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환경 분석의 핵심 요소: 이론은 어디있나? (Adv in Health Sci Educ, 2012)

Key elements in assessing the educational environment: where is the theory?

Johanna Scho¨nrock-Adema • Tineke Bouwkamp-Timmer •

Elisabeth A. van Hell • Janke Cohen-Schotanus




도입

Introduction


점점 더 교육 환경은 양질의 의료 교육을 위해 필수적인 것으로 인식되고 있다. (Roff 2005; WFME 2003, 2007; Genn 2001a, b)

The educational environment has been increasingly acknowledged as vital for high-quality medical education (Roff 2005; WFME 2003, 2007; Genn 2001a, b).


학생들의 교육환경의 퀄리티에 대한 인식이 학생들의 참여, 만족도 및 성공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보여주는 연구 결과가 있다. 예를 들어, 긍정적인 교육 환경은 학생 학습을 동기부여하는 데 필요한 조건입니다(Kerkpatrick 1996;Mu ̈ler and Louw 2004).

research outcomes, showing that students’ perceptions of the educational environment quality influence their involvement, satisfaction and success (De Young 1977; Haertel et al. 1981; Karagiannopoulou and Christodoulides 2005;Mu¨ller and Louw 2004). For example, a positive educational environment is a necessary condition to motivate student learning (Kirkpatrick 1996;Mu¨ller and Louw 2004).


최근의 의학 교육 환경 도구에 대한 조사는 그들 사이에 많은 차이점이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그러나 setting 간의 차이가 도구의 일부 콘텐츠에 대한 tailoring을 요구할 수 있지만(Holt and Roff 2004; Patel and Dauphinee 1985),

Examination of recent medical educational environment instruments reveals that there are many differences between them. However, even though differences between settings may call for some tailoring of instrument content (Holt and Roff 2004; Patel and Dauphinee 1985),


우리는 지금까지 의학 교육 환경의 퀄리티를 적절히 확인하기 위해 어떤 개념을 측정해야 하는지에 대한 합의가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는 것을 알고 있다.

we gather that up till now there is no consensus about which concepts should be measured to ascertain the quality of the medical educational environment adequately.


의학 교육 환경 기구의 개발 과정에 관한 출판물로부터 우리는 그들 대부분이 이론에 근거하지 않았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이론적 프레임워크의 부재는 측정된 개념에 관한 차이를 설명할 수 있다.

From the publications on the development processes of the medical educational environment instruments, we noticed that the majority of them were not based on theory. The absence of a theoretical framework may explain the differences regarding the concepts measured.


우리는 의학교육환경의 퀄리티에 대한 적절하고 완전한 그림을 얻기 위해서는 의학교육 환경의 어떤 요소가 측정되어야 하는지를 규정하는 이론적인 프레임워크가 있는지 궁금했다.

we wondered whether there are any theoretical frameworks that specify which elements of the medical educational environment should be measured to obtain an adequate and complete picture of its quality.


연구1: 이론틀에 대한 심층조사

Study 1: In-depth search for theoretical frameworks


방법

Methods


스노우볼 방법

Starting with the included publications, we applied a snowballing technique—comparable to the method applied by Teunissen and Westerman (2011)—in order to find a theoretical framework,


자료 출처와 도구 선택

Data sources and selection of instruments



다음을 배제함

We excluded


a. studies in which the development of an educational environment instrument only implied abbreviating an existing instrument;

b. studies focusing on educational settings other than the medical education setting, for example nursing or dentistry;

c. (narrow) studies focusing on specific aspects of the educational environment;

d. (extensive) studies in which the educational environment was not the main focus of the instrument constructed;

e. paper and poster abstracts, proceedings of conferences, dissertation abstracts, editorials and letters.


자료 추상화

Data abstraction


We considered a theoretical framework relevant and useful if it clearly delineates which components of the educational environment should be measured in order to obtain an adequate and complete picture of its quality.


