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는 누구며 무엇을 이루고자 하는가? 자의식적 정서이론 적용(Acad Med, 2018)

Who Am I, and Who Do I Strive to Be? Applying a Theory of Self-Conscious Emotions to Medical Education

William E. Bynum IV, MD, and Anthony R. Artino Jr, PhD



여러분이 병원 복도를 걷고 있고, 곰 한 마리가 복도를 따라 내려와 바로 눈을 쳐다보고, 여러분을 향해 달려간다고 상상해보라. 여러분은 의심할 여지 없이 공포, 불안, 그리고/또는 흥분 같은 감정들을 경험하게 될 것이다. 이러한 기본적인 감정은 반사적이고, 자율신경계를 활성화시키고, 생존을 위한 행동을 (희망적으로) 취해서 도망가도록 한다.

Imagine you are walking down a corridor in the hospital and a bear emerges down the hall, looks you directly in the eye, and runs toward you. You are undoubtedly going to experience a rush of emotion: fear, anxiety, and/or exhilaration. These basic emotions are reflexive, activate your autonomic nervous system, and prompt you to (hopefully) take survival actions and run away.


이제 네가 같은 복도를 걷고 있다고 상상해보자. 그리고 간호사가 너의 도움을 청한다. 당신이 C line을 잡은 환자는 호흡곤란 상태에 있고, 당신은 그 환자가 기흉을 가지고 있음을 재빨리 평가한다. 당신은 이 사건에 대한 반응으로 또 다시 두려움과 불안감의 즉각적인 쇄도를 경험한다. 그러나, 이 일련의 감정들은 [당신이 자신에 대해 어떻게 느끼는지]에 관한 것이다.

Now imagine you are walking down the same corridor and a nurse yells for your help. The patient in whom you placed a central line is in respiratory distress, and you quickly assess that she has a pneumothorax from the procedure. You again experience an immediate rush of fear and anxiety in response to this event; however, a separate set of emotions may follow that relates to how you feel about yourself.


자신의 자아와 관련된 감정적 반응은 "자기의식적 감정"이라고 불리는 뚜렷한 종류의 감정을 구성한다. 자기의식적 감정은 자기 평가를 형성하는 일련의 감정과 속성에 반응하여 발생한다.2 자기의식적 감정은 어떤 사건이 개인에게 자신의 내면에 대한 집중과 평가를 하게 할 때 발생한다.2 그들은 자기인식을 필요로 한다는 점에서 기본적인 감정basic emotions(즉, 행복, 두려움, 불안)과는 다르다. 기본적인 감정은 그렇지 않다. 비록 어떤 감정이 정확히 자의식이라고 분류되는지에 대한 논쟁이 있지만, 대부분의 심리학자들은 수치심, 죄책감, 자부심을 이 분류에 포함시킨다.

The emotional responses relating to one’s self compose a distinct class of emotions called “self-conscious emotions.” Self-conscious emotions arise in response to a series of appraisals and attributions that form a self-evaluation.2 Self-conscious emotions occur when an event causes an individual to direct attention and evaluation to his inner self.2 They differ from basic emotions (i.e., happiness, fear, anxiety) in that they require self-awareness; basic emotions do not.3 Although there is some debate about exactly which emotions are classified as self-conscious, most psychologists include shame, guilt, and pride.



Tracy and Robins의 자기의식적 감정 모델

Tracy and Robins’s Model of Self-Conscious Emotions


Tracy and Robins의 모델이 있다.

Tracy and Robins’s2 model of self-conscious emotions


자기의식은 개인이 일련의 다섯 가지의 뚜렷한 평가와 속성을 통해 자신의 내면을 비판적으로 분석할 때 발생한다(그림 1 참조).

self-conscious emotions arise when an individual critically analyzes his inner self through a series of five distinct appraisals and attributions (see Figure 1).


첫 번째 평가는 생존가능성과 정체성에 대한 것이다.

The first appraisal deals with survivability and identity:



감정을 유발한 사건이 정체성 목표(예: 훈련 중인 의사가 환자에게 해를 입히는 경우)와 관련이 있다면, 자기의식이 발생할 수 있다. 실수로 기흉을 유발한 의사는 정체성 목표와 관련된 질문을 던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나 때문에 이런 일이 생겼나?" 또는 "기흉을 일으키는 것이 내 정체성과 일치하는가?"

