휴머니즘, 잠재교육과정, 교육과정 개혁: 리뷰와 주제분석(Acad Med, 2015)

Humanism, the Hidden Curriculum, and Educational Reform: A Scoping Review and Thematic Analysis

Maria Athina (Tina) Martimianakis, PhD, Barret Michalec, PhD, Justin Lam,

Carrie Cartmill, MHSc, Janelle S. Taylor, PhD, and Frederic W. Hafferty, PhD



개념적 도구로서, 잠재교육과정(HC)은 그것의 지적 유산을 사회학과 교육 분야로 추적한다.1 19세기 후반부터 사회학자들은 사회적 구조가 개인의 행동에 미치는 영향, 개인이 자신과 타인의 사회적 행동에 부여하는 overt and covert한 주관적 의미 등을 이해하는데 관심을 돌리기 시작했다. 이후 사회과학자들은 어떻게 어떤 행동이 대중화되고 일반화되는지를 탐구하기 시작했고, 집단의 규범과 문화가 형성되는 과정에서 공식적 대 비공식적 사회규범의 상대적 영향과 사회적 관계의 중심적 역할 등을 추적하였다.

As a conceptual tool, the hidden curriculum (HC) traces its intellectual heritage to the fields of sociology and education.1 In the latter decades of the 19th century, sociologists began to direct critical attention toward understanding the impact of social structures on individual behavior and the overt and covert subjective meanings individuals attribute to their own and others’ social actions. Later social scientists began to explore how some behaviors became popularized or normalized, tracing the relative impact of formal versus informal social norms and the pivotal role played by social relationships in the formation of group norms and culture.2,3


그러나, "숨겨진 교육과정"이라는 용어가 처음 등장한 것은 1960년 대에 훨씬 가까울 것이다.1

It would be well into the 1960s, however, before the term “hidden curriculum” would make its first appearance.1


교육 분야 연구에서 교육 관행의 공식적 차원과 비공식적 차원을 구별하기 시작한 것은 20세기 초에 표면화되기 시작했다. 존 듀이는 "Collateral learning"의 힘에 관심을 가졌으며, 이는 다른 것들을 하는 과정에서 일어나는 학습을 묘사하기 위해 사용한 개념으로, '다른 것'이란 교실 밖에 존재하는 풍부한 학습 환경을 암시한다동시에, 다른 이들은 "실제 교육 과정의 경험", "비공식 교육"의 영향, "학교에서의 비공식적 학습 경험" 등을 지적하기 시작했다. 이러한 과정에서 드러난 것은 교육을 '사회문화적 과정'으로 보는 것으로서, 성격 발달과 문화적 재생산이 상호 영향을 미치는 실체로 공존하고 있다는 관점이었다.

Studies in the field of education, with an eye toward discriminating between the formal and informal dimensions of educational practices, began to surface in the early decades of the 20th century. John Dewey6 drew attention to the power of “collateral learning,” a concept he used to describe learning that happens in the process of doing other things, alluding to the wealth of learning environments that exist outside the classroom. Concurrently, others began pointing to the “experience of curriculum in action,”7 the impact of “informal education,”8 and “the informal learning experiences in the school.”9 What emerged was a view of education as a “sociocultural process”10 in which both personality development and cultural reproduction coexisted as mutually influencing entities.11


의학 교육에 대한 두 가지 초기 연구가 후에 "숨겨진 교육과정"이라고 불리는 것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쳤다.

The two earliest studies of medical education, The Student–Physician (1957) by Robert K. Merton and colleagues12 and Boys in White (1961) by Howard Becker and colleagues,13 had direct impact on what subsequently would be termed “the hidden curriculum.”


HC에 대한 critical mass는 1960년대와 1970년대 초에 나타나기 시작했습니다.18,19 오늘날 HC의 개념은 다양한 교육 환경에 적용됩니다.1,20–22

A critical mass of work on the HC began to emerge in the 1960s and early 1970s.18,19 Today, the concept of the HC is applied to a wide variety of educational settings.1,20–22


CME, 교수진 개발, '충실한 환자'의 탄생, 그리고 의학 교육 중 이성애의 특권과 LGBTQ의 배제로 이어진다.

such as CME,23 faculty development,24 the creation of the “worthy patient,”25 and the production of heteronormativity during medical education leading to the privileging of heterosexuality and the marginalization of LGBTQ orientations.26


HC를 분석의 렌즈로 사용하는 것은 사회학보다는 교육학에서 단단히 자리잡았다. 사회학에서 암묵적 영향에 대한 초점은 "사회 시스템," "사회 구조," 그리고 "조직 문화" 등과 관련이 있다.

