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과대학생의 커리어 지향: Q방법론 연구(PLoS One, 2021)
Career orientations of medical students: A Q methodology study
Lokke Gennissen 1*, Karen Stegers-Jager1, Job van Exel 2,3, Lia Fluit4, Jacqueline de Graaf4,5, Matthijs de Hoog1,6 

 

 

서론
Introduction

불일치
Mismatch

사회가 빠르게 변화함에 따라 의료 수요도 변화하고 있다. 지속 가능하고 목적에 적합한 저렴한 의료 시스템을 유지하려는 욕구에 있어 의료 전문가의 공급을 사회적 요구에 맞추는 것은 필수적입니다[1]. 그러나 많은 서구 사회에서는 최적의 진료 제공에 필요한 전문직 종사자와 관련하여 [의사의 직업 열망과 진로] 및 [사회적 요구] 사이에 불균형이 지속되고 있다[1, 2]. 의대생이 부족하지는 않지만 전공 간 의대 졸업생의 분포가 문제다. 예를 들어 사회는 더 많은 공중 보건 및 노인 의료 의사를 필요로 하지만, 의학 졸업생들은 오히려 소아과나 내과에서 직업을 추구한다[1, 3]. 이러한 불일치는 의료 전문가의 부족과 실업으로 이어졌다. 이러한 불일치를 해결하는 것은 의료 인력뿐만 아니라 사회에서도 시급한 관심사이다. 그러기 위해서는 의대생들의 진로 열망에 대한 더 나은 이해가 필수적이다.

As society is rapidly changing, health care demands are changing as well. Matching the supply of health professionals to societal demands is essential in aspiring to maintain an affordable healthcare system, which is sustainable and fit for purpose [1]. However, in many Western societies there is a continuing imbalance between the career aspirations and paths of medical doctors and societal needs with regard to the professionals required for optimal care delivery [1, 2]. Although there is no shortage of medical students, the distribution of medical graduates over specialties is problematic. Whereas society needs for instance more public health and elderly care doctors, medical graduates rather pursue careers in pediatrics or internal medicine [1, 3]. This mismatch has led to both shortages and unemployment of medical professionals. Solving this mismatch is of urgent interest for the medical workforce as well as society. For that purpose, a better understanding of the career aspiration of medical students is essential.

경력 포부
Career aspirations

전문성 측면에서 학생들의 잘못된 분포는 연구자들에 의해 점점 더 많이 다루어지고 있다[1, 4, 5]. 의학 전공 선택과 같은 진로 결정에 중요한 역할을 하기 때문에 의대생들의 진로 열망이 문제의 핵심에 있는 것으로 보인다. 학생들은 의학 분야에 대한 어떤 야망, 걱정, 희망을 가지고 의대에 입학하는 경우가 많다. 이상적으로는 의과대학 시절 현장 경험을 통해 학생들이 필요로 하는 것과 좋아하는 것, 일과 삶에 대해 더 깊이 믿거나 가치 있게 여기는 것, 잘하는 것, 중요한 기술과 능력이 무엇인지 점차 깨닫게 된다. 이러한 동기, 가치관, 재능은 [그들의 포부를 견인할 직업 관련 선호의 포괄적인 패턴]으로 점차 모이게 되는데, 이것은 그들의 [직업 지향career orientation]이라고도 불린다. 의대생들의 [직업 지향]에 대한 통찰력은 의학 전공 선택 과정의 추진력을 더 잘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될 것입니다. 이 지식은 전문 분야에 대한 의대 졸업생의 문제 있는 분포에 대한 문제를 해결하고 해결책을 제안하기 위해 노력할 때 필수적이다.
The maldistribution of students in terms of specialties has been increasingly addressed by researchers [1, 4, 5]. Career aspirations of medical students appear to lie at the heart of the problem, as they play an important role in career decisions such as medical specialty choice. Students often already enter medical school with certain ambitions, concerns, and hopes about the medical field. Ideally, through experiences in the field during medical school, students gradually learn to realise what they need and like, what they more deeply believe or value about work and life, what they are good at, and what skills and abilities are critical. These motives, values and talents gradually come together in a comprehensive pattern of job-related preferences that will drive their aspirations, which is also referred to as their career orientation. Insight in the career orientations of medical students will likely help us to better understand the drives in their medical specialty choice process. This knowledge is essential when striving to address issues and propose solutions for the problematic distribution of medical graduates over specialties.

의대생들이 어떻게 진로 방향을 개발하고 그들이 어떻게 그들의 의학 전공 선호에 도달하게 되는지는 복잡하며 오랜 세월 동안 연구되어 왔습니다 [6–8]. 일반적으로 학자들은 다음에서 의학 전문 선택과 관련된 중요한 측면을 식별하려고 노력해 왔다.e 

  • 학생의 특성(성별 및 성격 등) [9],
  • 가치(예: 개인 선호) [10],
  • 진로 요구 또는 선호(예: 기대 소득 또는 근무 시간) [11],
  • 의료 전공별 특성에 대한 인식(예: 개인 경험)[12]
  • 의료 커리큘럼 특성(예: 커리큘럼 설계) [13].

이로 인해 의료 전문 선택 과정에서 역할을 하는 광범위한 측면에 대한 지식이 증가했지만, 프로세스에 대한 명확한 이해는 여전히 부족하다[8].

The process of how medical students develop their career orientation and how they come to their medical specialty preferences is complex and has been researched for many years [68]. In general, scholars have tried to identify aspects of importance for medical specialty choice in

  • students’ characteristics (such as gender and personality) [9],
  • values (e.g. personal preference) [10],
  • career needs or preferences (e.g. expected income or working hours) [11],
  • perceptions of medical specialty characteristics (e.g. personal experience) [12], and
  • medical curricula characteristics (e.g. curriculum design) [13].

Although this has resulted in increased knowledge on a broad variety of aspects which play a role in the medical specialty choice process, a clear understanding of the process is still lacking [8].

본 연구는 선택과 관련된 모든 측면이 상호 연관된 의사 결정 과정으로 접근함으로써 이 의학 전문 선택사항에 대한 이해에 기여하고자 했다. Cleland와 동료들은 이러한 관점을 취하는 데 앞서, 개별적인 측면을 보는 대신 사람들을 [특정 대안으로부터 멀어지게] 하거나, [사람들을 그 쪽으로 끌어당기는] 주요 측면인 [밀고 당기는 요소]에 초점을 맞출 수 있다고 주장했습니다 [14, 15]. 그들이 [이산 선택 실험]을 사용한 그들의 연구는 아마도 영국의 의학 졸업생들이 그들의 직업 의사 결정에서 어떻게 다른 측면을 가치 있게 여기고 절충하는지를 조사하는 것에 가장 근접할 것이다. 이는 금전적 이득과 관련된 이러한 측면의 중요성에 대한 통찰로 이어졌다.

The present study sought to contribute to the understanding of this medical specialty choice by approaching it as a decision-making process in which all relevant aspects of the choice are interrelated. Cleland and colleagues have preceded us in taking this perspective and argued that instead of looking at individual aspects one could also focus on push and pull factors [14, 15], the principal aspects that either drive people away from a certain alternative or draw people towards it. Their studies, in which they used discrete choice experiments, probably come closest to investigating how medical graduates in the UK value and trade-off different aspects in their career decision-making. This led to insights regarding the importance of these aspects relative to financial gains.

이러한 [선택 실험]은, 그 설계 특성상, 제한된 수의 측면의 상대적 중요성을 조사하기에 적합하다. 그러나 의대생들의 전공 선택에 크고 다양한 가치관, 필요성, 동기의 집합이 역할을 할 수 있다. 따라서 의대생들이 전공 선택에 있어 이 모든 다른 측면이 어떻게 우선시되는지에 대한 광범위한 이해는 의료 인력의 잘못된 분배를 해결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는 개입을 설계하는 데 필수적이다. 게다가, 학생들이 미래의 직업을 위해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것에 있어서 학생들 사이의 상당한 이질성을 예상할 수 있다. 따라서, 우리의 연구에서 우리는 [Q-방법론]을 사용하여 학생들이 의학 전문 선택과 관련된 모든 측면을 어떻게 절충하는지 조사했다. 이 접근방식은 참가자들에게 광범위한 항목들의 순위를 매기도록 요청하고 의대생들의 뚜렷한 직업 지향성 사이의 유사성뿐만 아니라 차이점을 식별할 수 있게 한다. 또한 양적, 질적 데이터를 모두 수집함으로써 다양한 진로 지향에 대한 풍부한 해석을 생성할 수 있다.

