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건전문직교육에서 기초의학지식의 전이에 대한 비판적 네러티브 리뷰(Med Educ, 2018)

A critical narrative review of transfer of basic science knowledge in health professions education

Jean-Marie Castillo,1,2,3,4 Yoon Soo Park,3 Ilene Harris,3 Jeffrey J H Cheung,1,5 Lonika Sood,3,6,7 Maureen

D Clark,3,8 Kulamakan Kulasegaram,1,9 Ryan Brydges,1,10 Geoffrey Norman11 & Nicole Woods1,2



도입

INTRODUCTION


1910년 Flexner 보고서 이후, 기초의학이 미래 의료에서 임상 추론에 역할을 한다는 가정 하에 기초 과학 교육을 HPE에 포함시켰다. 최근의 연구는 기초 과학 지식이 임상 지식과 임상 추론의 습득에 있어 학습자와 practitioner에게 실제로 유익하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그러나, 학생들이 실제로 기본적인 과학 지식을 임상추론에 transfer할 것을 보장하는 기초 과학 교육의 특정 교수법과 평가 접근법에 대한 문헌에서 제한적인 논의가 있었다.

Since the Flexner report of 1910,1 education in the basic sciences has been included in HPE on the assumption that it plays a role in clinical reasoning during future practice.2–4 Recent investigations have shown that basic science knowledge does indeed have benefit for learners and practitioners in their acquisition of clinical knowledge and clinical reasoning.5,6 However, there has been limited discussion in the literature about the specific instructional and assessment approaches in basic science education that ensure that students will, in fact, transfer their basic science knowledge to their clinical reasoning.7


기초 과학 지식의 전이는 하나의 학습 환경에서 습득한 기초 과학 지식을 다른 맥락에서의 임상 문제 해결에 적용하는 것으로 정의할 수 있다.8 임상 추론에 대한 기초 과학 지식의 전달을 최적화하는 목표는 HPE와 문제 해결에 관한 광범위한 문헌에서 복잡한 교육과정 문제를 제시한다.8

The transfer of basic science knowledge can be defined as the application of basic science knowledge acquired in one learning context to the solving of a clinical problemin another context.8 The goal of optimising the transfer of basic science knowledge to clinical reasoning presents a complex curricular challenge in HPE and in the broader literature on problemsolving.8


임상추론에서 기초 과학의 가치는 정적static 지식 구조의 개발을 넘어선다. 오히려, 기초과학 지식은 의학적인 문제 해결을 지원하기 위한 역동적인dynamic 정신 구조의 발전의 토대가 되어야 한다.

the value of the basic sciences in clinical reasoning goes beyond the development of static knowledge structures. Rather, basic science knowledge should also serve as the foundation for the development of dynamic mental structures to support medical problemsolving.


수십 년의 연구가 학습자들에 의한 임상적 추론에 대한 기초 과학 지식의 spontaneous transfer가 특히 어렵다는 것을 보여주었다.13~15 해부학, 생화학, 유전학 등의 기초과학 각각에 대한 지식만으로는 임상 실습의 충분한 토대를 제공하지 못한다. 그러므로, 기초 과학 교육에 대한 연구는 기초 과학 훈련이 어떻게 학생들이 그들의 기본 과학 지식을 현실 세계의 문제에 적용할 수 있도록 하는지 탐구해야 한다. 그러나, HPE의 문헌은 기본적인 과학 교육 방법의 효과와 학생들이 기본적인 과학 지식을 전수하는 것을 성공적으로 도왔는지에 관한 제한된 증거를 제공한다.16

Decades of research have demonstrated that the spontaneous transfer of basic science knowledge to clinical reasoning by learners is exceptionally difficult.13–15 Taken in isolation, knowledge of the basic sciences, such as anatomy, biochemistry and genetics, does not provide a sufficient basis for clinical practice. Therefore, research in basic science education must explore how basic science training enables students to apply their basic science knowledge to real-world problems. However, the literature in HPE provides limited evidence regarding the effectiveness of basic science teaching methods and whether they have been successful in helping students transfer their basic science knowledge.16


기존 연구를 철저히 검토하지 않으면, 학생들이 기본적인 과학 지식을 임상추론으로 transfer하는 것을 지원할 수 있는 이론, 모델 또는 모범 사례를 식별하기 어렵다. 따라서, 우리는 이용 가능한 증거를 포착하기 위해 기본적인 과학적 지식을 임상 추론에 전달하는 것에 관한 문헌의 검토와 통합을 수행하였다.

