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찰은 무엇인가? 주요 정의의 개념적 분석과 5-요소 모델(Med Educ, 2014)

What is reflection? A conceptual analysis of major definitions and a proposal of a five-component model

Quoc Dinh Nguyen,1 Nicolas Fernandez,2 Thierry Karsenti3 & Bernard Charlin4




도입

INTRODUCTION


1933년 듀이에 의해 처음으로 성찰의 개념이 언급된 이래로, 성찰은 여러 분야와 전문 분야에서 관심을 끌었다.2–5 의학, 6–8 간호9–11 및 다른 건강 과학 직업12도 예외가 아니다. 이러한 맥락에서 성찰은 커리큘럼과 실천의 중요한 요소이며, 평생학습 및 개인적/전문직업적 학습의 요건으로 간주된다.16

Since the concept of reflection was first articulated by Dewey in 1933,1 reflection has gained traction in multiple disciplines and professional fields.2–5 Medicine,6–8 nursing9–11 and the other health science professions12 are no exception; reflection in these contexts is viewed as a crucial component of curriculum and practice,13–15 and as a requirement for lifelong personal and professional learning.16


성찰의 인기에 대한 증거로서, 성찰은 다양한 의미를 가지고 있으며, 여러 모델들로 표현되어 왔다. 각 모델들은 성찰에 필요한 다양한 요소(예: '모든 신념에 대한 능동적이고 지속적이며 신중한 고려', '정동적 행위', 가정, '자신에 대한 의미' 등)를 강조한다. 성찰의 초보자에 대해서든 전문가에 대해서든, 성찰은 합의된 정의가 없는 복잡한 구조이다.21–24

As evidence of its popularity, reflection has taken on divergent meanings and has been represented by a number of models,6,7 each emphasising different elements required in reflection (e.g. ‘active, persistent and careful consideration of any belief’,1 ‘affective activities’,18 assumptions,17,19 and ‘meanings in terms of self’20). For both newcomers and experts, reflection is a complex construct for which the literature does not provide a consensual definition.21–24


성찰의 일반적인 명확한 이해가 부족함으로 인해서, 그것을 분석하고 가르치고 평가하기 위한 실용적인 방법의 개발도 어렵게 만들었다. 성찰에 대한 문헌이 증가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그 사용을 지지하는 증거는 주로 이론적인 것들 뿐이다. 성찰의 실질적인 활용이 종종 언급되었지만, 성찰에 대한 부정확한 이해는 종종 그 의미를 희석시키는 결과를 가져왔는데, 그것은 때때로 단순히 '생각'과 동일하게 여겨지기도 했다.

The lack of a common explicit understanding of reflection has undoubtedly impeded the development of practical methods to analyse, teach and assess it.25 Despite the increasing number of publications on reflection, the evidence in support of its use remains mainly theoretical,7 largely as a result of the difficulty of reliably operationalising a construct without a consistent definition.26,27 Although practical applications of reflection have been described,28–30 the imprecise understanding of reflection has often resulted in dilution of its meaning, which has at times equated to simple thinking.31,32


목적

Objectives



방법

METHODS


정의와 모델 추출

Definition and model retrieval and extraction


our goal was to obtain a wide range of influential conceptualisations for analysis rather than to compare the relative influence of each author.


그림 1 Figure 1



표 1

Table 1 summarises the 15 authors and author groups and the major definitions and models extracted.



탐색적 주제 분석

Exploratory thematic analysis


Using the results in Table 1, QDN conducted the thematic analysis process.35


정의와 모델 개발

Process of developing a definition and model


Figure 2 summarises the exploratory thematic analysis and development process of our definition and model.



결과

RESULTS


Table 1 presents the 15 most cited authors or author groups and their definitions or models of reflection.


성찰의 정의

The definition of reflection


성찰의 본질: 사고과정으로서 성찰

The nature of reflection: reflection as a thinking process


주제 분석의 초기 단계에서는 드러난 것은, 검토한 모든 정의에서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반사의 성격은 그것이 무엇보다 "사고과정"이라는 점이다.

