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측가능한 혼돈: 집중, 기억, 의사결정에 대한 감정의 영향(Adv in Health Sci Educ, 2014)

Predictable chaos: a review of the effects of emotions on attention, memory and decision making

Vicki R. LeBlanc • Meghan M. McConnell • Sandra D. Monteiro





Introduction


의료는 감정노동이다. 의료전문가들과 훈련생들은 지속적으로 감정적인 사건들에 직면한다.

The delivery of health care is an emotional endeavor. Health professionals and trainees are constantly confronted with emotional events.


감정을 자극하는 무수한 상황에서 보건 전문가와 훈련생은 정보를 얻고 해석하고, 유익성과 위해성이 다른 치료 선택사항에 대해 판단하며, 중요한 임상적, 환자 관련 정보를 기억해야 한다. 신경과학과 인지과학에 대한 현재의 연구는 감정이 인식, 기억, 주의, 추론을 포함한 다양한 인지 과정을 조절한다는 것을 보여준다.

In many of these emotion-evoking situations, health professionals and trainees must obtain and interpret information, make judgments regarding treatment options that have different benefits and risks, and remember important clinical and patient related information. Current research in neuroscience and cognitive sciences indicates that emotions modulate a variety of cognitive processes, including perception, memory, attention, and reasoning (Clore and Palmer 2009; Damasio 1994; Kensinger 2009; Lerner and Keltner 2000).


따라서, 극심한 스트레스 하에서 보건 전문가들은 의료 관련 의사결정을 내리기 위해 (휴리스틱스에 의존하는 것과 같은) 시간 및 에너지 절약 전략에 의존할 수 있다. 이러한 전략은 시간이 제한되어 있고 환자가 극심한 고통을 받고 있을 때 adaptive하다. 그러나 좌절이나 즐거움과 같은 감정 상태가 주의력, 기억력, 임상적 추론 전략에 얼마나 덜 영향을 미치는지는 분명하지 않다.

As such, under extreme stress, health professionals may resort to time- and energy-saving strategies, such as reliance on heuristics, to make medically relevant decisions. Such strategies can be adaptive when time is limited and the patient is under extreme distress. It is unclear, however, how less intense emotional states, such as frustration or enjoyment, influence attention, memory, and clinical reasoning strategies.


(성과와 학습에 대한 주관적이고 생리적인 스트레스의 영향에 대한 연구가 증가하는 것을 포함하여 몇 가지 주목할 만한 예외를 제외하고는) 임상적 사고와 임상 추론에 대한 감정의 역할에 대한 연구는 희소하다.

With a few notable exceptions (Estrada et al. 1994, 1997; Isen et al. 1991; McConnell and Eva 2012), including growing work on the effects of subjective and physiological stress on performance and learning (Arora et al. 2010a, b; Cheung and Au 2011; Harvey et al. 2010, 2012; LeBlanc 2009), the roles of emotions on clinical thinking and reasoning are rarely broached.


감정의 정의: 신경과학적 관점과 인지적 관점

Definition of emotions: neurosciences and cognitive perspectives


(see Table 1).


신경과학 접근법은 감정의 생리학적 발현에 초점을 맞추어 왔는데, 이 경우 감정은 생리적 또는 신경적 반응 또는 "감각"으로 정의되어 유기체에 바람직하거나 그렇지 않은 상황에 대해 알려주는 것이다. 감정에 대한 선도적인 신경과학의 설명인 [체외 지표 가설]에 따르면 감정-관련 신호는 사람의 신체적 상태의 변화를 나타낸다(예: 심박수, 혈압, 선체적 분비물). 그러한 상황에서 고려되는 모든 대응 옵션에 대해 somatic state가 만들어지며, 이는 목표 달성의 관점에서 desirable한 반응인지 아니면 aversive한 반응인지에 대한 신호를 유기체에 제공한다(Beagara and aversive).

The neuroscience approach has focused on the physiological manifestations of emotions, whereby emotions are defined as physiological or neuronal responses, or ‘‘sensations’’, that inform the organism about desired or undesired situations (Damasio 1994). A leading neuroscience account of emotions, the somatic marker hypothesis, posits that emotion-related signals represent changes in a person’s visceral state (e.g., heart rate, blood pressure, glandular secretions) that serve as somatic markers to indicate a person’s emotional reaction to a situation. For every response option that is considered in that situation, a somatic state is generated, and this provides a signal to the organism as to whether the response is desirable or aversive in terms of attaining one’s goal (Bechara and Damasio 2005).


이 접근법에 따르면, 감정 반응은 감정의 주관적인 경험 없이 일어날 수 있. 즉, 특정한 상황에 대한 느낌이나 의식적인 생각이 감정과 연관될 수 있지만 의식은 감정적 경험의 필요조건은 아니다. 감정의 의식적 표현과 무의식적인 생리적 표현을 구별하려면 스트레스에 대한 연구를 고려하라. 스트레스 반응은 불안감을 의식적으로 드러낼 수 있다. 그들은 또한 스트레스 호르몬 코티솔을 방출하는 뇌의 시상하부-정수체-아드레날 축의 생리적인 활성화에서 그들 자신을 드러낼 수 있다. 불안과 코티솔 반응은 함께 발생하는 경우가 많지만, 주관적인 불안감을 느끼지 않더라도, 생리학적으로 코티솔 반응을 보일 수 있다.

According to this approach, emotional reactions can occur without the subjective experience of feelings (Naqvi et al. 2006); that is, feelings or conscious thoughts about specific situations may be associated with emotions, but consciousness is not a requirement of emotional experiences. To distinguish between conscious and unconscious physiological manifestations of emotions, consider research on stress. Stress responses can manifest themselves with conscious feelings of anxiety. They can also manifest themselves in physiological activation of the brain’s hypothalamic–pituitary–adrenal axis, which releases the stress hormone cortisol. While anxiety and cortisol responses often occur together, individuals can have physiological cortisol responses in the absence of subjective feelings of anxiety (Regehr et al. 2008).


