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학교육에서 코칭에 대해 알려진 것은 무엇인가? 문헌고찰 (Med Educ, 2017)
What do we know about coaching in medical education? A literature review
Ben Lovell
도입
INTRODUCTION
코칭은 의학 교사의 도구상자에서 점점 더 인정받는 자원으로 떠오르고 있다.1–5 전문적 코칭은 스포츠와 비즈니스 분야에서 개인들이 최선을 성취하도록 돕기 위해 오랫동안 사용되어 왔다. 그것은 지식 전파에 초점을 두지 않는다는 점에서 전통적인 가르침과 다르다. 그것은 조언과 상담에 초점을 두지 않는다는 점에서 멘토와 다르다.
Coaching is emerging as an increasingly appreciated resource in the medical teacher’s toolbox.1–5 Professional coaching has long been utilised in sport and business to help individuals achieve their personal best. It differs from traditional tutelage in that it does not focus on knowledge transmission. It differs from mentorship in that it does not focus on advice and counselling.
코칭은 관찰된 행동에 대한 동시적이고 개별화된 피드백을 제공하고, 피코치의 완전한 잠재력을 극대화하기 위해 관찰을 자극하고 도전하는 사용을 요구한다. 코칭 패러다임은 다음과 같다.:
피코치는 직무 또는 활동을 수행하거나, 사전 구성된 실제 또는 시뮬레이션 시나리오에 자신의 지식과 훈련을 적용한다.
코치는 피코치coachee를 관찰하고, 피코치의 경기력 향상을 위해 도발, 질문, 도전, 격려의 조합을 사용한다.
그런 다음 피코치는 활동을 다시 수행하고 주기는 반복된다.
그 목적은 측정가능한 수준으로 향상된 성능을 생성하는 것이다.2,6,7
Coaching requires the provision of contemporaneous and individualised feedback on observed behaviour, and the use of stimulating and challenging observations to maximise the coachee’s full potential. The coaching paradigm is thus: the coachee performs a task or activity, or applies his or her knowledge and training in a pre-constructed real or simulated scenario.
The coach observes the coachee and uses a combination of provocation, questioning, challenging and encouragement to help the coachee achieve an improved performance.
The coachee then performs the activity again, and the cycle is repeated.
The purpose is to generate a measurably improved performance.2,6,7
의학 교육에서 교수자 역할을 유형화하며, Stoddart와 Borge는 다음과 같이 주장한다.
'코치는 학습자에게서 가능한 최고 수준의 성과를 추출해내고자 노력한다. 이것은 코칭을 주고 받는 개인 코치 및 학습자의 다양성만큼 독특한 다양한 수단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1.
In their typology of teaching roles in medical education, Stoddart and Borges assert:
‘A coach strives to extract the highest level of performance possible from the learner. This can be accomplished by a wide variety of means that are as unique as the individual coaches and learners involved.’1
운동선수, 음악가, 그리고 경영진이 탁월함을 위해 노력하기 위해 코칭을 사용한다면, 의사들과 외과의사들도 그렇게 해야 하지 않을까? 의사들과 음악가들을 비교할 때, 와틀링 외는 임상의들이 종종 "적당함"을 함축하는 '역량'을 말하는 반면, 음악가들은 '더 나은 연기'와 그들의 개인적인 최고를 향한 지속적인 노력을 말한다고 말한다. 비록 '개인적 최선'이 '수월성'과 동의어는 아니지만, 의사들이 미리 정해진 수준의 일반적인 역량을 갖추기 보다는 지속적으로 개선하도록 장려하는 것에는 분명한 이점이 있다.12
If athletes, musicians and executives use coaching to strive for excellence, shouldn’t physicians and surgeons also do so?8–10 In comparing doctors and musicians, Watling et al.11 note that clinicians often speak of ‘competency’, which has connotations of adequacy, whereas musicians speak of the ‘even better performance’ and the constant need push towards their personal best. Although ‘personal best’ is not synonymous with ‘excellence’, there are evident advantages in encouraging doctors to constantly improve, rather than to attain a predetermined level of generic competency.12
[세션 전 계획, 세션 후 보고, 팀 훈련]과 같은 많은 스포츠 코칭의 tenet은 헬스케어에도 적용될 수 있다.13
Many tenets of sports coaching are transferable to health care, such as pre-session planning, post-session debriefing and team training.13
비록 운동선수들과 의사들의 활동은 매우 다르지만, 지구력, 헌신, 희생, 팀워크, 그리고 빠른 사고 - 느린 사고와 같이 두 영역 모두에서 공통적인 심리적, 행동적, 사회 문화적 특성이 있다. 스포츠 코치가 채택한 방법론을 우리의 교육적 체계로 통합하려는 시도는 이러한 속성을 주입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으며, 이는 우리의 의사들에게 감정적 회복탄력성, 기술적 기량,, 비기술적 기술을 촉진할 수 있다.215
Although the activities of athletes and doctors are vastly different, there are psychological, behavioural and socio-cultural attributes common to both arenas, such as endurance, dedication, sacrifice, teamworking and fast and slow thinking. Attempts to integrate the methodologies employed by sports coaches into our pedagogical framework may help inculcate these attributes, which may promote emotional resilience, technical dexterity and non-technical skills in our doctors.2,15
다른 이들은 의대생을 대상으로 '커리어 코치'를 시도해보았지만, 이러한 코치가 전통적인 교육 감독관들과 어떻게 다른지는 기술하지 않았다.
