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부의학교육에서 의료인문학(Acad Med, 2010)

Humanities in Undergraduate Medical Education: A Literature Review

Jakob Ousager, PhD, and Helle Johannessen, PhD




많은 연구들이 인문학이 의사들이 humane and holistically oriented되도록 크게 기여할 수 있다고 주장한다. 그리고 비록 인문학이 의학 교육에서 토대를 확보했지만, 그들은, 예를 들어, 거시해부학과 비교하면 여전히 "신입"일 뿐이다. 어떤 맥락에서든, '신입'이 일반적으로 받아들여지기 위해서서는 그들 스스로 가치나 합법성을 증명해야 한다.

Many articles claim that humanities may contribute significantly to the formation of humane and holistically oriented doctors, and although the humanities have gained ground in medical education, they are still “new kids on the block” when compared with, say, gross anatomy. In any context, newcomers usually have to prove their value or legitimacy to be accepted.



그러나 의학 커리큘럼에 인문학을 포함시키는 것이 얼마나 더 나은 의사를 만드는지를 확실하게 측정하는 것은 매우 어렵다. 결국, 의학 교육에 인문학을 포함시키는 목적은 실제로 측정 가능한 특정한 결과를 만드는 것이 아닐 수도 있다.

It is, however, very difficult to measure with any certainty to what extent the inclusion of humanities in medical curricula makes better doctors. After all, the purpose of including the humanities in medical education really may not be to produce specific measurable outcomes.


하지만 현재의 주된 흐름은 성과기반 교육입니다. 따라서 경험적 증거가 부족하다면, 의료인문학이 의학 교육에서 확고한 위치를 얻고 유지하는 것을 방해할 수 있다.

It is outcomes-based education, though, that is currently on the agenda,1 so a lack of empirical evidence may hinder the humanities in gaining and keeping a firm position in medical education.



방법

Method


All publications were sorted manually following the inclusion and exclusion criteria indicated in Table 1.



 The tags are described in greater detail in Table 2.



분류는 다음과 같다.

The typology presented below distinguishes between articles categorized as primarily


1. 사례 제시: 여기에 속하는 연구는 주로 학부의학교육에 인문학을 통합하는 데 필요한 일반적인 관련성이나 필요성에 대한 주장을 포함하고 있다. 또한, 의학 교육에서 인문학의 존재이유에 대한 근본적 승인approval에 의지하여, 주로 학부 의과대학에서 인문학을 어떻게 교육해야 하는지를 논하거나, 인문학의 통합에 장애가 되는 것을 어떻게 극복해야 하는지에 대해 논한다.

1. Pleading the case: Publications predominantly containing arguments in favor of the general relevance or necessity of integrating humanities in undergraduate medical education. Also, publications predominantly arguing how humanities should be taught in undergraduate medical education, relying on a fundamental approval of the humanities’ raison d’eˆtre in medical education, or stating how impediments to the integration of the humanities should be overcome.


2. 과정 설명 및 평가: 출판물은 주로 특정 커리큘럼 활동 또는 일련의 활동에 대해 설명한다. 이러한 설명에는 평가에 대한 설명도 포함될 수 있다. 평가는 전형적인 학생 설문조사의 형태 또는 해당 커리큘럼 활동의 퀄리티 또는 성공에 대한 강사의 평가, 또는 학생의 지식, 기술 또는 태도 측면에서 커리큘럼 활동이 즉시 미치는 영향을 (때로는 자기보고식으로) 측정합니다.

2. Course descriptions and evaluations: Publications predominantly centered around descriptions of specific curricular activities or series of activities. Descriptions may be accompanied by evaluations, whether in the formof typical student surveys, an instructor’s estimation of the quality or success of the curricular activity in question, or some measurement of the immediate impact of the curricular activity in terms of students’ (sometimes self- reported) gain in knowledge, skills, or attitude.


3. 장기적 영향의 증거 찾기: 학부 의과대학에서 인문학의 영향에 대한 (장기적) 증거를 제공하는 경험적 발견을 보고하는 것들이 여기 속한다. 예들 들면 향후 의사들의 실제 지식, 행동 및/또는 실제 치료를 받는 환자에 대한 태도 같은 것이다.

