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대생 및 레지던트의 소진경험에 대한 네러티브 리뷰(Med Educ, 2016)

A narrative review on burnout experienced by medical students and residents

Liselotte Dyrbye & Tait Shanafelt




도입

INTRODUCTION


의대생, 레지던트, 펠로우(연수생)의 대다수가 업무와 관련된 심각한 스트레스와 소진을 경험한다. Burnout은 다양한 차원의 구조로 특징지어진다. 

  • 감정적 지침

  • 비인격화(즉, 환자에게서 분리되거나 냉담한 느낌) 

  • 낮은 개인적 성취감

번아웃은 훈련생들의 전문적 발달을 저해하고, 환자를 위험에 처하게 할 수 있으며, 자살 관념과 약물 남용을 포함한 다양한 개인적 문제를 유발할 수 있다.

A high proportion of medical students, residents and fellows (trainees) experience severe work-related stress and burnout.1,2 Burnout is a multifaceted construct characterised by various degrees of emotional exhaustion, depersonalisation (i.e. feeling detached from or callous toward patients) and a low sense of personal accomplishment.3 Burnout can undermine trainees’ professional development, place patients at risk and contribute to a variety of personal consequences, including suicidal ideation and substance abuse.4–8


검색 전략 및 선택 기준

Search strategy and selection criteria



무엇이 trainee 번아웃 정도는 어떠하며, 어떻게 다양한 단계의 training에 따라 다른가?

WHAT IS THE EXTENT OF TRAINEE BURNOUT AND HOW DOES IT VARY ACROSS DIFFERENT STAGES OF TRAINING?


연구들은 지속적으로 모든 지역 전문 분야에 걸쳐 그리고 전 세계에 걸쳐 높은 비율의 의대생들과 전공의들이 업무와 관련된 심각한 스트레스와 번아웃를 경험하고 있다는 것을 밝혀냈다. 우리의 국가 또는 복수 기관 연구에서 우리는 의대 학생의 35-45%가 높은 정서적 기진맥진, 26–38%가 높은 비인격화, 45–56%가 번아웃을 암시하는 증상을 가지고 있다는 것을 발견했다. 제한된 단면적 데이터는 더 상위 학년에서 학생들의 번아웃 발생률이 더 높다는 것을 암시한다. 이러한 증가의 대부분은 비인격화 경험의 증가에서 기인하는 것으로 보인다. 이것은 특히, 주로 냉담하거나 환자에게 분리되어 있는 것으로 드러나는 탄화의 측면인 탈인화가 전문성에 대한 부정적인 영향과 가장 강하게 연관되어 있기 때문에 더욱 우려된다.

Studies consistently find that a high proportion of medical students and residents across all residency specialties and throughout the world experience severe work-related stress and burnout.1,2,8–15 In our national or multi-institutional studies we found that 35–45% of medical students had high emotional exhaustion, 26–38% had high depersonalisation and 45–56% had symptoms suggestive of burnout (Table 1).1,4,5,16–19 Limited cross-sectional data suggest the prevalence of burnout is higher for students in more advanced years of training.12,17,19,20 Most of this increase appears to stem from an increase in the experience of depersonalisation.17,20 This is particularly concerning because depersonalisation, an aspect of burnout primarily manifested as being callous or detached toward patients, is most strongly associated with negative effects on professionalism.4,8


레지던트 프로그램 감독들은 번아웃 증상의 상당한 부담을 의대 졸업생에게 상속시킬 가능성이 높다.

Residency programme directors are likely to inherit medical school graduates with a substantial burden of burnout symptoms.21


일단 레지던트에 들어가면, 높은 정서적 피로의 유병률은 의과대학(44-50%)과 거의 같은 수준으로 지속된다. 그러나 비인간화(32–38%)과 전체적인 번아웃(60%)은 증가한다.

Once in residency the prevalence of high emotional exhaustion continues at about the same level found during medical school (44–50%).1,8,15 The prevalence of high depersonalisation (32–38%) and overall burnout (60%), however, increases.1,10


레지던트 훈련 중 번아웃이 전공에 따라 다른지는 알려지지 않았다.

It is unknown whether the prevalence of burnout varies by specialty during residency training;


전공에 따른 잠재적 차이 외에도, 번아웃 발생의 확산은 훈련 국가와 훈련생의 출신국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In addition to potential differences by specialty, the prevalence of burnout may also vary by country of training and the trainee’s country of origin. 


훈련생들 사이의 번아웃이 세계적인 현상이고, 종종 practice까지 이어진다는 것을 보여준다.

studies indicate that burnout among trainees is a global phenomenon2,9,11 and often persists into practice.28,30


번아웃의 유병률이 증가하고 있는가?

IS THE PREVALENCE OF BURNOUT INCREASING?


지난 10 년 동안 비슷한 방법론을 사용하여 수행 한 대규모 횡단면, 다기관, 국가단위 연구의 결과를 검토해보면 정서적 고갈 및 비인간화 점수의 평균뿐만 아니라, 높은 수준의 정서적 고갈, 높은 수준의 비인간화, 높은 수준의 전반적 번아웃이 의대 학생들은 사이에서 전반적으로 상승 추세를 보이고있다 (표 1).

When reviewing results from large cross-sectional, multi-institutional or national studies conducted over the last decade using similar methodologies, the mean emotional exhaustion and depersonalisation scores, as well as the prevalence of high emotional exhaustion, high depersonalisation and overall burnout, among responding medical students appear to have an upward trajectory overall (Table 1).



다른 고강도 분야와 비교하면 실제로 얼마나 심각한 수준인가?

HOW BIG A PROBLEM IS IT, REALLY, WHEN COMPARED WITH OTHER HIGHLY DEMANDING FIELDS?


자료에 따르면, 입학에 필요한 엄격한 학업 준비를 거쳤음에도 불구하고, 의대생들은 다른 직업군의 또래들과 비슷하거나 더 나은 정신 건강상태를 가지고 의대를 시작한다고 한다.

Data suggest that despite having gone through the rigorous academic preparation required for acceptance, medical students begin medical school with mental health profiles similar to or better than peers who pursue other careers.33,34


요구 조건이 매우 까다로운 다른 분야(예: 항공 산업, 경찰 또는 군)를 준비하는 훈련생보다 의료 훈련생들 사이에 번아웃 발생이 더 흔한지는 알려지지 않았다.

It is not known if burnout is more prevalent among medical trainees than trainees preparing for other highly demanding fields (e.g. the airline industry, police or military).



왜 훈련생들의 번아웃에 관심을 가져야 하는가?

WHY SHOULD WE BE CONCERNED ABOUT TRAINEES WITH BURNOUT?


Burnout은 잠재적으로 개인적 결과뿐만 아니라 심각한 전문적 결과를 가지고 온다(표 2). 데이터에 따르면, 범아웃은 의대생들의 전문적 발달을 저해하고 많은 전문적 자질(예: 정직, 무결성, 이타주의, 자기 규제)을 저하시킬 수 있다고 한다.

