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량과 마일스톤 기반의, 교육 연속체의 경계를 잇기 위한 EPA 프레임워크 개발(Acad Med, 2017)

Building a Framework of Entrustable Professional Activities, Supported by Competencies and Milestones, to Bridge the Educational Continuum

Carol Carraccio, MD, MA, Robert Englander, MD, MPH, Joseph Gilhooly, MD, Richard Mink, MD, MACM, Dena Hofkosh, MD, MEd, Michael A. Barone, MD, and Eric S. Holmboe,




ACGME(American Medical Colleges, AAMC)에 의한 성과 기반 학부 의료 교육(UME)의 기반으로서 ACGME(Accreditation Council for Council Education) 및 ABMS(American Board of Medical Specialties)의 6가지 핵심역량 채택, ACGME 및 FoABMS에 의한 인증(MOC)의 유지보수는 의학에서 학습과 평가의 원활한 연속성을 창출할 수 있는 전례 없는 기회를 제공했다.1–3

The adoption of the six core competencies of the Accreditation Council for Graduate Medical Education (ACGME) and the American Board of Medical Specialties (ABMS) as the foundation for outcomes-based undergraduate medical education (UME) by the Association of American Medical Colleges (AAMC), for graduate medical education (GME) by the ACGME, and for board certification as well as maintenance of certification (MOC) by the ABMS has provided an unprecedented opportunity to create a seamless continuum of learning and assessment in medicine.1–3


2005년 네덜란드에서 10개의 케이트6에 의해 처음 도입된 EPA는 UME와 GME 수준에서 의사 역량에 대한 의미 있는 평가를 위한 프레임워크로서 국제적으로 주목을 받고 있다.7–11 관측 가능한 작업의 측정 단위로서, EPA는 안전하고 효과적인 수행을 위해 역량 통합을 요구하는 특정 전문가 또는 하위 전문가의 중요한 일상 활동을 설명한다.

EPAs, first introduced by ten Cate6 in the Netherlands in 2005, are receiving increasing attention internationally as a framework for meaningful assessment of physician competence at both the UME and GME levels.7–11 As measureable units of observable work, EPAs describe important routine activities of a given specialist or subspecialist that require integration of competencies for safe and effective performance.


레지던트를 위한 전문 EPA가 개발되었으며, AAMC는 레지던트 수련 진입을 위한 핵심 EPA를 개발했다.7,9–11 수련 진입에 대한 핵심 EPA는 훈련생이 직접 감독 없이 레지던트 1일에 13개의 EPA를 수행할 수 있어야 한다는 기대를 세웠다.

Specialties have developed EPAs for residents, and the AAMC has developed Core EPAs for Entering Residency.7,9–11 The Core EPAs for Entering Residency set the expectation that trainees should be able to perform 13 EPAs on Day 1 of residency without direct supervision


소아과 커뮤니티는 EPA와 이정표의 두 가지 체계를 통합했다.14 이러한 통합은 UME에서 GME로, GME에서 실천으로 이어지는 교육 연속체 전반의 평가를 이끄는 경로를 제공한다.

The pediatrics community has integrated the two frameworks of EPAs and milestones.14 This integration provides a pathway that leads to assessment across the educational continuum from UME to GME and from GME to practice.


소아과 마일스톤 프로젝트

The Unfolding of the Pediatrics Milestone Project


2009년, ACGME와 미국소아학회(ABP)는 소아학계를 초청하여 소아학 이정표의 개발을 개시했다. 이 3년간의 노력의 지침 원칙, 과정 및 결과의 창조에 대해 이전에 설명한 바 있다.15 전체 소아과 이정표 문서는 학술 소아과 보충 자료로 발행된다.16

In 2009, the ACGME and the American Board of Pediatrics (ABP) invited the pediatrics community to initiate the development of the milestones for pediatrics. Creation of the guiding principles, process, and outcome of this three-year endeavor has previously been described.15 The full pediatrics milestone document is published as a supplement to Academic Pediatrics.16


요컨대 소아과 마일스톤는 초보 학습자(초기의 의대생)로 시작하여 연속체를 따라 진보된 초급자, 그 다음에는 유능한 학습자, 능숙한 학습자, 그리고 마지막으로 전문 학습자(수년간의 계획적 실습 후)로 나아가는 발달 연속체에 걸친 행동에 대한 서술이다. 역량(예: "환자에 대한 필수적이고 정확한 정보 수집")과 그에 따른 내러티브는 맥락에 독립적이므로 기술이 입증될 임상 환경이나 장차 만나게 될 환자의 복잡성까지 정의하지는 않는다.

In brief, the pediatrics milestones are narrative descriptions of behaviors across the developmental continuum beginning with a 

  • novice learner (early medical student) and 

  • progressing along the continuum to advanced beginner, 

  • then to competent learner, 

  • proficient learner, and, 

  • finally, expert learner (after years of deliberate practice). 

The competencies (e.g., “gather essential and accurate information about the patient”) and thus their narratives are context independent and therefore do not define the complexity of the patient encounter or the clinical environment in which the skills will be demonstrated.


일반 소아과 EPA

Identifying General Pediatrics EPAs


EPA는 복수의 역량을 통합해야 하는 진료 제공에 집중함으로써, [임상의사가 평가하는 것]을 [실제 환경에서 수행하는 것]과 일치시켜 평가에 의미와 가치를 더한다.

By focusing on care delivery, which requires the integration of multiple competencies, EPAs align what clinicians assess with what they do in the authentic environment, adding meaning and value to assessment.


소아과 레지던트 대 실습 전환에 대한 바람직한 결과를 정의하는 17개 EPA의 마지막 첫 번째 반복은 차트 1과 2의 중간 열에 나타나며, 차트 1에는 6개가, 차트 2에는 나머지 11개가 있다.

The final first iterations of the 17 EPAs defining the desired outcomes for the pediatrics residency-to-practice transition appear in the middle columns of Charts 1 and 2, with 6 in Chart 1 and the remaining 11 in Chart 2.





Pangaro와 10 Cate18은 분석적, 합성성, 발달적의 세 가지로 분류할 수 있는 평가를 위한 개념적 프레임워크를 제안한다

  • ACGME 역량은 핵심 영역을 역량의 더 상세한 설명으로 세분화하므로 분석적 프레임워크로 간주된다. 

  • 마일스톤은 발달적 프레임워크의 한 예로서, 시간에 따른 단계의 논리적 진행을 나타낸다. 

  • EPA는 복수의 역량 영역을 결합하는 합성적 프레임워크를 나타낸다.

Pangaro and ten Cate18 suggest conceptual frameworks for assessment that can be categorized as analytic, synthetic, or developmental. The ACGME competencies would be considered an analytic framework, breaking down core domains into further detailed descriptions of competencies. Milestones are an example of a developmental framework, representing a logical progression of steps over time. Finally, EPAs represent a synthetic framework that combines multiple domains of competence.


일단 확인되면 EPA는 해당 특정 EPA에 대한 위탁 의사결정에 중요한 역량과 이정표에 현명하게 매핑된다.19 소아과에서는 이 매핑 과정을 통해 특정 EPA와 해당 이정표에 대한 중요 역량의 행렬을 만든다(표 3 참조).

Once identified, EPAs are judiciously mapped to those competencies and milestones critical to making an entrustment decision for that specific EPA.19 Through this mapping process we create, for pediatrics, a matrix of the critical competencies for a given EPA and their respective milestones (see Chart 3).



차트 3에서 초보자 행동들은 두 번째 칸에 설명되어 있고, 세 번째 칸에는 진보된 초보자, 네 번째 칸에는 유능한 학습자, 다섯 번째 칸에는 능숙한 학습자, 여섯 번째 칸에는 전문가가 있다.

in Chart 3, the behaviors of the 

  • novice are described in the second column, 

  • advanced beginner in the third, 

  • competent learner in the fourth, 

  • proficient learner in the fifth, and 

  • expert in the sixth column.


예를 들어, 차트 3의 세 번째 열에 있는 행동을 임상용 vignette로 통합하면 EPA를 수행하는 고급 초심자의 그림을 그릴 수 있다.

For example, integrating the behaviors in the third column of Chart 3 into a clinical vignette paints a picture of an advanced beginner performing the EPA.


각 칼럼의 행동에 의해 그려진 공유된 정신 모델은 학습자와 멘토 또는 학습자, 그리고 어떤 행동이 입증되었고 어떤 행동이 바람직한지에 대한 임상 역량 위원회 사이의 논의를 주춧돌로 만드는 앵커를 의미한다. 

The shared mental models painted by the behaviors in each column are meant to be anchors that frame a discussion between the learner and a mentor or the learner and a clinical competency committee around which behaviors have been demonstrated and which behaviors are desired. 


Regehr 등 20은 이 평가 전략에 대한 지원을 제공한다. 다섯 가지 성능 수준 각각에 대한 비디오 비그넷을 만드는 것은 EPA와 이정표를 평가하는 데 있어 교수진 개발을 위한 추가 도구를 제공한다.21

Regehr et al20 provide some support for this assessment strategy. Creating video vignettes of each of the five performance levels provides an additional tool for faculty development in the assessment of EPAs and milestones.21


소아과 이정표는 초기 의대생부터 진료를 마친 소아과 의사까지 연속적으로 걸쳐 있다는 점에서 특이했다. 따라서 전임의에게도 적용할 수 있는 성과 수준을 포함한다. 

The pediatrics milestones were unique in that they spanned the continuum from early medical students to practicing pediatricians, thus including performance levels applicable for fellows. 


소아과 세부전공을 위한 EPA

Identifying EPAs for the Pediatrics Subspecialties


2013년 3월, ABP는 CoPS(Council of Pediative Subscription)의 도움을 받아, ABP가 인증한 각 소아병 세부전공에서 교육 리더를 위한 워크숍을 소집하여 세부전공에 공통적인 EPA를 식별하였다.22

In March 2013, the ABP, with the help of the Council of Pediatric Subspecialties (CoPS), convened a workshop for education thought leaders from each of the ABP-certified pediatrics subspecialties to identify EPAs common to the subspecialties.22


이 그룹은 합의 과정을 통해 두 가지 공통 세부전공 EPA(차트 2와 3 참조)를 추가로 식별했으며, 하나는 해당 분야에서 리더가 되는 것이며, 다른 하나는 학술 활동에 관한 것이었다.

Through a consensus process, the group identified two additional common subspecialty EPAs (see Charts 2 and 3), 

  • one on leading within the profession and 

  • a second on scholarly activity.


UME-GME 연속체를 가로지르는 다리

The Bridge Across the UME-to-GME Continuum


소아과 EPA에 대한 연구가 시작된 직후, AAMC는 전공의 진입을 위한 핵심 EPA를 식별하기 위해 다원적 제도 패널을 구성했다.

Shortly after work began on the pediatrics EPAs, the AAMC constituted a multidisciplinary drafting panel to identify the Core EPAs for Entering Residency.


전공의 진입을 위한 핵심 EPA가 생기면서, 소아학계는 이제 모든 전공의를 위한 일반 소아학 EPA와 의대생을 위한 EPA를 연결하는 다리를 건설할 수 있는 기반시설을 갖추게 되었고, 이는 다시 전임의 과정을 위한 소아과 EPA와 연결된다.

With the creation of the Core EPAs for Entering Residency, the pediatrics community now had the infrastructure to build the bridge that connects EPAs for medical students with general pediatrics EPAs for all residents, which in turn connects to the pediatrics EPAs for fellowships.


EPA 목록의 검토는 직접 정렬을 보여주거나, [학생 EPA]가 [전공의 EPA]를 위한 빌딩 블록 역할을 하는 자연적 연관성을 보여준다. 다시 [전공의 EPA]는 [전임의 EPA]를 위한 빌딩 블록 역할을 한다. 학습과 평가의 연속을 가로지르는 이 다리는 하든과 스탬퍼24가 강조했던 것을 연상시킨다. "마지막 전체적인 목표가 달성될 때까지 매 방문마다 학생들의 역량이 증가하는" 나선형 커리큘럼의 가치.

Review of the lists of EPAs illustrates the natural linkages that represent either a direct alignment or where student EPAs serve as building blocks for residency EPAs, the latter serving as building blocks for fellowship EPAs . This bridge across the continuum of learning and assessment is reminiscent of what Harden and Stamper24 highlighted as the value of the “spiral curriculum,” where the “competence of students increases with each visit until the final overall objectives are achieved.”



잃어버린 고리: MOC를 GME EPA로

The Missing Link: Guiding MOC With GME EPAs

이러한 상황이 가능하다. 어떤 레지던트가 훈련을 마칠 때 17개의 모든 EPA를 수행하도록 위임받고 많은 수의 청소년 환자들을 돌보는 일반적 소아과 진료를 시작한다. 그런데 이들 중 많은 사람들은 불안 장애나 우울증으로 고생하고 있었다.

consider this scenario: A resident is entrusted to perform all 17 EPAs at the completion of training and enters a general pediatrics practice that cares for a large number of adolescent patients, many of whom are struggling with either an anxiety disorder or depression.


이 신규 전문의는 환자 진료에 필요한 숙련도와 전문성을 향해 계속 발달 궤적을 따라 움직이면 도움이 된다는 것을 깨닫는다. 이러한 관점에서 볼 때, EPA는 개인이 격차를 식별하고 그러한 격차를 채우기 위한 학습 활동을 모색하는 데 도움이 되는 실무에 대한 성찰에 초점을 둘 수 있다. 

The new practicing physician realizes that patients will benefit if he or she continues to move along the developmental trajectory toward proficiency and expertise. Seen in this light, EPAs may focus reflection on practice that helps individuals identify gaps and seek learning activities to fill those gaps. 


지속적인 전문 개발 및 MOC를 통한 개선에 대한 투자를 사용하여 의사의 경력에 걸쳐 체계적인 학습 과정을 촉진해야 한다. 훈련 중에 gap이 확인되면 개별화된 커리큘럼의 일부로 학습 활동을 시작하고 MOC로 계속 진행할 수 있다. 또한 의사의 경력으로 확인된 새로운 EPA가 있거나 범위의 변화가 있을 수 있다. 10 Cate et al.,25에 따르면, "위임 결정은... 그 EPA에 대한 practice가 없거나 너무 적다면 만료되어야 한다.."

Investment in improvement through continuous professional development and MOC should be used to facilitate a process of structured learning throughout a physician’s career. When gaps are identified during training, learning activities can be initiated as part of an individualized curriculum and continued into MOC. In addition, there may be new EPAs identified as a physician’s career evolves or changes in scope. According to ten Cate et al,25 “entrustment decisions should … have an expiration date if no or too little practice has occurred.”


역량기반 교육의 연속체를 향한 중요한 기여

The Critical Contributions of the Continuum to Competency-Based Education


레지던트와 펠로우를 위한 EPA는 실제 현장에서 기대하는 바를 기반으로 하며, 따라서 후진적 비전 프로세스를 사용하여 GME에 대한 기대와 결과를 설정한다. 따라서, 이러한 연속체가 UME와 GME의 작업을 실습 의사가 원하는 결과와 일치시킬 수 있다.

The EPAs for residents and fellows are based on what one expects in practice, and thus a backward-visioning process is used to set expectations and outcomes for GME.26 Thus, the continuum enables the alignment of the work of UME and GME with the desired outcomes for practicing physicians.


예를 들어, UME에서는 상황 인식, 질병 심각도, 조치 계획 및 우발적 계획뿐만 아니라 handover를 하거나 받는 사람으로서 효과적으로 관여할 수 있는 커뮤니케이션 기술(예: 환급 기술)을 포함하는 템플릿을 도입하여 핸드오버의 기반을 마련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이러한 기초적 기술 및 내용 지식은 GME 기간 동안 발전되어야 하며, 더 깊은 학습을 제공하고 궁극적으로는 위임할 준비를 제공하기 위해 이전에 있었던 것을 기반으로 강화해야 한다.

For example, in the UME setting it is essential to lay the foundation for handovers by introducing a template, which includes situation awareness, illness severity, action planning, and contingency planning as well as the communication skills to effectively engage as either a sender or a receiver of the handover (e.g., skill at readbacks). These foundational skills as well as content knowledge must be advanced during GME, building on and reinforcing what came before to provide deeper learning and ultimately readiness for entrustment.



다음 단계

Next Steps

ACGME의 전무이사를 지낸 데이비드 리치 박사는 이런 평가를 내렸다.

Dr. David Leach, a former executive director of the ACGME, said of assessment that it is


평가assessment는 여러 역량이 통합된integrated 버전에 의존하는 반면, 측정measurement은 역량의 특정speciated 버전에 의존한다. 이러한 역설은 쉽게 해결될 수 없다. 역량이 구체화될수록 전체whole와 관련성이 떨어진다.35

dependent on an integrated version of the competencies, whereas measurement relies on a speciated version of the competencies. The paradox cannot be resolved easily. The more the competencies are specified, the less relevant to the whole they become.35


교육 연속체에 걸친 EPA, 역량, 마일스톤의 통합은 이 역설의 해결을 위한 로드맵을 제공한다.

The integration of the EPAs, compe- tencies, and milestones across the educational continuum provides the road map to resolving this paradox.



18 Pangaro L, ten Cate O. Frameworks for learner assessment in medicine: AMEE guide no. 78. Med Teach. 2013;35:e1197–e1210.








 2017 Mar;92(3):324-330. doi: 10.1097/ACM.0000000000001141.

Building a Framework of Entrustable Professional ActivitiesSupported by Competencies and Milestones, to Bridge the Educational Continuum.

Author information

1
C. Carraccio is vice president of competency-based assessment, American Board of Pediatrics, Chapel Hill, North Carolina. R. Englander was senior director of competency-based learning and assessment, Association of American Medical Colleges, Washington, DC, at the time this article was written. J. Gilhooly is adjunct professor of pediatrics, Oregon Health & Science University, Portland, Oregon. R. Mink is chief, Division of Pediatric Critical Care Medicine, and director, pediatric critical care fellowship, Harbor-UCLA Medical Center, Torrance, California, and professor of pediatrics, David Geffen School of Medicine at UCLA, Los Angeles, California. D. Hofkosh is professor of pediatrics and associate dean for faculty affairs, University of Pittsburgh School of Medicine, Pittsburgh, Pennsylvania, and president, Association of Pediatric Program Directors, McLean, Virginia. M.A. Barone is associate professor of pediatrics and director of medical student education, Johns Hopkins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Baltimore, Maryland. E.S. Holmboe is senior vice president of milestone development and evaluation, Accreditation Council for Graduate Medical Education, Chicago, Illinois.

Abstract

The transition to competency-based medical education (CBME) and adoption of the foundational domains of competence by the Accreditation Council for Graduate Medical Education, Association of American Medical Colleges (AAMC), and American Board of Medical Specialties' certification and maintenance of certification (MOC) programs provided an unprecedented opportunity for the pediatrics community to create a model of learning and assessment across the continuum. Two frameworks for assessment in CBME have been promoted: (1) entrustable professional activities (EPAs) and (2) milestones that define a developmental trajectory for individual competencies. EPAs are observable and measureable units of work that can be mapped to competencies and milestones critical to performing them safely and effectively.The pediatrics community integrated the two frameworks to create a potential pathway of learning and assessment across the continuum from undergraduate medical education (UME) to graduate medical education (GME) and from GME to practice. The authors briefly describe the evolution of the Pediatrics Milestone Project and the process for identifying EPAs for the specialty and subspecialties of pediatrics. The method of integrating EPAs with competencies and milestones through a mapping process is discussed, and an example is provided. The authors illustrate the alignment of the AAMC's Core EPAs for Entering Residency with the general pediatrics EPAs and, in turn, the alignment of the latter with the subspecialty EPAs, thus helping build the bridge between UME and GME. The authors propose how assessment in GME, based on EPAs and milestones, can guide MOC to complete the bridge across the education continuum.

PMID:
 
26959225
 
DOI:
 
10.1097/ACM.0000000000001141
[Indexed for MEDLINE]


임상학습환경(Med Teach, 2019)

The clinical learning environment

Jonas Nordquista,b, Jena Hallc, Kelly Caverzagied, Linda Snelle,f, Ming-Ka Chang, Brent Thomah , Saleem Razacke , and Ingrid Philiberti



재정적 제약과 임상 생산성에 대한 기대는 교육 활동의 가용 시간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다(Norman and Dogra 2014; Kilty et al. 2017; Weiss et al. 2018) 연습생과 교사의 스트레스, 번아웃, 비인간화, 의료에서 정서적 고갈에 대해 악영향을 주었다 (Gruppen et al. 201).8; 메이시 재단 2018).

Financial constraints and clinical productivity expectations have negatively affected available time for educational pursuits (Norman and Dogra 2014; Kilty et al. 2017; Weiss et al. 2018) and have contributed to higher levels of stress, burnout, depersonalization, and medical emotional exhaustion in trainees and in their teachers (Gruppen et al. 2018; Macy Foundation 2018).


임상적 맥락에서 배우는 것은 건강 전문가 훈련의 토대이다. 여기에는 대안이 없다. 또한 많은 의료 시스템은 학습자가 환자에게 제공하는 서비스에 의존하며, 이를 교육 기관에서 제거하는 것은 환자 치료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Learning in a clinical context is foundational in the training of health professionals; there is simply no alternative. In addition, many healthcare systems rely on the service that learners provide to patients, and to remove them from teaching institutions may have a negative impact on patient care.


북미 지역의 연구들은 훈련의 맥락이 된 학습 환경의 질이 졸업 후 수년간 졸업생들이 제공하는 치료의 질을 예측하는 변수였다는 것을 보여주었다(Tamblyn et al. 2005; Asch et al. 2009). 또한 이는 해당 의사의 처방 패턴이나(Cadieux et al. 2007) , 환자 관리, 보건의료 자원의 활용에도 영향을 주었다 (Chen et al. 2014; Sirovich et al. 2014; Dine et al. 2015). 마찬가지로, 일반 외과의사의 합병증 비율은 그들이 훈련했던 레지던트 프로그램의 순위와 관련이 있었다. 더 높은 순위의 레지던트 프로그램은 낮은 합병증 비율과 관련이 있다(Bansal et al. 2016).

Studies from North America have shown that the quality of the learning environment that provided the context for training was a predictor of the quality of care provided by graduates for years after graduation (Tamblyn et al. 2005; Asch et al. 2009) and influenced prescribing patterns (Cadieux et al. 2007) and patient management and use of health care resources (Chen et al. 2014; Sirovich et al. 2014; Dine et al. 2015). Similarly, complication rates for practicing general surgeons were associated with the ranking of the residency program in which they had trained—with higher ranked residency programs correlated with lower complication rates (Bansal et al. 2016). 


따라서, CLE를 개선하기 위한 노력은 연습생이 환자 치료에 배우고 참여하는 환경에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뿐만 아니라, 잠재적으로 향후 수십 년 동안 미래의 졸업생들의 의료행위에도 영향을 미친다. 이는 훈련 의사가 현재 의료 제공의 최전선과 의료 관행의 미래를 대표하기 때문에 미국의 임상 학습 환경 검토(CLER) 프로그램에 대한 근거를 제공한다(Weiss et al. 2013, 2018).

Therefore, efforts to improve the CLE not only have a positive impact in the settings where trainees learn and participate in patient care but also affect the practice of future graduates, potentially for decades to come. This provides the rationale for Clinical Learning Environment Review (CLER) program in the United States, as physicians in training represent both frontline of health care delivery today and the future of the practice of medicine (Weiss et al. 2013, 2018).



임상학습환경 - 개념의 모호성

The clinical learning environment–An elusive concept


임상 학습 환경은 임상/학습/환경의 세 가지 핵심 요소를 포함한다. 임상학습환경에 대한 초기 정의는 의료 교육 환경의 기후와 전반적인 분위기에 초점을 맞추었으며(Genn and Harden 1986) 학습이 발생하는 기후climate의 중요성을 강조했다(Roff and McAleer 2001). 메이시 재단(2018년)은 학습 환경을 다음과 같이 정의했다.

Clinical learning environments involve three key elements: clinical work; learning; and environment. Early definition focused on the climate and overall ambiance of the medical education environment (Genn and Harden 1986) and highlighted the importance of the climate in which learning occurs (Roff and McAleer 2001). The Macy Foundation (2018) defined the learning environment as: 


사회적 상호 작용, 조직 문화와 구조, 그리고 참가자의 경험, 인식, 학습을 둘러싸서 형성하는 물리적이고 가상적인 공간." 이러한 다양한 기존 정의들이 CLE 개념의 복잡성을 보여준다.

“…social interactions, organizational cultures and stru-tures, and physical and virtual spaces that surround and shape participants’ experiences, perceptions, and learning.”These differences in existing definitions highlight the complexity of the CLE concept


여기서 우리는 CLE를 그림에서 표시한 "작업 환경"(trainee가 환자 진료를 배우고 참여하는 임상적 상황)과 "교육적 맥락"(기대 학습 성과 및 평가 방식을 정의하는 실라버스, 교육과정, 목표) 사이의 중복된 공간으로 정의한다.1번.

In this thematic examination, we the define the CLE as overlapping space between the “work environment” (the clinical context in which trainees learn and participate in patient care), and the “educational context” (the syllabi, curricula, and goals that define methods for learning, expected learning outcomes, and assessment practices), shown in Figure 1.



학습환경 평가의 역사적 맥락

A historical perspective on assessment of the learning environment


커트 르윈의 1930년대와 1940년대 사회심리학 연구(Lewin 1947)는 교육적 기후를 측정하는 기구 개발의 토대를 마련하였다(Genn and Harden 1986, Palmgren 2016). 초기 연구들은 학습자들의 환경에 대한 인식이 "학생들의 인격적 욕구personality needs와 본질적으로 무관하거나 독립적"이라는 것을 보여주었다(Genn and Harden 1986).

Kurt Lewin’s research in social psychology in the 1930s and 1940s (Lewin 1947) laid the foundation for the development of instruments to measure educational climates (Genn and Harden 1986 and Palmgren 2016). Early studies showed that learners’ perceptions of their environment “were essentially unrelated to, or were independent of the students’ personality needs” (Genn and Harden 1986).


the Dundee Ready Educational Environment Measure or DREEM (Roff et al.1997)—


영국의 일반의학위원회가 발간한 첫 번째 TD 보고서는 의대생들이 이상적이지 못한 조건에서 train된다는 사실에 대한 결정적 담론을 열었다(GMC 1993). 이 보고서는 집단 괴롭힘, 성차별, 괴롭힘, 감독 품질 및 임상 교수진들 간의 부정적 롤모델과 같은 문제를 강조하여 임상 학습 환경의 기업이 교육자와 규제자의 주의를 끌게 했다(Roff et al. 2005 및 Palmgren 2016) 궁극적으로 이것은 환자 안전 문제였으며, 이는 의사라는 전문직에 대한 대중의 신뢰에 잠재적으로 파괴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이었다.

The first Tomorrow’s Doctor report published by the General Medical Council in the UK opened a critical dialog on the suboptimal conditions under which medical students were trained (GMC 1993). The report highlighted problems such as bullying, gender discrimination, harassment, quality of supervision and the presence of poor role models among clinical teaching faculty, bringing the enterprise of clinical learning environments to the attention of educators and regulators (Roff et al. 2005 and Palmgren 2016) Ultimately, this was a patient safety issue with a potentially devastating impact on the public’s trust in the profession.


  • the Postgraduate Hospital Educational Environment Measure (PHEEM)

  • a result of the 1984 death of Libby Zion in a New York teaching hospital,

  • The ground-breaking report To Err is Human by the Institute of Medicine

  • the ACGME instituted a national limit on work hours for physicians in training (Philibert et al. 2002).


유럽에서는 1998년 유럽 근로시간지침을 이행함으로써 훈련의 내과의사의 근무시간이 크게 단축되었다(다타와 데이비스 2014). 여기에 대해서 의료계는 엇갈린 반응을 보였다(Maisonneuve et al. 2014). 특히 외과 전문의의 훈련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보았으며 (Hopmans et al. 2015), 연습생 근무 조건 및 웰빙 개선의 증거는 거의 없었다(Rodriguez-Jare~no et al. 2014).

In Europe, implementation of the European Working Time Directive in 1998 severely reduced the working hours of physicians in training (Datta and Davies 2014), with mixed reactions from the medical community (Maisonneuve et al. 2014), indications of a negative impact on training, particularly in surgical specialties (Hopmans et al. 2015), and little evidence of improvement in trainee working conditions and well-being (Rodriguez-Jare~no et al. 2014).


현재 [학습 환경 평가]는 (미국 뿐만 아니라 국제적으로도) accreditor들은 학습자와 교수자의 학습환경에 대한 인식을 수집하는 중요하고, 민감하며, 타당한 도구로 사용중이다. 

  • 학부 의료 교육(LCME 2018; Mavis et al. 2014; Lockwood et al. 2004)에서도, 

  • 미국 대학원 의료 교육을 위한 인증 기관(ACGME)에서도(Holt et al. 2018; Ibrahim et al. 2014). 

Assessments of the learning environment currently are used by accreditors 

  • in undergraduate medical education in the United States and Canada (LCME 2018; Mavis et al. 2014; Lockwood et al. 2004) and 

  • by the US accreditation body for postgraduate medical education (the Accreditation Council for Graduate Medical Education)

 as an important, sensitive and valid tool to collect learners’ and teachers’ perception of the learning environment in the US and internationally (Holt et al. 2018; Ibrahim et al. 2014). 


학습환경에 대한 평가 결과는 인증과 프로그램 개선을 위해 내부적으로 사용된다. 2013년 미국 PGME에서 새로운 인증 시스템을 시작했을 때, 여기에는 프로그램 연수생을 위한 연간 데이터 검사에 CLE의 학습자 및 교수진 평가와 CLER 프로그램을 통한 CLE의 전용 검토가 포함되었다(Wagner et al. 2016; Co et al. 2018; Weiss et al. 2018).

The results are used in accreditation and internally for program improvement. When the US accreditation postgraduate body for medical education launched a new accreditation system in 2013, this included both learner and teaching faculty assessments of the CLE in annual data screening for programs trainees, and a dedicated review of the CLE through the Clinical Learning Environment Review (CLER) program (Wagner et al. 2016; Co et al. 2018; Weiss et al. 2018).


학습환경에 관해 남은 문제들

Current challenges in the learning environment


국가 이해관계자 합의 문서는 과밀 임상 환경, 인력 부족 및 서비스 압력, 임상 작업 부하를 CLE의 학습 장벽으로 식별했다(Kilty et al. 2017). 다른 연구와 일관되게, 개선의 관점에서 가장 어려운 영역으로 확인된 영역은 "조직과 업무 조건"과 "환자 치료 중 상급 의사와 함께 배우는 시간"이었다(Kilty et al. 2017). 영국의 바와-가르바 사건은 이것의 뼈아픈 예다. 이 사례와 이와 유사한 일반적인 관찰은 "서비스 압력이 학습 기회에 영향을 미쳐서, 인지 과부하를 일으키고, 그 결과 물리적 공간에 대한 제약을 통해 성찰과 토론 시간을 제한한다"라는 가설을 추가로 뒷받침한다(Kilty et al., 2017, 페이지 8).

A national stakeholder consensus document identified overcrowded clinical environments, understaffing and service pressures and clinical workload as barriers to learning in the CLE (Kilty et al. 2017). Consistent with other studies, the domains identified as most challenging from an improvement perspective were the “organization and conditions of work” and “time to learn with senior doctors during patient care” (Kilty et al. 2017). The Bawa-Garba case in the United Kingdom is a poignant example of this (Vaughan 2018). This case and similar general observations further support the hypothesis that “service pressures impact opportunities to learn, resulting in cognitive overload, limiting time to reflect and discuss and through constraints on physical space” (Kilty et al. 2017, p. 8).


Macy Foundation은 범위 지정 검토를 의뢰하여 CLE를 네 가지 핵심 요소(개인, 사회, 물리 및 가상, 조직)로 디구성하는 개념 모델을 도입했다. 또한 상당한 학문적 노력에도 불구하고 임상학습 환경을 탐구한 연구에는 개념적 명확성이 결여되어 있음을 강조하였다(Gruppen et al. 2018).

The Macy Foundation commissioned a scoping review introduced a conceptual model that deconstructed the CLE into four central components (personal, social, physical and virtual, and organizational). It also highlighted that, despite considerable academic efforts, there is a lack of conceptual clarity in studies that have explored the clinical learning environment (Gruppen et al. 2018).


에비뉴 프레임워크 소개

Introducing the avenues framework


. The model approaches the CLE through six different lenses, which we have termed “avenues”  for this exploration (Figure 2)



To examine how different academic fields and foci haveinformed the study of the CLE, in Table 



Conclusions


Gruppen L, Irby D, Durning, Maggio L. 2018. Interventions designed to improve the learning environment in the health professions: a scoping review. AMEE MedEd Pub. 7:73.


Weiss KB, Co JPT, Bagian JP. 2018. Challenges and opportunities in the 6 focus areas: CLER national report of findings 2018. J Grad Med Educ. 10:25–48.









 2019 Mar 17:1-7. doi: 10.1080/0142159X.2019.1566601. [Epub ahead of print]

The clinical learning environment.

Author information

1
a Department of Medicine (Huddinge) , Karolinska Institutet , Stockholm , Sweden.
2
b Department of Research and Education , Karolinska University Hospital , Stockholm , Sweden.
3
c Department of Obstetrics and Gynecology , Queen's University , Kingston , Canada.
4
d Internal Medicine , University of Nebraska Medical Center , Omaha , NE , USA.
5
e Medicine , McGill University , Montreal , Canada.
6
f Royal College of Physicians and Surgeons of Canada , Ottawa , Canada.
7
g University of Manitoba , Winnipeg , Canada.
8
h University of Saskatchewan , Saskatoon , Canada.
9
i Accreditation Council of Graduate Medical Education , Chicago , IL , USA.

Abstract

Learning in a clinical context is foundational in the training of health professionals; there is simply no alternative. The subject of the clinicallearning environment (CLE) is at the forefront of discussions. In this introduction to a themed issue on the CLE, we present an expanded conceptual model that approaches the CLE through six different lenses, termed "avenues:" architectural, digital, diversity and inclusion, education, psychological, and sociocultural, with each avenue represented by a paper. The aim is to facilitate dialog around the contributions of different academic disciplines to research on the CLE. Collectively the papers highlight the overlap between the various "avenues" in how they influence each other, and how they collectively have shaped the work to understand and improve the CLE. The expectation is that the various avenues can add to existing knowledge and create new ideas for interventions to improve the clinical learning environment across nations for learners and teachers with the ultimate aim of improving patient care. Research and efforts to improve the CLE are critical to learning, professional socialization and well-being for trainees as they learn and participate in patient care, and to the quality of care they will deliver over decades of practice after graduation.

PMID:
 
30880530
 
DOI:
 
10.1080/0142159X.2019.1566601


의학교육의 가치 얹기: 미래 의사들을 보건의료 전달체게 변혁에 참여시키기(J Gen Intern Med, 2015)

Value-Added Medical Education: Engaging Future Doctors to Transform Health Care Delivery Today

Steven Y. Lin, MD1, Erika Schillinger, MD2, and David M. Irby, PhD3




의대생 교육은 일반적으로 미래의 의사 공급을 증가시키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으며, 현재의 의료 제공 문제를 무시한다. 미래에 대한 이 초점은 오늘날의 긴급한 과제를 해결하는데 실패한다.

Medical student education typically aims to increase the supply of future physicians while ignoring current problems in health care delivery. This focus on the future fails to address the pressing challenges of today.


이러한 변화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실무practice 재설계나 의료교육 모두에서 중요한 개혁이 필요하다. 일차 진료에서 카파시티capacity 문제에 대해 제안된 해결책 중 하나는 비임상 의료팀 구성원 및 학습자와 "share the care"하는 것이다.1

To achieve this change, significant reforms are needed in both practice redesign and medical education. One proposed solution to the capacity issue in primary care is to “share the care” with non-clinician health care team members and learners.1


우리는 sharing the care가 capacity부족 문제를 해결하는 데 그치지 않고 의료 교육의 미래를 위한 새로운 비전을 수립하는 데 이상적인 출발점이 될 수 있다고 믿는다. 1학년 때부터 모든 의대생이 1차 건강관리 팀에 소속되어 훈련 단계에 적합한 진료를 제공하는 의미 있는 역할에 종사한다면 어떻게 될까? 아직 공식적인 환자 진료를 제공할 진단이나 치료 기술을 갖추지 못했더라도 초기 의대생들은 인구 건강 관리를 할 수 있도록 훈련을 받고 일상적인 예방(pap smears, 대장경, 유방조영술)이나 만성 치료 서비스(당뇨병 환자에 대한 발과 눈 검사)가 늦어진 환자를 찾아나갈 수 있다면 어떨까?

We believe that sharing the care goes beyond addressing the capacity-demand problem and may serve as an ideal starting point for building a new vision for the future of medical education. What if every medical student starting in year one is embedded in a primary health care team and engaged in meaningful roles of providing care appropriate to their stage of training? What if, even if they do not have the diagnostic or treatment skills to provide formal patient care yet, early medical students are trained to do population health management and can reach out to patients overdue for routine preventive (pap smears, colonoscopies, mammograms) and chronic care services (foot and eye exams for diabetics)?


이 의료 훈련 모델은 현재 AHC의 인프라를 바꾸지 않고도 우리의 의료 제공 시스템에 귀중한 capacity을 추가할 수 있다.

This model of medical training can add valuable capacity to our health care delivery system without changing the current infrastructure of academic health centers.


우리는 이것을 "부가가치 의료 교육"이라고 부르는데, 여기서 강력한 경험적 학습 경험은 우리의 의료 전달 시스템에 가치와 능력을 더해줄 수 있다. 이는 환자 치료 작업에 의대생을 교육하고 참여시킴으로써 달성할 수 있다. 학생들은 중복 작업을 발생시키거나 임상 교수진의 추가 에너지를 소비하지 않는 방법으로 의료 팀의 일원으로서 관리에 참여하고 책임을 지기를 열망한다.

We call this “value-added medical education,” where powerful experiential learning experiences can also add value and capacity to our health care delivery system. This can be achieved by training and involving medical students in targeted patient care tasks. Students are eager to engage in care and take on responsibilities as part of the health care team in ways that do not generate duplicative work or consume additional energy from the clinical faculty.


부가가치 의료 교육에 대한 선구적인 연구가 상당 부분 이루어진 샌프란시스코 캘리포니아 대학교에서, 학생들과 교수진들은 모든 학생들의 재능과 헌신을 활용하여 오늘날의 환자 치료에 가치를 더하는 진정한 직장 학습 경험을 창조함으로써 그들의 커리큘럼을 재부팅하기 위해 협력하고 있다.

At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San Francisco, where much of the pioneering work on value-added medical education has been done, students and faculty members are working together to reboot their curriculum by creating authentic workplace learning experiences that leverage the talents and commitments of every student to add value to the care of patients today.


스탠포드 의과대학은 또한 종단적 1차 진료 커뮤니티 파트너십을 운영함으로써, [보건 지도, 동기부여 면접, 환자 교육을 통해 치료를 제공하는 지역사회 보건소]에 일부 1학년 의대생을 배치하고 있다.

Stanford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is also embedding some first year medical students in community health centers where they provide care through health coaching, motivational interviewing, and patient education delivered via longitudinal primary care community partnerships.


초기 수련자들을 임상 기록 전문가로 변화시키기 위해 고안된 녹취scribe 프로그램은 우리의 1차 진료 클리닉을 high-performing 진료로 변화시키는 한편, 전자 진료 기록 시대에 의학을 실습하는 데 필요한 기술력을 학생들에게 제공할 수 있는 잠재력을 가지고 있다. 프로그램들은 [교육]과 [진료]라는 종종 상충하는 두 가지 목표를 하나의 통합하여 추구함으로써 이 둘 사이의 균형을 맞춘다는 점에서 유사하다.

A scribe program designed to turn early trainees into clinical documentation experts has the potential to change our primary care clinics into high-performing practices, while equipping students with the technological skills needed to practice medicine in the electronic medical record era. All these programs are similar in that they balance the often conflicting missions of education and patient care by merging these two objectives into a single pursuit.


이 꿈을 현실로 바꾸려면 리더십, 자원 재배치, 커리큘럼 재설계가 필요하다. 비전을 명확히 하고, 변화에 대한 긴급성을 창출하며, 자원을 이동시키고, 교직원 개발을 제공하며, 새로운 임상 훈련 사이트와의 파트너십을 구축하기 위한 리더십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서는 현재 초기 임상 훈련에 전념하고 있는 기존 자원의 리디렉션이 필요할 것이다.

Transforming this dream into reality will take leadership, redeployment of resources, and curricular redesign. Leadership is needed to 

  • articulate the vision, 

  • generate urgency for change, 

  • shift resources, 

  • provide faculty development, and 

  • build partnerships with new clinical training sites. 

  • This will require some redirection of existing resources currently devoted to early clinical training,


학생들의 임상 경험을 다시 상상해보고, 임상 스탭들에게 학생들이 일상 업무에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 있는 기술을 제공하기 위해 직원개발과 교수개발이 필요할 것이다. 커리큘럼 혁신과 재설계는 이러한 새로운 경험과 기술을 위한 기회 공간을 제공하기 위해 필수적일 것이다.

Faculty and staff development will be needed in order to reimagine the clinical experience for students and provide the clinic staff with skills to actively involve students in their daily work. Curricular innovation and redesign will be essential to offer opportunity space for these new experiences and skills.


우리는 부가가치 의료 교육의 원칙이 이 혁명에서 중요한 역할을 해야 하고 또 할 것이라고 믿는다. 이러한 원칙에는 다음이 포함된다. 

  • (1) 모든 의대생을 위한 조기의 통합적 근무지 학습, 

  • (2) 비임상 보건의료 제공자의 이해와 존중을 촉진하기 위한 전문직간 팀 기반 QI 문화, 

  • (3) 협업 및 데이터 중심 인구 건강 관리, 

  • (4) 학습자 중심적이고 지속적으로 변화하는 개발 단계에 맞춰 조정되는 전문적 역할의 최적화 

  • (5) 고성능의 환자 중심 1차 진료의 제공과 함께 강력한 경험적 학습 경험의 융합.

We believe that the principles of value-added medical education should and will play an important role in this revolution. These principles include: 

  • (1) early integrated workplace learning for all medical students, 

  • (2) an interprofessional team-based quality improvement culture to promote understanding and respect of non-clinician providers, 

  • (3) collaborative and data driven population health management, 

  • (4) optimization of professional roles that are learner-centered and continuously adjusted to changing stages of development, and 

  • (5) the fusion of robust experiential learning experiences with the delivery of high-performing, patient-centered primary care.






 2015 Feb;30(2):150-1. doi: 10.1007/s11606-014-3018-3.

Value-added medical educationengaging future doctors to transform health care delivery today.

Author information

1
Center for Education and Research in Family and Community Medicine, Division of General Medical Disciplines, Department of Medicine, Stanford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211 Quarry Road, Suite 405, MC 5985, 94304, Palo Alto, CA, USA, stevenlin@stanford.edu.
PMID:
 
25217209
 
PMCID:
 
PMC4314499
 
DOI:
 
10.1007/s11606-014-3018-3


현장에서 배우기: 시간-가변적 의학 훈련에서 맥락의 가치(Acad Med, 2018)

Learning in Practice: A Valuation of Context in Time-Variable Medical Training

Pim W. Teunissen, MD, PhD, Jennifer R. Kogan, MD, Olle ten Cate, PhD,

Larry D. Gruppen, PhD, and Lorelei A. Lingard, PhD



역량 기반 모델이 등장하기 전까지는 훈련 시간이 고정되었다.

Before the advent of the competency-based model, time-in-training was fixed; after completing the required training time


시간 변동성이 있는 훈련은 역량 기반 교육의 논리적 결과라고 주장할 수도 있다.1

One might even argue that time-variable training is the logical consequence of competency- based education.1


역량 기반, 시간 변동성 교육(CBTVT)에 대한 논의를 진전시키기 위해 교육자와 학습자는 학습자의 발달에서 맥락과 맥락-내-시간의 역할을 높이 평가하게 된다.

To move the debate on competency-based, time-variable training (CBTVT) forward, educators and learners must come to appreciate the role of context and time-in-context in the development of learners.


임상 학습 경험은 교실 교육보다 훨씬 더 다양하며, 그러한 경험의 맥락은 모든 학습자에게 크게 다르기 때문이다.3

Clinical learning experiences vary much more than classroom education, as the context of those experiences is to a large extent different for every learner.3


이러한 맥락변동성은 직장 학습의 본질적인 부분이다. 그 학습의 목표는 전문직에게 필요한 임상적 내용을 숙달할 뿐만 아니라 가변적이고 변화하는 맥락에서 근무하는 방법을 배우는 것이다. 

This variability in context is an inherent part of workplace learning. The goal of that learning is not only mastering the clinical content of a profession but also learning how to work in variable and changing contexts. 


최적의 학습 편익을 얻기 위해 역량 기반 교육은 명시적 학습 성과의 형태로 구조를 제공하려고 노력해왔다.4 보건의료에서 직장 학습의 구조화 및 공식화 증가는 [훈련 비용, 환자 안전 및 학습 결과의 투명성에 대한 관심]과 함께 진행되었다.5

To yield the optimal learning benefit, competency-based education has sought to provide structure in the form of explicit learning outcomes.4 The increased structuring and formalization of workplace learning in health care, has gone hand in hand with an increased focus on the costs of training, patient safety, and transparency of learning outcomes.5


맥락-내-학습은 임상 전문지식을 습득하는 것 이상을 수반하며 공식화된 역량 기반 커리큘럼에서 지금껏 포착되지 않았거나 앞으로도 결코 포착되지 않을 수도 있는 특징을 포함하고 있다고 주장한다.

We argue that learning-in-context entails more than the acquisition of clinical expertise and includes features that have not been, and may never be, captured in formalized, competency-based curricula.



학습목적을 위한 컨텍스트 활용방안에 관한 연구

The Deliberate Use of Context for the Purpose of Learning


숨겨진 커리큘럼은 공식적, 비공식적 교육을 통해서 전달은 되고 있지만, 공개적으로 인정되지는 않는 문화적 풍습을 가리킨다.6 효과적인 CBTVT는 [명시적인 커리큘럼 목표]와 이제는 잠재 커리큘럼의 일부가 된 [기회와 기대]를 보다 목적을 가지고 정렬할 것을 요구한다. 잠재 커리큘럼은 종종 맥락 특이적이며, 예컨대 각각의 맥락이 학습자의 발달에 긍정적이고 독특한 기여를 갖는 가치가 있다고 보는 것이다.

The hidden curriculum refers to the cultural mores that are transmitted, but not openly acknowledged, through formal and informal educational practices.6 Effective CBTVT requires more purposeful alignment between explicit curricular goals and the opportunities and expectations that are now part of the hidden curriculum. The hidden curriculum is often context specific and may have constructive components, such as when contexts are valued for their positive and unique contributions to learners’ development.7


현재 컨텍스트와 이들이 잠재적으로 제공하는 경험은 종종 로테이션 일정에 속하여 고정되어 있으며, 학습자의 요구에 따라 조정되지 않는다. 이론적으로, 커리큘럼 유연성을 증가시키기 위해, 훈련생들은 전략적으로 특정 역량을 support하면서 동시에 challenge하는 상황에 놓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맥락은 임상적 초점을 가지면서 동시에 리더십이나 의사소통 역량 개발에 도움이 되는 것일 수 있다.

Currently, contexts and the experiences they potentially offer are often part of fixed rotation schedules and are not adjusted according to learners’ needs. In theory, to increase curricular flexibility, trainees could strategically be put in contexts that both support and challenge particular competencies. For instance, contexts could be conceptualized not only as having a clinical focus but also as being conducive to the development of leadership or communication competencies, for instance.


교육 과정에 서로 다른 직장의 역학을 포함시키는 것을 신중하게 선택하는 것은 이 목표를 달성할 수 있다.9 훈련생은 고정된 로테이션 스케줄보다는 의도적으로 전략에 따라 가변적 맥락을 경험함으로써 더 많은 이득을 얻을 수 있다.

Deliberately choosing to include different workplace dynamics in a curriculum could achieve this goal . Trainees could arguably benefit from experiencing variable contexts according to a conscious educational strategy rather than a fixed rotation schedule.9


모든 경험이 이상적이지는 않다. 실제로, 특히 3차 병원에서 임상 교육은 점점 더 학업의 단편화, 짧은 환자 체재, 빈번한 핸드오프, 짧은 회전, 부적절한 감독, 관찰, 가르침 등, 이 모든 것이 학습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10.11 단편화된 학습 경험의 이러한 부정적인 측면에 대처하기 위해 Hirsh et al12는 임상 교육의 조직적 원칙으로서 연속성을 권고했다. 짧은 로테이션에서 종단적 경험으로 바꾼다면, 피훈련자와 훈련자 사이의 지도guidance, 평가, 교육신뢰도가 향상되고, 이는 학습자의 진행progression의 가능성을 촉진한다.13-15 그러나 앞으로 졸업생들이 다양한 맥락과 친숙하지 않은 상황에 대처해야 하는 현재의 의과대학생들에게 적응적 전문성adaptive expertise은 중요한 21세기 기술로서 강조되어 왔다. 이 기술을 개발하기 위해서는 훈련이 다양한 임상 환경에서 경험을 필요로 할 것이다.

Experiences can be far from optimal. Indeed, clinical education, particularly in tertiary hospitals, suffers increasingly from the fragmentation of disciplines; short patient stays; frequent handoffs; short rotations; and inadequate supervision, observation, and teaching—all of which can negatively impact learning.10,11 To counteract these negative aspects of a fragmented learning experience, Hirsh et al12 recommended continuity as an organizing principle of clinical education. Moving from short rotations to longitudinal experiences enables better guidance, assessment, and trust between preceptors and trainees, which in turn fosters better possibilities for the progression of learners.13–15 However, adaptive expertise has been stressed as an important 21st-century skill for graduates to enable them to cope with a variety of contexts and unfamiliar situations.16–18 Training to develop this skill would require experience in a variety of clinical settings.


맥락-속-시간 의 가치

The Value of Time-in-Context


학습 목적을 위한 컨텍스트의 의도적 사용과 관계없이, CBTVT의 논의에서 특정 맥락 내에서 보내는 시간의 가치를 인식하는 것은 중요하다. 학습 목표를 달성하는 데 필요한 시간이 학습자마다 다르므로, 비교적 빠른 학습자가 임상 환경에서 잔여 시간을 사용하여 보다 정교하고 nuanced한 능력을 기를 수 있도록 해야 한다. 그러한 추가 개발 방향은 다른 학습자-컨텍스트 조합에 따라 다를 것이다.

Regardless of the deliberate use of context for the purpose of learning, recognizing the value of time-in-context is important in discussions of CBTVT. Variation in the time needed to attain learning objectives may permit those learners who are relatively fast to use their remaining time in a clinical environment for the refinement and maturation of more sophisticated and nuanced capabilities. The direction of such further development will vary between different learner–context combinations.


예를 들어, 외과 연습생이 일반 수술과 관련된 기술적 역량을 습득한 경우, 그들은 수술 후 관리를 다른 전문 분야와 협상하거나 어려운 임상 상황에서 가족 회의를 주도하는 등, 그들의 위치적인 전문 지식의 관계적 측면과 사회적 측면에 더 초점을 맞출 수 있다. 역량 기반 교육 모델의 많은 노력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학생들은 생물의학 및 기술적 차원을 숙달하기 전까지 이러한 의료행의위 관계적 차원에 집중하지 못한다.19,20

For instance, if surgical trainees have acquired the technical competencies associated with general surgery, they could focus more on the relational and social aspects of their situated expertise, such as negotiating postoperative management with other specialties or leading family meetings in challenging clinical situations. Despite the efforts of competency-based educational models, learners struggle to attend to such relational dimensions of clinical practice until they have mastered the biomedical and technical dimensions.19,20


특정 역량을 개발할 필요가 없는 연습생이라도, 이미 [상대적으로 독립적인 의료행위를 실천하는 것]에 필요한 요구되는 역량과 성숙도에 도달했더라도, 해당 맥락에서 추가적인 시간을 할애하는 것은 가치가 있다. 이 시간은 "dwell time"14,21,22 또는 "tea steeping"이라고 불렸는데, 이러한 명칭은 이 기간이 학습자의 발달에 도움이 되지 않는다거나 아무런 guide없이 지낸다는 식으로 잘못된 암시를 준다. 그러나 이와 달리, 이 기간은 잘 준비된 전문직으로 발전해나가는 데 크게 기여할 수 있는 supported transition 기간이 될 수 있다. 즉, 이 시기에는 비판적 성찰과 지식, 기술 및 이들의 경험적 학습 적용의 통합을 촉진하기 위해 전략적으로 커리큘럼에 삽입된 성찰 기간으로 의도적으로 구성될 수 있다.

Even for trainees who do not need to develop specific competencies, there is value in spending additional time practicing in the context in which they have reached the required level of competence and maturity necessary for relatively independent practice. This time has been called “dwell time”14,21,22 or “tea steeping,”23 which erroneously suggests that a learner’s development is idle during this period or that it happens unguided. In contrast, we characterize this phase as a supported transition to independence, which can add significantly to the development of well-prepared professionals. It may be deliberately organized as reflective periods strategically inserted into a curriculum to foster critical reflection and the integration of knowledge, techniques, and their application to experiential learning.


이렇게 본다면 새로운 학습 기회가 생겨난다.  첫 번째 기회는 자기 효능감과 관련이 있다. 기준을 맞췄다는 것이 항상 학습자에 대한 신뢰로 이어지는 것은 아니다. 그러나 만약 신뢰 관계가 발전된다면, 감독자들은 학습자가 독자적으로 의료행위를 할 수 있도록 지원할 수 있으며, 이는 학습자들이 자기 효능감을 기를 기회를 제공한다.14

new learning opportunities emerge.24 The first opportunity relates to self-efficacy. Meeting standards may not always translate into learner confidence. But if a trusting relationship has developed, supervisors may support their learners in practicing independently, which presents the opportunity for learners to develop a sense of self-efficacy.14


두 번째 학습 기회는 실패의 경험과 관련이 있다. 독립적 의료행위의 양이 증가함에 따라, young professional로서 의도한 대로 되지 않은 일에 대해 책임을 져야 하는 경우도 생길 수밖에 없다.

The second learning opportunity has to do with the experience of failure. With an increase in the volume of independent practice, it is inevitable that there will be times when a young professional has to take responsibility for something that did not go as intended.


이것은 겉보기에 사소한 것일 수도 있고, 아니면 큰 재앙일 수도 있다. 연습생에게는 이렇게 guided independence와 mentored reflection을 위한 관계가 확립되어 있는 상태에서 초반의 고난struggle 시기를 경험하는 것이 중요하다.25 이러한 맥락에서 연습생들은 [자신이 알고 있는 동료들의 사회적 지원], [멘토나 코치 역할을 할 수 있는 감독관의 조언]을 얻게 될 것이며, 자기가 그 환자에 대한 care를 맡을 수 있도록 [신뢰받았다entrusted라는 확신]을 얻을 것이다.

This may be something seemingly minor, Or it may be a major calamity . For trainees, it is important to experience some of these initial moments of struggle in a context where they have the established relationships in place for both guided independence and mentored reflection.25 In such a context, trainees would have the social support of colleagues they know, the advice of a supervisor who can act as a mentor or coach, and the certainty that they had been entrusted with caregiving for that patient. 


우리가 젊은 의사들에게 잘 풀리지 않은 상황에 대해서 감정적, 조직적, 그리고 잠재적인 법적 영향을 어떻게 대처하도록 가르칠 것인가가 뒤따라는 그들의 커리어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이러한 학습 기회를 위한 시간과 신뢰가 있을 때에만, 의사들이 도전을 성숙하고 건설적으로 다루고, 회복탄력성을 기르기 위한 전략을 개발할 수 있도록 돕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예기치 못한 사건들은 중요하고, 경험하는 데까지 시간이 걸리고, 예측할 수 없다. 따라서, 특정 맥락 내에서 보내는 시간은 곧 그러한 사건이 나타나기 위해 필요한 조건이다.

How we teach young doctors to cope with the emotional, organizational, and potential legal ramifications of situations that go awry will impact the rest of their careers. Helping physicians deal with challenges maturely and constructively and develop strategies for resiliency is possible only when there is the time and trust in place for such learning opportunities. These more or less unexpected events are important, take time, and are unpredictable. Time- in-context, therefore, is a necessary condition for such events to emerge.


역량의 개념

Exploring Conceptions of Competence


Sfard의 습득과 참여 은유 사이의 26 구분이 workplace learning에 대한 서로 다른 관점의 결과를 강조한다.

Sfard’s26 distinction between an acquisition and a participation metaphor highlights the consequences of different perspectives on workplace learning.


Sfard는 생각과 의사소통의 관계에 초점을 맞춘다. 1998년 신학 논문에서 그녀는 두 가지 배움의 은유를 묘사했다. 

Sfard’s work focuse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inking and communicating. In a seminal 1998 paper, she described two metaphors of learning. 


첫째, 습득 은유는 학습의 개별적, 인지적, 기술적 합리적 측면에 초점을 맞춘다. 이 비유에 따르면 CBTVT에서 교육 시스템은 학습자가 각자 서로 다른 속도로 성취를 이뤄나가는 동안 조정되어야 하는 것이며, 학습자가 요구되는 목표를 달성해나가는 것은 개인의 문제이다. 따라서 이 은유에서 조직 시스템, 임상 장치 및 의료 팀의 맥락 역할은 시간적 공간적 배경backdrop으로 취급된다. 이와 같은 '습득' 은유는 의학교육의 많은 면에서 확인된다. 예를 들어, 특정 근무지 공간세팅이 어떻든 관계없이 프로그램의 모든 연습생을 위한 고정된 학습 목표 세트가 그 사례이다. 모든 학습자가 역량 기반 의료 교육 모델에서 고정된 표준 목표의 달성을 보장하고자 추구pursuit할 경우에, 특히 CBTVT모델에서의 progress의 개념을 이러한 '표준 목표' 달성에만 의존하는 경우, 학습 맥락을 더 균일하게 만들어야 한다는 압력이 증가된다. 다양한 임상 작업장이 있는 세계에서 맥락의 균일성을 증가시킨다는 것은 단순히 인위적일 뿐만 아니라, 이는 학습자의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강력한 도구인 "근무지 맥락의 가변성"을 빼앗길 위험이 있다.3

First, an acquisition metaphor focuses on individual, cognitive, and technical- rational aspects of learning. This metaphor positions us to frame the discussion on CBTVT as a matter of individuals attaining required objectives while the educational system adjusts to their differing paces of attainment. Consequently, the role of context—the organizational system, the clinical unit, and the health care team—is treated as a temporal and spatial backdrop. The acquisition metaphor of learning is recognizable in many aspects of medical education. It is exemplified, for instance, by a fixed set of learning objectives for all trainees in a program regardless of their specific workplace setting. The pursuit to ensure that all learners attain fixed, standard objectives in a competency- based medical education model may increase pressure on learning contexts to become more uniform, especially if we move toward a CBTVT model where progress solely depends on attaining these standard objectives. Not only is increasing uniformity of context artificial in a world of richly diverse clinical workplaces but it also risks robbing clinical training of a powerful tool for advancing learner competence—the variability of workplace contexts.3


이와는 대조적으로, Sfard의 참여 은유는 학습의 필수적인 구성요소로서 학습에 위치, 관계, 참여 및 컨텍스트를 접근한다. "참여적 학습" 이론도 의료 훈련과 관련된다.27,28 각각의 근무지 맥락은 독특한 학습 기회를 제공하며, 연구 결과 연습자들은 공식적인 written 커리큘럼에 포함된 내용과 무관하게, 환자 치료에 참여하는 경험을 통해 작업장이 제공해야 할 것을 배운다.3,29 이러한 관점에서 드러나는 것은, 역량이란 것은 학습자와 근무work의 situated exigencies 사이의 관계에 놓여 있으며, 여기에는 환자 프레젠테이션, 협업적 상호작용 및 조직 구조와 정책이 포함된다. 일반적으로 직장 학습을 이렇게 개념화할 때, 이는 [개인의 인식]을 넘어선다.30 그들은 의미가 형성되는 과정에서 사회적 특성의 중요성, 학습자의 발달 궤도에 대한 맥락적 영향, 그리고 학습자가 embed되어있는 문화적 경험의 다양성을 인식한다.3,24 이러한 참여적 성향을 CBTVT에 고려함으로써, 맥락적 변동성을 강조하고, 학습자가 실제 상황에서 요구하는 컨텍스트에 따른 역량을 인식하고 개발할 것을 기대하고 지원한다. 

In contrast, Sfard’s26 participation metaphor approaches learning as situated, relational, and participatory and context as an integral component of learning. Theories of participatory learning have also informed medical training.27,28 Each workplace context offers unique learning opportunities, and research shows that trainees learn what a workplace has to offer through the experience of participating in patient care, regardless of what is included in the formal, written curriculum.3,29 From this perspective emerges the notion that competence lie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learner and the situated exigencies of the work, including patient presentations, collaborative interactions, and organizational structures and policies. Generally, these conceptualizations of workplace learning go beyond the boundaries of an individual’s cognition.30 They recognize the importance of the social nature of meaning making, the contextual influences on learners’ developmental trajectories, and the plethora of cultural experiences in which learners are embedded.3,24 Adding this participatory orientation to discussions of CBTVT sets up the potential for programs to capitalize on contextual variation and to expect and support learners in recognizing and developing the context-bound competence that their practice context requires of them. 


이 두 가지 은유는 CBTVT의 토론을 통해 흐르는 근본적인 긴장감을 이해하는 데 도움을 준다. 역량은 개인의 특징인가, 아니면 개인과 그들의 맥락 사이의 의도적인purposeful 사회적 상호 작용에서 비롯되는 퀄리티인가? 합리적인 방법은 두 가지 옵션을 모두 수용하거나 적어도 어느 한 가지 옵션을 거부하지 않는 것이다.

These two metaphors help us to understand an underlying tension that runs through the debate on CBTVT—is competence an individual characteristic, or is it a quality that emerges from a purposeful social interaction between individuals and their context? A reasonable way forward would be to accept both options or at least not to reject either option.


실용적으로는, CBTVT의 관점에서 보자면, 이는 [학습자의 practice 환경에서 제공되는 상황별 기회]에 따라 [확장하고 세분화할 수 있는 최소 성과의 표준화된 집합]을 만드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Practically, in light of CBTVT, it could mean creating a standardized set of minimum outcomes which learners can expand on and refine according to the context-specific opportunities afforded in their practice settings.



맥락-기반 학습과 CBTVT

Context-Driven Learning and CBTVT


마지막으로, 우리는 역량이 개인의 속성일 뿐만 아니라 개인과 맥락의 목적적 사회적 상호작용에서 비롯되는 퀄리티라고 받아들일 때의 함의를 강조하고자 한다. 이러한 관점에서, 교육이란 [개인의 역량을 확보하는 것]일 뿐만 아니라, [학습자에게 의미 있는 경험을 형성하는 것]이다.31

Finally, we highlight the implications for learning and CBTVT when we accept that competence is not only an individual attribute but also a quality that emerges from a purposeful social interaction between individuals and their context. It requires us to adopt the perspective that education is as much about generating meaningful experiences as it is about attaining individual competence.31


학습자를 지원하고 도전하기 위한 맥락을 전략적으로 선택함으로써, "집단적 역량"이라 불리는 것에 접근해나갈 수 있으며, 또는 학습자가 더 큰 시스템에서 자신의 위치를 인식하도록 할 수 있다.

Strategically selecting contexts to create experiences that support and challenge learners could begin to approach what has been called “collective competence” or the degree to which learners can recognize their place in the larger system


다양한 종류의 의료진이라는 맥락에 참여하는 경험도 고려해볼 수 있으며, 이러한 경험을 전략적으로 구성하여 학습을 진전시킬 수 있다. 팀은 부문별(예: 의학)에서 부문간(예: 가족 보건 팀)에 이르기까지, 그리고 공동 배치(예: 수술실)에서 분산(예: 완화의료)에 이르기까지 다양하다.

The experience of participating in different kinds of team contexts could also be considered and strategically organized to advance learning; teams range 

  • 과별 from discipline specific (e.g., medicine) 

  • 과간 to interdisciplinary (e.g., family health team), and 

  • 같은 장소 from colocated (e.g., operating room) 

  • 다른 장소 to distributed (e.g., palliative care).


이론적으로 보자면, 의미 있는 경험을 할 가능성이 높은 환경에서 머물르는 것을 지향하는 교육모델에서는 시간에 제한을 두지 않는다. 새롭고 의미 있는 경험을 접할 확률이 점차 감소했을 때, 이것이 다음 학습 환경으로 나아가야 할 때라는 지표가 될 수 있다. 이러한 통찰력은 그러한 placement에 대한 최소한의 표준 학습 목표를 달성하는 것과 결합될 수 있으며, 이는 학습의 획득과 참여 은유 모두를 포함하는 CBTVT 모델로 이어질 수 있다.

In theory, an educational model aimed at placing learners in environments with a high probability of meaningful experiences has no clear time limit. The gradual decline of the probability of encountering new and meaningful experiences could be an indicator that it is time to move on to a new learning environment. This insight could be combined with having attained a minimum set of standard learning objectives for that placement, leading to a model of CBTVT that encompasses both an acquisition and a participation metaphor of learning.


마지막으로, 우리는 이 모델에서는 학습자가 로테이션을 통해 잠재적으로 더 빠르게 또는 더 느리게 움직일 수 있음을 인식해야 한다.

Finally, we must be aware of the possible impact of a model where learners potentially move faster or slower through rotations,


고도로 개별화된 시간 변동성은 경험이 많은 학습자가 다른 컨텍스트로 빠르게 이동할 경우, 피어티칭에 이용할 수 있는 유능한 학습자의 수를 계속 줄여나가게 된. 게다가, 각 의료팀은 늘상 일반적으로 초심자 멤버를 더 많이 갖게 될 것이다. 따라서 시간 변동성, 특히 훈련의 조기 완료는 더 많은 초보 팀 구성원을 가르치는 데 기여할 수 있었던 유능한 학습자를 제거함으로써 개별 학습자에게 영향을 미칠 뿐만 아니라 학습 환경에도 영향을 미친다.

Highly individualized time variability could reduce the number of competent learners available for (near-) peer teaching if more experienced learners quickly move on to other contexts. In addition, teams would then generally have more novice members. Therefore, time variability, particularly early completion of training, not only influences an individual learner but also influences the learning environment by removing competent learners who could have contributed to teaching more novice team members.


Conclusion


만약 우리가 맥락을 배움의 배경backdrop으로만 다룬다면, 우리는 잠재적으로 우리의 학습자들에게 중요한 맥락 관련 학습 기회를 빼앗을 것이다. 여기에 의료 교육자와 학습자의 난관이 있다. CBTVT 모델에서 교육과정이란 [일단 학습자가 습득하기만 하면 다음 맥락으로 이동하는 set of learning targets]가 되어서는 안 된다.

If we treat context only as a backdrop for learning, then we potentially rob our learners of valuable context-related learning opportunities. Herein lies a challenge for medical educators and learners. CBTVT models should not treat the curriculum as a set of learning targets that, once obtained, allow learners to move on to new contexts.


우리는 모든 학습자가 직장에서 많은 표준적이고 사전 설정된 학습 목표를 충족해야 하지만 전략적으로 조직된 학습 환경 내에서 추가적인 맥락별 역량 개발과 개인적 성장을 위한 여지를 남기는 대안을 제안한다.

We propose an alternative that recognizes that all learners will have to meet a number of standard, preset learning targets in their workplace but that leaves room for further context-specific competence development and personal growth within learning environments that have been strategically organized.


우리는 공간적 배경보다는 교육 전략으로 맥락을 활용하는 것이 CBTVT를 강화시킬 것이라고 주장한다.

We contend that using context as an educational strategy rather than a spatial backdrop promises to strengthen CBTVT.



 2018 Mar;93(3S Competency-Based, Time-Variable Education in the Health Professions):S22-S26. doi: 10.1097/ACM.0000000000002070.

Learning in Practice: A Valuation of Context in Time-Variable Medical Training.

Author information

1
P.W. Teunissen is professor, School of Health Professions Education, Maastricht University, Maastricht, the Netherlands, and maternal fetal medicine specialist, VU University Medical Center, Amsterdam, the Netherlands. J.R. Kogan is professor of medicine, Department of Medicine, Perelman School of Medicine at the University of Pennsylvania, Philadelphia, Pennsylvania. O. ten Cate is professor of medicaleducation, Center for Research and Development of Education, University Medical Center Utrecht, Utrecht, the Netherlands. L.D. Gruppen is professor, Department of Learning Health Sciences, University of Michigan Medical School, Ann Arbor, Michigan. L.A. Lingard is professor, Department of Medicine, and director, Centre for Education Research & Innovation, Schulich School of Medicine & Dentistry, Western University, London, Ontario, Canada.

Abstract

The logical consequence of implementing competency-based education is moving to time-variable training. Competency-based, time-variabletraining (CBTVT) requires an understanding of how learners interact with their learning context and how that leads to competence. In this article, the authors discuss this relationship. They first explain that the time required to achieve competence in clinical practice depends on the availability of clinical experiences that are conducive to ongoing competence development. This requires both curricular flexibility in light of the differences in individual learners' development and a balance between longitudinal placements and transitions to different environments.Along with the deliberate use of the opportunities that learning environments offer, there is value for learners in spending ample time-in-context. For instance, guided independence is possible when trainees do not progress immediately after meeting curricular learningobjectives. Next, the potential implications of CBTVT can be illustrated by two learning perspectives-Sfard's acquisition and participation metaphors-which leads to the assertion that competence is both an individual characteristic and a quality that emerges from a purposeful social interaction between individuals and their context. This theory recognizes that the deliberate use of context could be used to approach learning as acquiring collective competence.Based on this relationship between learner, context, and competence, the authors propose an approach to CBTVT that recognizes that all learners will have to meet a number of standard preset learning targets in their workplace, while still having room for further context-specific competence development and personal growth within strategically organized learningenvironments.

PMID:
 
29485483
 
DOI:
 
10.1097/ACM.0000000000002070


맥락적 교육과정: 메트릭스에서 배우고, 메트릭스로부터 배움(Acad Med, 2018)

The Contextual Curriculum: Learning in the Matrix, Learning From the Matrix

Brett Schrewe, MDCM, MA, Rachel H. Ellaway, PhD,

Christopher Watling, MD, MMEd, PhD, and Joanna Bates, MDCM




현대의학 학습자는 그 어느 때보다 광범위한 임상 환경에서 훈련한다.1 그러므로 의학 교육에서 맥락의 역할에 대한 근본적인 재평가가 필요하다.

Contemporary medical learners train in a broader range of clinical settings than ever before.1 There is a need, therefore, for a fundamental reappraisal of the role of context in medical education.


배경

Background


대부분의 중등교육은 대학 교실, 강의실, 실험실 등과 같은 비교적 표준화된 환경에서 이루어지는 반면, 임상 의학 교육은 의료 시스템의 복잡한 일상 현실에서 이루어진다. 병원 내에서 개별 부서와 단위가 작동하는 방식 간의 차이에도 불구하고, 최근까지도 의료훈련은 AHSC의 비교적 균일한 임상 컨텍스트 내에서 거의 전적으로 실시되었다.

Whereas most postsecondary education is situated in relatively standardized settings such as university classrooms, lecture theatres, and labs, clinical medical education takes place in the complex everyday realities of health care systems. Until recently, despite differences between the ways individual departments and units function within a hospital,5 medical training took place almost exclusively within the relatively homogeneous clinical contexts of AHSCs.


그러나 의학교육에서 AHSC의 지배력은 다음과 같은 이유로 도전을 받아왔다. 

  • 급성 요양 병상 수 감소와 평균 입원 기간 감소, 

  • 이전에 입원이 필요했던 조건의 외래환자 관리 강화, 

  • 의사 인력 부족에 대처하고 지리적 대분배를 해결하기 위한 의과대학의 확대. 

  • 인증 요건의 개정 

However, the dominance of the AHSC in medical education4 has been challenged by 

  • reductions in the number of acute care beds and the average length of patient stay, 

  • increased outpatient management of conditions that previously necessitated admission, 

  • expansion of medical schools to meet physician manpower shortages and address geographic maldistribution, and 

  • revisions of accreditation requirements.1,6 


이러한 변화는 generalism에 대한 요구 증가와 동시에 사회와 그들이 직면하게 될 사회의 모든 측면에 대한 의사들의 지속적인 훈련의 필요성과 일치한다.8–12

These changes coincide with increased calls for generalism7 and the persistent need to train doctors both in society and for all of the aspects of society they will encounter.8–12


AHSCs 이외의 지역에서 의료 훈련의 보급이 증가하고 있다. 실제로, 분산된 의료 교육은 급증했다. 6 지방 캠퍼스가 학문적 중심에서 멀리 떨어져 설립되었고, 종적 통합 임상실습은 의대 학생들을 그들의 임상실습 시기에 시골 지역사회에 배치하고, 그리고 의과대학이 점점 여러 주의 경계를 넘어 진행함으로써, 학습자를 지역사회 환경에 통합하고자 한다.

the increasing distribution of medical training outside of AHSCs. Indeed, distributed medical education has proliferated,6 with regional campuses being established far from academic centers,15 longitudinal integrated clerkships placing medical students in rural communities for their clerkship year,16 and medical schools increasingly crossing state and provincial lines to integrate learners into regional settings.17–19


AHSC 외부에서 의료 교육을 실시하더라도 동등한 교육 결과를 얻을 수 있음3,22,23

Conducting medical education outside of AHSCs can afford equivalent educational outcomes3,22,23


그러나 비 AHSC 훈련 컨텍스트가 이러한(또는 다른) 학습 결과를 가져오는 방식에서 선형 인과관계 또는 일관성을 가정할 수 없다.

However, we cannot assume linear causality or consistency in the ways that non-AHSC training contexts lead to these (or other) learning outcomes.


메트릭스로서 훈련 맥락

The Training Context as Matrix


환자

Patients


이 문맥 패턴은 특정한 맥락에서 보이는 환자의 인구학적 배경, 의학적 치료를 추구하는 이유, 그리고 개별 환자의 특성을 포함한다. 이 모든 것은 사이트마다 다를 수 있고 심지어 서로 가까운 곳에 있는 환자들도 포함된다.

This contextual pattern includes the demographic backgrounds of patients seen in a particular context, their reasons for seeking medical attention, and their individual characteristics, all of which can differ between sites, even those in close proximity to each other. 


예를 들어, [예비군 등 토착 환자의 높은 비율과 함께 환경에서 일하는 학습자]들은 다른 배경의 환자들을 서비스하는 인접 마을에서 훈련하는 동료들과 유사한 임상 기술을 개발할 수 있지만, 질적으로 다른 방식으로 그러한 기술을 수행하는 것을 배운다.29

For example, learners working in settings with a high proportion of Indigenous patients, such as on a reserve, may develop similar clinical skills to their colleagues training in an adjacent town that serves patients of a different background, but they learn to perform those skills in a qualitatively different fashion.29


진료

Practice


어떤 맥락에서든 의료행위에서 다음과 같은 것들이 의료행위의 맥락적 패턴에 포함된다.

    • (학습자가 상호작용하고 질병 프로세스의 정신 모델을 개발하는) 급성 및 만성 임상 환자 문제의 다양성과 가변성 

    • 사이트마다 현저하게 다를 수 있는 Allied 보건 전문가의 존재와 처리

The practices of medicine in any given context, ( ) are all included in the contextual pattern of practice. 

    • the variety and variability of acute and chronic clinical patient problems with which learners interact and from which they develop mental models of disease processes, and 

    • the presence and disposition of allied health professionals, which can differ significantly between sites, 

예를 들어, 지역 사이트에서 내과학을 배우는 사람들은 그들이 노출된 실습과 교육의 다른 범위 때문에 3차 치료 병원에서 훈련하는 것과 다른 기술을 가지고 나타날 수 있다.30 더 나아가, 소규모 현장의 학습자들은 그러한 맥락의 임상 관행에 상당한 영향을 미칠 수 있다.그것을 따르는 사람들의 경험과 기회를 변화시킴으로써.31

For example, those learning internal medicine at a regional site may emerge with differing skills from those training at a tertiary care teaching hospital because of the different scopes of practice and teaching to which they have been exposed.30 Further, learners at smaller sites can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that context’s clinical practice, thereby changing the experiences and opportunities of those who follow them.31


교육

Educational


교육 맥락의 패턴은 다음을 포함한다. 

    • 프로그램이 어떻게 구성되는지, 

    • 정의된 목표가 무엇인지, 

    • 프로그램에서 요구하는 평가 

    • 화상회의와 같은 기술이 사용되는지 여부, 

    • 선생님들의 역할과 태도, 

    • 커리큘럼을 제정하는 방법, 

    • 다른 학습자들의 존재, 

    • 그 밖에 같은 프로그램의 일부라도 site마다 다를 수 있는 모든 것. 

This contextual pattern encompasses 

    • how programs are structured, 

    • what the defined objectives are, 

    • what assessment is required by the program, 

    • whether technologies such as videoconferencing are used, 

    • the roles and attitudes of teachers, 

    • the way the curriculum is enacted, and 

    • the presence of other learners, 

    • all of which can differ between sites even if they are part of the same program. 


예를 들어, 한 사이트는 교육과 학습에 대한 헌신을 공유하고 부모 프로그램과 밀접하게 연계되어 있어서 매우 지지적인 문화일 수 있더라도, 인근 사이트의 교육은 서비스 압박과 교육자 커뮤니티의 빈번한 이직으로 제한될 수 있다.

For example, one site may have a very supportive educational culture with preceptors who share a commitment to teaching and learning and have strong links with the parent program, while the educational commitment of a nearby site is limited by service pressures and frequent turnover in the preceptor community.



물리적 환경

Physical


이 패턴은 원격성, 기후 및 계절적 변화를 포함하여 임상 훈련 컨텍스트의 물리적 설정을 반영하며, 모든 것은 현장마다 다를 수 있다. 

This pattern reflects the physical setting of a clinical training context, including its remoteness, its climate, and its seasonal variations, all of which can differ between sites. 


예를 들어 알래스카, 캐나다 북극 또는 호주의 외진 곳에서 배우는 사람들은 그곳에서 의학을 연습하는 물리적인 도전, 전화나 원격 의료로 상황을 관리하는 방법, 그리고 현재의 훈련 환경의 제약에 근거하여 환자를 더 높은 수준의 치료로 옮기는 방법을 알아야 한다. 마찬가지로, (관광지 등) 인구의 계절적 변화가 현저한 지역의 학습자들은 계절에 따라 상당히 다르게 연습하고 있음을 발견한다.

For example, learners in remote locations in Alaska, the Canadian Arctic, or Australia need to know how to deal with the physical challenges of practicing medicine there, how to manage situations by phone or telemedicine, and how to transfer patients to a higher level of care based on the constraints of their current training environment. Similarly, learners in areas that have significant seasonal variation in population (such as tourist areas) find themselves practicing quite differently according to the season.


헬스케어

Health care


여기에는 훈련이 이루어지는 보건의료의 직장과 제도적 문화가 포함된다. 사이트별로 조직의 가치, 관행, 규칙 및 루틴에 차이가 있을 수 있으며, 각각이 학습 경험을 형성할 수 있다. 

This includes the workplace and institutional cultures of health care in which training takes place. There may be differences in organizational values, practices, rules, and routines by site, each of which can shape the learning experience. 


예를 들어, 훈련생에게 기대되는 서비스 수준, 학습자에 대한 비의료 직원의 태도, 훈련을 지원하기 위해 이용할 수 있는 자원에 상당한 차이가 있을 수 있다. 이와 유사하게, 학습자가 private 환경에서 교육을 받느냐 또는 public 환경에서 교육을 받는지 여부는 환자가 의료에 대한 접근과 해당 의료에서 합법적으로 제공할 수 있는 관리를 변화시킬 수 있다.

For example, there may be significant variation in the service expectations of trainees, attitudes of nonmedical staff to learners, or resources available to support training. Similarly, whether learners are training in a private or public health care setting will likely change how they experience patient access to health care and what care they may legitimately provide there.


문화

Culture


의료 훈련과 실천은 서로 다른 믿음 체계, 가치, 권력 관계뿐만 아니라 서로 다른 사회적 현실을 반영하고 발전시키는 광범위한 사회 및 문화적 맥락 안에 내재되어 있다. 

Medical training and practice are embedded within broader societal and cultural contexts that reflect and advance different social realities as well as different belief systems, values, and power relationships. 


예를 들어, 특정 종교적 또는 정치적 초점을 맞춘 공동체에서의 훈련은 학습자의 연습 범위와 훈련 기회, 전문성과 옹호성의 성격, 그리고 어느 정도 전문적 정체성 형성에 미치는 영향을 형성할 가능성이 있다.

For instance, training in communities with a particular religious or political focus will likely shape learners’ scope of practice and opportunities to train, the nature of professionalism and advocacy, and, to some extent, effects on professional identity formation.




맥락적 패턴과 학습 성과

Contextual patterns and learning outcomes


학습자에게 있어서 이러한 맥락의 변동성은 역량의 개념을 형성한다. 

For learners, this contextual variability shapes notions of competence. 


예를 들어, 도시 3차 진료 교육 병원의 학술적 임상 교수실에서 소아과 사무직을 수료한 학습자는 이 특정 환경에서 능숙하게 수행하는 방법을 배울 것이다. 

    • 동료, 레지던트 및 기타 고도로 전문화된 연합 의료 전문가로 둘러싸여 있으며

    • 병원 의사들에 의해 가르침을 받고

    • 공식적인 감독, 회진, 그리고 구조화된 교실 세션을 통해 배운다

For example, a learner completing a clerkship in pediatrics in an academic clinical teaching unit at an urban tertiary care teaching hospital—surrounded by peers, residents, and other highly specialized allied health care professionals; preceptored by hospitalists; and taught through formal supervision, rounds, and structured classroom sessions—will learn how to perform competently in this specific setting.


이러한 맥락적 패턴과 그들의 많은 교차점은 학습자들이 이해할 수 없을 정도로 서로 얽혀 있는 풍부한 행렬을 형성하고 있는데, 그 행렬은 그들의 교육 궤적이 내장되어 있고, 이에 따라 그들의 정체성이 형성된다.

These contextual patterns and their many intersections form a rich matrix in which learners are inexorably intertwined, one in which their educational trajectories are embedded and their identities are shaped.


매트릭스에서 배우기

Learning From the Matrix


우리는 situated learning theory 32를 이용하여 다양한 맥락적 측면이 어떻게 학습을 중재하는지를 조사할 수 있다. 특정한 업무 맥락에 참여한다는 것은 불가피하게 그 맥락에 의해 형성shape됨을 의미한다. 새로운 훈련의 맥락에서 자신을 발견하는 학습자들은 합법적인 주변 참여자들이다32: 그들은 그곳에 갈 권리가 있지만, 그들이 참여하고 있는 공동체의 일에 아직 완전히 참여할 수는 없다.

we can use situated learning theory32 to examine how different contextual aspects mediate learning. To participate in a particular work context is to be unavoidably shaped by it. Learners who find themselves in a new training context are legitimate peripheral participants32: They have a right to be there, but they are not yet able to participate fully in the work of the community they are joining.


타이밍과 몰입 수준은 학습자가 교육을 받는 상황에서 더 온전한fuller 참여자가 될 수 있는 정도를 결정하는 추가 요인이다. 예를 들어, 

  • 짧은 로테이션에서 학습자는 "관광객"으로 로테이션할 수 있으며, 36은 직장의 맛을 보지만 그것에 의해 실질적으로 영향을 받거나 변경되지 않는다. 

  • 반면, 더 긴 로테이션을 수행하는 사람들은 일반적으로 학습과 전문적 정체성이 국지적 임상 맥락에 의해 점점 더 영향을 받는 "체류자"가 된다.36 주변적인 것에서 보다 실질적인 참여로 이동하기 위해서는 맥락이 제공하는 학습 기회에 학습자가 더 적극적으로 참여해야 한다.37

Timing and the level of immersion are additional factors that determine the degree to which learners may become fuller participants in the contexts in which they are being trained. For example, learners on shorter rotations may rotate as “tourists,”36 getting a taste of a workplace but not being substantially influenced or changed by it. On the other hand, those who undertake longer rotations typically become “sojourners” whose learning and professional identities are increasingly influenced by the local clinical context.36 Moving from peripheral to more substantial engagement requires learners to engage actively with the learning opportunities afforded by the context.37


  • 명시적 학습자 지원, 

  • "체류"하기에 충분한 시간, 

  • 특정 상황에서 능동적인 학습자 참여

...는 모두 비공식적 학습을 촉진하며, 이는 암묵적 지식의 개발을 초래한다. 이것은 학습자를 위한 능력 있는 참여의 핵심 요소로서, 특정한 환경에서 어떻게 일을 해낼 수 있는지에 대한 지식이라는 점에서 맥락과 불가분의 관계에 있다.40

Explicit preceptor support, sufficient time to “sojourn,” and active learner engagement in a specific context all facilitate informal learning,39 which results in the development of tacit knowledge. This is a key component of competent participation for learners, and it is inextricably linked to context, in that it is knowledge about how to get things done in a particular setting.40


또한, 맥락적 상호작용은 단순히 [학습자가 얻는 것이 무엇인가, 학습자가 경험에 의해 어떻게 변화되는가]에 관한 것이 아니다. 맥락적 상호작용으로 인해서, 특정 사람의 참여는 그 사람이 참여한 임상 맥락을 변화시킬 것이다. 예를 들어, "문제" 학습자의 존재는 preceptor의 노력을 다른 데로 돌리게 하거나, 지역 임상 실습 커뮤니티에서 학습자에 대한 신뢰를 떨어뜨리거나, 주변 사람들에게 분열적인 의사소통과 행동을 야기할 수 있다.

Further, contextual interactions are not simply about what learners gain and how they are changed by their experiences; the participation of any person in a given clinical context will also change that context. For instance, the presence of a “problem” learner may divert preceptor effort, diminish trust in learners in general in the local clinical practice community, or lead to divisive communication and behavior in those around them.


따라서 학습자의 현재 경험도 다음에 따라 달라진다. 

  • 과거에 학습자보다 먼저 있었던 사람들의 참여(preceptor, 환자, 다른 사람의 반응에 영향을 줌) 

  • 현재에 학습자, 프리셉터, 그와 함께 그 맥락에서 여행하는 환자(각 학습자가 얼마나 많은 관심을 받을지, 얼마나 기회가 제공될지에 영향을 줌.

A learner’s current experience will therefore also depend to some extent on 

  • the participation of those who preceded them (influencing how preceptors, patients, and other respond to them) as well as 

  • the current learners, preceptors, and patients who travel with them in that context (influencing how much or little attention each learner receives and the opportunities they are presented).

예를 들어, remote center의 통합실습에서 1년을 보내는 학습자는 해당 교육 맥락의 역사와 교육적 구성에 기초해 상당한 자율권을 부여받을 수 있다.

For example, learners who spend a year in an integrated clerkship at a remote center may be given significant autonomy based on the history and educational configuration of that training context.


반대로, 받는 3차 센터의 중환자실을 통해 회전하는 학생은 펠로우와 시니어 레지던트와 일할 것이다.

Conversely, their counterparts rotating through an intensive care unit in the receiving tertiary center will likely work under fellows and senior residents,


두 시나리오 모두에서 맥락적 패턴들이 서로 상호 작용하여, 학습자가 어떻게 변할 것이며, 의료행위에 대해서 어떻게 이해하게 될지를 형성할 것이며, 그러나 이러한 차이는 즉각적으로 드러나지 않더라도 결국 현저하게 다른 방식으로 만들어 낸다.

In both scenarios, the contextual patterns interact to produce a rich permutation of possibilities that shape who learners become and what their understanding of practice is, but in strikingly different ways that may not be immediately apparent.


