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상환경에서 자기조절학습: 체계적 문헌고찰(Med Educ, 2018)

Self-regulated learning in the clinical context: a systematic review

Maaike A van Houten-Schat,1,2 Joris J Berkhout,3 Nynke van Dijk,4 Maaike D Endedijk,5 A Debbie C Jaarsma2 & Agnes D Diemers1




도입

INTRODUCTION


의학의 빠른 발전 속도 때문에, 의대생들과 레지던트들이 의사로서 평생 학습을 수행하는 방법을 배우는 것이 중요하다. 의대생과 레지던트의 평생 직업적 발전을 위한 한 가지 중요한 전략은 자기조절학습SRL이다.

Because of the rapid pace of developments in medical science, it is important for medical students and residents to learn how to practise lifelong learning as doctors. One important strategy for the lifelong professional development of medical students and residents is self-regulated learning (SRL).1–3


전반적으로, SRL은 [원하는 수준의 성취도에 도달하기 위한 목적으로 학습 경험 전체에서 정서적, 인지적, 행동적 과정을 modulation하는 것]을 의미한다. Sitzmann과 Ely의 메타 분석은 다양한 SRL 이론에 의해 설명된 다양한 과정을 다음과 같은 세 가지 유형으로 분류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 조절 주체(골 설정) 

  • 조절 메커니즘(예: 계획, 모니터링, 학습 전략, 동기 및 감정 제어) 

  • 조절 평가(자체 평가, 귀인, 자기 효과).

여러 연구들이 학생들의 자기조절전략 사용이 학업결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Overall, SRL refers to the modulation of affective, cognitive and behavioural processes throughout a learning experience in order to reach a desired level of achievement.5,8 A meta-analysis by Sitzmann and Ely showed that the various processes described by different theories of SRL can be categorised into the following three types: 

  • regulatory agent (goal setting); 

  • regulatory mechanism (e.g. planning, monitoring, learning strategies, motivation and emotion control), and 

  • regulatory appraisal (self-evaluation, attributions and self-efficacy).9 

Multiple studies have shown the positive effects of students’ use of self-regulation strategies in academic outcomes.10,11


하지만, 의학 교육의 많은 부분이 교실이 아닌 근무지에서 일어난다. 근무지에 기반을 둔 학습에서 의대생들과 레지던트들은 임상 실습에서의 경험으로부터 배운다. 임상 환경에서 자기조절학습은 교실academic 환경에서의 SRL과는 다른데, 이는 임상 맥락에서 학생은 환자에게 의료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에 종속되어 있기 때문에, 자신의 학습 목표에만 집중할 수 없기 때문이다. 따라서, 교실 환경에서 학습을 적절하게 스스로 조절하는 학생들도 더 복잡한 임상 환경에서는 학습을 스스로 조절하는 데 어려움을 겪을 수 있다.

However, a large part of medical education occurs in the workplace instead of in classrooms.3,12–15 In workplace-based learning, medical students and residents learn from their experiences in clinical practice.12 Self-regulated learning in a clinical context is different from SRL in an academic setting because in a clinical context the student cannot solely focus on his or her own learning goals as these are subsidiary to the provision of health care to patients.16 It may therefore be that students who adequately self-regulate their learning in an academic setting may have difficulties in self- regulating their learning in the more complex clinical setting.


우리의 연구 질문은 다음과 같다. 

(i) 임상 환경에서 의대생 및 거주자의 SRL을 연구하기 위해 어떤 이론 모델을 사용하였는가? 

(ii) 의대생과 거주자가 임상 환경에서 사용하는 SRL 전략은? 

(iii) SRL의 어떤 요소가 의대생과 거주자에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고되었는가? 

(iv) 의대생 및 거주자의 SRL을 지원하기 위해 어떤 개입이 사용되었으며, 개입에 어떤 영향이 있었는가?

our research questions were: 

(i) What theoretical models have been used to study medical students’ and residents’ SRL in the clinical environment? 

(ii) What SRL strategies do medical students and residents use in the clinical environment? 

(iii) Which factors of SRL have been reported to influence medical students and residents? 

(iv) What interventions have been used to support SRL in medical students and residents and what effects did the interventions have?


방법

METHODS


Selection process


Review procedure



결과

RESULTS


프로세스는 그림 1에

The study selection process for this review is depicted in Fig. 1.


학생과 전공의의 SRL을 연구하기 위해서 어떤 이론적 모델이 사용되었나?

What theoretical models have been used to study medical students’ and residents’ SRL in the clinical environment?


우리가 포함시킨 18개의 연구 중, 7개의 연구 2,3,23–27은 Zimmerman의 순환 3상 모델을 보고했고, 8개의 두 개의 연구28,29는 Knowles의 이론적 모델을 보고했고, 30의 연구31은 Pintrich.32의 원칙에 기초한 이론적 프레임워크를 사용했다고 보고했다. 비록 이 세 가지 이론은 그들의 관점이 다르지만, 능동적 참여, 목표 설정, 계획 구현, 프로세스의 자체 평가가 공통적이다.

Of the 18 studies we included, 

    • seven studies2,3,23–27 reported the cyclical three-phase model of Zimmerman,8 

    • two studies28,29 reported the theoretical model of Knowles,30 and 

    • one study31 used a theoretical framework based on the principles of Pintrich.32 

Although they differ in their perspectives, these three theories agree upon 

    • active engagement, 

    • goal setting, 

    • implementation of a plan and 

    • self-evaluation of the process.20,33


이 검토에서 나머지 8개 연구는 특정 이론적 모델을 설명하지 않았지만, SRL을 정의할 때 동일한 프로세스(목표 설정, 계획 구현 및 자가 평가)를 언급했다.

Although the remaining eight studies34–41 in this review did not describe a specific theoretical model, they did mention the same processes (goal setting, implementation of a plan and self-evaluation) when defining SRL.


임상환경에서 학생과 전공의는 어떤 SRL전략을 사용하는가?

What SRL strategies do medical students and residents use in the clinical environment?


세 가지 연구가 각각 다른 접근 방식을 가진 이 문제를 다루었다.

Three studies addressed this question, each with a different approach.


첫째, Berkhout et al.23은 임상의 학생들의 자기 평가 SRL 행동의 5가지 다른 패턴을 기술했다: 

    • 참여적 (실수하는 것을 두려워하지 않고 열심히 일하고 동기를 부여하며) 

    • 지극히 기회주의적 (학습 환경에 비판적인 비정형 학습 행동은 쉽게 동기를 상실함) 

    • 불확실한 (수동적, 감독자에 의존적, 배울 수 있는 안전한 환경이 필요하다.) 

    • 자제하는 (높은 동기 부여와 자기 비판적, 질문하기 두려워)

    • 힘이 드는 (열심히 일하고, 무엇을 해야 하는지 알려주어야 하며, 어려움에 처하는 것을 두려워해야 한다.)

Firstly, Berkhout et al.23 described five different patterns of clinical students’ self-assessed SRL behaviour: 

    • engaged (hardworking, motivated and not afraid to make mistakes); 

    • critically opportunistic (unstructured learning behaviour, critical of the learning environment, loses motivation easily); 

    • uncertain (passive behaviour, dependent on supervisor, requires a safe environment in which to learn); 

    • restrained (highly motivated and self-critical and afraid to ask questions), and 

    • effortful (hard working, needs to be told what to do, and afraid to admit being in difficulty).


둘째로, 우즈 외 연구진.24는 임상 환경에서 SRL에 대한 세 가지 접근방식을 식별했다. 

    • 첫 번째 접근방식인 '학습 기회가 부족하다는 인식에 묵종하는 것'은 의대 학생들이 인지하는 체계적이고 환경적인 장벽을 강조했다. 

    • 두 번째 접근 방식인 '이용 가능한 기회에서 선택'에서 학생들은 서로 다른 학습 요구의 균형에 초점을 맞추었고, 어느 정도 시간이 학습보다는 서비스에 사용되어야 한다는 것을 깨달았다. 

    • 마지막 접근법은 '새로운 학습 기회 창출'이었는데, 이 과정에서 학생들은 자신의 학습량을 최적화하려고 노력했다.

Secondly, Woods et al.24 identified three distinct approaches to SRL in the clinical environment. 

    • The first approach, ‘acquiescing to a perceived lack of learning opportunities’, emphasised the systemic and environmental barriers that medical students perceived. 

    • In the second approach, ‘choosing from available opportunities’, students focused on the balance of different learning needs and realised that some time must be spent on service rather than learning. 

    • The last approach was ‘creating new learning opportunities’, in which students tried to optimise their amount of learning.


마지막으로, 사가세르 외 연구진.3은 가정의학과 레지던트의 SRL 활동에 대한 연구를 실시했다. 저자들은 SRL이 short loop and long loop으로 발생한다는 것을 확인했다.

Finally, Sagasser et al.3 conducted research on the self-regulatory activities of family practice residents. The authors identified that self-regulation of learning occurred in a short and a long loop.



어떤 요인이 영향을 미친는가?

Which factors of SRL have been reported to influence medical students and residents?


표1

Seven of the included studies addressed the factors influencing SRL. The results are summarised in Table 1.


어떤 개입이 사용된 바 있는가?

What interventions have been used to support SRL in of medical students and residents? What effects did the interventions have?


three types of intervention: 

    • (i) guiding of SRL via mentoring or coaching; 

    • (ii) support of SRL via learning plans and goal setting, and 

    • (iii) supportive tools, such as an online environment and clinical encounter cards.



고찰

DISCUSSION


SRL의 이론적 프레임워크는 종종 결여되어 있고, 이론적 프레임워크가 사용될 때(예: Zimmerman, 8 Pintrich32 및 Knowles30) 이 프레임워크는 교실 환경에서의 연구로부터 비롯되었다. 맥락이 SRL에 미치는 알려진 영향을 고려하면, 이러한 모델은 복잡한 임상 상황에 쉽게 적용될 수 없다.

We found that a theoretical framework of SRL is often lacking, and when a theoretical framework was used (e.g. Zimmerman,8 Pintrich32 and Knowles30), this framework stemmed from research in a classroom setting. Considering the known influence of context on SRL, these models cannot be applied easily to the complex clinical context.


Berkhout et al.,23 Woods et al.24 및 Sagasser et al.3의 연구는 개인이 임상 환경에서 SRL하기 위해 사용하는 다양한 패턴, 접근 방식 또는 활동을 설명했다. 이러한 다양한 전략들은 학생들과 레지던트들의 SRL 전략 사이에 개별적인 차이가 있을 뿐만 아니라, 그 전략들도 맥락마다 다르다는 것을 암시한다.

The studies of Berkhout et al.,23 Woods et al.24 and Sagasser et al.3 described various patterns, approaches or activities that individuals use to self-regulate their learning in the clinical environment. These different strategies suggest that there are not only individual differences between students’ and residents’ SRL strategies, but that the strategies they use also differ in different contexts.


상황에 따라 SRL에 긍정적인 또는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많은 요인들이 있다. 이것은 [임상적 맥락에서의 학습은 SRL 프로세스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 간 상호작용이 있는 복잡한 과정]이라는 이전의 발견 2,9,42를 지원한다. 이러한 요인 중 일부는 임상 환경(시간 압력 및 환자 관련 요인)에 고유한 것이다.2

There are many factors that, depending on the circumstances, may have either positive or negative influences on SRL. This supports earlier findings2,9,42 that learning in the clinical context is a complex process, in which there is an interplay of factors affecting the SRL process. Some of these factors are unique to the clinical environment (time pressure and patient-related factors).2



SRL은 개인과 맥락 사이의 상호작용에 의해 형성된다. 이 리뷰는 학생들의 SRL 전략 사이의 개별적인 차이점을 보여주었고, 이는 임상 환경에서 학생들을 서포트하는 개인화된 접근법이 필요함을 암시한다. 멘토나 코치의 지원과 학습 계획 및 목표 설정의 사용은 의대생과 레지던트의 SRL 과정에 긍정적인 결과를 가져오는 중재인 것으로 밝혀졌다. 이것은 이러한 개입이 사람과 상황에 적응할 수 있게 한다는 사실에 의해 야기될 수 있다. 또한, 코치나 멘토의 지원은 SRL 프로세스가 잠재력을 최대한 발휘하기 위한 전제조건으로 보인다.23,26,29

Self-regulated learning is shaped by the interaction between the individual and the context. This review revealed individual differences between students’ SRL strategies, implying that an individualised approach to supporting students in the clinical environment is required. The support of a mentor or coach and the use of learning plans and goal setting were found to be interventions that have a positive outcome on medical students’ and residents’ SRL processes. This might be caused by the fact that these interventions allow for adaptation to person and context. Moreover, the support of a coach or mentor seems to be a prerequisite for the SRL process to develop to its full potential.2,3,26,29


모든 개입은 SRL의 첫 두 단계, 즉 목표 설정과 조절 메커니즘에서 긍정적인 결과를 보여주었다. 그 연구들 중 어느 것도 조절 평가에 초점을 맞추지 못했다. 학습자가 목표를 향한 진행 상황을 평가하는 SRL 프로세스의 마지막 단계 입니다. 조절 평가는 학습 경험을 완성하는 데 매우 중요하며 새로운 학습 노력의 출발점이 된다.

All of the interventions revealed a positive outcome on the first two phases of SRL, namely goal setting and regulatory mechanisms. None of the studies focused on regulatory appraisals. This is the last phase of the SRL process, in which learners assess their progress towards goals. Regulatory appraisal is crucial to completing the learning experience and serves as a starting point for new learning endeavours.



함의

Implications for practice


우리의 연구에서, 우리는 임상적 맥락에서 SRL이 아직 그것의 잠재력을 충분히 발휘하지 못하고 있다고 결론짓는다. 특히, progress를 평가하는 것은 더 많은 관심을 받을 만하다. 따라서, 우리는 두 가지 병행적 접근법을 권고한다. 

    • (i), 개인의 목표 설정과 성찰 기술을 향상시키고 SRL 자신감을 향상시키기 위한 인터벤션 도입

    • (ii) 학생들에게 그들의 기술을 실제로 사용할 기회를 주는 학습 환경을 조성. 

From our research, we conclude that SRL in the clinical context is not used to its full potential yet. In particular, assessing progress deserves more attention. Therefore, we recommend two parallel approaches: 

    • (i), introduce interventions to improve individuals’ goal setting and reflection skills and improve their SRL confidence, and 

    • (ii), create a learning environment that gives students the opportunity to actually use their skills. 


이것은 학생들이, 예를 들어, 각 환자에 대해 더 많은 시간, 더 많은 환자 접촉, 그들의 감독자로부터의 지원과 멘토의 안내를 받아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This means that students should get, for example, more time for each patient, more patient encounters, support from their supervisor and guidance by a mentor.



Strengths and limitations



Implications for future research


CONCLUSIONS


본 연구는 임상 환경의 SRL이 복잡한 과정이며 학생들의 SRL에 개별적 차이가 있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이것들은 개인, 사회 및 상황별 수준에서 여러 요소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

This study revealed that SRL in the clinical environment is a complex process and that there are individual differences in students’ SRL. These are influenced by multiple factors at the individual, social and contextual levels.


우리는 학습자가 목표를 향한 진행상황을 평가하는 방법에 대한 지식 격차를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교육자들이 임상 환경에서 SRL을 구현할 때 이중 접근법을 채택해야 하며, 

  • SRL을 위해 학생의 개인 능력을 향상시키는 것과 

  • 직장에서 멘토나 코치의 지원을 받을 수 있는 좋은 SRL 환경을 만드는 것에 초점을 맞춰야 한다는 것

...을 암시한다.

We were able to identify a knowledge gap in how learners assess their progress towards goals. These findings suggest that educators should adopt a dual approach when implementing SRL in the clinical context and should focus on both improving students’ individual capacities to regulate their learning and creating a good SRL climate in the workplace, possibly supported by a mentor or coach.







 2018 Oct;52(10):1008-1015. doi: 10.1111/medu.13615. Epub 2018 Jun 25.

Self-regulated learning in the clinical context: a systematic review.

Author information

1
Department of General Practice and Elderly Care Medicine, University Medical Centre Groningen, University of Groningen, Groningen, the Netherlands.
2
Centre for Research and Innovation in Medical Education, University Medical Centre Groningen, University of Groningen, Groningen, the Netherlands.
3
Centre for Evidence-Based Education, Academic Medical Centre, University of Amsterdam, Amsterdam, the Netherlands.
4
Department of General Practice, Academic Medical Centre, University of Amsterdam, Amsterdam, the Netherlands.
5
Department of Educational Sciences, Faculty of Behavioural, Management and Social Sciences, University of Twente, Enschede, the Netherlands.

Abstract

OBJECTIVES:

Research has suggested beneficial effects of self-regulated learning (SRL) for medical students' and residents' workplace-based learning. Ideally, learners go through a cyclic process of setting learning goals, choosing learning strategies and assessing progress towards goals. A clear overview of medical students' and residents' successful key strategies, influential factors and effective interventions to stimulate SRL in the workplace is missing. This systematic review aims to provide an overview of and a theoretical base for effective SRL strategies of medical students and residents for their learning in the clinical context.

METHODS:

This systematic review was conducted according to the guidelines of the Association for Medical Education in Europe. We systematically searched PubMed, EMBASE, Web of Science, PsycINFO, ERIC and the Cochrane Library from January 1992 to July 2016.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studies were included. Two reviewers independently performed the review process and assessed the methodological quality of included studies. A total of 3341 publications were initially identified and 18 were included in the review.

RESULTS:

We found diversity in the use of SRL strategies by medical students and residents, which is linked to individual (goal setting), contextual (time pressure, patient care and supervision) and social (supervisors and peers) factors. Three types of intervention were identified (coaching, learning plans and supportive tools). However, all interventions focused on goal setting and monitoring and none on supporting self-evaluation.

CONCLUSIONS:

Self-regulated learning in the clinical environment is a complex process that results from an interaction between person and context. Future research should focus on unravelling the process of SRL in the clinical context and specifically on how medical students and residents assess their progress towards goals.

PMID:
 
29943415
 
PMCID:
 
PMC6175376
 
DOI:
 
10.1111/medu.13615


정신질환자에 대한 낙인에 대한 임상실습의 영향: 메타분석(Med Educ, 2018)

The influence of clerkship on students’ stigma towards mental illness: a meta-analysis

Eleni Petkari,1,2 Ana I Masedo Gutierrez,2,3 Miguel Xavier2,4 & Berta Moreno K€ustner2,3,5





도입

INTRODUCTION


정신 질환(MI)으로 고통 받는 사람들은 두 가지 도전에 직면해야 한다: 

  • 첫째, 그 질병이 그들의 삶에 미치는 영향

  • 둘째, stigma때문에 사회로부터의 혹은 스스로의 rejection과 non-acceptance로 인한 스트레스.


People suffering from mental illness (MI) have to face a twofold challenge: 
  • first, the impact that the illness has on their lives in all its facets,1 and 
  • second the stress created by rejection and non-acceptance by both themselves and society because of stigma.2,3 

사회적 인식 이론에 따르면, 낙인은 인지, 감정, 행동적 요소를 포함하는 다차원적 개념이다. 

  • 지요소는 나쁜 예후에 대한 위험성이나 믿음과 같은 고정관념을 포함하는 태도를 말하는 반면, 

  • 정서요소들은 MI를 가진 사람들과의 상호작용에 대한 두려움이나 분노와 같은 편견의 표현을 포함한다. 

  • 행동요소는 보통 MI를 가진 사람들과의 상호작용을 위한 의도를 나타낸다. 차별에 대해, 회피, 평가 절하 또는 사회적 거리를 통해 표현된다.

According to social cognition theory,4 stigma is a multidimensional concept that encompasses cognitive, emotional and behavioural elements. 

  • Specifically, the cognitive elements refer to attitudes that include stereotypes, such as dangerousness or beliefs for a poor prognosis, 

  • whereas emotional elements include the expression of prejudice, such as fear of or anger towards people with MI. 

  • Finally, behavioural elements refer to intentions for interaction with people with MI, usually based on discrimination, expressed through avoidance, devaluation or social distance.3,5


증가하는 증거는, 일반 인구와 마찬가지로, 정신 건강 전문가들이 그들의 환자들에게 낙인을 표현할 가능성이 있으며, 장래의 건강 관리 전문가들은 그러한 환자들과 함께 일할 가능성을 적어도 매력적이지 않은 것으로 생각할 수도 있음을 보여준다. 낙인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지속적인 시도에서, 낙인 해소를 위한 교육적 개입은 대중들에게, 그리고 중요한 것은 장래의 보건 전문가들에게 널리 전달되어 왔다. 그러나 실제 환자와의 접촉을 포함하지 않는 안티-낙인 교육 개입은 단지 단기적인 효과만을 가지고 있는데, 아마도 MI라는 이름 뒤에 있는 인간을 평가할 기회가 부족하기 때문일 것이다환자와의 접촉이 긍정적인 태도를 확립하기 위한 핵심 요소인 것 같으므로, 정신 건강 관련 연구 커리큘럼이 포함된 임상실습이 포함되어야 한다.

Increasing evidence shows that, like the general population, mental health professionals are likely to express stigma towards their patients,6 and prospective health care professionals consider the possibility of working with such patients as unattractive at least.7,8 In a continuous attempt to tackle stigma, educational interventions aimed at its reduction have been widely delivered to the public9 and importantly to prospective health care professionals.10 However, anti-stigma educational interventions that do not include contact with real patients have only short-term effects,11 perhaps due to the dearth of opportunities for appreciating the human being behind the label of MI.12 As contact with patients seems to be a key element for establishing positive attitudes,13 the inclusion of a clerkship in the curriculum of mental health-related studies



임상실습은 보통 마지막 학년 또는 끝에서 두 번째 학년에 제공되고, 실제 환자와 함께 실시간 상황에서 직접 접근하여 젋은 전문직세대에게 MI를 가진 환자에 대한 긍정적이고 효율적인 접근을 교육하기 위한 이상적인 환경을 조성한다.

The clerkship is offered usually in the last or second-to-last academic year and offers a hands-on approach in real-time situations with real patients, creating an ideal context for teaching young generations of professionals a positive and efficient approach to patients with MI.14,15



결과는 또한 각 개입에 대한 목표 결과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초점이 개별적 낙인의 구성 요소(태도, 영향 또는 행동 의도) 중 하나 또는 단일 결과로서의 조합이냐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사실, 별도로 또는 조합하여 낙인의 구성요소를 선택하는 것은 실제로 개입의 효율성에 관한 상충되는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

results may also vary depending on the targeted outcome for each intervention, and depending on whether the focus is on one of the components of stigma (attitudes, affect or behavioural intentions) separately or on their combination as one sole outcome. In fact, the selection of the stigma components either separately or in combination might actually lead to conflicting outcomes regarding the intervention’s effectiveness.



본 연구

The present study


따라서, 현재 연구는 장래의 의료 전문가들이 사무직 완료 후 결과로 표현한 오명(전반적으로 태도 [AT], [AF] 및 행동적 의도[BI])의 변화를 탐구한다. 목적은 

  • (i) 임상실습이 학생의 낙인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는 모든 가용 연구에 대한 체계적인 메타 분석을 수행한다. 

  • (ii) 낙인 전반과 각 구성 요소(AT, AF 및 BI)에 대한 효과 추정치를 제공한다. 

  • (iii) 각 결과의 잠재적 조정 요인(즉, 대학 프로그램, 임상실습 기간, 임상실습 설정, 이론 교육, 실험 설계, 출판 연도, 연령 및 성별)을 식별해야 한다.

Thus, the current study explores changes in stigma (overall, attitudes [AT], affect [AF] and behavioural intention [BI]), expressed by prospective health care professionals as the outcome after completion of a clerkship. The aims are to 

  • (i) carry out a systematic meta-analysis of all available studies that examine the effects of clerkship on health care students’ stigma, 

  • (ii) provide an effect estimate for overall stigma and for each of its components (AT, AF and BI) and 

  • (iii) identify potential moderating factors of each outcome (i.e. university programme, clerkship duration, clerkship setting, inclusion of theoretical training, experimental design, year of publication, age and sex).



METHODS


Literature search


Inclusion criteria


Coding procedure


stigma component (overall, attitude [AT], affect [AF] and behavioural intention [BI]),



도구들

Instruments measuring stigma


The included studies assessed stigma using 12 different instruments, with some of them measuring stigma as a whole, providing a total score. Examples of such instruments are: 

    • the Mental Illness Clinician Attitudes Scale (MICA),18 examining beliefs, emotions and behaviours related to the patient’s treatment, perceived dangerousness or social interaction; 

    • the Mental Health Attitudes Scale (MHAS),15 focusing on knowledge, negative stereotypes or anxiety; 

    • and the Attitudes Towards Mental Illness Scale (AMI),14 examining fear or worry, as well as the willingness to have a friend or neighbour with MI. 


Other scales measured stigma components through distinct subscales that corresponded to AT, AF and BI. Examples are: 

    • the Opinions towards Mental Illness Scale (OMI),19 encompassing the subscales of Authoritarianism, Benevolence, Mental Hygiene Ideology, Social Restrictiveness or Interpersonal Aetiology; 

    • the Community Attitudes Towards Mental Illness Scale (CAMI),6 which is similar to the OMI with the exception of Interpersonal Aetiology; 

    • and the Attributions Questionnaire (AQ-27),20 measuring the expression of Pity, Anger, Fear, Responsibility, Willingness to Help and Segregation. 


Lastly, some studies focused only on the BIs, measuring them through 

    • the Social Distance Scale (SDS)21 or 

    • the Devaluation Discrimination Scale (DDS),22 

both of which explore the willingness to have social interactions with people with MI (see Table S1 online for details). 


In order to proceed with the distribution of instruments and their subscales into the stigma components (overall, AT, AF and BI), we were guided by the distribution carried out in a previous meta-analysis on stigma outcomes,4 based on the social cognitive theory of stigma.


Data analyses


결과

RESULTS


최종 샘플

Final sample


22개 연구

Twenty-two studies fulfilled the inclusion criteria and were included in the meta-analysis, providing data from 22 independent samples.



낙인의 변화

Stigma changes after clerkship


크게 감소

Our analysis yielded a highly significant medium effect size for overall stigma reduction (k = 22, Hedge’s g = 0.354; p < 0.001; 95% CI, 0.26, 0.45) and improvement of AT (k = 9) (Hedge’s g = 0.308; p = 0.003; 95% CI, 0.10, 0.51) and BI (k = 10) (Hedge’s g = 0.247; p < 0.001; 95% CI, 0.17, 0.33).


Subgroup analyses




메타-회귀

Meta-regression analyses


가중된 혼합 효과 메타-규제 분석은 여성들이 전반적인 낙인 변화 수준을 더 높게 보인 반면에 출판 연도나 참여자의 연령에는 유의미한 영향이 없음을 보여주었다. 마지막으로, 전체적인 변화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임상실습 시간의 경향이 있었다. 

The weighted mixed-effects meta-regression analyses revealed that women displayed higher levels of overall stigma change (k = 22, B = 0.007, standard error [SE] = 0.002, z = 3.23; p = 0.001), whereas there was no significant effect for publication year or participants’ age. Finally, there was a trend of clerkship duration influencing overall change positively (k = 22, B = 0.028, SE = 0.016, z = 1.78; p = 0.007). 


AT와 BI와 관련하여, 분석은 출판 연도와 임상실습 길이에 유의하지 않은 영향을 보여주었다. 하지만, 여성들은 AT에서 더 큰 변화를 보였고, 어린 학생들은 AT와 BI를 더 잘 보여주었다.

Regarding AT and BI, the analyses showed a non- significant effect for publication year and clerkship length. However, women showed greater change in AT (k = 6, B = 0.001, SE = 0.006, z = 1.95; p = 0.05)and BI (k = 6, B = 0.009, SE = 0.002, z = 2.76; p = 0.005) and younger students showed better AT and improved BI (k = 6, B =  0.057, SE=0.02, z =  3.02; p = 0.002). 



출판 편향

Publication bias



고찰

DISCUSSION


우리의 메타 분석의 결과는 임상실습이 학생들의 낙인에 대한 인식수준에 유익한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확인시켜준다. 좀 더 구체적으로 말하면, 그 결과는 행동적 의도를 바꾸는 것보다 [전반적인 낙인인식]과 [태도]를 바꾸는 힘이 더 크다는 것을 드러내는 반면, MI를 가진 환자에 대한 학생들에 대한 정서적 상태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그러한 차이는 놀랍지 않은데, 행동의 변화가 가장 어려운 것이며, 행동의 변화란 환자와의 상호작용을 증가시키고 능동적인 방식으로 도움을 제공려는 의도를 가정한다.26

The findings of our meta-analysis confirm that there is a beneficial influence of clerkship on students’ stigma levels. More specifically, the findings reveal a greater power of clerkship for changing overall stigma and attitudes than for changing behavioural intentions, whereas clerkship does not influence the student’s affective state towards patients with MI. Such differences are not surprising, given that behaviour is the most difficult component to change, as it assumes an intention to increase interaction with patients and help provision in an active way.26


현재의 연구 결과는 임상실습이 모든 대학 프로그램에 걸쳐 전반적인 낙인과 학생들의 차별적인 행동 의도를 줄이는데 도움이 된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이는 낙인을 해결하고자 할 때, 임상실습생이 환자 관리에 참여할 기회를 주는 것이 이론적 배경, 방법론 또는 학습 목표와 같은 대학 커리큘럼의 특정 구성요소보다 더 중요하다는 것을 나타낸다.

The results of the current study showed that clerkship was beneficial for reducing overall stigma and the students’ discriminatory behavioural intentions across all university programmes. This indicates that when targeting stigma the opportunity for involvement in patients’ care offered by a clerkship is more important than the specific components of university curricula, such as the theoretical background, methodology or learning targets.


특히, 입원 및 외래환자의 환경 조합에서 이뤄지는 임상실습은 (순수하게 기관화된 환경에 정착한 사무직과는 달리) 학생들의 태도를 변화시키는데 더 강력하다. 실제로 후자는 [행동적 의도]와 [전체적인 오명]에 미치는 영향은 전혀 없고 단지 작은 영향만 가지고 있다. 이러한 유의하지 않은 변화는 [학생들이 입원환자를 위험으로 간주될 수 있는 행동을 보이는 사람으로 인식하고 미래가 demoralisation된 사람들로 인식한다는 사실]로 설명할 수 있다.

Specifically, clerkships that take place in a combination of inpatient and outpatient settings are more powerful in altering students’ attitudes, as opposed to those settled in purely institutionalised conditions, in line with Sher & New.31 Indeed, the latter have no effect on attitudes at all and only a small influence on behavioural intentions and overall stigma. Such an insignificant change can be explained by the fact that students perceive the inpatients as people who display behaviours that may be considered dangerous32 and who immerse themselves in a state of demoralisation33 regarding their future.


영향력 있는 것으로 입증된 또 다른 요소는 임상실습의 한 부분으로 이론 교육을 실시하는 것이다. 특히, 이론적 훈련을 포함하지 않은 연구의 경우, [전체적인 낙인]과 [태도(=인지요소)]에 변화가 없었는데, 이는 대면 상호작용과 함께 이론적 요소를 포함시키는 것의 중요성을 보여주는 것이다.

Another element that was proven to be influential is the implementation of theoretical training as part of the clerkship. Specifically, overall stigma and attitudes remained the same for studies that did not include a theoretical training, pointing out the importance of accompanying the face-to-face interaction with such a component, in line with Economou et al.34


그러나 환자를 보다 긍정적인 방식으로 치료하려는 [의도]는 임상실습에 그러한 요소가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와 무관하게 달라지는 듯 하며, 이는 결국 사회적 상호 작용에 관한 한 환자와 접촉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는 것을 암시한다.

However, the intention to treat patients in a more positive manner seems to alter independently of whether the clerkship includes such a component or not, implying eventually that when it comes to social interactions, contact with patients is all that matters.


마지막으로, 여성들은 전반적으로 낙인을 덜 보이고, 더 나은 [태도]와 [행동 의도]를 보여주었고, 비록 남성과 여성은 MI를 가진 사람들에게 다른 방식으로 행동하는 경향이 있지만, 여성이 더 우호적인 태도를 보인다고 말한 기존 리뷰를 부분적으로 입증했다. 임상실습의 영향은 [행동 의도]에 대해서는 동일한 패턴을 따르는 것처럼 보이지만, [태도]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또한, 이전의 조사결과에 따라, 젊은 세대는 태도와 행동 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였다. 20,36

Finally, women showed less overall stigma, and better attitudes and behavioural intentions, partially corroborating an earlier review suggesting that although men and women tend to have similar attitudes they behave in a different way towards people with MI, with women being more friendly.35 The influence of clerkship seems to follow the same pattern for behaviour intentions but not for attitudes. Additionally, younger age seemed to influence positively both attitudes and behavioural intentions, in line with previous findings.20,36


Limitations


Implications for practice and research


사실, 그 낙인 구성요소들은 임상실습 후에 각자의 변화 패턴을 따르고 있으며, [행동]에는 영향이 적은 반면, [감정]에는 영향력이 없는 것으로 보인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감정]에 대한 연구는 다른 것에 비해서 매우 적은 편이므로 변화는 무시할 수 없다. 감정이 행동의 동기부여 메커니즘을 구성하기 때문에, 이 요소는 추가적인 탐사를 요구한다. 아마도 공감을 표적으로 삼음으로써 학생들은 두려움과 거절의 감정을 바꿀 수 있고 이런 식으로 MI를 가진 사람들을 더 호의적으로 대우하려는 그들의 의도를 높일 수 있다.

Indeed, the stigma components seem to follow their own pattern of change after clerkship, with behaviour being the less affected whilst there is a lack of change in affect. Nevertheless, changes cannot be discarded as affect has been significantly understudied compared with other stigma outcomes. As emotions constitute the motivating mechanism of actions, this component demands further exploration. Perhaps by targeting empathy, students can alter their feelings of fear and rejection and this way boost their intentions for more favourable treatment of people with MI.


학생은 사회의 구성원이기에, [MI를 가진 환자에 대해 무례하거나 부정적 꼬리표를 통해 특성을 부여하는] 사회적 맥락에서 기인하는 집단적 영향으로부터 영향을 받지 않을 수 없다. 따라서, 비록 학생들은 그들 자신이 갖고 있던 미신은 임상실습을 통해 사라지더라도, 전반적인 부정적 태도, 행동, 그리고 특히 감정은 그대로일 수 있다.

As members of a society, students cannot remain immune to group influences originating in a societal context that is characterised by disrespect towards patients with MI and attributes to them negative characteristics through labelling.38,39 Hence, although students may have their myths dispelled through their clerkship, they may largely retain their negative attitudes, behaviours and, importantly, emotions.


결과적으로, 우리의 연구결과는 더 넓은 사회적 문제에 대한 관심을 끌게 되는데, 이는 현재의 사회 구조에 도전해야 하며, stigma-free한 사고방식을 가진 시민을 양성하기 위해 더 큰 규모의 개입이 필요하다는 것을 시사한다.41

Consequently, our findings draw attention towards a wider societal issue, suggesting that there is a need for interventions on a larger scale in order to challenge the current societal structure and produce citizens with a stigma-free mindset.41







 2018 Jul;52(7):694-704. doi: 10.1111/medu.13548. Epub 2018 Mar 2.

The influence of clerkship on students' stigma towards mental illness: a meta-analysis.

Author information

1
Department of Behavioural and Social Sciences, European University Cyprus, Nicosia, Cyprus.
2
International Maristan Network, http://www.redmaristan.org.
3
Department of Personality, Assessment and Psychological Treatments, Faculty of Psychology, University of Malaga, Malaga, Spain.
4
Department of Mental Health, CEDOC, NOVA Medical School, University of Lisbon, Lisbon, Portugal.
5
Biomedicine Institute of Malaga-IBIMA, Malaga, Spain.

Abstract

CONTEXT:

In university programmes preparing students to work with patients with mental illnessclerkship is proposed as a component that may contribute to the battle against stigma, through bringing students into contact with the patients' reality. Yet, the precise contribution of clerkship remains unclear, perhaps because of the variety of university programmes, clerkship characteristics or types of stigma explored. This is the first systematic meta-analysis of available evidence determining the precise effect size of the influence of clerkship on stigma and the potential moderators.

METHODS:

We carried out a systematic literature review in Eric, PsycINFO, Pubmed, Scopus, UMI and Proquest dissertations, aiming to identify all the studies exploring health care students' stigma of mental illness (measured as overall stigma or as attitudes, affect and behavioural intentions) before and after a clerkship from 2000 to 2017. Twenty-two studies were included in the meta-analysis, providing data from 22 independent samples. The total sample consisted of 3161 students. The effects of programme (medicine, nursing, occupational therapy, and their combination), study design (paired-unpaired samples), publication year, sex, age and clerkship context, and inclusion of theoretical training and duration, were examined as potential moderators.

RESULTS:

Our analyses yielded a highly significant medium effect size for overall stigma (Hedge's g = 0.35; p < 0.001; 95% confidence interval [CI], 0.20, 0.42), attitudes (Hedge's g = 0.308; p = 0.003; 95% CI, 0.10, 0.51) and behavioural intentions (Hedge's g = 0.247; p < 0.001; 95% CI, 0.17, 0.33), indicating a considerable change, whereas there was no significant change in the students' affect. Moderator analyses provided evidence for the distinct nature of each stigma outcome, as they were influenced by different clerkship and student characteristics such as clerkship context, theoretical training, age and sex.

CONCLUSIONS:

The robust effect of clerkship on students' stigma of mental illness established by the present meta-analysis highlights its role as a crucial curriculum component for experiential learning and as a necessary agent for the battle against stigma.

PMID:
 
29498433
 
DOI:
 
10.1111/medu.13548


의과대학 1학년을 위학 학습지원개입: 문헌 고찰(Med Educ, 2017)

Learning support interventions for Year 1 medical students: a review of the literature

Masego B Kebaetse,1 Maikutlo Kebaetse,2 Gaonyadiwe G Mokone,2 Oathokwa Nkomazana,3 Mpho Mogodi,1

John Wright,2 Rosemary Falama4 & Elizabeth Park5






도입

INTRODUCTION


의대를 통과하는 여행은 길고, 벅차고, 어려울 수 있는 만큼 흥미롭고 보람 있을 수 있다. 이전에 높은 학업 성취와 학습 성공을 거둔 학생도 학습 어려움을 겪을 수 있으며, 의대에서는 어려움을 겪을 수 있다.1 학생들은 능력 있고 준비된 상태로 의대 1학년에 입학하지만, failure로 귀결되는 학문적, 개인적 어려움을 겪을 수 있다.2 또한, 의대에서 필요한 행동적 속성을 갖추지 않은 채로 입학하는 학생들은 학습 내용 및 학습 기술 둘 다와 어려움을 겪을 수 있다.3 

The journey through medical school can be as exciting and rewarding as it can be long, daunting and challenging. Even students with prior high academic performance and learning success may experience learning challenges and may struggle during medical school.1 Students may enter the first year of medical school capable and prepared, but may experience academic and personal challenges that lead to failure.2 Additionally, students entering medical school without the necessary behavioural attributes may struggle with both content and learning skills.3 


일반적으로 학부 학위를 취득하고 의대에 들어오는 경우(북미의 경우)와 달리 곧바로 의과대학에 들어오는 학생들은(예: 유럽, 호주, 아시아 및 아프리카에서 일반적으로 대학 교육을 거의 받지 않았거나 받지 않은 학생) 의과대학 교육과정에서의 요구와 엄격함이 늦은 사춘기와 이른 성인기의 발달과제와 coupled될 수 있다.4 따라서, 이 의대생들이 직면하는 학습 과제는 훈련의 첫 번째 또는 초기 기간 동안 잠재적으로 더 심각할 수 있다.

For undergraduate medical students (i.e. students admitted with little or no university education, which is typical in Europe, Australia, Asia and Africa), unlike for graduate medical students, who have normally completed an undergraduate degree (typical in North America), the demands and rigour of the medical education curriculum, coupled with the developmental tasks of late adolescence and early adulthood, may pose learning challenges.4 Thus, the learning challenges that confront undergraduate medical students may potentially be more acute during the first or early years of training.


의학교육의 어느 단계에서든 학문적 실패의 원인은 학문적 및 비학문적 요인을 모두 포함한다.5 예를 들어, 학업적 실패는 다음에 기인한다

  • 비효율적인 학습 및 학습 기술, 1,6,7 

  • 잘못된 이해 전략,4 

  • 특정 학술 및 내용 분야의 결함, 8,9 

  • 자기 규제 및 인지 능력의 결여,10,11 

  • 자기 주도적 학습으로 전환할 수 없음,12 

  • 탄력성의 결여와 나쁜 스트레스 관리,8 

  • 높은 워크로드를 관리할 수 없음, 8,13 

  • 학생과 학습 환경 사이의 부족한 건강 

  • 개인적인 요소들. 

The causes of academic failure at any stage of first-degree medical training include both academic and non-academic factors.5 For instance, academic failure may arise from 

  • inefficient learning and study skills,1,6,7 

  • poor comprehension strategies,4 

  • deficiencies in specific academic and content areas,8,9 

  • lack of self-regulation and metacognitive skills,10,11 

  • inability to transition to self-directed learning,12 

  • lack of resilience and poor stress management,8 

  • inability to manage a high workload,8,13 

  • poor fit between the student and the learning environment,2 

  • and personal factors.8,14 


또한 학습의 어려움은 다음에 의해 악화될 수 있다. 

  • 자신의 학습 결함을 발견하지 못함

  • 도움을 구하기를 꺼림

Additionally, learning challenges can be precipitated by 

  • students’ inability to identify their own learning deficiencies15,16 and 

  • the reluctance of some medical students to seek help.17 


놀랄 것도 없이, 1학년 의대생들의 10-15%가 학업적으로 고군분투하고 있는데, 이것은 이러한 도전들이 특히 대학 의학 교육에서 첫 해 또는 초창기 동안 나타날 수 있다는 것을 암시한다.

Not surprisingly, 10–15% of Year 1 medical students struggle academically,18 which suggests that these challenges may manifest during the first or early years of medical training, particularly in undergraduate medical education.


학습 어려움을 경험함에도 불구하고, 대부분의 학생들은 다시 적절하고 효과적인 학습 지원을 통해 성공할 수 있는 지적 능력을 가지고 있다.19 사실, 많은 의과대학들은 'struggling' 학생들을 위한 교정조치를 포함하여 학습 지원 프로그램을 제공한다.20,21 Sandars et al.2는 의료 교육에서 학습 지원에 대한 두 가지 주요 접근방식인 부족-대응적 접근법적극적-발달적 접근법을 구별한다.

Despite experiencing learning challenges, most students have the intellect to succeed, again with appropriate and effective learning support.19 In fact, many medical schools offer learning support programmes, including remediation for ‘struggling’ students.20,21 Sandars et al.2 distinguish between two main approaches to learning support in medical education: the deficit-reactive and the proactive-developmental approaches.


부족-대응 접근 방식은 1학년 프로그램의 일부에서 실패한 학생처럼 '위험에 처한' 학생들을 대상으로 한다.2 따라서 실패한 학생이 발생할 경우 support가 시작되고, 교정조치에 집중되며, 일반적으로 학습자가 다음 평가를 통과할 수 있도록 테스트, 개입 및 재시험이 포함된다.2 부족-대응 방식의 주요 당면 과제는 다음과 같다. 

  • (i) 낙인이 될 수 있음, 실패로 이어지는 핵심 이슈를 무시할 수 있는 가능성2 

  • (ii) 필요한 발달적 support의 부재, 특히 학부의대생의 경우,2 

  • (iii) 교정 후에도 프로그램 중에 반복되는 실패.20

The deficit-reactive approach targets students who are perceived to be ‘at risk’, such as students who fail part of the Year 1 programme.2 Support is thus triggered by failure, focuses on remediation, and generally includes testing, intervention and retesting to enable learners to pass the next assessment.2 The main challenges of the deficit-reactive approach are: 

  • (i) the labelling of students, which may lead to stigmatisation2,4 and the potential to ignore the core issues that lead to failure2; 

  • (ii) the lack of necessary development support, particularly for undergraduate medical students,2 and 

  • (iii) repeated failure during the programme even after remediation.20


이와는 대조적으로, 적극적-발달적 접근은 특히 학부 의대 학생들의 발달 단계를 고려하고, 단지 failure에 대한 재교육 이상을 제공한다2 따라서 학생들은 평생 '학습' 기술을 습득한다.22 Sandars et al.2 는 발달적 학생 지원을 '학력, 개인적 특성 또는 생애 사건과 관계없이 모든 학생의 개인적, 직업적 성장에 중점을 두는 촉진적 접근법'라고 묘사한다. 그러므로, 무엇보다도, 이 접근법은 학습자의 낙인을 줄이는 데 도움이 된다. 또한, 이 접근방식에서 지원은 정기적으로 제공되고 training의 초반에 시작한다.5

By contrast, the proactive-developmental approach takes into consideration the developmental phase, especially of undergraduate medical students, and provides more than remediation of failure2; students thus acquire lifelong ‘learning to learn’ skills.22 Sandars et al.2 describe developmental student support as ‘a facilitated approach that has a focus on personal and professional growth for all students, irrespective of academic performance, personal characteristics or life events’. Thus, amongst other things, this approach helps reduce stigmatisation of the learner. Furthermore, in this approach, support is provided regularly and starts early in training.5


(기존에 있었던) 두 리뷰에서, 문헌은 부족-대응 접근법에 초점을 맞췄다. 비록 첫 해나 초반에 개입하는 것이 '고투하는 많은 학생들의 특징인 underperformance의 반복 사이클'를 멈출 수 있는 잠재력을 가지고 있다고 제안되었지만, 의학 교육의 학습 지원과 교정조치 노력은 의대 후반부에 중점을 두는 경향이 있다. 대조적으로, 현재 검토는 의과대학 1학년에 집중되고 있다.

In both reviews, the literature focused on the deficit-reactive approach. Although it has been suggested that intervention in the first or early years has the potential to stop the ‘cycle of underperformance that is characteristic of many struggling students’,20 learning support and remediation efforts in medical education tend to place emphasis on the latter years of medical school.20 By contrast, the present review focuses on the first year of medical school.



방법

METHODS


방법론적 프레임워크

Methodological framework


우리는 새로운 주제를 식별하기 위해 체계적인 검토의 강력한 프로세스 중 일부를 풍부하고 귀납적이며 분석적인 질적 연구 성격과 결합하여 비체계적 주제적(또는 비판적 통합 또는 비판적) 검토를 수행했다. 우리의 의도는 선택된 간행물에서 발견되는 경향과 주제를 유도적으로 분류하고 조사하는 것이었다. 우리는 알려진 것, 지식의 차이, 그리고 여전히 고려할 필요가 있는 것을 확인하는 과정을 포함하여 문헌을 광범위하게 고려했고, 문학으로부터 '개념적 기여'를 도출하려고 했다.

We conducted a non-systematic, thematic (or critical synthesis or critical) review of the literature by combining some of the robust processes of a systematic review with the rich, inductive, analytic nature of qualitative research to identify emerging themes.23–25 Our intent was to inductively categorise and examine trends and themes found in the selected publications.24,25 We considered the literature broadly in a process that included identifying what is known, gaps in knowledge and what still needs to be considered,25 and sought to derive a ‘conceptual contribution’ fromthe literature.23


우리는 검토, 협업, 목적 표본 추출의 목적을 명확히 하고 방법론적 엄격함을 보장하기 위한 대안적 관점을 고려하는 것과 같은 질적 연구의 원칙에 주의를 기울이려고 노력해왔다.24 현재 검토는 '과거 이 분야의 다른 모든 연구자와 학자들이 보여주거나 말한 것을 단순히 비유하는 것이 아니라, 오래된 문제에 대한 새로운 시각을 제공하려고 한다.'25

We have attempted to pay attention to the principles of qualitative research, such as by clarifying the purpose of the review, collaboration, purposeful sampling and considering alternative perspectives to ensure methodological rigour.24 The current review attempts to provide ‘a new perspective to an old problem, rather than simply paraphrasing what all other researchers and scholars in the field have shown or said in the past’.25


Data searching and mining


Data analysis and synthesis



결과

RESULTS


26개 문헌

After multiple reviews of titles, abstracts and full texts, 26 articles published between 1973 and 2016 were selected according to the inclusion and exclusion criteria (Fig. 1).


연구 특징

Study characteristics


Thirteen articles were published during 1973–1999,3,8,14,17,30–38 

four articles during 2000–2009,39–42 and 

nine articles during 2010–2016.11–13,43–48 


Sixteen articles came from the USA3,8,13,14,17,30,31,33–39,41,43 and the rest from Australia,40 Canada,32 Dominica,11,46 Germany,47 India,45 the Netherlands,48 South Africa42,44 and the UK.12 Of the 16 US articles, 12 were published prior to 20003,8,14,17,30,31,33–38 and 7 of these 12 articles focused primarily on minority and disadvantaged students.13,30,31,33–35,37


개입 접근법

Intervention approaches


학습지원에 대한 접근법은 세 가지 방식으로 개념화 된 것 같다. 

    • 첫째, 사후 대응적 부족 접근에서 학습 지원은 일단 실패했을 때 학생들에게 교정조치 형태로 제공된다. 

    • 둘째, 사전 예방적 결함 접근에서 학습 지원은 실패하기 전에 결손을 본 것으로 인식되는 특정 학생 집단에 제공된다.13,17,30–32,34–37 

    • 마지막으로, 사전 예방적 발달 접근방식에서는 학습 및 개발 지원을 제공하는 방법으로 모든 학생에게 학습 지원을 제공한다.12,38–45,47

The approach to learning support seems to be conceptualised in three ways. 

    • Firstly, in the reactive-deficit approach, learning support is provided in the form of remediation to students once they have failed.8,11,14,33,48 

    • Secondly, in the proactive-deficit approach, learning support is provided to a specific group of students perceived to have a deficit prior to failure.13,17,30–32,34–37 

    • Finally, in the proactive-developmental approach, learning support is provided to all students as a way of providing learning and development support.12,38–45,47


개입 영역

Area of intervention


내용 지식, 학문적 성공 기술, 개인 및 전문 기술, 프로그램 관련 요소를 포함한 몇 가지 분야에 집중하는 것으로 보인다.

Interventions seem to focus on several areas, including content knowledge, academic success skills, personal and professional skills, and programme-related elements.


Intervention strategies



Intervention duration


Intervention outcomes


고찰

DISCUSSION


중재: 

  • (i) 사전 예방적 결함, 사후 대응적 결함 및 사전 발달적 접근 방식을 사용한다. 

  • (ii) 콘텐츠 지식, 학문적 성공 기술, 개인 및 전문 기술, 프로그램 관련 요소 

  • (iii) 교수-촉진, 동료-촉진, 지원 인력-촉진, 경험적 배치, 자가 학습, 부담-감소 전략

  • (iv) 5주부터 2년까지 지속 기간이 다양하다. 

  • (v) 일반적으로 긍정적 반응을 보였다.

The interventions: 

  • (i) used proactive-deficit, reactive-deficit and proactive-developmental approaches; 

  • (ii) addressed content knowledge, academic success skills, personal and professional skills, and programme-related elements; 

  • (iii) utilised faculty staff-facilitated, peer-facilitated, support staff-facilitated, experiential placement, self-study and reduced-load strategies; 

  • (iv) varied in duration from 5 weeks to 2 years, and 

  • (v) generally showed positive results.


proactive-deficit 접근은 주로 노예제도, 제도화된 인종차별주의, 그리고 인종차별정책으로 야기된 불평등을 바로잡으려는 의도가 있는 미국과 남아프리카의 개입 프로그램의 특징이다. 이러한 연구는 소수 집단과 사회 경제적 혜택 받지 못한 학생들이 의료 교육에 접근할 수 있도록 돕는 준비 프로그램에 초점을 맞추는 경향이 있다. 이러한 접근법의 장점에도 불구하고, 소수 집단과 역사적으로 불리한 집단들에 대한 개입의 narrow focus는 제한적이다.

The proactive-deficit approach is mostly characteristic of US and South African intervention programmes, in which the intent seemed to be to redress the inequities created by slavery and institutionalised racism (USA) and apartheid (South Africa). These studies tend to focus on preparatory programmes that help minority and socio-economically disadvantaged students gain access to medical education. Despite the merits of this approach, it is limited because of the narrow focus of the interventions on minority and historically disadvantaged groups.


reactive-deficit 접근도 한계까 있다. 더욱이, 문제가 발생하는 것을 막는 대신, 문제가 발생할 때까지 기다리는 것은 spending 증가, 프로그램 완성 지연, 그리고 정서적 고갈을 초래할 수 있으며, 이 모든 것은 학생과 기관 모두에게 영향을 미친다.

The reactive-deficit approach too has limitations,2,4,20 as previously stated. Furthermore, waiting for a problem to occur rather than preventing it from occurring may result in increased spending, delayed programme completion and emotional drain, all of which affect both the student and the institution.


대조적으로, proactive-developmental 접근법특정 학습과 개발 기술을 다루는 경향이 있으며, 일반적으로 자기 주도적 학습의 개발과 같은 일부 교육 또는 개발 이론에 기초한다. 우리는 이것이 다른 두 가지 접근법의 단점을 해결한다는 점에서 이것이 선호되는 접근법이라고 가정한다. 비록 모든 개입 접근법에 비용이 고려되어야 하고, 모든 학습자들을 지원하는 것이 더 비용이 많이 드는 것으로 보일지라도, 우리는 의대를 통해 습득한 기술, 태도, 습관이 평생 의사들과 함께 있을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예방이 치료보다 낫다는 것을 제안한다.

By contrast, the proactive-developmental approach tends to address specific learning and developmental skills, and is generally grounded in some educational or developmental theory, such as the development of self-directed learning. We posit that this is a preferred approach in that it addresses the shortcomings of the other two approaches. Although cost is a factor to be considered in all intervention approaches, and it may appear to be more costly to support all learners, we suggest that prevention is better than cure as skills, attitudes and habits acquired through medical schools are likely to stay with doctors throughout their careers.


개입 영역이 광범위하고 일반적으로 어느 정도의 성공과 관련이 있는 경우, 콘텐츠 지식에 traditionally or prematurely focus된 프로그램은 그 효과성에 한계가 있을 수 있다.

Given that the areas of intervention were broad and generally associated with some degree of success, programmes that traditionally or prematurely focus on content knowledge may be limited in their effectiveness.


비록 어떤 경우에는 개입이 독립 프로그램으로서 제안되었지만, 우리의 연구 결과는 개입이 관련 subject matter에 포함되도록 하는 것이 더 이로울 수 있다는 것을 암시한다.

Although in some cases the intervention was offered as a stand-alone programme, our findings suggest that it may be more beneficial for the intervention to be embedded in the relevant subject matter.


어느 정도 성공을 거두는 데는 다양한 개입 전략이 사용되었다. 놀랍게도, 우리의 검토에서 오직 한 가지 연구만이 reduced-load 전략을 채택했다. 주로 의과대학 1학년에 높은 workload가 주요 스트레스와 failure의 원임임에도 그러했다.

A variety of intervention strategies were used with some degree of success. Surprisingly, only one study in our review employed the reduced-load strategy,14 despite the fact that high workload is well known to be a major cause of stress and failure in medical school,8 especially during or beginning in the first year.


부담을 줄이는 것은 특히 언어, 문화, 사회 경제적 요인에 의해 불이익을 받을 수 있는 개발도상국의 학생들을 조정할 수 있는 시간을 줄 것을 제안한다. 프로그램 기간을 연장하는 것 외에도, 14,50은 가능한 한 많은 기초 과학을 premedical program으로 옮겨서 의과대학 교육과정을 재편성하는 또 다른 가능한 부하 감소 전략이다.

We suggest that reducing the load may allow these students time to adjust, particularly those from developing countries, who may be disadvantaged by language, cultural and socio-economic factors, among others. In addition to lengthening programme duration,14,50 reorganising the medical school curriculum by moving as much of the basic sciences as possible to the pre-medical programme is another possible load-reduction strategy.


현재의 연구결과는 intervention의 dose가 중요하고, 대규모 그룹 기반 및 단기 개입은 marginal performance를 변화시키는데 필요한 자기 조절 및 사고 방식을 개발하는 데 비효율적일 수 있음을 시사하는 것으로 보인다.46 또한 dose와 관련이 있다. 단계적으로 개입이 적어도 한 학기가 길면 콘텐츠 지식 이득의 지속성이 더 큰 것 같다.11,36,38 상대적으로 긴 지속 기간이 짧은 기간보다 효과적일 것이라고 생각한다. 왜냐하면 이러한 개입은 하룻밤 사이에 쉽게 변하지 않을 수 있는 이미 장기간에 걸쳐 확립된 습관과 결함을 바꾸려고 하기 때문이다.

The present findings seem to suggest that the dose of the intervention matters, and that large group-based and short-duration interventions are likely to be ineffective in developing self-regulation and the thinking dispositions required to turn around a marginal performance.46 Also related to dose is the persistence of results beyond the intervention phase. It seems that the persistence of content knowledge gains is greater when interventions are at least one semester long.11,36,38 We think that relatively long durations are more likely to be effective than short durations because often the intervention seeks to change long-term, entrenched habits and deficiencies that may not change overnight.


검토 결과는 일반적으로 등록률, 학업성취도, 유지율 및 완성률이 향상되었음을 보여준다. 그러나, 학생들에게서 자기효능의 상실과 심화학습 표면학습 전략으로의 전환을 보여준 한 연구는 의과대학 프로그램의 전형적인 밀집된 교과 과정이 부정적인 결과의 주요 원인이라는 것을 보여준다.40

The findings of the review generally show improved enrolment, academic performance, retention and completion rates. However, one study that showed a loss of self-efficacy in students and a shift from deep- to surface-learning strategies suggests that a dense curriculum, typical of a medical degree programme, is a major reason for the negative outcome.40


부하와 같은 외부 요인에 주의를 기울이지 않고 학습 능력과 콘텐츠 지식을 다루는 것은 비효율적인 학습 전략(예: 표면 학습)을 채택하는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 이러한 관점은 부하를 줄이거나 최소한 그것에 주의 깊게 주의를 기울이는 것이 포괄적인 전략의 일부가 되어야 한다는 생각을 support한다. 비록 1학년 학생들에게만 해당되는 것은 아니지만, 많은 학교들이 실제로 감소하는 전략을 채택하고 있다.50–53

Addressing learning skills and content knowledge without paying attention to external factors such as load may result in students adopting ineffective learning strategies (e.g. surface learning). This view lends support to the notion that reducing the load, or, at minimum, paying close attention to it, should be part of a comprehensive strategy. Although not specific to Year 1 students, a number of schools have indeed adopted a reduced-load strategy.50–53


전반적으로, 현재 검토 결과, 2000년 이전에는 출판물이 일반적으로 프로그램 보고서(n = 13)를 나타내고, 그 이후에는 주로 개입 전 설계와 통제 그룹(n = 9)을 사용한 정량적 연구를 설명하였다.

Overall, the present review shows that prior to 2000, publications generally represented programme reports (n = 13), and, thereafter, described primarily quantitative studies that used pre-and post-intervention designs and control groups (n = 9).


그러므로, 개입은 종종 학생들이 무엇을 왜 고군분투하고 있는지에 대한 경험적 이해를 통해 명확하게 알려지지 않는 것으로 보인다.

Thus, it appears that interventions are often not explicitly informed by empirical understanding of what students are struggling with and why.



1학년의 학습 서포트 프레임워크

A potential framework for Year 1 undergraduate learning support


학습 지원과 교정조치가 교직원들에게 부담을 줄 수 있지만, 5,20,54개의 실패와 예방되지 않은 학습자 부족이 학생과 기관에 커다란 재정적, 정서적 비용을 초래할 수 있다. 2,20,21년, 우리는 1년 전 지원을 제공하는 3단계 학습 지원 프레임워크를 제안한다.g 1년 후 및 1년 후(그림 2). 우리는 이 제안이 '학계 및 행동 지원의 연속체'를 위한 틀을 넓힐 것을 제안한다.55

Although learning support and remediation may place a burden on faculty staff,5,20,54 failure and unmitigated learner deficits can come at great financial and emotional costs to students and the institution,2,20 not to mention compromised patient safety.20,21 We propose a three-phase learning support framework that provides support pre-Year 1, during Year 1 and post-Year 1 (Fig. 2). We suggest that this proposal will broaden the framework for the ‘continuumof academic and behavioural support’.55


1학년 전

Pre-Year 1


의과대학은 일반적으로 학업에 매우 성공한 학생들을 인정하지만, 이러한 학생들도 훈련 중에 어려움에 직면할 수 있다. 일부 challenge가 평생 습관과 결손에 기인한다는 점을 고려하면, 학생들이 초등교육과 중등교육 중에 이러한 경향의 일부를 획득한다고 가정하는 것이 합리적이다.

Although medical schools generally admit highly academically successful students, even these students can face challenges during training. Given that some of the challenges are attributable to lifelong habits and deficits, it is reasonable to assume that students acquire some of these tendencies during their primary and secondary education.


이러한 이유로 다음과 같이 제안한다. 

(i) 사전 교육을 통해 학문적 및 비학문적 기술의 획득을 촉진해야 한다. 

(ii) 교사 연수는 교사가 이러한 기술을 제공할 수 있도록 의도적으로 준비해야 한다. 

(iii) 교육 정책 및 커리큘럼(예: 학습자 중심 교육의 촉진) 변경이 필요할 수 있다.

For this reason, we suggest that: 

(i) the acquisition of both academic and non-academic skills should be promoted throughout pre-university education; 

(ii) teacher training should intentionally equip teachers to impart these skills, and 

(iii) educational policy and curricular (e.g. promoting learner-centred teaching) changes may be required.


1학년 기간 중

During Year 1


학부 의대생들은 성인으로 전환하고, 아직 가지고 있지 않을지도 모르는 학습 능력을 요구하는 학습 환경에 진입하고, 전문적 정체성 형성을 협상하는 등 도전적인 삶의 단계에 직면해 있다. 이 시점에서 학생들은 학업 실패와 행동적 어려움을 예방하기 위해 학습 및 개인 발달 지원이 필요하며, 이러한 지원은 성공할 수 있다.255–57

Undergraduate medical students face a challenging life phase that involves transitioning into adulthood, entering a learning environment that requires learning skills they may not already possess, and negotiating professional identity formation. It is at this point of transition that students need learning and personal development support to prevent academic failure and behavioural challenges, such that they are enabled to succeed.2,55–57


1학년 의대생들이 직면한 다양한 과도기적 과제를 고려할 때, 우리는 다음과 같은 학습 지원을 제안한다. 

    • (i) 모든 학생에게 지원을 제공한다(즉, 보편화). 

    • (ii) 1년의 기간을 포함하며, 커리큘럼에 포함되어 있다. 

    • (iii) 학습 지원과 개인 및 전문가 형성(발달적 지원)을 모두 포함한다. 

    • (iv) 위험에 처한 학생들의 조기 감지를 포함하며, 그룹 및 개별 교정 조치를 제공한다. 

    • (v) 출구 전략을 포함해야 한다.


Given the various transitional challenges faced by Year 1 medical students, we propose the provision of learning support that: 

    • (i) provides support to all students (i.e. is universal); 

    • (ii) covers the duration of Year 1 and is embedded in the curriculum; 

    • (iii) includes both learning support and personal and professional formation (development support); 

    • (iv) includes the early detection of at-risk students and provides for group and individual remediation, and 

    • (v) includes an exit strategy.



1학년 이후

Post-Year 1


학습의 어려움은 종종 1년을 넘어 지속되고 새로운 또는 추가의 도전들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지원은 첫 해 이후부터 필요하다.

Because learning challenges often persist beyond Year 1 and new or additional challenges may arise, support is required beyond the first year.


2 Sandars J, Patel R, Steele H, McAreavey M, Association for Medical Education in Europe. Developmental student support in undergraduate medical education: AMEE Guide No. 92. Med Teach 2014;36 (12):1015–26.








 2018 Mar;52(3):263-273. doi: 10.1111/medu.13465. Epub 2017 Oct 23.

Learning support interventions for Year 1 medical students: a review of the literature.

Author information

1
Department of Medical Education, University of Botswana Faculty of Medicine, Gaborone, Botswana.
2
Department of Biomedical Sciences, University of Botswana Faculty of Medicine, Gaborone, Botswana.
3
Department of Surgery, University of Botswana Faculty of Medicine, Gaborone, Botswana.
4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Kanye Seventh-Day Adventist Hospital, Kanye, Botswana.
5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New York-Presbyterian Hospital/Weill Cornell Medical Centre, New York, New York, USA.

Abstract

CONTEXT:

The journey through medical school can be challenging, especially for undergraduate medical students who must deal with a demanding curriculum, coupled with the demands of transitioning into adulthood. Despite experiencing learning challenges, most studentssucceed with appropriate learning support. Many medical schools offer learning support programmes, particularly in the latter years, but it has been suggested that such support could be more beneficial, especially during the initial years.

OBJECTIVES:

This review explores learning support intervention programmes used to address learning challenges and deficits in the first year of medical school. Additionally, we propose a potential framework for supporting learning during the first year of medical school.

METHODS:

We searched PubMed, Web of Science, MEDLINE, CINAHL (Cumulative Index to Nursing and Allied Health Literature), ERIC (Educational Resources Information Centre), Academic Search Premier and Google Scholar using the search terms 'learning support', 'learning challenge', 'remediation', 'change', 'medical education' and 'first year'. We developed and used a review matrix to record the main elements of each article. We also coded the matrix to identify emerging themes.

RESULTS:

The main themes that emerged from the study were 'intervention approaches', 'area of intervention', 'intervention strategies', 'intervention dose' and 'intervention outcomes'.

INTERVENTIONS:

(i) used proactive-deficit, reactive-deficit and proactive-developmental approaches; (ii) addressed content knowledge, academic success skills, personal and professional skills and programme-related elements; (iii) utilised faculty staff-facilitated, peer-facilitated, support staff-facilitated, experiential placement, self-study and reduced-load strategies; (iv) varied in length from 5 weeks to 2 years, and (v) generally showed positive results.

CONCLUSIONS:

This review has identified the main components of learning support interventions used for Year 1 medical studentsInterventions, however, are generally not grounded on empirical assessment that elucidates the nature of the challenges faced by students. Future research should provide empirical understanding of the learning challenges to be addressed.

Comment in

PMID:
 
29058332
 
DOI:
 
10.1111/medu.13465


보건전문직교육에서 기초의학지식의 전이에 대한 비판적 네러티브 리뷰(Med Educ, 2018)

A critical narrative review of transfer of basic science knowledge in health professions education

Jean-Marie Castillo,1,2,3,4 Yoon Soo Park,3 Ilene Harris,3 Jeffrey J H Cheung,1,5 Lonika Sood,3,6,7 Maureen

D Clark,3,8 Kulamakan Kulasegaram,1,9 Ryan Brydges,1,10 Geoffrey Norman11 & Nicole Woods1,2



도입

INTRODUCTION


1910년 Flexner 보고서 이후, 기초의학이 미래 의료에서 임상 추론에 역할을 한다는 가정 하에 기초 과학 교육을 HPE에 포함시켰다. 최근의 연구는 기초 과학 지식이 임상 지식과 임상 추론의 습득에 있어 학습자와 practitioner에게 실제로 유익하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그러나, 학생들이 실제로 기본적인 과학 지식을 임상추론에 transfer할 것을 보장하는 기초 과학 교육의 특정 교수법과 평가 접근법에 대한 문헌에서 제한적인 논의가 있었다.

Since the Flexner report of 1910,1 education in the basic sciences has been included in HPE on the assumption that it plays a role in clinical reasoning during future practice.2–4 Recent investigations have shown that basic science knowledge does indeed have benefit for learners and practitioners in their acquisition of clinical knowledge and clinical reasoning.5,6 However, there has been limited discussion in the literature about the specific instructional and assessment approaches in basic science education that ensure that students will, in fact, transfer their basic science knowledge to their clinical reasoning.7


기초 과학 지식의 전이는 하나의 학습 환경에서 습득한 기초 과학 지식을 다른 맥락에서의 임상 문제 해결에 적용하는 것으로 정의할 수 있다.8 임상 추론에 대한 기초 과학 지식의 전달을 최적화하는 목표는 HPE와 문제 해결에 관한 광범위한 문헌에서 복잡한 교육과정 문제를 제시한다.8

The transfer of basic science knowledge can be defined as the application of basic science knowledge acquired in one learning context to the solving of a clinical problemin another context.8 The goal of optimising the transfer of basic science knowledge to clinical reasoning presents a complex curricular challenge in HPE and in the broader literature on problemsolving.8


임상추론에서 기초 과학의 가치는 정적static 지식 구조의 개발을 넘어선다. 오히려, 기초과학 지식은 의학적인 문제 해결을 지원하기 위한 역동적인dynamic 정신 구조의 발전의 토대가 되어야 한다.

the value of the basic sciences in clinical reasoning goes beyond the development of static knowledge structures. Rather, basic science knowledge should also serve as the foundation for the development of dynamic mental structures to support medical problemsolving.


수십 년의 연구가 학습자들에 의한 임상적 추론에 대한 기초 과학 지식의 spontaneous transfer가 특히 어렵다는 것을 보여주었다.13~15 해부학, 생화학, 유전학 등의 기초과학 각각에 대한 지식만으로는 임상 실습의 충분한 토대를 제공하지 못한다. 그러므로, 기초 과학 교육에 대한 연구는 기초 과학 훈련이 어떻게 학생들이 그들의 기본 과학 지식을 현실 세계의 문제에 적용할 수 있도록 하는지 탐구해야 한다. 그러나, HPE의 문헌은 기본적인 과학 교육 방법의 효과와 학생들이 기본적인 과학 지식을 전수하는 것을 성공적으로 도왔는지에 관한 제한된 증거를 제공한다.16

Decades of research have demonstrated that the spontaneous transfer of basic science knowledge to clinical reasoning by learners is exceptionally difficult.13–15 Taken in isolation, knowledge of the basic sciences, such as anatomy, biochemistry and genetics, does not provide a sufficient basis for clinical practice. Therefore, research in basic science education must explore how basic science training enables students to apply their basic science knowledge to real-world problems. However, the literature in HPE provides limited evidence regarding the effectiveness of basic science teaching methods and whether they have been successful in helping students transfer their basic science knowledge.16


기존 연구를 철저히 검토하지 않으면, 학생들이 기본적인 과학 지식을 임상추론으로 transfer하는 것을 지원할 수 있는 이론, 모델 또는 모범 사례를 식별하기 어렵다. 따라서, 우리는 이용 가능한 증거를 포착하기 위해 기본적인 과학적 지식을 임상 추론에 전달하는 것에 관한 문헌의 검토와 통합을 수행하였다.

Without a thorough examination of the existing work, it is difficult to identify theories, models or best practices that might support students in the transferring of basic science knowledge to clinical reasoning. Thus, we undertook to conduct a review and synthesis of the literature on the transfer of basic science knowledge to clinical reasoning to capture the available evidence.



방법

METHODS


본 연구는 문헌에서 증거를 수집하기 위해 체계적인 탐색 전략을 기반으로 한 비판적 서술적 검토다. 단일의 경험적 질문에 관련된 대답을 제공하도록 설계된 체계적인 검토 결과와 대조적으로, 우리는 기초 과학 교육 맥락에서 지식 전이의 개념을 더 잘 이해하고자 했다. 따라서, 'transfer out'/'transfer in' 개념적 프레임워크를 사용하여, 기존 문헌에서 전이가 개념화 및 평가되는지, 평가된다면 어떻게 평가되는지를 이해하기 위해 체계적으로 문헌을 검색한 결과를 분석하였다.

The present study is a critical narrative review, based on a systematic search strategy, to gather evidence from the literature. By contrast with the results of a systematic review, which is designed to provide an answer relevant to a single, empirical question, we aimed to gain a richer understanding of the concept of knowledge transfer in the context of basic science education. Therefore, we analysed the results of our systematic literature search using a ‘transfer out’/’transfer in’ conceptual framework in order to understand if and how transfer is conceptualised and evaluated in the existing literature.


외전이/내전이

Conceptual framework: ‘transfer out’/’transfer in’


분석18을 안내하는 데 사용된 'transfer out'/'transfer in' 개념체계는 교육 문헌 내에서 잘 정립되어 있으며, 의료 교육 문헌에서도 성공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이 프레임워크는 지식의 전이에서 두 가지 주요 특징을 식별한다. 즉, transfer out과 transfer in 이다

The ‘transfer out’/’transfer in’ conceptual framework used to guide the analysis18 is well established within the education literature and has also been used successfully in the medical education literature.19–21 The framework identifies two major dimensions in the transfer of knowledge: transfer out and transfer in.18


'트랜스퍼 아웃'은 학습 상황에서 개발된 지식을 새로운 문제 해결에 적용하는 것을 말한다. '트랜스퍼 아웃'은 수십 년 동안 연구의 초점이 되어왔던 전형적인 전이 개념화의 예를 보여준다. 예를 들어, 학생에게 환자가 피로, 체중 증가, 피부색 수정, 변비를 보이는 임상적 문제가 제시될 수 있다. 이 학생은 이전에 유사한 사례를 통해 갑상선 기능저하증과 관련된 증상을 배웠으며, 현재 자신의 지식을 갑상선 기능저하증 진단을 하고 새로운 임상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적용하고 있다.

‘Transfer out’ refers to the application of knowledge developed in a learning situation to the solving of a new problem. ‘Transfer out’ exemplifies the typical conceptualisation of transfer that has been a focus of research for decades.13 For example, a student may be presented with a clinical problemin which a patient presents with fatigue, weight gain, modification of skin colour and constipation. The student previously learned the symptoms associated with hypothyroidism through a similar case; he now applies his knowledge to diagnose hypothyroidism and solve the new clinical problem.


그러나 'transfer out'만으로는 새로운 문제를 해결하는 데 필요한 모든 것을 파악할 수 없다. 학습자에게 평생 동안 보건 전문가가 겪을 수 있는 무한한 문제를 모두 제공하도록 HPE 프로그램을 설계하는 것은 불가능할 것이다. 이론적으로, 전문가는 [높은 수준의 효율성을 보장고자] 또는 [제한된 활동 또는 상황을 위한 매우 구체적인 일상적 전문지식의 개발하고자] 지식의 학습과 적용에 있어 그 또는 그녀의 실행 범위를 엄격하게 제한할 수 있다.

Yet, ‘transfer out’ alone cannot capture the entirety of what is needed to solve new problems. It would be impossible to design an HPE programme that would provide learners with the infinite array of the problems a health professional might encounter during a lifelong practice. In theory, a professional could tightly limit his or her scope of practice to ensure a high level of efficiency in the learning and application of knowledge, and the development of highly specific routine expertise for a limited set of activities or situations.18,22,23


그러나, 이러한 극단적인 수준의 전문화는 대부분의 건강 직업에서는 불가능하다. 더욱 중요한 것은, 그것은 UME에서의 철학에 반하는 것이다. 결국, 효율적인 문제 해결은 지식의 직접적인 적용(transfer out)보다 더 많은 것을 요구한다. 효율성의 개발이 보건 전문가들에게 중요한 기술이지만, practitioner는 새로운 학습이 필요한 특이한 상황에 직면할 수밖에 없다.

However, this extreme level of specialisation is simply not possible in most health professions. More significantly, it runs counter to the generalist philosophy of undergraduate medical training. Ultimately, efficient problem solving requires more than the direct application of knowledge (i.e. more than ‘transfer out’). Although the development of efficiency is an important skill for any health professional, practitioners will inevitably encounter unusual situations that require new learning.18,22,23


'transfer in'은 새로운 학습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선행지식을 사용하는 것을 의미한다.18,24 기초과학교육의 맥락에서 'transfer in'은 사전 기초과학지식이 새로운 임상적 내용으로부터 학습을 용이하게 할 때 발생한다.

‘Transfer in’ refers to the use of prior knowledge to facilitate new learning.18,24 In the context of basic science education, ‘transfer in’ occurs when prior basic science knowledge facilitates learning from new clinical content.


예를 들어, 학생들은 우선 갑상선 호르몬이 혈액에 의해 몸 안에 퍼지고, 다수의 장기와 상호작용하며, 갑상선 호르몬의 부족은 다수의 장기에 영향을 미치는 여러 신진대사 경로를 느려지게 한다는 것을 배울 수 있다. 이러한 기본적인 과학 개념에 대한 지식은 학생들이 첫 번째 임상 문제나 주제에 대한 새로운 강의를 들을 때 아디슨 병(Adrenal hormone의 부족)에 대해 더 쉽게 배울 수 있게 한다.

For example, a student might first learn that thyroid hormones are spread in the body by the blood and interact with a multitude of organs, and that a lack of thyroid hormones results in a slowing down of several metabolic pathways affecting a multitude of organs. Knowledge of these basic science concepts might subsequently enable the student to more readily learn about Addison’s disease – a lack of adrenal hormones – when he is presented with his first clinical problem or a new lecture on the topic.


이 사례에서, 기본적인 과학 지식은 새로운 콘텐츠의 학습을 촉진하도록 transfer in할 수 있다. 이 렌즈를 이용하면, 미래 학습을 가장 잘 지원할 조기 학습 경험에 초점을 맞추는 것이 고품질 교육을 만드는데 결정적인 것이다. 실제로 'transfer in'에서 학습자의 성공은 궁극적으로 'transfer out'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므로 임상 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18,25

In this instance, the basic science knowledge could ‘transfer in’ and facilitate the learning of new content. Using this lens, a focus on early learning experiences that will best support future learning becomes critical in creating high-quality education. Indeed, a learner’s success at ‘transfer in’ will ultimately positively impact ‘transfer out’ and therefore clinical performance.18,25


비록 이것이 의학 교육 연구의 전이를 이해하는 비교적 새로운 방식이지만, '전입'은 종종 간과되는 기초 과학 교육의 잠재적인 가치를 탐구하는 유용한 방법을 제공한다.

Although it is a relatively new way of understanding transfer in medical education research, ‘transfer in’ provides a useful way of exploring the potential value of basic science education that is often overlooked.18,24


Search strategy


Data collection, data extraction and analysis


Ethics


결과

RESULTS


HPE 기본 과학 및 임상 추론 성과에 RCT 사용을 보고한 연구는 거의 없었다.

Few studies reported the use of randomised controlled trials of instruction in basic sciences in HPE and clinical reasoning outcomes


총 9803건의 연구가 확인되었고(복제 논문은 제외), 627건의 연구가 전체 텍스트 평가를 위해 검색되었으며 15건의 연구가 검토에 포함되었다(그림 1).

A total of 9803 studies were identified (after the exclusion of duplicate articles); 627 studies were retrieved for full-text evaluation and 15 were included in the review (Fig. 1).


임상 추론에 대한 기초과학 지식의 전이를 탐구한 검토에 포함된 15개 연구 중 93%가 'Transfer out'를, 7%(하나의 연구)는 'Transfer in'를 조사했다(표 1). 이러한 개입은 주로 의과대학(53%)과 특히 커리큘럼의 초기(1:40%, 2: 33%)와 생리학 과정(53%)에서 이루어졌다.

Of the 15 studies included in the review that explored the transfer of basic science knowledge to clinical reasoning, 93% explored ‘transfer out’ and 7% (one study) explored ‘transfer in’ (Table 1). The interventions took place predominantly in medical schools (53%), especially during the early years of the curriculum (Year 1: 40%; Year 2: 33%), and in physiology courses (53%) (Table 2).


기초과학의 교육은 'TO와 TI'에 대한 임상추론에 긍정적인 영향을 끼쳤다.

Instruction in the basic sciences positively impacted clinical reasoning for ‘transfer out’ and ‘transfer in’


검토한 논문에서, 기초과학 지식은 'transfer out'을 위한 임상 추론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이러한 연구는 기초과학 지식이 몇 가지 임상추론 과제에서 성과를 향상시켰다고 제안했다. 이러한 과제에는 

    • 임상 기능에 잠재적으로 책임이 있는 메커니즘에 대한 설명;26 

    • 환자 정보 및 후속 조치를 포함한 치료 계획의 결정, 27 

    • 보다 광범위한 임상 문제 해결이 포함되었다.28–31 

In the reviewed papers, basic science knowledge positively impacted clinical reasoning for ‘transfer out’. These studies suggested that basic science knowledge enhanced performance in several clinical reasoning tasks. These tasks included: 

    • the explanation of the mechanisms potentially responsible for clinical features;26 

    • the determination of a therapeutic plan including patient information and follow-up,27 

    • and, more broadly, clinical problem solving.28–31 


효과적인 교육 전략에는 

    • 기초 및 임상 과학의 커리큘럼 통합, 

    • 개념 지도의 사용, 

    • 임상 사례의 분석, 

    • 3차원 가상 현실의 사용이 포함되었다.

특정 매체 대 다른 매체의 사용은 'transfer out'을 강화하지 않았다(예: 현미경 vs 이미지, CD vs 강의33).


Effective teaching strategies included 

    • the curricular integration of basic and clinical sciences,28 use of concept maps,26,31 

    • analysis of clinical cases,27,29 and 

    • use of three-dimensional virtual reality.30 

The use of a specific medium versus another did not enhance ‘transfer out’ (e.g. light microscopy versus projected images,32 or CD versus lecture33).


세심한 통제가 이루어진 소수의 연구는 기본적인 과학 지식에 의해 뒷받침되는 임상 추리 과제를 확인하고 어떻게 'transfer out'를 조성할 것인가에 대한 추론을 이끌어냈다. 첫째, 임상 기능의 기본적인 설명 메커니즘(즉, 기초 과학 지침)을 가르치는 것은 초보 진단 전문가에서 시간의 경과에 따른 진단 정확성의 유지를 지원했다.

A small number of carefully controlled studies identified clinical reasoning tasks supported by basic science knowledge and drew inferences about how to foster ‘transfer out’. First, teaching the underlying explanatory mechanisms (i.e. basic science instruction) of clinical features supported the maintenance of diagnostic accuracy over time in novice diagnosticians.


이러한 긍정적인 결과는 conceptual coherence theory에 비추어 이러한 연구의 저자들에 의해 설명되었다.38 개념적 일관성 이론CCT은 근본적인 인과 메커니즘에 대해 학습하는 것이 문제의 임상적 특성에 대한 일관성 있는 정신적 표현을 제공하고, 따라서 각 진단 범주의 특성을 이해함으로써 장기 기억력과 전달을 향상시킨다고 주장한다.38

These positive results were explained by the authors of these studies in the light of conceptual coherence theory.38 Conceptual coherence theory posits that learning about the underlying causal mechanisms provides students with a coherent mental representation of the clinical features of problems, and thus enhances long-term memory and transfer by making sense of the features of each diagnostic category.38


기초과학 지식을 analogies와 함께 가르치는 것은 임상 추론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다. 특히, 기본적인 과학 지식의 예를 가르치는 상식적인 analogies가 'transfer out'을 뒷받침했다.39 임상 문제에 대한 설명을 필요로 하는 즉각적인 시험에서, analogy를 활용하여 가르친 경우에 그렇지 않은 경우보다 더 좋은 성과를 보였다.

Teaching basic science knowledge with analogies demonstrated a positive effect on clinical reasoning. Particularly, commonsense analogies as teaching examples of basic science knowledge supported ‘transfer out’.39 Students taught basic science knowledge with an analogy outperformed students taught basic science knowledge alone without analogies on immediate tests that required explanations of clinical problems.


여러 가지 관련 임상 문제를 연습하면서 기초 과학 지식을 가르치는 것도 이후에 'transfer out'를 촉진하였다.40 다양한 임상적 또는 전공별 맥락을 포함하여, 학생들이 기초 과학을 배우고 문제해결을 연습했을 때 임상 추론이 개선되었다. 임상추론 개선은 유사한 사례와 새로운 사례 모두에서 관찰되었다.

Teaching basic science knowledge with the practice of multiple related clinical problems promoted subsequent ‘transfer out’.40 The explanation of clinical reasoning was improved when students learned basic science and practised solving problems, including in varied clinical or disciplinary contexts. This improvement in clinical reasoning was observed for both similar and new cases.


단일한 생의학 개념을 설명하는 문제와 다수의 생의학 개념을 언급한 문제 모두에서 효과가 관찰되었기 때문에, 문제 맥락에서의 variability은 임상 추론을 강화하는 가장 중요한 요소로 식별되었다.40

The variability in the contexts of problems was identified as the most important element to enhance clinical reasoning as its effect was observed in both problems that illustrated a single biomedical concept and those that referred to multiple biomedical concepts.40


다양한 맥락에서 복수의 문제를 연습하는 가치는 문제의 심층적인 개념적 생의학적 구조를 식별하고 후속 transfer를 지원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

The value of practice with multiple problems in a multitude of contexts may have helped in the identifying of the deep conceptual biomedical structure of the problems, and subsequently supported transfer.


한 연구에서는 'transfer in'에 대한 기초 과학 지식의 가치를 탐구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 연구는 새로운 관련 콘텐츠(미래 학습을 위한 준비)의 후속 학습을 촉진하는지 여부를 탐구함으로써 임상 기능의 기본 과학 인과 메커니즘 학습의 가치를 입증했다.20

A single study was identified as exploring the value of basic science knowledge for ‘transfer in’. This study demonstrated the value of learning basic science causal mechanisms of clinical features by exploring whether they facilitate the subsequent learning of new related content (preparation for future learning).20


기존 평가는 임상적 추론에 대한 기초과학 지식의 가치를 파악하기에는 민감성이 부족할 수 있다.

Traditional assessments may lack the sensitivity to capture the value of basic science knowledge in transfer to clinical reasoning


비록 특별히 평가 전략을 비교한 연구는 없지만, 우리의 분석은 또한 전통적인 평가가 임상 추론에 대한 기본적인 과학 지식의 가치를 획득하기에 충분한 민감성이 부족할 수 있다는 것을 암시한다. 단순 암기 시험의 성능에서 어떤 편익도 관찰되지 않았지만, 임상 추론의 평가에서는 차이가 입증되었다.34–37,40 저자들이 단지 사실적 리콜에만 집중했다면, 기초 과학 훈련의 어떠한 장점도 포착되지 않았을 것이다.

Although no study specifically compared assessment strategies, our analysis also suggests that traditional assessments may lack sufficient sensitivity to capture the value of basic science knowledge in transfer to clinical reasoning. No benefit was observed in performance on rote memory tests, whereas differences were demonstrated in assessments of clinical reasoning.34–37,40 If the study authors had focused solely on factual recall, no advantages of basic science training would have been captured.



고찰

DISCUSSION


우리의 결과는 기초과학지식의 임상적 추론에 대한 transfer을 평가하기 위한 연구가 거의 없다는 것을 보여준다. 이것에 대한 몇 가지 가능한 이유가 있다. 

  • 첫째, 심리학적 개념으로서 transfer는 교육자와 연구자가 일반적으로 고려하는 lens가 아닐 수 있다. 연구자들은 기초과학 지식이 미래의 임상 실습에 중요하다는 것에 동의할 수 있지만, transfer에 초점을 맞추는 것이 바람직한지에 대해서는 덜 명백할 수 있다. 

  • 둘째로, 기초 과학 교육(예: 과학적 추리, 연구 능력, 전문적 정체성 개발)과 관련된 목표의 다양성으로 인해 궁극적으로 교수진과 학생 모두에게 임상 추론과 실천에 대한 준비로부터 멀어지게 할 수 있다. 

  • 셋째, 기초과학지식의 임상적 추론에 대한 전이를 가르치고 평가하기 위해서는, 교육자들은 실천과 관련된 것이 무엇인지 알아야 한다. 그러나 모든 기초과학 교육자가 임상적 관련성을 이해하는 것은 아니다. 

  • 마지막으로, 기본 및 임상 과학의 통합에 대한 강조는 [전이]보다 [임상추론]으로 우리의 관심을 이동시켰을 수 있다.16 기본 및 임상 과학의 통합은 학습 목표일 뿐만 아니라 커리큘럼 전략이다.41 교육전략과 교육성과 간의 차이가 명확하지 않을 경우, transfer와 관련한 초점이 저하될 수 있다. 

Our results indicate that there are few studies designed to evaluate the transfer of basic science knowledge to clinical reasoning. There are several possible reasons for this. 

  • Firstly, transfer – as a psychological concept – may not be a lens through which education is typically considered by educators and researchers. Although investigators may agree that basic science knowledge is important for future clinical practice, they may be less explicit on whether a focus on transfer is desirable. 

  • Secondly, the multiplicity of objectives associated with basic science education (e.g. the development of scientific reasoning, research abilities, professional identity) might ultimately distract both faculty staff and students from preparation for clinical reasoning and practice. 

  • Thirdly, in order to teach and assess the transfer of basic science knowledge to clinical reasoning, educators must know what is relevant for practice. However, not every basic science educator will understand clinical relevance. 

  • Lastly, the emphasis on the integration of the basic and clinical sciences may have shifted our attention away from the critical dimension of transfer to clinical reasoning.16 Integration of the basic and clinical sciences is a curricular strategy, as well as a learning goal.41 If the difference between the instructional strategy and the educational outcome is not made clear, the focus on transfer may suffer. 


사례로서 기초과학 지식을 흔한 analogy와 함께 가르치거나, 다수의 임상 문제를 연습해보는 것이 'transfer out'을 지원하였다. 이것은 중요한데, 임상추론에 기초과학적 개념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학생들은 먼저 문제를 그 문제와 관련있는 개념으로 정확하게 분류할 수 있어야 하기 때문이다. [문제]와 [학습한 기초과학 개념] 사이의 유사성은 '깊은(개념적) 구조적 수준'에서 식별되어야 한다'8 (예를 들어, 유체 역학의 층류 흐름은 심혈관과 호흡 시스템 모두에서 식별될 수 있다39).

Teaching basic science knowledge with commonsense analogies as teaching examples,39 or with the practice of multiple related clinical problems supported ‘transfer out’.40 These studies shared a common characteristic: they emphasised the deep conceptual structure of basic science knowledge to support transfer. This is critical because, to use a basic science concept in clinical reasoning, the trainee must first accurately categorise the problem as one that is appropriate to this concept. The similarity between the problem and the known basic science concept ‘must be identified at the level of the deep (conceptual) structure’8 (e.g. laminar–turbulent flow in fluid dynamics can be identified in both the cardiovascular and the respiratory systems39).


교육적인 도전은 일반적으로 초보자들이 문제를 표면적 구조를 기반으로 식별하기 때문에 발생한다. 반면에 전문가들은 문제를 underlying principle로 본다. 8,42 새로운 문제에 직면했을 때, 초심자는 맥락과 표면 수준에서 주어진 단서들을 바탕으로 그것을 자신의 mental representation과 비교할 가능성이 더 높다. 문제의 표면적 representation은 misleading할 수 있고, 올바른 기본 과학 개념의 식별을 방해할 수 있다.39 예를 들어, 물리학 문제에 직면했을 때 전문가들은 모멘텀의 보존을 확인했지만, 초심자는 경사진 평면과 같은 맥락적 세부 사항에 집중했다.43

The educational challenge arises because novices typically identify problems based on surface structures, whereas experts ‘see the problem as an underlying principle’.8,42 When encountering a new problem, a novice is more likely to compare it with his or her mental representation based on contextual and surface-level cues. The surface representation of the problem can be misleading and can hamper the identification of the correct basic science concept.39 For example, faced with physics problems, experts identified conservation of the momentum, whereas novices focused on contextual details, such as an inclined plane.43


실천을 위한 함의

Implications for practice


기초과학에서 교육 관행을 개선하려면 다면적인 접근이 필요하다. 교수개발은 이전 개념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우리가 확인한 교육 전략을 보급하는 데 필수적이다. 실제로, 기본 과학 지식을 임상 실습으로 전이하는 것을 강화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면 개인 교사의 역할이 성공에 필수적이다.5,6,44,45

Improving educational practice in the basic sciences requires a multifaceted approach. Faculty development is essential to improve understanding of the concept of transfer and to disseminate the instructional strategies we have identified. Indeed, the role of individual teachers is critical to the success of interventions aimed at enhancing the transfer of basic science knowledge to clinical practice.5,6,44,45


기초 및 임상 과학 교사 간의 긴밀한 협력은 

    • 기초 과학 교육의 목적을 명확히 결정하고(예: 임상 추리 또는 과학적 추론의 개발로 전이)

    • 의미 있는 기초과학 지식이 무엇인지 식별하며,

    • 영향impact을 포착할 수 있는 평가를 deliberate하게 생성하여, 전이를 평가하기 위한 임상 추론의 관련 dimension을 선택하게 해준다

Close collaboration between basic and clinical science teachers is foundational 

    • to the clear determination of the objectives of basic science education (e.g. transfer to clinical reasoning or development of scientific reasoning), 

    • to the identifying of meaningful practical basic science knowledge, and 

    • to the selection of relevant dimensions of clinical reasoning to assess transfer through the deliberate creation of assessments that can capture impact.


또한 커리큘럼 리더는 이러한 관행을 육성하는 데 필요한 커리큘럼 구조를 만들고 이러한 협업을 육성하고 보상하는 데 필요한 기관 지원과 자원을 확보하는 것이 필수적이다.45

Further, it is essential that curriculum leaders create the curricular structures needed to nurture these practices and ensure the institutional support and resources required to foster and reward this collaboration.45


연구를 위한 함의

Implications for research


이를 위해, 'transfer out'/'transfer in' 개념적 프레임워크18은 향후 연구를 위한 중요한 지침을 제공할 수 있다. 이 프레임워크는 우리가 현재 조사하지 않는 문제를 조사하기 위해, 전통적인 transfer out의 차원을 넘어 확장된다: , 즉, 기초과학 지식이 미래의 임상 콘텐츠의 학습과 임상 추론의 개발에 어떻게 영향을 미칠 수 있는지

To this end, the ‘transfer out’/’transfer in’ conceptual framework18 may present an important guide for future research. This framework extends beyond the traditional dimension of ‘transfer out’ to examine the issues we currently do not investigate, namely: how basic science knowledge may impact the future learning of clinical content and the development of clinical reasoning.






 2018 Jun;52(6):592-604. doi: 10.1111/medu.13519. Epub 2018 Feb 8.

critical narrative review of transfer of basic science knowledge in health professions education.

Castillo JM1,2,3,4Park YS3Harris I3Cheung JJH1,5Sood L3,6,7Clark MD3,8Kulasegaram K1,9Brydges R1,10Norman G11Woods N1,2.

Author information

1
Wilson Centre, University Health Network, University of Toronto, Toronto, Ontario, Canada.
2
Centre for Ambulatory Care Education, University of Toronto, Toronto, Ontario, Canada.
3
Department of Medical Education, University of Illinois at Chicago, Chicago, Illinois, USA.
4
Department of Family and Community Medicine, Nantes University, Nantes, France.
5
Institute of Medical Science, University of Toronto, Toronto, Ontario, Canada.
6
Department of Medicine, University of Wisconsin School of Medicine and Public Health in Madison, Madison, Wisconsin, USA.
7
Aurora Health Care, Green Bay, Wisconsin, USA.
8
Library of the Health Sciences, University of Illinois at Chicago, Chicago, Illinois, USA.
9
Department of Family and Community Medicine, University of Toronto, Toronto, Ontario, Canada.
10
Department of Medicine, University of Toronto, Toronto, Ontario, Canada.
11
Department of Clinical Epidemiology and Biostatistics, McMaster University, Hamilton, Ontario, Canada.

Abstract

CONTEXT:

'Transfer' is the application of a previously learned concept to solve a new problem in another context. Transfer is essential for basic science education because, to be valuable, basic science knowledge must be transferred to clinical problem solving. Therefore, better understanding of interventions that enhance the transfer of basic science knowledge to clinical reasoning is essential. This reviewsystematically identifies interventions described in the health professions education (HPE) literature that document the transfer of basicscience knowledge to clinical reasoning, and considers teaching and assessment strategies.