Scholarly work using the HC as an analytic lens remains more entrenched within education than sociology. In sociology the focus on implicit influences is related to “social systems,” “social structure,” and “organizational culture.”


이러한 전반적 상황에서, 인본주의humanism 문제는 20세기 내내 의학 교육에 지속적인 존재로 나타났으며, 의학의 "예술"과 "과학" 사이의 균형에 대해 우려하게 하였다. 관계적 측면으로 대표되는 art of medicine은 liberal education으로 보강underpin된다.

Within this overall topography, issues of humanism have had an enduring presence in medical education, reflected in writing throughout the 20th century concerned with the balance between the “art” and “science” of medicine; whereas the art of medicine represents the relational aspects of care underpinned by a liberal education.29,30


art of medicine에 대한 관심은 생의학에 들이닥친 기술과 제약의 혁신에 의해 일시적으로 흐려졌다. 이러한 혁신은 과학에 대한 훈련을 통해 의사의 전문성을 개발할 수 있다는 교육적 선입견을 동반하였다. 그러나 과학에 대한 이러한 집착은 그것이 의사와 환자의 상호작용에 끼치는 효과 때문에 꾸준히 비판되어 왔다. 오늘날, 의학 수련과정을 환자 돌봄으로 다시 촛점을 맞출 것이 요구되고 있다.

Focus on the art of medicine was temporarily eclipsed by the technological and pharmaceutical innovations that ushered in biomedicine, bringing with it an educational preoccupation with developing physician expertise through scientific training.30,31 However, this preoccupation with science has been criticized steadily for the perceived effect it has had on physician and patient interactions. Today, calls for refocusing medical training on caring for the patient as a person appear regularly in literature 



방법

Method


문헌 수집

Compiling the archive


We used a scoping review and thematic analysis approach that draws from the tradition of critical discourse analysis to elucidate the conceptual and theoretical intersections of the HC and humanism in medical education.44–46 

    • Scoping reviews are broad explorations to systematically map a topic area, identifying key concepts, trends, and gaps

    • Critical discourse analysis is used to identify and describe patterns in the application of terms and concepts in texts.


1990년을 시작으로 

We theorized that the date 1990 would be a good starting point for looking at the association between the concept of HC and humanism, as the first paper using a formal definition of the HC construct in health professions education appeared in Academic Medicine in 1994.47


From these discussions, broad categories for coding were identified/developed and then uniformly applied to the entire data set (see Supplemental Digital Appendix 1 at http://links.lww.com/ACADMED/A301).


Following this three-tiered sorting process, we identified N = 200 articles as directly relevant to our study. These constitute our final archive (see Supplemental Digital Appendix 2 http://links.lww.com/ACADMED/A301).


분석

Analysis




결과

Results


인구통계적 구성

Demographic findings


우리 기록 보관소에 있는 대부분의 논문은 2000년 이후 학술 의학 저널에 게재되었다. (표 1 참조)

The majority of the articles in our archive were published after 2000 and in the journal Academic Medicine (see Table 1).



본문 중 30% 정도는 경험적 자료가 없는 검토 기사나 토론 기사였다.

A little over 30% of the texts were review articles or discussion pieces, with no empirical data.



경험적 논문 중 대부분은 사례 연구, 인터뷰 및 관찰을 포함한 다양한 방법 및 방법을 사용한 정성적 연구(약 25%)였다. 당사의 아카이브에서 양적 연구(약 12%)는 주로 조사 방법 또는 재고/척도 결과를 사용했습니다.

Of the empirical articles, most were qualitative research studies (approximately 25%) employing a variety of methodologies and methods including case study, interviews, and observations. The quantitative studies (approximately 12%) in our archive primarily used survey methods or inventory/scale results.



편집자에게 보내는 논평과 편지는 보관의 12%이하였다. links.lww.com/ACADMED/A301).을 참조하라.

Commentaries and letters to the editors made up less than 12% of the archive (see Supplemental Digital Appendix 1 http:// links.lww.com/ACADMED/A301).


그러나 대부분의 논문(66%)는 특히 캐나다나 미국에 초점을 맞췄다.

However, most papers (66%) focused specifically on Canada or the United States.