The early stages of the thematic analysis revealed that the nature of reflection, common to all of the reviewed definitions, is first and foremost that of a thinking process.


성찰은 '질문', '생각', '검사', '검사', '시술', '정신적 처리' 또는 '분석' 중 하나로써 모든 것이 인지적 활동이다.

reflection as one of ‘questioning’, ‘thinking’, ‘examining’, ‘scrutinising’, ‘mental processing’ or ‘analysis’, all of which are cognitive activities.


그러나, 그것이 성찰과 사고가 동의어라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성찰의 모든 정의는 성찰이 특정 형태의 생각으로서, 다른 사고 과정과 어떻게 다른지를 설명하는 추가 요소를 포함한다.

However, that does not mean that reflecting and thinking are synonyms. All definitions of reflection include further elements that delineate how reflection, as a specific form of thinking, differs from other thinking processes.


우리는 그러한 7가지 요소를 확인하고, 5가지 요소를 반사적 사고에 대한 constitutional 것으로 분류했고, 2가지 요소는 그것에 대한 extrinsic한 것으로 분류했다.

We identified seven such elements and classified five as constitutional to reflective thinking and two as extrinsic to it.


성찰의 다섯 가지 핵심 요소

The five core components of reflection


components of reflection: 

    • (i) thoughts and actions (TA); 

    • (ii) attentive, critical, exploratory and iterative processes (ACEI); 

    • (iii) the underlying conceptual frame (CF); 

    • (iv) the view on change (VC), and 

    • (v) the self (S).

성찰이 특정 방식의 '생각'이라면, 성찰은 그 내용(즉, 반사를 할 때 무엇을 생각하는가) 또는 과정(반영할 때 어떻게 생각하는가)에 따라 달라져야 한다.

if reflection is a distinct form of thinking, it must differ by its content (i.e. what one thinks about when reflecting) or by its process (i.e. how one thinks when reflecting).



성찰의 내용-관련 요소

Content-related component of reflection (TA)


우리가 확인한 첫 번째 핵심 요소인 생각 및 행동(TA)은 성찰의 내용 또는 '성찰하려면 무엇을 생각해야 하는가?'와 관련이 있다.

The first core component we identified, thoughts and actions (TA), is related to the content of reflection, or ‘what must one think about in order to be reflecting?’


여러 정의들은 질문에 대한 일관된 답변을 제공하지 않습니다. 한 사람의 '생각과 행동'(TA)이 모든 범위의 콘텐츠를 반영할 수 있다고 주장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이러한 다른 관점을 통합하는 쉬운 방법은 없습니다.

The definitions do not provide a consistent answer to this question; There is no easy way to integrate these divergent views, except by arguing that one’s ‘thoughts and actions’ (TA) would encompass the entire range of content on which one can reflect.


TA 구성 요소는 인지적 내용(예: 지식, 아이디어, 문제 해결), 비인지적 내용(예: 조치, 경험), 잠재적인 감정적 내용을 포함한다. 메즈로우의 말에는 '인식하고, 생각하고, 느끼고, 행동하는' 모든 것이 포함된다.32 따라서, 반사의 첫 번째 요소는 생각과 행동에 대해 생각하는 것이다.

The TA component is meant to include cognitive content (e.g. knowledge, ideas, problemsolving), non-cognitive content (e.g. actions, experience), and potential affective content. In Mezirow’s words, it encompasses all that one can ‘perceive, think, feel or act’.32 Thus, the first component of reflection is thinking about thoughts and actions.


성찰의 프로세스-관련 요소

Process-related component of reflection (ACEI)


성찰을 한다는 것은 생각과 행동에 대해 어떻게 생각한다는 것인가? 두 번째 성찰의 구성요소는 성찰적 사고의 '과정'을 말한다.

How must one think about thoughts and actions in order to be reflecting? The second component of reflection, refers to the process of reflective thinking.


