had worked with her regularly during residency. When presenting patients in resident continuity clinic, she regularly asked questions, readily admitted opportunities for growth, and genuinely engaged in learning. She presented thoughtful treatment plans for her patients while acknowledging and embracing uncertainty, rather than avoiding it in an attempt to exude confidence and decisiveness to her attending physicians. At one point, she stopped into my office to discuss a case where she had made an error that delayed care for a patient, seeking feedback for improvement and discussing the guilt she experienced that resulted from the situation. As she became a senior resident, she was willing to say “I don’t know” to questions from first-year residents and medical students and engage with them in finding the answers to their questions. While these qualities had undoubtedly facilitated her growth into the excellent doctor that she was, I could not help but think that authentically presenting these same qualities may have hurt her in the fellowship match. I saw her as being caught between the development of her professional identity and a formal assessment system that had real consequences for her future career.

우리가 이렇게 접한 많은 이야기들은 의학 교육에서 직업적 정체성 형성의 복잡성에 대해 성찰해 볼 것을 간청했다. 이 관점에서는 의료 교육에서 직업적 정체성 형성의 이상적인 과정, 현재의 의료 교육 환경 내에서 이러한 이상적인 과정을 구현하기 위한 도전, 그리고 앞으로 나아갈 수 있는 잠재적인 단계들에 대해 논의할 것이다.

The many stories we have encountered like this implored us to reflect on the complexities of professional identity formation in medical education. In this Perspective, we will discuss the ideal process of professional identity formation in medical education, the challenge to implementing this ideal process within the current medical education environment, and potential steps forward.

직업적 가치, 행동, 포부를 개발하는 데 초점을 맞춘 직업적 정체성 형성은 의학 교육의 이상적인 목표이다. 자비스-셀링거와 동료들은 의학 교육에서 전문직 정체성 형성에 대한 논의를 "두 가지 수준에서 동시에 일어나는 적응적이고 발달적인 과정"이라고 강조함으로써 틀을 잡았다. 

  • (1) 개인의 수준에서, 그것은 그 사람의 심리적인 발달과 관련이 있다. 
  • (2) 집단적 수준에서, 공동체 활동에 참여하는 적절한 역할과 형태로 개인의 사회화를 수반한다. 

Professional identity formation, with its focus on the development of professional values, actions, and aspirations, is the ideal goal of medical education.2 Jarvis-Selinger and colleagues framed the discussion of professional identity formation in medical education by highlighting that it is “an adaptive, developmental process that happens simultaneously at two levels:

  • (1) at the level of the individual, which involves the psychological development of the person and
  • (2) at the collective level, which involves a socialization of the person into appropriate roles and forms of participation in the community’s work.”3 

크루스(Cruess)와 동료들은 인지 심리학(즉, 개인 정체성 형성의 단계)과 사회학(즉, 위치 학습과 실천 공동체에 대한 벵거의 연구)의 작업을 통합하여, 의사의 직업적 정체성을 형성하는 과정을 위한 모델을 제안했으며, 이에 따르면 기존의 개인적 정체성을 가진 비전문가는, 필요한 지식, 기술, 태도를 의식적으로 그리고 무의식적으로 습득함으로써, 전문직 공동체 내에서의 경험에 참여하고, 그 결과 의사처럼 생각하고, 행동하고, 느끼는 전문직이 된다.

Cruess and colleagues, incorporating work from cognitive psychology (i.e., Kegan’s stages of personal identity formation4) and sociology (i.e., Wenger’s work on situated learning and communities of practice5), have proposed a model for the process of shaping a physician’s professional identity, wherein a layperson with an existing personal identity engages in experiences within the professional community through conscious and unconscious acquisition of the knowledge, skills, and attitudes needed to become a professional who “think[s], act[s], and feel[s] like a physician.”6

Cruess와 동료들은 실천 공동체 이론이 의학교육의 기본 프레임워크가 될 수 있는지를 설명했다. 의학교육은 개인이 합법적인 주변 참여에서 전문직의 온전한 성원full membership으로 전환되는 과정을 상세히 설명하는 전문적 정체성 형성 과정임을 주장했다. 이 틀에서, 직업의 활동에 참여함으로써, 초보자가 받아들여지고 공동체의 일부가 되는 동시에 공동체의 공유된 이상을 떠맡게 된다.

Cruess and colleagues have further advocated that the theory of communities of practice could serve as a foundational framework for medical education, including curricular, instructional, and assessment practices, and the process of professional identity formation that details how an individual would move from legitimate peripheral participation to full membership in the profession.7 In this framework, by engaging in the activities of the profession, a novice is accepted and becomes part of the community, while taking on the shared ideals of community.

의료 교육에 대한 접근법과 직업적 정체성 형성 과정을 실천 공동체 이론에서 구체화하는 것은 학습자에게 시사하는 바가 있다. 예를 들어, 실천하는 공동체의 일원이 되기 위해 학습자들은 먼저 공동체의 활동에 참여하고, 공동체의 일원으로서 자신을 상상하고, 공동체의 가치에 맞춰야 하는 식별이라는 과정에 들어가야 한다. 학습자의 정체성은 실천공동체를 거쳐가면서 형성되며, 이는 종종 학습자의 [개인적 정체성], [전문직업적 정체성], [전문직 공동체] 사이의 긴장을 유발합니다.8 위의 이야기에서 이러한 긴장감은 학습자의 개인적·전문적 성장에 대한 욕구와 학습자의 성장과 발전을 위한 전문가 커뮤니티의 평가 활용, 그리고 다음 단계의 훈련으로 진출할 사람을 선택하는 수단에서 나타났다. 이러한 긴장 때문에, 전문적인 정체성 형성 과정에는 종종 실패의 경험과 강렬한 감정이 수반됩니다.8 

Framing the approach to medical education and the process of professional identity formation in the theory of communities of practice has implications for learners. For example, to become part of a community of practice, learners must first enter into a process called identification, which requires engaging in the activities of the community, imagining themselves as part of the community, and aligning with the values of the community.8 A learner’s identity is shaped as they move through the community of practice, which often generates tensions between the learner’s personal identity, professional identity, and professional community.8 In the story above, this tension was manifested in the learner’s desire for personal and professional growth and the professional community’s use of assessment for learner growth and development and as a means for choosing who to advance to the next level of training. Because of these tensions, the process of professional identity formation will often involve experiences of failure and intense emotions as learners navigate these tensions.8 

그렇다면, 의학 교육에서 전문적인 정체성 형성은 어떻게 함양되어야 하는가? 우리는 [코치]가 의학 교육에서 전문직 정체성 형성을 촉진하는 이상적인 수단을 제공한다고 믿는다. Watling과 LaDonna는 코칭에 대한 질적 연구를 통해 임상 코칭의 핵심 측면을 코치와 학습자가 공유하는 몇 가지 철학으로 개념화했습니다.

  • 인간의 잠재력을 끌어내기unlock 위한 목적을 가지고, 성장과 발전을 향한 상호 지향
  • 성찰을 가치있게 여기고, 성장을 지속하기 위한 지속적 성찰을 육성
  • 실패를 포용하고, 실패를 통한 학습의 가치를 지지

So, how should professional identity formation be fostered in medical education? Coaching, we believe, provides an ideal means for promoting professional identity formation in medical education. Through their qualitative work on coaching, Watling and LaDonna conceptualized the core aspects of clinical coaching as several philosophies that are shared by the coach and the learner:

  1. Mutual orientation toward growth and development, with the purpose of unlocking human potential,
  2. Valuing reflection and nurturing continuous reflection in the learner to maintain growth, and
  3. Embracing failure and endorsing the learning value of failure.10

 

코칭은 학습자가 직업적 정체성 형성에 큰 영향을 미치는 모든 요소인 역할 모델, 멘토, 경험, 성찰과 정기적으로 참여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코칭에는 상호 참여와 파트너십, 개인의 성장에 대한 헌신, 취약성을 수용하고, 학습자에게 "잘 실패"하도록 가르치는 의미가 담겨 있습니다. 이와 같이 코칭은 전문직 정체성 형성에 학습자를 참여시키기에 매우 적합합니다. 학습자는 자신의 개인적 정체성, 직업적 정체성, 직업적 공동체 사이에서 직면하는 긴장을 받아들이고 경험에 참여하고 의사로서 자신에게 필요한 지식, 기술 및 태도를 배우면서 이러한 긴장과 결과적 감정을 임상 코치와 함께 처리할 수 있습니다. 우리는 코칭이 의학 교육에서 전문적인 정체성 형성을 촉진하기 위한 이상적인 환경을 제공한다고 믿지만, 의학 교육에서 코칭을 구현하는 데는 어려움이 있다.

Coaching provides the opportunity for learners to regularly engage with role models, mentors, experiences, and reflection, all factors that have a large impact on professional identity formation.6,11 Coaching carries a connotation of mutual engagement and partnership, of dedication to the growth of an individual, and of embracing vulnerability and teaching the learner to “fail well.”10 As such, it is well suited for engaging learners in professional identity formation. Learners can embrace the tensions that they face between their personal identity, professional identity, and professional community and process these tensions and the resulting emotions with their clinical coaches as they engage with experiences and learn the knowledge, skills, and attitudes that are required of them as a physician. While, we believe, coaching provides an ideal setting to foster professional identity formation in medical education, there are challenges to implementing coaching in medical education.

전문직 정체성 형성을 긍정적으로 촉진하는 환경을 조성하기 위해서는 공동체의 모든 구성원이 다음을 하는 것이 중요하다.

  • 직업의 이상을 명확히 정의하고 
  • 학습자를 환영하는 공동체를 만들고, 
  • 학습자가 완전한 참여로 가는 여정에 참여시키고, 
  • 전문직 정체성 형성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들을 명확하게 다루는 것 

To create an environment that positively fosters professional identity formation, it is crucial that full members of the community

  • clearly define the ideals of the profession,
  • create a welcoming community for learners,
  • engage learners in their journey to full participation, and
  • “explicitly address the major factors influencing professional identity formation.”7 

의료계는 직업적 정체성 형성의 과정을 뒷받침하는 [직업적 이상professional ideals]을 명확히 정의하려고 노력해왔다. 예를 들어, 의료 교육의 원하는 결과는 특히 대학원 의료 교육 인증 위원회(ACGME)와 CanMEDS의 의사 역량 프레임워크에 의해 명시되었다.

The medical community has sought to clearly define the professional ideals that underpin the process of professional identity formation. For example, the desired outcomes of medical education have been specified, most notably by the Accreditation Council for Graduate Medical Education (ACGME)12 and CanMEDS13 physician competency frameworks.

이러한 역량 프레임워크는 의료 교육의 목표를 명시적으로 개괄적으로 설명하고, 전문가가 어떻게 보여야 하는지를 정의하며, 커리큘럼 개발 및 학습자 평가에 대한 지침을 제공한다. 프레임워크가 개략적으로 설명하는 역량은 학습자가 교육을 진행하면서 여러 번 정기적으로 평가하는 강력한 평가 프로그램을 위한 구조를 제공합니다. 예를 들어, ACGME는 거주자와 동료에게 투명한 성과요건을 제공하고, 전공의와 펠로우 평가에 대한 프레임워크를 제공하며, 인증기관과 인증위원회에 대한 보고를 개선하기 위해 이정표 평가를 도입하였다. 

These competency frameworks explicitly outline the goals of medical education, define what a professional should look like, and provide guidelines for curriculum development and learner assessment.14 The competencies the frameworks outline provide a structure for robust programs of assessment with multiple and regular assessments of learners as they progress through their training. For example, the ACGME instituted milestone assessments to provide transparent performance requirements for residents and fellows, provide a framework for resident and fellow assessments, and improve reporting to accrediting bodies and certification boards.15

직접적인 관찰과 공식적인 평가, 수많은 서면 평가와 함께 역량 기반 의료 교육(CBME)을 추진하는 것이 교육생들에게 어떤 영향을 미쳤는가? CBME의 이상은 전문적인 성장을 지원하기 위한 학습자에 대한 정기적인 저부담 평가입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전공의는 모든 관찰을 평가로 보는 경향이 있으며, 자신의 성과에 대한 일부 및 모든 측면이 "공식 평가, [그들의] 영구 기록, 심지어 훈련이나 경력 증진"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의심한다. 이와 같이, 영구적인 서면 평가와 결합할 경우 낮은 평가도 종종 거주자들에게 높은 이해 관계로 인식되어 교수진과의 상호작용을 형성한다.

How has this push for competency-based medical education (CBME), with increased direct observations and formal assessments and numerous written evaluations, affected trainees? The ideal of CBME is regular low-stakes programmatic assessments of learners that support professional growth.16 Nonetheless, residents tend to view all observation as assessment and suspect that any and all aspects of their performance have implications for “formal assessment, [their] permanent record, and even their training or career advancement.”17 As such, even low-stakes assessments, if coupled with permanent written evaluations, are often perceived by residents as high stakes and thus shape their interactions with faculty members.

실천 공동체의 렌즈는 의료계에 사회화 과정의 개요를 제공하지만, 이 난제를 설명하는 것은 불충분하다. 그 대신에, 공식적인 평가가 직업적 정체성 형성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 탐구하기 위한 더 확실한 렌즈를 제공할 수 있는 다른 이론들이 있다. Goffman은 그의 작품인 "일상생활에서의 자아 표현"에서 인상관리 이론을 제시한다. 여기에 따르면, [한 사람이 타인의 존재presence로 들어갈 때, 상황과 자신에게 기대되는 것을 이해하려 한 뒤, 그 정보를 그 상황 내의 다른 사람들로부터 특정한 반응을 얻을 수 있는 방식으로 행동하기 위해 사용]한다. 또한 [개인이 염두에 두고 있는 특정 목표나 그 목표를 갖게 된 동기에 상관없이, 다른 사람들의 행동, 특히 그에 대한 그들의 반응적인 대우responseive treatment를 통제하는 것이 더 이익에 부합할 것]이라고 썼다

While the communities of practice lens provides an overview of the process of socialization into the medical profession, it is inadequate to explain this conundrum. Alternatively, there are other theories that can provide a more telling lens for exploring how formal assessment influences professional identity formation. Goffman, in his work, The Presentation of Self in Everyday Life, presents his theory of impression management, which holds that when people enter into the presence of others, they seek to understand the situation and what is expected of them and use that information to act in a manner that will get certain responses from the other people within the situation.18 He writes that “regardless of the particular objective which the individual has in mind and of his motive for having this objective, it will be in his interests to control the conduct of the others, especially their responsive treatment of him.”18 

이러한 관점에서 [공식적인 평가]는 두 개의 팀(즉 수행자로서의 학습자 vs 그 수행에 대한 청중으로서의 교수진)으로 구성됩니다. 의학 교육에서 이러한 성과를 보여주는 몇 가지 예가 있다. 많은 과에서 전공의들은 관찰이 등급화되고 그 등급이 그들의 경력 발전에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생각했기 때문에 관찰할 때 정기적으로 [공연staged a performance]을 했다. 외과 수련에서 레지던트들은 종종 그들의 주치의들을 위해 자신감과 결단력을 보여주기 위해 공연을 한다. 인상을 관리함으로써, 전공의들은 긍정적인 평판을 쌓고, 상사의 평가를 형성하고, 더 많은 배움의 기회를 얻기를 희망할 수 있다. 레지던트들은 또한 인상 관리를 잘 하지 못하면, 자신의 교육과 웰빙이 저해받고, 궁극적으로 환자 치료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것을 인식한다.19 우리의 경험에 따르면 레지던트들은 종종 그들의 진료에서 더 큰 자율성을 얻기 위한 자신감 있는 척 연기를 한다.