If the eliciting event is relevant to identity goals (e.g., a physician-in-training causing harm to a patient), then self-conscious emotions may occur. A physician who inadvertently causes a pneumothorax may ask questions relevant to identity goals, such as “Did something about me cause this event?” or “Does causing a pneumothorax align with my identity goals?”


정체성 평가에 뒤이어, 평가의 초점은 자신의 내적 자아에 대한 것이 되고, 이것은 자기표현을 활성화한다. 자기 표현은 과거, 현재 및 미래와 관련될 수 있으며, 자신의 개인적, 관계적, 사회적 차원을 포함할 수 있다.2 트레이시와 로빈스에 따르면, 개인의 자기 표현은 다음을 포함한다. 

  • 재의 자기 표현(예: 스스로가 보는 현재의 모습: "나는 매우 결점이 많다.") 

  • 상적인 자기 표현(예: 스스로가 되길 바라는 모습: 나는 완벽해지기 위해 노력한다) 

Following identity appraisals, the individual directs evaluative focus toward his inner self and activates self-representations. Self-representations may relate to past, current, and future selves and may include personal, relational, and social dimensions of the self.2 According to Tracy and Robins, an individual’s self-representations include 

  • current self-representations (e.g., how he sees himself right now: “I am highly flawed”) and 

  • ideal self-representations (e.g., how he wants to see himself: “I strive to be perfect”). 

자기의식적 감정이 발생하려면 이러한 자기표현들이 암시적으로 또는 명시적으로 활성화되어야 한다. 다시 말해, 어떤 사람이 수치심, 죄책감, 혹은 자부심을 느낀다면, 그는 자신의 현재와 이상적 자아를 적극적으로 심사숙고하여 고려(비교)하고 있는 것이다.

These self-representations must be activated, either implicitly or explicitly, for self-conscious emotions to occur. In other words, when a person experiences shame, guilt, or pride, he is actively contemplating his current and ideal selves.


세 번째 단계에서, 개인은 현재의 자기 표현과 이상적인 자기 표현 사이의 일치성을 평가한다. 만약 그가 자신의 현재와 이상적인 자기 표현이 일치한다고 믿는다면, 그는 자부심 같은 긍정적인 감정을 느끼게 되고, 그것들이 일치하지 않는다면, 그는 수치심이나 죄책감 같은 부정적인 감정을 경험하게 된다.

In the third step, the individual appraises the congruence between his current self-representations and his ideal self-representations. If he believes that his current and ideal self-representations align, then he feels the positive emotion of pride; if they do not align, he experiences the negative emotion of either shame or guilt.


네 번째 단계에서, 개인은 그 사건의 원인이 그의 내부에 있는지 혹은 외부의 어떤 것인지를 결정한다. 그는 "기흉은 내 잘못이었나, 아니면 환경, 환자, 또는 내 외부의 어떤 것 때문이었나?"라는 질문을 할 수도 있다. 

  • 원인이 순수하게 외부적인 경우(예: 간호사가 시술 중에 의사의 손을 부딪혔을 경우) 그는 분노나 적개심과 같은 기본적인 감정을 경험했을 것이다. 

  • 원인이 내부적인 것으로 판단되면(예: 의사의 능력 또는 준비 수준과 관련된) 자기인식적 감정이 발생할 수 있다.

In the fourth step, the individual determines whether the event was the result of something internal or external to him. He may ask the question “Was the pneumothorax my fault or was it due to something about the environment, the patient, or something else external to me?” 

  • If the cause were purely external (e.g., the nurse bumped the physician’s hand during the procedure), he would experience basic emotions, such as anger or hostility. 

  • If the cause were deemed to be internal (e.g., related to the physician’s competence or level of preparation), then self-conscious emotions would occur.


