흙탕물 속에서의 고뇌: 의학교육의 국제화 시대의 성찰적 실천의 문제(Acad Med, 2016)

Troubling Muddy Waters: Problematizing Reflective Practice in Global Medical Education

Thirusha Naidu, PhD, and Arno K. Kumagai, MD





맥도널드는 인도가 빅맥과 사랑에 빠지기를 원했다. 소가 신성하다고 여겨지는 인도에도 패스트푸드 체인점이 도입되었을 때 맥도널드는 쇠고기에 기반을 둔 빅맥을 양고기나 감자로 만든 버거로 대체했다.

McDonald’s wanted India to fall in love with the Big Mac. When the fast-food chain was introduced to India, a country where cows are considered sacred, McDonald’s replaced the beef-based Big Mac with burgers made of mutton or potatoes.


이러한 인도 시장 진출은 맥도널드가 서구식 방법과 현지 상황에 대한 선호도를 의식적으로 적용하고 현지 식품 제조업체 및 사업가들과의 집중적인 협력으로 인해 성공적인 노력이었습니다. 여기서의 교훈은 맥도널드가 채택하는 두가지 전략이다. 첫째, 국내 시장에 대한 전문가 자문과 둘째, 가장 상징적인 제품을 포함하여 맥도널드의 제품을 재평가하는 융통성.

This expansion into the Indian market was a successful endeavor because of the conscious adaptation by McDonald’s of Western methods and preferences into the local context and the company’s intensive collaboration with local food manufacturers and businesspersons. The lesson here is in the twofold strategy adopted by McDonald’s: first, consulting experts on the local market and, second, demonstrating a flexibility of thought in reenvisioning its products, including its most iconic product in mutton or potato options.


성찰의 명확화와 성찰적 실천

Clarifying Reflection and Reflective Practice


성찰적 실천은 [자신의 수행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자신의 생각과 행동에 대해 생각하고, 그들의 개인적인 기능을 평가하는 것]이라는 이해는 명확하다. 그러나 성찰적 실천의 개념은 불투명하다. 성찰적 실천이 무엇이며 어떻게 촉진되고 가르쳐져야 하는지에 대한 명확한 정의나 합의가 없다.4-7 이러한 불명확성도 구체적인 실천 가이드라인을 권고하기 어려움에도 불구하고 퍼저나가는 성찰을 억압하지 못했다.

there is an apparent understanding that reflective practice involves practitioners thinking about their own thinking and doing and evaluating their personal functioning in order to improve their performance.3–5 However, the concept of reflective practice itself remains murky. There is no clear definition or consensus on what reflective practice entails and how it should be fostered and taught.4–7 Of concern is that this lack of characterization has not suppressed the tendency to promote reflection despite the difficulty of recommending guidelines for its practice.7


게다가, 성찰와 성찰적 실천은 일반적으로 의료 교육에서 상호 교환적으로 사용된다.

Moreover, it appears that the terms reflection and reflective practice are generally used interchangeably in medical education.


반대로 교육, 심리학, 인류학과 같은 학문은 성찰적 실천이 성찰과 비판적 성찰을 포괄한다고 본다.

Conversely, disciplines such as education, psychology, and anthropology view reflective practice as encompassing reflection and critical reflection,8


성찰: 일반적으로 성과를 개선하기 위한 목적으로 행동 중 또는 이후에 대한 자신의 행동에 대해 생각하는 것

• 비판적 성찰: 개인의 정체성, 사회적 맥락 및 reflexivity을 연결하는 방식으로 생각하는 것.

• reflection: thinking about one’s actions during or after the action, usually with the purpose of improving one’s performance; and

• critical reflection: thinking in ways that connect individual identity, social context, and reflexivity.


Reflexivity는 자기반성, 상호성찰, 상호협력, 사회적 비평에 참여하는 행위자practitioner를 말하며, 당연하게 받아들였던 믿음과 가정을 비판적 시각으로 보아야 한다. 9,10

Reflexivity involves the practitioner engaging in introspection, intersubjective reflection, mutual collaboration, and social critique, as well as placing taken-for-granted beliefs and assumptions under a critical lens.9,10


