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학 전문직업성의 짧은 역사 - 그리고 왜 전문직업성이 중요한가 (CONTEMP PEDIATR, 2006)
A brief history of medical professionalism—and why professionalism matters
BY GARRICK APPLEBEE, MD

 

최근 몇 년 동안 의료 전문직업성에 관한 많은 글이 쓰여졌습니다. 그 정의는 끊임없이 진화하는 것처럼 보이지만, 끊임없이 변화하는 의료 환경 속에서 그 중요성은 점점 더 분명해지고 있습니다. 이 리뷰에서는 현재 의료 전문직업성의 역사적 토대를 추적하고 의학의 지속적인 활력을 위해 전문직업성의 필요성을 재차 강조합니다.  
Much has been written in recent years about medical professionalism. Its definition seems to evolve constantly, but its importance in an ever-changing medical climate becomes more and more apparent. This review traces the historical underpinnings of current medical professionalism and reasserts its necessity for the continued vitality of medicine.

초기 의학의 이상
Early medical ideals

의료 전문직업성에 관한 최초의 글은 '의학의 아버지'로 불리는 히포크라테스(기원전 460~377년)가 남긴 것입니다. 히포크라테스 등이 저술한 책 모음인 히포크라테스 코퍼스에 포함된 '히포크라테스 선서'(54페이지 참조)에는 오늘날에도 여전히 중요하게 여겨지는 다양한 직업적 기준이 요약되어 있습니다. 
Some of the earliest writings about medical professionalism come from Hippocrates, the "father of medicine" (460-377 BC). The Hippocratic Oath' (see page 54)—included in the Hippocratic Corpus, a collection of books written by Hippocrates and others—outlines a variety of professional standards still valued today.

고대 히포크라테스 선서
The ancient Hippocratic Oath


나는 아폴로 의사와 아스클레피오스, 히게이아, 파나시아, 그리고 모든 신과 여신들을 증인으로 삼아 나의 능력과 판단에 따라 이 맹세와 이 언약을 이행할 것을 맹세합니다:

- 나에게 이 기술을 가르쳐 준 자를 내 부모와 동등하게 여기고 그와 동등한 삶을 살며, 그가 돈이 필요하면 내 몫을 그에게 주고, 그의 자손을 남성 혈통의 내 형제들과 동등하게 여기고 그들이 이 기술을 배우기를 원한다면 비용이나 언약 없이 가르칠 것입니다; 내 아들들과 나를 가르친 자의 아들들, 그리고 의료법에 따라 언약에 서명하고 선서한 제자들에게만 교훈과 구두 교육 및 기타 모든 배움을 나누고 다른 누구에게도 나누지 않겠다. 


- 나는 나의 능력과 판단에 따라 병자를 위해 식이요법을 적용하고 그들을 해와 불의로부터 보호할 것입니다.

- 나는 치명적인 약을 요청한 사람에게 약을 주지 않으며, 이런 취지의 제안을 하지 않습니다. 마찬가지로 1은 여성에게 낙태 치료제를 주지 않을 것입니다. 순결과 거룩함으로 나의 삶과 예술을 지킬 것이다.

- 나는 돌로 고통받는 사람들에게도 칼을 사용하지 않을 것이지만이 일에 종사하는 사람들을 위해 물러날 것입니다,

- 내가 어떤 집을 방문하든, 나는 모든 의도적 인 불의, 특히 자유인이든 노예이든 여성과 남성 모두와의 성관계에 대한 모든 장난으로부터 자유 로워지고 병자를 위해 올 것입니다.

- 치료 과정에서 또는 치료 밖에서 남성의 삶과 관련하여 보거나 들을 수 있는 것은 어떠한 이유로도 외부로 퍼뜨려서는 안 되며, 그러한 것은 말하기 부끄러운 것으로 여기고 혼자서만 간직할 것입니다.

- 내가이 맹세를 이행하고 위반하지 않으면, 앞으로 모든 사람들 사이에서 명성을 얻으며 희열과 예술을 즐기는 것이 나에게 허락되기를 바라며, 만약 그것을 위반하고 거짓 맹세를한다면,이 모든 것의 반대가 내 운명이 될 것입니다.

I swear by Apollo Physician and Asclepius and Hygieia and Panaceia and all the gods and goddesses, making them my witness, that I will fulfill according to my ability and judgment this oath and this covenant:


• To hold him who has taught me this art as equal to my parents, and to live my life in partnership with him, and if he is in need of money to give him a share of mine, and to regard his offspring as equal to my brothers in male lineage and teach them this art—if they desire to learn it—
without fee or covenant; to give a share of precepts and oral instruction and all the other learning to my sons and to the sons of him who has instructed me and to pupils who have signed the covenant and have taken an oath according to the medical law, but to no one else. 

• I will apply dietetic measures for the benefit of the sick according to my ability and judgment; I will keep them from harm and injustice.


• I will neither give a deadly drug to anybody who asked for it, nor will I make a suggestion to this effect. Similarly 1 will not give to a woman an abortive remedy. In purity and holiness 1 will guard my life and my art.


• I will not use the knife, not even for sufferers from stone, but will withdraw in favor of such men as are engaged in this work,


• Whatever houses I may visit, 1 will come for the benefit of the sick, remaining free of all intentional injustice, of all mischief in particular of sexual relations with both female and male persons, be they free or slaves.


• What 1 may see or hear in the course of the treatment or even outside of the treatment in regard to the life of men, which on no account one must spread abroad, 1 will keep to myself, holding such things shameful to be spoken about.


• If I fulfill this oath and do not violate it, may it be granted to me to enjoy hfe and art, being honored with fame among all men for time to come; if 1 transgress it and swear falsely, may the opposite of all this be my lot.


이 선서에는 학문, 이타주의, 기밀 유지, 그리고 '해를 끼치지 않는다'는 원칙의 중요성이 명확하게 담겨 있습니다: 첫째, 해를 끼치지 않는다. 또한 의사와 환자 관계에서 의사가 자신의 고유한 권한을 남용하지 않도록 경고합니다. 이 원칙이 작성될 당시 얼마나 중요하게 여겨졌는지는 알 수 없지만, 약 500년 후 로마의 의사 스크리보니우스 라구스가 그 중요성을 확인했습니다. 의학에 내재된 신성한 책임과 히포크라테스 선서에 명시된 신념을 굳게 믿었던 라구스는 로마 군대와 함께 제국 전역을 여행하면서 이러한 원칙을 가르쳤습니다^.
The oath speaks clearly of the importance of scholarship, altruism, confidentiality, and the principle of primum non nocere: First, do no harm. It also warns physicians against abusing their inherent power in the physician-patient relationship. It is not known how valued these ideas were at the time they were written, hut the Roman physician Scribonius Largus affirmed their importance about 500 years later. A firm believer in the fiduciary responsibility inherent in medicine and outlined in the Hippocratic Oath, Largus taught these principles as he traveled with the Roman army throughout the empire.^

이러한 이상은 서양에만 국한된 것이 아닙니다.

  • 고대 인도의 행동 강령인 차라카 삼히타에는 "돈이나 변덕이 아니라 생명체에 대한 연민으로 의술을 행하는 사람이 의사 중 최고"라고 명시되어 있습니다.
  • 마찬가지로 중국의 윤리학자 손시미아오는 7세기에 쓴 글에서 의사에게 연민, 경건함, 환자에 대한 평등한 대우, 탐욕의 배제를 강조했습니다. 

These ideals were not unique to the Western world.

  • The Charaka Samhita, an ancient Indian code of conduct, states that "he who practices not for money nor caprice but out of compassion for living beings, is the best among physicians."
  • Similarly, the Chinese ethicist Sun Simiao, writing in the seventh century, stressed compassion, piety, equal treatment of patients, and the avoidance of greed among physicians.'

개인적 선서에서 직업적 표준까지
From personal oath to professional standards

중세 시대에는 종교가 의료 행위를 지배했지만, 르네상스와 함께 고전 문헌, 특히 히포크라테스 코퍼스에 대한 관심이 다시 높아졌습니다. 히포크라테스 선서(기독교 신념에 따라 변경됨)는 신사적인 명예 규범과 함께 유럽 의과대학에서 정기적으로 증명하는 것이 되었습니다. 이러한 명예 규범은 도덕적 청렴성과 직업적 행동을 보장하는 기준이었지만, 직업 전체가 아닌 개인을 기준으로 한 것이었습니다. 여기에는 1700년대 후반 맨체스터에서 드러난 약점이 내재되어 있었습니다. 영국.
During the Middle Ages, religion dominated medical practice, hut with the Renaissance came renewed interest in classical writings, particularly the Hippocratic Corpus. The Hippocratic Oath (changed to accord with Christian beliefs) became a regular attestation in European medical schools in combination with gentlemanly codes of honor. These codes of honor were the standards that guaranteed moral integrity and professional conduct; they were, hy definition, based on the individual and not the profession as a whole. Therein lay their inherent weakness— one that came to light in the late 1700s in Manchester. England. 

1792년 맨체스터에서 장티푸스가 창궐하자 병원 관리자들은 밀려드는 환자를 감당하기 위해 의사를 추가로 고용해야 했습니다. 이에 수많은 환자를 치료하는 데 자신의 노력이 충분하지 않다고 느낀 직원 의사들은 불쾌감을 느껴 파업에 나섰습니다. 더욱 심각한 상황에 처한 관리자들은 영국의 외과의사이자 작가, 노예제 반대 운동가였던 토마스 퍼시벌에게 개입을 요청했습니다. 퍼시벌은 1803년에 출간된 '의사와 외과의의 직업적 행동에 적응한 의료 윤리; 또는 의사와 외과의의 직업적 행동에 적응한 제도와 교훈의 강령'을 저술함으로써 이에 응답했습니다. 
In 1792, an epidemic of typhoid broke out in Manchester, prompting hospital administrators to hire additional physicians to deal with the great influx of patients. This offended the staff physicians (who felt slighted that their efforts were not considered adequate to treat the numerous sick) to such an extent that they went on strike. Finding themselves in even more dire straights, the administrators appealed to Thomas Percival, an English surgeon, author, and antislavery activist, to intervene. He responded by writing Medical Ethics.; Or, A Code of Institutes and Precepts, Adapted to the Professional Conduct of Physicians and Surgeons, published in 1803,'

의료 윤리는 개인의 청렴성이 아닌 직업 자체의 청렴성에 기반한 직업적 행동 기준을 만들었다는 점에서 혁명적이었다. 퍼시벌은 선서라는 주관적인 표현을 행동의 표준으로 대체하고, 이를 의무로 명시했습니다. 이러한 의무는 환자를 돌보는 의료계의 집단적 책임에 의해 정당화되었으며, 에티켓부터 기본적인 병원 절차에 이르기까지 모든 것을 포괄했습니다. 퍼시벌은 의사들에게 "공부도 해야 한다." 즉, 부드러움과 꾸준함, 겸손과 권위를 결합하여 환자의 마음을 감사와 존경, 자신감으로 고무시킬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촉구했습니다. "-*
Medical Ethics was revolutionary' in that it created a standard for professional conduct based not on individual integrity but the integrity of the profession itself. It replaced the subjective language of oath with standards of conduct, which Percival outlined as duties. These duties were justified by the medical profession's collective responsibility to care for the sick and encompassed everything from etiquette to basic hospital procedure. Percival urged physicians to "study also. in their deportment, so to unite tenderness with steadiness, and condescension with authority, as to inspire the minds of their patients with gratitude, respect, and confidence. "•*

퍼시벌의 강령은 조용한 방식으로 개인의 청렴성보다 직업적 도덕성을 우선시하는 새로운 표준이 되었습니다. 퍼시벌은 의료 관리자와 의사 모두에게 어필할 수 있도록 문서를 구성하는 데 능숙했습니다. 그는 퍼시벌의 의료 윤리 원본 표지(Leake CD에서 발췌/ 버몬트대학교 벌링턴 캠퍼스 다나 의학 도서관 의학사 컬렉션 제공)를 통해 의료 서비스를 공식적으로 기대하는 동시에 의사가 의학의 이해와 실천에 관한 고유한 지위 덕분에 독립성과 도덕적 권위를 주장할 수 있음을 암시했습니다.

In essence, Percival's code set professional morality above personal integrity in a quiet way that became the new standard. Percival was savvy in that he constructed the document to appeal to both health-care administrators and physicians. He created formal expectations of Original cover of Percival's Medical Ethics (from Leake CD/ courtesy of the Dana Medical Library Medical History Collection, University of Vermont, Burlington). health care while also intimating that physicians could claim the rights of independence and moral authority by virtue of their unique position with regard to understanding and practicing medicine.

 

AMA 윤리 강령
The AMA code of ethics

의료 윤리는 광범위한 영향을 미쳤으며 의료 전문직업성과 관련된 새로운 아이디어와 개념의 기초가 되었습니다. 히포크라테스 선서와 마찬가지로 이 강령은 발표 당시 영국에서는 널리 알려지지 않았지만, 그 이상은 젊은 미국에서 널리 퍼져 꽃을 피웠습니다. 미국에서 벤자민 러쉬와 다른 사람들이 의료 전문직업성에 대한 새로운 사상을 전파했고, 지역 의사회는 자체 행동 강령을 채택하기 시작했습니다.^ 이러한 지역 강령은 의료 윤리 및 전문직업주의에 대한 최초의 국가 강령인 미국의사협회(AMA) 의료 윤리 강령으로 정점을 찍었습니다
Medical Ethics had wide-reaching effects and served as the basis for new ideas and concepts related to medical professionalism. Like the Hippocratic Oath, it was not widely regarded in England at the time of its publication, but its ideals spread and blossomed in the young United States. Here, Benjamin Rush and others preached the new ideas of medical professionalism, and local medical societies began to adopt their own codes of conduct.^ These local codes culminated in the first national code of medical ethics and professionalism, the American Medical Association (AMA) Code of Medical Ethics.

AMA는 1846년 당시 각기 다른 의료 규범을 표준화하기 위해 설립되었습니다. 동종 요법 의학을 원형으로 삼은 AMA는 미국 내 의료 교육과 행위를 공식화하기 위해 노력했습니다. 1847년 존 벨과 아이작 헤이즈가 작성한 윤리 강령은 상당 부분 퍼시벌의 의료 윤리 원칙에 기반을 두고 있었습니다. 이 강령 역시 의사가 환자와 사회에 대해 갖는 신탁적 책임을 강조했습니다. AMA 윤리 강령에는 세 가지 주요 의무가 명시되어 있습니다:

  • 환자에 대한 의사의 의무(및 환자의 의사에 대한 의무)
  • 의사의 서로에 대한 의무와 직업 전반에 대한 의무
  • 대중에 대한 직업의 의무 (및 직업에 대한 대중의 의무)^.

The AMA was founded in 1846 largely to standardize the disparate medical codes of the time. Focusing on allopathic medicine as the prototype, the AMA strove to formalize medical training and conduct in the US. Its Code of Ethics, written in 1847 by John Bell and Isaac Hayes, was based in large part on the tenets of Percival's Medical Ethics.'' It, too, stressed the fiduciary responsibility that physicians hold to patients and society. The AMA Code of Ethics outlines three main duties:

  • duties of physicians to their patients (and obligations of patients to their physicians)
  • duties of physicians to each other and the profession at large
  • duties of the profession to the public (and obligations of the public to the profession).^

전임자들과 마찬가지로 AMA가 제시 한 강령과 권위는 반대를 불러 일으켰습니다. 경쟁 의학회는 전문직에 대한 평등주의적 관점을 덜 취하면서 의료계로 선택되려면 여전히 내재된 성실성과 명예를 요구해야 한다고 주장했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AMA의 의무 목록은 곧 미국 의학의 미래 제자들에게 기본적인 진리가 되었습니다. 
As with its predecessors, the code and the authority with which it was presented by the AMA drew opposition. Competing medical societies took a less egalitarian view of professionalism, advocating that selection into the medical profession should still require inherent integrity and honor. Nevertheless, the AMA's list of duties soon became basic truths to the future disciples of American medicine.

플렉스너 보고서
The Flexner Report

아브라함 플렉스너는 1910년 플렉스너 보고서를 발표하여 AMA의 권위와 윤리적 기준을 강화했습니다. AMA와 카네기 재단이 공동으로 의뢰한 이 보고서AMA의 의료 윤리관을 확립하는 데 도움이 되었으며, 의료계가 회원을 보호하고 의학 지식의 획득 및 유지 기준을 규제할 수 있는 특권과 책임이 있다는 생각을 강화하여 의료 자율 규제를 지지했습니다. 플렉스너 보고서는 의학교육의 질에 대한 혹독한 비판으로 인해 미국과 캐나다의 많은 의과대학이 문을 닫아야 했습니다. 
Abraham Flexner advanced the authority of the AMA and its ethical standards with the publication of the Flexner Report in 1910. Commissioned jointly by the AMA and the Carnegie Foundation, the report helped to establish the views of medical ethics held by the AMA and supported medical self-regulation—reinforcing the Idea that the medical profession has the privilege and responsibility of policing its members and regulating the standards for obtaining and maintaining medical knowledge. The Flexner Report forced many medical schools in the US and Canada to close because of its harsh criticism of the quality of medical education they provided.''^

1900년대 초, 사회학자 Talcott Parsons는 개별 환자와 사회 전체와 관련된 의료 전문직업성에 대한 개념을 더욱 탐구했습니다. 그의 기능주의 이론은 사회 제도가 특정 사회적 기능에 의해 정의된다고 주장했습니다. 그는 의사가 개인과 사회 사이의 독특한 중재자이며, 의료 전문직업성이 의사의 일상적인 사적 이익과 공적 이익의 균형에 영향을 미친다고 믿었습니다^. 
In the early 1900s, the sociologist Talcott Parsons further explored the idea of medical professionalism as it related to the individual patient and to society as a whole. His theory of functionalism asserted that social institutions were defined by their specific social functions. He believed that the physician was a unique mediator between the individual and society and that medical professionalism influenced the physician's daily balancing of private and public good.^

의사를 전문가로 사회화하고 플렉스너가 발전시킨 자율 규제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학교와 의사회와 같은 의학 내 전문 기관이 필수적이었습니다. 파슨스는 또한 의사 개인의 윤리적 행동과 이해 상충 및 권한 오용을 신중하게 피하는 것이 의료 전문직에 필수적이라고 주장하여 1900년대 후반에 이어질 의료 전문직업성에 대한 공격을 예고했습니다.
Professional institutions within medicine (such as schools and medical societies) were essential to socializing physicians as professionals and maintaining the self-regulation advanced by Flexner. Parsons also behaved that the ethical behavior of the individual physician and the careful avoidance of conflict of interest and misuse of authority were essential to the medical profession, foreshadowing the assault on medical
professionalism that was to follow in the late 1900s.

 

소아과와 전문직업성
Pediatrics and professionalism

소아과는 미국 의학이 스스로를 전문적으로 정의하려고 시도하던 초기 단계에 있었습니다. 미국 소아과의 아버지라 불리는 잡 루이스 스미스와 아브라함 자코비는 모두 당시 의료 혜택을 받지 못했던 어린이들에게 의료 서비스를 제공하는 데 헌신했습니다. 이들은 동시대의 공중 보건 운동과 함께 어린이들의 상태를 개선하기 위해 끊임없이 노력했으며, 급성 질환 치료만큼이나 환자 옹호에도 관심을 기울이는 전문직의 토대를 마련했습니다. 1887년에는 미국 최초의 의학 전문 학회인 미국 소아과학회 설립을 도왔습니다. 자코비는 특히 소아과를 뚜렷한 근거와 치료법 측면에서 정의하기 위해 노력했습니다. 
Pediatrics was in its infancy when American medicine was attempting to define itself professionally Job Lewis Smith and Abraham Jacobi, the fathers of American pediatrics, were both dedicated to distributing health care to the underrep resented children of the age. They worked tirelessly, in conjunction with the concurrent public health movement, to improve conditions for children and laid the groundwork for a profession interested as much in patient advocacy as acute care of disease. In 1887, they helped found the American Pediatric Society, the first medical specialty society in the US.^'^ Jacobi especially strove to define pediatrics in terms of distinct rationales and therapeutics.

황금기에서 혼란기로
From golden age to turmoil

1900년대 중반은 의사들이 일반 대중으로부터 존경과 자율성, 인정을 받았던 의학의 황금기라고도 불립니다. 그러나 1960년대와 1970년대에 들어서면서 의료계에 대한 의구심이 커지면서 여론이 바뀌었습니다. 일부 의사와 단체의 무분별한 의료 행위가 권위주의적 인물에 대한 사회적 불신과 결합하여 전문직에 대한 믿음의 위기를 초래했습니다. 의사의 전문직업성은 더 이상 당연시되지 않았고 의료 윤리와 전문직업성은 공개적으로 비판을 받았습니다. 또한 이 시기에 연방거래위원회는 의과대학에 대한 조사에 착수했습니다." 위원회는 50년 전 플렉스너가 했던 것처럼 의료 기준을 검토했지만, 정부 기관이라는 지위는 의료계가 스스로를 규제할 수 있는 자율성을 위협했습니다. 
The mid-1900s are often referred to as the golden age of medicine because physicians enjoyed respect, autonomy, and appreciation from the general public. Opinion shifted in the 1960s and 1970s, however, as doubt was cast on the medical profession.'"^ Isolated unscnipulous medical practices by some physicians and groups combined with increasing social distrust of authoritarian figures to create a crisis of professional faith. The professionalism of physicians was no longer assumed, and medical ethics and professionalism were publicly criticized. Also during this time, the Federal Trade Commission undertook an investigation of medical schools." The commission reviewed the standards of medical [raining much as Flexner had done 50 years earlier, but its status as a government institution threatened the autonomy of the profession to regulate itself.

더 많은 변화와 도전
More change and challenge

1970년대에는 의료 전문직업성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새로운 학문 분야, 즉 생명윤리가 등장했습니다. 의사의 의무에 더 초점을 맞춘 의료 전문직 윤리와 달리 생명윤리는 환자의 권리에 초점을 맞췄습니다. 환자에 대한 이론적(그리고 실현된) 이타주의는 의료가 개별 환자와 집단에 미치는 영향과 효과를 반드시 측정하지는 않았습니다. 생명윤리는 기술, 과학, 윤리의 새로운 문제와 씨름했으며, 현대 의학의 정책, 구조, 기능에 계속해서 지대한 영향을 미치고 있습니다. 
A new field of study closely related to medical professionalism emerged during the 1970s—bioethics. Unlike medical professional ethics, which focused more on the duties of physicians, bioethics focused on the rights of patients.'' Theoretical (and realized) altruism toward patients did not necessarily measure the impact and effectiveness of medical care on individual patients and groups. Bioethics wrestled with emerging issues of technology, science, and ethics; it continues to have a profound effect on the policy, structure, and function of modem medicine.

1980년대에는 의료 분야의 전문화가 진행되면서 의사 개개인의 고립과 자율성이 강화되었습니다. 공적인 영역에서 의사에 대한 비방이 계속되었고 재정적, 법적 압박이 커지면서 직업적 행동의 경계가 모호해졌습니다. 1990년대 클린턴 의료 계획의 실패로 인해 관리 의료로 급속히 이동하면서 의료 전문가들에게 더 많은 잠재적 함정이 생겼습니다.
The 1980s brought increasing specialization to the medical field, increasing the isolation and autonomy of the individual physician. Vilification of physicians continued in the public arena, and growing financial and legal pressures blurred the line of professional conduct. The failure of the Clinton health plan in the 1990s resulted in a rapid drive to managed care, which created even more potential pitfalls for medical professionals.^^'^^

역사적으로 의사는 자신의 서비스에 대한 적절한 환급을 위한 가이드라인을 설정할 책임이 있었습니다. 매니지드 케어의 도입으로 이러한 책임이 바뀌면서 경제학이 의료 서비스에 더 많은 영향을 미칠 수 있게 되었습니다. 
Historically physicians had responsibility of setting guidelines lor appropriate reimbursement for their services. The introduction of managed care shifted this responsibility, giving economics more opportunity to influence health care.

의사의 전문적 책임을 신봉하는 위니아와 동료들은 의료의 전문직업성과 그것이 제공하는 자율성 및 자기 규제가 기업(시장 중심의 의료)이나 정부에 의한 의료 통제를 막는 유일한 장벽 중 하나라고 지적했습니다. 그들은 전문직업성을 재화의 분배와 도덕적 관계에 따라 고유하게 정의되는 사회적 재화의 공정한 배분을 모두 포함하는 활동으로 정의합니다.
Wynia and colleagues, believers in the professional responsibility of physicians, have pointed out that medical professionalism, with the autonomy and self-policing it affords, is one of the only barriers against control of health care by business (market-driven medicine) or government. They define professionalism as an activity that involves both the distribution of a commodity and the fair allocation of a social good hut that is uniquely defined according to moral relationships."'^^

궁극적으로 "전문직업성은 사회를 구조적으로 안정시키고 도덕적으로 보호하는 힘"입니다. 의사는 의료에 대한 고유한 이해와 전문적 책임감이 결합되어 자신과 사회 모두를 옹호할 수 있습니다.
Ultimately, "professionalism is a structurally stabilizing, morally protective force in society'"''' Physicians have a unique understanding of health care that, combined with professional responsibility, enables them to advocate for both themselves and society.

ABIM 헌장
The ABIM charter

의료 전문직업성에 대한 많은 도전으로 인해 현대 의학에서 전문직업성을 정의하고 적용하는 데 대한 관심이 다시 높아졌습니다. 2002년, 미국 내과학회(ABIM)는 의료 전문직업주의의 기본 원칙과 특정 직업적 책임을 지키기 위한 도전에 대한 성명서인 의사 헌장 초안을 작성했습니다. 
The many challenges to medical professionalism have led to a rebirth of interest in defining and applying professionalism in modem medicine. In 2002, the American Board of Internal Medicine (ABIM) drafted a Physician Charter—a statement of fundamental principles of medical professionalism and a challenge to uphold certain professional responsibilities.

Annals of Intermal Medicine의 편집자인 해롤드 C. 삭스 박사는 헌장 서문에서 "산업화된 세계 각국의 의료 전달 시스템의 변화가 전문직업성의 가치를 위협하고 있다"며 "...의료 행위의 조건이 의사들로 하여금 환자 복지의 우선순위에 대한 헌신을 포기하도록 유혹하고 있다"고 인식하고 있습니다. 그는 의사 개개인에게 "...진료 환경이 의료계가 수천 년 동안 소중히 여겨온 가치를 고수하는 데 위협이 되고 있는지 결정해야 한다"고 촉구합니다. 

Harold C. Sox, MD, the editor of Annals of Intermal Medicine, in his introduction to the charter, recognizes that “changes in the health-care delivery systems in countries throughout the industrialized world threaten the values of professionalism,” and that “...conditions of medical practice are tempting physicians to abandon their commitment to the primacy of patient welfare.” He calls on the individual physician to “...decide if the circumstances of practice are threatening his or her adherence to the values that the medical profession has held dear for many millennia,”

ABIM 헌장에 명시된 기본 원칙은 다음과 같습니다:

  • 환자 복지의 우선성(이타주의는 의사-환자 관계의 핵심인 신뢰에 기여)
  • 환자 자율성(의사는 환자에게 정직해야 하며 환자가 치료에 대해 정보에 입각한 결정을 내릴 수 있도록 권한을 부여해야 함)
  • 사회 정의(의료계는 의료 자원의 공정한 분배를 포함하여 의료 시스템의 정의를 증진해야 하며, 의사는 의료 서비스에서 차별을 없애기 위해 적극적으로 노력해야 한다)'"*

Fundamental principles outlined in the ABIM charter include:

  • primacy of patient welfare (altruism contributes to the trust that is central to the physician-patient relationship)
  • patient autonomy (physicians must be honest with their patients and empower them to make informed decisions about their treatment)
  • social Justice (the medical profession must promote justice in the health-care system, including the fair distribution of health-care resources; physicians should work actively to eliminate discrimination in health care).'"*

이러한 원칙은 직업적 책임에 대한 약속을 통해 지켜집니다:

  • 환자 기밀 유지
  • 환자와의 적절한 관계 유지
  • 전문적 역량
  • 과학적 지식
  • 치료의 질 향상
  • 직업적 책임
  • 유한한 자원의 공정한 분배
  • 이해 상충을 관리하여 신뢰 유지
  • 치료 접근성 개선
  • 환자에 대한 정직성.

These principles are upheld by commitments to professional responsibilities:

  • patient confidentiality
  • maintaining appropriate relations with patients
  • professional competence
  • scientific knowledge
  • improving quality of care
  • professional responsibilities
  • just distribution of finite resources
  • maintaining trust by managing conflicts of interest
  • improving access to care
  • honesty with patients.

이러한 이상은 대부분 새로운 것이 아닙니다

  • 히포크라테스는 기밀 유지, 환자와의 적절한 관계, 역량에 대한 헌신에 대해 이야기했습니다. 
  • 퍼시벌과 플렉스너는 전문적 역량, 과학적 지식, 치료의 질 향상에 전념했습니다. 
  • 파슨스는 직업적 책임과 이해 상충을 피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을 이해했습니다. 

치료 접근성을 개선하고 환자에게 정직하게 대하겠다는 약속은 생명윤리 운동과 의료 분야의 공공 자율성에서 부분적으로 지지하는 환영할 만한 추가 사항입니다. 이러한 원칙을 강화함으로써 ABIM 헌장은 의료 전문직업성에 대한 중요한 현대적 벤치마크 역할을 해왔습니다.
Most of these ideals are not new.

  • Hippocrates spoke of confidentiality, appropriate relations with patients, and commitment to competence.
  • Percival and Flexner were dedicated to professional competence, scientific knowledge, and improving quality of care.
  • Parsons understood the importance of professional responsibilities and avoiding conflicts of interest.

Improving access to care and commitment to honesty with patients are welcome additions advocated in part by the bioethics movement and public autonomy in health care. By reinforcing these principles, the ABIM charter has served as an important modern benchmark for medical professionalism.

 

의료 전문직업성 교육
Teaching medical professionalism

미국의학전문대학원교육인증위원회(ACGME)가 제시하고 미국소아과학회가 지지하는 레지던트 수련 가이드라인에서도 전문직업성의 중요성을 강조합니다. 소아과 레지던트는 ABIM 헌장에 명시된 것과 유사하게 정의된 전문직업성 역량을 갖추어야 합니다.
Guidelines for resident training outlined by the Accreditation Council for Graduate Medical Education (ACGME) and supported by the American Board of Pediatrics also stress the importance of professionalism. Pediatric residents are expected to obtain competency in professionalism, which is defined similarly to what is found in the ABIM charter.

오늘날의 과제는 전문직업성을 적절히 평가하고 의대생과 레지던트의 전문직업성 부족을 회복하는 것입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유능한 의사를 종합적으로 양성하는 데 있어 의료 전문직업성을 가르치는 것이 의학 지식과 환자 치료만큼 중요하다는 데는 보편적으로 동의합니다^'"' 
The challenge today lies in assessing professionalism adequately and rehabilitating professional inadequacies among medical students and residents. Nevertheless, it is universally agreed that teaching medical professionalism is as important as medical knowledge and patient care in the comprehensive training of competent physicians.^'"'

지속적이고 풍성한 논의
An ongoing, enriching discussion

올해 초 뉴잉글랜드 의학 저널에 게재된 의대생의 관점("웃음이 좋은 의술을 만드는가?")은 최근 의료 전문직업성의 가장 중요한 측면 중 하나인 '우리가 집단으로 그것에 대해 이야기하고 있다는 점'을 강조합니다. 의학과 사회가 변화함에 따라 의료 전문직업성의 기준도 변화할 가능성이 높지만, 소아과 및 일반 의료계의 논의는 우리의 직업적 삶과 환자 치료를 계속 풍요롭게 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전문직업성은 멀지 않은 미래에 변화했지만 여전히 친근한 의학의 얼굴을 인식할 수 있는 도구가 될 수 있습니다. - 
A medical students perspective published earlier this year in the New England journal of Medicine, ("Does laughter make good medicine?") highlights one of the most important aspects of recent medical professionalism— that we are, as a group, talking about it.'' As medicine and society change, the standards of medical professionalism are also likely to change, but the discussion in the pediatric and general medical community will, it's to be hoped, continue to enrich our professional lives and the care of our patients. Professionalism may just be the tool that allows us to recognize the altered but still friendly face of medicine somewhere in the not-too-distant future. •

ABIM 의사 헌장의 전문직업성에 대한 약속
Commitments to professionalism from the ABIM physician charter

- 환자 기밀 유지
- 환자와의 적절한 관계 유지
- 전문적 역량
- 과학적 지식
- 치료의 질 향상
- 직업적 책임
- 유한한 자원의 공정한 분배
- 이해 상충을 관리하여 신뢰 유지
- 치료 접근성 개선
- 환자에 대한 정직성

• Patient confidentiality

• Maintaining appropriate relations with patients
• Professional competence
• Scientific knowledge
• Improving quality of care
• Professional responsibilities
• Just distribution of finite resources
• Maintaining trust by managing conflicts of interest
• Improving access to care
• Honesty with patients
Source: ABIM Foundation, American Board of Internal Medicine, et al

 

 


저자:Applebee G
소속기관:1Medicine fellow, Vermont Children's Hospital, Burlington
제공처:Contemporary Pediatrics (CONTEMP PEDIATR), Oct2006; 23(10): 53-62. (6p)
출판물 유형:Journal Article - pictorial
초록:As the medical profession evolves, the issues and challenges change, but the ongoing discussion continues to enrich professional practice.

전문직업성: 역사적 계약 ( CMAJ. 2012)
Professionalism: the historical contract
Roger Collier

죽음과 세금만이 인생의 유일한 보장일 수 있지만, 고통 또한 안전한 보장입니다. 병에 걸리거나 부상을 당하거나 어떤 종류의 고통을 견뎌보지 않은 사람이 있을까요? 따라서 다른 사람의 고통을 덜어주는 사람들이 역사적으로 지역사회에서 높은 지위를 누려온 것은 놀라운 일이 아닙니다.
Death and taxes may be life’s only guarantees, but suffering is also a safe bet. Who hasn’t fallen ill or ached from injury or endured pain of some sort? It should come as no surprise, then, that people who relieve others’ misery have held high standing in their communities throughout history.

부러진 뼈를 세우고, 찢어진 상처를 꿰매고, 약을 투여하는 치료사의 역할은 지구상의 모든 사회에서 소중하게 여겨집니다. 일반적으로 이 역할을 맡은 사람들은 신뢰와 존경, 자율성, 사회적 지위, 금전적 보상을 받습니다. 하지만 이러한 좋은 점에는 대가가 따릅니다. 
The role of the healer — tasked with setting broken bones, stitching open wounds and administering medicine — is valued by every society on earth. In general, those who take on this role receive trust, respect, autonomy, social status and financial reward. But these good things come at a cost.

사회는 항상 시민의 건강을 책임지는 사람들에게 많은 것을 기대해 왔습니다. 치료자는 이타적이고, 도덕적이며, 객관적이고, 유능하고, 책임감 있고, 접근하기 쉬워야 합니다. 환자가 의사에게 기대하는 것과 그 반대의 경우도 마찬가지인 이러한 사회 계약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변화하지만 항상 의료계의 핵심이었습니다.
Society has always expected much of those put in charge of citizens’ health. Healers are to be altruistic, moral, objective, competent, accountable and accessible. This social contract — what patients expect from doctors and vice versa — changes over time but has always been central to the medical profession.

퀘벡주 몬트리올에 위치한 맥길대학교 의학교육센터의 외과 교수인 리차드 크루스 박사는 "전문직업성의 본질은 사회와 의학 간의 거래"라고 말합니다. 
“The essence of professionalism is a bargain between society and medicine,” says Dr. Richard Cruess, a professor of surgery at McGill University’s Centre for Medical Education in Montréal, Quebec.

서양에서 치료사의 뿌리는 그리스 그리스와 히포크라테스 선서로 거슬러 올라갑니다. 그 후 수 세기 동안 의료라는 직업은 존재하지 않았고, 개인이 독립적으로 병자를 돌보는 역할만 수행했습니다. "치료사의 역할은 상당히 일정하게 유지되어 왔지만, 전문직업성의 개념은 사회적 및 직업적 요구에 따라 변화해 왔습니다."라고 Cruess와 동료들은 제안했습니다(Lancet 2000;356:156-9).  
In the Western world, the roots of the the healer date to Hellenic Greece and the Hippocratic Oath. For centuries after, there was no medical profession to speak of, but rather individuals who independently tended to the sick. “The role of the healer has remained fairly constant, but the concept of professionalism has changed in response to societal and professional needs,” Cruess and colleagues have suggested (Lancet 2000;356:156-9).

의학이 더욱 복잡해지고 사회의 요구가 더욱 강해짐에 따라 구조와 조직에 대한 필요성이 커졌습니다. 이는 전문직이라는 개념에 따라 의료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달성되었습니다. 복잡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전문직을 설립하는 아이디어는 중세 유럽으로 거슬러 올라갑니다. 19세기 중반에 이르러 이 개념은 중세의 길드 개념을 훨씬 뛰어넘는 개념으로 발전했습니다. 크루스와 동료들은 "현대적 전문직은 19세기 중반에 면허를 규율하는 법률이 진료에 대한 독점권을 부여하면서 전문직이 이타적이고 도덕적이며 사회의 문제를 해결할 것이라는 명확한 이해를 바탕으로 설립되었습니다."라고 지적했습니다(J Bone Joint Surg 2000;82:1189-94). 
As medicine became more complex and demands from society more intense, there grew a need for structure and organization. This was accomplished by delivering health services according to the concept of a profession. The idea of establishing professions to deliver complex services dates to medieval Europe. By the mid-nineteenth century, the concept had morphed well beyond the medieval notion of a guild. “The modern professions were established in the mid-nineteenth century, when laws governing licensure granted a monopoly over practice, with a clear understanding that professions would be altruistic and moral and would address society’s concerns,” Cruess and colleagues have noted (J Bone Joint Surg 2000;82:1189-94).

의사가 이타주의에 의해 동기를 부여받은 선한 사마리아인이라는 개념에 대해 회의적인 시각을 가진 사람들도 있습니다.
The notion that doctors are primarily good Samaritans motivated by altruism is viewed by some with increasing skepticism.

© 2012 Thinkstock 이미지 제공 Image courtesy of © 2012 Thinkstock

의사라는 전문직에 대해 널리 받아들여지는 몇 가지 신조가 있습니다. 그 중 하나는 전문 지식을 습득하기 위해 오랜 기간 집중적으로 공부해야 한다는 것입니다. 따라서 전문직은 그 지식을 사용하고 가르치는 방법에 대한 독점권을 부여받습니다. 이러한 지식은 일반인이 접근하기 어려운 경우가 많기 때문에 전문직은 표준을 정하고, 비전문적인 행동을 스스로 규제하고 징계할 수 있는 자율성도 부여받습니다. 이러한 특권의 조건은 전문직이 이타적인 방식으로 대중에게 봉사해야 한다는 것입니다.
There are several widely accepted tenets of a profession. One is that members require specialized knowledge that takes long periods of intense study to acquire. As such, a profession is granted monopoly over how that knowledge is used and taught. Because the knowledge is largely inaccessible to laymen, a profession is also granted autonomy to set standards, self-regulate and discipline unprofessional behaviour. The condition for these privileges: professions must serve the public in an altruistic manner.

사회학자들은 한 세기가 넘도록 다양한 전문직을 연구해 왔습니다. 특히 의료 직업에 대한 관심은 1930년대에 증가했습니다. 모든 인간과 마찬가지로 의사도 이기심에서 자유롭지 않다는 것이 인식되었지만, 학자들은 의사라는 직업이 높은 평가를 받고 있다는 사실을 발견했습니다. 크루스와 그의 동료들은 "초기 문헌은 대체로 호의적이었습니다."라고 썼습니다. "이기심과 이타주의 사이의 긴장이 확인되기는 했지만 전문가의 미덕, 도덕성, 봉사 헌신에 대한 믿음이 있었습니다." 
Sociologists have been studying various professions for more than a century. Interest in the medical profession, specifically, increased in the 1930s. Though it was recognized that, like all humans, doctors aren’t above selfishness, academics found that the profession was held in high regard. “The early literature was largely favourable,” wrote Cruess and his colleagues. “There was faith in the virtue, morality, and service commitment of professionals, although the tension between self-interest and altruism was identified.”

그러나 1960년대에 들어서면서 의사에 대한 태도가 변하기 시작했습니다. 의학은 점점 더 복잡해지고 있었습니다. 새로운 전문 분야와 기술, 재정 모델이 등장했습니다. 대중은 이 분야를 너무 혼란스럽게 여겼습니다. 인류학자이자 사회학자인 머레이 왁스는 의료 비용 상승, 환자의 정서적 삶에 대한 의사들의 관심 감소, 의사들이 환자보다 실험실에서 시간을 보내는 데 몰두하는 것에 대한 긴장감도 생겨났다고 말했습니다(J Health Hum Behav 1962;3:152-6). 
By the 1960s, however, attitudes about doctors had begun to sour. Medicine was becoming increasingly complex. There were new specialties and technologies and financial models. The public found the field too confusing. Tension had also arisen over the rising cost of health care, the decrease in interest among doctors about their patients’ emotional lives and the preoccupation of physicians to spend time in laboratories rather than with patients, anthropologist and sociologist Murray Wax suggested (J Health Hum Behav 1962;3:152-6).

10년 만에 사회는 해체기에 접어들었습니다. 사람들은 더 냉소적이었고 권위와 전문직업성에 의문을 제기했습니다. 모든 직업에 대한 존경심이 급격히 떨어졌습니다. 의사가 이타적이라는 개념은 회의적인 시각으로 바라보았고, 의사의 전문직업성은 더 이상 당연시되지 않았습니다. 
Within a decade, society entered a period of deconstruction. People were more cynical and questioned authority and expertise. Respect for all professions took a dive. The notion that doctors were altruistic was viewed with increased skepticism, and their professionalism was no longer assumed.

하지만 불만이 커졌음에도 불구하고 의학계의 일반적인 태도는 전문직업성은 의학교육의 부산물에 불과하며 저절로 따라온다는 것이었습니다. "학위(M.D.)가 모든 것을 정의하고 확립했습니다. 결국 '양심적인 태도'로 임상을 수행한다는 것은 전문적인 방식으로 의술을 행하고 있다는 것을 입증하는 것이었습니다. ... 의사들은 전문직업성을 '고마운' 대중에게 빚진 것으로 여기기 시작했습니다."라고 미네소타주 로체스터에 있는 메이요 클리닉의 의학교육 교수이자 전문직업성 및 윤리 프로그램 부책임자인 프레데릭 해퍼티와 동료들은 "두 가지 문화"에서 썼습니다: 두 개의 배: 현대 의학에서 전문주의 운동의 부상과 의료 사회학이 전문직업성 논쟁에서 사라지다"라는 제목의 건강, 질병 및 치유 사회학 핸드북 11장에 실린 글에서 이렇게 말합니다.
Still, despite growing discontent, the general attitude within medicine was that professionalism came automatically — a mere byproduct of medical education. “The degree (M.D.) defined and established everything. In turn, carrying out one’s clinical work in a ‘conscientious manner’ established that one was practicing medicine in a professional manner. … physicians began to treat professionalism as something they were owed by a ‘grateful’ public,” Frederic Hafferty, professor of medical education and associate director of the program in professionalism and ethics at the Mayo Clinic in Rochester, Minnesota, and colleagues wrote in “Two Cultures: Two Ships: The Rise of a Professionalism Movement Within Modern Medicine and Medical Sociology’s Disappearance from the Professionalism Debate,” chapter 11 of the Handbook of the Sociology of Health, Illness, and Healing (www.springerlink.com/content/q831w4579306163j).

그러나 이러한 태도는 1980년대 초에 바뀌었고, 이는 거의 20년 동안 지속된 강세장의 시작을 알렸습니다. 갑자기 제약 회사, 의료 기기 제조업체 및 기타 의료 분야에 수십억 달러가 쏟아지면서 의료 산업이 대기업이자 경제의 주요한 부분으로 변모했습니다. 
But that attitude changed in the early 1980s, which marked the beginning of a bull market that stretched for nearly two decades. Suddenly, billions of dollars were being poured into pharmaceutical companies, medical device manufacturers and other areas of health care, transforming it into big business and a major part of the economy.

"제가 처음 시작했을 때는 영리 병원이 없었습니다. 민간 영리 의료 보험도 없었고요. 아무도 의료를 산업이라고 부르지 않았습니다."라고 매사추세츠주 보스턴에 있는 하버드 의과대학의 의학 및 사회 의학 명예 교수이자 1946년 의과대학을 졸업하고 뉴잉글랜드 의학 저널의 편집장을 역임한 아놀드 릴만(Arnold Relman) 박사는 말합니다.
“When I started out, there were no for-profit hospitals. There was no private, for-profit health insurance. Nobody referred to medicine as an industry,” says Dr. Arnold Relman, professor emeritus of medicine and social medicine at Harvard Medical School in Boston, Massachusetts, and former editor in chief of the New England Journal of Medicine, who graduated from medical school in 1946.

미국에서 의학은 기업의 시대로 접어들었습니다. 의사들은 더 많은 돈을 벌기 시작했습니다. 일부 의사들은 기업가가 되어 수익이 전문직업성보다 우선한다는 우려를 제기했습니다. 다른 사람들은 전문직업성을 위협하는 가장 큰 요인은 매니지드 케어 운영자가 의사들의 자율성을 빼앗는 것이라고 우려했습니다. 온타리오주 서드버리에 있는 로렌시안 대학교의 철학 교수인 마이클 여는 "매니지드 케어는 의사들에게 매니지드 케어 운영자가 의사들을 세세하게 관리한다는 점에서 문제를 제기했습니다."라고 말합니다. "환자와의 관계는 의사의 어깨 너머에서 지켜보는 제3자로 가득 차게 되었습니다."
In the United States, medicine entered a corporate era. Doctors were making more money. Some became entrepreneurs, raising concerns that profits were trumping professionalism. Others worried that professionalism’s greatest threat was managed-care operators robbing their autonomy. “Managed care presented issues for doctors in so far as they found that managed-care operations were micromanaging them,” says Michael Yeo, a philosophy professor at Laurentian University in Sudbury, Ontario. “Their relationships with patients became filled with this third party looking over the doctors’ shoulders.”

관리형 의료 기관의 영향력에 대항하기 위해 새로운 전문직업성 운동이 일어났습니다. 의사들은 자신들이 단순한 피고용자가 아니라 전문직라는 점을 강조함으로써 자신이 할 수 있는 일과 강요받을 수 없는 일에 대한 규칙을 만들 수 있었습니다. "직업 윤리에 위배된다고 말할 수 있다면 그것은 도덕에 위배된다고 말하는 것보다 더 강력한 사례입니다."라고 여 대표는 말합니다. "직원이 되는 것과 전문직의 일원이 되는 것에는 차이가 있습니다. 융통성이 떨어지죠." 
A new professionalism movement arose to counter the influence of managed-care organizations. By stressing they were professionals, not mere employees, physicians could create rules about what they could and could not be forced to do. “If you can say it’s against my professional ethics, that is a stronger case than saying it’s against my morals,” says Yeo. “There is a difference between being an employee and being a member of a profession. You are less malleable.”

20년이 지난 지금도 여전히 건재한 전문직에 대한 열정은 의학계에 많은 변화를 가져왔습니다.

  • 이제 의과대학은 학생들에게 전문직업성을 가르칩니다.
  • 학계 의사들은 이 주제에 관한 논문을 연이어 발표하고 있습니다.
  • 의료 기관들은 수 세기 동안 인정은 했지만 문서화되지 않았던 의학과 사회 간의 사회 계약을 말로 공식화하려고 시도했습니다.

이러한 노력의 대부분은 기업과 정부가 의학을 장악하기 전, 많은 의사들이 의학의 황금기라고 여겼던 시대로 돌아가고자 하는 열망에서 비롯되었습니다.
This rekindled passion for professionalism, now two decades old and still going strong, has led to many changes in medicine.

  • Medical schools now teach professionalism to students.
  • Academic physicians write paper after paper on the topic.
  • Health care organizations have attempted to formalize in words the social contract between medicine and society that for centuries had been acknowledged but unwritten.

Much of this effort was fueled by a longing to return to what many doctors viewed as the golden age of medicine, before corporations and governments took over.

해퍼티는 "의학이 문제를 정의하는 방식이 향수를 불러일으켰습니다."라고 말합니다. "문제를 어떻게 해결할까요? 전통적인 가치에 다시 헌신하는 것입니다. 의학계는 이를 제도화하기 위해 다양한 방법을 고안해 냈습니다. 강령과 헌장, 역량과 커리큘럼, 이 모든 'C'자 단어들을 만들었습니다."
“The nostalgia part was fuelled by how medicine chose to define the problem,” says Hafferty. “How do we solve the problem? By recommitting ourselves to those traditional values. Medicine came up with a variety of ways of institutionalizing this. They created codes and charters and competencies and curriculum — all these ‘c’ words.”