인지적 관점에서, 감정은 감정이나 기분의 더 익숙한 주관적인 경험으로 이해되며, 불안감, 행복함 또는 좌절감을 느끼게 하며, 인지 기능의 필수적인 부분을 형성합니다. 또한 인지 기능은 감정의 도출에 기여할 수 있다. 다양한 감정모델은 이러한 관점을 지지하며, 이들 모델에 따르면 감정은 반사적이거나 습관적인 방식으로 단순히 물체와 상황에 의해 촉발되는 것이 아니라(Gendron과 Barrett 2009)감정은 개체 및 상황에 대한 개인의 해석에서 발생합니다. 사람의 [내부 상태]가 어떤 식으로든 상황과 관련되거나 상황에 의해 야기될 때 감정이 발생한다.

From a cognitive perspective, emotions are understood as the more familiar subjective experience of feelings or moods—feeling anxious, happy, or frustrated—and they form an integral part of cognitive function (Izard 2009). As well, cognitive functions can contribute to the elicitation of emotions. Many models of emotion support this perspective, suggesting that emotions are not merely triggered by objects and situations in reflexive or habitual ways (Gendron and Barrett 2009), but arise from an individual’s interpretation of objects and situations: an emotion emerges when a person’s internal state is understood in some way as related to or caused by the situation (Lazarus 1991).


예를 들어, 정서-정보 모델에 따르면 [긍정적, 부정적, 자극적인 반응이 생리적이고 경험적 정보를 제공한다]고 주장한다. 또한 그리고 이 정보는 다양한 상황에 대한 개인의 반응을 안내한다. 즉, 특정한 판단, 물체 또는 사건에 직면했을 때 사람들은 종종 스스로에게 '내가 그것을 얼마나 강하게 느끼는가?'라고 묻는다. 이러한 방식으로, 정서적 반응은 주어진 판단/객체/사건에 대해서 전체적overall 가치(예: 감정적 valence- 기분 좋은 것 대 불쾌한 것, 바람직한 것 대 바람직하지 않은 것등)또는 전체적 중요도(예: 감정적 흥분- 긴급한 것 대 긴급하지 않은 것, 중요한 것 대 중요하지 않은 것)를 알려준다. 예를 들어, 응급 구조원이 치명적인 상처를 입은 아이를 치료한다고 상상해 보면, 이런 경우, 불안감은 위험이 높고, 아이의 행복에 중대한 위협이 있으며, 그 시간은 매우 중요한 것임을 나타낼 수 있다.

For example, the affect-as-information model (Clore and Storbeck 2006; Schwarz and Clore 2007; Storbeck and Clore 2008) posits that positive, negative, and arousing responses provide physiological and experiential information, and this information guides individuals’ responses to various situations. In other words, when confronted with a particular judgment, object, or event, people often ask themselves ‘How strongly do I feel about it?’ In this way, affective reactions serve to signal the overall value (e.g., emotional valence: pleasant vs. unpleasant; desirable vs. undesirable, etc.) and importance (e.g., emotional arousal: urgent vs. not urgent; important vs. unimportant) of a given judgment, object, or event. For example, imagine a paramedic treating a critically injured child. In such a case, feelings of anxiety can indicate that the stakes are high, that there are significant threats to the child’s well-being, and that time is of essence.


감정과 인식: 집중, 기억, 추론

Emotions and cognition: attention, memory and reasoning


오래 전부터 인간 행동의 감정적 근본은 (더 합리적이고 우월한) 사고의 근본과 분리되어 있다고 추정되어 왔다. 초기 관점은 감정을 변연계 시스템의 일부로 보았다. 이것은 신피질(인식과 학습 능력의 좌석)과 뇌간(기본적으로 호흡하는 것) 사이에 위치한 덜 진화된 구조의 뇌의 분리적 네트워크였다. 뇌의 더 진화한 부분인 신피질은 인간을 비인간 동물과 구별하는 인지적 기능, 즉 추리, 의사결정, 기대, 계획 등의 역할을 하는 것으로 보였다. 감정을 뇌의 더 오래되고 파충류적인 부분에 localize되는 것으로 개념화하면서 감정은 원시적인 것으로 평가절하되었고, 이성이나 더 높은 수준의 인식과는 상반되는 것이며, 또한 감정이 인지 과정과 분리되는 것으로 촉진되었다. 감정은 다른 이성적인 개인들에게 논리를 흐리게 하고 혼란을 일으키는 것으로 여겨졌다.

It has long been assumed that the emotional groundings of human behavior are separate from the more rational and superior groundings of thought (Gros 2010). Early perspectives viewed emotions as part of the limbic system, a discrete network of primitive, less evolved structures in the brain located between the neo-cortex (the seat of the cognitive and learning capacities) and the brain stem (responsible for basics life maintenance such as breathing and blood pressure). The more evolved part of the brain, the neo-cortex, was seen as responsible for the cognitive functions that distinguish humans from non-human animals: reasoning, decision-making, anticipation and planning. This conceptualization of emotions as being localized in the older, more reptilian part of the brain led to the devaluation of emotions as primitive and antithetical to reason and higher order cognition, and also promoted the perception of emotions as being separate from cognitive processes. Emotions were viewed as derailing logic and creating chaos in otherwise rational individuals.


최근 몇 가지 신경과학의 발전은 감정과 인지 기능이 뇌에서 별도로 처리된다는 개념에 의문을 제기했다. 

  • 첫째, 연구에 따르면 뇌의 '새로운' 부분'과 '파충류적' 부분은 원래 믿었던 것만큼 다르지 않다. 

  • 둘째, 피질적 감정 시스템에서 인지적 시스템으로의 입력은, 인지적 시스템에서 감정적 시스템으로의 입력보다 더 강력하며, 이는 인지적 처리보다 감정적 처리에 대한 우선성을 시사한다(Damasio 1994). 