매트릭스 안에서 살기

Living in the Matrix


비록 학습자들이 자신이 훈련받는 여러 맥락 사이의 차이점을 어느 정도 알고 있지만, 이러한 차이점에 대한 그들의 인식은 순식간에 (배경 속으로) 사라질 수 있다. 이것은 학습자들로 하여금 그들의 의학 지식, 임상적 상호작용, 그리고 직업적 정체성이 맥락적으로 엮여있고 형성되는 것이 아니라, 지금 이 상태가 (어떤 경우에도) inevitable하다는 착각으로 이끌 수 있다. 구조적인 차원에서, "문화가 없는 문화"로서, 42 의학 기관은 그 안에 내재된 사람들의 마음 속에 있는 맥락적 특성을 일상화normalize 시키는 경향이 있다.

Although learners are no doubt aware to some degree of the differences between the contexts in which they train, their awareness of these differences may quickly recede unnoticed into the background. This can lead them to believe that their medical knowledge, clinical interactions, and professional identities are inevitable rather than contextually bound and shaped. On a structural level, as a “culture of no culture,”42 the institution of medicine tends to normalize contextual distinctiveness in the minds of those embedded in it


또한 겉으로 보기에 inert하게 보이는 배경조차, 학습자가 임상 활동을 수행하고 훈련 환경에서 합법적으로 참여하도록 돕지만, 애당초 처음에 이러한 것들을 어떻게 배웠는지를 명확히 설명하고 설명하기는 어려울 수 있다.

Furthermore, although the seemingly inert contextual backdrop crucially helps learners perform clinical activities and participate legitimately in their training setting, it can be difficult for them to articulate and to explain how they learned these things in the first place.43,44


어떤 임상작업 환경에 명시적으로 invited and oriented되었더라도, 어떤 맥락에서든 학습자가 처음 관여하는 것은 그것에 "던져지는 것"과 비슷하다.45 그러나, 사람은 결코 진공에 던져지지 않고 항상 복잡한 일련의 관계에 들어간다.46 결과적으로, 학습자들은 활동 네트워크에 속박되고 그들의 임무를 완수하기 위해 이 네트워크 내에서 기능하는 법을 배워야 한다.45 암묵적 지식의 습득은 종종 눈에 띄지 않게 진행될 수 있는데, 이는 비록 학습자가 점점 합법적으로 참여할 수 있지만, 그것은 어떤 의식적 인식에 따른 것이 아닐 수 있다. 왜냐하면 학습자의 능력이라는 것이 워낙에 어떤 주어진 맥락 속에서의 관계적 복잡성에 달려있기 때문이다. 놀랄 것도 없이, 학습자들은 그들이 어떻게 알고 있는지, 어떻게 배웠는지, 또는 그들의 학습 성과가 특정한 훈련 상황에 얼마나 얽혀 있는지 이해하지 못한 채 끝나게 될 수도 있다.

Even when explicitly invited and oriented into a clinical work setting, a learner’s initial involvement in any context is akin to being “thrown” into it.45 However, one is never thrown into a vacuum, but always into a complex series of relations.46 As a result, learners become bound up in a network of activity and must learn to function within this network to accomplish their duties.45 Accruing tacit knowledge can often go unnoticed, which means that although learners can increasingly participate legitimately, it may be without any conscious recognition that their ability to do so is contingent on the relational complexities of the context in which they are embedded. Not surprisingly, learners may end up knowing without understanding how it is they know, how they learned, or the extent to which their learning achievements are entangled with a particular training context.


그러나 변화라는 것은 의학 교육이나 임상 실습에서 예외라기보다는 규칙이며, 맥락은 늘 변하고 있다. 새로운 전문지식과 기대를 가진 새로운 동료들이 도착함에 따라, 그리고 환자의 기대를 포함한 새로운 질병, 치료법, 사회규범이 시간이 지남에 따라 나타나면서 맥락의 변화가 정기적으로 일어난다. 환자 참여는 또한 변화에 영향을 미친다; 많은 사람들이 자신이 속한 condition내에서는 전문가가 되며, 이것이 개개인의 학습과 체계적 지지advocacy의 강력한 동인으로 작동한다.

Yet change is the rule rather than the exception in medical education and clinical practice, and context is always in a state of change. Changes in context occur regularly as new colleagues with new expertise and expectations arrive, and as new illnesses, treatments, and societal norms— including patient expectations—emerge over time. Patient participation also effects change; many become experts in their condition, serving as powerful drivers of individual learning and systemic advocacy.47,48


맥락적 역동성은 긍정적인 효과와 부정적인 효과를 모두 동반한다. 한 편으로 학습자들은 그들의 직장 환경에 대해서, 종종 새로운 방식으로 관여하는 활동적인 대리인이다. 49 이와 같이, 그들은 그들의 지도자들이 오랫동안 당연하게 여겼던 훈련 환경의 믿음, 관행, 규범이 무엇인지 발견하고 질문할 수 있는 참신한 관점을 가지고 있다는 점에서 훈련의 맥락을 변화시킬 수 있는 중요한 잠재력을 지니고 있다. 

This contextual dynamism comes with both positive and negative effects. On the one hand, learners are active agents engaged in their workplace environment49 often in novel ways. As such, they carry significant potential to transform their contexts of training, in that they possess a singular perspective to notice and question beliefs, practices, and norms of their training environments that their preceptors have long since taken for granted. 


동시에 학습자들은 정기적으로 새로운 훈련이나 연습의 맥락에 던져진다.38,45 낯선 것이 불안과 불확실성을 야기할 수 있다.38,45 새로운 맥락에서 암묵적 지식을 적용할 수 없는 것은 활동의 원활한 통합과 의미를 만들고 합법적으로 참여하여 증발시키는 능력을 야기할 수 있다..

At the same time, learners are regularly thrown into new contexts of training or practice, the unfamiliarity of which may provoke anxiety and uncertainty.38,45 An inability to apply tacit knowledge in the new context may cause seamless integration of activity to fall apart45 and their ability to make meaning and participate legitimately to evaporate.


분명히, 우리는 모든 학습자들이 마주치게 될 모든 가능한 맥락에서 훈련시킬 수 없다. 그러나, 우리가 지도자와 교육자로서 다음이 중요하다.

  • 포함된 상황별 매트릭스를 인식할 수 있는 공간과 도구, 

  • 그것이 어떻게 그들의 학습과 연습을 형성하는지, 

  • 새로운 컨텍스트에 적응하는 방법 

  • 어떻게 하면 그들의 누적되고 끊임없이 성장하는 임상적 능력을 맥락적 변화의 요구에 능숙하게 적응시킬 수 있을 것인가.

Obviously, we cannot train every learner in every possible context that they will ever encounter. However, it is critical that we as preceptors and educators provide our learners with 

  • the space and tools to recognize the contextual matrix in which they are embedded, 

  • how it shapes their learning and practice, 

  • how they might adjust to new contexts, and 

  • how to adapt competently their cumulative and ever- growing clinical abilities to the demands of contextual change.


매트릭스 인식 연습: 맥락적 교육과정

Learning to Recognize the Matrix: The Contextual Curriculum


그러나 잠재적으로 가치 있는 학습 기회를 놓치거나 개입하기 전에 학습자를 위해 일이 중단되기를 기다리는 대신에, 우리는 학습자가 변화하는 맥락에서 일하고 건너도록 더 잘 준비하기 위한 맥락적 커리큘럼의 아이디어를 능동적으로 도출할 수 있다.

Yet instead of letting potentially valuable learning opportunities go by or waiting for things to go off the rails for learners before intervening, we may instead proactively draw upon the idea of a contextual curriculum to better equip our learners to work in and across changing contexts.


같은 장소에서 주로 훈련하는 학습자들에게조차, 한 과에서 다른 과로 옮겨가는 것은, 같은 지붕 아래서 일하는 마이크로 시스템의 다양성을 조사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5

Even for those learners who train largely within the same location, moving from one specialty to the next affords opportunities to examine the diversity of training microsystems at work under the same roof.5


맥락적 커리큘럼의 개념이 새로운 것은 아니지만, 그 적용은 주로 실제 환경에서 직업 학습의 중요성과 관련이 있다.51 우리는 임상 훈련에는 언제나 맥락적 교육과정이 있다고 주장한다. 맥락적 교육과정이란 학습이 이루어지는 환경에 대해 의도적 또는 비의도적으로 배우는 것이 무엇인지를 뜻한. 이러한 관점에서 보면, 맥락적 커리큘럼은 숨겨진, 암묵적인, 무효적인, 비공식적인 커리큘럼과 개념적으로 유사하다.52–55 이러한 다른 커리큘럼 개념과 마찬가지로 상황별 커리큘럼과 교육에 미치는 영향도 존재한다.56–58

Although the concept of a contextual curriculum is not a new one, its application has primarily been in relation to the importance of vocational learning in real-world settings.51 we assert that in clinical training there is always a contextual curriculum in terms of what is learned both intentionally and unintentionally from the settings in which learning takes place. From this perspective, the contextual curriculum has conceptual similarities with hidden, tacit, null, and informal curricula.52–55 As with these other curriculum concepts, the contextual curriculum and its effects on training are ever present.56–58


그러나 의학 교육의 맥락적 커리큘럼은 단순히 학습에 수동적인 영향을 주는 것이 아니다. 교육 결과를 개선하기 위해 교육과정이 이해, 수용되거나 심지어는 어느 정도 조작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우리는 우리의 모든 학습자들에게 맥락의 영향을 성찰하도록 장려하고 장려할 수 있다..44,59 

  • 그들의 비공식적 학습으로부터 발생하는 암묵적 지식을 명확히 하고, 

  • 어떤 일이 어떤 환경에서 이루어지는 이루어지는지, 어떤 방식으로 행해지는지를 구별하고, 

  • 새로운 임상현장에 어떻게 행동을 조정할 수 있는지를 배우기 위해 

However, the contextual curriculum in medical education is not simply a passive influence on learning; it can be understood, accommodated, and, to some extent, manipulated to improve educational outcomes. For instance, we can foster and encourage all our learners to reflect on the influences of context, in order 

  • to articulate the tacit knowledge that arises from their informal learning, 

  • to differentiate between the way things are done in one setting and the ways in which they are done in another, and 

  • thereby to learn how one might adjust behaviors to new clinical workplaces.44,59


실제적인 관점에서, 학습자들은 각각의 맥락적 패턴에 성찰적 사고를 집중시킴으로써, 그들이 알아차린 것을 설명하게 만드는 시간을 로테이션 내에 dedicate수 있다. 또 다른 접근방법은 학습자가 회진이나 관찰자 역할의 클리닉에 정기적으로 참여하는 것을 포함하며, 목표는 당일 임상 치료에 직접 참여하는 것이 아니라 상황적 요인이 치료 제공을 가능하게 하거나 금지하거나 영향을 미치는 방법을 이해하는 것이다.

From a practical standpoint, learners could be provided with dedicated time throughout a rotation to describe what they notice, using each contextual pattern to focus their reflective thinking. Another approach would involve learners’ regular participation on rounds or in clinic in an observer role, the goal being not to engage directly in clinical care that day but rather to appreciate how contextual factors enable, inhibit, or influence the provision of care.


이러한 경험은 

  • 학습자가 패턴 측면에서 알아낸 것, 

  • 이러한 서로 다른 패턴이 상호작용하는 방법, 

  • 그리고 다른 맥락에서 치료 제공을 형성하는 방법

...을 확고히 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지도자와 동료들과의 정기적인 촉진 토론을 통해 보완될 수 있다. 

These experiences could be complemented through regular facilitated discussion with preceptors and peers as a way to cement 

  • what learners have noticed in terms of patterns, 

  • how these different patterns interact, and 

  • how they shape the provision of care in different contexts. 


학습자가 로테이션 사이를 이동함에 따라, 

  • 그들은 그들의 급증하는 임상 능력이 그들과 함께 이동하며, 그들의 지속적인 경험에 의해 형성된다는 것을 인식하도록 장려될 수 있다. 

  • 또한 이러한 기술을 효과적이고 능숙하게 사용할 수 있는 능력은 그들이 배우고 연습하고 있는 치료의 맥락에 크게 좌우된는 것을 인식하도록 장려되어야 한다.

As learners move between rotations, 

they could be encouraged to recognize that while their burgeoning clinical abilities travel with them and are shaped by their ongoing experiences, 

the ability to use these skills effectively and competently depends significantly on the contexts of care in which they are learning and practicing.


또 다른 형태의 성찰은 [임상 학습자가 훈련의 맥락과 관련]하여 [자신의 개별 가치와 태도의 상호작용과 그들의 전문적 정체성의 상호작용을 고심할 기회]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Holmes 등 63은 학습자가 임상 작업장에 관여할 때 필요한 특정 성찰 역량의 집합을 제안했다. 

  • 작업장에서 외부 압력에 순응하는 동기를 이해

  • 압력이 있는 순간 그 압력을 인지

  • 신뢰할 수 있는 의료 교육자나 동료와의 경험을 분석

  • 개인적인 가치와 행동의 집합에 대한 결정

Other forms of reflection can afford clinical learners an opportunity to grapple with the interactions of their own individual values and attitudes61 and their developing professional identities62 as related to their contexts of training. For instance, Holmes et al63 proposed a specific set of reflective competencies for learners as they engage with the clinical workplace: 

  • understanding their motivations to conform to external pressures in the workplace, 

  • becoming aware of these pressures in the moment, 

  • analyzing their experiences with trusted clinical educators or peers, and 

  • deciding on a personal set of values and behaviors.


또한 각 학습자는 독특한 개인이지만, 그들은 그들 스스로 특정 사회 집단, 문화 관습, 역사, 권력 체계 등에 얽매여 있다. 맥락적 커리큘럼에 대한 인식을 배양하는 것은 [임상 의학을 보다 정교한sophisticated 지식과 실습]으로 이해하도록 장려할 수 있다.

Further, although learners are unique individuals, they are themselves bound up in certain social groups, cultural practices, histories, and systems of power. Cultivating an awareness of the contextual curriculum can encourage a more sophisticated understanding of clinical medicine as a situated knowledge and practice


학습자로 하여금 자신의 지도자preceptor가 당연시 여기는 것을 인식하는 능력을 개발하는 것은 핵심 교육적 이익이며, 전통적인 권력 차이에 걸쳐 단절되고 교육 및 의료 환경에 의미 있는 변화를 가져올 수 있는 [공유 학습]의 고유한 기회를 여는 것이다.

Developing a learner’s ability to recognize what their preceptors take for granted is a key pedagogical benefit, opening up a unique opportunity for shared learning that cuts across traditional power differentials and may lead to meaningful changes in the training and health care environment.



마지막으로 학습자의 임상 지식은 반복적으로 그리고 필연적으로 한 맥락에서 다음 맥락으로 이동하면서 축적된다. 상황별 커리큘럼을 준수하면 학습자가 

  • 이 지식을 활용하고, 

  • 어떻게 얻었는지 이해하며, 

  • 각 컨텍스트에 특정된 암묵적 지식이 자신의 개발 임상 관행을 형성하는 방법을 파악하는

... 데 도움이 될 수 있다.

Finally, learners’ clinical knowledge accumulates as they move recurrently and inevitably from one context to the next. Attending to the contextual curriculum can help learners to 

  • draw on this knowledge, 

  • understand how they accrued it, and 

  • grasp how tacit knowledge particular to each context shapes their developing clinical practice


나아갈 방향

Ways Forward


맥락은 의료 제공자로서 능력과 정체성과 분리할 수 없는 동적 매트릭스다.

context is a dynamic matrix inseparable from abilities and identities as health care providers.


맥락의 회피 불가능성, 즉 [맥락이 어떻게 학습자가 무엇을 할 수 있고 누가 될 수 있는지에 영향을 주느냐]는 우리가 훈련에 대해 생각할 때 그 핵심에 고집스럽게 남아 있는 개인주의에 대해 의문을 제기한다.

The inescapability of context—namely, how its effects shape what a learner can do and who they can be—calls into question the idea of individualism that stubbornly remains at the heart of how we think about training


의학 교육의 능력에 대한 레이저 초점이 점점 더 피할 수 없게 됨에 따라, 능력의 지나친 단순화는 항상 존재하는 위험이다.

As medical education’s laser focus on competency is increasingly inescapable, the oversimplification of competence is an ever-present risk.


우리는 교육에서 맥락적 다양성을 증가시키는 것에 대한 명확한 기관의 관심에 의해서 그리고 상황적 커리큘럼이 제공해야 하는 풍부한 학습의 다양성을 긍정적으로 활용하기 위해 규칙적인 반성을 사용함으로써 그것이 어떻게 유능하다는 것을 의미하는지 신중하게 고려하는 좀 더 미묘한 역량의 관점을 요구한다.

we call for a more nuanced view of competence that carefully considers how context shapes what it means to be competent by explicit institutional attention to increasing contextual diversity in training as well as by using regular reflection to leverage positively the rich diversity of learning that the contextual curriculum has to offer.


29 Kelly L, Walters L, Rosenthal D. Community- based medical education: Is success a result of meaningful personal learning experiences? Educ Health (Abingdon). 2014;27:47–50.


61 Asgarova S, McKenzie M, Bates J. Learning from patients: Why continuity matters. Acad Med. 2017;92(11 suppl):S55–S60. XXX


63 Holmes CL, Harris IB, Schwartz AJ, Regehr G. Harnessing the hidden curriculum: A four-step approach to developing and reinforcing reflective competencies in medical clinical clerkship. Adv Health Sci Educ Theory Pract. 2015;20:1355–1370.


68 Bates J, Ellaway R, Watling C. The influence of workplace context on learning and teaching. In: Delany C, Molloy E, eds. Learning and Teaching in Clinical Contexts: A Practical Guide. Edinburgh, UK: Elsevier; 2017.






 2018 Nov;93(11):1645-1651. doi: 10.1097/ACM.0000000000002345.

The Contextual CurriculumLearning in the MatrixLearning From the Matrix.

Author information

1
B. Schrewe is a 2017 Pierre Elliott Trudeau Foundation Scholar and clinical assistant professor, Department of Pediatrics, Faculty of Medicine, University of British Columbia, Vancouver, British Columbia, Canada. R.H. Ellaway is professor, Department of Community Health Sciences, and director, Office of Health and Medical Education Scholarship (OHMES), Cumming School of Medicine, University of Calgary, Calgary, Alberta, Canada. C. Watling is professor, Departments of Clinical Neurological Sciences and Oncology, Schulich School of Medicine and Dentistry, Western University, London, Ontario, Canada. J. Bates is professor, Department of Family Practice, Faculty of Medicine, University of British Columbia, Vancouver, British Columbia, Canada.

Abstract

Changes in the health care landscape over the last 25 years have led to an expansion of training sites beyond the traditional academic health sciences center. The resulting contextual diversity in contemporary medical education affords new opportunities to consider the influence of contextual variation on learning. The authors describe how different contextual patterns in clinical learning environments-patients, clinical and educational practices, physical geography, health care systems, and culture-form a contextual learning matrix. Learners' participation in this contextual matrix shapes what and how they learn, and who they might become as physicians.Although competent performance is critically dependent on context, this dependence may not be actively considered or shaped by medical educators. Moreover, learners' inability to recognize the educational affordances of different contexts may mean that they miss critical learning opportunities, which in turn may affect patient care, particularly in the unavoidable times of transition that characterize a professional career. Learners therefore need support in recognizing the variability of learning opportunities afforded by different training contexts. The authors set out the concept of the contextualcurriculum in medical education as that which is learned both intentionally and unintentionally from the settings in which learning takes place. Further, the authors consider strategies for medical educators through which the contextual curriculum can be made apparent and tangible to learners as they navigate a professional trajectory where their environments are not fixed but fluid and where change is a constant.

PMID:
 
29979208
 
DOI:
 
10.1097/ACM.0000000000002345


의학교육에서 세계-국지 긴장: '국제적으로 생각하고 국지적으로 행동하라'를 뒤집을 때인가? (Med Educ, 2019)

The global–local tension in medical education: turning ‘think global, act local’ on its head?

David Prideaux




도입

INTRODUCTION


이제 세계화는 현대 세계의 근본적인 부분이라는 것이 받아들여지고 있다.

It is now accepted that globalisation is a fundamental part of the contemporary world.


그러나 세계화가 형평성을 향상시키고, 민주주의를 촉진하고, 사회 정의를 모두를 위해 보장했다고 결론짓는 것은 실수일 것이다. 실제로, 그 반대의 주장이 나올 수 있다.

It would be a mistake, however, to conclude that globalisation has improved equity, fostered democracy or ensured social justice for all. Indeed, arguments could be made for the reverse.


국제화-현지화 사이의 긴장

THE GLOBAL–LOCAL TENSION IN MEDICAL EDUCATION


의학 교육도 세계화의 힘으로부터 벗어날 수 없다.

Medical education has not been immune from the forces of globalisation.


본 논문은 의료교육의 세계적 지역적 긴장에 대해 다룰 것이다. 동시에 그 긴장을 다룸에 있어서 국제보건은 불평등으로 특징지어지며, 그로 인해 국제보건 불균형을 다루어야 한다는 것을 인식한 맥락 안에서 고려한다.

This paper considers the global–local tension in medical education but within a context that recognises that global health is marked by inequity and a consequent need to address global health disparities.


의학교육의 세계화: 경제와 이타성

THE GLOBAL IN MEDICAL EDUCATION: ECONOMICS AND ALTRUISM


Harden1은 의학 교육에서 세계화를 촉진하는 세 가지 주요 요인을 요약했다. 

  • 첫째, 의료 제공은 세계화되고 있으며, 의료인력의 국제적 이동성도 점점 더 높아지고 있다. 정부는 더 넓은 시장 접근과 경제적 이점을 위해 세계화를 선호한다. 

  • 둘째, 의학 교육에 관한 국제 교류는 20세기 말과 21세기 초에 크게 강화되었다. 2002년 국제의학연구소(IIME)의 용어 해설(International Lossary of Medical Education, IIME)의 국제 용어 해설 발행으로 예증되는 의료 행위와 의학 교육을 뒷받침하는 어휘가 점점 더 흔해지고 있다.2 

  • 마지막으로, 고등 교육 자체가 상업화되고 경쟁적이 되었다. 국제 의대생을 포함한 국제 학생들은 대학의 중요한 잠재적인 수입원이 되었다.

Harden1 has summarised three main sets of factors that promote globalisation in medical education. 

  • First, health care delivery is globalised, with an increasingly mobile international health professional workforce. Governments favour globalisation for access to wider markets and economic advantage. 

  • Second, international communication about medical education has been greatly enhanced in the late 20th and early 21st centuries. There is an increasingly common vocabulary underpinning medical practice and medical education, exemplified by the publication of an international glossary of terms by the International Institute of Medical Education (IIME) in 2002, albeit with a North American orientation.2 

  • Finally, higher education itself has become commercialised and increasingly competitive. International students, including international medical students, have become important potential sources of income for universities.


계화를 위한 이러한 힘은 크게 두 가지 자명한 범주로 분류된다. 위에서 1번과 3번 이유는 주로 경제적 이유로 추진되지만 다른 혜택도 가져다 준다. 이러한 범주에 속하는 관행은 의과대학 교육과정의 국제적 판매 또는 임대를 포함한다.

These forces for globalisation fall into two largely self-evident categories. The first and third of Harden’s1 forces are primarily economically driven but do bring other benefits. Practices that fall into these categories include the international sale or leasing of medical school curricula.


위에서 지적한 바와 같이, 국제 학생들은 그들을 모집하는 학교의 수입원이 되지만, 이 관행은 또한 일부 학생들이 (자신의 나라에서 의과대학에 입학하는 것이 매우 경쟁적일 때) 해외에서 공부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다른 세계화된 협약에는 국제 학생들을 위한 새로운 '해외offshore' 학교 설립과 다른 나라의 주최 기관에 의한 캠퍼스 또는 전체 의과대학 설립이 포함된다.

As indicated above, international students bring funds to the schools recruiting them but the practice also provides opportunities for some students to study abroad when entry to medical school in their own countries is highly competitive. Other globalised arrangements include establishing new ‘offshore’ schools for international students and the establishment of campuses or whole medical schools by host institutions in other countries.


건강 전문가의 국제 이동성이 증가함에 따라 더 넓은 고용 선택권이 주어진다.

The increasing international mobility of health professionals allows for wider employment options,


호주, 캐나다, 미국과 같이 건강 노동자를 지역불균형 문제가 큰 몇몇 국가들은 지역 졸업생들이 가지 않기로 선택한 지역, 특히 시골 지역에서 연습하기 위해 다른 나라의 의료 졸업생들에게 크게 의존하게 되었다. 그러나 동시에, 이러한 현상이 의료 졸업생이 유출된 건강 노동력에 미치는 영향은 그리 긍정적이지 않다.

some countries, such as Australia, Canada and the USA, which have maldistributed health workforces, have come to rely heavily on medical graduates from other countries to practise in locations, especially rural locations, where local graduates choose not to go. The effects on the health workforce in the countries that medical graduates leave are not so positive.


하든이 언급한 두 번째 force인 의사소통 및 국제적 이해 증가는 [이타주의와 협력에 대한 열망]에 의해 더욱 추진되었다.

Harden’s1 second force for globalisation in medical education, increased communication and international understanding, has fostered developments driven more by altruismand the desire for collaboration.


  • For example, the International Virtual Medical School (IVIMEDS) has enabled the international sharing of medical education learning resources.5 

  • The IIME has promoted the definition of minimal competencies for all doctors through its Global Minimum Essential Requirements (GMERs).  

  • The WFME has been a champion of the sharing of international standards in accreditation of medical education to improve practices of medical education overall and to assist countries that do not have robust systems of medical school accreditation.4 

  • More recently, the ASPIRE to Excellence Program has promoted international standards of medical education excellence.


의학교육의 국제화에 대한 비판

CRITIQUE OF GLOBALISATION IN MEDICAL EDUCATION


국제 의료 졸업생들을 활용하여 maldistributed workforce 문제를 해소하는 데 의존하는 나라들 중 하나인 캐나다는 의사를 '수입하는' 것으로 묘사된다. '오프쇼링'이나 '공동브랜드'와 같은 다른 용어는 개최 기관이 다른 나라에 캠퍼스나 전체 의대를 설립하는 관행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다. 그러나 이러한 어휘를 사용하면 이러한 관행에 대한 근본적인 질문을 제기할 필요를 비껴갈 있다. 보건 전문가들이 떠나는 나라가 주로 특히 저개발 국가임을 고려했을 때, 이러한 현상이 보건 시스템에 미치는 영향은 무엇인가? 누가 offshore 의과대학의 커리큘럼을 결정하며, 그것은 지역적/국지적으로 관련이 있는가?

Canada, one of the countries that relies on international medical graduates to address a maldistributed workforce, is described as ‘importing’ doctors. Other terms such as ‘offshoring’ or ‘co-branding’ are used to describe the practice of host institutions establishing campuses or whole medical schools in other countries. The use of such vocabulary can have the effect of deflecting attention away from the need to pose fundamental questions about some of these practices. What is the effect of the migration of health professionals on the health systems of the countries they leave, especially as many are lowresource countries? Who determines the curriculum in offshore arrangements and is it locally relevant?


블래클리 외 좀 더 '이타주의적' 우려에 의해 동기화된 글로벌 협력의 일부를 조사하는데 '포스트 식민주의'라는 담론을 사용하였다.9 그들의 주장은 문제 기반 학습(PBL)이나 객관적 구조화된 임상시험(OSCEs)과 같은 교육학적 '개혁'과 결과의 사용과 같은 커리큘럼 개혁은 모두 대도시와 서양의 사회적 맥락에서 비롯된 일련의 문화적 가치에 내재되어 있다는 것이다. 세계적 협력을 통해 이러한 개혁을 비-대도시와 비-서양의 맥락에서 무비판적으로 적용한 것은 블라크리와 그의 동료들에게 9는 신식민주의 형태를 나타낸다. 이는 국지적 맥락에서 sensitive하거나, 적절한 것은 아닐 수 있는 의료 교육 프로그램을 도입하는 결과를 낳는다. 

Bleakley et al. have used such a discourse, ‘postcolonialism’, in examining some of the global collaborations motivated by more ‘altruistic’ concerns.9 Their argument is that pedagogical ‘reforms’, like problem-based learning (PBL) or objective structured clinical examinations (OSCEs), and curriculum reforms, such as use of outcomes oressential and core requirements, are all embedded in a set of cultural values whose origins lie in metropolitan and Western social contexts. The uncritical application of these reforms in nonmetropolitan and non-Western contexts through global collaborations represents, for Bleakley and his colleagues,9 a form of neo-colonialism. This results in the introduction of medical education programmes that may not always be sensitive to or appropriate in a local context. 


이에 대해 WFME는 인증에 대한 글로벌 접근방식을 강력한 방어하는 작업에 착수했다. 그러나 WFME는 자체적인 접근방식이 지역적 차이를 통합하고 존중할 수 있다고 주장한다. 실제로, 인증 표준을 구축하는 바로 그 과정이 지역적 맥락에서 확고하게 정착되는 과정이라고 말한다.

In response the WFME has launched a spirited defence of its global approach to accreditation. but the WFME claims that its own approach can and does incorporate and respect local differences. Indeed, it is pointed out that the very processes of constructing accreditation standards have been anchored firmly in local contexts.10


교육적, 교육과정적 개혁은 의과대학에 주입되는 과정이지만, 의과대학 프로그램의 결과에 미치는 영향은 그다지 명확하지 않다. 블래클리 외는 의학교육에 대한 [입력]과 [결과] 또는 [보건 시스템에 대한 영향] 사이의 연결 부재의 두 가지 대표적인 예를 제공한다.9

Pedagogic and curriculum reforms are processes that feed into medical schools but their effect on the outcomes of medical school programmes is not so clear. Bleakley et al. provide two telling examples of the lack of connection between inputs into medical education and outcomes or impacts on health systems.9


그들은 크리슈난의 연구를 인용하고, 크리슈난은 인도 의학 교육의 문제는 교육학의 문제가 아니라 인구의 건강 요구에 대한 대응력의 결여라고 결론짓는다.

They cite Krishnan’s work, Krishnan concludes that the problems with Indian medical education are not matters of pedagogy but lack of responsiveness to the health needs of the population.


두 번째 예는 라오가 일본에서 의학 교육을 참관하기 위해 미국을 방문했다는 설명에서 나온 것이다.12 그는 강의와 교과서 접근법, 학생 수동성, 일본 의과대학은 학생의 임상 술기 개발에 대한 관심이 부족하다는 점에 대해 비판적이지만, 일본 보건 시스템이 미국에 비하면 인구집단에 대해서 더 나은 건강 결과를 제공한다는 것을 인정한다. 

The second example is drawn from Rao’s account of a visit from the USA to observe medical education in Japan.12 He is critical of the lecture and textbook approach, student passivity and lack of attention to the development of clinical skills in Japanese medical schools, yet acknowledges that the Japanesehealth system provides better health outcomes for its population than that of the USA. 


Boelen과 Woollard는 20세기 후반과 21세기 초의 교육학 및 커리큘럼 개혁은 그들이 보건의료 분야의 인적 자원 개발에서 '글로벌 위기'라고 묘사한 것에 거의 영향을 미치지 못했다고 지적한다.13 그러한 위기에는 

  • 의료전문가의 부족, 

  • 전문의 진료와 1차 진료의 불균형, 

  • 저자원 국가에서 고자원 국가로의 의료전문가의 이동, 

  • 농촌의 저개발, 

  •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에 대한 주의 부족 등이 있다.

Boelen and Woollard point out that the pedagogic and curriculum reforms of the later 20th and early 21st centuries have had little impact on what they describe as the ‘global crisis’ in human resource development in health care.13 Such a crisis is marked by 

  • undersupply of health professionals, 

  • imbalance of specialties and primary care, 

  • migration of health professionals from low- to high-resource countries, 

  • underserving of rural areas, and 

  • lack of attention to social determinants of health.


의학교육에서 국지성: 사회적 책무

THE LOCAL IN MEDICAL EDUCATION: SOCIAL ACCOUNTABILITY


사회적 책임의 출발점은 지역적 맥락이다. 세계보건기구(WHO)는 의과대학의 사회적 책임을 '그들이 의무적으로 봉사해야 할 지역, 지역 또는 국가의 우선적인 건강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교육, 연구 및 서비스 활동을 지시할 의무'로 정의했다.14 사회적 책임 또한 결과(성과)에 초점을 맞춘다. 세계보건기구는 보건 전문가(의학) 교육과 지역 보건 시스템의 필요성 사이에 '불일치'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으며, 의과대학은 [졸업생들이 사회적으로, 그리고 자신들이 자리잡은 의료시스템의 측면에서 어떠한 service를 하는지]에 대해 책임을 지지 않는다고 보고 있다.

The starting point for social accountability is the local context. The World Health Organization (WHO) has defined the social accountability of medical schools as ‘the obligation to direct their education, research and service activities towards addressing the priority health concerns of the community, region or nation they have a mandate to serve’.14 Social accountability also focuses on outcomes. The WHO observes that there is a frequent ‘mismatch’ between health professional (medical) education and the needs of local health systems, and that medical schools are not held accountable for what their graduates do in terms of their service to society and the health care systems in which they are located.


2010년 보고서는 새로운 세기를 위한 건강 전문가: 상호의존적인 세계에서 보건 시스템을 강화하기 위한 교육변화

report in 2010 entitled Health professionals for a new century; transforming education to strengthen health systems in an interdependent world.15


21세기의 주요한 건강 지표는 국가 내와 국가 간의 불평등이다. 종종 저개발 국가의 문제로 치부되지만, 실제로는 인력 부족, 노동력의 지역적 불균형, 부적절한 skill set 균형 등은 선진국에서도 명백하다.

the major marker of health in the 21st century is inequity both within and between countries. Although often assumed to be lowresource country problems, workforce shortages, maldistributed workforces and inappropriate skill set balances are clearly evident in some highresource countries.


이 보고서는 이른바 '3대 교육개혁'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15 

  • 첫 번째 것은 20세기 초의 포스트-플렉스너 개혁으로 대표된다. 이것은 '과학기반 접근법'이었고, 의학교육의 경우, 대학 기반 과학과정의 채택이 임상 실습에 따르는 것을 보았다. 

  • 20세기 후반의 두 번째 단계는 '혁신 단계'로 명명되었는데, 이때 PBL과 다른 교육학 및 커리큘럼 개혁은 현재 글로벌 협력에 의해 선호되고 있다. 

  • 21기의 3세대는 '시스템 기반'이며, 지구-지역 긴장을 직접적으로 다룬다. 핵심역량을 결정하기 위해서는 글로벌 지식이 필요하지만, 이러한 지식은 지역적 맥락에 따라 조정되어야 한다.

The report focuses on what is termed ‘three generations of educational reform’.15 

  • The first is represented by the post-Flexner reforms of the early 20th century. This was a ‘science-based approach’ and, for medical education, saw the adoption of university-based science courses followed by clinical practice. 

  • The second phase, in the latter part of the 20th century, has been labelled the ‘innovations phase’, when PBL and the other pedagogical and curriculum reforms now favoured by global collaborations were introduced. 

  • The third generation for the 21st century is ‘systems-based’ and directly addresses the global– local tension. Global knowledge is drawn upon to determine core competencies but these must be adapted to local contexts.


현재, 세계 의과대학들은 1세대, 2세대, 3세대 모델이 혼합되어 있지만, 이 보고서는 어떤 국가도 모든 학교가 3세대에 위치해있지는 않다고 명시하고 있다.

Currently, medical schools around the world comprise a mixture of first-, second- and third- generation models, although the report states that no country has all schools located in the third generation.


모든 의과대학이 사회적 책임과 지역적 책임 의무를 갖는다는 입장을 취한다면, 의료교육의 글로벌-지역적 긴장에 대한 새로운 관점이 대두된다.

A new perspective emerges on the global–local tension in medical education if the position is taken that all medical schools have a social accountability and a local accountability mandate.


그들 자신의 교육 프로그램의 몇 가지 근본적인 질문들

some fundamental questions of their own educational programmes.


1 의대 입학자의 인구통계학적 특성은 무엇인가? 그들은 일반 인구를 대표하는가?

2 교육 프로그램은 지역적으로 목적적합하고 지역적으로 연계되어 있는가?

3 지역보건서비스와의 관계가 강하고 '공생적'인가?

4 졸업자는 출신국에 머무르고 있는가?

5 졸업자는 인력수요 분야에서 일하고 있는가?

6 졸업생들의 개인과 공공 의료의 균형은 얼마인가?

7 졸업생들의 전문 또는 1차 진료 관행의 균형은?

1 What are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entrants to medical school? Do they represent those of the general population?

2 Is the educational programme locally relevant and locally aligned?

3 Are there strong and ‘symbiotic’16 relations with local health services?

4 Are graduates retained in their countries of origin?

5 Are graduates working in areas of workforce need?

6 What is the balance of private and public practice of graduates?

7 What is the balance of specialty or primary care practice of graduates?


이러한 질문들이 세계적으로 상호의존적인 질문이라는 것을 인식하는 것이 중요하다. 출신 국가에 졸업생들을 유지하는 것은 다른 곳에서 practice할 기회와 관련이 있다. 보존retention에만 집중하는 것만으로는 충분하지 않다.

It is important to recognise that these are globally interdependent questions. The retention of graduates in countries of origin is related to opportunities to practise elsewhere. It is not enough to focus on retention alone.


지금과 같이 [높은 경쟁률, 높은 수업료, 필요한 분야에서 서비스해야 할 강제력 부족]을 기반으로 구축된 의학교육 시스템이 [공평하게 분산된 노동력]을 달성하기 위한 최상의 모델인지에 대한 의문이 제기되어야 한다. 또한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는 데 있어서 리더십이 [반드시 서구 국가로부터 다른 세계로] 나아가야 한다는 가정도 있어서는 안 된다.

The question of whether medical education systems built on competitive entry, high fees and lack of compulsion to serve in areas of need are the best models for achieving an equitably distributed workforce must be asked. Nor should there be an assumption that leadership in addressing these questions should necessarily proceed from Western countries to the rest of the world.


글로벌 상호의존성은 The Network: Unity for Health, Global Consensus on Social Accountability, THEnet(Training for Health Equity Network)을 포함한 잘 알려진 사회적 책임 협력의 목적이다.

Global interdependence is the intent of some of the well-known social accountability collaborations, including The Network: Towards Unity for Health, the Global Consensus on Social Accountability and the Training for Health Equity Network (THEnet).


저자원 학교들 역시 협업에 많은 것을 제공할 수 있다. 

  • 남아프리카에 있는 월터 시슬루 대학의 의과대학은 공평한 선택 방법에 대한 협업에 상당한 기여를 했다. 

  • 필리핀의 두 학교는 많은 건강 전문직과 의과대학 졸업자들이 해외로 취업하는 나라에서 매우 높은 수준의 대학원생들을 배출했다.17,18

The low-resource schools have much to offer to the collaboration. 

  • The medical school at Walter Sisulu University in South Africa has made a significant contribution to the collaboration on equitable selection methods. 

  • The two schools in the Philippines, have produced very high levels of graduate retention in a country where many health professional and medical graduates seek employment overseas.17,18



국지적 사회적 책무성의 한계
THE LIMITS OF LOCAL SOCIAL ACCOUNTABILITY


모든 의과대학이 [지역사회책임]을 채택한다고 해서 문제가 해결될 것이라고 생각하는 것은 순진하다. 개별 의과대학의 지위와 그들의 지역적 행동을 넘어선 구조적인 문제들이 있다. 

It is naïve to think that adoption of local social accountability mandates by all medical schools will necessarily solve the issues . There are structural issues beyond the purview of individual medical schools and theirlocal actions. 


호주 의학 교육은 좋은 사례 연구를 제공한다. 금세기 초에 호주 정부는 의료 인력 부족과 대량 분배를 해결하기 위해 의대 학생들을 위한 더 많은 장소를 할당하고, 일부는 지역 지역에 위치해 있는 새로운 의과대학을 설립했다. 또한 시골지역 임상학교와 시골지역 보건부서에 자금을 지원하여 시골지역 의료서비스에 임상경험의 기회를 제공하였다. 또한, MRBS(Medical Country Bonded Generation)와 BMP(Bonded Medical Places) 가입 계획을 수립하였다. 이러한 계획들은 졸업 후에 학생들이 시골이나 의학적으로 소외된 지역에서 일하도록 요구하였다. 전자는 등록금과 장학금 지원에서 더 관대했고 6년간의 복무를 요구했다. 현재 신규 가입자에 대한 폐쇄 조치.19 호주 전체 의대생의 28.5%를 차지하고 있는 후자의 계획은 '효과적'이며 강압적이라는 이유로 호주 의학협회(AMA)의 반발을 샀다.21 국립농촌보건학생네트워크(NRHSN)의 보고서에 의하면 회원들의 폭넓은 보트에 대한 지지를 나타냈다.2016년 BMP.22보다 MRBS를 더 많이 지원하여 BMP에 대한 접합 시간을 학생의 의학과정에 해당하는 기간에서 1년으로 단축하였다. 일부 학군분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추가 학생 장소 신설의 개념은 여전히 문제가 있는 것으로 보인다.

Australian medical education provides a good case study. In the early part of this century, the Australian Government allocated more places for medical students and established new medical schools, with some located in regional areas, in order to address medical workforce shortages and maldistribution. It also funded rural clinical schools and departments of rural health to provide opportunities for clinical experience in rural health services. Further, it established Medical Rural Bonded Scholarship (MRBS) and Bonded Medical Places (BMP) entry schemes. These schemes required students to work in rural or medically underserved areas after graduation. The former was more generous in tuition and scholarship support and required 6 years return of service. It is now closed to new entrants.19 The latter scheme, currently accounting for 28.5% of all medical student places in Australia,20 has attracted opposition from the Australian Medical Association (AMA) for being ‘ineffective’ and coercive.21 A report by the National Rural Health Student Network (NRHSN) indicated broad support by its members for both schemes, with more support for the MRBS than the BMP.22 In 2016 the length of bonded time for the BMP was reduced from a period equivalent to the student’s medical course to 1 year only. It would seem that the concept of the creation of additional student places to address workforce maldistribution remains problematic in some quarters.



호주 프로그램들의 일부 성과와 몇몇 의과대학들이 23-26 시골지역에서 학생들을 훈련시키도록 유도하는 데 있어서 주목할 만한 성공이 있었지만, 전반적으로 농촌의 인력 분배 문제는 여전히 남아 있다. 비록 그 이유는 복잡하고 무엇보다도 소외된 지역의 대학원 교육 기회 부족과 관련이 있지만, 노동력 불균형은 심지어 주요 정부 개입에도 저항하는 것처럼 보일 것이다. 혼자 또는 집단적으로 행동하는 개별 의대들이 이 문제에 대해 상당한 관심을 끌기는 훨씬 더 어려울 것이다.

There have been some demonstrated gains from the Australian programmes and notable successes by some medical schools in attracting students to practise in rural areas,23–26 but overall the problem of rural maldistribution remains. Although the reasons for this are complex and relate, amongst other things, to the lack of postgraduate training opportunities in underserved areas, it would seem that workforce maldistribution is resistant even to major government intervention. It would be even harder for individual medical schools, acting alone or collectively, to gain significant traction on this issue.



의학교육에서 세계-국지 긴장: 연구 아젠다

THE GLOBAL–LOCAL TENSION IN MEDICAL EDUCATION: A RESEARCH AGENDA


이 논문의 제목은 '세계적으로 생각하고, 지역적으로 행동하라'는 구호를 거꾸로 봐야하는 것은 아닌지에 대한 의문을 제기한다. 그러나 이것을 완전히 받아들이기는 아직 이르다. 경제나 이타주의에 의해 추진되든, 글로벌 협력의 결과와 영향에 대해 훨씬 더 많은 것을 알 필요가 있다.

The title of this paper raises the question of whether the oft-quoted slogan ‘think global, act local’ should be turned on its head. However, it is as yet premature to accept this fully. Much more needs to be known about the outcomes and effects of global collaborations, whether driven by economics or altruism.


앞에서 지적한 바와 같이, 이타적으로 동기화된 많은 글로벌 협력은 교육적 투입에 초점을 맞춘다. 그들의 결과는 대부분 알려지지 않았다.

As indicated previously, many altruistically motivated global collaborations focus on educational inputs. Their outcomes remain largely unknown.


호주와 뉴질랜드에서는 의대 결과 데이터베이스(MSOD)를 통해 결과를 모니터링하기 위한 공동의 노력이 있었다.27

In Australia and New Zealand there has been a concerted effort to monitor outcomes through the Medical Schools Outcomes Database (MSOD).27


호주 사례에서 이미 노동력 불균형이 높은 수준의 개입에 저항한다는 것이 밝혀졌다. 사회적 책임에 대한 연구의 원인과 효과를 확립하는 것은 연구 설계에 있어 중대한 도전을 제공할 것이다.

It has already been shown by the Australian example that workforce maldistribution is resistant to high-level intervention. Establishing cause and effect in research on social accountability will provide a significant challenge in research design.



결론

CONCLUSIONS


아마도 '지구적으로 생각하고, 지역적으로 행동하라'는 [지역적으로 생각하고, 세계적인 상호의존성을 가지고 행동하라]라는 것으로 재구성하여 의학교육의 원칙으로 삼아야 할지도 모른다.

Perhaps it is not time yet to fully move from a reconceptualisation of ‘think global, act local’ to something like think local and act with global interdependence as a guiding principle for medical education.


의학교육의 세계화는 그 본질에 의해, 계속 신속하게 진행될 것이며, 전 세계 어디에 있든 모든 의과대학들은 계속해서 그들의 지역사회적 책임을 매우 진지하게 받아들이도록 촉구되어야 한다. 그리고 결국 그것은 모두 성과를 보여야 할 것이다.

globalisation in medical education will, by its very nature, continue apace and all medical schools, wherever located, should continue to be urged to take their local social responsibilities very seriously. In the end it is all about outcomes.





 2019 Jan;53(1):25-31. doi: 10.1111/medu.13630. Epub 2018 Jul 4.

The global-local tension in medical educationturning 'think globalact local' on its head?

Author information

1
Prideaux Centre for Research in Health Professions Education, Flinders University, Adelaide, South Australia, Australia.

Abstract

CONTEXT:

Medical education has not been immune from forces for globalisation in the contemporary world. At the same time the social accountability of medical schools in addressing local health priorities has been emphasised. This paper explores the global-local tension in medical education through a careful selection of key overview papers.

GLOBALISATION:

Globalisation in medical education has taken two main forms: economic and altruistic. The former includes licensing curricula, recruiting internationally and establishing 'offshore' schools or campuses. Altruistic collaborations focus on the spread of learning and educational innovations. Both forms bring benefits but have been subject to critique for their differential impact and focus on educational inputs rather than outputs.

SOCIAL ACCOUNTABILITY:

Social accountability requires medical schools to direct their activities to local priorities and to serving local health systems. Adoption of the principles of social accountability compels all medical schools to ask questions of their educational programmes and graduate outcomes. However, these are globally interdependent questions and are the intent of some well-known social accountability collaborations. It is naïve to think that adoption of a social accountability agenda by all medical schools would necessarily reduce global health inequity. A recent Australian example shows that workforce maldistribution, for example, is resistant to even high-level intervention.

CONCLUSIONS:

It is yet too early to fully accept that 'think globalact local can be turned on its head'. There is much research to be carried out, particularly on the outcomes and impacts of medical education. Establishing cause and effect is a challenge, as is determining whether globalisation or localisation can contribute to greater global health equity. If we are ever to resolve the global-local tension in medicaleducation, we need more evidence on the outcomes of what we do, whether globally or locally inspired.

Comment in

PMID:
 
29974492
 
DOI:
 
10.1111/medu.13630


미래 의과대학의 열 가지 특징 - 불가능한 꿈은 아니다(Med Teach, 2018)

Ten key features of the future medical school—not an impossible dream

Ronald M. Harden



의료 커리큘럼이 의학 과학의 진보, 의료 행위의 변화, 환자 및 대중의 기대에 적절하게 대응하지 못하고 있다는 우려가 표명되었다. 란셋에서 많이 인용된 보고서에서 Frenk 외 연구진(2010년)은 "전문교육은 주로 분열되고 시대에 뒤떨어진 정적인 커리큘럼으로 인해 이러한 도전에 보조를 맞추지 못했다"고 주장했다. 고등교육에 대한 우려도 더 일반적으로 표출되었고 크리스텐슨과 에이링(2011년)은 "일반 대학은 지금까지 해온 것보다 더 빠르고 근본적으로 바뀌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Concern has been expressed that the medical curriculum has not responded adequately to advances in medical sciences, to changes in medical practice, and to patient and public expectations. Frenk et al. (2010) in the much quoted report in the Lancet argued “Professional education has not kept pace with these challenges, largely because of fragmented, outdated, and static curricula that produce illequipped graduates.” Concern has also been expressed about higher education more generally and Christensen and Eyring (2011) argued that “the typical university must change more quickly and more fundamentally than it has been doing.”


헤스(2010년)는 그의 저서 "같은 맥락과 오버"에서 "낡아빠진 근본구조를 고쳐보려는 반복적인 시도"라고 설명했다. 개혁가들은 새로운 구조를 탐구하고 개발하기보다는 기존의 구조를 더욱 효과적으로 만들기 위해 그들의 신념과 자원을 쏟아 붓는다. 그들은 선 내에서 안전하게 색을 칠하는 경향이 있다. 그 이유는 주로 그러한 선들이 너무 당연하게 받아들여져서 개혁자들이 대안이 있다는 것을 깨닫지 못하기 때문이다."

Hess (2010) in his book The Same Thing Over and Over described “repeated attempts to improve a fundamentally outdated outmoded structure. Rather than explore and develop new structures, reformers pour their faith and resources into making the existing structure more effective. They tend to colour safely within the lines – largely because those lines are so taken for granted that would-be reformers don’t realise that there is an alternative.”


이 논문에서, 나는 의사들을 훈련시키는 방법과 관련된 현재와 미래의 도전들을 충족시키기 위해 미래의 의과대학이 어떤 모습일 수 있는지를 "선 밖의 색"하고 설명하려고 시도했다.

In this paper, I have attempted to “colour outside the lines” and describe what the medical school of the future could look like if it is to meet the current and future challenges relating to how we train our doctors.


상아탑에서 현실세계와 진정한 커리큘럼까지

From the ivory tower to the real world and the authentic curriculum


미래의 의과대학은 그들이 봉사할 인구의 필요를 충족시키기 위해 필요한 지식, 기술, 태도를 가진 의사들의 졸업이 우선인 진정한authentic 교과과정을 가질 것이다.이러한 목적은 결과 또는 역량 기반 접근법을 통해 명확하게 전달될 것이다(Harden et al. 1999). 각 과정과 학습 기회는 그들이 학교의 전반적인 졸업학습성과에 어떻게 기여하는지를 명시할 것이다. 

medical school of the future will have an authentic curriculum with its priority the graduation of doctors who have the necessary knowledge, skills, and attitudes to meet the needs of the population they will serve.This purpose will be clearly delivered through an outcome-or competency-based approach (Harden et al. 1999). Each course and learning opportunity will specify how they con-tribute to the overall exit learning outcomes for the school. 


학생들의 진행은 그들이 전문적 정체성을 개발하고, 그들의 마지막 학년에 학생 의사로서 봉사하면서 환자들의 치료에 대한 증가하는 임상적 책임을 질 수 있도록 계획될 것이다.

Students’ progression will be planned to allow them to develop their professional identity and to take increasing clinical responsibility for the care of patients, serving in their final year as a student doctor.


미래의 학교는 졸업할 때뿐만 아니라 졸업 후 6개월 혹은 몇 년 후까지 졸업생들에 대한 책임을 지게 될 것이다.

The school of the future will be accountable for its graduates, not just at the point of graduation but six months or years later.


우리가 훈련하고 있는 의사들의 특성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건강 시스템의 필요를 반영하여 바뀔 것이다.

The characteristics of the doctors we are training will change over time reflecting the needs of the health system.


만약의 학습에서 적시 학습으로 전환

Moving from just-in-case to just-in-time learning


현재는 의사로서 알아야 할 모든 것을 배우고 암기하는 학생이나 연습생에게 너무 많은 중점을 두고 있다. 이것은 의학 지식이 18개월에 두 배 혹은 그 이하로 두 배씩 증가하면서 견딜 수 있는 것이 아니다.

At present too much emphasis is placed on the student or trainee learning and memorizing all they need to know as a doctor. This is not tenable with medical knowledge doubling every eighteen months or less.


지식 피라미드의 제1단계(Harden and Lilley 2018)에서 설명한 의학의 어휘, 핵심 지식과 한계 개념, 의학의 가능성에 대한 인식은 계속 중요하겠지만, 중요한 것은 그들이 언제 무엇을 알아야 하는지, 어디서 무엇을 찾아봐야 하는지, 찾은 답을 어떻게 평가할 것인지에 대한 올바른 질문을 할 수 있는 의사의 능력이 될 것이다. 어디서 답을 찾아야 하는지 알고, 받은 답을 평가해야 한다(Friedman 등 2016). 미래의 의과대학은 정보 제공자로서의 교사가 아니라 학생이 필요할 때 정보를 찾을 수 있도록 지원하는 정보 코치의 한 사람으로의 전환을 보게 될 것이다(Harden and Lilley 2018).

A mastery of the vocabulary of medicine, core knowledge and threshold concepts and an awareness of the possibilities in medicine, as described in the first level of the knowledge pyramid (Harden and Lilley 2018), will continue to be important but as important will be the doctor’s ability to ask the right question when they need to know something, to know where to look for the answer and to evaluate the answers received (Friedman et al. 2016). The medical school of the future will see a switch from the teacher as an information provider to one of information coach where the student is supported in finding information when they require it (Harden and Lilley 2018).


기초과학 임상분열에서 기초과학과 임상의 완전 통합에 이르기까지

From a basic science clinical divide to full integration of the basic sciences with clinical medicine


그러나 현재 접근방식은 종종 초기에는 임상경험을 제한적으로만 제공하며, 후반부에 기초과학은 형식적으로만 제한된다. 던디 의과대학의 생화학과 교수 가랜드가 학생들이 임상경험이 있기 전보다는 생화학에 대해 더 잘 이해할 수 있도록 배치될 것이라고 주장하였다.

Approaches at present, however, are often restricted to the provision for the student of limited clinical experiences in the early years and a token representation of the basic sciences in the later years. Professor Garland when Professor of Biochemistry at Dundee Medical School argued that students would be better placed to understand biochemistry after and not before their clinical experiences.



교사의 과소평가부터 교사와 교사의 중요성 인식까지.

From undervaluing of teaching to recognition of the importance of teaching and teachers


교육과정에서의 의과대학에서의 우수성은 점점 더 인정받고 있지만 그것은 학장들에 의해 너무 자주 무시되는 메시지다. 교사들은 교육 프로그램의 성공의 열쇠다. 미래의 의과대학에서는 교사와 교사의 임용, 인정, 훈련, 보상이 우선순위가 될 것이다.

Excellence in a medical school in its education program is increasingly recognized but it is a message too frequently ignored by deans. Teachers are key to the success of an education program. In the medical school of the future, priority will be given to teaching and to the appointment, recognition, training, and reward of teachers.


스텐하우스(1975년)가 지적한 바와 같이 "결국 학교의 세계를 이해함으로써 변화시킬 사람은 교사들이다." 교육 연구는 단순히 교사만을 위한 것이 아니라, 교사에 의한 것, 그리고 그 교사는 연구자로서 교사일 것이며, 연구를 당하는(researched) 교사만은 아닐 것이다.

As noted by Stenhouse (1975) “It is teachers who in the end will change the world of the school by understanding it.” Research in education will not just be for teachers but by teachers with teachers as researchers and not just the researched.


의뢰인으로서 학생으로부터 파트너로서 학생으로의 이동

A move from the student as a client to the student as a partner


교육 프로그램에서 학생의 역할은 고객 중 하나에서 소비자 및 학습 과정에서 파트너로 바뀌었다. 그들의 역할은 계속해서 진화할 것이며, 교육 프로그램 운영, 피어티칭, 평가 프로그램, 그리고 의대 입학을 위한 선발 과정에 걸쳐 학교와 커리큘럼 계획의 관리에 관여하는 것을 포함할 것이다. 미래의 학교 학생들도 직원 임용 면접에 참여할 것이며, 이것이 시행된 곳에서는 신선하고 도움이 되는 통찰력을 주는 것으로 밝혀졌다.

The role of the student in the education program has changed from one of a client to a consumer and a partner in the learning process. Their role will continue to evolve and will include involvement with the management of the school and curriculum planning, with delivery of the education program and peer teaching, with the assessment program and with the selection process for student admission to medical school. Students in the school of the future will also be involved with staff appointment interviews and where this has been implemented, it has been found to give fresh and helpful insights.


학습은 디지털 학습 가이드에 의해 지원되며 각 학생은 개인 온라인 학습 보조자(POLA)를 갖게 된다. POLA는 학생이 학습 성과의 달성을 평가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며 적절한 학습 기회를 추천할 것이다. POLA의 지원을 받는 학생들은 학습에 대해 더 많은 책임을 질 것이며, 자율학습(self-learning)에서 자기주도학습(SDL)으로 옮겨갈 것이다.

Learning will be supported by digital study guides with each student having their own personal online learning assistant (POLA). The POLA will help the student to assess their achievement of the learning outcomes and will recommend appropriate learning opportunities. Supported by the POLA, students will take more responsibility for their learning, moving from directed self-learning to selfdirected learning.


모든 학생들은 교육과 관련한 지식, 기술, 이해력을 갖추기 위해 교과 과정의 일부로 교육에 대한 훈련을 받을 것이다.

All students will receive training in education as part of the curriculum to equip them with educational knowledge, skills and understanding.


이미 2000년 3%에서 2017년 15%로 학생이 공동 집필한 의학교사에 게재된 논문 수가 증가했다(Harden et al. 2018).

Already the number of papers published in Medical Teacher where a student is a coauthor increasing from 3% in 2000 to 15% in 2017 (Harden et al. 2018).


미스터리 투어에서 지도 여행으로 이동

A move from a mystery tour to a mapped journey


현재, [학습 경로와 궁극적인 목적지로 이어지는 단계에 대한 실질적인 이해]는 없는 상태로, 특정 주제를 왜 배우는지에 대해서는 표면적인 이유만 제공되는 "위장camouflage"이 벌어진다. 이는 최종 목적지에 대한 투명성이 결여되어 있고 한 분야의 연구가 다음 분야에 대한 이해에 어떻게 기여하는지에 대한 마법magical의 미스터리 투어에 비유되어 왔다.

At present there is often only a camouflage relevance where a superficial reason is given for learning a topic with no real understanding provided of the learning path and the steps that lead to the students ultimate destination. This has been likened to a magical mystery tour where there is an absence of transparency as to the final destination and how study in one area contributes to an understanding of the next area.


목적지(학습 결과)와 학생들이 어떻게 그곳에 도달할 수 있는지를 보여주는 다-관계 커리큘럼 맵이 있을 것이다(Harden 2001).

there will be a multirelational curriculum map which shows the destinations (the learning outcomes) and how students might get there (the learning opportunities) (Harden 2001).


지도를 사용하여 학생들은 그들의 교육 여정과 여정의 진행 과정을 도표로 그릴 수 있고 각 단계에서 그들 자신의 이해와 성과를 평가할 수 있을 것이다.

Using the map students will be able to chart their educational journey and progression on the journey and assess their own understanding and achievements at each stage.


지금까지 과정을 살펴보면, 커리큘럼 매핑을 통한 진행 속도가 주요 참가자들 간의 협업 구축에 어려움으로 인해 기대했던 것보다 느렸다.

Progress to date with curriculum mapping has been slower than might have been expected due to difficulties in establishing collaborations between the key players




표준 단일 프로그램에서 적응 학습을 통한 적응 교육 과정으로의 전환

A move from a standard uniform program to an adaptive curriculum with adaptive learning


의사들은 각 환자를 스스로 자신의 관리 계획이 필요한 개인으로서 취급한다. 개별화된 의술은 점점 더 의료행위의 특징이다. 동일하게, 각 학생들도 서로 다르지만 [개인화된 교육]은 최근까지 관심을 받지 못했다.

Health care professionals treat each patient as an individual who requires their own personal management plan. Personalized medicine is increasingly a feature of medical practice. Each student is also different but personalized education has until recently attracted less attention.


나의 경험을 돌이켜보면, 기말고사에서 MCQ 평가점수의 범위는 5% 미만인 학생도 있고 45%가 넘는 학생도 있었다. 상단에 있는 학생들의 요구가 하단에 있는 학생들과 다르다는 것은 분명했다.

The range in the the end-of-course MCQ assessment on day one was great with some students scoring less than 5% and others over 45%. It was obvious that the needs of the students at the upper end were different from those at the lower end.


미래 학교의 커리큘럼 모델은 [시간이 정해져 있고 표준이 가변적인 것]에서 그 안에서 과정이나 요소를 완성하는 [시간이 가변적이고 표준이 고정된 곳]으로 이동하게 될 것이다(Frank et al. 2017).

The curriculum model in the school of the future will move from one where time is fixed and standards are variable to one where time to complete a course or element within it is variable and standards are fixed (Frank et al. 2017).


적응형 커리큘럼은 다양한 세분성 수준에서 제공된다 (과정 또는 전체 과정 내에서 제공되는 개별 학습 기회, 모듈 또는 유닛과 관련된 단위). 시뮬레이션 센터에서의 경험, 뒤집힌 수업 세션 준비 또는 녹음된 강의 청취는 분 또는 시간 단위로 특정되지 않고 활동에 대해 지정된 학습 성과를 달성하는 데 소요되는 시간에 따라 달라진다.

The adaptive curriculum will be delivered at different levels of granularity, associated with the individual learning opportunities offered, modules or units within a course or the whole course. Experience in the simulation center, preparing for a flipped class session or listening to a recorded lecture will not be specified in minutes or hours but will depend on the time taken to achieve the learning outcomes specified for the activity.


적응형 커리큘럼의 도입은 쉽지 않을 것이며, 교육 및 평가에 대한 다른 접근방식이 필요할 것이다(Tackett et al. 2018b).

The introduction of an adaptive curriculum will not be easy and will require different approaches to teaching and assessment (Tackett et al. 2018b).



완전한 학습 기술을 활용하지 못한 것에서 창의적이고 효과적인 사용으로 전환

A move from a failure to exploit fully learning technology to its creative and effective use


Prensky(2013년)는 "기술은 단순히 낡은 것을 하는 새로운 방법이 아니라는 것을 이해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주장했다. 그것은 사실 가장 사소한 기술 사용이다." 교육 분야의 미래 기술에 초점을 맞춘 교육 리더십의 같은 호에서 리처드슨(2013년)은 닐 포스트맨의 말을 인용, "기술적 변화는 부가적인 것이 아니다. 그것은 생태적인 것이며, 즉, 모든 것을 바꾼다는 뜻이다."라고 말했다.

Prensky (2013) argued “it’s important to understand that technology isn’t just a new way to do old things, which is mostly how we use it in schools today. That is, in fact, the most trivial use of technology.” In the same issue of Educational Leadership devoted to the future of technology in education, Richardson (2013) quoted Neil Postman “Technological change is not additive: it is ecological, which means, it changes everything.”


하버드 대학의 명예총장 바버 외(2013년)는 공공정책연구소의 보고서 도입에서 "세계화와 기술이 지난 20년 동안 다른 거대한 경제 분야를 변화시켰듯이, 향후 20년 동안 대학들이 변혁에 직면해 있다"고 제안했다.

In the introduction to the report by the Institute for Public Policy Research, An avalanche is coming, Barber et al. (2013), President Emeritus of Harvard University, suggested “just as globalisation and technology have transformed other huge sectors of the economy in the past 20years, in the next 20years universities face transformation.”



학습에 대한 구획화된 평가에서 학습을 위한 프로그램 중심의 평가로의 이동

A move from compartmentalized assessment of learning to program-focused assessment for learning


성과 평가, 역량 기반 평가, 학습을 위한 평가, 프로그래밍 평가 및 테스트 강화 학습과 같은 이니셔티브

Initiatives such as performance assessment, competencybased assessment, assessment for learning, programmatic assessment, and test-enhanced learning


평가는 학습자가 필요한 역량과 특정 학습 성과를 달성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목적뿐만 아니라(AOL), 학습자의 연구를 지도하고(AFL) 학습에 기여한다(TEL)(Schuwirth 및 Van der Vleuten 2011).

Assessment will not only serve the purpose of determining whether the learner has achieved the required competencies and specified learning outcomes (assessment of learning) but will also guide the learner’s studies (assessment for learning) and contribute to their learning (test enhanced learning) (Schuwirth and van der Vleuten 2011).


상대적으로 고립된 환경에서 작업하던 것에서 더 큰 협업으로 전환

A move from working in relative isolation to greater collaboration


협업은 미래 학교의 중요한 특징이 될 것이다.

Collaboration will be an important feature of the school of the future–


의과대학에서, 교과과정의 다른 단계에 있는 교사들 사이의 협업은 단지 윈도우 드레싱 이상의 수평적, 수직적 통합과 함께 두드러지게 특징지어질 것이다.

In the medical school, collaboration between the teachers in the different phases of the curriculum will feature prominently with horizontal and vertical integration being more than just window dressing.


과거에 배우는 것은 종종 혼자 하는 연습이었다. 어느 정도 PBL과 같은 공동 작업이 이루어졌지만, 학생들은 주로 강의를 듣고 그들 스스로 메모를 하고 책이나 다른 보조 도구들을 가지고 공부했다. 높은 수준의 협업, 네트워킹과 피어 투 피어 교육을 가진 강력한 커뮤니티는 미래의 학교에서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다.

In the past learning has often been a solitary exercise. Students listen to a lecture and make their own notes and study with books or other aids on their own although to some extent collaboration occurred with problem-based learning. High levels of collaboration, a strong community with networking and peer-to-peer teaching will have an important part to play in the school of the future.


협업은 국내외적으로 다른 기관들이 참여하는 의대를 넘어 확대될 것이다. 미래의 의과대학은 더 이상 self-sufficient하지 못할 것이며 independent하지 못할 것이다.

Collaboration will extend beyond the medical school involving other institutions nationally and internationally. The medical school of the future will be less self-sufficient and independent.


이러한 분리를 통해 비용 절감과 동시에 품질 향상을 실현할 수 있다(Gupta et al. 2005).

Such unbundling will allow cost savings and at the same time quality improvement (Gupta et al. 2005).


교육 전략, 학습 성과, 평가 및 재정에 대한 의사소통이 없거나 전혀 없는 상태에서 운영되는 학부, 대학원 및 지속적인 교육의 다른 단계와는 다른 움직임이 있을 것이다.

There will be a move away from the different phases of undergraduate, postgraduate and continuing education little operating in isolation with or no communication about educational strategies, learning outcomes, assessment, and finances.


고찰

Discussion


 (Table 1).



극복해야 할 장애물은 교수진의 저항, 시간을 포함한 자원의 부족, 학생들의 걱정 등이 있다. 학생들의 걱정은 특히 학업과 국가 기말고사 사이에 불일치가 있을 경우(우리가 바라던) 심화될 것이다. 그러나 현상유지는 선택사항이 아니다. 교사와 교육에 전념하는 다른 사람들은 변화가 일어나기를 기다리기만 해서는 안 된다. 그들은 그들 자신의 미래 학교를 위한 흥미로운 비전을 만드는 과정의 일부가 되어야 한다. Geurin (2017)이 지적한 바와 같이, "최고의 해결책은 손쉽지(microwave-friendly하지) 않다. 그들은 더 깊은 생각을 한다. 그들은 관점을 바꾸어서 온다. 현상황에 도전하는 고된 일을 하라. 더 깊은 질문을 던지고 새롭고 흥미로운 방법으로 세상을 바라보라."

Obstacles to be overcome will include 

  • faculty resistance, 

  • lack of resources including time and 

  • students’ concerns and apprehension 

...particularly if there is a mismatch (which we hope there will not be) between their studies and a national final exam if one exists. The status quo, however, is not an option. Teachers and others with a commitment to education should not just wait for change to happen. They should be part of the process of creating an exciting vision for their own school of the future. As noted by Geurin (2017) “the best solutions aren’t microwave friendly. They come through deeper thinking. They come by shifting perspective. Do the hard work of challenging the status quo. Ponder the deeper questions and look at the world in new and interesting ways.”




용어 사전

Glossary

  • 적응형 커리큘럼: 적응형 커리큘럼은 속도, 지속시간 및 학습 접근방식의 측면에서 개별 학생의 요구에 맞게 개인화된다.

  • 커리큘럼의 분해: 분해된 커리큘럼에서 학교는 프로그램을 고립된 상태에서 운영하지 않고, 다른 학교 교사, 교육 전문지식, 커리큘럼의 요소, 학습 자원, 평가와 공유한다.

  • Adaptive curriculum: An adaptive curriculum is personalized to the individual student’s needs in terms of pace, duration, and learning approaches.

  • Unbundling the curriculum: In an unbundled curriculum the school does not deliver its program in isolation but shares with other schools teachers, educational expertise, elements of the curriculum, learning resources, and assessments.





Brenner J, Bird J, Ginzburg SB, Kwiatkowski T, Papasodero V, Rennie W, Schlegel E, ten Cate O, Willey JM. 2018. Trusting early learners with critical professional activities through emergency medical technician certification. Med Teach. 40:561–568. XXX


Harden RM, Lilley PM. 2018. 8 roles of the medical teacher. London (UK): Elsevier.


– Harden RM. 2018. Excellence in medical education Can it be assessed? TAPS. 3:1–5.





 2018 Oct;40(10):1010-1015. doi: 10.1080/0142159X.2018.1498613. Epub 2018 Oct 16.

Ten key features of the future medical school-not an impossible dream.

Author information

1
a AMEE , An International Association for Medical Education , Dundee , UK.

Abstract

Significant developments in medical education are necessary if medical schools are to respond to the pressures from advances in medicine, changes in health care delivery, and patient and public expectations. This article describes 10 key features of the medical school of the future: the move from the ivory tower to the real world, from just-in-case learning to just-in-time learning, from the basic science clinical divide to full integration, from undervalued teaching and the teacher to recognition of their importance, from the student as a client to the student as partner, from a mystery tour to a mapped journey, from standard uniform practice to an adaptive curriculum, from a failure to exploit learning technology to its effective and creative use, from assessment of learning to assessment for learning, and from working in isolation to greater collaboration. A move in the directions specified is necessary and possible. With some of the changes proposed already happening, it is not an impossible dream.

PMID:
 
30326759
 
DOI:
 
10.1080/0142159X.2018.1498613


학부 일차의료 교육과정을 위한 블루프린트(Acad Med, 2016)

Blueprint for an Undergraduate Primary Care Curriculum

Sara B. Fazio, MD, Monica Demasi, MD, Erin Farren, Susan Frankl, MD, Barbara Gottlieb, MD, MPH, Jessica Hoy, MD, Amanda Johnson, MD, MBA, Jill Kasper, MD, Patrick Lee, MD, Claire McCarthy, MD, Kathe Miller, MD,

Juliana Morris, MD, EdM, Kitty O’Hare, MD, Rachael Rosales, Leigh Simmons, MD, Benjamin Smith, MD, Katherine Treadway, MD, Kristen Goodell, MD, and Barbara Ogur, MD




1차 진료는 효율적이고 효과적인 보건 시스템의 초석이며, 예방에 중점을 두고 있으며, 질 향상과 진료 비용 절감에 대한 기여의 풍부한 증거를 가지고 있다. 궁극적으로, 기능성이 높은 1차 진료 관행은 의료 개선 연구소의 트리플 에이밍(Triple Aim)의 규약에 기초한다.1 이를 위해 최근에는 합병증 치료를 기다리기보다 질병 예방, 질 향상과 서비스 중복을 줄이기 위한 진료 조정 등으로 진료의 초점이 옮겨지고 있다.

Primary care is the cornerstone of efficient and effective health systems, with its emphasis on prevention and the abundant evidence of its contribution to improved quality and lower costs of care. Ultimately, high-functioning primary care practices are based on the tenets of the Institute for Healthcare Improvement’s Triple Aim—

  • improving patients’ experience of care and 

  • (improving) the health of populations and 

  • reducing the per capita cost of health care.1 

To this end, the focus of care has shifted recently to preventing disease rather than waiting to treat complications, and on coordinating care to improve quality and decrease the duplication of services.


이러한 부족은 미국 MD-granting의 25% 미만과 DO-grant 의과대학 졸업생의 31%가 1차 진료에 들어갈 계획이기 때문에 단순히 의과대학의 입학을 확대해서 해결할 수 없다.4,5 게다가, GME 교육훈련이 현재의 1차 진료과정의 많은 측면에 임상의사를 적절하게 준비시키지 못한다는 것을 시사한다. 

This shortage cannot simply be addressed by expanding enrollment in medical schools, as fewer than 25% of U.S. MD-granting and 31% of DO-granting medical school graduates plan to enter primary care.4,5 In addition, evidence suggests that graduate medical education training does not adequately prepare clinicians for many aspects of current primary care practice.6


1994년, 의학연구소는 1차 치료를 

"대부분의 개인 의료 요구를 해결하고, 환자와의 지속적인 파트너십을 개발하며, 가족 및 공동체의 맥락에서 실천할 책임이 있는 의료인에 의한 통합적이고 접근 가능한 의료 서비스의 제공"이라고 정의했다. 

In 1994, the Institute of Medicine defined primary care as 

“the provision of integrated, accessible health care services by clinicians who are accountable for addressing a large majority of personal health care needs, developing a sustained partnership with patients, and practicing in the context of family and community.” 


1차 진료 의사가 아닌 의사들도 이 시스템에서 일차의료 의사의 중추적인 역할을 잘 이해해야 할 것이다. 또한 최적의 환자 관리를 위해서는 일차의료 의사와의 조정을 통해 자신의 진료 방식을 개혁해야 하는 중요성을 이해해야 할 것이다.9

Non-primary- care physicians will need to understand the pivotal role of generalists in this system, as well as the importance of reforming their own practices to better coordinate with primary care physicians for optimal patient management.9


일차의료 교육과정 개발 개요

Overview of Developing a Primary Care Curriculum


우리는 이 1차 진료 커리큘럼에 두 가지 주요 구성요소가 포함될 것으로 예상하였다. 즉, 

  • 1차 진료의 기본 주제 세트와 

  • 든 의대생이 경험해야 하는 1차 진료 관행에서 가장 중요한 임상 조건 목록

We envisioned that this primary care curriculum would include two main components—

  • a set of themes fundamental to primary care and 

  • a list of the most important clinical conditions in primary care practice with which every medical student should have experience.


우리의 목표는 다른 기관들이 일반화할 수 있고 모든 학생들이 그들의 훈련에서 성취할 것으로 기대되어야 하는 일련의 능력을 알리는 그러한 커리큘럼의 핵심 요소들을 위한 "블루스카이" 템플릿을 개발하는 것이었다.

Our goal was to develop a “blue sky” template for the key components of such a curriculum that would be generalizable to other institutions and would inform a set of competencies that all students should be expected to attain in their training.


몇 가지 운영상의 특징은 1차 진료 커리큘럼에 있어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 첫째, 교육 초기에 시작되는 1차 진료 관행에 학생의 종적 통합을 포함해야 한다. 그것의 목적은

    • 기초과학 교육과정에 경험적 기반을 제공하고

    • 향상된 임상 기술 훈련 및 평가를 가능하게 하고

    • 학생들의 만족도를 높이고

    • 학생들이 시간이 지날수록 따라갈 수 있는 환자 패널을 만들 수 있게 하는 것이다.

  • 또한 1차 진료 교육과정은 모든 학생들이 환자의 질병 경험에 지속적으로 관여할 수 있도록 4년간의 학부 의료 교육을 모두 거쳐야 한다. 

  • 마지막으로, 커리큘럼은 발달적으로 progressive해야하며, 학생들의 관심 수준을 목표로 해야 하며, 모든 학생에 대한 기초적 역량과 1차 진료 분야의 직업에 초점을 맞추려는 학생들을 위한 확장된 역량이 있어야 한다.

Several operational features emerged as critical for a primary care curriculum. 

  • First, it should include the longitudinal integration of students into primary care practices beginning early in their training, to provide experiential grounding to the basic science curriculum, allow for enhanced clinical skills training and assessment, improve student satisfaction, and enable students to build a panel of patients whom they can follow over time.18,24 

  • In addition, a primary care curriculum should span all four years of undergraduate medical education, providing all students with ongoing involvement in their patients’ experiences of illness. 

  • Finally, the curriculum should be developmentally progressive and targeted to students’ levels of interest, with foundational competencies for every student and expanded competencies for those intending to focus on a career in primary care.



일차의료 교육과정 개발의 개념적 접근

Conceptual Approach to Developing a Primary Care Curriculum


팀의 각 구성원은 새로운 커리큘럼에서 다루어야 할 10가지 내용과 경험적 요소 목록을 작성하도록 요청받았다. 그리고 나서 우리는 이 목록들을 격자 모양으로 정리했다.

Each member of the team was asked to create a list of 10 content and experiential elements that should be covered in the new curriculum. We then compiled these lists into a grid.



돌봄 관리

Care Management


1. 종단성

1. Longitudinality


일차 진료에 대한 의학연구소의 정의의 핵심은 제공자와 환자 사이의 시간에 따른 지속적인 관계의 개념이다.7 대부분의 의과대학은 학생들이 그들의 교육 초기에 환자와 상호작용할 기회를 제공한다. 그러한 기회는 분명한 이점이 있다. 즉, 학생들은 기초과학을 임상기술에 더 잘 연계시킬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임상기술에 대한 자신감을 높이고, 자기인식을 함양하며, 전문적 정체성의 개발을 양성하며, 보다 만족감을 얻을 수 있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데이터 수집과 치료 에피소드의 관찰에 제한되는 단일 환자 상호 작용은 학생들에게 1차 치료의 핵심 종적 특성을 목격할 기회를 제공하지 않는다.

Central to the Institute of Medicine’s definition of primary care is the concept of a sustained relationship over time between a provider and patient.7 Most medical schools offer opportunities for students to interact with patients early in their education. Such opportunities have clear benefits — students are better able to link the basic sciences to clinical medicine, which allows them to become more confident in their clinical skills, inculcates their self-awareness, nurtures their development of a professional identity, and is more satisfying.30,31 However, a single patient interaction, generally limited to data gathering and the observation of a care episode, does not provide students with opportunities to witness the core longitudinal nature of primary care.


주로 급성 치료 입원 환자에 대한 기회주의적인 만남보다 그들의 질병의 전 과정에 대한 환자에 대한 노출이 교육적인 관점에서 더 가치가 있다.32 학생들이 진단 추론 기술을 배양하기 위해서는, 질병이 최초로 시작되는 시점부터 전체 병기 에피소드까지 환자와 연관되어야 한다.33 이러한 종적 접촉은 학생들이 

      • 자신의 생활, 가족, 지역사회를 통괄하여 환자들을 알 수 있게 해주며, 

      • 상황적 요인을 병과 연관시키는 것을 이해하고, 

      • 효과적인 실천의 초석인 상호 신뢰 관계를 발전시킬 수 있게 한다. 


또한 종방향 접촉은 

      • 학생들이 그들의 기술을 지속적으로 향상시키고, 

      • 전문적 추천과 협업의 과정을 감사하며, 

      • 시스템 격차를 목격할 수 있는 독특한 기회를 제공한다.

Exposure to patients over the full course of their illness is more valuable from an educational standpoint than opportunistic encounters with primarily acute care inpatients.32 Students must be involved with patients from the time of their initial presentation through the entirety of their illness episode to foster diagnostic reasoning skills.33 Such longitudinal contact allows students 

      • to get to know patients in the full context of their lives, families, and communities 

      • to understand the relevance of contextual factors to illness34 and 

      • to develop mutually trusting relationships, which are a cornerstone of effective practice. 


Longitudinal contact also provides unique opportunities for students 

      • to continuously improve their skills,35 

      • to appreciate the process of specialty referral and collaboration, and 

      • to bear witness to systems gaps.


2. 일반성

2. Generalism


일반의는 구별되지 않은 질병과 가장 넓은 범위의 조건을 가진 환자를 돌볼 수 있으며, 그 환자를 가족 및 사회적 환경의 맥락에서 일관되게 볼 수 있다.36 1차 진료 의사는 진단을 완료하기 전에 모든 신체 시스템과 정신 건강 장애를 포함하여 가능한 모든 진단 병인론을 고려하는 지적 습관을 훈련 받는다. 이러한 기술은 의사들이 premature closure와 다른 진단적 함정을 피할 수 있도록 돕는다. 또한 일반론자들은 불확실성으로 어느 정도의 편안함을 키워야 하며, 이는 의학의 실천에 있어서 결정적인 기술이다. 환자들을 평가할 때, 학생들은 의학 지식, 최선의 사용 가능한 증거, 그리고 각 환자의 특정한 요구에 어떤 도움이 될지를 이해하면서 각각의 만남에 접근하는 법을 배워야 한다.

The generalist is able to care for patients with undifferentiated illnesses and the widest range of conditions and consistently sees the patient as a whole person and in the context of his or her family and social environment.36 Primary care physicians are trained in the intellectual habit of considering all possible diagnostic etiologies, including all body systems and mental health disorders, before finalizing a diagnosis. These skills help physicians avoid premature closure and other diagnostic pitfalls. In addition, generalists must develop a certain degree of comfort with uncertainty, a crucial skill in the practice of medicine. When evaluating patients, students must learn to approach each encounter with a combination of medical knowledge, best available evidence, and an understanding of what will serve each patient’s particular needs.


3. 돌봄 관리의 중심적 책임

3. Central responsibility for managing care


1차 진료 의사는 환자 치료의 중앙 조정자로서 만성 질환을 관리하고 예방 진료를 식별하고 조정해야 하며, 많은 질병 에피소드뿐만 아니라 많은 질병 에피소드 전반에 걸쳐 관리에 대한 책임을 져야 하며, 종종 급성 미분화 질병의 초기 평가자 역할을 하며 때로는 복잡한 관리를 전체 또는 전체에서 조정해야 한다. 학생들은 환자를 전문의에게 의뢰할 필요 없이 일반적인 질병에 대한 진단과 치료를 제공하는 방법을 배워야 하지만 필요할 때 더 큰 의사 팀의 치료와 통합할 수도 있어야 한다.

As the central coordinator of a patient’s care, the primary care physician must manage chronic illness, identify and coordinate preventive care, and take responsibility for care across many disease episodes as well as over time, often serving as the initial evaluator of acute undifferentiated illness and sometimes coordinating complex care across organizations. Students should learn how to diagnose and provide treatment for common illnesses without having to refer the patient to a specialist but also be able to integrate their care with that of a larger team of physicians when necessary.



4. 치료적 동맹 및 의사소통

4. Therapeutic alliance/communication


좋은 의사소통 기술은 관계 구축, 병력 청취, 건강 교육, 행동 변화 동기 부여, 치료 계획의 준수를 보장하는 데 필수적이며, 이 모든 것이 의학의 실천에 핵심적이다. 이론적으로 이러한 기술은 일차 진료 환경에서 가장 잘 가르쳐진다. 일차 진료 주치의의 기본 역할은 환자 및 가족과 함께 의사 결정을 내릴 뿐만 아니라 치료 팀 전반에 걸쳐 의사 소통과 협업을 보장하는 것이다. 이 분야에서 숙달되어야 할 기술에는 공유된 의사결정 및 협상, 관계 구축, 효과적인 조직 구성 및 진료 수행에 있어서의 시간 관리가 포함된다.37,38 기밀 유지, 정보에 입각한 동의 획득 및 진실 규명을 포함한 일반적인 의료 윤리 기술에 대한 기본적인 이해 또한 중요하다.

Good communication skills are crucial for relationship building, history taking, health education, motivating behavior change, and ensuring adherence to a treatment plan, all of which are key to the practice of medicine. Arguably, these skills are best taught in a primary care setting. A fundamental role of the primary care physician is to ensure communication and collaboration across the care team, as well as shared decision making with the patient and family. Skills to be mastered in this area include shared decision making and negotiation, relationship building, effective organi- zation, and time management in deliver- ing care.37,38 A basic understanding of general medical ethics skills, including maintaining confidentiality, obtaining informed consent, and truth telling, is also important.


내용전문성의 구체적 영역

Specific Areas of Content Expertise


5. 급성 관리 접근법

5. Approach to acute care


급성 또는 긴급한 치료를 제공할 수 있는 능력은 1차 치료에서 중요한 기술이다. 1차 진료 의사는 흔히 새로운 문제가 있는 환자를 진찰하는 의사로서, 세심한 병력청취와 검사를 마친 후 환자에 대한 지식을 활용하여 모든 진단 가능성을 점검해야 한다. 이 공통 업무는 의사가 진단 및 치료 계획을 결정하기 전에 가능한 병의 원인을 파악하는 데 능숙해야 하며, 자원의 과다 사용을 피하기 위해 단계적 방법으로 진행할 수 있는 자신감을 가져야 한다.36 또한, 훌륭한 1차 진료 의사는 병에 걸리지 않은 환자들로부터 병가를 분류하여 적절한 속도와 개입 장소를 결정할 수 있다. 모든 전문분야에서와 같이 일부 급성요양 증상 및 질병은 1차 진료 환경에서 매우 흔하므로 모든 학생은 졸업 전에 이를 숙지해야 한다(이 증상 및 질병 목록은 부록 1 참조).39

The ability to provide acute or urgent care is an important skill in primary care. Primary care physicians are often the ones to see a patient with a new problem, and they must sort through all the diagnostic possibilities after completing a careful history and exam, using their knowledge of the patient. This common task requires that physicians are proficient in identifying the likely causes of illness prior to determining a diagnostic and treatment plan, and that they have the confidence to proceed in a stepwise fashion to avoid overuse of resources.36 In addition, a good primary care physician has the ability to triage sick from not-sick patients to determine the appropriate pace and venue for intervention. As in all specialties, some acute care symptoms and diseases are so common in the primary care setting that all students should be familiar with them prior to graduation (see Appendix 1 for a list of these symptoms and diseases).39



6. 만성 관리 접근법

6. Approach to chronic care


만성 질환은 전 세계적으로 사망률의 50% 이상을 담당하고 있으며, 이는 전 세계 질병의 50%를 차지하는 것이다.40 모든 학생들은 의대를 졸업할 때까지 공통의 만성 질환의 생리, 표현 및 표시 범위, 진단 및 관리에 대한 기본적인 이해를 가지고 있어야 한다. 내과, 가정의학과 소아과 국가 커리큘럼에서 도출한 26–28 우리는 어떤 건강상태가 일차 진료의 discipline에 필수적이며 외래환자 진단과 관리에 대한 조정된 지식이 다양한 환경에서 의사의 연습 능력에 중추적인지를 결정했다(부록 1 참조). 졸업 후 학생들은 이러한 각각의 조건의 치료에 대한 증거 기반 및/또는 합의 기반 목표를 명시적으로 설명할 수 있어야 한다.

Chronic disease is responsible for more than 50% of mortality worldwide, representing nearly 50% of the global burden of disease.40 All students must have a basic understanding of the physiology, range of expression and presentation, diagnosis, and management of common chronic illnesses by the time they graduate from medical school. Drawing from the national curricula in internal medicine, family medicine, and pediatrics,26–28 we determined which conditions are integral to the discipline of primary care and for which a coordinated knowledge about outpatient diagnosis and management is central to a physician’s ability to practice in a variety of settings (see Appendix 1). Upon graduation, students must be able to explicitly describe evidence-based and/or consensus-based goals for the treatment of each of these conditions.


만성 질환 커리큘럼의 많은 초점은 질병별 지식을 가르치는 것이지만, 모든 졸업생들은 또한 만성 치료 모델의 강령에 대한 기본적인 이해를 가져야 한다. 만성 치료 모델은 만성 질환에 대한 접근 방식을 반응적 모델에서 사전 예방적 모델로 전환한다.