METHODS:

A systematic search of the literature was conducted. Articles related to basic science teaching at the undergraduate level in HPE were analysed using a 'transfer out'/'transfer in' conceptual framework. 'Transfer out' refers to the application of knowledge developed in one learning situation to the solving of a new problem. 'Transfer in' refers to the use of previously acquired knowledge to learn from new problems or learning situations.

RESULTS:

Of 9803 articles initially identified, 627 studies were retrieved for full text evaluation; 15 were included in the literature review. A total of 93% explored 'transfer out' to clinical reasoning and 7% (one article) explored 'transfer in'. Measures of 'transfer out' fostered by basicscience knowledge included diagnostic accuracy over time and in new clinical cases. Basic science knowledge supported learning - 'transferin' - of new related content and ultimately the 'transfer out' to diagnostic reasoning. Successful teaching strategies included the making of connections between basic and clinical sciences, the use of commonsense analogies, and the study of multiple clinical problems in multiple contexts. Performance on recall tests did not reflect the transfer of basic science knowledge to clinical reasoning.

CONCLUSIONS:

Transfer of basic science knowledge to clinical reasoning is an essential component of HPE that requires further development for implementation and scholarship.

Comment in

PMID:
 
29417600
 
DOI:
 
10.1111/medu.13519
[Indexed for MEDLINE]


보건의료인교육에서 시험-강화 학습: 체계적 문헌고찰(BEME Guide No. 48) (Med Teach, 2018)

Test-enhanced learning in health professions education: A systematic review: BEME Guide No. 48

Michael L. Greena, Jeremy J. Moellerb and Judy M. Spakc




도입

Introduction


교육자들은 보통 "학습의" 평가를 생각한다. 학과 과정이 끝날 때, 학생들은 공부를 통해 이전에 배웠던 정보를 기억한다. 최근 교육자들은 평가를 교육적 전략으로 고려하는 "학습을 위한" 평가로 눈을 돌렸다(슈퍼스와 반 데어 벨루텐 2011). 평가는 학생들의 학습 행동을 유도하여 간접적으로 학습을 강화한다(리허설 효과)(Fitch et al. 1951; Newble and Jaeger 1983)

Educators commonly think of assessment “of” learning. At the end of a course of study, students recall information previously learned through studying. Recently, educators have turned their attention to assessment “for” learning (Schuwirth and Van der Vleuten 2011), considering assessment as a pedagogical strategy in and of itself. Looming assessments indirectly enhance learning by driving students’ study behaviors (rehearsal effect) (Fitch et al. 1951; Newble and Jaeger 1983).



평가는 또한 직접적으로 학습을 향상시킨다. 인지 심리학 실험실(Roediger and Butler 2011; Karpicke and Gimaldi 2012), 교실(Roediger et al. 2011; Agarwal et al. 2012)에 대한 연구는 이전에 학습한 정보(Retural practice)를 상기하면 미래에 정보를 기억하는 능력이 향상된다는 것을 일관되게 입증한다. 정보를 기억하기 위해 노력하며 신중한 시도를 하는 학생들은 같은 자료를 반복적으로 공부하는 학생들보다 더 나은 학습, 보존 및 이전을 보여준다. 이 효과는 시험의 맥락 안에서 검색 관행이 발생할 때 "시험 강화 학습(TEL)"으로 알려져 있다.

Assessment also directly enhances learning. Studies in cognitive psychology laboratories (Roediger and Butler 2011; Karpicke and Grimaldi 2012) and classrooms (Roediger et al. 2011; Agarwal et al. 2012) consistently demonstrate that recalling previously learned information (retrieval practice) enhances the ability to recall the information in the future (retrieval effect). Students who engage in effortful, deliberate attempts to recall information show better learning, retention, and transfer than students who spend the same time repeatedly studying the same material. This effect is also known as “test-enhanced learning (TEL)” when the retrieval practice occurs in the context of a test.


  • 몇 가지 시험 형식은 검색 효과를 향상시킨다. 반복된 테스트는 긴 단일 테스트보다 더 나은 리콜을 촉진한다(Wheeler and Roediger 1992; Karpicke and Roediger 2008). 

  • 시간 간격에 따른 간격 테스트로 연속 연속 테스트(Landauer and Bjork 1978); Cepha et al. 2006; Karpicke and Roediger 2007)에 비해 더 나은 회수 결과가 나타난다. 이러한 효과는 1분에서 30일까지 간격마다 지속된다. 

  • Spacing간격이 같으면 간격이 확대되는 것보다 장기 보존이 더 효과적이다. 

  • 정보의 생산을 요구하는 항목(짧은 답변, 에세이)은 정보의 인식을 요구하는 항목(다중 선택, 참/거짓)보다 더 나은 성과를 낸다. (McDaniel, Anderson 등, 2007; McDaniel, Roediger 등, 2007; Pyc 및 Rawson 2009) 

  • 피드백을 받은 학생들은 더 많은 정보를 상기하고 강화된 메타 인식 인식을 즐긴다(Bangert-Drowns et al. 1991; Butler et al. 2008).

  • Several test formats enhance the retrieval effect. Repeated testing promotes better recall than a long single test (Wheeler and Roediger 1992; Karpicke and Roediger 2008). 

  • Spacing tests over time intervals results in better recall compared with back-to-back consecutive testing ( Landauer and Bjork 1978; Cepeda et al. 2006; Karpicke and Roediger 2007). These effects persists at spacing intervals from one minute to 30days. 

  • Equal spacing intervals produce better long-term retention than expanding intervals. 

  • Items that require production of information (short answer, essay) perform better then items that require recognition of information (multiple choice, true/false). (McDaniel, Anderson, et al. 2007; McDaniel, Roediger, et al. 2007; Pyc and Rawson 2009) 

  • Students who receive feedback recall more information and enjoy enhanced metacognitive awareness (Bangert-Drowns et al. 1991; Butler et al. 2008).


이러한 발견들은 학습자들에게 시사하는 바가 있다. 대학생들은 대부분 재독을 학습 전략으로 사용하고 검색 실습을 거의 하지 않기 때문에 검색 효과에 대한 인식이 부족한 것으로 보인다(Karpicke et al. 2009).

These findings have implications for learners. College undergraduates appear to lack an awareness of the retrieval effect as they most commonly employ rereading as a learning strategy and very rarely engage in retrieval practice (Karpicke et al. 2009).


보다 최근에는, 조사관들이 건강직업 교육에 있어서 회복 효과를 입증했다.

More recently, investigators have demonstrated the retrieval effect in health professions education.


TEL의 표준화된 효과 크기는 0.9로 추정되어 실질적인 중요성이 크다(Kreiter et al. 2013).

The standardized effect size of TEL has been estimated at 0.9, indicating large practical importance (Kreiter et al. 2013).


방법

Methods


리뷰 문제

Review questions


우리의 체계적 검토는 질문을 다루었다: 학생이나 공급자(과목)에서, 동일한 자료(비교)를 공부하는 것에 비해 TEL (인터벤션)은 학습, 유지 또는 이전을 증가시키고, 효과의 크기는 어떻게 되는가? 몇 가지 부수적인 질문이 보충 부록 1에 열거되어 있다. 우리는 또한 TEL의 추가 연구를 위한 지역들을 조명했다. 이 mapping review에서는 TEL 문헌의 격차와 방법론적인 단점을 식별하기 위해 노력했다(부록 1 참조).

Our systematic review addressed the question: In health professions students or providers (Subjects), does TEL (Intervention) compared to studying the same material (Comparison) increase learning, retention, or transfer, and what is the magnitude of the effect (Outcome)? Several subsidiary questions are listed in Supplementary Appendix 1. We also illuminated areas for further study in TEL. In this mapping review, we sought to identify gaps and methodologic shortcomings in the TEL literature (Supplementary Appendix 1)


Search strategy



Screening and selection of studies


Inclusion and exclusion criteria


Data extraction and coding


To allow comparison of effects among heterogeneous studies, we determined the effect size (Hojat and Xu 2004; Leppink et al. 2016) if the study provided the requisite data. The effect size for comparing means is determined as the standardized mean difference (SMD). 


For comparing an intervention group to a control group: 

SMD=(meancases- meancontrols)/SDcontrols. 


For comparing two interventions: 

SMD=(meancases - meancontrols)/SDpooled. 


As a measure of the impact of an intervention, the SMD is operationally interpreted as:

    • SMD = 0.20 (SMALL, negligible practical importance)

    • SMD = 0.50 (MEDIUM, moderate practical importance)

    • SMD = 0.80 (LARGE, crucial practical importance)


Assessment of study methodological quality


Reproducibility of data abstraction processes



Results


Reproducibility analyzes


Study retrieval, screening, and inclusion


Figure 1 shows the flow diagram of study screening and eligibility.


The characteristics of the 19 studies (including two PhD theses) appear in Table 1 (study design), Table 2 (demographics, control, and TEL interventions), and Table 3 (outcome measures and results).




연구 특성

Study characteristics (study design)


The design and conduct of the studies, all randomized controlled trials (RCTs), were generally methodologically sound (Table 1).


연구 특성

Study characteristics (demographics, control, and TEL interventions)


이 과목에는 의대생(8개 연구), 간호학생(3개), 연합 보건대학원(2개), 주민(3개), CME 프로그램 내 의사(2개), 치과 및 치과위생과 학생(1개)이 포함되었다. TEL 개입에는 짧은 응답 질문(SAQ), 다중 선택 질문(MCQ), 시뮬레이션(심폐소생술), 표준화된 환자 및 핵심 기능 질문(임상적 추론)이 포함되었다. Key feature은 수험자가 오류를 범할 가능성이 높은 실제 문제의 식별 및 해결 과정에서 어려운 단계를 나타낸다. Key feature은 짧은 응답 형식의 사례 기반 질문에 포함되어 있다(Page et al. 1995; Hrynchak et al. 2014). 짧은 답변 항목은 큐(질문에 대한 응답)와 논큐(관련 정보의 free 리콜)으로 구분되었다.

Subjects included medical students (8 studies), nursing students (3), allied health students (2), residents (3), physicians in CME programs (2), and dental and dental hygiene students (1) (Table 2). TEL interventions included short answer questions (SAQs), multiple choice questions (MCQs), simulation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standardized patients, and key features questions (clinical reasoning). A key feature represents a difficult step in the identification and resolution of a problem in practice in which examinees are likely to make errors. Key features are embedded in casebased questions with short answer response formats (Page et al. 1995; Hrynchak et al. 2014). The short answer items were both cued (response to a question) and non-cued (free recall of relevant information).


복수 TEL 시험을 치른 12개 연구 중, 7개 연구는 반복 시험에 동일한 항목(라센, 버틀러, 로이디거 2013; 오글스비, 2013; 돕슨 외 2015; 맥코넬 외 2015b)을 포함했고, 동일한 주제에 대해 서로 다른 항목을 포함했다(리틀과 2014년 4개 포함).새로운 강의나 e-러닝 세션에 연결된 다양한 주제에 대한 다양한 항목(Schmidmaier et al. 2011; Cook et al. 2014; Messineo et al. 2015; Raupach et al. 2016)


이러한 모든 연구는 연속 TEL 시험을 채택한 한 연구(Dobson 등 2015)를 제외하고 1주-2주 간격으로 반복 TEL 시험을 간격 설정했다. 공동 개입에는 평가 항목에 대한 피드백(이론적 또는 근거 없는 올바른 답변)과 자체 설명이 포함됐다. 후자의 경우, 학생들은 정보의 특정 부분이 중요한 이유와 그것이 기존의 지식과 어떻게 관련되어 있는지에 대한 설명을 생성했다(Chamberland et al. 2015).

Among the 12 studies in which students took multiple TEL tests, seven included identical items on repeated tests (Larsen, Butler, Lawson, et al. 2013; Larsen, Butler, Roediger 2013; Oglesby, 2013; Dobson et al. 2015; Larsen et al. 2015; McConnell et al. 2015b), one included different items on the same topics (Ali and Ruit 2014), and four included different items on different topics (Schmidmaier et al. 2011; Cook et al. 2014; Messineo et al. 2015; Raupach et al. 2016), linked to a new lecture or e-learning session. All of these studies spaced repeated TEL tests at 1–2week intervals, with the exception of one study (Dobson et al. 2015) that employed consecutive TEL testing. Co-interventions included feedback for assessment items (correct answers with or without rationale) and self-explanation. For the latter, students generated explanations about why a particular piece of information is important and how it relates to their existing knowledge (Chamberland et al. 2015).


성과 척도와 결과

Outcome measures and results


19개 연구는 검사(MCQ, SAQ, 에세이, 핵심 기능 질문), 방사선 해석, 시뮬레이션(심장 체포 시나리오), 표준화된 환자 평가(표3)를 포함한 49가지 학습 성과를 보고했다.

The 19 studies reported 49 learning outcomes, including examinations (MCQs, SAQs, essay, key features questions), radiograph interpretation, simulation (cardiac arrest scenario), and standardized patient assessment (Table 3).


6가지 즉각적인 학습 성과 중 5개는 학습보다 TEL을 선호했다(SMD 0.09–0.44). 2

3개의 retention 성과(1주–6개월) 중 21개는 학습보다 TEL을 선호했다(SMD 0.10–2.5).

Among the six immediate learning outcomes, five favored TEL over studying (SMD 0.09–0.44). 

Among the 23 retention outcomes (1week–6months), 21 favored TEL over studying (SMD 0.10–2.5).


세 가지 연구는 transfer에 대한 TEL의 영향을 입증했다. 이 연구의 모든 7가지 전달 결과는 연구보다 TEL을 선호했다. (SMD 0.33–1.1) 시간 경과에 따라 반복적으로 결과를 측정한 모든 연구는 TEL 효과의 붕괴를 발견했다.

Three studies demonstrated the impact of TEL on transfer: All seven transfer outcomes in these studies favored TEL over studying (SMD 0.33–1.1). All of the studies that repeatedly measured outcomes over time found a decay in the TEL effect.


15개의 결과가 서로 다른 TEL 전략을 비교했다. 테스트의 수를 변화시킨 유일한 연구는 1개에 대한 세 가지 TEL 테스트의 장점을 보여주지 못했다(Ali and Ruit 2014). 한 연구는 TEL 테스트당 질문 수를 변화시켰다. 학습 결과 점수는 매우 좁은 범위에서 증가했지만 질문 수가 1에서 5에서 10으로 증가했고 그 이상을 능가하는 이점이 없었다(Cook et al. 2014). SAQ 테스트는 두 가지 연구에서 네 가지 결과(SMD 0.86 및 1.1)에서 MCQ 테스트보다 더 나은 학습 결과를 낳았다(Ali and Ruit 2014; McConnell et al. 2015b). "Context rich" MCQ(지식의 적용 필요)가 "context free" MCQ(사실 인정 필요)보다 더 잘 수행되었다(McConnell et al. 2015b). 표준화된 환자의 TEL을 가진 학생은 SAQs TEL을 가진 학생보다 표준 환자 결과 테스트(SMD 0.71)에서 더 많이 보유했지만, 필기 시험 결과 테스트(Larsen 2013a)에서는 그렇지 않았다. co-intervention으로서 자기설명은 의대생들의 시험을 강화한 것보다 공부를 훨씬 더 향상시켰다.

Fifteen outcomes compared different TEL strategies. The only study that varied the number of tests failed to show an advantage of three TEL tests over one (Ali and Ruit 2014). One study varied the number of questions per TEL test. The learning outcome scores increased, albeit within a very narrow margin, as the number of questions progressed from 1 to 5 to 10 questions, with no further advantage beyond that (Cook et al. 2014). SAQ tests resulted in better learning than MCQ tests in four outcomes in two studies (SMDs 0.86 and 1.1) (Ali and Ruit 2014; McConnell et al. 2015b). “Context rich” MCQs (requiring application of knowledge) performed better than “context free” MCQs (requiring recognition of facts) (McConnell et al. 2015b). Students with standardized patients TEL retained more than students with SAQs TEL on a standardized patient outcome test (SMD 0.71) but not on a written examination outcome test (Larsen 2013a) Self-explanation as a co-intervention enhanced studying (SMD 0.68) to a greater degree than it enhanced testing (SMD 0.28) in medical students (Larsen et al. 2013b).


고찰

Discussion


인지심리학에 관한 연구는 이전에 학습된 정보(retrieval 실습)를 상기하면 미래에 (retrieval 효과 또는 시험강화학습) 정보를 상기할 수 있는 능력이 향상된다는 것을 일관되게 입증한다. 정보를 기억하기 위해 노력하며 신중한 시도를 하는 학생들은 같은 내용을 공부하는데 같은 시간을 보내는 학생들보다 더 나은 학습, 보존 및 이전을 보여준다.

Studies in cognitive psychology consistently demonstrate that recalling previously learned information (retrieval practice) enhances the ability to recall the information in the future (retrieval effect or test-enhanced learning). Students who engage in effortful, deliberate attempts to recall information show better learning, retention, and transfer than students who spend the same time studying the same material.


이 중에서, 단지 19개만이 TEL을 동일한 자료를 학습하거나 서로 다른 TEL 전략과 비교했다. 이러한 연구에서 TEL은 다양한 건강 직업, 학습자 수준, TEL 형식 및 학습 결과에 걸쳐 일관되고 강력한 효과를 보여주었다.

Of these, only 19 compared TEL to studying the same material or to an alternate TEL strategy. TEL, in these studies, demonstrated consistent and robust effects across different health professions, learner levels, TEL formats, and learning outcomes.


19개 연구의 설계와 수행은 모두 무작위 통제 시험이었고, 비교적 높은 품질 점수에서 지적한 바와 같이 일반적으로 양호했다.

The design and conduct of the 19 studies, all randomized controlled trials, was generally sound, as indicated by relatively high quality scores.



TEL은 인지학 및 교육학자에 의해 광범위하게 연구되어 왔다. 실험실 환경 및 1차, 2차, 2차 및 2차 교실에서의 검색 실행을 위한 효과 크기는 0.5로 추정되었다. 우리의 리뷰는 보건전문가들이 이러한 발견들을 내부화하고 TEL 연구에서 확장했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첫째, 두 연구는 모두 복수의 학습자, 설정 및 TEL 형식에 걸쳐 TEL의 일관성 있고 강력한 효과를 발견한다. 인지 심리학 연구는 TEL 개입과 학습 결과를 어떤 유형의 "검사"로 제한했지만, 보건 직업 교육 연구는 방사선 해석, 심폐소생술 시뮬레이션, 표준화된 환자 외 사고 및 임상 추론과 같은 광범위한 임상 평가를 포함했다.

TEL has been extensively studied by cognitive and educational pychologists ( Roediger and Butler 2011; Brame and Biel 2015; Eisenkraemer et al. 2013). The effect size for retrieval practice in laboratory settings and primary, secondary, and post-secondary classrooms has been estimated to be 0.5 (Rowland 2014; Adesope et al. 2017) Our review revealed that health professions educators internalized and extended these findings in their TEL research. Firstly, both literatures find consistent and robust effects of TEL across multiple learners, settings, and TEL formats. While the cognitive psychology studies confined TEL interventions and learning outcomes to “examinations” of some type, health professions education studies included a wider array of clinical assessments, such as radiograph interpretation (Baghdady et al. 2014),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simulation (Kromann et al. 2009, 2010), standardized patient et encounters (Larsen al. 2013a), and clinical reasoning (Raupach et al. 2016).


인지 심리학 실험은 반복된 TEL 테스트가 단지 하나의 시험보다 더 효과적이라는 것을 보여준다. 또한 시간 경과에 따른 시험 간격은 연속 시험보다 우수하다. 우리 7개 건강직업연구의 학생들은 단 1개의 TEL 시험을 치렀고, 나머지는 1주-2주 간격으로 2-8개의 TEL 시험을 보았다. 반복실험(3주)을 단일시험과 비교한 건강전문가들만이 반복실험의 장점을 발견하지 못했다(Ali and Ruit 2014). 이 예상치 못한 결과는 데이터의 극단적인 콘텐츠 특수성에 의해 설명될 수 있다.

Cognitive psychology experiments demonstrate that repeated TEL tests are more effective than just one (Wheeler and Roediger 1992; Roediger and Karpicke 2006; Karpicke and Roediger 2008). In addition, spacing the tests over time is superior to consecutive testing ( Landauer and Bjork 1978; Cepeda et al. 2006; Karpicke and Roediger 2007). Students in seven of our health professions studies took one only one TEL test, while the remainder took 2–8 TEL tests at 1–2 week intervals. The only health professions study that compared repeated testing (3 weekly) with a single test did not reveal an advantage to repeated testing (Ali and Ruit 2014). This unexpected finding might be explained by the extreme content specificity in the data.


인지심리학 연구에서 정보생성이 필요한 항목은 정보인식이 필요한 항목보다 더 잘 수행된다(McDaniel, Anderson 등). Roediger, 2007; McDaniel, et al. 2007; Pyc and Rawson 2009). 이 효과는 "원하는 어려움"이라고 불렸다. 우리의 리뷰는 보건 직업 교육에서 이러한 발견을 확인하였고, 다중 선택 질문보다 짧은 답변 질문의 이점을 보여주었으며, 문맥이 풍부한 다중 선택 질문(지식의 적용이 필요한 질문)의 이점을 입증하였다.

In cognitive psychology studies, items requiring production of information perform better than items requiring recognition of information (McDaniel, Anderson, et al. Roediger, 2007; McDaniel, et al. 2007; Pyc and Rawson 2009). This effect has been called “desirable difficulty.” Our review confirmed this finding in health professions education, demonstrating an advantage of short answer questions over multiple choice questions, and an advantage of context rich multiple choice questions (which require application of knowledge) over context free multiple choice questions.


검색 시도 후 피드백은 시험의 니모닉 효과를 증가시킨다(Bangert-Drowns et al. 1991). 여기에는 학생이 오답을 검색하고 "학습"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단순히 맞고 틀린 것이 아니라) 정답을 포함해야 한다(Butler 등, 2007; Butler 및 Roediger 2008). 이는 학생들이 distractor 옵션에서 잘못된 정보에 "노출"되기 때문에 인식 항목에 특히 중요하다. 또한 피드백은 답은 맞췄지만 자신감은 낮았던 응답의 retention을 강화한다(Butler et al. 2008).

Feedback after a retrieval attempt increases the mnemonic effect of testing (Bangert-Drowns et al. 1991). It should include the correct answer (not merely right or wrong) the student from to prevent retrieving and “learning” an incorrect response (Butler et al. 2007; Butler and Roediger 2008). This is particularly important for recognition items because the students are “exposed” to incorrect information in the distractor options (Butler et al. 2006). Feedback also enhances the retention of correct but low confidence responses (Butler et al. 2008).


심리학자들은 회수 효과를 설명하기 위해 몇 가지 이론을 제시했다. 메모리는 다음과 같은 두 가지 차원을 가질 수 있다. 저장storage 강도 및 검색retrieval 강도, Deficit processing theory에 따르면, 초기 학습 동안 이 두 가지는 서로 부정적인 상관관계가 있다검색의 어려움(검색 강도가 낮아짐)은 저장 강도의 상승을 가져온다. 정보를 기억하는 것은 그것을 읽거나 인식하는 것보다 더 어렵다. 이는 또한 간격 효과를 설명할 수 있다. 간격 효과는 연속 시험 시 정보를 상기하는 것보다 intervening time gap을 사용하여 정보를 반복적으로 호출하는 것이 더 어렵게 만들기 때문이다.

Psychologists have proposed several theories to explain the retrieval effect ( Roediger and Butler 2011; Karpicke and Grimaldi 2012; Yeh and Park 2015) Memory may have two dimensions: storage strength and retrieval strength, which, according to the deficient processing theory, are negatively correlated during initial learning. More difficult retrieval (lower retrieval strength) results in higher gains in storage strength. Recalling information is more “difficult” than reading or recognizing it. This may also explain the spacing effect as it is more “difficult” to repeatedly recall information with intervening time gaps than to recall it on consecutive trials. 


transfer appropriate processing theory에 따라 메모리 성능은 학습 맥락이 검색 맥락과 일치할 경우에 향상된다. 시험의 실행은 단순히 자료를 다시 읽는 것보다 최종 시험의 조건에 더 가깝다

Memory performance, per the transfer appropriate processing theory, is enhanced to the extent that the learning context matches the retrieval context. The act of testing as practice more closely approximates the conditions on the final test than simply rereading the material. 


마지막으로, 메모리에서 정보를 검색하면 메모리 추적을 상세히 설명하고 추가 검색 경로(큐)를 만들 수 있으며, 이는 정보가 미래에 다시 성공적으로 검색될 가능성을 더 높인다. 이러한 영향은 아마도 개별 시냅스 수준의 분자 변화와 뉴런 네트워크의 보다 광범위한 수정에 동반할 것이다(Friedlander et al. 2011).

Finally, retrieval of information from memory may elaborate the memory trace and create additional retrieval routes (cues), which make it more likely that the information will be successfully retrieved again in the future. At the neuronal level, these effects presumably accompany both molecular changes at the level of individual synapses and more widespread modifications of the neuronal network (Friedlander et al. 2011).


요컨대, 보건직의 TEL은 다양한 직업, 학습자 수준, TEL 형식 및 학습 성과 전반에 걸쳐 일관되고 강력한 효과를 보여주었다.

In summary, TEL in the health professions demonstrated consistent and robust effects across different professions, learner levels, TEL formats, and learning outcomes.


이러한 발견들은 건강직의 교육자들에게 몇 가지 의미를 가진다. 교육자들은 의료 정보의 리콜, 보존 및 이전을 강화하기 위해 커리큘럼에 TEL을 포함시킬 것을 고려해야 한다. 이상적으로는 TEL "시험"을 반복하고, 시간 경과에 따라 간격을 두고, 정보생성이 필요한 항목을 활용하고, 정확한 응답과 논리로 피드백을 포함시켜야 한다.

These findings have several implications for educators in the health professions. Educators should consider including TEL in their curricula to enhance recall, retention, and transfer of medical information. Ideally, TEL “tests” should be repeated, spaced over time, utilize items that require production of information, and include feedback with the correct responses and rationale.


교육자들이 이미 과중한 교과과정에 TEL을 통합하는 것은 어려울 수 있다

  • 그들은 각각의 강의나 다른 학습 세션에 관계된 몇 개의 짧은 답안 문제를 가진 약간의 강의 시간에 퀴즈에 넣을 수 있다. 

  • 학생들은 시험을 치르기 위해 그들의 헌신적인 학습 시간을 "빌려와야" 할지도 모른다. 

  • 비록 그들이 퀴즈를 끝낸 후에 정답을 볼 수도 있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들은 정해진 시간 간격에 걸쳐 그것을 다시 맞출 것이다. 

  • 마지막으로, 선생님은 정답에 대한 설명을 제공하기 위해 수업시간에 퀴즈를 다시 볼 것이다. 

  • 이 역할에서 교수진은 짧은 질문에 대한 "정답" 답변의 범위에 대해 명확한 설명을 제공해야 한다. 

우리의 검토 결과들은 커리큘럼 시간에서의 그러한 트레이드오프가 가치가 있을 것이라는 것을 암시한다.

It may be challenging for educators to integrate TEL into already overfilled curricula. They might appropriate some didactic lecture time for a quiz, with a few short answer questions, linked to each lecture or other learning session. The students might “borrow” some of their dedicated study time to take the quiz. Even though they might see the correct answers after completing the quiz, they would nonetheless retake it over specified time intervals. Finally, the teacher would revisit the quiz in class time to provide explanations for the correct answers. In this role, faculty should provide clear explanations for the range of “correct” responses to the short answer questions. The findings in our review suggest that such tradeoffs in curricular time would be worthwhile.


더욱이, 검색 관행은 공식적인 "시험"으로 제한될 필요가 없다. 학생이 자신이 배우고 있는 자료를 고려하고, 그것을 제쳐 두고, 그것을 적극적으로 재구성할 때마다, 그녀는 검색 연습을 하는 것이다. 여기에는 질문 간 온라인 학습 모듈(DelSignore et al. 2016; Raupach et al. 2016), 질문이 있는 전자 플래시 카드(Schmidmaier et al. 201) 및 다양한 문항 생성 애플리케이션이 포함될 수 있다. 

Furthermore, retrieval practice need not be restricted to formal “tests.” Whenever a student considers the material she is learning, sets it aside, and actively reconstructs it, she is engaging in retrieval practice. These might include elearning modules with interspersed questions (DelSignore et al. 2016; Raupach et al. 2016), electronic flashcards with questions (Schmidmaier et al. 2011), and various question generating applications. 


마지막으로, 교육자들은 검색 연습을 통합하기 위해 기존의 교육 "과제" 전략을 수정할 수 있다. 교육자들은 "오픈북" 학습 활동을 "closed book" 활동으로 바꿀 수 있으며, 그 다음에는 피드백을 줄 수 있다. 인지 심리학 연구에서, 이러한 "closed book" 방식이 take home quizzes에 적용되거나(Agarwal et al. 2008)와 개념 매핑(Blunt and Karpicke 2014)에 적용되어 학습이 크게 향상되었다.

Finally, educators can modify existing educational “homework” strategies to incorporate retrieval practice. Educators can change “open book” learning activities to “closed book” activities followed by feedback. In cognitive psychology studies, these “closed book” modifications applied to take home quizzes (Agarwal et al. 2008) and concept mapping (Blunt and Karpicke 2014) greatly enhanced learning.


우리의 발견은 또한 학생들과 훈련생들에게 영향을 끼친다. 대학생들은 메타인지 능력이 떨어지는 것을 보여준다. 그들은 실제로 반복된 회상 연습을 통해 더 많이 배우지만, 이렇게 해 보기 전까지 학생들은 반복된 읽기로 더 많은 것을 배울 것이라고 예측한다(Roediger와 Karpicke 2006). 이러한 믿음과 일관되게, 학부생들은 대부분 반복적인 독서를 연구 전략으로 사용하며, 인출 연습은 매우 드물게만 실천한다(Karpicke et al. 2009). 결과적으로, 보건전문직학생들은 효과적인 학습 전략으로 여러 TEL 퀴즈나 검색 관행을 쉽게 받아들이지 않을 수 있다. 

Our findings also have implications for health professions students and trainees. College undergraduate students demonstrate poor metacognitive awareness. While they actually learn more with repeated retrieval practice, they predict, prior to engaging, that they will learn more with repeated reading (Roediger and Karpicke 2006). Consistent with this belief, undergraduates most commonly employ repeated reading as a study strategy and very rarely engage in retrieval practice (Karpicke et al. 2009). Consequently, health professions students may not readily embrace multiple TEL quizzes or retrieval practice as an effective study strategy. 


교육자들은 설득력 있는 데이터를 공유하거나 학생들이 검색 연습을 하게 하여 반복된 판독에 비해 보존 상태가 개선되는지 확인해야 할 수 있다(Dobson 및 Linderholm 2015). 일단 TEL의 장점을 설득하면, 학생들은 평가가 단지 외부 이해관계자들에 의해 행해지는 행정적인 연습이 아니라는 것을 아는 데서 만족을 얻어야 한다. 반대로, 평가는 단순 학습이 할 수 없는 방식으로 학습을 장려한다.

Educators may need to share the persuasive data or invite students to try retrieval practice and see if it improves their retention compared to repeated reading (Dobson and Linderholm 2015). Once persuaded of the virtues of TEL, students should find gratification in the knowledge that assessment is not merely an administrative exercise imposed by external stakeholders. On the contrary, assessment promotes learning in ways that studying cannot.






 2018 Apr;40(4):337-350. doi: 10.1080/0142159X.2018.1430354. Epub 2018 Feb 1.

Test-enhanced learning in health professions education: A systematic reviewBEME Guide No. 48.

Author information

1
a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and Teaching and Learning Center , Yale School of Medicine , New Haven , CT , USA.
2
b Department of Neurology , Yale School of Medicine , New Haven , CT , USA.
3
c Cushing-Whitney Medical Library , Yale School of Medicine , New Haven , CT , USA.

Abstract

BACKGROUND:

Cognitive psychology studies demonstrate that subjects who attempt to recall information show better learning, retention, and transfer than subjects who spend the same time studying the same material (test-enhanced learning, TEL). We systematically reviewed TEL interventions in health professions education.

METHODS:

We searched 13 databases, 14 medical education journals, and reference lists. Inclusion criteria included controlled studies of TEL that compared TEL to studying the same material or to a different TEL strategy. Two raters screened articles for inclusion, abstracted information, determined quality scores, and calculated the standardized mean difference (SMD) for the learning outcomes.

RESULTS:

Inter-rater agreement was excellent for all comparisons. The 19 included studies reported 41 outcomes with data sufficient to determine a SMD. TEL interventions included short answer questions, multiple choice questions, simulation, and standardized patients. Five of six immediate learning outcomes (SMD 0.09-0.44), 21 of 23 retention outcomes (SMD 0.12-2.5), and all seven transfer outcomes (SMD 0.33-1.1) favored TEL over studying.

CONCLUSIONS:

TEL demonstrates robust effects across health professions, learners, TEL formats, and learning outcomes. The effectiveness of TEL extends beyond knowledge assessed by examinations to clinical applications. Educators should include TEL in healthprofessions curricula to enhance recall, retention, and transfer.

PMID:
 
29390949
 
DOI:
 
10.1080/0142159X.2018.1430354
[Indexed for MEDLINE]


의학교육에서 거꾸로교실의 효과성에 대한 체계적 문헌고찰(Med Educ, 2017)

A systematic review of the effectiveness of flipped classrooms in medical education

Fei Chen,1 Angela M Lui2 & Susan M Martinelli1



도입

INTRODUCTION


최근 전통적인 강의 방식에서 벗어나 학생들의 높은 수준의 사고와 적극적인 참여를 장려하는 다른 교육적 접근법으로 전환하라는 요구가 제기되었다.1 이러한 접근 중 많은 관심을 받은 것은 학생들이 독립적으로 배울 수 있도록 하는 뒤집힌 교실이다. 필수 숙제로써 기본 개념들, 그리고 이것을 얻은 지식을 수업 시간 동안 사용하여 비판적 사고 기회와 지식의 적용에 관여한다. FC라는 용어는 2012년에 만들어졌고 전세계적으로 인기를 얻었다.3 FC는 교실 밖에서 독립적인 학습과 기술 사용의 통합을 촉진하고, 학습자 중심의 활동4 및 보다 효율적인 학생-교사 상호 작용을 촉진할 것을 제안한다.5

There has been a recent call for a shift in medical education away from the traditional lecture approach and toward other instructional approaches that encourage higher-order thinking and active participation from students.1 One such approach that has received much attention is the flipped classroom (FC), which allows students to independently learn foundational concepts as required homework, and then use this gained knowledge during class time to engage in critical thinking opportunities and application of knowledge. The term FC was coined in 20122 and has gained popularity worldwide.3 It is suggested that the FC promotes the integration of independent learning and use of technology outside the classroom, and learner-centred activities4 and more efficient student–teacher interactions inside the classroom.5


전통적인 교실에서는, 기초지식이 강사들에 의해 전달되는 강의를 통해 수동적으로 학생들에게 전달된다. 강의가 끝난 후, 학생들은 이 지식을 교실 밖에서 사용하고 적용한다.

In a traditional classroom, foundational knowledge is passively transferred to students during class through the means of a lecture delivered by instructors. Following the lecture, students use and apply this knowledge outside the classroom setting.


FC의 일반적인 정의는 교실 안과 밖에서 완료된 작업이 전통적인 교실에서 발생하는 것과 반대되는 접근방식이다. 

  • 기초지식은 수업 전에 자기 주도적인 학습을 통해 습득된다. 

  • 지식 응용과 문제 해결은 교관 중심의 학습 위주의 활동을 통해 교실 내에서 이루어진다. 

이 일반적인 정의는 광범위하여 강의실 내부 및 외부의 활동 이행의 가변성을 허용한다.8 

The general definition of the FC is an approach in which the tasks completed inside and outside of the classroom are opposite to what occurs in a traditional classroom. 

  • Foundational knowledge is gained by students through self-paced learning prior to class. 

  • Knowledge application and problem solving then occur inside the classroom through instructor-facilitated learner-centered activities.4,6,7 

This general definition is broad, allowing for variability in the implementation of activities inside and outside the classroom.8 


보건과학 교육 분야에서 FC의 사용에 관한 문헌은 지난 몇 년 동안 발전해 왔다. 그러나 이 일의 대부분은 약국과 간호에서 수행되었다.9–20

The body of literature on the use of the FC in the field of health science education has grown over the past several years. However, the majority of this work was carried out in pharmacy and nursing.9–20


보건과학 분야의 대부분의 연구는 FCs.5,6,9,23에 대한 학습자 선호를 입증했지만, 긍정적인 태도만으로는 교사들이 의료 교육에서 FC 접근 방식으로 전환할 수 있는 충분한 설득력 있는 증거가 될 수 없다. 전통적으로 의대 전반부에 이용되었던 비임상 강의실 및 실험실 기반 교육 환경은 다른 건강 직업과 유사할 수 있지만, 이러한 학습 환경은 의학교육 환경 전반(UME, GME, CPD)으로 보면 단연 minority에 해당한다.

Most studies in the health sciences demonstrated learner preference for FCs.5,6,9,23 However, positive attitudes alone may not be sufficiently compelling evidence for teachers to convert to an FC approach in medical education. Although the non-clinical classroom and laboratory-based educational environment traditionally utilised in the first half of medical school may be similar to other health professions, this learning environment is by far in the minority in the overall (undergraduate, graduate and continuing) medical education setting.


비록 의학 교육에서 FC의 사용을 전반적으로 수용하는 것으로 보이지만, 일부 논평들은 FC의 구현과 그 효과에 대한 강력한 증거 부족에 대한 우려를 제기하고 있으며, 따라서 그러한 25-28 교육 개혁의 비용 대 편익에 의문을 제기하고 있다. 이러한 우려는 의학 교육에서 FC의 학습 성과에 초점을 맞춘 연구를 필요로 한다.

Although there appears to be overall acceptance of the use of the FC in medical education, some commentaries have raised concerns about its implementation and the lack of strong evidence for its effectiveness, and therefore question the cost versus benefits of such 25–28 educational reform. These concerns call for research focusing on the learning outcomes of FCs in medical education.


우리는 다음과 같은 세 가지 연구 질문에 답하고자 했다. 

  • (i) 의료 교육에서 FC에 발표된 연구의 범위는? 

  • (ii) 조사된 연구의 연구 품질은 무엇인가? 

  • (iii) 통제된 연구에서 보고한 FC의 영향은?

We sought to answer three research questions: 

  • (i) What is the scope of the studies that have been published on FCs in medical education? 

  • (ii) What is the research quality of the studies examined? 

  • (iii) What are the effects of the FC, as reported by controlled studies?






METHOD


Literature search


Review procedure


Figure 1 summarises the review process and count of articles after each stage.


The first two authors screened the articles according to the inclusion criteria (see Table 1).







결과

RESULTS


의학교육에서 출판된 FC논문 

The scope of published studies on the FC in medical education


국가

Countries of study


Although over half of the 46 articles (n = 25) were focused on medical education in the USA, the concept of the FC in medical education has travelled internationally. The UK (n = 5), Canada (n = 3), Hong Kong (n = 2) and India (n = 2) produced multiple articles. Other countries and regions represented within this body of articles included France, Germany, Israel, New Zealand, Pakistan and Singapore.


전공

Area of specialties


There were 17 distinct medical specialties studied across the 46 articles.


교육단계

Level of medical education


Our search included all 4 years of medical school (including preclinical and clerkship), residency and fellowship.



출판된 논문의 퀄리티

The quality of published studies on FC in medical education


발표된 논문의 품질은 연구 유형 또는 설계 및 사용된 효과의 측정을 포함하여 사용된 방법론에 따라 평가되었다. Boet et al.29에서 설명한 범주를 사용하여 연구를 코드화했다.


The quality of the published articles was evaluated based on the methodology used, including the study type or design and the measure of effectiveness used. Categories described by Boet et al.29 were used to code the studies.


연구 종류

Type of study


46개의 기사에는 13개의 논평, 9개의 통제된 연구, 8개의 행동 연구, 8개의 과정 후 설계 연구, 2개의 연구 전과 후 및 2개의 문헌 검토가 포함되었다. 네 가지 연구는 과정 후 평가와 함께 연구 전후의 설계를 사용했다.

The 46 articles included 13 commentaries, nine controlled studies, eight action research studies, eight post-course design studies, two before and after studies and two literature reviews. Four studies used a before and after study design in conjunction with a post-course survey.


9개의 통제된 연구를 자세히 조사한 결과 이들 연구 중 4개가 설계 전후에 통제된 것을 사용했다(부록 S1 참조). 즉, 이러한 연구는 개입이 시행되기 전후에 치료(FC)와 통제(전통적인 강의) 그룹 모두를 조사했다.

A closer examination of the nine controlled studies showed that four of these studies used a controlled before and after design (see Appendix S1). That is, these studies examined both the treatment (FC) and control (traditional lecture) groups before and after the intervention was implemented.


효과 척도

Measures of effectiveness


본 연구의 효과성 측정은 ....

The studies’ measures of effectiveness were evaluated based on a modified version of Kirkpatrick’s framework29,30 with six levels of classification of intervention outcome: 

(1) perceptions of intervention, 

(2a) changes in attitude, 

(2b) changes in knowledge and skills, 

(3) changes in behaviours, 

(4a) changes in professional practice or 

(4b) changes in patient outcome. 


전반적으로 46개 기사 중 18개는 중재 결과를 보고하지 않았다.

Overall, 18 of the 46 articles did not report the intervention outcomes.


FC의 효과

The effects of FC


학습에 대한 FC의 영향을 평가하기 위해, 제어된 설계를 채택한 9개의 연구가 추가 분석을 위해 선택되었다. 이러한 각 연구의 요약은 표 3에 제시되어 있다.

To assess the effects of the FC on learning, the nine studies that employed a controlled design were selected for further analyses. Summaries of each of these studies are provided in Table 3.


FC에 대한 인식

Perceptions of FC


6개의 통제된 연구는 직접 FC 노출 이후 기간 또는 과정의 종료 시 관리되는 자체 보고 설문조사를 사용하여 FC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을 평가했다.

    • 학생들은 일반적으로 자기 진행식 학습을 위한 리소스(예: 비디오 및 슬라이드)에 쉽게 액세스할 수 있기 때문에 온라인 모듈의 유용성, 특히 접근 방식에 만족했다.

    • 학생들은 또한 수업에서의 학생 참여를 증가시키는 중요한 동기부여 요소였기 때문에, 수업내 세션을 강화시키는 inclass 퀴즈와 숙제, 문제 해결 연습에 만족했다.23

Six controlled studies assessed students’ perceptions of the FC using self-reported surveys administered at the conclusion of a term or course following firsthand FC exposure.3,23,33–36 

    • Students were generally satisfied with the approach, particularly the usefulness of the online modules,3 because of easy access to resources (e.g. videos and slides) for self-paced learning.33 

    • Students were also satisfied with the inclass quizzes and homework problem-solving practices that reinforced the in-class sessions, as they were critical motivating factors that increased student engagement in class.23


FC이후 태도변화

Attitude changes after using the FC


세 가지 연구는 FC,33,35,36에 노출되어 긍정적인 변화를 보고한 학생들의 태도를 추적했다.

Three studies tracked students’ attitudes following exposure to the FC,33,35,36 all reporting positive changes.


지식, 기술, 태도 변화

Knowledge, skill and behaviour changes with the FC curriculum


지식과 기술의 변화는 결과 변수로써 모든 3,23,33–39개의 통제된 연구에서 평가되었다. FC와 전통적인 강의 교수 접근법으로 학생들의 지식과 기술의 변화를 조사하는 연구는 혼합된 결과를 보여주었다; 일부는 긍정적인 결과를 초래했고 다른 일부는 무시할 만한 차이를 낳았다(표 3).

Changes in knowledge and skill were assessed in all 3,23,33–39 nine controlled studies as outcome variables. Studies examining students’ changes in knowledge and skill with the FC versus the traditional lecture teaching approach revealed mixed results; some resulted in positive findings and others resulted in negligible differences (Table 3).


또한, 이 네 가지 연구 중 Hiitz 외만이 학습자의 compliance 수준을 기록하고, FC 프로토콜에 대한 non-compliance 문제(즉, 31.1% 미준수)를 보고하였다. 그렇게 함으로써 FC의 진짜 효과에 대한 finding을 compromise하였다.

Furthermore, among these four studies, only Heitz et al. documented learners’ level of compliance with the treatment and reported the issue of non-compliance with the FC protocol (i.e. 31.1% non-compliance), thereby compromising findings of the true effects of the FC.


고찰

DISCUSSION


이 문헌 리뷰는 의학 교육에서 FC에 대한 연구의 현재 상태에 대한 네 가지 주요 연구 결과를 강조한다. 

  • 첫째, 최근 이 분야의 출판률이 증가하면서 의학 교육에서 FC를 평가하는 작업이 탄력을 받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 둘째, FC가 학습에 미치는 영향은 일관성이 없어서, 일부 이익이 된다고 알려진 것과 전통적인 교수법에 비해 무시할 수 있는 개선만 보고된 것이 혼재한다.

  • 셋째, 학생들은 FC 교수법을 좋아한다. 전반적으로, FC는 특히 학생들의 동기부여, 과업가치 및 참여도를 높이기 위한 것이라면, 의학 교육에서 유망한 교수법 접근법으로 보인다. 

  • 그러나 대부분의 통제된 연구는 개입에 대한 학습자의 인식과 지식 및 기술의 변화에 초점을 맞춘 반면, 커크패트릭의 높은 수준의 분류(즉, 행동 변화, 전문적 관행 및 환자 결과)에 대해 보고된 것은 제한적이다.

This literature review highlights four key findings on the current status of research on the FC in medical education. 

  • First, work evaluating the FC in medical education appears to be gaining momentum as there have been recent increases in the publication rate in this field. 

  • Second, the effects of the FC on learning are inconsistent, with some purported benefits and some reports of negligible improvement over traditional teaching methods. 

  • Third, students like the FC teaching method. Overall, the FC seems a promising teaching approach in medical education, particularly when the intent is to increase students’ motivation, task value and engagement. 

  • However, most of the controlled studies focused on learners’ perceptions of the intervention and changes in their knowledge and skills, whereas limited outcomes were reported on the higher level of Kirkpatrick’s classification (i.e. changes in behaviour, professional practice and patient outcome).


우리의 체계적 검토는 지난 2년 동안 의학 교육에서 FC에 대한 연구의 양과 질이 모두 증가했다는 것을 발견했다.

Our systematic review found an increase in both the quantity and the quality of research on the FC in medical education in the past 2 years.


이는 의학 교육에서 FC에 관한 문헌이 지속적으로 성장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보다 엄격한 연구 디자인을 사용하여 진행되고 있음을 시사한다. 의료 교육에서 FC를 사용하기 위한 강력한 경험적 기반을 개발하기 위해 이 궤적을 계속해야 한다.

This suggests that the body of literature on the FC in medical education is not only continuing to grow, but is also being conducted using more rigorous research designs. This trajectory must continue in order to develop a strong empirical basis for (or against) the use of the FC in medical education.


전통적인 학습 방법과 비교하여 FC를 이용할 때 많은 연구들이 지식과 기술 집합의 증가를 조사했으며, 그 중 4개만이 효과 크기를 계산할 수 있는 충분한 통계를 제공했다. FC의 효과는 일반적으로 혼합되었고 확실하지 않았다. 이 분야에서 향후 연구에서 고려해야 할 한 가지 요인은 Heitz et al.,34에서 알 수 있듯이, 연구의 비준수 그룹이 상당히 상당하기 때문에 학생들이 FC 요건(즉, 수업 중 세션 전에 배정된 준비 작업을 완료했는가)을 준수하는 것이다. 궁극적으로, FC 요구 사항을 준수하는지 여부가 (전통적인 교실과 비교했을 때) 지식과 기술의 차이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다.

A number of studies examined gain in knowledge and skill sets when utilising the FC compared with traditional learning methods, only four of which provided sufficient statistics for effect sizes to be calculated. The effects of the FC were generally mixed and inconclusive. One factor that might need to be taken into account in future research in this area is students’ compliance with the FC requirements (i.e. did the students complete the assigned preparatory work before the in-class session) because, as indicated by Heitz et al.,34 the non-compliant group in their study was quite substantial (31%). Ultimately, students’ compliance with FC requirements might drastically affect differential gains in knowledge and skill sets compared with the traditional classroom.


여러 연구들이 FC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과 태도를 평가했는데, 이것은 일반적으로 긍정적인 것으로 밝혀졌다.

Multiple studies evaluated students’ perceptions of and attitudes toward the FC, which were generally found to be positive.


학생들이 FC에 대해 긍정적인 태도를 보였고, 이 테크닉이 최소한 지식과 기술 집합 습득에 관해서는 전통적인 학습 방법만큼 성공적인 것으로 밝혀짐에 따라, FC는 의료 교육의 구성요소로 고려될 수 있을 것이다.

As students demonstrated positive attitudes toward the FC and the technique was found to be at least as successful as traditional learning methods with regards to knowledge and skill set acquisition, it follows that the FC could be considered as a component of medical education.


의료 교육에서 FC의 사용을 더욱 확고히 지지(또는 반박)하기 위해서는 Kirkpatrick의 프레임워크의 더 높은 수준을 평가하기 위한 향후 연구를 수행해야 한다.

In order to more firmly support (or refute) the use of the FC in medical education, future studies should be carried out to evaluate the higher levels of Kirkpatrick’s framework.


이 분야의 대부분의 작업은 학부 의대에서 실시되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가 GME까지 일반적일지는 불확실하다. 이것은 특히 이 시기는 교실과 실험실 기반 기초 과학 교육에 초점을 맞추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 의과대학 전임상 시기에 수행된 연구에 적용된다.

The majority of work in this area has been carried out in undergraduate medical education. It is unclear if these findings would be generalisable to graduate medical education. This especially holds true for the research carried out in the preclinical years of medical school as this period tends to focus on classroom and laboratory-based foundational science education.


독립적인 변수로서 그리고 학생 지식의 변화의 moderator로서 태도 변화는 검토할 가치가 있을 수 있다. 지식의 변화에 관한 연구의 많은 부분은 지식 습득을 검토했다. 궁극적으로, 이 지식의 보존과 전달retention and transfer을 살펴보는 것이 도움이 될 것이다.

Changes in attitudes, as an independent variable and moderator of change in student knowledge, could be worthy of examination. Much of the work on change in knowledge has examined knowledge acquisition. Ultimately, it would be helpful to look at knowledge retention and transfer of this knowledge


연구의 유효성을 강화하기 위해, 향후 조사는 개입의 영향을 잠재적으로 교란시킬 수 있는 상황적 변수에 대한 통제를 고려해야 한다.

In order to strengthen the validity of studies, future investigations should also consider controlling for contextual variables that might be potentially confounding the impact of interventions.


예를 들어, 무료 개방형 액세스 의약품 교육(FOAM)에 대한 노출이 증가하고 있다.2 이러한 공유되고 쉽게 접근할 수 있는 자원을 통해, FC와 기존 학습 간의 직접 비교의 타당성이 훼손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FC와 전통적인 강의 접근법 양쪽의 학생들이 모두 FOAM 교육에 참여한다면 FC 접근법의 진정한 효과는 약화될 수 있다.

For example, there is a rising exposure to free open access medication education (FOAM).2 With these shared and easily accessible resources, the validity of any direct comparisons between the FC and traditional learning could be compromised. In other words, the true effects of the FC approach might be attenuated if students in both FC and traditional lecture approaches are engaged in FOAM education.


마지막으로, 시간적 요인(예: 수업 시간, 수업 외 시간, 임상 작업 시간, 개인 시간)을 고려하는 것이 중요하다. FC의 영향에 대한 현재의 경험적 연구는 아직 이것들을 변수로 검토하지 않았다. 이것은 또 다른 가능한 다음 단계다.

Finally, it is important to take the temporal factors (e.g. time spent in class, outside of class and in clinical work, and personal time) into consideration. Current empirical studies on the effects of the FC have yet to examine these as variables. This is another possible next step.


CONCLUSIONS








 2017 Jun;51(6):585-597. doi: 10.1111/medu.13272.

systematic review of the effectiveness of flipped classrooms in medical education.

Author information

1
The University of North Carolina at Chapel Hill, Chapel Hill, North Carolina, USA.
2
University at Albany, The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Albany, New York, USA.

Abstract

CONTEXT:

There are inconsistent claims made about the effectiveness of the flipped classroom (FC) in medical education; however, the quality of the empirical evidence used to back up these claims is not evident. The aims of this review are to examine the scope and quality of studies on the FC teaching approach in medical education and to assess the effects of FCs on medical learning.

METHODS:

A literature search was conducted using the major electronic databases in 2016. Peer-reviewed papers were screened and reviewed according to explicit inclusion criteria. The scope and quality of all resultant studies were evaluated. Studies identified as using controlled designs were further synthesised to assess the effects of FCs on learning.

RESULTS:

A total of 118 articles were obtained. Full texts of 82 articles were reviewed. Nine of the included 46 articles used a controlled design when examining the effects of the FC. There were generally positive perceptions of the FC approach. However, the effects of FCs on changes in knowledge and skills were less conclusive as the effect sizes ranged from d = -0.27 to 1.21, with a median of 0.08. The varying direction and magnitude of the effect sizes, together with their 95% confidence interval, which contained zero, suggested the lack of strong evidence for the effectiveness of FCs in promoting knowledge acquisition above and beyond the traditional learning methods.

CONCLUSIONS:

There has been a recent increase of research rigor and variety in measures of effectiveness in studies on the FC in medicaleducation. The FC is a promising teaching approach to increase learners' motivation and engagement. More solid evidence on its effect on changes in knowledge and skills are warranted. Further studies should also examine the long-term effects of FCs with regard to knowledge retention and transfer of knowledge to professional practice and patient care.

PMID:
 
28488303
 
DOI:
 
10.1111/medu.13272


거꾸로교실의 학업 성과: 메타분석(Med Educ, 2018)

Academic outcomes of flipped classroom learning: a meta-analysis

Kuo-Su Chen,1,2,3 Lynn Monrouxe,2,3 Yi-Hsuan Lu,1,2,3 Chang-Chyi Jenq,2,3,4 Yeu-Jhy Chang,2,3,5

Yu-Che Chang2,3,6 & Pony Yee-Chee Chai7




도입

INTRODUCTION


플립된 교실(FC)은 온라인 학습과 직접 대면하는 교실 활동을 결합한 복합적인 접근방식이다. 이 교육 모델에서, 학생들은 수업 전에 콘텐츠 학습에 참여하여, 능동적인 학습을 위한 강의실 내 시간을 극대화한다. FC는 강의 전 학습에 기술(테크놀로지)을 활용하며, 직접 대면 강의실을 대화형 학습 활동으로 활용한다. 이 방법론은 (교사가 아닌) 학생들을 배움의 중심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전통적인 강의 기반 접근 방식을 재구성하고 재정렬한다.2–4 그러한 능동적 학습은 학습자가 강의 전 학습에 대해 연습하고, 참여하고, 적용함에 따라 결과를 개선하게 된다.5 10년 전에 현대적 버전의 FC가 나타났으며, 교육 전반과 의료 교육에서 특히 인기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우리는 그 효능에 대해 확고한 결론을 내리지 못하고 있다.

The flipped classroom (FC) is a hybrid approach, combining online learning and face-to-face classroom activities. In this pedagogical model, students engage in content learning before class, thereby maximising in-class time for active learning.1 The FC utilises technology for pre-class learning, with face-to-face classrooms becoming interactive learning activities. This methodology restructures and reorders traditional lecture-based (LB) approaches by moving students, rather than teachers, to the centre of learning.2–4 Such active learning should improve outcomes as learners practise with, engage with and apply their pre-class learning.5 Although modern versions of the FC appeared over 10 years ago,6 and despite its popularity in education generally and medical education specifically, we lack firm conclusions regarding its efficacy.7,8


FC 접근법은 능동적 학습 이론에 의해 뒷받침된다.9 능동적 학습은 '학습 과정에 학생들을 참여시키는 모든 교육적 방법'으로 정의되었다.10 능동적 학습 접근법은 학생들이 의미 있는 학습 활동을 수행하며, 인지적으로 그러한 활동에 참여하는engaging 것이다. 이전의 연구는 학생들의 이해와 성취도가 능동적 학습을 통해 향상된다는 것을 암시한다.10-13 메타 분석은 능동적 학습이 학생들의 성적을 높이고 대학생들의 실패율을 감소시킨다는 것을 확인했다.14 따라서, FC는 능동적 학습의 한 형태로서, 4,15는 더 나은 학습 성과, 특히 고차적 사고에서 더 나은 학습 성과와 관련이 있었다.17,18 실제로, 연구에 따르면 FC 접근법이 동기, 만족도, 성과 및 출석률을 증가시킨다고 한다.4,19,20 그러나 연구 결과는 동일한 성과 측정치를 고려한 경우에조차 일반적으로 일관되지 않는다.

The FC approach is underpinned by active learning theory.9 Active learning has been defined as ‘any instructional method that engages students in the learning process’.10 An active learning approach is one in which students undertake meaningful learning activities, cognitively engaging in those activities. Previous research suggests that students’ understanding and performance are improved via active learning.10–13 A meta-analysis confirmed that active learning increased student performance and decreased failure rate in undergraduates.14 Thus, as FC is a form of active learning,4,15 it has been associated with better learning outcomes,16 especially in higher-order thinking.17,18 Indeed, research suggests that an FC approach increases motivation, satisfaction, performance and class attendance rate.4,19,20 However, research results are generally inconsistent,2,19,21–29 even when the same outcome measure is considered.7,8


이 모순 문제를 강조하는 의료전문가의 교육 분야에서 많은 체계적인 검토가 수행되었다.

A number of systematic reviews have been undertaken in the area of health care professionals’ education that highlight this issue of inconsistency.


비록 FC 과정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이 통제된 9개 연구 모두에서 전형적으로 긍정적이었지만, Chen 등,7명은 지식과 기술skill의 변화 측면에서 엇갈린 결과를 보고했다. 예를 들어, 다중 선택 질문(MCQ)을 사용한 결과와 관련하여, 일부 연구는 LB 접근법 30,31에 대해 FC에 대해 긍정적인 결과를 보고한 반면, 다른 연구들은 차이를 발견하지 못했다.22,32, Chen et al. 는 연구들 간에 효과 크기와 신뢰구간(CI)의 다양한 방향과 크기를 발견했다.7Hughes와 Lyons8의 검토에서는 MCQ 결과를 고려할 때 11개 연구에서 혼합된 결과를 발견했다.

Although students’ perceptions of the FC process were typically positive across all nine of the controlled studies, Chen et al.,7 reported mixed results in terms of changes in knowledge, and skills. For example, regarding outcomes using multiple-choice questions (MCQs), some studies reported positive findings for the FC over the LB approach,30,31 whereas others found no difference.22,32 Furthermore, Chen et al. found a varying direction and magnitude of the effect sizes and confidence intervals (CIs) across studies.7 A more recent systematic review by Hughes and Lyons8 also found mixed results across 11 studies when considering MCQ outcomes:


간호 교육 분야에서도 체계적인 검토가 실시되어 마찬가지로 애매한 결과를 보고하고 있다. 예를 들어, 베타바스 외 연구진.33은 체계적인 검토에 포함시키기 위한 5개의 연구만 식별하였다. 그들은 FC 조건이 이벤트 후 즉시 더 나은 결과를 도출하는 경향이 있었지만, 최종 시험 수행에 관한 한 어떠한 장점도 잃게 된다는 것을 발견했다.26  게다가, 모든 연구가 FC,2의 이점을 보고한 것은 아니며, 모든 과목 평가가 긍정적인 것은 아니었다.34

Systematic reviews have also been undertaken in the area of nurse education, reporting similar ambiguous results. For example, Betihavas et al.33 identified only five studies for inclusion in their systematic review. They found that although the FC condition tended to produce better outcomes immediately post-event26,34 alongside positive course evaluations,35,36 when it came to performance in the final examination, any advantage was lost.26 Furthermore, not all studies reported an advantage for the FC,2 and not all course evaluations were positive.34


게다가, 간호사 교육에서 FC 방법에 관한 13개 기사에 대한 서술적 리뷰에서, Presti20은 '간호 교육에서 FC에 대한 연구는 거의 없고, 오직 한 연구만이 시험 점수 향상에 대한 가치를 통계적으로 입증한다'고 결론지었다.

Furthermore, in a narrative review of 13 articles reporting on the FC method in nurse education, Presti20 concluded that ‘few studies exist on the flipped classroom in nursing education, and only one study statistically validates its value in improving examination scores’.


이러한 문학 비평에서 알 수 있듯이, 우리는 LB 학습 대비 FC의 효능에 관한 다소 애매한 그림을 남기고 있다. FC의 중요성을 고려할 때, FC 방법이 작동하는지 그리고 어떤 상황에서 작동하는지 더 잘 이해하기 위해 연구 방법을 사용하는 것이 타당해 보인다. 메타 분석37–39에 의한 데이터 통합은 충돌하는 연구의 논쟁을 해결할 수 있으며, 상대적 개입의 효과를 추정하기 위한 더 큰 힘과 정밀도를 가능하게 하며, 새로운 가설을 생성할 수 있다.

As we can see from these literature reviews, we are left with a rather muddy picture regarding the efficacy of FC over LB learning. Given the importance of the FC, it seems pertinent that we employ research methods to further understand whether the FC method works and in what circumstances. Data aggregation by meta-analysis37–39 can settle controversies from conflicting studies, allowing greater power and precision to estimate the effectiveness of relative interventions, and can generate new hypotheses.


메타 분석의 경우 부분군 분석과 메타 규제를 통해 연구 간 불일치의 원인을 탐색할 수 있다. 따라서 메타 분석은 개별 연구가 할 수 없는 질문에 대답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

In a meta-analysis, the cause of inconsistency between studies can be explored through subgroup analyses and meta-regression. Thus, a meta-analysis may help to answer questions that individual studies cannot.


이 개념에 따라, 두 메타분석은 최근 중국의 연구자들에 의해 발표되었고, 간호학에서 FC 방법을 연구하는 연구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41

Following this notion, two meta-analyses have very recently been published by researchers from China, drawing on studies examining the FC method in nursing.40,41


LB 접근법에 대한 FC의 상대적 효능을 검토하는 최근의 검토의 수에도 불구하고, 문헌의 gap은 여전히 남아 있다. 

  • 모든 검토는 단일 분야로 제한되었다(예: 간호교육33,40,41 및 의료교육7,8). 

  • 일반적으로 FC 접근법을 선호하는 소수의 논문만 있다(종종 5~11, 29개 포함 1개만 해당), 

  • 메타분석은 두 개 뿐이고 주로 narrative synthesis이다.40,41 

두 메타분석가는 단일 국가(중국)의 데이터를 고려했고, 중국 간호학 학술지에 실린 RCT만 풀링했다. 이 매우 제한된 데이터 출처에서 나온 그러한 메타분석의 결과는 일반화하기가 어려울 수 있다.

Despite the number of recent reviews examining the relative efficacy of the FC over the LB approach, a gap in the literature remains: 

  • all of the reviews were limited to a single discipline (e.g. nursing education33,40,41 and medical education7,8), 

  • with a small number of articles generally favouring the FC approach (often between five and 11, with only one including 29), 

  • mostly being narrative syntheses with only two meta-analyses.40,41 

These two meta-analyses considered data from a single country (China), only pooling RCTs from Chinese nursing education published in Chinese journals. The results of such meta-analyses from this very restricted data source may be difficult to generalise.


FC 교육학적 모델이 광범위한 분야에 걸쳐 채택된 경우, 여러 분야에 걸친 데이터 풀링은 통계적 파워를 높이고 서로 다른 영역의 영향 차이를 식별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

Given that the FC pedagogical model has been adopted across a wide range of disciplines, data pooling across multiple disciplines may help to increase statistical power and identify differences in the effects across different domains.


  • RQ1 FC 학습 접근법이 고등교육에서 LB 학습 접근법보다 학생들의 강화된 지식과 행동과 더 관련이 있는가?

  • RQ2 이것이 맥락에 따라 다른가(예: 연구 방법, 출판 연도, 출판 포럼, 학생 그룹 및 학습 환경)?

  • RQ1 Is the FC learning approach associated with students’ enhanced knowledge and behaviour more than the LB learning approach in higher education?

  • RQ2 Does this differ by context (e.g. research method, publication year, publication forum, student group and learning environment)?


방법

METHODS


The meta-analysis was undertaken following the PRISMA (preferred reporting items for systematic reviews and meta-analyses) statement (see Box 1 for definitions of terms used in a meta-analysis).42


Box 1 Definition of terms in a meta-analysis

Meta-analysis

A statistical analysis that combines the results of multiple quantitative information from related studies and produces results that summarise a whole body of research.

Begg’s test

An indicator of publication bias. Begg et al. proposed testing the interdependence of variance and effect size using Kendall’s method. This bias indicator makes fewer assumptions than that of Egger et al. but it is insensitive to many types of bias to which Egger’s test is sensitive.

Cochrane Q

A classical measure of heterogeneity in meta-analysis. Q is distributed as a chi-squared statistic with n 1 degrees of freedom. For the Q-statistic test, a ‘Cochrane Q-value > degree of freedom’ or a ‘p-value of < 0.10’ suggests the presence of heterogeneity.

Egger’s test

Another indicator of publication bias. Egger et al. suggested a test to examine asymmetry in funnel plots. This is a test for the Y-intercept = 0 from a linear regression of the normalised effect estimate (i.e., the estimate divided by its standard error) against precision (the reciprocal of the standard error of that estimate).

Funnel plot

A graph that provides a visual check of the existence of publication bias. In the absence of publication bias, it assumes that studies with high precision will be plotted near the average, and studies with low precision will be spread evenly on both sides of the average, creating a roughly funnel-shaped distribution. Asymmetry in funnel plots may indicate the presence of publication bias in meta-analysis.

Heterogeneity

Heterogeneity in meta-analysis refers to the variation or inconsistency in the study outcomes between studies.

I-squared (I2)

Another measure of heterogeneity in meta-analysis. The I² statistic is the percentage of variation across studies attributable to heterogeneity. The formula of I² = 100% 9 (Q–df)/Q. An I2 of < 25% represents low heterogeneity, 25–50% moderate heterogeneity and > 50% high heterogeneity.

Meta-regression

A statistical method that can be used in meta-analysis to examine the impact of moderator variables on study effect size using regression-based techniques.

PRISMA statement

A guideline for the reporting of systematic reviews and meta-analyses. The PRISMA statement comprises 27 items and a four-phase flow diagram.

Publication bias

Occurs when the published results depend not just on the quality of the research but also on the hypothesis tested, and the significance and direction of effects detected. It suggests that results not supporting the hypotheses of researchers often go unpublished, leading to a bias in published research.

Random-effects model

  • The process of meta-analysis is undertaken by either a fixed-effect or a random-effects statistical model. A fixed-effect meta-analysis assumes all studies are estimating the same (fixed) treatment effect, whereas a random-effects meta-analysis permits differences in the treatment effect across studies.

  • In a random-effects model, the observed heterogeneity is attributed to two sources: (i) between-study heterogeneity in true effects, and (ii) within-study sampling error.


Eligibility criteria


Data sources


Search strategy


‘flipped classroom’, ‘flipped education’, ‘flipped learning’, ‘reverse classroom’, ‘backward classroom’, ‘inverted classroom’ and ‘inverse classroom’.


Study selection


Assessment of methodological quality


The Effective Public Health Practice Project (EPHPP) Quality Assessment Tool44 was used to appraise methodological quality as it is suitable for both interventional (RCT, quasi-experimental) and observational (cohort, historical control and case– control) studies.


Data synthesis


Data were independently extracted by two reviewers (Y-HL and K-SC) using a standardised form. The extracted information included publication type and year, design, demographics of participants, intervention and control, and type of outcomes measured. The cognitive levels of learning outcomes measured were categorised according to the Kirkpatrick model43 and Bloom’s taxonomy.45



결과

RESULTS


연구 검색 및 선택

Study search and selection


The process is summarised in a PRISMA42 flow diagram (Fig. 1).


포함된 연구들

Scope of the included studies


Of the 46 included studies, 36 were journal articles, nine were conference abstracts and one was a thesis (Table S1).




Outcomes measured


Multiple effect measures were reported. We classified the effect measures into three categories: 

    • examination scores (n = 41); 

    • course grades (n = 9); and 

    • objective structured clinical examinations (OSCEs) (n = 2). 


The examination scores were 

    • the results of MCQ tests (n = 20) and 

    • written examinations or essays (n = 3), 

    • a combination of different formats (n = 5) or 

    • were unclear (n = 13).


Of the 41 studies reporting examination scores, seven were before–after studies and provided pre–post score changes. All examination score outcomes evaluated knowledge change according to Kirkpatrick’s level 2 measurement (learning).43


The level of cognitive learning evaluated in these tests comprised only lower cognitive levels in one study, ranging from low to high (levels 1–6 in Bloom’s taxonomy45)in 16 studies and were not described in 24 studies.


연구의 퀄리티

Quality assessment of the included studies


방법론적 품질 평가(36개 저널, 논문 1개)는 36개 연구가 높은 편향 위험을 나타냈으며, 한 연구는 편향의 위험이 낮다는 것을 보여주었다(자세한 내용은 표 S2 참조). 가장 약한 지표는 blinding이었다. 데이터 수집, 교란 요인 및 인출 도메인에서도 위험성이 높았다.

Methodological quality assessment (36 journal articles, one thesis) showed that 36 studies exhibited a high risk of bias and one study had a moderate risk of bias (see Table S2 for details). The weakest indicator was blinding. Risks were also high in the data collection, confounders and withdrawal domains.


낮은 보고 질은 높은 편향 위험을 야기하는 중요한 원인이었다. 많은 품질 지표가 명확하게 설명되지 않았거나 누락되었다. 자주 누락된 정보: 연구 설계, 적격 모집단, 참가자 및 중퇴자 모집단, 기준 그룹 간의 중요한 교란 요인, 결과 평가 도구의 신뢰성/유효성. 이것은 많은 연구를 편견의 높은 위험성으로 평가하게 했다.

Poor reporting quality was an important cause of a high risk of bias. Many quality indicators were not clearly described or were absent. Frequently missing information included: study design; eligible population; participant and dropout populations; important confounders between groups at baseline, and the reliability/validity of outcome assessment tools. This resulted in many studies being rated with a high risk of bias.


메인그룹, 서브그룹 메타분석

Main and subgroup meta-analyses


2개 연구로도 가능함

Following Valentine et al.,57 we note that it is possible to undertake a meta-analysis with as few as n = 2 studies.


성과 척도에 따라

Meta-analyses by outcome measures


Data pooling of all 46 studies was undertaken according to the type of outcome measure reported. Significantly higher examination scores, pre–post examination score improvements and course grades for the FC approach were identified (Table 2, Fig. 2). However, no significant effect was noted when the outcome measure was an OSCE score.


맥락에 따라 

Subgroup analyses by context


A subgroup analysis was undertaken for the outcome of examination scores.


메타 리그레션

Meta-regression for the examination score outcome measure


Meta-regression by year (Fig. S8) showed a significant correlation (p = 0.023) between publication year and effect size (by excluding the year 2012, which had only one single study), but no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sample size and outcome (p = 0.856). 


Publication bias








고찰

DISCUSSION


체계적 검토에 대한 서술적 접근법의 주관성을 피하고, 다수의 영역에서 FC 방법의 상대적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데이터를 수집하기 위해 메타 분석 접근법을 채택했다.59

Our meta-analytical approach was adopted to avoid the subjectivity of the narrative approach to systematic reviews, and to pool the data from a large number of studies to ascertain the relative effectiveness of the FC method across a number of domains.59


우리는 (우리가 검색한 전자 데이터베이스에 연구가 제공된다면), 모든 분야와 국가에 대한 연구를 포함하였고, 다양한 교육 환경에서 시험 점수와 과목 성적(즉, 이론적 지식과 관련된)에 대한 중국 연구의 결과를 재확인했다. 그러나 OSCE 결과(기술과 관련된)의 경우, 분석 결과 FC 조건에서 이점이 없었다. 메타 분석은 최소 두 개의 연구를 사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는 주장에도 불구하고, 57 이 후자의 결과는 우리 데이터베이스에 OSCE 결과를 보고하는 연구 결과가 소수라는 점과 그 연구마다 결과가 크게 다르다는 사실에 기인할 수 있다.

We included studies across all disciplines and countries, as long as the studies were available in the electronic databases we searched, verifying the findings from the Chinese studies for examination scores and course grades (i.e. related to theoretical knowledge) across a range of educational settings. However, for the OSCE outcome (related to skills) our analysis found no advantage for the FC condition. Despite the assertion that meta-analysis can be undertaken using as few as two studies,57 this latter finding may be a result of the small number of studies reporting OSCE outcomes in our database and the fact that their results were greatly divergent.


또한 여러 연구 설계 간에 FC 유효성 불일치가 나타났다. 

RCT에서는 장점이 없었지만, 코호트 또는 준 실험 연구는 LB 조건에 비해 FC의 유의한 장점을 보여주었다. 우리 연구에서 발견된 FC 조건의 이러한 유효성 부족은 RCT에서 FC 접근법의 상당한 이점을 보여준 이전의 두 메타 분석 7,8의 결과와 직접적으로 모순된다. 이러한 불일치는 데이터 집합의 소수의 RCT가 다시 한 번 이유일 수 있다.

Our study also revealed inconsistencies in FC efficacy between different study designs: cohort or quasi-experimental studies, but not RCTs, showed a significant advantage of the FC over the LB condition. This lack of efficacy for the FC condition found in our study directly contradicts the findings from the two earlier meta-analyses,7,8 which demonstrated a significant advantage of the FC approach in RCTs. This discrepancy may reflect, once again, the small number of RCTs in our dataset.


연구 중인 특정 학생 그룹에 따르면 우리의 결과에서 더 많은 차이가 발견되었다. 따라서 의료, 약국, 비건강 과학 교육 학생 그룹은 FC 경험으로부터 이익을 얻는 것처럼 보였지만, 간호학과 다른 건강 과학 학생들에게는 그렇지 않았다.

Further differences were found in our results according to the particular student group under study. Thus, medical, pharmacy and non-health science education student groups appeared to benefit from their FC experiences, but this was not the case for nursing and other health science students.


또한, 각 종목별 FC 방법론에서 상대적인 성숙도를 고려할 때, 우리의 누적 분석은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FC 조건의 결과가 점진적으로 개선되는 경향을 시사한다는 것을 유념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FC 방법에 대한 점진적인 이해, 새로운 기술의 활용, FC 방법과 관련된 교수 기술의 발달 성숙도 및 FC 교육 형식의 누적된 경험이 모두 결과 개선에 기여할 수 있다.7

Furthermore, when considering the relative maturity of the FC methodology in each respective discipline, it is worth noting that our cumulative analyses suggest a tendency of progressive improvement in the outcome of the FC condition over time. Thus, progressive understanding of the FC method, the utilisation of newer technology, the developing maturity of teaching skills associated with the FC method and accumulated experience in the FC teaching format may all contribute to the improvement of outcomes.7


우리의 메타분석 결과에는 몇 가지 한계가 있다. 예를 들어, 연구는 통계적 이질성이 높았다. 통계적 이질성은 많은 수준의 방법론적 다양성의 결과일 가능성이 있다.

The results of our meta-analyses have several limitations. For example, the studies had a high degree of statistical heterogeneity. It is likely that the statistical heterogeneity is a result of the large degree of methodological diversity.


이와 같이, 모든 연구가 FC 스타일의 교육의 실행을 다루었지만, 그들은 교실에서의 flipping은 형식과 내용 둘 다 달랐다. 예를 들어, FC 활동을 설계하고 이끌었던 교사의 경험과 전문지식, 클래스 전 학습 자료의 유형과 특성 등은 다른 경우가 많다. 평가된 지식의 내용 또는 인지적 수준(즉, 결과)도 다양했다.

As such, although all studies addressed the implementation of an FC style of education, they varied in both the format and content of classroom flipping. For example, the experiences and expertise of teachers who designed and led the FC activity, and the types and qualities of pre-class learning material were likely to differ. The content or cognitive level of knowledge evaluated (i.e. outcomes) also varied.


FC 조건은 더 높은 인지 수준을 촉진하기 위해 설계된다(예: 애플리케이션). 따라서, 낮은 수준의 평가(예: 리콜)는 반드시 FC 접근법에 적절한 결과로 간주되지 않을 수 있다. 우리가 포함된 연구들 사이의 학업 성과는 주로 시험 점수, OSCE, 과정 성적의 세 가지 유형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들 대부분은 Kirkpatrick 수준 2(학습) 결과를 반영한다.43 또한 OSCE는 Kirkpatrick 수준 3(행동) 결과를 반영할 수 있으며, MCQ는 단순히 암기보다 높은 인지 수준의 질문을 포함할 수 있다. (표 S2에서 확인한 바와 같이) 과목 점수 평가 공식이 연구마다 다르기 때문에 평가된 인지 수준도 달랐다. 연구 설계, 결과 및 대상 모집단의 다양성은 효과 크기의 이질성에 기여한다. 이질성이 높다는 점을 감안할 때, 우리는 FC 방법의 효능에 대해 포괄적인 결론을 도출하는데 신중해야 한다.

The FC condition is designed to promote higher cognitive levels (e.g. application). As such, lower levels of assessment (e.g. recall) may not necessarily be considered as an appropriate outcome for the FC approach. The academic outcomes amongst our included studies mainly comprised three types: examination scores; OSCEs, and course grades. Most of these reflect a Kirkpatrick level 2 (learning) outcome.43 Additionally, the OSCE may also reflect a Kirkpatrick level 3 (behaviour) outcome and the MCQ may also include questions of a higher cognitive level than mere memorisation. As the formula for assessing course grades differed between studies (as we identified in Table S2), the cognitive levels evaluated also differed. Such diversity in study designs, outcomes and target populations contributes towards the heterogeneity in effect sizes. Given that heterogeneity was high, we must be cautious in drawing sweeping conclusions around the efficacy of the FC method.


출판 편향의 문제도 다루어질 필요가 있다. 우리는 중요한 정보와 출판 편향을 누락시키지 않도록 하기 위해 이 검토에서 컨퍼런스 연구와 논문을 통합했다. 그러나, 이용 가능한 정보가 제한되어 있기 때문에 회의 연구의 방법론적인 특성은 평가할 수 없었다.

The issue of publication bias also needs to be addressed. We incorporated conference studies and a thesis in this review to avoid missing important information and publication bias. However, the methodological qualities of conference studies could not be assessed because of the limited information available.


메타 분석의 또 다른 한 가지 제약은 2016년 6월에 문헌 검색을 수행했으며, 그러한 세부 프로세스를 수행하는 데 오랜 시간이 걸리는 특성 때문에

Another limitation of our meta-analysis is that the literature search was undertaken in June 2016 and because of the lengthy nature of undertaking such a detailed process


하지만, 이러한 제한에도 불구하고, 우리의 연구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우리는 전 세계의 다양한 의료 및 비의료 교육 분야의 총 9026명의 참가자와 함께 46개 연구의 데이터를 구성하는 메타 분석을 수행했다. 이것은 우리가 알고 있는 종류의 가장 큰 연구일 뿐만 아니라 메타 분석이기 때문에 현재 FC 문헌을 지배하는 서술적 검토 방법보다 더 높은 수준의 증거 60,61을 제공한다.

However, despite these limitations, our study has strengths. We have undertaken a meta-analysis comprising data from 46 studies with a total of 9026 participants from different health care and non-health care educational disciplines across the world. This is not only the largest study of its kind that we know of, but, because it is a meta-analysis, it provides a higher level of evidence60,61 than do the descriptive review methods presently dominating the FC literature.7,27,33


우리의 연구는 주로 연구 방법, 연구 설계, 보고의 개선에 초점을 맞춘 미래 연구 제안들을 하도록 우리를 이끈다. 따라서, 잘 훈련되고 동기 부여가 된 촉진자를 포함한 FC의 표준형식은 미래 연구 연구를 위한 FC와 LB 방법을 비교하기 위한 기본 요건이 된다. 또한, FC 방법의 목적은 더 높은 인지 학습을 개선하고 행동 변화를 촉진하는 것이기 때문에, 향후 연구 설계가 FC의 효능을 기술할 것으로 예상되는 더 높은 인지 결과를 측정할 수 있을 만큼 충분히 민감하다는 것을 보장하기 위해 더 많은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실제로, 새로운 교육학의 평가는 개념적 지식이 임상적 추리 방법과 같은 새로운 도구를 사용하여 평가되어야 한다는 것을 암시한다.62

Our study leads us to make future research suggestions, focusing mainly on improving study methods, research design and reporting. Thus, a standard format of classroom flipping, with well-trained and motivated facilitators, comprises the basic requirement for a comparison between FC and LB methods for future research studies. Further, given that the purpose of the FC method is to improve higher cognitive learning and promote behavioural change, greater attention should be given to ensuring that future research study designs are sensitive enough to measure the higher cognitive outcomes expected to delineate the efficacy of the FC. Indeed, the appraisal of a new pedagogy suggests that conceptual knowledge should be evaluated using novel tools, such as clinical reasoning measures.62


또한 미래 연구는 연구 보고를 다룰 필요가 있다. 즉, 교육 연구의 불충분한 보고의 질은 위험편향 평가 과정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사안이다. 우리의 메타분석에 포함된 많은 연구에서, 많은 필요한 정보가 누락되었다. 예를 들어 적격 및 등록된 참가자의 수, 이들의 인구학적 특징, 중퇴율, 평가 기구의 유효성과 신뢰성에 대한 세부사항은 종종 누락되었다. 나이와 성별은 임상 연구에서 중요한 교란 요인이며, 교육 연구에서도 그렇다. 그러나, 우리의 검토의 많은 출판물들은 그러한 인구통계를 언급하지 않았다. 우리의 조사 결과와 유사하게, Horsley et al.63은 '... 건강 직업 교육 분야의 무작위 연구에 대한 보고서에는 CONSORT 성명에서 권고한 요소가 자주 누락되는 경우가 많다. 대부분의 보고서는 편견의 위험이 높거나 불명확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따라서, 의료 교육 연구에서 연구 보고를 위한 구조화된 형식이 보장된다.

Future research also needs to address the reporting of research: the poor reporting quality of educational studies is an important issue influencing the process of risk bias assessment. In many of the studies included in our meta-analysis, a lot of necessary information was absent. For example, details of the number of eligible and enrolled participants, their demographic features, dropout rate, and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assessment instruments were often missing. Age and gender are important confounders in clinical studies, and this is also the case in education research. However, many publications in our review failed to mention such demographics. Similar to our findings, Horsley et al.63 concluded that: ‘... reports of randomised studies in health professions education frequently omit elements recommended by the CONSORT statement. Most reports were assessed as having a high or unclear risk of bias.’ Thus, a structured format for reporting research in medical education studies is warranted.





 2018 Jun 25. doi: 10.1111/medu.13616. [Epub ahead of print]

Academic outcomes of flipped classroom learning: a meta-analysis.

Chen KS1,2,3Monrouxe L2,3Lu YH1,2,3Jenq CC2,3,4Chang YJ2,3,5Chang YC2,3,6Chai PY7.

Author information

1
Department of Nephrology, Chang Gung Memorial Hospital, Keelung branch, Keelung, Taiwan.
2
Chang Gung Medical Education Research Center (CG-MERC), Chang Gung Memorial Hospital, Linkou Branch, Taoyuan, Taiwan.
3
College of Medicine, Chang Gung University, Taoyuan, Taiwan.
4
Department of Nephrology, Chang Gung Memorial Hospital, Linkou branch, Taoyuan, Taiwan.
5
Department of Neurology, Chang Gung Memorial Hospital, Linkou branch, Taoyuan, Taiwan.
6
Department of Emergency Medicine, Chang Gung Memorial Hospital, Linkou branch, Taoyuan, Taiwan.
7
Department of Pharmacy, Chang Gung Memorial Hospital, Keelung branch, Keelung, Taiwan.

Abstract

CONTEXT:

The flipped classroom (FC), reversing lecture and homework elements of a course, is popular in medical education. The FC uses technology-enhanced pre-class learning to transmit knowledge, incorporating in-class interaction to enhance higher cognitive learning. However, the FC model is expensive and research on its effectiveness remains inconclusiv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efficacy of the FC model over traditional lecture-based (LB) learning by meta-analysis.

METHODS:

We systematically searched MEDLINE, PubMed, ERIC, CINAHL, EMBASE, reference lists and Association for Medical Education in Europe (AMEE) conference books. Controlled trials comparing academic outcomes between the FC and LB approaches in higher education were considered eligible. The main findings were pooled using a random-effects model when appropriate.

RESULTS:

Forty-six studies (9026 participants) were included, comprising four randomised controlled trials (RCTs), 19 quasi-experimental studies and 23 cohort studies. Study populations were health science (n = 32) and non health science (n = 14) students. The risk of bias was high (36/37 articles). Meta-analyses revealed that the FC had significantly better outcomes than the LB method in examination scores (post-intervention and pre-post change) and course grades, but not in objective structured clinical examination scores. Subgroup analyses showed the advantage of the FC was not observed in RCTs, non-USA countries, nursing and other health science disciplines and earlier publication years (2013 and 2014). Cumulative analysis and meta-regression suggested a tendency for progressively better outcomes by year. Outcome assessments rarely focused on behaviour change.

CONCLUSIONS:

The FC method is associated with greater academic achievement than the LB approach for higher-level learning outcomes, which has become more obvious in recent years. However, results should be interpreted with caution because of the high methodological diversity, statistical heterogeneity and risk of bias in the studies used. Future studies should have high methodological rigour, a standardised FC format and utilise assessment tools evaluating higher cognitive learning and behaviour change to further examine differences between FC and LB learning.

PMID:
 
29943399
 
PMCID:
 
PMC6120558
 
DOI:
 
10.1111/medu.13616


CBAS와 어려워하는 전공의 탐색 및 서포트의 관계(JAMA, 2018)

Association of a Competency-Based Assessment System With Identification of and Support for Medical Residents in Difficulty

Shelley Ross, PhD; Natalia M. Binczyk, BMSc; Deena M. Hamza, PhD; Shirley Schipper, MD; Paul Humphries, MD; Darren Nichols, MD; Michel G. Donoff,MD




도입

Introduction


CBAS는 두 가지 기본에 근거한 프로그램적인 평가로 설계되었다. 하나는 AOL이며, 다른 하나는 레지던트와 공유되는 정기적 형성피드백이다(저부담 평가도구와 함께 문서화된다). CBAS는 직장 기반 교육WBL에서 레지던트에 대한 직접적인 관찰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CBAS는 학습자를 관찰한 후, WBA의 모범 사례를 준수하여 전문가의 판단과 코칭을 촉진 및 capture하도록 지원합니다. CBAS의 평가 도구는 preceptor들이 레지던트가 업무에서 수행한 것을 묘사하고, 관찰한 것을 가정의학의 상위 역량영역에 맞춰 tag 또는 분류하도록 한다(전문성, 의사소통 기술, 임상적 추론, 의료 지식, 환자 중심 치료, 실행 관리, 절차 기술 및 적절한 프레젠테이션 우선 순위 지정). 평가가 되는 역량은 우리의 사전 CBAS 대 사후 CBAS 코호트에 유사하지만, 명확성과 이해를 높이기 위해 그러한 역량의 설명자가 변경되었습니다.

The CBAS is designed as programmatic assessment26-28 predicated on 2 fundamentals: assessment for learning20,29,30 and regular formative feedback shared with residents (documented with low-stakes assessment tools).17,21,25 The CBAS focuses on direct observation of residents in workplace-based training. In keeping with best practices of workplace-based assessment, CBAS helps to both facilitate and capture experts’ judgment and coaching after observation of learners. The assessment tools in CBAS are designed to allow preceptors to describe what they see the residents do in the workplace and tag or sort their observations according to high-level descriptions of areas of competence in family medicine (professionalism, communication skills, clinical reasoning, medical knowledge, patient-centered care, practice management, procedural skills, and appropriately prioritizing presenting issues).24 Although the competencies being assessed were similar for our pre-CBAS vs post-CBAS cohorts, the descriptors of those competencies were changed to enhance clarity and understanding.


방법

Methods


STROBE를 따름

We adhered to the Strengthening the Reporting of Observational Studies in Epidemiology (STROBE) reporting guideline for reporting observational cohort studies.31


어떤 전공의가 하나 이상의 측면에서 어려움을 겪는지 알아내기 위해 "flag"라 불린 변수를 찾는다.

Three program directors identified variables (referred to as flags) that indicated that a resident was having difficulty with 1 or more aspects of residency training. These variables are defined in the Box.



통계 분석

Statistical Analysis


Results


전공의의 기본 인구통계학적 특성(표 1)은 국제 의료 졸업생 비율을 제외하고 사전 CBAS와 사후 CBAS 코호트가 유사했다.

The basic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the residents (Table 1) were similar between the pre-CBAS and post-CBAS cohorts with the exception of the proportion of international medical graduates.


종합평가에 있어 깃발을 받은 전공의의  비율의 차이는 표 2에 제시되어 있다.

Differences in the percentage of residents receiving flags on summative assessments are presented in Table 2.


표 3은 주어진 전체 정의에 따라 resident in difficulty 기준을 충족하는 각 코호트 내 전공의 비율 변화를 보고한다.

Table 3 reports changes in the proportions of residents within each cohort who met the criteria for designationas a resident indifficulty, according tothe definitions given.


또한 평가 플래그가 전공의와  함께 해결되었다는 증빙 자료(그림)의 빈도로 CBAS 전 훈련과 사후 CBAS 훈련 간의 변화를 분석하였다.

We also analyzed changes between pre-CBAS training and post-CBAS training in the frequency of evidence of documentation that a flag on an assessment had been addressed with the resident (Figure).










고찰

Discussion

이러한 연구 결과는 CBME로의 전환을 위한 정당성을 보여주며, 특히 CBME가 전통적인 의료 교육보다 개선되었다는 증거의 필요성에 대해 과거 문헌에서 제기된 몇 가지 질문에 답하기 시작한다. CBME로 전환하기 전 프로그램에 사용된 기존의 평가 방식과 비교했을 때, 역량 기반 평가는 훈련에 어려움이 있는 레지던트를 더 잘 식별하였으며, 어떻게 전공의에 대한 concern이 해결되었는지에 대한 향상을 보여주었다.

These findings begin to answer some of the questions raised in the literature about justification for the shift to CBME,8-14 specifically, the need for evidence that CBME is an improvement over traditional medical education. Compared with the traditional assessment approach used in our program before the switch to CBME, competency-based assessment was associated with better identification of residents who encountered difficulties in training and improvement in how concerns about resident competence were addressed.


CBAS를 시행한 이후, 총괄평가에서 최소 1개의 플래그를 받는 레지던트의 비율이 크게 감소했다.

Since implementation of CBAS, there has been a significant decrease in the proportion of residents receiving at least 1 flag on a summative assessment.


여러 개의 flag을 받은 레지던트 비율이 크게 감소했다.

There were large decreases in the proportion of residents who were receiving multiple flags.


복수의 개별 로테이션에서의 flag 감소 및 어려움에 처한 레지던트로 판정되는 레지던트 비율 감소 사이에 잠재적 연관성이 발견되었다. 비록 1개의 로테이션에서 flag를 받은 레지던트 비율은 변화가 없었지만, 2개 이상의 로테이션에서 flag를 받은 레지던트의 비율은 2012년 1명을 제외하고 약 0%로 감소했다.

A potential association was found between the decrease in flags on multiple discrete rotations and the reduction in the proportions of residents who met criteria for resident in difficulty. Although the proportion of residents who received a flagged assessment from1 rotation remained stable across the study period, the proportion of residents who received a flag on assessments from more than 2 rotations decreased to approximately 0%with the exception of 1 resident in the 2012-2014 cohort.


CBAS 방식의 접근법이 전공의에 대한 더 나은 support와 관련되어있을 가능성을 보여두는 또 다른 것은 역량 부족으로 flag된 전공의가 추가적인 support를 받았다는 것이다. 이는 총괄평가에서의 flag로 나타난 경우에 레지던트와의 토론이 더 늘어났다는 것이다. 학습자가 difficulty를 겪는 것으로 확인되면, 이는 학습자와 함께 논의되어야 하나, 이러한 코칭은 facilitated될 필요가 있다. CBAS 이전에는 1개 이상의 flag를 받은 거주자 중에서 35%~40%는 전공의파일에 flag가 해결되었다거나 전공의와 논의되었다는 증거가 없었다(그림).

The likelihood that the CBAS approach to assessment is associated with better support of residents who are flagged for deficiencies in competence is further supported by the finding of an increase in documentation showing that flags on summative assessments were discussed with the resident. Identified difficulties should be discussed with learners, but such coaching needs to be facilitated. Before CBAS, 35%to 40%of the residents who received 1 or more flags had no evidence in their files that the flag had been addressed or discussed with them(Figure).


전반적으로, 본 연구는 CBAS와 같은 역량 기반 평가 프레임워크가, 역량 gap을 가진 레지던트를 더 잘 식별함을 보여준다. 또한 CBAS는 격차가 확인된 경우, 그것을 해소하고 개선하기 위해 레지던트에 대해 더 나은 서포트를 제공하는 것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 이 레지던트 프로그램의 기존 평가 접근방식은 전공의가 어려움을 겪고 있는 때를 식별하기 위한 프로세스를 마련했지만, 총괄평가가 일상적인 관찰observation과 단절되었기 때문에 그러한 시스템이 효과적이지 않았던 것으로 보인다. 어려움을 겪고 있는 레지던트를 식별하는 데 실패하는 것은 이 전공의 프로그램에만 국한되지 않습니다. 오히려, 이러한 문제는 의학교육의 여러 평가 방식에서 확인되었으며 CBME로의 변화를 정당화하는 핵심 중 하나입니다.

Overall, this study suggests that a competency-based assessment framework such as CBAS is associated with better identification of residents who have competence gaps. Furthermore, CBAS appears to be associated with better support for residents to address and ameliorate identified gaps. Although the previous assessment approach in this residency program had processes in place that were intended to identify when residents were struggling, the system was ineffective, perhaps because summative assessments were disconnected from daily observations. This failure to identify struggling residents is not unique to this one residency program; rather, this problem has been identified across multiple assessment approaches in medical education and is one of the key justifications for moving to CBME.1,15-17


이러한 연구결과는 평가절차의 개선의 결과로 기각될 수 있다. 그러나, CBME 문화에서의 평가는 반드시 달라야 하며, CBAS 접근법은 조사된 거주 프로그램의 평가에 대한 이전의 접근방식과 근본적으로 다르다. 회전의 끝을 포착하는 데 초점을 맞춘 평가와 달리, CBAS 도구, 양식 및 프로세스는 임상 코치와 공유하는 형태적 피드백의 대표 표본을 포함하여 임상 경험 전반에 걸쳐 역량을 향한 진행의 증거를 포착한다. 이러한 저평가들은 학습을 반영하고 육성할 수 있다.

It would be possible to dismiss these findings as being a result of improving processes of assessment. However, assessment in a CBME culture must be different,17,21,37-40 and the CBAS approach is fundamentally different from the previous approach to assessment in the residency program examined. In contrast to assessment that focused on capturing end of rotation judgements, the CBAS tools, forms, and processes capture evidence of progress toward competence across clinical experiences, including a representative sampling of the formative feedback shared by the clinical coaches who work with the resident. These low-stakes assessments may reflect and foster learning.