From this perspective, formal assessment sets up 2 teams—the learner as a performer and the faculty member as an audience to the learner’s performance.18 There are several examples of this performance in medical education. Residents across specialties at one institution regularly staged a performance when observed because that observation was graded and they thought that grade would have consequences for their career advancement.17 In surgical training, residents often put on a performance for their attending physicians, attempting to display confidence and decisiveness.19 By managing impressions, residents may hope to build a positive reputation, shape their supervisor’s evaluations, and attain more learning opportunities; residents may also recognize that impression management hinders their education and wellness, and ultimately may impact patient care.19 In our experience, based on our work in internal medicine, residents often stage a performance to portray confidence to gain greater autonomy in their practice.

또한, 고프만은 공연이 이뤄지는 프론트스테이지를 설명한다. 프론트 스테이지에서는 "활동의 일부 측면이 표현적으로 강조되고 육성된 인상을 훼손할 수 있는 다른 측면은 억압됩니다." 따라서 "억압된 사실들이 등장하는" 백스테이지도 있다. 백스테이지(Backstage)는 학습자가 자신의 프론트스테이지 공연을 연습하는 공간으로서, 불확실성이 자주 드러나고, 프론트스테이지 공연에서는 보여지지 않는 공간이다. 프론트 스테이지 공연의 예로는 레지던트가 주치의에게 라운드 방식으로 정식으로 사례발표를 하고, 백스테이지에서는 레지던트가 선배 레지던트와 사례발표를 통해 사건의 세부내용을 해결하는 것이다.

Further, Goffman describes the frontstage where the performance occurs; in the front stage, “some aspects of the activity are expressively accentuated and other aspects, which might discredit the fostered impression, are suppressed.”18 There is also the backstage “where the suppressed facts make an appearance.”18 The backstage is where learners can work out their frontstage performances; it is a place where their uncertainty is often manifested and can remain hidden from the frontstage performance. An example of a frontstage performance is a resident’s formal case presentation to the attending on rounds, while in the backstage, the resident had talked though the case with a senior resident to work out the details of the case.

이러한 이론적 틀을 고려할 때, 의료 교육자는 환자가 사례를 제시하고 상사와 임상 결정을 논의할 때 공식적인 평가가 레지던트의 전면 단계 성과를 어떻게 형성할 수 있는지 확인할 수 있다. 공식 평가의 보편적 특성, 역량의 명시적 목표, 서면 평가의 인지도가 높은 특성 때문에, 교수 앞에서 레지던트 수행의 목표는 종종 모든 평가 영역에서 역량을 보여주고 평가 점수를 낮출 수 있는 약점을 숨기는 것이다. 따라서 현재의 CBME 중심의 의료 교육 환경에서 [실천공동체의 게이트키퍼]는 무의식적으로 학습자가 인지한 약점을 숨기도록 동기를 부여할 수 있는 시스템을 구축하여, 결국 개인적, 직업적 정체성 형성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게 된다. 이 시스템에서 역량은 더 이상 훈련의 최종 목표로 여겨지지 않는다.
Given this theoretical framing, medical educators can see how formal assessment may shape the frontstage performance of residents when they present cases and discuss clinical decisions with their supervisors. Because of the ubiquitous nature of formal assessment, the stated goal of competence, and the perceived high-stakes nature of written evaluations, the goal of residents’ performances in front of faculty members is often to portray competence in all assessment domains and hide any weakness that might get them a lower evaluation score. Therefore, within the current CBME-driven medical education environment, community of practice gatekeepers unwittingly set up a system that may incentivize learners to hide their perceived weaknesses, negatively affecting their personal and professional identity formation, a system in which competency is no longer seen as the end goal of training but is the perceived goal of every observation encounter.

그렇다면 이것이 의학 교육계를 어떻게 만들까요? 학습 평가와 CBME 내 학습 평가 사이의 상계 긴장 속에서 의료 교육자들은 "전문적 가치, 행동 및 포부의 개발인 전문직 정체성 형성이 의료 교육의 주요 초점이 되어야 한다"고 진정으로 믿고 있는가? 만약 그렇다면, 의학 교육은 현재의 평가 모델을 전문적인 정체성 형성을 지원하는 모델로 어떻게 바꿀 수 있을까?
So where does this leave the medical education community? Within the countervailing tensions between assessment of learning and assessment for learning within CBME, do medical educators truly believe that “professional identity formation—the development of professional values, actions, and aspirations—should be a major focus of medical education”?2 If so, then how can medical education shift the current assessment model to one that supports professional identity formation?

[코칭 프레임워크]는

  • 학습자가 성장 기회가 있다고 느끼는 영역을 공개하고 해당 영역에 대한 피드백을 받을 수 있도록 합니다.
  • 이 모델에서 인상 관리는 기능 장애dysfunctional로 간주된다.
  • 코칭 모델은 취약성과 진정성을 지원하여, 학습자가 자신의 약점을 성장의 기회로 드러내도록 유도합니다. 
  • 코칭 모델 내 평가의 목표는 학습자와 코치가 진행 상황을 추적하고 코치가 성장에 대한 피드백을 제공하는 것입니다. 


The coaching framework

  • makes it acceptable for learners to reveal areas where they feel there is opportunity for growth and receive feedback on those areas.
  • Under this model, impression management is viewed as dysfunctional.
  • The coaching model supports vulnerability and authenticity, encouraging the learner to reveal their weaknesses as opportunities for growth.
  • The goal of assessment within a coaching model is for the learner and coach to track progress and for the coach to provide feedback for growth.

그럼에도 불구하고, 현재의 문화가 취약성에 편치 않고 전문적인 성장을 위한 코칭과 성과 평가를 위한 감독 사이의 경계가 정기적으로 모호하다는 점을 고려할 때, 코칭 모델을 뒷받침하는 철학은 의료계의 현재 커뮤니티 내에서 특히 실현하기 어려울 수 있다. 그리하여, 관찰의 목적을 코칭으로 보는 경우가 드물기 때문에 전공의들은 일상적으로 '관찰자의 비위를 맞추기' 위해 행동한다. 교육자들이 의료 교육에서 코칭을 수용하려면 문화 변화가 필요한데, 그 중에서도 의료 교육이 어떻게 공식적인 역량 평가를 구조화하는지 다룰 필요가 있을 것이다.

Nonetheless, the philosophies that underpin a coaching model may be particularly difficult to realize within medicine’s current community of practice, given that the current culture is not comfortable with vulnerability and that the lines between coaching for professional growth and supervision for assessment of performance are regularly blurred.10 As a consequence, residents routinely act to “please the observer” because they rarely see the purpose of observation as coaching.17 If educators are to embrace coaching in medical education, there needs to be a culture change, which, among other things, will need to address how medical education structures formal assessment of competency.

CBME는 의료 교육에 대한 명확한 결과를 제공했으며, 역량 평가는 훈련 프로그램이 졸업하는 의사가 의료 행위를 수행하는 데 필요한 역량을 가지고 있음을 인증 기관과 사회에 증명할 수 있도록 한다. 공식적인 평가의 이러한 기능은 대체될 수 없지만, 교육자들은 공식적 평가가 전문직 정체성 형성에 미치는 부정적인 영향을 최소화할 필요가 있다. 교육자들은 또한 훈련 초기에 핵심 역량과 성과에 집중하는 것이 타당할 수 있지만, 훈련을 통해 훈련자가 발전함에 따라 "역량은 점진적으로 '전인적 의사 정체성'을 향하여 통합된다"는 것을 깨달아야 한다.
CBME has provided clear outcomes for medical education, and competency assessment allows training programs to prove to accrediting bodies and society at large that the physicians being graduated have the necessary competencies to practice medicine. While this function of formal assessment cannot be replaced, educators need to minimize the negative impact that it has on professional identity formation. Educators also need to realize that focusing on core competencies and performance early in training may make sense, but as a trainee progresses through training, there is “a gradual integration of competencies into a more holistic identity as a physician.”3

위의 내용을 고려할 때, 의학 교육은 현재의 평가 모델을 전문적인 정체성 형성을 촉진하기 위한 모델로서 코칭을 지원하는 평가 모델로 어떻게 전환합니까? 코칭은 전문직 정체성 형성에 매우 적합하기 때문에, 교육자들은 코칭 관계를 구축할 수 있는 공간을 CBME 내에 마련해야 합니다. 교육자가 의료교육에서 코칭을 현실화하려면 코칭을 의료교육에 통합할 때 다음 질문을 고려해야 한다.
Given the above, how does medical education shift the current assessment model to one that supports coaching as a model for facilitating professional identity formation? As coaching is well suited for professional identity formation, educators need to make space within CBME for building coaching relationships. If educators want to make coaching a reality in medical education, they need to consider the following questions when integrating coaching into medical education:

  • 의학 교육은 어떻게 형성적 평가와 피드백을 공식적인 평가 과정으로부터 분리하며, 이로서 전문적인 정체성 형성을 위한 코칭을 위한 공간을 어떻게 제공합니까?
  • 레지던트 훈련 프로그램을 졸업하는 의사들이 역량이 있음을 보증하기 위해 실제로 얼마나 많은 공식적인 평가가 필요한가?
  • 예를 들어, 공식 평가의 목적이 개인의 역량에 대한 평가에서 모든 역량을 의학의 실천에 통합하는 전체론적 정체성의 코칭으로 어떻게 이동할 수 있는가?
  1. How does medical education separate formative assessment and feedback from the formal assessment process, therefore, allowing space for coaching for professional identity formation?
  2. How much formal assessment is actually necessary to ensure that the physicians graduating from residency training programs are competent?
  3. How might formal assessment look different across the continuum of medical education; for example, how might the purpose of formal assessment move from the assessment of individual competencies to the coaching of a holistic identity that integrates all the competencies into the practice of medicine?

 

마지막으로, 이러한 질문들은 제외하고 의료 교육이 실천 공동체로서 다루어야 할 더 큰 문제도 있다. 의학 교육자들은 [약점을 드러내는 것]과 [성장의 기회]가 의사의 사회화 과정 중 어디에 적합한지를 결정할 필요가 있다.

  • 교육자들은 취약점이 학습자의 지역사회 수용과 미래의 훈련 및 직업에 대한 권력을 쥐고 있는 교수진으로부터 숨겨져 직업적 정체성 형성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백스테이지로 계속 제한되기를 원합니까?
  • 아니면, 교육자들은 취약점을 프런트 스테이지 성과에 도입하여 전문직업적 이상ideal의 일부로 받아들이고, 교육생들의 전체적인 직업적 정체성의 성장과 발전을 허용하기를 원합니까?

Lastly, apart from these questions is the larger question that medical education needs to address as a community of practice. Medical educators need to decide where the demonstration of weaknesses and opportunities for growth fit into the process of socializing physicians.

  • Do educators want vulnerability to continue to be limited to the backstage, hidden from faculty members who hold power over learners’ acceptance into the community and their future training and jobs, and, therefore, negatively impacting professional identity formation?
  • Alternatively, do educators want to bring vulnerability into the frontstage performance, accepting it as part of the ideal of the profession, and allow it to shape the growth and development of a holistic professional identity in trainees?

의료교육에 코칭에 참여하기 위해서 교육자는 두 가지 중 하나를 선택해야 한다. 하나는 '기대'를 전환함으로써 전공의들이 안전하게 프론트 스테이지 공연의 일환으로 약점을 드러낼 수 있도록 하는 것이고, 다른 하나는 전공의에게 약점을 드러내고 성장에 대한 피드백을 구할 수 있는 적절한 백스테이지 공간을 제공하는 것이다. 의학 교육자는 지적이고 감정적인 솔직함을 통해 취약성을 모델링할 수 있으며, 취약성에 대한 공간, 공개 토론, 코칭, 궁극적으로는 이상에 가장 가까운 직업적 정체성 형성을 허용하는 학습 환경을 조성합니다. 이런 유형의 학습환경은 역량의 성과를 내세우고 약점을 숨기는 것이 아니라 전공의들이 자신의 진정한 모습을 그려내고 코칭을 통해 형성적 피드백을 받으며 자신의 경험에 터놓고 참여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할 것이다.

To engage with coaching in medical education, educators either need to shift expectations and allow residents to safely reveal weakness as part of their frontstage performance or provide residents with adequate backstage space to reveal their weaknesses and seek feedback for growth. Medical educators can role model vulnerability through intellectual20 and emotional21 candor, creating a learning environment that allows space for vulnerability, open discussion, coaching, and, ultimately, the professional identity formation that is closest to the ideal. This type of learning environment would provide space where residents can engage with their experiences openly, portraying their authentic self and receiving formative feedback through coaching, instead of putting on a performance of competence and hiding their weaknesses.

펠로우십 매치의 날에 만난 레지던트로 돌아와 보니 누군가가 공식적인 평가의 현실에 사로잡혀 있었고, 결국 그녀가 원하는 실천 공동체로부터 불이익을 받는 것을 보았다. 그녀는 코치로서 교수진에게 접근했지만 안타깝게도 코치와 어울리지 않는 평가 모델에 묶여 있었다. 저는 그녀가 취약성을 배움과 성장의 기회로 받아들이기 때문에 궁극적으로 잘 해낼 것이라고 믿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현재의 역량 위주의 형식평가제도가 어떻게 지금의 학습환경에서 자신의 약점을 포용할 용기가 있는 학습자뿐만 아니라 자신의 약점을 숨기기로 선택한 학습자들에게 계속 불이익을 줄지 걱정이다.

Returning to the resident I ran into that fellowship Match Day, I saw someone caught up in the realities of formal assessment and ultimately disadvantaged by her desired community of practice because she embraced vulnerability. She approached her faculty members as coaches but was unfortunately tied to an assessment model that was incongruous with coaching. I believe that she ultimately will do well because she embraces vulnerability as an opportunity for learning and growth. Nonetheless, I worry about how the current competency-based formal assessment system may continue to disadvantage learners like her who have the courage to embrace their weaknesses in the current learning environment as well as those learners who choose to hide their weaknesses from those that could help them grow.


 

Acad Med. 2020 Oct;95(10):1511-1514.

 doi: 10.1097/ACM.0000000000003144.

Coaching Versus Competency to Facilitate Professional Identity Formation

Affiliations collapse

Affiliations

1A.P. Sawatsky is assistant professor of medicine, Division of General Internal Medicine, Mayo Clinic, Rochester, Minnesota; ORCID: http://orcid.org/0000-0003-4050-7984.