이 인구통계학적 코딩에서 우리는 우리의 아카이브가 의료 교육/임상적 관점을 지배적으로 반영한다고 판단했으며(즉, 교육 또는 교육적 리더십 위치에서 MD 학위를 소지하거나 의료 교육 센터/부서에 임명된 저자, 기타 임상적 전문적 전문성을 포함).), 여기에 행동과학, 사회과학, 인문학의 배경을 가진 개인들로부터의 관점이 기여하였다. 특히, 우리 archive에는 인지과학, 심리학, 사회심리학, 역학, 역학, 역사, 법학, 철학, 인류학, 생물 의학 정보학, 영어, 문학의 배경을 가진 저자들이 있었다. 

From this demographic coding we determined that our archive reflects a dominant medical education/clinical viewpoint (i.e., authors with MD degrees working in teaching or educational leadership positions and/or appointed to medical education centers/ divisions; authors with other clinical expertise such as nursing, occupational therapy, and pharmacy), with contributing perspectives from individuals with backgrounds in behavioral sciences, social sciences, and humanities. Specifically, there were authors in our archive with backgrounds in cognitive science, psychology, social psychology, sociology, epidemiology, history, law, philosophy, anthropology, biomedical informatics, English, and literature. 



지리적으로는 광범위하여, 전 세계적으로 학습맥락에 대해 논평을 하거나 탐구하는 논문들이 있었다. 

There was a wide breadth of geographic focus in our archive with papers commenting on or exploring learning contexts from around the world—





개념적 도구로서 적용되는 HC: 프로페셔널리즘과 휴머니즘의 융합

The HC applied as a conceptual tool: Professionalism and humanism conflated


HC의 개념이 정의되고 조작화되는 방법이 다양했다.

different ways the concept of the HC was defined and operationalized


아카이브의 90%에서, 우리는 공식적 커리큘럼의 목표에 맞춰 또는 그 목표에 반하는 방식으로 "숨겨진 교육과정", "비공식적인 문화 및 문화", "기관의 가치"가 작동한다고 언급했다.

In 90% of the archive, we found references to the “hidden curriculum,” “informal curriculum,” “medical culture and enculturation,” and “institutional values” as operating for or against the goals of the formal curriculum.


남은 10%에서, 우리는 [공식적인 커리큘럼의 외부에서 또는 동료효과의 산물로서 일어나는 학습]에 대한 명시적이거나 묵시적인 언급에 주목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HC의 부정적 영향은 프로페셔널리즘 실수 및 비윤리적 행동과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었으며, 이는 휴머니즘을 촉진하기 위한 방법으로 프로페셔널리즘을 더 잘 가르치고 규제하려는 수많은 권고사항이 있는 이유를 잘 설명해준다. 사실, 두 명의 저자만이 프로페셔널리즘을 휴머니즘과 분리시키려 했고, 그들은 이 두 개념의 상호 관계가 어떻게 고려되어야 하는지에 대해 근본적으로 동의하지 않았다.

In the remaining 10% of the articles we noted explicit and implicit references to learning taking place outside the formal curriculum or mentions of learning as a product of peer effects.50–51 Nevertheless, negative effects of the HC were closely associated with professionalism lapses and unethical behaviors, which may account for the numerous recommendations we found in our archive for better teaching and regulation of professionalism as a way to promote humanism. Indeed, only two authors in our archive attempted to disentangle professionalism from humanism, and they disagreed fundamentally with how interrelated the two concepts should be considered.52,53


마지막으로, 최근 몇 년 동안 HC 참고문헌은 [개개인의 행동은 기관 및 조직과 관련된 복잡한 사회-정치적 관계의 산물]이라는 인식을 반영합니다.

Finally, in more recent years, HC references reflect an appreciation that individual behaviors are a product of complex social–political relations involving institutions and organizations,


80개 이상의 속성과 값이 다양한 조합으로 나열되어 있습니다(박스 1 참조).

Over 80 attributes and values were listed in various combinations (see Box 1).





확인된 속성/값이 의료 훈련과 어떻게 관련되어 있는지를 파악하기 위해, 우리는 용어를 CanMEDS 역량 프레임워크에 매핑하기로 결정했다.56

To discern how the identified attributes/ values relate to medical training, we decided to map the terms onto the CanMEDS competency framework.56


휴머니즘 지향과 관련하여, 열거된 대부분의 속성과 가치는 Professional and Communicator의 역할과 관련된 역량에 해당된다는 것을 발견했습니다.

We discovered that most of the attributes and values listed in our archive in association with a humanistic orientation corresponded to competencies associated with the roles of Professional and Communicator.