의료 전문직업성에 대한 논의는 앞으로 어디로 나아갈까요? 최근 소셜 미디어에서 의사의 직업적 행동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습니다. 앞으로도 이 주제는 여전히 관심의 대상이 될까요? 물론 아무도 알 수 없습니다. 의사들이 청진기를 수정 구슬과 바꾸기 시작하기 전까지는 전문직업성의 미래 트렌드에 대한 합의가 이루어지지 않을 것입니다.
Where will discussions of medical professionalism go from here? Of late, there has been much interest in the professional behaviour of physicians on social media. Will that still be a topic of interest in the future? No one knows that, of course. Until doctors start trading in their stethoscopes for crystal balls, there will be no consensus on future trends in professionalism.

"5년 후에는 어떻게 될까요?"라고 해퍼티는 묻습니다. "중요한 것은 그것이 근무 시간이든 Facebook이든 다른 것이든 무엇이든 중요한 질문에 참여할 수 있는 기회가 될 것이라는 점입니다: 좋은 의사가 된다는 것은 무엇을 의미할까요?"
“What’s it going to be in five years?” says Hafferty. “The point is, whatever it is — whether it’s duty hours or Facebook or something else — it’s going to be an opportunity to engage in the critical question: What does it mean to be a good doctor?”

 


CMAJ. 2012 Aug 7;184(11):1233-4. doi: 10.1503/cmaj.109-4230. Epub 2012 Jun 18.

Professionalism: the historical contract

PMID: 22711736

PMCID: PMC3414594

DOI: 10.1503/cmaj.109-4230

전문직업성의 짧은 역사와 허약한 미래: 의료의 사회계약의 침식( Perspect Biol Med. 2008)
The Short History and Tenuous Future of Medical Professionalism: the erosion of medicine’s social contract

Matthew K. Wynia

전문직으로서 의학의 정확한 탄생일은 모호하며 " 전문직 "에 대한 정의에 따라 달라집니다. 하지만, 의료 전문직에 대한 정의, 즉 통일된 교육과 진료 표준을 공유하고 이를 타인을 위해 사용하겠다고 공개적으로 '공언'하는 집단이라는 정의를 받아들인다면 대략적으로 의료 전문직의 탄생 연대를 추정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그것은 많은 사람들이 상상하는 것보다 훨씬 더 젊고, 어쩌면 더 취약할 수도 있습니다.
The exact birth date of medicine as a profession is murky and depends on one’s definition of “profession.” But if one accepts a bare-bones definition —a group that publicly “professes” to share uniform training and standards of practice, which they promise to use in service to others—it is possible, roughly, to date the birth of medical professionalism. And it is much younger, and perhaps more fragile, than many might imagine it to be.

어떤 이들은 의료 전문직의 기원을 히포크라테스 시대로 거슬러 올라가기도 합니다. 마가렛 미드는 히포크라테스가 처음으로 치료사와 마법사의 역할을 분리했다고 지적했습니다(Bulger and Barbato 2000). 그들은 행동 기준을 공언하는 선서를 한 것으로 유명하며, 경험적 관찰을 의료 행위의 기초로 장려했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저명한 역사학자 루드비히 에델슈타인(1943)이 주장했듯이, 히포크라테스는 모든 그리스 의사를 위한 통일된 진료 및 행동 표준을 만드는 데 성공하지 못한 소수 종파였습니다.

  • 일부 히포크라테스 강령에 위배되는 그리스 의사들은 낙태를 시행하고 자살을 도왔습니다(Baker 1993).
  • 부자와 권력자들은 그리스 의사를 의료 청부업자로 고용하기도 했습니다.
  • 로마 역사가 타키투스에 따르면 황제의 아내 아그리피나는 그리스 궁정 의사 가이우스 스테르티니우스 제노폰(기원전 10~54년경)을 고용하여 남편인 클라우디우스 황제를 독살했습니다(연대기, 제14권 1-16장).

Some would date medical professionalism to the Hippocratic era. Margaret Mead has noted that Hippocratics first separated the roles of healer and sorcerer (Bulger and Barbato 2000). They famously swore an oath professing standards of conduct, and they promoted empirical observation as the basis of medical practice. Nonetheless, as the eminent historian Ludwig Edelstein (1943) has argued, the Hippocratics were a minority sect, who did not succeed in creating uniform standards of practice and behavior for all Greek physicians.

  • Contravening some Hippocratic dicta, Greek physicians performed abortions and assisted in suicides (Baker 1993).
  • The rich and the powerful could even hire Greek physicians as medical hit men.
  • According to the Roman historian Tacitus, the emperor’s wife, Agrippina, hired a Greek court physician, Gaius Stertinius Xenophon (ca. 10 BCE–54 CE), to poison her husband, the Emperor Claudius (The Annals, Book XIV, 1–16).

이 기록에 대한 대중적인 수용은 환자를 해치는 것을 금지하는 히포크라테스의 금지 규정이 그리스 의사들에게 일률적으로 적용되지 않았음을 시사합니다. 그 대신 당시 대부분의 의사는 화학 물질과 식물을 사용하는 전문가였을 뿐, 통일된 행동 강령이나 진료 표준에 얽매이지 않았습니다. 의학 역사가 앨버트 존슨(2000)이 말했듯이 히포크라테스 시대에는 "의료 전문직과 같은 것은 없었던 것으로 보인다"(9쪽)고 합니다.
Popular acceptance of this account suggests that the Hippocratic prohibition against harming patients was not uniformly practiced by Greek physicians. Instead, most physicians of the time were simply specialists in the uses of chemicals and botanicals, unbound by a uniform code of conduct or standards of practice. As the medical historian Albert Jonsen (2000) put it, in Hippocratic times “there does not appear to have been anything like a medical profession” (p. 9).

의과대학의 표준 커리큘럼, 새로운 공중 보건 노력, 마을에서 '전염병 의사'를 고용하여 의사가 수행해야 할 사회적 의무를 명확히 하기 시작한 중세 또는 르네상스 시대까지 의료 전문직의 시기를 거슬러 올라가는 사람들도 있습니다. 예를 들어, 1666년 런던의 약사였던 윌리엄 보허스트는 전염병이 유행할 때 의사가 환자를 치료할 의무가 있다고 주장했습니다. 그러나 이러한 의무와 사회적 역할은 명확하게 표현되거나 널리 받아들여지지 않았고, 실제로 이 시대에 전염병에 직면한 의사들은 자신과 부유한 환자 모두에게 '빨리 가라, 멀리 가라, 너무 빨리 돌아오지 마라'라는 표준 조언을 내렸습니다. 전염병이 창궐하는 동안 마을에서 특정 의사를 고용하여 환자를 돌봐야 했다는 사실은 지속적인 진료에 대한 헌신이 의사의 역할의 일부로 인정되지 않았음을 시사합니다.
Others might date medical professionalism to the Middle Ages or to the Renaissance, when standard curricula in medical schools, novel public-health efforts, and the hiring of “plague doctors” by towns began to clarify some of the social obligations that medical doctors should take on. For instance, in 1666 William Boghurst, a London apothecary, asserted that physicians were obliged to treat patients during epidemics. Yet these obligations and social roles were neither clearly articulated nor widely accepted—indeed, the standard advice of physicians facing the plague in this era, both for themselves and their wealthy patients, was cito, longe, tarde: go quickly, go far, and don’t come back too soon. The fact that towns had to hire specific doctors to stay and care for patients during epidemics suggests that a commitment to continue providing care was not acknowledged as part of the physician’s role.

의료 윤리와 현대적 의미의 전문직이라는 용어는 19세기 초 영국의 의사인 맨체스터의 토마스 퍼시벌 박사가 그의 저서 『의료 윤리』(1803)에서 처음 사용했습니다. 퍼시벌(1803)은 모든 의사의 구체적인 사회적 역할을 명확하게 제시했으며, 이러한 역할이 널리 채택되기를 바랐습니다. 따라서 의료 전문직의 탄생 시점을 1803년으로 보고 싶은 유혹이 있지만, 모든 의사를 위한 윤리 기준을 문서화하여 영국 의료계가 동의하도록 하려는 퍼시벌의 노력은 안타깝게도 크게 거부당했습니다. 당시 영국에서는 신사들은 이미 어떻게 행동해야 하는지 잘 알고 있기 때문에 문서화된 윤리 기준이 필요하지 않다는 분위기가 팽배했습니다. 실제로 Baker 외(1999)가 말했듯이 윤리 강령은 "품격이 부족한 사람이 품격이 있는 척하고 싶어 하는 사람에게만 유용"하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은" 것으로 간주되었습니다. 
The term medical ethics and the modern use of profession first appeared in the early 19th century, when an English physician, Dr. Thomas Percival of Manchester, introduced them in his book, Medical Ethics (1803). Percival (1803) clearly articulated specific social roles for all physicians and hoped to see these widely adopted. While it is tempting, therefore, to date the birth of medical professionalism to 1803, Percival’s efforts to get the British medical profession to agree to a written set of ethical standards for all physicians were, unfortunately, [End Page 566] sharply rebuffed. The sentiment in England at the time was that proper gentlemen didn’t need written ethical standards, because they already knew how to behave. In fact, as Baker et al. (1999) put it, codes of ethics were considered “undesirable” because they were “useful only to persons who, lacking decent character, wish to pretend that they had one.”

결국 19세기 중반, 미국 의료계가 최초로 국가 차원의 윤리 및 진료 표준을 만들었습니다. 결국 비슷한 기준이 거의 보편적으로 받아들여지면서 현대 의료 직업의 개념이 만들어졌습니다. 미국 의사들은 여러 가지 이유로 본격적인 전문직을 창출할 준비가 되어 있었습니다. 아마도 가장 중요한 이유는 프랑스, 영국, 스코틀랜드 계몽주의 사상가들에 의해 고안되었지만 비합법적 계급주의에 반대하는 반란군이 만든 신생 미국 공화국에서 가장 완벽하게 구현된 사회 계약이라는 개념에 미국인들이 매력을 느꼈기 때문일 것입니다. 미국에서는 사람들이 평등하게 관계를 맺어야 했습니다. 사회적 관계는 노블레스 오블리주나 신사적 예의와 같은 모호한 개념이 아니라 의지가 있는 당사자 간의 어느 정도 명시적인 계약에 기반해야 했습니다. 이러한 사고 방식은 사회적 관계의 조건을 구체화하려는 욕구로 이어졌습니다. 의학에서 이러한 구체화는 서면 윤리 강령의 형태를 띠게 됩니다.
In the end, it was the American medical profession that, in the mid-19th century, created the first national set of ethical and practice standards. Eventually, similar standards were almost universally accepted, thereby creating the modern concept of the medical profession. American physicians were primed for the task of creating a full-fledged profession for several reasons. Perhaps most important was the Americans’ attraction to the notion of a social contract—a notion conceived by French, English, and Scottish Enlightenment thinkers, but implemented most fully in the young American republic, created by rebels against inegalitarian classism. In the United States, people were to relate as equals. Social relations were to be built upon more-or-less explicit contracts between willing parties, not such nebulous notions as noblesse oblige or gentlemanly honor. This way of thinking led to the desire to specify the terms of social relations. In medicine, this specification would take the form of a written code of ethics.

1847년 미국 의학은 혼란에 빠져 있었습니다. 의학 교육, 의료 행위, 의료 윤리에 대한 통일된 기준이 없었습니다. 

  • 대부분의 의료 서비스는 효과가 없었고 종종 생명을 위협할 정도로 위험했습니다. 
  • 매수자 부담 원칙( Caveat emptor )이 의료계를 지배했습니다. 
  • 자유 시장으로 인해 교육을 받지 못한 다양한 비전문 의료인이 난립했습니다. 
  • 과학적 의학은 나중에 기적적인 치료법을 만들어내기는커녕 제대로 태어나기도 전에 사라질 위험에 처해 있었습니다. 

이러한 환경에서 '정통orthodox' 의사들이 모여 초기 과학 의학이라는 '전문직'을 정의하고 방어할 수 있는 일련의 교육 및 윤리적 기준을 마련했습니다. 이들이 만든 문서인 1847년 미국의사협회(AMA)의 의료 윤리 강령은 모든 전문직에 대한 최초의 국가 윤리 강령이었습니다.
In 1847, American medicine was in disarray. There were no uniform standards for medical education, medical practice, or medical ethics.

  • Most medical care was ineffective and often life-threateningly dangerous.
  • Caveat emptor ruled the field.
  • The free market was leading to the rampant production of a wide variety of uneducated and unorthodox practitioners.
  • The survival of scientific medicine was under threat—at risk of dying before it had been fully born, let alone produced any of the miraculous cures it would later deliver.

In this environment, a group of “orthodox” practitioners met to draw up a set of educational and ethical standards, by which they might define—and defend—the nascent “profession” of scientific medicine. The document they produced, the 1847 Code of Medical Ethics of the American Medical Association (AMA), was the first national code of ethics for any profession.

당시 미국 독립선언서만큼이나 혁명적이라는 찬사를 받았던 이 윤리 강령은 퍼시벌, 히포크라테스 등의 연구에서 파생된 것이 분명합니다(Baker 외. 1999). 그러나 그것은 또한 전형적으로 미국적이기도 했습니다. 의사와 환자, 의사와 다른 의사, 의사와 지역사회 간의 상호 의무를 명시한 세 부분으로 구성된 사회 계약이 제시되었습니다. 대부분의 경우 이러한 의무는 중요하고 구체적이었습니다. 강령의 세 장은 이러한 상호 의무를 따라 작성되었습니다. 예를 들어,

  • 지역 사회와 의사의 의무와 관련하여 의사는 "지역 사회의 이익을 위해 자신의 건강과 생명을 노출해야 하며, 그 대가로 모든 구성원에 대해 집단적으로나 개별적으로 자신의 조치를 수행하는 데 도움을 요청할 정당한 청구권이 있다"고 규정하고 있습니다.
  • 개별 환자와의 관계에서 의사는 "병자의 부름에 항상 순종할 준비가 되어 있어야 하며", "비밀과 섬세함"을 "엄격하게 준수"해야 하는 등의 의무를 지녀야 했습니다.
  • 그러나 그 대가로 환자는 적절한 훈련을 받은 의사만을 선택해야 하고 "자신의 질병의 원인을 의사에게 충실하고 가감 없이 전달"해야 했으며(그러나 환자는 "지루한 세부 사항"으로 의사를 "지치게 해서는 안 된다!"), 물론 "의사의 처방에 대한 환자의 순종은 신속하고 암묵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Baker 외, 1999, 부록 B 및 C)고 했습니다.

This code of ethics, which was hailed at the time for being as revolutionary as the Declaration of Independence (Baker et al. 1999), was clearly derived from the work of Percival, the Hippocratics, and others. Yet it was also quintessentially American. It laid out a three-part social contract, with reciprocal obligations spelled out between physicians and patients, physicians and other physicians, and physicians and their communities. In many cases these obligations were significant and specific. The three chapters of the code were drawn along the lines of these reciprocal obligations.

  • With regard to community-physician obligations, for example, a physician is “required to expose his health and life for the benefit of the community, [and] he has a just claim, in return, on all its members, collectively and individually, for aid to carry out his measures.”
  • In relations with individual patients, physicians were to “be ever ready to obey the calls of the sick,” “secrecy and delicacy” should be “strictly observed,” and so on.
  • But in return, patients were to select only properly trained physicians and to “faithfully and unreservedly communicate to their physician the supposed cause of their disease” (yet a patient should not “weary” the physician with “tedious detail”!), and, of course, “the obedience of a patient to the prescriptions of his physician should be prompt and implicit” (Baker et al. 1999, appendix B and C).

이러한 상호 의무는 의사의 개인적 미덕에 의존하지 않았지만, 고결한 개인이 직업에 참여하기를 확실히 희망했습니다. 대신 의료 전문가의 의무를 명시적으로 서면으로 규정하여 환자, 지역사회, 의사 모두가 이러한 기준을 인지할 수 있도록 했습니다. 의료계는 대중의 신뢰와 공중 보건 개선의 기초가 될 의사의 자질에 대해 일관된 주장을 하는 것을 목표로 삼았습니다(우연은 아니지만 자율 규제와 독점권 확립의 기초가 되었습니다). 
These reciprocal obligations did not depend on the personal virtue of the practitioner, though it was certainly hoped that virtuous individuals would join the profession. Instead, the obligations of medical professionals were laid out, explicitly and in writing, so that patients, the community, and physicians all would be aware of these standards. The profession aimed to make uniform claims about the quality of its practitioners, which would be the basis of public trust and improved public health (and—not coincidentally—the foundation for the establishment of self-regulation and monopoly power).

이러한 상호 의무가 어느 정도 실천되었는지, 특히 의사들이 강령에 명시된 이상에 어느 정도 부응했는지에 대해서는 분명 논쟁의 여지가 있습니다. 또한 환자가 이 새로운 계약의 기꺼이 당사자로 참여한 정도에 대해서도 의문을 제기할 수 있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모든 의사에게는 구체적이고 고유한 의무가 있으며 사회에서 특별하고 특권적인 역할이 있다는 일반적인 개념은 이 새로운 전문가 집단이 (1) 이러한 문제를 문서화하고 (2) 새로운 강령 준수를 장려하기 위해 자율 규제 메커니즘을 개발하려는 의지를 보인 후에야 널리 받아들여졌습니다(Wynia 2006). 실제로 의사의 사회적 지위는 이타주의, 시민 의식, 과학적 이상에 대한 헌신, 자율 규제를 통한 역량 및 품질 보증 약속을 요구하는 이러한 명시적인 사회 계약에 따라 결국 성층권에 가까운 수준으로 높아졌습니다.  
One can certainly argue about the extent to which these reciprocal sets of obligations were lived out, and the degree to which physicians, in particular, lived up to the ideals they espoused in the code. One can also raise questions about the extent to which patients were a willing party to this new contract. Nonetheless, the general notion that all physicians have specific and unique obligations, and a special, privileged role in society, became widely accepted only after this new group of professionals was willing to (1) put these matters in writing and (2) develop mechanisms for self-regulation to encourage adherence to its new code (Wynia 2006). Indeed, the social status of physicians was eventually raised to near-stratospheric heights, based in part on this explicit social contract that demanded altruism, civic-mindedness, devotion to scientific ideals, and a promise of competence and quality assurance through self-regulation.

전문직 협회의 역할
The Role of Professional Associations

전문직은 집단 기반의 사회적 실체이기 때문에 공동체의 일원이 되는 것은 전문직의 필수적인 특징입니다. 특히, 전문직이 서면으로 작성된 사회 계약, 즉 윤리 강령을 기반으로 하는 경우 윤리 강령을 작성하는 단체의 역할이 매우 중요해집니다. 전문직 종사자가 사회 계약에 영향을 미치고 싶다면 전문직 협회를 통해 할 수 있습니다. 의료계가 사회적으로 인정받고 성공을 거두면서, 즉 사회 계약이 진행되면서 지역, 주, 전국 전문직 협회에 참여하는 것은 다른 여러 가지 이유로 중요해졌습니다.
Since professions are group-based social entities, being part of a collegial community is an essential feature of professionalism. In particular, when a profession is based on a written social contract—a code of ethics—the organization that writes this code becomes very important. If a practitioner wants to affect the social contract, the way to do so is through the professional association. And participation in local, state, and national professional associations became important for many other reasons as the medical profession became socially recognized and successful—that is, as the social contract played out.

초기 AMA의 일부 활동은 길드 형태의 활동으로, 은행 대출과 의료 과실 보험이 종종 AMA 회원 자격에 따라 조건부로 제공되었다는 사실과 같은 것이었습니다. "전염병이 만연할 때" 의사는 자신의 건강에 대한 위험에도 불구하고, 심지어 (1912년 이후에는) 보수와 "무관하게" 환자를 계속 돌봐야 한다는 AMA 강령에 명시된 의무와 같이 공익을 더 명확하게 증진하거나 명백히 이타적이었던 활동과 기준도 있었습니다(Huber와 Wynia 2004). 
Some activities of the early AMA were guild-type activities, such as the fact that bank loans and malpractice insurance were often contingent upon AMA membership. Other activities and standards more clearly promoted the public good, or were plainly altruistic—such as the obligation specified in the AMA Code that “when pestilence prevails,” physicians must continue to care for patients despite the risk to their own health and even (after 1912) “without regard” to remuneration (Huber and Wynia 2004). [End Page 568]

전문 협회의 회원이 되는 것은 진화하는 의학 과학에 대한 최신 정보를 얻는 방법이기도 했는데, 이는 미국에서 멀리 떨어진 개인 개업의에게 특별한 도전이었습니다. 예를 들어 수술 중 의뢰와 도움을 받는 데 필요한 동료 관계를 구축하는 방법이기도 했습니다. 유명한 의사 윌리엄 오슬러 경은 전문가가 성장할 수 있는 비옥한 토양으로서 전문 학회의 중요성을 다음과 같이 거듭 언급했습니다."어느 곳에서든 전문직 동료와 떨어져 지낼 여유가 없습니다. 그들의 협회에 가입하고, 그들의 모임에 어울리고, 여기 모이고 저기 흩어지되, 어디에서나 여러분이 가르침을 받는 만큼 기꺼이 가르치는 충실한 학생임을 보여주어야 합니다."(Bryan 1997, 51쪽). 
Being a member of one’s professional association was also how one kept upto-date on the evolving science of medicine, a special challenge to far-flung solo practitioners in the United States. It was how one forged collegial relations— needed for referrals and assistance during surgery, for example. The famous physician Sir William Osler repeatedly noted the importance of professional societies as the fertile ground in which professionals grew: “You cannot afford to stand aloof from your professional colleagues in any place. Join their associations, mingle in their meetings, gathering here, scattering there; but everywhere showing that you are faithful students, as willing to teach as be taught” (Bryan 1997, p. 51).

이 인용문에서 알 수 있듯이 전문가 협회는 초기 의학의 비금전적 보상 시스템을 개발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습니다. 초기 의료계 사회학자에 따르면, 의료계에 입문하는 사람들에게 의외로  금전적 보상은 드문 동기 부여였습니다. 예를 들어 Talcott Parsons는 의사가 된 사람들이 돈에 이끌리기보다는 동료들 앞에서 잘 보이고 싶은 욕구에 이끌려 의사가 되는 경향이 있다고 제안했습니다(Latham 2002). 이것이 사실이라면, 동료 그룹에게 자신의 연구를 발표하는 것은 과학뿐만 아니라 응집력 있는 동료 전문가 커뮤니티의 발전에도 중요했습니다.
As this quote suggests, professional associations played an important role in developing the non-monetary reward system of early medicine. According to early sociologists of the medical profession, monetary rewards were scant and a surprisingly rare motivator for those entering the medical profession. Talcott Parsons, for example, suggested that people who became doctors tended to be driven less by money than by a desire to look good in front of their peers (Latham 2002). Insofar as this was true, presenting work to one’s peer group was important not only to science, but to the development of a cohesive, collegial professional community.

전문가 협회에 참여하는 것은 윤리적 의무이기도 했습니다. 특히 의료계 지도자들에게는 전문직의 미래를 위한 이타적 의무의 핵심으로 여겨졌습니다. 오슬러에 따르면, "어떤 의사도 자신을 자신의 소유물로 여길 권리는 없지만, 각자가 전문직의 일부라는 점에서 모두 자신을 전문직에 속한 것으로 간주해야 한다"(Bryan 1997, 50쪽). 한 번은 오슬러가 한 의대생으로부터 지역 의사회 회의에 참석해야 하는지 여부를 묻는 질문을 받았는데, 그 학생은 회의에서 무엇을 얻을 수 있을지 확신할 수 없었기 때문에 오슬러는 "내가 거기에서 얻을 수 있는get out of 것을 위해 갈까요, 아니면 내가 거기에 넣을 수 있는put into 것을 위해 갈까요?"라고 대답했습니다. (브라이언 1997, 49쪽).
Participation in professional associations was also an ethical obligation. For medical leaders in particular, participation was seen as a core altruistic obligation to the future of the profession. Again, according to Osler: “no physician has a right to consider himself as belonging to himself; but all ought to regard themselves as belonging to the profession, inasmuch as each is a part of the profession” (Bryan 1997, p. 50). Once, when Osler was asked by a medical student whether he (the student) should attend a local medical society meeting, because he wasn’t sure what he would get out of it, Osler responded, “Do you think I go for what I can get out of it, or what I can put into it?” (Bryan 1997, p. 49).

과학의 발전, 겸손의 상실
Advances in Science, Loss of Humility

세기가 바뀌면서 과학적 의학은 그 가능성을 보이기 시작했습니다. 이전 세대의 의사들은 병자에게 의학적 혜택을 줄 수 있는 무언가가 있다고 믿었지만, 공중 위생과 예방 접종을 이해한 의사 세대는 실제로 생명을 구했고, 극적으로도 그렇게 했습니다.

  • 1900년부터 1920년 사이에 장티푸스, 디프테리아, 위염으로 인한 사망자가 절반 이상 줄었고 결핵으로 인한 사망자는 3분의 1로 감소했습니다.
  • 1940년대에는 페니실린과 스트렙토마이신이 도입되면서 인플루엔자 사망자가 급감하고 결핵 사망자가 급격히 감소하여 결핵이 퇴치될 것이라는 기대가 널리 퍼져나갔고, 1940년대에 이르러서는 결핵 사망자가 급격히 감소했습니다.
  • 드크루이프의 『미생물 사냥꾼』(1926)과 같은 책에서 전염병 퇴치를 위한 의사들의 자기 희생과 성공에 대해 언급하자 많은 미국인이 의사를 영웅으로 여기게 되었습니다.

By the turn of the century, scientific medicine was beginning to show its promise. While previous generations of doctors had believed, often falsely, that they had something of medical benefit to offer the ill, the generation of doctors that understood public hygiene and inoculation actually did save lives, and dramatically so.

  • Between 1900 and 1920, deaths from typhoid, diphtheria, and gastritis were cut by more than half, and tuberculosis deaths dropped by one-third.
  • By the 1940s, with the introduction of penicillin and streptomycin, influenza deaths plummeted, and tuberculosis deaths were falling so rapidly that the disease was widely expected to be eliminated.
  • When books like DeKruif ’s The Microbe Hunters (1926) noted both the self-sacrifice and success of physicians in combating infectious diseases, many Americans came to see physicians as heroes.

안타깝게도 영웅적 지위를 얻게 된 결과 중 하나는 의사들이 히포크라테스의 뿌리에 남아 있을지도 모르는 겸손의 잔재를 잃게 된 것입니다. 흥미롭게도 히포크라테스가 겸손을 강조한 것은 인간의 생명에 대한 신의 힘에 대한 경외심과 의사가 신의 계획에 반하는 개입을 하면 오만함의 죄를 짓는다는 믿음에 근거한 것이었습니다. 이후 세대의 의사들은 인체를 기계적이고 조작과 측정이 가능하며 과학적 조사와 학습의 대상으로 보았습니다. 의사들은 과학적 의문에 대한 믿음에서 겸손을 배웠어야 했고, 일부는 실제로 겸손을 배웠습니다. 과학적 지식은 항상 미약하며 더 개선될 수 있다는 점을 인정한 것이다.(Wynia and Kurlander 2007). 예를 들어,

  • 존 그레고리(1724-1773)는 이러한 과학적 겸손을 "자신감diffidence"이라고 부르며 "(신념에 열려 있고, 자신의 실수를 인정하고 수정할 준비가 되어 있는) 솔직함"이 의사의 도덕적 의무라고 주장하면서 진료의 오류를 의료 행위를 연구하고 개선하는 데 사용해야 한다고 촉구했습니다(Gregory 1772, 209-10페이지).
  • 컬럼비아 의과대학의 설립자인 사무엘 바드는 1769년 졸업하는 의대생들에게 다음과 같이 말했습니다: "너희가 실패할 정도로 불행할 때마다, 그것을 구제하려는 노력에서, 특정한 불행을 일반적으로 축복으로 바꾸는 것이 너희의 끊임없는 목표가 되도록 하라. 죽은 자의 시신을 주의 깊게 검사하고 질병의 원인을 탐구하며, 그로부터 너희 자신의 지식을 향상시키고 더 유용한 발견을 함으로써." (13-14페이지).

Sadly, one effect of gaining heroic status was the loss of any remnants of [End Page 569] humility that doctors might have retained from their Hippocratic roots. Interestingly, the Hippocratics’ emphasis on humility had been based on an awe of the gods’ powers over human life and a belief that physicians would be guilty of hubris if they intervened contrary to the gods’ plans. Later generations of physicians saw the human body as mechanistic, amenable to manipulation and measurement, and the subject of scientific scrutiny and learning. They should have (and some had) derived humility from their belief in scientific questioning—recognizing that scientific knowledge is always tenuous and subject to further refinement (Wynia and Kurlander 2007).

  • John Gregory (1724–1773), for instance, called such scientific humility “diffidence” and held that “candor, which makes him open to conviction, and ready to acknowledge and rectify his mistakes,” is a moral duty for physicians, urging that errors in care be used to study and improve medical practice (Gregory 1772, pp. 209–10).
  • Samuel Bard, founder of the Columbia College of Physicians and Surgeons, told graduating medical students in 1769:“Whenever you shall be so unhappy as to fail, in your Endeavors to relieve; let it be your constant Aim to convert, particular Misfortunes into generaly Blessings, by carefully inspecting the Bodies of the Dead, inquiring into the Causes of their Diseases, and thence improving your own Knowledge, and making further useful Discoveries” (pp. 13–14).

과학적 겸손은 과학적 탐구와 새로운 치료법 개발을 촉진하는 한에서 엄청난 성공을 거두었습니다. 그러나 예상대로 과학이 발전하고 의학이 더 큰 성공을 거두면서 의사들이 겸손함을 유지하기가 더 어려워졌습니다. 리처드 캐봇(1868~1939)이나 어니스트 코드먼(1869~1940) 같은 용감한 의료 질 개선의 선구자처럼 오류를 통해 교훈을 얻으려 했던 의사들은 종종 다른 의사들로부터 비방을 받기도 했습니다. 
Scientific humility, insofar as it drove scientific inquiry and the development of new treatments, was tremendously successful. But, perhaps predictably, as science made advances and medicine had greater success, it became harder for physicians to remain humble. Those physicians who sought out errors to learn from them, brave pioneers of quality improvement like Richard Cabot (1868–1939) and Ernest Codman (1869–1940), were often vilified by other practitioners.

이러한 비방 중 일부는 오류를 인정하거나 자신의 실수가 노출되는 것을 꺼리는 인간의 기본적인 본성을 반영한 것이었습니다. 그러나 그것은 또한 의학의 과학과 예술(교양) 사이의 지속적인 분열, 즉 연구자들은 과학에 더 관심이 많았던 반면, 임상의들은 예술에 더 헌신적이었던 직업 발전 초기의 모습을 반영한 것일 수도 있습니다. 과학에 관심을 두지 않고 의술을 행하는 것은 어리석은 일이고, 예술에 관심을 두지 않고 인간을 돌보는 것은 잔인한 일이기 때문에 많은 사람들은 이러한 구분이 인위적인 것이라고 생각하지만, 둘 다 훌륭한 의료 행위를 위해 필요합니다. 그러나 실제로 이러한 논쟁에서 예술이라는 용어는 개별 의사가 최신 과학에 대한 정보도 없고, 동료나 다른 사람의 의미 있는 감독도 받지 않은 채, 자신의 최선의 판단에 따라 진료할 수 있어야 한다는 개념을 나타내는 코드였습니다.
Some of this vilification reflected basic human nature—the reluctance to admit error or have one’s errors exposed. But it might also have reflected an ongoing divide early in the development of the profession, between the science and art of medicine: researchers were more interested in science, while clinicians were more devoted to art. To be sure, many believe that this divide was, and remains, largely artificial, since practicing medicine without attention to science would be foolish, and caring for human beings without attention to art would be cruel: both are necessary to good medical practice. In effect, however, in some of these debates the term art was code for the notion that individual practitioners should be allowed to practice according to their own best judgment, often uninformed by the latest science and without meaningful oversight from colleagues or anyone else.

전문가 자율성 정의
Defining Professional Autonomy

어떤 의미에서 과학 대 예술에 대한 초기의 싸움은 지금 우리가 "전문직업적 자율성"이라고 부르는 것의 정의에 관한 것이었습니다. 적어도 AMA가 창립된 이후 의사들 사이에서는 다음과 같은 질문에 대한 고민이 있었습니다:

  • 전문직 자율성이란 국가나 시장을 통해 표준을 제정하는 것이 아니라 전문직이 집단으로서 표준을 제정하고 모든 구성원이 이에 따르도록 하는 것을 의미할까요?
  • 아니면 자격을 갖춘 것으로 판명된 개별 전문가가 자신만의 업무 패턴을 정할 수 있도록 허용하는 것을 의미할까요? 

In a way, this early fight about science versus art was about the definition of something we would now call “professional autonomy.” At least since the founding [End Page 570] of the AMA, there had been an undercurrent of concern amongst practitioners over the following question:

  • would professional autonomy mean that the profession, as a group, was to establish standards (rather than having them established by the state or through the marketplace) and ensure that all members lived up to them?
  • Or would it mean that each individual professional, once found to be qualified, would be allowed to establish their own patterns of practice?

이 질문은 잠시 후에 다시 다루겠지만, 프로그레시브 시대(약 1890~1913년) 초기에는 전문가 집단이 자율 규제의 기준과 메커니즘을 확립하는 방향으로 논쟁이 해결되고 있는 것처럼 보였습니다(Burrow 1977). 예를 들어,

  • AMA는 창립 1년 만에 의학교육, 의과학, 실용의학, 수술, 산부인과, 의학 문헌 및 출판물에 대한 표준을 설정하는 위원회를 설립했습니다.
  • 곧이어 해부학, 생리학, 의학 재료, 화학, 법의학, 생체 통계, 위생 및 위생 조치에 관한 위원회가 뒤를 이었습니다(Haller 1981).

제안된 계약은 명확했습니다. 개별 개업의는 AMA가 제공하는 직업적 사회적 특권의 혜택을 받지만, 그 대가로 AMA 위원회가 정한 전문직의 지시를 따라야 한다는 것이었습니다. 

We’ll return to this question momentarily, but early on—certainly throughout the Progressive Era (ca. 1890–1913)—it appeared that the debate was being resolved in favor of professionals, as a group, establishing standards and mechanisms of self-regulation (Burrow 1977). For example,

  • within a year of its founding, the AMA established committees to set standards on medical education, medical sciences, practical medicine, surgery, obstetrics, and medical literature and publications.
  • Committees on anatomy, physiology, materia medica, chemistry, forensic medicine, vital statistics, hygiene, and sanitary measures soon followed (Haller 1981).

The proposed arrangement was clear: individual practitioners would benefit from professional social privileges garnered by the AMA, but in return they were expected to follow the dictates of the profession, as set by AMA committees.

과학이 발전함에 따라 임상의와 과학자 사이의 격차는 좁혀지는 듯 보였습니다. 청진기, 다양한 혈액 검사, 현미경과 같은 새로운 과학적 측정 도구가 의료 무기의 일부가 되었습니다. 과학적 진료보다는 예술적 진료에 대한 임상의들의 선호도는 점점 줄어들고 있는 것처럼 보였습니다. 1904년 AMA 회장인 존 H. 머서 박사는 "과학적 정밀성이 들어오면서 소위 예술이 사라지고 있습니다. 직관에 의한 진단, 부주의한 '경험칙'에 의한 진단은. . 사하라 사막의 모래가 움직이는 것만큼이나 신뢰할 수 없다"(King 1983, 2478쪽)고 말했습니다. 
As science advanced, the divide between clinicians and scientists seemed to narrow. New scientific measurement tools, such as the stethoscope, various blood tests, and microscopy, became part of the medical care armamentarium. The clinicians’ preference for artful rather than scientific practice looked to be on the wane. Dr. John H. Musser, President of the AMA in 1904, remarked, “With the incoming of scientific precision there is the outgoing of so-called art. Diagnosis by intuition, by careless ‘rule of thumb’. . . is as little trustworthy as the shifting sand of the Sahara” (King 1983, p. 2478).

과학적 성공과 권위의 다른 위험
Other Perils of Scientific Success and Authority

진료와 과학의 연결은 환자 치료와 공중 보건에 큰 발전을 가져왔습니다. 그러나 안타깝게도 과학과 연계된 성공의 단점도 상당했습니다. 의사들은 '예술'에 대한 겸손과 존중을 잃었을 뿐만 아니라 고객 서비스 지향성도 잃게 되었습니다. 의학은 점점 더 복잡해지고 미시적인 현상을 설명하기가 쉽지 않았습니다. 더 중요한 것은 인체에 대한 기계적인 이해는 환자가 예방 접종과 같이 이러한 혜택이 어떻게 발생하는지 이해하거나 믿지 않더라도 의학이 엄청난 혜택을 제공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했습니다. 그래서 의사들은 인구 수준에서 공중 보건 의무를 추진했고, 개인 수준에서는 환자에 대해 매우 가부장적인 태도를 취했습니다.
Linking practice to science led to great advances in patient care and public health. Sadly, however, the downsides of this success-linked-to-science were substantial: physicians not only came to lose humility and respect for “the art,” but their customer service orientation as well. Medicine became increasingly complex, and microscopic phenomena weren’t always easy to explain. Perhaps more important, a mechanistic understanding of the human body meant that medicine could provide tremendous benefits whether or not the patient understood or believed in how these benefits came about (such as with inoculations). So physicians pushed for public-health mandates at the population level and adopted a highly paternalistic attitude towards patients at the individual level.

그러나 슬프게도 의사의 사회적 권위의 원천인 과학적 역량에 대한 이러한 집중이 가져온 부정적인 결과는 교만, 가부장주의, 예술과 고객 서비스의 상실뿐이 아니었습니다. 다른 하나는 의사의 시민적 의무가 결국 당연한 것으로 여겨지거나 중요하지 않다고 여겨지거나 잘못 해석되어 많은 사람들이 거의 포기하게 되었다는 것입니다. 
But pride, paternalism, and the loss of art and customer service were, sadly, not the only negative consequence of this focus on scientific competence as the source of physicians’ social authority. Another was that physicians’ civic obligations eventually came to be taken for granted, seen as unimportant, or misconstrued; and many were nearly abandoned.

  • 첫째, 백신, 항생제, 심장 수술, 장기 이식 및 기타 기적이 일어나면서 과학적 역량을 넘어서는 전문적 의무가 더 이상 필요하지 않게 되었습니다. 생명을 구하는 것만으로도 높은 수준의 대중적 존경을 받기에 충분했기 때문입니다.
  • 둘째, 전염병이 유행하는 동안 환자를 계속 돌봐야 하는 직업적 의무와 같은 일부 시민의 의무는 과학적 의학의 성과로 인해 결국 '시대착오적'인 것으로 여겨졌습니다. 1970년 미국 외과의사 장관이 말했듯이, "전염병의 시대는 끝나가고 있다"(Huber and Wynia 2004)고 했습니다. 이 정도의 오만함을 가진 전문직이 윤리 규정의 필요성을 거의 느끼지 않는다고 상상하는 것은 어렵지 않습니다. 결국 질병을 없애는 것보다 더 윤리적인 일이 있을 수 있을까요? 

First, in the wake of vaccination, antibiotics, cardiac surgery, organ transplantation, and other miracles, any professional obligations beyond scientific competence no longer seemed necessary. Saving lives was sufficient to garner high levels of public respect. Second, some civic obligations, such as the professional duty to continue caring for patients during epidemics, were eventually seen as “anachronistic,” because the achievements of scientific medicine had made them so. As the U.S. Surgeon General put it in 1970, “the era of infectious diseases is coming to an end” (Huber and Wynia 2004). It’s not hard to imagine a profession with this level of hubris feeling little need for any ethical regulations—after all, what could be more ethical than eliminating disease?

  • 세 번째이자 더 복잡한 문제는 우리가 더 이상 자율 규제를 해야 한다는 데 의문의 여지가 없을 정도로 높은 신뢰를 얻게 되었다는 점입니다. 언뜻 보기에는 이러한 발전이 자율 규제의 시민적 의무를 촉진하는 것처럼 보일 수 있지만, 의심의 여지가 없는 자율 규제 능력을 확보하는 것은 불행한 반발을 불러일으켰습니다. 설립 당시부터 AMA의 목표는 국가의 지원을 받아 의사에 대한 신뢰도를 높여 전문직 독점, 즉 '전문직 폐쇄'를 만드는 것이었습니다. 즉, 전문직이 정한 기준에 따라 자격을 갖추지 못한 의사는 주정부에 의해 업무에서 배제되는 것입니다. 전문직 폐쇄에 성공하면 부도덕하고 비과학적인 의사로부터 대중을 보호할 수 있습니다. 또한 자격을 갖춘 의사들의 지위와 급여도 높아질 것입니다. (제 생각에 이렇게 이타적 동기와 이기적 동기를 완전히 분리하는 것은 불가능합니다.) 의사들이 의료 서비스를 개선하겠다는 약속을 지키고, 이를 위해 자신의 목숨까지 걸면서, 의사들은 규제 철폐를 주장하는 데 큰 성공을 거두었습니다. 실제로 의료계는 이러한 측면에서 매우 성공적이었기 때문에 의료 면허, 인증 기관, 기타 전문직에서 파생된 다양한 구조 및 프로세스와 같은 많은 자율 규제 메커니즘이 법적 구속력이 있는 것으로 받아들여져 국가와 전문직 간의 경계가 모호해졌습니다. 많은 의사들은 이러한 다양한 규제 구조를 더 이상 직업적 자율 규제의 일부이자 장기적으로 사회적 신뢰를 유지하는 데 필요한 것으로 인식하지 않고, 국가가 의사를 감시하고 진료를 방해하기 위해 파견한 간섭적인 외부 기관으로 인식하게 되었습니다.

Third—and more complex—is that the profession accrued so much credibility there was no longer any question that it should be self-regulatory. At first blush, this development might seem to promote the civic obligation of self-regulation, but gaining the unquestioned capacity to self-regulate created an unfortunate backlash. From the time of its founding, a goal of the AMA had been to develop a heavy mantle of credibility around physicians that would create a professional monopoly, or “professional closure,” with the assistance of the state. That is, those who were not qualified, according to standards established by the profession, would be closed out of practice by the state. If successful, professional closure would protect the public from unscrupulous and unscientific practitioners. It would also raise the status, and presumably the pay, of qualified practitioners. (It is, in my view, impossible to fully disentangle these altruistic and self-serving motivations.) As physicians delivered on their promises to improve medical care, and risked their own lives in doing so, the profession became extremely successful in arguing for regulatory closure. In fact, medicine was so successful in this regard that many of our self-regulatory mechanisms, such as medical licensure, accreditation bodies, and various other professionally derived structures and processes, were accepted as legally binding—which blurred the lines between the state and the profession. Victims of our own success, many physicians no longer recognized these various regulatory structures as a part of professional self-regulation and necessary to maintaining our social credibility over the long term; instead, they came to be perceived as meddlesome outside bodies, sent in by the state to scrutinize us and disrupt our practice.

마지막으로, 인정하기 싫지만 의료 윤리 분야의 급성장도 의사들이 전문성에 시민적 책임이 수반된다는 의식을 상실하는 데 기여했습니다.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가부장주의에서부터 사회에 대한 의무를 가장한 의사의 나치 반인도 범죄 가담에 이르기까지 정당한 우려에 대응하는 초기 생명윤리학은 생명윤리의 원칙으로서 자율성의 중요성을 강력히 강조하고, 의사의 시민적 의무를 경시하거나 심지어 폄하했습니다. 일부는 의사에게 시민적 고려를 완전히 무시하고 환자 개개인의 복지만 생각하라고 촉구했습니다. 예를 들어, 1984년 노먼 레빈스키는 뉴잉글랜드 의학 저널에 "의사는 비용이나 기타 사회적 고려 사항을 고려하지 않고 각 환자에게 도움이 된다고 생각되는 모든 것을 해야 한다"고 썼습니다(1573페이지). 이러한 진술은 개인의 자율성에 대한 존중이 의료 윤리를 지배하고 있음을 반영하는 것이기도 하지만, 의사의 전문성을 뒷받침하는 사회 계약의 핵심적인 측면, 의사가 사적 이익과 공동체 이익 사이의 중재자 역할을 해야 한다는 사회학자 Talcott Parsons가 설명했던 의무가 상실되었음을 보여줍니다(Latham 2002; Wynia 외. 1999 ).
Finally, though it pains me to admit it, the burgeoning field of medical ethics also contributed to the loss of physicians’ sense that professionalism entails civic responsibilities. Early bioethics, responding to legitimate concerns—ranging from paternalism, as noted above, to physician participation in Nazi crimes against humanity under the guise of obligations to society—strongly stressed the importance of autonomy as a principle of biomedical ethics and deemphasized [End Page 572] or even denigrated physicians’ civic duties. Some urged physicians to ignore civic considerations altogether and think only of the welfare of the individual patient before them. For instance, in 1984 Norman Levinsky wrote in the New England Journal of Medicine that “physicians are required to do everything that they believe may benefit each patient, without regard to costs or other societal considerations” (p. 1573). Such a statement reflects the domination of medical ethics by respect for individual autonomy, but it also illustrates the loss of a cardinal facet of the social contract that had grounded physician professionalism, and which the sociologist Talcott Parsons had described: the obligation of physicians to serve as mediators between private and community interests (Latham 2002 ; Wynia et al. 1999 ).

요약하자면, 20세기 후반에는 진료실에 앉아있는 환자에게만 관심을 가져야 한다는 개념으로 대표되는 매우 다른 전문직업의식이 발전했습니다. 단순하고 일차원적인 윤리로서 엄격한 개인 옹호라는 개념은 환자의 눈앞의 이익에 호소력이 있었으며 의사에게는 쉬워 보였습니다. 하지만 이는 의사, 환자, 지역사회 간의 복잡한 상호 의무로 구성된 전문직업성에 대한 초기의 이해와 크게 다르지 않습니다. 
In sum, in the late 20th century there developed a very different sense of professionalism, epitomized by the notion that one should care only about the patient sitting in the exam room. As a simple, one-dimensional ethics, this notion of strict individual advocacy appealed to patients’ immediate interests, and it seemed easy for doctors. But it could hardly be more different from the initial understanding of professionalism as comprising a complex set of reciprocal obligations between physicians, patients, and the community.

 

수탁자로서의 의사
The Physician as Trustee

의료계에 대한 원래의 사회 계약에 따라 의사는 환자에 대한 의무뿐만 아니라 지역사회에 대한 의무도 가지고 있었으며, 이러한 의무가 충돌할 수 있다는 것을 인식했습니다. 의료보험이 도입되기 전인 초기에는 공유 재정 자원에 대한 청지기적 책임이 분명한 문제는 아니었지만, 환자의 요구와 욕구, 그리고 환자가 생산적인 사회 구성원이 되기를 바라는 지역 사회의 희망을 둘러싸고 갈등이 발생했습니다. 이러한 책임이 상충할 때 훌륭한 전문가는 중재자 역할을 수행하여 모든 관계자를 위해 가능한 한 최선을 다했습니다. 
Under the original social contract for the medical profession, doctors had obligations to patients but also obligations to the community—and it was recognized that these could come into conflict. While stewardship of shared financial resources was not an obvious issue early on (before health insurance came into existence), conflicts arose around patient wants and desires, and the hope of the community for those patients to be productive members of society. When these responsibilities conflicted, a good professional would serve as a mediator, seeking to do the best possible for all concerned.

다른 전문직보다도 의사의 중재자 역할은 사회 계약에서 중요한 부분을 차지했습니다. 오늘날의 계약은 간단하고 실용적인 용어로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습니다. 즉, 의사는 병자를 생산적인 삶으로 복귀시키기 위해 노력함으로써 사회를 돕겠다는 집단적 약속의 대가로 병자를 보호할 수 있는 특정 사회적 특권(예: 병자에게 휴직을 허가함)을 부여받습니다. 따라서 윤리적으로, 의사는 건강한 사람들을 대상으로 하는 시장있을지라도, 건강한 사람들의 결근을 핑계로 진단서를 판매할 수 없습니다. 
Even more than for other professions, this mediator role was an important part of the social contract for physicians. In simple, practical terms today, the agreement is the following: physicians are given certain social privileges to protect the ill (such as by allowing time off work) in exchange for a collective promise to help society by working to return the ill to productive life. So, ethically, physicians cannot sell notes to excuse otherwise healthy people from work, despite the fact that there might be a ready market for them.

