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학교육에서 예술의 힘을 최대화하기 위한 가이드 프레임워크: 체계적 문헌고찰과 메타통합(Med Educ, 2016)

A guiding framework to maximise the power of the arts in medical education: a systematic review and metasynthesis

Paul Haidet,1,2,3,4 Jodi Jarecke,1 Nancy E Adams,5 Heather L Stuckey,2,4 Michael J Green,2,3 Daniel Shapiro,3 Cayla R Teal6 & Daniel R Wolpaw2,3





'우리 모두는 예술이 진실이 아니라는 것을 알고 있다. 예술은 진실을 깨닫게 하는 거짓말이며, 적어도 그 진실은 우리가 이하도록 주어진 것이다'(파블로 피카소)1

‘We all know that Art is not truth. Art is a lie that makes us realize truth, at least the truth that is given us to understand.’ (Pablo Picasso)1


도입

INTRODUCTION


의학 교육에서 예술을 사용하는 것은 새로운 것이 아니다.2 풍부한 문헌은 임상 기술과 인본주의적 실천을 촉진하는 방법으로 예술에 시간과 자원을 투자하는 것을 정당화하는 많은 혁신적인 프로그램과 연구를 설명한다.예를 들어, 교육자들은 의사소통, 관찰 그리고 다양한 인문학적 주제를 가르치기 위해 연극 훈련, 미술관 견학 및 영화 리뷰를 사용한다.9–16 그렇다면 왜 예술의 통합이 더 널리 확산되지 않는가? 

  • 한 가지 이유는 예술에 기반을 둔 교육학들이 과정 감독이나 커리큘럼 위원회의 전략적 결정보다는 종종 개별 교사들의 개인적 이익과 열정에 의존하는 특이한 경향이 있기 때문일 것이다. 

  • 두 번째 이유는 커리큘럼 설계와 평가를 안내하고 광범위한 의료 교육 결과에 대한 예술의 기여를 지원하기 위해 일반적으로 인정되는 개념적 프레임워크가 없기 때문이다.17,18 

Using the arts in medical education is not new.2 A rich literature describes many innovative programmes and studies that justify investing time and resources in the arts as a way to promote clinical skills and humanistic practice.3–8 For example, educators use theatre training, art museum field trips and film review to teach communication, observation and a variety of humanistic topics.9–16 Why, then, is the incorporation of the arts not more widespread? 

  • One reason may be that arts-based pedagogies tend to be idiosyncratic, often dependent on the personal interests and enthusiasm of individual teachers, rather than on strategic decisions made by course directors or curriculum committees. 

  • A second reason is the absence of a generally accepted conceptual framework to guide curriculum design and evaluation and to support the contribution of the arts to a broad range of medical education outcomes.17,18 


이러한 지침이 없다면, 예술에 기반을 둔 많은 교사들은 예술이 어떻게 의학의 실천과 교차하는지에 대한 그들 자신의 관찰과 개인적인 경험에 기초하여 과정을 설계하면서, 그저 '맞다고 느끼는 것'을 한다. 이러한 접근방식이 개별 환경에서는 효과적일 수 있지만, 체계적이지도 않고 증거 기반도 아니며, 따라서 의학 교육에서 예술의 완전한 잠재력을 실현하는 데 도움이 되지 않는다. 따라서 우리는 이 연구를 통해 예술 기반 교육에 대한 현실성을 검토하고 학습한 교훈을 질적으로 종합하였다. 우리는 다음과 같은 두 가지 광범위한 연구 질문을 사용하여 작업에 접근했다.

Without the presence of such guidance, many arts-based teachers simply do what ‘feels right’, designing courses based on their own observations and personal experience about how art intersects with the practice of medicine. Although this approach can be effective in individual settings, it is neither systematic nor evidence based and as such does not lend itself to realising the full potential of the arts in medical education. We therefore undertook this study to review the realisature on arts-based education and qualitatively synthesise the lessons learned. We approached our work using two broad research questions:


1 예술을 기반으로 한 교육학들이 의학 및 기타 비예술적 맥락에서 학습을 촉진하는 방법 및 이유는 무엇인가?

1 How and why do arts-based pedagogies promote learning in medical and other non-arts contexts?


2 예술 기반 교육에 있어서 어떤 일반적인 개념이 작용하고 있으며, 이러한 개념들을 어떻게 의료 교육 설계 및 평가 과정에 통합할 수 있는가?

2 What general concepts are operant in arts-based education, and how can these be incorporated into medical education design and evaluation processes?


