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페셔널하지 못한 행동에 동참할 것인가 말 것인가? (Med Teach, 2016)

To participate or not participate in unprofessional behavior – Is that the question?


Renato Soleiman Francoa,b , Camila Ament Giuliani dos Santos Francoa,b , Solena Ziemer Kusmaa ,

Milton Severob and Maria Amelia Ferreirab,c


aMedicine School, Pontifical Catholic University of Parana, Curitiba, Brazil; bDepartment of Medical Education and Simulation, Faculty of Medicine, University of Porto, Porto, Portugal; cFaculty of Medicine, University of Porto, Porto, Portugal




도입

Introduction


비전문가적 행동은 프로페셔널리즘을 위반한 것으로, 징계 조치를 받을 가능성이 있다 (Papadakis 외 2004, Teherani 외 2005). 학업 부정 행위에 연루된 대부분의 의대생이 자신의 위반에 대해 징계를받지는 않지만, 학생 시기의 위법 행위misconduct는 훗날 전문직 커리어에서 징계를 받는 것의 위험 요소입니다 (Yates & James 2010).

Unprofessional behavior relates to a violation of professionalism for which one has an increased chance of incurring disciplinary action (Papadakis et al. 2004; Teherani et al. 2005). Even though most medical students involved in academic misconduct will not be disciplined for their infractions, misconduct as a student is a risk factor for disciplinary problems in one’s professional career (Yates & James 2010).


전문직 및 비전문가적 행동은 많은 접근법과 방법을 사용하여 연구되었습니다. 시카고 대학의 Pritzker School of Pritzker School은 일련의 행동 양식을 열거하고 학생들에게 그들이 프로페셔널이 아닌지 관찰하고 참여했는지 여부를 묻습니다 (Humphrey 외 2007, Reddy 외 2007). 이 설문지는 다른 연구자에 의해서도 적용된 바 있다 (Reddy 외 2007, Humphrey 외 2007, Arora 외 2008, Arora 외 2010, Dyrbye 외 2010, Byszewski 외. 2012; Reddy et al., 2012; Kulac et al., 2013).

Professional and unprofessional behaviors have been The studied using many approaches and methods. University of Chicago Pritzker School of Medicine listed a set of behaviors and asked students if they had observed, participated in and judged them to be unprofessional (Humphrey et al. 2007; Reddy et al. 2007). This questionnaire has been adapted and applied in different contexts and countries by other researchers (Reddy et al. 2007; Humphrey et al. 2007; Arora et al. 2008; Arora et al. 2010; Dyrbye et al. 2010; Byszewski et al. 2012; Reddy et al. 2012; Kulac et al. 2013).


학부 수준에서 시작하여 의대생은 다양한 학습 기회를 제공받으며, 다양한 잠재적 역할 모델에 노출되어 있으며, 그 중 일부는 긍정적, 전문적 행동보다 부정적 행동을 모델링 할 수 있습니다 (Hendelman & Byszewski 2014). 롤모델은 전문성 교육을 지원하는 주요 전략 중 하나로 추진되어왔다 (Birden et al., 2013).

Beginning at the undergraduate level, medical students are immersed in diverse learning opportunities and are exposed to a variety of potential role models, some of whom could model negative behaviors more often than positive, professional behaviors (Hendelman & Byszewski 2014). Role models have been promoted as among the main strategies to support the teaching of professionalism (Birden et al. 2013),


어떤 행동을 자주 보게 되면 그 행동이 허용된다고 생각하게 될 수 있으며, 학생들은 일부 레지던트와 주치의가 이러한 행동에 관여하는 순간 뿐만 아니라, 다른 사람들의 위법 행위를 교정해주지 않는 것을 보면서도 시작될 수 있다(Wear et al., 2006; Bryden et al 2010).

Frequent observation could promote a sense that a given behavior is permissible, and may begin when students see that some residents and attendants are not only involved in these behaviors, but also refrain from correcting misconduct in others (Wear et al. 2006; Bryden et al. 2010).


다양한 이론이 행동을 이끌어내는 요인을 설명 할 수 있으며,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이론 중 하나는 계획된 행동 이론 (TBP)입니다. 전통적으로 TPB는 태도와 주관적 규범에 의해 결정되는 행동 수행의 가장 결정적인 요소 중 하나 인 의도적 행동 이론(TRA)의 확장으로 이해 될 수있다 (Conner & Armitage 1998). 비록 의도가 광범위한 행동을 설명해주긴 하나, 복잡한 행동, 특히 퍼포먼스와 밀접한 관련이 있는 행동은 다른 변수의 영향을받는 것으로 보입니다. 따라서, TPB는 행동 통제 (PBC)를 TRA에 통합시켰다 (Conner & Armitage 1998; Sheeran et al., 2003). PBC는 자신의 효율성과 특정 행동에 관여하는 능력에 대한 자신의 평가를 나타냅니다.

Different theories could explain what drives behavior, and one of the most commonly used and accepted is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r (TBP). Classically, the TPB can be understood as an extension of the theory of reasoned action (TRA), in that intention is one of the closest determinants of the performance of a behavior which, in turn, is determined by attitude and subjective norms (Conner & Armitage 1998). Although intention explains a wide range of behaviors, more complex behavior, especially that which is closely related to performance, seems to be influenced by other variables. Thus, the TPB incorporated perceived behavioral control (PBC) into TRA (Conner & Armitage 1998; Sheeran et al. 2003). PBC refers to one’s assessment of one’s own efficiency and ability to engage in certain behaviors.


방법

Methods


표본과 자료 수집

Sample population and data collection


The unprofessional behavior survey was based on two studies carried out at the University of Chicago Pritzker School of Medicine (Humphrey et al. 2007; Reddy et al. 2007), which listed a set of behaviors and asked medical students if they had observed and participated in these behaviors, and whether they judged them to be unprofessional.


We built a survey that listed 22 behaviors; its face validity was assessed by two medical educators from each university in this study. Both schools are in Portuguese-speaking countries, although there are many differences in usage and idiom between Brazil and Portugal. 

    • The medical educators involved were fluent in English grammar, so they were able to assess whether the behaviors translated into Portuguese had the same meanings in Portugal and in Brazil. 

    • They described the meaning of each behavior and ensured that they were referred to the same specific aspects. 

    • They out carried this evaluation independently first, and then in a consensus meeting. 

    • After that, they did a pre-test study of the questionnaire with a group of five students in each country in order to assess if all questions were understood by the students. 


For each behavior, we designed three questions, 

    • asking students whether they had observed the behavior (yes/no), 

    • whether they had participated in the behavior (yes/no), and 

    • how they had judged the behavior (unprofessional, borderline or professional). 

Thus, the survey comprised a total of 66 questions in three domains: observation, participation, and judgment.


The original Pritzker questionnaire asked if the students had judged each behavior as professional or unprofessional. We inserted the intermediary classification of “borderline” into this field. Thus, the possibilities for the student’s judgment of the behavior were unprofessional, borderline, and professional.



자료 분석

Data analysis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was used to assess the three domains in our theoretical framework: observation, participation in and judgment of unprofessional behaviors, with residual correlations between each behavior.





결과

Results


We tested the model with three factors: observation, participation, and judgment, as well as with the residual correlation within each behavior observed, participated in, and judged (Table 2). Almost all items showed a high factor loading with the respective domain.


Thus, we could analyze data assessing not only each behavior but also the domain as a whole (Table 2).




각 행동에 대한 빈도

The frequencies related to each behavior are presented in Table 3, displayed in the three categories of academic,clinical, and patient-related. Most of the responses regard-ing behaviors displayed no statistical differences between UNIPT and UNIBR students.



관찰-참여, 참여-판단 사이에 유의한 상관관계. 관찰과 판단 사이에는 유의했지만, 강도는 낮음

Among both sample populations, there were strong and significant correlations between observation and participation (r ¼0.54, p<0.001) and between participation and judgment (r ¼0.44, p<0.001). The correlation between observation and judgment was significant but less strong (r ¼0.26, p<0.001).


After adjusting for curricular year, country, and gender, the observation and judgment scores were positively associated with the participation score (Table 4).





고찰

Discussion


이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이 나타냅니다.

  • (1) unprofessional하다고 느끼거나 가장 동참하지 않을 행동은 환자와 직접적인 관련이있는 행동이었습니다.

  • (2) 관찰과 참여 사이, 참여와 판단 사이의 연관성이 유의미했다.

  • (3) 학생의 unprofessional한 행동에 대한 동참은 행동의 관찰, 행동에 대한 그들의 판단, 학년에 따라 다르다

  • (4) 상관 관계와 연관성에도 불구하고, 어떤 행동을 'professional'하다고 잘 못 판단할 가능성보다 그 행동에 동참할 가능성이 더 높았다.


The main findings of the study indicate: 

  • (1) the behaviors that students were most likely to consider unprofessional and in which they were least likely to participate were those directly related to patients; 

  • (2) the associations between observation and participation and between participation and judgment were both significant; 

  • (3) the students’ participation in unprofessional behavior could be driven by their observation of the behavior, their judgment of the behavior and their academic year; 

  • (4) despite the correlations and associations, participation was higher than the prevalence of misjudgment of an action as professional.


교육적(또는 비교육적) 환경이 있는가?

Are there educational or (un)educational environments?


관찰 된 unprofessional 행동의 평균은 양국 모두에서 높았고, 학업적 부정 행위에 대한 관찰이 특히 prevalent했다. 유사성에도 불구하고 두 샘플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인 행동도 있었다. 여기에는 주로 시험에서 부정 행위를 관찰한 것이나, 다른 학생으로 서명하는 등 학업 환경에서의 행동과 관련하여 발생한 것으로 UNIBR에서 더 높았다.

The mean of observed unprofessional behavior was high in both countries, and the observation of academic misconduct was especially prevalent. Despite the similarities, there were behaviors that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two samples. This occurred primarily in relation to behaviors in the academic setting, such as observing cheating on exams and signing as another student, which were higher at UNIBR,


부정 행위에 대한 관찰은 학업 상황에만 국한된 것이 아니며, 응답자의 절반 이상이 환자 치료와 관련된 행동의 65 %를 관찰하엿다고 응답했다.

The observation of misconduct was not restricted to the academic setting, and 65% of behaviors related to patient care had been observed by more than 50% of respondents.


비록 롤모델의 사용은 결정적으로 중요하지만, 의사 소통 교육은 롤모델에만 의존하기보다는 정식 (교과) 교육 프로그램, 비판적 사고의 개발, 직장 학습, 모의 훈련, 피드백,보고 및 이론적 지식과 같은 여러 가지 전략을 필요로합니다. (Feraco et al., 2016). 따라서 의사 소통에 있어서 poor conduct를 하는 경우에 그것이 학생에게 어떤 메시지를 보내는지를 고려하는 것이 중요하며, 이로써 distant and ineffective 의사-환자 관계 유발을 피할 수 있다.

The teaching of communication needs to strategies, include multiple such as formal (curricular) teaching programs, development of critical thinking, workplace learning, simulated training, feedback, debriefing and even theoretical knowledge, rather than relying solely on the use of role models; although the use of role models remains crucially important (Feraco et al. 2016). Thus, it is important to consider the types of messages sent to students in such instances of poor conduct in communication, in order to avoid bringing about a distant and ineffective doctor–patient relationship.


적절한 자기 밝힘self-presentation은 정직하고 정중한 의사 소통 과정에서 시작되며, 의사와 환자 간의 초기 관계에서 중요한 역할을합니다 (King & Hoppe 2013). 두 대학 모두 학생들은 동료가 자신을 의사라고 잘못 present하거나, 스스로 의사로 오인받는 것을 시정하지 않는 상황을 관찰했다. 또한 응답자의 약 20 %가 이러한 행동에 직접 참여했다.

Adequate self-presentation begins with an honest and respectful communication process and serves as an important part of the initial rapport between doctor and patient (King & Hoppe 2013). In both universities, students reported observing situations in which classmates falsely presented themselves as doctors or failed to correct someone who mistook them for doctors. Moreover, around 20% of respondents had participated in such behaviors themselves,


이 유형의 행동에 대한 동참 또는 잘못된 판단은 임상실습 기간동안 증가할 수 있으며, 이는 임상 상황 자체가 위험한 습관을 심어줄 수 있음을 보여준다(Hicks 외 2005, Reddy 외 2007, Kulac 외 2013).

The participation in and misjudgment of this type of behavior may increase during clerkship (Hicks et al. 2005; Reddy et al. 2007; Kulac et al. 2013), revealing that the clinical setting itself could instill some dangerous habits.


무엇이 학생들이 프로페셔널하지 못한 행동에 대한 오판과 동참으로 이끄나?

What makes students more prone to misjudging and participating in unprofessional behavior?


관찰과 참여 사이의 연관성은 유의하고 강했다 (0.54). 이 결과는 예상할 수 있었는데, 다른 사람들로부터 어떤 행동을 전혀 관찰하지 않고서 그 행동에 참여하는 것은 어렵기 때문이다.

The association between observation and participation was significant and strong (0.54). This result could even be expected, as it would be difficult to be involved in behavior without first having observed it in others.


그러나 이 숫자의 중요성을 고려한다면, 환경을 조사해야합니다. 학생들은 어떤 행동을 관찰했을 때, 그것이 주어진 그룹에서 기대되는 것으로 또는 적어도 받아 들일 수있는 것을 반영한다고 인식 할 수 있습니다. 이것은 이런 종류의 행동에 함축된 주관적인 규범을 드러 낼 수 있습니다.

However, given the importance of these numbers, one must look into the environment. Students could perceive the behaviors they observe to be reflections of what is expected or, at least, tolerable in the given group. This could reveal some subjective norms that are implicit in this kind of behavior.


따라서 비록 이것이 예상되는 상관 관계이긴하지만, 행동의 관찰을 통해 행동에 참여하겠다는 의지를 표명 할 때, 참여(동참)는 TPB의 주관적인 규범과 관련 될 수있다. 이런 식으로 관측은 행동을 시작하거나 유지하기위한 출발점이 될 수 있습니다.

Thus, even though this is an expected correlation, with the observation of behavior opening one’s willingness to engage in that behavior, participation could also be related to the subjective norms of the TPB. In this way, observation could be a starting point to initiate or maintain a behavior.


다양한 학습 상황에서, 의대생은 부정 및 긍정적 행동 모델 (Hendelman & Byszewski 2014)과 같은 다양한 사례에 노출 될 것입니다.

In diverse learning situations, medical students will be exposed to a variety of examples, including negative and positive models of behavior (Hendelman & Byszewski 2014).


의도적 행동의 관찰에서 그 행동에 참여하기까지 이르는 과정은 (충동적 또는 비자발적 행위의 경우를 제외하면) 그 이유가 무엇인지를 검토하는 과정을 밟는다scrutiny. 프로페셔널리즘이 결여된 것을 관찰하더라도, 학생들은 그들이 본 행동을 판단할 기회를 갖게 되며, 많은 학생들은 그 행동을 따라하지 않는다.

The pathway from the observation of an intentional behavior to participation in that behavior must undergo the scrutiny of reason, except in the case of impulsive or involuntary acts. After a lack of professionalism is observed, students have the opportunity to judge the modeled behaviors, and go on many will not to participate.


비전문적, 경계선, 전문적 행동에 대한 학생의 판단은 행동에 대한 태도와 동등한 것으로 간주되어야합니다. 판단은 참여와 유의미한 상관 관계가 있었기 때문이다.

The student’s judgment of the behavior as unprofessional, borderline, or professional should be considered equivalent to his or her attitude toward the behavior. Judgment was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participation,


비전문적 행동에 대한 학생의 동참여부는 행동을 관찰했는지 여부, 그 행동에 대한 판단, 학년에 의해 45 % 설명되었습니다.

Students’ participation in unprofessional behavior was 45% explained by the respondents’ observation of the behavior, judgment of the behavior, and academic year.


관찰, 참여, 판단 사이에는 상당한 상관 관계가 있습니다. unprofessional한 행동을 관찰하거나 참여한 학생은 악순환에 빠진 것처럼 보였습니다. 일단 학생이 어떤 유형의 unprofessional한 행동을 관찰했거나, 동참했거나, 잘못된 판단을 내리면 미래에 다시 그렇게 할 가능성이 높아졌습니다. 한 번 참여하기 시작하면 바람직하지 못한 관행이 유지 될 수 있으므로 이로 인해 불행한 결과가 초래 될 수 있습니다(Benbassat 2014) .

Observation, participation, and judgment have considerable correlations amongst themselves. The student who observed or participated in unprofessional behavior seemed to enter into a vicious circle: once the student had observed, participated in or misjudged a certain form of unprofessional behavior, the likelihood that he/she would do so again in the future increased. This could bring about unfortunate consequences, as once one begins to participate, it is possible that the undesirable practices will be maintained (Benbassat 2014).


따라서 우리는 어느 시점에서, 환경의 주관적인 규범이 전문적이지 않은 행동을 암묵적으로 지지한다고 인식하는 학생들을 만날 수 있습니다. 그들은 이러한 방식으로 이러한 행동에 대한 개입이 정당하다고 믿게되었을 것입니다. 일부 학생들은 판단력이 부족하고, 어떤 형태의 승인을 받은 결과로서, unprofessional한 행동을 하기로 결정했을 수도 있습니다.

Thus, we may have come across students who at some point perceived that the subjective norms of their environment had tacitly endorsed unprofessional behaviors; they may have, in this way, come to believe that their engagement in these behaviors was justified. It is also possible that some students were lacking judgment and, having received some form of authorization, decided to engage in unprofessional acts.


두 경우 모두, 의도와 주관적 규범은 인지 조화가 행동의 중심에 놓이는 과정의 일부임을 알 수 있습니다. Unprofessional한 행동에 대한 동참 원인을 보면 판단, 참여, 관찰의 조화를 보여준다. 그러나 일부 학생은, 그 행동이 unprofessional 하거나 borderline으로 판단하였음에도 행동에 참여했습니다. 이처럼 규범과 개인적 신념 사이의 불일치가 있을 때, 인지 부조화가 발생한다 (Wald et al. 2012).

In both cases, one may notice that intention and subjective norms are part of a process in which cognitive consonance lies at the center of behavior. The correlations and the percentage of explained participation showed consonance aligning judgment, participation, and observation. However, some of the students who judged a behavior to be unprofessional or borderline were participating in that behavior. When there is conflict in cognition, for example in disagreements between norms and personal beliefs, cognitive dissonance takes place (Wald et al. 2012). 


어떤 행동을 하면서도, 그것이 unprofessional하다고 판단하는 학생 (또는 경계선이라고 판단하는 학생) 역시 도덕적 원칙에 반하여 그러한 행동을 하는 것이고, 자신의 행동에 대한 인지부조화가 나타납니다. 이러한 내부 갈등과 관련된 상황에서, 많은 학생들이 인지적 조화가 dictate하는 과정을 깸으로써 도덕적 스트레스를 받는다고 느낍니다.

Students who participate in behaviors but judge them to be unprofessional (or even those who judge them to be borderline) could have done so against their moral principles, thus displaying cognitive dissonance in their actions. In situations involving these internal conflicts, many students feel compelled by moral distress, breaking the process dictated by cognitive consonance.


부정적인 역할 모델링은 학생들에게 높은 비율로 도덕적 스트레스를 유발하며, 원칙에 어긋난 행동을 하게 유도한다(Lomis 외. 2009). 또한 스트레스가 많은 상황에서는, 유연한 기억flexible memory을 "습관"으로 굳어지게 만들기도 한다(Schwabe & Wolf 2013).

Negative role modeling has been correlated with higher rates of students’ moral distress and inducement to act against their principles (Lomis et al. 2009). In addition,stressful situations may lead a flexible memory to become a rigid “habit” (Schwabe & Wolf 2013). 


판단의 분야에서, 우리는 약 3 가지 카테고리 (전문가가 아닌, 경계선, 직업)를 물었다. 학생이 비전문적 행동을 전문적 행동으로 잘못 판단하는 경향은, borderline이라는 믿음으로 시작될 수 있습니다. 경계선 응답은 그 행동이 전문적인지 아닌지에 대해서 불확실하다는 것을 의미할 수도 있고, 또는 그 행동이 완전히 전문적인것도 완전히 비전문적인것도 아니라고 생각한다는 것을 의미 할 수 있습니다. 이것은 학생들이 자신의 행동이나 신념을 의심 할 수 있음을 시사합니다.

In the field of judgment, we asked about three categories (unprofessional, borderline ,and professional). It is possible that a student’s inclination to misjudge an action as professional can begin with the belief that it is borderline. The borderline answers could mean uncertainty about whether a behavior is unprofessional, or they could mean that the students consider the behavior to be neither totally professional nor unprofessional. This suggests that students may doubt their own behaviors or beliefs.


따라서 판단 점수에 근거한 비전문가 행동에 참여하는 경향은 "의심을 던지는 학생"에 근거하고 있어야합니다.

Thus, the tendency to participate in unprofessional behavior based on the judgment score should be grounded by students in doubt.


우리의 데이터를 다른 연구와 비교하면 프로답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는 행동에 약간의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 그러나 우리가 전문적인 것으로 판단되는 행동 유형을 고려할 때 큰 차이가있었습니다. 예를 들어, Reddy 외 (2007)의 연구에서, 전임상 학생의 19 %와 임상실습 중 학생의 27 %는 misjudged action을 professional하다고 보았다. 반면, 이번 연구에서는 학생의 1 %만이 misjudged actions을 프로페셔널하다고 보았다.

Comparing our data with other studies , one finds little difference in some of the behaviors judged to be unprofessional . However,there were large differences when we considered the types of behaviors judged to be professional. For example, in Reddy et al.’s(2007) study, which considered students both pre- and post-clerkship, 19% of pre-clerkship students and 27% of students in their clerkship misjudged actions as professional. In our study, only 1% of students misjudged actions as professional. 


이 발견은 훌륭한 역할 모델을 제공하고, 잘못된 행동을 교정하며, 의학 교육의 시작과 평생 학습을 통한 전문성에 대한 성찰의 중요성을 강조합니다. 그러한 조치가없는 경우, 이러한 행동은 학부 수준을 넘어서고 학생의 미래 전문 직업에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Fargen 외 2016). 이러한 문제를 효과적으로 해결하기 위해 교수 전략은

These findings highlight the importance of providing good role models, remedying misconduct, and reflecting on professionalism from the very beginning of medical education and throughout lifelong learning. In the absence of such measures, these behaviors could continue past the undergraduate level and affect the student’s future professional practice (Fargen et al. 2016). In order to address these issues effectively, teaching strategies should 


    • (1) 부정적인 역할 모델링에 대한 비판적인 평가를 수행한다.

    • (2) 학생들의 지식 및 윤리적 및 분석적 기술의 결함을 개선한다 (Berger 2014).

    • (3) 역할 모델 활용과 학생 행동의 평가(형성 및 총괄)의 단점을 개선한다  (Byszewski et al., 2012); 

    • (4) 학생들이 전문성에 대한 그들의 헌신을 강화하고, 인지 부조화를 줄이도록 empower한다(Amoura 외 2015).

    • (1) undertake a critical appraisal of negative role modeling; 

    • (2) remedy deficiencies in students’ knowledge and ethical and analytical skills (Berger 2014); 

    • (3) remedy deficiencies in the use of role models and in the assessment (formative and summative) of students’ behaviors (Byszewski et al. 2012); and 

    • (4) empower students to enhance their commitment to professionalism and reduce cognitive dissonance (Amoura et al. 2015). 


이러한 조치는 학생들의 전문적인 행동에 대한 이해와 기대를 높이고 개인 신념, 직업적 규범 및 직장 관행 탐색의 복잡성을 효과적으로 처리하도록 도울 수 있습니다.

Such measures may enhance students’ understanding and expectations about professional behavior and help them deal effectively with the complexity of navigating personal beliefs, professional norms, and workplace practices.



결론

Conclusions


비전문가 행동에 참여하는 주제는 다각적이며 간-학제적입니다. 따라서 교수진이 이러한 상황을 적절하게 처리하려면 다양한 요인을 고려해야합니다. 

  • 학습 환경 ( "숨겨진"및 "공식"커리큘럼 포함)은 전문적 또는 비전문적 행동의 예를 풍부하게 제공하며, 이 모든 것은 학습의 가능성을 나타냅니다. 

  • 비판적 사고의 촉진은 학생들이 전문직 정체성을 구축 할 때 학생들에게 긍정적 인 영향을 미쳐야하는 건전한 전략이며 (Langendyk et al., 2016), 이는 미래의 임상에서의 양심적인 행동으로 이어질 것입니다.

The subject of participation in unprofessional behavior is multifaceted and interdisciplinary. Thus, in order for faculty members to adequately handle these situations, they have to consider the variety of factors involved. 

  • The learning environment (including the “hidden” and “formal” curricula) provides an abundance of examples of unprofessional (and professional) behavior, all of which represent possibilities for learning. 

  • The promotion of critical thinking is a sound strategy that should positively impact students as they build their professional identities (Langendyk et al. 2016), and this should lead to more conscientious behavior in future clinical practice.


전문가가 아닌 행동을 치료하는 전략을 개발하는 것을 무시하면 악순환이 생길 수 있습니다. 이것을 확인하지 않으면, 복잡성이 증가하고 해결하기가 어려워집니다. 만약 관찰과 참여와 잘못된 판단이 서로 영향을주고, 스스로에게 feed upon할 수 있따면, 반대로 비판적 사고와 행동의 올바른 판단이 바깥으로도 퍼져나가 프로페셔널 한 문화를 육성 할 수도 있습니다.

Neglecting to develop strategies to remedy unprofessional behavior could lead to a vicious circle that, if unchecked, will only grow in complexity and become more difficult to resolve. If it is possible that observation, participation, and poor judgment influence each other and feed upon themselves, then it also seems possible that higher degrees of critical thinking and good judgment in behavior could ripple outwards and forwards as well, fostering a culture of professionalism.


이러한 데이터를 토대로 unprofessional한 행동에 참여하거나, 어떤 unprofessional한 행동을 professional한 것으로 인식하는 학생에 대해서 더 또는 덜 unprofessional하다고 판단내리는 것은 실수입니다. 우리의 목적은 unprofessional한 행동에 대한 복잡한 관점을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점을 밝히고 "잘못된 행동"을 찾아 내고 전문가, 학생, 환자, 사회를 위한 보다 나은 건강 관리 시스템 및 의학 교육 프로그램을 지원하는 것입니다. 


It would be a mistake to declare that, based on these data, the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one unprofessional behavior and/or perceived a certain unprofessional behavior to be professional were more or less professional than other who did not. Our purpose is to shed light on the importance of maintaining a complex and multifaceted not view of unprofessional behaviors, to find a “wrongdoer”, but rather to support a better health care system and medical education programs for professionals, students, patients, and society at large.


Limitations


Hendelman W, Byszewski A. 2014. Formation of medical student professional identity: categorizing lapses of professionalism, and the learning environment. BMC Med Educ. 14:139. Available from: http://bmcmededuc.biomedcentral.com/articles/10.1186/1472-692014-139.


Benbassat J. 2014. Role modeling in medical education. Acad Med. 89:550–554. Available from: http://www.ncbi.nlm.nih.gov/pubmed/ 24556777.




 2017 Feb;39(2):212-219. doi: 10.1080/0142159X.2017.1266316. Epub 2016 Dec 26.

To participate or not participate in unprofessional behavior - Is that the question?

Author information

1
a Medicine School, Pontifical Catholic University of Paraná , Curitiba , Brazil.
2
b Department of Medical Education and Simulation, Faculty of Medicine , University of Porto , Porto , Portugal.
3
c Faculty of Medicine , University of Porto , Porto , Portugal.

Abstract

INTRODUCTION:

Medical education provides students with abundant learning opportunities, each of which is embodied with messages concerning what is expected from students. This paper analyses students? exposure to instances of unprofessional behavior, investigating whether they judge such behavior to be unprofessional and whether they also participate in unprofessional behavior.

METHODS:

The survey developed in the Pritzker School of Medicine at the University of Chicago was the basis of this questionnaire that was answered by 276 students from two medical schools in Brazil and Portugal.

RESULTS:

Unprofessional behavior was observed frequently by students in both universities, and the mean participation rates were similar (26% and 27%). Forty-five percent of students? participation in unprofessional behavior was explained by academic year, prior observation, and judgment.

DISCUSSION:

The results indicate that once students have observed, participated in or misjudged unprofessional behavior, they tend to participate in and misjudge such behavior. The frequency with which students judged behaviors they had observed or participated in as ?borderline? or unprofessional could mean that they are experiencing moral distress.

CONCLUSION:

Proper discussion of unprofessional behavior should foster a broad debate to encourage empowered students, faculties, and physicians to co-create a more professional environment for patient care.

PMID:
 
28024438
 
DOI:
 
10.1080/0142159X.2017.1266316


의과대학 초기에 전문직정체성 측정하기(Med Teach, 2016)

Measuring professional identity formation early in medical school


Adina Kaleta, Lynn Buckvar-Keltza, Victoria Harnikb, Verna Monsonc, Steven Hubbardb, Ruth Crowea,

Hyuksoon S. Songd and Sandra Yinglingb,e


aDivision of General Internal Medicine and Clinical Innovation, New York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New York, NY, USA; bNew York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New York, NY, USA; cMonson Consulting and Evaluation, Minneapolis, MN, USA; dDepartment of Education, Georgian Court University, Lakewood, NJ, USA; eDepartment of Medical Education, University of Illinois College of Medicine, Chicago, IL, USA




도입

Introduction


의료 전문 직업적 정체성은 "의료 직업의 특성, 가치 및 규범이 내면화되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단계적으로 달성 된 자아의 표현"으로 정의되었다 (Cruess et al., 2014). 전문직 정체성 형성 (PIF)은 발달적 구조로서 신뢰성있고 의미있게 측정 될 수 있으며, 우리는 그 발달에 기여하는 것을 더 잘 연구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의학 프로페셔널리즘에 대한 훈련생의 숙달을 명시적으로 지원하는 방법을 이해할 수있을 것입니다.

medical professional identity has been defined as a “… representation of self, achieved in stages over time during which the characteristics, values, and norms of the medical profession are internalized” (Cruess et al. 2014). If professional identity formation (PIF) can be reliably and meaningfully measured as a developmental construct, we will be better able to study what contributes to that development as well as understand how to explicitly support trainees’ mastery towards medical professionalism.


의대생은 의사가 되어간다. 여러 다른 정체성과 더불어서, 직업적 정체성을 형성하는 방식은 현재와 미래의 웰빙과 관계에 중요합니다 (Monrouxe 2010). 이것은 모두 역동적인 개인적, 복잡한 대인관계 및 사회문화적, 고도로 주관적인 발달 과정입니다.

Medical students are becoming physicians. The ways in which they form their professional identity along with multiple other identities matters to their present and future well-being and relationships (Monrouxe 2010). This is both, a dynamic personal as well as a complex interpersonal and socio-cultural, highly subjective developmental process.


일부 이론가들은, 초기 성인에게 있어서, PIF는 대체로 의과대학 지원과정에서 강화 된 외부적으로 정의된 과정이며, 이 과정은 대단히 경쟁이 심하고, 개인의 성취를 중시하는 과정이다. 그 결과 이 초기 성인기의 지원자들은 "외부에서 정의되고 개인에게 집중되는 업적"을 강조하는 전문직에 들어서는 압력을 받게 되는 것입니다. 의학교육자들은 이 학생들을 PIF와 도덕적 추론의 초기 단계에서 효과적이면서 이타주의적인 의사, 사회적 정의를 지향하는 의사라는 상위단계로 안내하는 중요한 임무를 수행합니다 (Jarvis-Selinger 외. 2012).

Some theorists posit that early on, in young adults, PIF is a largely externally defined process reinforced in the application process to medical school, which is highly competitive and emphasizes personal achievement. This pressures young adults seeking entr ee into the profession to focus on achievements that are externally defined and individually focused. Medical educators have the important task of guiding these students from early stages in PIF and moral reasoning toward the advanced stages needed to become effective, altruistic physicians, and social justice oriented (Jarvis-Selinger et al. 2012).


최근 강조되는 PIF는 프로페셔널리즘 교육은 학생들이 종종 깊은 생각과 헌신없이 생성하는 "가치와 행동 목록"으로 구성된 피상적 노력으로 간주될 수 있다는 우려를 제기합니다 (Wynia 외 2014). 강건하고 회복탄력적인 의료 전문직 정체성 (Goldie 2012, Holden et al 2015)의 발전을 장려하기 위해 부유하고, 종단적이고, 다중적 방식의 교육 과정이 시행되고 있지만, 벤치 마크 측정은 아직 이용 가능하지 않다.

The recent focus on PIF addresses the concern that professionalism education often has been seen as a superficial effort consisting of “lists of values and behaviors” that can be generated by students with insufficient depth of thought and commitment (Wynia et al. 2014). Rich, longitudinal, multi-method curricula are being implemented to encourage the development of a hardy, resilient medical professional identity (Goldie 2012; Holden et al. 2015), but benchmark measures are not yet available.


의학 및 기타 전문 학교에서 PIF를 강조하는 움직임은 부분적으로는 "아는 것"과 "하는 것"의 gap을 연구 한 도덕 심리학자 연구에서 유래합니다. 개인이 직업의 가치에 따라 행동해야 한다는 강한 믿음을 가질 수는 있지만, 그 신념이 자신의 정체성에 깊이 뿌리 내리지 않은 경우, 이것만으로 행동을 보장하기에는 불충분합니다 (Blasi 1980, 2004). 우리는 시간에 걸쳐 변화하는 PIF를 측정하려고했기 때문에, '정체성 발달'이란 의과대학 입학하기 전부터 시작되어 그 이후로 전문직 생에에 결처 진행되는 인지적, 사회적, 감정적인 능력을 통합하는 평생의 과정이라고 제안한 건설적 발달 이론가인 로버트 케간 (Robert Kegan)의 연구에서 비롯된 프레임 워크를 선택했습니다 (Kegan 1982; Bebeau 2006).

The movement to emphasize PIF in medical and other professional schools stems in part from the work of moral psychologists who studied the gap between “knowing and doing,” noting that the individuals may profess strong beliefs in acting according to the values of a profession, but beliefs alone are insufficient to ensure behaviors if they are not deeply rooted in one’s identity (Blasi 1980, 2004). Because we were seeking to measure PIF over time, we have chosen a framework stemming from the work of constructive developmental theorist Robert Kegan, who proposed that identity development is a life long and process of integrating cognitive, social, emotional capacities which begins before entering professional school and continues throughout professional life (Kegan 1982; Bebeau 2006).



직업적 정체성 에세이 (PIE)는 사회에서의 전문직 역할에 대한 개념화를 도출하고 전문직 교육 (표 1 참조) (Kegan 1982)에서 사용하기에 적합한 Kegan 이론의 단계를 측정합니다. 학생들은 고도로 숙련 된 전문가가 전체 문서에 Kegan 무대 점수를 할당하는 기초가되는 7 가지 프롬프트 (표 2)에 대한 간단한 서술 응답을 작성합니다.

The professional identity essay (PIE) elicits a respondent’s conceptualization of a professional role in society and measures the stages of Kegan’s theory adapted for use in professional education (See Table 1) (Kegan 1982). Students write brief narrative responses to seven prompts (Table 2), which are the basis for assigning an overall Kegan stage score to that document by a highly trained expert.



치과대학 학생 정체성 에세이의 내용 분석에서 Monson, Roehrich 및 Bebeau는 3-4 단계 (코호트의 37 %를 대표하는)의 치과대학생이 의료의 격차를 줄이고, 의료가 필요한 사람을 위해 봉사할 것이라고 기술했기 때문에, 학생들을 보다 복잡한 정체성 단계로의 성장할 수 있도록 촉진하는 것이 중요함을 지지하였다(Monson et al., 2008).

In a content analysis of dental student identity essays, Monson, Roehrich, and Bebeau found that dental students at stage 3–4 (representing 37 percent of a cohort) were more likely to state that they expected to make a contribution to society in reducing healthcare disparities, serving medical assistance patients, and volunteering to help those in need, supporting the importance of promoting growth towards more complex stages of identity (Monson et al. 2008).



Table 1. Kegan stages: the four broad levels of mental complexity relevant for professional education.


Table 2. The PIE instructions and prompts (modified for use in medicine).



도덕적 추론

Moral reasoning


의학에서의 도덕적 딜레마에는 대개 단 하나의 정답만 있는 것이 아니다. 성숙한 전문가들은 개인적 관심사라든가, 좁게 정의된 규칙보다는, 윤리적 또는 전문적 원칙에 기초하여 그러한 딜레마에 대처하는 경향이있다 (Rest 1986, 1994; Beauchamp & Childress 2001). 우려되는 것은 medical training이 도덕적 딜레마에 대한 감수성을 무디게하고 도덕적으로 성장할 것으로 예상되는 나이와 교육 추론을 늦추는 것이다 (Self et al., 1993; Patenaude et al., 2003; Bebeau & Faber-Langendoen 2014; Murrell 2014).