다섯 번째와 마지막 단계에서, 개인은 자기 내면의 어떤 차원이 문제를 일으킨다고 생각하는지에 대하여 귀인attribution을 판단한다. 그 사건은 

  • 자신에 대한 어떤 전체적이고, 안정적이며, 변하지 않는 무언가에 의해 야기되었는가 아니면 

  • 특정한, 불안정하고, 가변적인 무엇인가에 의해 야기 되었는가? 

  • 다시 말하면, 그 사건은 그의 내적, 전체적 자아(예: 그의 지적 능력 또는 전반적 능력)에 의해 야기된 것인가? 

  • 아니면 그것은 특정한 행동과 행동으로 인해 생긴 것인가(예: 그의 직무에 대한 노력)에 기인한 것인가?

In the fifth and final step, the individual makes attributions to specific dimensions of his inner self that he believes led to the event in question. Was the event caused by something global, stable, and unchanging about himself or something specific, unstable, and variable? In other words, was the event caused by something about his inner, whole self (e.g., his intellect or global competence) or was it due to something specific and action based (e.g., his effort on a task)?


트레이시와 로빈스2는 이러한 감정과 속성에서 비롯되는 네 가지 자기의식적 감정을 간결하게 요약한다.

Tracy and Robins2 succinctly summarize the four self-conscious emotions that result from these appraisals and attributions:


수치심과 죄책감 둘 다, 개인은 

자신의 일부 측면에 주의를 집중해야 하고, 공적인 또는 사적인 자기표상을 활성화해야 하며, 

사건을 자신의 정체성 목표와 관련이 있거나 일치하지 않는 것으로 평가하고, 

사건의 원인을 어떤 내부 요인에 귀속시켜야 하며, 상황에 대해 자신을 탓해야 한다. 

For both shame and guilt, an individual must 

focus attention on some aspect of the self, activating public and/or private self-representations; 

appraise the event as relevant to and incongruent with identity goals; and 

attribute the cause of the event to some internal factor, blaming the self for the situation. 


이 두 가지 감정을 구분하는 것은 그 속성의 안정성과 전반성이다. 수치심은 안정적이고 전반적인 자아를 부정적으로 보는 감정을 포함하고 있는 반면, 죄책감은 특정한 행동이나 자신이 취한 행동에 대한 부정적인 감정을 포함한다.

What distinguishes … the two emotions, however, are stability and globality attributions: Shame involves negative feelings about the stable, global self, whereas guilt involves negative feelings about a specific behavior or action taken by the self.


사람들은 다음의 경우에 자부심을 느낀다.

자신의 관심이 자신에게 집중되어 있고, 공적 또는 사적 자아표상이 활성화될 때, 

그들이 사건을 정체성 목표와 관련이 있고 일치하는 것으로 평가할 때, 

사건의 원인을 어떤 내부 요인에 귀속시킬 때, 그 상황에 대한 공로를 인정할 때

People feel pride 

when their attention is focused on themselves, activating public and/or private self-representations; 

when they appraise events as relevant to and congruent with identity goals; and 

when they attribute the cause of events to some internal factor, taking credit for the situation. 


수치와 죄책감과 마찬가지로, 안정성 및 전반성의 속성은 두 가지 형태의 자부심을 구별한다. 

자기 자신에 대한 전반적 자부심(자만적 자부심)은 내부적이고 안정적인 원인에 기인할 수 있다. 

반대로, 특정 성과에 기반한 자부심(진정한 자부심)은 내부적이고 불안정한 원인에 귀속되는 결과일 수 있다.

Paralleling shame and guilt, stability and globality attributions differentiate between two forms of pride. 

Global pride in the self [so-called hubristic pride] may result from attributions to internal, stable causes. 

Conversely, a feeling of pride based on specific achievements [so-called authentic pride] may result from attributions to internal, unstable causes.