  • 마지막으로, "감정적" 변연계(예: 해마)의 일부로 여겨지는 구조들은 인지적 과정에 능동적으로 관여하는 것으로 보이는 반면 (예를 들어 기억), 인지적 기능(예: 전두엽 피질)을 담당한다고 여겨지는 구조들이 감정적 정보 처리에서 능동적인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Damasio 1994).

Several recent advances in neuroscience have challenged the notion that emotions and cognitive functions are processed separately in the brain. 

  • First, research has revealed that the ‘‘newer’’ and ‘‘reptilian’’ parts of the brain do not differ from each other as much as originally believed (Damasio 1994). 

  • Second, the input from the subcortical emotional systems into the cognitive systems are stronger than input from the cognitive systems to the emotional ones, which suggests a primacy for emotional processing over cognitive processing (Damasio 1994). 

  • Finally, structures believed to be part of the ‘‘emotional’’ limbic system (e.g., the hippocampus) have been shown to have an active involvement in cognitive processes (e.g., memory), while structures believed to be responsible for cognitive functions (e.g., prefrontal cortex) have been shown to play an active role in processing emotional information (Damasio 1994).


감정이 인간의 인지 과정에 필수적인 기능을 가지고 있다는 인식이 커지고 있다. 감정적 정보를 처리하는 뇌의 일부에 손상을 입은 사람들은 주의력, 기억력, 추론 능력이 멀쩡에도 불구하고 학습과 의사결정이 손상된 것을 보여준다. (Pessoa 2008) 그러므로, 감정이 없다면, 인간은 기능할 수 없다. 감정과 인식은 뇌에서 상호작용을 할 뿐만 아니라 종종 그들이 행동에 공동으로 기여하도록 통합된다. 다마시오(1994년)에 의해 증명되었듯이 "추론에서 감정이 전적으로 배제될 때, 우리의 결정에 감정이 나쁜 장난을 하는 것보다, 이성은 훨씬 더 큰 결함을 보여주었다." 따라서 감정은 개인의 생각과 행동을 조정하는 것처럼 보인다. 이러한 반응은 생리학적, 행동적, 동기적 반응의 집합으로, 사람이 마주친 상황을 처리할 수 있게 한다(Clore and Palmer 2009; Damasio et al. 1996; Dolan 2002).

There is growing recognition that emotions have a function that is indispensable to human cognitive processes (Bechara et al. 2000). Individuals with damage to parts of the brain that process emotional information show impaired learning and decision making despite having intact attention, memory and reasoning capabilities (Pessoa 2008). Thus, without emotions, humans are incapable of functioning. Emotion and cognition not only interact in the brain, but are often integrated such that they jointly contribute to behavior (Damasio 1997). As demonstrated by Damasio (1994), ‘‘when emotion is entirely left out of the reasoning picture …reason turns out to be even more flawed than when emotion plays bad tricks on our decisions’’. Emotions thus appear to coordinate the thoughts and actions of the individual. They trigger sets of responses physiological, behavioural, motivational that enable a person to deal with the situation encountered (Clore and Palmer 2009; Damasio et al. 1996; Dolan 2002).


인지과학의 연구는 또한 개인의 주관적인 감정과 감정이 주의력, 지각력, 기억력 같은 인지 과정을 형성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주의와 인식은 정보 처리의 첫 번째 단계이며, 따라서 이러한 요소들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들도 기억과 추론을 포함하여 처리의 후속 단계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연구에 따르면 사람들은 감정적으로 중요한 정보에 대한 인식을 향상시킨다고 한다. 예를 들어, 사람들은 얼굴 표정과 같은 감정적으로 일치된 정보를 더 빨리 감지하고 더 선호한다는 것을 보여준다.

Research from cognitive sciences also shows that individuals’ subjective emotions and feelings can play an important role in shaping cognitive processes, such as attention, perception and memory. Attention and perception are the first stages in information processing, and as such, factors that influence these will also influence subsequent stages of processing, including memory and reasoning. Research has shown that people exhibit enhanced perception for emotionally significant information; for example, people show a more rapid detection of, and a preference towards, emotionally congruent information such as facial expressions (Blanchette and Richards 2003; Nabi 2003; Niedenthal and Setterlund 1994; Richards et al. 2002).


게다가, 사건들의 해석은 개인의 현재 감정 상태를 반영하는 경향이 있다. 예를 들어, 불안은 (설령 높지 않더라도) 모호한 자극(얼굴 표현, 사회적 상황, 동음이의어{'dye' 대 'die'})을 위협으로 해석할 가능성이 높아지는 것과 관련이 있다. 사실, 자극의 감정적인 특성, 특히 부정적인 평가를 받는 것들로부터 관심을 떼어내는 것은 어렵다. 이 아이디어를 임상적 환경으로 확장하면, 불안감을 느끼는 간호사는 경계선상의 실험실 수치(예: 108의 헤모글로빈)를 중립적이거나 기분 좋은 간호사보다 더 문제가 많은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Furthermore, the interpretation of events tends to reflect individuals’ current emotional states. For example, anxiety, even when mild, is associated with an increased likelihood of interpreting ambiguous stimuli (facial expressions, social situations, heard homophones {‘‘dye’’ vs. ‘‘die’’}) as threatening (Blanchette and Richards 2003; Nabi 2003). In fact, it is difficult to disengage attention from the emotional qualities of a stimulus, particularly negatively valenced ones (Richards et al. 2002). Extending this idea to a clinical setting, a nurse who is feeling anxious would be more likely to interpret marginal laboratory readings (e.g., hemoglobin of 108) as being more problematic than would a nurse in a neutral or happy mood.