Others have trialled ‘career coaching’ for medical students,18,19 but do not delineate how these coaches differ from traditional educational supervisors.
종종 '코칭'이라는 용어를 'teaching'과 'mentoring'이라는 용어와 바꾸어 사용한다.
authors often use the term ‘coaching’ interchangeably with those of ‘teaching’ and ‘mentoring’.
코칭의 주요 특성은 강의 및 멘토링과 비교하여 표 1에 자세히 설명되어 있다. 이 검토의 목적을 위해 코칭은 다음 특성에 따라 정의된다.
The key characteristics of coaching, in comparison with teaching and mentoring, are detailed in Table 1. For the purposes of this review, coaching is defined in accordance with the following attributes.
1 코치는 개인화된 실시간 피드백을 제공한다.
1 The coach provides individualised real-time feedback.
코치는 피코치가 무엇이 효과가 있고 없는지를 발견할 수 있도록 돕고, 학습자가 자신의 최대 잠재력에 도달하도록 격려하기 위하여, 행동을 관찰한 직후 형성 평가와 반복적 피드백을 제공한다.21 학습자가 최상의 성과를 달성할 때까지 관찰-피드백의 사이클이 반복된다.
Coaches give formative assessment and iterative feedback immediately after observing behaviours to help the coachee discover what does and doesn’t work, and to inspire the learner to reach his or her maximum potential.21 The cycle of observation–feedback recurs until the learner attains his or her best possible performance.
2 코치와 피코치는 개인화된 목표를 설정한다.
2 The coach and coachee set individualised goals.
코치는 과정보다는 목표와 결과를 강조한다.3 코치는 Micro-managing을 하기보다는, 문제를 해결하고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창의적으로 생각하기 위해 도전과 서포트를 모두 사용해야 한다.
Coaches emphasise aims and outcomes rather than processes.3 Rather than micro-managing, the coach should use both challenges and support to help the coachee solve problems and think creatively to achieve his or her goals.
3 코치는 새로운 행동, 통찰력 및 업무 접근법의 개발을 촉진한다.
3 The coach facilitates the development of new behaviours, insights and approaches to work.
코칭은 학습자 중심이다. 교육 발견, 문제 해결 및 개인적 성장에 대한 책임은 학습자에게 있다.16 이러한 활동은 코치에 의해 촉진되며, 그 역할은 지속적인 개선을 위해 지속적인 피드백을 제공하는 것이다.
Coaching is learner-centric: the responsibility for educational discovery, problem solving and personal growth lies with the learner.16 These activities are facilitated by the coach, who offers continuous feedback to develop a cycle of constant improvement.
4 코치는 관련 분야에 대한 전문성과 경험을 가지고 있다.
