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학교육에서 성찰의 활용: AMEE Guide No. 44 (Med Teach, 2009)
The use of reflection in medical education: AMEE Guide No. 44
JOHN SANDARS
The University of Leeds, UK
도입
Introduction
'Reflection'이라는 단어는 물리학에서 교육까지 다양한 문맥에서 널리 쓰이지만, 모두 라틴어의 기원에 충실하다. '굽히기' 또는 '뒤돌아오기'
The word ‘reflection’ is widely used in a variety of different contexts, from physics to education, but all remain true to its Latin origins: ‘to bend’ or ‘to turn back’.
이러한 필수적 영역를 포함하는 '성찰'에 대한 몇 가지 정의가 있다(Box 1).
There are several definitions of ‘reflection’ that include these essential dimensions (Box 1).
성찰의 과정은 계획, 수행 및 검토의 세 가지 요소를 포함하는 단순한 3단계 모델로 요약할 수 있다(그림 1).
The process of reflection can be summarised as a simple three-stage model that involves three components: planning, doing and review (Figure 1).
성찰은 [성찰적 학습]과 [성찰적 실천]의 필수적인 요소다.
성찰적 학습은 학습 향상을 위한 의도를 가지고 있으며,
성찰적 학습이 전문직업적 실천에서의 "정의되지 않은 문제"라는 맥락에서 이루어질 때, 그것을 [성찰적 실천]이라고 부른다.
Reflection is an essential component of reflective learning and reflective practice. Reflective learning has the intention of improving learning and when this happens in the context of working with the ill-defined problems of professional practice it is often called reflective practice.
성찰의 정의는 광범위하게 제안된다.
A wider definition of reflection is proposed
성찰은 [자신과 상황에 대한 더 큰 이해를 발전시키기 위한 목적으로], [미래의 encounter가 이전의 encounter로부터] [정보를 얻게informed] 할 수 있도록, [상황 전, 중, 후]에 일어나는 [메타인지적 과정]이다.
Reflection is a metacognitive process that occurs before, during and after situations with the purpose of developing greater understanding of both the self and the situation so that future encounters with the situation are informed from previous encounters.
메타인지적 과정은 효과적인 성찰을 위해서는 '생각에 대한 생각'이 필수적이라는 것을 암시한다. 메타인지란 인지 과정을 선택, 모니터링 및 평가하는 자기 조절적 과정이다(Flavell 1979). 이 경우 성찰은 인지적 과정이다. 메타인지라는 개념은 [성찰은 통제할 수 있는 과정]이며, [성찰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다양한 훈련 전략을 개발할 수 있다]는 점을 강조하기 때문에 중요하다.
A metacognitive process suggests that metacognition, or ‘thinking about thinking’, is essential for effective reflection. Metacognition is a self-regulatory process that selects, monitors and evaluates a cognitive process (Flavell 1979). In this case, the cognitive process is the approach to reflection. This concept is important since it highlights that reflection is a process that can be controlled and it also allows various training strategies to be developed so that reflection can be enhanced.
성찰는 encounter의 모든 단계에서 발생할 수 있다. 즉, 경험의 전, 중, 후. 종종 성찰은 사건이 진행되는 중 또는 상황종료 후에만 수행되지만, 행동 전 성찰은 도전할 수 있는 특정 학습 목표나 인식을 가진 상황에 접근하는 이점이 있다.
Reflection can occur at all stages of an encounter: before, during and after. Often reflection is only performed after an event or situation but reflection before an action has the advantage of approaching situations with a particular learning goal or perception that can be challenged.
[자기 자신과 상황에 대한 이해]는 단순히 특정 임상 procedure를 수행하는 방법처럼 [새로운 지식과 기술의 습득]을 확인하는 것보다 평생 학습에 더 큰 영향을 미친다.
Understanding of both the self and the situation has a wider impact on lifelong learning than simply identifying the acquisition of new knowledge and skills, such as how to perform a particular clinical procedure.
미래의 행동에 informing하는 것은 성찰이 명확한 목적을 가진 과정이라는 것을 암시한다. 상황을 이해하는 것은 이러한 통찰이 상황에 대한 미래의 반응을 바꾸지 않는 한 관행을 개선시키지 않을 것이다.
Informing future action suggests that reflection is a process with a definite purpose. Making sense of a situation will not improve practice unless these insights can change future responses to situations.
국제 의학교육에서 성찰의 중요성
Importance of the topic in international medical education
성찰의 개념은 의학 학부, 대학원, 그리고 지속적인 의학 교육을 위해 기대성과에 대한 다양한 국내 및 국제 statement에 enshrined 있다.
The concept of reflection has become enshrined within the plethora of various national and international statements of the desired outcomes for medical undergraduate, postgraduate and continuing medical education.
가이드의 목적
Aim/objectives of the guide
의학교육에서 성찰의 핵심적 접근법
The main approaches to reflection in medical education
1. 배움을 위한 성찰
1. Reflection for learning
경험 학습은 경험을 함으로서 학습이 이루어지는 과정이다. 그러나 경험만으로는 학습하기에 충분하지 않다. 경험을 해석하고 기존 지식 구조에 통합하여 새로운 지식 또는 확장된 지식이 되어야 한다. 성찰은 이러한 적극적인 배움의 과정에 중요하다.
Experiential learning is a process by which learning occurs by having an experience. However, experience alone is not sufficient for learning to occur. The experience must be interpreted and integrated into existing knowledge structures to become new or expanded knowledge. Reflection is crucial for this active process of learning.
널리 인용되는 '경험적 학습 주기' 접근법은 4가지 주요 단계를 가지고 있다(그림 2 (Kolb 1984).
첫 번째 단계에서 학습자는 경험이 있다.
두 번째 성찰 단계가 이어지고
이는 '추상적 개념화'의 세 번째 단계로 이어진다. 세 번째 단계는 학습자가 경험에 대한 자신의 행동이나 반응을 이해하려고 시도하는 시간이다.
새로운 지식과 기술의 적용은 4단계에서 일어난다.
The widely quoted ‘experiential learning cycle’ approach has four main phases (Figure 2) (Kolb 1984). In the first phase, the learner has an experience. A second phase of reflection follows and this leads to a third phase of ‘abstract conceptualisation’. This is a time when the learner makes attempts to understand their actions or reactions to the experience. Application of the new knowledge and skills occurs in the fourth phase.
2. 치료적 관계를 위한 성찰
2. Reflection to develop a therapeutic relationship
'좋은' 임상의가 되려면 적절한 지식과 기술을 갖추어야 하지만, 이와 더불어 환자 및 보호자와의 치료적 관계를 수립하고 유지해야 한다(Freshater 2002).