Without a thorough examination of the existing work, it is difficult to identify theories, models or best practices that might support students in the transferring of basic science knowledge to clinical reasoning. Thus, we undertook to conduct a review and synthesis of the literature on the transfer of basic science knowledge to clinical reasoning to capture the available evidence.



방법

METHODS


본 연구는 문헌에서 증거를 수집하기 위해 체계적인 탐색 전략을 기반으로 한 비판적 서술적 검토다. 단일의 경험적 질문에 관련된 대답을 제공하도록 설계된 체계적인 검토 결과와 대조적으로, 우리는 기초 과학 교육 맥락에서 지식 전이의 개념을 더 잘 이해하고자 했다. 따라서, 'transfer out'/'transfer in' 개념적 프레임워크를 사용하여, 기존 문헌에서 전이가 개념화 및 평가되는지, 평가된다면 어떻게 평가되는지를 이해하기 위해 체계적으로 문헌을 검색한 결과를 분석하였다.

The present study is a critical narrative review, based on a systematic search strategy, to gather evidence from the literature. By contrast with the results of a systematic review, which is designed to provide an answer relevant to a single, empirical question, we aimed to gain a richer understanding of the concept of knowledge transfer in the context of basic science education. Therefore, we analysed the results of our systematic literature search using a ‘transfer out’/’transfer in’ conceptual framework in order to understand if and how transfer is conceptualised and evaluated in the existing literature.


외전이/내전이

Conceptual framework: ‘transfer out’/’transfer in’


분석18을 안내하는 데 사용된 'transfer out'/'transfer in' 개념체계는 교육 문헌 내에서 잘 정립되어 있으며, 의료 교육 문헌에서도 성공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이 프레임워크는 지식의 전이에서 두 가지 주요 특징을 식별한다. 즉, transfer out과 transfer in 이다

The ‘transfer out’/’transfer in’ conceptual framework used to guide the analysis18 is well established within the education literature and has also been used successfully in the medical education literature.19–21 The framework identifies two major dimensions in the transfer of knowledge: transfer out and transfer in.18


'트랜스퍼 아웃'은 학습 상황에서 개발된 지식을 새로운 문제 해결에 적용하는 것을 말한다. '트랜스퍼 아웃'은 수십 년 동안 연구의 초점이 되어왔던 전형적인 전이 개념화의 예를 보여준다. 예를 들어, 학생에게 환자가 피로, 체중 증가, 피부색 수정, 변비를 보이는 임상적 문제가 제시될 수 있다. 이 학생은 이전에 유사한 사례를 통해 갑상선 기능저하증과 관련된 증상을 배웠으며, 현재 자신의 지식을 갑상선 기능저하증 진단을 하고 새로운 임상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적용하고 있다.

‘Transfer out’ refers to the application of knowledge developed in a learning situation to the solving of a new problem. ‘Transfer out’ exemplifies the typical conceptualisation of transfer that has been a focus of research for decades.13 For example, a student may be presented with a clinical problemin which a patient presents with fatigue, weight gain, modification of skin colour and constipation. The student previously learned the symptoms associated with hypothyroidism through a similar case; he now applies his knowledge to diagnose hypothyroidism and solve the new clinical problem.