다시 말해, 프로페셔널리즘과 휴머니즘 사이의 융합은 교육 조직의 부산물일 수 있는데, 왜냐하면 의학의 역량 프레임워크가 교육 과정을 주문하고, 구분하고, 규제하는 데 사용되기 때문이다.

In other words, the conflation we noted in our archive between professionalism and humanism may be a by-product of educational organization because competency frameworks in medicine are used to order, delimit, and regulate educational processes.




투쟁하는 개념: 잠재 교육과정과 휴머니즘의 교차점

Dueling concepts: The HC and humanism intersect


HC의 개념화 및 정의 방식에 있어 다양성을 경험했습니다. 그러나 동시에 HC를 휴머니즘과 반대되는 개념으로 개념화하는 지배적인 추진력을 발견했습니다—인간의 의료 관행(및 의학 교육)을 유지하는 데 필요한 "두꺼운 낯짝" 효과를 발생시키는 캐리어. 프로페셔널리즘 선생의 화신personify으로서 HC는 규제와 관리가 필요한 개념으로 개념화되었습니다.

While we encountered diversity in the way the HC was conceptualized and defined we also found a dominant thrust in conceptualizing the HC as antithetical to humanism—a carrier of dehumanizing effects engendering a “thickening of the skin” necessary for surviving contemporary medical practice (and medical education). The HC personified as a teacher of professionalism was conceptualized as needing regulation and management. 


HC는, 그것을 관계적 구조로 개념화하고, 의대생의 문화화enculturation과 관련지을 때 종종 제도, 구조 및 시스템 문제와 연관되지 않았다. 오히려, 교사들은 전문직의 바람직한 이상을 본보기로 보여주지 못한 것에 대해 책임을 지게 되었다.57

When the HC was conceptualized as a relational construct and associated with enculturation of medical students, it was often disassociated from institutional, structural, and systems issues. Rather, teachers were held accountable for failing to role model the espoused ideals of the profession.57


그러나 HC가 구조, 조직 및 문화의 영향을 포함하는 개념으로 광범위하게 개념화되었을 때, 저자들은 기관 수준에서 필요한 개혁을 언급할 가능성이 더 높았다.58 암묵적 학습은 공식 커리큘럼에서 받은 메시지를 긍정적으로 강화할 수 있지만, 우리는 HC의 유해한 효과에 대한 선입관을 찾아볼 수 있었다. HC는 주로 의과대학생들의 타고난 휴머니즘 성향을 근절하는stamping out 과정에서, 학대 또는 부정적 롤모델을 통한 가르침으로 인식되었다. 

However, when the HC was conceptualized as broadly including effects of structure, organization, and culture, authors were more likely to make references to needed reforms at the level of the institution.58 Although tacit learning can positively reinforce messages received in the formal curriculum, we did record a preoccupation in our archive with harmful effects of the HC. The HC was largely perceived to teach through mistreatment and negative role modeling, in the process stamping out innate humanistic tendencies of medical students.


다양한 상호 관련된 대화에서 휴머니즘의 침식에 대한 언급이 있었다. 여기에는 의학 및 의료 관행의 지나친 전문화, 의료 관행의 표준화, 진단 기술에 대한 지나친 의존, 불확실성에 대한 편협성을 포함한다. 몇몇 저자들은 생의학이 지배적 위치를 얻은 것을 "의학사, 의학의 사회문화적 맥락과 같은 비과학적인 주제"의 훼손과 연관시켰다. 59 (p212)

References to erosion of humanism were present in diverse interrelated conversations including the overspecialization of medicine and medical practice, the standardization of medical practice, the overreliance on technology in diagnosing, and the intolerance for uncertainty. Some authors specifically related the dominance of biomedicine to the denigration of “nonscientific topics, such as medical history and the social-cultural contexts of medicine.”59(p212)



"실제 교사"로서 HC는 학생들을 [의학교육 및 의료에서 "실제로" 가치를 두는 것에] 사회화시키는 것으로 이해된다.  아이러니하게도, HC 효과의 이러한 위치는 의학 훈련의 기본적 토대가 되는 공식 커리큘럼의 역할을 대체한다. 실제로, "진짜 교육"은 암묵적으로 일어나는 것으로 인식되어, 모든 교사들이 더 나은 규제regulated를 받도록 표적이 되지 않는 한, "진짜 교육과정"은 찾기도, 수정하기도 어렵다. 의사는 임상적으로 지식이 있으며, 인간적이지 않더라도, 시스템에서 여전히 성공적일 수 있다. 반대로 인간적인 의사가 임상적으로 능력이 없다면 반드시 실패한다.