Moral dilemmas in medicine typically do not have a single right answer. Mature professionals tend to respond to such dilemmas based on ethical or professional principles, rather than personal interest or narrowly defined rules (Rest 1986, 1994; Beauchamp & Childress 2001). Of concern is that medical training blunts sensitivity to moral dilemmas and slows the expected age and education reasoning based growth in moral (Self et al. 1993; Patenaude et al. 2003; Bebeau & Faber-Langendoen 2014; Murrell 2014).


이슈 정의 테스트 (DIT2)는 도덕적 문제에 직면할 때 개인이 설득력있는 것으로 보이는 도덕적 논증의 유형을 측정하는 것으로, 도덕적 판단의 척도이다. 그러나 이는 도덕적 행동에 필수적이지만 충분하지는 않습니다 (Bebeau 2002).

The defining issues test (DIT2) measures the types of moral arguments an individual finds persuasive when confronted with a moral problem and therefore is a measure of moral judgment – a necessary but not sufficient component of moral behavior (Bebeau 2002).


행동에 대한 정당화는 세 가지 일반적인 도덕적 스키마로 묶이는 경향이 있습니다.

  • 개인의 이익을 보호하고 (PI), 

  • 규칙과 규범을 지키고 (MN), 

  • 보편적인 윤리적 원칙을 적용하는 것(흔히 "포스트 관습적 사고"라고 불리며 N2 점수로 측정 됨) 

Justifications for actions tend to cluster in three general moral schemas based on: protecting personal interests maintaining (PI), upholding rules and norms (MN), and applying universal ethical principles (often referred to as “post-conventional thinking” and measured as N2 scores).


PIF와 도덕적 개발 이론적 틀 모두가 건설적인 발달 이론 (예 : Piaget, Kohlberg)에서 공유 된 기초를 가지고 있다고 가정 할 때, 우리는 그것들이 상호 연관 될 것으로 기대할 수 있다.

Given that both PIF and moral development theoretical frameworks have a shared basis in constructive developmental theories (e.g. Piaget, Kohlberg), we would expect them to be correlated.


Methods


교육과정 맥락

Curricular context


A decade ago, along with many medical schools, we implemented a case-based and student-led professionalism curriculum spanning our four-year curriculum (Horlick et al. 2009) and an online portfolio to promote learners’ professional development (Kalet et al. 2007). 

  • In 2015, (class of 2019), we introduced PIF during orientation, using the framework of Cruess (Cruess et al. 2014) and Bebeau (Bebeau & Faber-Langendoen 2014). 

  • To facilitate self-awareness students completed both the PIE and the DIT2. On average, students completed both instruments within an hour. 

  • Three weeks later, students received a detailed, individualized, six-page narrative feedback report from an expert (VM) (See Supplementary Appendix). 

  • During a large-group debriefing session, the concepts of PIF were reviewed and students wrote portfolio reflections to the following prompts: 

  • “Now that you have received your feedback, write your first impressions of your PIE and DIT2 information – What surprised you? What “rings true”? What information is helpful to you?”



채점과 분석

Scoring and data analysis


전문직 정체성 에세이

Professional identity essay scoring


PIEs were scored by a lifespan, developmental educational psychologist (VM) with expertise in measurement of moral capacities in professional education (Lahey et al. 1988; Bebeau & Monson 2012). Each student was assigned a Kegan PIF stage score in an individualized report with narrative feedback to each student. Five months later, the primary rater (VM) re-rated and a second trained rater rated 12 randomly selected PIEs (10%) to establish reliability (inter-rater ICC 0.83, 95% CI [0.57–0.96], intra-rater ICC 0.85, 95% CI [0.50–0.93]).



DIT 점수

Defining issues test scoring


The Center for the Study of Ethical Development at the University of Alabama (Development) scored DIT2s using established algorithms and provided metrics of students’ preferred moral schema (personal interest, maintaining norms, post conventional (N2)). For simplicity in this paper we report only the N2 score, which reflects the proportion of time students applied a social contract orientation or universal principles approach to the cases.



양적 분석

Quantitative



질적 분석

Qualitative


  • A directed and summative content analysis of students’ reflections was conducted by two readers (SY, RC) (Hsieh & Shannon 2005). 

  • The first reader (SY) defined a set of thematic categories and subcategories (Table 3) which were then grouped into three clusters: 

    • 긍정적 반응 positive responses (student reported feeling positive about the exercise, or feeling positive about the journey ahead of them in medical school), 

    • 중립적 반응 neutral responses (student discussed metrics, had an analytic approach to their data), and 

    • 부정적 반응 negative responses (students reported disappointment with their feedback, or reported feeling negative or confused about the exercise). 

  • After a training set (30) during which two readers (SY, RC) discussed disagreements to they resolve discrepancies, each independently applied the code categories to each student’s reflections. 

  • Table 3 shows the frequency for the 9 of 17 response categories that showed adequate inter-rater reliability (Cohen’s kappa >0.300) (Landis & Koch 1977). The remaining categories were useful for descriptive purposes and hypothesis generation.


결과

Results


The correlation between N2 score and Kegan PIF stage was q¼ 0.18 (p¼0.03). The mean DIT N2 differed by Kegan PIF stages (early, 52.0 (SD¼11.8) vs. late, 56.0 (SD¼11.1) (p¼0.046).



내용 분석과 DIT 점수

Content analysis of student reflective writing on PIE stage and DIT score report


Table 3 lists identified themes. Of the 130 students, 

    • 117 (90%) reported positive reactions to the PIF curriculum. 

    • Mixed negative reactions (28/130, 21%, not mutually exclusive) included confusion, concern about future training, or dissatisfaction with the gap between their self-perception and the results. 

    • Very few reported only negative reactions. Students who described an analytic approach to evaluating their feedback tended not to report negative reactions, even when they were surprised by the feedback.





고찰

Discussion


우리는 각 학생에게 PIF 단계를 제공하고, 선호하는 도덕적 추론 스키마 및 개별화 된 피드백을 제공하는 것이 타당하다는 것을 발견했습니다. 이 접근 방식은 학생들에게 받아 들여지고 흥미로우며 잠재적으로 역량 기반 전문성 커리큘럼에 대한 접근 방식으로 유용합니다.

We found that it was feasible to provide each student with a PIF stage, their preferred moral reasoning schema and individualized feedback. This approach is acceptable and intriguing to our students and potentially has utility as an approach to competency-based professionalism curricula. 



우리 학생들의 Kegan PIF 단계 분포는 다른 비슷한 연령대의 전문직 학생과 유사합니다 (Bebeau & Monson 2012). other-defined 정체성에서 self-defined 정체성 (단계 3-4)으로 바뀌는 것은 완전히 발달 된 직업적 정체성의 신호이다(Bebeau 2008). 엄격하게 나이에 좌우되지는 않지만, 대부분의 북미 의사들은 레지던트 훈련 후인 30 대 초중반 사이에 이러한 shift가 가장 자주 발생합니다. 따라서 우리는 의사들에게 PIF에 대한 장기적인 관점을 가져야합니다. 일반 인구의 많은 성인들이 케건의 청소년기 (2 단계, 13 %) 또는 초기 성인기 (3 단계, 46 %)와 1 % 미만의 단계 (5 단계 Kegan & Lahey 2009)를 벗어나 발전하지 못합니다

The distribution of the Kegan PIF stages among our students is similar to that of other age-comparable professional students (Bebeau & Monson 2012). Fully-developed professional identity is signaled by the shift from ther- to self-defined identity (stage 3–4) (Bebeau 2008). While not strictly age-dependent, this shift most often takes place at the age of early- to mid-30s – which is after residency training for most North American physicians. So we must take a long-term view of PIF in physicians. Many adults in the general population do not develop beyond the Kegan stages of adolescence (stage 2, 13%) or early adulthood (stage 3, 46%) and less than 1% achieve stage 5 (Kegan & Lahey 2009). 


그러나 의사들이 우리의 사회적 계약을 존중하기 위해 평균 성인보다 더 높은 수준에 도달해야하느냐에 대해서는 논쟁의 여지가 있습니다. 도덕적 정체성에 대한 연구에서 PIF의 후기 단계에있는 사람들은 

  • 다른 사람들에게 봉사하는 데 집중할 가능성이 높고, 

  • 관심사가 이기심에 의해 동기 부여될 가능성이 낮으며, 

  • 동료들에 의해서 효과적이라고 인식될 가능성이 높고

  • 잠재 커리큘럼(알려진 것과 실제로 가르쳐지는 것) 사이의 단절에 덜 취약합니다(Kegan & Lahey 2016).

However, it is arguable that physicians must reach higher levels than the average adult to honor our social contract. In studies of moral identity, those at later-stages of PIF are 

  • more likely to focus on service to others, 

  • less likely to articulate concerns motivated by self-interest, 

  • be perceived as more effective by peers (Kegan & Lahey 2016), and 

  • less vulnerable to the disconnect between what is taught and what is actually practiced – known as the hidden curriculum (Kegan & Lahey 2016).


일반적으로 우리 학생들은 exercise에 의해서 활성화되었고, 그들의 baseline PIF에 대해 알게되었습니다. PIF 피드백에 대한 분석적 접근과 초보자로서의 자신에 대한 인식을 가진 사람들은 (숙달 획득에 대한 기대를 포함하여) 정서적으로 긍정적 인 반응을 나타내는 경향이있었습니다. 개인화된 PIF 단계 데이터는 '프로페셔널리즘의 결여'에 초점을 맞춘 대화를 '전문적 "지혜"' 개발에 대한 숙달 접근법에 대한 대화로 확대 시켰습니다(Rees, 2005; McGaghie 2015).

In general, our students were activated by the exercise and intrigued to learn about their baseline PIF. Those with an analytical approach to their PIF feedback and an awareness of themselves as novices tended to have emotionally positive responses, including anticipation of acquiring mastery. Personalized PIF stage data expanded the conversation beyond a focus on lapses in professionalism into a conversation about a mastery approach to the development of professional “wisdom” (Rees, 2005; McGaghie 2015).



생각 지도자는 성인 발달의 선형 단계 모델이 너무 단순하다고 지적하며 (Rees 2005), 우리는 여기에 동의합니다. 우리는 의대생의 PIF가 부드럽거나 예측가능하거나 선형적인 방식으로 진행될 것으로 예상하지 않으며, 경로는 개별화되어있고, 맥락에 민감할 것이라고 생각한다. 그러나 아직 알려지지 않았기 때문에 우리가 이 연구를 한 것이다.

Thought leaders argue that linear staged models of adult development are too simplistic (Rees 2005) and we agree. We do not anticipate that PIF in medical students proceeds in a smooth, predictable, linear manner and fully anticipate it will be shown to have individualized paths and be context sensitive. But, it is not yet known, and therefore why we are pursuing this work.


예상보다 낮은 PIF 무대 점수를 받은 소수의 학생들이 실망한 것은, 이것이 평생 성장 단계가 아니라 결함이라는 인식을 반영 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입장은 학습을 방해 할 수 있습니다 (Blackwell 외. 2007). 의대생은 개인 성취도에 따라 선발되기 때문에, 개인 성취도에 중점을 둔 의대 진학이 적절합니다. 그러나 그들은 사회 계약에 의해서 정의 된 의료 전문직의 원칙과 가치에 헌신하는 방향으로 옮겨가야 한다. 이것은 실천 공동체의 구성원이 되는 복잡성을 address하겠다는 의지를 의미합니다 (Hafferty & Levinson 2008; Levinson 외 2014).

The disappointment of a small number of students receiving earlier than expected PIF stage scores may reflect their perception that this is a flaw rather than stage in life-long growth. This stance can interfere with learning (Blackwell et al. 2007). Since medical students are selected based on their individual accomplishments, it is appropriate for them to enter medical school focused on personal achievement. However, they must move on to commit to the principles and values of the medical profession as defined by our social contract. This means a commitment to addressing the complexities of being a member of the community of practice (Hafferty & Levinson 2008; Levinson et al. 2014). 


학생들이 피드백을 찾고 자신의 전문성 개발에 관한 대화에 참여하는 학습 문화를 통해서 [자신의 정체성은 완벽하거나 거의 완벽한 성취에 의해서만 보여진다로 느끼는 학생들]이 사고 방식을 바꾸는 것을 가능하게합니다. 이러한 방식으로 자기를 돌아볼 수 있는 의사들은 의료의 문화를 경쟁적 문화를 협력적 문화로 변화시키기 위해서 필요하다 (Hafferty & Castellani 2010). 왜냐하면 이러한 문화는 환자의 건강은 물론, 점점 경쟁이 치열해지는 시장에서의 조직의 생존 능력과도 연관되어 있기 때문이다(Brennan & Monson 2014).

A learning culture in which students seek feedback and engage in dialog about their professional development enables the needed shift in mindset for students who feel their identity is only reflected in perfect or near perfect achievements. Physicians capable of such introspection are needed to lead change in the culture of medical practice from competitive to cooperative (Hafferty & Castellani 2010), because such a culture is associated with improved outcomes for both the health of patients and organizations’ ability to thrive in an increasingly competitive marketplace (Brennan & Monson 2014).



Conclusions


전통적으로 의학 전문 직업에 대한 가르침은 미덕, 성격 "특성"및 예상되는 행동에 초점을두고 있습니다. 수십 년 동안 우리는 전문성의 행동적 징후를 해체하고 측정 가능한 역량을 생성해냈다 (Irby & Hamstra 2016). 도덕적 추론과 전문적인 가치에 헌신하는 능력이 강할수록 medical trainee는 전문성의 결여를 초래할 수있는 상황 요인 (예 : 피로, 모호함, 정서적 스트레스)에 덜 susceptible해질 수 있다. 성격 및 행동 관점에, 심리적 발달적 구조를 추가함으로써, 우리는 직업적 정체성과 전문성을 이해할 수 있으며, 더 중요한 것은 학생이 어떻게 "의사처럼 생각하고 행동하고 느끼는"과정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가를 학습 할 수 있습니다 (Cruess et al., 2014).


Traditionally, teaching about medical professionalism is focused on virtues, character “traits”, and expected behaviors. Over several decades, we have deconstructed the behavioral manifestations of professionalism and created measurable competencies (Irby & Hamstra 2016). A strong capacity for moral reasoning and commitment to professional values makes medical trainees less susceptible to situational factors (e.g. fatigue, ambiguity, emotional stress), which may cause lapses in professionalism. By adding a psychological development framework to character and behavior perspectives, we can better understand professional identity and professionalism and, more importantly, how the students themselves can influence the process of being able to “think, act, and feel like a physician” (Cruess et al. 2014).


Glossary


전문직 정체성 형성

Professional Identify Formation: 


Medical professional identify formation (PIF) is both a process of personal development and a social construction and has long been claimed to be the fundamental goal of the learning process in medical education (Cooke et al. 2010). 

  • In 1957, Merton stated that the task of medical education is to provide the medical trainee “with a professional identity so that he comes to think, act, and feel like a physician” (as quoted by Cruess et al. (2016), italics theirs).” 

  • It has been further defined as an ongoing, self-reflective process aimed at developing habits of “thinking, feeling and acting” that allow learners to be compassionate and socially responsible physicians (Cooke 2010 quoting Ware and Castelini 2000). 

A staged, developmental framework for PIF has been applied in health professions education (Bebeau & FaberLangendoen 2014). There is an enthusiastic dialog in the medical education literature about whether PIF can be measured. And it was recently proposed that we add PIF to the tip of Miller’s Pyramid for the assessment of clinical competence and performance (Cruess et al. 2016).


Bebeau MJ, Faber-Langendoen K. 2014. Remediating lapses in professionalism. In: Kalet A, Chou C, editors. Remediation in medical education. New York: Springer; p. 103–127. XXX


McGaghie WC. 2015. Mastery learning: it is time for medical education to join the 21st century. Acad Med. 90:1438–1441.


Goldie J. 2012. The formation of professional identity in medical students: considerations for educators. Med Teach. 34:e641–e648.


Wynia MK, Papadakis MA, Sullivan WM, Hafferty FW. 2014. More than a list of values and desired behaviors: a foundational understanding of medical professionalism. Acad Med. 89:712–714.









 2017 Mar;39(3):255-261. doi: 10.1080/0142159X.2017.1270437. Epub 2016 Dec 30.

Measuring professional identity formation early in medical school.

Author information

1
a Division of General Internal Medicine and Clinical Innovation , New York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 New York , NY , USA.
2
b New York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 New York , NY , USA.
3
c Monson Consulting and Evaluation , Minneapolis , MN , USA.
4
d Department of Education , Georgian Court University , Lakewood , NJ , USA.
5
e Department of Medical Education , University of Illinois College of Medicine , Chicago , IL , USA.

Abstract

AIM:

To assess the feasibility and utility of measuring baseline professional identity formation (PIF) in a theory-based professionalism curriculum for early medical students.

METHODS:

All 132 entering students completed the professional identity essay (PIE) and the defining issues test (DIT2). Students received score reports with individualized narrative feedback and wrote a structured reflection after a large-group session in which the PIF construct was reviewed. Analysis of PIEs resulted in assignment of a full or transitional PIF stage (1-5). The DIT2 score reflects the proportion of the time students used universal ethical principles to justify a response to 6 moral dilemma cases. Students' reflections were content analyzed.

RESULTS:

PIF scores were distributed across stage 2/3, stage 3, stage 3/4, and stage 4. No student scores were in stages 1, 2, 4/5, or 5. The mean DIT2 score was 53% (range 9.7?76.5%); the correlation between PIF stage and DIT score was ρ =  0.18 (p = 0.03). Students who took an analytic approach to the data and demonstrated both awareness that they are novices and anticipation of continued PIF tended to respond more positively to the feedback.

CONCLUSIONS:

These PIF scores distributed similarly to novice students in other professions. Developmental-theory based PIF and moral reasoning measures are related. Students reflected on these measures in meaningful ways suggesting utility of measuring PIF scores in medical education.

PMID:
 
28033728
 
DOI:
 
10.1080/0142159X.2017.1270437


보건의료인 교육에서 비판적 사고: 밀레니엄 컨퍼런스 2011의 요약과 합의(Teach Learn Med. 2014)

Critical Thinking in Health Professions Education: Summary and Consensus Statements of the Millennium

Conference 2011

Grace C. Huang, Lori R. Newman, and Richard M. Schwartzstein 

Carl J. Shapiro Institute for Education and Research at Harvard Medical School and Beth Israel Deaconess Medical Center, Boston, Massachusetts, USA



도입

INTRODUCTION


환자 치료에서의 비판적 사고의 중요성은 반박의 여지가 없다. 비판적 사고라 부르든, 아니면 그와 유사한 construct (진단 적 추론, 문제 해결, 임상 적 추론)로 부르든, 여기에는 사고 과정에 대한 마음가짐뿐만 아니라 고등 정신 능력을 포함한다 .7 비판적 사고는 효과적인 판단을 위한 전제 조건이며, 임상 적 영역에서의 그것의 부재는 지연된 진단, 놓쳐버린 진단, 인지 오류, 잘못된 환자관리 등으로 이어진다. 비판적 사고의 핵심은 다수의 보건전문직 역량 프레임워크에 분명하게 반영되어 있습니다. 8-14 비록 많은 임상가가 명확한 교육보다는 경험과 관찰을 통해 비판적 사고를 습득하지만, 어떤 사람들은 결코 이 기술을 습득하지 못합니다.

The importance of critical thinking in patient care is undisputed. Whether termed as critical thinking or its related constructs (diagnostic reasoning, problem solving, clinical reasoning),1–6 it involves higher order mental abilities as well as mindfulness about the process of thinking.7 Critical thinking is a prerequisite for effective judgment, and its absence in the clinical realm can result in delayed or missed diagnoses, cognitive errors, and mismanagement. The centrality of critical thinking is clearly reflected in competency frameworks across the health professions,8–14 and although many clinicians achieve critical thinking through experience and observation rather than explicit instruction, others never master this skill.


그러므로 그 어느 때보다도 비판적 사고를 가르치는 것이 중요합니다. 최근 의학 지식의 끊임없이 팽창은 "전문가"임상의의 개념을 바꾸었다. 기존에는 경험과 지식 (즉, 기억에서 불러올 수있는 모든 것, "정적인" construct)였다면, 이제는 어떻게 기존에 접하지 못한 문제에 대해서 해결책을 얻기 위해 정보를 액세스하고 적절히 적용 할 수 있는가가 중요하다 ( "동적"구조).15 정보는 신뢰성, 증거기반, 전문적 실천과의 일관성 등에 따라 구분되어야 하며, 따라서 모호하거나 모순되는 데이터 중에서 정보를 해석해내는 능력은 비판적 사고의 특징입니다. 무엇보다 의료 비용이 치솟는 시대에 비판적 사고는 진단용 검사의 제약과 제한된 자원의 적절한 stewardship이라 할 수 있다.

The need to teach critical thinking, therefore, is more important than ever. In recent years, the ever-expanding nature of medical knowledge has altered the concept of an “expert” clinician as one defined simply by experience and knowledge (i.e., all that can be recalled from memory, a “static” construct) to how one can access and appropriately apply information to achieve solutions for problems not previously seen (a “dynamic” construct).15 Information must be distinguished as being reliable, evidence based, and/or consistent with expert practice, and thus the ability to interpret information in the face of equivocal or conflicting data is a hallmark of critical thinking. Moreover, in an era of skyrocketing health care costs, critical thinking allows for restraint in diagnostic testing and appropriate stewardship of limited resources.16


이 회의의 목적을 위해 우리는 임상 상황에서의 비판적 사고를 (예 : 개념화, 분석, 평가) 정보를 (병력, 기록, 신체 검사 또는 진단 조사에서 수집 한) 정보에 적용하는 것으로 정의했습니다. (Scriven과 Paul21에서 채택), 정확하고 일관되며 논리적이며 적절한 조치로 이어집니다. 회의의 목적은

  • (a) 비판적 사고의 원칙을 보건 전문가 교과 과정에보다 명확하게 통합하기위한 전략을 개발하고 

  • (b) 비판적 사고의 평가 방법을 고안하는 것이 었습니다.

For the purposes of this conference, we defined critical thinking in the clinical context as the application of higher cognitive skills (e.g., conceptualization, analysis, evaluation) to information (gathered from medical history, records, physical exam, or diagnostic investigation) in a way that leads to action that is precise, consistent, logical, and appropriate (adapted from Scriven and Paul21). The goals of the conference were 

  • (a) to develop strategies for integrating principles of critical thinking more explicitly into health professions curricula and 

  • (b) to devise methods for the assessment of critical thinking.


METHODS


In the fall of 2010, we sent a request for applications to the deans of all North American medical schools accredited by the Liaison Committee on Medical Education. A committee of Institute faculty familiar with the Millennium Conference process and background in the topic selected teams based on highest scores on three explicit criteria: 

(a) demonstrated commitment to curricular innovation, 

(b) consideration of the cognitive sciences in curriculum development, and 

(c) quality of the team members. 


Institutions were asked to convene a four-to five person team (Table 1). Our rationale for including nursing colleagues in a traditionally medically oriented conference series was to acknowledge the significant contribution of nursing literature in critical thinking22–24 and to explore opportunities for interprofessional training.




RESULTS


합의문

Consensus Statements


주제1: 가르침

Topic 1: Teaching.


비판적 사고를 가르치거나 강화하기 위해서는 인지(예 : 신경 생물학,인지 편향, 확률 적 사고)와 인지 기술에 관한 내용을 모두 전달해야합니다. 교육은 전 핵심 커리큘럼에 걸쳐 구성되어야 하며 교육과정의 핵심이어야 한다. 모듈 형태의 짧은 세션이 비판적 사고를 위해 잘 훈련된 교수자에 의해서 교육되어야 하며, 핵심 과목들 사이에 고르게 분포해있으면서, 커리큘럼 전반에 걸쳐 강화되어야 한다. 또한 학생들이 해로운 습관 (예 : 정신적 지름길, 암기 기억에의 의존)을 기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1학년부터 '어떻게 생각해야 하는가'에 관심을 두어야 한다.

To teach and/or enhance critical thinking, one must convey both content about cognition (e.g., neurobiology, cognitive biases, probabilistic thinking) and cognitive skills. The teaching should be woven through and integral to the core curriculum for doctors and nurses. Short modular sessions taught by specially trained individuals could be interspersed among core courses, with reinforcement throughout the curriculum. In addition, attention to how students think should begin with the 1st year of their professional training to forestall the development of deleterious habits (e.g., mental shortcuts, reliance on rote memorization).


이러한 종단적이고 통합 된 접근 방식은 다음과 같은 목표를 가지고 있습니다.

This longitudinal, integrated approach would have the following goals:


• 문제 해결과 관련하여 학생들에게 공통 언어 제공

• 학습과 사고의 신경 생물학에 대한 이해를 제공하고, 논리적 인 추론과 메타인지의 기본 원리, 일반적인 인식 편향에 대해 친숙하게 함

• 교실이나 임상 환경에서 학습자가 즉시 작업에 바로 적용 할 수 있도록, 발달 적으로 적절한 방식으로 지식과 기술을 제공함

• 학생들의 마음 습관과 문화를 증진시켜 학생들이 "어떻게 답을 얻는가"가 그 답만큼 중요하다는 개념을 강화함


• To provide a common language for students with respect to problem solving

• To provide an understanding of the neurobiology of learning and thinking, principles underlying logical reasoning and metacognition, and a familiarity with common cognitive biases

• To provide knowledge and skills in a developmentally appropriate way such that the learner can readily apply the principles to the work at hand, whether in the classroom or clinical setting

• To promote habits of mind and a culture among students that will reinforce the notion that how one gets to the answer is as important as the answer itself


비판적 사고를 가르치는 전반적인 전략은 다음과 같습니다.

Overall strategies to teach critical thinking include the following:


• 학생들이 지식을 소화하고 적용 할 수 있도록 학습 과정의 속도를 늦춤.

• 문제 해결이 필요한 과제에 적극적으로 참여 시킴

• 학생들이 의사 결정에 어떻게 도달했는지를 정당화해보도록 함

• 사고(과정)를 명시적으로 만들기

• 학습자 측의 자기 성찰요구


• Slowing down the pace of the learning process to enable students to digest and apply knowledge

• Actively engaging the learner in tasks that require problems to be solved

• Compelling students to justify how they arrived at decisions

• Making thinking explicit

• Requiring self-reflection on the part of the learner


  • 사례 중심의 교육적 교수 방법은 비판적 사고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습니다. 그러나 사례는 "학습의 노력work of learning"이 문제 해결에 집중 될 수 있도록 기본적이고, 접근 가능한 개념에 초점을 맞추어야한다. 반대로, 복잡하거나 희귀 한 질병에 대한 논의는 모호한 미세 사안에만 초점을 맞추게 될 수 있습니다.

  • 채택 될 수있는 접근법의 다른 예는 (a) 문제를 해결하는 데 필요한 필수 정보의 식별에 초점을 맞춘 "적시 (just-in-time)"학습, 그리고 (b) 공동 연습을 중심으로 한 팀 기반 학습을 통해서 높은 수준의 사고 능력을 육성합니다. 그러한 세션은 전문 간 그룹으로 구분할 수있다.

  • 학생들이 "빠르게 결단을 내리도록" 강요하는 시뮬레이션 연습은 학습자의 사고 과정을 드러내고 자기 성찰을 강화할 수 있습니다. 이 점에 관해서는 디 브리핑 세션이 중요합니다.

  • 개념 지도 또는 메커니즘 맵은 기본적인 과학 개념과 임상 결과 사이의 링크를 표시하는 시각 도구로, 학생이 문제를 해결할 때 한 지점에서 다른 지점으로 이동하는 방법을 이해할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 Case-based instructional approaches to teaching can enhance critical thinking skills. However, cases should focus on basic, accessible concepts to permit the “work of learning” to be oriented on problem solving; otherwise, discussion of complex or rare diseases may focus on obscure minutiae. 

  • Other examples of approaches that can be employed are (a) “just-in-time” learning with a focus on identification of the required information necessary to solve the problem, and (b) team-based learning,25 which centers on collaborative exercises to foster higher level thinking skills. Such sessions may be particularly amenable to interprofessional groupings. 

  • Simulation exercises that compel students to “think on their feet” can reveal the learners’ thought processes and reinforce self-reflection; debriefing sessions are critical in this regard. 

  • Concept or mechanism maps26 are visual tools that display links between basic science concepts and clinical findings, thereby assisting students in understanding how one gets from one point to another in solving a problem.

이러한 교육 방법과 전략이 교실 환경과 임상 환경 모두에서 사용될 수 있지만 임상 환경은 비판적 사고를 유지하고 촉진하는 데있어 특별한 어려움을 낳기도 한다. 

  • 환자들은 점차 이미 진단명을 가지고 병원에 오고 있으며, 이는 discovery process를 단축시킨다. 

  • 또한 외래 환경에서 생산성을 강조하는 것이 분석적 추론을 방해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 임상의는 가이드라인이나 프로토콜의 근간을 이루는 과학적 근거를 이해하지 않은 상태로 가이드라인이나 프로토콜을 준수해야 하기도 한다. 

  • 테크놀로지는 사실적 정보에 거의 즉각적으로 접근 할 수 있게 만들었으며, 방사선학 연구 및 실험실 검사의 발전으로 의학 면담 및 신체 진단 기술이 떨어지고 있다.

Although these teaching methods and strategies can be used in both classroom and clinical settings, the patient care environment poses particular challenges for sustaining and promoting critical thinking. Patients increasingly present to the hospital with a predetermined diagnosis, which curtails the discovery process, and the emphasis on productivity in the ambulatory environment tends to impede analytical reasoning. Adherence to guidelines and protocols is expected without confirmation that clinicians understand the scientific basis underlying these recommendations. Technology has made access to factual information almost instantaneous, and advances in radiologic studies and laboratory testing have undermined skills in medical interviewing and physical diagnosis.


임상 환경이 비판적 사고에 필요한 개인적인 특성이나 태도의 발달을 저해 할 수도 있습니다. 

  • "숨겨진 커리큘럼"은 사실적 정보를 빠르게 제공하는 사람 또는 엄청난 길이의 감별진단을 할 수 있는 사람을 보상하고는 한다. 

  • 시니어 스텝 뿐만 학습자조차 질문에 대한 답을 모르는 것을 인정하는 것을 싫어할 수 있습니다. 

  • 의료팀의 위계적 구조는 대다수가 지지하는 진단에 의문을 제기하는 것을 어렵게 만듭니다. 

  • 또한, 전공과마다 동일한 이슈(예를 들어, 복통)에 대해서도 접근법이 다양하기 때문에, 초보자는 문제 해결을 위해서 이러한 다양한 접근법을 cohesive한 전략으로 통합하기 어려울 수 있다.

The clinical environment may also hinder the development of personal attributes or attitudes necessary for critical thinking. The “hidden curriculum” rewards those who can provide factual information quickly and differential diagnoses of great length. Learners, as well as senior staff, may be loath to admit they do not know the answer to a question. The hierarchical structure of healthcare teams27 makes it difficult to question working diagnoses that are espoused by the majority. Moreover, different specialties have varying approaches to the same issue (e.g., abdominal pain), and novices may have difficulty integrating these approaches into a cohesive strategy for solving problems.


다양한 대응 전략을 세울 수 있습니다. 

  • 표준화 된 질문 목록은 진단 과정에서 메타인지 및 다른 인지 과정을 자극 할 수 있습니다 ( "어떻게 그 해결책에 도달 했습니까? 무엇이 적합하지 않습니까? 다른 일이 벌어 질 수 있습니까?"). 

  • 전통적으로 "평가 및 계획"으로 결합되어있는 것 중에서, "평가"부분을 보다 강조함으로써(예 : "상태가 개선되는가 안정되는가 악화되는가?"), 충분한 근거없이 계획을 수립하는 것을 도울 수 있습니다. (CT 한번 찍어보자). 

  • 논란을 받아들이는 것은 진단 또는 치료 계획을 수호하는 능력을 키울 수 있습니다.

Various strategies may combat these challenges. A standardized checklist of questions can stimulate metacognition and other cognitive process checks during the course of diagnosis (“How did you arrive at that solution? What doesn’t fit? Could something else be going on?”). Placing greater emphasis on the “assessment” portion (e.g., “Is the condition improving, stable, or worsening?”) of the traditionally coupled “assessment and plan” may help mitigate the formulation of plans without sufficient rationale (“Let’s just get a CT scan”). Embracing controversy may cultivate the ability to defend a diagnostic or therapeutic plan.


  • 보상 시스템의 변화 (예 : "누가 가장 좋은 질문을 할 수 있습니까?")와 학제 간 회의 및 팀에 대한 노출이 이러한 부정적인 영향을 개선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 사고 과정을 말로 표현하고 증상, 신체적 소견, 실험실 데이터, 기본 과학 원리 및 환자의 진단 간의 연관성을 설명 할 수 있는 교수진은 전임상 교육과정에서의 비판적 사고를 강화하고 확장 할 수 있습니다. 

  • 또한 교수가 기존의 결론에 의문을 제기함으로써 "임상 적 용기", "호기심"및 "체계적인 회의론"의 모범을 줌으로써학생들에게 비판적 사고를 불러 일으킬 수 있습니다.

Changes in the reward system (e.g., “Who can ask the best question?”) and greater exposure to interdisciplinary conferences and teams may help ameliorate these negative influences. Faculty who can verbalize their thought processes and explicate the links between symptoms, physical findings, laboratory data, basic science principles, and the patient’s diagnosis can reinforce and extend the preclinical thinking curriculum. Clinicians who model “clinical courage,” “curiosity,” and “systematic skepticism” by questioning prior conclusions can inspire critical thinking among students.


불확실성의 표현은 비판적 사고를 자극하는 데 사용될 수 있습니다. 

  • 학습자는 자신이 아는 것과 모르는 것을 식별 할 수 있어야 한다. 

  • 학습자는 자신의 지식의 질을 평가할 수 있어야 하고 (예를 들어, "내가 그것을 어떻게 알았는가?" "이 정보에 대해 나는 얼마나 확신하는가?"), 지식의 gap을 채울 계획을 세울 수 있어야 한다.

  • 자신의 불확실성을 해결하는 방법을 학습함으로써 학생들은 (종종 불확실한 진단이나 불필요한 검사나 치료의 연기를 받아들일 수 있도록 서포트를 필요로하는) 환자들과 자신의 추론을 공유하는 데 필요한 기술을 개발할 수 있으며, 궁극적으로 효과적인 치료에 중요한 파트너십을 수립 할 수 있습니다.

Expressions of uncertainty can be used to stimulate critical thinking. Learners need to be able to identify what they know and don’t know. They should be able to evaluate the quality of their knowledge (e.g., “How do I know that? What is my level of certainty about this information?”) and formulate a plan to fill in gaps of their knowledge. By learning how to address their own uncertainty, students can develop the skills needed to share their reasoning with patients who often require support to accept uncertain diagnoses and postponement of unnecessary testing or treatments, thereby establishing partnerships critical for effective care.




주제2: 평가

Topic 2: Assessment.


학교 또는 병원은 비판적 사고를 평가하는 행위를 통해서 이 기술의 중요한 가치로 여기고 있음을 강조합니다. 비판적 사고는 독립적으로만 존재하는standalone 역량이 아니라, 여러 역량을 통해 실행되는 구성 요소 또는 테마로 간주되어야합니다. 따라서 한 가지 전략만으로는 비판적 사고에 대한 평가가 잘 수행되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평가 포트폴리오는 학생의 능력에 대한 보다 완벽한 그림을 제공 할 수 있습니다. 건강 전문 분야에서 다양성과 타당성을 가진 여러 가지 도구가있다.

The act of assessing critical thinking reinforces the importance of this skill within a school’s/medical center’s value system. Critical thinking should be viewed as a component or theme that runs through several of the competencies rather than a standalone competency. As such, assessment of critical thinking may not be well served with a single strategy; a portfolio of assessments may provide a more complete picture of the student’s competence. Several instruments with varying degrees of validity and application in the health professions are available.28–34


평가는 학습자가 능력을 확립하는 발달의 이정표에 대한 이해에서 시작해야합니다. 전통적인 영역 (지식, 기술, 태도)에서 중요한 이정표는 표 3에 나와 있습니다. 교수진은 수업이 시작될 때 이것을 명시함으로써 학생들이 평가받을 준비를 하게끔 해야 한다. 학생들이 평가받을 루브릭은 학생들에게 투명하게 공개되어야 한다. 또한, 교수진은 비판적 사고를 어려워하는 학생들을 교정하기 위한 노력을해야합니다. 능력을 갖추지 못한 사람들은 의학 외의 진로에 대해 상담을받을 수 있습니다.