While much of the focus of a chronic disease curriculum is on teaching disease-specific knowledge, all graduating students should also have a basic understanding of the tenets of the Chronic Care Model,40,41 which includes 

    • educating and supporting patients, 

    • improving provider expertise through decision support, 

    • creating care delivery that is planned and team based, 

    • using registry-based clinical information systems, 

    • focusing on the organization of health care, and 

    • understanding the role of community support. 

The Chronic Care Model shifts the approach to chronic illness from a reactive model to one that is proactive.40


7. 웰니스와 예방

7. Wellness and prevention


학부 의대 커리큘럼은 모든 삶의 단계에서 환자의 건강 관리에 대한 예방적 접근법을 포함해야 한다.26,27 이것은 아동 발달에 대한 실무 지식에서 시작하여 (노인 환자의 요구까지) 개인의 일생에 걸쳐 적용되는 다른 예방 전략에 대한 이해로 계속된다. 학생들은 백신이 전염병 통제에서 수행하는 역할을 이해하고 환자에게 백신의 사용에 대해 조언할 수 있어야 한다. 또한 그들은 암, 심장병, 유전적 장애와 같은 조건의 검사와 관련된 위험과 편익에 대해 잘 알고 있어야 한다.42 학생들은 예방적 개입의 위험/편익 비율, 결과, 비용, 검사의 민감성과 특수성에 대해 효과적으로 상담할 수 있어야 한다. 학생들은 강한 동기부여적 면담 기술과 라이프스타일 수정의 중요성에 대해 환자들을 효과적으로 상담할 수 있는 능력을 입증해야 한다.

An undergraduate medical school curriculum should include preventative approaches to health care for patients at all stages of life.26,27 This begins with a working knowledge of child development and continues with an understanding of other prevention strategies that are applicable throughout an individual’s life, including the needs of geriatric patients. Students should understand the role that vaccines play in infectious disease control and be able to advise patients on their use. They also should be well versed in the risks and benefits associated with screening for conditions such as cancer, heart disease, and genetic disorders.42 Students need to be able to effectively counsel patients on the risk/benefit ratios of preventative interventions, their effects on outcomes, costs, and the sensitivity and specificity of a test in a given population. Students must demonstrate strong motivational interviewing skills and the ability to effectively counsel patients on the importance of lifestyle modification.


8. 정신건강, 행동건강

8. Mental and behavioral health


미국 성인의 18% 이상이 정신 건강 진단을 받는다.43 이러한 환자들의 대부분은 정신건강전문가가 아닌 1차 진료기관으로부터 치료를 받게 된다. 그러므로 의대생들은 가장 흔한 정신 질환을 가진 환자들을 평가하는 방법과 외래환자 환경에서 그러한 조건들을 치료하는 방법을 배워야 한다. 학생들은 또한 우울증, 불안, 자폐증 스펙트럼 장애, 주의력 결핍/초행동 장애에 대한 검증된 선별 도구에 익숙해야 하며 소아, 성인 및 노인 환자들에 대한 차등 프레젠테이션을 이해해야 한다. 또한, 학생들은 약물 사용 장애에 대한 환자들을 평가할 수 있어야 하며 담배, 알코올, 그리고 안약의 사용에 대한 치료 선택사항들을 알고 있어야 한다. 폭력 노출과 기타 불리한 생활 사건 및 정신적, 육체적 건강 결과 사이의 강한 상관관계 때문에, 학생들은 삶의 모든 단계에서 이러한 노출에 대해 검사하는 법을 배워야 하며 그러한 경험을 한 환자가 사용할 수 있는 자원을 숙지해야 한다.

More than 18% of adults in the United States receive a mental health diagnosis.43 Most of these patients will receive treatment from a primary care provider rather than from a mental health specialist. Thus, medical students should learn how to evaluate patients with the most common mental illnesses as well as how to treat those conditions in the outpatient setting. Students also should be familiar with validated screening tools for depression, anxiety, autism spectrum disorders, and attention-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and understand differential presentations in pediatric, adult, and elderly patients. In addition, students should be able to assess patients for substance use disorders and be aware of the treatment options for the use of tobacco, alcohol, and opiates. Because of the strong correlation between exposure to violence and other adverse life events and mental and physical health outcomes, students must learn to screen for these exposures at all stages of life and be familiar with the resources available for patients who have had such experiences.



보건의료시스템에서 일차의료의 핵심 역할 이해

Understanding the Key Role of Primary Care in the Health Care System


9. 시스템 개선

9. Systems improvement


품질을 높이고 비용을 절감하기 위해 의료 제공 시스템을 혁신하려는 노력의 일환으로, 환자 중심의 medical home은 우리 세대의 1차 진료 관행을 정의하는 모델 중 하나가 되었다. 현재 의대생들은 환자 중심의 의료 가정 모델로 전환하거나 소규모로 향상된 기능을 구현하는 관행에 노출될 가능성이 높다.44 따라서, 환자와 모집단의 결과를 최적화하기 위해 일차 진료의 재설계를 목표로 보행 환경에서 품질 개선 방법을 적용하는 방법을 이해해야 한다.

In an effort to transform systems of health care delivery to increase quality and reduce costs, the patient-centered medical home has become one of the defining primary care practice models of our generation. Current medical students likely will be exposed to practices either transitioning to patient-centered medical home models or implementing smaller- scale enhancements.44 Thus, they must appreciate how quality improvement methodologies are applied in the ambulatory setting with the aim of redesigning primary care to optimize outcomes for patients and populations.


10. 전문직간 훈련

10. Interprofessional training


의료 제공의 복잡성, 정보의 양, 의료 제공자의 수와 유형에 따라, 효율적이고 고품질의 환자 중심 치료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고기능 팀이 필수적이다. 직업간 교육의 모범 사례는 아직 명확하게 정의되지 않았지만, 45,46 이러한 교육의 필요성을 해결하는 중요한 방법은 우리 학생들에게 다양한 환경에서 훈련생과 비-MD 보건 전문가를 배우고 함께 연습할 수 있는 경험을 제공하는 것이다.47 학생들은 자신이 훈련 받는 문화의 특징을 받아들이기adopt하기 때문에, 훈련 초기부터, 그들의 학습 전반에 걸쳐 전문가간 경험을 제공하는 것이 중요하다.

Given the increasing complexity of health care delivery, volume of information, and number and type of health care providers, high-functioning teams are essential for delivering efficient, high- quality, patient-centered care. Although best practices in interprofessional education have not yet been clearly defined,45,46 an important way to address this educational need is to provide our students with experiences that allow them to learn and work with both trainee and practicing non-MD health professionals in a variety of settings.47 Because students adopt the characteristics of the culture in which they are trained, it is important to provide interprofessional experiences throughout their learning, starting early on in training.


11. 인구집단 보건

11. Population health


Office 안팎에서 인구의 건강을 관리하는 것은 입원 환자나 외래 환자 환경에서 개인의 관리와는 다른 일련의 기회와 도전을 제시한다. 인구 보건 실천요강의 핵심 요소에는 

    • 보건 시스템이 개인과 모집단의 건강에 어떻게 기여하는지에 대한 지식, 

    • 충족되지 않는 인구 건강 필요를 식별하고 이니셔티브의 영향을 추적하는 방법에 대한 익숙함, 

    • 건강을 공동 생산하기 위해 이해관계자와 효과적으로 협력하는 기술 

등이 포함된다.48,49 인구집단의 보건과 의료전달의 원칙은 실제로 교육될 수 있지만, 경험을 통해 강화될 때 가장 내실화된다. 교육자가 이 패러다임에 통합하는 것을 고려해야 하는 역량 매핑 수단과 마찬가지로 인구 보건의 커리큘럼에 대해 잘 구성된 몇 가지 프레임워크가 존재한다.50–52

Managing the health of a population, both in and out of the office, presents a different set of challenges and opportunities than the care of individuals in an inpatient or outpatient setting. Key elements for population health practice include 

    • knowledge of how a health system contributes to the health of individuals and populations, 

    • familiarity with methods to identify unmet population health needs and to track the impact of initiatives, and 

    • skills to effectively engage and collaborate with stakeholders to coproduce health.48,49 

Principles of population health and health care delivery can be taught didactically, but they are best internalized when they are reinforced through experience. Several well-articulated frameworks exist for curricula in population health, as do the means for competency mapping, which educators should consider incorporating into this paradigm.50–52



의미있는 개혁을 위한 필요성

The Need for Meaningful Reform


모든 졸업하는 의대생들은 핵심 지식과 기술을 습득해야 하며, 그들은 훈련 단계에 적합한 정신적 단계로 학습을 정착시키는 경험적 프레임워크를 통해 그렇게 할 것이다.

The expectation is that all graduating medical students should acquire a core set of knowledge and skills and that they will do so through an experiential framework that will anchor their learning in develop mental phases appropriate to the stage of their training.


일부 사람들은 왜 이 모든 영역이 하위 전문가 또는 의사-과학자로서의 직업을 추구하는 학생들에게 학습이 요구되어야 하는지에 대해 의문을 가질 수 있다.

Some might question why all of these domains should be required learning for a student who is pursuing a career as a subspecialist or physician–scientist.


그러나, 의학의 미래는 통합적 보건 시스템에서 연습할 수 있는 능력을 필요로 할 것이며, 일차 진료 의사는 이 구성에서 중심적인 역할을 한다. 버윅과 핀켈슈타인56은 모든 의대생들에게 시스템 개선 기술을 가르쳐야 하며, 의료 교육은 환자 중심, 투명성 및 제한된 자원의 책임에 초점을 맞춰야 한다고 주장해왔다. 또한, LCME는 모든 의과대학이 서비스 학습과 직업 간 교육의 기회를 제공할 뿐만 아니라 문화적으로 유능한 의료 및 의료 불균형에 대한 교육을 제공할 것을 요구한다.57

However, the future of medicine likely will require the ability to practice in an integrated health system, and the primary care physician plays a central role in this construct. Berwick and Finkelstein56 have argued that system improvement skills must be taught to all medical students and that medical education must focus on patient-centeredness, transparency, and stewardship of limited resources. In addition, the Liaison Committee on Medical Education requires all medical schools to offer opportunities for service learning and interprofessional education as well as instruction in culturally competent care and health care disparities.57


임상 실습의 모든 분야에 관심이 있는 학생들은 4년 내내 진행되는 커리큘럼에서 혜택을 받을 것이며, 치료 관계와 같은 의사 치료, 다학제 팀에서의 작업, 효과적인 의료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사회적, 심리적, 문화적 요인에 대한 이해에 초점을 맞출 것이다.

Students with an interest in any discipline of clinical practice will benefit from a curriculum that spans all four years and focuses on such core skills of doctoring as the therapeutic relationship; working in multidisciplinary teams; and understanding social, psychological, and cultural factors to provide effective health care.


우리가 이 청사진에서 제안하는 많은 커리큘럼 요소들은 궁극적으로 학습자들이 이 종적 임상 경험에 참여할 수 있는 시간과 공간을 허용하는 동시에 교수진 개발을 촉진하기 위한 집중적인 노력을 필요로 할 것이다.

A number of the curriculum elements we propose in this blueprint ultimately will require concurrent transformation in teaching practices to allow time and space for learners to take part in this longitudinal clinical experience, as well as a focused effort to foster faculty development.



52 Kaprielian VS, Silberberg M, McDonald MA, et al. Teaching population health: A competency map approach to education. Acad Med. 2013;88:626–637.


35 Lin SY, Schillinger E, Irby DM. Value-added medical education: Engaging future doctors to transform health care delivery today. J Gen Intern Med. 2015;30:150–151.








 2016 Dec;91(12):1628-1637. doi: 10.1097/ACM.0000000000001302.

Blueprint for an Undergraduate Primary Care Curriculum.

Author information

1
S.B. Fazio is associate professor,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Beth Israel Deaconess Medical Center, and Harvard Medical School, Boston, Massachusetts. M. Demasi is instructor of population health (family medicine), Cambridge Health Alliance, and Harvard Medical School, Boston, Massachusetts. E. Farren is education program director, Center for Primary Care, Harvard Medical School, Boston, Massachusetts. S. Frankl is assistant professor,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Beth Israel Deaconess Medical Center, and Harvard Medical School, Boston, Massachusetts. B. Gottlieb is associate professor,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Brigham and Women's Hospital, and Harvard Medical School, Boston, Massachusetts. J. Hoy is resident physician,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Brigham and Women's Hospital, and Harvard Medical School, Boston, Massachusetts. A. Johnson is resident physician,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University of California, San Francisco, School of Medicine, San Francisco, California. J. Kasper is instructor, Department of Pediatrics, Harvard Medical School, Boston, Massachusetts. P. Lee is assistant professor,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Cambridge Health Alliance, and Harvard Medical School, Boston, Massachusetts. C. McCarthy is assistant professor, Department of Pediatrics, Boston Children's Hospital, and Harvard Medical School, Boston, Massachusetts. K. Miller is assistant professor of population medicine (family medicine), Cambridge HealthAlliance, and Harvard Medical School, Boston, Massachusetts. J. Morris is resident physician, Department of Family & Community Medicine, University of California, San Francisco, School of Medicine, San Francisco, California. K. O'Hare is assistant professor,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Brigham and Women's Hospital, and Department of Pediatrics, Harvard Medical School, Boston, Massachusetts. R. Rosales is a medical student, Harvard Medical School, Boston, Massachusetts. L. Simmons is assistant professor,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Massachusetts General Hospital, and Harvard Medical School, Boston, Massachusetts. B. Smith is resident physician, Fort Collins Family Medicine Residency, Fort Collins, Colorado. K. Treadway is associate professor,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Massachusetts General Hospital, and Harvard Medical School, Boston, Massachusetts. K. Goodell is director for innovation in medical education (family medicine), Center for Primary Care, Harvard Medical School, Boston, Massachusetts. B. Ogur is associate professor of medicine,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Cambridge Health Alliance, and Harvard Medical School, Boston, Massachusetts.

Abstract

In light of the increasing demand for primary care services and the changing scope of health care, it is important to consider how the principles of primary care are taught in medical school. While the majority of schools have increased students' exposure to primary care, they have not developed a standardized primary care curriculum for undergraduate medical education. In 2013, the authors convened a group of educators from primary care internal medicine, pediatrics, family medicine, and medicine-pediatrics, as well as five medical students to create a blueprint for a primary care curriculum that could be integrated into a longitudinal primary care experience spanning undergraduate medical education and delivered to all students regardless of their eventual career choice.The authors organized this blueprint into three domains: care management, specific areas of content expertise, and understanding the role of primary care in the health care system. Within each domain, they described specific curriculum content, including longitudinality, generalism, central responsibility for managing care, therapeutic alliance/communication, approach to acute and chronic care, wellness and prevention, mental and behavioral health, systems improvement, interprofessional training, and population health, as well as competencies that all medical students should attain by graduation.The proposed curriculum incorporates important core features of doctoring, which are often affirmed by all disciplines but owned by none. The authors argue that primary care educators are natural stewards of this curriculum content and can ensure that it complements and strengthens all aspects of undergraduate medical education.

PMID:
 
27415445
 
DOI:
 
10.1097/ACM.0000000000001302


잠재교육과정 다시보기: 총괄평가가 학습에 주는 영향 연구의 비판적 고찰(Assessment & Evaluation in Higher Education, 2010)

The hidden curriculum revisited: a critical review of research into the influence of summative assessment on learning

Gordon Joughin*




도입

Introduction


종합평가가 학생들의 학습을 촉진한다는 믿음은 고등교육계에 널리 퍼져 있고, 오래 지속되며, 깊이 자리잡고 있다.

The belief that summative assessment drives students’ learning is widespread, longstanding, and deeply held in higher education circles.


그러나, 이러한 믿음의 경험적 기초는 거의 명확하게 표현되지 않으며, 그 토대가 된 연구는 자주 인용되지만 거의 상세하게 설명되거나 비판적으로 고려되지 않는다.

However, the empirical basis of this belief is rarely articulated, with foundational research cited frequently but rarely elaborated upon or considered critically.


서로 6년 이내에 출판된 세 가지 고전 연구가 이 탐험의 핵심이다. 베커, 기어, 휴즈의 학년 만들기: 대학 생활의 학문적 측면(1968년), 스나이더의 숨겨진 커리큘럼(1971년), 밀러와 패릿의 up to the mark: 시험 게임 연구(1974년)이다.

Three classic studies, published within six years of each other, are at the heart of this exploration: Becker, Geer, and Hughes’ Making the grade: The academic side of college life (1968); Snyder’s The hidden curriculum (1971); and Miller and Parlett’s Up to the mark: A study of the examination game (1974).


세 개의 고전

The classic studies


위에서 언급한 세 작품은 출판된 이후 널리 인용되었으며, 그 중심 사상은 수많은 영향력 있는 책, 기사, 논문, 보고서 등에서 인정되어 왔다. 영국에서 출판된 고등교육의 평가에 관한 대부분의 핵심문헌은 이들 작품 중 하나 이상을 참조한다.

The three works noted above have been widely cited since their respective publications, and their central ideas have been acknowledged in numerous influential books, articles, papers, and reports. Most key texts on assessment in higher education published in the UK make reference to one or more of these works.


적어도 35년이 지난 후에도 이 작품들은 여전히 자주 인용되고 있다.

After at least 35 years, these works continue to be cited as frequently as ever.


그들에게 자주 주어지는 의존성을 고려할 때, 우리가 이러한 작업이 평가와 학습에 대해 무엇을 말하고 있는지, 그들이 보고하는 연구의 특성, 그리고 그들의 발견을 현대적 맥락에 적용할 수 있는지에 대해 명확히 이해하는 것이 특히 중요하다.

Given the reliance that is frequently placed upon them, it is particularly important that we have a clear understanding of what these works have to say about assessment and learning, the nature of the studies they report, and the applicability of their findings to contemporary contexts.


Making the grade (1968)


The hidden curriculum (1971)


Up to the mark: A study of the examination game (1974)



위의 각 연구들은 학생들의 행동에 대한 우리의 이해에 중요한 기여를 했다.

Each of the above studies has made an important contribution to our understanding of student behaviour.


동시에, 위에서 언급한 이러한 연구의 수많은 한계들은 우리가 그들의 발견을 현대 학생들과 고등 교육 기관에 적용하는데 신중하도록 만들어야 한다.

At the same time, the numerous limitations of these studies noted above should make us cautious in applying their findings to contemporary students and higher education institutions:


● 대학생들이 엘리트 집단이었던 시기에 모든 연구가 진행됐다.

● 두 연구(스나이더와 베커 외)는 우리가 현재 발견할 것으로 기대하는 학생 반응의 변화를 식별하지 못하는 방법을 사용하여 학생들을 동질 집단으로 취급한다.

● 연구 중 2개 전공(Miller and Parlett – Law; Snyder – Improganization)으로 제한되었다.

● 이 두 연구는 작은 학생 표본에 기초하였다. 

● 에든버러 연구의 관련 측면은 매우 구체적인 평가 유형 – 최종 검사에 초점을 맞췄다.


● All of the studies were conducted at a time when university students were an elite group.

● Two of the studies (Snyder and Becker et al.) treat students as a homogeneous group, using methods that would not identify the sort of variation in student responses that we would now expect to find.

● Two of the studies were limited to one or two disciplines (Miller and Parlett – law; Snyder – science and engineering).

● These two studies were based on small student samples. 

● The relevant aspect of the Edinburgh study focused on a very specific type of assessment – the final examination.


이러한 연구들은 복제되지 않았고, 또한 복제되지도 않을 것이다: 그것들은 특정한 연구 패러다임에서 생겨났고, 현재 일반적으로 가능한 것보다 더 많은 자원집약적이었으며, 그들의 발견은 몇 년간의 연구 끝에야 나타났다.

These studies have not been replicated, nor are they likely to be: they arose from a particular research paradigm, were more resource-intensive than is now normally possible, and their findings emerged only after several years’ work.


평가가 학습 접근법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 of assessment on students’ approaches to learning


평가가 학생들의 학습의 원동력으로 작용한다면, 서로 다른 형태의 평가는 서로 다른 방식으로 공부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할 수 있다.

If assessment acts as a driving force of students’ study, it might be expected that different forms of assessment would affect study in different ways.


그 학생의 학습 접근방식은 학생들이 '객관적인' 시험과 에세이 형식의 시험을 위해 어떻게 공부했는지를 비교하는 초기 작업에 의해 정해졌다. 후속 연구는 학생들의 학습 접근방식이 그들이 수행하거나 준비하고 있는 평가 과제의 형태에 영향을 받는다고 제안했다. 또한 이것이 학생들의 과제에 대한 다양한 인식에 의해 매개된다고 보고 있다.이러한 연구와 이와 유사한 연구와 관련하여 두 가지 심각한 어려움이 발생한다.

The tenor of the student approaches to learning studies was set by the early work comparing how students studied for ‘objective’ tests and essay-style tests. Subsequent studies suggested that students’ approaches to learning are influenced by the form of assessment task they are undertaking or preparing for, with a growing recognition of the mediating function performed by students’ varying perceptions of the task. Two serious difficulties arise in relation to these and similar studies.


첫째로, 이러한 연구들 중 많은 것들이 그들의 맥락에 대한 중요한 세부사항을 제공하지 못한다. 구체적으로, 그들은 일반적으로 고려 중인 평가 과제의 인지적 요구를 명시하지 못한다. 결과적으로, 학생들이 특정한 평가 형식이나 그 형식과 관련된 인지적 요구 수준에 반응하고 있는지 알 수 없다. 예를 들어, 학생들이 객관식 시험 준비과정에서 표면적 접근법을 채택한다면, 그들은 시험할 내용이 사실을 묻는 것으로 예상하거나 시험 형식 자체가 표면 접근법을 장려하기 때문에 그렇게 했을 수 있다.

Firstly, many of these studies fail to provide important details of their context. Specifically, they typically fail to specify the cognitive demands of the assessment tasks under consideration. As a result, it is not possible to know if students are responding to a particular assessment format or to levels of cognitive demand associated with that format. For example, when students adopt a surface approach in preparing for a multiple-choice test, they may do so because they anticipate that the content being tested will be factual, or because the test format per se encourages a surface approach.


둘째로, 평가가 학생들의 학습 접근법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하더라도, 그것은 한 방향으로만 영향을 미칠지도 모른다.

Secondly, to the extent that assessment may influence students’ approaches to learning, it may do so in one direction only.


학문에 대한 깊은 접근을 유도하려는 시도는 반대되는 결과를 낳았다.

attempts to induce deep approaches to learning had the opposite result


표면적인 접근을 유도하고 텍스트를 그저 재생산하는 태도를 취하는 경향을 강화하는 것이 쉽다는 것은 분명하다. 그러나, 깊은 접근을 유도하려고 할 때, 그 어려움은 상당히 깊은 것처럼 보인다. (53)

It is obviously quite easy to induce a surface approach and enhance the tendency to take a reproductive attitude when learning from texts. However, when attempting to induce a deep approach the difficulties seem quite profound. (53)


이러한 발견은 램스덴(1997년)과 해기스(2003년)가 강력하게 지지하여 '학습 접근에 대한 평가의 영향은 [더 적절한 평가 형태가 학습에 대한 깊은 접근을 유도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부적절한 평가 형태가 표면적 접근을 유도할 수 있는 것이다]라는 결론에 이른다(Joughin 2009, 22년). 확실히 평가는 그 자체로 학생 학습의 질을 향상시키는데 사용될 수 있다는 견해는 현재 이용 가능한 증거에 의해 뒷받침되지 않는다.

This finding is strongly endorsed by Ramsden (1997) and Haggis (2003), leading to the conclusion that ‘the influence of assessment on approaches to learning may not be that more appropriate forms of assessment can induce a deep approach to learning, but rather that inappropriate forms of assessment can induce a surface approach’ (Joughin 2009, 22). Certainly the view that assessment, on its own, can be used to improve the quality of student learning is not supported by the evidence currently available.


새로운 연구 주제

A new research agenda


아마도 그러한 연구의 가장 근본적인 질문은 '숨겨진 교과과정'이라는 개념이 여전히 적용되는가 하는 것이다.

Perhaps the most fundamental question for such research is whether the very notion of ‘the hidden curriculum’ still applies.


학생들에게 공식적으로 요구되는 것과 교사들이 그들의 학생들에게서 실제로 원하는 것 사이의 상당한 차이가 있다. 더욱이 공식적인 요구가 평가 과제의 개요와 서술이 아무리 상세하고 세심하게 표현된다 하더라도, 오직 그 기대 중 일부만이 명확히 전달될 것이다; 그 기대는 학생마다, 그리고 선생마다 서로 다른 방식으로 인식될 가능성이 있다.

students experienced a significant gap between formal statements of requirements and what teachers actually wanted from their students. Moreover, formal statements in course outlines and descriptions of assessment tasks, however detailed and carefully expressed, will only partly communicate clear expectations; they are likely to be perceived in different ways not only by different students but also by different teachers.


히긴스, 하틀리, 스켈튼(2002년)은 베커 외 연구소의 현대 대학 적용 가능성에 대해 의문을 제기하는 경우는 드물다.

Higgins, Hartley, and Skelton (2002) are rare in their questioning of the applicability of Becker et al.’s work to contemporary universities,


'하지만 영국이라는 맥락에서 오늘날의 학생들에게 이것이 사실일까?'(59) 

‘But is this true for today’s students in the context of the UK?’ (59). 


마찬가지로 알려지지 않은 것은 이전의 학생들보다 더 복잡한 사회 경제적 삶을 살고 있는 현대 학생들이 1950년대와 1960년대 초의 캔자스 주 사촌들과 마찬가지로 가능한 한 높은 학점을 얻고자 하는 열망에 의해 지배되고 있는지 여부다.

Equally unknown is whether contemporary students, with more complex social and economic lives than their earlier counterparts, are as dominated by the desire to achieve the highest grades possible as were their Kansas cousins in the 1950s and early 1960s.




The hidden curriculum revisited: a critical review of research into the influence of summative assessment on learning

Gordon Joughin*

Academic Development Unit, University of Wollongong, Wollongong, Northfields Avenue, NSW 2522, Australia


That summative assessment drives learning has become one of the most frequently stated maxims in the literature of assessment and learning in higher education. However, a careful review of the empirical research often cited in support of this proposition may cause us to reconsider its veracity and to seek a more nuanced understanding of the research findings. Seminal research on the influence of assessment on learning in higher education was reviewed on the basis of its context, research methods used, sampling, reported findings, and the generalisability of these findings. This study found that the treatment of the research reported in frequently cited works such as Making the grade, The hidden curriculum, and Up to the mark has often oversimplified, and thus misrepresented, the research findings, leading to singular interpretations of complex, multi-faceted phenomena. Other research suggesting limitations to the capacity of assessment per se to improve students’ approaches to learning is often misunderstood or under-emphasised, leading to the risk of exaggerated claims for the capacity of ‘alternative’ forms of assessment to foster effective learning processes in students. The findings of this review lead to a proposed agenda for empirical research to address what seem to be serious gaps in our understanding of fundamental aspects of the interactions between assessment and learning. 


Keywords: hidden curriculum; approaches to learning; critical review; assessment and learning; cue-consciousness

학업능력 외 자질로 의과대학생 선발(Med Educ, 2018)

Selecting medical students: considering qualities other than academic ability

Barbara Griffin




1988년 에든버러 선언 이후 의대생 선발에는 학문적 능력 이외의 개인적 자질을 고려하도록 권고하고 있으며,1 그러한 자질을 측정하는 데 많은 시간과 관심이 투자되어 왔다.

Since the 1988 Edinburgh Declaration recommending that personal qualities other than academic ability be considered in the selection of medical students,1 much time and attention have been invested in the measurement of such qualities.


비록 우리가 기업 세계에서 선발에 관한 많은 연구를 해야 하지만, 의대생 선발은 몇 가지 독특한 측면을 가지고 있다.

Although we should draw on the large body of research on selection in the corporate world, medical student selection has some unique aspects


Stegers-Jager의 연구 결과, 7은 비학문적/비인식적 특성은 [일반적으로 지식의 습득보다는 임상적 기술 습득에 더 초점을 맞춰져 있고], 의과대학 초기보다는 후기 성과를 예측하는 것으로 보인다는 것을 시사한다. 그래서 그녀는 우리가 [좋은 의대생]이 되어야 하는 자질을 바탕으로 지원자를 선발해야 하는지 아니면 [좋은 의사]가 되어야 하는지에 대한 의문을 제기한다.7

Stegers-Jager’s findings,7 which support those of others,8,9 suggest that non-academic/non-cognitive qualities appear to be better at predicting students’ performance later rather than earlier in their medical studies, when typically the focus turns more to clinical skill acquisition than to the learning of knowledge. She thus raises the question of whether we should be selecting applicants based on qualities that are required to be a good medical student or those required to be a good doctor.7


그러나, 이러한 자질들이 실질적으로 다를 것 같은가? 철저한 직무 분석이 필요하지만 바람직한 자질 목록에는 상당한 중복이 있을 것으로 본다. 그 차이들은 그들의 상대적 중요성에 달려있을 수 있다.

However, are these qualities likely to differ substantially? Thorough job analyses are necessary, but I suspect there will be significant overlap in the lists of desirable qualities. The differences may rest in their relative importance


그럼에도 불구하고 우리가 예측 타당성을 평가하는 기준은 서로 다르다. 또한 의과대학에서 측정한 결과는 일반적으로 의사로서 좋은 성과를 나타내는 지표와 연관된 강한 인지적 구성요소('할 수 있다')에 초점을 두지만, 그보다 비인지적 구성요소("할 의지가 있다")가 더 중요할 가능성이 있다.2

Despite this, the criteria with which we assess predictive validity do differ and the outcomes measured in medical school generally have a strong cognitive ‘can do’ component compared with the indicators of good performance as a doctor, which are likely to have a stronger non-cognitive ‘will do’ component.2


대부분의 경우처럼 스테거스-자거7은 선택 지점에서 평가되어야 할 중요한 비인지적 특성을 논할 때 팀워크 능력, 공감력, 탄력성 등 긍정적인 특성과 기술에 거의 전적으로 초점을 맞추고 있다.7 그러나 내가 교수들에게 의과대 학생들이 소유하기를 원하는 구체적인 자질을 기술해 달라고 요청할 때, 교수들은 매우 자주 '긍정적 특성'보다 '절대로 원하지 않는 뚜렷하게 부정적인 것들'을 언급한다. 예를 들어 '특권의식'이나 '정신병적인' 특징과 같은 것들이다.

Like most, Stegers-Jager7 focuses almost exclusively on positive traits and skills, such as teamwork skills, empathy and resilience, when discussing important non-cognitive qualities to be assessed at the point of selection.7 However, when I ask faculty members to describe the specific qualities they want their medical students to possess, they more often than not first mention the distinctly negative things they don’t want, such as ‘a sense of entitlement’ or ‘psychopathic’ traits.


아마도 이것은 교육자의 대부분의 시간을 잡아먹는 것은 difficult student이며, 전형적으로 대중의 이목을 집중시키는 것은 의사의 긍정적인 행동보다 의사들이 범하는 경범죄라는 사실을 반영하고 있다.

Perhaps this reflects the fact that it is difficult students who occupy the majority of one’s time as an educator, and it is doctors’ misdemeanours, more than their positive behaviours, that typically attract public scrutiny.


그렇다면 최근 소위 '어두운 면'과 인간의 행동에 대한 연구들의 기하급수적인 증가를 고려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어두운 면'의 특징은 dysfunctional하지만 아직 임상적인 문제가 되는 단계까지는 아닌 특징들이다.10

It would be interesting then to consider the recent and exponential rise in studies on the so-called ‘dark side’ of personality and human behaviour, aspects that are subclinical, albeit dysfunctional.10


Dark triad가 있다.

Particular attention has been given to the dark triad of 

  • 나르시시시즘(자기강화, 우월감, 타인에 대한 관심 부족) 

  • 마키아벨리주의(비관습적인 도덕관으로 교묘해지고 있음) 

  • 정신병(공감이 낮고 적대적이며 양심이 부족하다).10

  • narcissism(a tendency to self-enhancement, superiority and lack of interest in others), 

  • Machiavellianism(being manipulative with an unconventional view of morality), and 

  • psychopathy (having low empathy, being antagonistic and lacking conscience).10


선발 맥락에서 이러한 어두운 품질을 평가하는 것은 측정 문제와 입법 제한의 결과로 문제가 될 가능성이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우리는 부적합한 특성을 가진 지원자들을 선발하고, 바람직한 특성을 가진 사람들을 선발하는 것의 함축적 의미를 더 잘 이해할 필요가 있다.

Assessing these dark qualities in selection contexts is likely to be problematic as a result of measurement issues and legislative restrictions. Nevertheless, we need greater understanding of the implications of selecting out those applicants with unsuitable traits and selecting in those with desirable traits.


에든버러 선언1에 의해 의대생 선발에서 평가하기 위해 중요한 자질들은 반드시 개인의 안정적이거나 오래 지속되는 측면은 아니며, 맥락과 무관하게 활성화되지도 않는다.13 선발은 최종게임endgame이 아니다. 개인들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환경과 상호 작용하고 영향을 받는다.

the qualities identified by the Edinburgh Declaration1 as important to assess in the selection of medical students are not necessarily stable or enduring aspects of an individual and neither are they activated regardless of context.13 Selection is not the endgame – individuals interact with and are affected by their environments over time.


심리학, 생물학, 신경과학 분야 전반에서, 증가하는 근거를 살펴보면, 한 사람에게 주어진 맥락이 긍정적인 것과 부정적인 것 모두를 강화시킬 수 있거나 심지어 그것들을 변화시킬 수 있다는 것을 나타낸다.13

Across the fields of psychology, biology and neuroscience, a growing body of evidence indicates that a person’s context can strengthen both positive and negative qualities, or even change them.13


호주의 대표적인 정신과 의사이자 국립 정신건강 담당자인 이안 히키 교수는 학생 개개인의 회복탄력성에 초점을 맞추면서, '하급 의사가 받는 유해한 의료계 문화와 위험한 작업 환경'을 무시한다고 경고한다.12

As leading Australian psychiatrist and National Mental Health Commissioner Professor Ian Hickie warns, focusing on a student’s resilience ignores ‘the deleterious culture of medicine and dangerous working conditions to which junior doctors [are] subjected’.12


13 Ferguson E, Lievens F. Future directions in personality, occupational and medical selection: myths, misunderstandings, measurement, and suggestions. Adv Health Sci Educ Theory Pract 2017;22 (2):387–99.






 2018 Jan;52(1):9-11. doi: 10.1111/medu.13450.

Selecting medical studentsconsidering qualities other than academic ability.

Author information

1
Sydney, New South Wales, Australia.
PMID:
 
29265520
 
DOI:
 
10.1111/medu.13450


의과대학 선발에 대한 이해관계자의 관점: 체계적 문헌고찰(BMC Med Educ, 2018)

A systematic review of stakeholder views of selection methods for medical schools admission

M. E. Kelly1* , F. Patterson3, S. O’Flynn2, J. Mulligan1 and A. W. Murphy1



배경

Background


의학은 국제적으로 매우 인기 있는 직업 선택이다.

Medicine is a highly popular career choice internationally.


의학교육은 이탈률이 매우 낮고 대부분의 학생이 졸업하기 때문에 미래의 의료 인력의 구성과 교정은 의대생을 선발하는 데 사용되는 방법에 크게 좌우된다[2–4].

As attrition rates in medical education are very low and most students graduate, the composition and calibre of the future medical workforce is significantly dependent on the methods used to select medical students [2–4].


선발 방법의 설계, 개발 및 지속적 사용에 대한 모범 사례는 이해관계자의 정기적인 피드백이 제공하는 반복적인 과정이어야 한다[5]. 정치적 타당성이라는 용어는 이해관계자 관점의 중심을 포착하며, "특정 선발도구에 대해서 다양한 이해관계자와 이해관계자 그룹이 적절하고 수용가능하다고 느끼는 정도"로 정의된다[6, 7]. 정치적 타당성은 의과대학에 대한 접근 확대에 있어 중요한 고려사항으로 인식된다[8, 9].

Best practice in the design, development and continued use of selection methods should be an iterative process informed by regular feedback fromstakeholders [5]. The term political validity captures the centrality of stakeholder views and, is defined as “the extent to which various stakeholders and stakeholder groups consider the tool(s) to be appropriate and acceptable for use in selection” [6, 7]. Political validity is recognised as an important consideration in widening access to medical schools [8, 9].


이해관계자의 인식을 이해하는 것은 다른 여러 가지 이유로 중요하다. 불공평하다고 인식되는 선발 방법은 잠재적인 의대생들에게 적용하지 못하게 될 수 있으며, 이는 심각한 부정적인 결과를 가져올 것이다[9]. 의학에서 하위 사회-경제적 및 소수 집단을 과소표시하는 것은 다요소적이지만, 이러한 집단은 선발과 관련된 부정적 인식의 결과에 특히 취약하다[14]. 

Understanding stakeholder perceptions is important for a number of other reasons. Selection methods that are perceived as unfair may deter potential medical students from applying which would be considered a profoundly negative consequential effect [9]. Under-representation of lower socio-economic and minority groups in medicine is multifactorial but arguably these groups are particularly vulnerable to the consequences of negative perceptions regarding selection [14]. 


또한, 일부 상황에서는 이해관계자 관점과 예측 타당성 및 신뢰성과 같은 선택 도구의 적합성을 평가하는 데 사용되는 기타 기준 사이에 절충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 예를 들어 자기소개서, 추천서, 전통적인 인터뷰는 예측 타당성이 제한되고 편향 가능성이 있다는 증거에도 불구하고 계속 널리 사용되고 있다[15–19]. 이것은 부분적으로 [이해관계자의 수용과 승인]을 얻는다는 점에서 정치적 아젠다에 부합하기 때문으로 설명될 수 있다고 주장되어 왔다[9].

Additionally, in some situations, there appears to be a trade-off between stakeholder views and other criteria used to evaluate the appropriateness of selection tools, such as predictive validity and reliability. For example personal statements, letters of reference and traditional interviews continue to enjoy widespread use, despite evidence of limited predictive validity and susceptibility to bias [15–19]. It has been argued that this can in part be explained by these tools serving some other political agenda for which they achieve stakeholder acceptance and approval [9].


마지막으로 이해관계자의 관점에 대한 기초를 철저히 이해하면 선발자들은 아마도 인기는 낮지만 좀 더 심리측정적으로 강력한 선택 도구들을 뒷받침하는 근거를 더 잘 설명할 수 있을 것이다.

Finally a thorough understanding of the basis for stakeholders’ views will better enable selectors to explain the rationale supporting some, perhaps less popular, but more psychometrically robust selection tools.



이해관계자의 관점: 이론적 프레임워크 

Stakeholder views: a theoretical framework


지난 50년 동안 조직 정의 이론은 선택을 포함한 조직 프로세스의 공정성에 대한 인식을 설명하기 위해 개발되었다[20–22]. Patterson 등 및 Kelly는 조직적 정의 이론이 의학의 선택과 관련이 있으며 이해당사자들의 관점에 대한 깊은 통찰력을 제공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고 확립했다[7, 23].

Over the past fifty years, organisational justice theories have been developed to describe perceptions of fairness in organisational processes, including selection [20–22]. Patterson et al. and Kelly have established that organisational justice theories are relevant to selection in medicine and that they can be used to provide deeper insights into and appreciation of the views of stakeholders [7, 23].


이러한 정의 이론은 분배, 절차, 상호 작용으로 분류될 수 있다[24]. 

These justice theories can be categorised as distributive, procedural and interactional [24]. 


  • 선택의 맥락에서 분배적 정의[동등한 기회와 형평성 측면]에서 의과대학 같은 선발 결과의 공정성과 관련이 있다[7]. 분배적 정의의 관점에서 모든 사람이 동일한 기회를 받을 때 선택은 공정하다고 본다[25].

In the context of selection distributive justice relates to the fairness of selection outcomes such as medical school places, in terms of equal opportunity and equity [7]. From a distributive justice perspective selection is viewed to be fair when everyone receives the same opportunities [25].


  • 선발에서 절차적 정의는 직무 관련성과 시험의 특성 측면에서 선택 도구의 [인식된 공정성]과 관련이 있다[7]. 절차적 정의의 관점에서 볼 때, 선발방법이 직무와 연관되어 있을 때와 그 방법의 목적이 설명될 때 선택권은 보다 긍정적으로 본다[22, 26].

Procedural justice in selection is concerned with the perceived fairness of the selection tool in terms of job relevance and characteristics of the test [7]. From a procedural justice perspective selection is viewed more positively when the methods are connected with the job and when the purpose of the method is explained [22, 26].


  • 상호작용적 정의선발 과정에서 신청자가 어떻게 충족met되는지를 의미하며, 어떤 정보가 전달되는지 뿐만 아니라 그 방식도 포함한다[27, 28]. [의사소통의 공정성]은 상호작용적 정의가 어떻게 인식되는가에 대한 매우 영향력 있는 결정 요인이다[28, 29].

While the interactional justice of selection methods refers to how applicants are met during the selection process and includes the information applicants are given as well as the manner in which it is conveyed [27, 28]. The fairness of the communication is a very influential determinant of how interactional justice is perceived [28, 29].



방법

Methods


Search strategy



결과

Results


Study selection and data extraction


Figure 1 illustrates the steps from initial identification of records, to identifying those included and excluded.




Quality assessment strategy


Quality assessment and evidence synthesis


Risk of Bias


Study designs


Synthesis of results



지원자의 관점

The views of applicants


MMI를 포함한 면접

Interviews including multiple mini interviews (MMIs)


지원자들은 MMI를 전적으로 지지한다. 그들은 일반적으로 공평하고, 상대적으로 성별이나 문화적 편견이 없으며, 능력과 장점을 제시할 수 있는 적절한 기회를 제공하고, 사전 정보의 질과 지침의 명확성이 좋다는 것을 인지한다 [45, 48, 50, 55, 65, 61, 63, 72, 99]. 신청자는 전통적인 인터뷰보다 MMI를 선호함을 나타낸다[45, 48, 60, 72, 89, 96]. 한 논문은 소수의 탈락한 지원자들의 견해를 포함하고 있었으며, 대다수가 여전히 MMI에 대해 긍정적으로 논평하고 있다는 것을 발견했다[50]. 신청자는 면접관의 독립성과 MMI의 신뢰성을 중시한다[39, 45, 96]. 특히 지원자들이 능력을 입증할 수 있는 여러 가지 기회는 긍정적인 반응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인다[39, 55, 61, 63, 99]. MMI가 스스로 "신뢰redeem"할 수 있는 기회는 긍정적으로 검토되었다[39].

Applicants are on the whole supportive of MMIs. They perceive that they are generally fair, relatively free of gender or cultural bias, provide adequate opportunity to present their abilities and strengths and that the quality of advance information and clarity of instructions are good [45, 48, 50, 55, 61, 63, 72, 99]. Applicants indicate a preference for MMIs over traditional interviews [45, 48, 60, 72, 89, 96]. One paper included the views of a small number of unsuccessful applicants, and found that the majority still commented positively on MMIs [50]. Applicants value the perceived independence of interviewers and the authenticity of MMIs [39, 45, 96]. In particular the multiple opportunities for applicants to demonstrate abilities appears influential on positive reactions [39, 55, 61, 63, 99]. The chance provided by MMIs to “redeem” oneself has been positively noted [39].


지원자들은 MMI에 관한 일부 부정적 느낌을 보고하였다. 일부 지원자들은 MMI가 표준화된 인터뷰보다 더 어렵고 스트레스 받는[61]를 많이 받는다고 생각하는 반면, 다른 지원자들은 MMI가 높은 의사소통 지원자를 선호한다고 우려하였다[39]. MMI의 다른 측면의 등급에 비해 할당된 시간에 대한 지원자의 만족도는 약간 낮았다[39, 55, 60, 63, 99].

Applicants’ reported some misgivings with respect to MMIs. Some applicants found MMIs more difficult [89], and more stressful [61], than standardised interviews, while others were concerned that MMIs favour highly communicative applicants [39]. When compared to ratings of other aspects of the MMIs, applicant satisfaction with allotted time was slightly lower [39, 55, 60, 63, 99].


다른 인터뷰 기법에 대한 신청자들의 견해도 긍정적이었다. 한 소규모 연구에서 대다수의 참여자들이 인터뷰를 포함하지 않는 선택 과정은 수용가능하지 않다고 믿었다[85]. 한 캐나다 의과대학의 지원자들은 표준화된 인터뷰를 긍정적으로 받아들였다[68]. 기술적 진보는 웹 기반 면접을 가능케 했으며, 두 연구는 이 접근방식에 대한 지원자의 긍정적인 반응을 보고한다[57, 98]. 신청자들은 또한 면접을 자신이 적용하고 있는 학교나 프로그램의 가치와 윤리에 대한 귀중한 정보를 얻을 수 있는 기회로 인식한다[56, 78, 85]. 한 연구는 그룹 인터뷰에 대한 높은 수준의 만족도를 보고했지만, 국제 지원자들은 지역 후보들과 비교함으로써 면접관들에게 깊은 인상을 주기 위해 애쓸 것이라고 생각했다(n=77, 응답률 37.8, p = 0.004) [91]. 패널 인터뷰에 대한 신청자의 부정적 반응을 보고한 논문은 단 한 개뿐이며, 본 논문에서 비판은 주로 부적절한 인터뷰 후 피드백 수준과 관련이 있다[74].

Applicants’ views of other interview techniques were also positive; with one small study reporting that the majority of participants (93%, n = 53) believed that any selection process which did not include interviews would be unacceptable [85]. Standardised interviews have been positively received by applicants in one Canadian medical school [68]. Technological advances have made web based interviewing a possibility and two studies report positive applicant reactions to this approach [57, 98]. Applicants also perceive interviews as an opportunity to glean valuable information about the values and ethos of the school or programme to which they are applying [56, 78, 85]. One study reported favourable levels of applicant satisfaction with group interviews, however international applicants felt they would struggle to impress interviewers by comparison with local candidates (n=77, responserate 37.8, p = 0.004) [91]. Only one paper was identified that reported negative applicant reaction to panel interviews, and in this paper criticisms related mostly to inadequate levels of post interviews feedback [74].


선발자의 관점: 면접관, 교수, 입학위원회

The views of selectors: interviewers, faculty and admissions committee members


MMI 등 면접

Interviews including MMIs


면접은 의대 선발자에 의해 확고부동한 것으로 간주된다[87]. 마찬가지로, 호주 의과대학에 대한 이해관계자의 선택방법에 대한 견해를 조사하는 대규모 연구에서, 인터뷰는 전체적으로 가장 유효한 선택방법으로 간주되었다[54].

Interviews are considered a stalwart by selectors to medical schools [87]. Similarly, in a large study examining stakeholders’ views of selection methods to Australian medical schools, interviews were viewed as the most valid selection method overall [54].


많은 연구들이 MMI와 관련하여 선택자의 선입견을 평가하였다. 인터뷰 진행자들은 공정성에 대한 인식 측면에서 MMI를 높게 평가했다[45, 48,50, 61, 72, 99]. 중요한 것은, 면접관이 MMI가 지원자를 정확하게 평가할 수 있게 해주었고, 채점 메커니즘이 지원자를 적절하게 구별할 수 있게 해 주었다는 점이다[45, 48, 55, 60, 63, 77, 99].후보자에게 제공되는 복수의 평가 기회와 다차원적 평가관 관점은 면접관이 자신의 의사결정에 대해 훨씬 덜 불안해한다는 것을 의미했다[39]. Razack 등은 시청자들이 가정 및 국제 지원자들과 함께 사용하기에 적합한 MMI를 발견했다고 보고했다[50]. 면접관이 전통적인 면접보다 MMI를 선호할 수 있다는 몇 가지 증거가 있다[45, 72]. 

A large number of studies have evaluated selectors’opinions with respect to MMIs. Interviewers ranked MMIs highly in terms of perceptions of fairness [45, 48,50, 61, 72, 99]. Importantly, interviewers felt that MMIs allowed them to accurately evaluate applicants and that the scoring mechanisms allowed them to adequately differentiate between candidates [45, 48, 55, 60, 63, 77, 99].The multiple assessment opportunities afforded to candidates and the multidimensional assessor view meant that interviewers felt much less anxious about their own decision making [39]. Razack et al. report that inter-viewers found MMIs appropriate for use with home and international applicants [50]. There is some evidence that interviewers may favour MMIs over traditional interview [45, 72]. 


MMI에 대한 면접자의 우려는 다음과 같다: 

    • 주로 의사소통 능력을 측정하는 것일 수 있다는 우려[39], 

    • 지원자의 문화, 성격 또는 언어를 포함한 문제가 성과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우려[38, 50], 

    • 면접관이 동료에게 부여한 점수를 벤치마킹할 기회 부족[39], 

    • 교정할 시간 부족.e [48] 

    • 추가 교육 필요[61] 

    • MMI는 다소 비인간적인impersonal 프로세스가 될 수 있다[84].

Interviewers’ concerns regarding MMIs include: a fear that it might be primarily measuring communication skills [39]; that issues including applicants’ culture, personality or language may negatively impact on performance [38, 50]; the lack of opportunity for interviewers to benchmark the scores they assign against their peers [39]; insufficient time for calibration [48], the requirement for additional training [61] and that MMIs can be a somewhat impersonal process [84].


의과대학생의 관점

The views of medical students


MMI 등 인터뷰

Interviews including multiple mini interviews


두 개의 기록은 학생들이 인지 테스트보다 인터뷰를 더 선호한다는 것을 암시했다[51, 77]. 국제 학생들은 면접을 지원할 가능성이 훨씬 더 높다(p <0.01>[51]. 학생들은 MMI를 선택 시 적절하고 사용하기에 적합하다고 설명하면서, 지원자와 동일한 측면에서 MMI를 높이 평가한다. 한 소규모 연구는 선발의 역할 면접에서 확대된 접근 경로를 통해 입학한 학생들의 견해를 조사했다[95]. 흥미롭게도 임상 초기 학생들은 전통적인 인터뷰를 지지했고, 4학년 학생들은 MMI가 더 적절하다고 느꼈다. 다른 곳에서 성숙한 학생들은 자신의 정체성과 미래의 의과대학과의 적합성에 대한 인터뷰의 중요성을 강조하였다[40].

Two records suggested that students prefer interviews to cognitive testing [51, 77]. International students are even more likely to support interviews (p <0.01)[51]. Students appreciate the same aspects of MMIs as applicants do, describing it as relevant and suitable for use in selection [77]. One small study examined the views of students admitted through a widening access route, on the role interviews for selection [95]. Interestingly students in their early clinical years supported traditional interviews while students in the senior years felt that MMIs were more appropriate. Elsewhere mature students highlighted the importance of interviews to their sense of identity and fit with prospective medical schools [40].



고찰

Discussion


이 연구에서는 크게 세 개의 주요 이해관계자 그룹, 즉 a) 지원자, b) 선발자, c) 의대생들의 견해를 탐구한다는 것을 확인했다.

It identified that the research largely explores the views of three main stakeholder groups: a) applicants; b) selectors and c) medical students.


이 검토의 결과는 특히 절차적 정의와 분배적 정의 이론의 구성과 일치한다. 전체 이해관계자는 선택 중인 인터뷰(특히 MMI), SC 및 SJT를 지원한다. 선발 도구의 인식된 공정성의 가장 영향력 있는 결정요인 중 하나이며, 이러한 방법은 자연적으로 정당하다고 보기 때문에 이해관계자가 수용할 수 있다고 주장할 수 있다. 이전의 연구는 선발 도구가 직무와 관련된 것으로 간주되는 정도가 절차적 정의의 인식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보여주었다[9, 21]. 이 검토는 MMI가 신청자, 선택자 및 학생에 의해 임상 실습과 즉시 관련성이 높은 매우 진실한 것으로 간주된다는 것을 입증한다.

The findings of this review resonate with the constructs of organisational justice theoriesin particular with both procedural and distributive justice. On the whole stakeholders are supportive of interviews (in particular MMIs), SCs and SJTs in selection. Procedural justice is one of the most influential determinants of perceived fairness of selection tools and it can be argued that these methods are acceptable to stakeholders because they are viewed as procedurally just. Prior research has shown that the extent to which a selection tool is viewed as job related exerts the greatest influence on perceptions of procedural justice [9, 21]. This review establishes that MMIs are considered by applicants, selectors and students, as highly authentic with immediate relevance to clinical practice.


절차적 정의의 또 다른 측면은 "목소리"의 개념이다[20,21]. "보이스"는 지원자에게 스스로에 대해서 make a case할 수 있는 적절한 기회와 시간을 준다[107].

Another aspect of procedural justice is the concept of “voice” [20,21]. “Voice” describes adequate opportunity for the applicant to perform, to make a case for themselves as well as sufficient time to do so [107].


적성 검사의 수용가능도는 일반적으로 이해관계자마다 다르다. 약자 및 소수 의대 지원자들은 이를 장벽으로 보고 있으며, 다른 지원자와 의대생들은 이들의 공정성, 얼굴 및 예측 타당성에 의문을 제기하고 있다. 일부 항목 형식의 직무 관련성은 비언어적 추리 질문과 같은 특정 추상적 추리 시험 항목에 대해 질문한다. 이는 유사한 도구를 사용하는 의료 이외의 경험을 반영하며, 인지 시험 설계에 절차적 정의를 통합하는 한 가지 방법은 비교적 구체적인 항목 유형을 사용하는 것다[108].

Aptitude tests generally receive mixed stakeholder acceptability. Underrepresented and minority medical school applicants view them as barriers, while other applicants and medical students question their fairness, face and predictive validity. The job relatedness of some of the item formats is questioned in particular abstract reasoning test items, such as non-verbal reasoning questions. This reflects the experience outside of medicine with similar tools and it is recommended that one way to incorporate procedural justice into the design of cognitive tests is to use comparatively concrete itemtypes [108].


학생들과 선발자들에게 우려되는 것은 적성 시험이 코칭에 취약할 수 있다는 인식과 이것이 경제적 편견을 초래할 수 있다는 관련 두려움이다.

Of concern to students and selectors is the perception that aptitude tests may be susceptible to coaching, and the associated fear that this may lead to economic bias.


상업적인 코칭이 불공평한 우위로 이어질 수 있다는 우려는 기회균등이라는 분배적 정의 원칙을 위반하는 것이다. 연구에 따르면, 정의justice 규칙이 (충족되기 보다는) 위반되었을 때, 그 규칙이 더 큰 영향력을 미칠 수 있고, 수용가능성에 대해서 전반적으로 더 큰 영향을 미친다[21, 24]. 실무적 관점에서, 이는 선택 도구가 많은 다른 정의 영역에서 잘 수행될 것으로 예상되더라도, 한 가지 측면에서라도 부족하다고 인식될 경우 이해당사자들이 여전히 수용할 수 없는 것으로 느낄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Concerns regarding the possibility that commercial coaching could lead to unfair advantage represent a breach of the distributive justice principle of equal opportunity. Research has shown that justice rules can be more influential, and weigh more heavily on overall estimation of acceptability, when they are violated rather than when they are satisfied [21, 24]. In practical terms, this could mean that even in a situation where a selection tool is considered to perform well across a number of other justice domains – it may still prove unacceptable to stakeholders if it is perceived to fall short in one regard.


추천서, 에세이, 개인 진술서 등 다른 방법의 이해관계자 관점을 탐구하는 기록은 거의 없었지만, 그런 연구 결과에 따르면 내용의 진실성에 대해 다소 유보적인 입장을 표명하였다. 이러한 방법의 예측 타당성 역시 제한적인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이는 이해관계자의 수용성 저하와 함께 선정 과정에서 그들의 역할에 도전한다(6, 109).

There were very few records that explored stakeholder views of other methods such as letters of recommendation, essays and personal statements, but those that did expressed some reservation about the veracity of content. The predictive validity of these methods is also known to be limited, and this coupled with poor stakeholder acceptability, challenges their role in the selection process) [6, 109].


이 검토의 두 번째 주요 제한은 선택 방법 자체의 이질성과 관련이 있다. 예를 들어, 모든 MMI가 동일한 것은 아니며, 어떤 두 MMI도 동일하지 않다[110]. 마찬가지로 적성 시험 사이에는 결정화crystalised 대 유체fluid 지능을 측정하도록 설계된 정도와 같은 중요한 차이가 있다[6]. 전체적인 이해관계자의 관점을 요약하고 일반화하려는 이 같은 체계적인 검토는 이러한 중요한 맥락적 차이를 피할 수 없을 것이다.

A second major limitation of this review relates to the heterogeneity of the selection methods themselves. For instance not all MMIs are the same, in fact no two MMIs are thesame[110]. Similarly there are important differences between aptitude tests, such as the degree to which they are designed to measure crystallised versus fluid intelligence [6]. A systematic review such as this one, that seeks to summarise and generalise overall stakeholders’ views, will inevitably mask these important contextual differences.


Conclusions


의대생 선발의 이해관계자들은 잠재적으로 다른 견해를 가진 다양한 그룹들의 집합이다. 공정하고 방어 가능한 선택 과정의 운영에 있어서 우리가 그들이 가지고 있는 견해의 범위와 깊이를 이해하고 감사하는 것이 중요하다. 모든 이해관계자가 정확한 정보를 사용할 수 있고 의과대학의 '자리'를 할당하는 데 사용되는 각 선택 방법의 목적과 목적에 대해 명확성을 보장하는 것은 선택 과정에 참여하는 모든 사람에게 의무적이다. 

Stakeholders in medical student selection are a collection of diverse groups with potentially differing views. It is critical to the operation of fair and defensible selection processes that we understand and appreciate the range and depth of views that they hold. It is incumbent upon all involved in the selection process to ensure that accurate information is available to all stakeholders and that there is clarity regarding the objectives and purpose of each selection method used to allocate a place in medicine. 


이 검토는 특히 지원자와 관련하여 이 분야에서 중요한 작업이 수행되고 있음을 보여준다. 그러나, 그것은 더 나은 표준과 더 적절한 방법론의 필요성을 강조한다; 미래 연구에 포함된 이해관계자 그룹의 범위를 넓히기 위해서. 마지막으로 우리는 이 검토가 심지어 같은 그룹의 이해관계자들이 반드시 동질적이지 않다는 인식을 강화하기를 바란다. 이해관계자의 인식은 선발의 책임이 있는 사람들에 의해 유포된 정보뿐만 아니라 다양한 문화적, 환경적 요인에 의해 크게 영향을 받는다.

This review demonstrates that there is important work being done in this field, especially in respect to applicants. However, it highlights the need for better standards and more appropriate methodologies; for broadening the scope of the stakeholder groups included in future research. Finally we hope this review reinforces recognition that stakeholders even fromthe same group are not necessarily homogenous. Their perceptions are significantly influenced by a range of cultural and environmental factors as well as information disseminated by those responsible for selection.







 2018 Jun 15;18(1):139. doi: 10.1186/s12909-018-1235-x.

systematic review of stakeholder views of selection methods for medical schools admission.

Author information

1
Discipline of General Practice, Clinical Science Institute, National University of Ireland, Galway, Ireland. maureen.kelly@nuigalway.ie.
2
Work Psychology Group, Derby, UK.
3
University College Cork, Cork, Ireland.
4
Discipline of General Practice, Clinical Science Institute, National University of Ireland, Galway, Ireland.

Abstract

BACKGROUND: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systematically review the literature with respect to stakeholder views of selection methods for medical school admissions.

METHODS:

An electronic search of nine databases was conducted between January 2000-July 2014. Two reviewers independently assessed all titles (n = 1017) and retained abstracts (n = 233) for relevance. Methodological quality of quantitative papers was assessed using the MERSQI instrument. The overall quality of evidence in this field was low. Evidence was synthesised in a narrative review.

RESULTS:

Applicants support interviews, and multiple mini interviews (MMIs). There is emerging evidence that situational judgement tests (SJTs) and selection centres (SCs) are also well regarded, but aptitude tests less so. Selectors endorse the use of interviews in general and in particular MMIs judging them to be fair, relevant and appropriate, with emerging evidence of similarly positive reactions to SCs. Aptitude tests and academic records were valued in decisions of whom to call to interview. Medical students prefer interviews based selection to cognitive aptitude tests. They are unconvinced about the transparency and veracity of written applications. Perceptions of organisational justice, which describe views of fairness in organisational processes, appear to be highly influential on stakeholders' views of the acceptability of selection methods. In particular procedural justice (perceived fairness of selection tools in terms of job relevance and characteristics of the test) and distributive justice (perceived fairness of selection outcomes in terms of equal opportunity and equity), appear to be important considerations when deciding on acceptability of selection methods. There were significant gaps with respect to both key stakeholder groups and the range of selection tools assessed.

CONCLUSIONS:

Notwithstanding the observed limitations in the quality of research in this field, there appears to be broad concordance of views on the various selection methods, across the diverse stakeholders groups. This review highlights the need for better standards, more appropriate methodologies and for broadening the scope of stakeholder research.

KEYWORDS:

Medical schools; Organisational justice; Stakeholders; Views

PMID:
 
29907112
 
PMCID:
 
PMC6002997
 
DOI:
 
10.1186/s12909-018-1235-x


기관 내/기관 간 전통적 면접과 MMI의 신뢰도 비교: 다섯개 캘리포니아 의과대학(BMC Med Educ, 2017)

Reliability of Multiple Mini-Interviews and traditional interviews within and between institutions: a study of five California medical schools

Anthony Jerant1*, Mark C. Henderson2, Erin Griffin3, Julie A. Rainwater4, Theodore R. Hall5, Carolyn J. Kelly6,

Ellena M. Peterson7, David Wofsy8 and Peter Franks1




배경

Background


비구조화되었거나 최소한만 구조화된 일대일 전통적인 인터뷰(TI)는 의과대학 입학에 오랫동안 채용되어 왔다[1].

Unstructured or minimally structured one-on-one traditional interviews (TIs) have long been employed in medical school admissions [1].


부분적으로 면접관간 신뢰성에 대한 우려 때문에, 많은 학교들은 신청자들이 각각 다른 훈련된 평가관이 참여하는 일련의 간략한 반구조적 평가 스테이션을 통해 일하는 다중 미니 인터뷰(MMI)로 TI를 대체했다[3, 11].

Partly due to concerns about inter-interviewer reliability, many schools have replaced TIs with Multiple MiniInterviews (MMIs), in which applicants work through a series of brief, semi-structured assessment stations, each attended by a different trained rater [3, 11].


전술한 연구에 근거하여 일부 저자는 MMI가 TI에 비해 우수한 레이터 간 신뢰성을 가지고 있다고 결론지었다[2–6, 12, 17]. 그러나 이전의 MMI(및 TI) 연구는 각각 이러한 인터뷰 유형 중 하나만 채택하는 단일 기관에서 수행되었다.

Based on the foregoing studies, some authors have concluded that MMIs have superior inter-rater reliability as compared with TIs [2–6, 12, 17]. However, prior MMI (and TI) studies have been conducted at single institutions, each employing only one of these interview types.


중요한 것은, 두 가지 면접 유형을 모두 완료한 공통의 지원자 풀을 조사하여 TI보다 교수간 신뢰도가 높은지 여부를 동시에 테스트한 연구는 없다는 점이다. 더욱이 MMI 또는 TI의 학교 간 신뢰성을 조사한 연구는 없다.

Importantly, no studies have concurrently tested whether inter-rater reliability is higher for MMIs than for TIs by examining a common pool of applicants completing both interview types. Furthermore, no studies have examined the between-school reliabilities of MMIs or TIs.


5개의 캘리포니아 종방향 입학 평가(CA-LEAP) 컨소시엄 의과대학의 데이터를 사용하여 MMI와 TI의 내적 및 베트웨덴스쿨 신뢰성을 조사했다.

Using data from the five California Longitudinal Evaluation of Admission Practices (CA-LEAP) consortium medical schools, we examined the within and between school reliabilities of MMIs and TIs.


방법

Methods


연구대상

Study population



면접절차

Interview processes


두 학교(MMI1과 MMI2)는 MMI를 사용했으며, 각각 10분 스테이션과 7개 스테이션이 개별적으로 점수를 매겨 상업적으로 시판된 콘텐츠에서 채택되었다. [19] 두 학교 모두, 모든 스테이션은 다차원적이었다. 모든 스테이션에서 하나 이상의 추가 역량(예: 무결성/윤리, 전문성, 다양성/문화 인식, 팀워크, 스트레스 처리 능력, 문제 해결)과 함께 대인 커뮤니케이션 능력을 체계적인 평가 양식을 사용하여 평가하였다.

Two schools (MMI1 and MMI2) used MMIs, with 10 and 7 individually scored 10-min stations, respectively, generally adapted from commercially marketed content. [19] At both schools, all stations were multidimensional. Interpersonal communication ability was considered at every station, along with one or more additional competencies (e.g., integrity/ethics, professionalism, diversity/ cultural awareness, teamwork, ability to handle stress, problem solving), rated using a structured rating form.


3개 학교(TI1, TI2, TI3)는 TI를 사용했다. 각 학교에서 지원자들은 두 번의 30-60분짜리 구조화되지 않은 면접을 마쳤다. 하나는 교직원이고 하나는 의대생이나 교직원이었다.

Three schools (TI1, TI2, and TI3) used TIs. At each school, applicants completed two 30–60 min unstructured interviews, one with a faculty member and one with a medical student or faculty member.


TI1과 TI3 학교 모두에서 채택된 척도는 달랐지만 인터뷰 진행자는 단일 총괄 점수을 할당했다. 학교 TI2에서 면접관은 응시자를 4개의 개별 영역(생각/지식, 의사소통/행동, 에너지/인니티, 공감/동감)으로 1~5점 척도로 평가하였고, 그 후 도메인 점수를 합산하여 면접 점수(범위 4-20)를 산출하였다).

At both schools TI1 and TI3, interviewers assigned a single global interview rating, though the scales employed differed (

    • exceptional, above average, average, below average, unacceptable at TI1; 

    • unreserved enthusiasm, moderate enthusiasm, or substantial reservations at TI3). 

At school TI2, interviewers rated candidates on a 1– 5 point scale in four separate domains (thinking/knowledge, communication/behavior, energy/initiative, and empathy/compassion), and the domain scores were then summed to yield a total interview score (range 4–20).



Measures


Analyses



결과

Results


Within schools, correlations between interviewer ratings generally were qualitatively lower for TI1 (r 0.07, α 0.13), TI2 (r 0.29, α 0.40), and TI3 (r 0.44, α 0.61) than for MMI1 and MMI2 (α 0.68 and 0.60, respectively).




고찰

Discussion


우리는 일반적으로 TI보다 MMI가 학교 내 및 학교 간 신뢰성이 질적으로 더 높다는 것을 발견했다.

We generally found qualitatively higher within-school and between-school reliabilities for MMIs than for TIs.


본 연구에서 MMI의 질적으로 우수한 학교간 신뢰도에도 불구하고, 학교간 TI 신뢰성은 지배적인 견해를 바탕으로 우리가 예상했던 것보다 더 좋았다[2–6, 12, 17]. 이러한 연구 결과는 일부(전부는 아니지만) 이전의 단일 학교 연구에서 TI에 대해 관측된 낮은 인터뷰어 간 신뢰성이 TI 접근에 내재된 제한보다는 학교별 차이(예: 면접자 교육, 프로세스 표준화 정도)를 반영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Despite the qualitatively superior between-school reliability of the MMI in our study, the between-school TI reliabilities were better than we had anticipated based on prevailing views [2–6, 12, 17]. These findings suggest that the low inter-interviewer reliability observed for TIs in some (but not all) prior single-school studies may reflect school-specific differences (e.g., interviewer training, degree of process standardization), rather than limitations inherent to the TI approach.


Conclusions


결론적으로, 5개의 캘리포니아 의과대학에 대한 공통 지원자 풀의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TI보다 MMI가 학교 내 및 학교 간 신뢰도가 정성적으로 높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TI의 학교 내 및 학교 간 신뢰성은 이전 문헌에 근거하여 일반적으로 예상보다 높았으며, 특히 특정 기관에서 사용하는 데 다른 요인이 유리할 경우 신뢰성에 대한 우려 때문에 TI를 포기할 필요가 없을 수 있음을 시사하였다.

In conclusion, in analyses of data from a common pool of applicants to five California medical schools, we found qualitatively higher within- and between-school reliabilities for MMIs than for TIs. Nonetheless, the within- and between-school reliabilities of TIs were generally higher than anticipated based on prior literature, suggesting that perhaps TIs need not be abandoned for the sake of reliability concerns, especially if other factors favor their use at a particular institution.








 2017 Nov 6;17(1):190. doi: 10.1186/s12909-017-1030-0.

Reliability of Multiple Mini-Interviews and traditional interviews within and between institutions: a study of five California medical schools.

Author information

1
Department of Family and Community Medicine, University of California, Davis, School of Medicine, 4860 Y Street, Suite 2300, Sacramento, California, 95817, USA. afjerant@ucdavis.edu.
2
Office of the Vice Chancellor and Dean, University of California, Davis, School of Medicine, 4610 X Street, Suite 3101, Sacramento, California, 95817, USA.
3
Research and Evaluation Outcomes Unit, University of California, Davis, School of Medicine, 4610 X Street, Sacramento, California, 95817, USA.
4
Clinical and Translational Science Center, University of California, Davis, Health System, 2921 Stockton Boulevard, Suite 1400, Sacramento, California, 95817, USA.
5
Office of Admissions, David Geffen School of Medicine at University of California, Los Angeles, 885 Tiverton Drive Suite B27, California, Los Angeles, 90095, USA.
6
Division of Medical Education, University of California, San Diego, School of Medicine, 9500 Gilman Drive, mail code 0606, La Jolla, California, 92093, USA.
7
Office of Admissions, University of California, Irvine, School of Medicine, Medical Education Building, 836 Health Sciences Road, Irvine, California, 92697-4089, USA.
8
Office of Admissions, University of California, San Francisco, School of Medicine, Box 0408, 533, Parnassus Avenue, Room U-426, San Francisco, California, 94143, USA.
9
Department of Family and Community Medicine, University of California, Davis, School of Medicine, 4860 Y Street, Suite 2300, Sacramento, California, 95817, USA.

Abstract

BACKGROUND:

Many medical schools use admissions Multiple Mini-Interviews (MMIs) rather than traditional interviews (TIs), partly because MMIs are thought to be more reliable. Yet prior studies examined single-school samples of candidates completing either an MMI or TI (not both). Using data from five California public medical schools, the authors examined the within- and between-school reliabilities of TIs and MMIs.

METHODS:

The analyses included applicants interviewing at ≥1 of the five schools during 2011-2013. Three schools employed TIs (TI1, TI2, TI3) and two employed MMIs (MMI1, MMI2). Mixed linear models accounting for nesting of observations within applicants examined standardized TI and MMI scores (mean = 0, SD = 1), adjusting for applicant socio-demographics, academic metrics, year, number of interviews, and interview date.

RESULTS:

A total of 4993 individuals (completing 7516 interviews [TI = 4137, MMI = 3379]) interviewed at ≥1 school; 428 (14.5%) interviewed at both MMI schools and 687 (20.2%) at more than one TI school. Within schools, inter-interviewer consistency was generally qualitatively lower for TI1, TI2, and TI3 (Pearson's r 0.07, 0.13, and 0.29, and Cronbach's α, 0.40, 0.44, and 0.61, respectively) than for MMI1 and MMI 2 (Cronbach's α 0.68 and 0.60, respectively). Between schools, the adjusted intraclass correlation coefficient was 0.27 (95% CI 0.20-0.35) for TIs and 0.47 (95% CI 0.41-0.54) for MMIs.

CONCLUSIONS:

Within and between-school reliability was qualitatively higher for MMIs than for TIs. Nonetheless, TI reliabilities were higher than anticipated from prior literature, suggesting TIs may not need to be abandoned on reliability grounds if other factors favor their use.

KEYWORDS:

Interview as topic; Multiple mini-interview; Reproducibility of results; School admission criteria; Schoolsmedical

PMID:
 
29110662
 
PMCID:
 
PMC5674866
 
DOI:
 
10.1186/s12909-017-1030-0


창의성과 혁신의 잠재력: 보건의료 교육 실천을 위한 함의(Adv in Health Sci Educ, 2017)

Selecting for creativity and innovation potential: implications for practice in healthcare education 
Fiona Patterson1,2  • Lara Dawn Zibarras2,3




도입

Introduction 

경제적으로, 혁신 능력이란 조직이 '더 적은 리소스로 더 많은 일을 하는' 방법을 배우는데 있어 능동적일 수 있는 몇 가지 전략적인 방법 중 하나이다(Anderson et al. 2014). 이러한 긴급한 필요에도 불구하고, 의료 분야의 선발 시스템은 혁신 가능성을 우선시하는 경우가 거의 없으며, 한 가지 어려움은 개인의 창의성과 혁신을 어떻게 신뢰성 있게 측정할 것인가이다. 

Economically, the ability to innovate is one of the few strategic ways organizations can be proactive in learning how to ‘do more with less’ (Anderson et al. 2014). Despite this pressing need, few selection systems in healthcare prioritise the potential to innovate, and one challenge is how to reliably measure individual creativity and innovation. 


광범위한 선발 연구에서, 성실성은 많은 직업(예:)에 걸친 직무 수행의 단일 최고의 예측자임을 보여준다.슈미트와 헌터 1998). 그러나 이것은 겉보기에는 역설적인데, 성실성은 창조성과 혁신에 부정적으로 관련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난 반면에, 창의성이 경험에 대한 개방성과는 긍정적으로 연관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나기 때문이다(예: Hammond et al. 2011). 

In broader selection research, Conscientiousness is shown to be the single best predictor of job performance across many occupations (e.g.Schmidt and Hunter 1998). Yet this is seemingly paradoxical because Conscientiousness has been shown to be negatively related to creativity and innovation, whilst Openness to Experience is shown to be positively related (e.g. Hammond et al. 2011). 


놀랍게도 의료 서비스 선택 내에서 창의성과 혁신을 탐구한 연구는 거의 없다. 

Surprisingly little research has explored creativity and innovation within healthcare selection 


창의성과 혁신

Defining creativity and innovation 

창의성과 혁신의 개념은 수년 동안 논의되었다(Anderson et al. 2014; King 1992). Anderson 등(2014년)에 명시된 바와 같이: 

The concepts of creativity and innovation have been debated over the years (Anderson et al. 2014; King 1992); although it is nowgenerally agreed that the two constructs overlap. As Anderson et al. (2014) state: 


'직장에서 창조성과 혁신이란 일을 하는 새롭고 개선된 방법을 개발하고 도입하려는 시도의 과정, 결과, 산물이다. 이 과정의 

      1. 창조적 단계는 아이디어 창출을 말하며, 

      2. 혁신은 더 나은 절차, 관행 또는 제품을 지향하는 아이디어를 구현하는 후속 단계를 말한다. 

창의성과 혁신은 개인, 작업팀, 조직의 수준에서 발생할 수 있으며, 또는 이러한 수준 중 하나 이상의 조합에서 발생할 수 있지만, 언제나 이러한 분석 수준 중 하나 이상에서 식별 가능한 편익을 얻을 것이다." 

‘‘Creativity and innovation at work are the process, outcomes, and products of attempts to develop and introduce new and improved ways of doing things. The creativity stage of this process refers to idea generation, and innovation refers to the subsequent stage of implementing ideas toward better procedures, practices, or products. Creativity and innovation can occur at the level of the individual, work team, organization, or at more than one of these levels combined but will invariably result in identifiable benefits at one or more of these levels of analysis.’’ 


창의성과 혁신을 위한 선발

Selecting for creativity and innovation 

수십 년 동안 연구는 창의성과 혁신과 관련된 핵심 성격 특성(예: Hammond et al. 2011)을 파악하는 데 초점을 맞추는 경향이 있었다. 

Over several decades, research has tended to focus on identifying a core set of personality traits associated with creativity and innovation (e.g. Hammond et al. 2011), such as flexibility and openness to abstract ideas. 


빅 파이브 인성 모델(골드버그 1990; McCrae and Costa 1996) 중 연구는 창의성과 혁신에 긍정적으로 관련되는 개방성을 일관되게 보여준다(McCrae 1987; Batey and Furnham 2006; Feist 1998; Hammond et al. 2011; King et al. 1996; Gwang and Rodradigues 2002). 연구는 또한 창의성과 혁신이 외향성과 긍정적으로 연관되어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반대로, 성실성과 원만성은 창의성과 혁신과 부정적으로 연관되어 있다(예: Feist 1999; King et al. 1996; Gwang and Rodrigues 2002). 그럼에도 불구하고, 성실성과 원만성은 모두 의료 역할에서 교육, 훈련 및 고용에 들어가는 개인에게 특히 가치 있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정서적 안정성과 관련하여, 일부 연구자들이 아무런 관계도 찾지 못하는 가운데(AguilarAlonso 1996; King et al. 1996) 다른 연구자들은 정서적 안정성과 창의성과 혁신 사이의 부정적인 연관성을 발견한다(Feist 1998;Go ̈z 1979; Mohan and Tiwana 1987). 이처럼 지금까지 연구결과의 일관성이 부족하여, 높은 수준의 환자 관리가 필요한 안전 중요 환경인 의료 교육에서 이러한 발견이 복제되는 범위를 식별할 필요성을 강조한다. 

Of the Big Five model of personality (Goldberg 1990; McCrae and Costa 1996) research consistently shows Openness to Experience to relate positively to creativity and innovation (McCrae 1987; Batey and Furnham 2006; Feist 1998; Hammond et al. 2011; King et al. 1996; Kwang and Rodrigues 2002). Research has also shows Extroversion (King et al. 1996; Kwang and Rodrigues 2002; Martindale and Dailey 1996) to be positively associated with creativity and innovation. Conversely, Conscientiousness and Agreeableness are negatively associated with creativity and innovation (e.g. Feist 1999; King et al. 1996; Kwang and Rodrigues 2002), and yet, both Conscientiousness and Agreeableness could be seen as especially valuable for individuals entering education, training and employment in a healthcare role. In relation to Emotional Stability, there are inconsistent research findings, with some researchers finding no relationship (AguilarAlonso 1996; King et al. 1996) yet others finding a negative association between Emotional Stability and creativity and innovation (Feist 1998;Go¨tz 1979; Mohan and Tiwana 1987). Inconsistent results highlight the need to identify the extent to which these findings replicate in healthcare education, a safety critical environment which requires high standards of patient care. 


앞에서 설명한 성실성과 창의성 그리고 혁신 사이의 부정적인 연관성은 이전 연구가 다양한 직업에 걸쳐 성실성과 훈련 성공training success과 직업 수행의 다양한 지수 사이의 긍정적인 연관성을 일관되게 보여왔기 때문에 흥미로운 딜레마를 야기한다(Barrick et al. 2001; Bar 참조).Rick and Mount 1991; Schmidt et al. 2008). 퍼거슨 외 연구진(2002년)은 의과대학의 성공과 사전 임상 평가의 핵심 예측자로 성실성을 발견함으로써 의학교육 환경에서도 기존의 발견을 반복했다. McLachlan과 동료들 (Kelly et al. 2012; McLachlan 2010) 또한 의학생의 성공을 위해 성실성이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그러나 퍼거슨 외 연구진(2002년)은 일단 학생들이 임상 실습에 들어가자 성실성은 후속 수행에 대한 부정적인 예측자임을 발견했다. 

The negative association described above between Conscientiousness and creativity and innovation raises an interesting dilemma since previous research has consistently shown a positive association between Conscientiousness and various indices of training success and job performance, across a diverse range of occupations (see Barrick et al. 2001; Barrick and Mount 1991; Schmidt et al. 2008). This finding has been replicated in healthcare education settings, where Ferguson et al. (2002)found Conscientiousness to be a key predictor of medical school success and preclinical assessments for students. McLachlan and colleagues (Kelly et al. 2012; McLachlan 2010) also find Conscientiousness to be important for medical student success. However, Ferguson et al. (2002) found Conscientiousness to be a negative predictor of subsequent performance once students entered clinical practice. 


성실성을 둘러싼 이러한 차이점들은 그것이 넓은 "대역폭"을 가진 다면적인 구인이라는 사실과 관련이 있을 수 있다. 왜냐하면 그것은 충실성/신뢰성 및 역량/성취 노력(Costa와 McCrae 1992; Moon 2001)의 면으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이다. 또한, 연구 결과, 

      • 창의성과 혁신에 긍정적으로 관련되기 위한 성취 노력과 지속성이 입증되었다(Busse and Mansfield 1984; Sternberg and Lubart 1999). 반면 

      • 체계적이고 신뢰할 수 있는 것은 부정적으로 연관되어 있다(Patterson 1999). 


These differential findings surrounding Conscientiousness may relate to the fact it is a multi-faceted construct with a broad ‘band-width’ since it comprises facets of 

      • dutifulness/dependability and also 

      • competence/achievement striving (Costa and McCrae 1992; Moon 2001). 

Further, research shows achievement striving and persistence to be positively related to creativity and innovation (Busse and Mansfield 1984; Sternberg and Lubart 1999) whereas being systematic and dependable is negatively associated (Patterson 1999). 


조직 맥락

Organisational context 


본 연구는 영국 GP(General Practice)에서 교육과 훈련을 신청하는 대학원 연수생 견본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Our study focuses on a sample of postgraduate trainees applying for education and training in UK General Practice (GP). 


1. 구인타당도: 창의성과 혁신은 어느 정도까지 인성의 빅 5 요소와 관련이 있는가? 

1. Construct validity: To what extent are creativity and innovation related to Big Five Factors of personality? 

2. 구인타당도: 창의성과 혁신과 성실성의 facets의 관계는 무엇인가? 

2. Construct validity: What is the relationship between creativity and innovation and the facets of Conscientiousness? 


3. 예측타당도: 창조성과 혁신의 특성 기반 측정은 선택 중 평가된 창조적 문제를 해결하는 행동을 예측하는 데 있어 빅 5 차원보다 더 큰 이점을 제공하는가?

3. Predictive validity: Does a trait-based measure of creativity and innovation offer any advantage over the Big Five dimensions of personality in predicting creative problemsolving behaviour assessed during selection?


방법

Method 


지원자와 절차

Participants and procedure 

참가자들은 감정, 창조적 문제 해결 행동, 전문적 무결성, 압박과 임상 전문가와의 코핑 등 5가지 성과 차원을 목표로 하는 선발 센터에 참석하고 있었다. 이 중 창조적 문제해결 행태는 개념적으로 사고와 같은 지표를 측정하고, 비판적 분석을 사용하여 문제를 생각하고 해결책을 형성하며, 다른 사람의 아이디어와 제안에 개방되기 때문에 창조성과 혁신과 가장 밀접한 관련이 있다고 판단되었다.

Participants were attending a selection centre which targeted five performance dimensions including; 

    • Empathy, 

    • Creative Problem-Solving Behaviour; 

    • Professional Integrity; 

    • Coping with Pressure and 

    • Clinical Expertise. 


Of these, 

Creative Problem-Solving Behaviour 

was judged to be most closely related to creativity and innovation because it measured indicators such as thinks conceptually; uses critical analysis to think around issues and formulate solutions; open to ideas and suggestions from others. 



척도

Measures 

Innovation potential indicator (IPI) 

IPI는 4차원(변화에 대한 동기, 도전적 행동, 작업 스타일의 일관성 및 적응)으로 구성된 개인의 창조적이고 혁신적인 행동에 대한 30개 항목 특성 기반 척도다. 선택과 개발을 위해 조직에서 사용되어 왔으며(Patterson 1999; Burch et al. 2008) 그 효용은 의료 이외의 분야에서 확립되었다(Zibarras et al. 2008; Burch et al. 2008). 그 항목들은 선호하는 작업 스타일에 대해 묻는 일련의 행동 진술이다. 의견제출자들은 1(강력하게 동의하지 않음)부터 5(강력하게 동의함)까지 5가지 척도로 항목에 동의하는 정도를 나타낸다. IPI 치수 및 예제 항목은 표 1에 개략적으로 설명되어 있다(Zibarras et al. 2008; Burch et al. 2008 참조). 


The IPI is an established 30-item trait-based measure of an individual’s creative and innovative behaviour comprising four dimensions (Motivation to Change, Challenging Behaviour, Consistency of Work Style and Adaptation). It has been used in organisations for selection and development (Patterson 1999; Burch et al. 2008) and its utility has been established in sectors other than healthcare (Zibarras et al. 2008; Burch et al. 2008). 


The items are a set of behavioural statements asking about preferred style of working. Respondents indicate the extent to which they agree with items along a five-point scale, ranging from 1 (strongly disagree) to 5 (strongly agree). 


The IPI dimensions and example items are outlined in Table 1 (see Zibarras et al. 2008; Burch et al. 2008). 


NEO PI-R 

결과

Results 

IPI 척도와 빅 5 치수 사이의 설명 및 상관관계는 표 2에 제시되어 있다. 

The descriptives and correlations between the IPI scales with the Big Five dimensions are presented in Table 2. 


1. 창의성/혁신적 특성은 성격상의 빅5 요소와 어느 정도까지 관련이 있는가? 

1. To what extent are the creativity/innovation traits related to Big Five Factors of personality? 


2. 창의성과 혁신과 성실성의 facet은 어떤 관계인가? 

2. What is the relationship between creativity and innovation and the facets of Conscientiousness? 


3. 창조성과 혁신의 특성 기반 측정은 선택 중에 평가된 창조적 문제 해결 행동을 예측하는 데 있어 빅 5 차원보다 더 큰 이점을 제공하는가? 

3. Does a trait-based measure of creativity and innovation offer any advantage over the Big Five dimensions of personality in predicting creative problem-solving behaviour assessed during selection? 


표 3은 1단계에서 빅 5 도메인의 추가가 창조적 문제 해결 행동을 예측했음을 보여준다. 

Table 3 shows that the addition of the Big Five domains in Step 1 predicted Creative Problem-Solving Behaviour; 



고찰

Discussion 

우리의 연구 결과는 [그 사람의 "현재 기술"을 역할에 맞추기 위한 전통적인 선발 과정]식의 접근법에 의문을 제기한다 (코즈라와 아슈워스 2013). 진로 패턴의 변화와 변화 속도를 고려할 때, 예를 들어, 이 접근 방식보다는 "미래의 학습 잠재력"을 평가하는 기법을 찾는 것이 현명할 것이다. 

Our findings might question the approach adopted by traditional selection processes that are aimed at fitting the person’s current skill set to the role (Koczwara and Ashworth 2013). Given the pace of change and shift in career patterns, perhaps it would be wise to re-visit this approach and move towards techniques that assess learning potential, for example. 


이전의 연구(Batey and Furnham 2006; Feist 1999; King et al. 1996; McCrae and Costa 1996)에 따라, 개방성이 창의성 및 혁신 결과와 긍정적인 상관관계가 있음을 보여준다. 변화 동기는 외부 변화(긍정적 관계)와 신경증(부정적 관계) 사이의 연관성이 있었고, 문헌의 다른 곳에서도 유사한 발견을 복제한다(예: 킹 등, 1996; 맥크레이와 코스타 1996; 마르카티 외 2008). 실제로 정서적 안정(저신경증)은 여러 직종에서 작업 성능을 예측한다(예: Barrick et al. 2001), 우리의 발견은 또한 혁신에 대한 정서적 안정성의 필요성을 반영할 수 있다. 원만성은 창의성 및 혁신 특성과의 관계는 발견되지 않았다. 

In line with earlier research (Batey and Furnham 2006; Feist 1999; King et al. 1996; McCrae and Costa 1996), results show Openness to Experience to be positively correlated with creativity and innovation outcomes. Associations were found between Motivation to Change and both Extraversion (positive relationship) and Neuroticism (negative relationship), replicating similar findings elsewhere in the literature (e.g. King et al. 1996; McCrae and Costa 1996; Marcati et al. 2008); indeed, given that Emotional Stability (that is, low Neuroticism) predicts work performance across occupations (e.g. Barrick et al. 2001), our findings may also reflect the need for Emotional Stability to innovate. No relationship was found between Agreeableness and the creativity and innovation traits. 