Tables 1 and 2,




다른 이들은 공공과 사적 선line을 따라 수치와 죄책감을 구별하기 위해 노력했다. 즉, 

  • 공적 수준에서의 범행은 수치심을 야기하고, 

  • 사적 수준에서의 범행은 죄책감을 유발한다는 것을 시사한다.5–7

others have sought to differentiate shame and guilt along public and private lines (as opposed to global self vs. specific behavior lines), suggesting that public transgressions lead to shame while transgressions committed in private lead to guilt.5–7


비록 경험적 연구가 자기 행동의 구별을 선호하지만, 최근의 연구는 공공-사적 구별이 자기 행동의 구별과 경쟁하기보다는 오히려 자기 행동의 구별과 양립할 수 있다는 것을 암시한다.10

Although empiric studies favor the self-behavior distinction,8,9 recent research suggests that the public– private distinction is compatible with— rather than competing against—the self-behavior distinction.10



자기의식적 정서와 완벽주의

Self-Conscious Emotion and Perfectionism


의학적인 학습자들은 예외적으로 높은 수준의 성취를 지향하는 경향이 있다. 완벽을 달성하는 것은 (보편적이지는 않더라도) 흔한 일이며, 완벽주의는 학습자와 의사 모두에게 뚜렷한 성격 특성이다.12,13

Medical learners are apt to hold themselves—and be held by others—to exceptionally high standards of performance. Achieving perfection is a common—if not pervasive—goal, and perfectionism is a distinguishing character trait of learners and practicing physicians alike.12,13


트레이시와 로빈스의 모델을 통해 볼 때, 완벽주의는 비현실적인 기준과 기대치를 만들어내며, 이것은 도달할 수 없는 이상적인 자아표현을 이끌 수 있다. 따라서 완벽주의는 의학 학습자를 거의 지속적으로 정서적 고통의 위험에 처하게 하는 접근 불가능한 기준을 추구함으로써 의료 학습자가 수치와 죄책감을 느끼는 빈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As viewed through Tracy and Robins’s model, perfectionism engenders a set of unrealistic standards and expectations that may drive unattainable ideal self-representations. Therefore, perfectionism would be expected to increase the frequency that medical learners experience shame and/or guilt, with the pursuit of unreachable standards putting medical learners at risk of emotional distress on a near-constant basis.


그러나 트레이시와 로빈스의 모델에 따르면 완벽주의는 본질적으로 수치심이나 죄책감을 유발하는 것이 아니며, 그 결과가 언제나 파괴적인 것은 아니다. 완벽주의가 수치심을 일으키거나 죄책감을 주는 경향은 학습자가 완벽을 달성하지 못한 실패를 

  • 자신의 전반적, 내면의 자아(모욕)으로 돌리는지 

  • 아니면 특정하고 행동에 기초한 것(죄책)의 탓으로 돌리는지에 따라 달라진다.

However, according to Tracy and Robins’s model, perfectionism is not inherently shame or guilt inducing, and its outcomes are not uniformly destructive. The tendency for perfectionism to result in shame or guilt depends on whether the learner attributes the failure 

  • to achieve perfection to her global, inner self (shame) or 

  • to something specific and action based (guilt).


  • 예를 들어, 종종 그녀의 높은 기대에는 미치지 못하지만 단점들을 시정 가능한 행동들, 그리고 그것들을 바로잡기 위한 노력(죄책의 반응)으로 돌리는 완벽주의자 학습자는 배우고 성장할 가능성이 있다. 

  • 또는 반대로 그녀가 자기 자신의 전반적 결점을 강조함으로써 불완전함에 반응하고, 수치를 느끼는 반응의 함수로서, 그 후에 학습에서 숨거나 포기하거나 손을 뗄 수 있다.

  • For example, a perfectionist learner who frequently falls short of her lofty expectations but attributes the shortcomings to correctable actions—and works to fix them (a guilt response)—is likely to learn and grow. 

  • The converse is true if she responds to imperfection by highlighting deficiencies in her global self and—as a function of a shame reaction—subsequently hides, withdraws, and/or disengages in learning.


심리학 문헌은 두 가지 유형의 완벽주의를 묘사하고 있다.15 

  • 정상적(또는 적응적) 완벽주의를 가진 사람은 높은 목표를 위해 노력하지만, 목표를 달성하지 못할 때, 자신의 가치를 감정적으로 평가하는 것으로 정의되는, 건전한 자존심을 유지한다. 

  • 반면에, 신경증적인(또는 부적응적) 완벽주의자들은 높은 기준을 위해 지나치게 노력하고 목표가 달성되지 않을 때 자신을 실패로 본다.15

The psychology literature delineates two distinct types of perfectionism.15 

  • A person with normal (or adaptive) perfectionism strives for lofty goals but maintains intact self-esteem (defined as a person’s emotional evaluation of his own worth) when the goals are not achieved. 