Assessment must begin with an understanding of the developmental milestones by which learners establish competence. A first approximation of the milestones in the traditional domains (knowledge, skills, and attitudes) is noted in Table 3. Faculty members must be explicit with students when instruction starts so that students are prepared to be evaluated on their thinking. The rubrics by which students will be assessed must be transparent to them. Furthermore, faculty members should make efforts to remediate students who are challenged by the need to think critically. Those who are unable to achieve competence might be counseled toward careers outside of medicine.


성찰적 실천이 비판적 사고에 필수적인만큼, 성찰은 반드시 평가적evaluative해야 한다. 즉, 학습자는 자신이 수행한 것 중에서 개선이 필요한 영역이 무엇인지 평가해야 한다. 비판적 사고에 대한 태도를 평가하기 위해 교사는 학습자를 직접 관찰하는 것 외에도 다양한 도구들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성과를 평가하기 위해 많은 전통적인 평가 도구 (객관식과 에세이 시험, OSCE, 미니 CEX41)를 비판적 사고의 평가에 적용 할 수 있습니다. 차트 - 자극 리콜, 스크립트 일치 테스트 42 개, 주요 기능 시험 43 개, 44 개 및 개념지도 45와 같은 최신 기술도 평가 목적으로 수정할 수 있습니다.

To the extent that reflective practice is a vital to critical thinking, the reflection must be evaluative, namely, the learner must assess his or her performance for areas in need of improvement. To assess attitudes toward critical thinking, teachers may use a range of possible inventories35–40 in addition to direct observation of the learner. 

To evaluate performance, many traditional assessment tools (

  • multiple-choice and 

  • essay exams, 

  • OSCEs, 

  • mini-CEX41) 

...can be adapted for the evaluation of critical thinking. 


Newer techniques such as 

  • chart-stimulated recall,42 

  • script concordance tests,43 

  • key features examinations,44 and 

  • concept maps45 may also be modified for assessment purposes.



주제3: 교수개발

Topic 3: Faculty development.


효과적인 교수 개발은 비판적 사고가 교육과정 전반에 걸쳐 진행된다는 것을 전제로하며, 교수진은 학생이 습득해야 하는 지식, 기술 및 태도에 익숙해져야 한다. 많은 교수진이 자신의 업무에서 비판적 사고의 특징을 보여줄 수도 있을지 몰라도, 모든 교사가 이 분야의 학생들을 효과적으로 가르치고 평가하는 데 필요한 비판적 사고의 모든 요소에 익숙할 것으로 기대하는 것은 비현실적입니다. 결과적으로, 혼합 된 교수 모델이 권장됩니다.

Effective faculty development presupposes that critical thinking is taught throughout the curriculum and faculty members are familiar with the knowledge, skills, and attitudes to be attained. Despite the fact that many faculty members may demonstrate features of critical thinking in their own work, it is unrealistic to expect that all teachers will be comfortable with all the elements of critical thinking necessary to teach and evaluate students effectively in this area. Consequently, a blended faculty model is recommended.



과학 분야에서 잘 훈련되고 비판적인 사고 방식을 사용하는 헌신적 핵심 교육자 교수진은 여러 교실의 일반 교수진을 위한 강사이자 자원으로서 역할을 해주어야 한다. 이 모델은 핵심 교수진의 영향력을 증폭시키고, 모든 교수들 간 비판적 사고와 관련하여 공통된 어휘를 설정함으로써, 발생할 문제에 대한 의사 소통을 개선하고, 어려움을 겪고 있는 학습자를 개선하기위한 노력을 향상시킵니다. 이 접근법은 또한 [교육과정의 내용 및 전달에 대한 통제]와 [모든 교사의 참여 필요성]을 사이의 합리적 균형을 이루도록 해준다. 높은 수준의 기술과 헌신을 필요로하는 학습자 평가는, 최소한 프로그램 초기에는, 핵심 교수진의 역할이 될 수도 있다. 다른 교수진 개발 이니셔티브와 마찬가지로 교수진 행동의 작은 변화가 학생의 성과에 중요한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인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A core faculty of committed educators, well trained in the science and use of critical thinking, should serve as trainers and resources for the general faculty members across departments. This model amplifies the impact of a core faculty alone and helps establish a common vocabulary with respect to critical thinking among all teachers, thereby improving communication about problems encountered and efforts to remediate struggling learners. This approach also reasonably balances control over the content and delivery of the curriculum and the need to engage all teachers. Assessment of learners, which requires a higher level of skill and commitment, may best be reserved for core faculty, at least in the beginning of a program. As with any faculty development initiative, it is important to recognize that small changes in faculty behavior can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student performance.



핵심 교수진은 처음에는학과 내에서 "활동가"역할을 받아들이려는 교사로 구성되어야합니다. 일반적으로 교수들은 모탈리티&모비디티 라운드와 같은 전통적인 상황에서 이루어지는 분석적 추론이라든가, bedside에서 초기의 비판적 사고 행동을 자극하기위한 프레임 워크 (예 : SNAPPS46)의 사용과 같은 비판적 사고에는 익숙할지도 모른다. 교수들이 교수개발에 참여하도록 동기를 부여하는 전략에는 다음이 포함됩니다.

The core faculty should consist initially of teachers who wish to accept the role as “activists” within their departments. The general faculty may be familiarized with critical thinking features via the introduction of discussions of analytical reasoning into traditional settings such as morbidity and mortality rounds, and the use of frameworks (e.g., SNAPPS46) to stimulate initial critical thinking behaviors at the bedside. Strategies to motivate other faculty to engage in faculty development include the following:



• 학생 성과 (즉, 추론 능력이없는 학생)의 "격차"를 해결할 필요성을 환기시킨다.

• 학생측으로부터 비판적 사고를 가르치고 평가받을 요구를 창출한다.

• 환자 안전, 비용 절감 및 비판적 사고 사이의 연관성 수립

• 비판적 사고를 중요시하는 문화 창조

• 교육자로 identify된 교수의 진급을 위한 중요 요소로서 이 분야의 전문성 개발을 수립함

• 이 분야의 우수한 교육에 대한 보상

 교육에 대한 동료-관찰에서 비판적 사고를 평가 영역으로 포함 시킴

• 국가 기관 (예 : 의학 교육 연락위원회, 대학원 의학 교육 인정위원회)의 인정 검토 활용


• Calling attention to the need to address “gaps” in student performance, (i.e., students not competent in reasoning abilities)

• Creating a demand on the part of students for teaching and evaluation in critical thinking

• Establishing links between patient safety, cost containment, and critical thinking

• Creating a culture that highly values critical thinking

• Establishing professional development in this area as an important factor for promotion of faculty identified as educators

• Rewarding excellent teaching in this area

• Including critical thinking as an evaluable domain in the peer observations of teaching

• Leveraging accreditation reviews by national agencies (e.g., Liaison Committee on Medical Education, Accreditation Council of Graduate Medical Education)


비판적인 사고를 지원하는 교수개발 프로그램은 커리큘럼, 평가 및 학습자에 대한 피드백 제공을 지원하는 기본 원칙에 기초해야합니다. 프로그램에는 다음 요소가 포함되어야합니다.

Faculty development programs to support critical thinking should be well grounded in basic principles that support curriculum, assessment, and provision of feedback to the learners. Programs should incorporate the following elements:


• 비판적 사고의 과학에 근거한 강력한 기반

•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사람의 전문성과 신뢰성.

• 궁극적으로 교수진 개발의 수혜자가 될 학생들의 기술 향상에 중점

• 가능한 한 교수진 개발은 교사의 일상 업무에 통합

• 비판적 사고의 교육에 대한 모델

• 교수진 간 모범 사례 공유 (예 : 비판적 사고의 양질의 교수법을 보여주는 비디오 라이브러리)

• 비판적 사고를 토론 할 때 사용되는 공통 언어에 중점

• 교수진 개발 프로그램의 효과를 추적 할 수있는 척도를 개발하기 위한 노력


• A strong foundation should be grounded in the science of critical thinking

• Those who deliver the programs must have expertise and credibility

• There should be a focus on enhancing the skills of the students who will ultimately be the beneficiaries of the faculty development

• As much as possible, faculty development should be integrated into the daily work of the teachers

• The teaching of critical thinking should be modeled

• Best practices should be shared among faculty (e.g., a video library of exemplars of quality teaching of critical thinking)

• There should be an emphasis on a common language to be used when discussing critical thinking

• Efforts should be made to develop metrics that will enable tracking of the efficacy of the faculty development programs



고찰

DISCUSSION


그러나 궁극적으로 비판적 사고의 의미있는 통합을 위해서는 과정보다 결과를 강조하는 현재의 교육 패러다임에서 완전히 벗어나야합니다.

Ultimately, however, the meaningful integration of critical thinking requires a complete shift fromour current educational paradigm, which emphasizes diagnostic outcome over process.



품질 및 안전 운동은 진단적 오류를 조명함으로써, 비판적 사고 아젠다를 위한 길을 이미 열어 놓은 캠페인으로서, 이 영역의 연구를 촉진하는 데 사용해야합니다. 많은 부분이 시스템에 집중되었지만, 인지 오류 문제는 생의학 문학과 일반 언론 모두에서 주목을 끌고있다 .2 Trainee들은 이제는 "앵커링(anchoring)", "유용성 편향", "조기 결론"등과 같은 용어에 더 익숙해 질 것이다.우리의 언어가 "시스템 1 사고"라는 용어로 채워지는 데 까지는 그다지 많은 시간이 필요하지 않을 것이다.

The quality and safety movement is a highly visible campaign that has already paved the way for the critical thinking agenda by bringing diagnostic error to light and should be used to promote work in this area. Although much of the focus has been on systems, the issue of cognitive error is increasingly drawing attention both in the biomedical literature47,48 as well as the lay press.2 Trainees are now more likely to be familiar with phrases such as “anchoring,” “availability bias,” and “premature closure.” It will not take much to populate our language with “System 1 thinking.”49


비판적 사고의 측정은 여전히 ​​정신적 과정mental process과 태도 측정이 갖는 고유의 어려움으로 인해 어렵습니다. 비판적 사고성향을 측정하는 것도 마찬가지이다. 중등 및 고등 교육 문헌에서 기인 한 다양한 도구는 다양한 수준의 유효성 확인을 보여 주었고 29,30,33,34, 건강 관리에 적합 할 수 있습니다. 초기 단계에서는 전통적인 평가 방법 (객관식 질문, OSCE, mini-CEX)을 조정하여 비판적 사고를 더욱 명시적인 평가 목표로 삼는 것에 우선적으로 초점을 맞출 필요가 있습니다.

The measurement of critical thinking remains elusive, largely due to the inherent difficulty of measuring mental processes and attitudes. Measuring dispositions toward critical thinking is equally challenging. A variety of instruments originating from the secondary and higher education literature have demonstrated various levels of validation29,30,33,34 and may be adaptable to healthcare. Early initiatives may need to focus first on the adjustment of traditional evaluation methods (multiple-choice questions, OSCE, mini-CEX) to more explicitly include assessment objectives that target critical thinking.


그러나 비판적 사고 운동에서의 성공의 진정한 표시는 (장애물보다는 오히려) 챔피언으로서 임상 교수진의 참여가 될 것입니다. 의료 환경은 패턴 인식, 직관적 인 의사 결정, 알고리즘 의학과 같은 사고의 패러다임을 영속화시킵니다. 또한, 교수진은 학생들에게 비판적 사고력을 가르치는 방법에 대해 거부감을 느낄 수 있습니다. 비판적 사고의 기술과 과학에 대한 교수개발 시도는 교수들이 기존에 가지고 있는 지식과 기술을 모욕하지 않는 메시지로 조심스럽게 표현되어야 한다..

The real marker of success in the critical thinking movement, however, will be engagement of the clinical faculty as champions, rather than stumbling blocks. The healthcare environment perpetuates paradigms of thinking such as pattern recognition, intuitive decision making, and algorithmic medicine. Furthermore, faculty may be resistant to being told how to teach students to think critically. Initiatives to develop faculty in the art and science of critical thinking must carefully articulate a message that does not denigrate their prior knowledge and skills.


비판적 사고 교육을 추구하는데 실패한다면, 비판적 사고라는 근본적 기술이 빠져있는 의료환경에 이르게 될 것이다. 이러한 환경을 전적으로 통제하는 것은 프로토콜 및 자동화 된 의사 결정이다. 진단 오류는 "사업 수행"비용의 일부가됩니다. 환자는 과도한 검사를 받고, 그로 인해 benign하고 incidental한 소견을 해결하기 위해 침해적인 절차를 받게 될 것이다. 이러한 의료환경 묘사가 비현실적인 것만은 아니며, 생각하는 법을 가르치는 것이 중요함을 보여줍니다.

Failure to pursue the teaching of critical thinking may lead to a healthcare environment devoid of this fundamental skill. Such an environment would be governed entirely by protocols and automated decision support. Diagnostic errors would be part of the cost of “doing business.” Patients would carry multiple conflicting diagnoses while undergoing invasive procedures to work-up benign, incidental findings resulting from overtesting. This depiction of healthcare is not out of the realm of reality and illustrates the vital importance of teaching how to think.


REFERENCES









 2014;26(1):95-102. doi: 10.1080/10401334.2013.857335.

Critical thinking in health professions educationsummary and consensus statements of the Millennium Conference 2011.

Author information

1
a Carl J. Shapiro Institute for Education and Research at Harvard Medical School and Beth Israel Deaconess Medical Center , Boston , Massachusetts , USA.

Abstract

PURPOSE:

Critical thinking is central to the function of health care professionals. However, this topic is not explicitly taught or assessed within current programs, yet the need is greater than ever, in an era of information explosion, spiraling health care costs, and increased understanding about metacognition. To address the importance of teaching critical thinking in health professions education, the Shapiro Institute for Education and Research and the Josiah Macy Jr. Foundation jointly sponsored the Millennium Conference 2011 on CriticalThinking.

SUMMARY:

Teams of physician and nurse educators were selected through an application process. Attendees proposed strategies for integrating principles of critical thinking more explicitly into health professions curricula. Working in interprofessional, multi-institutional groups, participants tackled questions about teaching, assessment, and faculty development. Deliberations were summarized into consensusstatements.

CONCLUSIONS:

Educational leaders participated in a structured dialogue about the enhancement of critical thinking in health professionseducation and recommend strategies to teach critical thinking.

PMID:
 
24405353
 
DOI:
 
10.1080/10401334.2013.857335


헬스케어와 교육에서 비판적 사고(BMJ, 2017)

Critical thinking in healthcare and education


Critical thinking is just one skill crucial to evidence based practice in healthcare and education, write

Jonathan Sharples and colleagues, who see exciting opportunities for cross sector collaboration


Jonathan M Sharples professor 1, Andrew D Oxman research director 2, Kamal R Mahtani clinical

lecturer 3, Iain Chalmers coordinator 4, Sandy Oliver professor 1, Kevan Collins chief executive 5,

Astrid Austvoll-Dahlgren senior researcher 2, Tammy Hoffmann professor 6


1EPPI-Centre, UCL Department of Social Science, London, UK; 2Global Health Unit, Norwegian Institute of Public Health, Oslo, Norway; 3Centre

for Evidence-Based Medicine, Oxford University, Oxford, UK; 4James Lind Initiative, Oxford, UK; 5Education Endowment Foundation, London, UK;

6Centre for Research in Evidence-Based Practice, Bond University, Gold Coast, Australia



비판적 사고, 즉 무엇을해야할지, 무엇을 믿어야하는지 명확하고 합리적으로 생각하는 능력은 의학 실습에 필수적입니다. 이 점에 대해 논쟁 할 의사는 거의 없습니다. 그러나 최근까지 영국의 보건 당국, General Medical Council 및 북미 지역의 유사한 기구들은 면허 및 인정 기준의 어디에서도 "비판적 사고"를 언급하지 않았으며, 보건전문직을 대상으로 한 대부분의 교육 프로그램에서 비판적 사고를 명시 적으로 가르치거나 평가하지 않았습니다 

Critical thinking, the ability to think clearly and rationally about what to do or what to believe, is essential for the practice of medicine. Few doctors are likely to argue with this. Yet, until recently, the UK regulator the General Medical Council and similar bodies in North America did not mention “critical thinking” anywhere in their standards for licensing and accreditation,1 and critical thinking is not explicitly taught or assessed in most education programmes for health professionals.2



또한 PubMed가 색인 한 2800 개 이상의 기사가 제목이나 초록에 "비판적인 사고"를 가지고 있지만 대부분은 간호에 관한 것입니다. 우리는 임상의와 환자가 비판적으로 생각하는 것을 배우는 것이 중요하며이 기술의 가르침과 학습이 명시 적으로 고려되어야한다고 주장합니다. 폭 넓은 교육을 통한 비판적 사고에 대한 공통된 관심을 감안할 때, 우리는 왜 헬스케어 및 교육 전문가와 연구자가 사람들이 평생 동안 건강 선택에 대해 비판적으로 생각할 수 있도록 협력해야하는지를 강조하고자 한다.

Moreover, although more than 2800 articles indexed by PubMed have “critical thinking” in the title or abstract, most are about nursing. We argue that it is important for clinicians and patients to learn to think critically and that the teaching and learning of these skills should be considered explicitly. Given the shared interest in critical thinking with broader education, we also highlight why healthcare and education professionals and researchers need to work together to enable people to think critically about the health choices they make throughout life.


Essential skills for doctors and patients


교육에서 비판적 사고는 새로운 개념이 아닙니다. 지난 세기 초, 미국 교육 개혁가 인 존 듀이 (John Dewey)는 학생들이 "잘 생각하도록"도울 필요성을 확인했습니다.

Critical thinking is not a new concept in education: at the beginning of the last century the US educational reformer John Dewey identified the need to help students “to think well.”3


비판적 사고는 다음과 같은 광범위한 기술과 처분을 포함합니다.

  • 인지 기술 (예 : 분석, 추론, 자기 조절);

  • 구체적인 질문이나 문제에 대한 접근(질서, 근면, 합리성); 과

  • 일반적인 삶에 대한 접근 방식 (탐구심, 좋은 정보에 대한 관심, 개방적 마음).


Critical thinking encompasses a broad set of skills and dispositions, including 

  • cognitive skills (such as analysis, inference, and self regulation); 

  • approaches to specific questions or problems (orderliness, diligence, and reasonableness); and 

  • approaches to life in general (inquisitiveness, concern with being well informed, and open mindedness).4


점점 더 많은 증거들이 비판적 사고 능력 개발은 학문적 결과뿐만 아니라 더 광범위한 추론과 문제 해결 능력에 도움이 될 수 있음을 강조합니다 .5

An increasing body of evidence highlights that developing critical thinking skills can benefit academic outcomes as well as wider reasoning and problem solving capabilities.5


의학에서 지난 40 년 간 "비판적 평가"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었습니다. 비판적 평가는 의료분야의 결정을 연구 증거를 어떻게 이용할지에 중점을 둔 것으로, 비판적 사고의 하위 집합입니다 .7-9 의학에서 비판적 평가에 대한 필요성은 적어도 75 년 전에 인식되었으며, 수십년간 비판적 평가는 의료 전문가를위한 필수 역량으로 인식되어왔다.11 GMC의 GMP에는 의사가 "가장 유용한 증거를 기반으로 효과적인 치료를 제공하는 능력"의 필요성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In medicine, increasing attention has been paid to “critical appraisal” in the past 40 years. Critical appraisal is a subset of critical thinking that focuses on how to use research evidence to inform health decisions.7-9 The need for critical appraisal in medicine was recognised at least 75 years ago,10 and critical appraisal has been recognised for some decades as an essential competency for healthcare professionals.11 The General Medical Council’s Good Medical Practice guidance includes the need for doctors to be able to “provide effective treatments based on the best available evidence.”12


환자와 대중이 정보에 입각 한 건강 선택을해야 한다면, 건강과 관련한 여러 주장과 정보의 신뢰성을 평가할 수 있어야합니다. 이것은 대부분의 사람들이 어려워하는 것입니다. 점차 환자가 자신의 건강을 관리하고 결정을 내리는 데있어서 더 큰 역할을 담당하고 있으며, 동시에 점점 더 많은 건강 정보에 대처하는 것이 요구되기 때문에 점점 더 중요 해지고 있습니다. .

If patients and the public are to make well informed health choices, they must also be able to assess the reliability of health claims and information. This is something that most people struggle to do, and it is becoming increasingly important because patients are taking on a bigger role in managing their health and making healthcare decisions,13 while needing to cope with more and more health information, much of which is not reliable.14-17


비판적 사고 가르치기

Teaching critical thinking


비록 비판적 사고 기술이 의학 교육의 기준에서 제한적으로나마 명시적인 관심을 받고 있지만, 많은 국가의 초등 및 중등 학교를위한 국가 교과 과정을위한 대부분의 프레임워크는 비판적 사고를 주요 역량으로 포함하고 있다.18 그럼에도 불구하고 많은 보건교육과 과학교육, 그리고 일반교육에서는 여전히 비판적 사고의 촉진보다는 기계적 학습으로 나아가는 경향이있다 .19) 많은 경우 비판적 사고 능력은 의사 결정과 관련된 필수적인 기술이기 때문에 중요하다. 비판적으로 생각할 수있는 능력은 다른 여러가지와 마찬가지로 학교와 가정에서 개발됩니다. 자녀에게 자신이 무엇을 하고 있는지에 대해 생각하고 이야기하도록 격려받는 가정에서 자라난 학생들에게 이점이 있다. 특히 이것은 단순히 과제를 완료하는 것을 넘어, 학습 과정을 더 깊이 이해하는 것이다. 따라서 [불우한 지역 사회의 어린이들]과 [애초에 더 유리한 학생들] 사이의 '비판적 사고 차이'에 가능한 한 일찍 주목해야합니다.

Although critical thinking skills are given limited explicit attention in standards for medical education, they are included as a key competency in most frameworks for national curriculums for primary and secondary schools in many countries.18 Nonetheless, much health and science education, and education generally, still tends towards rote learning rather than the promotion of critical thinking.19 20 This matters because the ability to think critically is an essential life skill relevant to decision making in many circumstances. The capacity to think critically is, like a lot of learning, developed in school and the home: parental influence creates advantage for pupils who live in homes where they are encouraged to think and talk about what they are doing. This, importantly, goes beyond simply completing tasks to creating deeper understanding of learning processes. As such, the “critical thinking gap” between children from disadvantaged communities and their more advantaged peers requires attention as early as possible.


어른에게도 비판적 사고를 가르치는 것이 가능하지만, 초등학교부터 초기 교육 환경에서부터 이것을 다루면 생산성이 향상 될 것입니다. 어린 시절에 개발 된 잘못된 믿음, 태도 및 행동은 나중에 변경하기가 어려울 수 있습니다. 22 22 이것은 의학 교육 및 보건 전문가에게도 적용됩니다. 비판적 사고 기술을 배우기 위한 토대가 없거나 이를 위한 충분한 시간을 갖지 않으면 이러한 기술을 가르치는 것이 점점 어려워집니다.

Although it is possible to teach critical thinking to adults, it is likely to be more productive if the grounds for this have been laid down in an educational environment early in life, starting in primary school. Erroneous beliefs, attitudes, and behaviours developed during childhood may be difficult to change later.21 22 This also applies to medical education and to health professionals. It becomes increasingly difficult to teach these skills without a foundation to build on and adequate time to learn them.


보건 교육 및 의학 교육에서, 학생들에게 비판적 사고를 가르치는 것을 평가해왔다. 과학, 기술, 공학 및 수학 분야; 연구에 따르면, 비판적 사고 기술은 가르칠 수 있으며, 비판적 사고를 명시적으로 가르치지 않는다면, 학생들이 sound judgement를 내리는 데 중요한 결함이 발생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보건분야 연구에서, 많은 의대 학생들은 비판적 사고 능력을 측정하는 시험에서 낮은 점수를 받고 있으며, 비판적 사고 능력은 학업 성공과 관련이 있습니다 .24 25

Strategies for teaching students to think critically have been evaluated in health and medical education; in science, technology, engineering, and maths; and in other subjects.23 These studies suggest that critical thinking skills can be taught and that in the absence of explicit teaching of critical thinking, important deficiencies emerge in the abilities of students to make sound judgments. In healthcare studies, many medical students score poorly on tests that measure the ability to think critically, and the ability to think critically is correlated with academic success.24 25


의학에서 비판적 사고를 가르치는 전략에 대한 평가는 주로 근거-기반 의료의 한 부분으로서 비판적 평가 기술에 중점을 둬왔다. 이러한 연구에 대한 체계적인 문헌고찰을 살펴보면, EBM 역량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평가를 비롯하여 다면적인, 임상적으로 통합된 접근법을 요구한다.

Evaluations of strategies for teaching critical thinking in medicine have focused primarily on critical appraisal skills as part of evidence based healthcare. An overview of systematic reviews of these studies suggests that improving evidence based healthcare competencies is likely to require multifaceted, clinically integrated approaches that include assessment.26


분야 간 협력

Cross sector collaboration


Informed Health Choices, an international project aiming to improve decision making, shows the opportunities and benefits of cross sector collaboration between education and health.27 This project has brought together people working in education and healthcare to develop a curriculum and learning resources for critical thinking about any action that is claimed to improve health. It aims to develop, identify, and promote the use of effective learning resources, beginning at primary school, to help people to make well informed choices as patients and health professionals, and well informed decisions as citizens and policy makers.



비판적 사고를 추상적으로 가르치는 것은 어렵다. 따라서 건강에 초점을 맞추는 것이 대중의 health literacy를 높이는 것을 넘어서는 이점을 얻을 수 있습니다. 어린이를 포함하여 거의 모든 사람은 건강에 관심을 가지기 때문에, 학습자 참여를 쉽게 만듭니다. 또한 건강은 학생들과 즉각적으로 관련이 있습니다. 한 학교에서 10 살짜리 한 사람이보고 한 바와 같이, 이것은 "나중에 사용할지도 모르지만, 막상 그 때에는 다 잊어버릴 내용이 아니라, 실제로 사용할 내용을 가르치는 것"을 다룬다.


It is difficult to teach critical thinking abstractly, so focusing on health may have advantages beyond the public health benefits of increasing health literacy.36 Nearly everyone is interested in health, including children, making it easy to engage learners. It is also immediately relevant to students. As reported by one 10 year old in a school that piloted primary school resources, this is about “things we might actually use instead of things we might use when we are all grown up and by then we’ll forget.”



비판적 사고를 넘어서

Beyond critical thinking


의료계와 교육계 간 교차 섹터 공동 작업을위한 흥미로운 기회가 생겨나고 있습니다. 비판적 사고가 이것의 유용한 예이지만, 다른 주제는 영양, 운동, 교육 신경 과학, 학습 장애 및 특수 교육 요구, 정신 건강을 포함한 교육 및 보건 영역을 횡단합니다.

Exciting opportunities for cross sector collaboration are emerging between healthcare and education. Although critical thinking is a useful example of this, other themes cross the education and healthcare domains, including nutrition, exercise, educational neuroscience, learning disabilities and special education needs, and mental health.



교육자와 건강 간의 공동 작업의 또 다른 예

Another example of joint working between educators and health is the Best Evidence Medical Education Collaboration, an international collaboration focused on improving education of health professionals.38 And in the UK, the Centre for Evidence Based Medicine coordinates Evidence in School Teaching (Einstein), a project that supports introducing evidence based medicine as part of wider science activities in schools.39 It aims to engage students, teachers, and the public in evidence based medicine and develop critical thinking to assess health claims and make better choices.



협업은 또한 사람들이 공정한 공정 비교를 이해하도록 돕기 위해 고안된 자원 인 CARL (Critical Thinking and Appraisal Resource Library)의 개발에 중요합니다.

Collaboration has also been important in the development of the Critical Thinking and Appraisal Resource Library (CARL),40 a set of resources designed to help people understand fair comparisons of treatments.



4 Facione PA. Critical thinking: a statement of expert consensus for purposes of educational assessment and instruction. Research findings and recommendations. American Philosophical Association, 1990, http://files.eric.ed.gov/fulltext/ED315423.pdf.




 2017 May 16;357:j2234. doi: 10.1136/bmj.j2234.

Critical thinking in healthcare and education.

Author information

1
EPPI-Centre, UCL Department of Social Science, London, UK Jonathan.Sharples@eefoundation.org.uk.
2
Global Health Unit, Norwegian Institute of Public Health, Oslo, Norway.
3
Centre for Evidence-Based Medicine, Oxford University, Oxford, UK.
4
James Lind Initiative, Oxford, UK.
5
EPPI-Centre, UCL Department of Social Science, London, UK.
6
Education Endowment Foundation, London, UK.
7
Centre for Research in Evidence-Based Practice, Bond University, Gold Coast, Australia.
PMID:
 
28512135


의과대학생의 정체성 형성: 의학교육의 교육적 과제(Teach Learn Med, 2013)

Professional Identity in Medical Students: Pedagogical Challenges to Medical Education

Ian Wilson

Medical Education, University of Western Sydney School of Medicine, Campbelltown, Australia

Leanne S. Cowin

University of Western Sydney School of Nursing and Midwifery, Campbelltown, Australia

Maree Johnson

Centre for Applied Nursing Research, University of Western Sydney School of Nursing and Midwifery,

Campbelltown, Australia

Helen Young

Department of English, Western Sydney Australia, Penrith, Australia





도입

INTRODUCTION


의사가 자신을 의사라고 생각하는 전문직 정체성의 발달은 의학 교육 과정에서 기술과 지식을 습득하는 것만큼이나 중요하기 때문에 중요합니다 .1,2 광범위하게 말하면 직업 의식은 "스스로를 worker로 의식적으로 인식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는 직업의 성공, 심리적 건강, 사회 적응과 관련이있다. [3]

The development of a professional identity—how a doctor thinks of himself or herself as a doctor—is so important that it is as essential as acquiring skills and knowledge during medical education.1,2 Broadly speaking, occupational identity “refers to the conscious awareness of oneself as a worker” and is linked to career success, psychological health, and social adjustment.3


지난 10 년 간 이루어진 정책 및 연구 활동의 상당 부분은 의사의 행동인 프로페셔널리즘에 중점을두고 있으며, 긍정적 성과를 위해서 의과 대학생들에게 이것을 어떻게 교육할 것인가를 다루고 있다. 전문직 정체성은 비교적 적은 관심만을 받았습니다.

Much of the policy and research work done in the past decade or so focuses on professionalism—the behavior of doctors—and howto educate medical students for positive outcomes in this area .Professional identity has received comparatively little attention.



프로페셔널리즘과 전문직 정체성

PROFESSIONALISM AND PROFESSIONAL IDENTITY


그러나 프로페셔널리즘은 전문직 정체성과 동일하지 않다. 전문직 정체성은 개인이 의사로서 자신을 어떻게 생각하는지에 대한 것이며, 프로페셔널리즘은 전문가의 행동을 나타내는 것과 관련되고, 여기에는 의사의 경우 윤리, 전문 지식 및 서비스가 포함됩니다. Coulehan16 (p895)은 전문직 정체성은 "훌륭한 의사가 무엇을 의미하는지, 그리고 의사가 어떻게 행동해야하는지에 대한 한 사람의 해석을 나타냅니다"라고 주장했다.

Professionalism, however, is not the same construct as professional identity. Professional identity is how an individual conceives of himor herself as a doctor, whereas professionalism involves being and displaying the behavior of a professional;15 in the case of doctors this includes ethics, expertise, and service. Coulehan16(p895) argued that professional identities “represent the physician’s interpretation of what being a good doctor means and the manner in which he or she should behave.” 


  • Skorikov와 Vondracek에 따르면 전문직 정체성은 "개인이 자신의 동기와 능력을 수용 할 수있는 직업의 역할과 연결시키는 의미의 복잡한 구조"로 표현됩니다. 3 (p694) 

  • 카네기 재단의 의학 교육에 대한 최근의 리뷰는 "전문직 정체성 형성, 즉 전문적인 가치, 행동, 열망의 개발이 의학교육의 중추가 되어야 한다"고 주장한다. 17 

  • 다른 연구에서 전문직 정체성 형성은 "사고, 감정, 행동의 습관을 수반하는 계속적이고 자기성찰적인 과정"18) (p603)

  • According to Skorikov and Vondracek, a professional identity is represented by a “complex structure of meanings in which the individual links his or her motivation and competencies with acceptable career roles.”3(p694) 

  • A recent review of medical education by the Carnegie Foundation, Educating Physicians: A Call For Reform of Medical School and Residency, argues that “professional identity formation – the development of professional values, actions, and aspirations—should be the backbone of medical education.”17 

  • In other work the professional identity formation is a complex construct, “an on-going, self-reflective process involving habits of thinking, feeling, and acting.”18(p603)


그러한 과정은 개인의 가치관, 도덕성, 속성을 직업의 규범과 통합 할 것을 요구하며, 이것은 개인의 정체성과 직업적 자아를 통합하는 것이다 (p312)

Such a process requires the integration of personal values, morals, and attributes with the norms of the profession, that is, of the individual’s personal identity with the professional self.14(p312)


우리는 Skorikov와 Vondracek, 3 Cooke et al., 17 and Wear and Castellani, 18의 견해를 가지고 있으며, 전문 정체성의 정의에 관한 이 기사를 기반으로합니다

We have takenthe views of Skorikov and Vondracek,3 Cooke et al.,17 and Wear and Castellani,18 and based this article around a definition of Professional Identity that incorporates


• 개인이 자신의 동기와 역량을 직업과 연결시키는 데 사용하는 복잡한 구조,

• a complex structure that the individual uses to link their motivations and competencies to their career role,

• 전문적인 가치, 행동 및 열망의 개발.

• the development of professional values, actions, and aspirations, and

• 개인의 정체성에 대한 자기 성찰의 진행 과정.

• an ongoing process of self-reflection on the identity of the individual.



전문직 정체성 형성

PROFESSIONAL IDENTITY FORMATION


직업적 정체성 형성에 관한 최근의 연구는 청소년기 또는 청소년기 이전에, 즉 직업 별 교육이 시작되기 전에이 과정이 시작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19,19 연구에 따르면 의대생은 교육을 받기 전에 미래의 전문 자아를위한 토대를 마련한다. 예를 들어 2000 년대 중반의 전임상 프로그램 학생들은 교육을 시작할 때 자신의 배경, 경험 및 가치가 자신의 직업적 자아에 영향을 주었다고 느꼈다. 반면에 의대생은 법대생보다 해당 직종의 가족 구성원이 두 배나 많았다. 우리는 또한 의료 텔레비전 드라마가 의학 개업의가 무엇인지에 대한 학생들의 이해에 영향을 미친다고 추측한다. 이것들이 전문직 정체성 형성의 과정을 시작할 것이다.

Recent work on occupational identity formation suggests that the process may begin during or even before adolescence, that is, before career-specific education begins.3,19 Research suggests that medical students lay some foundations for their future professional selves before entering education. For example, students in a preclinical program in the mid-2000s felt that their backgrounds, experiences and the values they had when starting their education influenced their professional selves,20 whereas medical students were twice as likely as law students to have a family member already in the profession.21 We also surmise that medical television dramas have an impact on the students understanding of what a medical practitioner does, and this will commence the process of professional identity formation.22


수년간의 교육은 개인의 전문적 정체성을 개발하는 데에도 중요합니다. 왜냐하면 이 시기에 전문직으로의 전환이 일어나기 때문입니다 .23 교육 시스템 내에서의 학생들의 경험이 자신의 전문적 정체성에 영향을 미치고, "의료 훈련에 사용 된 모델은 의사가 전문직을 내면화하는 방법에 큰 영향을 미칩니다."24 (p1154), 25 의료 전문가로서의 생각, 행동 또는 행동은 명확한 목표없이 성공적으로 가르치거나 배울 수 없습니다 .26 이러한 목표는 의사에게 있어서 의료 전문직이 된다는 것이 어떤 의미인지에 대한 포괄적인 정의 없이는 identify 할 수 없습니다 

The years of education are also crucial to the development of an individual’s professional identity because it is during this period that the transition to a professional takes place.23 It has long been recognized that students’ experience within the educational system impacts on their professional identity—“the model used in medical training significantly affects how physicians internalize professional roles.”24(p1154),25 How to be, think, or act as a medical professional cannot be taught or learned successfully without clear goals.26 Such goals cannot be identified without an overarching definition of what being a medical professional (of a particular kind) means to a doctor.