역량에 대한 총괄평가는 정기적으로 이루어진다. 고부담 ITER은 매 로테이션 종료시 완료됩니다. 고부담의 정기 발달상황 점검은 4개월마다 이루어집니다(이전에는 6개월마다). CBAS 이후의 차이점은 정기 진행상황 검토를 할 때, [현재 역량 향상의 진행]에 대하여, 전공의가 자기성찰을 문서화한 후, 교수 어드바이저(역량 코치)와 전공가 함께 토론하게 된다는 것이다. 이 때, CBAS에서 수집된 저부담평가를 guided self assessment의 기반근거로 사용한다.

Summative assessments of progress toward competence occur regularly. High stakes in training evaluation reports are completed at the end of every rotation. High-stakes periodic progress reviews occur every 4 months (previously every 6 months). The difference after CBAS is that the periodic progress review is now a shared process in which resident self-reflections on progress toward competence are documented and then discussed between the faculty advisor (competence coach) and the resident, with the low-stakes assessments collected in CBAS used as the evidence base for guided self-assessment.41


CBAS 프레임워크의 평가의 투명성과 형성평가의 정기적 제공이라는 특징은 어려움을 겪는 전공의를 조기에 식별할 수 있는 문화를 만들어냈다. 이러한 문화에 기여하는 두 가지 요소는 다음과 같습니다. 

  • 량 향상의 진행에 대한 문서화된 증거의 확산(강점과 약점을 모두 식별할 수 있음) 

  • 레지던트의 학습에 대한 정기적인 토론 

레지던트가 최고의 의사가 될 수 있도록 지원하는 문화에서, flag와 같은 격차를 해소하는 것은 낙인을 찍는 것처럼 느껴질 가능성이 낮다. 

The transparent nature of assessment in the CBAS framework, as well as the regular provision of formative feedback, has created a culture in which residents in difficulty can be identified early. Two factors contribute to this culture: the proliferation of documented evidence of progress toward competence (which can identify both strengths and gaps) and the regular discussion of the resident’s learning. Addressing a gap, such as a flag, is less stigmatizing in a culture in which supporting residents to be the best physicians that they can be is the focus of assessment. 


총괄평가에서 전공의를 flagging하는 과정은 바뀌지 않았다. CBAS 도입 후에도, flag는 여전히 레지던트가 역량을 입증하지 못한 1개 이상의 주제가 있음을 의미한다. CBAS전후의 차이점은, 도입 후에는 [역량에 대한 우려]를 종종 로테이션 중에 레지던트와 논의한다는 것이다. 이는, 많은 경우에, 레지던트의 부족한 부분이 로테이션 종료 시에 이뤄지는 총괄평가 전에 해결됨을 의미한다.

The process of flagging a resident on a summative assessment has not changed: before and after CBAS, a flag means that there are 1 or more topics on which a resident has not demonstrated competence. The difference is that concerns about competence are often discussed with the resident throughout a clinical experience, which means that in many cases, deficiencies are remedied before the final summative assessment at the end of the rotation.



Limitations


Conclusions


이 다년간의 역량 기반 평가 및 전통적인 평가 구현의 비교에서 얻은 결과는 CBME의 개념 증명(Proof of Concept)을 지원합니다. 평가의 초점을 

  • 직접적인 관찰에 대한 강조 

  • 문서화 증가

  • 학습을 위한 평가 

에 두는 것은 [1개 이상의 역량이 부족한 학습자를 발견하고], [그 부족을 어떻게 해결할 것인가]와 관련이 있다

The findings from this multiyear comparison of implementation of competency-based assessment and traditional assessment support a proof of concept for CBME. Changing the focus of assessment to an emphasis on direct observation, increased documentation, and assessment for learning may be associated with improved identification of learners who are deficient in 1 or more competency and with how those deficiencies are addressed.







Association of a Competency-Based Assessment System With Identification of and Support for Medical Residents in Difficulty

JAMA Netw Open. 2018;1(7):e184581. doi:10.1001/jamanetworkopen.2018.4581
Key Points

Question  Is competency-based assessment associated with changes in rates of identification of and support for residents in difficulty compared with traditional assessment?

Findings  In this cohort study of 458 Canadian medical residents, there were significant reductions in the proportions of residents receiving flagged assessments on multiple rotations, reductions in proportions of residents defined as being in difficulty, and increases in documented evidence identifying that gaps were discussed with the resident following introduction of a competency-based assessment program.

Meaning  Competency-based assessment may contribute to better identification of and support for residents in difficulty.

Abstract

Importance  Competency-based medical education is now established in health professions training. However, critics stress that there is a lack of published outcomes for competency-based medical education or competency-based assessment tools.

Objective  To determine whether competency-based assessment is associated with better identification of and support for residents in difficulty.

Design, Setting, and Participants  This cohort study of secondary data from archived files on 458 family medicine residents (2006-2008 and 2010-2016) was conducted between July 5, 2016, and March 2, 2018, using a large, urban family medicine residency program in Canada.

Exposures  Introduction of the Competency-Based Achievement System (CBAS).

Main Outcomes and Measures  Proportion of residents (1) with at least 1 performance or professionalism flag, (2) receiving flags on multiple distinct rotations, (3) classified as in difficulty, and (4) with flags addressed by the residency program.

Results  Files from 458 residents were reviewed (pre-CBAS: n = 163; 81 [49.7%] women; 90 [55.2%] aged >30 years; 105 [64.4%] Canadian medical graduates; post-CBAS: n = 295; 144 [48.8%] women; 128 [43.4%] aged >30 years; 243 [82.4%] Canadian medical graduates). A significant reduction in the proportion of residents receiving at least 1 flag during training after CBAS implementation was observed (0.38; 95% CI, 0.377-0.383), as well as a significant decrease in the numbers of distinct rotations during which residents received flags on summative assessments (0.24; 95% CI, 0.237-0.243). There was a decrease in the number of residents in difficulty after CBAS (from 0.13 [95% CI, 0.128-0.132] to 0.17 [95% CI, 0.168-0.172]) depending on the strictness of criteria defining a resident in difficulty. Furthermore, there was a significant increase in narrative documentation that a flag was discussed with the resident between the pre-CBAS and post-CBAS conditions (0.18; 95% CI, 0.178-0.183).

Conclusions and Relevance  The CBAS approach to assessment appeared to be associated with better identification of residents in difficulty, facilitating the program’s ability to address learners’ deficiencies in competence. After implementation of CBAS, residents experiencing challenges were better supported and their deficiencies did not recur on later rotations. A key argument for shifting to competency-based medical education is to change assessment approaches; these findings suggest that competency-based assessment may be useful.


CBME도입의 주요 과제(Med Teach, 2017)

Overarching challenges to the implementation of competency-based medical education

Kelly J. Caverzagiea, Markku T. Nousiainenb, Peter C. Fergusonb, Olle ten Catec , Shelley Rossd ,

Kenneth A. Harrise, Jamiu Busarif, M. Dylan Bouldg , Jacques Bouchardh, William F. Iobsti,j, Carol Carracciok

and Jason R. Franke,l, on behalf of the ICBME Collaborators




도입

Introduction

환자, 정책 입안자 및 기타 의료 옹호자들은 (IOM et al. 의료 교육 2003; MPAC 2010; Eden et al 2014) 투자에 대한 더 큰 수익을 요구하고 있다. 사실, 다수의 상위 보고서들은 의학교육에 대한 상당한 개혁을 요구해왔다. (Cooke et al. 2006; Weinberger et al. 2006; Cooke et al. 2010; Frenk et al. 2010; 이러한 변화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전세계 의료 교육의 지도자들은 의료 교육 시스템의 의미 있는 재설계를 시작하려고 노력하고 있습니다(Christensen et al. 2000; Emanuel & Fuchs 2012).

Patients, policy-makers, and other health care advocates are demanding a greater return for their investment in (IOM al. medical education 2003; MPAC 2010; Eden et 2014). In fact, multiple high-level reports have called for significant reforms to medical education (Cooke et al. 2006; Weinberger et al. 2006; Cooke et al. 2010; Frenk et al. 2010; FMEC PG Project Report 2012). Recognizing this imperative for change, leaders in medical education worldwide are striving to initiate the meaningful redesign of systems of medical education (Christensen et al. 2000; Emanuel & Fuchs 2012).


CBME

Competency-based medical education


헬스케어 담론에 1970년대 후반에 처음 소개된 이후(McGaghie et al. 1978), CBME는 여러 직업에서 탐구되었지만, 몇가지 이유로 적절한 관심을 얻지 못했다.

First introduced into health care discourse in the late 1970s (McGaghie et al. 1978), CBME was explored in multiple professions but did not gain adequate traction for reasons


1990년대 후반에는 CBME가 의료 교육에 다시 도입되었지만, 훈련의 구조와 과정(Swing 2007; Nasca et al. 2012)과 역량 평가(Ctenate)의 어려움으로 인해 진전을 이루지 못했다. 최근 몇 년 동안 CBME는 개인, 프로그램적, 그리고 제도적 결과에 중점을 두었고, 훈련이 여전히 그러한 교육적 필요성과 의사들의 교육적 요구를 충족시키면서 환자 및 모집단의 건강 요구를 충족하도록 설계되어야 한다는 이해 때문에 새로운 관심을 끌었다.

In the late 1990s, CBME was reintroduced into medical education but struggled to advance because of the continued emphasis on the structures and processes of training (Swing 2007; Nasca et al. 2012) and difficulties in assessment of competence (ten Cate 2014). In recent years, CBME has attracted renewed interest because of its emphasis on individual, programmatic, and institutional outcomes and its understanding that training should be designed to meet the health needs of the patients and populations served while still meeting the educational needs of physicians and those in training.


CBME 시스템에서 커리큘럼과 평가는 사전 정의된 성과 또는 역량에 의해 이루어진다.

In a CBME system, curricula and assessments are driven by predefined outcomes or competencies.


프로그램과 기관 수준에서, CBME 접근법은 의도된 성과를 달성하기 위한 교육 단위(예: 의과대학, 레지던트 프로그램 또는 병원)의 능력에 중점을 둔다. 연구에 따르면 훈련 프로그램 동안 겪은 의료의 질이 그 trainee의 경력 전체에 걸쳐 그가 제공하는 의료의 품질을 예측한다는 것을 보여준다. (Tamblyn et al. 2002; Asch 2009; Chen 등)

At the program and institution level, the CBME approach places emphasis on the ability of the educational unit (e.g. medical school, residency program, or hospital) to achieve intended outcomes. Research evidence shows that the quality of care provided during a physician’s training program is predictive of the quality of care provided throughout his or her career (Tamblyn et al. 2002; Asch et al. 2009; Chen et al. 2014).


역량이 지속적인 교육 및 실습 단계에서 점진적인 방식으로 배열되면 학습자가 [퍼포먼스를 지속적으로 개선하는 것]을 목표로 할 수 있습니다. 이것은, 평생 학습을 통해 mastery를 향한 drive를 촉진한다. CBME는, 본질적으로 로드맵의 역할을 하며, 커리어 전반에 걸쳐 지속적인 발전을 촉진할 수 있다.

When competencies are sequenced in a progressive fashion across the continuous stages of training and practice, learners can aim to continuously improve performance. This, in turn, facilitates the drive toward mastery through lifelong learning. Essentially acting as a roadmap, CBME can facilitate continuous development throughout one’s career.


CBME가 관심을 끄는 또 다른 이유는, 성과에 초점을 둠으로써 환자와 공공 이해관계자의 투명성을 확보하기 때문이다. CBME를 구현하기 위한 초기의 노력은, 만약 강조되지 않았다면, 교육되거나 평가되지 않은 역량 영역에 대해 인식하고 있음을 보여주었다.

CBME is also gaining traction because its focus on outcomes offers transparency for patients and public stakeholders. Early efforts to implement CBME actually demonstrate awareness of, if not an emphasis on, domains of competence that were otherwise not taught or assessed.


그러나 이러한 역량은, 그것을 기대 성과로 정의한다면, 보건 제공 시스템의 현재 및 미래 요구를 반영해야 한다는 점에 주목해야 한다. 요약하자면, CBME는 의학교육이 의료전문직에게 요구되는 사회적 계약에 따라 재편성할 수 있는 잠재력을 가지고 있다.

However, it is important to note that these competencies, when defined as expected outcomes, should reflect the current and future needs of the health delivery system. In summary, CBME has the potential to realign medical education with the social contract afforded to our profession.


CBME가 마주친 도전

Challenges confronting CBME


이 논문은 4가지 중요한 과제를 제시한다(표 1).

This paper presents four overarching challenges that deserve our collective attention (Table 1).


표 1. CBME의 구현에 대한 4가지 중요한 도전 과제 

1. 역량 기반 교육 및 훈련을 지원하기 위한 규제관련 이해 관계자의 aligning

2. 커리큘럼 목표와 경험적 훈련을 연계하기 위한 교육현장 및 임상현장 재설계의 통합 

3. 환자 및 모집단의 요구를 반영하여, 개인, 프로그램, 기관을 측정할 수 있는 성과 확립 

4. 성과defined outcome의 달성을 위한 모든 이해관계자 간의 책무성 보장


Table 1. Four overarching challenges to the implementation of CBME. 

1. Aligning regulatory stakeholders to support competency-based education and training 

2. Integrating educational and clinical redesign efforts to align curricular objectives with experiential training 

3. Establishing defined outcomes that reflect the needs of patients and populations in which individuals, programs, and institutions can be measured 

4. Ensuring accountability among all stakeholders for the achievement of defined outcomes



규제관련 이해 관계자의 조정

Alignment of regulatory stakeholders


전문직 자율 규제의 일환으로, 의학은 의학교육 프로그램의 개발과 실행을 감독하는 목적을 가진 중요한 규제 기관들을 개발했다. 이러한 감독 기관은 [환자와 인구에 대한 caring을 할 수 있는 인력을 교육하는 전문적 임무를 지원하고 유지하는] 새로운 정책과 프로세스를 구현하여 발전한다.

As part of professional self-regulation, medicine has developed important regulatory agencies whose purpose is to oversee the development and implementation of medical education programs. These oversight bodies evolve by implementing new policies and processes that support and maintain the professional mission of educating a workforce capable of caring for patients and populations.


불행하게도, 이러한 정책들 중 많은 것이 상당히 초창기에 개발되었고, 과거의 커리큘럼과 평가 접근방식에 적용되었으며, 따라서 실제로는 오히려 CBME의 실행을 방해할 수 있다.

Unfortunately, many of these policies were developed in and applied to earlier curricular and assessment approaches and, therefore, may actually preclude the implementation of CBME.


이 문제를 더 어렵게 만드는 것은 규제 기관이 종종 통합된 프로세스나 공유된 교육 데이터 없이 격리된 사일로에서 기능한다는 사실이다. 의학교육 규제 기관들은 시대에 뒤떨어진 정책을 개선하고, 평생 직업 발전과 성장을 위한 연속성을 더 지원하기 위해 협력해야 한다.

Compounding this challenge is the fact that regulatory agencies often function in isolated silos without integrated processes or shared educational data. Medical education regulatory agencies must work together to address outdated policies and further support continuity in lifelong professional development and growth.


훈련생들이 unsupervised practice를 향해 나아가는 과정에서, 안전하고 양질의 환자 관리를 제공하도록 보장하기 위해, 교수진은 [학습 단계 초반의 학습자 또는 하나 이상의 역량영역에서 어려움을 겪는 학습자를] 직접적으로 관찰하고 지도하는데 더 많은 시간과 노력을 들여야 할 수 있다. 개별화된 학습과 전문적 성장을 촉진하기 위해 교수진은 평가, 관찰, 피드백 및 코칭에서 필요한 기술을 습득, 개발해야 할 수 있습니다. 기관들은 trainee의 교육과 평가에 대해 교수들이 배운 것을 적용할 수 있도록 교수개발과 필요 시간을 지원해야 한다. 미래에는, 교육 기관은 연수생들의 전문적인 발전에 기여하는 양질의 교육과 지도력에 인센티브를 줘야 하며, 예를 들어 승진과 종신 재직권을 통해 교직원들에게 보상해야 한다.

To ensure that trainees provide safe and high-quality patient care as they work toward unsupervised practice, faculty may need to devote more time and effort to directly observing and coaching those who are early in their learning or delayed in one or more domains of competence. To facilitate individualized learning and professional growth, faculty may need to acquire enhanced skills in assessment, observation, feedback, and coaching. For their part, institutions must support faculty development and the commitment of time required for faculty to apply what they have learned to the teaching and assessment of trainees. In the future, teaching institutions must incentivize high-quality teaching and leadership that contribute to the professional development of trainees and reward engaged faculty through, for example, promotion and tenure.


규제 기관이나 정부 기관이 엄격하고 지나치게 구조화된 정책을 재고해야 하는 것처럼, AHC와 다른 교육 기관도 그렇게 해야 한다.

Just as regulatory and governmental agencies must reconsider rigid and too overly structured policies, so must academic health centers and other teaching institutions.


또한 임상 훈련 장소에서는 교육이 이루어지는 시스템과 환경을 재설계해야 한다.

Furthermore, clinical training sites will need to reengineer the systems and environments in which training occurs.


비록 이것이 의도적인 효과는 아니었지만, 현재의 시스템은 trainee에게 교육보다 임상업무의 가치가 지나치게 많이 강조되도록 진화해왔다. 이러한 문제의 해결은 시스템 전반의 학습 환경 변화에서 비롯되어야 한다(ACGME 2014).

Although this was not an intentional effect, these systems have evolved such that clinical care too often trumps educational value for a trainee. A resolution of these problems must come from system-wide changes to the learning environment (ACGME 2014).


앞으로 나아가서, 규제 및 정부 이해관계자는 의학교육 지도자 및 교육 기관과 긴밀히 협력하여, 학습 환경을 최적화하는 동시에 안전한 환자 관리를 보장하는 감독 정책을 수립해야 한다.

Moving forward, regulatory and governmental stakeholders must work closely with medical education leaders and teaching institutions to establish oversight policies that ensure safe patient care while at the same time optimizing the learning environment.


CBME의 구현은 평생학습에 기초한다. 의료교육과 관련된 정책과 규정은 이 목표를 지원하기 위해 진화해야 한다.

The implementation of CBME is predicated on lifelong learning; policies and regulations related to medical education must evolve to support this goal.


교육과 임상 재설계 노력의 통합

Integration of education and clinical redesign efforts


의료 시장의 변화에 대한 압박감 속에서, 임상 치료의 제공은 급격히 변화하고 있다. 환자 경험, 팀워크, 커뮤니케이션, 인구 건강, 그리고 양질의 비용효율적인 진료에 다시 초점을 맞추고 있다. 의료 서비스가 발전함에 따라 의학교육의 재설계는 의료 시스템의 재설계를 반영해야 한다(Ludmer 1999).

Under the pressure of changes in the health marketplace, the delivery of clinical care is changing dramatically. There has been renewed focus on patient experience, teamwork, communication, population health, and high-quality, costeffective care. As health care evolves, it is imperative that the redesign of health care education mirrors the redesign of the clinical delivery system (Ludmerer 1999).


이러한 조정이 없다면, 훈련생들은 여전히 시대에 뒤떨어지고 비효율적인 임상 학습 환경에서 연습하면서 새로운 원칙이나 관리 모델에 대해 배우게 될 수도 있다. 교육 및 임상 재설계 노력의 통합을 통해서만 우리는 우리의 현재 의학교육 시스템을 특징짓는 이분법을 극복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방식에서, 훈련생들은 단순한 지식이나 임상 추론을 뛰어넘는, 중요한 환자 치료 원칙을 배우고 그 후에 적용할 수 있다.

Without this alignment, trainees may be asked to learn about emerging principles or models of care while still practicing in outdated or inefficient clinical learning environments. Only through the integration of educational and clinical redesign efforts will we be able to overcome the dichotomy that characterizes our current systems of medical education. In this way, trainees can learn and subsequently apply important principles of patient care that go beyond knowledge and clinical reasoning.


역량있는 trainee는 역량있는 기관(Asch et al. 2009)에서만 길러질 수 있다. 따라서 임상진료제공과 교육에 관한 재설계 노력은 상호적이다. 하나의 성공은 다른 하나의 성공에 달려 있다.

Competent trainees can graduate only from competent institutions (Asch et al. 2009); thus, these redesign efforts for clinical care delivery and for education are reciprocal; the success of one is dependent upon the success of the other.


또한 교육변화와 임상변화의 통합은 학습자가 자신의 개인적 관심 뿐만 아니라 환자집단의 요구에 맞는 [새로운 임상적 환경, 새롭게 부상하는 치료 모델]을 훈련할 기회를 갖게 됨을 의미한다.

Furthermore, the integration of educational and clinical change will mean that learners have opportunities to train in novel clinical settings and/or emerging models of care that align with their personal interests and the needs of a patient population.


임상적 변화와 학습의 통합이 성공하려면, AHC에 속하지 않은 의사를 포함하여, 교육을 담당하는 의사와 병원에 대한 적절한 장려책이 있어야 한다. 현재, 너무 많은 기관들이 교육을 그들의 임상 및 연구 임무에 부차적인 것으로 만들게 강요당하고 있는데, 그 이유는 교육을 지원하기 위한 자금이 임상 관리 및 연구와 관련된 수익에서 나와야 하기 때문이다. 이 목표를 달성하려면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정책과 펀딩의 상당한 변화가 필요하다(Eden et al. 2014).

If the integration of clinical changes and learning is to be successful, teaching physicians and hospitals, including those that are not academic health centers, must have appropriate incentives. Currently, too many institutions are forced to place education secondary to their clinical and research missions, because the funding to support teaching must come from revenue related to clinical care and research. Accomplishing this goal will require significant policy and funding changes, as described previously (Eden et al. 2014).


성과의 정의

Defined outcomes


이러한 성과는 개별 훈련생뿐만 아니라 해당 훈련생들이 배우고 연습하는 프로그램, 교육 기관 및 학술 건강 시스템에 대해서도 정의되어야 한다.

These outcomes should be defined for individual trainees as well as the programs, teaching institutions and academic health systems in which those trainees learn and practice


범위와 영향은 다르지만, 이러한 개인 및 시스템 수준의 성과는 시스템 수준의 요구에 부합하는 개인적/전문적 성장을 촉진하기 위해 서로를 보완해야 한다.

Although different in scope and impact, these individual and systems-level outcomes must complement one another in order to facilitate personal professional growth that is aligned with systems-level needs.


또 다른 기대성과로는, 현재의 환경에 존재하는 행정부담 완화도 포함되어야 한다.

Other expected outcomes should also include the mitigation of the administrative burden that exists in the current environment.


상호 책무성

Mutual accountability


CBME의 약속을 이행하려면 개인, 기관 및 규제 기관이 정의된 성과 달성을 위해 서로 책임을 져야 한다. 

Accomplishing the promise of CBME will require that individuals, institutions, and regulatory bodies hold one another accountable for achieving the defined outcomes. 


  • 이를 위해서는 개별 의사가 양질의 환자 관리와 고부가가치 교육 프로그램을 달성하기 위해 고안된 규제 감독을 받아들여야 한다. 연수생을 포함한 개인은 지속적인 전문성 개발과 역량 유지에 대한 책임을 받아들여야 할 것이다.
    This will require individual physicians to accept regulatory oversight that is designed to achieve high-quality patient care and high-value educational programs. Individuals, including trainees, would need to accept accountability for ongoing professional development and the maintenance of competence.

  • 마찬가지로, 프로그램과 기관은 긍정적인 학습 환경을 촉진하고, 개인의 성장을 촉진하며, 전문적 역량의 개발과 유지를 촉진하기 위해 고안된 규제 감독을 받아들여야 할 것이다.
    Similarly, programs and institutions would need to accept regulatory oversight that is designed to promote a positive learning environment, facilitate individual growth, and foster the development and maintenance of professional competence.

  • 마지막으로, 규제 기관은 지역적 맥락 안에서 CBME 접근방식으로의 전환을 촉진한다는 목표를 가지고, 각 프로그램 및 기관이 유연하게 개선해나갈 수 있도록 허용할 필요를 인식해야 한다. 종합적으로, 우리는 medicine의 토대가 되는 사회적 계약을 받아들여야 한다(Cruess & Cruess 2014; Cruess et al. 2014). 궁극적으로 우리의 책임은 대중에게 있다.

  • Finally, regulatory agencies must recognize the need to allow programs and institutions the flexibility to innovate with the goal of facilitating the transition to a CBME approach within the local context. Collectively, we must embrace the social contract on which medicine is founded (Cruess & Cruess 2014; Cruess et al. 2014). Ultimately, our accountability is to the public.


도전을 극복하기 위하여

Overcoming challenges


CBME가 새로운 개념이 아닌 것처럼, CBME가 직면한 과제들도 전혀 새로운 것이 아니다(Ende et al. 1997). 다만 새로운 것은 의료 제공 시스템이 빠르게 발전하고 있다는 것이며, 의료 서비스에 더 큰 가치를 요구하고 있는 환자, 사회 및 정책 입안자들의 기대가 변화하고 있다는 것이다다(Porter 2010).

Just as CBME is not a new concept, the challenges confronting CBME are also nothing new (Ende et al. 1997). What is new, however, is the rapid evolution of the health care delivery system and the changing expectations of patients, society, and policy-makers, who are demanding greater value in health care (Porter 2010).


우리는 이 논문에 요약된 4가지 중대한 도전과제를 동시에 해결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믿는다. 각각의 도전을 별개의 것으로 다루는 것은 전체의 성취를 방해할 뿐이다.

we believe it important to simultaneously address the four overarching challenges outlined in this paper. Confronting each challenge in isolation will only impede the accomplishment of the whole.


이러한 변화 과정은 시간, 인내, 외교, 그리고 자금을 필요로 할 것이지만, 많은 중요하고 필요한 변화들은 이미 진행되고 있다.

This process of transformation will take time, patience, diplomacy, and funding; however, many important and necessary changes are already under way.






 2017 Jun;39(6):588-593. doi: 10.1080/0142159X.2017.1315075.

Overarching challenges to the implementation of competency-based medical education.

Author information

1
a Division of General Internal Medicine,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University of Nebraska Medical Center , Omaha , NE , USA.
2
b Division of Orthopaedic Surgery, Department of Surgery, University of Toronto , Toronto , Canada.
3
c Centre for Research and Development of Education, University Medical Center Utrecht , Utrecht , The Netherlands.
4
d Department of Family Medicine, University of Alberta , Edmonton , Canada.
5
e Royal College of Physicians and Surgeons of Canada , Ottawa , Canada.
6
f Maastricht University , Maastricht , The Netherlands.
7
g University of Ottawa , Ottawa , Canada.
8
h University of Calgary , Calgary , Canada.
9
i American Board of Internal Medicine , Philadelphia , PA , USA.
10
j The Commonwealth Medical College , Scranton , PA , USA.
11
k American Board of Pediatrics , Chapel Hill , NC , USA.
12
l Department of Emergency Medicine , University of Ottawa , Ottawa , Canada.

Abstract

Medical education is under increasing pressure to more effectively prepare physicians to meet the needs of patients and populations. With its emphasis on individual, programmatic, and institutional outcomes, competency-based medical education (CBME) has the potential to realign medical education with this societal expectation. Implementing CBME, however, comes with significant challenges. This manuscript describes four overarching challenges that must be confronted by medical educators worldwide in the implementation of CBME: (1) the need to align all regulatory stakeholders in order to facilitate the optimization of training programs and learning environments so that they support competency-based progression; (2) the purposeful integration of efforts to redesign both medical education and the delivery of clinical care; (3) the need to establish expected outcomes for individuals, programs, training institutions, and health care systems so that performance can be measured; and (4) the need to establish a culture of mutual accountability for the achievement of these defined outcomes. In overcoming these challengesmedical educators, leaders, and policy-makers will need to seek collaborative approaches to common problems and to learn from innovators who have already successfully made the transition to CBME.

PMID:
 
28598747
 
DOI:
 
10.1080/0142159X.2017.1315075


의학 수련의 문화 바꾸기: CBME 도입을 위한 중요한 단계(Med Teach, 2017)

Changing the culture of medical training: An important step toward the implementation of competency-based medical education

Peter C. Fergusona, Kelly J. Caverzagieb, Markku T. Nousiainena and Linda Snellc,d; on behalf of the ICBME

Collaborators




도입

Introduction


20세기 초, 북미에서의 의료 교육에 관한 Flexner 보고서(Flexner 1910)는 구조 및 프로세스 기반 시스템의 개발을 이끌었다.

In the early twentieth century, the Flexner report (Flexner 1910) on medical education in North America led to the development of the structure- and process-based system


이 전통적인 시스템은 다음과 같은 몇 가지 기본적인 특징을 가지고 있다. 

  • 위계적인 교사 중심 과정 

  • 지식의 습득에 초점

  • 다른 학습자와 비교한, 산발적인 주관적 평가 

  • 정해진 시간 내에 훈련 진행

  • 교육 종료 시 총괄 평가(Carracio et al. 2002).

This traditional system has several essential features, including 

  • a hierarchical teacher-centered process, 

  • a focus on the acquisition of knowledge, 

  • sporadic subjective assessments based on comparisons with other learners, 

  • progression through training in a fixed amount of time, 

  • and a final summative assessment at the end of training (Carraccio et al. 2002).


CBME를 새로운 교육 패러다임으로 받아들이기 위해서는, 의학 교육의 연속에서 문화적 변화가 반드시 필요할 것이다. 이 논의에서 우리는 "문화"와 "문화적"이라는 용어를 [사회 내 특정 집단의 행동과 신념]의 의미로 사용할 것이며, 즉 이 경우 의료 연수생들의 교육에 관련된 특성을 언급하기 위해 사용합니다.

The acceptance of CBME as a new educational paradigm will not come without a cultural shift across the continuum of medical education. In this discussion, we use the terms “culture” and “cultural” to refer to the behaviors and beliefs characteristic of a particular group in society – in this case, those involved in the education of medical trainees.


CBME의 이행에 있어 중요한 도전 과제는 CBME의 장점이 무엇이며, 왜 새로운 접근방식과 행동을 채택해야 하는지를 전통주의자들에게 설득하는 것이 포함된다.

A significant challenge in the implementation of CBME will involve persuading traditionalists of the merits of CBME and of the need to adopt new approaches and behaviors.




의학교육 혁신을 가치있게 여기고 촉진하는 리더를 양성하기

Developing leaders that value and promote innovation in medical education


의학교육 프로그램의 문화는 새로운 교육 패러다임을 촉진하는 환경을 조성해야 한다. 이러한 환경은 조직 내 다양한 개인과 협력할 수 있는 강력하고 일관된 리더가 없이는 확립될 수 없다(Bland et al. 1999). [다른 사람들에게 교육과정 변화의 필요성을 이해하고 설득할 수 있는 사람]이자 [적절한 자원이 그 실행에 할당되도록 보장할 수 있는 사람]을 리더로 보유한 조직이 (이러한 종류의 리더십이 부족한 사람들보다) 새로운 교육 패러다임으로 성공적으로 전환할 가능성이 더 높다(Bland et al. 2000; Fokema et al. 2012).

The culture of medical training programs must foster an environment that promotes novel educational paradigms. Such an environment cannot be established without strong and consistent leaders who can work collaboratively with the various individuals within an organization (Bland et al. 1999). Organizations with educational leaders who understand and can convince others of the need for curricular change, and who can ensure that adequate resources are allocated to its implementation, are more likely to make a successful transition to new educational paradigms than those who lack this kind of leadership (Bland et al. 2000; Fokkema et al. 2012).


조직들은 우선 CBME의 원칙과 일치하는 교육적 미션을 개발해야 한다. 리더를 바꿀 때에는 교육에 대한 선견지명이 있는 접근방식에 헌신하는 사람 중에서 골라야 하며, 혁신을 개발하기 위해서는 보호된 시간을 주어야 한다.

Organizations must first develop an educational mission that is consistent with the principles of CBME. Change in leaders should be chosen from among those who are committed to a visionary approach to education, and they must be given protected time to develop their innovations.


리더십 자체는 전통적인 교육 시스템에서 오랫동안 무시되어 온 능력이다(Frank et al. 2015). 교육 리더십 개발을 위한 프로그램의 설립을 촉진해야 한다. 리더십 기술은 대학원 교육 프로그램에서 가르쳐야 하며, 리더십에 초점을 맞춘 교수개발 프로그램은 모든 의학 교육 기관의 일부가 되어야 한다. 효과적으로 전달되었을 때, 이러한 프로그램들은 일반적으로 잘 받아들여졌고 혁신의 문화를 촉진하는데 도움을 주었다.

Leadership is itself a competency (Frank et al. 2015) that has long been ignored in traditional educational systems. The establishment of programs to develop educational leadership should be promoted. Leadership skills must be taught in postgraduate training programs, and faculty development programs focused on leadership should be a part of every medical education organization. When delivered effectively, these programs have been generally well received and have helped to promote a culture of innovation,


변화를 지지하는 "풀뿌리" 지도자가 될 수 있는 일선 교사들과 과제를 공유하는 것은 중요하며, 커리큘럼 개발에 전념하는 개인에게 보상하기 위해 인센티브를 개발해야 한다.

It is important to share tasks with front-line teachers, who may themselves be “grassroots” leaders who support change, and incentives should be developed to reward individuals who are committed to curricular development.


CBME연구를 통해 부정적 인식 극복하기

Overcoming negative perceptions by promoting research in CBME


많은 비평가들은 CBME가 트레이닝에 해로울 것이며, 열등한 의사들을 배출할 것이라는 입장을 취하고 있다. 이 의견은 종종 연구에 아무런 근거 없는 일화로만 표현된다.

A number of critics take the position that CBME will be detrimental to training and produce inferior doctors. This opinion is often expressed anecdotally without any basis in research.


하지만 CBME의 장점 중 하나는 학습자가 교육 시간에 대해 더 많은 책임을 져야 한다는 것입니다. 비생산적인 교육 시간을 줄임으로써 교육의 효율성을 극대화하는 것은 사실 교육 기회를 증가시키는 것이며, 확실히 이러한 기회의 질을 극대화할 것이다.

However, one of the benefits of CBME is that it requires learners to be more accountable for their educational time. Maximizing the efficiency of training by decreasing nonproductive educational time may in fact increase educational opportunities and, certainly, will maximize the quality of these opportunities.


CBME에서는 trainee에 대해서 '서비스 제공자'를 우선시하고, '학습자'를 부차적으로 두는 전통적인 인식도 도전받고 있다. 두 가지 역할이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지만, CBME는 trainee가 교육 목표 및 의미 있는 평가가 있는 활동에 시간을 쏟기 위해 특별한 노력을 기울여왔다.

The traditional perception of a trainee as a service provider first and a student second is also being challenged in competency-based approaches. Although these roles need not be mutually exclusive, in CBME a special effort is made to ensure that, in their capacity as service providers, trainees devote their time to activities that have educational objectives and meaningful assessments attached to them.


CBME에 대한 부정적 인상을 극복하기 위한 핵심은, [새로운 패러다임에 대한 두려움에는 근거가 없다는 증거를 제공하는 것]이다.

The key to overcoming negative impressions of CBME is to provide evidence that fears about this new paradigm is unfounded.


소규모 파일럿 프로젝트(Ferguson et al. 2013)를 수행함으로써, 기존 시스템에 대한 지지자들의 태도를 변화시키고, 커리큘럼 개혁에 보다 관여하고 시스템 전반의 변화를 이끌어내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

Carrying out small-scale pilot projects (Ferguson et al. 2013) may help to change the attitudes of adherents to traditional systems, allowing them to become more engaged in curricular reform, and paving the way to system-wide change.



교사들에 의한 수용도 높이기

Promoting acceptance by teachers


교육에 해로운 영향을 준다는 인상 외에도, CBME의 일부 비판자들은 지속적으로 변하는 듯한 교육 패러다임 때문에 계속해서 좌절하고 있다. 기존 교육 계획에 대한 만족도는 종종 시스템의 "안정성"에 대한 인상을 기반으로 합니다(Tsouroufli & Payne 2008). 그러므로 회의론자들이 현재 진행 중인 교육 개혁이 단순히 변화만을 위한 것이 아니라는 것을 인식하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Aside from their impressions about detrimental effects on training, some critics of CBME continue to be frustrated by seemingly constant changes in educational paradigms. Comfort with traditional training schemes is often based on an impression of the “stability” of the system (Tsouroufli & Payne 2008). It is therefore important to ensure that skeptics are made aware that the educational reforms currently under way are not being made simply for the sake of change.


또한 많은 교육자들은 [교육적 기대치의 변화 때문에 유발될 것으로 생각하는 "증가된 요구"]에 [자신의 skill set이 충분히 매칭되지 않을 것]을 우려하고 있다. 게다가, 일선의 교육자들은 종종 의사 소통, 전문성 또는 advocacy와 같은 본질적인 의사 역할에 대한 피드백을 주는 것을 불편하게 느낀다. 그러나 실제로는, 이 감독관들은 수 년 동안 훈련생들에 대해 판단을 내려왔다. CBME 모델의 한 가지 이점은 이러한 평가를 수행할 수 있는 명확하고 투명한 프레임워크를 제공한다는 것이다.

Many educators are also apprehensive that their own skill sets do not match the increased demands that they believe the changes in educational expectations will place on them (Tsouroufli & Payne 2008). Furthermore, frontline educators often feel uncomfortable giving feedback on intrinsic physician roles such as communication, professionalism, or advocacy. In reality, these experienced supervisors have such many been making judgments about trainees for years. One benefit of the CBME model is that it offers an explicit and transparent framework upon which these assessments can be made.


교육자들이 자신 있게 CBME의 요건을 충족할 수 있도록 준비되게 하려면, 광범위한 교수개발을 제공하는 것이 중요하다. 또한, CBME 프로그램의 성과에 대한 책무성을 확고히하여기존 시스템으로의 은근슬쩍 돌아가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중요할 것이다그리고 인증기준은 교육 프로그램들이 CBME의 기본 원칙이 충족하도록 갱신되어야 한다. 이것은 프로그램적 변화가 구현되고 유지되도록 하는 강력한 접근법이다.

It is equally important to provide extensive faculty development to prepare educators to confidently meet the requirements of CBME. Further, it will be important to prevent a gradual reversion to traditional systems by ensuring accountability for the outcomes of CBME programs, and accreditation standards will need to be updated to ensure that the basic tenets of CBME are being met by training programs. This is a powerful approach to ensure that programmatic change is implemented and maintained.


커리큘럼 변화에 대한 회의론을 불식시키기 위해 의료진과의 효과적인 의사소통 및 적극적인 참여가 핵심이다.

Effective communication with, and the active engagement of, clinical faculty are key to dispelling skepticism about curricular change


성취의 문화에서 평생학습의 문화로 바꾸기

Change from a culture of achievement to one of lifelong learning


공식적인 평가 도구가 부족하다는 점을 감안한다면, 기존의 교육 시스템은 어려움에 처한 학습자를 식별할 수 있는 장비를 갖추지 못했습니다. 이러한 학습자들은 종종 훈련 후반이 되어서야 발견이 되는데, 이 때에는 이미 문제를 해결하기 너무 늦은 시점이 되어버린다 (Zbieranowski et al. 2013). 학생들에게 detrimental implication을 가질 것을 우려한 나머지, 교사들은 종종 부정적인 평가를 가지고만 있으며, "F를 주지 못하는" 사고방식이 정착되었다. 엄격한 평가 프로세스가 없다면, 어려움에 처한 학습자를 식별하는 것은 직관적이며, 성과에 대한 총괄적 인상에 기초하게 된다(Aud etat et al. 2013). 결과적으로 재교육 프로세스의 기반이 되는 특정 테마를 알아내는 것이 문제가 됩니다.

Given the paucity of formal assessment tools, the traditional educational system is ill equipped to identify learners in difficulty. These learners are often identified late in training, when it is difficult to effectively address deficiencies (Zbieranowski et al. 2013). Because of the perceived detrimental implications for students teachers often withhold negative assessments, and a “failure to fail” mentality has become entrenched (Dudek et al. 2005). Without rigorous assessment processes, the identification of learners in difficulty is often intuitive and based on a global impression of the performance (Aud etat et al. 2013). As a result, it becomes problematic to identify specific themes on which to base a remediation process.


충분한 시간이 주어지면, 개인은 궁극적으로 역량을 갖추게 될 것이라는 "assumption"있다. 그러나 이러한 접근법은 학습자에게, 자신의 부족에 대한 피드백이 거의 없다면 문제를 유발할 수 있다. 어려움에 처한 학습자들은 종종 자기 평가를 잘 못하기 때문에, 문제를 일으키는 영역과 행동을 파악하고 이를 극복하기 위한 학습 기법에 대한 지침이 필요하다(Eva & Regehr 2005). 교사들은 문제가 되는 영역이 어딘지 식별할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해야 한다. 가장 좋은 메커니즘은 다면 평가 프로그램으로서, CBME의 핵심 구성요소이다.

There is an assumption that, given enough time, the individual will ultimately become competent. This approach is fraught with peril, as it gives the learner little feedback about his or her deficiencies. Learners in difficulty are frequently poor self-assessors and therefore need guidance in identifying problematic areas and behaviors and in learning techniques to overcome them (Eva & Regehr 2005). Teachers need to be provided with the means to identify areas of difficulty. The best mechanism is a multi-faceted assessment program – a key component of CBME.


[문제 해결 프로세스가 건설적인 경험이 될 것]이라는 사실에 대해 학습자가 확신을 갖는 것이 중요하다. 이 과정은 개인 수준의 퀄리티 개선 이니셔티브로 재편되어야 한다. 이 reframe에는 학습은 평생에 걸친 과정이며, 재교육 조치의 진정한 목표는 학습자가 로테이션이나 레지던트를 잘 할수 있게 돕는 것이 아니라 professional practice에 도움이 될 결함을 수정하는 것이라는 이해가 포함되어야 한다(클랜드 등).

It is essential that learners be assured that the process of remediation will be a constructive experience. The process needs to be reframed as a personal Quality Improvement initiative. This reframing needs to include the understanding that learning is a lifelong process and that the real goal of remediation is not to help learners pass a rotation or a residency, but to correct deficiencies that will help them in professional practice (Cleland et al. 2013).


부정적인 함의가 [학습자가 성과를 개선하기 위해 교정조치를 받는다]는 것으로 대체되면, 재교육은 낙인찍의 과정이 되기보다는 향상을 위한 단계로 칭찬받을 것이다. 마지막으로, 교정조치가 결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증거를 수집하기 위해 연구 노력이 필요할 것이다. remediation에 대한 CBME 접근법은 더 유능한 의사를 양성한다는 증거가 있을 때 더 쉽게 채택될 것이다(이 이슈의 Gruppen 등 참조).

Once the negative implications are replaced with an understanding that learners undergo remediation to taking be improve performance, steps to improve will applauded rather than stigmatized. Finally, research efforts will be needed to gather evidence on the effects of remediation on outcomes: the CBME approach to remediation will be more readily embraced when there is a strong body of evidence that it produces more competent physicians (see Gruppen et al. 2017, in this issue).


규제를 위한 평가에서 학습을 위한 평가로 문화를 바꾸기

Change from a culture of assessment for regulation to assessment for learning


평가의 목적은 규제에 있다거나, 한 교육단계에서 다른 단계로 옮겨갈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라는 인식이 남아 있다. 이러한 인상은 다소 부정적인 함의를 갖는데, 왜냐하면 평가에서의 실패는 곧 progress할 능력이 없음을 의미하기 때문이다. 일반적으로 의사들은 피드백을 원하지만 부정적인 것으로 보일 때 그것을 받아들일 준비가 되어 있지 않을 수 있다. 이는 자신의 능력에 대한 개인의 인상(자체 평가)과 객관적인 외부 측정(Mann et al. 2011) 사이의 불일치로 인해 더 어려워질 수 있다.

There is a lingering impression that assessment is for the purpose of regulation or to enable a transition from one stage of education to another. This impression carries with it a somewhat negative connotation, as failure on an assessment implies an inability to progress. In general, physicians want feedback, but they may be ill-prepared to accept it when it appears negative. This may be compounded by inconsistencies between an individual’s impression of his or her own abilities (self-assessment) and objective external measurements (Mann et al. 2011).


평생학습이라는 목표를 강조함으로써 평가에 대한 부정적 인식을 극복하는 것이 중요하다.

It is important to overcome negative perceptions of assessment by stressing the goal of lifelong learning.


따라서 성공의 열쇠는 의료 시스템 전반에 걸쳐 변화를 일으키는 것이다.

Therefore, a key to success will be to effect change throughout the health care system.

우리는 in practice에서 평가될 가능성을 포용하고, 환영해야 합니다. 이는 궁극적으로 환자와 사회 전체에 이익이 되기 때문입니다(Holmboe 2013; Sarnard et al. 2013).

We should embrace and welcome the potential to be assessed while in practice, as it will ultimately benefit our patients and society as a whole (Holmboe 2013; Sargeant et al. 2013).


결론

ㅆConclusions


오해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학습자의 역할]과 [교육 전반의 역할]에 대한 전체 믿음 시스템이 바뀌어야 할 것이다.

Overcoming misperceptions will entail the revision of entire belief systems about the role of learners and education as a whole.




 2017 Jun;39(6):599-602. doi: 10.1080/0142159X.2017.1315079.

Changing the culture of medical training: An important step toward the implementation of competency-based medical education.

Author information

1
a Division of Orthopaedic Surgery, Department of Surgery, University of Toronto , Toronto , Canada.
2
b Division of General Internal Medicine,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 University of Nebraska Medical Center , Omaha , NE , USA.
3
c Centre for Medical and Department of General Internal Medicine , McGill University , Montreal , Quebec , Canada.
4
d Royal College of Physicians and Surgeons of Canada , Ottawa , Canada.

Abstract

OBJECTIVE:

The current medical education system is steeped in tradition and has been shaped by many long-held beliefs and convictions about the essential components of training. The objective of this article is to propose initiatives to overcome biases against competency-based medical education (CBME) in the culture of medical education.

MATERIALS AND METHODS:

At a retreat of the International Competency Based Medical Education (ICBME) Collaborators group, an intensive brainstorming session was held to determine potential barriers to adoption of CBME in the culture of medical education. This was supplemented with a review of the literature on the topic.

RESULTS:

There continues to exist significant key barriers to the widespread adoption of CBME. Change in educational culture must be embraced by all components of the medical education hierarchy. Research is essential to provide convincing evidence of the benefit of CBME.

CONCLUSIONS:

The widespread adoption of CBME will require a change in the professional, institutional, and organizational culturesurrounding the training of medical professionals.

PMID:
 
28598749
 
DOI:
 
10.1080/0142159X.2017.1315079


거꾸로 교실, 설계(Med Educ, 2018)

Flipped classrooms, by design

Jacqueline E McLaughlin




'설계가 잘못된 것을 분석으로 고칠 수는 없다.'

‘You can’t fix by analysis what you bungled by design.’1



FLCL들은 더 높은 수준의 사고와 학습 성과를 높이고 학생들의 경험을 개선하기 위해 지원된다. 하지만 이 모델의 효과에 대한 논란은 계속되고 있다.

Flipped classrooms, are espoused to promote higher-order thinking, increase learning outcomes and improve student experiences. However, controversy about the model’s effectiveness persists.



FLCL에 대한 체계적 검토는 모호하고 일관되지 않으며 혼합된 결과를 보고하였다. FLCL에 대한 나 자신의 연구는 긍정적인 결과와 부정적인 결과를 낳았다. 이번 호 메타분석에서 Chen 등은 [전통 강의식] 학습 대비 [플립 강의실]의 효율성에 관한 다소 진흙 투성이인 그림을 다루려고 했으나, 또 하나의 불일치한 발견일 뿐이었다.6

Systematic reviews of flipped classroom research have reported ambiguous, inconsistent and mixed results.2,3 My own studies of flipped classrooms have resulted in positive and negative outcomes.4,5 In this month’s Medical Education meta-analysis, Chen et al. aimed to address ‘a rather muddy picture regarding the efficacy of [flipped classroom] over [traditional lecture] learning’, only to find additional disparities.6


플립 모델은 (문헌의 광범위한 설명에서 보듯), FLCL에서 pre-class, in-class, assessment 활동 설계에 상당한 유연성을 가능하게 한다.

The flipped model enables considerable flexibility in the design of pre-class, in-class and assessment activities, as seen by a wide range of flipped classroom descriptions in the literature.


만약 우리가 플립(flip)을 하나의 모델이라고 보고, 교실을 뒤집는 것을 그 모델의 개별적인 구현이라고 본다면(즉, 플립된 교실), 개별 구현의 결과는 모델 그 자체의 퀄리티가 아니라 '플립된 교실'의 퀄리티에 더 의존적일 수 있다.

If we consider flipping as a model (i.e. the flipped model) and flipped classrooms as the individual implementations of that model (i.e. a flipped classroom), the results of any individual implementation are likely to be more dependent on the quality of flipped classroom design than on the ‘model’ itself.


아마도, 이런 식으로 생각한다면, 우리는 왜 어떤 FLCL들이 다른 FLCL들보다 더 크거나 더 많은 긍정적인 효과를 내는지 더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Perhaps, through this lens, we can better understand why some flipped classrooms produce larger or more positive effects than others.


어떤 교육과 학습 관행이 가장 효과적인지 안다면, 주어진 FLCL에서의 퀄리티를 알 수 있을까?

If we know which teaching and learning practices are most effective, can we characterise the quality of any given flipped classroom?


학생의 적성과 더불어, 학생과 교사의 행동은 교실에서의 성취에 가장 중요한 결정 요인이다. 효과적인 교육적 실천을 위한 연구 기반 가이드에 따르면, 과목의 효과성은 행동과 매우 강력하게 연관되어 있음을 반복적으로 보여준다: 학생과 교사가 무엇을 하는가, 그리고 어떻게 그것을 하는가. 현재 대부분의 FLCL연구는 학습자와 교사의 활동이 어떤, 그리고 얼마나 많은 증거-기반 활동에 의해 촉진 또는 생산되는지에 관련하여 충분한 세부 사항을 주지 않는다..

Student and instructor behaviour, coupled with student aptitude, are the most important determinants of classroom achievement.7,8 Research-based guidelines for effective teaching practice repeatedly show that course effectiveness is strongly related to behaviour: what students and instructors do and how they do it. Currently, most flipped classroom studies lack sufficient detail concerning what and how much evidence-based behaviour their activities prompt or produce.


예를 들어, 

  • 사회적 상호작용(예: 질문과 토론, 소그룹 학습) 

  • 의미 있는 학습의 장려(예: 사려 깊은 과정 준비 및 조직, 학생들의 삶과 관련된 내용, 독립적인 사고 장려). 

  • 프레젠테이션 품질(예: 명확성과 이해성) 

...등은 학생 성취도와 가장 밀접한 관련이 있는 교육적 요소들이다.8 


We know, for example, that 

social interaction (e.g. encouraging questions and discussion, small-group learning), 

stimulating meaningful learning (e.g. thoughtful course preparation and organisation, relating content to students’ lives, 

encouraging independent thought) and presentation quality (e.g. clarity and understandability) 

...are among the instructional elements most strongly related to student achievement.8 


성과는 또한  다음과도 연관되어 있다.

  • 출석

  • 자기 조절(즉, 학업에 대한 도전에 직면했을 때 지속성과 노력) 

  • 학업 목표 설정, 

  • 시간 및 학업 관리 

  • 또래 학습.8

Achievement is also positively related to class 

  • attendance, 

  • self-regulation (i.e. persistence and effort when faced with academic challenge), 

  • academic goal setting, 

  • time and study management and 

  • peer learning.8


학생들과 강사들의 행동이 모두 모여서, 뒤집힌 교실의 효과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Taken together, students’ and instructors’ behaviours play a critical role in the effectiveness of any flipped classroom. 


증거 기반 교육 지침을 준수하는 학습 기회와 활동을 설계하고, 이러한 활동과 그 결과로 나타난 행동을 연구에서 명확하게 설명하는 것은 FLCL 모델을 발전시키기 위한 중요한 다음 단계이다.

Designing learning opportunities and activities that adhere to evidence-based teaching guidelines, and describing those activities and resulting behaviours clearly in our research, are important next steps for advancing the flipped classroom model.


교실 활동과 마찬가지로, 대부분의 교실 연구는 assessment practice의 설계와 실행을 적절히 설명하지 못한다. 평가와 피드백 방식practice은 학생들의 행동에 대한 주요 결정 요인으로서, 이것이 학생들의 관심, 학업 목표, 시험 준비 등을 guide하기 때문이다. 

As with classroom activities, most flipped classroom studies fail to adequately explicate the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assessment practices. Assessment and feedback practices are well-established determinants of student behaviour because they guide student attention, academic goals and preparation for examinations.3 


학생 성취도와 가장 밀접하게 관련된 평가 특성은 다음과 같습니다. 

  • 학생-피어 평가 및 학생의 자기 평가, 

  • 시험의 퀄리티과 공정성 

  • 강사들이 학생들에게 제공하는 피드백의 특성, 품질, 빈도.8

Assessment characteristics most strongly related to student achievement include 

  • student–peer assessments and student self-assessments, 

  • quality and fairness of examinations, and 

  • the nature, quality and frequency of feedback from instructors to students.8


지금까지 FLCL 연구가 잘 안 된 이유는 [유사한 주제나 내용을 다루는 과정에 대한 표준화된 평가]가 부족했기 때문이다.

To date, flipped classroom research has also been hindered by the lack of standardised assessments for courses of similar topics or content.


FLCL연구는 (MMI나 경험적 교육과 같은) 다른 교수법과 학습법의 연구와 유사한 challenge of variability에 당면해있다. 현재 대부분의 연구에서 다뤄진 FLCL은 독자나 연구자가 수업에서 이뤄진 활동 및 평가가 증거 기반 지침에 얼마나 적합지를 충분히 설명해주지 않는다.

Flipped classroom research faces the same challenge of variability seen in studies of other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such as multiple mini-interviews and experiential education. Currently, most flipped classroom designs are not described in a way that enables readers or researchers to determine the extent to which classroom activities and assessments align with evidence-based guidelines, such as those described above.


현재 플립된 강의실 연구의 한계에도 불구하고, 최선의 증거는 FLCL이 학습을 향상시킬 수 있을 것을 암시합니다.

Despite the current limitations of flipped classroom research, the best available evidence suggests that flipped classrooms can improve learning.


FLCL의 성과를 지속적으로 분석하는 것 그 자체로는 '잘못된 설계'를 고치지는 못할 것이다

Continuing to analyse flipped classroom outcomes, by itself, will not fix bungled design.


6 Chen K-S, Monrouxe L, Lu Y-H, Jenq C-C, Chang Y-J, Chang Y-C, Chai PY-C. Academic outcomes of flipped classroom learning: a meta-analysis. Med Educ 2018;52 (9):910–24. XXX


8 Schneider M, Preckel F. Variables associated with achievement in higher education: a systematic review of meta-analyses. Psychol Bull 2017;143 (6):565–600. ==


Commentaries

Flipped classrooms, by design

First published: 21 August 2018
 




의대생 및 레지던트의 소진경험에 대한 네러티브 리뷰(Med Educ, 2016)

A narrative review on burnout experienced by medical students and residents

Liselotte Dyrbye & Tait Shanafelt




도입

INTRODUCTION


의대생, 레지던트, 펠로우(연수생)의 대다수가 업무와 관련된 심각한 스트레스와 소진을 경험한다. Burnout은 다양한 차원의 구조로 특징지어진다. 

  • 감정적 지침

  • 비인격화(즉, 환자에게서 분리되거나 냉담한 느낌) 

  • 낮은 개인적 성취감

번아웃은 훈련생들의 전문적 발달을 저해하고, 환자를 위험에 처하게 할 수 있으며, 자살 관념과 약물 남용을 포함한 다양한 개인적 문제를 유발할 수 있다.

A high proportion of medical students, residents and fellows (trainees) experience severe work-related stress and burnout.1,2 Burnout is a multifaceted construct characterised by various degrees of emotional exhaustion, depersonalisation (i.e. feeling detached from or callous toward patients) and a low sense of personal accomplishment.3 Burnout can undermine trainees’ professional development, place patients at risk and contribute to a variety of personal consequences, including suicidal ideation and substance abuse.4–8


검색 전략 및 선택 기준

Search strategy and selection criteria



무엇이 trainee 번아웃 정도는 어떠하며, 어떻게 다양한 단계의 training에 따라 다른가?

WHAT IS THE EXTENT OF TRAINEE BURNOUT AND HOW DOES IT VARY ACROSS DIFFERENT STAGES OF TRAINING?


연구들은 지속적으로 모든 지역 전문 분야에 걸쳐 그리고 전 세계에 걸쳐 높은 비율의 의대생들과 전공의들이 업무와 관련된 심각한 스트레스와 번아웃를 경험하고 있다는 것을 밝혀냈다. 우리의 국가 또는 복수 기관 연구에서 우리는 의대 학생의 35-45%가 높은 정서적 기진맥진, 26–38%가 높은 비인격화, 45–56%가 번아웃을 암시하는 증상을 가지고 있다는 것을 발견했다. 제한된 단면적 데이터는 더 상위 학년에서 학생들의 번아웃 발생률이 더 높다는 것을 암시한다. 이러한 증가의 대부분은 비인격화 경험의 증가에서 기인하는 것으로 보인다. 이것은 특히, 주로 냉담하거나 환자에게 분리되어 있는 것으로 드러나는 탄화의 측면인 탈인화가 전문성에 대한 부정적인 영향과 가장 강하게 연관되어 있기 때문에 더욱 우려된다.

Studies consistently find that a high proportion of medical students and residents across all residency specialties and throughout the world experience severe work-related stress and burnout.1,2,8–15 In our national or multi-institutional studies we found that 35–45% of medical students had high emotional exhaustion, 26–38% had high depersonalisation and 45–56% had symptoms suggestive of burnout (Table 1).1,4,5,16–19 Limited cross-sectional data suggest the prevalence of burnout is higher for students in more advanced years of training.12,17,19,20 Most of this increase appears to stem from an increase in the experience of depersonalisation.17,20 This is particularly concerning because depersonalisation, an aspect of burnout primarily manifested as being callous or detached toward patients, is most strongly associated with negative effects on professionalism.4,8


레지던트 프로그램 감독들은 번아웃 증상의 상당한 부담을 의대 졸업생에게 상속시킬 가능성이 높다.

Residency programme directors are likely to inherit medical school graduates with a substantial burden of burnout symptoms.21


일단 레지던트에 들어가면, 높은 정서적 피로의 유병률은 의과대학(44-50%)과 거의 같은 수준으로 지속된다. 그러나 비인간화(32–38%)과 전체적인 번아웃(60%)은 증가한다.

Once in residency the prevalence of high emotional exhaustion continues at about the same level found during medical school (44–50%).1,8,15 The prevalence of high depersonalisation (32–38%) and overall burnout (60%), however, increases.1,10


레지던트 훈련 중 번아웃이 전공에 따라 다른지는 알려지지 않았다.

It is unknown whether the prevalence of burnout varies by specialty during residency training;


전공에 따른 잠재적 차이 외에도, 번아웃 발생의 확산은 훈련 국가와 훈련생의 출신국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In addition to potential differences by specialty, the prevalence of burnout may also vary by country of training and the trainee’s country of origin. 


훈련생들 사이의 번아웃이 세계적인 현상이고, 종종 practice까지 이어진다는 것을 보여준다.

studies indicate that burnout among trainees is a global phenomenon2,9,11 and often persists into practice.28,30


번아웃의 유병률이 증가하고 있는가?

IS THE PREVALENCE OF BURNOUT INCREASING?


지난 10 년 동안 비슷한 방법론을 사용하여 수행 한 대규모 횡단면, 다기관, 국가단위 연구의 결과를 검토해보면 정서적 고갈 및 비인간화 점수의 평균뿐만 아니라, 높은 수준의 정서적 고갈, 높은 수준의 비인간화, 높은 수준의 전반적 번아웃이 의대 학생들은 사이에서 전반적으로 상승 추세를 보이고있다 (표 1).

When reviewing results from large cross-sectional, multi-institutional or national studies conducted over the last decade using similar methodologies, the mean emotional exhaustion and depersonalisation scores, as well as the prevalence of high emotional exhaustion, high depersonalisation and overall burnout, among responding medical students appear to have an upward trajectory overall (Table 1).



다른 고강도 분야와 비교하면 실제로 얼마나 심각한 수준인가?

HOW BIG A PROBLEM IS IT, REALLY, WHEN COMPARED WITH OTHER HIGHLY DEMANDING FIELDS?


자료에 따르면, 입학에 필요한 엄격한 학업 준비를 거쳤음에도 불구하고, 의대생들은 다른 직업군의 또래들과 비슷하거나 더 나은 정신 건강상태를 가지고 의대를 시작한다고 한다.

Data suggest that despite having gone through the rigorous academic preparation required for acceptance, medical students begin medical school with mental health profiles similar to or better than peers who pursue other careers.33,34


요구 조건이 매우 까다로운 다른 분야(예: 항공 산업, 경찰 또는 군)를 준비하는 훈련생보다 의료 훈련생들 사이에 번아웃 발생이 더 흔한지는 알려지지 않았다.

It is not known if burnout is more prevalent among medical trainees than trainees preparing for other highly demanding fields (e.g. the airline industry, police or military).



왜 훈련생들의 번아웃에 관심을 가져야 하는가?

WHY SHOULD WE BE CONCERNED ABOUT TRAINEES WITH BURNOUT?


Burnout은 잠재적으로 개인적 결과뿐만 아니라 심각한 전문적 결과를 가지고 온다(표 2). 데이터에 따르면, 범아웃은 의대생들의 전문적 발달을 저해하고 많은 전문적 자질(예: 정직, 무결성, 이타주의, 자기 규제)을 저하시킬 수 있다고 한다.

Burnout has potentially serious professional as well as personal consequences (Table 2). Data suggest that burnout may erode medical students’ professional development and diminish a number of professional qualities (e.g. honesty, integrity, altruism and self-regulation).




번아웃은 또한 [낮은 공감] 및 [사회에 대한 의사의 책임에 대한 낮은 이타적인 견해]와 관련이 있다. 번아웃 상태의 의대생들은 다음을 잘 못한다

(i) 이해 상충을 적절히 관리하는 방법 식별

(ii) 문제가 있는 동료의 적절한 보고

(iii) 적절한 처방에 대한 승인

이러한 발견들은 모두, 번아웃이 의대 학생들의 전문성 발달에 광범위하고 insidious한 위협이라는 것을 암시한다.

Burnout has also been associated with lower empathy scores and less altruistic views of a doctor’s responsibility to society.4,19,36,37 Medical students with burnout are also less likely to (i) identify how to appropriately manage conflicts of interest, (ii) report impaired colleagues and (iii) endorse appropriate prescribing practices.4,18 Together these findings suggest that burnout is a broad and insidious threat to medical students’ professional development.


레지던트 동안 번아웃이 갖는 의미는 확대된다. 현재 여러 연구들은 번아웃 상태의 레지던트가 보살피는 환자들이 최적의 치료를 받지 못하고 의료 오류를 경험할 위험이 증가하고 있다고 보고하고 있다. 번아웃 상태의 레지던트는 직장에서 집중하기가 더 어렵다고 말한다. 소진(burnout)은 지식과 스킬 획득 및 적용에 필요한 인지 프로세스를 방해할 수 있습니다.

During residency the implications of burnout magnify. Several studies have now reported that patients cared for by residents with burnout are at increased risk of receiving suboptimal care and experiencing a medical error.8,15,30 Residents with burnout report greater difficulty concentrating at work.38 Burnout may impede the cognitive processes needed for knowledge and skill acquisition and application.39


번아웃 경험은 훈련생들의 커리어에도 영향을 미칠 수도 있다.

The experience of burnout may also have an impact on trainees’ views of medicine as a career.


좀 더 최근의 작은 단면적 연구는 높은 수준의 정서적 고갈 상태에 있는 학생들이 더 통제 가능한 라이프스타일을 가진 전공을 선택할 가능성이 높은 반면, 낮은 개인적인 성취도를 가진 학생들은 더 소득이 높은 전공을 선택할 가능성이 더 높다는 것을 발견했다. 일단 레지던트가 번아웃되면 직업 만족도가 낮아지고, 전공 변경을 심각하게 고려하고, 의사를 완전히 포기하는 것과 관련이 있다.

A more recent small cross-sectional study found that students with high emotional exhaustion were more likely to choose a specialty with a more controllable lifestyle whereas those with low personal accomplishment were more likely to choose a higher-income specialty.42 Once in residency burnout is associated with lower career satisfaction,10,26 increased likelihood of seriously considering changing specialty, and abandoning medicine altogether.11


전문적인 영향 이외에도, 번아웃은 엄청난 개인적 영향을 미칠 수 있다. 2012년 국가 연구는 최근 번아웃이 알코올 남용 또는 의존성의 증가 위험과 독립적으로 관련이 있다고 보고했다.

Beyond its professional ramifications, burnout can have a tremendous personal impact. A 2012 national study recently reported that burnout was independently associated with an increased risk of alcohol abuse or dependence,7


자살에 대한 생각이 있는 학생들은 알코올 중독이나 의존성도 같이 공존할 가능성이 높습니다.7 번아웃, 자살 사고, 알코올 남용 및 의존성은 충동성을 높이고 자살 수행 위험을 증가시키기 때문에 특히 위험한 3인자가 될 수 있습니다.45–47

Students with suicidal ideation are also likely to have coexistent alcohol abuse or dependence.7 Burnout, suicidal ideation and alcohol abuse or dependence may be a particularly hazardous triad as alcohol increases impulsivity and the risk of completed suicide.45–47


번아웃의 다른 개인적인 영향으로는 높은 인간관계 스트레스26 및 자동차 사고 위험이 있습니다.50

Other personal ramifications of burnout include higher relationship stress26 and risk of motor vehicle incidents.50


무엇때문에 번아웃이 생기는가?

WHAT IS DRIVING BURNOUT?


의대생들이 다른 직업을 추구하는 연령 대졸자들보다 비슷하거나 더 나은 정신 건강 프로필을 가지고 있다는 연구 결과와, 의대생들의 정신건강이 의과대학을 거치며 비슷한 연령의 다른 대학졸업생들보다 나빠진다는 결과를 가지고 보면, 번아웃의 기원은 의대의 학습과 근무 환경에 뿌리를 두고 있음을 암시한다.

The finding that matriculating medical students have a similar or even better mental health profile than age-matched college graduates pursuing other careers and that medical students’ mental health deteriorates once in medical school to become worse than that of age-matched college graduates,1,34 suggests that the origins of burnout are rooted in the learning and work environment.


교육과정과 훈련 경험의 역할은 무엇인가?

What is the role of the curriculum and training experiences?


비록 일부 스트레스의 원천은 훈련과 연습 내내 지속되지만, 다른 스트레스의 원천은 다른 직업 단계에서 다양하다.

Although some sources of stress persist throughout training and into practice, other sources of stress vary at the different career stages (Table 3).





3개 이상으로 등급이 나뉘는 의대의 학생(예: A‒F 문자 등급, 명예/높은 패스/통과/마지널 패스/실패, 명예/통과/실패)이 엄격한 Pass-Fail 교육과정에 있는 학생보다 번아웃이 일어날 확률이 1.97배 증가하였다. 다른 연구들은 의과대학에서의 첫 2년 동안 Pass-Fail로 성적을 주는 것이 집단 응집력을 촉진한다는 것을 증명했으며, grading scheme이 학습 환경이 얼마나 supportive한지에 영향을 줄 수 있다고 제안한다. 또한 grading scheme은 학생들의 의대에 대한 초기 적응을 용이하게 하고, 회복탄력성에 중요한 사회적 지지 네트워크의 개발을 촉진한다.56

Students in a grading system with three or more hierarchies (e.g. A‒F letter grade; honours/high pass/pass/marginal pass/fail; honours/ pass/fail) rather than a strict pass or fail curriculum had 1.97 times increased odds of experiencing burnout. Other studies have demonstrated that pass or fail grading schemes during the first 2 years of medical school promote group cohesion,53–55 suggesting that grading scheme may influence the degree to which the learning environment is supportive, help ease the initial adjustment to medical school and facilitate development of social support networks that are important to resilience.56


마찬가지로, 3학년과 4학년 학생들에 대한 개별 연구는 로테이션적 특성과 근무부담, 번아웃 사이의 독립적 관계를 발견하지 못했다.58 이러한 연구는 커리큘럼과 임상근무 시간은 의대생들이 경험하는 번아웃의 원인은 아닐 수 있음을 시사한다.

Similarly, a separate study of third and fourth-year students found no independent relationship between clinical rotation characteristics and workload and burnout.58 These studies suggest that curricular and clinical hours may not drive the burnout experienced by medical students.


연구 결과는 일관성이 없지만, 레지던트의 번아웃에 대해서는 과도한 작업 부담(환자 수 증가, 야간 호출 빈도 증가, 근무 시간 증가, 자가 시간 감소 등)에 흔히 기인하는 것 같다.

Among residents burnout is commonly attributed to excessive workload, with higher patient volumes, more frequent overnight calls, greater work-hours and lower autonomy associated with an increased risk of burnout, although studies are inconsistent.2,11,26,30,32,59


총 근무 시간을 제한하는 것의 이점 중 일부는 업무 압축에 의해 상쇄될 수 있다. 이 경우 동일한 업무량 및 교육 요구사항을 더 짧은 시간 내에 완수해야 하기 때문이다. 그 결과 근로시간 제한이 레지던트에 정신 건강에 미치는 net 영향은 미미해진다.

It is possible that some of the benefits of limiting total work hours have been offset by work compression,64 where the same workload and educational requirements must be completed in fewer hours, such that the net effect of work-hour limitations on residents’ mental health is neutral.



감독관의 행동이 훈련생들의 번아웃 경험과도 관련이 있습니까?

Does supervisor behaviour relate to trainee experience of burnout?


    • 전반적인 학습환경에 대한 불만과 교수진에게 받는 서포트의 양이 1학년과 2학년 학생들의 번아웃에 가장 강하게 관련되어 있었다. 

    • 반면, 전반적인 학습환경에 대한 불만족, poor한 임상실습 구조, 시니컬한 레지던트와 같이 일하는 것 등이 3학년, 4학년 학생의 번아웃과 가장 강하게 관련되었다. 

    • 또한 스스로 학대받았거나 무시당했다는 것을 인지하는 학생들이 더 많이 번아웃될 가능성이 있다는 것을 발견했다.

dissatisfaction with the overall learning environment and amount of support from faculty staff most strongly related to burnout among year 1 and year 2 students, whereas dissatisfaction with the overall learning environment, poor clerkship organisation and working with cynical residents most strongly related to burnout among year 3 and year 4 students.58 Studies have also found that students who perceive they have been mistreated or belittled are more likely to have burnout.16,58,65


마찬가지로, 슈퍼바이저와의 stressful한 관계,2 주치의의 요구,26 불충분한 자율성,26 개인적인 요구는 중요하지 않다는 인식, 시의적절한 피드백이 부족하다는 인식 등이 레지던트의 소진과 관련이 있다.

Similarly, stressful relationships with supervisors,2 attending physician demands,26 insufficient autonomy,26 a perception that personal needs are inconsequential8 and lack of timely feedback60 are associated with resident burnout.


슈퍼바이저의 행동과 trainee의 번아웃 사이의 관계를 뒷받침하는 실질적인 자료가 있지만, 인과관계에 대한 직접적인 증거는 없다. 번아웃 증세가 있는 훈련생은 학습 환경을 다르게 보고, 그 결과 학습 환경을 더 부정적으로 보게 만들 수도 있으며, 열악한 학습 환경이 번아웃을 경험하게 만들 수도 있다.

Although there are substantial data supporting a relationship between supervisor behaviour and trainee burnout, there is no direct evidence of causality. It is possible that trainees with symptoms of burnout view the learning environment differently, leading to lower ratings of factors within the learning environment, or that a poor learning environment leads to trainees experiencing burnout.


번아웃의 취약성을 증가시키는 개별 요소가 있습니까?

Are there individual factors that increase vulnerability to burnout?


인구통계학적 측면에서, 연구들은 소수 민족 학생들이 연령, 성별, 육아, 결혼 여부 등을 통제한 후, 소수 민족 학생들보다 더 많이 번아웃할 가능성이 있다는 것을 발견했다. 비슷한 결과가 레지던트에서도 발견되었다.

With respect to demographics, studies have found non-minority students to be more likely to have burnout than ethnic minority students, after controlling for age, sex, parenting and marital status.16,58,69 Similar findings have been reported among residents2


일부 연구는 여성 의대생들과 레지던트가 또한 번아웃되거나 감정적으로 소진될 위험이 더 큰 반면, 남성 레지던트는 비인간화를 더 자주 경험할 수 있다고 하였으나, 이러한 관계는 강하지 않다고 말한다. 성격 측면에서, 한 연구는 신경과민neuroticism 정도와 정서적 피로emotional exhaustion 사이의 약하지만 통계적으로 유의한 연관성을 발견했다.68

Some studies suggest female medical students and residents may also be at greater risk of burnout58 or emotional exhaustion,2 whereas male residents may more often experience depersonalisation2 but these relationships are not strong.2 In terms of personality, a study found weak but statistically significant associations between degree of neuroticism and emotional exhaustion.68


의학 외의 삶의 스트레스 요인들도 훈련생들의 인적 자원을 고갈시킨다. 개인적인 질병, 가족 구성원들의 질병과 같은 개인적인 경험, 이혼, 가족 관련 스트레스, 그리고 재정적인 걱정으로 인해 의대생들과 레지던트들의 번아웃 위험이 증가한다.29,17,60,61

Life stressors outside of medicine also drain trainees’ personal resources. Personal experiences, such as personal illness, illness in a family member, going through a divorce, family-related stress and financial concerns increase the risk of burnout among medical students and residents.2,9,17,60,61


훈련생들 사이에 번아웃의 새로운 동인은 무엇일까?

What might be some new drivers of burnout among trainees?


많은 새로운 스트레스 요인이 다음 세대의 의사들 앞에 놓여 있다. 우선, 새 의과대학 개교로 인해 레지던트 슬롯에 대한 경쟁이 치열해지고 있습니다.

A number of new stressors are on the horizon for the next generation of doctors. For one, competition for residency slots is increasing as a result of new medical schools opening,


    • 둘째, 마일스톤을 기반으로 교육을 완료할 수 있는 단축된 경로로의 유연한 진행은 평가를 가속화하고 스트레스를 증폭시킬 수 있으며, 번아웃 위험을 증가시키거나, 교육 부담을 줄이는 대신 번아웃 위험을 낮출 수 있다. 

    • 셋째, 의료 지식이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였고, [전문가 간 팀워크, 품질 및 안전, 인구 건강 및 데이터 분석]등과 같이 달성해야 할 새로운 역량이 등장하면서 curriculomegaly를 동반한 도전을 가져왔다.

    • 넷째, 오늘날 훈련생들은 급격한 환경 및 문화적 변화를 경험하며 빠르게 발전하고 변화하는 의료 시스템에 들어가고 있다. 

    • 게다가, 그들은 노동력 부족의 시대에 일할 것이다. 따라서, 훈련생들은 새로운 제약조건과 결합된 엄청난 양의 불확실성에 직면한다.71

    • Second, a milestone-based flexible progression to shortened paths to completion of training could accelerate assessments and amplify stress, increasing the risk of burnout, or lead to reduced educational burden and lower risk of burnout. 

    • Third, seemingly exponential growth in the medical knowledge to be learned, coupled with new competencies to be reached within fields such as interprofessional teamwork, quality and safety, population health and data analytics, increases the challenges that accompany curriculomegaly. 

    • Fourth, trainees today are entering a rapidly evolving and changing health care system experiencing dramatic environmental and cultural shifts. 

    • In addition, they will work in an era of workforce shortages. Hence, trainees face an enormous amount of uncertainty coupled with new constraints.71


어떤 해결책이 있는가?

WHAT SOLUTIONS OR STRATEGIES MIGHT BE EFFECTIVE?


수많은 스트레스 요인들과 개인의 선호도를 감안할 때, 만병통치약이 있을 것 같지 않다.

Given the myriad of stressors and individual preferences, a one-sized solution is unlikely.


우리는 번아웃의 근본 원인을 제거하거나 줄이고, 회복탄력성과 웰빙 증진을 열망해야 한다.

We should aspire to eliminate or reduce the root causes of burnout and promote resilience and well-being.


번아웃 위험을 줄이기 위해 훈련생들은 무엇을 해야 하는가?

What should trainees be encouraged to do to reduce their risk for burnout?


고된 훈련에도 불구하고, 모든 의료 훈련생들이 번아웃 되는 것은 아니다. 비록 번아우셍 기여하는 많은 요소들이 개인의 통제를 벗어나지만, 개인의 선택은 스트레스 요인이 웰빙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가에 영향을 미친다. 

Despite the rigours of training, not all medical trainees experience burnout.60,69 Notably, among those who do burnout, 15–25% recover over the course of the next 1–2 years without any specific programmatic intervention.61,69 Although many factors contributing to burnout are beyond individual control, personal choices have some influence on how stressors impact well-being. 


예를 들어, 의대생인 동안에 수입을 얻기 위해 다른 부업을 하는 것은 번아웃 위험을 증가시킨다. 또한 이미 번아웃 상태라면, 수입을 위한 고용상태는 번아웃에서 회복되지 않는 것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더 높은 수준의 사회적 지원을 보고한 의대생 및 레지던트는 번아웃 증상을 가질 가능성이 더 낮다. 반면에 피로가 높은 경우 번아웃 위험이 증가한다.69

For example, being employed in order to have an income while a medical student increases the risk of developing burnout, and if already burned out, employment is strongly associated with not recovering from burnout.69 Medical students and residents who report higher levels of social support are less likely to have burnout symptoms,29,69 whereas individuals with higher levels of fatigue are at increased risk of burnout.69


다음과 같은 개인 전략에 의존하면 

    • 직장이나 훈련에서 의미를 찾고, 

    • 오락, 취미 또는 운동에 정기적으로 참여하고, 

    • 긍정적인 시각을 유지하고, 

    • 지연 만족의 멘탈리티를 피하는 것(생존적 태도)

...은 번아웃의 위험을 줄여줍니다. 

Relying on a personal strategy to 

    • find meaning in work or training, 

    • engaging regularly in recreation, hobbies or exercise, 

    • maintaining a positive outlook and 

    • avoiding a mentality of delayed gratification (i.e. ‘survival attitude’) 

...lowers the risk of burnout.8,73 


다음과 같은 개인적 선택. 

    • 휴식 시간에 충분한 수면을 취할 것 

    • 인간관계와 사회적 지원을 만들고, 

    • 건강을 유지하며, 

    • 부채 부담을 줄이고, 스트레스를 관리하면 

...번아웃 위험을 줄일 수 있다(표 4). 

Personal choices that 

ensure adequate sleep during time off, 

build relationships and social support, 

maintain personal health, 

reduce debt burden and manage stress reduce the risk of burnout (Table 4).6,9,58,66,69 


자신의 정신적 웰빙의 주도권을 쥐고자 한다면, 훈련생들은 그들의 개인적인 삶과 직업적인 삶을 통합하는데 주의를 기울이는 것이 중요하다. 또한 독립적인 연구, 개인적 추적 및 휴식을 위한 적절한 시간을 할당해야 한다.

In taking ownership of their own mental well-being, it is important that trainees are attentive to integrating their personal and professional lives, with appropriate allocation of time for independent study, personal pursuits and rest.



의대생: 모든 단계의 전략

  • 개인적 행복 수준을 평가하기 위해 사용 가능한 도구를 사용합니다.

  • 정신적 또는 정서적 문제에 대한 치료 받기

  • 업무 외 시간을 관리하여 적절한 수면 보장

  • 동료, 멘토 및 교수진과의 관계 구축

  • medical error 가능성이 우려될 경우 관리자의 지원을 받으십시오.

  • 직장에서 의미 찾기

  • 스트레스를 줄이기 위해 오락과 취미에 규칙적으로 참여

  • 긍정적인 전망 유지

  • 부채 감소에 대한 조언을 구하십시오.

  • 만족을 지연하는 자세 회피

  • 인생에서 가장 중요한 것에 집중

  • 주의력 훈련을 통해 스트레스 요인에 대한 자기 인식 및 신체적, 정서적 반응 감소

  • 독립적인 학습 및 개인 추적에 시간 할당

  • 사회에 기여할 수 있는 방법 찾기(예: 헌혈 또는 자원 봉사)

  • CDC 지침에 따른 운동

  • 연령 및 성별에 맞는 건강 검진 실시

Medical Students: Strategies for all stages

  • Use available tools to assess personal level of well-being

  • Obtain treatment for mental or emotional concerns

  • Manage time away from work to ensure adequate sleep

  • Build relationships with peers, mentors and faculty staff

  • Seek support from supervisors when worried about possible medical error

  • Find meaning in work

  • Engage regularly in recreation and hobbies to reduce stress

  • Maintain a positive outlook

  • Seek advice about debt reduction

  • Avoid an attitude of delayed gratification

  • Focus on what is most important in life

  • Obtain mindfulness training to become more self-aware and lower physical and emotional reactions to stressors

  • Allocate time for independent study and personal pursuits

  • Find ways to contribute to society (e.g. donate blood or volunteer)

  • Exercise in accordance with CDC guidelines

  • Obtain age and sex-appropriate health screening



회복탄력성은 역경에도 불구하고 긍정적인 상태를 유지하는 능력이다.74 회복력은 배울 수 있고 강화될 수 있는 기술이라는 것을 주목하는 것이 중요하다. 실제로 심리학 문헌은 사회 지원과 건설적 대처 능력이 회복력에 핵심적이라는 것을 확인한다.

Resiliency is the ability to remain positive despite adversity.74 It is important to note that resilience is a skill that can be learned and strengthened.56 In fact, the psychological literature confirms that social support and constructive coping skills are pivotal to resiliency,


훈련생들은 또한 마음챙김 훈련이 스트레스를 해소하고 자기관리 활동에 참여를 촉진하는데 유용하다고 생각할 수 있다. 마음챙김 훈련은 

    • 자기 인식과 긍정적인 자기 강화, 

    • 스트레스 요인들에 대한 신체적, 감정적 반응을 낮추기 위한 전략, 

    • 의사소통 능력 훈련, 

    • 명상 및 요가 연습

...을 포함할 수 있습니다.75,76

Trainees may also find mindfulness training useful for combating stress and promoting engagement in self-care activities. Mindfulness training can include self-awareness and positive self-reinforcement, strategies to lower physical and emotional reactions to stressors, communication skills training, meditation and yoga exercises.75,76


추가적인 전략에는 훈련생들이 의료 과오error에서 관련된 것으로 의심될 때, 교수들로부터 서포트를 요청하고 솔직한 논의를 하는 것이 포함된다. 그러한 대화는 미래의 실수를 예방하고 부적절한 자기 비난과 고통을 줄이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 

Additional strategies include seeking support and frank discussions with supervising faculty staff when a trainee suspects he or she may have had a role in a medical error. Such conversations can help prevent future errors and reduce inappropriate self-blame and distress.15,78


또한 교육자는 다음의 의무가 있다.

    • 특별히 스트레스를 받는 특정 직무(예: 나쁜 소식 전달, 절차적 과제)에 대해서는 추가적 지침을 찾고, 

    • 주어진 업무 시간 내에 처리할 수 있는 업무량에 대한 합리적인 기대치를 설정하며, 

    • 교대시에는 모든 환자를 handover하여 공식적으로 업무에서 해방될 수 있도록

Trainees also have a personal responsibility to 

seek additional instruction for specific work-related tasks they find particularly stressful (e.g., relaying bad news, procedural tasks), 

set reasonable personal expectations for the amount of work-related tasks that can be completed within allowed work hours, 

and handover all patient care needs at the end of a shift to avoid extending work once officially relieved of duty.


그러나, 그렇게 하는 것은 극도로 어려울 수 있으며, 훈련자가 자신의 무능함이 교대 전에 필요한 일을 완수하는 것을 방해한다고 느끼거나, [환자에 대한 개인적인 책임]과 [아직 마치지 않았더라도 환자를 두고 병원을 떠나야 함]에 대한 상반된 메시지를 듣는 것도 스트레스를 증폭시킬 수 있다.

Doing so, however, can be extremely difficult and may amplify stress if the trainee feels their own inadequacy prevented them from getting needed work done before the end of their shift or if they hear conflicting messages about their personal responsibility for patients’ welfare and need to leave the hospital with patient-care work yet to be completed. 


또한 trainee는 변화의 문화와 지속적인 개선을 포용하여야 한다. 왜냐하면 새로운 헬스케어시스템은 환자 성과를 개선하고 비용을 절감하기 위하여 핵심 전략 및 국가 품질 우선 순위에 따라 설계 및 구현되어있기 때문이다.

Trainees will also need to embrace a culture of change and continuous improvement as new health care systems are designed and implemented consistent with key strategies79 and national quality priorities80 to improve patient outcomes and reduce costs.


또한 웰빙을 촉진하려면, trainee는 개인의 고통과 웰빙을 보정calibrate하고, 정신 건강이 환자의 학습이나 관리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지 판단하고, 적절한 때에 도움을 구해야 합니다.

To promote well-being trainees should also take steps to calibrate personal distress and well-being, determine if their mental health is adversely impacting their learning or care of patients, and seek help when appropriate.


그러나, 자료에 따르면 의사들은 자기자신의 고통 수준을 평가하는 데 서툴다. 또한 실제로 훈련생과 의사들 모두 정신 건강 문제에 대한 도움을 구하는 것을 꺼린다. 불행히도, 번아웃 상태의 훈련생들은 도움 찾기를 꺼리는데, 왜냐하면 낙인stigma, 부정적인 개인적 경험, 사회적, 문화적 요인들 때문이다. 이는 번아웃 상태의 훈련생들을 조기에 식별하고 다루는 것이 어려워지는 이유이다.

however, data suggest that doctors in practice are poor at calibrating their own level of distress81 and both trainees and doctors in practice are reluctant to seek help for mental health concerns.30,82 Unfortunately, few trainees with burnout seek help due to perceived stigma, negative personal experiences and social and cultural factors,83 which means that early identification and treatment of trainees with burnout is difficult.


어떤 조직 단위 전략이 도움이 되는가?

What organisational-level strategies might be helpful?


조직은 1차, 2차 및 3차 예방에 참여하는 다면적 접근법이 필요하며, 이러한 접근 방식은 교육자가 번아웃할 위험을 줄이고 번아웃한 경우 회복에 도움이 됩니다(표 5).

Organisations need a multi-faceted approach that attends to primary, secondary and tertiary prevention to reduce the risk of trainees experiencing burnout and helps those with burnout recover (Table 5).


표 5 의대, 레지던트 프로그램, AMC , 인증 기관 및 조직화된 의학이 웰빙 문화를 촉진할 수 있는 잠재적 방법

Table 5 Potential ways medical schools, residency programmes, academic medical centres, accrediting organisations and organised medicine can promote a culture of wellness


웰니스 커리큘럼

Wellness curriculum

  • 수련의사를 위한 웰니스 커리큘럼 구현 및 효과 평가*,†
  • 자금 지원 및 필요한 지원 제공‡
  • 핵심 역량 및 주요 프레임워크 내에서 개인 정신 건강 증진 
  • 웰니스 프로그래밍 도입 요구§
  • Implement and evaluate effectiveness of a wellness curriculum for doctors in training*,†

  • Provide funding and necessary support‡

  • Include promotion of personal mental health within core competency and milestone framework§

  • Require wellness programming§

새로운 교육 전략

New educational strategies

  • 1학년 및 2학년에 P/F grade 적용*
  • 대규모 학생 그룹을 소규모 학습 커뮤니티로 재편하여 그룹 응집력 및 사회적 지지 구축*
  • Preceptor와 함께 의미 있는 환자 관리 역할 및 연속성을 위한 기회 제공*
  • 직무압축 해소 †,‡
  • 환자구성, 로테이션 구조, 의미 있는 작업에 대한 기회, 감독의 적절성, 인지된 지원, 학습 기후 및 기타 관리 가능한 요소 등에 대한 프로그램 평가*,†
  • Absence에 대한 모니터링 및 대응을 통해 주요 생이 사건을 마주한 trainee를 지원하고, 스트레스 탐지 촉진*,†
  • 동료-동료, 동료-교수 관계를 육성하기 위한 사회 활동 구성*,†
  • 피트니스 시설에 대한 접근성 지원 *,†,‡
  • 고년차 레지던트에게 경력 조언을 통해 training에서 practice로의 전환을 쉽게 할 수 있도록 함: 계약 협상, 의료비 청구, 사무 관리, 의료 개혁 및 이와 유사한 업무 주제 등†
  • 새로운 모니터링 방법을 통해 괴롭힘을 용납하지 않는 문화를 촉진. 괴롭힘 및 부적절한 롤모델링 행동이 보고될 경우 대응*,†
  • 교수 개발을 통해 awareness를 높이고 긍정적인 학습 환경을 조성하고, 효과적이고 시기 적절한 피드백을 제공함으로써 교수들이 훈련생의 정서적 스트레스를 발견하고 반응할 수 있게 함*,†,‡
  • 교직원이 연수생 교육을 우선할 수 있도록 보상 전략 수립(예: 감독 시 합리적인 작업 부하 및 낮은 생산성을 상쇄하기 위한 보상 계획) §
  • Adapt pass or fail grading in years 1 and 2 (preclinical years)*

  • Reorganise a large group of students into smaller learning communities to build group cohesion and social support*

  • Provide opportunities for meaningful patient care roles and continuity with preceptor*

  • Address work-compression†,‡

  • Include evaluation of patient mix, organisation of rotation, opportunity for meaningful work, adequacy of supervision, perceived support, learning climate and other controllable factors during programmatic evaluation*,†

  • Monitor and respond to absences to support trainees during major life events and facilitate detection of distress*,†

  • Organise social activities to foster peer‒peer and peer‒faculty relationships*,†

  • Subsidise access to fitness facilities*,†,‡

  • Implement career advice† that includes contract negotiation, medical billing, office management, health care reform and similar practice topics for senior residents to ease transition from training into medical practice†

  • Promote culture of no tolerance of harassment through novels ways of monitoring and responding to reports of harassment and suboptimal role-modelling behaviours*,†

  • Implement faculty staff development to raise awareness and facilitate a positive learning environment with effective, timely feedback, and enable them to detect and respond to emotional distress in trainees*,†,‡

  • Develop a compensation strategy that enables faculty members to prioritise education of trainees (e.g. reasonable workload when supervising, and compensation plans to offset lowered productivity)§

선별 도구

Screening tools

  • 자기 Calibrate의 용도로 사용할 수 있는 도구 제작*,†,‡,§, §,¶ 
  • 제3자를 이용한 의료훈련자 집단 내 스트레스 스크리닝*,†,‡
  • Make tools available that individuals can use to self-calibrate*,†,‡,§,¶

  • Screen for distress in a group of medical trainees using a third party*,†,‡

돌봄 접근성
Access to care
  • 적절한 돌봄에 대한 접근과 적절한 결근 정책을 통해 trainee가 자기자신의 건강을 우선할 수 있도록 교육 *,†
  • 일반적인 근무일 중 time-off를 허용하는 커리큘럼 시간과 작업 할당을 요구하는 궂*,†
  • 정신 건강 문제로 인해 차별이 있다고 인식하거나 두려움이 있는지를 평가하여 대응*,†
  • 정신 건강 제공자 인력을 확대하기 위한 국가적 노력 지원*,†,‡,,,§,,,¶
  • 과거 또는 현재 진단 또는 치료가 아니라, 현재의 정신 건강 상태에서 발생하는 손상에 대해 질문 질문할 수 있도록 보고 요건을 지원(주 허가 위원회, 병원, 클리닉 및 의료 보험 회사)
  • 기밀 정책과 절차에 대해 교육생과 교수진을 교육하여, 정신 건강 문제에 대한 낙인을 해결하고, 도움을 찾는데에 대한 장애를 해소함. 장애에 대한 가시적인 오명; 정신 건강 문제로 인한 차별이 보고되는지 모니터링하고 이에 대응*,†,,,‡
  • 교육자의 학업 평가 또는 진급에 관여하지 않는, 편안한 위치에 있는 정신 건강 상담자에 대한 적절한 접근 보장*,†,‡
  • 정신 질환과 치료에 대한 부정적 태도를 타겟으로 한 국내 및 국가 이니셔티브를 지원합니다. *,†,‡,§,¶
  • Empower and educate trainees to prioritise their own health through adequate access to care and an adequate absenteeism policy*,†

  • Structure required curricular time and work assignments to allow for time-off during a typical workday*,†

  • Assess for perceived and feared discrimination due to mental health problems and implement response*,†

  • Support national efforts to expand the mental health provider workforce*,†,‡,§,¶

  • Advocate for reporting requirements (state licensing boards, hospitals, clinics and malpractice insurance carriers) to ask about current impairment from a mental health condition, rather than past or current diagnosis or treatment*,†,‡,§,¶

  • Tackle stigma toward mental health problems and barriers to seeking help by educating trainees and faculty staff about confidentiality policies and procedures; monitor and respond to reports of discrimination due to mental health problems*,†,‡

  • Ensure adequate access to conveniently located mental health counsellors on and off campus who are not involved in trainees’ academic assessment or promotion*,†,‡

  • Help local and national initiatives targeting negative attitudes about mental illness and treatment*,†,‡,§,¶

* Medical schools; † residency programmes, ‡ academic medical centres, § accreditation organisations (e.g. Liasion Committee on Medical Education, Accreditation Council for Graduate Medical Education), ¶ organised medicine (e.g. American Medical Association, Association of American Medical Colleges).



교육과정

Curriculum


한 가지 타당한 단계는 자기 관리, 웰빙 및 탄력성의 개념을 교육 커리큘럼에 도입하는 것이다. 혁신적 커리큘럼은 다음에 초점을 맞춰야 한다.

    • 번아웃에 대한 인식

    • 자기 관리(스트레스와 피로 감소) 

    • 마음챙김

    • 시험을 위한 전략 

    • 건강과 개인적 관심사를 유지하는 것 

    • 일과 삶의 균형 

    • 고통과 의학적 실수에 대한 대처

    • 부채 관리 및 적응형 대처 전략(예: 긍정적인 재정렬, 문제 해결 등) 

...이들은 일차 예방에 유용할 수 있습니다.

훈련생들이 어려움에 처한 동료를 지원하는 방법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되는 커리큘럼도 필요해 보이며, 그리고 동료들이 정신 건강 문제로 인해 손상을 입었을 때 언제, 왜, 어떻게 개인적으로 개입해야 하는지도 필요하다.

One reasonable step is to introduce the concept of self-care, well-being and resilience into the training curriculum. Innovative curricula focused on awareness of burnout, self-care (reduction of stress and fatigue), mindfulness, strategies for taking tests, maintaining health and personal interests, work-life balance, dealing with suffering and medical error, debt management and adaptive coping strategies (e.g. positive reframing, problem solving, etc.) may be useful for primary prevention.6,8,56,67,69,75,76,84–87 A curriculum that helps trainees understand how to support peers in distress, and when, why and how to personally intervene when peers are impaired due to a mental health problem, also appears to be needed.83


그러한 주제(예: 직장에서의 자기 관리, 고통, 주의 깊은 관행 및 일과 삶의 균형)를 다루기 위해 동료들과의 소그룹 회의를 촉진하는 것이 임상 시험에서 유용한 것으로 나타났다.88

Facilitated small-group meetings with colleagues to address such topics (e.g. self-care, meaning in work, dealing with suffering, mindful practice and work-life balance) have been shown to be useful in a randomised clinical trial involving doctors at the Mayo Clinic.88


그러한 교과과정을 기존의 학부 및 대학원 의학 교육 프로그램에 삽입하는 것은 수많은 난제를 안고 있다.

Inserting such a curriculum into the existing undergraduate and graduate medical education programmes has numerous challenges.