이는 1847년 의료 윤리 강령에서 의사의 기술이 "공공의 이익을 위해 신뢰받는 자질"이라고 명시한 데서도 잘 드러납니다. 그리고 더 큰 공익을 위해 봉사하겠다는 약속은 19세기에 의학이 처음으로 달성한 직업적 지위에 결정적인 역할을 했습니다."19세기의 법적 조치는 처음으로 의학에 개인적 및 집단적 자율성과 함께 의료에 대한 광범위한 독점권을 부여했으며, 그 대가로 의학은 자신이 봉사하는 사회의 건강 문제에 관심을 갖고 자신보다 사회의 복지를  우선시할 것이라는 명확한 이해와 함께"(943쪽) 의학에 대한 독점권을 부여했습니다.
This was recognized in the 1847 Code of Medical Ethics, which noted that a physician’s skills “are qualities which he holds in trust for the general good.” And our commitment to serving the larger public good played a crucial part in the professional standing that medicine first achieved during the 19th century.As Cruess and Cruess (1997) put it:“[19th-century] legal measures for the first time granted medicine a broad monopoly over health care—along with both individual [End Page 573] and collective autonomy—with the clear understanding that in return medicine would concern itself with the health problems of the society it served and would place the welfare of society above its own” (p. 943).

일차원적 사회 계약의 문제점
Problems with a One-Dimensional Social Contract

그러나 단순화된 자율성 중심적 관점에서는 의사 윤리가 변호사 윤리와 비슷한 모습을 띠게 되었습니다. 즉, 의뢰인을 열성적으로 옹호하는 것이 의사의 주된 의무가 되었습니다. 그러나 이러한 단순한 입장에 대한 실질적이고 개념적인 문제는 상당하며(Sage 1999), 오늘날에도 계속되고 있습니다. 
Under a simplified, autonomy-centric view, however, physician ethics came to look something like lawyerly ethics. Namely, zealous advocacy for one’s client became the primary, if not only, duty of the physician. But the practical and conceptual problems with such a simplistic stance are substantial (Sage 1999), and they are playing out today.

가장 큰 문제는 열성적인 옹호자가 상대 변호사와 판사 역할을 동시에 할 수 없다는 것입니다. 그러나 의학에서는 법률 시스템과 달리 상대편 변호인이 없습니다. 설령 있다고 하더라도 의사의 주장과 더 큰 공동체를 위한 가상의 옹호자의 주장을 비교 검토할 공정한 판사도 없습니다. 열성적인 옹호가 의사의 유일한 윤리적 책임으로 작동하고 개인과 공동체의 요구가 충돌할 때 공정한 결과를 도출하려면 의사가 항소해야 하고 의사가 최종 결정권을 갖지 않는 시스템이 마련되어야 할 것입니다
The main problem is that a zealous advocate cannot also serve as the opposing counsel and the judge. But in medicine, unlike in the legal system, there is no opposing counsel. And even if there were, there is no impartial judge to weigh the physician’s arguments against those of this hypothetical advocate for the larger community. To make zealous advocacy work as the physician’s sole ethical responsibility, and to produce just outcomes when the needs of individuals and communities came into conflict, there would need to be a system in place to which the physician would have to plea—and in which the physician would not have the final word.

이 시나리오는 대부분의 의사에게 그다지 매력적이지 않습니다. 적대적 의료 시스템은 환자와 의사 모두에게 매우 비효율적이고 불만스러울 것입니다. 하지만 의사들이 일차원적인 옹호 역할만을 고집한다면 반드시 진화해야 합니다. 실제로 오늘날 우리는 의료 결정에 대한 통제권을 의료 보험사와 구매자에게 넘기고, 의사와 환자는 이에 항의해야 하는 그런 시스템을 개발하고 있습니다. 
This scenario is not very appealing to most physicians. An adversarial medical care system would be profoundly inefficient and frustrating for patient and doctors alike. Yet it is what must evolve if physicians insist on adopting a one-dimensional advocacy role. And indeed, we are developing just such a system today, with control over medical decisions devolving to health plans and purchasers, to which physicians and their patients must plea.

간단한 계약, 복잡한 문제
Simple Contract, Complex Problems

환자 개개인에 대한 옹호만을 기반으로 하는 이 새로운 사회 계약은 다른 파급 효과도 있습니다. 예를 들어, 전문직 폐쇄성이 약화됩니다. 기존의 전문직 표준에 따라 자격을 갖추지 못했지만 자율성 중심의 사회 계약이 장려하는 시장의 지시에 따라 자유롭게 진료할 수 있는 새로운 의사 그룹이 생겨납니다. 아직 거기까지는 이르지 못했지만, 누구나 간판을 걸고 자신을 "의사"라고 부를 수 있었던 1847년 이전의 시대로 서서히 회귀하고 있습니다. 
This new social contract, based only on advocacy for individual patients, has other ramifications as well. For instance, professional closure weakens. New groups of practitioners arise, unqualified according to the old professional standards but free to practice according to the dictates of the market that an autonomy-centric social contract promotes. We are not there yet, but we are experiencing a slow reversion towards the days before 1847, when anyone could hang a shingle and call themselves a “doctor.”

또한 직업적 자율성이 무엇을 의미하는지에 대한 장기적인 논쟁에서 단순화된 사회 계약 직업적 자율성을 진료 기준을 설정하고 시행함으로써 집단이 자율적으로 규제할 수 있는 권리가 아니라 개별 의사가 개인의 선호에 따라 환자를 치료할 수 있는 권리로 재정의하려는 사람들에게 결정적으로 유리하게 작용할 수 있습니다. 
Also, in the long-running dispute over what professional autonomy means, a simplified social contract decisively tilts the playing field towards those who would redefine professional autonomy to mean the right of individual doctors to treat patients according to individual preference, rather than the right of the group to self-regulate by setting and enforcing practice standards. [End Page 574]

계약의 주체가 집단에서 개인으로 바뀌면서 윤리 강령에서 벗어나 개인 덕목의 윤리로 회귀하고 있습니다. 덧붙여 말하자면, 미덕은 오랜 기간에 걸쳐 규칙을 주의 깊게 준수하여 뿌리내릴 때까지 습관화되는 것이라고 믿었던 아리스토텔레스의 '미덕'과 혼동해서는 안 됩니다. 오늘날 의과대학의 윤리 과목은 의사가 공유된 행동 표준에 구속되어 있으며, 학생들이 이러한 행동 표준이 습관화될 때까지 수용해야 한다는 점을 강조하기보다는, 학생들이 스스로 생각할 수 있도록 훈련하는 데 중점을 두는 경향이 있습니다. 물론 이는 칭찬할 만한 일이며 전문가 집단 사고에 제동을 거는 데 필요한 일이지만, 각 개인의 분석에 전적으로 의존해야 한다고 생각하기는 어렵습니다. 이러한 의존은 일부 의사들이 정당화할 수 있다고 믿는 잘못된 행동을 취하도록 이끌고, 다른 의사들은 허용 가능한 행동에 대해 매우 다른 이해를 가지고 시작하게 될 것입니다. 구어체로 표현하자면, 윤리적 분석을 가르친 다음 전문직업성을 유지하기 위해 '레드 페이스 테스트'에 의존하는 것의 문제점은 어떤 사람들은 쉽게 부끄러워하지 않는다는 것입니다. 때로는 명확한 규칙과 이를 준수해야 한다는 의미 있는 의무를 부여하는 것이 더 나을 수도 있습니다. 
As the contract devolves away from groups and towards individuals, there has been a reversion away from codes of ethics and back towards an ethics of individual virtue. Incidentally, this is not to be confused with “the virtues” à la Aristotle, who believed virtue to be habitual and based upon carefully following rules over a long period of time, until they become ingrained. Rather than emphasizing that physicians are bound by a shared set of behavioral standards, which students should embrace until they become second nature, ethics courses in medical schools today tend to focus on training students to think things through for themselves. This, of course, is laudable and a necessary brake against professional group-think, but it’s hard to believe we should depend completely on each individual’s analysis. Such reliance will predictably lead some physicians to take wrong actions that they believe they can justify, and others will start out with a very different understanding of acceptable actions. To put this in colloquial terms: the problem with teaching ethical analysis and then relying on the “red-face test” to maintain professionalism is that some people don’t embarrass easily. Sometimes, we’d be better off with clear rules and a meaningful obligation to follow them.

마지막으로, 1차원적이고 개인에 초점을 맞춘 계약으로 인해 미묘하고 집단 지향적인 기존의 사회적 계약을 작성하고 시행했던 AMA와 같은 조직에 대한 필요성이 덜 인식되고 있습니다. 이것이 AMA 회원 문제의 유일한 원인은 아니지만, 부정적인 회원 이탈의 핵심적인 부분입니다. 아이러니하게도 개업 의사들로 구성된 AMA 회원들은 대부분 단순화된 사회 계약에 동의했고, 이로 인해 협회 자체의 중요성이 줄어들었습니다. 의사들 사이에서 위상이 떨어지면서 회원 수와 사회적 명성이 떨어졌고, 의료 환경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능력도 감소했습니다. 더 많은 의사들이 협회의 제한된 역할에도 불구하고 협회가 비효율적이라고 생각하게 되면서 협회를 탈퇴하는 의사들이 늘어났습니다. 이러한 상황에 직면한 조직 리더는 절망에 빠지기 쉽고, 남은 구성원들을 만족시킬 방법을 찾게 됩니다. 이들을 만족시키기 위해 노력하다 보면 의료에 대한 사회적 계약을 작성하고 모든 의사가 이를 준수하도록 하는 AMA의 핵심 사명에서 더욱 멀어져 주변부에 있는 사람들을 더욱 소외시키기 쉽습니다. 
Finally, with a one-dimensional, individually focused contract, there is less perceived need for organizations like the AMA that wrote and enforced the old, more nuanced and group-oriented, social contract. This is hardly the only cause of the AMA’s membership woes, but it is a key part of a negative membership spiral. Ironically, AMA members—comprising practicing physicians—largely bought into the simplified social contract, in which the association itself became less important. With its loss of stature among physicians came losses in membership and social prestige, and a reduced ability to influence the environment of medical practice. Then, more doctors chose to abandon the organization, because it came to be seen as ineffectual even in its more limited role. Organizational leaders facing such a situation can easily become desperate, casting about for ways to please the remaining members. In their efforts to serve them, it is easy to further alienate those on the margins, by moving even further from the core mission around which the AMA was created: writing the social contract for medicine and ensuring that all physicians are living up to it.

전문과목 협회는 상대적으로 동질적인 회원을 위한 협상에 더 집중할 수 있기 때문에 AMA의 권한을 일부 물려받아 독자적인 사회 계약을 수립하려고 노력해 왔으며, 어느 정도 성공을 거두었습니다. 그러나 안타깝게도 이러한 노력은 종종 전문직의 분열을 심화시키고 내부 갈등을 빈번하게 발생시키는 결과를 초래합니다. 전문직 커뮤니티의 결속력이 약해지면 전문직의 사회적 자본, 회복력, 효율성도 떨어집니다. 
Specialty associations have tried to inherit some of the AMA’s power to establish their own, independent social contracts with some success, since they can better focus on negotiating for a relatively homogeneous membership. Sadly, however, these efforts often result in the increasing fragmentation of the profession and frequent episodes of internecine conflict. As cohesion in the professional community declines, so does professional social capital, resilience, and effectiveness. [End Page 575]

이제 어디로 가야 할까요?
Where to Go from Here?

최근의 역사와 현재의 추세를 고려할 때, AMA가 사라진다고 해서 눈물을 흘리는 의사는 상대적으로 적을 것으로 보이지만, 그 자리를 대신할 대체 조직이 제안되지 않고 있기 때문에 모든 의사를 위한 국가 협회가 없는 것이 대안이 될 수 있습니다. 우리 대부분은 직관적으로 '각자도생'이 직업을 유지하기 위한 확고한 기반이 될 수 없다는 것을 알고 있을 것입니다. "모든 전문 분야가 각자의 전문 분야"도 그다지 좋지 않습니다. 요컨대, 통합된 전문가 협회가 없다면 우리는 직업을 가질 수 없습니다. 
Given recent history and current trends, it seems that relatively few physicians might weep over the passing of the AMA, but since no alternative organization is being proposed to take its place, the alternative is to have no national association for all physicians. Most of us probably know, intuitively, that “every one for oneself ” is not a solid basis on which to maintain a profession. “Every specialty for itself ” isn’t much better. In short, without a unified professional association we cannot have a profession.

새로운 세기의 도전에 대응하기 위해 의학의 사회적 계약을 재건할 수 있을까요? 과학에 대한 우리의 헌신을 유지하면서 사회에 대한 봉사, 예술적 실천, 겸손, (원래의 의미에서) 직업적 자율성의 의무를 회복하고 강화하면서 의학의 새로운 진보적 시대를 만들 수 있을까요? 이 과제를 달성하는 데 도움이 되도록 AMA와 같은 오래된 기관을 재활할 수 있을까요? 
Can we rebuild medicine’s social contract to meet the challenges of the new century? Can we create a new progressive era for medicine, retaining our commitment to science while building back in and reinforcing our obligations of service to society, artful practice, humility, and professional autonomy (in its original sense)? Is it possible to rehabilitate old institutions, such as the AMA, to help accomplish this task?

오늘날 우리는 1847년과 같은 사회 계약을 원하지도, 필요로 하지도 않습니다현대의 사회 계약은 자원 분배, 품질 측정, 의료 시스템 내 다양한 주체들의 상호 작용에 훨씬 더 많은 관심을 기울여야 합니다. (더 이상 환자와 의사뿐만 아니라 구매자, 규제 당국, 기타 의료 종사자들도 계약에 참여해야 합니다.) 실제로 이러한 아이디어는 미국 의학협회(AMA)에서도 주목을 받고 있습니다(윤리적 힘 프로그램 2008).
We don’t want or need the same social contract today that we developed in 1847. A contemporary social contract should focus far more attention on matters of resource distribution, quality measurement, and the interactions of the various players in the health-care system. (It’s not just patients and doctors anymore: purchasers, regulators, and other practitioners must be brought into the contract.) And, in fact, these ideas are gaining traction within the AMA (Ethical Force Program 2008).

그러나 많은 진보적인 의사들은 AMA가 실제로 어떻게 작동하는지에 대해 거의 알지 못함에도 불구하고 AMA와 그 발전 가능성에 대한 희망을 잃었습니다. 제 생각에 AMA의 종말에 대한 소문은 시기상조입니다. 전문직 협회의 근본적인 역할은 전문직에 대한 사회적 계약을 작성하는 것입니다. 우리가 선택할 수 있는 방법은 여러 단체가 각 전문 분야별로 서로 다른 사회 계약을 통해 이 임무를 수행하도록 하거나, 또는 모든 의사를 위한 통일된 사회 계약을 맺는 것입니다. 후자를 선호하는 데에는 충분한 이유가 있습니다. 
Many progressive physicians, however, have lost hope for the AMA and its capacity for evolution, even though most know little of how the AMA actually works. In my view, rumors of the AMA’s demise are premature. The fundamental role of professional associations is to write the social contract for the profession. Our options are to have multiple organizations perform this task—with different social contracts for each specialty—or to have a uniform social contract for all physicians. There are good reasons to favor the latter.

둘째, AMA가 이 작업에 계속 참여하고 있으며, 불완전하지만 작동하는 프로세스가 전반적으로 상당히 견고하다는 점입니다. AMA는 모든 주요 전문 분야와 모든 주에서 대표를 선출하는 대의민주주의입니다. 당연히 민주적 구조는 관련된 사람들의 다수의 생각을 반영합니다. 따라서 의사라는 직업, 특히 AMA는 포고 문제에 직면해 있습니다. 즉, 우리는 적을 만났고 그 적은 바로 우리 자신입니다. 
Second, the AMA remains engaged in this task, and the process through which it works (though imperfect), is, on the whole, fairly solid. The AMA is a representative democracy, with representatives from all major specialties and every state. Naturally, democratic structures reflect the majority thinking of those who are involved. So the profession of medicine, and the AMA in particular, faces something of a Pogo problem: we have met the enemy . . . and he is us.

마지막으로, 미국 의학은 민주주의 사회 내에 존재합니다. 의사들은 사회 계약을 수립할 때 혼자서 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커뮤니티와 끊임없이 협상합니다. 이러한 협상은 종종 민주적인 절차를 통해 이루어지며, 전문직 협회는 의료계의 목소리를 공공 정책 토론에 투영할 수 있는 수단입니다. 특정 의사가 미국 의학의 목소리나 내용이 마음에 들지 않는다고 해서 협회를 떠나는 것만으로는 충분하지 않습니다. 오슬러가 이해한 바와 같이, 참여하여 그 목소리가 말하는 내용이나 말하는 방식을 바꾸도록 도와야 할 직업적 의무가 있습니다

Finally, American medicine exists within a democratic society. Physicians are not alone in establishing our social contract, we do so in constant negotiation with various communities. Often, these negotiations take place through democratic processes, and our professional associations are the means we have of projecting the voice of medicine into public policy debates. If certain physicians don’t like the tenor or content of the voice of American medicine, it is not enough to leave. There is, as Osler understood, a professional obligation to be engaged and help change what the voice is saying or how it is being said. [End Page 576]

그럼에도 불구하고 우리 중 일부는 지난 40년 동안 정치적 양극화에 익숙해졌습니다. 어떤 사람들은 조직화된 의학이 기업의 이해관계에 너무 얽매여 있고, 정당에 너무 집착하며, 지나치게 반응적이라서 구원의 여지가 없다고 생각할 수도 있습니다. 그 결과, AMA는 조직화된 의학에 대해 너무 냉소적이어서 적어도 때때로 자신의 가치를 반영하고 전문직이 공공 서비스를 지향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는 진화한 AMA를 상상할 수 없는 두 세대 이상의 의사 중 많은 부분을 잃었을 수 있습니다. 안타깝게도 제 경험상 많은 학계 의학 리더들이 - 비록 마음은 진보적이고 일반적으로 권한 부여에 대한 감각이 부족하지는 않지만 - 이런 입장에 처해 있습니다. 그들은 AMA와 그 변화의 능력, 또는 변화를 도울 수 있는 능력에 대해 뿌리 깊은 냉소주의를 가지고 있습니다. 
Nevertheless, some of us have become inured to political polarization over the last 40 years. Some might see all of organized medicine as beyond redemption —too much in hock to corporate interest, too attached to a political party, too reactive. As a result, the AMA might have lost large segments of two or more generations of physicians, who are so cynical about organized medicine that they cannot imagine an evolved AMA, one that might (at least sometimes) reflect their values and help orient the profession towards public service. Sadly, in my experience many leaders of academic medicine—though progressive at heart and generally not lacking a sense of empowerment—are in this position. They hold a deep-seated cynicism about the AMA and its ability to change—or their ability to help change it.

이러한 리더들을 포기해서는 안 됩니다. 그들의 기술과 지식은 매우 귀중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동시에 아직 냉소적인 태도를 취하지 않은 젊은 전문가들을 직접 참여시켜야 합니다. 젊은 의사들 사이에서 활동주의가 증가하고 있으며, AMA 회원 가입률도 증가하고 있지만, 시니어 의사들 사이에서 활동주의는 계속 감소하고 있습니다. 작년에 40세 미만 의사의 AMA 회원 수는 2.2% 증가한 반면, 40세 이상 의사의 회원 수는 2.8% 감소했습니다(Julie Gill, AMA 회원 및 마케팅, 개인 커뮤니케이션, 2008년 5월 15일). 아마도 우리가 일부 의료계 지도자들에게 기대할 수 있는 최선은 당황한 침묵일 것이며, 그 밑에 있는 젊은 진보주의자들은 의료계의 사회적 계약에 활력을 불어넣기 위해 전문직 협회를 활용하는 방법을 배울 것입니다. 

We should not give up on these leaders: their skills and knowledge can be invaluable. At the same time, though, we need to directly engage young professionals who haven’t yet adopted this cynical attitude. Activism among young physicians is rising, as is AMA membership, even while it continues to fall among more senior members of the profession. In the last year, membership in the AMA among physicians under 40 rose 2.2%, while membership among those older than 40 fell 2.8% (Julie Gill, AMA Membership and Marketing, personal communication, May 15, 2008). Perhaps the best we can hope for from some medical leaders will be a bemused silence, as the young progressives under them learn how to use our professional association to reinvigorate the social contract of the medical profession.

 


Perspect Biol Med. 2008 Autumn;51(4):565-78. doi: 10.1353/pbm.0.0051.

The short history and tenuous future of medical professionalism: the erosion of medicine's social contract

Affiliation

1The Institute for Ethics, American Medical Association, 515 North State Street, Chicago, IL 60610, USA. matthew.wynia@ama-assn.org

PMID: 18997359

DOI: 10.1353/pbm.0.0051

Abstract

The profession of medicine is based on a shared set of tacit and explicit agreements about what patients, doctors, and society at large should be able to expect from each other, a social contract that defines the profession. Historically, the development of this set of agreements depended upon the creation of social organizations that could speak for the entire profession. Over the last several decades, however, the perceived need for these organizations, and especially the umbrella organization for the profession, the American Medical Association, has waned. The reasons for this are complex, but the consequences are significant: an eroding social contract, fragmentation, lack of cohesion and integrity, and loss of the public's confidence. The present social contract is one-dimensional, overly simplistic, and failing to sustain the public's trust. To address these problems, a renewed social contract is necessary. Although this renewed contract should be based on foundations similar to the original, it must directly confront such contemporary challenges as resource allocation and conflicts of interest. Equally as important, to reinvigorate our social contract more physicians will need to come to grips with a basic truth: to sustain professionalism we need a strong, unified professional association.

의료 윤리학을 가르치기 위한 임상 사례활용의 열두가지 팁(Med Teach, 2018)
Twelve tips for using clinical cases to teach medical ethics
Hongmei Dong, Renslow Sherer, Jon Lio, Ivy Jiang and Brian Cooper

소개
Introduction

의과대학의 의료윤리 커리큘럼은 학생들에게 윤리의 원칙윤리적 분석 및 추론에 대한 접근법을 모두 가르쳐야 합니다(Manson 2008; Alfandre and Rhodes 2009). 교육 방법과 관련해서는 주로 대그룹 강의와 임상 사례에 대한 소그룹 토론을 결합한 방법을 사용해야 한다는 데 의견이 일치하고 있습니다(Eckles 외. 2005). 일반적으로 강의와 독서가 이론적 내용을 가르치는 데 효율적인 방법이지만, 윤리적 사고와 의사 결정에 대한 접근 방식은 학생들이 반복적으로 실습할 수 있는 임상 사례 토론을 통해 더 잘 습득할 수 있습니다(Gillon 1996). 
A medical ethics curriculum in medical schools should teach students both principles of ethics and approaches to ethical analyses and reasoning (Manson 2008; Alfandre and Rhodes 2009). Regarding teaching methods, the consensus is to use the combination of methods, mainly large group lecture and small-group discussions of clinical cases (Eckles et al. 2005). While lectures and readings are generally efficient ways of teaching theoretical content, approaches to ethical thinking and decision making are better acquired through clinical case discussions that allow students repeated opportunities to practice (Gillon 1996).

사례는 의대생이 윤리에 주의를 기울여 임상적 사고를 연습할 수 있는 실제 임상 상황을 제시합니다. 사례 분석은 의학의 도덕적 측면에 대한 민감성을 가르치고, 원칙을 의료행위에 적용하는 방법을 보여주며, 의사가 책임감 있는 도덕적 주체로서 행동하는 모습을 보여줍니다(Goldie 2000). 이전 연구에 따르면 사례 기반 윤리 교육은 윤리적으로 복잡한 사례를 분석하고 관리하는 학습자의 능력을 크게 향상시킬 뿐만 아니라(Tolchin 외. 2015), 의료 직업에 대한 학생들의 규범적 동일시를 개발하는 데 강의보다 더 효과적이라는 것이 입증되었습니다(Goldie 외. 2001). 그룹 학습 맥락에서 사례 토론은 임상 및 기타 전문 지식을 갖춘 진행자의 지원을 받을 때 학생들이 사례의 윤리적 딜레마를 해결하는 데 참여하게 합니다(Tysinger 외. 1997). 
Cases present authentic clinical contexts where medical students practice clinical thinking with attention to ethics. Case analysis teaches sensitivity to the moral aspects of medicine, illustrates the application of principles to medical practice and shows doctors acting as responsible moral agents (Goldie 2000). Previous studies have demonstrated that case-based ethics teaching not only significantly improves learners’ ability to analyze and manage ethically complex cases (Tolchin et al. 2015) but also has proven to be more effective than lecture in developing students’ normative identification with the medical profession (Goldie et al. 2001). In the group learning context, case discussion engages students in resolving the cases’ ethical dilemmas when supported by facilitators with clinical and other expertise (Tysinger et al. 1997).

이 글에서는 소그룹 사례 토론 접근법을 사용하여 학생들에게 의료 윤리를 가르치는 방법에 대한 12가지 팁을 설명합니다. 의과대학 커리큘럼에서 의료 윤리를 설계한 경험과 의료 윤리의 교육 및 적용과 관련된 문헌을 바탕으로 이러한 아이디어를 도출했습니다. 
In this article, we describe 12 tips on how to use the small-group case discussion approach to teach students medical ethics. We have drawn on our experience in designing medical ethics in a medical school curriculum and on literature related to the teaching and application of medical ethics to produce these ideas.

팁 1
Tip 1

사례 토론을 코스 목표에 맞추기
Align case discussions with course objectives

사례 개발은 윤리 코스에서 다루는 주제와 연계되어야 하며, 사례는 코스 목표를 다루어야 합니다. 사례 토론은 강의, 읽기, 과제 및 기타 형태의 교수법을 사용하는 윤리 코스의 구성 요소이며, 이 모든 것이 코스의 명시된 목표에 맞게 조율되고 조정되어야 합니다. 또한 각 사례에는 관련 코스 목표에서 파생되고 긴밀하게 연결되어 있어야 하는 명확한 학습 목표가 있어야 합니다(Azer 외. 2012). 사례 토론은 관련 강의와 관련 읽기 과제를 완료한 후에 진행되며, 강의와 읽기는 소그룹 토론의 배경이 됩니다. 사례 연구에는 하나 이상의 목표가 있을 수 있으며, 종종 사례가 전개됨에 따라 일련의 목표를 다룰 수 있습니다. 
Case development must be tied to the topics covered by the ethics course, as cases should address the course objectives. Case discussions are a component of the ethics course that also uses lectures, readings, assignments and other forms of teaching methods, all of which should be orchestrated and aligned with the stated objectives of the course. Each case should also have clear learning objectives that must be derived from and tightly connected to the relevant course objectives (Azer et al. 2012). Case discussion follows the relevant lectures and the completion of relevant reading assignments, with lectures and readings serving as background for the small group discussions. A case study can have more than one objective, and often a series of objectives can be addressed as the case unfolds.

소그룹 학습의 주요 목표는 개념 이해 증진, 비판적 사고 및 문제 해결력 개발, 자기 주도적 및 협력적 학습 촉진, 커뮤니케이션 기술 향상입니다. 토론 세션을 설계할 때는 학생들이 독립적으로 또는 동료들과 함께 참여할 수 있는 좋은 사례와 학습 활동을 선정하여 이러한 목표를 달성하는 것을 목표로 해야 합니다. 
The chief goals of small-group learning are to promote conceptual understanding, develop critical thinking and problem solving, foster self-directed and collaborative learning, and enhance communication skills. When designing discussion sessions, one should aim at accomplishing these goals by selecting good cases and learning activities to be engaged in by students independently and with peers.

팁 2 양질의 사례 선정 및 작성
Tip 2

Select and write up quality cases

좋은 사례의 가장 본질적인 특징은 학생들이 실제 상황에서 참여자의 역할을 맡게 하는 현실의 표현이라는 점입니다. 따라서 사례는 실제 상황이어야 하며 의사의 일상 업무의 맥락에서 설정되어야 합니다(Arras 1991; Siegler 2002). 교사가 구성한 가상 사례는 하나 또는 몇 가지 요점을 설명하기 위해 고안된 경우가 많으며 실제 사례의 복잡성이 부족할 수 있는 반면, 실제 사례는 상황과 실제 제약이 이론적 개념을 임상 상황에 적용하는 데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보여줍니다(Miles 외. 1989). 실제 사례를 사용하는 것은 윤리적 딜레마를 관리하는 기술을 습관화하는 데에도 도움이 됩니다(Campbell 외. 2007).  
The most essential characteristic of good cases is that they are representations of reality that put students in the role of participants in authentic contexts. Thus, cases should be real and set in a context of the physician’s daily work (Arras 1991; Siegler 2002). Hypothetical cases constructed by teachers are often designed to illustrate one or a few points and may lack the complexity of actual cases, while real cases show how circumstances and practical constraint affect the application of theoretical concepts to clinical situations (Miles et al. 1989). Using actual cases also helps in the habituation of the skills for managing ethical dilemmas (Campbell et al. 2007).

좋은 사례에는 다음과 같은 주요 특징이 있습니다.

  • 첫째, 가르치는 윤리 원칙과 논의되는 사례 사이에 연결성이 있어야 윤리 원칙과 개념의 제시가 임상 사례를 조명하여 원칙의 실제적 의미를 보여줄 수 있습니다(Miles 외. 1989).
  • 둘째, 사례는 의사의 환자 진료 업무와 관련이 있어야 하며, 자주 접하는 문제와 관련되어야 합니다(Sherer 외. 2017). 흔한 문제에 대한 일상적인 사례는 드문 사례보다 의사의 업무와 관련성이 더 높기 때문에 선호됩니다. 교수진은 핵심 쟁점을 강조하고 법, 윤리, 사회학 및 다학제적 전문성의 기본 개념을 전달하기 위해 체계적으로 사례를 선택할 수 있습니다(Miles et al. 1989).
  • 셋째, 사례는 학생의 사전 지식과 교육 수준에 맞게 적절한 수준의 복잡성과 난해함을 지닌 사건을 제시해야 합니다. 적절하게 도전적인 사례는 더 높은 인지 수준에서 학생들의 토론을 자극하여 풍부한 교육적 경험을 제공합니다(Azer 외. 2012). 복잡한 뉘앙스가 제거된 사례는 윤리적 원칙을 설명하거나 좁은 요점을 제시할 수 있지만, 학생들이 환자 치료의 상황적 특성을 다룰 수 있는 능력을 갖추지 못할 수 있습니다(Miles 등, 1989).
  • 넷째, 임상 윤리를 강조하면서 인간 행동, 기초 과학, 임상의학도 사례에 포함시켜야 합니다(Tysinger 등, 1997). 실제로 윤리적 문제는 환자 치료의 다양한 측면에 내재되어 있고 얽혀 있기 때문에 의사는 다양한 종류의 문제를 동시에 해결해야 합니다. 

Good cases also have the following key characteristics.

  • First, there need to be connections between the ethics principles taught and the cases discussed, so that the presentation of ethics principles and concepts can illuminate clinical cases which in turn illustrate practical import of the principles (Miles et al. 1989).
  • Second, cases should be relevant to physicians’ work in patient care, involving often-encountered issues (Sherer et al. 2017). Routine cases on common problems are preferable to rare cases, because the former have more relevance to doctors’ work. Faculty can systematically select cases to highlight core issues and to convey fundamental concepts of law, ethics, sociology, and multidisciplinary professionalism (Miles et al. 1989).
  • Third, cases should present events with an appropriate level of complexity and perplexity that is adjusted to students’ prior knowledge and level of training. Appropriately challenging cases provide a rich educational experience by stimulating students’ discussion at a higher cognitive level (Azer et al. 2012). Cases that have been stripped of complicating nuances can illustrate ethical principles or make a narrow point but may not equip students to deal with the circumstantiality of patient care (Miles et al. 1989).
  • Fourth, while emphasizing clinical ethics, the cases need also to include human behavior, basic science, and clinical medicine (Tysinger et al. 1997). In practice, ethical issues are embedded in and entangled with various aspects of patient care, requiring the physician to solve problems of various kinds simultaneously.

팁 3 다양한 사례 사용
Tip 3

Use a variety of cases

학생들이 숙지해야 할 중요한 주제를 광범위하게 다루는 다양한 사례를 충분히 사용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그러나 주제 유형 외에도 사례를 다른 방식으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 어떤 사례는 일반적인 합의가 있는 윤리적 딜레마를 포함하는 반면, 어떤 사례는 논란의 여지가 있는 갈등을 포함합니다(Goldie 외. 2002).
  • 학생들이 합의가 존재하는 부분을 인식하고 정당하고 전문직의 합의에 부합하는 관리 계획을 개발하는 방법을 배우는 것이 중요합니다.
  • 동시에, "합의가 없는 문제"는 학생들에게 모든 윤리적 문제에 대해 전문직이 만장일치로 선호하거나 전문직 표준에 의해 지지되는 행동 방침이 있는 것은 아니라는 것을 보여줍니다(Goldie 외. 2002).
  • 후자의 경우, 학생들은 상충되는 원칙을 비교하고 우선순위를 부여하여 특정 행동 방침에 대해 합리적이고 윤리적으로 정당화할 수 있는 주장을 하는 방법을 배워야 합니다(Fasser 외. 2007). 

It is crucial to use a sufficient variety of cases that cover a broad range of topics that are important for students to be familiar with. In addition to topic types, however, cases can be categorized in other ways. For example,

  • some cases involve ethical dilemmas about which there is general consensus, while others involve conflicts that are controversial (Goldie et al. 2002).
  • It is important for students to be aware where consensus exists and learn how to develop a management plan that is justifiable and consistent with the consensus of the profession.
  • At the same time, the “no consensus problems” demonstrate to students that not all ethical problems will have a course of action unanimously favored by the profession or supported by professional standards (Goldie et al. 2002).
  • In this latter case, students ought to learn how to make a well-reasoned, ethically justified argument for a particular course of action by weighing and assigning priority to conflicting principles (Fasser et al. 2007).

교사가 생성한 사례와 학습자가 생성한 사례가 있습니다. 학생들이 병동에서 경험한 사례는 개인적으로 관련이 있으며 학생들에게 교사의 행동을 비판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합니다(Alyousefi 외. 2016). Carrese 등(2011)의 연구에 따르면 후배 의사들은 다양한 일반적인 윤리 문제를 자주 접하지만 교수진은 이러한 문제를 잘 파악하지 못하여 많은 교육 기회를 놓치고 있다고 합니다. Carrese 등(2011)은 학습자가 접한 사례를 교육에 사용해야 한다고 주장합니다. 그렇지 않으면 학습자는 윤리적 문제가 자신의 경험이 아닌 다른 사람의 경험이라는 인상을 가질 수 있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학생이 사례를 선택하고 발표하도록 하는 것은 사례 선택의 폭이 좁아질 위험도 있습니다(Miles 외. 1989). 따라서 교사는 사례와 개념의 적절한 폭을 보장하기 위해 교수자가 생성한 사례와 학습자가 생성한 사례를 모두 사용해야 합니다(Kon 2006). 또한 소규모 그룹으로 구성된 학생에게 자신이 경험한 사례를 분석하는 과제를 부여할 수도 있습니다. 이러한 연습은 일상적인 임상 업무에서 윤리적 문제에 대한 학생의 인식을 높이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임상 환경에서 교수자의 행동을 조사할 수 있는 기회는 숨겨진 커리큘럼의 영향에 대한 해독제 역할을 할 수 있습니다. 
There are teacher-generated cases and learner-generated cases. Cases that students have experienced on the wards are personally relevant and give students opportunities to critique behaviors of their teachers (Alyousefi et al. 2016). Carrese et al. (2011) have found that a variety of common ethics issues are frequently encountered by junior doctors but that faculty members infrequently identify these issues and thus miss many teaching opportunities. Carrese et al. (2011) argue that learner-encountered cases should be used for teaching, for otherwise learners may have the impression that ethical issues are some other people’s experience but not theirs. However, having students select and present cases also presents the risk of narrow case selection (Miles et al. 1989). Thus teachers should employ both instructor-generated and learner-generated cases in order to ensure adequate breadth of cases and concepts (Kon 2006). Additionally, students can be given assignments where small groups of students analyze cases they have experienced. Such exercises may help increase students’ awareness of ethical issues in everyday clinical work. The opportunity of examining faculty behavior in the clinical setting can serve as an antidote to the impact of hidden curriculum.

현재 또는 최근 대중 매체에서 강조된 윤리적 딜레마도 귀중한 교육 자료가 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사례를 활용할 때의 장점은 학생들의 높은 관심도, 다양한 의견에 대한 정보의 가용성, 윤리적 딜레마가 매우 복잡하고 논란의 여지가 있을 수 있다는 점을 인식할 수 있다는 점입니다. 예를 들어, 2016~2017년 찰리 가드 사건(Dyer 2017)은 무엇보다도 자율적이지 않은 자녀를 위해 결정을 내릴 부모의 권리와 아동의 최선의 이익에 대한 의료진의 전문적인 의견, 법원의 개입 및 공공 자원의 사용 사이의 갈등을 보여줍니다.
Current or recent ethical dilemmas highlighted in the public media are valuable teaching materials, too. Advantages in using such cases are the high level of interest on the part of students, the availability of information on differing opinions, and the awareness that ethical dilemmas can be very complex and controversial. For example, the 2016–2017 Charlie Gard case (Dyer 2017) illustrates, among other things, the conflict between the right of parents to make decisions for their non-autonomous child and the medical team’s professional opinion of the best interest of the child, the court’s involvement and the use of public resources.

팁 4 규범을 정하고 토론을 위한 가이드라인을 제공하세요.

Tip 4

Establish norms and provide guidelines for discussion

그룹 규범을 정하고 학생들에게 기대치를 명확히 제시해야 합니다. 토론 세션에 오기 전에 준비하기, 적극적으로 참여하기, 비판적으로 사고하기, 학습과 소통을 위한 긍정적인 분위기 유지하기 등의 기대치가 포함될 수 있습니다. 학생들은 그룹에서 그룹 키퍼(주제에 대한 토론을 유지하고 참여를 독려하는 등), 노트 필기 및 발표자(전체 학급에 그룹 결과를 발표하는 등) 등 다양한 역할을 번갈아 가며 수행할 수 있습니다. 
Group norms should be established and expectations made clear to students. Expectations can include:

  • be prepared before coming to discussion sessions,
  • actively participate,
  • be a critical thinker and
  • maintain a positive atmosphere for learning and communicating.

Students can take turns performing different roles in their groups, such as Group Keeper (who keeps discussion on topic, encourages participation, etc.), Note Taker and Presenter (who presents group results to the whole class).

토론 세션 며칠 전에 학생들이 준비할 수 있도록 관련 유인물을 제공해야 합니다. 유인물에는 환자의 주요 불만 사항과 간략한 배경, 병력 및 실험실 소견과 같은 기타 관련 정보를 포함하는 점진적 공개 스타일로 사례 정보를 제시해야 합니다. 학습 질문, 세션 목표, 필수 및 권장 읽을거리도 학생에게 제공해야 합니다. 다음은 학생들이 개별적으로 또는 동료들과 함께 준비할 수 있는 몇 가지 예입니다:
A number of days before a discussion session, students should receive relevant handouts so that they can prepare. The handouts should present the case information in a progressive disclosure style, covering the patient’s chief complaint and a brief background, as well as other relevant information such as history and laboratory findings. Study questions, session objectives, required and recommended readings should be given to students, too. The following are some examples of how students can prepare individually or with peers:

  • 사례를 읽고 다음과 같은 질문에 답해 보세요: 
    • 사례의 내용은 무엇인가? 
    • 사건을 해결하기 위해 어떤 정보가 제공되나요? 
    • 어떤 질문이 있는가? 
    • 상황이 제시하는 문제는 무엇인가? 
    • 의학적 문제는 무엇인가요? 
    • 윤리적 문제가 있나요? 
    • 윤리적 문제는 무엇인가요? 
    • 다른 어떤 관련 정보를 찾아야 하나요?
  • 코스에서 배운 분석 프레임워크를 사용하여 문제를 분석합니다.
  • 가능한 해결책을 제안합니다. 각 대안을 원칙에 따라 분석합니다. 가장 정당한 해결책을 선택합니다.
  • 분석의 개요를 작성하고 수업에 가져옵니다. 혼란스러웠던 것도 포함하세요.
  • Read the case and answer questions like these:
    • What is the case about?
    • What information is given to me to solve the case?
    • What questions do I have?
    • What are the issues presented by the situation?
    • What are the medical issues?
    • Are there ethical issues?
    • What are the ethical issues?
    • What other relevant information do I need to find?
  • Use the analytical framework that you have learned in the course to analyze the issues.
  • Propose possible solutions. Analyze each alternative solution against principles. Choose the best justifiable solution.
  • Write an outline of your analyses and bring to class. Include your puzzlements.

학생용 가이드에 제시된 자료가 포함된 진행자 가이드에는 세 가지 유형의 정보가 포함될 수 있습니다(Azer 외. 2012). 

  • 첫째, 사례의 초점(즉, 학습 문제)에 대한 배경 정보와 설명 노트가 있어야 합니다. 또한 이 분야의 비전문가인 퍼실리테이터에게 중요하므로 문제의 임상적 요소와 과학적 근거에 대한 설명이 있어야 합니다.
  • 둘째, 퍼실리테이터가 토론을 안내하는 데 도움이 되는 샘플 퍼실리테이션 질문이 제공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질문은 다루어야 할 영역에 대한 가이드를 제공합니다.
  • 마지막으로, 퍼실리테이터가 사례 토론을 돕기 위해 필요한 과학 및 임상 정보를 모두 찾을 수 있도록 주요 읽을거리를 나열할 수 있습니다.

The facilitator guide, which contains materials presented in the students’ guide, can include three types of information (Azer et al. 2012).

  • First, there need be background information and explanatory notes on the focus (i.e. the learning issues) of the case. There also need to be explanations of the clinical elements and scientific basis of the problem as this will be important for non-expert facilitators in this discipline.
  • Second, sample facilitating questions can be given to help the facilitator guide discussions. These questions provide a guide as to the areas that should be addressed.
  • Finally, key readings can be listed so that facilitators can seek out both the science and clinical information that they may need in preparation for aiding the case discussion.

팁 5 다분야 퍼실리테이터 팀 구성하기
Tip 5

Build a multidisciplinary facilitator team

의료 윤리는 다학제적 분야이며 윤리 교육의 사회적, 법적, 임상적, 의사소통적 측면을 고려할 때 다양한 의료 및 비의료 전문가로 구성된 다학제적 교수진이 필요합니다(Eckles 외. 2005). 학자들은 오랫동안 윤리학자-철학자-의사로 구성된 다학제적 팀이 의료 윤리를 가르쳐야 한다고 주장해 왔으며(Siegler 1978; Walker 외. 1989), 학생들은 윤리학자와 임상의가 윤리 과목을 공동으로 가르치는 것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Howe 1987). 다학제적 토론 촉진자 팀은 의사, 철학자, 환자, 가족, 간호사, 심리학자, 정책을 다루는 행정가, 변호사 및 기타 전문가 등 다양한 전문 지식을 학생들에게 제공하여 윤리 교육이 다양한 관점과 실제 적용을 결합할 수 있도록 할 수 있습니다.

Medical ethics is a multidisciplinary field, and the social, legal, clinical, and communicative aspects of ethics education require a multidisciplinary faculty consisting of a variety of medical and non-medical professionals (Eckles et al. 2005). Scholars have long argued that a multidisciplinary team of ethicist–philosophers and physicians should teach medical ethics (Siegler 1978; Walker et al. 1989), and students have been found to prefer having both ethicists and clinicians co-teach their ethics course (Howe 1987). A multidisciplinary team of discussion facilitators can provide students with varied sources of expertise – those of the physicians, philosophers, patients, families, nurses, psychologists, administrators dealing with policies, lawyers, and other professionals – to ensure that ethics education combines multiple perspectives with practical application.

특히 중요한 것은 전문직 가이드라인과 의료법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입니다. 윤리적 행동에 대한 가이드라인은 미국의사협회(Snyder 2012) 및 영국의사협회(BMA 2017)와 같은 의사 전문 협회에서 제정합니다. 윤리의 많은 주제에는 법적 의미도 포함되어 있습니다(Jonsen 외. 2015). 따라서 윤리 사례 토론에서 임상의, 윤리학자 및 변호사는 학생들이 임상 딜레마의 윤리적 및 법적 변수를 모두 고려하도록 안내해야 합니다. 예를 들어, 장애가 있는 의사와 관련된 사례에 대해 토론할 때 학생들은 장애가 있는 동료를 적절한 기관에 신고해야 하는 의사의 윤리적 의무(Snyder 2012)와 이에 대한 법적 책임에 대해 알게 될 수 있습니다. 
Of particular importance is students’ awareness of professional guidelines and medical law. Guidelines of ethical behavior are established by physicians’ professional associations such as The American College of Physicians (Snyder 2012) and The British Medical Association (BMA 2017). Many topics in ethics have legal implications as well (Jonsen et al. 2015). Hence, in ethics case discussions, clinicians, ethicists and lawyers should guide students to consider both the ethical and the legal parameters of a clinical dilemma. For example, when discussing a case involving an impaired physician, students can become aware of a doctor’s ethical duty to report the impaired colleague to an appropriate authority (Snyder 2012) as well as his or her legal responsibility to do so.

팁 6 사례 분석을 위한 프레임워크 교육
Tip 6

Teach frameworks for case analysis

윤리적 의사 결정에는 체계적인 접근 방식이 필요합니다. 임상 환경의 윤리적 문제는 복잡하고 축소하기 어렵지만, 우리는 학생들에게 윤리적 분석을 위한 구조화된 방법인 지침의 틀을 제공할 수 있습니다(Enck 2014). 구조화된 접근법을 사용한 추론은 학생들이 다음의 능력을 습득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 윤리적 문제를 식별하고, 
  • 어떤 윤리적 원칙이 관련성이 있는지, 충돌하는 부분이 있는지 판단하고, 
  • 임상적 결정에 도달하고, 
  • 결정을 정당화하는

연구에 따르면 윤리 워크업을 위한 프레임워크는 사례 분석에 유용한 도구가 될 수 있습니다(Fasser 외. 2007). 그들의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Alfandre와 Rhodes(2009)는 알고리즘을 사용하면 학생들의 사고를 자극하고 평가에 필요한 모든 세부 사항을 고려할 가능성이 높아지며, 사고 과정에 대한 구조가 있으면 의사의 행동 이유가 투명하고 명확해져 환자 및 동료와 더 명확하게 소통하고 의료 기록에 더 명확하게 기록할 수 있다고 주장했습니다.
Ethical decision making requires a systematic approach. Although ethical issues in clinical settings are complex and resistant to reduction, we can provide students with a framework for guidance, a structured method for ethical analysis (Enck 2014). Reasoning using a structured approach helps students acquire the ability to

  • identify ethical issues,
  • determine which ethical principles are relevant and where they clash,
  • arrive at clinical decisions and
  • justify their decisions.

Studies indicated that frameworks for ethics workup can be a helpful tool for analyzing cases (Fasser et al. 2007). Based on their study’s findings, Alfandre and Rhodes (2009) argued that using an algorithm prompts students’ thinking and increases the likelihood that they will consider all the necessary details in the evaluation and that having a structure for the thought process ensures that the physician’s reasons for acting are transparent and explicit, which is likely to result in clearer communication with patients and colleagues and clearer documentation in medical records.

칼지안 외(2005)는 윤리적 분석에 대한 체계적인 전략은 초기 문제의 진술, 데이터 수집, 감별 진단, 정당한 계획의 명료화 등 임상적 추론 과정과 궤를 같이하기 때문에 윤리를 임상적 추론의 패러다임 안에 위치시킨다고 제안합니다. 또한, 이 전략은 윤리적 문제가 미리 진단되는 것이 아니라 평가 과정을 통해 드러난다는 점을 인식한다고 주장합니다.  
Kaldjian et al. (2005) suggest that a systematic strategy to ethical analysis situates ethics within the paradigm of clinical reasoning, because the trajectory of the strategy parallels the clinical reasoning process: a statement of the initial problem, gathering of data, a differential diagnosis, and articulation of a justified plan. Furthermore, they argue, this strategy recognizes that ethical problems do not arrive pre-diagnosed but emerge through a process of assessment.