전문직 개발에 대한 사회 문화적 이론은 전문직 정체성 개발에 대한 사회화의 영향을 이해할 수있는 견고한 토대를 제공합니다. Mann은 "직업적 정체성은 개인적이고 사회적인 과정이다"라고 주장했다. 광범위하게 보면, 직업적 자아에 대한 맥락을 제공하는 [사회적 관계와 조직 및 제도적 구조로부터 전문적 정체성을 형성하는 과정]이 사회화이다. 

The sociocultural theory of professional development provides a solid basis for understanding the impact of socialization on the development of professional identity. Mann argued that “professional identity is both a personal and social process.”23(p64) The process of assembling one’s professional identity from the social relationships and organizational and institutional structures that provide context to the professional self is broadly known as socialization.19 


한 개인이 공동체에 들어갈 때에는 가장자리에서부터 들어가게 되며, 다른 의료전문직 및 보건의료전문직과의 engagement를 점차 늘려간다. 이 과정에서 환자 돌봄에 대한 책임이 점차 증가하고, "기술, 규범, 문화와 커뮤니티의 가치 등을 습득해나간다". 이것은 "실천공동체"의 개념을 반영하며, 의사 및 간호사의 전문직 정체성 탐구에 유용한 것으로 밝혀진 바 있다.

An individual enters such a community at the edge and through a process of increasing engagement with other medical professionals and health professionals with increasing responsibility for patient care he or she “assumes and acquires the skills, norms and values of the culture and community.”23(p64) This reflects the concept of “communities of practice,”27 which has proven useful in the exploration of professional identity construction among doctors23(pp64–65) and nurses.28,29


의대생이 실천 공동체의 "가장자리"에서 "중심"으로 이동함에 따라 "낮은 책임감에서 높은 책임 성으로 등급이 부여 된 기여"를 제공하고 "전문적 정체성에 대한 인식을 높입니다."23,30 (p863) 학생들은 훈련 초기에 의미있는 공헌을 할 수 있다고 느끼지 않기 때문에, 진정한genuine 기분이 들지 않는다고보고했습니다. 그러나 그들은 "일대일 방식으로 상호 작용할 때"팀 멤버 "로서 더 많은 수석 팀원들과 정체성을 형성하고 환자 치료에 도움을 줄 수있었습니다 .31 (p87) 커뮤니티 내의 다른 사람들로부터의 지원은 이 과정에서 핵심 요소이며, 이와 더불어 피드백과 자신감의 개발과 유지가 필수적인 지원이다.

As a medical student moves from the “edge” toward the “center” of a community of practice he or she “offers graded contributions from low to high accountability” and “develops a heightened sense of professional identity.”23,30(p863) Students reported that early in their training they did not feel like they could make a valuable contribution and thus did not feel genuine; however, they could “develop an identity as a ‘member of the team’ when they interacted on a one-to-one basis” with more senior team members and helped with patient care.31(p87) Support from others within the community is a key factor in this process, with feedback and the development and maintenance of self-confidence being essential supports.30,31



임상 세팅은 의대생이 전문가로서 자신의 이미지를 개발하는 데 매우 중요합니다 .23) 

  • 한 연구에 따르면, 학생들이 미래의 의사로서의 스스로를 개념화하는 것은 환자 접촉과 함께 빠르게 진화했습니다. 조기에 그들은 자신감이 없었지만, 이것은 변화하여 임상 배치 1 학년이 끝날 때 환자와의 상호 작용에있어 믿을만하고 편안함을 느꼈습니다 .33 

  • 임상 환경의 조직적organizational 측면은 의대생의 정체성 개발에 심각한 어려움을 줄 수 있습니다. 왜냐하면 학생들은 위계 속에 어떻게 스스로를 맞춰야 하는지를 배워야 했으며, "개인의 도덕적 가치와 성실성을 지닌 유익한 전문가로서의 자기 평가"를 유지하면서 동시에 실용적인 보건 의료의 협박stricture에 대처하는 법을 배워야 했기 때문이다.34)

Clinical settings are very significant to medical students’ development of images of themselves as professionals.23,31,32 

  • According to one study students’ concepts of themselves as future doctors evolved quickly as they came into contact with patients. Early on they were not confident, but this changed so that they felt credible and comfortable in their interactions with patients by the end of their 1st year of clinical placement.33 

  • The organizational aspects of clinical settings can pose significant challenges to medical students’ identity development as they must learn to fit into the hierarchy and cope with the strictures of practical healthcare while maintaining “personal moral values and selfvaluation as a beneficent professional with integrity.”34(p49)



그러나 환자와의 상호 작용은 의대생의 전문적 정체성 개발을 복잡하게 만들 수 있습니다. 최근 연구에 따르면 1 학년 학생 중 일부는 충분한 기술과 의학 지식이 없기 때문에 환자와 의사 소통이 어려우며, 학생은 다른 정체성을 발동enact시킴에 따라 원활하지 못한 의사소통을 하게 되는 것으로 판명되었습니다 .35이 연구에서 얻은 하나의 결론은, 교육자는 의학교육의 초기 단계에서 낮은 지식수준이 전문직 정체성의 개발을 훨씬 더 복잡하고 어렵게 만들 수 있따는 것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는 것이다.

Interaction with patients, however, can also complicate medical students’ development of professional identity. A recent study revealed that some 1st-year students had difficulty communicating with patients because they did not have sufficient skills and medical knowledge, and that the students “enacted other identities,” leading to poor communication.35 One conclusion drawn from this study was that educators need to take into account the ways that low levels of knowledge in the early years of medical training can make the development of professional identity much more complex and difficult.35


환자뿐 아니라 다른 의료 전문가와의 상호 작용은 학생 의사의 전문직 정체성 형성에 결정적인 역할을합니다. 

  • 예를 들어, 학생들이 고위급 의사들과 직접 상호 작용하는 아침 보고는 과학적 접근을 강조하면서, 반대로 인본주의적인 접근을 경시하고, 기존의 위계 구조를 강화함으로써 직업적 정체성을 형성하는 담론을 배치하는 장소이다. 

  • 덜 공식적인 상호 작용도 중요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한 연구에서 주니어 의대생들은 이름이 불리거나, 시니어 스테프를 위해서 차를 만드는 것과 같은 단순한 일이 팀의 일원이라는 느낌을 촉진할 수 있다고보고했습니다 .31

Interactions with other healthcare professionals as well as patients play a crucial role in the professional identity formation of student doctors. 

  • For example, the morning report where students directly interact with more senior doctors is a locus for deploying discourses that shape professional identity by emphasising scientific and downplaying humanistic approaches as well as for reinforcing existing systemic hierarchies.36 

  • Less formal interactions can also be important; for example, in one study junior medical students reported that simple things such as being addressed by name, or making tea for a more senior staff member, could foster a sense of being part of a team.31



지난 10 년간의 연구에 따르면 사회화를 통한 신념과 행동의 변화는 한 개인이 일반인에서부터 의료 전문가로 변모하는 과정에서 요소입니다. 롤모델링은 사회화의 한 방법입니다. "직업 정체성은 그것의 형성을 둘러싼 대인 관계 시스템의 변화에 의해 형성된다."3) (p696) 롤모델은 학생의 직업적 정체성의 발전에 큰 영향을 미칠 수있다. Baernstein 등 20)은 긍정적 롤모델은 의사 훈련의 직업적 정체성을 형성하는 데있어 가장 중요한 요소였습니다. 강력하고 긍정적 인 역할 모델은 의대생의 심리적 웰빙의 핵심으로 확인되었으며, 학생들은 자신과의 관계를 형성해야합니다 .34 역할 모델은 시니어 의사 외에도 "학생, 거주자, 교수진, 간호사 및 다른 팀원들 "34 (p47)이 있다.

Studies in the last decade have demonstrated that changing beliefs and behaviours through socialization is a key element in an individual’s development from layperson to medical professional.4,37 Role modeling is one method of socialization. “Occupation identity is shaped by the changing system of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round which it is constructed.”3(p696) Role models can have a major impact on the development of a student’s professional identity.38,39 Baernstein et al.20 demonstrated that positive role models were the most important factor in shaping the professional identity of doctors in training. Strong, positive role models have been identified as key to the psychological well-being of medical students, and students must form relationships with themto succeed.34 Role models are not just more senior doctors but might also be “students, residents, faculty members, nurses, and other team members.”34(p47)



그러나 현대 의학의 학생들이 살고 배우고 일하는 세상의 지속적 변화는 교육 모델로서의 역할 모델링의 지속적인 효과에 대한 우려를 제기했다. 예를 들어, Steinert et al. (40)은 주니어 학생과 시니어 스탭 사이의 차이점이 일반적인 의학적 가치에 의해 무시 되었기 때문에 역할 모델링이 성공적이라고 주장했다. 그들은 역할 모델링만으로는 불충분하며, 의대생 교육의 전반적인 접근 방식에 있어 명백한 커리큘럼과 교육 환경의 변화가 이루어져야한다고 결론 지었다.

The changing world in which contemporary medical students live, learn, and will work has, however, raised some concerns about the continued efficacy of role-modeling as a pedagogical tool. Steinert et al.,40 for example, argued that role-modeling was successful because differences between junior students and senior staff were overridden by common medical values. They concluded that role-modeling is as a result insufficient and that both explicit curricula and changes to educational environments should be made in an overall approach to teaching medical students.



Gleeson에 따르면, 의학 교육을 통한 성찰 기회는 전문직 실천professional practice에 대처할 수있는 학생들의 능력을 개발하는 데 중요합니다. 그는 현대의 교육 과정이 역량에 너무 집중한 나머지 의사가되기위한 다른 측면을 희생하고 있다고 주장했습니다. 경력 개발에서의 성찰과 토론의 중요한 역할은 여러 다른 연구에서 인정되었다. 38,42,43

Opportunities for reflection throughout medical education are significant in developing students’ capacities to cope with professional practice according to Gleeson.41 He argued that contemporary curricula can focus too much on competency at the expense of other aspects of becoming a doctor. The critical roles of reflection and discussion in career development have been recognized in a number of other studies.38,42,43



개개인은 스스로의 전문직 자아 형성의 능동적 참여자이다. 그리고 Baernstein 외 20 명의 연구 결과는 의대생이 다른 전문가와 마찬가지로 그렇다는 것을 보여줍니다. 직업적 정체성의 형성에있어서 개인의 적극적인 참여를 인정하고 지시하는 한 가지 교육적 접근은 내러티브 성찰이다. 네러티브 정체성은 "사람이 자신의 삶에서 의미와 의미를 이루기 위해 구성한 내면화되고 진화하는 이야기"입니다. 교육적 맥락에서 서술은 외면화될 수 있으며, 이는 의사 연수생이 내러티브를 통해 자신의 경험의 이야기를 narrative enquiry를 통해 "tell and retell" 하도록 한다. 임상교육에서 개인의 생각, 행동, 경험에 대한 토론을 한다면, 자기 반성을 통해 "의사로 살 수있는 자신의 이야기"를 개발할 수 있습니다.

The individual is an active participant in the construction of their professional self,44 and Baernstein et al.’s20 findings show this is the case for medical students as for other professionals. One pedagogical approach that acknowledges and indeed fosters the active participation of the individual in the creation of their professional identity is narrative reflection. Narrative identity is the “internalized and evolving story of the self that a person constructs to make sense and meaning out of his or her life.”45 In an educational context narratives can be externalized, allowing trainee doctors to “tell and retell, through narrative enquiry, the story of their experiences.”46(p766) Discussion of an individual’s thoughts, actions, and experiences within their academic and clinical education allows that person to develop “their own stories by which to live as doctors” through self-reflection.46(p766)




전문직 정체성 발달의 과제

CHALLENGES TO THE DEVELOPMENT OF PROFESSIONAL IDENTITY


의사의 전문직 정체성은 "의사-치료자의 사회적 역할"에 의해 형성되며, 이것은 의사가 누구이고 의사가 무엇인지에 대한 사회적, 문화적 기대에 의해 형성되는 것이다. 또한 의학교육을 받는 기간동안 이러한 기대치와 개인의 가치관 및 정체성을 통합하는 것은 의대생이 직면하는 주요 도전 과제 중 하나입니다.

Doctors’ professional identities are shaped by “the social role of physician-healer” that is, by social and cultural expectations of who and what a doctor should be, and consolidating these expectations with personal values and identityis one of the major challenges facing medical students throughout their training


의대생들은 빠르면 1학년 초부터 전문직 정체성에 대한 확신 부족으로 어려움을 겪기도 한다. 의대생들은 자신의 능력에 대한 자신감이 낮은 것으로부터 어려움을 겪기도 하는데, 이러한 suffer는 학생 주변의 사람들(환자, 간호사)이 학생을 점점 의사로 보게 됨에 따라서 더 심해진다. 최근의 한 연구에 참여한 학생들은 다른 전문가들, 특히 간호사들과의 부정적인 상호 작용이 '낙인찍힘'의 느낌으로 남을 수 있다고 보고했습니다 .31 실패에 대한 두려움이 스트레스의 원천이 될 수 있지만, 연구에 따르면 정체성의 실질적 위기, 즉 학생의 행동이 실제 자기의 모습과 자신과 일치하지 않는 것은 변화의 필요성과 기회를 보여줌으로써 긍정적 전문직 정체성을 위한 기회를 제공 할 수 있다고 제안합니다 .48

Medical students may suffer from lack of certainty about their professional identities as early as the 1st year of their training.31,47 They can also suffer from low confidence about their abilities, a concern that may increase as others around them—for example, patients and nurses—increasingly identify them as doctors.33,34,48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one recent study reported that negative interactions with other professionals, particularly nurses, could leave them feeling stigmatized.31 Although fear of failure can be a source of stress for medical students, some work suggests that actual crises of identity, instances where a student’s actions do not match who they are, can offer opportunities for positive professional identity by demonstrating both need and opportunity to change.48


의학 교육에서는 점차 이론을 실제를 연결할 필요성이 높아지고 있다. 이론과 실제 사이의 불일치는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이른바 잠재 커리큘럼을 다루는 것은 의학 교육에 대한 최근 논의에서 주요한 주제이다. 37,49,50 한 연구에서 예를 들어, 3 학년 학생들은 감독자 보여주는 행동이 학생들이 실제로 배운 환자-중심적 가치와 상충함을 보고했다.51 이러한 갈등은 어떤 경우에는 힘을 잃고 좌절감을 느끼게 만들었습니다. Coulehan과 Williams는 전통적인 의학적 가치를 강조하는 서류상의 교육과정은 "환자와의 거리두기, 자기 이익과 객관성의 윤리"를 가르치는 잠재 커리큘럼에 의해 크게 훼손되었다고 주장했다 .52 (p598)

The need to connect theory with practice is an increasingly recognized aspect of medical education. Disjunctions between the two can have negative effects and addressing the so-called hidden curriculum is a major theme in recent discussions of medical education.37,49,50 In one study, for example, 3rd-year students reported that their supervisors displayed behavior that was at odds with the values of patient-centered care that they had been taught.51 This conflict, in some cases, led to the students feeling powerless and frustrated in their roles. Coulehan and Williams argued that the stated curriculum fostering traditional medical values is heavily undercut by an implied curriculum teaching “an ethic of detachment, self-interest and objectivity.”52(p598)


의과대학생의 직업적 정체성의 성숙과 관련된 문제는 다음과 같은 문제를 포함 할 수 있습니다.

  • 학생 역할로 전환,

  • 적응의 필요성,

  • 초기 적응 스트레스

  • 시험 성적 불안

  • 윤리적 및 개인적/사회적 양심에 기반한 발전 .34


The challenges involved in the maturation of the medical student’s professional identity may include issues such as 

  • transitioning to student role, 

  • the need to conform, 

  • initial fitting-in stresses, and 

  • examination performance anxieties, as well as 

  • ethical and personal/social conscience driven developments.34 


이러한 도전은 일부 학생들로 하여금 의도하지 않게 "냉소, 오만, 의료 실천으로 인한 실망감"의 측면을 키울 수 있습니다. 34 (p50) 기초 및 임상 과학의 모범적 인 프로그램 외에도, 학생들은 잘 통합 된 (스캐 폴딩 된) 교과 과정 문제 기반 학습 그룹, 소규모 그룹 작업, 멘토와 교훈 자의 사용과 같은 다양한 학습 환경에서 촉진되는 자기 성찰적이며 독창적 인 인문학이 인문학의 견고한 혼합을 통합 한 것은 과거의 저자들에 의해 제안된 바 있으며, 이는 오늘날에도 여전히 메리트를 가지고 있습니다 .42,53,54

Such challenges may lead some students to unintentionally nurture aspects of “cynicism, arrogance, and disenchantment with medical practice.”34(p50) In addition to an exemplary program of basic and clinical sciences, students require a well-integrated (scaffolded) curriculum that incorporates a solid blending of humanities, self reflective and creative work facilitated in a variety of learning settings such as Problem-Based Learning groups, small-group work, and the use of mentors and preceptors has been proposed by authors in the past and still holds merit today.42,53,54


전문직 정체성을 바꾸는 외부적 힘

EXTERNAL FORCES CHANGING PROFESSIONAL IDENTITY


의사의 전문직 정체성의 두 가지 핵심 측면은 현대의 의학 교육에서 서로 긴장감을 느낄 때가 있습니다. 테크니컬 스킬과 의사의 전통적인 돌봄 역할 .46 의료전문직의 변화하는 특성에 중요한 영향을 주는 여러 요소들은 다음과 같다 :

Two core aspects of doctors’ professional selves are at times in tension with each other in modern medical education: technical skill and the traditional role of doctor as a carer.46 A number of factors that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the changing nature of the medical profession have been identified: 

  • 의료 및 정보 기술 발전 46;
  • 언론에서의 헬스케어에 대한 관심 증가, 환자 돌봄 그리고 의사의 태도에 대한 에 대한 철학 및 관리의 변화
  • 의학의 여성화 .56
  • developments in medical and information technology46; 

  • increased attention to health care in the media, changes in the philosophy and management of patient care and in doctors’ attitudes; and 

  • the feminization of medicine.56 

이 중 많은 부분이 상호 의존적이며 중첩되어 있습니다. 예를 들어, 기술 변화를 통한 환자의 정보 접근성 증가와 치료 철학의 변화는 동시대 의학의 특징 인 환자 선택에 대한 강조를 증가시킬 수 있습니다 .5 의과대학 교육과정은 이것을 반영하기 위해 고쳐지고 고정된 지식 집합보다는 역량에 점점 더 초점을 맞추고있다.

Many of these are mutually interdependent and overlapping, for example, increased patient access to information through technological change and shifts in the philosophy of care might both lead to an increased emphasis on patient choice, which is a growing feature of contemporary medicine.5 The curricula of medical schools alter to reflect this and are increasingly focused on competency rather than fixed knowledge sets.8


의학 전문직의 정체성에 대한 기술적 변화의 효과에 대해, 개인 차원의 전문직 정체성이 끊임없이 변화하고 있음을 강조한다. Trede는 [의대생과 최근 졸업생들이 긍정적 전문적 정체성을 개발하는 가장 좋은 방법]은 정체성 형성이라는 끊임없이 지속되는 과정에 참여하는 것이며, 즉 "앎과 실천과 실천에 대하여 이야기하는 다양한 방법을 배우고 이해하고 통합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on the effects of technological change on medical professional identity, emphasizes that professional identities at an individual level are constantly changing.4,57 Trede argued that the best way for medical students and recent graduates to develop positive professional identities is to engage with identity formation as an ongoing process, “to learn, understand and integrate different ways of knowing, practising, and talking about practice.”43(p1)


결론

CONCLUSIONS


우리는 의대생의 경험이나 현대 사회에서의 요인들로 인해 야기 된 직업적 정체성의 변화에 ​​의학 교육이 반응해야한다고 결론 지었다.

We conclude that medical education needs to be responsive to changes in professional identity being generated from factors within medical student experiences or within contemporary society.



============아래 확인해야 함============

8. Borgstrom E, Cohn S, Barclay S. Medical professionalism: Conflicting values for tomorrow’s doctors. Journal of General Internal Medicine 2010;25:1330–6.


15. Lesser CS, Lucey CR, Egener B, Braddock CH, Linas SL, Levinson WA. Behavioral and systems view of professionalism. Journal of the American Medical Association 2010;304:2732–7.


38. Goldie J, Dowie A, Cotton P. Morrison J. Teaching professionalism in the early years of a medical curriculum: Aqualitative study. Medical Education 2007;41:610–7.


16. Coulehan J. Today’s professionalism: Engaging the mind but not the heart. Academic Medicine 2005;80:892–8.


18. Wear D, Castellani B. The development of professionalism: Curriculum matters. Medical Education 2000;75:602–11.


41. Gleeson C. Education beyond competencies: A participative approach to professional development. Medical Education 2010;44:404–11.


20. Baernstein A, Oelschlager AM, Amies E, Chang TA, Wenrich M. Learning professionalism: Perspectives of preclinical medical students. Medical Education 2009;84:574–81.


49. Lempp H, Seale C. The hidden curriculumin undergraduate medical education: Qualitative study of medical students’ perceptions of teaching. British Medical Journal 2004;329:770–3.


50. Karnieli-Miller O, Vu TR, Frankel RM, et al. Which experiences in the hidden curriculum teach students about professionalism? Medical Education 2011;86:369–77.


51. Brainard AH, Brislen HC. Viewpoint: Learning professionalism: A view fromthe trenches. Medical Education 2007;82:1010–4.


35. V˚agan A. Medical students’ perceptions of identity in communication skills training: A qualitative study. Medical Education 2009;43:254–9.


57. Korica M, Molloy E. Making sense of professional identities: Stories of medical professionals and new technologies. Human Relations 2010;63:1879–1901.




 2013;25(4):369-73. doi: 10.1080/10401334.2013.827968.

Professional identity in medical students: pedagogical challenges to medical education.

Author information

1
a Medical Education , University of Western Sydney School of Medicine , Campbelltown , Australia.

Abstract

BACKGROUND:

Professional identity, or how a doctor thinks of himself or herself as a doctor, is considered to be as critical to medical education as the acquisition of skills and knowledge relevant to patient care.

SUMMARY:

This article examines contemporary literature on the development of professional identity within medicine. Relevant theories of identity construction are explored and their application to medical education and pedagogical approaches to enhancing students' professional identity are proposed. The influence of communities of practice, role models, and narrative reflection within curricula are examined.

CONCLUSIONS:

Medical education needs to be responsive to changes in professional identity being generated from factors within medical student experiences and within contemporary society.

PMID:
 
24112208
 
DOI:
 
10.1080/10401334.2013.827968
[Indexed for MEDLINE]


학생의 강의 출석에 대하여(Acad Med, 2013)

More About Medical Students’ Attendance at Lectures



편집자에게 :

To the Editor:


라이브 강의의 기능 중 하나는 코스 리듬을 조절하는 것입니다. 학생들은 이제 강의 포드 캐스트를 원할 때 시청합니다. 아마도 시계가 공부할 시간이라고 알려주는 때가 아니라 공부할 마음이 되었을 때 팟캐스트를 들을 것이다(이건 좋다). 그러나 일부 학생들은 팟캐스트를 마지막 순간 (보통 시험 전)까지 미뤄뒀다가, 결국 혼란스럽고 급하게 공부하여, 교육적 세동"(fibrillation)"을 겪는다. 또한 강의는 전략적으로 순서가 정해져 학생들이 후속 소그룹 활동에서 심층적 주제 탐구를 준비 할 수 있습니다. 학생들은 때로는 사전에 강의를 들어야만 배울 수 있는 지식 기반을 갖추지 못해서 때로는 소규모 그룹에 준비가되지 않습니다.

One function of live lectures is to pace course rhythm. Students now watch lecture podcasts when they want, presumably when their minds are ready rather than when the clock tells them to (a good thing). However, some students also postpone watching podcasts to the last minute (usually before an exam), leading to chaotic, harried viewing—a form of pedagogic “fibrillation.” Also, lectures are usually strategically sequenced to prepare students for exploring topics in depth in subsequent small groups. Students sometimes come unprepared to small groups because they lack the knowledge base that hearing a prior lecture on time would have imparted.


그럼에도 불구하고 출석을 주장하는 교수진은 수업 중에 일부 학생들이 단지 "몸뚱이만" 강의실에 출석한다는 사실에 경악 할 수 있습니다. 과다한 전자 장치로 무장 한 학생들은 문자 메시지, 트위터, 영화보기, 비디오 게임, 시험 공부 등을 하다가 가끔만 수업을 듣는다.

Faculty who insist on attendance may nevertheless be dismayed that some students in class are present only “in body.” Armed with a plethora of electronic devices, some students are texting, tweeting, watching movies, playing video games, studying for exams, and only occasionally tuning in.


나는 최근에 주목 한 한 교수 (젊은)를 알고 있습니다. "학생들이 강의에 출석하지 않으면, 그런 학교에 가면 된다. 이 전문직에 들어와서는 안된다" 완전히 반대로, 대조적으로 (더 나이든) 다른 교직원은 이렇게 말했다 "Letterman쇼를 라이브로 보는 관객은 아주 소수이다. 그러나 수백만 명이 TV 쇼를 즐긴다. 그러면 학생들이 이걸로 배우기만 한다면 문제될 것이 무언가?" 교수진과 학생들은이 문제에 대한 깊이 있고 다양한 견해의 범위를 존중하도록주의해야합니다. 

I know one faculty member (young) who recently remarked, “If students don’t go to lecture, they might as well go to a correspondence school—they have no business entering our profession.” In direct contrast, another faculty member (older) told me, in effect, “Letterman has a small live audience—yet millions enjoy the show on television, so what’s the problem as long as students learn the material?” Faculty and students need to be careful to respect the range of deeply held, diverse views on the matter.


나는 출석에 대한 상충하는 의견을 갖고 있다. 나는 비록 그 결과가 수동적 정보전달형 강의에 대한 결석일지라도, 학생들이 스스로 가장 잘 배울 수있는 방법을 선택할 수 있어야한다고 생각한다. 그러나 좋은 선생님들은 모두 나름의 "햄(아마추어 무선통신)"을 가지고 있습니다. 그들에게 있어서 학생들의 열정과 미소 짓는 얼굴을 보는 것은 강력하고 즉각적인 피드백으로서, 교수와 학생이 "연결"되어있는지를 보여준다. 나는 학생들이 혼란스러워하거나 지루해보이는 반응을 보게 되면, 그에 따라 강의를 바꾸고는 했는데, 이것은 만일 모든 학생들이 집에서 온라인으로 접속해서 강의를 듣는다면 절대 알지 못했을 피드백이다.

I have conflicted views on attendance. I appreciate that students should be able to choose ways in which they learn best, even if that means forgoing attendance at a passive, information- delivery-type lecture. However, all good teachers have a certain amount of “ham” in them—seeing student enthusiasm and smiling faces is powerful, immediate feedback as to whether we faculty are “connecting.” I have changed many a lecture on the basis of puzzled or bored looks— feedback I would never get if all my students were tuning in at home.




편집자에게

To the Editor:


정식으로 예정된 교육 세션에서의 출석 감소는 학부 의학 교육에만 국한된 것이 아니며 그랜드 라운드와 같은 회의에까지 침투했습니다 .2 Kanter는 생각하기에, 내가 생각하기에, 해결해야 할 학습자 - 교사 관계에 관해 몇 가지 도발적인 질문을합니다 근본적인 문제에 대한 해결책은 그 관계에 놓여 있다는 것입니다.

The decreasing attendance in formally scheduled educational sessions is not unique to undergraduate medical education and has permeated conferences such as grand rounds.2 Kanter asks some provocative questions about the learner–teacher relationship that need to be addressed, since I believe, as I think he does, that the solution to the underlying problem rests in that relationship.


우리가 문제의 근원에 도달하고자 할 때 반드시 물어야 할 추가 질문이 있다. 예를 들어, 강의 관점에서 볼 때 학생들에게 부가 가치 혜택이란 무엇입니까? 이에 대한 대답은 교수가 낮은 수준의 정보 (예 : 블룸의 분류법에서 "아는 것")를 학습자에게 전송하는 증후군에 직면해야 답할 수 있다. 이 관점에서 학생들은 교수전문가에 의해서 factoid로 채워지기를 기다리고 있는 수동적 수용체이다.

There are additional questions that must be posed if we are to get to the root of the problem. For example, What is the value-added benefit to students of attending a lecture, from their point of view? The answer must confront the syndrome in which faculty transmit low-level information (such as “knowing” in Bloom’s taxonomy) to learners who behave as passive receptacles waiting to be filled with factoids by faculty experts.


교실에서 학생들을 활성화 시키면 학습 중심의 학습 환경이 조성되어 학습 및 교수법에 대한 책임이 분산되고 학생들과 교사 간의 대화가 촉진되며 혼자서 보는 팟캐스트로는 복제되지 않는 것이 생겨난다. 팀 기반 학습, 그룹 및 대화 토론, 도전적인 질문이 포함 된 사전 독서 및 이론 실습으로의 이론 번역은 모든 학생들이 강의실로 돌아올 수있는 방법입니다. 이러한 모든 상호 작용은 높은 수준의 사고가 필요하며 교과서 읽기, 필기 노트 및 팟 캐스트를 뛰어 넘습니다.

Activating students in the classroom creates a student-centered learning environment that diffuses responsibility for learning and teaching, fosters a dialogue between students and teacher, and cannot be replicated when one sits alone watching a podcast. Using team-based learning, group and dyad discussions, prelecture readings with accompanying challenging questions, and translation of theory into contextual practice are all ways that could attract students back to the lecture hall. All of these interactions require higher-level thinking and go beyond textbook reading, transcribed notes, and podcasts.


따라서 Kanter의 접근 방식이 타당하다고 생각합니다. 문제는 이것이다. 현재의 환경을 학습에서의 협력이 가장 중점을 두는 환경으로 바꾸려면 어떤 노력이 필요할까요?

So, I think Kanter’s approach is on target. The question is, What effort will it take to change our current environment to one where collaboration in learning is the major focus?





 2013 Feb;88(2):149. doi: 10.1097/ACM.0b013e31827b27dd.

More about medical students' attendance at lectures.

PMID:
 
23361017
 
DOI:
 
10.1097/ACM.0b013e31827b27dd


출석할 것인가 결석할 것인가: 출석이 진짜 문제인가? (Acad Med, 2012)

To Be There or Not To Be There: Is Attendance Really the Question?




내가 에스컬레이터를 타고 내려와 인접한 곳을 시작했을 때, 의대생이 "글쎄, 여기 정말 대단하다. 심지어 25 명의 학생 (수업의 약 1/6) 만 참석하는 등 악명 높은 코스가 있으며 학교는 여전히 그것을 녹음하고 팟 캐스트합니다. 그래서, 제 말은, 당신이 강의에 나가지 않아도된다는 것입니다. "

As I started down an escalator and they started up the adjacent one, I heard the medical student guide say, “Well, it’s really great here. There is even a notorious course that, like, only 25 students [about one-sixth of the class] attend, and the school still records and podcasts it. So, I mean, it’s not like you have to go to lecture.”



물론 교수진은 똑같은 상황을 논할 때가 있지만 종종 부정적인면이 있습니다. 실제로, 1 학년 또는 2 학년 의과 대학 학생을위한 강좌를 수강중인 강사진에게 이야기하고, 대화가있는 곳에서 학생의 출석이 문제라고 말합니다. 교수진은 

  • (1) 세대 문제 ( "현 세대는 한 시간 동안 앉아있을 수 없다"고 한 사람이 나에게 말했다.)

  • (2) 팟 캐스팅과 같은 기술적 인 문제 (많은 학생들은 자신의 편의를 위해 팟 캐스트를들을 수 있으면 강의에 참석할 필요가 없음을 알 수 있음)

  • (3) 가치 ( "학생들은 교수들이 강의를 준비하고 슬라이드를 만드는 데 드는 시간과 노력에 감사하지 않는다. 나는 심지어 전날 밤 연습하기 위해 시간을 보내는데 말이다")

  • (4) 에티켓 (코스 디렉터는 "정말 당황 스러웠습니다. 저명한 저명한 초청연자가 왔는데도, 누구도 듣지 않았다").

Of course, faculty members discuss exactly the same situation, but often in a negative light. In fact, talk to any faculty member who gives a lecture in a course for first- or second-year medical students, and somewhere in the conversation, he or she will tell you that student attendance is a problem. The faculty member may blame it on 

  • (1) generational issues (“The current generation just can’t sit still for an hour,” one person told me), 

  • (2) technological issues like podcasting (many students don’t see the need to attend a lecture if they can listen to a podcast at their convenience), 

  • (3) values (“The students do not appreciate the time and effort it takes to write a lecture and make the slides, and I even spend time practicing it the night before,” another faculty member said), or 

  • (4) etiquette (a course director told me, “It was so embarrassing—I had a prominent guest lecturer and hardly anyone was there to hear him”).


우리가 문제를 "출석"으로 간주하는 한 계속해서 잠재적 솔루션의 범위를 제한합니다. 학습자 - 교사 관계 (LTR) 측면에서 문제를 재구성하면 문제에 대한 더 나은 이해를 수집하는 방법을 알기 시작합니다.

As long as we continue to frame the problem as “attendance,” it limits the range of potential solutions. If we reframe the problem in terms of the learner–teacher relationship (LTR), it begins to reveal how we might glean a better understanding of the issues.


LTR의 맥락에서 우리는 다음과 같은 질문을 할 수 있습니다.

In the context of the LTR, we can ask questions like


• 고급 학위 과정에 등록한 합리적인 성인은 어떻게 LTR 참여 여부를 결정하는가?

• How do rational adults enrolled in an advanced degree program make decisions about whether or not to engage in LTRs?


• 학습자는 그들이 참여할 때 무엇을주고 받는가?

• What do learners give and receive when they so engage?


• 교사는 그러한 만남에 참여할 때 무엇을주고 받는가?

• What do teachers give and receive when they participate in such encounters?


• 팟 캐스팅과 같은 기술적 인 개입은 학습자와 교사가주고받는 것을 어떻게 바꿉니 까?

• How does a technological intervention, like podcasting, change what learners and teachers give and receive?


의대생의 줄어들고있는 것에 대한 동료들의 우려를 경청하면서

As I listen to colleagues’ concerns about the dwindling attendance of medical students


다음 세대의 의사를 가르치면서 받는 에너지, 보상, 잘 하고 있다는 느낌은 점점 줄어든다. 즉, 학생의 출석률이 낮을 때 LTR에 참여하는 것은 교사에게 덜 만족 스럽습니다.

They get less energy, less reward, a lesser sense that they are doing good by educating the next generation of physicians. In other words, engaging in the LTR is less satisfying for the teachers when learner attendance is low.


그러나 단순히 학습자의 출석을 개선(또는 심지어 강제화)하는 것이 효과가 있을까? 문제가 출석률 향상에서 LTR 개선으로 달라지면, 해결해야 하는 것도 단순히 학생을 출석하게 만드는 방법을 고안하는 것이 아니라 학습자와 교사가 모두 LTR에 기여하고 LTR 혜택을 누릴 수 있도록 만드는 것으로 바뀐다

But is it effective simply to improve— even force—learner attendance? When the problem shifts from improving attendance to improving the LTR, the challenge shifts from simply devising ways of getting students to be present, to the challenge of ensuring that both learners and teachers are able to contribute to and benefit from the LTR, even in the face of podcasting or some other intervention.



점차 많은 학생들이, 어떤 종류의 학습은 혼자서 팟캐스트 장치로 학습할 때 더 효율적이고, 반대로 어떤 종류의 학삽은 LTR 맥락에서 더 효과적이라는 것을 깨닫게 될 것이다. 따라서 팟캐스팅이 자리를 잡더라도, 그것이 교실 학습이나 LTR의 맥락에서 제공되는 양질의 시간을 대체 할 수는 없다는 것이 분명해질 것입니다. 우리가 올바르게한다면 궁극적으로 학습자와 교사는 개선 된 학습자 - 교사 관계에서 새롭고 풍부한 혜택을 얻을 것입니다.

I think we will discover that, for many students, certain kinds of learning are more efficient when a learner is alone with his or her podcasting device, and  that other kinds of learning are more effective in the context of an LTR. And so, I believe it will become clear that podcasting has its place but will replace neither classroom learning nor the need for high-quality time in the context of an LTR. If we do it right, ultimately, both learner and teacher will derive new and richer benefits from an improved learner–teacher relationship. 





 2012 Jun;87(6):679. doi: 10.1097/ACM.0b013e31825a5a2a.

To be there or not to be there: is attendance really the question?