이러한 이니셔티브를 최적으로 설계, 구현, 평가 및 유지하는 데 필요한 리소스와 인프라를 확보하는 것은 어려울 수 있습니다.

Obtaining the necessary resources and infrastructure to optimally design, implement, evaluate and sustain such initiatives is likely to be difficult.


ACGME와 미국 소아과 위원회가 개발한 2013년 이정표95에 [정서적 한계에 대한 자기인식과 적절한 도움 추구]를 포함하게 한 것은 자기돌봄의 개념이 미국 대학원의 기본 원칙이 되고 있다는 증거이다.

Inclusion of selfawareness of emotional limitations and appropriate help-seeking in the 2013 milestones95 developed by the ACGME and the American Board of Pediatrics is evidence that the concept of self-care is becoming a fundamental principle in US graduate medical education.


새로운 교육 전략

New educational strategies


소모에 기여하는 (구조적) 요소를 식별하고 해결하기 위한 동시적 노력이 없이, 업무 관련 스트레스를 처리하는 방법에 대한 교육만을 제공하면 냉소주의가 증가할 수 있습니다. (예: '이것은 당신(=구조)의 문제이다.') 이와는 대조적으로, 그러한 훈련을 훈련 또는 연습 환경에 대한 구조적 변화와 결합하는 응집력 있고 동시적인 노력은 문제를 해결하겠다는 공동의 의지를 보여준다.

Providing training regarding how to deal with workrelated stress in the absence of a simultaneous effort to identify and address factors contributing to burnout can increase cynicism (e.g. ‘this is your problem’). By contrast, a cohesive and simultaneous effort that pairs such training with structural changes to the training or practice environment demonstrates a shared commitment to addressing the issue.


의과대학 첫 2년 동안 Pass-Fail 제도를 채택하는 것은 번아웃을 줄이고 웰빙을 개선하기 위한 증거 기반의 조직적 변화의 한 예이다. 다행히도, 1학년과 2학년 때 합격 또는 불합격 접근방식으로 전환한다고 해서 표준 시험이나 사무 수행에 대한 의료 지식 점수가 감소되지는 않는다는 것이 밝혀졌습니다.

Adopting a pass or fail grading scheme during the first 2 years of medical school is an example of an evidence-based organisational change to reduce burnout and improve well-being.53–55 Fortunately, studies have found that switching to a pass or fail approach in year 1 and year 2 does not decrease medical knowledge scores on standardised tests or clerkship performance.54,55 


직접적으로 연구되지는 않지만, norm-based 등급점수보다는 criterion-based 등급을 사용하면 웰빙을 촉진할 수 있는 임상 기간 동안 협력적 학습 환경을 촉진할 수 있다. 의대생들을 하나의 큰 집단에서 더 작은 학습 집단으로 재편하는 것은 스트레스, 불안, 우울증을 줄이는 것으로 단일 기관 연구에서 보여졌다.

Although not directly studied, using criterion-based grading rather than norm-based grading may facilitate a collegial learning environment during the clinical years that could promote well-being. Reorganising medical students from a single large group into smaller learning communities has been shown in a single institution study to reduce stress, anxiety and depression.96


휴식처와 사회활동을 조직하는 것은 관계와 동료들의 지원을 촉진할 수 있다. LC는 preceptor와의 관계에서 연속성을 위한 더 큰 기회를 제공할 수 있으며, 보다 의미 있는 관계를 촉진하고, 더 높은 서포트 및 환자 치료에 보다 실질적인 참여를 촉진할 수 있다.

 Organising retreats and social activities may foster relationships and peer support.56,66 Longitudinal clerkships may provide greater opportunity for continuity with a preceptor and facilitate more meaningful relationships, higher support and more substantive involvement in patient care.97


프로그램적 평가는 의과대학과 레지던트 프로그램이 훈련생들의 복지에 영향을 미치는 관리 가능한 요소들을 식별하고 해결함으로써 학습 환경을 최적화하는 핵심 방법이다.

Programmatic evaluation is a key way for medical schools and residency programmes to optimise the learning environment by identifying and addressing controllable factors that impact the well-being of trainees


힘들지만, 괴롭힘harassment을 없애는 것은 간접적으로 번아웃을 줄일 것이다.

Although challenging,99 eliminating harassment will indirectly reduce burnout.16,65


기존의 다원화된 전략이 이 문제를 효과적으로 해결하지 못했기 때문에, 이렇게 하려면 문화의 변화를 필요로 할 가능성이 높다.

Doing so is likely to require a culture change as existing multipronged strategies have not effectively addressed this problem.71,99,100


교수개발을 위한 이니셔티브는 직원들에게 문제의 범위, 일반적인 번아웃의 이유, 번아웃된 trainee의 확인 및 refer 방법, 기밀 유지 방법을 알려주어야 한다. 감독자의 행동이 훈련생들의 소진과 관련되어 있기 때문에, 교수개발은 핵심 교수진이 최적의 학습 환경을 구축하고, 효과적인 피드백을 제공하며 상호 관계를 강화하는 데 필요한 필수 교육 기술을 갖도록 해야 한다. 교직원들의 문제가 있는 행동을 대상으로 한 맞춤형 교정 계획을 수립하거나, 교육 업무의 재조정을 위해서는 학생과 레지던트의 교수평가를 활용할 수 있다.

Initiatives for faculty staff development should inform staff about the extent of the problem, common drivers of burnout, how to identify and refer trainees with burnout and how to maintain confidentiality. As supervisor behaviour relates to trainee burnout, staff development should ensure that core faculty members have the requisite teaching skills needed to establish an optimal learning climate, provide effective feedback and foster reciprocal relationships.66,85,86 Reacting to students’ and residents’ evaluations of faculty staff with individualised remediation plans targeting problematic faculty staff behaviours or reassignment of teaching duties is also necessary.71


스크리닝 도구

Screening tools


자가 교정과 관련된 고충 및 난관이 빈번하게 발생하는 점을 감안할 때, 번아웃 상태를 조기에 파악하고 심각한 개인 또는 직업적 결과를 방지할 수 있는 2차 예방 전략이 시행되어야 한다.101,102

Given the high prevalence of distress and challenges with self-calibration,81 secondary prevention strategies to promote early identification of burnout and prevention of serious personal or professional consequences should be put in place.101,102


그러한 접근방식으로, 개인 또는 의과대학과 레지던트 프로그램이 개개인을 스크리닝하고 개인화된 상담 또는 기타 지원 자원에서 가장 이익을 얻을 가능성이 높은 사람을 식별하기 위한 자가 평가 도구가 포함될 수 있다.

Such approaches may include self-assessment tools for use by individuals or by medical schools and residency programmes to screen for distress and identify those most likely to benefit from individualised counselling or other support resources.


이용할 수 있는 자가 평가 도구 중 하나인 7항목 의대생 및 의사 웰빙 지수가 현재 의대 학생, 거주자 및 실무 의사에서 검증되었다.103–105

One available self-assessment tool, the 7-item Medical Student and Physician Well-Being Index, has now been validated in medical students, residents and practising doctors.103–105


웹 기반 버전의 이 도구는 현재 여러 센터의 의료 학생과 의사 모두에게 평가되고 있습니다. 이 도구를 통해 학생 또는 의사는 다음을 수행할 수 있습니다. 

    • (i) 현재 웰빙 수준이 전국의 의대생 및 의사와 어떻게 비교되는지에 대한 즉각적인 피드백을 받는다

    • (ii) 웰빙 수준이 잠재적으로 심각한 개인적, 직업적 반향의 더 높은 위험을 야기하는지 확인한다

    • (iii) 시간 경과에 따른 개인적 행복의 변화를 추적한다. 

    • (iv) (웰빙을 촉진하고 의사들이 훈련 중에 경험한 다양한 우려에 대한 지원 제공하기 위하여 설계된) 지역 및 국가 자원에 적시에 접근한다. (예: 피로, 재정적 우려, 관계 문제, 직업 의사결정, 탄력성 등)

A web-based version of this tool is now being evaluated in both medical students and doctors across multiple centres. This tool enables students or doctors to: 

    • (i) receive immediate feedback on how their current level of well-being compares with medical students and doctors nationally, 

    • (ii) ascertain whether their level of well-being puts them at a higher risk of potentially serious personal and professional repercussions, 

    • (iii) track changes in their personal well-being over time, and 

    • (iv) access just-in-time local and national resources designed to both promote and nurture well-being and provide support for a variety of concerns experienced by doctors in training (e.g. burnout, fatigue, financial concerns, relationship issues, career decision making, resilience, etc.).


돌봄 접근

Access to care


자기평가 도구가 스트레스 인식과 도움에 어떻게 접근해야 하는지에 대한 인식을 촉진할 수 있지만, 훈련생들 사이에서 도움 탐색을 어렵게 만드는 장벽을 완전히 극복하지는 못할 것이다. 진료 시간 동안 개인적인 진료 예약을 위해 시간을 보내는 결근 정책은 진료에 대한 접근을 용이하게 하는 데 중요하다. 훈련자는 자신의 학업 평가나 승진 결정에 관여하지 않은 정신 건강 제공자에 접근해야 한다. 이상적으로 훈련생에게는 정신 건강 문제 관리와 관련된 기밀성 및 낙인에 대한 우려를 최소화하기 위해 외부 또는 외부 정신 건강 관리 제공업체를 위한 '네트워크 내' 옵션이 제공되어야 한다.83,106

Although self-assessment tools may facilitate recognition of distress and awareness of how to access help, they are unlikely to fully overcome barriers to helpseeking among trainees. An absentee policy that allows time-off for personal medical appointments during clinical hours is important to facilitate access to care. Trainees should have access to mental health providers who are not involved in their academic assessment or advancement process. Ideally, trainees should be provided ‘in-network’ options for off-campus or external mental health care providers to minimise concerns regarding confidentiality and stigma related to seeking care for mental health issues.83,106


많은 의대생들은 그들이 교수진과 동료 학생들이 다른 학생들의 정신 건강 문제의 기밀성을 지키지 않는 것을 보았다고 보고했으며, 또한 정서적 문제가 있는 학생들에 대한 차별적 행동을 하는 것을 보았다고 했다. 학생들은 또한 정신 건강 문제를 공개하는 것이 환자가 자신들을 보는 관점은 물론, 자신의 레지던트 훈련 기회에 악영향을 미칠 것에 대한 우려를 나타냈다.

A large proportion of medical students in this cohort reported that they had observed faculty staff and fellow students breeching the confidentiality of other students’ mental health issues and engaging in discriminatory behaviour toward students with emotional problems. The students also expressed concern that disclosing mental health issues would adversely impact their residency training opportunities as well as patients’ views of them. 


의대생들은 알코올이나 약물 남용을 하는 동료보다 정신 건강 문제를 겪는 동료를 덜 보고하려고 했다.

medical students were less willing to report a colleague impaired due to mental health problems than one impaired due to alcohol or substance abuse.18


레지던트는 부분적으로 그것이 특권의 상실이나 심지어 의사 개업의 면허까지 초래할 수 있다는 우려 때문에 정신 건강 문제에 대한 도움을 구하는 것을 꺼릴 수 있다.82

Residents may be reluctant to seek help for a mental health issue due in part to concern it may result in loss of privileges or even their license to practice medicine.82


또한, 학술 병원, 인증 기관 및 조직화된 의학은 개인의 행복에 무관심하고, 개인의 요구보다 업무를 우선시하며, 자신의 어려움과 취약점을 인정하지 않게 만드는 전문 문화에 맞설 필요가 있다.30

In addition, academic medical centres, accreditation organisations and organised medicine need to confront a professional culture that is indifferent to personal wellness, suggests that work should always be prioritised over personal needs, and discourages doctors from acknowledging their personal struggles and vulnerabilities.30


결론

CONCLUSION


The aims of such efforts should seek to promote more than the absence of burnout and include an environment in which trainees flourish, achieve high well-being and acquire the skills necessary to promote resilience.









 2016 Jan;50(1):132-49. doi: 10.1111/medu.12927.

narrative review on burnout experienced by medical students and residents.

Author information

1
Department of Medicine, Mayo Clinic College of Medicine, Rochester, Minnesota, USA.

Abstract

OBJECTIVE:

To summarise articles reporting on burnout among medical students and residents (trainees) in a narrative review.

METHODS:

MEDLINE was searched for peer-reviewed, English language articles published between 1990 and 2015 reporting on burnoutamong trainees. The search used combinations of Medical Subject Heading terms medical student, resident, internship and residency, and burnout, professional. Reference lists of articles were reviewed to identify additional studies. A subset of high-quality studies was selected.

RESULTS:

Studies suggest a high prevalence of burnout among trainees, with levels higher than in the general population. Burnoutcan undermine trainees' professional development, place patients at risk, and contribute to a variety of personal consequences, including suicidal ideation. Factors within the learning and work environment, rather than individual attributes, are the major drivers of burnout. Limited data are available regarding how to best address trainee burnout, but multi-pronged efforts, with attention to culture, the learning and work environment and individual behaviours, are needed to promote trainees' wellness and to help those in distress.

CONCLUSION:

Medical training is a stressful time. Large, prospective studies are needed to identify cause-effect relationships and the best approaches for improving the trainee experience.

PMID:
 
26695473
 
DOI:
 
10.1111/medu.12927
[Indexed for MEDLINE]


WBA: 사용자인식과 단점 극복을 위한 전략(Adv in Health Sci Educ, 2015)

Workplace-based assessment: a review of user perceptions and strategies to address the identified shortcomings

Jonathan Massie1 • Jason M. Ali2




도입

Introduction


WBA(작업장 기반 평가) 도구는 근무지 내에서 객관적으로 임상 기술을 평가하여 밀러 피라미드(Miller 1990)의 상위 계층을 평가할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하도록 설계되었습니다. '작업장 기반 평가'라는 용어는 많은 도구를 포함한다(표 1).

workplace-based assessments (WBAs). These tools were designed to provide a means of assessing clinical skills objectively, within the workplace, permitting assessment of the top tiers of Millers Pyramid (Miller 1990). The term ‘workplace-based assessment’ describes a number of tools (Table 1),



최근 몇 년 동안 의료 분야의 WBA 활용이 상당히 다양하다는 사실이 밝혀졌습니다. 그러나 또한 WBA 도구는 의도한 대로 사용되지 않았다. 특히, 그들은 형성평가보다는 총괄평가 목적으로 사용되었고, 훈련생들은 WBA를 단순한 장애물로 보았다(Bindal et al. 2011).

Over recent years there has been a realisation that engagement with WBAs in the medical workplace varies significantly, and that WBA tools are not being used as intended—in particular that they have been adopted as summative rather than formative assessments and trainees see them as simply hurdles (Bindal et al. 2011).


한 WBA에 대한 교육자 및 trainer 인식 조사(Fokema et al. 2014)에서는 

examining trainee and trainer perceptions towards WBAs (Fokkema et al. 2014).


'WBA는 교육이 어떠해야 하는지에 대한 나의 생각과 일치하다'는 것에 동의한 viewpoint가 하나도 없었음은 흥미롭다.

It was interesting to note that none of the viewpoints agreed that ‘WBAs tally with my own ideas about what education should be like’.


방법론

Methodology


문헌 고찰

The literature relating to WBAs was reviewed to identify studies examining trainee and trainer perceptions towards WBA tools.


결과

Results


WBA가 PGME에서 더 중요한 기능을 제공하므로, 사용자 수용성이 중요하다는 것을 인식하는 것이 중요하다. 학습 및 평가 도구는 모든 당사자가 완전히 engage해야만 성공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이러한 평가를 평가할 때 사용자 인식을 이해하는 것이 중요하다.

With WBAs featuring more prominently in postgraduate medical training, it is important to recognise that acceptability to users is essential. Learning and assessment tools will only be successful when all parties fully engage. Therefore, understanding user perceptions is critical when evaluating these assessments.


Trainee의 관점

The trainee’s perspective


교육 및 전문성 개발에 대한 가치

Value to training and professional development


WBA 도구는 학습을 용이하게 하고 임상 성능을 향상시키는 것을 목표로 한다. 연수생들이 WBA 도구가 이러한 목표를 얼마나 달성했다고 느끼는지를 조사한 몇 가지 연구가 있었다. 2010년 Miller와 Archer의 포괄적인 리뷰에서 MSF만이 연수생 성과 개선에 있어 효과적이라는 설득력 있는 증거를 가지고 있다는 것이 밝혀졌습니다(Miller and Archer 2010). 그러나 이 논문은 WBA가 의도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는 우려를 강조했다.

WBA tools aim to facilitate learning and improve clinical performance. There have been several studies examining the extent to which trainees feel WBA tools achieve these goals. A comprehensive review of this literature by Miller and Archer in 2010 revealed that only multi-source feedback had convincing evidence of effectiveness in improving trainee performance (Miller and Archer 2010). This paper though, highlighted concerns that WBAs were not having their intended impact.


WBAs as ‘assessments’


WBA를 둘러싼 중요한 논쟁이 생기는 분야는 '평가'라는 단어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WBA 도구는 주로 총괄평가보다는 형성평가를 목적으로 만들어졌다. (2011년 이전, 일반 의료 위원회 2010년) 그러나 훈련생들은 그들의 발달과정과 잠재적 약점보다는 성공적인 업적만을 기록하기를 바란다. (Jenkins et al. 2013) 이는 WBA의 주된 목적이 연습생에게 성찰과 지속적인 학습을 유도하기 위해 구조화된 피드백을 제공하는 것임을 고려할 때 문제를 야기한다. 안타깝게도, 훈련생들 사이에는 [여전히 자신들에게는 등급과 순위가 매겨지고 있다]는 인식이 있고, 이것은 engagement에 부정적인 영향을 주었다. (Nesbitt et al. 2013)

A significant area of contention surrounding WBAs has centred on the word ‘assessment’. WBA tools have predominantly been intended as formative, rather than summative, assessments (Beard 2011; General Medical Council 2010). Trainees though, desire only their successful achievements to be documented rather than their progression and potential weaknesses (Jenkins et al. 2013). This creates a challenge when the primary purpose is to provide the trainee with structured feedback to drive reflection and continued learning. Unfortunately, there is still a feeling amongst trainees that they are being graded and ranked and this has negatively impacted on their engagement (Nesbitt et al. 2013).


WBA가 성능에 대한 총괄평가라는 우려로 인해 다음과 같은 결과가 초래되었다고 합니다.

The concern that WBAs are summative assessments of their performance, has reportedly resulted in:


• CBD를 할 때, 성과가 좋지 않거나 복잡도가 높은 사례에 대한 논의를 회피(Mehta et al. 2013; Sabey and Harris 2011)

• signed off에 필요한 최소 요건만을 채움(Powell et al. 2014)

• 평가에 대한 스트레스가 퍼포먼스에 영향을 미치고, staged environment를 생성(Cohen et al. 2009; Tsagkataki 및 Choudhary 2013)

• Trainer는 더 유용한 구두 및 서면 피드백을 사용하는 대신 체크박스만 사용 (Sabey 및 Harris 2011).

• 더 좋은 '점수'를 기대하며 '친절한' 평가자만을 찾는 훈련생(McKavanagh et al. 2012; Rees et al. 2014; Simmons 2013)


• Trainees avoiding discussion of cases with poor outcomes or a high degree of complexity as part of case-based discussion (Mehta et al. 2013; Sabey and Harris 2011)

• Trainees undertaking the minimum required to be signed off (Powell et al. 2014)

• Stress surrounding the assessments, impacting on performance and generating a staged environment (Cohen et al. 2009; Tsagkataki and Choudhary 2013)

• Trainers focussing on the tick-box ratings, at the expense of the more useful verbal and written feedback (Sabey and Harris 2011)

• Trainees seeking ‘friendly’ assessors, hoping for a more positive ‘mark’ (McKavanagh et al. 2012; Rees et al. 2014; Simmons 2013)


WBA engagement에 영향을 미친다고 trainee가 지적한 요인들

Factors trainees report to impact on their engagement with WBAs


WBA에 대한 부정적 감정이 의료계에 만연해 있는 것은 분명하다. 이러한 측면에서, 몇몇 연구는 그런 문제를 해결하고자 훈련생들이 어떤 것이 주요 문제라고 생각하는지 알아내는 것을 목표로 삼았다. 이러한 연구에서 시간 제약이 지배적인 문제임이 반복적으로 드러난다.

It is clear that negative feelings towards WBAs are prevalent in the medical workplace. To extend this observation, several studies have aimed to identify what trainees view as being the major problems, in order that they can be addressed. These studies repeatedly identify time constraints as being a dominant concern.


시간이 부족한 결과 WBA의 우선순위가 떨어지는 간주되는 경우가 많으며, 그 결과 보고된 도구의 misuse가 일어난다(Ali 2013; Bindal et al. 2011). 이는 매년 WBA의 수를 늘려야 하는 교육 기관(Pentlow 2013)에 의해 더욱 문제가 가중된다.

As a result, WBAs are often seen as a low priority and this contributes to the misuse of the tools that has been widely reported (Ali 2013; Bindal et al. 2011). This is only further confounded by training bodies requiring increasing numbers of WBAs to be completed each year (Pentlow 2013).


또 다른 자주 제기되는 우려사항은 일반적으로 훈련생들이 평가자을 스스로 선택해야 함에도 불구하고, 평가자가 WBA에 대해 참여 및 이해가 부족한 것이다. Trainee가 평가자를 선택하는 것은 훈련생에게 자신의 학습에 대한 책임을 지도록 하는 동시에, trainer에게는 상당한 관리 부담을 덜어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평가자는 일반적으로 현재 속해있는 임상 팀의 시니어 의사 및 컨설턴트로 구성되며, 임상 성과에 대한 피드백을 제공하는 데 적합한 직속 임상 감독자는 배제되곤 한다.

Another frequently reported concern is poor assessor engagement and understanding of WBAs, despite the fact that trainees are usually required to self-select their assessors. Trainee selection of assessors serves both to empower trainees to take responsibility for their own learning, but also removes a significant administrative burden from the trainers. Nevertheless, assessors would typically comprise the senior doctors and consultants on their current clinical team—their direct clinical supervisors who should be in a good position to offer feedback on clinical performance.


물론 컨설턴트 시간은 소중하다는 인식이 있고, 바쁜 임상 환경 훈련에서는 (WBA는) 불행하게도 부차적인 것이 되는데, 이는 열의 부족으로 오해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이러한 보고서는 상당수의 훈련생들이 느끼기에 평가자가 WBA에 대해 지식과 이해가 불완전한 것으로 느낀다는 것을 암시한다.

Of course, there is recognition that consultant time is valuable, and that in the busy clinical environment training, unfortunately, takes second priority at times—which may be misconceived as a lack of enthusiasm. However, these reports go further to suggest that a significant number of trainees feel their assessors have an incomplete knowledge and understanding of WBAs, which underlies this lack of engagement.


이는 WBA가 도입된 지 몇 년이 지났음에도, 훈련생들이 보기에는 WBA에 대해 충분히 이해하지 못한다고 느끼는 트레이너가 여전히 상당히 많다는 것을 강조한다. 훈련생들이 전반적으로 그들의 평가자를 선택할 책임이 있기 때문에 이것은 매우 중요한 문제가 된다.

This highlights that even several years following the introduction of WBAs, despite becoming commonplace, there are still a significant number of trainers who trainees feel lack sufficient understanding of WBAs. This is of importance since trainees, on the whole, have the responsibility of selecting their assessors.


이미 오래 전부터 훈련생과 심사원 사이의 관계가 평가의 타당성에 상당한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것이 인식되었다(Holmboe 2004; Norcini 2003). 또한 이러한 WBA도구가 도입될 경우, 'leniency bias'로 인해 어려움을 겪고 있는 교육자를 식별하는 데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Mitchell et al. 2011).

it has long been recognised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trainee and assessor can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the validity of the assessment, (Holmboe 2004; Norcini 2003) and potentially impact on the ability of these tools to identify struggling trainees, due to the leniency bias introduced (Mitchell et al. 2011).


훈련생들이 갖는 또 다른 우려는, 수련 과정에서 WBA와 어떻게 그것들을 최대한 활용할 수 있는지에 대한 공식적인 훈련이 부족한 것에 있다. 간단히 말해서, 연수생들은 전반적으로 WBA를 완전히 이해하지 못한다. 논의된 바와 같이, 많은 이들은 예를 들어 WBA가 형성적 의도를 갖는다고 인식하지 않는다. WBA가 성공적인 구현되려면 'WBA에 대한 공식적인 교육' 핵심임이 강조된 바 있고(Saedon et al. 2010), 이는 사용자에 의해 입증되었다(Rauf et al. 2011). 그럼에도 불구하고, 의사들에 대한 최근의 연구는 10%만이 WBA 도구 사용에 대한 공식적인 교육을 받았다고 밝혔다. (Weston과 Smith 2014)

A further concern of trainees, likely to impact upon their engagement with WBAs, is a lack of formal training in the educational basis of WBAs, and how to get the most out of them. In simple terms trainees on the whole do not fully understand WBAs. As discussed, many do not recognise their formative intent for example. It has previously been highlighted that formal training in the use of WBAs is key to their successful implementation (Saedon et al. 2010), and this has been corroborated by users (Rauf et al. 2011). Despite this, a recent study of Foundation doctors revealed that just 10 % had received any formal training in the use of WBA tools (Weston and Smith 2014).


이러한 우려로 인해 많은 훈련생들은 WBA가 단순히 훈련 진행에 필요한 '허들' 또는 '체크박스'으로 간주되고 있으며, 이는 WBA 도구가 잘못 사용되는 결과를 초래한다. 예를 들어, 훈련생들은 어떤 것에 대해 평가를 받을 때, 그 전 과정에 대해 observed 되지 않았다거나, 심지어는 전혀 observed받지 않았음을 인정한다(McKavanagh et al. 2014; Nesbitt et al. 2012; Nesbitt et al). 분명히 이러한 상황에서는 WBA가 제공하는 학습 기회는 상실된다.

Together, these concerns result in many trainees seeing WBAs as simply ‘hurdles’ or ‘tick-box exercises’ required to progress in their training, and results in WBA tools being misused. For example, trainees frequently admit to not being observed for the whole duration or, in some cases, any of the clinical activity they are being assessed on (McKavanagh et al. 2012; Nesbitt et al. 2013; Rees et al. 2014; Sabey and Harris 2011; Tailor et al. 2014). Clearly, the learning opportunity afforded by WBAs is lost in these circumstances.


트레이너의 관점

The trainer’s perspective


평가자들이 WBA를 수행하는 방식은 학습, 그리고 잠재적으로 연수생들의 지속적인 참여에 중대한 영향을 미칠 것이다(Sabey and Harris 2011).

The manner in which assessors conduct WBAs will have a critical impact on the learning that occurs and potentially the on-going engagement of trainees (Sabey and Harris 2011).


WBA에 대한 지식 및 이해 

Trainer knowledge and understanding of WBAs


WBA의 목적을 이해하는 것이 성공의 핵심이다. 훈련생들이 WBA에 대한 이해가 부족한 것은 분명하며, trainee는 또한 그들의 평가자들도 마찬가지라고 인식한다.

Understanding the purpose of WBAs is central to their success. It is clear that trainee understanding of WBAs is lacking, and their perception is that this is also the case for their assessors.


따라서 현재 영국에서 GME 과정에 WBA가 설립되고 있지만, 컨설턴트 트레이너 중 상당수가 관련 교육을 받지 않았다고 계속 보고하고 있으며 이는 WBA 수행 방식에 분명한 영향을 미칠 것이다.

Thus it is apparent that despite WBAs now being established in postgraduate training in the UK, a sizeable proportion of consultant trainers continue to report not having received relevant training which clearly will have an impact on how they conduct WBAs.


교육에 대한 WBA의 가치에 대한 이해

Trainer perceptions of WBA value to training


영국의 국가 단위 조사는 훈련생과 평가관의 참여에 관한 문제에 대한 강사들의 생각을 조사하기 위해 더 나아가고 있다.

The UK national trainer survey went further to examine trainer thoughts on the problems with trainee and assessor engagement.


(Bodle et al. 2008). 특히, 이 연구에서는 훈련생 중 90%가 WBA를 시행한 결과 수술 능력이 향상되었다고 믿었고, 이는 훈련생과 트레이너 사이의 WBA 가치에 대한 인식의 차이를 부각시켰다.

(Bodle et al. 2008). Notably, in this study, 90 % of trainees believed that their surgical skills had improved as a consequence of undertaking WBAs, highlighting a potential disparity between trainee and trainer perceptions towards WBA value.


WBA 과정에 대한 잠재적인 회의론에도 불구하고, trainer들은 WBA를 타당한 평가 툴로 인식하는 것으로 보인다.

Despite potential scepticism towards the process of WBAs, trainers do appear to perceive WBAs as being valid assessment tools.


실제로 트레이니와 트레이너의 인식을 동시에 검토하는 몇 가지 연구에서 증명되었듯이, 트레이너는 훈련생보다 이 점에 있어서 더 긍정적인 시각을 가지고 있는 것처럼 보인다.

Indeed, trainers do appear to hold more positive views in this regard than trainees, as evidenced in the few studies examining trainee and trainer perceptions simultaneously.


비록 트레이너들이 WBA의 타당성에 대해 확신을 갖고 있지만, 흥미로운 점은 일부 컨설턴트들이 훈련생들의 progression에 미칠 영향을 우려하여 훈련생들의 점수를 낮게 주는 것을 꺼리고 있는 것처럼 보인다 것이다.

Although trainers feel confident in the validity of WBAs it is interesting to note studies highlighting that some consultants appear unwilling to score trainees poorly for fear of the impact this will have on the trainees progression (Royal College of Physicians 2014).


고찰

Discussion


이 리뷰에서 보고된 문헌은 WBA에 대한 사용자의 현재 인식에 대해 비관적인 견해를 제시하며, 많은 사람들이 WBA의 타당성과 가치에 대해 의문을 제기한다. 훈련자는 

  • 시간 부족, 

  • 평가자 참여 불량, 

  • WBA 목표에 대한 평가자의 불충분한 이해, 

  • 품질 불량 피드백 

  • WBA 방법론의 교육 부족

...을 부정적인 기본 요소로 식별한다. 

The literature reported in this review presents a bleak view of current user perceptions towards WBAs, with many questioning their validity and worth. 

Trainees identify 

  • a lack of time, 

  • poor assessor engagement, 

  • poor understanding of assessors towards the aims of WBAs, 

  • poor quality feedback and 

  • their own lack of training in WBA methodology as principal factors underlying their negativity. 

비록 트레이너들이 WBA에 대해 긍정적인 경향이 있지만, 이는 보편적이지 않으며, 마찬가지로 가용 시간의 중요성을 강조하면서도, WBA의 성공을 가로막는 중요한 요소로 훈련생들의 disengagement을 강조한다. 어떤 면에서 이러한 결과는 MSF와는 달리, WBA 도구는 임상 성과에 의도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고 결론 내렸던 Miller와 Archers의 체계적인 검토 결과를 보완한다(Miller and Archer 2010).

Although trainers tend to be more positive towards WBAs, this is not universal and they similarly highlight available time, but also trainee disengagement as important factors hindering the success of WBAs. In some ways, these results complement the findings of Miller and Archers systematic review which concluded that apart from multi-source feedback, WBA tools were not having their intended impact on clinical performance (Miller and Archer 2010).


지금까지 논의한 바로는 의료계에는 복잡한 전문적 행동의 평가하고자 환원적 '체크리스트'식 접근법을 사용하는 것에 대해 '매우 의심스럽다'고 한다. 또한 WBA에 대한 '널리 퍼진 냉소'가 있다. 이로 인해 WBA가 많은 곳에서 오용되고, 많은 이들이 WBA를 그저 훈련 진행에 있어 불편한 '체크박스'로 간주하게 되었다. 또한 WBA 도구는 의도했던 대로 작동하지 않습니다. 이런 이유로, 영국의 GME 프로그램에 대한 공식적인 검토 보고서는, 특히 WBA가 긴급히 해결해야 할 문제임을 강조한다(Collins 2010; Hiorut 2005).

from the discussion thus far it is clear that the medical profession remains ‘rightly suspicious of the use of reductive ‘tick-box’ approaches to assess the complexities of professional behaviour’ and that there is ‘widespread cynicism’ towards WBAs (Academy of Medical Royal Colleges 2009). This has resulted in WBAs being widely misused and regarded by many as merely an inconvenient ‘tick-box’ to progress in their training. In the workplace these tools are not performing as was intended. In agreement, reports following formal review of postgraduate training programmes in the UK specifically highlight WBAs to be a problem that needs to be urgently addressed (Collins 2010; Eraut 2005).


WBA에 대한 trainee 경험 개선하기

Improving trainee experience of WBAs


(Table 3).

Table 3 A list of strategies to improve trainee engagement

Trainee Engagement 향상 전략

Strategies to improve trainee engagement with WBAs

  • '감독하의 학습 이벤트'로 이름을 변경하여 WBA의 목적 명확화

  • WBA에 대한 노출을 의과대학 커리큘럼의 필수 구성요소로 함

  • WBA에 대한 지속적인 이해를 보장하기 위한 교육자 대상 반복 훈련

  • 평가자를 위한 필수 교육, 아마도 인증 필요할지도.

  • 컨설턴트 계약에 교육 시간 포함

  • 태블릿/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WBA 양식에 대한 접근성 향상

  • 평가자가 피드백을 제공하는 기술에 익숙해지도록 보장

  • Clarifying the purpose of WBA by renaming as ‘Supervised Learning Events’

  • Exposure to WBAs a mandatory component of medical school curricula

  • Repeated training of trainees to ensure ongoing understanding of WBA

  • Mandatory training for assessors, perhaps requiring certification

  • Building training time into consultant contracts

  • Improving accessibility to WBA forms with tablet/smartphone applications

  • Ensuring assessors are versed in the art of giving feedback


WBA의 목적 명확화

Clarifying the purpose of WBAs


첫째, WBA 방법론의 중요성이 강조되었다. (Academy Royal Colleges 2009; General Medical Council 2010) 이는 심사원들에게도 적용된다. 그러나 그러한 훈련에 임상의사를 참여시키는 것은 어려운 일일 수 있다.

Firstly, the importance of training in WBA methodology has been highlighted (Academy of Medical Royal Colleges 2009; General Medical Council 2010). This also applies to assessors. However, engaging clinicians in such training can prove to be a challenge.


이와 관련하여, 의과대학에서 특히 형성적 도구로서 의대생들의 WBA 도구에 대한 노출을 증가시킬 수 있다. 이것은 학생들이 직장-기반 학습에 참여하도록 촉진할 뿐만 아니라, 교실에서 학습된 임상 지식의 재-맥락화를 촉진할 것이다(Van Oers 1998). 이러한 조기 참여는 그들의 훈련에 계속될 WBA에 대한 긍정적인 인식을 확립하게 유도할 있다.

A related suggestion is to increase exposure of medical students to WBA tools during medical school, particularly as formative tools. Not only will this promote engagement of students with workplace-based learning, it will facilitate the re-contextualisation of clinical knowledge learnt in the classroom (Van Oers 1998). This early engagement, may permit establishment of positive perceptions towards WBAs that will continue into their training.


두 번째 접근 방식은 WBA 도구의 용도를 강조하기 위해 이름을 바꾸는 것을 고려하는 것이다. GMC는 형성적 피드백을 제공하도록 설계된 도구에 대해 감독적 학습 이벤트(SLE)라는 이름을, 총괄적 도구에게는 AoL이라는 이름을 제안했다(General Medical Council 2010). '평가'라는 단어를 삭제하고 '학습'을 도입하는 것은 도구의 형태적 의도를 명확하게 해줄 것으로 생각된다.

The second approach is to consider re-branding WBA tools to emphasise their purpose. The GMC have proposed adoption of new nomenclature: supervised learning events (SLEs) for tools designed to provide formative feedback, and assessments of learning (AoL) for summative tools (General Medical Council 2010; Kessel et al. 2012). It is felt that removing the word ‘assessment’ and introducing ‘learning’ will explicitly clarify the formative intent of the tools.


SLE에는 학습적 기능에 대한 강조가 이미 주입되어 있으므로, '이제 갓 면허를 취득한' 의사들에게 SLE를 도입한다면, 그들이 나중에 WBA를 만나더라도 좀더 긍정적인 태도를 가질 수 있다. 고무적인 초기 징후는 SLE가 사용자로부터 더 높은 수준의 지원을 받는다는 것이다(Ree et al. 2014; Cho et al. 2014). 그러나 변화의 속도가 빨라지자 사용자, 특히 트레이너들이 혼란스러워하기 시작한다는 증거도 있으며, 이로 인해 선의가 위험에 빠질 수도 있다(최종 외 2014).

Introducing SLEs to ‘just-qualified’ doctors may also engender a more positive attitude when encountering WBAs later in their training, since emphasis on their learning functions have already been instilled. Encouragingly, early signs are that SLEs have a higher level of support from users (Rees et al. 2014; Cho et al. 2014). However there is also evidence that the fast pace of change is beginning to confuse users, particularly trainers, which may place this goodwill in jeopardy (Cho et al. 2014).


시간 문제 관리

Managing the problem of time


여전히 연습생과 트레이너 모두에게 WBA와의 완전한 참여를 위해 가장 자주 언급되는 문제는 가용 시간 부족입니다. 이와 관련하여 WBA가 전체적으로 치과 교육생에 의해 긍정적으로 받아들여졌다는 점이 주목할 만하다(Griveson et al. 2011; Kirton et al. 2013).

Lack of available time remains the most frequently quoted challenge to full engagement with WBAs, by both trainees and trainers. In this regard it is notable that WBAs have been, on the whole, positively received by dental trainees (Grieveson et al. 2011; Kirton et al. 2013).


시간 부족의 결과로 나타나는 흔한 시나리오는, 평가자가 임상 작업을 관찰하지만 (서면 피드백이 있는) 양식이 종종, 몇 달 후에 작성되고, 이 때는 사건에 대해 충분히 기억을 기대하기 어렵게 되므로, 그것의 타당도에 의심을 갖게 된다. 또한, 이러한 상황에서 trainee는 평가자에게 문서화를 독촉해야 하게 되므로, 훈련자와 trainer 사이의 관계에도 부담이 될 수 있다(Rees et al. 2014).

A scenario commonly reported to be a consequence of the lack of time, is that a clinical task is observed by an assessor but forms (with written feedback) are completed, sometimes, months later, when it is difficult to expect reliable recollection of the event sufficient to provide feedback, questioning its validity (Basu et al. 2013; Bindal et al. 2013; Tailor et al. 2014). This may also strain the relationship between trainee and trainer as the trainee is made to pursue the trainer for documentation (Rees et al. 2014).


Addressing the quality of feedback provided


WBA에 따라오는 피드백의 품질은 일부 세부적으로 검토되었으며, 많은 저자들의 결론은 제공된 피드백이 목적에 맞지 않으며 심지어 동기 감소와 같은 훈련생들에게 해로운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는 것이다.

The quality of feedback provided as part of WBAs has been examined in some detail and the conclusion of many authors is that the feedback provided is not fit for purpose, and may even have detrimental consequences on trainees such as decreasing their motivation (Hattie and Timperley 2007; Saedon et al. 2012).


평가관이 WBA를 이수하는 과정에서, 그리고 특히 효과적인 피드백을 제공하는 방법에 대한 공식 교육이 크게 부족한 것이 훈련생에게 제공되는 피드백의 퀄리티가 낮은 근본적인 요소일 가능성이 높다. 이와 관련하여, 피드백의 품질을 개선하기 위해 평가자 훈련의 제공을 증가시키는 것이 제안되었다(Babu et al. 2009; Basu et al. 2013; Norcini and Burch 2007; Pelgim et al., 2012). 

It is likely that the widespread lack of formal training for assessors in completing WBAs, and perhaps specifically on how to provide effective feedback, is the major factor underlying the poor quality feedback being provided to trainees (Norcini and Burch 2007). In this regard, increasing the provision of assessor training has been suggested to improve the quality of feedback (Babu et al. 2009; Basu et al. 2013; Norcini and Burch 2007; Pelgrim et al. 2012). 


그럼에도 불구하고, 의료 근무환경 전반의 피드백 품질을 다루는 것은, 특히 그러한 교육 프로그램에 평가자를 참여시키기가 어렵다고 보고되온 것을 고려하면, 간단하지 않다(Canavan et al. 2010). 그러나, 아마도 미래에는 trainer에게 피드백 제공에 대한 필수 교육을 받도록 요구하고, 이것을 certification의 조건으로 만드는 것이 필요할 수도 있다. 특히 이 문제를 진지하게 해결하려면 더욱 그러할 것이며, 왜냐하면 특히 트레이너들의 전문성 개발이 교육 도구로서 WBA의 성공에 중요한 것이기 때문이다(Norcini and Burch 2007).

Despite this, addressing the quality of feedback throughout the medical workplace is not straightforward, particularly considering the challenges reported in engaging assessors in training (Canavan et al. 2010). However, requiring trainers to undertake mandatory training in providing feedback and perhaps going so far as to require certification, should perhaps be a considered a requirement in the future, if a serious attempt at addressing this concern is to be made; especially since professional development of trainers is considered critical to the success of WBAs as an educational tool (Norcini and Burch 2007).


한계

Limitations


주로 영국 중심 연구

The major limitation of this review is its UK centric nature.


미래 방향

Future directions


결론

Conclusion


WBA는 GME에서 '일반적인 것'이 되었다. 그러나 훈련생과 평가자는 자신이 정기적으로 사용하는 도구의 교육적 토대를 불완전하게 이해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이것은 WBA 가치에 대한 인식과 학습 보조 도구로서 WBA에 engage하는 것에 부정적인 영향을 끼쳤고, 결과적으로 그들의 오용을 초래했다.

Workplace based assessments have become the ‘norm’ in postgraduate medical training. However, trainees and their assessors appear to have incomplete understanding of the educational basis of the tools they are regularly using. This has had a negative impact on both their perceptions of WBA value and their engagement with the tools as learning aids, resulting in their widespread misuse.


사용자 이해 부족, 가용 시간 부족, 피드백 제공 트레이너 불충분한 훈련 등 세 가지 주요 기본 문제

the three dominant underlying problems: lack of user understanding, lack of available time and insufficient training of trainers in feedback provision.






 2016 May;21(2):455-73. doi: 10.1007/s10459-015-9614-0. Epub 2015 May 24.

Workplace-based assessment: a review of user perceptions and strategies to address the identified shortcomings.

Author information

1
School of Clinical Medicine, University of Cambridge, Cambridge, UK.
2
Department of Surgery, University of Cambridge, BOX 202, Addenbrookes Hospital, Cambridge, CB2 0QQ, UK. ja297@cam.ac.uk.

Abstract

Workplace based assessments (WBAs) are now commonplace in postgraduate medical training. User acceptability and engagement is essential to the success of any medical education innovation. To this end, possessing an insight into trainee and trainer perceptions towards WBAs will help identify the major problems, permitting strategies to be introduced to improve WBA implementation. A review of literature was performed to identify studies examining trainee and trainer perceptions towards WBAs. Studies were excluded if non-English or sampling a non-medical/dental population. The identified literature was synthesised for the purpose of this critical narrative review. It is clear that there is widespread negativity towards WBAs in the workplace. This has negatively impacted on the effectiveness of WBA tools as learning aids. This negativity exists in trainees but also to an extent in their trainers. Insight gained from the literature reveals three dominant problems with WBA implementation: poor understanding as to the purpose of WBAs; insufficient time available for undertaking these assessments; and inadequate training of trainers. Approaches to addressing these three problems with WBA implementation are discussed. It is likely that a variety of solutions will be required. The prevalence of negativity towards WBAs is substantial in both trainees and trainers, eroding the effectiveness of learning that is consequent upon them. The educational community must now listen to the concerns being raised by the users and consider the range of strategies being proposed to improve the experiences of trainees, and their trainers.

KEYWORDS:

Engagement; Implementation; Perceptions; SLEs; Supervised learning events; Trainees; Trainers; WBAs; Workplace based assessment

PMID:
 
26003590
 
DOI:
 
10.1007/s10459-015-9614-0


역량에서 인간적 관심으로: 의학교육에서 앎과 이해의 방법(Acad Med, 2014)

From Competencies to Human Interests: Ways of Knowing and Understanding in Medical Education

Arno K. Kumagai, MD



전문직을 위한 진정한 고등 교육은 교육과정에 전문적으로 정의된 역량을 반영하는 것에 만족해서는 안 되며, 추론, 행동, 성찰에 대한 대안적인 방식을 주장해야 한다. 

—Ronald Barnett, 역량 한계: 지식, 고등 교육 및 사회, 19941

A genuine higher education for the professions will not be content with reflecting the professionally defined competencies but will assert alternative modes of reasoning, action, and reflection into the curriculum. 

—Ronald Barnett, The Limits of Competence: Knowledge, Higher Education, and Society, 19941


의학의 핵심은 인간 과학이다. 그것은 고통을 완화하고 건강을 최적화하기 위해 인간의 필요와 관심사에 과학을 적용하는 것이다.

At its core, medicine is a human science. It is the application of science in the service of human needs and interests in order to alleviate suffering and optimize health.


CBME는 의료 윤리, 전문성, 의사-환자 관계, 다양성과 사회 정의의 문제 및 사회적, 사회적 관련성이 있는 다른 의학 분야의 교육을 요구한다. 어떻게 의사들에게 이 모든 이질적인 분야에서 탁월하도록 교육시킬 수 있을까? 현재 지배적인 접근법은 역량 모델,2,3이다.

This requirement involves education in medical ethics, professionalism, the doctor–patient relationship, issues of diversity and social justice, and other areas of medicine that have social and societal relevance. How does one educate physicians to excel in all of these very disparate areas? Currently, the predominant approach is the competency model,2,3


그러나 역량 모델은 훌륭한 의사가 되기 위해 필요한 "모든 유형"의 지식에 정말로 적절한가?

However, is the competency model truly appropriate for all of the types of knowledge necessary to become and be a good physician?



다양한 방식의 '앎'

Different Ways of Knowing


의학과 인간 과학을 가르치기 위한 교육 프로그램을 시행하는 경우, 인식론적 의문이 제기된다. 기초 및 임상 생명 의학의 연구로부터 얻은 지식은 사회적, 사회적 관련성이 있는 의학 연구 분야에서 얻은 지식과 같은가?

In implementing educational programs to teach medicine-as-human-science, there arises a question of epistemology: Is knowledge gained from the study of basic and clinical biomedical sciences different from that acquired in studying areas of medicine that have social and societal relevance?


서로 다른 형태의 지식이 존재하는지에 대한 질문은 단순히 학문적인 것이 아니다. 왜냐하면 [가르친 내용에 대한 이해]는 이 과목들을 어떻게 가르치고, 배우고, 평가하는지에 핵심적이기 때문이다.

The question about whether or not there are different types of knowing is not merely an academic one, because an understanding of what is taught is central to how these latter subjects are taught, learned, and assessed.


지식과 인간의 관심사에서, Habermas4는 지식은 가치와 무관한 진공상태에서 생성되는 것이 아니라, 특정한 흥미나 목표에 대응하여 생성되는 것이라고 주장한다. 그는 인간의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모든 지식은 세 가지 인지적관심 범주 중 하나에 의해 구동된다고 주장한다(표 1 참조).*

In Knowledge and Human Interests, Habermas4 argues that knowledge is not generated in a  value- free vacuum; rather, it is created in response to specific interests or goals. He posits that all knowledge that influences human action is driven by one of three categories of cognitive interests (see Table 1).*


도구적 흥미는 자연적 과정을 이해하고 관리하는 것을 목표로 하는 기술적 지식을 만들어낸다. 이러한 종류의 지식은 고전적 실험(예: 관찰, 가설 생성 및 테스트)의 접근방식을 사용하여 검증되며 자연과학에서 지배적인 접근이다.

Instrumental interests generate technical knowledge whose goal is the understanding of, and technical control over, natural processes. This type of knowledge is validated using approaches of classical experimentation (i.e., observation, hypothesis generation, and testing) and is the dominant approach in the natural sciences.


의사소통적 흥미는 실용적인 지식을 만들어 내는데, 그 목표는 공통적인 전통 안에서 행동의 방향을 정하고 합의를 촉진하는 것이다. 역사학나 사회과학처럼 이 접근방식의 대상이 되는 영역은 [진술이나 행동의 타당성]이 [특정 관심영역에 관한 합의]와 부합하는지를 통해 연구된다. 새로운 아이디어나 행동이 합의된 전통에 얼마나 "부합"하는지가 중요하다.

Communicative interests generate practical knowledge whose goal is to orient actions within common traditions and to foster consensus. Areas that are subject to this approach, such as history or the social sciences, are studied through techniques that verify the validity of statements or actions with respect to a consensus regarding specific areas under consideration—that is, how new ideas or actions “fit” within a greater agreed-on tradition.


마지막으로, 해방적 흥미는 중요한 지식을 생성하며, 이 지식의 목표는 지식과 학습을 인간의 이익과 필요와 연계시켜 인간을 고통, 억압, 부정으로부터 해방시키는 것이다.4

Finally, emancipatory interests generate critical knowledge, whose goal is to link knowledge and learning together with human interests and needs in order to free human beings from suffering, oppression, and injustice.4


이러한 관점에서 볼 때, 의과대학 커리큘럼의 기초를 형성하는 지식은 기술, 실용 및 비판적 유형으로 분류될 수 있다(표 1).

Viewed from this perspective, knowledge that forms the foundation for medical school curricula may be classified into technical, practical, and critical types (Table 1).




기술적 지식은 도구적 흥미에서 비롯되며, 기초 과학 및 임상 실험을 통해 검증된 광범위한 생물 의학 및 임상 의학을포함한다.

Technical knowledge arising from instrumental interests includes the vast breadth of the biomedical sciences and clinical medicine, which is validated through basic science and clinical experimentation.


실용적 지식은 의사소통적 흥미에서 발생하며, 대체로 학습(대체로 역량), 진단기준, 임상행위의 표준 등에 대한 합의에 기반한 표준를 학습하고 실천하는 것을 포함한다. 유형에 속하는 지식의 타당성은 전문가의 합의문이나 모범적 사례의 표준의 구성요소에 대한 공통적인 이해에서 확보될 수 있다.

Practical knowledge arising from communicative interests may be broadly interpreted to include areas of learning and practice whose standards are based on consensus and include standards for learning (e.g., most “competencies”), diagnostic criteria, and standards of clinical practice. The validity of this type of knowledge is provided by, for example, an expert consensus statement or a commonly shared understanding of what constitutes the standards of best practice.


비록 의학 훈련에서의 많은 학습들이 [기술적인 지식]과 [의사소통적이고 합의적인 기반의 최선의 임상적, 교육적 실천에 대한 이해]를 지향하지만, 의사들이 오늘날의 사회에서 일하기 위해 필요한 모든 교육이 도구적 흥미나 의사소통적 흥미에서 오는 것은 아니다.

Although much of the learning in medical training is appropriately directed toward technical knowledge and a communicative, consensus- based understanding of best clinical or educational practices, not all of the education necessary to prepare physicians to work in today’s society arises from instrumental or communicative interests.


해방적 흥미 및 그로부터 생성된 비판적 지식은 자기성찰과 담론을 통해서 촉진되며, 성찰적 자아를 사회 속의 다른 사람들 및 사회적 대인관계와 연결시킨다. 그러나 생의학과 임상과학에서, 지식은 practice of medicine 및 사회적 요구의 명확한 관계 없이도 습득될 수 있다.

This emancipatory interest is expressed, and the critical knowledge it engenders is fostered, through self- reflection and discourse and anchors a reflective self with others in social and societal interactions.5 In the biomedical or clinical sciences, knowledge may be acquired and used without an explicit connection between the practice of medicine and societal needs,


인본주의적 가치를 다루는 영역에서, 의학 교육의 목표는 비판적 자기인식을 촉진하고, 의학의 사회적 이슈에 대한 이해(대인관계와 사회 양쪽 모두)를 습득하며, 개인적이고 윤리적인 실천에 대한 접근법을 개발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in areas that incorporate humanistic values , the goals of medical education are directed toward fostering critical self-awareness, acquiring an understanding of social issues (both interpersonal and societal) in medicine, and developing an individual approach to reflective, ethical practice.


이러한 인식론적 위상을 설명하는 목적은 의학교육에 포함된 다양한 앎의 방법을 강조하기 위해서이다. 즉 앎의 방법에 따라서 서로 다른 교육학적 접근방식과 평가 방법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위상을 강조하는 두 번째 이유는 특정한 방식의 앎을 다른 영역의 배움에 독점적으로 강조하는 위험성을 강조하기 위함이다.

The purpose of creating this epistemological topology is to emphasize the different ways of knowing that are included in medical education—ways of knowing that require different pedagogical approaches and means of assessment. A second rationale for such a topology is to underscore the risks that an exclusive emphasis on specific ways of knowing has on learning in other areas.



[전문직으로서 세상 속에 존재함]의 개발

The Development of a Professional Being-in-the-World


그렇다면, 해방적 관심에서 유도되는 학습목표는 무엇일까요?

So what is the object of learning derived from emancipatory interests?


그것은 자신과 타인을 향한 근본적인 개인적, 직업적 지향의 개발을 포함한다. 이는 [세상에 존재하는 방법]으로서, 의학의 실천은 항상 인간의 이익을 가장 앞이자 중심에 두고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존재 방식"은 강의를 통해서는 효과적으로 가르칠 수 없으며, 객관식 시험을 통해서 평가될 수 없고, 성찰, 대화, 경험을 통해 암묵적으로 습득되어야 한다.

it involves the development of a fundamental personal and professional orientation towards self and others—a way of being in the world—in which the practice of medicine always has human interests front and center. This way of being cannot be taught didactically through lectures and assessed through multiple-choice exams but must be acquired tacitly through reflection, dialogue, and experience.


폴라니에 따르면, 암묵적 지식"우리는 우리가 말할 수 있는 것보다 더 많이 알 수 있다"는 사실에 근거하고 있다. 명확히 알려져 있고 쉽게 회상가능한 지식과는 대조적으로, 암묵적 지식은 기억과 의식에 깊숙이 존재하고 있으며, 개인과 환경 사이의 상호작용에서 비롯된다. Polanyi는 암묵적 지식이 두 개의 상호 관련 부분으로 구성된다고 주장한다:

  • 근위부: 즉각적인 효과를 통해서만 인식하는 것

  • 원위부: 근위부에 의해서 매개되는 존재에 대한 것

According to Polanyi,7 tacit knowledge is based on the fact that “we can know more than we can tell.” In contrast to knowledge that is explicitly known and easily recalled, tacit knowledge exists deep in memory and consciousness and stems from the interactions between an individual and his or her environment. Polanyi posits that tacit knowledge consists of two interrelated parts: a “proximal term,” of which we are aware only through its effect on a second, or “distal term,” whose presence is mediated by the first.7(p9)


이 점을 설명하기 위해 폴라니(Polanyi)는 지팡이를 짚고 걷는 맹인의 예를 이용한다.7 개인은 자신의 주위에 무엇이 있는지를 인식하기 위해 지팡이를 두드려 세상을 알아본다. 이 경우 지팡이를 두드리는 것이 그의 손 안에 만들어내는 즉각적인 감각은 "근위부"이고, 주변 세계, 즉 그가 궁극적으로 참여하게 되는 것은 "원위부"입니다. 폴라니 교수는 비록 개인은 지팡이 두드림으로써 주변 세계를 인식하게 되지만, 맹인이 원위부(즉 세계)에 대해서 배우고 알게 되는 것은 오직 근위부에 대한 의존을 통해서이다.

To illustrate this point, Polanyi uses the example of a blind man walking with a cane.7 The individual negotiates the world by tapping with the cane in order to perceive what is around him. In this case, the immediate sensation that the tapping of the cane produces in his hand is the “proximal term,” and the surrounding world—the object to which he ultimately attends—is the “distal term.” Polanyi states that although the individual attends from the tapping of the cane to the surrounding world, it is only through his reliance on the proximal term that he learns of and knows the distal term—that is, the world.


다시 말해, 세계에 대한 우리의 이해(원위부)는, 우리가 세계에 어떻게 접근하는지(근위부, 두드림)에 의해서 매개된다. 하지만 우리가 인식하고 "설명"할 수 있는 것은 오직 "원위부"일 뿐이다.

In other words, our understanding of the world (the distal term) is mediated by our ways of approaching the world (via the proximal term, “tapping”); however, it is only the distal term—the world—that we are conscious of and can “tell.”7


전문직에서 있어서 지식과 지향(우리가 세상 속에 존재하는 방법)이란 원위부의 행동(즉, 환자돌봄행동)을 지시하는 근위부의 기준이다. 훈련 과정을 통해 환자에 대해 습득한 성향(인본주의, 전용, 윤리, 현명한 또는 그 반대의 것들)은 원위부 행동(의료 행위)을 처리하는 무의식적 방법이다. 우리는 이 두 가지(타인에 대한 태도와 환자에 대한 돌봄)를 모두 알고 있지만, 그 중에서 우리가 말로 표현할 수 있는 것은 단 하나(두 번째)뿐이다(즉, 우리의 의식에 나타난다).

The knowledge and orientation—the ways of being in the world—for the professional are a proximal referent to a distal action—that is, caring for patients. The disposition that one acquires through training with regard to patients—humanistic, dedicated, ethical, judicious, or their opposites—are the oft-unconscious ways in which one attends to the distal term—the practice of medicine. We know both of these things—dispositions toward others and caring for patients—but only one (the second) we can tell (i.e., that rises to our awareness).


Polanyi7은 우리가 어떤 것이 암묵적 지식의 근위부로 작동하게 만든다는 것은, 그것을 우리 자신의 한 부분으로 만들어 우리 안에 머물도록 하는 것이라고 말하였다. 이러한 "indwelling"의 중심적 개념은 도덕적 교훈의 "내면화"(내부화)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Polanyi7 posits that when we make a thing function as the proximal term of tacit knowing, we incorporate it into our selves so that it comes to dwell within us. This central concept of “indwelling,” plays a critical role in the “interiorization” (internalization) of moral lessons:


내면화한다는 것은 질문에 따르는 가르침으로부터 우리 자신을 확인하는 것으로, 실제로 적용되는 암묵적 도덕적 지식을 근위부로 만들어 기능하게 함으로써, 실천에 적용하는 것이다. 이것은 우리의 도덕적 행동과 판단에 대한 암묵적인 체계를 확립한다.7(p17)

To interiorize is to identify ourselves with the teachings in question, by making them function as the proximal term of a tacit moral knowledge, as applied in practice. This establishes the tacit framework for our moral acts and judgments.7(p17)



임상 훈련 중에 의학에서 암묵적으로 학습된 자신과 다른 사람에 대한 가치, 관점, 세계관은 오래 유지되는데, 왜냐하면 그것들은 우리 안의 깊은 곳에 묻히고, 머물고 있어서, 일반적으로는 의식적인 질문의 대상이 되지 않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에 따라오는 과제는 "숨겨진 교육과정"과의 상호작용을 통해 학습된 가장 부정적이고 비인간적인 교훈을 비판적탐구, 인간적탐구 아래로 가져오는 것이다.

Values, perspectives, and worldviews about oneself and others in medicine tacitly learned through interactions during clinical training persist because by being tacit, they are buried deep—and dwell within—us and, as such, are not normally subject to conscious critical questioning. The challenge, then, is to bring the most negative, dehumanizing lessons learned through interaction with the “hidden curriculum” under critical, humanistic inquiry.


역량, 그리고 앎의 해방적 방식

Competencies and Emancipatory Ways of Knowing


역량10 및 역량 기반 교육의 정의에서, 몇 가지 주제가 일관된다. 

  • 첫째, 학습 과정 자체보다는 성과에 중점을 두어 progress의 benchmark로 삼는다. 

  • 둘째, 성과는 반드시 관찰할 수 있어야 한다. 그 아래 내재된 역량은 관찰 가능한 행동으로부터 추론된다. 

  • 셋째, "객관적" 데이터의 생성과, 그리고 결과와 평가의 표준화가 우선이다. 

  • 넷째, 학습자의 진행은 (이러한 목표를 달성하는 데 걸리는 시간이 아니라) 역량 성취도로 측정된다.

definitions of competency10 and competency- based education,2,11 several themes are consistent. 

  • One: There is an emphasis on the outcomes achieved as a benchmark for progress rather than the under- lying learning process itself. 

  • Two: Out comes must be observable. Underlying competence is then inferred from observable actions. 

  • Three: Standardization of outcomes and assessments is a priority, as is the generation of “objective” data. 

  • Four: A learner’s progression is measured in terms of fulfillment of competencies rather than the time taken to achieve these goals.


역량 기반 노력은 일반 교육과 의학교육 모두에서 [인간 행동과 전문적 이해의 복잡성을 무시하는 환원주의적 접근]으로 비판받았으며, 또한 전문직 실천의 중요한 측면인 "심층적, 성찰적 참여"를 무시할 위험이 있다고 지적받았다.

Competency- based efforts have been criticized both in general education1,3 and in medical education16–19 for a reductionist approach that ignores the complexities of human behavior and professional understanding1 and that runs the risk of neglecting “a deep and reflective engagement” with critical aspects of professional practice.19


이 논문의 초점은 [사회적 관련성이 높은 의학 분야]에 대해서 이러한 방식이 적절한가에 대한 것이다.

the present focus is on the question of its appropriateness for education in the areas of medicine of social relevance.


그러면 이러한 유형의 발달이 역량 프레임워크에 어떻게 부합할까요? 

So how does this type of development fit within a framework of competencies? 


첫째, (해방적 지향)에서의 발달은 결과만을 독점적으로 강조하기보다는 과정을 강조하고, 개인적에 따라 독특할 수 있음을 인정한다. 각 개인은 직업적 정체성과 세계관을 형성함에 있어서 개인적이며, 이것은 개인의 배경, 가치, 신념, 그리고 삶의 경험에 의해 크게 영향을 받는다. 비록 우리가 모든 의사가 획득하기 위해 노력하기를 기대하는 중요한 자질들이 분명히 있지만(예: 동정심, 무결성, 의무, 책임성) 실제로 이러한 자질들의 표현은 매우 개인적인 성격을 띤다. 그러나 이와는 달리, '역량'의 개념은 규범과 성과의 표준화를 요구한다.

First, development of this orientation emphasizes process rather than exclusively outcomes and is individual and unique. Each individual forms a professional identity and worldview that is personal and heavily influenced by individual background, values, beliefs, and life experiences. Although there are clearly overarching qualities which we would expect all physicians to strive to acquire (e.g., compassion, integrity, duty, accountability), the expression of these qualities in practice takes on a highly individual character. In contrast, the idea of competency requires a standardization of norms and outcomes


둘째, 이와 관련하여, 이러한 형태의 지향은 내적internally으로 유도된다. 각 학습자는 자신의 환경 및 다른 사람들과 상호 작용하며, 자기자신 안에 존재하는 개별적인 도덕적 관점을 탐색한다. 이것은 역량의 개념과는 대조적이다. 역량의 개념에서, 학습자는 스스로의 수월성으로 성장하기보다는, 미리 정해진 기준을 충족시키는 것이 임무가 된다.

Second, in a related manner, this type of orientation is internally derived. Each learner interacts with his or her environment and others in order to find the individual moral perspective that comes to dwell within the self. This is in contrast to the idea of competencies, in which it is the learner’s task to fulfill predetermined standards rather than to grow into excellence on one’s own.


셋째, 이 과정을 통해 습득한 교훈은 자기 자신 안에 깊이 자리잡고 있다. 관측가능한 성과라는 요건과 달리, 이러한 배움은 객관식 시험에서 확인되는 것처럼 쉽게 불러올 수 있거나, 표준화된 환경에서 스킬의 성과처럼 간단히 실행될 수 없다.

Third, lessons acquired through this process reside deep within the self. In distinct contrast to the requirement of observable outcomes, these lessons cannot be called forth as easily as facts on a multiple- choice exam or enacted as simply as the performance of a skill in a standardized setting.


Barnett1(pp75–76)은 다음과 같이 주장한다.

As Barnett1(pp75–76) asserts:


비록 그들이 통계적으로 규칙적인 방법으로 행동한다고 할지라도, 우리는 사회적 행위자로서 한 개인이 무엇을 하고 있는지 관찰하는 것 만으로는 그가 누구인지 알 수 없다. 궁극적으로는, 우리는 한 사람의 상황, 의도, 개념틀, 삶의 형태에 대한 정의를 알아야만 한 사람의 행동을 완전히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완전한 이해'를 위해서 우리는 '개인의 이해'를 '이해'해야 한다. 실제 업무나 실제 역량을 외부에서 본 행동만으로 읽어낼 수 없다. 진심으로, 관찰만으로는 평가할 수 없다. 특정 행동 뒤에 특정 이해가 있는 것이 아니다. 한 사람의 이해(방식)는 특정 행동의 구성요소라고 보는 것이 훨씬 옳을 것이다.

We cannot know what individuals as social actors are up to by observing them, even if they act in statistically regular ways. Ultimately, we shall only fully understand their actions by taking account of their definitions of their situations, of their intentions, of their conceptual frameworks and of their forms of life. Full understanding requires that we understand the individual’s understandings. Real work or real competence cannot be read off from activities from the outside. It cannot be seriously assessed by observing it.… It is not that the understandings lie behind the action. It is the much stronger claim that the actor’s understandings are constitutive of the action.



넷째, 이 과정은 절대 끝나지 않습니다. 완성을 함의하는 역량의 개념과는 달리, 사람은 언제나 자신과 자신의 직업에 대한 이해를 더하고, 성찰적 관행, 대화, 경험을 통해 이러한 이해를 향상시킬 수 있다.

Fourth, this process is never-ending. Unlike with the idea of competency, which connotes completion, one can always add to one’s understanding of oneself and one’s profession and enhance this understanding through reflective practice, dialogue, and experience.


이는 역량 모델이 의학의 인간적 측면을 탐구하는데 있어서 지나치게 문자적이고 숨막히는 한계를 제공할 뿐만 아니라, 역량 모델에서 강조하는 관찰 가능한 결과, 표준화, 외부적으로 부과된 기준 등이 다른 인식론에 대해서는 잘못되었을 뿐만 아니라 타당하지 않은 도구이기 때문이다.

This is not only because the competency model provides overly literal, stifling limitations on the exploration of the human side of medicine but also because its emphasis on observable outcomes, standardization, and externally imposed criteria in these areas is the wrong tool for a different, and no less valid, epistemology.



그렇다면, 이 교육은 어떤 모습일까? 해브르마스의 해방적 흥미에 의해 유도된 "앎의 방식"과 부합하듯, 이러한 유형의 교육은 성찰, 상상력, 담론을 포함한다. 이러한 교육은 학습자와 교사를 그들의 모든 개인적 복잡성과 독특함에 engage시켜서 자신과 타인과 세계를 탐색하게 하며, 이를 통해 병고와 건강과 치유의 인간적 측면에 대한 이해를 향상시키고자 한다. 이 때 서술과 격언, 성찰적인 글쓰기, 토론, 문학, 영화, 연극, 예술을 활용한다. 여기서 강조할 점은 (환자와, 텍스트와, 연극과, 영화와, 에세이와, 서로와) 성찰적 상호작용을 하는 것이다. 불확실하고 불편한 순간들과 씨름할 기회를 갖는 것이며, 궁극적으로는 토론을 넘어 실제 세계에서의 행동으로 나아가는 것이다.

So, what does this education look like? In keeping with Habermas’s idea of ways of knowing that are driven by emancipatory interests, this type of education encompasses reflection, imagination, and discourse. It engages learners and teachers in all their individual complexity and uniqueness in exploration of self, others, and the world through the use of narratives and aphorisms,22–27 reflective writing,28–30 discussions,5,21,31 literature,21,32,33 film,34 theater,35–38 and art39,40 in order to enhance one’s understanding of the human dimensions of illness and health and healing. The emphasis here is to engage in reflective interactions (with a patient; with a text; with a play, film, or essay; with each other), in opportunities to grapple with moments of uncertainty and discomfort,5,29,41 and to go ultimately beyond discussions to action in the world.


평가 또는 지갑을 찾을 다른 장소

Assessment or Other Places to Look for the Wallet


우리는 역량을 정의하고, 실행하고, 성과를 평가하는 "객관적이고, 표준화되고, 재현 가능한" 방법을 개발하려는 열의가 결국, 정확히 우리가 가르치려고 했던 것을 놓치게 만드는 결과를 낳지는 않을지 의문을 갖는다.

One wonders whether, out of enthusiasm to develop an “objective,” standardized, and reproducible way of defining and implementing competencies and assessing outcomes, one ends up missing exactly what one is trying to teach.


이러한 분야의 지식, 기술 및 태도에 대한 역량 기반 평가는 "진보"에 대해 이야기할 수 있는 간단한 측정 기준을 제공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이 접근법이 정확한가? 실제로, authentic한가? 즉, 학습자가 전문가로서 [세상 속의 존재]로 진화하는 과정을 실제로 기록하고 있는가?

Competency-based assessment of knowledge, skills, and attitudes in these areas may provide simple metrics by which one can talk about “progress”; however, is this approach accurate? Indeed, is it authentic? That is, does it truly document the evolution of a learner into a professional being-in-the-world?


(평가는) 이러한 발전을 특징짓는 연속성, 맥락, 복잡성, 자율성, 개성을 보존하는 방식으로 해야 한다. 이러한 평가는 성찰적이고 대화적이어야 하며, [학습자와 교육자 간의 지속적인 대화와 상호작용의 일부로써] 성찰적 에세이, 창의적 글쓰기, 전자 포트폴리오와 같이 학생들이 만든 학습 결과물에 대해 생각을 자극하고 심도있는 탐구 방식을 사용해야 한다.

One must do in a way that preserves the sense of continuity, context, complexity, autonomy, and individuality that characterizes such development. Such assessment should be reflective and dialogical and use thoughtful, in-depth explorations of student-created products of learning, such as reflective essays,28,30 creative writing,42,43 and electronic portfolios,44–47 as part of ongoing conversations and interactions between learners and trusted role models/mentors/instructors.



역량을 넘어서: 변혁적 의학교육을 향하여

Beyond Competencies: Toward Transformative Medical Education


이러한 유형의 학습의 주된 교육 목표는 의사의 사회적 역할에 대한 이해를 높이는 것이다. 여기서 "이해"란 인지적 이해 이상의 의미를 내포한다. 즉, 이것은 [사회적이고 도덕적인 활동으로서의 의학에 대한 깊고 지속적인 개인적 참여]이다. 역량과 달리 이해는 끊임없이 이어지는 프로세스에서 생겨난다.

A principal educational goal of this type of learning is the enhancement of an understanding of the social role of the physician. Here, “understanding,” is meant to connote more than cognitive comprehension: It is a deep and abiding personal engagement with medicine as a social and moral activity. Unlike competencies, understanding arises from an ongoing process:


폴라니에 이어 바넷은, 선생님의 역할은 학생들이 "그들이 가지고 있지만 알지 못하는 것"을 이해할 수 있도록 돕는 것이라고 주장한다. 

Barnett,1 following Polanyi, asserts that the role of the teacher is to help students to become aware of the understanding that they possess but of which they are not aware.


이런 점에서, 선생님은 완전히 알려지지 않은 전문적인 자아를 향한 여정에서 학생들의 가이드가 된다.

In this sense, the teacher becomes a guide for the student in a process of discovery and in a journey toward a professional self that is not fully known.


그렇다면, 궁극적인 발달 목표는 무엇인가?

So, one might ask, what is the ultimate developmental goal?


한 개인은 아리스토텔레스의 phronesis를 구현embody하고자 열망해야 한다.

this individual should aspire to embody Aristotelian phronesis (practical wisdom)


아리스토텔레스는 phronesis와 다른 ways of knowing을 구별한다. 다른 앎의 방법에는 episteme(이론적 지식)와 techne(기술적 지식 또는 기술)가 있다. 아리스토텔레스는 phronesis란 세계 속의 다른 개인들 사이에서 행하는 개인의 도덕적 행위라고 말한다. phronesis는 "사람에게 좋거나 나쁜 것들과 관련하여 행동할 수 있는 진실되고 논리적인 능력의 상태입니다." 이러한 유형의 삶은 성찰을 구현한다. 성찰을 구현하는 것은 자신의 시선을 [내면적 가치, 동기, 관점을 끊임없이 바깥 세상으로 이동시키는 것이다또한, 지식 자체와 관련된 episteme와는 달리, phronesis는 궁극적으로 행동에 초점을 맞춘다phronesis를 실천하는 사람은 "필요한 행동을 하는 사람이며, 잘 행동하는 사람"이다. 

Aristotle55 distinguishes phronesis from other ways of knowing, including epistēmē (theoretical knowledge) and technē (technical knowledge or skill) and asserts that phronesis involves an individual’s moral actions among other individuals in the world. It is “a true and reasoned state of capacity to act with regard to the things that are good or bad for man.”55(BookVI.5.1145) This type of living is embodied reflection: It is the continual shifting of one’s gaze from internal values, motivations, and perspectives outward into the world. Also, unlike epistēmē, which is concerned with contemplation of knowledge for its own sake, phronesis is oriented ultimately to action. The individual who engages in phronesis “will be of necessity acting and acting well.”55(Book I.8.1099)



의학교육 및 의료실무의 맥락에서 phronesis은 "덕에 기초한 윤리virtue-based ethics"의 한 예이다. 이것은 도덕적으로 행동하기 위해 인격 함양과 "습관적 성향"을 강조하며, 특정 보편적 원칙 또는 외부적으로 규정된 행동을 준수하는 "의무 기반duty-based" 또는 "원칙 기반 윤리principle-based ethics"와는 대조적이다. 

In the context of medical education and clinical practice, phronesis is an example of “virtue-based ethics,” which emphasizes cultivation of a character and “habitual disposition” to act morally, in contrast to “duty-based” or “principle- based ethics,” which involves adherence to specific universal principles or externally proscribed actions. 


게다가, phronesis는 그것의 행동적 표현과 별개로 여겨져야 하는 특정한 기술(techne)이 아니다. phronesis는 특정한 상황 및 맥락이 있는 "바로 그 곳close-to-the-ground"에서만 실현됩니다. 즉, 실천적 지혜의 가르침과 배움은 (임종이나 의료사고의 결과와 같은) 특정한 삶의 맥락과 상황에 대한 성찰 및 담론을 통해서 이뤄질 수 있는 것이며, 특정한 교육적 역량의 충족이나 특정 전문직 특성의 암기로서 배우는 것이 아니다.

Furthermore, phronesis is not a specific skill (technē) to be considered separately from its expression in action but is only realized in “close-to-the-ground” practices54 in specific situations and contexts.51,52,54 That is, the teaching and learning of practical wisdom arises through reflection and discourse about specific life contexts and situations, such as at the end of life or in the aftermath of medical error,56 rather than in the memorization of specific professional attributes or fulfillment of specific educational competencies.


마지막으로, "실용적 지혜"를 가지고 행동하는 전문가의 개발이라는 개념에 대해서도 패러다임이 바뀌어야 한다. "잠재 교육과정"에 대한 논의는 항상 환경이 학습자에게 미치는 영향이 일방향적이라고 암시하는 것처럼 보입니다. 즉, 학습자는 임상 환경에 만연하는 숨겨진 커리큘럼의 부정적인 영향을 수동적으로 받기만 한다는 것이다. 심지어 도덕적 회복탄력성 또는 "(도덕적) 저항"이라는 개념도 여기서 생겨난 것이다. 즉, 사람은 자신의 내적 자원을 사용하여 인간성을 말살시키는 임상 환경에 맞서 싸워야 한다.

Finally, the concept of the development of a professional who acts with practical wisdom in the world also involves a paradigmatic shift. Discussions of the “hidden curriculum” always seem to imply that the impact of the environment on learners is unidirectional: Learners are passively subjected to the negative influences of the hidden curriculum that pervade the clinical environment. Even notions of moral resilience or “resistance”57 arise from this view; that is, one must use one’s own inner resources to fight against the dehumanizing influences of the clinical environment.


이 관점의 문제점은 바로 이런 환경과 문화에 대해 학습자들의 영향을 미치며, 심지어 학습자가 이러한 환경과 문화를 만들어낸다는 사실을 무시한다는 것이다. 반대로, phronesis라는 것은 '주체성agency'를 의미한다. 이것은 [인간의 필요와 가치를 확인하면서 올바른 행동을 지향하는] actor-in-the-world라는 아이디어이다.

The problem with this view is that it ignores the learners’ impact on, and shaping of, this very environment and culture. In contrast, an orientation toward phronesis implies agency: It involves the idea of an actor-in-the-world, oriented toward acting rightly in affirmation of human needs and values.58



궁극적으로, 이 접근법은 교육적 locus of control을 변화시킨다. 외적으로 부과된 기준에서, 주체적 개인으로, 그리고 그 개개인이 moral beings-in-the-world가 될 수 있는 가능성을 현실화하는 것으로.

Ultimately, this approaches shifts the educational locus of control from externally imposed standards to individual agency and to the actualization of individual possibilities of becoming moral beings-in-the-world.59







 2014 Jul;89(7):978-83. doi: 10.1097/ACM.0000000000000234.

From competencies to human interestsways of knowing and understanding in medicaleducation.

Author information

1
Dr. Kumagai is professor of internal medicine and medical education and director, Family Centered Experience and Longitudinal Case Studies Programs, University of Michigan Medical School, Ann Arbor, Michigan.

Abstract

When considering the teaching and learning of topics of social relevance in medicine, such as professionalism, medical ethics, the doctor-patient relationship, and issues of diversity and social justice, one is tempted to ask, are the ways of knowing in these fields different from that in the biomedical and clinical sciences? Furthermore, given that the competency approach is dominant in medical education, one might also ask, is the competency model truly appropriate for all of the types of knowledge necessary to become a good physician? These questions are not merely academic, for they are at the core of how these subjects are taught, learned, and assessed.The goal of this article is threefold: first, to explore the nature of knowing and the educational goals in different areas of medicine and, in particular, those areas that have social relevance; second, to critically review the concept of competencies when applied to education in these areas; and third, to explore alternative strategies for teaching, learning, and assessment. This discussion reflects a view that the goal of education in areas of social relevance in medicine should be the enhancement of an understanding of-a deep and abiding connection with-the social responsibilities of the physician. Moving beyond competencies, this approach aspires toward the development of practical wisdom (phronesis) which, when embodied in the physician, links the knowledge and skills of the biomedical and clinical sciences with a moral orientation and call to action that addresses human interests in the practice of medicine.

PMID:
 
24662200
 
DOI:
 
10.1097/ACM.0000000000000234
[Indexed for MEDLINE] 

Free full text

휴머니즘, 잠재교육과정, 교육과정 개혁: 리뷰와 주제분석(Acad Med, 2015)

Humanism, the Hidden Curriculum, and Educational Reform: A Scoping Review and Thematic Analysis

Maria Athina (Tina) Martimianakis, PhD, Barret Michalec, PhD, Justin Lam,

Carrie Cartmill, MHSc, Janelle S. Taylor, PhD, and Frederic W. Hafferty, PhD



개념적 도구로서, 잠재교육과정(HC)은 그것의 지적 유산을 사회학과 교육 분야로 추적한다.1 19세기 후반부터 사회학자들은 사회적 구조가 개인의 행동에 미치는 영향, 개인이 자신과 타인의 사회적 행동에 부여하는 overt and covert한 주관적 의미 등을 이해하는데 관심을 돌리기 시작했다. 이후 사회과학자들은 어떻게 어떤 행동이 대중화되고 일반화되는지를 탐구하기 시작했고, 집단의 규범과 문화가 형성되는 과정에서 공식적 대 비공식적 사회규범의 상대적 영향과 사회적 관계의 중심적 역할 등을 추적하였다.

As a conceptual tool, the hidden curriculum (HC) traces its intellectual heritage to the fields of sociology and education.1 In the latter decades of the 19th century, sociologists began to direct critical attention toward understanding the impact of social structures on individual behavior and the overt and covert subjective meanings individuals attribute to their own and others’ social actions. Later social scientists began to explore how some behaviors became popularized or normalized, tracing the relative impact of formal versus informal social norms and the pivotal role played by social relationships in the formation of group norms and culture.2,3


그러나, "숨겨진 교육과정"이라는 용어가 처음 등장한 것은 1960년 대에 훨씬 가까울 것이다.1

It would be well into the 1960s, however, before the term “hidden curriculum” would make its first appearance.1


교육 분야 연구에서 교육 관행의 공식적 차원과 비공식적 차원을 구별하기 시작한 것은 20세기 초에 표면화되기 시작했다. 존 듀이는 "Collateral learning"의 힘에 관심을 가졌으며, 이는 다른 것들을 하는 과정에서 일어나는 학습을 묘사하기 위해 사용한 개념으로, '다른 것'이란 교실 밖에 존재하는 풍부한 학습 환경을 암시한다동시에, 다른 이들은 "실제 교육 과정의 경험", "비공식 교육"의 영향, "학교에서의 비공식적 학습 경험" 등을 지적하기 시작했다. 이러한 과정에서 드러난 것은 교육을 '사회문화적 과정'으로 보는 것으로서, 성격 발달과 문화적 재생산이 상호 영향을 미치는 실체로 공존하고 있다는 관점이었다.

Studies in the field of education, with an eye toward discriminating between the formal and informal dimensions of educational practices, began to surface in the early decades of the 20th century. John Dewey6 drew attention to the power of “collateral learning,” a concept he used to describe learning that happens in the process of doing other things, alluding to the wealth of learning environments that exist outside the classroom. Concurrently, others began pointing to the “experience of curriculum in action,”7 the impact of “informal education,”8 and “the informal learning experiences in the school.”9 What emerged was a view of education as a “sociocultural process”10 in which both personality development and cultural reproduction coexisted as mutually influencing entities.11


의학 교육에 대한 두 가지 초기 연구가 후에 "숨겨진 교육과정"이라고 불리는 것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쳤다.

The two earliest studies of medical education, The Student–Physician (1957) by Robert K. Merton and colleagues12 and Boys in White (1961) by Howard Becker and colleagues,13 had direct impact on what subsequently would be termed “the hidden curriculum.”


HC에 대한 critical mass는 1960년대와 1970년대 초에 나타나기 시작했습니다.18,19 오늘날 HC의 개념은 다양한 교육 환경에 적용됩니다.1,20–22

A critical mass of work on the HC began to emerge in the 1960s and early 1970s.18,19 Today, the concept of the HC is applied to a wide variety of educational settings.1,20–22


CME, 교수진 개발, '충실한 환자'의 탄생, 그리고 의학 교육 중 이성애의 특권과 LGBTQ의 배제로 이어진다.

such as CME,23 faculty development,24 the creation of the “worthy patient,”25 and the production of heteronormativity during medical education leading to the privileging of heterosexuality and the marginalization of LGBTQ orientations.26


HC를 분석의 렌즈로 사용하는 것은 사회학보다는 교육학에서 단단히 자리잡았다. 사회학에서 암묵적 영향에 대한 초점은 "사회 시스템," "사회 구조," 그리고 "조직 문화" 등과 관련이 있다.

Scholarly work using the HC as an analytic lens remains more entrenched within education than sociology. In sociology the focus on implicit influences is related to “social systems,” “social structure,” and “organizational culture.”


이러한 전반적 상황에서, 인본주의humanism 문제는 20세기 내내 의학 교육에 지속적인 존재로 나타났으며, 의학의 "예술"과 "과학" 사이의 균형에 대해 우려하게 하였다. 관계적 측면으로 대표되는 art of medicine은 liberal education으로 보강underpin된다.

Within this overall topography, issues of humanism have had an enduring presence in medical education, reflected in writing throughout the 20th century concerned with the balance between the “art” and “science” of medicine; whereas the art of medicine represents the relational aspects of care underpinned by a liberal education.29,30


art of medicine에 대한 관심은 생의학에 들이닥친 기술과 제약의 혁신에 의해 일시적으로 흐려졌다. 이러한 혁신은 과학에 대한 훈련을 통해 의사의 전문성을 개발할 수 있다는 교육적 선입견을 동반하였다. 그러나 과학에 대한 이러한 집착은 그것이 의사와 환자의 상호작용에 끼치는 효과 때문에 꾸준히 비판되어 왔다. 오늘날, 의학 수련과정을 환자 돌봄으로 다시 촛점을 맞출 것이 요구되고 있다.

Focus on the art of medicine was temporarily eclipsed by the technological and pharmaceutical innovations that ushered in biomedicine, bringing with it an educational preoccupation with developing physician expertise through scientific training.30,31 However, this preoccupation with science has been criticized steadily for the perceived effect it has had on physician and patient interactions. Today, calls for refocusing medical training on caring for the patient as a person appear regularly in literature 



방법

Method


문헌 수집

Compiling the archive


We used a scoping review and thematic analysis approach that draws from the tradition of critical discourse analysis to elucidate the conceptual and theoretical intersections of the HC and humanism in medical education.44–46 

    • Scoping reviews are broad explorations to systematically map a topic area, identifying key concepts, trends, and gaps

    • Critical discourse analysis is used to identify and describe patterns in the application of terms and concepts in texts.


1990년을 시작으로 

We theorized that the date 1990 would be a good starting point for looking at the association between the concept of HC and humanism, as the first paper using a formal definition of the HC construct in health professions education appeared in Academic Medicine in 1994.47


From these discussions, broad categories for coding were identified/developed and then uniformly applied to the entire data set (see Supplemental Digital Appendix 1 at http://links.lww.com/ACADMED/A301).


Following this three-tiered sorting process, we identified N = 200 articles as directly relevant to our study. These constitute our final archive (see Supplemental Digital Appendix 2 http://links.lww.com/ACADMED/A301).


분석

Analysis




결과

Results


인구통계적 구성

Demographic findings


우리 기록 보관소에 있는 대부분의 논문은 2000년 이후 학술 의학 저널에 게재되었다. (표 1 참조)

The majority of the articles in our archive were published after 2000 and in the journal Academic Medicine (see Table 1).



본문 중 30% 정도는 경험적 자료가 없는 검토 기사나 토론 기사였다.

A little over 30% of the texts were review articles or discussion pieces, with no empirical data.



경험적 논문 중 대부분은 사례 연구, 인터뷰 및 관찰을 포함한 다양한 방법 및 방법을 사용한 정성적 연구(약 25%)였다. 당사의 아카이브에서 양적 연구(약 12%)는 주로 조사 방법 또는 재고/척도 결과를 사용했습니다.

Of the empirical articles, most were qualitative research studies (approximately 25%) employing a variety of methodologies and methods including case study, interviews, and observations. The quantitative studies (approximately 12%) in our archive primarily used survey methods or inventory/scale results.



편집자에게 보내는 논평과 편지는 보관의 12%이하였다. links.lww.com/ACADMED/A301).을 참조하라.

Commentaries and letters to the editors made up less than 12% of the archive (see Supplemental Digital Appendix 1 http:// links.lww.com/ACADMED/A301).


그러나 대부분의 논문(66%)는 특히 캐나다나 미국에 초점을 맞췄다.

However, most papers (66%) focused specifically on Canada or the United States.


이 인구통계학적 코딩에서 우리는 우리의 아카이브가 의료 교육/임상적 관점을 지배적으로 반영한다고 판단했으며(즉, 교육 또는 교육적 리더십 위치에서 MD 학위를 소지하거나 의료 교육 센터/부서에 임명된 저자, 기타 임상적 전문적 전문성을 포함).), 여기에 행동과학, 사회과학, 인문학의 배경을 가진 개인들로부터의 관점이 기여하였다. 특히, 우리 archive에는 인지과학, 심리학, 사회심리학, 역학, 역학, 역사, 법학, 철학, 인류학, 생물 의학 정보학, 영어, 문학의 배경을 가진 저자들이 있었다. 

From this demographic coding we determined that our archive reflects a dominant medical education/clinical viewpoint (i.e., authors with MD degrees working in teaching or educational leadership positions and/or appointed to medical education centers/ divisions; authors with other clinical expertise such as nursing, occupational therapy, and pharmacy), with contributing perspectives from individuals with backgrounds in behavioral sciences, social sciences, and humanities. Specifically, there were authors in our archive with backgrounds in cognitive science, psychology, social psychology, sociology, epidemiology, history, law, philosophy, anthropology, biomedical informatics, English, and literature. 



지리적으로는 광범위하여, 전 세계적으로 학습맥락에 대해 논평을 하거나 탐구하는 논문들이 있었다. 

There was a wide breadth of geographic focus in our archive with papers commenting on or exploring learning contexts from around the world—





개념적 도구로서 적용되는 HC: 프로페셔널리즘과 휴머니즘의 융합

The HC applied as a conceptual tool: Professionalism and humanism conflated


HC의 개념이 정의되고 조작화되는 방법이 다양했다.

different ways the concept of the HC was defined and operationalized


아카이브의 90%에서, 우리는 공식적 커리큘럼의 목표에 맞춰 또는 그 목표에 반하는 방식으로 "숨겨진 교육과정", "비공식적인 문화 및 문화", "기관의 가치"가 작동한다고 언급했다.

In 90% of the archive, we found references to the “hidden curriculum,” “informal curriculum,” “medical culture and enculturation,” and “institutional values” as operating for or against the goals of the formal curriculum.


남은 10%에서, 우리는 [공식적인 커리큘럼의 외부에서 또는 동료효과의 산물로서 일어나는 학습]에 대한 명시적이거나 묵시적인 언급에 주목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HC의 부정적 영향은 프로페셔널리즘 실수 및 비윤리적 행동과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었으며, 이는 휴머니즘을 촉진하기 위한 방법으로 프로페셔널리즘을 더 잘 가르치고 규제하려는 수많은 권고사항이 있는 이유를 잘 설명해준다. 사실, 두 명의 저자만이 프로페셔널리즘을 휴머니즘과 분리시키려 했고, 그들은 이 두 개념의 상호 관계가 어떻게 고려되어야 하는지에 대해 근본적으로 동의하지 않았다.

In the remaining 10% of the articles we noted explicit and implicit references to learning taking place outside the formal curriculum or mentions of learning as a product of peer effects.50–51 Nevertheless, negative effects of the HC were closely associated with professionalism lapses and unethical behaviors, which may account for the numerous recommendations we found in our archive for better teaching and regulation of professionalism as a way to promote humanism. Indeed, only two authors in our archive attempted to disentangle professionalism from humanism, and they disagreed fundamentally with how interrelated the two concepts should be considered.52,53


마지막으로, 최근 몇 년 동안 HC 참고문헌은 [개개인의 행동은 기관 및 조직과 관련된 복잡한 사회-정치적 관계의 산물]이라는 인식을 반영합니다.

Finally, in more recent years, HC references reflect an appreciation that individual behaviors are a product of complex social–political relations involving institutions and organizations,


80개 이상의 속성과 값이 다양한 조합으로 나열되어 있습니다(박스 1 참조).

Over 80 attributes and values were listed in various combinations (see Box 1).





확인된 속성/값이 의료 훈련과 어떻게 관련되어 있는지를 파악하기 위해, 우리는 용어를 CanMEDS 역량 프레임워크에 매핑하기로 결정했다.56

To discern how the identified attributes/ values relate to medical training, we decided to map the terms onto the CanMEDS competency framework.56


휴머니즘 지향과 관련하여, 열거된 대부분의 속성과 가치는 Professional and Communicator의 역할과 관련된 역량에 해당된다는 것을 발견했습니다.

We discovered that most of the attributes and values listed in our archive in association with a humanistic orientation corresponded to competencies associated with the roles of Professional and Communicator.


다시 말해, 프로페셔널리즘과 휴머니즘 사이의 융합은 교육 조직의 부산물일 수 있는데, 왜냐하면 의학의 역량 프레임워크가 교육 과정을 주문하고, 구분하고, 규제하는 데 사용되기 때문이다.

In other words, the conflation we noted in our archive between professionalism and humanism may be a by-product of educational organization because competency frameworks in medicine are used to order, delimit, and regulate educational processes.




투쟁하는 개념: 잠재 교육과정과 휴머니즘의 교차점

Dueling concepts: The HC and humanism intersect


HC의 개념화 및 정의 방식에 있어 다양성을 경험했습니다. 그러나 동시에 HC를 휴머니즘과 반대되는 개념으로 개념화하는 지배적인 추진력을 발견했습니다—인간의 의료 관행(및 의학 교육)을 유지하는 데 필요한 "두꺼운 낯짝" 효과를 발생시키는 캐리어. 프로페셔널리즘 선생의 화신personify으로서 HC는 규제와 관리가 필요한 개념으로 개념화되었습니다.

While we encountered diversity in the way the HC was conceptualized and defined we also found a dominant thrust in conceptualizing the HC as antithetical to humanism—a carrier of dehumanizing effects engendering a “thickening of the skin” necessary for surviving contemporary medical practice (and medical education). The HC personified as a teacher of professionalism was conceptualized as needing regulation and management. 


HC는, 그것을 관계적 구조로 개념화하고, 의대생의 문화화enculturation과 관련지을 때 종종 제도, 구조 및 시스템 문제와 연관되지 않았다. 오히려, 교사들은 전문직의 바람직한 이상을 본보기로 보여주지 못한 것에 대해 책임을 지게 되었다.57

When the HC was conceptualized as a relational construct and associated with enculturation of medical students, it was often disassociated from institutional, structural, and systems issues. Rather, teachers were held accountable for failing to role model the espoused ideals of the profession.57


그러나 HC가 구조, 조직 및 문화의 영향을 포함하는 개념으로 광범위하게 개념화되었을 때, 저자들은 기관 수준에서 필요한 개혁을 언급할 가능성이 더 높았다.58 암묵적 학습은 공식 커리큘럼에서 받은 메시지를 긍정적으로 강화할 수 있지만, 우리는 HC의 유해한 효과에 대한 선입관을 찾아볼 수 있었다. HC는 주로 의과대학생들의 타고난 휴머니즘 성향을 근절하는stamping out 과정에서, 학대 또는 부정적 롤모델을 통한 가르침으로 인식되었다. 

However, when the HC was conceptualized as broadly including effects of structure, organization, and culture, authors were more likely to make references to needed reforms at the level of the institution.58 Although tacit learning can positively reinforce messages received in the formal curriculum, we did record a preoccupation in our archive with harmful effects of the HC. The HC was largely perceived to teach through mistreatment and negative role modeling, in the process stamping out innate humanistic tendencies of medical students.


다양한 상호 관련된 대화에서 휴머니즘의 침식에 대한 언급이 있었다. 여기에는 의학 및 의료 관행의 지나친 전문화, 의료 관행의 표준화, 진단 기술에 대한 지나친 의존, 불확실성에 대한 편협성을 포함한다. 몇몇 저자들은 생의학이 지배적 위치를 얻은 것을 "의학사, 의학의 사회문화적 맥락과 같은 비과학적인 주제"의 훼손과 연관시켰다. 59 (p212)

References to erosion of humanism were present in diverse interrelated conversations including the overspecialization of medicine and medical practice, the standardization of medical practice, the overreliance on technology in diagnosing, and the intolerance for uncertainty. Some authors specifically related the dominance of biomedicine to the denigration of “nonscientific topics, such as medical history and the social-cultural contexts of medicine.”59(p212)



"실제 교사"로서 HC는 학생들을 [의학교육 및 의료에서 "실제로" 가치를 두는 것에] 사회화시키는 것으로 이해된다.  아이러니하게도, HC 효과의 이러한 위치는 의학 훈련의 기본적 토대가 되는 공식 커리큘럼의 역할을 대체한다. 실제로, "진짜 교육"은 암묵적으로 일어나는 것으로 인식되어, 모든 교사들이 더 나은 규제regulated를 받도록 표적이 되지 않는 한, "진짜 교육과정"은 찾기도, 수정하기도 어렵다. 의사는 임상적으로 지식이 있으며, 인간적이지 않더라도, 시스템에서 여전히 성공적일 수 있다. 반대로 인간적인 의사가 임상적으로 능력이 없다면 반드시 실패한다.