Burnout has potentially serious professional as well as personal consequences (Table 2). Data suggest that burnout may erode medical students’ professional development and diminish a number of professional qualities (e.g. honesty, integrity, altruism and self-regulation).




번아웃은 또한 [낮은 공감] 및 [사회에 대한 의사의 책임에 대한 낮은 이타적인 견해]와 관련이 있다. 번아웃 상태의 의대생들은 다음을 잘 못한다

(i) 이해 상충을 적절히 관리하는 방법 식별

(ii) 문제가 있는 동료의 적절한 보고

(iii) 적절한 처방에 대한 승인

이러한 발견들은 모두, 번아웃이 의대 학생들의 전문성 발달에 광범위하고 insidious한 위협이라는 것을 암시한다.

Burnout has also been associated with lower empathy scores and less altruistic views of a doctor’s responsibility to society.4,19,36,37 Medical students with burnout are also less likely to (i) identify how to appropriately manage conflicts of interest, (ii) report impaired colleagues and (iii) endorse appropriate prescribing practices.4,18 Together these findings suggest that burnout is a broad and insidious threat to medical students’ professional development.


레지던트 동안 번아웃이 갖는 의미는 확대된다. 현재 여러 연구들은 번아웃 상태의 레지던트가 보살피는 환자들이 최적의 치료를 받지 못하고 의료 오류를 경험할 위험이 증가하고 있다고 보고하고 있다. 번아웃 상태의 레지던트는 직장에서 집중하기가 더 어렵다고 말한다. 소진(burnout)은 지식과 스킬 획득 및 적용에 필요한 인지 프로세스를 방해할 수 있습니다.

During residency the implications of burnout magnify. Several studies have now reported that patients cared for by residents with burnout are at increased risk of receiving suboptimal care and experiencing a medical error.8,15,30 Residents with burnout report greater difficulty concentrating at work.38 Burnout may impede the cognitive processes needed for knowledge and skill acquisition and application.39


번아웃 경험은 훈련생들의 커리어에도 영향을 미칠 수도 있다.

The experience of burnout may also have an impact on trainees’ views of medicine as a career.


좀 더 최근의 작은 단면적 연구는 높은 수준의 정서적 고갈 상태에 있는 학생들이 더 통제 가능한 라이프스타일을 가진 전공을 선택할 가능성이 높은 반면, 낮은 개인적인 성취도를 가진 학생들은 더 소득이 높은 전공을 선택할 가능성이 더 높다는 것을 발견했다. 일단 레지던트가 번아웃되면 직업 만족도가 낮아지고, 전공 변경을 심각하게 고려하고, 의사를 완전히 포기하는 것과 관련이 있다.

A more recent small cross-sectional study found that students with high emotional exhaustion were more likely to choose a specialty with a more controllable lifestyle whereas those with low personal accomplishment were more likely to choose a higher-income specialty.42 Once in residency burnout is associated with lower career satisfaction,10,26 increased likelihood of seriously considering changing specialty, and abandoning medicine altogether.11


전문적인 영향 이외에도, 번아웃은 엄청난 개인적 영향을 미칠 수 있다. 2012년 국가 연구는 최근 번아웃이 알코올 남용 또는 의존성의 증가 위험과 독립적으로 관련이 있다고 보고했다.

Beyond its professional ramifications, burnout can have a tremendous personal impact. A 2012 national study recently reported that burnout was independently associated with an increased risk of alcohol abuse or dependence,7


자살에 대한 생각이 있는 학생들은 알코올 중독이나 의존성도 같이 공존할 가능성이 높습니다.7 번아웃, 자살 사고, 알코올 남용 및 의존성은 충동성을 높이고 자살 수행 위험을 증가시키기 때문에 특히 위험한 3인자가 될 수 있습니다.45–47

Students with suicidal ideation are also likely to have coexistent alcohol abuse or dependence.7 Burnout, suicidal ideation and alcohol abuse or dependence may be a particularly hazardous triad as alcohol increases impulsivity and the risk of completed suicide.45–47


번아웃의 다른 개인적인 영향으로는 높은 인간관계 스트레스26 및 자동차 사고 위험이 있습니다.50

Other personal ramifications of burnout include higher relationship stress26 and risk of motor vehicle incidents.50


무엇때문에 번아웃이 생기는가?

WHAT IS DRIVING BURNOUT?


의대생들이 다른 직업을 추구하는 연령 대졸자들보다 비슷하거나 더 나은 정신 건강 프로필을 가지고 있다는 연구 결과와, 의대생들의 정신건강이 의과대학을 거치며 비슷한 연령의 다른 대학졸업생들보다 나빠진다는 결과를 가지고 보면, 번아웃의 기원은 의대의 학습과 근무 환경에 뿌리를 두고 있음을 암시한다.

The finding that matriculating medical students have a similar or even better mental health profile than age-matched college graduates pursuing other careers and that medical students’ mental health deteriorates once in medical school to become worse than that of age-matched college graduates,1,34 suggests that the origins of burnout are rooted in the learning and work environment.


교육과정과 훈련 경험의 역할은 무엇인가?

What is the role of the curriculum and training experiences?


비록 일부 스트레스의 원천은 훈련과 연습 내내 지속되지만, 다른 스트레스의 원천은 다른 직업 단계에서 다양하다.

Although some sources of stress persist throughout training and into practice, other sources of stress vary at the different career stages (Table 3).





3개 이상으로 등급이 나뉘는 의대의 학생(예: A‒F 문자 등급, 명예/높은 패스/통과/마지널 패스/실패, 명예/통과/실패)이 엄격한 Pass-Fail 교육과정에 있는 학생보다 번아웃이 일어날 확률이 1.97배 증가하였다. 다른 연구들은 의과대학에서의 첫 2년 동안 Pass-Fail로 성적을 주는 것이 집단 응집력을 촉진한다는 것을 증명했으며, grading scheme이 학습 환경이 얼마나 supportive한지에 영향을 줄 수 있다고 제안한다. 또한 grading scheme은 학생들의 의대에 대한 초기 적응을 용이하게 하고, 회복탄력성에 중요한 사회적 지지 네트워크의 개발을 촉진한다.56

Students in a grading system with three or more hierarchies (e.g. A‒F letter grade; honours/high pass/pass/marginal pass/fail; honours/ pass/fail) rather than a strict pass or fail curriculum had 1.97 times increased odds of experiencing burnout. Other studies have demonstrated that pass or fail grading schemes during the first 2 years of medical school promote group cohesion,53–55 suggesting that grading scheme may influence the degree to which the learning environment is supportive, help ease the initial adjustment to medical school and facilitate development of social support networks that are important to resilience.56


마찬가지로, 3학년과 4학년 학생들에 대한 개별 연구는 로테이션적 특성과 근무부담, 번아웃 사이의 독립적 관계를 발견하지 못했다.58 이러한 연구는 커리큘럼과 임상근무 시간은 의대생들이 경험하는 번아웃의 원인은 아닐 수 있음을 시사한다.