2B.M. Huffman was associate consultant, Division of Hospital Internal Medicine, Mayo Clinic, Rochester, Minnesota, at the time of writing. He is now chief resident, Department of Medicine, Mayo Clinic, Rochester, Minnesota.

3F.W. Hafferty is professor of medical education, Program in Professionalism and Values, Mayo Clinic, Rochester, Minnesota.

PMID: 31895702

DOI: 10.1097/ACM.0000000000003144

Abstract

Professional identity formation, with its focus on the development of professional values, actions, and aspirations, is the ideal goal of medical education. Medicine is a community of practice, and medical education is a socialization process by which novice trainees become full community members. The authors believe coaching provides an ideal means for promoting this socialization process to develop a learner's identity as they engage in the community. Coaching involves an orientation toward growth and development, valuing reflection and nurturing continuous reflection, and embracing failure as an opportunity for learning. However, there are challenges to implementing coaching in medical education. Competency-based medical education has provided clear outcomes (competencies) for medical education and programs of assessment around these competencies. Yet, there is a tension in medical training between professional identity formation (the process of socialization into the profession) and the formal assessment process. The ideal of multiple low-stakes assessments and written evaluations, intended as formative assessments, are perceived by residents as high-stakes evaluations with significant consequences for their future. The authors present a resident story that highlights this tension. They outline Goffman's theory of impression management, postulating that medicine's assessment system encourages residents to stage a performance for evaluators that displays their competence and conceals their perceived weaknesses. This performance hinders coaching and the formation of an appropriate professional identity. Coaching, the authors believe, provides a model that aligns assessment and professional identity formation. Given the challenges to implementing coaching in medical education, the authors propose several questions to contemplate when integrating coaching into medical education to facilitate the goal of professional identity formation.

 

피드백과 코칭(Eur J Pediatr, 2022)

Feedback and coaching
Adelle Atkinson1 & Christopher J. Watling2 & Paul L. P. Brand3,4,5

 

 

임상교육 시나리오
Clinical teaching scenario

소아과 레지던트 1년차 제니스(Janice)를 지도하고 있다. 제니스는 11개월 영아에 대한 평가를 방금 마쳤습니다. 잠재적인 총운동 발달 지연에 대한 우려로요. 만남이 끝난 후, 재니스는 잠시 시간을 내어 정리하고 당신에게 사건을 발표합니다. 독자 분이 첫 번째로 알아차린 것은, 그녀의 사례 발표가 총운동 발달에 초점을 맞추고 있지만, 그녀는 부모에게 아기의 다른 중요한 발달 영역의 이정표에 대해 물어보지 않았고, 그것들은 검사의 일부로 포함되지 않았다는 것입니다. 당신은 제니스에 대한 이전 경험이 없습니다. 당신은 제니스와 이 환자에 대한 그녀의 평가에 대해 어떻게 피드백 대화를 나눌 건가요?
You are supervising Janice, a 1st year pediatric resident, who has just completed her evaluation of an 11-month old infant referred for concerns about potential gross motor developmental delay. After the encounter, Janice takes a moment to organize herself and then presents the case to you. The first thing you notice is that while her case presentation does focus on gross motor development, she did not ask the parents about milestones in the infant’s other important developmental domains and they were not included as part of her examination. You have no previous experience with Janice. How do you approach the feedback conversation which you are going to have with Janice about her evaluation of this patient?

정의들
Definitions

피드백과 코칭은 임상 학습을 가속화할 수 있다. 이들의 잠재력이 실현되기 위해서는 우리가 무엇을 왜 하고 있는지에 대해 명확히 해야 합니다(표 1).

  • 전통적으로 피드백은 [학습자가 원하는 기준과 실제 성과를 비교하고, 그 차이를 개선하기 위한 조치를 취할 수 있는 정보]로 정의되어 왔다[1, 2].
  • 피드백에 대한 보다 최근의 정의는 [피드백의 근본적으로 사회적인 성격을 강조]하고자, "학습자(및 교육자의)의 성장 지원, 행동 또는 존재being에 관한 사고방식에 도전할 목적으로, 안전하고 상호 존중되는 관계의 맥락에서, 역동적이며 공동-구성적인 상호작용"으로 규정한다. [3].

이 미묘한 정의는 피드백을 단순한 거래가 아닌 대화로 생각하도록 장려합니다.
Used thoughtfully and with intent, feedback and coaching can accelerate clinical learning. For their potential to be realized, we need to be clear about what we are doing and why (Table 1).

  • Traditionally, feedback has been defined as information that allows learners to compare their actual performance with that of a standard to which they aspire, and that enables them to take action to remedy the gap between the two [12].
  • More recent definitions of feedback highlight its fundamentally social nature, framing it as a “dynamic and co-constructive interaction in the context of a safe and mutually respectful relationship for the purpose of challenging a learner’s (and educator’s) ways of thinking, acting or being to support growth” [3].

This more nuanced definition encourages us to think of feedback as a conversation and not a simple transaction.


표 1 피드백, 코칭 및 평가에 대한 정의
Table 1 Definitions of feedback, coaching, and assessment

피드백:
- 내용: 학습자가 자신의 실제 성과를 자신이 열망하는 기준과 비교할 수 있는 정보이며, 이를 통해 학습자는 이 차이를 개선하기 위한 조치를 취할 수 있습니다.
- 관계(Relations): 안전하고 상호 존중되는 관계의 맥락에서 이뤄지는, 역동적이고 공동구성적 상호작용으로, 학습자(또는 교수자)의 사고, 행동, 존재 방식에 도전challenge하려는 목적이 있다.

Feedback:
- Content: information allowing learners to compare their actual performance with that of a standard to which they aspire, and that enables them to take action to remedy the gap between the two.
- Relationship: dynamic and co-constructive interaction in the context of a safe andmutually respectful relationship for the purpose of challenging a learner’s (and educator’s) ways of thinking, acting, or being to support growth.

코칭: 학습, 성과향상, 개인적 또는 전문적 성장을 강조하여 학습자가 잠재력을 실현할 수 있도록 돕는 교육철학입니다.
- 일상적 코칭: 학습자와 감독자 간의 일상적인 코칭 상호작용이 학습자의 성과 향상으로 이어짐 
- 지속적 코칭: 학습자와 멘토 간의 종적 관계, 학습자의 성과에 대한 성찰 및 새로운 학습 목표 수립 촉진
Coaching: An educational philosophy dedicated to helping learners to realize their potential, emphasizing learning, performance improvement, and personal or professional growth.
- Coaching in the moment: daily coaching interactions between learner and supervisor leading to the learner’s performance improvement 
- Coaching over time: longitudinal relationship between a learner and a mentor, promoting the learner’s reflection on their performance and formulation of new learning objectives

평가: 학습자 성과에 대한 평가
- 학습을 위한 평가: 학습자가 지식과 스킬을 미세 조정하는 데 도움이 되는 대화를 유도하기 위한 평가의 형성적 활용
- 학습의 평가: 학습자의 성과를 표준과 비교하여 종합 판단

Assessment: A judgment of the quality of a learner’s performance
- Assessment for learning: formative use of assessment to fuel conversations that help learners to fine-tune knowledge and skills
- Assessment of learning: summative judgment of a learner’s performance compared against a standard

성장 마인드: 암묵적인 마음가짐이 두 극단과 함께 연속체를 따라 위치한다고 제안하는 동기 이론. 연속체의 한쪽 끝에는 지성과 능력이 정적이라고 믿는 고정된 사고방식을 가진 사람들이 있고, 이들에게 재능은 타고난 것이다. 성장형 마음가짐을 가진 사람들은 이러한 특성들이 유연하고 노력이 성공을 이끌 수 있다고 믿는다. 개인으로서, 우리의 사고방식은 나이와 맥락을 포함한 여러 요소에 따라 연속체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33]. 

Growth mindset: A motivation theory proposing that implicit mindsets are situated along a continuum with two extremes. At one end of the continuum are individuals with a fixed mindset who believe intelligence and ability are static, and talent is something you are born with. Individuals with a growth mindset believe these traits are malleable and effort can lead to success. As individuals, our mindset can vary along the continuum depending on a number of factors including age and context [33]. 


코칭과 피드백은 서로 얽혀있기 때문에 서로 어떤 관계가 있는지 고려하는 것이 유용하다.

  • [피드백]이 교육 도구인 반면,
  • [코칭]은 학습자가 잠재력을 실현할 수 있도록 돕는 데 전념하는 교육 철학입니다(상자 1)[4].

코칭은 학습, 성과 향상, 개인적 또는 전문적 성장을 강조합니다[5]. 코치는 피드백을 이 업trade의 필수적인 도구로 사용하지만, 코치의 '업'이란 직접적 관찰, 목표 설정, 성찰 습관 등 다른 여러 요소들을 포함한다. 의학 교육에서 코치와 학습자 사이의 관계는 본질적으로 위계적이어서 학습자가 의심이나 우려를 드러낼 수 있는 잠재적인 장벽이 된다. 이 위계를 줄이는 것은 쉬운 일이 아닙니다. 신뢰를 기반으로 한 종적 코칭-학습자 관계는 유의미한 성과 개선에 필요한 취약성이 학습자에게 더 안전하다고 느껴지도록 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4].
Coaching and feedback intertwine, so it is useful to consider how they relate to one another. While feedback is an educational tool, coaching is an educational philosophy dedicated to helping learners to realize their potential (box 1) [4]. Coaching emphasizes learning, performance improvement, and personal or professional growth [5]. Coaches use feedback as an essential tool of the trade, but their work encompasses a number of other elements, including direct observation, targeted goal-setting, and habits of reflection. In medical education, the relationships between coaches and learners are inherently hierarchical, which is a potential barrier for learners to show doubts or concerns. Reducing this hierarchy is no easy feat. Longitudinal coach-learner relationships built on trust can help to ensure that the vulnerability required for meaningful performance improvements feels safer for learners [4].

피드백? 판단?
Feedback or judgment?

평가는 때때로 코칭의 적으로 여겨지기도 하지만, 실제로 필수적인 파트너입니다. 평가란 학습자의 수행의 질을 판단하는 것이다(표 1). 학습자의 장점과 단점에 대한 건전한 이해는 건설적인 피드백과 효과적인 코칭 모두에 필요한 기초입니다. 그러나 피드백과 코칭에 참여할 때 평가의 의도를 명확하게 파악해야 합니다. 평가는 교육생이 스킬(피드백 및 코칭)을 미세 조정하는 데 도움이 되는 대화를 촉진하기 위해 형성적으로 사용될 수 있지만, 평가는 또한 교육생을 표준과 비교하는 더 중요한 판단을 하기 위해 총괄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7]. 사회는 의료 교육계가 이러한 최소한의 기준을 달성하지 못한 교육생이 의료 개업의 면허를 취득하지 못하도록 보장하기를 기대하기 때문에 교육생을 미래의 의사 성과에 대한 최소 허용 수준과 비교하는 것이 중요하다[8, 9]. 학습 기간 종료 시 이 공식적인 고위험 판단("학습의 평가")은 이 시리즈의 별도 논문에서 다루어질 것이다. 이번 기사에서는 교육생들이 주니어 의사로서 지식과 기술, 역량 향상을 위해 임상감독관이 피드백과 코칭을 어떻게 제공할 수 있는지('학습을 위한 평가') 중점적으로 살펴본다. 이러한 구별의 중요성은 25년 이상 인식되어 왔지만[10년] 피드백과 합산 판단의 혼합은 여전히 일반적이다[11년]. 이는 피드백의 유용성과 효과를 감소시키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습니다 [12, 13].

Assessment has sometimes been positioned as the enemy of coaching [6], but in fact is an essential partner. To assess is to judge the quality of a learner’s performance (Table 1). A sound understanding of a learner’s strengths and weaknesses is a necessary foundation for both constructive feedback and effective coaching. But we must remain clear-eyed about the intent of our assessment when engaging in feedback and coaching. While assessment may be used formatively to fuel conversations that help trainees fine-tune skills (feedback and coaching), assessment may also be used summatively, to make more consequential judgments that compare trainees against a standard [7]. Comparing trainees against the minimally acceptable level for future doctor performance is important because society expects the medical education community to ensure that trainees who fail to attain these minimal standards are not allowed to obtain a license to practice medicine [8, 9]. This formal high-stakes judgment at the end of a learning period (“assessment of learning”) will be addressed in a separate paper in this series. In the present article, we will focus on how clinical supervisors can provide feedback and coaching to help trainees improve their knowledge, skills, and competence as a junior doctor (“assessment for learning”). Although the importance of making this distinction has been recognized for over 25 years [10], mixing up feedback and summative judgments remains common [11]. This is undesirable because it reduces the usefulness and effectiveness of feedback [12, 13].


https://link.springer.com/journal/431/topicalCollection/AC_e314ed3eec7624b8b754c8cc17194a18


효과적인 피드백 조건
Conditions for effective feedback

피드백이 매우 효과적일 수 있다는 좋은 증거가 있다[14,15,16]. 의료 교육의 모든 단계에서 학습자가 환자와의 만남에서 경험적 학습 기회를 최대한 활용할 수 있도록 지도자의 피드백을 받는다. 학습자는 건설적인 피드백을 바탕으로 행동을 일관되게 변화시킬 의지와 능력이 있으며, 이를 통해 감독 없이 독립적으로 실습할 수 있습니다[17]. 그러나 피드백은 특정 조건 (표 2)을 충족하는 경우에만 유효할 것으로 예상할 수 있습니다 [16, 18, 19].
There is good evidence that feedback can be highly effective [14,15,16]. Feedback from their supervisors helps learners at all stages of medical education to make the most of the experiential learning opportunities in encounters with patients. Learners are willing and able to change their behavior consistently based on constructive feedback, and this helps them to work towards practicing independently, without supervision [17]. However, feedback can only be expected to be effective if it meets certain conditions (Table 2) [16, 18, 19].

 

피드백은 코칭의 주요 기술적 요소이며, 구체적인 학습 상황에 대한 목적적인 성찰을 위한 순간적 도구momentary tool입니다.

  • 피드백은 학습자가 수행한 과제를 목표로, 건설적이고 실행 가능한 방식으로 전달된다면 학습자의 행동 변화에 가장 큰 도움이 될 것입니다. 
  • 피드백은 소문이나 간접 정보가 아닌 관찰된 행동에 관한 것이어야 한다[20]. 
  • 학습자는 신뢰할 수 있는 출처에서 피드백이 오는 경우 피드백을 더 잘 수용합니다[14]. 
  • [감독자로부터 학습자에게 일방적인 정보 전달] 대신 [학습자와 감독자 사이의 대화]로 피드백을 제시하는 것은 인간 관계의 사회적, 정서적 복잡성을 인정하고, 제공된 피드백을 수용하고 이에 따라 행동학 만든다[21]. 
  • 관찰된 작업의 핵심 지점 1~3개로 피드백 양을 제한하는 방법도 중요하다.

Feedback is the main technical component of coaching, a momentary tool for purposeful reflection on a concrete learning situation.

