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BL의 이론적 토대(Med Teach, 2012)

The educational theory basis of team-based learning

PATRICIA HRYNCHAK1 & HELEN BATTY2

1School of Optometry, University of Waterloo, 200 University Ave. Waterloo, ON, N2L 3G1, 2Department of Family and Community Medicine, Faculty of Medicine, University of Toronto, 500 University Ave. Toronto, ON, M5G 1V7





나는 결코 학생들을 가르치지 않는다. 나는 단지 그들이 배울 수 있는 조건들을 제공하려고 노력할 뿐이다.

알버트 아인슈타인

I never teach my pupils. I only attempt to provide the conditions in which they can learn.

Albert Einstein


도입

Introduction


의료제공자는 환자의 요구를 충족시키기 위한 공통의 능력 세트를 필요로한다.

Health care providers require a common set of abilities to meet the needs of their patients.


이 프레임워크에 포함된 두 가지 요소는 비판적으로 생각하는 능력(의료 전문가)과 팀으로 효과적으로 일하는 능력(협업자)이다(Frank 2005).

Two of the components embedded within this framework are the ability to think critically (medical expert) and work effectively in a team (collaborator) (Frank 2005).


보건 직업에서의 전통적인 교육은 선생님과 강좌의 내용을 중심으로 이루어진다(Peters 2000). 이 강의식 모델에서, 목표는 선생님으로부터 학생에게 정보를 전달하는 것이다.

Traditional education in the health professions is centered on the teacher and the content of the courses (Peters 2000). In this didactic model, the goal is to transfer information from the teacher to the student.


강의식 모델에서 학생의 역할은 그들이 배우고 있는 것에 대해서 [실질적인 적용을 이해하는 수준]보다는 [사실을 암기]하는 것이다(Michaelsen et al. 2008, p. 76). 사실을 recall하는 것은 그 과정에서 필수적인 단계지만, 학생들은 그렇게 함으로써 자료에 대해 진정으로 이해하게 되었으며, 새로운 맥락에서 정보를 적용할 수 있을 것이라고 잘못 생각하게 된다(Michaelsen et al. 2008, 페이지 77).

the role of the student is to memorize facts rather than work at the level of understanding the practical application of what they are learning (Michaelsen et al. 2008, p. 76). Recalling facts is a vital step in the process; however, students may mistakenly believe that by doing so they have gained a true understanding of the material and will be able to apply the information in a novel context (Michaelsen et al. 2008, p. 77).


TBL(Team-based Learning)은 래리 마이클슨이 개발하고 지난 20년 동안 의료 교육에 적응한 변증법 강의의 일종이다(Michaelsen et al. 2008, p. 5).

Team-based learning (TBL) is a form of dialectic teaching developed by Larry Michaelsen and adapted to health care education in the last two decades (Michaelsen et al. 2008, p. 5).


학생들은 [관점을 제시하기 전]에 [비판적 사고를 통해 얻은 추론reason의 힘을 배우고 적용]해야 하며, [다른 사람들의 진술을 평가할 때 이것과 동일한 접근법을 적용]할 필요가 있다. 이 과정을 얼마나 잘 수행하느냐가 해당 분야에서 능력이 어느 정도인지를 정의한다(Michaelsen et al. 2008, 페이지 80)

Students need to learn and apply the power of reason gained through critical thinking before offering viewpoints and to apply this same approach when evaluating statements made by others. The extent to which a person accomplishes this process defines his or her competency in a given field. (Michaelsen et al. 2008, p. 80)



표 1. 구성주의 학습의 주요 요소 요약(Kaufman 2003).

Table 1. Summary of the main elements in constructivist learning (Kaufman 2003).


1 선생님은 학습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지침이다.

2 가르침은 학습자의 현재 이해와 새로운 경험 사이의 불일치를 노출시킬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함으로써 새로운 계획을 개발할 기회를 제공하는 것을 포함한다.

3 학습은 관련 문제 및 그룹 상호작용을 사용하여 활성화되어야 한다.

새로운 경험에 대한 성찰을 위해서는 시간이 필요하다. 


1 The teacher is a guide to facilitate learning.

2 Teaching involves providing opportunities to expose inconsistencies between learners’ current understandings and new experiences therefore providing the opportunity to develop new schemes.