3. Seeking evidence of long-termimpacts: Publications reporting empirical findings that provide evidence for the impact of humanities in undergraduate medical education on future doctors’ actual knowledge, behavior, and/or attitudes toward patients in real-life doctoring.


4. 유보: 의학교육에서 인문학이 꼭 필요하다고 주장하지 않는다. 그러나 의학교육에서 인문학 교육이 갖는 어려움이나, 의구심, 또는 기대에 대한 의문을 지적하며, 성과나 인문학 통합의 영향에 대해서도 의문을 갖는다.

4. Holding the horses: Publications not necessarily unfavorably disposed toward humanities studies in medical education, but pointing out difficulties, voicing reservations, or questioning expectations as to the outcome or impact of integrating humanities studies in undergraduate medical education.



결과

Results


많은 연구에서 의문을 가졌던 커리큘럼 활동에 의해 유발된 유익한 영향이나 효과를 설명한다. 그러나 종종 이러한 "관련성 선언"은 포괄적 용어로 제시되었고, 체계적인 방법을 통해 경험적 증거을 제공하여 뒷받침하지 않았다. 예를 들어, 존스와 카슨10은 인문학이 올바른 방식으로 의학 커리큘럼에 통합되면 학생들은 결국 "자신과 가족을 위해 자부심을 가질 만한 윤리적이고, 공감적이며, 교육을 받은 의사들이 될 것다"라고 했지만, 그 주장을 뒷받침하는 경험적 연구는 없었다.

Many publications account for the beneficial impact or effect that was supposedly induced by the curricular activity in question. However, more often than not, these “declarations of relevance” were presented in broad terms and were not supported by empirical evidence produced in a systematic manner. Jones and Carson10 state, for instance, that if humanities are integrated into medical curricula in the right way, students will eventually “become ethical, empathic, and educated physicians, the kind of doctor one would be proud to have for one’s self and one’s family” without any empirical studies supporting the view.


이러한 연구를 읽다보면, 적어도 의학계의 몇몇 사람들은 [단순히 인문학에 대한 노출을 증가시키는 것] 만으로 의과대학생들의 개인적이고 전문적인 발전에 긍정적으로 기여할 것이고, 그래서 결국 미래의 의사와 환자 모두에게 이득이 될 것이라고 가정하고 있다는 인상을 받는다. 따라서 이들에게 인문학은 "좋은" 의사를 육성한다는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일반적인 수단으로 인식된다.

reading of the articles strengthened the impression that at least some members of the medical education community seem to assume that simply increasing exposure to the humanities will contribute positively to medical students’ personal and professional development in the broadest possible understanding and, thus, will eventually benefit both future doctors and their patients. Hence, humanities are perceived as a general means to achieve the goal of fostering the generic “good” (empathic, holistically oriented) doctor.


그러나 일부 연구는 구체적이고, 따라서 측정 가능한 학습 성과에 대한 기대를 구체화한다. 샤피로와 동료의 연구는 예술을 활용하여 의대생들의 '관찰적, 패턴 인식 기술'을 발전시킬 수 있는지에 대한 매우 좋은 사례이다. 샤피로 등이 기술한 커리큘럼 혁신의 목표는 분명하다: 훌륭한 임상수행(예: 진단 및 의료 의사결정)을 위해, 의사는 정보의 조각을 결합할 수 있어야 하며 전체적인 패턴을 형성할 수 있어야 한다. 따라서 저자들은 미술을 보고 의미를 부여하는 것으로 이와 유사한 능력을 가진 것을 추청했다. 이를 위해 연구진은 의대생들이 예술을 보고 해석하는 훈련은 패턴을 관찰하고 인식하는 그들의 능력을 강화시킬 것이라는 아이디어를 갖게 되었고, 이것이 그리고 결국 임상에서 올바른 결정을 내리고 진단하는 능력을 강화할 것이라고 생각했다.