우리의 전체적인 목표는 의학교육에서 휴머니즘과 다른 학습 성과를 촉진하기 위한 예술의 사용을 설계, 평가 및 연구하기 위한 개념 모델을 제공하는 것이었다.

Our overall goal was to provide a conceptual model to inform design, evaluation and research of the use of the arts to promote humanism and other learning outcomes in medical education.


방법

METHODS


우리의 두 가지 광범위한 연구 질문의 안내를 받아, 우리는 데이터 분석이 완료되는 시기를 결정하기 위해 포화의 원리를 이용하여 49개 포함된 기사의 내용을 주제적으로 분석하였다.32

Guided by our two broad research questions, we then performed a thematic analysis of the content of the 49 included articles, using the principle of saturation to determine when data analysis was complete.32


결과

RESULTS


예술이 사용되는 방식도 다양했다. 예를 들어, 많은 작가들은 학생들이 초상화, 그림, 사진, 춤 또는 시를 보고 평가하는 예술 기반 과정, 세미나 또는 워크숍을 상세히 설명했다. 다른 과정들은 학생들이 연극에 대해 배우고, 대본을 개발하고, 포럼 극장과 독자의 극장을 포함한 극적인 작품들에 참여하는 것을 포함했다. 어떤 강좌들은 다양한 예술 형태나 창조적인 글, 그림, 만다라, 콜라주, 미술 사당 같은 특정한 지정된 예술 형태를 창조하는 것을 통해 학습자들을 안내했다.

The ways in which the arts were used were also variable. For example, a number of authors detailed arts-based courses, seminars or workshops wherein students witnessed and evaluated portraits, paintings, photographs, dance or poetry. Other courses involved students learning about the theatrical arts, developing scripts and engaging in dramatic productions, including forum theatre and reader’s theatre. Some courses guided learners through creating various art forms of their choosing or specific assigned art forms, such as creative writings, paintings, mandalas, collages and art shrines.


네 가지 공통의 주제 

(i) 학습을 촉진할 수 있는 예술의 고유한 특성, 

(ii) 학습자가 예술을 다루는 특정한 방법, 

(iii) 예술 기반 교육에서 발생한 단기 및 장기 학습 결과를 문서화한 경우 

(iv) 전문 교육 환경에서 가르치기 위해 예술을 사용하기 위한 특정한 교육학적 고려사항


four common themes 

(i) unique qualities of the arts that can promote learning, 

(ii) particular ways in which learners engage with art, 

(iii) documented short- and long-term learning outcomes that arose from arts-based teaching, and 

(iv) specific pedagogical considerations for using the arts to teach in professional education contexts.



예술의 특징

Qualities of the arts


예술의 몇 가지 독특한 특성은 풍부한 학습 경험을 촉진시킬 수 있다. 여기에는 

    • 예술의 은유적이고 대표적인 성격, 

    • 예술에 포함된 주관성, 

    • 예술의 모호하고 복잡한 자질, 

    • 예술의 보편성 

...등이 포함된다.

Several unique qualities of the arts can promote rich learning experiences. These include 

    • the metaphorical and representational nature of the arts, 

    • subjectivity contained in the arts, 

    • the ambiguous and complex qualities of the arts, and 

    • the universality of the arts.


첫째로, 많은 형태의 예술은 본질적으로 표현적이거나 은유적이다.40,47,76 위키스트롬이 시사하는 바와 같이, 예술가들은 어떤 종류의 객관적인 현실 안에서 경험하는 모든 것을 소통하거나 묘사할 능력이나 욕구를 가지고 있지 않다. 오히려 ‘어떤 식으로도 말할 수 없는’ 의미와 감정을 수용하고 전달하기 위해 다양한 형태의 표현을 선택한다몇몇 저자들은 예술의 은유적이고 표현적인 성격이 학생들의 집중력이나 시선을 바꾸는데 도움이 되어, 그들이 평소의 전문 영역에서 새로운 탐구 영역으로 효과적으로 끌어냈다고 언급했다.

First, arts of many forms are representational or metaphorical in nature.40,47,76 As Wikstrom suggests, artists have neither the ability nor the desire to communicate or portray everything they experience within some sort of objective reality. Rather, they select various forms of expression to embrace and convey meanings and emotions that ‘cannot be said in any other way’.76 Several authors noted that the metaphorical and representational nature of the arts helped to alter the focus or gaze of students, effectively pulling them out of their usual professional sphere into a new realm of exploration.