Such choice experiments, by design, are suitable for investigating the relative importance of a limited number of aspects. However, a large and varied set of values, needs and motives may play a role in specialty choices of medical students. Therefore, a broader understanding of how all these different aspects are prioritised by medical students in their speciality choices is essential for designing interventions that could help solve the maldistribution of the medical workforce. In addition, one may expect considerable heterogeneity between students in what they consider important for their future careers. Thus, in our study we investigated how students trade-off all the relevant aspects with regard to medical specialty choice using Q-methodology. This approach makes it possible to ask participants to rank an extensive set of items, and to identify similarities as well as differences between distinct career orientations of medical students. In addition, by collecting both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data, rich interpretations of different career orientations can be generated.

Q-방법론은 이전에 경력 연구에서 사용되었지만 [16–18] 의료 경력 연구에 이 접근법을 적용한 것은 이 연구가 처음이다.
Although Q-methodology has previously been used in career research [1618], this study is the first to apply this approach to medical career research.

대부분의 진로선택 이론에서 진로선택 과정은 주로 [매칭 프로세스]로 접근한다. 즉, 의식적으로든 무의식적으로든 개인의 필요, 가치, 동기, 재능과 일치하는 전문성을 선호한다고 가정한다[19]. 결과적으로, [당신이 원하는 것을 아는 것]과 [당신의 자질과 가치가 무엇인지 아는 것]은 적절한 직업 선택을 하기 위해 필수적이다. 따라서 이러한 많은 이론들은 의대생들이 진로지향을 개발하고 효과적인 진로결정을 하기 위해서는 [철저한 자기탐구]로 시작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제안한다. 후자는 적절한 의료 전문 분야를 선택하는 것이 직업 만족에 도움이 되고, 따라서 제공되는 의료의 질에 도움이 되기 때문에 더욱 관련이 있다[19–22]. 그러나 현재 연구의 맥락에서 훨씬 더 중요한 것은 의대생들의 진로 방향에 대한 더 많은 통찰력이 의대생들의 의학 전공 선택에 대한 우리의 이해를 향상시킬 수 있다는 것이다[19].
In most career choice theories, the career choice process is approached mainly as a matching process. This means that it is assumed that a person -consciously or unconsciously- prefers a specialty that matches their individual needs, values, motives and talents [19]. Consequently, self-knowledge about what you want and what your qualities and values are, is essential for making appropriate career choices. Many of these theories thus suggest that starting with a thorough self-exploration is necessary for medical students to develop a career orientation and for effective career decision-making. The latter is all the more relevant because choosing the proper medical specialty will benefit job satisfaction, and thereby the quality of care delivered [1922]. But even more important in the context of the current study, more insight into the career orientations of medical students could improve our understanding of their medical specialty choices [19].

연구목표
Research aim

본 연구는 학생 진로지향에 초점을 맞춰 의약특기자선호 형성 과정에 대한 이해에 기여하고자 한다. Q-방법론[23]을 사용하여, 이 연구는 의대생들이 전공 선택에 대한 광범위한 가치, 요구 및 동기에 부여하는 중요성의 패턴을 탐구하며, 양적 및 질적 데이터를 사용하여 이러한 패턴을 별개의 직업 지향으로 설명한다. 마지막으로, 이 연구는 의대생들의 열망과 의료 전문가에 대한 사회적 요구 사이의 불일치에 대한 의료 전문 선택과 잠재적 해결책에 대한 그들의 함의를 상세히 설명한다.

This study aims to contribute to the understanding of the process of medical specialty preference formation, by focusing on student career orientations. Using Q-methodology [23], this study explores patterns in the importance medical students attach to a broad set of values, needs, and motives for specialty choice, and uses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data to describe these patterns as distinct career orientations. Finally, the study elaborates on their implications for medical specialty choices and potential solutions for the mismatch between the aspirations of medical students and societal needs for medical professionals.

방법들
Methods

연구설계
Study design

Q-방법론의 혼합 방법 특성은 주관적 현상의 패턴과 다양성을 체계적으로 탐색하고 설명하는 데 특히 적합하다[23]. 데이터는 참가자들에게 연구 주제와 관련된 광범위한 이슈를 나타내는 일련의 진술의 순위를 매기도록 요청함으로써 수집된다. 참가자가 전체 진술 집합의 순서를 정함으로써 자신의 관점을 드러내고, 서로 다른 참가자가 유사한 방식으로 진술의 순위를 매기면 주제에 대해 비슷한 견해를 갖는다는 가정이다. 참가자 간의 유사점과 차이점을 식별하기 위해, 순위 데이터는 사람별 요인 분석을 통해 진술 대신 인물의 상관관계를 분석한다[23].
The mixed method characteristic of Q-methodology is particularly suited to systematically explore and explain patterns and diversity in a subjective phenomenon [23]. Data are gathered by asking the participants to rank a set of statements that represent the broad set of issues that are relevant to the topic of study. The assumption is that participants reveal their viewpoint through ordering the full statements set, and that if different participants rank the statements in a similar way, they hold a similar view on the topic. To identify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between participants, the ranking data is subjected to by-person factor analysis, thus correlating the persons instead of the statements [23].

맥락
Context

이 연구는 네덜란드의 두 대학의 의과대학에서 이루어졌다. 학생들의 인구통계학적 특성과 커리큘럼은 상당히 유사하다[24]. 두 대학 모두 광역대학으로 학생들의 배경 특성이 비슷한 분포를 보인다. 두 대학 모두 6년제 학부 의학과정이 있는데 3년제 학사과정은 이론과, 3년제 석사과정은 임상과가 주를 이룬다. 네덜란드에서 의과 전문의를 목표로 하는 의과대학 졸업생은 의과대학 졸업 후 바로 의과대학 전공의 선발 절차를 신청할 수 있거나, 전문분야에서 비훈련 전공의resident-not-in-training로 근무를 시작할 수 있는 두 가지 선택지가 있다. 후자의 옵션은 전공이 적합한지 더 잘 알거나, 선택한 전공에 지원하기 전에 더 나은 이력서를 작성할 수 있는 업무 경험을 얻기 위해 자주 사용됩니다. 결과적으로, 실제 의학 전공의 결정의 순간은 학생 개개인에 따라 다를 수 있다.

This study took place in medical schools at two universities in the Netherlands.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their students and their curricula are quite similar [24]. Both universities are metropolitan universities, with similar distribution of background characteristics of the students. Both universities have a 6-year undergraduate medical curriculum of which the 3-year Bachelor is mainly theoretical, and the 3-year Master is mainly clinical. In the Netherlands, medical school graduates that aim to become a medical specialist have two options: one can apply for a medical residency selection procedure directly after medical school or one can start working in a specialty as a resident-not-in-training. The latter option is frequently used to get a better sense of whether a specialty fits, or to gain work experience to build a better resume before applying for the specialty of choice. As a consequence, the moment of the actual medical specialty decision making can differ between individual students.

참가자
Participants

이 연구의 참여자들은 두 의과대학의 6년 과정 모두에서 온 학생들이었다. 학생들 사이에 어떤 진로 오리엔테이션이 존재하고 어떤 학생들이 이런 다른 오리엔테이션을 가지고 있는지에 대한 사전 정보가 없었기 때문에 편의성 샘플링과 스노우볼링을 조합하여 사용했다. 데이터 수집의 출발점으로 우리는 의대생들의 편리한 샘플, 즉 의대생들 사이의 다양한 관점을 포착하는 데 관련될 것으로 예상한 의대 학년과 배경 특성에 따라 다양한 참가자로 구성된 접근하기 쉬운 그룹에 접근했고, 이는 Q-방법론에서 흔히 볼 수 있다. [23]. 더 다양한 그룹에 도달하기 위해, 스노우볼링이 사용되었습니다. 즉, 편의 샘플의 참가자들에게 이러한 다른 학생들이 비슷하거나 다른 진로 포부를 가질 것이라는 그들의 기대를 바탕으로 연속 참가자들을 제안하도록 요청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표본 추출 전략의 주요 목적은 직업 지향의 다양성을 확인하는 데 도움이 되는 다양한 의대생 그룹을 포함하는 것이었습니다. Q-방법론 연구의 참가자들은 많은 항목을 평가하고 순위를 매기기 때문에, 잘 선택된 제한된 수의 참여자들은 포화 상태에 도달하고 주제에 대한 주요 관점을 식별하기에 충분하다[23]. 모든 참가자들이 연구를 완료했습니다.