그러나 'transfer out'만으로는 새로운 문제를 해결하는 데 필요한 모든 것을 파악할 수 없다. 학습자에게 평생 동안 보건 전문가가 겪을 수 있는 무한한 문제를 모두 제공하도록 HPE 프로그램을 설계하는 것은 불가능할 것이다. 이론적으로, 전문가는 [높은 수준의 효율성을 보장고자] 또는 [제한된 활동 또는 상황을 위한 매우 구체적인 일상적 전문지식의 개발하고자] 지식의 학습과 적용에 있어 그 또는 그녀의 실행 범위를 엄격하게 제한할 수 있다.

Yet, ‘transfer out’ alone cannot capture the entirety of what is needed to solve new problems. It would be impossible to design an HPE programme that would provide learners with the infinite array of the problems a health professional might encounter during a lifelong practice. In theory, a professional could tightly limit his or her scope of practice to ensure a high level of efficiency in the learning and application of knowledge, and the development of highly specific routine expertise for a limited set of activities or situations.18,22,23


그러나, 이러한 극단적인 수준의 전문화는 대부분의 건강 직업에서는 불가능하다. 더욱 중요한 것은, 그것은 UME에서의 철학에 반하는 것이다. 결국, 효율적인 문제 해결은 지식의 직접적인 적용(transfer out)보다 더 많은 것을 요구한다. 효율성의 개발이 보건 전문가들에게 중요한 기술이지만, practitioner는 새로운 학습이 필요한 특이한 상황에 직면할 수밖에 없다.

However, this extreme level of specialisation is simply not possible in most health professions. More significantly, it runs counter to the generalist philosophy of undergraduate medical training. Ultimately, efficient problem solving requires more than the direct application of knowledge (i.e. more than ‘transfer out’). Although the development of efficiency is an important skill for any health professional, practitioners will inevitably encounter unusual situations that require new learning.18,22,23


'transfer in'은 새로운 학습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선행지식을 사용하는 것을 의미한다.18,24 기초과학교육의 맥락에서 'transfer in'은 사전 기초과학지식이 새로운 임상적 내용으로부터 학습을 용이하게 할 때 발생한다.

‘Transfer in’ refers to the use of prior knowledge to facilitate new learning.18,24 In the context of basic science education, ‘transfer in’ occurs when prior basic science knowledge facilitates learning from new clinical content.


예를 들어, 학생들은 우선 갑상선 호르몬이 혈액에 의해 몸 안에 퍼지고, 다수의 장기와 상호작용하며, 갑상선 호르몬의 부족은 다수의 장기에 영향을 미치는 여러 신진대사 경로를 느려지게 한다는 것을 배울 수 있다. 이러한 기본적인 과학 개념에 대한 지식은 학생들이 첫 번째 임상 문제나 주제에 대한 새로운 강의를 들을 때 아디슨 병(Adrenal hormone의 부족)에 대해 더 쉽게 배울 수 있게 한다.

For example, a student might first learn that thyroid hormones are spread in the body by the blood and interact with a multitude of organs, and that a lack of thyroid hormones results in a slowing down of several metabolic pathways affecting a multitude of organs. Knowledge of these basic science concepts might subsequently enable the student to more readily learn about Addison’s disease – a lack of adrenal hormones – when he is presented with his first clinical problem or a new lecture on the topic.


이 사례에서, 기본적인 과학 지식은 새로운 콘텐츠의 학습을 촉진하도록 transfer in할 수 있다. 이 렌즈를 이용하면, 미래 학습을 가장 잘 지원할 조기 학습 경험에 초점을 맞추는 것이 고품질 교육을 만드는데 결정적인 것이다. 실제로 'transfer in'에서 학습자의 성공은 궁극적으로 'transfer out'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므로 임상 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18,25

In this instance, the basic science knowledge could ‘transfer in’ and facilitate the learning of new content. Using this lens, a focus on early learning experiences that will best support future learning becomes critical in creating high-quality education. Indeed, a learner’s success at ‘transfer in’ will ultimately positively impact ‘transfer out’ and therefore clinical performance.18,25


비록 이것이 의학 교육 연구의 전이를 이해하는 비교적 새로운 방식이지만, '전입'은 종종 간과되는 기초 과학 교육의 잠재적인 가치를 탐구하는 유용한 방법을 제공한다.

