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I와 환자안전을 위한 단계별 역량에 대한 컨센서스(JGME, 2018)
A Consensus Approach to Identify Tiered Competencies in Quality Improvement and Patient Safety
Brennan D. Kruszewski, MD
Nathan O. Spell, MD
도입
Introduction
지난 20년 동안, 역량 기반 의료 교육 프레임워크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으며, 의사 개업의 경우 질 향상과 환자 안전(QI/PS) 기술이 필요하다는 인식이 증가해 왔다. 그러나 QI/PS를 가르치는 교육자를 위한 기존 지침은 커리큘럼을 설계하기에 충분하지 않다.
Over the past 20 years, there has been growing interest in competency-based medical education frameworks and recognition that quality improvement and patient safety (QI/PS) skills are necessary for practicing physicians.1–3 Yet existing guidance for educators who teach QI/PS is not always sufficient to design curricula.
QI/PS 커리큘럼 설계에 관한 현재 문헌이 단편화되어 있다. 학부 의과대학(UME) 수준에서 미국 의과대학협회(AAMC)는 EPA로 의대 졸업생들에게 "시스템 실패를 확인하고 안전과 개선 문화에 기여해야 한다"고 요구하지만, 추가적 가이드는 제한적이다.
Current literature on the design of QI/PS curricula is fragmented. At the undergraduate medical education (UME) level, the Association of American Medical Colleges (AAMC) recommends in 1 of its entrustable professional activities that graduating medical students should ‘‘identify systemfailures and contribute to a culture of safety and improvement,’’ with limited additional guidance.4
방법
Methods
Over a 5-month period (May to September 2017), we used a modified Delphi technique to reach consensus. This consisted of 3 rounds of surveys followed by a teleconference, and then a fourth survey.10
결과
Results
TABLE 2는 최종 결과를 보여줍니다. UME 수준에서 13개 항목, GME 수준에서 14개 항목, CPD 수준에서 3개 항목이 확인되었다.
TABLE 2 lists our final results. Thirteen items were identified at the UME level, 14 at the GME level, and 3 at the CPDlevel.
합의 수준이 excellent인 항목 중 30개 중 24개(80%)가 만장일치로 지지를 얻었다.
Of the items achieving a consensus level of excellent, 24 of 30 (80%) attained unanimous support.
(밑줄은 UME수준)
안전문화
오류에 대한 공개적이고 안전한 토론을 장려함으로써 안전 문화를 촉진한다.
지역/기관에 맞는 적절한 경로를 사용하여 환자 안전 관련 사건을 보고합니다.
환자 및 가족에게 의료 오류 및 환자 안전관련사건을 적절히 공개하는 데 참여합니다.
"정의의 문화Just Culture" 원칙과 일치하는 방식으로 오류에 대응합니다.
환자 안전 사건이 발생하면 '두 번째 피해자'의 개인적 안녕과 지원을 지원할 자원을 탐색한다.
Culture of safety
Promote a culture of safety by encouraging open and safe discussion of error.
Report patient safety events using locally appropriate pathways.
Participate in disclosure of medical errors and patient safety events to patients and families as appropriate.
Respond to errors in ways consistent with ‘‘Just Culture’’ principles.
Identify resources to support the need for personal wellness and support of ‘‘second victims’’ after a patient safety event.
환자안전
다음 용어를 정의할 수 있다. near miss, error, sentinel events.
잠재적인 오류와 활성 오류를 포함한 스위스 치즈 오류 모델을 설명할 수 있다.
오류를 방지하기 위한 효과적인 개입의 위계를 설명할 수 있다(예:
이중 체크와 같은 저수준 개입,
체크리스트와 같은 중간 개입,
환경 교정 또는 기능 강제 등의 강한 개입
니어미스 및 유해한 환자 안전 관련 사건을 개선의 기회로 대한다.
전문가 간 프로젝트 팀에서 협력해서 환자 안전 관련 사건을 분석할 수 있습니다.
Patient safety
Define the following terms: near miss, error, sentinel events.
Can describe the Swiss Cheese model of error, including latent and active errors.
Can describe hierarchy of effective interventions to prevent errors (low-level interventions, such as double checking, versus intermediate interventions, such as checklists, versus strong interventions, such as modification of environment or forcing function).
Treat near misses and harmful patient safety events as opportunities for improvement.
Can partner in interprofessional project teams to conduct an analysis of a patient safety event.
의료 제공의 신뢰성
시스템 요인 및 프로세스가 결과를 생성하는 방법을 설명할 수 있다.
의학적 의사결정을 방해할 수 있는 인지적, 정서적 편견의 일반적인 유형을 설명할 수 있다.
고도로 reliable한 조직의 특징을 설명할 수 있습니다.
환자 안전을 촉진을 위하여 인체 및 시스템 요소를 다루는 전략을 통합하여 활용한다.
상황 인식(인식, 이해 및 예측)의 원칙을 의료에 적극적으로 적용한다.
절차 체크리스트, 구조화된 의사소통 도구, 관리 경로care path와 같은 인지 보조 기구를 사용하여 환자 안전과 치료 효과를 강화한다.
관리의 안전과 신뢰성을 개선하기 위한 시스템 기반 이니셔티브를 설계한다.
Reliability of health care delivery
Can describe how system factors and processes create outcomes.