4 The coach has expertise and experience within the relevant field.
교육에서 코치는 '게임'에 대한 분석적 이해를 바탕으로 수월성을 향해 학습자에게 동기를 부여하는 능력을 가지고 있다.'.1 유사한 수준의 성취와 경험을 가진 동료가 피드백을 관찰하고 코칭 역할을 한다는 점에서 피어 코칭은 다르다.22
The educational coach ‘has an analytical understanding of the “game” and ability to motivate the learner toward excellence’.1 Peer coaching is different in that a colleague at a similar level of accomplishment and experience takes on a coaching role by observing and giving feedback.22
방법
METHODS
이것은 의학 교육의 현행 코칭 방식에 대한 문헌 검토다. 문헌 검토의 목적은 새로운 이해를 창출하기 위해 데이터에 대한 개념적 통찰력을 제공하는 체계적 검토와 달리 기존 데이터를 식별, 요약 및 비평하는 것이다.23
This is a literature review into current coaching practices in medical education. The purpose of the literature review is to identify, summarise and critique the existing data, unlike the systematic review, which provides conceptual insights into data to generate new understanding.23
문헌 고찰은 편견에 취약하다는 비판을 받았지만, 검토된 문헌이 부족할 때 새로운 증거를 생성하는 조사를 시작할 수 있는 적절한 플랫폼으로 받아들여진다.24 연구 질문은 의도적으로 광범위하고 공개적으로 정하였다. 우리가 현재 의사와 학생의 교육에 개입하는 코칭에 대해 알고 있는 것은 무엇인가?
Literature reviews have been criticised for their vulnerability to bias, yet are accepted as appropriate platforms from which to launch new evidence-generating enquiries when the reviewed literature is scanty.24 The research question was deliberately kept broad and open: What do we currently know about coaching interventions in the education of doctors and students?
RESULTS
표 3은 검토를 위해 포함된 21개 논문의 종합적인 개요를 제공한다.
Table 3 provides a comprehensive overview of the 21 papers included for review.
21개의 논문 중 12개는 미국에서, 2개는 호주에서, 2개는 덴마크에서, 그리고 1개는 영국, 독일, 네덜란드, 캐나다, 대만에서 왔다.
Of the 21 papers, 12 were from the USA, two from Australia, two from Denmark, and one each from the UK, Germany, the Netherlands, Canada and Taiwan.
양적 논문의 경우 평균 메르스QI점수가 11.6으로 저조했다. 정성적 논문들 중에서 CASP 점수도 낮았다(평균점수 5.8). 이는 연구의 대부분 서술적 성격을 반영한다.
Among the quantitative papers, the general quality was low, with a mean average MERSQI score of 11.6. Among the qualitative papers, the CASP score was also low (mean score: 5.8), reflecting the largely descriptive nature of the studies.
의사의 웰빙과 회복탄력성을 위한 코칭
Coaching for doctor well-being and resilience
이 범주에는 7개의 연구가 있었다. 두 가지 연구는 전공의와 학생들의 정서적 지능을 증가시키는 것에 초점을 맞췄다.
There were seven studies within this category. Two studies focused on increasing emotional intelligence (EI) in residents and students.
세 가지 연구는 스트레스를 줄이기 위해 코칭을 사용했다.
Three studies used coaching to reduce stress.
두 연구는 자신감, 전문성 발달, 그리고 자율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긍정 심리학을 사용했다.
Two studies used positive psychology to improve confidence, professional development and autonomy.
비-기술적 스킬을 위한 코칭
Coaching for improved non-technical skills
6개의 연구는 의사결정, 팀워크, 그리고 성찰과 같은 비기술적 기술을 향상시키기 위해 코칭 개입을 평가했다.
Six studies evaluated coaching interventions to improve non-technical skills such as decision making, teamworking and reflective practice.
연구에는 비기술적 기술에 대한 코칭 개입을 위한 약한 증거와 중간 증거의 근거가 포함되어 있었다. Raega et al.,28의 연구는 학부 OSCE에서 1학년생들의 지식과 성과를 향상시키기 위해 종합적인 코칭 개입을 채택했다.
The studies included demonstrate a weak to medium evidence base for coaching interventions for non-technical skills. The exception is a study by R ego et al.,28 which employed a comprehensive coaching intervention to improve Year 1 medical student knowledge and performance in undergraduate OSCEs.
기술 코칭
Coaching for technical skills
일곱 개의 논문은 기술 능력, 즉 수술 기술에 대한 코칭을 분석했다. 이 논문들은 훨씬 더 높은 품질의 논문이었고 참가자들의 능력의 중요한 변화를 감지하기 위해 강력한 방법론을 사용했다. 두 논문에서 Hu 등은 개선이 필요한 영역을 식별한 운영자와 코치의 절차를 즉시 재관찰할 수 있는 작업을 기록했고, 다른 접근법을 선택하는 코치의 이유를 탐색했으며, 개선을 위한 전략을 수립했다.