우리의 생각과 행동을 주의깊게, 비판적으로, 탐구적이고 반복으로 생각하는 것은, 해튼과 스미스의 '개선에 대한 deliberate thinking'과 같은 성찰의 더 간결한 정의를 반영한다.39

Thinking about our thoughts and actions attentively, critically, in an exploratory and iterative fashion does mirror more concise definitions of reflection, such as Hatton and Smith’s ‘deliberate thinking about action with a view to its improvement’.39


성찰의 내용&프로세스 관련 요소

Content and process-related components of reflection (CF, VC, S)


TA에 대한 ACEI 사고 과정은 불가피하게 내용과 과정 사이의 경계를 흐리게 할 것이다. 콘텐츠는 인지적으로 처리되기 때문에 불가피하게 새로운 상태로 전환되며, 이는 순수하게 콘텐츠 또는 프로세스와 관련된 것으로 분류하기 어렵게 된다.

An ACEI thinking process about one’s TA will inevitably blur the line between content and process. Because content is cognitively processed, it is inevitably transformed into a new state, which becomes hard to categorise as purely content- or process- related.


근원적 개념틀 요소

The underlying conceptual frame component (CF)


세 번째 핵심 요소: 우리의 생각과 행동을 뒷받침하는 의식적 또는 무의식적 개념적 프레임(CF)입니다. 성찰은 다음을 포함한다. 

(i) '우리가 왜 지금과 같은 방식으로 인식하고, 사고하고, 느끼는지'를 드러내주는 근원적인 개념틀을 '인식하게 되어가는becoming aware of' 과정 

(ii) '정확성과 타당성에 대한 철저한 검토'를 통해 이 근원적 개념틀이 새로운 성찰적 사고의 내용new content이 되도록 하는 것.

third core component: the conscious or unconscious conceptual frame (CF) that underlies our thoughts and actions. For authors, reflection involves: 

(i) the process of ‘becoming aware of’ this underlying conceptual frame which reveals ‘why we perceive, think, feel or act as we do’,40 and 

(ii) making this underlying conceptual frame the new content of reflective thinking by ‘scrutinising [its] accuracy and validity’.19


조직적 학습에서, 이것은 아르기리스와 슈우론의 '이중 루프 학습'으로 이어지는 근본적인 개념적 프레임워크에 대한 질문이다. 따라서 TA에 대해 ACEI한 방식으로 생각하는 것과 더불어, 단순히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문제의 이해[...]를 목표로 하는 생각'을 요구한다는 점에서 성찰은 다른 사고 과정과 다르다.

In organisational learning, it is this questioning of the underlying conceptual frame that leads to Argyris and Sch€on’s ‘double-loop learning’.41,42 Thus, along with ACEI thinking about TA, reflection differs from other thinking processes in that it also requires thinking aimed at ‘one’s understanding of the problem [...] rather than aimed simply at trying to solve it’.24


변화에 대한 관점 요소

The view on change component (VC)


왜 성찰하는가? 성찰적 사고 프로세스는 그 목적 측면에서 일반적인 생각과 다르다. 성찰에 대한 대부분의 정의를 살펴보면, 어떤 형태로든 '성찰의 목적은 변화로 이끄는 것' 이라고 본다.

Why does one reflect? The reflective thinking process also differs from general thinking in terms of its purpose. The majority of definitions view the purpose of reflection as leading to some form of change,


변화에 대한 관점(VC)은 우리가 확인한 네 번째 핵심 요소입니다. Meyzrow는 성인 학습 40의 변혁적transformative 차원에 있어 [비판적 성찰]을 고려함으로써 성찰과정에서의 [변화에 대한 관점]의 중요성을 증명한다. CF 구성 요소와 유사하게, VC 구성 요소는 성찰의 프로세스와 내용 모두에 관련되어 있습니다. 성찰의 목적은 다음과 같다.

(i) 변화의 관점에서 TA와 CF를 처리하고(어떻게 생각할 것인가), 

(ii) 이렇게 계획된 변화를 추가적인 성찰 사고의 내용으로 재처리하는 것이다(무엇을 생각할 것인가).