Similarly, a separate study of third and fourth-year students found no independent relationship between clinical rotation characteristics and workload and burnout.58 These studies suggest that curricular and clinical hours may not drive the burnout experienced by medical students.


연구 결과는 일관성이 없지만, 레지던트의 번아웃에 대해서는 과도한 작업 부담(환자 수 증가, 야간 호출 빈도 증가, 근무 시간 증가, 자가 시간 감소 등)에 흔히 기인하는 것 같다.

Among residents burnout is commonly attributed to excessive workload, with higher patient volumes, more frequent overnight calls, greater work-hours and lower autonomy associated with an increased risk of burnout, although studies are inconsistent.2,11,26,30,32,59


총 근무 시간을 제한하는 것의 이점 중 일부는 업무 압축에 의해 상쇄될 수 있다. 이 경우 동일한 업무량 및 교육 요구사항을 더 짧은 시간 내에 완수해야 하기 때문이다. 그 결과 근로시간 제한이 레지던트에 정신 건강에 미치는 net 영향은 미미해진다.

It is possible that some of the benefits of limiting total work hours have been offset by work compression,64 where the same workload and educational requirements must be completed in fewer hours, such that the net effect of work-hour limitations on residents’ mental health is neutral.



감독관의 행동이 훈련생들의 번아웃 경험과도 관련이 있습니까?

Does supervisor behaviour relate to trainee experience of burnout?


    • 전반적인 학습환경에 대한 불만과 교수진에게 받는 서포트의 양이 1학년과 2학년 학생들의 번아웃에 가장 강하게 관련되어 있었다. 

    • 반면, 전반적인 학습환경에 대한 불만족, poor한 임상실습 구조, 시니컬한 레지던트와 같이 일하는 것 등이 3학년, 4학년 학생의 번아웃과 가장 강하게 관련되었다. 

    • 또한 스스로 학대받았거나 무시당했다는 것을 인지하는 학생들이 더 많이 번아웃될 가능성이 있다는 것을 발견했다.

dissatisfaction with the overall learning environment and amount of support from faculty staff most strongly related to burnout among year 1 and year 2 students, whereas dissatisfaction with the overall learning environment, poor clerkship organisation and working with cynical residents most strongly related to burnout among year 3 and year 4 students.58 Studies have also found that students who perceive they have been mistreated or belittled are more likely to have burnout.16,58,65


마찬가지로, 슈퍼바이저와의 stressful한 관계,2 주치의의 요구,26 불충분한 자율성,26 개인적인 요구는 중요하지 않다는 인식, 시의적절한 피드백이 부족하다는 인식 등이 레지던트의 소진과 관련이 있다.

Similarly, stressful relationships with supervisors,2 attending physician demands,26 insufficient autonomy,26 a perception that personal needs are inconsequential8 and lack of timely feedback60 are associated with resident burnout.


슈퍼바이저의 행동과 trainee의 번아웃 사이의 관계를 뒷받침하는 실질적인 자료가 있지만, 인과관계에 대한 직접적인 증거는 없다. 번아웃 증세가 있는 훈련생은 학습 환경을 다르게 보고, 그 결과 학습 환경을 더 부정적으로 보게 만들 수도 있으며, 열악한 학습 환경이 번아웃을 경험하게 만들 수도 있다.

Although there are substantial data supporting a relationship between supervisor behaviour and trainee burnout, there is no direct evidence of causality. It is possible that trainees with symptoms of burnout view the learning environment differently, leading to lower ratings of factors within the learning environment, or that a poor learning environment leads to trainees experiencing burnout.


번아웃의 취약성을 증가시키는 개별 요소가 있습니까?

Are there individual factors that increase vulnerability to burnout?


인구통계학적 측면에서, 연구들은 소수 민족 학생들이 연령, 성별, 육아, 결혼 여부 등을 통제한 후, 소수 민족 학생들보다 더 많이 번아웃할 가능성이 있다는 것을 발견했다. 비슷한 결과가 레지던트에서도 발견되었다.

With respect to demographics, studies have found non-minority students to be more likely to have burnout than ethnic minority students, after controlling for age, sex, parenting and marital status.16,58,69 Similar findings have been reported among residents2


일부 연구는 여성 의대생들과 레지던트가 또한 번아웃되거나 감정적으로 소진될 위험이 더 큰 반면, 남성 레지던트는 비인간화를 더 자주 경험할 수 있다고 하였으나, 이러한 관계는 강하지 않다고 말한다. 성격 측면에서, 한 연구는 신경과민neuroticism 정도와 정서적 피로emotional exhaustion 사이의 약하지만 통계적으로 유의한 연관성을 발견했다.68

Some studies suggest female medical students and residents may also be at greater risk of burnout58 or emotional exhaustion,2 whereas male residents may more often experience depersonalisation2 but these relationships are not strong.2 In terms of personality, a study found weak but statistically significant associations between degree of neuroticism and emotional exhaustion.68


의학 외의 삶의 스트레스 요인들도 훈련생들의 인적 자원을 고갈시킨다. 개인적인 질병, 가족 구성원들의 질병과 같은 개인적인 경험, 이혼, 가족 관련 스트레스, 그리고 재정적인 걱정으로 인해 의대생들과 레지던트들의 번아웃 위험이 증가한다.29,17,60,61

Life stressors outside of medicine also drain trainees’ personal resources. Personal experiences, such as personal illness, illness in a family member, going through a divorce, family-related stress and financial concerns increase the risk of burnout among medical students and residents.2,9,17,60,61


훈련생들 사이에 번아웃의 새로운 동인은 무엇일까?

What might be some new drivers of burnout among trainees?


많은 새로운 스트레스 요인이 다음 세대의 의사들 앞에 놓여 있다. 우선, 새 의과대학 개교로 인해 레지던트 슬롯에 대한 경쟁이 치열해지고 있습니다.

A number of new stressors are on the horizon for the next generation of doctors. For one, competition for residency slots is increasing as a result of new medical schools opening,


    • 둘째, 마일스톤을 기반으로 교육을 완료할 수 있는 단축된 경로로의 유연한 진행은 평가를 가속화하고 스트레스를 증폭시킬 수 있으며, 번아웃 위험을 증가시키거나, 교육 부담을 줄이는 대신 번아웃 위험을 낮출 수 있다. 

    • 셋째, 의료 지식이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였고, [전문가 간 팀워크, 품질 및 안전, 인구 건강 및 데이터 분석]등과 같이 달성해야 할 새로운 역량이 등장하면서 curriculomegaly를 동반한 도전을 가져왔다.

    • 넷째, 오늘날 훈련생들은 급격한 환경 및 문화적 변화를 경험하며 빠르게 발전하고 변화하는 의료 시스템에 들어가고 있다. 

    • 게다가, 그들은 노동력 부족의 시대에 일할 것이다. 따라서, 훈련생들은 새로운 제약조건과 결합된 엄청난 양의 불확실성에 직면한다.71

    • Second, a milestone-based flexible progression to shortened paths to completion of training could accelerate assessments and amplify stress, increasing the risk of burnout, or lead to reduced educational burden and lower risk of burnout. 