결과

Results


검색 결과

Search results


의학교육환경 도구의 개괄

Overview of medical educational environment instruments




(표 1 참조) 예를 들어, 교육, 감독, 훈련은 반복되는 주제이며, 대기, 감정적 기후, 사회적 지지에 대한 인식도 그러하다. 학습 기회의 인식, 학습에 대한 지향성, 작업량, 목표 지향성, 장학금에 대한 강조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도구들은 여러 차이를 보이는데, 예를 들어 스케일이 3에서 12까지의 다르다. 이러한 차이는 일부 평가도구는 하나의 척도로 여러 개념을 결합하고 다른 평가도구는 이 개념들을 별도로 측정하기 때문일 수 있다.

(see Table 1). For instance, teaching, supervision and training are recurring themes, as are perceptions of atmosphere, emotional climate and social support. The same is true for perceptions of learning opportunities, orientation to learning, workload, goal direction and emphasis on scholarship. Nevertheless, the instruments also display many differences, for instance, in numbers of scales, which range fromthree to twelve. These differences may partly be ascribed to the fact that some instruments combine several concepts in one scale, whereas others measure these concepts separately.


항목 수준에 대한 정밀 검사는 또 다른 유형의 차이를 드러냅니다. 여러 도구들이 서로 다른 개념을 측정하기 위해 유사한 항목을 사용합니다.

Closer inspection on item level reveals another type of dissimilarity: different instruments use similar items to measure different concepts:


    • 교사와의 좋은 관계에 대한 항목은 트레이너의 인식뿐 아니라 분위기에 대한 인식을 측정하는 데 사용됩니다(Mulrooney 2005; Holt and Roff 2004).

    • 작업 부하에 대한 항목은 작업 부하/감독/지원 및 역할 자율성에 대한 인식을 측정하는 데 사용됩니다(Holt 및 Roff 2004; Roff et al. 2005).

    • 학습 기회에 대한 항목은 학습 기회의 인식과 역할 자율성에 대한 인식을 측정하는 데 사용됩니다(Cassar 2004; Roff et al. 2005).

    • 학습 목표에 대한 항목은 역할 명료성과 교수에 대한 인식을 측정하는 데 사용된다(Rotem et al. 1995; Roff et al. 1997).

    • items about good relationships with the teacher are used to measure perceptions of the trainer as well as perceptions of atmosphere (Mulrooney 2005; Holt and Roff 2004).

    • items on workload are used to measure perceptions of workload/supervision/support and perceptions of role autonomy (Holt and Roff 2004; Roff et al. 2005).

    • items on learning opportunities are used to measure perceptions of learning opportunities as well as perceptions of role autonomy (Cassar 2004; Roff et al. 2005).

    • items on learning objectives are used to measure perceptions of role clarity and perceptions of teaching (Rotem et al. 1995; Roff et al. 1997).


이론틀의 심화 검색

In-depth search for theoretical frameworks


그림 2는 도구 조사 프로세스를 보여 줍니다.

Figure 2 illustrates the process of investigating instruments


가장 최근에 개발된 도구가 이 그림의 맨 위에 위치해 있으며, 심층적인 연구 시작에 쓴 11개의 의료 교육 환경 기구들이 굵은글씨로 있다.

The most recently developed instruments are positioned at the top of the scheme, with the 11 medical educational environment instruments that formed the start of our in-depth study in bold typeface.


우리의 심층 조사는 두 가지 이론적 틀을 낳았다. 첫번째 틀은 Murray의 작품이었다. Murray는 처음에 성격묘사를 위한 개념적인 계획을 세우는 것에 초점을 맞추었다. 그는 한 사람의 행동이 개인의 성격뿐만 아니라 환경에 대한 인식에 의해서도 영향을 받음을 깨달았을 때, 그는 환경에도 초점을 맞추었다. 그는 개인과 환경 개념을 적절한 용어로 조작하려고 시도했다. 

Our in-depth investigation yielded two theoretical frameworks. The first framework was the work of Murray (1938). Murray initially focused on formulating a conceptual scheme for describing personality. When he realized that behavior can not only be attributed to an individual’s personality, but also to the person’s perceptions of the environment, he also focused on the environment. He attempted to operationalize person and environment concepts in commensurate terms. 