The HC as “the real teacher” is understood to socialize students to what is “actually” valued in medical education and medical practice. Ironically, this positioning of HC effects displaces the role of the formal curriculum as the foundational underpinning of medical training. Indeed the “real teaching” is perceived to happen implicitly, making the “real curriculum” hard to find and to revise, unless all teachers are targeted as needing to be better regulated. A physician can be clinically knowledgeable and not be humanistic, and still be successful in the system, while a humanistic physician who is not clinically competent will fail.


이것은 학생들이 매우 일찍부터 전달받은 메세지이고, 학업에 성공하기 위해 그들이 필요로 하는 것은 지식이다. 한 저자가 지적했듯이, 의학교육에 대한 흔한 비유는 여전히 "고도로 기계화된(신체가 기계화), 선형적(원인 발견, 효과 창출), 위계적(전문가로서의 의사)이다. 또한 이 상황에서 지배적인 네러티브는 원상복구의 이야기이다(환자는 병이 들고, 환자는 의사 전문가에 의해 치료되고, 환자는 사전 상태로 복원됩니다.)"

This is the message received very early on by students, and it is knowledge that they need in order to succeed in their studies. As one author noted, the “prevailing metaphors of medical education continue to be heavily mechanistic (the body is a machine), linear (find the cause, create an effect), and hierarchical (doctor as expert), while its dominant narrative tends to be a story of restitution (patient becomes ill; patient is cured by physician expert; patient is restored to pre-illness state).”60(p194)


따라서 학생들은 휴머니즘은 임상 과학 지식에 부차적인 것이라는 암묵적인 메시지를 전달받는다.59 

Thus, students receive implicit messages that humanism is secondary to clinical scientific knowledge.59 


따라서, HC가 학생들이 직업으로 사회화하는 가장 중요한 메커니즘이라면, HC에 도전하는 잠재적으로 위험한 일인데, 왜냐하면 하는 것은 의료계의 전통적인 의제를 비난하는 것이 되기 때문이다. 즉, 과학과 의학의 alignment를 포함하여, 무엇보다 사회정치적 관계의 문화적 재생산을 통해 전문직의 자기이익이 어떻게 보존되는지를 비판할 것이다.

Therefore, if the HC is indeed a prime mechanism by which students are socialized into the profession (as suggested by the literature), challenging the HC is potentially risky because doing so entails critiquing the medical profession’s traditional agenda, most notably how the profession’s self- interest is preserved through the cultural reproduction of sociopolitical relations, including medicine’s alignment with science.



잠재 교육과정과 휴머니즘 기반 개혁

The HC and humanism-based reform efforts in medical education


HC 및 휴머니즘 기반 개혁 노력 논의

  • (1) 개혁 노력의 목표(예: 휴머니즘을 증가시켜 HC의 측면을 방해함, 휴머니즘 성장을 위해 HC의 요소를 희석함) 

  • (2) 개혁 노력의 모드/형식(예: 프로그램, 과정, 과외 이니셔티브) 

  • (3) 개혁 노력의 대상은 "누구" 또는 "무엇"인가 (예: 학생, 교수진, 커리큘럼/구조, 조직문화)

discussions of HC and humanism- based reform efforts

  • (1) the objectives of the reform efforts (e.g., to increase humanism, thereby thwarting aspects of the HC; to dilute elements of the HC to allow the growth of humanism); 

  • (2) the mode/format of the reform efforts (e.g., programs, courses, extracurricular initiatives); and 

  • (3) “who”/”what” the reform efforts are targeting (e.g., students, faculty, curriculum/structure, culture of organization).

우리는 대부분의 개혁 노력이 주로 공식적인 프로그램, 과정, 세미나를 통해 의대생들 사이에서 휴머니즘을 강화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는 것을 발견했다.

We found that the majority of reform efforts are aimed toward enhancing humanism among medical students— primarily through formal programs, courses, and seminars.61,62


문헌에 나타난 거의 모든 개혁적 노력은 개인 수준에서 휴머니즘 속성(예: 공감, 동정심, 무결성, 존경)을 증진시키기 위해 노력했다.

however, almost all reform-based efforts featured in the literature strove to promote individual- level humanistic attributes (e.g., empathy, compassion, integrity, respect).


또한 의과대학 교수진과 직원들 사이에 휴머니즘적 특징과 행동을 촉진하기 위해 고안된 계획들이 있다.71

there are also initiatives designed to promote humanistic traits and behaviors among medical school faculty and staff.71


그러나 문헌에서 찾아보기 어려운 것은, 현재 강화된 휴머니즘 교육을 받은 학생과 교수진이 의학교육에 내포된 HC의 요소를 실제로 어떻게 막을 수 있는지에 대한 구체적 내용이다. 오히려, 의대에서 휴머니즘의 존재와 실행이 늘어나면 HC의 "가르침"을 막아줄 것이라는 가정에 전혀 문제가 없는 듯이 취급한다.

What is somewhat absent from the literature, however, are details regarding how the now humanism-enhanced students and faculty actually will thwart elements of the HC nested within medical education. Rather, it appears either assumed or treated as nonproblematic that the increased presence and practice of humanism among the medical school populace will somehow obstruct the “teachings” of the HC.72–75


HC를 희석시킴으로써 휴머니즘을 꽃피우고자 하는 노력은 의료 훈련에 내포된 HC기반의 유해요소를 상쇄vanquish할 것을 요구한다.

Efforts directed toward diluting aspects of the HC to allow humanism to blossom frequently feature a call to vanquish perceived HC-based noxious elements nested within medical training


이러한 개혁-기반 문헌의 영역 내에서, HC의 요소와 "가르침"은 학생들의 사회화와 전문화에 해로운 것으로 인식되므로, "제거"되어야 함은 물론 해체되어야 합니다.

Within this realm of reform-based literature, elements and “teachings” of the HC are perceived as detrimental to students’ socialization and professionalization, and therefore must not only be “outed” but dismantled.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커리큘럼과 프로그래밍 방식에 기반한 개혁(예: 공식 과정/연습, 역할 모델 교육, 전문가간 교육 이니셔티브)은 (기관 내 구성원에게 휴머니즘적 특성을 강화하는 방식으로) HC에 맞서기 위한 무기인 것으로 보입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러한 개혁 노력들은 미시적인 수준, 개인적이고 그룹적인 변화만을 강조해왔다. 반면, (HC의 측면을 희석하거나 변경하기 위한) 구조적 및 조직적 기반 개혁(메소 및 매크로 레벨)에 대한 관심은 이에 미치지 못한다. 여기에는 기관의 문화와 그 안의 위계적 경계를 다루거나 재구성하는 것, 또는 휴머니즘이 번성할 수 있는 기관적 분위기를 제공하는 것 등을 포함한다. 간단히 말해서, 지금까지의 개혁 노력은 하향식 접근법보다 상향식 접근법을 지향해왔다.

As noted above, curriculum and programmatic-based reform (e.g., formal course/exercises, role model training, interprofessional education initiatives) appear to be the weapons of choice to confront the HC (by enhancing humanistic attributes among institutional players76–82). Nonetheless, these reform efforts have stressed microlevel, individual- and group-oriented change. Less attention has been paid to structural- and organizational-based reform (meso- and macrolevel) to dilute or alter aspects of the HC through addressing and reshaping institutional culture and nested hierarchical boundaries, or providing an institutional atmosphere/ climate for humanism to flourish. In short, reform efforts have been more oriented toward a bottom-up approach than a top-down one.


이런 점에서, 우리가 찾은 대부분의 개혁-기반 문헌은 학습자(의과대학생)를 부정적인 역할 모델과 의료계로 사회화되는 과정에서의 비인간적 효과로부터 보호받아야 할 존재로 여기는 듯 하다. 따라서, 교육과 훈련에서 학생을 적극적인 참여자로 논의하는 경우는 드물다. 오히려, 그들은 HC에 의한 쇠약해지는debilitating 효과의 순수하고 수동적인 피해자로 묘사되며, 학생은 사회정서적 회복력이 부족하며, 학생들의 휴머니즘적 특성을 키우기 위해서는 추가적인 노력이 필요하다고 여겨진다. 위에 제시된 HC의 해부는 HC가 학생들에게 "가해지는done to"것이라고 묘사한다. 따라서 대부분의 개혁 노력이 (가장 중요한 기관의 문화를 다루는 것이 아니라) 의대생들에게 무언가를 더 해주려고 하는 것(즉, 공식적인 교육을 통해 인문학적 특성과 특성을 향상시키는 것)을 목표로 한다는 것은 놀라운 일이 아니다. 

In this sense, a majority of the reform-based literature in our archive appears to conceptualize learners (medical students) as needing protection from negative role models and the dehumanizing effects of socialization into medicine.83–88 As such, students rarely are discussed as active participants in their education and training. Rather, they are portrayed as innocent, passive victims of the debilitating effects of HC, lacking socioemotional resilience, and requiring extra efforts to cultivate humanistic traits. This dissection of the HC offered above suggests that the HC is something that is “done to” students. It is therefore not surprising that a majority of the reform efforts are also aimed at trying to “do something to” medical students (i.e., enhancing humanistic attributes and characteristics through formal instruction), rather than addressing the overarching institutional culture.



고찰과 미래 방향

Discussion and Future Directions


HC "문제ills"에 대한 솔루션은 더 나은 프로페셔널리즘과 윤리 교육, 더 강한 성찰적 행동에 집중, 교사에 대한 더 강력한 규제regulation, 그리고 더 최근에는 사회과학과 인문학 교육 투입 등이 있다. 제안된 모든 솔루션은 개인 또는 조직 수준에서만 존재하며, 예를 들어 직업의 기본 구조나 자금조달 메커니즘과 관계된 "시스템" 수준의 문제를 제기하는 사람은 거의 없습니다.

Suggested solutions to HC “ills” are nested within better teaching of professionalism and ethics, a stronger concentration of reflective practice, stronger regulation of teachers, and, more recently, the infusion of social science and humanities teachings among other recommendations. All of these proposed solutions live at the individual or organizational level, and very few call into question “systems”-level matters concerning, for example, the basic structure or funding mechanisms of the profession.


프로그램적 연습(예: 포트폴리오 작업 및 성찰 연습 기술 구축)은 학생들에게 HC 효과를 관리하는 방법을 가르치는 방법으로서 커리큘럼에 주입되곤 한다. 이러한 권고사항은 다음과 같은 의심받지 않은 가정에 기초한다. 즉 의대생들은 교육에서 수동적인 참여자들들이며, 학생들의 인본주의적 자질과 도덕적인 나침반으로 침식되고 축출되었으며, 여기에는 부정적인 롤모델(선생님들)과 의학 훈련과 관련된 스트레스 요인이 긴밀한 영향을 미쳤다는 것이다.

Programmatic exercises (like portfolio work and reflective practice skill building) are injected into the curriculum as a way to teach students to manage HC effects. These recommendations are premised on the largely unproblematized assumption that medical students are passive participants in their enculturation, their humanistic qualities and moral compass eroded and stamped out of them through close association with negative role models (their teachers) and the stressors associated with medical training. 


비록 문학에 널리 보급되지는 않았지만, 학생들은 지식인knower으로서 산발적으로 개념화 되어 있고, 그들의 경험은 HC의 효과와 작동의 직접적 entry를 제공하며, 종종 학생의 행동은 의료 문화를 더 좋게 변화시키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89 학생들을 학습의 주체로서 개념화하는 것은, 역동적인 과정으로서 직업적 정체성 형성을 연구하기 위한 새로운 시작점을 제공한다.

Although not prevalent in the literature, students are sporadically conceptualized as knowers, their experiences providing a direct entry to the effects and operations of the HC and their actions often changing medical culture for the better.89 Conceptualizing students as agents of their learning provides a novel entry point for studying professional identity formation as a dynamic process.


또한 사회문화적 학습 이론은 의학 교육자들이 커리큘럼과 교육학을 고려하는 것을 넘어서는 관점을 갖게 해주며, 교육을 사회정치적 노력으로 생각하게 해준다. 즉, 이것은 시스템, 구조, 그리고 기관이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를 질문하기 위한 출발점이 된다.

Sociocultural learning theories may also encourage medical educators to broaden their scope of practice beyond considerations of curriculum and pedagogy, to think about education as a sociopolitical endeavor—a starting point for interrogating how systems, structures, and institutions impact socialization and professionalization processes.


HC와 휴머니즘 사이의 교차점은 종종 제로섬 게임으로 제시되는데, 이는 인본주의가 번성할 수 있도록 기관 내 구성원에게 휴머니즘적 특성을 강화하면, 그들은 결국 HC를 파괴하고, 그 요소들을 해체하여 휴머니즘이 꽃피우게 할 것이라는 생각이다. 이러한 관점에서 보면, 의대생은 자신의 휴머니즘적 특성을 유지하거나 또는 HC의 유해성에 매료되는 것 중 하나를 택해야 한다. 간단히 말해서, 문헌에 따르면 의학교육은 HC에 대해 해로운inimical 것이다.

The intersect between the HC and humanism often is presented as a zero- sum game—boosting humanistic traits among institutional players who will, in turn, vanquish the HC and/or dismantle elements of the HC to allow humanism to flourish. From this perspective, a medical student can either retain his or her humanistic qualities or become enchained by the noxious tangles of the HC. In short, the literature suggests that medical education is inimical to the HC.


그러나, 우리는 이 관계에 의문을 제기하는 저자들에 동의한다.89 우리는 더 넓은 의미에서의 휴머니즘의 "가르침"이란(즉, 배움과 탐구에 대한 광범위한 영역에 대한 이름으로서) HC의 "가르침"에 대해 상호보완적이며, 그것에 반대하는 것이 아니다. 아마도 대부분의 것과 마찬가지로, 이 경우 "인본주의적"이라고 불리는 특성의 촉진과 HC가 반응하는 medicine의 현실 사이에 필요한 균형이 있을 수 있다.

However, we agree with authors in our archive who question this relationship.89 We propose that the “teachings” of humanism in its broader meaning (as the name for a broad range of fields of learning and inquiry) are complementary to the “teachings” of the HC rather than antithetical. Perhaps, like most things, there is a necessary balance, in this case between the promotion of those traits named “humanistic” and the realities of medicine to which the HC responds.


의학교육에서 HC는 미래의 의사들에게 우리가 원하는 것과 가능한 것의 균형을 맞추면서 평형을 제공하는 메커니즘이다. 즉, "잠재 교과과정은 의학의 이상과 실제 실행 사이의 gap에 숨어있으며, 학생과 교육자들이 medicine의 일상에 필요한 교훈을 제공한다."90(p60)

HC in medical education as a mechanism that provides an equilibrium to our future physicians, balancing what we want and what is possible. In other words, “the hidden curriculum hides in the gap between the ideal and the real practice of medicine, and it provides the lessons that students and educators need for the everyday work of medicine.”90(p60)


우리는 "좋은 것" (인본주의)과 "나쁜 것" (HC) 사이의 전투가 '개인'이라는 지형에서 벌어지고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습니다. 이는 광범위한 연구와 관심에도 불구하고 계속되고 있다. HC 효과를 관리하는 것에 대해 우리가 가진 이러한 선입견은 [잠재적인 사회화와 비공식적 학습의 긍정적인 효과]를 흐릿하게 합니다. 여기에는 교육자와 학습자가 (무엇보다 현대 의료의 현실의 도전 과제를 관리하며) 동시에 무엇이 옳고 무엇이 가능한지에 대한 모순된 메시지를 탐색하는 법을 포함한다.

We found, battle between “good” (humanism) and “evil” (HC) being waged on the terrain of the individual—a battle that continues despite the extensive amount of research and attention . This preoccupation with managing HC effects obfuscates the positive effects of latent socialization and informal learning, including the many ways that educators and learners learn to navigate contradictory messages about what is right and what is possible, while managing, and perhaps most important, challenging the realities of contemporary health care. 




 2015 Nov;90(11 Suppl):S5-S13. doi: 10.1097/ACM.0000000000000894.

Humanism, the Hidden Curriculum, and Educational Reform: A Scoping Review and ThematicAnalysis.

Abstract

BACKGROUND:

Medical educators have used the hidden curriculum concept for over three decades to make visible the effects of tacit learning, including how culture, structures, and institutions influence professional identity formation. In response to calls to see more humanistic-oriented training in medicine, the authors examined how the hidden curriculum construct has been applied in the English language medical education literature with a particular (and centering) look at its use within literature pertaining to humanism. They also explored the ends to which the hidden curriculum construct has been used in educational reform efforts (at the individual, organizational, and/or systems levels) related to nurturing and/or increasing humanism in health care.

METHOD:

The authors conducted a scoping review and thematic analysis that draws from the tradition of critical discourse analysis. They identified 1,887 texts in the literature search, of which 200 met inclusion criteria.

RESULTS:

The analysis documents a strong preoccupation with negative effects of the hidden curriculum, particularly the moral erosion of physicians and the perceived undermining of humanistic values in health care. A conflation between professionalism and humanism was noted. Proposals for reform largely target medical students and medical school faculty, with very little consideration for how organizations, institutions, and sociopolitical relations more broadly contribute to problematic behaviors.

CONCLUSIONS:

The authors argue that there is a need to transcend conceptualizations of the hidden curriculum as antithetical to humanismand offer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that explores the necessity and value of humanism and the hidden curriculum in medical education and training.

PMID:
 
26505101
 
DOI:
 
10.1097/ACM.0000000000000894
[Indexed for MEDLINE]


QI와 환자안전을 위한 단계별 역량에 대한 컨센서스(JGME, 2018)

A Consensus Approach to Identify Tiered Competencies in Quality Improvement and Patient Safety

Brennan D. Kruszewski, MD

Nathan O. Spell, MD



도입

Introduction


지난 20년 동안, 역량 기반 의료 교육 프레임워크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으며, 의사 개업의 경우 질 향상과 환자 안전(QI/PS) 기술이 필요하다는 인식이 증가해 왔다. 그러나 QI/PS를 가르치는 교육자를 위한 기존 지침은 커리큘럼을 설계하기에 충분하지 않다.

Over the past 20 years, there has been growing interest in competency-based medical education frameworks and recognition that quality improvement and patient safety (QI/PS) skills are necessary for practicing physicians.1–3 Yet existing guidance for educators who teach QI/PS is not always sufficient to design curricula.


QI/PS 커리큘럼 설계에 관한 현재 문헌이 단편화되어 있다. 학부 의과대학(UME) 수준에서 미국 의과대학협회(AAMC)는 EPA로 의대 졸업생들에게 "시스템 실패를 확인하고 안전과 개선 문화에 기여해야 한다"고 요구하지만, 추가적 가이드는 제한적이다.

Current literature on the design of QI/PS curricula is fragmented. At the undergraduate medical education (UME) level, the Association of American Medical Colleges (AAMC) recommends in 1 of its entrustable professional activities that graduating medical students should ‘‘identify systemfailures and contribute to a culture of safety and improvement,’’ with limited additional guidance.4


방법

Methods


Over a 5-month period (May to September 2017), we used a modified Delphi technique to reach consensus. This consisted of 3 rounds of surveys followed by a teleconference, and then a fourth survey.10




결과

Results

TABLE 2는 최종 결과를 보여줍니다. UME 수준에서 13개 항목, GME 수준에서 14개 항목, CPD 수준에서 3개 항목이 확인되었다.

TABLE 2 lists our final results. Thirteen items were identified at the UME level, 14 at the GME level, and 3 at the CPDlevel.


합의 수준이 excellent인 항목 중 30개 중 24개(80%)가 만장일치로 지지를 얻었다.

Of the items achieving a consensus level of excellent, 24 of 30 (80%) attained unanimous support.


(밑줄은 UME수준)


안전문화

  • 오류에 대한 공개적이고 안전한 토론을 장려함으로써 안전 문화를 촉진한다. 

  • 지역/기관에 맞는 적절한 경로를 사용하여 환자 안전 관련 사건을 보고합니다. 

  • 환자 및 가족에게 의료 오류 및 환자 안전관련사건을 적절히 공개하는 데 참여합니다.

  • "정의의 문화Just Culture" 원칙과 일치하는 방식으로 오류에 대응합니다. 

  • 환자 안전 사건이 발생하면 '두 번째 피해자'의 개인적 안녕과 지원을 지원할 자원을 탐색한다.


Culture of safety

  • Promote a culture of safety by encouraging open and safe discussion of error. 

  • Report patient safety events using locally appropriate pathways. 

  • Participate in disclosure of medical errors and patient safety events to patients and families as appropriate.

  • Respond to errors in ways consistent with ‘‘Just Culture’’ principles. 

  • Identify resources to support the need for personal wellness and support of ‘‘second victims’’ after a patient safety event.


환자안전

  • 다음 용어를 정의할 수 있다.  near miss, error, sentinel events. 

  • 잠재적인 오류와 활성 오류를 포함한 스위스 치즈 오류 모델을 설명할 수 있다

  • 오류를 방지하기 위한 효과적인 개입의 위계를 설명할 수 있다(예: 

    • 이중 체크와 같은 저수준 개입, 

    • 체크리스트와 같은 중간 개입, 

    • 환경 교정 또는 기능 강제 등의 강한 개입

  • 니어미스 및 유해한 환자 안전 관련 사건을 개선의 기회로 대한다.

  • 전문가 간 프로젝트 팀에서 협력해서 환자 안전 관련 사건을 분석할 수 있습니다.

Patient safety

  • Define the following terms: near miss, error, sentinel events. 

  • Can describe the Swiss Cheese model of error, including latent and active errors. 

  • Can describe hierarchy of effective interventions to prevent errors (low-level interventions, such as double checking, versus intermediate interventions, such as checklists, versus strong interventions, such as modification of environment or forcing function).

  • Treat near misses and harmful patient safety events as opportunities for improvement.

  • Can partner in interprofessional project teams to conduct an analysis of a patient safety event.


의료 제공의 신뢰성

  • 시스템 요인 및 프로세스가 결과를 생성하는 방법을 설명할 수 있다. 

  • 의학적 의사결정을 방해할 수 있는 인지적, 정서적 편견의 일반적인 유형을 설명할 수 있다.

  • 고도로 reliable한 조직의 특징을 설명할 수 있습니다. 

  • 환자 안전을 촉진을 위하여 인체 및 시스템 요소를 다루는 전략을 통합하여 활용한다.

  • 상황 인식(인식, 이해 및 예측)의 원칙을 의료에 적극적으로 적용한다.

  • 절차 체크리스트, 구조화된 의사소통 도구, 관리 경로care path와 같은 인지 보조 기구를 사용하여 환자 안전과 치료 효과를 강화한다.

  • 관리의 안전과 신뢰성을 개선하기 위한 시스템 기반 이니셔티브를 설계한다. 

Reliability of health care delivery

  • Can describe how system factors and processes create outcomes. 

  • Describe common types of cognitive and affective biases that can impair medical decision making.

  • Can describe features of high-reliability organizations. 

  • Incorporate strategies to promote patient safety that address human and systems factors.

  • Actively apply the principles of situational awareness (perception, understanding, and prediction) to medical practice.

  • Use cognitive aids such as procedural checklists, structured communication tools, or care paths to enhance patient safety and the effectiveness of care.

  • Design systems-based initiatives to improve the safety and reliability of care. 


돌봄 주체의 변경

  • 안전 격차gap가 발생할 수 있는 의료 서비스의 일반적인 변화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 환자 핸드오프 또는 transfer를 수행하기 위한 증거 기반 전략의 효과적인 사용을 시연할 수 있다.

  • 기관의 handover 관행을 분석하고, 프로세스 개선에 기여하여 관리의 안전성과 효율성을 개선합니다.

Care transitions

  • Describe common transitions in health care where safety gaps may occur. 

  • Demonstrate effective use of evidence-based strategies to perform a patient handoff or transfer of care.

  • Analyze local handover practices and contribute to process improvements to enhance the safety and effectiveness of care.


방법 개선/시스템 사고

  • QI을 위한 일반적인 도구의 사용법을 설명할 수 있다(루트 원인 분석, FMEA, PDSA 사이클 등).

  • 일상적인 자기평가, 팀평가, 퍼포먼스 개선을 의료에 통합합니다.

  • 잘 확립된 개선 방법을 사용하여 전문가 간 프로젝트 팀의 파트너가 품질과 안전을 개선할 수 있습니다.

Improvement methods/systems thinking

  • Describe the uses of common tools for quality improvement (root cause analysis, FMEA, PDSA cycles, etc).

  • Incorporates routine self-assessment and team assessment and performance improvement into practice.

  • Can partner in interprofessional project teams to improve quality and safety using recognized improvement methods.


변화와 가치

  • 자신의 검사와 환자 치료에 있어 불필요한 care를 식별하고 제거합니다.

  • 그룹 또는 시스템 practice의 value를 최적화하고 variability는 줄이기 위한 목적으로 QI 방법을 적용하여 지속적인 개선 문화를 촉진합니다.

Variation and value

  • Identify and eliminate unnecessary care in one’s own testing and treatment of patients.

  • Promote a culture of continuous improvement by applying quality improvement methods to optimize value and decrease variability in group or system practice.


성능 측정 및 투명도

  • 효과적이고 안전한 돌봄과 관련한 오류 및 장애요소를 보고 시스템을 활용하여 보고할 수 있다.

  • 공공적 투명성의 가치를 설명할 수 있다.

  • 실행 가능하고, 시기 적절하며, 개선에 적절한 측정 metrics를 식별합니다

  • 품질 및 환자 안전을 개선하기 위해 효과적으로 metrics을 사용합니다. 

  • (자기자신의 전문성과 관련된) 흔한 성과 척도의 타당성을 비판적으로 평가한다.

Performance measurement and transparency

  • Reports errors and barriers to effective and safe care using incident reporting systems.

  • Explain the value of public transparency. 

  • Identify metrics that are actionable, timely, and adequate for improvement. 

  • Effectively employ metrics to improve quality and patient safety. 

  • Critically appraise the validity of common performance measures relevant to one’s own specialty.


Discussion








Article Citation:

A Consensus Approach to Identify Tiered Competencies in Quality Improvement and Patient Safety

Brennan D. KruszewskiMD Nathan O. SpellMD

Brennan D. Kruszewski, MD, is a PGY-1 Resident, Case Western Reserve University/University Hospitals; and Nathan O. Spell, MD, is Associate Dean for Education and Professional Development, Emory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Corresponding author: Brennan D. Kruszewski, MD, University Hospitals Cleveland Medical Center, Department of Medicine, Lakeside Third Floor, 11100 Euclid Avenue, Cleveland, OH 44106, 814.392.4691, 
ABSTRACT

Background  Quality improvement and patient safety (QI/PS) competencies have been proposed separately for undergraduate medical education (UME) and graduate medical education (GME). The work forms a foundation at each educational level, yet curriculum development would benefit from more specific guidance that considers the continuum of physician training.

Objective  We identified a core set of QI/PS items to be taught during medical school, residency, and independent practice, with specificity to guide curriculum development at each level.

Methods  A panel of 12 QI leaders and educators with backgrounds in internal medicine from 10 academic institutions participated in consensus development using a modified Delphi technique. Three rounds of anonymous surveys were conducted, followed by a teleconference and then a fourth survey round, until consensus regarding the relevance of candidate items was reached. Items considered relevant were recommended for teaching at 1 of the 3 stages.

Results  The panel identified 30 QI/PS items for learners. Of the 30 (80%), 24 were unanimously agreed on as relevant, while 6 of 30 (20%) had the agreement of 11 of the 12 experts and the assent of the remaining expert. Thirteen items were identified as appropriate for undergraduate medical education, 14 for graduate medical education, and 3 for the continuing professional development level.

Conclusions  There was a high degree of agreement among 12 internists from geographically diverse institutions on the relevance of 30 QI/PS items identified for trainees in competency-based educational settings.

Received: March 12, 2018; Revised: July 28, 2018; Accepted: August 24, 2018;


불확실성에 대한 편안함: 어떻게 의사들은 복잡한 임상상황을 해쳐나가는가에 대한 개념 재정립(Adv Health Sci Educ Theory Pract, 2018)

Comfort with uncertainty: reframing our conceptions of how clinicians navigate complex clinical situations

Jonathan S. Ilgen1 · Kevin W. Eva2 · Anique de Bruin3 · David A. Cook4 ·

Glenn Regehr5




실제 임상상황에서의 추론을 위해서 의사는 실시간으로 불완전한 데이터를 수집하고 해석해야 합니다. 복잡하고 모호한 환경에서 안전하고 효과적인 조치를 취하는 방법을 배우는 것은 환자 안전과 양질의 진료에 필수적이다(파기슨 외 1997; 하트만 1998; 루터 및 크랜드스타인 2011; 심프킨과 슈워트). 따라서, 보건직업 교육자들은 학생들이 모호성과 불확실성으로 어려움을 겪는다는 우려를 표명하는 경우가 많다. 그 결과, 학습자가 불확실성과 모호성에 대해 "긍정적인" 반응 개발을 도와야 한다는 요청이 진행 중이다(White and Williams 2017).

Authentic clinical reasoning requires practitioners to collect and interpret imperfect data in real time. Learning how to take safe and effective action in these complex and ambiguous settings is essential for patient safety and high-quality care (Fargason et al. 1997; Hartmann 1998; Luther and Crandall 2011; Simpkin and Schwartzstein 2016). Thus, health professions educators often express concerns that students struggle with ambiguity and uncertainty (Fargason et al. 1997; Luther and Crandall 2011; White and Williams 2017), and instead strive to impose certainty on inherently ambiguous situations (Geller 2013; Lingard et al. 2003; Simpkin and Schwartzstein 2016). As a result, there are ongoing calls to help learners develop “positive” responses to uncertainty and ambiguity (White and Williams 2017).


불확실성을 유지하면서도 동시에 자신감 있게 행동하는 것은 전문가의 실천을 전형적으로 보여주는 역설이다. 따라서 숙련된 임상의사가 이러한 모순을 얼마나 잘 구현할 수 있는지를 이해하는 것은 교육자가 trainee의 임상추론 발달을 지원하는 데 필요한 지침을 제공하는 데 있어 중요한 첫 번째 단계를 제공할 수 있다.

To act with confidence while simultaneously remaining uncertain is a paradox that epitomizes expert practice. Thus, understanding how skillful clinicians are able to enact this paradox could offer an important first step toward providing educators with the guidance they need to support trainees’ development of clinical reasoning.


불확실성은 "서로 다른 해결책으로 이어질 수 있는 상충되는 가정, 증거 및 의견이 발생하는" 복잡하고 잘 정의되되지 않은 문제로부터 발생한다. (Kitchener 1983, 페이지 223)

uncertainty arising from complex, ill-defined problems where “there are conflicting assumptions, evidence, and opinion which may lead to different solutions” (Kitchener 1983, p. 223).


Cristancho et al. 2017은 이러한 [잘 정의되지 않은 문제(ill-defined problems, IDP)]는 "임상의들이 문제를 해결하려고 노력하면서도 문제에 대한 그들의 이해를 지속적으로 재구성하고 재정의할 필요"로 특징지어진다고 주장했다. 그러나 정의되지 않은 문제IDP에서 불확실성의 순간을 계속해 나갈 때 임상의사가 편안함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프로세스와 메커니즘은 대부분 설명되지 않았다. 따라서 질문은 어떻게 임상의들이 "불확실한 임상의 비좁은 저지대"에서 충분히 편안해 질 수 있는가이다(Schön 1983, 페이지 42).

Cristancho has argued that these ill-defined problems are characterized by the need for clinicians to continuously reconstruct and redefine their understanding of the problem, even as they are trying to solve it (Cristancho et al. 2017). Yet the processes and mechanisms that enable clinicians to maintain a sense of comfort (or not) when continuing along in these moments of uncertainty in ill-defined problems remains largely unexplored. Thus the question is: how do clinicians become sufficiently comfortable dwelling in these “swampy lowlands of indeterminate practice” (Schön 1983, p. 42),


방법

Method


비록 포괄성이 비판적 종합(Grant and Boe 2009)의 목표는 아니지만, 우리는 출판된 문헌을 체계적으로 검색하여 사전 지식을 넘어 경험적이고 이론적인 작업을 추구했다.

Although comprehensiveness is not the goal in critical synthesis (Grant and Booth 2009), we nonetheless sought empiric and theoretical work beyond our a priori knowledge by methodologically searching published literature.


결과

Results


불확실성에 대한 편안함의 정의

Defining comfort with uncertainty


'불확실성에 대한 편안함'이라는 문구를 탐색하면서, 출판된 문헌에 '불확실성'과 '편안함'이라는 용어가 어떻게 사용되는지에 대한 구체성이 부족하다는 것을 발견했다.

In exploring the phrase ‘comfort with uncertainty,’ we found a lack of specificity in how the terms ‘uncertainty’ and ‘comfort’ are used in published literature.


잘 정의되지 않는 문제에 대해 '불확실성'이라는 용어는 흔히 [상황의 특성]과 [개인의 '경험']을 충분히 구분하지 않다.

The term ‘uncertainty,’ as applied to ill-defined problems in medicine, is frequently used in ways that do not sufficiently distinguish between the properties of the situation and the ‘lived experience’1 of the individual


1 "경험"이라는 단어는 개인적으로 관찰하고, 마주치거나, 무언가를 경험하는 과정과 관찰하고, 마주치고, 경험하는 것으로부터 얻은 지식과 실용적인 지혜를 나타내기 위해 영어로 사용된다. 이 두 가지 의미를 명확히 하기 위해, 우리는 'lived experience'은 특정 순간의 경험을, '축적된 경험'은 그 순간들의 역사적 축적을 나타내는 의미로 사용할 것이다.

1 The word “experience” is used in the English language to represent the process of personally observing, encountering, or undergoing something as well as the knowledge or practical wisdom gained from what one has observed, encountered, or undergone. For the purposes of clarifying these two meanings, we will use ‘lived experience’ to describe experiences in the moment, and ‘accrued experience’ to represent the historical accumulation of such moments.


사실 '불확실성'이라는 용어는 흔히 '모호함'이라는 용어와 상호 교환적으로 사용된다. '상황'과 'lived experience'의 중요한 차이를 더 명확하게 묘사하기 위해, 우리는 상황의 특성을 나타내기 위해 '모호함ambiguity'을 사용하고 개인의 lived 경험을 나타내기 위해 '불확실성uncertainty'을 사용할 것을 제안한다. 

In fact, the term ‘uncertainty’ is often used interchangeably with the term ‘ambiguity’ (Geller 2013; White and Williams 2017). To draw this important distinction between the situation and the lived experience more explicitly, we propose using ‘ambiguity’ to represent the properties of the situation and ‘uncertainty’ to represent the lived experience of an individual. 


따라서, 우리는 '모호함'이란 이미지, 소리, 무수한 임상 결과가 서로 다른 사람에게 둘 이상의 방법으로 해석될 수 있는 경우, 또는 동일한 개인이라도 시간 흐름에 따라 다르게 해석될 수 있는 경우를 본질적으로 모호한 것으로 볼 것이다. 예를 들어, murmur을 나타낼 수도 있고 그렇지 않을 수도 있는 심장 소리는 '모호한 것'이다.

Thus, we will consider some thing, be it an image, a sound, or a constellation of clinical findings, to be inherently ambiguous if it can be interpreted in two or more distinct ways by different individuals, or by the same individual at different moments in time (Dogra et al. 2007; Levine 1985; Rensink et al. 1997; Simons and Chabris 1999). For example, a heart sound that might or might not indicate a murmur is ‘ambiguous.’


대조적으로, 우리는 '불확실성'이란 개인의 살아있는 경험에 대하여, 특정 문제나 상황의 근본적인 원인(예: 질병)을 묘사하는 것에 대한 자신감의 정도를 기술하기 위해 사용할 것이다. 임상의사가 "이 환자의 otitis media는 항생제 없이 좋아질 것"이라고 말하는 것은 '확실성'의 표현이다. 대조적으로, '불확실성'은 환자의 증상의 근본적인 원인에 대한 개념에 관한 '망설임'의 상태를 나타낸다. 이것은 상황이 모호하다는 것에 대한 인식(Babrow et al. 1998; Lazarus and Followman 1984), 자신의 지식에서 인지된 한계(Fox 1957), 정보가 불완전하다는 인식 등에서 발생할 수 있다.

In contrast, we will preserve the term ‘certainty’ to reference the lived experience of the individual, describing the extent to which one feels confident in one’s representation of the underlying cause of a particular problem or situation (e.g., the pathology causing a patient’s illness). Certainty is expressed whenever a clinician says things like “this patient’s otitis media will get better without antibiotics.” In contrast, ‘uncertainty’ represents a state of tentativeness with regard to one’s conception of the underlying causes of a patient’s symptoms. This can arise from recognizing that a situation is ambiguous (Babrow et al. 1998; Lazarus and Folkman 1984), from perceived limitations in one’s own knowledge (Fox 1957), or from recognition that one has incomplete information (Light 1979).


만약 '확실성'이 임상적 상황을 해석하는 데 대한 자신감을 나타낸다면, '편안함'은 특정 상황에서 안전하고 효과적으로 행동(또는 기다리기로 결정)할 수 있다는 자신감을 나타낸다. 따라서 예를 들어, 환자를 관찰하는 동안, 의사가 자신 있게 처방을 작성하거나, 특정 술기를 시행하거나, 행동을 보류하도록 선택하는 경우에 편안함이 표현될 수 있다. 각 경우에 있어서, 개인은 적어도 가장 시급한 단계를 통해 '문제를 관리'하려는 의지를 보이고 있다.

If ‘certainty’ represents one’s confidence in interpreting a clinical situation, ‘comfort’ references the confidence one feels in being capable of acting (or deciding to wait and watch) safely and effectively in a given situation (Barbalet 1993; Eva and Regehr 2005). Thus, for example, comfort is expressed when a clinician confidently chooses to write a prescription, enact a particular procedure, or withhold action while observing a patient. In each case, the individual is exhibiting a willingness to ‘manage a problem,’ at least through its most imminent stages.


이와는 대조적으로, '불안함'은 주로 상황의 요구가 그것을 처리할 수 있는 능력보다 앞서갈 것을 우려하기 때문에 발생한다(LeBlanc 2009; LeBlanc et al. 2015). 예를 들어, 임상의사는 특정 문제를 (또는 오랜 기간 동안) 경험해본 적이 없거나, 왜냐하면 임상의는 뭔가 해야 한다고 느끼는데, 동시에 특정 관리 계획의 적합성이 알고 있는 것에 기반해야 한다고 믿지만, 아직 문제의 근본 원인은 모르는 상태이기 때문일 수 있다.

By contrast, ‘discomfort’ is likely to arise because one is concerned that the demands of the situation outstrip one’s capacity to deal with it (LeBlanc 2009; LeBlanc et al. 2015). This can occur, for example, because a clinician has not dealt with a particular problem before (or for a long period of time), or because a clinician feels that something needs to be done while simultaneously believing the appropriateness of a particular management plan is dependent on knowing the yet unknown root cause of the issue (Light 1979).


요컨대, 이 분석의 목적을 위해, 우리는 '확실성'을 임상 상황에 대한 해석에 대한 자신감으로 정의하고, '편안함'은 어자신의 행동능력에 대한 신뢰(또는 직접 행동 없이 상황을 계쏙 모니터하기로 선택하는 것)으로 정의한다. 따라서, '불확실성에 대한 편안함'은 [근본적인 원인에 대한 이해에 대한 완전한 자신감]이 없는 상황에서, [문제에 대해 행동할 수 있는 (또는 기다리거나 관찰하는) 자신감]을 갖는 현상학적 lived 경험으로 정의될 수 있다. 부연하자면, '확실하지만 불편한' 상태란 어떤 사람이 [문제를 명확하게 이해하면서] 동시에 [그것을 관리할 능력이 없다는 것을 깨닫는 것]의 상태임을 인정할 수 있게 해 줄 것이다.

In short, for the purposes of this analysis, we will define ‘certainty’ as the confidence in one’s interpretation of a clinical situation and we will define ‘comfort’ as the confidence in one’s ability to act (or choose to continue monitoring the situation without direct action). Accordingly, ‘comfort with uncertainty,’ can be operationally defined as the phenomenological lived experience of having the confidence to act on a problem (or wait and observe) in the absence of full confidence in one’s understanding of the underlying cause of the issue. Parenthetically, we note that this also would allow us to acknowledge the state of being ‘certain but uncomfortable’ in which one perceives a clear understanding of the problem and realizes that one is not capable of managing it.


불확실성에 대한 편안함을 보이는 상태

Circumstances that embody comfort with uncertainty


진단에 대한 불확실성과 치료계획에 대한 불확실성

uncertainty regarding the diagnosis and uncertainty regarding the treatment plan.


"꼭 알아야 한다"라는 생각 버리기

Letting go of the need to know


진단에 관한 불확실성에 당면한 경우. 어떤 상황에서, 이것은 [비용이 많이 들거나 위험한 진단 테스트를 통해서만 배제할 수 있는] 덜 일반적이거나 드문 진단의 끊임없는 가능성을 받아들이는 것을 포함한다. 이러한 낮은 진단은 이론적으로는 가능하지만, 이러한 진단을 심각하게 고려하게 되면 의사는 실현불가능한 길을 택해야 하거나 환자의 최선의 이익에 부합하지 않는 길을 택해야 한다(Jha 2014). 따라서 숙련된 임상의사는 이러한 드문 진단에 대해 "의식적 비행동conscious inaction"을 선택하는데 편안함을 갖는다(Jha 2014; Smith and Pauw 2000). 숙련된 의사는 관리 계획을 "보다 가능성 있고 제한적인 진단 하위 세트를 대상으로" 다듬는다. 다만 동시에 [발생 가능성이 낮은 진단을 더 심각하게 고려해야 하는] 환자 임상 상태의 변화(또는 그 변화 부족)에 민감하게 주의를 기울인다.

the face of uncertainty regarding the diagnosis. In some cases, this involves accepting the ongoing possibility of a less common or rare diagnosis that could only be excluded through expensive or risky diagnostic tests. Although these less likely diagnoses are theoretically possible, seriously considering them would likely take clinicians down paths that are neither feasible nor in patients’ best interests (Jha 2014). Skillful clinicians thus comfortably adopt the position of conscious inaction toward these rare diagnoses (Jha 2014; Smith and Paauw 2000). They hone their management plans towards a more probable and limited subset of diagnoses while remaining alert to changes (or lack thereof) in patients’ clinical status that would suggest the need to more seriously consider improbable diagnoses.


진단과 관련하여 '불확실성에 대한 편안함'을 가질 수 있는 또 다른 경우는, 유사한 증상으로 나타나는, 헷갈리는 질병을 구별할 필요가 없는 경우로서, 그 이유가 정말한 진단을 하지 않아도 '어떤 치료가 들을work 것인가'에 초점을 맞춘 증상 중심의 관리 전략을 손쉽게 사용할 수 있기 때문인 경우이다즉, 임상의는 [실용적인 치료 위주]로 질병을 분류하는 방식을 편안하게 선택할 수 있으며, 가능한 진단들을 [자신 있게 경험적 치료를 시작할 수 있는 방법]에 따라 가능한 일부 진단들을 그룹화하여, 치료 성공 가능성은 높으면서, 실제 진단에 대해서는 불확실할 수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진단에 관한 완벽한 확실성]은 목표가 되지 않는데, 왜냐하면 어떤 조치를 취하는데 진단이 꼭 필요하지는 않기 때문이다. 대신, 이 경우에 의사는 환자의 진행 상황을 모니터링함으로써 환자가 실제로 예상 결과를 달성하고 있는지 확인하고, 질병 진행이 예상 경로에서 벗어날 경우 추가적 evaluation이나 management를 변경한다.

In other cases that involve ‘comfort with uncertainty’ regarding diagnosis, it is not necessary to tease apart confusable diseases that manifest with similar symptoms because one can comfortably use symptom-focused management strategies that focus on ‘what will work’ without the need for diagnostic precision (Bordage and Lemieux 1991; Bowen 2006). That is, clinicians can comfortably adopt a pragmatic treatment-oriented categorization of illness, grouping a subset of possible diagnoses in ways that allow them to confidently initiate empiric therapies that have a high probability of success while remaining uncertain about the actual diagnosis. In these situations, perfect certainty regarding diagnosis is not a goal because it is not necessary for action. Instead, clinicians monitor their patients’ progress to ensure they are indeed achieving the anticipated outcomes, and pivot towards further evaluation or a change in management if the illness progression deviates from the anticipated path.


문제를 통해서 자신만의 방식으로 느끼기

Feeling your way through a problem


두 번째 형태의 '불확실성에 대한 편안함'은 확정적인 환자관리 전략이 덜 명확하여, 모호함, 복잡함, acuity가 높은 상황에서 발생한다. 질병의 다양한 개념화가 가능한 이러한 상황(Cristancho et al. 2017)에서도, multiple한 관리 접근 방식이 합리적입니다. 이러한 상황에서 임상의사가 '편안함'을 가질 수 있다는 것은 [원하는 결과가 나올지 여부가 확실치 않더라도] 그 상황을 관리하는 데 있어 합리적인 다음 단계를 밟을 수 있다는 느낌을 보여준다. 실제로 임상의사는 [선택한 초기 환자관리 방법이 상황에 대한 이해를 높이는 추가적 데이터를 제공할 가능성이 높다는 점]을 인식하면서, 의식적으로 불확실성을 유지할 수 있다.

A second form of ‘comfort with uncertainty’ takes place under circumstances of greater ambiguity, complexity, and acuity where definitive management strategies are less clear. In these situations where multiple conceptualizations of an illness remain possible (Cristancho et al. 2017), multiple management approaches also remain reasonable. Clinicians’ ‘comfort’ in these settings reflects feeling able to take a reasonable next step in managing the situation at hand despite not being certain that it will lead to the desired outcome. Indeed, clinicians might consciously remain uncertain, recognizing that their initial steps in management will likely provide additional data that will enhance their understanding of a situation.


임상의사가 이렇게 행동할 때, 그들은 증상의 변화와 치료에 대한 반응을 문제의 frame and reframe을 위한 추가 데이터로 사용함으로써, "실용적 경험주의"를 실천하는 것이다.

When clinicians act in this way they are engaging in an exercise of “pragmatic empiricism” (Atkinson 1984, p. 954), using symptom evolution and treatment responses as additional data to frame and reframe problems, and shifting management strategies based upon how a patient’s illness evolves under their care (Cristancho et al. 2013a, 2016). 


상황을 [구체적인 진단]이 아니라 [잘 정의되지 않은 문제]로 분류함으로써 즉각적인 조치(예: 맥박 산소측정기, 심장 모니터링)에 대한 초기 로드맵을 가질 수 있으며, 미래에 잠재적으로 필요한 조치를 계획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예: 미리 인튜베이션 장비를 가져다둔다). 또한 임상의사가 상황을 더 잘 이해하기 위해 사용하는 임시 치료tentative treatment에 대한 프레임워크를 제공한다. 

Classifying the situation as an ill-defined problem rather than a specific diagnosis provides an initial roadmap for immediate actions (e.g., pulse oximetry, cardiac monitoring) and helps to plan for future potentially-necessary actions (e.g., bringing intubation equipment to the bedside; Zilbert et al. 2015a). It also provides a framework for tentative treatments, the response to which clinicians use to better understand a situation. 


따라서 이러한 형태의 불확실성에 대처하는 것은 익숙한 어두운 길을 걷는 것과 유사하다. 비록 문제를 정의하는 것은 어렵더라도, 여전히 나 자신의 전문 분야 내의 문제라는 인식을 갖는 것이다(Zilbert et al., 2015). 따라서 숙련된 임상의사는 이러한 [잘 정의되지 않은 문제]에 관여할 위험을 가정하고, 다양한 잠재적인 문제, 위험, 관리 경로 남아 있더라도, 스스로가 가진 skillset으로 이러한 복잡성을 안전하고 효과적으로 관리할 수 있을 것이다.

Engaging with this form of uncertainty is thus akin to walking down a familiar dark path: it involves the recognition that even if a problem definition remains elusive, it is a problem within one’s realm of expertise (Zilbert et al. 2015b). Skillful clinicians therefore assume the risks of engaging with these ill-defined problems, feeling comfortable that even if a multitude of potential problems, risks, and management paths remain possible, their skillset will enable them to manage these complexities safely and effectively in the absence of certainty.


불확실성에 대란 편안함을 촉진해주는 조건과 프로세스

Conditions and processes that facilitate comfort with uncertainty


여기에서 Koriat의 지각적 판단에 대한 이중 기본 관점은 특히 도움이 된다. 자신의 학습에 대한 개인의 판단을 설명하기 위해 개발된 이 모델은, 사람들은 [그들이 일련의 자료들을 배웠는지 아닌지를 판단하기 위해서] 다음의 두 가지에서 추출한 단서들을 사용한다는 것을 암시한다. 

    • 그 순간에 겪은 자신의 실제 경험(예: 과제를 수행할 때 나타나는 현재 주관적인 감정) 

    • 황에 대한 자신의 이론(예: 이전 경험의 발생으로부터 만들어진 가정에 기초한 기억의 작동 방법에 대한 그들의 믿음) 

Koriat’s dual-basis view of metacognitive judgments proved particularly generative. This model, developed to explain individuals’ judgments of their own learning (Koriat 1997), suggests that people use cues drawn from both 

    • their lived experience in the moment (e.g., their current subjective feelings that manifest when engaging in a task) 

    • and their theories about the situation (e.g., their beliefs about how memory works based on assumptions built from the accrual of previous experiences) 

...to make a judgment about whether or not they have learned a set of materials. 


Koriat의 경우, 

    • "경험 기반 큐"자료를 읽으면서 점차 편안해지는 것을 말하는데, 이는 자료를 읽는 순간의 유창함을 그 자료의 숙달로 해석하는 경우에 그러하다(Koriat 2005; Koriat et al., 1997). 

    • "이론 기반 큐"학습자료를 여러 번 읽으면 그것을 기억할 수 있다는 믿음에서 생겨나는데, 즉 어떤 자료를 여러 번 읽는다면, 그 자료를 반드시 알 것이라는 자신감을 가지게 된다.

For Koriat, 

    • an “experience-based cue”2 might be the ease with which the material is read, with individuals interpreting their reading fluency in the moment of reading as mastery of the material (Koriat 1997; Koriat et al. 2005). 

    • A “theory-based cue” might be drawn from the belief that reading the material multiple times enables one to remember it, such that if one has read the material several times, one feels increased confidence that one must know it (Koriat et al. 2005). 


불확실성에 대한 우리의 '불확실성에 대한 편안함'에 대한 문헌 검토는, 그러한 경험 기반 및 이론 기반 단서들이 불확실성에 직면한 상황에서 편안함에 대해 판단할 때에도 비슷하게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있음을 시사한다.

Our review of the literature around ‘comfort with uncertainty,’ suggests that such experience-based and theory-based cues are likely to be similarly influential when making judgments about one’s comfort when facing uncertainty.


불확실성에 대한 편안함을 느끼게 해주는 경험 기반 단서

Experience‑based cues that influence feelings of comfort with uncertainty


경험 기반 단서현재의 임상추론 상황에 대한 개인의 내적 경험으로부터 직접 나타난다. 예를 들어, 인지심리학에 따르면 인식된 유창함perceived fluency(얼마나 쉽게 텍스트를 읽고 이해할 수 있는가)은 그 사람이 사람이 배우고자 하는 하는 새로운 자료를 얼마나 숙달했는지에 대한 하나의 guide로 사용된다. 마찬가지로, 의사들은 환자의 문제를 쉽게 듣고 생각할 수 있는지를 "그 상황을 얼마나 숙달하였는지에 대한 단서"로 사용하게 된다. 이는 (비록 최종단계end game에 대해 아직 확실하지 않더라도) '잘 진행되고 있군'와 '이렇게 될 것이라고 예상했어'와 같은 인식에 기반한다.(Cristancho et al. 2017; de Bruin et al. 2017) 

Experience-based cues come directly from an individual’s internal lived experience when engaging in a clinical reasoning situation in the moment. For example, the cognitive psychology suggests that perceived fluency (i.e., how easily one is able to read and understand a text) is used as a cue for the extent to which one has mastered new material that one is trying to learn (Begg et al. 1989; Rawson and Dunlosky 2002). In a similar way, clinicians likely use the ease with which they are able to listen to and think about patients’ problems as cues for the extent to which they have mastery of the situation, drawing on perceptions that ‘this is going well’ and ‘this is what I expected to happen’ (Cristancho et al. 2017; de Bruin et al. 2017), even if they are as yet uncertain of the end game.


광범위한 경험 축적, 자동화의 발달, 요약 프로세스은 이러한 유창성 인식을 결정하는 데 중요한 요소일 가능성이 있다(Reber and Greifener 2017). 경험이 축적되면, 다양한 가능성에 대해서 광범위한 타당한 설명 모델, 가능한 조치, 다수의 함의 등이 떠오를 가능성이 더 높으며, 이는 왜 노련한 임상의들이 불확실성에 직면하는 초심자보다 더 편안함을 느끼는지를 부분적으로 설명한다.

A broad set of accrued experiences, the development of automaticity, and processes of encapsulation are likely important factors in determining this perception of fluency (Reber and Greifeneder 2017). With accrued experience, a range of plausible explanatory models, possible actions, and implications of these various possibilities are more likely to arise, in part explaining why seasoned clinicians are likely to feel more comfortable than novices in the face of uncertainty.


이러한 경험 기반 단서는 모니터링이라는 construct로 표현된다.

these experience-based cues is represented under the construct of monitoring.


예를 들어, Moulton 등은 "자동성에 대한 경계attentive in automaticity"를 유지하는 과정을 기술하면서, 상황 인식과 메타 인식을 결합하였다. "자동성에 대한 경계"는 "전체 상황을 파악하고, 발생하는 상황을 때 모니터링하고, 대안적 가능성에 대해 결정이 내려져야 할지를 심사숙고하는" 방법이라고 말했다 (Dunphy and Williamson 2004, 페이지 108). 

Moulton and colleagues, for example, have described a process of remaining “attentive in automaticity”(Moulton et al. 2010b), combining situational awareness with meta-cognition as a means to “remain aware of the whole situation, to monitor events as they occur, [and] to reflect on alternative possibilities should a decision need to be made” (Dunphy and Williamson 2004, p. 108). 


마찬가지로, Eva와 Regehr는 [자신의 사실적 지식과 관련된 매 순간의] 자기 모니터링 과정을 "(자료를) 찾아봐야 할 때를 아는" 메커니즘이라고 설명했다. (Eva and Regehr 2007). 이러한 모니터링 및 자동성에 대한 경계를 유지한다는 아이디어는 편안함이 '경계의 부족'이나 '늘어진 상태'를 의미하지는 않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오히려 경계 없는 편안함은 "부주의한 자동성"과 유사하며, 조기 진단종료에 해당하는 것으로 간주될 수 있다(Croskerry 2003).

Similarly, Eva and Regehr have described a moment-by-moment self-monitoring process regarding one’s factual knowledge as a mechanism for “knowing when to look it up” (Eva and Regehr 2007). This idea of monitoring and staying attentive in automaticity suggests that comfort does not imply a ‘lack of vigilance’ or a ‘relaxed state.’ Rather, comfort without vigilance is akin to automaticity without attention, and might be considered the management equivalent of premature diagnostic closure (Croskerry 2003).


불확실성에 대한 편안함에 영향을 주는 이론 기반 단서

Theory-based cues that influence feelings of comfort with uncertainty


이론 기반 단서는 메타인지적 믿음의 deliberate한 적용에서 나온 것이다. 

Theory-based cues are those that come from the deliberate application of metacognitive beliefs (Koriat 1997). 


타 분야에서 전문성에 대한 연구에 따르면, 전문가는 추론된 경험을 가지고 상황을 신속하게 추측하며, 그리고나서 그 상황이 어떻게 진화해나갈 것인지에 대한 합리적 추론을 한다. 이러한 예측은 전문가들이 "주어진 상황에서 발생하는 모든 것을 관리할 수 있다"라는 편안함을 느끼게 해준다. 간단히 말해서, '편안함'에 대한 기론 기반 단서는 자신이 이론적으로 가능한 모든 시나리오에 대한 충분한 경험을 가지고 있고, 상황적 요구가 가용자원을 벗어나는 상황이 발생하는 것을 막을 수 있는 수준까지의 통제능력을 가지고 있다는 믿음이다.

Studies of experts in other fields suggest that they draw from accrued experiences to quickly surmise a situation (Chase and Simon 1973) and then attempt to make reasonable predictions for how a situation is likely to evolve (de Bruin et al. 2017; Ericsson et al. 2000; Ilgen and Brydges 2017; Koriat 1997). These predictions then contribute to experts feeling comfortable that they can manage whatever arises in a given situation. In short, the theory-based cue for ‘comfort’ is a belief that one has sufficient accrued experience with all of the reasonably probable scenarios, and the ability to control the situation in ways that will avoid instances where evolving situational needs will likely outstrip the resources available.


불확실성의 순간에 임상의사는 이러한 형태의 전향적 계획forward planning에 참여하고, 이 때 의사는 다양한 관리 계획 및 잠재적으로 발생할 수 있는 결과를 고려합니다(Moulton et al. 2010c). '올바른 진단'이 최고의 능력이 되는 의사결정 분석과는 대조적으로(Friedman et al. 2005), [잘 정의되지 않은 문제에서 발생하는 불확실성의 순간]에서의 전향적 계획forward planning은 대신 유사한 문제에 대해서 가지고 있는 축적된 경험에서 얻은 지식을 활용하여, 충분히 가능성이 있는 다양한 잠재적 사건을 예측한다.

Clinicians engage in these forms of forward planning in moments of uncertainty by considering a range of management plans and potential outcomes that might result (Moulton et al. 2010c). In contrast to decision-making analyses, where ‘getting the diagnosis right’ is tantamount to high performance (Friedman et al. 2005), forward planning in moments of uncertainty arising from an ill-defined problem instead employs knowledge from accrued experiences with similar problems to predict various potential events that are sufficiently probable. 


전문성과 함께 향상되는 "예측 능력"은 기술이나 인력과 같은 자원을 선제적으로 배치할 수 있게 해준다(Novick et al. 2015). 이 자원은 특정 치료 상황에서 어떤 사건이 임상의사의 능력을 초과하는 상황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아질 위험을 최소화한다(LeBlanc et al. 2015; Zilbert et al. 2015a, b). 따라서 자원을 적절히 배치함으로써 임상의는 편안히 앞으로 나아갈 수 있다. 

The ability to anticipate, which tends to arise with expertise (Ericsson et al. 2000), allows one to preemptively put resources such as technology or personnel in place (Novick et al. 2015). These resources minimize the risk of reasonably probable events that would lead to situations that exceed a clinician’s abilities given their particular treatment context (LeBlanc et al. 2015; Zilbert et al. 2015a, b). Putting these resources in place, therefore, allows clinicians to move forward with comfort. 


반대로, 불편함은 임상의사가 상상해본 가능한 시나리오가 자신의 지식이나 기술을 넘어선다고 있다고 인지하거나, 기대되는 문제가 가용자원을 초과하는 경우에 발생한다. 이러한 감정은 궁극적으로 

    • 의료전문가가 도움을 요청할 것인지의 여부, 

    • 문제의 모호성을 줄여나갈 수 있는 방법을 탐색할지 여부(Eva 및 Regehr 2007), 

    • 자신과는 다른 스킬이나 자원을 가진 동료에게 문제를 triage할지 여부 등을 고려하게 한다.

Discomfort occurs, in contrast, when clinicians can imagine likely scenarios that they perceive to be outside of their knowledge or skills, or if the anticipated problems outstrip the available resources (LeBlanc et al. 2015). This sentiment may ultimately prompt clinicians to consider whether they ask for help (Jin et al. 2012; Novick et al. 2015), look for ways to further disambiguate a problem (Eva and Regehr 2007), or triage the problem to colleagues with different skillsets or resources (Zilbert et al. 2015b).



'불확실성에 대한 편안함'을 둘러싼 사회적 복잡성

Social complexities around ‘comfort with uncertainty’


전문의가 '불확실함을 동반한 위안'이라는 감정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인지적 요소를 우선적으로 고려해보았지만, 사회적, 사회적 감정적 단서 또한 역할을 할 가능성이 높다. 위험에 대한 내성, 부작용에 대한 반응, 동료에 대한 취약성 등과 같은 지역 특이적 혹은 분야 특이적 문화는 모두 어떤 의사가 독립적으로 문제를 관리함에 있어 느끼는 편안함에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높다(진 외, 2012년, 케네디 외, 2009년). 이는 특히 환자나 동료가 서로의 행동이나 행동하지 않음을action or inaction 후향적으로 판단할 때 그러하다(Lung et al. 2012; Novick et al. 2015). 마찬가지로, 어떤 의사가 의료행위를 하는 의료시스템이 설계된 방식 역시 가용한 외부 자원(예: 다른 임상의사의 백업을 쉽게 받을 수 있거나 검사를 쉽게 이용할 수 있는 것)을 결정할 뿐만 아니라, 한 의사가 관리해야 하는 외부 압력에도 영향을 미친다.

—(Plebani 1999)

While we have prioritized consideration of cognitive factors that are likely to influence skillful practitioners’ feelings of ‘comfort with uncertainty,’ it is likely that social and social-emotional cues will also play a role. Local and discipline-specific cultures around risk tolerance, reactions to adverse events, and vulnerability to peers are all likely to impact clinicians’ comfort with managing problems independently (Jin et al. 2012; Kennedy et al. 2009b; Luu et al. 2012; Novick et al. 2015), particularly when considering how patients or colleagues retrospectively judge each other’s actions or inactions (Leung et al. 2012; Novick et al. 2015). Similarly, the design of the health system in which one works will determine the external resources that clinicians have available—such as when backup from another clinician is easily accessible (Williams et al. 2007) or when tests are more readily available (Plebani 1999)—as well as the external pressures they are managing (Cristancho et al. 2013b).


고찰

Discussion


환자 문제가 잘못 정의되거나 불완전하게 개념화된 환경에서 작업할 때(즉, 문제의 원인이 불확실한 경우), 임상의는 문제에 대한 행동 지향적 분류와 "실질적 경험주의" (Atkinson 1984, 페이지 954)를 이용하여 관리 접근 방식을 시작한다. 그런 다음 이러한 접근 방식을 지속적 미래계획ongoing forward planning 및 집중적인 모니터링과 연계하여, 당면한 상황을 명확히 하고 재개념화합니다.

When working within settings where patients’ problems are ill-defined or incompletely conceptualized (i.e., where the cause of the problem is uncertain), clinicians harness action-oriented categorizations of problems and “pragmatic empiricism” (Atkinson 1984, p. 954) to get started with their management approaches, then couple these approaches with ongoing forward planning and intensive monitoring to clarify and re-conceptualize the situation at hand.


불확실성이란 무릇 Working hypothesis에 대한 지속적인 회의감의 촉매 역할을 하기 때문에, 불확실성을 유지하는 와중에 편안함을 갖는 것은 중요하다. 편안함을 갖기 위해서는 임시적 가설들이 지속적으로 수정될 것이라는 예상을 하고 있어야 한다. 불확실성을 유지하고 있는 것은 의사로 하여금 [충분히 가능성이 있는 문제를 둘러싼 위험]을 최소화하기 위해 자원을 투입하도록 촉발한다.

Becoming comfortable in maintaining uncertainty in these settings is important because uncertainty serves as a catalyst for ongoing skepticism about working hypotheses, thereby setting an expectation that these tentative hypotheses will be continually revised. Remaining uncertain additionally triggers clinicians to put resources in place to minimize risk around problems that remain sufficiently possible.


교육자에 대한 함의

Implications for educators


우리는 '불확실성에 대한 편안함'이라는 이 탐험에서 비롯되는 세 가지 예비 교육적 의미를 제공한다. 

We offer three preliminary educational implications that follow from this exploration of ‘comfort with uncertainty.’ 


첫째, '정보에 기반한 추측informed speculation'이라는 개념적 공간에 존재하려면 임상의사는 환자의 문제를 정의, 접근 및 관리하는 방법에 대해 의도적으로 반복적이고 유연한 구조를 채택해야 한다. 그러므로 학생들을 '불확실성에 대한 편안함'을 가능하게 하는 마음가짐을 갖도록 하기 위해서는, 교육자들이 먼저 임상 지식이라는 것이 "앎"과 "모름"이라는 2진법 형식으로 존재한다는 생각을 버려야 한다. 

First, to exist in this conceptual space of ‘informed speculation’ clinicians must adopt a deliberatively iterative and flexible construction of how patients’ problems are defined, approached, and managed. To get students into a mindset where ‘comfort with uncertainty’ is possible thus requires educators to first disabuse their trainees of the notion that clinical knowledge exists in a binary format of ‘knowing’ and ‘not knowing’ (Ilgen et al. 2016). 


우리는 현재와 같이 [진단을 중심으로 임상적 추론을 가르치는] 방식은 학습자가 당면한 challenge에 기여할 수 있다고 믿는다(Bordage and Lemieux 1991; Bowen 2006). 이러한 모델은 암묵적으로 '모름'의 상태에서는 행동을 할 수 없으며, '앎'은 어떤 행동을 해나감에 있어서 '확고한 신념'의 면허를 준다고 말한다.

We believe that widely-used formulations for teaching clinical reasoning that are centered around diagnosis may contribute to learners’ challenges (Bordage and Lemieux 1991; Bowen 2006). These models implicitly suggest that ‘not knowing’ precludes taking action, while ‘knowing’ provides license for unwavering certitude when moving forward. 


우리의 교육 모델을 '불확실성에 대한 편안함'을 강조하는 방식으로 바꿈으로써, 학생들에게 숙련된 임상의는 

    • 문제-정의와 문제-해결을 병행하여 사용하며

    • 가능한 진단을 단지 행동을 용이하게 하는 임시적 개념적 프레임워크로 대할 뿐이고 

    • 조치에 따라 확인된 반응을 환자의 문제에 대한 이해를 더욱 명확히 하기 위한 수단으로 사용한다

...는 것을 가르칠 수 있다(Cristancho et al. 2017). 

Shifting our instructional models towards an emphasis on ‘comfort with uncertainty’ would instead teach students that skillful clinicians use problem-definition and problem-solving in parallel (Cristancho et al. 2017), treating possible diagnoses as merely provisional conceptual frameworks that facilitate action, and using responses to these actions as a means to further clarify their understanding of their patients’ problems.


둘째, '편안함'과 '불편함'이라는 용어를 사용함으로써 trainee에게 "무엇이 해도 안전한 것인가"에 대한 한계를 찾아내는 데 도움을 주고, 또한 forward planning과 모니터링을 통해 안전이 촉진될 것이라는 점을 보다 잘 이해하게 해줄 것이다. 교육자는 [(만약 고위험 사건이 발생할 것으로 예상되는 경우) trainee로 하여금 필요한 리소스를 사전에 고려하도록 유도함으로써] forward planning skills를 강화할 수 있습니다. 또한 Koriat가 말한 바와 같이, 교육자들은 훈련생들이 단서를 모니터링하도록 권장할 수 있다. 그러한 단서는 그들이 '옳은 경로on track' 있다는 신호이거나, 또는 현재 조건이 통제 및 관리할 수 없는 위험한 지역으로 방향을 틀고 있다는 신호일 수 있다(Moulton et al. 2010b).

Second, we believe our treatment of the terms ‘comfort’ and ‘discomfort’ can help trainees better identify the limits of what is safe to do (Kennedy et al. 2009a, b; Novick et al. 2015; Stewart 2008), and better understand that safety will be facilitated by forward planning and monitoring. Educators can reinforce forward planning skills by prompting trainees to preemptively consider the resources they may need if any number of anticipated high-risk events were to take place (e.g. “what will we do if X happens?”; Moulton et al. 2010a). Further, consistent with Koriat’s work (Koriat 1997; Koriat et al. 2005), educators can encourage trainees to monitor for cues that might signal that they are ‘on track’ or that they are veering into dangerous territory where conditions are beyond their abilities to control or manage (Moulton et al. 2010b).


마지막으로, 우리는 임상 강사들이 불확실한 상황에서 그들 자신의 '편안함'의 토대에 대해 숙고하도록 권한다. Koriat이 주장하듯이, '편안함'과 같은 단서는 [어떻게 축적된 경험과 그 경험에 대한 신념이 의사가 행동을 취하게끔 준비시키는지]에 의해 생성된다. (Koriat 1997; Koriat et al. 2005). 그러므로 이러한 '편안함'을 교육자가 느낀다고 해서, 훈련생도 같은 방식으로 느껴야 함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Trainee의 경우에는 [사전에 유사한 문제에 노출된 경험이 제한적이기 때문에(따라서 forward planning이 제한적이고), 가능한 후속 시나리오를 상상하는 훈련자의 능력이 떨어질 수 있다. 또한 초심자는 자동성이 부족하고 비축된 주의력이 제한적이어서 자기모니터 능력이 떨어질 가능성이 있다(Moulton et al. 2010b). 

Lastly, we would encourage clinical preceptors to reflect upon the underpinnings of their own ‘comfort’ in uncertain situations. As Koriat argues, cues such as ‘comfort’ are enabled by the rich accrual of experiences and beliefs about how these experiences prepare clinicians to take action (Koriat 1997; Koriat et al. 2005). So, just because this impulse is triggered in a preceptor does not mean that a trainee should feel the same way. Trainees’ abilities to imagine the multitude of possible downstream scenarios are limited given their lack of prior exposure to similar problems (thus restricting forward planning) and novices’ lack of automaticity and limited attentional reserves are likely to impair their abilities to self-monitor (Moulton et al. 2010b). 


종합해 보면, 학습자의 '불확실성에 대한 불안함(이는 망설임과 같은 형태로 드러난다)'이란 것은 수련단계에서는 발달적으로 적절한 반응이기 때문에, 슈퍼바이저들이 훈련생과 'out of sync'를 느끼는 것은 전혀 놀랄 일이 아니다. 학생들에게 불확실성을 '인내tolerate'하도록 권장하는 교육 프로그램(Cook et al. 2017)은 

    • 자기 모니터링의 중요성을 강조하지 않고, 

    • 경계하지 않을 것을 장려하고, 

    • trainee로 하여금 행동을 하려면 "확실한 진단"이 필요하다고 생각하는 모델에 의지하게 한다. 

이러한 교육은 잘 정의되지 않은 문제에 대해서 premature closure에 빠뜨릴 위험이 있으며, 전혀 환자중심적이지 않게 과도한 검사over-testing를 하게 만들 위험이 있다. 

Taken together, it is not at all surprising that super visors frequently feel ‘out of sync’ with their trainees (Moulton et al. 2010a) as learners’ ‘discomfort with uncertainty’—manifested as behaviors such as hesitation (Ott et al. 2018)—is a developmentally appropriate response for their stage of training. Educational programs that encourage students to generically ‘tolerate’ uncertainty (Cooke et al. 2017)deemphasize the importance of self-monitoring, encourage a lack of vigilance, or prompt trainees to fall back into models where diagnostic certainty is necessary for action (Ilgen et al. 2016). These pitfalls risk premature closure around problems that are still ill-defined and risk over-testing in ways that are not patient-centered. 


대신, 관리자들에게 이러한 'out of sync' 상황을 중요한 학습 기회로 사용하도록 권장합니다. '불확실성에 대한 편안함'라는 틀 안에서 일하는 것은 감독자와 훈련생으로 하여금 [환자에게 위험을 초래하는 다운스트림 사건에 대해 함께 추측하게 해주고(앞으로 계획하는 기술 강화)], 동시에 이러한 설정에서 진행 상황을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면서 안전하게 앞으로 이동할 수 있는 구체적인 조치를 고려하게 해준다..

Instead, we would encourage supervisors to use these ‘out of sync’ instances as critical opportunities for learning. Working within a framework of ‘comfort with uncertainty’ allows supervisors and trainees to instead speculate together about the possible downstream events that pose risk to their patients (thereby enriching skills in forward planning), while concurrently considering the specific actions that allow them to move forward safely while continually monitoring their progress in these settings.


연구를 위한 함의

Implications


기존 연구는 이미 수련을 마친 임상의사가 자신의 기술skillset과 잘못 일치할 가능성이 있는 문제를 어떻게 선제적으로 회피하는지 검토하였다(Zilbert et al. 2015a, b). 그러나 임상의사에가 매 순간마다 편안함이란 것에 대한 판단을 어떻게 내리고, 그것을 기반으로 어떻게 행동하며, 언제 편안함의 한계에 다다르는지는 잘 알려져있지 않다. Koriat의 메타인지적 판단에 대한 dual-basis view은 임상의사가 현재 사용하는 단서 유형을 분류하기 위한 발판을 제공할 수 있다(Koriat 1997; Koriat et al 2005). 그리고 그 단서들은 [궁극적으로 이러한 단서들이 바람직한 결과에 대한 예측 가능한지 여부를 설명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다운스트림 사건과 연계될 수 있다(Deb Bruin et al. 2017).

Existing research examines how established clinicians preemptively steer clear of problems that are likely to misalign with their skillset (Zilbert et al. 2015a, b), but there has been less work directed toward understanding how clinicians’ moment-to-moment appraisals of comfort are both enacted and acted upon, as well as when they reach the limits of their comfort. Koriat’s dual-basis view of metacognitive judgments may provide helpful scaffolding to categorize the types of cues that clinicians use in the moment (Koriat 1997; Koriat et al. 2005), and these can ultimately be linked to downstream events as a means to illustrate whether or not these cues are predictive for desired outcomes (de Bruin et al. 2017).


또한 의료전문가가 불확실성을 효과적으로 관리하는 방법에 대한 연구를 보완하기 위해 

  • 초심자에 의해 어떻게 개념화되었는지 

  • 그게 어떻게 그들의 살아 있는 경험과 일치하는지. 

  • 학습자가 연습 자체를 배우는 동안 연습 영역의 가장자리edge를 어떻게 정의합니까? 

  • 초보자용 안전 구역의 가장자리는 다른 감독자와 다른 환경에서 작업하는 맥락에서 어떻게 경험할 수 있는가? 

  • 불편함을 경험하는 것이 연습의 제한 또는 학습의 기회로 간주되는가? 

  • 그러한 인식은 교육 프로그램과 임상 교훈으로부터 그들이 받는 암묵적 메시지로부터 파생된 것인가?

Further, as a supplement to research exploring how clinicians manage uncertainty effectively, there is need for an exploration of 

  • how this framework is conceptualized by novices, 

  • and how it aligns with their lived experiences. 

  • How do learners define the edges of their zones of practice while still learning the practice itself? 

  • How are the edges of a novice’s comfort zone experienced in the context of working with different supervisors and in different settings? 

  • Are lived experiences of discomfort viewed as limitations of practice or opportunities for learning? 

  • Are such perceptions derived from the implicit messages they receive from their training programs and clinical preceptors?

불확실성이나 불편한 순간에 어떻게 초심자가 반응하는지가 entrustable practice and learning에 관여하는 정도, 또는 환자 안전을 해칠 수 있는 방식으로 감정을 숨기는 것을 결정할 것이다.

How novices respond in moments of uncertainty or moments of discomfort will determine the extent to which they engage in entrustable practice and learning (Ten Cate et al. 2016) or hide their feelings in a manner that could compromise patient safety (Moulton et al. 2010a).


마지막으로, 편안함과 불편함이 불확실성 관리를 안내하는 전체적인 인지 체계를 반영하는 경우, 

  • 학습자가 '과도한 자신감'을 느낀다는 것은 무엇을 의미합니까? 

  • 슈퍼바이저들은 어떻게 이러한 속성을 파악하는가? 

과거 연구에서, 과도한 자신감과 부족한 자신감의 정의는 전문가 합의나 병리 결과나 부검 결과에 얼마나 잘 맞았는지를 후향적으로 봄으로써 결정하였다.

Finally, if comfort and discomfort reflect holistic cognitive frameworks that guide the management of uncertainty, 

  • what does it mean for learners to be ‘overconfident,’ and 

  • how do supervisors identify these attributes in trainees? 

In past work, definitions of over- and under-confidence were based upon retrospective alignment or misalignment with measures of diagnostic accuracy as determined by expert consensus (Friedman et  al.  2005; Potchen 2006), pathology results (Dreiseitl and Binder 2005), or autopsy findings (Landefeld et al. 1988). 


우리가 '옳은 진단을 내리는 것'에서 벗어나서 '진료 계획에 대한 다양한 대응에 참여하고 예상하면서 합리적인 다음 단계를 밟는 것'이라는 목표로 변화해간다면, 자신감에 대한 정의도 바뀔 것이다. 따라서 훈련생들의 '편안함'의 뿌리를 발견하는 것은 교직원들이 훈련생들이 불확실한 상황에서 '과도하게 자신감을 갖는다'하다고 말할 때 의미하는 바를 더 자세히 설명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 이를 통해 교육자들이 불확실한 상황에서 학생이 보이는 "카우보이" (위험 감수형) 또는 지나치게 "소심이"(위험-불내형) 같은 행동을 이해하도록 도와줄 것이다.

Our definition of confidence is likely to change if we move away from a goal of ‘getting a diagnosis right’ towards ‘taking a reasonable next step while attending to and anticipating varied responses to management plans.’ Thus, unearthing the roots of trainees’ ‘comfort’ might help to further elaborate what faculty members mean when they say trainees are ‘over-confident’ in uncertain settings. This will help us understand the behaviors that give supervisors the perception that trainees are acting as “cowboys” (taking undue risk) or being overly “timid” (risk-intolerant) in settings of uncertainty (Cassell 1991; Zilbert et al. 2015b).


결론

Conclusion


'불확실성에 대한 편안함'은 임상의사가 [문제의 근본 원인에 대한 이해를 완전히 신뢰할 수 없는 상태]에서 [문제에 대해 조치를 취할 수 있는(또는 기다리고 관찰하는) 상황]를 설명한다.

‘Comfort with uncertainty’ describes instances where clinicians have the confidence to act on a problem (or wait and observe) while lacking full confidence in their understanding of the underlying cause of the issue.


Cristancho, S., Lingard, L., Forbes, T., Ott, M., & N of ‘problem de nition’ in complex clinical judgement


de Bruin, A., Dunlosky, J., & Cavalcanti, R. (2017). cation: The need for predictive cues. Medical Education, 51, 575–


Ilgen, J. S., & Brydges, R. (2017). Cues for self-regulation: it’s difficult to make predictions, especially about the future. Medical Education, 51, 566–568.


White, G., & Williams, S. (2017). The certainty of uncertainty: Can we teach a constructive response? Medical Education, 51, 1200–1202.



 2018 Nov 2. doi: 10.1007/s10459-018-9859-5. [Epub ahead of print]

Comfort with uncertaintyreframing our conceptions of how clinicians navigate complex clinicalsituations.

Author information

1
Department of Emergency Medicine and Center for Leadership and Innovation in Medical Education, University of Washington School of Medicine, Seattle, WA, USA. ilgen@uw.edu.
2
Department of Medicine and Centre for Health Education Scholarship, University of British Columbia, Vancouver, BC, Canada.
3
Department of Educational Development and Research, School of Health Professions Education, Maastricht University, Maastricht, The Netherlands.
4
Department of Medicine and Office of Applied Scholarship and Education Science, Mayo Clinic College of Medicine and Science, Rochester, MN, USA.
5
Department of Surgery and Centre for Health Education Scholarship, University of British Columbia, Vancouver, BC, Canada.

Abstract

Learning to take safe and effective action in complex settings rife with uncertainty is essential for patient safety and quality care. Doing so is not easy for trainees, as they often consider certainty to be a necessary precursor for action and subsequently struggle in these settings. Understanding how skillful clinicians work comfortably when uncertain, therefore, offers an important opportunity to facilitate trainees' clinicalreasoning development. This critical review aims to define and elaborate the concept of 'comfort with uncertainty' in clinical settings by juxtaposing a variety of frameworks and theories in ways that generate more deliberate ways of thinking about, and researching, this phenomenon. We used Google Scholar to identify theoretical concepts and findings relevant to the topics of 'uncertainty,' 'ambiguity,' 'comfort,' and 'confidence,' and then used preliminary findings to pursue parallel searches within the social cognition, cognition, sociology, sociocultural, philosophy of medicine, and medical education literatures. We treat uncertainty as representing the lived experience of individuals, reflecting the lack of confidence one feels that he/she has an incomplete mental representation of a particular problem. Comfort, in contrast, references confidence in one's capabilities to act (or not act) in a safe and effective manner given the situation. Clinicians' 'comfort with uncertainty' is informed by a variety of perceptual, emotional, and situational cues, and is enabled through a combination of self-monitoring and forward planning. Potential implications of using 'comfort with uncertainty' as a framework for educational and research programs are explored.

KEYWORDS:

Ambiguity; Clinical reasoning; Comfort; Complexity; Expertise; Medical decision-making; Uncertainty

PMID:
 
30390181
 
DOI:
 
10.1007/s10459-018-9859-5


교육환경 분석의 핵심 요소: 이론은 어디있나? (Adv in Health Sci Educ, 2012)

Key elements in assessing the educational environment: where is the theory?

Johanna Scho¨nrock-Adema • Tineke Bouwkamp-Timmer •

Elisabeth A. van Hell • Janke Cohen-Schotanus




도입

Introduction


점점 더 교육 환경은 양질의 의료 교육을 위해 필수적인 것으로 인식되고 있다. (Roff 2005; WFME 2003, 2007; Genn 2001a, b)

The educational environment has been increasingly acknowledged as vital for high-quality medical education (Roff 2005; WFME 2003, 2007; Genn 2001a, b).


학생들의 교육환경의 퀄리티에 대한 인식이 학생들의 참여, 만족도 및 성공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보여주는 연구 결과가 있다. 예를 들어, 긍정적인 교육 환경은 학생 학습을 동기부여하는 데 필요한 조건입니다(Kerkpatrick 1996;Mu ̈ler and Louw 2004).

research outcomes, showing that students’ perceptions of the educational environment quality influence their involvement, satisfaction and success (De Young 1977; Haertel et al. 1981; Karagiannopoulou and Christodoulides 2005;Mu¨ller and Louw 2004). For example, a positive educational environment is a necessary condition to motivate student learning (Kirkpatrick 1996;Mu¨ller and Louw 2004).


최근의 의학 교육 환경 도구에 대한 조사는 그들 사이에 많은 차이점이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그러나 setting 간의 차이가 도구의 일부 콘텐츠에 대한 tailoring을 요구할 수 있지만(Holt and Roff 2004; Patel and Dauphinee 1985),

Examination of recent medical educational environment instruments reveals that there are many differences between them. However, even though differences between settings may call for some tailoring of instrument content (Holt and Roff 2004; Patel and Dauphinee 1985),


우리는 지금까지 의학 교육 환경의 퀄리티를 적절히 확인하기 위해 어떤 개념을 측정해야 하는지에 대한 합의가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는 것을 알고 있다.

we gather that up till now there is no consensus about which concepts should be measured to ascertain the quality of the medical educational environment adequately.


의학 교육 환경 기구의 개발 과정에 관한 출판물로부터 우리는 그들 대부분이 이론에 근거하지 않았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이론적 프레임워크의 부재는 측정된 개념에 관한 차이를 설명할 수 있다.

From the publications on the development processes of the medical educational environment instruments, we noticed that the majority of them were not based on theory. The absence of a theoretical framework may explain the differences regarding the concepts measured.


우리는 의학교육환경의 퀄리티에 대한 적절하고 완전한 그림을 얻기 위해서는 의학교육 환경의 어떤 요소가 측정되어야 하는지를 규정하는 이론적인 프레임워크가 있는지 궁금했다.

we wondered whether there are any theoretical frameworks that specify which elements of the medical educational environment should be measured to obtain an adequate and complete picture of its quality.


연구1: 이론틀에 대한 심층조사

Study 1: In-depth search for theoretical frameworks


방법

Methods


스노우볼 방법

Starting with the included publications, we applied a snowballing technique—comparable to the method applied by Teunissen and Westerman (2011)—in order to find a theoretical framework,


자료 출처와 도구 선택

Data sources and selection of instruments



다음을 배제함

We excluded


a. studies in which the development of an educational environment instrument only implied abbreviating an existing instrument;

b. studies focusing on educational settings other than the medical education setting, for example nursing or dentistry;

c. (narrow) studies focusing on specific aspects of the educational environment;

d. (extensive) studies in which the educational environment was not the main focus of the instrument constructed;

e. paper and poster abstracts, proceedings of conferences, dissertation abstracts, editorials and letters.


자료 추상화

Data abstraction


We considered a theoretical framework relevant and useful if it clearly delineates which components of the educational environment should be measured in order to obtain an adequate and complete picture of its quality.


결과

Results


검색 결과

Search results


의학교육환경 도구의 개괄

Overview of medical educational environment instruments




(표 1 참조) 예를 들어, 교육, 감독, 훈련은 반복되는 주제이며, 대기, 감정적 기후, 사회적 지지에 대한 인식도 그러하다. 학습 기회의 인식, 학습에 대한 지향성, 작업량, 목표 지향성, 장학금에 대한 강조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도구들은 여러 차이를 보이는데, 예를 들어 스케일이 3에서 12까지의 다르다. 이러한 차이는 일부 평가도구는 하나의 척도로 여러 개념을 결합하고 다른 평가도구는 이 개념들을 별도로 측정하기 때문일 수 있다.

(see Table 1). For instance, teaching, supervision and training are recurring themes, as are perceptions of atmosphere, emotional climate and social support. The same is true for perceptions of learning opportunities, orientation to learning, workload, goal direction and emphasis on scholarship. Nevertheless, the instruments also display many differences, for instance, in numbers of scales, which range fromthree to twelve. These differences may partly be ascribed to the fact that some instruments combine several concepts in one scale, whereas others measure these concepts separately.


항목 수준에 대한 정밀 검사는 또 다른 유형의 차이를 드러냅니다. 여러 도구들이 서로 다른 개념을 측정하기 위해 유사한 항목을 사용합니다.

Closer inspection on item level reveals another type of dissimilarity: different instruments use similar items to measure different concepts:


    • 교사와의 좋은 관계에 대한 항목은 트레이너의 인식뿐 아니라 분위기에 대한 인식을 측정하는 데 사용됩니다(Mulrooney 2005; Holt and Roff 2004).

    • 작업 부하에 대한 항목은 작업 부하/감독/지원 및 역할 자율성에 대한 인식을 측정하는 데 사용됩니다(Holt 및 Roff 2004; Roff et al. 2005).

    • 학습 기회에 대한 항목은 학습 기회의 인식과 역할 자율성에 대한 인식을 측정하는 데 사용됩니다(Cassar 2004; Roff et al. 2005).

    • 학습 목표에 대한 항목은 역할 명료성과 교수에 대한 인식을 측정하는 데 사용된다(Rotem et al. 1995; Roff et al. 1997).

    • items about good relationships with the teacher are used to measure perceptions of the trainer as well as perceptions of atmosphere (Mulrooney 2005; Holt and Roff 2004).

    • items on workload are used to measure perceptions of workload/supervision/support and perceptions of role autonomy (Holt and Roff 2004; Roff et al. 2005).

    • items on learning opportunities are used to measure perceptions of learning opportunities as well as perceptions of role autonomy (Cassar 2004; Roff et al. 2005).

    • items on learning objectives are used to measure perceptions of role clarity and perceptions of teaching (Rotem et al. 1995; Roff et al. 1997).


이론틀의 심화 검색

In-depth search for theoretical frameworks


그림 2는 도구 조사 프로세스를 보여 줍니다.

Figure 2 illustrates the process of investigating instruments


가장 최근에 개발된 도구가 이 그림의 맨 위에 위치해 있으며, 심층적인 연구 시작에 쓴 11개의 의료 교육 환경 기구들이 굵은글씨로 있다.

The most recently developed instruments are positioned at the top of the scheme, with the 11 medical educational environment instruments that formed the start of our in-depth study in bold typeface.


우리의 심층 조사는 두 가지 이론적 틀을 낳았다. 첫번째 틀은 Murray의 작품이었다. Murray는 처음에 성격묘사를 위한 개념적인 계획을 세우는 것에 초점을 맞추었다. 그는 한 사람의 행동이 개인의 성격뿐만 아니라 환경에 대한 인식에 의해서도 영향을 받음을 깨달았을 때, 그는 환경에도 초점을 맞추었다. 그는 개인과 환경 개념을 적절한 용어로 조작하려고 시도했다. 

Our in-depth investigation yielded two theoretical frameworks. The first framework was the work of Murray (1938). Murray initially focused on formulating a conceptual scheme for describing personality. When he realized that behavior can not only be attributed to an individual’s personality, but also to the person’s perceptions of the environment, he also focused on the environment. He attempted to operationalize person and environment concepts in commensurate terms. 


하지만 머레이는 자신의 결과에 의문을 제기했다. 그는 이러한 개념들을 만들기 위한 그의 기준은 명확하지 않고 그의 계획은 불완전하다는 것을 깨달았다: 범주 설정 기준은 명확하지 않았다 (p. 716), 그리고 '인식과 해석을 guide하기 위한 러프한, 예비적인' 계획만 만들었다. 또한, 그가 노력하여 만든 많은 변수들의 목록은 체계적이지 않은 것으로 여겨졌으며, 이론이나 핵심적 발견을 제공하지 않는다고 여겨졌다 설명된다. (McAdams 2008) 따라서, 우리는 의료 교육 환경을 평가하기 위한 이 프레임워크의 적용 가능성을 테스트하지 않기로 결정했습니다.

However, Murray casted doubt on his own results. He realized that his criteria for formulating these concepts were not univocal and his scheme was imperfect: the criteria for setting up the categories were not unequivocal (p. 716) and resulted in no more than ‘a rough, preliminary plan to guide perception and interpretation’ (p. 143) (Murray 1938). In addition, the long lists of variables resulting from his efforts are described as rather unstructured and Murray’s work as not offering a systematic theory nor central findings (McAdams 2008). Therefore, we decided not to test the applicability of this framework for evaluating the medical educational environment.




우리가 발견한 두 번째 이론적인 틀은 Moos (1973, 1974년)에 의해 형성된 프레임워크이다. Moos에 따르면, 각 인간 환경은 - 어떤 세팅이든간에(병동이든, 교정기관이든, 군대든, 교실이든, 치료그룹이든, 근무환경이든, 가족이든) 일반적인 몇 가지 차원으로 설명될 수 있다. Moos는 세 가지 광범위한 차원으로 개념화했다.

The second theoretical framework that we found was the framework formulated by Moos (1973, 1974). According to Moos, each human environment—irrespective of the type of setting (e.g. psychiatric ward, correctional institution, military training, classroom, therapeutic group, work environment or family setting)—can be described by common sets of dimensions. Moos conceptualized these sets of dimensions in three broad domains:


1. 개인 개발 또는 목표 지향 차원

특정 환경의 기본 목표와 관련이 있다. 이 영역에서는 [개인의 성장과 자기 향상이 일어나는 경향의 기본적인 방향]을 평가한다. 교육 환경에서 이 영역은 교육의 목표를 달성하는 것과 관련이 있습니다. 목표 지향 영역에서 높은 점수를 받은 교육 환경은 학습 목표, 관련 학습 내용 및 건설적 비판에 대한 명확성으로 특징지어집니다.

1. Personal development or goal direction dimensions, which relate to the basic goals of the specific environment—they assess the basic directions along which personal growth and self-enhancement tend to occur. In educational settings, this domain pertains to achieving the aims of education. An educational environment scoring high on the goal direction domain is characterized by clarity about learning objectives, relevant learning content and constructive criticism.


2. 관계 차원 

그것은 특정 환경의 사람들이 서로를 서포트하고 돕고, 자발적으로, 자유롭게, 공개적으로 자신을 표현하는데 참여하는 정도를 평가한다. 관계 차원이 긍정적인 환경은 열린 의사소통, 다정함, 사회적 그리고 대인관계 지원, 화합과 그룹 정신의 느낌으로 특징지어진다. 교육 환경에서 긍정적인 관계를 나타내는 것으로는 학생 참여, 제휴affiliation, (감정) 지원 및 교사 서포트 등이 있다.

2. Relationship dimensions, which assess the extent to which people are involved in the setting, support and help each other and express themselves spontaneously, freely and openly. A favourable relationship domain is characterized by open communication, friendliness, social and interpersonal support, cohesion and feelings of group spirit. Dimensions representative of positive relationships in educational settings are student involvement, affiliation, (emotional) support and teacher support.


3. 시스템 유지보수 및 시스템 변경 차원

이는 기대가 명확하거나 질서정연하고, 통제를 유지하고, 변화에 반응하는 정도를 의미한다. 교육 환경에서 이 영역을 대표하는 것의 예로는 순서, 조직, 규칙 명확성, 교사 통제, 학생 영향 및 혁신이 있습니다임상 학습 환경은 작업 환경의 일부이기 때문에 작업 압력과 물리적 편안함 또한 이 영역과 관련이 있을 수 있다.

3. System maintenance and system change dimensions, which measure the extent to which the environment is orderly and clear in its expectations, maintains control, and responds to change. Examples of the basic dimensions representative of this domain in educational settings are order, organization, rule clarity, teacher control, student influence and innovation. Since the clinical learning environment is part of a work setting, work pressure and physical comfort—a dimension that is, in work settings, representative of this domain—may also be relevant.


연구2: 이론트의 적용

Study 2: Applicability of the theoretical framework


방법

Methods


모스의 이론적 틀이 의학 교육 환경에 적용 가능한지 알아보기 위해, 우리는 의학교육 환경 측정도구의 항목들이 그 안에 매핑될 수 있는지 조사하였다.

To find out whether Moos’ theoretical framework is applicable to the medical educational environment, we investigated whether the items of medical education environment instruments could be mapped into it.


참가자와 절차

Participants and procedure


결과

Results


Moos의 프레임워크와 관련된 항목 중 약 94%. 총 374개 항목 중 256개(68%)가 하나의 도메인에 할당되었고, 94개(25%)는 두 개 이상의 도메인과 일치했으며 24개(6%)는 환경에 명확하게 관련되지 않았기 때문에 해당 항목에 매핑되지 않았다.

About 94%of the items related to Moos’ framework. Of the total number of 374 items, 256 (68%) were allocated to one single domain, 94 (25%) matched with more than one domain and 24 (6%) could not be mapped into it either because they did not clearly pertain to environment or because the purposes of the items in question were unclear to the raters.


목표 지향 도메인

"직업에 대한 준비가 잘 되어 있다고 생각합니다."

"여기서 내 일에 있어서 나는 자율성을 개발하도록 격려받았다."

goal direction domain

‘‘I feel I am being well prepared for my profession’’

‘‘I am encouraged to develop autonomy in my work here’’.


관계 도메인

 "나는 팀의 일원으로 느낀다,"

 "이 직무에 대해 문제를 논의하는 것이 편하다." 

relationship domain

 ‘‘I feel part of the team’’, 

‘‘I feel comfortable discussing problems in this job’’, 


시스템 유지관리 및 시스템 변경 도메인

"문제 해결을 위한 명확한 경로가 있습니다."

"이 위치에서 교육 시간을 보호받고 있다."

system maintenance and system change domain

‘‘there is a clearly defined pathway to address problems’’

‘‘I have protected educational time in this post’’


고찰

Discussion


Moos의 프레임워크는 개인 개발 또는 목표 방향, 관계, 시스템 유지보수 및 시스템 변경 차원의 세 가지 영역을 인간 환경의 핵심 요소로 정의합니다.

Moos’ framework defines three domains as the key elements of human environments: 

  • personal development or goal direction, 

  • relationship, and 

  • system maintenance and system change dimensions.


결과는 의료 교육 환경에서 세 영역의 콘텐츠가 

  • 목표 지향(교육의 내용 및 목적), 

  • 관계(개방적이고 우호적인 분위기 및 제휴) 

  • 조직/규제

...와 관련이 있음을 보여주었다.

results showed that in the medical educational environment context, the contents of the three domains relate to 

  • goal orientation (the content and aims of education), 

  • relationships (an open and friendly atmosphere and affiliation) and 

  • organization/regulation.