Being a ‘good’ clinician requires having appropriate knowledge and skills but there is also a need to establish and maintain a therapeutic relationship with patients and their carers (Freshwater 2002).
치료적 관계의 필수적인 측면은 (임상의든 환자든) 관계된 개개인의 신념과 가치 시스템의 인식과 이해다. 이러한 (신념과 가치) 시스템에는 사람마다 차이가 있을 수 있으며, 이는 임상의사에게 강한 감정적 반응을 일으킬 수 있으며, 이는 다시 그들의 의사결정과 후속 행동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An essential aspect of the therapeutic relationship is the recognition and understanding of the personal belief and value systems of the involved individuals, whether clinician or patient. There may be differences between these systems and this can produce a strong emotional reaction in the clinician, which in turn can influence their decision making and subsequent actions.
3. 전문직업적 실천을 위한 성찰
3. Reflection to develop professional practice
임상의사는 복잡하고 제대로 정의되지 않은 다양한 상황에 대응해야 하는 경우가 많다. 이러한 전문적 실무의 '질서'는 전문지식의 핵심이다. 전문직업적 전문가들은 이러한 복잡한 상황에 적합한 결정을 신속하게 내리는 것으로 보인다.
Clinicians often have to respond to a wide variety of situations that are complex and poorly defined. This ‘messiness’ of professional practice is at the heart of professional expertise (Schon 1983). Expert professionals appear to quickly make decisions that are appropriate to these complex circumstances
자기조절학습과 성찰
Self-regulated learning and reflection
자기조절적 학습자는 메타 인식 프로세스를 사용하여 작업에 대한 접근 방식을 선택, 모니터링 및 평가한다(Zimmerman & Schunk 2001). 성찰은 자기조절학습 활동으로 간주될 수 있다.
Self-regulated learners use metacognitive processes to select, monitor and evaluate their approach to a task (Zimmerman & Schunk 2001). Reflection can be considered as a self-regulated learning activity.
발달과 이해의 과정
The process of developing an understanding
모든 사람들은 그들의 경험을 이해하고 make sense(의미를 부여)하려고 노력한다. 이것은 개개인의 정신 모델이나 개인수준의 이론 창조를 통해 이뤄진다. 이러한 모델 또는 이론은 과거에 경험한 유사한 상황을 바탕으로 능동적으로 생성된다. 예를 들어, 어던 사람은 특정한 기술이나 정보의 일부가 문제를 다루는데 그들에게 도움이 될 것이라는 어떤 믿음을 가질 것이다. 이 개인들이 자신이나 다른 사람들에 대해 가지고 있는 어떤 믿음도 있을 수 있다.
Everyone tries to make sense and understand their experiences. This is achieved through the creation of a mental model or personal theory. These models or theories are actively created and are informed by previous encounters with similar situations. For example, an individual will have certain beliefs that a particular skill or piece of information will be helpful to them in dealing with a problem. There may also be certain beliefs that these individuals have about themselves or about others.
//Sensemaking is the process by which people give meaning to their collective experiences.
이후에 어떤 상황에서는 이러한 믿음과 가정이 도전받는다. 이 '도전받음'의 결과는, 이번 경험의 결과에 따라 믿음과 가정을 수정해야 할 수도 있다는 것이다. 때때로 이 과정은 꽤 드라마틱할 수 있고, 관점의 큰 변화를 가져온다. 이러한 상황에서 '변혁적 학습'이 발생했다고 한다(Mezirow 1981) 이것은 가장 강력한 학습이며, 관점의 변화이고, 이는 [자기의 가치관이나 세계관과 같은] 근본적인 믿음이 도전 받을 때 발생한다. 이러한 변화는 보통 강한 감정과 슬픔, 수치심, 분노와 같은 감정적 반응을 동반한다.
These beliefs and assumptions are challenged whenever a situation is subsequently encountered. The outcome of this process is that the beliefs and assumptions may need to be revised as a result of the experience. Sometimes this process can be quite dramatic and this results in a major shift in perspective. In such circumstances, ‘transformative learning’ is said to have occurred (Mezirow 1981). The most powerful learning, or shift in perspective, occurs when fundamental beliefs are challenged, such as those related to a view of the self or the world. This shift is usually accompanied by strong feelings and an emotional reaction, such as sadness, shame or anger.
이해를 발전시키는 과정에 앞서 필수적인 단계는 '눈치채는 것noticing'이다. 메지로(1981)는 '혼란스러운 딜레마'라는 것은 [(기존의 정신 모델 또는 개인 이론에 근거한) 현재의 행동]과 [그들이 직면한 상황을 효과적으로 해결하기 위해 필요한 조치] 사이에 차이가 있다는 것을 깨닫기 시작하는 순간으로 묘사한다.
An essential step before the process of developing understanding is ‘noticing’. Mezirow (1981) describes the ‘disorientating dilemma’ when the individual begins to realise that there is a discrepancy between their current actions (based on existing mental models or personal theories) and the actions required for effective resolution of the situation that they face.
성찰이 메타인지적 과정이라는 것이 중요성한 이유는, 개인이 성찰해야 할 필요성을 인식해야 하기 때문이며, 이것은 'disorientating dilemma'를 알아차리거나 성찰을 prompt하는 능력을 필요로 한다. 종종 이것은 어떤 상황과 관련된 불편함이나 불안감을 느끼는 순간으로, 감정적일 수 있다. 이러한 특정 상황에서 매 순간순간의 인식이 높아지는 'mindful practice'을 통해 개발될 수 있다(Epstein 1999).
The importance of an appreciation that reflection is a metacognitive process is that an individual has to be aware of the need to reflect and this requires the ability to notice the ‘disorientating dilemma’ or prompt to reflect. Often this will be emotional, with a feeling of discomfort or apprehension associated with a situation. This awareness can be developed though ‘mindful practice’ in which there is heightened moment-to-moment awareness during situations (Epstein 1999).
또 다른 필수적인 단계는 새로운 이해를 새로운 상황에 적용하는 것이다(Johns & Freshwater 1998). 성찰은 끊임없지 진행되는 과정이며 그 가치는 행동, 성찰, 행동의 반복주기에 따라 달라진다.
Another essential step is the application of the new understanding to further situations (Johns & Freshwater 1998). Reflection is an ongoing process and its value depends on repeated cycles of action, reflection and action.
또한 비판적 성찰의 자세와 이중 루프 및 삼중 루프 학습의 적용을 채택함으로써 이해의 깊이를 높일 수 있다. Argyris와 Schon(1994)은 먼저 단일 루프와 이중 루프 학습의 개념을 소개했다.