수출된 성찰적 실천의 함의 

Implications of Exporting Reflective Practice


대부분의 학문 분야와 마찬가지로, 의학 및 의학 교육 분야에서 다뤄지는 성찰적 실천도 서양의 이론적 관점이 우위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서양 밖에서는, 성찰적 실천은 (시간이 필요하기 때문에) 사치라고 여겨지기도 한다. 특히 자원이 제한되어 있고 자원과 질병 부담에 대한 수요가 매우 높은 개발도상국에서 성찰적 실천이란 달성하기 힘든elusive commodity입니다. 그러한 곳에서는, 의료 전문가들이 성찰할 시간이 너무 부족하다고 주장한다 한들 "먹히지" 않는다.11

As in most scholarly fields, Western theoretical perspectives dominate the literature in the area of reflective practice in medicine and medical education. Outside the West, reflective practice may be seen as an extravagance because it requires time—an especially elusive commodity in developing countries where resources are limited and both demands for resources and disease burden are very high. In such settings, it is not unheard of for health care professionals to declare that there is too little time for reflection.11


역량 기반 접근법이 생물 의학 및 임상 과학에서 학습하는 데 적합할 수 있지만, 의학의 인문학적 측면을 학습하는 데 적용할 때 부적절하다는 비판을 받아왔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의학교육에 성찰이 필요하다는 요구는 종종 인지적, 자기성찰적, 개인적 활동의 측면에서 성찰의 개념을 형성한다. 자기 규제, 자기 평가, 자기 주도 학습 및 자기 지식이 반영의 핵심으로 제시된다. 이 세계관에는 독립성, 자급자족, 자기-비판의 이념이 내재되어 있다.

Although a competency-based approach may be appropriate for learning in the biomedical and clinical sciences, it has been criticized as inappropriate when applied to learning the humanistic aspects of medicine.12,13 Nonetheless, calls for reflection in medical education often frame the concept of reflection in terms of a cognitive, introspective, individual activity. 5 Self-regulation, self-assessment, self-directed learning, and self-knowledge are presented as central to reflection.6,14,15 Implicit in this worldview is an ideology of independence, self-sufficiency, and self-critique.


그러나 이러한 특성이 서양에 기반을 둔 의학교육이 협력적 성찰적실천을 무시한다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웨어등이 지적하듯이, 성찰적 실천에 있서 변혁적transformative 행동을 강조하는 것은 성찰적 실천을 개개인의 행동에서 벗어나 사회적 활동이 될 필요성을 의미하며, 이는 시선을 내면적 사고와 인식에서 다른 사람, 더 나아가 세상을 향해 옮김을 뜻한다. 이러한 견해는 상호 인식, 대화, 사회적 맥락을 인간 상호작용의 기초로 강조하는 서구의 풍부한 전통과 일치한다. 

This does not, however, imply that Western-based medical education ignores collaborative reflective practices. As Wear and colleagues18 and others13,19–21 point out, an emphasis on transformative action in reflective practice shifts reflective practice from a solitary act to a social act in which one’s gaze shifts from inward contemplation and awareness toward others and out into the world. These views are in line with a rich tradition in the West that emphasizes mutual recognition, dialogue, and social context as the basis of human interaction. 


그러나, 성찰의 공식적 요구에 의해서 '수출된 성찰'은 종종 상호 작용적, 사회적 차원이 부족한 것처럼 보인다.

Yet, framed by official calls for reflection, reflection-for-export often appears to lack the interactional, social dimension of working


이러한 견해를 가장 잘 뒷받침하는 것은 아마도 의학 교육의 많은 문헌이 introspective한 학습에 초점을 두는 [학습의 성찰적 사이클]을 언급한다는 증거이다. 의학 교육 문헌을 살펴보면, 임상 교육 및 학습의 맥락에서 사회적 또는 협력적 성찰을 이론적으로 적용한 것을 찾아보기 힘들다.

This view is perhaps best supported by evidence that much of the literature in medical education makes reference to the reflective cycle of learning, which focuses on introspective learning.3,5,6,14 There is little in the medical education literature that looks at the theoretical application of social or collaborative reflection in the contexts of clinical teaching and learning.


문제는 이러한 (서구의) 관점이 적절하고 타당하며 바람직한 행동에 대한 비서양적 관점과 항상 resonant 하는것은 아니라는 점이다. 서구의 실천과 이론을 바탕으로 트레이닝 받은 비서양 의료전문가가 자신의 로컬 환경에서 의료행위를 할 때 어려움이 발생할 수 있다. 

The issue is that this view is not always resonant with non-Western views of appropriate, valid, and desirable behavior. Difficulties can arise when non-Western health care practitioners trained in Western practices and theories are practicing in their local contexts. 