Although it is a relatively new way of understanding transfer in medical education research, ‘transfer in’ provides a useful way of exploring the potential value of basic science education that is often overlooked.18,24


Search strategy


Data collection, data extraction and analysis


Ethics


결과

RESULTS


HPE 기본 과학 및 임상 추론 성과에 RCT 사용을 보고한 연구는 거의 없었다.

Few studies reported the use of randomised controlled trials of instruction in basic sciences in HPE and clinical reasoning outcomes


총 9803건의 연구가 확인되었고(복제 논문은 제외), 627건의 연구가 전체 텍스트 평가를 위해 검색되었으며 15건의 연구가 검토에 포함되었다(그림 1).

A total of 9803 studies were identified (after the exclusion of duplicate articles); 627 studies were retrieved for full-text evaluation and 15 were included in the review (Fig. 1).


임상 추론에 대한 기초과학 지식의 전이를 탐구한 검토에 포함된 15개 연구 중 93%가 'Transfer out'를, 7%(하나의 연구)는 'Transfer in'를 조사했다(표 1). 이러한 개입은 주로 의과대학(53%)과 특히 커리큘럼의 초기(1:40%, 2: 33%)와 생리학 과정(53%)에서 이루어졌다.

Of the 15 studies included in the review that explored the transfer of basic science knowledge to clinical reasoning, 93% explored ‘transfer out’ and 7% (one study) explored ‘transfer in’ (Table 1). The interventions took place predominantly in medical schools (53%), especially during the early years of the curriculum (Year 1: 40%; Year 2: 33%), and in physiology courses (53%) (Table 2).


기초과학의 교육은 'TO와 TI'에 대한 임상추론에 긍정적인 영향을 끼쳤다.

Instruction in the basic sciences positively impacted clinical reasoning for ‘transfer out’ and ‘transfer in’


검토한 논문에서, 기초과학 지식은 'transfer out'을 위한 임상 추론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이러한 연구는 기초과학 지식이 몇 가지 임상추론 과제에서 성과를 향상시켰다고 제안했다. 이러한 과제에는 

    • 임상 기능에 잠재적으로 책임이 있는 메커니즘에 대한 설명;26 

    • 환자 정보 및 후속 조치를 포함한 치료 계획의 결정, 27 

    • 보다 광범위한 임상 문제 해결이 포함되었다.28–31 

In the reviewed papers, basic science knowledge positively impacted clinical reasoning for ‘transfer out’. These studies suggested that basic science knowledge enhanced performance in several clinical reasoning tasks. These tasks included: 

    • the explanation of the mechanisms potentially responsible for clinical features;26 

    • the determination of a therapeutic plan including patient information and follow-up,27 

    • and, more broadly, clinical problem solving.28–31 


효과적인 교육 전략에는 

    • 기초 및 임상 과학의 커리큘럼 통합, 

    • 개념 지도의 사용, 

    • 임상 사례의 분석, 

    • 3차원 가상 현실의 사용이 포함되었다.

특정 매체 대 다른 매체의 사용은 'transfer out'을 강화하지 않았다(예: 현미경 vs 이미지, CD vs 강의33).


Effective teaching strategies included 

    • the curricular integration of basic and clinical sciences,28 use of concept maps,26,31 

    • analysis of clinical cases,27,29 and 

    • use of three-dimensional virtual reality.30 

The use of a specific medium versus another did not enhance ‘transfer out’ (e.g. light microscopy versus projected images,32 or CD versus lecture33).


세심한 통제가 이루어진 소수의 연구는 기본적인 과학 지식에 의해 뒷받침되는 임상 추리 과제를 확인하고 어떻게 'transfer out'를 조성할 것인가에 대한 추론을 이끌어냈다. 첫째, 임상 기능의 기본적인 설명 메커니즘(즉, 기초 과학 지침)을 가르치는 것은 초보 진단 전문가에서 시간의 경과에 따른 진단 정확성의 유지를 지원했다.