The HC as “the real teacher” is understood to socialize students to what is “actually” valued in medical education and medical practice. Ironically, this positioning of HC effects displaces the role of the formal curriculum as the foundational underpinning of medical training. Indeed the “real teaching” is perceived to happen implicitly, making the “real curriculum” hard to find and to revise, unless all teachers are targeted as needing to be better regulated. A physician can be clinically knowledgeable and not be humanistic, and still be successful in the system, while a humanistic physician who is not clinically competent will fail.


이것은 학생들이 매우 일찍부터 전달받은 메세지이고, 학업에 성공하기 위해 그들이 필요로 하는 것은 지식이다. 한 저자가 지적했듯이, 의학교육에 대한 흔한 비유는 여전히 "고도로 기계화된(신체가 기계화), 선형적(원인 발견, 효과 창출), 위계적(전문가로서의 의사)이다. 또한 이 상황에서 지배적인 네러티브는 원상복구의 이야기이다(환자는 병이 들고, 환자는 의사 전문가에 의해 치료되고, 환자는 사전 상태로 복원됩니다.)"

This is the message received very early on by students, and it is knowledge that they need in order to succeed in their studies. As one author noted, the “prevailing metaphors of medical education continue to be heavily mechanistic (the body is a machine), linear (find the cause, create an effect), and hierarchical (doctor as expert), while its dominant narrative tends to be a story of restitution (patient becomes ill; patient is cured by physician expert; patient is restored to pre-illness state).”60(p194)


따라서 학생들은 휴머니즘은 임상 과학 지식에 부차적인 것이라는 암묵적인 메시지를 전달받는다.59 

Thus, students receive implicit messages that humanism is secondary to clinical scientific knowledge.59 


따라서, HC가 학생들이 직업으로 사회화하는 가장 중요한 메커니즘이라면, HC에 도전하는 잠재적으로 위험한 일인데, 왜냐하면 하는 것은 의료계의 전통적인 의제를 비난하는 것이 되기 때문이다. 즉, 과학과 의학의 alignment를 포함하여, 무엇보다 사회정치적 관계의 문화적 재생산을 통해 전문직의 자기이익이 어떻게 보존되는지를 비판할 것이다.

Therefore, if the HC is indeed a prime mechanism by which students are socialized into the profession (as suggested by the literature), challenging the HC is potentially risky because doing so entails critiquing the medical profession’s traditional agenda, most notably how the profession’s self- interest is preserved through the cultural reproduction of sociopolitical relations, including medicine’s alignment with science.



잠재 교육과정과 휴머니즘 기반 개혁

The HC and humanism-based reform efforts in medical education


HC 및 휴머니즘 기반 개혁 노력 논의

  • (1) 개혁 노력의 목표(예: 휴머니즘을 증가시켜 HC의 측면을 방해함, 휴머니즘 성장을 위해 HC의 요소를 희석함) 

  • (2) 개혁 노력의 모드/형식(예: 프로그램, 과정, 과외 이니셔티브) 

  • (3) 개혁 노력의 대상은 "누구" 또는 "무엇"인가 (예: 학생, 교수진, 커리큘럼/구조, 조직문화)

discussions of HC and humanism- based reform efforts

  • (1) the objectives of the reform efforts (e.g., to increase humanism, thereby thwarting aspects of the HC; to dilute elements of the HC to allow the growth of humanism); 

  • (2) the mode/format of the reform efforts (e.g., programs, courses, extracurricular initiatives); and 

  • (3) “who”/”what” the reform efforts are targeting (e.g., students, faculty, curriculum/structure, culture of organization).

우리는 대부분의 개혁 노력이 주로 공식적인 프로그램, 과정, 세미나를 통해 의대생들 사이에서 휴머니즘을 강화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는 것을 발견했다.

We found that the majority of reform efforts are aimed toward enhancing humanism among medical students— primarily through formal programs, courses, and seminars.61,62


문헌에 나타난 거의 모든 개혁적 노력은 개인 수준에서 휴머니즘 속성(예: 공감, 동정심, 무결성, 존경)을 증진시키기 위해 노력했다.

however, almost all reform-based efforts featured in the literature strove to promote individual- level humanistic attributes (e.g., empathy, compassion, integrity, respect).