  • On the other hand, neurotic (or maladaptive) perfectionists excessively strive for high standards and view themselves as failures when the goals are not achieved.15

  • 적응적 완벽주는 더 높은 자부심과 특정 업무에 대한 자신감과 상관관계가 있는 반면에, 

  • 부적응적 완벽주의는 부정적인 감정, 우울증, 스트레스, 그리고 기능장애적인 대처와 관련이 있다.16

  • Whereas adaptive perfectionism correlates with higher self-esteem and task-specific self-confidence, 

  • maladaptive perfectionism correlates with negative emotion, depression, stress, and dysfunctional coping.16


목록 1은 우리의 노력을 이끌 수 있는 구체적인 연구 질문들을 설명한다.

List 1 describes specific research questions that might guide our efforts.


학습자가 현실적인 개인 및 전문직업적 표준을 정립하도록 돕는 것은 예상할 수 있는 정상범위의 과실에 의해 발생하는 수치심에 대한 민감성을 감소시킬 수 있다.

Helping learners establish realistic personal and professional standards may decrease their susceptibility to shame in response to normal, expected lapses


의학 교육에서 완벽주의를 완전히 없애는 것은 실현 가능하지 않을 수 있으며(설령 필요하더라도 경우), 불완전함이 발생할 경우 학습자가 죄책감에 기초한 반응을 채택할 수 있도록 돕기 위한 병행적 이니셔티브가 필요하다.

completely eliminating perfectionism in medical education is likely not feasible (nor should it necessarily be), and parallel initiatives are needed to assist learners in adopting guilt-based responses when imperfections do occur.



자기의식적 감정과 전문직 정체성 형성

Self-Conscious Emotions and Professional Identity Formation


자기인식적인 감정은 개인적 정체성의 문제와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다.2 수치심, 죄책감, 자부심을 느끼는 의학 학습자들은 "내가 누구인가?" "나는 내가 알던 나인가, 아니면 내가 바라는 나인가?"와 같은 질문을 적극적으로 받아들여야 한다. 개인의 핵심 정체성을 탐구할 때, 이러한 질문에 대한 답변과 그에 수반되는 감정은 고통스럽고 거슬릴 수 있다.

Self-conscious emotions are intimately linked with matters of personal identity.2 Medical learners who experience shame, guilt, and pride must actively reckon with questions such as “Who am I?” and “Am I the person I thought I was, or that I strive to be?” The answers to these questions— and the emotions that accompany them—can be painful and jarring, as they delve into dimensions of an individual’s core identity.


전문적 정체성 형성은 의사의 지식, 기술, 가치 및 행동이 학습자의 정체성과 통합되는 역동적 과정이다.20 전문직 정체성 형성에는 일련의 내부 표준, 열망 및 전문가 작업을 규제하는 지속적인 자기 성찰의 개발이 포함된다.  또한 이 과정은 "전문직의 가치와 성향에 대한 그 사람의 헌신을 더 깊게 만들어준다"

Professional identity formation is a dynamic process by which the knowledge, skills, values, and behaviors of a physician are integrated with a learner’s personal identity.20 Professional identity formation includes the development of a set of internal standards, aspirations, and ongoing self-reflections that regulate a professional’s work20 and “deepen one’s commitment to the values and dispositions of the profession.”21


개인의 정체성과 자기인식적 감정은 전문직 정체성 형성에서 떼어놓을 수 없다.

personal identity and self-conscious emotions are part-and-parcel to professional identity formation.