Seven papers analysed coaching for technical skills, namely, surgical skills. These papers were of much higher quality and used robust methodologies to detect significant changes in participants’ abilities. In two papers, Hu et al.41,42 recorded operations to allow the immediate re-watching of the procedure by the operator and a coach, who identified areas for improvement, explored the coachee’s reasons for selecting different approaches, and established strategies for improvement.
세 가지 연구는 고품질 RCT의 수술 기술을 향상시키기 위해 시뮬레이션 수술에서 실시간 코칭을 사용했다.
Three studies used real-time coaching in simulated surgery to improve surgical skills in high-quality RCTs.
요약하자면, 이 검토에 포함된 논문은 코칭이 수술적 기술과 기술적 능력의 향상을 촉진하며, 재정적으로도 실행 가능한 교육 모델이라는 것을 입증하는 강력한 증거 기반을 제공한다.
In summary, the papers included in this review provide a strong evidence base demonstrating that coaching facilitates improvements in surgical skills and technical ability, and is a financially viable model of education.
고찰
DISCUSSION
코칭 프로그램에 대한 엄격한 정량적 연구가 부족하다. 질적 연구는 코치의 개입에 대한 피코치의 인식과 즐거움을 측정하는 것에 주로 한정된다. 그러나 이 문헌 검토에서는 코칭이 수술 오류를 줄이고, 기술 능력 습득을 향상시키며, 시험 성적을 향상시키며, 학업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학생들을 식별한다는 것을 입증하는 양질의 데이터를 확인했다.
There is a lack of rigorous quantitative research into medical coaching programmes. Qualitative research is mostly limited to gauging coachees’ perceptions and enjoyment of coaching interventions. However, this literature review has identified good-quality data demonstrating that coaching reduces surgical error, improves technical skill acquisition, improves examination scores, and identifies students who are struggling academically.
현재 검토에서는 코칭 개입으로 인해 환자의 결과가 어떻게 향상되는지를 보여주는 연구를 발견하지 못했다(Kirkpatrick 수준 4). 의료 교육에서 코칭이 새롭게 등장한 것임을 고려할 때, 2008년 이전에 평가된 코칭 개입이 없었기 때문에 환자 결과에 변화를 등록하는 것은 아마도 너무 이른 것 같다. 의료 교육자들은 이제 환자 수준까지, 특히 증거가 가장 취약한 [의사의 웰빙과 비기술적 기술의 영역 내에서의 성과를 추적하는] 양질의 종단적 코칭 프로그램을 확립하는 데 관심을 기울여야 한다.
The present review did not identify studies that show how a coaching intervention results in improved outcomes for patients (Kirkpatrick level 4). Considering the newness of coaching within medical education, it is perhaps too early to register the change in patient outcomes; there are no evaluated coaching interventions preceding 2008. Medical educators must now turn their attention towards establishing high-quality longitudinal coaching programmes that follow outcomes up to the patient level, particularly within the realms of physician well-being and non-technical skills, in which the evidence is weakest.
의사의 웰빙와 정서적 회복탄력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수단으로 코칭하는 것은 특히 시기적절하다. 회복탄력성은 의대생과 의사들의 정신적 고통과 과열을 막는 요소로 언급되어 왔다. 의학 교육 내에서 회복탄력성인 기술을 가르치기 위한 전략이 문학에서 눈에 띄고 있다. 현재, 가장 강력한 증거를 가진 교육학적 접근법은 탄력성 워크숍과 인지 행동 훈련을 사용하는 것을 말하며, 이는 이 검토에서 설명된 대로 웰빙을 향상시키기 위한 코칭 워크샵의 사용에 반향을 일으킨다. 만약 우리가 회복탄력성 훈련을 의학 커리큘럼의 일부로 받아들인다면, 코칭된 프로그램들은 그것의 전달에서 중요할 수 있다.
Enquiries into coaching as a means of improving doctor well-being and emotional resilience are particularly timely. Resilience has been cited as a factor protective against mental distress and burnout in medical students and physicians.48,49 Strategies for teaching resilience skills within medical education are gaining prominence in the literature.50–52 Currently, the pedagogical approach with the strongest evidence refers to the use of resilience workshops and cognitive behavioural training,53 which resonates with the use of coaching workshops to enhance well-being as described in this review. If we embrace resilience training as part of the medical curriculum, coached programmes may be important in its delivery.