Participants in this study were students from all six years of the undergraduate curriculum of the two medical schools. As we had no prior information about which career orientations exist among students and which students have these different orientations, a combination of convenience sampling and snowballing was used. As a starting point of the data collection we approached a convenience sample of medical students, i.e. an easy-to-reach group consisting of participants varying in year of medical school and background characteristics that we anticipated to be relevant for capturing the diversity of viewpoints among medical students, as is common in Q-methodology [23]. In order to reach a more diverse group, snowballing was used. This means we asked participants from the convenience sample to suggest consecutive participants, based on their expectations that these other students would have similar or dissimilar career aspirations. The main purpose of our sampling strategy was including a diverse group of medical students that would help us to identify the variety in career orientations. Since participants in a Q-methodology study evaluate and rank a large number of items, a limited number of well-selected participants is sufficient to reach saturation and to identify the main viewpoints about a topic [23]. All participants completed the study.

진술문 집합
Statement set

Q-방법론 연구를 수행하는 데 있어 중요한 부분은 조사 중인 문제에 대해 사람들이 말하거나 생각할 수 있는 다양한 것들을 포괄하는 포괄적인 진술 세트를 개발하여 모든 참가자가 자신의 견해를 밝힐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23]. 따라서, 임상 및 의료 교육 전문가들로 구성된 팀이 성명 세트를 개발하기 위해 힘을 합쳤다. 우리는 다음 질문에 대한 가능한 응답의 다양성을 나타내기 위해 이 세트를 목표로 했다. "당신의 미래 직업에 대해 생각하면서, 의학 전공 선택에 있어 당신에게 중요한 것은 무엇입니까?" 우선, 전문 선호도에서 중요한 측면이 문헌에서 확인되었다. 회수된 물품의 긴 목록은 검토되었고 팀의 경험으로 보충되었다. 다음으로, 이 항목들은 앞에서 말한 질문에 대한 대답이 될 수 있는 진술로 변환되었다. 예를 들어, "명망 있는 의료 전문 분야에서 일하는 것"입니다. 그 후, 그 진술들은 모호성, 명확성 및 의대생과 함께 사용 적합성에 대해 의대생들과 전문가들과 논의되었다. 조정 후, 진술서는 학생들 사이에서 시험적으로 테스트되었다. 파일럿 참가자들에게 일련의 진술의 완전성과 이해가능성에 대한 의견을 요청하였다. JvE, KSJ, LG의 최종 개정으로 62개의 문장이 만들어졌다. 설명 집합에서 다루는 주제는 다음과 같습니다. 개인 개발/진보, 라이프스타일, 프레스티지, 서비스/알트루시즘, 보안 및 안정성, 자율성 및 업무 관련 콘텐츠.

A crucial part in conducting a Q-methodology study is developing a comprehensive set of statements, covering the variety of things that people may say or think about the issue being investigated, allowing all participants to reveal their viewpoint [23]. Therefore, a team of clinical and medical education professionals joined forces to develop the statement set. We aimed the set to represent the diversity of possible responses to the question: “thinking about your future career, what is important to you in your medical specialty choice?”. To start, aspects important in specialty preference were identified in the literature. The long-list of items retrieved was reviewed and supplemented with experiences of the team. Next, these items were transformed into statements that could be an answer to the previously stated question. For example: “Working in a prestigious medical specialty”. Subsequently, the statements were discussed with medical students and specialists regarding their ambiguity, clarity, and suitability for use with medical students. After adjustments, the statement set was pilot-tested among students. Pilot participants were asked to comment on the completeness and comprehensibility of the set of statements. Final revisions (by JvE, KSJ and LG) resulted in a set of 62 statements. Themes covered in the statement set included: Personal development/advancement, Lifestyle, Prestige, Service/Altruism, Security and stability, Autonomy and Work-related content.

자료수집
Data collection

참석자들은 직접 인터뷰를 했다 순위는 다음과 같이 지시되었다. 

  • 첫째, 참가자들은 카드에 인쇄된 진술서를 무작위로 건네받았고, 모든 진술서를 읽고 의학 전공을 선택하기 위해 중요, 중요하지 않음 및 중립의 세 가지 더미로 분류하도록 요청받았다. 
  • 다음으로, "중요한" 더미에 있는 진술서를 받아 다시 한 번 읽어보고, 의학 전공을 선택하는데 가장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진술서 두 개를 선택하여 점수표의 오른쪽에 5번 아래 두 자리(그림 1 참조)에 배치하도록 했다. 
  • 그런 다음, "중요한" 더미의 나머지 문장을 읽고, 현재 가장 중요하다고 생각되는 네 개의 문장을 선택한 다음, 다음 열인 4 아래에 배치하도록 요청받았습니다. 이 과정은 더미 안에 어떤 진술도 남아 있지 않을 때까지 반복되었다. 
  • 그런 다음, "중요하지 않은" 더미의 문장과 "중립" 더미의 문장에 대해서도 유사한 절차가 수행되었다(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순서 지정). 이러한 정렬 단계는 그림 2에 나와 있습니다. 
  • 진술의 순위를 마친 후, 참가자들은 대면 면접에서 자신의 순위와 특히 진술의 가장자리에 대한 배치에 대해 설명하고 종이 기반 설문지에서 일부 인구통계학적 배경 질문에 답변하도록 요청받았다(S1 부록 참조).

Participants were interviewed in person (by LG). The ranking was instructed as follows: first, participants were handed the statements printed on cards, in random order, asked to read all statements and to categorise them in three piles: important, unimportant and neutral for their choice of a medical specialty. Next, they were asked to take the statements in the “important” pile, to read them once again, and to select the two statements they felt were the most important for their choice of a medical specialty, and place these on the right-hand side of the score sheet in the two spots below the number 5 (see Fig 1). Next, they were asked to read through the remaining statements of the “important” pile, select the four statements they now felt were the most important, and place them in the next column, below 4. This process was repeated until no statements remained in the pile. Then, a similar procedure was followed for the statements in the “unimportant” pile (then ordering from left to right), and for the “neutral” pile (placed in the remaining spots in the middle). These sorting phases are shown in Fig 2. After finishing the ranking of the statements, participants were asked in a face-to-face interview to explain their ranking and in particular the placement of the statements at the extreme ends, and to answer some demographic background questions in a paper-based questionnaire (see S1 Appendix).

 

분석.
Analysis

[개인별 요인 분석]은 개인 순위 데이터에서 뚜렷한 진로 방향을 식별하기 위해 사용되었다[23]. 먼저, 참가자에 의한 진술의 순위 사이의 상관 행렬이 계산된다. 두 참가자가 62개의 진술에 유사한 방식으로 순위를 매긴다고 가정하면, 요인 분석(즉, 중심 인자 추출에 이어 varimax 회전[23])이 순위 데이터의 주요 패턴을 식별하기 위해 적용된다. 데이터에서 추출할 패턴(또는 요인) 수의 선택은 다음과 같습니다. 

  • 통계적 기준(즉, 고유값 >1 및 패턴과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연관된 최소 2명의 참가자) 
  • 그리고 패턴이 인터뷰의 해당 정성 데이터에 의해 뒷받침되는 일관된 해석을 가지고 있는지 여부.

By-person factor analysis was used to identify distinct career orientations from the individual ranking data [23]. First, a correlation matrix between the rankings of the statements by the participants is computed. Assuming that if two participants rank the 62 statements in a similar way, they have a similar career orientation, factor analysis (i.e., centroid factor extraction followed by varimax rotation [23]) is then applied to identify the main patterns in the ranking data. The selection of the number of patterns (or factors) to extract from the data is based on

  • statistical criteria (i.e., Eigenvalue >1 and a minimum of two participants statistically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the pattern) and
  • whether patterns have a coherent interpretation that is also supported by the corresponding qualitative data from the interviews.


식별된 각 패턴에 대해 데이터의 이상화된 순위가 계산된다. 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패턴(p < 0.0.05)과 체중으로 상관 계수와 관련된 참가자의 순위를 바탕으로 한 62개 문장의 가중 평균 순위이다.
For each identified pattern, an idealized ranking of the data is computed. This is a weighted average ranking of the 62 statements, based on the rankings of participants statistically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the pattern (p < .0.05) and their correlation coefficient as weight.