  • 예를 들어, 도달할 수 없는 기준을 고수하고 지나치게 자기 비판적으로 자신을 평가한다면, 그 결과로 생기는 수치심은 전문직 정체성 형성에 방해가 될 수 있다. 이는 수치심이 고립, 소속감 저하, 낮은 자존감으로 이어지는 경향을 통해 발생할 수 있다.4,22

For example, If she holds herself to unattainable standards and self-evaluates in an overly self-critical manner, her resulting shame may interfere with her professional identity formation. This may occur through the tendency for shame to lead to isolation, an impaired sense of belonging, and low self-esteem.4,22


  • 반대로, 수치심 보다는 죄책감을 가지고 역경에 반응하는 학습자들은 의사가 되는 과정에 더 참여하고, 회복탄력적이며, 상호연결된 접근법으로 인해 더 부드럽게 전문직 정체성 형성을 경험할 수 있다. 수치심과 달리, 죄책감은 보통 보상적인 행동, 감정이입, 그리고 도전적인 상황에서 성장하기 위한 적극적인 시도를 유도하기 때문이다.

Conversely, learners who tend to respond to adversity with guilt rather than shame may experience a smoother professional identity formation due to a more engaged, resilient, and connected approach to the process of becoming a physician. This is because guilt, unlike shame, usually results in reparative action, enhanced empathy, and active attempts to grow from a challenging situation.9,23,24


자기인식적 감정과 동기부여

Self-Conscious Emotions and Motivation


확실히, 우리가 어떻게 느끼느냐가 우리가 무엇을 하려고 노력하는지, 그리고 우리가 하려고 하는 것은 우리가 그때 어떻게 느끼는지에 영향을 미친다. 

케논 셸던26


Surely, how we feel influences what we try to do, and what we try to do influences how we then feel. 

—Kennon Sheldon26


쿡과 아르티노27은 네 가지 반복되는 주제, 즉 역량에 대한 믿음, 학습 과제의 인식 가치, 믿음과 미래의 행동을 형성하는데 있어 속성의 중요성, 그리고 직접 관찰할 수 없는 정신적 과정의 개입(예: 인지)을 식별했다.

Cook and Artino27 identified four recurrent themes: 

  • beliefs about competence, 

  • the perceived value of the learning task, 

  • the importance of attributions in shaping beliefs and future actions, and 

  • the involvement of mental processes that are not directly observable (i.e., cognition).


실수로 기흉을 초래한 여파로, 

  • 수치심을 경험하는 학습자는 자신의 능력에 대한 강한 부정적 믿음을 가지고 있는 반면(변하지 않을 것이다), 

  • 죄책감을 느끼는 학습자는 자신의 전반적이거나 고정된 측면에 대한 결론을 이끌어내는 것을 지양한다. 

우세한predominating 감정이 무엇인지가 중요한데, 왜냐하면 일반적으로 자신의 능력에 대해 긍정적인 믿음을 가진 학습자들은 알려지지 않은 성과와 관련된 과제에 더 많이 참여할 가능성이 있기 때문이다.

In the aftermath of accidentally causing a pneumothorax, 

  • a learner experiencing shame possesses a strong negative belief about his competence (which he may believe is fixed), 

  • while A learner experiencing guilt avoids drawing conclusions about his global, stable self. 

The predominating emotion is important because, in general, learners who possess positive beliefs about their competence are more likely to engage in tasks with unknown outcomes.28,29


자기 결정 이론과 기대 가치 이론은, 역량에 대한 낮은 믿음이 과제를 시도하는 것을 완전히 배제할 가능성이 있다고 가정한다. 

  • 수치심은 (역량 신념에 부정적인 영향을 줌으로써) 작업을 시작하려는 학습자의 의지와 동기를 손상시킬 수 있다. 

  • 반면에 죄책감은 더 동기부여가 되고 효과를 촉진시킨다.

self-determination theory, and expectancy value theories posit that lower competence beliefs are likely to preclude attempting a task at all.31 

  • Thus, by negatively affecting competence beliefs, shame may impair a learner’s willingness to initiate a task or his ability to progress toward self-motivated behavior, 

  • whereas guilt may have a more motivating, facilitating effect.


학습 과제의 인식된 가치는 "이 과제에 참여하면 어떤 일이 일어날 것인가(좋은가 나쁜가)?"이다.