PMID:
 
22643365
 
DOI:
 
10.1097/ACM.0b013e31825a5a2a
[Indexed for MEDLINE]


의학교육의 글로벌 미션 포용하기(Acad Med, 2016)

Embracing Medical Education’s Global Mission

Paul E. Farmer, MD, PhD, and Joseph J. Rhatigan, MD




많은 저소득 및 중간 소득 국가의 보건 시스템은 훈련 된 의료 종사자의 부족으로 만성적으로 불구가된다. 1) 의사의 훈련을 위해 필요한 대규모 투자 및 긴 교육기간 때문에 의사의 부족은 해결하기가 특히 어렵다.

Health systems in many low- and middle-income countries are chronically crippled by shortages of trained health workers,1 and physician shortages are particularly difficult to address because of the large investments and long timelines needed to train physicians.


한 대륙은 특히 training의 어려움을 겪는다. "31 개국에는 의대가 없으며 그 중 9 개는 사하라 이남 아프리카에있다. 44 개국에는 의대가 하나 뿐이며, 그 중 17 개가 사하라 사막 이남 아프리카에있다. "[2] 당연히이 모든 국가들은 의사 및 기타 보건 전문가의 부족에 직면 해있다.

One continent is especially burdened by training shortfalls: “31 countries have no medical school whatsoever, nine of which are in sub- Saharan Africa; 44 countries have only one medical school, 17 of which are in sub-Saharan Africa.”2 Not surprisingly, all of these countries face shortages of physicians and other health professionals.


만성적으로 부족한 의료 시스템에 직면하는 저소득 및 중소 득 국가의 경우, 의료 교육에 자원을 할당하는 능력이 심각하게 제한됩니다. 매년 미국은 1 인당 보건에 약 9,000 달러를 지출하지만 사하라 사막 이남의 아프리카와 동남아시아의 여러 국가는 1 인당 1 인당 100 달러 미만을 지출한다.3

For low- and middle-income countries that face chronically underresourced health systems, the ability to allocate resources to medical education is severely constrained. each year the United States currently spends around $9,000 on health per capita while many nations in sub-Saharan Africa and several w.in southeast Asia spend less than $100 per capita.3 


중저 소득 국가에서 강화되어야 할 보건 시스템의 중요한 "구성 요소"가 많이 있지만 미국의 학술 의학이 인적 자원 : 의사, 간호사, allied health professional 등 독특한 기여를 할 수있는 분야에 집중하고자합니다 

While there are many important “building blocks” of health systems that need to be bolstered in low- and middle- income countries, we wish to focus on one where U.S. academic medicine can make unique contributions—namely, human resources: the physicians, nurses, and allied health professionals


저소득 및 중간 소득 국가에서 의학 교육을 강화하는 것은 의료진의 양적 질과 질을 향상시켜 이들 의료 시스템을 관리하고 이끌어내는 데 중요합니다.

Strengthening medical education in low- and middle-income countries is critical to improving the quantity and quality of physicians to staff and lead these health systems.


미국의 의료계는 수요 증가와 자원 감소로 종종 압박감을 느끼지만, 사실 세계의 대다수와 비교하여 풍부하게 수영하고 있습니다.

Although the U.S. academic medical community often feels squeezed by increasing demands and decreasing resources, we are swimming in abundance compared with the vast majority of the world:


또한 우리는 국경의 경계를 넘어 교육의 전문성에 대한 요구가 가장 큰 학교를 바라보아야 한다. 기술과 사회의 변화가 우리 직업을 급속히 변화시키고있는 세계에서 미국 의과 대학이 관련성이 있다면, 우리는 글로벌 시민으로서의 역할을 포용하고, 전 세계적으로 의학 교육의 발전을 우리의 전체 임무의 핵심 교리로 삼아야합니다. 세상이 점점 작아지면서 우리는 더 이상 출생이나 사고로 학교에 지원할 수있는 사람들만을 훈련하는 것으로 우리의 사명을 제한 할 수 없습니다.

We must also look beyond the walls of our schools and our borders to where the need for our expertise in education is the greatest. If U.S. medical schools are to remain relevant in a world where technological and social changes are rapidly transforming our profession, we need to embrace our roles as global citizens and make the advancement of medical education worldwide a core tenet of our overall missions. As our world grows smaller, we can no longer limit our mission as training only those who by an accident of birth or circumstance are able to apply to our schools.


U.S. Academic Medicine’s Global Engagements


다음은 몇 가지 혁신적 모델이다.

The following brief overview serves to highlight some innovative models.


학부교육에서의 혁신모델
  • In undergraduate medical education, the partnership between the consortium of U.S. medical schools led by the University of Indiana Medical School and Kenya’s Moi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has not only seen a robust bidirectional exchange of faculty, medical students, and residents between the United States and Kenya, it has also resulted in the creation of an important health care delivery organization, the Academic Partnership Providing Access to Healthcare (AMPATH). While this organization began as an AIDS treatment program, AMPATH now also provides primary health care and additional health services in collaboration with the Government of Kenya to a population of 3.5 million people in western Kenya.4

  • From 2010 to 2015, the Medical Education Partnership Initiative helped catalyze a network of African and U.S. medical school collaborations that was highly successful in strengthening medical education in Africa.5,6 Funded by the U.S. President’s Emergency Plan for AIDS Relief (PEPFAR) and the National Institutes of Health, this initiative invested directly in African medical schools to improve the quality and quantity of graduates, retain physicians in the workforce, and increase research capacity. Despite its well-documented successes and uniform praise, the initiative’s funding is uncertain moving forward.

  • The successes of Weill Cornell Medicine’s campus in Qatar7 and Duke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s in Singapore8 provide another model of how U.S. medical schools can partner with institutions abroad to create high-quality medical education programs that provide an essential source of physicians for their respective countries.


졸업후교육에서의 혁신모델

  • In postgraduate medical education, PEPFAR and the U.S. Agency for International Development (USAID) have supported the Rwanda Human Resources for Health Program, an innovative program that is a template for others currently proposed. This seven-year-long program, launched in 2012, focuses on the creation of new residency, nursing specialty, and health management programs in Rwanda. The program deploys approximately 100 U.S. medical faculty a year from a consortium of 23 U.S. academic medical centers and schools to Rwanda to serve as mentors to Rwandan faculty who are building new postgraduate residency programs.9 Over half the U.S. faculty spend more than six months a year in Rwanda, while the rest, often subspecialists, have shorter engagements. Faculty are given partial salary support and a stipend toward travel and living expenses through a grant from PEPFAR and USAID.

  • Other notable efforts in postgraduate medical education are the Partnership for Health Advancement in Vietnam (HAIVN)10 and the Hôpital Universitaire de Mirebalais (HUM)11 in Haiti

    • HAIVN is a collaboration between Harvard Medical School and two affiliated Harvard teaching hospitals, and the Vietnam Ministry of Health (MOH) and two prominent Vietnamese medical schools. This collaboration is supported by grants from the U.S.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HAIVN began as an effort to improve HIV care in Vietnam and has now made strengthening medical education through curriculum innovation and faculty development a priority focus. In addition to engagement with local medical schools, HAIVN works to support the Vietnam MOH to develop systems of accreditation and licensing in medical education. 

    • In Haiti, HUM was built by a nongovernmental organization, Partners In Health (which both authors are affiliated with) and the Haitian MOH in response to the destruction of the national teaching hospital in the 2010 earthquake. HUM has engaged faculty members from Harvard Medical School to create a number of residency programs including internal medicine, general surgery, pediatrics, obstetrics–gynecology, and the only emergency medicine residency program in the country. All these programs are led by Haitian physicians, some of whom have returned to work in Haiti after careers in the United States and Europe.



의대생 공급을 늘리고 지역 내 의사를 보존하기

Increasing Medical Student Supply and Retaining Physicians


저소득 및 중산층 국가의 중등교육 개선을 위해 해결되어야 할 문제는 다양하지만, 의학교육 시스템의 개선이 단순히 부유층을 위한 것이 되지 않기 위해서는, 이 병목 현상을 반드시 인식하고 해결해야합니다. 

The challenges of improving secondary school education in low- and middle-income countries are manifold, but this bottleneck must be acknowledged and addressed if efforts to improve medical education systems will benefit more than those affluent enough to obtain a decent high school education.


국가 내에 의사와 교수진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의사들에게 그들이 배운 진료행위를 할 수 있도록 시스템을 갖추어 그 안에서 진료해볼 수 있는 기회가 필요합니다. 의학 교육을 향상시키기위한 노력은 더 많은 자격을 갖춘 의사를 양성하고, 의사를 가르치는 기회를 제공함으로써 시너지 효과를 발휘합니다. 이렇게 교육에 참여하게 만듦으로써 의사 만족도를 높이고 최신의 practice를 disseminate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공합니다.

To retain physicians and faculty in these nations, these physicians need opportunities to practice within systems that allow them to provide the care they are taught to deliver. Efforts to improve medical education have the synergistic effect of both training more and better-qualified physicians and providing opportunities for practicing physicians to engage in teaching. This engagement has the potential to increase physician satisfaction and to disseminate the most up-to-date practices.


또 다른 중요한 단계는, 우리가 다른 나라에서 수입하는 의사의 수를 줄일 수 있도록, 미국 내에서 충분한 의사를 우리 자신의 필요에 맞게 훈련시키는 것입니다. 미국으로 의사를 수출하는 많은 나라가 의사의 심각한 부족을 가지고 있습니다. 많은 국제 의료 졸업생 (IMG)의 의학 교육은 본국에서 많은 보조를 받고 있습니다.

Another important step is to ensure that we in the United States train enough doctors for our own needs to reduce the number of physicians we import from other countries, many of which have critical physician shortages. Many international medical graduates’ (IMGs’) medical educations are heavily subsidized by their home countries.


미국의 의대생 숫자와 1년차 전공의 숫자 사이의 큰 gap으로 인해서, 외국에서 미국으로의 의사 유입이 발생하는데, 이는 IMG들의 고국에서 투자된 경재적 투자와 인적 투자를 빨아들이는 것이다.  지난 10 년 동안 AAMC와 다른 사람들의 지도력 덕분에 새로운 학교가 개교하면서 다른 학교의 학급 규모가 확대되면서 미국 의대 졸업생이 늘어났습니다. 이로써 미국 의료 시스템의 1년차 레지던트 필요성과 미국 의과 대학 졸업생 공급의 격차가 줄긴 하겠지만, 이러한 격차는 여전히 존재하며 전문가의 예측에 기반을두고있을 것입니다.

Physician immigration to the United States, made possible by the large gap between the number of U.S. medical graduates and the number of first-year residency positions, drains both financial investments and human resources from IMGs’ home countries. Thanks to leadership by the AAMC and others over the past 10 years, there has been an expansion in graduates of U.S. medical schools as new schools have opened while others have increased their class sizes. Although this has closed the gap between the U.S. health system’s need for first-year residents and the supply of U.S. medical school graduates, this gap still exists and will likely remain based on expert projections.15


의학교육에 대한 접근성

Universal Access to Medical Education


미국 의과 대학은 이 글로벌 교육 임무를 포용함으로써 얻을 이익이 많다.

U.S. medical schools have a great deal to gain in embracing this global educational mission.



미국 의과 대학에서의 교육 혁신은 느리며 커리큘럼 개혁의 긴 사이클을 통해 이루어 지므로 이러한 작업에서 얻을 수있는 교훈은 제한적입니다. 해외의 새로운 의과 대학의 창설과 기존의 학교의 강화는 학습에 관한 가장 최근의 증거를 실천하고 이러한 방법을 반복적으로 완벽하게 완성 할 수있는 기회를 제공합니다. 우리가 글로벌 교육 커뮤니티로서 가장 효과적인 커리큘럼 도구를 가르치고 개발할 수있는 최상의 방법을 배우게되면,이를 글로벌 공공재로 광범위하게 공유 할 수 있습니다.

Educational innovation in U.S. medical schools is slow and takes place over long cycles of curriculum reform, limiting the lessons that can be drawn from such work. The creation of new medical schools abroad and strengthening of existing ones provide opportunities to put the most up-to-date evidence about learning into practice and to iteratively perfect these methods rapidly. Once we as a global educational community learn the best ways to teach and develop the most effective curriculum tools, these can be shared broadly as global public goods.




 2016 Dec;91(12):1592-1594. doi: 10.1097/ACM.0000000000001433.

Embracing Medical Education's Global Mission.

Author information

1
P.E. Farmer is Kolokotrones University Professor of Global Health and Social Medicine, Harvard University, chair, Department of GlobalHealth and Social Medicine, Harvard Medical School, and chief, Division of Global Health Equity, Brigham and Women's Hospital, Boston, Massachusetts. J.J. Rhatigan is associate professor, Harvard Medical School, and associate chief, Division of Global Health Equity, Brigham and Women's Hospital, Boston, Massachusetts.

Abstract

Shortages of trained health care workers plague low- and middle-income countries around the world. When resources are scarce, the ability to support medical education is severely constrained. While there are many important "building blocks" of health systems that need to be bolstered in low- and middle-income countries, the authors propose that U.S. academic medicine can make unique contributions in the realm of human resource development-specifically, increasing the supply of physicians who directly provide health care to the populations they serve and who often manage and lead these health systems. Strengthening medical education in low- and middle-income countries is critical to improving the quantity and quality of physicians to staff and lead these health systems. The authors provide specific examples of how U.S. institutions are pursuing this global endeavor, including the Academic Partnership Providing Access to Healthcare in Kenya, the MedicalEducation Partnership Initiative throughout Africa, partnerships between U.S. medical schools and with institutions in Qatar and Singapore, and postgraduate medical education efforts in Vietnam and Haiti. They urge that the U.S. academic medicine community embrace this challenge as part of its mission to ensure that all those who, wherever they may live, have the ability, the dedication, and the compassion to pursue a career in medicine be given the opportunity to do so.

PMID:
 
27749305
 
DOI:
 
10.1097/ACM.0000000000001433


의학교육에서 의료인문학 개발을 가로막는 여섯 개의 착각(Med Educ, 2017)

Six fallacies that hinder development of the medical humanities in medical education

Alan Bleakley




실용주의자 오류 

The utilitarian fallacy.


예술이 '건강'을 생산한다는 오류입니다. '건강'과 '행복'을 연결시키는 오류이다. 공리주의는 많은 사람들에게 가장 큰 행복을 조장 할 때 행동이 도덕적으로 옳다고 말합니다. 그러나 예술은 행복 (그리고 건강)을 증진시키기 위한 것으로만 보아서는 안되며, 오히려 당황과 불편함을 만들어 냄으로써 습관에 의문을 제기하고 '다르게 생각하는'법을 배우는 것이 목적이다. 예술에 대해 문명화civilize를 시도하고서, 비슷하게 의학 인문학을 문명화하는 것은 실수입니다. 의학 교육의 예술은 깃털을 흐트러놓고 선입견을 뒤집어 놓아야합니다 .2

That the arts produce ‘health’ is a fallacy. To link ‘health’ and ‘happiness’ compounds the fallacy. Utilitarianism says that an action is morally right when it promotes the greatest happiness for the greatest number of people. But art does not necessarily set out to promote happiness (and then health), but rather to create puzzlement and discomfort, so that we question habit and learn to ‘think otherwise’. It is a mistake to attempt to civilize art, and then to civilize the medical humanities by proxy. Art in medical education should ruffle feathers and upset preconceptions.2



'재미'와 '독창성'오류.

The ‘fun’ and ‘creativity’ fallacies.


의학 인문학의 지지자들은 '예술'을 '재미' 또는 '창의성'과 동일시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심장 마비, 폐렴, 편집증 망상 또는 장기 부전에 대해 과연 무엇이 재미있고 독창적입니까? 더구나, 그러한 얕은 낙관주의는 예술과 예술가의 소명을 사소한 것으로 만든다. 예술은 종종 보상없는 고통이다. 실패한 실험, 잘못된 생각, 막다른 노동과 땀이지만, 단지 가끔씩 영감을 불어넣어준다. 또한, '창의력'은 그것이 드러내는 것 이상을 숨기는 족제비 단어 또는 '신god'용어입니다. '창의적'의 형태는 무척 다양해서, 기만과 속임수, 그리고 광기의 일부 형태까지도 여기에 들어간다3

Proponents of the medical humanities can often be found to equate ‘art’ with ‘fun’ and ‘creativity’. This trivialises medicine: what is fun and creative about a heart attack, pneumonia, paranoid delusions or organ failure? Further, such shallow optimism trivialises art and the vocation of the artist. Art is often unrewarding toil: failed experiments, misguided thinking, dead-end labour or perspiration with occasional inspiration. In turn, ‘creativity’ is a weasel word, or a ‘god-term’, concealing more than it reveals. There are many forms of the ‘creative’, including deceitfulness and guile, and some forms of madness.3



'개인적인 표현'의 오류.

The fallacy of ‘personal expression’.


많은 예술가들은 자서전과 자백으로부터 벗어나는 것에 자부심을 느낍니다. 아티스트는 개인적-고백 모드에 명시적으로 저항하면서, 그 자체로 무언가를 말하거나, 공유 된 문화적 관심사를 표현하는 인공물을 제작합니다.

Many artists pride themselves on unhooking from autobiography and confession. Artists produce artefacts that speak for themselves or express shared cultural concerns, explicitly challenging personal-confessional modes.


예술적 생산은 '서술 적 (narrative)'이라고하는 잘못된 가정.

The fallacious assumption that artistic production is ‘narrative’ based.


모든 사람들이 이야기의 관점에서, 그리고 보다 일반적으로 '시간의 삶'에 대해 생각하고 추론한다는 생각은 틀렸다.5 포스트 모던 문학의 특징 중 하나는 주제와 플롯의 개념을 모두 일시 중지 (심지어 삭제)하는 것이다. 더 나아가 Gilligan과 동료들의 Listening Guide (LG) 4)는 작가의 의도보다는 독자가 어떻게 수용하는가에 중점을 두고, mediated interpretation을 통해서 환자로서 저자의 목소리를 deflect한다. 또한 시각적 수사학의 기법도 원래의 음성보다는 mediated interpretation으로 편향되어 있습니다. 나아가 그러한 중재 및 분석 틀은 많은 예술가들이 침범하고자 하는 바로 그 개념 인 '협약convention'을 제공한다.

The assumption that everyone thinks and reasons in terms of story, or more generally ‘life in time’, is false.5 One of the defining features of postmodern literature is to suspend (or put under erasure) both the subject and notions of plot. Further, Gilligan and colleagues’ Listening Guide (LG),4 is oriented to reader reception rather than autho-rial intention, deflecting fromthe voice of the patient as author through mediated interpretation. The technique of visual rhetoric  is also biased towards mediated interpretation rather than original voice. Further, such mediating and analytical frameworks offer ‘conventions’, the very notion that many artists seek to breach.



예술가 및 작가를 예술품 및 저작의 '품질'과 분리시키지 못하는 오류

The error of excluding artists and writers from judging the ‘quality’ of art and writing.


의료 및 건강 관리 학생들이 시각 예술이나 창의적 작문을 하도록 요구되는 경우 현장의 전문가로서 경험이 풍부한 전문 예술가 및 작가와 협력하여 수행해야합니다. 예술 작품이 치료적 목적만 갖는다면, 인공물을 판단 할 필요가 없습니다. 그러나 인공물은 그 자체로 가치있는 것으로 간주되어야합니다. 따라서, 건강 관리 전문가가 만들어낸 기준이 아니라 숙련된 전문가 (다시 말하면 작업 예술가 및 작가)와 품질 기준을 합의해야합니다. 후자는 (시 또는 그림을 그 자체로 engage하기보다는) '해석'에 중점을 갖게끔 유도하는데, 이로서 artefact의 '의미'를 찾게 한다. 또한 학생들이 (좋은 의료의 핵심인) 모호함이나 불확실성에 대한 내성을 갖게끔 한다. 


Where medical and health care students are asked to produce visual art or creative writing, they should do this in collaboration with experienced, professional artists and writers as experts in the field. If the art-making is framed as purely therapeutic, then the artefact need not be judged. But the artefact should surely be considered as worth examining in its own right. Then, criteria for quality should be agreed with experienced professionals (again, working artists and writers) rather than using surrogate or mediating techniques drawn on by health care educators. The latter encourage a focus on interpretation, to get at the ‘meaning’ of an artefact (see the paragraph below), rather than engaging with the poem or painting in its own right, and teaching students to have tolerance of ambiguity or uncertainty, which is key to good medical practice.


해석이 필요하다는 오류

The fallacy that interpretation is necessary.


해석보다 평론(appreciation)이 우선합니다. 학생들이 바로크적 묘사를 가까이에서 인식할 수 있도록 가르치는 것은 해석의 필요성을 없애줍니다. 역설적으로, 의대생이 초보자에서 초급 전문가로 옮겨 감에 따라 역설적이게도 임상 적 통찰력은, 시각적 증상이나 구두 신호와 단서인지 여부에 상관없이, 인지 적 추론에서 패턴 인식으로 전환합니다. 환자를 만날 때 appreciation는 항상 해석에 앞서야하며, 그렇지 않으면 환자는 단지 해결해야 할 문제로 축소치환 될 수 있습니다.


Appreciation precedes interpretation. Teaching students ‘close noticing’ and baroque description, as methods of appreciation, obviates the need for interpretation.7 Paradoxically, as medical students gain experience, moving from novice to ‘beginner expert’ status, so clinical acumen shifts its base from cognitive reasoning to pattern recognition, whether the stimuli are visual symptoms or verbal cues and clues. In meeting patients, appreciation should always precede interpretation, otherwise the patient may be reduced to a problem to be solved.





 2017 Feb;51(2):126-127. doi: 10.1111/medu.13236.

Six fallacies that hinder development of the medical humanities in medical education.

Author information

1
Plymouth, UK.
PMID:
 
28084053
 
DOI:
 
10.1111/medu.13236


변화하는 세계속의 국제보건 교육: The Next New Conversations Topic (Acad Med, 2016)

Global Health Education in a Changing World: The Next New Conversations Topic



Frenk 등은 보건 전문가를위한 현재의 교육 시스템에서 지구 문제의 많은 부분을 설명했다.

Frenk et al2 outlined many of the global problems in our current education system for health professionals, including


파편화된, 구식의, 정적 커리큘럼 ... 환자 및 인구 요구에 대한 역량의 불일치, 팀워크 부족, 전문직 지위의 지속적인 성 계층화, 폭 넓은 맥락적 이해가 없는 좁은 기술적 초점, 지속적인 치료보다는 간헐적 접촉, 일차 진료를 희생한 댓가로 생긴 병원 지향성...

fragmented, outdated, static curricula … mismatch of competencies to patient and population needs, poor teamwork, persistent gender stratification of professional status, narrow technical focus without broader contextual understanding, episodic encounters rather than continuous care, predominant hospital orientation at the expense of primary care.…


그들은 이 문제들과 다른 문제들을 고려하면서 보건 전문가 교육의 국제화에서 5 가지 특징을 지적했다 :

As they considered these and other problems, they noted five features in the globalization of health professions education:


• 자격을 갖춘 보건 전문가의 글로벌 풀 하나와 보건 전문가가되는 훈련 인정

• 다양한 맥락에서 일차 의료의 글로벌 도전과 열망

• 모든 건강 문제의 상호 의존성

• 선진국의 의과 대학 이동으로 외국 계열 캠퍼스 설립

• 의과 대학의 독특한 조직 단위와 연구 분야로서의 국제보건의 발전

• The recognition of one global pool of qualified health professionals and those training to become health professionals

• The global challenges and aspirations of primary health care in different contexts

• The interdependence of all health issues

• The movement of medical schools in developed countries to establish foreign affiliated campuses

• The development of global health as a distinct organizational unit and field of study at medical schools



Frenk 등은 보건 전문가를 교육하는 것과 관련하여 부유한 국가는 전문 자격증 문제를 겪게 되는 반면, 빈곤 국가는 (부유한 국가라면 겪지 않을) 재정상의 한계로 인한 제약을 받게 될 것이라고 언급했다. 이러한 차이는 공유될 필요가 있는 다양한 로컬 솔루션으로 이어질 것입니다. 그들은 "전문 교육자professional educator가 핵심 인물이다. 그들의 지도력 없이는 변화가 가능하지 않기 때문이다"이라고 결론 지었다. 한 권고안은 "인구의 건강 요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보건 전문가의 수요와 공급을 조화시키는 인력 계획"을 포함했다.

Frenk et al noted that in regard to educating health professionals, poor countries will be constrained by financial limitations that may not affect the wealthier countries, while the wealthier countries may be more constrained by issues of professional credentialing, and these differences will lead to a variety of local solutions that should be shared. They concluded that “professional educators are key players, since change will not be possible without their leadership.” One recommendation involved workforce planning, “harmonizing the supply and demand of health professionals to meet the health needs of the population.”


세계 은행의 김 (Kim)과 에반스 (Evans)는 국제보건 교육과 건강 관리 서비스에 대한 접근 및 비용 간의 연계성을 제시했다. 그들은 개발 도상국에서 보건 의료와 관련된 두 가지 우선 순위를 확인했다 : 

  • 의료 비용으로 인한 빈곤을 줄이고 궁극적으로는 이를 제거하는 것 

  • 기본적인 건강 관리에 대한 접근성을 향상시키는 것

Kim and Evans4 from the World Bank made the connection between global health education and access to and costs of health care services. They identified two priorities related to health care in developing countries: 

  • reducing and eventually eliminating impoverishment caused by health care expenses; and 

  • improving access to basic health care.


국제보건 전문가 교육이 의료 품질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가능성에 대한 논의를 혼란스럽게 만드는 것은, 종종 그것이 지리적으로 집중되기 때문이다. Kasper 등은 국제보건은 지리적 경계가 아니라 사회적 관계와 상호 연관성에 관한 것이라고 제안했다. 그들은 문제 해결에 필요한 자원이 다를 수 있지만, 지리적 위치가 아프리카든 아이티든 보스턴이든 비슷한 틀을 사용하여 분석 할 수 있다고 지적합니다.

Discussions about the potential for global health professions education to affect health care quality can be confusing because they are often geographically focused. Kasper et al5 suggest that global health is not geography bound but, rather, is about social relationships and interconnectedness. They note that while the resources to address the problems may differ, the problems can be analyzed using a similar framework regardless of whether the patient is in Africa, Haiti, or Boston.


Melby 등은 학생들이 글로벌 건강 경험을 제공하는 데 종종 매력적인 단기적 해외 프로젝트를 다루고있다. 그들은 프로젝트가 지역 사회의 이익뿐만 아니라 훌륭한 학생 교육 경험을 제공해야 하며, 단기 프로젝트가 수행해야하는 네 가지 원칙을 강조했다.

  • 문화 간 효율성 기술과 문화적 겸손 강조

  • 양방향 참여 관계;

  • 지역의 역량개발

  • 장기적인 지속 가능성

Crump와 Sugarman (7)은 같은 주제를 다루면서 학생의 건강을 보호하고 학생이 감당할 수 있는 능력을 벗어난 임상 상황에 처하게되는 것을 방지해야한다고 권고했다.

Melby et al6 address short-term overseas projects that students often find attractive for providing a global health experience. They maintain that projects must have community benefits as well as good student educational experiences and identify four principles that short-term projects should fulfill: emphasis on cross-cultural effectiveness skills and cultural humility; bidirectional participatory relationships; local capacity building; and long-term sustainability. Crump and Sugarman,7 in addressing the same topic, cautioned about the need to protect the student’s health and prevent the student from being placed into a clinical situation that exceeds his or her capabilities.


버딕 (Burdick) 등 9 명은 미국의 활동중인 의사 중 5.3 %가 미국의 국제 의료 졸업생이며이 의사들이 우리 나라의 1 차 진료에 중요한 공헌을하고 있음을 언급합니다.

Burdick et al9 state that 5.3% of active physicians in the United States are U.S. international medical graduates and note the important contributions these physicians make to our country’s primary care.


전세계의 많은 건강 수요를 해결하기 위해 글로벌 인력을 준비하는 방법을 고려할 때, 나는 지역 사회의 고려 사항에 대해 다음과 같은 질문을 던집니다.

As we consider how to prepare a global workforce to address the many health needs around the globe, I pose the following questions for our community’s consideration.


국제보건 교육의 목적은 무엇입니까? 글로벌 건강의 목표가 세계 인구의 건강 및 건강 관리를 최적화하고 의료 비용으로 인한 빈곤 퇴치의 기회를 줄이는 것이라는 점에 동의 할 수 있다면 어떻게 글로벌 보건 교육이 그 목표에 기여할 수 있을까요? 인구간에 더 잘 도달하기 위해 국가간에 지식, 경험 및 자원을 공유 할 수 있습니까? 단기적인 글로벌 프로젝트가 그와 같은 중요한 목표에 부합되는 곳은 어디입니까? 우리는 부유 한 국가에서의 훈련과는 달리 가난한 나라의 비 이상한 의료 서비스 제공자의 훈련을 소중하게 생각합니까?

What is the purpose of global health education? If we can agree that the goal of global health is to optimize the health and health care of the world’s populations and reduce the chances of impoverishment from health care costs, how can global health education contribute to that goal? Can we share knowledge, experience, and resources between countries to better reach their populations? Where would short-term global projects fit within such an overarching goal? Would we value the training of nonphysician health care providers in poor countries differently from such training in wealthy countries?



부유한 나라의 보건 교육 공동체가 상대적으로 빈곤한 국가의 옹호자가 되고, 이 나라의 보건 교육자와 제공자에게 도움을 어떻게 줄 것인가? 빈곤, 교육 및 건강이 전세계에 균등하게 배분되지 않기 때문에 보건 교육 인력을 생산하고 활용하는 글로벌 보건 교육에 대한 이러한 불균형의 함의는 무엇입니까? 국경을 넘는 대기 오염, 국가 간 전염병의 확산, 전 지구 적 기후 변화와 같이 국가 간 명확한 글로벌 상호 연결을 통해 건강에 위협이되는 경우 어떻게하면 국제보건 교육이 이러한 위협에 대응할 수 있습니까?

What are the responsibilities of the health education communities of wealthier countries to be advocates for and give assistance to health educators and providers from countries less well off? Since poverty, education, and health are not distributed evenly around the world, what are the implications of such disparities for global health education to produce and utilize a health care workforce? For threats to health with clear global interconnections between nations, such as air pollution that crosses borders, spread of infectious disease between countries, or global climate change, how can global health education help address these threats?


마지막으로 글로벌 의료 교육 공동체에서 우리는 어떻게 국제보건의 정체성을 개발할 수 있습니까? 지난 100 년 동안 인간 수명의 급격한 증가와 많은 질병의 감소 또는 사라짐을 목격했지만, 인종, 성별, 문화 및 종교에 근거한 세계 사람들 간의 불신과 공포는 계속해서 (의학교육에서 협력과 공유를 촉진 할 수 있는) 국제적 정체성의 발전을 저해하고 있습니다. 글로벌 의료 교육 공동체에서 우리는 어떻게이 문제를 극복하여보다 세계적 건강 정체성을 창출 할 수 있습니까?

Finally, how can we in the global medical education community develop a global health identity? While the past hundred years have witnessed a rapid rise in human longevity and the diminishment or disappearance of many diseases, mistrust and fear between peoples of the world based on race, gender, culture, and religion continue to impede the development of a global identity that would facilitate collaboration and sharing in medical education. How can we in the global medical education community overcome these problems to create a more global health identity?





 2016 May;91(5):603-6. doi: 10.1097/ACM.0000000000001157.

Global Health Education in a Changing World: The Next New Conversations Topic.

PMID:
 
27115652
 
DOI:
 
10.1097/ACM.0000000000001157


의학교육과 헬스케어 시스템: 왜 교육과정 개혁이 필요한가? (BMC Med Educ, 2014)

Medical education and the healthcare system – why does the curriculum need to be reformed?

Gustavo A Quintero




Background


Flexner 보고서에서 오늘까지

From the Flexner report to today



Abraham Flexner는 유명한 1910 년 보고서 [1]에서 20 세기 상반기에 보편적 인 의학 교육 모델을 제안했습니다. 그러나 보고서 15 년 후, 플렉스 너 자신은이 새로운 의학 커리큘럼이 사회적이고 인본주의적인 측면보다, 의학의 과학적 측면에 우선권을 부여했다는 사실을 인정했다. 그 이후로, 의학 교육은 진행중인 논쟁의 주제였습니다. 토론의 핵심은 의료의 사회적, 인본주의적 특성을 희생시키는 댓가로 생물학적 이해에 대한 과학적 지식을 강조하고 있다는 것입니다. 의학 교육 모델의 연대순 진화는 표 1에 요약되어있다.

Abraham Flexner, in his famous 1910 report [1], proposed the model of medical education that prevailed during the first half of the 20th century. However, 15 years after his report, Flexner himself recognized that this new medical curriculum gave precedence to the scientific aspects of medicine over its social and humanistic aspects [2]. Since then, medical education has been the subject of on-going debate. The core of the discussion revolves around the importance of scientific knowledge on biological understanding at the expense of its social and humanistic characteristics. The chronological evolution of medical education models is summarized in Table 1 [3-8].


과학적 지식과 기술 능력은 여전히 ​​사회 - 인본주의 적 역량 개발에 필요한 인간 차원에 대한 탐구보다 우위를 점하고있다.

Scientific knowledge and skills competences still hold their supremacy over delving into the dimensions of the human being, necessary for the development of socio-humanistic competences.



건강 - 질병 과정

Health-illness process


건강 - 질병 과정의 특징을 밝히는 것는 의학 커리큘럼 디자인 이전에 중요한 단계입니다. 이것은 지역 사회와 개인의 건강과 질병의 현실을 이해하고, 질병을 예방하고 건강을 회복시키고 유지하기 위해 취해야 할 행동을 결정할 것입니다.

Characterization of the health-illness process is a crucial step prior to medical curriculum design. This will determine the understanding of the reality of health and illness of communities and individuals, and the action that should be taken to prevent disease and restore and maintain health.


커리큘럼 디자인은 건강과 질병을 '상태'로서가 아니라, 오히려 개인, 집단, 사회 및 문화의 뭉치에서 동시에 작동하는 여러 형태의 결정의 상호 작용에서 기인하는 '프로세스'로 바라보아야 하며, 이 모든 것은 역사적 특징이 있습니다. 사실, 사회와 문화는 실증주의적 인식론에서 상상하는 것처럼 질병의 인과적 요인이 아니라, 그보다 건강과 질병이 발생하는 광범위하고 일반적인 대륙continent에 가깝다.

Curriculum design should then consider health and illness not as states but rather as processes resulting from the interaction of multiple forms of determination that operate simultaneously in the ambit of individuals, collectives, and in society and culture, all of which have a historical character. In fact, society and culture are not causal factors as imagined in positivist epidemiology, but are the broad and general continents where health and disease occur.


의료 시스템을 기반으로 한 의학 교육

Medical education based on the healthcare system


의사는 환자와 지역 사회의 이익을 최대한 보호하기 위해 복잡한 시스템을 다루고 그러한 시스템을 이끌 준비가되어 있어야합니다. 이 현실은 의학을 가르치고 배우는 방법을 수정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Physicians should be prepared to address complex systems and to lead such systems in an effort to protect the best interests of patients and communities. This reality makes it necessary to modify the way medicine is taught and learned;


불확실한 직업은 전문가가 자신의 업무 결과를 직접 통제 할 수없는 직업입니다 [9].

An uncertain profession is one where the professional cannot directly control the outcome of his work [9].


Flexner 보고서를 제출 한 지 100 년 후 현대 의학 교육의 네 가지 목표가 권장되었습니다 (표 2) [10]

One hundred years after the Flexner report, four goals for modern medical education were recommended (Table 2) [10]


시스템 기반 커리큘럼은 "글로벌 전문 지식을 바탕으로 핵심 전문 역량을 특정 상황에 적응시키는 데있어 의료 시스템의 성과를 향상시켜야" 한다. 개혁의 세 가지 세대에 대해서, 의학 교육은 

    • 전문성을 창출하는 informative 학습에서 

    • 전문가를 양성하는 formative 학습, 그리고 더 나아가서

    • "리더십 속성을 개발하고", "그것을 통해서 계몽된 change agent를 양성하는" transformative 학습이 되었다.

the System Based Curriculum, should “improve performance of the healthcare system in adapting core professional competencies into specific contexts, on the basis of global knowledge”. In those three generations of reforms, medical education has moved from informative learning that produced expertise, to formative learning that produced professionals, to transformative learning that is “about developing leadership attributes; its purpose is to produce an enlightened change agent” [10].