Some studies do, however, specify expectations regarding concrete, and hence more measurable, learning outcomes. Shapiro and colleagues’11 investigation into whether the arts can be used to enhance medical students’ development of “observational and pattern recognition skills” is a very good example of such a study. The goal in the curricular innovation described by Shapiro et al is clear: For good clinical practice (e.g., in diagnostics and in medical decision making), the doctor must be able to combine pieces of information and construct an overall pattern. Looking at and giving meaning to art is thus presumed by the authors to involve similar abilities. This gives rise to the idea presented by Shapiro et al that training medical students in seeing and interpreting art will strengthen their capabilities to observe and to recognize patterns and will eventually strengthen their capability to diagnose and make the right decisions in clinical work.


사례 제시

Pleading the case


245개 논문 중 68개는 학부 의대에서 인문학에 대한 "사례 제시"로 분류되었다. 이 조항들은 주로 왜 또는 어떻게 인문학을 의학교육에 통합해야 하는지에 대한 가설을 제안하거나 제시한다. 기원은 다를 수 있지만, 이 범주의 많은 논문은 의료 환경의 기존 문제를 수정할 수 있는 인문 교육과정의 잠재력을 강조한다.

Sixty-eight of the 245 articles were categorized as “pleading the case” for the humanities in undergraduate medical education. These articles primarily propose or present hypotheses about why and how humanities should be integrated in medical education. Their origins may differ, but many of the articles in this category emphasize the potential for humanities curricula to rectify an existing problem in the health care environment.


예를 들어, Baum은 "분자적 환원주의를 지나치게 강조하면, 젊은 의사들에게 필수적인 인도주의적 본능이 상실될 수 있다는 위험이 널리 알려졌다"라고 시작하며, 이어

For example, Baum12 begins, “there is a widely recognised hazard that an exaggerated emphasis on molecular reductionism may lead to the loss of the essential humanitarian instincts of young doctors,” and goes on to clarify that


의대생들에게 예술과 인문학 교육이 갖는 기능은 학생들이 더 나은, 더 인간적인 의사가 되도록 하는 것이다. 그렇게 된다면 그들은 생명을 구하거나 누군가를 살리기 위하여 자기 희생의 순간까지 자신의 능력 안에서 모든 것을 할 것이다.

the function of teaching arts and humanities to medical undergraduates is [. . .] to ensure that they make better and more humane physicians who would do everything within their power, even to the point of self-sacrifice, to save a life or to succour someone in mortal pain.



과목 기술 및 평가

Course descriptions and evaluations


245개 논문 중 156개는 "과정 기술 및 평가"로 분류되었다(표 3 참조). 과목 설명은 대부분 코스의 존재이유 및 예상 성과에 대한 설명과 함께 제공됩니다. 예상 성과는 종종 단기적, 과목 특이적 성과에 대한 데이터를 포함한다. 과목의 존재이유에 대한 설명은 매우 상세한 경우도 있고, 일반적이거나 보편적인 경우도 있다.

One hundred fifty-six of the 245 articles in this study were categorized as “course descriptions and evaluations” (see Table 3). The course descriptions are in most cases accompanied by an explanation of the course’s raison d’eˆtre or expected outcome and some kind of evaluation data, in some instances including data on short-term, course-specific outcomes. The account of the course’s raison d’eˆtre may be either very detailed or it may be more generic or universal.


장기적 영향의 근거 탐색

Seeking evidence of long-term impact


세 번째 유형의 논문은 실제 의사의 역할에 관하여, 학부 의과대학에서 인문학 교육이 실제 지식, 기술, 행동 및/또는 환자들에 대한 태도에 영향 미친 증거를 찾는 보고서로 구성되어 있다. 이 유형의 논문에는 다음과 같은 검사 결과가 포함됩니다. 인문학 과정에 노출된 학생이나 젊은 의사가 더 많은 공감하는지, 인문학을 공부하지 않은 학생들보다 더 윤리적으로 행동하는지 등. 예를 들어, 이러한 연구들은 인문학을 접한 학생들이 (특정한 인문 관련 커리큘럼 활동에 참여하지 않은 학생보다) 에이즈에 걸린 환자들을 더 잘 이해하는지 여부를 시험할 수 있다. 