  • Feedback is most likely to help learners change their behavior if it is delivered in a constructive and actionable fashion, aimed at the task that the learner has performed.
  • Feedback should be about observed behaviors, not about rumors or indirect information [20].
  • Learners are more receptive to feedback if it comes from a source that they perceive as credible [14].
  • Presenting feedback in a dialogue between learner and supervisor instead of a one-way transfer of information from supervisor to learner acknowledges the social and emotional intricacies of human relationships, which also supports acceptance of the feedback provided, and acting upon it [21].
  • This is also supported by limiting the amount of feedback to one to three key points of the observed task.

효과적인 피드백과 비효과적인 피드백의 핵심적인 차이는 그 목적에 있다. 

  • 의과대학생과 레지던트는 피드백이 성과에 대한 총괄적 판단으로 제시되거나 인식되는 경우 피드백을 덜 수용한다[13]. 그들은 단지 시험을 통과하고 잘했다고 확신하기를 원하며, 이러한 고부담 평가와 관련된 피드백을 무시하거나 폐기하는 경향이 있다[22, 23]. 직장 기반 평가를 고득점 시험으로 인식하는 전공의들은 긍정적인 피드백만을 추구하는 "게임play the game" 경향이 있다(즉, 자신이 잘했다고 생각하는 과제나 절차에 대한 피드백만 요청). [22, 24] 전공의는 유능해보이는 이미지로 보이려고 이 전략 및 기타 인상 관리 전략을 사용할 수 있다[24, 25].
  • 반대로, 의대생과 레지던트들가 피드백을 저부담의 학습 기회로 여길 경우 피드백에 상당히 더 수용적이다. 특히, 임상 기술 향상을 목표로 시간이 지남에 따라 반복적인 코칭으로 구성될 경우, 숙련되고 헌신적인 감독자의 건설적인 피드백이 학습자에게 받아들여지고 특히 작업 관계에서 발전한 관계 배경에 반하여 행동할 가능성이 높다[26].

The key distinction between effective and ineffective feedback lies in its aim. Medical students and residents are less receptive to feedback if it is presented or perceived as a summative judgment of their performance [13].

  • They just want to pass the test and be reassured that they did a good job, and tend to ignore or discard the feedback associated with these high-stakes assessments [2223]. Residents who perceive workplace-based assessments as high-stakes exams tend to “play the game” of seeking only positive feedback (i.e., only ask for feedback on a task or procedure they think they did well) [2224]. Residents may employ this and other impression management strategies to portray an image of competence [2425].
  • Conversely, medical students and residents are considerably more receptive to feedback when it is presented as a low-stakes learning opportunity. Particularly, when it is framed as repeated coaching over time aimed at improving clinical skills, constructive feedback from skilled and dedicated supervisors is likely to be accepted by the learners and acted upon, especially against the background of established rapport that evolves from the working relationship [26].

이는 운전 교습 및 운전면허 시험과 같습니다. 사람들은 운전 교습 중에는 피드백을 수용하지만(학습 모드에 있음) 시험에 합격하고 운전면허(시험 모드)를 따려는 경우에는 그렇지 않습니다[13]. 당신의 의대생과 레지던트들이 당신의 의견을 받아들여 행동하기를 원한다면, 피드백은, 학습자를 판단하는 것이 아니라, 당신이 그곳에 도움을 주기 위해 있으며, 저부담의 학습 기회로 제시하라. 이를 위해 관리자는 시간과 노력을 들여 코칭 세션의 목적에 동의하고, 학습자를 관찰하며, 학습자의 성찰을 장려하고, 피드백을 논의해야 합니다. 이는 상호 신뢰와 존중을 기반으로 한 발전하는 건설적인 업무 관계로 인해 보다 쉽고 시간이 적게 소요됩니다.
It is like driving lessons and driving tests: people are receptive to feedback during driving lessons (they are in learning mode) but not during the high-stakes driving test when they just want to pass the test and get their driver’s license (exam mode) [13]. If you want your medical students and residents to accept and act upon your feedback, present it as a low-stakes learning opportunity in which you are there to support and help, not judge, the learner. This requires the supervisor to take the time and the effort to agree on the aim of the coaching session, to observe the learner, encourage reflection by the learner, and discuss the feedback. This becomes easier and less time-consuming with an evolving constructive working relationship built on mutual trust and respect.

직무 기반 코칭에서 피드백 활용
Using feedback in workplace-based coaching

저부담의 환경에서 형성적 피드백과 코칭의 개념(그리고 학습자 성장과 발달에 효과가 있다는 증거)은 역량 기반 의료 교육(CBME)의 개념[27]의 핵심이다. CBME의 맥락에서 직장 기반 평가는 (가급적이면 직접적인) 실제적 임상 환경에서의 관찰, 코칭 및 피드백, 그리고 일부 상호작용의 문서화를 포함한다. 매일 직장 기반 평가를 제공하는 것은 이러한 피드백 대화 각각에 대한 저조한 접근 방식을 지원하고 학습자가 코칭을 실습에 통합할 수 있는 반복적인 기회를 제공합니다.

The notion of formative feedback and coaching in a low-stakes environment, and the evidence of its effectiveness in learner growth and development [8,9,10], is core to the concept of competency-based medical education (CBME) [27]. Workplace-based assessment in the context of CBME includes (preferably direct) observations in the authentic clinical environment, coaching and feedback, and documentation of some of the interactions. Providing workplace-based assessments on a daily basis supports the low-stakes approach of each of these feedback conversations and provides repeated opportunities for the learner to incorporate the coaching into their practice.

포트폴리오에 축적된 직장 기반 평가의 데이터와 학습자의 전문적 성과에 대한 기타 정보가 어느 시점에 검토되어 교육생의 프로그램 진행 상황에 대한 결정을 내리고 적절한 학습 계획을 설계한다(이 시리즈의 평가 논문 참조). 학습자에 대해 완료되는 각 직장 기반 평가(데이터 포인트)는 학습자의 발전과 진행에 대한 전반적인 평가에 기여합니다. CBME에서는 역량 평가의 목표와 학습자에게 지속적인 개발 코칭과 피드백을 제공하는 목표를 의도적으로 병행 개발하는 것이 필수적이다[13]. 이를 위해서는 학습자와 감독 교수진 모두가 코칭 및 평가 프로그램의 가장 중요한 목표에 대한 공통된 정신 모델을 갖추어야 합니다.
Data from workplace-based assessments accumulated in a portfolio, along with other information about the learner’s professional performance, will at some timepoint be reviewed, to make a determination about a trainee’s progress in the program and design an appropriate learning plan (see the paper on assessment in this series). Each workplace-based assessment (data point) completed for a learner will contribute to the overall assessment of their development and progression. In CBME, it is essential that the goal of assessing competence and the goal of providing ongoing developmental coaching and feedback to the learner are intentionally developed in parallel [13]. This requires that both learners and supervising faculty have a shared mental model of the overarching goals of the coaching and assessment program.

교육생과 코치 간의 사회적 관계에 대한 피드백 및 코칭
Feedback and coaching in the social relationship between trainee and coach

피드백이 코칭에 효과적이려면 몇 가지 중요한 개념을 고려해야 합니다.

  • 코칭 관계(연수생과 코치 간),
  • 코칭 상호작용의 질,
  • 코칭 받는 교육생의 마음가짐,
  • 코칭에 대한 조직 문화 등 

In order for feedback to be effective in coaching, one must consider a few important concepts:

  • the coaching relationship (between trainee and coach);
  • the quality of the coaching interaction;
  • the mindset of the trainee who is receiving the coaching; and
  • the organizational culture around coaching.

관계
Relationship

연습생과 코치의 코칭 관계는 중요하고 복잡합니다. 교육생과 코치는 다양한 맥락에서 함께 자신을 발견하는데, 긍정적인 학습 환경 내에서 학습자의 성장을 지원하기 위한 의도적인 계획을 설계할 때 각각이 고려되어야 한다. 이러한 다른 맥락에 대해 생각하는 한 가지 방법은 "일상적 코칭"과 "지속적 코칭"으로 표현된다. [28, 29]

  • "일상적 코칭"은 훈련생과 임상 감독관 사이의 일상적인 상호작용을 기술하여 성과를 개선합니다.
  • "지속적 코칭"은 임상 환경 외부에서의 보다 종단적인 교수-교수 관계를 의미한다. 교육적 파트너십이 교육생의 성과에 대한 성찰, 축적된 데이터, 지속적인 발전을 위한 계획의 공동-개발을 촉진한다

The coaching relationship between trainee and coach is important and complex. Trainees and coaches find themselves in a variety of contexts together, each of which must be considered when designing an intentional plan to support the learner’s growth within a positive learning environment. One way to think about these different contexts has been articulated as “coaching in the moment” and “coaching over time” (see Table 1) [28, 29].

  • Coaching in the moment describes those day-to-day interactions between a trainee and a clinical supervisor that lead to performance improvement.
  • Coaching over time refers to a more longitudinal faculty-trainee relationship outside the clinical environment, in which the educational partnership promotes the trainee’s reflection on his or her performance, the accumulated data, and a co-developed plan for ongoing development.

학습자가 의료인으로서 발달해나갈 수 있도록 지원하고, 새로운 학습 목표를 세울 수 있도록 돕는 것이 "지속적 코칭"의 골자다. 코치와 교육생 간의 협력 관계는 코칭의 가치를 지원하고 지식, 스킬 및 태도 습득을 위한 발전경로path forward를 설계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13]. 시간이 지남에 따라 성공적인 코칭은 학습자가 지속적인 자기 비판적 성찰을 위해 필요한 태도와 기술을 개발하여 평생 학습하고 피드백을 개방하는 데에도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이는 진료의 질, 협업의 효과, 개인적 동기 부여 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높다.

The main goal of coaching over time is to support learners in their progress as medical professionals, and to help them set new learning objectives. A supportive relationship between coach and trainee supports the value of coaching and helps to design the path forward around the acquisition of knowledge, skills, and attitudes [13]. Successful coaching over time may also help learners to develop the attitudes and skills necessary for ongoing, self-critical reflection, and thus for life-long learning and openness to feedback. It is likely that this will have a positive impact on the quality of care, the effectiveness of collaboration, and personal motivation.

코칭 상호작용의 품질
Quality of the coaching interaction

감독관이 단편화되고 수습-감독자의 연속성이 결여된 대규모 부서에서도 "일상적 코칭"은 강력할 수 있습니다[30]. 그러나 효과는 각각의 코칭 상호작용이 유의미하다는 것을 확인하는 데 있습니다. 코칭이 항상 직관적인 것은 아니며, 임상 교수진이 자신의 역할을 이해하고 이 과제를 효과적으로 수행하는 데 필요한 도구를 제공하기 위해 교수 개발(효과적인 피드백 및 코칭 제공에 대한 교육 관리자)이 필요하다[31].

Coaching in the moment may be powerful, even in large departments with fragmented supervision and lack of trainee-supervisor continuity [30]. But effectiveness rests on ensuring that each coaching interaction is meaningful. Coaching is not always intuitive, and faculty development (training supervisors in providing effective feedback and coaching) is needed to ensure clinical faculty understand their roles and are provided with the tools needed to perform this task effectively [31].

R2C2 니모닉은 코칭에서 피드백 상호작용을 위한 유용한 모델이며(표 3) 이러한 필수적인 교수진 개발을 위한 프레임워크를 제공합니다. 궁극적으로 양질의 쌍방향 피드백과 코칭 대화를 이끌어내는 네 가지 단계에 초점을 맞추고 있으며, 관리자-교육자 관계의 핵심 역할에 주의를 기울입니다[32]. 이 모델은 관리자가 교육생과 라뽀를 쌓고 피드백에 대한 자신의 반응을 탐색하여, 상호 작용의 공통된 목표(형성적)를 보장함으로써, 피드백의 구체적인 내용을 다루기 전에, 변화를 위한 코칭(성과 향상)을 하도록 촉구합니다. 이 코칭 상호작용 모델은 일상적 코칭과 지속적 코칭에 모두 사용할 수 있습니다.

The R2C2 mnemonic is a useful model for feedback interactions in coaching (Table 3), and offers a framework for this necessary faculty development. It focuses on four phases that ultimately lead to a high-quality, two-way feedback and coaching conversation, and it attends carefully to the key role of the supervisor-trainee relationship [32]. This model urges the supervisor to build rapport with the trainee and explore his or her reactions to feedback, ensuring a shared (formative) aim of the interaction, before addressing the specific content of the feedback, and coaching for change (performance improvement). This model for coaching interactions can be used both for coaching in the moment and for coaching over time.

 

연습생 마음가짐
Mindset of the trainee

코칭 피드백에 대한 교육생의 수용성은 코칭 상호작용의 성공을 위한 핵심 요소입니다. 이것은 학습자의 마음가짐이 고정된 마음가짐과 성장 마음가짐 사이의 연속선상에서 주어진 순간에 어디에 위치할 수 있는지에 대한 개념을 제기한다. 주로 고정된 사고방식을 가진 사람들은 지능, 능력, 재능이 고정되어 있다고 믿는 반면, 성장 마인드를 가진 사람들은 이러한 특성들이 노력으로 영향을 받을 수 있다고 믿는다. 그러나 분명한 것은 코칭 피드백이 비옥한 기반 위에 놓일 수 있는 성장형 사고방식으로 개인을 움직이기 위한 전략이 있다는 것입니다[33]. 성장 사고방식이 대부분인 개인은 성과 지향적이 아니라 학습 지향적이며 지속적인 스킬 개발을 중요시합니다[17]. 코칭 피드백에 열려 있으며, 피드백을 지속적으로 발전시키기 위한 연습에 반영하기 위해 노력합니다. 이 스킬은 평생 학습자로서의 경력 전반에 걸쳐 매우 중요한 스킬입니다. 성장 마인드를 갖추면 교육생들이 (평가 자료 해석의 총괄적 성격보다) 코칭 피드백의 형성적 성격에 집중할 수 있다.
The receptiveness of trainees to coaching feedback is key to the success of any coaching interaction. This raises the notion of where a learner’s mindset might sit at any given moment, on the continuum between a fixed and a growth mindset. Individuals with a predominantly fixed mindset believe that intelligence, ability, and talent are fixed, while those with a growth mindset believe these traits can be influenced with effort. What is clear, however, is that there are strategies to move an individual in the direction of a growth mindset which allows coaching feedback to fall on fertile ground [33]. Individuals with a predominantly growth mindset are learning-oriented instead of performance-focused, and value ongoing skill development [17]. They are open to coaching feedback, making an effort to incorporate it into their practice to continue to develop, a skill that is invaluable throughout their careers as a life-long learner. Having a growth mindset also helps trainees to focus on the formative nature of the coaching feedback, rather than the summative nature of assessment data interpretation.