이러한 이상적인 순위는 의대생들 사이에서 뚜렷한 진로 지향으로 해석된다. 각 패턴의 해석은 패턴에서 +5, +4, -4 또는 -5의 점수를 가진 문장과 다른 패턴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다른 점수(p<0.05)를 가진 문장으로 시작한다. 그러나 패턴은 62개의 모든 문장으로 구성되며 궁극적으로 우리의 해석을 주도하는 것은 많은 항목의 상호 관계이다.
These idealized rankings are then interpreted as distinct career orientations among medical students. Interpretation of each pattern starts by the characterising statements, those with a +5, +4, -4 or -5 score in that pattern, and the distinguishing statements, those with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t score (p<0.05) in a pattern as compared to the other patterns. However, a pattern consists of all 62 statements and it is the interrelationship of the many items that ultimately drive our interpretation.

마지막으로, 패턴(p < 0.0.05)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참가자로부터의 정성적 인터뷰 데이터(즉, 참가자가 제공한 진술의 순위에 대한 동기)를 사용하여 해석을 검증하고 다듬는다. 이러한 질적 재료에서 선택한 인용문은 패턴의 해석을 입증하는 데 사용됩니다.

Finally, the qualitative interview data (i.e. the motivations for their ranking of the statements provided by participants) from participants statistically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the pattern (p < .0.05) are used to verify and refine the interpretations. Selected quotes from these qualitative materials are used to substantiate the interpretations of the patterns.

윤리적 고려사항
Ethical considerations

참가에 앞서, 모든 참가자들에게 연구의 목적에 대해 알려주었다. 사전에 충분한 동의를 얻었다. 참여는 자발적인 것이었다. 참가자들은 이 연구가 의학 과정에서의 진행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는 것을 분명히 알게 되었다. 모든 참가자들은 서면으로 충분한 동의를 했다. 데이터는 기밀로 처리되었으며 네덜란드 데이터 보호 당국의 요구 사항에 따라 처리되었습니다. 이 연구는 네덜란드에서 NVMO 윤리심사위원회(NERB 번호 812)에 의해 승인되었다.
Prior to participation, all participants were informed about the purpose of the study. Informed consent was obtained beforehand. Participation was voluntary. Participants were explicitly informed that this research did not influence their progression at the medical course. All participants gave written informed consent. Data were processed confidentially and were handled according to the requirements of the Dutch data protection authority. This study was approved in the Netherlands by the NVMO Ethical Review Board (NERB number 812).

결과.
Results

의대생들과의 24번의 인터뷰 후에 포화상태에 도달했다. 마지막 몇 번의 인터뷰 동안, 진술의 정말로 뚜렷한 순위나 진술의 순위를 매기는 새로운 동기가 발견되지 않았다. 이 24명의 학생들은 두 대학의 의과대학 출신이었고, 9명은 남자였고 15명은 여자였다. 참가자들의 평균 연령은 21.3세로 18-27세였다. 이 성별과 연령 분포는 전체 학생 모집단을 대표한다[25]. 참가자는 의과대학 1학년 5명, 이 중 3명, 3학년 4명, 4학년 4명, 5학년 4명, 6학년 3명이었다. 표 1은 참가자들의 인구통계 데이터를 보여준다.
Saturation was reached after 24 interviews with medical students. During the last few interviews, no really distinct rankings of the statements or novel motivations for ranking the statements were found. These twenty-four students were from medical schools at two universities, 9 were male and 15 were female. The mean age of participants was 21.3, with a range of 18–27 years. This gender and age distribution is representative of the total student populations [25]. Five participants were in the first year of medical school, three of them in the second year, four in the third year, four in the fourth year, four in the fifth year and three in the sixth year. Table 1 presents the demographic data of our participants.

진술의 24개 순위는 최대 3가지 패턴(즉, 경력 지향)을 지원했으며, 해석의 명확성과 구별성을 검사한 후 해석을 위해 유지되었다. 이 세 가지 패턴을 함께 사용하여 순위 데이터의 총 분산의 48%를 설명했으며, 5~10명의 참가자가 각 패턴과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연관되었다. 이러한 진로 오리엔테이션은 평생학습으로 소명, 일과 삶의 균형, 성취와 인정으로 지칭될 것이다.
The 24 rankings of the statements supported a maximum of three patterns (i.e. career orientations), which, after inspection for clarity of interpretation and distinctiveness, were retained for interpretation. These three patterns together explained 48% of the total variance in the ranking data, and between 5 and 10 participant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each pattern. These career orientations will be referred to as life-long learning as a calling, work-life balance and achievement and recognition.


표 2는 세 가지 패턴에 대한 62개 문장의 이상적인 순위를 나타내며, 이러한 패턴에 대한 구별 문장으로 식별된 문장은 별표와 함께 강조 표시되어 있다.

Table 2 presents the idealised ranking of the 62 statements for the three patterns, highlighting with an asterisk the statements that were identified as distinguishing statements for these patterns.

다음 섹션에서는 세 가지 패턴에 대한 해석을 의대 학생들의 뚜렷한 진로 지향으로 제시한다. 괄호 사이에, 특정 경력 지향에 대한 진술의 점수가 -5에서 +5까지 주어지며, 이는 격자의 진술 배치에 해당한다(그림 1 참조). 또한 특정 경력 오리엔테이션에 로드한 참가자가 제공한 몇 개의 인용문은 우리의 해석을 뒷받침하는 것으로 제공되며, 이러한 인용문에 이탤릭체를 사용하면 알 수 있다. 인용문은 응답자의 고유 식별자를 나타내는 숫자 뒤에 이어지는 "R"로 식별할 수 있다. 표 3-5는 세 가지 경력 지향의 특징적인 진술을 보여줍니다.

In the next section we present the interpretations of the three patterns as distinct career orientations of medical students. Between parentheses, the scores of the statements for that particular career orientation are given, with the numbers ranging from -5 to +5, corresponding to the placement of the statement on the grid (see Fig 1). Additionally, several quotes given by participants who loaded onto the particular career orientation are provided as support for our interpretation, recognisable by the use of italics for these quotes. Quotes are identifiable by an ‘‘R” followed by a number referring to the unique identifier of the respondent. Tables 35 show the characterising statements of the three career orientations.

 

 

직업 오리엔테이션 1: 소명으로서의 평생 학습
Career orientation 1: Lifelong learning as a calling

이러한 진로 방향은 1학년, 2학년, 3학년, 4학년 의대생으로 구성된 3명의 남성과 3명의 여성 참가자로 구성된 Q-sorts로 대표되었다. 이러한 진로지향을 가진 학생들은 자신을 발전시킬 기회를 높이 평가한다. (st.44:+4) "그것은 내가 좋아하는 것이다. 계속 배우다. 그래서 그것이 제가 미래의 직업에서 찾고 있는 것이기도 합니다." [R5]. 그들은 연구에 관여하고, 혁신적이고, 가르치는 역할을 맡는 것에 관심이 있으며, 따라서 학업적 세팅이 매력적이라고 생각한다. 그들은 또한 육체적으로 그리고 정신적으로 그들의 일을 처리할 수 있는 능력에 높은 가치를 둔다 (st.6: +5; st.46: +4). "하지만 그것이 당신을 불행하게 만들지 않아야 하고, 정신적으로 대처할 수 있어야 한다." [R16]. 그들의 미래 연구의 중요한 특징은 환자의 삶에 미치는 영향이며(st.16:+5) 대부분의 참가자는 환자와 더 긴 관계를 가질 수 있는 환경을 찾는다(st.20:+2; st.36:0). 그들은 흥분과 행동을 가지고 일을 추구하지 않고 또한 매일의 일의 다양성에 거의 중요성을 두지 않는다. 
This career orientation was represented by the Q-sorts of three male and three female participants, being first, second, third and fourth year medical students. Students with this career orientation place high value on opportunities to develop oneself (st.44: +4): “That is what I love to do. Keep learning. So that is also what I’m looking for in a future job” [R5]. They are interested in getting involved in research (st.55: +4), being innovative (st.10: +2) and perhaps taking up a teaching role (st.15: +2), and therefore find the academic work setting appealing (st.11: +2). They also place high value on being able to physically and mentally handle their work (st.6: +5; st.46: +4): “But it shouldn’t make you unhappy, you should be able to cope with it mentally” [R16]. An important feature of their future work is its impact on the lives of patients (st.16: +5) and, most of all participants, they seek a setting where they would be able to have longer relationships with patients (st.20:+2; st.36: 0). They don’t pursue work with excitement and action and also attach little importance to the diversity in daily tasks (st.2: +3; st.43:-1).