두 번째 자질은 예술의 주관성이다. 좀 더 구체적으로 말하면 예술의 의미는 예술 형식과 마주치는 개인뿐만 아니라 개인 예술가에게도 독특하다. 따라서 viewer를 위한 의미구성은 예술가의 문화와 경험, 보는 이의 문화와 경험, 그리고 예술이 마주치는 시간과 장소에 의해 형성된다.

A second quality is the subjectivity of the arts. More specifically, the meaning of art is unique to the individual artist, as well as to the individual who encounters the art form. The construction of meaning for a viewer is therefore shaped by the culture and experiences of the artist, the culture and experiences of the viewer, and the time and place in which the art is encountered.


예술의 주관성은 교사들이 구체적이거나 문자 그대로의 사고에 도전하도록 도왔으며, 또한 다양한 주제를 다루는데 있어서 학습자들의 개인적 경험과 감정을 정당화하는 데 기여했다.

The subjectivity of the arts helped teachers to challenge concrete or literal thinking, and also served to legitimise learners’ personal experiences and emotions in dealing with a variety of topics.


주관성과 더불어, 예술은 대체로 애매모호하고 복잡하다. 흔히 볼 수 있는 관찰은, 학습자이 예술과 마주쳤을 때 느끼는 불확실성과 예술을 만들었을 당시 예술가의 의도에 대한 학생들의 질문이었다. 수많은 저자들은 다양한 예술 형태에 존재하는 모호성과 복잡성이 그러한 불확실성의 감정을 뒷받침한다고 제안했고, 학습자들이 의미를 찾고 다양한 다른 관점을 탐구하는 발견 과정으로 이어졌다.34,35,47,76

In addition to subjectivity, the arts are generally both ambiguous and complex. A common observation among authors was the uncertainty of learners when encountering art and their questions about the intention of the artist at the time of construction. Numerous authors suggested that the ambiguity and complexity present within various art forms underpin such feelings of uncertainty, and led to a discovery process where learners search for meaning and explore various diverging perspectives.34,35,47,76


이전의 연구에서는 그림의 모호함이 상상력을 자극하는 데 사용되었다. 예술적 대화들은 참가자들을 현실세계에서 벗어나 기호와 이미지로 이루어진 마법의 세계로 실어 나르고, 억제될 수 있는 생각들에 자유로운 고삐를 부여했다.'75

In a previous study, ambiguity in paintings was used to stimulate imagi-nation. The art dialogues transported the participants out of the real world and into a magic world of symbols and images, and gave free rein to thoughts that could have been inhibited.’75


마지막으로, 예술은 보편적이다. 좀 더 구체적으로, 예술은 문화적, 언어적 장벽을 뛰어넘을 수 있는 능력을 가진 것으로 논의되었다 한 저자가 제안한 바와 같이,

Finally, the arts are universal. More specifically, the arts were discussed as having an ability to transcend cultural and linguistic barriers. As one author suggested:


'예술은 세계 모든 문화에 내재되어 있기 때문에 문화적으로 적절하다고 주장할 수 있다.'40

‘It can be argued that the arts are culturally appropriate because they are universal, inherent to every culture in the world.’40


세계적인 범위와 적용 가능성을 넘어, 일부 저자들은 [예술의 보편성]이 그들의 [주관적이고 모호한 성격]과 결합되어 사람들을 서로 다른 관점을 제시하면서 동시에 '새로운 문화간 대화의 문'을 여는 방법을 가지고 있다고 제안했다. 보편성은 모든 학습자가 지위나 순위에 무관하게 접근가능하게 만들어주는 요인이기에, 예술의 이러한 특징이 학습 커뮤니티의 발전을 촉진하며, 그 결과 학습자 사이의 권력 위계를 감소시키는 경향이 있다.

Beyond their global reach and applicability, some authors suggested that the universality of the arts, in combination with their subjective and ambiguous nature, has a way of both drawing people in and at the same time presenting divergent perspectives and opening ‘new cross-cultural conversational doors’.40 This quality is also attributed to facilitating the development of learning communities as the universality helps to give all learners access, regardless of their status or rank, and thus tends to reduce power hierarchies among learners.


예술에 대한 참여

Engagement with the arts


예술의 독특한 특성은 학습자들 사이에 몇 가지 유형의 참여로 귀결되는 경향이 있다. 여러 연구에서는 예술이 다른 사람의 작품을 경험하거나 예술 자체를 창조하는 과정에서, 학습자들을 그들 자신의 주관적인 경험과 생각 속으로 끌어들임으로써 반성과 해석을 장려하는 방법에 대해 토론했다.

The unique qualities of the arts tend to result in several types of engagement among learners. Authors discussed the ways in which the arts encourage reflection and interpretation by drawing learners into their own subjective experiences and thoughts during the process of either experiencing the artworks of others or creating art themselves.