또한 의과대학 교수진과 직원들 사이에 휴머니즘적 특징과 행동을 촉진하기 위해 고안된 계획들이 있다.71

there are also initiatives designed to promote humanistic traits and behaviors among medical school faculty and staff.71


그러나 문헌에서 찾아보기 어려운 것은, 현재 강화된 휴머니즘 교육을 받은 학생과 교수진이 의학교육에 내포된 HC의 요소를 실제로 어떻게 막을 수 있는지에 대한 구체적 내용이다. 오히려, 의대에서 휴머니즘의 존재와 실행이 늘어나면 HC의 "가르침"을 막아줄 것이라는 가정에 전혀 문제가 없는 듯이 취급한다.

What is somewhat absent from the literature, however, are details regarding how the now humanism-enhanced students and faculty actually will thwart elements of the HC nested within medical education. Rather, it appears either assumed or treated as nonproblematic that the increased presence and practice of humanism among the medical school populace will somehow obstruct the “teachings” of the HC.72–75


HC를 희석시킴으로써 휴머니즘을 꽃피우고자 하는 노력은 의료 훈련에 내포된 HC기반의 유해요소를 상쇄vanquish할 것을 요구한다.

Efforts directed toward diluting aspects of the HC to allow humanism to blossom frequently feature a call to vanquish perceived HC-based noxious elements nested within medical training


이러한 개혁-기반 문헌의 영역 내에서, HC의 요소와 "가르침"은 학생들의 사회화와 전문화에 해로운 것으로 인식되므로, "제거"되어야 함은 물론 해체되어야 합니다.

Within this realm of reform-based literature, elements and “teachings” of the HC are perceived as detrimental to students’ socialization and professionalization, and therefore must not only be “outed” but dismantled.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커리큘럼과 프로그래밍 방식에 기반한 개혁(예: 공식 과정/연습, 역할 모델 교육, 전문가간 교육 이니셔티브)은 (기관 내 구성원에게 휴머니즘적 특성을 강화하는 방식으로) HC에 맞서기 위한 무기인 것으로 보입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러한 개혁 노력들은 미시적인 수준, 개인적이고 그룹적인 변화만을 강조해왔다. 반면, (HC의 측면을 희석하거나 변경하기 위한) 구조적 및 조직적 기반 개혁(메소 및 매크로 레벨)에 대한 관심은 이에 미치지 못한다. 여기에는 기관의 문화와 그 안의 위계적 경계를 다루거나 재구성하는 것, 또는 휴머니즘이 번성할 수 있는 기관적 분위기를 제공하는 것 등을 포함한다. 간단히 말해서, 지금까지의 개혁 노력은 하향식 접근법보다 상향식 접근법을 지향해왔다.

As noted above, curriculum and programmatic-based reform (e.g., formal course/exercises, role model training, interprofessional education initiatives) appear to be the weapons of choice to confront the HC (by enhancing humanistic attributes among institutional players76–82). Nonetheless, these reform efforts have stressed microlevel, individual- and group-oriented change. Less attention has been paid to structural- and organizational-based reform (meso- and macrolevel) to dilute or alter aspects of the HC through addressing and reshaping institutional culture and nested hierarchical boundaries, or providing an institutional atmosphere/ climate for humanism to flourish. In short, reform efforts have been more oriented toward a bottom-up approach than a top-down one.


이런 점에서, 우리가 찾은 대부분의 개혁-기반 문헌은 학습자(의과대학생)를 부정적인 역할 모델과 의료계로 사회화되는 과정에서의 비인간적 효과로부터 보호받아야 할 존재로 여기는 듯 하다. 따라서, 교육과 훈련에서 학생을 적극적인 참여자로 논의하는 경우는 드물다. 오히려, 그들은 HC에 의한 쇠약해지는debilitating 효과의 순수하고 수동적인 피해자로 묘사되며, 학생은 사회정서적 회복력이 부족하며, 학생들의 휴머니즘적 특성을 키우기 위해서는 추가적인 노력이 필요하다고 여겨진다. 위에 제시된 HC의 해부는 HC가 학생들에게 "가해지는done to"것이라고 묘사한다. 따라서 대부분의 개혁 노력이 (가장 중요한 기관의 문화를 다루는 것이 아니라) 의대생들에게 무언가를 더 해주려고 하는 것(즉, 공식적인 교육을 통해 인문학적 특성과 특성을 향상시키는 것)을 목표로 한다는 것은 놀라운 일이 아니다. 