윤리적 의사결정 모델의 몇 가지 예는 다음과 같습니다: 마이서 외(1995), 칼지안 외(2005), 알판드레와 로즈(2009), 엔크(2014), 존슨 외(2015). 윤리 원칙을 실제 문제에 적용하는 방법을 제공하며 윤리적 사례뿐만 아니라 모든 임상 사례에 사용할 수 있는 Jonsen 등(2015)의 "4가지 주제" 접근법을 적극 권장합니다. 각 임상 사례에 대한 정보는 네 가지 주제로 구성됩니다:

  • (1) 의학적 적응증(진단, 예후, 치료, 치료 목표, 환자에게 이익이 될 가능성),
  • (2) 환자 선호도(환자의 가치관에 따른 목표와 혜택 및 부담에 대한 평가),
  • (3) 삶의 질,
  • (4) 맥락적 특징(사례가 발생하는 사회적, 경제적, 법적, 제도적 맥락).

모든 사례에서 동일한 순서를 따라야 합니다. 이 프레임워크는 윤리적 문제를 식별하고 분석하는 체계적인 방법을 제공하며, 사건을 통해 합리적인 해결책을 찾을 수 있도록 안내합니다. 
Some examples of ethical decision-making models are described by the following: Myser et al. (1995), Kaldjian et al. (2005), Alfandre and Rhodes (2009), Enck (2014) and Jonsen et al. (2015). We highly recommend the very popular “four topics” approach by Jonsen et al. (2015) that provides a way for applying ethics principles to practical issues and can be used not only for ethical cases but also for any clinical encounter. For each clinical case, information is organized into four topics:

  • (1) medical indications (diagnosis, prognosis, treatment, goals of care, possibilities of benefiting the patient);
  • (2) patient preferences (the patient’s goals based on his or her values and assessment of benefits and burdens);
  • (3) quality of life; and
  • (4) contextual features (the social, economic, legal, and institutional contexts where the case occurs).

The same order should be followed in all cases. This framework provides a systematic method of identifying and analyzing ethical problems and guides thinking through the case to a reasonable resolution.

팁 7 "패러다임적 사례" 강조하기
Tip 7

Emphasize some “paradigmatic cases”


패러다임적 사례의료 윤리 원칙의 핵심 요소를 드러내는 실제 이전 사례입니다. 이러한 사례는 새로운 상황에 직면했을 때 '유추에 의한 추론'을 위해 의지하는 인지적 닻 역할을 할 수 있습니다. 칼지안 외(2005)는 이렇게 썼습니다,
Paradigmatic cases are actual, previous cases that reveal key elements of the principles of medical ethics. Such cases can serve as cognitive anchors that we turn to for “reasoning by analogy” when we are faced with a new situation. Kaldjian et al. (2005) wrote,

비교 가능한 사례를 참조할 때 우리는 유추를 통해 추론합니다. 이러한 종류의 사례 기반 추론은 임상 의학에서 일상적이며, 미지의 사례를 이전에 접한 사례와 비교하는 의사의 습관을 반영합니다. 윤리학에서 우리는 현재 사례를 비교하는 패러다임적 사례를 알고 있을 수 있습니다. 추론은 더 명확한 사례의 상황과 결론에서 덜 확실한 사례의 상황으로 진행됩니다. (p.309)
When referring to comparable cases, we reason by analogy. This kind of case-based reasoning is routine in clinical medicine and reflects the physician’s habit of comparing an unknown case to cases previously encountered. In ethics, we may be aware of paradigmatic cases … against which we compare a present case. Reasoning proceeds from the circumstances and conclusions of a clearer case to the circumstances of a less certain one. (p.309)

임상윤리학(Jonsen 외, 2015)에서는 4가지 임상 사례가 책 전체에 걸쳐 주요 사례로 등장하여 다양한 상황에서 치료의 목표가 달성되는 방식을 설명합니다. 본문이 진행됨에 따라 다양한 요점을 설명하기 위해 네 가지 사례의 세부 사항이 때때로 변경됩니다. 이 책에는 다른 많은 사례들이 포함되어 있지만, 특히 이 네 가지 사례는 정교하게 활용되어 학생들에게 깊은 인상을 남기며, 향후 실무에서 '패러다임'을 제시할 수 있기 때문에 특히 중추적인 역할을 할 수 있습니다. 마찬가지로, 윤리 강의에서는 학생들이 윤리적 원칙의 핵심 요소를 드러내는 몇 가지 주요 사례를 채택하여 학생들이 그 사례와 예시된 개념에 익숙해질 때까지 반복적이고 심도 있는 토론을 진행할 수 있습니다. 
In Clinical Ethics (Jonsen et al. 2015), four clinical cases reappear throughout the book as major examples to illustrate the ways in which the goals of care are achieved in different circumstances. As the text proceeds, details of the four cases are occasionally changed to illustrate various points. Although the book contains many other case examples, these four may be especially pivotal as their elaborated use leaves a deep impression on students, who may find these cases “paradigmatic” in their future practice. In the same way, an ethics course can adopt several major cases that reveal key elements of ethical principles for repeated and in-depth discussion until students are familiar with them and with the concepts illustrated.

팁 8 학생들의 실무 능력과 비판적 사고력 개발에 집중하기
Tip 8

Focus on students’ development of practical skills and critical thinking ability

사례 토론은 의료 윤리에 대한 학생의 개념적 이해를 높이는 것 외에도 다음과 같은 의사로서 필요한 일련의 실용적 기술을 개발하는 것을 목표로 해야 합니다:

  • (1) 윤리적 상황에 대한 민감성,
  • (2) 사례와 관련된 윤리적 문제 또는 쟁점 파악하기,
  • (3) 주어진 정보의 유용성과 중요성 인식하기,
  • (4) 필요한 정보가 누락된 것을 판단하기,
  • (5) 추가 정보를 찾는 방법 알기,
  • (6) 분석 틀을 사용하여 복잡한 상황을 사고하기,
  • (7) 정당한 행동 계획 수립 및 대안 파악하기,
  • (8) 윤리적 상황을 해결하는 행동 방침 선택하기,
  • (9) 환자 및 동료와 의사소통하기,
  • (10) 자기 성찰하기 

In addition to enhancing students’ conceptual understanding of medical ethics, case discussions should aim at students’ development of a set of practical skills that they will need as physicians, including:

  • (1) a sensitivity to ethical situations,
  • (2) identifying the ethical issue or issues involved in the case,
  • (3) recognizing the usefulness and significance of given information,
  • (4) determining what necessary information is missing,
  • (5) knowing how to find additional information,
  • (6) using analysis framework to think through complex situations,
  • (7) devising justifiable action plans and identifying alternatives,
  • (8) selecting a course of action that resolves the ethical situation,
  • (9) communicating with patients and peers and
  • (10) being self-reflective.

위의 행동 기술은 비판적 사고 기술입니다윤리적 사고는 의사가 윤리적 문제에 직면했을 때 수행하는 비판적 사고입니다. 97명의 의사-교육자가 의학에서 "비판적 사고"를 정의한 연구(Krupat 외. 2011)에 따르면, 비판적 사고는 다음 다섯 가지 범주의 행동으로 나타나는 능력으로 개념화되었습니다.

  • 데이터 수집에 관여
  • 정보의 조직화, 종합 및 활용, 
  • 환자와의 의사소통, 
  • 의사 결정 및 행동, 
  • 자기 성찰적인 방식으로 행동

윤리적 사고 과정은 일반적인 임상 문제 해결과 관련된 일련의 행동으로 구성되지만, 이 둘 사이의 유사점은 분명합니다. 따라서 학생들은 윤리 과목에서 특정한 초점과 목적을 가지고 비판적으로 사고하는 방법을 배워야 합니다.
The above action skills are critical thinking skills. Ethical thinking is critical thinking engaged in by physicians when faced with ethical issues. In a study of 97 doctor–educators’ definitions of “critical thinking” in medicine (Krupat et al. 2011), it was found that critical thinking was conceived of as an ability manifested by five categories of actions:

  • engaging in data gathering;
  • organizing, synthesizing and utilizing information;
  • communicating with patients;
  • making decisions and taking action; and
  • acting in ways that are self-reflective.

Although the ethical thinking process consists of a set of actions that are distinct from those involved in solving general clinical problems, the parallels between the two are obvious. Thus, students must learn how to think critically with a particular focus and purpose in the ethics course.

팁 9 교수자는 토론 전, 토론 중, 토론 후에 학생에게 방향을 제시해야 합니다.
Tips 9

Instructors must provide direction to students before, during and after discussion

교수자 및 기타 진행자의 역할은 토론 구조를 제공하고 그룹 프로세스를 촉진하는 것입니다. 교수자는 가이드라인을 제시하고, 토론 진행 상황을 평가하고, 조사하고, 코치하고, 학생들에게 적시에 방향과 피드백을 제공합니다. 세션이 끝나면 주요 주제를 정리하고, 주제 간의 연관성을 강조하고, 학생의 아이디어를 평가하고, 토론에서 발생한 문제를 파악하고, 추가 학습이 필요한 영역을 식별하여 토론 결과를 요약해야 합니다(Steinert 1996). 학생에게 토론 내용을 요약하도록 요청할 수 있지만, 교수자는 마무리로 최종적인 종합을 제공해야 합니다. 
Instructors’ and other facilitators’ role is to provide a discussion structure and facilitate group processes. They give guidelines, assess the discussion in process, probe, coach and give students timely directions and feedback. At the end of the session, they must summarize the discussion outcomes by pulling together the main themes, highlighting the links between topics, evaluating students’ ideas, identifying problems which have arisen from the discussion, and identifying areas for further study (Steinert 1996). Students can be asked to summarize the discussion, but the instructor must provide the final synthesis as closure.

소그룹 학습의 목표는 교사가 필요한 방향과 지원을 제공할 때만 달성할 수 있습니다. 고등 교육 분야의 연구에 따르면 학생에게 어느 정도의 지시를 제공해야 하는지에 대한 개념이 혼란스러운 경우가 많으며, 자기 주도적 학습을 강조하는 코스에서는 최소한의 교수법 접근 방식이 채택되는 경우가 많습니다(Miflin 외. 2000). 일부 교사가 채택하는 "핸즈오프" 접근 방식은 부적절하며 학생 학습 과정의 안내에 중점을 두는 접근 방식보다 생산성이 떨어질 수 있다는 증거가 있습니다(Miflin 외. 2000; Kirschner 외. 2006). 즉, 비지도식 학습 접근법이 인기가 있지만 지도식 교육이 더 생산적입니다. 의학교육에서 알바니즈와 미첼(1993)과 콜리버(2000)는 문헌을 검토한 결과 PBL이 지식과 임상 성과를 향상시킨다는 설득력 있는 증거를 찾을 수 없었다고 결론지었습니다. Kirschner 등(2006)은 이러한 차이의 부재를 교사가 학생에게 제공하는 지침이 부족하기 때문이라고 설명했습니다. 사례 토론 중에 학습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교사가 모니터링과 방향을 제시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The goals of small-group learning can be achieved only when necessary direction and support are provided by the teacher. Studies in higher education show that there is often confusion surrounding the notion of how much direction to provide for students and that the minimalist approach to teaching is often adopted in courses that emphasize self-directed learning (Miflin et al. 2000). There is evidence that the “hands-off” approach adopted by some teachers is inappropriate and may be less productive than approaches that place an emphasis on guidance of the student learning process (Miflin et al. 2000; Kirschner et al. 2006). In other words, although unguided learning approaches are popular, guided instruction is more productive. In medical education, Albanese and Mitchell (1993) and Colliver (2000) concluded that a review of the literature revealed no convincing evidence that PBL improves knowledge and clinical performance. Kirschner et al. (2006) attributed this lack of difference to the lack of direction provided by teachers to students. It is crucial for teachers to provide monitoring and direction in order for learning to occur during case discussions.

팁 10 사례 토론에 충분한 시간 할당
Tip 10

Allocate sufficient time to case discussions

소그룹 교육이 의대생의 도덕적 추론 능력을 크게 향상시킨다는 경험적 증거가 있지만, 이러한 효과는 학생들이 20시간 이상의 소그룹 교육에 노출된 경우에만 발생합니다(Self 외. 1998). 
There is empirical evidence to suggest that while small-group teaching significantly increases moral reasoning skills in medical students, this effect only occurs where students are exposed to 20 or more hours of small-group teaching (Self et al. 1998).

필요에 따라 수업 시간을 보충하기 위해 학생에게 개별적으로 또는 또래 그룹으로 윤리적 추론과 문제 해결을 연습해야 하는 과제를 부여할 수 있습니다. 교사는 학생에게 사례를 할당할 수 있지만, 학생은 임상 학습 경험 중에 사례를 식별하거나 수집할 수도 있습니다. 수업 중 토론과 마찬가지로 사례 기반 과제에서도 교사 또는 조교가 지도와 지원을 제공해야 합니다. 
To supplement in-class time as needed, students can be given assignments that require them to work individually or in peer groups to practice ethical reasoning and problem-solving. Teachers can assign cases to students, but students can also identify cases or collect them during their clinical learning experience. Like in-class discussions, case-based assignments also require that teachers or teaching assistants provide guidance and support.

팁 11 사례 방식에 지나치게 의존하지 않기
Tip 11

Avoid over-reliance on the case method

사례 방법의 장점에도 불구하고 사례 방법만이 유일한 교육 접근 방식이 되어서는 안 됩니다. 사례 토론은 원리와 기술의 적용을 학습하는 데 효과적인 장치이지만, 학생들에게 개념과 분석 방법을 가르치는 최선의 방법은 아닙니다. 사례 토론을 주된 교수법으로 사용하면 윤리적 또는 법적 지식의 기초를 소홀히 할 수 있으며 학생들이 이론적 개념에 대한 노출을 감소시킬 수 있습니다(Menzel 2009). 강의, 모의 또는 실제 환자, 독서, 세미나, 소그룹 사례 토론, 의사 또는 윤리학자와의 회진, 개인 또는 그룹 프로젝트 등 다양한 교육 도구를 혼합하여 원하는 이론과 일반적인 윤리적 문제를 체계적으로 다룰 수 있도록 해야 합니다. Shatzer(1998)가 주장한 바와 같이, 코스 내에서 여러 가지 방법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코스 간에 여러 가지 방법을 사용하는 것도 바람직합니다.

In spite of its strengths, case method should not be the only teaching approach. Case discussion is an effective device for learning the application of principles and skills, but it is not the best way of teaching concepts and analytic methods to students. Using case discussion as the staple method of teaching may lead to the neglecting of the foundations of ethical or legal knowledge and diminish students’ exposure to theoretical concepts (Menzel 2009). A mix of teaching tools should be used, including lectures, simulated or real patients, readings, seminars, small-group case discussion, rounds with physicians or ethicists, individual or group projects, and so on, to systematically cover the desired breadth of theory and common ethical problems. As Shatzer (1998) has argued, multiple methods within courses are desirable, as are multiple methods across courses.

팁 12 교육과 학생 평가의 연계
Tip 12

Link teaching and assessment of students

학습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해서는 교수 과정과 학생의 학습 평가가 일치해야 합니다. 평가와 교육을 연계함으로써 교사는 윤리적 분석과 추론이 필수 기술이라는 점을 강조할 수 있습니다. 학생들이 평가에 임상 사례에 대한 윤리적 추론의 적용이 포함된다는 것을 알면 이러한 기술을 습득하기 위해 학습을 구조화할 가능성이 높아집니다(Myser 외. 1995). 사례에 기반한 윤리적 추론이 평가에 포함되는 경우 학생은 사례 토론을 진지하게 받아들이고 사례 토론을 통해 가장 잘 발달되는 사고 기술을 습득하기 위해 노력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사례 기반 평가의 경우 학생은 사례 분석 능력을 입증하는 논문 또는 보고서를 작성할 수 있습니다. 학생들은 관련된 윤리적 문제와 원칙을 파악하고, 사례에서 제시된 문제에 대한 분석과 가능한 해결책을 제시하고, 향후 이러한 딜레마를 피하기 위해 무엇을 할 수 있는지 제안해야 할 수 있습니다(Alyousefi 외. 2016). 윤리 OSCE와 같은 행동 지향적 평가 도구도 사용할 수 있습니다(Mitchell 외. 1993). 학생 평가의 방법과 기준은 코스 오리엔테이션에 포함되어 학생에게 명확하게 전달되어야 합니다. 
The teaching process and the assessment of students’ learning must align in order to maximize the learning gain. By linking assessment and teaching, teachers reinforce the centrality of ethical analysis and reasoning as essential skills. When students know that their assessment will involve the application of ethical reasoning to clinical cases, they are more likely to structure their learning to acquire those skills (Myser et al. 1995). When assessment involves ethical reasoning based on cases, students are more likely to take the case discussions seriously and to strive to acquire the thinking skills that are best developed through case discussions. For case-based assessments, students can write papers or reports demonstrating their case analysis ability. They can be required to identify the ethical issues and principles involved, provide an analysis and possible solutions to the issues presented by the cases and propose what could be done to avoid such a dilemma in the future (Alyousefi et al. 2016). Action-oriented assessment tools such as the ethics OSCE can also be used (Mitchell et al. 1993). The methods and criteria for student assessment should be included in the course orientation and made clear to students.

결론
Conclusions

연구에 따르면 전문가는 레지던트나 학생보다 윤리적 결정에 도달하는 과정에서 더 많은 관련 변수를 고려하며, 윤리적 문제 해결에 대한 전문성은 이러한 결정을 내리는 데 사용된 추론에 따라 차별화될 수 있습니다(Tsai 외. 2009). 또한 의료 윤리를 가르치면 학생들의 추론 능력이 향상될 수 있으며, 이러한 능력 향상은 강의만 하는 것보다 소그룹 사례 토론에 노출될 때 더 많이 나타나고, 학생들은 의학교육 기간 내내 이러한 능력을 유지한다는 사실도 밝혀졌습니다(Self et al. 1989; Self and Olivarez 1996). 이러한 연구 결과는 의료 윤리를 가르칠 때 사례를 사용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을 강조합니다. 이 글에서 제공하는 팁이 의학교육자에게 실질적인 통찰력을 제공할 수 있기를 바랍니다.

Research has found that experts consider more relevant variables in the process of arriving at ethical decisions than do residents or students and that expertise in solving ethical problems can be differentiated according to the reasoning used to make those decisions (Tsai et al. 2009). It has also been found that teaching medical ethics can increase students’ reasoning skills, that these increases come more from exposure to small-group case discussions than from lectures alone and that students retain these skills throughout their entire years of medical education (Self et al. 1989; Self and Olivarez 1996). These findings highlight the importance of using cases to teach medical ethics. We hope that the tips provided in this article can offer some practical insight to medical educators.

 

 


 

 

Med Teach. 2018 Jun;40(6):633-638. doi: 10.1080/0142159X.2017.1390218. Epub 2017 Oct 23.

 

 

Twelve tips for using clinical cases to teach medical ethics

Affiliations collapse

1a Department of Medicine , University of Chicago , Chicago , IL , USA.

PMID: 29058565

DOI: 10.1080/0142159X.2017.1390218

Abstract

The essential role of clinical case discussions in the teaching of medical ethics is well recognized. Based upon published literature and the authors' curricular development experience, the following 12 tips cover all major aspects of the case method for teaching clinical ethics and offer practical suggestions for designing and conducting case discussions.

성공적으로 메디컬 인포그래픽을 만드는 열두 가지 팁(Med Teach, 2021)
Twelve tips to make successful medical infographics
Sergio Hernandez-Sancheza , Victor Moreno-Pereza, Jonatan Garcia-Camposb , Javier Marco-Lledob, Eva Maria Navarrete-Mu~noza and Carlos Lozano-Quijadaa 

 

소개
Introduction

인포그래픽은 데이터나 개념을 대상에게 명확하고 간결하게 전달하기 위해 시각적 요소를 사용하여 정보를 그래픽으로 묘사하는 시각적 커뮤니케이션 도구입니다(Lankow 외. 2012). 그래픽과 텍스트가 결합된 데이터 시각화는 정보를 이해하기 쉽게 만들고 복잡한 개념을 접근 가능하고 재미있는 방식으로 전달할 수 있는 훌륭한 방법이 되었습니다(McCrorie et al. 2016).  
Infographic is a visual communication tool for depicting information graphically by using visual elements to communicate data or concepts clearly and concisely to a targeted audience (Lankow et al. 2012). A data-visualisation combination of graphics and text makes information easy to understand and have become an excellent way to communicate complex concepts in an accessible and even entertaining manner (McCrorie et al. 2016).

인포그래픽은 다양한 주제(인구통계, 사회경제학 등)를 다루는 핵심 메시지를 전달하는 데 사용되며, 점점 더 의료와 관련된 많은 측면을 다루는 데 사용되고 있습니다(Matrix and Hodson 2014). 인포그래픽은 환자와 의료 전문가에게 건강 메시지를 전달할 수 있는 매력적인 전략으로 간주됩니다(Scott 외. 2016; Stonbraker 외. 2019). 
Infographics are used to communicate key messages covering a wide range of topics, (demographics, socioeconomics, etc.) and increasingly, many aspects related to health care (Matrix and Hodson 2014). These are considered an attractive strategy for conveying health messages to patients and healthcare professionals (Scott et al. 2016; Stonbraker et al. 2019).

인포그래픽은 과학 논문을 보완하고 가치를 더하기 위해 의학 교육과 연구 보급에서 적극적인 학습 전략으로 점점 더 많이 사용되고 있습니다(Ibrahim 외. 2017; Shanks 외. 2017). 교육 도구로서 인포그래픽은 학부 의대생에게 혁신적이고 동기를 부여하는 전략으로, 제작 시 능동적이고 심층적인 학습을 촉진하고 복잡한 정보를 요약하여 볼 때 인지 부하를 최소화할 수 있습니다(Matrix and Hodson 2014; Shanks 등. 2017). 
Infographics are increasingly being used as an active learning strategy in medical education and in research dissemination to complement and add value to scientific papers (Ibrahim et al. 2017; Shanks et al. 2017). As a teaching tool, infographics are an innovative and motivating strategy for undergraduate medical students, that is, to promote active and deep learning when created and to summarise complex information that minimises the cognitive load when viewed (Matrix and Hodson 2014; Shanks et al. 2017).

인포그래픽을 통해 얻은 정보는 텍스트만으로 얻은 정보보다 더 오래 기억될 가능성이 높으며(Murray, Murray, Wordie, Oliver, Murray 등 2017), 환자 교육에 활용하면 장기적으로 약물 요법 순응도를 높이는 데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습니다(Ebrahimabadi 외. 2019). 
Information from infographics is more likely to be retained than that from text alone (Murray, Murray, Wordie, Oliver, Murray, et al. 2017), and for patient education has shown to be effective in improving adherence to medication regimens in the long term (Ebrahimabadi et al. 2019)

인포그래픽은 연구 결과를 간결하고 시각적으로 매력적인 방식으로 보여줄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임상의들 사이에서 연구 결과에 대한 인식과 전파를 높일 수 있습니다(이브라힘 외. 2017; 마틴 외. 2019). 점점 더 많은 과학 저널에서 저자에게 원고의 그래픽 요약본을 제출하도록 요청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정보 제공 매체는 독자의 선호도가 높고 초록 검토 시 인지 부하가 적은 것과 관련이 있습니다(Martin 외. 2019). 또한 소셜 미디어에서 인포그래픽을 통해 홍보된 연구 논문은 '알트메트릭' 점수와 초록 조회 수가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Huang et al. 2018). 영국의학저널과 같은 일부 저명한 출판사에는 이미 인포그래픽 섹션이 있습니다. 

Infographics can show research findings in a concise and visually appealing manner. By so doing, they also increase awareness and dissemination of the research findings among clinicians (Ibrahim et al. 2017; Martin et al. 2019). An increasing number of scientific journals request that authors submit graphic summaries of their manuscripts. This medium for presenting information has been associated with a higher reader preference and a lower cognitive load during an abstract review (Martin et al. 2019). Moreover, research papers promoted through infographics on social media have been associated with increased ‘Altmetric’ scores and the number of abstract views (Huang et al. 2018). Some prestigious publishers, such as the British Medical Journal, already have an infographics section (https://www-bmj-com-ssl.access.hanyang.ac.kr:8443/infographics).

현재 여러 기관과 보건 단체에서 웹사이트에 인포그래픽 섹션을 만들어 콘텐츠를 배포하고 있습니다. 세계 보건 기구, 미국 공중 보건 협회 또는 질병 통제 및 예방 센터 등이 대표적인 예입니다. 
Different institutions and health organizations currently have an infographics section on their websites to disseminate content. Some relevant examples are the World Health Organization (https://www.who.int/mediacentre/infographic/en), the American Public Health Association (https://www.apha.org/news-and-media/multimedia/infographics) or the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https://www.cdc.gov/globalhealth/infographics/default.html).

잘 만들어진 인포그래픽의 핵심 메시지를 포착하는 데는 몇 초밖에 걸리지 않습니다. 그러나 디자인 과정에는 훨씬 더 많은 시간과 노력이 필요합니다(Murray, Murray, Wordie, Oliver, Simpson 외. 2017). 그렇다면 무엇이 좋은 인포그래픽을 만들까요? 인포그래픽을 제작할 때 핵심 요소를 파악하는 것은 인포그래픽의 목적을 달성하고 성공적으로 배포하는 데 필수적입니다. 이러한 이유로 이 작업의 목적은 인포그래픽의 제작, 디자인 및 배포에 있어 기본적인 요소를 12가지 팁을 통해 보여주는 것입니다. 이 12가지 팁을 수행하기 위해 건강 또는 의료, 인포그래픽 또는 인포그래픽이라는 단어를 사용하여 Pubmed 데이터베이스에 포함된 논문 정보를 찾습니다. 또한 책과 블로그 등 다른 출처를 참고하고 이 문헌 검토와 경험을 바탕으로 12가지 팁을 제공합니다. 
Capturing the key message of a well-made infographic should take only a few seconds. However, the process of design takes much more time and effort (Murray, Murray, Wordie, Oliver, Simpson, et al. 2017). So, what makes a good infographic? Knowing the key elements in its preparation is essential for achieving the objective with which it is conceived and for disseminating it successfully. For this reason, the aim of this work is to show by 12 tips those fundamental elements in its creation, design, and dissemination. To perform these 12 tips we look for information of papers included in the Pubmed database using the words health or medical and infographics or infography. Besides, we consult other sources as book and blogs and we provide twelve tips based on this literature review and our experience.

팁 1 타겟 고객을 정의하세요: 그들의 선호도를 파악하고 영향력을 확보하세요
Tip 1

Define the target audience: Know their preferences, and gain impact

인포그래픽을 제안하기 위한 첫 번째 단계는 인포그래픽이 도달하고자 하는 대상을 명확히 하는 것입니다(Murray, Murray, Wordie, Oliver, Murray 외. 2017). 인포그래픽의 접근 방식은 대상 고객과 관련된 연령(어린이, 청소년, 성인 또는 노인), 역할(환자, 전문가, 간병인, 학생) 또는 교육 수준과 같은 요인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Kibar and Akkoyunlu 2017). 
A first step towards proposing an infographic is to be clear whom it is intended to reach (Murray, Murray, Wordie, Oliver, Murray, et al. 2017). The approach of the infographic will vary, depending on factors, such as age (kids, young population, adult or elders), role (patients, professionals, caregivers, students), or educational level (Kibar and Akkoyunlu 2017) related to the target audience.

따라서 타겟 고객을 이해하는 것은 인포그래픽을 배포하기 위한 색상, 이미지, 공간 구성 또는 커뮤니케이션 채널과 같은 후속 디자인 요소를 선택하는 데 중요한 요소입니다(Arcia et al. 2016; Wansink and Robbins 2016). 따라서 디자인 초기부터 인포그래픽 최종 사용자의 의견을 고려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는 추후 인포그래픽의 수용성을 높일 수 있기 때문입니다(Atenstaedt 2019). 
Therefore, understanding the target audience is a factor that is crucial for choosing the subsequent design elements, such as the colours, images, spatial organisation, or the communication channel to disseminate the infographics (Arcia et al. 2016; Wansink and Robbins 2016). For this reason, it would be desirable to take into account, from the beginning of the design, the opinion of the infographics end users as this can increase the subsequent receptivity of the infographics (Atenstaedt 2019).

또한 인포그래픽은 타겟 청중의 특정 선호도와 요구를 충족시켜야 합니다(Hamaguchi 외. 2020; Stonbraker 2020). 연구 결과를 발표할 때 Crick과 Hartling(2015)은 인포그래픽이 청중을 위해 과학적 결과를 요약하는 데는 미학적으로 매력적이지만, 비판적 평가 형식이 더 이해하기 쉬운 것으로 간주된다는 사실을 발견했습니다. 따라서 인포그래픽은 대상 집단에 호소력이 있으며, 인포그래픽이 누구를 위한 것인지 이해하는 것부터 시작해야 합니다(Harrison 외. 2015). 
In addition, infographics need to cater to specific preferences and needs of their target audiences (Hamaguchi et al. 2020; Stonbraker 2020). For the presentation of research results, Crick and Hartling (2015) found that infographics were considered aesthetically appealing for summarising scientific results for an audience, but critical appraisal formats were considered to be more comprehensible. Therefore, an infographic does appeal to the target population and begins with an understanding of who it is for (Harrison et al. 2015).

팁 2 인포그래픽의 목적 설정
Tip 2

Set the purpose of the infographics

성공적인 인포그래픽을 개발하려면 작성자가 전달하고자 하는 메시지가 무엇인지 명확해야 합니다(Murray, Murray, Wordie, Oliver, Murray 외. 2017). 하나의 명확한 학습 목표에 초점을 맞추는 것이 좋습니다(Dunlap and Lowenthal 2016). 목표에 따라 인포그래픽 유형은 내러티브형, 탐색형 또는 혼합형 중 하나를 고려해야 합니다(Lankow 2012).

  • 탐색형 인포그래픽교육 및 연구 목적으로 자주 사용되며 객관적인 정보를 명확하게 제공합니다. 데이터를 나타내는 요소만 사용한 미니멀한 디자인이 특징입니다.
  • 내러티브 인포그래픽정보를 제공하고 재미를 주는 매력적인 비주얼을 사용하거나 감정을 불러일으켜 시청자의 의견을 이끌어내려고 합니다. 

To develop a successful infographic, the author must be clear about what he or she wants to communicate (Murray, Murray, Wordie, Oliver, Murray, et al. 2017). It is recommended that the focus be a single clear learning objective (Dunlap and Lowenthal 2016). Depending on the objective, the type of infographic should be considered: narrative, explorative, or mixed (Lankow 2012). An explorative infographic is frequently used for educational and research purposes, clearly providing objective information. A minimalistic design with only elements that represent data is characteristic. Narrative infographic seeks to sway the opinion of the viewer by using engaging visuals that inform and entertain, and even by trying to evoke emotion.

예를 들어, 'how-to' 인포그래픽은 일반적으로 특정 절차를 수행하는 방법에 대한 정보를 검색하는 사용자에게 호평을 받습니다(Arcia 외. 2019). 연구 및 임상 환경에서는 특정 방법론, 기술 절차 또는 치료적 개입을 시각적인 방식으로 설명하고 공유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Ibrahim 외. 2017; Hsiao 외. 2019).
For example, ‘how-to’ infographics are usually well received by users who are searching for information about how to perform some procedure (Arcia et al. 2019). In research and clinical settings, it may help explain and share specific methodologies, technical procedures, or therapeutic interventions in a visual way (Ibrahim et al. 2017; Hsiao et al. 2019).

팁 3 청중의 관심을 끌고 지속시킬 수 있는 매력적인 제목을 생각해 보세요.
Tip 3

Think of a compelling title to attract and sustain the audience’s attention

인포그래픽을 처음 보는 몇 초 동안은 청중의 관심을 끌기 위해 필수적입니다(Murray, Murray, Wordie, Oliver, Murray 외. 2017). 이 과정에서 독자의 시선을 사로잡는 한 가지 목적은 일반적으로 인포그래픽의 제목입니다(Majooni 외. 2018). 가장 강력한 회상 예측 변수 중 하나로 설명되는 액션 지향적 제목은 인포그래픽을 기억에 남고 설득력 있게 만드는 것으로 보입니다(Wansink and Robbins 2016). 청중의 관심을 빠르게 불러일으키기 위해 제목에 강력하고 영향력 있는 단어를 몇 개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Quispel 외. 2018). 목적을 설명하고 청중의 호기심을 자극하기 위해 더 암시적인 부제를 사용할 수 있으므로 정교한 제목을 가질 필요는 없습니다.  
The first few seconds of viewing an infographic are essential to attract the attention of the audience (Murray, Murray, Wordie, Oliver, Murray, et al. 2017). In this process, one objective of the reader’s gaze is usually the title of the infographic (Majooni et al. 2018). Action-oriented titles, described as one of the most robust predictors of recall, seem to make infographics memorable and compelling (Wansink and Robbins 2016). It is recommended that a few powerful and impactful words be used in the title to arouse the audience’s interest quickly (Quispel et al. 2018). It is not necessary to have an elaborate title because a more suggestive subtitle can be used to explain the objective and stimulate the audience’s curiosity.

예를 들어, 과학 연구에서 가장 영향력 있는 연구 결과 또는 실제 적용(Murray, Murray, Wordie, Oliver, Murray 등 2017; Balkac and Ergun 2018; Huang 등 2018) 또는 환자 교육, 질병 자가 관리 또는 예방 능력(Arcia 등 2019; Stonbraker 등 2019) 등이 이에 해당할 수 있습니다. 
In scientific research, for example, this could be the most impactful finding or practical application of the study (Murray, Murray, Wordie, Oliver, Murray, et al. 2017; Balkac and Ergun 2018; Huang et al. 2018) or of patient education, an ability to self-manage or prevent a disease (Arcia et al. 2019; Stonbraker et al. 2019).

팁 4 '요점을 바로 잡으세요': 투명성 확보
Tip 4

‘Get straight to the point’: Be transparent


인포그래픽은 복잡한 아이디어나 데이터를 간단한 그래픽 스토리로 변환하여 청중에게 정보를 제공하고 교육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Martin 외. 2019). 따라서 단순하고 시각적으로 강력한 메시지를 사용하는 것이 필수적입니다. (Arcia 외. 2016). 콘텐츠 디자인에 있어 최소한의 접근 방식은 주의가 분산되는 것을 피하기 위해 선호됩니다(Quispel 외. 2018). 
An infographic aims to transform complex ideas or data into simple graphic stories to inform and educate the audience (Martin et al. 2019). For this reason, it is essential to use simple and visually powerful messages. (Arcia et al. 2016). A minimalistic approach in the design of the content is preferred to avoid scattered attention (Quispel et al. 2018).

명확하게 말하면, 인포그래픽은 적절한 언어를 사용하고, 짧은 문장을 활용하며, 긴 단락을 피해야 합니다(Royal and Erdmann 2018). 환자 교육용 인포그래픽에서 기술 및 의학 전문 용어는 일반 독자의 가독성 수준을 높이는 경향이 있으므로 피하는 것이 좋습니다(Oliffe 외. 2019). 
To be clear, infographics should include adapted language, utilise short sentences, and avoid long paragraphs (Royal and Erdmann 2018). It is advisable to avoid technical and medical jargon in the infographics for patient education because such language tends to raise the readability level out of the range of the average reader (Oliffe et al. 2019).

팁 5 스토리텔링이 핵심
Tip 5

Storytelling is key

인포그래픽 제작에는 단순한 이미지와 텍스트의 편집 이상의 것이 포함됩니다(McCrorie 외. 2016). 인포그래픽에 내러티브를 통합하여 미리 정의된 스크립트에 대한 독자의 관심을 유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시작과 끝이 명확하면 독자가 작성자가 의도한 순서대로 정보를 처리할 수 있으므로 청중이 핵심 메시지를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Botsis 외. 2020). 연구 결과를 전달할 때 Murray, Murray, Wordie, Oliver, Murray 등(2017)은 정보, 선, 화살표 또는 기타 시각적 요소의 '노드'를 사용하여 청중을 인포그래픽으로 안내하고 연구 스토리의 다른 섹션을 연관시키는 것을 고려할 것을 권장했습니다. 
Making an infographic involves more than a mere compilation of images and text (McCrorie et al. 2016). It is important to incorporate a narrative into the infographics to sustain the reader’s attention on a predefined script. Having a clear start and end ensures that the reader processes the information in the order in which the author intends, thus helping the audience understand the key messages (Botsis et al. 2020). In the case of communicating research results, Murray, Murray, Wordie, Oliver, Murray, et al. (2017) recommended considering the use of ‘nodes’ of information, lines, arrows, or other visual elements to guide the audience through the infographic and to relate different sections in the research story.

환자를 위한 교육용 인포그래픽의 경우, 중심 스토리의 존재가 특히 중요한데, 이는 환자가 행동을 취하거나 건강 관련 행동을 바꾸도록 유도하는 데 도움이 되기 때문입니다(Arcia 외. 2019). 
In the case of educational infographics for patients, the existence of a central storyline is especially important since it facilitates inducing them to take action or even to change their health-related behaviour (Arcia et al. 2019).

마지막으로, 인포그래픽의 스토리와 메시지는 신뢰할 수 있어야 합니다. 따라서 사용 된 참조 및 리소스를 인용하는 것은 필수입니다 (Shanks et al. 2017). 청중은 제시된 데이터(텍스트, 차트 및 그림)의 출처를 알아야 하며, 이는 제시된 정보에 대한 신뢰도를 높이는 것과 관련이 있습니다(Wilkinson 외. 2016).
Finally, the story and messages behind the infographics must be credible. Therefore, citing the used references and resources is mandatory (Shanks et al. 2017). The audience must know the origin of the presented data (text, charts, and figures), which has been related to greater confinement to the information presented (Wilkinson et al. 2016).

 

팁 6 주요 아이디어를 강조할 수 있는 방법 찾기 
Tip 6

Find a way to highlight the main ideas

인포그래픽은 청중이 제시된 정보를 이해할 때 효과적입니다(Lankow 외. 2012). 따라서 인포그래픽의 관련 구성 요소의 크기를 늘리고, 눈에 띄는 색상을 사용하고, 앞서 언급한 대로 인포그래픽에 매력적인 제목을 붙이는 등 핵심 메시지를 강조해야 합니다(Murray, Murray, Wordie, Oliver, Murray 등, 2017; Wansink and Robbins 2016).
Infographic works if the audience understands the information presented (Lankow et al. 2012). Therefore, key messages must be emphasised, for example, by increasing the size of the relevant components of the infographics, by using striking colours and by giving the infographic a compelling title as mentioned before (Murray, Murray, Wordie, Oliver, Murray, et al. 2017; Wansink and Robbins 2016).

저자가 과학적 데이터를 배포하려는 경우, 인포그래픽은 전체 연구 논문을 담는 캔버스가 아니라 연구에 대한 시각적 요약을 제공하는 데 사용해야 합니다(Hsiao 외. 2019). 텍스트는 간결해야 하며 시각적으로 제시된 측면을 강화할 뿐만 아니라 명확성을 제공하는 역할을 해야 합니다(Balkac and Ergun 2018). 
When the author seeks to disseminate scientific data, infographics should be used to provide a visual summary of the research rather than as a canvas on which to dump the full research paper (Hsiao et al. 2019). The text should be brief and serve to provide clarity as well as to reinforce the aspects that are presented visually (Balkac and Ergun 2018).

핵심 메시지가 그래픽으로 제대로 표현되었는지 평가하는 한 가지 방법은 '텍스트 없음 테스트'를 적용하는 것입니다. 즉, 인포그래픽에서 텍스트를 제거하고 스토리를 이해했는지 평가하는 것입니다. 따라서 이 테스트는 시각적 요소의 관련성을 테스트하는 것입니다(Burgio and Moretti 2017). 
One way to assess whether the key messages are properly represented graphically is to apply the ‘no text test’, that is, remove the text from the infographic and assess whether the story is understood. It is, therefore, a test of the relevance of the visual elements (Burgio and Moretti 2017).

새로운 인포그래픽 디자인을 시작할 때 화가 한스 호프만의 '불필요한 것을 제거하여 필요한 것이 말할 수 있도록 하라'는 말을 기억하는 것이 유용합니다. 
When starting the design of a new infographic it is useful to remember the quotation from painter Hans Hoffman: ‘Eliminate the unnecessary so the necessary can speak’.

팁 7 인포그래픽 초안 작성
Tip 7

Draft the infographic

인포그래픽의 초안은 종이에 펜으로 작성하여 창의력을 발휘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좋습니다(Khoury 외. 2019). 디지털 사본으로 작업하기 전에 다양한 디자인 구성, 개념 및 그 관계를 고려하고 시각적 요소(유형, 위치, 크기 등)의 사용을 계획할 수 있습니다(Shanks 외. 2017). 인포그래픽의 모든 항목은 의미 있는 정보를 전달해야 합니다(Stones and Gent 2015). 다른 성공적인 인포그래픽을 보면서 아이디어를 얻을 수 있습니다.  
It is recommended that a draft of the infographic be made with a pen on a sheet of paper, allowing creativity flow (Khoury et al. 2019). Different design configurations, concepts, and their relationships may be considered, and the use of visual elements (type, position, sizes, etc.) may be planned before working with a digital copy (Shanks et al. 2017). Every item on an infographic should convey meaningful information (Stones and Gent 2015). It is possible to get ideas by looking at other successful infographics.

초안을 작성하는 동안 모양은 중요하지 않습니다. 우선 순위는 아이디어를 개괄하고 제시 할 주제와 주제를 구성하는 것입니다. 그러나 '외형적인 장식은 근본적인 콘텐츠 부족을 결코 구제할 수 없다'고 강조한 Tufte(2006)의 말을 기억할 필요가 있습니다. '적은 것이 더 많다'는 개념은 모든 디자인을 공유 가능하게 만드는 데 이상적입니다. 작은 용기에 많은 양의 정보를 담으려면 대화 중 휴식을 나타내는 데 사용할 수 있으므로 전략적인 공백은 필수입니다(2018년 11월 15일 K Tombok이 Easy.ly에 게시한 글): 인포그래픽 디자인 및 데이터 시각화의 공백: 예, 아니오?). 
During the drafting, the appearance does not matter. The priority is to outline the ideas and organise the themes and topics that will be presented. However, it is worth remembering Tufte (2006) who emphasised that ‘cosmetic decoration will never salvage an underlying lack of content’. The ‘less is more’ concept is ideal for making any design shareable. For a large amount of information in a small container, strategic white spaces are mandatory since they can be used to represent breaks during a conversation (15 November 2018 posting by K Tombok to Easy.ly: White space in Infographics Design and Data Vizualization: Yay or Nay?).

팁 8 그래픽 디자인의 기본 원칙을 따르세요
Tip 8

Follow the basic principles of graphic design

인포그래픽을 디자인하는 것은 즐겁고 창의적인 과정이지만, 좋은 최종 결과를 얻으려면 몇 가지 기본 디자인 권장 사항을 따라야 합니다(Abilock and Williams 2014). 시각적 요소로 좋은 첫인상을 남기려면 청중의 시선을 사로잡고 유지하는 것이 필수적입니다(Harrison 외. 2015). 스톤스와 젠트(Stones and Gent, 2015)가 발간한 '공중 보건 인포그래픽 디자인 매뉴얼의 원칙'이라는 제목의 가이드를 읽어보는 것을 적극 권장합니다. 
Although designing an infographic is an enjoyable and creative process, some basic design recommendations should be followed to achieve a good final result (Abilock and Williams 2014). To achieve a good first impression with visuals is essential to catch and keep the attention of the audience (Harrison et al. 2015). We strongly recommend reading the guide titled ‘Principles of Public Health Infographic Design Manual’ published by Stones and Gent (2015).

인포그래픽 초안이 준비되면 사용자 친화적인 여러 온라인 도구(Piktochart, Canva, Vengage, Genial.ly, Easel.ly, Visual.ly 등)를 사용하여 공식적인 인포그래픽 템플릿으로 변환할 수 있습니다(Wright 2016). 결과를 최적화할 수 있는 전문 그래픽 디자이너와의 협업은 항상 고려해야 합니다(Burgio and Moretti 2017; Khoury et al. 2019). 다음은 인포그래픽을 디자인할 때 고려해야 할 몇 가지 기본적인 디자인 측면입니다: 

When the infographic draft is ready, there are available several user-friendly online tools (Piktochart, Canva, Venggage, Genial.ly, Easel.ly, Visual.ly, among others) that may be used to transform it into a formal infographic template (Wright 2016). The collaboration with a professional graphic designer who can optimize the result should always be considered (Burgio and Moretti 2017; Khoury et al. 2019). The following are some fundamental design aspects to consider when designing an infographic:

  • 글꼴. 두세 가지 이상의 서로 다른 유형의 글꼴을 사용하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Kibar and Akkoyunlu 2017). 사용되는 배경색에 따라 글꼴 색상을 선택하고 디자인 전체에 일관성을 유지하세요.
    Fonts. It is recommended that not more than two or three different types of fonts be used (Kibar and Akkoyunlu 2017). Choose a font colour based on the background colour being used and be consistent throughout the design.
  • 그래픽 및 차트. 데시몬과 던컨(1995)은 사람들은 한 번에 시각 자료의 한 부분에만 주의를 기울일 수 있으며, 여러 요소가 있으면 주의 집중 시간이 상당히 줄어든다고 말했습니다. 전달하고자 하는 내용에 따라 그래픽을 신중하게 선택해야 합니다(스톤브레이커 외. 2020). 예를 들어, 사건의 시간 순서를 나타내는 타임라인, 그룹화 관계를 보여주는 클러스터(예: 벤 다이어그램), 비교와 대조가 작성자의 의도인 경우 막대형 차트 등이 있습니다. 스톤브레이커 등(2019)의 연구에 따르면 인포그래픽 형태의 건강 통계를 받은 환자가 자신의 질환 위험을 정확하게 예측하고 다음 단계에 대한 중요한 결정을 내릴 확률이 2.84배 높았습니다.
    Graphics and charts. Desimone and Duncan (1995) stated that people can only pay attention to one part of the visuals at a time, and having multiple elements considerably reduces the attention span. The graphics should be carefully chosen based on what is intended to be communicated (Stonbraker et al. 2020). For example, timeline for the chronological sequence of events; cluster (e.g. a Venn diagram) to show grouping relationships, or a bar chart when comparison and contrast is the author’s intention. Stonbraker et al. (2019) found that patients who received health statistics in infographic form were 2.84 times more likely to estimate the risk of their conditions accurately and make important decisions about their next steps.
  • 이미지 및 그림. 이미지는 인포그래픽의 기본 요소입니다(Khoury 외. 2019). 시각적 요소는 청중의 시선을 사로잡고 이해도와 암기력을 높일 수 있습니다(Brigham 2016).
    Images and figures. Images are a fundamental element of infographics (Khoury et al. 2019). Visual elements can grab an audience’s attention and even increase comprehension and memorisation (Brigham 2016).

시각적 초록과 관련된 과학 논문은 텍스트만 있는 초록으로 출판된 논문보다 열람 가능성이 3배 더 높으며, 심지어 해당 논문이 출판된 저널의 알트메트릭 점수 및 초록 조회수 증가와도 관련이 있다는 보고가 있습니다(Thoma et al. 2018). 모든 시각적 요소는 인포그래픽에 정보를 제공해야 합니다. 청중의 주의를 산만하게 하는 장식적인 시각적 요소는 피해야 합니다(Dunlap and Lowenthal 2016). 
It has been reported that scientific articles associated with a visual abstract are three times more likely to be viewed than are articles published with text-only abstracts, and have even been associated with increased Altmetric scores and abstract views of the journal in which they are published (Thoma et al. 2018). All visual elements must contribute information to the infographics. Decorative visuals that distract the audience should be avoided (Dunlap and Lowenthal 2016).

작성자가 소유하든 디지털 리포지토리(플리커, 픽사베이, 프리픽 등)에서 제공하든 모든 이미지는 인포그래픽에 가치를 더하기 위해 품질 및 해상도 표준을 충족해야 합니다. 가능한 한 조명 효과, 배경 및 어두운 영역의 수가 동일한 사진을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Burgio and Moretti 2017).
Whether owned by the author or by digital repositories (Flicker, Pixabay, Freepick, etc.), all images must meet quality and resolution standards to add value to the infographic. As far as possible, photos with the same lighting effects, backdrops, and the number of dark areas are recommended (Burgio and Moretti 2017).

인포그래픽에서 이미지의 위치와 관련하여 Mayer(2009)는 학생들이 해당 단어와 그림이 서로 멀리 떨어져 있는 것보다 서로 가까이 있을 때 더 잘 학습한다고 보고했습니다. Borgo 등(2012)은 '기억해야 할' 정보가 그 정보를 나타내는 이미지와 가까운 곳에 위치할 때 꾸밈이 장기기억에서 불러오는 정보의 속도와 정확성을 모두 향상시킨다는 사실을 발견했습니다. 
Regarding the location of images in the infographic, Mayer (2009) reported that students learn better when corresponding words and pictures are presented near each other rather than far from each other. In the same way, Borgo et al. (2012) found that embellishment aided both the speed and accuracy of information recalled from long-term memory when ‘to-be-remembered’ information was located closely to the image that represented it.