3 Learning should be active using relevant problems and group interaction.

4 Time is needed for reflection on new experiences.


구성주의 이론

Constructivist theory


인식론은 지식의 본질을 조사하는 철학의 한 분야이다(Hunter 2008). 구성주의적 인식론에서 지식은 개인적 경험에 의해 구성되는 과정으로 간주된다. 새로운 경험은 이전의 이해에 더해져서 그존의 이해를 수정하기 위해 사용된다(Peelech & Piper 2010). [진리]의 개념은 [실제reality]의 개념으로 대체되는데, 이것은 [개인은 경험을 통해 쌓아간다]라고 세계를 보는 관점이다(Peters 2000). 따라서 이 이론에서 '지식은 자율적이고 주관적인 construction'이다(Peelech & Pieper 2010). 이와는 대조적으로 실증주의'지식과 진리는 개인의 마음 밖에 존재한다'고 주장한다. 따라서 실증주의에서 지식은 고정되어 있으며 한 개인에서 다른 개인으로 옮겨질 수 있다(Peters 2000).

Epistemology is the division of philosophy that examines the nature of knowledge (Hunter 2008). In constructivist epistemology, knowledge is viewed as a process that is structured by personal experiences. New experiences are used to add to and modify previous understandings (Pelech & Pieper 2010). The concept of truth is replaced by that of reality, which is a view of the world that the individual builds through experience (Peters 2000). Therefore, in this theory, ‘‘knowledge is an autonomous and subjective construction’’ (Pelech & Pieper 2010). In contrast, positivism purports that ‘‘knowledge and truth exist outside the mind of the individual’’ (Peters 2000). Positivist knowledge is, therefore, fixed and can be transferred from one individual to another (Peters 2000).


20세기 전반기 동안, 연구자들은 두 가지 주요 학습 이론을 개발했다. 하나는 행동주의 이론이며, 다른 하나는 인지 이론이다(Mohanna 2010, 페이지 45). 

  • 행동주의적 관점에 따르면, 학습자는 수동적이고 자극은 학습자에게 반응을 일으킨다. 

  • 인지적 관점에 따르면, 학습자는 정보에 대해 생각하고, 정보를 처리한 다음, 상황에 따라 다른 방식으로 행동한다(Mohanna 2010, 페이지 45).

During the first half of the twentieth century, researchers developed two main learning theories: The behaviorist and the cognitive theory (Mohanna 2010, p. 45). 

  • In the behaviorist view, learners are passive and a stimulus produces a reaction in the learner. 

  • In the cognitive view, the learners think about the information, process it, and then act upon it in different ways depending on the situation (Mohanna 2010, p. 45).


구성주의 학습 이론은 인지 학습 이론을 정교화한 것이다. 또한 구성주의적 인식론에서 도출된 것으로, "학습자에 의한 정보의 정신적 표현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학습자는 환경과 경험의 새로운 정보와 일치하도록 장기 기억 표현을 재구성한다(Svinicki 2004). 이를 위해서는, 학습자가 새로운 자료를 처리하고 기존 이해와 통합하여 자신의 학습 과정을 바탕으로 자신에게 고유한 새로운 인지 구조를 형성해야 한다(문 2004).

Constructivist learning theory is a refinement of cognitive learning theory and is derived from constructivist epistemology where the ‘‘focus is on the mental representation of information by the learner’’ (Svinicki 2004, p. 242). The learner reconstructs long-term memory representations to be consistent with new information from the environment and experience (Svinicki 2004). For this to occur, learners must process the new material and integrate it with existing understandings to form a new cognitive structure that is unique to them based upon their own process of learning (Moon 2004).


구성론 이론을 교육 방법에 적용하는 4가지 주요 원칙은 표 1에 요약되어 있다.

The four main principles of applying the constructivist theory to educational methods are summarized in Table 1.


첫째, 학습의 초점은 교사보다는 학습자에게 있다. 학습자의 아이디어와 질문에 초점을 둘 수 있는 기회가 제공되어야 한다. 강사의 역할은 학생이 학습에 있어 적극적인 중심적 역할을 수행하는 전문적인 촉진자 중 하나이다(Hunter 2008). 이러한 환경은 평등주의적이고, 비위계적이며, 비권위주의적이다. '학습은 교사와 학습자 사이의 양방향 과정'이라는 인식이 있다(Davies 2000). 이전의 경험을 이해함으로써 지식이 쌓이기 때문에, 선생님의 역할은 이전에 가졌던 의견과 이해에 도전할 기회를 제공하는 것이다(Peters 2000; Torre et al. 2006). 강사는 또한 [커리큘럼과 학생 사이의 중재자] 역할을 하며, 두 사람이 의미 있는 방식으로 상호작용할 수 있도록 한다(Peters 2000).