평가도구의 문항들 중 일부가 하나 이상의 도메인에 할당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모든 항목이 프레임워크를 염두에 두고 구성되지 않았기 때문에 모든 항목이 단일 도메인에 바로 할당될 수 없다는 것은 놀라운 일이 아닙니다.

Our study showed that part of the items could be assigned to more than one domain. It is not surprising that not all items could be allocated straight to a single domain, since they were not constructed with the framework in mind.


이러한 항목을 세 영역 중 하나에만 분명하게 집중하면 일관된 척도를 형성하는데 기여할 수 있으며, 이는 다시 해당 계측기의 신뢰성과 타당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Focusing these items unambiguously on only one of the three domains may contribute to forming coherent scales, which may, in turn, enhance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instrument in question.


우리가 발견한 골조의 타당성과 포괄성은 이전의 연구에 의해 뒷받침된다. 

The validity and comprehensiveness of the framework that we found is supported by previous research. 


첫째, Moos는 이 세 개의 도메인을 9개의 매우 뚜렷한 종류의 환경에서 발견했다. 

First, Moos found these three domains in nine vastly distinct kinds of settings (Moos 1974). 


둘째, 유사한 프레임워크가 조직 환경에서 분위기가 태도, 만족도 및 성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에 적용되었다(Ostroff 1993). 이 프레임워크는 Moos와는 독립적으로 개발되었으며 다음의 세 가지가 세 가지 조직의 분위기에 대한 인식을 구성한다 

Second, a similar framework was applied in organizational research into the influence of climate on attitude, satisfaction and performance in an organizational setting (Ostroff 1993). This framework was developed independently from Moos and comprises three broad categories of climate perceptions, namely perceptions of the 

  • 정서적 측면(인내적, 사회적 관계) 

  • 인지적 측면(예: 성장과 자율성) 

  • 도구적 측면(예: 계층 구조) 

  • affective (interpersonal and social relations), 

  • cognitive (e.g. growth and autonomy) and 

  • instrumental aspects (e.g. hierarchy, structure) 


이것은 기존 문헌의 통합을 반영하는 조직 분위기 인식의 포괄적인 분류로 칭송되었다. 

It was commended as a comprehensive classification of organizational climate perceptions that reflects the integration of existing literature (Carr et al. 2003). 


셋째, 질적 연구에서도 유사한 분류를 확인했다. 예를 들어, 수술장 학습 환경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 연구는 성공적인 학습을 위해 중요한 세 가지 영역을 제시하였다. 

Third, qualitative studies yielded similar classifications. For example, a study of students’ perceptions of the theatre learning environment yielded three domains as important for successful learning: 


  • 교육 과제(교육의 내용 및 목적과 관련된) 

  • 사회관계 

  • 육체적인 환경과 그 일의 정서적인 영향. 

  • educational task (which pertains to the content and aims of education), 

  • social relations, and 

  • physical environment and emotional impact of the work (Lyon 2003). 


임상 환경에서 학습을 최적화하는 데 필수적인 조건에 초점을 맞춘 Dornan 등(2005)의 연구는 임상환경에서 학습을 최적화하는 세 가지 종류의 teacher support(임상적, 정서적, 조직적) 발견했으며, 이는 또한 우리가 교육환경에서 발견한 세 가지에 가까운 것으로 확인되었다.

A study by Dornan et al. (2005)—focused on the conditions essential for optimizing learning in the clinical environment—revealed three kinds of teacher support (pedagogic, affective and organisational) that also correspond closely with the three domains of educational environment that we identified.


우리가 교육 환경을 위해 제안하는 이론적 틀은 Moos 에 기반을 두고 있다. 이 관점에서, 교육은 사회 문화적 관점으로 확대된다.

The theoretical framework that we propose for the educational environment is based on Moos (1973, 1974). In the meantime, medical education is broadened with sociocultural perspectives,


사회문화 이론은 임상 교육 환경과 같은 역동적 환경에서 학습이 어떻게 발생하는지를 설명하는 데 강력한 이론이다. 

사회문화 이론의 특징은 다른 사람들과의 교류와 협력이 학생들의 학습 과정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인정된다는 것이다. 이 과정은 다른 사람들로부터 지식과 기술을 배우는 것이며, 학습자가 introduce되는 커뮤니티에 존재하는 규범, 문화적 믿음과 태도에 익숙해지는 것이다.

Sociocultural theory is considered as a promising and powerful theory that may be valuable for explaining how learning occurs in dynamic contexts like clinical educational environments (Bleakley 2006). Characteristic for sociocultural theory is that the interaction and collaboration with others is acknowledged as influencing students’ learning processes, both through learning knowledge and skills from others, and through becoming familiar with the norms, cultural beliefs and attitudes existing in the communities to which they (the students) are being introduced.


타인과의 상호작용과 협력에 대한 강조는 (두 번째 영역에 속하는) (대인) 관계가 학생들의 학습 과정에 중요하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또한, [다른 사람과 협력하는 방법을 배우는 것]은 첫 번째 영역인 [목표 지향]과 관련된 것을 성취하기 위한 중요한 목표이다. 또한, [사회 문화적 이론이 다른 사람들과의 상호작용과 협력을 중요시한다는 것]이 교육과 학습이 조직되고/또는 규제되는 방식도 영향을 미칠 수 있다.

The emphasis on interaction and collaboration with others implies that (interpersonal) relationships—belonging to the second domain—are important for students’ learning processes. In addition, learning how to collaborate with others is an important goal to achieve which is related to the first domain, goal direction. Furthermore, the importance that sociocultural theory attaches to interaction and collaboration with others may also have implications for the way education and learning is organized and/or regulated.


우리는 또한 제안된 프레임워크가 위치 학습 및 실천 공동체의 기능 및 효과성에 대한 이해를 증가시킬 수 있다고 생각한다(Lave and Wenger 1991; Dornan et al. 2007; Fuller et al. 2005; Elstro ).

We also think that the proposed framework may add to the understanding of the functioning and effectiveness of situated learning and communities of practice (Lave and Wenger 1991; Dornan et al. 2007; Fuller et al. 2005; Ellstro¨m 2001).


또한 현재 이론적 프레임워크는 슈퍼비전의 기능과 효과성에 대한 이해를 높일 수 있다. 광범위한 문헌 검토에서 킬민스터와 졸리(2000)는 [슈퍼비전 관계], [피드백], [프로세스에 대한 trainee의 통제]가 중요하다고 강조하며, 효과적인 감독의 가장 중요한 특징은 감독을 위한 충분한 시간이라고 강조하였다. 이러한 주요 기능은 각각 도메인 관계, 목표 지향 및 조직/규제에 부합합니다.

The current theoretical framework may also add to the understanding of the functioning and effectiveness of supervision: in an extensive literature review Kilminster and Jolly (2000) highlight supervision relationship, feedback, and trainee control over the supervisory process and finding sufficient time for supervision as the most important features of effective supervision. These key features clearly correspond with the domains relationships, goal orientation, and organization/regulation, respectively.


결론적으로, 전체 교육 환경을 망라하고 다음과 같은 기본 개념을 구성하는 보편적으로 적용되는 일련의 도메인을 발견했다.

In conclusion, we found a universally applicable set of domains that seems to cover the entire educational environment and comprise the essential concepts:


Teunissen, P. W., & Westerman, M. (2011). Opportunity or threat: The ambiguity of the consequences of transitions in medical education. Medical Education, 45, 51–59.






 2012 Dec;17(5):727-42. doi: 10.1007/s10459-011-9346-8. Epub 2012 Feb 4.

Key elements in assessing the educational environmentwhere is the theory?

Author information

1
Center for Research and Innovation in Medical Education, University of Groningen, The Netherlands. j.schonrock-adema@umcg.nl

Abstract

The educational environment has been increasingly acknowledged as vital for high-quality medical education. As a result, several instruments have been developed to measure medical educational environment quality. However, there appears to be no consensus about which concepts should be measured. The absence of a theoretical framework may explain this lack of consensus. Therefore, we aimed to (1) find a comprehensive theoretical framework defining the essential concepts, and (2) test its applicability. An initial review of the medical educational environment literature indicated that such frameworks are lacking. Therefore, we chose an alternative approach to lead us to relevant frameworks from outside the medical educational field; that is, we applied a snowballing technique to find educational environmentinstruments used to build the contents of the medical ones and investigated their theoretical underpinnings (Study 1). We found two frameworks, one of which was described as incomplete and one of which defines three domains as the key elements of human environments (personal development/goal direction, relationships, and system maintenance and system change) and has been validated in different contexts. To test its applicability, we investigated whether the items of nine medical educational environment instruments could be mapped unto the framework (Study 2). Of 374 items, 94% could: 256 (68%) pertained to a single domain, 94 (25%) to more than one domain. In our context, these domains were found to concern goal orientation, relationships and organization/regulation. We conclude that this framework is applicable and comprehensive, and recommend using it as theoretical underpinning for medical educational environment measures.

PMID:
 
22307806
 
PMCID:
 
PMC3490064
 
DOI:
 
10.1007/s10459-011-9346-8


효과적인 피드백을 위한 열두가지 팁

Twelve tips for giving feedback effectively in the clinical environment

SUBHA RAMANI1 & SHARON K. KRACKOV2

1Harvard Medical School, USA, 2Albany Medical College, USA




Tip 1 서로 존중하는 학습 환경을 구축하라
Establish a respectful learning environment
Tip 2 피드백의 목적과 목표에 대해서 이야기하라
Communicate goals and objectives for feedback
Tip 3 직접 관찰한 것을 바탕으로 피드백을 제공하라
Base feedback on direct observation
Tip 4 적절한 시점에 피드백을 제공하고, 정기적으로 피드백을 제공하라
Make feedback timely and a regular occurrence
Tip 5 피드백을 학습자의 자기평가로 시작하라
Begin the session with the learner's self-assessment
Tip 6 관찰한 행동을 강화하거나 교정해주라
Reinforce and correct observed behaviours
Tip 7 행동에 관한 구체적인, 중립적인 언어를 사용하라
Use specific, neutral language to focus on performance
Tip 8 학습자의 이해수준과 수용할 수 있는 정도를 파악하라
Confirm the learner's understanding and facilitate acceptance
Tip 9 구체적인 행동 계획으로 마무리지어라
Conclude with an action plan
Tip 10 스스로의 피드백에 대해서 성찰하라
Reflect on your feedback skills
Tip 11 교수개발 기회를 만들라
Create staff development opportunities
Tip 12 피드백을 조직의 문화로 만들라
Make feedback part of institutional culture





배경

Introduction


의학에서 교육적 초점은 지식 습득과 훈련 지속 시간에서 개인 및 인구 의료 요구를 충족하기 위한 의사 준비로 옮겨갔다(Krackov & Pohl 2011). 이 결과 또는 교육에 대한 역량 기반 접근방식에서 학습자는 의사가 기대하는 역량을 개발해하는 과정에서 특정 이정표에 도달할 것으로 예상된다. 성능에 대한 상세하고 신속한 피드백과 개선 기회는 이들이 이러한 이정표를 달성하는 데 도움이 된다(Krackov 2011; Krackov & Pohl 2011).

In medicine, the educational focus has shifted away from knowledge acquisition and duration of training towards the achievement of learning outcomes and preparation of physicians for meeting individual and population healthcare needs (Krackov & Pohl 2011). In this outcome, or competency-based approach to education, learners are expected to reach specific milestones, as they develop the competencies expected of a physician. Detailed and prompt feedback on performance, coupled with opportunities to improve, helps them achieve these milestones (Krackov 2011; Krackov & Pohl 2011).


피드백의 정의

    • 현재 수행한 것과 동일하거나 관련된 미래 활동에서 성과를 guide하기 위한 정보

    • 훈련생들이 그들의 최대 잠재력에 도달하도록 도울 수 있는 교육 과정의 필수적인 요소

    • information describing students’ or house officers’ performance in a given activity that is intended to guide their future performance in that same or a related activity
    • an essential element of the educational process that can help trainees reach their maximum potential


Ende(1983)는 피드백을 '주어진 활동에 대한 학생 또는 house officer의 수행능력에 대해, 동일하거나 관련된 미래의 활동에서 수행능력을 guide하는 정보'로 정의합니다. Hesketh와 Laidlaw(2002)는 피드백을 훈련생들이 최대의 잠재력에 도달하도록 도울 수 있는 교육 과정의 필수적인 요소라고 설명한다. 학습자의 우수한 수행능력을 강화하고, 필요한 경우 교정의 기초를 제공하여 과정 또는 프로그램 목표를 달성할 수 있도록 합니다. 피드백은 교사의 교육 및 평가 역할을 연결하고 학습자에게 그들의 헌신을 보여줍니다(Krackov 2009).

Ende (1983) defines feedback as, ‘information describing students’ or house officers’ performance in a given activity that is intended to guide their future performance in that same or a related activity’. Hesketh and Laidlaw (2002) describe feedback as an essential element of the educational process that can help trainees reach their maximum potential. It enables learners to achieve the course or program goals by reinforcing good performance and providing the basis for remediation when needed. Feedback links the teaching and assessment roles of teachers and demonstrates their commitment to the learners (Krackov 2009).


크라코프(Krackov)와 폴(2011년)은 학습자가 시간 경과에 따라 지식, 기술, 태도 및 행동을 개발함에 따라 전문 지식을 쌓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는 커리큘럼 개발 모델을 제시했습니다. 이 교육과정 모델에서, 학생들은 정기적인 피드백을 받아야 하고 형태 형성적 평가와 종합적 평가와 함께 그들의 능력에 대해 논의할 기회를 가져야 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피드백을 생각한다면, 건설적인 피드백은 학습자들이 기대되는 결과를 얻기 위해 노력하는 동안 그들의 기술을 향상시키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그것은 그들의 자신의 수행능력을 더 잘 인식하게 해주고, 그들의 미래 행동을 지도한다.

Krackov and Pohl (2011) presented a curriculum development model in which deliberate practice (Ericsson 2004) plays a critical role in building expertise as the learner develops knowledge, skills, attitudes and behaviours in an iterative process over time. In this curriculum model, students should receive regular feedback and have an opportunity to discuss their abilities with their teachers in conjunction with both formative and summative assessments. When we think about feedback in this way, we see that constructive feedback helps learners increase their skill set while working to achieve the expected outcomes. It raises their awareness about their performance and directs their future actions.


의과대학생과 거주자는 [효과적으로 피드백을 제공하면 성과를 측정하고 개선 계획을 세우는 데 도움이 된다]고 언급했다(Bing-You et al. 1997; Hewson & Little 1998; Brow-Bridge). 그러나, 훈련생들은 피드백이 자주, 효과적이지 않은 방식으로 제공된다고 보고하는 반면, 교사들은 자신이 자주, 적절히 피드백을 제공한다고 믿는다. (Branch &amp; Little 1998; Branch 2002).

Medical students and residents have stated that feedback, when given effectively, is useful in helping them gauge their performance and making action plans for improvement (Bing-You et al. 1997; Hewson & Little 1998; Bing-You & Trowbridge 2009). Yet, trainees report that feedback is given infrequently and/or ineffectively (Hewson & Little 1998; Branch & Paranjape 2002), whereas teachers themselves believe that they provide frequent and adequate feedback (Branch & Paranjape 2002).


피드백의 장벽

Barriers to effective feedback


Hesketh와 Laidlaw(2002)는 효과적인 피드백을 가로막는 몇 가지 장벽이 있다고 말한다. 

  • 피드백의 목적이 교사나 학습자에게 명확하지 않다.

  • 피드백 세션을 위한 적절한 시간이나 장소가 없다.

  • 교사는 효과적인 피드백을 제공하는 공식 교육을 거의 또는 전혀 받지 않았거나, 자신의 관찰에 대한 자신감이 부족하거나, 관찰 결과를 구체적이고, 비판단적이며, 건설적인 피드백으로 전환하는 방법을 모를 수 있다(Brukner et al., 1999). 

  • 그 결과 피드백은 매우 일반적인 내용만 담고 있으며, 수행능력 개선을 추구하는 학습자에게 도움이 되지 않을 수 있다(Brukner et al. 1999). 

  • 의학의 위계적 문화는 양방향 대화 대신 교사로부터 학습자에게로의 일방적인 정보 흐름을 촉진한다. 그 결과, 학습자는 피드백을 수행능력이 비판받는 부정적인 경험으로 인식한다.


Hesketh and Laidlaw (2002) state that there are several barriers that prevent effective feedback from taking place. 

    • The purpose of feedback may not be clear to the teacher or learner. 
    • There may be no appropriate time or place for a feedback session. 
    • The teacher may have minimal or no formal training in giving effective feedback, may lack confidence about his/her observations, or may not know how to translate observations into specific, nonjudgemental and constructive feedback (Brukner et al. 1999; Cantillon & Sargeant 2008). 
    • Consequently, feedback may be very general and not helpful to a learner seeking to improve performance (Brukner et al. 1999). 
    • The hierarchical culture of medicine promotes a one-way flow of information from teacher to learner instead of a two-way conversation (Krackov 2011). As a result, the learner may view feedback as a negative experience in which performance will be criticised.

1. 상호존중하는 학습환경 조성
Tip 1 Establish a respectful learning environment
긍정적인 학습 환경은 피드백이 최대한 효과적이기 위해 필수적이다(Hewson & Little 1998). 학습 환경은 교수와 학습자가 [상호 신뢰와 존경의 분위기 속에서 정기적으로 성과를 관찰하고 피드백을 줄 것이라는 기대]를 가지고 [학습자가 기대되는 결과 달성을 돕기 위해 함께 일하고 있다는 생각]을 촉진해야 한다. 교사와 학습자는 피드백 과정에서 파트너가 되어야 한다. 피드백 세션은 학습자가 자신의 성과를 평가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는 양방향 대화로 보아야 합니다(Krackov 2011). 교사는 훈련생들로부터 받은 피드백을 진심으로 수용해야 한다.
positive learning climate is essential in order for feedback to be maximally effective (Hewson & Little 1998). The learning climate should promote the concept that the teacher and learner are working together to help the learner achieve the expected outcomes, with an expectation that teachers will observe performance and give feedback regularly in an atmosphere of mutual trust and respect. Teachers and learners should be partners in the process of feedback. A feedback session should be viewed as a two-way conversation in which the learner plays an important role in assessing his/her own performance (Krackov 2011). The teacher should be genuinely receptive to feedback from trainees.

레지던트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했을 때, 선생님에 대한 신뢰와 존중이 피드백을 더 수용하게 만드는 요인이라고 말했다(Bing-You et al., 1997; Hesketh & Laidlaw 2002). 효과적이라고 불리는 피드백은 private setting에서 제공되었고 교사 측에서는 사려 깊은 어조와 훌륭한 대인 관계 기술을 특징으로 했습니다(Bing-You 등 1997). 학습자들은 또한 피드백이 공평하고(강점과 실수 모두 포함) 부드럽게, 지지적으로, caringly 주어진다면 도움이 된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Hewson & Little 1998).
When medical residents were surveyed, they stated that trust and respect for the teacher are factors that would make them more receptive to feedback (Bing-You et al. 1997; Hesketh & Laidlaw 2002). Feedback that was termed effective was given in a private setting and featured a considerate tone and good interpersonal skills on the part of the teacher (Bing-You et al. 1997). Learners also found it helpful if feedback was even-handed (addressed both strengths and mistakes) and was given gently, supportively, caringly and with concern for their situation (Hewson & Little 1998).


2. 피드백을 위한 의사소통 목표
Tip 2 Communicate goals and objectives for feedback
우드(2000)는 피드백이 효과적인 학습 모델이 되게 하려면 교사와 학습자가 함께 협력해야 한다고 말했다. 첫 번째 단계는 학습자를 근무환경, 목적, 목표에 orient시킴으로써 학습자가 경험을 통해서 동안 달성해야 학습경험과 기대치에 orient시키는 것이다.
Wood (2000) stated that the teachers and learners should work together to create a learning model in which feedback will be effective. The first step is to orient the learner to the work environment, the goals and objectives of the learning experience and the expectations for what the learner is expected to achieve during the experience.

교사는 피드백 세션에 대해 미리 정보를 주고, 상호 편리한 시간과 private한 장소에서 회의를 예약하고, 세션 목표, 의제 및 예상 결과에 대한 합의를 받아야 한다(Hewson & Little 1998). 책임과 목표에 대한 이러한 예비 방향과 논의는 단계를 설정하며, 학습자가 보다 편안하고 책임감 있게 되며 학습자가 학습의 원동력이 됩니다(Wood 2000).
The teacher should inform the learner in advance about the feedback session, schedule the meeting at a mutually convenient time and private location and get agreement on the session goals, agenda and expected outcomes (Hewson & Little 1998). This preliminary orientation and discussion of responsibilities and goals sets the stage, makes the learner more comfortable and responsible and engages the learner as a moving force for learning (Wood 2000).


3. 직접 관찰에 기반하여 피드백을 주라
Tip 3 Base feedback on direct observation
교수진의 주요 책임은 훈련생들이 다음 단계로 나아가고 궁극적으로 의사로서 독립적인 의료행위를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Hauer et al. 2011). 의료 분야의 훈련생은 환자 치료와 모의 실험 경험을 통해 이력 기록, 신체 검사, 의사소통 및 환자 상담 기술과 같은 중요한 임상 기술을 배운다. 학습자가 초보자에서 유능한 의사 그리고 그 이상의 전문가로 발전해감에 따라, [더 경험이 많은 의사]가 성과를 관찰하고 성공이나 교정조치의 중요한 부분을 note해야 한다. 이러한 직접적인 관찰은 피드백 세션의 기초를 형성한다.
A major responsibility of faculty is to ensure that trainees are competent to move on to the next level and ultimately to independent practice as a physician (Hauer et al. 2011). Trainees in medicine learn key clinical skills such as history-taking, physical examination, communication and patient counselling skills through patient care and in simulated experiences. As the learner progresses from a novice to a competent practitioner and beyond, more experienced physicians should observe the performance and note important areas of success or remediation. This direct observation forms the basis for the feedback session.

교사가 직접 관찰한 행동에 대한 피드백은 간접 보고서에 기초한 피드백보다 교육자에게 더 적합하고 유익하다(Ende 1983; Van Hell et al. 2009). 빙유 외 연구진(1997)이 의학계 거주자들을 조사했을 때, 훈련생들이 직접 관찰한 결과 진술이 나온 것으로 믿지 않는다면 피드백을 평가절하하는 경향이 있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Feedback on behaviours based on direct observation by the teacher has been reported to be more acceptable and instructive to trainees than feedback based on second-hand reporting (Ende 1983; Van Hell et al. 2009). When Bing-You et al. (1997) surveyed medicine residents, they found that trainees tended to discount feedback if they did not believe that the statements arose out of first-hand observation.


4. 적시에, 정기적으로 피드백을 주라
Tip 4 Make feedback timely and a regular occurrence
피드백의 중요한 목적은 과정/로테이션 종료 전에 필요한 변경을 학습자가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입니다. 행동을 바로잡아야 할 경우, 교사는 가능한 한 빨리 피드백을 제공해서 학습자가 행동할 충분한 시간을 가져야 한다. 경험이 끝날 때까지 피드백을 제공하지 않으면 학습자는 코스/로테이션 중에 행동을 교정할 기회를 갖지 못합니다.
An important purpose of feedback is formative, to enable the learner to make needed changes before the end of the course/rotation. If a behaviour needs correction, the teacher should provide feedback as soon as possible after the encounter so the learner has sufficient time to act. If feedback is not given until the very end of the experience, the learner will not have an opportunity to remediate the behaviour during the course/rotation.

형성적 피드백은 여러 가지 방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 간략하고 비공식적인 형성적 피드백 세션은 행동 관찰 후 선생님과 학습자 모두가 사건을 정확하게 기억하고 학습자가 최종 평가 전에 성과를 조정할 수 있을 때 가능한 한 빨리 제공할 수도 있다(Perera et al., 2008). 이 세션은 심장 난독화 기법(Branch & Paranjape 2002)과 같은 특정 기술을 수정하는 것과 관련될 수 있습니다. 
    • 더 길게 진행되는 형성적 피드백 세션은 코스/로테이션 중간 지점에서 미리 예정되어있어야 한다. 이 미팅에서는 다양한 기술과 행동을 다룰 수 있지만, 여전히 중간지점에서의 개선이라는 목적이 있습니다. 
    • 총괄 피드백은 학습자가 계속 성장할 수 있도록 최종 평가에 동반되어야 합니다.
Formative feedback can take place in several ways. A brief, informal formative feedback session takes place immediately or as soon as possible after the observation of a behaviour, when both teacher and learner recall the events accurately and the learner can make adjustments in performance before the final evaluation (Perera et al. 2008). This session can be related to correcting a specific skill, for example, cardiac auscultation technique (Branch & Paranjape 2002). A longer formative feedback session should be scheduled at the mid-point of the course/rotation. This meeting can address a range of skills and behaviours, but still have the purpose of enabling mid-course improvement. Summative feedback should accompany the final evaluation so the learner can continue to grow.

DP모델(Krackov & Pohl 2011)은 커리큘럼 마일스톤 달성을 위한 학습 성과, 피드백, 멘토링, 성찰에 초점을 맞춘다. 이 모델은 또한 지속적인 학습 및 개선 문화를 촉진하므로, 정기적인 지속적인 피드백은 최고 품질의 의료 및 전문직업적 만족을 촉진하는 데 필수적입니다.
The deliberate practice model (Krackov & Pohl 2011) focuses on learning outcomes, feedback, mentoring and reflection for the achievement of curricular milestones. As the model also promotes a culture of continuous learning and improvement, regular ongoing feedback is essential to promote the highest quality medical care and professional satisfaction.


5. 피드백을 학습자의 자기평가로 시작하라
Tip 5 Begin the session with the learner's self-assessment
임상 훈련의 주요 목표는 성찰적 실천을 촉진하는 것이다. 학습자가 자기평가를 하게 만드는 피드백 세션은 이 목표를 달성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개방형 질문을 사용하여 미팅을 대화로 시작하고 학습자가 자신의 실천에 대해 성찰하도록 합니다. 학습자는 교사의 응답이 필요한 문제를 제기할 수 있으며, 이는 대화를 시작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Branch & Paranjape 2002). 학습자는 교사가 다루려고 했던 것과 동일한 논점을 제기하여 유용한 출석을 제공할 수 있다.
A key goal of clinical training is to promote a reflective practitioner. Opening the feedback session by inviting the learner to self-assess can help achieve this goal. Use open-ended questions to start the meeting as a conversation and promote the learner's reflection on his/her practices. The learner may raise issues requiring a response from the teacher, which can help begin the dialogue (Branch & Paranjape 2002). The learner may well bring up the same points that the teacher had planned to address, thus providing a useful entrée.

자기평가는 '가혹도'에 대한 인식을 완화시키고, 민감하고 교정적 피드백을 더 수용가능하게 도와줍니다(Branch & Paranjape 2002). 학습자가 단독으로 또는 교사와 공동으로 시작한 피드백은 교사들에 의해 시작된 피드백보다 더 유익했다.
This self-assessment can soften the perception of harshness and help make sensitive, corrective feedback feel more acceptable (Branch & Paranjape 2002). Feedback initiated solely or jointly by learners was seen as more instructive than that initiated mainly by teachers (Cantillon & Sargeant 2008; Van Hell et al. 2009).

6. 관찰한 행동을 강화 또는 교정하라
Tip 6 Reinforce and correct observed behaviours
모범적인 행동을 인정하고 강화하는 것으로 시작하세요. 이 접근법은 모범 사례를 서포트하고, 학습자가 이를 반복하도록 동기를 부여하며, 더 많은 피드백을 구할 수 있도록 합니다(Cantillon & Sarnard 2008; Krackov 2009). 훈련생들은 자신들이 올바르게 하고 있는 것에 대한 긍정적인 피드백이 그들의 능력에 대한 자신감을 주고 더 나은 학습 환경을 만들었다고 말했다.
Begin by acknowledging and reinforcing exemplary behaviour. This approach can support good practices, motivate the learner to repeat them and prompt him/her to seek more feedback (Cantillon & Sargeant 2008; Krackov 2009). Trainees stated that positive feedback on what they were doing correctly gave them confidence in their skills and created a better learning environment (Bing-You et al. 1997).

그런 다음 필요한 수정 사항을 강조하여 개선을 위한 구체적인 예와 제안을 제공해야 한다. 건설적 피드백이 제공될 때 [성과가 부정확하거나 결함이 있는 이유] 및 [학습자가 통제하거나 수정할 수 있는 행동을 다룸]으로써 특정 성과에 초점을 맞출 때 특히 도움이 된다고 보고했다(Wood 2000).
Next, highlight necessary corrections, providing specific examples and suggestions for improvement. Learners have reported that constructive feedback was beneficial especially when it focused on specific performance accompanied by reasons why the performance was incorrect or faulty (Bing-You 1997) and when it dealt with behaviours that the learner was able to control or modify (Wood 2000).

펜들턴 외 연구진(2003)은 피드백 세션을 수행하기 위한 유사한 4단계 프로세스를 설명했다. 
    • 학습자에게 자신이 잘 수행되었다고 느껴진 부분을 물어본다. 
    • 적절하게 합의하고 강화 코멘트를 추가한다. 
    • 그런 다음 학습자에게 개선 영역을 식별하도록 요청합니다. 
    • 적절한 동의를 얻고 수정 피드백을 더 추가합니다.
Pendleton et al. (2003) described a similar four-step process for carrying out a feedback session. 
      • Ask the learner what he/she feels was done well; 
      • agree as appropriate and add reinforcing comments; 
      • then, ask the learner to identify areas of improvement; 
      • agree as appropriate and add more corrective feedback.


7. 행동에 초점을 맞춘 구체적, 중립적 용어를 사용하라
Tip 7 Use specific, neutral language to focus on performance
긍정적인 의사소통 전략은 필수적이다. 바디 랭귀지로 보내는 메시지는 중요하다. 학습자 옆에 sitting down하는 것은 교사의 지위에서 오는 power를 최소화할 것이다. 본 문서의 앞부분에서 권장하는 바와 같이 직접 관찰한 거에 대해 피드백하라. 강화 또는 수정 피드백을 제공할 때는 공손하고 지지적인 어조와 정확하고 서술적이고 중립적인 표현을 사용하십시오. 사람 또는 성격이 아닌 바뀔 수 있는 행동에 초점을 맞추고 명확한 예를 제시합니다(Cantillon & Sarnard 2008; Krackov 2009). 내과 레지던트들이 유용한 피드백에 대한 그들의 인식을 인터뷰했을 때, 그들은 변화에 대한 제안과 함께 시기적절하고 구체적인 피드백이 가장 효과적이라고 느꼈다(Bing-You 1997).
Positive communication strategies are essential. The message sent by body language is important; sitting down beside the learner will minimise a position of power on the part of the teacher. Base feedback on directly observed performance, as recommended earlier in the text. When delivering reinforcing or corrective feedback, use a respectful, supportive tone and precise, descriptive and neutral wording. Focus on behaviours that can be changed, not the person or personality (Wood 2000) and provide clear examples (Cantillon & Sargeant 2008; Krackov 2009). When Internal Medicine residents were interviewed on their perceptions of useful feedback, they felt that timely, specific feedback was most effective when accompanied by suggestions for change (Bing-You 1997).

긍정적인 피드백도 꼭 주세요. 이는 세션을 양방향 대화로 만듭니다. 학습자는 질문을 시작하고 이에 대응하는 피드백 프로세스의 파트너여야 합니다. 학습자의 반응, 성격, 기질을 인식합니다. 세션에 제공된 피드백을 학습자가 흡수할 수 있는 수준으로 제한합니다(Wood 2000; Krackov 2009). 피드백이 잘 처리되면 교사-리너 관계를 강화하고 학습자의 행동에 유익한 변화를 가져올 수 있습니다(Cantillon & Sarnard 2008).
Be sure to give positive feedback too. Make the session a two-way conversation. The learner should be a partner in the feedback process who initiates and responds to questions. Be aware of the learner's response, personality and temperament. Limit the feedback given in the session to what the learner can absorb (Wood 2000; Krackov 2009). When feedback is handled well, it can enhance the teacher–learner relationship and lead to beneficial changes in the learner's behaviour (Cantillon & Sargeant 2008).


8. 학습자의 이해를 확인하고 수용을 촉진하라
Tip 8 Confirm the learner's understanding and facilitate acceptance
특히 교정적 피드백이 주어질 때, 피드백 세션은 선생님과 학습자 모두에게 '감정적'이 될 수 있습니다. 학습자의 관점과 특정 행동을 설명해주는 이유에 대해 배우는 것이 중요합니다(Krackov 2009). 학습자의 배경, 기질, 변화 준비 상태를 고려합니다(Milan et al. 2006). 학습자에게 질문을 하여 확실히 이해했는지 확인합니다.
A feedback session can be loaded with emotion on the part of both teacher and learner, particularly when corrective feedback is given. It is important to learn about the learner's perspectives and possible reasons for a specific behaviour (Krackov 2009). Consider the learner's background, temperament and readiness to change (Milan et al. 2006). Invite the learner to ask questions to assure that he/she has a firm understanding.

ECO 모델(감정, 내용 및 결과)은 상담 문헌에서 개발한 3단계 프로세스로, 다원 피드백의 수용과 사용을 용이하게 합니다(Sardhan et al. 2011). 
  • 1단계는 받은 피드백에 대한 감정적 반응을 인식하고 탐구하는 데 초점을 맞춥니다. 
  • 2단계는 훈련자의 퍼포먼스와 관련된 피드백의 특정 내용을 명확히 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 3단계는 trainee에게 필요한 학습 및 개발사항을 확인하고, 그러한 요구 사항을 충족하고 성과를 개선하기 위한 결과 계획 수립을 지도하는 것입니다.
The ECO model (emotions, content and outcome) is a three-step process developed from the counselling literature to facilitate acceptance and use in multisource feedback (Sargeant et al. 2011). 
    • Step 1 focuses on acknowledging and exploring the emotional reaction to the feedback received. 
    • Step 2 aims to clarify the specific content of the feedback as it relates to the trainee's performance. 
    • Step 3 seeks to confirm the trainee's identified learning and development needs and coach the creation of an outcomes plan that will meet the needs and improve performance.

9. 실행 계획으로 종결지으라
Tip 9 Conclude with an action plan
피드백 세션은 개선을 위한 실행 계획으로 종료되어야 한다(Bing-You et al. 1997; Krackov 2009). 학습자에게 아이디어를 생성하게 요청한 후, 필요하다면 그 아이디어를 승인하거나 수정하라. 교사가 학습자에게 완수할 항목의 목록을 주는 것이 아니라, 학습자에게 개선 계획을 세우도록 요청함으로써 [훈련자의 성찰 능력을 계발]하고, [학습자의 강점을 요약하고 약점을 보완하기 위한 계획을 반복함으로써 피드백 미팅을 요약정리]할 수 있다. 그런 다음 진행 상황을 검토하고 원하는 결과를 얻기 위해 계속 협력할 수 있는 후속 미팅 시간을 설정합니다.
The feedback session should end with an action plan for improvement (Bing-You et al. 1997; Krackov 2009). Ask the learner to generate ideas and then endorse or modify them as necessary. Inviting the learner to generate a plan for improvement as opposed to the teacher giving him/her a list of items to accomplish will help develop the trainee's skills of reflection, summarise the meeting by repeating the learner's areas of strength and the agreed-upon plan to address deficiencies. Then, set a time for a follow-up meeting where you can review progress and continue to work together to achieve the desired outcomes.


10 스스로의 피드백 기술을 성찰하라
Tip 10 Reflect on your feedback skills
매 피드백 세션마다 교사 자신의 성찰이 뒤따라야 따라야 한다. 세션이 끝나면 교사는 잘 된 일, 다음 번에 무엇을 바꿀 것인지, 앞으로의 수업에 어떤 새로운 전략을 적용할 것인지에 대해 숙고해야 한다. (Krackov 2009) 또한 도전을 논의하고 동료와 상급 교육자들로부터 새로운 기술을 습득하는 것도 유용하다.
Reflection by the teacher should follow every feedback session After the session ends, the teacher should reflect on what went well, what to change the next time and what new strategies he/she will adapt for future sessions (Krackov 2009). It is also useful to discuss challenges and acquire new tricks from peers and senior educators.

권장 전략을 가장 잘 준비하고 사용하더라도 불구하고 모든 피드백 세션은 완벽하게 진행되지 않습니다. 학습자는 방어적일 수 있으며, 교정적 피드백을 수용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Ende 1983; Krackov 2009). 그/그녀는 자신의 퍼포먼스에 대한 책임을 다른 곳에 돌리려고 할 수도 있다. 피드백 세션이 성공적이었더라도 향후 미팅이 잘 진행되도록 하기 위해 성찰 과정을 갖는 것은 도움이 될 것입니다. 모든 피드백 만남의 일부로서 성찰을 포함시키는 것은 피드백을 주는 선생님의 능력을 향상시킬 것이다.
Despite the best preparation and use of recommended strategies, all feedback sessions do not go perfectly. The learner may be defensive and may not accept corrective feedback (Ende 1983; Krackov 2009). He/she may try to assign blame elsewhere to account for the performance. Even successful feedback sessions will benefit from the process of reflection to help assure that future meetings also turn out well. Making reflection a part of every feedback encounter will improve the teacher's skills at giving feedback.

11 교수개발 기회를 만들리
Tip 11 Create staff development opportunities
교수개발은 효과적인 피드백을 제공하기 위한 핵심입니다. 워크샵은 유용한 메커니즘(Brukner et al. 1999; Krackov 2009; Krackov 2011)이며, 교수진이 편리한 시간에 진행할 수 있습니다. 그들은 실습 교육 전략에 성인 학습 이론을 적용하는 것을 강조하고 동료 토론과 스킬 연습을 위한 기회를 제공할 수 있습니다. 효과적인 피드백 전략에 대한 학습자 의견을 다룬 문헌을 검토함으로써 향후 피드백 세션을 계획할 때 교사에게 도움을 줄 수 있다. 교수들은 자신이 가진 피드백 세션을 관찰하고 그것을 debrief할 수 있도록 동료와의 파트너 관계를 고려할 수 있다.
Staff development is key for training faculty to give effective feedback. Workshops are a useful mechanism (Brukner et al. 1999; Krackov 2009; Krackov 2011) and can be scheduled at a convenient time for faculty. They can emphasise the application of adult learning theories to on-the-job teaching strategies and provide opportunities for peer discussions and skills practice. Reviewing the literature that reports learner opinions on effective feedback strategies is a form of staff development that can help teachers as they plan future feedback sessions with their learners. Teachers may consider partnering with a colleague who could observe their feedback sessions and then debrief the encounter.

임상 교사들은 피드백을 다른 기술과 같이 [반복적인 연습을 통해 습득하고 연마할 수 있는 것]으로 인식해야 한다. 이 기술은 앞서 본문에서 설명한 것과 같이 교사가 자신의 성과를 성찰함으로써 더욱 향상될 수 있다.
Clinical teachers should consider giving feedback as similar to any other skill, which can be acquired and honed through repeated practice (Cantillon & Sargeant 2008). This skill can be further improved through the teacher's reflection on his/her performance as described earlier in the text.


12 피드백을 문화의 한 부분이 되게 만들어라 
Tip 12 Make feedback part of institutional culture
기관 및 부서장은 정기적인 피드백이 학습 과정의 일부라는 기대를 확립해야 한다(Krackov & Pohl 2011). 교수진은 trainee에게 피드백을 제공해야 하며, 반대로 학습자, 동료, 상급자로부터 자신의 성과에 대한 피드백을 받을 것으로 기대해야 한다. 개별 과정/로테이션에서의 피드백 프로세스를 모니터하는 절차를 개발해야 한다. 비디오 촬영 피드백 세션 및/또는 보고를 통한 동료 관찰은 기관 수준에서 구현되어야 하는 매우 유용한 기법일 수 있다. 훈련생은 기관에서 정기적인 피드백을 줄 것으로 기대하도록 orient되어야 하며, 적극적으로 피드백을 요청하는 자세가 권장되어야 한다(Milan et al. 2011).
Institutional and departmental leaders should establish expectations that regular feedback is part of the learning process (Krackov & Pohl 2011). Faculty should be required to provide feedback to trainees and they should also expect to receive feedback from learners, peers and their superiors on their performance as teachers. The institution should develop a process for monitoring the feedback process in individual courses/rotations. Videotaping feedback sessions and/or peer observation with debriefing can be very useful techniques that should be implemented at an institutional level. Trainees should be oriented to the expectations of regular feedback at the institution and strongly encouraged to be proactive in asking for feedback (Milan et al. 2011).

앞서 기술한 바와 같이 교사들을 위한 다양한 직원 개발 기회를 조직하고 다른 기관 및 교육 컨퍼런스에서 제공되는 세션에 교수진의 참석을 지원함으로써 피드백의 중요성을 높일 수 있다.
The institution can promote the importance of feedback by organising a variety of staff development opportunities for teachers as described earlier and by supporting faculty's attendance at sessions offered at other institutions and educational conferences.






 2012;34(10):787-91. doi: 10.3109/0142159X.2012.684916. Epub 2012 Jun 25.

Twelve tips for giving feedback effectively in the clinical environment.

Abstract

BACKGROUND:

Feedback is an essential element of the educational process for clinical trainees. Performance-based feedback enables good habits to be reinforced and faulty ones to be corrected. Despite its importance, most trainees feel that they do not receive adequate feedback and if they do, the process is not effective.

AIMS AND METHODS:

The authors reviewed the literature on feedback and present the following 12 tips for clinical teachers to provide effective feedback to undergraduate and graduate medical trainees. In most of the tips, the focus is the individual teacher in clinical settings, although some of the suggestions are best adopted at the institutional level.

RESULTS:

Clinical educators will find the tips practical and easy to implement in their day-to-day interactions with learners. The techniques can be applied in settings whether the time for feedback is 5 minutes or 30 minutes.

CONCLUSIONS:

Clinical teachers can improve their skills for giving feedback to learners by using the straightforward and practical tools described in the subsequent sections. Institutions should emphasise the importance of feedback to their clinical educators, provide staff development and implement a mechanism by which the quantity and quality of feedback is monitored.

PMID:

 

22730899

 

[PubMed - indexed for MEDLINE]


보건전문직 연구에서 교육환경 측정: 체계적 문헌고찰(Med Teach, 2010)

Measuring the educational environment in health professions studies: A systematic review

DIANTHA SOEMANTRI1, CRISTIAN HERRERA2,3 & ARNOLDO RIQUELME2,4

1Department of Medical Education, Faculty of Medicine, Universitas Indonesia, Indonesia, 2School of Medicine, Pontificia Universidad Cato´ lica de Chile, Chile, 3Evidence Based Medicine Unit, Pontificia Universidad Cato´ lica de Chile, Chile, 4Department of Gastroenterology, Pontificia Universidad Cato´ lica de Chile, Chile




도입

Introduction


의대생들의 행동을 결정하는 요소 중 하나는 의대 학습 환경이다. 학생의 행동과 관련된 환경은 학생들에 의해 인식된다. 젠과 하덴(1986)은 그 개념이 다소 무형적이지만 교육 환경의 영향은 실질적이고, 현실적이며, 영향력이 크다고 제안했다. 이 분위기는 학생들의 성취도, 만족도, 그리고 성공의 예측에 큰 기여를 한다.

One determinant of a medical student’s behaviour is the medical school learning environment (Genn 2001a). The environment related to the student’s behaviour is as perceived by the student. Genn and Harden (1986) suggested that although the concept is rather intangible, the effects of an educational environment are substantial, real and influential. The climate makes a notable contribution to the prediction of student achievement, satisfaction and success (Genn 2001b).


세계 의학 교육 연맹(1998)은 학습 환경을 의료 교육 프로그램의 평가 대상 중 하나로 간주해 왔다. 환경에 대한 연구는 의과대학 교과과정의 불가분의 부분이 되어야 한다.

The World Federation for Medical Education (1998) has considered the learning environment as one of the targets for the evaluation of medical education programmes. a study of the environment should become an inseparable part of the study of a medical school’s curriculum.


젠(2001a)은 커리큘럼의 manifestation으로서 교육 환경에 대한 정의를 제공합니다. Rothman과 Ayoade(1970년)는 또한 학습 환경을 '교육 과정의 여러 부분에서 학생들에게 미치는 영향의 표현형manifestation'로 간주한다. Maudsley(2001)는 '학생들이 모인다면 언제든 어디서든 학습 환경은 존재한다'고 진술하며, 효과적인 교육에 기여하고, 교육과정 존재의 배경이 되는 다양한 요소를 포함하였다.

Genn (2001a) provides a definition for educational environment as the manifestation of a curriculum. Rothman and Ayoade (1970) also consider the learning environment as ‘a manifestation of the effects on students of the various parts of the curriculum’. Maudsley (2001) states that ‘a learning environment exists wherever and whenever students gather ...’ and it includes various factors, which contribute to an effective education and becomes the background in which the curriculum exists.


페이스 및 스턴(1958)은 교육 환경이 '환경적 압박'이라는 용어로 '교육환경이란 교실 또는 학교 내의 압력, 스트레스, 관행, 정책, 보상 및 가치에 의해 특징지어진다'는 것을 제안합니다.

Pace and Stern (1958) suggest that an educational environment is characterized by the pressures, stresses, practices, policies, rewards and values within the classroom or school of which they refer to as ‘environmental press’.


환경이라는 용어와 기후라는 용어는 교육용 문헌에서 서로 상호교환적으로 사용되는 경우가 많다

  • 젠(2001b)은 교육분위기climate란 학생이 인식하는 기관의 교육환경이라고 정의한다. 

  • Roff와 McAleer(2001)는 교육 환경의 동의어로 교육 분위기을 사용한다. 

  • 로스만 & 아이요이드(1970년)가 실시한 연구에서, 학습 환경은 학생들이 인식하는 것으로 정의되며, 따라서 환경과 기후라는 용어의 차이는 없다.

The term environment and climate are often used interchangeably in educational literature. Genn (2001b) defines the term climate as the educational environment of an institution as perceived by students. Roff and McAleer (2001) use the term educational climate as the synonym of educational environment. In the study conducted by Rothman & Ayoade (1970), the learning environment is defined as what the students perceive and thus no differentiation is made between the term environment and climate.


하지만, 행동을 결정하는 것은 환경 그 자체가 아니라 환경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이다. 학생들의 교실 환경에 대한 인식은 그들의 성과를 예측하는 데 사용되어 왔다. 교육환경 내의 '거주자'로서 학생들은 환경을 경험하는 사람들이며, 행동을 결정하는 것은 환경에 대한 그들의 인식이다.

However, it is the students’ perceptions of the environment, rather than the environment itself, that determines the behaviour (Hutchins 1961; Rothman & Ayoade 1970; Genn 2001a; Konings et al. 2005). Students’ perceptions of the classroom environment have been used to predict their outcomes (Fraser et al. 1986). Students, as the ‘inhabitants’ (Genn 2001a), are the ones who experience the environment and it is their perceptions of the environment, which then becomes one of the determinants of their behaviour.


교육 환경에 대한 양적 측정은 인벤토리 또는 도구를 사용해야 합니다. 다양한 교육 환경 간의 차이는 특정 기관의 특정 상황에 맞는 다른 교육 환경 인벤토리를 필요로 할 수 있습니다.

A quantitative measurement of the educational environment requires the use of an inventory or instrument. The differences among various educational settings may require a different educational environment inventory, which suits the specific situation of a particular institution.


어떠한 측정 과정에서도 도구나 인벤토리가 측정하고자 하는 것을 측정하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타당성 이 특정 문제를 다룬다.

In any measurement process, it is necessary to ascertain whether the instrument or inventory measures what it supposes to measure; and validity deals with this specific question.


신뢰성은 측정 또는 평가 결과의 재현성을 나타냅니다.

Reliability refers to the reproducibility of the measurement or assessment results.



방법

Methods


Search strategy


Inclusion and exclusion criteria


Data extraction


Data synthesis


79개의 연구

Following the flowchart, 79 studies from 1961 to 2008 were included (Figure 1).


31개의 도구

Thirty one instruments were identified from the 79 included studies.


도구들

Table 1 summarizes the identified instruments along with the settings in which the instruments were used.


The synthesis of data were presented in the form of table for each area of the health profession study(Tables 2–5, available at www.medicaltacher.org).






Results




고찰

Discussion


그런 다음 검색을 관련 키워드와 결합하여 특정성을 높여야 했습니다.

It was then necessary to combine the search with relevant keywords (‘education environment’, ‘education cli-mate’, ‘learning environment’ and ‘climate’) to increase the specificity.


체계적이고 포괄적인 검색을 성공적으로 수행하려면 적절한 리소스(인간 리소스, 교육 자료, 시간 및 비용)가 필요합니다. 검색의 포괄성을 높이기 위해 검색한 논문에서 인용한 참고문헌의 직집 찾아보았다.

For a systematic and comprehensive search to be successfully conducted, adequate resources (human resources, educational material, time and cost) are essential. In order to improve the comprehensiveness of the search, the hand searching of the references cited in the retrieved articles was conducted. 




교육환경 측정도구의 타당도와 신뢰도

Analysis of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educational environment measurement instruments 


학부의학교육

Medicine (undergraduate).


12개 도구

There were 12 educational environment measurement instruments identified in this study.


The summary of the psychometric qualities of the instruments are presented in Table 2, available at www.medicalteacher.org. Several instruments  had considerable weaknesses in heir validity and reliability. 


The LEQ MSLES and DREEM demonstrated the robustness in terms of their psychometric qualities. 

    • Their content validity was established and they also had high internal consistency. 

    • The construct validity of the MSLES and DREEM were indicated by their ability to significantly differentiate the students’ perceptions of the learning environment between medical schools with the traditional curriculum and ones with the more innovative curriculum (Feletti & Clarke 1981b; Al-Qahtani1999; Zaini 2003; Al-Hazimi et al. 2004a). 

    • The DREEM showed an additional strength because it could be applied in medical schools in different countries, cultures and contexts and still demonstrated consistent reliability

DREEM이 가장 좋음

According to the data presented in the related articles, the DREEM is likely to be the most suitable instrument to be applied in undergraduate medical education settings. 


졸업후의학교육

Medicine (postgraduate).


Most of the identified educational environment measurement instruments in postgraduate medical education were developed for use in specific postgraduate specialty areas. The psychometric qualities of the identified instruments are summarized in Table 3, available at www.medicalteacher.org.


4개

Four instruments: the STEEM (Cassar 2004), the OREEM(Kanashiro et al. 2006), the ATEEM (Holt & Roff 2004) and the practice-based educational environment measure (Mulrooney2005) were developed for use in the surgical/operating theatre learning setting, anaesthetic theatre learning setting and practice-based component in general practice (GP) training,respectively. The VA Learners’ Perceptions Survey was designed for residents from different specialties within the United States VA clinical training setting (Keitz et al. 2003)


The content validity of the high LEA was not established,although it showed fairly internal consistency (Roth et al. 2006). 


The PHEEM consisted of 40 items divided into three subscales (perceptions of role autonomy, perceptions of teaching and perceptions of social support)


It has also been shown that by using PHEEM, reliable results can be obtained with feasible sample size. In addition, the PHEEM had been administered to several different sample groups, such as senior house officers and specialist registrars from different specialties, and demonstrated almost similar reliability coefficients in those groups(Jayashree 2004; Roff et al. 2005; Aspegren et al. 2007; Booret al. 2007; Clapham et al. 2007). 


PHEEM이 가장 좋음

Therefore, the PHEEM is likely to be the most suitable instrument for use in postgraduate medical education because of its content validity,high reliability and also its ability to be used in different postgraduate settings. 


간호

Nursing.


Most of the identified instruments were used to Nursing. assess the clinical learning environment in nursing education setting. A summary of the psychometric qualities of the instruments’ is presented in Table 4, available at www.medicalteacher.org.


CLES가 가장 좋음

Therefore, based on the available information and analysis, the CLES is likely to be the most suitable instrument to assess nursing students’ perceptions of their clinical learning environment.


치과

Dentistry.


다섯 개 도구 

There were five instruments for dental educational environment measurement identified in this study.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ose instruments varied and are summarized in Table 5, available at www.medicalteacher.org.


originally 개발된 것은 하나 

There was only one instrument that was originally developed for dental educational environment (Gerzina et al. 2005).


In addition to that, two instruments (LES and DSLES) were developed from the MSLES. It was an instrument first developed in 1970s and it might not encompass current trends or changes in educational practice nowadays.


DLES가 가장 좋음

Based on the information provided in the studies and the analysis conducted, the DSLES is likely to be the most suitable instrument for measuring educational environment in dental education setting. It demonstrated good reliability and since the DSLES was more similar to MSLES than the LES, it was more likely to have better content validity.


결론

Conclusion


The DREEM, PHEEM, CLES and DSLES are likely to be the most suitable instruments for undergraduate medicine, postgraduate medicine, nursing and dental education, respectively.


These educational environment measurement instruments also demonstrated consistency throughout their applications in different contexts/settings.




 2010;32(12):947-52. doi: 10.3109/01421591003686229.

Measuring the educational environment in health professions studies: a systematic review.

Author information

1
Department of Medical Education, Faculty of Medicine, Universitas Indonesia, Indonesia. dianthasoemantri@yahoo.com

Abstract

BACKGROUND:

One of the determinants of the medical student's behaviour is the medical school learning environment.

AIM:

The aim of this research was to identify the instruments used to measure the educational environment in health professions education and to assess their validity and reliability.

METHODS:

We performed an electronic search in the medical literature analysis and retrieval system online (MEDLINE) and Timelit (Topics in medical education) databases through to October 2008. The non-electronic search (hand searching) was conducted through reviewing the references of the retrieved studies and identifying the relevant ones. Two independent authors read, rated and selected studies for the reviewaccording to the pre-specified criteria. The inter-rater agreement was measured with Kappa coefficient.

RESULTS:

Seventy-nine studies were included with the Kappa coefficient of 0.79, which demonstrated a reliable process, and 31 instruments were extracted. The Dundee Ready Education Environment Measure, Postgraduate Hospital Educational Environment Measure, Clinical Learning Environment and Supervision and Dental Student Learning Environment Survey are likely to be the most suitable instruments for undergraduate medicine, postgraduate medicine, nursing and dental education, respectively.

CONCLUSIONS:

As a valid and reliable instrument is available for each educational setting, a study to assess the educational environmentshould become a part of an institution's good educational practice. Further studies employing a wider range of databases with more elaborated search strategies will increase the comprehensiveness of the systematic review.

PMID:
 
21090946
 
DOI:
 
10.3109/01421591003686229


정말 보내도 괜찮습니까? 의학교육에서 이메일 프로페셔널리즘(J Physician Assist Educ, 2017)

Are You SURE You Want to Send That? A Model for Email Professionalism in Medical Education

Kenyon Railey, MD; Brandi Tuttle, MSLIS; Jasmine Weiss, MD






도입

INTRODUCTION


일반적으로 이메일이라고 불리는 전자 메일은 지난 40년 동안 극적으로 진화해 온 통신의 일반적인 형태이다. 2110억 개 이상의 이메일이 매일 전세계에서 보내진다.1

Electronic mail, commonly referred to as email, is a prevalent form of communication that has evolved dramatically over the past 40 years. More than 211 billion emails are sent each day worldwide.1


이메일은 종종 구조, 내용 및 컨텍스트에서 오류 발생 가능성을 증가시키면서 캐주얼하고 빠르게 작성됩니다. 또한 쉽게 전달, 저장 및/또는 인쇄됩니다. 좋든 나쁘든 간에 이메일은 지속적인 인상을 남길 수 있다. 따라서 현재 및 미래의 의료전문가가 전자 메일 통신 전략에 대한 지침을 받는 것이 필수적입니다.

Emails are often written casually and quickly, increasing the likelihood of errors in structure, content, and context. In addition, they are easily forwarded, stored, and/or printed. For good or bad, email can leave a lasting impression. Therefore, it is imperative for current and future clinicians to receive instruction in email communication strategies.


의료 교육 과정에서는 전문성이 강조되지만 이메일별 교육은 거의 이루어지지 않습니다. 현재 많은 의학 학습자들은 "디지털 토착민"으로 간주되고 있는데 이는 이들이 컴퓨터 기반 기술의 출현 이후에 태어났다는 것을 의미한다. 결과적으로, 대부분의 사람들은 교육 환경에서 디지털 미디어 형식에 익숙하다. 그러나 친밀함은 직업상의 숙달과 같지 않다.

Although professionalism is emphasized throughout medical education, very little email-specific training occurs. Many current medical learners are considered “digital natives,” meaning they were born after the advent of computer-based technologies. As a result, the majority are familiar with digital media formats in educational settings. Familiarity, however, does not equal professional mastery.2 


501명의 의대생과 312명의 주민을 대상으로 한 톰슨 외 연구진 연구는 많은 훈련생들이 온라인상에서 전문가와 개인의 경계를 모호하게 만들었다고 밝혔다. 저자들은 "참가자들이 그들의 현재와 미래에 오해의 여지가 있는 정보를 공유하는 행위가 [부정적인 직업적 결과]와 연관시키지 않는다"고 결론지었다. 더욱이 미래의 임상의사들에게 비전문가적인 행동에 관한 잠재적인 개인적 결과들이 있다. 파파다키스 외4는 훈련 중 전문적 행동의 과실과 훗날 practice중 징계 가능성 사이의 관계를 조사했다.

A study by Thompson et al3 of 501 medical students and 312 residents revealed that many trainees have blurred the lines between the professional and the personal online. The authors concluded that the participants did “not associate negative professional consequences with their current and future practice of sharing information that could be misinterpreted.” Moreover, there are potential personal consequences regarding unprofessional behavior for future clinicians. Papadakis et al4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lapses in professional behavior during training and the likelihood of disciplinary action during practice.


의대생 6000명 이상을 대상으로 한 이 획기적인 연구는 의과대학에서 "문제적" 행동을 보이는 학생들이 나중에 의료 위원회에 의해 징계를 받을 가능성이 두 배 이상이며, 따라서 2차 교육 후 온라인 커뮤니케이션에서 보여지는 비전문적 행동이 미래의 비슷한 행동의 경고신호일 수 있다고 밝혔다.s

This landmark study of more than 6000 medical students revealed that students exhibiting “problematic” behaviors in medical school were more than twice as likely to be disciplined by the medical board later on.4 Unprofessional behavior exhibited in online communications during postsecondary training may, therefore, be a warning sign for future issues.


전문직 간 의사소통의 중요성은 대부분, 전부는 아니지만, 학술적 의학에서 인증 기관들이 강조한다. (표 1) 이러한 표준의 승진은 팀 기반 관리가 안전과 퀄리티를 향상시킨다는 생각을 반영한다. 이는 침대 옆과 사실상 모두 효과적이고 효율적인 의사소통을 통해 달성된다. 잘못 쓰여지거나 무시되는 전자 메일은 의도하지 않은 환자 치료 결과를 초래하거나 치료 제공의 비효율성에 기여할 수 있습니다.

The importance of interprofessional communication is emphasized by most, if not all, accrediting bodies in academic medicine. (Table 1). The promotion of these standards reflects the notion that team-based care enhances safety and quality. This is achieved through effective and efficient communication both at the bedside and virtually. A poorly executed or ignored email can lead to unintended patient care consequences or contribute to inefficiencies in care delivery.


또한 현대의 의료 사업자들은 새로운 기대에 일상적으로 적응해야 한다.

In addition, modern health care providers must routinely adapt to new expectations.



방법

METHODS


근거기반 이메일 가이드라인

Evidence-Based Email Guidelines


미국 의료 협회는 이메일 의사6를 개발했지만, 관련 보고서는 환자와 연락할 때 고려해야 할 윤리적 책임과 예방책만 검토한다.

The American Medical Association has developed email physicians6; communication guidelines for however, the associated report examines only the ethical responsibilities and precautions to consider when contacting a patient.


또한 2015년에는 Malka et al9에서 "의사들 사이에서 이메일 사용을 위한 공식적인 지침이나 커리큘럼"을 찾을 수 없었다.

Also in 2015, Malka et al9 found no “formal guidelines or curricula for email use among physicians.”9


SURE 모델에서, 각 문자는 전자 메시지를 보내기 전에 이메일 작곡가가 고려해야 할 주요 질문을 나타냅니다(표 2).

In the SURE model, each letter represents key questions that the email composer should consider before sending an electronic message (Table 2).





SURE모델

THE SURE MODEL


SURE


맞춤법과 문법

Spelling and Syntax


철자, 문법, 구두점 오차는 주의를 산만하게 한다. Send It 연구에서, 비록 연구 참가자들이 부적절한 철자나 문법을 좋아하든 싫어하든 간에, 저자들은 이러한 오류가 있는 이메일이 강한 부정적인 반응을 초래했다고 지적했다.11 Reendes et al11은 부실하게 구성된 이메일이 "수신자를 대부분 부정적인 인식을 갖게 남겨둘 것"이며 "보기싫은" 이메일은 메시지의 작성자가 비효율적이고, 전문가답지 않으며, 심지어 짜증나게 한다는 인식을 생성한다고 결론지 않았다.

Spelling, grammar, and punctuation errors are distracting. In the Send It study, Although study participants were “neutral” regarding like or dislike of improper spelling or grammar, the authors noted that emails with these errors resulted in strong negative reactions.11 Resendes et al11 concluded that a poorly constructed email “will almost certainly leave the reader with a negative perception” and that “disliked” emails create the perception that the composer of the message is inefficient, unprofessional, and even irritating.


대부분의 전자 메일 메시징 시스템에는 이러한 유형의 오류를 방지하는 워드 프로세싱 프로그램 기능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이러한 기능은 전문 이메일 구성에 보편적으로 사용되어야 합니다.

Most email messaging systems contain word-processing program functions to help avoid these types of errors. These functions should be used universally in professional email composition.


제목

Subject


잘 쓴 이메일은 잘 쓰여진 제목으로 시작한다. 현재 비즈니스 사용자는 하루 평균 120개의 이메일을 주고받으며, 이 수치는 증가할 것으로 예상됩니다.1 따라서 전문가들은 메시지를 빠르고 효율적으로 분류, 대응 및 보관해야 합니다. 제목은 그 과정의 중요한 부분이다.

Well-written emails begin with well-written subject lines. Business users currently send/receive an average of 120 emails per day, a figure that is expected to increase.1 Professionals must, therefore, triage, respond to, and archive messages quickly and efficiently. The subject line is a critical part of that process.


제목은 수신자가 메시지의 중요도에 대해 효율적이고 정보에 입각한 결정을 할 수 있도록 간결하고 구체적이어야 한다. 수신인은 내용을 기준으로 메시지를 저장, 구분 및 검색하므로, 제목은 메시지의 내용과 메시지를 보내는 이유를 동시에 표시해야 합니다. 장치, 화면 크기 또는 프로그램 설정에 따라 보낸 사람의 이름과 제목만 표시될 수 있습니다. 제목을 비워 두면 일부 수신자는 전자 메일을 완전히 삭제하기 때문에 제목줄을 생략하는 것을 피해야 합니다. 뿐만 아니라 제목 필드에 메시지가 전달된 경우 수신인이 메시지에 우선 순위를 부여할 수 없습니다. 제목줄은 발신인의 메시지가 작업관리 목록에 있는지 또는 휴지통에 있는지 여부를 결정하므로, 발신인은 제목줄을 작성할 때 의도적이고 신중해야 합니다.

The subject should be brief and specific to help recipients make efficient and informed decisions about the importance of the message. Because recipients store, differentiate, and retrieve messages based on content, the information in this field should simultaneously indicate the content of the message and the reason for sending it. Keep in mind that Depending on the device, screen size, or program settings, the sender name and subject line may be all that is visible. Omitting a subject line should be avoided at all costs because some recipients delete emails outright if this field is left blank. Not only that, but recipients may not give priority to a message if the subject field indicates that the message is a forward. Because the subject line will determine whether the sender’s message is placed on the to-do list or in the trash, senders should be intentional and deliberate when writing a subject line.


서명

Signature


제목 줄과 마찬가지로 서명 줄도 읽기 및 응답 시간과 관련된 의미를 가집니다. 학문적 의료 환경의 구성은 특히 위계적이며, 우리는 위계 구조가 병원의 전자 메일 행동습관에 영향을 준다고 생각한다. 예를 들어 부서 또는 병원 지도부의 메시지는 동료 또는 학생으로부터 받은 메시지보다 더 빠른 응답을 받을 수 있습니다. 수신자가 발신자를 즉시 인식하지 못하면 일부 메시지는 완전히 무시됩니다. 따라서 SURE 모델의 중요한 단계는 이름, 부서, 자격 증명 및 연락처 정보를 포함한 주요 정보를 받는 사람에게 제공하는 서명 줄을 포함하는 것입니다.

Like the subject line, the signature line also has implications related to reading and response time. The organization of academic medical environments is, especially hierarchical, and we suspect hierarchy affects email habits in teaching hospitals. Messages from departmental or hospital leadership, for example, likely receive a faster response than messages from peers or students. Some messages are ignored completely if the receiver does not immediately recognize the sender. Therefore, an important step in the SURE model is including a signature line that provides the recipient with key information including name, department, credentials, and contact information.


그러나 서명이 너무 길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 이는 특히 휴대용 미디어 장치에 중요합니다. 인식과 전문성은 서로 얽혀 있기 때문에 모든 행정적 또는 학문적 임명을 포함하는 것은 자기중심적으로 해석될 수 있다는 것을 기억해야 한다. 서명도 제목과 마찬가지로 짧지만 구체적이어야 합니다.

Care should be taken, however, to ensure that the signature is not too long. This is, especially important for portable media devices. Because perceptions and professionalism are intertwined, senders should remember that including every administrative or academic appointment may be interpreted as egotistical. Signatures, like subject lines, should be brief but specific.



SURE

긴급성

Urgency


이메일은 여러 가지 이유로 읽지 않은 상태로 남아 있습니다. 불행한 사실은 보내지고 받는 메시지 수가 너무 많아서 환자도 보고 다른 작업도 관리하면서 메일을 처리할 수 없다는 것입니다.

Emails are left unread for a multitude of reasons. The unfortunate truth is that the sheer number of messages sent and received can be prohibitive to getting work done while also managing patients and other tasks.


메시지의 내용은 분명히 회신 시간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게다가, 부서문화는 같은 교육기관이나 기관에서도 응답시간에 영향을 준다. 따라서 전문 e-메일 사용자는 리더쉽에 따라 기대치가 달라지기 때문에 응답 시간과 관련하여 환경에 적응해야 합니다.

The content of the message will obviously affect turnaround time. In addition, departmental culture prevails on response times even at the same teaching hospital or institution. Professional email users, therefore, must adapt to the environment regarding response time because expectations will change with leadership.


우리는 응답자들이 시기 적절하고 적절한 방법으로 회신을 시도할 것을 권고한다. 특히 회신을 보낼 때까지 조치를 취할 수 없을 경우. 일반적으로 영업일 기준 7일 이내에 회신하는 것이 적절합니다. 이메일에는 요청된 응답 시간이 포함될 수 있습니다. 요청과 요구 사이에는 미세한 차이가 있지만 차이를 아는 것이 중요합니다.

we recommend that responders attempt to reply in a timely and appropriate manner, especially if action cannot be taken until a reply is sent. In general, a reply within 7 business days is appropriate. Emails may include a requested response time frame; although there is a fine line between requests and demands, so it is important to know the difference.


어조

Unprofessional Tone


이메일의 어조는 특히 어렵거나 논쟁이 될 수 있는 상황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2004년 이메일 예절에 관한 기사에서 잭슨과 헤논12가 지적했듯이, "당신의 이메일은 당신의 반영입니다." 진실성의 부족, 이해의 충돌, 서투른 표현, 부적절한 내용, 또는 선동적인 메시지도 명백히 전문가답지 않다.

The tone of an email should be considered, especially in potentially difficult or contentious situations. As Jackson and Hennon12 noted in a 2004 article about email etiquette, “Your email is a reflection of you.” Lapses in integrity, conflicts of interest, poor wording, inappropriate content, or inflammatory messages are also blatantly unprofessional.


SURE


내용 검토

Reviewing for Content


모든 전문 e-메일은 신중하게 작성되고 검토되어야 한다. 철자법과 문법을 점검한 후에 다음 고려할 것은 메시지의 흐름과 전반적인 목적이다. 정보 통제는 중요한 목표이다. 수신자는 필요한 정보와 필요한 "요청사항"을 체계적이고 효율적인 방식으로 남겨야 합니다. 다시 말해, 어떤 것을 포함시켜야 하고 어떤 순서로 해야 하는지에 대한 증거 기반의 합의가 존재하지 않지만, 2007년 미국 직업 건강 간호학 저널 기사는 "요청은 여러 부분에 언급하여 강조하고, 가장 중요한 내용은 첫 부분에 두라"고 제안한다. 길이와 내용 사이에 균형이 잡혀야 하며, 이는 철저한 재-읽기를 통해 이룰 수 있다. 이메일을 보내기 전에 큰 소리로 읽는 것은 모든 이메일에 대해 불필요하고 비현실적이지만 선택된 메시지에 유용할 수 있다.

All professional emails should be carefully composed and reviewed. After a spelling and grammar check, the next considerations should be the flow and overall purpose of the message. Information control is an important goal. The recipient should be left with the information they need and any requisite “asks” in an organized and efficient fashion. Again, no evidence-based consensus exists on what to include and in what order, but a 2007 article in the American Association of Occupational Health Nurses Journal suggests that emails “should prioritize requests with multiple parts, placing the most important first.”13 Balance must be achieved between the length and content, which a thorough re-reading will help senders create. Reading an email aloud before sending, although unnecessary and unrealistic for every email, may be useful for selected messages.


약어와 속어는 모두 피해야 한다. 문자 메시지나 트윗 시대에는 일부 미디어의 문자 제한 때문에 상투어, 구어체, 두문자어를 사용하는 경향이 있다. 두문자어나 약어는 오해가 있거나 잘못 해석될 수 있으므로 피해야 한다. 확실치 않을 경우 디지털 종이 trail의 일부가 될 것이므로 보다 포멀하게 쓰는 것이 가장 좋습니다. 만약 어떤 불확실성이 있다면, 작성자는 우선 이메일이 올바른 의사소통 방법인지 고려해야 한다. 특히 전달할 내용이 긴 경우에, 아무리 이메일이 전문적이고 명확하게 구성되더라도, 대면적 상호작용이나 전화를 대체할 수 없다.

Abbreviations and shorthand should be avoided altogether. In the era of text messages and tweets, there is a tendency to use cliche´ s, colloquialisms, and acronyms, perhaps partially due to character limits of some media. Because acronyms or abbreviations can be misunderstood or misinterpreted, they should be avoided. When in doubt, a more formal email is best, as it will become part of a digital paper trail. If there is any uncertainty, composers should consider whether email is the right communication method in the first place. For particularly long communications, most agree that even the most professional and clearly constructed email is no substitute for a face-to-face interaction or phone call.



수신자 확인

Recipient Confirmation


실수로 이메일을 잘못된 수신인에게 보낸 경우 관계와 명성에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Relationships and reputations can be affected if emails are unintentionally sent to the wrong recipient(s).


대부분은 "전체 응답" 기능이 과도한 받은 편지함, 전자 메일 피로, 잘못된 전문적 인식 및 궁극적으로는 읽지 않은 메시지로 이어진다는 데 동의하지만, 일반적으로 요청 및/또는 응답과 관련하여 여러 사람에게 동시에 연락하는 것이 유용할 수 있다. CC와 BCC 옵션 영역은 이러한 이유로 잠재적으로 유용한 도구이다.

Most agree that the“reply all” function leads to overfilled inboxes, email fatigue, poor professional perceptions, and ultimately unread messages, but it can be generally useful to simultaneously contact multiple individuals regarding a request and/or its response. The CC and BCC options area lso potentially useful tools for this reason.


그러나 이러한 도구를 부적절하게 사용할 경우 문제가 발생합니다. CC필드는 시각적으로 부담을 줄 수 있으며, 특히 긴 CC 줄의 맨 아래로 스크롤하면 좌절감을 느낄 수 있습니다. 수신자는 전자 메일 대화에 누가 포함되었는지 거의 확인하지 않기 때문에, 메시지가 무시되거나 완전히 읽지 않을 가능성이 증가하므로 긴 CC 필드(독자 쪽에서 작업해야 함)는 피해야 합니다.

Issues occur, however, when these tools are used inappropriately. Carbon copy fields can be visually taxing, and scrolling to the bottom of a particularly long CC line can be frustrating. Because recipients rarely check to see who has been included on an email conversation, long CC fields (which require work on the reader’s part) should be avoided as they increase the chance that a message will be ignored or not read thoroughly.


이러한 경우 BCC 필드를 사용하는 것은 이론적으로 수신자가 보낸 사람의 이름만 보고 전자 메일 목록에 있는 모든 사람은 볼 수 없기 때문에 좋은 옵션일 수 있습니다. 그러나, BCC도 문제가 전혀 없는 것은 아니다. BCC를 사용하면 원본 메시지의 블라인드 복제본을 만들게 되고, 언제, 어디서 BCC가 사용되었는지 알 수 없게 되어 기밀성 및 보안과 관련하여 의도하지 않은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보낸 사람은 메시지가 전달될 때 신뢰를 위반하는지 아니면 다른 사람에게 맹목적으로 복사될 때 신뢰를 위반하는지를 고려해야 합니다.

Using the BCC field in these cases may be a good option because the recipient will theoretically only see the name of the sender and not everyone on the email list. Blind carbon copy, however, is not without its challenges. Creating a blinded replica of the original message prevents individuals from knowing when and where BCC has been used, which can have unintended implications regarding confidentiality and security. Senders must consider whether they are violating trust when messages are forwarded or blind copied to others.


SURE


감정

Emotions


이메일 텍스트만으로는 직접 대면할 때 나타나는 비언어적 및 언어적 신호를 전달하지 않으므로, 이메일이 미칠 수 있는 영향을 과소평가해서는 안 됩니다.

Email text alone does not communicate the nonverbal and verbal cues that are present in face-to-face interactions; therefore, the potential impact of emails should not be understated.


대부분의 사람들은 이메일이 발신인이 화가 났거나 기분이 나쁠 때 만들어지면 안 된다는 것에 동의한다. 임상심리학 저널에 편집장은 부정적 메시지에는 e메일을 절대 사용하지 말 것을 권한다. 만약 화가 난다면, 그것에 대해 반성하고 여러분의 감정에 목소리를 내는 것이 여러분의 가치와 일치하는지 그리고 여러분의 관심사에 (단기 그리고 장기적으로) 맞을 가능성이 있는지 고려하세요."14 텍스트가 어떻게 표현되는지에 대해 유념하는 것은 메시지를 보내는 것을 막을 수 있습니다. 또한 모든 대문자, 굵은 글꼴 또는 여러 느낌표를 사용하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Most agree that emails should not be composed when the sender is upset or angry. In the Journal of Clinical Psychiatry, the editor in chief wrote, “I suggest never using email for negative messages. If you are angry, reflect on it and consider whether giving voice to your emotions is consistent with your values and likely to be in your interest—both short and long term.”14 Being mindful of how the text is presented can help prevent sending a message that could be considered inflammatory. It is also recommended avoiding the use of all capital letters, a bold font, or multiple exclamation points, which could be interpreted as shouting.


이메일 발송자는 또한 그들의 메시지가 독자들에게 줄 수 있는 감정들을 고려해야 한다. Giiumetti 외 15는 불친절함을 논의하였는데, 그들은 특히 심리적, 생리학적 성과 결과에 미칠 수 있는 부정적인 영향의 예를 강조하여 "불친절하고 무례한 행동을 포함하는 일반적인 형태의 학대"로 정의하였다. 그들은 시뮬레이션된 직장 작업에서 부정적으로 인식된 이메일과 형편없는 성과 사이의 연관성을 증명할 수 있었다.15 이 연구는 이메일을 통해 전달되는 무례함, 무례함 및/또는 분노가 이론적으로 생산성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Email senders should also consider the emotions that their message might create in the reader. Giumetti, et al15 discussed incivility, which they defined as a “common form of mistreatment, involving rude and discourteous behaviors,” specifically highlighting examples of possible negative effects on psychological and physiological performance outcomes. They were able to demonstrate associations between negatively perceived emails and poor performance in simulated workplace tasks.15 This study showed that rudeness, incivility, and/or anger transmitted through email theoretically affects productivity.


SURE 모델에서 감정을 고려할 때 이모티콘을 언급하는 것은 중요하다. 감정을 표현하는 아이콘인 이모티콘은 다양한 이유로 현대의 이메일 메시지에 사용된다.

It is important to mention emoticons when considering emotions in the SURE model. Emoticons, which are icons that portray emotions, are used in modern email messages for a variety of reasons,


각 문화는 얼굴 표정과 관련된 관습과 관행이 다르기 때문에, 이모티콘은 받는 사람들 사이에서 다른 의미를 가질 수 있다. 전문적인 이메일 통신에서는 이모티콘을 피하는 것이 좋습니다. 만약 이모티콘을 사용한다면, 그것들은 간단하고, 알려진 받는 사람을 위한 것이어야 하며, 다양한 문화적 기준에 근거한 예측할 수 없는 반응을 이끌어낼 이미지가 없어야 한다.

Because each culture has distinct customs and practices regarding facial expressions, emoticons may have different meanings among recipients. It is recommended that emoticons be avoided in professional email communications. If emoticons are used, they should be simple, intended for known recipients, and devoid of imaging that could elicit unpredictable responses based on varied cultural norms.


윤리적 고려

Ethical Concerns


관련된 모든 당사자가 고등급 암호화를 사용하지 않는 한 이메일은 완전히 보안되지 않습니다.16 병원 내 법률 및 컴퓨터 기술 부서의 주요 관심사입니다.

Email is not completely secure unless all parties involved are using high grade encryption.16 Information security is a major concern for legal and computer technology departments within hospitals.


가족 교육 권리 및 개인 정보 보호법(FERPA)은 학생 교육 기록의 프라이버시를 보호합니다.17 예를 들어 교정조치 및 징계 조치와 같은 중등교육후교육 학생에 대한 특정 정보는 동의 없이 공유될 수 없습니다.

The Family Educational Rights and Privacy Act (FERPA) protects the privacy of student education records.17 Specific information about postsecondary students, such as remediation and disciplinary actions, for example, may not be shared without consent.


환자 및 학생의 기밀성 위반은 법적 의미를 가지며 동료 또는 동료의 기밀성 위반은 개인적인 내용을 담고 있습니다. 전자 메일에서 이러한 위반은 전달된 전자 메일, 블라인드 복사 메시지 또는 외부 전자 메일 수신자의 포함을 통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비록 이러한 유형의 실수가 불법은 아니지만, 동료들이 그들의 동의 없이 그들의 메시지를 공유했다는 것을 알게 되면 신뢰가 깨질 수 있다. 또한 많은 교육 병원이 교수진, 학습자 및 직원에게 컴퓨터와 기관 이메일 주소를 할당하기 때문에, 실제로 사용자가 이메일 내용을 소유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따라서 메시지는 프로그램, 병원 또는 기관을 공식적으로 나타내는 것으로 볼 수 있다.

Breaches of patient and student confidentiality have legal implications and breaches of colleague or peer confidentiality have personal ones. In email, these breaches can occur through forwarded emails, blind copied messages, or the inclusion of outside email recipients. Although these types of lapses are not illegal, trust can be eroded if colleagues discover their messages have been shared without their consent. In addition, because many teaching hospitals assign both computers and institutional email addresses to faculty, learners, and staff, the user may not actually own the content of the email. Therefore, a message could be viewed as a formal representation of the program, hospital, or institution.


일부 전문가들은 콘텐츠를 예상 당사자들만 보아야 한다는 것을 수신자에게 알리기 위해 공개 설명을 사용하기 시작했습니다(박스 1). 이러한 진술은 잠재적 오류의 추가 전파를 제한하기 위한 것이지만, 우리의 연구에서, 기밀 위반이 발생할 경우, 그러한 진술이 있더라도 책임이나 책임을 회피할 가능성은 거의 없다는 것을 발견했다. 따라서 기관은 학습자와 제공자가 이메일을 통한 개인 정보의 전송과 관련된 정확한 지침을 인지하도록 해야 한다.

Some professionals have started using disclosure statements to alert recipients that the content should be viewed only by anticipated parties (Box 1). These statements are intended to limit further propagation of potential errors, but in our research, we found it is unlikely that the presence of such a statement obviates liability or culpability if a confidentiality breach occurs. Therefore, institutions should ensure that learners and providers are aware of the exact guidelines concerning the transmission of personal information through email.


CONCLUSIONS AND NEXT STEPS


이메일 표준을 개발하는 것은 전문적 의미를 가질 수 있는 에티켓의 오류를 줄이는 데 도움이 될 것이다.

Developing standards for email will be instrumental in reducing errors in etiquette that can have professional implications.


의료 교육 내에서 전문가의 이메일 습관을 조사하기 위한 추가 연구가 필요하며, 프로그램은 이메일 사용과 관련된 명확한 정책과 절차를 개발하는 것을 고려해야 한다.

Further research needs to be done to examine email habits of professionals within medical training, and programs should consider developing clear policies and procedures regarding email use.









 2017 Dec;28(4):205-209. doi: 10.1097/JPA.0000000000000165.

Are You SURE You Want to Send That? A Model for Email Professionalism in Medical Education.

Author information

1
Kenyon Railey, MD, is an assistant professor in the Department of Community and Family Medicine at Duke University Medical Center in Durham, North Carolina. Brandi Tuttle, MSLIS, is a research and education librarian at Duke University Medical Center in Durham, North Carolina. Jasmine Weiss, MD, is a medical resident at the Emory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in Atlanta, Georgia.

Abstract

Email is an essential method of communication within academic medical environments and elsewhere. There is a growing body of literature that focuses on provider-to-patient communication in addition to studies examining the intersection of social networking and professionalism. Relatively little research exists, however, regarding the components of professional email interactions or "best practices" for electronic correspondence among colleagues, faculty, and trainees. After reviewing the existing literature, the authors created a practical approach for skillful email construction; the SURE model proposes a simplified framework that teaching institutions can use to improve interdisciplinary interactions and enhance email professionalism.

PMID:
 
29189651
 
DOI:
 
10.1097/JPA.0000000000000165


어떻게 의료는 인간성을 댓가로 이성을 착취해왔는가(BMJ, 2016)

How medicine has exploited rationality at the expense of humanity: an essay by Iona Heath

Iona Heath argues for a rebalancing of the two sides in every clinical consultation, championing

that for which evidence based medicine has no answers

Iona Heath former general practitioner




이런 식으로, EBM은 우리를 생의학에서 얻은 데이터를 가지고 '사람'을 묘사하게끔 유혹합니다: 이것들은 지금도 충분하지 않고, 앞으로도 결코 충분하지 않을 것입니다. 그러한 근거는 필수적이지만, 환자 돌봄을 위해서는 언제나 불충분하다. 근거는 우리에게 알파벳이다. 하지만 (알파벳을 알더라도) 임상의사는 '언어'가 있는지 알 수 없다.

In just such a way, evidence based medicine tempts us to try to describe people in terms of data from biomedical science: these are not, and will never be, enough. Such evidence is essential but always insufficient for the care of patients. It gives us an alphabet—but, as clinicians, we remain unsure of the language.


대부분의 임상의들은 과학자들이 아니다. 의사의 책임은 다른 곳에 있다. 고충과 고통을 덜어주려는 시도와, 그리고 이렇게 함으로써, 아픈 사람들이 생의학으로부터 이익을 얻으면서, 동시에 생의학으로부터 해를 입지 않도록 막아주는 것이다.

Most clinicians are not scientists; they have a different responsibility—to attempt to relieve distress and suffering and, to this end, to enable sick people to benefit from biomedical science while protecting them from its harms.


각 환자는 자신의 고유한 가치, 열망, 맥락을 가지고 있다. 보다 근본적으로, 역사와 경험은 각각의 신체가 다양한 메커니즘을 거치며 작용하는 방식을 변화시키며, 사회 경제적 불평등과 그로 인한 희망과 기회의 불평등한 분배는 종종 때이른 질병과 죽음으로 나타난다.

Each patient has unique values, aspirations, and context. More fundamentally, history and experience alter how each body works through many mechanisms, and socioeconomic inequality and the directly consequent unequal distribution of hope and opportunity often play out in premature disease and death.


의사는 환자를 보고 환자로부터 들을 때 자신이 가진 인간성을 최대한 활용하여야 하며, 이를 가지고 두려움을 최소화시켜주고, (비록 얼마되지 않더라도) 희망을 주어야 하며, 증상과 진단을 그 특정 환자가 이해할 수 있는 방식으로 설명하고, 인내심과 용기를 입증하고, 고통과 함께해야 한다.

Clinicians must see and hear each patient in the fullness of his or her humanity in order to minimise fear, to locate hope (however limited), to explain symptoms and diagnoses in language that makes sense to the particular patient, to witness courage and endurance, and to accompany suffering.


하지만 그 어떤 생의학적 증거도 여기에 전혀 도움이 되지 않으며, 그 결과 모든 consultation에는 분열이 일어난다. 한편으로, 근거의 역할은 중요해서, 근거에는 편견이 없다고 생각한다. 다른 한 편으로는, 인문학의 엄청난 역할이 있다. 클라인만이 "의사는 과학과 일반 문화 사이의 접점에 놓여 있다"고 썼듯, 의사는 지속적으로 이 틈 사이를 막아야 한다.

No biomedical evidence helps with any of this, so a rift runs through every consultation. On one side, evidence has a huge part to play, assuming it is free of bias; on the other side is the substantive role for humanity. Clinicians must constantly bridge the rift, because as Kleinman writes, “Physicians are poised at the interface between scientific and lay cultures.”2


질병과 병고

Disease and illness


세상을 이해시하기 위해, 인간의 마음은 경험을 단순화하고 대부분의 복잡성을 부정한다. 생의학의 환원적 성격과 우리의 상대적으로 조잡한 질병 분류법은 이 과정의 일부이다. 그것은 임상 의학에서 엄청난 발전을 가져왔지만 개인의 경험을 평가절하한다.

To make sense of the world the human mind simplifies experience and denies much of its complexity. The reductive nature of biomedical science and our relatively crude disease taxonomy is part of this process. It has led to enormous progress in clinical medicine but devalues individual experience.


객체로서의 신체와 주체로써의 신체 사이에도 불화는 있다. 그 균열은 우리가 노화, 죽음, 상실과 같은 풀 수 없는 실존적 도전에 대해 손쉬운 기술적 해결책을 제시하도록 유혹한다.3

The disjunction is also between the body as an object and the body lived as a subject. The rift tempts us to offer easy technical solutions to the insoluble existential challenges of ageing, death, and loss.3


집단 대상의 연구 근거를 개인에게 적용할 때, 불확실성은 언제나 불가피하다. 이 증거는 우리에게 오직 확률에 대해서만 알려줄 수 있기 때문이다; 그것은 개인에게 어떤 일이 일어날지 예측할 수 없다. 왜냐하면 "임상시험이란 그 의도상 개별 환자에 대한 최적의 관리보다는, 질병에 걸린 그룹에 대하여 평균적 효능을 보여주는 것을 목표로 하기 때문이다."

Uncertainty is inevitable whenever we apply evidence from studies of populations to individuals. This evidence can only inform us about probabilities; it can never predict what will happen to an individual because “trials . . . are deliberately aimed at showing average efficacy in a diseased group rather than optimum management for individual patients.”5


그러나 이러한 임상시험은, 모든 선의의 경고에도 불구하고, 개별 환자에 대한 치료에서의 행동을 구성construct하기 위해 만들어진 가이드라인은, 진료행위에 대한 금전적 인센티브를 통해 너무 자주 행동을 강요coerce하곤 한다.

Yet these trials are used to construct clinical guidelines that, despite all the well meaning caveats, are too often used to coerce behaviour at the level of individual patient care through, for example, the financial incentives of payment for performance.


치료의학은 충분히 불확실하지만, 예방의학은 거의 우스꽝스럽게 되었다. 세계에서 가장 부유한 국가들의 인구는 현재 객관적인 기준으로 볼 때, 과거 어느 때보다도 더 건강하다. 그러나 가난한 나라에 살고 있는 국가들보다 상대적으로 더 많은 병을 보고하고 있다.7 사람들은 그 어느 때보다도 오래 살지만 더 많은 위험 요소에 노출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리고 대부분의 예방적 개입의 효과는 엄청나게 과대평가되어 있다. 의사들이 얼마나 많이 만들었는가?

Curative medicine is uncertain enough, but preventive medicine has become almost ludicrously so. The populations of the richest countries in the world are healthier by objective standards now than ever before yet they report relatively more illness than those living in poorer countries.7 People live longer than ever before but feeling fearful and ill, labelled as subject to ever more risk factors and exposed to endless health scares. And the effectiveness of most preventive interventions is hugely overestimated. How much have doctors created it?


공리주의와 의무론

Utilitarianism and deontology


일반적으로 보건 서비스 정책, 특히 증거 기반 의료는 공리주의적 가치에 기반하거나(최대다수의 최대의 이익을 얻기 위한 추구), 또는 평등주의적 가치를 추구한다(사회 전반에 걸쳐 의료 서비스에 대한 동등한 권리). 아니면, 대부분, 다소 혼란스러운 두 가지 혼합체로 존재한다.

Health service policy in general, and particularly evidence based medicine, is founded on the values of utilitarianism—seeking to achieve the greatest benefit for the greatest number—or those of egalitarianism—recognising equal rights to healthcare throughout society—or, most often, a rather confused mixture of the two. 


그러나 임상의사의 임무는 각 환자의 필요와 가치에 관여하는 것이며 그들의 도덕적 의무는 특정 환자에 대해 최선을 다하는 것이다. 그래서 임상의학자의 가치는 불가피하게 의무론적인 것이 된다. 그러나 정책입안자들은 이러한 헌신을 잘 이해하지 못하며, 자신들이 우선 순위를 인구 또는 사회적 수준과 연관시키고 있다는 것도 별로 인식하지 못한다. 그러나, 이러한 의무론적 기초가 없다면, 환자들은 임상의사를 신뢰할 수 없음을 깨달을 것이며, 사회 수준에서 효율성이 낮아질 것이다.

However, the task of clinicians is to engage with the needs and values of each patient and their moral obligation is to do the best for that particular patient, and so the values of clinicians inevitably become primarily deontological. This commitment is poorly understood and little appreciated by policy makers, whose priorities relate to population or societal levels. Yet, without this foundation in deontology, patients would find themselves unable to trust clinicians, with less efficiency at societal level.


이것은 사회와 개인간의 또 다른 분열로 이어진다. 사회적 수준에서 우리의 건강과 질병에 대한 개념은 조잡하고, 감소하며, 규범적이다. 반면에 질병을 가진 개인 수준에서는 임상의사는 세부 사항과 설명에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This leads to another rift—between society and the individual. At the societal level our notions of health and disease are crude, reductive, and normative, while at the level of the sick individual, the clinician needs to pay attention to detail and description.


중요한 문제는 [생의학의 지도]가 [인간 고통의 영역]과 대충만 일치한다는 것이다. 미국인 의사인 에릭 카셀은 이렇게 썼다. "우리 모두는 거의 항상 고통을 일으키는 어떤 부상을 인식하고 있습니다. 사랑하는 사람의 죽음 또는 고통, 무력함, 절망, 고문, 삶의 손실, 깊은 배신, 육체적 고통, 고립, 노숙, 기억 상실, 끊임없는 두려움 등이 그것이다. 각각의 우리 모두에게 공통적인 특징common features을 어루만지는데, 그러나 이것들은 특정 시간에 특정 인물의 관점에서 정의되어야 하는 특징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A profound problem is that the map of biomedical science only roughly matches the territory of human suffering. The American physician Eric Cassell, writes, “We all recognize certain injuries that almost invariably cause suffering: the death or suffering of loved ones, powerlessness, helplessness, hopelessness, torture, the loss of a life’s work, deep betrayal, physical agony, isolation, homelessness, memory failure, and unremitting fear. Each touches features common to us all, yet each contains features that must be defined in terms of a specific person at a specific time.”8


그러나 생의학의 지도에 이러한 고통의 강력한 원천은 거의 나타나지 않는다. 우리는 이 균열의 양상을 지식과 이해의 다른 영역의 도움으로만 연결시킬 수 있다. 클라인맨은 민족학, 전기, 역사, 심리치료가 "육체적인 고통과 정신병적 증상의 뒤의 단순한 소리를, 상처받고 절망적인 복잡한 내면의 언어를, 그리고 병과 함께 사는 것의 도덕적 고통(과 승리)을 이해할 수 있도록 한다"고 추천한다. 

Yet these potent sources of suffering are largely absent from the map of biomedical science? We can bridge this aspect of the rift only with the help of different arenas of knowledge and understanding. Kleinman recommends ethnography, biography, history, and psychotherapy to “enable us to grasp, behind the simple sounds of bodily pain and psychiatric symptoms, the complex inner language of hurt, desperation, and moral pain (and also triumph) of living with an illness.”2


숫자와 글자

Numbers and words


가장 극명하게 말하면, 그 격차는 숫자와 말 사이에 있다. 숫자는 견고함과 확실성을 보여주는 유혹적인 아름다움과 순결을 가지고 있다. 단어는 무한히 변형가능하고 적응가능할 뿐만 아니라 훨씬 더 많은 의사소통을 할 수 있다. 우리는 숫자를 사용하여 질병을 정의하려고 노력하지만, 이것은 심지어 map과 territory의 거리를 더 멀게 만든다. 단어는 환자들이 자신에게 무슨 일이 일어나고 있고 무엇이 도움이 될 수 있는지를 이해하는데 도움을 주기 위해 필수적이다. 오직 말을 통해서만 우리는 신뢰를 쌓고, 두려움을 해소하고, 의미를 찾을 수 있다. 그러나 파인스타인이 상기하듯이, "환자 치료에 대한 대부분의 연구는 임상적 연구라기보다는 수학적 연구였다."

At its starkest, the rift is between numbers and words. Numbers have seductive beauty and purity that suggest solidity and certainty. Words are infinitely malleable and adaptable but can communicate much more. We try to define disease using numbers, but this has separated the map from the territory even further. Words are essential to help patients to understand what is happening to them and what might help. Only with words can we forge trust, relieve fear, and find meaning. Yet as Feinstein reminds, “Most of the research devoted to patient care has been more mathematical than clinical.”5


우리가 감정을 인정하고 반응하기 위해서는 단어가 필요하고, 이것은 환자 치료에도 중요하다. 이것이 바로 임상의들이 양적인 것과 더불어 질적 연구의 통찰력과 함께 필요로 하는 이유입니다. 그리고 왜 임상 저널이 이 두 가지를 출판해야 하는지 말입니다.9

We need words to acknowledge and respond to emotions, which are just as important in the care of patients. And this is why clinicians will always need the insights of qualitative research alongside the quantitative, and why clinical journals should publish both.9


조지 엘리엇이 다니엘 데론다에서 설명한 것처럼, "그가 자신을 가장 엄격한 추론가라고 소개했다고 하자: 그렇다면 그는 [잘못된 결론으로부터 해방된 인간의 몸]이 될 것인가? 가장 건조한 주장조차 그 자체의 환각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마침내 우주를 지탱할 수 있을 만큼 충분할 것이라는 결론은 너무 성급하다.1

Reason does not hold a monopoly on truth, as George Eliot explained in Daniel Deronda: “Suppose he had introduced himself as one of the strictest reasoners: do they forma body of men hitherto free from false conclusions and illusory speculations? The driest argument has its hallucinations, too hastily concluding that its net will now at last be large enough to hold the universe.”1


임상의사는 이래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환자와의 의사소통은 지루함과 잔인함 사이만을 오갈 것입니다.