A third type of article is made up of reports seeking evidence for the impact of humanities in undergraduate medical education on future doctors’ actual knowledge, skills, behavior, and/or attitudes toward patients when it comes to real-life doctoring. This type of article includes any study that examines whether or not students or young doctors exposed to a humanities course exercise more empathy or act more ethically than do students who have not studied the humanities. These studies may also test whether trainees exposed to the humanities have a better understanding of, for instance, patients living with AIDS than they would have had they not participated in specific, humanities- related curricular activities.



유보

Holding the horses


그러나 또 다른 논문의 범주는 의학 교육에 있어서 인문학의 영향에 대한 보다 은밀한 태도를 전달하는 보고서, 편지, 논평 등이다. 우리는 이 범주에 해당하는 12개의 논문을 발견했다. 이 연구는 무딘 회의론blunt skepticism에서 과학적인 거리낌scientific reluctance에 이르기까지, 적절한 경험적 자료에 의해 뒷받침되지 않은 어떤 제안을 받아들이는 것에 대한 상태를 보여준다. 회의론의 한 예는 BMJ에서 칸이 letter이다. 그는 "어떤 근거로 20살이 넘은 이상의 의대생들에게 윤리적인 원칙을 다시 심어줄 수 있다고 보는가?" 라고 지적하며, 오히려 학생들이 나쁜 행동을 감추는 법을 배우고 있는지도 모른다고 덧붙인다.

Yet another category of articles is constituted by reports, letters, and commentaries conveying more muted attitudes toward the effect of humanities studies in medical education. We found 12 articles in this category. These articles represent a spectrum ranging from blunt skepticism to scientific reluctance about accepting any proposition not yet supported by adequate empirical data. An example of the skepticism would be Caan’s18 letter in BMJ, in which he asks, “On what evidence can medical schools ‘plant’ ethical principles anew in students aged 20 and older?” He adds that, instead, students may actually be learning to conceal bad behaviors.


과학적 반감의 예로는 샤피로 등의 논문이 있다. 

An example of scientific reluctance would be Shapiro and colleagues’19


의학 교육계에서 문학 및 인문학의 사용을 주도적으로 지지하는 것으로 잘 알려진 샤피로는 비록 이 프로젝트가 "인문학을 가정의학 임상실습에 도입할 수 있는 몇몇 가능성을 제안한다"고 결론지으며, "일부 학생들은 문학에 노출되어 이득을 볼 수도 있다."라고 하지만, 동시에 "많은 학생들은 이러한 종류의 커리큘럼에서 얻을 수 있는 이점을 대부분 인식하지 못할 수 있다."라고 지적한다그리고 결국 "실제 [임상 환경에서 문학에 노출되는 것]과 [학생들의 행동 사이의 관계]를 조사하려면 더 많은 연구가 필요하다."라고 결론짓는다.

Shapiro, well known in the medical education community as a leading proponent of the use of literature and the humanities in medical education, dryly concludes that although the project “suggests some possibilities for introducing humanities into a family medicine clerkship,” and although “some students may benefit from exposure to literature,” it is also a fact that “a significant number of learners might not perceive much benefit from this kind of curriculum,” and eventually “more research need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exposure to literature and student behaviour in actual clinical settings.”19




결과 요약

A summary of the results


요약하자면, 245개 간행물 중 224개 출판물은 의학 교육에 있어서 인문학의 잠재적 영향을 높이거나 이러한 커리큘럼 활동의 단기적 영향에 대한 약간의 증거를 가지고 실제 또는 계획된 과정을 기술했다. 오직 9개의 연구만이 의사들의 임상적 관행에 대한 장기적인 영향을 기록하려는 노력을 보여주었고 12개의 기사가 학부 의과대학에서 인문학 연구에 대한 비판적 태도를 나타내는 것으로 밝혀졌거나 인문학 프로젝트에 대한 문서화된 효과 또는 영향에 대한 근거가 충분하지 않다는 것에 대해 우려를 표한다.

To sum up, 224 publications out of 245 either praised the potential effects of humanities studies in medical education or described actual or planned courses with some evidence for short-term impact of these curricular activities. Only 9 studies were found to demonstrate efforts to document long-term impacts on the clinical practice of medical doctors, and 12 articles were found to act as mouthpieces for critical attitudes toward humanities studies in undergraduate medical education or for concerns that the humanities project, although fundamentally sympathetic, may rely on insufficient foundations when it comes to documented effects or impact.