코칭을 중심으로 한 조직 문화
Organizational culture around coaching

교육생, 감독관, 조직을 대상으로 하는 구체적인 전략으로 성장 마인드 문화를 조성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 레지던트 오리엔테이션 기간 동안 성장형 마음가짐에 대한 명시적인 세션을 갖는 것이 코칭 피드백 프로세스를 용이하게 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33].
  • 관리자는 학습자가 자신의 도전과 약점에 대해 개방적이고 취약성을 드러내며, 성장을 위한 피드백을 구할 수 있도록 심리적 안전을 제공할 필요가 있다[34].
  • 의료진은 자신의 약점과 불확실성에 대해 논의하고 피드백에 대해 공개적으로 수용함으로써 이 행동을 롤모델로 삼을 준비가 되어 있다[35].
  • 조직 차원에서, 모든 수준에서 피드백을 촉진하는 안전하고 정의로운 문화의 촉진은 필수적입니다 [33].
  • 또한, 직접적인 관찰을 장려하고 지원할 수 있는 물리적 공간을 제공하고, 교육생과 감독자 간의 필수적인 신뢰관계를 배양하는 문화를 개발하는 것이 성공적인 코칭에 있어 무엇보다 중요하다.

A growth mindset culture can be nurtured with specific strategies targeted at the trainee, the supervisor, and the organization. For example,

  • having an explicit session on growth mindset during resident orientation has been shown to facilitate the coaching feedback process [33].
  • Supervisors need to provide the psychological safety to ensure that learners can be open and vulnerable about their challenges and weaknesses and seek feedback for growth [34].
  • Clinical faculty are uniquely poised to role model this behavior by discussing their own weaknesses and uncertainties, and by being overtly receptive to feedback themselves [35].
  • At an organizational level, the promotion of a safe and just culture that promotes feedback at all levels is essential [33].
  • In addition, providing the physical space to encourage and support direct observation, and developing a culture that nurtures essential trusting relationships between trainees and supervisors, is paramount to successful coaching.

 

교육 프로그램의 목표와 구조, 그리고 그 안에서 직장 중심의 평가와 코칭이 하는 역할은 교직원과 학습자 모두에게 명확해야 한다. 또한 감독관은 순간 코칭과 시간 경과에 따른 코칭에 효과적인 피드백을 제공할 수 있는 스킬을 개발하도록 교육받아야 합니다. 교수진과 교육생 모두가 성장형 마음가짐을 표현하고, 정기적으로 피드백을 주고받는 프로그램은 학습자가 원하는 임상 역량을 개발할 수 있도록 지원할 가능성이 가장 높다[35].
The goals and structure of the educational program, and the role workplace-based assessments and coaching play in it, should be clear to both faculty and learners. In addition, supervisors should be trained to develop the skills to provide effective feedback in coaching in the moment and coaching over time. A program in which both faculty and trainees express a growth mindset and are open to provide and receive feedback regularly is most likely to support the learners’ development towards the desired level of clinical competence [35].

임상 교육 시나리오—파트 2
Clinical teaching scenario—part 2

원래 시나리오에서 후배 레지던트인 Janice에게 돌아가면서 코칭과 피드백 관점에서 이러한 상호작용에 어떻게 접근할 수 있을까요?

  1. 먼저 코칭 대화를 할 수 있도록 잠시 시간을 내어 지금까지의 외래 환자 진료 경험이 어떠냐고 물어봅니다. 당신은 현재의 코칭 대화는 그녀가 성장하고 발전할 수 있도록 돕기 위한 것이며, 그녀의 역량에 대한 총괄적 평가가 아니라고 그녀를 안심시킵니다.
  2. 임상적 상호작용에 대한 자신의 성찰을 초대하면 그녀의 내용 지식과 통찰력 수준을 평가할 수 있습니다. 당신은 그녀가 무엇이 잘 되었다고 생각하는지 물어봄으로써 이 작품을 시작하고, 당신이 잘 되었다고 느꼈던 것들을 추가하거나 확인할 수 있습니다. 잘 된 것부터 시작하는 것은 학습자의 자신감을 높이는 경향이 있고, 그들이 개선점을 들을 수 있도록 더 수용적이게 만듭니다.
  3. 다음으로, 재니스에게 개선할 수 있는 것이 무엇인지 생각해보라고 한다. 재니스가 다른 발달 영역을 생략했다는 것을 스스로 깨닫고, 자신의 접근 방식이 체계적이지 못했다고 이야기할 수도 있다.
  4. 이렇게 하면 코칭 대화의 다음 파트를 짜는 데 도움이 될 것입니다. 여기서 여러분은 지식이나 조직적 관점에서 개발 마일스톤에 대한 누락 문제를 해결하도록 코칭할 수 있으며, 이 마일스톤이 이 특정 임상 시나리오에서 중요한 이유를 명확하게 설명할 수 있습니다. 무엇이 개선될 수 있는지에 대한 문제뿐만 아니라 이를 어떻게 달성할 것인가가 중요하다.
  5. 보호자에게 질문을 어떻게 제시하고 프레이밍 해야 하는지, 그리고 이 나이대의 아이에게 신체 검사를 어떻게 수행할지에 대한 실용적인 팁을 제공한다면, 그녀가 앞으로 나아가는 데 도움이 될 것이다.
  6. 그런 다음 그녀에게 코칭 대화에서 얻은 점을 요약하고, 포트폴리오에 기록하도록 요청하고, 다음 진료소에서 그녀를 함께 관찰하도록 하고, 그 시간에 대화를 계속하기로 약속할 수 있습니다.

As we return to our junior resident Janice in our original scenario, how could we approach this interaction from a coaching and feedback perspective?

  1. You start by taking a moment to build rapport to enable the coaching conversation, for example by asking her how she is enjoying her outpatient clinic experience so far. You reassure her that the present coaching conversation is intended to help her grow and develop, and is not a summative assessment of her competence.
  2. Inviting her own reflections on the clinical interaction will allow you to assess her content knowledge and her level of insight. You can start this piece by asking what she thinks went well, and then add or confirm the things that you felt went well. Beginning with what went well tends to boost learners’ confidence and makes them more receptive to hear points for improvement.
  3. Next, when you ask her to reflect on what can be improved, she may realize herself that she has omitted the other developmental domains, and articulate that she feels disorganized in her approach.
  4. This will help you frame the next part of the coaching conversation, in which you can coach her to address the omission around the developmental milestones, either from a knowledge or an organizational perspective, articulating why they are important in this particular clinical scenario. It is important to address not only the issue of what can be improved, but also how to accomplish this.
  5. Providing some practical tips on how to organize and frame the questions to the caregiver, and how to perform the physical examination maneuvers on a child of this age, would be helpful for her skill development moving forward.
  6. You can then ask her to summarize what she takes away from the coaching conversation, ask her to record this in her portfolio, arrange to observe her in your next clinic together, and commit to continuing the conversation at that time.

결론
Conclusion

효과적인 피드백과 코칭은 학습자의 개발, 발전, 역량 달성에 필수적이다. 증거 기반 원칙에 주의를 기울인다면, 이러한 활동에 투입된 에너지는 학습자를 지원하고 성공을 보장하는 데 필요한 긍정적인 결과를 산출할 수 있습니다.

Effective feedback and coaching are essential to learner development, progression, and achievement of competence. With mindful attention to evidence-based principles, the energy put into these activities will yield the positive results needed to support our learners and ensure their success.

 


Eur J Pediatr. 2022 Feb;181(2):441-446.

 doi: 10.1007/s00431-021-04118-8. Epub 2021 May 21.

 

Feedback and coaching

Affiliations expand

Abstract

If used thoughtfully and with intent, feedback and coaching will promote learning and growth as well as personal and professional development in our learners. Feedback is an educational tool as well as a social interaction between learner and supervisor, in the context of a respectful and trusting relationship. It challenges the learner's thinking and supports the learner's growth. Coaching is an educational philosophy dedicated to supporting learners' personal and professional development and growth and supporting them to reach their potential. In clinical education, feedback is most effective when it is explicitly distinguished from summative assessment. Importantly, feedback should be about firsthand observed behaviors (which can be direct or indirect) and not about information which comes from a third party. Learners are more receptive to feedback if it comes from a source that they perceive as credible, and with whom they have developed rapport. The coaching relationship between learner and supervisor should also be built on mutual trust and respect. Coaching can be provided in the moment (feedback on everyday clinical activities that leads to performance improvement, even with short interaction with a supervisor) and over time (a longer term relationship with a supervisor in which there is reflection on the learner's development and co-creation of new learning goals). Feedback and coaching are most valuable when the learner and teacher exhibit a growth mindset. At the organizational level, it is important that both the structures and training are in place to ensure a culture of effective feedback and coaching in the clinical workplace.Conclusions: Having a thoughtful and intentional approach to feedback and coaching with learners, as well as applying evidence-based principles, will not only contribute in a significant way to their developmental progression, but will also provide them with the tools they need to have the best chance of achieving competence throughout their training. What is Known: • Feedback and coaching are key to advancing the developmental progression of trainees as they work towards achieving competence. • Feedback is not a one-way delivery of specific information from supervisor to trainee, but rather a social interaction between two individuals in which trust and respect play a key role. • Provision of effective feedback may be hampered by confusing formative (supporting trainee learning and development) and summative (the judgment that is made about a trainee's level of competence) purposes. What is New: • Approaches to both the provision of feedback/coaching and the assessment of competence must be developed in parallel to ensure success in clinical training programs. • Faculty development is essential to provide clinical teachers with the skills to provide effective feedback and coaching. • Coaching's effectiveness relies on nurturing strong trainee-supervisor relationships, ensuring high-quality feedback, nourishing a growth mindset, and encouraging an institutional culture that embraces feedback and coaching.

Keywords: Assessment; Coaching; Feedback; Medical education.

우리나라 의학전문직업성 교육과정에서의 ‘전문직 정체성 형성’ 교육 현황 (KMER, 2021)
Current Status of ‘Professional Identity Formation’ Education in the Medical Professionalism Curriculum in Korea
이영희

Young-Hee Lee
고려대학교 의과대학 의학교육센터

Medical Education Center, Korea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Seoul, Korea

 

 

 

서 론

의학교육의 궁극적인 목표는 좋은 의사를 양성하는 것이다. 좋은 의사는 임상역량과 의사소통능력을 갖추어야 하며, 윤리적 및법적 이해를 기반으로 수월성, 휴머니즘, 이타주의, 사회적 책무성과같은 핵심 가치를 진료상황에 적용할 수 있어야 한다[1]. 최근 의학교육 추세는 전문직 정체성 형성(professional identity formation)이 의학교육의 핵심이 되어야 한다고 강조하고 있다[2-4]. 전문직 정체성은 의과대학 또는 전공의 교육의 과정에 있는 의과대학생이나 전공의로 하여금 사회가 의사에게 기대하는 일련의 가치와 성향을 자신의 정체성으로 통합시키도록 함으로써 그들이 전문가답게 생각하고, 행동하고, 느끼도록 하는 것이다[3,5]. 전문직 정체성 형성은 전문직으로 살아가는 생애 전 과정에 걸쳐 진행되는 인지적, 사회적, 정서적 능력을 통합하는 평생의 과정이다[6]. 이는 개인적 수준의 발달과 직업적 수준의 발달을 동시에 포함하는 사회적 구성 과정이며[4,7], 직업적 성공, 심리적 건강 및 사회적응과 관련이 있다[8]. 따라서 의과대학에서는 전문직 정체성 형성을 핵심 교육목표로 설정하고 이를 달성하기 위한 교육과정의 설계와 효과적인 교육전략을개발하는 것이 필요하다[3,9].

역사적으로 보면 개념으로서의 전문직 정체성 형성은 히포크라테스 시대부터 있어 왔지만[3], 교육실천으로서의 전문직 정체성형성은 전문직업성 교육의 범주에서 암묵적으로만 다루어지다가 최근 들어 명시적으로 교육할 것이 강조되고 있다. 몇몇 연구에따르면 전문직업성 교육은 덕목 기반, 역량 기반, 정체성 형성의 접근방식으로 강조점이 변해왔다[2,5]. 즉 전문직업성에 대한 개념정의와 인식 틀 또는 가정이 변해감에 따라 교육의 목표와 내용,교수법, 그리고 평가방법도 수정되거나 새롭게 창조되어 왔다고 볼수 있다[2,5].

  • 덕목 기반(virtue-based) 또는 윤리적 접근방식은 품성을 갖춘사람을 좋은 의사로 정의하며, 내적인 마음의 습관, 덕성(moralcharacter), 추론능력, 돌봄과 연민 같은 인간적인 자질을 갖추도록교육할 것을 강조한다.
  • 행동 기반(behavior-based) 접근방식은 좋은 의사는 환자를 돌볼 수 있는 역량을 보여줄 수 있어야 하며,교육에서는 이러한 역량을 입증하기 위한 마일스톤, 역량, 관찰 가능한 행동의 측정을 강조한다.
  • 정체성 형성(identity formation) 접근방식은 의사가 자신의 다양한 지위와 역할뿐만 아니라 다양한 경험을 일관된 자아 이미지로 통합하는 정체성 발달과정과 지역사회에서의 사회화를 강조한다[7].

즉 좋은 의사는 의사에게 사회가 기대하는일련의 가치와 성향을 자신의 정체성으로 통합하기 위해 노력하는사람이며, 교육은 학생들이 더 높은 수준의 전문직 정체성 형성을발달시킬 수 있도록 지원하는 과정이 되어야 한다고 주장한다[2].이와 같은 세 가지 인식 틀의 변화는 전문직업성의 개념이 의사개인의 영역에서 타인과의 관계 및 사회 속에서 의사의 책무를 강조하는 방향으로 확장되고 재구성되고 있음을 보여준다. 최근에는 전문직 정체성 형성을 위한 교육방법과 평가방법에 관한 연구도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10-14].

전문직업성(professionalism), 전문직 정체성(professional identity),전문직 정체성 형성(professional identity formation)은 동일한 개념이 아니다.

  • 전문직업성에 대한 많은 정의는 ‘전문가에게 기대되는 행동의 입증’을 강조한다[3]. 예컨대, ‘대중의 의사에 대한 신뢰를뒷받침하는 일련의 가치, 행동 및 관계’라는 Royal College ofPhysicians of London 정의는 전문가의 행동의 입증을 강조한다[3].이러한 정의를 따를 경우, 일련의 특성, 가치 및 신념을 평가하는것이 어렵기 때문에 전문직업성 교육은 개념적 정의를 관찰 가능한 행동으로 조작적으로 재정의하고 측정하는 것에 초점을 두게 된다.
  • ‘전문직 정체성’의 개념은 특정 행동보다는 주체의 자기인식 과정이 강조된다. Erickson [15]에 따르면 정체성은 ‘나는 누구인가와 관련된 자기의식’이다. 즉 ‘자기 내적인 요소들을 종합하여 동일하고 연속적으로 자기를 유지하며, 타인과 사회와의 사이에서 자기인정과 확신을 포함하는 자기의식’이라고 할 수 있다[15]. 이러한 정의를적용하면, ‘의사의 전문직 정체성은 의사직의 특성, 가치 및 규범이내 면화되는 과정으로서 시간이 지남에 따라 단계적으로 달성되어 결과적으로 개인이 의사처럼 생각하고, 행동하고, 느끼게 되는 자아의 표현’이라고 정의할 수 있다[3].
  • ‘전문직 정체성 형성’은 개인적수준과 집단수준에서 동시에 발생하는 ‘적응상의 발달과정’으로,개인수준의 심리발달과 집단수준의 사회화를 포함한다[7]. 이러한정의를 따르면 ‘전문직 정체성 형성’ 교육은 개인의 속성과 집단에서의 역할, 그리고 사회공동체 속에서 특정 행동의 추구를 통해 도달하려는 가치체계와 그것에 대한 자아인식 개발에 교육목표를 두게된다.