객체를 둘러싼 여백은 인포그래픽의 핵심 메시지를 강조하는 데 사용할 수 있다는 점을 기억하세요. 마지막으로 던랩과 로웬탈(2016)의 말을 빌리자면, 인포그래픽의 시각적 매력이 나쁜 콘텐츠를 보완할 수는 없다는 점을 기억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Remember that blank space surrounding objects can be used to highlight the key message of the infographic. Finally, in the words of Dunlap and Lowenthal (2016) it is important to remember that the visual appeal of an infographic will not make up for bad content.

팁 9 적절한 색상 선택
Tip 9

Choose colours appropriately


인포그래픽에 적절한 색상을 사용하면 청중이 콘텐츠를 더 쉽게 기억할 수 있습니다(Quispel 외. 2018). 인포그래픽의 색상은 포함 된 메시지를 명확히하는 데 도움이됩니다 (Arslan and Toy 2015). 실제로 특정 색상은 감정을 자극할 수 있으며(빨간색은 긴박감, 녹색은 자연과의 연결, 파란색은 진정 효과), 메시지를 강화하는 데 사용될 수 있습니다(Elliot 2015). 
When appropriate colours are used in the infographics, the audience can remember the content more easily (Quispel et al. 2018). The colours of infographics help clarify the embedded messages (Arslan and Toy 2015). Indeed, certain colour schemes can stir up emotions (red evokes a sense of urgency; green, connection with nature; blue can be used for its calming effect) and can be used to reinforce messages (Elliot 2015).

색상과 시각적 복잡성은 인포그래픽에서 정보 평가의 강력한 예측 인자로 확인되었습니다(Park and Tang 2019). 이는 색상을 신중하게 선택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매력적인 인포그래픽을 만들기 위한 기존 권장 사항에는 색상 팔레트에서 3~5가지 보색을 사용하는 것이 포함됩니다(Stones and Gent 2015). 인포그래픽 디자인에 색상을 사용할 때 추가로 고려해야 할 사항은

  • (i) 60-30-10 규칙입니다: 인포그래픽 영역의 60%에는 기본 색상을 사용하고, 30%에는 보조 색상을, 나머지 10%에는 강조 색상을 선택합니다.
  • (ii) 배경에 둔하고 차분한 색상을 사용합니다. 칙칙한 색상은 인포그래픽의 여백 역할을 하여 밝은 색상의 텍스트 및 기타 시각적 요소가 돋보일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Colour and visual complexity have been identified as strong predictors of information evaluation in infographics (Park and Tang 2019). This means that colours should be chosen carefully. Existing recommendations for creating engaging infographics include using three to five complementary colours on a colour palette (Stones and Gent 2015). Additional aspects when using colours in the infographic designs are

  • (i) the 60-30-10 rule: Use a primary colour for 60% of the area in the infographic; choose a secondary colour that covers 30% of the area, and finally, an accent colour, for the remaining 10%;
  • (ii) Use dull and muted colours in the background. Dull colours can serve as your infographic’s white space helping text and other visual elements in brighter colours stand out.

이 측면에 주의를 기울이는 것이 중요한 몇 가지 이유가 있습니다: 시각적 요소에 색상을 사용하면 독자의 집중력과 기억력이 82% 증가합니다(Chang and Xu 2019). 색상을 적절히 사용하면 올바른 데이터를 찾는 데 소요되는 시간이 70% 감소합니다(Dzulkifli and Mustafar 2013); 컬러를 사용한 메시지를 본 학습자는 같은 메시지를 흑백으로 읽은 학습자보다 메시지를 기억할 가능성이 39% 더 높았으며(Shankar and Amir 2020), 또한 독자의 55%는 흑백만 사용한 메시지에 비해 컬러를 사용한 메시지를 선호했습니다(Dzulkifli and Mustafar 2013). 임상 환경에서 Park과 Tang(2019)은 관련 색상과 적절한 시각적 복잡성으로 디자인된 인포그래픽이 피부암 예방을 홍보하는 데 효과적이라고 보고했습니다. 
Some reasons why it is important to pay attention to this aspect: There is an 82% increase in readers’ attention spans and recall through the use of colours in visuals (Chang and Xu 2019); 70% less time is spent finding the right data when colours are used properly (Dzulkifli and Mustafar 2013); learners who saw a message that utilised colours were 39% more likely to remember the message than those who read the same message in black and white (Shankar and Amir 2020), Also, 55% of readers preferred messaging that included the use of colours compared to messaging that used only black and white (Dzulkifli and Mustafar 2013). In a clinical setting, Park and Tang (2019) reported that infographics designed with relevant colours and appropriate visual complexity were effective in promoting skin cancer prevention.

팁 10 인포그래픽을 테스트하고 풍부하게 만들기
Tip 10

Test the infographics and try to enrich it

환자, 간병인 및 일반 대중과의 효과적인 건강 커뮤니케이션은 매우 중요합니다. 인포그래픽을 게시하기 전에 '인포그래픽의 영혼'이 타겟 고객에게 전달되는지 확인하려면, 의도한 대상의 사람들을 대상으로 파일럿 테스트를 하거나 평가하는 것이 좋습니다(Arcia 외. 2019; Stonbraker 외. 2019).
Effective health communication with patients, caregivers, and the general public is critical. To verify that ‘the soul of the infographic’ reaches the target audience before publishing it, a recommended strategy is to pilot or evaluate it on people from the intended audience (Arcia et al. 2019; Stonbraker et al. 2019).

시각적 자료는 많은 커뮤니케이션 가치를 제공할 수 있지만, 타겟 독자의 눈높이를 고려하지 않으면 인포그래픽의 효과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Balkac and Ergun 2018). 환자의 경우, 건강 리터러시와 관련된 높은 변동성을 고려할 때, 미국 국립보건원과 미국의학협회는 문해력이 부족한 개인에게 불이익을 주지 않기 위해 문헌을 초등학교 4학년에서 6학년 수준(미국)으로 작성할 것을 권장합니다(Weiss 2003). 간혹 이 권장 사항을 크게 초과하는 환자 대상 인포그래픽이 있으므로 이 점을 염두에 두어야 합니다(Royal and Erdmann 2018). 현재 무료 온라인 계산기(예: Readabilityformulas.com)를 사용하여 간단한 가독성 분석을 수행할 수 있습니다. 
While visuals can offer a great deal of communicative value, failing to account for a well-targeted reading level can negatively impact the effectiveness of an infographic (Balkac and Ergun 2018). With respect to patients, given the high variability associated with health literacy, the National Institutes of Health and the American Medical Association recommend that the literature should be written between a fourth and sixth-grade level (US) to avoid disadvantaging individuals with inadequate literacy skills (Weiss 2003). This must be borne in mind as, occasionally, there are patient-target infographics that significantly exceed this recommendation (Royal and Erdmann 2018). Currently, a simple readability analysis can be performed using a free online calculator (i.e. Readabilityformulas.com).

인포그래픽을 보는 동안 사용자 상호 작용을 늘리는 것은 긍정적입니다(Balkac and Ergun 2018). 인포그래픽을 풍부하게 만드는 한 가지 전략은 데이터 시각화 중에 청중의 참여를 향상시키기 위해 대화형 요소 또는 추가 자료에 대한 링크를 도입하는 것입니다(Bellei et al. 2016). 예를 들어, 인쇄된 인포그래픽에 삽입된 빠른 응답(QR) 코드를 사용하면 시청각 자료나 웹사이트를 연결하여 청중이 추가 정보를 참조할 수 있도록 할 수 있습니다.  
Increasing user interaction while viewing infographic is positive (Balkac and Ergun 2018). One strategy to enrich an infographic is to introduce links to interactive elements or additional material to improve the engagement of the audience during data visualisation (Bellei et al. 2016). For example, the use of the Quick Response (QR) codes inserted in a printed infographic allows audiovisual material or website to be linked, allowing the audience to consult additional information.

팁 11 인포그래픽을 올바르게 검토하여 오탈자 및 오류 방지
Tip 11

Properly review the infographics to avoid misprints and errors

디자인 오류는 청중의 인식과 작성자의 신뢰도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인포그래픽 콘텐츠에 대한 철저한 검토 프로세스와 오류를 재확인하는 것은 필수입니다(Wansink and Robbins 2016). 여기에는 그림, 글꼴 및 텍스트에 대한 세심한 품질 관리 수행도 포함됩니다(Brigham 2016). 
A wholehearted review process of the infographic content and double-checking for errors are mandatory because design errors negatively affect audience perception and author credibility (Wansink and Robbins 2016). This also includes performing careful quality control of figures, fonts, and text (Brigham 2016).

다음은 인포그래픽에 나타날 수 있는 일반적인 실수입니다:

  • 문법, 철자 오류. 인포그래픽을 제작하는 동안 포함된 텍스트에 맞춤법이나 문법 오류가 발생했을 수 있습니다. 이를 확인하고 구조화되지 않은 긴 단락은 정보 과부하를 유발하므로 피해야 한다는 점을 기억하세요.
  • 산만한 요소. 인포그래픽의 시각적 요소는 흥미를 더하고 인포그래픽의 핵심 메시지를 강조해야 합니다. 따라서 '산만한' 요소는 포함하지 마세요.
  • 왜곡된 눈금. 왜곡되거나 픽셀화된 차트, 이미지 또는 기타 시각적 요소는 인포그래픽의 품질을 떨어뜨립니다.
  • 특별한 구성 및 계층 구조. 시각적 계층 구조는 인포그래픽에 제시된 정보를 통해 청중을 안내하는 데 중요합니다. 요소가 임의로 구성되면 인포그래픽의 메시지를 이해하기 어려울 수 있습니다.

The following are common mistakes that can appear in an infographic:

  • Grammar, spelling errata. It is possible that during the edition of the infographic, some spelling or grammar errors have been produced in the included text. Check it and remember that long, unstructured paragraphs create an overload of information and should be avoided
  • Distracting elements. The visuals of an infographic should add interest and emphasise the key messages of the infographic. Therefore, do not include ‘distracting’ elements.
  • Distorted scale. Charts, images, or other visuals that have been distorted or pixelated detract from the quality of the infographic.
  • Special organization and hierarchy. Visual hierarchy is important to guide the audience through presented information in an infographic. If elements are organised arbitrarily the message of the infographic can be difficult to understand.

팁 12 인포그래픽을 효율적으로 배포하고 공유하기
Tip 12

Disseminate and share the infographics efficiently

인포그래픽의 성공을 위한 마지막 필수 단계는 배포 계획을 수립하는 것입니다(Murray, Murray, Wordie, Oliver, Murray 외, 2017). 이를 위해서는 대상 청중과 소통할 수 있는 가장 적절한 커뮤니케이션 채널을 선택하는 것이 필수적입니다. 보건 교육에서 저자는 청중이 접근할 수 없는 매체나 여러 가지 이유로 사용할 수 없는 채널도 고려해야 합니다(Giustini 외. 2018). 
The last essential step to achieve the success of any infographic is to draw up a dissemination plan (Murray, Murray, Wordie, Oliver, Murray, et al. 2017). For this, it is essential to choose the most appropriate communication channel to connect with the target audience. In health education, the author should even consider the media to which the audience does not have access or what channels cannot be used for various reasons (Giustini et al. 2018).

대상 청중이 광범위한 사회적 스펙트럼을 포괄하거나 연령대가 매우 다른 사람들을 포함하는 경우 인쇄 매체와 같은 전통적인 채널을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McCrorie 외. 2016). 그러나 온라인 리소스, 특히 소셜 네트워크가 선호됩니다(Wang et al. 2012). 소셜 네트워크는 24세 이하 인구 4명 중 1명이 과학 정보에 접근하기 위해 선택한 미디어이며(Hargittai 외. 2018), 인포그래픽은 특히 이러한 플랫폼에 적합합니다. 이러한 맥락에서 인포그래픽의 범위를 극대화하기 위해서는 '입소문'을 내기 위한 노력이 필요합니다(Thoma 외. 2018). 인포그래픽은 이미지 형태로 온라인(웹사이트, 소셜 미디어, 블로그)에 쉽게 게시할 수 있으며, 가장 인기 있는 소셜 미디어 플랫폼(Facebook, Pinterest, Twitter, Instagram, Google+ 등)에서 공유할 수 있습니다. 인포그래픽은 텍스트만 있는 요약본에 비해 소셜 미디어에서 8배 더 많이 공유됩니다(Ibrahim 외. 2017). 반면에 인포그래픽이 첨부된 연구 논문은 첨부되지 않은 논문보다 더 자주 액세스됩니다(Murray, Murray, Wordie, Oliver, Murray 외. 2017).  
If the target audience covers a wide social spectrum or includes people of very different ages, the use of traditional channels, such as a printed press, is recommended (McCrorie et al. 2016). However, online resources, especially social networks, are preferred (Wang et al. 2012). These are the chosen media for gaining access to scientific information by one out of four people up to 24 years old, (Hargittai et al. 2018) and infographics are particularly suited to these platforms. In this context, to maximise the scope of the infographic, efforts must be made to make it go ‘viral’ (Thoma et al. 2018). In the form of an image, an infographic can easily be posted online (website, social media, and blog) and can be shared on the most popular social media platforms (Facebook, Pinterest, Twitter, Instagram, Google+, etc.). Infographics are shared eight times more on social media compared with text-only summaries (Ibrahim et al. 2017). On the other hand, research articles accompanied by an infographic are accessed more frequently than those that have none (Murray, Murray, Wordie, Oliver, Murray, et al. 2017).

따라서 '공유 가능성'은 가상 건강 커뮤니케이션의 핵심 요소가 되었습니다. 독자를 초대하여 인포그래픽을 공유하도록 하는 것은 소셜 네트워크의 잠재력을 최대한 활용하는 데 유용합니다(Ventola 2014). 또한 무료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를 취득하면 제3자가 인포그래픽을 쉽게 배포하고 재사용할 수 있습니다(Hagedorn 외. 2011). 이를 통해 크리에이터는 저작권을 유지하면서 다른 사람들이 자신의 저작물을 복사, 배포 및 비상업적으로 일부 사용할 수 있도록 허용할 수 있습니다. 
Therefore, ‘shareability’ has become a key element in virtual health communication. Inviting readers to share your infographics is useful for making the most of the potential of social networks (Ventola 2014). Besides, obtaining a free Creative Commons licence can also facilitate the dissemination and reuse of infographics by third parties (Hagedorn et al. 2011). This, helps creators to maintain their copyright while allowing others to copy, distribute, and make some non-commercially uses of their work.

보건 전문가들 사이에서 신속하고 신뢰할 수 있는 고품질 정보의 가용성은 현재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 2019(COVID-19) 팬데믹 상황에서 글로벌 의료 대응을 최적화하는 데 유용했습니다(하마구치 외. 2020). 인포그래픽이 과학계와 사용자 모두에게 큰 영향을 미친 사례는 여러 곳에서 찾아볼 수 있습니다. 한 가지 예로 Chan 등(2020)이 만든 코로나19 중증 환자의 기관 내 삽관에 관한 인포그래픽을 들 수 있습니다. 이 인포그래픽은 과학 커뮤니티에서 빠르게 공유되어 10일 만에 13개의 번역 버전이 만들어져 사용자들에게 제공되었습니다. 단 한 달 만에 트위터에서 63,440건의 노출 수를 기록했습니다. 보건 교육 분야에서 Go 등(2020)은 원격 의료와 인포그래픽을 결합하여 환자가 집에서 배액관을 제거하는 방법을 교육하고 안내함으로써 병원 입원 기간과 수술 후 외래 방문을 줄여 바이러스 확산 및 전염 가능성을 줄이는 데 기여할 수 있는 효과적이고 안전한 방법을 보여주었습니다. 
Among health professionals, the availability of rapid and reliable high-quality information has been valuable for optimising global medical response in the current coronavirus disease 2019 (COVID-19) pandemic (Hamaguchi et al. 2020). A number of examples where infographics have had a wide impact, both in the scientific community and in users, can be found. One instance is an infographic about endotracheal intubation in critical patients with COVID-19, which was created by Chan et al. (2020). It was quickly shared by the scientific community resulting in 13 translated versions that were available for users within a 10-day express period. In just one month, it had 63,440 impressions on Twitter. In health education, Go et al. (2020) demonstrated the effective and safe combination of telemedicine and an infographic to educate and guide patients on drain removal at home, which can reduce hospital length of stay and the outpatient visits to the hospital after a surgical intervention, thus, contributing to reducing the possibilities of virus spread and contagion.

마지막으로, 과학적 정보를 전파하는 데 소셜 네트워크를 사용하려면 책임감 있고 엄격한 사용이 필요합니다(Kind et al. 2014). 의료 정보를 자유롭게 공개하는 것의 효과에 대한 좋은 사례를 제공할 수 있는 FOAM(Free Open Access Medical Education) 네트워크의 원칙을 참고하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Finally, the use of social networks in the dissemination of scientific information requires responsible and rigorous use (Kind et al. 2014). An interesting recommendation is to consult the principles of Free Open Access Medical education (FOAM) networks, which can provide good examples of the effectiveness of making medical information freely available.

결론
Conclusions

이러한 실용적인 팁은 연구 내용을 전파하고, 환자에게 교육 자료를 제공하고, 보건학 학부생에게 실습을 통해 학습을 유도하려는 임상의와 의학교육자에게 유용할 것입니다. 이 글의 내용을 다양한 디자인으로 설명한 인포그래픽 두 가지 예시를 제공합니다(보충 자료, 온라인 버전). 
These practical tips will be useful to clinicians and medical educators looking to disseminate research contents, provide educational materials to the patients, and induce learning by doing in health science undergraduates. Two examples of infographics that illustrate the content of this article using different designs are provided (Supplementary Material, online version).

마지막으로, 좋은 인포그래픽을 디자인하는 것은 쉽지 않고 시간과 연습이 필요하며 그래픽 디자이너와의 협업을 적극 권장합니다. 그러나 동료, 환자 및 학생들과의 건강 커뮤니케이션에서 많은 이점을 얻을 수 있습니다.
Finally, it should be remembered that designing a good infographic is not easy and requires time and practice, and collaboration with graphic designers is highly recommended. However, many benefits can be obtained in health communication with peers, patients, and students.

알버트 아인슈타인은 복잡한 내용을 전달하는 데 따르는 어려움을 잘 알고 있었으며, '간단하게 설명할 수 없다면 충분히 이해하지 못한 것이다'라는 말을 남겼습니다. 현재 관리하고 있는 정보 중 청중과 소통하고 싶은 정보를 인포그래픽으로 제작하고, 그 과정을 통해 학습하는 것이 좋습니다.
Albert Einstein was aware of the difficulties involved in communicating complex content, and said: ‘If you can’t explain it simply, you don’t understand it well enough’. We encourage you to build an infographic with information that you are currently managing and are interested in communicating with an audience, through learning by doing the process.


Med Teach. 2021 Dec;43(12):1353-1359. doi: 10.1080/0142159X.2020.1855323. Epub 2020 Dec 20.

Twelve tips to make successful medical infographics

Affiliations collapse

Affiliations

1Traslational Research Centre of Physiotherapy, Department of Pathology and Surgery, Faculty of Medicine, Miguel Hernandez University, Alicante, Spain.

2Department of Behavioral Sciences and Health, Faculty of Medicine, Miguel Hernandez University, Alicante, Spain.

PMID: 33342338

DOI: 10.1080/0142159X.2020.1855323

Abstract

In the health sciences, professionals must keep up to date to conduct their evidence-based practise. Hence, there is a growing need to share medical knowledge efficiently among healthcare professionals, patients, and undergraduate health science students. Infographics (text and image) are a hybrid element that serves to represent information in an attractive and meaningful visual format. Actually, with the use of the Internet and social networks, infographics have become a popular format for sharing medical information around the world.On the basis of a published literature review, we provide 12 tips in this article to make a successfully health-related infographic with the aim of assisting clinicians, educators, and researchers in their task of communicating and transforming complex information into a visual, attractive, didactic and shareable format.By following these basic recommendations,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dissemination of scientific and health-related knowledge to different audiences who can benefit from infographics.

Keywords: Teaching and learning; communication skills; student support.

행복은 무엇인가? 의학교육을 위한 비판적 내러티브 리뷰(Perspect Med Educ. 2023)
What about Happiness? A Critical Narrative Review with Implications for Medical Education
FABIENNE SCHWITZ, JACQUELINE TORTI, LORELEI LINGARD

소개
Introduction

30년이 넘는 기간 동안 우리는 직장에서의 의사 웰빙 문제에 대해 논의해 왔습니다. 의사 웰빙과 삶의 만족도 및 웰빙과 같은 관련 개념에 대한 학계에서는 소진의 원인 및 영향 분석[1, 2, 3], 의사들의 건강 문제 및 잠재적 해결책 파악[1, 4, 5], 웰빙과 균형 추구[6, 7, 8], 의사들의 회복력 향상을 위한 개입[9, 10, 11, 12] 등을 수행해왔습니다. 이 연구들은 의학교육과 의학에서 웰빙을 개선하기 위한 운동에 영향을 미쳤습니다[13, 14]. 이 운동의 주요 차원은 조직 전략의 변화[1, 12], 교수진 개발을 통한 수련 중인 의사의 복지 증진[13, 15], 개인 요인의 체계적 강화[1, 12, 15] 등입니다. 
For more than 30 years, we have been discussing the issue of physician wellbeing at work. Scholarship on physician wellbeing and related concepts such as life satisfaction and wellness has: analysed contributors and impacts of burnout [1, 2, 3], identified health problems among physicians and potential solutions [1, 4, 5], explored wellness and the pursuit of balance [6, 7, 8], and implemented interventions to improve resilience among physicians [9, 10, 11, 12]. This scholarship has informed a movement to improve wellbeing in medical education and medicine [13, 14]. Main dimensions of this movement are: changing of organizational strategies [1, 12], promoting the wellbeing of physicians in training through faculty development [13, 15] and systematic strengthening of individual factors [1, 12, 15].

이러한 풍부한 연구와 개선 이니셔티브에도 불구하고 의사 복지 문제는 거의 개선되지 않은 것으로 보입니다[15]. 2016년부터 2019년까지 미국 의과대학 졸업 설문조사 및 2학년 설문조사 데이터에 따르면 의대생들은 목표한 노력에도 불구하고 개선의 조짐이 보이지 않습니다[16, 17]. 의학전문대학원 교육인증위원회에서도 매년 레지던트와 교수진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있지만, 설문지 구조의 변화와 팬데믹의 발병으로 인해 최근 몇 년간의 웰빙 변화를 분석하기는 어렵습니다. 분명한 것은 의사들의 정신 질환과 자살이 증가했다는 점이며[18], 이는 의사들의 정신 건강 증상 비율이 높다는 데이터[19]에 의해 뒷받침됩니다. 게다가 코로나19 팬데믹은 상황을 더욱 악화시킨 것으로 보입니다. 의료 종사자의 정신 건강에 미치는 잠재적 영향이 연구되었으며[20], 의료 전문가들 사이에서 스트레스, 불안 및 우울 증상에 대한 일관된 보고가 있었습니다[21]. 따라서 의사의 웰빙을 위한 노력이 왜 실패하는지에 대한 질문은 특히 시급합니다. 
Despite this wealth of scholarship and improvement initiatives, the problem of physician wellbeing seems to have improved very little [15]. Data from the Association of American Medical Colleges Graduation Questionnaire and Year 2 Questionnaire from 2016 to 2019 show no sign of improvements among medical students despite targeted efforts [16, 17]. The Accreditation Council for Graduate Medical Education also surveys residents and faculty annually, but changes to wellbeing in recent years are challenging to analyze due to a change in the structure of the questionnaire and the onset of the pandemic. What is clear is that mental illness and suicide among doctors has increased [18], supported by data highlighting high rates of mental health symptoms among physicians [19]. Furthermore, the COVID-19 pandemic appears to have worsened the situation. Its potential impact on the mental wellbeing of health workers has been studied [20], with consistent reports of stress, anxiety and depressive symptoms among healthcare professionals [21]. Thus, the question of why physician wellbeing efforts are unsuccessful is particularly pressing.

한 가지 이유는 개념적인 문제일 수 있습니다. 의사 웰빙을 중심으로 형성된 일련의 개념들 중에서 '행복'이라는 개념은 크게 부각되지 않습니다. 행복은 다른 영역에서 풍부하게 이론화된 개념입니다. 행복은 여러 가지 다른 구성에 사용되며[22, 23], 정서적 웰빙과 유다이모니아 또는 유다이모닉 웰빙(삶의 의미와 목적)을 구분하는 것은 고대부터 인식되어 왔습니다[22]. 웰빙과 행복이라는 두 가지 조건은 문헌에서 서로 연관되어 있거나 심지어 혼용되기도 하지만, 그 관계는 명확하지 않습니다. 이 검토는 '행복'이라는 용어가 의학교육에서 의사의 웰빙에 대한 논의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추가적인 고유한 의미를 내포할 수 있다는 가정에서 출발했습니다. 다른 학자들도 비슷한 생각을 가지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앨런 피터킨은 '우리의 수련과 업무에서는 즐거움과 행복pleasure and happiness이 소홀히 다루어지고 있다'고 지적했습니다[24]. 따라서 저희는 두 가지 질문에 따라 비판적 내러티브 검토를 진행했습니다: '의사의 웰빙에 관한 의학교육 문헌에서 행복은 어떻게 등장하고 있는가?' 그리고 '의학 밖에서 행복은 어떻게 개념화되고 있는가?'입니다. 우리는 의학교육에서 행복의 특징이 있는지 여부와 그 방식, 다른 선택된 영역에서 행복의 구성이 어떻게 이해되는지, 그리고 앞으로 의사 웰빙에 대한 학문을 풍부하게 하기 위해 다른 영역의 이해를 어떻게 채택할 수 있는지 설명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One reason might be conceptual. Amid the suite of concepts around which physician wellbeing work has formed, the notion of ‘happiness’ does not strongly feature. Happiness is a richly theorized construct in other domains. It is used for a number of different constructs [22, 23], and a distinction between affective wellbeing and eudaimonia or eudaimonic wellbeing (meaning and purpose of life) has been recognised since antiquity [22]. While the two conditions, wellbeing and happiness, are related (or even perhaps conflated) in the literature, their relationship is not clear. This review arises from our assumption that the term ‘happiness’ may carry additional, distinctive meanings that could influence the conversation about physician wellbeing in medical education. Other scholars have had similar ideas: e.g., Alan Peterkin has noted that ‘pleasure and happiness are neglected in our training and in our work’ [24]. Thus, we conducted a critical narrative review guided by two questions: ‘How does happiness feature in the medical education literature on physician wellbeing?’ and ‘How is happiness conceptualized outside medicine?’ We aim to describe whether and how happiness features in medical education, how the construct of happiness is understood in other select domains, and how we might adopt understandings from other domains to enrich the scholarship of physician wellbeing at work going forward.

연구 방법
Methods

이 비판적 내러티브 리뷰는 내러티브 리뷰 논문 평가 척도(SANRA) 절차[25]를 따랐으며 칼케의 연구[26]에서도 정보를 얻었습니다. 우리의 목표는 광범위한 문헌을 탐색하고 내러티브 리뷰의 핵심적인 기여, 즉 학문적 대화를 발전시키는 심화된 이해를 달성할 수 있는 작품을 의도적으로 선별하여 강조하는 것이었습니다[27]. 
This critical narrative review followed the Scale for the Assessment of Narrative Review Articles (SANRA) procedure [25] and was also informed by Kahlke’s work [26]. Our goal has been to explore a wide-ranging literature and to be deliberately selective in highlighting works that allow us to achieve the key contribution of a narrative review: deepened understanding that advances the scholarly conversation [27].

우리의 검토는 '의사 웰빙에 관한 의학교육 문헌에서 행복은 어떻게 나타나는가'라는 질문에서 시작되었습니다. '행복'은 광범위하고 다면적인 개념으로, 단일 검토로는 포괄적으로 포착하기 어려우므로, 직장에서의 의사 행복에 대한 관심을 고려하여 "직장 행복workplace happiness"이라는 용어를 사용하여 조사에 초점을 맞췄습니다. 사서의 도움을 받아 의학 문헌에서 '직장 행복과 의사'에 대한 구조화된 문헌 검색을 PubMed, CINHAL, PsycINFO 데이터베이스에서 실시했습니다. 선별 과정에서 '행복'(또는 '행복한' 등의 파생어)이라는 용어가 정의나 개념화 없이 그대로 포함된 기록은 제외했습니다. 예를 들어, 한 논문에서는 병리학자의 52%가 자신의 직업에 '행복하다'고 언급했지만 행복이 어떻게 이해되는지 설명하지 않았습니다[28]. 
Our review began with the question ‘How does happiness feature in the medical education literature on physician wellbeing?’ ‘Happiness’ is a broad and multifaceted concept, one which a single review would struggle to comprehensively capture; given our interest in physician happiness at work, we used the term “workplace happiness” to focus our inquiry. We conducted a structured literature search in the medical literature for ‘workplace happiness AND physicians’ in the databases PubMed, CINHAL and PsycINFO with librarian assistance. In the screening process, we excluded records that contained the term ‘happiness’ (or derivatives such as ‘happy’) in passing, without definition or conceptualization. For example, one article mentioned that 52% of pathologists are ‘happy’ with their job but did not describe how happiness was understood [28].

의학교육에 대한 기록을 확인한 다음, 두 번째 질문인 '행복이라는 용어가 의학 밖에서는 어떻게 사용되는가'를 해결하기 위해 인문사회과학 문헌을 검색했습니다. Web of Science, Embase 및 Scopus에서 '직장 행복'과 '행복'의 의도적인 조합을 사용하여 검색했습니다. 회색 문헌에서 검색한 내용은 구글 스콜라에서 TED 강연에 이르기까지 광범위한 스펙트럼을 포괄했습니다. 심리학, 사회학, 철학, 여성학, 의학교육 분야의 전문가들과의 토론을 통해 관련 자료를 찾아냈습니다. 행복의 개념화를 완전히 탐구하는 것이 아니라 각 학문 분야에서 행복이라는 용어를 어떻게 사용하는지 이해하는 것이 목적이었기 때문에 검색에서 행복의 동의어는 사용하지 않았습니다. 
Having identified the records in medical education, our next step was a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 literature search to address the second question, ‘How is the term happiness used outside medicine?’ We searched using purposeful combinations of ‘workplace happiness’ and ‘happiness’ in Web of Science, Embase and Scopus. Searches in the grey literature covered a broad spectrum from Google Scholar to TED Talks. Discussion with experts from psychology, sociology, philosophy, women studies and medical education helped us identify relevant sources. We did not use synonyms for happiness in our search, as our intent was not a full exploration of the conceptualization of happiness but rather an understanding of how these disciplines use the term happiness.

저자들은 두 가지 수준에서 데이터베이스의 충분성을 판단했습니다.

  • 첫째, 행복이 이론화되는 다양한 학문을 대표하고자 했습니다. 구조화된 검색을 통해 사회학, 심리학, 경제학, 조직행동학에서 출처를 찾을 수 있었기 때문에 이러한 분야를 중심으로 결과를 도출했습니다. 비판적 내러티브 검토는 포괄적인 기록이 아닌 선별적인 기록을 수집하는 것이므로, 이 범위의 학문 분야는 향후 연구의 기초가 되는 유용한 통찰력을 제공하기에 충분하다고 판단했습니다.
  • 두 번째 충분성의 기준은 행복에 관한 주요 개념을 표현하기 위해 각 분야의 기록이 얼마나 많이, 그리고 어떤 기록이 필요한지와 관련이 있습니다. 저자들은 특정 수의 기록에 대한 임계값을 설정하는 대신, 기록이 개념을 충분히 강력하게 설명하는지 여부를 고려했습니다. 선별된 기록을 분석하면서 개념을 설명하고 추가 기록에서 중복을 인식할 수 있으면 충분하다고 판단했습니다. 이러한 판단을 내릴 수 없는 경우에는 추가 기록을 찾았습니다.

전반적으로, 우리는 의학교육에서 이 주제에 대한 우리의 생각을 발전시킬 수 있는 다양한 행복 개념에 대한 설명을 뒷받침할 수 있는 문헌의 능력을 기준으로 문헌 선택을 정당화했습니다. 이 과정은 비판적 내러티브 리뷰에서 엄격함의 본질입니다[26]. 
The authors judged the sufficiency of our database on two levels. First, we sought to represent a range of disciplines in which happiness is theorized. Because our structured search returned sources from sociology, psychology, economics and organizational behaviour, these became the focus of our results. Critical narrative review involves compiling a selective rather than comprehensive set of records; we judged this range of disciplines sufficient to provide useful insights on which to base future research. The second point of sufficiency relates to how many and which records from each discipline are necessary to represent key notions around happiness. Rather than setting a threshold for a specific number of records, the authors instead considered whether the records offered a sufficiently robust description of the concept. As we analysed selected records, we judged them sufficient once we could explain the concept and recognize redundancies in additional records. Where we could not make this judgment, we sought additional records. Overall, we justified the choice of literature based on its ability to support a description of different conceptualizations of happiness that could advance our thinking on the topic in medical education. This process is the essence of rigour in critical narrative reviews [26].

심사 및 선정은 연구팀 구성원의 성향에 따라 결정되었습니다. 우리 그룹에는 인문학에 학문적 뿌리를 둔 시니어 의학교육 연구자, 공중보건 및 건강 증진에 뿌리를 둔 초기 경력 의학교육 연구자, 의학교육 석사 과정을 마친 심장학 교육자 등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예를 들어, 우리 모두는 의학교육학에 익숙했지만 두 명은 사회과학, 심리학, 조직행동학 분야의 학문과 어휘에 익숙했지만 경제학 학문에 대해서는 전혀 알지 못했습니다. 이는 검색에서 검색된 특정 개념에 대한 우리의 통찰력과 열정에 항상 영향을 미쳤지만, 우리는 함께 검색된 모든 기록에 대해 동일한 관심을 가지고 다루려고 노력했으며 서로가 익숙하지 않은 부분을 해석하기 위해 서로를 지원했습니다. 
Screening and selection were shaped by the orientations of our research team members. Our group includes a senior medical education researcher with disciplinary roots in the humanities, an early career medical education researcher with roots in public health and health promotion, and a cardiology educator completing a masters in medical education. We brought to the review different degrees of familiarity and comfort with the disciplines we were searching: for instance, we were all familiar with medical education scholarship, but two of us were also familiar with scholarship and vocabulary from social sciences, psychology and organizational behaviour, while none of us were familiar with economics scholarship. This invariably influenced our insights and enthusiasms for particular concepts retrieved in our search, but together we endeavoured to address all retrieved records with the same attention and support each other to interpret those we were less familiar with.

의학교육에 초점을 맞춘 검색과 광범위한 다분야 검색을 위해 기록을 선별하고 선택한 후, 연구의 신뢰성을 높이기 위해 콘텐츠 분석을 수행했습니다. 내용 분석을 통해 행복의 정의와 개념화, 아이디어의 학문적 기원, 연관성 및 유사성, 차이점 또는 긴장감 등 다양한 범주로 데이터를 체계적으로 정리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했습니다. 개념 매핑을 통해 이러한 범주 간의 관계를 시각화할 수 있었고, 이러한 관계에 대한 해석에 정보를 제공했습니다. 
After screening and selection of records for both the focused medical education search and the broader, multi-discipline search, content analysis was done to enhance the trustworthiness of the study. Content analysis offered a way to arrange the data systematically into distinct categories, including definitions and conceptualizations of happiness, disciplinary origin of ideas, connections and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or tensions. Concept mapping enabled us to visualize the relationships among these categories, and informed our interpretation of these relationships.

결과
Results

검색 결과 401개의 레코드가 검색되었습니다. 초록 및 제목 스크리닝을 거쳐 28건이 전체 텍스트 검토 대상으로 선정되었고, 이 중 13건이 포함되었습니다. 여기에 수작업 검색과 회색 문헌에서 10건이 추가되어 총 23건이 포함되었습니다. 의학교육에 초점을 맞춘 검색에서 4개의 기록이 나왔습니다. 두 번째 광범위한 검색에서는 심리학(8건), 조직 행동(6건), 경제학(2건), 사회학(3건)의 기록이 나왔습니다. 이러한 학문적 범주는 필연적으로 단순화할 수밖에 없지만, 다음 섹션에서는 기록에서 행복을 특징짓는 방식에서 학문적 패턴을 강조하기 위한 조직 구조로 사용합니다(그림 1: 행복의 특징짓기에서의 학문적 패턴). 의학교육 기록을 분석한 결과, 이 장학금이 심리학적 개념만을 사용했음을 알 수 있었기 때문에 첫 번째 연구 질문에 해당하는 이러한 기록을 해당 섹션에 포함시켰습니다. 의학교육 기록의 수가 적기 때문에 연구 결과의 대부분은 두 번째 연구 질문에 관한 것입니다. 이 문헌에서는 용어가 다양하고 상호 교환적으로 사용되었지만(크롬비가 Frawley에서 인용)[29], 일관성을 위해 다른 용어를 사용하는 기록에서 인용하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의도적으로 '행복'이라는 용어를 사용했습니다. 
Our searches retrieved 401 records. After abstract and title screening, 28 were selected for full-text review, of which 13 were included. An additional 10 were included from hand-searching and grey literature for a total of 23. Our focused medical education search yielded 4 records. Our second, broader search yielded records from psychology (8), organizational behavior (6), economics (2) and sociology (3). While such disciplinary categories are necessarily simplifications, we use them in the following sections as organizing structures to highlight disciplinary patterns in how the records characterize happiness (Figure 1: Disciplinary patterns in the characterization of happiness). Because our analysis of the medical education records showed that this scholarship exclusively employed psychological concepts, we have included these records (which address our first research question) in that section. Because of the small number of medical education records, the bulk of our results address our second research question. Terminologies vary and are used interchangeably in this literature (Cromby cited in Frawley) [29]; however, for consistency we deliberately use the term ‘happiness’ except when quoting from a record that uses another term.

심리적 개념으로서의 행복
Happiness as a psychological concept

행복에 대한 심리적 개념은 주로 개인적 접근이라는 공통점이 있습니다. 이 섹션에서는 의학교육에서 이미 다루어진 개념을 포함하여 직장에서의 의사 웰빙과 특히 관련성이 있는 네 가지 심리적 개념을 강조합니다. 
Psychological concepts of happiness have in common a predominantly individual approach. In this section, we highlight four psychological concepts that have particular relevance in the context of physician wellbeing at work, including those that have already been taken up in medical education.

첫 번째 개념은 플로우(몰입) 이론[30]으로, 행복하기 위해서는 도전과 능력 사이의 이상적인 균형 상태인 플로우 느낌이 필요하다는 것입니다. 플로우란 집중력, 황홀감, 내면의 명료함, 평온함을 느끼고, 어떤 활동이 가능하다는 것을 알고, 시간을 초월한 느낌과 내재적 동기를 느끼는 상태입니다[31]. 플로우는 여가 시간보다 직장에서 더 많이 발생하는 경향이 있습니다[32]: 예를 들어 음악가는 콘서트 중에 플로우 상태에 도달할 수 있습니다. 플로우라는 개념은 긍정 심리학에서 유래했습니다. 플로우 이론에 대한 심리학자 칙센트미하일리의 초기 연구에는 외과의사가 포함되었으며, 플로우 개념은 직업적 즐거움, 성과 및 직장 행복 증진에 관한 논문에서 의학교육에서 다루어졌습니다[33, 34]. 이 연구에서는 코칭, 심리 기술 훈련, 정신 기술 훈련 또는 스트레스 관리 훈련과 같은 개별 개입 훈련을 통해 플로우를 지원했습니다[33]. 의료 서비스에서 플로우를 지원하려면 환자 치료 시간을 늘리고, 행정 업무를 최소화하고, 건설적인 학습 환경을 조성하는 등 시스템 차원의 보완적인 개입이 필요한 것으로 인식되고 있지만, 시스템 차원의 연구는 흔하지 않습니다[33, 35].
The first concept is flow theory [30], which states that you need a flow feeling – a state of ideal balance between challenges and abilities—to be happy. Flow is a state of being focused; having a sense of ecstasy, inner clarity and serenity; knowing that an activity is doable; feeling timelessness and intrinsic motivation [31]. Flow tends to occur at work more than in leisure time [32]: e.g., a musician could reach a flow state during a concert. The concept of flow has its origin in positive psychology. The initial study about flow theory by psychologist Csíkszentmihályi included surgeons, and the concept of flow has been taken up in medical education in a paper about enhancing career enjoyment, performance and workplace happiness [33, 34]. This work supported flow through training in individual interventions such as coaching, psychological skills training, mental skills training or stress management training [33]. While supporting flow in health care is recognized to require supplementary system-level interventions, such as increasing time for patient care, minimizing administrative tasks, and promoting constructive learning environments, scholarship at the system level is less common [33, 35].

긍정 심리학의 두 번째 개념은 인위적synthetic 행복입니다. 이 용어는 다니엘 길버트가 2004년 TED 강연에서 만들었지만, 이후 그의 저서에서는 이 용어를 사용하지 않습니다. 원하는 것을 얻었을 때 느끼는 '자연적 행복'과는 대조적으로, '인위적 행복'은 원하는 것을 얻지 못했을 때 만들어지는 행복입니다[36]. 하버드 대학교 심리학자 다니엘 길버트가 만든 용어인 합성 행복은 심리적 면역 체계와 같은 역할을 하여 '상황에 대처할 수 있을 만큼 기분이 좋으면서도 무언가를 할 수 있을 만큼 나쁘지 않은 균형'을 유지합니다[36, 37]. 우리는 우리가 가진 것이 어차피 우리가 선택했을 것이라고 스스로 확신합니다. 예를 들어, 임상실습생들은 각 전문과목을 순환하면서 각 과목을 좋아하거나 싫어하는 점을 인정하지만, 레지던트 기간 동안에는 이미 선택이 이루어졌기 때문에 그 선택에 만족한다고 스스로를 설득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인위적인 행복은 우리가 가진 것을 좋아하는 방법을 찾는 데 도움이 됩니다. 그러나 인위적 행복은 '거짓'이 아니며, 길버트는 '인위적 행복은 자연적 행복만큼이나 현실적이고 지속적'이라고 주장하며[36], 불완전한 일터에서 행복해지는 데 시사점을 줄 수 있다고 말합니다.
The second concept from positive psychology is synthetic happiness. The term was coined by Daniel Gilbert in a 2004 TED Talk, although his subsequent writings do not use it. Contrasted with ‘natural happiness’ which is what we feel when we get what we want, ‘synthetic happiness is what we make when we do not get what we want’ [36]. A term coined by Harvard psychologist Daniel Gilbert, synthetic happiness acts like a psychological immune system, to ‘[strike] a balance that allows us to feel good enough to cope with our situation but bad enough to do something about it’ [36, 37]. We convince ourselves that we have is what we would have chosen anyway. For instance, clinical clerkship students acknowledge what they like or dislike about each specialty as they rotate through them, but during residency their choice is already made, so they are likely to convince themselves that they are happy with it. Synthetic happiness helps us to find a way to like what we have. However, synthetic is not ‘false’; Gilbert argues that ‘synthetic Happiness is as real and enduring as the natural happiness’ [36], suggesting it could have implications for being happy in an imperfect workplace.

마지막으로, 긍정 심리학의 두 가지 관련 개념인 번영과 마음챙김이 기록에 등장했습니다[38, 39]. 

  • 번영꽃의 성장에 비유한 것으로, 최적의 생활, 삶의 과제 숙달, 친절, 개인적 성장, 회복탄력성에 의해 결정되는 라이프스타일을 의미합니다. 긍정적 감정, 참여, 관계, 의미, 성취 등 다섯 가지 기둥이 필요합니다[40]. 이러한 요소는 깊은 성취감을 느끼는 삶을 위한 기본 전제 조건입니다.
  • 마음챙김자각에 집중함으로써 달성되는 정신 상태로 설명됩니다. 마음챙김은 번영과 특징을 공유하지만, 그 순간에 판단하지 않고 주의를 기울이는 연습입니다. 마음챙김을 '행복 증진'을 위한 일련의 개입의 일부로 사용한 사례는 단 한 건에 불과했으며4, 다른 연구에서는 행복 증진을 마음챙김의 명시적 목표로 제시하지 않았습니다.

Finally, two related concepts from positive psychology occurred in our records: flourishing and mindfulness [38, 39].

  • Flourishing draws on the metaphor of flower growth, and refers to a lifestyle determined by optimal living, mastering life’s tasks, kindness, personal growth, and resilience. Five pillars are required: positive emotion, engagement, relationships, meaning, and accomplishment [40]. These factors form the basic precondition for a life of profound fulfilment.
  • Mindfulness is described as a mental state achieved by focusing one’s awareness. While it shares features with flourishing, it is the practice of non-judgmental attention in the moment. Only one record used mindfulness as part of a suite of interventions to ‘increase happiness’4; the others did not articulate increased happiness as an explicit goal of mindfulness.

조직의 개념으로서의 행복
Happiness as an organizational concept

행복에 대한 조직적 접근 방식은 개인이 성인 생활의 대부분을 일하면서 보낸다는 전제에서 출발합니다. 따라서 직장에서의 행복은 삶의 전반적인 행복의 핵심 요소입니다. 이 섹션에서는 직무 만족도, 생산성, 직원 참여도 등 직장에서의 행복과 관련된 주요 개념을 강조합니다. 
Organizational approaches to happiness arise from the premise that individuals spend most of their adult lives working. As such, happiness in the workplace is a key component of overall happiness in life. In this section, we highlight key concepts in our records that were associated with happiness at work, including job satisfaction, productivity, and employee engagement.

행복에 관한 조직 문헌에서 흔히 볼 수 있는 개념은 '직무 만족도'입니다. 직원의 행복에 기여하는 직무 만족의 구성 요소에는 일시적, 개인(직원), 조직 또는 집단적 차원의 측면이 포함됩니다[41, 42]. 

  • 일시적 수준의 직장 행복 기여도에는 순간적 영향, 직장에서의 감정 및 흐름 상태가 포함됩니다 [43]. 
  • 직원 차원의 직장 행복에 대한 기여에는 고용 안정, 의미 있는 업무, 동료와의 긍정적인 관계, 인정, 자율성 및 참여가 포함됩니다[44].
  • 조직적 측면에서 직장 행복에 기여하는 것은 성장 기회, 보상, 업무 유연성, 긍정적인 업무 환경, 일과 삶의 균형, 조직 문화 등이 포함됩니다[44]. 

A common idea in the organizational literature about happiness is ‘job satisfaction’. Components of job satisfaction that contribute to employee happiness include aspects at the transient, individual (employee) and organizational or collective level [41, 42].

  • Transient-level contributions to workplace happiness include momentary affect, emotion at work and flow state [43].
  • Employee-level contributions to workplace happiness include job security, meaningful work, positive relationships with coworkers, recognition, autonomy and engagement [44].
  • The organizational aspects that contribute to workplace happiness include opportunities for growth, compensation, job flexibility, a positive work environment, work-life balance, and organizational culture [44].

고용주(리더)와 개인(팔로워) 모두 건설적인 의견 불일치dissensus를 통해 행복에 기여하는 조직적 측면을 형성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45]. 건설적인 의견 불일치란 신념과 가치를 공유하는 등 리더와 팔로워 간의 상호 이해를 통해 직장에서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 것을 말합니다. 직장 내 행복을 개선하기 위한 개입은 다각도로 이루어져야 하며, 개인의 행복을 개선하는 것뿐만 아니라 직무 성과와 직원 유지율을 높이기 위한 조직적 측면에도 초점을 맞춰야 합니다[45].
Both the employer (leader) and the individual (follower) play a strong role in shaping organizational aspects that contribute to happiness through constructive dissensus [45]. Constructive dissensus refers to a mutual understanding between leaders and followers, including shared beliefs and values, leading to improved quality of life at work. Interventions aimed at improving workplace happiness should be multi-faceted and focus both on improving individual happiness as well as the organizational aspects to enhance job performance and employee retention [45].