이 의대생들은 대부분 자신의 소명을 따르기를 원한다. 따라서, 그들은 직업에 대한 외부 인식(st.38: -5; st.49: -1; st.21; -4; st.50: -4; st.40: -3; st.14: -2; st.13: -4), 일과 삶의 균형(st.28:+1; st.13: -4), 또는 그 직업이 제공하는 학습 부채를 신속하게 갚을 수 있는 가능성(st.41: -5:)에 대해 다른 사람들보다 덜 우려한다."그렇게 서두를 필요는 없습니다. 조만간 그렇게 될 것입니다. 하지만 서두를 필요는 없습니다.  

These medical students mostly want to follow their calling (st.51; +4). Accordingly, they are concerned less than others with external recognition for their job (st.38: -5; st.49: -1; st.21; -4; st.50: -4; st.40: -3; st.14: -2; st.13: -4), work-life balance (st.28:+1), or the possibility the job provides to pay off their study debt swiftly (st.41: -5): “Look, that loan has really quite favourable terms, relatively, there’s no hurry as such and yes sooner or later it’ll come to it, but there’s no hurry” [R5].

 

직업 오리엔테이션 2: 일과 삶의 균형
Career orientation 2: Work-life balance

이번 진로 오리엔테이션은 여성 9명, 남성 1명 등 10명이 참가했으며, 의대 2학년생부터 6학년생까지 다양했다. 이러한 진로지향을 가진 의대생들도 자신의 소명을 따르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하지만(st.51:+2) 무엇보다도 일과 삶의 균형과 관련된 측면을 강조한다. 그들의 미래의 직업을 그들의 사생활에 대한 생각과 일치시키는 것은 그들에게 가장 중요한 측면이다. (st.28; +5): "나중에 저는 일뿐만 아니라 집에서만 행복했으면 좋겠고, 그래서 두 사람이 잘 어울리는 것이 저에게 중요합니다." [R8]. 따라서, 그들은 직장까지의 거리(st.1:0), 교육직을 얻기 위해 필요한 시간과 노력(st.12:+2) 그리고 파트타임으로 일할 기회(st.39:+2)와 같은 직업적 측면을 매우 중요하게 여긴다. 

This career orientation was represented by 10 participants, nine female and one male, and they varied from second to sixth year medical student. Although medical students with this career orientation also find it important to follow their calling (st.51: +2), they most of all emphasise aspects that are associated with work-life balance. To match their future job with their ideas of their private life is the most important aspect to them. (st.28; +5): “Later on I would just like to be happy at home and not only at work, so it is important to me that the two go well together” [R8]. Accordingly, they attach high importance to job aspects like distance to work (st.1: 0), time and effort needed for obtaining a training position (st.12: +2), and opportunities to work part-time (st.39: +2).

또한 관리 가능한 작업량(st.45: +3)을 선호하며, 특히 모든 참가자는 작업에서의 일상적인 작업(st.61: -1)을 염두에 두는 것으로 보인다. 그들이 정말로 관심을 갖는 일의 또 다른 측면은 그 일이 그들의 자질에 맞는지 여부이다(st.57:+5). 이들은 관리 또는 리더십 역할을 맡거나(st.9: -2; st.21: -4), 혁신적이거나(st.10:0), 최신 기술 도구(st.32: -5)에 별로 관심이 없습니다. 
They also prefer a manageable workload (st.45: +3) and, least of all participants, seem to mind routine in work (st.61: -1). Another aspect of work they really care about is whether the work suits their qualities (st.57:+5). They are not very interested in taking up a management or leadership role (st.9: -2; st.21: -4), or being innovative (st.10: 0) or working with the newest technical instruments (st.32: -5).

다른 패턴(41:-3; 17:+3)과 비교할 때, 이러한 관점에서 재정 및 직업 안전이 더 중요한 것으로 보입니다. "…결국 당신은 실제로 사용할 수 있고 궁극적으로 당신에게 일자리를 얻을 수 있습니다." [R7]. 
Financial and job security seem to be of greater importance to students in this viewpoint when compared to the other patterns (41:-3; 17: +3): “…at the end of the day you want to do an education you can actually use and ultimately gets you a job” [R7].

첫 번째 직업 오리엔테이션을 받은 의대생들처럼, 그들은 자신의 직업에 대한 외부 인정을 거의 중요하지 않게 여긴다(st.38: -4; st.49: -2; st.21: -4; st.50: -5; st.40: -3; st.14: -2; st.31: -3). 
Like medical students with the first career orientation, they perceive external recognition with regard to their job as of little importance (st.38: -4; st.49: -2; st.21: -4; st.50: -5; st.40: -3; st.14: -2; st.31: -3).

 

 

진로 오리엔테이션 3: 성취도 및 인정
Career orientation 3: Achievement and recognition

이 직업 오리엔테이션은 의대 1학년, 4학년, 5학년 남학생 3명과 여학생 2명으로 대표되었다. 이 직업 오리엔테이션에서는 소명을 따르는 것이 아니라 그들의 자질에 맞는 직업을 찾는 것이 더 중요합니다. 그리고 일상 업무에서 충분한 다양성(st.2: +5)과 흥분을 제공할 것입니다. 이 학생들은 일상적인 일을 별로 좋아하지 않습니다(st.61:-5). "글쎄요, 제가 생각하는 것은 제가 신경 쓰지 않는 것입니다. 정말 일상적인 일이고 제가 신경 쓰는 것과는 정반대이고, 다양하고 흥미진진합니다." [R10] 
This career orientation was represented by the sorts of three male and two female students, which were first, fourth and fifth year medical students. In this career orientation it is less about following a calling (st.51: +2) but more about finding a job that fits with their qualities (st.57: +5) and will provide sufficient diversity (st.2: +5) and excitement (st.43: +4) in day-to-day work. These students do not care for much routine work (st.61:-5): “Well, you know, what strikes me is something I don’t care about, that it is really routine and quite opposite to what I do care about, that it is diverse and exciting as well” [R10].


이러한 의대생들에게 사회적 영향을 주고(st.7: +3) 그들의 업적에 자부심을 가질 수 있는 것이 중요하다(st.59: +4): "내 경력을 자랑스러워하고, 그것에 대해 좋게 느껴라. 의학분야가 아니더라도, 저는 그저 제가 하는 일을 즐기고, 자랑스러워하고, 잘하고 싶습니다. 왜냐하면 그것이 저에게 만족감을 줄 것이기 때문입니다." [R9] 하지만, 그들이 다른 사람들로부터 인정받는 것(st.14:+1;st.58:0)과 감탄하는 것(st.40:+1)을 얻는 것 또한 중요하다; 그들의 부모와 가까운 사람들(st.40:+1).38:0; 성 49:0), 그러나 사회로부터도 (성 14:+1). 다른 사람들보다, 이러한 의대생들은 직업 자율성을 높이 평가하고, 또래들보다 (st.13: -1) 더 뛰어나고, 관리나 지도적 역할을 맡는 것에 어느 정도 관심을 가질 것이다(st.9: +1; st.21: -1) 그들은 다른 사람들보다 학문적 의학(st.11: -2)에 종사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으며, 훈련 직책을 얻는 데 필요한 시간과 노력(st.12: -4), 레지던스의 위치(st.1: -3), 파트타임(st.39: -3), 직업 안정성(st.17:0) 또는 관리 가능한 업무량(st.45:-1)과 같은 측면에는 거의 관심이 없다. 그들에게는 짧은 레지던트 교육 프로그램(st.35:-5)이 가장 흥미롭지 않았다. 

For these medical students it is important that they have societal impact (st.7: +3) and can be proud of their achievements (st.59: +4): “Be proud of my career, just feel good about it. Even if it wouldn’t be in medicine, I just want to enjoy the work I do, be proud of it, be good at it, ‘cause that is what would give me satisfaction” [R9]. However, it is also important that they gain recognition (st.14:+1; st.58: 0) and admiration (st.40: +1) from others; their parents and people close to them(st.38: 0; st.49: 0), but also from society (st.14: +1). More than others, these medical students appreciate job autonomy (st.60: +2; st.52; +1), would not mind to outperform their peers (st.13: -1) and have some interest in taking up a management or leadership role (st.9: +1; st.21: -1). Less than others they aim for work in academic medicine (st.11: -2) and they are little concerned with aspects like the time and effort needed for getting in a training position (st.12: -4), the location of the residency (st.1: -3), the possibility to work part-time (st.39: -3), job security (st.17:0) or a manageable workload (st.45: -1). Of least interest to them was a short residency training program (st.35: -5).

 

 

논의
Discussion

이 연구에서, 우리는 네덜란드의 의대생들 사이에서 세 가지 뚜렷한 진로 방향을 확인했습니다.