그런데 이러한 세 가지 용어는 개념상 차이가 있지만 상호배타적이라기보다는 수단적이거나 포섭적인 관계에 있다고 할 수 있다.즉 전문직업성 교육목표에서 강조되는 의사가 입증해야 할 행동은 의과대학 및 전공의 교육과정에서 전문직 정체성이 발달하고 있는지를 확인하기 위한 수단이 되며[3], 전문적 정체성개념이 담고 있는행동주체의 자아인식전문직 정체성 형성교육에 포함되기 때문이다.

전문직업성 교육에서 의사의 전문적 역할을 [개별적이고 측정 가능한 역량으로 변환하여 측정하는 역량 기반 접근방식]은 ‘의사가 되어가는 것’에 대한 근본적인 의미 탐색과 의사의 역할이 미래의 의사의 정체성 발달과 어떤 연관성이 있는지를 간과하였다[7]. 전문직 정체성 형성에 초점을 두는 접근방식은 의학교육과정 중에 개발된 역량과 의사의 정체성 형성 간의 상호 관련성을 이해하고, 의사가 되어가는 과정을 보다 광범위하게 설명할 수 있는 시야를 제공한다[7]. 따라서 전문직 정체성 형성 교육은 기존의 역량 기반 접근방식을 대체하는 것이 아니라 전문직업성 교육에 대한 보다 다양한 담론을 확장하는 틀로 살펴보아야 한다[3,7]. 이러한 맥락에서 서구에서는전문직 정체성의 형성에 관한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으며[7,16-20], 다양한 심리학 및 발달이론이 이론적 토대가 되고 있다[15,21,22].

우리나라의 경우 전문직업성 교육에 관한 선행연구는 주로 덕목기반 또는 역량 기반 접근방법을 중심으로 수행되었다. 전문직업성은 의사가 갖추어야 할 주요 속성이나 자질과 역량 요소라고 간주하고 각 요소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과 자기평가 연구를 수행한 연구들[23,24], 전문직업성 역량을 측정하기 위한 평가도구 개발에 관한 연구들[25,26], 교육과정의 목적을 전문직업성의 기초자질 함양으로 설정하고 교육과정의 평가와 구성을 연구한 것들이 있다[27]. 2017년 ‘한국의과대학․ 의학전문대학원협회’에서 발간한 「기본의학교육 학습성과: 사람과 사회 중심」에는 ‘의사의 직업 정체성’ 용어가 사용되어 ‘전문직 정체성 형성’이 우리나라 기본의학교육의 주요한 학습성과로 기술되었다[28], 최근 들어 전문직 정체성의 단어가 사용되고 있긴 하지만 아직 우리나라에서 전문직 정체성 형성이 전문직업성 교육의 중심 목표로 정착되고 있지 않다.

앞에서 기술한 바와 같이 전문직 전체성 형성은 전문직업성 교육의 범주에서 교육되어왔기 때문에 전문직 정체성 형성 교육현황을 파악하기 위해서는 전문직업성 교육과정에 대한 분석이 필요하다.이에 이 연구는 우리나라 기본의학교육 현장의 전문직업성 교육과정을 검토한 후 전문직 정체성 형성 교육현황을 파악하고 전문직 정체성 형성교육으로 나아가기 위한 교육의 확대방안을 제안하고자한다. 구체적으로 우리나라 전문직업성 관련 교과목의 개설현황(교과목 수, 학점 및 학년), 전문직 정체성 형성교육의 내용구조, 주요 교육방법 및 평가방법을 파악하고 우수사례를 소개하고자 한다.

 

연구대상 및 방법

1. 자료수집 대상 및 방법

이 연구는 전국 40개 의과대학 및 의학전문대학원(이하 의과대학또는 대학)2020학년도를 기준으로 개설된 전문직업성 교육과정을 조사대상으로 하였다. 1차 자료조사와 수집은 각 대학 홈페이지에게시되어 있는 전문직업성 교과목의 명칭과 개설 학년, 필수선택여부, 학점을 열람하여 Microsoft Excel (Microsoft Corp., Redmond,WA, USA)에 정리하는 방식으로 진행하였다. 2차 조사는 각 의과대학의 의학교육 전문가 또는 전문부서에 이메일을 보내 홈페이지에서수집한 내용에 대한 검토와 부정확한 정보의 수정 또는 누락 과목의 보완을 요청하였다. 추가로 전문직업성 관련 교과목별로 주요 수업내용 또는 주제(교육내용), 수업방법, 평가방법을 직접 기술해 달라고 요청하였다. 아울러 화이트코트 세리모니(White Coat Ceremony)와 행동 규범(Honor Code)의 운영 여부를 조사하였다.

일부 항목에 대해 개방형 직접기술방식을 사용한 이유는 전문직업성 교육과정의 특수성과 복잡성 때문이었다. 기초의학 및 임상의학 교육과정과 달리 전문직업성 교육과정은 대학마다 교과목의 명칭이 너무 다르고 교과목별로 포함하는 교육내용의 범위도 매우 상이하다. 따라서 객관식 설문지 제작에 어려움이 있었고, 전문직업성의 개념과 정의조차 조사 응답자 간에 인식의 편차가 클 수 있어서 객관적이고 표준화된 설문조사방식보다는 개방형 자유기술 방식이 각 대학의 교육과정 현황을 있는 그대로 드러내고 응답결과의 타당성을 확보하기에 더 적합하다고 판단하였다. 자유기술 항목에 대해서는 연구자가 예시를 제시하여 응답자의 편의를 도모하였다. 자료수집기간은 2020128일부터 219일까지였다. 40개 조사대상 대학 중 28(70%) 대학이 응답하였다. 분석대상 대학의 소재지와 학생 수는 Table 1과 같다.

2. 분석방법

분석대상 자료는 문서형태였다. 자료의 내용은 서술식 내용과양적 수치로 구성되었기 때문에 분석방법은 자료 특성을 고려하여일반적인 질적 분석과 양적 분석을 병행하였다. 즉 전문직업성 교육과정 개설 교과목 수, 개설 학년, 학점 수, 필수 선택 여부와 같은양적 자료에 대해서는 빈도분석을 하였고, 교과목별 주요 교육내용은 내용분석의 방법을 활용하였다.

구체적인 내용분석의 과정은 Figure 1과 같다. 저자는 먼저 응답자가 직접 기술한 교과목별 주요 교육내용을 여러 번 읽고 탐색하면서 핵심 단어(key word)를 추출하였다. 핵심 단어 추출과정의 타도 확보를 위해 학부 4학년 연구보조원 한 명과 멀티로 작업하였다.연구자는 먼저 연구보조원에게 핵심 단어 추출방법을 상세히 설명하였고, 연구보조원과 연구자가 각각 따로 핵심 단어를 코딩한 후,둘 사이에 불일치하는 단어는 연구자가 2차로 검토하면서 최종 포함하거나 수정 또는 배제하였다. 한 교과목에서 동일한 단어가 반복되는 경우 배제하였고, 어디에도 잘 들어맞지 않는 핵심 단어(: 그리스도, 대중문화 콘텐츠 등)는 따로 메모하면서 비슷한 테마에 포함하거나 배제하였다.

 

핵심 단어 추출과정에서 저자는 교과목 명칭과 개설 학년, 필수 선택 여부 등과 교육내용의 관련성을 탐색하면서 가능한 기술된맥락을 반영하고자 하였고 중요한 단어의 누락이 없도록 고려하였다. 한 교과목에 기술된 내용에서 여러 개의 핵심 단어를 추출할수 있는 경우에는 중복코딩을 하였다. 예컨대 주요 교육내용이 의학에 대한 이해와 주요 의학자 중 역할모델 찾기, 의료정책 및 의사관련 책을 읽고 토론 및 글쓰기, 생명윤리, 의사와 사회, 바람직한 의사상이라고 기술된 경우, 의사 역할 탐구,’ ‘의료정책,’ ‘의학과독서,’ ‘생명윤리,’ ‘의사와 사회,’ ‘바람직한 의사상6개 핵심 단어를 추출하였다.

다음은 추출된 핵심 단어를 토대로 전문직 정체성의 관점에서자료의 의미 있는 패턴을 찾아 범주화하였고, 중요한 범주에 대한 테마(theme) 정하기의 과정을 통해 핵심 단어와 범주, 테마의 관계를 보여주면서 우리나라 전문직업성 교육과정의 내용구조를 조망하고자 하였다. 핵심 단어는 유사성에 따른 범주화(categorizing)와 인접성에 따른 연결(connecting)전략을 사용하면서 분류, 감소, 배열하였다. 범주화 전략은 다양한 교육내용의 유사점과 차이점을 찾아내분류하는 방법이고, 인접성 전략은 자료와 맥락 간의 관계를 연결하여 각 내용 사이에 어떤 관련성이 있는지를 알아내는 방법이다[29].패턴 찾기와 범주화, 테마 정하기와 같은 일련의 자료분석과정은연구자의 경험과 직관에 의존하였다. 이 과정에서 연구자의 통찰력을 확장하기 위해 전문직 정체성 형성 교육에 관한 선행연구를 중간중간에 반복적으로 읽으면서 선행연구자들은 전문직 정체성 형성교육내용의 범위를 어떻게 포함 또는 배제하였는지 지속적인 검토를하였다.

결 과

1. 우리나라 전문직업성 교과목 개설현황

28개 의과대학에 개설된 전문직업성 관련 총 교과목 수는 최대37개에서 최소 5개까지 편차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16(57.1%)대학은 모든 개설과목을 필수로 정하고 있었고, 12(42.9%) 대학은 선택과목을 최소 1개에서 최대 18개까지 두었다. 필수과목 수도 최대 33개에서 최소 5개로 대학별 편차가 컸다. 전체 학년에 개설된필수과목 수가 20개 이상인 대학은 2개였고, 20개 미만에서 10개이상인 대학이 18개, 10개 미만인 대학이 8개였다. 대부분 대학은선택과목보다 필수과목의 비중이 컸지만, 일부 대학의 경우 필수과목보다 선택과목 수가 더 많거나(ID12, ID25) 선택과목 비중이 40%이상을 차지하는 대학(ID8, ID13)도 있어서 총 교과목 수가 많다고 해도 학생들이 이수하는 전문직업성 과목이 반드시 비례하는 것은아님을 알 수 있었다. 14개(50%) 대학은 의예과 1학년부터 의학과4학년까지 전 학년에 걸쳐 전문직업성 교과목이 연속적으로 개설되었던 반면 나머지 절반의 대학은 1개에서 3개 학년까지 전문직업성교과목이 개설되지 않았다(Table 2).

 

2. 전문직업성 교육과정에 나타난 '전문직 정체성 형성' 교육의내용구조

교과목별 주요 교육내용을 분석한 결과, 우리나라 전문직 정체성형성 교육의 내용구조는 15개의 범주와 4개의 테마로 축소되었다.즉 교육내용은 전문직업성에 대한 인지 기반이 되는 지식과 이론을포함하여 자신에 대한 이해, 타자와의 관계, 그리고 전체 사회와보건의료시스템 속에서 의사의 역할을 탐색하면서 학습자의 경험을 확장해가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었다. 4개 테마의 명칭은 범주의내용 특성을 반영하여

  • (1) 전문직업성에 대한 지식 기반,
  • (2) 자기이해와 발달,
  • (3) 타자와의 상호작용,
  • (4) 사회와 보건의료시스템 속의의사로 명명하였다(Figure 2).

 

 

1) 전문직업성에 대한 지식 기반

테마 1 전문직업성에 대한 지식 기반에는 4개 범주가 포함되었다.

  • 범주 1은 ‘전문직업성의 개념과 의미 탐색’으로, 전문직업성의 의미와 핵심 가치, 의사의 가치관, 의사의 정체성 같은 내용을 포함하였다.
  • 범주 2는 ‘전문가가 갖추어야 할 덕목 또는 역량’으로, 의사에게 기대되는 인성, 자질, 가치관, 소양이나 소통, 협력, 리더십 같은 역량을 기술한 내용이 포함되었다.
  • 범주 3 ‘의사 및 전문직 발달의 역사’에는 의료전문직의 형성과 변화과정, 의학의 역사와 중요한의학적 사건들을 다루는 내용이 포함되었다.
  • 범주 4 ‘인간과 삶에대한 이해를 위한 인문사회학’에는 의학과 철학, 문화, 음악, 심리학등 인간과 삶에 대한 이해의 지평을 넓히는 내용이 포함되었다(범주별 핵심 단어 예시는 부록 1 참조).

교과목별 주요 교육내용에서 테마 1의 핵심 단어를 추출한 방법을 예시하면 다음과 같다.

현대사회는 (중략) 전문성 본래의 의미뿐만 아니라 의료인들이 가져야 할 윤리성, 책무성, 소통능력과 관계성 등을 이론적으로 아는 것과 동시에 실천적 행동을 할 수 있기를 요구하고있다. (중략) 가장 기초적인 전문성의 개념과 의미뿐만 아니라‘윤리,’ ‘책무,’ ‘소통,’ ‘관계’라는 키워드를 중심으로 필요로하는 전문적인 역량에 대해서 이론적 강의와 함께 사례분석과학생들과의 토의 등을 진행할 계획이다. (테마 1: 범주 1, 범주2; 대학 ID=01, “의료전문성과 진로설계 1”, 의학과 1학년,필수, 1학점)

 

2) 자기이해와 발달

인간은 누구나 독특한 개체이다. 테마 2 자기이해와 발달은 개인적 발달과 관련된 3가지 범주를 포함하였다.

  • 범주 1은 ‘자기성찰및 이해’로, 비전과 사명, 삶의 의미, 자기이해(성격, 가치관, 생각,감정 등)와 같은 내용을 포함하였다.
  • 범주 2 ‘자기계발과 자기관리’에는 자기관리, 자기 돌봄, 자기계발, 자아형성, 자기표현 등의 내용을 포함하였다.
  • 범주 3 ‘진로설계와 탐색’에는 진로설계, 진로탐색, 진로개발, 전공탐색, 다양한 직업군 이해를 다루는 내용을 포함하였다(부록 1).

교과목에서 다양한 핵심 단어가 추출되는 경우, 한 교과목의 내용이 여러 개의 범주로 중복 처리되었다(아래 인용문 참조).