The depth of understanding can also be increased by adopting a critical reflective stance and the application of double loop and triple loop learning. Argyris and Scho¨n (1994) first introduced the concept of single loop and double loop learning.
학습의 단일 루프란, 예상하지 못한 결과가 발생했을 때, 그것을 다룰 다른 전략을 찾아내는 것이다.
학습의 이중 루프란, 왜 예기치 않은 결과가 발생했는지에 대한 이유를 밝히기 위해 더 많은 의문이 제기하는 것이다.
The first loop of learning occurs when an outcome unexpectedly occurs and the individual looks for another strategy to deal with it. Double loop learning occurs when there is a more questioning approach that seeks to identify the reasons behind why the outcome unexpectedly happened in the first place.
예를 들어, 임상의는 일반적인 조건에 가장 효과적인 치료가 무엇인지 불확실할 수 있다.
단일 루프 학습은 학습 필요성을 식별하며 분명한 반응은 교과서에서 이를 찾아보거나 동료에게 물어보는 것과 같은 효과적인 치료에 대한 정보를 찾는 것이다.
이로서 특정 학습의 필요성이 충족되었지만, 이중 루프 학습을 한다면 왜 치료에 대해 불확실했는지에 근본적인 이유를 드러낼 것이다. 아마 그 이유는 학습 요구를 체계적으로 식별하기 보다는 기회주의적 학습에 과도하게 의존하기 때문일 수 있다.
For example, a clinician may be uncertain about the most effective treatment for a common condition. Single loop learning would identify a learning need and the obvious response would be to seek information about effective treatment, such as looking it up in a textbook or asking a colleague. The specific learning need has been met but the consideration of double loop learning would reveal underlying reason for the clinician being uncertain about the treatment. This may be because there is an over dependence on opportunistic learning rather than systematically identifying their learning needs.
이에 더하여 삼중 루프 학습을 하는 것은 상황을 비판적으로 보는 것이다(Carr & Kemmis 1986). 이것은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힘과 통제의 기본 시스템과 관련이 있다. 이 때 해야 할 구체적인 질문은 '왜 우리가 그렇게 해야 하는가?'이다. 어떤 일을 하는 '올바른' 방법이 무엇인가에 대한 갈등 가능성이 있지만, 이는 현재의 접근법에 challenge하고, 미래의 새로운 방식을 고려해볼 수 있는 유일한 방법은 근본적인 목적과 의도를 고찰해보는 것이다.
Consideration of further triple loop learning is related to the critical aspects of the situation (Carr & Kemmis 1986). This concerns the underlying system of power and control that influences all actions. The specific question to be asked is ‘Why should we do it that way?’ There is the possibility of conflict over what is considered to be ‘the right’ way of doing things but it is only by discussing the underlying purposes and intentions of actions that the present approaches can be challenged and the possibility of new approaches considered.
유도된 성찰
Guided reflection
개개인의 성찰 잠재력은 다른 사람의 도움과 지원 없이는 완전히 실현되지 않을 수 있다. 이 '다른' 사람은 또래 그룹 멤버이거나 감독자나 멘토와 같은 특정 역할을 가진 사람일 수 있다(Hawkins & Shoet 1989).
The potential of reflection for individuals may not be fully realised without the help and support of another person. This ‘other’ person may be a peer group member or someone with a specific role, such as a supervisor or mentor (Hawkins & Shohet 1989).
성찰의 중심에는 도전과, 그에 따른 변화가 있다. 이것이 미래의 행동에 영향을 줄 수 있다. 가장 큰 도전과 변화를 일으킬 수 있는 가장 중요한 경험은 대개 강한 감정과 관련되어 있다. 이러한 유형의 경험에는 몇 가지 결과가 있다.
At the heart of reflection is the challenge, and subsequent change, in perspective that can inform future action. The most significant experiences that result in the greatest challenge and change are usually those that are associated with the presence of strong emotions. There are several consequences of these types of experiences.
첫째, 개인은 의식적으로 또는 무의식적으로 이 중요한 경험을 인식하지 못할 수 있다.
First, an individual may consciously, or more likely unconsciously, block the noticing of this important experience.
둘째, 사람들은 경험을 논의하고 변화를 고려하는 것을 꺼리는 경우가 많다. 촉진자는 학습자가 자신의 경험을 인지하고 이해할 수 있도록 필요한 지지적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촉진자는 핵심 카운슬링을 통해 이러한 지원을 제공할 수 있으며, 여기에는 예를 들어 멘토링 기술, 차이에 대한 비판단적 질문 등이 있다. 물리적 환경에 대한 주의 또한 중요하며, 이러한 대화가 프라이버시가 지켜지는 장소, 방해받지 않는 장소에서 이뤄져야 한다.
Second, there is often a reluctance to discuss the experience and to consider change. A facilitator can provide the necessary supportive environment to enable the individual to notice and make sense of their experience. The facilitator can provide this support through key counselling and such as and mentoring skills, non-judgmental questioning acceptance of differences. Attention to the physical environment is also important, ensuring that the discussion can occur in privacy and is free from interruption.
Guided reflection은 치료적 관계와 전문적 실천을 개선하려는 의도를 가진 성찰에 특히 유용하다. 오랫동안 슈퍼비전은 심리치료와 상담에 필수적인 것으로 인식되어 왔다.
Guided reflection is particularly useful for reflection that has the intention of improving the therapeutic relationship and professional practice. Supervision has long been recognised as essential for psychotherapy and counselling.
커리큘럼에 Guided reflection을 도입하려면 상당한 작업 부하를 미칠테지만 효과적인 대안은 다음을 포함한다.
그룹 슈퍼비전(한 명의 감독자 및 학습자 그룹 포함) 또는
동료 Co-슈버비전(각자가 발표자와 촉진자 역할을 할 수 있도록 상호간에 촉진하는 학생들과 함께).
There are significant workload implications for the introduction of guided reflection in any curriculum but effective alternatives include group supervision (with one supervisor and a group of learners) or peer cosupervision (with students mutually facilitating one another in a reciprocal manner so that each takes a turn as a presenter and a facilitator).
성찰의 윤리적 측면
Ethical aspects of reflection
경험에 의미를 부여하는 것making sense은 강한 감정과 연관될 수 있다(Boud et al. 1985). (환자의 죽음과 같은) 부정적인 사건에 자신이 미친 영향에 대해 생각할 때 등 더 그러하다.
