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토리로 해야 하는 세 가지: 의학교육에서 문학의 활용(Acad Med, 2015)
Three Things to Do With Stories: Using Literature in Medical, Health Professions, and Interprofessional Education
Michael Blackie, PhD, and Delese Wear, PhD
문학과 의학이라는 말을 듣지 못한 현직 의대 행정관이나 교직원을 찾는 것은 이례적일 것이다.
It would be unusual to find a current medical school administrator or faculty member who has not heard the phrase “literature and medicine,”
그러나 이 문구는 이해하기 어렵지는 않더라도 규정하기 힘든 방식으로 사용되고 있으며, 이 문구는 사용하는 모든 사람에게 공통적인 명확한 referent도 없다. 이론적으로나 교육적으로나 [literature and medicine]은 그 두 부분의 합 이상이며, 그것은 의학 교육의 환경에 따라 다르게 작용한다.
Yet the phrase is used in slippery if not elusive ways, with no clear referent common to all who use it. Theoretically and pedagogically, literature and medicine is more than the sum of its two parts, and it is “enacted” differently across settings in medical education,
문학과 의학 분야는 1972년 펜실베이니아 주립 의과대학의 일부 선견지명이 있는 의학 교육자들이 조앤 트라우트만(뱅크스)을 미국 의과대학의 문학 박사 최초의 전임자로 임명하기로 결정하면서 정식으로 시작되었다. 다른 문학 학자들의 연구가 그 분야를 심화시키고 확대시켰음에도 불구하고, 그 분야에 대한 그녀의 웅변적인 이론적 공헌은 기초적이고 활기찬 상태로 남아 있다.
The field of literature and medicine formally began in 1972 with the decision by some visionary medical educators at the Pennsylvania State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to appoint Joanne Trautmann (Banks) as the first full-time PhD in literature at a U.S. medical school. Her eloquent theoretical contributions to the field2–4 remain foundational and vibrant even as other literature scholars’ work has deepened and enlarged the field.
이 글의 목적은 의료 교육자에게 의료 교육에서 문학에 대한 세 가지 이론적, 교육학적 용도를 제공하는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provide medical educators with three theoretical and pedagogical uses for literature in medical education.
이야기와 함께 해야 할 세 가지 일
Three Things to Do With Stories
자세히 읽어보십시오.
Read them closely
의학 교육에서 문학 읽기에 가장 흔히 인용되는 이론적 접근법은 문학 학자들이 말하는 '밀독'이다. Joanne Trautmann은 가까운 독서가 의학의 실천에 가져다 주는 교육적 가치에 대한 가장 명확한 표현을 제공한다.
The most commonly cited theoretical approach to reading literature in medical education is what literary scholars call close reading. Joanne Trautmann provides the clearest articulation of the educational value close reading brings to the practice of medicine.
그녀는 "학생에게 최대한의 의미로 읽도록 가르치는 것은 학생을 의학적으로 훈련시키는 것"이라고 주장한다.3 최대한의 의미로 읽는 것은, 다시 말해서, 자세히 읽는 것이다. 시각, 줄거리, 이미지, 설정, 서술적 자세 등 기본적인 문학 요소의 도입은 환자를 돌보는 다양한 측면에 사용할 수 있는 특정한 지적 도구를 그들에게 제공함으로써 수련자에게 중요한 가치를 지닌다.
she contends that “to teach a student to read in the fullest sense is to train him or her medically.”3 To read in the fullest sense, in other words, is to read closely. The introduction of basic literary elements, such as point of view, plot, imagery, setting, and narrative stance, has instrumental value to trainees, by supplying them with specific intellectual tools to use in the various aspects of caring for patients.
의대생에게 (스토리 안에서) 무슨 말이 해지고being said 있는지 묻는 것은 의사와 환자의 만남에 대비하기 위한 것이다.3 -개인적, 사회적 맥락에서 단어를 봐야 할 때와 여러 가지 말이 한꺼번에 나오고 있을 때, 이것은 전혀 쉬운 질문이 아니다.