In this sense, a majority of the reform-based literature in our archive appears to conceptualize learners (medical students) as needing protection from negative role models and the dehumanizing effects of socialization into medicine.83–88 As such, students rarely are discussed as active participants in their education and training. Rather, they are portrayed as innocent, passive victims of the debilitating effects of HC, lacking socioemotional resilience, and requiring extra efforts to cultivate humanistic traits. This dissection of the HC offered above suggests that the HC is something that is “done to” students. It is therefore not surprising that a majority of the reform efforts are also aimed at trying to “do something to” medical students (i.e., enhancing humanistic attributes and characteristics through formal instruction), rather than addressing the overarching institutional culture.



고찰과 미래 방향

Discussion and Future Directions


HC "문제ills"에 대한 솔루션은 더 나은 프로페셔널리즘과 윤리 교육, 더 강한 성찰적 행동에 집중, 교사에 대한 더 강력한 규제regulation, 그리고 더 최근에는 사회과학과 인문학 교육 투입 등이 있다. 제안된 모든 솔루션은 개인 또는 조직 수준에서만 존재하며, 예를 들어 직업의 기본 구조나 자금조달 메커니즘과 관계된 "시스템" 수준의 문제를 제기하는 사람은 거의 없습니다.

Suggested solutions to HC “ills” are nested within better teaching of professionalism and ethics, a stronger concentration of reflective practice, stronger regulation of teachers, and, more recently, the infusion of social science and humanities teachings among other recommendations. All of these proposed solutions live at the individual or organizational level, and very few call into question “systems”-level matters concerning, for example, the basic structure or funding mechanisms of the profession.


프로그램적 연습(예: 포트폴리오 작업 및 성찰 연습 기술 구축)은 학생들에게 HC 효과를 관리하는 방법을 가르치는 방법으로서 커리큘럼에 주입되곤 한다. 이러한 권고사항은 다음과 같은 의심받지 않은 가정에 기초한다. 즉 의대생들은 교육에서 수동적인 참여자들들이며, 학생들의 인본주의적 자질과 도덕적인 나침반으로 침식되고 축출되었으며, 여기에는 부정적인 롤모델(선생님들)과 의학 훈련과 관련된 스트레스 요인이 긴밀한 영향을 미쳤다는 것이다.

Programmatic exercises (like portfolio work and reflective practice skill building) are injected into the curriculum as a way to teach students to manage HC effects. These recommendations are premised on the largely unproblematized assumption that medical students are passive participants in their enculturation, their humanistic qualities and moral compass eroded and stamped out of them through close association with negative role models (their teachers) and the stressors associated with medical training. 


비록 문학에 널리 보급되지는 않았지만, 학생들은 지식인knower으로서 산발적으로 개념화 되어 있고, 그들의 경험은 HC의 효과와 작동의 직접적 entry를 제공하며, 종종 학생의 행동은 의료 문화를 더 좋게 변화시키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89 학생들을 학습의 주체로서 개념화하는 것은, 역동적인 과정으로서 직업적 정체성 형성을 연구하기 위한 새로운 시작점을 제공한다.

Although not prevalent in the literature, students are sporadically conceptualized as knowers, their experiences providing a direct entry to the effects and operations of the HC and their actions often changing medical culture for the better.89 Conceptualizing students as agents of their learning provides a novel entry point for studying professional identity formation as a dynamic process.


또한 사회문화적 학습 이론은 의학 교육자들이 커리큘럼과 교육학을 고려하는 것을 넘어서는 관점을 갖게 해주며, 교육을 사회정치적 노력으로 생각하게 해준다. 즉, 이것은 시스템, 구조, 그리고 기관이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를 질문하기 위한 출발점이 된다.

Sociocultural learning theories may also encourage medical educators to broaden their scope of practice beyond considerations of curriculum and pedagogy, to think about education as a sociopolitical endeavor—a starting point for interrogating how systems, structures, and institutions impact socialization and professionalization processes.


HC와 휴머니즘 사이의 교차점은 종종 제로섬 게임으로 제시되는데, 이는 인본주의가 번성할 수 있도록 기관 내 구성원에게 휴머니즘적 특성을 강화하면, 그들은 결국 HC를 파괴하고, 그 요소들을 해체하여 휴머니즘이 꽃피우게 할 것이라는 생각이다. 이러한 관점에서 보면, 의대생은 자신의 휴머니즘적 특성을 유지하거나 또는 HC의 유해성에 매료되는 것 중 하나를 택해야 한다. 간단히 말해서, 문헌에 따르면 의학교육은 HC에 대해 해로운inimical 것이다.