Making sense of an experience can be associated with strong emotions (Boud et al. 1985). This may be obvious when an individual reflects on their contribution to an adverse event, such as the death of a patient,
개인적인 성찰이 일어날 수 있는 안전한 전반적인 환경을 만드는 것은 필수적이다. 이는 성찰이 그룹 세팅에서 또는 촉진자와 함께 일어날 때 특히 더 그러하긴 하나, 서술적 성찰일지를 포함한 모든 성찰에서도 중요하다(Henderson et al. 2003).
It is essential to create a safe overall environment within which personal reflection can take place. This is particularly important if reflection is to be in a group setting or with a facilitator but is also important for all reflection, including written reflective journals (Henderson et al. 2003).
비밀보장에 대한 중요한 윤리적 고려사항에는 누가, 어떤 목적을 위해 그러한 성찰(기록)에 접근할 수 있는지 등이 포함된다. 평가는 대개 '깊은' 성찰의 증거를 요구하기 때문에 이러한 상황에는 긴장감이 수반되는데, 결국 개인의 취약성을 드러내는 것은 이러한 '깊은 성찰'에서 중요한 경험이기 때문이다. 윤리적 고려는 평가자가 촉진자 또는 멘토일 때 특히 중요하다.
Important ethical considerations about confidentiality include who has access to the reflection and for what purpose. There is a tension in these circumstances since assessment usually requires evidence of ‘deep’ reflection but it is this type of significant experience that exposes the vulnerability of the individual. This is particularly important when the assessor is also the facilitator or mentor.
이 문제들에 대한 쉬운 해답은 없지만 그 문제들은 신중히 고려되어야 한다.
성찰의 교육적 영향
The educational impact of reflection in medical education
(Baernstein & Fryer-Edwards 2003). 이 연구는 중요한 사건 보고서 작성, 일대일 인터뷰 또는 조합이 성찰 유도에 더 효과적인지 여부를 확인하고자 했다. 결론은 튜터와의 면담이 전문직업성에 대한 성찰에 가장 효과적이었다는 것이다.
(Baernstein & Fryer-Edwards 2003). This study had the aim of identifying whether writing a critical incident report, a one-toone interview, or a combination, was more effective in eliciting reflection. The conclusion was that an interview with a tutor was the most effective for reflection on professionalism.
결론적으로, 학생들은 성찰이 유용하다고 느끼며, 성찰의 실행은 학습과 전문적 발달에 대한 자기 보고와 객관적인 결과 둘 다 증가한다는 것을 알았다.
In conclusion, students found reflection was useful and the implementation of reflection increased both self-reported and objective outcomes on learning and professional development.
의학교육에서 어떻게 성찰을 도입할 것인가
How to implement reflection in medical education
성찰을 발달시키기 위한 교육 전략
Educational strategies to develop reflection
자기 조절 학습 모델(Zimmerman & Schunk 2001)은 성찰을 개발하는 데 사용될 수 있는 교육 전략을 안내하는 유용한 프레임워크를 제공한다.
The self-regulated learning model (Zimmerman & Schunk 2001) provides a useful framework to guide educational strategies that can be used to develop reflection.
a) 성찰을 위한 동기부여
a) Motivation for reflection
성공적인 성찰는 [개인적 성장과 전문적 발달에 대한 성찰의 중요성]을 인식하도록 요구한다. 동기 부여는 명확한 목표를 설정하는 것에 달려있다.
Successful reflection requires the individual to recognise the importance of reflection for both personal growth and professional development. Motivation is dependent on setting clear goals,
성찰의 의도한 결과가 명확하지 않으면 목표 설정이 어려울 수 있다. 종종 학습자에게 '성찰하라'고 지시하지만, 목적에 대한 설명은 거의 또는 전혀 주지 않는다. 초기에는 성찰의 성격과 성과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것이 도움이 된다.
Goal setting may be difficult if the intended outcome of reflection is not explicit. Often the learner is instructed ‘to reflect’ but with little or no explanation of the purpose. It is helpful to initially provide information about the nature and outcomes of reflection,
처음에는 noticing으로 시작한 다음, 이후에 완전한 성찰 과정을 도입하는 것처럼, 성찰을 점차적으로 증가시킴으로써 동기부여도 증가할 수 있다.
Motivation can be increased by encouragement and by gradually increasing the reflective tasks, such as beginning with only noticing and then introducing the complete reflective process.
성찰이 발생하는 전반적인 외부 교육 환경은 중요한 동기 요인이다. 평가는 학습을 촉진하는 것으로 보인다. 개인 및 전문가 성찰 학습에 대해 평가된 포트폴리오를 사용하는 것은 비공식 저널 또는 가계부와는 다를 것이다.
The overall external educational environment within which reflection is expected to occur is an important motivation factor. Assessment appears to drive learning . The use of an assessed portfolio for personal and professional reflective learning will be different to an informal journal or diary.
b) 성찰을 위한 메타인지 스킬
b) Metacognitive skills for reflection
- 알아채기
- Noticing
필수적인 첫 단계는, 기존의 정신 모델들과 개인적 이론들이 특정 사건이나 상황의 경험에 의해 도전받고 있는 때가 언제인지 인식하는 것이다. 이것은 사건이나 상황과 관련된 어떤 시점에서도 발생할 수 있다: 이전, 도중 또는 이후. 초기의 awareness 없이는 성찰이 일어날 수 없다. noticing은 몇 가지 기법을 사용함으로써 발전할 수 있다.
An essential first step for an individual is the recognition of when their existing mental models and personal theories are being challenged by the experience of a particular event or situation. This can occur at any time related to an event or situation: before, during or after. Without an initial awareness no reflection can occur. Noticing can be developed by using several techniques.
(i) 자기 모니터링
(i) Self monitoring.
생각과 감정을 지속적으로 자기모니터링함으로써 awareness의 향상이 이루어질 수 있다. 대부분의 사람들에게 이것은 쉬운 일은 아니지만, 그것은 주의 깊은 실천mindful practice에 참여함으로써 개발될 수 있다. (Epstein 1999) Mindfulness는 감정, 기억, 행동이 상호의존적이라는 동양 철학적 종교적 전통에 뿌리를 두고 있다. Mindful practice에서,
개인은 그들이 경험하는 생각과 감정의 순간적인 변화를 인식할 뿐만 아니라,
생각과 감정의 요소들을 이해할 수 있고
그들의 행동에 inform하기 위한 수단으로 이러한 통찰을 이용할 수 있다.
Increased awareness can be developed by constant self-monitoring of thoughts and emotions. Most individuals do not find this easy to achieve but it can be developed by participating in mindful practice (Epstein 1999). Mindfulness has its roots in Eastern philosophical-religious traditions in which emotion, memory and action are interdependent. In mindful practice, the individual is not only aware of the moment to moment changes in thoughts and emotions that they experience but also they are able to make sense of these components and to make use of these insights to inform their actions.