행복-생산적 근로자 이론에 따르면, 모든 것이 동등할 때, 행복한 근로자가 행복하지 않은 근로자보다 더 나은 성과를 낸다고 합니다. 이 아이디어는 지난 20년간 경영 및 조직 심리학 연구의 성배로 여겨져 왔습니다. 긍정 심리학에 뿌리를 둔 행복-생산적 근로자 이론은 '직장에서의 행복의 결과로서의 생산성'에 명시적으로 초점을 맞추고 있습니다[46]. 이 논문에서 행복은 다양한 구성 요소(정동, 웰빙, 소진, 삶의 만족도, 성장 및 목적)에 의해 작동되었으며, 이는 일반적으로 행복한 사람들이 더 생산적이지만 직장에서 특별히 행복한 사람들이 반드시 그렇지는 않다는 경험적 문헌의 결정적이지 않은 특성을 설명할 수 있습니다.  
The happy-productive worker thesis states that all things being equal, happy workers perform better than those who are less happy. This idea has been the holy grail of management and organizational psychology research for two decades. With roots in positive psychology, the happy-productive worker thesis explicitly focuses on ‘productivity as a consequence of happiness at work’ [46]. Happiness in this thesis was operationalized by a diversity of constructs (affect, wellbeing, burnout, life satisfaction, growth and purpose), which may explain the inconclusive nature of the empirical literature, which finds that people who are happy in general are more productive, but people who are happy specifically at work are not necessarily so.

'몰입도Engagement'는 직장에서의 행복을 측정하는 중요한 차원이었습니다[47]. 직장 몰입직원들이 직장에서 신체적, 인지적, 정서적으로 자신을 표현하는 방식을 포함하는 지속적인 정서적 상태로 정의됩니다. 몰입의

  • 신체적 측면은 개인이 업무를 수행하기 위해 소비하는 에너지에 초점을 맞추고,
  • 인지적 측면은 조직에 대한 직원의 믿음에 초점을 맞추고,
  • 정서적 측면은 조직에 대한 직원의 느낌에 초점을 맞추고 있습니다 [48].

직장 내 행복Workplace happiness '조직 내 직원과 업무 관계에서부터 효율적인 생산과 고객 만족이라는 최종 결과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상호 연계된 요소의 결과로 나타나는 직장에서의 긍정적인 결과'입니다[47]. 조직 행동 문헌은 몰입과 생산성을 연결합니다. 조직 몰입이 조직 성장, 운영 비용 절감, 결근율 감소, 이직 의도 감소와 같은 구성 요소와 긍정적인 상관관계가 있다고 설명하는 조직 문헌은 행복의 경제학을 설명하기 시작했으며, 이는 우리가 분석한 경제 기록에서 더욱 명확하게 드러납니다.
‘Engagement’ was a crucial dimension of measuring happiness at work [47]. Workplace engagement is defined as a persistent affective state that includes how employees express themselves physically, cognitively, and emotionally at work.

  • The physical aspect of engagement focuses on the energy expended by individuals to perform their job, while
  • the cognitive aspect focuses on employees’ beliefs about their organization and
  • the emotional aspect focuses on how employees feel towards the organization [48].

Workplace happiness is the ‘positive outcomes at the workplace which are a result of many interlinked factors ranging from employee-work relation within the organization to the end results of efficient production and customer satisfaction’ [47]. The organizational behavior literature connects engagement to productivity. Describing engagement as having a positive correlation with constructs like organization growth, lower operational costs, lower absenteeism, and decreased intentions to turnover [47], the organizational literature begins to articulate an economics of happiness which is even more explicit in the economic records we analyzed.

경제적 개념으로서의 행복
Happiness as an economic concept

행복에 대한 경제적 접근 방식은 행복한 근로자가 경제를 향상시킨다는 입장에서 비롯됩니다. 따라서 행복을 추구하는 것 또한 점점 더 많은 비즈니스가 되고 있습니다. 이 섹션에서는 '행복 산업'과 관련된 측면을 강조합니다.
Economic approaches to happiness arise from the position that happy workers improve the economy. Therefore, the search for happiness has also become more and more of a business. In this section, we highlight the aspects related to the ‘happiness industry’.

행복은 경제학의 핵심 개념입니다. 세계은행과 세계보건기구(WHO)와 같은 글로벌 기관들은 주관적 행복과 경제적 웰빙의 관계를 인정하고 있으며[29], 2012년부터는 세계행복보고서에서 경제적 건강의 지표로 국가의 행복을 추적하고 있습니다. '행복 경제학'은 행복을 객관적이고 측정 가능한 실체, 즉 '계산 가능한 단위로 환원할 수 있는 것'으로 간주합니다[29]. 행복을 국내총생산, 소비자 지출, 고용률과 같은 친숙한 종류의 경제적 자본으로 전환하는 것을 목표로 개인 및 그룹 수준에서 행복을 계산합니다.
Happiness is a central concept in economics. Global institutions such as the World Bank and the World Health Organization embrace the relationship between subjective happiness and economic wellbeing [29], and, since 2012, the World Happiness Report has tracked the happiness of countries as a marker of economic health. ‘Happiness economics’ conceives of happiness as an objective, measurable entity, something that can be ‘reduced to calculable units’ [29]. Happiness is calculated at individual and group levels, with the goal of converting happiness into familiar kinds of economic capital like gross domestic product, consumer spending, and employment rates.

행복 산업이 부상하면서 행복과 시장 간의 상호작용이 경제학의 핵심 관심사가 되었습니다. 마케팅 수단으로서 행복은 전략적입니다. 소비자 그룹은 제품이 행복을 가져다준다는 생각을 지속할 수 있을 만큼 충분히 행복하고, 더 많은 구매의 필요성을 느낄 만큼 충분히 불행한 '쾌락과 고통 사이'에 위치해야 합니다[49]. 그러나 경제 성장에 대한 강박은 소비자에게 선택의 고통에 직면하게 함으로써 행복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다양한 옵션은 옵션의 수가 여전히 관리 가능한 수준일 때만 행복에 기여할 수 있습니다. 특정 임계값에 도달하면 추가 옵션이 더 이상 행복을 가져다주지 않습니다. 그리고 구매력은 해결책이 아닙니다. 
With the rise of the happiness industry, the interaction between happiness and the markets becomes a central concern of economics. As a marketing device, happiness is strategic. Consumer groups must be poised ‘between pleasure and pain’: just happy enough to sustain the idea that products bring happiness and just unhappy enough to feel the need to buy more [49]. However, economic growth compulsion can have a negative impact on happiness, as consumers are confronted with the agony of choice. Multiple options can only contribute to happiness as long as the number of options is still manageable. Once a certain threshold is reached, additional options do not bring further happiness. And purchasing power is not the solution.

소득과 행복의 관계에 대한 연구에 따르면 경제 성장과 번영에도 불구하고 사람들이 더 행복해지지 않는다고 합니다. 그러나 동시에 비판적인 경제학자들은 가난할수록 더 행복하다고 추정하는 것에 대해 경고하며(Frawley에서 인용한 Pender)[29], 대중의 주관적인 감각에 대한 강조가 식량 부족과 같은 객관적인 현실에 대한 관심을 돌릴 수 있다는 우려를 제기합니다. 또한 돈과 행복의 관계는 복잡합니다. '지위 트레드밀' 개념은 행복으로 이어질 수 있는 소득은 절대적인 것이 아니라 상대적인 것이며, 상대적 소득이 동료보다 높을 때 더 행복하다는 개념을 담고 있습니다[50]. 직장에서의 의사 행복과 관련하여 이러한 경제적 개념은 의사 소득과 행복 사이의 복잡하고 비선형적인 관계를 시사합니다. 
Studie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income and happiness suggest that, despite economic growth and increased prosperity, people are not happier. At the same time, however, critical economic scholars warn against extrapolating that poorer means happier (Pender cited in Frawley) [29], and raise concern that the emphasis on the subjective sensations of the populace can deflect attention from objective realities like insufficient food. Furthermore, the relationship between money and happiness is complex: the ‘status treadmill’ concept captures the notion that it is relative, not absolute, income that can lead to happiness, and we are happier when our relative income is higher than our peers [50]. In relation to physician happiness at work, these economic concepts suggest a complex, nonlinear relation between physician income and happiness.

사회적 개념으로서의 행복
Happiness as a social concept

행복에 대한 사회학적 접근은 행복에 대한 주로 심리학적 접근이 구조적 차원에서 존재하는 행복의 어포던스 및 장애물에 주목하지 못한다는 입장에서 비롯됩니다. 이 섹션에서는 만족의 위기강제로서의 행복이라는 두 가지 개념이 기록에서 발생했다는 점을 강조합니다.
Sociological approaches to happiness arise from the position that the predominantly psychological treatment of happiness fails to attend to the affordances and impediments to happiness that exist at a structural level. In this section, we highlight two concepts – the crisis of contentment and happiness as coercion – that arose in our records.

맥켄지는 <행복의 해체>라는 책에서 만족의 위기에 대해 설명합니다. 그들은 개인의 특성인 행복과 '자아보다 더 큰 무언가에 헌신하는 것'[51]에서 비롯되는 '집단적 사회적 프로젝트'[51]인 만족을 구별합니다. 만족은 사회적으로 정의되고 동기가 부여되며, 쾌락 중심의 일시적이고 개인적인 형태의 행복과는 대조적입니다. 이러한 구분을 통해 저자는 현재 현대 사회에서 우리는 행복이 아닌 '만족의 위기'를 경험하고 있다고 주장합니다. 우리의 삶은 '행복으로 이끄는 거의 끝없는 제품, 서비스, 자기계발서로 가득 차 있지만', '사람들은 행복해야 할 만큼 행복하지 않은 것 같다'[51] 왜냐하면 개인의 행복은 맥락 없이는 의미와 장기적인 만족을 제공할 수 없기 때문입니다. 사회 세계의 가치와 규범이 이러한 맥락을 제공합니다. 따라서 '개인이 사회적 가치와 규범에 대해 자신을 긍정적으로 자리매김할 수 있는 방법'[51]이 만족감의 기초가 됩니다.
In the book, Deconstructing Happiness, McKenzie describes a crisis of contentment. They distinguish happiness, which is an individual characteristic, from contentment, which is ‘a collective social project’ [51] arising from ‘committing to something greater than the self’ [51]. Contentment is socially defined and motivated, standing in contrast to pleasure-driven, temporary and individual forms of happiness. With this distinction, the author argues that we are currently experiencing a ‘crisis of contentment’ (not of happiness) in modern society. Our lives are ‘filled with an almost unending range of products, services and self-help books that will lead to happiness’ but ‘people do not seem to be as happy as they SHOULD be’ [51] because individual happiness cannot provide meaning and long-term satisfaction without context. The values and norms of the social world provide this context. Therefore, ‘how the individual is able to positively place him-or herself with regard to social values and norms’ [51] is the basis of contentment.

만족의 위기라는 개념은 개인의 행복이나 행복의 부족에 대한 우려에서 벗어나게 합니다. 대신 개인과 사회 간의 관계를 형성하는 사회적, 정치적, 경제적 요인에 관심을 가져야 합니다[51]. 특히 행복에 대한 우리의 기대치를 비판할 필요가 있습니다[29]. 일부 사회학자들은 행복이라는 개념이 현대사회에 만연한 '긍정의 폭정'의 일부이며, 개인에게 '문화적으로 승인된 행동과 성향의 이상에 부합하도록' 압력을 가한다고 주장합니다[51]. 점점 더 많은 연구가 '행복이 일종의 본질을 '가지고 있다'는 인식론적 오류'에 도전하고, 대신 행복의 개념은 사회 역사적 맥락과 그에 수반되는 사회적 규범으로부터 의미를 얻는 관계적 구성물이라고 주장합니다[51]. 이들은 행복은 중립적인 개념이 아니라고 주장합니다.
The concept of a crisis of contentment moves us away from concerns about the individual’s happiness or lack thereof. Instead, we must be concerned with the social, political and economic factors that shap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individual and society [51]. In particular, we need to critique our expectations of happiness [29]. Some sociologists have argued that the idea of happiness is part of a widespread ‘tyranny of positivity’ in modernity, pressuring individuals ‘to conform to culturally sanctioned ideals of behavior and disposition’ [51]. A growing body of work challenges the ‘epistemological fallacy that happiness ‘has’ a kind of essence’ and argues instead that the concept of happiness is a relational construct, gaining meaning from socio-historical context and attendant social norms’ [51]. Happiness, they argue, is not a neutral concept.

강압으로서의 행복은 비판적 페미니스트 학계에서 주장하는 것처럼 중립성이 결여된 사례입니다. 예를 들어, 사라 아메드는 행복을 '세상을 만드는 장치'[52]로 간주합니다. 세상은 대부분 인정되지 않는 사회적 가치와 규범에 따라 적절한 '행복'이 무엇인지 규정함으로써 만들어집니다. 따라서 행복은 개인을 공동선을 향해 reorienting 시키는 도구입니다. 따라서 '일상 생활 속의 관념이나 열망'으로서 행복은 '한 사람의 행복이 ... 다른 사람들과 같은 것들에 의해 행복해지려는 의지에 의해 조건부'로 만들어지는 일종의 강제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따라서 행복은 우리에게 요구를 합니다[50]. 행복이 무엇인지 규정해온 사회적 가치를 웃는 얼굴로 받아들일 것을 요구합니다. 1950년대 '행복한 주부'의 예를 들어, 그녀는 여성의 행복에 대한 이러한 개념이 '성별화된 노동 형태'를 강요하며 사회가 규정하는 방식으로 행복해지기를 거부할 수 있는 가능성을 고려하도록 장려한다고 주장합니다. 대신 '불행할 자유를 주장한다'는 것은 무엇을 의미할까요[52]?
Happiness as coercion is an instance of its lack of neutrality, as argued by critical feminist scholarship. For instance, Sara Ahmed considers happiness as a ‘world-making device’ [52]: the world is made by prescribing what is appropriate ‘happiness’ based on largely unacknowledged social values and norms. Happiness, then, is an instrument for reorienting the individual toward a common good. Thus, as ‘an idea or aspiration within everyday life’ happiness can lead to ‘forms of coercion …such that one person’s happiness is …made conditional on their willingness to be made happy by the same things as other people’. Happiness, therefore, makes demands on us [50]. It demands that we accept, with a smile, the social values that have dictated what happiness is. Using the example of ‘happy housewife’ of the 1950s, she argues that this notion of female happiness enforces ‘gendered forms of labour’ and encourages us to consider the possibility of refusing to be happy in the ways that society prescribes. What would it mean instead to ‘claim the freedom to be unhappy’ [52]?

토론
Discussion

이 비판적 내러티브 검토는 의학교육에서 의사의 웰빙에 접근하는 방식에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행복에 대한 여러 가지 개념화를 명확히 했습니다. 이 섹션에서는 이러한 행복의 개념화에 대한 세 가지 주요 통찰을 제공하고, 직장에서의 의사 복지와 관련된 장학금 및 개선 노력에 대한 함의를 고려합니다. 
This critical narrative review has articulated multiple conceptualizations of happiness that could inform the way we approach physician wellbeing at work in medical education. In this section, we provide three main insights about these conceptualizations of happiness and consider their implications for scholarship and improvement efforts related to physician wellbeing in the workplace.

행복은 개인적일 뿐만 아니라 사회적입니다.
Happiness is not only individual: it is also social

직장에서의 의사 행복을 조사한 4개의 의학교육 논문은 모두 긍정심리학에 기반한 행복의 개념에 의존하고 있습니다. 의사의 업무 몰입flow과 마음챙김을 증진하기 위한 노력은 가치가 있지만, 이는 개인에 초점을 맞추기 때문에 현상에 대한 부분적인 관점을 나타냅니다. '의사 건강: 웰빙을 넘어 행복으로'라는 캐나다 의사협회 저널의 요청에서도 금욕주의와 완벽주의와 같은 개인적 속성에 중점을 두고 있습니다. 그러나 맥켄지가 주장했듯이 '행복에 대한 개인의 접근 방식은 불완전하고 본질적으로 결함이 있습니다'[51]. 우리는 개인의 심리만을 강조해서는 의사의 행복을 완전히 이해할 수 없다고 주장할 것입니다. 또한 사회적, 정치적, 경제적 요인에 주의를 기울여야 하는 만족감의 개념을 고려하여 개인과 사회의 관계를 다룰 필요가 있습니다. 맥켄지가 제안했듯이, 이러한 변화로 인해 '더 이상 행복을 찾으려는 개인의 시도를 지원하는 것이 아니라 의미 있는 사회적 내러티브 안에서 삶의 기복ups and downs을 경험하는 것'이 목표가 되었습니다[51]. 이러한 점을 고려할 때, 의사들이 업무의 기복을 경험하는 '의미 있는 사회적 내러티브'를 갖는다는 것은 무엇을 의미할까요? 
The four medical education papers we analysed that explored physician happiness at work all relied upon concepts of happiness based in positive psychology. And while efforts to promote physician flow and mindfulness at work are valuable, they represent a partial view of the phenomenon due to their focus on the individual. Even in the Canadian Medical Association Journal call to consider ‘Physician health: beyond wellness to happiness’, the emphasis is on personal attributes such as stoicism and perfectionism. However, as McKenzie argued, ‘the individual approach to happiness is both incomplete and inherently flawed’ [51]. We would argue that we’ll never fully understand physician happiness by exclusively emphasizing individual psychology. We need to also addres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individual and society by considering the concept of contentment, which requires paying attention to social, political and economic factors. As McKenzie has suggested, with this shift ‘the goal is no longer supporting individual attempts to find happiness, rather [it is] experiencing the ups and downs of life within a meaningful social narrative’ [51]. Given this, we might ask, what would it mean to have ‘a meaningful social narrative’ for physicians to experience the ups and downs of their work?

첫 번째 단계는 이러한 기복을 정상화하고, 이러한 의미 부여를 형성하는 사회적, 정치적, 경제적 요인에 주의를 기울이면서, 우리가 이를 어떻게 이해하는지 공개적으로 논의하는 것일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경제학은 이러한 사회적 내러티브의 일부이지만 절대 소득은 상대 소득보다 덜 중요합니다[50]. 이러한 요인에 주의를 기울이면 직장 내 웰빙에서 의사 소득의 위치에 대한 논의가 복잡해지고, 전문직 간 및 전문직 내부에서 보건 전문직과 의료 전문직의 상대적 가치에 대한 질문에 관심을 기울일 수 있습니다. 의사 업무의 기복에 대한 의미 있는 사회적 내러티브에 중요한 다른 사회적 요인으로는 '번성하고 협력적인 집단 정체성'[49]이 있으며, 이 문헌은 건설적인 합의에 대한 약속과 연결됩니다. 이 약속을 더 탐구하기 위해 학계는 갈등의 순간에 공유된 의미를 협상하는 능력이 의사의 만족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이해하기 위해 웰빙 대화를 팀워크에 대한 대화와 연결하기 시작할 수 있습니다.
A first step might be to normalize these ups and downs and openly discuss how we make sense of them, paying attention to the social, political and economic factors that shape this sense-making. Economics, for instance, is part of this social narrative, but absolute income is less important than relative income [50]. Attention to such factors might helpfully complicate discussions about the place of physician income in wellbeing at work and draw our attention to questions of the relative value of health professions and medical specialties in inter and intra professional workplaces. Other social factors that matter for a meaningful social narrative of the ups and downs of physician work include ‘a thriving and collaborative group identity’ [49] which this literature connects to the promise of constructive dissensus. To further explore this promise, scholarship might begin to connect the wellbeing conversation to the conversation about teamwork to understand how the ability to negotiate shared meaning in moments of conflict influences physician contentment.

개인의 행복은 객관적인 것이 아니라 주관적인 것입니다.
Individual happiness is not objective, it is subjective

행복의 정의는 다면적입니다. 용어는 다양하며 표준화된 정의는 아직 없습니다[29]. 그러나 대부분의 용어의 공통점은 행복을 객관적인 것, 즉 우리가 어느 정도 '얻을 수 있는' 것으로 접근한다는 것입니다. 그러나 연구 결과에 따르면 행복은 주관적인 것으로, 우리가 지각하는 것이며 심지어 심리적 면역 체계 덕분에 우리가 만들어내는 것이라는 데 동의합니다. 행복이 주관적이고 불안정하며, 심지어 합성적이라는 사실을 알면 행복을 측정해야 한다는 주장에 의문을 제기할 수 있습니다. 의학교육에서 나온 의사 행복에 관한 대부분의 기록은 측정에 초점을 맞춘 것이었습니다. 행복의 구성을 의학교육에 보다 완전하게 통합할 때 지나치게 단순화하지 않으려면 측정에 대한 우리의 끝없는 욕구와 개별 측정 자체에 대한 비판적 검토가 필요합니다. 행복을 측정할 수 있는지에 대한 의문에도 불구하고, 우리의 연구 결과는 행복을 이해하는 것이 행복의 경험보다 기대와 해석을 측정하는 것과 더 관련이 있을 수 있음을 시사합니다. 이러한 점을 고려할 때, 우리는 의료 수련생이 직업에 대해 갖는 기대와 해석이 무엇인지, 시간이 지남에 따라 어떻게 변화하는지, 이러한 변화가 직장에서의 행복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볼 수 있습니다. 
The definition of happiness is multifaceted. Terminologies vary, and there remain no standardised definitions [29]. But what most terms have in common is that they approach happiness as an objective thing – something we can ‘get’ more or less of. However, our results suggest agreement that happiness is subjective: it is something we perceive and even something we manufacture thanks to our psychological immune system. Knowing that happiness is subjective, unstable, situated – even synthetic – calls into question our insistence on measuring it. Most of the records about physician happiness from medical education were measurement-focused. A critical examination of both our insatiable appetite to measure and the individual measures themselves is necessary if we are to avoid oversimplifying the construct of happiness as we integrate it more fully into medical education. Notwithstanding the question of whether happiness can be measured at all, our results suggest that understanding happiness may have more to do with measuring expectations and interpretations than experiencing happiness. Given this, we might explore the expectations and interpretations medical trainees bring to the profession, how they change over time, and how these changes influence happiness at work.

행복은 무조건 좋은 것이 아니며, 잠재적으로 강압적일 수도 있습니다.
Happiness is not straightforwardly good; it is also potentially coercive

행복에 대한 비판적 사회학적 접근 방식은 행복이 '기존의 질서를 영속화하기 위한 주관성 관리를 위한 중심적인 진정 수사이자 중요한 기술'로서의 역할에 주목합니다[29]. 행복에 대한 이러한 비판은 의사 개개인의 행복을 증진하기 위한 노력과 함께 비판적으로 성찰해야 한다는 점을 상기시켜 줍니다. 우리는 다음과 같은 질문을 던져야 합니다:

  • 누가 의사에게 '행복'을 정의하는가?
  • 그 정의는 어떤 사회적 규범과 권력 관계에 부합하는가?
  • 의사의 행복에 대한 우리의 개념화는 문화적 우발성을 인정하는가?

우리는 행복을 개선하려는 이니셔티브를 포기해야 한다고 제안하는 것이 아니라, 이러한 이니셔티브를 추구할 때 이러한 이니셔티브가 어떻게 '강압적'인 기존의 구조적, 정치적 질서를 영속시키고 인정되지 않는 권력 관계를 유지시키는지 자문해 보아야 합니다. 아메드의 용어를 빌리자면, 우리는 정해진 대로 행복하기를 거부함으로써 기존 질서를 영속화하기를 거부하는 의사들을 '킬조이'[52]로 규정하고 있을까요?

  • 우리는 의사들이 비극 앞에서 불행해지도록 지지할 것인가,
    아니면 그러한 감정을 억누르고 행복해지도록(또는 적어도 중립적이어야 한다고) 요구할 것인가? 

Critical sociological approaches to happiness draw our attention to the role of happiness as ‘a central pacifying rhetoric and important technolog[y] for the management of subjectivity to ensure … the perpetuation of the existing order of things’ [29]. Such critiques of happiness remind us that, amid our efforts to promote the happiness of individual physicians, we must also be critically reflexive. We need to ask questions such as:

  • Who defines ‘happiness’ for physicians?
  • What social norms and power relations does that definition serve?
  • Does our conceptualization of physician happiness acknowledge cultural contingencies?

We are not suggesting that we should abandon initiatives that seek to improve happiness; however, as we pursue them, we must also ask ourselves how these perpetuate an existing structural and political order that is ‘coercive’, sustaining unacknowledged power relations. To use Ahmed’s term, do we cast as ‘killjoys’ [52] physicians who refuse to perpetuate the existing order by refusing to be happy-as-prescribed?

  • Do we support physicians to be unhappy in the face of tragedy, or demand that they suppress that emotion and be happy (or at least neutral)?

행복에 대한 지배적인 이해 문화, 성별, 인종 또는 기타 소수 요인에 따라 일부 의사들의 권한을 박탈할 수 있다는 점을 인식하고, 우리는 행복에 대한 일반적인 개념화가 평등, 다양성, 포용, 탈식민화(EDI-D)를 고려하는지 여부와 그 방법을 고려해야 합니다. 슬라빈이 인정한 바와 같이, '웰빙 프로그램은 획일적인 접근 방식이었으며 우리 커뮤니티의 많은 사람들이 직면한 웰빙과 만족도에 대한 추가적인 위협을 적절히 인정하고 해결하지 못했습니다'[15]. 직장에서의 의사 행복에 대한 논의를 진전시키기 위해서는 의사 행복에 대한 기존의 정의가 특히 소수자나 형평성을 요구하는 집단에게 얼마나 강압적일 수 있는지 인식할 필요가 있습니다. 우리는 의사의 불행을 질병이 아닌 증상으로 보아야 하며, 심지어는 규정된 내러티브에 대한 저항의 한 형태로서 경계해야 합니다.
Recognizing that dominant understandings of happiness might disempower some physicians based on culture, gender, race or other minority factors, we should consider whether and how the prevalent conceptualization of happiness takes equality, diversity, inclusion and decolonisation (EDI-D) into account. As Slavin has recognized, ‘wellbeing programming has been a one-size-fits-all approach and has not adequately acknowledged and addressed the additional threats to wellbeing and satisfaction faced by many in our community’ [15]. To advance the conversation about physician happiness at work, we need to recognize how conventional definitions of physician happiness may be coercive, especially for minorities and equity deserving groups. We should be alert to physician unhappiness as a symptom not a disease – and even, perhaps, as a form of resistance to prescribed narratives.

한계
Limitations

행복에 대한 비판적 내러티브 검토는 설계상 철저하고 중립적이기보다는 선택적이고 포지셔닝된 것입니다[53]. 우리는 직장에서의 의사 행복에 초점을 맞춘 것과 관련된 행복의 분야와 개념을 강조하기로 선택했습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의학교육에서 행복의 중요한 구성 요소 중 하나인 직장 내 행복의 개념을 검토했습니다. '직장 내 행복' 이외의 다른 행복의 측면도 관련성이 있을 수 있지만 본 연구에서는 다루지 않았습니다. 우리는 심리학, 사회학, 경제학, 조직행동학 등 일부 학문에 초점을 맞추었으며, 각 학문의 행복 개념에 대한 검토는 포괄적이기보다는 선택적이라는 점을 인정합니다. 이는 검색을 통해 얻은 기록을 반영한 것이며, 향후 자체적으로 구축한 연구를 통해 이러한 학문의 행복에 대한 다른 통찰력이 있을 수 있음을 인정합니다. 또한, 다른 학문 분야를 포함하면 이 연구에서 설명한 행복의 개념이 더욱 풍부해지고 확장될 수 있을 것입니다. 한 가지 아쉬운 점은 검색 과정에서 포착된 철학 관련 기록이 부족하다는 점입니다. 철학 학자의 자문을 구한 결과, 철학의 용어가 검색어와 크게 다르기 때문이라는 결론을 내렸습니다. 종교학이나 역사학과 같은 다른 학문 분야도 행복 구성 요소에 대한 용어의 차이로 인해 초기 검색 범위에서 벗어났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리뷰어는 원래 검색어에서 어디까지 범위를 넓혀야 할지, 어디까지 선을 그어야 할지 결정해야 하는 어려운 과제를 안고 있습니다. 직장에서의 의사 행복과 관련된 '행복'에 대한 이 첫 번째 내러티브 리뷰에서는 검색어에 일관성을 유지하기로 결정했으며, 따라서 우리의 결과가 모든 출판 문헌에서 이 개념을 포괄적으로 다룰 수 없음을 인정합니다. 마지막으로, 포함된 분야를 모두 검토한 것이 아니라 직장에서의 의사 행복을 이해하는 것과 관련된 행복에 대한 몇 가지 주요 개념화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었습니다. 의심할 여지 없이 행복에 대한 각 분야의 접근 방식에 대한 역사와 미묘한 차이에 대해 더 많은 것을 배워야 할 것입니다. 
A critical narrative review of happiness is, by design, selective and positioned rather than exhaustive and neutral [53]. We have chosen to highlight disciplines and concepts of happiness specifically related to our focus on physician happiness in the workplace. Consequently, our review examines the concept of workplace happiness as one important component of happiness in medical education: other aspects of happiness beyond ‘workplace happiness’ are likely relevant but are not captured in this work. We have focused on a subset of disciplines (psychology, sociology, economics, organizational behavior), and we acknowledge that our review of concepts of happiness in each discipline is selective rather than comprehensive: it reflects the records our search returned and there may be other insights about happiness in these disciplines that future work building on our own could explore. Furthermore, the inclusion of additional disciplines would probably enrich and expand the conceptualizations of happiness we have described in this work. A particular gap is the lack of philosophy records captured in our search, which initially surprised us. After consulting with a philosophy scholar, we determined that this was because the terminology in philosophy differs significantly from our search terms. Likely other disciplines, such as religious studies or history, were also outside the scope of our initial search due to differences in terminology for the happiness construct. This is a challenge for any review: reviewers need to decide how far from their original search terms to venture and where to draw the line. For this first narrative review of ‘happiness’ as it relates to physician happiness at work, we decided to remain consistent in our search terms and we therefore acknowledge that our results cannot be comprehensive of all treatments of the concept in all published literature. Finally, our review of included disciplines was not intended to be exhaustive, but to describe some key conceptualizations of happiness as they relate to understanding physician happiness at work. Undoubtedly there is much more to be learned about the history and nuances of each of these fields’ approaches to happiness.

결론
Conclusion

이 비판적 내러티브 검토를 통해 의학교육에 직장에서의 행복이라는 개념이 거의 포함되지 않았으며, 포함되더라도 긍정심리학에만 의존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습니다. 이러한 학문적 강조는 행복을 개별적이고 객관적이며 반드시 좋은 것으로 취급하도록 유도합니다. 행복의 조직적, 경제적, 사회적 측면을 이해하면 행복은 사회적이며 주관적이고 잠재적으로 강압적일 수 있다는 통찰력을 포함하여 직장에서의 의사 복지에 대한 논의를 유용하게 확장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인사이트를 통해 우리는 의사 복지라는 고질적인 문제에 대한 다양한 해결책을 상상할 수 있으며, 심지어 문제 자체를 재정의할 수도 있습니다.

This critical narrative review has revealed that medical education rarely incorporates the concept of happiness in the workplace and, when it does, it draws exclusively from positive psychology. This disciplinary emphasis orients us to treat happiness as individual, objective, and necessarily good. Understanding organizational, economic and social aspects of happiness can usefully expand the conversation about physician wellbeing at work to include the insights that happiness is also social, subjective, and potentially coercive. With such insights, we might imagine different solutions to the persistent problem of physician wellbeing – in fact, we might even redefine the problem itself.


 

Perspect Med Educ. 2023 Jun 6;12(1):208-217. doi: 10.5334/pme.856. eCollection 2023.

What about Happiness? A Critical Narrative Review with Implications for Medical Education

Affiliations collapse

1Cardiologist and medical educator, Department of Medicine, Schulich School of Medicine and Dentistry, Western University, Medical Sciences Building, Suit 102A, London, Canada.

2Department of Cardiology, Inselspital Bern University Hospital, University of Bern, CH 3010 Bern, Switzerland.

3Department of Medicine, Schulich School of Medicine and Dentistry, Western University, Medical Sciences Building, Suit 102A, London, Canada.

PMID: 37304335

PMCID: PMC10253238

DOI: 10.5334/pme.856

Free PMC article

Abstract

Introduction: Despite abundant scholarship and improvement initiatives, the problem of physician wellbeing persists. One reason might be conceptual: the idea of 'happiness' is rare in this work. To explore how it might influence the conversation about physician wellbeing in medical education, we conducted a critical narrative review asking: 'How does happiness feature in the medical education literature on physician wellbeing at work?' and 'How is happiness conceptualized outside medicine?'

Methods: Following current methodological standards for critical narrative review as well as the Scale for the Assessment of Narrative Review Articles, we conducted a structured search in health research,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 a grey literature search, and consultation with experts. After screening and selection, content analysis was performed.

Results: Of 401 identified records, 23 were included. Concepts of happiness from the fields of psychology (flow, synthetic happiness, mindfulness, flourishing), organizational behaviour (job satisfaction, happy-productive worker thesis, engagement), economics (happiness industry, status treadmill), and sociology (contentment, tyranny of positivity, coercive happiness) were identified. The medical education records exclusively drew on psychological concepts of happiness.

Discussion and conclusion: This critical narrative review introduces a variety of conceptualizations of happiness from diverse disciplinary origins. Only four medical education papers were identified, all drawing from positive psychology which orients us to treat happiness as individual, objective, and necessarily good. This may constrain both our understanding of the problem of physician wellbeing and our imagined solutions. Organizational, economical and sociological conceptualizations of happiness can usefully expand the conversation about physician wellbeing at work.

 

혼합방법연구에서 데이터를 통합하는 세 가지 테크닉(BMJ. 2010)
Three techniques for integrating data in mixed methods studies
Alicia O’Cathain,1 Elizabeth Murphy,2 Jon Nicholl1

 

질적 연구와 정량적 연구 결과를 결합하도록 설계된 기법은 연구자에게 개별 분석보다 더 많은 지식을 제공할 수 있습니다. 
Techniques designed to combine the results of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studies can provide researchers with more knowledge than separate analysis

보건 연구자들은 점점 더 질적 방법과 정량적 방법을 결합한 설계를 사용하고 있으며, 이를 혼합 방법 연구라고 부르기도 합니다.1 연구의 질적 요소와 정량적 요소 간의 상호작용 또는 대화인 통합은 혼합 방법 연구의 중요한 측면이며, 실제로 일부 정의에 필수적입니다.2 그러나 보건 분야의 혼합 방법 연구에 대한 최근 경험적 연구에 따르면 구성 요소 간의 통합이 부족하여3 4 이러한 유형의 연구가 생성하는 지식의 양에 제한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통합이 없으면 "부분의 합보다 더 큰 전체"를 얻기보다는 질적 연구와 양적 연구를 독립적으로 수행했을 때와 동일한 수준의 지식이 산출됩니다.5 
Health researchers are increasingly using designs that combine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methods, and this is often called mixed methods research.1 Integration—the interaction or conversation between the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components of a study—is an important aspect of mixed methods research, and, indeed, is essential to some definitions.2 Recent empirical studies of mixed methods research in health show, however, a lack of integration between components,3 4 which limits the amount of knowledge that these types of studies generate. Without integration, the knowledge yield is equivalent to that from a qualitative study and a quantitative study undertaken independently, rather than achieving a “whole greater than the sum of the parts.”5

보건 및 사회 연구 모두에서 통합을 가로막는 장벽이 확인되었습니다.6 7 한 가지 장벽은 혼합 방법 연구에 대한 공식 교육이 없다는 것입니다. 다행히도 질적 방법과 양적 방법의 데이터와 연구 결과를 통합하는 방법에 대한 설명을 포함하여 이러한 교육 격차를 메우기 위한 문헌이 빠르게 확장되고 있습니다.8 9 이 글에서는 보건 연구자가 혼합 방법 연구에서 데이터 또는 연구 결과를 통합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는 세 가지 기법을 설명하고 이러한 접근 방식에서 생성된 지식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법을 보여줍니다. 
Barriers to integration have been identified in both health and social research.6 7 One barrier is the absence of formal education in mixed methods research. Fortunately, literature is rapidly expanding to fill this educational gap, including descriptions of how to integrate data and findings from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methods.8 9 In this article we outline three techniques that may help health researchers to integrate data or findings in their mixed methods studies and show how these might enhance knowledge generated from this approach.

삼각측량 프로토콜
Triangulation protocol

연구자는 종종 정성적 방법과 정량적 방법을 사용하여 전체 연구 질문의 다양한 측면을 조사합니다. 예를 들어, 무작위 대조 시험을 통해 의료 개입의 효과를 평가하고 환자 및 의료 전문가와의 반구조화된 인터뷰를 통해 실제 환경에서 개입이 사용된 방식을 고려할 수 있습니다. 또는 서비스 사용자에 대한 설문조사를 통해 서비스 만족도를 측정하고 포커스 그룹을 통해 치료에 대한 관점을 더 깊이 탐구할 수도 있습니다. 각 구성 요소에 대해 데이터를 개별적으로 수집하고 분석하여 두 가지 결과를 도출합니다. 그런 다음 연구자들은 이러한 결과를 결합하려고 시도하며, 이 과정을 삼각 측량이라고 부르기도 합니다. 삼각측량이라는 용어는 두 가지 의미가 있기 때문에 혼동될 수 있습니다.10 삼각측량은

  • 두 세트의 결과 사이의 확증(보강, corroboration)을 설명하거나
  • 보다 완전한 그림을 얻기 위해 다양한 방법을 사용하여 문제를 연구하는 과정

후자의 의미는 혼합 방법 연구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며 여기서는 이 의미를 사용합니다. 
Researchers will often use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methods to examine different aspects of an overall research question. For example, they might use a randomised controlled trial to assess the effectiveness of a healthcare intervention and semistructured interviews with patients and health professionals to consider the way in which the intervention was used in the real world. Alternatively, they might use a survey of service users to measure satisfaction with a service and focus groups to explore views of care in more depth. Data are collected and analysed separately for each component to produce two sets of findings. Researchers will then attempt to combine these findings, sometimes calling this process triangulation. The term triangulation can be confusing because it has two meanings.10 It can be used

  • to describe corroboration between two sets of findings or
  • to describe a process of studying a problem using different methods to gain a more complete picture.

The latter meaning is commonly used in mixed methods research and is the meaning used here.

서로 다른 방법의 결과를 삼각 측량하는 과정은 두 데이터 세트가 개별적으로 분석되었을 때 연구의 해석 단계에서 이루어집니다(그림⇓). 연구 결과를 삼각 측량하기 위한 몇 가지 기법이 설명되어 있습니다. 연구자는 연구의 각 구성 요소에서 얻은 결과를 같은 페이지에 나열하고 다음을 고려해야 합니다

  • 각 방법의 결과가 일치하는 부분(수렴성),
  • 동일한 문제에 대해 보완적인 정보를 제공하는 부분(보완성),
  • 서로 모순되는 것처럼 보이는 부분(불일치 또는 부조화).11 12 13

다른 방법의 결과 간에 불일치를 명시적으로 찾는 것은 이 과정의 중요한 부분입니다. 의견 불일치는 연구에 문제가 있다는 신호가 아닙니다. 명백한 "방법 간 불일치"를 탐색하는 것은 연구 질문에 대한 더 나은 이해로 이어질 수 있으며,14 보건 서비스 연구에서 방법 간 불일치를 탐색하기 위해 다양한 접근법이 사용되었습니다.15 
The process of triangulating findings from different methods takes place at the interpretation stage of a study when both data sets have been analysed separately (figure). Several techniques have been described for triangulating findings. They require researchers to list the findings from each component of a study on the same page and consider where findings from each method agree (convergence), offer complementary information on the same issue (complementarity), or appear to contradict each other (discrepancy or dissonance).11 12 13 Explicitly looking for disagreements between findings from different methods is an important part of this process. Disagreement is not a sign that something is wrong with a study. Exploration of any apparent “inter-method discrepancy” may lead to a better understanding of the research question,14 and a range of approaches have been used within health services research to explore inter-method discrepancy.15

삼각측량 수행 방법에 대한 가장 자세한 설명은 삼각측량 프로토콜로,11 여러 질적 방법을 위해 개발되었지만 혼합 방법 연구와 관련이 있습니다. 이 기법에는 연구의 각 구성 요소에서 나온 결과를 같은 페이지에 표시하는 '융합 코딩 매트릭스'를 생성하는 것이 포함됩니다. 그 다음에는 서로 다른 구성 요소의 결과 사이에 일치, 부분 일치, 침묵 또는 불협화음이 있는 부분을 고려합니다. 이 삼각측량 기법은 주제나 결과가 한 데이터 세트에서 발생하지만 다른 데이터 세트에서는 발생하지 않는 침묵을 포함할 수 있는 유일한 기법입니다. 현상의 다양한 측면을 조사하는 다양한 방법의 강점 때문에 침묵이 예상될 수 있지만, 이해를 높이거나 추가 조사로 이어지는 데 도움이 되는 예상치 못한 침묵도 발생할 수 있습니다.
The most detailed description of how to carry out triangulation is the triangulation protocol,11 which although developed for multiple qualitative methods, is relevant to mixed methods studies. This technique involves producing a “convergence coding matrix” to display findings emerging from each component of a study on the same page. This is followed by consideration of where there is agreement, partial agreement, silence, or dissonance between findings from different components. This technique for triangulation is the only one to include silence—where a theme or finding arises from one data set and not another. Silence might be expected because of the strengths of different methods to examine different aspects of a phenomenon, but surprise silences might also arise that help to increase understanding or lead to further investigations.

삼각측량 프로토콜은 연구자들이 각 방법과 관련된 결과에 대한 생각에서 벗어나 다양한 방법의 결과를 가로지르는 메타테마라고 부르는 것으로 이동시킵니다.11 삼각측량 프로토콜의 작동 사례를 보여 주지만, 다른 출판된 사례는 찾을 수 없었습니다. 그러나 새로운 일차 혈관 성형술 서비스에 대한 환자와 보호자의 만족도를 파악하기 위한 반복적 혼합 방법 연구에서도 유사한 원칙이 사용되었습니다.16 

  • 연구자들은 16명의 사용자와 보호자를 대상으로 반구조화된 인터뷰를 실시하여 새로운 서비스에 대한 경험과 견해를 조사했습니다. 
  • 이를 바탕으로 새로운 서비스 또는 일반적인 치료를 받고 있는 595명의 환자(및 보호자 418명)를 대상으로 설문지를 개발했습니다. 
  • 마지막으로, 사후 관리 및 재활에 불만을 표명한 환자 중 17명을 대상으로 반구조화된 인터뷰를 통해 이에 대한 추가 조사를 실시했습니다. 

연구진은 메타주제로의 사고 전환을 통해 인터뷰, 설문조사, 후속 인터뷰의 결과를 순차적으로 보고하는 방식에서 벗어나 속도와 효율성, 치료의 편의성, 퇴원 및 사후 관리라는 메타주제를 고려했습니다. 설문조사 결과, 새로운 서비스를 이용하는 환자 보호자 중 병원 방문의 편의성이 기존 서비스를 이용하는 보호자보다 낮다고 평가한 비율이 더 높았습니다. 인터뷰는 새로운 서비스에 대한 이러한 우려를 뒷받침했지만, 보호자가 가족의 생명을 구할 수 있다는 맥락에서 이러한 우려에 부여하는 비중은 낮다는 사실도 확인했습니다.
The triangulation protocol moves researchers from thinking about the findings related to each method, to what Farmer and colleagues call meta-themes that cut across the findings from different methods.11 They show a worked example of triangulation protocol, but we could find no other published example. However, similar principles were used in an iterative mixed methods study to understand patient and carer satisfaction with a new primary angioplasty service.16 

  • Researchers conducted semistructured interviews with 16 users and carers to explore their experiences and views of the new service.
  • These were used to develop a questionnaire for a survey of 595 patients (and 418 of their carers) receiving either the new service or usual care.
  • Finally, 17 of the patients who expressed dissatisfaction with aftercare and rehabilitation were followed up to explore this further in semistructured interviews.

A shift of thinking to meta-themes led the researchers away from reporting the findings from the interviews, survey, and follow-up interviews sequentially to consider the meta-themes of speed and efficiency, convenience of care, and discharge and after care. The survey identified that a higher percentage of carers of patients using the new service rated the convenience of visiting the hospital as poor than those using usual care. The interviews supported this concern about the new service, but also identified that the weight carers gave to this concern was low in the context of their family member’s life being saved.

Morgan은 이러한 움직임이 질적 요소와 양적 요소를 분석한 후에 발생하기 때문에 "제3의 노력"이라고 설명합니다.17 연구 시간표에 계획해야 하는 시간과 에너지가 필요합니다. 통합 프로세스를 누가 수행할 것인지 고려하는 것도 유용합니다. 삼각 측량 시 두 명의 연구자가 함께 작업해야 하는데, 이는 혼합 방법 연구에서 서로 다른 연구자가 정성적 요소와 정량적 요소를 담당하는 경우 특히 중요할 수 있습니다.11 
Morgan describes this move as the “third effort” because it occurs after analysis of the qualitative and the quantitative components.17 It requires time and energy that must be planned into the study timetable. It is also useful to consider who will carry out the integration process. Farmer and colleagues require two researchers to work together during triangulation, which can be particularly important in mixed methods studies if different researchers take responsibility for the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components.11

스레드 따라가기
Following a thread

모란-엘리스와 동료들은 following a thread라는 연구의 질적 구성 요소와 양적 구성 요소의 결과를 통합하는 다른 기법을 설명합니다.18 이들은 이 기법이 연구 과정의 분석 단계에서 수행된다고 말합니다(그림⇑). 각 구성 요소에 대한 초기 분석으로 시작하여 주요 주제와 추가 탐구가 필요한 질문을 식별합니다. 그런 다음 연구자는 한 구성 요소에서 질문 또는 주제를 선택하고 다른 구성 요소에 걸쳐 이를 따라가는데, 이를 스레드라고 부릅니다. 저자들은 이 기법의 단계를 명시하지는 않았지만 데이터 집합 간 작업을 위한 시각적 모델을 제공합니다. 이와 유사한 접근 방식이 의료 서비스 연구에서도 수행되었지만, 연구자들은 이 기법이 문헌에서 자주 사용되지 않았기 때문에 이를 '스레드'라고 부르지 않았습니다(상자).
Moran-Ellis and colleagues describe a different technique for integrating the findings from the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components of a study, called following a thread.18 They state that this takes place at the analysis stage of the research process (figure). It begins with an initial analysis of each component to identify key themes and questions requiring further exploration. Then the researchers select a question or theme from one component and follow it across the other components—they call this the thread. The authors do not specify steps in this technique but offer a visual model for working between datasets. An approach similar to this has been undertaken in health services research, although the researchers did not label it as such, probably because the technique has not been used frequently in the literature (box)

스레드 팔로우의 예19
An example of following a thread19

아담슨과 동료들은 일반 진료소에 등록된 사람들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와 반구조화된 인터뷰를 통해 환자의 견해가 적절한 서비스 사용과 도움 요청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했습니다. 정성적 요소(22건의 인터뷰)와 정량적 요소(911명의 응답자를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가 동시에 진행되었습니다.
Adamson and colleagues explored the effect of patient views on the appropriate use of services and help seeking using a survey of people registered at a general practice and semistructured interviews. The qualitative (22 interviews) and quantitative components (survey with 911 respondents) took place concurrently.

연구자들은 분석에 대한 반복적 또는 순환적 접근 방식이라고 설명합니다. 먼저, 인터뷰의 예비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설문조사 데이터에서 테스트할 가설을 세웠습니다. 인터뷰의 핵심 주제는 부족한 의료 서비스를 책임감 있게 사용하는 방법으로서 서비스의 자가 배급에 관한 것이었습니다. 그런 다음 적절한 서비스 사용에 대한 사람들의 견해가 도움을 구하는 행동을 설명할 것이라는 가설을 테스트하여 설문조사 데이터에서 이 주제를 탐색했습니다. 그러나 의료 서비스가 부적절하게 사용되었다고 생각하는 설문 응답자의 절반은 서비스가 부적절하게 사용되지 않았다고 생각하는 응답자만큼이나 표준화된 그림에 제시된 일련의 증상에 대해 도움을 요청할 가능성이 높았기 때문에 정량적 분석에서는 이 가설을 뒷받침할 수 없었습니다. 그런 다음 연구자들은 이 결과를 해석하기 위해 인터뷰 데이터로 되돌아갔습니다.
The researchers describe what they call an iterative or cyclical approach to analysis. Firstly, the preliminary findings from the interviews generated a hypothesis for testing in the survey data. A key theme from the interviews concerned the self rationing of services as a responsible way of using scarce health care. This theme was then explored in the survey data by testing the hypothesis that people’s views of the appropriate use of services would explain their help seeking behaviour. However, there was no support for this hypothesis in the quantitative analysis because the half of survey respondents who felt that health services were used inappropriately were as likely to report help seeking for a series of symptoms presented in standardised vignettes as were respondents who thought that services were not used inappropriately. The researchers then followed the thread back to the interview data to help interpret this finding.