First, the focus of the learning is on the learner rather than the teacher. An opportunity to focus on the learner’s ideas and questions should be provided. The instructor’s role is one of expert facilitator where the student takes the active central role in learning (Hunter 2008). These environments are egalitarian, nonhierarchic and nonauthoritarian. There is an acknowledgement that ‘‘learning is a two-way process between the teacher and the learner’’ (Davies 2000). As knowledge is built by making sense of prior experiences, the role of the teacher is to provide opportunities to challenge previously held opinions and understanding (Peters 2000; Torre et al. 2006). The instructor is also a mediator between the curriculum and the student, allowing the two to interact in a meaningful way (Peters 2000).


둘째, 구성주의 학습 이론에서 문제 해결은 중심적인 역할을 한다. 문제는 [학습자의 요구 및 이해 관계에 직접적 관련성]이 있어야 하며,  기존에 학습자가 갖고 있던 construct에 대한 도전에 challenge할 필요가 있다. 이전의 경험과 문제 해결에 기초한 학습은 학습자의 입장에서 자기 주도적 능력을 필요로 한다. 교사 또는 동료 학습자는 학습자가 완전한 자기 방향을 달성할 때까지 이를 지원할 수 있도록 비계를 제공할 수 있다(Davies 2000). 이 프레임워크 내에서 학습자는 학습 과정에 대해서 더 잘 이해하게 되고, 그러한 과정을 통제할 수 있는 능력이 향상된다. 이것을 메타 인식이라고 하며 학습의 자기 방향의 기초가 된다(Peters 2000).

Second, in constructivist learning theory, problem-solving plays a central role. The problems need to be of immediate relevance to the needs and interests of the learner and challenge on previously held constructs. Learning based previous experience and solving problems requires the ability for self-direction on the part of the learner. Guidance from teachers or fellow learners can provide scaffolding for learners to support them until they achieve full self-direction (Davies 2000). Within this framework, the learners’ awareness of their learning process and the ability to control those processes is enhanced. This is called metacognition and is the basis for selfdirection in learning (Peters 2000).


셋째, 사회 구성주의 이론에서는, 세계를 함께 경험함으로써 얻어지는 공통의 이해의 발달뿐만 아니라 다른 학습자와의 대화와 상호작용을 통한 학습에 대한 크게 강조한다(Svinicki 2004). 따라서 최고의 구성주의 교육 방법은 다른 학생들과 함께 일할 기회를 통해 새로운 경험을 제공할 것이다(Svinicki 2004). 예를 들어, 학생들은 관련된 실제 생활 경험에서 파생된 문제에 대해 소그룹으로 작업할 수 있다.

Third, in social constructivist theory, there is a strong emphasis on learning with dialogue and interaction with other learners as well as the development of a common understanding that is achieved by experiencing the world together (Svinicki 2004). The best constructivist instructional methods, therefore, will provide new experiences through opportunities to work with other students (Svinicki 2004). For example, students could work in small groups on problems derived from relevant real life experiences.


마지막으로, 학습자가 기존 지식을 수정하는 시기와 방법을 판단할 수 있도록 성찰이 필요하다. 성찰은 RIA와 ROA의 두 종류가 될 수 있다. 

  • "Reflection in action"은 현재와 과거의 경험을 현재와 현재 일어나고 있는 새로운 경험에 적용함으로써 즉시 발생한다. 

  • "Reflection on action"은 사람이 일어난 일, 그것에 기여한 일, 취한 조치가 최적인지 여부, 그리고 이 정보가 미래의 관행을 향상시키기 위해 어떻게 사용될 수 있는지를 상기할 때 발생한다(표 1).

Finally, reflection is required to allow the learners to make judgments on when and how to modify their existing knowledge. Reflection can be of two kinds: Reflection in action and reflection on action. 

  • ‘‘Reflection in action’’ occurs immediately by applying current and past experience to novel experiences as they are happening. 

  • ‘‘Reflection on action’’ occurs when the person recalls what happened, what contributed to it, whether the actions taken were optimal and how this information may used to enhance future practice (Mohanna 2010, p. 66) (Table 1).


학습에 대한 구성주의적 접근법의 원칙은 다양한 의료 교육 프로그램에 사용되어 왔다(Davies 2000). 고전적인 문제 기반 학습은 이 이론의 가장 초기 적용 사례 중 하나이다.