감정은 또한 기억기능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대부분의 독자들은 너무 감정적으로 충전되어 기억에 지워지지 않는 사건들을 만나는 경험에 익숙할 것이다. 기존 연구도 이러한 현상을 지지하며, 사건과 관련된 감정들이 경험에 대한 일부 세부사항을 위한 기억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Ken-Singer 2009) 기억의 향상은 enhanced cosolidation에 의해서 나타나는데, 이것은 메모리가 안정적이고 지속적 표현으로 변환되는 프로세스로 인해 발생합니다(Kensinger 2009). 어떤 이벤트와 관련된 감정은 더 강한 인코딩을 통해 더 기억에 남도록 도울 수 있지만, 감정적인 사건에서 유발된 감정은 파라메딕의 약물 복용량 계산 공식과 같은 이전에 학습된 정보의 리콜을 손상시키기도 한다.

Emotion also plays an important role in memory function. Most readers will be familiar with the experience of encountering events that were so emotionally charged, they became indelibly marked in memory . The literature supports this phenomenon, demonstrating that the emotions associated with an event can enhance memory for some details of an experience (Ken-singer 2009). Improved memory also occurs due to enhanced consolidation, the process by which memories are turned into stable and lasting representations (Kensinger 2009). While the emotions associated with an event can help make it more memorable through stronger encoding, emotions during an emotional event have been shown to impair the recall of previously learned information, such as formulas for drug dosage calculations by para-medics (LeBlanc 2009).


요약하자면, 경우에 감정의 신호가 두뇌에서 빠르고 자동으로 처리된다는 것을 밝혀낸다. 또한, 감정은 어떤 정보에 주의를 기울이거나 기억에서 불러올지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Bower and Forgas 2001; Lerner and Keltner 2000; Mather 2007; McConnell and Shore 2011; Pelps 2006; Pelps 2006). 사람들은 선별적으로 기억으로부터 mood에 부합하는 정보를 찾아내고 그 정보를 사용하여 판단한다. 마지막으로, 감정은 정보의 역할을 할 수도 있다. 사람들은 자기 주변세상에 대한 판단을 하기 위해 감정을 휴리스틱 방식으로 의존한다.

Together, the body of research reveals that in many cases, signals of emotion are processed rapidly and automatically in the brain. In addition, emotions can influence which information is attended to or retrieved from memory (Bower and Forgas 2001; Lerner and Keltner 2000; Mather 2007; McConnell and Shore 2011; Phelps 2006). People selectively retrieve mood-congruent information from memory and then use that information to make judgments. Finally, emotions can also serve as information. People rely on their emotions in a heuristic fashion to make judgments about the world around them (Lerner and Keltner 2000).


분노, 불안, 행복, 슬픔과 같은 다른 감정들이 인식, 기억, 판단 그리고 추론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가에 대한 의문들이 남아있다.

Questions remain as to how different emotions, such as anger, anxiety, happiness or sadness, influence perception, memory, judgments and reasoning.


See Table 2 for a summary of dimensional and discrete models of emotions.



감정의 여러 차원들

Dimension models of emotions


차원적 접근법은 valence, 흥분, 목표 관련성이 가장 일반적인 차원이며 서로 다른 감정 상태 간의 유사성과 차이를 설명하는 핵심 차원을 식별하려고 한다.

Dimensional approaches attempt to identify core dimensions that account for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across different emotional states, with the most common dimensions being valence, arousal and goal relevance.


흥분 모델: 낮은 흥분 vs 높은 흥분

Arousal models: low versus high arousal emotions


인식에 미치는 감정의 영향을 설명하려는 초기 모델들 중 일부는 감정적 흥분arousal을 핵심 차원으로 제안하였다.

Some of the earliest models seeking to explain the effects of emotions on cognition proposed emotional arousal as the key dimension.


이스터브룩(1959)의 큐 이용 이론감정적 흥분arousal의 효과가 주의를 기울이는 cue의 범위를 체계적으로 줄여 관심의 범위를 좁히고 집중시키는 것이라고 설명한다. 따라서, 집중력 증대를 위하여 [주변 정보나 덜 목적적합한 정보]에 대한 주의가 줄어들고, 즉각적으로 관련이 있거나 중심적인 단서로 주의를 이동시킨다. 정서적 arousal은 그것이 긍정적이든 부정적이든 뇌의 특정 부분을 활성화시키는 것으로 생각되며, 특히 편도체와 해마(Cahill and McGaugh 1998; Hamann)가 가장 두드러진다. 

the cue utilization theory by Easterbrook (1959) states that the effect of emotional arousal is to narrow and focus attention by systematically reducing the range of cues attended to. Attention is thus moved away from peripheral or less relevant information in favor of augmented focus to cues that are central or immediately relevant to the individual (Bacon 1974; Easterbrook 1959). Emotional arousal, regardless of whether it is positive or negative, is thought to activate specific parts of the brain, most notably the amygdala and the hippocampus (Cahill and McGaugh 1998; Hamann 2001). T


Valence 모델: 긍정적 vs 부정적 감정

Valence models: positive versus negative emotions


감정의 차원적 모델에 대한 추가적인 서포트는 긍정적인 감정과 부정적인 감정이 다양한 인지 능력에 다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보여주는 연구를 통해 얻어진다. 확장과 구축의 이론에 따르면 긍정적인 감정은 강도에 관계없이 사람의 관심 범위와 인지 기능을 확장시킨다(프레드릭슨 2001, 2004; 프레드릭슨과 브래니건 2005). 잠재적으로 위험이 높은 상황(예: 도박 및 복권 작업)에서 긍정적인 기분은 위험 회피 행동을 일으키는 경향이 있지만, 성공의 가능성이 높은 저위험 과제에서는 긍정적인 감정은 위험을 감당하고자 하는 의지의 증가(예: 2002년)와 관련이 있다. Gasper와 Clore(2002)는 긍정적인 분위기의 개인들이 더 global하게 생각하는 경향이 있다는 것을 발견했다. 즉, 큰 그림(또는 숲)을 보는 경향이 있다. 반대로 슬픈 기분을 가진 사람은 나무를 자세히 보는 경향이 있다.