To ask the medical student what is being said [in a story]—not at all an easy question when one must look at words in their personal and social contexts and when several things are being said at once—is to prepare him or her for the doctor–patient encounter.3
거의 10년 후에 쓴, 제임스 테리와 에드워드 고겔13은 문학과 의학의 연구를 추구한 유사한 정당성을 주장한다.
Writing almost a decade later, James Terry and Edward Gogel13 assert a similar justification for pursuing the study of literature and medicine.
전체의 의미와 부분의 분석 사이의 긴장감은 특히 시를 해석하는 과정에 의해 잘 드러난다. 시를 볼 때, 우리는 그 시의 궁극적 의미에 대한 우려에서 그 어조, 목소리, 페이지 상의 모양과 표현, 또는 그 에너지 수준과 같은 것에 초점을 맞출 수도 있다. 이와 유사한 방식으로, 우리는 그들이 어떻게 "현존하는"지를 보기 위해 환자를 볼 수 있다. 즉, 경계심이나 무기력, 겉으로 보이는 고통이나 겉으로 보이는 건강 등.
tension between the meaning of the whole and the analysis of the parts is what is particularly well illustrated by the process of interpreting a poem. When looking at a poem, we may shift from concern regarding its ultimate meaning to a focus on such things as its tone, its voice, its shape and presentation on the page, or its energy level.… In a similar fashion, we may look at patients to see how they “present”: alert or lethargic, in apparent distress or apparent good health, and so on.13
그렇다면 세부사항에 대해 집중하는 것은 (의학의 실천과 마찬가지로) 면밀한 독서의 과정에도 마찬가지로 중요하다.
Attention to detail, then, is equally important to the process of close reading as it is to the practice of medicine.
그리고 테리와 고겔처럼, 존스는 문학을 가까이서 읽는 것과 환자를 돌보는 것 사이의 중요한 유사점을 본다. 그녀는 환자가 제시한 객관적 데이터(실험실, 역사 및 물리적 결과) 외에도 문학적 연구에 사용된 것과 유사한 해석적 기술을 통해 보다 풍부하게 이해할 수 있는 "문자"도 포함한다고 적절히 지적한다.7 존스는 이러한 상호작용이 필요하다고 주장한다. 식각 기술interpretive skills은 직접 임상 작업으로 이전할 수 있다.
And like Terry and Gogel, Jones sees important similarities between closely reading literature and attending to a patient. She aptly points out that in addition to objective data—the labs, the history and physical findings—the “text” presented by a patient also “includes the patient’s subjective symptoms and story” that can be more richly understood through interpretive skills similar to those used in literary inquiry.7 Jones, like Trautmann, argues that these interpretive skills are directly transferable to clinical work.
윤리적 또는 도덕적 조사를 모델
Model ethical or moral inquiry
두 번째로 이야기와 관련된 것은 윤리적 또는 도덕적인 조사를 위한 모델을 제공하는 것이다. 다시 말하지만, 존스는 다음과 같은 대표적 내용에 초점을 맞추어 이 접근법이 어떻게 작용하는지를 분명히 설명한다. "치료자와 그들의 윤리적 딜레마의 이미지, 의사-작가들의 작품, 특히 환자의 관점에서 서술된 질병과 고통의 주제"그녀와 다른 많은 사람들은 로버트 콜스의 뉴잉글랜드 저널 오브 메디슨에 실린 선구적인 기사를 다음과 같은 문학적 조사를 통해 간병인들에게 제기된 문제들을 설명하는 것으로 인용하고 있다. "한 사람의 가정, 한 사람의 기대, 한 사람의 가치, 그것이 살고 있는 한 사람의 삶 또는 그것을 살기를 바라는 한 사람의 삶에 대한 철저한 조사."