The principles of the constructivist approach to learning have been used in a variety of health care training programs (Davies 2000). Classic problem-based learning is one of the earliest applications of this theory.


문제 기반 학습은 소규모 그룹 프로세스에서 교수진 대 학생 비율이 낮기 때문에 자원이 집약적이다(Walton 1997).

problem-based learning is resource intensive due to the low faculty-to-student ratios in the small group process (Walton 1997).


TBL

Team-based learning


TBL은 원래 래리 마이클슨에 의해 1970년대에 경영학 학생들을 가르치기 위해 개발되었다(Michaelsen et al. 2008). TBL은 학습자 중심이지만 강사가 주도하는 능동적 학습 방법이다(Koles et al. 2010).

TBL was originally developed by Larry Michaelsen for instructing business students in the 1970s (Michaelsen et al. 2008). TBL is an active learning method that is learner centered but instructor led (Koles et al. 2010).


팀 내 다양성은 최대지만 팀 간의 상대적 균일성을 갖는 소규모 그룹(팀이라고 함)으로 나뉜 대규모 클래스에 활용할 수 있다. 이는 팀의 성공을 촉진할 개별 구성원의 주요 특성이 무엇인지를 결정한 다음 이러한 자질을 가진 사람들을 팀 간에 균등하게 배분함으로써 달성할 수 있다(Michaelsen et al. 2008). 이렇게 하면, 각 팀은 분석 문제를 협력적으로 해결할 때 도출할 수 있는 구성원의 지식과 경험에서 최대한의 다양성을 가진다.

This method is used for large classes that are divided into smaller groups (referred to as teams) that have maximal diversity within the teams but relative evenness between the teams. This is accomplished by deciding what the key characteristics of individual members are that would promote success of a team and then distributing people with these qualities evenly between the teams (Michaelsen et al. 2008). In that way, each team has a maximal diversity in the knowledge and experience of the members that can be drawn upon when collaboratively solving the analysis problems.


교수는 학습 목표를 설정하고 이러한 학습 목표를 다루는 모듈로 코스를 의도적으로 설계한다. 모듈은 세 개의 반복 단계로 구성된다(그림 1).

The instructor sets the learning objectives and purposefully designs the course into modules that will address those learning objectives. The modules consist of three repeating phases (Figure 1).


적용 연습. 이 문제는 다음과 같은 특성을 갖도록 설계되었다. 모든 그룹에 대해 동일하며, 문제는 학습자에게 중요하며, 그룹은 정확한 대답(예: 객관식 질문)에 대해 특정한 선택을 해야 하며, 결과는 모든 그룹에 의해 동시에 보고된다.

application exercises. The problems are designed to have the following characteristics; they are 

  • the same for all of the groups, 

  • the problems are significant for the learners, 

  • the groups must make a specific choice for the correct answer (e.g., a multiple choice question) and 

  • the results are simultaneously reported by all groups.


TBL의 중요한 구성요소는 동료 평가다. 팀 구성원은 코스 중 한두 번 다른 그룹 구성원에게 팀 성과에 대한 피드백을 제공한다.

An important component of TBL is the group evaluations. Team members give feedback to the other group members on team performance once or twice during the course.


TBL의 이론적 토대로서 구성주의

Theoretical grounding of TBL in constructivism


TBL에서 교사는 교육 목표를 설정하고, 그룹이 해결할 수 있는 학습 자료, 시험 및 적절한 문제를 개발함으로써 학습에 대한 지침 역할을 한다. 강사는 학습자에 의해 생성되는 토론을 안내한다. 강의와 같은 수동적 학습을 제공하는 전략은 이 과정에서 감소한다. 따라서, 구성주의 학습 이론에서 중요한 '학생 중심 원칙'과 '지지적 비계'는 일관되게 내재되어 있다.

In TBL, the teacher acts as a guide to learning by setting the educational objectives and developing study materials, tests, and appropriate problems for the groups to solve. The instructor guides discussion that is generated by the learners. Strategies providing passive learning such as lecturing are reduced in this process. Student centered principles and supportive scaffolding important in constructivist learning theory are consistently inherent.


TBL은 학습자가 그룹과 현재 이해도를 비교하고 GRAT 및 그룹 적용 연습에서 논란이 되는 사항에 대해 토론할 수 있도록 한다. 이것은 새로운 경험으로 얻은 정보를 기존의 정신 계획에 통합시킴으로써 학습이 일어난다는 구성주의적인 견해와 일치한다. 