Mindful하다는 것은 개인이 경험하는 즉각적인 생각과 감정에 대해 deliberate and non-judgemental한 주의를 요한다. 이는 서면 또는 오디오 다이어리 및 로그를 사용하는 것과 같이 정기적인 자가 기록으로 개발될 수 있다.
Becoming mindful requires deliberate and non-judgemental attention to the immediate thoughts and emotions that an individual experiences. This can be developed by regular selfrecording, such as by the use of written or audio diaries and logs.
어떤 사건이 일어났을 때, 'thought catching'식의 접근법으로 기록을 하는 것은 특히 도움이 되지만, 종종 이것은 가능하지 않을 수도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기록은 사건 후 가능한 한 빨리 이루어져야 한다. 생각을 즉시 기록하는 것이 내재된 신념에 대한 더 정확한 성찰이 되는 이유는, 나중에 기록하게 되면 mental organization이 정확한 성찰이 아닐 수 있는 attribution을 포함할 가능성이 있기 때문이다. 이것은 일종의 사후인지 편견이며 종종 이것은 자신에 대해 더 호의적인 관점을 드러낼 것이다.
It is particularly helpful to make a record at the time of the event happening, a so called ‘thought catching’ approach, but often this may not be possible. In these circumstances, the record should be made as soon as possible after the event. Immediate recording of thoughts is likely to be a closer reflection of underlying beliefs since later mental organisation for recording is likely to include attributions that may, or not, be an accurate reflection. The consequence is hindsight bias and often this will reveal a more positive view of the self.
(ii) 타인으로부터의 피드백
(ii) Feedback from others.
사건에 대한 자신의 반응을 자기 스스로 인식하기란 쉽지 않을 수 있지만, 종종 다른 사람들에게는 더 명확할 수 있다. 비꼬는 말투 같은 근본적인 믿음을 나타내는 행동을 쉽게 관찰할 수 있지만, 목소리 톤이나 얼굴 표정과 같은 비언어적 행동은 종종 더 강력한 신념의 지표이며, 다른 사람들이 더 쉽게 관찰할 수 있다.
An individual’s reaction to events may not be readily apparent to them but it can often be more apparent to others. Behaviour can be readily observed that represents underlying beliefs, such as a sarcastic comment, but non-verbal behaviour, such as the tone of voice or facial expression, is often a more powerful indicator of these beliefs and this can be readily observed by others.
연구는 일관되게 사람은 (다른 사람들에 의해 평가될 때 보다) 스스로 평가할 때 더 높게 더 긍정적인 시각에서 자신을 평가한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Gordon 1994)
Research has consistently shown that individuals self-rate themselves higher and in a more positive light than when rated by others (Gordon 1994).
(iii) 결정적 순간과 중요 사건 분석
(iii) Critical incidents and significant event analysis.
대부분의 액션은 예상치 못한 계획이 계획되거나 계획되지 않을 때 '놀람의 순간'을 가진다. 이러한 순간들은 특히 대학원과 지속적인 의학 교육에서 반성을 위한 귀중한 기회를 제공한다.
Most action individuals have ‘moments of surprise’ when an unexpectedly goes to plan or not. These moments provide a valuable opportunity for reflection, especially in postgraduate and continuing medical education.
- 처리하기
- Processing
반성의 주된 가치는 자기 자신과 상황에 대한 이해를 발전시키는 것이다. 오직 의미를 만드는 과정을 통해서만 미래의 행동을 바꿀 수 있다. 여러 가지 기술이 있다.
The main value of reflection is to develop an understanding of both the self and the situation. It is only through this sense making process that future actions can be altered. There are several techniques
(i) 학습을 위한 성찰
(i) Reflection for learning.
학습을 위한 성찰에서 중요한 것은 습득해야 할 정보 또는 개발해야 할 새로운 기술에 대한 학습요구를 식별하는 것이다.
The main process with this needs, intention is to identify learning especially about information to be obtained or new skills that need to be developed.
그 상황에 대해 내가 놀랐던 것은 무엇인가?
나에게 이 상황에 대처할 수 있는 정보나 기술이 있는가?
이 상황을 다루기 위해 나는 지금이나 미래에 더 많은 정보나 기술이 필요한가?
. Does anything surprise me about the situation?
. Do I have the information or skills to deal with this situation?
. Do I need to have further information or skills to deal with this situation, either now or in the future?
이 접근법은 대부분의 개인적이고 전문적인 발달 계획의 전형이다. 이러한 접근법은 피상적이 될 가능성이 있다. 또한 (의사가 최신 항생제에 대해 최신 정보를 제공하지 않은 이유가 무엇인가와 같은) 중요한 근본적인 문제들을 해결할 수 없을 가능성도 있다. 종종 근본적인 믿음과 관련된 이러한 유형의 문제를 해결하려면 추가적인 질문이 필요한 이중 루프 학습이 필요하다. 일반적인 추가 질문은 다음과 같다.
This approach is typical of most personal and professional development plans. There is the possibility that the approach can become superficial and not address major underlying problems, such as why the doctor did not keep up to date about the latest antibiotics. Addressing this type of issue, which is often related to underlying beliefs, requires double loop learning in which further questioning is required. Typical further questions include
정보나 기술 부족이 이러한 부족함을 어떻게 해결할 수 있는가에 대한 정보나 기술 부족 때문인가?
확인된 문제가 해결되지 않은 근본적인 이유는 무엇인가?
. Is the lack of information or skill due to having insufficient information or skill on how to address this lack?
. What is the underlying reason why the identified issue was not resolved?
(ii) 치료적 관계를 발달시키기 위한 성찰
(ii) Reflection to develop a therapeutic relationship.
이 주제는 개인의 행복과 만족과 관련이 있는 감정적 지능과 밀접하게 연계되어 있다.
The topic is closely aligned to emotional intelligence which has been associated with individual well being and satisfaction.
더 깊은 심문 이러한 질문에는 다음이 포함된다.
deeper questioning. These questions include
나는 무엇을 느끼고 있고 나의 감정은 무엇인가?
왜 이렇게 느껴지지?
내가 비슷한 감정을 느끼는 내 인생의 다른 상황이나 다른 사람들과의 만남이 있을까?
내가 왜 이렇게 느끼는지 설명할 수 있을까?
나와 다른 사람들에게 이러한 감정의 결과는 무엇인가?
. What am I feeling and what are my emotions?