The intersect between the HC and humanism often is presented as a zero- sum game—boosting humanistic traits among institutional players who will, in turn, vanquish the HC and/or dismantle elements of the HC to allow humanism to flourish. From this perspective, a medical student can either retain his or her humanistic qualities or become enchained by the noxious tangles of the HC. In short, the literature suggests that medical education is inimical to the HC.


그러나, 우리는 이 관계에 의문을 제기하는 저자들에 동의한다.89 우리는 더 넓은 의미에서의 휴머니즘의 "가르침"이란(즉, 배움과 탐구에 대한 광범위한 영역에 대한 이름으로서) HC의 "가르침"에 대해 상호보완적이며, 그것에 반대하는 것이 아니다. 아마도 대부분의 것과 마찬가지로, 이 경우 "인본주의적"이라고 불리는 특성의 촉진과 HC가 반응하는 medicine의 현실 사이에 필요한 균형이 있을 수 있다.

However, we agree with authors in our archive who question this relationship.89 We propose that the “teachings” of humanism in its broader meaning (as the name for a broad range of fields of learning and inquiry) are complementary to the “teachings” of the HC rather than antithetical. Perhaps, like most things, there is a necessary balance, in this case between the promotion of those traits named “humanistic” and the realities of medicine to which the HC responds.


의학교육에서 HC는 미래의 의사들에게 우리가 원하는 것과 가능한 것의 균형을 맞추면서 평형을 제공하는 메커니즘이다. 즉, "잠재 교과과정은 의학의 이상과 실제 실행 사이의 gap에 숨어있으며, 학생과 교육자들이 medicine의 일상에 필요한 교훈을 제공한다."90(p60)

HC in medical education as a mechanism that provides an equilibrium to our future physicians, balancing what we want and what is possible. In other words, “the hidden curriculum hides in the gap between the ideal and the real practice of medicine, and it provides the lessons that students and educators need for the everyday work of medicine.”90(p60)


우리는 "좋은 것" (인본주의)과 "나쁜 것" (HC) 사이의 전투가 '개인'이라는 지형에서 벌어지고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습니다. 이는 광범위한 연구와 관심에도 불구하고 계속되고 있다. HC 효과를 관리하는 것에 대해 우리가 가진 이러한 선입견은 [잠재적인 사회화와 비공식적 학습의 긍정적인 효과]를 흐릿하게 합니다. 여기에는 교육자와 학습자가 (무엇보다 현대 의료의 현실의 도전 과제를 관리하며) 동시에 무엇이 옳고 무엇이 가능한지에 대한 모순된 메시지를 탐색하는 법을 포함한다.

We found, battle between “good” (humanism) and “evil” (HC) being waged on the terrain of the individual—a battle that continues despite the extensive amount of research and attention . This preoccupation with managing HC effects obfuscates the positive effects of latent socialization and informal learning, including the many ways that educators and learners learn to navigate contradictory messages about what is right and what is possible, while managing, and perhaps most important, challenging the realities of contemporary health care. 




 2015 Nov;90(11 Suppl):S5-S13. doi: 10.1097/ACM.0000000000000894.

Humanism, the Hidden Curriculum, and Educational Reform: A Scoping Review and ThematicAnalysis.

Abstract

BACKGROUND:

Medical educators have used the hidden curriculum concept for over three decades to make visible the effects of tacit learning, including how culture, structures, and institutions influence professional identity formation. In response to calls to see more humanistic-oriented training in medicine, the authors examined how the hidden curriculum construct has been applied in the English language medical education literature with a particular (and centering) look at its use within literature pertaining to humanism. They also explored the ends to which the hidden curriculum construct has been used in educational reform efforts (at the individual, organizational, and/or systems levels) related to nurturing and/or increasing humanism in health care.

METHOD:

The authors conducted a scoping review and thematic analysis that draws from the tradition of critical discourse analysis. They identified 1,887 texts in the literature search, of which 200 met inclusion criteria.

RESULTS:

The analysis documents a strong preoccupation with negative effects of the hidden curriculum, particularly the moral erosion of physicians and the perceived undermining of humanistic values in health care. A conflation between professionalism and humanism was noted. Proposals for reform largely target medical students and medical school faculty, with very little consideration for how organizations, institutions, and sociopolitical relations more broadly contribute to problematic behaviors.

CONCLUSIONS:

The authors argue that there is a need to transcend conceptualizations of the hidden curriculum as antithetical to humanismand offer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that explores the necessity and value of humanism and the hidden curriculum in medical education and training.

PMID:
 
26505101
 
DOI:
 
10.1097/ACM.0000000000000894
[Indexed for MEDLINE]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