서양에서는 각각의 환자가 의사들의 관심의 초점이다. 반대로, 남아프리카와 같은 다른 사회에서는, 민족 집단과 공동체가 환자와 함께 진료에 관여한다. 이러한 맥락에서 의사는 또 다른 유형의 성찰적 실천을 개발해야 한다. 관계 구축, 전통 및 의식ritual에 초점을 맞추는 협력적 성찰적 실천이 개인주의적이고 실증주의적이고 "객관적인" 접근방식을 대신해야 한다.

Whereas one might argue that the individual patient is the focus of the practitioner’s attention in the West, in other societies, such as that of South Africa, the ethnic group and community are fully present in the consultation room along with the patient. Practitioners must develop another type of reflective practice in this context. A collaborative reflective practice that focuses on relationship building, tradition, and ritual must emerge in place of an individualistic, positivist, “objective” approach.


바쁜 임상 환경에서 이러한 종류의 성찰적 실천을 해내려면, 헌신적인 전문직의 헌신이 필요하며, 그러한 임상접근법이 장기적으로 더 도움이 된다는 것을 인정해야 한다. 종종 서양의학에서는 임상의사가 권력을 공유하지만 동시에 환자와 적극적으로 교류할 수 있는 공간이 부족하며, 이것이 바로 환자-관계-중심적 의료가 요구되는 핵심이다.30

Addressing the challenge of accommodating this kind of reflective practice in busy clinical settings would require commitment from dedicated professionals and acknowledgment of the long-term benefits of such an approach to practice. The space in which the clinician may share power and yet continue to actively engage with the client is often lacking in Western medicine and lies at the very core of calls for patient-relationship-centered care.30


서구 의학에서 환자중심 의료의 도입은 건강과 질병의 종교적, 문화적, 정신적, 맥락적 측면을 환자-의사 상호작용에서 강조할 수 있는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서양 밖에서의 의료행위를 보면, 전통적 의료 종사자들은 환자들과 그들의 건강과 질병을 관리하기 위해 환자와 협력할 때, 인간 경험의 이러한 측면의 영향을 일상적이고 능동적이며 의식적으로 인정해왔다.

The introduction of patient-centered practice in Western medicine has presented the potential for religious, cultural, spiritual, and contextual aspects of health and illness to be highlighted in patient–physician interactions. Outside Western-based practice, traditional health practitioners have routinely, actively, and consciously acknowledged the influences of these aspects of human experience in collaborating with patients in managing their health and illness.


어떤 의미에서 이러한 유형의 협력은 단순히 환자와 의사 사이의 힘과 책임의 균형을 맞추는 것이 아니다. 이러한 협력을 실천하는 것은 [양측에 대한 직접적 또는 즉각적인 영향력을 넘어서는] 사회적, 정신적, 문화적 역학을 다루고 있다. 예를 들어, 꿈의 해석, 명상, 그리고 영혼의 의사소통은 합법적이고 널리 받아들여진 전통적 의료행위에 사용되는 [공동체적이자 협력적인 성찰]의 형태이며, 많은 non-Western 맥락에서, 사람들은 일상적으로 서양식 의사와 전통적인 의료인 모두와 상의한다.

This type of collaboration, in a sense, does not merely balance power and responsibility between the patient and the physician; it also engages social, spiritual, and cultural dynamics that may be beyond the direct or immediate influence of both parties. For example, dream interpretation, meditation, and spirit communication are legitimate and widely accepted forms of communal and collaborative reflection used in traditional health practice, and people in many non-Western contexts routinely consult both Western-trained and traditional health practitioners.


환자의 진단이나 치료에서 꿈이나 직관과 같은 것을 사용하는 것을 고려한다면, 서양의 맥락에서 협력적 성찰적 실천을 적용하는 것은 금기시되는 것일 수 있다.

considering and applying collaborative reflective practices may be taboo in Western contexts, such as dreams or intuitions about patients’ diagnoses or treatment?


글로벌 의학교육의 시대에 성찰적 실천에 대해 서구가 갖는 우세함

Western Dominance in Reflective Practice in Global Medical Education


서양의학전문가들은 비서양 의과대학이 성찰적 실천을 권장하지 않는다고 생각하는 경향이 있다.32 또한 서양인이 아닌 학생들이 교사들에게 질문하도록 권장되지 않는다는 것은 흔한 오해이다. 오히려, 그들은 일반적으로 이론을 먼저 배우고 난 뒤에 질문할 것으로 기대된다.