Rosario 경험 : 의료 시스템을 향상시키기위한 커리큘럼 변경

The Rosario experience: changing the curriculum to enhance the healthcare system


가르시아 (Garcia)에 따르면 "의학 교육은 의사 훈련을위한 과정이며, 사회에서 지배적 인 경제적 사회적 구조에 종속된다"고 지적했다. 따라서 의학 교육은 사회적 현실과 분리 될 수 없다. 의학 교육이 과정process이라면, 학부 교육으로 시작하지만 거기서 끝나지 않는 연속체로 이해해야합니다. 이것은 평생 학습입니다.

According to Garcia [13], “medical education is the process for training doctors, subordinate to the dominant economic and social structures in societies in which it takes place”. Therefore, medical education cannot be divorced from social reality. If medical education is a process, it must be understood as a continuum that begins with undergraduate training but does not end there; it is lifelong learning.


2013 년에 시작하여 콜롬비아 보고타의 로자리오 대학교 의과 대학 및 보건 과학 스태프 직원은 의료 수요에 기반한 암시 적 변이가있는 의학에서 학부 과정 커리큘럼 개혁을 실시했으며 (그림 1), 학력에 대한 커리큘럼 특성,

Commencing in 2013, staff at the Rosario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and Health Sciences, Bogotá, Colombia, implemented an undergraduate curriculum reform in medicine which has implicit variations based on the healthcare needs (Figure 1), with curriculum attributes for undergradu-


Conclusions








 2014 Nov 12;12:213. doi: 10.1186/s12916-014-0213-3.

Medical education and the healthcare system--why does the curriculum need to be reformed?

Author information

1
School of Medicine and Health Sciences, Universidad del Rosario, Carrera 24 # 63C-69, Bogota, Colombia. gustavo.quintero@urosario.edu.co.

Abstract

Medical education has been the subject of ongoing debate since the early 1900s. The core of the discussion is about the importance of scientific knowledge on biological understanding at the expense of its social and humanistic characteristics. Unfortunately, reforms to the medical curriculum are still based on a biological vision of the health-illness process. In order to respond to the current needs of society, which is education's main objective, the learning processes of physicians and their instruction must change once again. The priority is the concept of the health-illness process that is primarily social and cultural, into which the biological and psychological aspects are inserted. A new curriculum has been developed that addresses a comprehensive instruction of the biological, psychological, social, and cultural (historical) aspects of medicine, with opportunities for students to acquire leadership, teamwork, and communication skills in order to introduce improvements into the healthcare systems where they work.

PMID:
 
25387484
 
PMCID:
 
PMC4228189
 
DOI:
 
10.1186/s12916-014-0213-3


모든 건강은 글로벌하고, 모든 의료는 사회적이다: 사회과학을 전임상 교육과정에 통합하기(Acad Med, 2016)

All Health Is Global Health, All Medicine Is Social Medicine: Integrating the Social Sciences Into the Preclinical Curriculum

Jennifer Kasper, MD, MPH, Jeremy A. Greene, MD, PhD, Paul E. Farmer, MD, PhD, and David S. Jones, MD, Ph





50 년 전, 사회 과학의 기초를 넓히려는 의대생은 보건대학교에 입학하라고 권유받았을 것입니다 .1 보건대학은 전통적으로 개인에 대한 인구를 강조하고, 질병 예방에 대해 가르치고, 역학 및 생물 통계학에 중점을 둡니다. 반면에 의대는 개개인의 의사에 의한 개별 환자의 보살핌을 강조하고 생의학의 강력한 환원주의를 병상으로 옮기는 데 집중했다. 그러나 최근 수십 년 동안 공중 보건과 의학 사이의 경계가 희미 해졌습니다. 비 전염성 질병이 전 세계적으로 인구 건강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인식은 질병의 사회적 결정 요인에 대한 의학에서 주목을 끌었다.

Fifty years ago, medical students seeking a broader foundation in the social sciences would have been told to enroll in a public health school.1 Public health schools traditionally emphasized the population over the individual, taught disease prevention, and focused on epidemiology and biostatistics. Medical schools, on the other hand, emphasized the care of individual patients by individual physicians and focused on translating the powerful reductionism of biomedical science into bedside practice. In recent decades, however, the line between public health and medicine has blurred. Recognition of the impact of noncommunicable diseases on population health globally has refocused attention in medicine on the social determinants of disease.2


이러한 발전에 대한 인식이 높아지면서 미국 의과 대학 협회와 의학 교육위원회 (LCME)는 사회 과학이 의학 교육에서보다 큰 역할을 할 것을 권고했습니다 .4,5 

  • 2015 년에 의과 대학 입학 시험MCAT은 지원자의 사회 및 행동 과학에 대한 이해를 평가하기 시작했습니다. 

  • 또한 Patient Protection and Affordable Care Act의 조항은 의사가 전통적인 클리닉 환경 밖의 지역 사회 구성원 및 단체 (예 : 학교, 기업)와 협력하여 빈약 한 건강에 기여하는 복잡한 요인을 해결할 수 있도록 권장합니다. 

  • 마지막으로 옹호론자들은 의사들에게 성행위와 물질 사용에 관한 질문뿐만 아니라 건강과 건강 관리의 필수적인 측면으로의 창구로서 환자의 사회적 역사를 고려할 것을 촉구했다.

Increased awareness of these developments has led the Association of American Medical Colleges and the Liaison Committee on Medical Education (LCME) to recommend that the social sciences play a larger role in medical education.4,5 

  • In 2015, the Medical College Admission Test began to assess applicants’ understanding of the social and behavioral sciences.6 

  • In addition, provisions of the Patient Protection and Affordable Care Act encourage physicians to collaborate with community members and organizations (e.g., schools, businesses) outside the traditional clinic setting to address the complex factors that contribute to poor health.7 

  • Finally, advocates have called on physicians to consider patients’ social history not just as questions about sex and substance use but also as a window into essential aspects of their health and health care.8,9


미국이나 해외에서 환자가 최적의 건강을 유지하도록 돕기 위해 의사는 미시적 관점의 생물 의학 연구 요소를 거시적 관점의 공중 보건과 종합해야합니다. Westerhaus와 동료들은 이러한 외견 상 다른 세상 사이에 필요한 연결 고리를 만들기 위해 사회 의학의 관점을 진지하게 받아들이는 의학 교육의 "포괄적 변형"을 요구했습니다. 

To help patients achieve optimal health, whether in the United States or abroad, physicians must synthesize the micro- perspectives of biomedical research with the macro-perspectives of public health. To create the necessary link between these seemingly disparate worlds, Westerhaus and colleagues10 called for a “comprehensive transformation” of medical education that takes social medicine perspectives seriously. 


사회 의학은 사회, 질병 및 의학 간의 관계에 대한 체계적인 연구로서, 양적 (예 : 경제, 인구 통계, 역학)과 질적 사회 과학 (예 : 인류학, 역사, 정치 과학)을 통합하여 미시적이거나 거시적인 사회적 요인이 어떻게 인간의 질병과 그 분포에 영향을 미치는지 연구한다.12 사회 의학은 의사가 인간의 건강을 최적화하기 위해 의사 나 병원 외부의 사회적 현실에 개입해야한다는 것을 인식한다.

Social medicine is the systematic study of the relationships between society, disease, and medicine,11 incorporating the quantitative (e.g., economics, demography, epidemiology) and qualitative social sciences (e.g., anthropology, history, political science) to understand how micro- and macroscopic social factors influence human disease and its distribution worldwide.12 Social medicine recognizes that physicians must engage with social realities outside the clinic or hospital to optimize human health.


사회 의학은 새로운 분야가 아닙니다. 의사 Rudolf Virchow13은 1848 년에 "의학은 사회 과학이며, 정치는 더 큰 스케일의 의학과 다를 바 없다"라고 썼다. 20 세기에 사회 의학은 대륙 유럽, 남아프리카 공화국, 칠레, 영국에서 견인을 발견했다. (Thomas McKeown)는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를 개발했다.

Social medicine is not a new field. Physician Rudolf Virchow13 wrote in 1848 that “medicine is a social science, and politics is nothing else but medicine on a large scale.” In the 20th century, social medicine found traction in continental Europe, South Africa, Chile, and England, where physician–demographer Thomas McKeown developed the study of the “social determinants of health.”14


그러나 아직 미국 의과 대학 교과 과정에서 광범위한 발판을 찾지 못했습니다 .15-20 LCME가 승인 한 의과 대학의 10 % 미만이 사회 의학을 가르칩니다 .21,22

but it has yet to find a broad foothold in U.S. medical school curricula.15–20 Less than 10% of LCME-accredited medical schools teach social medicine.21,22


의대생의 세계 보건에 대한 관심 증가로 의과 대학의 사회 의학 커리큘럼에 대한 필요성이 커졌습니다. 의대에서 세계 보건 경험에 참여한 미국 의대생 졸업생의 수는 지난 30 년 동안 5 배로 증가했다. 23 ~ 26 그러나 이 학생들의 40 %는 세계 보건이 훈련 중에 적절하게 다루어지지 않았다고보고했다 .24) 마찬가지로, 전문 분야에서 45 %에서 71 %의 레지던시 프로그램이 글로벌 건강 선택 과목을 제공합니다 .27,28

The burgeoning interest in global health among medical students also has increased the need for social medicine curricula in medical schools. The number of graduating U.S. medical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a global health experience during medical school has increased fivefold in the last 30 years.23–26 Yet 40% of these students reported that global health was inadequately covered during their training.24 Similarly, depending on the specialty, 45% to 71% of residency programs offer global health electives.27,28


이 기사에서는 2007 년부터 하버드 의대 (Harvard Medical School, HMS)의 1 학년 학생들에게 필요한 사회 의학 및 세계 보건 (ISM) 과정 소개 강의에 대한 경험을 공유합니다.

In this article, we share our experience teaching the Introduction to Social Medicine and Global Health (ISM) course, which has been required for first-year students at Harvard Medical School (HMS) since 2007.



ISM과목에 대하여

About the ISM Course



HMS의 사회과학 관련 과목

Like other medical schools, HMS regularly updates its curriculum to incorporate the changing realities of inpatient and outpatient care.31 As part of such a reform in 2007, HMS substantially increased the amount of curriculum time devoted to the social sciences, requiring students to complete a four-course sequence: 

  • ISM; 

  • health policy; 

  • clinical epidemiology and population health; and 

  • medical ethics and professionalism.


ISM과목의 전제

Informed most directly by the disciplines of the history of medicine and medical anthropology, the ISM course begins with a basic premise

  • 의학은 사회적 맥락과 불가분의 관계에 있다.

  • 의사는 질병의 사회적 결정 요인, 질병의 사회적 의미 변화, 의료 행동 및 의료행위의 다양성, 치료 효과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적 요인을 이해해야합니다.

  • Medicine is inextricably embedded in social contexts. 

  • Physicians need to understand the social determinants of disease, the changing social meanings of disease, the diversity of health care behaviors and practices, and the social factors that influence treatment effectiveness. 


과목의 목표는 사회과학의 개념을 손에 잡히는 것, 실제 세계에 적용가능한 것으로 만드는 것

The goal of the course is to make social medicine concepts tangible and applicable to real-world clinical settings. 

To achieve this goal, the ISM course presents students with concrete questions: 

  • Who is most likely to get sick? Why? 

  • How can physicians intervene upstream to prevent disease? 

  • Once a person is sick and seeks health care, what can be done to harness our knowledge of biological and social forces to improve the delivery of that care and, ultimately, to optimize population health and well-being? 


의사는 돌봄을 제공할 의무 뿐만 아니라 바람직한 건강성과 달성을 위해 창의적일 필요가 있음을 가르친다.

The course teaches that physicians have a responsibility not just to provide care but also to work creatively to achieve desired health outcomes. This tenet is a fundamental reconceptualization of the task—and obligation—of physicians.



일관된 학습성과. 학생은 다음을 할 수 있어야 함.

(1) 역사, 인류학, 사회학, 역학, 인구 통계학, 경제학, 지리학 등 임상에 대한 사회 과학의 잠재적 기여를 인식한다.

(2) 환자에게 최적의 건강 결과를 얻는 데있어 주요 장애물을 인식한다.

(3) 질병의 원인과 분포에 대해 생각하거나, 건강 문제에 대한 해결책을 고안 할 때, 환자의 사회적 세계를 고려하는 것이 중요함을 이해한다.

(4) 임상 실습에서 의대생이 직면하는 어려움을 모델로 삼을 수 있도록, 장점과 한계점을 지닌 가능한 솔루션의 툴킷을 개발한다.

The ISM course maintains consistent learning objectives: Students should be able to 

(1) recognize the potential contributions of the social sciences, including history, anthropology, sociology, epidemiology, demography, economics, and geography, to clinical care; 

(2) appreciate the major obstacles to achieving optimal health outcomes for patients; 

(3) understand the importance of considering patients’ social worlds, both when thinking about the causes and distribution of disease and when designing solutions to health care problems; and 

(4) develop a toolkit of possible solutions, with their strengths and limitations, to serve as models for the challenges medical students encounter in clinical practice.



기본 템플릿은 이렇다. 사회적, 경제적, 구조적 요인이 어떻게 최적의 의료 제공을 방해 하는지를 보여주는 임상 사례로 시작됩니다. 이 증례는 천식 발병과 함께 응급실에 반복해서 발표 한 어린이를 묘사합니다. 학생들이 쉽게 생각해 볼 수 있는 것을 넘어서 생각하도록 격려합니다 (예 : 가족이 일차 진료에 대한 접근성이 부족하거나 부모가 치료 계획을 준수하는 중요성을 이해하지 못함). 학생들은 다음을 탐구한다.

The course follows a basic template. It begins with a clinical case that illustrates how social, economic, and structural factors impede the provision of optimal medical care. The case describes a child who presented repeatedly to an emergency room with asthma flares. We challenge students to think beyond the explanations that readily come to mind (e.g., the family lacked access to primary care or the parents did not understand the importance of adhering to the treatment plan). Students explore 


  • 주거 환경이 천식의 병인에 어떻게 기여하는지,

  • 이민 신분이 보험 및 보건 진료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

  • 언어와 독해력 장벽이 어떻게 오해를 불러 일으키는 지,

  • 환자와 의사 사이의 불신이 의료를 혼란시키는 지,

  • 빈곤이 병적 상태와 사망률을 악화시키는 방법, 

  • 오존 붕괴를 줄이기 위해 시행 된 새로운 환경 규제가 천식 치료 비용을 어떻게 증가 시켰는가?

  • 자원이 부족한 환경에서 천식 유병률, 진단 및 관리가 어떻게 다른지 조사함으로써 국내 및 전세계 건강 간의 관계를 조사하도록 함

  • 의료 - 법률 파트너십과 같은 프로그램을 도입함으로써 의사들은 주거 환경과 건강 결과를 개선하기 위해 의사들이 다른 전문가들과 어떻게 팀을 이룰 수 있는지 보여줍니다 .34,35

  • how housing conditions contribute to the pathogenesis of asthma, 

  • how immigration status affects access to insurance and health care, 

  • how language and literacy barriers create misunderstandings, 

  • how mistrust between patients and physicians disrupts medical care, 

  • how poverty exacerbates morbidity and mortality, and even 

  • how new environmental regulations, implemented to decrease ozone depletion, increased the cost of asthma medications.32,33 

  • We also ask students to examine the relationships between domestic and global health by exploring how asthma prevalence, diagnosis, and management might differ in a resource- poor setting abroad. 

  • By introducing programs such as the medical–legal partnership, we demonstrate how physicians can team up with other professionals to improve housing conditions and health outcomes.34,35 

환자가 기존의 1 차 진료를 이용할 수 있는 경우에도 치료가 실패하는 경우가 너무 많기 때문에, 최적의 건강 결과를 얻기 위해서는 의사는 필요한 혁신적인 솔루션을 개발하기 위해 종종 "상자 밖"에서 생각해야합니다.

All too often, treatment fails even when patients have access to conventional primary care, so physicians must think outside the box to develop the innovative solutions that often are required to achieve optimal health outcomes.36


강의, 리딩, 사례기반 튜토리얼

After presenting students with a broad vision of the necessary scope of medical knowledge and practice and with the challenge of taking responsibility for treatment outcomes, the ISM course proceeds through weekly lectures, readings, and case-based tutorials to introduce the concrete methods and analytic tools of social medicine. The course is divided into three major sections. 

  • 첫 번째는 질병 부담, 건강의 사회적 결정 요인, 건강 불평등, 인종 및 빈곤의 복잡성을 포함하여 사회 의학의 기본 개념을 소개합니다. 학생들은 보스턴의 건강 불평등에 대한 데이터를 검토하고 가능한 설명을 찾아 도시의 이웃을 도보로 탐험합니다 .37

  • The first introduces foundational concepts in social medicine, including burden of disease, social determinants of health, health inequalities, and the intricacies of race and poverty. Students examine data on health inequalities in Boston and explore the city’s neighborhoods on foot in search of possible explanations.37 

  • 두 번째 절에서는 질병에 대한 책임, noncompliance의 원인, 지식 생산의 역동성, 치료 접근 및 건강 결과의 불균형에 대한 설명 등과 같은 질병의 사회적 의미를 탐구합니다. 이 섹션의 특정 주제에는 의료의 가치를 높이기위한 전략이 포함됩니다: 이해 상충이 임상 시험의 설계, 실시 및 해석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 세계 보건 정책을 지시하는 데 필요한 데이터를 생성하기위한 의학 연구의 사용 .38

  • The second section explores the social meanings of disease, including responsibility for disease, causes of noncompliance, dynamics of knowledge production, and explanations for the disparities in treatment access and health outcomes. Specific topics in this section include strategies for increasing value in health care; how conflicts of interest impact the design, conduct, and interpretation of clinical trials; and the use of medical research to generate the data needed to direct global health policy.38 

  • 마지막 절에서는 

    • 질병에 대한 사회적 및 의학적 반응을 형성하는 제도적, 경제적, 문화적 역동성 분석

    • 의사가 이 지식을 사용하여 환자를 advocate 할 수있는 방법에 대한 탐구하고, 보건 의료 전달을 개선하고 지역, 국가 및 세계 보건 정책을 구체화하는 것 

  • ...등을 포함하는 "중개적 사회 의학 (translational social medicine)"을 조사합니다 

  • The final section investigates what we call “translational social medicine,” which includes both an analysis of the institutional, economic, and cultural dynamics that shape social and medical responses to disease and an exploration of how physicians can use this knowledge to advocate for their patients, improve health care delivery, and shape local, national, and global health policy. 


사례연구

Case studies, chosen to reflect current events and to serve as models for the challenges that students will inevitably encounter in their own clinical work in the United States and abroad, have explored Hurricane Katrina, gun violence, emerging global campaigns for cancer treatment, and the Ebola epidemic. 

  • Students hear firsthand from physicians, community health workers, and patients who have used social medicine to improve health outcomes. 

  • They acquire a toolkit of possible solutions to such problems. 

  • In their writing assignments, students reflect on the patients they have met and the home visits they have made during their doctor–patient course (which runs concurrently with the ISM course), further strengthening the links between social medicine and clinical care. 

  • Our multidisciplinary faculty of clinicians, researchers, and epidemiologists, many with joint expertise in history, anthropology, and global health, serve as lecturers and tutors.


전임상 교육과정에 사회과학을 포함시키는 것의 어려움

Challenges to Introducing the Social Sciences Into the Preclinical Curriculum


HMS 커리큘럼을 확대하여 사회 의학 및 글로벌 건강에 필수 과목을 포함시킨 것은 학생의 저항을 유발했습니다. 1 학년 의대생이 세계 보건 및 사회 의학에 관심을 갖고 있지만, 많은 사람들이 미국의 유능한 의사가되기 위해 필요한 기본적인 지식과 기술을 습득하는 데 주력하고 있습니다. 다른 이들은 실험실 과학자로서 경력을 쌓기를 원합니다. 어느 그룹도 처음에는 사회 의학이나 글로벌 건강과 미래의 직업과의 관련성을 알지 못합니다. 연례 코스 평가, 포커스 그룹 및 비공식적 인 대화에서 학생들은 ISM 과정을 비판했습니다. 비평은 실용적, 반사회적, 지역적의 세 가지 주제로 분류했습니다.

Expanding the HMS curriculum to include a required course on social medicine and global health provoked resistance from students. Although an increasing number of first-year medical students have an interest in global health and social medicine, many remain focused on acquiring the basic knowledge and skills needed to be a competent physician in the United States. Others want to develop careers as laboratory scientists. Neither group initially sees the relevance of either social medicine or global health to their future careers. In their annual course evaluations, in focus groups, and in informal conversations, students critiqued the ISM course. We have grouped their critiques into three themes—pragmatic, antisocial, and local.


교육 개혁자들이 지적한 바와 같이 학생들은 의학 교육에서 "숨겨진 커리큘럼"에 참여하는 법을 배웁니다 .39 완전하게 익혀야 하는 지식이 너무 많기 때문에 보드 시험, 선배 학생, 주치의 등을 찾아 어떤 유형의 지식 더 중요한지에 대한 힌트를 얻고, 그리고 나서 이로부터 학습의 우선 순위를 결정합니다. 이러한 학습방식이 학생들로 하여금 이 과목의 '실용성'에 대한 비판을 하게 만든다. 왜냐하면 기존에 학생들이 배우던 것은 환원주의적인 의학의 지식과 기술을 강조하며, 학생들은 질병의 사회적 결정 요인이나 patient advocacy보다 해부학, 생리학, 유전학이 더 중요하다고 결론을 내리기 때문이다. 다른 과목이나 임상실습에서는, 학생들은 반복적으로 질병을 진단하고 치료하는 의학과 테크놀로지의 힘에 노출된다.

As educational reformers have noted, students learn to attend to the “hidden curriculum” in medical education.39 Faced with too much knowledge to master completely, they look to board exams, senior students, and attending physicians for clues to decipher which types of knowledge are more important, then they triage their priorities accordingly. This practice fuels students’ pragmatic critique of the ISM course—because these sources emphasize the technical knowledge and skills of reductionist biomedicine, students conclude that anatomy, physiology, and genetics are what really matter rather than the social determinants of disease or patient advocacy. In other courses and clerkships, students are repeatedly exposed to the power of medical science and technology—medicine can diagnose and cure disease. 


일부 학생들은 진단 및 치료법을 통해 기술적 숙련도만 익힌다면, 환자의 사회적 경제적 조건에 관계없이 환자를 도울 수 있다고 결론을 내린다. 또는 어떤 학생들은 환자가 겪는 삶의 혼란은 사회 복지사, 경제학자, 정치인의 몫이라고 서둘러 결론을 내려버린다. 이것이 antisocial critique의 한 종류이다

Some students conclude that, as long as they gain technical proficiency with diagnosis and therapeutics, they will be able to help their patients, regardless of their patients’ social and economic conditions. Others rush to delegate the messiness of their patients’ lives to social workers, economists, and politicians. This is the antisocial critique. 


마지막으로, 세계 보건의 가치에 대한 회의론자들은 local critique를 한다. 미국에서만 일하기를 계획하는 일부 학생들이 가난한 빈곤국의 질병이나 분만 문제를 공부할 이유가 없다는 것이다. 보스턴에서 cardiology 진료를 하기만을 원한다면 왜 레소토의 에이즈와 결핵에 대해 배워야 하는가?

Finally, skeptics of the value of global health in medical education levy the local critique—some students who plan to work only in the United States see little reason to explore the diseases or delivery problems of remote, impoverished countries. If one hopes to practice cardiology in Boston, why learn about AIDS and tuberculosis in Lesotho?


'실용성 비판'에 대한 두 가지 대답이 있다.

We have two responses to the pragmatic critique. 


  • 첫째, LCME 기준의 최근 개정에서 알 수 있듯이 사회 의학 및 세계 보건은 점점 의학 교육 과정에서 학생들의 progress을 평가하는 시험에 포함됩니다.

  • 둘째, 더 중요한 것은, 기술 역량적 역량은 의사가 환자에게 제공해야하는 것의 최소한에 불과하기 때문이다. 의사가 치료 계획을 잘 따르지 못하게 방해하는 실제 현실(예 : 빈약 한 주택, 위험한 지역, 간헐적 인 일, 식량 불안정)을 알지 못하면, 아무리 약리학이나 병태 생리학에 대한 전문 지식이 많더라도 더 나은 임상결과를 얻지 못할 것이다.

  • First, as is evident from the most recent revision of the LCME standards, social medicine and global health increasingly are being included on exams used to evaluate students’ progress during medical education.4 

  • Second, and more important, technical competence is the minimum that physicians must offer their patients. If a physician remains oblivious to the lived realities that prevent a patient from following through with a treatment plan (e.g., poor housing, unsafe neighborhoods, intermittent work, food insecurity), then no amount of expertise in pharmacology or pathophysiology will result in better clinical outcomes. 

의사가 실제로 달성 한 결과에 책임을 지는 accountable care organizations가 등장하면서, stakes가 증가하게 되었다. 즉, 의사는 환자의 임상성과 향상을 위해서 가능한 모든 것을 해야하며, 이를 위해서는 환자의 사회적 세계에 관여해야 한다.

The advent of accountable care organizations, which hold physicians responsible for outcomes actually achieved, increases the stakes—physicians need to do everything possible to improve patient outcomes, which requires engaging in their patients’ social worlds.



Antisocial critique에 대해 답하자면, 의과학 및 기술은 실제로 그것으로부터 혜택을 받을 환자에게 도달하는 전달 시스템을 개발할 경우에만 그 잠재력을 발휘할 수 있습니다. 수많은 질병을 치료하기 위해 새로운 과학적 발견이 필요하지만, 어떤 수많은 사람들에게는 이미 효과적인 개입이 존재함에도 불구하고 전달되지 못하는 것이 더 큰 문제가 된다. 이미 호흡기 질환과 설사병을 치료할 수 있지만, 이것들은 여전히 유아 사망의 주요 원인으로 계속 존재합니다. 생의학 개입이 최선의 선택 일지라도, 환자가 의료에서 혜택을 볼 수 있는지는 의료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 경제 및 정치 시스템에 달려 있다. 이것은 단순히 보건 의료 접근 및 개혁에 관한 정치적 문제가 아닙니다. 대신, 사회 세력이 질병 패턴과 치료 결과를 어떻게 형성 하는지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다음에 대한 정교한 질문을 던져야 한다.

  • 가정과 직장 환경,

  • 의료 자원의 현지 가용성,

  • 보험 및 건강 관리 비용의 세부 사항

  • 환자의 사회 경제적 생활이 그들에게 요구하는 요구.

As for the antisocial critique, medical science and technology can only live up to their potential if we develop delivery systems that reach those patients who will actually benefit from them. While new scientific discoveries are needed to treat many diseases, for countless others, effective interventions already exist but are not fully deployed. Respiratory and diarrheal diseases persist as leading causes of child mortality, even though they can be treated with existing interventions.40,41 Even when biomedical interventions are the best option, patients’ ability to benefit from them are embedded in social, economic, and political systems that impact the outcomes of medical care.42 This is not simply a political question about health care access and reform. Instead, understanding how social forces shape disease patterns and treatment outcomes involves sophisticated questions about 

  • home and work environments, 

  • local availability of medical resources, 

  • details of insurance and health care costs, and 

  • the demands that patients’ social and economic lives make on them.9 

이러한 요인들이 겉으로 보기에는 간단한 기술적 문제처럼 보이는 것을 복잡한 생물사회적 문제로 변형시킬 수 있습니다 .43 ISM 과정과 같은 사회 의학 과정은 학생들이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는 데 필요한 판단, 분석 및 창의성에 도움이됩니다.

Any of these factors can transform a seemingly straightforward technical fix into a complicated biosocial problem.43 A social medicine course, like our ISM course, hones the judgment, analysis, and creativity that students will need to solve these problems.


local medicine이라는 비판은 국제보건과 국내보건의 잘못된 이분법을 해체함으로써 가장 잘 해결됩니다. 글로벌 관점과 로컬 관점 모두 의료 행위를 이해하는 데 적합합니다. 많은 사람들은 국제보건을 마치 일부 자원 부족 국가와 같이 다른 곳에 존재하는 건강을 의미한다고 생각한다. 그러나 국제보건은 특정 지리적 영역에 의해 정의되어서는 안되며, 오히려 21 세기에 세계 인구의 건강에 대한 경제적, 문화적, 지적, 물질적 상호 연관성에 의해 정의되는 것이 합당하다4 마치 은행은 내수 재정에 영향이 없는 다른 국가의 경제를 무시할 수 없는 것처럼, 미국의 의사, 그리고 의과대학은 당장 눈 앞의 환자에게만 집중해서는 안 된다. 2014 ~ 2015 년 에볼라 전염병으로 인한 비극은 이것을 잘 보여준다.

The local medicine critique is best addressed by dismantling the false dichotomy of international and domestic medicine. Both global and local perspectives are relevant for understanding medical practice anywhere. Many believe that global health refers to health as it exists somewhere else, like the resource-poor nations of the global South. Global health should not be defined by any particular geographic zone but, rather, by the economic, cultural, intellectual, and material interconnectedness of the health of global populations in the 21st century.44 As bankers cannot disregard the economies of other nations as having no impact on their domestic fortunes, American physicians—and medical schools— cannot focus only on the patients in front of them. The 2014–2015 Ebola epidemic made this tragically clear.45



마지막으로 국제보건은 전염병이나 해외 여행을하는 임산부 및 어린이 보건 전문가에게만 문제가 되는 것이 아니다. 모든 의사들은 해외에서 이민 온 환자들을 만날 것입니다. 세계 곳곳에서 부자와 빈자의 환자는 심장병, 당뇨병, 암과 싸웁니다 .46 그들은 복잡한 치료 요법을 통해 돌보고, 값을 치르고, 삶을 구조하기 위해 노력합니다. 더욱이 마치 서로 전혀 달라보이는 상황에서도 의료전달의 문제에는 공통점이 많다. 한 곳에서 배운 교훈은 종종 다른 곳에 적용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아이티에서 항 레트로 바이러스 치료 결과를 향상시키기 위해 고안된 기술은 Boston에서 치료 결과를 개선하는 혁신적인 프로그램에 적용되었습니다 .47

Finally, global health is not just a problem for infectious disease or maternal and child health specialists who travel abroad. All physicians will encounter patients who have emigrated from abroad. Throughout the world, patients, rich and poor, struggle with heart disease, diabetes, and cancer.46 They struggle to access care, pay for it, and structure their lives to follow through with complex treatment regimens. Moreover, the delivery challenges in seemingly disparate settings share much in common. Lessons learned in one place can often be applied elsewhere. For instance, techniques designed to improve antiretroviral outcomes in Haiti were adapted in an innovative program that improved treatment outcomes in Boston.47



ISM과목의 효과

Impact of the ISM Course


ISM 과정의 공식 평가는 학생들이 필요한 사회 의학 커리큘럼의 혜택을 입었다는 것을 보여주었습니다. 2013 년 가을, 학생들은 ISM 과정을 치르기 전에 사회 의학에 대한 지식을 측정하고 관련된 사전 고용을 확인하기위한 사전 테스트를 완료했습니다.

  • 비록 25 %가 학부생으로서 관련 코스 교육을 마쳤고 35 %가 사회 의학에서 경험학습을 해보았다고 했지만(예 : 지역 사회 기반 조직에서 근무 한 경험이 있음),

  • 학생의 31 %만이 건강의 사회적 결정 요인이 무엇을 의미 하는지를 알고 있는지에 대해 자신감을 보고했고,

  • 단지 14 %만이 건강 결과의 차이와 불균형을 구별 할 수 있다는 것에 자신감을 표시했다

The first, formal evaluation of the ISM course demonstrated that students benefited from the required social medicine curriculum. In the fall of 2013, students completed a pretest to gauge their knowledge of social medicine prior to taking the ISM course, as well as to identify any relevant prior employment. 

  • Even though 25% had completed relevant course work as undergraduates and 35% reported experiential learning in social medicine (e.g., having worked for a community-based organization), 

  • only 31% of students felt confident that they knew what was meant by the social determinants of health, and 

  • only 14% felt confident that they could distinguish between a difference and a disparity in health outcomes.


학기말에 학생들은 과정의 영향을 측정하기 위해 비슷한 사후 검사를 완료했습니다.

  • 64 %는 미국과 해외에서 사회 의학 개념과 임상 실습과의 관련성에 대해 더 깊이 이해하고 있다고보고했다.

  • 81 %는 사회 역사를 수행하고 그 중요성을 이해할 수있는 능력이 뛰어나다 고 느꼈다.

  • 80 %는 사회 의학이 전반적인 교육에 매우 중요하다고 답했습니다.

At the end of the semester, students completed a similar posttest survey to gauge the impact of the course. 

  • Sixty-four percent reported a deeper understanding of social medicine concepts and their relevance for clinical practice in the United States and abroad, 

  • 81% felt better equipped to conduct a social history and understand its significance, and 

  • 80% stated that social medicine was very important to their overall education.


전임상 커리큘럼에서 사회 의학과 글로벌 건강 수립 : 앞으로 나아 가기

Establishing Social Medicine and Global Health in the Preclinical Curriculum: Moving Forward


사회 의학 및 글로벌 건강 코스는 이미 고급 사회 과학 학위를 소지 한 학생과 필수과목으로만 사회과학을 경험한 학생들 모두에게 부합해야 한다. 이 작업은 어렵지만 가능합니다. 관심있는 교수진에게 커리큘럼 시간 및 지원을 제공하는 의과 대학은 가치있는 코스를 개발할 수 있습니다. 모든 학생들은 건강과 건강 결과의 사회적 결정 요인을 다루고 환자와 지역 사회를 대신하여 개입하기 위해 개별 임상가의 저평가 된 힘을 인식하고 행동 할 수 있도록 사회 의학에 노출되어야합니다. 이 작품은 옹호, 체계적 탐구, 혁신의 형태를 취할 수 있으며 때로는 한 가지 질문을합니다 (예 : "월말까지 어려움을 겪고 있습니까?").

Courses in social medicine and global health must accommodate students who already hold advanced social science degrees and those whose only engagement with the social sciences was a general education requirement in college. This task is daunting, but it is possible. Medical schools that provide interested faculty with curriculum time and support can develop valuable courses. All students must be exposed to social medicine so that they can come to recognize and act on the underappreciated power of the individual clinician to address the social determinants of health and health outcomes, and to intervene on behalf of patients and their communities. This work can take the form of advocacy, systematic inquiry, innovation, and sometimes asking a single question (e.g., “Do you have difficulty making ends meet until the end of the month?”).48





 2016 May;91(5):628-32. doi: 10.1097/ACM.0000000000001054.

All Health Is Global Health, All Medicine Is Social MedicineIntegrating the Social Sciences Into the Preclinical Curriculum.

Author information

1
J. Kasper is assistant professor and chair, Faculty Advisory Committee on Global Health, Harvard Medical School, and faculty member, Division of Global Health, Massachusetts General Hospital for Children, Boston, Massachusetts. J.A. Greene is associate professor of medicine and of the history of medicine, Johns Hopkins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Baltimore, Maryland. P.E. Farmer is Kolokotrones University Professor of Global Health and Social Medicine, Harvard Medical School, Boston, Massachusetts. D.S. Jones is A. Bernard Ackerman Professor of the Culture of Medicine, Faculty of Medicine, Harvard Medical School, Boston, Massachusetts, and Faculty of Arts and Sciences, Harvard University, Cambridge, Massachusetts.

Abstract

As physicians work to achieve optimal health outcomes for their patients, they often struggle to address the issues that arise outside the clinic. Social, economic, and political factors influence patients' burden of disease, access to treatment, and health outcomes. This challenge has motivated recent calls for increased attention to the social determinants of health. At the same time, advocates have called for increased attention to global health. Each year, more U.S. medical students participate in global health experiences. Yet, the global health training that is available varies widely. The discipline of social medicine, which attends to the social determinants of disease, social meanings of disease, and social responses to disease, offers a solution to both challenges. The analyses and techniques of social medicine provide an invaluable toolkit for providing health care in the United States and abroad.In 2007, Harvard Medical School implemented a new course, required for all first-year students, that teaches social medicine in a way that integrates global health. In this article, the authors argue for the importance of including social medicine and global health in the preclinical curriculum; describe Harvard Medical School's innovative, integrated approach to teaching these disciplines, which can be used at other medical schools; and explore the barriers that educators may face in implementing such a curriculum, including resistance from students. Such a course can equip medical students with the knowledge and tools that they will need to address complex health problems in the United States and abroad.