성실성은 IPI 척도 중 두 가지(작업 스타일의 변화와 일관성에 대한 동기)와 긍정적으로 상관되었지만, 도전적 행동과 부정적으로 관련되었다. 이전의 연구는 혁신과 성실성 사이의 부정적인 관계를 보고했으며(예: 킹 외 1996), 실제로 많은 실천자들은 낮은 성실성이 혁신자들에게 중요하다고 가정한다(아마도 낮은 성실성이 유연성과 연관되기 때문이다). 그러나 빅 5 성격 체계에서 성실성은 창의성과 혁신 행동과 같은 기준을 예측하기에는 너무 광범위할 수 있다(Hough 1992) 이것은 우리가 facet 수준에서 성실성에 대한 조사를 통해 드러난다. 

Conscientiousness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two of the IPI scales (Motivation to Change and Consistency of Work Styles), but negatively related to Challenging Behaviour. Previous research has reported a negative relationship between innovation and Conscientiousness (e.g. King et al. 1996), and indeed many practitioners assume that low Conscientiousness is important for innovators (perhaps because low Conscientiousness is associated with flexibility). However, the Big Five personality framework may be too broad to predict criteria such as creativity and innovation behaviour (Hough 1992); thus our examination of Conscientiousness at the facet level is revealing. 


셋째로, 우리의 결과는 창의성과 혁신에서 동기의 중요한 역할을 확인시켜 준다. 실제로, IPI의 예측 타당성을 탐구할 때, 변화에 대한 동기부여는 유일하게 성격적 특성에 추가적으로 창조적 문제 해결을 예측해주는 변수다. 

Thirdly, our results confirm the important role of motivation in creativity and innovation. Indeed, when exploring the predictive validity of the IPI, Motivation to Change is the only significant predictor of creative problem solving, over and above personality traits. 


근거에 따르면 감독자가 창의성/혁신 동기에 (긍정적이든 부정적이든) 영향을 미칠 수 있고, 따라서 개인 관리자와의 관계는 창의성과 혁신을 촉진하거나 억제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이러한 이유로 감독자들은 혁신과 창의성을 위한 중요한 '게이트키퍼'로 묘사되어 왔다(Patterson et al. 2012). 

Evidence suggests that supervisors may influence (either positively or negatively) an individual’s motivation towards creativity/innovation (Patterson et al. 2012) and thus the individualsupervisor relationship can either facilitate or inhibit creativity and innovation. This is why supervisors have been described as important ‘‘gatekeepers’’ for innovation and creativity (Patterson et al. 2012). 


실제적 함의

Practical implications 

실제로 본 연구는 창의성과 혁신이 핵심 요구사항인지에 여부에 따라 선발 과정에서 성실성이 서로 다르게 취급될 필요가 있을 수 있다는 점에서 선발의 핵심 과제를 강조한다. 

Indeed, this research highlights a key challenge for selection given that Conscientiousness may need to be differentially treated in a selection process depending on whether creativity and innovation are key requirements. 


임상 실천에서 혁신을 구현하기 위한 개인의 노력은 조직 및 팀 문화, 혁신을 위해 그들이 받는 지원에 달려 있다(Anderson et al. 2014; Hammond et al. 2011).

individual’s efforts to implement innovations in their clinical practice is contingent on organizational and team culture, and the support they receive for innovating (Anderson et al. 2014; Hammond et al. 2011). 

Patterson, F., Knight, A., Dowell, J., Nicholson, S., Cousans, F., & Cleleand, J. (2015). How effective are selection methods in medical eduction and training? Evidence from a systematic review. Medical Education 






Adv Health Sci Educ Theory Pract. 2017 May;22(2):417-428. doi: 10.1007/s10459-016-9731-4. Epub 2017 Jan 6.

Selecting for creativity and innovation potential: implications for practice in healthcare education.

Patterson F1,2, Zibarras LD3,4.

Author information

1Department of Psychology, University of Cambridge, Cambridge, UK. f.patterson@workpsychologygroup.com.2Work Psychology Group, 27 Brunel Parkway, Pride Park, Derby, Derbyshire, UK. f.patterson@workpsychologygroup.com.3Work Psychology Group, 27 Brunel Parkway, Pride Park, Derby, Derbyshire, UK.4Department of Psychology, City University London, London, UK.

Abstract

The ability to innovate is an important requirement in many organisations. Despite this pressing need, few selection systems in healthcarefocus on identifying the potential for creativity and innovation and so this area has been vastly under-researched. As a first step towards understanding how we might select for creativity and innovation, this paper explores the use of a trait-based measure of creativity and innovation potential, and evaluates its efficacy for use in selection for healthcare education. This study uses a sample of 188 postgraduate physicians applying for education and training in UK General Practice. Participants completed two questionnaires (a trait-based measure of creativity and innovation, and a measure of the Big Five personality dimensions) and were also rated by assessors on creative problem solving measured during a selection centre. In exploring the construct validity of the trait-based measure of creativity and innovation, our research clarifies the associations between personality, and creativity and innovation. In particular, our study highlights the importance of motivation in the creativity and innovation process. Results also suggest that Openness to Experience is positively related to creativity and innovation whereas some aspects of Conscientiousness are negatively associated with creativity and innovation. Results broadly support the utility of using a trait-based measure of creativity and innovation in healthcare selection processes, although practically this may be best delivered as part of an interview process, rather than as a screening tool. Findings are discussed in relation to broader implications for placing more priority on creativity and innovation as selection criteria within healthcare education and training in future.

KEYWORDS:

Creativity; Healthcare education selection; Innovation potential; Predictive validity

PMID: 28062926 DOI: 10.1007/s10459-016-9731-4

의과대학 선발에서 전인적 검토: 사회적 요구 변화에 따른 전략적, 사명-기반 대응(Acad Med, 2016)

Holistic Review in Medical School Admissions and Selection: A Strategic, Mission-Driven Response to Shifting Societal Needs

Sarah S. Conrad, MS, Amy N. Addams, and Geoffrey H. Young, PhD




의과대학과 레지던트 프로그램은 항상 교육, 연구, 임상 치료 분야에서 우수성을 추구해왔다. 그러나 이러한 추구는 진공 속에서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라 사회, 문화, 정치, 법률 및 경제력에 의해 지속적으로 그리고 필연적으로 영향을 받는다.

Medical schools and residency programs have always sought excellence in the areas of education, research, and clinical care. However, these pursuits are not accomplished within a vacuum—rather, they are continually and necessarily influenced by social, cultural, political, legal, and economic forces.


의사, 연구원 및/또는 교수로서 의료 교육 및 직업에 접근할 수 있는 선정은 과학만큼이나 예술이다. 높은 경쟁률과 제한된 리소스를 고려할 때 특히 그렇다.

Selection—who gains access to a medical education and to a career as a physician, researcher, and/or faculty member—is as much art as science. This is particularly true now, given high application-to-seat ratios and limited resources.


지원자에 대한 정량적 평가는 값지고 겉보기에는 객관적 정보를 제공하지만, 맥락을 전달하거나 지원자의 전체 이야기와 자신이 취했던 길을 말할 수는 없다.

Quantitative assessments of applicants yield valuable, seemingly objective information, but they cannot convey context or tell the full story of an applicant and the paths they have taken.


전인적 검토는 전략적으로 설계되고, 증거 중심적이며, 사명 기반이고, 다양성을 인식하는 프로세스의 사용을 촉진함에 있어, 각각이 가져오는 고유한 가치를 희생하지 않고 과학과 예술을 결합하는 개념적이고 실용적인 틀을 제공한다.

Holistic review, in promoting the use of strategically designed, evidence-driven, mission-based, diversity-aware processes, provides a conceptual and practical framework for marrying the art with the science without sacrificing the unique value that each brings.


의대 입학·선정 : 간략한 역사

Medical School Admission and Selection: A Brief History


학문적 성취는 성공적인 의사의 유일한 요구사항이 아니며 아마도 가장 중요한 요구사항도 아닐 것이라는 것은 오랫동안 이해되어 왔다. 1950년대 초에, 전국의 많은 입학 위원회 위원들은 지적 능력보다 의학생과 의사에게 더 중요한 인격과 청렴함integrity을 열거했다.1

It has long been understood that academic achievement is not the only requirement of a successful physician, and perhaps is not even the most important one. As early as the 1950s, many admissions committee members across the nation listed character and integrity as being more important for medical students and physicians than intellectual ability.1


10년 후, 이러한 필수적 자질들을 평가하기 위한 방법을 찾으려고 시도하면서, 의과대학들은 또한 후보자들을 고려할 때 인종과 민족성을 더 면밀하게 고려하기 시작했다. 인종과 민족성에 대한 이러한 초점은 변화하는 문화적 규범과 사회적 불의의 문제를 해결하고 모든 개인에게 동등한 교육을 제공하고자 하는 증가하는 욕구를 나타낸다. 이러한 초기의 노력은 의도는 좋았지만, 주로 구성적 다양성에 초점을 맞추었으며, 그러한 다양성을 뒷받침하는 제도적 역량에 거의 중점을 두지 않았다. 그 결과 다양성의 약속은 실현되지 못했고, 따라서 그것은 종종 다른 기관의 지향점와 구별되는 것으로 보여졌고, 때로는 충돌하는 것으로 여겨졌다.2

A decade later, while attempting to identify ways to assess these essential if difficult-to-determine qualities, medical schools also began to more closely consider race and ethnicity when admitting candidates. This focus on race and ethnicity represented shifting cultural norms and a growing desire to address issues of social injustice and ensure equal access to education for all individuals. These early efforts, were well intentioned but focused primarily on compositional diversity, with little emphasis given to institutional capacity to support that diversity. As a result, the promise of diversity failed to materialize, and it was therefore often viewed as being distinct from, and at times in conflict with, other institutional pursuits.2


생각은 꾸준히 진화했고, 연구는 다양성이 학습 환경에 미치는 유익한 영향을 밝히기 시작했다.

Thinking steadily evolved, and research began illuminating the beneficial effects of diversity on the learning environment.


이러한 혜택은 1978년 캘리포니아 대학교의 Regenses에서 Powell 판사가 인정한 것이다.3 Powell은 지원자에 대한 전체적 평가를 학업 지표 외에 인구통계학적 특성을 고려하는 것을 승인했으며, "의대생들은 학생체의 훈련을 풍부하게 하고 졸업생들이 인간성에 대한 그들의 중요한 봉사를 이해하도록 더 잘 준비시키는 의학 경험, 전망, 아이디어의 전문 학교에 데려올 수 있다."3

These benefits were recognized by Justice Powell in the Supreme Court’s 1978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v. Bakke decision.3 Powell approved a holistic evaluation of applicants, including the consideration of demographic characteristics in addition to academic metrics, explaining that a medical student “may bring to a professional school of medicine experiences, outlooks, and ideas that enrich the training of its student body and better equip its graduates to render with understanding their vital service to humanity.”3


지난 수십 년 동안 다양성의 이점(그리고 그 중요하지만 뚜렷한 동반자인 포함inclusion)에 대한 지식은 계속 확장되어 왔다.

Over the past several decades, knowledge of the benefits of diversity—and its critical but distinct companion, inclusion—has continued to expand.


선발에서 전체적 검토: 잠재적 해결책

Holistic Review in Selection: A Potential Solution


의과대학 입학처장과 위원회는 개인의 특성, 속성, 경험 및 학업 준비도와 그들 기관의 고유한 교육, 연구 및/또는 임상적 필요성의 균형을 신중하게 맞추는 위압적인 과제에 직면해 있다. 게다가, 그들은 그들의 공동체나 국가의 필요를 망각하지 않고 이것을 해야 한다.

Medical school admissions deans and committees are faced with the laudable though daunting task of carefully balancing individual characteristics, attributes, experiences, and academic readiness with the unique educational, research, and/or clinical needs of their institution. Furthermore, they must do this without losing sight of the needs of their community or nation.


AAMC는 전체론적 검토를 다음과 같이 정의한다.

the AAMC defines holistic review as


경험, 속성 및 학업 지표에 대해 균형있게 고려하는 방식으로 지원자의 능력을 평가하는 유연하고 개별화된 방법이다. 이런 것들을 결합하여 고려했을 때 개인이 의대생과 의사로서 가치에 어떻게 기여할 수 있는지 평가하는 방법이다.6

a flexible, individualized way of assessing an applicant’s capabilities by which balanced consideration is given to experiences, attributes, and academic metrics and, when considered in combination, how the individual might contribute value as a medical student and physician.6


이 정의는 학점이나 표준화된 시험 점수와 같은 학업적 지표 역시 몇 가지 중요한 기준 중 하나이며 지원자의 의료 교육 경로 맥락에서 고려되어야 한다는 것을 인정한다.

This definition acknowledges that academic metrics such as grades and standardized test scores should be considered as one of several important criteria and in the context of an applicant’s pathway to medical education.


또한 AAMC는 전체론적 검토를 모호한 개념에서 실행 가능한 과정으로 전환하는 유연한 프레임워크를 개발했다. 전체론적 검토는 임무에 기반하고, 증거에 의해 주도되며, 모든 선택 과정의 모든 단계에 통합되고, 모든 지원자들에게 공평하게 적용되며, 다양성이 우수성을 달성하는 데 핵심임을 인식한다.

The AAMC has also developed a flexible framework shifting holistic review from a vague concept to an actionable process: Holistic review is 

  • mission based, 

  • evidence driven, 

  • integrated into all stages of the selection process, and 

  • applied equitably across all applicants, and it 

  • recognizes diversity broadly defined as central to achieving excellence.


중요한 것은, 그리고 이 프레임워크는 지원자들을 보는 렌즈를 확장하고 의사 결정자들이 지원자를 미래의 의대생이나 레지던트뿐만 아니라 미래의 의사로도 고려하도록 장려한다.

Importantly, and in support of Dr. Kirch’s proposal to transform admissions, this framework expands the lens through which applicants are viewed and encourages decision makers to consider the applicant not only as a future medical student or resident but also as a future physician.


전인적 검토는 현재 의과대학 입학에서 표준 어휘의 일부분이다.

Holistic review is now part of the standard lexicon in medical school admissions,


다양한 고등교육기관과 전문학교들은 전인적 검토와 기관적 목표 달성의 연관성을 강조했다. 전인적 검토를 통해 그러한 연계가 명확하게 설정되면, 기관의 사명과 목표는 입학 및 선발 기준의 기초가 된다.8

A variety of institutions of higher education and professional schools emphasized the link between holistic review and achievement of institutional goals. When that link is clearly established through holistic review, an institution’s or program’s mission and goals then become the foundation for admissions and selection criteria.8


취업에 대한 법적 파라미터는 대학 입학과는 다르지만, 전인적 검토의 기본 원칙은 레지던트 선발과 교수 채용 등 다른 선발 과정에도 적용될 수 있다. 2015년 프로버와 동료의 논평9에서 레지던트 지원자 선정에 있어 미국의 의사면허시험 1단계 점수에 대한 과도한 의존도를 비판하면서, 저자들은 "커뮤니티 참여, 리더십 역할, 독특한 개인적 속성"을 포함할 수 있는 레지던트 선택에 대한 "더 합리적이고 전체적인" 접근방식을 주장했다. "다양성"은 전문성, 환자 관리, 학제 간 팀의 일부로서 기능할 수 있는 능력과 같은 역량에 추가된다.

Though the legal parameters for employment are different from those in admissions, the basic principles of holistic review are transferrable to other selection processes including residency selection and faculty hiring. In a 2015 Commentary by Prober and colleagues9 critiquing the overreliance on United States Medical Licensing Examination Step 1 scores in selecting residency applicants, the authors advocated for a “more rational” and holistic approach to residency selection that may include “community engagement, leadership roles, unique personal attributes, and diversity” in addition to competencies such as professionalism, patient care, and ability to function as part of an interdisciplinary team.


전인적 검토의 발전

Advancing Holistic Review


전인적 검토와 기타 다양성 관련 노력은 꾸준히 진화하고 있다. 점점 더 많은 연구에서 기관들은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이러한 노력을 의학 교육의 연속에 걸쳐 맞추는 것의 중요성을 보여준다.11

Holistic review and other diversity- related efforts are steadily evolving. A growing body of research illustrates the importance of aligning these efforts across the continuum of medical education in order to achieve goals.11


이 정렬alignment은 기관의 미션에서 시작하는데, 기관의 미션이란 잠재적 지원자들과 지역사회에 전달하는 메시지이기 때문이다. 그런 다음 모집 전략, 커리큘럼 및 교육, 학생 지원 서비스 및 교수 개발에 대한 고려가 이루어져야 한다. 마찬가지로 레지던트 프로그램에서 공식적인 전인적 검토 프로세스의 구현을 고려한다면, 교육 과정과 레지던트가 학습할 임상 학습 환경에도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This alignment begins with institutional mission and the message that mission conveys to potential applicants and to the community. Consideration should then be given to enrollment strategies, curriculum and pedagogy, student support services, and faculty development. Similarly, as residency programs consider implementing more formal holistic review processes, attention should be paid to the pedagogies used and clinical learning environments in which residents learn.


이러한 증거 기반 선발 관행에 대한 강조는 전인적 검토와 건전한 법률 및 교육 정책의 핵심 원칙이다. 평가는 법률 시스템을 포함한 주요 이해당사자에게 다양성에 대한 기관 또는 프로그램의 특정 요구를 방어하기 위해 필요한 데이터와 증거를 제공한다.13

This emphasis on evidence-based selection practices is at once a core principle of holistic review and sound legal and educational policy. Evaluation provides the data and evidence necessary to defend an institution’s or program’s specific need for diversity to key stakeholders, including the legal system.13


마지막으로, 선택 과정과 일반적인 대학의학은 다른 이해관계자 그룹들 간의 집단적이고 투명한 의사소통과 협업을 통해서만 최적화할 수 있다. 전인적 검토는 지원자에 대한 광범위한 정보에 의존하며, 그 성공 여부는 신청자와 학교, 또는 그들의 [사명과 목표]가 [정책과 실천]에 부합하는지 여부를 정보에 입각하여 결정할 수 있느냐에 달려있다. 

Finally, the selection process, and academic medicine in general, can only be optimized through collegial, transparent communication and collaboration among different stakeholder groups. Holistic review depends on a wide range of information about the applicant, and its success depends on applicants and schools or programs being able to make well-informed decisions about whether their mission and goals are aligned with policies and practices.


또한, 의과대학과 레지던트 프로그램이 지원자들에게서 그들이 추구하는 자질, 경험, 그리고 학문적 측정지표와 학교나 프로그램의 성공과 관련된 요소들을 좀 더 명확하게 광고하도록 추진되고 있다.15

Additionally, there is a push for medical schools and residency programs to more clearly advertise the qualities, experiences, and academic metrics they seek in applicants and, where appropriate, factors associated with success in their schools or programs.15


결론

Conclusion


미국의 인구통계학적 구성은 10년 전과 확연히 다르며, 인종, 종교, 성 정체성의 차원에 따른 지속적인 건강과 사회적 불평등의 현실은, 특히 학문의학 자체와 병자들을 돌보는 그것의 역할에 대해 현저하게 도전해 왔다. 이러한 도전은 대학의학계만으로는 건설적으로 해결할 수 없다.

The demographic composition of the United States is markedly different than it was a decade ago, and the reality of persistent health and societal inequities along dimensions of race, religion, and gender identity, among others, has significantly challenged how academic medicine views itself and its role of caring for the sick. These challenges cannot be constructively addressed by the academic medicine community alone.



 2016 Nov;91(11):1472-1474.

Holistic Review in Medical School Admissions and Selection: A StrategicMission-DrivenResponse to Shifting Societal Needs.

Author information

1
S.S. Conrad is director, Advancing Holistic Review Initiative, Association of American Medical Colleges, Washington, DC. A.N. Addams is director, Student Affairs, Strategy & Alignment, Association of American Medical Colleges, Washington, DC. G.H. Young is senior director, Student Affairs and Programs, Association of American Medical Colleges, Washington, DC.

Abstract

Medical schools and residency programs have always sought excellence in the areas of education, research, and clinical care. However, these pursuits are not accomplished within a vacuum-rather, they are continually and necessarily influenced by social, cultural, political, legal, and economic forces. Persistent demographic inequalities coupled with rapidly evolving biomedical research and a complex legal landscape heighten our collective awareness and emphasize the continued need to consider medicine's social contract when selecting, educating, and developing physicians and physician-scientists.Selection-who gains access to a medical education and to a career as a physician, researcher, and/or faculty member-is as much art as science. Quantitative assessments of applicants yield valuable information but fail to convey the full story of an applicant and the paths they have taken. Human judgment and evidence-based practice remain critical parts of implementing selection processes that yield the desired outcomes. Holistic review, in promoting the use of strategically designed, evidence-driven, mission-based, diversity-aware processes, provides a conceptual and practical framework for marrying the art with the science without sacrificing the unique value that each brings.In this Commentary, the authors situate medical student selection as both responsive to and informed by broader social context, health and health care needs, educational research and evidence, and state and federal law and policy. They propose that holistic review is a strategicmission-driven, evidence-based process that recognizes diversity as critical to excellence, offers a flexible framework for selecting future physicians, and facilitates achieving institutional mission and addressing societalneeds.

PMID:
 
27627631
 
DOI:
 
10.1097/ACM.0000000000001403


긍정적 응답왜곡: 의과대학 지원자의 자기고양(Med Educ, 2012)

Faking good: self-enhancement in medical school applicants

Barbara Griffin1 & Ian G Wilson2




도입

INTRODUCTION


최근 의학 교육에서 인성의 잠재적인 역할에 관심이 쏠리고 있으며 초기 연구에 따르면 일부 인성 요인(예: 양심)은 특히 상당한 임상 구성요소를 포함하는 과정들에서 학업 성적의 중요한 예측 변수라고 한다.12

attention has recently turned to the potential role of personality in medical education and early research suggests that some personality factors (e.g. conscientiousness) are significant predictors of academic grades, especially in courses that contain a substantial clinical component.1,2


비의료적인 맥락에서, 선발에서의 성격 테스트의 사용은 널리 퍼져 있으며, 성격이 직무 수행을 예측할 뿐만 아니라, 특히 수행의 친사회적 측면에 대한 인지 능력의 예측 효과에 대한 점진적인 차이를 설명한다는 것을 보여주는 많은 문헌에 기초하고 있다.3 또한, 선발 시 성격 테스트를 포함하면 학업 및 인지 능력의 측정이 소수 또는 불리한 집단에 미치는 악영향을 감소시킨다.3

In non-medical contexts, the use of personality testing for selection is widespread and is based on a large body of literature showing that personality not only predicts job performance, but explains incremental variance over the predictive effect of cognitive ability, especially for the prosocial aspects of performance.3 Furthermore, including personality tests in selection reduces the adverse impact that measures of academic and cognitive ability have on minority or disadvantaged groups.3


 그럼에도 불구하고, 인성의 사용은 대부분 자기 보고 조치에 의존해 왔으며, 따라서 구직자들이 그들의 반응을 왜곡할 수 있는 가능성은 많은 관심을 불러일으키는 논쟁의 대상이 되어 왔다. 전형적으로 '긍정적 응답왜곡'라는 용어를 사용하여 조사되었다(그리고 덜 흔하게 '응답 왜곡', '자기 강화', '분열화'라고 불림), 이 현상은 '인성 항목에 대한 반응을 조작하기 위한 의식적인 노력'으로 정의되었다.6 일부 관찰자-78은 'faking good'가 지원자들 사이에 널리 퍼지지 않는다고 확신하고 있지만 다른 사람들은 지원자들이 성격 테스트를 마칠 때 그들의 응답을 왜곡할 수 있다고 주장한다. 

 Nevertheless, the use of personality has largely relied on self-report measures and therefore the potential for job applicants to distort their responses has been the subject of much concern andongoing debate. Typically investigated using the term‘faking good’ (and less commonly called ‘response distortion’, ‘self-enhancement’ and ‘dissimulation’), the phenomenon has been defined as: ‘a conscious effort to manipulate responses to personality items tomake a positive impression.’6 Although some observ-ers7,8 are convinced that faking good is not prevalentamong applicant populations, others9 argue that applicants can and do distort their responses when completing tests of personality. 


선발 면접 당시(즉, 지원자로서) IPIP

the International Personality Item Pool (IPIP),10 at the time of their selection interview (i.e. as applicants),


IPIP는 널리 받아들여지는 5가지 인성 이론의 유효한 척도로, 인성은 양심, 외향, 동질, 신경증, 경험에 대한 개방 등 다섯 가지 상위 요소로 이루어져 있다고 단언한다.11

The IPIP is a valid measure of the widely accepted five-factor theory of personality, which posits that personality consists of five higher-order factors: conscientiousness; extroversion; agreeableness; neuroticism, and openness to experience.11


과거의 연구 결과에 따르면, 한 개인의 선의 조작 능력과 성향은 많은 요인에 의해 좌우되며, 그 중 많은 요인들은 의과대학에 입학하는 맥락과 관련이 있다. 예를 들어, 높은 의욕의 사람들은 특히 경쟁률이 높을 때 응답을 왜곡하며, 이는 의과대학 선발의 고부담 수준을 분명하게 반영한다. 또한, 사람들이 자신이 지원하는 직업군에 대한 긍정적인 고정관념에 일치하는 방향으로, 그리고 특정한 직업에 중요하다고 생각되는 특정 자질에 대해 어떻게 인식하느냐에 따라 성격 시험에 대한 그들의 반응을 왜곡할 것이라는 것을 발견했다.13,14

Past research indicates that a person’s ability and propensity to engage in faking good depends on a number of factors, many of which are relevant to the context of selection into medical school. For example, highly motivated people are likely to dissimulate, especially when the selection ratio (proportion of successful applicants to number of total applicants) is small,12 which clearly reflects the high-stakes context of medical school selection. In addition, studies have found that people will distort their responses to a personality test in line with positive stereotypes of incumbents in the job for which they are applying or according to their perceptions of the importance of certain qualities for a particular job.13,14


또한, 인지 능력이 높은 사람들은 시험 항목이 무엇을 측정하는지 더 쉽게 이해할 수 있기 때문에 그들의 반응을 왜곡할 수 있다고 생각된다.15 의과 지원자들의 높은 능력을 고려할 때, 성격 테스트에 대한 불임 발생률이 높을 것으로 예상할 수 있다. 이와는 대조적으로 맥파랜드와 라이언16은 신경증에서 낮은 점수를 받고 성실성과 양심성에 높은 점수를 받은 사람들은 dissimulation의 정도가 낮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In addition, those with high levels of cognitive ability are thought to be more able to distort their responses because they can more readily understand what the test items are measuring.15 Given the high ability of medical school applicants, one might expect to see a high incidence of dissimulation on personality tests. By contrast, McFarland and Ryan16 showed that those who scored lower on neuroticism and higher on integrity and conscientiousness dissimulated to a lesser extent.


방법

METHODS


연구참여자와 연구 설계

Participants and study design


초기 (시간 1) 설문지는 응답이 위조될 가능성이 더 높은 사전 선택 버전을 나타낸다. 참가자들이 일단 프로그램에 자리를 잡으면 자신을 과대평가할 이유가 적었기 때문에, Time 2 설문지가 완성된 것은 '정직한' 버전으로 여겨진다.

The initial (Time 1) questionnaire represents the pre-selection version to which responses would be more likely to be faked. The Time 2 questionnaire completed post-selection is considered the ‘honest’ version as there was less obvious reason for participants to over-represent themselves once they had gained a place on the programme.


척도

Measures


결과

RESULTS


이러한 결과는, 평균적으로 참가자들이 그들의 반응을 '긍정적인' 방향으로 조작했다는 것을 보여준다. 예를 들어, 데이터에 대한 검사 결과, 77.1%의 학생들이 타임 2보다 타임 1에서 더 높은 외향 점수를 받았다고 한다.

These results show that, on average, participants had falsified their responses in a ‘positive’ direction. An inspection of the data shows, for example, that 77.1% of students obtained a higher extroversion score at Time 1 than at Time 2.


우리는 각 학생이 좋은 척도를 조작한 척도 수를 합산했고(95% CI를 벗어난 점수 사용) 표본의 62.7%가 5가지 성격 척도 중 적어도 하나에서 분리되었지만, 오직 4.8%만이 5가지 척도 모두에서 자가 강화되었다는 것을 알아냈다.

We summed the number of scales on which each student had faked good (using scores outside the 95% CI) and found that 62.7% of the sample had dissimulated on at least one of the five personality scales, but only 4.8% had self-enhanced on all five scales.



고찰

DISCUSSION


본 연구의 연구 결과는 의과대학에 지원한 사람들이 자기 보고 테스트를 완료할 때 자신의 성격에 대한 오해의 소지가 있거나 기만적인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The findings of this study indicate that those applying for entry into a medical degree may well present misleading or deceptive information about their personalities when completing self-report tests.


표본의 거의 3분의 2가 적어도 5대 인성 요인 중 하나를 조작한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dissimulation 징후는 모든 지원자들이 자신의 성격 테스트 결과가 선택에 사용되지 않을 것이라는 확신을 가지고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발생했으며 우리는 성격 테스트가 선택 과정의 공식적인 부분이었다면 dissimulation 수준이 훨씬 더 높았을 것이라고 제안한다.

nearly two-thirds of the sample appeared to have faked good on at least one of the Big Five factors of personality. This indication of dissimulation occurred despite the fact that all applicants had been assured that their personality test results would not be used for selection and we suggest that the level of dissimulation might have been even greater if personality testing had been a formal part of the selection process.


비록 우리의 결과가 상당한 비율의 지원자들이 그들의 점수를 바꿨다는 것을 보여주지만, 이 변화는 결코 보편적인 것이 아니었고 따라서 일부 지원자들, 특히 매우 정직한 지원자들에게 불리할 가능성이 있다.

Although our results show that a significant proportion of applicants changed their scores, this change was by no means universal and would thus potentially disadvantage some applicants, particularly very honest ones.


위조 효과에 관한 두 번째 주요 논쟁은 가짜 점수가 중요한 성과 결과를 예측하기 위한 타당성을 유지하는지 여부와 관련이 있다.

The second major debate regarding the effect of faking relates to whether or not faked scores maintain validity for predicting important performance outcomes.


세 번째 고려해야 할 문제는 dissimulation가 실제로 완전히 부정적인 행동인지 여부다. 대안적인 관점은 그것이 합법적이고 적응적일 수 있는 신청자의 한 부분에 자기보존의 형태를 나타낸다는 것이다.24 불행히도, 이러한 위조 관점을 채택하는 것은 결국 신청자가 코칭에 착수하는 정도를 증가시킬 수 있으며, 이는 원하는 방향으로 점수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여진다.25 

The third issue to consider is whether or not dissimulation is actually a completely negative behaviour. An alternative view is that it represents a form of self-preservation on the part of the applicantthat may well be legitimate and adaptive.24 Unfortunately, adopting this perspective of faking may ultimately increase the extent to which applicants undertake coaching, which has been shown to influence scores in the desired direction.25 


이러한 유보에도 불구하고, 선발 연구자들 사이에서는, dissimulation 문제는 성격 자체의 구성의 문제라기 보다는 시험의 속성이라는 것에 대한 일반적인 동의가 있다.

Despite these reservations, there is general agreement among selection researchers that the problem of dissimulation is a property of the tests rather than a problem of the constructs of personality themselves.


연구 결과에 따르면 dissimulation이 통제될 수 있다고 한다. 

  • 테스트에 거짓을 탐지할 항목이 포함되어 있고 응답이 검증될 수 있다는 경고를 줌으로써,26 

  • 19,27 그리고 더 미묘한 아이템을 개발함으로써 

  • 응답 지연 시간 측정함으로써26 

그러나 의대생 선발과 같은 고부담의 맥락에서 자율보고의 사용은 문제를 일으킬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대학 입학처는 인격을 측정하는 대안적 방법을 고려해야 한다.

Research suggests that dissimulation can be controlled by giving warnings that the tests contain items to detect faking and that responses may be verified,26 by developing more subtle items,19,27 and by measuring response latency times.26 However, in a highstakes context such as medical student selection, the use of self-reports is likely to present a problem and therefore university admissions departments should consider alternative ways of measuring personality.


이 연구의 한계는 실패한 지원자들에게 타임 2 데이터를 수집할 수 없다는 것을 의미한다.

A limitation of this research refers to our inability to collect Time 2 data for unsuccessful applicants.


성격의 안정성과 의대생으로서의 우리 응답자들의 경험의 간결함을 고려할 때(1개월) 그들의 공부 환경에서 스트레스 요인에 대한 대응으로 변화가 일어났을 가능성도 낮다. 비의료적 맥락에서의 지원자 성격 테스트에 대한 많은 연구 기관의 결과와의 연구 결과의 유사성은 다른 직책에 대한 지원자처럼, 의과대학에 지원한 사람들이 성격에 대해 대답할 때 부정적인 자질을 부정하고 긍정적인 자질을 과대평가하는 경향을 보여준다는 결론을 어느 정도 뒷받침해 준다. st

Given the stability of personality3 and the brevity of our respondents’ experience as medical students (1 month), it is also unlikely that the changes occurred in response to stressors in their study environment. The similarity of our findings with outcomes in a large body of research on applicant personality testing in non-medical contexts6,9 gives some support to the conclusion that, like applicants to other positions, applicants to medical school demonstrate a tendency to deny negative qualities and overstate positive qualities when answering personality tests. 




 2012 May;46(5):485-90. doi: 10.1111/j.1365-2923.2011.04208.x.

Faking goodself-enhancement in medical school applicants.

Author information

1
Department of Psychology, Macquarie University, Sydney, New South Wales, Australia Department of Medical Education, School of Medicine, University of Western Sydney, Sydney, New South Wales, Australia.

Abstract

OBJECTIVES:

The problem of dissimulation by applicants when self-report tests of personality are used for job selection has received considerable attention in non-medical contexts. Personality testing is not yet widely used in medical student selection, but this may change in the light of recent research demonstrating significant relationships between personality and performance in medical school. This study therefore aimed to assess the extent of self-enhancement in a sample of medical school applicants.

METHODS:

A within-subjects design compared personality test scores collected in 2007 for 83 newly enrolled medical students with scores for the same students obtained on the same personality test administered during the selection process 4 months previously. Five factors of personality were measured using the International Personality Item Pool and mean differences in scores were assessed using paired t-tests.

RESULTS:

At the time of selection, the personality scores of successful applicants were similar to those of candidates who were not accepted (n=271). Once selected, the medical students achieved significantly lower scores on four of the five personality factors (conscientiousness, extroversion, openness to experience, agreeableness) and higher scores on the fifth factor (neuroticism). Of the selected students, 62.7% appeared to have 'faked good' on at least one of the five factors measured.

CONCLUSIONS:

Applicants to medical school are likely to dissimulate when completing self-report tests of personality used for selection. The authors review the evidence as to whether such dissimulation reduces construct and predictive validity and summarise methods used to reduce self-enhancement in applicant samples.

PMID:
 
22515756
 
DOI:
 
10.1111/j.1365-2923.2011.04208.x


학업적 뼈대: 중등교육부터 전문의까지 종단적 연속성(BMC Medicine, 2013)

The Academic Backbone: longitudinal continuities in educational achievement from secondary school and medical school to MRCP(UK) and the specialist register in UK medical students and doctors

IC McManus1,2*, Katherine Woolf1, Jane Dacre1, Elisabeth Paice3 and Chris Dewberry4




배경

Background


삶의 후반부의 교육적, 직업적 성취는 종종 삶의 초기에 교육적, 전문적 성취에 달려있다. 이 원칙은 오래 전에 교육의 맥락에서 인정되었는데, 인디애나 대학 교육대학 게시판에는 이렇게 써있다 "'미래 성취의 가장 좋은 예측자는 예측 당시 달성한 성취의 수준이다. 초등학교에서 좋은 독자는 중학교와 고등학교 내내 계속해서 좋은 독자가 된다. [다른 기술의 범위]에서도 마찬가지다."

Educational and professional achievements later in life often depend on educational and professional attainments earlier in life. This principle was recognized long ago in the context of education, with a 1924 article in the Bulletin of the School of Education of Indiana University saying: ‘the best predictor of future achievement is the level of achievement attained at the time of the prediction. The good reader in the elementary school continues to be a good reader throughout junior and high school; the same is true for [a range of other skills]’ [1].


그 원칙은 종종 '미래 행동의 가장 좋은 예측자는 과거의 행동이다'라고 언급된다. 이 구절의 초기 사용은 Berdie et al.에 의한 연구에 있었다. [2], 그는 이렇게 말했다: '미래 행동의 가장 좋은 예측자는 과거의 행동이다. 보통 고등학교에서 잘한 학생은 대학에서 잘 할 것이다. 고등학교와 대학 평균 사이의 상관관계는 약 0.50'이다.

The principle is now often stated as: ‘the best predictor of future behaviour is past behaviour’. An early use of the phrase was in the study by Berdie et al. [2], who said that: ‘the best predictor of future behavior is past behavior. Usually the pupil who has done well in high school will do well in college. Correlations between high school and college grade averages are about .50’.


의학 교육의 맥락에서 우리는 이 원리를 '학업적 뼈대'이라고 언급할 것이다. 의학과 의학 내에서 우리는 호흡기 질환에 대한 대학원생들의 이해는, 말하자면 임상 학생으로서 습득한 지식, 경험, 이해에 기초하고, 그 자체가 기초 의학에서 습득한 폐 생리학에 대한 이해에 기초하고 있다고 믿을 만한 충분한 이유가 있다고 믿는다. 이는 다시 고등학교 수준(A-level) 생물학 및 화학에서 습득한 보다 기본적인 생물학적 지식을 기반으로 하며, 이 지식은 또다시 중등교육 일반 자격증/보통 수준(GCSE/O-level)과, 그리고 더 나아가 산수나 읽고 쓰기 같은 등과 같은 그 이전 단계와 연관될 것이다.

In the context of medical education, we will refer to this principle as the ‘Academic Backbone’. Within medicine and medical science, we believe there is good reason to believe that the post-graduate understanding of, say, respiratory disease, is built upon knowledge, experience, and understanding acquired as a clinical student, which is itself built upon an understanding of pulmonary physiology acquired in the basic medical sciences, which in turn is built upon more basic biological knowledge acquired in Advanced level (A-level) Biology and Chemistry, which has its foundations in science learned at General Certificate of Secondary Education/ Ordinary level (GCSE/O-level) and earlier, with those concepts based on earlier educational achievements in the form of being able to read, write, do arithmetic, and so on.


우리의 아카데믹 백본의 은유적인 사용은 두 가지 기원을 가지고 있다. 

Our metaphorical use of Academic Backbone has two origins. 


첫째, 인간의 머리가 똑바로 서 있는 것은 단지 척추에 의해 제공되는 골격 지지대 때문만이 아니며, 그 주위에 위치한 근육과 힘줄의 동적 긴장 때문에 수직적이고 안정적으로 지상에 위치한다. 마찬가지로 따라서 고급 대학원 지식은 훈련 중에 이전에 습득한 임상 지식, 실습 기술 및 이론적 이해의 연동 세트에서 개발되고 유지된다. 즉 전문 분야 그 자체뿐만 아니라 의료 과학의 지적 토대를 함께 제공하는 다양한 인지적 분야와 기술로 인해서 유지될 수 있는 것이다.

Firstly, just as the human head stands erect, vertical and stably situated above the ground not merely because of the skeletal support provided by the vertebrae, but also because of the dynamic tensions of the muscles and tendons positioned around it, so advanced postgraduate knowledge is developed from and maintained by the interlocking sets of clinical knowledge, practical skills, and theoretical understanding acquired previously during training, not only in the specialist area itself but also in a range of cognate disciplines and skills that together provide the intellectual underpinnings of medical science.


둘째로, 우리가 '등뼈'라는 용어를 사용하는 것은 해부학적 은유일 뿐만 아니라, 구조 방정식 모델링에서 종종 발견되는 도표에서 영감을 얻었는데, 이 도표들은 나중에 우리가 사용하게 될 것이고, 여기서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일련의 측정들이 나란히 놓여지고, 각각의 측정들은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움직이게 되고, 다른 요인들이 위치한 주위로도 상상할 수 있는 것. 백본의 통계적 상관관계는 기술적으로 시간에 걸친 단순한 상관관계라고 불리는 것으로, 사실상 현재가 과거에 기초하고 있으며, 미래에 대한 기초를 제공한다고 한다.

Secondly, our use of the term ‘backbone’ is not only an anatomical metaphor, but also is inspired by the diagrams often found in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which we will use later in these analyses, whereby a series of measures are laid side by side, from left to right, each causing the ones to its right, and being caused by the ones to its left, in what can also be envisaged as a backbone around which other factors are located. The statistical correlate of the backbone is what technically is called a simplex of correlations across time, in effect saying that the present is built upon the past, and provides the foundations for the future.


학문의 백본이 있다면, 학문의 성취가 의대생 선발의 주요 기반이 되어야 한다는 것이 이론적이고 실용적인 핵심이다.

If there is an Academic Backbone, then a key theoretical and practical corollary is that academic attainment should be a major basis for the selection of medical students.


문헌에 그러한 조치의 체계적인 예가 비교적 적음에도 불구하고, 학부 및 대학원 달성 조치의 내부와 사이의 상관관계는 계산하기에 비교적 간단하다.

Correlations within and between undergraduate and post-graduate attainment measures are relatively straightforward to calculate, even though there are relatively few systematic examples of such measures in the literature.


경험적으로, 자료의 수집과 상관관계의 계산은 어렵지 않지만, 그러한 상관관계는 종종 그들이 선택할 가치 있는 근거를 제공하지 못하는 것처럼 보일 정도로 실망스러울 정도로 작은 것처럼 보인다. 이는 명문 학술지에서도 발견되는 바와 같이 A-수준 등급과 같은 측정치가 대학 성취도를 예측하는 데 실제로 거의 가치가 없다는 진술을 하게 되었다[4]. 그러나 이것은 순진한 해석일 것이다. 정신측정학에서는 선발시험의 성과와 선발된 학생의 성과 사이의 낮은 상관관계의 문제가 잘 알려져 있다. 1943년 버트[5]에서는 'scholarship examination의 효율성을 선발 수단으로 판단하는 time-honoured 오류'를 지적했다. 이 오류에서 효율성은 선발된 그룹 내의 능력merit의 순서를 예측하는 수단으로 판단된다'

Empirically, the collection of the data and the calculation of the correlations is not difficult, but such correlations often seem to be disappointingly small, to the extent that they do not seem to provide a worthwhile basis for selection. This has resulted in statements, found even in prestigious journals, that measures such as A-level grades are actually of little value in predicting university attainment [4]. This would, however, be a naive interpretation. Within psychometrics, the problem of low correlation between performance on a selection test and outcome performance in those selected, is well known. Burt in 1943 [5] referred to the, ‘time-honoured fallacy of judging the efficiency of a scholarship examination as a means of selection by stating its efficiency as a means of predicting the order of merit within the selected group’ (p.2).


선발에 대한 연구에 있어서 가장 근본적인 문제는 시험에 기초해서 선발되지 못한 사람들은 필연적으로 그 시험의 낮은lower 수행자들이며, 우리는 선발 후 시험에서 그들이 어떻게 했을지 거의 측정할 수 없다는 것이다. A급 성적 등 선발 대책을 검증하기 위해서는 선발된 사람만이 아니라 전체 지원자 풀의 상관관계를 파악할 필요가 있다.

The most fundamental problem in studying selection is that those who fail to be selected on the basis of a test are by necessity lower performers on that test, and we can rarely, if ever, measure how they might have done in post-selection tests. In order to validate selection measures such as A-level grades, we need to know about the correlations in the entire pool of applicants, not just in those who have been selected.


이 범위 제한은 다음을 의미한다. 선발된 그룹(의과대학에 입학한 그룹)에서 선발 척도(예: A-수준)와 성과 척도(예: 의대 1학년)의 상관관계는 (만약 모든 의과 대학 지원자들에 대해 분석했을 때보다) 반드시 약할 것이다는 점이다. 

This restriction of range means that in the selected group (those who enter medical school) the correlation of the selection measure (for example, A-levels) with the outcome measure (for example, first year medical school examinations) will necessarily be weaker than would be the case if performance were to have been assessed across the whole range of medical school applicants.


이 상황을 평가할 수 있는 유일한 방법은, 입학자가 모든 수준의 성취도에 대한 모든 지원자의 풀에서 무작위적이고 대표적인 표본이 되는 것이다. 범위 제한 문제에 대한 통계적 해결책은 수 십 년 동안 연구되어 왔으며 [5] 현재 그 문제는 통계적으로 추적가능하기 때문에 전체 선택에 대한 유효성 계수를 계산할 수 있다(이하 'construct validity'이라 한다).

That situation could only be assessed empirically if entrants were to be a random, representative sample from the pool of all applicants, with A-level grades at all levels of achievement. Statistical solutions to the problem of range restriction have been explored for many decades [5] and the problem is now statistically tractable [6,7], so that validity coefficients for selection as a whole (so-called ‘construct validity’) can therefore be calculated.


여기서 우리는 학업적 뼈대가 의과대학 이전, 의과대학 중, 의과대학 후의 수행 척도 사이에 어느 정도로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여주며, 실질적 의미가 있는지에 초점을 맞출 것이다.

Here, we will concentrate on the extent to which the Academic Backbone has empirical substance, manifesting as significant correlations between earlier and later measures of performance, before, within, and after medical school.


의술에 사용되는 선발척도는 크게 성취(또는 달성) 척도와 적성(또는 능력) 척도로 나눌 수 있다[3]. 

  • 영국의 GCSE와 A-수준이 예가 될 수 있는 달성/성공 시험은 전형적으로 공식적인 중등교육 동안 습득한 지식과 기술을 평가하며, 은 성과는 아마도 지적 능력뿐만 아니라 동기부여와 일반적인 학습 능력을 필요로 할 것이다[9]. 

  • 이와는 대조적으로, 영국의 UKCAT(United Clinical Aptitude Test)와 바이오메디컬 입학 시험(BMAT)과 같은 적성/능력 시험 '사고와 추론을 위한 지적 능력, 특히 논리적이고 분석적인 추론 능력'을 강조한다[10]. 그것들은 잠재력의 척도가 되고 형식적인 학교교육과는 무관하다고 느끼고 있으며, 여러 가지 면에서 기본적인 정신능력이나 지능의 척도와 겹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 미국의 의대생을 선발하는 데 사용되는 의대 입학시험(MCAT)과 같은 시험[11]은 생물학, 화학, 물리학에서 나온 물질 범위에 대한 실질적인 학문적 이해를 측정하며, 따라서 적성보다는 주로 성취도 측정이 된다.

Selection measures used in medicine can be broadly divided into measures of attainment (or achievement) and measures of aptitude (or ability) [3]. 

  • Attainment/ achievement tests, of which GCSEs and A-levels in the UK would be examples, typically assess the knowledge and skills that have been acquired during formal secondary education, and high achievement probably requires not only intellectual ability but also motivation and generic study skills [9]. 

  • By contrast, aptitude/ability tests, such as the UK Clinical Aptitude Test (UKCAT) and BioMedical Admissions Test (BMAT) in the UK, emphasize ‘intellectual capabilities for thinking and reasoning, particularly logical and analytical reasoning abilities’ [10]. They are felt to be measures of potential and to be independent of formal schooling, and in many ways can be regarded as overlapping with measures of basic mental ability or intelligence. 

  • Tests such as the Medical College Admission Test (MCAT), used to select medical students in the USA [11], measure substantive academic understanding of a range of material from biology, chemistry, and physics, and are therefore primarily measures of attainment rather than of aptitude.


적성에 근거한 선택과 성취 대책의 주요한 차이점은 적성시험은 일반적인 사고와 추론 기술이 의과대학 수행의 주요한 예측인자라고 보는 반면, 성취시험은 생물학이나 화학의 사실, 이론, 아이디어와 같은 실질적인 지식이 중요하다고 가정한다는 것이다. 그 자체가 일반적인 기술 이외에 의과대학의 성과의 예측자이며, 과거에 치러진 성취 시험에서 이룬 우수한 성과는 동기, 지적 능력 및 인성의 일부 조합을 나타내는 간접적인 지표라고 할 수 있다[12].

The major difference between selection based on aptitude and on attainment measures is that the use of aptitude tests assumes that generic thinking and reasoning skills are the major predictors of medical school performance, whereas the use of attainment tests assumes that substantive knowledge, such as of the facts, theories and ideas of biology or chemistry, are themselves predictors of medical school performance in addition to general skills, and that previous good performance on attainment tests is an indirect indicator of some combination of motivation, intellectual ability, and personality [12].




결과의 예측자로서의 성별과 민족

Sex and ethnicity as predictors of outcome


의학 교육에 대한 지속적인 관심의 두 가지 인구학적 요인은 성별과 민족성이다. 백인 이외의 영국 의대생들은 MRCP(영국)를 포함하여 의대 시험[14,15]과 대학원 시험[15]에서 성적이 떨어진다. 또한 남성과 여성은 MRCP(영국)에서 다르게 수행하며, 남성과 여성은 똑같이 제1부에 합격할 가능성이 높지만, 여성은 제2부와 임상시험 스킬(PACES)의 실기 평가에 합격할 가능성이 더 높다 [16]. 또한 남성은 Fitness to Practise에 대한 우려처럼 GMC에 의해 조사되고 제재를 받을 가능성이 훨씬 더 높다[17,18]. 대학원 시험에서 다른 성과를 해석하는 것은 의사들이 MRCP(영국)와 같은 시험을 볼지 말지를 선택하고, 시험을 볼지를 선택하는 사람들이 의대를 졸업하는 사람들의 무작위 하위집합은 아닐 수도 있다는 사실 때문에 복잡하다.

Two demographic factors of continuing interest in medical education are sex and ethnicity. Non-white UK medical students perform less well both in medical school examinations [14,15] and in post-graduate examinations [15], including the MRCP(UK) [16]. Men and women also perform differently on the MRCP(UK), men and women being equally likely to pass Part 1, but women being more likely to pass Part 2 and the Practical Assessment of Clinical Examination Skills (PACES) [16]. Men are also far more likely to be investigated and sanctioned by the GMC for Fitness to Practise concerns [17,18]. Interpreting differential performance in postgraduate examinations is complicated by the fact that doctors choose whether or not to take examinations such as MRCP(UK), and those choosing to take an examination may not be a random subset of those graduating from medical school.


데이터 세트

Overview of the datasets



통계적 문제

Statistical issues


오른쪽 치우침

Right-censoring of measures


영국의 의료 교육자들에게 점점 더 큰 문제는 GCSE와 A레벨 시험에서 모두 등급 인플레이션이 발생했다는 것이다. 이 시험은 영국 의대에 지원하는 대다수의 응시자에게 발생한다. 대부분의 지원자들은 2010년까지 A = 10, B = 8, C = 6, D = 4, E = 2로 점수가 매겨진 3개의 A-수준 점수에 대해 최대 점수는 30점이며, 매년 증가하는 학생 비율은 AAA 점수와 함께 '상한에' 있다[19]. 통계적 'right-censored'에서 상위권에는 더 높은 등급이 존재하지 않는다. 즉, 많은 응시자들이 더 어렵고, 더 늘며, 더 연장된 평가로 차별화되더라도 여전히 최상위 등급에 속하게 된다. 따라서 A-수준 및 GCSE 등급은 왼쪽으로 치우쳐져 있고 첨도가 되어 표준 편차(SD)와 겉보기 평균을 감소시키며, 또한 다른 변수와의 상관관계의 크기를 인위적으로 감소시킨다.

A growing problem for medical educators in the UK is that there has been grade inflation in both GCSE and Alevel examinations, which are taken by the majority of candidates applying to UK medical school. Most applicants take three or more A-levels, which until 2010 were scored as A = 10, B = 8, C = 6, D = 4, E = 2, other = 0. For the best three A-level grades attained, the maximum score is 30, and a growing proportion of students each year are ‘at ceiling’ with AAA grades [19]. In statistical ‘right-censored’, terms, A-level grades are with the absence of higher grades meaning that many candidates are forced into the top category, even though they would be differentiated with a harder, more stretching and extending assessment. A-level and GCSE grades are therefore skewed to the left and are kurtotic, reducing the standard deviation (SD) and the apparent mean, and also artifactually reducing the size of the correlation with other variables.


척도 그룹핑

Grouping of measures


The Markov Chain Monte Carlo method for calculating correlations


Methods



Results


The UCLMS Cohort Study

The 1990 Cohort Study

The 1985 Cohort Study

The 1980 Cohort Study

The Westminster Cohort Study


고찰

Discussion


모든 코호트에서, 거의 모든 성취 단계에서, 초기 단계에서 성취하기 위한 인과관계가 있다는 것은 분명하다. 이와 유사한 결과는 레지던트 결과의 예측 변수로서 미국 의과대학의 성취도를 최근 메타분석한 결과에서 발견되었다. 전체 연구, 레지던트에서의 성과(NBME(National Board of Medical Examiners, NBME) 3, 교육 과정 및 면허 시험) 상관 관계는 의과대학(NBME 2 및 미국 의료면허시험 2(USMLE2)에서 임상실적을 측정)과 0.596(가중평균)의 관계를 가지며, BMS 성과 측정값(NBME 1 및 USMLE 1)과는 0.515(가중 상관 관계)의 상관관계를 가져서[43], 의과대학부터 레지던트까지 학술 백본의 성격을 확인해준다.

In all the cohorts, it is clear that at almost every stage of attainment, there are causal links back to attainment at earlier stages. A similar result to this was found in a recent meta-analysis of US medical school attainment as a predictor of residency outcome. Averaging across studies, performance at residency (National Board of Medical Examiners (NBME) 3, in-training examinations and Licensing examinations) correlated at 0.596 (weighted mean) with measures of clinical performance in medical school (NBME 2 and United States Medical Licensing Examination 2 (USMLE2)), and 0.515 (weighted correlation) with measures of BMS performance (NBME 1 and USMLE 1) [43], confirming the nature of the Academic Backbone from medical school through to residency.


의학교육의 후단계에서 초기 단계와의 수행의 상관관계는 의과대학 자체에서만 일어나는 것이 아니라, 의과대학(그 이상)에서의 후발 성취의 증거와 함께 A-수준 결과뿐만 아니라 GCSE/O-수준과도 상관관계가 있어서 일찍 시작된다. USMLE 1, 2, 3 검사가 의대 입학 전에 실시된 의대 입학 시험(MCAT)의 성과에 의해 예측되는 미국에서도 비슷한 결과가 발견되었다(각각 메타 분석 상관 관계: 0.60, 0.38, 0.43).

The correlation of performance at later stages in medical training with earlier stages does not just take place in medical school itself, but begins earlier than that, with evidence of later achievement in medical school (and beyond) correlating not only with A-level results, but also with GCSE/O-levels. Equivalent results have been found in the USA, where USMLE 1, 2, and 3 examinations are predicted by performance on the Medical College Admission Test (MCAT), which is taken prior to entry into medical school (meta-analytic correlations: 0.60, 0.38, and 0.43, respectively) [44].


이 연구에서 특히 관심 있는 것은 A-수준과의 상관 관계들이다. right-censoring을 위해 교정된 것조차도 입학자 안에 있고 일반적으로 신청자 안에 있지 않다는 것을 고려한다면, A레벨은 평균 0.24로 MRCP(영국) 결과를 예측하고, 평균 상관관계는 0.21로 약간 낮은 MRCP(영국) 결과를 예측하고, Specialist Register에 있는 것을 예측한다.그것은 평균 0.15의 상관관계를 가진다. 다른 곳에서, 우리는 이 다섯 가지 연구에서 교육적 성취도 측정에 대한 건설 타당성을 추정했고, 첫 번째 BMS 연도[8]의 성과에 대한 훨씬 더 큰 UKCAT-12 연구를 통해 건설 타당성이 단순한 상관 관계보다 상당히 높았고, BMS 첫 해 성과에서 최대 65%의 차이를 설명하였다[8].

Of particular interest in the present study are correlations with A-levels. Remembering that correlations, even those corrected for right-censoring, are within entrants and not within applicants in general, it is clear that Alevels 

  • predict medical school performance with an average correlation of 0.24, 

  • predict MRCP(UK) results with a slightly lower average correlation of 0.21, and 

  • predict being on the Specialist Register with an average correlation of 0.15. 

Elsewhere, we estimated construct validities for the measures of educational attainment in these five studies and the much larger UKCAT-12 study of performance in the first BMS year [8], and found that construct validities were substantially higher than simple correlations, explaining up to 65% of the variance in BMS first year performance [8].


더 나은 해석은 사람들이 평가 1에서 특정한 수준에서 수행을 할 수 있게 하는 것이 지식의 구조라는 것이며, 초기의 지식 구조는 2단계에서 보다 정교한 지식 구조가 구축되는 플랫폼이며, 그 자체가 평가 2단계에서 성취할 수 있는 기반을 제공한다는 것이다. 

A better interpretation is that it is the structure of knowledge that enables people to perform at a particular level in assessment 1, and that earlier structure of knowledge is the platform on which a more sophisticated structure of knowledge is built at stage 2, and itself provides a platform for achieving in assessment 2. 


또한 백본이 단지 학습된 정보의 고립된 덩어리('사실체'라고 불리는 것)에 관한 것이라고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하지만 대신에 그것은 정보의 시스템, 지식의 범주, 은유, 패턴과 관계, 획득된 상호연결된 이미지와 생각들, 이 모든 것이 밑거름이 되게 한다. 그리고 새로운 정보를 기존 아이디어와 통합하고, 메모리에 위치시켜서 그것이 쉽게 접근하고 올바른 환경에서 촉발될 수 있도록 한다. 최종 결과는 일반적으로 '인지적 자본'이라고 부를 수 있는 것의 축적이거나, 보다 구체적으로는 현 상황에서 '의학적 자본'으로 묘사될 수 있는 것, 즉 성공적인 의료행위를 구성하는 지식, 이론, 경험, 이해 및 기술의 집합이다.

Neither should it be construed that the backbone is about isolated nuggets of information (‘factoids’ as they have been called) that are merely learned, but instead it is systems of information, categories of knowledge, metaphors, patterns and relationships, interconnected images and ideas that are acquired, all of which make it possible to understand new information, integrate it with existing ideas, and position it in memory in a way that it can then be accessed easily and triggered in the right circumstances. The end result is the accumulation of what in general can be referred to as ‘cognitive capital’, or more specifically in the present context can be described as ‘medical capital’; that set of knowledge, theories, experience, understanding and skills that comprise successful medical practice.




실제로 그러한 측정된 변수 중 많은 수가 다른 기초변수의 지표로, 잠재적 변수의 지표로, 그림 6은 개연성 있는 상호관계에 대한 보다 포괄적인 모델을 보여준다. 직사각형 상자는 그림 1, 2, 3, 4, 5와 동일한 측정 변수를 나타내며, 타원은 여기서 측정되지 않았지만 원칙적으로 측정할 수 있는 변수를 보여준다. 주요 백본은 이제 초등학교를 시작으로 하는 교육자본으로, 읽기, 쓰기, 산술, 기타 기초기술 등을 배우는 동안 일반적인 인지자본(표시되지 않음)을 습득한다. 

In reality, many of those measured variables are indicators of other, underlying, latent variables, and Figure 6 shows a more comprehensive model of the probable inter-relations. The rectangular boxes show the same measured variables as in Figures 1, 2, 3, 4, and 5, while the ellipses show variables that have not been measured here, but in principle could be measured. The main backbone is now of educational capital, starting at primary school, where generic cognitive capital (not shown) is acquired during the learning of reading, writing, arithmetic, and other basic skills. 


중등교육에 의해, 역사, 지리, 언어, 과학, 예술과 같은 과목에서, 특히 특정 교육에 의해 도움을 받고, 모든 과목들은 GCSE에 의해 평가된다. [일반 지식 자본]은 그 후 A레벨로 평가되는 화학과 생물학 같은 과목들을 통해 보다 구체적인 [과학 자본]의 밑거름이 된다. . 의과대학에서 [BMS 자본]는 다시 교육의 도움으로 취득되고, A급에서 연구된 과학 자본의 기초 위에 세워진다. 

By secondary education, a wide range of ‘general knowledge capital’ is acquired, helped particularly by specific teaching, in subjects such as history, geography, languages, sciences, and art, all of which are then assessed by GCSEs. The general knowledge capital is then the underpinning for more specific ‘science capital’, through subjects such as chemistry and biology, which are assessed by A-levels. At medical school, ‘BMS capital’ is acquired, again with the help of teaching, and built on the foundations of the science capital studied at A-level. 


의과대학의 임상학기에 [의학적 자본]이 획득되기 시작하고, 다시 한번 교육에 의해 도움을 받지만, 또한 임상 검사의 형태로 평가되어 환자와 환자 치료의 경험으로부터 도움을 받기 시작한다. 의학자본은 대학원 연수 중에도 계속 취득하고 있지만, 지금은 아직 가르침은 있지만, 의학적 자본의 취득을 돕는 광범위한 임상실무도 있어, 의학적 자본은 이후의 임상행위의 질을 향상시킨다. 의학적 자본은 의료 훈련 기간 동안만 성장할 뿐만 아니라 자연적인 붕괴와 망각을 통해, 또는 시대에 뒤떨어진 지식을 통해 감소할 수 있으므로 자본 성장의 궤적이 항상 순탄하지는 않다[45].

In the clinical years of medical school, ‘medical capital’ proper begins to be acquired, aided once again by teaching, but also assisted by experience of patients and patient care, with assessment in the form of clinical examinations. Medical capital continues to be acquired during post-graduate training, but now, although there is still teaching, there is also extensive clinical practice, which aids the acquisition of medical capital while the medical capital improves the quality of subsequent clinical practice. Medical capital not only grows during medical training but can also diminish, through spontaneous decay and forgetting, or through earlier knowledge becoming out of date, so that the trajectory of capital growth is not always smooth [45].


순수 지적 적성 시험(왼쪽 상단에 표시)은 주로 지능의 지표로, 그림 6의 하단에 나타난 바와 같이, 그러한 지능은 적성 시험(그리고 아마도 일반 지식 자본)에 의해 평가된다. 적성 테스트는 또한 과학 지식을 평가할 수 있는데, 이 경우 과학 자본의 영향도 받는다(그림 6에 나와 있지 않은 링크). 그림 6의 경로 모델은 상단 행(직사각형 상자)에 있는 모든 측정 사이에 긍정적인 상관관계가 있을 것으로 예측한다.

Pure intellectual aptitude tests (shown at the top left) are indicators primarily of intelligence, as shown at the bottom of Figure 6, with intelligence as such being assessed by aptitude tests (and perhaps also general knowledge capital). Aptitude tests can also assess science knowledge, in which case they are also influenced by science capital (link not shown in Figure 6). The path model of Figure 6 predicts that there will be positive correlations between all of the measures in the top row (in rectangular boxes).


중요한 것은 단지 직전 단계의 성취가 중요한 것이 아니라, 경로 도표에서 알 수 있듯이, 많은 초기 단계에서도 성취가 중요하다는 것이다. 시험을 통과했더라도, 그 전에 있었던 학습이 지워지는 것은 아니며 다음 단계가 고립되어 다뤄지는 것도 아니다. 이전의 검사에서 수행에 기여한 학문의 각인이 남아 있으며, 이것은 몇 년이 지난 후에도 종종 유용할 수도 있는 의학적 자본의 형태로 계속적으로 이어지는 것에 대한 빌딩블록과 비계를 제공한다. 그것은 아마도 중요한 시험에 합격하는 것만이 아니라 얼마나 잘 통과되는지에 대한 이유일 것이다. 국경선에 있는 사람들은 이후 더 높은 수준에서 시험에 합격한 사람들보다 더 큰 어려움을 겪는다[26].

Of importance is that it is not merely achievement at an immediately previous stage that matters, but, as the path diagrams show, achievement also at many earlier stages. Once an examination is passed, then the learning that preceded that examination is not erased and the next stage is not coped with in isolation. An imprint remains of the learning that contributed to the performance in that earlier examination, and this continues to provide building blocks and scaffolding for what is to follow, in the form of medical capital, which often may be of utility many years later. That is presumably the reason why it is not merely passing an examination which matters, but how well it is passed, with those on the borderline subsequently having greater difficulties than those who passed an examination at a higher level [26].


영국 의대생 선발에서 A-수준의 역할은 오랫동안 논의되어 왔으며, A-수준에서의 높은 성취는 후속 의학 달성을 위한 예측적 가치가 거의 없거나 전혀 없다는 많은 주장이 있다. 백본 연구는 그것이 사실이 아님을 분명히 보여준다. A-수준은, 등급 인플레이션과 천장 효과로 인해 점점 더 좁혀지는 점수 범위에도 불구하고, 의과대학 전체에서, 그리고 종종 대학 졸업 후 시험에 대한 현저한 성과를 계속해서 예측하고 있다. 따라서 A레벨에서 높은 성취도가 결과와 거의 차이가 없는 단순한 '임계값'은 없다. 오히려, 표본 크기가 훨씬 더 큰 다른 연구자들에 의한 또 다른 교육적 맥락에서 도달한 결론은 항상 더 낫다[46].

The role of A-levels in UK medical student selection has long been debated, with there being many claims that high achievement at A-level has little or no predictive value for subsequent medical attainment. The backbone studies clearly show that is not the case. A-levels, despite an ever-narrowing range of marks due to grade inflation and ceiling effects, continue to predict performance significantly throughout medical school, and often onto post-graduate examinations. There is therefore no simple ‘threshold’ above which higher attainment at Alevel makes little difference to outcome. Rather, higher is always better, a conclusion reached in another educational context by other researchers, with much larger sample sizes [46].


코호트 연구 중 4개(UCLMS, 1990, 1985, 1980년)는 GCSE 및/또는 O-수준 등급을 포함했으며, 각 사례에서 일반적으로 15세에서 16세의 나이에 실시된 이러한 검사들은 A 수준의 달성을 예측하고 예측하기 때문에 선택 시 유용할 수 있다. 또한 이 뿐만 아니라 4개의 모든 연구에서 BMS(특히 임상 단계)와 심지어 1990년 코호트 연구에서도 MRCP(영국)의 서면written 및 임상 검사의 성과를 예측하기 때문이다.

Four of the cohort studies (UCLMS, 1990, 1985, and 1980) included GCSE and/or O-level grades, and in each case it is apparent that these examinations, typically taken at the age of 15 to 16 years, may be useful in selection not only because they anticipate and predict Alevel attainment, but because in all the four studies they are predictive of medical school performance, both in BMS (but particularly at the clinical stages), and even, in the 1990 Cohort Study, performance in both the written and clinical examinations in MRCP(UK).


학생 선발에서 논란이 되는 주제는 UKCAT, BMAT 및 대학원 입학시험(GAMSAT)과 같은 적성검사의 역할이다[3].

A controversial topic in student selection is the role of aptitude tests such as UKCAT, BMAT, and Graduate Medical School Admissions Test (GAMSAT) [3].


학술 백본의 대책은 대부분 교육 및 전문적 성취도의 척도로서, 따라서 시험이다. 선발과 전문직업적 발달을 위해 시험을 사용하는 것에 대한 일반적인 비판은 시험을 잘 보는 능력이 이후에 시험을 잘 보는 능력만을 예측한다는 것이다. 그러나 그 주장은 의대와 전문 검사의 내용을 무시한다.

Most of the measures in the Academic Backbone are measures of educational and professional attainment, and thus are examinations. A common criticism of the use of examinations in selection and for professional progression is that being good at examinations only predicts the ability to be good at further examinations. However, that argument ignores the content of medical school and professional examinations.


검사의 세심한 청사진과 그 분명한 안면타당도를 고려할 때(그리고 MRCP(영국) 질문의 예는 이전 연구[47] 참조), 우리는 여기에서 논한 것과 같은 시험의 합격은 좋은 의사가 되기 위해 중요하며, 그러한 임상 지식을 얻는 데 어려움을 겪는 사람들은 아마도 덜 좋은 의사가 될 것이라고 제안한다.s. 지식은 일반적으로 무지보다 선호되고, 임상 지식은 임상 행동을 뒷받침한다.

Given the careful blueprinting of examinations and their obvious face validity (and for examples of MRCP(UK) questions see a previous study [47]), we suggest that passing examinations such as those discussed here is important for being a good doctor, and those who have difficulty in attaining such clinical knowledge will probably be less good doctors. Knowledge is generally preferable to ignorance, and clinical knowledge underpins clinical practice.


성적의 성 차이는 모든 연구에서 발견되었는데, 남성들은 GCSE/O 레벨에서 낮은 성능을 보이고, A 레벨에서 다소 높은 성능을 보인 다음, 의과대학 시험에서 한 번 더 낮은 성능을 보이는 경향이 있었다. 비록 결과가 코호트 전체에 걸쳐 완전히 일치하지는 않지만, 남성의 저성능은 매우 큰 UKCAT-12 연구에서도 나타났다[48].

Sex differences in performance were found in all of the studies, with males tending to underperform at GCSEs/O-levels, to overperform somewhat at A-levels, and then to underperform once more in medical school examinations. Although the results are not entirely consistent across the cohorts, the male underperformance was also shown in the very large UKCAT-12 study [48].


아마도 가장 놀라운 것은 거의 모든 연구에서, 이전의 학부 및 대학원 성적과는 상관없이, 남성들이 스페셜리스트 레지스터에 더 많이 등록될 가능성이 높다는 것이다. 전문의가 좀 더 학문적인 경향이 있지만, 이것은 남성 우위에 대해 설명할 것 같지 않다. 그 대신에 동기부여나 직업적 성공을 위한 추진력 중 하나와 다른 요소들을 고려할 필요가 있으며, 또는 사회학적, 가족적, 개인적 이유의 다양한 조합을 고려해야 한다. 이는 평균적으로 여성 의사들이 더 엄격하고 덜 유연한 병원 practice의 테두리에 들어가지 않을 수 있으며, 대신 general practice에 들어갈 수 있다[49].

Perhaps most striking is that in almost all of the studies, men were more likely to be on the Specialist Register, irrespective of earlier undergraduate and postgraduate performance. Although specialist practice does tend to be more academic, this is unlikely to explain the male predominance, and instead it is probably necessary to consider either factors differentially related to motivation or a drive for career success, or a host of sociological, familial, and personal reasons that mean female doctors may not enter the stricter, less flexible confines of hospital practice, and instead would enter general practice [49].


결론

Conclusions


학술 백본은 지식의 보다 정교한 기초 구조인 '인식 자본'과 '의학적 자본'의 개발이라는 관점에서 개념화할 수 있으며, 후자는 교육 중, 그리고 환자와의 임상 경험을 통해 습득될 수 있다. 아카데믹 백본은 학생 선발에서 A레벨과 같은 교육적 성취도의 척도를 사용할 수 있도록 강력한 지원을 제공한다.

The Academic Backbone can be conceptualized in terms of the development of the development of ever more sophisticated underlying structures of knowledge, ‘cognitive capital,’ and ‘medical capital’, with the latter being acquired during education, and through clinical experience with patients. The Academic Backbone provides strong support for using measures of educational attainment, such as A-levels, in student selection.




 2013 Nov 14;11:242. doi: 10.1186/1741-7015-11-242.

The Academic Backbonelongitudinal continuities in educational achievement from secondaryschool and medical school to MRCP(UK) and the specialist register in UK medical students and doctors.

Author information

1
UCL Medical School, University College London, Gower Street, London WC1E 6BT, UK. i.mcmanus@ucl.ac.uk.

Abstract

BACKGROUND:

Selection of medical students in the UK is still largely based on prior academic achievement, although doubts have been expressed as to whether performance in earlier life is predictive of outcomes later in medical school or post-graduate education. This study analyses data from five longitudinal studies of UK medical students and doctors from the early 1970s until the early 2000s. Two of the studies used the AH5, a group test of general intelligence (that is, intellectual aptitude). Sex and ethnic differences were also analyzed in light of the changing demographics of medical students over the past decades.

METHODS:

Data from five cohort studies were available: the Westminster Study (began clinical studies from 1975 to 1982), the 1980, 1985, and 1990 cohort studies (entered medical school in 1981, 1986, and 1991), and the University College London Medical School (UCLMS) Cohort Study (entered clinical studies in 2005 and 2006). Different studies had different outcome measures, but most had performance on basic medical sciences and clinical examinations at medical school, performance in Membership of the Royal Colleges of Physicians (MRCP(UK)) examinations, and being on the General Medical Council Specialist Register.

RESULTS:

Correlation matrices and path analyses are presented. There were robust correlations across different years at medical school, and medical school performance also predicted MRCP(UK) performance and being on the GMC Specialist Register. A-levels correlated somewhat less with undergraduate and post-graduate performance, but there was restriction of range in entrants. General Certificate of Secondary Education (GCSE)/O-level results also predicted undergraduate and post-graduate outcomes, but less so than did A-level results, but there may be incremental validity for clinical and post-graduate performance. The AH5 had some significant correlations with outcome, but they were inconsistent. Sex and ethnicity also had predictive effects on measures of educational attainment, undergraduate, and post-graduate performance. Women performed better in assessments but were less likely to be on the Specialist Register. Non-white participants generally underperformed in undergraduate and post-graduate assessments, but were equally likely to be on the Specialist Register. There was a suggestion of smaller ethnicity effects in earlier studies.

CONCLUSIONS:

The existence of the Academic Backbone concept is strongly supported, with attainment at secondary school predicting performance in undergraduate and post-graduate medical assessments, and the effects spanning many years. The Academic Backbone is conceptualized in terms of the development of more sophisticated underlying structures of knowledge ('cognitive capital' and 'medicalcapital'). The Academic Backbone provides strong support for using measures of educational attainment, particularly A-levels, in student selection.

Comment in

PMID:
 
24229333
 
PMCID:
 
PMC3827330
 
DOI:
 
10.1186/1741-7015-11-242


보건전문직 선발과 모집에 관한 2018 오타와 합의문(Med Teach, 2018)

2018 Ottawa consensus statement: Selection and recruitment to the healthcare professions

F. Pattersona , C. Robertsb , M. D. Hansonc, W. Hamped, K. Evae , G. Ponnamperumaf ,

M. Magzoubg, A. Tekianh and J. Clelandi




도입

Introduction


당시의 상황을 반영하여, 앞의 합의(Pridaux et al. 2011)는 평가 체계로서의 선발의 특징에 대한 합의, 그리고 서로 다른 선발 방법의 품질에 집중하였다.

Reflecting the state of the science at the time, the previous consensus (Prideaux et al. 2011) characterized selection as an assessment system and focused on the quality of different selection methods.


(1) 선발 철학과 정책

(1) Selection philosophy and policies

개별 교육훈련기관은 자신의 선발철학을 정의하고 국가 또는 국가기반 규정, 자체 역사, 사명 및 목표, 이해관계자 조직의 맥락 안에서 선발정책(또는 정책)을 고유하게 제정한다.

Individual education and training institutions define their selection philosophy and uniquely enact a selection policy (or policies) within the context of their national- or state- based regulations, their own history, mission and goals, and stakeholder organizations.


입학 정책이 의사들의 국가적 요구에 따라 훈련된 학생 수와 일치하도록 보장하라는 세계 의학 교육 연맹의 오랜 정책 지침이 있어왔다("에든버러 선언" 1988). 그러나, 최근의 시놉시스는 많은 필요한 경험적 증거가 기다리고 있지만, 선발정책은 이용 가능한 최상의 건강 결과와 바람직한 career uptake 데이터를 고려하지 않고 있다고 제안했다(Gorman 2018).

there has been a longstanding policy directive of the World Federation of Medical Education to ensure admission policies match the numbers of students trained with national needs for doctors (“The Edinburgh Declaration” 1988). Yet, a recent synopsis suggested that while much needed empirical evidence is awaited, selection policies are not taking account of the best available health outcomes and desirable career uptake data (Gorman 2018).


어떤 사람들은 정책 입법의 주요 장벽은 선발에 정치적 관심을 갖는 다양한 이해관계자들(예: 정부, 규제 기관 및 노동조합)이라고 제안한다.

Some suggest that a major barrier to policy enactment is various stakeholders having a political interest in selection (e.g. government, the regulators, and trade unions).


적어도 세 가지 접근법이 있다.

There are at least three approaches


[개개인에 초점을 둔 프로세스]에서, 학문적 성공을 위한 능력은 전형적으로 전 세계의 의대 및 전문 선발 시스템의 대다수에서의 선발의 기초가 된다. 학문적 성공에 초점을 맞춘 것은 Flexner 보고서(Finnerty et al. 2010; Flexner et al. 1910)의 후속편이며, 미국 의과대학 입학시험(MCAT)의 전조다. 이 적성검사는 지원자의 의학교육준비도를 평가하기 위해 실시되었다(McGaggie 2002). MCAT는 더 넓은 사회적 요소보다 개별 지원자의 장점(가장 일반적으로 학문적 성과로 정의됨)을 우선시한다(Razack et al. 2015). 최근에는 "학술 준비 상태"에 대한 local한 지리적 정의에 따라 (UKCAT)와 호주 대학원 입학 시험(GAMSAT)과 같이 다양한 표준화된 시험 방법이 개발되고 맞춤화되었다.

In individually focused processes, the capacity for academic success is typically the basis for selection in the majority of medical school and specialty selection systems globally. The focus on academic success is a sequelae of the Flexner Report (Finnerty et al. 2010; Flexner et al. 1910) and a precursor for the United States Medical College Admission Test (MCAT). This aptitude test was implemented to assess applicants’ academic readiness for medical education (McGaghie 2002). MCAT prioritizes the merit (defined most commonly as academic achievement) of individual applicants over broader social factors (Razack et al. 2015). Recently, a range of standardized testing methods have been developed and tailored to local geographic definitions of “academic readiness” (e.g. UK Clinical Aptitude Test (UKCAT) and the Graduate Australian Medical School Admissions Test (GAMSAT)).


의과대학 입학에서, 국제적으로 선발의 주류는 학문적 qualification에 계속 의존하고 있지만, 이것은 선발 목적으로 특별히 고안된 것이 아니다.

In medical school admissions, the mainstay of selection internationally continues to rely on academic qualifications which again are not designed specifically for selection purposes.


개인 속성을 포함하도록 선택의 폭을 넓히기 위해, 역량기반 프레임워크(Ferguson et al. 2002; Mahon et al. 2013)는 의료 전문가 또는 학생으로서 성공을 나타내는 것으로 생각되는 바람직한 행동과 태도 분류 체계를 기반으로 구축되었다(Patterson et al. 2016b). 이것은 역량 기반 의학교육의 원칙과 유사하다(Frank and Danoff 2007). 입학시의 선발 기준은 다중 소스 다중 방법 직무 분석 연구를 통해 도출되는 경우가 많다.

To broaden selection to encompass personal attributes, competency-based frameworks (Ferguson et al. 2002; Mahon et al. 2013) are built on a taxonomy of desirable behaviors and attitudes that are thought to indicate success as a healthcare practitioner or student (Patterson et al. 2016b), and bear some resemblance to the tenets of competencybased medical education (Frank and Danoff 2007). Entry-level selection criteria are often derived through multi-source, multi-method job analysis studies.


이어지는 다중 방법 선발 프로세스에는 학업성취도 지표 외에 구조화된 인터뷰/다중 미니인터뷰(MMI)와 상황 판단 시험(SJT)이 포함될 수 있다.

The subsequent multi-method selection processes may include structured interviews/multiple miniinterviews (MMI) and situational judgment testing (SJT) in addition to metrics of academic success.


개인 속성에 대해서 다양하면서도 일치된 프레임워크를 채택하는 이러한 이니셔티브의 결합은 국제적으로 선발과정에서 [지원자의 학업 준비도]와 [의학교육에 대한 인성적 준비 상태]를 평가하는 쪽으로의 변화를 가져왔다(Kirch 2012; Niessen and Meijer 2017). 나중에 논의하듯이 두 가지 유형의 조치는 모두 사회문화적으로 구속되어 있다. 

This confluence of initiatives which adapt varying but congruent frameworks of personal attributes has seen an international shift toward the assessment of both applicants’ academic readiness and their personal readiness for medical education (Kirch 2012; Niessen and Meijer 2017). As we discuss later, both types of measure aresocio-culturally bound. 


세 번째 선발 철학은 [어느 정도의 학업 능력]을 요구하지만, 동시에 [개인의 능력과 집단 사회적 기대 사이의 역동적인 상호작용]을 다루려고 시도한다. 이는 국제적으로 학생 다양성, 사회적 책임, 인력 계획 및 참여 확대를 포함한 다양한 지정 하에서 나타난다. 이전에 의료 및 보건 전문가 교육에 있어 대표성이 낮은 학생 인구의 참여를 늘리려는 노력은 동일한 학업성취에 대한 제도적 또는 사회적으로 결정된 장벽의 영향을 완화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The third selection philosophy assumes some level of academic capability but attempts to address a dynamic interplay between individual personal competencies and collective societal expectations, appearing globally under a range of designations including student diversity, social accountability, workforce planning, and widening participation. Efforts to increase participation of previously underrepresented student populations in medical and health professional education are thought to mitigate the impact of institutionally or societally determined barriers to their achieving the same academic success.




(2) 각각의 선발 방법은 얼마나 효과적인가?

(2) How effective are selection methods?


The research evidence for eight different selection methods is summarized in Table 1.


Table 1. Summary of the evidence and implications for different selection methods (Patterson et al. 2016a; Roberts et al. 2018).

1. 학업성취도 
1. Academic achievement 
예측 타당성에 대해서는 공감대가 높지만 고교 1등급을 달성하는 학생이 늘어나면서 차별력이 떨어지고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게다가, 다른 유형의 학교와 학교 시스템 간의 비교가능성에 대해 자주 의문이 제기된다. 학교 시스템이 사회적으로 선택적이라면 학업성적표가 접근 확대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There is a high level of consensus regarding predictive validity, but concerns that the discriminatory power is diminishing as increasing numbers of students achieve top high-school grades. Moreover, comparability across different types of schools and school systems is frequently questioned. Academic records can negatively impact widening access if school systems are socially selective

2. 적성 검사
2. Aptitude tests 
여러 적성검사들은 [순수한 능력]과 [순수한 지식] 테스트 사이의 연속체에 위치한다. 신뢰성은 호의적인 경향이 있다. 특히 자연과학에서의 지식 부분은 학업 성과를 예측한다. 적성검사의 공정성, 특히 예측 타당성에 관한 증거가 뒤섞여 있으므로 각 도구는 자체적인 평가를 필요로 한다. 지식 테스트는 또한 종종 대학원 선택에 사용되며, 이러한 맥락에서 바람직한 신뢰성과 타당성을 입증한다.
Different tests are located on a continuum between pure ability and pure knowledge tests. Reliability tends to be favorable. The knowledge parts especially in the natural sciences predict study performance. Evidence is mixed on the fairness of aptitude tests, specifically regarding predictive validity, so each tool requires evaluation in its own right. Knowledge tests are also often used for postgraduate selection and demonstrate in this context favorable reliability and validity

3. 자기소개서
3. Personal statements & CVs 
지원자의 수용도는 높지만 코칭과 표절의 가능성 역시 높다. 예측 타당성에 대한 증거는 거의 없다. 대학원 모집의 경우 CV가 면접의 일부로 사용되는 경우가 많지만, 일반적으로 표준화되지 않은 형식으로 사용됨 
Candidate acceptability is high, but susceptibility to coaching and plagiarism is also high. There is very little evidence for predictive validity. For postgraduate recruitment CVs are often used as part of an interview but usually in a nonstandardized format 

4. 추천서
4. References & Letters of recommendation
타당성이나 신뢰성을 뒷받침하는 연구가 희소하고, 채점에 비용이 많이 든다. 그러나 추천서 사용은 여전히 널리 퍼져있고 지원자 반응은 긍정적이다. 추천서는 문제가 있는 지원자를 표시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Little research supporting validity or reliability and high costs for scoring. However, use of references remains widespread and candidate reactions are positive. References might be used to flag problematic applicants.

5. SJT
5. SJTs 
비학업적 특성(예: 성격 테스트)을 위한 다른 대량 선택 도구에 비해 타당도가 향상되었으며 조직의 가치에 매핑할 수 있다. SJT는 설계에 상대적으로 비용이 많이 들 수 있지만 기계에 표시하여 온라인으로 배송할 수 있으므로 대량 선택 시 비용 절감 효과를 얻을 수 있다. 텍스트 기반에서 멀티미디어 항목 프레젠테이션에 이르기까지 포맷의 유연성 적절한 설계를 통해 코칭의 신뢰성을 최소화할 수 있음
Improved validity over other high-volume selection tools for nonacademic characteristics (e.g. personality tests) and can be mapped to organizational values. Although SJTs can be relatively costly to design, they can be machine-marked and delivered online, producing cost savings in high-volume selection. Flexibility in format from text-based to multi-media item presentations. Susceptibility to coaching can be minimized through appropriate design

6. 성격 검사
6. Personality assessment 
어떤 성격적 특성은 비록 사용된 성격 도구에 따라 그 증거가 혼합되어 있기는 하지만 훈련 중 성과와 연관되어 있다. 조작이나 코칭에 취약성이 높은 경우, 성격검사를 사용하여 인터뷰 시(검증없는 독립 실행형 도구로서가 아니라) 보다 집중적인 질문을 유도할 수 있다.
Some personality traits have been linked to in-training performance although depending on the personality tool used the evidence is mixed. Where there is a high risk for susceptibility to faking or coaching, personality assessment might be used to drive more focused questioning at interviews (rather than as a standalone instrument without verification)

7. 면접
7. Interviews/MMIs 
기존의 비구조화 면접은 낮은 성능을 발휘하는 반면, 역할 분석을 기반으로 한 구조화된 면접은 표준화된 질문, 훈련된 면접관 및 적절한 점수를 통해 신뢰할 수 있고 유효한 방법이 될 수 있다. MMI는 가장 체계적인 인터뷰 유형이다. 그들은 일반적으로 6개 이상의 인터뷰 스테이션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는 신뢰도를 높이기 위해 성능 샘플링을 넓힌다. MMI는 설계와 구현에 상대적으로 비용이 많이 들지만, 좋은 유효성과 긍정적인 후보 반응을 제공할 수 있다. 모든 유형의 면접은 지원자와의 실시간 상호작용의 기회를 만들어 제공하지만, 지원자와 프로그램 간의 보다 개인적인 연결을 가능하게 하는 것과 같은 다른 이점을 제공한다. 후보들은 다른 방법보다 인터뷰를 선호한다.
Traditional unstructured interviews perform poorly, whereas structured interviews based on a role analysis, with standardized questions, trained interviewers, and appropriate scoring, can be reliable and valid methods. MMIs are the most structured type of interviews. They typically comprise six or more interview stations, which broadens the sampling of performance to enhance reliability. MMIs are relatively expensive to design and implement but can offer favorable validity and positive candidate reactions. All types of interviews create the opportunity for a live interaction with applicants which makes them resource-intensive to deliver, but offers other advantages such as enabling a more personal connection between applicant and program. Candidates prefer interviews to other methods

8. 선발 센터
8. Selection centers (SCs) using work samples & simulations
다중 스테이션 SC는 광범위한 시뮬레이션(예: 그룹 연습, 진행 중인 작업, 프레젠테이션, 역할 참여자와의 대화형 연습)을 수반하기 때문에 설계 및 구현에 상대적으로 비용이 많이 든다. MMI와 유사한 다중 샘플링 접근법을 제공한다. SC는 대학원 선택에 사용되었으며, 학부 의료 선택에서 SC의 예측 유효성에 대한 추가 증거가 필요하다.
Multi-station SCs are relatively expensive to design and implement as they involve a range of simulations (e.g. group exercises, in-tray tasks, presentations, interactive exercises with role players). They offer a similar multisampling approach as MMIs. SCs have been used in postgraduate selection and further evidence of the predictive validity of SCs in undergraduate medical selection is required

앞의 진술에서와 같이, 후보자들의 사전 학업 성취는 국제적으로 선발 정책의 보편적인 특징으로 남아있고, 이에 대한 증거의 강점은 여전히 강하다. 기관과 프로그램 간의 비교 가능성에 대한 지속적인 우려와 성적 인플레이션에 대한 우려에도 불구하고, 이전 등급은 미래의 교육 성과에 대한 강력한 예측자로 남아 있다(Ferguson et al. 2002; Siu and Reiter 2009).