A small number of carefully controlled studies identified clinical reasoning tasks supported by basic science knowledge and drew inferences about how to foster ‘transfer out’. First, teaching the underlying explanatory mechanisms (i.e. basic science instruction) of clinical features supported the maintenance of diagnostic accuracy over time in novice diagnosticians.


이러한 긍정적인 결과는 conceptual coherence theory에 비추어 이러한 연구의 저자들에 의해 설명되었다.38 개념적 일관성 이론CCT은 근본적인 인과 메커니즘에 대해 학습하는 것이 문제의 임상적 특성에 대한 일관성 있는 정신적 표현을 제공하고, 따라서 각 진단 범주의 특성을 이해함으로써 장기 기억력과 전달을 향상시킨다고 주장한다.38

These positive results were explained by the authors of these studies in the light of conceptual coherence theory.38 Conceptual coherence theory posits that learning about the underlying causal mechanisms provides students with a coherent mental representation of the clinical features of problems, and thus enhances long-term memory and transfer by making sense of the features of each diagnostic category.38


기초과학 지식을 analogies와 함께 가르치는 것은 임상 추론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다. 특히, 기본적인 과학 지식의 예를 가르치는 상식적인 analogies가 'transfer out'을 뒷받침했다.39 임상 문제에 대한 설명을 필요로 하는 즉각적인 시험에서, analogy를 활용하여 가르친 경우에 그렇지 않은 경우보다 더 좋은 성과를 보였다.

Teaching basic science knowledge with analogies demonstrated a positive effect on clinical reasoning. Particularly, commonsense analogies as teaching examples of basic science knowledge supported ‘transfer out’.39 Students taught basic science knowledge with an analogy outperformed students taught basic science knowledge alone without analogies on immediate tests that required explanations of clinical problems.


여러 가지 관련 임상 문제를 연습하면서 기초 과학 지식을 가르치는 것도 이후에 'transfer out'를 촉진하였다.40 다양한 임상적 또는 전공별 맥락을 포함하여, 학생들이 기초 과학을 배우고 문제해결을 연습했을 때 임상 추론이 개선되었다. 임상추론 개선은 유사한 사례와 새로운 사례 모두에서 관찰되었다.

Teaching basic science knowledge with the practice of multiple related clinical problems promoted subsequent ‘transfer out’.40 The explanation of clinical reasoning was improved when students learned basic science and practised solving problems, including in varied clinical or disciplinary contexts. This improvement in clinical reasoning was observed for both similar and new cases.


단일한 생의학 개념을 설명하는 문제와 다수의 생의학 개념을 언급한 문제 모두에서 효과가 관찰되었기 때문에, 문제 맥락에서의 variability은 임상 추론을 강화하는 가장 중요한 요소로 식별되었다.40

The variability in the contexts of problems was identified as the most important element to enhance clinical reasoning as its effect was observed in both problems that illustrated a single biomedical concept and those that referred to multiple biomedical concepts.40


다양한 맥락에서 복수의 문제를 연습하는 가치는 문제의 심층적인 개념적 생의학적 구조를 식별하고 후속 transfer를 지원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

The value of practice with multiple problems in a multitude of contexts may have helped in the identifying of the deep conceptual biomedical structure of the problems, and subsequently supported transfer.


한 연구에서는 'transfer in'에 대한 기초 과학 지식의 가치를 탐구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 연구는 새로운 관련 콘텐츠(미래 학습을 위한 준비)의 후속 학습을 촉진하는지 여부를 탐구함으로써 임상 기능의 기본 과학 인과 메커니즘 학습의 가치를 입증했다.20

A single study was identified as exploring the value of basic science knowledge for ‘transfer in’. This study demonstrated the value of learning basic science causal mechanisms of clinical features by exploring whether they facilitate the subsequent learning of new related content (preparation for future learning).20


기존 평가는 임상적 추론에 대한 기초과학 지식의 가치를 파악하기에는 민감성이 부족할 수 있다.