하지만 머레이는 자신의 결과에 의문을 제기했다. 그는 이러한 개념들을 만들기 위한 그의 기준은 명확하지 않고 그의 계획은 불완전하다는 것을 깨달았다: 범주 설정 기준은 명확하지 않았다 (p. 716), 그리고 '인식과 해석을 guide하기 위한 러프한, 예비적인' 계획만 만들었다. 또한, 그가 노력하여 만든 많은 변수들의 목록은 체계적이지 않은 것으로 여겨졌으며, 이론이나 핵심적 발견을 제공하지 않는다고 여겨졌다 설명된다. (McAdams 2008) 따라서, 우리는 의료 교육 환경을 평가하기 위한 이 프레임워크의 적용 가능성을 테스트하지 않기로 결정했습니다.

However, Murray casted doubt on his own results. He realized that his criteria for formulating these concepts were not univocal and his scheme was imperfect: the criteria for setting up the categories were not unequivocal (p. 716) and resulted in no more than ‘a rough, preliminary plan to guide perception and interpretation’ (p. 143) (Murray 1938). In addition, the long lists of variables resulting from his efforts are described as rather unstructured and Murray’s work as not offering a systematic theory nor central findings (McAdams 2008). Therefore, we decided not to test the applicability of this framework for evaluating the medical educational environment.




우리가 발견한 두 번째 이론적인 틀은 Moos (1973, 1974년)에 의해 형성된 프레임워크이다. Moos에 따르면, 각 인간 환경은 - 어떤 세팅이든간에(병동이든, 교정기관이든, 군대든, 교실이든, 치료그룹이든, 근무환경이든, 가족이든) 일반적인 몇 가지 차원으로 설명될 수 있다. Moos는 세 가지 광범위한 차원으로 개념화했다.

The second theoretical framework that we found was the framework formulated by Moos (1973, 1974). According to Moos, each human environment—irrespective of the type of setting (e.g. psychiatric ward, correctional institution, military training, classroom, therapeutic group, work environment or family setting)—can be described by common sets of dimensions. Moos conceptualized these sets of dimensions in three broad domains:


1. 개인 개발 또는 목표 지향 차원

특정 환경의 기본 목표와 관련이 있다. 이 영역에서는 [개인의 성장과 자기 향상이 일어나는 경향의 기본적인 방향]을 평가한다. 교육 환경에서 이 영역은 교육의 목표를 달성하는 것과 관련이 있습니다. 목표 지향 영역에서 높은 점수를 받은 교육 환경은 학습 목표, 관련 학습 내용 및 건설적 비판에 대한 명확성으로 특징지어집니다.

1. Personal development or goal direction dimensions, which relate to the basic goals of the specific environment—they assess the basic directions along which personal growth and self-enhancement tend to occur. In educational settings, this domain pertains to achieving the aims of education. An educational environment scoring high on the goal direction domain is characterized by clarity about learning objectives, relevant learning content and constructive criticism.


2. 관계 차원 

그것은 특정 환경의 사람들이 서로를 서포트하고 돕고, 자발적으로, 자유롭게, 공개적으로 자신을 표현하는데 참여하는 정도를 평가한다. 관계 차원이 긍정적인 환경은 열린 의사소통, 다정함, 사회적 그리고 대인관계 지원, 화합과 그룹 정신의 느낌으로 특징지어진다. 교육 환경에서 긍정적인 관계를 나타내는 것으로는 학생 참여, 제휴affiliation, (감정) 지원 및 교사 서포트 등이 있다.

2. Relationship dimensions, which assess the extent to which people are involved in the setting, support and help each other and express themselves spontaneously, freely and openly. A favourable relationship domain is characterized by open communication, friendliness, social and interpersonal support, cohesion and feelings of group spirit. Dimensions representative of positive relationships in educational settings are student involvement, affiliation, (emotional) support and teacher support.


3. 시스템 유지보수 및 시스템 변경 차원

이는 기대가 명확하거나 질서정연하고, 통제를 유지하고, 변화에 반응하는 정도를 의미한다. 교육 환경에서 이 영역을 대표하는 것의 예로는 순서, 조직, 규칙 명확성, 교사 통제, 학생 영향 및 혁신이 있습니다임상 학습 환경은 작업 환경의 일부이기 때문에 작업 압력과 물리적 편안함 또한 이 영역과 관련이 있을 수 있다.