Having a view on change (VC) is the fourth core component we identified. Mezirow’s consideration of critical reflection as instrumental in his transformative dimensions of adult learning40 attests to the importance of a view on change in reflection. Analogous to the CF component, the VC component pertains to both the process and content of reflection. The aims of reflection are: (i) to process one’s TA and CF with a view to change (how to think), and (ii) to reprocess this envisioned change as the content of further reflective thinking (what to think about).


'성찰'을 하기 위해서는 '마음의 변화'를 목적에 두고 생각해야 한다.

One should think with the purpose of change in mind in order to be reflecting.


자기자신 요소

The self component (S)


'성찰'이라는 단어는 '뒤집기'를 가리키는 라틴어에서 유래한다. 성찰을 자기자신과 관련된 사고 과정으로 보는 개념은 대부분의 정의에서 암시적 또는 명시적 형태로 나타난다.

The word ‘reflection’ stems from the Latin root reflexio, which refers to the act of ‘bending back’. The idea of reflection as a thinking process concerned with the self appears in most definitions in implicit or explicit form.


사고 과정은 ACEI할 수 있고, TA와 CF를 다루고 VC를 목표로 할 수 있지만, 무엇보다 이 네 가지 구성 요소가 self와 연결될 때 성찰이라고 볼 수 있다.

Although a thinking process can be ACEI, deal with TA and CF, and aim for a VC, it becomes reflective particularly when these four components are linked to the fifth component, namely the self (S).


Self의 관점에서 의미를 명확히 할 때, Self를 활용하여 TA, CF, VC가 (첫째) 자기자신과 어떻게 관련되어 있는지, (둘째) 자기자신에게 어떤 정보를 제공하는지를 탐구할 수 있다

    • 자기와 관련된 것을 생각하는 것('행동'과 같이 나와 관련된 내용을 생각함)과 

    • 무엇인가를 자기와 관련지어 생각하는 것('내 행동이 나에 대해 무엇을 말해주는가?'와 같은 프로세스)

... 사이에는 중요한 차이가 있다.

When clarifying meaning in terms of self, one uses the self to examine how one’s TA, CF and VC are firstly related to the self and, secondly, informed by the self. There i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 thinking about something related to the self (whereby the content is related to the self: e.g. my actions) and 

    • thinking about something as related to the self (whereby the process is related to the self: e.g. what do my actions say about me?).


성찰의 조작적 정의

The operational definition of reflection



다음과 같이 성찰을 정의한다.

we coined the following final definition of reflection:


반사는 [자신의 생각과 행동, 그리고 근원에 깔린 개념적 틀에 대해서] 주의 깊고, 비판적이며, 탐구적이고 반복적인 상호작용을 하는 과정으로서, 그 목적은 그것들을 바꾸는 데 있으며, 변화 자체에 대한 관점을 가져야 한다.

Reflection is the process of engaging the self in attentive, critical, exploratory and iterative interactions with one’s thoughts and actions, and their underlying conceptual frame, with a view to changing them and with a view on the change itself.


Table 2



성찰의 외적 요소

The extrinsic elements of reflection


성찰이 무엇인지를 함께 정의하는 5가지 핵심 요소를 소개했다. 그러나, 성찰은 진공에서 일어날 수 없기 때문에, 외부적인 요소들은 성찰적 사고 과정이 일어나는 상황을 바꾸지만, 그 외부적 요소 자체가 사고 프로세스를 바꾸지는 않는다. 

Our definition introduces five core components that together define what reflection is. However, because reflection cannot occur in a vacuum . Extrinsic elements alter instances of reflective thinking processes,but do not alter thinking processes to make them reflective per se. 


성찰의 방아쇠

The trigger of reflection


Boyd와 Fale은 반사의 원인이 '경험'이라고 밝혔다. 경험이 반사를 촉발할 때, 경험에 대해 인식하거나 회상하는 것이 성찰적 사고 과정의 '내용'으로 투입되어 유지된다. 경험에 대해 인식하거나 기억하는 것은 실제 경험과는 크게 다를 수 있기 때문에, 트리거와 실제 성찰 내용 사이의 구분은 강조할 가치가 있다.