Traditional assessments may lack the sensitivity to capture the value of basic science knowledge in transfer to clinical reasoning


비록 특별히 평가 전략을 비교한 연구는 없지만, 우리의 분석은 또한 전통적인 평가가 임상 추론에 대한 기본적인 과학 지식의 가치를 획득하기에 충분한 민감성이 부족할 수 있다는 것을 암시한다. 단순 암기 시험의 성능에서 어떤 편익도 관찰되지 않았지만, 임상 추론의 평가에서는 차이가 입증되었다.34–37,40 저자들이 단지 사실적 리콜에만 집중했다면, 기초 과학 훈련의 어떠한 장점도 포착되지 않았을 것이다.

Although no study specifically compared assessment strategies, our analysis also suggests that traditional assessments may lack sufficient sensitivity to capture the value of basic science knowledge in transfer to clinical reasoning. No benefit was observed in performance on rote memory tests, whereas differences were demonstrated in assessments of clinical reasoning.34–37,40 If the study authors had focused solely on factual recall, no advantages of basic science training would have been captured.



고찰

DISCUSSION


우리의 결과는 기초과학지식의 임상적 추론에 대한 transfer을 평가하기 위한 연구가 거의 없다는 것을 보여준다. 이것에 대한 몇 가지 가능한 이유가 있다. 

  • 첫째, 심리학적 개념으로서 transfer는 교육자와 연구자가 일반적으로 고려하는 lens가 아닐 수 있다. 연구자들은 기초과학 지식이 미래의 임상 실습에 중요하다는 것에 동의할 수 있지만, transfer에 초점을 맞추는 것이 바람직한지에 대해서는 덜 명백할 수 있다. 

  • 둘째로, 기초 과학 교육(예: 과학적 추리, 연구 능력, 전문적 정체성 개발)과 관련된 목표의 다양성으로 인해 궁극적으로 교수진과 학생 모두에게 임상 추론과 실천에 대한 준비로부터 멀어지게 할 수 있다. 

  • 셋째, 기초과학지식의 임상적 추론에 대한 전이를 가르치고 평가하기 위해서는, 교육자들은 실천과 관련된 것이 무엇인지 알아야 한다. 그러나 모든 기초과학 교육자가 임상적 관련성을 이해하는 것은 아니다. 

  • 마지막으로, 기본 및 임상 과학의 통합에 대한 강조는 [전이]보다 [임상추론]으로 우리의 관심을 이동시켰을 수 있다.16 기본 및 임상 과학의 통합은 학습 목표일 뿐만 아니라 커리큘럼 전략이다.41 교육전략과 교육성과 간의 차이가 명확하지 않을 경우, transfer와 관련한 초점이 저하될 수 있다. 

Our results indicate that there are few studies designed to evaluate the transfer of basic science knowledge to clinical reasoning. There are several possible reasons for this. 

  • Firstly, transfer – as a psychological concept – may not be a lens through which education is typically considered by educators and researchers. Although investigators may agree that basic science knowledge is important for future clinical practice, they may be less explicit on whether a focus on transfer is desirable. 

  • Secondly, the multiplicity of objectives associated with basic science education (e.g. the development of scientific reasoning, research abilities, professional identity) might ultimately distract both faculty staff and students from preparation for clinical reasoning and practice. 

  • Thirdly, in order to teach and assess the transfer of basic science knowledge to clinical reasoning, educators must know what is relevant for practice. However, not every basic science educator will understand clinical relevance. 

  • Lastly, the emphasis on the integration of the basic and clinical sciences may have shifted our attention away from the critical dimension of transfer to clinical reasoning.16 Integration of the basic and clinical sciences is a curricular strategy, as well as a learning goal.41 If the difference between the instructional strategy and the educational outcome is not made clear, the focus on transfer may suffer. 


사례로서 기초과학 지식을 흔한 analogy와 함께 가르치거나, 다수의 임상 문제를 연습해보는 것이 'transfer out'을 지원하였다. 이것은 중요한데, 임상추론에 기초과학적 개념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학생들은 먼저 문제를 그 문제와 관련있는 개념으로 정확하게 분류할 수 있어야 하기 때문이다. [문제]와 [학습한 기초과학 개념] 사이의 유사성은 '깊은(개념적) 구조적 수준'에서 식별되어야 한다'8 (예를 들어, 유체 역학의 층류 흐름은 심혈관과 호흡 시스템 모두에서 식별될 수 있다39).