현대 의료환경의 급격한 발전과 변화로 의사 직종의 다양화에 대해 이해하고, 자신을 성찰하고 자기관 능력을 키워 진로선택에 활용할 수 있다. (테마 2: 범주 1, 범주 2, 범주 3,대학 ID=08, “의료입문(1): 의학입문 및 체험실습” 예1, 필수, 2학점)

3) 타자와의 상호작용

테마 3 타자와의 상호작용에는 세 가지 범주를 포함하였다.

  • 범주1은 ‘일반적 의사소통’으로, 의사소통에 관한 이론과 지식, 일반인과의 의사소통에 관한 내용이 포함되었다.
  • 범주 2 ‘의료상황에서의 의사소통’은 의학 면담의 기초이론, 환자 및 보호자와의 의사소통,어려운 상황에서 의사소통, 동료 또는 타 직종 의료인과의 의사소통같은 내용을 포함하였다.
  • 범주 3 ‘생명․의료․연구윤리’에는 의료윤리의 원칙, 임상상황에서의 윤리, 연구윤리 관련 내용을 포함하였다. 생명윤리와 연구윤리는 의료윤리와 함께 묶어서 가르치는 대학이많아서 세 가지를 같이 한 범주로 포함하였다.
오늘날 의사들은 의료행위에 대한 여러 가지 법적, 사회적, 그리고 윤리적인 문제들을 인식하고 상황에 따라 적절하게 대처할수 있어야 한다. 본 강좌에서는 이러한 문제들의 내용과 그에합당한 의료행위가 무엇인지 알아보고 적절한 대응능력을 갖추도록 한다. (테마 3: 범주 3, 대학 ID=05, “의료윤리학”, 의학과1학년, 필수, 1학점)

4) 사회와 보건의료시스템 속의 의사

테마 4 사회의 보건의료시스템 속의 의사에는 5개 범주가 포함되었다.

  • 범주 1은 ‘의료와 사회의 관계’로, 의사와 사회, 의료와 사회,의사의 사회적 역할과 기능 등과 관련된 내용이 포함되었다.
  • 범주2 ‘지역사회 이해’에는 일차진료, 지역사회에서 의사의 역할, 지역사회 의료기관 이해에 관한 내용이 포함되었다.
  • 범주 3 ‘보건의료시스템’에는 의료제도, 정책 및 관리체계 등 보건의료 제반 현상에 사회시스템적 접근 관련 지식이 포함되었다.
  • 범주 4 ‘보건의료 행위에 대한 법적 이해’에는 의료 관련법과 의료행위의 법적인 측면을 다루는 내용이 포함되었다.
  • 범주 5 ‘환자안전’에는 의료팀 구성원으로서의 리더십과 전문직종 간 의사소통, 위기관리 등 시스템적 관점에서환자안전과 의료 질을 다루는 내용을 포함하였다.
의사의 사회적 책무를 이해하고, 의사가 갖추어야 할 사회적역량의 함양을 목표로 한다. 의학의 발전과 다양성을 고려한건강의 사회적 맥락을 파악하고, 지역사회의 보건자원 관련지식과 의료커뮤니케이션 기술을 습득한다. 의료제도와 의료윤리 관련 사회적 문제를 이해하고, 해결방법을 제시할 수 있다.(테마 4: 범주 1, 범주 2, 범주 3, 대학 ID=09, “환자 ․ 의사․ 사회 2”, 의학과 2학년, 필수, 1학점)

 

5) 우리나라 ‘전문직 정체성 형성’ 교육내용의 범주별 현황

위에서 기술한 4개 테마와 15개의 범주별 교육내용을 최소 한과목 이상에서 다루고 있는 대학의 현황은 Table 3과 같다. 결과를보면

  • 의료윤리’는 분석대상이 된 28개 모든 대학이 다루고 있었고,
  • 의료상황에서의 의사소통’은 26개(92.9%) 대학이 다루었다.
  • 보건의료행위에 대한 법적 이해’를 다루는 대학은 24개(85.7%)였고,
  • 의료와 사회의 관계’ 22개(78.6%),
  • ‘인간과 삶에 대한 이해를 위한인문사회학적 기초’ 21개(75.0%),
  • ‘전문직업성의 개념과 의미 탐색’과 ‘전문가로서의 덕목, 역량’은 각각 20개(71.4%) 대학이 다루고있었다.

교육내용에 가장 적게 포함된 범주는

  • ‘자기계발 및 자기관리’가 9개(32.1%),
  • 일반적 의사소통 11개(39.3%),
  • ‘진로탐색 및 설계’16개(57.1%)였다.

테마별로 보면, 약 25%–32%의 대학이 ‘전문직업성에 대한 지식 기반’을 다루지 않았고, 자기이해와 발달에서는범주별로 39.3%67.9%의 대학이 가르치지 않았으며, 타자와의 상호작용에서는 일반적 의사소통의료상황에서의 의사소통을각각 60.7%7.1%의 대학이 다루지 않았다. 사회와 보건의료시스템 속의 의사에서는 환자안전 42.9%, 의료와 사회의 관계 21.4%의 대학이 교육내용에 포함하지 않았다.

 

 

3. ‘전문직 정체성 형성’ 교육방법 및 평가방법

1) 교육방법

전문직 정체성 형성교육을 위한 수업방법은 응답자가 전문직업성 관련 교과목별로 직접 기술한 내용을 분석하였다. 자료수집 시에연구자가 예시로 강의, 팀바탕학습, 문제바탕학습, 사례연구, 소그룹토론, 프로젝트학습, 현장체험, 성찰적 글쓰기, 역할모델, 표준화환자 면담, 강점탐구 등의 수업방법을 안내하였고, 응답자들은 예시를포함한 다양한 수업방법을 기술하였다.

결과를 보면 26개 대학에서 총 11개 유형의 수업방법을 사용하는것으로 나타났다(Table 4). 든 대학이 최소 한 과목 이상에서 강의를 사용하고 있었고, 토의 토론22(84.6%), 실습(시뮬레이션) 21(80.8%), 협력학습 20(76.9%) 대학 순으로 많았다.성찰적 글쓰기와 보고서를 한 과목 이상에서 사용하는 대학은 14(53.8%)였다. 현장체험12(46.2%) 대학에서, 코칭과 피드백,’‘역할모델이나 역할극은 각각 11(42.3%) 대학이 활용하고 있었다. 그 밖에 플립러닝, 명상훈련, 인터뷰 방법을 사용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2) 평가방법

교과목별로 26개 대학의 응답자가 직접 기술한 평가방법 내용을분석하였다. 자료수집 시에 연구자는 예시로 지필시험, 자기평가,성찰적 글쓰기, 관찰평가, 동료평가, 중요사건 보고서 등의 평가방법을 예시하였다. 결과를 보면 우리나라 의과대학은 10가지의 평가방법을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Table 5). 25개 대학이 최소 한 과목이상에서 지필고사를 사용하고 있었고, 과제 및 보고서,’ ‘토론발표22개 대학에서 활용하고 있었다. 면담, 수행평가, 역할극을 포함한관찰평가에세이를 사용하는 대학이 18개였다. 동료평가출석은 각각 15개 대학에서 평가방법으로 사용하고 있었다. 그 밖에 포트폴리오 평가, 프로젝트 평가, 자기평가 방법이 조사되었다.

 

 

4. 상징과 의식: 화이트코트 세리모니와 행동 규범

화이트코트 세리모니는 의과대학에서 임상실습을 시작하기 전에처음으로 흰 가운을 입는 착복식 행사이다. 이 의식은 학생들이 의료현장에서 환자를 직접 만나기 전에 의사의 소명과 의사됨의 의미를 생각해보고 휴머니즘을 겸비한 의사의 자질과 능력을 다시한번 성찰하는 기회가 된다. 행동 규범(Honor Code)은 과정 이수중 또는 임상실습과정 중에 의과대학생들이 적절한 전문적 및 개인적 자질을 갖추었음을 보여주기를 기대하는 행동들이다. 이러한 의식과 규범은 전문직 정체성을 개발하는 데 있어 학생과 교수 모두에게 중요한 역할을 한다[30]. 리나라에서 화이트코트 세리모니 행사를 개최하는 대학은 응답한 대학 중 25개(96.2%)였고, 한 곳(3.8%)만이 시행하지 않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학생 행동 규범을가지고 있거나 제작 중인 대학은 21개(77.8%), 없는 대학은 6개(22.2%)였다.

 

5. 전문직 정체성 형성 교육 우수사례

전문직 정체성 형성 교육 우수사례는 대학별로 응답자가 대표과목으로 선정해준 것과 교과목 내용에 대한 설명을 근거로 연구자가 판단한 12개 교과목(과정) 사례를 선정하였다(부록 2). 이 과목들을 우수사례로 선정한 근거는

  • 첫째, 전문직 정체성과 관련된 의사의자질이나 덕목, 역량을 분절된 지식 위주로 가르치지 않고 통합과정내에서 다루거나 임상상황이나 주제와 연계하여 통합적으로 다룬다는 것이었다(ID 05, ID 09, ID 16, ID 17).
  • 둘째, 진료현장 또는환자체험 기회를 제공하거나(ID 08, ID 22), 의료현장의 목소리를직접 듣기 위해 전공의 또는 외부 연자를 교육에 참여시키는 점이었다(ID 10, ID 17, ID 21).
  • 셋째, 우수 교과목 사례의 교육방법은대부분 강의 외에도 전문직 정체성 형성 교육방법으로 효과적인에세이 쓰기, 딜레마 이슈 또는 증례에 대한 소그룹토론, 실제 환자또는 표준화환자 면담, 문제바탕학습 또는 프로젝트 학습형태의 협력학습 방법을 포함하고 있었다.
  • 넷째, 평가방법은 자기평가, 에세이평가, 자기성찰 보고서, 조별활동 보고서, 토론 및 발표평가 등을활용하고 있었는데, 이러한 평가방법은 전문직 정체성 형성을 위한자기성찰에 도움이 되는 것들이었다(상세한 내용은 부록 2 참조).

 

고 찰

이 연구는 우리나라 전문직 정체성 형성교육현황을 파악하기위하여 전문직업성 교과목 개설현황, 주요 교육내용, 교육방법 및 평가방법을 조사하였다. 결과를 보면 대학별로 개설된 전문직업성관련 총 교과목 수와 학점은 학교마다 편차가 컸다. 총 개설 교과목을필수로 정하고 있는 대학도 있었지만, 선택 비중이 큰 대학도 있어서총 교과목 수가 많다고 해서 학생들이 이수하는 과목 수가 반드시비례한다고 볼 수는 없었다. 분석대상 대학 중 절반은 전 학년에걸쳐 매 학년에 연속적으로 전문직업성 관련 교과목이 개설되어있었고 나머지 절반은 13개 학년에 공백이 있었다. 교육내용은전문직업성에 대한 지식 기반, 자기이해와 발달, 타자와의 상호작용,그리고 사회와 보건의료시스템 속의 의사 역할 탐색으로 이해의지평을 확대하는 구조로 구성되어 있었다. 교육방법은 강의, 토의 토론, 실습, 협력학습, 성찰적 글쓰기, 현장체험, 코칭과 피드백,역할모델 등을 사용하고 있었고, 평가방법은 지필고사, 과제 및 보고서, 관찰평가, 에세이 평가와 동료평가, 포트폴리오, 프로젝트 평가등을 활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토대로 전문직 정체성 형성 교육의 확대방향을다음과 같이 제언하고자 한다.

첫째, 전문직업성 관련 교과목에 ‘전문직 정체성 형성’을 명시적인 학습성과나 교육내용으로 표현해야 한다. 내용분석 결과를 보면우리나라 전문직업성 관련 교과목에 전문직 정체성이라는 단어가자주 사용되지 않았다. 의료 전문가로서의 생각이나 행동은 명확한목표 없이 성공적으로 가르치거나 배우기 어렵다[31]. 과거에는 교육목표가 주로 전문직업성에 대한 지식 기반의 이해에 있었고, 전문직 정체성 형성은 대부분의 교육프로그램에 명시된 목표가 아니었다[3]. 이제는 강조점이 전문직 정체성 형성의 개념을 중심으로 변화되고 있고, 관련 연구와 의학교육자의 이해도 향상되었기 때문에 교과목의 학습성과와 교육내용에 전문직 정체성 형성을 명시하고 의사가 되어감에 대한 교육내용을 확장하고 재구성할 필요가 있다.

둘째, 매 학년에 전문직 정체성 형성 교과목이 연속적, 반복적으로배치되도록 교육과정을 편성․ 조직할 필요가 있다. 기본의학교육기간은 전문직으로의 전환이 시작되는 중요한 시기이다[32]. 의학전(pre-medical), 임상실습 전(pre-clinical), 임상실습 교육과정은학생들에게 질적으로 각기 다른 실세계이며, 학생 개개인의 성숙도와 정체성 발달에 영향을 미치는 학습경험도 다르다.

  • 의과대학 입학시 학생들은 초기 적응 스트레스, 자신의 의학 적성에 대한 확신부족, 우수한 동료와의 비교에 의한 자존감 하락 등으로 인하여의사로서 긍정적인 자기정체성을 개념화하기가 어려울 수 있다.
  • 공부량이 집중되는 의학과 1, 2학년 시기에는 시험성적 불안, 실패에대한 두려움으로 인한 스트레스, 의학 지식과 기술의 불충분, 실제환자와의 접촉 경험 부족 때문에 의사로서 자신의 정체성을 내면화하기 어려울 수 있다[31,33-35].
  • 그러나 임상실습과정 중의 학생은 환자와의 상호작용을 통해 미래 의사로서 자신의 정체성을 빠르게 개념화할 수 있고[36], 실습현장에서 의료시스템의 구조적, 사회적측면을 경험하면서 기존에 자신이 갖고 있던 의사의 역할 가치와병원 위계구조에 대처하는 의료의 엄중함 같은 다양한 전문직 가치를 통합해 가면서 의사의 전문직 정체성을 수정하고 발달시켜간다[34].

학생들은 의사처럼 생각하고, 느끼고, 행동할 수 있지만 그렇다고 해서 아직 의사는 아니고 의사가 된다는 것에 대한 내면화도 부족하다[5]. 따라서 학생들이 학년마다 학생수준에서 고유하게 경험하는 갈등과 위기를 성찰과 자기관리를 통해 주체적 경험으로승화시킬 수 있도록 매 학년에 전문직업성 교육과정을 제공해야한다.

 

셋째, 이 연구결과에서 우리나라의 많은 의과대학들은 전문직업성에 관한 지식 기반, 학생들이 자기와 자신의 미래, 인간과 삶의 의미를 탐색해볼 수 있는 기회, 특히 타인과의 관계, 전체 사회 속에서 의사의 역할에 대한 성찰 기회를 가르치고 있었지만, 일부 대학은 전문직 정체성 형성에 관한 교육내용 중 일부가 전문직업성 교육과정에 아직 포함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전문직 정체성형성에 관한 다양한 영역의 교육내용이 누락이 없도록 가능한 모두포함되도록 해야 한다. 앞서 기술하였듯이 전문직 정체성은 인간이 삶을 통해 자신의 경험을 개인적 또는 직업적 자아로 통합해 가면서형성된다[10,37].

