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습자에게 힘을: 우리에게 다른 방법이 필요한가? (Med Educ, 2014)
Empowering the learner to reflect: do we need another approach?
Val Wass & Chris Harrison
'문제가 없다면 개인의 성장도, 집단의 성과도, 인간성의 발전도 없을 것이다. 그러나 문제에 관한 중요한 것은 문제를 가지고 무엇을 하느냐이다.'
‘Without problems, there can be no personal growth, no group achievement, no progress of humanity. But what matters about problems is what one does with them.’1
우리들 중 많은 사람들은 수년간 (학생이나 훈련생들, 그리고 아마도 종종 우리 자신에게) 성찰이 간단하게, 접근하고 받아들일 수 있는 것이 되도록 노력해왔다. 그러나 성찰을 그렇게 만드는 것은 모든 교과과정에서도 여전히 어려운 부분이다.
Many of us have struggled for years to make reflection simple, accessible and acceptable to students and trainees and, indeed, often perhaps to ourselves. It remains a difficult area within any curriculum.
성찰에 대한 많은 정의와 모델이 있다. 그러나 여러 정의를 결합한다고 해서 간단한 해결책이 되는 것은 아니다. "낙타는 위원회가 고안한 말horse이다"라는 말이 떠오른다. 우리가 다른 사전에서 '말'의 모든 정의를 고려한다면, 우리는 매우 다양한 것을 발견할 수 있을 것이고, 그 중 일부에서 어떤 요소는 제외될 것이다. 그러나, 그렇게 몇몇 요소들을 불가피하게 배제한다고 해서, 그렇게 정의한 동물이 '말'이 아닌 것은 아니다. 게다가, 모든 정의를 하나의 정의에 포함시키더라도, 독자들이 말의 개념을 이해하는데 자연히 도움이 되지 않을 것이다. 반사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일까?
There are many definitions and models of reflection on offer. However, combining multiple definitions does not guarantee a simple solution. The aphorism ‘a camel is a horse designed by committee’3 comes to mind. If we were to consider all the definitions of a horse in different dictionaries, we would find a wide variety, some of which exclude certain elements. However, the exclusion of these elements does not inevitably mean that the animal defined is not a horse. Furthermore, incorporating all definitions into one definition will not automatically help the reader to understand the concept of a horse. Could the same be true of reflection?
궁극적인 목표는 성찰이 ritual이 아니라 아닌 의미 있는 과정이 되도록 만드는 것이어야 한다.4 학습자는 constrained 되기보다는 empowered되어야 한다.
The ultimate aim should surely be to make reflection a meaningful process, not a ritual.4 The learner should be empowered, not constrained.
우리는 전문직의 성찰적 행동에 적용되는 단일한 경험적 모델이 있는지에 의구심을 갖고 있다. 학습자마다 선호하는 학습 스타일이 서로 다르다는 것은 잘 알려진 것이며, 이를 해결하기 위해 점점 더 많은 커리큘럼에서 다양한 교육 방법론을 혼합하는 방식으로 사용하고 있습니다. 성찰을 위한 다양한 모델들 역시 개인에 맞게 선택하고, 도움이 되도록 맞춤화할 수도 있다.
We doubt there is a single empirical model applicable to professional reflective practice. It is well accepted that learners have different preferred styles of learning and many curricula increasingly use blended teaching methodologies to address this. It is equally possible that a range of models for reflection is beneficial and can be tailored to suit individual choice.
의학의 practice에서의 전문적 행동이란 맥락특이적이며, 문화적으로 민감하고, 반드시 일반화될 수는 없는 복잡한 적응적 시스템 내에서 일어난다. Hodges et al.5는 개인, 제도 및 사회 수준에서 표현되는 전문적 행동은 사회-맥락적 요소의 책임이 있다고 주장한다. 프로페셔널리즘은 개인의 특징과 행동에만 국한되지 않는다. 또한 프로페셔널리즘은 단계적, 행동주의적 체크리스트 접근만으로 해결되지도 않는다. 전문적인 성찰적 실천에도 이러한 원리가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The practice of medicine occurs within a complex adaptive system in which professional behaviour is context-specific, culturally sensitive and not necessarily generalisable. Hodges et al.5 argue for the accountability of socio-contextual factors which shape the expression of professional behaviours at individual, institutional and societal levels. Professionalism extends beyond individual characteristics and behaviours alone5 and is not open to a staged, behaviourist checklist approach. This may well apply equally to professional reflective practice.