    • Third, seemingly exponential growth in the medical knowledge to be learned, coupled with new competencies to be reached within fields such as interprofessional teamwork, quality and safety, population health and data analytics, increases the challenges that accompany curriculomegaly. 

    • Fourth, trainees today are entering a rapidly evolving and changing health care system experiencing dramatic environmental and cultural shifts. 

    • In addition, they will work in an era of workforce shortages. Hence, trainees face an enormous amount of uncertainty coupled with new constraints.71


어떤 해결책이 있는가?

WHAT SOLUTIONS OR STRATEGIES MIGHT BE EFFECTIVE?


수많은 스트레스 요인들과 개인의 선호도를 감안할 때, 만병통치약이 있을 것 같지 않다.

Given the myriad of stressors and individual preferences, a one-sized solution is unlikely.


우리는 번아웃의 근본 원인을 제거하거나 줄이고, 회복탄력성과 웰빙 증진을 열망해야 한다.

We should aspire to eliminate or reduce the root causes of burnout and promote resilience and well-being.


번아웃 위험을 줄이기 위해 훈련생들은 무엇을 해야 하는가?

What should trainees be encouraged to do to reduce their risk for burnout?


고된 훈련에도 불구하고, 모든 의료 훈련생들이 번아웃 되는 것은 아니다. 비록 번아우셍 기여하는 많은 요소들이 개인의 통제를 벗어나지만, 개인의 선택은 스트레스 요인이 웰빙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가에 영향을 미친다. 

Despite the rigours of training, not all medical trainees experience burnout.60,69 Notably, among those who do burnout, 15–25% recover over the course of the next 1–2 years without any specific programmatic intervention.61,69 Although many factors contributing to burnout are beyond individual control, personal choices have some influence on how stressors impact well-being. 


예를 들어, 의대생인 동안에 수입을 얻기 위해 다른 부업을 하는 것은 번아웃 위험을 증가시킨다. 또한 이미 번아웃 상태라면, 수입을 위한 고용상태는 번아웃에서 회복되지 않는 것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더 높은 수준의 사회적 지원을 보고한 의대생 및 레지던트는 번아웃 증상을 가질 가능성이 더 낮다. 반면에 피로가 높은 경우 번아웃 위험이 증가한다.69

For example, being employed in order to have an income while a medical student increases the risk of developing burnout, and if already burned out, employment is strongly associated with not recovering from burnout.69 Medical students and residents who report higher levels of social support are less likely to have burnout symptoms,29,69 whereas individuals with higher levels of fatigue are at increased risk of burnout.69


다음과 같은 개인 전략에 의존하면 

    • 직장이나 훈련에서 의미를 찾고, 

    • 오락, 취미 또는 운동에 정기적으로 참여하고, 

    • 긍정적인 시각을 유지하고, 

    • 지연 만족의 멘탈리티를 피하는 것(생존적 태도)

...은 번아웃의 위험을 줄여줍니다. 

Relying on a personal strategy to 

    • find meaning in work or training, 

    • engaging regularly in recreation, hobbies or exercise, 

    • maintaining a positive outlook and 

    • avoiding a mentality of delayed gratification (i.e. ‘survival attitude’) 

...lowers the risk of burnout.8,73 


다음과 같은 개인적 선택. 

    • 휴식 시간에 충분한 수면을 취할 것 

    • 인간관계와 사회적 지원을 만들고, 

    • 건강을 유지하며, 

    • 부채 부담을 줄이고, 스트레스를 관리하면 

...번아웃 위험을 줄일 수 있다(표 4). 

Personal choices that 

ensure adequate sleep during time off, 

build relationships and social support, 

maintain personal health, 

reduce debt burden and manage stress reduce the risk of burnout (Table 4).6,9,58,66,69 


자신의 정신적 웰빙의 주도권을 쥐고자 한다면, 훈련생들은 그들의 개인적인 삶과 직업적인 삶을 통합하는데 주의를 기울이는 것이 중요하다. 또한 독립적인 연구, 개인적 추적 및 휴식을 위한 적절한 시간을 할당해야 한다.

In taking ownership of their own mental well-being, it is important that trainees are attentive to integrating their personal and professional lives, with appropriate allocation of time for independent study, personal pursuits and rest.



의대생: 모든 단계의 전략

  • 개인적 행복 수준을 평가하기 위해 사용 가능한 도구를 사용합니다.

  • 정신적 또는 정서적 문제에 대한 치료 받기

  • 업무 외 시간을 관리하여 적절한 수면 보장

  • 동료, 멘토 및 교수진과의 관계 구축

  • medical error 가능성이 우려될 경우 관리자의 지원을 받으십시오.

  • 직장에서 의미 찾기

  • 스트레스를 줄이기 위해 오락과 취미에 규칙적으로 참여

  • 긍정적인 전망 유지

  • 부채 감소에 대한 조언을 구하십시오.

  • 만족을 지연하는 자세 회피

  • 인생에서 가장 중요한 것에 집중

  • 주의력 훈련을 통해 스트레스 요인에 대한 자기 인식 및 신체적, 정서적 반응 감소

  • 독립적인 학습 및 개인 추적에 시간 할당

  • 사회에 기여할 수 있는 방법 찾기(예: 헌혈 또는 자원 봉사)

  • CDC 지침에 따른 운동

  • 연령 및 성별에 맞는 건강 검진 실시

Medical Students: Strategies for all stages

  • Use available tools to assess personal level of well-being

  • Obtain treatment for mental or emotional concerns

  • Manage time away from work to ensure adequate sleep

  • Build relationships with peers, mentors and faculty staff

  • Seek support from supervisors when worried about possible medical error

  • Find meaning in work

  • Engage regularly in recreation and hobbies to reduce stress

  • Maintain a positive outlook

  • Seek advice about debt reduction

  • Avoid an attitude of delayed gratification

  • Focus on what is most important in life

  • Obtain mindfulness training to become more self-aware and lower physical and emotional reactions to stressors

  • Allocate time for independent study and personal pursuits

  • Find ways to contribute to society (e.g. donate blood or volunteer)

  • Exercise in accordance with CDC guidelines

  • Obtain age and sex-appropriate health screening



회복탄력성은 역경에도 불구하고 긍정적인 상태를 유지하는 능력이다.74 회복력은 배울 수 있고 강화될 수 있는 기술이라는 것을 주목하는 것이 중요하다. 실제로 심리학 문헌은 사회 지원과 건설적 대처 능력이 회복력에 핵심적이라는 것을 확인한다.