As in the previous statement, prior academic attainment of candidates remains a universal feature of selection policies internationally and the strength of evidence for this remains strong. Despite ongoing concerns about comparability across institutions and programs, and concerns about grade inflation, prior grades remain a robust predictor of future educational achievements (Ferguson et al. 2002; Siu and Reiter 2009).


적성 검사에서는 주로 사용 가능한 많은 종류의 적성 검사가 있어서 그림이 덜 명확하다. 

  • 일반 인지 능력 테스트(예: UKCAT)

  • 과학적 지식 테스트까지 포함하는 것(예: UMAT(의료 및 보건 과학 감도 테스트) 

  • 두 가지 유형의 혼합물(예: MCAT 2015). 

The picture remains less clear for aptitude tests mainly due to the large number of different aptitude tests available, ranging from 

  • tests of general cognitive ability (e.g. UKCAT) versus 

  • those that also comprise tests of scientific knowledge (e.g. Undergraduate Medical and Health Sciences Aptitude Test (UMAT)) versus 

  • hybrids of the two types (e.g. the MCAT 2015). 


적성검사에 대한 성과는 커리큘럼의 초기 및 의대 종료 시 시험 성과와 같은 주로 중간점 또는 끝점 훈련 결과 측정과 비교되었다(McManus et al. 2013). 적성검사가 특정 유형의 후보를 선호하거나 선호하지 않을 수 있다는 모호한 증거가 있으며, 이는 의학교육에 대한 공정성과 접근 확대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Tiffin et al. 2012; Livens et al. 2016; Kumar et al. 2018).

Performance on aptitude tests has been compared to mainly midpoint or endpoint training outcome measures, such as exam performance early in the curriculum (McManus et al. 2013) and at the end of medical school (Tiffin et al. 2016). There is equivocal evidence that aptitude tests may or may not favor certain types of candidates, which may have implications for fairness and widening access to medicine (Tiffin et al. 2012; Lievens et al. 2016; Kumar et al. 2018).


마찬가지로 일부 성격 특성이 훈련 중인 성과와 연계되어 있지만(예: 리벤스 등, 2009), 성격 평가가 선택에 유용한 정도에 관한 증거는 기껏해야 혼합되어 있다(Patterson et al. 2016a; Roberts et al. 2018 참조). 최근의 증거는 또한 성격 특성이 더 이상 행동의 안정된 결정론적 예측 인자로 간주되지 않고 대신 오랜 삶에 걸쳐 변화하며 그리고 환경적 우발성에 대응하여 변화되는 것으로 확인된다는 것을 시사한다(퍼거슨과 리븐스 2017). 이는 [성격의 역동적 특성]과 [성격 표현의 맥락 특이성]을 고려할 때 특정 성격의 선택에 초점을 맞추는 접근방식이 제한된 유효성을 가질 수 있음을 암시한다.

Similarly, although some personality traits have been linked to in-training performance (e.g. Lievens et al. 2009), the evidence regarding the extent to which personality assessment is useful in selection is mixed, at best (see Patterson et al. 2016a; Roberts et al. 2018). Recent evidence also suggests that personality traits are no longer regarded as stable deterministic predictors of behavior and are instead found to change across life span and in response to environmental contingencies (Ferguson and Lievens 2017). This implies that approaches focusing on selecting out for specific traits might be of limited validity given the dynamic nature of traits and the context specificity of trait expression,


이전의 합의문(Pridau et al. 2011) 이후 MMI와 SJT가 자기소개서, 추천서보다 의사소통 능력, 윤리적 추론, 공감 및 무결성과 같은 개인간 속성과 개인 내 속성의 보다 유효한 예측자임을 입증하는 연구가 더 많이 등장했다(Patterson et al. 2016a). MMI와 SJT는 상호 보완적이며 선택 과정의 다른 단계에서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된다.

Since the previous consensus statement (Prideaux et al. 2011), more research has emerged demonstrating MMIs and SJTs to be more valid predictors of inter- and intra- personal attributes such as communication skills, ethical reasoning, empathy and integrity than personal statements, letters of recommendation or references (Patterson et al. 2016a). MMIs and SJTs are complementary and most commonly used at different stages of selection processes.


많은 항목을 포함하는 SJT의 능력은 보다 광범위한 구인의 실현 가능한 측정을 제공할 수 있으며, 더 많은 수의 지원자가 컴퓨터로 배송되고 기계 표시가 가능하기 때문에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SJT는 면접에 초대받은 사람을 심사할 목적으로 자주 사용된다.

SJTs’ capacity to include many items can offer feasible measurement of a broader range of constructs and can be used for larger numbers of applicants as they can be computer-delivered and the machine-marked. As such, SJTs are often used for purpose of screening who is invited to an interview.


반면 MMI는 미리 선정된 지원자들의 관점을 좀 더 심도 있게 조사할 수 있는 대면조회를 제공한다. 대면은 선택 방법의 심리학적 특성과 무관한 추가적인 이득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그것은 해당 기관이 개인적 연결personal connection을 가치있게 생각한다는 것을 보여주며, 지원자가 자신과 학습 환경 사이의 적합성fit을 평가하는 데 도움이 되는 의료 학교 또는 [전문 교육 환경을 방문한다는 것]을 나타낸다(Burgess e).t al. 2014).

On the other hand, MMIs offer a face-to-face encounter allowing the perspectives of a preselected group of applicants to be probed in more depth. Face-to-face encounters may offer additional gains unrelated to the psychometric properties of the selection method: for example, they indicate institutional valuing of personal connections and visiting the medical school or specialty training setting which help applicants to assess the fit between themselves and the learning environment (Burgess et al. 2014).


SJT와 MMI는 모두 측정 방법론이며, 각 설계 매개변수는 모집 기관의 목적에 따라 크게 달라질 수 있다(Knorr 및 Hissbach 2014). 구성 요소가 기관의 요구에 완벽하게 부합하는 사용 가능한 형식이 있을 수 있지만, 목적과 맥락에 따라서 특정한 설계를 요구할 수 있다(Reiter and Roberts 2018).

both SJTs and MMIs are measurement methodologies and the design parameters for each can vary significantly depending on the purpose of the recruiting institution (Knorr and Hissbach 2014). While there might be an available format whose components perfectly align with an institution’s needs, the purpose and context might require a specific design (Reiter and Roberts 2018).


이러한 모든 선택 방법은 [선택 목적과 특정 맥락에 의해 결정되는 다양한 설계 매개변수들]로 구성된다. 여러가지 선발방법의 명명은 어떻게 구현되어야 하는가에 대한 명확한 추론을 보여주는 것이 아니라 [선발에 필요한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는 방법의 범주]를 나타낸다. 결과적으로, 어떤 방법의 특정 버전의 타당성과 품질에 대한 보편적인 주장은 신중하게 판단되어야 한다. 

All these selection methods comprise a multitude of different design parameters, which are informed by the purpose of selection and the particular context. The labeling of differing methods indicates the categories of ways in which data can be collected to support selection rather than allowing definitive inferences to be drawn regarding how the methods were implemented. As a result, universal claims of validity and quality of any specific version of a method should be judged cautiously. 


예를 들어, 면접이나 필기시험의 형식이 다른 서로 다른 맥락에서 MMI와 SJT를 평가할 때, 시험의 효과성(Reiter 및 Eva 2018)과 다른 선택 맥락에 대한 일반성에 대한 결론을 도출하기 전에) 각 시험은 개별적으로 평가되어야 한다. 대규모 및 메타 분석 연구의 결과는 다양한 선발방법의 품질을 일반적인 관점에서 보여주지만, 특정 선발 프로세스의 효과를 결정하기 위해서는 국지적인 검증 연구가 필요하다.

For example, when evaluating MMIs and SJTs in differing contexts with differing formats of an interview or written test, each test must be evaluated individually before reaching conclusions about both its effectiveness (Reiter and Eva 2018), and generalizability to other selection contexts. Although results from large-scale and meta-analytic studies can indicate the quality of different selection methods in general, local validation studies are required to determine the effectiveness of any given selection process.


다양한 선택 방법의 품질을 판단하는 데 있어 일관된 문제는 소위 기준 문제와 관련이 있다. 즉, 어떤 결과를 예측하려고 하는가? 예측 타당성 연구는 일반적으로 합의된 "골드 스탠더드"가 필요하지만, 보건 전문가의 성과를 측정하는 데 [이론의 여지가 없는 단일 골드 표준]이란 존재하지 않는다(Patterson et al. 2017; Roberts et al. 2018).

A consistent problem in judging the quality of different selection methods relates to the so-called criterion-problem; that is, what outcomes are we trying to predict? Predictive validity studies require a generally agreed-upon “gold standard,” but there is no single undisputed gold standard that measures the performance of a practicing health professional (Patterson et al. 2017; Roberts et al. 2018).


가중치를 어떻게 부여하느냐에 따라 선택된 모집단의 측면에서 다른 결과가 초래될 것이라는 증거가 명백하다(예: 페르난도 외 2008; 티핀 외 2012; 그리핀 및 후 2015).

evidence is clearly identifies that diverse ways of weighting different methods will lead to different outcomes in terms of the population selected (e.g. Fernando et al. 2008; Tiffin et al. 2012; Griffin and Hu 2015).


선발 방법을 평가하기 위해 사용되는 결과 측정은 흔히 직무 역할에서 임상 실습 및 [일반적인(일상) 성과]와 관련된 지표보다는 성취도와 [최대 성과](예: 의대 성과, 면허 시험에서의 성과)에 초점을 맞춘다. 이용할 수 있는 (제한된) 종방향 예측 유효성 연구 중, 목표 결과 변수와 그 해석을 명확히 하기 위해 추가적인 명확성이 필요하다.

Outcome measures used to evaluate selection methods often focus on indicators of attainment and maximal performance (e.g. medical school achievements, performance in licensure exams) rather than indicators relating to clinical practice and typical (day-to-day) performance in the job role. Of the (few) longitudinal predictive validity studies available, additional clarity is needed to articulate the target outcome variables and their interpretation.


(3) 다양성과 세계화 문제

(3) Diversity and globalization issues


경제적으로 불리한 배경, 시골 배경 또는 특정 민족과 문화 그룹과 같은 특정 그룹의 사람들은 전 세계적으로 의학 부문에서 낮은 평가를 받고 있다(Bowes et al. 2013). Razack 등(2015년)은 배타적 프로세스에서 포괄성을 가능케 하기 위해 고려할 수 있는 다중 우수성을 분석한 결과, 권력 역학이 직업과 한계 그룹 사이에 어떻게 개입하는지를 입증하는 데 도움이 된다. 여기에는 역사적으로 주목받지 못한 일부 사회 집단의 앞에 놓인 상류 장애물을 보는 것도 포함된다.

People from certain groups, such as those from economically disadvantaged backgrounds, rural backgrounds, or certain ethnic and cultural groups remain under-represented in medicine worldwide (Bowes et al. 2013). Razack et al.’s (2015) analysis of the multiple excellences that might need to be considered to enable inclusiveness in an exclusive process helps to demonstrate how power dynamics intervene between the professions and marginalized groups. This includes looking upstream at impediments put before some social groups that have not historically been noticed.


예를 들어 얼마 전까지만 해도 영국의 입학 자료에는 의과대학에서 가장 과대평가된 사회반과 가장 과소평가된 사회반 사이에 600배의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힐튼과 루이스 2004; 세얀 외 2004). 민족성과 관련하여, 아프로-카리베인 노동계급 남성들은 영국에서 의학에도 적용하지 않는 경향이 있으며(Kumwenda et al. 2018), 이와 유사하게 터키 소수 집단은 독일에서의 의료 교육에서 현저하게 미흡하다. 이러한 경향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안정적이며(Mathers et al. 2016) 거의 모든 지역에서 관찰되었다(Edwards et al. 2000; Crosby et al. 2003; Frazer 2005; Young et al. 2012; Gale and Parker 2013).

For example, not so long ago, the UK admissions data indicated that there was a 600-fold difference between the most over-represented and most under-represented social classes in medical school (Hilton and Lewis 2004; Seyan et al. 2004). Regarding ethnicity, Afro-Caribbean workingclass males tend not to even apply to medicine in the UK (Kumwenda et al. 2018), and similarly, Turkish minority groups are significantly underrepresented in medical education in Germany. These trends have been stable over time (Mathers et al. 2016) and observed in almost all parts of the world (Edwards et al. 2000; Crosby et al. 2003; Frazer 2005; Young et al. 2012; Gale and Parker 2013).


엘리트로서의 의학 교육의 재생산적 성격은 영구적으로 유지된다. 덜 advantaged 사회 집단의 젊은이들이 성공을 입증하는 데 겪는 장애물로는 

  • 교육 과정 내내 낮은 수준의 학업 성취 달성(Gorard et al. 2006) 

  • 자신감 결여(Greenhalgh 등, 2006) 

  • 의료 경력과 동일하지 않음(Mathers and Parry 2009; Southgate et al. 2015) 

  • 의대(Nicholson 및 Cleland 2017)에 성공적으로 지원 및 진행하기 위해 정보 및 자원과 협상할 수 없음 

  • 의료 교육 비용과 돈을 벌어야 하는 필요성에 민감함(Sianou-Kyrgiou 및 Tsiplakides 2011) 

  • 대학 교육 이력이 없는 가정 출신(Rob et al. 2007; Southgate et al. 2015) 

  • 의학을 열망할 동기를 부여하거나 지지하지 않는 중등(고등) 학교에 다니는 것(McHarg 등, 2007).

The reproductive nature of medical education as elite is perpetually maintained. Barriers in demonstrating success for young people from less advantaged social groups include routinely 

  • achieving lower levels of academic achievement throughout their schooling (Gorard et al. 2006); 

  • lack of self-confidence (Greenhalgh et al. 2006); 

  • not identifying with a medical career (Mathers and Parry 2009; Southgate et al. 2015); 

  • being unable to negotiate to information and resources to successfully apply to, and progress through, medical school (Nicholson and Cleland 2017); 

  • being sensitive to the cost of medical education versus the need to earn money (Sianou-Kyrgiou and Tsiplakides 2011); 

  • coming from a family without a history of university education (Robb et al. 2007; Southgate et al. 2015); and 

  • attending secondary (high) schools that do not motivate or support students to aspire to medicine (McHarg et al. 2007).


많은 국가에서 주요 정책상의 의무는 특정 집단(사회-경제적 지위가 낮은 그룹, 특정 민족 배경, 외딴 지역과 시골 지역에서 유래한 지역 및/또는 토착 인구 포함)의 대표성을 높이기 위한 정부 투자의 지원을 받아 의학교육에 대한 접근 확대를 촉진한다.

In many countries, major policy imperatives promote widening access into medicine, backed by governmental investment to increase the representation of certain groups (including those from lower socio-economic status (SES), certain ethnic backgrounds, originating from remote and rural locations, and/or indigenous populations).


이에 대한 근거는 두 가지다. 

  • 첫째, 사회 정의와 사회 이동성의 사회적 이슈를 모든 배경의 사람들을 고등교육으로 장려하는 관점에서 다루기 위해서입니다출생이 사람의 사회적, 경제적 결과를 좌우하는 것이어서는 안된다(Nicholson and Cleland 2015). 

  • 둘째, 의료 인력의 다양성은 자신이 봉사하는 지역사회의 맥락과 문화를 이해하는 잘 훈련된 의사의 공급을 보장함으로써 건강관리 품질을 개선하는 데 필수적인 것으로 간주된다(Xu et al. 1997; Whitla et al. 2003; Saha et al. 2008).

The rationale for this is twofold. 

  • First, to address societal issues of social justice and social mobility in terms of encouraging people from all backgrounds into higher education rather than birth dictating one’s social and economic outcomes in life (Nicholson and Cleland 2015). 

  • Second, a diverse healthcare workforce is considered essential to improving healthcare quality by ensuring a supply of well-trained doctors who understand the context and culture of the communities they serve (Xu et al. 1997; Whitla et al. 2003; Saha et al. 2008).


역설적으로, 학업 성취도에 대한 의존에서 [역량기반 모델]로 이동하려는 노력은 입학 위원회에서 종종 지원자의"개인적 준비"의 지표로 취급하는 많은 활동에 참여할 기회에 대한 장벽을 증폭시킬 위험을 초래할 수 있다. 2018).

Paradoxically, efforts to move away from a reliance on academic achievement toward competency-based models can run the risk of amplifying these barriers as only the privileged can be expected to have opportunities to participate in many of the activities that admissions committee often treat as indicators of applicants’“personal readiness” (Wouters 2018).


접근의 확대에 대한 접근방식은 철학과 맥락에 따라 크게 달라지며, [지원자의 개인적 권리]와 [그들이 봉사할serve 사람들의 집단적 권리] 사이에 문제가 제기된다

  • 한쪽에서, 동등한 능력을 가진 지원자는 어떤 인구통계학적 그룹 출신이라는 이유로 차별받아서는 안 된다(Woolf et al. 2011; Roberts et al. 2018). 

  • 한편, 지원자를 인구학적 프로파일에 분류할 때 쿼터 같은 차별적 행동 정책이 유사한 인구학적 프로파일을 가진 지리적 지역에서 보건 전문가로 활동할 확률을 높일 것이라는 가정도 있다. 인구통계에 기초한 접근 확대가 다양한 인력 제공의 목적을 충족시킬 수 있는지에 대한 비판적 성찰과 경험적 증거가 필요하다.

The approach to widening access varies widely by philosophy and context, raising a conundrum, between the individual rights of an applicant and the collective rights of the people they will serve. 

  • On one side, no applicant of equal ability should be discriminated against by virtue of which demographic group they come from (Woolf et al. 2011; Roberts et al. 2018). 

  • On the other side, the assumption that affirmative action policies such as quotas in classifying applicants on their demographic profile will increase the probability of them practicing as a health professional in geographical areas with a similar demographic profile. There needs to be critical reflection and empirical evidence as to whether widening access on the basis of demographics can meet the purpose of providing a diverse workforce.


일부 국가는 쿼터제를 사용하여 대상 그룹으로부터 지원자를 위한 장소를 보호하는데, 이는 별로 대표되지 않은 지원자가 쿼터제 때문에 입학을 획득한 스테이그마를 만드는 데 문제가 있을 수 있다.

Some countries use quota-based systems to protect places for applicants from target groups which may be problematic in creating stigmas that under-represented problematic in creating stigmas that under-represented applicants gained entry only because of the quota system.


  • 유럽에서는 프랑스가 의과대학에 입학할 때는 거의 선발이 없지만, 교육과정의 초기에 시험에 근거해 학생 수를 대폭 줄여서 SES가 선발에 미치는 영향을 줄일 수 있다. 

  • 독일에서, 의학에 대한 자유로운 선택을 위한 헌법상의 권리는 중등학교 졸업 후 가장 오래 기다린 지원자들에게 주어지는 20%의 할당제를 낳았다. 그러나 이들 학생들의 중퇴율은 높으며 최근 헌법 재판소는 이 정원을 없앨 수 있다고 결정했다. 

  • 반면, 미국에서 선발시 인종적 고려를 금지하는 법은 의료계의 의료 불평등을 해결하기 위한 심각한 장애물을 내포하고 있다(Garces and Micki-Pabello 2015).

  • In Europe, France has little selection at entry into medical school but drastically reduces the number of students based on examinations early in the curriculum, which might reduce the impact of SES on selection. 

  • In Germany, the constitutional right for a free choice into medicine gave rise to a 20% quota of study places that are given to those applicants who have waited the longest from graduation from secondary school. However, the dropout rates among these students are high and the constitutional court recently decided that this quota can be eliminated. 

  • By contrast in the United States, state-wide laws banning the consideration of ethnicity in selection pose serious obstacles for the medical profession to address inequities in care (Garces and Mickey-Pabello 2015).


네덜란드에서는 후보자들이 더 높은 SES나 사회적 자본의 지원자를 선호하기 때문에 다양성이 결여될 수 있는 선발 시스템을 "전략적으로 게임"하기 위해 사용할 수 있는 수단을 사용할 것이라는 인식이 있다(Wouters et al. 2017; Stegers-Jager 2018). 일부 사람들은 전국 복권이 이러한 문제를 피할 수 있다고 주장한다(Hofstee 1983; Wouters et al. 2017). 그러나 다른 이들은, 만약 학문적 성공이 복권의 수를 결정한다면, 공정성을 가정할 수 없다고 말한다(Griffin과 Hu). 그러나 네덜란드의 중등교육 시스템은 모두 공공 자금으로 지원되며 계층화tiered 되어 있는데, 이는 (학업적으로) 상위 계층의 학생들만이 대학에 지원할 수 있고, 중등학교 기간 동안 최하위 계층에 입학한 학생들은 올라갈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것은 SES의 영향을 부분적으로만 받는다.

In the Netherlands, some perceive that candidates will use means available to them to “strategically game” the selection system which may create a lack of diversity as it favors applicants of higher SES or social capital (Wouters et al. 2017; Stegers-Jager 2018). Some argue that a national lottery may avoid these problems (Hofstee 1983; Wouters et al. 2017). Others state, however, that one cannot assume fairness if incoming academic success determines the number of lottery tickets one receives (Griffin and Hu 2015). The secondary school system in the Netherlands is all publicly funded and tiered however, which means that only students from the top tier – academically – can apply for university, and during the secondary school period students who have entered in the lowest tier can move up. This is only partly influenced by SES.


전반적으로, 의학의 다양성을 증가시키는 다양한 접근방식에 관한 효과의 증거는 모호하다. 긍정적인 관점에서, 새로운 선택 도구는 신청자 모집단의 다른 부분에 대한 중립성을 시험하는 것이 관례다(Moreau et al. 2006; Reiter et al. 2012; Livens et al. 2016). 좀 더 신중한deliberate 선택 기법을 사용하는 것으로의 전환은 더 나은 학생 성과 결과를 산출하는 것으로 보인다(Stegers-Jager 2018). 더 광범위한 역량 기반 선택 모델을 향한 움직임은 (예를 들어 호주에서와 같이) 일부 맥락에서 학문적 성과에만 의존하는 해로운 영향을 상쇄(어느 정도)하는 것으로 보인다(Griffin 및 Hu 2015). 조건화된 입학 절차들은 덜 준비된 배경의 지원자들이 의대에서 더 쉽게 통합되고 성공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Girotti et al. 2015)

Overall, the evidence of effectiveness regarding various approaches to increasing diversity in medicine is equivocal. On a positive note, it is customary for newer selection tools to be tested for their neutrality toward different sections of the applicant population (Moreau et al. 2006; Reiter et al. 2012; Lievens et al. 2016). The transition toward using more deliberate selection techniques appear to be yielding better student performance outcomes (Stegers-Jager 2018). The movement toward broader competency-based models of selection appear to offset (to some degree) the deleterious effects of relying solely on academic achievement in some contexts, for example, in Australia (Griffin and Hu 2015). Conditionalized admissions processes have been shown to successfully enable less prepared applicants from under-represented backgrounds to more readily integrate and succeed in medical school (Girotti et al. 2015).


"표준화된 입원비"를 생성하여 접근 확대에 대처할 수 있는 기술 솔루션(다른 사회 부문으로부터 의학을 공부하도록 인정된 비율이 모집단 비율과 일치) 또는 "제한된 최적화" 모델(Kreiter 2002)은 의과대학에서 채택하지 않았다. 반면에, 의대에 입학하기 전 또는 의과대학의 초기 단계(Girotti et al. 2015)이든, 적절한 학업 훈련을 받을 수 있는 덜 혜택 받지 못한 그룹의 학생들을 장려하기 위한 조건부 입학 및 융성 프로그램에 의해 보여지는 유망한 결과들이 있다. 

Technical solutions, which may address widening access by generating “standardized admission ratios” (where the proportion admitted to study medicine from different social segments is matched with their population proportion: McManus 2002; Seyan et al. 2004) or “constrained optimization” models (Kreiter 2002) have not been embraced by medical schools. On the other hand, there is promising results shown by conditional admissions and enrichment programs aimed toward promoting students from less advantaged groups who can receive the proper academic training, either prior to entry into medical school or early on in their medical school (Girotti et al. 2015).


선발 영역에는 두 가지 특정 영역이 있는데, 여기서 실무와 정책은 시장 힘에 의해 강하게 영향을 받는다. 많은 지역에서, 선발 도구는 "제품화"되었고, 지원자(예: 구매식 입시 대비 과정)와 학교(예: 선정 시스템에 포함될 수 있는 "사외" 제품/테스트)에 상업적으로 판매되었다. 코칭 제품이 반드시 지원자의 성공을 향상시키는 것은 아니라는 연구 결과가 일부 있다(예: Griffin et al. 2008; 리뷰는 Griffin (2018) 참조).

There are two particular areas of selection where practice and policy are strongly influenced by market forces. In many locations, selection tools have been “productized” and commercially marketed to applicants (e.g. fee-payable preparatory courses) and schools (e.g. “off-the-shelf” products/tests that can be included in the selection system). There is some research suggesting that coaching products do not necessarily improve application success (e.g. Griffin et al. 2008; see Griffin (2018) for a review).


세계화된 경제에서 의료 이주는 증가하는 이슈다. 아프리카와 중동과 같은 많은 개발도상국에서는 높은 이주율과 이주 의향이 있다(Bailey et al. 2012; Suciu et al. 2017). 이러한 의도는 일시적일 수 있다(예: 전문과 훈련을 위해 해외로 나갔다가 출신지에서 다시 일하게 된다; Tekian and Boulet 2015) 또는 영구적일 수 있다. 해외 연수 의사를 적극적으로 채용할 수 있도록 하고 장려하는 정책, 규제, 입법은 가난한 나라에서 부유한 나라로 이주하는 의료 종사자의 '두뇌 유출'을 전파할 수 있다(smith 2008). 예를 들어 사하라 사막 이남 아프리카는 (세계 질병의) 24%의 부담을 가지고 있지만, 의료 종사자의 경우는 3%에 불과하다(세계보건기구 보고서 2006). 규제 기관이 21세기 의료 마이그레이션 흐름을 조정된 글로벌 수준에서 고려할 수 있는 민첩성을 가지고 있는지 여부를 질문할 필요가 있다(Hawthorne 2015).

In a globalized economy, medical migration is an increasing issue. In many developing countries, such as in Africa and the Middle East, there are high rates of migration and intention to migrate (Bailey et al. 2012; Suciu et al. 2017). These intentions may be transient (e.g. going abroad for specialty training and then returning to work in the country of origin; Tekian and Boulet 2015) or permanent. Policy, regulations, and legislation that enable and encourage active recruitment of overseas-trained doctors can propagate the “brain drain” of health workers migrating from poor to wealthy countries (Smith 2008). For example, Sub-Saharan Africa has 24% of the burden (of global disease) but only 3% of health workers (World Health Organization Report 2006). The question needs to be asked whether regulatory bodies have the agility to consider twenty-first century medical migration flows at a coordinated, global level (Hawthorne 2015).



(4) 이론과 평가

(4) Theory and evaluation


보건 분야 종사자 선발에 관한 문헌이 급속히 증가하고 있다고 평가함에 있어서, 현장에서의 토론을 알리기 위해 "과학적 방법"을 채택한다고 주장하는 사람들의 주된 의제는 정신측정학(즉, 선택 관행에서 예측 가능한 타당성과 신뢰성을 달성하는 최선의 방법)이었다.

In appraising the rapidly increasing literature on selection into the health professions, the dominant agenda for those claiming to adopt “scientific methods” to inform the debates in the field has been psychometric (i.e. how best to achieve predictive validity and reliability in selection practices).


학습 분석을 사용하는 빅데이터 접근방식은 훈련 중인 성능 및 잠재적으로 건강 결과 데이터와 관련된 선택도 보장한다(Ellaway et al. 2014). 그러한 분석의 학제간 성격을 고려할 때, 우리는 보다 정교한 예측 타당성 연구를 예상해야 하며, 선발 관행의 맥락과 내용에 차이를 고려하는 다기관 고품질 데이터 세트에 적용해야 한다.

Big data approaches using learning analytics also bear promise in relating selection to in-training performance and potentially health outcomes data (Ellaway et al. 2014). Given the interdisciplinary nature of such analysis, we should expect more sophisticated predictive validity studies, applied to multi-site highquality data sets that take differences in context and content of selection practices into account.


선택은 (심리측정적) 진공에서 일어나지 않는다. 이를 조사하기 위한 적절한 이론적 프레임워크와 적절한 방법론을 개발하기 위해 혼합된 방법 접근법이 더 적절할 수 있다. 선발 철학, 정책 및 결과는 고정된 것이 아니라, 의료 교육의 글로벌 및 국가, 사회, 정치적 동인에 근거하여 변화한다(Cooke et al. 2010; Frenk et al. 2010; Hodges and Ringard 2012). 선발을 뒷받침하는 광범위한 사회적 세력들이 수월성을 정의하는 특정한 방법에 따라 충돌할 수 있으며, 학생이나 수습 기관의 다양성을 증가시키기 위해 노력하는 일부 의과대학과 전문 선발 위원회에 불편한 긴장을 야기할 수 있다. 이는 입학 환자, 의자, 기관 직원, 지원자, 보건 제공자, 규제자, 기금가, 대학, 사회를 포함한 행위자와 이해당사자들 사이의 다중적이고 복잡한 제도적 요구와 협상을 반영하여 서로 다른 건강 전문 기관이 다른 선택 목적과 목표를 가지도록 유도한다(클리랜드). 등, 2015; Razack 등, 2015; Alexander 등, 2017). 

Selection does not occur in a (psychometric) vacuum. To develop the appropriate theoretical frameworks and appropriate methodologies to investigate this, mixed methods approaches may be more appropriate. The philosophies, policies, and outcomes of selection are not static, rather they shift on the basis of global and national, societal, and political drivers of medical education (Cooke et al. 2010; Frenk et al. 2010; Hodges and Lingard 2012). Broadly social forces underpinning selection may conflict as particular ways of defining excellence may lead to uncomfortable tensions for some medical schools and specialty selection boards that strive to increase the diversity of its student or trainee body. This reflects multiple and complex institutional demands and negotiations among actors and stakeholders including admissions patients, chairs, institutional staff, applicants, health providers, regulators, funders, universities, and society, leading different health professional institutions to have different selection aims and objectives (Cleland et al. 2015; Razack et al. 2015; Alexander et al. 2017). 


건강 전문 교육 문헌에서 문맥에 중요한 인식이 증가하고 있다. 이는 비단 전통적인 맥락 특이성 측면에서만 그런 것이 아니라(다른 특성의 문제에 대한 성능 간의 낮은 상관관계) 또한 교육적 개입이 구현되는 환경의 차이에 의해 야기되는 거시적 가변성 측면에서도 그러하다(Bates and Elaway 2016).

There is a growing awareness in the health professional education literature that context matters, not only in the traditional sense of context specificity (poor relationships between performance on problems of different characteristics) but also in the macro sense of variability induced by differences in the environment in which educational interventions are implemented (Bates and Ellaway 2016).


우리는 선발에 관심이 있는 사람들이 보건전문직 선발을 형성하는 힘에 대한 탐구와 배려를 회피하기 보다는 포용할 것을 촉구한다. 그렇게 하기 위해서는 "측정"에 초점을 맞춘 연구를 보완하기 위해 그 분야에서 더 많은 질적 연구가 필요하다.

We urge those with interest in selection to shift their thinking, to embrace, rather than avoid, the exploration and consideration of forces that shape health professional selection. To do so requires more qualitative studies in the area to complement those focused on “measurement.”


예를 들어, 많은 졸업생들이 이주할 것이라는 이해를 가지고 과잉생산하는 국가의 의과대학의 선정 목표와 목표는 [의료 학교의 수는 국가 인력 계획 예측에 근거하여 정부에 의해 통제되는] 영국과 같은 나라의 의과대학과 매우 다를 것 같다(Bailey et al. 2012; Kizito et al. 2015; Suciu et al. 2017) 

For example, the selection aims and objectives of a medical school in a country over-producing doctors with the understanding that many graduates will migrate (Bailey et al. 2012; Kizito et al. 2015; Suciu et al. 2017) are likely to be very different from those of a medical school in a country such as the UK where the number of medical schools are controlled by government on the basis of national workforce planning forecasts.


도어와 동료(도어 외 2017)는 선발과정의 프로세스와 효과를 평가하기 위해 프로그램 로직 모델을 사용할 것을 제안한다. 이 접근방식은 종종 명시적으로 언급되지 않은 프로세스의 중요 구성 요소를 강조한다.

Dore and colleagues (Dore et al. 2017) suggest the use of program logic models to evaluate the process and effectiveness of selection processes. This approach highlights the critical components of a process that are often not explicitly stated


로직 모델에는 입력과 활동이 결과, 출력 및 영향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가정, 편견 및 기대감으로 구성된 여러 구성 요소가 있다(Cooksy et al. 2001).

Logic models have multiple components which are comprised of assumptions, biases, and expectations of how the inputs and activities (of, in this case, selection) will influence the outcome, output, and impact (of a selection process; Cooksy et al. 2001).


우리의 두 번째 예는 과학적 사실주의 철학에 기초한 일련의 현실주의 접근방식에서 도출될 수 있는 반복적인 설명-구축 과정으로 정의되는 현실주의 평가다(Wong et al. 2012). 여기에는 "증거 합성 및 개입이 효과가 있을 수 있거나 없을 수 있는 이유에 대한 설명(프로그램 이론) 제공"으로서의 현실주의적 합성이 포함된다(Kehoe et al. 2016). 원래 Pawson과 Tilley(1997년)에 의해 제안된 현실주의적 평가의 주된 관심사는 컨텍스트-기전-결과(CMO) 구성을 통해 "무엇이, 누구에게, 어떤 상황에서, 어떻게 작동하는지"의 문제를 다루는 것이다(Dalkin et al. 2015). 메커니즘은 특정 상황에서 작동하여 관심의 결과를 생성하는 기본 실체, 프로세스 또는 구조로 볼 수 있다(Dalkin et al. 2015). 현실주의적 평가는 CMO 구성을 서로 다른 맥락에서 비교하는 데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으며, 한 선택 접근방식이 한 맥락 또는 국가에서 작동하지만 다른 상황에서는 작동하지 않는 이유에 대한 통찰력을 제공할 수 있다.

Our second example is realist evaluation, defined as an iterative explanation-building process, that might draw from a suite of realist approaches based on the philosophy of scientific realism (Wong et al. 2012). This includes realist synthesis as a “strategy for synthesizing evidence and providing explanations (program theories) on why interventions may, or may not, work” (Kehoe et al. 2016). Originally proposed by Pawson and Tilley (1997), the principal concern of realist evaluation is to address, through a context-mechanism-outcome (CMO) configuration, the question of “what works, for whom, under what circumstances, and how” (Dalkin et al. 2015). Mechanisms can be viewed as the underlying entities, processes, or structures that operate in particular contexts to generate outcomes of interest (Dalkin et al. 2015). Realist evaluation could usefully be used to compare CMO configurations in different contexts, to provide insight into why one selection approach works in one context or country, and yet may not work in another.


마지막으로 클렐런드 외 연구진(2018년)은 선발을  "고약한 문제"(리텔과 웨버 1973년)로 볼 수 있고 연구자가 선발과정의 복잡성을 인정할 수 있는 렌즈를 제공할 것을 제안한다. 그것은 단일한 모호하고elusive 객관적인 진리를 추구하는 것에서, 건강 전문가 선발에는 복잡성이 불가피하다는 것을 인식하고, 불확실성을 관리하고, 더 생산적으로 선택과 관련된 "문제"를 고려하는 것으로 사고와 행동을 전환한다. 의료선택을 "위키드"라고 표기하는 것은 단순하거나 선형적이거나 결정론적인 경우와는 다른 대응의 필요성을 예견하고, 선택의 개념화를 변화시킬 수 있는 문을 연다.

Finally, Cleland et al. (2018) propose that selection can be viewed as a “wicked problem” (Rittel and Webber 1973) and offer a lens through which researchers can acknowledge the complexity of selection processes. It shifts thinking and action from seeking one elusive, objective truth, to recognizing that complexity is inevitable in health professional selection, managing uncertainty, and questioning and considering “issues” associated with selection more productively. Labeling medical selection as “wicked” foregrounds the need for different responses than would be the case if it was simple, linear, or deterministic, and opens the door to shifting conceptualizations of selection.


마찬가지로, Jorm과 Roberts(2018)는 복잡성 모델과 관련 개념 내에서 프레임 의과대학 평가를 제안했다. 그들은 의료 교육자들이 자신의 환경에서 이러한 평가 접근법을 적용할 수 있도록 돕기 위한 sense-making 도구를 제안한다. 선발에만 사용되는 것은 아니지만, 복잡한 신경망 안에 위치한 신경 세포로서 의과대학을 은유하는 것은 의학 교육자들이 선택 과정과 그 결과의 평가에 대해 생각하는 방식을 재구성할 수 있게 해줄 수 있다.

Similarly, Jorm and Roberts (2018) have proposed framing medical school evaluations within a complexity model and associated concepts. They suggest the tool of sense-making to help medical educators apply this evaluation approach in their own settings. While not specific to selection, their metaphor of the medical school as a neuron situated within a complex neural network may enable medical educators to reframe the way they think about evaluating selection processes, and their outcomes.




요약, 향후 방향 및 권장 사항

Summary, future directions, and recommendations


선택 방법을 둘러싼 증거에 대한 우리의 이해는 현저하게 발전했다. 이는 실무에 반영된다. 현재 많은 기관이 영국, 네덜란드, 독일 및 호주와 같은 선택 절차에 더 많은 "증거 기반" 접근법을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세계의 많은 지역에서는 이를 뒷받침하는 연구 증거가 거의 없거나 전혀 없는 선택 방법(예: 개인 진술, 참고문헌)을 주요 기준으로 계속 사용하고 있으며/또는 선행학문 달성에 의존하고 있다. 따라서, 기존의 연구 결과를 실천으로 옮기기 위해서는 더 많은 작업이 필요하며, 그러한 격차가 지속되는 이유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더 많은 작업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Our understanding of the evidence surrounding selection methods has developed significantly. This is reflected in practice – many institutions are now using more “evidence-based” approaches in their selection procedures in for example the UK, Netherlands, Germany, and Australia. However, many parts of the world continue to use selection methods that have little or no research evidence supporting them (e.g. personal statements, references) and/or rely on prior academic attainment as the main criterion. It would, thus, seem that more work is required to translate existing research findings into practice and to understand why such a gap persists.



권고사항

Table 2. Recommendations.


1. 의료 실무자로서의 성공을 나타내는 바람직한 행동의 검증된 분류 체계를 사용하여 교육 단계에 걸쳐 맥락화되고 관련성이 있는 선발의 품질을 판단한다.

1. Use validated taxonomies of desirable behaviors that indicate success as a healthcare practitioner to judge the quality of selection, which are contextualized and relevant across stages of training



2. 선발 관행의 맥락과 내용에 차이를 고려한 다기관 고품질 데이터 세트를 사용하여 선정 관행의 타당성을 평가하기 위한 보다 정교한 연구 설계 및 방법론을 개발한다.

2. Develop more sophisticated research designs and methodologies to evaluate the validity of selection practices, using multi-site high-quality data sets that take differences in context and content of selection practices into account


3. 건강 결과와 관련된 선발 정책 및 실천을 평가하기 위해 복잡한 빅데이터 접근 방식을 사용할 때의 기회와 과제를 고려하십시오.

3. Consider the opportunities and challenges of using complex big data approaches to evaluate selection policies and practices linked to health outcomes


4. 대학의 사회적 책임 안건이 사회적 포용을 지원하고, 인력 문제를 해결하며, 환자 관점을 포함한 정부 및 기관의 정책 문제를 탐색하는 방법을 탐구한다.

4. Explore the ways in which social accountability agendas of universities support social inclusion, address workforce issues, and navigate government and institutional policy issues while including the patient perspective


5. 선발 방법은 모든 후보자에 대한 공정성과 책임성을 보장해야 한다. 다양성을 다루고 접근 범위를 넓히는 접근방식과 관련하여 서로 다른 맥락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는 이유를 설명하기 위한 연구가 필요하다. 또한, 아웃리치, 전략, 준비 프로그램 및 접근 확대를 위한 다른 방법의 효과를 평가하기 위해 보다 강력한 증거가 필요하다.

5. Methods for selection must ensure fairness and accountability for all candidates. Research is required to explain why there is significant variation in differing contexts with respect to approaches to address diversity and widening access. In addition, more robust evidence is required to evaluate the effectiveness of outreach, targeting strategies, preparation programs, and other means to widening access


6. 많은 개발도상국에서 선진국으로의 높은 이민률에 영향을 미치는 선발과 채용 관행이 할 수 있는 역할을 더 잘 이해하기 위한 연구가 필요하다.

6. Research is required to better understand the role that selection and recruitment practices might play, in influencing the high migration rates of health profession graduates from many developing countries to those in the developed world


7. 대규모, 국가적으로 조정된 선택 접근법을 제정하는 기회와 과제를 서로 다른 맥락에서 선발과 채용을 위한 지역적 준비와 비교하고 대조해야 한다.

7. The opportunities and challenges of enacting large scale, nationally coordinated approaches to selection should be compared and contrasted with local arrangements for selection and recruitment in different contexts


8. 국제적으로 다양한 맥락에서 선발 프로세스, 선발 방법, 의사 결정 및 보고를 제공하는 데 필요한 인프라의 계량적 평가 및 비용-효익 분석을 사용하는 정책 계획에서 경제학자와 협력하는 것을 고려한다.

8. Consider working with economists in policy planning that uses econometric evaluation and cost–benefit analysis of the infrastructure required for delivering selection processes, selection methods, decision-making, and reporting in a range of contexts internationally


9. 지역적 상황 우선순위에 민감한 적절한 방법론을 사용하여 선택 정책과 실천의 미래 개발을 촉진하기 위해 학제간 이론 프레임워크를 사용한다.

9. Use interdisciplinary theoretical frameworks to facilitate the future development of both selection policy and practice using appropriate methodologies which are sensitive to local contextual priorities


10. 선발 연구 증거를 정책 및 실천으로 더 많이 번역할 수 있는 체계적인 접근 방식을 조사한다.

10. Investigate systematic approaches that can ensure a greater translation of selection research evidence into policies and practice


예측 타당도 연구에서 선형 회귀 기반 분석은 복잡성을 설명하지 않는다. 즉, 변수 간의 안정적이고 실증적인 관계를 가정한다. 이에 따라 방법론적 접근방식을 확대해야 한다. 여기에는 데이터 액세스 문제를 탐구하고 선택 정책을 건강 결과와 연관시키기 위해 복잡한 빅데이터 접근 방식을 사용할 기회와 과제를 고려하는 것이 포함된다(Gorman 2018).

In predictive validity studies, linear regression-based analyses do not account for complexity – they assume a stable, positivistic, relationship between variables. Accordingly, we must expand our methodological approaches. This includes exploring data access issues and considering the opportunities and challenges of using complex big data approaches to relate selection policies to health outcomes (Gorman 2018).


우리는 향후 연구를 이끌기 위해 몇 가지 주요 주제를 검토했으며, 선발 분야는

(a) 선택 방법 및 선택 철학, 정책 결정 간의 상호 작용에 더 많은 주의를 기울여야 하고. 

(b) 보다 정교한 평가 접근법 및 이론적 프레임워크를 사용해야한다. 

이를 통해서 다양성 및 인력 부족 문제를 해결하는 것뿐만 아니라 선택 방법의 가중치 부여 및 순서 지정과 같은 문제를 가장 잘 처리하는 방법에 대해 선발 관련자에게 도움이 되는 정보를 제공해야 한다.

We have reviewed several key topics to guide future research by suggesting the field should (a) pay greater attention to the interaction between selection methods and selection philosophy and policy-making and (b) use more sophisticated evaluation approaches and theoretical frameworks to better inform those involved in selection regarding how to best deal with issues such as the weighting and sequencing of selection methods as well as addressing diversity and workforce shortages.


이전의 합의된 진술과 일관되게, 양질의 진료 접근에 대한 미스매치와, 문화적으로 민감한 환자 치료에 대한 접근 사이의 세계적인 미스매치를 고려할 때 다양성은 계속해서 매우 중요한 주제다.

Consistent with the previous consensus statement, diversity continues to be a critically important topic given a global mismatch between access to quality, culturally sensitive patient care.


현재, 선발의 책임은 주로 교육 기관에 있는 반면, 채용은 고용주, 정부, 그리고 더 넓은 공동체가 공유하는 책임이다. 다양성과 참여 확대는 보건 전문 교육자가 경제학자 및 보건 정책 및 계획에 대한 전문 지식을 가진 사람들과 긴밀하게 협력할 수 있는 기회 및 선택 정책과 관행의 지역적 또는 지역적 법률적 함의를 염두에 둘 수 있는 기회를 포함하여 학제 간 연구를 위해 잘 알려진 영역이다(Greenhalgh et). al. 2004; and Robb et al. 2007; Cleland et al. 2015; Nicholson Cleland et al. 2015; Southgate et al. 2015; Alexander et al. 2017.

Currently, the responsibility of selection lies mainly on educational institutions whereas recruitment is a responsibility shared by employers, government, and the broader community. Diversity and widening participation is an area ripe for inter-disciplinary research, including opportunities for health professional educators to work closely with economists and those with expertise in health policy and planning, as well as being mindful of the local or regional legal implications of selection policies and practice (Greenhalgh et al. 2004; and Robb et al. 2007; Cleland et al. 2015; Nicholson Cleland 2015; Razack et al. 2015; Southgate et al. 2015; Alexander et al. 2017).


연구와 이용 가능한 자료의 대부분은 북유럽, 미국, 캐나다, 오스트랄라시아 등 제한된 수의 글로벌 지역에서 계속 생겨나고 있다. 아시아, 남미, 중동, 아프리카의 연구와 사례 연구는 부족하다.

the majority of research and available material continues to originate from a limited number of global regions: northern Europe, the USA, Canada, and Australasia. Research and case studies from Asia, South America, the Middle East, and Africa are lacking.


세계는 균질하지 않다(Schuwirth and van der Vleuten 2006). 이와 같이, 우리는 현재 목소리가 낮은 맥락에서 선택과 관련된 연구, 사례 연구, 평가를 위한 자원을 요청한다.

The world is variant, not homogeneous (Schuwirth and van der Vleuten 2006). As such, we make a plea for resources for research, case studies and evaluations related to selection from contexts whose voices are currently under-represented.



Cleland J, Dowell J, McLachlan J, Nicholson S, Patterson F. 2012. Identifying best practice in the selection of medical students (literature review and interview survey). London: General Medical Council.


Jorm C, Roberts C. 2018. Using complexity theory to guide medical school evaluations. Acad Med. 93:399–405.


Reiter H, Eva K. 2018. Vive la difference: the freedom and inherent responsibilities when designing and implementing multiple miniinterviews. Acad Med. 93:969–971.





 2018 Sep 25:1-11. doi: 10.1080/0142159X.2018.1498589. [Epub ahead of print]

2018 Ottawa consensus statementSelection and recruitment to the healthcare professions.

Author information

1
a Work Psychology Group, Derby United Kingdom of Great Britain and Northern Ireland, UK.
2
b Northern Clinical School, University of Sydney, Sydney, New South Wales, Australia.
3
c Department of Psychiatry, Faculty of Medicine, University of Toronto, Toronto, Ontario, Canada.
4
d Department of Biochemistry and Molecular Cell Biology, University Medical Center Hamburg-Eppendorf, Hamburg, Germany.
5
e Centre for Health Education Scholarship and Department of Medicine, University of British Columbia, Vancouver, British Columbia, Canada.
6
f Centre for Medical Education, Yong Loo Lin School of Medicine, Singapore.
7
g Department of Medical Education, College of Medicine, King Saud bin Abdulaziz University for Health Sciences, Riyadh, Saudi Arabia.
8
h Department of Medical Education, University of Illinois at Chicago, Chicago, Illinois, USA.
9
i Centre for Healthcare Research and Innovation (CHERI), University of Aberdeen, UK.

Abstract

Selection and recruitment into healthcare education and practice is a key area of interest for educators with significant developments in research, policy, and practice in recent years. This updated consensus statement, developed through a multi-stage process, examines future opportunities and challenges in selection and recruitment. There is both a gap in the literature around and a compelling case for further theoretical and empirical literature to underpin the development of overall selection philosophes and policies and their enactment. More consistent evidence has emerged regarding the quality of different selection methods. Approaches to selection are context-dependent, requiring the consideration of an institution's philosophy regarding what they are trying to achieve, the communities it purports to serve, along with the system within which they are used. Diversity and globalization issues continue to be critically important topics. Further research is required to explore differential attainment and explain why there are substantial differences in culturally acceptable ways of approaching diversity and widening access. More sophisticated evaluation approaches using multi-disciplinary theoretical frameworks are required to address the issues. Following a discussion of these areas, 10 recommendations are presented to guide future research and practice and to encourage debate between colleagues across the globe.

PMID:
 
30251906
 
DOI:
 
10.1080/0142159X.2018.1498589


나는 누구며 무엇을 이루고자 하는가? 자의식적 정서이론 적용(Acad Med, 2018)

Who Am I, and Who Do I Strive to Be? Applying a Theory of Self-Conscious Emotions to Medical Education

William E. Bynum IV, MD, and Anthony R. Artino Jr, PhD



여러분이 병원 복도를 걷고 있고, 곰 한 마리가 복도를 따라 내려와 바로 눈을 쳐다보고, 여러분을 향해 달려간다고 상상해보라. 여러분은 의심할 여지 없이 공포, 불안, 그리고/또는 흥분 같은 감정들을 경험하게 될 것이다. 이러한 기본적인 감정은 반사적이고, 자율신경계를 활성화시키고, 생존을 위한 행동을 (희망적으로) 취해서 도망가도록 한다.

Imagine you are walking down a corridor in the hospital and a bear emerges down the hall, looks you directly in the eye, and runs toward you. You are undoubtedly going to experience a rush of emotion: fear, anxiety, and/or exhilaration. These basic emotions are reflexive, activate your autonomic nervous system, and prompt you to (hopefully) take survival actions and run away.


이제 네가 같은 복도를 걷고 있다고 상상해보자. 그리고 간호사가 너의 도움을 청한다. 당신이 C line을 잡은 환자는 호흡곤란 상태에 있고, 당신은 그 환자가 기흉을 가지고 있음을 재빨리 평가한다. 당신은 이 사건에 대한 반응으로 또 다시 두려움과 불안감의 즉각적인 쇄도를 경험한다. 그러나, 이 일련의 감정들은 [당신이 자신에 대해 어떻게 느끼는지]에 관한 것이다.

Now imagine you are walking down the same corridor and a nurse yells for your help. The patient in whom you placed a central line is in respiratory distress, and you quickly assess that she has a pneumothorax from the procedure. You again experience an immediate rush of fear and anxiety in response to this event; however, a separate set of emotions may follow that relates to how you feel about yourself.


자신의 자아와 관련된 감정적 반응은 "자기의식적 감정"이라고 불리는 뚜렷한 종류의 감정을 구성한다. 자기의식적 감정은 자기 평가를 형성하는 일련의 감정과 속성에 반응하여 발생한다.2 자기의식적 감정은 어떤 사건이 개인에게 자신의 내면에 대한 집중과 평가를 하게 할 때 발생한다.2 그들은 자기인식을 필요로 한다는 점에서 기본적인 감정basic emotions(즉, 행복, 두려움, 불안)과는 다르다. 기본적인 감정은 그렇지 않다. 비록 어떤 감정이 정확히 자의식이라고 분류되는지에 대한 논쟁이 있지만, 대부분의 심리학자들은 수치심, 죄책감, 자부심을 이 분류에 포함시킨다.

The emotional responses relating to one’s self compose a distinct class of emotions called “self-conscious emotions.” Self-conscious emotions arise in response to a series of appraisals and attributions that form a self-evaluation.2 Self-conscious emotions occur when an event causes an individual to direct attention and evaluation to his inner self.2 They differ from basic emotions (i.e., happiness, fear, anxiety) in that they require self-awareness; basic emotions do not.3 Although there is some debate about exactly which emotions are classified as self-conscious, most psychologists include shame, guilt, and pride.



Tracy and Robins의 자기의식적 감정 모델

Tracy and Robins’s Model of Self-Conscious Emotions


Tracy and Robins의 모델이 있다.

Tracy and Robins’s2 model of self-conscious emotions


자기의식은 개인이 일련의 다섯 가지의 뚜렷한 평가와 속성을 통해 자신의 내면을 비판적으로 분석할 때 발생한다(그림 1 참조).

self-conscious emotions arise when an individual critically analyzes his inner self through a series of five distinct appraisals and attributions (see Figure 1).


첫 번째 평가는 생존가능성과 정체성에 대한 것이다.

The first appraisal deals with survivability and identity:



감정을 유발한 사건이 정체성 목표(예: 훈련 중인 의사가 환자에게 해를 입히는 경우)와 관련이 있다면, 자기의식이 발생할 수 있다. 실수로 기흉을 유발한 의사는 정체성 목표와 관련된 질문을 던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나 때문에 이런 일이 생겼나?" 또는 "기흉을 일으키는 것이 내 정체성과 일치하는가?"

If the eliciting event is relevant to identity goals (e.g., a physician-in-training causing harm to a patient), then self-conscious emotions may occur. A physician who inadvertently causes a pneumothorax may ask questions relevant to identity goals, such as “Did something about me cause this event?” or “Does causing a pneumothorax align with my identity goals?”


정체성 평가에 뒤이어, 평가의 초점은 자신의 내적 자아에 대한 것이 되고, 이것은 자기표현을 활성화한다. 자기 표현은 과거, 현재 및 미래와 관련될 수 있으며, 자신의 개인적, 관계적, 사회적 차원을 포함할 수 있다.2 트레이시와 로빈스에 따르면, 개인의 자기 표현은 다음을 포함한다. 

  • 재의 자기 표현(예: 스스로가 보는 현재의 모습: "나는 매우 결점이 많다.") 

  • 상적인 자기 표현(예: 스스로가 되길 바라는 모습: 나는 완벽해지기 위해 노력한다) 

Following identity appraisals, the individual directs evaluative focus toward his inner self and activates self-representations. Self-representations may relate to past, current, and future selves and may include personal, relational, and social dimensions of the self.2 According to Tracy and Robins, an individual’s self-representations include 

  • current self-representations (e.g., how he sees himself right now: “I am highly flawed”) and 

  • ideal self-representations (e.g., how he wants to see himself: “I strive to be perfect”). 

자기의식적 감정이 발생하려면 이러한 자기표현들이 암시적으로 또는 명시적으로 활성화되어야 한다. 다시 말해, 어떤 사람이 수치심, 죄책감, 혹은 자부심을 느낀다면, 그는 자신의 현재와 이상적 자아를 적극적으로 심사숙고하여 고려(비교)하고 있는 것이다.

These self-representations must be activated, either implicitly or explicitly, for self-conscious emotions to occur. In other words, when a person experiences shame, guilt, or pride, he is actively contemplating his current and ideal selves.


세 번째 단계에서, 개인은 현재의 자기 표현과 이상적인 자기 표현 사이의 일치성을 평가한다. 만약 그가 자신의 현재와 이상적인 자기 표현이 일치한다고 믿는다면, 그는 자부심 같은 긍정적인 감정을 느끼게 되고, 그것들이 일치하지 않는다면, 그는 수치심이나 죄책감 같은 부정적인 감정을 경험하게 된다.

In the third step, the individual appraises the congruence between his current self-representations and his ideal self-representations. If he believes that his current and ideal self-representations align, then he feels the positive emotion of pride; if they do not align, he experiences the negative emotion of either shame or guilt.


네 번째 단계에서, 개인은 그 사건의 원인이 그의 내부에 있는지 혹은 외부의 어떤 것인지를 결정한다. 그는 "기흉은 내 잘못이었나, 아니면 환경, 환자, 또는 내 외부의 어떤 것 때문이었나?"라는 질문을 할 수도 있다. 

  • 원인이 순수하게 외부적인 경우(예: 간호사가 시술 중에 의사의 손을 부딪혔을 경우) 그는 분노나 적개심과 같은 기본적인 감정을 경험했을 것이다. 

  • 원인이 내부적인 것으로 판단되면(예: 의사의 능력 또는 준비 수준과 관련된) 자기인식적 감정이 발생할 수 있다.

In the fourth step, the individual determines whether the event was the result of something internal or external to him. He may ask the question “Was the pneumothorax my fault or was it due to something about the environment, the patient, or something else external to me?” 

  • If the cause were purely external (e.g., the nurse bumped the physician’s hand during the procedure), he would experience basic emotions, such as anger or hostility. 

  • If the cause were deemed to be internal (e.g., related to the physician’s competence or level of preparation), then self-conscious emotions would occur.


다섯 번째와 마지막 단계에서, 개인은 자기 내면의 어떤 차원이 문제를 일으킨다고 생각하는지에 대하여 귀인attribution을 판단한다. 그 사건은 

  • 자신에 대한 어떤 전체적이고, 안정적이며, 변하지 않는 무언가에 의해 야기되었는가 아니면 

  • 특정한, 불안정하고, 가변적인 무엇인가에 의해 야기 되었는가? 

  • 다시 말하면, 그 사건은 그의 내적, 전체적 자아(예: 그의 지적 능력 또는 전반적 능력)에 의해 야기된 것인가? 

  • 아니면 그것은 특정한 행동과 행동으로 인해 생긴 것인가(예: 그의 직무에 대한 노력)에 기인한 것인가?

In the fifth and final step, the individual makes attributions to specific dimensions of his inner self that he believes led to the event in question. Was the event caused by something global, stable, and unchanging about himself or something specific, unstable, and variable? In other words, was the event caused by something about his inner, whole self (e.g., his intellect or global competence) or was it due to something specific and action based (e.g., his effort on a task)?


트레이시와 로빈스2는 이러한 감정과 속성에서 비롯되는 네 가지 자기의식적 감정을 간결하게 요약한다.

Tracy and Robins2 succinctly summarize the four self-conscious emotions that result from these appraisals and attributions:


수치심과 죄책감 둘 다, 개인은 

자신의 일부 측면에 주의를 집중해야 하고, 공적인 또는 사적인 자기표상을 활성화해야 하며, 

사건을 자신의 정체성 목표와 관련이 있거나 일치하지 않는 것으로 평가하고, 

사건의 원인을 어떤 내부 요인에 귀속시켜야 하며, 상황에 대해 자신을 탓해야 한다. 

For both shame and guilt, an individual must 

focus attention on some aspect of the self, activating public and/or private self-representations; 

appraise the event as relevant to and incongruent with identity goals; and 

attribute the cause of the event to some internal factor, blaming the self for the situation. 


이 두 가지 감정을 구분하는 것은 그 속성의 안정성과 전반성이다. 수치심은 안정적이고 전반적인 자아를 부정적으로 보는 감정을 포함하고 있는 반면, 죄책감은 특정한 행동이나 자신이 취한 행동에 대한 부정적인 감정을 포함한다.

What distinguishes … the two emotions, however, are stability and globality attributions: Shame involves negative feelings about the stable, global self, whereas guilt involves negative feelings about a specific behavior or action taken by the self.


사람들은 다음의 경우에 자부심을 느낀다.

자신의 관심이 자신에게 집중되어 있고, 공적 또는 사적 자아표상이 활성화될 때, 

그들이 사건을 정체성 목표와 관련이 있고 일치하는 것으로 평가할 때, 

사건의 원인을 어떤 내부 요인에 귀속시킬 때, 그 상황에 대한 공로를 인정할 때

People feel pride 

when their attention is focused on themselves, activating public and/or private self-representations; 

when they appraise events as relevant to and congruent with identity goals; and 

when they attribute the cause of events to some internal factor, taking credit for the situation. 


수치와 죄책감과 마찬가지로, 안정성 및 전반성의 속성은 두 가지 형태의 자부심을 구별한다. 

자기 자신에 대한 전반적 자부심(자만적 자부심)은 내부적이고 안정적인 원인에 기인할 수 있다. 

반대로, 특정 성과에 기반한 자부심(진정한 자부심)은 내부적이고 불안정한 원인에 귀속되는 결과일 수 있다.

Paralleling shame and guilt, stability and globality attributions differentiate between two forms of pride. 

Global pride in the self [so-called hubristic pride] may result from attributions to internal, stable causes. 

Conversely, a feeling of pride based on specific achievements [so-called authentic pride] may result from attributions to internal, unstable causes.


Tables 1 and 2,




다른 이들은 공공과 사적 선line을 따라 수치와 죄책감을 구별하기 위해 노력했다. 즉, 

  • 공적 수준에서의 범행은 수치심을 야기하고, 

  • 사적 수준에서의 범행은 죄책감을 유발한다는 것을 시사한다.5–7

others have sought to differentiate shame and guilt along public and private lines (as opposed to global self vs. specific behavior lines), suggesting that public transgressions lead to shame while transgressions committed in private lead to guilt.5–7


비록 경험적 연구가 자기 행동의 구별을 선호하지만, 최근의 연구는 공공-사적 구별이 자기 행동의 구별과 경쟁하기보다는 오히려 자기 행동의 구별과 양립할 수 있다는 것을 암시한다.10

Although empiric studies favor the self-behavior distinction,8,9 recent research suggests that the public– private distinction is compatible with— rather than competing against—the self-behavior distinction.10



자기의식적 정서와 완벽주의

Self-Conscious Emotion and Perfectionism


의학적인 학습자들은 예외적으로 높은 수준의 성취를 지향하는 경향이 있다. 완벽을 달성하는 것은 (보편적이지는 않더라도) 흔한 일이며, 완벽주의는 학습자와 의사 모두에게 뚜렷한 성격 특성이다.12,13

Medical learners are apt to hold themselves—and be held by others—to exceptionally high standards of performance. Achieving perfection is a common—if not pervasive—goal, and perfectionism is a distinguishing character trait of learners and practicing physicians alike.12,13


트레이시와 로빈스의 모델을 통해 볼 때, 완벽주의는 비현실적인 기준과 기대치를 만들어내며, 이것은 도달할 수 없는 이상적인 자아표현을 이끌 수 있다. 따라서 완벽주의는 의학 학습자를 거의 지속적으로 정서적 고통의 위험에 처하게 하는 접근 불가능한 기준을 추구함으로써 의료 학습자가 수치와 죄책감을 느끼는 빈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As viewed through Tracy and Robins’s model, perfectionism engenders a set of unrealistic standards and expectations that may drive unattainable ideal self-representations. Therefore, perfectionism would be expected to increase the frequency that medical learners experience shame and/or guilt, with the pursuit of unreachable standards putting medical learners at risk of emotional distress on a near-constant basis.


그러나 트레이시와 로빈스의 모델에 따르면 완벽주의는 본질적으로 수치심이나 죄책감을 유발하는 것이 아니며, 그 결과가 언제나 파괴적인 것은 아니다. 완벽주의가 수치심을 일으키거나 죄책감을 주는 경향은 학습자가 완벽을 달성하지 못한 실패를 

  • 자신의 전반적, 내면의 자아(모욕)으로 돌리는지 

  • 아니면 특정하고 행동에 기초한 것(죄책)의 탓으로 돌리는지에 따라 달라진다.

However, according to Tracy and Robins’s model, perfectionism is not inherently shame or guilt inducing, and its outcomes are not uniformly destructive. The tendency for perfectionism to result in shame or guilt depends on whether the learner attributes the failure 

  • to achieve perfection to her global, inner self (shame) or 

  • to something specific and action based (guilt).


  • 예를 들어, 종종 그녀의 높은 기대에는 미치지 못하지만 단점들을 시정 가능한 행동들, 그리고 그것들을 바로잡기 위한 노력(죄책의 반응)으로 돌리는 완벽주의자 학습자는 배우고 성장할 가능성이 있다. 

  • 또는 반대로 그녀가 자기 자신의 전반적 결점을 강조함으로써 불완전함에 반응하고, 수치를 느끼는 반응의 함수로서, 그 후에 학습에서 숨거나 포기하거나 손을 뗄 수 있다.

  • For example, a perfectionist learner who frequently falls short of her lofty expectations but attributes the shortcomings to correctable actions—and works to fix them (a guilt response)—is likely to learn and grow. 

  • The converse is true if she responds to imperfection by highlighting deficiencies in her global self and—as a function of a shame reaction—subsequently hides, withdraws, and/or disengages in learning.


심리학 문헌은 두 가지 유형의 완벽주의를 묘사하고 있다.15 

  • 정상적(또는 적응적) 완벽주의를 가진 사람은 높은 목표를 위해 노력하지만, 목표를 달성하지 못할 때, 자신의 가치를 감정적으로 평가하는 것으로 정의되는, 건전한 자존심을 유지한다. 

  • 반면에, 신경증적인(또는 부적응적) 완벽주의자들은 높은 기준을 위해 지나치게 노력하고 목표가 달성되지 않을 때 자신을 실패로 본다.15

The psychology literature delineates two distinct types of perfectionism.15 

  • A person with normal (or adaptive) perfectionism strives for lofty goals but maintains intact self-esteem (defined as a person’s emotional evaluation of his own worth) when the goals are not achieved. 

  • On the other hand, neurotic (or maladaptive) perfectionists excessively strive for high standards and view themselves as failures when the goals are not achieved.15

  • 적응적 완벽주는 더 높은 자부심과 특정 업무에 대한 자신감과 상관관계가 있는 반면에, 

  • 부적응적 완벽주의는 부정적인 감정, 우울증, 스트레스, 그리고 기능장애적인 대처와 관련이 있다.16

  • Whereas adaptive perfectionism correlates with higher self-esteem and task-specific self-confidence, 

  • maladaptive perfectionism correlates with negative emotion, depression, stress, and dysfunctional coping.16


목록 1은 우리의 노력을 이끌 수 있는 구체적인 연구 질문들을 설명한다.

List 1 describes specific research questions that might guide our efforts.


학습자가 현실적인 개인 및 전문직업적 표준을 정립하도록 돕는 것은 예상할 수 있는 정상범위의 과실에 의해 발생하는 수치심에 대한 민감성을 감소시킬 수 있다.

Helping learners establish realistic personal and professional standards may decrease their susceptibility to shame in response to normal, expected lapses


의학 교육에서 완벽주의를 완전히 없애는 것은 실현 가능하지 않을 수 있으며(설령 필요하더라도 경우), 불완전함이 발생할 경우 학습자가 죄책감에 기초한 반응을 채택할 수 있도록 돕기 위한 병행적 이니셔티브가 필요하다.

completely eliminating perfectionism in medical education is likely not feasible (nor should it necessarily be), and parallel initiatives are needed to assist learners in adopting guilt-based responses when imperfections do occur.



자기의식적 감정과 전문직 정체성 형성

Self-Conscious Emotions and Professional Identity Formation


자기인식적인 감정은 개인적 정체성의 문제와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다.2 수치심, 죄책감, 자부심을 느끼는 의학 학습자들은 "내가 누구인가?" "나는 내가 알던 나인가, 아니면 내가 바라는 나인가?"와 같은 질문을 적극적으로 받아들여야 한다. 개인의 핵심 정체성을 탐구할 때, 이러한 질문에 대한 답변과 그에 수반되는 감정은 고통스럽고 거슬릴 수 있다.

Self-conscious emotions are intimately linked with matters of personal identity.2 Medical learners who experience shame, guilt, and pride must actively reckon with questions such as “Who am I?” and “Am I the person I thought I was, or that I strive to be?” The answers to these questions— and the emotions that accompany them—can be painful and jarring, as they delve into dimensions of an individual’s core identity.


전문적 정체성 형성은 의사의 지식, 기술, 가치 및 행동이 학습자의 정체성과 통합되는 역동적 과정이다.20 전문직 정체성 형성에는 일련의 내부 표준, 열망 및 전문가 작업을 규제하는 지속적인 자기 성찰의 개발이 포함된다.  또한 이 과정은 "전문직의 가치와 성향에 대한 그 사람의 헌신을 더 깊게 만들어준다"

Professional identity formation is a dynamic process by which the knowledge, skills, values, and behaviors of a physician are integrated with a learner’s personal identity.20 Professional identity formation includes the development of a set of internal standards, aspirations, and ongoing self-reflections that regulate a professional’s work20 and “deepen one’s commitment to the values and dispositions of the profession.”21


개인의 정체성과 자기인식적 감정은 전문직 정체성 형성에서 떼어놓을 수 없다.

personal identity and self-conscious emotions are part-and-parcel to professional identity formation.


  • 예를 들어, 도달할 수 없는 기준을 고수하고 지나치게 자기 비판적으로 자신을 평가한다면, 그 결과로 생기는 수치심은 전문직 정체성 형성에 방해가 될 수 있다. 이는 수치심이 고립, 소속감 저하, 낮은 자존감으로 이어지는 경향을 통해 발생할 수 있다.4,22

For example, If she holds herself to unattainable standards and self-evaluates in an overly self-critical manner, her resulting shame may interfere with her professional identity formation. This may occur through the tendency for shame to lead to isolation, an impaired sense of belonging, and low self-esteem.4,22


  • 반대로, 수치심 보다는 죄책감을 가지고 역경에 반응하는 학습자들은 의사가 되는 과정에 더 참여하고, 회복탄력적이며, 상호연결된 접근법으로 인해 더 부드럽게 전문직 정체성 형성을 경험할 수 있다. 수치심과 달리, 죄책감은 보통 보상적인 행동, 감정이입, 그리고 도전적인 상황에서 성장하기 위한 적극적인 시도를 유도하기 때문이다.

Conversely, learners who tend to respond to adversity with guilt rather than shame may experience a smoother professional identity formation due to a more engaged, resilient, and connected approach to the process of becoming a physician. This is because guilt, unlike shame, usually results in reparative action, enhanced empathy, and active attempts to grow from a challenging situation.9,23,24


자기인식적 감정과 동기부여

Self-Conscious Emotions and Motivation


확실히, 우리가 어떻게 느끼느냐가 우리가 무엇을 하려고 노력하는지, 그리고 우리가 하려고 하는 것은 우리가 그때 어떻게 느끼는지에 영향을 미친다. 

케논 셸던26


Surely, how we feel influences what we try to do, and what we try to do influences how we then feel. 

—Kennon Sheldon26


쿡과 아르티노27은 네 가지 반복되는 주제, 즉 역량에 대한 믿음, 학습 과제의 인식 가치, 믿음과 미래의 행동을 형성하는데 있어 속성의 중요성, 그리고 직접 관찰할 수 없는 정신적 과정의 개입(예: 인지)을 식별했다.

Cook and Artino27 identified four recurrent themes: 

  • beliefs about competence, 

  • the perceived value of the learning task, 

  • the importance of attributions in shaping beliefs and future actions, and 

  • the involvement of mental processes that are not directly observable (i.e., cognition).


실수로 기흉을 초래한 여파로, 

  • 수치심을 경험하는 학습자는 자신의 능력에 대한 강한 부정적 믿음을 가지고 있는 반면(변하지 않을 것이다), 

  • 죄책감을 느끼는 학습자는 자신의 전반적이거나 고정된 측면에 대한 결론을 이끌어내는 것을 지양한다. 

우세한predominating 감정이 무엇인지가 중요한데, 왜냐하면 일반적으로 자신의 능력에 대해 긍정적인 믿음을 가진 학습자들은 알려지지 않은 성과와 관련된 과제에 더 많이 참여할 가능성이 있기 때문이다.

In the aftermath of accidentally causing a pneumothorax, 

  • a learner experiencing shame possesses a strong negative belief about his competence (which he may believe is fixed), 

  • while A learner experiencing guilt avoids drawing conclusions about his global, stable self. 

The predominating emotion is important because, in general, learners who possess positive beliefs about their competence are more likely to engage in tasks with unknown outcomes.28,29


자기 결정 이론과 기대 가치 이론은, 역량에 대한 낮은 믿음이 과제를 시도하는 것을 완전히 배제할 가능성이 있다고 가정한다. 

  • 수치심은 (역량 신념에 부정적인 영향을 줌으로써) 작업을 시작하려는 학습자의 의지와 동기를 손상시킬 수 있다. 

  • 반면에 죄책감은 더 동기부여가 되고 효과를 촉진시킨다.

self-determination theory, and expectancy value theories posit that lower competence beliefs are likely to preclude attempting a task at all.31 

  • Thus, by negatively affecting competence beliefs, shame may impair a learner’s willingness to initiate a task or his ability to progress toward self-motivated behavior, 

  • whereas guilt may have a more motivating, facilitating effect.


학습 과제의 인식된 가치는 "이 과제에 참여하면 어떤 일이 일어날 것인가(좋은가 나쁜가)?"이다.

The perceived value of a learning task deals with the basic question “What will happen (good or bad) if I engage in this task?”27


성과목표론

Achievement goal theories


  • 성과목표를 지향하는 학습자들은 그들의 동료를 능가하고, 성과기준을 초과하기를 바라고, "바보처럼 보이는" 것을 피하고자 하는 욕구에 의해 동기 부여된다.33

  • 숙달목표를 지향하는 학습자들은 능력을 향상시키고, 내용을 이해하고, 능력을 개발하려는 욕구에 의해 추진된다.33

  • Learners oriented toward performance goals are motivated by a desire to outperform their peers, exceed performance standards, or avoid “looking dumb.”27 

  • On the other hand, learners oriented toward mastery goals are driven by a desire to improve their abilities, understand the material, and develop competence.33


트레이시와 로빈스는 특정한 업적과 관련된 자부심(진정한 자존심)과 전반적 자존심(오만한 자존심)을 구분한다. 

  • 진정한 자부심이 숙달된 목표와 관련이 있다고 가정하는 반면, 

  • 오만한 자존심은 성취 목표와 관련이 있고, 이것은 나르시시즘의 심리학에서 보이는 연관성이다.

Tracy and Robins differentiate pride associated with specific achievements (authentic pride) from pride in one’s global self (hubristic pride). They postulate that 

  • authentic pride is linked to mastery goals, 

  • whereas hubristic pride is associated with performance goals— associations seen in the psychology of narcissism.2,3 

나르시시스트는 높은 수준의 자존심을 보고하지만 실제로는 상당한 부정적인 자기표현(즉, 수치심)을 가지고 있다.34,35 그들은 일반적으로 부정적인 자기표현을 숨김으로써 수치심을 최소화하고, 지속적으로 긍정적인 자기표현을 자극하여 자만심을 극대화한다.22 결과적으로, 나르시시스트의 자존심은 성과결과, 빈번한 외부 타당성 확인 및 수치심의 억압에 좌우된다.22,36,37

Narcissists report high degrees of self-esteem but actually possess abundant negative self-representations (i.e., shame).34,35 They generally minimize shame by keeping negative self-representations implicit and maximize hubristic pride by continually inflating positive self-representations.22 As a result, self-esteem in narcissists is contingent on performance outcomes, frequent external validation, and suppression of shame.22,36,37


성과목표를 지향하는 모든 학습자들이 나르시시스트라고 주장하는 것이 아니다. 그러나 "부끄러워하거나" 또는 "취약한" 나르시시스트 학습자들과 마찬가지로(더 공격적이고 "과장형" 유형과는 반대됨)performance goal을 지향하는 이 학습자들도 [다른 사람의 인정을 받지 못하거나 자신의 자부심이 의존하는 비현실적으로 높은 기준을 충족하지 못하면] 수치심에 노출될 수 있다.

We are not arguing that all learners oriented toward performance goals are narcissists. However, Consistent with “shy” or “vulnerable” narcissists (as opposed to the more aggressive, “grandiose” types),38 these learners may be predisposed to shame if they do not receive the approval of others or meet the unrealistically high standards on which their self-esteem depends.


대안적으로, 학습 목표 달성에 따른 진정한 자부심의 표시는 수치심으로부터의 회복성과 온전한 자기가치의 존재를 반영할 수 있다.

Alternatively, a display of authentic pride following achievement of a learning goal may reflect the presence of shame resilience and intact self-worth.


자기인식적 감정과 정서적 회복탄력성

Using Self-Conscious Emotions to Build Emotional Resilience


"감정적 회복탄력성 훈련"의 성과는 학습자와 교사가 

  • 해로운 자의식적 감정(예: 수치심)이 발생할 경우 그것을 인식할 수 있고

  • 진실하고 개방적인 방식으로 그들과 engage할 수 있으며,

  • 그러한 감정을 의식적으로 더 건설적인 감정 반응(예: 죄책감)으로 전환할 수 있는 것이다.

The outcome of “emotional resilience training” would be learners and teachers who 

  • are able to recognize damaging self-conscious emotions (e.g., shame) when they occur, 

  • engage with them in an authentic and open way, and 

  • mindfully transform them to more constructive emotional responses (e.g., guilt).


이 훈련은 다음을 다룰 수 있다.

The training might specifically address 

  • 자기인식적 감정의 기원, 차이 및 결과2 
  • 심한 수치심 반응이나 지나친 자만심 때문에 고군분투하는 학습자를 식별하는 방법 
  • 피드백, 교정조치 및 소크라테스 질문을 무해 방식으로 제공하는 방법18,39,40; 
  • 학습자가 오류를 범하는 수치심-복습적 접근방식과 성공을 위한 진정한 접근방식으로 안내하는 방법41 
  • 학습자가 자발적으로 감정을 공유하고 도움을 얻기 위해 필요한 환경 조건을 설정하는 방법.43
  • the origins, differences, and outcomes of the self-conscious emotions2; 

  • how to identify learners struggling with severe shame reactions or excessive hubristic pride; 

  • how to provide feedback, remediation, and Socratic questioning in a nonshaming manner18,39,40; 

  • how to guide learners to shame-resilient approaches to making an error and authentic approaches to succeeding41; and 

  • how to establish the environmental conditions necessary for learners to willingly share emotions and reach out for help.42,43


정서적 회복력 훈련이 성공하기 위해서는, 고도로 개인적인 감정에 대해 개방적이고 정직하게 참여할 수 있어야 하고, 이는 학습 환경에서의 심리적 안정 정도에 크게 영향을 받으므로, 그것을 유지하기 위한 노력을 필요로 할 것이다.43

The success of emotional resilience training, which would require open, honest engagement with highly personal emotions, would be heavily influenced by the degree of psychological safety in the learning environment, requiring concomitant efforts to instill and maintain its presence.43


Concluding Remarks


우리가 우리 자신을 보고 평가하는 방법을 추진하는 감정에 대해 "커튼을 젖힘"으로써, 우리는 학습자와 교육자 모두 오늘날의 학습 환경에서 의료 훈련자가 되는 것이 무엇을 의미하는지, 그리고 그 경험을 어떻게 양육하고 최적화하는지에 대해 더 깊이 이해할 수 있을 것이라고 믿는다.

By “pulling back the curtain” on the emotions that drive how we view and evaluate ourselves, we believe that learners and educators alike will gain a deeper understanding of what it means to be a medical trainee in today’s learning environment and how best to nurture and optimize the experience.




27 Cook DA, Artino AR Jr. Motivation to learn: An overview of contemporary theories. Med Educ. 2016;50:997–1014.







 2018 Jun;93(6):874-880. doi: 10.1097/ACM.0000000000001970.

Who Am I, and Who Do I Strive to Be? Applying a Theory of Self-Conscious Emotions to MedicalEducation.

Author information

1
W.E. Bynum IV was attending faculty, National Capital Consortium Family Medicine Residency, Fort Belvoir Community Hospital, Fort Belvoir, Virginia, at the time this article was written. He is assistant professor, Department of Community and Family Medicine, Duke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Durham, North Carolina, now; ORCID: http://orcid.org/000-0003-3796-9301. A.R. Artino Jr is professor, Department of Medicine, Uniformed Services University of the Health Sciences, Bethesda, Maryland; ORCID: http://orcid.org/0000-0003-2661-7853.

Abstract

The self-conscious emotions of shame, guilt, and pride are a distinct set of cognitively complex, powerful, and ubiquitous emotions that arise when an individual engages in self-evaluation. Currently, little is known about the influence or outcomes of self-conscious emotions in medicallearners. In this article, the authors present a leading theory of self-conscious emotions that outlines the appraisals and attributions that give rise to and differentiate shame, guilt, and two forms of pride. The authors then apply the theory to three relevant topics in medical education: perfectionism, professional identity formation, and motivation. In doing so, the authors present novel ways of viewing these topics through the lens of self-conscious emotion, suggest areas of future research, and outline a framework for emotional resilience training. Ultimately, the goal of this article is to highlight the fundamental nature of shame, guilt, and pride, which the authors believe are underappreciated and understudied in medical education, and to inform future empirical study on the role that these emotions might play in medical education. Additionally, from a practical standpoint, this article aims to encourage educators and learners to recognize self-conscious emotions in themselves and their colleagues, and to begin developing more resilient approaches to learning-approaches that acknowledge and confront shame, guilt, and pride in medical education.

PMID:
 
29068821
 
DOI:
 
10.1097/ACM.0000000000001970


의학교육에서 성찰의 활용: AMEE Guide No. 44 (Med Teach, 2009)

The use of reflection in medical education: AMEE Guide No. 44

JOHN SANDARS

The University of Leeds, UK




도입

Introduction


'Reflection'이라는 단어는 물리학에서 교육까지 다양한 문맥에서 널리 쓰이지만, 모두 라틴어의 기원에 충실하다. '굽히기' 또는 '뒤돌아오기'

The word ‘reflection’ is widely used in a variety of different contexts, from physics to education, but all remain true to its Latin origins: ‘to bend’ or ‘to turn back’.


이러한 필수적 영역를 포함하는 '성찰'에 대한 몇 가지 정의가 있다(Box 1).

There are several definitions of ‘reflection’ that include these essential dimensions (Box 1).


성찰의 과정은 계획, 수행 및 검토의 세 가지 요소를 포함하는 단순한 3단계 모델로 요약할 수 있다(그림 1).

The process of reflection can be summarised as a simple three-stage model that involves three components: planning, doing and review (Figure 1).




성찰은 [성찰적 학습]과 [성찰적 실천]의 필수적인 요소다. 

  • 성찰적 학습은 학습 향상을 위한 의도를 가지고 있으며, 

  • 성찰적 학습이 전문직업적 실천에서의 "정의되지 않은 문제"라는 맥락에서 이루어질 때, 그것을 [성찰적 실천]이라고 부른다.

Reflection is an essential component of reflective learning and reflective practice. Reflective learning has the intention of improving learning and when this happens in the context of working with the ill-defined problems of professional practice it is often called reflective practice.



성찰의 정의는 광범위하게 제안된다.

A wider definition of reflection is proposed


성찰은 [자신과 상황에 대한 더 큰 이해를 발전시키기 위한 목적으로], [미래의 encounter가 이전의 encounter로부터] [정보를 얻게informed] 할 수 있도록, [상황 전, 중, 후]에 일어나는 [메타인지적 과정]이다.

Reflection is a metacognitive process that occurs before, during and after situations with the purpose of developing greater understanding of both the self and the situation so that future encounters with the situation are informed from previous encounters.

  • 메타인지적 과정은 효과적인 성찰을 위해서는 '생각에 대한 생각'이 필수적이라는 것을 암시한다. 메타인지란 인지 과정을 선택, 모니터링 및 평가하는 자기 조절적 과정이다(Flavell 1979). 이 경우 성찰은 인지적 과정이다. 메타인지라는 개념은 [성찰은 통제할 수 있는 과정]이며, [성찰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다양한 훈련 전략을 개발할 수 있다]는 점을 강조하기 때문에 중요하다.

  • A metacognitive process suggests that metacognition, or ‘thinking about thinking’, is essential for effective reflection. Metacognition is a self-regulatory process that selects, monitors and evaluates a cognitive process (Flavell 1979). In this case, the cognitive process is the approach to reflection. This concept is important since it highlights that reflection is a process that can be controlled and it also allows various training strategies to be developed so that reflection can be enhanced.

  • 성찰는 encounter의 모든 단계에서 발생할 수 있다. 즉, 경험의 전, 중, 후. 종종 성찰은 사건이 진행되는 중 또는 상황종료 후에만 수행되지만, 행동 전 성찰은 도전할 수 있는 특정 학습 목표나 인식을 가진 상황에 접근하는 이점이 있다.

  • Reflection can occur at all stages of an encounter: before, during and after. Often reflection is only performed after an event or situation but reflection before an action has the advantage of approaching situations with a particular learning goal or perception that can be challenged.

  • [자기 자신과 상황에 대한 이해]는 단순히 특정 임상 procedure를 수행하는 방법처럼 [새로운 지식과 기술의 습득]을 확인하는 것보다 평생 학습에 더 큰 영향을 미친다.

  • Understanding of both the self and the situation has a wider impact on lifelong learning than simply identifying the acquisition of new knowledge and skills, such as how to perform a particular clinical procedure.

  • 미래의 행동에 informing하는 것은 성찰이 명확한 목적을 가진 과정이라는 것을 암시한다. 상황을 이해하는 것은 이러한 통찰이 상황에 대한 미래의 반응을 바꾸지 않는 한 관행을 개선시키지 않을 것이다.

  • Informing future action suggests that reflection is a process with a definite purpose. Making sense of a situation will not improve practice unless these insights can change future responses to situations.



국제 의학교육에서 성찰의 중요성

Importance of the topic in international medical education


성찰의 개념은 의학 학부, 대학원, 그리고 지속적인 의학 교육을 위해 기대성과에 대한 다양한 국내 및 국제 statement에 enshrined 있다.

The concept of reflection has become enshrined within the plethora of various national and international statements of the desired outcomes for medical undergraduate, postgraduate and continuing medical education.


가이드의 목적

Aim/objectives of the guide


의학교육에서 성찰의 핵심적 접근법

The main approaches to reflection in medical education


1. 배움을 위한 성찰

1. Reflection for learning


경험 학습은 경험을 함으로서 학습이 이루어지는 과정이다. 그러나 경험만으로는 학습하기에 충분하지 않다. 경험을 해석하고 기존 지식 구조에 통합하여 새로운 지식 또는 확장된 지식이 되어야 한다. 성찰은 이러한 적극적인 배움의 과정에 중요하다.

Experiential learning is a process by which learning occurs by having an experience. However, experience alone is not sufficient for learning to occur. The experience must be interpreted and integrated into existing knowledge structures to become new or expanded knowledge. Reflection is crucial for this active process of learning.


널리 인용되는 '경험적 학습 주기' 접근법은 4가지 주요 단계를 가지고 있다(그림 2 (Kolb 1984). 

    • 첫 번째 단계에서 학습자는 경험이 있다. 

    • 두 번째 성찰 단계가 이어지고 

    • 이는 '추상적 개념화'의 세 번째 단계로 이어진다. 세 번째 단계는 학습자가 경험에 대한 자신의 행동이나 반응을 이해하려고 시도하는 시간이다. 

    • 새로운 지식과 기술의 적용은 4단계에서 일어난다.

The widely quoted ‘experiential learning cycle’ approach has four main phases (Figure 2) (Kolb 1984). In the first phase, the learner has an experience. A second phase of reflection follows and this leads to a third phase of ‘abstract conceptualisation’. This is a time when the learner makes attempts to understand their actions or reactions to the experience. Application of the new knowledge and skills occurs in the fourth phase.



2. 치료적 관계를 위한 성찰

2. Reflection to develop a therapeutic relationship


'좋은' 임상의가 되려면 적절한 지식과 기술을 갖추어야 하지만, 이와 더불어 환자 및 보호자와의 치료적 관계를 수립하고 유지해야 한다(Freshater 2002).

Being a ‘good’ clinician requires having appropriate knowledge and skills but there is also a need to establish and maintain a therapeutic relationship with patients and their carers (Freshwater 2002).


치료적 관계의 필수적인 측면은 (임상의든 환자든) 관계된 개개인의 신념과 가치 시스템의 인식과 이해다. 이러한 (신념과 가치) 시스템에는 사람마다 차이가 있을 수 있으며, 이는 임상의사에게 강한 감정적 반응을 일으킬 수 있으며, 이는 다시 그들의 의사결정과 후속 행동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An essential aspect of the therapeutic relationship is the recognition and understanding of the personal belief and value systems of the involved individuals, whether clinician or patient. There may be differences between these systems and this can produce a strong emotional reaction in the clinician, which in turn can influence their decision making and subsequent actions.