고찰

Discussion


우리는 각 기사의 분류방식에 주관성의 요소가 있다는 것을 안다. 그러나, 우리는 이러한 불확실성이 문헌 검토로부터 얻은 전체적인 인상에 심각하게 문제를 유발하지는 않는다고 가정한다. 분명히, 문헌은 학부 의과대학에서 단기 영향, 학생 평가 및 인문학과 관련된 커리큘럼 활동 옹호, 더불어 과정에 대한 묘사를 다룬 방대한 문헌을 포함하고 있다.

we realize there is an element of subjectivity to how each article was categorized. However, we assume that these uncertainties do not seriously challenge the overall impression gained from our review of the literature. Clearly, the literature offers a substantial set of course descriptions, as well as reports of short-term impacts, student evaluations, and advocacies of humanities-related curricular activities in undergraduate medical education.


검토한 10개 간행물 중 9개 이상이 특정한 인문학-지향적 학습 활동을 기술하려는 목적이거나, 의학 교육의 필수적인 구성 요소로서 인문학을 두서 없이 construct하는데 기여하는 목적을 가지고 있었다. 학부 의학교육에서 인문학이 미래의 의사들의 태도, 능력, 관행에 관측 가능한 영향을 미치는지 여부를 체계적으로 조사한 경우는 거의 없다.

More than 9 out of 10 publications reviewed had as their main purpose either to describe specific, humanities-oriented learning activities or to contribute to the discursive construction of humanities as a necessary component of medical education. Very few systematically investigated whether humanities in undergraduate medical education has an observable impact on the attitudes, competences, and practice of future doctors.


우리는 장기간의 영향에 대한 직간접적인 증거를 보여준 연구가 부족하다고 해서, 많은 의학 교육학자들이 주장하는 것처럼 인문학 학습이 효과가 없는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라는 것을 강조하고 싶다. 샤피로 외 연구진19가 설명한 것처럼 커리큘럼 발명의 효과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는 것은 매우 복잡하며, 이는 거의 극복할 수 없는 방법론적 장애물 때문이다. 교란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는 것이 방대하고 다양해서, 학습 활동의 제안된 특정 결과를 입증하는 것은 어렵거나, 심지어 불가능할 수도 있다.

We wish to underscore that the lack of articles seeking evidence for long-term impact does not imply, directly or indirectly, that humanities studies do not have the effect claimed by many medical educationists. As Shapiro et al19 explain, conducting research into the effects of any curricular invention is complicated by a number of almost insurmountable methodological obstacles. It is difficult or maybe even impossible to demonstrate any proposed specific outcome of a learning activity because of the vast plurality of possible confounders.


의학교육에서 인문학의 "유용함"을 측정하려는 시도는 사실상 인문학은 물론 의학 교육에 대해 완전히 잘못된 관점이다. 예를 들어 20세의 쿠퍼와 타우버는 "의학 교육의 환원주의-실증주의적 방식만으로는 의사들이 환자의 신체적, 정서적 요구의 모든 범위를 충족시키는 기술과 태도를 갖게 하지 못할 것이다"고 경고한다.

any attempt to measure the “usefulness” of humanities in medical education would in effect illustrate a thoroughly defective view both of the humanities and of medical education. Cooper and Tauber,20 for example, warn us that “the reductionist-positivist mode of medical education fails to equip physicians with the skills and attitudes to meet the full range of patients’ physical and emotional needs.”


다른 말로 하면, 인문학은 환원주의의 위협으로부터 우리를 보호하고 해독하는 역할을 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주장에 따르자면, 인문학과 관련된 커리큘럼 혁신의 장기적인 영향의 증거를 요구하는 것으로 특징지어지는 근거기반의학교육을 주장하는 것은 contraindication이 될 것이다. 또한, 모든 교육 커리큘럼의 구성은 '효과의 근거'는 그저 수많은 영향요인 중 하나일 뿐인 [정치적 및 대인관계적 환경]에서 이루어진다.