Clinicians need to be just this—experts in the feelings we attach to words—otherwise our efforts to communicate with our patients will oscillate between the tedious and the cruel.


과학과 시

Science and poetry


미국의 시인 로버트 프로스트는 시를 "작가와 독자의 두 점 사이의 가장 짧은 감정 거리"라고 묘사했다. 그리고 이것은 의사들이 고통과 손실을 겪는 사람들을 도울 필요가 있는 [연결의 강도]입니다.

The American poet Robert Frost described poetry as “the shortest emotional distance between two points: the writer and the reader.” And this is so often the intensity of connection that doctors need to help people experiencing suffering and loss.


오든이 쓴 글 "시들은 사람들에게 무엇을 해야 할지를 알려주는 것과 관련이 없다. 그러나 우리의 선과 악에 대한 지식을 넓혀줄지 모르며, 아마도 행동의 필요성을 더 긴급하게 만들고, 그것의 본성을 더 명확하게 하는 것일지도 모른다. 단 우리가 rational moral choice를 내리는 것을 가능하게 해주는데까지만 인도해줄 것이다.

WH Auden wrote, famously, “Poetry is not concerned with telling people what to do, but with extending our knowledge of good and evil, perhaps making the necessity for action more urgent and its nature more clear, but only leading us to the point where it is possible for us to make a rational moral choice.”11


그는 우리의 틈을 가로지르는 또 다른 다리와 환자와 전문가들에게 무엇을 하라고 말하고 싶어하는 많은 사람들에 대해 매우 필요한 방어 수단을 제공한다. 시는 우리에게 생각할 것을 요구하며, 우리들 대부분은 아플 때, 생각할 준비가 되어 있는 의사를 원한다. 나는 지침 대신에, 의사들이 단지 증거의 요약을 제공받고, 불확실성의 한계와 정도를 분명히 보여주고, 항상 harm의 가능성을 인정하는 때가 오기를 바란다. 이것은 임상의들이 [무엇을 해야 하는지]를 알려주는 대신에 [생각을 하도록] 장려할 것이다.

He provides another bridge across our rift and a much needed defence against the many people who want to tell patients and professionals what to do. Poems ask us to think, and most of us, when ill, want a doctor who is prepared to think. I long for a day, when instead of guidelines, doctors are simply given summaries of evidence, with clear indications of the limitations and extent of uncertainty, and always acknowledging possible harm. This would encourage clinicians to think instead of telling them what to do.


시무스 헤니가 지적했듯이, "세익스피어, 에밀리 디킨슨, 사무엘 베켓에 의해 읽혀진 후에 세상은 다릅니다,"12

As Seamus Heaney has pointed out, “The world is different after it has been read by a Shakespeare or an Emily Dickinson or a Samuel Beckett because it has been augmented by their reading of it.”12


우리는 인간성을 희생시켜 합리성을 착취했을지도 모른다. 네덜란드의 철학자 앤 마리 몰은 앞으로 나아갈 방법을 제안한다. "전문직을 다시 새장에 가둬두는 대신에, 그들한테 무엇이든 하고 싶은 것을 하게 한다면, 이는 대중에게 중대한 질문을 던져줄지도 모른다. 잘 사는 것은 무엇이며, 어떻게 죽어야 하며, 무엇이 좋은 보살핌인가?"

It seems that we may have exploited rationality at the expense of humanity. The Dutch philosopher Anne marie Mol proposes a way forward: “Instead of either pushing professionals back into their cage, or allowing them to do whatever they like, it is better to open up and share the crucial substantive questions publicly. How to live well, what to die from, and how, thus, to shape good care?”13


다른 엘리엇으로 끝내겠습니다. 1944년 버길에서 T S 엘리엇은 이렇게 썼습니다.

우리 나이에 사람은 그 어느 때보다도 지혜와 지식을 혼동하기 쉽고 지식을 정보와 혼동하기 쉽고, 공학적으로 삶의 문제를 해결하려고 노력한다. 이 시점에 아마도 새로운 이름을 얻을만한 새로운 종류의 지방주의가 존재하고 있다. 그것은 공간의 지방주의가 아닌 시간의 지방주의이다. 이는 역사가 단지 차례에 봉사하고 폐기된 인간의 장치의 연대기에 지나지 않는 것이며, 세상이 오직 살아있는 재산인 죽은 사람이 지분을 가지지 않는 재산인 것이다. 

Let me end with a different Eliot. In his 1944 essay on Virgil, T S Eliot wrote, 

“In our age, when men seem more than ever prone to confuse wisdom with knowledge, and knowledge with information, and to try to solve problems of life in terms of engineering, there is coming into existence a new kind of provincialism which perhaps deserves a new name. It is a provincialism, not of space, but of time; one for which history is merely the chronicle of human devices which have served their turn and been scrapped, one for which the world is the property solely of the living, a property in which the dead hold no shares.”14


오늘날, 증거 기반 의학은 불충분한 의심을 수반하는 임상 퀄리티의 정의를 추진하는 데 사용되고 있으며, 이는 그 목표가 매우 가치 있기 때문에 의심하기 어렵게 되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러한 단차원적 수단이 해로운 이유는, 그것이 매우 규범적이며, 건강하다는 것이 무엇을 의미하는지 그리고 인간의 삶과 건강관리가 되어야 하는지에 대한 객관적인 관점을 전파하기 때문이다. 우리는 더 넓고, 더 균형 있고, 그리고 더 많은 의심이 필요하다. 그리고 나서야 비로소 우리의 협의가 성립될 것이다.

Today, evidence based medicine is used to drive definitions of clinical quality that involve insufficient doubt, and this has become difficult to question because the aim is so worthy. Nonetheless, such unidimensional means are damaging because they propagate an intensely normative and objectifying view of what it means to be healthy and of what human life and healthcare should be. We need more breadth, more balance, and more doubt, and only then will our consultations cohere.




 2016 Nov 1;355:i5705. doi: 10.1136/bmj.i5705.

How medicine has exploited rationality at the expense of humanity: an essay by Iona Heath.

Author information

1
London, UK.

PMID:
 
27802938
 
DOI:
 
10.1136/bmj.i5705


생각과 감정에 관한 생각: 기초의학과 임상의학과의 통합하는 의료인문학의 메타인지적 접근(Perm J, 2014)

Thinking about Thinking and Emotion: The Metacognitive Approach to the Medical Humanities that Integrates the Humanities with the Basic and Clinical Sciences

Quentin G Eichbaum, MD, PhD, MPH, MFA, MMHC, FCAP




도입

Introduction


이 글은 메타인지—생각(그리고 감정)에 대해 생각하는 것"에 대해 이야기할 것이다.

This article will argue that metacognition—“thinking about thinking (and emotion)”


의학 교육에 있어서 인문학의 난제

The Conundrum of the Humanities in Medical Education


인문학이 의과대학에서 흔히 가르쳐지는 이유는 [학생들이 시험을 통과하기 위해 외워야 하는 과학 지식의 부담스러운 무게에 균형을 되찾기 위해] 또는 Bleakley1가 ["과학을 과다복용한 것에 대한 보상"]등이다. 그렇더라도 인문계와 과학은 여전히 의대나 대학교에서 "고립된silo" 학문으로 가르친다. 그러나 과학과 인문학을 "두 개의 문화"로 나누는 것은 지식에 대한 잘못된 이분법이다.

The humanities are frequently taught in medical schools to provide a rehumanizing counterbalance to the burdensome weight of scientific knowledge that students must memorize to pass their examinations, or as Bleakley1 says: “as compensation for an overdose of science.” Be this as it may, the humanities and sciences are usually still taught in medical schools and universities as “silo” disciplines. Separating the sciences and humanities into what Snow2 famously called “the two cultures” has, however, created a false dichotomy in knowledge.


VUSM의 컬리지 콜로키움

The College Colloquium at VUSM


이 콜리키움는 과학과 인문학이 "두 개의 문화"가 아니라 인식과 인간의 뇌를 통해 매개되는 하나의 지적 "문화"라는 전제에 바탕을 두고 있다. 콜로키움의 지적인 틀은 메타인지에 기반을 두고 있다.

The colloquium is based on the premise that there are not “two cultures” but only a single “culture” of knowledge that is mediated through cognition and the human brain. The intellectual framework of the colloquium has its foundations in metacognition,


현대의 신경과학은 지금 뇌와 정신이 별개의 존재인지 아닌지에 대해 논쟁한다. Panksepp와 Biven은 "현대 신경과학... 정신과 뇌를 구분하는 것은 더 이상 유용하지 않다는 것이 밝혀졌습니다. 비록 우리가 types of mind과 types of brain을 구분해야 하지만 말입니다."7p8

modern neuroscience now disputes whether the brain and mind are separate entities . Panksepp and Biven, write that “modern neuroscience … has revealed that it is no longer useful to distinguish between the mind and the brain, although we surely must distinguish between types of minds and types of brains.”7p8


의학 교육은 학생들을 민첩한 학습자유연한 사고방식으로 발전시키는 역량 기반 접근방식으로 추진될 것이다. 이 능력을 가진 학생들은 어떻게 마음mind이 작동하는지를 더 잘 이해하게 될 것이다. 8

medical education will be impelled toward a competency-based approach that develops students into agile learners and flexible thinkers. Students possessing this competency will have a deeply enhanced understanding of how the mind works.8



컬리지 콜로키움의 구조와 근거

Structure and Rationale of the College Colloquium


VUSM의 커리큘럼 2.0은 커리큘럼에 더 이상 포괄적으로 수용될 수 없는 의학적 지식과 복잡성의 급격한 성장에 대처하고 대신에 학생들에게 좀더 개인화되고 맞춤화된 교육을 제공하도록 설계되었다. VUSM의 커리큘럼 2.0은 전통적인 미국 의학 교과과정의 기본 과학 구성요소를 2년에서 약 15개월로 줄이고 임상실습의 대부분을 커리큘럼의 3학년에서 2학년으로 변경한다. 3학년, 4학년은 학생들이 의학을 선택하는 방향으로 교육을 조정할 수 있는 개인화된 학습 계획으로 고안되었다.

Curriculum 2.0 at VUSM was designed in part to cope with the rapid growth in medical knowledge and complexity that can no longer be comprehensively accommodated in the curriculum, and instead to provide students with a more individualized and customized approach to their education. Curriculum 2.0 at VUSM reduces the basic science component of the traditional US medical curriculum from 2 years to about 15 months in length, and shifts the bulk of the clinical clerkships from third year to the second year of the curriculum. The third and fourth years are devised as an individualized learning plan in which students can tailor their education in the direction of their choice of medical specialty.


이 콜로키움의 목표는 학생들이 더 민첩한 학습자가 되고 유연한 사고를 하도록 개발하는 것이다. 콜로키움은 "학습 공동체"를 구성하는 4개의 "대학"에 위치해 있다

The goal of the colloquium is to develop students to be more agile learners and flexible thinkers. The colloquium is situated in the 4 “colleges” that comprise the “learning communities.”


콜로키움은 매주 두 시간 반 동안 만난다. 첫 30분은 코스 디렉터나 관련 교수들에 의해 강의실에 전달되는 짧은 대화인 "컨텍스트 대화"에 할애됩니다. 이 컨텍스트 대화는 한 주의 담화 주제를 광범위한 학습 및 지적 프레임워크에 배치하고 뒤따르는 대학 내 토론에서 토론에 도전적인 질문을 제기함으로써 필요한 독서에 대한 맥락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그 학습의 맥락을 암묵적으로 놔두기 보다는, 맥락을 제공하여 과학적, 사회적, 문화적/윤리적 상호관계에서 콜로키움 주제를 다룬다. 전문가의 역할은 학생들에게 해답을 제공하는 것이 아니라 도전challenge하는 것이며, 학생들이 참여적이고 신뢰할 수 있는 대학 환경에서 탐색할 수 있는 길을 여는 것이다.

The College Colloquium meets for two to two-and-a-half hours each week. The first half hour is devoted to a “context talk,” a short talk delivered to the class by the course directors or associated faculty experts. The context talks are designed to provide a context around the required readings by placing the week’s colloquium topic in a broader learning and intellectual framework, and by posing challenging questions for discussion in the ensuing within-college discussions. Rather than leaving the context of learning implicit, the context talks situate the colloquium topics in the setting of their scientific and sociocultural/ethical interrelationships. The role of the expert teacher is not to provide answers, but to be challenging and to open up exploratory avenues for students to navigate in the participatory and trusting setting of their colleges.


강연이 끝난 후 학생들은 각자 다른 컬리지으로 가서 주어진 독서와 상황에 따른 질문에 대해 토론한다. 코스로써 콜로키움은 메타인지와 비판적 사고에 대한 기초 읽기와 토론으로 시작되며, 이후 학기에 전문성, 의학 윤리성, 리더십, 건강 관리 시스템의 주제로 이어진다.

After the talk, students break up into their separate colleges to discuss the assigned readings and possibly questions triggered by the context talk. The colloquium as a course starts with foundational readings and discussions on topics in metacognition and critical thinking, and in subsequent semesters proceeds to topics in professionalism, medical ethics, leadership, and health care systems.


열린 커뮤니케이션을 촉진하고 공동체 의식을 조성하기 위해, 콜로키움에서 학생(그리고 멘토) 참여자들의 좌석 배치가 중요하다. 학생들은 열린 공간을 가로질러 서로 마주보는 원 안에 멘토들과 함께 앉는다. (전자 장치나 소셜 미디어는 허용되지 않습니다.) 컬리지 멘토들은 토론을 용이하게 한다. 학생들은 각 콜로키움 전에 주어진 각 주의 독서자료에 대해 신중히 고려된 질문을 제출해야 하며, 이를 회람하여 토론을 유도하고 학생들에게 창의적 질문을 만드는 연습을 제공하게 한다.

For promoting open communication and for generating a sense of community, the seating arrangement of the student (and mentor) participants in the colloquium is important. The students sit together with their mentors in a circle facing each other across an open space. (No electronic devices or social media are allowed.) The college mentors facilitate the discussions. Students are required to submit and to disseminate a carefully considered question on each of the week’s readings to the college the evening before each colloquium, to drive discussions and to give the student practice in formulating creative questions.


미국의 대부분의 의료인문학과정은 종합적으로 평가되지 않고 있으며, 대부분은 필수 과목도 아닌 것 같다.

Most medical humanities courses in the US, it appears, are not summatively assessed, and many are not even required courses.


VUSM의 과학 과정처럼, 콜리키움은 필수과목이며, 충분히 평가되고, 과목을 평가한다. 별도의 시험을 치르는 대신, 콜로키움에서 나온 에세이 형식의 질문들이 과학 최종 블록 시험에 통합된다. 그 질문은 학생들이 독서한 내용을 그들 자신의 사고에 통합시키고 흡수했는지, 그리고 그들의 생각을 명확하게 전달할 수 있는지를 평가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읽기를 흡수하는 것에 대해 말한 윌리엄 오슬러에 따르면, "책을 읽는 것보다 책을 사는 것이 훨씬 더 간단하고, 책을 읽는 것이 그들의 내용을 흡수하는 것보다 더 쉽다."

Like the science courses at VUSM, the colloquium is a required, fully assessed, and evaluated course. Rather than having a separate examination, essay-style questions from the colloquium are integrated into the science end-block examinations. The questions are aimed at assessing whether students have intellectually integrated and assimilated the context (rather than just the content) of the readings into their own thinking and can communicate their thinking clearly. As attributed to William Osler, who spoke of absorbing readings: “It is much simpler to buy books than to read them and easier to read them than to absorb their contents.”


Selected Readings in Meta/Neurocognition Assigned in the College Colloquium at Vanderbilt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Books

• Schulz K. Being Wrong: Adventures in the Margin of Error. New York, NY: Harper Collins; 2010.

• Quirk ME. Intuition and Metacognition in Medical Education: Keys to Developing Expertise. New York, NY: Springer; 2006.

• Montgomery K. How Doctors Think: Clinical Judgment and the Practice of Medicine. Oxford, UK: Oxford University Press; 2006.

• Siegel D. The Mindful Brain. New York, NY: WW Norton; 2007.

• Hall S. Wisdom: From Philosophy to Neuroscience. New York, NY: Knopf; 2010.

• Doidge N. The Brain That Changes Itself. New York, NY: Penguin Books; 2007.

• Kahneman D. Thinking Fast and Slow. New York, NY: Farrar, Straus and Giroux; 2011.

• Churchland P. Braintrust: What Neuroscience Tells Us about Morality. New York, NY: Knopf; 2010.

• Taylor JB. My Stroke of Insight: A Brain Scientist’s Personal Journey. New York, NY: Viking; 2006.

• Berns G. Iconoclast: A Neuroscientist Reveals How to Think Differently. Boston, MA: Harvard Business Review Press; 2010.

• Colvin G. Talent is Overrated: What Really Separates World-Class Performers from Everybody Else. New York, NY: Penguin; 2008.

• Ramachandran VS. The Tell-Tale Brain: A Neuroscientist’s Quest for What Makes Us Human. New York, NY: WW Norton; 2011.

• Spiro H, Peschel E, Curnen MGM, St James D. Empathy and the Practice of Medicine. New Haven, CT: Yale University Press; 1993.

• Damasio A. Self Comes to Mind: Constructing the Conscious Brain. New York, NY: Vintage Books; 2012.


Articles

• Gladwell M. Most likely to succeed: how do we hire when we can’t tell who’s right for the job? [Internet]. New York, NY: The New Yorker; 2008 Dec 15 [cited 2014 Jul 31]:[about 15 p]. Available from: www.newyorker.com/magazine/2008/12/15/most-likely-to-succeed-2.

• Gladwell M. The talent myth: are smart people overrated? [Internet]. New York, NY: The New Yorker; 2002 Jul 22 [cited 2014 Jul 31]:[about 7 p]. Available from: www.newyorker.com/magazine/2002/07/22/the-talent-myth.

• Tierney J. Do you suffer from decision fatigue? [Internet]. New York, NY: The New York Times; 2011 Aug 17 [cited 2014 Jul 31]:[about 10 p]. Available from: www.nytimes.com/2011/08/21/magazine/

do-you-suffer-from-decision-fatigue.html?pagewanted=all.

• Lucey C, Souba W. The problem with the problem of professionalism. Acad Med 2010 Jun;85(6):1018-24. DOI: http://dx.doi.org/10.1097/ACM.0b013e3181dbe51f.

• Charon R. The patient-physician relationship. Narrative medicine: a model for empathy, reflection, profession, and trust. JAMA 2001 Oct 17;286(15):1897-902. DOI: http://dx.doi.org/10.1001/jama.286.15.1897.

• Epstein RM, Siegel DJ, Silberman J. Self-monitoring in clinical practice: a challenge for medical educators. J Contin Educ Health Prof 2008 Winter;28(1):5-13. DOI: http://dx.doi.org/10.1002/chp.149.



메타인지적 신경인지적 접근

The Meta/Neurocognitive Approach


인문학을 기초, 임상과학과 통합하기

Integration of the Humanities with the Basic and Clinical Sciences


의학 교육에서 사실에 입각한 지식을 지나치게 강조하는 것은 학습과 사고를 틀어막는다. 철학자인 Nussbaum은 교육은 우리에게 사실을 수동적으로 동화시키는 것이 아니라 전문적인 사고를 하는 사람이 되도록 가르쳐야 한다고 주장한다. "교육은 단순히 사실과 문화적 전통에 대한 수동적 동화가 아니며, 복잡한 세계에서 능동적이고, 능력 있고, 사려깊게 비판적이 되기 위해 마음에 challenging하는 것이다."

The overemphasis on factual knowledge in medical education has a stifling effect on learning and thinking. Philosopher Nussbaum insists that education should teach us not to be just passive assimilators of facts but to be expert thinkers: “[E]ducation is not just about the passive assimilation of facts and cultural traditions, but about challenging the mind to become active, competent, and thoughtfully critical in a complex world.”9p18


의대생과 연수생들은 사실적 지식의 중요성을 과대평가하고 평가하는 경향이 있다. 많은 사람들은 사실에 입각한 의학 지식을 뛰어난 의사의 특징이라고 생각한다. 이런 관점에서, 학생들은 인문학을 객관적인 과학에 비해 "주관적"이거나 "soft option"으로 생각할 수 있고, 따라서 인문학을 열등한 것으로 생각하곤 한다.

Medical students and trainees have a tendency to overemphasize and value the importance of factual knowledge. Many seem to consider a sound command of factual medical knowledge as the hallmark of the outstanding physician. From this perspective, students may perceive the humanities as subjective or a soft option compared with the objective sciences and therefore may relegate the humanities to an inferior standing.


인문학이 효과적인 과학 학습을 위한 조건을 만드는데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는 것과 마찬가지로, 과학적 방법의 엄격함이 인류를 계몽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조사자들은 의료 영상을 사용하여 뇌가 어떻게 이야기와 문학을 처리하는지 연구했다. 연구에 따르면 거울 뉴런으로 알려진 뇌의 뉴런 그룹이 이야기를 처리하는 데 관여하고 있다. 이 뉴런들은 또한 감정이입에 있어서도 역할을 한다. 그러므로 우리는 과학과 인문학의 일부가 인간 지식의 필수적인 부분이라고 본다.

Analogously, just as the humanities can have a vital role in creating the conditions for the effective learning of science, so too can the rigors of the scientific method be brought to enlighten the humanities. For example, investigators have used medical imaging to study how the brain processes stories and literature. Research shows that a group of neurons in the brain known as mirror neurons are involved in the processing of stories. These neurons also play a role in empathy. One therefore sees that the sciences and humanities are part of an integral field of human knowledge.


콜로키움은 교과과정에서의 과학과 인문학의 불균형을 바로잡는 것을 목표로 한다. 메타인지적 접근법은 신경 과학을 통해 점점 더 많이 알려지면서 과학과 인문학을 통합하기 위한 지적 프레임워크와 집중 렌즈를 제공합니다. 콜로키움은 매주 과학 교육과정과 함께 진행되며, 콜로키움과 과학 과목 사이에 주제 문제를 양방향으로 통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유방암의 유전학에 관한 강좌 내용은 진단 유방조영술을 읽을 때 발생할 수 있는 지각의 함정을 설명하기 위해 구어체 세션인 "어떻게 우리는 인식하는가"에 포함될 수 있다.

The colloquium aims to redress this curricular imbalance between the sciences and humanities. The metacognitive approach—increasingly informed through neuroscience— provides the intellectual framework and focusing lens for integrating the sciences and humanities. The colloquium runs in parallel each week with the science curriculum allowing for a bidirectional integration of subject matter between the colloquium and science courses. For example, course content on the genetics of breast cancer may be included in a colloquium session, “How We Perceive,” to illustrate pitfalls in perception that can occur in reading a diagnostic mammogram.


콜로키움은 "두 개의 문화"라는 개념에 도전하고 대신 인문학과 과학을 통일된 의학 커리큘럼으로 통합하려고 한다.

The colloquium challenges the notion of the “two cultures” as separate cultures and instead attempts to integrate the humanities and sciences into a unified medical curriculum.


인지와 감정의 상호작용으로서 메타인지

Metacognition as an Interplay of Cognition and Emotion


키르크 교수는 메타인지란 "사람의 생각과 감정에 대해 생각하고 다른 사람들이 무엇을 생각하고 있는지를 예측하는 능력"으로 정의한다. 신경과학과 인지과학의 상당한 문헌은 인식과 감정이 뇌의 서로 다른 비 상호작용 경로를 따라 처리된다는 가정에 이의를 제기하였다. 대신에, 인지와 감정 사이에는 중요한 상호작용이 있으며, 둘 중 어느 것도 단독으로 이해될 수 없다. 신경생물학자 다마시오는 다음과 같이 주장한다. "감정이 전적으로 이성에서 배제되었을 때... 우리의 결정에 감정이 나쁜 장난을 할 때보다 이성은 훨씬 더 큰 결함을 갖게 되는 것으로 밝혀졌다" 인지는 감정에 영향을 미치며, 감정은 인지, 기억, 학습 그리고 의사 결정과 같은 인지 과정을 형성한다. 의학에서, 우리는 효과적인 의사 결정에서 인식과 감정 사이의 복잡한 상호작용을 과소평가해왔으며, 의학적 오류의 상당수에는 이러한 상호작용이이 깔려있음을 과소평가했다.


Quirk defines metacognition as “the ability to think about one’s thinking and feelings and to predict what others are thinking.”13p4 A substantial body of literature from the neurosciences and cognitive sciences has challenged the assumption that cognition and emotions are processed along separate noninteracting pathways in the brain.7 Instead, there is a major interplay between cognition and emotions, and neither can be understood in isolation. Neurobiologist Damasio argues that “when emotion is entirely left out of the reasoning picture … reason turns out to be even more flawed than when emotion plays bad tricks on our decisions.”14pxii Cognition affects emotion, and emotions in turn shape cognitive processes such as perception, memory, learning, and decision making. In medicine, we have underestimated the complex interplay between cognition and emotion in effective decision making and how this interplay underlies a sizable component of medical error.7,15-17


그러므로 메타인지적 접근법은 학생들의 사고력과 학습능력을 향상시킬 뿐만 아니라 정서 조절, 대처와 회복력, 공감 등과 같은 학생들의 감정적인 삶에 영향을 미치는 주제를 포함시킴으로써 그들의 직업적 정체성을 발전시킨다.

Thus, the metacognitive approach enhances not only students’ thinking and learning skills but also develops their professional identity by including topics that affect the students’ emotional lives, such as emotional regulation, coping and resilience, and empathy.


메타인지, 신경과학, 인지적 오류

Metacognition, Neuroscience, and Cognitive Fallibility


따라서 콜로키움에서 다루는 많은 주제와 요구되는 독서는 신경인지의 글과 연구로부터 유래한다.

Many of the topics and required readings in the colloquium therefore derive from writings and research in neurocognition.


현대 신경 생물학은 이전에는 서로 구분된다고 여겨져온 지식의 영역을 통합하기 위한 추진력을 제공하고 있다.

Modern neurobiology is providing the impetus for unifying previously disparate fields of knowledge.


신경 생물학은 과학과 인문학을 통합하고 있다. 이전에 주로 지각, 학습, 의사결정과 같은 철학과 심리학의 영역에 있던 조사분야는 이제 우리는 과학의 엄격한 방법을 사용하여 검토할 수 있다.11

Neurobiology is integrating the sciences and humanities. Fields of investigation previously falling mostly in the realm of philosophy and psychology, such as perception, learning, and decision making, we can now examine using the rigorous methods of science.11


신경인지 연구를 통해, 학생들은 뇌가 카메라처럼 현실을 기록하지 않는다는 것을 알게 된다. 대신에, 그것은 생존을 위해 충분히 효과적인 세계의 모델을 만든다. 신경과학자 이글맨은 다음과 같이 말한다.

Through the study of neurocognition, students become aware that the brain does not record reality like a camera. Instead, it constructs models of the world that are sufficiently effective for survival. As neuroscientist Eagleman states:


가장 널리 퍼진 실수 중 하나는 우리의 시각 시스템이 영화 카메라와 같은 방식으로 "외부에" 있는 것을 충실하게 표현한다고 믿는 것이다.19p24  뇌는 세계로 뻗어나가 필요한 유형의 정보를 활발하게 추출합니다. 

뇌는 세상의 "완전한 모델"이 필요하지 않은데, 왜냐하면 어디를 볼지, 언제 볼지 정도만 찾아내면 되기 때문이다.

One of the most pervasive mistakes is to believe that our visual system gives a faithful representation of what is “out there” in the same way that a movie camera would.19p24 

… [B]rains reach out into the world and actively extract the type of information they need.19p30 

The brain doesn’t need a full model of the world because it merely needs to figure out, on the fly, where to look, and when.19p27



지각, 학습, 의사 결정, 그리고 의료 오류에 대한 콜로키움 세션은 두뇌의 인지적 부정확성과 오류유발성향에 대해 학생들에게 깊은 인상을 준다. 뇌의 인지적 오류에 대한 인식은 일반적으로 사람을 겸손하게 만든다. 그것은 학습자들에게 그들의 신념, 세계에 대한 그들의 관점, 그리고 그들의 결정에 대해 "틀렸을" 가능성에 대해 주의를 환기시킨다. 이러한 깨달음을 얻은 많은 학생들은 처음에는 불안해한다. 그들은 임상학년으로 진급하면서 의료적 실수를 할 것에 대해 대해 걱정하기 시작한다. 그러나 이러한 깨달음은 또한 그들에게 콜로키움의 메타인지적 접근법에 대한 교육의 목적과 명상, 지속적인 인지적, 감정적 모니터링의 중요성에 대한 인상을 준다.

Colloquium sessions on perception, learning, decision making, and medical error impress on students the brain’s cognitive fallibility and proneness to error. Such an awareness of the brain’s cognitive fallibility is generally humbling. It instills in student learners a mindfulness about their own potential for being “wrong”19 about their beliefs, their perspectives on the world, and their decisions. For many students, this realization is initially unsettling. They begin to worry about their own potential for medical error as they progress to their clinical years. This realization, however, also impresses on them the relevance to their education of the colloquium’s metacognitive approach and the importance of mindfulness and ongoing cognitive and emotional monitoring.


비판적 사고, 인지적 유연성, 학습 민첩성, 마음챙김

Critical Thinking, Cognitive Flexibility, Learning Agility, and Mindfulness


비판적 사고와 생각의 모양새

Critical Thinking and the Shape of Thought


의대생들은 일반적으로 학업 성취도가 높은 사람들이지만, 그들은 일반적으로 비판적 사고를 하도록 훈련되지는 않는다. 비판적 사고는 미국 학교와 대학에서 거의 가르치지 않는다. 21세의 쿤은 자신의 저서 '생각 교육'에서 다음과 같이 쓴다. 

Medical students in general are academic high achievers, Yet they are generally not trained as critical thinkers. Critical thinking as a discipline is seldom taught in US schools and colleges. Kuhn,21 in her book Education for Thinking, writes: 


많은 학생들은 그들이 공부한 과목에 근본적인 개념과 관계에 대한 피상적인 이해 이상의 증거를 제시할 수 없다. Thinker로서 많은 역량을 개발하지 않고도 미국에서 12~13년간의 공립학교 교육을 마칠 수 있다.

Many students are unable to give evidence of more than a superficial understanding of the concepts and relationships that are fundamental to the subjects they have studied … [I]t is possible to finish 12 or 13 years of public school education in the United States without developing much competence as a thinker.


비판적 사고는 폴과 엘더22에 의해 "개선을 위한 관점으로 생각하고 분석하는 기술"으로 정의된다.

Critical thinking is defined by Paul and Elder22 as “the art of analyzing and evaluating thinking with a view to improving it.”


비판적 사고에 대한 세션은 논리의 함정에 대한 주제와 다양한 형태의 인지적 휴리스틱스편견을 포함한다. 학생들은 "straight"과 "crooked" 사고를 구별하는 것, 다양한 형태의 인지적 편견을 인식하는 방법, 그리고 그들의 생각의 질이 어떻게 의료 오류와 의학의 효과적인 실행에 영향을 미치는지 구별하는 법을 배운다.

Sessions on critical thinking include topics on the pitfalls of logic and the analysis of various forms of cognitive heuristics and biases. Students learn 

      • to distinguish “straight” from “crooked” thinking, 

      • how to recognize the multifarious forms of cognitive bias, and 

      • how the quality of their thinking has an impact on medical error and the effective practice of medicine.


비판적 사고 외에도, 학생들은 지능 시험의 이용과 남용에 대해서도 배운다.27 콜로키움에서 지능이란 단일한 인간의 특성이 아니며, 가드너가 설명한 "다중 지능"이 있다고 강조한다.

Besides critical thinking, students are also taught about the uses and abuses of intelligence testing.27 The colloquium emphasizes that intelligence is not a monolithic human attribute but that there are “multiple intelligences” as described in Gardner’s25 Frames of Mind: The Theory of Multiple Intelligences.


의대생들은 종종 Gardner가 분석적 지능이라고 부르는, 빠르고 분석적인 형태의 지능에 대한 획일적인 관점을 가지고 있습니다. 그들은 놀라워하며, 종종 가드너가 제시한 다른 동등하게 유효한 형태의 지능에 대해 배우도록 격려를 받는데, 이것은 키네틱, 음악, 언어, 인트라피멘탈, 대인관계 지능 등이 있다.

medical students frequently hold a monolithic view of intelligence—the fast and analytical type that Gardner terms analytical intelligence. They are surprised but often also encouraged to learn about Gardner’s other equally valid forms of intelligence that include kinesthetic, music, linguistic, intrapersonal, and interpersonal intelligences.


콜로키움에서 학생들은 또한 집단 사고의 찬반양론에 대해 토론하고, 소규모 집단에서는 창조적 사고에 대한 연습에 참여한다. 그러한 창의적인 사고 연습 중 하나는 드 보노의 "여섯 개 생각 모자"이다.

Students in the colloquium also discuss the pros and cons of group thinking and, in small groups, engage in exercises in creative thinking. One such creative thinking exercise is de Bono’s26 “six thinking hats,”


특정한 콜로키움은 뇌의 생물학과 특정 신경학이 어떻게 생각의 패턴을 형성할 수 있는지에 초점을 맞춘다. 예를 들어, 우리는 뇌졸중으로 어떻게 생각와 개인의 정체성이 왜곡되는지(예: 테일러, 28 My Stroke of Insight), 알츠하이머 질병의 기억과 정체성에 미치는 영향, 그리고 자폐증과 다른 정신 질환의 생물학적 상관관계에 대한 수치를 제시한다.

specific colloquium sessions focus on the biology of the brain and how specific neuropathologies can shape patterns of thinking. For instance, we assign readings on how brain stroke can distort thinking and personal identity (eg, Taylor,28 My Stroke of Insight); the effects of Alzheimer disease on memory and identity; and the biologic correlates of autism and other mental disorders.


이러한 콜로키움은 학생들이 "생각"이란 것은 당연한 것이 아니며, 실수를 저지르기 쉬운 생물학적 기관의 산물이라는 것을 인식하게 하는 데 도움이 된다. "생각"을 일종의 뇌의 "산출물"으로 바라보는 관점은 제한되며, 우리의 사고 과정은 쉽게 오류에 빠진다. 이것은 더 구체적으로 의학적인 오류에 대해서 탐구한다. 인식에 대한 이러한 생물학적 제약에 비추어 볼 때, 학생들에게 배양해야 할 더 높은 수준의 사고방식이 "인지적 유연성"이라는 것이 명백해졌다.

These colloquia thus serve to make students aware that thinking cannot be taken for granted but is the product of a fallible biologic organ. Thinking as a “product” or emanation of the brain is constrained, and our thought processes are subject to error. In medicine, this translates more specifically into medical error—a topic further explored in dedicated colloquium sessions. In view of these biologic constraints on cognition, it becomes evident to students that a higher order of thinking to cultivate is “cognitive flexibility.”


인지적 유연성과 학습 민첩성

Cognitive Flexibility and Learning Agility


정확한 정의에 대한 합의는 없지만 인지적 유연성의 개념은 잘 연구되어 왔다. Dennis와 Vander Wal30은 "환경적 자극에 적응하기 위해 인지적 세트를 전환할 수 있는 능력"을 제안한다. 저자들은 인지적 유연성라는 세 가지 요소를 측정하기 위한 도구를 개발했다. 

    • 1) 어려운 상황을 통제 가능한 것으로 인식하는 경향  

    • 2) 생명 발생 및 인간 행동에 대한 복수의 대안적 설명을 인지할 수 있는 능력 

    • 3) 어려운 상황에 대한 여러 가지 대안 솔루션을 생성할 수 있는 능력."

The concept of cognitive flexibility has been well studied, although there is no consensus on a precise definition. Dennis and Vander Wal30 suggest “the ability to switch cognitive sets to adapt  to  changing  environmental  stimuli.”  The  authors  developed  an  instrument,  the  Cognitive  Flexibility  Inventory, which is designed to measure three components of cognitive flexibility: “

    • 1) the tendency to perceive difficult situations as controllable;  

    • 2)  the  ability  to  perceive  multiple  alternative explanations for life occurrences and human behavior; and 

    • 3) the ability to generate multiple alternative solutions to difficult situations.”


콜로키움에서, 우리는 학생들이 그들의 신념과/또는 선입견과 생각을 얼마나 융통성없이 고수하는지, 그리고 그들의 마음을 바꿀 새로운 통찰력과 의지가 있는지 등을 보기 위해 인지적 유연성을 사용합니다.

In the colloquium, we use cognitive flexibility to determine how rigidly students adhere to their beliefs and/or preconceived notions and ideas, as well as their capacity to gain new insights and willingness to change their mind.


유사한 용어로, 학습 민첩성은 롬바르도와 아이친저31에 의해 만들어졌는데, 이는 "경험으로부터 배우려는 의지와 능력으로, 그렇게 학습한 것을 이후에 처음 접하거나 새로운 조건에서 성공적으로 수행하는 것"을 의미한다.

An analogous term, learning agility, pertaining to flexibility in learning, was coined by Lombardo and Eichinger31 to connote the “the willingness and ability to learn from experience, and subsequently apply that learning to perform successfully under new or first time conditions.”


콜로키움의 토론 형식은 학생들이 동료와 멘토들의 관점으로부터 배우고, 그것을 자신의 경험에 통합하도록 장려한다.

The discussion format of the colloquium encourages students to learn from the perspectives of their peers and mentors, and to integrate this learning into their own experience.


인지적 유연성은 [세상을 다양한 관점에서 보는 능력]과 [마음을 바꿀 수 있을 만큼 충분히 융통성 있는 능력] 등의 정신적 속성을 포함한다. 이를 위해서는 사람의 인지적 편견을 인식하고, 한 사람이 가진 신념의 주관성이 어떻게 명확한 사고를 혼란스럽게 할 수 있는지를 볼 수 있어야 한다.

Cognitive flexibility includes such mental attributes as the capacity to see the world from different perspectives and the capacity to be sufficiently flexible to change one’s mind. It entails the ability to recognize one’s cognitive biases and to see how the subjectiveness of one’s beliefs can obfuscate clear thinking.


의대생들이 치른 테스트의 결과로서, 그들은 사실에 입각한 지식을 미묘한, 조건부, 맥락에 따른 사고 과정에 비해 과대평가하는 경향이 있을 수 있다. 콜로키움에서 학생들은 "사실"은 불변하는 것이 아니라 의학지식이 뒤바뀌고 변화하며 그것의 진실성이 지속적으로 재평가된다는 것을 알게 됨으로써 동요하곤 한다. 로빈슨32는 의학 지식이 5년마다 두 배씩 증가하며 의료 정보의 약 90%가 출판일로부터 약 10년 이내에 가치가 없어지는 것을 보여주었다.

As a consequence of the battery of tests medical students have taken, they may tend to overvalue factual knowledge over the nuanced, conditional, and contextual processes of thinking. Students in the colloquium may be perturbed to learn that “facts” are not immutable but that medical knowledge churns over and changes, and its veracity is constantly reevaluated. Robinson32 showed that medical knowledge doubles every 5 years and that approximately 90% of medical information becomes worthless and of little value in about 10 years from the date of publication.


마음챙김과 마음챙김학습

Mindfulness and Mindful Learning


시겔은 마음챙김이란, "가장 일반적인 의미에서, 자동적인 삶으로부터 깨어나 우리의 일상생활에서 새로운 것에 민감해지는 것"이라고 정의했다.

Siegel has defined mindfulness “in its most general sense [as being] about waking up from a life on automatic and being sensitive to novelty in our everyday experiences.”34p5


고정적인 사실이나 절대적인 사실의 학습과는 대조적으로, 마음챙김학습은 조건이나 맥락의 관점에서 생각하는 능력이 필요하다 

In contrast to the learning of static facts and absolutes, mindful learning encompasses the ability to think in terms of conditions  and  contexts.  


모바일 마인드

Mobile Mind


버거 박사는 모바일 마인드라는 비슷한 용어를 사용하고 있는데, 이 용어는 키르크1이 "(심지어 자신의 것과 다른 경우에조차) 여러 인간의 가치와 방향을 존중/상대하는 기술"이라고 표현한다.

Berger uses a similar term, mobile mind, which Quirk1 paraphrases as a “skill set that involves respecting/embracing multiple human values and orientations—even those that are different from one’s own.”


버거(Quick1에 인용됨)는 모바일 마인드라는 용어를 "국제주의적 사고 방식—포용적인 마음가짐으로, 우리 주변의 환경에 대한 개방성을 갖고, 다른 사람에 대한 민감하고 존중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Berger (quoted in Quirk1) uses the term mobile mind to connote the metacognitive concept that entails “a … cosmopolitan way of thinking—broad-mindedness, or an openness to environment around us, including a sensitivity to differences and respect for others.”


마음챙김과 마음챙김학습은 [사실적 학습이 갖는 결함에 대한 해독제]이며 [호기심과 인지적 유연성]을 유지하는 데 도움이 된다. 조건적학습, 마음챙김학습과 관련된 역동성과 유연성은 의사들이 스스로 모르는 것을 깨닫고, 올바른 질문을 하고, 궁극적으로 더 나은 정보에 입각한 결정을 내리도록 훈련시킵니다.

Mindfulness and mindful learning are antidotes to the absolutes of factual learning and serve to sustain curiosity and cognitive flexibility. The dynamism and flexibility associated with conditional, mindful learning trains physicians to know what they do not know, to ask the right questions, and ultimately to make better-informed decisions.



프로페셔널리즘과 전문직 정체성

Professionalism and Professional Identity


의과대학에서 프로페셔널리즘을 향상시키는 것에 대한 초점은 바람직하지 못한 행동을 제거하기 위해, 바람직하지 않은 행동을 식별하는 것에 있었다.

the focus on improving professionalism in medical schools has been on identifying undesirable behaviors with the aim of eliminating these behaviors.


의과대학에서 프로페셔널리즘은 흔히 정적이고 규범적인 방식으로 다뤄진다. 그러나 이보다 필요한 것은 행동의 근본 원인을 이해하는 것을 목표로 하는 역동적인 사고방식이다.

Professionalism in medical schools is frequently approached in a manner that is static and prescriptive. What is needed instead is a dynamic mindset that is aimed at understanding the root causes of behavior


웨어와 카스텔라니37은 프로페셔널리즘을 일련의 고립된 행동이나 성격적 특성으로 보지 않았으며, 대신 "생각, 느낌, 행동에 관한 습관에 대한 지속적인 자기성찰적 과정"으로 간주해야 한다고 제안한다.

Wear and Castellani37 suggest that professionalism should be viewed not as a series of isolated behaviors or personality character traits but instead as “an ongoing self-reflective process involving habits of thinking, feeling, and acting.”


전문직업성: 존중하는 반대와 관점 받아들이기

Professionalism: Respectful  Disagreement and Perspective Taking


개인으로서, 우리는 각각 다른 세계관을 가지고 있다. 콜로키움의 전제는 학생들과 연수생들이 다른 관점에서 사회적 배경과 의학적 상황을 볼 수 있는 능력을 개발한다면, 팀 내에서 더 효과적으로 기능할 것이라는 것이다. 다른 관점을 가지고 대조적인 관점을 갖는 이 능력은 메타인지 능력과 기술의 특징이다.

As individuals, we each hold differing perspectives of the world. A premise of the colloquium is that students and trainees will function more effectively in teams if they develop the capacity to view social contexts and medical situations from different perspectives. This ability to hold different and contrasting perspectives is an attribute of metacognitive capacity and skill.c



c Siegel은 다음과 같이 다양한 관점과 메타인지 사이의 연결을 지적한다.

다양한 관점을 수용하는 것은 메타인지적 스킬이 필요하다. 우리가 어떻게 생각에 대해 생각하는지에 대한 연구에서, 대표적으로representational '다양성'과 '변화'라고 불리는 '습득된 능력'이 있다. 이 능력으로 인해 우리들이 각각 다른 관점을 가질 수 있으며, 그리고 우리가 한 때 가지고 있는 관점조차도 미래에 바뀔 수 있다. 이 메타인지적 관점에서 우리는 "관점"을 그저 [변화하는 기준 프레임]으로 볼 뿐 아니라, 또한 [상황에 내재된 지식의 의미]를 볼 때 고려해야 할 무언가이다.

c Siegel considers the connection between multiple perspectives and metacognition, as follows: 

“Embracing multiple perspectives has the quality of a metacognitive skill. In the study of how we come to think about thinking, there are acquired capacities called representational ‘diversity’ and ‘change’ that enable individuals to sense that each of us may have a different perspective, and that even the viewpoint we have at one time may change in the future. In this metacognitive view we can then see perspective as not only a changing frame of reference but also one that needs to be considered in viewing the situationally embedded meaning of knowledge.”34p242


콜로키움은 학생들을 멘토와 동료들이 가진 다양한 시각에 노출시킨다. 표현된 생각, 의견, 신념은 그들의 대학 동료들에 의해 더욱 다양한 정도로 검증되거나 반박된다. 학생들은 불가피하게 그들의 관점을 동료들의 그것과 비교하고 그들의 관점을 수정하거나 재조정할 가능성이 높아진다

The colloquium exposes students to the variegated perspectives of their mentors and peers.d In addition, students receive ongoing explicit or implicit feedback on their own views and behaviors during colloquium sessions. The thoughts, opinions, and beliefs they express are further validated or negated in varying degrees by their college peers. Students will inevitably compare their perspectives with those of their peers and quite likely modulate or recalibrate their perspectives.


Querk는 이 능력을 "집단적 관점수용"이라고 하며 이 능력을 정서적 자기조절와 연관시킨다.

Quirk refers to this capacity as “collective perspective taking” and associates this capacity with emotional self-regulation:


프로페셔널리즘의 필수적인 역량은 [자신의 역할]과 [그 역할과 관련된 그룹 내에서의 행동 조절]을 수용하는 것이다. … [집단적 관점수용 능력] 및 [자기조절 능력]은 대중이 외부에서 high-profile 전문직을 평가하는 방식 중 하나이다.13p85-6

An essential capability of professionalism is acceptance of one’s role and regulation of role-related behaviors within the group. … Collective perspective-taking and self-regulation capabilities are often how high-profile professions are judged “from the outside” by the public.13p85-6


집단적 관점수용은 학생들로 하여금 동료 및 다른 사람의 견해와 의견을 존중하게 만든다(사이드바: Mobile Mind 참조). 우리는 콜로키움에서 학생들이 활발한 토론에 참여하도록 유도하며, 상호 존중하는 방식으로 반대하도록 장려한다. 우리가 콜로키움에서 이를 지칭하는 "respectful disagreement"이다. 학생들이 서로의 생각과 신념에 정중하게 동의하지 않을 수 있도록 하는 것은 비판적이고 창조적인 생각에 필수적이며, 미래의 의료적 사고를 발전시키는데 중요하다. 미래에 이 미래 의사들은 그들 자신이 동료, 직장 동료, 환자들과 동의하지 않는다는 것을 알게 될 것이다. 그러므로 학생들은 [전문적이고 공손한 태도로 동의하지 않을 수 있는 기술]을 개발할 필요가 있으며, [동료들의 생각을 활용하여 자신의 생각을 calibrate]할 수 있어야 한다.

Collective perspective taking instills in students a respect for the views and opinions of their peers and others (see Sidebar: Mobile Mind). In the colloquium, we encourage students to engage in vigorous debate and to disagree with each other in a respectful manner. The term we use in the colloquium is  respectful  disagreement.  Allowing  students  the  intellectual and emotional space to respectfully disagree with each other’s ideas and beliefs is essential for critical and creative thinking  and  is  important  in  their  development  as  medical professionals.  In  medical  practice,  these  future  physicians will find themselves disagreeing with colleagues, coworkers, and patients. Students therefore need to develop the skill to disagree in a professional and respectful manner and to calibrate their thinking against the thinking of their colleagues. 



전문직업성: 정체성과 리더십

Professionalism: Identity and Leadership


우리는 어떻게 인식/잘못인식 하는가

session on “How We Perceive/Misperceive”


그룹에게 도전하는 것은 리더십의 핵심 자질인 용기를 필요로 한다. 리더는 언제, 언제, 그리고 언제 그 그룹을 따라야 하는지 아는 것이 가장 좋습니다.

Challenging a group takes courage, a core quality of leadership. A leader would do best knowing when to conform with, and when to challenge, the group.e40



인지적 다양성, 공감, 마음챙김, 정서 조절

Cognitive Diversity, Empathy, Mindfulness, and Emotional Regulation


인지적 다양성과 공감

Cognitive Diversity and Empathy


이 콜로키움의 주요 목적은 학생들이 인간 인식의 엄청난 다양성을 인식하게 하는 것이다. 그러한 다양성의 실현은 개인의 [자기 중심성]에서 [타인 중심성]으로의 사고방식의 변화를 촉발하고, 관용과 공감을 심화시킨다.

A major objective of the colloquium is to make students aware of the immense diversity in human cognition (or cognitive “wiring”). The realization of such diversity triggers a mind shift in the individual’s self-centeredness toward an other-centeredness, leading to a deepening in tolerance and empathy.


Nussbaum은 "자신과는 다른 사람"의 관점에서 세상을 보는 이 능력이 얼마나 중요한지 암시한다.

Nussbaum suggests how essential to the humanities is this ability to view the world from the perspective of a “person different from oneself”:


사실에 입각한 지식과 논리만으로 사람은 그들 주변의 복잡한 세상과 잘 연관될 수 없다. … 네러티브적 상상력이라고 불리는 이것은, 

      • 자신과 다른 사람의 입장에서 생각하는 능력, 

      • 그 사람의 이야기를 듣는 똑똑한 독자가 되는 것, 그리고 

      • 그 자리에 앉은 누군가가 가질 수 있는 감정과 소망을 이해하는 능력 등을 포함한다. 

공감을 함양하는 것은 민주교육의 가장 현대적인 생각의 핵심이었다. 9p95-6

Citizens cannot relate well to the complex world around them by factual knowledge and logic alone. … [W]hat we can call the narrative imagination … means the ability to think what it might be like to be in the shoes of a person different from oneself, to be an intelligent reader of that person’s story, and to understand the emotions and wishes and desires that someone so placed might have. The cultivation of sympathy has been a key part of the best modern ideas of democratic education.9p95-6


그러므로 인문학에 대한 메타인지적 접근법의 중요한 기능은 학생들이 다른 이들의 눈, 감정, 관점을 통해 세상과 연결되도록 돕는 것이다.

A key function of the metacognitive approach to the humanities is therefore to help students relate to the world through the eyes, emotions, and perspectives of others.


마음챙김, 자기모니터, 정서조절

Mindfulness, Self-Monitoring, and Emotional Regulation


콜로키움에서 학생들은 동료와 멘토들로부터 자신이 토론에서 표현한 견해와 의견과 일반적인 행동에 대한 직접적 및 간접적 피드백을 받는다. 다른 사람들의 피드백은 행동 수정을 위한 주요한 자극이 될 수 있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것은 대개 산발적이고 또한 잘못 해석될 수 있다. 이러한 이유로, 자기 모니터링은 효과적인 행동 수정을 위한 필수적인 기술이다.

Students in the colloquium receive from their peers and mentors direct and indirect feedback on the views and opinions they express in discussions, and on their general conduct. Such feedback from others can be a major impetus for behavior modification, but it is nonetheless usually sporadic and can also be misconstrued. For this reason, self-monitoring is an essential skill for effective behavior modification.


엡스타인 외 연구진들은 자기 모니터링을 "우리의 행동에 순간순간 집중하는 능력, 그러한 행동들의 영향을 조사하기 위한 호기심, 그리고 미래에 그러한 관찰을 사용하여 행동 패턴과 사고 패턴을 개선하려는 의지"로 정의한다."

Epstein et al define self-monitoring as “an ability to attend, moment to moment, to our actions; curiosity to examine the effects of those actions; and willingness to use those observations to improve behavior patterns and patterns of thinking in the future.”41p5


그러나 자기 모니터링 또한 오판되기 쉽다. 엡스타인 등이 쓴 것과 같이

Self-monitoring is, however, also susceptible to misjudgment. As Epstein et al write in their seminal article,


[자기 평가]는 상상과 투사로부터 고품질 데이터를 구별해낼 수 있어야 합니다. 궁극적으로는 정신mind이 평가의 대상이자 도구이며, 우리의 정신적인 과정은 우리의 자아 인식 안에 바로 이상을 포함하기 때문에 그 일은 어렵다.41p6

[Self-assessment] requires the ability to distinguish high quality data from imagination and projection. The task is difficult because the mind is ultimately both the object and the instrument of assessment, and our mental processes embed idealization directly within our self perceptions.41p6


엡스타인이 묘사한 것처럼, 신중한 연습을 통해, 학생들은 그들의 깊은 가치와 지식을 인식함으로써 자신의 감정을 스스로 조절하는 법을 배운다. 그리고나서 그것들을 새로운 정보와 관점과 통합한다. 자기 모니터링과 정서 조절은 회복탄력성의 필수적인 구성요소이기도 하며, 회복탄력성은 의사들이 의료행위의 불확실성과 감정적 변동을 통해 그들을 지탱하게 해준다.

Through mindful practice, as Epstein42 describes it, students learn to self-regulate their emotions by bringing to consciousness their deeply held values and knowledge, and then integrating these with new information and perspectives.f Self-monitoring and emotional regulation are also essential components of the resilience that physicians may need to sustain them through the uncertainties and emotional vicissitudes of medical practice.


Mindful practitioners는..

  • 순간적인 자기 모니터링에 참여하는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다양한 수단을 사용한다. 

  • 그들의 암묵적인 개인적 지식과 깊이 내재된 가치를 인지한다.

  • 주변의 시각과 보조적 인식을 이용하여 새로운 정보와 관점을 인식한다. 

  • 평범한 상황과 새로운 상황에서 모두 호기심을 갖는다.

f “Mindful practitioners use a variety of means to enhance their ability to engage in moment-to-moment self-monitoring, bring to consciousness their tacit personal knowledge and deeply held values, use peripheral vision and subsidiary awareness to become aware of new information and perspectives, and adopt curiosity in both ordinary and novel situations.”42p833


데이비드와 콜턴은 정서적 민첩성이라는 용어를 사용하였다. 

David and Congleton coined the term emotional agility to describe “the ability to manage one’s thoughts and feelings … in a mindful, value-driven and productive way … in a complex, fast-changing knowledge economy.”43p89


Flavel4도 비슷한 개념을 다음과 같이 묘사했다. "기억력, 이해력 및 기타 인지적 활동에 대한 모니터링"

Flavell4 does not use the terms emotional regulation and emotional agility but suggests a similar notion when he writes about “monitoring of … memory, comprehension and other cognitive enterprises.”



네러티브 의학: 공감을 유도하고 길러주는 메타인지적 도구

Narrative Medicine: A Metacognitive Tool for Eliciting and Nurturing Empathy


네러티브 의학

Narrative Medicine


Charon은 다음과 같이 "비설명적 지식"과 "설명적 지식"을 구분합니다. 

  • 서술적 지식은 특정 범위를 초월하여 보편성을 비추려고 한다. 

  • 술적 지식은, 삶의 조건과 씨름하는 개개인의 인간들을 면밀히 관찰함으로써, "특정한 것을 드러냄으로써" 인간 상태의 보편성을 밝히려는 시도이다.


Charon distinguishes between “nonnarrative knowledge” and “narrative knowledge” as follows: 

  • Nonnarrative knowledge attempts to illuminate the universal by transcending the particular; 

  • narrative knowledge, by looking closely at individual human beings grappling with the conditions of life, attempts to illuminate the universals of the human condition by revealing the particular.

”1p9


우리는 의학이 과학에 대한 것뿐만 아니라 의학적인 이야기 또한 중요하다는 것을 강조하기 위해 콜로키움에서 일찍부터 네러티브 의학을 도입했다. 많은 학생들이, 때로는 환자의 "이야기"가 임상 진단을 달성하는데 있어서 실험 결과보다 더 높은 진단 가치를 가질 수 있다는 사실에 당황하고 있으며, 일부는 짜증을 낸다. 어떻게 주관적인 "이야기"가 생명을 구하는 의학 "사실"에 도전할 수 있는가?

We introduce the topic of narrative medicine early in the colloquium to emphasize that medicine is not just about science but that the medical narrative is also important (and patients’ “stories matter”). Many students are perplexed, and some are irked, to hear that the patient’s “story” can at times have a higher diagnostic value than test results in attaining a clinical diagnosis. How can a subjective “story” pose a challenge to a lifesaving medical “fact”?


이 세션은 효과적인 진단을 위한 중요한 단서를 담고 있는 환자의 "이야기"의 중요성을 학생들에게 알리는 것이다. 목표는 학생의 네러티브 능력을 개발하는 것인데, 샤론은 이 능력을 '다른 사람의 이야기와 곤경plights을 인정하고 흡수하고 해석하고 행동하는 능력'으로 정의한다. 이 구어체에서는 학생들에게 서술적 구조를 제공하고 서술적 능력을 더 발전시키기 위해 광범위한 의학 서술(소설과 논픽션)을 논의합니다.

These sessions apprise students of the importance of the patient’s “story,” which may contain critical clues to effective diagnosis. The goal is to develop the student’s narrative competence, which Charon44 defines as “the ability to acknowledge, absorb, interpret, and act on the stories and plights of others.” In the colloquium, we discuss a wide range of medical narratives (fictional and nonfictional) to give students a sense of narrative structure and to further develop their narrative competence.


네러티브 의학은 또한 학생들의 공감을 이끌어내고 육성하는 수단이다. 의학 인문학과정은 일반적으로 학생들을 인간화하고 공감을 키우는 이런 암묵적인 목적을 위해 문학을 포함한다. 보다 최근에는, 신경과학은 문학, 특히 문학적인 이야기를 읽는 행위가 어떻게 공감을 이끌어내는 데 관련될 수 있는지를 밝혀냈다.

Narrative medicine is also viewed as a vehicle for eliciting and nurturing student empathy. Medical humanities courses generally include literature for this implicit purpose of humanizing students and nurturing empathy. More recently, neuroscience has shed light on how literature, and specifically the act of reading literary narrative, may be implicated in eliciting empathy.


그 등장인물의 삶을 파고들고 개인들 사이의 복잡한 사회적 상호작용을 묘사하는 문학적인 이야기를 읽는 것은 독자들의 공감적 반응을 자극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45 사이언스에 발표된 연구는 최근에 (논픽션이나 비소설과 달리) 소설을 읽는 것이 측정가능한 공감적 반응을 유발함을 증명했다.

Reading literary narrative that delves into the lives of its characters and describes the complex social interactions between individuals can serve to simulate empathic responses in the reader.45 A rigorous study published in Science recently demonstrated that reading literary fiction (compared with nonfiction and nonliterary fiction) evoked a measurable empathetic response in readers.46



성찰적 글쓰기: 정서 조절과 프로페셔널화를 위한 도구

Reflective Writing: A Tool for Emotional Regulation and Professionalization


문학 소설을 읽는 것과 유사하게, 개인적인 성찰 글쓰기를 하는 것이 신경인지적 이점을 가질 수 있다는 증거가 있습니다.47-49 우리는 또한 개인적인 성찰글쓰기가 학생들의 내적 목소리와 타고난 공감을 연결시키는 방법으로 봅니다. Shapiro 등은 개인적 성찰글쓰기가 의사의 웰빙을 증가시킨다고 주장한다. 여기에는 "감정적 균형, 자가 치유, 고립을 줄이고, 공동체적 감각의 복원"이 포함된다(사이드바 참조).

Similar to reading literary fiction ,  evidence  suggests  the act  of  writing  personal  reflections  can  have  neurocognitive benefits.47-49 We view the writing of personal reflections also as a way of connecting students with their inner voice and with their innate empathy. Shapiro et al50 argue that writing personal reflections increases provider well-being, which includes the enhancement of “emotional equilibrium, self-healing and reducing isolation/restoring a sense of community” (see Sidebar: Two Phases of Reflective Writing).


콜로키움에서 성찰적인 글쓰기 과제는 보통 의학과 관련된 개인적인 경험에 관한 것이다. 예를 들어, 학생 자신의 치료 중이나 가까운 친구나 가족의 의료 실수에 관한 경험이다.

The reflective writing assignments in the colloquium are usually about a personal experience related to medicine, for instance, the experience of a medical error that occurred during the student’s own care or that of a close friend or family member.


우리는 창의적 글쓰기 과정 시동을 거는 요령으로 [분석, 관점, 비평, 학습]이라는 APCL 글쓰기 형식을 개발했습니다. 이 성찰적인 글쓰기 형식의 "관점" 부분은 "perspective take"라는 구어적 개념과 일치한다.

We have developed a specific writing format called APCL (Analysis,  Perspectives,  Critique,  Learning)  that  jump-starts the creative writing process. The “Perspectives” section of this reflective  writing  format  is  in  keeping  with  the  colloquium notion of “perspective taking”


성찰적 글쓰기의 두 단계

Two Phases of Reflective Writing


샤피로 외 연구진들은 글쓰기의 두 가지 단계, 즉 글쓰기 단계와 그룹 읽기 및 토론 단계를 구별한다. 

글쓰기 단계는 "개인적이고 외로운 과정으로, 개인적인 숙고와 창조로 구성된다. … 자기점검과 상상력이 학습자가 확실성의 결여에서 벗어나 자신의 목소리를 되찾도록 유도한다."1

Shapiro et al distinguish two phases of reflective writing: the writing phase and the group reading and discussion phase. The writing phase is “individual and solitary, consisting of personal reflection and creation. … [I]ntrospection and imagination guide learners from loss of certainty to reclaiming a personal voice.”1


대학 콜로키움의 첫 2년 동안, 성찰적인 글쓰기는 오직 글쓰기 단계만을 포함한다. 이러한 성찰들은 학생들과 형성적 피드백을 제공하는 대학 멘토들 사이에 비밀스럽게 유지된다. 우리는 다음과 같은 이유로 기밀성을 중요하게 생각합니다: 

1) 학생들에게 그룹에 성찰를 공개할 잠재적인 걱정 없이 "목소리"를 찾을 수 있는 공간을 주고 

2) 학생과 멘토 간의 신뢰를 높이기 위해 학습 커뮤니티의 정체성을 형성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In the first two years of the College Colloquium, reflective writing involves only the writing phase. These reflections are held confidentially between students and their college mentors who provide formative feedback. We consider confidentiality essential for the following reasons: 

1) to give the students the space to find their “voice” without the potential anxiety of having to read their reflections to the group and 

2) to nurture trust between students and mentors, which is important for molding the identity of the learning communities.


의과대학 후반기에만, 학생들이 더 많은 환자와 접촉한 후에, 그들은 Shapiro 등이 논의한 읽기 및 토론 단계로 이동한다. "자기가 쓴 글을 공유하는 것은 취약성, 위험 감수, 그리고 자신을 드러내는 것으로 이어집니다. 타인의 글을 듣는 것은 타인의 고통과 혼란을 목격하는 것을 포함하여 주의와 존재에 대한 연습이 된다."1p231

Only in later years of medical school, after students have had more contact with patients, do they move to the reading and discussion phase discussed by Shapiro et al: “where sharing one’s writing results in acknowledging vulnerability, risk-taking, and self-disclosure. Listening to others’ writing becomes an exercise in mindfulness and presence, including witnessing suffering and confusion experienced by others.”1p231


콜로키움 평가

Evaluation of the College Colloquium


학생들은 College Collokeium에 대해 높은 수준의 만족감을 나타낸다.

Students express a high level of satisfaction with the College Colloquium.


특히, 학생들은 수업에서 동료들의 견해를 듣는 것을 높이 평가했고 이것이 어떻게 그들 자신의 견해와 믿음을 재평가하게 했는지에 대해 자주 언급했다. 게다가, 그들은 동료와 멘토들의 "스토리"를 듣는 것을 높이 평가했고, 그들은 콜로키움 과정동안 '컬리지'에서 발전된 신뢰에 대해 언급했다. 학생들은 멘토들의 일반적인 임상경험과 의료실무에서의 개인적인 경험을 공유하려는 멘토들의 의지를 높이 평가했습니다. 따라서 그 콜로키움은 진정한 학습 공동체로서 기능했다.

In particular, students valued hearing the perspectives of their peers in colloquium sessions and frequently commented on how this had caused them to reevaluate their own perspectives and beliefs. In addition, they valued hearing the “stories” of peers and mentors, and they commented on the trust that developed in their college over the course of the colloquium. Students valued the general clinical experience of their mentors and the willingness of their mentors to share their personal experiences from medical practice. The colloquium has therefore functioned as a true learning community.



결론

Conclusion


인문학을 과학과는 분리되고 격리된 것으로 보는 대신에, 이 콜로키움은 이러한 지적 영역("두 문화")을 통일된 의학 커리큘럼에 통합하려고 한다.

Instead of viewing the humanities as separate and isolated from the sciences, the colloquium seeks to integrate these intellectual domains (the “two cultures”) into a unified medical curriculum.


Bleakley와 Bligh는 다음과 같이 주장한다.

Bleakley and Bligh contend the following:


학습은 (맥락과 관련하여) 상황에 놓여진 지식 및 분산된 지식에 대한 정당한 접근에 관한 메타 프로세스입니다. 따라서 학습은 지식 저장고의 가치를 부정하는 것이 아니라, 지식을 어떻게 배우고 어떻게 접근할지를 배우는 더 넓고 더 절박한 맥락에 두는 것이다.51p80

Learning is largely a meta-process concerning legitimate access to situated (context-linked) and distributed knowing. This is not to deny the value of one’s own store of knowledge, but to place this in the wider and more pressing context of learning how to learn or how to access knowledge.51p80



일부 사람들은 1학년 의대생들에게 지각적 접근법이 너무 추상적이고 시기상조라고 제안했다. VUSM에서 구현되는 맞춤형 커리큘럼의 맥락에서 이 접근법은 미래의 의사를 교육하는 데 매우 적합한 것으로 보입니다.

Some have suggested that the metacognitive approach may be too abstract and premature for first-year medical students. In the context of the personalized curriculum being implemented at VUSM, this approach seems to us highly appropriate for educating the physician of the future.



12. Kulasegaram KM, Martimianakis MA, Mylopoulos M, Whitehead CR, Woods NN. Cognition before curriculum: rethinking the integration of basic science and clinical learning. Acad Med 2013 Oct;88(10):1578-85. DOI: http://dx.doi.org/10.1097/ACM.0b013e3182a45def.






 2014 Fall;18(4):64-75. doi: 10.7812/TPP/14-027.

Thinking about thinking and emotion: the metacognitive approach to the medical humanities that integrates the humanities with the basic and clinical sciences.

Author information

1
Associate Professor of Medical Education, Associate Professor of Pathology, Microbiology, and Immunology, a Course Director, and ClinicalFellowship Program Director at Vanderbilt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in Nashville, TN. quentin.eichbaum@vanderbilt.edu.

Abstract

Medical knowledge in recent decades has grown prodigiously and has outstripped the capacity of the human brain to absorb and understand it all. This burgeoning of knowledge has created a dilemma for medical educators. We can no longer expect students to continue memorizing this large body of increasingly complex knowledge. Instead, our efforts should be redirected at developing in students a competency as flexible thinkers and agile learners so they can adeptly deal with new knowledge, complexity, and uncertainty in a rapidly changing world. Such a competency would entail not only cognitive but also emotional skills essential for the holistic development of their professional identity. This article will argue that metacognition--“thinking about thinking (and emotion)”--offers the most viable path toward developing this competency. The overwhelming volume of medical knowledge has driven some medical schools to reduce the time allocated in their curricula to the “soft-option” humanities as they tend to consider them an expendable “luxury.” Vanderbilt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Nashville, TN, has moved away from the traditional conception of the medical humanities as “the arts,” composed of art, music, and literature, toward an approach that integrates the humanities with the basic and clinical sciences, based on metacognition. This metacognitive approach to the humanities, described in this article, has three goals: 1) to develop students as flexible thinkers and agile learners and to provide them with essential cognitive and emotional skills for navigating medical complexity and uncertainty; 2) to elicit in students empathy and tolerance by making them aware of the immense diversity in human cognition (and emotion); and 3) to integrate the humanities with the basic and clinicalsciences. Through this metacognitive approach, students come to understand their patterns of cognition and emotions, and in the group setting, they learn to mindfully calibrate their thinking and emotions. They gain a humbling appreciation of the fallibility of the human mind/brain and how cognitive biases and misperception can lead to medical error. They come to appreciate the complex interplay between cognition and emotion, and the importance of cognitive monitoring and emotional regulation. In the group setting, students also gain a sense of perspective of their thinking patterns and emotions in relation to those of their peers. Perspective taking and mindfulness engender tolerance and empathy, which ultimately serves as a platform for working collaboratively in teams as medical professionals. Students become aware of the social context in which thinking and learning occur, and this further shapes their professional identity. Thinking, learning, and interacting in the group setting ultimately induces a shift from self-preoccupation and an individualistic approach to knowledge toward an appreciation of collective cognition and empathy towards others. In this article, I describe the metacognitive approach to the medicalhumanities at Vanderbilt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and how it is designed to develop students as agile learners and flexible thinkers with the mindful capacity for cognitive and emotional monitoring and regulation. Thinking and learning in the group setting of the colloquium ultimately also fosters the student’s professional identity.

PMID:
 
25662528
 
PMCID:
 
PMC4206174
 
DOI:
 
10.7812/TPP/14-027


더 날카로운 도구: UME에서 인문학을 지켜내기 위하여(Acad Med, 2010)

Commentary: Sharper Instruments: On Defending the Humanities in Undergraduate Medical Education

Catherine Belling, PhD




객관적 지식은 과학적으로 가치가 있다고 간주되는 반면, 주관적 정보는 "soft"한 것이자 부차적인 것으로 간주된다. 환자의 고통을 덜어주려는 목적이라면, 이러한 이 두가지 사이의 갈등은 틀린 것일 뿐만 아니라 장애요인이다. —Eric J. Cassel. 고통을 진단하는 것: 관점. 내과학 연보.199;131:531–534

Objective knowledge is considered scientific and valuable, whereas subjective information is thought to be “soft” and second-rate. For the relief of suffering, that conflict is not only false but an impediment. —Eric J. Cassell. Diagnosing suffering: A perspective. Annals of Internal Medicine.1999;131:531–534


Ousager와 Johannessen1의 기사는 나를 불편하고 심지어 방어적으로 만든다. 그들은 단지 그들이 사용하는 방법론이 인문학의 marginalization을 피할 수 있는 유일한 방법이라고 가정하는 것처럼 보이는 데이터를 제공한다. "하지만 기다려."라고 저는 말하고 싶습니다. "정말 성과를 측정하려는 노력이 학부 의과대학(UME)의 인문학의 자리를 더 안전하게 해줄 것인가?"

The article by Ousager and Johannessen1 makes me uncomfortable, even defensive. they just provide data, appearing to assume that the methodology they use, is the only way for the humanities to avoid marginalization. “But wait,” I want to say. “Will outcomes measurement efforts really make the place of the humanities in undergraduate medical education (UME) more secure?”


오우사거와 요한슨이 인문학의 가치가 자명하다고 가정하지 말라고 경고한 것은 옳은 일이다. 그들은 우리에게 현재 대부분의 의과대학에서 실시되고 있는 상당한 인문학 수업에도 불구하고, 그러한 노력의 가치는 지배적인 패러다임의 parameter로는 증명되지 않고 있다는 것을 상기시킨다.

 Ousager and Johannessen are right to warn us not to assume that the value of the humanities is self-evident. They remind us that despite the substantial humanities teaching presently being carried out in most medical schools— the value of this work is not proven within the parameters of the dominant paradigm.


나는 환원주의에 저항할 것이다. 그러나 저항이 거절을 의미하진 않는다.

I will resist  the reductionism. Resistance need not mean rejection. 


불편함의 교육학적 가치는 오우사거와 요한슨에 의해 "판단 보류"로 분류되었던 한 논문 때문이다. 내 생각에, 저자들은 논문을 잘 못 읽었다.

The pedagogical value of discomfort is central to one of the articles classified by Ousager and Johannessen as “holding the horses,” or indicative of reservations about the humanities in UME: Delese Wear and Julie Aultman’s2 analysis of student resistance in a medical humanities course that they taught.  Wear and Aultman’s work is, I think, misread.


그 논문은 사실 UME 커리큘럼에서 인문학의 필요성에 대해 강력하게 주장하고 있다. 그 논문은 네러티브의 유익한 효과를 당연하게 여기는 것에 대해 경고하는 대신, 인문학 자료가 학생들에게 불편함, 저항, 방어적 태도를 유발할 수 있다는 것을 인정하는 더 튼튼한 교육방식을 제안한다. 그리고 그 분열을 바탕으로, 환자와 네러티브가 존재하는 문화적, 사회적, 정치적 맥락의 함의에 대해서 생각하도록 학생의 사고를 확장시킬 수 있다.

it in fact constitutes a powerful demonstration of the need for humanities in the UME curriculum. The article warns of the danger of taking the salutary effects of narrative for granted, proposing instead a sturdier pedagogy that acknowledges the discomfort—and resistance, and defensiveness—that humanities material can provoke in students, building on that disruption to expand students’ thinking about the implications of cultural and sociopolitical contexts in which narratives and patients (and medical students) are embedded.


"Wears and Aultman"은 인문학을 단지 "hard" 학습으로부터의 [구미에 맞는 회피]로 비춰지는 것의 한계를 분명히 보여준다. 대신, 그들은 만약 인문학의 가르침을 통해 중립적인 숙고와 비판적 사고를 촉진하려면, 우리는 그러한 학생의 저항에 더 관심을 갖고, 심지어는 그러한 저항을 자극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웨어와 Aultman은 엄격한 인문학 교육은 최고의 의사를 특징짓는 불확실성, 지식, 행동에 대한 지향을 개발할 수 있다는 강력한 주장을 펼친다.

Wear and Aultman articulate the limitations of treating humanities merely as a palatable reprieve from“hard” work. They argue instead that we must attend to resistance, even provoke it, if humanities teaching is to promote critical inquiry as well as neutral reflection. Wear and Aultman make a powerful argument that rigorous humanities teaching can develop an orientation toward uncertainty, knowledge, and action that characterizes the best physicians.


이러한 Wear와 Aultman의 논문과 함께, 의료인문학에 대한 우려를 표하는 논문의 카테고리에 의학적인 인문학의 영향에 대해 의구심을 표명한 Ousager와 Johannessen은 "Jabs and Jibes"의 유머 부분을 포함시키고 있다.

Juxtaposed with Wear and Aultman’s article in the category said to express reservations about the effects of the medical humanities, Ousager and Johannessen include a piece from“Jabs and Jibes,” the humor section at the back of the Lancet,


아이러니는 환원주의적 분류법에 치명적인 문제를 유발시킬 수 있다.

Irony poses a lethal challenge to the literalism of reductionist taxonomies.


그는 "illiterature"라는 의학 인문 과정을 제안한다.

He proposes a medical humanities course in “illiterature” (punningly and patronizingly, the culture of an “illiterate” class: patients).


Ousager와 Johannessen은 행간을 읽고 [의료인문학을 반대하는 주장에 대응할 수 있는] 설득력 있는 주장을 발견했는가? 아니면 그들은 겉으로만 글을 읽고 그 아이러니를 놓쳤을까?

did Ousager and Johannessen read between the lines and find a persuasive, albeit satirical, argument against the medical humanities? Or did they reduce it to its overt thesis and miss the irony altogether?


성과 연구의 부족보다 UME에서 인문학의 통합에 더 큰 장애물은 그 분야에 대한 명확한 설명의 결여와 그것의 핵심 용어의 정확한 정의이다. Ousager와 Johannessen이 선택한 것은 UME에 신뢰할 수 있는 인문학의 정의가 없다는 것을 분명히 한다.

A greater barrier to the integration of humanities in UME than a shortage of outcomes studies is the lack of a clear account of the field and precise definitions of its key terms. The selections made by Ousager and Johannessen make it clear that there is no reliably accepted definition of humanities in UME.


현재, 의료인문학을 지원하기 위해 만들어진 대부분의 사례들은, [저자들이 선택한 정의]에 의존하며, 그러한 정의는 저자들 자신의 논문에 편협하게 적용되는 경향이 있다. 그 결과가 방대한 두 번째 범주인 "과목 기술 및 평가"이다. 대부분의 경우 [저자가 자신의 논문을 방어하기 위해 사용하는 n 값]은 1입니다. 하지만 fuzzy holistics이 아니라 blunt reductionism에 대한 대안이 있기 때문에, 우리가 올바른 도구를 사용한다면, 그 n값은 1이 될 수도 있다.

At present, most cases made in support of medical humanities rely on the authors’ chosen definition of the field and tend to apply narrowly to the authors’ own work. This explains the large second category, “Course descriptions and evaluations”; in most cases, the n value for these defenses is 1. It may well be a generalizable “1,” though, if we used the right tools, for there are alternatives to blunt reductionism other than fuzzy holistics.


(의학인문학을 가르치는 사람과 의학 교육을 공부하는 사람들에게) 두 번째 도전은 읽은 것을 당연하게 여기지 않는 것이다.

A second challenge, both to those who teach medical humanities and to those who study medical education, is not to take reading for granted.


우리는 n의 값을 1로 디폴트할 위험이 있더라도, 미세한 구별fine distinction을 중요시한다. medicine의 단위는 특정 환자이며, 이는 언제나 더 이상 환원불가능하다없다. 만약 우리가 개개인을 [구체적 의미를 단순화하는 도구]만 사용하여 검사한다면 의학은 문제에 봉착할 것이다.

We value fine distinctions, even at the risk of defaulting to an n value of 1. The unit of medicine is the particular patient, always irreducible. We know that medicine runs into trouble when individual persons are examined only with instruments that reduce specific meanings to simplistic data.


마지막으로, 의료 교육 기관은 측정불가능한 성과에 계속 투자해야 한다.

Finally, the medical education establishment should be challenged to continue investing in immeasurable outcomes.


장기적인 결과에 대한 분명한 증거를 내놓지 못하는 분야로 인문학만 있는 것은 아니다. 어떤 커리큘럼 개입과 환자 건강 증진 사이에 있는 방법론적 지뢰밭은 대단히 방대하며, 그것은 의학교육을 전통에 두는 강력한 신뢰를 설명한다.5

The humanities are not the only aspect of medical education to resist clear evidence of long-term outcomes. The methodological minefield that stretches between any curricular intervention and the improvement of patient health is immense, and it explains the powerful trust that medical education places in tradition.5


인문학은 무딘 환원주의와 흐린 전체주의 모두에서 모두 빠진 것을 정확하게 제공한다: 특이성에 대한 날카로운 집중

The humanities offer precisely what is missing in both blunt reductionism and fuzzy holism: incisive attention to specificity.




 2010 Jun;85(6):938-40. doi: 10.1097/ACM.0b013e3181dc1820.

Commentarysharper instruments: on defending the humanities in undergraduate medicaleducation.

Abstract

The study by Ousager and Johannessen in this issue finds a lack of research attempting to measure the long-term effects of incorporating humanities into the undergraduate medical education (UME) curriculum, and warns that more such studies are needed if the humanities are to become integrated into UME. This commentary points to limitations in the study's methodology, suggesting that the value of the humanitiesin educating new physicians can be defended by demonstrating the need for more complex approaches to knowledge than complete dependence on empirical evidence, and invites those who support inclusion of the humanities in UME to take up three challenges: work together to define the terms and scope of the medical humanities as a coherent (though heterogenous) field, teach reading skills (promote, that is, a nonreductive approach to the interpretation of human objects), and work to establish effective and persuasive alternatives to the blunt tools of outcomes measurement.

PMID:
 
20505388
 
DOI:
 
10.1097/ACM.0b013e3181dc1820


학부의학교육에서 의료인문학(Acad Med, 2010)

Humanities in Undergraduate Medical Education: A Literature Review

Jakob Ousager, PhD, and Helle Johannessen, PhD




많은 연구들이 인문학이 의사들이 humane and holistically oriented되도록 크게 기여할 수 있다고 주장한다. 그리고 비록 인문학이 의학 교육에서 토대를 확보했지만, 그들은, 예를 들어, 거시해부학과 비교하면 여전히 "신입"일 뿐이다. 어떤 맥락에서든, '신입'이 일반적으로 받아들여지기 위해서서는 그들 스스로 가치나 합법성을 증명해야 한다.

Many articles claim that humanities may contribute significantly to the formation of humane and holistically oriented doctors, and although the humanities have gained ground in medical education, they are still “new kids on the block” when compared with, say, gross anatomy. In any context, newcomers usually have to prove their value or legitimacy to be accepted.



그러나 의학 커리큘럼에 인문학을 포함시키는 것이 얼마나 더 나은 의사를 만드는지를 확실하게 측정하는 것은 매우 어렵다. 결국, 의학 교육에 인문학을 포함시키는 목적은 실제로 측정 가능한 특정한 결과를 만드는 것이 아닐 수도 있다.

It is, however, very difficult to measure with any certainty to what extent the inclusion of humanities in medical curricula makes better doctors. After all, the purpose of including the humanities in medical education really may not be to produce specific measurable outcomes.


하지만 현재의 주된 흐름은 성과기반 교육입니다. 따라서 경험적 증거가 부족하다면, 의료인문학이 의학 교육에서 확고한 위치를 얻고 유지하는 것을 방해할 수 있다.

It is outcomes-based education, though, that is currently on the agenda,1 so a lack of empirical evidence may hinder the humanities in gaining and keeping a firm position in medical education.



방법

Method


All publications were sorted manually following the inclusion and exclusion criteria indicated in Table 1.



 The tags are described in greater detail in Table 2.



분류는 다음과 같다.

The typology presented below distinguishes between articles categorized as primarily


1. 사례 제시: 여기에 속하는 연구는 주로 학부의학교육에 인문학을 통합하는 데 필요한 일반적인 관련성이나 필요성에 대한 주장을 포함하고 있다. 또한, 의학 교육에서 인문학의 존재이유에 대한 근본적 승인approval에 의지하여, 주로 학부 의과대학에서 인문학을 어떻게 교육해야 하는지를 논하거나, 인문학의 통합에 장애가 되는 것을 어떻게 극복해야 하는지에 대해 논한다.

1. Pleading the case: Publications predominantly containing arguments in favor of the general relevance or necessity of integrating humanities in undergraduate medical education. Also, publications predominantly arguing how humanities should be taught in undergraduate medical education, relying on a fundamental approval of the humanities’ raison d’eˆtre in medical education, or stating how impediments to the integration of the humanities should be overcome.


2. 과정 설명 및 평가: 출판물은 주로 특정 커리큘럼 활동 또는 일련의 활동에 대해 설명한다. 이러한 설명에는 평가에 대한 설명도 포함될 수 있다. 평가는 전형적인 학생 설문조사의 형태 또는 해당 커리큘럼 활동의 퀄리티 또는 성공에 대한 강사의 평가, 또는 학생의 지식, 기술 또는 태도 측면에서 커리큘럼 활동이 즉시 미치는 영향을 (때로는 자기보고식으로) 측정합니다.

2. Course descriptions and evaluations: Publications predominantly centered around descriptions of specific curricular activities or series of activities. Descriptions may be accompanied by evaluations, whether in the formof typical student surveys, an instructor’s estimation of the quality or success of the curricular activity in question, or some measurement of the immediate impact of the curricular activity in terms of students’ (sometimes self- reported) gain in knowledge, skills, or attitude.


3. 장기적 영향의 증거 찾기: 학부 의과대학에서 인문학의 영향에 대한 (장기적) 증거를 제공하는 경험적 발견을 보고하는 것들이 여기 속한다. 예들 들면 향후 의사들의 실제 지식, 행동 및/또는 실제 치료를 받는 환자에 대한 태도 같은 것이다.

3. Seeking evidence of long-termimpacts: Publications reporting empirical findings that provide evidence for the impact of humanities in undergraduate medical education on future doctors’ actual knowledge, behavior, and/or attitudes toward patients in real-life doctoring.


4. 유보: 의학교육에서 인문학이 꼭 필요하다고 주장하지 않는다. 그러나 의학교육에서 인문학 교육이 갖는 어려움이나, 의구심, 또는 기대에 대한 의문을 지적하며, 성과나 인문학 통합의 영향에 대해서도 의문을 갖는다.

4. Holding the horses: Publications not necessarily unfavorably disposed toward humanities studies in medical education, but pointing out difficulties, voicing reservations, or questioning expectations as to the outcome or impact of integrating humanities studies in undergraduate medical education.



결과

Results


많은 연구에서 의문을 가졌던 커리큘럼 활동에 의해 유발된 유익한 영향이나 효과를 설명한다. 그러나 종종 이러한 "관련성 선언"은 포괄적 용어로 제시되었고, 체계적인 방법을 통해 경험적 증거을 제공하여 뒷받침하지 않았다. 예를 들어, 존스와 카슨10은 인문학이 올바른 방식으로 의학 커리큘럼에 통합되면 학생들은 결국 "자신과 가족을 위해 자부심을 가질 만한 윤리적이고, 공감적이며, 교육을 받은 의사들이 될 것다"라고 했지만, 그 주장을 뒷받침하는 경험적 연구는 없었다.

Many publications account for the beneficial impact or effect that was supposedly induced by the curricular activity in question. However, more often than not, these “declarations of relevance” were presented in broad terms and were not supported by empirical evidence produced in a systematic manner. Jones and Carson10 state, for instance, that if humanities are integrated into medical curricula in the right way, students will eventually “become ethical, empathic, and educated physicians, the kind of doctor one would be proud to have for one’s self and one’s family” without any empirical studies supporting the view.


이러한 연구를 읽다보면, 적어도 의학계의 몇몇 사람들은 [단순히 인문학에 대한 노출을 증가시키는 것] 만으로 의과대학생들의 개인적이고 전문적인 발전에 긍정적으로 기여할 것이고, 그래서 결국 미래의 의사와 환자 모두에게 이득이 될 것이라고 가정하고 있다는 인상을 받는다. 따라서 이들에게 인문학은 "좋은" 의사를 육성한다는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일반적인 수단으로 인식된다.

reading of the articles strengthened the impression that at least some members of the medical education community seem to assume that simply increasing exposure to the humanities will contribute positively to medical students’ personal and professional development in the broadest possible understanding and, thus, will eventually benefit both future doctors and their patients. Hence, humanities are perceived as a general means to achieve the goal of fostering the generic “good” (empathic, holistically oriented) doctor.


그러나 일부 연구는 구체적이고, 따라서 측정 가능한 학습 성과에 대한 기대를 구체화한다. 샤피로와 동료의 연구는 예술을 활용하여 의대생들의 '관찰적, 패턴 인식 기술'을 발전시킬 수 있는지에 대한 매우 좋은 사례이다. 샤피로 등이 기술한 커리큘럼 혁신의 목표는 분명하다: 훌륭한 임상수행(예: 진단 및 의료 의사결정)을 위해, 의사는 정보의 조각을 결합할 수 있어야 하며 전체적인 패턴을 형성할 수 있어야 한다. 따라서 저자들은 미술을 보고 의미를 부여하는 것으로 이와 유사한 능력을 가진 것을 추청했다. 이를 위해 연구진은 의대생들이 예술을 보고 해석하는 훈련은 패턴을 관찰하고 인식하는 그들의 능력을 강화시킬 것이라는 아이디어를 갖게 되었고, 이것이 그리고 결국 임상에서 올바른 결정을 내리고 진단하는 능력을 강화할 것이라고 생각했다.

Some studies do, however, specify expectations regarding concrete, and hence more measurable, learning outcomes. Shapiro and colleagues’11 investigation into whether the arts can be used to enhance medical students’ development of “observational and pattern recognition skills” is a very good example of such a study. The goal in the curricular innovation described by Shapiro et al is clear: For good clinical practice (e.g., in diagnostics and in medical decision making), the doctor must be able to combine pieces of information and construct an overall pattern. Looking at and giving meaning to art is thus presumed by the authors to involve similar abilities. This gives rise to the idea presented by Shapiro et al that training medical students in seeing and interpreting art will strengthen their capabilities to observe and to recognize patterns and will eventually strengthen their capability to diagnose and make the right decisions in clinical work.


사례 제시

Pleading the case


245개 논문 중 68개는 학부 의대에서 인문학에 대한 "사례 제시"로 분류되었다. 이 조항들은 주로 왜 또는 어떻게 인문학을 의학교육에 통합해야 하는지에 대한 가설을 제안하거나 제시한다. 기원은 다를 수 있지만, 이 범주의 많은 논문은 의료 환경의 기존 문제를 수정할 수 있는 인문 교육과정의 잠재력을 강조한다.

Sixty-eight of the 245 articles were categorized as “pleading the case” for the humanities in undergraduate medical education. These articles primarily propose or present hypotheses about why and how humanities should be integrated in medical education. Their origins may differ, but many of the articles in this category emphasize the potential for humanities curricula to rectify an existing problem in the health care environment.


예를 들어, Baum은 "분자적 환원주의를 지나치게 강조하면, 젊은 의사들에게 필수적인 인도주의적 본능이 상실될 수 있다는 위험이 널리 알려졌다"라고 시작하며, 이어

For example, Baum12 begins, “there is a widely recognised hazard that an exaggerated emphasis on molecular reductionism may lead to the loss of the essential humanitarian instincts of young doctors,” and goes on to clarify that


의대생들에게 예술과 인문학 교육이 갖는 기능은 학생들이 더 나은, 더 인간적인 의사가 되도록 하는 것이다. 그렇게 된다면 그들은 생명을 구하거나 누군가를 살리기 위하여 자기 희생의 순간까지 자신의 능력 안에서 모든 것을 할 것이다.

the function of teaching arts and humanities to medical undergraduates is [. . .] to ensure that they make better and more humane physicians who would do everything within their power, even to the point of self-sacrifice, to save a life or to succour someone in mortal pain.



과목 기술 및 평가

Course descriptions and evaluations


245개 논문 중 156개는 "과정 기술 및 평가"로 분류되었다(표 3 참조). 과목 설명은 대부분 코스의 존재이유 및 예상 성과에 대한 설명과 함께 제공됩니다. 예상 성과는 종종 단기적, 과목 특이적 성과에 대한 데이터를 포함한다. 과목의 존재이유에 대한 설명은 매우 상세한 경우도 있고, 일반적이거나 보편적인 경우도 있다.

One hundred fifty-six of the 245 articles in this study were categorized as “course descriptions and evaluations” (see Table 3). The course descriptions are in most cases accompanied by an explanation of the course’s raison d’eˆtre or expected outcome and some kind of evaluation data, in some instances including data on short-term, course-specific outcomes. The account of the course’s raison d’eˆtre may be either very detailed or it may be more generic or universal.


장기적 영향의 근거 탐색

Seeking evidence of long-term impact


세 번째 유형의 논문은 실제 의사의 역할에 관하여, 학부 의과대학에서 인문학 교육이 실제 지식, 기술, 행동 및/또는 환자들에 대한 태도에 영향 미친 증거를 찾는 보고서로 구성되어 있다. 이 유형의 논문에는 다음과 같은 검사 결과가 포함됩니다. 인문학 과정에 노출된 학생이나 젊은 의사가 더 많은 공감하는지, 인문학을 공부하지 않은 학생들보다 더 윤리적으로 행동하는지 등. 예를 들어, 이러한 연구들은 인문학을 접한 학생들이 (특정한 인문 관련 커리큘럼 활동에 참여하지 않은 학생보다) 에이즈에 걸린 환자들을 더 잘 이해하는지 여부를 시험할 수 있다. 

A third type of article is made up of reports seeking evidence for the impact of humanities in undergraduate medical education on future doctors’ actual knowledge, skills, behavior, and/or attitudes toward patients when it comes to real-life doctoring. This type of article includes any study that examines whether or not students or young doctors exposed to a humanities course exercise more empathy or act more ethically than do students who have not studied the humanities. These studies may also test whether trainees exposed to the humanities have a better understanding of, for instance, patients living with AIDS than they would have had they not participated in specific, humanities- related curricular activities.



유보

Holding the horses


그러나 또 다른 논문의 범주는 의학 교육에 있어서 인문학의 영향에 대한 보다 은밀한 태도를 전달하는 보고서, 편지, 논평 등이다. 우리는 이 범주에 해당하는 12개의 논문을 발견했다. 이 연구는 무딘 회의론blunt skepticism에서 과학적인 거리낌scientific reluctance에 이르기까지, 적절한 경험적 자료에 의해 뒷받침되지 않은 어떤 제안을 받아들이는 것에 대한 상태를 보여준다. 회의론의 한 예는 BMJ에서 칸이 letter이다. 그는 "어떤 근거로 20살이 넘은 이상의 의대생들에게 윤리적인 원칙을 다시 심어줄 수 있다고 보는가?" 라고 지적하며, 오히려 학생들이 나쁜 행동을 감추는 법을 배우고 있는지도 모른다고 덧붙인다.

Yet another category of articles is constituted by reports, letters, and commentaries conveying more muted attitudes toward the effect of humanities studies in medical education. We found 12 articles in this category. These articles represent a spectrum ranging from blunt skepticism to scientific reluctance about accepting any proposition not yet supported by adequate empirical data. An example of the skepticism would be Caan’s18 letter in BMJ, in which he asks, “On what evidence can medical schools ‘plant’ ethical principles anew in students aged 20 and older?” He adds that, instead, students may actually be learning to conceal bad behaviors.


과학적 반감의 예로는 샤피로 등의 논문이 있다. 

An example of scientific reluctance would be Shapiro and colleagues’19


의학 교육계에서 문학 및 인문학의 사용을 주도적으로 지지하는 것으로 잘 알려진 샤피로는 비록 이 프로젝트가 "인문학을 가정의학 임상실습에 도입할 수 있는 몇몇 가능성을 제안한다"고 결론지으며, "일부 학생들은 문학에 노출되어 이득을 볼 수도 있다."라고 하지만, 동시에 "많은 학생들은 이러한 종류의 커리큘럼에서 얻을 수 있는 이점을 대부분 인식하지 못할 수 있다."라고 지적한다그리고 결국 "실제 [임상 환경에서 문학에 노출되는 것]과 [학생들의 행동 사이의 관계]를 조사하려면 더 많은 연구가 필요하다."라고 결론짓는다.

Shapiro, well known in the medical education community as a leading proponent of the use of literature and the humanities in medical education, dryly concludes that although the project “suggests some possibilities for introducing humanities into a family medicine clerkship,” and although “some students may benefit from exposure to literature,” it is also a fact that “a significant number of learners might not perceive much benefit from this kind of curriculum,” and eventually “more research need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exposure to literature and student behaviour in actual clinical settings.”19




결과 요약

A summary of the results


요약하자면, 245개 간행물 중 224개 출판물은 의학 교육에 있어서 인문학의 잠재적 영향을 높이거나 이러한 커리큘럼 활동의 단기적 영향에 대한 약간의 증거를 가지고 실제 또는 계획된 과정을 기술했다. 오직 9개의 연구만이 의사들의 임상적 관행에 대한 장기적인 영향을 기록하려는 노력을 보여주었고 12개의 기사가 학부 의과대학에서 인문학 연구에 대한 비판적 태도를 나타내는 것으로 밝혀졌거나 인문학 프로젝트에 대한 문서화된 효과 또는 영향에 대한 근거가 충분하지 않다는 것에 대해 우려를 표한다.

To sum up, 224 publications out of 245 either praised the potential effects of humanities studies in medical education or described actual or planned courses with some evidence for short-term impact of these curricular activities. Only 9 studies were found to demonstrate efforts to document long-term impacts on the clinical practice of medical doctors, and 12 articles were found to act as mouthpieces for critical attitudes toward humanities studies in undergraduate medical education or for concerns that the humanities project, although fundamentally sympathetic, may rely on insufficient foundations when it comes to documented effects or impact.