The second thing to do with stories is to provide a model for ethical or moral inquiry. Again, Jones clearly explicates how this approach works, focusing on representational content, such as “Images of healers and their ethical dilemmas; works by physician–writers; and themes of illness and suffering, especially in narratives from the patient’s point of view.”7 She and many others cite Robert Coles’s14 pioneering article in the New England Journal of Medicine as elucidating the questions raised to caregivers through literary inquiry, including “intense scrutiny of one’s assumptions, one’s expectations, one’s values, one’s life as it is being lived or as one hopes to live it.”
테리와 고겔13은 비슷하게 "고통에 대한 공감의 배양", 인간의 삶에 대한 이해 불가능해 보이는 가치에 대한 곤혹스러움, 인간의 나약함, 실패, 그리고 도덕을 받아들이기 위한 문학의 가치를 설명한다. 독자들은 자신과 다른 사람들이 그들의 병, 단점, 그리고 그들의 부담으로 고군분투하는 구체적인 방법을 상상할 수 있는 능력을 개발할 수 있을 것이고, 이는 결국 그들에게 도덕적 성찰과 궁극적으로는 행동을 추구하도록 격려한다. 현재 모든 건강 직업 교육에서 성찰이 강조되고 있기 때문에, 문학은 그러한 활동의 빈번한 수단이다.15
Terry and Gogel13 similarly describe literature’s value for supporting “the cultivation of empathy for the suffering; the puzzling over seemingly incommensurable values placed on human lives; the coming to terms with human frailty, failure, and morality.” Readers may develop the ability to imagine the concrete ways that people unlike themselves struggle with their illnesses, their disadvantages, and their burdens, which in turn encourages them to pursue moral reflection and, ultimately, action. With the current emphasis on reflection in all health professions education, literature is a frequent vehicle for such activity.15
실례을 끌어내다
Draw out their illustrations
세 번째 이야기와 관련된 것은 흔한 현상의 풍부하고, 자극적이며, 유별나거나 주목할 만한 삽화를 찾는 것이다.
The third thing to do with stories is to look for rich, provoking, unusual, or remarkable illustrations of common phenomena.
수잔 스퀴어16은 다음과 같은 예를 사용하여 바로 이 점을 지적하고, 문헌 및 의약품 목록 서비스에 관한 게시물을 참조한다.
Susan Squier16 uses the following example to make this very point, referring to a post on a literature and medicine listserv:
한 산부인과 의사는 암환자들의 불임보존에 관한 이야기를 준비하면서 암과 함께 사는 것에 대한 문학작품에 대한 요청을 올렸다. 의사는 환자의 희망의 감정과 암 치료 후의 삶에 대한 시, 또는 의사나 간호사의 관점에서 본 시를 포함시키고 싶었다. 이 모방적 접근법은 단지 미리 선택된 점을 설명하기 위해 문헌을 이용한다.
An obstetrician–gynecologist, preparing a talk about fertility preservation in cancer patients, posted a request for literary works about living with cancer. The physician wanted to include some poetry about a patient’s feelings of hope and about life after cancer treatment, or poetry from a physician’s or nurse’s point of view. This mimetic approach uses literature merely to illustrate a preselected point.
이 접근방식의 또 다른 문제점은 제임스 테리와 피터 윌리엄스가 설명하듯이,
"더 적은 작품들은... 종종 의학적인 환경에서 가르쳐진다."
"만약 문학작품이 하나뿐이라면, 그들은 "신장 투석이나 거주자들의 삶 혹은 그 어떤 것에 대해서, 결함이 있더라도, 그 일은 가르쳐질 수 있다"라고 지적한다.
Another equally problematic aspect of this approach is that, as James Terry and Peter Williams17 explain,
“lesser works … are often taught in medical settings.”
“If there is only one work of literature,” they point out, “about kidney dialysis or the lives of residents or whatever, that work—even if flawed—may be taught.”17
종종 그러한 표현으로부터 상실되는 것은 잘 조작된 이야기의 복잡성과 미묘한 특성이며, 트라우트만과 존스뿐만 아니라 수많은 다른 사람들에 의해서도 옹호되는 종류의 이야기들이다.
Often lost from such representations are the complexities and subtleties characteristic of well-crafted stories, the kinds of stories championed not only by Trautmann and Jones but also by numerous others.