Humanities, in other words, is intended to play the role as a safeguard or an antidote to a threatening reductionism. Following that line of argument, it would be a contraindication to insist on evidence-based medical education defined by a demand for proving the long-term impact of any given humanities-related curricular innovation. Further, the composition of all educational curricula takes place in a political and interpersonal milieu in which evidence of impact is only one of many influential factors.


그러나 증거 기반 의학과 의학 교육에 반대하는 이러한 주장에도 불구하고, 성과바탕교육이 현재 중심에 있다는 사실을 무시하는 것은 어렵다.1

But notwithstanding any arguments against evidence-based medicine and medical education, it is difficult to disregard the fact that outcomes-based education is currently on the agenda.1


과목의 기술과 평가가 있는 논문들은 영감을 주며, 의학 교육 분야에서 인문학을 다루는 사람이라면 누구에게나 상당한 가치를 지닌다.

articles with course descriptions and evaluations are inspiring and of substantial value for anyone within the field of humanities in medical education.


우리는 (인문학 교육이) [의사의 실제 업무]와 관련된 증거가 부족하면 학부 의과대학에서 인문학 관련 활동의 지속적인 발전에 위협이 될 수 있다고 생각한다.

We suggest that the lack of evidence for relevance to the work of doctors could pose a threat to the continued development of humanities-related activities in undergraduate medical education.


의학교육에서 인문학의 지위를 방어, 유지 또는 강화하려면, 우리는 이러한 학습 활동이 (측정가능하지 못하더라도 적어도 적어도 분명하게 확인되는) 경험적인 증거를 제공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However, to defend, maintain, or possibly strengthen the status of humanities in medical education, we anticipate that it is necessary to provide more empirical evidence that these learning activities do, in fact, deliver positive, and if not measurable then at the least noticeable, outcomes.


이러한 종류의 근거를 생산하기 위해 창조적인 방법을 개발하는 것은 중요한 도전이다.

There is a significant and important challenge in developing creative methods for the production of this kind of evidence


Conclusions


의학 교육에서 인문학이 [실제로 미래에 더 나은 의사를 만드는 데 기여한다는 증거를 제공하기가 어렵다는(심지어 누군가에게는 불쾌한) 과제]를 극복할 수 없다면, 의학 교육에 있어서 인문학의 학습은 더 허둥댈 수 있다.

Humanities studies in medical education may flounder if the medical humanities community cannot overcome the difficult (and, to some, perhaps even unsavory) task of providing evidence that humanities in medical education actually contributes to making better doctors for the future.









 2010 Jun;85(6):988-98. doi: 10.1097/ACM.0b013e3181dd226b.

Humanities in undergraduate medical education: a literature review.

Author information

1
University of Southern Denmark, Odense, Denmark. jousager@health.sdu.dk

Abstract

PURPOSE:

Humanities form an integral part of undergraduate medical curricula at numerous medical schools all over the world, and medicaljournals publish a considerable quantity of articles in this field.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extent to which the literature on humanities in undergraduate medical education seeks to provide evidence of a long-term impact of this integration of humanities in undergraduate medical education.

METHOD:

Medline was searched for publications concerning the humanities in undergraduate medical education appearing from January 2000 to December 2008. All articles were manually sorted by the authors. Two hundred forty-five articles were included in the study. Following a qualitative analysis, the references included were categorized as "pleading the case," "course descriptions and evaluations," "seeking evidence of long-term impact," or "holding the horses."

RESULTS:

Two hundred twenty-four articles out of 245 either praised the (potential) effects of humanities on medical education or described existing or planned courses without offering substantial evidence of any long-term impact of these curricular activities on medical proficiency. Only 9 articles provided evidence of attempts to document long-term impacts using diverse test tools, and 10 articles presented relatively reserved attitudes toward humanities in undergraduate medical education.

CONCLUSIONS:

Evidence on the positive long-term impacts of integrating humanities into undergraduate medical education is sparse. This may pose a threat to the continued development of humanities-related activities in undergraduate medical education in the context of current demands for evidence to demonstrate educational effectiveness.

PMID:
 
20505399
 
DOI:
 
10.1097/ACM.0b013e3181dd226b
[Indexed for MEDLINE]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