비록 이 논문이 의사의 웰빙을 개선하고 회복탄력성을 증진시키는 수단으로서 코칭에 대한 약한 근거만을 발견했을 뿐이지만, 이것은 주로 강력한 개입과 평가가 없기 때문이다. 회복탄력성을 위한 코칭의 힘을 결정하기 위해서는 엄격한 연구가 필요하다.
Although this paper has only discovered a weak evidence base for coaching as a means of improving doctor well-being and promoting resilience, this is largely attributable to the non- existence of robust interventions and evaluations. Large rigorous studies are needed to determine the power of coaching for resilience.
코칭은 헌신적이고, 가용하며, 훈련된 교수진을 필요로 하는데, 이는 교수진의 전달에 있어서 물류와 재정적인 장벽을 발생시킬 수 있다. 그러나, 이 검토에서 많은 논문들은 최소한의 시간과 재정 지출로 코칭 프로그램이 개발된 연구를 언급했다. Hu 등은 1시간 동안의 코칭 세션 후에 수술 능력을 향상시켰고, 콜 등은 10분간의 코칭 세션을 수술 후 기간에 포함시킴으로써 외과의사의 비기술적 기술을 향상시켰다. 따라서 작은 코칭 개입이 환자 안전과 환자 관리를 개선할 수 있을 가능성이 있다. 이러한 가능성만으로도 이 영역을 더 연구할 가치가 있다.
Coaching demands a committed, available and trained faculty staff, which may present a logistical and financial barrier to its delivery. However, many of the papers in this review referred to studies in which coaching programmes were developed with minimal time and financial outlay. Hu et al.41 improved surgical ability following a single 1-hour coaching session, and Cole et al.45 improved non- technical skills in surgeons by incorporating 10-minute coaching sessions into the postoperative period. It is therefore likely that small coaching interventions can improve patient safety and patient care; this possibility alone makes the area worthy of further study.
수술실 밖에서 코칭 방법론에 대한 탐구가 부족한 것은 뿌리 깊은 사회적 장애요소를 반영할 수 있다. Mutabdzic et al.54는 코칭 모델에 대한 문화적 장벽으로 개선의 필요성에 대해 의문을 제기하는 것, 무능해 보이거나 자율성의 상실을 우려하는 것을 꼽았다.
The lack of exploration into coaching methodologies outside the operating room may reflect ingrained social obstacles. Mutabdzic et al.54 identified cultural barriers to the coaching model that included questioning of the need for improvement, worry about appearing incompetent and loss of autonomy.
코치에 대한 피코치의 이해에 대한 추가적인 탐구는 코칭에 대한 '저항'을 드러낼 수 있다. 이것은 회의주의의 결과일 수도 있고, 혹은 무능하다고 인식되거나 교정될 필요가 있다는 것에 대한 두려움일 수도 있다
Further exploration of coachees’ perceptions of coaching may reveal a ‘resistance’ to coaching, whether as a result of scepticism, or fear of being perceived as incompetent or in need of correction.
[시그니처 교수법]에 관한 연구(전문직의 문화에 맞는 교육 접근법)에서, 슐먼은 서로 다른 직업의 교육 패러다임을 비교함으로써 어떻게 교육 개선 방법을 조명할 수 있는지를 설명한다. 코칭 패러다임과 관련된 다른 분야로부터 교훈을 이끌어내는 것은 의료에서 훈련을 인식하는 방법에 대한 문화적 변화를 수반할 수 있다. 앞서 논의했듯이, 의료 훈련에서 '역량을 갖춤'이라는 언어는 코칭이 다른 영역에서 추구하는 '개인적 최고'와 일치하지 않는다. 음악과 스포츠 훈련에서, 코치는 훈련에 중심적이고 필수적인 것으로 보여지는 반면, 아직 의학 교육 문화 내에서 코치는 핵심 교육자들로 이루어진 팀에 포함되지 않고 있으며, 아직까지는 그들이 해야만 한다는 설득력 있는 증거가 없다.