Further support for dimensional models of emotions is drawn from studies showing that positive and negative emotions have different effects on various cognitive skills. According to the broaden-and-build theory, positive emotions, regardless of their intensity, broaden a person’s scope of attention and other cognitive functions (Fredrickson 2001, 2004; Fredrickson and Branigan 2005). in potentially high-risk situations (e.g., gambling and lottery tasks), positive moods tend to produce risk adverse behavior; however, in low risk tasks, where the likelihood of success is greater, positive emotions are associated with increased willingness to take risks (Clore and Palmer 2009; Gasper and Clore 2002; Hockey et al. 2000). Gasper and Clore (2002) found that individuals in a positive mood tended to think more globally—that is to have a big picture view or see the forest—whereas individuals in sad moods tend to think more locally, that is to see the detailed view or the trees.


감정적 valence는 또한 감정적인 사건으로부터 기억되는 세부사항에도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여졌다. 부정적인 감정을 유발하는 이벤트는 터널 기억으로 이어지며, 주변 세부 정보를 희생하여 이벤트의 중앙 세부 사항에 대한 향상된 리콜을 제공합니다(Bernsten 2002; Kensinger and Corkin 2003; Pelps 2006; Reisberg). 대조적으로, 긍정적인 사건들은 주변적 세부사항과 감각적 디테일의 증가된 리콜과 관련이 있었다. (Bernsten 2002; Libkumann et al. 2004)

Emotional valence has also been shown to influence the details that are remembered from emotional events. Events that engender negative emotions lead to tunnel memory, with enhanced recall for central details of an event at the expense of peripheral details (Bernsten 2002; Kensinger and Corkin 2003; Phelps 2006; Reisberg and Heuer 2004). In contrast, positive events have been associated with an increased recall of peripheral details and sensory details (Bernsten 2002; Libkumann et al. 2004).


목표 관련성 모델: 목표달성전 감정과 목표달성후 감정

Goal relevance models: pre-goal versus post-goal emotions


감정이 분류된 세 번째 측면은 목표 달성이다. 목적적합성 모델에서 개인은 자신의 능동적 목표와 관련된 정보의 우선순위를 정한다. 개인은 목표의 상태 변화를 느낄 때 감정을 경험하고, 이러한 변화는 그들의 신념이나 계획을 수정하도록 요구한다. (Kaplan et al. 2012) 

    • 목표달성 전감정(예: 욕망, 흥분, 두려움, 분노)은 목표의 달성이나 실패가 미래에 일어날 수 있고 목표 지향적인 노력이 계속될 때 경험하게 된다. 

    • 목표달성후 감정(예: 행복, 만족, 슬픔, 슬픔)은 목표의 달성이나 실패가 일어났을 때 일어난다. 

동기부여에는 목표달성전 감정이 더 강력하며, 이러한 동기는 목표의 달성 또는 실패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환경에서의 특정 자극에 접근하거나 회피하기 위한 것이다.

A third dimension along which emotions have been classified is goal attainment. The goal relevance model posits that individuals prioritize information that is relevant to their active goals. Individuals experience emotions when they perceive a change in the status of their goals, and this change requires them to modify their beliefs or plans (Kaplan et al. 2012). Pre-goal emotions (e.g., desire, excitement, fear, anger) are experienced when the attainment or failure of a goal may occur in the future, and goal-directed efforts are ongoing. Post-goal emotions (e.g., happiness, contentment, sadness, grief) occur when the attainment or failure of a goal has occurred. Pre-goal emotions are thought to have higher motivational intensity, which is the drive to approach or avoid specific stimuli in the environment due to the anticipated attainment or failure of their goal.


Circumplex model: arousal and valence


앞에서 설명한 차원 모델을 뒷받침하는 연구가 일부 있지만, 1차원 감정 모델이 모든 연구 결과를 설명할 수 없다는 중요한 연구 결과가 있다(Kensinger 2004). 결과적으로, 널리 받아들여지는 감정 모델은 영향의 circumplex 모델이며, 이 모델은 감정이 두 가지 차원에 기반하여 정의된다고 가정한다: valence(긍정적, 부정적), 생리학적 활성화(고흥분 vs 저흥분)실제로, 유사한 valence를 가진 감정들은 유사한 신경 구조의 신호와 연관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높은 활성화를 유발하는 감정은 신경 구조상 서로 연결되어있는데, 이는 valence에 관계된 신경 구조와는 구분된다.

Although there is some research showing support for the dimensional models described previously, there is significant research suggesting that one-dimensional models of emotions cannot account for all of the research findings (Kensinger 2004). As a result, a widely accepted model of emotions is the circumplex model of affect, which postulates that emotions are defined based on two dimensions; their valence (positive vs. negative) and their level of physiological arousal or activation (high arousal vs. low arousal) (Friedman 2010; Posner et al. 2005; Russell 1980). Indeed, emotions with similar valence have been associated with signals from similar neural structures (Colibazzi et al. 2010). Similarly, highly arousing emotions have been associated with neural structures that are distinct from the ones associated with valence (Colibazzi et al. 2010).


감정의 discrete 모델: 각각의 감정이 구체적인 선조와 기전을 가진다.

Discrete models of emotions: each emotion has specific antecedents and mechanisms


감정의 차원 모형에 대한 서포트도 있지만, 그것들은 또한 너무 단순하다는 비판도 받아왔다. 이러한 비판에 대응하여 연구자들은 감정의 discrete 모델을 제시했는데, 이 모델은 각각의 감정들이 행동과 생리를 예측 가능한 방식으로 구구성하며, 이로 인해 개인이 감정-유발적 사건들을 처리할 수 있도록 한다는 것이다.

While there is support for dimensional models of emotions, they have also been criticized as being too simplistic. In response to such criticisms, researchers have put forward discrete models of emotion, which postulate that distinct emotions organize behavior and physiology in a predictable fashion to allow the individual to deal with emotion-evoking events (Barrett 2006).