인터뷰 데이터를 추가로 분석한 결과, 연구진은 사람들이 자신의 도움보다는 다른 사람의 도움을 구하는 것을 부적절하다고 생각한다는 사실을 파악했습니다. 또한 증상에 대해 불안감을 느끼는 것이 치료를 받아야 하는 좋은 이유라고 생각한다는 사실에 주목했습니다. 연구진은 이 맥락을 따라 설문조사 데이터로 돌아가 표준화된 그림에 나타난 증상에 대한 불안 수준이 도움을 구하는 행동을 예측하는지 테스트했습니다. 이 두 번째 가설은 설문조사 데이터에 의해 뒷받침되었습니다. 연구진은 스레드를 따라가면서 사소해 보이는 문제로 의료 서비스를 찾는 환자들이 서비스를 부적절하게 이용하지 않는 것과 증상으로 인한 불안 사이의 균형에 대한 임계값을 초과했다는 결론을 내렸습니다.
After further analysis of the interview data the researchers understood that people considered the help seeking of other people to be inappropriate, rather than their own. They also noted that feeling anxious about symptoms was considered to be a good justification for seeking care. The researchers followed this thread back into the survey data and tested whether anxiety levels about the symptoms in the standardised vignettes predicted help seeking behaviour. This second hypothesis was supported by the survey data. Following a thread led the researchers to conclude that patients who seek health care for seemingly minor problems have exceeded their thresholds for the trade-off between not using services inappropriately and any anxiety caused by their symptoms.

혼합 방법 매트릭스
Mixed methods matrix

일부 혼합 방법 연구의 독특한 측면은 동일한 사례에 대해 정성적 데이터와 정량적 데이터를 모두 사용할 수 있다는 것입니다. 혼합 방법 연구의 분석 단계에서는 정성적 요소와 정량적 요소의 데이터를 통합할 수 있습니다(그림⇑). 예를 들어, 설문조사 응답자 표본을 대상으로 심층 인터뷰를 실시하여 완성된 설문지와 녹취록이 모두 있는 사례의 하위 집합을 생성할 수 있습니다. 사례는 개인, 그룹, 조직 또는 지역이 될 수 있습니다.9 단일 사례에 대해 수집된 모든 데이터를 함께 연구할 수 있으며, 연구 내에서 변수나 주제보다는 사례에 초점을 맞출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설문지에 대한 사람들의 응답을 인터뷰 기록과 비교하는 등 각 사례별로 데이터를 자세히 조사할 수 있습니다. 또는 마일즈와 허버만의 메타 매트릭스에 따라 각 사례의 데이터를 요약하여 매트릭스8 9 20에 표시할 수도 있습니다.21 혼합 방법 매트릭스에서 행은 정성적 데이터와 정량적 데이터가 모두 있는 사례를 나타내고 열은 각 사례에서 수집된 다른 데이터를 표시합니다. 이를 통해 연구자는 단일 사례에 대한 데이터 유형 간의 놀라움과 역설에 주의를 기울인 다음 질적 교차 사례 분석에서 모든 사례20에서 패턴을 찾을 수 있습니다.21 
A unique aspect of some mixed methods studies is the availability of both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data on the same cases. Data from the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components can be integrated at the analysis stage of a mixed methods study (figure). For example, in-depth interviews might be carried out with a sample of survey respondents, creating a subset of cases for which there is both a completed questionnaire and a transcript. Cases may be individuals, groups, organisations, or geographical areas.9 All the data collected on a single case can be studied together, focusing attention on cases, rather than variables or themes, within a study. The data can be examined in detail for each case—for example, comparing people’s responses to a questionnaire with their interview transcript. Alternatively, data on each case can be summarised and displayed in a matrix8 9 20 along the lines of Miles and Huberman’s meta-matrix.21 Within a mixed methods matrix, the rows represent the cases for which there is both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data, and the columns display different data collected on each case. This allows researchers to pay attention to surprises and paradoxes between types of data on a single case and then look for patterns across all cases20 in a qualitative cross case analysis.21

우리는 혼합 방법 매트릭스를 사용하여 보건 서비스 연구에서 팀 작업 유형과 혼합 방법 연구의 통합 정도 사이의 관계를 연구했습니다(표⇓).22 75개의 혼합 방법 연구의 제안서, 보고서 및 동료 검토 출판물에서 정량적 데이터를 추출하고, 이를 분석하여 혼합 방법 저널 논문과 같은 통합 결과물을 가진 연구의 비율을 설명했습니다. 정량적 요소의 두 가지 주요 변수는 해당 연구가 정성적 또는 정량적 데이터 또는 연구 결과를 통합하려고 시도한 것으로 평가되었는지 여부와 생산된 출판물의 유형이었습니다. 이러한 연구 중 일부에 참여한 20명의 연구자와의 질적 인터뷰를 통해 연구팀의 협력 방식 등 혼합 방법 연구가 어떻게 실행되었는지 살펴봤습니다. 
We used a mixed methods matrix to study the relation between types of team working and the extent of integration in mixed methods studies in health services research (table).22 Quantitative data were extracted from the proposals, reports, and peer reviewed publications of 75 mixed methods studies, and these were analysed to describe the proportion of studies with integrated outputs such as mixed methods journal articles. Two key variables in the quantitative component were whether the study was assessed as attempting to integrate qualitative or quantitative data or findings and the type of publications produced. We conducted qualitative interviews with 20 researchers who had worked on some of these studies to explore how mixed methods research was practised, including how the team worked together.

질적 구성 요소와 양적 구성 요소 간에 공유된 사례는 21개의 혼합 방법 연구였습니다(한 인터뷰 참여자가 양적 구성 요소에서 두 개의 연구에 참여했기 때문입니다). 21개의 연구 각각을 행으로 연결하여 매트릭스를 만들었습니다. 행렬의 첫 번째 열에는 연구 식별이, 두 번째 열에는 해당 프로젝트에서 통합이 이루어졌는지 여부가, 세 번째 열에는 연구에서 나온 출판물의 통합 점수가 표시되었습니다. 그런 다음 가장 많이 통합된 사례를 먼저 표시하도록 행의 순서를 정했습니다. 이러한 행 순서를 통해 여러 행에서 패턴을 파악하는 데 도움이 되었습니다. 
The shared cases between the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components were 21 mixed methods studies (because one interviewee had worked on two studies in the quantitative component). A matrix was formed with each of the 21 studies as a row. The first column of the matrix contained the study identification, the second column indicated whether integration had occurred in that project, and the third column the score for integration of publications emerging from the study. The rows were then ordered to show the most integrated cases first. This ordering of rows helped us to see patterns across rows.

다음 열은 해당 프로젝트의 연구자와의 질적 인터뷰를 통해 얻은 주제였습니다. 예를 들어, 첫 번째 주제는 팀 내 질적 연구에 대한 전문성과 인터뷰 대상자가 이를 연구에 적절하다고 보고했는지에 관한 것이었습니다. 그런 다음 질적 분석의 맥락에서 매트릭스를 사용하여 통합에 영향을 미치는 문제를 탐색했습니다. 특히 질적 분석에서 부정적인 사례(분석 대상자가 분석이 도출한 결론에 맞지 않는 경우)를 식별하여 이해를 돕는 데 도움이 되었습니다. 인터뷰 참여자들은 혼합 방법 연구에 숙련된 질적 연구자가 있어야 질적 요소가 잘 드러난다고 말했지만, 두 사례에서는 이것이 필요하지도 충분하지도 않다고 답했습니다. 이에 따라 혼합 방법 연구에서 결과물을 생성하고 통합된 결과물을 생성하는 데 도움이 되는 연구팀의 다른 요소를 탐색하게 되었습니다. 
The next columns were themes from the qualitative interview with a researcher from that project. For example, the first theme was about the expertise in qualitative research within the team and whether the interviewee reported this as adequate for the study. The matrix was then used in the context of the qualitative analysis to explore the issues that affected integration. In particular, it helped to identify negative cases (when someone in the analysis doesn’t fit with the conclusions the analysis is coming to) within the qualitative analysis to facilitate understanding. Interviewees reported the need for experienced qualitative researchers on mixed methods studies to ensure that the qualitative component was published, yet two cases showed that this was neither necessary nor sufficient. This pushed us to explore other factors in a research team that helped generate outputs, and integrated outputs, from a mixed methods study.

질적 연구의 주제는 정량적 데이터로 코딩할 수 있을 정도로 요약할 수 있습니다. 매트릭스(표⇑)에서 인터뷰 대상자의 팀 내 질적 전문성의 적절성에 대한 인식은 적절함=1 또는 적절하지 않음=2로 코딩될 수 있습니다. 이를 정성적 데이터의 '정량화'23라고 하며, 코딩된 데이터는 정량적 요소의 데이터로 분석할 수 있습니다. 이 기법은 무작위 대조 임상시험에서 정량적 측정을 통해 평가한 건강 개선도와 심층 인터뷰를 통해 평가한 건강 개선도 간의 차이를 파악하기 위해 의료 연구에서 매우 효과적으로 사용되었습니다.24 
Themes from a qualitative study can be summarised to the point where they are coded into quantitative data. In the matrix (table), the interviewee’s perception of the adequacy of qualitative expertise on the team could have been coded as adequate=1 or not=2. This is called “quantitising” of qualitative data23; coded data can then be analysed with data from the quantitative component. This technique has been used to great effect in healthcare research to identify the discrepancy between health improvement assessed using quantitative measures and with in-depth interviews in a randomised controlled trial.24

결론
Conclusion

연구자들이 연구의 질적 요소와 양적 요소의 데이터를 통합하여 무엇을 배울 수 있는지 탐구할 수 있기를 바라며 혼합 방법 연구에 통합할 수 있는 세 가지 기법을 제시했습니다. 이러한 기법을 사용하면 연구자가 "무언가를 만들어냈다"는 느낌을 갖지 않고 통합 과정에 신뢰성을 부여할 수 있습니다. 또한 연구자가 통합에 대한 접근 방식을 설명하도록 장려하여 투명성을 확보하고 이러한 기법을 개발, 비판 및 개선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가장 중요한 것은 연구자들이 연구를 통해 더 많은 이해를 이끌어내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는 점입니다. 
We have presented three techniques for integration in mixed methods research in the hope that they will inspire researchers to explore what can be learnt from bringing together data from the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components of their studies. Using these techniques may give the process of integration credibility rather than leaving researchers feeling that they have “made things up.” It may also encourage researchers to describe their approaches to integration, allowing them to be transparent and helping them to develop, critique, and improve on these techniques. Most importantly, we believe it may help researchers to generate further understanding from their research.

통합이 문제가 없는 것처럼 제시했지만, 실제로는 그렇지 않습니다. 대규모 연구팀보다는 1인 연구자가 이러한 기법을 사용하는 것이 더 쉬울 수 있습니다. 대규모 팀은 누가 통합을 책임지고 누가 프로세스에 참여할 것인지 고려하면서 팀 역학 관계에 주의를 기울여야 합니다. 또한, 통합에 대한 접근 방식을 형성할 수 있는 다양한 철학적 신념에 주의를 기울이기보다는 기술적인 입장을 취했습니다. 이러한 기법은 일부 혼합 방법 연구자들이 채택하는 실용주의적 또는 미묘한 현실주의적 입장의 맥락에서 작동할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25 마지막으로, 이러한 기법은 통합을 위한 보조 수단이며 전문성과 함께 적용될 때만 유용하다는 점을 기억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We have presented integration as unproblematic, but it is not. It may be easier for single researchers to use these techniques than a large research team. Large teams will need to pay attention to team dynamics, considering who will take responsibility for integration and who will be taking part in the process. In addition, we have taken a technical stance here rather than paying attention to different philosophical beliefs that may shape approaches to integration. We consider that these techniques would work in the context of a pragmatic or subtle realist stance adopted by some mixed methods researchers.25 Finally, it is important to remember that these techniques are aids to integration and are helpful only when applied with expertise.

 


BMJ. 2010 Sep 17;341:c4587. doi: 10.1136/bmj.c4587.

Three techniques for integrating data in mixed methods studies

Affiliations collapse

1Medical Care Research Unit, School of Health and Related Research, University of Sheffield, Sheffield S1 4DA, UK. a.ocathain@sheffield.ac.uk

PMID: 20851841

DOI: 10.1136/bmj.c4587

왜 개방형 설문 질문이 강건한 질적 인사이트를 지지하기 어려운가(Acad Med, 2018)
Why Open-Ended Survey Questions Are Unlikely to Support Rigorous Qualitative Insights
Kori A. LaDonna, PhD, Taryn Taylor, MD, PhD, FRCPC, and Lorelei Lingard, PhD

보건 전문직 교육 연구자들은 이 분야의 복잡한 문제를 탐구하기 위해 양적 연구 방법과 질적 연구 방법의 조합에 점점 더 의존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발전은 중요하고 필요하지만, 새로운 방법론적 과제를 야기하고 있습니다. 연구자들은 하나의 접근 방식에 수반되는 엄격성의 원칙뿐만 아니라 여러 접근 방식의 상호 보완성 또는 비호환성을 고려해야 합니다.1 물론 혼합 방법 연구의 경우처럼 생산적인 효과를 위해 전략적으로 방법을 통합할 수도 있지만,2 연구 방법들이 무분별하게 결합될 경우 연구가 제공할 수 있는 인사이트의 질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Health professions education researchers are increasingly relying on a combination of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to explore complex questions in the field. Although this development is important and necessary, it has created new methodological challenges. Researchers must consider not only the principles of rigor attendant on one approach but also the complementarity or incompatibility of multiple approaches.1 Certainly, methods can be integrated strategically to productive effect, as in the case of mixed-methods research,2 but they can also be combined blithely, with negative implications for the quality of the insights the research can provide.

문제가 될 수 있는 연구 방법 결합의 일반적인 예로는 '정성적' 질문의 하위 집합을 포함하는 정량적 설문조사 또는 측정 도구가 있습니다. 이는 종종 폐쇄형(리커트형 또는 강제 선택형) 항목에 몇 개의 개방형 질문이 뒤따르는 형태이거나, 의학교육 평가에서 교사나 학습자의 성과에 대한 서술형 피드백을 위한 자유 텍스트 필드의 형태를 취합니다. 자유 텍스트 응답에 대한 분석은 종종 "질적" 연구로 제시됩니다. 이 초청 논평에서는 이러한 응답 분석이 엄격한 질적 연구의 기준을 충족하는 경우가 드문 이유를 설명합니다. 
One common example of combining research methods that can be problematic is the quantitative survey or measurement instrument that includes a subset of “qualitative” questions. Often this takes the form of closed-ended (Likert-type or forced-choice) items followed by a few open-ended questions or, in medical education assessment, free-text fields for narrative feedback to teachers or learners about their performance. Analysis of the free-text responses is frequently presented as “qualitative” research. In this Invited Commentary, we explain why the analysis of such responses rarely meets the bar for rigorous qualitative work.

엄격함의 기준은 무엇인가요?
What Is the Bar for Rigor?

질적 연구의 목적은 "사람들이 자신의 경험을 어떻게 해석하는지, 자신의 세계를 어떻게 구성하는지, 자신의 경험에 어떤 의미를 부여하는지"를 이해하는 것입니다.3 이를 위해 질적 연구자는 동료 디브리핑, 문헌 참조, '구성원 확인'4 또는 초기 분석 인사이트를 구체화하기 위한 추가 데이터 수집을 통해 여러 차례의 데이터 코딩을 수행하는 반복적이고 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프로세스에 참여합니다.3,5,6 이 프로세스의 엄격성을 평가하는 방법은 여러 가지가 있지만,7-10 트레이시의 8가지 "빅 텐트" 기준11은 품질에 대한 우리의 가정을 구체화합니다: 즉, 질적 연구는 우수성의 기준을 충족하기 위해 다음을 갖추어야 한다.

  • (1) 가치 있는 주제를 탐구하고,
  • (2) 엄격함을 입증하고,
  • (3) 성실하고, (4) 신뢰할 수 있고, (5) 윤리적이어야 하며,
  • (6) 청중의 공감을 얻고,
  • (7) 중요한 공헌을 하고,
  • (8) 의미 있는 일관성을 달성한다.

이러한 기준을 충족하려면 연구 질문과 연구 결과가 모두 시의적절하고 관련성이 있어야 하며, 연구자가 연구 목적에 부합할 뿐만 아니라 풍부하고 적절한 데이터를 생성하는 절차를 선택하고, 반성성을 고려하며,12 "문헌, 연구 질문/초점, 연구 결과 및 해석을 서로 의미 있게 상호 연결"11해야 합니다.
The purpose of qualitative research is to understand “how people interpret their experiences, how they construct their worlds, and what meaning they attribute to their experiences.”3 To do this, qualitative researchers engage in an iterative, time-intensive process that involves multiple rounds of data coding punctuated by peer debriefing, consultation with the literature, and additional data collection either to “member check”4 or to flesh out early analytical insights.3,5,6 While there are multiple ways to assess the rigor of this process,7–10 Tracy’s eight “big tent” criteria11 shape our assumptions about quality: That is, to meet the bar for excellence, qualitative research must

  • (1) explore a worthy topic;
  • (2) demonstrate rigor;
  • be (3) sincere, (4) credible, and (5) ethical;
  • (6) resonate with an audience;
  • (7) make a significant contribution; and
  • (8) achieve meaningful coherence.

Meeting these criteria requires that both the research question and its findings be timely and relevant, and that researchers choose procedures that not only fit the research purpose but also produce rich and appropriate data, attend to reflexivity,12 and “meaningfully interconnect literature, research questions/foci, findings, and interpretations with each other.”11

자유 텍스트 응답에 대한 '정성적' 분석의 문제점은 무엇인가요?
What Is the Matter With a “Qualitative” Analysis of Free-Text Responses?

설문조사 또는 평가 항목에 대한 자유 텍스트 응답은 진정성, 신뢰성, 공감을 얻거나 실질적인 기여를 할 수 있을 만큼 풍부한 데이터를 생성하는 경우가 드뭅니다.11 데이터의 풍부함에는 아래의 것 등이 포함된다고 다양하게 설명되어 왔습니다.

  • 사회 세계의 특수성에 대한 설명6,
  • 참여자의 감정과 일반적으로 접근하기 어려운 생각의 공개5,
  • 맥락, 감정, 사회적 관계를 환기시키는 "무성한" 또는 "두꺼운" 설명13-15,
  • 소리, 제스처, 동영상 등 다양한 형식과 표현의 조합

16 요컨대, 데이터가 "풍부"하려면 맥락, 개인적인 의미, 정서적, 사회적 뉘앙스, 세부적인 층위를 갖추어야 합니다. 
Free-text responses to survey or assessment items rarely produce data rich enough either to achieve sincerity, credibility, and resonance or to make a substantial contribution.11 Data richness has been variously described as involving

  • descriptions of the particularities of the social world6;
  • disclosure of participants’ feelings and commonly inaccessible thoughts5;
  • “lush” or “thick” descriptions that evoke context, emotion, and social relationships13–15; and
  • various formats and combinations of representation such as sounds, gestures, or videos.16 

In short, for data to be “rich,” they must have context, personal meaning, emotional and social nuances, and layers of detail.

종이 설문조사 도구에서 자유 텍스트 응답을 위한 공간은 몇 인치 정도이며, 전자 또는 온라인 도구에서는 제한된 텍스트 필드인 경우가 많습니다. 경험상 보건 전문직 교사, 학생, 실무자는 일반적으로 할당된 공간에 충분한 서술형 피드백을 제공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몇 문장 이하로 구성된 데이터는 "문맥에 대한 주의와 ... 개념적 풍부함"이 부족한 경우가 많습니다.17 이러한 상황에서는 설문조사 완료 횟수와 무관하게 몇 문장으로 구성된 500개의 응답이 적절한 표본이 될 수 있지만, 특히 질문과 응답이 연구 목표에 대한 부가적인 추가 사항인 경우 반드시 그렇게 되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따라서 자유 텍스트 응답을 분석하면 연구자가 사전 이해를 얻고 콘텐츠 영역을 스케치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지만, 일반적으로 질적 연구의 핵심인 "어떻게?" 및 "왜?"라는 질문에는 도달할 수 없습니다. 
The space for free-text responses on paper survey instruments tends to be a few inches; on electronic or online instruments, it is often a restricted text field. In our experience, health professions teachers, students, and practitioners do not typically provide copious narrative feedback in the allotted space. In turn, data consisting of a few sentences (or less) often lack “attention to context and … conceptual richness.”17 In this situation, the number of surveys completed is irrelevant; 500 responses of a few phrases each can constitute an appropriate sample but may not necessarily do so, particularly if the questions—and responses—are tangential add-ons to the research aims. Therefore, while analysis of free-text responses can generate preliminary understanding and help researchers begin to sketch content areas, it usually cannot get at the “how?” and “why?” questions that are the core business of qualitative research.

또한 자유 텍스트 응답은 엄격한 질적 절차를 통해 분석되는 경우가 드뭅니다. 대신, 특히 키워드의 빈도에 중점을 두는 경우 분석이 정성적이기보다는 정량적으로 보일 수 있습니다. 그렇다고 반복되는 단어를 세는 것이 잘못되었다는 것이 아니라, 종종 불충분할 수 있다는 뜻입니다. 자유 텍스트 응답에 대한 강력한 질적 분석(내용,18,19 주제,20 또는 담론적 또는 언어적 절차21에 따른 분석)은 단순히 개수를 세는 것 이상의 역할을 해야 합니다. 그것은 탐구 중인 사회 현상에 대한 우리의 이해를 풍부하게 해야 합니다.  
Additionally, free-text responses are rarely analyzed using rigorous qualitative procedures. Instead, the analysis may appear more quantitative than qualitative, particularly if the primary focus is frequency of keywords. That is not to say that counting recurring words is wrong but, rather, that it will often be insufficient. A robust qualitative analysis of free-text responses—whether it follows content,18,19 thematic,20 or discursive or linguistic procedures21—must do more than count. It must enrich our understanding of the social phenomena being explored.

이러한 이유로, 자유 텍스트 질문에 대한 응답은 정성적 데이터에 요구되는 풍부함의 기준을 거의 충족하지 못하며, 따라서 이러한 응답에 대한 분석은 강력하고 해석 가능한 독립적인 인사이트를 생성하지 못할 위험이 있다고 주장합니다. 따라서 연구자들은 이러한 분석이 그 자체로 발표할 가치가 있는지에 대해 다시 한 번 생각해 볼 것을 권고합니다. 
For these reasons, we contend that responses to free-text questions will rarely meet the standard for richness required of qualitative data, and that the analysis of these responses, therefore, risks falling short of producing robust, interpretive, stand-alone insights. We caution researchers to think twice about whether these analyses are worthy of publication in their own right.

해결책은 무엇인가요?
What Is the Solution?

물론 예외도 있습니다. 즉, 자유 텍스트 응답 데이터가 "새롭거나 독특하거나 희귀"하고 특정 선험적 연구 질문에 답하기에 적합한 경우 가치 있는 기여를 할 수 있습니다.11 예를 들어, 의학교육 평가 도구의 자유 텍스트 응답을 기반으로 한 두 가지 연구가 엄격하고 독립적인 질적 연구의 기준을 충족한다고 생각됩니다.

  • Myers 등22 은 주제별 분석 및 일치도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여 임상 교사에 대한 레지던트의 자유 텍스트 코멘트가 포함된 임상 교육 평가의 패턴을 설명했습니다. 연구 결과 중에는 교수진의 '개선 영역'에 대한 레지던트의 설명이 교수진의 교수 행동보다 레지던트의 학습 요구에 대해 더 많은 것을 말해줄 수 있다는 통찰이 있었습니다.
  • Ginsburg 등23은 레지던트 수련 평가 보고서에 대한 교수진의 서면 코멘트를 분석하여 코멘트의 주제를 설명하고 CanMEDS 역량 프레임워크와의 관계를 탐색했습니다. 그들은 교수진이 중요하게 생각하지만 CanMEDS 프레임워크에는 나타나지 않는 역량을 제안하는 세 가지 반복되는 주제를 서면 의견에서 발견했습니다. 

There are, of course, exceptions. That is, valuable contributions can be made if free-text response data are “new, unique, or rare” and appropriate for answering a specific, a priori research question.11 To illustrate, consider two studies based on free-text comments in medical education assessment instruments that we think meet the bar for rigorous, stand-alone qualitative research.

  • Myers et al22 used thematic analysis and concordance software to describe the patterns in clinical teaching assessments containing residents’ free-text comments about their clinical teachers. Among their findings was the insight that residents’ descriptions of “areas of improvement” for faculty may say more about resident learning needs than about faculty teaching behaviors.
  • Ginsburg et al23 analyzed written comments by faculty on resident in-training evaluation reports and both described themes in the comments and explored their relationship with the CanMEDS competency framework. They discovered three recurring themes in the written comments that suggested competencies valued by faculty but not represented in the CanMEDS framework.

중요한 점은 이 두 사례 모두에서 자유 텍스트 응답 분석이 대규모 정량적 프로젝트에 추가되는 것이 아니라 연구의 중심이었으며, 결과적으로 이러한 데이터는 연구 질문에 답하기 위해 의도적으로 선택되었다는 점입니다. 인터뷰나 참가자 관찰과 같은 추가 데이터가 있었더라면 저자들의 연구 결과를 개선할 수 있었겠지만, 자유 텍스트 응답이 연구 질문에 적절했습니다. 마지막으로, 두 저자 그룹 모두 기존 문헌 및 개념적 프레임워크와 함께 데이터를 분석하고 제시함으로써 엄밀성을 확보했습니다. 따라서 데이터 자체는 내러티브로서 '풍부'하지는 않았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분석은 의미 있는 질적 인사이트를 도출할 수 있었습니다.
Importantly, in both of these examples the analysis of the free-text responses was the central focus of the study, not an add-on to a larger, quantitative project; as a consequence, these data were purposefully selected to answer the research question. Although additional data, such as interviews or participant observations, might have enhanced the authors’ findings, the free-text responses were appropriate for their inquiries. Finally, both groups of authors ensured rigor by analyzing and presenting the data in tandem with existing literature and conceptual frameworks. Therefore, although the data themselves were not “rich” as narratives, the analysis nevertheless was capable of yielding meaningful qualitative insights.

연구자들이 개방형 설문조사 질문을 피해야 한다고 제안하는 것이 아니며, 그러한 질문이 제공하는 데이터를 무시해야 한다고 제안하는 것도 아닙니다. 오히려 설문조사 응답자의 서면 응답은 정량적 결과를 향상시키고, 설문조사 질문의 문제점을 부각시키며, 폐쇄형 질문에 대한 답변을 확증하고, 새로운 연구 방향을 제시할 수 있습니다.17 또한 평가 도구의 서술형 응답은 비록 축약되어 있지만 특정 맥락에서 서면 피드백의 본질과 의미에 대한 중요한 질문에 답할 수 있는 리소스를 제공할 수 있습니다. 
We are not suggesting that researchers should avoid open-ended survey questions, nor are we suggesting that researchers should ignore the data provided by such questions. On the contrary, survey respondents’ written responses can enhance quantitative findings, highlight problems with survey questions, corroborate answers to closed-ended questions, and inspire new avenues for research.17 And narrative responses on assessment instruments, albeit abbreviated, can provide a resource for answering important questions about the nature and meaning of written feedback in specific contexts.

그러나 Silverman24가 주장했듯이 "질적 연구는 단순히 주어진 연구 문제에 끼워 맞출 수 있는 일련의 기술이 아닙니다." 간단한 자유 텍스트 응답을 적절하게 처리하기 위해 세 가지 제안을 제공합니다.

  • 첫째, 개방형 질문이 몇 개 포함된 설문조사 도구의 경우, 연구자는 이러한 데이터와 그 분석을 사후에 독립적으로 수행되는 질적 연구의 일부가 아니라 1차 설문조사 연구의 보조 분석으로 선험적으로 개념화해야 합니다.
  • 둘째, 많은 평가 도구에서 볼 수 있는 것과 같이 자유 텍스트 항목에 대한 간단한 응답에 의도적으로 초점을 맞춘 연구의 경우, 연구자는 연구 질문이 집중적이고 적절한지 확인해야 하며 탐구 중인 사회 현상에 대한 강력한 통찰력을 제공하는 분석 절차에 참여해야 합니다.
  • 마지막으로, 엄밀성을 보장하기 위해 연구 설계를 지원하고 분석이 진행되는 동안 지침을 제공할 수 있는 숙련된 질적 연구자와 상담하는 것이 좋습니다. 

However, as Silverman24 has argued, “qualitative research is not simply a set of techniques to be slotted into any given research problem.” To treat brief free-text responses appropriately, we offer three suggestions. First, in the case of a survey instrument that includes a few open-ended questions, researchers should conceptualize these data and their analysis a priori as an adjunct analysis to the primary survey research, not as a post hoc stand-alone piece of qualitative scholarship. Second, in the case of a study focused purposefully on brief responses to free-text items such as those found in many assessment instruments, researchers should ensure that the research question is focused and appropriate, and they should engage in analytical procedures that offer robust insights into the social phenomena being explored. Finally, to help ensure rigor, we suggest consulting with an experienced qualitative researcher who can both assist with study design and provide guidance as the analysis unfolds.

 


Acad Med. 2018 Mar;93(3):347-349. doi: 10.1097/ACM.0000000000002088.

Why Open-Ended Survey Questions Are Unlikely to Support Rigorous Qualitative Insights

Affiliations collapse

Affiliation

1K.A. LaDonna is assistant professor, Department of Innovation in Medical Education and Department of Medicine, University of Ottawa, Ottawa, Ontario, Canada; ORCID: http://orcid.org/0000-0003-4738-0146. T. Taylor is assistant professor, Department of Obstetrics and Gynaecology, and scientist, Centre for Education Research and Innovation, Schulich School of Medicine and Dentistry, Western University, London, Ontario, Canada. L. Lingard is professor, Department of Medicine and Faculty of Education, and founding director and senior scientist, Centre for Education Research and Innovation, Schulich School of Medicine and Dentistry, Western University, London, Ontario, Canada.

PMID: 29215376

DOI: 10.1097/ACM.0000000000002088

Abstract

Health professions education researchers are increasingly relying on a combination of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to explore complex questions in the field. This important and necessary development, however, creates new methodological challenges that can affect both the rigor of the research process and the quality of the findings. One example is "qualitatively" analyzing free-text responses to survey or assessment instrument questions. In this Invited Commentary, the authors explain why analysis of such responses rarely meets the bar for rigorous qualitative research. While the authors do not discount the potential for free-text responses to enhance quantitative findings or to inspire new research questions, they caution that these responses rarely produce data rich enough to generate robust, stand-alone insights. The authors consider exemplars from health professions education research and propose strategies for treating free-text responses appropriately.

교육자의 블루프린트: 설문 시행의 how-to 가이드(AEM Educ Train. 2023)
Educator's blueprint: A how-to guide on survey administration
Kathleen Y. Ogle MD1 | Jeffery Hill MD, MEd2 | Sally A. Santen MD, PhD2,3 | Michael Gottlieb MD4 | Anthony R. Artino Jr. PhD1 

서론
INTRODUCTION

설문조사 기반 의학교육 연구의 복잡성을 고려할 때, 이 시리즈의 의도는 학술 응급의학 내에서 설문조사 연구를 수행하는 과정을 단순화하는 것이었습니다.1, 2 우리의 목표는 설문조사 방법론에 대한 접근 방식을 개선하는 것이었으며, 이에 따라 의학교육 연구자들을 위한 지침으로 일련의 모범 사례 기사를 개발하고자 했습니다. 다른 논문에서는 설문조사 관리에 대해 간략하게 다루었지만, 본 논문에서는 각 유형의 관리 옵션의 문제점과 이점을 자세히 살펴봄으로써 다른 접근 방식을 제시합니다.3, 4 추적, 개인화, 설문조사 기간, 인센티브 사용, 응답자 참여와 관련된 이점과 과제에 대해 자세히 논의합니다. 
Given the complexity of survey-based medical education research, our intention with this series was to simplify the process of conducting survey research within academic emergency medicine.1, 2 Our goal was to improve the approach to survey methodology; as such, we sought to develop a series of best practices articles as a guide for medical education researchers. While other papers have briefly touched on survey administration, our paper offers a different approach, delving further into the challenges and benefits of each type of administration option.3, 4 We further discuss the benefits and challenges with respect to tracking, personalization, survey length, use of incentives, and engaging with respondents.

대상 모집단 샘플링
SAMPLING THE TARGET POPULATION

설문조사 관리 및 전달 방법을 고려할 때 연구자는 먼저 대상 모집단과 샘플링 프레임을 식별해야 합니다.5

  • 대상 모집단은 연구자가 궁극적으로 기술하고 잠재적으로 추론하고자 하는 개인 그룹입니다.
  • 반면에 샘플링 프레임은 표본을 추출하는 그룹 또는 목록입니다.

완벽한 세계에서는 샘플링 프레임이 대상 모집단과 완벽하게 일치하지만 실제로는 거의 발생하지 않습니다. 예를 들어, 대상 모집단은 ACGME 인증 프로그램의 모든 응급의학 핵심 교수진일 수 있습니다. 이 대상 집단을 샘플링하기 위해 연구자는 응급의학과 레지던트 디렉터 협의회(CORD) 리스트서브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모든 핵심 교수진이 리스트서브에 가입하지 않을 수 있으므로 이는 대상 집단에 대한 완벽한 근사치는 아니지만, 연구자는 리스트서브가 대상 집단에 근접한 근사치라고 합리적으로 주장할 수 있습니다. 
When considering survey administration and delivery methods, researchers must first identify their target population as well as their sampling frame.5 

  • The target population is the group of individuals the researcher ultimately aims to describe and potentially make inferences about.
  • The sampling frame, on the other hand, is the group or list from which the sample is drawn.

In a perfect world, the sampling frame would perfectly match the target population; but in practice, this seldom occurs. For example, the target population might be all the emergency medicine core faculty in ACGME-accredited programs. To sample this target population, the researcher might use the Council of Residency Directors in Emergency Medicine (CORD) listserv. This is not a perfect approximation of the target population, since all core faculty may not subscribe to the listserv; however, the researcher could make a reasoned argument that the listserv is a close approximation of the target population.

가장 적절한 대상 집단과 해당 샘플링 프레임을 결정하기 위해 연구자는 설문조사의 목적과 실용적인 문제를 모두 고려하여 대표성 있는 응답과 실현 가능성을 보장하기 위해 적절한 범위의 균형을 맞춰야 합니다. 또 다른 중요한 요소는 설문조사의 응답률입니다. 응답률은 잠재적 설문 응답자 중 완료된 설문조사에 응답한 비율 또는 백분율을 의미합니다. 다시 말해, 응답률은 설문조사에 응답한 개인 수를 전체 잠재 응답자 수로 나눈 비율입니다. 최종 응답률은 개방형 응답과 폐쇄형 응답의 수(즉, 응답자는 일반적으로 긴 개방형 항목을 작성하는 것을 좋아하지 않으므로 응답률이 떨어질 수 있음)를 비롯한 여러 가지 중요한 요소의 영향을 받을 수 있습니다.6, 7 응답률이 중요한 이유는 충분한 사람이 설문조사를 완료하지 않으면 해당 데이터가 전체 그룹의 태도, 의견, 신념 또는 행동을 대표하지 못할 수 있으므로(즉, 무응답 편향이 존재할 수 있음) 응답률이 중요해집니다. 따라서 대표성 있는 표본 추출은 의미 있는 추론을 할 수 있을 만큼 충분한 표본을 확보하는 데 달려 있으며, 응답률은 표본의 대표성을 파악하는 데 필요한 정보의 일부(전부는 아님)를 제공합니다. 
To determine the most appropriate target population and corresponding sampling frame, the researcher must consider both the objectives of the survey and practical issues to balance appropriate coverage to ensure representative responses and feasibility. Another important factor is the survey's response rate. Response rate refers to the fraction or percentage of potential survey respondents who return completed surveys. Stated another way, response rate is the ratio of the number of individuals who responded to a survey divided by the number of total potential respondents. The ultimate response rate can be affected by a number of important factors, including, among other things, the number of open-ended versus closed responses (i.e., respondents generally do not like completing long, open-ended items, and so response rates can suffer).6, 7 Response rates are important because if a survey is not completed by enough people, then that data may not be representative of the attitudes, opinions, beliefs, or behaviors of the entire group (i.e., nonresponse bias may exist). Therefore, representative sampling depends on having a large enough sample to make meaningful inferences, and the response rate provides some (but not all) of the information needed to know how representative the sample is likely to be.

일반적으로 연구자는 연구의 상황적 한계(예: 대상 인구의 전체 규모 및 연구의 재정적 제약)를 고려하여 가능한 한 가장 높은 응답률을 달성하는 것을 목표로 해야 합니다. 또한 일부 학술지에서는 최소 응답률을 요구한다는 사실을 알아두는 것이 중요합니다. 예를 들어, JAMA는 설문조사 연구에 "일반적으로 60% 이상의 충분한 응답률을 요구합니다."8 즉, 표본 규모에 관계없이(특히 응답률이 낮은 경우) 연구자는 웨이브 또는 후속 분석과 같은 기법을 사용하여 잠재적인 무응답 편향이 있는지 평가해야 합니다. 응답률과 무응답 편향에 대한 보다 자세한 설명은 AMEE 가이드 102번: 설문조사에서 응답률 향상 및 무응답 편향 평가.6을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As a rule, researchers should aim to achieve the highest response rate possible, given their study's contextual limitations (e.g., the overall size of the target population and the study's financial constraints). In addition, it is important to know that some journals require a minimum response rate. For example, JAMA asks that survey studies “have sufficient response rates, generally ≥60%.”8 That said, regardless of the sample size (but especially when response rates are low), researchers should assess for potential nonresponse bias using techniques such as wave or follow-up analysis. For a more complete description of response rates and nonresponse bias, interested readers are directed to AMEE Guide No. 102: Improving Response Rates and Evaluating Nonresponse Bias in Surveys.6

설문조사 관리 매체
MEDIUM OF SURVEY ADMINISTRATION

대상 인구와 샘플링 프레임이 결정되면 연구자는 가능한 한 높은 응답률을 보장하기 위해 잠재적 응답자에게 설문조사를 시행하는 가장 좋은 방법을 고려해야 합니다. 이 결정에는 예산 제약과 기관의 자원도 고려해야 합니다. 설문조사를 관리하거나 배포하는 방법에는 대면 또는 우편을 통한 종이 설문조사, 이메일 또는 스마트폰(모바일 앱 또는 문자)을 통한 전자 설문조사, 대면 또는 가상 회의, 소셜 미디어 등 다양한 방법이 있습니다.5-7, 9, 10 궁극적으로 복합적인 접근 방식이 일반적으로 가장 높은 응답률을 제공합니다.11 이러한 다양한 관리 접근 방식의 장점, 문제점 및 기타 고려 사항은 아래에 설명되어 있습니다(이러한 요소에 대한 요약은 표 1 참조).

Once the target population and sampling frame have been determined, researchers should consider the best way or ways to administer the survey to potential respondents to ensure the highest possible response rate. This decision should also factor in budgetary constraints and institutional resources. There are multiple ways to administer or distribute a survey: paper surveys, in person or via postal mail; electronic surveys, by email or smartphone (mobile app or text); audience response systems, in-person or virtual meetings; and social media.5-7, 9, 10 Ultimately, a multimodal approach will typically yield the highest response rate.11 Some of the benefits, challenges, and other considerations with these various administration approaches are described below (see Table 1 for a summary of these components).

TABLE 1. Survey delivery tool.

Survey delivery mode Examples Benefits Drawbacks Potential solutions
Paper survey
In person In a classroom or conference 100% delivery to intended audience
Physical copy
Improved response rate if time allotted
Increased cost
Increased time investment
May not be delivered by PI (if there is a power differential)
Environmental impact
Query institutional resources earmarked for this purpose
Engage research assistants for survey delivery
Electronic survey
Web-based survey software Email delivery
QR code
Text message
Social media*
App based (respondents may need the app)
Low cost
Desktop, mobile device, or smartphone
Charts, images, graphs may be integrated
Allows for branching logic
Can be automated
May utilize listservs
Email fatigue
Possible technical issues for individuals who prefer paper
Easily missed
Include a prenotification
Personalize the invitation
Include survey in subject line of email
Audience response systems In a classroom or conference
In a live webinar
100% delivery to attendees Missed responses from those not in attendance Use a multimodal survey approach and send follow up survey to those not in attendance
  • Note: Adapted from Step 4: Survey Delivery.5

종이 설문조사
Hard-copy surveys

직접 대면하거나 우편으로 전달하는 종이 설문조사는 웹 기반 또는 다른 유형의 전자 설문조사에 비해 몇 가지 장점이 있습니다. 종이 설문조사는 응답자에게 촉각적 동기를 부여하여 응답률을 높일 수 있습니다.7 또한 대면 종이 설문조사를 통해 연구자는 비교적 단기간에 대규모 표본 프레임에 쉽게 도달할 수 있습니다(예: 교실에서 학생을 대상으로 대면 설문조사를 실시하는 경우). 또한 종이 설문조사는 응답자가 전화 설문조사에서 같은 질문을 받는 것과 달리 질문한 내용을 시각적으로 더 잘 검토할 수 있습니다. 
Paper surveys, administered in person or less commonly delivered by postal mail, have several advantages over web-based or other types of electronic surveys. Hard-copy surveys provide respondents with a tactile motivator, which may increase response rates.7 In-person paper surveys can also allow researchers to easily reach a large sampling frame in a relatively short period of time (e.g., an in-person survey delivered to a captive audience of students in a classroom). Moreover, a paper survey may allow respondents to better review a visual representation of queried content, as opposed to being asked such questions on a phone survey.

대면 또는 우편 종이 설문조사 사용 시 한 가지 문제점은 응답자가 기밀 유지에 대해 우려하여 민감한 질문에 응답하거나 정확한 답변을 제공하지 않을 수 있다는 것입니다.5 또한 대면 또는 우편 종이 설문조사는 설문지를 인쇄하고 우편으로 발송한 다음 통계 소프트웨어 또는 스프레드시트에 데이터를 입력하는 데 드는 간접 비용이 더 많이 들 수 있습니다. 스캔 가능한 양식과 함께 종이 설문조사를 사용하면 데이터 입력 비용을 줄일 수 있지만, 응답자 입장에서는 '버블 시트'에 응답하는 데 약간의 복잡성이 추가될 수 있습니다. 
One challenge with using in-person or mailed paper surveys is that respondents may be concerned about confidentiality and thus less likely to respond or provide accurate responses to sensitive questions.5 Further, in-person or mailed paper surveys can have higher overhead costs associated with printing the surveys, mailing them, and then entering the data into statistical software or a spreadsheet. Using paper surveys with scannable forms can reduce data entry expense but can also add a small layer of complexity in answering on a “bubble sheet” (from the respondent's perspective).

전자 설문조사
Electronic surveys

전자 설문조사 사용을 고려하는 경우, 연구자가 선택할 수 있는 설문조사 플랫폼은 다양합니다(예: SurveyMonkey, Google 설문조사, Qualtrics, REDCap). 연구자는 이러한 리소스를 사용하기 위해 독립적으로 자금을 투자하기 전에 기관이 후원하는 웹 기반 옵션을 탐색할 수 있습니다(구체적인 예는 표 2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전자적 관리 방식에는 플랫폼에 통합된 몇 가지 장점과 기능이 있습니다. 
If considering the use of electronic surveys, researchers have a multitude of survey platforms to choose from (e.g., SurveyMonkey, Google Forms, Qualtrics, REDCap). Researchers might explore institution-sponsored, web-based options before independently investing funds in the use of these resources (specific examples can be found in Table 2). Electronic modes of administration have several benefits and features incorporated into the platform.

TABLE 2. Digital survey platforms.

Service Benefits Drawbacks
Qualtrics
  • Flexible design options
  • Export to various statistic programs
  • May be available to faculty through institutional license
  • Generally needs an institutional license as the cost may be prohibitive for individuals
  • Cost is dependent on desired features
SurveyMonkey
  • May be available to faculty through institutional license
  • Free for surveys with <10 items
  • Visual display is limited
  • Paid subscription required to export data for analysis
  • For >10 survey items, packages variable
Google Forms
  • Free and easy to use
  • Survey output may not track column order in Google Sheets
  • Limited options for display and branching logic
LimeSurvey
  • Free
  • Need knowledge of computer programming
REDCap
  • May be available to faculty through institutional license
  • More complex to learn
  • Limited ability to format survey items
  • Note: Adapted from Step 4: Survey Delivery.5
 

이러한 각 도구에는 다양한 전달 옵션과 기타 고려 사항이 있습니다:

Each of these tools has various delivery options and other considerations:
  • 전자 설문조사는 이메일을 통해 각 잠재 응답자에게 직접 전송할 수 있습니다. 개별 이메일 주소로 설문조사를 보내면 연구자가 표본을 적절하게 타겟팅하고 응답률을 모니터링할 수 있습니다.5
    Electronic surveys can be sent to each potential respondent directly via email. Sending the survey to individual email addresses allows the researcher to appropriately target the sample and monitor response rate.5
  • 현재 설문조사 기반 연구에 사용되는 대부분의 플랫폼에는 일회용 링크가 생성될 수 있는 보안 옵션이 있습니다. 이렇게 하려면 개인화, 이메일을 포함한 연락처 목록 생성, 잠재적으로 식별 가능한 정보 또는 IP 주소 수집이 필요합니다. 플랫폼에 따라 다운로드한 설문조사 결과는 기밀 또는 익명일 수 있으므로, 예를 들어 약속된 '익명 설문조사'가 실제로 익명인지 확인하기 위해 선택한 플랫폼의 보안 기능을 검토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Most of the current platforms used for survey-based research have security options in which a single-use link may be generated. Doing so requires personalization, likely generation of a contact list including emails and collection of some potentially identifiable information or IP addresses. Depending on the platform, the downloaded survey results may be confidential or anonymous; therefore, it is important to review the security features of the chosen platform to ensure, for example, that a promised “anonymous survey” is in fact anonymous.
  • 전자 설문조사는 웹 세미나 채팅 또는 가상 미팅에 링크를 삽입하거나 슬라이드의 QR 코드로 전송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가상 미팅이나 웹 세미나의 채팅 트래픽에 따라 설문조사 링크가 쉽게 놓치거나 무시될 수 있습니다. 또한 이 방식은 참석하지 않은 대상 집단에서 잠재적 응답자를 놓칠 수 있으며, 일부 잠재적 응답자는 QR코드 사용법에 어려움을 겪을 수 있습니다. 
    Electronic surveys can be sent as a link placed in a webinar chat or virtual meeting or presented as a QR code on a slide. Depending on the chat traffic in a virtual meeting or webinar, however, a survey link could be easily missed or ignored. This approach also misses potential respondents from the target population who are not in attendance, and some potential respondents may struggle with how to use a QR code.
  • 설문조사는 소셜 미디어나 여러 응답자에게 보내는 메시지의 하이퍼링크(예: 리스트서브)를 통해 광범위한 대상에게 배포할 수 있습니다.7, 9, 12 
    Surveys may be distributed to broad populations by social media or a hyperlink in a message to multiple respondents, i.e., via a listserv.7, 9, 12
  • 대면 또는 가상 강의실에서 사용되는 것과 같은 청중 응답 설문조사는 연구자가 고정된 청중으로부터 실시간 데이터를 얻을 수 있다는 이점이 있습니다. 또한 여러 시스템(예: PollEverywhere, Kahoot!, Socrative)을 통해 응답을 추적할 수 있으므로 연구자는 청중 개개인의 응답률을 실시간으로 정량화할 수 있습니다. 청중 응답 시스템은 방에 있는 사람(직접 또는 가상으로)만 참여할 수 있으므로 모집단을 부적절하게 제한할 수 있습니다. 
    Audience response surveys, like those used with in-person or virtual classrooms, have the benefit of allowing researchers to obtain real-time data from a captive audience. Several systems (e.g., PollEverywhere, Kahoot!, Socrative) can also track the responses, which can allow the researcher to quantify the response rate of the individuals present in the audience in real time. Audience response systems only allow those present in the room (either in person or virtually) to participate and may inappropriately limit the population.