Boyd and Fales identify the trigger of reflection as being ‘experience’.20 As an experience triggers reflection, what is recognised or recalled of the experience is held onto as the content to be fed into the reflective thinking process. Because what is recognised or recalled of an experience can differ widely from the actual experience, the distinction between the trigger and the actual content of reflection is worth emphasising.


성찰의 맥락

The context of reflection


학문 분야, 환경 등과 같은 무수한 상황 요소에 따라 성찰이 어떻게 변화할 것인가에 관한 것이다. 성찰에서 가장 흔히 언급되는 전후 관계 요소는 그 시점이다

How reflection unfolds will vary according to innumerable contextual factors such as the academic field, the setting and so on.31 The most commonly mentioned contextual factor in reflection is timing. 


이는 Loughran의 예기적 성찰과 와 Sch€on의 '행동 중' 및 '행동 후' 성찰이 있다.

This mirrors Loughran’s anticipatory reflection48 (before), and Sch€on’s ‘reflection-in-action’ (during) and ‘reflection-on-action’36 (after).


현재 정의, 연구 및 성찰 적용의 대부분은 관심이 되는 상황 이후에 발생하는 성찰과 관련이 있다. 그러나 다른 상황에서의 성찰을 언급하는 것도 가치가 있다(예: 행동 전 또는 행동 중).

The vast majority of current definitions, studies and applications of reflection are concerned with reflection that takes place after the situation of interest. However, there is an added value in also describing reflection in other contexts (e.g. before or during the action).


다른 외부적 요소

Other extrinsic elements of reflection

  • 마메데와 슈미트의 성찰적 실천은 '성찰에 대한 개방적 태도'를 포함하며, 이는 성찰을 수행하는 사람의 상태로 이해할 수 있다. 

  • Boud et al.18 ('정서적 활동')과 Atkins와 Murphy9 (감정의 분석')는 성찰 시 감정 요소를 설명한다. 

  • 반면에 엡스타인50과 트레멜51은 성찰과 mindfulness을 연관시킨다. 

  • Korthagen45와 Sch€on은 성찰을 위한 퍼실리테이터의 중요성과 영향력을 강조합니다. 

  • Aukes 등은 의료행위를 성찰하는 성과 중 하나를 '기능, 학습, 개발의 균형을 잡는 것'으로 묘사한다.16

  • Mamede and Schmidt’s structure of reflective practice includes an ‘attitude of openness towards reflection’,49 which can be understood as the state of the person undergoing reflection. 

  • Boud et al.18 (‘affective activities’) and Atkins and Murphy9 (‘analysis of feelings’) describe an affective element in reflection, 

  • whereas Epstein50 and Tremmel51 relate reflection to mindfulness. 

  • Korthagen45 and Sch€on,17,36 underline the importance and influence of a facilitator for reflection. 

  • Aukes et al. describe one outcome of reflection in medical practice as ‘the benefit of balanced functioning, learning and development’.16


성찰의 개념 모델

A conceptual model of reflection



고찰

DISCUSSION


프로세스와 모델의 이론적 강점

Theoretical strengths of our process and model


표 2에서 보듯이, 우리의 개념화는 이전 모델의 핵심 요소를 설명하지만, 다른 모델을 희생시키면서 강조하지 않는다. 이를 통해 다른 모델에서 누락된 기능을 제공하여 통일 모델 역할을 할 수 있습니다.

As shown in Table 2, our conceptualisation accounts for the key elements of previous models, without emphasising one at the expense of another. This allows it to serve as a unification model, providing the features missing from other models


우리의 제안은 과도한 단순성(예: Hatton과 Smith39) 또는 복잡성(예: Brookfield, 19 Kember et al.43,44) 사이에서 보다 나은 균형을 이루고 있습니다.

our proposal strikes a better balance between excessive simplicity (e.g. Hatton and Smith39) or complexity (e.g. Brookfield,19 Kember et al.43,44).