In his work on signature pedagogies (teaching approaches specific to the culture of the profession in which they are enacted), Shulman describes how comparisons of the teaching paradigms of different professions can illuminate methods of improving education.57 Drawing lessons from other disciplines regarding the coaching paradigm may entail a cultural shift in how we perceive medical training. As discussed previously, the language of ‘competence’ in medical training does not align with the ‘personal best’ that coaching strives to achieve in other domains. In music and sports training, coaches are seen as central and indispensable to training,58 whereas coaches do not yet figure among the core team of educators within the culture of medical education and, as yet, there is no compelling evidence that they should.
장점과 한계
Limitations and strengths
현재의 리뷰는 의학 교육 코칭이 무엇인지, 그것이 어떻게 작용하는지, 혹은 어떻게 그것이 가장 잘 구현되거나 전달되는지에 대한 더 이상의 통찰력을 제공하지 않는다.
the current review provides no further insights into what medical educational coaching is, how it works, or how it is best implemented or delivered.
결론
CONCLUSIONS
공공 부문과 기업 부문에서의 코칭 방법에 대한 조사는 우리에게 코칭이 회복력, 자원성, 성찰적 연습 그리고 의사소통 기술과 같은 오늘날의 의사들이 필요로 하는 필수적인 비기술적 기술을 육성하는 측면에서 보람 있는 노력이 될 수 있다는 것을 말해준다.
Examination of coaching methods in the public and corporate sectors tells us that coaching may prove a fruitful endeavour in terms of nurturing the essential non- technical skills required by today’s doctors, such as resilience, resourcefulness, reflective practice and communication skills.
1 Stoddard HA, Borges NJ. A typology of teaching roles and relationships for medical education. Med Teach 2016;38 (3):280–5.
10 Gawande A. Personal best: top athletes and singers have coaches. Should you? The New Yorker 2003. https://www.newyorker.com/magazine/2011/10/03/ personal-best. [Accessed 25 October 2017.]
What do we know about coaching in medical education? A literature review.
Author information
- 1
- Department of Acute Medicine, University College London Hospitals National Health Service (NHS) Foundation Trust, London, UK.
Abstract
CONTEXT:
Coaching has been employed successfully in the competitive sports, professional music, and business and corporate worlds. It is now emerging as a training modality in medical education.
OBJECTIVES:
This paper reviews the current evidence on coaching strategies for doctors and medical students.
METHODS:
An applied literature search was conducted in PubMed, MEDLINE and Web of Science. Predetermined definitions of coachinginterventions and their evaluations were used to narrow 993 papers down to 21, which were included in the final review. The 21 papers were critiqued with reference to validated scoring metrics.
RESULTS:
There are many papers discussing the merits of coaching in the world of medicine, but few evaluations of coaching interventions. Existing coaching methodologies can be broadly summarised into three categories: coaching for doctor/student well-being and resilience; coaching for improved non-technical skills, and coaching for technical skills. Identification of suitable papers for inclusion is complicated by theoretical uncertainty regarding coaching: many papers use the term as a synonym for teaching or mentoring. The strongest evidence for coaching lies in the teaching of technical skills.
CONCLUSIONS:
There is weak- to medium-strength evidence to support coaching as a method of improving doctor well-being and enhancing non-technical skills, although the evidence base is limited as a whole. This review identifies strong evidence to support coachingas a method to improve technical skills. There is great scope for further studies investigating the power of coaching in medical students and doctors.
© 2017 John Wiley & Sons Ltd and The Association for the Study of Medical Education.
- PMID:
- 29226349
- DOI:
- 10.1111/medu.13482
[Indexed for MEDLINE]
'Articles (Medical Education) > 교수법 (소그룹, TBL, PBL 등)' 카테고리의 다른 글
피드백 탱고: 교수-학습자 피드백 교환의 내용 분석(Acad Med, 2018) (0) | 2018.12.27 |
---|---|
의학교육에서 학습자를 위한 피드백: 알려진 것은? (Acad Med, 2017) (0) | 2018.12.27 |
의과대학 1학년을 위학 학습지원개입: 문헌 고찰(Med Educ, 2017) (0) | 2018.12.21 |
의학교육에서 거꾸로교실의 효과성에 대한 체계적 문헌고찰(Med Educ, 2017) (0) | 2018.12.21 |
거꾸로교실의 학업 성과: 메타분석(Med Educ, 2018) (0) | 2018.12.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