감정에 대한 평가appraisal 모델에 따르면, 특정 감정을 자극하는 것은 한 개인의 상황 또는 생리적 감각에 대한 인지적 해석이다. 이러한 해석 또는 평가는 그 사람의 특정한 요구, 목표, 자원 및 능력과 관련하여 그 상황이 개인의 웰빙에 대해 무엇을 시사하는지 평가하는 것을 반영한다.

According to appraisal models of emotion, it is a person’s cognitive interpretation of a situation or physiological sensations along several dimensions that evokes a particular emotion (Roseman and Evdokas 2004; Smith and Ellsworth 1985; Siemer et al. 2007). This interpretation, or appraisal, reflects an evaluation of what the situation implies for a person’ well-being in relation to that person’s specific needs, goals, resources and abilities.


따라서 차원 모델과 반대로, discrete 접근법은 동일한 valence와 자극을 가지는 감정이라도 판단과 인식에 다른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주장한다. 예를 들어, 두려움과 분노는 둘 다 높은 자극적 감정을 부정적으로 평가하는 반면, 확실성과 권력 평가 면에서 다르다. 

  • 두려움은 낮은 확실성과 상황에 대한 약한 힘과 관련이 있는 반면에 

  • 분노는 높은 확실성과 강력한 힘과 관련이 있다. 

이러한 평가에 따르면, 분노는 (두려움보다) 미래에 대한 더 낙관적인 평가와 더 낮은 위험 인식과 연관되어 있다.

In contradiction to dimensional models then, discrete approaches argue that emotions of the same valence and arousal can have different effects on judgment and cognition. For example, fear and anger, while both being negatively valenced high arousal emotions, differ in terms of certainty and power appraisals. Fear is associated with appraisals of low certainty and power over a situation, whereas anger is associated with high certainty and power. In keeping with these appraisals, anger is associated with more optimistic assessments of the future and lower risk perceptions than is fear (Lerner and Keltner 2000; Lerner et al. 2003; Raghunathan and Pham 1999).


감정적 사건들의 기억력에 대한 최근의 연구는 차원 모형이 감정의 영향을 설명하기에 충분하지 않다는 주장을 뒷받침한다. 탈라리코 외 연구진(2009)은 일반적으로 부정적인 사건보다 긍정적인 사건에 대한 주변 세부 사항의 리콜 비율이 높지만, 같은 용기와 자극의 다른 감정들은 서로 다르다고 관찰했다.

Recent research on memory of emotional events also supports arguments that dimensional models are not sufficient to account for the effects of emotions. Talarico et al. (2009) observed that although there is generally a higher proportion of recall of peripheral details for positive events than negative events, different emotions of the same valence and arousal differ from each other.


이 논쟁에 덧붙여, 감정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는 감정의 차원과 별개의 모델로 설명할 수 있는 패턴을 보여준다.

To add to the debate, research on the effects of emotions on memory reveals patterns that can be explained by both dimensional and discrete models of emotions.


HPE에 대한 함의

Implication for health professions education and future research


의료와 교육이 감정노동이라는 사실은 잘 받아들여지고 인정받고 있다. 이러한 인식은 의료 전문가와 의사들의 정신 건강 증진과 웰니스 향상을 향한 움직임으로 확대되었다. 그러나 훈련생이나 건강 전문가의 감정 상태가 그들이 임상 세계를 어떻게 인식하고 해석하고 생각하는지에 중요한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사실은 거의 인식되지 않았다.

The fact that healthcare practice and education are emotional endeavors is well accepted and recognized. This recognition has extended to movements towards improving mental health and enhancing the wellness of health professionals and clinicians. However, there has been little recognition of the fact that trainees’ or health professionals’ emotional state can have an important effect on how they perceive, interpret and think about their clinical world.


위에서 언급한 제한된 수의 연구 외에도, 우리는 의료 전문가들이 어떻게 의료 실무에 필요한 지식과 기술을 개발하고 습득하는지를 이해하려고 노력하는 과정에서 감정의 역할을 대부분 무시해 왔다. 이에 대한 한 가지 이유는 보건 직업 교육 연구(Monteiro 및 Norman 2013)에 대한 default-interventionist 모델의 강력한 영향 때문일 수 있다. 이 듀얼 프로세스는 감정 기반 및 직관적 반응을 신속한, 무의식적, 분석적인 것으로 특징짓습니다. 이 모델에 따르면, 시스템 1이라고도 하는 기본default 처리 모드는 직관적이고 오류가 발생하기 쉬우며, 시스템 2로 알려진 중재자는interventionist 논리적이며 추론을 선호하는 의식적인 모드 형태입니다(Kahneman 2011; Redme 2011).

Beyond the limited number of studies mentioned above, we have largely ignored the role of emotions in striving to understand how health professionals develop and acquire the knowledge and skills required for clinical practice. One reason for this oversight may be attributed to the strong influence of the default-interventionist model of reasoning in health professions education research (Monteiro and Norman 2013). This dual processes model characterizes emotion driven and intuitive responses as rapid, unconscious and non-analytic. According to this model, the default mode of processing, also know as System 1, is intuitive and quite error prone, while the interventionist logical and conscious mode, also known as System 2, is the preferred form of reasoning (Kahneman 2011; De Neys 2010; Redelmeier 2005).


그러나, 감정과 인식이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다는 점을 고려할 때, 이 의식/실리적 생각 및 무의식/오류성의 인위적 이분법은 의사가 자신의 결정을 인식하는 방법에 해로운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심지어 정확한 진단에 대한 의문을 갖게 한다. 직관을 이해하는 것이 특히 중요한 이유는 그것이 문제에 대한 무의식적인 해결책이거나 암묵적인 해결책이기 때문이다. 임상적 추론에 대한 30년 이상의 연구에서 전문 의사의 직관을 뒷받침하는 메커니즘은 여전히 미스터리로 남아 있다. 직관이 감정이 아니지만, 감정이 암시적 해결책을 평가하는 능력과 연관되어 있을 수 있다.