이해와 운영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우리의 정의는 일반적인 표현을 사용하며, 예를 들어, 긴 글의 탐구 없이는 이해하기 쉽지 않은 Sch€on의 모델인 17,36과 달리, 그 자체로 충분한 설명을 제공한다.22

To facilitate understanding and operationalisation, our definition uses generic wording and is self-contained, unlike, for example, Sch€on’s model,17,36 which is not easy to grasp without lengthy exploration of his writing.22


실질적 강점

Practical benefits of our model


더 깊은 성찰을 하는 과정에서 학습자들은 정기적으로 성찰에 참여하도록 요청 받는다. 그러나 학생들은 일반적으로 성찰이란 것이 무엇인지조차 알지 못한 상태로(그런 정보가 제공되지도 않은 상태로), 학생들은 성찰적 사고를 만들어내려고 하는데, 이는 흔히 부지런한 생각diligent thinking과 구별하기 어렵다.

In the process of becoming more reflective, learners are regularly asked to engage in reflection. Generally unaware – or, rather, uninformed – of what reflection entails, learners attempt to produce reflective thinking, which is often hard to distinguish from any diligent thinking.


학습자가 자발적으로 만들어낸 성찰적 사고가 기본적인 개념적 프레임(CF), 변화에 대한 관점(VC), 반사의 중요한 특징인 자아(S)를 고루 다루는 경우는 드물다.

Only seldom will learners’ spontaneous reflective thinking tackle the underlying conceptual frames (CF), the view on change (VC), and the self (S), which are critical features of reflection.


학습자는 성찰적 사고에 5가지 핵심 요소를 모두 포함시키고 집중함으로써 완전히 발달된 성찰을 경험할 수 있으며, 이것을 부지런한 생각 또는 일반적인 지각적 사고와 명확하게 구분할 수 있게 될 것이다52

By including and focusing on all five core components in their reflective thinking, learners can experience fully developed reflection and clearly distinguish it from diligent thinking or generic metacognitive thinking.52


비록 성찰을 구성요소로 분할될 수 있지만, 성찰이란 것이 각 부분의 합과 동일할 수 있다는 의미는 아닙니다. 모든 구성 요소가 존재하더라도 성찰이란 시스템 구성 요소가 상호 작용할 때만 완전한 힘을 방출합니다.

Although reflection can be broken down into components, this does not mean that reflection can be equated to the sum of its parts. Even if all the components are present, reflection will unleash its full potential only when the systemic components interact.


가장 중요한 상호작용은 한 사람의 TA와 그들의 CF 사이의 상호관계이며, 이에 대한 성찰이 촉진되어야 한다. 이러한 인간 특유의 '상자 속 생각(TA에 대해서 생각하는 것)'과 '상자 밖 생각(TA의 기초가 되는 CF에 대해 생각하는 것)'은 높은 수준의 성찰을 기르고 스스로의 존재, 행동, 사고방식을 변화시키는 데 중요합니다. 마찬가지로, 자기 자신이 어떻게 우리의 생각과 행동과 개념적 틀을 설명하고 영향을 주는지(또는 생각과 행동과 개개념틀에 의해서 영향을 받는지) 분석하는 것은 확실히 효과적인 성찰의 열쇠이다.

The most significant interaction is the reciprocity between one’s TA and their CF, which the reflective process should promote. This uniquely human capacity to ‘think inside the box’ (thinking about our TA) and ‘outside the box’ (thinking about the CF underlying our TA) is instrumental in fostering high-level reflection and in changing one’s ways of being, doing and thinking. Similarly, analysing how the self explains and influences (or is influenced by) our thoughts and actions and our conceptual frames is undoubtedly key to effective reflection.


성찰은 개별적인 구성 요소들과 그 사이의 많은 상호작용으로 구성되기 때문에, 성찰이란 것이 얼마나 비선형적이고, 복잡하며, 주관적이면서 강력한 힘을 가질 수 있는지를 쉽게 알 수 있으며, 또한 성찰이 왜 그토록 평가하고 가르치기 어려지를 쉽게 알 수 있다.