Resiliency is the ability to remain positive despite adversity.74 It is important to note that resilience is a skill that can be learned and strengthened.56 In fact, the psychological literature confirms that social support and constructive coping skills are pivotal to resiliency,


훈련생들은 또한 마음챙김 훈련이 스트레스를 해소하고 자기관리 활동에 참여를 촉진하는데 유용하다고 생각할 수 있다. 마음챙김 훈련은 

    • 자기 인식과 긍정적인 자기 강화, 

    • 스트레스 요인들에 대한 신체적, 감정적 반응을 낮추기 위한 전략, 

    • 의사소통 능력 훈련, 

    • 명상 및 요가 연습

...을 포함할 수 있습니다.75,76

Trainees may also find mindfulness training useful for combating stress and promoting engagement in self-care activities. Mindfulness training can include self-awareness and positive self-reinforcement, strategies to lower physical and emotional reactions to stressors, communication skills training, meditation and yoga exercises.75,76


추가적인 전략에는 훈련생들이 의료 과오error에서 관련된 것으로 의심될 때, 교수들로부터 서포트를 요청하고 솔직한 논의를 하는 것이 포함된다. 그러한 대화는 미래의 실수를 예방하고 부적절한 자기 비난과 고통을 줄이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 

Additional strategies include seeking support and frank discussions with supervising faculty staff when a trainee suspects he or she may have had a role in a medical error. Such conversations can help prevent future errors and reduce inappropriate self-blame and distress.15,78


또한 교육자는 다음의 의무가 있다.

    • 특별히 스트레스를 받는 특정 직무(예: 나쁜 소식 전달, 절차적 과제)에 대해서는 추가적 지침을 찾고, 

    • 주어진 업무 시간 내에 처리할 수 있는 업무량에 대한 합리적인 기대치를 설정하며, 

    • 교대시에는 모든 환자를 handover하여 공식적으로 업무에서 해방될 수 있도록

Trainees also have a personal responsibility to 

seek additional instruction for specific work-related tasks they find particularly stressful (e.g., relaying bad news, procedural tasks), 

set reasonable personal expectations for the amount of work-related tasks that can be completed within allowed work hours, 

and handover all patient care needs at the end of a shift to avoid extending work once officially relieved of duty.


그러나, 그렇게 하는 것은 극도로 어려울 수 있으며, 훈련자가 자신의 무능함이 교대 전에 필요한 일을 완수하는 것을 방해한다고 느끼거나, [환자에 대한 개인적인 책임]과 [아직 마치지 않았더라도 환자를 두고 병원을 떠나야 함]에 대한 상반된 메시지를 듣는 것도 스트레스를 증폭시킬 수 있다.

Doing so, however, can be extremely difficult and may amplify stress if the trainee feels their own inadequacy prevented them from getting needed work done before the end of their shift or if they hear conflicting messages about their personal responsibility for patients’ welfare and need to leave the hospital with patient-care work yet to be completed. 


또한 trainee는 변화의 문화와 지속적인 개선을 포용하여야 한다. 왜냐하면 새로운 헬스케어시스템은 환자 성과를 개선하고 비용을 절감하기 위하여 핵심 전략 및 국가 품질 우선 순위에 따라 설계 및 구현되어있기 때문이다.

Trainees will also need to embrace a culture of change and continuous improvement as new health care systems are designed and implemented consistent with key strategies79 and national quality priorities80 to improve patient outcomes and reduce costs.


또한 웰빙을 촉진하려면, trainee는 개인의 고통과 웰빙을 보정calibrate하고, 정신 건강이 환자의 학습이나 관리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지 판단하고, 적절한 때에 도움을 구해야 합니다.

To promote well-being trainees should also take steps to calibrate personal distress and well-being, determine if their mental health is adversely impacting their learning or care of patients, and seek help when appropriate.


그러나, 자료에 따르면 의사들은 자기자신의 고통 수준을 평가하는 데 서툴다. 또한 실제로 훈련생과 의사들 모두 정신 건강 문제에 대한 도움을 구하는 것을 꺼린다. 불행히도, 번아웃 상태의 훈련생들은 도움 찾기를 꺼리는데, 왜냐하면 낙인stigma, 부정적인 개인적 경험, 사회적, 문화적 요인들 때문이다. 이는 번아웃 상태의 훈련생들을 조기에 식별하고 다루는 것이 어려워지는 이유이다.

however, data suggest that doctors in practice are poor at calibrating their own level of distress81 and both trainees and doctors in practice are reluctant to seek help for mental health concerns.30,82 Unfortunately, few trainees with burnout seek help due to perceived stigma, negative personal experiences and social and cultural factors,83 which means that early identification and treatment of trainees with burnout is difficult.


어떤 조직 단위 전략이 도움이 되는가?

What organisational-level strategies might be helpful?


조직은 1차, 2차 및 3차 예방에 참여하는 다면적 접근법이 필요하며, 이러한 접근 방식은 교육자가 번아웃할 위험을 줄이고 번아웃한 경우 회복에 도움이 됩니다(표 5).

Organisations need a multi-faceted approach that attends to primary, secondary and tertiary prevention to reduce the risk of trainees experiencing burnout and helps those with burnout recover (Table 5).


표 5 의대, 레지던트 프로그램, AMC , 인증 기관 및 조직화된 의학이 웰빙 문화를 촉진할 수 있는 잠재적 방법

Table 5 Potential ways medical schools, residency programmes, academic medical centres, accrediting organisations and organised medicine can promote a culture of wellness


웰니스 커리큘럼

Wellness curriculum

  • 수련의사를 위한 웰니스 커리큘럼 구현 및 효과 평가*,†
  • 자금 지원 및 필요한 지원 제공‡
  • 핵심 역량 및 주요 프레임워크 내에서 개인 정신 건강 증진 
  • 웰니스 프로그래밍 도입 요구§
  • Implement and evaluate effectiveness of a wellness curriculum for doctors in training*,†

  • Provide funding and necessary support‡

  • Include promotion of personal mental health within core competency and milestone framework§

  • Require wellness programming§

새로운 교육 전략

New educational strategies

  • 1학년 및 2학년에 P/F grade 적용*
  • 대규모 학생 그룹을 소규모 학습 커뮤니티로 재편하여 그룹 응집력 및 사회적 지지 구축*
  • Preceptor와 함께 의미 있는 환자 관리 역할 및 연속성을 위한 기회 제공*
  • 직무압축 해소 †,‡
  • 환자구성, 로테이션 구조, 의미 있는 작업에 대한 기회, 감독의 적절성, 인지된 지원, 학습 기후 및 기타 관리 가능한 요소 등에 대한 프로그램 평가*,†
  • Absence에 대한 모니터링 및 대응을 통해 주요 생이 사건을 마주한 trainee를 지원하고, 스트레스 탐지 촉진*,†
  • 동료-동료, 동료-교수 관계를 육성하기 위한 사회 활동 구성*,†
  • 피트니스 시설에 대한 접근성 지원 *,†,‡
  • 고년차 레지던트에게 경력 조언을 통해 training에서 practice로의 전환을 쉽게 할 수 있도록 함: 계약 협상, 의료비 청구, 사무 관리, 의료 개혁 및 이와 유사한 업무 주제 등†
  • 새로운 모니터링 방법을 통해 괴롭힘을 용납하지 않는 문화를 촉진. 괴롭힘 및 부적절한 롤모델링 행동이 보고될 경우 대응*,†
  • 교수 개발을 통해 awareness를 높이고 긍정적인 학습 환경을 조성하고, 효과적이고 시기 적절한 피드백을 제공함으로써 교수들이 훈련생의 정서적 스트레스를 발견하고 반응할 수 있게 함*,†,‡
  • 교직원이 연수생 교육을 우선할 수 있도록 보상 전략 수립(예: 감독 시 합리적인 작업 부하 및 낮은 생산성을 상쇄하기 위한 보상 계획) §
  • Adapt pass or fail grading in years 1 and 2 (preclinical years)*