The perceived value of a learning task deals with the basic question “What will happen (good or bad) if I engage in this task?”27


성과목표론

Achievement goal theories


  • 성과목표를 지향하는 학습자들은 그들의 동료를 능가하고, 성과기준을 초과하기를 바라고, "바보처럼 보이는" 것을 피하고자 하는 욕구에 의해 동기 부여된다.33

  • 숙달목표를 지향하는 학습자들은 능력을 향상시키고, 내용을 이해하고, 능력을 개발하려는 욕구에 의해 추진된다.33

  • Learners oriented toward performance goals are motivated by a desire to outperform their peers, exceed performance standards, or avoid “looking dumb.”27 

  • On the other hand, learners oriented toward mastery goals are driven by a desire to improve their abilities, understand the material, and develop competence.33


트레이시와 로빈스는 특정한 업적과 관련된 자부심(진정한 자존심)과 전반적 자존심(오만한 자존심)을 구분한다. 

  • 진정한 자부심이 숙달된 목표와 관련이 있다고 가정하는 반면, 

  • 오만한 자존심은 성취 목표와 관련이 있고, 이것은 나르시시즘의 심리학에서 보이는 연관성이다.

Tracy and Robins differentiate pride associated with specific achievements (authentic pride) from pride in one’s global self (hubristic pride). They postulate that 

  • authentic pride is linked to mastery goals, 

  • whereas hubristic pride is associated with performance goals— associations seen in the psychology of narcissism.2,3 

나르시시스트는 높은 수준의 자존심을 보고하지만 실제로는 상당한 부정적인 자기표현(즉, 수치심)을 가지고 있다.34,35 그들은 일반적으로 부정적인 자기표현을 숨김으로써 수치심을 최소화하고, 지속적으로 긍정적인 자기표현을 자극하여 자만심을 극대화한다.22 결과적으로, 나르시시스트의 자존심은 성과결과, 빈번한 외부 타당성 확인 및 수치심의 억압에 좌우된다.22,36,37

Narcissists report high degrees of self-esteem but actually possess abundant negative self-representations (i.e., shame).34,35 They generally minimize shame by keeping negative self-representations implicit and maximize hubristic pride by continually inflating positive self-representations.22 As a result, self-esteem in narcissists is contingent on performance outcomes, frequent external validation, and suppression of shame.22,36,37


성과목표를 지향하는 모든 학습자들이 나르시시스트라고 주장하는 것이 아니다. 그러나 "부끄러워하거나" 또는 "취약한" 나르시시스트 학습자들과 마찬가지로(더 공격적이고 "과장형" 유형과는 반대됨)performance goal을 지향하는 이 학습자들도 [다른 사람의 인정을 받지 못하거나 자신의 자부심이 의존하는 비현실적으로 높은 기준을 충족하지 못하면] 수치심에 노출될 수 있다.

We are not arguing that all learners oriented toward performance goals are narcissists. However, Consistent with “shy” or “vulnerable” narcissists (as opposed to the more aggressive, “grandiose” types),38 these learners may be predisposed to shame if they do not receive the approval of others or meet the unrealistically high standards on which their self-esteem depends.


대안적으로, 학습 목표 달성에 따른 진정한 자부심의 표시는 수치심으로부터의 회복성과 온전한 자기가치의 존재를 반영할 수 있다.

Alternatively, a display of authentic pride following achievement of a learning goal may reflect the presence of shame resilience and intact self-worth.


자기인식적 감정과 정서적 회복탄력성

Using Self-Conscious Emotions to Build Emotional Resilience


"감정적 회복탄력성 훈련"의 성과는 학습자와 교사가 

  • 해로운 자의식적 감정(예: 수치심)이 발생할 경우 그것을 인식할 수 있고

  • 진실하고 개방적인 방식으로 그들과 engage할 수 있으며,

  • 그러한 감정을 의식적으로 더 건설적인 감정 반응(예: 죄책감)으로 전환할 수 있는 것이다.

The outcome of “emotional resilience training” would be learners and teachers who 

  • are able to recognize damaging self-conscious emotions (e.g., shame) when they occur, 

  • engage with them in an authentic and open way, and 

  • mindfully transform them to more constructive emotional responses (e.g., guilt).


이 훈련은 다음을 다룰 수 있다.