Teaching basic science knowledge with commonsense analogies as teaching examples,39 or with the practice of multiple related clinical problems supported ‘transfer out’.40 These studies shared a common characteristic: they emphasised the deep conceptual structure of basic science knowledge to support transfer. This is critical because, to use a basic science concept in clinical reasoning, the trainee must first accurately categorise the problem as one that is appropriate to this concept. The similarity between the problem and the known basic science concept ‘must be identified at the level of the deep (conceptual) structure’8 (e.g. laminar–turbulent flow in fluid dynamics can be identified in both the cardiovascular and the respiratory systems39).


교육적인 도전은 일반적으로 초보자들이 문제를 표면적 구조를 기반으로 식별하기 때문에 발생한다. 반면에 전문가들은 문제를 underlying principle로 본다. 8,42 새로운 문제에 직면했을 때, 초심자는 맥락과 표면 수준에서 주어진 단서들을 바탕으로 그것을 자신의 mental representation과 비교할 가능성이 더 높다. 문제의 표면적 representation은 misleading할 수 있고, 올바른 기본 과학 개념의 식별을 방해할 수 있다.39 예를 들어, 물리학 문제에 직면했을 때 전문가들은 모멘텀의 보존을 확인했지만, 초심자는 경사진 평면과 같은 맥락적 세부 사항에 집중했다.43

The educational challenge arises because novices typically identify problems based on surface structures, whereas experts ‘see the problem as an underlying principle’.8,42 When encountering a new problem, a novice is more likely to compare it with his or her mental representation based on contextual and surface-level cues. The surface representation of the problem can be misleading and can hamper the identification of the correct basic science concept.39 For example, faced with physics problems, experts identified conservation of the momentum, whereas novices focused on contextual details, such as an inclined plane.43


실천을 위한 함의

Implications for practice


기초과학에서 교육 관행을 개선하려면 다면적인 접근이 필요하다. 교수개발은 이전 개념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우리가 확인한 교육 전략을 보급하는 데 필수적이다. 실제로, 기본 과학 지식을 임상 실습으로 전이하는 것을 강화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면 개인 교사의 역할이 성공에 필수적이다.5,6,44,45

Improving educational practice in the basic sciences requires a multifaceted approach. Faculty development is essential to improve understanding of the concept of transfer and to disseminate the instructional strategies we have identified. Indeed, the role of individual teachers is critical to the success of interventions aimed at enhancing the transfer of basic science knowledge to clinical practice.5,6,44,45


기초 및 임상 과학 교사 간의 긴밀한 협력은 

    • 기초 과학 교육의 목적을 명확히 결정하고(예: 임상 추리 또는 과학적 추론의 개발로 전이)

    • 의미 있는 기초과학 지식이 무엇인지 식별하며,

    • 영향impact을 포착할 수 있는 평가를 deliberate하게 생성하여, 전이를 평가하기 위한 임상 추론의 관련 dimension을 선택하게 해준다

Close collaboration between basic and clinical science teachers is foundational 

    • to the clear determination of the objectives of basic science education (e.g. transfer to clinical reasoning or development of scientific reasoning), 

    • to the identifying of meaningful practical basic science knowledge, and 

    • to the selection of relevant dimensions of clinical reasoning to assess transfer through the deliberate creation of assessments that can capture impact.