PMID:
 
26703416
 
DOI:
 
10.1097/ACM.0000000000001054


기본의학교육을 위한 WFME 기본기준 프레임워크 설계(Med Teach, 2016)

Designing an evaluation framework for WFME basic standards for medical education

SEAN TACKETT1, JANET GRANT2 & KRISTIN MMARI3

1Johns Hopkins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USA, 2The Centre for Medical Education in Context (CenMEDIC), UK, 3Johns Hopkins Bloomberg School of Public Health, USA




도입

Introduction


의사의 현재 또는 예상되는 부족을 해결하기 위해 전 세계적으로 의과대학이 증식하면서 (Tsai 외 2012, WHO 2013, Duvivier 외 2014), 의학 교육의 질은 점점 더 엄격 해지고있다. 의학 교육의 질을 보장하기위한 여러 메커니즘이 있지만, 의과 대학의 인증은 황금 표준이 되었습니다 (Gordon & Karle 2012).

As medical schools proliferate around the world to address current or projected shortages of physicians (Tsai et al. 2012; Global Health Workforce Alliance and WHO 2013; Duvivier et al. 2014), the quality of medical education is drawing increasing scrutiny. While there are multiple mechanisms to assure quality in medical education, accreditation of medical schools has become the gold standard (Gordon & Karle 2012).


2010 년 외국 유학생 교육위원회 (ECFMG)에서 발표 한 결과 - 2023 년까지 모든 인증 신청자는 공인 된 의대 (ECFMG 2010)를 졸업해야합니다 - WFME 표준 및 절차가 진행되고 있습니다. 인가 기관을 평가하고 인정하는 데 사용됩니다.

As the result of an announcement in 2010 by the Education Commission for Foreign Medical Graduates (ECFMG) – that by 2023 all applicants for certification will be required to have graduated from an accredited medical school (ECFMG 2010) – the WFME standards and procedures are being used for evaluating and recognizing accrediting agencies.


따라서 WFME 표준은 100 개가 넘는 기존 인증 기관의 평가에 사용될 수있을뿐만 아니라 수십 가지 인증 시스템의 생성을위한 템플릿 역할을 할 수 있습니다.

Therefore the WFME standards may not only be used for evaluation of over 100 existing accreditation authorities, but will likely serve as the template for the creation of dozens more accreditation systems.


WFME 절차에 따라 모든 국가 인정 기관은 의과 대학이 인정 과정의 일부로 자체평가를 수행하도록해야합니다 (WFME 인정 기준 2012). 자체평가는 힘든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최초의 WFME 표준을 적용 할 타당성을 평가하기위한 파일럿 연구 (Grant et al. 2003)는 2003 년 11 개국에서 실시되었는데, ECFMG의 재정 지원과 WFME의 전문 지식을 갖추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각 대학이 자체평가를 수행하는 데 필요한 기간은 평균 10.6 개월이었고 수석 교수진에서 상당한 시간을 필요로했습니다. 최근의 분석 (Hays 2014)은 2012 표준을 준수하기 위해서는 원래 표준에 필요한 것보다 많은 자원이 필요하다고 제안했습니다. 이 역시 자체평가를 완료하는 데 더 많은 자원이 필요할 것이라는 점을 알 수 있습니다.

WFME procedures require all national accrediting authorities to have medical schools conduct a self-study as part of the accreditation process (WFME Recognition Criteria 2012). The self-study is known to be laborious; a pilot study (Grant et al. 2003) to assess the feasibility of applying the original WFME standards was conducted in 11 countries in 2003, finding that even with financial support from the ECFMG and expertise from the WFME, each self-study took an average of 10.6 months and required significant time from senior faculty. A recent analysis (Hays 2014) suggested that more resources will be required to comply with the 2012 standards than were needed for the original standards; this also likely portends that more resources will be needed to complete a self-study. 


WFME는인가 기관이 인증 기준 (WFME Application 2013)을 준수하는 방법에 대해 의과 대학에 지침을 제공하도록 요구하고 있지만, 각 학교에서 받게되는 지침은 다를 수 있습니다. 미국의 인정 기관인 LCME (Medical Education Liaison Committee)는 모든 인증 기관에 대한 명확한 지침을 제공하고 공개적으로 자체 시험 데이터 수집 계측기 (DCI) (LCME 2014)를 공개합니다. 각 대학은 방문심사 전에 이것을 완료해야 한다. 그러나 LCME DCI는 LCME 표준에 구체적으로 링크 된 데이터를 요구하며, 요청 된 데이터의 대부분은 미국 의과 대학에서 정기적으로 작성하는 연례 전국 설문 조사에서 나온 것입니다. 따라서 미국 이외 지역에서는 LCME DCI가 유용하지 않을 수 있다.

While the WFME does require accrediting agencies to provide guidance to medical schools for how they can comply with accreditation standards (WFME Application 2013), the guidance that schools might receive is likely to vary. The Liaison Committee for Medical Education (LCME), an accrediting body in the US, offers the clearest guidance of any accrediting body, making publicly available its self-study Data Collection Instrument (DCI) (LCME 2014), which must be completed by medical schools prior to a site visit. However, the LCME DCI asks for data specifically linked to LCME standards, and much of the requested data comes from the annual series of national surveys routinely completed by the US medical schools. It is unlikely that the LCME DCI would be useful outside of the US.


WFME 표준에 대한 자세한 평가 템플릿을 만든다면, 자체평가를 단순화 할 수 있으며, 의대가 인증 기준을 충족하고 특히 자원이 제한적인 경우에도 CQI를 참여하도록 유도할 수 있습니다. 평가 기준을 표준화하면 인증 기준에 대한 근거 자료를 개선하는 데 도움이되며 품질 향상을 주도하는 인기있는 방법 인 국내 및 국제 벤치마킹 방법을 마련 할 수 있습니다 (Kirch & Prescott 2013)

A detailed evaluation template for the WFME standards could simplify a self-review, thereby helping medical schools meet accreditation standards and engage in continuous quality improvement, particularly where resources are limited. Standardizing the metrics of evaluation would have benefits for improving the evidence-base for accreditation standards and may pave the way for national and international benchmarking, an increasingly popular method of driving quality improvement (Kirch & Prescott 2013)



방법

Methods


Standards from ‘‘Basic Medical Education: WFME Global Standards for Quality Improvement: The 2012 Revision’’ were used for this study. Standards are organized into nine areas, composed of a total of 36 subareas where individual standards are described. In total, there are 100 ‘‘basic standards’’ and 91 ‘‘quality improvement’’ standards. Annotations are included in the standards document to provide definitions and clarify intent for the language in the standards. Only basic standards were analyzed because they represent the minimum requirements for any medical school, and their analysis would have the most generalizability to medical schools worldwide.


We conceptualized the accreditation standards as program objectives for the basic medical education program and as providing an implicit logic model template


In defining the logic model for program evaluation, each standard was viewed as potentially requiring the evaluation of inputs, processes, outputs and/or outcomes to assess to what it extent it was or was not achieved. 

  • Inputs refer to material or human resources required for the educational program to be conducted. 

  • Processes refer to educational program tasks or activities, which could include admitting, teaching and evaluating students during the program as well as administrative processes. 

  • Outputs refer to the direct result of processes

  • Outcomes refer to the final student ‘‘product’’ that the program produces.


Due to the variability in standards’ formatting, our first step was to further itemize each standard into its simplest component. 

  • For example, for a standard that stated a ‘‘medical school must formulate and implement . . .’’ the standard was broken into two components: ‘‘medical school must formulate’’ and ‘‘medical school must implement’’ as these required two different actions that would need to be evaluated. 

  • At times when a conjunction was used to link words whose meanings were nearly synonymous (e.g. ‘‘methods and practices’’), the standard was not further broken down. 

  • While many standards detailed criteria in their annotation, some did so in the standard itself, like ‘‘The medical school must define, state and publish the principles, methods and practices used for assessment of its students, including the criteria for setting pass marks, grade boundaries and number of allowed retakes. (B 3.1.1)’’ Such a standard could be evaluated by measuring pass marks, grade boundaries and retakes, but in this analysis, it was counted as one standard to be consistent when comparing to standards that detailed criteria in annotations.


Once these simplified items were created, each item was categorized as requiring evaluation of an input, process, output and/or outcome. 

  • Once each simplified item was categorized, it was then interpreted to determine a relevant evaluation question, and example data sources and indicators were elaborated based on the evaluation question. 

  • This process was completed by one author (ST) and reviewed in detail by the other authors. Where discrepancies existed, consensus was achieved through iterative discussion and revisions.


To provide a summary understanding of the results from the analysis of standards, the ratio of simplified items to original standards was calculated for each standard area. Number and percentage of simplified items that were classified as inputs, processes, outputs and outcomes were also calculated using total number of simplified items as the denominator.


Appendix 2, available online as Supplemental Material.




결과

Results


WFME 기준으로부터 평가가능한 단순화된 아이템을 만드는 어려움

Challenges in creating evaluable simplified items from WFME standards 


    • 일부 표준은 간단했고 "의대에서는 커리큘럼 모델 (B 2.1.1)을 정의해야 함"과 같은 간단한 평가가 제안되었지만 대다수는 더 복잡했습니다. 

    • 예를 들어, '의대는 정책을 수립하고 구현해야한다', '커리큘럼 요소를 확인하고 통합하는 것', '프로그램 평가에 메커니즘을 구축하고 적용하는' 두 개의 다른 프로세스를 평가합니다. 

    • 다른 기준들에는 '의과대학는 지식, 기술 및 태도 (B 3.1.2)'에 대한 평가가 이루어져야한다는 3 가지 평가 영역 각각에 대한 평가가 필요하다는 것과 같은 기준의 결합문이 포함되었습니다.

    • While some standards were simple and suggested a straight-forward evaluation, such as, ‘‘The medical school must define the curriculum model (B 2.1.1)’’, the majority were more complex. 

    • For example, numerous standards used phrasing such as, ‘‘The medical school must formulate and implement’’policies, ‘‘identify and incorporate’’ curriculum elements or ‘‘establish and apply’’ mechanisms in program evaluation,which in each case suggested evaluating two distinct processes. 

    • Other standards included the conjunction in the predicate of the standard, like ‘‘The medical school must ensure that assessments cover knowledge, skills and attitudes(B 3.1.2)’’, which would require evaluation of each of the three domains of assessment. 


표준 문구가 비교적 단순한 경우에도 주석은 복잡한 평가를 암시 할 수 있습니다

Even when the standard wording was relatively simple, the annotation could imply a complex evaluation: 



기준을 프로그램 평가 프레임워크로 배치하는 것

Placing standards into the program evaluation framework 


첫째, 표면적으로 일부 기준은 측정을 위한 입력, 프로세스, 결과 또는 결과의 한 유형만을 지정하는 것처럼 보였지만 표준의 실제 logistics가 고려되었을 때 기준의 복잡성이 증가한 것으로 보였습니다

    • 예를 들어, "의대는 교직원이 적절하게 제공 될 수 있도록 교직원과 학생들에게 충분한 물리적 시설이 있어야합니다. (B 6.1.1) ''- 물리적 자원의 투입에 초점을 맞추고있는 것처럼 보이지만 진정으로 '충분성'을 평가하기 위해서는 표준은 프로세스, 결과 및 / 또는 결과를 측정해야한다.

    •  "의과 대학 의과 대학은 의료진이 직원, 학생, 환자 및 간병인에게 안전한 학습 환경을 보장해야합니다. (B 6.1.2) ''는 평가를 위해 다양한 투입물, 프로세스 및 산출물을 요구할 것이다. 그러한 표준은 실수 (예 : 직원, 학생 또는 환자의 손해)에 의해 가장 잘 측정 될 수 있습니다.

First, while on the surface it appeared that some standards were specifying only one type of input, process, output or outcome to measure, when the actual logistics of measurement were considered for the standard, the complexity of the standard seemed to grow. 

    • For example – ‘‘The medical school must have sufficient physical facilities for staff and students to ensure that the curriculum can be delivered adequately. (B 6.1.1)’’ – appears to focus on the input of physical resources, but to truly assess their ‘‘sufficiency,’’ the standard requires measuring processes, outputs and/or outcomes.

    •  Standards like ‘‘The medical school must ensure a learning environment, which is safe for staff, students, patients and their carers. (B 6.1.2)’’ would require a variety of inputs, processes and outputs for evaluation; such a standard is likely best measured by lapses (e.g. harms to staff, students or patients).




둘째, 어떤 경우에는 기준의 의도를 분별하기가 어려웠습니다.

Second, in some cases, it was challenging to discern the intent of the standard: 


"의과 대학은 졸업과 관련하여 학생들이 제시해야하는 의도 된 교육 결과를 정의해야합니다.

- 지식, 기술 및 태도에 관한 기본 수준에서의 성과 (B 1.4.1)

- 의학의 모든 분야에서 미래 경력을위한 적절한 토대 (B 1.4.2)

- 보건 부문에서의 미래 역할. (B 1.4.3)

- 이후의 대학원 교육 (B 1.4.4)


‘‘The medical school must define the intended educational outcomes that students should exhibit upon graduation in relation to 

– their achievements at a basic level regarding knowledge, skills, and attitudes (B 1.4.1) 

– appropriate foundation for future career in any branch of medicine (B 1.4.2) 

– their future roles in the health sector. (B 1.4.3) 

– their subsequent postgraduate training (B 1.4.4)’’ 



이 예에서 "기본 수준"으로 교육받은 졸업생이, 어떻게 대학원 교육, 보건 분야에서의 향후 역할, 의학 분야에서의 경력에 ​​적합하지 않을 수 있는 것인지가 불명확하다.

In this example, it is unclear how graduating students educated at a ‘‘basic level’’ would not also be suited for post-graduate training, their future roles in the health sector or a career in any branch of medicine. 




셋째, 직설적 인 표현이 반드시 직접적인 평가를 의미하는 것은 아닙니다. 

    • "의과 대학은 평생 학습을 위해 교과 과정을 준비해야한다 (B 2.1.3)." '평생 학습'을위한 교과 과정 설계와 전달에 대한 직접적인 평가를 제시하는 것으로 보인다. 

    • 그러나 이 주제를 가르치기위한 의학 교육의 표준 커리큘럼은 없으며 평생 학습에서의 학생 역량 평가를위한 표준 방법도 없습니다 (B 1.1.6에서도 암시되고 있음).

Third, straightforward wording does not necessarily mean straightforward evaluation. 

    • ‘‘The medical school must ensure that the curriculum prepares the students for lifelong learning.(B 2.1.3)’’ seems to suggest a straightforward evaluation of curriculum design and delivery for ‘‘lifelong learning’’. However, there is no standard curriculum in medical education for teaching this topic, nor is there any standard means of assessing student competency in lifelong learning (which may also be implied by B 1.1.6). 


평가가능한 단순화된 아이템의 정량화

Quantifying evaluable simplified items


원래 100 개의 표준은 244 개의 구성 요소 항목으로 분리되었습니다 (표 1). 대부분의 표준 (64/100, 64 %)은 하나 이상의 평가 항목으로 분리되었습니다. 비율이 6.6 인 대학원 / 학부 영역을 제외하고 모든 영역에 대해 WFME 표준 당 평균 1.8 ~ 2.4 개의 단순화 된 항목이있었습니다. 이 영역에서 표준 B 5.1.1은 24 개의 항목으로 분리되어 있으며, 단일 표준에서 가장 많습니다. 모든 표준에 대한 완전한 평가 매트릭스는 보충 자료로 온라인으로 제공되는 부록 1에 포함되어 있습니다.


The original 100 standards separated into 244 component items (Table 1). Most standards (64/100, 64%) separated into more than one evaluable item. There were an average of1.8–2.4 simplified items per WFME standard for all areas,except for the Academic Staff/Faculty area where the ratio was 6.6. In that area, standard B 5.1.1 separated into 24 items, the most for any single standard. A complete evaluation matrix for all standards is included in Appendix 1, available online as Supplemental material. 





고찰

Discussion


의학 교육에 대한 WFME 기본 기준에 대한이 분석은 작성된 표준을 해석하고 평가하는 것이 어려울 수 있음을 암시합니다.

This analysis of the WFME basic standards for medical education suggests that it may be challenging to interpret and evaluate the standards as they are written. 


WFME가 기준 제정을 위해 제출 한 전제 중 하나는 '기준은 명확하게 정의되어야 하며, 측정 할 수 있어야한다 ....'(Basic Medical Education 2012)이지만, 본 연구를 수행하면서 의과 대학 평가 방법을 결정하는 과정에서 맞닥뜨리게 될 여러 가지 장벽을 확인하였다. WFME 기준은 평가를 염두에두고 작성되었지만, 이것이 개별 의과 대학 평가에 사용하기 위한 것이 아님을 다시 강조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오히려 WFME 기준을 가지고 자체 로컬 컨텍스트에 맞춘 기준을 개발할 것으로 예상되는 각 인증 기관의 템플릿 역할을하기위한 것입니다.

Among the premises that the WFME listed for creating its standards were that ‘‘Standards must be clearly defined and...measurable ....’’ (Basic Medical Education 2012) yet this analysis encountered multiple barriers to determining how to evaluate medical schools against the standards. It is important to reiterate that while WFME standards were created with assessment in mind, they are not intended to be used for assessment of individual medical schools. Rather, WFME standards are intended to serve as a template for accrediting authorities, which would then be expected to tailor WFME standards to their own local contexts.


예를 들어, 교직원/교수 영역의 표준을 더 세분화하고 단순화하여 표준 형식을보다 균일하게 만들려고 시도하는 것이 유용 할 수 있습니다.

For example, it may be useful to attempt to make standards-formatting more uniform, possibly by further itemizing and simplifying standards like those in the Academic Staff/Faculty area. 


추적 할 측정 항목을 선택하는 것은 의학 교육의 질을 최적화하는 활동을 장려하는 데 중요합니다. 이 연구는 몇 가지 문제점을 확인했다.

Selecting what metrics to track is critical to incentivizing activities that optimize medical education quality. This study identified several issues.


예를 들어, 분모가 36이냐, 100이냐, 244이냐에 따라 기준에 따른 전체 compliance가 달라지므로, 표준 수는 중요 할 수 있습니다데이터 수집 절차는 어차피 어떤 경우든 동일 할 가능성이 있으므로, 기준의 숫자가 많아지면(즉 더 간단하고, 평가하기 쉬우며, 보다 세분화 된다면) 약점 영역을 개선하기 위한 보다 명확한 비교와 명확한 타겟팅을 용이하게 할 것이다. 다만, 이 연구는 기준 자체가 더 prescriptive해져야 함을 의미하지는 않는다는 점을 강조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그렇게 된다면 혁신과 창조성을 저해 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Norcini & Banda 2011).

For example, the number of standards may be important, as overall compliance rates with standards would vary if the denominator were 36 (as it was in the original WFME standards) 100, or 244. Because the data collection procedures would likely be the same in every case, it would seem that a greater number of standards – that would be simpler, easier to evaluate, and offer greater granularity – would facilitate clearer comparisons and more specific targeting of interventions to areas of weakness (It is important to emphasize here that this analysis does not imply that the standards themselves should become more prescriptive, as this may stifle innovation and creativity (Norcini & Banda 2011)). 


균형 된 스코어 카드는 개발 된 국가의 건강 시스템 (Asbroek 외 10 명 2004 년, Schoen 외 16 명)과 개발 도상국 (Peters et al. 2007)을 포함한 복잡한 조직과 시스템의 성과를 성공적으로 이끌어 내기 위해 성공적으로 사용되었습니다.

Balanced scorecards have been used successfully to drive performance in complex organizations and systems, including national health systems in the developed (ten Asbroek et al. 2004; Schoen et al. 2006) and developing world (Peters et al. 2007).


마지막으로, 의대가 필요한 투입 (예 : 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예산 절감), 프로세스 (소그룹에서 강의까지) 및 학생 성과 (예 : 특정 역량 달성)에 대한 균일한 메트릭스를 사용하는 경우, 의과 대학의 구조와 기능이 분명해질 것이다.

Finally, It is possible that should medical schools use uniform metrics regarding necessary inputs (e.g.itemized budget for educational program), processes (e.g.hours spent in small group versus lecture) and student outcomes (e.g. achievement of specific competencies), the essential components for the structure and function of a medical school would become apparent.


이번 연구 결과, 단 하나의 기준만이 프로그램 outcome에 대한 평가를 요구하는 것처럼 보였습니다. 원래의 WFME 표준을 분석해도 outcome과 관련된 표준은 매우 적은 수만 발견되었습니다(2/36, 5.6 %) (Abdalla 2014). 이러한 상황은 충분히 이해가능한데, 학교가 자신의 졸업생을 모니터하기 위해 로지스틱하게 어렵거나 자원이 많이 필요할 수 있으며, 인증 기관 역시 이것을 의과대학의 책임으로 보고 있지 않을 수 있습니다. 그러나 사회적 책무성(social accountability)이 점차 강조되면서, 의과대학들은 그들이 만들어낸 결과에 대해 책임을 져야합니다. 의학 교육에서 성과를 점점 더 중요한 것으로 인식하고있을뿐 아니라, outcome을 평가하는 것이 실제로 가능함이 입증되고 있습니다. 사회적 책무성을 측정하려는 시도는 기관 (Mullan et al., 2010, Sen Gupta 외 2014)과 국가 의학 교육 시스템 (Chen et al., 2013) 수준에서 발표된 바 있다.

It is notable that in our analysis only one standard appeared to require evaluation of a program outcome. An analysis of the original WFME standards also found a minority of standards (2/36, 5.6%) related to outcomes (Abdalla 2014). This is understandable as it may be logistically challenging or resource-intensive for schools to monitor their own graduates, and accrediting agencies may not see this as the school’s responsibility. However, the growing movement toward social accountability in medical education (Global Consensus for Social Accountability; Boelen et al. 2012), including the explicit goal of the WFME revision to embed social accountability throughout its standards (Lindgren & Karle 2011), would require medical schools to be accountable for the outcomes they produce. Not only is tracking medical education outcomes being recognized as increasingly important, but it is being demonstrated to be feasible. Attempts at measuring social accountability have been published for institutions (Mullan et al. 2010; Sen Gupta et al. 2014) and national medical education systems (Chen et al. 2013).


TheNET은 기관 네트워크에 포함 된 학교의 보건 직업 교육에 대한 사회적 책임을 측정하기위한 완벽한 프레임 워크를 만들고 조종했다 (Larkins et al., 2013). 우리의 분석은 인정 기관이 각 의과 대학 또는 그것의 의학 교육 시스템 전체가 사회적으로 책임있는 방식으로 기능하고 있음을 보장하고자 할 때 학생 성과 평가를 명시 적으로 요구하도록 WFME 표준을 개정해야한다고 제안합니다.

TheNET has created and piloted a complete framework to measure social accountability of health profession education for schools included in its network of institutions (Larkins et al. 2013). Our analysis suggests that WFME standards would need to be revised to explicitly require student outcomes evaluation when accrediting agencies seek to ensure that each medical school – or its medical education system as a whole – is functioning in a socially accountable manner.




결론과 권고

Conclusions and recommendations for future steps


이 분석은 모든 기준을 동등하게 취급했지만, 기준의 중요성을 토대로 데이터 수집에 우선 순위를 두지 않았습니다. 기본 의학 교육을위한 WFME의 '기본 기준'은 의대의 정의에 부합해야 할 필요가 있다고 주장 할 수 있지만 교육에 있어서 궁극적으로 일부 기준이 다른 기준보다 중요 할 수 있습니다 (van Zanten 외. 2012). 데이터 수집뿐만 아니라 표준의 우선 순위를 설정한다면, 자원을 최대한 활용할 수 있게 할 것이며, 이는 특히 자원이 부족한 환경에서 더 나은 의학 교육을 가능하게 할 것이다.


This analysis treated all standards equally, but did not prioritize data collection based on the importance of the standard. While it can be argued that all of the WFME ‘‘basic standards’’ for basic medical education would need to be in place for an institution to meet the definition of a medical school, ultimately some standards may prove more critical than others to medical student education (van Zanten et al. 2012). Prioritizing standards as well as data collection may enable best use of resources, and thus better medical education, especially in resource-poor settings





Larkins SL, Preston R, Matte MC, Lindemann IC, Samson R, Tandinco FD, Buso D, Ross SJ, Palsdottir B, Neusy AJ. 2013. Measuring social accountability in health professional education: Development and international pilot testing of an evaluation framework. Med Teach 35(1):32–45.


Mullan F, Chen C, Petterson S, Kolsky G, Spagnola M. 2010. The social mission of medical education: Ranking the schools. Ann Intern Med 152(12):804–811.


van Zanten M, Boulet JR, Greaves I. 2012. The importance of medical education accreditation standards. Med Teach 34(2):136–145.


Kirch DG, Prescott JE. 2013. From rankings to mission. Acad Med 88(8):1064–1066.







 2016;38(3):291-6. doi: 10.3109/0142159X.2015.1031737. Epub 2015 Apr 29.

Designing an evaluation framework for WFME basic standards for medical education.

Author information

1
a Johns Hopkins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 USA .
2
b The Centre for Medical Education in Context (CenMEDIC) , UK .
3
c Johns Hopkins Bloomberg School of Public Health , USA.

Abstract

PURPOSE:

To create an evaluation plan for the World Federation for Medical Education (WFME) accreditation standards for basic medicaleducation.

METHODS:

We conceptualized the 100 basic standards from "Basic Medical EducationWFME Global Standards for Quality Improvement: The 2012 Revision" as medical education program objectives. Standards were simplified into evaluable items, which were then categorized as inputs, processes, outputs and/or outcomes to generate a logic model and corresponding plan for data collection.

RESULTS:

WFME standards posed significant challenges to evaluation due to complex wording, inconsistent formatting and lack of existing assessment tools. Our resulting logic model contained 244 items. Standard B 5.1.1 separated into 24 items, the most for any single standard. A large proportion of items (40%) required evaluation of more than one input, process, output and/or outcome. Only one standard (B 3.2.2) was interpreted as requiring evaluation of a program outcome.

CONCLUSIONS:

Current WFME standards are difficult to use for evaluation planning. Our analysis may guide adaptation and revision of standards to make them more evaluable. Our logic model and data collection plan may be useful to medical schools planning an institutional self-review and to accrediting authorities wanting to provide guidance to schools under their purview.

PMID:
 
25923235
 
DOI:
 
10.3109/0142159X.2015.1031737


탁월한 임상교육: 지식의 변형과 개발 필요성(Med Educ, 2014)

Excellence in clinical teaching: knowledge transformation and development required

David M Irby



도입

INTRODUCTION


'실력이 없어도 가르칠 수 있다'라는 오래된 농담이 있습니다. 이 폄하적 논평은 교육을 누구나 할 수 있는 것으로 묘사하면서, 특정한 형태의 전문성이 필요하지 않고, 전문 임상가로서의 일차적 기능과 소명을 다하지 못하는 사람에게 주어져도 상관 없다고 말한다. 그러나 실상은, 무엇이든 잘 하는 사람(의료행위든 교육이든)만이 우수한 임상 교사가 될 수 있습니다.

There is an old joke : ‘Those who can’t do, teach.’ This disparaging comment portrays teaching as something everyone can do, that requires no particular form of expertise and should be left to those who can no longer perform their primary function and higher calling as expert clinicians. Actually, only those who can do well (practise medicine and teach) can become excellent clinical teachers.


수년 전 전국 회의에서 Lee Shulman은 교육을 위해 필요한 독특하고 필수적인 능력은 [학습자가 학습자의 수준에서 이해하고 접근 할 수 있도록 자기가 아는 내용 지식을 변형 할 수있는 능력]이라고 주장했습니다. 그는 실제로 전문 분야의 내용 지식만으로는 충분하지 않으며, 교사teacher만이 소유하는 추가적이고 특유한 형태의 지식이 필요하다고 주장하였다. Shulman은 이러한 특수한 형태의 교사 지식을 '교육학 내용 지식'즉 PCK(‘pedagogical content knowledge’)로 묘사했다. 여기에는 내용, 학습자, 교육학, 맥락, 그리고 이 모든 것을 교육 스크립트에 통합하는 지식이 포함된다.

Years ago at a national meeting, Lee Shulman, argued that the unique and essential capacity for teaching was the ability to transform one’s content knowledge into something understandable and accessible to learners at their own levels. He was actually addressing the adage that opened this paper by asserting that the taken-for-granted content knowledge of a specialty is insufficient for teaching; an additional and distinctive form of knowledge that only teachers possess is required. Shulman described this special form of teacher knowledge as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or PCK.3,4 This knowledge includes the knowledge of content, learners, pedagogy, context and the integration of all of these into teaching scripts.


PCK에 관한 Shulman의 주장은 임상 교육에 대한 흥미로운 질문을 제기합니다. 임상 교육을 위해 의사가 갖추어야 하는 지식은 무엇입니까?

Shulman’s assertion about PCK raises some interesting questions about clinical teaching. What knowledge do physicians need for clinical teaching?



임상 교육을 위한 지식의 변형

KNOWLEDGE TRANSFORMATION FOR CLINICAL TEACHING


임상 교육에는 숙달과 변형이 포함됩니다.


(i) 의학 및 환자에 대한 지식;

(ii) 맥락에 대한 지식;

(iii) 교육학 및 학습자에 대한 지식, 그리고

(iv) 교육 스크립트에 통합 된 지식 (그림 1).


Clinical teaching in medicine involves mastering and transforming: 

(i) knowledge of medicine and patients; 

(ii) knowledge of context; 

(iii) knowledge of pedagogy and learners, and 

(iv) knowledge integrated into teaching scripts (Fig. 1).



Table 1



의학과 환자에 대한 지식

Knowledge of medicine and patients


탁월한 임상 교사는 의학 및 교수법에 대한 폭 넓은 지식을 보유하고 있으며, 지식을 명확하고 체계적인 방법으로 전달할 수 있습니다 .6-8 빠르게 변화하는 임상 의학 환경에서 학습을 촉진하려면 단기간에 학습자가 기억할 수 있도록 포인트를 기억하게 만들 수 있어야 한다. 명확하고 잘 조직 된 프리젠테이션은 다양한 수준의 학습자가 필요로 하는 정보에 따라 이해하기 쉬운 방식으로 지식을 표현하는 데 중요합니다.

excellent clinical teachers have a breadth of knowledge about medicine and teaching, and are able to convey that knowledge in a clear and organised manner.6–8 Facilitating learning in the fast-paced environment of clinical medicine requires the ability to teach in short periods of time and to make the points memorable so learners can retain them. Clear and well-organised presentations are key to representing knowledge in a way that is understandable to learners at varying levels and in response to their requests for information.9


학생들이 교실에서 임상으로 이동할 때 지식을 재구성해야합니다. 환자가 질병으로 나타나지 않고 표식과 증상으로 나타나기 때문에 새로운 정신적 표현mental representation이 필요합니다.

When students move from the classroom to the clinical world they must reorganise their knowledge. As patients do not present as diseases, but, rather, as signs and symptoms, a new set of mental representations are required.


학생은 여러 사례를 본 후에 장기 기억에 패턴을 만들기 시작하며, 그러면서 학생은 패턴 인식 및 질병 스크립트를 사용하여보다 자동화 된 추론을위한 기반을 마련합니다. 질병 스크립트는 세 가지 구성 요소가 통합 된 스키마 유형을 나타냅니다.

After a student has seen multiple cases he or she begins to form patterns in long-term memory, thus laying the foundation for more automated reasoning using pattern recognition and illness scripts. Illness scripts represent a type of schemata, which incorporate three components: 


(i) 인과적 가능 요인

(ii) 질병 기작 또는 결함, 그리고

(iii) 병의 임상 표현 또는 자연적 진행 .11-13

(i) causal enabling factors; 

(ii) the disease mechanism or fault, and 

(iii) the clinical presentation or natural progression of the illness.11–13



맥락에 대한 지식

Knowledge of contexts


임상 교사는 다양한 맥락에서 가르친다

Clinical teachers work in a variety of contexts.15


상황에 따라 환자의 유형, 치료 된 질병 및 치료 옵션이 달라지기 때문에 다양한 학습 기회가 생겨난다.

In addition, context makes a difference in terms of the types of patients seen, diseases treated and treatment options available, all of which create different opportunities for learning.


임상 교사는 자신의 임상 공동체 (예 : 외래 진료소)에 참여할뿐 아니라 종종 학술 및 교수 개발 커뮤니티에도 참여합니다 (예 : 의학 부서, 학자 프로그램 교육).

Clinical teachers not only participate in their clinical communities of practice (e.g. the out-patient clinic), but often participate in academic and faculty development communities as well (e.g. departments of medicine, teaching scholars programmes).


교육학과 학습자에 대한 지식

Knowledge of pedagogy and learners


의학, 환자 및 상황에 대한 지식 외에도 임상 교사는 일반적인 교수법 전략에 대한 지식을 습득해야 한다. 의사는 일반적으로 관찰이라는 견습과정을 통해 이것을 이해해나간다. 그들은 가르침의 좋은 사례와 나쁜 사례를 관찰함으로써 배웁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교육 전략에는 질문 사용, 사례 토론, 관찰 및 피드백이 있으며, 그 외에 Aunt Minnie, OMP, SNAPPS와 같은 임상 교육 방법도 있다.

In addition to knowledge of medicine, patients and contexts, clinical teachers acquire and master knowledge of general pedagogical strategies. Physicians in training typically develop this pedagogical understanding through the apprenticeship of observation; they learn by observing positive and negative examples of teaching. Commonly used pedagogical strategies include the use of questions, case discussions, observation and feedback, and specific clinical teaching methods such as Aunt Minnie,18 the one-minute preceptor19–24 and SNAPPS [summarise history and findings; narrow the differential; analyse the differential; probe preceptor about uncertainties; plan management; select case-related issues for self-study].25,26


시간이 지남에 따라 충분한 경험을 쌓은 임상 교사는 수준별로 학습자가 무엇을 알고 무엇을 할 수 있는지를 이해하게됩니다. 여기에는 학생들이 일반적으로 저지르는 오류에 대한 지식과 내용을 어떤 경로로 이해해가는지에 따른 일반적 발달 경로에 대한 지식이 있다. 이러한 일반적 이해를 바탕으로 교수자는 학습자에 대한 질문을 생각해낼 수 있다. 예를 들어, 특정 [학습자의 지식과 수행 능력]이 [다른 학습자에게서 관찰된 표준적 성과]에 얼마나 근접하는지 등이다.

Over time and with sufficient experience, clinical teachers come to understand what learners know and can do by level. This includes knowledge of students’ typical errors and normal development paths in understanding content.15 These general understandings guide questions of learners to ascertain how closely a specific learner’s knowledge and performance approximate the norm of student performance the clinical teacher has observed in other learners at that stage of development. 


교육 스크립트로 통합된 교육

Knowledge integrated into teaching scripts


임상 교육의 본질적 지식은 이러한 모든 형태의 지식을 교육용 스크립트에 통합하는 것으로, Shulman이 '교육학 내용 지식PCK'이라고 설명한 것이다. 이러한 모든 형태의 지식은 사례 중심의 교육 스크립트에 통합됩니다. 연극 대본처럼 교습 스크립트는 교육 내용 선택과 학습 상호 작용을 guide하며 교사가 작업 메모리를 과부하하지 않고 학습자와 환자에게 집중할 수 있도록합니다.

The quintessential knowledge of clinical teaching is the integration of all of these forms of knowledge into teaching scripts, or what Shulman describes as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3,4 All of these forms of knowledge are integrated into case-based teaching scripts.15 Like the script of a play, teaching scripts guide content selection and teaching interactions, allowing the teacher to focus on the learner and the patient without overloading working memory.


교육 스크립트에는 대개 사례, 환경 및 교육 방법에 따라 3 ~ 5 개의 공통적으로 사용되는 교육 포인트가 포함됩니다. 이러한 교수 포인트는 종종 특정 임상 주제와 과제를 학습하는 과정에서 교사가 관찰한 학습자의 공통적 오류와 관련이 있습니다. 이러한 일반적인 오류에 대한 지식은 임상 교사의 교수 요지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친다.

Teaching scripts typically contain three to five commonly used teaching points, which vary by case, circumstance and teaching method.27 These teaching points are often associated with the teacher’s observations of common learner errors in mastering particular clinical topics and tasks. This knowledge of common errors directly affects the teaching points of clinical teachers,


새로운 교수 전략을 통합하기 위해 자동화 된 교수 스크립트를 변경하려고 할 경우, 그것이 일상화되어 새로운 교수 스크립트에 통합되기 전에 많은 연습이 필요합니다.

Changing automated teaching scripts to incorporate new teaching strategies requires a great deal of practice before it can be routinized and incorporated into new teaching scripts.