반성과 해석은 주로 인지적 과정인 경향이 있다. 그러나, 본 연구의 기사에서는 다음과 같은 여러 가지 비인정적 참여형태에 대해서도 논의하였다.

Reflection and interpretation tend to be mainly cognitive processes. However, the articles in our study discussed a number of non-cognitive forms of engagement as well:


이러한 다양한 학습 영역을 다루는 특정 형태의 참여는 문헌 전반에 걸쳐 독특한 방식으로 인식되고 개념화되었다. 몇 가지 예로는 공감적 상상력, 38 구현, 38,42,49 미적 지식64,75,76 및 감정적 경험 등이 있다.72

Specific forms of engagement that addressed these various learning domains were recognised and conceptualised in unique ways throughout the literature. Several examples include: empathetic imagination,38 embodiment,38,42,49 aesthetic knowing64,75,76 and the affective experience.72


이러한 다양한 형태의 참여 안에서 중요한 근본적인 주제는 감정의 역할이었다. 여러 가지 면에서, 감정의 결합은 다른 모든 참여 관행engagement practice을 초월했고, 교육과정에 도입된 많은 예술 형태로부터 포용하게 되고, 배우게 되는 핵심 요소였다.

An important underlying theme within these various forms of engagement was the role of emotions. In many ways, the engagement of emotion transcended all other engagement practices, and was a key component of embracing and learning from the many art forms that were employed.


'작곡가, 예술가, 댄서, 그리고 다른 창조적인 사람들은 기쁨, 슬픔, 두려움 또는 혼란의 감정적인 상태를 이용할 때 최선을 다한다. 우리는 학습을 유발하고 자극하는 우리 자신의 감정 상태로부터 이 작업에 연결된다.'58

‘Songwriters, artists, dancers, and other creative people do their best work when they tap into their emotional states of joy, grief, fear, or confusion. We make connections to this work from our own emotional states, which provoke and stimulate learning.’58


이러한 감정의 역할은 의대생들과 함께 일할 때 특히 중요한 구성 요소로 강조되었다. 왜냐하면 학생들은 종종 질병illness이란 전문적인 연습의 감정적 경험을 부정하면서 객관적 수단을 통해 해결해야 할 문제라고 배워왔기 때문이다.

This role of emotions was particularly emphasised as an important component when working with medical students, who are often taught that illness is a problem to be solved through objective means, denying the emotional experience of professional practice.


단기 및 장기 학습 성과

Short- and long-term learning outcomes


우리가 검토한 대부분의 기사들은 다양한 단기 또는 프로세스 기반 학습 결과를 논의했고, 많은 기사들은 또한 예술 기반 교육으로 인한 장기적 결과나 영향에 포함되거나 언급되었다. 단기 및 프로세스 기반 결과에는 자기 인식의 발달, 다른 관점에 대한 개방성 증가, 모호함에 대처하는 능력 강화, 선택된 개념이나 학습 주제에 대한 보다 미묘한 또는 더 깊은 이해 등이 포함되었다.

Most of the articles in our review discussed a variety of short-term or process-based learning outcomes, and many also included or alluded to longer-term outcomes or impacts resulting from arts-based teaching. Short-term and process-based outcomes included 

    • development of self-awareness

    • increased openness to other perspectives, 

    • an enhanced ability to cope with ambiguity, and 

    • more nuanced or deeper understanding of selected concepts or learning topics.


'학생들은 자신의 선입견에 사로잡히기 보다는 다른 사람들에게 집중하기 위한 계획적이고 지속적인 노력을 하도록 격려받는다고 묘사했다. 워크샵은 그들이 다른 사람들의 관점과 경험을 더 잘 알고, 다양성과 차이를 인식하고, 다른 사람들을 더 폭넓게 볼 수 있게 해주었다.'44

‘Students described being encouraged to make a deliberate, sustained effort to focus on others, rather than becoming preoccupied by their own preconceptions. Workshops enabled them to become more aware of other people’s perspectives and experiences, appreciate diversity and difference, and gain a broader view of others.’44


많은 저자들이 관찰한 단기 및 프로세스 결과는 장기적 결과와 학습 영향의 기반을 제공하는 데 도움이 되었다. 이 연구의 기사들은 많은 관계적 속성을 기록했는데, 가장 흔한 것은 감정이입이다.

The short-term and process outcomes that many authors observed helped to provide a foundation for longer-term outcomes and learning impacts. The articles in this study documented a number of relational attributes, the most common being empathy.