전자 설문조사와 그 결과 보고에는 몇 가지 어려움과 특별한 고려사항이 있습니다.13 개별 이메일을 사용하는 경우, 연구자는 설문조사가 완전한 익명(즉, 개인화된 데이터가 수집되지 않음)이 아닌 기밀(즉, 비식별화) 설문조사인지 여부를 명시해야 합니다. Qualtrics, SurveyMonkey와 같은 대부분의 전자 설문조사 도구에는 다양한 유형의 기밀 또는 익명 데이터 수집을 허용하는 시스템 설정이 있습니다. 설문조사가 진정으로 익명인 경우(즉, 응답을 개인의 개인 정보와 연결할 방법이 없는 경우) 이를 명시적으로 명시해야 하기 때문에 이 구분이 중요합니다. 그러나 실제로는 설문조사 데이터를 다른 결과와 연결하기 위한 목적으로 개인 정보를 수집하는 경우가 많습니다(예: 의대생의 코스에 대한 의견을 코스 성적과 연결). 이러한 접근 방식은 응답하지 않은 응답자에게 다시 연락하거나 후속 조치를 취하는 데도 용이합니다.  
There are several challenges and special considerations with electronic surveys and in reporting of those results.13 If using individual emails, researchers should specify whether a survey is confidential (i.e., deidentified) as opposed to truly anonymous (i.e., no personalized data is collected). Most electronic survey tools, like Qualtrics and SurveyMonkey, have system settings that allow for various types of confidential or anonymous data collection. This distinction is key because if the survey is truly anonymous (i.e., there is no way to link responses to an individual's personal information), then this should be explicitly stated. In practice, however, personal information is often collected for the purpose of linking survey data to other outcomes (e.g., linking a medical student's opinions on a course to their course grades). Such an approach also facilitates recontact or follow-up for nonresponders.


소셜 미디어와 대규모 리스트서브를 통해 설문조사를 배포할 때 가장 큰 어려움 중 하나는 실제 표본 프레임이나 응답률을 추적할 수 없어 대표성이 제한되고 설문조사 결과를 게시하기 어려울 수 있다는 점입니다. 또한 이메일을 통해 배포되는 설문조사의 경우 분모가 불분명하기 때문에 응답률을 계산하기 어려울 수 있습니다. 어떤 연구자들은 이메일을 보낸 횟수를 계산하고, 어떤 연구자들은 이메일을 열어본 횟수를 계산하며, 또 다른 연구자들은 이메일에서 클릭한 링크 수를 분모로 계산합니다. 어떤 방법을 사용하든 연구자는 응답률과 설문조사 완료율을 계산한 방법을 정확히 설명하는 것이 중요합니다.14 
One of the major challenges of disseminating a survey by social media and large listservs is the inability to track the true sampling frame or response rate, which can limit representativeness and result in survey results that are difficult to publish. What is more, it can be difficult to calculate a response rate for surveys that are distributed via email because the denominator is sometimes unclear. Some researchers count emails sent, and others count emails opened, while still others count the number of links clicked in an email as the denominator. Regardless of the method used, it is important for researchers to describe exactly how they have calculated their response rate and surveys completed.14

또한 연구자는 샘플링 프레임에 속하지 않는 응답자의 응답을 샘플링하게 될 수도 있습니다. 따라서 이 매체가 특정 연구에 적합한 이유(예: 특수 집단에 대한 접근성)를 설명하고 응답자의 대표성을 적절히 확보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마찬가지로 리스트서버를 통해 이메일에 링크를 넣으면 특히 리스트서버가 오래된 주소로 채워진 경우 응답률을 파악하기 어렵습니다. 또한 리스트서브에는 의도한 표본에 포함되지 않은 개인이 포함될 수 있습니다(예: CORD 리스트서브에는 프로그램 디렉터만 있는 것이 아니라 그 이상의 사람들이 포함됨). 
Further, researchers may end up sampling responses from respondents who do not fall in their sampling frame. Therefore, it is important to demonstrate why this medium is appropriate for a specific study (e.g., access to special populations) and ensure adequate representativeness of the respondents. Similarly, placing a link in an email via listserv also makes it difficult to determine response rate, especially if the listserv is populated with outdated addresses. Additionally, the listserv may include individuals who are not part of the intended sample (e.g., the CORD listserv has more than just program directors).

참여자 참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FACTORS IMPACTING PARTICIPANT ENGAGEMENT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대부분의 연구자들은 무응답 편향을 줄이기 위해 높은 응답률을 얻기 위해 노력합니다. 따라서 연구자는 응답자의 동기를 부여하고 설문조사에 참여하도록 장려하는 전략을 사용할 수 있고 또 사용해야 합니다. 다음은 응답자의 동기를 강화하고 전반적인 응답률을 향상시키는 데 사용할 수 있는 몇 가지 전략입니다. 
As described above, most researchers strive to obtain a high response rate in an effort to reduce nonresponse bias. As such, researchers can and should use strategies to encourage respondent motivation and participation in the survey. The following are several strategies that can be used to bolster respondent motivation and improve overall response rates.

추적
Tracking

설문조사 전달 방법을 선택할 때 연구자는 수신 및 응답을 추적할 수 있는 기능을 고려해야 합니다. 이를 통해 연구팀은 응답하지 않은 참가자에게 리마인더를 보낼 수 있습니다. 대부분의 경우 설문조사 요청에 응답하는 대부분의 참가자는 참여 초대를 받은 후 처음 2주 이내에 응답한다는 점을 기억하는 것이 중요합니다.7, 9 
In selecting a survey delivery method, researchers should consider their ability to track receipt and responses. Doing so allows the research team to send reminders to nonresponding participants. It is important to remember that, in most cases, many participants who respond to a survey request will do so within the first 2 weeks of an invitation to participate.7, 9

개인화
Personalization

대화식 인사말을 사용하여 설문조사 초대를 개인화하면 응답자에게 긍정적인 동기 부여 효과를 줄 수 있으며, 특히 응답자가 아는 사람이 초대를 보낸 경우 더욱 그렇습니다. 경우에 따라서는 영향력이 있거나 기존 관계를 맺고 있는 사람이 수신 설문조사에 대한 사전 주석을 달면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설문조사가 연구에 사용되는 경우 이러한 접근 방식은 현지 기관 심의위원회의 검토가 필요합니다. 
Personalizing survey invitations using conversational salutations can have a positive motivational effect on respondents, particularly if the invitation also comes from an individual the respondent knows. In some cases, a prenotification of an incoming survey, delivered by a person who has either influence or an existing relationship, may have a positive impact. If the survey is being used for research, then such an approach will require review by the local institutional review board.

설문조사 길이
Survey length

설문조사 길이는 참여자의 참여를 결정하는 데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소 중 하나입니다. 응답률을 높이는 방법에 대한 최근 메타분석에서 Edwards와 동료들은 짧은 설문조사를 사용할 때(긴 도구에 비해) 응답률이 거의 두 배나 높다는 사실을 발견했습니다.9 또한 설문조사 초대장에 "간단한" 또는 "짧은"과 같은 한정어를 제공하는 것이 설문조사에 질문 수를 명시하거나 설문조사 완료에 필요한 시간을 추정하는 것보다 더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5-7, 17 
Survey length is one of the most influential factors in determining participant engagement. In a recent meta-analysis of methods to increase response rates, Edwards and colleagues found that responses were almost twice as likely to occur when shorter surveys were used (as compared to longer tools).9 In addition, providing a qualifier such as “brief” or “short” in the survey invitation may be more helpful than specifying the number of questions on the survey or estimating the amount of time required to complete the survey.5-7, 17

인센티브
Incentives

현금, 선물 또는 기프트 카드 형태의 인센티브는 연구자들에 의해 다양한 성공 사례와 함께 널리 사용되고 있습니다. 에드워즈 등은 메타분석을 통해 금전적 인센티브를 사용할 경우 응답 확률이 두 배 이상 증가했으며, 이러한 인센티브가 응답에 조건이 없는 경우 그 확률이 다시 두 배 가까이 증가한다는 사실을 발견했습니다.15, 16, 18 즉, 가장 효과적인 인센티브는 조건이나 조건 없이 미리 제공되는 인센티브입니다. 이러한 무조건적인 접근 방식은 연구자와 응답자 사이에 "사회적 계약"을 맺는 효과를 가져옵니다. 즉, 연구자가 잠재적 응답자에게 아무런 조건 없이 돈을 주었기 때문에 응답자는 설문을 완료할 필요가 없더라도 이에 보답하고 설문을 완료해야 할 의무를 느낍니다.18, 19 금전적 인센티브(특히 모든 사람에게 조건 없이 선지급하는 인센티브)를 제공하는 것이 설문조사 완료를 요구하는 인센티브나 추첨 기반 인센티브(예: "참여하면 추첨에 응모하여 경품을 드립니다")보다 훨씬 효과적인 접근 방식인 경향이 있습니다. 
Incentives in the form of cash, a gift, or a gift card are widely used by researchers with varying success. In their meta-analysis, Edwards et al. found that the odds of response were more than doubled when a monetary incentive was used, and those odds nearly doubled again when such incentives were not conditional on response.15, 16, 18 In other words, the most effective incentives are those that are given up front with no conditions or strings attached. This unconditional approach has the effect of creating a “social contract” between the researcher and the respondent. That is, the researcher has given the potential respondent money with no conditions attached, and so the respondent feels obligated to return the favor and complete the survey, even though completion is not required.18, 19 Providing monetary incentives (and especially up-front incentives for everyone, with no conditions) tends to be a much more efficacious approach than incentives that require survey completion or lottery-based incentives (e.g., “if you participate, you will be entered into a lottery to potentially win a prize”).

참여자의 관심도
Participant interest

흥미로운 설문조사는 흥미롭지 않은 설문조사보다 높은 응답률을 보입니다. 실제로 에드워즈와 동료들15은 참가자의 흥미를 염두에 두고 설계된 설문조사의 응답률이 두 배 이상 높다는 사실을 발견했습니다.9 연구자는 잠재적 응답자의 흥미를 끌 수 있는 고품질 설문조사 도구를 만들어 이 결과를 활용할 수 있습니다. 또한 연구자는 광범위한 연구 활동에서 설문조사의 중요성을 명시적으로 언급하고 응답자에게 이 작업이 관심 있는 주제 영역과 어떻게 연결될 수 있는지 설명할 수 있습니다. 반면에 민감한 질문을 하는 설문조사는 응답자 익명성을 약속하더라도 응답 편향이 발생하고 응답률이 훨씬 낮은 경향이 있습니다.9
Interesting surveys garner higher response rates than uninteresting surveys. In fact, Edwards and colleagues15 found that surveys designed with the participant's interest in mind were more than twice as likely to be returned.9 Researchers can use this finding to their advantage by creating high-quality survey tools that are interesting to potential respondents. Researchers can also explicitly address the importance of the survey to their broader research efforts and tell respondents how this work might link to topic areas of interest to them. On the other hand, surveys that ask sensitive questions tend to create response bias and have much lower response rates, even when respondent anonymity is promised.9

커뮤니케이션 및 재연락 프로세스
COMMUNICATION AND RECONTACT PROCESSES

설문조사 관리와 관련하여 응답자와 소통할 때는 신중한 생각과 고려가 필요합니다. 처음부터 설문조사 초대장에는 설문조사와 그 목적에 대한 일관되고 직관적인 설명이 포함되어야 합니다. 연구자는 설문조사와 개별 참가자와의 관련성을 명확하게 설명해야 합니다(위에서 설명한 대로 참가자의 관심을 끌기 위해). 모든 응답자에게 가장 효과적인 특정 초대 시기는 없지만, 초기 초대와 후속 초대 시기를 달리하면varying 응답률 향상에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또한, 문헌에 따르면 전체 응답률을 높이려면 최소 3번의 시도(또는 리마인더)를 해야 한다고 합니다.4, 15, 16 Willis 등.20 또한 잠재적 응답자에게 3번 이상의 요청을 보낸 후 응답률이 크게 개선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15, 20, 21 
Communicating with respondents surrounding survey administration requires careful thought and consideration. From the outset, the invitation must have a coherent and straightforward description of the survey and its purpose. Researchers should articulate the relevance of the survey study to the individual participant (in the hopes of piquing their interest as discussed above). Although there is no specific invitation timing that tends to work best for all respondents, varying the time of delivery of initial and follow-up invitations may help to improve response rates. Moreover, the literature suggests that a minimum of three attempts (or reminders) should be made to improve the overall response rate.4, 15, 16 Willis et al.20 also found no significant improvement in response rates after more than three requests are sent to potential respondents.15, 20, 21

결론
CONCLUSIONS

연구자는 설문조사 관리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를 고려해야 합니다. 이러한 요소에는 연구자의 대상 모집단과 표본 추출 프레임, 각각의 장점과 문제점을 고려하여 선택한 관리 방식, 응답자 참여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 마지막으로 커뮤니케이션 및 후속 조치 방식이 포함됩니다. 연구자가 연구 결과를 대상 집단에 적용하려면 샘플링 프레임이 해당 집단을 대표할 수 있어야 합니다. 또한 참여도와 의미 있는 응답을 높이려면 연구가 대상 집단과 관련이 있고 흥미로운 것이면 도움이 됩니다. 선택한 관리 모드에 관계없이 멀티모달 접근 방식이 응답률이 가장 높은 경우가 많으므로 권장됩니다. 또한 개인화, 인센티브 사용, 잠재적 응답자와의 빈번한 고품질 커뮤니케이션도 응답률을 향상시킬 수 있습니다. 결국, 연구자는 대상 집단에 대한 대표 데이터를 수집하기 위해 의도적으로 노력해야 하며, 의도한 추론을 뒷받침하는 응답을 얻기 위해 신중한 선택을 해야 합니다.  

Researchers should consider factors that influence survey administration. These factors include the researcher's target population and sampling frame; their selected modality for administration, taking into account the respective benefits and challenges of each; factors that influence respondent participation; and finally, modes of communication and follow-up. For researchers to apply their results to the target population, the sampling frame should be representative of that group. Further, to enhance engagement and meaningful responses, it is helpful if the research is relevant and interesting to the target population. Regardless of the chosen administration mode, a multimodal approach is recommended, as it often results in the highest response rates. In addition, personalization, the use of incentives, and frequent, high-quality communication with potential respondents can also improve response rates. In the end, researchers should be intentional about collecting representative data about their target population and make deliberate choices when it comes to garnering responses in support of the inferences they intend to make.

 


Abstract

In this paper, we take the lessons learned from designing a survey and collecting validity evidence and prepare to administer the survey for research. We focus specifically on how researchers can reach individuals in the target population, methods of contact and engagement, evidence-informed factors that enhance participation, and recommendations for follow-up with nonrespondents. We also discuss the challenges of survey administration and provide guidance for navigating low response rates. Surveys are a common tool used to evaluate educational initiatives and collect data for all types of research. However, many clinician educators conducting survey-based evaluation and research may struggle to efficiently administer their survey. As a result, they often struggle to obtain appropriate response rates and thus may have difficulty publishing their survey results. Previous papers in this series focused on the initial steps of survey development and validation, but it is equally important to understand how best to administer your survey to obtain meaningful responses from a representative sample.

교육자의 블루프린트: 설문 설계의 how-to 가이드 (AEM Educ Train. 2022)
Educator's blueprint: A how-to guide for survey design
Jeffery Hill MD MEd1 | Kathleen Ogle MD2 | Sally A. Santen MD, PhD1,3 | Michael Gottlieb MD4 | Anthony R. Artino Jr PhD2 

설문조사 배경
BACKGROUND

현대 사회는 설문조사로 가득합니다. 휴대폰의 팝업("이 앱을 어떻게 즐기고 계십니까?")부터 의료 서비스 제공자 방문 후의 Press Ganey 설문조사 또는 연구 프로젝트의 일부로 사용되는 설문조사에 이르기까지, 설문조사에 참여하지 않는 날은 상상하기 어렵습니다. 다른 평가 도구와 마찬가지로 설문조사는 고부담 환경과 저부담 환경 모두에서 사용할 수 있습니다. 연구비 지원 연구와 같이 위험도가 높은 환경에서 설문조사를 사용할 경우, 연구자는 설문조사 점수와 그 용도에 대한 신뢰성과 타당성 증거를 수집해야 하는 부담이 더 큽니다. 이 백서 시리즈에서는 주로 연구 목적으로 사용되는 설문조사에 초점을 맞추어 설문조사 개발 및 시행의 모범 사례에 대해 논의할 것입니다. 
The modern world is replete with surveys. From a pop-up on our phone (“How are you enjoying this app?”) to a Press Ganey survey after a visit to a health care provider or a survey used as part of a research project, it is difficult to imagine a day passing when you are not asked to complete a survey. Like any other assessment tool, surveys can be used in both high-stakes and low-stakes settings. When used in higher-stakes environments, such as a grant-funded research study, there is a greater burden on the researcher to ensure they have collected reliability and validity evidence for the survey scores and their intended use. In this series of papers, we will discuss the best practices in survey development and implementation, focusing primarily on surveys used for research purposes.

설문조사는 의학 교육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지만, 단일 설문조사 설계 표준은 없습니다. 대신 설문조사 설계자는 수십 년에 걸친 경험적 증거에 기반한 증거에 기반한 모범 사례를 사용하여 설문조사를 설계해야 합니다. 또한, 경험적 증거가 제한적이거나 상충되는 부분이 많은 경우, 설계자는 이론적 지침을 적용하여 설문조사 설계 노력을 안내해야 합니다. 이 첫 번째 논문에서는 다음 사항을 논의합니다:

  • (1) 측정 도구로서의 설문조사 선택,
  • (2) 콘텐츠 개발에 대한 의도적인 접근 방식,
  • (3) 질문 구성 및 형식에 대한 증거에 기반한 접근 방식

Although surveys are commonly employed in medical education, there is no single survey design standard. Instead, survey designers must use evidence-informed best practices, which are based on decades of empirical evidence, to guide their efforts. Furthermore, in the many places where the empirical evidence is limited or conflicting, designers should apply theoretical guidance to guide their survey design efforts. In this first paper, we discuss:

  • (1) the selection of a survey as a measurement tool,
  • (2) an intentional approach to content development, and
  • (3) an evidence-informed approach to question formulation and formatting.

향후 백서에서는 신뢰성 및 타당성 증거 수집, 설문조사 관리, 보고 모범 사례에 대해 다룰 예정입니다. 
Future papers will cover gathering reliability and validity evidence, survey administration, and best practices for reporting.

설문조사가 적합한 도구인가요?
IS A SURVEY THE RIGHT TOOL?

교육자, 연구자 또는 프로그램 평가자가 가장 먼저 해야 할 가장 중요한 질문은 다음과 같습니다: "설문조사가 내가 관심 있는 변수를 측정하고 질문에 답하는 데 적합한 도구인가?"입니다. 대부분의 경우 이 질문에 대한 답은 "아니오"이며, 설계자는 관심 있는 결과를 다른 방법으로 측정하는 것이 가장 좋다는 것을 알게 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 짧은 시간 내에 제공되는 프로시져 교육 비디오의 효과를 평가하는 연구는 프로시져 효과의 객관적인 측정을 통해 가장 잘 수행될 수 있습니다.1
  • 또는 시뮬레이션 임상 환경에서 다양한 유형의 스트레스 요인을 조사하는 연구에서는 스트레스 요인에 대한 객관적인 생리적 반응을 평가하기 위해 심박수 변동성을 사용하고, 스트레스에 대한 교육생의 주관적인 인식을 평가하기 위해 설문조사 도구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2
  • 또한 질적 방법론은 의사의 수치심과 같이 잘 이해되지 않거나 제대로 정의되지 않은 개념을 심층적으로 탐구하는 데 이상적인 경우가 많습니다.3

궁극적으로 예비 설문조사 설계자는 설문조사를 연구 도구로 사용할 때의 강점과 한계를 신중하게 고려해야 합니다.  
For the educator, researcher, or program evaluator, the first and often most important question to ask is the following: “Is a survey the right tool to measure my variables of interest and answer my question?” In many cases, the answer to this question is “no,” and the designer may find that their outcomes of interest are best measured in other ways. For example,

  • a study evaluating the effectiveness of a short, just-in-time procedural education video is likely best accomplished through objective measures of procedural effectiveness.1 
  • Alternatively, a study examining different types of stressors in a simulated clinical environment may use heart rate variability to assess objective physiologic response to stressors and a survey instrument to assess trainees' subjective perceptions of stress.2 
  • Additionally, qualitative methodologies are often ideally suited to deeply explore poorly understood or poorly defined concepts, such as physician shame.3 

Ultimately, the prospective survey designer should carefully consider the strengths and limitations of using a survey as a research tool.

설문조사는 질문을 사용하여 인구의 일부 측면에 대한 통계 정보를 수집하는 설명적 도구입니다.4 설문조사는 관찰할 수 없는 인간 현상에 대한 데이터를 수집하는 데 가장 적합합니다. 여기에는 태도, 신념, 의견뿐만 아니라 측정할 수 없거나 측정하기 매우 어려운 행동 및 행위에 대한 보고도 포함될 수 있습니다.5 교육 방법이 정의된 교육 목표와 논리적으로 일치해야 하는 교육과정 개발 과정과 유사하게, 설문조사 사용은 질문하는 기본 질문과 연구하는 변수 또는 결과에 논리적으로 일치해야 합니다.6 또한 연구자는 논문에서 이러한 측정의 근거와 설문조사의 후속 사용(또는 용도)을 명확하게 설명해야 합니다.4, 5
Surveys are descriptive tools that employ questions to collect statistical information on some facet of a population.4 Surveys are best suited for collecting data on nonobservable human phenomena. These include attitudes, beliefs, and opinions but can also include reports of behaviors and actions that are otherwise unmeasurable (or very hard to measure).5 Similar to the process of curriculum development, where methods of teaching should logically align with the defined educational objectives, the use of a survey should logically align with the underlying questions being asked and the variables or outcomes being studied.6 What is more, researchers should clearly describe in their articles the rationale for those measures and the subsequent use (or uses) of a survey.4, 5

콘텐츠 개발
CONTENT DEVELOPMENT

고품질 설문조사는 엄격하게 개발된 평가 도구로, 제안된 용도를 뒷받침하는 타당도 증거가 있습니다. 타당도 근거에는 다양한 구성 요소가 있으며, 이에 대해서는 후속 백서에서 자세히 다룰 예정입니다. 설문조사에 대한 콘텐츠 타당도(타당도 증거의 한 원천)를 확립하는 것은 콘텐츠 개발에 대한 의도적이고 엄격한 접근 방식에서 시작됩니다. 이 과정은 교육자가 먼저 커리큘럼의 중요한 목표를 정의한 다음, 그 목표를 성공적으로 달성하기 위해 구체적인 학습 목표를 작성하는 커리큘럼 개발과 유사합니다. 설문조사 개발에서 설계자는 먼저 연구 또는 설문조사의 전반적인 목표(즉, 어떤 질문을 다루고 있으며 설문조사를 통해 어떤 변수를 측정할 것인가?)를 설정해야 합니다. 그런 다음 연구자는 전체 목표에 따라 평가할 연구 변수 또는 결과를 가장 잘 나타내는 구체적인 구인construct을 정의합니다.7 
High-quality surveys are rigorously developed assessment tools that have validity evidence in support of their proposed uses. There are various components of validity evidence, which we will cover in more detail in a subsequent paper. Establishing content validity (one source of validity evidence) for a survey begins with an intentional and rigorous approach to content development. The process is again similar to curriculum development where an educator first defines the overarching goal of a curriculum and then writes specific learning objectives, which build to the successful achievement of that goal. In survey development, the designer should first establish the overall goal of the study or survey (i.e., what question is being addressed and what variables are being measured with the survey?). Following that overall goal, the researcher then defines specific constructs that best represent the study variables or outcomes being assessed.7

예를 들어 가상 강의가 레지던트 교육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는 연구를 예로 들어 보겠습니다. 이러한 연구의 경우 연구자는 먼저 설문조사의 전반적인 목표를 파악해야 합니다(예: "이 설문조사는 레지던트 교육의 학습 결과에 대한 화상 회의 소프트웨어의 인지된 효과를 측정할 것입니다"). 작업-기술 적합성, 인지 부하, 레지던트 건강(몇 가지 예만 들자면) 등 이러한 중요한 목표에 도움이 될 수 있는 여러 가지 구인이 있습니다. 이러한 구인construct은 예를 들어 화상 회의 소프트웨어의 특정 기능의 유용성, 가정 환경의 산만함, 거주자의 태도 등을 평가하는 데 사용되는 개별 설문조사 항목의 개발을 안내합니다. 
Take, for example, a study examining the impact of virtual didactics on resident education. For such a study, the researcher should first identify the overall goal for their survey (e.g., “This survey will measure the perceived effects of video conferencing software for didactic teaching on learning outcomes in resident education”). There are a number of constructs that could feed into that overarching goal, including task-technology fit, cognitive load, and resident wellness (to name just a few). These constructs then guide the development of individual survey items that are used to assess, for example, the utility of specific features of the video conferencing software, distractions in the home environment, and resident attitudes.

목표와 구인을 정의하는 것은 상세한 문헌 검토로 시작하여 이전 작업에서 유사하거나 관련된 변수를 평가하는 데 사용된 이전에 발표된 설문조사를 식별하는 반복적인 프로세스입니다. 연구 목적 또는 연구 질문의 요구사항과 완벽하게 일치하는 설문조사를 찾기란 쉽지 않지만, 이전 설문조사에서 연구의 일부 측면 및/또는 관심 있는 구성을 다뤘을 가능성이 있습니다. 연구자는 강력한 타당도 및 신뢰도 증거를 보고하는 출판된 도구를 찾는 것이 이상적이지만, 많은 출판된 설문조사 도구가 이러한 증거를 적절히 설명하지 못한다는 점을 이해해야 합니다.6 또한 연구자는 새로운 모집단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사용하는 등 기존 설문조사를 변경하면 타당도 논거와 도구가 여전히 (새로운) 용도에 적합한지 여부가 달라질 수 있음을 인지해야 합니다.8 이러한 문헌 검토 과정과 설문조사 목표와 목적에 대한 사려 깊은 고찰은 연구자에게 평가할 구성요소에 대한 철저한 이해와 설문문항 구성 방법에 대한 아이디어를 남겨 주어야 합니다.
Defining the objectives and constructs is an iterative process that starts with a detailed literature review to identify any previously published surveys used to assess similar or related variables in prior work. While identifying a survey that perfectly matches the needs of the study purpose or research question is unlikely, it is possible that previous surveys have addressed some aspects of the study and/or constructs of interest. Researchers should ideally seek out published instruments that report robust validity and reliability evidence, understanding, however, that many published survey instruments fail to adequately describe this evidence.6 Researchers should be aware, as well, that any alterations to existing surveys, to include using the survey in a new population, may change the validity argument and whether or not the instrument is still appropriate for its (new) intended use.8 This process of literature review and thoughtful reflection on the goals and objectives of the survey should leave the researcher with a thorough understanding of the constructs to be assessed and ideas on how to frame their survey questions.

문항 작성을 위한 모범 사례
BEST PRACTICES FOR ITEM WRITING

설문조사가 가장 적합한 측정 도구라고 판단되면 개별 설문조사 항목의 구성construction을 시작할 수 있습니다. 각 문항을 개발하는 방식은 신중한 고려가 필요하며 문헌을 통해 정보를 얻어야 합니다. 인지 심리학, 여론 조사 등 다양한 분야에서 언급했듯이, 모든 응답자가 동일한 방식으로(그리고 설문조사 설계자가 의도한 방식으로) 해석할 수 있는 고품질 설문조사 문항을 작성하는 까다로운 과정을 성공적으로 수행하기 위해서는 여러 단계가 필요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문항 작성에 모범 사례를 사용하면 궁극적으로 설문조사 설계자가 의미 있는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는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습니다. 여기에서는 설문조사 개발을 구성 요소로 세분화하여 고품질의 설문조사 기반 학술활동을 지원하기 위한 몇 가지 구조화된 지침을 제안합니다(각 모범 사례의 예는 표 1 참조).
Once it is determined that a survey is the best measurement tool, construction of individual survey items can begin. The manner in which each item is developed requires deliberate consideration and should be informed by the literature. As noted in many different fields, including cognitive psychology and public opinion polling, multiple steps may be required to successfully navigate the challenging process of writing high-quality survey items that all respondents will interpret in the same way (and in the way the survey designer intended). Therefore, the use of best practices in item writing will ultimately enhance the survey designer's ability to capture meaningful data. Herein, we propose some structured guidelines to breakdown survey development into its building blocks, thereby supporting high-quality survey-based scholarship (see Table 1 for examples of each best practice).

표 1. 샘플 질문 및 권장 문구
TABLE 1. Sample questions and recommended phrasing


Best practice
Problematic example Recommended improvement
Write positively worded questions How often are you unable to start class on time? How often do you start class on time?
Use questions and item-specific response options I enjoyed the lecture.
(response options: strongly disagree to strongly agree)
How much did you enjoy the lecture? (response option: not at all to a great amount)
Avoid double-barreled items How effective was the lecture and hands-on instruction? How effective was the lecture instruction?
How effective was the hands-on instruction?
Or, the item could be written at a higher level of abstraction:
How effective was the residency instruction?
Choose an appropriate number of response options Did you like the activity?


  • Yes
  • No

How much did you like the activity?


  • Not at all
  • A little
  • A moderate amount
  • Quite a bit
  • A lot

Attend to formatting and layout How satisfied were you with your residency training?


  • 1.Not at all satisfied
  • 2.
  • 3.
  • 4.
  • 5.Extremely satisfied

How satisfied were you with your residency training?


  • Not at all satisfied
  • Somewhat satisfied
  • Moderately satisfied
  • Quite satisfied
  • Extremely satisfied

Organize the survey items intentionally First question on the survey:
How often do you take illicit drugs?
First question on the survey:
What is your favorite extracurricular activity?

긍정적인 표현의 질문 작성
Write positively worded questions

개별 설문조사 문항은 일반적으로 긍정적인 표현을 사용해야 합니다. 긍정적인 표현의 문항을 사용하면 응답자가 이해하기 쉽기 때문에 응답 정확도가 향상됩니다. 반면, 부정적인 단어로 된 항목에서는 특히 응답자가 설문조사를 빨리 끝내려고 할 때(종종 그렇듯이) 실수로 '아닌', 'un-'과 같은 접두사나 단어를 놓치는 경우가 많습니다. 부정적으로 표현된 항목은 이해하는 데 더 많은 인지적 자원이 필요하므로 응답자가 쉽게 잘못 해석하여 부정확하거나 해석하기 어려운 데이터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9, 10
Framing of individual survey items should generally use positive language. The use of positively worded items enhances response accuracy because they are easier for respondents to comprehend. On the other hand, many respondents may inadvertently miss words and prefixes like “not” and “un-” in negatively worded items, particularly if respondents are trying to get through the survey quickly (which they often are). Negatively worded items require more cognitive resources to understand and, therefore, can be easily misinterpreted by respondents, leading to inaccurate or otherwise hard-to-interpret data.9, 10

동의/반대 옵션이 있는 문항보다는 질문과 항목별 응답 옵션을 사용합니다.
Use questions and item-specific response options rather than statements with agree/disagree options

설문조사는 여러 면에서 설문조사 설계자와 응답자 간의 대화와 같습니다. 동의/비동의 응답 옵션이 있는 문항을 사용하는 대신 질문을 하면 설문조사 대화가 보다 자연스럽게 흘러가 응답자의 이해도를 높이고 응답자가 질문하는 정보를 처리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10 이 주제에 대한 최근의 종합적인 검토에 따르면 동의/비동의 응답 옵션이 있는 문항은 더 바람직하지 않은 결과(예: 묵인 및 해로운 응답 효과)와 관련이 있다고 합니다.11 부록 S1에 명시된 대로 저자들은 대부분의 목적에 동의/비동의 항목 대신 항목별 질문을 사용할 것을 설문조사 설계자에게 권장합니다. 
In many ways, a survey is like a conversation between the survey designer and their respondents. By asking questions rather than using statements with agree/disagree response options, a survey conversation can flow more naturally—which can enhance respondent comprehension and help respondents process the information being asked.10 A recent, comprehensive review of this topic reported that statements with agree/disagree response options are associated with more undesirable outcomes (e.g., acquiescence and deleterious response effects).11 The authors recommended that survey designers use item-specific questions instead of agree/disagree items for most purposes, as noted in Appendix S1.

이중 배럴 항목 피하기
Avoid double-barreled items

연구자들은 설문조사 길이를 줄이기 위해 여러 개의 질문을 하나로 합치려고 시도하는 경우가 많지만, 이러한 접근 방식은 종종 이중 배럴(또는 다중 배럴) 항목이 될 수 있다는 점에서 문제가 있습니다. 응답자는 특히 질문의 한 부분에 대해 한 가지 의견을 가지고 있고 다른 부분에 대해 다른 의견을 가지고 있는 경우 이중 배럴 항목에 응답하는 방법에 대해 혼란스러워할 수 있습니다. 응답자는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다양한 전략을 사용하지만, 중요한 점은 설문 설계자가 각 사람이 어떤 접근 방식을 취했는지 알 방법이 없어 개별 응답을 해석할 수 없게 된다는 것입니다. 이 문제에 직면했을 때 연구자는 세 가지 접근 방식을 취할 수 있습니다.9

  • (1) 두 가지 아이디어 중 어떤 것이 가장 중요한지 고려하여 그 하나만 묻거나,
  • (2) 두 개 이상의 개별 설문 항목을 만들거나,
  • (3) 응답자가 더 복잡한 아이디어로 추상화하도록 유도하는 방식으로 질문의 두 측면을 결합하거나 

Researchers often attempt to combine multiple questions into one in an effort to decrease the length of a survey; however, this approach is problematic in that it often results in a double-barreled (or multibarreled) item. Respondents may be confused about how to respond to double-barreled items, particularly if they have one opinion about one part of the question and another opinion about the other. Respondents will use various strategies to handle this challenge, but the critical point is that the survey designer has no way of knowing which approach each person took, thereby making individual responses uninterpretable. When met with this challenge, researchers can take three different approaches:

  • (1) consider which of the two ideas is most important and ask only that one,
  • (2) create two or more separate survey items, or
  • (3) combine the two facets of the question in a way that encourages respondents to abstract to a more complex idea.9 

예를 들어, 세 번째 접근방식의 경우 "환자의 다양한 의사소통 스타일을 식별하고 수용하는 데 얼마나 능숙합니까?"라는 이중 배럴 질문은 "환자의 다양한 의사소통 스타일에 적응하는 데 얼마나 능숙합니까?"라는 식으로 추상화할 수 있습니다. 이 세 가지 접근 방식 중 하나를 취함으로써 디자이너는 응답자가 서로 연결될 수도 있고 연결되지 않을 수도 있는 아이디어 모음보다는 개별 아이디어에 집중하고 더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도울 수 있습니다. 
In the latter case, for example, the double-barreled question “How skilled are you at identifying and accommodating your patients' different communication styles?” could be abstracted to something like “How skilled are you at adapting to patients' different communication styles?” By taking one of these three approaches, designers can help their respondents focus on and more easily comprehend individual ideas, rather than collections of ideas which may or may not tie together.

적절한 수의 응답 옵션 선택
Choose an appropriate number of response options

주관식 설문조사 항목의 응답 옵션 수는 응답의 신뢰도에 영향을 미칠 수 있으므로 연구자는 선택한 옵션의 수를 신중하게 고려해야 합니다. 대부분의 경우, 5~7개의 응답 옵션이 폐쇄형 설문조사 항목에 적합한 경우가 많습니다.12

  • 단극적인 구성 요소(예: "전혀 없다"에서 "거의 항상"로 변하는 행동의 빈도와 같이 0에서 더 큰 숫자로 변하는 것)를 정량화하려는 항목의 경우, 응답 옵션이 5개이면 충분한 경우가 많습니다. 반면에
  • 양극성이 강한 구성 요소를 평가하려는 항목(예: 태도처럼 부정적인 양에서 긍정적인 양으로 변화하는 항목)의 경우 7개의 응답 옵션이 가장 이상적입니다. 7개 옵션부정적인 옵션 3개, 긍정적인 옵션 3개, 중간에 중립적인 옵션 1개를 허용합니다12(표 1의 몇 가지 예 참조).

일반적으로 응답 옵션이 5개 미만이면 설문조사 점수의 신뢰도가 떨어지고, 7개 이상이면 일반적으로 신뢰도가 향상되지 않으며 응답자에게 과도한 부담을 줄 수 있습니다.10 
Since the number of response options in a closed-ended survey item may impact the reliability of the responses, researchers should carefully consider the number of options selected. For most purposes, five to seven response options is often the sweet spot for closed-ended survey items.12 

  • For items which seek to quantify constructs that are unipolar (i.e., things that go from zero to a larger number, like the frequency of a behavior that goes from “never” to “almost all the time”), five response options is often adequate.
  • On the other hand, for items that seek to assess constructs that are more bipolar (i.e., things that go from a negative amount to a positive amount, like an attitude), seven response options is often ideal. Seven options allow for three negative options, three positive options, and one neutral option in the middle12 (see several examples in Table 1).

As a general rule, fewer than five response options is likely to decrease the reliability of survey scores and more than seven typically does not enhance reliability and may overburden respondents.10

또 다른 고려 사항은 홀수 또는 짝수 응답을 사용할지 여부입니다. 설문조사 설계자는 종종 이 결정에 대해 몇 시간 동안 고민하지만, 제한된 경험적 증거는 이 선택의 결과가 미미하다는 것을 시사합니다.9 즉, 

  • 설문조사 항목이 중립점을 갖는 것이 합리적이라면 응답 옵션의 수가 홀수인 것이 가장 합리적일 수 있습니다(즉, 응답자가 문제에 대해 중립적인 것이 합리적일 경우).
  • 반면에 자연스러운 중간점이 존재하지 않는다면 중간점이 없는 짝수 개의 응답 옵션을 사용하는 것이 합리적입니다.

Another consideration is whether to use an odd or even number of responses. Although survey designers often spend hours agonizing over this decision, the limited empirical evidence is equivocal, suggesting that the consequences of this choice are minor.9 That said,

  • if it makes sense for the survey item to have a neutral point, then an odd number of response options probably makes the most sense (i.e., if it is reasonable for a respondent to be neutral on an issue). On the other hand,
  • if no natural midpoint exists, then it is reasonable to instead use an even number of response options with no midpoint.

서식 및 레이아웃에 주의
Attend to formatting and layout

거의 모든 사람, 특히 의료계 전문가가 스마트폰을 가지고 있는 요즘, 대부분의 응답자가 모바일 기기를 사용하여 대부분의 웹 기반 설문조사를 완료한다는 점에 유의해야 합니다. 따라서 모바일 형식을 포함한 다양한 형식의 설문조사 레이아웃을 미리 보는 것이 중요합니다. 예를 들어, SurveyMonkey 또는 Qualtrics와 같은 웹 기반 설문조사 애플리케이션은 일반적으로 컴퓨터 화면에 표시되는 설문조사의 경우 응답 옵션을 페이지 전체에 가로로 정렬하지만, 모바일 사용자를 위해 동일한 옵션을 세로로 정렬하는 기능도 있습니다. 따라서 가독성을 보장하기 위해 두 가지 형식 모두에서 설문조사 항목의 모양을 신중하게 검토하고 사전 테스트하는 것이 중요하며, 특히 이러한 서로 다른 형식은 제공되는 설문조사 응답의 품질에 영향을 미칠 수 있으므로 더욱 그렇습니다.9
At a time when virtually everyone has a smartphone, especially professionals in healthcare, it is important to note that most respondents will use their mobile device to complete most web-based surveys. As such, it is essential to preview the survey layout in multiple formats, including the mobile format. For example, web-based survey applications like SurveyMonkey or Qualtrics typically align response options horizontally across the page for surveys presented on a computer screen, but they also have the capability to format the same options vertically for the mobile user. Thus, it is important that researchers carefully review (and even pretest) the appearance of their survey items in both formats to ensure readability, especially because these different formats can affect the quality of the survey responses provided.9

설문조사 설계자는 정확도를 높이기 위해 응답 옵션에 구두 라벨과 숫자를 모두 포함하려는 경향이 있을 수 있습니다. 그러나 놀랍게도 기존의 제한된 경험적 연구에 따르면 응답자는 이러한 응답 옵션을 다양하게 해석하는 경우가 많습니다(숫자의 의미와 구두 라벨의 의미가 때때로 일치하지 않을 수 있기 때문).13 이 결과는 구두 라벨과 숫자를 모두 포함하는 것이 비효율적인 접근 방식일 수 있음을 시사합니다. 따라서 숫자를 사용하지 않고 구두 레이블만 사용하고 모든 응답 옵션에 레이블을 지정하는 것이 가장 좋은 방법이며, 이렇게 하면 응답자의 인지적 부담이 완화되어 보다 정확한 답변을 유도할 수 있습니다.9 부록 S1에는 일반적으로 연구되는 주제에 대한 구두 레이블의 예가 나와 있습니다.
Survey designers may also be inclined to include both verbal labels and numbers on their response options, with the goal of enhancing precision. Surprisingly, however, the limited empirical research that exists suggests that respondents often variably interpret such response options (since the meaning of numbers and the meaning of verbal labels can sometimes be misaligned).13 This finding suggests that including both verbal labels and numbers may be an ineffective approach. As such, a best practice is to use verbal labels only (without numbers) and to label all response options (as opposed to just the end points); doing so eases respondents' cognitive burden, thereby encouraging more precise answers.9 Appendix S1 outlines a number of example verbal labels for commonly studied topics.

또 다른 중요한 서식 지정 문제는 응답 옵션 간격입니다. 응답 옵션의 간격이 고르지 않으면 특정 옵션이 다른 옵션보다 시각적으로 더 두드러질 수 있습니다. 이는 의도치 않게 응답자가 이러한 옵션에 주목하고 선택할 가능성을 높이는 효과를 가져올 수 있습니다. 설문조사원은 모든 응답 옵션의 간격이 균등하게 유지되도록 서식 지정에 세심한 주의를 기울여야 합니다.9
Another important formatting issue is response option spacing. Unevenly spaced response options can make certain options stand out visually more than others. This can have the inadvertent effect of making these options more likely to be noticed and selected by respondents. Researchers should be meticulous in their formatting efforts, ensuring that all response options are equally spaced.9

의도적으로 설문조사 항목 구성
Organize the survey items intentionally

연구자는 설문조사를 시작하고 궁극적으로 완료하려는 응답자의 동기를 고려할 때, 항목의 순서를 신중하게 고려하고 의도적으로 구성해야 합니다. 설문조사에서 명확하고 해석 가능한 정보를 얻으려면 정확한 데이터 수집이 전제되어야 하므로, 관심 있는 핵심 구인을 다루는 가장 중요한 질문은 설문조사 시작 부분에 배치해야 합니다.9 이렇게 하면 응답자가 설문조사 참여를 중단하더라도 최소한 유용한 데이터는 수집된 것으로 간주할 수 있습니다.
As researchers consider respondent motivation to begin and ultimately complete the survey, the order of the items should be carefully considered and intentional. Obtaining clear and interpretable information from a survey depends on accurate data collection and, as such, the most important questions addressing the central construct of interest should be situated near the beginning of the survey.9 That way, if respondents choose to stop taking the survey, at least some useful data have been collected.

또한 민감한 질문과 인구통계학적 항목(종종 민감한 것으로 간주되는)은 설문조사 마지막에 배치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특히 설문조사나 기타 평가의 초반에 포함된 인종과 민족에 관한 질문은 고정관념 위협이라는 효과를 유발하여 응답 품질과 응답자 동기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이러한 효과만으로도 대부분의 설문조사 마지막에 인구통계학적 항목을 묻는 충분한 이유가 됩니다.14 마지막으로, 민감한 질문과 관련하여 '친밀감rapport'이라는 개념이 중요합니다. 설문조사 설계자가 설문조사 초기에 응답자와 어느 정도 친밀감을 형성하고 동의를 얻으면 보다 민감한 질문을 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친밀감을 형성하는 접근 방식은 일상적인 대화와 마찬가지로 설문조사에도 적용됩니다.
Moreover, it is important to keep sensitive questions and demographic items (which are often considered sensitive) toward the end of the survey. In particular, questions about race and ethnicity that are included early in a survey or other assessments have been shown to induce an effect known as stereotype threat, which can negatively impact response quality and respondent motivation. This effect alone is reason enough to ask demographic items near the end of most surveys.14 Finally, with regard to sensitive questions, the notion of “rapport” is critical. Once the survey designer has built some rapport and buy-in with the respondents early in a survey, then more sensitive questions can be asked. This rapport-building approach applies as much for surveys as it does for everyday conversations.

또한 모든 설문조사 질문은 각 응답자와 관련성이 있어야 합니다. 관련성이 없는 질문은 참여자의 의욕을 떨어뜨리고 응답 품질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이를 염두에 두고 설계자는 분기 질문 사용을 고려해야 합니다.4 예를 들어, 대학 도서관 서비스의 품질에 대한 정보를 수집할 때 설계자는 먼저 "해당 기관의 도서관을 이용해 보셨습니까?"라고 질문한 다음 "예"라고 대답한 응답자에게만 도서관 서비스의 품질에 대해 질문할 수 있습니다. 전자적으로 관리되는 웹 기반 설문조사를 사용하면 디자이너가 이러한 유형의 분기 질문을 쉽게 만들 수 있으며, RedCap, Qualtrics, Google Forms, SurveyMonkey와 같은 많은 웹 기반 설문조사 제품에는 분기 로직으로 설문조사를 구성하는 방법에 대한 자습서가 있습니다. 
In addition, all survey questions should be relevant to each respondent. Irrelevant questions tend to demotivate participants and can negatively impact response quality. With this in mind, designers should consider using branching questions.4 For example, when gathering information about the quality of the university's library services, a designer might first ask: “Have you used the institution's library?” and then ask questions about the quality of the library services only to those who answer “yes.” Electronically administered, web-based surveys make it easy for designers to create this type of branching question, and many web-based survey products, such as RedCap, Qualtrics, Google Forms, and SurveyMonkey, have tutorials on how to construct a survey with branching logic.

결론
CONCLUSION

설문조사는 다른 방법으로는 답할 수 없는 질문에 답할 수 있는 강력한 방법이 될 수 있습니다. 설문조사 설계자는 설문조사 개발 프로세스 초기에 여기에 설명된 모범 사례(및 광범위한 설문조사 설계 문헌)를 사용하여 설문조사 도구가 고품질 의사 결정에 사용할 수 있는 신뢰할 수 있는 평가가 될 수 있도록 할 수 있습니다. 일련의 논문에서 제시하는 설문조사 설계에 대한 증거 기반 접근 방식에는 다음이 포함됩니다: 

  • (1) 엄격한 방식으로 콘텐츠 개발하기,
  • (2) 설문조사 항목을 명확하게 작성하고 형식화하기,
  • (3) 설문조사 결과의 타당성을 뒷받침하는 증거 수집하기,
  • (4) 응답률을 극대화하기 위해 설문조사 관리하기,
  • (5) 설문조사 결과를 의학 문헌에 명확하게 전달하기 등이 있습니다.

Surveys can be a powerful way to answer otherwise unanswerable questions. By using the best practices described here (and in the broader survey design literature)—early in the process of survey development—designers can help to ensure their survey tools are credible assessments that can be used for making high-quality decisions. The evidence-informed approach to survey design presented in our series of papers includes:

  • (1) developing content in a rigorous way,
  • (2) writing and formatting survey items with clarity,
  • (3) collecting evidence to support the validity of the survey results,
  • (4) administering the survey to maximize response rate, and
  • (5) clearly communicating the results of the survey in the medical literature.

이 첫 번째 백서에서는 이 프로세스의 처음 두 단계에 초점을 맞추었습니다. 먼저 설문조사의 목표와 조사 대상의 구인을 설명함으로써 설계자는 설문조사 항목의 내용을 결정할 수 있습니다. 다음으로, 설문조사 항목과 응답의 작성 및 서식 지정에 대한 근거에 기반한 가이드라인을 따르면 설계자는 설문조사 점수의 타당성과 의도된 용도를 뒷받침할 수 있습니다. 다음 백서에서는 설문조사 점수와 그 용도에 대한 신뢰성과 타당성 근거를 더욱 확립하기 위해 설문조사를 테스트하고 시범 운영할 때 중요한 측면에 대해 논의할 것입니다. 그 다음에는 설문조사를 관리하고 배포하는 접근 방식과 설문조사 설계 및 연구 노력을 보고하는 모범 사례에 대해 설명할 것입니다. 

In this first paper, we have focused on the first two steps of this process. By first explicating the goals of the survey and the constructs being investigated, designers can determine the content of survey items. Next, by following evidence-informed guidelines for writing and formatting survey items and responses, designers can support the validity of their survey scores and their intended use. In our next paper, we will discuss the critical aspects of testing and piloting surveys to further establish reliability and validity evidence for the survey scores and their proposed uses. Subsequently, we will describe approaches to administering and distributing surveys, as well as best practices for reporting survey design and research efforts.

 


Abstract

Surveys are ubiquitous in medical education. They can be valuable for assessment across a wide range of applications and are frequently used in medical education research. This Educator's Blueprint paper reviews the best practices in survey design with a focus on survey development. Key components of the survey design process include determining whether a survey is the right tool, using an intentional approach to content development, and following best practices in item writing and formatting. These processes are meant to help educators and researchers design better surveys for making better decisions.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