  • 하나는 평생의 자기개발에 매우 중점을 둔 것이고,
  • 다른 하나는 일과 삶의 균형에 더 중점을 둔 것이고, 그리고
  • 세 번째는 그들의 일의 성취와 인정에 더 관심이 있는 것입니다.

In this study, we identified three distinct career orientations among medical students in the Netherlands:

  • one very much focused on lifelong self-development;
  • a second focused more on work-life balance; and
  • a third which was more concerned with achievement and recognition of their work.


패턴은 대부분 의료 내용과 관련이 없는 특징에 따라 달랐다. 차이점들은 생활방식, 명성, 도전의 필요성과 같은 사회경제적, 직업적 특징 선호도를 강조했다.

  • '소명으로서의 평생학습' 오리엔테이션을 받은 학생들은 도전해야 할 필요성과 지속적으로 배우고 발전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는 진로를 갖고 싶다는 욕구를 드러냈다. 이 학생들은 어느 정도까지는 생활습관 특징을 희생할 의향이 있는 것처럼 보이지만, 신체적, 정신적 한계를 넘어설 의지는 없다. 중요한 추가적인 특징들은 그들의 일과 함께 환자들의 삶에 영향을 미치고 그들의 소명을 따르는 느낌을 갖는 것이었다. 다른 사람들로부터 인정을 받는 것은 별로 중요하지 않은 것 같다.
  • "워라밸(Work-Life Balance)" 지향성을 가진 의대생은 주로 일과 사생활 사이의 좋은 균형에 대한 열망을 표현했다. 그들은 낮은 도전적 요구와 인정에 대한 가치가 낮음을 표현했다.
  • "성취와 인정" 경력 지향은 인정에 대한 강조가 비교적 강하다는 점에서 다른 두 가지와 구별된다. 책임과 자율성은 다른 두 패턴에 비해 뚜렷하게 더 가치가 있다. 그들은 그들의 자질, 인식 및 영향에 적합한 직업인 일상 업무의 다양성에 대한 대가로 어느 정도까지 라이프스타일 특징을 절충할 용의가 있다.

The patterns varied mostly on features which were not per se medical content related. Differences emphasised socio-economic and occupational feature preferences, such as lifestyle, prestige and the need for challenge.

  • Students with a “lifelong learning as a calling” orientation expressed a need to be challenged and a desire to have a career that provides them opportunities to keep learning and developing. These students appear willing to sacrifice lifestyle features to a certain extent, yet are not willing to go beyond their physical and mental limits. Additional features of importance were having an impact on the lives of patients with their work and having the feeling to follow their calling. Recognition from others seems to be of minor importance.
  • Medical students with a “work-life balance” orientation to their career primarily expressed a desire for a good balance between work and private life. They expressed lower challenge needs and lowly valued recognition.
  • The “achievement and recognition” career orientation sets itself apart from the other two by a relatively stronger emphasis on recognition. Responsibility and autonomy are distinctively more valued compared to the other two patterns. They are willing to trade-off lifestyle features to some extent in return for diversity of daily tasks, a job fitting with their qualities, recognition and impact.

따라서 경력 지향의 주요 차별화 요소는 [도전, 일과 삶의 균형, 인정]이 얼마나 필요한지로 보인다. 특히 일과 삶의 균형은 현재 세대에 대한 중요성을 반영하여 최근 문헌에서 점점 더 많은 관심을 받고 있다[26]. 이는 의사가 열심히 일하고, 높은 수입을 올리는 까다로운 직업으로 알려진 것과 대비되는 흥미로운 발견이다. 놀랍게도, 특히 여성 참가자들은 커리어 지향을 일과 삶의 균형으로 정의했다. 이 방법론은 특정 하위 그룹에서 직업 지향의 유병률에 대한 결정적인 진술을 하는 데 적합하지 않다. 하지만, 사람들은 일과 삶의 고려가 여전히 여자 의대생들에게 더 중요한지 궁금해 할 수도 있다. 남학생의 일과 삶의 균형에 대한 중요성을 보여주는 최근 연구[27]에도 불구하고, 우리의 데이터는 여성 참가자들이 일과 삶의 고려사항에 더 높은 우선순위를 부여한다는 것을 시사한다. 일과 삶의 균형에 있는 학생들은 또한 그들의 교육을 더 따라갔다. 이것은 그 분야의 더 많은 경험이 학생들을 일과 삶의 방향으로 밀어넣을 것인지 아니면 그 과정에서 일어나는 삶의 사건들이 학생들이 이 직업적인 방향으로 향하도록 만들 것인지에 대한 질문을 촉발시킨다. 현 세대의 의료 전문가들은 일을 우선시하는 경향이 있는 반면, 현 세대의 의대생과 전공의(종종 밀레니얼 세대라고 함)는 휴식과 라이프스타일을 더 중시할 수 있다[28]. 

The primary differentiating elements in career orientations thus seem to be need for challenge, work-life balance and recognition. Especially work-life balance is receiving growing attention in recent literature, reflecting its importance for the current generation [26]. This is an interesting finding since it contrasts with the fact that the medical profession is known to be a demanding profession in which physicians work hard, and make long days. Remarkably, particularly female participants defined the career orientation work-life balance. This methodology is not suited to make definitive statements about prevalence of a career orientation in certain subgroups. However, one might wonder whether work-life considerations might still be of more importance to female medical students. Notwithstanding, recent research showing the importance of work-life balance for male students [27], our data suggest that female participants give a higher priority to work-life considerations. Students in the work-life balance also were further along their education. This prompts the question whether more experience in the field will push students to the work-life orientation or that life-events along the way will make students turn to this career orientation. The current generation of medical specialists tend to place work first, while the current generation of medical students and residents (often referred to as millennials) [28] might value time off and lifestyle more [29].

[의대생이나 졸업생]과 [기존 세대의 의학 전문가]들 사이의 라이프스타일 선호와 직업 선택에 대한 공개적인 대화는 사생활보다 [일을 우선시해야 한다는 후자의 일반적인 기대] 때문에 방해될 수 있다[30]. 이러한 기대는 학생들에게 (무의식적으로) 메시지를 전달하여 교육자 및 역할 모델과 일과 삶의 균형 기능을 논의하는 장벽을 높일 수 있다. 이는 일과 삶의 균형이 이미 시행 중인 의사의 레지던트 기간과 경력 변화의 주요 원인 중 하나이기 때문에 더욱 관련이 있습니다 [31–34]. 따라서 의료 훈련과 업무 환경에서 일과 삶의 균형과 관련하여 의대생의 선호도를 고려하는 것이 중요하다. 의대생들이 의학 전공 선택에서 [일과 삶의 균형 가치를 고려하는 것이 더 복잡한 이유]는 일과 삶의 균형 가치가 시간이 지남에 따라 변화하여 평생 지속 가능한 전공 선택을 하기 어려울 수 있다는 것이다. 그러나, 개인의 진로 결정을 반성하고 탐구하는 것은 개인이 현재 라이프스타일과 양립할 수 있고 변화에도 유연한 결정을 내리는 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19].

Open conversations on lifestyle preferences and career choices between medical students or graduates and the current generation of medical specialists might be hindered by the general expectations of the latter that one should prioritise work over private life [30]. These expectations might convey (unconscious) messages to students, raising barriers to discuss work-life balance features with their educators and role models. This is even more relevant as work-life balance is one of the major reasons for attrition during residency and career changes of physicians already in practice [3134]. Therefore it is important to consider the preferences of medical students with regard to work-life balance in medical training and work settings. A complicating aspect for medical students in taking work-life balance values into account in their medical specialty choice is that their work-life balance values might shift over time, making it difficult to make a lifelong sustainable specialty choice. However, it is expected that reflecting on and exploring one’s career decisions can help individuals to make decisions that are compatible with their current lifestyle and flexible to changes therein, in order to meet with evolving work-life needs during their career [19].