Because reflection comprises both the individual components and the many interactions among them, it is easy to see how non-linear, complex, subjective and potent it can become, and why reflection can be so hard to assess and teach.


우리의 모델은 핵심 요소들을 외부 요소들과 구분함으로써 외부적인 요소들에 얽매이지 않고 반사되는 것을 알 수 있다.

By distinguishing the core components from the extrinsic elements, our model allows reflection to be informed by the extrinsic elements, without being bound to them.


한계

Limitations of our process of defining reflection



함의

A few implications of our model


전문직업적 발달과 자율성

Professional development and autonomy


우리는 성찰의 인기가 부분적으로 그것이 제공하는 자율성에 기인한다고 믿는다. 전문적 실무는 그 자체로 자율성의 개념을 수반하므로, 전문가들은 자율성을 강화하는 방법을 배워야 한다. "Self" 요소를 성찰 프로세스의 중앙에 배치함으로써, 우리의 성찰 모델은 분명히 자율적 관행에 초점을 맞추었다.

We believe that the popularity of reflection is partly attributable to the autonomy it affords. Because professional practice per se entails the notion of autonomy, professionals should learn in ways that foster autonomy. By placing the self component at the centre of the reflective process, our model of reflection clearly focuses on autonomous practice.


한 사람의 성찰과 그에 따른 학습은 그 사람의 practice만큼이나 매우 개인적이고 자율적일 수 있다. 더욱이 성찰은 개인의 고유한 개념적 틀에 기초하기 때문에 성찰의 operationalization은 그 고유의 주관성을 고려해야 한다.

One’s reflection and the resultant learning can be as deeply personal and autonomous as one’s practice. Moreover, because reflection is grounded in one’s unique conceptual frame, any operationalisation of reflection must take into account its inherent subjectivity.



Table 3 An example of increasingly reflective thinking processes


평가와 교육

Assessment and teaching


첫째, 성찰은 다섯 개의 요소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기존의 대부분의 척도와 같이 monolithic하고 일차원적인 방식으로 비성찰부터 성찰까지를 평가하는 방식으로는 성찰을 온전히 평가할 수 없다. 우리의 모델은 각 구성 요소와 구성 요소의 상호 작용을 개별적으로 이해함으로써 성찰을 보다 심층적으로 이해할 수 있도록 합니다. 예를 들어, 사람들은 [자신의 근본적인 개념체계에 대해 생각하지 않으면서도] 동시에 [주의깊고 비판적이며 탐구적이고 반복적인 방식으로] 생각할 수 있다. 성찰에 대한 단차원적 평가는 CF에 대항 성찰 없이 ACEI만 하는 경우를 구분하지 않는 반면에, 다차원 척도는 그것을 구분할 수 있을 것이며, 따라서 개인화된 교수법과 성찰의 개발에 도움을 줄 것이다.

Firstly, because reflection comprises five components, it cannot be fully assessed in a monolithic, one-dimensional manner from non-reflective to reflective, as most scales do.29,30,43,53 Our model allows a more in-depth understanding of reflection through separate understanding of each of the components and their interactions. For example, one might think in an attentive, critical, exploratory and iterative fashion without ever thinking about one’s underlying conceptual frame. Whereas a one-dimensional assessment of reflection will not distinguish a functioning ACEI component from an absent CF component, a multi-dimensional scale will do, and will therefore have the ability to inform the personalised teaching and development of reflection.


둘째로, 성찰이 복수의 구성요소를 가지고 있다는 특성 때문에 성찰에 대한 평가는 단순히 '성찰적인-비성찰적인'으로 이분화해서는 안 된다. 비록 대부분의 성숙한/강력한 형태의 성찰은 이 모든 다섯 요소를 포함하지만, 이것 들 중에서 일부가 빠졌다고 비성찰적이라고 할 수는 없다. 대신, 우리는 각 구성 요소에 대해 많은 degree of development를 가진 성찰의 연속체라고 생각하는 것을 선호한다.