TBL allows learners to compare their current understandings with those of the group and debate controversial points in the GRAT and group application exercises. This is consistent with a constructivist view that learning occurs by integrating information obtained by new experiences into existing mental schemes. 


응용 연습은 임상 실습에서 발생하는 실제적인 문제로 만들어진다. 비판적 사고는 이 능동적인 과정에서 모델링되고 학습된다.

The group application exercises are real world problems that occur in the clinical practice. Critical thinking is modeled and learned in this active process.


RIA는 GRAT 동안 그리고 애플리케이션 연습의 사례 문제를 해결할 때 학생들이 그룹의 이해도를 비교할 때 발생한다. 새로운 연결은 이해에 대한 불일치를 노출시킴으로써 이루어진다. 학생들이 모든 팀 구성원의 기여를 평가하는 순간도, ROA의 한 형태다. 학습자들은 또한 다른 그룹 멤버들로부터 받은 피드백을 활용하여 팀 멤버로서의 자신의 성과를 성찰해야 한다.

Reflection in action occurs when students compare their understanding to that of the group during the GRAT and in solving the case problems in the application exercises. New connections are made by exposing these inconsistencies in understandings. When the students are required to evaluate the contributions of all the team members it is a form of reflection on action. Learners also reflect on the feedback they receive from other group members on their own performance as team members.


보건의료인 교육에서 TBL

Team-based learning in healthcare education


"고-기능 팀"에는 몇 가지 특징이 있다. 여기에는 모든 구성원의 높은 참여 수준, 팀 식별복잡한 사고 프로세스 사용 능력이 포함된다(Thompson 등 2009). TBL은 목표 달성을 촉진하고 그룹 등급을 공유함으로써 공통 목표를 향한 진정한 팀워크를 촉진한다(Morrison et al. 2010). Davidson은 TBL을 사용하여 시간이 지남에 따라 학생들이 자신이 '집단작업group work의 원리를 얼마나 이해했는지'에 대한 추정이 상당히 증가했다는 것을 발견했다.

There are several features of high-functioning teams. These include high levels of involvement by all members, team identification and the ability to use complex thought processes (Thompson et al. 2009). TBL fosters these attributes by encouraging true teamwork toward a common goal with each student facilitated in contributing to that goal and by sharing a group grade (Morrison et al. 2010). Davidson found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increase in the students’ estimation of their ‘‘understanding of the principles of group work’’ over time using TBL (Davidson 2011).


개별 학습자에게는 "사회적 태만(무임승차)"을 감소시켜야 할 책임이 있다(즉, 사전 준비와 그룹활동 참여를 통해서 '회피'할 기회를 줄이는 것). 교수진들은 일반적으로 학생들의 준비, 출석 그리고 수업 토론의 질이 향상되는 것을 관찰할 수 있다(Thompson et al. 2007a). 헌트 외 연구진(2003)은 TBL 세션 중 외부 관찰external observation을 사용했으며, TBL에서는 강의 기반 과정에 비해 학생들의 참여도가 상대적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리바인 외 연구진(2004)은 학생들이 TBL을 '전통적인 수업didactics보다 훨씬 더 효과적이고 즐거운' 것으로 평가했다.

There is accountability on the part of the individual learners with a reduction in ‘‘social loafing’’ (i.e., reduced opportunity for avoidance by students of advance preparation and engagement in the group work) (Michaelsen et al. 2008, p. 104; Koles et al. 2010). Faculty members generally see an improvement in students’ preparation, attendance and quality of class discussions (Thompson et al. 2007a). Hunt et al. (2003) used external observations during the TBL sessions and found a relatively high level of engagement of the students compared to lecture based courses. Levine et al. (2004) found that students rated TBL ‘‘significantly more effective and enjoyable than traditional didactics.’’


TBL에 대한 긍정적 연구가 쌓이고 있지만, 일부 한계도 있다(Thompson et al. 2007b). TBL이 효과적이기 위해서는 교수, 학생, 행정부의 참여buy-in가 필요하다. 기술적 측면에서 전문지식과 TBL도입을 위한 훈련이 있어야 하며, 교육과정 내 시간이 확보되어야 하고, 교수들이 TBL을 개발해야 한다. CBL보다는 교수자원이 덜 들지만, 공간, 자료, 행정지원 등 다른 자원이 필요하다. 코스의 규모와 내용 또한 중요하다(Thompson 2007b).