There is a tendency among Western observers to assume that non-Western medical schools do not encourage reflective practice.32 It is also a common misconception that non-Western students are not encouraged to question their teachers. Rather, they are generally expected to learn the theory first and then question.


아시아와 아프리카와 같은 비서양적 맥락에서, 학생들이 침묵을 지키는 것 처럼 보이는 이유는 시간과 일을 거쳐야만이 질문할 권리가 얻어진다는 믿음을 반영할 수 있다. 이는 교사들이 존재하는 지식 기반을 가지고 있다는 것을 인정하는 대체적인 관점이다.

In non-Western contexts, such as Asia and Africa, the apparent acquiescence of students may reflect a belief that the right to question is earned through time and work in the profession, an alternate view recognizing that teachers have an existing base of knowledge and experience.


의학교육의 성찰적 실천이 수출되려면 비서양적 상황에서 성찰적 실천이 어떻게 이루어지는지를 이해하기 위해 열린 사고를 가진 접근방식을 채택해야 한다. 예를 들어, 많은 집단주의적 문화에서, 의사들은 환자 관리 및 관리에 대한 결정을 내리기 위해 환자의 구두 의사소통 외에 암묵적, 비언어적, 상황적 정보를 광범위하게 사용한다.

If reflective practice in medical education is to be exported, it is essential to adopt an open-minded approach to understanding how reflective practice happens in non-Western contexts. For example, practitioners in many collectivist cultures make extensive use of tacit, nonverbal, and contextual information in addition to patients’ verbal communication to make decisions on patient care and management.8,35


일부 사회에서, 치유자는 환자 평가assessment에 비언어적 단서 및 가족 배경에 대한 인식을 포함해야 하며, 미리 무언가를 묻지 않고서도 새로운 환자에 대한 광범위한 지식을 보유해야 한다. 아프리카의 전통적인 건강 관행에 따르면, 치유자가 환자에게 어떤 문제에 대해 이야기할 때, 위법 행위에 대한 처벌이나 책임의 소홀에 대한 조상들의 메시지로 전달하기도 한다. 환자는 이러한 설명을 듣고 고개를 끄덕이며, 치유자가 조상들의 영혼으로부터 전해주는 메시지를 받아들인다.

In some societies, the healer is expected not only to include perceptions of nonverbal cues and family background in patient assessments but also to possess extensive knowledge about new patients without prior questioning. In African traditional health practice, the healer tells the patient about the problem, conveying it as a message from the ancestors for a putative transgression or the neglect of responsibilities. The patient listens and nods, accepting the message the healer conveys from the ancestral spirits.


실제로, 성찰적 실천의 한 가지 목적이 의료행위에 미치는 맥락적 요인의 영향을 이해하는 것이라고 했을 때, 서양 의학 교육에서 [성찰적 실천에 대한 문화의 영향]이 종종 간과된다는 점은 아이러니하다. 이것에 대한 가능한 설명은 의학 교육자들이 어떻게 문화가 인식conceived되고 교육되는지를 조사하기 위해 의학 교육 외 분야의 문헌을 보지 않는다는 것이다.29

Indeed, it is ironic that the influence of culture in reflective practice has not often been explored in Western medical education, considering that one purpose of reflective practice is to understand the impact of contextual factors on the practice of medicine. A possible explanation for this oversight is that medical educators do not habitually look outside the medical education literature to examine how culture is conceived and taught.29


이는 성찰적 실천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인데, 서양 밖에서 이것이 어떻게 이뤄지는지에 대해서 그 실천방식과 형태는 거의 연구된 바 없다. 이것은 부분적으로 권력power의 문제에서 기인한다. Introspection이나 단순 성찰에 대한 강조(즉, 상담이나 협력하는 대신 스스로 자신의 성과를 평가하는 것)는 서양의학에서 말하는 의사의 전문적 자아 정체성과 권력power에 해당한다.