3. System maintenance and system change dimensions, which measure the extent to which the environment is orderly and clear in its expectations, maintains control, and responds to change. Examples of the basic dimensions representative of this domain in educational settings are order, organization, rule clarity, teacher control, student influence and innovation. Since the clinical learning environment is part of a work setting, work pressure and physical comfort—a dimension that is, in work settings, representative of this domain—may also be relevant.


연구2: 이론트의 적용

Study 2: Applicability of the theoretical framework


방법

Methods


모스의 이론적 틀이 의학 교육 환경에 적용 가능한지 알아보기 위해, 우리는 의학교육 환경 측정도구의 항목들이 그 안에 매핑될 수 있는지 조사하였다.

To find out whether Moos’ theoretical framework is applicable to the medical educational environment, we investigated whether the items of medical education environment instruments could be mapped into it.


참가자와 절차

Participants and procedure


결과

Results


Moos의 프레임워크와 관련된 항목 중 약 94%. 총 374개 항목 중 256개(68%)가 하나의 도메인에 할당되었고, 94개(25%)는 두 개 이상의 도메인과 일치했으며 24개(6%)는 환경에 명확하게 관련되지 않았기 때문에 해당 항목에 매핑되지 않았다.

About 94%of the items related to Moos’ framework. Of the total number of 374 items, 256 (68%) were allocated to one single domain, 94 (25%) matched with more than one domain and 24 (6%) could not be mapped into it either because they did not clearly pertain to environment or because the purposes of the items in question were unclear to the raters.


목표 지향 도메인

"직업에 대한 준비가 잘 되어 있다고 생각합니다."

"여기서 내 일에 있어서 나는 자율성을 개발하도록 격려받았다."

goal direction domain

‘‘I feel I am being well prepared for my profession’’

‘‘I am encouraged to develop autonomy in my work here’’.


관계 도메인

 "나는 팀의 일원으로 느낀다,"

 "이 직무에 대해 문제를 논의하는 것이 편하다." 

relationship domain

 ‘‘I feel part of the team’’, 

‘‘I feel comfortable discussing problems in this job’’, 


시스템 유지관리 및 시스템 변경 도메인

"문제 해결을 위한 명확한 경로가 있습니다."

"이 위치에서 교육 시간을 보호받고 있다."

system maintenance and system change domain

‘‘there is a clearly defined pathway to address problems’’

‘‘I have protected educational time in this post’’


고찰

Discussion


Moos의 프레임워크는 개인 개발 또는 목표 방향, 관계, 시스템 유지보수 및 시스템 변경 차원의 세 가지 영역을 인간 환경의 핵심 요소로 정의합니다.

Moos’ framework defines three domains as the key elements of human environments: 

  • personal development or goal direction, 

  • relationship, and 

  • system maintenance and system change dimensions.


결과는 의료 교육 환경에서 세 영역의 콘텐츠가 

  • 목표 지향(교육의 내용 및 목적), 

  • 관계(개방적이고 우호적인 분위기 및 제휴) 

  • 조직/규제

...와 관련이 있음을 보여주었다.

results showed that in the medical educational environment context, the contents of the three domains relate to 

  • goal orientation (the content and aims of education), 

  • relationships (an open and friendly atmosphere and affiliation) and 

  • organization/regulation.


평가도구의 문항들 중 일부가 하나 이상의 도메인에 할당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모든 항목이 프레임워크를 염두에 두고 구성되지 않았기 때문에 모든 항목이 단일 도메인에 바로 할당될 수 없다는 것은 놀라운 일이 아닙니다.

Our study showed that part of the items could be assigned to more than one domain. It is not surprising that not all items could be allocated straight to a single domain, since they were not constructed with the framework in mind.


이러한 항목을 세 영역 중 하나에만 분명하게 집중하면 일관된 척도를 형성하는데 기여할 수 있으며, 이는 다시 해당 계측기의 신뢰성과 타당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Focusing these items unambiguously on only one of the three domains may contribute to forming coherent scales, which may, in turn, enhance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instrument in question.


우리가 발견한 골조의 타당성과 포괄성은 이전의 연구에 의해 뒷받침된다. 