이러한 정체성은 개인 정체성, 관계 정체성, 집단정체성의 세 영역에서 발달하는데,

  • 개인 영역은 개인의 특성, 자신의신념, 다양한 삶의 경험에 영향을 받고,
  • 관계 영역은 가족, 친구,멘토와 같은 중요한 타자에 의해 영향을 받으며,
  • 집단 영역은 개인이 속해 있는 사회집단의 영향을 받는다[37].

이런 관점에서 개인 영역에서 자기이해와 발달을 위한 자기성찰, 자기계발과 자기관리, 진로탐색 및 설계를 교육내용에 포함할 필요가 있다. 한편, 인간은 가족,친구, 동아리, 학교, 직장 등 특정 사회집단과 그 집단에서의 역할과 관련해서만 자신의 자아를 알 수 있다[5,38]. 그러므로 타자와 의사소통 역량을 증진시키는 과정은 전문직 정체성 형성과 밀접한 연관을 가지게 된다[39]. 일반인, 환자와 보호자, 동료와의 관계에서 의사소통과 윤리에 대한 주제가 정체성 형성 교육과정에 기본적으로포함되어야 한다[38,40]. 전체 사회와 보건의료시스템과의 관계에서 보면 의료와 정보기술의 발전, 의료에 대한 대중매체의 관심증가, 환자 돌봄에 대한 철학과 관리방식의 변화도 의사 전문직정체성의 변화에 중대한 영향을 미친다[41]. 의과대학에서 환자안전과 의료직종 간 교육이 강조되는 것은 이러한 맥락에서 중요하다. 타 직종 의료인과의 상호작용은 기존에 의사의 역할에 대해 갖고있던 생각과 타 의료직종 전문가의 역할을 비교하고 대조해 봄으로써 의사의 역할과 전문직 정체성에 이해를 밝혀줄 수 있다[42]. 최근연구들은 의사의 전문직 정체성에 대한 기술적 변화의 영향에 대해 개인수준의 전문직 정체성이 지속해서 변화하고 있음을 강조한다[43,44]. 그러므로 전문직 정체성 형성 교육과정에 사회적 맥락을이해하는 과정을 포함해야 한다.

한편, 전문직업성 과정을 개별 교과목으로 개설하지 않고, 기초․ 임상의학 과정과 견고하게 통합되도록 구성하고, 문제바탕학습, 소그룹활동 등 다양한 학습환경에서 자기성찰을 촉진함으로써 전문직 정체성 형성이 잘 통합되도록 구성하는 것도 필요하다[31,45-47]. 예컨대, 의사소통 교육에서 환자의 증상이나 질병에만초점을 두기보다는 전인적 관점에서 환자와 공감적으로 의사소통하는 방식을 가르칠 수 있다. 의사소통 교육은 단순히 의사소통 역량을 키우는 것이 아니라 전문직 정체성 형성 교육을 통합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이다. 또 다른 예로 치매 환자의 경우, 손상된 뇌에만집중하기보다 치료계획 수립 시 환자의 심리상태와 가족관계 같은심리 사회적인 요인을 고려하고, 환자에게 도움을 제공할 수 있는접근 가능한 의료복지제도를 생각해 보고, 치료계획 수립과정에서동료와 상담하는 방법을 배우고, 자신의 미래 신경과 의사의 역할에대해 생각해 보도록 구성함으로써 전문직 정체성 형성을 도울 수있다[42]. 이 연구결과에서 도출한 우리나라 전문직업성 교육과정의 내용구조는 각 대학에서 개설한 교과목 중 부족한 부분과 보충해야할 범주가 무엇인지에 대한 유용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넷째, 전문직 정체성 형성을 위하여 학생들의 자기성찰을 돕는교육방법이 확대되어야 한다. 이 연구결과, 우리나라 의과대학 중에는 성찰적 글쓰기, 역할모델링, 코칭과 피드백 같은 수업방법을 전문직업성 관련 교과목에서 사용하지 않는 대학들이 다수 있었다. 강의보다는 성찰적 글쓰기, 딜레마 토론, 역할모델, 코칭과 피드백, 강점탐구, 가이드가 있는 토론, 현장학습 등이 성찰학습에 유용하다.

  • 성찰적 글쓰기는 전문직 정체성 형성과정에서 자각을 돕고 자신의경험이 갖는 의미를 깨닫게 하는 데 도움이 된다[42]. 개인의 생각,행동, 경험에 관한 토론 역시 학생들이 자기성찰을 통해 의사로서자신의 삶을 구성해볼 수 있게 한다[31]. 성찰과 토론은 전문직 정체성을 개발하는 데 있어 중요한 교수법임이 다수의 연구에서 보고되었다[45,48-50]. 현장학습 또는 실세계와 유사한 경험의 기회를제공하고, 상황학습 또는 경험을 통한 성찰 기회를 제공하는 것도중요하다[51,52]. 피드백은 대화에 참여하는 학습문화를 통해서 학생들이 자신의 사고방식을 바꿀 수 있게 하여 전문직 정체성 형성을촉진할 수 있다[16,53].
  • 딜레마 토론 또한 전문직 정체성 형성을 위한 유용한 학습방법이다. 수업토론 자료로 제공되는 딜레마 상황은 학생들에게 자신이가지고 있는 현재의 가치와 관점을 재검토할 기회를 제공한다[5,15].도전적인 딜레마 상황은 질문하게 하고 비판적 성찰을 통해 핵심가치와 비판적 행동을 강화함으로써 전문직 정체성의 개발을 조정하고 촉진할 수 있다[42].
  • 학생들이 의과대학 교육과정 중에 경험하는 중요한 사건도 전문직 정체성 형성의 중요한 기회이다. 의과대학입학 후
    • 처음으로 사체를 접하거나,
    • 병원현장에서 의사의 생활을실제로 보는 것,
    • 임상실습과정에서 환자의 죽음을 보는 것,
    • 코로나감염에 대처하는 의료팀을 목격하는 상황
      ...에서 교수자는 학생들에게의사가 된다는 것이 무엇을 의미하는지에 대한 성찰과 의미를 유도하고 전문직으로서의 가치를 내면화하도록 안내함으로써 학생들의전문직 정체성 발달을 촉진해야 한다.
  • 정체성 형성과정은 개인적 차원에서 발생하는 심리적 발달인 동시에 공동체 내에서 개인의 역할과 활동 참여과정에서 이루어지는 사회화 과정이기도 하다[7]. 학생들은 사회적 상호작용과정에서 교수의 역할모델을 통해 긍정적 또는 부정적 영향을 받으며[17,18], 학생들은 교수의 행동을 관찰하고, 신념과 철학을 경청하고, 능력 또는 무능력에 주목하기 때문에 교수는 매우 중요한 사회화 대행자이다[54]. 환자, 보호자, 동료, 타 직종 의료인, 일반 대중, 가족 또는친구가 어떻게 대우받는가 하는 것은 학생들의 의식과 무의식 수준모두에 반응하게 하며 이러한 학습은 대부분 암묵적으로 이루어진다[17,18]. 동료 학생 그룹도 공유된 관심사와 가치를 강화하거나 새로운 가치를 형성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39,55,56]. 또 의사와 간호사가 상호작용하는 과정을 보면서 학생들은 진료팀 내에서 팀원으로서 의사의 능력과 역할에 대해 그 가치를 내면화하는 데 영향을받는다[5]. 이러한 과정에서 학생들은 의사의 역할을 배우고, 의학의언어를 습득하고, 직업구조의 위계와 권력구조를 학습하기 때문에역할모델이 중요한 학습방법이라고 할 수 있다[18].

 

다섯째, 전문직 정체성 형성 교육에 있어서 평가는 매우 중요한문제이다. 전문직 정체성 평가는 자신이 누구인지, 한 인간으로서어떤 사람이 되고 싶은지, 전문가로서 어떤 의사가 되고 싶은지에대한 과정을 측정할 수 있어야 한다. 이러한 평가방법은 자기평가,도덕적 추론평가, 기대되는 전문직업적 정체성의 틀을 기준으로 한 다자간 피드백 평가 등이 활용될 수 있다[5,57]. 이 연구결과, 우리나라 전문직업성 관련 교과목의 평가는 지필고사, 과제와 보고서, 토론발표가 가장 많았고, 80% 이상의 대학은 자기평가나 포트폴리오평가를, 30% 이상의 대학은 글쓰기 평가를 활용하지 않는 것으로나타났다. 선행연구는 글쓰기 평가가 학생들의 자기평가, 성찰 및목표설정을 수행하도록 하여 전문직 정체성 형성 교육에 유용함을보고하고 있다[2,3,5,10,53]. 예컨대 도덕적 딜레마 상황에서 학생들의 도덕적 추론능력을 평가하기 위한 이슈 정하기 테스트(the defining issues test)나 피드백 방법을 활용할 수 있다[53]. 포트폴리오 평가를 활용하여 전문직 정체성 학습계획과 성찰, 평가에 학생들을 주도적으로 참여하게 하는 것도 필요하다. 즉 포트폴리오 기록중 입학 시의 에세이, 과정 중 자기평가, 교수 피드백 등의 내용을 주기적으로 점검하고 성찰하는 자기평가방법을 활용할 수 있다[57].우리나라 의학교육에서 전문직 정체성 형성 평가를 위해서 지필고사이외의 다원적이고 다차원적인 평가 및 평가도구를 개발, 적용 및확대할 필요가 있다.

여섯째, 의과대학 행동 규범이 모든 대학에 확대되어야 한다. 화이트코트 세리모니와 행동 규범에 대한 서약은 학생들이 학습과정에서 의사의 공유된 전문직업적 가치를 지키고 윤리적이고 정직하게 탐구하겠다고 약속하는 전문직 정체성 개발과정의 일부다. 이 연구결과를 보면 대부분 대학이 화이트코트 세리모니를 운영하는 것과달리 행동 규범은 약 22%의 대학이 가지고 있지 않았다. 학생 행동규범은 의료를 경험하기 전에 학습자 및 예비 의사로서 학습행위또는 의사의 의료행위에 대해 중요한 것이 무엇인지를 학생들에게생각하게 한다[30]. 화이트코트 세리모니는 흰색 가운에 의미를 부여하고 학생들이 이전까지 머물렀던 강의실에서 벗어나 의학을 실천하는 것이 무엇인지에 대해 생각하고 배우는 의료현장으로 나아가는시간적, 물리적 경계를 넘나들도록 돕는 의식이다[30]. 의과대학은이러한 의식을 통해 인본주의적, 윤리적 실천을 학생들에게 가르치고 시연하는 것이 중요함을 상기시켜야 한다.

일곱째, 전문직 정체성 형성 교육과정을 설계․실행․평가할 의학교육자를 대상으로 교수개발 교육이 필요하다. 이 연구를 위한 자료수집과정에서 연구자가 느낀 점 중 하나는 우리나라 의학교육자들에게 전문직 정체성 형성또는 전문직업성의 개념과 범위에 대한다양한 생각과 혼동이 있고, 그 결과 각 대학의 전문직업성 관련교과목에 포함 또는 배제되는 내용이 달라진다는 것이었다.

  • 협의로 해석하는 경우, 전문직업성, 의료윤리와 법규, 성찰과 자기계발, 환자 중심 의사소통 등의 내용만을 전문직업성 관련 과목으로 인식하였고,
  • 광의로 해석한 경우에는 행동과학, 지역사회의학, 직업환경의학, 역학 등 의료인문학 교육과정 전반을 포함하는 양상을 보였다.

전문직 정체성 형성 교육은 해당 지식을 특정 교과에서 직접적인교육내용으로 다룰 수도 있고, 기초 임상 의료인문학 교육과정과 견고하게 통합적으로 설계하여 전문직 정체성 형성이라는 학습성과에 도달할 수도 있다. 따라서 협의와 광의의 해석 모두 타당할 수있다. 선행연구들은 전문직업성,’ ‘전문직 정체성,’ ‘전문직 정체성형성개념 구분을 명확히 하고[3], 전문직 정체성 형성에 강조점을두게 되면 교육전략도 달라져야 한다고 주장한다[2,7]. 따라서 교육자는 전문직 정체성 형성의 본질에 대한 내용적 지식을 갖추어야하고 가장 적절한 교육방법과 평가방법에 대해서도 이해하고 있어야한다. 교수개발은 학생들의 사회화 과정과 전문직 정체성 형성을촉진하기 위한 교육프로그램의 확대에 있어서 중요한 조건이 된다[3,58].

 

이 연구가 갖는 제한점은 첫째, 자료분석이 대학별로 응답자가보고한 내용을 기반으로 이루어졌기 때문에 교과목 또는 교과목에대한 설명이 누락되었거나 실제 수업과 다르게 기술된 경우 연구결과와 실제 교육현실에 오차가 있을 수 있다. 둘째, 질적 분석방법을사용한 교육내용의 범주화는 연구자의 경험과 직관에 의존하였기때문에 다른 연구자의 관점에서 보면 새로운 분류가 가능할 수 있다.

이러한 제한점에도 불구하고 이 연구는 우리나라 기본의학교육의 현황을 점검하고 전문직 정체성 교육을 확대하기 위한 유용한통찰을 제공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덕목과 역량 중심의 접근방법을 포함해서 이제는 전문직 정체성 형성이라는 관점에서 의사가되는 것을 포함하는 광범위한 접근을 시도할 때이다. 향후 전문직정체성 형성을 지원하기 위한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전문직 정체성 형성 교육에 적합한 교수법과 평가방법을 도입하고, 전 생애적관점에서 우리나라 의과대학생, 전공의, 그리고 의사의 전문직 정체성 발달과정을 종단적으로 추적하는 연구와 전문직 정체성 형성을 촉진하거나 저해하는 개인적 요소와 조직문화적 요소 등에 대한다양한 추가 연구가 필요하다.

 

 


This study examined the current status of the medical professionalism curriculum in Korea to suggest a plan to move towards the formation of a professional identity. Professionalism education data from 28 Korean medical schools were analyzed, including the number of courses, required or elective status, corresponding credits, major course contents, and teaching and evaluation methods. Considerable variation was found in the number of courses and credits in the professionalism curriculum between medical schools. The course contents were structured to expand learners’ experiences, including the essence and knowledge of professionalism, understanding of oneself, social interaction with others, and the role of doctors in society and the healthcare system. The most common teaching methods were lectures and discussions, while reflective writing, coaching, feedback, and role models were used by fewer than 50% of medical schools. Written tests, assignments and reports, discussions, and presentations were frequently used as evaluation methods, but portfolio and self-evaluation rates were relatively low. White coat ceremonies were conducted in 96.2% of medical schools, and 22.2% had no code of conduct. Based on the above results, the author suggests that professional identity formation should be explicitly included in learning outcomes and educational contents, and that professional identity formation courses need to be added to each year of the program. The author also proposes the need to expand teaching methods such as reflective writing, feedback, dilemma discussion, and positive role models, to incorporate various evaluation methods such as portfolios, self-assessment, and moral reasoning, and to strengthen faculty development. 
Keywords: Medical students, Professional identity, Professionalism, Socialization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