While the research support for TBL is building, there are also some limitations (Thompson et al. 2007b). For TBL to be effective there must be buy-in from faculty, students and the administration. There must be expertise and training in the technique as well as time provided in the curriculum and for the faculty member to do the development. While teaching personnel resources are less than in case-based learning, other resources are required such as space, materials and administrative support. The size and content of the course is also important (Thompson 2007b).


TBL에서 적절한 복잡성을 갖추어 진정으로 유용한 assignment를 만들려면 교수의 상당한 노력이 필요하다(Parmlee 2010; Zgheib et al. 2010). 자원이 부족한 시스템에서 TBL을 적용하게 되면, 교수의 참여 부족이 발생할 수 있다(Thompson et al. 2007b).

TBL requires significant instructor effort to make the assignments useful with an optimal amount of complexity (Parmelee 2010; Zgheib et al. 2010). There may be a potential lack of engagement by instructors if the method is imposed on the system with insufficient resources (Thompson et al. 2007b).


몇몇 연구는 학생들이 소규모 그룹이나 강의와 같은 다른 교육 방법보다 TBL에 대한 만족도가 낮다는 것을 발견했다(Hunt et al. 2003; Haidet et al. 2004; Willett et al. 2011). 그러나 데이빗슨은 몇 년에 걸쳐서 적극적인 학습 전략의 수용이 증가할 수 있다는 것을 발견했다(Davidson 2011). 학생들은 특히 동료평가에서 어려움을 겪는데, 특히 그룹원 간 differentiate하도록 요구받을 경우, 그리고 동료평가가 성적에 들어갈 경우 그러하다.(Nieder et al. 2005; Thompson et al. 2007a; Parmelee et al. 2009).

Several studies have found that students have lower levels of satisfaction with TBL than other teaching methods such as small group or lecture (Hunt et al. 2003; Haidet et al. 2004; Willett et al. 2011). However, Davidson found that the acceptance of active learning strategies can increase over several years (Davidson 2011). Students can also have difficulty with the group evaluation process, especially when they are required to differentiate among group members and the evaluation counts towards their grade (Nieder et al. 2005; Thompson et al. 2007a; Parmelee et al. 2009).


또한, 이 방법은 커리큘럼에 있는 다른 과목들의 요구와 잘 통합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어, 개인별 학습은 학생들이 커리큘럼의 다른 부분에서 해야 하는 다른 과제와 시험과 충돌할 수 있다(Thompson et al. 2007a).

Also, the method may not integrate well with the demands of other courses in the curriculum. For example, the individual study might conflict with other assignments and examinations that the students are required to do in other parts of the curriculum (Thompson et al. 2007a).


결론

Conclusions


TBL은 구성주의적 학습원리에 기초한 효과적이고 경제적인 교수법이다.

TBL is an effective and economical teaching method based on constructivist learning principles.





 2012;34(10):796-801. doi: 10.3109/0142159X.2012.687120. Epub 2012 May 30.

The educational theory basis of team-based learning.

Author information

1
School of Optometry, University of Waterloo, Waterloo, ON. hrynchak@uwaterloo.ca

Abstract

BACKGROUND:

Health care providers require the ability to use critical thinking skills and work effectively in a team as a part of an overall set of competencies. Therefore, educational programs should use appropriate methods based in educational theory to effectively graduate learners with these abilities. Team-based learning (TBL) is a method that has been introduced in healthcare education to foster critical thinking skills while students work in high functioning teams.

AIMS:

This article will show how TBL follows the principles of constructivist learning theory.

METHOD:

The principles of constructivist learning theory are discussed in relation to the teaching method of team-based learning. The effectiveness of TBL in healthcare education is then reviewed.

RESULTS:

TBL is learner centered with the teacher acting as an expert facilitator and also provides students with opportunities to expose inconsistencies between their current understandings and new experiences thus stimulating development of new personal mental frameworks built upon previous knowledge. The learning is active using relevant problems and group interaction. Teamwork skills are strengthened by focused reflection on new experiences during the group sessions and on teamwork success by providing feedback to group members.

CONCLUSION:

Since these aspects are all essential components of constructivist educational theory, TBL is solidly grounded in the theoryand is a promising method to strengthen healthcare education.

PMID:
 
22646301
 
DOI:
 
10.3109/0142159X.2012.687120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