Secondly, because of the multi-component nature of reflection, its assessment should not be simply dichotomised into ‘reflective’ and ‘non/pre-reflective’.54–56 Although the most mature and powerful form of reflection involves all five components, this does not mean that any thinking short of that is unreflective. Instead, we prefer to think of reflection as a continuum, with many degrees of development for each component.


셋째로, 타이밍에 관계없이 성찰을 명확하게 정의함으로써, 우리의 모델은 행동중성찰과 행동후성찰 둘 다를 평가하고 가르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Thirdly, by clearly defining reflection irrespective of timing, our model can be used to assess and teach both reflection-in-action and reflection-on-action,


마지막으로, 성찰은 미리 결정된 외부적 성과와 별도로, 명백하게 어떤 프로세스로서 개념화되기 때문에, 우리는 우리의 모델이 성찰의 결과(무엇 - 내용 - 학생이 배우기를 바라는 것)만 교육 및 평가하고 과정(어떻게 배울 것인가)를 배제하는 실수를 막아줄 것이라고 믿는다. Kolb가 배움에 대해 말했듯이, 성찰은 결과가 아니라 과정이다. 성찰을 평가할 때는 성찰의 최종 목적지나 성찰을 사용한 거리를 측정하지 말고, 5개의 핵심 구성 요소에 의해 전달된 성찰의 경로 자체를 측정해야 한다.

Finally, because reflection is explicitly conceptualised as a process, without reference to any predetermined extrinsic outcome, we believe that our model will help prevent the error of teaching and assessing the outcome of an instance of reflection (what – the content – we want one to learn) rather than its process (how to learn). As Kolb57 has said of learning, reflection is a process, not an outcome. When assessing reflection, we should not measure the final destination of reflection or the distance travelled using it, but, rather, the reflective journey itself, as conveyed by the five core components.


CONCLUSIONS


커트 레빈의 말과 같이 좋은 이론만큼 실용적인 것은 없다.

In Kurt Lewin’s thoughtful words, there is nothing as practical as a good theory.58



6 Sandars J. The use of reflection in medical education: AMEE Guide No. 44. Med Teach 2009;31:685–95.


7 Mann K, Gordon J, MacLeod A. Reflection and reflective practice in health professions education: a systematic review. Adv Health Sci Educ Theory Pract 2009;14:595–621.









 2014 Dec;48(12):1176-89. doi: 10.1111/medu.12583.

What is reflection? A conceptual analysis of major definitions and a proposal of a five-componentmodel.

Author information

1
Division of Geriatrics, Department of Medicine, University of Montreal, Montreal, Quebec, Canada.

Abstract

CONTEXT:

Although reflection is considered a significant component of medical education and practice, the literature does not provide a consensual definition or model for it. Because reflection has taken on multiple meanings, it remains difficult to operationalise. A standard definition and model are needed to improve the development of practical applications of reflection.

OBJECTIVES:

This study was conducted in order to identify, explore and analyse the most influential conceptualisations of reflection, and to develop a new theory-informed and unified definition and model of reflection.

METHODS:

A systematic review was conducted to identify the 15 most cited authors in papers on reflection published during the period from 2008 to 2012. The authors' definitions and models were extracted. An exploratory thematic analysis was carried out and identified seven initial categories. Categories were clustered and reworded to develop an integrative definition and model of reflection, which feature core components that define reflection and extrinsic elements that influence instances of reflection.

RESULTS:

Following our review and analysis, five core components of reflection and two extrinsic elements were identified as characteristics of the reflective thinking process. Reflection is defined as the process of engaging the self (S) in attentive, critical, exploratory and iterative (ACEI) interactions with one's thoughts and actions (TA), and their underlying conceptual frame (CF), with a view to changing them and a view on the change itself (VC). Our conceptual model consists of the defining core components, supplemented with the extrinsic elements that influence reflection.

CONCLUSIONS:

This article presents a new theory-informed, five-component definition and model of reflection. We believe these have advantages over previous models in terms of helping to guide the further study, learning, assessment and teaching of reflection.

PMID:
 
25413911
 
DOI:
 
10.1111/medu.12583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