  • Reorganise a large group of students into smaller learning communities to build group cohesion and social support*

  • Provide opportunities for meaningful patient care roles and continuity with preceptor*

  • Address work-compression†,‡

  • Include evaluation of patient mix, organisation of rotation, opportunity for meaningful work, adequacy of supervision, perceived support, learning climate and other controllable factors during programmatic evaluation*,†

  • Monitor and respond to absences to support trainees during major life events and facilitate detection of distress*,†

  • Organise social activities to foster peer‒peer and peer‒faculty relationships*,†

  • Subsidise access to fitness facilities*,†,‡

  • Implement career advice† that includes contract negotiation, medical billing, office management, health care reform and similar practice topics for senior residents to ease transition from training into medical practice†

  • Promote culture of no tolerance of harassment through novels ways of monitoring and responding to reports of harassment and suboptimal role-modelling behaviours*,†

  • Implement faculty staff development to raise awareness and facilitate a positive learning environment with effective, timely feedback, and enable them to detect and respond to emotional distress in trainees*,†,‡

  • Develop a compensation strategy that enables faculty members to prioritise education of trainees (e.g. reasonable workload when supervising, and compensation plans to offset lowered productivity)§

선별 도구

Screening tools

  • 자기 Calibrate의 용도로 사용할 수 있는 도구 제작*,†,‡,§, §,¶ 
  • 제3자를 이용한 의료훈련자 집단 내 스트레스 스크리닝*,†,‡
  • Make tools available that individuals can use to self-calibrate*,†,‡,§,¶

  • Screen for distress in a group of medical trainees using a third party*,†,‡

돌봄 접근성
Access to care
  • 적절한 돌봄에 대한 접근과 적절한 결근 정책을 통해 trainee가 자기자신의 건강을 우선할 수 있도록 교육 *,†
  • 일반적인 근무일 중 time-off를 허용하는 커리큘럼 시간과 작업 할당을 요구하는 궂*,†
  • 정신 건강 문제로 인해 차별이 있다고 인식하거나 두려움이 있는지를 평가하여 대응*,†
  • 정신 건강 제공자 인력을 확대하기 위한 국가적 노력 지원*,†,‡,,,§,,,¶
  • 과거 또는 현재 진단 또는 치료가 아니라, 현재의 정신 건강 상태에서 발생하는 손상에 대해 질문 질문할 수 있도록 보고 요건을 지원(주 허가 위원회, 병원, 클리닉 및 의료 보험 회사)
  • 기밀 정책과 절차에 대해 교육생과 교수진을 교육하여, 정신 건강 문제에 대한 낙인을 해결하고, 도움을 찾는데에 대한 장애를 해소함. 장애에 대한 가시적인 오명; 정신 건강 문제로 인한 차별이 보고되는지 모니터링하고 이에 대응*,†,,,‡
  • 교육자의 학업 평가 또는 진급에 관여하지 않는, 편안한 위치에 있는 정신 건강 상담자에 대한 적절한 접근 보장*,†,‡
  • 정신 질환과 치료에 대한 부정적 태도를 타겟으로 한 국내 및 국가 이니셔티브를 지원합니다. *,†,‡,§,¶
  • Empower and educate trainees to prioritise their own health through adequate access to care and an adequate absenteeism policy*,†

  • Structure required curricular time and work assignments to allow for time-off during a typical workday*,†

  • Assess for perceived and feared discrimination due to mental health problems and implement response*,†

  • Support national efforts to expand the mental health provider workforce*,†,‡,§,¶

  • Advocate for reporting requirements (state licensing boards, hospitals, clinics and malpractice insurance carriers) to ask about current impairment from a mental health condition, rather than past or current diagnosis or treatment*,†,‡,§,¶

  • Tackle stigma toward mental health problems and barriers to seeking help by educating trainees and faculty staff about confidentiality policies and procedures; monitor and respond to reports of discrimination due to mental health problems*,†,‡

  • Ensure adequate access to conveniently located mental health counsellors on and off campus who are not involved in trainees’ academic assessment or promotion*,†,‡

  • Help local and national initiatives targeting negative attitudes about mental illness and treatment*,†,‡,§,¶

* Medical schools; † residency programmes, ‡ academic medical centres, § accreditation organisations (e.g. Liasion Committee on Medical Education, Accreditation Council for Graduate Medical Education), ¶ organised medicine (e.g. American Medical Association, Association of American Medical Colleges).



교육과정

Curriculum


한 가지 타당한 단계는 자기 관리, 웰빙 및 탄력성의 개념을 교육 커리큘럼에 도입하는 것이다. 혁신적 커리큘럼은 다음에 초점을 맞춰야 한다.

    • 번아웃에 대한 인식

    • 자기 관리(스트레스와 피로 감소) 

    • 마음챙김

    • 시험을 위한 전략 

    • 건강과 개인적 관심사를 유지하는 것 

    • 일과 삶의 균형 

    • 고통과 의학적 실수에 대한 대처

    • 부채 관리 및 적응형 대처 전략(예: 긍정적인 재정렬, 문제 해결 등) 

...이들은 일차 예방에 유용할 수 있습니다.

훈련생들이 어려움에 처한 동료를 지원하는 방법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되는 커리큘럼도 필요해 보이며, 그리고 동료들이 정신 건강 문제로 인해 손상을 입었을 때 언제, 왜, 어떻게 개인적으로 개입해야 하는지도 필요하다.

One reasonable step is to introduce the concept of self-care, well-being and resilience into the training curriculum. Innovative curricula focused on awareness of burnout, self-care (reduction of stress and fatigue), mindfulness, strategies for taking tests, maintaining health and personal interests, work-life balance, dealing with suffering and medical error, debt management and adaptive coping strategies (e.g. positive reframing, problem solving, etc.) may be useful for primary prevention.6,8,56,67,69,75,76,84–87 A curriculum that helps trainees understand how to support peers in distress, and when, why and how to personally intervene when peers are impaired due to a mental health problem, also appears to be needed.83


그러한 주제(예: 직장에서의 자기 관리, 고통, 주의 깊은 관행 및 일과 삶의 균형)를 다루기 위해 동료들과의 소그룹 회의를 촉진하는 것이 임상 시험에서 유용한 것으로 나타났다.88

Facilitated small-group meetings with colleagues to address such topics (e.g. self-care, meaning in work, dealing with suffering, mindful practice and work-life balance) have been shown to be useful in a randomised clinical trial involving doctors at the Mayo Clinic.88


그러한 교과과정을 기존의 학부 및 대학원 의학 교육 프로그램에 삽입하는 것은 수많은 난제를 안고 있다.