The validity and comprehensiveness of the framework that we found is supported by previous research. 


첫째, Moos는 이 세 개의 도메인을 9개의 매우 뚜렷한 종류의 환경에서 발견했다. 

First, Moos found these three domains in nine vastly distinct kinds of settings (Moos 1974). 


둘째, 유사한 프레임워크가 조직 환경에서 분위기가 태도, 만족도 및 성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에 적용되었다(Ostroff 1993). 이 프레임워크는 Moos와는 독립적으로 개발되었으며 다음의 세 가지가 세 가지 조직의 분위기에 대한 인식을 구성한다 

Second, a similar framework was applied in organizational research into the influence of climate on attitude, satisfaction and performance in an organizational setting (Ostroff 1993). This framework was developed independently from Moos and comprises three broad categories of climate perceptions, namely perceptions of the 

  • 정서적 측면(인내적, 사회적 관계) 

  • 인지적 측면(예: 성장과 자율성) 

  • 도구적 측면(예: 계층 구조) 

  • affective (interpersonal and social relations), 

  • cognitive (e.g. growth and autonomy) and 

  • instrumental aspects (e.g. hierarchy, structure) 


이것은 기존 문헌의 통합을 반영하는 조직 분위기 인식의 포괄적인 분류로 칭송되었다. 

It was commended as a comprehensive classification of organizational climate perceptions that reflects the integration of existing literature (Carr et al. 2003). 


셋째, 질적 연구에서도 유사한 분류를 확인했다. 예를 들어, 수술장 학습 환경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 연구는 성공적인 학습을 위해 중요한 세 가지 영역을 제시하였다. 

Third, qualitative studies yielded similar classifications. For example, a study of students’ perceptions of the theatre learning environment yielded three domains as important for successful learning: 


  • 교육 과제(교육의 내용 및 목적과 관련된) 

  • 사회관계 

  • 육체적인 환경과 그 일의 정서적인 영향. 

  • educational task (which pertains to the content and aims of education), 

  • social relations, and 

  • physical environment and emotional impact of the work (Lyon 2003). 


임상 환경에서 학습을 최적화하는 데 필수적인 조건에 초점을 맞춘 Dornan 등(2005)의 연구는 임상환경에서 학습을 최적화하는 세 가지 종류의 teacher support(임상적, 정서적, 조직적) 발견했으며, 이는 또한 우리가 교육환경에서 발견한 세 가지에 가까운 것으로 확인되었다.

A study by Dornan et al. (2005)—focused on the conditions essential for optimizing learning in the clinical environment—revealed three kinds of teacher support (pedagogic, affective and organisational) that also correspond closely with the three domains of educational environment that we identified.


우리가 교육 환경을 위해 제안하는 이론적 틀은 Moos 에 기반을 두고 있다. 이 관점에서, 교육은 사회 문화적 관점으로 확대된다.

The theoretical framework that we propose for the educational environment is based on Moos (1973, 1974). In the meantime, medical education is broadened with sociocultural perspectives,


사회문화 이론은 임상 교육 환경과 같은 역동적 환경에서 학습이 어떻게 발생하는지를 설명하는 데 강력한 이론이다. 

사회문화 이론의 특징은 다른 사람들과의 교류와 협력이 학생들의 학습 과정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인정된다는 것이다. 이 과정은 다른 사람들로부터 지식과 기술을 배우는 것이며, 학습자가 introduce되는 커뮤니티에 존재하는 규범, 문화적 믿음과 태도에 익숙해지는 것이다.

Sociocultural theory is considered as a promising and powerful theory that may be valuable for explaining how learning occurs in dynamic contexts like clinical educational environments (Bleakley 2006). Characteristic for sociocultural theory is that the interaction and collaboration with others is acknowledged as influencing students’ learning processes, both through learning knowledge and skills from others, and through becoming familiar with the norms, cultural beliefs and attitudes existing in the communities to which they (the students) are being introduced.