또한 커리큘럼 리더는 이러한 관행을 육성하는 데 필요한 커리큘럼 구조를 만들고 이러한 협업을 육성하고 보상하는 데 필요한 기관 지원과 자원을 확보하는 것이 필수적이다.45

Further, it is essential that curriculum leaders create the curricular structures needed to nurture these practices and ensure the institutional support and resources required to foster and reward this collaboration.45


연구를 위한 함의

Implications for research


이를 위해, 'transfer out'/'transfer in' 개념적 프레임워크18은 향후 연구를 위한 중요한 지침을 제공할 수 있다. 이 프레임워크는 우리가 현재 조사하지 않는 문제를 조사하기 위해, 전통적인 transfer out의 차원을 넘어 확장된다: , 즉, 기초과학 지식이 미래의 임상 콘텐츠의 학습과 임상 추론의 개발에 어떻게 영향을 미칠 수 있는지

To this end, the ‘transfer out’/’transfer in’ conceptual framework18 may present an important guide for future research. This framework extends beyond the traditional dimension of ‘transfer out’ to examine the issues we currently do not investigate, namely: how basic science knowledge may impact the future learning of clinical content and the development of clinical reasoning.






 2018 Jun;52(6):592-604. doi: 10.1111/medu.13519. Epub 2018 Feb 8.

critical narrative review of transfer of basic science knowledge in health professions education.

Castillo JM1,2,3,4Park YS3Harris I3Cheung JJH1,5Sood L3,6,7Clark MD3,8Kulasegaram K1,9Brydges R1,10Norman G11Woods N1,2.

Author information

1
Wilson Centre, University Health Network, University of Toronto, Toronto, Ontario, Canada.
2
Centre for Ambulatory Care Education, University of Toronto, Toronto, Ontario, Canada.
3
Department of Medical Education, University of Illinois at Chicago, Chicago, Illinois, USA.
4
Department of Family and Community Medicine, Nantes University, Nantes, France.
5
Institute of Medical Science, University of Toronto, Toronto, Ontario, Canada.
6
Department of Medicine, University of Wisconsin School of Medicine and Public Health in Madison, Madison, Wisconsin, USA.
7
Aurora Health Care, Green Bay, Wisconsin, USA.
8
Library of the Health Sciences, University of Illinois at Chicago, Chicago, Illinois, USA.
9
Department of Family and Community Medicine, University of Toronto, Toronto, Ontario, Canada.
10
Department of Medicine, University of Toronto, Toronto, Ontario, Canada.
11
Department of Clinical Epidemiology and Biostatistics, McMaster University, Hamilton, Ontario, Canada.

Abstract

CONTEXT:

'Transfer' is the application of a previously learned concept to solve a new problem in another context. Transfer is essential for basic science education because, to be valuable, basic science knowledge must be transferred to clinical problem solving. Therefore, better understanding of interventions that enhance the transfer of basic science knowledge to clinical reasoning is essential. This reviewsystematically identifies interventions described in the health professions education (HPE) literature that document the transfer of basicscience knowledge to clinical reasoning, and considers teaching and assessment strategies.

METHODS:

A systematic search of the literature was conducted. Articles related to basic science teaching at the undergraduate level in HPE were analysed using a 'transfer out'/'transfer in' conceptual framework. 'Transfer out' refers to the application of knowledge developed in one learning situation to the solving of a new problem. 'Transfer in' refers to the use of previously acquired knowledge to learn from new problems or learning situations.

RESULTS:

Of 9803 articles initially identified, 627 studies were retrieved for full text evaluation; 15 were included in the literature review. A total of 93% explored 'transfer out' to clinical reasoning and 7% (one article) explored 'transfer in'. Measures of 'transfer out' fostered by basicscience knowledge included diagnostic accuracy over time and in new clinical cases. Basic science knowledge supported learning - 'transferin' - of new related content and ultimately the 'transfer out' to diagnostic reasoning. Successful teaching strategies included the making of connections between basic and clinical sciences, the use of commonsense analogies, and the study of multiple clinical problems in multiple contexts. Performance on recall tests did not reflect the transfer of basic science knowledge to clinical reasoning.

CONCLUSIONS:

Transfer of basic science knowledge to clinical reasoning is an essential component of HPE that requires further development for implementation and scholarship.

Comment in

PMID:
 
29417600
 
DOI:
 
10.1111/medu.13519
[Indexed for MEDLINE]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