고찰

Discussion


우리는 각 기사의 분류방식에 주관성의 요소가 있다는 것을 안다. 그러나, 우리는 이러한 불확실성이 문헌 검토로부터 얻은 전체적인 인상에 심각하게 문제를 유발하지는 않는다고 가정한다. 분명히, 문헌은 학부 의과대학에서 단기 영향, 학생 평가 및 인문학과 관련된 커리큘럼 활동 옹호, 더불어 과정에 대한 묘사를 다룬 방대한 문헌을 포함하고 있다.

we realize there is an element of subjectivity to how each article was categorized. However, we assume that these uncertainties do not seriously challenge the overall impression gained from our review of the literature. Clearly, the literature offers a substantial set of course descriptions, as well as reports of short-term impacts, student evaluations, and advocacies of humanities-related curricular activities in undergraduate medical education.


검토한 10개 간행물 중 9개 이상이 특정한 인문학-지향적 학습 활동을 기술하려는 목적이거나, 의학 교육의 필수적인 구성 요소로서 인문학을 두서 없이 construct하는데 기여하는 목적을 가지고 있었다. 학부 의학교육에서 인문학이 미래의 의사들의 태도, 능력, 관행에 관측 가능한 영향을 미치는지 여부를 체계적으로 조사한 경우는 거의 없다.

More than 9 out of 10 publications reviewed had as their main purpose either to describe specific, humanities-oriented learning activities or to contribute to the discursive construction of humanities as a necessary component of medical education. Very few systematically investigated whether humanities in undergraduate medical education has an observable impact on the attitudes, competences, and practice of future doctors.


우리는 장기간의 영향에 대한 직간접적인 증거를 보여준 연구가 부족하다고 해서, 많은 의학 교육학자들이 주장하는 것처럼 인문학 학습이 효과가 없는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라는 것을 강조하고 싶다. 샤피로 외 연구진19가 설명한 것처럼 커리큘럼 발명의 효과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는 것은 매우 복잡하며, 이는 거의 극복할 수 없는 방법론적 장애물 때문이다. 교란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는 것이 방대하고 다양해서, 학습 활동의 제안된 특정 결과를 입증하는 것은 어렵거나, 심지어 불가능할 수도 있다.

We wish to underscore that the lack of articles seeking evidence for long-term impact does not imply, directly or indirectly, that humanities studies do not have the effect claimed by many medical educationists. As Shapiro et al19 explain, conducting research into the effects of any curricular invention is complicated by a number of almost insurmountable methodological obstacles. It is difficult or maybe even impossible to demonstrate any proposed specific outcome of a learning activity because of the vast plurality of possible confounders.


의학교육에서 인문학의 "유용함"을 측정하려는 시도는 사실상 인문학은 물론 의학 교육에 대해 완전히 잘못된 관점이다. 예를 들어 20세의 쿠퍼와 타우버는 "의학 교육의 환원주의-실증주의적 방식만으로는 의사들이 환자의 신체적, 정서적 요구의 모든 범위를 충족시키는 기술과 태도를 갖게 하지 못할 것이다"고 경고한다.

any attempt to measure the “usefulness” of humanities in medical education would in effect illustrate a thoroughly defective view both of the humanities and of medical education. Cooper and Tauber,20 for example, warn us that “the reductionist-positivist mode of medical education fails to equip physicians with the skills and attitudes to meet the full range of patients’ physical and emotional needs.”


다른 말로 하면, 인문학은 환원주의의 위협으로부터 우리를 보호하고 해독하는 역할을 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주장에 따르자면, 인문학과 관련된 커리큘럼 혁신의 장기적인 영향의 증거를 요구하는 것으로 특징지어지는 근거기반의학교육을 주장하는 것은 contraindication이 될 것이다. 또한, 모든 교육 커리큘럼의 구성은 '효과의 근거'는 그저 수많은 영향요인 중 하나일 뿐인 [정치적 및 대인관계적 환경]에서 이루어진다.

Humanities, in other words, is intended to play the role as a safeguard or an antidote to a threatening reductionism. Following that line of argument, it would be a contraindication to insist on evidence-based medical education defined by a demand for proving the long-term impact of any given humanities-related curricular innovation. Further, the composition of all educational curricula takes place in a political and interpersonal milieu in which evidence of impact is only one of many influential factors.


그러나 증거 기반 의학과 의학 교육에 반대하는 이러한 주장에도 불구하고, 성과바탕교육이 현재 중심에 있다는 사실을 무시하는 것은 어렵다.1

But notwithstanding any arguments against evidence-based medicine and medical education, it is difficult to disregard the fact that outcomes-based education is currently on the agenda.1


과목의 기술과 평가가 있는 논문들은 영감을 주며, 의학 교육 분야에서 인문학을 다루는 사람이라면 누구에게나 상당한 가치를 지닌다.

articles with course descriptions and evaluations are inspiring and of substantial value for anyone within the field of humanities in medical education.


우리는 (인문학 교육이) [의사의 실제 업무]와 관련된 증거가 부족하면 학부 의과대학에서 인문학 관련 활동의 지속적인 발전에 위협이 될 수 있다고 생각한다.

We suggest that the lack of evidence for relevance to the work of doctors could pose a threat to the continued development of humanities-related activities in undergraduate medical education.


의학교육에서 인문학의 지위를 방어, 유지 또는 강화하려면, 우리는 이러한 학습 활동이 (측정가능하지 못하더라도 적어도 적어도 분명하게 확인되는) 경험적인 증거를 제공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However, to defend, maintain, or possibly strengthen the status of humanities in medical education, we anticipate that it is necessary to provide more empirical evidence that these learning activities do, in fact, deliver positive, and if not measurable then at the least noticeable, outcomes.


이러한 종류의 근거를 생산하기 위해 창조적인 방법을 개발하는 것은 중요한 도전이다.

There is a significant and important challenge in developing creative methods for the production of this kind of evidence


Conclusions


의학 교육에서 인문학이 [실제로 미래에 더 나은 의사를 만드는 데 기여한다는 증거를 제공하기가 어렵다는(심지어 누군가에게는 불쾌한) 과제]를 극복할 수 없다면, 의학 교육에 있어서 인문학의 학습은 더 허둥댈 수 있다.

Humanities studies in medical education may flounder if the medical humanities community cannot overcome the difficult (and, to some, perhaps even unsavory) task of providing evidence that humanities in medical education actually contributes to making better doctors for the future.









 2010 Jun;85(6):988-98. doi: 10.1097/ACM.0b013e3181dd226b.

Humanities in undergraduate medical education: a literature review.

Author information

1
University of Southern Denmark, Odense, Denmark. jousager@health.sdu.dk

Abstract

PURPOSE:

Humanities form an integral part of undergraduate medical curricula at numerous medical schools all over the world, and medicaljournals publish a considerable quantity of articles in this field.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extent to which the literature on humanities in undergraduate medical education seeks to provide evidence of a long-term impact of this integration of humanities in undergraduate medical education.

METHOD:

Medline was searched for publications concerning the humanities in undergraduate medical education appearing from January 2000 to December 2008. All articles were manually sorted by the authors. Two hundred forty-five articles were included in the study. Following a qualitative analysis, the references included were categorized as "pleading the case," "course descriptions and evaluations," "seeking evidence of long-term impact," or "holding the horses."

RESULTS:

Two hundred twenty-four articles out of 245 either praised the (potential) effects of humanities on medical education or described existing or planned courses without offering substantial evidence of any long-term impact of these curricular activities on medical proficiency. Only 9 articles provided evidence of attempts to document long-term impacts using diverse test tools, and 10 articles presented relatively reserved attitudes toward humanities in undergraduate medical education.

CONCLUSIONS:

Evidence on the positive long-term impacts of integrating humanities into undergraduate medical education is sparse. This may pose a threat to the continued development of humanities-related activities in undergraduate medical education in the context of current demands for evidence to demonstrate educational effectiveness.

PMID:
 
20505399
 
DOI:
 
10.1097/ACM.0b013e3181dd226b
[Indexed for MEDLINE]


의료인문학을 의학교육에 통합하기: 국제적 상황(Curr Opin Psychiatry, 2016)

Progress integrating medical humanities into medical education: a global overview

Stefani Pfeiffer a,b, Yuchia Chenb,c, and Duujian Tsai b,d




도입

INTRODUCTION


의료인문학운동은 1990년대 북미, 영국, 뉴질랜드, 캐나다에서 발전하기 시작했고 그 이후 유럽, 아시아, 중동 대학들의 상당한 기여를 받아 세계적인 운동이 되었다.

The medical humanities movement began developing in North America, the United Kingdom, New Zealand and Canada in the 1990s and has since become a global movement, with significant contributions from European, Asian and Middle Eastern universities.


교육과정에서의 FLAWS에 대한 고찰

REFLECTIONS ON FLAWS IN TEACHING PROFESSIONALISM


프로페셔널리즘 교육은 의대생들이 윤리적 또는 인본주의적인 열망을 가진 학습자가 되도록 만들어야 한다[10]. 그러나 그러한 가르침은 종종 지나치게 단순화되어[11] 의대생들로 하여금 윤리적 책임으로부터 감정적으로 그리고 지적으로 격리시키는 '하지 말아야 할 것'의 체크리스트가 되곤 한다. 프로페셔널리즘을 '신뢰 창출을 위한 약속'이자, 환자의 이익에 대한 전문적 헌신으로 이해하는 것은 단순한 행동을 넘어서 태도에 근거해야 한다[12].

Professionalism teaching ought to push medical students to be learners with ethical or humanistic aspirations [10]. However, such teaching is very often oversimplified into a checklist of ‘Do Nots’ that detaches medical students emotionally and intellectually from their ethical responsibilities [11]. Understanding professionalism as a trust-generating promise, professional commitment to patients’ interests should be based on attitudes & deeper rather than mere behavior [12 ].


지배 엘리트들에 의한 무비판적인 '도움'은 불평등 권력 역학을 지속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기 때문에, 프로페셔널리즘을 가르치는 데 있어 가장 최근의 발전은 critically & reflexive social accountability를 향한 움직임이다[13 ,15].

As uncritical ‘helping’ by dominant elites may function to sustain inequitable power dynamics, the most recent development in teaching professionalism is a movement toward critically && reflexive social accountability [13 ,15].


전국적인 조사에서 한국의 의사들은 환자들에 대한 이타주의와 정직성 같은 도덕적 미덕moral virtue보다 책임감과 진실성과 같은 도덕적 의무moral duty를 더 중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19].

a nationwide survey revealed that Korean physicians value moral duties, such as responsibility and veracity, more than they do moral virtues, such & as altruism and honesty with patients [19 ].


의학교육에서 창의적 아트와 인문학

CREATIVE ARTS AND HUMANITIES IN MEDICAL EDUCATION


창조적인 작업은 스트레스를 줄이거나(또는 긍정적인 감정을 증가시키고) 전문적인 성찰을 증진시키거나, 의사들과의 상호작용을 강화하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되어 왔다[20].

Creative work has been used in training health professionals for the purposes of reducing stress (or increasing positive emotions) [20], promoting professional reflexivity [21] and enhancing physicians’ interaction with peers [22].


의학교육에서 성찰의 실천으로서 네러티브 의학

NARRATIVE MEDICINE AS REFLECTIVE PRACTICE IN MEDICAL EDUCATION


의료 프로페셔널리즘을 육성하는 효과적인 방법에 대한 최근의 관심은 문학과 서사가 갖는 특정 역할을 강조합니다 [26,27,28 ].

Recent concern about effective ways to foster medical professionalism points to a specific role for contributions from literature and stories [26,27 ,28 ].


프로페셔널리즘을 가르치는 것에 대한 성찰과 비판적 인문학에 대한 요구는 세계적으로 중요하다.

These reflections on teaching professionalism and calls for critical humanities have global significance.


따라서 의료인문교육의 성과평가의 발전도 국제적 중요성을 갖는다[40].

Accordingly, advances in assessing outcomes of medical humanities education are also of international significance [40].


CONCLUSION


의료인문학을 활용한 교육적 개입이 프로페셔널리즘 학습을 향상시키는데 필수적이라는 세계적인 합의가 나타나고 있다. 이 고찰에 따르면 모든 훈련 단계에서 의료인문학을 적용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을 뒷받침하며, 의사소통능력 강화에 도움이 된다[7]. 우리는 의학 교육 자체에 대한 연구가 translational science에 유용하며, 의료인문학적 개입의 궁극적 목적은 환자와 공동체를 위한 치료개선이라는 맥가지의 생각에 동의한다. [46,47]


A global consensus is emerging that educational interventions of the medical humanities are essential to improve the learning of professionalism. This review article endorses the promise of applied medical humanities at any stage of training, with flexibility as the essential added value enhancing communication competence [7]. We concur with McGaghie’s idea that research on medical education itself is useful for translational science and serves the ultimate goal of using medical humanities interventions to improve care for patients and communities & [46 ,47].



Brody H, Doukas D. Professionalism: a framework to guide medical education. Med Educ 2014; 48:980–987. &


Martimianakis MA, Michalec B, LamJ, et al. Humanism, the hidden curriculum, and educational reform: a scoping review and thematic analysis. Acad Med && 2015; 90 (11 Suppl):S5–S13.


42. Goodwin D, Machin L. How we tackled the problem of assessing humanities, social and behavioural sciences in medical education. Med Teach 2016; && 38:137–140. XXX


30. Hurst SA, Baroffio A, Ummel M, Burn CL. Helping medical students to acquire a deeper understanding of truth-telling. Med Educ (Online) 2015; 20:28133. && XXX




 2016 Sep;29(5):298-301. doi: 10.1097/YCO.0000000000000265.

Progress integrating medical humanities into medical education: a global overview.

Author information

1
aDepartment of History, Rutgers University, New Brunswick, New Jersey, USA bCenter for Bioethics and Social Medicine, Pingtung Christian Hospital, Pingtung cInstitute of Philosophy, National Central University, Taoyuan dDepartment of Medical Humanities, Taipei MedicalUniversity, Taipei, Taiwan.

Abstract

PURPOSE OF REVIEW:

The article reviews the most recent developments in integrating humanities into medical educationGlobalimplications and future trends are illustrated.

RECENT FINDINGS:

The main concern of medical humanities education is teaching professionalism; one important aspect that has emerged is the goal of nurturing emotion through reflexivity. Relating effectively to all stakeholders and being sensitive to inequitable power dynamics are essential for professional social accountability in modern medical contexts. Mediating doctors' understanding of the clinical encounter through creative arts and narrative is part of most recent pedagogic innovations aimed at motivating learners to become empowered, engaged and caring clinicians. Scenario-based and discursive-oriented evaluations of such activities should be aligned with the medicalhumanities' problem-based learning curriculum. Medical humanities education fosters professional reflexivity that is important for achieving patient-centered care.

SUMMARY:

Countering insufficient empathy with reflective professionalism is an urgent challenge in medical education; to answer this need, creative arts and narrative understanding have emerged as crucial tools of medical humanities education. To ensure competent professional identity formation in the era of translational medicine, medical humanities programs have adopted scenario-based assessments through inclusion of different voices and emphasizing personal reflection and social critique.

PMID:
 
27429215
 
DOI:
 
10.1097/YCO.0000000000000265


좋은 평가에 대한 2018 컨센서스 프레임워크(Med Teach, 2018)

2018 Consensus framework for good assessment

John Norcinia , M. Brownell Andersonb, Valdes Bollelac, Vanessa Burchd, Manuel Jo~ao Costae ,

Robbert Duvivierf, Richard Haysg , Maria Felisa Palacios Mackayh, Trudie Robertsi and David Swansonj




배경

Background


이 아이디어가 2018년 오타와 컨퍼런스에서 워크숍의 일부로 제시됐을 때, "Criteria"이라는 단어를 사용하는 것은 마치 평가를 판단하는데 사용하는 기준의standards의 개발을 암시했기 때문에 적절하지 않다는 강한 느낌이 있었다. 따라서 Criteria 대신 "프레임워크"라는 단어가 개별 평가 및 평가 시스템의 개발과 검토에 유용할 수 있는 구조를 만들고자 하는 우리의 바람을 더 정확하게 포착했다는 일반적인 합의가 있었다.

When these ideas were presented as part of a workshop at the 2018 Ottawa Conference, there was a strong sense that the use of the word “criteria” was not optimal since it implied the development of standards against which assessments could be judged. Instead, there was general agreement that the word “framework” more precisely captured our desire to create a structure that might be useful in the development and review of individual assessments and systems of assessment.


프레임워크의 다양한 요소들이 모든 평가에 보편적으로 그리고 같은 비중으로 적용되지 않는다. 평가의 맥락과 목적적합성은 각 요소의 중요도에 크게 영향을 미친다.

the various elements of a framework do not apply universally and equally to all the assessments. The context and purpose-priorities of assessment heavily influence the importance of those elements.


의학 졸업생들의 지식에 대한 책무성의 필요를 충족시키기 위해 고안된 시험(예: 의사국가시험)은, 미래 학습 또는 커리큘럼 개혁을 안내할 세부적인 피드백을 제공하지 않으며, 이는 애초에 그 시험은 그렇게 하도록 설계되지 않았기 때문이다.

examination designed to meet the need for accountability for the knowledge of medical graduates (e.g. a medical licensing examination) does not produce detailed feedback that would guide future learning or curricular reform, since it has not been designed to do so.


마찬가지로, 프레임워크의 요소들은 동일한 평가에 대해서조차 이해관계자들마다 가중치가 다를 수 있다. 예를 들어, 교육적 효과 및 촉매적 효과에 대해 규제 당국은 무관심한 반면, 학생들은 관심이 높다.

Similarly, the elements of the framework are not of equal weight for all stakeholders, even, given the same assessment. For example, students may value the educational and catalytic effect of an assessment while regulators might be indifferent.


흥미롭게도, 유사한 문제들이 학생 선발과 같은 다른 고부담시험에서 발생했다. 최근 선정 방법의 검토(Primidaux et al. 2011)는 "정치적 타당성"이라는 개념을 도입했다. 직업심리학 문헌에 처음 소개된 정치적 타당성이란 개념은 "선발 과정의 설계에 영향을 미치는 이해관계자(또는 이해관계자 그룹)"가 많다는 것을 인정한다(Patterson과 Zibaras 2011). 마찬가지로, 평가 프로세스처럼 다양한 관점을 가진 광범위한 이해 당사자들이 참여하는 경우에도 명백하다.

Interestingly, similar issues have arisen in other highstakes processes like student selection. A recent review (Prideaux et al. 2011) of selection methods invoked the concept of ““political validity””. First introduced in the occupational psychology literature, political validity recognizes that “there are often many stakeholders (or stakeholder groups) that influence the design of selection processes” (Patterson and Zibarras 2011). This is evident in assessment processes too, where a wide group of stakeholders with different perspectives are involved


달리 말하면, 평가 시스템은 (강건하고 방어할 수 있는 심리측정학적 특성을 가진 방법 사용) 준거관련(동시/예측) 타당성 및 정치적 타당성(다양한 이해관계자의 이해관계를 포함)을 모두 요구한다.

Put differently, systems of assessment require both criterion-related (concurrent/predictive) validity (using methods with robust and defensible psychometric properties) and political validity (including the interests of different stakeholders).


단일 평가

Single assessments


좋은 평가의 프레임워크

Framework for good assessment



표 1. 좋은 평가를 위한 프레임워크: 단일 평가.

Table 1. Framework for good assessment: single assessments.


1. 타당성 또는 일관성: 평가 결과는 일관성 있는 증거로 입증되는 특정 목적에 적합하다.

1. Validity or Coherence: The results of an assessment are appropriate for a particular purpose as demonstrated by a coherent body of evidence.


2. 재현성, 신뢰성 또는 일관성: 유사한 상황에서 반복될 경우 평가 결과는 동일하다.

2. Reproducibility, Reliability, or Consistency: The results of the assessment would be the same if repeated under similar circumstances.


3. 동등성: 동일한 평가는 다른 기관 또는 시험 주기에 걸쳐 관리했을 때 동등한 점수 또는 결정을 내립니다.

3. Equivalence: The same assessment yields equivalent scores or decisions when administered across different institutions or cycles of testing.


4. 타당성: 상황과 맥락을 고려할 때 평가는 실용적이고 현실적이며 합리적입니다.

4. Feasibility: The assessment is practical, realistic, and sensible, given the circumstances and context.


5. 교육 효과: 평가는 평가를 받는 사람들에게 교육적인 이점이 있는 방식으로 준비하도록 동기를 부여.

5. Educational Effect: The assessment motivates those who take it to prepare in a fashion that has educational benefit.


6. 촉매 효과: 평가는 모든 이해당사자들이 교육을 만들고, 개선하고, 지원하도록 동기를 부여하는 방식으로 결과와 피드백을 제공한다. 이는 미래 학습을 유도하고, 전체 프로그램의 질을 향상시킨다.

6. Catalytic effect: The assessment provides results and feedback in a fashion that motivates all stakeholders to create, enhance, and support education; it drives future learning forward and improves overall program quality.


7. 수용성: 이해관계자는 평가 과정과 결과가 신뢰할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7. Acceptability: Stakeholders find the assessment process and results to be credible.


프레임워크와 평가 목적

The framework and assessment purpose




형성평가

Formative assessment


효과적인 형성평가는 전형적으로 저부담평가이며, 종종 비공식적이고 opportunistic하며, 학습을 자극하기 위한 목적이 있다.

Effective formative assessment is typically low stakes, often informal and opportunistic by nature, and is intended to stimulate learning.


형성평가는 다음의 경우에 가장 잘 작동한다

(1) 교육 과정 및/또는 임상 작업 흐름에 내장된다. 

(2) 구체적이고 실행 가능한 피드백을 제공한다. 

(3) 지속적으로 이뤄진다.

(4) 적시에 이뤄진다.


Formative assessment works best when it 

(1) is embedded in the instructional process and/or clinical work flow, 

(2) provides specific and actionable feedback, 

(3) is ongoing, and 

(4) is timely.


총괄평가

Summative assessment


효과적인 종합 평가는 일반적으로 중부담, 고부담 평가이며, 책무성의 요구에 대응하기 위한 것이다. 흔히 일관성 있는, 고품질의 시험 자료, 체계적인 기준 설정 프로세스, 보안 관리가 필요합니다.

Effective summative assessment is typically medium or high stakes and is intended to respond to the need for accountability. It often requires coherent, high-quality test material, a systematic standard-setting process, and secure administration.


프레임워크와 이해관계자

The framework and stakeholders



Examinees

Examinees have a vested interest in both formative and summative assessment and they should be actively involved in seeking information that supports their learning. For formative assessment, educational effects, catalytic effects, and acceptability are likely to be of most concern to examinees, since these are the main drivers of learning. Examinees may take validity-coherence for granted, and feasibility will most probably be a consideration based on cost and convenience. Equivalence and reliability-consistency are of less immediate concern.


For summative assessment, issues related to perceived fairness will be most salient for examinees, as will clarity and openness about the content and process of assessment. Hence, elements such as validity-coherence, reproducibility-consistency, equivalence, and acceptability will be most important. The catalytic effect will support remediation, especially for unsuccessful examinees. When successful examinees are not provided with feedback or do not use it, the opportunity to support ongoing learning is missed.


Teachers-educational institutions

These stakeholders have interests in every facet of the assessment of students to fulfill their dual roles in education and accountability. Consistent with what was outlined above, the elements apply differently to these two roles or purposes. Validity-coherence, reproducibility-consistency, equivalence, and acceptability are particularly important to ensure correctness and fairness in decision making. Educational effects, catalytic effects, and acceptability are the cornerstones of successful student engagement and learning based on assessment.


For both teachers and institutions, student assessment information serves an important secondary purpose, namely, it speaks to the outcomes of the educational process. In other words, students’ assessments, appropriately aggregated, often serve as benchmarks for comparison and formative assessment for teachers and institutions. For such data, elements like equivalence and reproducibility-consistency are a bit less important while the educational effect and catalytic effect are a bit more important. Validity-coherence is important but should be addressed as part of good student assessment, while feasibility should be straightforward since the data are already available.


Beyond repurposing student assessment, institutions engage in the assessment of individual teachers and the evaluation of programs. These applications can be broadly classified as either formative or summative and the criteria apply as noted above.


Patients

For patients, it is most important that their healthcare providers have good communication skills, appropriate qualifications, and the ability to provide safe and effective care. While patients certainly support the use of formative assessment to help the students and practitioners in the development and refinement of these skills, summative assessment is a more immediate concern since patients need to be assured of their providers’ competence. Consequently, elements such as validity-coherence, reproducibility-consistency, and equivalence are of greatest importance. Feasibility, acceptability, educational effect, and catalytic effect are of less concern to this group. In the long term, however, formative assessment that supports and promotes continuous improvement will be important.


Healthcare system and regulators

The most pressing need of the healthcare system and the regulators is to determine which providers are competent and safe enough to enter and remain in the workforce. This need implies correct decisions based on summative assessment, so validity-coherence, reproducibility-consistency, and equivalence are paramount. Feasibility is also important since the healthcare systems and the regulators sometimes bear these costs.


It is becoming more common for health systems to engage in some form of continuous quality improvement (CQI). These systems are often embedded in the clinical work flow and they provide ongoing, specific, feedback to healthcare workers about their activities and outcomes. Validity-coherence is central, along with educational and catalytic effects, feasibility, and acceptability.


Likewise, many regulators are beginning to time limit the validity of their registration-licensure-certification decisions. This is often accompanied by the addition of a CQI component to the revalidation process. As with the healthcare system, such a component would need to emphasize validity-coherence, educational effect, educational quality, feasibility, and acceptability with less stress on equivalence and reproducibility-consistency.


평가 시스템

Systems of assessment


평가 시스템은 하나 이상의 목적을 위해 조립된assemble 일련의 개별 (평가)척도의 통합이다.

systems of assessment integrate a series of individual measures that are assembled for one or more purposes.


일반적으로 단일 평가 방법은 이러한 모든 skill들을 파악할 수 없으므로 여러 가지 척도가 필요합니다. 그러나 이러한 척도들은 종종 단독으로 사용되거나, 조정되지uncoordinated 않은 방식으로 적용된다. 이러한 조정되지 않은 (평가)척도들은 종종 그냥 과거에 하던대로 가중치를 두어 합산한 뒤 총괄적 결정에 사용된다. 평가 시스템은 다양한 이해관계자(예: 학생, 교수, 환자, 규제 기관)에 대한 다양한 목적(예: 형태별/요약적, 높은/낮은 지분)을 달성하기 위해 단일 평가를 명시적으로 혼합하여야 한다.

Single methods of assessment are generally unable to capture all of these skills so multiple measures are needed. However, these measures are often applied in isolation or at least in an uncoordinated fashion. These uncoordinated measures are often combined to reach an overall decision based on the weights dictated by tradition. A system of assessment explicitly blends single assessments to achieve the different purposes (e.g. formative versus summative; high vs. low stakes) for a variety of stakeholders (e.g. students, faculty, patients, regulatory bodies).



그림 1은 전 세계의 다양한 평가 상태를 보여줍니다.

Figure 1 illustrates the various states of assessment around the world.


그림 1.2. (태도적, 관계적 구성요소는 무시되더라도) 역량의 인지적 측면만을 평가하는 것은 드문 일이 아니다. 왜냐하면 그것이 상대적으로 검사하기 쉽기 때문이다.

Figure 1.2. it is not uncommon to mount an assessment of the cognitive aspects of competence since they are relatively easy to examine, while ignoring the performance and attitudinal/relational components.


(그림 1.3). 이를 시스템의 전반적인 목적과 통합하려는 시도는 제한적이다. 그 결과 총괄적 평가결정에 포함되는 사항에 차이가 발생하고, 비효율성이 발생하여, 어떤 분야에 대해서만 과도한 평가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Figure 1.3). there is a limited attempt to integrate these with the overall purposes of the system. This leads to gaps in what is covered and inefficiencies that might lead to over-assessment.


그림 1.4는 평가 시스템의 정상 작동에 가장 근접한 것이다.

Figure 1.4 comes closest to a well-functioning system of assessment.


좋은 평가의 프레임워크

Framework for good assessment


평가 시스템에 적용가능한 프레임워크

The elements of a framework for good assessment in Table 4 are applicable to a system of assessment.


표 4. 평가 체계 : 평가 체계

Table 4. Framework for Good Assessment: Systems of Assessment.


1. 일관성: 평가 시스템은 동일한 목적을 중심으로 질서 정연하게 조정된 개별 평가 및 독립적인 성과로 구성된다.

1. Coherent: The system of assessment is composed of multiple, coordinated individual assessments and independent performances that are orderly and aligned around the same purposes.


2. 연속성: 평가 시스템은 지속적이며, 개별 결과는 시스템의 목적에 누적적으로 기여한다.

2. Continuous: The system of assessment is ongoing and individual results contribute cumulatively to the system purposes.


3. 종합성: 평가 시스템은 포괄적이고 효과적이며, 목적에 부합하는 형성적, 진단적, 총괄적 요소로 구성됩니다. 일부 또는 모든 구성 요소는 신뢰할 수 있고 통합적입니다.

3. Comprehensive: The system of assessment is inclusive and effective, consisting of components that are formative, diagnostic, and/or summative as appropriate to its purposes. Some or all components are authentic and integrative.


4. 실현가능성: 평가 시스템과 그 구성요소는 목적, 이해관계자 및 맥락을 고려할 때 실용적이고 현실적이며 효율적이며 합리적입니다.

4. Feasible: The system of assessment and its components are practical, realistic, efficient, and sensible, given the purposes, stakeholders, and context.


5. 목적지향성: 평가 시스템은 그것이 만들어진 목적을 지원한다.

5. Purposes driven: The assessment system supports the purposes for which it was created.


6. 수용가능성: 시스템의 이해관계자는 신뢰할 수 있고 증거 기반인 평가 절차와 결과를 찾습니다.

6. Acceptable: Stakeholders in the system find the assessment process and results to be credible and evidence-based.


7. 투명성, 비편향성: 이해관계자는 시스템의 작동을 이해해야 하며, 의도하지 않은 결과를 최소화해야한다. 결정은 공정하고 공평해야 한다.

7. Transparent and free from bias: Stakeholders understand the workings of the system and its unintended consequences are minimized. Decisions are fair and equitable.


표 5는 보건 직업 교육에서 일반적인 평가 시스템의 예를 제시한다.

Table 5 presents examples of common systems of assessments in health professions education.


일부 평가 시스템은 특정 유형의 '다면적 의사결정'을 위해 종종 다른 정보들과 결합되는 일련의 평가로 구성된 것으로 볼 수도 있다. 입학 및 면허 시스템은 좋은 예이다.

Some systems of assessment can reasonably be viewed as consisting of a series of assessments, often coupled with other information, for making certain kinds of multi-faceted decisions. Admissions and Licensure systems provide good examples.


다른 평가 시스템은 일종의 교육적 개입으로 간주되며, 프로그레스 테스트와 프로그램 평가가 좋은 예이다.

Other systems of assessment are best thought of as educational interventions; Progress Testing and Programmatic Assessment provide good examples.




평가 시스템 구현 시 고려 사항

Considerations in implementation of systems of assessment


의료 분야의 평가 시스템에 대한 사례가 많지만, 개념은 잘 이해되지 않고 구현이 어려울 수 있습니다.

While the case for systems of assessment in the health professions is strong, the concept is often not well understood, and implementation can be challenging.


정의는 모든 참가자(규제자, 후보자, 교사 및 평가자)에게 명확하고 접근가능해야 하며, 그래야 혼란 또는 오해의 범위를 줄여준다. 평가 시스템은 단순히 시간 경과에 따른 점수를 결합하여 결정을 내리는 것 이상의 것입니다. 

Definitions need to be clear and accessible to all the participants (regulators, candidates, teachers, and assessors); this reduces the scope for confusion or misinterpretation. Systems of assessment are more than just combining scores over time to make a decision, for example, that enough has been achieved to “pass”.


평가시스템의 목적은 해당 시스템이 제공하는 프로그램의 비전/미션과 명확하고 일관되어야 합니다. 교육 환경에서 그러한 목적은 커리큘럼과 학습 성과와 일치해야 한다(예: constructive alignment)(Biggs 2014).

The purposes of the system need to be clear and consistent with the vision/mission of the program it serves. In an educational setting, those purposes also need to be consistent with the curriculum and the learning outcomes (i.e. constructive alignment) (Biggs 2014).


평가 시스템을 위한 프레임워크의 적용은 두 가지 이점을 가질 것이다. 

Application of the framework for systems of assessment will have two benefits; 


첫째는 목적에 대한 적합성이다. 많은 "전통적인" 평가는 쉽게 할 수 있거나, 지금껏 행해졌던 것에 초점을 맞추고, 종종 지식과 임상 기술만을 지나치게 강조하여, 그 결과 "좋은 성과"에 필요한 다른 역량은 희생된다. 교육 프로그램에 적합한 평가 시스템은 임상 실무에서 중요하지만 "측정하기 어려운" 역량을 평가하는 방법을 포함하여 광범위한 학습 성과와 평가 방법을 포함해야 한다. 학습- 및 직장- 기반 포트폴리오에 기반한 평가가 바람직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성찰과제, 아침 회진 및 인계, 진료기록 작성, 지역사회 프로젝트 및 프로페셔널 행동에 관련된 평가가 포함된다. 학습자들은 교육프로그램이 "검사"하는 것을 "신경"쓰기 마련이다.

the first is fitness for purpose. Many “traditional” assessments focus on what can be done easily or has always been done, often resulting in an overemphasis on knowledge and clinical skills, at the expense of the other competencies necessary for good performance. Systems of assessment for educational programs should include a broad range of learning outcomes and assessment methods, including those that assess “difficult to measure” competencies important in clinical practice. Often, assessments based on learning- and workplace- based portfolios will be desirable. Examples include assessments related to reflective assignments, morning rounds and hand offs, record keeping, community projects, and professional behaviors. Learners “respect” what programs “inspect”.


또 다른 평가시스템의 이점은 효율성입니다. 고품질 평가는 리소스 집약적이기 때문에 수집된 정보는 값비싼 리소스를 "폐기"해서는 안 됩니다. 많은 평가들은 서로에 대해, 그리고 유사한 후속 평가에 대한 예측도가 높다. 따라서, 이러한 중복성을 염두에 두고 평가 시스템을 설계하면, 평가 수행에 필요한 자원을 줄이고, 평가가 덜 자원 집약적이고 더 실현가능할 것이다.

Another benefit is efficiency. High-quality assessment is resource-intensive, so information gathered should not “waste” expensive resources. Many assessments are highly predictive of each other and of subsequent similar assessments. Consequently, designing the system of assessment with these redundancies in mind should reduce the resources needed to conduct them and make assessment less resource-intensive and more feasible.


개별 평가에서와 마찬가지로, 평가시스템에도 원하는 성과에서부터 유도된 purposeful blueprinting이 필수적입니다. 이는 적절한 방법, 역량 및 학습 결과의 범위를 선택하도록 안내하는 동시에, 직접적으로 목적을 다루도록 함으로써 평가 결과로부터 타당도 추론에 기여한다. 어떤 내용과 스킬을 평가할 때, 모든 평가는 (적절하게 잘 설계된) sample of universe를 기반으로 한다. 잘 구성된 평가 시스템은 추출된 표본과 consistent하며, 그러한 표본을 extend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교육 환경에서 일군의 학습성과로부터 추출sampled될 수 있는데, 이상적으로는 긴 시간에 걸쳐서 각 성과가 여러 차례 평가될 수 있도록 중복overlapping되는 범위를 가져야 한다.

Purposeful blueprinting driven by the desired outcomes is essential for systems, just as it is for individual assessments. This promotes the validity of inferences from assessment results by guiding the selection of a range of appropriate methods, competencies, and learning outcomes, while ensuring that purposes are directly addressed. All assessments are based on a sample of a universe (preferably well-designed) of content and skills; well-constructed systems of assessment are consistent with and can extend that sampling. For example in an educational setting, competencies might be sampled from across a set of learning outcomes, ideally with overlapping scope so that, over time, most are assessed on several occasions.


개별 평가에 대해서 신중한 선택과 설계 또한 필요하다.

Careful selection and design of individual assessments are also required,


동일한 역량의 서로다른 측면을 목표로 하는 방법을 사용하는 것이 도움이 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삼각측량을 촉진하고 광범위한 지식, 기술 및 행동적 내용에 대해 효율적인 평가를 촉진할 수 있다(Wilkinson 2007).

The use of methods aimed at different aspects of the same competence can be helpful as it will facilitate triangulation and the efficient assessment of a wide range of knowledge, skills, and behavior content (Wilkinson 2007).


개별 평가의 타이밍과 순서에는 평가시스템의 목적에 관계없이 세심한 계획이 필요하다. 이는 교육 프로그램에서 개별 학생의 학습 궤적을 reflect하도록 설계된 시스템에서 특히 중요하다.

The timing and sequencing of individual assessments requires careful planning regardless of the purposes of the system. This is particularly important for systems designed to reflect the learning trajectories of the individual students in an educational program.


개별 형성평가의 빈도를 늘리면, 소수의 고부담 시험에 의한 압력을 줄일 수는 있지만, 동시에 실현 가능성 문제도 야기할 수 있다. 교육 프로그램에서, 많은 역량이 서로 다른 시간에 그리고 다른 순서로 달성될 수 있으므로, 이 접근방식은 일정정도의 유연성을 허용할 것이다. 또한 학습 속도가 느려지면 재교육 및 추가 자원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Increasing the frequency of individual formative assessments reduces the pressure created by a small number of high-stakes events, but this can also create feasibility issues. In educational programs, many competencies can be achieved at different times and in different sequences so this approach allows for some flexibility. Further, slower learning might trigger the need for remediation/additional resources.


일부 관찰자는 광범위한 평가 방법의 사용 신뢰성에 미치는 잠재적 영향에 대해 우려하며, 어떤 평가방법은 단독으로 사용될 경우 신뢰성이 낮게 나타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복수의 방법과 복수의 평가자를 여러 차례에 걸쳐서 사용하면 다양한 attributes를 달성했다는 증거를 제공하기에 충분하다.

Some observers are concerned about the potential impact on reliability of using the broader range of assessment methods, some of which, when used alone, demonstrate lower reliability. The use of multiple methods and multiple judges on multiple occasions is sufficient to provide evidence for the achievement across a range of attributes.


총괄적 결정이 필요한 경우, 기준 설정은 복잡할 수 있으며, 개별 평가의 aggregated된 결과에 기초하여 종합적인 결정을 내리는 다양한 방법이 필요할 수 있다. 수많은 평가(예: 교육 프로그램의 일부로서)가 있을 때, 이러한 결정을 순전히 양적 및 기계적 방식으로 결합하는 것은 어려운 일일 뿐만 아니라, 만족스러운 결과를 내지 못할 수 있다. 이 전략은 특정 평가가 중요함에도 불구하고 전체적인 의사결정에 대한 기여도가 낮다는 이유로 경시하는 결과를 유발 할 수 있다.

Where summative decisions are needed, standard setting may be complex and require a variety of methods to make an overall decision based on the aggregated results of individual assessments. Combining these decisions in a purely quantitative and mechanical way, especially when there are numerous assessments (e.g. as part of an educational program), is challenging and may not yield a satisfactory outcome. This strategy may also trivialize important individual assessments when they contribute less to an overall decision.


시스템의 목적에 맞는 경우 일련의 비보상적 결정을 내리는 것이 합리적일 수 있습니다. 결론을 내릴 때 모든 측정 정보를 가장 잘 고려하는 위원회 판단 절차를 마지막으로 사용하는 것이 적절할 수 있습니다. 

Where it fits the purposes of the system, it may be reasonable to make a series of non-compensatory decisions, . Finally use of a committee judgment process, which takes all of the measurement information into account in coming to a conclusion, may be the best alternative. 


일부 평가 시스템에서는 개별 측정은 형성평가와 총괄평가 목적 모두에 대해 사용된다. 이렇게 할 경우, 효율성이 향상될 수 있고 , 평가 결과를 바탕으로 피드백도 제공하고 의사 결정을 내리는 데에도 도움을 받을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이중적인 목적은 조심스럽게 다뤄져야 한다. 형성적 목적을 위해 설계된 평가는 종종 총괄적 목적에 적합하지 않은 특성을 가지고 있다.

In some systems of assessment, individual measures are used for both formative and summative purposes. This contributes to improved efficiency, potentially making assessments helpful in both, providing feedback and making decisions. However, we believe this dual purpose needs to be handled cautiously. Assessments designed for formative purposes often have characteristics that make them less than ideal for the summative purposes and vice versa.


이 문제에 대한 한 가지 접근법은 [피드백을 제공하는 개별 교수진]과 [별도로 평가 결과에 따라 의사결정을 담당하는 위원회]를 만드는 것이다. 위원회의 구성원들은 학생들에게 가까이 있는 사람들이 아니며, 가르치고 피드백을 주는 사람들은 총괄적 결정을 내리지 않는다.

one approach to this challenge is to create a committee that is responsible for making decisions based on assessment results, separately from individual faculty providing feedback. Members of the committee are not those who are close to the students along the way and those who teach and give feedback do not make decisions.



Recommendations for future work


   프레임워크의 adaptability가 기술과 인공지능(AI)에 미치는 영향

   평가 방법의 비용 및 ROI

   교육 및 의료 시스템과 평가의 상호작용

   이 프레임워크와 문헌에 보고된 다른 프레임워크 사이의 관계(예: Michie et al. 2011)


   The adaptability of the frameworks to technology and artificial intelligence (AI)

   The costs and the return on investment of assessment methods

   The interaction of assessments with educational and health care system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se frameworks and others reported in the literature (for example Michie et al. 2011).


Conclusions


평가 시스템의 경우 고려해야 할 몇 가지 추가 요소 또는 최소한 몇 가지 추가 측면이 있다. 이는 개별 평가의 구현과 달리, [표본 추출, 타이밍 및 의사결정, 서로 다른 출처의 다른 종류의 정보를 결합하는 방법, 진급결정이 이루어지는 방법]과 관련이 있다.

For systems of assessment there are some additional elements, or at least some additional aspects, that should be considered. These relate not so much to the way individual assessment episodes are implemented, but more to the sampling, timing and decision-making, the means of combining different kinds of information from different sources, and how progression decisions are made.










 2018 Oct 9:1-8. doi: 10.1080/0142159X.2018.1500016. [Epub ahead of print]

2018 Consensus framework for good assessment.

Author information

1
a FAIMER , Philadelphia PA , USA.
2
b NBME , Philadelphia PA , USA.
3
c School of Medicine of Ribeirão Preto , Universidade Cidade de Sao Paulo , Ribeirão Preto , Brazil.
4
d Groote Schuur Hospital , University of Cape Town and Groote Schuur , Cape Town , South Africa.
5
e School of Medicine , University of Minho , Braga , Portugal.
6
f Parnassia Psychiatric Institute , Maastricht University , Hague , The Netherlands.
7
g Rural Clinical School , University of Tasmania , Burnie , Australia.
8
h Cumming School of Medicine , University of Calgary , Alberta , Canada.
9
i Medical Education Unit , University of Leeds , Leeds , UK.
10
j ABMS , Chicago , IL , USA.

Abstract

INTRODUCTION:

In 2010, the Ottawa Conference produced a set of consensus criteria for good assessment. These were well received and since then the working group monitored their use. As part of the 2010 report, it was recommended that consideration be given in the future to preparing similar criteria for systems of assessment. Recent developments in the field suggest that it would be timely to undertake that task and so the working group was reconvened, with changes in membership to reflect broad global representation.

METHODS:

Consideration was given to whether the initially proposed criteria continued to be appropriate for single assessments and the group believed that they were. Consequently, we reiterate the criteria that apply to individual assessments and duplicate relevant portions of the 2010 report.

RESULTS AND DISCUSSION:

This paper also presents a new set of criteria that apply to systems of assessment and, recognizing the challenges of implementation, offers several issues for further consideration. Among these issues are the increasing diversity of candidates and programs, the importance of legal defensibility in high stakes assessments, globalization and the interest in portable recognition of medical training, and the interest among employers and patients in how medical education is delivered and how progression decisions are made.

PMID:
 
30299187
 
DOI:
 
10.1080/0142159X.2018.1500016


학습환경에는 무엇이 있는가? 역량을 지원하기 위한 학습환경 형성에 필요한 교사의 역할 인식(Perspect Med Educ, 2015)

What’s in a learning environment? Recognizing teachers’ roles in shaping a learning environment to support competency

Patricia S. O’Sullivan



저는 가르침을 통해 교수들이 학습 환경에 어떻게 큰 영향을 미칠 수 있는지에 대한 인식을 높이고 싶습니다.

I want to raise awareness about how, through teaching, faculty can have a major effect on the learning environment.


학습 환경이 성취도에 영향을 준다는 사실은 이미 이전에 고등 교육[2]과 의학교육에 나타났다[3]. 사실, 교육 환경은 인증 기관이 주목할 정도로 중요성이 높아졌습니다. 

  • LCME[4]는 학교가 '학습 환경의 주기적 평가'를 실시할 것을 요구한다. 

  • 대학원 의학 교육 인증 위원회는 '환자 안전, 의료 품질, 의료 격차 감소를 포함한 보건 서비스 품질, 관리, 관리, 근무 시간 및 업무 전환'에 대한 기관의 노력과 관련된 학습 환경을 평가하기 위해 현장 방문을 사용한다.

The finding that learning environment affects achievement has appeared previously in higher education [2] and medical education [3]. In fact, the learning environment has risen to such significance that accrediting bodies have taken note. 

  • The Liaison Committee for Medical Education (LCME) [4] requires that schools conduct ‘periodic evaluation of the learning environment.’ 

  • The Accreditation Council for Graduate Medical Education uses site visits to assess the learning environment related to the institution’s efforts to engage residents in ‘patient safety; health care quality, including reduction in health care disparities; transitions in care; supervision; duty hours and fatigue management and mitigation; and professionalism’ [5]. 


이와 같이 학습 환경이 강조되면서, 학습 환경에 대한 학생과 레지던트의 인식을 포착하고, 새로운 방법을 개발하기 위한 지속적인 노력에 대한 리뷰로 이어졌다[8].

This emphasis on learning environment has led to reviews of assessments that capture student and resident perceptions of the learning environment [6, 7] and ongoing efforts to develop new measures [8].


Dijkstra와 동료[1]는 이 프레임에서 학습 환경을 평가하는 문구를 썼다. 가르침teaching이 명시적으로 언급되지는 않지만, 대다수의 statements은 분명 가르침이 학습자의 동기부여와 관련이 있음을 보여준다. 이것은 대부분의 학습 환경 기구에 적용된다.

Dijkstra and colleagues [1] wrote statements assessing the learning environment from this framing. While teaching is not explicitly mentioned, the majority of statements used to evaluate the learning environment certainly related to teaching and to learner motivation. This is true for most learning environment instruments.


학습 환경 평가 도구의 많은 문항들은 자기 결정 이론(SDT)을 반영합니다. 간단히 말해서, Ryan과 Deci[9]가 제시하고 10Cate[10]가 요약한 바에 따르면, SDT는 동기는 세 가지 니즈에 기초한다고 제안한다: 숙달, 관계, 자율. 

  • 숙달은 학습자가 더 어려운 기회를 향해 나아가도록 독려합니다. 

  • 관계는 학습자가 환경에서 연결되고 안전하다고 느낄 수 있도록 합니다. 

  • 자율은 자신의 의사에 따라 행동을 개시하는 능력에 의해 표현된다. 

In my opinion, many items in learning environment instruments reflect self-determination theory (SDT). In brief, SDT, as put forth by Ryan and Deci [9] and summarized in medical education by Ten Cate [10], proposes that motivation is based on three needs: mastery, relatedness and autonomy. 

  • Mastery inspires learners to drive toward more challenging opportunities. 

  • Relatedness allows learners to feel connected and safe in an environment. 

  • Autonomy is expressed by an ability to initiate actions of one’s own volition. 


Dijkstra 문항들은 퍼포먼스와 성찰(숙달), 감독자 및 동료와의 관계 및 상호 작용(관계), 독립성(자율)을 확인하고자 질문했습니다. 교사들은 학습 환경 내에서의 그들의 역할을 수행함에 있어서, '동기 부여 요소'를 서포트하고 적극적으로 포함시켜야 한다.

The Dijkstra items asked about examining performance and reflection (mastery), relationships and interactions with supervisors and peers (relatedness), and independence (autonomy). Teachers, in their role in the learning environment, must teach to support and actively incorporate elements of motivation.


흥미롭게도, 렘리 등도 동일한 SDT 렌즈를 사용하여 21세기 학생의 학습 환경을 조사했다. Lemley는 밀레니얼 학생들이 내용관련성, 자율성, 선택권, 교수와 연결성을 중시한다는 것을 발견했으며, 교수와의 연결성은 [양방향 대화, 존중, 관리, 학생에 대한 지식]을 강조할 때 높아졌다.

Interestingly, Lemley et al. [11] examined the learning environment for the 21st century student using the same lens of SDT. Lemley found that millennial students valued relevance of content, autonomy, having choices, and having connection with their teachers as emphasized by two-way conversations, respect, care, and knowledge of the student.


동기를 부여하는 학습 환경 조성이 중요하다는 점을 고려한다면, 교수들은 이러한 학습 환경을 구축해야 한다. 그리고 실제로 교수들은 교수법을 통제할 수 있는 기회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이것은 실현 가능하다.

Given the importance of creating a learning environment that motivates, the faculty member must establish this learning environment; and this is feasible because faculty have the opportunity to control how they teach.


그러므로 교사로서 우리는 혁신적이고 재미있는 교육 전략을 사용할 때 학습자들이 더 잘하도록 동기를 부여하는 요소들을 포함시켜야 한다. 어떻게 해야 할까요?

Therefore, as teachers we must ensure that when using innovative and fun teaching strategies, we embed elements that motivate our learners to do better. So how might we do this?


숙달을 위하여, 우리는 강의와 임상실흡 모두에서 높은 빈도의 형성평가가 필요하다. 여기에는 퀴즈, one-minute paper, 간략한 구조화된 관찰, 환자 노트 검토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내용이 포함될 수 있습니다. 평가는 개선 방법에 대한 지침을 제공하는 의미 있는 피드백으로 이어져야 합니다 [14]. 또한 강의 시간 내에 성찰할 시간을 제공하여서 학습자가 잠시 멈추고, 학습 방법을 생각하고, 학습 방법을 개선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해 생각해볼 수 있어야 합니다 [15]. 이 시간을 별도로 확보하여 그것을 교육의 자연스러운 부분으로 만드는 것은 모든 것 중에서 가장 어려운 일일 것이다.

For mastery, we need frequent formative assessments in both didactic and clinical experiences. These can range from quizzes, to one-minute papers, to brief structured observations, or a patient note review. Assessments must lead to meaningful feedback that gives guidance on how to improve [14]. Additionally, time within teaching has to exist for reflection so that we allow learners to pause, think about how they are learning, and consider how they can engage in ways to improve their learning [15]. Setting aside this time and making it a natural part of teaching may be the most challenging of all.


관계를 위해서, 다른 사람들과 교류할 필요가 있다. 동료[16] 및 환자[17]로부터 및 동료와 함께 학습하는 데 큰 가치가 있습니다.

For relatedness we need to build in engagement with others. There is great value in learning from and with one’s peers [16] and patients [17].


자율을 위해서, 우리는 학습에게 선택권을 줘야 한다. 

For autonomy we need to include choices for learners, versus prescribing every way in which they will interact within a teaching method. This could be as small as where to sit. 


모든 교수진은 이 세 가지 요소를 포함시키기 위해 자신의 교수 전략을 재검토해야 한다. 우리는 이러한 변화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교수진 개발이 필요할 것이다.

All faculty members must re-examine their teaching strategies to include these three elements. We will need faculty development to facilitate these changes.


요약하자면, 학습 환경은 역량 기반 교육에 매우 중요합니다. 교사들이 가르치는 방식이 학습 환경에 큰 영향을 미친다. 우리는 교수진이 학습을 강화하려는 동기를 강화하는 요소를 통합하고 기관이 이를 지원할 수 있도록 교육 전략을 재정의할 것을 주장한다.

In summary, the learning environment is critical in competency-based education. The way teachers teach has a major influence on the learning environment. We advocate that faculty redefine their teaching strategies to incorporate elements that reinforce motivation to enhance learning and that institutions provide them the support to do so.




7. Schönrock-Adema J, Bouwkamp-Timmer T, van Hell EA, CohenSchotanus J. Key elements in assessing the educational environment: where is the theory?. Adv Health Sci Educ Theory Pract. 2012;17:727–42.




 2015 Dec;4(6):277-9. doi: 10.1007/s40037-015-0234-4.

What's in a learning environmentRecognizing teachers' roles in shaping a learning environmentto support competency.

Author information

1
University of California San Francisco School of Medicine, 533 Parnassus Avenue, Suite U80, Box 0710, 94143, San Francisco, CA, USA. Patricia.osullivan@ucsf.edu.
PMID:
 
26525366
 
PMCID:
 
PMC4673070
 
DOI:
 
10.1007/s40037-015-0234-4


의학교육에서 의료인문학(Med Teach, 2018)

Medical humanities in medical education and practice

Hedy S. Walda,b, Jonathan McFarlandc and Irina Markovinac




도입

Introduction


의료인문학은 무엇이며 오늘날 의학 교육에 왜 중요한가?

What is Medical Humanities (MH) and why is it important for medical education today?


의료인문학은 새로운 것이 아니다. 1920년대까지 거슬러 올라가면, Peabody(1927년)는 "환자 돌봄의 비결은 환자를 돌보는 것이다"라고 주장했고, 50년 후 Pellegrino(1984)는 다음과 같이 믿었다. "의학은 기술적, 도덕적 질문을 임상적 의사결정에 연결시킨다. 의학은 객관적이면서 동시에 연민이 있어야 한다. 의학은 과학과 인문학 사이에 자리 잡고 있으며, 온전히 둘 중 하나에 해당하지 않으며, 두 가지의 특성을 모두 지니고 있기 때문이다."

Medical Humanities is not new. As far back as the 1920s, Peabody (1927) famously claimed that “the secret of the care of the patient is in caring for the patient,” and fifty years later, Pellegrino (1984) believed that “medicine connects technical and moral questions in its clinical decisions: it is required to be both objective and compassionate. It sits between the sciences and the humanities being exclusively neither one nor the other but having some of the qualities of both.”


MH의 정의는 매우 다양하며, Ahlzen(2007)이 언급했듯이, 이처럼 정의가 다양한 것은 (약 30년 전에 의학 윤리학이 그러했듯) 학문의 번영과 성숙의 신호이다.

Definitions of MH abound, and this, as Ahlzen (2007) mentions, is a sign of a thriving and mature discipline, similar to what occurred with medical ethics approximately thirty years ago. 


그러나 다음의 정의는 특히 적절해 보인다. "질병, 장애, 의료 개입에 대한 인간의 경험을 기록하고 해석하기 위한 통합적이고 간-학제적이고 철학적인 접근..."

The following definitions, however, seem particularly pertinent: “an integrated, interdisciplinary, philosophical approach to recording and interpreting human experiences of illness, disability, and medical intervention…” (Evans 2002) 


"의료에 대한 지식이 있고 민감한 제공자, 환자 및 가족 간병인을 양성하기 위해, 건강과 질병의 인간적 조건을 이해하는 것을 다루는 학제간 분야" (Klugman 2017). 

and “an interdisciplinary field concerned with understanding the human condition of health and illness in order to create health care knowledgeable and sensitive providers, patients, and family caregivers” (Klugman 2017). 


MH 의학 교육의 목적을 추구하기 위하여 "문학, 예술, 창조적 글쓰기, 드라마, 영화, 음악, 철학, 윤리적 의사 결정, 인류학, 역사 등 다양한 분야의 창조적이고 지적인 강점"에서 도출된다

MH draws on the “creative and intellectual strengths of diverse disciplines including literature, art, creative writing, drama, film, music, philosophy, ethical decision making, anthropology, and history" in pursuit of medical educational goals (Kirklin 2003).


히스(2016년)에 따르면, "증거 기반 의학은 우리를 생물 의학의 자료로 사람들을 묘사하도록 유혹합니다: 이것들은 충분하지 않고 앞으로도 충분하지 않을 것입니다. 그러한 증거는 필수적인 것이지만 항상 환자 치료에 불충분하다. 그것은 우리에게 알파벳을 제공하지만 임상의사로서 우리는 여전히 언어에 대한 확신이 없다."

According to Heath (2016), “evidence-based medicine tempts us to try to describe people in terms of data from biomedical science: these are not and will never be, enough. Such evidence is essential but always insufficient for the care of patients. It gives us an alphabet but as clinicians, we remain unsure of the language.”


인문/예술이 의학 교육에 통합되면 학습자가 전문직업성, 자기 인식, 커뮤니케이션 기술, 성찰연습과 같은 필수적 자질을 개발하는 것을 지원할 수 있을 것이라고 제안된다(Mann 2017; Wald et al. 2015). 고든(2005년)에 따르면 의료인문학은 의료와 인간의 단절을 극복할 수 있을 것이다.

Integration of humanities/arts into medical education, it is suggested, can support learners developing essential qualities such as professionalism, self-awareness, communication skills, and reflective practice (Mann 2017; Wald et al. 2015). According to Gordon (2005), the medical humanities can overcome the separation of clinical care from the human.


  • 콜빈 외 연구진(2017)은 최근 MH가 대학원 의학 교육에서 어떻게 전문직업성, 사회적, 의사소통 "역량"을 촉진할 수 있는지를 강조한 반면, 

  • 바티스타투 외 연구진(2010)은 MH를 개인적 및 전문직업적 가치의 구성construction을 보조하는 것으로 제안했다. 

  • 치아바롤리(2017년)는 MH가 의사처럼 생각하는 것을 constitute한다고 믿는다. 

  • MH는 의사 및 연수생들이 스트레스를 해소하고, 탈진 상태를 완화하며, 복원력을 강화하고, 웰빙을 촉진합니다(Gordon 2005; Wald et al. 2016. Wald). 

  • 망고니온 외 연구진(2018)의 다기관 연구는 의대 학생들의 humanities에 대한 노출이 긍정적인 개인적 자질과 연관돼 있고 번아웃을 줄임을 보여주었다.

Colvin et al. (2017) recently highlighted how MH can promote professionalism, social, and communication “competencies” in graduate medical education whilst Batistatou et al. (2010) propose MH as aiding construction of personal and professional values. Chiavaroli (2017) believes MH help constitute what it means to think like a doctor. Data are emerging on MH helping physicians and trainees cope with and reduce stress, mitigate burnout, foster resilience, and promote wellbeing (Gordon 2005; Wald et al. 2016, Wald et al. 2018). Mangione et al.’s(2018) multi-institutional US survey recently revealed medical students’ exposure to the humanities correlating with positive personal qualities and reduced burnout.


어떻게

How


의사는 과학과 일반 문화 사이의 접점에 놓여 있다(Kleinman 1988).

Physicians are poised at the interface between the scientific and lay cultures (Kleinman 1988)



MH를 의학 커리큘럼에 어떻게 도입할 수 있는가?

How can the MH be introduced into medical curricula?


MH를 의학교육에 도입해야 한다는 의견의 일치가 존재하지만, 문제는 어떻게 해야 하는지이다. 예를 들면 통합적으로 해야 하는가 선택과목으로 해야하는가?

Even though a degree of consensus exists that the MH need to be (re)introduced into medical education, the question still arises as to how; whether, and for example, they should be integrated or perhaps, optional.


[어떻게 MH를 의과대학 커리큘럼에 배치할 것인가]와 [커리큘럼이 이미 과부하되어있다]라는 주장 사이에 긴장이 있다. 게다가, 이 논쟁에서 "소프트 스킬"과 "하드 스킬"이라는 잘못된 개념이 나타난다.

Tension regarding how to place MH within medical curricula exists, and the argument that medical curriculum is already over-burdened is a strong one. Moreover, within this argument, false concepts of “soft skills” and “hard skills” appear.


전 세계의 의학 교육 내에서 MH 커리큘럼 이니셔티브가 크게 증가하고 있다.

There is a great upsurge in MH curricula initiatives within medical education around the world.


세계적으로, 최근의 리뷰들은 인문학과 의학 윤리를 중국, 아일랜드, 이스라엘, 인도 등에서 의대의 기본적인 커리큘럼 구성요소라고 설명한다.

Globally, recent reviews describe humanities and medical ethics as fundamental curricula components of medical schools in China (Kosik et al. 2014), Ireland (Patterson et al. 2016; Walsh and Murphy 2017), and Israel (Reis et al. 2016) and emerging initiatives in India (Singh et al. 2017), for example.


커리큘럼에서 MH를 어떻게 평가할 수 있는가?

How can MH in curricula be assessed?


핀 외(2013년), "우리는 인문학이 제공하는 것을 적절히 포착하고 학제간 협력을 장려하는 평가 도구를 채택해야 합니다." 그러나 Pfeiffer 등(2016)은 (샤피로 외 연구진(2009)의 주장을 인용하여) 이 주제를 다룰 때 주의할 것을 권고했다. 그들은 [MH는] "테크니컬한 역량 평가를 위해 설정된 기준을 가지고는 효과적으로 판단할 수 없다."고 지적했다. 이와 마찬가지로, 벨링(2010)은 Ousager와 Johannessen의 (2010) MH 문헌 리뷰에서 "245개 연구 중 9개만이 실제 환자들에 대한 미래의 의사들의 태도와 행동에 장기적인 영향을 주었음"을 언급하며, "결과 측정의 무딘 도구에 대하여 효과적이고 설득력 있는 대안"을 확립할 것을 요구하고 있다. 

Fins et al. (2013), “we must adopt assessment tools that adequately capture what the humanities have to offer and encourage interdisciplinary collaboration that is sophisticated and rigorous.” Pfeiffer et al. (2016), however, encourage caution when tackling this topic, citing Shapiro et al.’s(2009) assertion that these [MH] “cannot be judged effectively by standards set for evaluating technical competency.” Along these lines, Belling (2010) in response to Ousager and Johannessen’s (2010) MH literature review outcome of “only 9 out of 245 studies provided evidence of long-term impact on future doctors’ attitudes and behavior with actual patients,” calls for the establishment of “effective and persuasive alternatives to the blunt tools of outcomes measurement.”


Kuper(2006)와 Lake 등(2015년)은 MH 평가를 위한 정성적 방법의 잠재적 가치를 강조한다.

Kuper (2006) and Lake et al. (2015) emphasize the potential value of qualitative methods for MH assessment


예술 기반 개입 학습 과정을 평가하기 위한 피드백과 성찰 포트폴리오를 활용한 면밀한 관찰이 제안되었다(Osman et al. 2018).

Close observation with feedback and reflective portfolios to assess the process of learning in arts-based interventions has been suggested (Osman et al. 2018).


의과대학 교과과정에 인문학을 포함시킬 필요성을 인정하면서도 한국 학생들은 이 주제에 대해 시험을 치르지 않는 것을 선호했다.

While acknowledging the necessity of including humanities in medical school curriculum, Korean students preferred not being tested on this topic (Hwang 2014).


Graham et al. (2016)과 Shapiro et al. (2004)은 어떻게 MH를 과목에 도입하는 것이 미국 의대생들의 공감을 증가시켰는지 보여주었다.

Both Graham et al. (2016) and Shapiro et al. (2004) have shown how introducing MH into coursework has increased empathy score outcomes in U.S. medical students,


정성적 분석에 따르면 홍콩 의대생들은 의사 역할뿐만 아니라 자기, 환자, 고통, 고통과 관련된 이해의 증가에 art-making의 이점을 관련시켰다(Potash et al. 2014).

qualitative analyses revealed that University of Hong Kong medical students related the benefits of art-making to an increase in understanding in relation to self, patients, pain and suffering as well as the role of the doctor (Potash et al. 2014).


대인 커뮤니케이션 기술(ICS), 유머 및 theater의 선택MH과목의 혼합 방법 평가는 인식, 태도, 자기 효율성 및 행동 측면에서 ICS와 유머 모두에 긍정적이고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보여주었습니다.

Mixed methods assessment of an elective MH course on interpersonal communication skills (ICS), humor, and theater revealed positive, significant effect on both ICS and humor in terms of perceptions, attitudes, self-efficacy, and behavior (Karnieli-Miller et al. 2017).


공식적인 미술 관찰 훈련이 어떻게 의대 학생들의 시각 진단 능력을 향상시키는지 주목하는 것은 흥미롭다.

it is interesting to note how formal art observation training has been shown to improve medical students’ visual diagnostic skills (Naghshineh et al. 2008; Gurwin et al. 2018).


Pattison(2003년)은 "인문학의 본질의 일부는 [즐거움, 예상치 못한 통찰, 그리고 심지어 지혜의 등장을 가능하게 하는] 내재적 가치와 측정 불가능한 가치"라고 논평했다.

Pattison (2003) comments, “Part of the essence of humanities is the sense of intrinsic value and non-measurable worth that may allow the emergence of pleasure, unexpected insight, and even wisdom” (p. 34).



떠오르는 MH 토픽들

Emerging topics in MH


1. 국제보건

1. Intersections between global health and MH


In the 21st century, medical education is concerned with the global outlook and thus global health initiatives and leadership are becoming increasingly important. In line with this, Adhikari (2007) highlights how MH can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a “global physician” as “incorporating language, art, music and history into the understanding of a culture allows one to design effective global health support for a community” (https://globalhealth.duke.edu/media/ news/mellon-grant-supports-exploration-global-healthhumanities, quoting D. Clements).


2. MH의 범위 넓히기

2. Broadening the MH span 


Also of consequence is an increased integration of MH into various healthcare professions educational curricula, including pharmacy (Ishikawa 2017), nursing (Freeman and Bays 2007; McKie et al. 2008), dentistry (Zahra and Dunton 2017), and physical therapy doctoral education (Manago and Gisbert 2017). 


In the workplace, MH has a role for “interdisciplinary understanding and cooperation” (Pattison 2003) as well as for “colleagues to interact outside typical disciplinary and hierarchical divides (e.g. promoting teamwork between physicians and nurses, surgery and anesthesia, patients and clinicians)” (Katz 2014, p. 612).


3. 테크놀로지 활용

3. Use of Technology 


Technology-enhanced learning has also come to the fore recently in helping to integrate MH into curricula and some examples are the digitization of a MH session for undergraduate medical education (D’Alessandro and Frager 2017), a blended learning curriculum approach (Sechenov University 2018), as well as an arts-based mobile app (BEAM, i.e. Bedside Education in the Art of Medicine) aimed at promoting reflection on a patient’s human experience of illness (Chisolm 2017). Effective use of combined humanities modalities such as photography and narrative (Wald and Weiner 2009) and abstract art and narrative (Karkabi et al. 2014) are topics for future inquiry.


4. 보건-전 교육에서 MH

4. MH in Pre-health Education


The expansion of MH or “health humanities” (Crawford et al. 2015) in pre-health education is gaining traction, with the Journal of Medical Humanities, for example, recently devoting a special themed issue to this topic (Berry et al. 2017). 


바론(2017, 페이지 482)은 pre-health 학생들에게 의학 교육 사다리의 초기 단계에서 MH를 사용하는 것은 "커리어로서뿐만 아니라 소명으로서도 의학에 대한 이해를 변화시킬 수 있다"고 강조한다.

Barron (2017, p. 482) emphasizes that using MH at such an early stage in the medical educational ladder with pre-health professions students can “shape their understanding of medicine not just as a career but also as a vocational calling.”


5. 일생에 걸친 의료인문학

5. MH throughout the professional life trajectory 


Just as it is of interest to introduce MH at an early stage in the health professional’s education, the same is true of continuing with this implementation throughout their lifelong career trajectory. A faculty development program used guided narrative writing to promote reflection and empathy among practicing physicians (Misra-Hebert et al. 2012) for example and increased empathy scores post-interprofessional narrative medicine program in Taiwan were sustained over 1.5years (Chen et al. 2017).


6. 회복탄력성과 웰빙

6. MH and Resilience/Wellbeing 


The role of MH in clinician (and trainee) resilience and compassionate practice is gaining appreciation within current concerns about health care professions student and practitioner wellbeing (Wald et al. 2016). In this context, reflective writing can be a “resiliency workout” within professional identity formation (Wald et al. 2015) and mandala art-making with reflective writing has been suggested as a “reflective activity to provide insight into evolving professional identity and the psychological state of students,” potentially helping educators nurture students’ wellbeing (Potash et al. 2016). Cultivating self-awareness and reflection on one’s own experience as well as patients’ experiences for meaning-making through narrative medicine can promote health professional wellbeing (Sands et al. 2008). Moreover, benefits extend beyond healthcare professionals as positive effects of art, art therapy, and literature/reflective writing for patient wellness are well documented (Safar 2014; Barnes 2015; Pennebaker and Smyth 2016) including art for cancer care (Kirshbaum et al. 2017). Benefits of MH can even extend to family caregivers (DiGangi 2015; Wald 2016).


결론

Conclusions


과학과 인문학을 '비판적 리얼리즘'에 통합하는 것은, 겉으로 보기에 연결될 수 없을 것 같은 두 개의 세계(존재의 물리적 토대와 삶의 경험) 사이에 중심기둥을 제공하는 것일 수 있다.

Integrating science and the humanities for ‘critical realism’ may be a new version of reality providing a central pillar between two seemingly unbridgeable worlds: the physical basis of our existence and the experience of living (Appleby et al. 2017)


의료 분야에서는 여전히 dualism이 존재한다. 이것은 히스(2016)가 "two sides of the consultation"이라고 부른 것으로, 질병 대 병고, 객관성 대 주관성, 기술적인 것 대 실존적인 것, 과학 대 시 등과 같은 것이다. 우리는 두 측면이 모두 중요하다는 것과 두 가지가 모두 정당한 가치가 있다는 것을 인정한다. 이 안에서, 의대생들이 훈련의 초기 단계와 그들의 직업에서 다음의 것을 배우는 것이 필수적이라고 믿는다: 의료행위란 절대 흑백의 이분법적인 것일 수 없다. 또한 "전문직 실천의 지저분함"과 인간의 복잡성에는 언제나 그러한 회색지대와, 불확실성, 의심과의 씨름이 존재할 것이다. 우리는 MH를 포함시키는 것이 이것에 대응하고 능력 있고 인정 많은 의사들을 양성하는 틀을 만드는데 필요한 것을 제공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기를 바란다.

Dualism still exists in medicine; “the two sides of the consultation” as Heath (2016) notes, disease versus illness, objectivity versus subjectivity, technical versus existential, science versus poetry, and so on. We acknowledge the importance of both sides of the coin and that both are given their due value. Within this, we believe it is essential that medical students are taught, from early stages of their training and throughout their careers, that practicing medicine can never be black and white, and that grappling with the gray, uncertainty and doubt will always be present within the “messiness of professional practice” (Schon 1983) and human complexity. We hope that inclusion of the MH can support the imperative of medical education to respond to this and help to provide the necessary for framework cultivating competent and compassionate physicians.



Barron L. 2017. The impact of baccalaureate medical humanities on subsequent medical training and practice: a physician-educator’s perspective. J Med Humanit. 38:473–483. XXX


Belling C. 2010. Commentary: sharper instruments: on defending the humanities in undergraduate medical education. Acad Med. 85:938–940.


Berry S, Jones T, Lamb E. 2017. Editors’ introduction: health humanities: the future of pre-health education is here. J Med Humanit. 38:353–360.


Chiavaroli N. 2017. Knowing how we know: an epistemological rationale for the medical humanities. Med Educ. 51:13–21.


Heath I. 2016. How medicine has exploited rationality at the expense of humanity. BMJ. 355:i5705.


Jones EK, Kittendorf AL, Kumagai AK. 2017. Creative art and Educ. medical student development: a qualitative study. Med 51:174–183.


Liao L. 2017. Opening our eyes to a critical approach to medicine: the humanities in medical education. Med Teach. 39:220–221.


Peterkin A. 2016. Curating the medical humanities: twelve tips. Med Humanit. 42:147–148.


Patterson A, Sharek D, Hennessy M, Phillips M, Schofield S. 2016. Medical humanities: a closer look at learning. Med Humanit. 42:115–120.


Pfeiffer S, Chen Y, Tsai D. 2016. Progress integrating medical humanities into medical education: a global overview. Curr Opin Psychiatry. 29:298–301.


Klugman CM. 2017. Medical humanities teaching in North American Allopathic and Osteopathic Medical Schools. J Med Humanit. DOI:10.1007/s10912-017-9491-z


Todd C. 2016. Curriculum inventory in context. AAMC [accessed 2018 May 29]. https://www.aamc.org/download/464750/data/ciic035may2016.pdf.


Osman M, Eacott B, Willson S. 2018. Arts-based interventions in healthcare education. Med Humanit. 44:28–33.


Ousager J, Johannessen H. 2010. Humanities in undergraduate medical education: a literature review. Acad Med. 85:988–998.




 2018 Aug 23:1-5. doi: 10.1080/0142159X.2018.1497151. [Epub ahead of print]

Medical humanities in medical education and practice.

Author information

1
a Warren Alpert Medical School of Brown University , Providence , RI , USA.
2
b Boston Children's Hospital-Harvard Medical School , Boston , MA , USA.
3
c Sechenov First Moscow State Medical University (Sechenov University) , Moscow , Russia.
PMID:
 
30134753
 
DOI:
 
10.1080/0142159X.2018.1497151


포트폴리오에 미래가 있는가?(Adv in Health Sci Educ, 2017)

Do portfolios have a future?

Erik Driessen1








포트폴리오에 미래가 있는가?

Do portfolios have a future?


포트폴리오에 대한 이러한 세계적인 돌풍이 미래의 성공으로까지 이어질 것인가?

will this global rush on portfolios perpetuate their presumed success in the future?


포트폴리오 미래 질문은 역량 기반 교육, 성찰, 평가라는 더 큰 주제에 접근할 수 있도록 해줍니다.

The portfolio future question enables me to approach some bigger topics: competency-based education, reflection and assessment.


• 교육자들이 좋아하는 포트폴리오가 왜 학생과 교사들의 그러한 저항에 맞닥뜨리는가?

• Why do portfolios meet with such resistance from students and teachers, while educators love them?


• 학생들에게 성찰하게 하고, 그들의 성찰을 평가하는 것은 윤리적인가?

• Is it ethical to require students to reflect and then grade their reflections?; and


• 역량 기반 교육이 근무지 기반의 학습에서 학습자에게 힘을 실어 줍니까, 방해가 됩니까?

• Does competency-based education empower or hamper the learner during workplace-based learning?


다양한 종류의 포트폴리오

Different variations of a portfolio


포트폴리오를 계획할 때 무엇을 생각하십니까? 사실 포트폴리오의 형태와 용도가 너무 다르기 때문에 이에 대해 일반적인 발언을 하는 것은 거의 불가능하다. 그러나 이들의 다양한 변화에도 불구하고, 우리는 두 가지 중요한 유형, 특히 성찰형 포트폴리오포괄적 포트폴리오를 구별할 수 있다(Roberts et al. 2014).

What do you see when you envision a portfolio? Portfolios in fact differ so much in their form and use that it is almost impossible to make general statements about them. Despite their many variations, however, we can distinguish two overarching types, specifically the reflective portfolio and the comprehensive portfolio (Roberts et al. 2014).


성찰형 포트폴리오의 생존가능성은 낮다고 생각하나, 포괄적 포트폴리오에서는 가능성을 보고 있다.

It is for comprehensive portfolios that I do see potential, although I am less convinced of the viability of reflective portfolios.


1. 성찰형 포트폴리오

Reflective portfolios


성찰형 포트폴리오는 주로 성찰기술의 개발을 목표로 한다. 그것은 학생들이 그들의 학습이나 직업에서 중요하다고 생각되는 측면에 대한 성찰을 쓰도록 요구한다.

The reflective portfolio is largely aimed at the development of reflective skills. It requires students to write up a reflection on an aspect that is considered important to their learning or profession.


Maastricht의 1학년 학생들은, 자신이 받은 평가 피드백을 바탕으로 네 가지 역할을 성찰한다(Driessen et al. 2003). Roberts et al. (2014)는 이러한 유형의 포트폴리오를 언급하기 위해 '형성적 포트폴리오'라는 용어를 사용하지만, 이것은 혼란스럽다고 생각합니다.

first-year students in Maastricht to reflect on four roles based on the assessment feedback they received (Driessen et al. 2003). While Roberts et al. (2014) use the term formative portfolio to refer to this type of portfolio, in my view this is confusing:


형성평가와 총괄평가를 구분하는 것을 더 좋아하지 않는 이유는 이러한 구분이 첫눈에 보는 것보다 덜 명확하기 때문이다. 이 주제에 대한 비판적 관점을 위해 나는 Man Sze Lau의 "형성평가는 좋고 총괄평가는 나쁜가"라는 논문을 참조한다. 따라서 본 논문의 목적상 성찰형 포트폴리오라는 "성찰에 주된 초점을 두는 포트폴리오로서, 그 포트폴리오는 그 자체로 존재하거나, 기존 과목에 추가되는 것일 수 있다"

reason why I prefer not to distinguish between formative and summative assessment is because this distinction is less clear than one would think at first sight. For a critical perspective on this topic I refer to Man Sze Lau’s ‘‘Formative is good, summative is bad’’ paper (2015). Hence, for the purpose of this paper the term reflective portfolios refers to portfolios with a strong focus on reflection that are either self-contained or an addition to an existing course.


2. 포괄적 포트폴리오

Comprehensive portfolios


포괄적 포트폴리오는 커리큘럼에 통합된다. 즉, 평가 프로그램의 일부를 구성한다(Eva et al. 2015; van der Vleuten et al. 2012). 예를 들어, 학부 실습전 평가 프로그램(Daneffer 및 Henson 2007) 또는 국가단위 졸업후 역량바탕 평가 프로그램(Munen-van Loon et al. 2013) 등이 될 수 있다.

Comprehensive portfolios are integrated into the curriculum, i.e., they form part of an assessment program (Eva et al. 2015; van der Vleuten et al. 2012). This can be an undergraduate preclinical assessment program (Daneffer and Henson 2007) or a national postgraduate competency-based assessment program (Moonen-van Loon et al. 2013), for example.


이러한 프로그램에서 포트폴리오는 프로그램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해 다른 도구들과 함께 사용된다. 포트폴리오는 다른 (평가)도구에서 생성된 모든 정보를 종합한다. 포괄적인 포트폴리오의 목표는 두 가지이다. 하나는 학생들의 학습 과정을 서포트하는 것이며, 다른 하나는 학생들의 진척도를 평가하는 것이다. 포괄적 포트폴리오에는 성찰이 포함될 수 있지만, 그 내용은 성찰적 포트폴리오보다 훨씬 더 다양하다

In these programs the portfolio is used in combination with other instruments to realize the program’s purpose. The portfolio brings together all the information that the other instruments have generated. The goal of comprehensive portfolios is twofold: to support the student’s learning process and to assess the student’s progress. Comprehensive portfolios can contain reflections, but their content is much more diverse than that of reflective portfolios.


대중과의 관계

Public relations


포트폴리오의 소멸을 막기 위해 우리가 다루어야 할 가장 중요한 문제는 포트폴리오에 대한 '나쁜 평판'이다. 지난 20년간은 포트폴리오는 "행복한 포트폴리오 개발자들과 짜증내는 포트폴리오 사용자들"로 특징지어져 왔다.

The most important issue we must address to prevent portfolio’s demise is its bad reputation. The last two decades have been characterized by happy portfolio developers and grumpy portfolio users.


과학자들은 수년 동안 이러한 저항의 이유를 조사하기 위해 노력했다(Driessen et al. 2007. 우리는 포트폴리오가 그 자체만으로는 작동하지 않는다는 것을 발견했다. 포트폴리오의 중요한 특성은 취약성이다. 포트폴리오의 이러한 특성으로 인하여, 포트폴리오는 멘토링, 개방형 구조, 학습 환경 지원, 사용자에 대한 직접적 학습 이익 등과 같은 다수의 조건이 충족된 경우에만 작동합니다(Driessen et al., 2005).

Scientists, have sought to investigate this resistance for many years (Driessen et al. 2007). We found that portfolios do not work by themselves. An important characteristic of portfolios is their vulnerability: they only work if several conditions have been fulfilled, e.g., mentoring, open structure, supporting learning environment and a direct learning gain for their users (Driessen et al. 2005).


성찰형 포트폴리오의 경우, 후자의 조건은 충족하기가 거의 불가능해 보인다. 많은 학생들은 성찰을 학습 전략으로 여기지 않는데, 특히 포트폴리오 작성시 인위적이고 고정된 형식을 사용하도록 강요당하고, 이러한 성찰의 결과를 바탕으로 학습의 방향을 잡아줄direct 기회가 거의 없을 때 특히 그렇다. 대부분의 전임상 학습은 틀이 정해져 있으며, 학생들이 자신의 학습 요구에 맞게 환경을 조정할 수 있는 유연성이 적다. 이 모든 것은 학생과 교사가 성찰형 포트폴리오에 불만을 갖게하고, 결과적으로 동기부여와 참여가 낮아지게 된다. (안필드 외 2015) 결과적으로, 학생과 교사는 포트폴리오를 그저 또 하나의 해야 할 과제로 여긴다. 그러므로, 나는 성찰형 포트폴리오가 미래의 방향이라고 생각하지 않으며, 무엇보다 학생들로 하여금 성찰하게 하고, 그 성찰을 평가하는 경우에 특히 그러하다.

In the case of reflective portfolios this latter condition appears almost impossible to satisfy. Many students do not value reflection as a learning strategy, especially not when they are forced to use an artificial and fixed format and they have little opportunity to direct their learning as a result of these reflections. Most preclinical learning is structured and there is limited flexibility to adapt the environment to the student’s learning needs. All this causes students and teachers to be unsatisfied with their reflective portfolio, and, consequently, to become less motivated and engaged (Arntfield et al. 2015). As a result, they regard portfolios as just another assignment they have to do. Therefore, I do not believe that reflective portfolios are the way of the future, especially not when considering the problems involved in requiring students to reflect and assessing these reflections.


고백

Confessions


의무적인 반성만큼 의사와 의대생을 자극하는 것은 거의 없는 것 같다. (Tomlinson 2015)

Few things seem to irritate doctors and medical students so much as mandatory reflection. (Tomlinson 2015)


반영은 가치 있는 능력이지만, 역량 기반 교육에서도 인기 있는 학습 방법이 되었습니다. 역량 기반 학습의 첫 도입부터 학생들과 주민들은 훈련과 평가 프로그램의 일환으로 의무적인 반성을 강하게 거부했다.

While reflection is a valuable competence, it has also become a popular learning method in competency-based education. From the first introduction of competency-based learning students and residents fiercely resisted mandatory reflection as part of their training and assessment program.


Brian Hodges는 "['책무성'이라는 담론으로 인한 고부담 외부 시험]과 (등장은 더 늦었지만 절대 덜 열성적이지 않은) ['자기-주도'와 '성찰'이라는 내부적 동기부여] 사이에 긴장이 고조되고 있다며 우려하였다. 성찰을 평가와 혼합하면 성찰은 고해성사가 된다. 즉, 학생은 고해성사를 하고, 외부의 '판사'가 "학생이 수행한 성찰의 정확성과 객관성을 제시하고 다듬는"것이다. 학생들이 성찰적 포트폴리오에 개인적인 감정을 밝혀야 하고, 알려지지 않은 평가자에 의해 이러한 감정들을 평가받도록 강요하는 것은 얼마나 해로운가? (Ghaye 2007)

Brian Hodges, worries about ‘‘the growing tension between high stakes external examinations driven by a discourse of ‘accountability’ and a more recent, but no less passionate, investment in internally motived notions of ‘self-direction’ and ‘reflection’’’ (Hodges 2015, p. 261). Mixing reflection with assessment leads, to reflection as confession: the student reflects (confesses) and an external judge (confessor) ‘‘guides and shapes the accuracy and objectivity of the student’s reflection.’’ How harmful is it to force students to disclose personal feelings in their reflective portfolios and have these feelings assessed by a sometimes unknown assessor? (Ghaye 2007)


나는 의학 교육에서 성찰을 활용하는 것에 장점이 있다고 확신한다. Dewey가 성찰을 정의내릴 때 "당신의 미래 행동이 "행동과 신념과 그것을 뒷받침하는 가정에 대한 체계적이고 비판적인 평가와 분석"에 의해 인도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라고 말한 것을 지지한다. (Driessen et al. 2008. 827).

I am convinced that reflection in medical education has merits. I endorsed Dewey’s definition of reflection as letting ‘‘your future behavior be guided by systematic and critical evaluation and analysis of actions and beliefs and the assumptions that underlie them’’ (Driessen et al. 2008, p. 827).


나는 또한 "성찰은 비판적사회적탐구가 되어야 하며, 사회적 및 시스템적 권력, 사고과정과 권력관계에 내포된 가정에 더 명확한 관심을 가져야 하며, 이를 통해 변화와 행동을 이끌어야 한다"는 Ng 등의 주장에 동의한다.

I also subscribe to Ng et al.’s assertion that reflection should more be seen as a critical social inquiry, requiring ‘‘more explicit attention to social and systemic forces, and the assumptions embedded in thought processes and power relations, with an aim toward transformation and action’’ (Ng et al. 2015, p. 465).


요컨대, 성찰은 나를 딜레마에 빠지게 한다: 나는 배우고 연습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을 알지만, 나는 또한 이미 짜여진 구조에서 이뤄지는 의무적인 성찰에 대한 의구심을 갖고 있다. 아마도 [안전하고 개방적인 환경에서, 신뢰받는 사람과 나누는 성찰적 대화]를 강조하는 학습환경과 포트폴리오가 앞으로 나가가야 할 길일 것이다. 하지만, 이런 환경을 조성하기에는 의학 교육이 갈 길이 멀다.

In sum, reflection places me in a dilemma: while I recognize its importance to learning and practice, I also seriously doubt mandatory pre-structured reflection. A learning environment and a portfolio that values a reflective dialogue with a trusted person in an open and safe way, is probably the way to go. However, it is a long road for medical education to create such an environment.


병원의 카프카

Kafka at the hospital


GME에서 교육자들이 역량 기반 교육에 처음 집중했을 때, 저는 교육자들이 평가 도구를 찾는 데 급급했던 모습을 기억합니다. 저는 그 교육자로 하여금, 잠시 생각을 멈추고 그들이 평가하려고 계획하고 있는 역량을 어떻게 가르칠지에 대해 생각해보게 만들기 위해 온갖 노력을 해야만 했습니다. (오설리번 논평 2015 페이지 277)

When educators in graduate medical education first focused on competency-based education, I remember a rush to find assessment instruments. I struggled to have those same educators pause long enough to think about how they would teach the competencies they planned to assess. (O’Sullivan Commentary 2015, p. 277)


역량 기반 학습 포트폴리오는 많은 양의 세부적인 성과, 역량, EPA, 이정표를 기록하는 도구가 되었다. 훈련 기간이 끝날 때쯤 학생들은 그들이 모든 요구조건을 충족시켰다는 것을 증명해야 하고, 선생님들은 이것을 점검해야 한다. 늘 시간이 부족한 임상에서는 가르치기에도 부족한 그 시간 내에 (피드백과 학습에 대해 토론하는 대신) 포트폴리오를 체크하기도 해야 한다. 이런 식으로 포트폴리오들은 직장에서 우리의 학습자들을 empower하는 대신에, 관료적 행위로 퇴보한다.

In competency-based learning portfolios have become instruments for the recording of large quantities of detailed outcomes, competencies, entrustable professional activities and milestones. At the end of the training period students have to prove that they have met all the requirements and their teachers have to check this. In time-scarce clinical practice the limited time for teaching is used for checking portfolio checklists instead of discussing feedback and learning. In this way portfolios degenerate into bureaucratic exercises instead of empowering our learners in the workplace.


생각을 위한 음식

Food for thought


모든 학생들, 레지던트, 의사, 기타 의료 종사자들은 역량 기반 커리큘럼에서 포트폴리오를 compile하는 방식을 채택했다. 그러나, 그들은 종종 성찰형 포트폴리오에서 얻는 이득이 거의 없음을 깨달았으며, 학자들은 성찰형 포트폴리오에서 성찰을 의무화하는 것의 윤리성에 의문을 제기한다. 학생들, 레지던트들, 교사들, 학자들은 모두 역량 기반 교육에서 포괄적 포트폴리오의 구현을 둘러싼 관료주의를 비난한다.

On all continents students, residents, physicians and other health care workers have adopted the practice of compiling a portfolio in their competency-based curricula. Yet, they often perceive little gain from their reflective portfolios, while scholars question the ethics of obligatory reflection in reflective portfolios. Students, residents, teachers and scholars alike condemn the bureaucracy surrounding the implementation of comprehensive portfolios in competency-based education.


해결책은 무엇인가?

Is there a way out?


의학교육에서 포트폴리오의 선구자들이 [포트폴리오 평가] 대신 [포트폴리오 학습] 또는 [포트폴리오 기반 학습]을 말하고 있으며(Snaddden et al. 1996; Snadden and Thomas 1998), 포트폴리오를 "학습자와 관리자의 상호작용을 통해 [토론 및] 추가 학습을 유도하기 위한 촉매 역할을 하는 시스템"으로 정의하였다 (Snaddden et al. 1996, 페이지 148). 따라서, 가장 바람직하게는, 포트폴리오는 학습자와 멘토에게 "생각을 위한 음식"을 제공하는데, 포괄적 포트폴리오의 경우 학습과 과거의 성과에 대한 정보와 피드백을 풍부하게 제공할 수 있으며, 여기에 학습자의 의도와 계획에 대한 학습자의 관점이 더해지게 된다. 이러한 자료는 학습자와 멘토 사이에 퍼포먼스, reassurance, 향후 학습 및 실습 지침에 대한 대화를 가능하게 만든다(Tunissen 및 Eppich).

It is with good reason that the portfolio pioneers in medical education spoke of portfolio learning or portfolio-based learning instead of portfolio assessment (Snadden et al. 1996; Snadden and Thomas 1998) and defined portfolio as a ‘‘system [that] operates …through the interaction of a learner and supervisor using the material as a catalyst to guide [discussion and] further learning’’ (Snadden et al. 1996, p. 148). Hence, portfolios at best provide learners and their mentors with food for thought, which in the case of comprehensive portfolios can be especially rich, with information and feedback on learning and past performance, the learner’s perspective on this combined with the learner’s intentions and plans for the coming period. These materials can feed the conversations between learners and mentors about performance, reassurance, and directing future learning and practice (Teunissen and Eppich in press).


문제의 근본 원인은 이것이다

the root cause of the problem,


우리는 배움에 관심을 기울이지 않는다; 우리는 이상적인 경우에만 모든 학습자들이 멘토링을 받을 수 있는 멘토의 시간을 보장한다. 이것은 정당하지 못하다. 왜냐하면 멘토링은 우리의 의학 교육 도구 상자에서 이용 가능한 가장 강력한 학습 방법일 것이기 때문이다.

we pay no heed to learning; only in the ideal world do we ensure mentor time for every learner. This is unjust, for mentoring is likely the most powerful learning method available in our medical education toolbox (Driessen and Overeem2013).


25년 간의 포트폴리오가 드디어 그 이야기를 명확히 드러내고 있습니다. 멘토링 없이는 포트폴리오에 미래가 없으며, 우리의 역량바탕교육 프로그램을 방해하는 관료적 장애물에 그칠 것이다. 

  • 우리는 학습자들에게 우리 자신을 헌신합시다. 

  • 학습자와 멘토 간의 토론을 guiding하고, 학습을 지원하는 포트폴리오를 구축합시다. 

  • 학생들에게는 포트폴리오 데이터를 바탕으로 학생의 경험을 파악하고, 개선 계획을 수립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멘토들을 제공합시다(Eva et al. 2015). 

  • 포트폴리오를 환자 차트처럼 사용합시다. 차트는 의사와 환자에게 웰빙과 치료에 대해 논의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정보를 제공한다. 

  • 포트폴리오가 학습자 차트가 되게 하여, 그것이 '학습 궤적'을 포괄적 기록이 되도록 하자. 이 포괄적 기록은 학습자와 멘토가 상호 신뢰하는 관계 속에서 학습을 촉진하기 위하여 의미 있는 대화를 나눔으로써 더 잘 돌아갈 것이다.

프로그래램 방식 평가에 대한 최근의 요구는 그러한 학습 차트 없이는 성공할 수 없다(van der Vleuten et al. 2012; Driessen et al. 2012).

Twenty-five years of portfolio reveal a clear story: without mentoring, portfolios have no future and are nothing short of bureaucratic hurdles in our competency-based education programs. 

  • Let us therefore commit ourselves to our learners. 

  • Let us establish a portfolio that supports learning by guiding the discussion between the learner and the mentor. 

  • Let us provide them with mentors who help them to use the portfolio data to make sense of their experiences and frame plans for improvement (Eva et al. 2015). 

  • Let us use the portfolio just as the patient chart. It provides doctor and patient with very useful information to discuss well-being and treatment. 

  • Let it also be a learner chart that comprehensively documents progress in a learning trajectory which is lubricated by meaningful dialogue between learner and mentor in a trusting relationship to foster learning. 

Recent calls for programmatic assessment cannot succeed without such a learning chart (van der Vleuten et al. 2012; Driessen et al. 2012).


Eva, K. W., Bordage, G., Campbel, G., Galbraith, R., Ginsburg, S., Holmboe, E., & Regehr, G. (2015). Towards a program of assessment for health professionals: From training into practice. Advances in Health Sciences Education,. doi:10.1007/s10459-015-9653-6.


Man Sze Lau, A. (2015). ‘Formative good, summative bad?’A review of the dichotomy in assessment literature. Journal of Further and Higher Education,. doi:10.1080/0309877X.2014.984600.


O’Sullivan, P. S. (2015). What’s in a learning environment? Recognizing teachers’ roles in shaping a learning environment to support competency. Perspectives on Medical Education, 4, 277–279.






 2017 Mar;22(1):221-228. doi: 10.1007/s10459-016-9679-4. Epub 2016 Mar 30.

Do portfolios have a future?

Author information

1
Department of Educational Development & Research, Faculty of Health Medicine and Life Sciences, Maastricht University, Maastricht, The Netherlands. e.driessen@maastrichtuniversity.nl.

Abstract

While portfolios have seen an unprecedented surge in popularity, they have also become the subject of controversy: learners often perceive little gain from writing reflections as part of their portfolios; scholars question the ethics of such obligatory reflection; and students, residents, teachers and scholars alike condemn the bureaucracy surrounding portfolio implementation in competency-based education. It could be argued that mass adoption without careful attention to purpose and format may well jeopardize portfolios' viability in health sciences education. This paper explores this proposition by addressing the following three main questions: (1) Why do portfolios meet with such resistance from students and teachers, while educators love them?; (2) Is it ethical to require students to reflect and then grade their reflections?; (3) Does competency-based education empower or hamper the learner during workplace-based learning? Twenty-five years of portfolio reveal a clear story: without mentoring, portfolios have no future and are nothing short of bureaucratic hurdles in our competency-based education programs. Moreover, comprehensive portfolios, which are integrated into the curriculum and much more diverse in content than reflective portfolios, can serve as meaningful patient charts, providing doctor and patient with useful information to discuss well-being and treatment. In this sense, portfolios are also learner charts that comprehensively document progress in a learning trajectory which is lubricated by meaningful dialogue between learner and mentor in a trusting relationship to foster learning. If we are able to make such comprehensive and meaningful use of portfolios, then, yes, portfolios do have a bright future in medical education.

KEYWORDS:

Assessment; Competency-based education; Medical education; Portfolio; Reflection

PMID:
 
27025510
 
PMCID:
 
PMC5306426
 
DOI:
 
10.1007/s10459-016-9679-4
[Indexed for MEDLINE] 
Free PMC Article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