. Why do I feel like this?
. Are there other situations in my life or my encounters with others when I feel the same? .
. Can I explain why I feel this way?
. What are the consequences of these emotions for me and for others?
(iii) 전문직업적 실천을 위한 성찰
(iii) Reflection to develop professional practice.
이 접근법의 의도는 전문적 전문지식을 개발하는 것이다. 전문지식의 성격에 대한 연구는 전문가들이 초보자들보다 더 정교한 정신적 모델을 가지고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이러한 정신모델의 개발은 무작위적으로 발생하는 현상이 아니라, 상황에 대한 반복적 노출에 의해 이루어진다. 이것이 전문적인 지식의 열쇠다.
The intention of this approach to reflection is to develop professional expertise. Research into the nature of expertise identifies that experts have more elaborate mental models than novices. Development of these models has not occurred by a random phenomenon but through repeated exposure to situations. This is the key to professional expertise.
reflection-on-action의 과정은 전문적 전문지식을 위한 필수 요건이며, 세계에 대한 관점을 풍부하게 하기 위해 다양한 관점을 탐구하고 얻으려고 노력하는 '탐구정신'의 전형이다.
A process of constant reflection-on-action is an essential requirement for professional expertise and is typical of the ‘enquiring mind’ that explores and tries to obtain multiple perspectives to enrich their view of the world.
- 미래 행동
- Future action
성찰을 외부적 적용이 거의 없는 내부적 돌아보기일 뿐이라고 착각하기 쉽다. 그러나, 성찰의 목적은 이후의 행동이 보다 명확하고 신중할 수 있도록 inform하는 것이다.
It can be easy to assume that reflection is only introspection with little outside application. However, the aimof reflection is to inform future actions so that they can be more purposive and deliberate.
c) 성찰적 스토리텔링과 글쓰기
c) Reflective storytelling and writing
개인은 자신의 경험을 다른 사람에게 전하기 위해 이야기를 들려주며, 이러한 이야기에는 정보, 의견, 감정이 들어있다. 스토리텔링이 성찰 학습에 이용되는 것은 자연스러운데, '이야기'라는 것의 핵심적 측면은 [새로운 통찰력을 얻기 위한 경험에 대한 성찰]이기 때문이다. 이야기를 하는 과정은, 글을 쓰든 말로 하든, 그 말을 하는 사람이 자신의 경험을 noticing하고 make sense하도록 요구한다.
Individuals tell stories to convey their experiences to others and these stories include information, opinions and emotions. It is a natural step for storytelling to be used for reflective learning since an integral aspect of many stories is reflection on an experience with the development of new insights. The process of telling a story, whether written or oral, requires the teller to notice and make sense of an experience.
반사 학습에 디지털 스토리텔링을 사용하는 지침의 예는 www.medicalteacher.org.에서 부록 2를 참조하십시오.
For an example of instructions to use digital storytelling for reflective learning, please see Appendix 2, available at www.medicalteacher.org.
개인의 발달계획과 포트폴리오
Personal development plans and portfolios
이 접근법은 학습 요구를 초기에 파악한 다음 이러한 요구를 충족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해 결정을 내려야 한다. 성찰은 이 과정의 필수적인 측면이며 이것은 구조화된 접근법에 포함될 수 있다.
The approach requires that learning needs are initially identified and then decisions are made as to howthese needs can be met. Reflection is an essential aspect of the process and this can be included in the structured approach.
(i) 학습 요구 확인
(i) Identification of learning needs.
대부분의 전문가들은 도전적이고 중요한 사건, 동료와 환자의 피드백, 처방 및 의뢰 감사, 질의와 같은 다양한 경험을 할 것이다.
Most professionals will have a wide range of experiences such as thoughts about what situations they find challenging, significant events, feedback from colleagues and patients, prescribing and referral audits, and quizzes.
(ii) 확인된 학습 요구 사항을 충족하기 위한 계획 개발
(ii) Developing a plan to meet the identified learning needs.
포트폴리오는 평가자에게 학습 요구를 확인하였다는 것을 증명하는 다양한 근거모음을 제공하지만, 더 중요한 것은 적절한 교육적 접근법에 의해 충족되었다는 것을 입증하는 것이다.
A portfolio provides a collection of the various pieces of evidence to prove to an assessor that learning needs have been identified but, more importantly, have been met by appropriate educational approaches (Moon 1999).
성찰의 평가
Assessment of reflection
학생들은 자신의 성찰 활동을 평가받기를 싫어하는데, 왜냐하면 자신이 작성한 내용이 개인적이기 때문이거나, 평가법이 타당하고 신뢰할 수 있는지에 대해서도 회의적이기 때문이다.
Students dislike the notion of assessment of their reflective activities, regarding their entries as private but also they are sceptical about whether the assessment approach can be valid and reliable.
학생들은 성찰 일기에서처럼 쓰여진 성찰이 자신의 생각과 감정에 대한 정확한 설명이 아닐 수도 있다는 것을 쉽게 인지한다.
Students readily recognise that written reflection, such as in reflective diaries, may not be an accurate account of the thoughts and emotions of the writer.
대부분의 평가는 '성찰의 수준'을 포함하며, 이 계층적 모델은 반사의 깊이에 기초한다.
사건에 대한 설명만 있을 때, 표면적 성찰(Superficial reflection)이 발생하는 것으로 간주되며,
더 깊은 성찰은 도전과 변화의 증거로 사건과 행동에서 기존의 믿음과 관점으로 '물러섬stepping back'하는 것을 포함한다.
Most assessments will incorporate ‘levels of reflection’ and this hierarchical model is based on the concept of depth of reflection.
Superficial reflection is considered to occur when there is only description of events but
deeper reflection includes a ‘stepping back’ from events and actions with evidence of challenge, and possibly change, to existing beliefs and perspectives.
성찰 자료분류에 대한 두 가지 접근방식이 사례로 제시된다. 첫 번째 접근법은 전문성 개발에서 관찰된 단계에 기초하고(박스 2) 두 번째 접근방식은 보다 실용적인 접근 방식(박스 3)이다.
Two approaches to categorising reflective material are provided as illustrative examples. The first approach is based on the observed stages in professional development (Box 2) and the second a more pragmatic approach (Box 3).
박스 2. 전문 개발 단계에 따라 반사 재료를 분류한다(Niemi 1997년 이후).
Box 2. Categorising reflective material based on stages in professional development (after Niemi 1997).
헌신적 성찰. 학습된 것, 그것이 개인에게 어떤 영향을 미쳤는지, 그리고 그들이 어떻게 변해왔는지에 대한 토론이 있다. 이 문제를 뒷받침할 몇 가지 증거가 제시되어야 한다.