'공감 그 자체가 상상력의 창조적 행위라면, 창조성을 길러주지 못할 때, 공감은 제한적일 수도 있다. 여기서, 워크숍은 두 가지 모두를 발전시킬 수 있는 실질적인 기회를 제공했던 것으로 보인다.'42

‘If empathy itself is a creative act of the imagination, without the fostering of creativity, empathy might be limited. Here, it appears that the workshop provided real opportunities to develop both.’42


또한, 저자들은 관찰, 의사소통, 비판적 사고, 윤리적 추론과 창의적 사고 능력을 포함한 기술의 향상을 언급했다. 장기간에 걸쳐 학습자를 추척한 연구는 거의 없었지만, 많은 기사들은 그러한 학습에 대한 영향이 예술 기반 장소를 넘어 학습자 자신의 실천 영역 내에서 적용된다는 것을 암시했다.

In addition, the authors documented enhancement of skills, including observation, communication, critical thinking, ethical reasoning and the ability to think creatively. Although very few articles followed learners long term, many implied that such impacts on learning extended beyond the arts-based venue to application within learners’ own spheres of practice.


'예술은 인간의 상태를 통찰할 수 있게 해준다...학생들은 신체적인 표현뿐만 아니라 감정과 서술에 대한 관찰 기술을 개발하는 데 도움을 받을 수 있다.'46

‘Art allows insight into the human condition... students can be helped to develop skills of observation, not only of physical representation but also of emotion and narrative.’46


예술 기반 교육 과정에 대한 교육적 고려사항

Pedagogical considerations for arts-based coursework


예술과 접근의 다양성에도 불구하고, 우리는 예술을 사용할 때 학습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교육 전략에 대한 통찰력을 제공하는 공통점을 관찰했다. 우리는 이러한 전략을 참여 전략, 의미 결정 전략 및 번역 전략의 세 가지 주요 유형으로 분류했다.

Despite the diversity of arts and approaches, we observed commonalities that offer insight into educational strategies to facilitate learning when using the arts. We categorised these strategies into three main types: engagement strategies, meaning-making strategies and translation strategies.


흔한 참여 전략에는 투명성, 학습자의 불편 인식과 대처, 코스의 공동 학습자 참여 등이 포함되었다. 그러한 전략의 일차적인 목적은 강사, 학습자 및 상호간의 권력의 차이를 최소화하고, 안전하고 신뢰할 수 있는 학습 환경을 조성하는 것이었다. 작가들은 많은 학생들이 예술에 기반한 활동에 참여하는 것에 불편하거나 불안해하고 있다는 것을 인식하고, 학생들의 관점과 참여에 가치를 두는 동시에 이러한 불편함을 해소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Common engagement strategies included transparency, recognising and addressing learner discomfort, and participating in the course as a co-learner. A primary purpose for such strategies was to minimise power differentials between instructors, learners and each other, and to create a safe and trusting learning environment. Authors recognised that many students were uncomfortable or anxious about participating in arts-based activities, and emphasised the importance of addressing this discomfort while also valuing students’ perspectives and participation.


'그리기 연습을 시작하기 전에 참가자들의 저항을 극복하는 데 약간의 시간이 필요하다.'69

‘You need to spend a bit of time overcoming participants’ resistance before you start the drawing exercise.’69


'해법은 중립을 가장하는 것이 아니라, 자신의 배경과 가정과 관점에 대해 학습자들과 가능한 한 자기 인식과 투명성을 갖추는 것이다.'67

‘The solution is not to pretend to neutrality, but rather to be as self-aware and transparent as possible with learners about one’s background, assumptions and perspective.’67


학생들이 예술과의 교류가 쉽게 악용될 수 있는 자기 공개 과정임을 직감적으로 인식하기 때문에 강사의 투명성과 과정 참여는 신뢰 형성에 매우 중요하다. 저자들이 안전한 학습 환경을 조성하기 위해 사용한 구체적인 전략에는 코스의 기본 규칙을 개발하고 합의된 계약을 만드는 것이 포함되었다. 이러한 전략들은 특정한 맥락을 정립할 뿐만 아니라, 사람들을 한데 모이게 하고 학습자들의 공동체를 형성할 수 있는 예술적 능력을 기화시키는 방법으로 보여졌다.

Instructor transparency and participation in the process are both critical for creating trust, because students intuitively recognise that their engagement with the arts is a process of self-disclosure that can easily be abused.69 Specific strategies that authors used to create a safe learning environment included developing a set of ground rules for the course7,47 and creating contract agreements.69 These strategies were seen as not only setting a particular context, but also a way of capitilising on the arts’ ability to bring people together and to create a community of learners.