However, given that emotions and cognition are intimately linked, this artificial dichotomy of conscious/rational thought and unconscious/ error prone intuitions can have a harmful effect on how physicians perceive their own decisions, even calling accurate diagnoses into question (Woolley and Kostopoulou 2013). Intuitions are particularly important to understand since they are unconscious or implicit solutions to a problem. In over 30 years of research on clinical reasoning, the mechanisms that support the intuition of the expert physician remain a mystery. Although an intuition is not an emotion, it is possible that emotions are linked to our ability to assess implicit solutions (Bolte et al. 2003; Stolper et al. 2011).


예를 들어, 분석적 또는 비-분석적 형태의 추론을 유발하는 특정한 감정 상태가 있는가?

For example, are there particular emotional states that engender either analytical or non-analytical forms of reasoning?


감정이 학습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생각은 점점 더 받아들여지고 교육 활동에 통합되고 있다. 예를 들어, 감정의 역할은 경험적 학습의 일부 모델에서 논의되는데, 이 때 배움은 경험을 가지고 그것을 성찰하며 이루어진다. 예를 들어, 변화적transformative 학습은 근본적인 믿음이 도전 받을 때 발생할 수 있는 개인의 관점의 주요한 변화라고 설명된다. (Mezirow 2000; Sandars 2009) 경험적 학습 이론가들은 그 도전에 대한 개인의 감정적 반응은 관점의 변화, 즉 학습에 중요하다고 주장한다.

the notion that emotions can affect learning is being increasingly accepted and integrated into education activities. For example, the role of emotions is discussed in some models of experiential learning, where learning occurs through having an experience and reflecting around it. For example, transformative learning is described as a major shift in a person’s perspective that can occur when fundamental beliefs are challenged (Mezirow 2000; Sandars 2009). Experiential learning theorists argue that an individual’s emotional reaction to that challenge is instrumental in the shift in perspective, and thus in the learning (Mezirow 2000).


학습을 강화하기 위해 정서적 요소, 특히 부정적 자극적인 요소를 활동에 통합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에 대한 논의가 증가하고 있다(Bath and Lawrence 2012; DeMaria and Levine 2013; MacDougall et al). 이를 지지하는 일부 의견은 스트레스가 많은 사건을 경험한 다음에 기억 통합 또는 학습이 향상됨을 다룬 문헌에서 나온다. (DeMaria et al. 2010; Kromann et al. 2011; LeBlanc 2009) 하지만, 기억력은 배움의 중요한 부분을 형성하지만, 그것은 많은 요소들 중 하나일 뿐임을 간과하면 안 된다.

there is growing discussion regarding the importance of integrating emotional elements, particularly negative high arousal ones, into the activities in order to enhance learning (Bath and Lawrence 2012; DeMaria and Levine 2013; MacDougall et al. 2013). Some support for this comes from literature on enhanced memory consolidation and learning following stressful events (DeMaria et al. 2010; Kromann et al. 2011; LeBlanc 2009). However, it is important to note that while memory forms an important part of learning, it is one of many components.


학습이란 이전에 학습한 정보 또는 해결책을 현재 상황이나 문제에 적용하는 것이고, 따라서 학습은 지식의 전이, 인지적 유연성, 연관 학습을 요구한다. 예를 들어 의료 교육 환경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교육학적 기법인 "pimping"을 고려해 볼 수 있습니다. 이 기법에서는 선임 임상의들은 후배들에게 public format으로 일련의 어려운 질문을 합니다. 이러한 자극적인 경험은 굴욕, 당혹감, 흥분, 불안감을 포함한 다양한 감정을 유발하며, 교육자들은 이러한 감정 상태들이 자극적인 경험 동안 학습을 촉진한다고 이론화했다. (Brancati 1989; Wear et al. 2005). 하지만, 우리는 아직, 왜 혹은 언제 pimping이 효과가 있는지에 대해 완전히 이해하지 못하고 있다.

Learning, the application of previously learned information or solution to a current situation or problem, also requires transfer of knowledge, cognitive flexibility and associative learning. For example, consider ‘‘pimping’’, a pedagogical technique common in healthcare education settings, whereby senior clinicians ask their junior colleagues a series of challenging questions in a public format. These pimping experiences induce a variety of emotions including humiliation, embarrassment, excitement, and anxiety, and educators have theorized that these emotional states promote learning during the pimping experience (Brancati 1989; Wear et al. 2005). However, we do not yet have a complete understanding of if, why or when pimping works.


감정의 역할에 대해 더 잘 이해하지 못한다면, 학습의 목적을 위해 의도적으로 감정을 조작하는 것은 중요한 윤리적으로 문제가 될 수 있다. 현재, 이 작품의 유일한 분명한 의미는 감정의 유비쿼터스 성격을 더 잘 인식하고 수용하는 것이다.

Without a better understanding of the role of emotions, deliberately manipulating emotions for the purposes of learning could have important ethical implications. At the current moment, the only clear implication of this work is for a greater recognition and acceptance of the ubiquitous nature of emotions.


마지막으로, 감정과 정신 건강에 대한 연구로부터 감정 지능감정 조절의 중요성에 대한 논의가 확대되고 있다(Hayes et al. 2010; Richards and Gross 2000). 이러한 개념들이 의료 관행과 교육 분야에서 잠재적으로 중요한 개념이지만, 주의할 필요가 있다. 감정적 지능과 감정적 규제의 개념은 각각의 다양한 정의와 그것들이 측정되는 다양한 형태 때문에 비난 받아 왔다. 