62개 문장의 순위를 매긴 다음 인터뷰에서, 학생들은 분류 연습을 어떻게 경험했는지 질문을 받았다. 모든 참가자는 자신의 가치, 요구 및 동기를 이러한 특정한 방법으로 우선시하는 것이 우선순위에 대한 통찰력을 얻는 데 도움이 된다는 것을 인식했다. 그들의 의견으로는, 이것은 철저한 진로 결정에 도움이 될 것이고, 따라서 Q-sorting이 진로 지도 도구로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암시한다. 이것은 또한 학생들에게 미래 연구의 어떤 특징들이 그들에게 가장 중요한지 통찰하도록 안내하고 그에 따라 그들에게 의료 전공들을 탐구하도록 자극하면서, 한편으로는 의학 전공들에 대한 새로운 창을 열어줌으로써 잘못된 분배maldistribution를 해결할 수 있는 기회를 만든다. 많은 특징들(예: "다학제 팀에서 일하는 것")이 여러 전공에서 모두 찾아볼 수 있다. 광범위한 탐구를 가능하게 함으로써 학생들에게 이것을 보여주는 것은 전문 분야에 대한 더 나은 분배를 위해 노력하는 유망한 출발이 될 수 있다.
In the interviews following the ranking of the 62 statements, students were asked how they experienced the sorting exercise. All participants recognised that prioritising their values, needs, and motivations in this particular way helped them to get insight in their priorities. In their opinion this would help them in thorough career decision making, thereby suggesting that Q-sorting could be used as a career guidance tool. This also creates opportunities to address the maldistribution by on one hand opening a new window on medical specialties to become more attractive, while on the other hand guiding students to the insight what features of future work are most important to them and stimulating them to explore the medical specialties accordingly. Many features (e.g. “working in a multidisciplinary team”) can be found in multiple specialties. Showing this to students by enabling a broad exploration might be a promising start in striving towards a better distribution over the specialties.

이 연구에서 사용된 접근 방식은 참가자들이 그들의 진로 방향과 관련될 수 있는 광범위한 측면을 고려하고 우선순위를 정하도록 자극했기 때문에, 우리의 결과는 의대생들 사이의 전문적 선호도를 안내하는 중요한 특징에 대한 심층적인 이해를 제공한다. 이런 식으로 자신의 가치관, 필요성, 동기를 탐색하고 우선순위를 정함으로써 학생들이 좀 더 이성적인 방식으로 진로 결정 과정을 거치도록 자극받을 것으로 기대된다. 비록 이것이 결정의 질을 향상시키는 방법이 될 수 있지만[35] 대부분의 학생들이 실제로 이 과정에 접근하는 방법은 아닐 것이다. 만약 그렇다면, 학생들은 진로 상담이나 개별 지도로부터 이익을 얻을 수 있을 것이다.

Because the approach used in this study stimulated participants to consider and prioritise a broad range of aspects that may be relevant to their career orientation, our results offer an in-depth understanding of important features guiding specialty preferences among medical students. It is anticipated that by exploring and prioritising their values, needs and motivations in this way, students are stimulated to go through their career decision making process in a more rational way. Although this could be a way to improve the quality of the decision [35], it is probably not how most students approach this process in practice. If so, students could benefit from career counselling, or individual coaching.

특정한 직업 지향을 특정한 의학 전문 분야와 연결시키는 것은 유혹적이다. 비록 이것이 미래의 연구에서 더 깊이 탐구하는 것은 분명 흥미로울 것이지만, 거기에는 함정이 있다. 무엇보다도, 이 연구는 우리에게 [일과 관련된 내용 진술]이 직업 지향성을 구별하는 요인이 아니라는 것을 보여주었다. 이것은 특정한 의학 전공의 전공의들에게서 서로 다른 직업 지향점을 찾을 수 있는지에 대한 의문을 제기한다. 둘째, 특정 직업 지향을 의료 전문 분야에 연결하는 것은 의료 전문 분야에 대한 잘못된 분배의 강화의 위험을 감수하면서 탐색 단계를 억제할 수 있다.

It is tempting to link a specific career orientations to certain medical specialties. Although this would certainly be interesting to further explore in future research, there is a pitfall to it. First of all, this study showed us the work-related content statements were not the distinguishing factors between these career orientations. That raises the question whether different career orientations can be found in medical specialists in a medical specialty. Secondly, linking certain career orientations to medical specialties might inhibit the exploration phase, risking reinforcement of the maldistribution over the medical specialties.

이 연구의 몇 가지 한계를 강조할 필요가 있다. 우리의 표본 전략은 잠재적으로 광범위한 관점을 수집하기 위해 다양성을 최대화하는 데 초점을 맞췄지만, 의대생들 사이에서 중요한 진로 방향을 놓쳤을 가능성이 있다. 이전에 우리는 직업 지향에서 더 많은 이질성을 발견할 것으로 기대했다. (하지만 실제로는) 이질성이 부족하였고, 이것은 우리의 연구 설계 또는 의과대학의 동질성에 의해 설명될 수 있다. 우리의 연구 설계와 관련하여, 우리는 최대한의 다양성을 적극적으로 추구하려는 시도에도 불구하고 동질적인 학생 그룹에서 표본을 추출했을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동질성은 의과대학 선택, 아마도 특정한 동기, 가치관 또는 재능을 가진 학생들을 선발하는 것, 또는 의과대학이 시작될 때 직업 지향에 더 많은 다양성이 있지만, 학습이나 사회화를 통해 이러한 다양성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감소할 수 있다. (즉, 학생이 인식, 사고 및 행동 방법을 학습함)
Some limitations of this study need to be highlighted. Although our sample strategy was focused on maximising variety in order to collect the potentially wide range of perspectives, it is possible that we have missed an important career orientation among medical students. Beforehand we expected to find more heterogeneity in career orientations. This lack in heterogeneity might be explained either by our study design, or by a homogeneity in medical school. Regarding our study design, we might have sampled from a homogeneous group of students, despite our attempt to actively seek maximum variety. However, this homogeneity might also be caused by medical school selection, perhaps selecting students with certain motives, values or talents, or it might be that there is a wider variety in career orientations at the start of medical school, but that through learning or socialisation (i.e. students learning a way of perceiving, thinking and acting) this variety decreases over the years.

따라서 향후 연구에 필요한 것은 의과대학 동안 진로 지향이 변화하는지, 어떻게 그리고 왜 변화하는지, 그리고 이것이 다른 특성을 가진 학생과 학교 간에 다른지 여부를 탐구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직업 가치가 사회적 기원과 성별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는 이전의 경력 관리 연구가 제안했듯이, 이것은 의대생들의 다양성이 증가하는 맥락에서 특히 가치 있을 수 있다. 다른 문화 연구는 또한 이러한 지향의 사회 문화적 의존성과 이 연구의 맥락 밖에서 발견된 결과의 타당성에 대한 아이디어를 얻는 데 도움이 될 것이다.
Therefore a promising route for future research would be to explore if, how and why career orientations change during medical school, and whether this differs between students and schools with different characteristics. This might be particularly valuable in the context of increasing diversity in medical students, as previous career management research suggested that job values might, for instance, be dependent on social origins and gender. Cross-cultural research would also be beneficial to get an idea of the sociocultural dependence of these orientations, and the validity of the findings outside the context of this study.

우리의 연구 결과는 의대생들의 진로 지도와 진로 선택 기술 훈련에 잠재적인 영향을 미친다. 현실적으로 학생 간 진로지향을 살펴보고 이해하는 것이 의대생 진로상담에 도움이 될 수 있다. 경력 관리 문헌은 [[일과 사생활에 대한 가치, 관심사, 선호]를 스스로 인식하는 것]이 적절한 경력 결정을 내리는 데 필수적이라고 주장한다[36]. 개인의 커리어 결정은 자기 인식 성찰을 포함한 광범위한 직업 탐구가 선행될 때 더 적절하고 장기적인 만족을 얻는 경향이 있다[36]. 게다가, 목표는 자신과 직업 분야의 정확한 사진을 바탕으로 할 때 더 현실적일 가능성이 높다.
Our findings have potential implications for career guidance and career choice skills training in medical students. Practically, examining and understanding career orientations among students can help in career counselling of medical students. Career management literature claims that self-awareness of values, interests and preferences in work and private life is essential in making appropriate career decisions [36]. Individuals’ occupational decisions tend to be more appropriate and long-term satisfying when they are preceded by extensive career exploration, including self-awareness reflection [36]. In addition, goals are likely to be more realistic when they are based on accurate pictures of oneself and the career field.