두 번째 교육 전략은 의미 만들기에 초점을 맞추었다. 참여전략이 예술과 서로에 대한 학습자 참여의 장을 마련하는 데 중요했다면, 의미 부여 전략은 다음을 목적으로 한다.

    • 자신의 관점에 대한 학습자의 인식을 높이기 위해, 

    • 현상에 의문을 제기하고 대체적인 관점에 대한 인식을 제고하기 위해 

    • 모호한 상황에 대처하는 데 도움이 되도록 

    • 관계에서 '다름'의 가치를 인식하도록 돕는다. 

    • 교육 내용과 관련한 학습자의 이해를 돕는다.

The second set of educational strategies focused on meaning making. Although engagement strategies were important for setting the stage for learner engagement with the arts and each other, meaning-making strategies were suggested 

    • to raise learners’ awareness of their own perspectives, 

    • to question the status quo and foster appreciation of alternate perspectives, 

    • to help cope with ambiguity, 

    • to help value differences in relationships, and 

    • to help evolve learners’ own understandings with respect to the content being taught. 


의미 형성 전략에는 성찰의 기회를 제공하고 공유와 관계 구축의 맥락을 지원하는 것이 포함되었다. 

    • 성찰의 기회를 제공하는 것은 종종 학습자들이 새롭고 새로운 방식으로 아이디어와 서로 참여하도록 격려하는 과제나 활동을 수반했다. 그것은 또한 대화를 촉진하고 권력의 문제를 다루면서 성찰 활동에 협력하는 것을 포함했다. 

    • 공유와 관계 형성에 대한 맥락을 창조하는 것은 종종 학습자들이 그들의 다양한 견해와 의미를 서로 이야기하고 공유하며 새로운 이해를 발전시킬 수 있는 공간과 시간을 만들도록 요구하였다.

Meaning-making strategies included providing opportunities for reflection and supporting a context for sharing and relationship building. 

    • Providing opportunities for reflection often entailed making assignments or activities that encouraged learners to engage with ideas and each other in new and novel ways. It also involved coengaging in reflection activities, facilitating dialogue and addressing issues of power. 

    • Creating a context for sharing and relationship building often required the teacher to create space and time for learners to talk and share their various perspectives and meanings with one another and to develop new understandings.


마지막으로, 저자들은 학생들이 예술을 통해 습득한 지식과 기술을 전문적인 실천으로 이전하는 것을 돕기 위한 많은 중개 전략에 대해 토론했다. 중개전략은 포함 '새로운 지식을 실천에 적용하는 것을 촉진하는 활동'이나 '예술 기반 학습과 전문적 실천의 교차점을 목표로 추가 반성의 기회를 제공하는 것'을 포함한다. 그러한 전략은 성찰적 실천과 결합된 임상 맥락에서 새로운 기술을 연습할 기회를 강조하는 경향이 있었다.

Finally, authors discussed a number of translational strategies to help students transfer knowledge and skills learned through the arts to professional practice. Translational strategies involved activities that facilitated the application of new knowledge to practice and providing opportunities for additional reflection aimed at the intersection of arts-based learning and professional practice. Such strategies tended to emphasise opportunities to practice new skills in the clinical context combined with reflective practice.


'성찰적 실천은 임상 교육에서 자주 사용되는데, 행동 당시 행해진 성찰과 실천력 향상이라는 목표와 함께 무엇이 전달되었는지를 비판적으로 고려할 수 있게 하는 작용에 따른 성찰이 모두 그것이다. 이것은 예술과 문학에서 선택된 콘텐츠를 사용하여 향상될 수 있다.'48

‘Reflective practice is used frequently in clinical teaching, both the reflection that is done at the time of the action, and the reflection following the action that allows students to critically consider what transpired with the goal of improving practice. This can be enhanced using selected content from the arts and literature.’48


고찰

DISCUSSION


우리는 주제를 정리하고, 그것들 사이의 관계를 제안하며, 교육 설계, 평가 및 연구를 안내하기 위해 그림 2의 개념 모델을 제안한다. 예술의 질, 예술과의 관여, 새로운 의미의 구축, 의료행위에 대한 번역과 관련된 네 개의 주요 상자는 개별 학습자와 그들의 의료행위에 대한 예술의 영향을 설명하는 '스텝 스톤'을 나타낸다.

We propose the conceptual model in Fig. 2 to organise our themes, suggest relationships between them, and guide educational design, evaluation and research. The four main boxes pertaining to qualities of the arts, engagement with the arts, construction of new meanings and translation to medical practice represent ‘stepping stones’ describing the impact of the arts on individual learners and their medical practices.