The training might specifically address 

  • 자기인식적 감정의 기원, 차이 및 결과2 
  • 심한 수치심 반응이나 지나친 자만심 때문에 고군분투하는 학습자를 식별하는 방법 
  • 피드백, 교정조치 및 소크라테스 질문을 무해 방식으로 제공하는 방법18,39,40; 
  • 학습자가 오류를 범하는 수치심-복습적 접근방식과 성공을 위한 진정한 접근방식으로 안내하는 방법41 
  • 학습자가 자발적으로 감정을 공유하고 도움을 얻기 위해 필요한 환경 조건을 설정하는 방법.43
  • the origins, differences, and outcomes of the self-conscious emotions2; 

  • how to identify learners struggling with severe shame reactions or excessive hubristic pride; 

  • how to provide feedback, remediation, and Socratic questioning in a nonshaming manner18,39,40; 

  • how to guide learners to shame-resilient approaches to making an error and authentic approaches to succeeding41; and 

  • how to establish the environmental conditions necessary for learners to willingly share emotions and reach out for help.42,43


정서적 회복력 훈련이 성공하기 위해서는, 고도로 개인적인 감정에 대해 개방적이고 정직하게 참여할 수 있어야 하고, 이는 학습 환경에서의 심리적 안정 정도에 크게 영향을 받으므로, 그것을 유지하기 위한 노력을 필요로 할 것이다.43

The success of emotional resilience training, which would require open, honest engagement with highly personal emotions, would be heavily influenced by the degree of psychological safety in the learning environment, requiring concomitant efforts to instill and maintain its presence.43


Concluding Remarks


우리가 우리 자신을 보고 평가하는 방법을 추진하는 감정에 대해 "커튼을 젖힘"으로써, 우리는 학습자와 교육자 모두 오늘날의 학습 환경에서 의료 훈련자가 되는 것이 무엇을 의미하는지, 그리고 그 경험을 어떻게 양육하고 최적화하는지에 대해 더 깊이 이해할 수 있을 것이라고 믿는다.

By “pulling back the curtain” on the emotions that drive how we view and evaluate ourselves, we believe that learners and educators alike will gain a deeper understanding of what it means to be a medical trainee in today’s learning environment and how best to nurture and optimize the experience.




27 Cook DA, Artino AR Jr. Motivation to learn: An overview of contemporary theories. Med Educ. 2016;50:997–1014.







 2018 Jun;93(6):874-880. doi: 10.1097/ACM.0000000000001970.

Who Am I, and Who Do I Strive to Be? Applying a Theory of Self-Conscious Emotions to MedicalEducation.

Author information

1
W.E. Bynum IV was attending faculty, National Capital Consortium Family Medicine Residency, Fort Belvoir Community Hospital, Fort Belvoir, Virginia, at the time this article was written. He is assistant professor, Department of Community and Family Medicine, Duke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Durham, North Carolina, now; ORCID: http://orcid.org/000-0003-3796-9301. A.R. Artino Jr is professor, Department of Medicine, Uniformed Services University of the Health Sciences, Bethesda, Maryland; ORCID: http://orcid.org/0000-0003-2661-7853.

Abstract

The self-conscious emotions of shame, guilt, and pride are a distinct set of cognitively complex, powerful, and ubiquitous emotions that arise when an individual engages in self-evaluation. Currently, little is known about the influence or outcomes of self-conscious emotions in medicallearners. In this article, the authors present a leading theory of self-conscious emotions that outlines the appraisals and attributions that give rise to and differentiate shame, guilt, and two forms of pride. The authors then apply the theory to three relevant topics in medical education: perfectionism, professional identity formation, and motivation. In doing so, the authors present novel ways of viewing these topics through the lens of self-conscious emotion, suggest areas of future research, and outline a framework for emotional resilience training. Ultimately, the goal of this article is to highlight the fundamental nature of shame, guilt, and pride, which the authors believe are underappreciated and understudied in medical education, and to inform future empirical study on the role that these emotions might play in medical education. Additionally, from a practical standpoint, this article aims to encourage educators and learners to recognize self-conscious emotions in themselves and their colleagues, and to begin developing more resilient approaches to learning-approaches that acknowledge and confront shame, guilt, and pride in medical education.

PMID:
 
29068821
 
DOI:
 
10.1097/ACM.0000000000001970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