Inserting such a curriculum into the existing undergraduate and graduate medical education programmes has numerous challenges.


이러한 이니셔티브를 최적으로 설계, 구현, 평가 및 유지하는 데 필요한 리소스와 인프라를 확보하는 것은 어려울 수 있습니다.

Obtaining the necessary resources and infrastructure to optimally design, implement, evaluate and sustain such initiatives is likely to be difficult.


ACGME와 미국 소아과 위원회가 개발한 2013년 이정표95에 [정서적 한계에 대한 자기인식과 적절한 도움 추구]를 포함하게 한 것은 자기돌봄의 개념이 미국 대학원의 기본 원칙이 되고 있다는 증거이다.

Inclusion of selfawareness of emotional limitations and appropriate help-seeking in the 2013 milestones95 developed by the ACGME and the American Board of Pediatrics is evidence that the concept of self-care is becoming a fundamental principle in US graduate medical education.


새로운 교육 전략

New educational strategies


소모에 기여하는 (구조적) 요소를 식별하고 해결하기 위한 동시적 노력이 없이, 업무 관련 스트레스를 처리하는 방법에 대한 교육만을 제공하면 냉소주의가 증가할 수 있습니다. (예: '이것은 당신(=구조)의 문제이다.') 이와는 대조적으로, 그러한 훈련을 훈련 또는 연습 환경에 대한 구조적 변화와 결합하는 응집력 있고 동시적인 노력은 문제를 해결하겠다는 공동의 의지를 보여준다.

Providing training regarding how to deal with workrelated stress in the absence of a simultaneous effort to identify and address factors contributing to burnout can increase cynicism (e.g. ‘this is your problem’). By contrast, a cohesive and simultaneous effort that pairs such training with structural changes to the training or practice environment demonstrates a shared commitment to addressing the issue.


의과대학 첫 2년 동안 Pass-Fail 제도를 채택하는 것은 번아웃을 줄이고 웰빙을 개선하기 위한 증거 기반의 조직적 변화의 한 예이다. 다행히도, 1학년과 2학년 때 합격 또는 불합격 접근방식으로 전환한다고 해서 표준 시험이나 사무 수행에 대한 의료 지식 점수가 감소되지는 않는다는 것이 밝혀졌습니다.

Adopting a pass or fail grading scheme during the first 2 years of medical school is an example of an evidence-based organisational change to reduce burnout and improve well-being.53–55 Fortunately, studies have found that switching to a pass or fail approach in year 1 and year 2 does not decrease medical knowledge scores on standardised tests or clerkship performance.54,55 


직접적으로 연구되지는 않지만, norm-based 등급점수보다는 criterion-based 등급을 사용하면 웰빙을 촉진할 수 있는 임상 기간 동안 협력적 학습 환경을 촉진할 수 있다. 의대생들을 하나의 큰 집단에서 더 작은 학습 집단으로 재편하는 것은 스트레스, 불안, 우울증을 줄이는 것으로 단일 기관 연구에서 보여졌다.

Although not directly studied, using criterion-based grading rather than norm-based grading may facilitate a collegial learning environment during the clinical years that could promote well-being. Reorganising medical students from a single large group into smaller learning communities has been shown in a single institution study to reduce stress, anxiety and depression.96


휴식처와 사회활동을 조직하는 것은 관계와 동료들의 지원을 촉진할 수 있다. LC는 preceptor와의 관계에서 연속성을 위한 더 큰 기회를 제공할 수 있으며, 보다 의미 있는 관계를 촉진하고, 더 높은 서포트 및 환자 치료에 보다 실질적인 참여를 촉진할 수 있다.

 Organising retreats and social activities may foster relationships and peer support.56,66 Longitudinal clerkships may provide greater opportunity for continuity with a preceptor and facilitate more meaningful relationships, higher support and more substantive involvement in patient care.97


프로그램적 평가는 의과대학과 레지던트 프로그램이 훈련생들의 복지에 영향을 미치는 관리 가능한 요소들을 식별하고 해결함으로써 학습 환경을 최적화하는 핵심 방법이다.

Programmatic evaluation is a key way for medical schools and residency programmes to optimise the learning environment by identifying and addressing controllable factors that impact the well-being of trainees


힘들지만, 괴롭힘harassment을 없애는 것은 간접적으로 번아웃을 줄일 것이다.

Although challenging,99 eliminating harassment will indirectly reduce burnout.16,65


기존의 다원화된 전략이 이 문제를 효과적으로 해결하지 못했기 때문에, 이렇게 하려면 문화의 변화를 필요로 할 가능성이 높다.

Doing so is likely to require a culture change as existing multipronged strategies have not effectively addressed this problem.71,99,100


교수개발을 위한 이니셔티브는 직원들에게 문제의 범위, 일반적인 번아웃의 이유, 번아웃된 trainee의 확인 및 refer 방법, 기밀 유지 방법을 알려주어야 한다. 감독자의 행동이 훈련생들의 소진과 관련되어 있기 때문에, 교수개발은 핵심 교수진이 최적의 학습 환경을 구축하고, 효과적인 피드백을 제공하며 상호 관계를 강화하는 데 필요한 필수 교육 기술을 갖도록 해야 한다. 교직원들의 문제가 있는 행동을 대상으로 한 맞춤형 교정 계획을 수립하거나, 교육 업무의 재조정을 위해서는 학생과 레지던트의 교수평가를 활용할 수 있다.

Initiatives for faculty staff development should inform staff about the extent of the problem, common drivers of burnout, how to identify and refer trainees with burnout and how to maintain confidentiality. As supervisor behaviour relates to trainee burnout, staff development should ensure that core faculty members have the requisite teaching skills needed to establish an optimal learning climate, provide effective feedback and foster reciprocal relationships.66,85,86 Reacting to students’ and residents’ evaluations of faculty staff with individualised remediation plans targeting problematic faculty staff behaviours or reassignment of teaching duties is also necessary.71


스크리닝 도구

Screening tools


자가 교정과 관련된 고충 및 난관이 빈번하게 발생하는 점을 감안할 때, 번아웃 상태를 조기에 파악하고 심각한 개인 또는 직업적 결과를 방지할 수 있는 2차 예방 전략이 시행되어야 한다.101,102

Given the high prevalence of distress and challenges with self-calibration,81 secondary prevention strategies to promote early identification of burnout and prevention of serious personal or professional consequences should be put in place.101,102


그러한 접근방식으로, 개인 또는 의과대학과 레지던트 프로그램이 개개인을 스크리닝하고 개인화된 상담 또는 기타 지원 자원에서 가장 이익을 얻을 가능성이 높은 사람을 식별하기 위한 자가 평가 도구가 포함될 수 있다.