각 메인 박스는 다음 박스의 이벤트가 실현될 수 있는 조건을 만들지만, 다른 개입 없이 다음 일련의 사건을 직접 발생시키기에 반드시 충분하지는 않다. 예를 들어, 특정 예술은 모호하고 복잡한 특성을 가질 수 있지만, 이러한 모호함 그 자체는 학습자가 해석적 또는 성찰적 방법으로 의미 있게 그것과 관여하게 하지 않을 수 있다. 모호성과 복잡성은 단지 상황들이 그것을 선호한다면 해석이 일어날 수 있는 조건들을 만들어 낼 뿐이다.

Each main box creates the conditions for the events of the next box to be realised, but is not necessarily sufficient to directly cause the next set of events without other intervention. For example, a particular art may have ambiguous and complex qualities, but this ambiguity in itself may not cause learners to engage meaningfully with it in an interpretive or reflective way. The ambiguity and complexity merely create the conditions under which interpretation could happen, if the circumstances favoured it.


이것이 선생님의 행동이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지점이다. 교육 전략의 세 가지 유형은 모델의 중요한 요소로서, 예술 기반 교육의 디딤돌과 관련하여 전략적으로 발생한다.

This is where the actions of the teacher, have an important influence. The three types of educational strategies are critical elements of the model, and occur strategically in relation to the stepping stones of arts-based education.


  • 참여 전략은 학습자가 예술이 학습에 제공하는 특정한 독특한 특성을 수용하도록 돕는다

  • 일단 참여하게 되면 의미 만들기 전략학습자가 예술 안에서 마주치는 것을 이해하도록 돕고, 학습자가 새로운 통찰력을 얻고 새로운 존재 방법을 발견하도록 돕는다. 

  • 그러나 새로운 통찰력에 대해서, 학습자들에게는 종종 흥분하지만, 만약 교사가 학생들이 '일상의 실천에서 이뤄지는 행동에 대해서 이러한 새로운 통찰력을 조작하는 구체적인 방법을 계획하는 것'을 도와주기 위한 특정한 번역 전략을 사용하지 않는다면, 학생들은 뒤이어 경험하는 의료의 속도와 경직성에 압도되기 쉽다. 


Engagement strategies help learners to embrace the specific unique qualities that the arts offer for learning. Once engaged, meaning-making strategies help learners to make sense of what they are encountering within the arts, and help learners gain new insights and discover new ways of being. Such new insights, while often exhilarating in the moment for learners, are likely to get overwhelmed in the pace and rigidity of subsequent medical care if the teacher does not use specific translational strategies to help learners plan specific and concrete ways in which they can operationalise these new insights into actions in everyday practice.


교육 전략은 각각 개별 학습자를 위해 맞춤화할 수 있지만, 우리가 검토한 많은 기사에서 언급된 중요한 아이디어는 그룹 참여와 처리에 관한 것이었다. 적절한 참여, 의미 만들기, 그리고 번역 전략을 고려할 때 학습자들은 그들 스스로 발판을 통과할 수 있다. 그러나, 그러한 작업이 지지적 그룹의 맥락에서 이루어질 때, 이것은 개별 학습자와 그룹 모두에게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많은 저자들은 위계가 축소되고, 예술 기반 교육의 맥락에서 학습자들의 상호 관계가 지지적이고 nurturing하게 된다는 것을 관찰했다. 이것이 예술 자체의 결과인지 아니면 교사들의 행동인지는 더 많은 연구를 위한 의문으로 남아 있지만, 그러한 집단 참여는 학습자들이 참여하여 새로운 의미를 만들고 직업적 관행으로 그것들을 번역하는 능력을 향상시켰다는 것은 분명하다.

Although the educational strategies can each be tailored for individual learners, an important idea mentioned in many of the articles we reviewed was that of group engagement and processing. It is possible that learners can move through the stepping stones on their own, given appropriate engagement, meaning making and translational strategies. However, when such work is done in the context of a supportive group, this can have effects on both the individual learner and the group. Many authors observed that hierarchies were reduced and learners’ relationships with each other were supportive and nurturing in the context of arts-based education. Whether this was a result of the arts themselves or the actions of the teachers remains a question for further research, but it is clear that such group engagement enhanced the ability of learners to engage, construct new meanings and translate these to professional practice.