Finally, growing from the work on emotions and mental health are discussions around the importance of emotional intelligence and emotional regulation (Hayes et al. 2010; Richards and Gross 2000). While these are potentially important concepts for the field of health care practice and education, caution is warranted. Both the concepts of emotional intelligence and emotional regulation have been critiqued because of the various definitions of each and the various forms in which they have been measured. 


감정 지능은 정보를 인지하고, 정보를 해석하고, 감정적인 상황에서 다른 사람들과 상호작용하는 데 필수적이라고 주장되는 반면, 이를 뒷받침하는 증거는 모호하다(AAa et al. 2010a, b; Cherry et al. 2014; Humphrey-Murto et al. 2014). 감정 지능이 높은 개인이 감정이 인지능력에 갖는 영향이 다른지에 대한 여부, 그들이 감정적 상황에서 더 뛰어난 능력을 보여주는지 등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While emotional intelligence is argued as essential for perceiving, interpreting information, and interacting with others in emotional situations, the evidence supporting this is equivocal (Arora et al. 2010a, b; Cherry et al. 2014; Humphrey-Murto et al. 2014). More research is needed to determine whether individuals who are high in emotional intelligence show different effects of emotions on their cognitive abilities, and whether they demonstrate a greater ability to perform in emotional situations.


감정 조절은 감정 억제와 인지 재평가를 모두 의미할 수 있다. 

  • 정 억제는 일단 감정이 경험되면 감정적 반응을 의식적으로 억제하는 것을 말한다. 

  • 지적 재평가란 의미나 관련성을 변경하여 상황에 대한 감정적 연관성을 감소시키거나 증가시키는 것이다(Hayes et al. 2010; Richards and Gross 2000).

인지적 재평가는 감정을 조절하기 위한 보다 적응적인adaptive 전략으로 밝혀졌는데, 그 이유는 인지적 재평가가 감정 억제보다 원치 않는 감정의 감소와 더 나은 기억 성능으로 이어지기 때문이다. 감정을 능동적으로 억제하면 기억력이 떨어질 수 있다는 증거가 있다. 얼굴 표정을 억제하라거나, 혹은 얼굴을 똑바로 펴라는 요구를 받는 것은 수술용 비디오에서 보여지는 사건들의 손상된 기억으로 이어진다. (리차드와 그로스 2006) 

Furthermore, emotional regulation can refer to both emotional suppression and cognitive reappraisal. Suppression refers to the conscious inhibition of an emotional reaction once an emotion is being experienced. Cognitive reappraisal, in contrast, is the decrease or increase of emotional associations of a situation by changing its meaning or relevance (Hayes et al. 2010; Richards and Gross 2000).Cognitive reappraisal has been found to be a more adaptive strategy for regulating emotions, in that it leads to greater reduction in undesired emotions and better memory performance than does suppression (Goldin et al. 2008). There is some evidence that active suppression of emotions can degrade memory (Richards and Gross 2006, 2000; Bonanno et al. 2004). Being being asked to suppress facial expressions, or keep a straight face, leads to impaired recall of events seen on a surgical video (Richards and Gross 2006). 


정서 지능과 정서 조절의 개념은 어떤 감정들은 바람직하지 않다는 가정을 가져왔고, 이는 affect의 ubiquitous한 특성을 고려하면 합당하지 못한 가정이다.

The concepts of emotional intelligence and emotional regulation also bring with them the assumption that some emotions are undesirable, which seems unlikely given the ubiquitous nature of affect.


또 다른 예로, 긍정적인 기분은 일반적으로 더 바람직한 것으로 여겨진다. 그러나 긍정적인 감정을 가진 사람들이 무관한 정보에 더 많이 주의를 기울일 가능성이 있다는 연구 결과를 보면(Biss and Hasher 2011; McConnell and Shore 2011), 임상의와 연수생들이 집중을 방해하는 상황에 더 취약할 수 있다.

As another example, positive moods are generally viewed as being more desirable. However, given research that shows that people in a positive emotion are more likely to attend to irrelevant information (Biss and Hasher 2011; McConnell and Shore 2011), it is possible that clinicians and trainees may be more susceptible to distractions in situations that require focused attention.


Conclusion


건강 전문가들과 훈련생들은, 언제든지, 정서적인 상태에 있다. 의료 관행과 교육이 감정적 노력이라는 사실은 잘 받아들여지고 인정받고 있다.

Health professionals and trainees, at any given time, are in an emotional state. The fact that healthcare practice and education are emotional endeavors is well accepted and recognized.


McConnell, M. M., & Eva, K. W. (2012). The role of emotion in the learning and transfer of clinical skills and knowledge. Academic Medicine, 87(10), 1316–1322. ==


McNaughton, N. (2013). Discourse (s) of emotion within medical education: The ever-present absence. Medical Education, 47(1), 71–79. ==








 2015 Mar;20(1):265-82. doi: 10.1007/s10459-014-9516-6. Epub 2014 Jun 6.

Predictable chaos: a review of the effects of emotions on attentionmemory and decision making.

Author information

1
Wilson Centre, University Health Network, 200 Elizabeth St, 1ES-565, Toronto, ON, M5G 2C4, Canada, vicki.leblanc@utoronto.ca.

Abstract

Healthcare practice and education are highly emotional endeavors. While this is recognized by educators and researchers seeking to develop interventions aimed at improving wellness in health professionals and at providing them with skills to deal with emotional interpersonal situations, the field of health professions education has largely ignored the role that emotions play on cognitive processes. The purpose of this review is to provide an introduction to the broader field of emotions, with the goal of better understanding the integral relationship between emotions and cognitive processes. Individuals, at any given time, are in an emotional state. This emotional state influences how they perceive the world around them, what they recall from it, as well as the decisions they make. Rather than treating emotions as undesirable forces that wreak havoc on the rational being, the field of health professions education could be enriched by a greater understanding of how these emotions can shape cognitive processes in increasingly predictable ways.

PMID:
 
24903583
 
DOI:
 
10.1007/s10459-014-9516-6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