3. 전문직업적 실천을 위한 성찰

3. Reflection to develop professional practice


임상의사는 복잡하고 제대로 정의되지 않은 다양한 상황에 대응해야 하는 경우가 많다. 이러한 전문적 실무의 '질서'는 전문지식의 핵심이다. 전문직업적 전문가들은 이러한 복잡한 상황에 적합한 결정을 신속하게 내리는 것으로 보인다.

Clinicians often have to respond to a wide variety of situations that are complex and poorly defined. This ‘messiness’ of professional practice is at the heart of professional expertise (Schon 1983). Expert professionals appear to quickly make decisions that are appropriate to these complex circumstances



자기조절학습과 성찰

Self-regulated learning and reflection


자기조절적 학습자는 메타 인식 프로세스를 사용하여 작업에 대한 접근 방식을 선택, 모니터링 및 평가한다(Zimmerman & Schunk 2001). 성찰은 자기조절학습 활동으로 간주될 수 있다.

Self-regulated learners use metacognitive processes to select, monitor and evaluate their approach to a task (Zimmerman & Schunk 2001). Reflection can be considered as a self-regulated learning activity.



발달과 이해의 과정

The process of developing an understanding


모든 사람들은 그들의 경험을 이해하고 make sense(의미를 부여)하려고 노력한다. 이것은 개개인의 정신 모델이나 개인수준의 이론 창조를 통해 이뤄진다. 이러한 모델 또는 이론은 과거에 경험한 유사한 상황을 바탕으로 능동적으로 생성된다. 예를 들어, 어던 사람은 특정한 기술이나 정보의 일부가 문제를 다루는데 그들에게 도움이 될 것이라는 어떤 믿음을 가질 것이다. 이 개인들이 자신이나 다른 사람들에 대해 가지고 있는 어떤 믿음도 있을 수 있다.

Everyone tries to make sense and understand their experiences. This is achieved through the creation of a mental model or personal theory. These models or theories are actively created and are informed by previous encounters with similar situations. For example, an individual will have certain beliefs that a particular skill or piece of information will be helpful to them in dealing with a problem. There may also be certain beliefs that these individuals have about themselves or about others.


//Sensemaking is the process by which people give meaning to their collective experiences.


이후에 어떤 상황에서는 이러한 믿음과 가정이 도전받는다. 이 '도전받음'의 결과는, 이번 경험의 결과에 따라 믿음과 가정을 수정해야 할 수도 있다는 것이다. 때때로 이 과정은 꽤 드라마틱할 수 있고, 관점의 큰 변화를 가져온다. 이러한 상황에서 '변혁적 학습'이 발생했다고 한다(Mezirow 1981) 이것은 가장 강력한 학습이며, 관점의 변화이고, 이는 [자기의 가치관이나 세계관과 같은] 근본적인 믿음이 도전 받을 때 발생한다. 이러한 변화는 보통 강한 감정과 슬픔, 수치심, 분노와 같은 감정적 반응을 동반한다.

These beliefs and assumptions are challenged whenever a situation is subsequently encountered. The outcome of this process is that the beliefs and assumptions may need to be revised as a result of the experience. Sometimes this process can be quite dramatic and this results in a major shift in perspective. In such circumstances, ‘transformative learning’ is said to have occurred (Mezirow 1981). The most powerful learning, or shift in perspective, occurs when fundamental beliefs are challenged, such as those related to a view of the self or the world. This shift is usually accompanied by strong feelings and an emotional reaction, such as sadness, shame or anger.


이해를 발전시키는 과정에 앞서 필수적인 단계는 '눈치채는 것noticing'이다. 메지로(1981)는 '혼란스러운 딜레마'라는 것은 [(기존의 정신 모델 또는 개인 이론에 근거한) 현재의 행동]과 [그들이 직면한 상황을 효과적으로 해결하기 위해 필요한 조치] 사이에 차이가 있다는 것을 깨닫기 시작하는 순간으로 묘사한다.

An essential step before the process of developing understanding is ‘noticing’. Mezirow (1981) describes the ‘disorientating dilemma’ when the individual begins to realise that there is a discrepancy between their current actions (based on existing mental models or personal theories) and the actions required for effective resolution of the situation that they face.


성찰이 메타인지적 과정이라는 것이 중요성한 이유는, 개인이 성찰해야 할 필요성을 인식해야 하기 때문이며, 이것은 'disorientating dilemma'를 알아차리거나 성찰을 prompt하는 능력을 필요로 한다. 종종 이것은 어떤 상황과 관련된 불편함이나 불안감을 느끼는 순간으로, 감정적일 수 있다. 이러한 특정 상황에서 매 순간순간의 인식이 높아지는 'mindful practice'을 통해 개발될 수 있다(Epstein 1999).

The importance of an appreciation that reflection is a metacognitive process is that an individual has to be aware of the need to reflect and this requires the ability to notice the ‘disorientating dilemma’ or prompt to reflect. Often this will be emotional, with a feeling of discomfort or apprehension associated with a situation. This awareness can be developed though ‘mindful practice’ in which there is heightened moment-to-moment awareness during situations (Epstein 1999).


또 다른 필수적인 단계는 새로운 이해를 새로운 상황에 적용하는 것이다(Johns & Freshwater 1998). 성찰은 끊임없지 진행되는 과정이며 그 가치는 행동, 성찰, 행동의 반복주기에 따라 달라진다.

Another essential step is the application of the new understanding to further situations (Johns & Freshwater 1998). Reflection is an ongoing process and its value depends on repeated cycles of action, reflection and action.


또한 비판적 성찰의 자세와 이중 루프 및 삼중 루프 학습의 적용을 채택함으로써 이해의 깊이를 높일 수 있다. Argyris와 Schon(1994)은 먼저 단일 루프와 이중 루프 학습의 개념을 소개했다. 

The depth of understanding can also be increased by adopting a critical reflective stance and the application of double loop and triple loop learning. Argyris and Scho¨n (1994) first introduced the concept of single loop and double loop learning. 


학습의 단일 루프란, 예상하지 못한 결과가 발생했을 때, 그것을 다룰 다른 전략을 찾아내는 것이다. 

학습의 이중 루프란, 왜 예기치 않은 결과가 발생했는지에 대한 이유를 밝히기 위해 더 많은 의문이 제기하는 것이다.

The first loop of learning occurs when an outcome unexpectedly occurs and the individual looks for another strategy to deal with it. Double loop learning occurs when there is a more questioning approach that seeks to identify the reasons behind why the outcome unexpectedly happened in the first place.


예를 들어, 임상의는 일반적인 조건에 가장 효과적인 치료가 무엇인지 불확실할 수 있다. 

  • 단일 루프 학습은 학습 필요성을 식별하며 분명한 반응은 교과서에서 이를 찾아보거나 동료에게 물어보는 것과 같은 효과적인 치료에 대한 정보를 찾는 것이다. 

  • 이로서 특정 학습의 필요성이 충족되었지만, 이중 루프 학습을 한다면 왜 치료에 대해 불확실했는지에 근본적인 이유를 드러낼 것이다. 아마 그 이유는 학습 요구를 체계적으로 식별하기 보다는 기회주의적 학습에 과도하게 의존하기 때문일 수 있다.

For example, a clinician may be uncertain about the most effective treatment for a common condition. Single loop learning would identify a learning need and the obvious response would be to seek information about effective treatment, such as looking it up in a textbook or asking a colleague. The specific learning need has been met but the consideration of double loop learning would reveal underlying reason for the clinician being uncertain about the treatment. This may be because there is an over dependence on opportunistic learning rather than systematically identifying their learning needs.


  • 이에 더하여 삼중 루프 학습을 하는 것은 상황을 비판적으로 보는 것이다(Carr & Kemmis 1986). 이것은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힘과 통제의 기본 시스템과 관련이 있다. 이 때 해야 할 구체적인 질문은 '왜 우리가 그렇게 해야 하는가?'이다. 어떤 일을 하는 '올바른' 방법이 무엇인가에 대한 갈등 가능성이 있지만, 이는 현재의 접근법에 challenge하고, 미래의 새로운 방식을 고려해볼 수 있는 유일한 방법은 근본적인 목적과 의도를 고찰해보는 것이다.

Consideration of further triple loop learning is related to the critical aspects of the situation (Carr & Kemmis 1986). This concerns the underlying system of power and control that influences all actions. The specific question to be asked is ‘Why should we do it that way?’ There is the possibility of conflict over what is considered to be ‘the right’ way of doing things but it is only by discussing the underlying purposes and intentions of actions that the present approaches can be challenged and the possibility of new approaches considered.



유도된 성찰

Guided reflection


개개인의 성찰 잠재력은 다른 사람의 도움과 지원 없이는 완전히 실현되지 않을 수 있다. 이 '다른' 사람은 또래 그룹 멤버이거나 감독자나 멘토와 같은 특정 역할을 가진 사람일 수 있다(Hawkins & Shoet 1989).

The potential of reflection for individuals may not be fully realised without the help and support of another person. This ‘other’ person may be a peer group member or someone with a specific role, such as a supervisor or mentor (Hawkins & Shohet 1989).


성찰의 중심에는 도전과, 그에 따른 변화가 있다. 이것이 미래의 행동에 영향을 줄 수 있다. 가장 큰 도전과 변화를 일으킬 수 있는 가장 중요한 경험은 대개 강한 감정과 관련되어 있다. 이러한 유형의 경험에는 몇 가지 결과가 있다. 

At the heart of reflection is the challenge, and subsequent change, in perspective that can inform future action. The most significant experiences that result in the greatest challenge and change are usually those that are associated with the presence of strong emotions. There are several consequences of these types of experiences. 


첫째, 개인은 의식적으로 또는 무의식적으로 이 중요한 경험을 인식하지 못할 수 있다.

First, an individual may consciously, or more likely unconsciously, block the noticing of this important experience. 


둘째, 사람들은 경험을 논의하고 변화를 고려하는 것을 꺼리는 경우가 많다. 촉진자는 학습자가 자신의 경험을 인지하고 이해할 수 있도록 필요한 지지적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촉진자는 핵심 카운슬링을 통해 이러한 지원을 제공할 수 있으며, 여기에는 예를 들어 멘토링 기술, 차이에 대한 비판단적 질문 등이 있다. 물리적 환경에 대한 주의 또한 중요하며, 이러한 대화가 프라이버시가 지켜지는 장소, 방해받지 않는 장소에서 이뤄져야 한다.

Second, there is often a reluctance to discuss the experience and to consider change. A facilitator can provide the necessary supportive environment to enable the individual to notice and make sense of their experience. The facilitator can provide this support through key counselling and such as and mentoring skills, non-judgmental questioning acceptance of differences. Attention to the physical environment is also important, ensuring that the discussion can occur in privacy and is free from interruption.


Guided reflection은 치료적 관계와 전문적 실천을 개선하려는 의도를 가진 성찰에 특히 유용하다. 오랫동안 슈퍼비전은 심리치료와 상담에 필수적인 것으로 인식되어 왔다.

Guided reflection is particularly useful for reflection that has the intention of improving the therapeutic relationship and professional practice. Supervision has long been recognised as essential for psychotherapy and counselling.


커리큘럼에 Guided reflection을 도입하려면 상당한 작업 부하를 미칠테지만 효과적인 대안은 다음을 포함한다. 

  • 그룹 슈퍼비전(한 명의 감독자 및 학습자 그룹 포함) 또는 

  • 동료 Co-슈버비전(각자가 발표자와 촉진자 역할을 할 수 있도록 상호간에 촉진하는 학생들과 함께).

There are significant workload implications for the introduction of guided reflection in any curriculum but effective alternatives include group supervision (with one supervisor and a group of learners) or peer cosupervision (with students mutually facilitating one another in a reciprocal manner so that each takes a turn as a presenter and a facilitator).


성찰의 윤리적 측면

Ethical aspects of reflection


경험에 의미를 부여하는 것making sense은 강한 감정과 연관될 수 있다(Boud et al. 1985). (환자의 죽음과 같은) 부정적인 사건에 자신이 미친 영향에 대해 생각할 때 등 더 그러하다.

Making sense of an experience can be associated with strong emotions (Boud et al. 1985). This may be obvious when an individual reflects on their contribution to an adverse event, such as the death of a patient,


개인적인 성찰이 일어날 수 있는 안전한 전반적인 환경을 만드는 것은 필수적이다. 이는 성찰이 그룹 세팅에서 또는 촉진자와 함께 일어날 때 특히 더 그러하긴 하나, 서술적 성찰일지를 포함한 모든 성찰에서도 중요하다(Henderson et al. 2003).

It is essential to create a safe overall environment within which personal reflection can take place. This is particularly important if reflection is to be in a group setting or with a facilitator but is also important for all reflection, including written reflective journals (Henderson et al. 2003).


비밀보장에 대한 중요한 윤리적 고려사항에는 누가, 어떤 목적을 위해 그러한 성찰(기록)에 접근할 수 있는지 등이 포함된다. 평가는 대개 '깊은' 성찰의 증거를 요구하기 때문에 이러한 상황에는 긴장감이 수반되는데, 결국 개인의 취약성을 드러내는 것은 이러한 '깊은 성찰'에서 중요한 경험이기 때문이다. 윤리적 고려는 평가자가 촉진자 또는 멘토일 때 특히 중요하다.

Important ethical considerations about confidentiality include who has access to the reflection and for what purpose. There is a tension in these circumstances since assessment usually requires evidence of ‘deep’ reflection but it is this type of significant experience that exposes the vulnerability of the individual. This is particularly important when the assessor is also the facilitator or mentor.


이 문제들에 대한 쉬운 해답은 없지만 그 문제들은 신중히 고려되어야 한다.

There are no easy answers to these problems but the issues require careful consideration.

성찰의 교육적 영향

The educational impact of reflection in medical education


(Baernstein & Fryer-Edwards 2003). 이 연구는 중요한 사건 보고서 작성, 일대일 인터뷰 또는 조합이 성찰 유도에 더 효과적인지 여부를 확인하고자 했다. 결론은 튜터와의 면담이 전문직업성에 대한 성찰에 가장 효과적이었다는 것이다.

(Baernstein & Fryer-Edwards 2003). This study had the aim of identifying whether writing a critical incident report, a one-toone interview, or a combination, was more effective in eliciting reflection. The conclusion was that an interview with a tutor was the most effective for reflection on professionalism.


결론적으로, 학생들은 성찰이 유용하다고 느끼며, 성찰의 실행은 학습과 전문적 발달에 대한 자기 보고와 객관적인 결과 둘 다 증가한다는 것을 알았다.

In conclusion, students found reflection was useful and the implementation of reflection increased both self-reported and objective outcomes on learning and professional development.


의학교육에서 어떻게 성찰을 도입할 것인가

How to implement reflection in medical education


성찰을 발달시키기 위한 교육 전략

Educational strategies to develop reflection


자기 조절 학습 모델(Zimmerman & Schunk 2001)은 성찰을 개발하는 데 사용될 수 있는 교육 전략을 안내하는 유용한 프레임워크를 제공한다.

The self-regulated learning model (Zimmerman & Schunk 2001) provides a useful framework to guide educational strategies that can be used to develop reflection.


a) 성찰을 위한 동기부여

a) Motivation for reflection


성공적인 성찰는 [개인적 성장과 전문적 발달에 대한 성찰의 중요성]을 인식하도록 요구한다. 동기 부여는 명확한 목표를 설정하는 것에 달려있다.

Successful reflection requires the individual to recognise the importance of reflection for both personal growth and professional development. Motivation is dependent on setting clear goals,


성찰의 의도한 결과가 명확하지 않으면 목표 설정이 어려울 수 있다. 종종 학습자에게 '성찰하라'고 지시하지만, 목적에 대한 설명은 거의 또는 전혀 주지 않는다. 초기에는 성찰의 성격과 성과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것이 도움이 된다.

Goal setting may be difficult if the intended outcome of reflection is not explicit. Often the learner is instructed ‘to reflect’ but with little or no explanation of the purpose. It is helpful to initially provide information about the nature and outcomes of reflection,


처음에는 noticing으로 시작한 다음, 이후에 완전한 성찰 과정을 도입하는 것처럼, 성찰을 점차적으로 증가시킴으로써 동기부여도 증가할 수 있다.

Motivation can be increased by encouragement and by gradually increasing the reflective tasks, such as beginning with only noticing and then introducing the complete reflective process.


성찰이 발생하는 전반적인 외부 교육 환경은 중요한 동기 요인이다. 평가는 학습을 촉진하는 것으로 보인다. 개인 및 전문가 성찰 학습에 대해 평가된 포트폴리오를 사용하는 것은 비공식 저널 또는 가계부와는 다를 것이다.

The overall external educational environment within which reflection is expected to occur is an important motivation factor. Assessment appears to drive learning . The use of an assessed portfolio for personal and professional reflective learning will be different to an informal journal or diary.


b) 성찰을 위한 메타인지 스킬

b) Metacognitive skills for reflection


- 알아채기

- Noticing


필수적인 첫 단계는, 기존의 정신 모델들과 개인적 이론들이 특정 사건이나 상황의 경험에 의해 도전받고 있는 때가 언제인지 인식하는 것이다. 이것은 사건이나 상황과 관련된 어떤 시점에서도 발생할 수 있다: 이전, 도중 또는 이후. 초기의 awareness 없이는 성찰이 일어날 수 없다. noticing은 몇 가지 기법을 사용함으로써 발전할 수 있다.

An essential first step for an individual is the recognition of when their existing mental models and personal theories are being challenged by the experience of a particular event or situation. This can occur at any time related to an event or situation: before, during or after. Without an initial awareness no reflection can occur. Noticing can be developed by using several techniques.



(i) 자기 모니터링

(i) Self monitoring.


생각과 감정을 지속적으로 자기모니터링함으로써 awareness의 향상이 이루어질 수 있다. 대부분의 사람들에게 이것은 쉬운 일은 아니지만, 그것은 주의 깊은 실천mindful practice에 참여함으로써 개발될 수 있다. (Epstein 1999) Mindfulness는 감정, 기억, 행동이 상호의존적이라는 동양 철학적 종교적 전통에 뿌리를 두고 있다. Mindful practice에서

      • 개인은 그들이 경험하는 생각과 감정의 순간적인 변화를 인식할 뿐만 아니라, 

      • 생각과 감정의 요소들을 이해할 수 있고 

      • 그들의 행동에 inform하기 위한 수단으로 이러한 통찰을 이용할 수 있다.

Increased awareness can be developed by constant self-monitoring of thoughts and emotions. Most individuals do not find this easy to achieve but it can be developed by participating in mindful practice (Epstein 1999). Mindfulness has its roots in Eastern philosophical-religious traditions in which emotion, memory and action are interdependent. In mindful practice, the individual is not only aware of the moment to moment changes in thoughts and emotions that they experience but also they are able to make sense of these components and to make use of these insights to inform their actions.


Mindful하다는 것은 개인이 경험하는 즉각적인 생각과 감정에 대해 deliberate and non-judgemental한 주의를 요한다. 이는 서면 또는 오디오 다이어리 및 로그를 사용하는 것과 같이 정기적인 자가 기록으로 개발될 수 있다.

Becoming mindful requires deliberate and non-judgemental attention to the immediate thoughts and emotions that an individual experiences. This can be developed by regular selfrecording, such as by the use of written or audio diaries and logs.


어떤 사건이 일어났을 때, 'thought catching'식의 접근법으로 기록을 하는 것은 특히 도움이 되지만, 종종 이것은 가능하지 않을 수도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기록은 사건 후 가능한 한 빨리 이루어져야 한다. 생각을 즉시 기록하는 것이 내재된 신념에 대한 더 정확한 성찰이 되는 이유는, 나중에 기록하게 되면 mental organization이 정확한 성찰이 아닐 수 있는 attribution을 포함할 가능성이 있기 때문이다. 이것은 일종의 사후인지 편견이며 종종 이것은 자신에 대해 더 호의적인 관점을 드러낼 것이다.

It is particularly helpful to make a record at the time of the event happening, a so called ‘thought catching’ approach, but often this may not be possible. In these circumstances, the record should be made as soon as possible after the event. Immediate recording of thoughts is likely to be a closer reflection of underlying beliefs since later mental organisation for recording is likely to include attributions that may, or not, be an accurate reflection. The consequence is hindsight bias and often this will reveal a more positive view of the self.




(ii) 타인으로부터의 피드백

(ii) Feedback from others.


사건에 대한 자신의 반응을 자기 스스로 인식하기란 쉽지 않을 수 있지만, 종종 다른 사람들에게는 더 명확할 수 있다. 비꼬는 말투 같은 근본적인 믿음을 나타내는 행동을 쉽게 관찰할 수 있지만, 목소리 톤이나 얼굴 표정과 같은 비언어적 행동은 종종 더 강력한 신념의 지표이며, 다른 사람들이 더 쉽게 관찰할 수 있다.

An individual’s reaction to events may not be readily apparent to them but it can often be more apparent to others. Behaviour can be readily observed that represents underlying beliefs, such as a sarcastic comment, but non-verbal behaviour, such as the tone of voice or facial expression, is often a more powerful indicator of these beliefs and this can be readily observed by others.


연구는 일관되게 사람은 (다른 사람들에 의해 평가될 때 보다) 스스로 평가할 때 더 높게 더 긍정적인 시각에서 자신을 평가한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Gordon 1994)

Research has consistently shown that individuals self-rate themselves higher and in a more positive light than when rated by others (Gordon 1994).


(iii) 결정적 순간과 중요 사건 분석

(iii) Critical incidents and significant event analysis.


대부분의 액션은 예상치 못한 계획이 계획되거나 계획되지 않을 때 '놀람의 순간'을 가진다. 이러한 순간들은 특히 대학원과 지속적인 의학 교육에서 반성을 위한 귀중한 기회를 제공한다.

Most action individuals have ‘moments of surprise’ when an unexpectedly goes to plan or not. These moments provide a valuable opportunity for reflection, especially in postgraduate and continuing medical education.


- 처리하기

- Processing


반성의 주된 가치는 자기 자신과 상황에 대한 이해를 발전시키는 것이다. 오직 의미를 만드는 과정을 통해서만 미래의 행동을 바꿀 수 있다. 여러 가지 기술이 있다.

The main value of reflection is to develop an understanding of both the self and the situation. It is only through this sense making process that future actions can be altered. There are several techniques


(i) 학습을 위한 성찰

(i) Reflection for learning.

학습을 위한 성찰에서 중요한 것은 습득해야 할 정보 또는 개발해야 할 새로운 기술에 대한 학습요구를 식별하는 것이다.

The main process with this needs, intention is to identify learning especially about information to be obtained or new skills that need to be developed.


      • 그 상황에 대해 내가 놀랐던 것은 무엇인가?

      • 나에게 이 상황에 대처할 수 있는 정보나 기술이 있는가?

      • 이 상황을 다루기 위해 나는 지금이나 미래에 더 많은 정보나 기술이 필요한가?

      • . Does anything surprise me about the situation?

      • . Do I have the information or skills to deal with this situation?

      • . Do I need to have further information or skills to deal with this situation, either now or in the future?


이 접근법은 대부분의 개인적이고 전문적인 발달 계획의 전형이다. 이러한 접근법은 피상적이 될 가능성이 있다. 또한 (의사가 최신 항생제에 대해 최신 정보를 제공하지 않은 이유가 무엇인가와 같은) 중요한 근본적인 문제들을 해결할 수 없을 가능성도 있다. 종종 근본적인 믿음과 관련된 이러한 유형의 문제를 해결하려면 추가적인 질문이 필요한 이중 루프 학습이 필요하다. 일반적인 추가 질문은 다음과 같다.

This approach is typical of most personal and professional development plans. There is the possibility that the approach can become superficial and not address major underlying problems, such as why the doctor did not keep up to date about the latest antibiotics. Addressing this type of issue, which is often related to underlying beliefs, requires double loop learning in which further questioning is required. Typical further questions include


      • 정보나 기술 부족이 이러한 부족함을 어떻게 해결할 수 있는가에 대한 정보나 기술 부족 때문인가?

      • 확인된 문제가 해결되지 않은 근본적인 이유는 무엇인가?

      • . Is the lack of information or skill due to having insufficient information or skill on how to address this lack?

      • . What is the underlying reason why the identified issue was not resolved?


(ii) 치료적 관계를 발달시키기 위한 성찰

(ii) Reflection to develop a therapeutic relationship.


이 주제는 개인의 행복과 만족과 관련이 있는 감정적 지능과 밀접하게 연계되어 있다.

The topic is closely aligned to emotional intelligence which has been associated with individual well being and satisfaction.


더 깊은 심문 이러한 질문에는 다음이 포함된다.

deeper questioning. These questions include


      • 나는 무엇을 느끼고 있고 나의 감정은 무엇인가? 

      • 왜 이렇게 느껴지지? 

      • 내가 비슷한 감정을 느끼는 내 인생의 다른 상황이나 다른 사람들과의 만남이 있을까?

      • 내가 왜 이렇게 느끼는지 설명할 수 있을까? 

      • 나와 다른 사람들에게 이러한 감정의 결과는 무엇인가?

      • . What am I feeling and what are my emotions? 

      • . Why do I feel like this? 

      • . Are there other situations in my life or my encounters with others when I feel the same? .

      • . Can I explain why I feel this way? 

      • . What are the consequences of these emotions for me and for others?


(iii) 전문직업적 실천을 위한 성찰

(iii) Reflection to develop professional practice.


이 접근법의 의도는 전문적 전문지식을 개발하는 것이다. 전문지식의 성격에 대한 연구는 전문가들이 초보자들보다 더 정교한 정신적 모델을 가지고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이러한 정신모델의 개발은 무작위적으로 발생하는 현상이 아니라, 상황에 대한 반복적 노출에 의해 이루어진다. 이것이 전문적인 지식의 열쇠다.

The intention of this approach to reflection is to develop professional expertise. Research into the nature of expertise identifies that experts have more elaborate mental models than novices. Development of these models has not occurred by a random phenomenon but through repeated exposure to situations. This is the key to professional expertise.


reflection-on-action의 과정은 전문적 전문지식을 위한 필수 요건이며, 세계에 대한 관점을 풍부하게 하기 위해 다양한 관점을 탐구하고 얻으려고 노력하는 '탐구정신'의 전형이다.

A process of constant reflection-on-action is an essential requirement for professional expertise and is typical of the ‘enquiring mind’ that explores and tries to obtain multiple perspectives to enrich their view of the world.


- 미래 행동

- Future action


성찰을 외부적 적용이 거의 없는 내부적 돌아보기일 뿐이라고 착각하기 쉽다. 그러나, 성찰의 목적은 이후의 행동이 보다 명확하고 신중할 수 있도록 inform하는 것이다.

It can be easy to assume that reflection is only introspection with little outside application. However, the aimof reflection is to inform future actions so that they can be more purposive and deliberate.



c) 성찰적 스토리텔링과 글쓰기

c) Reflective storytelling and writing


개인은 자신의 경험을 다른 사람에게 전하기 위해 이야기를 들려주며, 이러한 이야기에는 정보, 의견, 감정이 들어있다. 스토리텔링이 성찰 학습에 이용되는 것은 자연스러운데, '이야기'라는 것의 핵심적 측면은 [새로운 통찰력을 얻기 위한 경험에 대한 성찰]이기 때문이다. 이야기를 하는 과정은, 글을 쓰든 말로 하든, 그 말을 하는 사람이 자신의 경험을 noticing하고 make sense하도록 요구한다.

Individuals tell stories to convey their experiences to others and these stories include information, opinions and emotions. It is a natural step for storytelling to be used for reflective learning since an integral aspect of many stories is reflection on an experience with the development of new insights. The process of telling a story, whether written or oral, requires the teller to notice and make sense of an experience.


반사 학습에 디지털 스토리텔링을 사용하는 지침의 예는 www.medicalteacher.org.에서 부록 2를 참조하십시오.

For an example of instructions to use digital storytelling for reflective learning, please see Appendix 2, available at www.medicalteacher.org.


개인의 발달계획과 포트폴리오

Personal development plans and portfolios


이 접근법은 학습 요구를 초기에 파악한 다음 이러한 요구를 충족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해 결정을 내려야 한다. 성찰은 이 과정의 필수적인 측면이며 이것은 구조화된 접근법에 포함될 수 있다.

The approach requires that learning needs are initially identified and then decisions are made as to howthese needs can be met. Reflection is an essential aspect of the process and this can be included in the structured approach.


(i) 학습 요구 확인 

(i) Identification of learning needs. 


대부분의 전문가들은 도전적이고 중요한 사건, 동료와 환자의 피드백, 처방 및 의뢰 감사, 질의와 같은 다양한 경험을 할 것이다.

Most professionals will have a wide range of experiences such as thoughts about what situations they find challenging, significant events, feedback from colleagues and patients, prescribing and referral audits, and quizzes.


(ii) 확인된 학습 요구 사항을 충족하기 위한 계획 개발

(ii) Developing a plan to meet the identified learning needs.


포트폴리오는 평가자에게 학습 요구를 확인하였다는 것을 증명하는 다양한 근거모음을 제공하지만, 더 중요한 것은 적절한 교육적 접근법에 의해 충족되었다는 것을 입증하는 것이다.

A portfolio provides a collection of the various pieces of evidence to prove to an assessor that learning needs have been identified but, more importantly, have been met by appropriate educational approaches (Moon 1999).




성찰의 평가

Assessment of reflection


학생들은 자신의 성찰 활동을 평가받기를 싫어하는데, 왜냐하면 자신이 작성한 내용이 개인적이기 때문이거나, 평가법이 타당하고 신뢰할 수 있는지에 대해서도 회의적이기 때문이다.

Students dislike the notion of assessment of their reflective activities, regarding their entries as private but also they are sceptical about whether the assessment approach can be valid and reliable.



학생들은 성찰 일기에서처럼 쓰여진 성찰이 자신의 생각과 감정에 대한 정확한 설명이 아닐 수도 있다는 것을 쉽게 인지한다.

Students readily recognise that written reflection, such as in reflective diaries, may not be an accurate account of the thoughts and emotions of the writer.


대부분의 평가는 '성찰의 수준'을 포함하며, 이 계층적 모델은 반사의 깊이에 기초한다. 

  • 사건에 대한 설명만 있을 때, 표면적 성찰(Superficial reflection)이 발생하는 것으로 간주되며, 

  • 더 깊은 성찰은 도전과 변화의 증거로 사건과 행동에서 기존의 믿음과 관점으로 '물러섬stepping back'하는 것을 포함한다.

Most assessments will incorporate ‘levels of reflection’ and this hierarchical model is based on the concept of depth of reflection. 

  • Superficial reflection is considered to occur when there is only description of events but 

  • deeper reflection includes a ‘stepping back’ from events and actions with evidence of challenge, and possibly change, to existing beliefs and perspectives.


성찰 자료분류에 대한 두 가지 접근방식이 사례로 제시된다. 첫 번째 접근법은 전문성 개발에서 관찰된 단계에 기초하고(박스 2) 두 번째 접근방식은 보다 실용적인 접근 방식(박스 3)이다.

Two approaches to categorising reflective material are provided as illustrative examples. The first approach is based on the observed stages in professional development (Box 2) and the second a more pragmatic approach (Box 3).


박스 2. 전문 개발 단계에 따라 반사 재료를 분류한다(Niemi 1997년 이후).

Box 2. Categorising reflective material based on stages in professional development (after Niemi 1997).


  • 헌신적 성찰. 학습된 것, 그것이 개인에게 어떤 영향을 미쳤는지, 그리고 그들이 어떻게 변해왔는지에 대한 토론이 있다. 이 문제를 뒷받침할 몇 가지 증거가 제시되어야 한다.

  • 감정적 탐구. 경험의 감정적 영향에 대한 증거가 있으며, 여기에는 그들 자신의 신념과 가치에 대한 통찰력과 토론이 포함된다.

  • 객관적 보고성찰의 증거 및 그 경험이 그들에게 어떤 영향을 끼쳤는지에 대한 설명 없이 이 경험에서 어떤 일이 일어났는지에 대한 서술적 설명만이 있다. 

  • 확산 보고. 설명은 초점이 없거나 체계적이지 않으며 경험에 대한 설명만 포함한다.

  • Committed reflection. There is a discussion of what has been learned, how it has affected the individual and how they feel that they have changed. Some presentation of evidence to back this up should be provided.

  • Emotional exploration. There is evidence of the emotional impact of an experience and this includes insights and discussion about their own beliefs and values, including how these have been challenged.

  • Objective reporting. There is only a descriptive account of what happened during the experience with no evidence of reflection, or how the experience has affected them.

  • Diffuse reporting. The description is unfocused or disorganised and contains only a description of the experience.


박스 3. 성찰 자료를 분류하는 실용적 접근법(2004년 이후).

Box 3. A pragmatic approach to categorising reflective material (after Moon 2004).


  • 등급 A: 사건을 경험하는 방식이 변경되거나 확인되었다. 향후 유사한 이벤트에 대한 대응 방법을 변경하고자 할 수 있다. 당신은 다른 문헌, 예를 들어 기사나 책에 대한 참조를 포함한 설명을 제공한다.

  • 등급 B: 판단 수반 - 무엇이 잘 되었는가, 혹은 잘 되었는가, 그리고 왜 그랬는가에 대한 판단을 수반한다.

  • 등급 C: 사건 설명 – 느낌, 태도 및 신념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인식하고 학습한 내용을 질문하고 이전 경험과 비교

  • 등급 D: 사건 설명 – 중요한 것은 인정하되 그 이유는 설명하지 않는다.

  • 등급 E: 사건 설명 – 해석 없이 이벤트 세부 정보를 반복

  • 등급 F: 사건 설명 – 이벤트에 대한 설명 부족.

  • Grade A: Experiencing an event(s) has changed, or confirmed, how you experience an event(s). You may wish to change how you respond to similar event(s in the future. You provide an explanation, including references to other literature, eg articles or books.

  • Grade B: Involves judgement – what went well, or less well and why.

  • Grade C: Describing an event – recognising how it affects your feelings, attitudes and beliefs and/or questioning what has been learnt and comparing it to previous experience.

  • Grade D: Describing an event – recognising that something is important but not explaining why.

  • Grade E: Describing an event – repeating the details of an event without offering any interpretation.

  • Grade F: Describing an event – poor description of an event. 



흔한 어려움

Common problems encountered with reflection in medical education


낮은 참여도

Low engagement in reflection



효과적인 성찰는 다양한 구성 요소 사이에 align이 있을 때만 발생한다. 자율-규제 학습 모델의 주요 요소는 목표, '의향'(동기) 및 '기술'(전략 모니터링)이다.

Effective reflection will only occur when there is alignment between the various components. The main components of the self-regulated learning model are 

    • the goal, 

    • the ‘will’ (the motivation) and 

    • the ‘skill’ (the monitoring of strategies).


개인들은 성찰의 전반적인 목표에서 분명하지 않을 수 있고, 만약 그들의 감독관마저 목표에 대해 불확실하다면 상황이 더 악화된다. 안타깝게도, 성찰은 특히 평가를 위해 '볼트 온' 여분의 '볼트 온'으로 인식되는 경우가 많다.

Individuals may not be clear of the overall goal of their reflection and this is made worse if their supervisors are also uncertain. Unfortunately, reflection is often seen as a ‘bolt on’ extra and something that has ‘to be done’, especially for the purpose of assessment.


동기부여는 복잡하며 내부 및 외부 요소를 모두 포함한다. 내부 동기는 

    • 활동에 내재된 관심, 

    • 자기 효능감(과업을 달성할 수 있다는 자기신뢰) 

    • 직무의 인지된 어려움을 포함한다. 

Motivation is complex and includes both internal and external factors. Internal motivation includes 

    • intrinsic interest in the activity, 

    • self-efficacy (a self-belief in being able to achieve the task) and 

    • the perceived difficulty of the task. 


또한, 어린 학습자들은 더 넓은 맥락과 가능한 함축적 의미를 고려하기보다, 더 절대적 용어로 사건에 대해 성찰하는 경향이 있는 성숙도에 따른 효과도 있다.

There is also a maturational effect in which there is a tendency for younger learners to reflect on events in more absolute terms rather than consider the wider context and the possible implications.


자기 모니터링 전략은 개인에게 noticing, processing, future action과 같은 핵심 측면을 '집행하는' 기능을 수행하도록 요구한다.

Strategies for self-monitoring require individuals to take an ‘executive function’ that ensures that the key aspects of noticing, processing are and future action considered.


특정 교육 전략은, 학습자에게 메타인지적 모니터링의 사용을 점진적으로 introduce하는데, 메타인지 프로세스를 명확하게 하는 것을 목표로 하여, 학습자가 성찰하는 동안 성찰 단계에 대해 큰 소리로 이야기하도록talk aloud 권장하는 것을 포함한다.

specific training that progressively introduces learners to the use of metacognitive monitoring. These strategies have the aim of making the metacognitive process explicit and include encouraging learners to talk aloud about the phases of reflection whilst reflecting


촉진자 또는 멘토는 학습자가 자신의 인지적 처리 접근법을 모델링하도록 장려할 수 있는 경우에도 매우 귀중하다.

A facilitator or mentor is also invaluable if they are able to encourage the learner to model their own metacognitive processing approach.


비록 몇몇 연구자들은 낮은 참여도를 지적했지만, 학생들은 자신들이 이미 그것을 하고 있고 written process가 자신의 학습 선호도에 맞지 않는다고 말한다(Grant et al. 2006).

Although several authors have noted low engagement in reflection, students state that they perceive that they are already doing it and that the written process does not align to their learning preferences (Grant et al. 2006).


개인들은 생각과 감정을 표현하기 위해 다양한 선호되는 방법들을 가지고 있다. 여기에는 그림, 그림, 사진 및 조각(Gauntlet 2007)이 포함된다. 창의력을 발휘한다면 많은 학습자들을 자유롭게 할 수 있고 그것은 문화적 의미와 생각을 말로 표현하는데 어려움과 같은 언어와 같은 장벽을 극복할 수 있다. 이것은 그 주제가 강한 감정과 관련이 있을 때 특히 중요하다.

Individuals have a variety of preferred ways to present thoughts and emotions. These include drawing, painting, photographs and sculpture (Gauntlett 2007). Being creative can liberate many learners and it transcends barriers due to language, such as cultural meanings and difficulty in putting thoughts into words. This is particularly important when the topic is associated with strong emotions.



성찰 단계에서의 어려움

Difficulties with the phases of reflection


반사 과정의 여러 단계에 어려움이 있을 수 있다. Noticing 단계에서의 어려움은 종종 적절한 피드백이 없을 때 일어난다. 학생들은 다른 사람들로부터 피드백을 받고 싶다고 말하지만, 피드백을 주는 것은 꺼린다. 그 결과 학생들은 피드백을 받지 못하거나, 성찰에 도움이 되지 않는 형태로 피드백만 받게 된다. Noticing을 제대로 하지 못하면, 이후 성찰 과정을 방해할 수 있는 강한 감정이 생성될 수 있다.

There may be difficulties in the various phases of the reflection process. Difficulties in the noticing phase can often be related to the lack of adequate feedback. Although students state that they wish to receive feedback fromothers there is a reluctance to give feedback. This may result in students either not receiving feedback, or receiving it in a form that does not help the learner to reflect. Failure to do this may result in the creation of strong emotions that may block the rest of the reflection process.


성찰의 processing phase에 따라 어려움이 있을 수 있다. 일반적인 어려움은 특정 사건이 학습자에게 강한 감정을 유발한 경우이다. 종종 성찰을 자극할 수 있는 진단 누락과 같은 결정적인 사건은 분노나 슬픔과 같은 강력한 감정과 관련이 있다. 이 때 중요한 것은 이러한 감정을 인지하고 발산하는 것인데, 감정이 추가적인 성찰을 막을 수 있기 때문이다. 이 과정은 학습자에게 방어적 태도를 유발할 수 있으며, 그 결과 근본적인 문제가 다루지 않을 수 있다.

There may be difficulties with the processing phase of reflection. A common difficulty is the presence of strong emotions that the event has produced in the learner. Often the most important events, such as a missed diagnosis, that can stimulate reflection are also those that are associated with the most powerful emotions, such as anger or sadness. An essential step is to recognise and release these emotions since they can block further reflection (Boud et al. 1985). This process can lead to defensiveness in the learner and important underlying issues may not be addressed,


사후 편견도 문제로 지적되며, 이는 과거 상황과 사건을 소급하여 이해하려고 하는 광범위한 문제와 관련이 있다(Jones 1995).

Hindsight bias has been noted to be a possible difficulty but this is related to the wider issue of retrospectively trying to make sense of previous situations and events (Jones 1995).


성찰을 위한 구조화된 과정은 매우 유용할 수 있으며 몇 가지 프레임워크가 있다.

A structured process to reflection can be very useful and there are several frameworks.


비록 성찰이 상황에 대한 이해를 증가시키는 것으로 이어질 수 있지만, 이러한 통찰력은 궁극적으로 유사한 상황과의 향후 ENCOUNTER에 inform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성찰과정에서 특히 강력한 효과를 발휘하는 경우는 통찰력이 미래 행동을 inform하고, 이 후속 행동의 결과에 대해 다시 성찰이 있을 때 이다. 이것은 순환 과정의 시작이며 더 깊은 반성이 발생할 수 있다. 행동이나 실무 연구는 행동을 통해 더 많은 이해(및 개인 이론의 개발)를 반복적으로 개발할 수 있는 순환 과정을 포함한다.

Although reflection may lead to increased understanding of a situation, it is essential that these insights can inform future encounters with similar situations. A particularly powerful part of the reflection process is when the insights inform a future action and there is reflection of the consequences of this action. This is the beginning of a cyclical process and deeper reflection can occur. Action or practitioner research involves a cyclical process in which greater understanding (and the development of personal theory) can be iteratively developed through action.


전체적인 교수학습접근과의 통합 부족

Lack of integration of reflection in overall teaching and learning approach


성찰은 종종 교육 세션이나 커리큘럼에 추가되는 '볼트 온'이다. 그 결과 강사와 학습자 모두 [성찰을 교육 과정과 단절된 과정]으로 간주하기 시작한다. 참여가 낮아질 뿐만 아니라, 종종 숨겨진 커리큘럼이라고 불리는 문화는 성찰의 평가절하를 유발할 수 있다. 성찰은 각 세션과 전체 커리큘럼의 필수적인 부분이 되는 것이 중요하다.

Reflection is often a ‘bolt on’ extra to a teaching session or a curriculum. The effect is that both tutors and learners begin to regard reflection as a process that is disconnected from the educational process. There is not only poor engagement but a culture, often called a hidden curriculum, can quickly develop that devalues reflection. It is important that reflection becomes an integral part of each session and the overall curriculum.


Further development of reflection in medical education




Conclusions



Epstein RM. 1999. Mindful practice. JAMA 282:833–839.








 2009 Aug;31(8):685-95.

The use of reflection in medical educationAMEE Guide No. 44.

Author information

1
The University of Leeds, UK. j.e.sandars@leeds.ac.uk

Abstract

Reflection is a metacognitive process that creates a greater understanding of both the self and the situation so that future actions can be informed by this understanding. Self-regulated and lifelong learning have reflection as an essential aspect, and it is also required to develop both a therapeutic relationship and professional expertise. There are a variety of educational approaches in undergraduate, postgraduate and continuing medical education that can be used to facilitate reflection, from text based reflective journals and critical incident reports to the creative use of digital media and storytelling. The choice of approach varies with the intended outcomes, but it should also be determined by the user since everyone has a preferred style. Guided reflection, with supportive challenge from a mentor or facilitator, is important so that underlying assumptions can be challenged and new perspectives considered. Feedback also has an important role to enhance reflection. There is little research evidence to suggest that reflection improves quality of care but the process of care can be enhanced.

PMID:
 
19811204
[Indexed for MEDLINE]


신념-기반 의학교육(Adv in Health Sci Educ, 2016)

Faith-based medical education

Cynthia R. Whitehead1,2,3,4 • Ayelet Kuper1,5,6



그러나, [기관에서 인가한 교육적 실천]에 대해 공개적으로 질문을 던지는 것에 영향을 주는 권력 역학을 명시적으로 밝히는 경우는 거의 없다.

Rarely, however, do we explicitly articulate power dynamics that affect people’s ability to openly question institutionally-sanctioned educational practices.


우리는 개념적으로나 방법적으로 우리 분야의 광범위한 분야에 걸친 박사학위를 받은 동료 몇 명을 초청하여 몇몇 세션을 가르치게 했다.

We invited several of our PhD-trained colleagues whose work spans the breadth of our field conceptually and methodologically to guest teach some sessions.




가르치는 동안, 우리는 우리의 초청 강사들 중 어느 누구도 CBME의 광범위한 채택을 뒷받침하는 설득력 있는 데이터를 발견하지 못했다는 것에 놀라움을 금치 못했다. 그들 중 어느 누구도 CBME의 실행이 과학적으로 필요하다고 시사하지 않았다. 대신에, 그것은 대부분 검증되지 않고 잠재적으로 근거가 없는 추측에 기반한 전략으로 간주되었다.

While teaching our course, we noted with astonishment that none of our guest lecturers identified convincing data to support the widespread adoption of CBME. Not one of them suggested that CBME implementation was scientifically necessary; instead, it seemed to us that most considered it to be a strategy underpinned by untested and potentially unfounded assumptions.


우리는 전국에 있는 박사과정 연구원들의 미팅과 컨퍼런스에서 정중하지만 거리를 두고싶어하는 말들을 듣기 시작했다. '나는 학교에서 CBME를 도와야 한다. 나는 그것이 우리 학교에서 우선 과제라고 들었다. 나는 여전히 왜 그런지 모르겠다.' 개인적으로, 그와 같은 많은 동료들은 그들의 경멸을 느끼고 있었다.

We started to hear polite but distancing phrases at meetings and conferences from PhD researchers across the country—phrases like ‘I’m supposed to be helping with CBME at [my school], I’m told it’s an institutional priority, I’m still not sure why.’ In private, many such colleagues were more forceful in their disdain.


우리는 우리만 CBME에 대해 우려를 갖는 것이 아니라는 것을 깨닫게 되었다. 조용했지만, 캐나다와 국제적으로 의료전문 교육 연구 분야의 많은 박사 과정 동료들도 같은 방식으로 생각했다. 의학교육을 하는 박사들 사이에는 CBME의 실행이 [캐나다와 빠르게 뒤따르고 있는 다른 나라들에서] 거대하고 비싸고 엄청나게 시간을 많이 소요하면서까지 진행되는 것을 뒷받침하는 설득력 있는 증거가 거의 없다는 것에 대한 무언의 공감대가 있는 듯 하다. 하지만, 많은 캐나다 동료들에게, 거리낌 없이 말하는 것은 어렵다. 결국, 그들은 그들의 프로그램이 인증을 유지하기 위해 CBME를 구현해야 하는 바로 그 Deans, Chair, Program Directors 및 다른 사람들에 의해 월급을 받기 때문이다

We came to realize that we were not alone in our concerns about CBME. Quietly, many of our PhD colleagues across the spectrum of health professions education research, in Canada and internationally, felt the same way. There appears to be an unspoken consensus among medical education PhDs that there is little compelling evidence underpinning the massive, expensive, immensely time-consuming exercise that CBME implementation is becoming in Canada, and in other countries that are rapidly following suit. However, for many of our Canadian colleagues, it is difficult to speak out. After all, they are being paid by the very Deans, Chairs, ProgramDirectors and others who need to implement CBME in order for their programs to maintain accreditation (and who are understandably much less interested in theoretical arguments about the state of evidence than in the practical program issues for which they are accountable to their accreditors).


임상의사 교육자들 사이의 공통된 후회는 재정적으로 제약을 받는 시기에도 CBME가 요구하는 추가 작업과 자원이 있다는 것이다. 또 다른 것은 인증 주기가 다가오면서 "이렇게 하거나 아니면 죽거나"는 포고와 함께, 윗선에서 오는 강요의 느낌이다. 많은 교육자들은 CBME를 시행하는 업무를 담당했는데, 그들의 일이 커리큘럼을 구현하는 것과 교사의 buy in을 얻는 것일 때, 그들은 당연히 시위를 할 수 있는 힘은 제한된다고 느낀다. 많은 교육 행정가들은 마찬가지로 조용히 CBME의 효용과 실용성에 대한 우려를 인정하지만, 그들의 프로그램이 인증 표준을 성공적으로 충족시키도록 해야 한다. 그래서 CBME 기차는 굴러간다.

A common refrain amongst clinician educators is concern about the additional work and resources required by CBME in a time of fiscal restraint. Another is a sense of imposition fromon high, with a decree to ‘‘do or die’’ as accreditation cycles whirl forward. Many educators tasked with implementing CBME understandably feel they have limited power to protest, when their job is to get curriculum roll-out and teacher buy-in. Many educational administrators similarly quietly admit concerns about both the utility and the practicality of CBME, yet must ensure their programmes successfully meet accreditation standards. And so the CBME train rolls on.


MD-PhD로서 우리는 임상을 통해 재정적 안정성을 확보했다. 우리나라에서 박사학위를 받은 의학교육 연구원자의 대다수는 종신 재직권이 없으며, clinician paymasters의 지속적인 호의에 의존하고 있다. 이는 여러 문헌을 통해 알 수 있다(예: H.1937년, Fuchs 1963년; Brown and Kurland 1990년;Be'rube와 Ruth 2016; Albert 2004; Albert et al. 2007) 의학 교육에서 그들은 진솔하게 말할 수 있는 능력이 제한된다.

As MD– PhD’s we have financial security through our clinical practices; the majority of PhD-trained medical education researchers in our country are not tenured, and so are dependent on the continuing goodwill of their clinician paymasters—which, as we know from the large literature on payment arrangements, tenure, and freedom in the academy (e.g. Hepburn 1937; Fuchs 1963; Brown and Kurland 1990;Be´rube´ and Ruth 2016; in medical education, Albert 2004; Albert et al. 2007), limits their ability to speak their minds.


우리의 임상 수련 외에도 졸업후 교육에 수 년 동안 몸담아온 우리는 훌륭한 교육자 및 교사 동료들 이상의 교육연구 기술을 습득했다. 따라서 우리는 교육적 가정assumption을 조사하는데 필요한 전문성expertise이라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Having spent years doing graduate training in addition our clinical training provides us with education research skills beyond that of many of our excellent educator and teacher colleagues. We thus also have the advantage of expertise in interrogating educational assumptions.


우리의 구조적 특권은 이제 우리가 분명하고 강력하게 말할 것을 요구한다. 너무 오랫동안 CBME는 그것을 뒷받침하는 근거가 없고, 명백한 이론적 허점이 있는 추측적 개념이라는 것을 인정하지 않은 채로, 대중화를 지향하는 소규모 그룹의 규제와 행정 능력에 기초하여 전파되도록 허용되어 왔다. CBME는 증거 기반 의료 교육도, 심지어 연구 정보에 입각한 의료 교육도 아닌 것 같다. 그것은 그 자체의 막을 수 없는 진실과 승인된 고등 사제들로 가득 찬 믿음 기반의 의학 교육FBME이다. FBME의 리더들은 우리가 특정한 방식으로 우리의 교육 관행을 실천하도록 결정했으며, 그렇게 되어왔다.

Our structural privilege requires us to speak out clearly and forcefully now. For too long CBME has been allowed to propagate based on the regulatory and administrative power of a small group who popularized it without acknowledging that it is a speculative concept without evidentiary support and with obvious theoretical holes. CBME appears not to be evidence-based medical education, nor even research-informed medical education—it is faith-based medical education (FBME), replete with its own unopposable truths and its authorized high priests. Leaders of FBME have decreed that we will now conduct our educational practices in a certain way, and so it will be.


지역적 차원에서는, 일부 임상의와 교육 행정가들은 그러한 믿음으로 개종하였고, 다른 이들은 실용적인 차원에서 CBME라는 요구를 필요악으로 받아들였다. 그리고 CBME의 사상에 의문을 제기하는 연구결과는 이단으로 자리잡았으며, 의학교육분야의 과학자들은 [입증되지 않은 FBME의 주장] 중 어떤 것이 진실이고 타당한지에 대한 해답을 제공할 수 있는 연구 질문을 할 동기를 제한받고 있다.

At the local level, some clinician-educators and educational administrators have been converted to the faith, while others have pragmatically taken on its requirements as a necessary evil. And since research findings that question CBME’s tenets are positioned as heresy, there is limited incentive for scientists in our field to ask the kinds of research questions that could provide answers as to which of FBME’s unproven truth claims might be sound,


어떤 교육 계획도 과학적 연구를 포기할 만큼 신성하게 여겨져서는 안 된다. 그래서 우리는 선포한다. 임금님은 벌거숭이다. CBME는 FBME이다. CBME는 증거가 부족하고, 얕은 움직이는 모래 위에 기초를 두고 있다. 우리 분야는 이 말을 들을까? 우리는 숨을 죽이고 기다린다.

No education initiative should be considered so sacred as to forego scientific inquiry. So we proclaim: The Emperor has no clothes. CBME is FBME, lacking evidence and founded on shallow shifting sands. Will our field listen? We wait with bated breath.





 2017 Mar;22(1):1-3. doi: 10.1007/s10459-016-9748-8. Epub 2016 Dec 30.

Faith-based medical education.

Whitehead CR1,2,3,4Kuper A5,6,7.

Author information

1
Wilson Centre for Research in Education, Toronto, Canada. cynthia.whitehead@utoronto.ca.
2
Women's College Hospital, Toronto, Canada. cynthia.whitehead@utoronto.ca.
3
Department of Family and Community Medicine, Faculty of Medicine, University of Toronto, Toronto, Canada. cynthia.whitehead@utoronto.ca.
4
BMO Financial Group Chair in Health Professions Education Research, University Health Network, Toronto, Canada. cynthia.whitehead@utoronto.ca.
5
Wilson Centre for Research in Education, Toronto, Canada.
6
Division of General Internal Medicine, Sunnybrook Health Sciences Centre, Toronto, Canada.
7
Department of Medicine, Faculty of Medicine, University of Toronto, Toronto, Canada.
PMID:
 
28039589
 
DOI:
 
10.1007/s10459-016-9748-8


시스템과 맥락적 변화의 생태학적 이론(Med Educ, 2017)

Ecological theories of systems and contextual change in medical education

Rachel H Ellaway,1 Joanna Bates2 & Pim W Teunissen3





도입

INTRODUCTION


우리는 흔히 의학교육 관행을 표준화하고 정상화하는 것을 고려한다(일반적으로 효율과 품질 보장을 위해).

대조적으로, 우리는 (편견과 불평등에 대항하는 방식으로) 다양성을 장려하고 추구한다.

We often look to standardise and normalise medical education practices(typically in the interests of efficiency and quality assurance)2,3; by contrast, we encourage and pursue diversity (often as a way of challenging bias and inequality).4,5 


실험의 전통은 맥락의 영향을 '통제된 변수'로 최소화하는 경향이 있는 반면, 더 많은 사회-구성주의적 접근법에서는 사회 현상이 발생하는 '맥락'을 명시적으로 검토한다. 6 이와 유사하게, 효능efficacy 연구는 통제된 조건에서 특정한 개입이 어떻게 작용하는지를 탐구하는 반면, 반면에 효과effectiveness 연구는 맥락이 개입의 효과를 어떻게 변화시키는가에 초점을 맞춘다.

The experimental tradition tends to minimise the effects of context as ‘controlled variables’, whereas more social constructive approaches explicitly examine the contexts within which social phenomena occur.6 Similarly, efficacy research explores how a particular intervention works under controlled conditions, whereas effectiveness research focuses on how context changes the erstwhile efficacy of an intervention.7


학습자가 여러가지 맥락(예: 임상적 로테이션 및 배치) 사이를 이동할 때, 의학교육에서 맥락의 역할은 특히 중요해진다. 또는 주어진 맥락이 변경되는 경우(예: 두 개의 교육 병원 통합)에도 그러하다. 문제는 맥락의 변화가 학계에서 무시되어 온 것이 아니라, 공통된 개념과 일관성이 없는 상태로 다루어져왔다는 것이다.13

The role of context in medical education becomes particularly important when learners move between contexts (e.g. clinical rotations and placements)11 or when a given context is changing (e.g. merging two teaching hospitals).12 The problem is not that contextual change has been ignored in scholarship, but rather that it has been addressed inconsistently and with a lack of common concepts.13



배경BACKGROUND


임상 훈련 환경은 '환자, 장소, 의료행위의 문화와 보건 시스템, 의학교육, 사회, 그리고 이러한 패턴 사이의 예측할 수 없는 상호작용으로부터 발생하는 역동적이고 지속적으로 변화하는 시스템'이다.13

A clinical training context is ‘a dynamic and ever- changing system that emerges from underlying patterns of patients, locations, practice culture and health systems, medical education, and society, and from the unpredictable interactions between these patterns’.13


예를 들어, 경험론적 입장의 기본은 상황적 '개입'을 통제하는 것에 초점을 맞추고 있지만, complex adaptive system(CAS)의 관점에서 의학교육에서 '맥락적 변화'의 역할에 대한 탐구가 있었다. 임상의학교육은 교육과 헬스케어 사이의 교차점에서 이루어지며, 이 또한 CAS로 묘사되어 왔다.

For instance, although the default empirical stance has focused on controlling for contextual ‘interference’, there has been some exploration of the role of contextual change in medical education from a complex adaptive systems (CAS) perspective.18,19 Clinical medical education happens at the intersection between education and health care, which has also been described as a complex adaptive system.20,21


임상의학교육은 임상의학 세팅을 둘러싼 의료기관을 둘러싼 의료시스템을 둘러싼 사회를 둘러싼 것들에 위치하고 있으며, 여기서 사회는 헬스케어에 지원되는 자금의 방향을 결정하고 환자를 공급한다. 실제 임상현장의 상류에서, 심지어 훨씬 더 상류에서의 변화조차 의학 교육의 맥락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댐이 훨씬 아래쪽에 있는 강의 하류 생태계를 변화시키는 것처럼, 사회의 변화는 교사와 학습자들이 위치한 환경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다. 

Clinical medical education is also nested within a clinical health care setting, within a health care institution, within a health system, within a society that directs the funding to health care and supplies its patients. A shift upstream, even far upstream, can affect the context of medical education. Just as the damming of a river changes the ecology far downstream, so a change in society, can greatly impact the contexts that teachers and learners have to work in. 


대안적 접근법은 시스템의 생태학적 이론에서 개념을 끌어내는 것이다. ETS는 생태계를 고려하여, 왜, 그리고 어떻게 생태계가 변화에 대응하고 반응하는지 설명한다.

An alternative approach is to draw on concepts from ecological theories of systems (ETS). ETS consider ecological systems and why and how they change or respond to change.


ETS 개념은 의학교육 맥락이 어떻게 변하는지, 그리고 그 안에 있는 개인이 변화에 어떻게 반응하는지를 조명할 수 있다. 그렇게 함으로써 우리는 다음과 같은 공론에 기반을 두고 있다.

ETS concepts can illuminate how medical education contexts change, and how the individuals within them respond to change. In doing so we base our work on the following axioms:


  • 역량은 개인의 본질적인 특성이 아니다. 역량은 특정 맥락에서 그리고 특정한 맥락에서 표현되는 최적의(또는 거의 최선의) 성과를 제정한 것이다.26

  • 퍼포먼스는 개인의 변화에 의해 불안정하거나 약화될 수 있다.

  • 퍼포먼스는 맥락이 변화하거나 또는 한 개인이 새로운 컨텍스트로의 전환될 경우에 불안정하거나 약화될 수 있다.

  • Competence is not an intrinsic characteristic of an individual; it is an enactment of optimal (or near-optimal) performance expressed in and for a particular context.26

  • Performance can be destabilised or eroded by changes in the individual.
  • Performance can also be destabilised or eroded by changes in context or by the individual transitioning to a new context.


상황 변화가 개인의 수행에 지장을 주고 회복 또는 수용의 형태로 이어지는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그림 1 참조).

We can represent the effect of a contextual change disrupting an individual’s performance followed by some form of recovery or accommodation (see Fig. 1).



ETS 개념

ECOLOGICAL THEORIES OF SYSTEMS (ETS) CONCEPTS


핵심 ETS개념은 다음과 같다.

We can consider a number of core ETS concepts (see also Table 1).



생태계

Ecological system


  • '생태계'라는 용어는 디콘텍스트화 된 생물체에서 특정 환경 내에서 상호의존적인 물리적, 생물학적 요소들로 바뀌는 학문적 초점을 반영하기 위해 1930년대에 처음 만들어졌다. '시스템 생태학'은 생태계의 역학을 고려하는 방법으로서 개발되었다. 홀링과 동료들은 [시스템 변화의 방식과 이유], [시스템 내의 엔티티가 변화에 어떻게 반응하는지]에 초점을 두었고, '위계와 및 적응적 주기가 여러 scale에 걸쳐 생태계 및 사회-생태학적 시스템의 기초를 구성한다'는 점에 주목한다.

  • the term ‘ecosystem’ was first coined in the 1930s to reflect a shifting scholarly focus from decontextualised biological entities to interdependent physical and biological elements within a particular environment.30 ‘Systems ecology’ was developed as a way of considering the dynamics of ecosystems.31 The work of Holling and colleagues focused on how and why systems change, and how entities within systems respond to change, noting that ‘hierarchies and adaptive cycles comprise the basis of ecosystems and social-ecological systems across scales’.32 

  • 생태계의 생물 구성 요소(식물 및 동물)는 '생물학적 요인'이며, 살아있지 않은 것(기후, 지리, 물리적 환경)은 '무생물학적 요인'이다. 생태계는 전형적으로 상호의존적인 생물적, 무생물적 요소들로 구성되어 있다. 사회-생태계는 또한 '사회-문화적 요인'을 포함한다..

  • An ecological system’s living components (plants and animals) are its ‘biotic factors’ and the non- living components (climate, geography and physical environment) are its ‘abiotic factors’. Ecological systems typically consist of multiple interdependent biotic and abiotic components. Socio-ecological systems also involve ‘socio- cultural factors’.


적응 주기

Adaptive cycles:

  • 생태계는 역동적이고, 짧은 disruption and change 사건을 거치는 주기를 겪으며, 변화 이후에는 안정과 통합의 긴 기간이 뒤따른다. 홀링은 적응형 사이클의 4가지 단계를 설명했다: 방출, 재편성, 착취, 보존. 

  • ecological systems are dynamic and cycle through short episodes of disruption and change followed by longer episodes of stability and consolidation. Holling described four stages in adaptive cycles: 

    • release, 

    • reorganisation, 

    • exploitation and 

    • conservation. 

  • 생태계가 붕괴되면 새로운 환경에 맞게 재편성될 필요가 생긴다. 생태계는 점차 시간이 흐르면서 특정한 configuration으로 합쳐지며(exploitation), 이것은 다른 configuration을 가로막는다(conservation). '패나키'라는 개념은 종종 크고 작은 적응 주기의 nesting을 말하는데, 이 때 [더 크고 느린 적응 사이클]이 [더 작고 더 빠른 적응 사이클]을 구속한다는 개념이다.

  • When an ecosystem is disrupted it needs to reorganise to suit the new conditions. The ecosystem gradually coalesces around a particular configuration (exploitation) that over time precludes any other configuration (conservation).33 The related concept of ‘panarchy’ reflects the nesting of larger and smaller adaptive cycles within an ecological system where larger and often slower adaptive cycles constrain the smaller and faster ones.33,34


어트랙터와 리펠러

Attractors and repellers:

  • 적응형 순환은 다양한 힘과 영향에 의해 추진되며, 그 중 일부는 '어트랙터'가 될 수 있다.35 우리가 일반적으로 생태계에서 하나의 지배적인 어트랙터에 초점을 맞추는 경향이 있지만, 생태계는 실제로는 일반적으로 소형 및 대형 적응형 사이클 모두를 구동하는 다수의 변화하는 어트랙터를 가질 것이다. 

  • adaptive cycles are driven by a range of different forces and influences, some of which can be ‘attractors’ and others ‘repellers’.35 Although we typically tend to focus on a single dominant attractor in an ecosystem, in practice ecological systems will usually have multiple changing attractors that drive both small and large adaptive cycles. 

  • 어트랙터와 리펠러는 기능적으로 유사하다(어댑티브 사이클을 구동한다는 점에서). 이 둘은 그것들이 영향을 미치는 시스템의 요인 또는 인자에 대한 상대적인 방향 측면에서만 다르다. 하나의 적응형 주기 내의 어트랙터와 리피터가 다른 적응형 주기에서는 다르게 기능할 수 있으며, 한 경우에 어트랙터로 기능하는 것이 다른 상황에서는 중립적이거나 심지어 리펠러일 수 있다. 생태계에서 'Basin of attraction'이라는 누적적 개념은 생태계가 비교적 안정적인 환경설정을 수립하는 어트랙터와 리펠러 사이의 균형을 의미한다.

  • Attractors and repellers are functionally similar (in that they drive adaptive cycles); they only differ in terms of the direction of influence relative to the factor or factors in a system they are influencing. An attractor or repeller within one adaptive cycle may function differently within another, and what functions as an attractor for one group may be neutral or a repeller for another. A cumulative concept of an ecosystem’s ‘basin of attraction’ refers to the equilibrium between the attractors and repellers around which an ecosystem establishes a relatively stable configuration.


시스템 관리

Systems management:

  • 생태계의 안정성은 변화에 적응함으로써 역동적으로 유지된다. 일상의 동요perturbation는 그것을 일시적으로 그리고 약간 불안정하게 할 수 있지만, 그것이 homeostasis로 돌아가지 않는(못하는) 정도까지 불안정하게 만들 수 없다. 어떤 변화는 시스템을 정상 상태로 되돌릴 수 없을 정도로 불안정하게 만들 수도 있으며, 이 때 시스템은 새로운 homeostatic 상태를 수립할 수도 있고, 혹은 완전히 붕괴할 수도 있다.36 

  • an ecosystem’s stability is maintained dynamically by adjusting to change; everyday perturbations may temporarily and modestly destabilise it but not to the point at which it does not (or cannot) return to homeostasis. Other changes may destabilise a system to the point that it cannot regain homeostatic state, at which point it either establishes a new homeostatic state or it fails altogether.36 

  • 사회적, 생물학적 생태계 모두 어느 정도 관리될 수 있다. Hilborn은 반응형, 수동형 또는 능동형 시스템 관리를 구별했다. 

    • 반응적 관리는 명확한 모니터링이나 평가를 포함하지 않으며, 결과적으로, 시스템 내의 사람들은 그 영향이 명백해질 때에만 변화에 대응하는 것이다,

    • 수동적 관리는 명확한 모니터링과 평가를 포함하며, 시스템에 대한 영향이 명백해지기 전에 변화를 예측하는 것이다. 

    • 능동적 관리는 시스템을 모델링하는 것을 포함하며, 선도적으로 시스템을 방해하는 변화를 덜 발생시키는 것이다.37

  • Both social and biological ecosystems can be (to some extent) managed. Hilborn differentiated between reactive, passive or active systems management. 

    • Reactive management involves no explicit monitoring or evaluation and, as a result, those within the system can only respond to change once its effects become apparent. 

    • Passive management involves explicit monitoring and evaluation so that the system can anticipate changes before their effects are apparent. 

    • Active management involves modelling the system and pre-emptively making it less prone to disruptive change.37




변화에 대한 대응

Responses to change: 


대부분의 시스템은 일정한 유동적 상태에 있다. 그러나, 어떤 변화는 시스템 지속 가능성에 필수적이지만, 다른 변화는 파괴적일 수 있다. 시스템의 생태학적 이론은 시스템이 [파괴적인 변화에 반응하는 방식]을 설명함으로써 다양한 현상을 모델링한다.

most systems are in a constant state of flux. However, although some change is essential to system sustainability, other change can be disruptive. Ecological theories of systems model different phenomena in the way that systems respond to disruptive change.


회복탄력성

Resilience: 

    • 홀링은 생태계의 '회복탄력성'이란 변화에 직면한 생태계의 관계와 기능의 지속성이라고 정의했다.32 최근에 워커는 회복탄력성이란 'disturbance를 흡수하고, 근본적으로 동일한 기능을 유지하기 위하여 변화를 겪는 동안 재조직화하는 시스템의 능력'이라고 정의하였다.38 

    • Holling defined an ecological system’s ‘resilience’ as the persistence of its relationships and functions in the face of change.32 More recently, Walker defined resilience as ‘the capacity of a system to absorb disturbance and reorganise while undergoing change so as to retain essentially the same function’.38 

    • Gunderson은 다음을 구분하였다

      • '공학적 회복탄력성': 방해된 시스템이 교란 전과 정확히 동일한 상태로 되돌아가는 것

      • '생태학적 회복탄력성': 스템은 다수의 stable state를 가지고 있으며, 교란되었을 때 이 여러 상태 중 하나를 오갈 수 있는 것

    • Gunderson differentiated between 
      • ‘engineering resilience’ where a system that has been disturbed returns to exactly the same state it was in before the disturbance, and 
      • ‘ecological resilience’ where a system has multiple stable states that it may move between when disturbed.39


적응력

Adaptability: 

    • 시스템의 핵심 기능을 유지하기 위해 변화나 붕괴에 대응하는 생태계의 능력이다. 인간 시스템의 관점에서, 적응성은 변화를 관리하는 시스템 내 개인의 집합적 능력이다.38 생태학적 시스템 관점에서, 회복탄력성은 전체 시스템이 갖는 퍼포먼스의 퀄리티인 반면, 적응성은 시스템 참여자들이 시스템의 복원력에 기여하는 수단이다.

    • is the ability of an ecological system to respond to change or disruption so as to maintain the core functions of the system. From a human systems perspective, adaptability is the collective capacity of individuals in a system to manage change.38 From the ecological systems perspective, resilience is a performative quality of a system as a whole, whereas adaptability is the means by which participants in a system contribute to its resilience.


변형가능성

Transformability:

    • 생태학적, 경제적, 사회적 또는 정치적 조건들이 기존의 시스템을 사용할 수 없게 만들 때 근본적으로 새로운 시스템을 만들 수 있는 능력이다.38 적응력은 모달modal 시스템 상태와 기능을 유지하는 것이라면, 변형가능성은 새로운 안정 상태를 구축하는 것으로서, 기존의 상태가 유지불가능할 때 다른 기능을 갖추는 것이다.

    • is the capacity to create a fundamentally new system when ecological, economic, social or political conditions make the existing system untenable.38 Although adaptability is about retaining a modal system state and function, transformability is about establishing a new stable state but with a different function once the old state becomes untenable.



히스테레시스

Hysteresis: 

  • 파괴적 영향에 대해 생태계가 즉각적으로 반응하는 경우는 거의 없다. 일반적으로 붕괴의 시작과 그에 대한 시스템의 반응 사이에는 지연이 있고, 그 다음, 붕괴의 원인이 사라진 후에, 약간의 지연이 있고, 그 이후에 시스템의 반응이 종결된다. 이러한 행동을 '히스테리시스'라고 하는데, 이것은 개인, 학급, 학교 또는 전체 교육 시스템의 수준에서 발생할 수 있다. 

  • ecological systems rarely respond instantly to disruptive influence; there is typically a delay between the start of the disruption and the system’s response to it, and then, after the source of disruption has gone, there is a delay before the system’s response ends. This behaviour is called ‘hysteresis’, which may occur at the level of an individual, class, school or whole educational system. 

  • 더욱이, 변화에 대한 반응은 시스템이 최근에 겪은 적응에 영향을 받을 수도 있다. 히스테리시스는 변화의 속도와 반응 속도에 따라 달라진다. 어떤 변화는 느리지만(예: 의대 수업에서 남자 대 여자 비율을 바꾸는 것), 다른 변화는 더 빠르다(예: 자금 삭감이나 사회 불안). 변화의 속도와 시스템이 반응할 수 있는 속도는 일반적으로 서로 거울이 될 것이다. 시스템의 반응이 필요한 변화 뒤에 있을수록 이력 효과가 더 커진다.

  • Moreover, the response to change may be influenced by recent adaptations a system had to make. Hysteresis depends both on the speed of change and the speed of response. Some change is slow (such as the shifting male to female ratio in medical school classes), whereas other change is more rapid (such as funding cuts or social unrest). The speed of change and the speed at which a system is able to respond will generally mirror each other; the more a system’s response falls behind the changes that require it, the greater the hysteresis effect.


고찰

DISCUSSION


시스템에 대한 생태학적 이론의 개념을 사용하면 복잡한 적응 시스템 이론의 설명적 능력을 넘어 다른 환경에서 동일한 상황 변화가 왜 서로 다른 시스템과 개별적 반응을 다르게 만드는 방법과 이유가 무엇인지를 이해할 수 있다.

Using concepts from ecological theories of systems allows us to go beyond the descriptive capabilities of complex adaptive systems theory18 to understand how and why the same contextual change in different settings can lead to different system and individual responses.


또한 ETS 개념을 사용하면 다음과 같은 상황 변화에 대해 서로 다른 반응을 비교하고 대조할 수 있다. 

  • 맥락 변화가 미치는 영향을 방지하거나 최소화함(의학 교육의 연속성을 추구하는 과정에서 반영됨) 

  • 시스템을 disrupt하는데 필요한 변화를 증가시킴(예: 품질 개선 프로젝트에 학생들을 참여시키는 것)40 

  • 시스템이 중단되면 복구하는 데 필요한 노력 및 시간 절감(예: 학습자가 의료 오류를 처리하도록 준비)41 

  • disruptive한 변화에 대한 대응으로 시스템 적응성 향상(예: 핵심 교수진 또는 리소스 손실)

ETS concepts can also allow us to compare and contrast different responses to contextual change, such as: 

  • avoiding or minimising the impact of contextual change (reflected in the pursuit of continuity in medical education)9; 

  • increasing how much change it takes to disrupt a system (such as engaging students in quality improvement projects)40; 

  • reducing the effort and time required for systems to recover following disruption (such as preparing learners to deal with medical errors)41;or 

  • increasing system adaptability in response to disruptive change (such as the loss of key faculty members or resources).


또한 변화에 대한 

  • 전 대응적 반응(일반적인 변화에 대응하는 능력을 개발함으로써 학습자를 변화에 대비시킴)과 

  • 후 대응적 반응(변화가 발생하는 중 또는 그 이후에 학습자의 특정 변화에 대한 대응을 도움)

...을 보다 쉽게 비교할 수 있다.

We can also more easily compare 

  • proactive responses to change (preparing learners by developing their skills in responding to change in general) with 

  • reactive responses (helping learners to respond to specific changes as they are happening or in their aftermath).


다음을 추구해볼 수 있다.
More specifically, we might seek to:
  • 교육 프로그램의 변경을 덜 자주 또는 덜 갑작스럽게 하거나, 혼란을 덜 일으키는 교육 환경을 설계하여 상황 변화에 대한 학습자의 노출을 줄이십시오.

  • Reduce learner exposure to contextual change by making changes in a training programme less frequent or less abrupt, or by designing training contexts to be less prone to disruptive change.


  • Disruption 발생 시 다음을 활용하여 의료 교육 시스템의 복원력 향상시킨다.
    • 생물학적 요인(예: 교수진들이 교수법에 더 적응할 수 있도록 돕는 것), 
    • 무생물학적 요인(예: 다른 목적을 위해 교실을 더 구성하도록 만드는 것) 또는 

    • 사회 문화적 요소(예: 커리큘럼을 변화를 더 쉽게 만드는 것) 또는 

    • 이러한 요소의 다양한 조합

  • Increase or enhance medical education system resilience in the face of disruption through 

    • its biotic factors (such as helping faculty members to be more adaptable in their approaches to teaching), 

    • its abiotic factors (such as making classrooms more configurable for different purposes) or 

    • its socio-cultural factors (such as making it easier to make changes to the curriculum), or through various combinations of these factors.

  • 학습자를 지원하여 개인 및 집단 안정성 향상 또는 향상 
    • 급격한 변화에도 불구하고 성능을 유지하게 하는 것(예: 성능에 영향을 미치는 어트랙터와 리펠러에 대한 개개인의 인식 증가) 
    • 성능이 저하될 때 보다 효율적으로 복구하는 것(학습에 대한 보다 신중한 접근 방식을 개발하거나 언제 도움을 요청할지 아는 것)
  • Increase or enhance individual and collective stability by helping learners 

    • to sustain their performance in the face of disruptive change (such as increasing individual awareness of the attractors and repellers impacting their performance) or 

    • to recover more efficiently as and when their performance is disrupted (such as developing a more deliberate approach to learning, or knowing when to ask for help).


  • 변화에 대한 히스테리시스를 줄이는 것(예: 커리큘럼 구조를 덜 rigid하게 만드는 것)과 적절한 시간에 변화에 대한 응답 종료(예: 교정조치에 지속적인 평가 및 피드백 루프 사용)

  • Reduce hysteresis both in responding to change (such as making curricular structures less rigid) and in ending responses to changes at the right time (such as using continuous evaluation and feedback loops in remediation).



그러나 특히 변화와 붕괴의 패너키적panarchic 성격을 감안할 때 변화를 완화할 수 있거나 줄이는 데에는 한계가 있다는 점을 유념하는 것이 중요하다. 결국 의학교육은 각 대학이 통제권을 거의 갖지 못하는 더 상위 구조인 대학, 보건 시스템 및 사회의 시스템 안에 nesting되어있다. 이와 같은 더 상위 구조에서 발생하는 파괴적 변화는 의학교육 생태계에서 혼란스러운 상황 변화를 초래할 가능성이 있다. 예를 들어, 성별과 장애에 대한 사회적 태도를 바꾸는 것은 최근 수십 년 동안 의학 교육의 입학과 숙식에 상당한 변화를 가져왔다. 

However, it is important to note that there are limits to which change can or should be mitigated, particularly given the panarchic nature of change and disruption. After all, medical education is nested in larger systems of universities, health systems and societies, over which it has little or no control; disruptive change in any of these broader systems is likely to lead to disruptive contextual change in medical education ecologies. For instance, changing societal attitudes towards gender and disability have led to significant changes in admissions and accommodations in medical education in recent decades. 


회복탄력성(상황의 변화에도 불구하고 원래 기능을 유지하는 것)보다는 변형가능성(기능을 변화시킴으로서 변화에 대응)의 개념이 이 점에 핵심적이다. 비록 의학 교육이 거시적 수준에서 회복탄력적이라고 말할 수 있지만(상황의 변화에도 불구하고 의사가 계속 생산되고 있다.), 의학교육은 [사회적 임무, 분산된 의학 교육, 교육 기술과 교육적 방법, 그리고 졸업생들의 기대 역량 같은 분야에서] 상당한 수준의 변형가능성을 보여주었다.

The concept of transformability (respond to change by changing functions) rather than resilience (retaining original functions despite contextual change) is central to this point. Although it could be said that medical education is resilient at the macro level (it has continued to produce doctors despite changing circumstances), it has shown a significant degree of transformability in areas such as social missions, distributed medical education, instructional technology and pedagogical methods, and the expected competencies of a graduating doctor.


ETS 개념의 사용으로 발생하는 또 다른 핵심 질문은, transition 기간에 회복탄력성을 개발하는데 있어서, 맥락적 변화에 대해 학습자를 보호하는 것보다, 맥락적 변화에 대한 학습자의 대응능력을 개선하는 데 초점을 맞추는 것이 더 중요한가 하는 것이다.42 궁극적으로, 맥락적 변화를 세심하게 모니터하여, 학습자들이 나중에 임상현장에 들어섰을 때 당면할 변화에 적응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할 수 있도록 도와주기만 한다면, 맥락적 변화에 노출되는 것은 도움이 된다. 

Another key question that arises from the use of ETS concepts is whether, in developing learner resilience during transitions, it is more important to focus on improving learner responses to contextual change than it is to seek to protect them from contextual change.42 After all, learners may benefit from being exposed to contextual change that is carefully monitored so as to not be overwhelming if it helps them to develop skills in adapting to change once they are in practice. 


만약 [기존의 관행을 disrupt하고 새로운 학습을 받아들이기 위한 목적으로 그 관행을 재발명하는 것]이 전문직업적 발전의 중심이라면, 우리는 학습 성과의 일시적 저하dips를 더 긍정적으로 볼 필요가 있을 것이다. 비슷하게, 우리는 교수진을 안락한 지역comfort zone에 두려고 노력하기 보다는, 그들이 전문직업적으로 발전할 수 있도록 disrupt할 수 있는 기회를 만들기 위해 노력할 수도 있다.

If disrupting existing practice and reinventing it to accommodate new learning is central to professional development, then we might need to look at dips in learner performance more positively. Similarly, we might seek to build on opportunities to disrupt our faculty members in the interests of their professional development rather than trying to keep them in their comfort zones.



의학 교육의 맥락적 변화에 대한 생태학적 관점을 탐구할 때, 우리는 참가자들의 행동이 그들의 근본적인 동기, 정체성, 문화 그리고 다른 개인적, 사회적 요인들에 의해 알려지는 '사회적 생태학'과 함께 일하는 것을 분명히 해야 한다. 사회적 생태계에 참여하는 사람들은 '의도적이든 의도하지 않든 회복탄력성에 영향을 미친다'.38

In exploring an ecological perspective on contextual change in medical education, we should be clear that we work with ‘social ecologies’ where participants’ actions are informed by their underlying motives, identities, cultures and other personal and social factors. Participants in social ecologies ‘influence resilience, either intentionally or unintentionally’.38


더욱이, 변화에 대한 반응이 언제나 내면화는 아닐 수 있다. 발생가능한 반응에는 

  • 항(관련된 변화나 그 영향을 거부하거나 무시하거나 역행하려 함) 또는 

  • 응(겉으로는 변화하지만 내부적으로는 반대함)도 포함될 수 있다.43 

또한 반응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또는 다른 종류와 변화 정도에 따라 이러한 상태 사이를 오갈 수 있다.

Moreover, responses may not be an internalisation of the changing circumstances; responses may involve 

  • resistance (rejecting, ignoring or trying to reverse contextual change or its impacts) or 

  • compliance (adapting to change externally but dissenting internally).43 

Responses may move between these states over time or in response to different kinds and degrees of change.



첫째, ETS는 단일 프레임워크나 일관된 이론의 조직이 아니다. 그것은 하나의 우세한 모델이나 프레임워크가 없는 교차하는 이론의 움직이는 변화된 몸이다. 실제로, 많은 시스템 이론(소프트, 하드, 인간, 기술 등)이 있다.

Firstly, ETS isn’t a single framework or coherent body of theory; it is a moving, changing body of intersecting theories with no single dominant model or framework. Indeed, there are many systems theories (soft, hard, human, technical, etc.)44



결론

CONCLUSIONS


의료 교육에서 맥락의 본질적으로 유동적인 특성과 상황 변화로 인한 성과에 대한 잠재적인 차질을 고려할 때, 11,45는 우리가 의료 교육 및 직장 시스템의 전체적인 방법과 그들 내부의 개인이 이러한 변화에 어떻게 반응하는지를 모델링하는 것이 중요하다.

Given the intrinsically fluid nature of context in medical education and the potential disruptions to performance from contextual change,11,45 it is important that we model how medical education and workplace systems as a whole and how the individuals within them respond to these changes.








29 Pusic MV, Boutis K, Hatala R, Cook DA. Learning curves in health professions education. Acad Med 2015; 90 (8):1034–42.


 2017 Dec;51(12):1250-1259. doi: 10.1111/medu.13406. Epub 2017 Aug 30.

Ecological theories of systems and contextual change in medicaleducation.

Author information

1
Department of Community Health Sciences, Cumming School of Medicine, University of Calgary, Calgary, Alberta, Canada.
2
Faculty of Medicine, Department of Family Practice, University of British Columbia, Vancouver, British Columbia, Canada.
3
Faculty of Health, School of Health Professions Education (SHE), Medicine and Life Sciences (FHML), Maastricht University, Maastricht, The Netherlands.

Abstract

INTRODUCTION:

Contemporary medical practice is subject to many kinds of change, to which both individuals and systems have to respond and adapt. Many medical education programmes have their learners rotating through different training contexts, which means that they too must learn to adapt to contextual changeContextual change presents many challenges to medical education scholars and practitioners, not least because of a somewhat fractured and contested theoretical basis for responding to these challenges. There is a need for robust concepts to articulate and connect the various debates on contextual change in medical educationEcological theories of systems encompass a range of concepts of how and why systems change and how and why they respond to change. The use of these concepts has the potential to help medical education scholars explore the nature of change and understand the role it plays in affording as well as limiting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This paper, aimed at health professional education scholars and policy makers, explores a number of key concepts from ecological theories of systems to present a comprehensive model of contextual change in medical education to inform theory and practice in all areas of medical education.

RESULTS:

The paper considers a range of concepts drawn from ecological theories of systems, including biotic and abiotic factors, panarchy, attractors and repellers, basins of attraction, homeostasis, resilience, adaptability, transformability and hysteresis. Each concept is grounded in practical examples from medicaleducation.

CONCLUSION:

Ecological theories of systems consider change and response in terms of adaptive cycles functioning at different scales and speeds. This can afford opportunities for systematic consideration of responses to contextual change in medical education, which in turn can inform the design of educationprogrammes, activities, evaluations, assessments and research that accommodates the dynamics and consequences of contextual change.

PMID:
 
28857233
 
DOI:
 
10.1111/medu.13406


맥락이라는 암흑물질의 매핑: 개념 범위 고찰(Med Educ, 2016)

Mapping the dark matter of context: a conceptual scoping review

Joanna Bates1 & Rachel H Ellaway




도입

INTRODUCTION


우리 우주의 많은 부분이 우리가 만지거나 측정하거나 볼 수 없는 '암흑 물질'로 이루어져 있다고 주장되어 왔다.

It has been argued that much of our universe is made up of ‘dark matter’, something that we cannot touch, measure or see.




암흑 물질과 마찬가지로, 의학 교육에서 맥락은 그 안에 있는 사람들에게는 대체로 보이지 않으며, 맥락의 영향을 받은 우리의 프로그램, 우리의 교육, 우리의 학생과 trainee의 학습과 궁극적 실천을 통해서만 볼 수 있다. 듀이가 말했듯이 '...우리는 맥락의 역할을 명확히 인식할 수 없다. 왜냐하면 우리가 하는 모든 말이 맥락으로 가득 차 있기 때문이다. 맥락은 우리가 말하고 듣는 것의 중요성을 형성한다.'

Like dark matter, the contexts for medical education are largely invisible to those embedded in them, and become visible only through investigation of their profound influence on our programmes, our teaching, and our students’ and trainees’ learning and eventual practice. As Dewey observed: ‘...we are not explicitly aware of the role of context just because our every utterance is so saturated with it that it forms the significance of what we say and hear.’2


맥락은 의학 교육 분야에서 너무나 본질적인 어떤 것이며, 따라서 맥락은 여전히 이해하기 어려운 개념으로 남아 있다.

For something that is so intrinsic to the field of medical education, context remains an elusive concept,


이것은 "무문화의 문화"라는 테일러의 작품과 유사하다. 여기서 그는 공유된 로컬 문화는 "세월이 흘러도 변함없는 진실"을 대표하는 것으로, 사회적으로 구성되기보다는 본질적인intrinsic 것이라고 했다.

This parallels Taylor’s work on ‘cultures of no culture’,3 in which shared local culture is seen as representing ‘timeless truths’, something intrinsic rather than socially constructed.


배경

Background


맥락은 점점 더 중요해지고 있다.

Context has become increasingly important


맥락이 더 중요하게 된 몇 가지 핵심 요소: 

  • 교육 맥락의 확장과 다양화, 

  • 의학교육연구 내에서 맥락을 중요시하는 사회 과학적 방법의 사용 증가(예: 현실주의 및 활동 이론에 기초한 방법), 

  • 역량 기반 학습 및 평가에 대한 무-맥락적 접근법의 광범위한 사용.

several key factors: 

  • the widespread expansion and diversification of training contexts; 

  • the growing use of context-critical social science methods within medical education research (such as those based on realist and activity theories), and 

  • the widespread and pervasive use of acontextual approaches to competency-based learning and assessment.