The same is true for reflective practice, the practices and forms of which have not been explored outside the West in the medical literature. This is partly attributable to issues of power. The emphasis on introspection or simple reflection (i.e., evaluating one’s own performance instead of consulting or collaborating) corresponds with doctors’ professional self-identity and power inWestern medicine


기초과학과 임상과학에 기반을 두는 의학교육은 과학자로서의 정체성을 촉진하고, 과학적 지식에 기반을 둔 힘을 키워준다.37 단순 성찰을 장려하는 것은 의사들이 실수나 문제를 다른 사람에게 의지하지 않고 다룰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관점이 의미하는 것은 의학교육은 [practitioner에게 스스로의 행동방식을 비교적 자율적으로 개선할 수 있도록] 지식, 기술 및 통찰력을 제공한다는 것이다.

Medical training anchored in basic and clinical sciences promotes the identity of physicians as scientists and fosters power rooted in scientific knowledge.37 Encouraging simple reflection suggests that physicians can address mistakes or problems independently. The implication of this view is that medical training provides practitioners with the knowledge, skills, and insight to improve their practice relatively autonomously.


이 모든 것이 한 방법이 다른 것보다 우월하다고 말하는 것은 아니다. 오히려, 두 가지 접근법은 서로 다르며 문화적 맥락에서 상대적인 중요성과 가치를 가지고 있다. 무엇보다, [문화, 권력, 차이]의 역할은 독립적인 반성과 개인의 자율성을 강조하는 서구의 접근방식에서 간과된다. 

All of this is not to say that one approach is superior to the other. Rather, the two approaches are different and have relative significance and value in different cultural contexts. Further, the roles of culture, power, and difference are overlooked in Western approaches that emphasize solitary reflection and individual autonomy. 


이것은 문화적 역량의 교육과도 관련이 있다. 많은 저자들은 문화적 역량이 가난, 편견, 권력 이탈, 억압 등과 같은 맥락의 문제를 고려하지 않고 소외된 문화 집단의 특색이나 특질에 초점을 맞춘다고 지적해왔다. 좀 더 효과적인 관점은 문화적 역량을 "커뮤니케이션 능력"이나 "Tolerance의 칭송"으로 제한하는 것이 아니라, 특권, 권력 그리고 불평등의 토대에 대한 토론으로 전환하는 것이다.

This relates to the teaching of cultural competency. Many authors have critiqued cultural competency as focusing on the idiosyncrasies of marginalized cultural groups without consideration of issues of context, such as poverty, prejudice, disempowerment, and oppression.15,29,31,38,39 A more effective perspective would not limit itself to “communicative competence” or the “celebration of tolerance” but, rather, would shift the discussion to privilege, power, and the foundations of inequalities.18,29


세계화된 세계에서, 성찰적 실천은 "글로컬리즘"을 인정해야 한다. 현재의 관점은 서구적인 성찰적 실천의 관점을 선호하는 경향이 있지만, 이것이 개발도상국의 의학교육에 수출되는 것은 본질적으로 신제국주의로 인식될 수 있다"글로컬glocal" 접근법은 신식민주의적 글로벌 노력과 로컬 환경 사이의 상충적 관계를 초월하는 퓨전을 나타낼 수 있다.42 맥도널드의 예로 돌아가보면, 맥도널드가 인도에 진입할 때 효과적으로 적용되었던 "지구적 사고, 현지적 행동"이라는 격언은 국내와 세계의 효과적인 합병을 보여준다. 이처럼 성찰적 실천과 같은 아이디어나 접근방식을 "번역" 또는 재개념화하는 것이, 이러한 아이디어와 관행을 현지에서 지속 가능한 방식으로 현실화하는 데 매우 중요할 것이다. Henderson43은 다음과 같이 주장한다.

In a globalized world, reflective practice requires an acknowledgment of “glocalism.” Whereas a current perspective tends to favor a Western-dominated view of reflective practice— which, if imposed on medical education in developing countries, may be perceived as essentially neoimperialist—a “glocal” approach may represent a fusion which transcends an oppositional relationship between neocolonial global efforts and the local environment.42 To return to the McDonald’s example, the adage “think global, act local” that was effectively applied to McDonald’s entry into India1 illustrates the effective merging of the local and the global. The idea of “translating” or reconceptualizing ideas or approaches, such reflective practice, is critical to actualizing those ideas and practices in a locally sustainable manner. As Henderson43 asserts:


지금까지, 국제 의학 교육에 있어서 많은 시도에서, 우리는 [과학의 보편성을 받아들이는 것]이 [의학 교육에도 보편성이 존재한다]고 가정하며, 단순하고 치명적인 비약을 해왔다.