결론적으로, 우리는 예술 기반 교육에 관한 문헌을 검토했고 의료 교육자들에게 몇 가지 중요한 통찰력을 발견했다. 특히 교사들이 안전하고 투명한 학습 환경을 보장하는 특정한 참여 전략을 채택할 때, 예술은 의학 학습자들을 참여시키는 새로운 방법을 창조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는 독특한 자질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참여는 학습자가 특히 그러한 의미를 만들기 위한 교육 활동에 참여할 때 새로운 의미를 형성하는 발판을 제공할 수 있다. 새로운 의미와 통찰력은 더 나은 의학적 실천으로 이어질 수 있다. 특히 학습자가 그러한 의미를 향후 행동을 위한 구체적인 계획으로 어떻게 번역할 수 있는지에 초점을 맞춘다면 더욱 그러하다. 마지막으로 학습자가 집단의 맥락에서 자신의 생각을 관여하고 처리할 때 전체 과정이 향상될 수 있으며, 집단 자체가 변화적인 변화를 겪을 수 있다. 향후 작업은 이 모델을 사용하여 예술 기반 교육의 과정과 결과를 측정하고 다른 예술과 주제에 걸쳐 존재하는 개념을 조명하는 데 초점을 맞춰야 한다.

In conclusion, we reviewed the literature on arts-based education and discovered several important insights for medical educators. The arts have unique qualities that can help create novel ways to engage medical learners, particularly when teachers employ specific engagement strategies that ensure a safe and transparent learning environment. Such engagement can provide a stepping stone for learners to construct new meanings, particularly when they engage in educational activities aimed at such meaning making. New meanings and insights can lead to better medical practice, particularly if learners focus on how such meanings can be translated into concrete plans for future actions. Finally, the whole process can be enhanced when learners engage and process their thoughts in the context of a group, and the group itself can undergo transformative change. Future work should focus on using this model to measure the processes and outcomes of arts-based education, and to illuminate concepts that exist across different arts and topics.


'최고의 음악은 듣는 이의 창의성을 자극한다는 의미에서 자극적이다. 그것은 듣는 사람이 자신의 해석을 할 수 있게 하고, 이야기의 일부가 되게 한다.' 허비 핸콕81

‘The best music is stimulating, in the sense that it stimulates the listener’s creativity. It allows the listener to make his or her own interpretation, to be part of the story.’ Herbie Hancock81







 2016 Mar;50(3):320-31. doi: 10.1111/medu.12925.

guiding framework to maximise the power of the arts in medical education: a systematic review and metasynthesis.

Author information

1
Office for Scholarship in Learning and Education Research, Pennsylvania State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Hershey, Pennsylvania, USA.
2
Department of Medicine, Pennsylvania State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Hershey, Pennsylvania, USA.
3
Department of Humanities, Pennsylvania State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Hershey, Pennsylvania, USA.
4
Department of Public Health Sciences, Pennsylvania State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Hershey, Pennsylvania, USA.
5
George T Harrell Health Sciences Library, Pennsylvania State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Hershey, Pennsylvania, USA.
6
Office of Undergraduate Medical Education, Baylor College of Medicine, Houston, Texas, USA.

Abstract

CONTEXT:

A rich literature describes many innovative uses of the arts in professional education. However, arts-based teaching tends to be idiosyncratic, depending on the interests and enthusiasm of individual teachers, rather than on strategic design decisions. An overarching framework is needed to guide implementation of arts-based teaching in medical education.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review and synthesise the literature on arts-based education and provide a conceptual model to guide design, evaluation and research of the use of the arts in medical education.

METHODS:

systematic literature review using the PubMed and ERIC databases. Search terms included humanism, art, music, literature, teaching, education, learning processes, pedagogy and curriculum. We selected empirical studies and conceptual articles about the use of creative arts, imagery and symbolism in the context of professional education. Data synthesis involved a qualitative content analysis of 49 included articles, identifying themes related to educational characteristics, processes and outcomes in arts-based education.

RESULTS:

Four common themes were identified describing (i) unique qualities of the arts that promote learning, (ii) particular ways learners engage with art, (iii) documented short- and long-term learning outcomes arising from arts-based teaching and (iv) specific pedagogical considerations for using the arts to teach in professional education contexts.

CONCLUSIONS:

The arts have unique qualities that can help create novel ways to engage learners. These novel ways of engagement can foster learners' ability to discover and create new meanings about a variety of topics, which in turn can lead to better medical practice. At each of these steps, specific actions by the teacher can enhance the potential for learners to move to the next step. The process can be enhanced when learners participate in the context of a group, and the group itself can undergo transformative change. Future work should focus on using this model to guide process design and outcome measurement in arts-based education.

PMID:
 
26896017
 
DOI:
 
10.1111/medu.12925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