비교적 최근까지, 의학교육은 거의 독점적으로 제 3의 '교육' 병원에서 이루어졌다.

Until relatively recently, medical education took place almost exclusively in tertiary ‘teaching’ hospitals.


그러나 보다 최근에, 학생 수의 증가와 의대 사회 의무에 대한 집중력의 이동으로 인해 의료 의학교육 프로그램은 분산, 원격, 시골, 전문가 및 외래 환경(최소한 캐나다, 미국, 영국 및 호주)을 포함한 새로운 맥락으로 확대되었다.10

More recently, growing student numbers and a shifting focus on the social mission of medical schools has led to an expansion of medical education programmes into new contexts, including distributed, remote, rural, interprofessional and ambulatory settings (at least in Canada, the USA, the UK and Australia).10


국제보건 일렉티브 및 봉사학습장소와 같은 유사한 발전이 있다. 실제로, 의학교육의 setting이 이보다 더 다양해진 적은 없었다고 주장되어 왔다.15

There are similar developments such as global health electives and service learning placements. Indeed, it has been argued that the settings for medical education have never been more diverse.15


이러한 다양한 프로그램이 공통된 특성(예: 공유된 핵심 커리큘럼)을 가질 수 있으며, 인증 기준은 교육장소 간(최소한 기회 및 프로세스 측면에서) 다양성을 최소화 할 것을 요구할 수 있지만, 서로 다른 훈련 환경은 본질적으로 서로 다른 종류의 비공식적 학습을 제공하며, 이는 결국 서로 다른 사회화 프로세스 및 학습경험으로 이어진다18

Although distributed programmes may have common characteristics (such as a shared core curriculum) and accreditation standards may require minimal diversity between sites (at least in terms of opportunity and process),16 different training settings intrinsically afford distinct kinds of informal learning,17 which leads to different socialisation processes and learning experiences.18


결과적으로, 서로 다른 맥락에서 교육을 주고받는 훈련생과 트레이너 모두 측정가능한 정도로 동일할지 몰라도, 시간이 지남에 따라 그들은 질적으로 달라질 것이며, 그들이 참여하는 교육 활동도 그러할 것이다 .21,22

As a result, both trainees and trainers in different contexts may be measurably the same but they become qualitatively different over time,19,20 as do the educational activities in which they engage.21,22


학습 환경의 다양성이 증가한다는 것은 '역량은 움직이는 과녁'이 됨을 의미한다..24 실제로 '역량은 상황에 따라 달라지며, 개인의 능력과 실제 세계의 특정 상황에서 수행하는데 필요한 업무 사이의 관계를 반영한다.'.25 과거에 맥락은 역량에 있어서 중요한 변수가 아니었다. 의대생들은 비슷한 환경에서 배웠기 때문이다.

The increasing diversity of learning environments means that ‘competence is a moving target’.24 Indeed, ‘competence is contextual, reflecting the relationship between a person’s abilities and the tasks he or she is required to perform in a particular situation in the real world’.25 Context was not a significant variable in competency as long as most medical students learned in similar settings.


방법

METHODS


개념적 매핑의 목적: '컨텍스트'라는 용어가 '무엇 문학에서, 누구에 의해, 어떤 목적을 위해' 어떻게 사용되었는지를 규명하는 것이다.31 우리는 다음과 같이 물었다: 의학교육에서 '컨텍스트'라는 용어를 어떻게 사용했으며, 이러한 용도에 어떤 맥락의 개념화가 내재되어 있는가?

the purpose of conceptual mapping: that is, to establish how the term ‘context’ has been used ‘in what literature, by whom and for what purpose’.31 We asked: How has medical education used the term ‘context’, and what conceptualisation of context is inherent in such uses?


우리의 마지막 분석틀은 의료 교육자들이 더 다루기 쉽게 만들 수 있도록 거대한 다양한 맥락들을 표현하는 방법을 찾는 데 초점을 맞췄다. 우리는 의료 교육 맥락의 분류 체계적 유형을 만드는 것에 기반한 접근방법을 탐구한 후 거부했는데, 그 이유는 주로 우리는 다른 유형의 컨텍스트 내에서 더 많은 (더 많은) 문맥과 세분화를 항상 생각할 수 있었기 때문이다. 따라서 우리는 (환원주의적인 접근보다는) 더 구성주의적 접근을 찾았고, 이것이 패턴 기술의 사용을 이끌었다.

Our final frame of analysis focused on finding a way of representing the huge variations of context to make them more tractable to medical educators. We explored and then rejected an approach based on creating a taxonomic typology of contexts of medical education, principally because we were always able to think of more (and more) contexts and subdivisions within different types of context. We therefore looked for a more constructionist (rather than a reductionist) approach, which led us to the use of pattern techniques.22,34,35 


패턴은 우리 주변의 세상에서 우리가 인지하는 규칙성이나 요소의 집합이다. 패턴이 실현되기 위해서 모든 것이 존재할 필요는 없다. 패턴 기반 표현은 요소 및 패턴(면)의 유동적 조합이 새로운 패턴을 생성할 수 있도록 하기 때문에 생성된다. 따라서 패턴 기반 모델은 복잡성과 급변하는 분산을 더 잘 처리하는 동시에, 일정 수준의 단순성parsimony을 유지할 수 있다. (상대적으로 적은 수의 상호연결 패턴은 광범위한 상황 및 실체를 나타낼 수 있다.)22

Patterns are clusters of regularities or elements we perceive in the world around us, not all of which need to be present for a pattern to be realised. Pattern-based representations are generative as they allow for the fluid combination of elements and patterns (as facets) to create new patterns. Pattern-based models are therefore better able to deal with complexity and emergent variance, while retaining a degree of parsimony (a relatively small set of interconnected patterns can represent a wide range of situations and entities).22


결과

RESULTS


맥락이란 무엇인가

What context ‘is’


접근법의 다양성을 고려할 때, 우리는 맥락의 단일 정의에 도달할 수 없었지만, '맥락'이 개념화되는 방법에 대한 네 가지 넓은 영역을 식별할 수 있었다. 

    • 리적 장소나 컨테이너로서, 

    • 특정 장소에서 수행되거나 경험된 것으로서, 

    • 참여자들이 맥락으로부터 수용하는 것으로서, 그리고 

    • (치, 참여 그리고 정체성의 상호작용으로부터 발생하는) 광범위한 문화적 영향으로서 

Given the diversity of approaches taken, we were not able to arrive at a single definition of context, but we were able to identify four broad areas of how ‘context’ was conceptualised: 

    • as a physical location or container; 

    • as that which is done or experienced in a particular location; 

    • as that which participants bring to bear there, and 

    • as the broader cultural influences that flow from the interactions of location, participation and identity.


Table 1.


의학교육 외부의 핵심 문헌들

some of the key texts from outside medical education,

    • Duranti and Goodwin defined context (from the point of view of linguistics) as a ‘focal event’ embedded in its cultural setting with four dimensions: 

      • a setting for a ‘focal event’ (a social, spatial and temporal framework); 

      • the actions and activities that shape the focal event; 

      • the representations of the focal event (in language, symbols), and 

      • the background knowledge of those who act within it.41

    • Context was also a key concept in the social sciences literature. For instance, Tolman contrasted the ways in which activity theory and ‘contextualism’ ‘yield different kinds of knowledge: one of underlying processual dynamics, the other of external correlations among variables’,42

    • Cole et al. observed that contexts are ‘mutually constituted, constantly shifting situation definitions that are accomplished through the interactional work of the participants’.43

우리는 [주변 환경으로서의 맥락(양파 층과 같은)]과 [공동으로 참여하는 활동을 통해 역동적으로 창조된 것으로서 맥락] 사이에 반복되는 대조를 발견했다.

We found a recurring theme of contrasts between context as a surrounding (like the layers of an onion) and context as something dynamically created through shared participation in activities.


비록 우리가 비슷한 많은 매력적인 관점에 직면했지만, 궁극적으로 우리는 그들의 관찰에 있어서 듀란티와 굿윈의 의견에 동의할 수 밖에 없었다. '지금으로서는 문맥에 대한 단일적이고 정확한 기술적 정의를 내리는 것이 불가능해 보인다. 그리고 결국 우리는 그러한 정의가 가능하지 않을 수도 있다는 것을 받아들여야 할 것이다.'41

Although we encountered many similarly fascinating perspectives, ultimately we were forced to agree with Duranti and Goodwin in their observation that: ‘...it does not seem possible at the present time to give a single, precise, technical definition of context, and eventually we might have to accept that such a definition may not be possible’.41


어떻게 맥락이 작동하는가

How context works


우리는 맥락-기전-성과라는 triad가 유용함을 발견했다.

We found the context–mechanism–outcome triad from realist inquiry45 useful


맥락으로서 맥락

Context as context


맥락으로서의 컨텍스트 또는, 반복을 피하자면, 맥락을 상대적으로 수동적으로 탐색하는 경우에 적용된다.

Context as context or, to avoid recursion, context as coincidence, applies to instances in which context was explored relatively passively,


이러한 생각은 [교육의 성과는 학생들이 어디에 배치되었는지에 따라 달라지지 않는다고 가정할 수 있는(또는 그것을 보일 수 있는) 여러 위치에서 실행되는 의학 교육 프로그램]에 반영될 수 있다. 이는, 맥락적 영향이 없었다고 말하는 것이 아니라, 적어도 프로그램 결과 또는 역량 이정표와 같이 중요하다고 간주되는 사항에 대해서만, 서로 다른 맥락 간에 동등함(또는 '유의적인 차이가 없음')에 대한 가정(또는 입증될 증거가 있음)이 있다는 것이다.

This thinking might be reflected in a medical education programme running in multiple locations where it is assumed (or can be shown) that education outcomes do not depend on where students were placed. This is not to say that there was no contextual influence, but only that, at least for those things that were considered important (such as programme outcomes or competency milestones), there was an assumption of (or there was evidence to demonstrate) equivalence or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different contexts.


기전으로서 맥락

Context as mechanism


메커니즘으로서의 맥락은 특정 맥락과의 상호작용이 교육 성과를 직접적으로 촉진하거나 형성하는 경우에 적용된다.

Context as mechanism applies to instances in which interactions with a particular context directly facilitated or shaped education outcomes.


이러한 측면에서 생각하면, 두 가지 영역으로 나눌 수 있다: [맥락이 의도적으로 특정 결과를 산출하는 것]과 [성과가 의도치 않게, 우연으로, 우발적으로 또는 예기치 않게, 상황에 의해 영향을 받거나 형성되는 것].

Thinking in this regard fell into two areas: one in which context was purposefully engaged to afford particular outcomes, and another in which outcomes were unintentionally, serendipitously or unexpectedly influenced or shaped by context.


학습의 종류에 따라, 학습은 다른 수준의 맥락 의존성을 가지고 있었다.

different kinds of learning had different levels of contextual dependency.



    • 모든 종류의 학습에 특정한 맥락이 필요한 것 같지는 않았다. 예를 들어, 교육 연구소의 part-task trainer에서 배운 기술은 임상 실습으로 변환할 수 있다. 게다가, 많은 의사들이 정기적으로 그리고 성공적으로 기관이나 심지어 나라 사이를 옮겨가고 있으며, 메데킨스의 산스 프론티어 같은 유명한 계획들은 이런 종류의 적응성에 의존한다. 특정 지식이나 기술을 개발하기 위해 학습자가 특정 상황에서 배워야 한다는 주장은 상당한 저항을 받았으며, 지식과 기술의 신뢰할 수 있는 평가에는 종종 여러 상황에 걸친 관찰이 수반된다. 넓은 의미에서, 지식과 기술의 발달은 문맥 의존도가 상대적으로 낮은 것으로 보일 것이다.

    • Particular contexts did not seem necessary for all kinds of learning. For example, skills learned on part-task trainers in a teaching laboratory can translate to clinical practice. Moreover, many doctors regularly and successfully move between institutions or even countries, and high-profile initiatives such as Medecins sans Frontieres depend on this kind of adaptability. Claims that learners need to learn in particular contexts in order to develop particular knowledge or skills have been robustly challenged,46,47 and reliable assessments of knowledge and skills often involve observation across multiple contexts.48 In broad terms, the development of knowledge and skills would seem to have relatively low levels of contextual dependence.


    • 맥락은 [전문적인 행동의 발달]과, [특정한 도전에 대한 적절한 대응을 구별하고 선택하는 능력]에 더 큰 역할을 하는 것처럼 보였다. 맥락은 토착민이나, 사회적으로 소외된 소수민족과 함께 일할 때와 같이, 맥락은 학습에 심리사회적, 문화적, 도덕적 차원을 제공하는 메커니즘으로 작용했다맥락에 대한 이러한 의존은 또한 학습자가 점점 더 정교한 상황적 분별을 통해 발전하는 전문지식의 Dreyfus와 Dreyfus 모델에 반영된다.

    • Context seemed to play a larger role in the development of professional behaviours and the ability to discriminate between and select appropriate responses to particular challenges. Contexts acted as mechanisms by providing psychosocial, cultural and moral dimensions to learning, such as when working with indigenous peoples or with socially excluded minorities.49 This dependence on context is also reflected in the Dreyfus and Dreyfus model of expertise in which the learner develops through increasingly sophisticated contextual discrimination.50



맥락은 학습자의 태도, 신념, 정체성에 영향을 미치는 특히 중요한 메커니즘으로 보였다. 예를 들어, 도시 및 3차병원이라는 맥락은 시골 및 원격 환경의 것과 매우 다른 의료행위를 반영하는 경향이 있으며, 이는 각각의 장소에서 제공되는 학습의 종류에 영향을 미친다. 이러한 관점에서, 맥락의 영향은 특정한 지식이나 기술의 습득보다는 학습자의 태도와 가치에 따라 행동하는 상대적으로 diffuse and immersive한 것이었다.

    • Context seemed to be a particularly important mechanism for influencing learner attitudes, beliefs and identities. For instance, urban and tertiary contexts tended to reflect scopes of physician practice very different from those in rural and remote contexts, which had implications for the kinds of learning each afforded.51 The influence of context from this perspective was relatively diffuse and immersive, acting on learner attitudes and values rather than on the acquisition of particular knowledge or skills.49 

이러한 것의 사례로는 특정한 종류의 상황에서의 훈련이 학생들의 직업 선택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또는 실제로 영향을 줄 것으로 예상되는) 프로그램 52 또는 다른 문화에 대한 그들의 태도를 포함했다.53 또 과학 교육에서는, 맥락을 사용하여 화학을 더 몰입하게 하고, 학습을 더 일관되고 적절하게 만들고, 다른 학습과 지식과 더 명확하게 연계시킬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함으로써, 더 많은 연구를 위한 더 매력적인 과목으로 만드는 상황을 언급하였다.54 그러나 특정 훈련 환경의 영향이 특별히 오래 지속되지 않을 수 있다는 증거도 있다.55

    • Examples of this included programmes in which training in particular kinds of context were expected to (or actually did) influence students’ career choices52 or their attitudes towards different cultures.53 Another example, this time from science education, referred to instances in which context was used to make chemistry more engaging in the moment and a more attractive subject for further studies by affording opportunities for making learning more coherent and relevant, and more explicitly linked to other learning and knowledge.54 However, there is also evidence that the impact of particular training contexts may not be particularly longlasting.55


Table 2.


맥락에 대해 생각하는 메커니즘의 다른 넓은 영역은 맥락이 의도치않게 학습 성과를 어떻게 변화시켰는지에 초점을 맞추는 것이다. 이러한 사고방식은 의학교육의 비공식적 또는 경험한received 커리큘럼의 일부로 개념화되었다,56,

The other broad area of context as mechanism concerned that in which thinking about context focused on how it unintentionally altered learning outcomes. This thinking conceptualised context as part of the informal or received curricula of medical education,56,57


따라서 우리는 의학교육 시스템에 의도적이고 의도하지 않은 맥락적 영향에 대해 명확히 해야 한다. 특히 의도하지 않은 맥락적 영향들은 기대했던 학생들의 학습을 방해할 수 있다.63  또한 (표 2에서 설명한 것처럼) 의도하지 않은 상황별 메커니즘도 의도적으로 사용된 맥락과 본질적으로 동일한 방식으로 작동하는 것으로 보인다는 점을 유념하는 것이 중요하다.

We should therefore be clear about intentional and unintentional contextual impacts on and in medical education systems, and particularly about the latter as unintentional contextual influences can disrupt anticipated student learning.63 It is also important to note that unintended contextual mechanisms seemed to act in essentially the same ways as intentional uses of context (as set out in Table 2).


성과로서의 맥락

Context as outcome


결과로서의 맥락은 의학교육의 결과가 교육성과에 부가적으로, 이후 발생한 상황(또는 그와 유사한 상황)의 변화에 집중하는 경우에 적용된다. 여기서 성과란 건강 평등과 같은 사회적, 정치적 문제와 관련이 있는 경향이 있다.

Context as outcome applies to instances in which the outcomes of medical education are focused on changing the contexts within which they take place (or contexts that are like them) in addition to any education outcomes. These outcomes tend to be related to social and political issues such as health equity.


이것은 특히 세계보건기구(WHO)의 사회적 책임 모델에서 잘 표현된다. 이 모델은 의과대학이 특정 지역사회에 봉사해야 한다고 주장하며, 의과대학이 학교의 임무를 구체화하고 학교의 행동과 성과를 평가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주장한다.66 따라서 의과대학의 사회적 임무는 [특정 지역사회 상황에 봉사하고 대응해야 할 책임]을 재천명restate하는 경향이 있다.

This is particularly well articulated in the World Health Organization (WHO) model of social accountability, which asserts that medical schools should serve specific communities, allowing themto shape the school’s mission and to evaluate the school’s actions and outcomes.66 The social missions of medical schools therefore tend to restate the responsibility to serve and respond to specific community contexts.



맥락을 대표하는 것

Representing context


여섯 가지 반복되는 맥락적 패턴

We identified six recurring core contextual patterns:

  • 환자 맥락: 여기에는 환자 모집단의 인구통계, 문화, 질병 프로파일 및 사회-경제적 프로파일, 개별 환자의 특성 등이 포함된다.

  • 물리적 맥락: 활동의 기후, 계절, 시간/주/일, 원격, 시골, 지역 또는 도시 위치, 가정 또는 대학과 같은 다른 위치와의 근접성, 대중 교통과 같은 맥락의 물리적 어포던스가 포함됨.

  • 의료행위 맥락: 여기에는 상황에 대한 임상적 초점, 존재하는 다양한 임상 분야 및 직업, 그리고 연습에 대한 다양한 범위와 접근 방법이 포함되었다.

  • 교육 맥락: 여기에는 교사 및 교사의 역할 및 책임, 커리큘럼(공식, 비공식, 숨김 등), 타인과의 교육 상호작용, 역할 및 이들의 책임과 책임의 분할이 포함되었다.

  • 기관 맥락: 여기에는 기관의 유형(병원, 클리닉), 임무, 권한과 자율성의 표현, 자원, 규칙 및 일상, 

  • 사회적 맥락: 참여자의 가치, 신념 및 행동, 상호작용의 특성, 기호의 사용, 힘과 연민의 표현 등

  • patient context: this included the demographics, cultures, illness profiles and socio-economic profiles of the patient population, and the idiosyncrasies of individual patients;

  • physical context: this included the climate, season, and time of year/week/day of the activity, remote, rural, regional or urban location, proximity to other locations such as home or university, and the physical affordances of the context, such as public transport;

  • practice context: this included the clinical focus of the context, the different clinical disciplines and professions present, and the different scopes of and approaches to practice there;

  • education context: this included the roles and responsibilities of teachers and preceptors, the curricula (formal, informal, hidden, etc.), educational interactions with others, and the division of roles and their responsibilities and accountabilities;

  • institutional context: this included the type of institution (hospital, clinic), its mission, its expressions of authority and autonomy, and its resources, rules and routines, and

  • social context: this included the values, beliefs and behaviours of participants, the nature of their interactions, the use of symbols, and expressions of power and compassion.


그럼에도 불구하고, 노만과 슈미트처럼: '맥락이 학습 당시에 환경의 모든 특징을 포함한다는 것을 주목하는 것이 중요하다. 어떤 면에서, 맥락은 학습자료와 중요하거나 관련이 있다고 판단되는 외부 기준에 의해 판단되는 것은 아니다.'70 우리는 이러한 6가지 임상 교육 맥락의 패턴을 전제로서 제공한다. 그러나 이것은 의료 교육 상황을 기술하기 위한 canonical pattern이라기보다는 provisional pattern이다. 

Nevertheless, as Norman and Schmidt state: ‘It is important to note that the context includes all features of the environment at the time of learning, not simply those judged by some external criterion to be, in some way, important or relevant to the material learned.’70 We therefore offer these six patterns of clinical teaching contexts as provisional rather than canonical patterns for describing medical education contexts;


비록 우리가 패턴을 사용하여 체계적으로 맥락을 기술하고 대조하기 시작할 수 있지만, 맥락은 기껏해야 한시적으로만 안정되는 경향이 있고, 선형적이거나 예측 가능한 방법으로 진행되지 않으므로, 역동적 변화의 에피소드가 발생하기 쉽다는 것을 유념하는 것이 중요하다. 작은 disturbance도 그 변화를 중심으로 시스템이 재편성되면 시스템에 큰 비선형적 변화를 초래할 수 있다.71

Although we can begin to describe and contrast contexts on a systematic basis using patterns, it is important to note that contexts tend to be temporarily stable at best, and prone to episodes of dynamic change that do not proceed in linear or predictable ways. A small disturbance can result in major non-linear shifts in a system as it reorganises around the change.71


한 맥락에서 서로 다른 패턴은 서로 다른 속도로 변화하는 경향이 있어서 복잡성과 비선형적인 패턴들 간의 예상치 못한 상호작용으로 이어질 것이다.73 패턴 기반 컨텍스트 모델은 안정적인 상태의 컨텍스트를 설명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지만, 그러한 변화의 결과나 변화를 예측할 수는 없다.

Changes in different patterns of context will also tend to occur at different rates, leading to unexpected interactions between patterns that are complex and nonlinear.73 Pattern-based models of context can help to describe contexts in their stable state, but they cannot predict change or the outcomes of that change.


우리는 기존 정의에 다른 정의를 추가할 수 있다. 즉, 맥락은 환자, 위치, 연습, 교육 및 사회의 내재된underlying 패턴에서 비롯되는 역동적이고 끊임없이 변화하는 시스템이고, 이러한 패턴들 사이의 예측할 수 없는 상호작용에서 비롯된다.

we can add another definition to the existing list such that: context is a dynamic and ever-changing system that emerges from underlying patterns of patients, locations, practice, education and society, and from the unpredictable interactions between these patterns.


고찰

DISCUSSION


우리는 이것으로부터 학자들이 그들의 작업work에 대한 맥락이 여러 가지 패턴으로 이루어져 있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고 주장한다; 그 패턴들 간의 상호작용은 근무지라는 맥락의 어포던스를 극적으로 예측할 수 없게 변화시킬 수 있다.

We argue from this that scholars should be aware that the contexts for their work are made up of multiple patterns; interactions between their patterns can dramatically and unpredictably alter the affordances of the contexts they work with.


우리는 또한 우리가 맥락을 형성하는 문화적 상대방에 대해 상대적으로 관심을 거의 기울이지 않았다는 것을 인정한다; 우리의 원천은 거의 영어를 사용하는 서구 국가들에서 왔고 그들의 문맥과 문맥에 관련된 문제들을 고려함에 있어서 매우 규범적이었다.

We also acknowledge that we paid relatively little attention to cultural relativism in constructing context; our sources were almost all from English-speaking Western nations and were very possibly normative in their consideration of context and context-related matters.



결론

CONCLUSIONS


맥락은 분명히 이해하기 어려운 개념이며, 특히 그것이 우리의 관심의 초점과는 상대적인 '다른' 것을 의미하기 때문에 그렇다. 의학 교육은 맥락에서 동떨어져 발생하지 않지만, 많은 전문적 훈련과 규제는 규범적이며, 맥락을 무시한 존재의 기초에 근거하여 시도되거나 context-free하고자 시도한다.

Context is clearly an elusive concept, particularly as it signifies that which is ‘other’ relative to the focus of our attention. Medical education is not an acontextual undertaking and yet much of professional training and regulation is normative and attempts to be, or is predicated on the basis of being, context-free.


비록 많은 의학이 맥락을 제거하거나 통제하거나 한쪽으로 치워두고자 하지만, 우리는 맥락을 한 쪽으로 완전히 치워버리면 연구의 한계에 도달할 것이라고 생각한다. 의학 교육의 맥락은 중요하고, 어렵고, 도전적이고, 종종 지저분하지만, 거부되어서는 안되며, 그것은 조직적이고 객관적으로 고려될 수 있다.

Although much medical education science has been predicated on removing, controlling for or otherwise setting context aside, we are perhaps reaching the limits of scholarship in which context can credibly be set to one side. Context matters in medical education and, although it is difficult, challenging and often messy, it should not be denied and it can with care be considered systematically and objectively.







 2016 Aug;50(8):807-16. doi: 10.1111/medu.13034.

Mapping the dark matter of context: a conceptual scoping review.

Author information

1
Centre for Health Education Scholarship, University of British Columbia, Vancouver, British Columbia, Canada.
2
Department of Community Health Sciences, University of Calgary, Calgary, Alberta, Canada.

Abstract

CONTEXT:

Like dark matter, the contexts for medical education are largely invisible to those within them, although context can have profound influences on teaching, learning and practice. For something that is so intrinsic to the field of medical education, the concept of contextremains troubling to scholars and those running medical education programmes. This paper reports on a critical and conceptual review of the concept of context within the medical education literature and beyond.

METHODS:

review was undertaken drawing on two sources: concepts of context in the medical education literature, and concepts of context across multiple academic disciplines. This body of material was iteratively, discursively and inductively synthesised.

RESULTS:

Few of the articles from the medical education literature described or defined context directly, tending instead to focus on describing specific elements of context, such as clinical disciplines, physical settings and political pressures, that could or did influence learning outcomes. The results were framed in terms of what context 'is', how context works (in terms of context-mechanism-outcome), and how context can be represented using patterns. The authors propose a definition of context in medical education, along with the means to model, contrast and compare different contexts based on recurring patterns.

CONCLUSIONS:

Context matters in medical education and it can, despite many challenges, be considered systematically and objectively. The findings from this study both represent a catalyst and challenge medical education researchers to look at context afresh.

PMID:
 
27402041
 
DOI:
 
10.1111/medu.13034


복잡성에 대응하여: 카파빌리티를 위한 교육(BMJ, 2001)

Coping with complexity: educating for capability

Sarah W Fraser, Trisha Greenhalgh





그러므로 교육자들은 역량뿐만 아니라 카파빌리티도 갖추도록 해야 한다. 카파빌리티란 의료 서비스 제공이 끊임없이 변화하는 상황을 따라갈 수 있도록 한다..

Educators are therefore challenged to enable not just competence, but also capability (box). Capability ensures that the delivery of health care keeps up with its ever changing context.




카파는 역량 이상임

Capability is more than competence


역량—지식, 기술, 태도 측면에서 개인이 알고 있거나 할 수 있는 것

Competence—what individuals know or are able to do in terms of knowledge, skills, attitude


카파—개인이 변화에 적응하고, 새로운 지식을 창출하고, 성능을 지속적으로 개선할 수 있는 정도

Capability—extent to which individuals can adapt to change, generate new knowledge, and continue to improve their performance


The principles of complexity theory introduced earlier in this series (box)


교육 및 훈련에 적용되는 복잡성 개념

Complexity concepts applicable to education and training


· 시스템은 물론 외부 환경도 일정하지 않으며, 그렇게 유지될 수 없다

· 시스템 내의 개인은 독립적이고 창의적인 의사 결정권자이다.

· 시스템에 불확실성과 역설이 내재되어 있다.

· 해결할 수 없는 문제일지라도 "더 나아갈" 수 있다.

· 최소 사양에서도 효과적인 솔루션이 나올 수 있다.

· 작은 변화가 큰 영향을 미칠 수 있다.

· 행동은 패턴을 나타낸다("어트랙터"라고 할 수 있음).

· 변화는 attractor patterns에 영향을 미칠 때 보다 쉽게 채택됨


· Neither the system nor its external environment are, or ever will be, constant

· Individuals within a system are independent and creative decision makers

· Uncertainty and paradox are inherent within the system

· Problems that cannot be solved can nevertheless be “moved forward”

· Effective solutions can emerge from minimum specification

· Small changes can have big effects

· Behaviour exhibits patterns (that can be termed “attractors”)

· Change is more easily adopted when it taps into attractor patterns


카파 개발: 변혁적 학습

Developing capability: transformational learning 


개인과 시스템은 그들이 배우기 때문에 바뀐다. 실제로, 교육학 연구는 성인들이 변화를 원하기 때문에 배우기를 선택함을 보여주었다.12 [실제 삶의 경험이라는 맥락에서 새로운 행동을 개발하는 과정]은 [개인들이 새로운 상황에 적응하거나 함께 발전할 수 있도록] 하여 [개인의 역량에서 개인의 카파으로의 전환]을 지원한다.13 

Individuals and systems change because they learn.11 Indeed, pedagogical research has shown that adults choose to learn because they want to change.12 The process of developing new behaviours in the context of real life experiences enables individuals to adapt to or co-evolve with new situations, thereby supporting the transition from individual competence to personal capability.13 


학습은 복잡성의 영역에서 이루어진다. 여기서 지식 항목 간의 관계는 예측가능하거나 선형적이지 않지만, 완전한 혼돈도 아니다. 카파를 구축하는 학습은 개인이 불확실하고 익숙하지 않은 상황에 의미 있는 방식으로 참여할 때 이루어질 수 있다. 

Learning takes place in the zone of complexity16(figure), where relationships between items of knowledge are not predictable or linear, but neither are they frankly chaotic. Learning which builds capability takes place when individuals engage with an uncertain and unfamiliar context in a meaningful way. 


카파은 가르칠 있거나 수동적으로 동화시킬 수 있는 것이 아니다. 그것은 기존의 역량이 새로운 환경에 적응하고 조정되는 변환 과정을 통해 도달된다. 

 capability can-not be taught or passively assimilated: it is reached through a transformation process in which existing competencies are adapted and tuned to new circumstances. 


복잡한 적응형 시스템에서 개별 주체(따라서 개별 에이전트가 속한 시스템)의 행동은 행동의 영향에 수반하는 국지적 피드백에 따라 진화한다. 마찬가지로, 변혁적 학습의 기초는 학습자에게 자신의 행동에 따른 영향과 다른 사람의 행동에 따른 영향에 대해 주어진 피드백 정보이다. 성취도에 대한 피드백을 제공하는 교육 과정은 능력을 향상시킬 것이다. 

In complex adaptive systems the behaviour of the individual agents, and therefore of the system of which they are part, evolves in response to local feedback about the impact of actions. Similarly, the basis of transformational learning is the information that is fed back to learners about the impact of their own actions and those of others. An education process that provides feedback about performance as it takes placewill enhance capability. 


성찰적인 학습자는 피드백에 수용되고 적절하게 적응할 수 있는 반면, poor learner는 피드백에 대한 통찰력이 없어서 적절하게 adapt하지 못한다.17 18 성찰적인 학습자들은 주변 세상의 변화에 따라 변화한다. poor learner들은 그저 변화에 대해 불평할 뿐이다.

Reflective learners are receptive to feedback and able to adapt appropriately, while poor learners are either unreceptive to feedback or they adapt inappropriately.17 18 Reflective learners transform as the world around them changes: poor learners simply complain about it. 



관계적 학습

Relational learning


얼마 전까지만 해도, 지식은 얻기 힘들었고, 전문가들은 지식이 많은 사람들이었다. 요즘, 우리가 익사를 당할 정도로 많은 지식이 있다.19 

Not so long ago, knowledge was hard to come by and experts were people with a lot of it. These days, there isso much knowledge available that we risk drowning init.19 


현대 전문가는 지식을 효율적으로, 현명하게 접근할 수 있는 방법을 알고, 관련이 없어 보이는 영역 사이에 개념적 연계를 형성할 수 있는 사람이다.

The modern expert is someone who knows how to access knowledge efficiently and judiciously and who can form conceptual links between seemingly unrelated areas


사물들이 어떻게 상호 연결되는지 배우는 것은 종종 각각의 조각에 대해 배우는 것보다 더 유용하다. 조각들 간의 상호작용과 관계에 대한 이러한 이해 없이는 unique한 맥락에 학습을 적용하기 어렵다. 

Learning how things are interconnected is often more useful than learning about the pieces. Without this understanding of the interactions and relations between the pieces it is difficult to apply the learning in a unique context. 


비선형 학습

Non-linear learning


비판적 평가, 임상 가이드라인, 케어 경로 등과 같은 "체크리스트 기반" 접근법은 중요하며 의심할 여지 없이 생명을 구한다. 그러나 종종 눈에 띄지 않는 것은, 이러한 접근법은 문제가 파악된 후에만 유용하다는 것이다.

“Checklist driven” approaches to clinical care, such as critical appraisal, clinical guidelines, care pathways, and so on, are important and undoubtedly save lives. But what often goes unnoticed is that such approaches are useful only once the problem has been understood.


복잡한 현실 세계는 지저분하고 모호하며, 독특하고, 맥락에 내재된 문제들로 구성되어 있다. 맥락과 사회적 상호작용은 성인 학습의 중요한 요소다.22 성인들은 왜 무언가를 배워야 하는지 알아야 하며, 주제가 즉각적인 가치와 타당성이 있을 때 가장 잘 배운다.23 이것은 특히 변화하는 맥락에서 중요한데, 이 때의 카파빌리티란 개개인의 문제해결능력을 포함한다. 즉, 문제를 전체적으로 평가하고, 문제의 우선순위를 정하며, 그 다음에 해결책에 도달하기 위한 많은 다양한 데이터 소스를 통합하는 것이다. 따라서 복잡한 환경에서 문제 해결은 창의적 행동과 유사한 인지 과정을 수반한다.24

The complex real world is made up of messy, fuzzy, unique, and context embedded problems. Context and social interaction are critical components of adult learning.22 Adults need to knowwhy they need to learn something and they learn best when the topic is of immediate value and relevance.23 This is particularly true in changing contexts where capability involves the individual’s ability to solve problems—to appraise the situation as a whole, prioritise issues, and then integrate and make sense of many different sources of data to arrive at a solution. Problem solving in a complex environment therefore involves cognitive processes similar to creative behaviour.24


우리는 전문직업적 카파빌리티의 상상적 차원imaginative dimension은 학습자가 모든 전체적 복잡성의 상황을 수용하는 비선형적 방법을 통해 가장 잘 개발된다고 믿는다. 비선형적 방법의 가장 간단한 예는 의사와 간호사가 오랫동안 전문적 훈련에서 스토리텔링을 사용해온 이야기이다. 또한 임상적 지식은 별개의 사실이라기 보다는 이야기("기억성 스크립트")로 기억 속에 저장된다는 증거가 있다.26

We believe that the imaginative dimension of professional capability is best developed through nonlinear methods—those in which learners embrace a situation in all its holistic complexity. The most straightforward example of a non-linear method is the story.25 Doctors and nurses have long used story telling in professional training, and there is some evidence that clinical knowledge is stored in memory as stories (“illness scripts”) rather than as discrete facts.26


전체론적인 관점이 필수적인 특히 복잡한 상황에서 스토리텔링을 공식적으로 사용하는 것(예: 

  • 중요한 이벤트 감사,27 

  • 질병 경험의 극단을 탐구하는 것(예: 심각한 장애 또는 외상 환자28) 

  • 다른 문화에서 온 환자들의 관리29 

the formal use of story telling in particularly complex situations where a holistic view is essential —such as 

  • significant event audit,27 

  • exploring the extremes of illness experience (such as that of the profoundly disabled or traumatised patient28), and 

  • the management of patients from other cultures.29 

이야기는 일인칭으로 전달될 수도 있고(환자 자신의 병적 서술30) 롤플레이와 같이 enact될 수도 있다.

The story can be told (as in a conventional case presentation), in the first person (as in a patient’s own illness narrative30), or enacted (as in role play31).


또 다른 잘 알려진 비선형 방법은 소그룹, 문제 기반 학습이다.

Another well known non-linear method is small group, problem-based learning,


문제 기반 학습은 만병통치약이 아니다: 학생들이 그것을 평가하고 문제를 해결하는 능력을 향상시키는 반면, 아마도 놀랄 것도 없이, 필기 시험에서 평가된 그들의 내용 지식을 향상시키지 않는다. 그러나 명백히 이것 또는 저것의 선택이 아니라, 필요한 것은 동적인 균형이며, 이것은 complex adaptive system의 특징이다. 즉, 내용학습과 비선형 학습 방법이 모두 필요하다.

Problem-based learning is no panacea: while it is valued and enjoyed by students and improves their ability to solve problems, perhaps unsurprisingly it does not improve their content knowledge as assessed in written examinations,33 Clearly, the situation is not an “either or” choice but rather a dynamic balance, characteristic of a complex adaptive system, in which both content learning and non-linear learning methods are needed.


프로세스 기술

Process techniques


복잡성 사고는 카파빌리티 구축과 같은 emergent 행동이 일부 최소한의 구조(예: 최소 사양 및 피드백 루프)에 의해 지원될 수 있다고 주장한다. 교육은, 대중 시장을 위해 고안된, 미리 정의된 내용 지향적인 강의의 구조화된 "정식" 메뉴에서, 복잡하고, 개인적이고, 자기 주도적인 학습자를 위해 고안된, 좀 더 "따로따로시키는" 메뉴로 이동할 수 있기 때문에, 관심은 학습 과정에 집중될 필요가 있다.

Complexity thinking maintains that an emergent behaviour, such as capability building, can be aided by some minimal structure (for example, minimum specifications and feedback loops). As education moves away from the potentially over structured “table d’hôte” menu of the predefined, content oriented syllabus designed for the mass market to the more “à la carte” menu designed for the complex, individual, self directed learner, attention needs to be focused on the process of learning.


프로세스 기술의 사용은 [유연하고 진화하는 콘텐츠를 가진 교육]과 [단순하게 체계화되지 않고, 구조화되지 않으며, 편익이나 우연의 일치만으로 운영되는 학습]을 세밀하게 구분한다. 프로세스 기술이 사용될 때 학습은 필요에 따라 이루어지며, 다음으로 특징지어진다.

  • 명확한 목표를 가진 역동적이고 emergent한 개인 학습 계획 

  • 성찰 및 연구를 위한 보호 시간, 

  • 멘토링 또는 동료 지원 

  • 서면 학습 기록이나 성취 기록.34 

The use of process techniques is the crucial distinction between learning which has a flexible and evolving content and learning which is simply disorganised and is unstructured, disjointed, and driven only by convenience or coincidence. When process techniques are used, learning is driven by needs and is characterised by 

  • a dynamic and emergent personal learning plan with explicit goals, 

  • protected time for reflection and study, 

  • mentoring or peer support, and 

  • perhaps a written learning log or record of achievement.34 

나열된 (상자)와 같은 프로세스 지향 기술은 학습의 boundary와 강사 또는 동료의 신속한 피드백 및 관련 피드백을 위한 기회를 제공한다. 교수는 강사나 트레이너보다는 촉진자의 역할을 채택한다.

Process oriented techniques such as those listed (box) provide boundaries for the learning and the opportunity for prompt and relevant feedback from tutors or peers. Tutors adopt the role of facilitator, rather than lecturer or trainer.


하지만 제대로 기능하지 못하는 소규모 그룹의 일원이 되는 것은 비생산적이고 위협적이며 심지어 충격적인 경험이 될 수 있다. 이러한 그룹의 촉진자들이 저지르는 가장 큰 실수는 (이 과제가 긴급하고 학습자 중심적이기 때문에) 과정에 주의를 기울일 필요가 없다고 가정하는 것이다. 그러나 실제로, 집단은 [명확한 경계와 기본 규칙이 설정된 경우에만] (위험을 감수하고 창의적이 될 수 있을 만큼) 충분히 안전하다고 느낄 것이다.

But being part of a poorly functioning small group can be an unproductive, intimidating, and even traumatic experience. The biggest mistake made by facilitators of such groups is to assume that because the task is intended to be emergent and learner focused, there is no need for attention to process. In reality, a group will feel sufficiently secure to take risks and be creative only if clear boundaries and ground rules have been set.


새로운 커리큘럼의 "학습 성과"는 역량이 아니라 카파에 초점을 맞춰야 한다.

The “learning outcomes” in the new curriculum should focus on capabilities, not competencies.


Process ­oriented learning methods29


Informal and unplanned learning

  • Experiential learning—shadowing, apprenticeship, rotational attachments

  • Networking” opportunities—during formal conferences and workshops, through open plan poster exhibitions, or extended coffee and lunch breaks, for example

  • Learning activities—in structured course materials, such as reflection exercises, suggestions for group discussion

  • “Buzz groups” during intervals in lectures—the lecturer invites participants to turn to a neighbour and undertake a short task before the lecture resumes

  • Facilitated email list servers for professional interest groups

  • Teachback opportunities—newly skilled workers training others in new techniques and sharing their understanding

  • Feedback—responses that provide the learner with information on the real or projected outcome of their actions


Self directed learning

  • Mentoring—named individuals provide support and guidance to self directed learners

  • Peer supported learning groups—the small group process is used for mutual support and problem solving

  • Personal learning log—a structured form for identifying and meeting new learning needs as they arise

  • Appraisal—a regular, structured review of past progress and future goals

  • Flexible course planning that explicitly incorporates input from learners at key stages—using a `Post­it' note exercise to add new learning objectives or amend a draft programme, for example

  • Modular courses with a high degree of variety and choice


Non­linear learning

  • Case based discussions—grand rounds, clinical case presentations, significant event audit

  • Simulations—opportunities to practise unfamiliar tasks in unfamiliar contexts by modelling complex situations

  • Role play

  • Small group, problem based learning (see text for definition)

  • Teambuilding exercises—activities focused on the group's emergent performance rather than that of the individual







 2001 Oct 6;323(7316):799-803.

Coping with complexityeducating for capability.

Author information

1
University College London. sfraser881@aol.com
PMID:
 
11588088
 
PMCID:
 
PMC1121342


시험의 교육적 가치: 어디까지 확장되는가? (Adv Health Sci Educ Theory Pract, 2018 )

The pedagogical value of testing: how far does it extend?

Kevin W. Eva1 · Colleen Brady2 · Marion Pearson2 · Katherine Seto2





도입

Introduction


"평가가 학습을 촉진한다"는 개념은 학습자의 학습 행동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되는 시험을 통해 보건 전문 교육에서 널리 받아들여진다(Newble 2016). 이러한 현상에 대한 인식은 시험을 단순히 학습의 평가로 취급하는 것이 아니라 학습을 위한 평가를 의도적으로 사용하자는 요구와 병행하여 증가하고 있다(Suchwist and van der Vleuten 2011; Eva et al. 2016).

The notion that “assessment drives learning” is widely accepted in health professional education with tests being expected to influence learners’ study behaviour (Newble 2016). Awareness of this phenomenon is increasing in parallel with calls to deliberately use assessment for learning rather than treating tests simply as assessment of learning (Schuwirth and van der Vleuten 2011; Eva et al. 2016).


시험 강화 학습

Test‑enhanced learning


작업 시간을 통제하거나 연구만을 위한 그룹을 위해 왜곡하는 경우에도 학습 + 테스트 그룹은 일상적으로 더 많은 retention 상태를 보인다(Roediger 및 Karpicke 2006). 이러한 효과는 실험실 기반 연구, 실제 교실 및 임상 환경에서 관찰되었다(Dunlosky et al. 2013).

Even when time-on-task is controlled or skewed in favour of the Study-only groups, Study + Test groups routinely show greater retention (Roediger and Karpicke 2006). Such effects have been seen in labbased studies, real-world classrooms, and clinical settings (Dunlosky et al. 2013).


(시험의) 편익은 여러 시간적 맥락, 시험 형식 및 지식 영역에 걸쳐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Benefits have been shown to occur across temporal contexts, test formats, and knowledge domains.


이러한 발견의 주된 설명은 기억에서 정보를 검색하면 메모리가 더 강해지므로 나중에 호출하고 적용할 가능성이 커진다는 것이다(Carpenter 2012). 만일 사실이라면, 기억에 관한 associative model은 시험을 보는 것의 장점이 모두 [시험을 본 자료에 대한 기억]은 물론 [관련 정보의 검색]도 용이하게 해야 한다고 제안할 것이다(Chan et al. 2006). 즉, 어떤 의미론적 개념semantic concept이 기억에서 활성화되면, 그 개념과 다른 개념 사이의 associative link도 각 메모리 트레이스의 강도가 증가함에 따라 비슷하게 활성화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book = le livre'에 대해서 시험을 보면, 개념적으로 서로 연관되어 있는 read = lire 에 대한 기억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The dominant explanation of these findings is that retrieving information from memory makes the memory stronger, thereby increasing the likelihood of later recall and application (Carpenter 2012). If true, associative models of memory would suggest that the benefits of being tested should both improve the memorability of the material that was tested and facilitate the retrieval of related information (Chan et al. 2006). That is, if one semantic concept is activated in memory, then the associative links between that concept and other concepts should similarly become activated with the strength of each memory trace increasing. For example, being tested on book = le livre could facilitate memory for read = lire if both pairs were in the studied material because the words are conceptually associated with one another.


요컨대, 우리는 가능한 한 많은 것을 시험해야 하는가 아니면 일반화된 편익에 대한 기대와 함께 배우기 위해 도메인으로부터 전략적으로 샘플을 채취할 수 있는가?

In sum, do we need to test as much as possible or can we strategically sample from the domain to be learned with the expectation of generalized benefit?


회상-유도 촉진

Retrieval‑induced facilitation


몇몇 심리학 연구는 "회상 유도 촉진"이 발생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즉, 학습한 정보의 하위집합에서 시험을 보는 것은 공부는 했지만 명시적으로 시험을 보지는 않은, 개념적으로 관련된 정보의 리콜도 용이하게 할 수 있다(Chan 2009).

Several psychology studies have indicated that “retrieval-induced facilitation” can occur. That is, being tested on a subset of studied information can facilitate recall of conceptually related information that was studied but not tested explicitly (Chan 2009).


그렇긴 하지만, 문헌에서 학습한 정보의 일부만을 테스트하는 것에 대한 우려를 불러일으키는 "회상-유도 망각"의 징후도 많이 있다.

That said, there are also a number of indications of “retrieval-induced forgetting” in the literature that raise concerns about testing only a subset of to-be-learned information.


즉, 운동 명칭의 일부 집합subset을 찾기 위한 노력은 나중에 회상 연습을 하지 않은 것에 비해 다른 스포츠 이름을 검색하는 참가자의 능력을 손상시킨다. 이는 시험-유도 학습에 모순되는 것으로, 즉 시험을 보는 것이 언제나 유익한 것은 아니며, 적절하게 사용하지 않을 경우 해로울 수 있다는 주장이다.

In other words, the effort to retrieve a subset of sports names impairs participants’ ability to later retrieve different sports names relative to had the retrieval practice not taken place. This is an important contradiction to the broadly made claims that tests enhance learning as it suggests testing is not universally beneficial and can be detrimental if not used appropriately.


대부분의 검색 회상-유도 망각 연구는 위에 언급한 스포츠 및 음료 단어 목록과 같은 비통합적 자극을 사용한다. 그러나, 검색 유도 촉진이 관찰된 경우, 자극은 서면 또는 비디오 형식으로 제시된 텍스트의 일관성 있는 구절이었다(예: Cranney et al.의 심리학 비디오 연구는 위에서 설명한다). 전형적인 강의실 기반 강의 자료는 이 연속체 중 어디에 위치하는가?

Most retrieval-induced forgetting studies use non-integrated stimuli such as the above-mentioned sports and drinks word lists. Where retrieval-induced facilitation has been observed, however, the stimuli have been coherent passages of text presented in written or video form (e.g., Cranney et al.’s psychobiology video study describe above). Where on this continuum does typical classroom-based lecture material lie?


목적

Purpose


본 연구에서는 시험 효과가 확장되는 정도를 조사하기 위해 결과 시험 항목이 학습 시험에서 마주친 항목과 어느 정도 관련이 있는지 조작하였다. 학습 단계 시험 항목에 대하여, 예후 시험 항목은 동일하거나 이전에 시험하지 않았다. 이전에 테스트되지 않은 항목은 연구된 자료에서 추출한 것이며, 다른 질병 상태의 맥락에서 유사한 치료법을 조사하거나, 보다 일반적인 제약 지식 영역(예: 기본 생리학 및 약물 특성)과 관련이 있다.

In this study, we manipulated the extent to which outcome test items were related to items encountered on a learning test to examine how far testing effects extend. Relative to learning-phase test items, outcome test items were either identical or not previously tested. Not previously tested items were drawn from the studied material, examined similar therapeutics in the context of different disease states, or related to more generic domains of pharmaceutical knowledge (e.g., basic physiology and drug characteristics).


이 두 가지 범주의 질문은 시험이 학습자가 개입과 결과 사이의 자료를 검색(또는 학습)하는 데 더 많은 시간을 할애할 수 있다는 가능성에 기초하여 포함되었으며, 이는 연구 자료에 포함되지 않은 관련 치료 정보를 더 쉽게 접할 수 있다. 시험 효과가 어느 정도까지 일반화되는지 이해하면 교육자가 학습 개입을 위해 보다 전략적으로 평가를 계획할 수 있다.

These latter two categories of questions were included based on the possibility that testing might encourage learners to spend more time searching for (or studying) the material between intervention and outcome, which might lead them to more readily encounter related therapeutic information that was not included in the study material. Understanding the extent to which testing effects generalize will enable educators to more strategically plan assessment for learning interventions.


방법

Method


맥락

Context


Four of the six tutorial groups were then chosen (based on there being no formal class time immediately after their regularly scheduled tutorial) and randomly assigned to the Study Only or Study + Test conditions to prevent contamination of the intervention within tutorial group.


자료

Material


각 슬라이드에는 대학교 강의 자료에 대한 일반적인 3-7개의 포인트 폼(즉, 벌거벗은) 노트가 포함되어 있었다(그림 참조). 예를 들어 1).

Each slide contained three to seven point-form (i.e., bulleted) notes typical of university lecture materials (see Fig. 1 for an example).




관련 전문 지식을 갖춘 두 명의 약학 교육을 받은 공동 연구자가 슬라이드를 사용하여 결과 테스트(Box 1)를 위한 40개의 객관식 질문을 작성했다.

Two Pharmacy-trained co-investigators with relevant expertise used the slides to generate 40 multiple choice questions for the outcome test (Box 1).



    • 슬라이드 덱의 시작 부분에 약술된 목표를 사용하고 학습 자료 전반에 걸쳐 적절한 균형을 보장하면서 슬라이드의 치료 내용을 기반으로 10개 질문 세트를 작성했다. 이 10개의 질문은 Study + Test 조건 참가자에게 전달된 학습 단계 테스트를 구성했다. 또한, 이러한 질문들은 해당 그룹에 대한 연구의 두 단계(즉, 질문 내용 또는 형식에 대한 변경 없이)에서 동일한 것으로 나타난다는 점에서 결과 테스트에 "반복" 질문으로 포함되었다. 

    • 10개 질문("시험은 하지 않았지만" 항목)의 두 번째 집합은 연구된 자료에서 비슷하게 초점을 맞추고 도출했지만 학습 단계 테스트에서는 사용되지 않았다. 

    • 10개 질문("연구되지 않은 치료" 항목) 중 세 번째 질문은 연구되지 않은 의학적 조건(예: 알레르기 비염 및 출혈 치료)에서 학습 테스트 질문에서 다룬 것과 유사한 치료 지식에 초점을 맞추었다. 

    • 최종 10개 질문("일반 의약품 지식 미연구" 항목)은 학생들이 아직 커리큘럼에서 접하지 못한 약학과 약학과 및 약학 과목에서 뽑았는데, 이 과목은 기초 생리학, 약물 특성 등 연구 자료에서 볼 수 없었던 보다 일반적인 지식에 초점을 맞춘 것이었다.

    • One set of 10 of questions was created based on the therapeutics content in the slides, using the objectives outlined at the start of the slide deck and ensuring an appropriate balance across the learning material. These 10 questions formed the learning-phase test that was delivered to Study + Test condition participants. In addition, they were included in the outcome test as “Repeat” questions given that they were presented identically in both phases of the study for that group (i.e., with no changes made to the question content or format). 

    • A second set of 10 questions (“Studied but not tested” items) were similarly focused and drawn from the studied material, but had not been used during the learning-phase test. 

    • A third set of 10 questions (“Not studied therapeutics” items) focused on therapeutic knowledge similar to that covered in the learning test questions in the context of medical conditions that were not studied (e.g., allergic rhinitis and hemorrhoid treatments). 

    • The final set of 10 questions (“Not studied generic pharmaceutical knowledge” items) was drawn from pharmacology and pharmaceutics courses students had not yet encountered in the curriculum that focused on more generic knowledge such as basic physiology and drug characteristics that were, again, not in the study material.


개입과 절차

Intervention and procedure


이 연구는 전체 튜토리얼 그룹에 걸친 프레젠테이션의 일관성을 보장하기 위해 모든 자료와 지침을 문서로 제공하여 두 단계로 진행되었다. 학습 단계 동안 모든 학생들에게 "만약 당신이 (GERD와 PUD)에서 즉시 테스트를 받아야 한다면, 몇 퍼센트의 질문이 정확하게 대답될 것으로 예상하는가?"라고 먼저 추정하라는 질문을 받았다.

The study took place in two phases with all materials and instructions being delivered on paper to ensure consistency of presentation across tutorial group. During the learning phase, all students were first asked to estimate “If you were to be tested on (GERD and PUD) immediately, what percentage of questions would you anticipate answering correctly?”


분석

Analysis



결과

Results


참가자

Participants


Table 1 offers a summary of the groups’ baseline characteristics.


학습 시기

Learning phase


Both groups provided equal estimates regarding the amount of material they already knew (58.3 vs. 58.6% for the Study Only and Study + Test groups, respectively; t = 0.1, p > 0.9) and the amount of material they expected to know after the learning phase (78.3 vs. 78.8%, respectively; t = 0.2, p > 0.8). After 20 min of study time the Study + Test group answered an average of 4.4/10 questions correctly (SD = 1.2).


시험 시기 퍼포먼스 추정

Test phase performance estimates


Two weeks after the learning phase, prior to completing the outcome test, both groups provided similar estimates of how much of the material they knew prior to participating (56.0 vs. 61.4% for the Study Only and Study + Test groups, respectively; t = 0.9, p > 0.3).


시험 시기 퍼포먼스(실제) 

Test phase performance


Of primary interest to the research question posed, Table 2 illustrates the mean performance achieved by each group for all four item types included in the outcome test.


시험 후 추정

Post‑study estimates




고찰

Discussion


이 연구에 포함된 결과 테스트에서 항목 유형을 정리하면

  • (a) 전통적인 시험 강화 학습 효과를 복제하였다(학습 단계에서 반복된 항목을 사용하여). 

  • (b) 관찰된 차이가 무작위화 실패에서 기인할 가능성이 없음을 확인하였다

  • (c) 시험의 이점이 [시험한 특정 지식에 대한 기억력]을 넘어서 확장됨을 입증하였다. ("공부는 하였지만 시험은 보지 않은" 항목에서 회상-유도 촉진 효과를 관찰함).

The manipulation of item types on the outcome test included in this study allowed us to 

  • (a) replicate conventional test-enhanced learning effects (through the use of items that were repeated from the learning phase), 

  • (b) confirm that the differences observed were unlikely to derive from a failure of randomization and 

  • (c) demonstrate that the benefits of testing do extend beyond benefits to memory for the specific knowledge that was tested (given the observation of a retrieval-induced facilitation effect in the “studied but not tested” items).


시험-강화 학습의 기전

The mechanisms of test‑enhanced learning


사실 '시험'이 교육적 편익이 있음을 보여준 다양한 방법은 [학습 자료 회상을 위한 노력]이 [시험 그 자체]보다 이러한 주요 결정요인이라는 것을 암시한다(라센과 도른 2013 참조). 결과적으로, '회상-강화 학습'이라는 말이 '시험 강화 학습'보다 더 유행하고 있지만, 우리는 이 논문에서 후자의 용어를 유지해왔다. 

The variety of ways in which ‘testing’ has revealed pedagogical benefits, in fact, suggests that effortful retrieval of studied material is the key determinant of the phenomenon rather than testing per se (see Larsen and Dornan 2013). Consequently, the phrase ‘retrieval-enhanced learning’ is now more in vogue than ‘test-enhanced learning’ but we have maintained the latter terminology in this paper 


시험을 치른 후, [학생들은 시험 관련 정보를 찾아보도록 명시적으로 지시 받았는지 여부와 관계 없이] 자신 있게 대답하지 못한 질문에 대한 답을 검색하는 경향이 있다. 따라서 Study Only(학습 단독) 그룹의 참가자들이 Study + Test(학습+시험) 그룹의 참가자들보다 [학습 단계 이후에 학습한 자료에 대해 생각하지 않았다]고 보고한 것은 놀라운 일이 아니었다.

after being tested, students are likely to search for answers to questions they did not feel confident answering regardless of whether or not they are explicitly instructed to seek test-relevant information. It was not surprising, therefore, that participants in the Study Only group were more likely than those in the Study + Test group to report they did not think about the studied material after the learning phase.


회상-강화 촉진의 기전

The mechanisms of retrieval‑induced facilitation


이러한 관찰은 상당히 긍정적인 실제적인 의미를 지니는데, 왜냐하면 시험을 중요한 교육적 개입으로 사용하기 위해서 굳이 학생들이 공부하고 있는 자료의 모든 가능한 측면에 대해 퀴즈를 낼 필요가 없다는 것을 시사하기 때문이다. 이는 좋은 시험 문제를 만드는 것은 상당한 자원을 소모하는 것이며, 시험에 동반되는 학습자 측의 평가 피로로 인한 위험을 피하는 것이 중요하기 때문이다.

These observations yield considerable positive practical implications as they suggest that one need not quiz students on every possible aspect of the material they are studying to have some hope of using testing as a valuable pedagogical intervention. This is beneficial both because the generation (and completion of) good test questions is resource consuming and because it is important to avoid the perils that accompany assessment fatigue on the part of learners.


Chan(2009)은 회상-유도 촉진에 대해 설명한다. 그는 산문prose 기반 자료(회상-기반 망각을 보여주는 "단어 목록"과 대비하여)를 독립적인 정보의 수집이라기 보다는 "아이디어 단위"로 생각되어야 한다고 말하였다. 즉, 어떤 사람이 새로운 정보를 접하게 되면, 그 내용은 문자 그대로(즉, 피상적인 단어 집합) 표상되며, 동시에 상황적으로도(즉, 문맥에서 단어의 의미를 더 깊이 이해함)표상된다. 

Chan (2009) accounts for the retrieval-induced facilitation that he observed upon presenting integrated study material to participants by suggesting that prose-based materials (in contrast to word lists, which revealed retrieval-based forgetting) should be thought of as “idea units” rather than as a collection of independent pieces of information. When one encounters new information the material is mentally represented both literally (i.e., as a superficial set of words) and situationally (i.e., with deeper understanding of the meaning of the words in context). 


그와 같은 "의미"는 정보를 읽거나 듣고 있는 개인이 갖고 있는 기존의 정신 모델을 갱신하거나 새로운 정신 모델을 만드는 방식으로 기존의 지식과 상호작용한다. Chan은 정보가 통합된 방식으로 제시될 때, 기존의 정신 모델을 업데이트하는 것이 더 쉽다고 주장하며, 따라서 모델 간의 간섭을 줄여주며, 검색으로 인한 촉진이 발생할 가능성을 더 높여준다.

That meaning interacts with pre-existing knowledge in a way that requires the individual who is reading or listening to the information to either update an existing mental model or create a new one. When information is presented in an integrated manner, Chan argues, it is easier to update existing mental models, thereby reducing interference between models and making retrieval-induced facilitation more likely to occur.


실무적으로 이러한 이해의 함축은 두 가지로 구분된다. 

In practical terms, the implications of this understanding are twofold: 


(1) 생리적 문제가 어떻게 특정 증상을 유도하고 어떻게 특정 치료법으로 극복할 수 있는지와 같은 [통합된 자료]를 학습자가 이해할 수 있도록 도와주려고 한다면, 

[학습자가 이해해야 하는 다양한 아이디어들 중 subsample을 의도적으로 시험문제로 선택함으로써] 검색 유도 촉진의 이점을 최적화할 수 있다.

(1) When we strive to help learners understand material that is integrated, such as how physiological problems induce particular symptoms and might be overcome with particular therapies, then we might optimize the benefits of retrieval-induced facilitation by deliberately selecting a subsample of possible test questions that represent the variety of idea units we need learners to understand;


(2) 다양한 해부학적 구조의 이름 기억과 같이 통합되지 않은 자료를 학습자가 이해할 수 있도록 도와주려고 한다면, 

본 연구에서 관찰된 검색 유도 촉진이 그러한 맥락에 일반화된다고 가정할 수 없다. 사실, 그러한 상황에서는 [회상-유도 망각]이 발생할 것이라는 것이 이론적으로 가능하다. 결과적으로, 교육자들은 [자료가 덜 통합되었을 때에는] 학습해야 하는 모든 범위의 자료에 대해 시험을 보는 것에 대해 좀더 신중해야 할 필요가 있을 수 있다. 그러나, 다시, 이 가설의 시험은 여전히 행해져야 한다.

(2) When we strive to help learners understand material that is not integrated, such as memorizing the names of various anatomical structures, 

we cannot assume that the retrieval-induced facilitation observed in this study will generalize to such contexts. In fact, in such situations it remains theoretically plausible (if not probable given Chan’s findings) that retrieval-induced forgetting would be the rule. As a result, educators may still need to be more deliberate about testing as much of the entire range of material to be learned as possible if the material is less integrated. Again, however, testing of this hypothesis remains to be carried out.


회상 유도 촉진은 어디까지 발생하는가?

How far does retrieval‑induced facilitation extend?


비록 주로 통제조건으로 포함되었지만, 시험의 이점이 [학습자료에 포함되지 않았던] 치료적 측면에 대한 항목까지는 확장되지 않았다는 것은 주목할 만하다.

Although it was primarily included as a control condition, it is noteworthy that the benefit of testing did not extend to items focused on therapeutic aspects of practice that were not included in the studied material.


강점과 한계

Strengths and limitations



결론

Conclusions


의도적으로 형성평가 시험문제를 우선순위를 두어 선택해야 한다.

students will benefit from educators deliberately prioritizing the selection of formative test questions that offer a heterogeneous sampling of the domain to be learned in a manner that challenges students to seek answers to the questions they encounter.


Barnett, S. M., & Ceci, S. J. (2002). When and where do we apply what we learn? A taxonomy for far transfer. Psychological Bulletin, 128(4), 612–637.


Eva, K., & Regehr, G. (2010). Exploring the divergence between self-assessment and self-monitoring. Advances in Health Sciences Education, 16(3), 311–329.


Larsen, D. P., & Dornan, T. (2013). Quizzes and conversations: Exploring the role of retrieval in medical education. Medical Education, 47(12), 1236–1241. XXX


Mylopoulos, M., Brydges, R., Woods, N. N., Manzone, J., & Schwartz, D. L. (2016). Preparation for future learning: A missing competency in health professions education? Medical Education, 50(1), 115–123.









 2018 Oct;23(4):803-816. doi: 10.1007/s10459-018-9831-4. Epub 2018 May 26.

The pedagogical value of testing: how far does it extend?

Author information

1
Department of Medicine, Centre for Health Education Scholarship, University of British Columbia, 429K - 2194 Health Sciences Mall, Vancouver, BC, V6T 1Z3, Canada. kevin.eva@ubc.ca.
2
Faculty of Pharmaceutical Sciences, University of British Columbia, Vancouver, BC, Canada.

Abstract

Information is generally more memorable after it is studied and tested than when it is only studied. One must be cautious to use this phenomenon strategically, however, due to uncertainty about whether testing improves memorability for only tested material, facilitates learning of related non-tested content, or inhibits memory of non-tested material. 52 second-year Pharmacy students were asked to study therapeutic aspects of gastroesophageal reflux disease and peptic ulcer disease. One group was given 30 min to study. Another was given 20 min to study and 10 min to complete a 10-item test. Two weeks later a 40-item test was delivered to both groups that contained (a) the 10 learning phase questions, (b) 10 new questions drawn from the studied material, (c) 10 new questions about therapeutics in different disease states, and (d) 10 new questions drawn from more general pharmaceutical knowledge (e.g., basic physiology and drug characteristics). Moderate to large retrieval-enhanced learning effects were observed for both questions about material that was tested (22.9% difference in scores, p < 0.05, d = 0.60) and questions about material that was studied without being tested (18.9% difference, p < 0.05, d = 0.75). Such effects were not observed for questions that were not part of the study material: therapeutic questions that addressed different disease states (1.8% difference, p > 0.7, d = 0.08) or generic pharmaceutical questions (7.4% difference, p > 0.2, d = 0.32). Being tested made it more likely that students would report reviewing the material after the initial learning session, but such reports were not associated with better test performance. The benefit of mentally retrieving information from studied material appears to facilitate the retrieval of information that was studied without being tested. Such generalization of the benefit of testing can increase the flexibility of test-based pedagogic interventions.

KEYWORDS:

Assessment-for-learning; Retrieval-enhanced learning; Retrieval-induced facilitation; Test-enhanced learning

PMID:
 
29804269
 
DOI:
 
10.1007/s10459-018-9831-4


의학교육에서 표준화와 맥락화를 모두 포용하기(Med Educ, 2019)

Embracing standardisation and contextualisation in medical education

Joanna Bates,1 Brett Schrewe,2 Rachel H Ellaway,3 Pim W Teunissen4 & Christopher Watling5





도입

INTRODUCTION


우리는 지구촌에 살고 있다. 세계화는 그것이 사용하는 인프라와 시스템의 표준화에 따라 달라진다. 그러나, 세계화의 효과는 또한 국제, 국가, 그리고 지역 문화들 간의 더 큰 분화를 위한 강력한 추진력을 불러 일으켰다. 결과적으로, 세계에서는, universal과 local 사이에서 발생하는 긴장감에 대한 지속적인 협상을 필요로 한다.

We live in a global world. Globalisation depends upon the standardisation of the infrastructure and systems that it uses. However, its effects have also prompted a powerful push for greater differentiation between international, national and local cultures.1 As a result, in a global world the tension that emerges between the universal and the local requires continual negotiation.


의학 교육은 이 긴장감에서 자유롭지 않다. 

  • 의료 교육의 한 가지 철학은 안전한 보건의 이익을 위해 훈련의 모든 측면을 표준화하고, 이용 가능한 서비스의 품질을 더욱 일관되게 하며, 의사와 훈련생들의 이동성을 높이는 데 초점을 맞추고 있다. 

  • 한편, 이와 달리 훈련의 맥락적 다양성의 정도와 가치에도 초점을 맞추고 있다. 이것은 종종 수련 맥락에 의해 형성되는 의사, 지역 내 관심사에 적응하여 의료행위를 할 수 있는 의사, 소외된 지역사회에서 의료를 실천하기를 선택한 의사를 양성하는 방법이다.


Medical education is not immune from this tension. 

  • One philosophy of medical education focuses on standardising all aspects of training in the interests of safer health care, more consistency in the quality of services available, and increasing mobility of physicians and trainees. 

  • An alternative outlook focuses instead on the degree and value of contextual diversity in training, often as a way of producing physicians who have been shaped by their training contexts,2 who can adapt their practices to local concerns3 and who choose to practise in underserved communities.4


맥락화와 표준화 

CONTEXTUALISATION AND STANDARDISATION


이 용어들은 정확히 무엇을 의미하는가? '맥락'은 마치 자명한 것처럼 보인다. 아인슈타인이 그것을 설명했듯이 맥락이란 '내가 아닌 모든 것'이다. 그러나 여러 학문마다 공통된 정의에 쉽게 동의하지 못한다. 이것은 부분적으로는 우리는 자신의 일상적 상황에 적응하는 경향이 있기에, 맥락이 우리 자신에게는 거의 보이지 않기 때문이다.

What exactly do these terms mean? ‘Context’ seems self-evident: as Einstein famously explained it is ‘everything that isn’t me’. And yet disciplines struggle to agree on a common definition. This is in part because we tend to acclimatise to our regular contexts, which renders them largely invisible to us,


각각의 맥락과 모든 맥락이 독특하지만, Bates와 Ellaway는 임상 훈련 상황을 설명하고 비교하는 데 사용할 수 있는 6개의 반복되는 패턴을 식별했다.5 

each and every context is unique, Nevertheless, Bates and Ellaway identified six recurring patterns that can be used to describe and compare clinical training contexts.5 


  1. 환자 패턴에는 마주친 환자의 유형 및 임상표현이 포함된다. 

  2. 실행 패턴은 임상에서 의료행위에 대한 다양한 접근방식을 포함한다. 

  3. 교육 패턴은 교육 및 학습에 대한 다양한 접근방식과 그들의 모(parent) 교육 프로그램 및 기관을 포함한다. 

  4. 기관 패턴은 의료기관의 구조 및 프로세스를 포함한다.

  5. 사회적 패턴은 공동체의 조직, 문화, 기술 및 가치를 포함한다. 

  6. 지리적 패턴은 훈련 장소의 물리적 특성을 포함한다.5

  1. Patient patterns include the kinds of patients and presentations encountered; 

  2. practice patterns include the different approaches to clinical practice; 

  3. educational patterns include the different approaches to teaching and learning and their parent educational programmes and institutions; 

  4. institutional patterns include the structures and processes of health care institutions; 

  5. societal patterns include a community’s organisation, cultures, technologies and values; and 

  6. geographical patterns include the physical nature of training locations.5


우리는 '맥락'을 이러한 특정 패턴의 복잡하고 예측할 수 없는 emergent 속성으로 이해하고 있다. 의대생, 임상의사 및 환자들은 모두 이 변화하고 예측할 수 없는 매트릭스 안에 위치하고 있으며, 이 matrix의 유일한 항구적 정의는 그것의 유동성과 개별성 뿐이다.

We understand context to be a complex and unpredictable emergent property of these specific patterns . Medical students, clinicians and patients are all situated within this ever-changing and unpredictable matrix, whose only constant defining characteristics are its fluidity and individuality.7–10


'표준화'는 똑같이 모호한 개념이다. 표준화의 개념은 [공유된 표준이 더 큰 효율성과 책임을 제공한다]는 사회 집단주의 및 협력적 활동에서 시작되었다. 예를 들어, 더 표준화된 법, 가중치 및 측정, 돈, 시간 기록, 심지어 음악적 튜닝을 인하여 훨씬 더 많은 사람들이 더 생산적인 방법으로 함께 일할 수 있게 했다.

‘Standardisation’ is an equally slippery concept to work with. The idea of standardisation emerged from socially collectivist and collaborative activities , where shared standards afforded greater efficiency and accountability. For instance, increasingly standardised laws, weights and measures, money,  timekeeping, and even musical tuning, enabled ever-larger numbers of people to work together in ever more productive ways.


표준화는, 공통 표준의 개발과 이러한 표준을 준수해야 하는 필요성이 있으며, 이는 정치적, 경제적 의제에 의해서 추진되기도 하고, 항공, 원자력 및 의료에서와 같이 공공 안전에 의해 추진될 수 있다.

Standardisation, through the development of common standards and the necessity to conform to these standards, may be driven by political and economic agendas, or as in aviation, nuclear power and health care, by public safety.


비록 우리가 종종 공유된 표준의 편리함과 효율성을 환영하지만, 어떤 사람은 삶을 더 다양하고 흥미롭게 만드는 특이한 상황적 요소들이 사라진 것을 아쉬워 할 수도 있다.

although we often welcome the convenience and efficiency of shared standards, some of us may also regret the disappearance of those very idiosyncratic contextual elements that make life more diverse and interesting.


그러나 표준 자체는 표준화를 유도하지 않으며, 표준은 전달, 보급, 채택되어야 효과를 발휘한다.11 그러나 지역적 맥락이 달라지면, 채택된 표준도 다르게 제정enact될 수 있다.

Standards on their own do not lead to standardisation, they need to be communicated, disseminated and adopted.11 However, standards adopted into different local contexts may be enacted differently.


예를 들어, 맥도널드, 캐드베리, 코카콜라, 도요타, 넷플릭스와 같은 많은 '표준' 제품들은 서로 다른 시장에 맞게 재설계되어, 상황에 따라 달라지는 다양한 '표준'을 만들어낸다.12 따라서 기준서들을 통일된 방식으로 적용하는 경우는 드물다.13

For instance, many ‘standard’ products such as McDonalds, Cadbury, Coca-Cola, Toyota and Netflix are re-engineered for different markets, creating multiple different ‘standards’ that are contextually dependent.12 Standards, then, are rarely applied in a uniform way; standardisation shifts and diversifies.13


의료 교육에서 표준은 다음을 통해 정해진다.

  • 인증 기관의 합의를 통해, 14-16 

  • 동료 검토 문헌의 증거를 통해, 17 

  • 국가시험으로. 18,19,

  • 공통 역량 프레임워크를 통해,20,21 

  • 국가 또는 국제 위원회(예: 국제 의료 교육 및 연구 발전 기반)를 통해 22 

  • (볼로냐 과정과 같은) 정치적 과정을 통해.23

In medical education, standards are set 

  • through consensus by accreditation organisations,14–16 

  • through evidence in peer-reviewed literature,17 

  • through national examinations,18,19 

  • through common competency frameworks,20,21 

  • through national or international committees (such as the Foundation for Advancement of International Medical Education and Research)22 and 

  • through political processes (such as the Bologna Process).23


그러나, 이러한 표준이 개발되고 적용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의학교육의 다양성 증대를 향한 움직임도 있었다.

However, even as these standards have been developed and applied, there have also been moves towards increased diversity in medical education.


이러한 관점의 diverge로 인해 표준화와 상황별 가변성 사이에 뚜렷하지만 억제되지 않은 긴장감이 발생할 수 있으며, 이는 많은 의료 교육의 두 영역인 의대 입학과 역량 기반 의료 교육에서 나타난다.

These diverging perspectives can result in a palpable yet underexplored tension between standardisation and contextual variability that plays out in many domains of medical education.30,31 two areas of medical education: medical school admissions and competency-based medical education.


의과대학 입학과 수련

MEDICAL SCHOOL ADMISSIONS AND TRAINING


정의, 형평성, 잠재적 책임에 대한 관심이 높아짐에 따라 전 세계의 의대 입학 관행은 모든 지원자들의 평가 기준과 과정을 표준화하는 방향으로 나아가고 있다.

Driven by concerns about justice, equity and potential liability, medical school admissions practices around the world have been moving towards standardising assessment criteria and processes for all applicants.


  • The Undergraduate Medical and Health Science Admission Test (UMAT) in Australia,32 

  • the Graduate Medical School Admissions Test (GAMSAT) in the UK and Australia,33 

  • the United Kingdom Clinical Aptitude Test in the UK34 and 

  • the Medical College Admissions Test in the USA and Canada35


이러한 표준화된 검사를 개발하는 조직은 종종 공정성, 목적성, 타당성 및 신뢰성을 강조하며, 성별, 인종 또는 종교적 편견을 최소화하고 문화적 공정성을 보장할 것을 약속한다.32–34

The organisations that develop these standardised examinations often highlight their fairness, relevance, validity and reliability32,36,37 while promising to enable inclusion, to minimise gender, ethnic or religious bias and to ensure cultural fairness.32–34


그러나 이러한 표준화는 한계가 있다. 특히 의과대학 학급 구성의 다양성과 관련하여,

However, standardisation has its limits, specifically with regards to medical school class diversity,


특정 학생 집단을 포함함으로써 가능해진 학급 다양성은 표준화된 입학 절차에 의해 제한될 수 있다.25,45,46 계층 다양성은 단순히 '있으면 좋은 것'이 아니며 사회 정의에만 국한되지도 않는다. 오히려, 학급 다양성은 학생들이 배우는 환경의 한 가지 요소를 제공한다. 학급 다양성은 학생들을 다양한 아이디어, 경험, 관점에 노출시킴으로써 학생들을 위한 강력한 학습 환경을 만든다. 의과대학생들은 학급 다양성이 그들이 그들의 가치와 가정을 재고하게 한다고 말한다.4749

Class diversity, enabled through the inclusion of certain groups of students, can be constrained by standardised admissions processes.25,45,46 Class diversity is not just a ‘nice to have’, nor is it about social justice alone. Rather, class diversity provides one element of the context in which students learn. Class diversity creates a robust learning environment for students by exposing them to a broad array of ideas, experiences and viewpoints.47,48 Medical students state that class diversity leads them to rethink their values and assumptions.47 Furthermore, class diversity leads to a diverse workforce.49


표준화된 입시 과정은 또한 시골과 지역 노동력 부족, 가정 내과의사와 다른 일반의의 공급을 다루는 것과 같은 의대 사회적 임무의 달성에도 부정적으로 간섭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력 기준과 개인 속성은 누가 rural and remote area 또는 일차의료를 선택할 것인지에 대한 좋은 예측 변수가 아니다. 

Standardised admissions processes have also been shown to interfere with the achievement of medical schools’ social missions, such as addressing rural and regional workforce shortages or the supply of family physicians and other generalists.50–53 Academic criteria and individual attributes are not good predictors of who will select careers in rural and remote medicine or primary care.


셋째, 아직 설명되지 않았지만, 표준화된 입시 과정이 다양성과 교차하는 또 다른 지점은 다양한 임상 훈련의 맥락을 수용하고 적응할 수 있는 학생들을 선발하는 것이다.

A third, and as yet unexplored, way that standardised admissions processes intersect with diversity is in selecting students who can accommodate and adapt to diverse contexts of clinical training.


임상 훈련 동안 맥락에는 항상 다양성이 존재해왔지만, 최근 몇 년간 훈련 맥락의 더 극적으로 다양해졌다. 위에서 약술한 사회적 임무를 달성하기 위해, 한 의과대학은 이제 매우 다양한 상황에서 임상 훈련을 운영할 수 있다. 이것은 의료 연수생들이 학습을 위해 적응해야 하는 점점 더 많은 다양한 업무 환경들에 직면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Although some diversity of context during clinical training has always been present, there has been a dramatic diversification of training contexts over recent years. In order to achieve the social missions outlined above, a single medical school may now operate clinical training in very diverse contexts. This means that medical trainees encounter an ever-growing array of different workplace contexts to which they need to adapt in order to learn.


지역 위성 캠퍼스. 시골 임상 학교

regional satellite campuses, rural clinical school,


같은 기관 내에서조차, 다른 프로그램들은 서로 다른 학습 과정을 강조하며 다양한 학생들을 끌어들일 수 있다.3 실제로 다양한 종류의 프로그램은 다양한 학생을 요구한다; 적응할 수 있고, 회복력이 있으며, 융통성이 있는 학생이 필요하다.60,61

Even within the same institution, different programmes highlight different learning processes58 and may attract different students.3 Different programmes may, in fact, require different kinds of students;58,59 at the very least, they need students who are adaptable, resilient and flexible.60,61


두 가지 접근법을 통합하기 위한 구체적인 제안 중 하나는 지원자에 대한 비표준화된 정보를 표준화된 입학 절차에 통합하는 지원자에 대한 전인적 검토다.62 전인적 검토는 입학을 학교의 사회적 임무 또는 기타 상황 관련 동인과 더 잘 일치시키기 위해 표준화된 시험과 개별 경험 및 속성 간의 균형을 맞추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54

One concrete proposal for uniting both approaches is holistic review of candidates, incorporating non-standardised information about candidates into standardised admissions procedures.62 Holistic review is ‘a flexible, individualized way of assessing an applicant’s capabilities by which balanced consideration is given to experiences, attributes, and academic metrics and, when considered in combination, how the individual might contribute value as a medical student and physician’.62 Holistic reviews can help to balance standardised testing with individual experience and attributes to better align admissions with a school’s social mission or other context- related drivers.54


그러나 아직 전인적 검토는 입학한 학생들이 다양한 임상 훈련 상황에서 성공할 수 있을지는 고려하지 않고 있다.

holistic review does not yet consider whether admitted students will thrive in diverse clinical training contexts.


입학의 긴장감에 대한 논의에서 나오는 두 번째 접근법은 새로운 표준화된 도구들의 개발이다.

A second approach emerging from the discussions about tensions in admissions is the development of new standardised instruments,


상황 판단 시험(SJT)은 직업적 비학문적 특성을 학문적 또는 임상적 지식보다 목표로 하는 방식으로 직장에서 발생하는 상황에서 신청자의 판단을 평가하기 위한 측정 방법을 제공한다.66

Situational judgement tests (SJTs) offer a measurement method designed to assess an applicant’s judgement in situations encountered in the workplace in a manner that targets professional non-academic attributes rather than academic or clinical knowledge.66


그러나 이러한 시험은 구축하기 복잡하고 개인이 취할 수 있는 역할에 대한 세부적인 이해를 요구한다.67

However, such tests are complex to build and require a detailed understanding of the roles individuals may take.67


역량바탕의학교육 CBME

COMPETENCY-BASED MEDICAL EDUCATION


각 분야 내에서 커리큘럼 계획은 표준화된 결과를 정의하는 국민적 합의를 이루는 접근법으로 시작한다. 이 접근 방식은 레지던트들이 훈련 장소와 무관하게 달성할 것으로 예상된다.

Within each discipline, curriculum planning begins with a national, consensus-building approach to define standardised outcomes, which residents will be expected to achieve independent of where they train.


성과 중심 모델의 매력 중 하나는 공공 책임에 대한 더 큰 약속이다.68 의사들이 능력의 차이로 감독되지 않은 진료를 하게 될 가능성을 줄여준다.

Part of the appeal of an outcomes-driven model is its promise of greater public accountability.68 By reducing the likelihood that physicians will enter unsupervised practice with gaps in their competence,70


그러나 성과의 표준화는 역량의 복잡한 본질을 과도하게 단순화하는 위험이 있으며, 이는 잠재적으로 역량에 대한 졸업생들의 잘못된 sense of security를 발생시킨다. 왜냐하면 역량은, 어느 정도, 그것이 개발된 맥락과 분리할 수 없기 때문이다; 역량이란 개인의 불변의 속성이 아니라, 맥락이 바뀔 때 그 취약성을 드러낼 수 있는 사회적으로 구성된 개념이다.

Standardisation of outcomes, risks oversimplifying the complex nature of competence, potentially creating a false sense of security about the capability of graduates. This is because competence is, to some extent, inseparable from the context in which it has been developed; it is not an immutable attribute of an individual, but rather a socially constructed notion that may reveal its fragility when context shifts.


따라서 절대적 의미에서 진정한 표준화된 성과라는 것은 규정하기 힘든 것이며 심지어 불가능할 수 있다. 동일한 역량 프레임워크를 사용하여 동일한 맥락에서 훈련을 받은 학습자들도 질적으로 다른 의사가 되어 나타날 수 있다.

Truly standardised outcomes may therefore be elusive or even impossible in any absolute sense. Even learners trained in the same context, using the same competency framework, may emerge as qualitatively different practitioners.


각 임상 작업장의 맥락은 특정 어포던스를 을 제공한다. 어포던스라는 것은 학습자가 직장에서 참여하고 배울 수 있는 기회를 말한다각각의 훈련생들은 그들이 마주치는 어포던스를 그들 자신의 방식으로 인식하고, 진료의 landscape을 가로지르는 개별적인 궤도에서 그 어포던스에 engage한다. 어포던스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바뀔 수 있고, 실제로 바뀌지만, 항상 특정 순간의 맥락에 의한 특정 '맥락적 커리큘럼'에서 발생한다.

Each clinical workplace context offers certain affordances: opportunities for learners to engage with and learn from the workplace,72–75 . Each individual trainee perceives the affordances they encounter in their own way72,76 and engages with them in an individual trajectory across the landscape of practice.77,78 Affordances can and do shift over time, yet they always arise from a ‘contextual curriculum’ specific to that one contextin that one moment.79,80 


더욱이, 학습자들은 훈련 맥락에서 능동적인 참여자이기에, 임상 작업장에서 제공되는 어포던스에 어떻게 관여할 것인지 결정하는 중요한 주체성을 가지고 있다.81

Furthermore, learners are active players in their contexts of training, possessing significant agency in determining how to engage with the affordances offered by their clinical workplace.81


역량을 '맥락에 따라 정의된 것'으로 간주하면, 역량은 '움직이는 과녁'이 된다. 그렇다면, 어떻게 우리는 공공의 이익에 기여하는 일관되고 질 높은 교육적 결과에 대한 요구를 이 능력의 유용성에 대한 증가하는 이해와 조화시킬 수 있을까? 그러나 이 긴장을 CBME에 대한 위협으로 볼 필요가 없다. 실제로, '맥락에 집중'하여 구현할 것이 요구되어 왔으며, 핵심 전문역량을 특정 맥락에 따라 적응adapt해야 한다는 요구가 있어 왔다.

Competence, when viewed as something that is contextually defined, becomes ‘a moving target’.82 How, then, can we reconcile the demand for consistent, high-quality educational outcomes that serve the public good with this growing understanding of the elusiveness of competence? This tension need not be viewed as a threat to CBME; indeed, there have been calls for implementation with ‘keen attention to context’70 and for adaptation of core professional competencies to specific contexts.83


맥락에 대한 정의가 없는 성과는 불완전하다. 그보다 성과는 학습자가 다양한 의료 및 사회적 맥락에 걸쳐 기본적인 능력을 보여줄 수 있도록 정의되어야 한다. 앞 절에서 설명한 다양한 임상적 맥락에 비추어 볼 때, 우리는 맥락이 어떻게 성과에 대한 우리의 기대에 의미 있는 정보를 줄inform 수 있는지를 고려해야 한다.

Outcomes that leave context undefined are incomplete; outcomes must instead be defined so that learners must demonstrate their fundamental competence across a range of medical and social contexts. Given the wide diversity of clinical contexts described in the previous section, we must consider how context might meaningfully inform our outcome expectations,


맥락적 다양성을 위한 공간을 마련하는 것은 성과의 표준화를 통해 달성하려고 하는 사회적 책무에 중요할 수 있다. 맥락은 학습자 태도를 형성하고, 전문직 정체성 발달을 위한 기회 창출하며, 학습자에게 동기를 부여하고, 직업 선택에 영향을 미친다.

Making room for contextual diversity may also be critical to the social accountability mission that standardisation of outcomes is trying to fulfil. Context shapes learner attitudes,84 creates opportunities for professional identity development,85 motivates learners,86 influences career decisions


비록 맥락적 다양성이 [역량을 향한 예측가능한 직접적 경로]를 방해할 수 있지만, 맥락적 다양성은 능력capability를 발달시킨다. Capability란 친숙한 상황뿐만 아니라 새로운 상황에서도 역량을 사용하는 능력이다.87 능력capability은 (실제 세계를 훨씬 더 상징적으로 나타내는) 예측 불가능하고 복잡한 상황을 다룰 수 있는 능력을 의미하며, 이는 어떤 임상 훈련 프로그램에서도 바람직한 결과물이다.87

Although contextual diversity may disrupt an assumed, straightforward path to competence, it also develops capability, the ability to use competencies in novel as well as familiar situations.87 Capability implies a capacity to deal with the unpredictable and complex situations that are far more emblematic of the real world of practice, a laudable outcome for any clinical training programme.87


따라서 우리는 CBME 구현은 언제나 맥락에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고 주장한다.

We argue therefore that implementation of CBME demands attention to context at every turn.