게다가 학생들이 그들의 직업 가치, 선호와 동기를 탐색하고 우선 순위를 정하는 것으로 시작하도록 자극하는 것은 더 적절하고 장기적인 만족스러운 결정을 가능하게 할 수 있으며, 학생들이 더 넓은 범위의 의학 전공을 고려하도록 장려하는 중요한 출발점이 될 수 있다. 직업 선택 이론은 모두 광범위한 탐구 이전에 동기 부여에 대한 어떤 형태의 인지적 성찰을 포함하는 것으로 보인다. 비록 선호와 우선순위가 임상 경험 동안 바뀔 수 있지만, 만약 학생들이 그들 자신의 진로 선택 과정을 반성하고 탐구하며 더 잘 조종할 수 있는 도구를 제공 받는다면, 그들은 이러한 기술과 도구들을 나중에 그들의 진로에서도 사용할 수 있다. 이를 통해 학생들은 자신의 가치, 관심사 및 동기에 부합하는 보다 합리적인 결정을 내릴 수 있으며, 훈련 중 또는 훈련 후 중퇴를 줄일 수 있다[37]. 여기에 제시된 진술 분류 연습은 실제로 학생들이 스스로 탐구하는 것을 돕는 효과적인 도구일 수 있다. 이 연구에 참여한 대부분의 학생들은 서로에 대한 다양한 측면에 붙이는 중요성을 생각하는데 어려움을 겪었기 때문에 자신의 선호 형성 과정에 유용하다는 것을 알았다.
On top of that stimulating students to start with exploring and prioritising their work values, preferences and motives might enable more appropriate and long-term satisfying decisions, and might be a valuable starting point to encourage students to consider a broader scope of medical specialties. Career choice theories all seem to include some form of cognitive reflection on motivation before a wide exploration. Although preferences and priorities might shift during clinical experiences, if students are offered the tools to reflect on, explore and better steer their own career choice process, they are able to use these skills and tools later on in their careers as well. This can prime students to make more rational decisions that are compatible with their values, interests and motives, with the potential of decreasing dropout during or after training [37]. The statement sorting exercise presented here actually might be an effective tool to help students to self-explore. Most students participating in this study found it useful for their own preference formation process, as they were challenged to think about the importance they attach to a variety of aspects relative to each other.

진로 지도에 개입할 수 있게 되기 전에, 의료 교육자들은 다음 조건에 유의할 필요가 있다. 무엇보다도, 효과적인 방법으로 커리어 관리 역량을 스스로 탐색하고 배울 수 있는 것은 안전한 비판단 환경을 필요로 하며, 이는 의학교육을 위한 노력이 필요할 수 있다. (심리적) 안전은 의과대학이나 교사가 의식적으로 또는 무의식적으로 의료 분야의 직업 기회와 관련하여 전달하는 메시지에 의해 제한될 수 있다. 암묵적인 믿음과 규범은 소위 숨겨진 커리큘럼에서 의대생들에게 전달되는데, 이는 정규 교육의 부작용이다[38]. 의대생들이 스승과 역할모델의 가치에 적응하려고 노력함에 따라, 이 숨겨진 커리큘럼은 의대생들의 가치, 필요, 동기를 공개적으로 논하려는 의지에 강한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특히 이들이 선생님이나 역할모델에서 벗어난다고 느낄 때 그렇다. 어떤 학생들은 심지어 그 특정 전공의 의사들에 대한 폄하적인 발언에 직면했을 때 그들의 직업 포부를 재고할 수도 있다.
Before being able to intervene with career coaching, medical educationalists need to attend to the following conditions. First of all, being able to self-explore and learn the career management competencies in an effective way requires a safe non-judgmental environment, which might need some work in the setting of medical education. The safety might be restricted by messages the medical school or teachers consciously or unconsciously convey with regard to career opportunities in the medical field. Implicit beliefs and norms are transmitted to medical students in the so-called hidden curriculum, as a side effect of formal education [38]. As medical students try to adapt to the values of their teachers and role models, this hidden curriculum may have a strong influence on medical students’ willingness to openly discuss their values, needs and motives, especially when feeling that these deviate from their teachers or role models. Some students may even rethink their career aspirations when confronted with denigrating remarks about physicians in that particular specialty.

[의대생들의 진로 포부]와 [사회에서의 의학 전문가에 대한 필요성] 사이의 불일치가 있는 상황에서, 두 번째 우려는 의대 진학 요건과 대학원 의학 교육에 대한 집중이 [학생에 의한 효과적인 진로 관리를 위한 어떠한 시도]도 실제로 좌절시킬 수 있다는 것이다. 자기 탐구와 잠재적으로 일치하는 전문분야를 탐색하는 데 투자되는 시간은 의료 전문훈련에 들어가는 데 도움이 되는 이력서를 만드는 데 투자될 수 없으며, 동일한 훈련 기회를 위해 경쟁하는 동료들에게 불리하게 인식될 수 있다.
A second concern in the context of the mismatch between career aspirations of medical students and the needs for medical specialists in society is that the focus on the requirements for getting into medical school and postgraduate medical education might actually discourage any attempts for effective career management by students. The time invested in self-exploration and exploring potentially matching specialties cannot be invested in building a résumé that will help them get into medical specialty training, and can be perceived as a disadvantage to peers competing for the same training opportunities.

결론
Conclusion

네덜란드의 의대생들 사이에서 진로 선택과 관련하여 도전의 중요성, 일과 삶의 균형 및 인지도에서 다른 세 가지 진로 방향을 구분했다.
We distinguished three career orientations among medical students in the Netherlands that differ in the importance of challenge, work-life balance, and recognition in relation to their career choices.

우리는 모든 학생들에게 그들의 가치, 요구, 동기를 탐색하고 우선 순위를 매겨야 하는 진로 지도를 제공하는 것이 좋은 시작이라고 주장했다. 불만족스러운 직업의 위험을 무릅쓰지 않으면서 전문분야에 대해 더 나은 분배를 실현하기 위해 학생들이 파악된 가치, 필요성 및 동기를 가지고 의학분야를 폭넓게 탐구하도록 도전하는 것이 유망할 수 있다. 어쨌든, 학생의 진로 방향에 대한 더 나은 이해는 사회적 관점에서 전문 분야에 대한 더 나은 분배를 달성하는 데 도움이 되는 방식으로 의료 인력에서 기회를 재구성하는 데 도움이 되며, 동시에 학생들이 만족스럽고 지속 가능한 의료 경력을 추구하도록 자극한다.

We argued that offering all students career coaching in which they are required to explore and prioritise their values, needs, and motivations is a good start. It might be promising to challenge students to broadly explore the medical specialties on their match with their identified values, needs, and motivations in order to actualise a better distribution over the specialties, while not risking dissatisfying careers. In any case, a better understanding of the career orientations of students is helpful in reconfiguring opportunities in the medical workforce in a way that helps achieve a better distribution over the specialties from a societal perspective, while still stimulating students to pursue a satisfying and sustainable medical career.

 


PLoS One. 2021 May 21;16(5):e0249092. doi: 10.1371/journal.pone.0249092. eCollection 2021.

Career orientations of medical students: A Q-methodology study

Affiliations collapse

Affiliations

1Institute of Medical Education Research Rotterdam, Erasmus Medical Center Rotterdam, Rotterdam, The Netherlands.

2Erasmus School of Health Policy & Management, Erasmus University Rotterdam, Rotterdam, The Netherlands.

3Erasmus School of Economics, Erasmus University Rotterdam, Rotterdam, The Netherlands.

4Radboudumc Health Academy, Radboud University Medical Center Nijmegen, Nijmegen, The Netherlands.

5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Radboud University Medical Center Nijmegen, Nijmegen, The Netherlands.

6Department of Pediatrics, Erasmus Medical Center Rotterdam, Rotterdam, The Netherlands.

PMID: 34019546

PMCID: PMC8139450

DOI: 10.1371/journal.pone.0249092

Free PMC article

Abstract

Introduction: In pursuing optimal health care, an adequate medical workforce is crucial. However, many countries are struggling with a misalignment of students' specialty preferences and societal needs regarding the future medical workforce. In order to bridge this gap, it is relevant to gain a better understanding of the medical career choice processes. We explored career orientations among medical students in the Netherlands and their implications for future career choices.

Methods: We used Q-methodology, a hybrid qualitative-quantitative method, to explore career orientations of medical students. Medical students from two universities in the Netherlands, varying in year of progression of medical school, ranked 62 statements with regard to importance for their future career choice. Participants explained their ranking in an interview and completed a questionnaire regarding demographics. Using by-person factor analysis we identified groups of individuals with similar orientations.

Results: Twenty-four students participated in this study, resulting in three distinct orientations towards future careers: a first career orientation that highly values lifelong self-development; a second that values work-life balance, and a third that was more concerned with achievement and recognition of their work.

Conclusion: Medical students' career orientations differed in the importance of challenge, work-life balance, and need for recognition. This knowledge can help to design interventions to shift career choices of medical students closer towards future needs in society. Offering career coaching to students that challenges them to explore and prioritise their values, needs and motivations, for example using the materials form this study as a tool, and stimulates them to consider specialties accordingly, could be a promising strategy for guiding students to more long-term satisfying careers.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