감정적 탐구. 경험의 감정적 영향에 대한 증거가 있으며, 여기에는 그들 자신의 신념과 가치에 대한 통찰력과 토론이 포함된다.
객관적 보고. 성찰의 증거 및 그 경험이 그들에게 어떤 영향을 끼쳤는지에 대한 설명 없이 이 경험에서 어떤 일이 일어났는지에 대한 서술적 설명만이 있다.
확산 보고. 설명은 초점이 없거나 체계적이지 않으며 경험에 대한 설명만 포함한다.
Committed reflection. There is a discussion of what has been learned, how it has affected the individual and how they feel that they have changed. Some presentation of evidence to back this up should be provided.
Emotional exploration. There is evidence of the emotional impact of an experience and this includes insights and discussion about their own beliefs and values, including how these have been challenged.
Objective reporting. There is only a descriptive account of what happened during the experience with no evidence of reflection, or how the experience has affected them.
Diffuse reporting. The description is unfocused or disorganised and contains only a description of the experience.
박스 3. 성찰 자료를 분류하는 실용적 접근법(2004년 이후).
Box 3. A pragmatic approach to categorising reflective material (after Moon 2004).
등급 A: 사건을 경험하는 방식이 변경되거나 확인되었다. 향후 유사한 이벤트에 대한 대응 방법을 변경하고자 할 수 있다. 당신은 다른 문헌, 예를 들어 기사나 책에 대한 참조를 포함한 설명을 제공한다.
등급 B: 판단 수반 - 무엇이 잘 되었는가, 혹은 잘 되었는가, 그리고 왜 그랬는가에 대한 판단을 수반한다.
등급 C: 사건 설명 – 느낌, 태도 및 신념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인식하고 학습한 내용을 질문하고 이전 경험과 비교
등급 D: 사건 설명 – 중요한 것은 인정하되 그 이유는 설명하지 않는다.
등급 E: 사건 설명 – 해석 없이 이벤트 세부 정보를 반복
등급 F: 사건 설명 – 이벤트에 대한 설명 부족.
Grade A: Experiencing an event(s) has changed, or confirmed, how you experience an event(s). You may wish to change how you respond to similar event(s in the future. You provide an explanation, including references to other literature, eg articles or books.
Grade B: Involves judgement – what went well, or less well and why.
Grade C: Describing an event – recognising how it affects your feelings, attitudes and beliefs and/or questioning what has been learnt and comparing it to previous experience.
Grade D: Describing an event – recognising that something is important but not explaining why.
Grade E: Describing an event – repeating the details of an event without offering any interpretation.
Grade F: Describing an event – poor description of an event.
흔한 어려움
Common problems encountered with reflection in medical education
낮은 참여도
Low engagement in reflection
효과적인 성찰는 다양한 구성 요소 사이에 align이 있을 때만 발생한다. 자율-규제 학습 모델의 주요 요소는 목표, '의향'(동기) 및 '기술'(전략 모니터링)이다.
Effective reflection will only occur when there is alignment between the various components. The main components of the self-regulated learning model are
the goal,
the ‘will’ (the motivation) and
the ‘skill’ (the monitoring of strategies).
개인들은 성찰의 전반적인 목표에서 분명하지 않을 수 있고, 만약 그들의 감독관마저 목표에 대해 불확실하다면 상황이 더 악화된다. 안타깝게도, 성찰은 특히 평가를 위해 '볼트 온' 여분의 '볼트 온'으로 인식되는 경우가 많다.
Individuals may not be clear of the overall goal of their reflection and this is made worse if their supervisors are also uncertain. Unfortunately, reflection is often seen as a ‘bolt on’ extra and something that has ‘to be done’, especially for the purpose of assessment.
동기부여는 복잡하며 내부 및 외부 요소를 모두 포함한다. 내부 동기는
활동에 내재된 관심,
자기 효능감(과업을 달성할 수 있다는 자기신뢰)
직무의 인지된 어려움을 포함한다.
Motivation is complex and includes both internal and external factors. Internal motivation includes
intrinsic interest in the activity,
self-efficacy (a self-belief in being able to achieve the task) and
the perceived difficulty of the task.
또한, 어린 학습자들은 더 넓은 맥락과 가능한 함축적 의미를 고려하기보다, 더 절대적 용어로 사건에 대해 성찰하는 경향이 있는 성숙도에 따른 효과도 있다.
There is also a maturational effect in which there is a tendency for younger learners to reflect on events in more absolute terms rather than consider the wider context and the possible implications.
자기 모니터링 전략은 개인에게 noticing, processing, future action과 같은 핵심 측면을 '집행하는' 기능을 수행하도록 요구한다.
Strategies for self-monitoring require individuals to take an ‘executive function’ that ensures that the key aspects of noticing, processing are and future action considered.
특정 교육 전략은, 학습자에게 메타인지적 모니터링의 사용을 점진적으로 introduce하는데, 메타인지 프로세스를 명확하게 하는 것을 목표로 하여, 학습자가 성찰하는 동안 성찰 단계에 대해 큰 소리로 이야기하도록talk aloud 권장하는 것을 포함한다.
specific training that progressively introduces learners to the use of metacognitive monitoring. These strategies have the aim of making the metacognitive process explicit and include encouraging learners to talk aloud about the phases of reflection whilst reflecting
촉진자 또는 멘토는 학습자가 자신의 인지적 처리 접근법을 모델링하도록 장려할 수 있는 경우에도 매우 귀중하다.
A facilitator or mentor is also invaluable if they are able to encourage the learner to model their own metacognitive processing approach.
비록 몇몇 연구자들은 낮은 참여도를 지적했지만, 학생들은 자신들이 이미 그것을 하고 있고 written process가 자신의 학습 선호도에 맞지 않는다고 말한다(Grant et al. 2006).
Although several authors have noted low engagement in reflection, students state that they perceive that they are already doing it and that the written process does not align to their learning preferences (Grant et al. 2006).
개인들은 생각과 감정을 표현하기 위해 다양한 선호되는 방법들을 가지고 있다. 여기에는 그림, 그림, 사진 및 조각(Gauntlet 2007)이 포함된다. 창의력을 발휘한다면 많은 학습자들을 자유롭게 할 수 있고 그것은 문화적 의미와 생각을 말로 표현하는데 어려움과 같은 언어와 같은 장벽을 극복할 수 있다. 이것은 그 주제가 강한 감정과 관련이 있을 때 특히 중요하다.