그럼에도 불구하고, 우리는 이 "실용적" 접근법이 학생들의 모든 다양성에 대한 가정, 인식 및 기대를 방해할 때 장점이 있다고 주장한다.
Still, we argue here that this “illustrative” approach has merit when it disrupts a student’s assumptions, perceptions, and expectations about people in all their varieties.
형식주의 비평가 빅토르 슈클롭스키의 defamiliarization에 대한 아이디어와 유사한 "낯설게하기"라는 개념은 친숙한 사물, 사람, 장소에 대한 불안정한 반응으로 자신의 생각을 뒤흔드는 수단으로서 문학 교과 과정에 자리를 잡고 있다.18 그렇다면, 이러한 사례적 접근법은 빛을 발할 수 있다.
The concept of “enstrangement,” akin to formalist critic Viktor Shklovsky’s ideas about defamiliarization, holds a place in the curriculum for literature that rattles one’s thinking, unsettling predictable responses to familiar objects, people, and places.18 The illustrative approach, then, can be illuminating.
한 이야기로 해야 할 세 가지 일의 예
An Example of Three Things to Do With One Story
자세히 읽어라.
Read it closely
모델윤리조사
Model ethical inquiry
삽화를 그리다.
Draw out its illustrations
결론
Conclusion
Acad Med. 2015 Oct;90(10):1309-13. doi: 10.1097/ACM.0000000000000761.
Three Things to Do With Stories: Using Literature in Medical, Health Professions, and Interprofessional Education.
Author information
- 1
- M. Blackie is associate professor of family and community medicine, Northeast Ohio Medical University, Rootstown, Ohio.D. Wear is professor of family and community medicine, Northeast Ohio Medical University, Rootstown, Ohio.
Abstract
It would be unusual to find a current medical school administrator or faculty member who has not heard the phrase "literature and medicine" or who does not know that literature is taught in various forms-short stories, novels, poems, essays-at many points in the curriculum at U.S. medical schools. Yet the phrase is used in slippery if not elusive ways, with no clear referent common to all who use it. This article focuses on three theoretical and pedagogical uses for literature in medical, health professions, and interprofessional education: close reading, ethical or moral inquiry, and drawing illustrations. Summaries of these approaches are provided, followed by demonstrations of how they might work in the classroom by using the story "Blankets," by Native American writer Sherman Alexie.Close reading requires reading slowly and carefully to enrich an initial encounter with a text. Ethical or moral inquiry turns to literary representations to challenge readers' assumptions and prejudices. Literature offers rich, provoking, and unusual depictions of common phenomena, so it can be used to draw illustrations. Although each approach can be used on its own, the authors argue that reading closely makes the other two approaches possible and meaningful because it shares with the diagnostic process many practices critical to skilled interprofessional caregiving: paying attention to details, gathering and reevaluating evidence, weighing competing interpretations. By modeling a close reading of a text, faculty can demonstrate how this skill, which courts rather than resists ambiguity, can assist students in making ethical and compassionate judgments.
- PMID:
- 27002884
- DOI:
- 10.1097/ACM.0000000000000761
- [Indexed for MEDLINE]
'Articles (Medical Education) > 인문사회의학(의사학, 의철학 등)'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유럽과 미국의 의학교육역사: 시간과 숙달에 관하여 (Acad Med, 2018) (0) | 2020.09.11 |
---|---|
메디컬 프로페셔널리즘: 문학 학습이 기여할 수 있는 것(Philos Ethics Humanit Med, 2015) (0) | 2019.11.06 |
의학교육에서 예술의 힘을 최대화하기 위한 가이드 프레임워크: 체계적 문헌고찰과 메타통합(Med Educ, 2016) (1) | 2019.11.06 |
질병 서사: 신뢰도, 진정성, 공감적 목격(Med Humanit, 2011) (0) | 2019.10.29 |
어떻게 의료는 인간성을 댓가로 이성을 착취해왔는가(BMJ, 2016) (0) | 2018.11.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