Such approaches may include self-assessment tools for use by individuals or by medical schools and residency programmes to screen for distress and identify those most likely to benefit from individualised counselling or other support resources.


이용할 수 있는 자가 평가 도구 중 하나인 7항목 의대생 및 의사 웰빙 지수가 현재 의대 학생, 거주자 및 실무 의사에서 검증되었다.103–105

One available self-assessment tool, the 7-item Medical Student and Physician Well-Being Index, has now been validated in medical students, residents and practising doctors.103–105


웹 기반 버전의 이 도구는 현재 여러 센터의 의료 학생과 의사 모두에게 평가되고 있습니다. 이 도구를 통해 학생 또는 의사는 다음을 수행할 수 있습니다. 

    • (i) 현재 웰빙 수준이 전국의 의대생 및 의사와 어떻게 비교되는지에 대한 즉각적인 피드백을 받는다

    • (ii) 웰빙 수준이 잠재적으로 심각한 개인적, 직업적 반향의 더 높은 위험을 야기하는지 확인한다

    • (iii) 시간 경과에 따른 개인적 행복의 변화를 추적한다. 

    • (iv) (웰빙을 촉진하고 의사들이 훈련 중에 경험한 다양한 우려에 대한 지원 제공하기 위하여 설계된) 지역 및 국가 자원에 적시에 접근한다. (예: 피로, 재정적 우려, 관계 문제, 직업 의사결정, 탄력성 등)

A web-based version of this tool is now being evaluated in both medical students and doctors across multiple centres. This tool enables students or doctors to: 

    • (i) receive immediate feedback on how their current level of well-being compares with medical students and doctors nationally, 

    • (ii) ascertain whether their level of well-being puts them at a higher risk of potentially serious personal and professional repercussions, 

    • (iii) track changes in their personal well-being over time, and 

    • (iv) access just-in-time local and national resources designed to both promote and nurture well-being and provide support for a variety of concerns experienced by doctors in training (e.g. burnout, fatigue, financial concerns, relationship issues, career decision making, resilience, etc.).


돌봄 접근

Access to care


자기평가 도구가 스트레스 인식과 도움에 어떻게 접근해야 하는지에 대한 인식을 촉진할 수 있지만, 훈련생들 사이에서 도움 탐색을 어렵게 만드는 장벽을 완전히 극복하지는 못할 것이다. 진료 시간 동안 개인적인 진료 예약을 위해 시간을 보내는 결근 정책은 진료에 대한 접근을 용이하게 하는 데 중요하다. 훈련자는 자신의 학업 평가나 승진 결정에 관여하지 않은 정신 건강 제공자에 접근해야 한다. 이상적으로 훈련생에게는 정신 건강 문제 관리와 관련된 기밀성 및 낙인에 대한 우려를 최소화하기 위해 외부 또는 외부 정신 건강 관리 제공업체를 위한 '네트워크 내' 옵션이 제공되어야 한다.83,106

Although self-assessment tools may facilitate recognition of distress and awareness of how to access help, they are unlikely to fully overcome barriers to helpseeking among trainees. An absentee policy that allows time-off for personal medical appointments during clinical hours is important to facilitate access to care. Trainees should have access to mental health providers who are not involved in their academic assessment or advancement process. Ideally, trainees should be provided ‘in-network’ options for off-campus or external mental health care providers to minimise concerns regarding confidentiality and stigma related to seeking care for mental health issues.83,106


많은 의대생들은 그들이 교수진과 동료 학생들이 다른 학생들의 정신 건강 문제의 기밀성을 지키지 않는 것을 보았다고 보고했으며, 또한 정서적 문제가 있는 학생들에 대한 차별적 행동을 하는 것을 보았다고 했다. 학생들은 또한 정신 건강 문제를 공개하는 것이 환자가 자신들을 보는 관점은 물론, 자신의 레지던트 훈련 기회에 악영향을 미칠 것에 대한 우려를 나타냈다.

A large proportion of medical students in this cohort reported that they had observed faculty staff and fellow students breeching the confidentiality of other students’ mental health issues and engaging in discriminatory behaviour toward students with emotional problems. The students also expressed concern that disclosing mental health issues would adversely impact their residency training opportunities as well as patients’ views of them. 


의대생들은 알코올이나 약물 남용을 하는 동료보다 정신 건강 문제를 겪는 동료를 덜 보고하려고 했다.

medical students were less willing to report a colleague impaired due to mental health problems than one impaired due to alcohol or substance abuse.18


레지던트는 부분적으로 그것이 특권의 상실이나 심지어 의사 개업의 면허까지 초래할 수 있다는 우려 때문에 정신 건강 문제에 대한 도움을 구하는 것을 꺼릴 수 있다.82

Residents may be reluctant to seek help for a mental health issue due in part to concern it may result in loss of privileges or even their license to practice medicine.82


또한, 학술 병원, 인증 기관 및 조직화된 의학은 개인의 행복에 무관심하고, 개인의 요구보다 업무를 우선시하며, 자신의 어려움과 취약점을 인정하지 않게 만드는 전문 문화에 맞설 필요가 있다.30

In addition, academic medical centres, accreditation organisations and organised medicine need to confront a professional culture that is indifferent to personal wellness, suggests that work should always be prioritised over personal needs, and discourages doctors from acknowledging their personal struggles and vulnerabilities.30


결론

CONCLUSION


The aims of such efforts should seek to promote more than the absence of burnout and include an environment in which trainees flourish, achieve high well-being and acquire the skills necessary to promote resilience.









 2016 Jan;50(1):132-49. doi: 10.1111/medu.12927.

narrative review on burnout experienced by medical students and residents.

Author information

1
Department of Medicine, Mayo Clinic College of Medicine, Rochester, Minnesota, USA.

Abstract

OBJECTIVE:

To summarise articles reporting on burnout among medical students and residents (trainees) in a narrative review.

METHODS:

MEDLINE was searched for peer-reviewed, English language articles published between 1990 and 2015 reporting on burnoutamong trainees. The search used combinations of Medical Subject Heading terms medical student, resident, internship and residency, and burnout, professional. Reference lists of articles were reviewed to identify additional studies. A subset of high-quality studies was selected.

RESULTS:

Studies suggest a high prevalence of burnout among trainees, with levels higher than in the general population. Burnoutcan undermine trainees' professional development, place patients at risk, and contribute to a variety of personal consequences, including suicidal ideation. Factors within the learning and work environment, rather than individual attributes, are the major drivers of burnout. Limited data are available regarding how to best address trainee burnout, but multi-pronged efforts, with attention to culture, the learning and work environment and individual behaviours, are needed to promote trainees' wellness and to help those in distress.

CONCLUSION:

Medical training is a stressful time. Large, prospective studies are needed to identify cause-effect relationships and the best approaches for improving the trainee experience.

PMID:
 
26695473
 
DOI:
 
10.1111/medu.12927
[Indexed for MEDLINE]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