To date, in many of our initiatives in international medical education, we have taken a simplistic, fatal leap of faith from acceptance of the universality of science to presumption of the universality of medical education.


다시 말해서, 의료 교육 전략은 구체적이고 보편적으로 유효한 역량과 진실이 있다는 가정 하에 서구 대학에서 만들어진 것을 그대로 전 세계로 수출해서는 안 된다. 이러한 전략은 상황에 따라 구체적이고 지역적 관행의 heat and dust 속에서 확인된 목적에 적합해야 한다.

In other words, medical education strategies should not be created in Western universities and exported worldwide under the assumption that there are specific, universally valid competencies and truths. These strategies must be context specific and fit the purposes identified in the heat and dust of local practices.



비판적 성찰과 성찰

In Conclusion: Critical Reflections on Reflection


Bleakley와 동료 32명은 의학 교육 전략과 혁신을 전세계로 수출하려는 열성 속에서, 교육자들은 종종 이러한 수출에 수반되는 가정, 가치, 관점에 대한 비판적 시각을 갖지 못하고 있다고 주장하며, 포스트 식민주의 이론을 적용했다.

Bleakley and colleagues32 applied postcolonialist theory to argue that in the zeal to export medical education strategies and innovations to a global audience, educators often fail to turn a critical lens on the assumptions, values, and perspectives that accompany this exportation.


성찰적 실천에 대해, 의학교육에서의 성찰은 개인적이고 비협력적이고 도구적인 방향으로 제한되어왔다는 가정이 있다.

in the area of reflective practice, the assumption there is a circumscribed orientation to reflection in medical education that tends toward an individual, noncollaborative, instrumentalist orientation


정의를 확정하기 위한 노력을 제한하는 대신에, 세계적인 맥락에서 성찰의 타당성과 실제 관행을 완전히 탐구하기 위해 선입견을 내려놓아야 할 것이다. 의료 교육의 글로벌화는 그 자체에 대한 비판적 반성을 요구한다.

Instead of confining efforts to nail down definitions, it may be productive to disturb preconceived assumptions to fully explore the relevance and actual practice of reflection in global contexts.5,13,42 Globalization of medical education demands critical reflection on reflection itself.




7 Aronson L, Niehaus B, Hill-Sakurai L, Lai C, O’Sullivan PS. A comparison of two methods of teaching reflective ability in year 3 medical students. Med Educ. 2012;46:807–814.


13 Kumagai AK. From competencies to human interests: Ways of knowing and understanding in medical education. Acad Med. 2014;89:978–983.



 2016 Mar;91(3):317-21. doi: 10.1097/ACM.0000000000001019.

Troubling Muddy WatersProblematizing Reflective Practice in Global Medical Education.

Author information

1
T. Naidu is lecturer, Department of Behavioral Medicine, Nelson R. Mandela School of Medicine, University of KwaZulu-Natal, and head of clinical psychology, King Dinuzulu Hospital Complex, Durban, South Africa. A.K. Kumagai is professor of internal medicine and medicaleducation and director, Family-Centered Experience Program and Longitudinal Case Studies Program, University of Michigan MedicalSchool, Ann Arbor, Michigan.

Abstract

The idea of exporting the concept of reflective practice for a global medical education audience is growing. However, the uncritical export and adoption of Western concepts of reflection may be inappropriate in non-Western societies. The emphasis in Western medical education on the use of reflection for a specific end--that is, the improvement of individual clinical practice--tends to ignore the range of reflective practice, concentrating on reflection alone while overlooking critical reflection and reflexivity. This Perspective places the concept of reflective practiceunder a critical lens to explore a broader view for its application in medical education outside the West. The authors suggest that ideas about reflection in medicine and medical education may not be as easily transferable from Western to non-Western contexts as concepts from biomedical science are. The authors pose the question, When "exporting" Western medical education strategies and principles, how often do Western-trained educators authentically open up to the possibility that there are alternative ways of seeing and knowing that may be valuable in educating Western physicians? One answer lies in the assertion that educators should aspire to turn exportation of educational theory into a truly bidirectional, collaborative exchange in which culturally conscious views of reflective practice contribute to humanistic, equitable patient care. This discussion engages in troubling the already-muddy waters of reflective practice by exploring the global applicability of reflective practice as it is currently applied in medical education. The globalization of medical education demands critical reflection on reflection itself.

PMID:
 
26630601
 
DOI:
 
10.1097/ACM.0000000000001019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