평가 프로그램을 enact할 때, 우리는 학습자가 다양한 상황에서 어떻게 수행하는지 그리고 정교한 감독 결정을 지원하는 강력한 관찰 데이터를 수집해야 한다.88 CBME를 구현한다는 것은 organizing principle로 '시간'을 거부하는 것이고, 따라서 교육 시간과의 새로운 관계를 모색해야 한다. 즉, '시간'은 학습자의 적응성과 능력capability을 구축하는 데 필요한 상황적 가변성의 경험을 축적가능하게 해주는 것이다.

When programmes of assessment are enacted, we should collect robust observational data that illustrate how learners perform across a range of contexts and that support sophisticated entrustment decisions.88 When CBME implementation rejects time as its organising principle, we should seek a new relationship with time in training: one in which time is viewed as enabling the accumulation of experience with the contextual variation needed to build learners’ adaptability and capability.89


고찰

DISCUSSION


여러 다양한 차원과 의료 교육의 영역에 걸쳐 표준화와 맥락적 다양성 사이의 상호작용은 명백하다. 

  • 예를 들어, 인증 과정은 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표준을 설정하지만, 그러한 프로그램의 구현 및 운영 방법은 상황에 따라 다르게 enact된다. 

  • 팀 기반 학습은 그것이 구현되는 지역의 자원 맥락과 정책, 어포던스에 따라 변형morph된다.

  • 심지어 온라인 교육 모듈도 그것이 시행되는 사회 문화적 맥락에 따라 매우 다르게 사용될 것이다.91

the interplay between standardisation and contextual diversity is apparent across many other dimensions and domains of medical education. 

  • For example, although accreditation processes set standards for educational programmes, how those programmes implement and operationalise those standards is enacted differently according to context. 

  • Pedagogical approaches such as team-based learning ‘morph’ as they meet the local context of resources and policies and affordances during implementation.31,90 

  • Even an online teaching module will be used very differently according to the social and cultural context in which it is implemented.91


표준은 동일하게 유지될 수 있지만, 구현이 되는 상황에서는 안정적인 construct는 아니다. 오히려 local하게 enact되면, 그것은 변형된다. 이는 특정 enactment가 표준을 '충분히 반영하는지'에 대한 지속적인 질문으로 이어진다.12,13

Standards may stay the same, but they are not stable constructs when implemented; rather, as they are enacted locally they shift. This leads to the constant question of whether any specific enactment is ‘true enough’ to the standard.12,13


표준화에는 (이동성 촉진, 환자 안전 촉진, 지속적인 품질 개선 추진, 모범 사례 확산 활성화 등의) 이점이 있다. 또한 표준화는 고부담 시험의 공정성, 형평성, 신뢰성 및 타당성의 원칙을 고민하게 하며, 대중을 포함한 이해당사자들을 전반적으로 의료 교육의 질에 대해 안심시키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

Standardisation brings benefits: facilitate mobility, promote patient safety, drive continuous quality improvement and enable the diffusion of best practices. Standardisation can also help to embed principles of fairness, equity, reliability and validity in high-stakes processes, while reassuring stakeholders, including the public, about the quality of medical education as a whole.


동시에 맥락적 가변성은 다양한 학습 기회, 능력, 의료 교육의 지역적 조건의 수용력 및 다양한 노동력을 더 잘 조화시킬 수 있다.

At the same time, contextual variation can lead to divergent learning opportunities, capability, better alignment of medical education with the affordances of local conditions, and a diverse workforce.


그렇다면 어떻게 생산적으로 발전할 것인가? 우리는 세 가지 접근방식을 제공한다: 

  • 이론적, 

  • 방법론적, 

  • 수사적.

How then to move forward productively? We offer three approaches: theoretical, methodological and rhetorical.


이론적 관점을 포용하기

Embracing theoretical perspectives


사회성(sociomateriality)은 그러한 하나의 관점을 제공한다. 여기서 표준이란, [특정한 문맥을 이루는 집합적이고 상호작용하는 개인 그룹, 사회문화적 표준 및 자료(문서와 역량 프레임워크 포함)에 의해 '수행된' 표준]이라고 본다.13 사회적 물질주의자 관점은 표준은 표준이 실현되는 모든 상황에서 재정의되고 개조되는 것이 불가피하다는 것을 강조한다.13,91 표준은 대화의 시작이다. 주어진 상황에 도입된 자료(예: 표준)는 템플릿으로 사용되지만 또한 그 사용을 통해 변형된다.

Sociomateriality offers one such perspective92,93 as it reflects standards as being ‘performed’ by an assembled and interacting group of individuals, sociocultural norms and materials (including documents and competency frameworks) that together constitute a particular context.13 A sociomaterialist perspective stresses that a standard is inevitably redefined and adapted in any context in which it is realised.13,91 A standard then is the start of a conversation, The materials introduced to a given context (such as standards) serve as templates but are also transformed through their use,


우리가 사용할 수 있는 두 번째 이론적 관점은 패턴 이론의 관점이다.94 의학 교육의 표준화와 상황 다양성의 측면에서, 패턴 이론은 반복되는 공통점과 표준과 그것들이 실현되는 맥락 모두에서 무엇이 다른지 모델링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다.

A second theoretical perspective we can use is that of pattern theory.94 In terms of standardisation and contextual diversity in medical education, pattern theory can help to model what are the recurring commonalities and what are the differences both in standards and the contexts in which they are realised.


다양한 방법론적 접근방식을 가지고 연구 중인 [상황과 현상 사이의 상호작용]을 frame할 수 있다. 우리는 '왜 이것이 효과가 있을까?'라고 묻는 서술적 연구나 정당화 연구를 넘어, 연구 질문의 틀에 맥락에 통합하여 '어떤 상황에서, 어떤 상황에서 이 방법이 효과가 있는가?'라고 질문하도록 장려되었다. 예를 들어, 연구 및 평가에 대한 현실주의 접근법은 특정 상황에서 특정 개인에 대한 개입이 성공 또는 실패하는 메커니즘을 이해할 수 있게 해준다.98,99

Different methodological approaches can frame the interplay between context and the phenomenon under study. We have been encouraged to move beyond descriptive studies and justification studies to explanatory studies, asking ‘Why does this work?’.97 An extension to this approach asks ‘In what contexts and under what circumstances does this work?’, incorporating context into the framing of the research question. For example, realist approaches to research and evaluation allow us to understand the mechanisms by which interventions succeed or fail for specific individuals in specific contexts.98,99


다중 사례 연구 방법론은 어떤 현상이 다른 맥락에서 어떻게 다르게 행동하는지 조사할 수 있게 해준다.100 이러한 방법론적 접근법은 [현상과 그것이 내재된 상황 사이의 상호작용]에 관심을 갖게 한다.

A multiple case study methodology enables us to examine how a phenomenon behaves differently in different contexts.100 Such methodological approaches can shift attention to the interplay between the phenomenon being studied and the contexts in which it is embedded.


세 번째 방법은 우리가 학문적인 출판물에 문맥을 어떻게 보고하는지 재고하는 것이다. 현재 상황에 대한 묘사는 방법 섹션의 일부로 짧게 구성된다. 우리는 이러한 서술이 훨씬 더 길어질 필요가 없다고 제안하지는 않지만, 학문적 글에서 맥락에 대한 더 많은 성찰이 필요하다.

A third way forward is to reconsider how we report context in scholarly publications. Currently, a description of context is expected to be short and part of the methods section. We do not suggest that these descriptions need to be much longer, but there does need to be more reflexivity about context in academic writing.


결론

CONCLUSIONS



맥락다양성과 표준화는 의학 교육의 씨줄과 날줄이다. 천의 한쪽을 보면 한 세트의 실이 보인다. 옷감을 뒤집으면 다른 옷감이 더 우세하다. 어느 쪽을 검사하든 색상과 질감은 씨줄과 날줄 사이의 상호작용의 결과물이다. 직물의 인장 강도를 생성하는 것은 이 상호작용이다.

Contextual diversity and standardisation are the warp and the weft of the fabric of medical education. Look at one side of the fabric and one set of threads shows. Turn the fabric over, and the other set predominates. Whichever side we examine, the colour and texture are the results of the interplay between the two threads. It is this interplay that produces the tensile strength of the fabric.


표준화라는 칭찬할 만한 목표와 치료를 훈련하고 제공하는 무수한 맥락의 현실을 인식함에 있어서, 우리는 세계적으로 책임이 있고 지역적으로 관여하는 의료 교육 시스템을 설계하고 제공할 수 있는 더 나은 위치에 있다.

In recognising both the laudable goals of standardisation and the realities of the innumerable contexts in which we train and deliver care, we are better positioned to design and deliver a medical education system that is globally responsible and locally engaged.




5 Bates J, Ellaway RH. Mapping the dark matter of context: a conceptual scoping review. 2016;50 (8):807–16.


6 Ellaway RH, Bates J, Teunissen PW. Ecological theories of systems and contextual change in medical education. Med Educ 2017;51 (12):1250–9.


38 Griffin B. Selecting medical students: considering qualities other than academic ability. Med Educ 2018;52 (1):9–11.


54 Conrad SS, Addams AN, Young GH. Holistic review in medical school admissions and selection: a strategic, mission-driven response to shifting societal needs. Acad Med 2016;91 (11):1472–4.


87 Fraser SW, Greenhalgh T. Complexity science: coping with complexity: educating for capability. BMJ 2001;323 (7316):799.


89 Teunissen PW, Kogan JR, ten Cate O, Gruppen LD, Lingard LA. Learning in practice: a valuation of context in time-variable medical training. Acad Med 2018;93 (3S):S22–6.


80 Schrewe B, Ellaway R, Watling C, Bates J. The contextual curriculum: learning in and from the matrix. Acad Med 2018. doi: 10.1097/ACM. 0000000000002345 [Epub ahead of print.]





 2019 Jan;53(1):15-24. doi: 10.1111/medu.13740. Epub 2018 Oct 21.

Embracing standardisation and contextualisation in medical education.

Author information

1
Department of Family Practice, Faculty of Medicine, University of British Columbia, Vancouver, British Columbia, Canada.
2
Department of Pediatrics, Faculty of Medicine, University of British Columbia, Vancouver, British Columbia, Canada.
3
Department of Community Health Sciences and Director of the Office of Health and Medical Education Scholarship (OHMES), Cumming School of Medicine, University of Calgary, Calgary, Alberta, Canada.
4
School of Health Professions Education (SHE), Faculty of Health, Medicine and Life Sciences (FHML), Maastricht University, Maastricht, the Netherlands.
5
Departments of Clinical Neurological Sciences and Oncology, Schulich School of Medicine and Dentistry, Western University, London, Ontario, Canada.

Abstract

CONTEXT:

The tensions that emerge between the universal and the local in a global world require continuous negotiation. However, in medical education, standardization and contextual diversity tend to operate as separate philosophies, with little attention to the interplay between them.

METHODS:

The authors synthesise the literature related to the intersections and resulting tensions between standardization and contextual diversity in medical education. In doing so, the authors analyze the interplay between these competing concepts in two domains of medicaleducation (admissions and competency-based medical education), and provide concrete examples drawn from the literature.

RESULTS:

Standardization offers many rewards: its common articulations and assumptions promote patient safety, foster continuous quality improvement, and enable the spread of best practices. Standardization may also contribute to greater fairness, equity, reliability and validity in high stakes processes, and can provide stakeholders, including the public, with tangible reassurance and a sense of the stable and timeless. At the same time, contextual variation in medical education can afford myriad learning opportunities, and it can improve alignment between training and local workforce needs. The inevitable diversity of contexts for learning and practice renders any absolute standardization of programs, experiences, or outcomes an impossibility.

CONCLUSIONS:

The authors propose a number of ways to examine the interplay of contextual diversity and standardization and suggest three ways to move beyond an either/or stance. In reconciling the laudable goals of standardization and the realities of the innumerable contexts in which we train and deliver care, we are better positioned to design and deliver a medical education system that is globally responsible and locally engaged.

Comment in


본과3학년에 대한 학대가 문제가 아닐지도 모른다(Med Teach, 2017)

Mistreatment of medical students in the third year may not be the problem

Stuart J. Slavina and John T. Chibnallb

aDepartment of Pediatrics, Office of Curricular Affairs, Saint Louis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St. Louis, MO, USA; bDepartment of Neurology and Psychiatry, Saint Louis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St. Louis, MO, USA




의대 학생들의 학대와 학대는 미국 전역의 의대에서 상당한 문제로 인식되어 왔다(Fnais et al. 2014). 전국의 모든 졸업 의대생들에게 배포되는 의대 졸업 설문지(AAMC 2016)는 학생들에게 

  • 공개적인 모욕, 

  • 신체적 피해, 

  • 원치 않는 성적 접촉, 

  • 인종, 성별, 성적 성향을 이유로 낮은 평가나 성적

...을 포함한 17가지 특정 유형의 학대에 대한 일련의 질문을 하는 전체 섹션을 가지고 있다.

Mistreatment and abuse of medical students has been recognized for some time as a significant problem in medical schools across the US (Fnais et al. 2014). The Association of Medical Colleges Graduation Questionnaire distributed to every graduating medical student in the country (AAMC 2016) has an entire section in which it asks students a series of questions about 17 specific forms of mistreatment including 

  • public humiliation, 

  • physical harm, 

  • unwanted sexual advances, and 

  • lower evaluations or grades because of race, gender, or sexual orientation.


"대부분의 학생들은 3년 동안 적어도 한 번은 어떤 형태의 학대를 보고하였다." (Fried et al. 2012년)

“the majority of our students continued to report some form of mistreatment at least once during their third-year clerkships” (Fried et al. 2012).


LCME는 의과대학에 다음과 같은 기준을 요구하고 있다. 

"의학 교육 프로그램에서 교수-학생 관계에 대한 전문적 행동강령을 정의 및 공표하고, 코드 위반을 다루는 효과적인 서면 정책을 개발하고, 불만사항에 대한 신속한 대응을 위한 효과적인 메커니즘을 갖추고, 부적절한 행동을 방지하기 위한 교육 활동을 지원한다.(LCME 2015).

The Licensing Commission on Medical Education has a standard that requires that a medical school 

“defines and publicizes its code of professional conduct for faculty–student relationships in its medical education program, develops effective written policies that address violations of the code, has effective mechanisms in place for a prompt response to any complaints, and supports educational activities aimed at preventing inappropriate behavior” (LCME 2015).



이러한 학대에 대한 오해는 두 가지 주요한 방법으로 존재한다. 첫째, 학대가 사실 다양한 근본적 원인이 있을 수 있는 증상으로 볼 수 있음에도, 학대는 가해자의 비전문적태도unprofessionalism에 대한 "진단"으로 간주되는 경향이 있다.

This misperception of mistreatment exists in two primary ways. First, mistreatment has tended to be viewed as a “diagnosis” of unprofessionalism of the perpetrator when it may be more appropriately viewed as a symptom with a range of possible underlying causes.


널리 퍼져있는 것으로 보이는 두 번째 오해는 학대와 학생들의 행복, 고통, 그리고 공감을 떨어뜨리는 것 사이의 관계가 분명하다는 믿음이다. 그렇지 않다.

The second misconception that appears to be prevalent is the belief that the link between mistreatment and student well-being, distress, and falling empathy is clear. It’s not.


Third-year student perceptions at SLU



Table 1. Rating of impact of sources of demoralization.


고찰

Discussion


만일 우리가 3학년 의대생들의 정신건강을 향상시키려면, 학대를 줄이거나 없애는 것이 가장 효과적인 전략이 아닐 것이다. 만약 우리가 불행한 교수와 레지던트에게, 그들이 학생들을 학대하는 것을 중단하게 하더라도, 그들은 여전히 불행하게 남는다면, 그들이 학생들을 위한 교육 환경에 기여하고 있는 독성은 남아있을 것이다. 안타깝게도, 많은 기관에서 사용되는 의대 학생들의 학대를 방지하기 위한 일차적인 접근법은 교직원(및 레지던트)에게 그런 행동을 하지 말라고 말해주는 것이다.

If we are going to improve the mental health of third-year medical students, making reduction or elimination of mistreatment a primary focus may not be the most effective strategy. If we take a resident or faculty member who is unhappy and get them to stop mistreating students but they remain unhappy, then the toxicity that they are contributing to the educational environment for students may remain. Unfortunately, the primary approach to prevent mistreatment of medical students used at many institutions appears to be to tell faculty (and residents) not do it


주민과 교직원의 과로와 우울증이 만연하고 있다는 점을 감안할 때, 불행한 주민들과 교직원들과 함께 일하는 것이 SLU 3학년 학생들에게 가장 높은 사기를 떨어뜨리는 요소라는 것은 놀랄 일이 아니다.

Given the high prevalence of burnout and depression in residents and faculty, it should be no surprise that working with unhappy residents and faculty were the highest rated demoralizing factors for SLU third-year students.


근본적인 원인에 대한 평가와 관리를 하는 동안, 교수진은 계속해서 전문가답지 않은 행동을 하는 것은 용납될 수 없다는 분명한 메시지를 여전히 받을 필요가 있다. 원인은 그 행동에 대한 핑계excuse가 아니라 그 행동에 대한 설명explanation으로 보아야 한다.

While assessment and management of underlying causes moves forward, the faculty member needs to still receive the clear message that continuing unprofessional behavior is not acceptable. Causes should be seen as an explanation of, not an excuse for, the behavior.


Mistreatment를 '진단'으로 보든 것이 아니라 '증상'으로 볼 때 이런 노력이 더 효과가 있을 것이다.

Seeing mistreatment for what it is, a symptom rather than a diagnosis may make those efforts more impactful.







 2017 Aug;39(8):891-893. doi: 10.1080/0142159X.2016.1270438. Epub 2017 Jan 18.

Mistreatment of medical students in the third year may not be the problem.

Author information

1
a Department of Pediatrics, Office of Curricular Affairs , Saint Louis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 St. Louis , MO , USA.
2
b Department of Neurology and Psychiatry , Saint Louis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 St. Louis , MO , USA.

Abstract

Mistreatment and abuse of medical students has been recognized as a significant problem in medical schools. We believe, however, that the problem of mistreatment has been viewed incorrectly. This misperception of mistreatment exists in two primary ways. First, mistreatment has tended to be viewed as a "diagnosis" of unprofessionalism of the perpetrator when it may be more appropriately viewed as a symptom with a range of possible underlying causes. The second misconception that appears to be prevalent is the belief that the link between mistreatmentand student well-being, distress, and falling empathy is clear. It is not. We present (1) evidence that other factors in the clinical learning environment may be having a greater negative impact on student mental health and well-being and (2) recommendations for changes that may produce enhancement to medical student mental health in the clerkship year.

PMID:
 
28097902
 
DOI:
 
10.1080/0142159X.2016.1270438


루머와 가십에 효과적으로 대응하기(J Grad Med Educ, 2018)

Helping Program Directors Effectively Manage Rumors and Gossip

Mariam Rahmani, MD




진화적인 관점에서, 가십은 자기 잇속만 증진하고 외부인을 멀어지게 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2 직장에서, 가십은 꽤 흔하며, 1 온라인 여론조사는 미국 근로자들의 90%가 그 행동에 참여한다는 것을 보여준다.3 비슷한 숫자는 다른 나라에서 추정되고, 감소될 수 있다.4생산성을 높이고 사기를 떨어뜨리다 한 연구에 따르면, 직원들이 자신들을 사실이라고 믿는지 여부와 상관없이, 그들이 불리한 대우를 받기 위해 조직에 복수를 하려는 의도에 따라, 소문을 퍼뜨릴 가능성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5 또 다른 조사는 미국 사무실의 96%가 가십에 참여했다고 시인했지만, 심지어 여러 가지 긍정적인 측면도 있다는 것을 보여주었다.대화 중 72%에서 사적이고 부정적인 가십, 주로 21%에서 긍정적인 가십, 그리고 7%에서만 부정적인 가십을 주로 한다.6

From an evolutionary perspective, gossip can be used to advance self-serving interests and develop closeness at the expense of alienating outsiders.2 In a workplace setting, gossip is quite common, with 1 online poll showing 90% of US workers participate in the behavior.3 Similar numbers are estimated in other countries.4 Rumors can waste time, reduce productivity, and lower morale. One study has shown that employees are more likely to transmit rumors, regardless of whether they believe them as true, when the motivation is to seek revenge on the organization for unfavorable treatment.5 Another survey showed that although 96% of employees at a US office setting admitted to participating in gossip, there was an even mix of positive and negative gossip in 72% of the conversations, predominantly positive gossip in 21%, and predominantly negative gossip in only 7%.6


프로그램 이사(PD)

program directors (PDs)


레지던트 훈련 동안 오랜 시간 함께 일하는 것은 동지애를 형성하지만, 또한 소문을 퍼뜨리는 장소가 될 수도 있다.7

Working together for long hours during residency training builds camaraderie, but may also serve as a breeding ground for gossip.7


PD가 훈련 프로그램에 영향을 미치는 루머에 노출되었을 때, PD는 그것을 관리할 준비가 되어 있지 않을 수 있다.

when a PD is exposed to a rumor that affects the training program, he or she may not be equipped to manage it.


이 프레임워크는 니모닉 'RUMR' (FIGURE)을 구성하는 4가지 단계를 포함한다.

This framework includes 4 steps that comprise the mnemonic ‘‘RUMR’’ (FIGURE).


  • 1. 관심 보이지 않기. 루머에 대해 깊은 관심을 보이는 것은 피해야 하며, 이것은 루머가 퍼지는 것을 막는데 도움이 될 수 있다.

  • 2. 다양한 이해관계자에게 미치는 소문의 영향을 파악한다(주민, 교직 학생, 교수진, 행정직, 환자 등).

  • 3. 소문을 다루거나 무시하는 것에 대한 찬반 양론을 측정하라.

  • 4. 적절한 경로를 통해 교정 및 교정.  소문에 대한 언급이 필요한 경우, PD가 감독자와 함께 또는 없이 주도할 수 있는지 여부를 고려하고, 필요에 따라 기관의 GME 리소스 또는 인사부 회의를 소집하고, 사용할 통신 채널을 결정하십시오.

  • 1. Remain indifferent. Avoid showing keen interest in the rumor, which can help discourage the rumor from spreading.

  • 2. Understand the impact of the rumor on various stakeholders, including but not limited to the residents, rotating students, faculty, administration, leadership, and patients.

  • 3. Measure the pros and cons of addressing or ignoring the rumor.

  • 4. Remedy and redress through appropriate route. If the rumor needs to be addressed, consider whether it is appropriate for the PD to take the lead with or without a supervisor, seek the council of the institution’s GME resources or HR department as needed, and determine which communication channels to use.



근무지에서 사적 관계

Personal Relationships at Work


직장 내 낭만적인 관계는 일반적이며, 일부 설문조사는 약 40%에서 50% 정도의 널리 퍼져있는 것으로 나타나며, PD는 이를 무시해서는 안 되며, 제3자의 소문에 대한 세부정보를 구하지 말고(제1단계는 무관심한 상태) 레지던트의 업무에 집중해야 한다. 만약 이 로맨틱한 관계가 그들의 업무 수행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면, 그것은 다루어질 만큼 충분히 중요하지 않을 것이다.

Workplace romantic relationships are common, with some surveys showing a prevalence of roughly 40% to 50%.9,10 When faced with the rumor of a romantic relationship involving 2 single residents, the PD should not ignore it, but avoid soliciting details about the rumor from third parties (step 1, remain indifferent) and focus on the residents’ work performance. If the romantic relationship does not affect their work performance, it is likely not significant enough to be addressed.



불륜을 저지르는 1명의 레지던트나 2명의 레지던트가 모두 연루돼 있다면 상황은 불투명해진다. 이 경우, 소문의 영향은 업무 수행 또는 레지던트의 정서적, 사회적 복지에 미칠 수 있는 영향에 의해 측정될 수 있다(2단계는 영향을 이해한다).

The situation becomes murky if the rumor involves 1 or both residents who are in committed relationships with other people having an affair. In this case, the impact of the rumor may be gauged by work performance or by the potential impact on the residents’ emotional and social well-being (step 2, understand the impact).


다음 단계는 루머를 다루는 비용이 이를 무시하는 비용보다 큰지 평가하는 것이다(3단계). 이 경우 이 소문을 계속 방치하면 레지던트들의 명성에 해가 될 수 있으며, 결국 그들이 알게 되면 동료들이 사전에 그들에게 말하지 않은 배신감을 심어줄 수 있다. 반면에, 그 소문을 인정하거나 다루는 것은 그 소문을 믿을 수 있는 기회를 가지고 있어서, 그 소문을 퍼뜨릴 위험을 가지고 있다. 하지만, 이 소문을 피해자들에게 알림으로써 그들이 상황이 어떻게 관리되고 있는지에 대한 발언권을 갖도록 하는 데 힘을 실어줄 수 있다.

The next step is to assess whether the cost of addressing the rumor outweighs the cost of ignoring it (step 3, measure the pros and cons of taking action). In this case, letting the rumor continue could possibly result in harm to the residents’ reputations, and, when they eventually find out, instill in them a sense of betrayal that their colleagues did not tell them earlier. On the other hand, acknowledging or addressing the rumor has the chance of giving it credence, thereby risking its spread. However, informing the victims of the rumors also empowers them to have a say in how the situation is managed.


레지던트와 대화하는 방법을 고려한 4단계(적절한 경로를 통해 루머를 바로잡고 바로잡기) 이 경우 PD가 주민과 직원과 대화해 소문이 프로그램 문화에서 사라지는 것을 기대해 보는 것이 적절할 것이다. 이 소문에 연루된 주민에 대해서는 인사부나 GME 대표 등 제3자를 포함하면 레지던트들이 자신의 업무 성과를 평가하지 않는 사람과 더 편하게 지낼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The fourth step (remedy and redress the rumor through appropriate route) considering how to talk to the residents. In this case, it would be appropriate for the PD to talk to the residents and staff as a group to set expectations that rumors are discouraged in the program’s culture. Regarding the residents involved in the rumor, a potential benefit of including a third party such as an HR representative or a GME representative is that the residents may feel more comfortable with someone who does not evaluate their job performance.


PD가 레지던트와 담당 교수와의 로맨틱한 관계에 대한 소문을 듣게 되면 (소문의 영향을 이해하고) 2단계의 관련성이 명확해진다. 교직원과 교직원의 힘의 차이가 학습자의 학대와 성희롱으로 이어질 수 있기 때문이다. 이는 성희롱을 유발할 수 있기 때문이며, 이는 프로그램과 기관에 대한 법적 책임이 될 수 있다.

If the PD hears a rumor about a resident being involved in a romantic relationship with a supervising faculty member, the relevance of the second step (understanding the impact of the rumor) is clear, as the power differential between the resident and the faculty member can lead to learner mistreatment and sexual harassment, which can create liability for the program and institution.


이것의 결과는 중요하고 복잡하다; 부서장, 기관의 인사부, GME 사무실을 포함한 여러 당사자가 참여해야 할 수도 있다. PD는 낭만적인 관계에 있는 사람들이 서로를 감독하거나 평가하지 않도록 해야 하며, 이것은 순환 일정과 통화 일정을 변경해야 할 수도 있다. PD는 또한 관련 당사자들에게 다른 당사자의 임무, 성적, 급여 또는 승진을 결정하지 않도록 족벌주의 협정을 체결할 것을 요청할 수도 있다. 이는 편애를 피하고 개인의 평가가 개인적인 감정보다는 업무 성과에 기초하도록 하는 데 도움이 된다.11,12

The ramifications of this are significant and complicated; multiple parties, including the department’s chair, the institution’s HR department, and the GME office, may have to be involved. The PD must ensure that those in a romantic relationship do not supervise or evaluate each other, which may require changing the rotation schedule and the call schedule. The PD may also ask the involved parties to enter into a nepotism agreement, so that one does not determine the other’s assignment, grade, salary, or promotion. This helps to avoid favoritism and ensure that an individual’s evaluation is based on work performance rather than personal feelings.11,12



인력 턴오버 

Personnel Turnover


직원 이직은 레지던트 프로그램을 포함한 모든 직장의 불가피한 부분이다. 여기서 우리는 4단계 프레임워크 (RUMR)를 교직원이 자신의 부서를 떠날까봐 걱정하는 소문을 듣는 PD에게 적용한다. 

  • PD는 1단계(관심 없이)로 소문교환을 하지 않는다. 

  • 두 번째 단계(충돌을 알아본 뒤)에 따라 PD는 이 소문이 레지던트들을 걱정하게 만들 정도로 중대하다는 것을 깨닫는다. 

  • 세 번째 단계(소문에 대처하거나 무시하는 측정 장단점)로서 PD는 주민들이 겪는 예상 스트레스와 프로그램 지도부의 신뢰성과 신뢰를 고려한다. 

  • 네 번째 단계(적절한 경로를 통해 치료하고 바로잡기)인 만큼 훈련 프로그램을 포함하기 때문에 제3자를 포함하기보다는 PD가 이 소문을 다루는 것이 더 적절하다.

Personnel turnover is an unavoidable part of any workplace, including residency programs. Here we apply the 4-step framework (RUMR) to a PD who hears a rumor that residents are worried a faculty member may leave their department. 

  • As the first step (remain indifferent), the PD does not engage in the rumor exchange. 

  • As the second step (understand impact), the PD realizes that the rumor is significant enough to cause the residents to worry. 

  • As the third step (measure pros and cons of addressing or ignoring the rumor), the PD takes into account the anticipatory stress experienced by the residents and the credibility and trust of the program leadership. 

  • As the fourth step (remedy and redress through appropriate route), it is more appropriate for the PD to handle this rumor rather than including a third party because it involves the training program.


차별적 대우

Preferential Treatment


레지던트들 사이에 강한 감정을 불러일으킬 수 있는 세 번째 유형의 소문은 일부 주민들에 대한 불공정하거나 특혜적인 대우로, 나머지를 (실제 또는 인식된) 불이익에 놓이게 하는 것이다.

A third type of rumor that can evoke strong feelings among residents is unfair or preferential treatment of certain residents, placing the rest at a (real or perceived) disadvantage.


  • 첫 번째 단계로, PD는 소문을 알아채고 관여하지 않는다. 

  • 두 번째 단계로, PD는 이 소문의 중요성을 평가한다. 직원들의 업무 만족도와 동기 부여는 한 집단의 차별에 대한 평등의식과 감정적 반응에 대한 개인의 믿음에 달려 있는 것으로 밝혀졌기 때문에, PD는 이 소문이 다뤄질 필요가 있다고 판단한다. 

  • 이 소문은 레지던트와 PD의 레지던트 관련 결정과 관련이 있기 때문에 PD는 레지던트를 직접 만나 협의나 휴가(적절한 경로를 통해 치료 및 재정비)를 결정할 때 사용하는 정책과 기준을 설명한다. 

  • 만약 이 문제를 해결해야 한다면, PD는 특혜를 바로잡기 위해 모든 노력을 기울인다. PD는 또한 모든 레지던트들이 볼 수 있는 공유 포털에서 휴가 일지나 회의 일지를 이용할 수 있게 함으로써 투명성을 높일 수 있다. PD가 더 정확한 정보를 제공할수록 레지던트들이 자신의 설명으로 공백을 메울 수 있는 공간이 줄어들게 된다.1

As the first step, the PD notices the rumor and does not engage in it (remain indifferent). As the second step, the PD evaluates the significance of this rumor (understand the impact). Because employees’ work satisfaction and motivation have been shown to be contingent on one’s beliefs about parity and emotional reactions to discrimination against one’s group,13 the PD decides that this rumor needs to be addressed (measure pros and cons of addressing). Because this rumor involves residents and the PD’s decisions about residents, the PD meets with the residents in person to explain the policies and criteria used to decide which residents get to attend conferences or take leave (remedy and redress through appropriate route). If the concern has merit, the PD makes every effort to correct the preferential treatment. The PD can also increase transparency by making a leave log or conference log available in a shared portal that all residents can view. The more accurate information the PD can provide, the less room for residents to fill in the gaps with their own explanations.14






 2018 Dec;10(6):616-619. doi: 10.4300/JGME-D-18-00380.1.

Helping Program Directors Effectively Manage Rumors and Gossip.

PMID:
 
30619515
 
PMCID:
 
PMC6314352
 [Available on 2019-12-01]
 
DOI:
 
10.4300/JGME-D-18-00380.1


피드백의 범위를 넓혀서 근무지 학습의 Relevance 높이기(Acad Med, 2018)

Broadening the Scope of Feedback to Promote Its Relevance to Workplace Learning

Renée M. van der Leeuw, MD, PhD, Pim W. Teunissen, MD, PhD, and Cees P.M. van der Vleuten, PhD




일을 통해 배우는 것을 WBA와 맞추는 것은 도전이다. 피드백과 학습의 단절은 피드백에 대한 지식과 풍부한 연구에도 불구하고 현재 놓치고 있는 학습 기회가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aligning learning through work with workplace-based assessment is a challenge.4–6 The disconnect between feedback and learning implies that there are learning opportunities that are now being missed—despite the knowledge and wealth of research on feedback.


다음과 같은 피드백 

"연수생들의 성과를 개선하기 위한 목적으로 관찰된 성과와 기준을 비교한 구체적인 정보."

a review described feedback as 

“Specific information about the comparison between a trainee’s observed performance and a standard, given with the intent to improve the trainee’s performance.”7


동일한 저자의 보다 최근의 메타 리뷰에서는 피드백의 주요 문헌들은 [피드백을 효과적으로 제공하는 방법 또는 메시지의 어떤 측면(즉, 출처, 형태, 내용, 타이밍)이 결과에 영향을 미치는지와 같은 피드백의 도구적 측면]에 초점을 맞춘다는 것을 보여주었다.8 "좋은 피드백을 주는 것은 결국 학습과 성과 개선으로 이어질 것이다"는 가정이 널리 퍼져인느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이 가정은 직장에서 학습과 행동 변화에 대한 더 복잡한 이해와 잘 맞지 않는다. 따라서 이렇게 피드백을 좁게 정의하는 것은 work를 통한 학습을 지원하는 데 있어서 제한된 가치만을 가진다. 많은 연구 간행물과 의학 교육의 최근 이니셔티브는 근무지학습에서의 피드백에 사회적 상호 작용과 문화적 측면이 미치는 영향을 강조한다.

A more recent meta-review by the same authors showed that most research regarding feedback focuses on instrumental aspects, such as how to give feedback effectively and which aspects of the message (i.e., source, form, content, timing) influence the outcome.8 The pervading assumption seems to be that “giving good feedback” will lead to learning and performance improvement. This assumption does not align well with a more complex understanding of learning and behavioral change in workplaces.9–13 This narrow definition of feedback therefore has limited value in supporting learning through work. Many research publications and recent initiatives in medical education emphasize the influence of social interactions and cultural aspects on feedback in workplace learning.14–18


그럼에도 불구하고, 피드백 자체에 영향을 미칠 때, "기술적" 접근이 여전히 지배적이다.

Nevertheless, when honing in on feedback itself, the “technical” approach is still dominant,


피드백의 더 넓은 범위로서 '수행관련정보PRI'

Performance-Relevant Information as a Broader Scope for Feedback


  • 피드백의 더 광범위한 범위는 특정 맥락에서의 수행과 관련하여 업무 공간의 학습에 영향을 미치는 모든 정보를 통합해야 한다. 아무리 우리가 피드백의 정의를 확대하더라도, 그것은 여전히 "주고 받는" 정보의 개념이 될 것이다. 피드백이라는 용어를 쓰는 한, 학습자로서 당신에게 주어지는 것에 대한 판단은 주로 다른 사람들에 대한 인식에 기반을 둔다. 

  • 반대로 '성과 관련 정보(PRI)'의 개념에서, 기존의 관점은 [자신의 인식, 감정, 경험에 대해서, 무엇이 자신의 학습과 관련이 있다고 간주하는지]를 강조하는 방향으로 바뀐다. 이것은 새로운 접근방식이며 관찰자가 관찰한 것에 대한 시각을 제공하는 기존의 관점과는 매우 다르다.

  • A broader scope for feedback should incorporate all information that affects learning in the workplace related to one’s performance within that context. Although we could have broadened the definition of feedback, it would continue to be the concept of “giving and receiving” information. With feedback, the judgment of what is given to you as a learner lies primarily in the perception of others. 

  • With the concept of performance-relevant information (PRI), this perspective shifts to appreciate the importance of what a learner, with his/her perception, emotions, and experiences considers relevant, for his/her learning. This is a new approach and is very different from the perspective in which an observer provides his/her vision of what was observed.


근무지환경에서 학습자가 이용할 수 있는 수많은 학습 기회를 반영하기 위해, 우리는 먼저 범위를 넓히기 위한 개념으로서 "관련 정보"라는 용어를 선택했다

  • 관련 정보는 학습자와 직접적으로 관련된 사실이나 세부사항을 기술하는 더 중립적인 용어인 반면, 

  • 피드백은 어떤 것이 얼마나 성공적이거나 유용한가에 대한 판단을 요약한다. 

To reflect the numerous learning opportunities that are available to learners in the workplace setting, we first chose “relevant information” as a concept to broaden our scope. Relevant information is a more neutral term to describe facts or details that directly relate to the learner, whereas feedback encapsulates a judgment about how successful or useful something is. 


또한 우리는 관련 정보가 어디에서 파생될 수 있는지를 설명하고자 했으므로, PRI의 개념을 보여주기 위해 "수행performance"을 추가했다.

Because we aimed to address where the relevant information could be derived from, we added “performance,” to yield the concept of PRI.


간단히 말해, PRI는 학습자가 어떻게 직장에서 자신의 성과를 학습과 관련된 정보로 해석하는지에 초점을 맞춘다. 이 PRI는 개인의 업무 수행과 직장에서의 상호작용에 대한 해석에서 발생하는 학습에 대한 모든 잠재적인 정보의 source를 포함한다. 

  • 치료 후 환자의 결과, 

  • 역할 모델의 수행능력

  • 평가 및 평가, 

  • 의사 소통에 있어 동료와 동료의 반응, 

  • 실패 또는 성공의 느낌에 대한 탐구

In short, PRI as a concept focuses on how learners interpret their performance in the workplace in terms of what is relevant information for their learning. This notion of PRI includes all potential sources of information for learning arising from the interpretation of one’s performance and interaction in the workplace. Among these are 

  • patient outcomes after treatment; 

  • the performance of role models; 

  • evaluations and assessments; 

  • responses of colleagues and peers in communication with you; and 

  • exploring feelings of failure or great successes.


근무지학습은 [직장에서의 사회적 상호 작용과 경험]에서 발생하는 성과에 대한 관련 정보의 해석에 기초한다. 사회적 상호작용은 [개인이 학습을 위한 input으로서 무엇을 encounter 할지]를 결정하기 때문에 학습에 영향을 미친다.22 이는 다양한 학습자를 위해 다양한 학습 경험을 생성한다.

Workplace learning is based on an interpretation of relevant information for performance arising from social interaction and experiences in the workplace.10,22,23 Social interaction influences individual learning because the interaction determines what the individual encounters as input for learning.22 This creates a multitude of possible learning experiences for different learners.10,23


PRI에는 보다 명확한 평가 피드백에서 직장 경험, 감정 또는 환자 결과에 대한 보다 암묵적인 해석에 이르기까지 모든 범주 또는 유형의 정보가 포함된다.

PRI includes all categories or types of information, ranging from the more explicit assessment feedback to the more implicit interpretation of workplace experiences, emotions, or patient outcomes.



PRI라는 새로운 관점에서의 학습기회
Opportunities Emerging From the New Scope of PRI


근무지학습

Workplace learning


성과 개선을 중심에 두는 피드백의 정의에는 측정하기 어렵거나 눈에 잘 띄지 않는 성장 또는 학습의 측면이 포함되지 않는다. 여기에는 예를 들어, 한 인간으로서의 성장, 자신이나 타인에 대한 더 깊은 통찰력, 근무지 프로세스 또는 문화적 측면에 대한 인식, 어려운 감정을 처리 방법을 경험하고 확인하는 것 등과 같은 것이 포함된다.

The definition of feedback in its primary association with performance improvement does not include aspects of growth or learning that are less visible, let alone measurable.7 for example, growth as a human being, deeper insights into oneself or others, awareness of workplace processes or cultural aspects, experiencing and identifying ways to deal with difficult emotions, or gaining confidence.


PRI의 광범위성은 [단기적으로 관찰 가능한 성과 변화에서는 도출되지 않는 학습]을 포함할 수 있는 여지를 만들어냄에 따라, 개인이 어떻게 근무지에 embed된 정보를 선택하고 이해하는지를 설명할 수도 있다. 이를 통해 직장에서의 상황에 대한 해석이 어떻게 개인적 경험을 result in 하는지를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

As the broader scope of PRI creates room to include learning that may not result in short-term observable performance change, it could also elucidate how individuals select and make sense of information that is embedded in the workplace. This can add to our understanding of how interpretations of situations in the workplace result in personal experiences.


평생학습

Lifelong learning


의학 교육에서는 "효과가 있는 것"에 초점을 맞추는 경향이 있다.

There is a tendency to focus on “what works” in medical education


이것은 직장 학습에 필수적인 [관계의 질과 상호작용의 중요성]으로부터 눈을 떼게 한다. 학습이 발생하는 학습자와 맥락 사이의 상호작용과 PRI에 초점을 맞추면 결과물보다는 프로세스를 강조하게 된다. 학습의 프로세스는 여러 해가 지나도 여전히 relevant한 평생학습과 매우 관련이 있는 반면, 학습 과정의 결과물은 언제나 한정된 유통기한을 가지고 있다.

It distracts attention from the importance of the quality of the relation and interaction that are vital for workplace learning.13,14 The focus on PRI and interaction between learners and their context that accommodates learning emphasizes process rather than product. This can also be highly relevant in lifelong learning, where the process of learning remains relevant throughout the years,26 whereas the product of the learning process has a constantly elapsing expiration date.


실수

Making mistakes


실수하는 것이 인간의 일부이긴 하지만, 시행착오를 위한 제한된 공간이 있는 의료 훈련 상황에서는 큰 부담이 된다. 수치심, 죄책감, 실수나 실패에 대한 두려움은 다루기 어렵다.

Although making mistakes is part of being human, the stakes are high in medical training situations in which there is limited room for trial and error. Shame, guilt, or fear of mistakes or failure are difficult to deal with.


PRI에 초점을 맞출 때 부정적인 감정을 극복하는 것이 더 쉬울 수 있는데, 그 이유는 "무슨 잘못을 했느냐" 보다는 무슨 일이 일어났고, 어떤 것이 수행과 관련이 있는지를 이해하는 데 초점이 맞추어져 있기 때문이다.

it might be easier to overcome negative emotions when focusing on PRI and also to discuss these with others, as the focus is drawn to making sense of what happened and what is relevant in terms of performance, rather than “what did you do wrong.”


결론

Concluding Remarks


PRI는 또한 더 많은 암묵적인 배움의 원천으로 관심을 끌기 때문에, 중요한 문제는 [어떻게 일상에서 PRI로부터 배우는 것을 가장 잘 지원할 수 있느냐] 하는 것이다.

Because PRI also draws attention toward more implicit sources of learning, an important question is how best to support learning from PRI in daily practice.


요약하자면, 관계나 교육동맹은 근무지학습의 필수적 측면으로 간주되는데, 이 경우에 PRI의 개념이 잘 부합하며, 근무지에서의 상호작용으로부터 도출가능한 관련 정보에 집중하게 한다.

In summary, the relationship or educational alliance can be considered a vital aspect in workplace learning, in which the concept of PRI fits well as it draws attention toward relevant information that is derived from interaction in the workplace.


Van den Eertwegh et al28은 근무지에서 레지던트의 의사소통 학습 과정을 조사하고 학습 과정을 설명하는 5단계 모델을 식별했다. 첫 단계는 바람직한 행동이나 임상 결과에 직면하는 것이다. PRI는 직장 내 학습을 위한 모든 소스(예를 들어 암묵적 또는 환자-관리 관련 소스)를 조명함으로써 이 첫 번째 단계에 추가적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Van den Eertwegh et al28 investigated residents’ communication learning processes in the workplace and identified a five-phase model to describe the learning processes. The first phase is confrontation with (un) desired behavior or clinical outcomes. PRI could add to this first phase by shedding light on all sources for learning in the workplace—for example, also the implicit or patient-care related sources.


PRI는 [평가 정보의 사용]을 넘어, 의학교육에서 학습 기회를 명시적으로 확장하는 방식으로 피드백의 범위를 넓혀준다. 더욱이, 쉽게 측정하거나 이야기하지 않는 측면(예: 감정, 신뢰, 밤에 깨어 있는 상태)까지 고려함으로써, 근무지 맥락의 복잡성을 인정한다. 

PRI broadens the scope of feedback in a way that will explicitly expand learning opportunities in medical education beyond the use of assessment information. Moreover, it acknowledges the complexity of the workplace context, taking into account aspects that are not easily measurable or talked about (e.g., feelings, trust, lying awake at night). 


  • PRI는 어떤 정보가 당신과 관련되는지, 그리고 왜 관련되는지 찾는데 집중함으로써 성찰을 지원한다. 

  • 상호작용을 PRI를 수집하는 과정 중 하나로 인식하고, 따라서 PRI는 사회적 상호작용을 통한 학습에 기여한다. 

  • PRI는 무슨 일이 일어났고 어떤 것이 학습과 관련이 있는지를 이해하는 것에 초점을 맞추고 있기 때문에 해롭거나 불리한 영향을 예방할 수 있다. 

  • 마지막으로, PRI는 직장에서 학습과 평가에 관한 우리 커뮤니티의 범위확장에 부합한다.

  • PRI supports reflection by focusing on seeking out which information is relevant to you and why. 

  • It recognizes interaction as one of the processes to gather PRI, thus contributing to learning through social interaction. 

  • PRI may prevent harmful or adverse effects as the focus is on making sense of what happened and what is relevant in terms of learning. 

  • Finally, PRI matches our communities’ broadening scope on learning and assessment in the workplace.



28 van den Eertwegh V, van der Vleuten C, Stalmeijer R, van Dalen J, Scherpbier A, van Dulmen S. Exploring residents’ communication learning process in the workplace: A five-phase model. PLoS One. 2015;10:e0125958.


21 Eva KW, Bordage G, Campbell C, et al. Towards a program of assessment for health professionals: From training into practice. Adv Health Sci Educ Theory Pract. 2016;21:897–913.





 2018 Apr;93(4):556-559. doi: 10.1097/ACM.0000000000001962.

Broadening the Scope of Feedback to Promote Its Relevance to Workplace Learning.

Author information

1
R.M. van der Leeuw is a postdoc researcher in medical education and elderly care medical resident, Department of Elderly Care Medicine, Gerion, VU University, Amsterdam, the Netherlands. P.W. Teunissen is professor of medical education, Maastricht University, Maastricht, the Netherlands, and gynecologist, VU University Medical Center, Amsterdam, the Netherlands. C.P.M. van der Vleuten is professor of education, Department of Educational Development and Research, Maastricht University, Maastricht, the Netherlands.

Abstract

The common goal in medical education is to support the health care workforce, both present and future, in becoming and remaining competent professionals. Both during and after medical training, learning takes place in the clinical workplace. Yet, how feedback is defined in medical education and how it is practiced in clinical training situations, combined with a research focus on "what works," limits its potential for learning. This article explores the theoretical background of learning in interaction and current trends in medical education to broaden the scope of feedback and promote its relevance to workplace learning.A new, wider perspective is outlined in which feedback could be redefined as "performance-relevant information" (PRI). PRI can incorporate all information that is deemed relevant to the learner, drawn from interaction in workplace learning and one's interpretation of performance in the clinical workplace. This information can, for example, come from the evaluation of patient outcomes after treatment; observations of role models' performance; evaluations and assessments; exploring feelings of failure or success; and responses of colleagues and peers.PRI draws attention to learning opportunities that better fit the highly social learning of clinical workplaces and current trends in medical education. It supports the interpretation of individual or team performance in terms of relevance to learning. This allows for a comprehensive way of viewing and stimulating workplace learning and the performance of professionals, providing an opportunity to create lifelong learning strategies and potentially improving the care of patients.

PMID:
 
29068817
 
DOI:
 
10.1097/ACM.0000000000001962


수용과 분투: 정체성, 암묵적 편향 인식, 관리(Acad Med, 2018)

Striving While Accepting: Exploring the Relationship Between Identity and Implicit Bias Recognition and Management

Javeed Sukhera, MD, DABPN, FRCPC, Michael Wodzinski, Pim W. Teunissen, MD, PhD,

Lorelei Lingard, PhD, and Chris Watling, MD, FRCPC, PhD




편견은 어디에나 있다. 

  • 명시적 편견은 의식적인 태도나 특정 그룹에 대한 의도적인 차별을 포함한다.1 

  • 대조적으로, 암묵적 편견은 그들의 인식 밖의 개인들에게 강력한 영향력을 행사하는 태도나 행동을 포함한다.2–4 이러한 암묵적인 편견은 불평등을 확대하고 환자와 보건 전문가 간의 신뢰를 감소시킴으로써 건강 불균형을 영속화할 수 있다.

Bias is everywhere. 

  • Explicit biases include conscious attitudes or intentional discrimination toward certain groups.1 

  • In contrast, implicit biases include attitudes or behaviors that exert a powerful influence over individuals outside their awareness.2–4 These implicit biases can perpetuate health disparities by widening inequities and decreasing trust between patients and health professionals.


이에 대응하여, 교육자들은 의료 서비스에 대한 암묵적 편견의 부작용을 완화하기 위해 잠재적인 개입을 연구하고 있다.9~16 이전의 연구는 편견이 어떻게 인식되는지, 그에 따른 긴장감이 발생한다는 것, 그리고 이것이 반성과 화해를 필요로 하는 과정을 촉발시킨다는 것을 밝혔다.

In response, educators are identifying potential interventions to mitigate the adverse impact of implicit bias on health care.9–16 Previous research describes how once biases are brought into awareness, there is an ensuing tension,14 which triggers a process that requires reflection and reconciliation.15–20


IAT(Implicated connection test)는 참가자들에게 단어를 연결하고 특정 개념 사이의 자동 연관성을 평가하도록 요청하는 온라인 응답 시간의 메트릭이다.18

implicit association test (IAT), is an online metric of response time that asks participants to associate words and assess automatic associations between certain concepts.18 


IAT는 응답 대기 시간을 측정하며, 암묵적 편견의 메트릭스로서 사용을 서포트하는 몇 가지 심리학적 특성을 보여주었다.18,21–27 IAT로부터 받은 피드백 정보는 수치나 죄책감과 같은 오래 지속되고 강력한 감정을 촉발할 수 있으며, 이런 감정을 마주칠 때마다 재협상renegotiation을 필요로 한다.

The IAT measures response latency and has demonstrated several psychometric properties that support its use as a metric of implicit bias.18,21–27 Feedback information from the IAT may trigger long-lasting and powerful emotions such as shame or guilt,28,29 which require renegotiation each time they are encountered.30–33


참여자들은 자신의 편견에 대한 피드백 정보를 조정reconcile하는데 애를 썼는데, 사실상 비현실적인 스스로의 열망적과 모순된다는 것을 발견했기 때문이다.19 우리의 초기 발견의 함축적 의미는 anti-bias 교육은 [의료 전문가들이 비현실적이고 완벽주의적인 기준을 고수하는] 문화 내에서 일어난다는 것이며, 이러한 기준은 정신적 고통과 자기 의심을 불러일으킨다.

Participants struggled to reconcile feedback information about their biases, as they found it inconsistent with an aspirational version of themselves that seemed unrealistic to achieve.19 The implications of our initial findings suggest that antibias education takes place within a culture where health professionals hold themselves to unrealistic and perfectionistic standards,34,35 which contributes to psychological distress and self-doubt.36


어떤 건강 전문가에게 있어서, 자신이 암묵적 편견을 가지고 있다는 것을 안다는 것은 자신의 이상적인 자기 표현과 일치하지 않을 것이다.

For any health professional, learning that they hold implicit biases is unlikely to align with their ideal self-representation.


정체성과 암묵적 편견 관리 사이의 관계를 탐구하기 위해, 우리는 정신 의학 레지던트와 교수진 사이의 신체적 또는 정신질환을 가진 개인들에 대한 암묵적 위험 편견을 탐구하기로 결정했다. 많은 정신 건강 전문가들은 destigmatization을 그들 역할의 일부로 보고 있기 때문에, 환자들에 대해 분명히 긍정적인 편견을 가지고 있는데, 이것은 그들의 암묵적인 편견과 항상 일치하지는 않는다.37–39 위험에 대한 명백한 태도와 암묵적인 편견 사이의 불일치는 발생할 때마다 처리되고 협상되어야 하는 개인 내에서 긴장을 야기할 수 있다.

To explore the relationship between identity and implicit bias management, we chose to explore implicit dangerousness biases toward individuals with physical or mental illness among psychiatry residents and faculty. Many mental health professionals view destigmatization as part of their role and therefore hold explicitly positive biases toward their patients, which do not always align with their implicit biases.37–39 This discrepancy between explicit attitudes and implicit biases about dangerousness may create tensions within an individual that must be processed and negotiated whenever they arise. 


방법

Method


In this study, we defined implicit bias as associations, attitudes, or beliefs that exist and enact their influence outside of an individual’s conscious awareness.


풍부한 그림은 복잡하거나 도전적인 상황의 개념화를 더 잘 이해하기 위해 건강 전문가 연구에 이전에 사용되어 왔다. 우리는 감정적으로 도전적인 상황이라고 생각되는 상황에 대한 더 깊은 탐사를 촉진하기 위해 시각적인 방법을 선택했다. 특히, 우리는 풍부한 그림이 암묵적 가정을 명시하는 것과 관련된 질적 인터뷰를 통해 어려움과 한계를 해결할 수 있기를 바랐다. 참가자들 중 한 명이 찍은 풍부한 그림의 예는 그림 1과 같다.

Rich pictures have been used previously in health professional research to better understand conceptualizations of complex or challenging situations.49,50 We chose a visual method to foster deeper exploration of what we believed was an emotionally challenging situation. In particular, we hoped that a rich picture might address difficulties and limitations with a qualitative interview related to making implicit assumptions explicit.49 An example of a rich picture by one of our participants is provided as Figure 1.



We used constructivist grounded theory to conduct our study as we worked on existing research to build theory toward a social process that is not well explained by an established theoretical construct.51–53 

  • Constructivism assumes that individuals construct their understanding and knowledge of the world through a cycle of experience, reflection, and action.54 

  • Once interviews were recorded and transcribed, coding and inductive analysis were conducted by a team consisting of J.S. and M.W. J.S. and M.W. met regularly, revising the discussion guide and ensuring that analysis was consistent with an effort to theoretically sample resident learners and faculty. 

  • Partway through the analysis, we found that several participants struggled with visual representations, so we chose to add visual prompts (Figure 2) to encourage reflection. Because of the limited number within our recruitment pool, we included full-time and part-time faculty and junior and senior resident learners. 

  • The first seven transcripts were transcribed and coded line-by-line by J.S. and M.W. Subsequent transcripts were coded line-by-line by J.S., who used constant comparative analysis and shifted toward focused consolidation of codes and analysis of relationship among themes. 

  • At regular intervals, analysis was shared and discussed with the team who worked toward the development of an explanatory theory and synthesized overall findings.



결과

Results


정체성 긴장을 인정하기

Acknowledging identity tensions


일단 그들이 그들의 암묵적인 편견에 대한 피드백을 제공받자, 대부분의 참여자들은 (그들의 경험을 통해) 자신의 정체성을 구획화하고 분류한다는 것을 인정했다. 정신병을 앓고 있는 환자들과 함께 일하는 것의 요구는 그들이 달성하기 불가능한 이상을 추구하기 위해 그들 자신에게 가하는 압력에 영향을 미치는 것처럼 보였다. 편견이 어떻게 조화를 이루느냐는 질문에 한 레지던트는 편견(R04)을 인식하고 관리하기 위해 개인적 정체성과 전문직업적 정체성을 (지속적으로 재보정해야 하는) "필터"를 가지고 어떻게 구분해 왔는지를 설명했다. 

Once they were provided feedback about their implicit biases, most of our participants acknowledged categorizing and compartmentalizing their identities as part of their experiences. The demands of working with patients with mental illness appeared to influence the pressure they place on themselves to strive for an ideal that was impossible to achieve. When asked how they reconcile bias, one resident described how they have compartmentalized personal and professional identities separated by a “filter” that they must constantly recalibrate to recognize and manage biases (R04). 


또 다른 레지던트는 자신의 개인적 정체성과 직업적 정체성의 차이를 묘사하기 위해 "산"을 그렸다. 또한 여러 참가자는 자신의 실제 모습을 묘사하기 위해 "클라우드"를 사용하거나 이상적 자아와 관련된 "햇볕"을 사용하는 날씨 은유를 설명했다(F02, R05, F06). 전반적으로, [참가자들은 차분하고, 자신감 있고, 편견이 없는 이상적인 직업 정체성]과 [자신의 개인적인 경험의 산물인 실제 정체성]을 대조했다.

Another resident drew a “mountain” to depict the divide between their personal and professional identities (R07). Several participants also described weather metaphors using “clouds” to describe their actual self or with “sunshine” related to their ideal self (F02, R05, F06). Overall, participants contrasted an idealized professional identity that was calm, confident, and unbiased with an actual identity that was vulnerable and a product of their personal experiences.


열망하는 전문직업적 자아는 노력할 가치가 있는 이상적인 존재로 여겨졌다. 일부 교수진은 편향되지 않도록 "압력"을 일으키는 전문적 정체성을 개발했다고 설명했다(F03; F10). 교수진의 한 참석자는 "판단적이지 않는 태도를 취하는 것이 내 임무의 일부라고 생각하며, 이것은 내가 직장에서 원하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태도를 집이나 회사 밖에서도 취하는 것은 이상적이다.(F07)"

The aspirational professional self was viewed as an ideal worth striving for. Some faculty described that they have developed a professional identity which contributes to “pressure” to not be biased (F03; F10). A faculty participant shared, “I feel like it’s part of my job to not be judgmental and that’s something I want at work … it’s an ideal, you know, at home or outside of work too” (F07),


한 레지던트는 레지던트 훈련(R01)에서 [직업적 정체성은 자신의 진정한 자아 발달발을 대체supercede하는 일종의 과장된 정체성]이라고 설명했다. 그 주민은 이렇게 말했다. "우리 모두는 편견을 가지고 있지만 전문직 종사자들은 편견을 가지고 있지 않은 것 같다. 내가 가진 편견이 무엇이든 간에, 나는 다소 줄이고 싶거나 적어도 그 편견을 인지하고자 한다 " (R01). 레지던트와 교수진 모두 이상화된 자아를 향한 노력과 관련된 과정이나 노력이 있었다는 것을 인정했다.

A resident described the professional identity as being a sort of superordinate identity that “supersedes” the development of their authentic self during residency training (R01). The resident went on to say: “I guess we all have bias but professionals do not have bias. Whatever biases I do have, I either want to kind of reduce or at the very least, be aware of ” (R01). Both resident and faculty participants acknowledged that there was a process or struggle associated with striving toward their idealized self.



수용하면서 분투하기

Striving while accepting


암묵적 편견이 어떻게 인식되고 관리될 수 있는지에 대해 숙고해 볼 것을 요청받았을 때, 참가자들은 두 가지 중요하고 뚜렷한 과정을 설명했다. 

    • 하나는 대부분의 참가자들의 정체성에 본질적인 자기 계발을 위해 끊임없이 노력하는 것이었다. 

    • 다른 하나는 자신의 결점과 인간성에 대한 점진적인 수용이었다. 대부분의 참여자들은, 성찰과 대화를 통해, 한 개인이 실제 자신을 받아들이면서 이상적인 자아에 도전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When asked to reflect on how implicit bias could be recognized and managed, participants described two salient but distinct processes. 

    • One was a constant striving for self-improvement that was intrinsic to most participants’ identity. 

    • The other was a gradual acceptance of their flaws and humanity. Most participants described that through reflection and dialogue, an individual could strive for an idealized self while accepting the actual.


일단 그들의 암묵적 편견이 IAT를 통해 드러났을 때, 몇몇 참가자들은 스스로에 대해 "끊임없이 질문하는 것"을 설명했는데, 이것은 그들이 암묵적 편견과 관련된 긴장을 어떻게 조정하는 데 핵심적인 역할을 하는 지속적인 반사와 행동의 과정을 암시했다. 레지던트는 이 과정을 "매일" 점검하는 것으로 묘사했고, 교수진 참가자들은 이 과정을 "항상 경계를 늦추지 말아야 하는 여정"이라고 설명했다(F06). 한 레지던트는 이 과정을 "자기 개선" (R03)으로 묘사했고, 교수 참가자들은 "자기 연민"이라고 묘사했다.

Once their implicit biases were revealed through the IAT, Several participants described the “constant questioning” of themselves (F03) suggesting an ongoing process of reflection and action that was central to how they reconciled tensions related to implicit bias (F09). A resident described this process as checking themselves “on a daily basis” (R10), while a faculty participant described the process as “a journey” that required “being constantly vigilant” (F06). One resident described the process as working toward “self-betterment” (R03), while a faculty participant described “self- compassion” (F05).


개선을 위해 노력하는 것 외에도, 대부분의 참가자들은 그들 자신의 편견을 점진적으로 수용하게 되었다고 설명했다. 한 레지던트는 자신의 편견에 대해 "더 인식"하면서 "해체dissipate하지 않을 것"(R01)이라고 말하였다.

In addition to striving for betterment, most participants described a gradual acceptance of their own biases. One resident described working to be “more aware” of their biases while accepting that they would not “dissipate” (R01), while another resident stated:


어떻게 그들이 수용을 위해 균형을 잡았는지에 대한 참가자들의 서술에는 차이가 있었다. 일부는 자기 계발 필요성을 강조했고, 일부는 수용을 강조했으며, 또 어떤 사람은 [자신들은 이미 다른 이들이 추구하는 것에 도달했다]고 말했다. 한 참석자는 "완벽한 통찰력"에 근접했다고 말했고, "나는 내가 누군지 꽤 잘 알고 있고, 모든 편견과 모든 것을 가지고 있어, 나는 이것에 대해 알고 있다" (F10). 비록 이 사람은 그들이 다른 사람들이 추구하는 것에 거의 도달했다고 느꼈지만, 그들은 계속해서 노력하는 것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There was variation in participants’ description of how they balanced striving with accepting. Some emphasized the need to self-improve, some emphasized acceptance, and one suggested that they had already reached what others strive for. One participant described that they had close to “full insight” and stated, “I pretty much know who I am, and with all the biases and everything, I am aware of this” (F10). Although this individual felt they had come close to reaching what others strive for, they continued to emphasize the need to keep striving. Another faculty participant offered an alternative perspective, stating that they reconcile tensions by



관계의 역할

The role of relationships


대부분의 참여자들은 관계를 통해 정체성의 긴장을 조정했다. - 암묵적 편견은 혼자서는 관리할 수 없음을 강조했다. 몇몇 교수진들은 긴장을 조정하기 위해 다른 사람들과의 공유를 어떻게 중시하는지 설명했다.

Most participants reconciled identity tensions through relationships— emphasizing that implicit bias cannot be managed alone. Several faculty described how they valued sharing with others to reconcile their tensions.


교직원과 레지던트들은 교사와 학습자 사이의 관계를 통해 어떻게 reconcilation를 이룰 수 있는지에 대한 설명에서 차이를 보였다. 

    • 대부분의 교수진 참가자들은 자신들을 "롤모델"이라고 표현했고, 

    • 대부분의 레지던트들은 교수 멘토의 지침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예를 들어, 그들이 어떻게 편견을 조화시키는지를 설명할 때, "지속적으로 내성적이고 명상".

Faculty and residents differed in their description of how reconciliation is achieved through the relationships between teachers and learners. Most faculty participants described themselves as “role models” (F02, F03, F05, F06, F08, F10, F11), while most residents emphasized the need for guidance from faculty mentors. For example, when describing how they reconcile biases by “constantly introspecting and meditating,”


대부분의 레지던트들이 암묵적 편견을 인식하고 관리하는 데 있어 교수진의 potential을 언급했지만, 교수진이 이러한 노력을 지원할 수 있는지에 대해서는 의견이 엇갈렸다.

While most residents mentioned the potential of faculty mentors in helping them to recognize and manage implicit biases, there were variable responses on whether faculty could support these efforts.


레지던트들은 또한 멘토들이 안전의 맥락에서 명확성과 확신을 가져올 수 있을 뿐이라고 언급했다. 한 레지던트는 교수 멘토마다 variation이 커서 예측 불가능하다(R01)라는 인식이 지속됐고, 또 다른 레지던트는 편견에 대한 성찰을 장려한 교직원의 수가 "소수"에 불과했으며레지던트들이 "외부적 조언을 구하도록" 권장된 편견에 대해 교수들이 "공식화된 교육"을 충분히 받았는지 의문을 제기했다. 이 프로세스"(R04) 이용 가능한 지침의 부재는 거주자 참여자에 의해 암묵적 편견을 해결하기 위한 장벽으로 명확히 식별되었다.

Residents also noted that mentors could only bring clarity and reassurance within the context of safety. One resident stated that variation in faculty mentors led to a constant sense of “unpredictability” (R01), while another mentioned that there were only “few” faculty preceptors that encouraged reflecting on biases and questioned whether faculty received enough “formalized training” on biases which motivated the resident to “seek external advice on this process” (R04). The lack of available guidance was clearly identified by resident participants as a barrier to addressing implicit biases


교직원들이 스스로를 역할 모델로 보았지만, 레지던트들은 또한 일부 교직원의 availability 문제를 제기했고, 암묵적인 편견을 어떻게 다뤄야 하는지를 롤모델하는 일부 교수의 성찰적 능력에도 문제가 있다고 제안했다. 또 다른 레지던트는 교사의 인성(인간성)을 받아들여 서로 sympathize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점을 강조했다.

Although faculty viewed themselves as role models, residents also suggested that there were issues limiting the availability and reflective capacity of some faculty to effectively role model how to address implicit biases. Another resident accepted the “humanity” of their teachers, emphasizing the importance of “sympathizing” with each other (R02).


고찰

Discussion


어떻게 정신과의사가 이상을위하 분투하는가

How psychiatrists describe striving for the ideal


수용과 분투는 어려운 일이다.

Striving while accepting is challenging within health professions education


보건 전문가 학습자는 롤모델의 영향력과 커리큘럼의 공식 및 비공식 요소를 통한 경험으로부터 점차 사회화된다.62 의료전문가가 기대에 부응하지 못하는 경험을 하게 될 경우, 불충분함inadequacy과 충동증후군imposter syndrome 36,66에 직면할 수 있다.

The health professional learner is gradually socialized through their experiences,24,25,59 the influence of role models,60,61 and the formal and informal elements of their curriculum.62 When health professionals face experiences that suggest they are not living up to expectations, they may face feelings of inadequacy63–65 and imposter syndrome.36,66


[높은 성취와 완벽주의를 보상하고 장려하는 문화]에서 학습자가 [자신의 암묵적인 편견을 관리하려고 끊임없이 노력하다보면] 심리적 고통을 받을 가능성을 가지고 있다. 노력하더라도 부정적인 결과를 가져올 수 있기 때문이다. 우리가 accepting에 대해 아는 것은 무엇인가?

Constantly striving to manage one’s implicit biases within a culture that rewards and incentivizes high achievement and perfectionism66,67 has the potential to produce psychological distress for learners. Since striving on its own may have negative consequences, what do we know about accepting?


Acceptance를 촉진하는 것은 현재 "struggling고투" 학습자의 맥락 또는 피드백 문서에 설명되어 있다.68-70 Teal과 동료 14는 [암묵적 편견의 거부]에서 [점진적 수용]에 이르는 발달 궤적을 촉진하기 위해 인지 전략이 필요하다고 제안한다. 우리의 연구는 앞선 연구를 확장하여, 보건 직업 교육의 연속체에서 acceptance를 촉진하는 것의 중요함을 강조한다.

Facilitated acceptance is currently described either in the context of the “struggling” learner or in the feedback literature.68–70 Teal and colleagues14 suggest that cognitive strategies are required to facilitate a developmental trajectory from denial of implicit bias to gradual acceptance. Our study extends previous research to emphasize the importance of fostering acceptance throughout the continuum of health professions education.


우리의 이전 연구는 [암묵적 편견에 대한 피드백이 어떻게 건강 전문가 정체성과 관련된 긴장을 유발하는지]를 강조했지만, 이번 결과는 [겉으로 보기에 서로 반대되는 과정들 사이의 균형을 용이하게 하는 인지 전략이 암묵적 편견을 인식하고 관리하는데 필수적이라는 것을 암시]한다. 우리는 또한 이 과정이 관계를 통해 촉진될 수 있다는 것을 배웠다.

While our previous research highlighted how feedback about implicit bias triggers tensions related to health professional identity, our findings build on previous theory to suggest that cognitive strategies that facilitate balance between seemingly opposite processes are integral to recognizing and managing implicit biases. We also learned that this process can be facilitated through relationships.


교수와 학습자의 reconciling은 서로 다르다.

Reconciling through relationships is different for faculty and learners


  • 레지던트들은 필사적으로 편견 관리에 대한 지침을 원했고, 그것을 제공해줄 수 있는 교수진의 잠재력을 보았지만, 너무나 자주 이러한 가능성은 실현되지 않는다. 

  • 교수진들은 자신들의 어려움을 파악하고 있으며, 자신들을 역할 모델로 생각하기도 하지만, 그들은 대부분의 학습자들에게 충분히 설득력이 있을 만큼 자신의 편견을 인식하거나 관리하지 못하고 있다.

  • Residents desperately wanted guidance on bias management and saw potential in their faculty mentors to provide it, but this potential is too often unrealized. 

  • While faculty may identify their own struggles and see themselves as role models, they are not recognizing and managing their biases convincingly enough for many of their learners.


함의

Implications


자신의 단점 수용에 대한 촉진된 성찰을 통해 균형을 이룬다면, [이상적인 전문적 자아를 위해 노력하는 개인의 욕망]을 이용함으로써 암묵적 편견 인식과 관련된 실천적 변화를 촉진할 수 있다.

Leveraging an individual’s desire to strive for an idealized professional self may facilitate practice changes related to implicit bias recognition if balanced through facilitated reflection on accepting one’s shortcomings.


Limitations


결론

Conclusions


보건 전문가 교육 내에서 암묵적 편견에 대한 논의는 정체성의 긴장을 유발한다. [개별적 단점을 수용]하는 동시에 [자기 개선을 위해 노력하는 것]은 그러한 긴장을 성공적으로 조정하고 암묵적 편견을 관리하기 위한 모델을 제공할 수 있다. [수용과 동시에 개선을 위해 노력]하는 개념을 만드는 것은 교사와 학습자 사이의 정직하고 진정한 관계를 필요로 할 수 있다.

Discussions about implicit bias within health professional education trigger identity tensions, and striving for self- improvement while accepting individual shortcomings may provide a model for successfully reconciling such tensions and managing implicit biases. Enacting the concept of striving while accepting may require honest and authentic relationships between teachers and learners.



29 Bynum WE 4th, Artino AR Jr. Who am I, and who do I strive to be? Applying a theory of self-conscious emotions to medical education. Acad Med. 2018;93:874–880.


13 Sukhera J, Watling C. A framework for integrating implicit bias recognition into health professions education. Acad Med. 2018;93:35–40.


32 Cruess RL, Cruess SR, Boudreau JD, Snell L, Steinert Y. A schematic representation of the professional identity formation and socialization of medical students and residents: A guide for medical educators. Acad Med. 2015;90:718–725.


68 Bynum WE 4th. Filling the feedback gap: The unrecognised roles of shame and guilt in the feedback cycle. Med Educ. 2015;49:644–647.


55 Hennink MM, Kaiser BN, Marconi VC. Code saturation versus meaning saturation: How many interviews are enough? Qual Health Res. 2017;27:591–608.


57 O’Reilly M, Parker N. “Unsatisfactory saturation”: A critical exploration of the notion of saturated sample sizes in qualitative research. Qual Res. 2013;13(2):190–197.









 2018 Nov;93(11S Association of American Medical Colleges Learn Serve Lead: Proceedings of the 57th Annual Research in Medical Education Sessions):S82-S88. doi: 10.1097/ACM.0000000000002382.

Striving While AcceptingExploring the Relationship Between Identity and Implicit BiasRecognition and Management.

Author information

1
J. Sukhera is assistant professor in psychiatry and paediatrics, Schulich School of Medicine and Dentistry, Western University, London, Ontario, Canada, and a PhD candidate in health professions education, Maastricht University, Maastricht, the Netherlands. M. Wodzinski is an MD candidate, Schulich School of Medicine and Dentistry, Western University, London, Ontario, Canada. P.W. Teunissen is professor of workplace learning in healthcare, Faculty of Health Medicine and Life Sciences, Maastricht University, and gynecologist, Department of Obstetrics and Gynecology, VU University Medical Center, Amsterdam, the Netherlands. L. Lingard is professor, Department of Medicine, and director, Centre for Education Research and Innovation, Schulich School of Medicine and Dentistry, Western University, London, Ontario, Canada. C. Watling is professor and associate dean for postgraduate medical education, Schulich School of Medicine and Dentistry, Western University, and scientist, Centre for Education Research and Innovation, London, Ontario, Canada.

Abstract

PURPOSE:

Implicit biases worsen outcomes for underserved and marginalized populations. Once health professionals are made aware of their implicit biases, a process ensues where they must reconcile this information with their personal and professional identities. The authors sought to explore how identity influences the process of implicit bias recognition and management.

METHOD:

Using constructivist grounded theory, the authors recruited 11 faculty and 10 resident participants working at an academic health science center in Canada. Interviews took place from June to October 2017. Participants took an online version of the mental illness implicitassociation test (IAT) which provides users with their degree of implicit dangerousness bias toward individuals with either physical or mental illness. Once they completed the IAT, participants were invited to draw a rich picture and interviewed about their picture and experience of taking their IAT. Data were analyzed using constant comparative procedures to develop focused codes and work toward the development of a deeper understanding of relationships among themes.

RESULTS:

Once implicit biases were brought into conscious awareness, participants acknowledged vulnerabilities which provoked tension between their personal and professional identities. Participants suggested that they reconcile these tensions through a process described as striving for the ideal while accepting the actual. Relationships were central to the process; however, residents and faculty viewed the role of relationships differently.

CONCLUSIONS:

Striving for self-improvement while accepting individual shortcomings may provide a model for addressing implicit biasamong health professionals, and relational dynamics appear to influence the process of recognizing and managing biases.

PMID:
 
30365434
 
DOI:
 
10.1097/ACM.0000000000002382


의과대학 초반에 프로페셔널리즘 가르치기: 질적 연구(Med Educ, 2007)

Teaching professionalism in the early years of a medical curriculum: a qualitative study

John Goldie, Al Dowie, Phil Cotton & Jillian Morrison




도입

INTRODUCTION


글래스고 대학은 2003년 10월에 직업 연구 과정의 일환으로 프로페셔널리즘 주제를 도입하였다.

Glasgow University introduced a professionalism theme as part of its Vocational Studies (VS) course in October 2003.


이 가르침의 목적은 그림 1.에 나와 있다. 학생들의 학습의 주요 구성요소는 1, 2학년도의 전문 및 개인 개발 포트폴리오(PPD)의 생산이다. 각 포트폴리오들은 VS 튜터들에 의해 종합적으로 평가된다. 학생이 포트폴리오를 완성하지 못하면 학업성적에 들어간다.

The aims of this teaching are shown in Fig. 1. A major component of students’ learning is the production of professional and personal development (PPD) portfolios in Years 1 and 2, the individual components of which are shown in Fig. 2. The portfolios are summatively assessed by VS tutors. If a student fails to complete his or her portfolio, this is entered into his or her academic record.




방법

METHODS


A qualitative approach was adopted. Semi-structured, 1-to-1 interviews, following the agenda outlined in Fig. 3, were conducted over the 2005 summer recess


The findings were analysed by 1 of the researchers (JG) using a grid analysis after Knodel.21 The responses were then coded and a group-to-group validation applied.22 The analysis of the data was independently crosschecked by 1 of the other researchers (PC). The findings were reviewed by the other 2 investigators (AD, JM) and agreement reached on the interpretation of the data.




결과

RESULTS


핵심 주제는 그림 4와 같다.

The key themes emerging from the data are shown in Fig. 4.



프로페셔널리즘의 본질

The nature of professionalism


전문성은 의료 전문가의 행동과 외모와 관련이 있다고 여겨졌다.

Professionalism was considered to relate to medical professionals’ behaviour and appearance.


교육의 영향

Impact of teaching


커리큘럼에 전문직업성이 공식적으로 존재함에 따라 학습이 명확히 되었고, 더 이상 삼투 과정을 통해 이루어지는 일이 없도록 보장되었다.

The formal presence of professionalism in the curriculum made learning explicit and ensured it was no longer left to occur through a process of osmosis,


효과적인 학습 방법

Effective learning methods


비판적 성찰을 조장하는 학습 활동이 가장 효과적인 것으로 밝혀졌다.

Learning activities that promoted critical reflection were found to be the most effective.


소그룹 교육

Small-group teaching



교과과정의 초기에 소규모 그룹 교육은 학생들의 발전에 중요한 것으로 여겨졌다. 학생들은 일년 내내 같은 튜터들과 함께 같은 그룹에 있는 VS의 연속성을 높이 평가했는데, 토론, 다른 관점들의 방송, 비판적 성찰을 장려하는 안전한 환경을 조성해주었기 때문이다. 교사들은 그룹 프로세스의 관리를 가장 중요한 과제로 간주했다.

Small-group teaching in the early years of the curriculum was considered important to students’ development. Students valued the continuity in VS of being in the same group, with the same tutor, throughout the year as it promoted a safe environment which encouraged discussion, the airing of different perspectives and critical reflection. Tutors considered the management of the group process to be among their most important tasks.


교육과정 통합

Curriculum integration


다른 VS 도메인에서 가르치는 것은 전문성을 배우는 데 필수적인 것으로 여겨졌다. VS 기간 동안 통합의 효과의 중심에는 일년 내내 동일한 튜터가 있었다.

Teaching in other VS domains was considered integral to learning professionalism. Central to the effectiveness of integration during VS was having the same tutor lead the sessions throughout the year.


성찰 과정에서 핵심 요소는 동료에 대한 "건설적인 비판"의 분위기를 조성하는 튜터들에 의한 디브리핑였다. 이는 부정적인 경험의 영향을 상쇄하는 데 도움이 되었다.

A key element in the reflective process was debriefing by tutors, during which a climate of constructive criticism of colleagues was fostered. This helped counteract the effects of negative experiences:


교사들은 학생들이 VS보다 PBL을 더 높게 평가한다고 느꼈다. 확인된 요인 중 하나는 학생들의 시험 방향이었다.

Tutors felt that students valued PBL more highly than VS. One of the factors identified was students’ examination orientation:


그들은 항상 나에게 무엇을 알아야 하는지 물어본다.그들은 내가 의사가 되기 위해 알아야 할 것이 아니라 시험에 합격하기 위해 알아야 할 것에 대해 생각하는 경향이 있다.' (Tutor G)

They re always asking me what they need to know…They tend to think about what they need to know to pass their exams, not what do I need to know to be a doctor.’ (Tutor G)


포트폴리오와 평가

Portfolio and its assessment


비록 학생들은 포트폴리오가 완성되기 전까지는 종종 학습 도구로서의 중요성을 인식하지 못했지만, 학생과 강사 모두 포트폴리오를 학습 도구 및 평가 방법으로 보았다.

Both students and tutors viewed the portfolio as both a learning tool and a method of assessment, although the students often didn’t appreciate its importance as a learning tool until its completion.


포트폴리오는 성찰을 촉진함에 따라 유용한 학습 도구로 여겨졌다.

The portfolio was considered to be a useful learning tool as it promoted reflection.


교사들은 많은 학생들이 마지막 순간까지 포트폴리오의 생산을 미뤘다고 지적했다.

Tutors noted that many students left the production of the portfolio until the last minute.


포트폴리오 평가 과정은 비효율적인 것으로 간주되었다. 강사들은 피드백에 이용 가능한 시간 측면에서 부족한 자원을 느꼈고, 1:1의 피드백을 제공하기를 원했을 것이다. 교사들은 학생들이 최종 시험 성적에 기여한 학과 공부만큼 포트폴리오를 높이 평가하지 않는다고 생각했다. 강사들과 학생들은 포트폴리오가 결과보다는 프로세스에 초점을 맞추고 참조하는 기준을 사용하여 공식적으로 평가되어야 한다고 생각했다.

The portfolio assessment process was viewed as being ineffective. Tutors felt under-resourced in terms of time available for feedback and would have liked to provide 1-to-1 feedback. Tutors felt students did not value the portfolios as highly as coursework that contributed to their final examination marks. Tutors and students felt the portfolios should be formally assessed using criterion referencing and focusing on process rather than outcome.



잠재 교육과정의 영향

The influence of the hidden curriculum


롤 모델의 영향은 긍정적이든 부정적이든 지속적으로 숨겨진 커리큘럼의 주요 구성요소로 언급되었다.

The influence of role models, both positive and negative, was consistently mentioned as a major component of the hidden curriculum:


일부 2년차 VS 강사들은 전문직업성 교육보다 임상 기술을 중요시하는 것으로 보였다. 학생들에게 이러한 태도가 전달되었다는 증거가 있었다.

Some Year 2 VS tutors, from their responses, appeared to value clinical skills over professionalism teaching. There was evidence of the transmission of these attitudes to students:


또한 교과과정에 더 관여하고 있는 학생들에 의해 전송되는 포트폴리오에 대해 부정적인 태도를 보인 증거도 있었다.

There was also evidence of negative attitudes towards the portfolio transmitted by students who were further on in the curriculum.


교육과정 후반부의 주제 발달

Development of the theme in the later years of the curriculum


학생들이 증가하는 임상적 노출 동안 그들의 전문직업성을 계속해서 비판적으로 성찰해야 할 필요성에 대해 의견이 일치했다. 학생들은 VS 초창기에 배운 것을 적용할 것을 예상envisage했다.

There was consensus on the necessity for students to continue to critically reflect on their professionalism during their increasing clinical exposure. Students envisaged applying what they learned in the early years of VS:


고찰

DISCUSSION


교과 과정의 초기 몇 년은 학생들에게 그들의 미래의 역할을 모방할 경험, 성찰의 기회, 그리고 이러한 경험을 관리하는데 필요한 기술의 리허설을 제공한다. 또한 자신의 경험과 학습의 결과에 대해 책임을 지도록 장려한다.

The early years of the curriculum provide students with experiences that mimic their future roles, opportunities for reflection, and rehearsal of the skills involved in managing these experiences. It also encourages them to take responsibility for the outcomes of both their experiences and their learning.


연구결과는 초기 임상 접촉의 중요성에 대한 추가적인 경험적 증거를 제공한다. 학생들은 이러한 접촉에 의해 동기 부여를 받았고, 이것은 그들의 학습을 상황 파악 및 통합하고 그들의 사회화를 profession of medicine로 승격시켰다.

The findings provide further empirical evidence of the importance of early clinical contact.27 Students were motivated by these contacts, which helped contextualise and integrate their learning and promoted their socialisation into the profession of medicine.


합법적인 주변부 실천은 학습자의 활동의 기초와 동기 역할을 하는 역할 모델을 제공한다.28 학생들은 긍정적이고 부정적인 역할 모델들과 그 특성들을 확인할 수 있었고, 튜터의 도움으로 그들의 영향에 대해 비판적으로 성찰할 수 있었다.

Legitimate peripheral practice provides role models that serve as the basis and motivation for the learner’s activity.28 The students were able to identify positive and negative role models, and their characteristics, and to critically reflect, with the assistance of their tutors, on their influence.


일부 개인 지도자와 PBL 촉진자들은 과학적 지식과 전통적인 임상 기술의 숙달성을 높이 평가하면서 논리적인 접근법에 철학적으로 집착한다는 증거가 있었다. 이러한 태도의 전달은 전문직으로서의 학생의 발전에 해롭다.

there was evidence that some tutors and PBL facilitators remained philosophically attached to the logico-rational approach, valuing  scientific  knowledge and the mastery of traditional clinical skills above other types. The transmission of these attitudes, together with the lack of formal assessment of professionalism, is detrimental to their development as professionals.


학습자는 실천공동체에 참여함으로써 커뮤니티와 관련된 정체성을 개발한다. 학습과 정체성이 함께 형성되며, 롤모델은 두 가지 측면에 모두 강력하게 기여할 수 있다.28 Bandura30은 사람과 행동과 환경 사이의 지속적이고 역동적이며 호혜적인 상호 작용에서 발생하는 학습을 설명한다. 그의 중요한 개념 중 하나는 대리 학습vicarious learning이다. 롤모델의 행동을 관찰함으로써, 학생들은 (그들 자신의 목표와 경험 그리고 환경에 존재하는 보상을 고려하여) 롤모델에게 성공적으로 보이는 행동과 방법을 배운다.30 임상 실습의 역동적인 환경에서, 학생들은 임상교수들의 행동을 관찰함으로써 배울 많은 기회를 가질 것이다. 

By participating in the practices of the community, learners develop identity in relation to it. Learning and identity form together and role models can contribute powerfully to both aspects of formation.28 Bandura30 describes learning occurring in a milieu of constant, dynamic, reciprocal interaction among people, their behaviour and the environment. One of his important concepts is that of vicarious learning. Through observations of role models’ actions, students learn behaviours and ways of being that look successful to them in the light of their own goals and experience and the rewards present in the environment.30 In the dynamic environment of clinical practice, students will have many opportunities to learn from observing the behaviours of clinical staff.


전문직업성은 평가될 수 있고 반드시 평가되어야 한다.13,18 이것은 평가가 학생들의 커리큘럼 내용에 대한 가치를 결정하는 문화에서 특히 중요하다.

Professionalism can and must be assessed.13,18 This is particularly important in a culture where assessment determines the value placed on curriculum content by students.


Implications for the course


교육방법과 임상경험은 전문직업성 발달에 필수적인 성찰을 촉진시켰다. 하지만 교사들과 역할 모델들 사이의 부정적인 태도와 행동은 학생들의 발전을 방해할 수 있고, 다루어져야 한다.

The teaching methods and clinical experiences provided promote reflection, which is integral to professional development. However, negative attitudes and behaviours among teachers and role models can inhibit students’ development and should be addressed.









 2007 Jun;41(6):610-7.

Teaching professionalism in the early years of a medical curriculum: a qualitative study.

Author information

1
Section of General Practice and Primary Care, University of Glasgow, Glasgow, UK. johngoldie@fsmail.net

Abstract

CONTEXT:

Despite the growing literature on professionalism in undergraduate medical curricula, few studies have examined its delivery.

OBJECTIVES:

This study investigated tutors' and students' perspectives of the delivery of professionalism in the early years of Glasgow's learner-centred, problem-based learning (PBL), integrated medical curriculum.

METHODS:

qualitative approach was adopted involving semistructured interviews, on a 1 in 6 sample of tutors involved in teaching in the early curricular years, and 3 student focus groups. The findings were subjected to between-method triangulation.

RESULTS:

Involvement in teaching raised students' and tutors' awareness of their professionalism. Learning activities promoting critical reflection were most effective. The integration of professionalism across the domains of Vocational Studies (VS) was important for learning; however, it was not well integrated with the PBL core. Integration was promoted by having the same tutor present throughout all VS sessions. Early patient contact experiences were found to be particularly important. The hidden curriculum provided both opportunities for, and threats to, learning. The small-group format provided a suitable environment for the examination of pre-existing perspectives. The portfolio was an effective learning tool, although its assessment should be formalised.

CONCLUSIONS:

Reflection is integral to professional development. Early clinical contact is an important part of the process of socialisation, as it allows students to enter the community of practice that is the medical profession. Role models can contribute powerfully to students' learning and identity formation. As students move towards fuller participation, the clinical milieu should be controlled to maximise the influence of role models, and opportunities for guided reflection should be sustained.

PMID:
 
17518842
 
DOI:
 
10.1111/j.1365-2923.2007.02772.x
[Indexed for MEDLINE]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