타인과의 상호작용과 협력에 대한 강조는 (두 번째 영역에 속하는) (대인) 관계가 학생들의 학습 과정에 중요하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또한, [다른 사람과 협력하는 방법을 배우는 것]은 첫 번째 영역인 [목표 지향]과 관련된 것을 성취하기 위한 중요한 목표이다. 또한, [사회 문화적 이론이 다른 사람들과의 상호작용과 협력을 중요시한다는 것]이 교육과 학습이 조직되고/또는 규제되는 방식도 영향을 미칠 수 있다.

The emphasis on interaction and collaboration with others implies that (interpersonal) relationships—belonging to the second domain—are important for students’ learning processes. In addition, learning how to collaborate with others is an important goal to achieve which is related to the first domain, goal direction. Furthermore, the importance that sociocultural theory attaches to interaction and collaboration with others may also have implications for the way education and learning is organized and/or regulated.


우리는 또한 제안된 프레임워크가 위치 학습 및 실천 공동체의 기능 및 효과성에 대한 이해를 증가시킬 수 있다고 생각한다(Lave and Wenger 1991; Dornan et al. 2007; Fuller et al. 2005; Elstro ).

We also think that the proposed framework may add to the understanding of the functioning and effectiveness of situated learning and communities of practice (Lave and Wenger 1991; Dornan et al. 2007; Fuller et al. 2005; Ellstro¨m 2001).


또한 현재 이론적 프레임워크는 슈퍼비전의 기능과 효과성에 대한 이해를 높일 수 있다. 광범위한 문헌 검토에서 킬민스터와 졸리(2000)는 [슈퍼비전 관계], [피드백], [프로세스에 대한 trainee의 통제]가 중요하다고 강조하며, 효과적인 감독의 가장 중요한 특징은 감독을 위한 충분한 시간이라고 강조하였다. 이러한 주요 기능은 각각 도메인 관계, 목표 지향 및 조직/규제에 부합합니다.

The current theoretical framework may also add to the understanding of the functioning and effectiveness of supervision: in an extensive literature review Kilminster and Jolly (2000) highlight supervision relationship, feedback, and trainee control over the supervisory process and finding sufficient time for supervision as the most important features of effective supervision. These key features clearly correspond with the domains relationships, goal orientation, and organization/regulation, respectively.


결론적으로, 전체 교육 환경을 망라하고 다음과 같은 기본 개념을 구성하는 보편적으로 적용되는 일련의 도메인을 발견했다.

In conclusion, we found a universally applicable set of domains that seems to cover the entire educational environment and comprise the essential concepts:


Teunissen, P. W., & Westerman, M. (2011). Opportunity or threat: The ambiguity of the consequences of transitions in medical education. Medical Education, 45, 51–59.






 2012 Dec;17(5):727-42. doi: 10.1007/s10459-011-9346-8. Epub 2012 Feb 4.

Key elements in assessing the educational environmentwhere is the theory?

Author information

1
Center for Research and Innovation in Medical Education, University of Groningen, The Netherlands. j.schonrock-adema@umcg.nl

Abstract

The educational environment has been increasingly acknowledged as vital for high-quality medical education. As a result, several instruments have been developed to measure medical educational environment quality. However, there appears to be no consensus about which concepts should be measured. The absence of a theoretical framework may explain this lack of consensus. Therefore, we aimed to (1) find a comprehensive theoretical framework defining the essential concepts, and (2) test its applicability. An initial review of the medical educational environment literature indicated that such frameworks are lacking. Therefore, we chose an alternative approach to lead us to relevant frameworks from outside the medical educational field; that is, we applied a snowballing technique to find educational environmentinstruments used to build the contents of the medical ones and investigated their theoretical underpinnings (Study 1). We found two frameworks, one of which was described as incomplete and one of which defines three domains as the key elements of human environments (personal development/goal direction, relationships, and system maintenance and system change) and has been validated in different contexts. To test its applicability, we investigated whether the items of nine medical educational environment instruments could be mapped unto the framework (Study 2). Of 374 items, 94% could: 256 (68%) pertained to a single domain, 94 (25%) to more than one domain. In our context, these domains were found to concern goal orientation, relationships and organization/regulation. We conclude that this framework is applicable and comprehensive, and recommend using it as theoretical underpinning for medical educational environment measures.

PMID:
 
22307806
 
PMCID:
 
PMC3490064
 
DOI:
 
10.1007/s10459-011-9346-8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