3차병원의, 중환자실의, 팀 중심적인 환경 내에서 발생하는 critical incident에 뒤따라야 하는 성찰적 접근은 의과대학 1학년 학생이 첫 환자 대면을 했을 때 해야 하는 성찰적 접근과 다를 것이다. 전자는 사회적 수준에서 집단적 성취와 인간적인 감성을 포함하여 성찰해야 하는 반면, 후자는 학생 개인과 개인적 professional practice에 미치는 영향을 중심으로 성찰해야 한다.
a critical incident within an intensivist, tertiary, team-oriented environment may require a reflective approach to define action consequent on the significant event that differs from that required in a Year 1 medical student’s reflection on his or her first individual patient encounter. The former embraces group achievement and humane sensitivity at a societal level, whereas the latter is a reflection on the impact on an individual and his or her personal professional practice.
핵심 질문은 학습자를 위한 반사 모델을 표준화하는 것을 목표로 삼아야 하는지, 아니면 다양한 프레임워크를 활용하는 개별 개인화된 접근방식을 수용하고 장려해야 하는지 여부입니다.
The key question, is whether we should aim to standardise a reflective model for learners, or accept and encourage an individual personalised approach utilising a range of frameworks.
(성찰을) 분석할 때에는 학습자의 주체성을 존중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Respecting the agency of the learner within the analytical activity is essential.
성찰은 서로 다른 수준에서 발생할 수 있으며, [자기자신이나 개인적 활동]에 대해서 할 수도 있지만, [자신과 관련된 더 광범위한 체계적 프로세스와 관련된 컨텐츠]에 대해 할 수도 있다. 후자에서는 상황 분석의 복잡성을 해소할 필요성을 보여준다.
reflection may occur at different levels, and may embrace content related to the self and individual actions, and content related to the wider systematic process related to self. The latter mirrors the need to address the complexity of the situational analysis,
멘토링을 통해 '자기'에 대한 성찰적 학습과 이해가 향상된다는 점은 점점 더 널리 받아들여지고 있다. 개인적 발달을 위한 튜터링과 평가는 포트폴리오를 통한 발달과 성찰평가의 핵심이 된다.6 그러나 Nguyen et al.2에서 제시한 모델에는 멘토링이 없다. 우리는 이것이 심각한 누락이라고 믿는다.
It is increasingly accepted that reflective learning and understanding of ‘self’ are enhanced through mentoring; personal development tutoring and appraisal prove key to the development and assessment of reflection through portfolios.6 Yet mentoring is absent from the modelling presented by Nguyen et al.2 We believe this is a significant omission.
한 가지로 모든 것의 해결책이 될 수 있는가? 만약 RIA와 ROA에 대해서 성찰이 모두 성공하려면 학습자의 자율성을 존중해야 한다. 우리는 학습자가 문제를 개인적으로 맥락화시키고 사회-문화 환경의 로지스틱 내에서 적절하게 행동하기 위해 선호하는 학습 스타일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Can one size fit all? If reflection, both in and on action, is to succeed, the autonomy of the learner must be respected. We must enable the learner to personally contextualise the problem and to use his or her preferred learning style to act appropriately within the logistics of the socio-cultural environment.
Med Educ. 2014 Dec;48(12):1146-7. doi: 10.1111/medu.12612.
Empowering the learner to reflect: do we need another approach?
Author information
- 1
- Keele, UK.
Comment on
- PMID:
- 25413907
- DOI:
- 10.1111/medu.12612
'Articles (Medical Education) > 전문직업성(Professionalism)'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불확실성에 대한 편안함: 어떻게 의사들은 복잡한 임상상황을 해쳐나가는가에 대한 개념 재정립(Adv Health Sci Educ Theory Pract, 2018) (0) | 2018.11.17 |
---|---|
정말 보내도 괜찮습니까? 의학교육에서 이메일 프로페셔널리즘(J Physician Assist Educ, 2017) (0) | 2018.11.15 |
성찰은 무엇인가? 주요 정의의 개념적 분석과 5-요소 모델(Med Educ, 2014) (0) | 2018.11.08 |
성찰적 좀비: 의학교육에서 성찰 프레임워크의 문제(Perspect Med Educ, 2018) (0) | 2018.11.06 |
성찰 또는 "사전 성찰": 우리가 진짜 측정하고 있는 것은 무엇인가? (Med Educ, 2011) (0) | 2018.11.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