Individuals have a variety of preferred ways to present thoughts and emotions. These include drawing, painting, photographs and sculpture (Gauntlett 2007). Being creative can liberate many learners and it transcends barriers due to language, such as cultural meanings and difficulty in putting thoughts into words. This is particularly important when the topic is associated with strong emotions.
성찰 단계에서의 어려움
Difficulties with the phases of reflection
반사 과정의 여러 단계에 어려움이 있을 수 있다. Noticing 단계에서의 어려움은 종종 적절한 피드백이 없을 때 일어난다. 학생들은 다른 사람들로부터 피드백을 받고 싶다고 말하지만, 피드백을 주는 것은 꺼린다. 그 결과 학생들은 피드백을 받지 못하거나, 성찰에 도움이 되지 않는 형태로 피드백만 받게 된다. Noticing을 제대로 하지 못하면, 이후 성찰 과정을 방해할 수 있는 강한 감정이 생성될 수 있다.
There may be difficulties in the various phases of the reflection process. Difficulties in the noticing phase can often be related to the lack of adequate feedback. Although students state that they wish to receive feedback fromothers there is a reluctance to give feedback. This may result in students either not receiving feedback, or receiving it in a form that does not help the learner to reflect. Failure to do this may result in the creation of strong emotions that may block the rest of the reflection process.
성찰의 processing phase에 따라 어려움이 있을 수 있다. 일반적인 어려움은 특정 사건이 학습자에게 강한 감정을 유발한 경우이다. 종종 성찰을 자극할 수 있는 진단 누락과 같은 결정적인 사건은 분노나 슬픔과 같은 강력한 감정과 관련이 있다. 이 때 중요한 것은 이러한 감정을 인지하고 발산하는 것인데, 감정이 추가적인 성찰을 막을 수 있기 때문이다. 이 과정은 학습자에게 방어적 태도를 유발할 수 있으며, 그 결과 근본적인 문제가 다루지 않을 수 있다.
There may be difficulties with the processing phase of reflection. A common difficulty is the presence of strong emotions that the event has produced in the learner. Often the most important events, such as a missed diagnosis, that can stimulate reflection are also those that are associated with the most powerful emotions, such as anger or sadness. An essential step is to recognise and release these emotions since they can block further reflection (Boud et al. 1985). This process can lead to defensiveness in the learner and important underlying issues may not be addressed,
사후 편견도 문제로 지적되며, 이는 과거 상황과 사건을 소급하여 이해하려고 하는 광범위한 문제와 관련이 있다(Jones 1995).
Hindsight bias has been noted to be a possible difficulty but this is related to the wider issue of retrospectively trying to make sense of previous situations and events (Jones 1995).
성찰을 위한 구조화된 과정은 매우 유용할 수 있으며 몇 가지 프레임워크가 있다.
A structured process to reflection can be very useful and there are several frameworks.
비록 성찰이 상황에 대한 이해를 증가시키는 것으로 이어질 수 있지만, 이러한 통찰력은 궁극적으로 유사한 상황과의 향후 ENCOUNTER에 inform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성찰과정에서 특히 강력한 효과를 발휘하는 경우는 통찰력이 미래 행동을 inform하고, 이 후속 행동의 결과에 대해 다시 성찰이 있을 때 이다. 이것은 순환 과정의 시작이며 더 깊은 반성이 발생할 수 있다. 행동이나 실무 연구는 행동을 통해 더 많은 이해(및 개인 이론의 개발)를 반복적으로 개발할 수 있는 순환 과정을 포함한다.
Although reflection may lead to increased understanding of a situation, it is essential that these insights can inform future encounters with similar situations. A particularly powerful part of the reflection process is when the insights inform a future action and there is reflection of the consequences of this action. This is the beginning of a cyclical process and deeper reflection can occur. Action or practitioner research involves a cyclical process in which greater understanding (and the development of personal theory) can be iteratively developed through action.
전체적인 교수학습접근과의 통합 부족
Lack of integration of reflection in overall teaching and learning approach
성찰은 종종 교육 세션이나 커리큘럼에 추가되는 '볼트 온'이다. 그 결과 강사와 학습자 모두 [성찰을 교육 과정과 단절된 과정]으로 간주하기 시작한다. 참여가 낮아질 뿐만 아니라, 종종 숨겨진 커리큘럼이라고 불리는 문화는 성찰의 평가절하를 유발할 수 있다. 성찰은 각 세션과 전체 커리큘럼의 필수적인 부분이 되는 것이 중요하다.
Reflection is often a ‘bolt on’ extra to a teaching session or a curriculum. The effect is that both tutors and learners begin to regard reflection as a process that is disconnected from the educational process. There is not only poor engagement but a culture, often called a hidden curriculum, can quickly develop that devalues reflection. It is important that reflection becomes an integral part of each session and the overall curriculum.
Further development of reflection in medical education
Conclusions
Epstein RM. 1999. Mindful practice. JAMA 282:833–839.
The use of reflection in medical education: AMEE Guide No. 44.
Author information
- 1
- The University of Leeds, UK. j.e.sandars@leeds.ac.uk
Abstract
Reflection is a metacognitive process that creates a greater understanding of both the self and the situation so that future actions can be informed by this understanding. Self-regulated and lifelong learning have reflection as an essential aspect, and it is also required to develop both a therapeutic relationship and professional expertise. There are a variety of educational approaches in undergraduate, postgraduate and continuing medical education that can be used to facilitate reflection, from text based reflective journals and critical incident reports to the creative use of digital media and storytelling. The choice of approach varies with the intended outcomes, but it should also be determined by the user since everyone has a preferred style. Guided reflection, with supportive challenge from a mentor or facilitator, is important so that underlying assumptions can be challenged and new perspectives considered. Feedback also has an important role to enhance reflection. There is little research evidence to suggest that reflection improves quality of care but the process of care can be enhanced.
- PMID:
- 19811204
- [Indexed for MEDLINE]
'Articles (Medical Education) > 전문직업성(Professionalism)'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진료실에서의 인류학: 문화적 역량의 문제와 그것을 고치는 법(PLoS Med, 2006) (0) | 2019.06.12 |
---|---|
잠재교육과정 이용하기: 임상실습에서 성찰적 역량을 개발, 강화하는 데 단계(Adv in Health Sci Educ, 2014) (0) | 2019.06.04 |
의과대학 초반에 프로페셔널리즘 가르치기: 질적 연구(Med Educ, 2007) (0) | 2019.01.14 |
성찰, 대화, 공간의 가능성(Acad Med, 2015) (0) | 2019.01.14 |
성찰적 글쓰기: 교육과 실천(Acad Med, 2012) (0) | 2019.01.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