Describe common types of cognitive and affective biases that can impair medical decision making.
Can describe features of high-reliability organizations.
Incorporate strategies to promote patient safety that address human and systems factors.
Actively apply the principles of situational awareness (perception, understanding, and prediction) to medical practice.
Use cognitive aids such as procedural checklists, structured communication tools, or care paths to enhance patient safety and the effectiveness of care.
Design systems-based initiatives to improve the safety and reliability of care.
돌봄 주체의 변경
안전 격차gap가 발생할 수 있는 의료 서비스의 일반적인 변화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환자 핸드오프 또는 transfer를 수행하기 위한 증거 기반 전략의 효과적인 사용을 시연할 수 있다.
기관의 handover 관행을 분석하고, 프로세스 개선에 기여하여 관리의 안전성과 효율성을 개선합니다.
Care transitions
Describe common transitions in health care where safety gaps may occur.
Demonstrate effective use of evidence-based strategies to perform a patient handoff or transfer of care.
Analyze local handover practices and contribute to process improvements to enhance the safety and effectiveness of care.
방법 개선/시스템 사고
QI을 위한 일반적인 도구의 사용법을 설명할 수 있다(루트 원인 분석, FMEA, PDSA 사이클 등).
일상적인 자기평가, 팀평가, 퍼포먼스 개선을 의료에 통합합니다.
잘 확립된 개선 방법을 사용하여 전문가 간 프로젝트 팀의 파트너가 품질과 안전을 개선할 수 있습니다.
Improvement methods/systems thinking
Describe the uses of common tools for quality improvement (root cause analysis, FMEA, PDSA cycles, etc).
Incorporates routine self-assessment and team assessment and performance improvement into practice.
Can partner in interprofessional project teams to improve quality and safety using recognized improvement methods.
변화와 가치
자신의 검사와 환자 치료에 있어 불필요한 care를 식별하고 제거합니다.
그룹 또는 시스템 practice의 value를 최적화하고 variability는 줄이기 위한 목적으로 QI 방법을 적용하여 지속적인 개선 문화를 촉진합니다.
Variation and value
Identify and eliminate unnecessary care in one’s own testing and treatment of patients.
Promote a culture of continuous improvement by applying quality improvement methods to optimize value and decrease variability in group or system practice.
성능 측정 및 투명도
효과적이고 안전한 돌봄과 관련한 오류 및 장애요소를 보고 시스템을 활용하여 보고할 수 있다.
공공적 투명성의 가치를 설명할 수 있다.
실행 가능하고, 시기 적절하며, 개선에 적절한 측정 metrics를 식별합니다
품질 및 환자 안전을 개선하기 위해 효과적으로 metrics을 사용합니다.
(자기자신의 전문성과 관련된) 흔한 성과 척도의 타당성을 비판적으로 평가한다.
Performance measurement and transparency
Reports errors and barriers to effective and safe care using incident reporting systems.
Explain the value of public transparency.
Identify metrics that are actionable, timely, and adequate for improvement.
Effectively employ metrics to improve quality and patient safety.
Critically appraise the validity of common performance measures relevant to one’s own specialty.
Discussion
Article Citation:
A Consensus Approach to Identify Tiered Competencies in Quality Improvement and Patient Safety
ABSTRACT |
---|
Background Quality improvement and patient safety (QI/PS) competencies have been proposed separately for undergraduate medical education (UME) and graduate medical education (GME). The work forms a foundation at each educational level, yet curriculum development would benefit from more specific guidance that considers the continuum of physician training.
Objective We identified a core set of QI/PS items to be taught during medical school, residency, and independent practice, with specificity to guide curriculum development at each level.
Methods A panel of 12 QI leaders and educators with backgrounds in internal medicine from 10 academic institutions participated in consensus development using a modified Delphi technique. Three rounds of anonymous surveys were conducted, followed by a teleconference and then a fourth survey round, until consensus regarding the relevance of candidate items was reached. Items considered relevant were recommended for teaching at 1 of the 3 stages.
Results The panel identified 30 QI/PS items for learners. Of the 30 (80%), 24 were unanimously agreed on as relevant, while 6 of 30 (20%) had the agreement of 11 of the 12 experts and the assent of the remaining expert. Thirteen items were identified as appropriate for undergraduate medical education, 14 for graduate medical education, and 3 for the continuing professional development level.
Conclusions There was a high degree of agreement among 12 internists from geographically diverse institutions on the relevance of 30 QI/PS items identified for trainees in competency-based educational settings.
Received: March 12, 2018; Revised: July 28, 2018; Accepted: August 24, 2018;
'Articles (Medical Education) > 교육과정 개발&평가' 카테고리의 다른 글
CBME도입의 주요 과제(Med Teach, 2017) (0) | 2018.11.21 |
---|---|
의학 수련의 문화 바꾸기: CBME 도입을 위한 중요한 단계(Med Teach, 2017) (0) | 2018.11.21 |
교육환경 분석의 핵심 요소: 이론은 어디있나? (Adv in Health Sci Educ, 2012) (0) | 2018.11.17 |
보건전문직 연구에서 교육환경 측정: 체계적 문헌고찰(Med Teach, 2010) (0) | 2018.11.15 |
학부의학교육환경평가에 DREEM 적용 및 상관관계 (Med Teach, 2018) (0) | 2018.11.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