다른 사람들은 이러한 지식 형태를 의료행위와 임상 교육에 사용되는 비공식적이고 암묵적인 지식인 실용적인 지혜practical wisdom이라 묘사했습니다. 이러한 지식은 자동화되고 캡슐화되어있기 때문에, 언제나 의식적으로 접근가능한 것도 아니고, 따라서 언제나 다른 사람에게 전달 될 수 있는 것도 아니다. 따라서 임상전문가는 특정 기술을 습득하는 방법을 설명 할 수 없지만, 전문적 임상교사는 그것을 할 수 있습니다. 이는 과제를 어떻게 수행하는지 뿐만 아니라, 어떻게 일반적인 오류를 극복하는지를 설명하는 데에도 사용되기 때문입니다. 이러한 것들이 모두 강의 스크립트에 통합되어 있습니다.

Others have described this form of knowledge as practical wisdom, which is informal and tacit knowledge used for clinical practice and clinical teaching.29,30 Such knowledge is not always accessible to conscious thought because it is automated and encapsulated, and therefore cannot always be passed on to others. Thus, expert clinicians may not be able to describe how to master a particular skill, whereas expert clinical teachers can do so because they are used to explaining not only how to do the task, but also how to overcome typical errors, all of which are incorporated into their teaching scripts.28


임상 추론과 임상적 교육 추론

CLINICAL REASONING AND CLINICAL INSTRUCTIONAL REASONING


의사가 자신의 전문 분야 환자 문제를 접하게되면 자동적 진단이 가능합니다. 장기 기억의 스키마와 질병 스크립트로부터 빠른 패턴 인식을 하여 가설을 생성한다.

Physicians encountering patient problems within their domain of expertise make their diagnosis in an automatic, nonanalytic manner. Hypotheses arise from rapid pattern recognition derived from the schemata and illness scripts in long-term memory.


그러나 전문 분야를 벗어나거나 문제가 인식 가능한 패턴에 맞지 않을 때 이러한 접근법을 쓰지 못한다. 이러한 상황에서 임상의는 의학 및 임상 실습에 대한 지식을 기반으로, 보다 천천히, 보다 분석적 추론 과정을 사용합니다 .12,31

Clinicians deviate from this approach when they are outside their domains of expertise or when the problem does not fit a recognisable pattern. In those circumstances, clinicians use a slower, more analytical reasoning process based upon their knowledge of medical science and clinical practice.12,31


이것은 Kahneman의 이중 프로세스 모델로 설명됩니다. 

  • System1 처리는 자동화되고 즉각적인 패턴 인식이며 

  • System2 처리는 의식이 있고 느리고 신중하며 분석적인 과정이다.32 

두 가지 추론 프로세스의 결합이 실제로 일상적으로 사용됩니다.

This is described as the dual process model by Kahneman: System1 processing is automated and instantaneous pattern recognition, and System2 processing is conscious, slow, deliberate and analytical.32 A combination of both reasoning processes is routinely used in practice.


임상 교육에 있어서, 초기에는 추론 과정이 임상과 유사하며, 종종 학습자에 대한 진단과 동시에 이뤄진다. 이 두 가지 추론 과정 (임상추론 및 교육추론)의 결합은 임상 교사가 질병 스크립트 및 강의 스크립트의 지시 사항에서 환자에 대한 적절한 진단을 선택하게합니다.

In the midst of clinical teaching, the initial reasoning process is clinical and often parallels the diagnosis of the learner. The combination of these two reasoning processes (clinical and instructional) leads the clinical teacher to select an appropriate diagnosis for the patient from an illness script, and an instructional point from a teaching script.


임상 교육에서의 추론은 측흥적으로 만들어지며, 스크립트화 된다. 이것은 임상 추론 과정과 유사하지만 구별된다. 초점은 다르지만 (환자 대 학습자) 초기 진단은 비슷합니다. 임상 교육 추론은 [교사의 지식과 생각 (환자와 학습자의 계획, 진단, 대화 형 교육 및 반성)]을 [임상 상황의 역동적 요구 사항]과 연결하여, 학습자의 요구에 부합하는 교육을 제공합니다. 이 모든 과정은 메타인지를 통해서 모니터링되며, 이것은 anticipatory planning, 실시간 모니터링, 사후 성찰에 대응된다.

Reasoning about clinical teaching is both improvised and scripted; it parallels but is distinct from the clinical reasoning process. Initial diagnosis is similar, although the focus is different (patient versus learner). Clinical instructional reasoning connects the teacher’s knowledge and thoughts (planning, diagnosis of patient and learner, interactive teaching and reflection) with the dynamic requirements of the clinical setting in order to provide targeted instruction to the needs of his or her learners.27 This whole process is monitored by metacognition, which mirrors anticipatory planning, monitoring in real time, and reflecting afterward.33


이 분야의 중요한 발견 중 하나는 훌륭한 임상 교사가 사전에 더 많은 계획을 세우고, 사후에 더 많이 평가와 성찰을 한다는 것입니다 .27,34 덜 전형적인 임상 교사는 성찰을 하지 않으며, 그 결과 경험만 많은 비전문가가 된다.

One of the important findings in this area of research is that excellent clinical teachers engage in a great deal of planning beforehand, and evaluation and reflection afterward.27,34 Less exemplary clinical teachers engage in less reflection and become experienced nonexperts.37



교수개발을 통한 지식 성장

KNOWLEDGE GROWTH THROUGH FACULTY DEVELOPMENT


임상 교육을위한 지식 변화는 임상 교사에게 복잡하고 지속적인 프로세스입니다.

Knowledge transformation for clinical teaching is a complex and ongoing process for clinical teachers.


교수 개발을 위한 이 지식 변환 프로세스의 네 가지 의미 :

  • (i) 새로운 스크립트를 검토, 해체하고 연습하십시오.

  • (ii) 기본 개념에 중점을 둔다.

  • (iii) 사용중인 지식knowledge-in-use를 보여주고,

  • (iv) 임상 교육을 위한 지지적 조직적 환경 조성 (그림 1).

four implications of this knowledge transformation process for faculty development:

  • (i) examine, deconstruct and practise new scripts; 

  • (ii) focus on foundational concepts; 

  • (iii) demonstrate knowledge-in-use, and 

  • (iv) create a supportive organisational climate for clinical teaching (Fig. 1).



새로운 스크립트 검토, 해체 및 연습

Examine, deconstruct and practise new scripts


모든 임상 교사는, 아무리 초심자라도, 수련 과정에서 수년간의 교육 경험이 있었기 때문에 이전의 스크립트를 바탕으로 새로운 교육 스크립트를 작성하게 된다. 기존 지식과 스크립트는 새로운 교수법에 대한 학습을 ​​도울 수 있지만, 방해 할 수도 있다 .38) 따라서 두 가지가 중요하다.

    • 첫째, 임상 교사는 자신의 교육 스크립트를 검토할 필요가있다. 

    • 둘째, 새로운 교수 스크립트가 기존 스크립트와 경쟁하고, 궁극적으로는 그것을 대체할 수 있도록 충분한 연습이 필요하다

Because all clinical teachers, even those who are novices, have had years of teaching experience during their training, new teaching scripts are built on prior scripts. Prior knowledge and prior scripts can help or hinder learning of new teaching practices.38 This has two implications: 

    • firstly, clinical teachers need to examine their own teaching scripts, and 

    • secondly, they need to practise new pedagogies and content enough to allow these new formulations to compete with, and potentially displace, older scripts.


예를 들어, OMP 워크샵에 참여하는 많은 임상 교사들은 이 모델을 사용하여 가르치고 있다고 생각합니다. 그러나 실제로 이 모델을 사용하는 연습을 관찰해보면, 기존 교육 스크립트가 새로운 모델과 다름을 깨닫게 됩니다. 따라서 임상 교사를 새로운 교수법을 배우는 데 참여시키는 첫 번째 단계는 기존의 교수 스크립트에 대한 보다 정확한 자기 인식을 유발하는 것입니다. 자기 발견과 때로는 놀라움을 토대로 새로운 모델이 현재 모델과 어떻게 다른지를 볼 수 있습니다.

For example, many clinical teachers who participate in workshops on the one-minute preceptor23 think that they use the model in their teaching. However, when they are required to practise and be observed using the model, they discover that their existing teaching scripts are at variance with the new model. Hence, the first step toward engaging clinical teachers in learning a new pedagogy is to trigger a more accurate self-perception of their existing teaching scripts. On the basis of their self-discovery and sometimes surprise, they can begin to see how the new model differs from their current model.


특정 주제 나 기술을 가르쳐본 기간이 길면 길수록, 교육은 더 일상화, 자동화된다. 나중에 추가 연습을 통해 정교화되고 수정될 수 있는 초기 스크립트를 작성하려면, 많은 연습 기회를 교수 개발 세션에 포함시켜야합니다.

The longer clinicians teach a particular topic or skill, the more routine and automated the interchange becomes. Multiple practice opportunities must be included in faculty development sessions in order to create an initial script that can be refined and revised later with further practice.


deliberate practice 모델을 사용하거나, 새로운 기술을 연습하는 것을 관찰하는 코치를 활용한다면 가장 효과적일 것이다. 연습없이 새로운 교육 방법을 시연하고 토론하는 것은 일반적으로 행동을 바꾸지 않을 것이다. 때로는 기존 스크립트를 수정하는 것이 어렵 기 때문에 전체 작업을 구성 요소로 분해하고 부분 연습에 참여해야합니다. 어느 쪽이든, 피드백을 통한 반복 연습이 필요합니다.

This works best using the deliberate practice model and having a coach watch the new skills being practised.42–44 Thus, demonstrating and discussing new pedagogies without practice will typically not change behaviour. Sometimes modifying existing scripts is so difficult that it is necessary to break the whole task into component parts and participate in part practice. Either way, repeated practice with feedback is necessary.45



기본 개념에 초점두기

Focus on foundational concepts


교육의 가장 어려운 측면 중 하나는 가르치지 않을 내용을 결정하는 것입니다. 무수한 세부 사항을 필수적이고 매우 단순화 된 개념으로 줄이는 것은 효과적으로 가르치는 법을 배우는 과정의 일부입니다. 모든 학문과 전공과 의료행위에는 조직화 원리와 기본 개념이 존재하고, 학습자는 이것을 이해함으로써 그 분야에 조금 더 다가갈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그것을 모르고는 이해할 수 없는 practice들을 이해할 수 있게 된다.

One of the most difficult to master aspects of teaching concerns deciding what content to leave out of a presentation. Being able to reduce the myriad of details to essential and highly simplified concepts is part of the process of learning to teach effectively. Every discipline, specialty and practice has organising principles and foundational concepts, which, if understood by learners, offer them access to the field and comprehension of otherwise mysterious practices.


임상 교사들은 교육 경험이 쌓일수록 기본 개념으로 돌아가게 된다고 보고한다.46 교수개발은 이러한 기본 개념 프레임 워크에 대한 토론을 촉진하고, 교사가 (핵심 개념보다는) 모든 사실을 가르쳐야한다는 공통된 믿음을 불식시키는 데 도움을 줄 수있다.

Clinical teachers report that the longer they teach, the more they go back to basic concepts in their instruction.46 Faculty development can promote discussion of these fundamental conceptual frameworks and help dispel the common belief that teachers must teach all the facts (rather than core concepts).


전문 직업인 교육 및 팀 기반 케어에 대한 강조가 증가함에 따라, 교수 개발에서 다양한 전문 분야의 참가자를 참여시키는 이점이 많이 있습니다. 그 이유는 다양성으로 인해 이해력이 향상되고, 가정에 도전하게 되고, 관점이 확대되기 때문이다. 그러나 반대로 공통의 이해를 달성하고 다양한 관점에 대한 관용을 달성하는 데 시간이 소요된다는 점은 비용이라 할 수 있다. 한 가지 좋은 전략은 처음에는 (팀 커뮤니케이션, 시스템 변경, 리더십 및 피드백과 같은 영역에서) 공통의 역할, 작업, 이해에 초점을 맞추는 것이다.

With increasing emphasis on interprofessional education and team-based care, There are significant advantages to incorporating participants from differing specialties and professions in faculty development because the diversity enriches understanding, challenges assumptions and expands perspectives. However, there is a cost in terms of the time required to achieve shared understanding and tolerance for diverse points of view. One strategy is to focus initially on shared roles, tasks and understandings in areas such as team communication, systems change, leadership and feedback.



사용중인 지식 보여주기

Demonstrate knowledge-in-use


교수진 개발자는 교수 개발 워크숍에서 최고의 교수법을 모델링하고 실제로 사용하는 지식을 시연할 수 있습니다. 특히 신규 임상 교사는 좋은 교육행위를 관찰함으로써 이익을 얻게 된다. 특히 임상 현장에서 입증 된 경우 더욱 그러합니다.

Faculty developers can model best teaching practices in faculty development workshops and demonstrate knowledge use in action. New clinical teachers in particular benefit from observing good teaching practices, especially when demonstrated in the context of their clinical workplace.


(토론을 촉진하는 것과 같은) 새로운 일반적인 교수법을 워크샵에서 가르 칠 때, 새로운 기술의 transfer과 사용을 극대화하기 위해서는 세트닉이 내용지식 안에 통합되어야 한다. 그렇기 때문에 내용정보와 교육지침이 모두 포함 된 튜터가이드가 가장 도움이됩니다. 본질적으로, 이 가이드는 전체 과정을 scaffold하고 교육 내용 지식을 부분적으로 볼 수 있게 합니다. 예제 사례는 전공과목에서 볼 수있는 일반적인 사례를 묘사해야하며, 단순한 사례에서 복잡한 사례로 진행되어야합니다.

When teaching new general pedagogical strategies in workshops, such as that of facilitating a discussion, the new techniques should be embedded within the content knowledge to be taught in order to maximise transfer and use. This is why tutor guides that include both content information and instructional guidelines are most helpful. In essence, these guides scaffold the whole process and make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partially visible. the practice cases should portray common cases seen in the specialty, and should progress from simple to complex cases.


교육에서 모범 사례를 배우는 일은 학습에 관한 새로운 언어를 습득하는 것에 비유할 수 있다.

Part of learning best practices in education is acquiring a new language about learning.


(예 : 행동,인지, 사회) 이론, 새로운 개념 (예 : PCK,인지 도제) 및 일반적인 교수법 기술 (예 : 1 분 프리셉터) 등이 있습니다.

learning theories (e.g. behavioural, cognitive, social), new concepts (e.g. PCK, cognitive apprenticeship), and general pedagogical skills (e.g. the one-minute preceptor).


지지적 분위기 조성하기

Create a supportive organisational climate


가르침에 대한 지식은 실천 공동체 내에서 함께 구성됩니다. 따라서 교수 개발 프로그램은 공동 작업을 포함해야 한다.

Knowledge for teaching is co-constructed within communities of practice. As such, faculty development programmes should incorporate collaborative


참가자 간 연결을 학습하고 강화함으로써 임시 공동체 또는 teaching commons를 창출합니다 .48 그러나 교사는 교실 및 임상 환경에서 실습 공동체 내에서 일합니다. 대부분의 교수 개발 프로그램은 워크숍이나 종단 펠로우쉽 프로그램 내에서 만들어진 임시적 공동체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으며, 교육행위가 이뤄지는 근무지학습공동체는 무시합니다. 새로운 (교육) 전략은 근무지에서의 교수법 개선을 위해 formulate되어야한다.

learning and strengthen connections among participants, thereby creating a transitory community or teaching commons.48 However, teachers also work within communities of practice in their classrooms and clinical settings. Most faculty development programmes focus on the transitory community created in a workshop or longitudinal fellowship programme, and ignore the workplace learning communities of teaching practice. New strategies need to be formulated to improve teaching in the workplace.49


임상 교사의 전문성 개발을 지원하고 노력하는 문화를 창출하기 위해서는 기관적 리더십과 지원, 교수진 개발, 자원 및 계획이 필요합니다. 이 과정은 한 진료소 또는 한 코스의 마이크로 시스템 내에서 또는 부서 또는 기관 차원에서 시작할 수 있습니다.

Creating a culture that is committed to supporting the professional development of clinical teachers requires institutional leadership and support, faculty development, resources and planning.49,50 The process can start within a micro-system of one clinic or one course, or at the departmental or institutional level.


CONCLUSIONS


42 Coughlan EK, Williams AM, McRobert AP, Ford PR. How experts practise: a novel test of deliberate practice theory. J Exp Psychol Learn Mem Cogn 2014;40 (2):449–58. XXX


43 Duvivier RJ, van Dalen J, Muijtjens AM, Moulaert VR, van der Vleuten CP, Scherpbier AJ. The role of deliberate practice in the acquisition of clinical skills. BMC Med Educ 2011;11:101.







 2014 Aug;48(8):776-84. doi: 10.1111/medu.12507.

Excellence in clinical teachingknowledge transformation and development required.

Author information

1
Office of Medical Education, University of California San Francisco, San Francisco, California, USA.

Abstract

CONTEXT:

Clinical teachers in medicine face the daunting task of mastering the many domains of knowledge needed for practice and teaching. The breadth and complexity of this knowledge continue to increase, as does the difficulty of transforming the knowledge into concepts that are understandable to learners. Properly targeted faculty development has the potential to expedite the knowledgetransformation process for clinical teachers.

METHODS:

Based on my own research in clinical teaching and faculty development, as well as the work of others, I describe the unique forms of clinical teacher knowledge, the transformation of that knowledge for teaching purposes and implications for faculty development.

RESULTS:

The following forms of knowledge for clinical teaching in medicine need to be mastered and transformed: (i) knowledge of medicine and patients; (ii) knowledge of context; (iii) knowledge of pedagogy and learners, and (iv) knowledge integrated into teachingscripts. This knowledge is employed and conveyed through the parallel processes of clinical reasoning and clinical instructional reasoning. Faculty development can facilitate this knowledge transformation process by: (i) examining, deconstructing and practising new teachingscripts; (ii) focusing on foundational concepts; (iii) demonstrating knowledge-in-use, and (iv) creating a supportive organisational climate for clinical teaching.

CONCLUSIONS:

To become an excellent clinical teacher in medicine requires the transformation of multiple forms of knowledge for teachingpurposes. These domains of knowledge allow clinical teachers to provide tailored instruction to learners at varying levels in the context of fast-paced and demanding clinical practice. Faculty development can facilitate this knowledge transformation process.

PMID:
 
25039734
 
DOI:
 
10.1111/medu.12507


임상수련에서의 위임(entrustment) 결정(Acad Med, 2016)

Entrustment Decision Making in Clinical Training

Olle ten Cate, PhD, Danielle Hart, MD, Felix Ankel, MD, Jamiu Busari, MD, MHPE, PhD, Robert Englander, MD, MPH, Nicholas Glasgow, MD, Eric Holmboe, MD, William Iobst, MD, Elise Lovell, MD, Linda S. Snell, MD, MHPE, Claire Touchie, MD, MHPE, Elaine Van Melle, PhD, and Keith Wycliffe-Jones, MBChB, on behalf of the International Competency-Based Medical Education Collaborators




신뢰와 위임이라는 용어는 의학 교육 문헌에서 점점 더 많이 사용되고 있습니다 .1-7 환자와 임상의 간의 신뢰는 좋은 돌봄의 토대이며, 연수생과 의료 전문가 감독 간의 신뢰는 효과적인 임상 교육의 핵심입니다. 위탁 결정은 일상적인 임상 진료와 직장에서의 평가를 align하려는 시도를 반영합니다.


The terms trust and entrustment are increasingly being used in the medical education literature.1–7 Trust between patients and clinicians is foundational to good care, and trust between trainees and supervising medical professionals is key to effective clinical education. Entrustment decision making reflects an attempt to align assessment in the workplace with everyday clinical practice.8–10


신뢰, 통제, 자율

Trust, Control, and Autonomy


환자와 사회가 의료계에 부여한 신뢰란, 양질의 서비스와 그 품질을 통제 할 전문적인 의무에 대한 것이며, 이는 사회적 계약이라 불린다. 지난 수십 년 동안 건강 관리 시스템에 대한 대중의 신뢰 감소가 관찰되어이 계약에 이의가 제기되어왔다 .16,17 보건 의료의 중대한 사건들이 이러한 과정이 촉발되었습니다.

The trust that patients and society bestow on the medical profession, in return for high-quality service and a professional obligation to control its quality, has been named a social contract.15 In the past decades, a decrease in public confidence in health care systems has been observed, challenging this contract.16,17 Critical incidents in health care have triggered this process.


1970 년대 이래로 의료의 질, 안전 및 상해를 측정하는 능력이 크게 향상되었지만 전문가와 대중 모두가 품질 결핍을 느꼈고, 체계적인 퀄리티 개선의 필요성을 인식하게되었습니다 .21,22 보건 의료에 대한 대중의 신뢰는 보건 의료 산업에 대한 공공 통제 강화와 의료계 내부 통제 개선 노력에 관심을 불러 일으켰다.

While the ability to measure quality, safety, and harm in health care has increased substantially since the 1970s, it has also made both the profession and the public aware of quality deficiencies and of the need for systematic quality improvement.21,22 The decrease of public trust in health care has thus sparked interest in greater public control over the health care industry23 as well as efforts to improve internal control within the medical profession.24


통제는 위험을 제거하기 위한 노력을 말하지만, 반대로 신뢰는 위험을 어느 정도 받아들임을 함축한다. 내부 통제는보다 안전한 보건 의료 세상을 만들기 위한 것이지만, 통제를 위한 조치는 궁극적으로 환자 안전이 위험해질 수 있다는 '불신'의 메시지를 전달한다. 잠재적 위험을 줄이기 위해, 지난 수십 년 동안 레지던트에 대한 감독이 점점 늘어났으며, 그 결과 레지던트 수련을 마치기 전까지 환자에 대한 온전한 책임을 경험하지 못하는 지점에 다다르기에 이르렀다전공의로 하여금 환자 책임을 지게 할 경우 따라올지도 모르는 소송에 대한 두려움이 이러한 추세에 기여했습니다 . Mattar 등은 최근, 수련이 끝날 때 외과의가 여러면에서 교과 교육에 대한 준비가되어 있지 않고, 독립적 의료행위를 하지 못하는 것은 물론, 전례없는 수의 전공의들이 펠로우 과정을 밟고자한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새로운 수련과정의 모델은 점진적 책임 시스템을 복원할 필요가 있다. 이것은 적절한 감독을 통해서만 달성할 수 있으며, 그럼으로써 과거에 만연했던 감독받지 않은 의료행위를 위험한 상황을 회피할 수 있다.

Control strives to exclude risk, while trust implies that risk must be accepted to a certain extent. Internal control is intended to create a safer health care world, but measures to exert control often convey a message of distrust7,17 that can ultimately jeopardize patient safety. In an attempt to mitigate possible risks, supervision of residents has increased in the past decades to a point where learners hardly experience the full responsibility of health care before they commence unsupervised practice.24 Fear of litigation for having trainees take responsibility has contributed to this trend. Mattar et al25 recently found that surgeons at the end of training were, in many respects, not ready for fellowships, let alone unsupervised practice, and an unprecedented number sought to extend their training through fellowships. New training models are needed to reinstate a system of graded responsibility.24 This can be achieved only with adequate supervision, to avoid the dangerous circumstances created by the unsupervised practice of learners that was previously common.



점진적 책임 시스템따라, 이러한 새로운 수련 모델은 연수생이 더 높은 수준의 숙달에 도달하도록 자극해야합니다. 주어진 작업을 하기 위해 새로운 지식이나 기술을 습득 할 필요가 발생하는데, 이런 것이 하나의 자극이 될 수 있다. 학습자가 이미 마스터 한 것과 새롭게 숙련되어야 하는 것 사이의 거리를 ZPD라고 부른다.26 이러한 격차가 유발하는 건설적인 마찰은 학습을 위해 불가피할 뿐만 아니라 필수적이다 .27 효과적인 교육에서 감독자는 이러한 '마찰friction'을 만들어내야 하며, 그 과정에서 학습자가 이것을 처음 수행 할 때 불완전하게 행동 할 위험을 감수해내야 한다. 리스크를 관리 가능한 수준으로 만드는 것이야말로 위탁 결정의 본질이다. 환자 안전을 위해서는 [효과적인 감독]과 [건설적인 마찰 사이에서 기인하는 위험] 사이의 균형이 필요하다

Based on a system of graded responsibility,25 these new training models must stimulate trainees to push for higher levels of mastery. An imminent need to acquire new knowledge or skills necessary to do a requested job often serves as that stimulus. An adequate distance between what a learner has mastered and an incremental new level of proficiency has been called a zone of proximal development.26 The constructive friction that this gap causes is unavoidable and necessary for learning.27 Effective education requires supervisors to create this friction while taking the risk that a learner will act imperfectly when performing new tasks the first time. Creating a manageable level of risk is inherent in decisions about entrustment. Balancing effective supervision with the risk inherent in creating constructive friction is critical to preserving patient safety.28



등록과 인증은 공식적인 신뢰, 책임, 자율성의 순간이다. 자율성이라는 단어는 정서적 요소로 가득차있다. 

  • 심리학자들은 내재적 동기 부여의 핵심 조건으로 스스로 선택할 수 있는 자유를 강조하는 경향이있다. 29 

  • 사회학자들은 자율성을 다른 직종과 전문직을 구별하는 핵심 특징이라고 생각한다 .30 

  • 의사들은 전통적으로 자율성을 환자의 이익을 극대화하기 위한 필요조건이라고 주장해왔다.

Registration and certification formally mark moments of trust, responsibility, and autonomy. The word autonomy is emotionally charged. Psychologists tend to stress the freedom to make one’s own choices as a key condition for intrinsic motivation,29 sociologists view autonomy as a core feature that distinguishes professions from other occupations,30 and physicians have traditionally claimed autonomy as a necessary condition to maximize benefits for patients.31



퀄리티, 안전, 책무성, 투명성에 대한 현재의 견해에 따르자면, 자율적 의료행위라는 것은 (협력의 상호의존성을 가지고) 공유된 전문직 표준 내에서의 전문적 선택으로 제한된다. 의료행위의 실천 주체는 완전히 독립적이지 않기에, '필요한 수준의 상호의존성'이라는 새로운 특성을 강조하기 위해 관계적 자율relational autonomy이라는 용어가 도입되었습니다 .32) 수련의 또는 전공의의 감독받지 않은 의료행위는 감시받지 않는 자율성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며(왜냐하면 부서와 기관 수준의 감시가 늘 있을 것이므로), 교사 및 멘토가 해줘야만 하는 교육적 감독이 서서히 희미해지는fading 것을 의미한다.

Current views on quality, safety, accountability, and transparency restrict autonomous practice to the freedom to make professional choices within the boundaries of shared professional standards with the interdependence of collaboration. As health care ceases to be practiced by soloists, the term relational autonomy was introduced to stress the new characteristic of necessary interdependence.32 Unsupervised practice by medical trainees does not imply autonomy without oversight—since there will be continued departmental and institutional oversight—but the fading of required educational supervision, such as by teachers and mentors.



의료에서 신뢰와 위임의 개념

Defining Trust and Entrustment in Health Care and Training


옥스포드 영어 사전에 따르면, 

  • 신뢰Trust는 "사람이나 물건의 어떤 품질이나 속성에 대한 신뢰 또는 의존"입니다. 

  • 위탁Entrust이란 "[사물 또는 사람]의 돌보심이나 처분 또는 [사역의 수행]을 사람에게 또는 사적으로 알리는 것"입니다. 

  • 위임Enstrutment은 "위탁하는 행위 또는 위임된다는 사실"입니다.


  • Trust, according to the Oxford English Dictionary, is “confidence in or reliance on some quality or attribute of a person or thing.” 

  • To entrust is “to confide the care or disposal of [a thing or person] or the execution of [a task] to or with a person.” 

  • Entrustment is “the action of entrusting or the fact of being entrusted.”33




Pollock23은

Pollock23 explains that 

trust involves the confident expectation that a person can be relied on 

      • to honour implied or established commitments to an individual and 

      • to protect [the individual’s] interest. 

It renders the individual vulnerable to the extent he cannot oversee or control the actions of the other, on whose expertise or integrity he may depend.


Mayer 등이 제공하는 신뢰의 정의는 다음과 같다.

한 집단이 다른 집단의 행동에 의한 취약성을 기꺼이 받아들이려는 의지. 이러한 의지는 상대 집단이, 그들에 대한 감시나 통제가 있든지 없든지, 그 집단을 신뢰하는 사람에게 중요한 행동을 해 줄 것이라는 기대에 기반한다.

A definition of trust provided by Mayer et al34 is 

the willingness of a party to be vulnerable to the actions of another party based on the expectation that the other will perform a particular action important to the trustor, irrespective of the ability to monitor or control that other party.


의료 훈련 환경에서 trust란 사전적 정의를 다음과 같이 이해할 수 있다 "감독관이나 의료팀이 trainee에게 의존하는 것으로서, 이 trainee가 특정한 전문직으로서의 업무를 정확히 수행할 것으로 믿으며, 필요에 따라서는 도움을 요청할 의지가 있다고 믿는 것". Trust는 truster와 trustee의 상호의존성이며, trainee의 실수가 감독관 개인에게 영향을 줄 수 있으므로, 감독관이 취약성vulnerability를 (의도적으로) 생성함을 의미한다따라서 trust는 trustee의 행동으로 인해 취약해질 수 있다는 점에 대한 수용을 수반하며, 이러한 수용은 trustee가 아마도 예측한 방식으로 수행할 것이라는 기대에 기바한다.


In a medical training setting, trust can be understood by interpreting the dictionary definition to be “the reliance of a supervisor or medical team on a trainee to execute a given professional task correctly and on his or her willingness to ask for help when needed.” Trust requires interdependence between truster and trustee, and creates supervisor vulnerability, as mistakes made by a trainee may affect the supervisor personally.1 Trust thus entails an acceptance of being vulnerable to the actions of a trustee—an acceptance based on the expectation that the trustee will probably perform in a predictable way.34–



추청적 신뢰, 초기 신뢰, 확립된 신뢰

Presumptive, initial, and grounded trust


감독관-수련생 사이에는 세 가지 모드의 신뢰가 존재한다: 추정적 신뢰, 초기 신뢰, 확립된 신뢰

three modes of trust in clinical supervisor–trainee relationships: presumptive trust, initial trust, and grounded trust.


추정적 신뢰는 연수생과 사전 상호 작용이 없는 상태에서 전적으로 자격증에 의존한다. 자격증, 기관, 추천서 등에 대한 신뢰이며, 특별한 경우가 아니라면 대부분 기본적으로 존재합니다. 추정 신뢰의 위반을 회복 시키려면 보통 시간이 필요하다.

Presumptive trust15 is based solely on credentials, without prior interaction with the trainee. It is trust in diplomas, institutions, or referents recommending the person and is often present as a default unless it is breached. Restoring a breach of presumptive trust usually requires time.38



초기 신뢰는 첫인상을 기반으로하며 때로는 신속한 신뢰 또는 얕은 신뢰라고도합니다 .39 첫 인상의 정확도는 연수생 변수 (바람직한 인상을 보여주고자 함)와 감독의사 변수 (기분, 성별, 지능, 유사 연수생 경험)에 달려 있다 .40 신뢰 성향은 누군가에게 의지하고자 하는 성향으로 정의되며, 다양 할 수 있습니다. 초기 신뢰는 후광 효과 (후반에 관찰 된 자질에 대한 첫인상 색채 판단)와 자기 충족 예언 효과 (예 : 초반의 나쁜 인상은 지속적인 긴장감 또는 관계에 대한 자신감 부족을 초래할 수 있음)에 취약합니다. 초기 신뢰는 의료 의사 결정에서의 패턴 인식과 닮았습니다.

Initial trust is based on first impressions and is sometimes called swift trust or thin trust.39 The accuracy of first impressions is likely affected by trainee variables (desire to make a favorable impression) and supervising clinician variables (mood, gender, intelligence, experience with similar trainees).40 Trust propensity, defined as a dispositional willingness to rely on someone, can vary. 35 Initial trust is vulnerable to halo effects (first impressions color judgment of qualities observed later) and self- fulfilling prophecy effects (e.g., early bad impressions may create lasting tension or a lack of confidence in a relationship). Initial trust bears some resemblance to pattern recognition in medical decision making.40



확립된 신뢰는 연수생과의 본질적이고 장기간의 경험에 기초합니다. 예를 들어, 사회는 개인을 차별없이 운전하도록 신뢰합니다. 단,이 신뢰는 특정 조건에 근거해야합니다(최소 연령, 이론 시험에 합격, 실기 시험에 합격하고 암묵적으로 여러 시간의 감독하에 운전 한 경우). 의료 연수생에 대한 신뢰는 연수생이 감독없이 행동 할 수 있도록 충분한 관찰과 관련 데이터가 선행되어야한다.

Grounded trust is based on essential and prolonged experience with the trainee. For example, society places trust in individuals to drive a car unsupervised, provided this trust is grounded with specified conditions (minimum age, having passed a theoretical exam, having passed a practical exam, and implicitly having executed a number of hours of supervised driving). Grounded trust in medical trainees should be preceded by sufficient observation and pertinent data to qualify the trainee to act without supervision.




임시적, 총괄적 위임 결정

Ad hoc and summative entrustment decisions



위임 결정은 두 가지 범주로 분류된다. 

  • 위임 결정은 임시적일 수 있으며, 이는 의료 상황에서 지속적으로 발생한다. 또는 

  • 위임 결정은 총괄적일 수 있으며, 이 경우 위임 결정은 근거가 있는 신뢰를 기반으로 하며, 일반적인 인증의 성격을 지니며, 특정 단위의 전문적 의료행위를 감독없이 행동 할 수 있는 특권을 말한다.

categorize entrustment decisions. We propose two categories. Entrustment decisions may be ad hoc,1 as happens continuously in health care situations, or summative,2 when the entrustment decision is based on grounded trust and has the nature of a generalized certification and privilege to act without supervision for a specified unit of professional practice.41


연수생에 대한 임상 감독자의 임시적 위임 결정은 일반적으로 연수생의 예상 신뢰도, 예상되는 위험, 취업의 긴박성, 현재 특정 작업에 대한 특정 연수생의 적합성을 토대로 결정합니다. 그러나 미래에 유사한 결정을 내릴 때 반드시 이 경우를 전례로 삼을 필요는 없다.

Ad hoc entrustment decisions by clinical supervisors about trainees are usually based on a mix of estimated trustworthiness of the trainee, estimated risk of the situation, urgency of the job to be done, and suitability of this task at this moment for this learner. They do not necessarily constitute a precedent for similar decisions in the future.


대조적으로, 총괄적 위임 결정은, 충분한 평가를 근거로, 교육 프로그램 책임자 또는 임상 역량위원회의 결정을 따르며, 그 연수생이 미래에서 특정 수준의 감독만을 받으면 된다는 인증 또는 특권이 된다.

In contrast, summative entrustment decisions, grounded in sufficient evaluation and made by educational program directors or clinical competency committees, should lead to certification and privileging of the trainee to act in the future with a specified level of supervision.


신뢰를 위한 단계

The progression toward being trusted


1. 배석 및 관찰 Be present and observe 

2. 직접 감독하에 수행 Act with direct supervision 

3. 간접 감독하에 수행 Act with indirect supervision 

4. 감독 없이 수행 Act without supervision 

5. 다른 사람을 감독 Provide supervision



5 단계 감독 체제가 제안되었다. 표 1은 이 등급을 요약 한 것입니다. 14,41,45,46 연수생은 안전에 문제가 없다고 판단된다면, 최대한 초기에 이들 단계를 진행할 수 있습니다. 지지적 수련환경을 갖춰놓고서, 감독받지 않으면서 의료행위를 할 수 있는 상태를 [수련생이 법적으로 자격을 갖출 때까지] 미루는 것은, 수련생으로부터 소중한 의료행위의 기회를 빼앗는 것이다.

a framework of five levels of supervision has been proposed. Table 1 summarizes the specifications of these levels from various previous publications.14,41,45,46 Trainees may progress through these levels as early as it is deemed safe. Waiting to trust trainees to act unsupervised until after they are legally qualified deprives them of the valuable opportunity to practice unsupervised while still in a supportive training environment.


안전한 연습을 보장하면서 동시에 학습자의 진정한 책임 경험을 자극하는 균형 잡힌 원격 관리가 중요합니다 .47

Balanced, distant supervision that ensures safe practice while at the same time stimulating the authentic experience of responsibility in learners is key.47


근무지 평가로서의 위임 결정

Entrustment Decision Making as Workplace Assessment



직장 내 평가는 의료 전문가의 관찰에 의존하기 때문에 어려움이 있습니다. 다양한 컨텍스트, 환자 및 감독자에 따라 다르므로 표준화 할 수 없습니다.

Workplace-based assessment is fraught with difficulty, as it relies on observations by medical professionals. It cannot be standardized, as it depends on varying contexts, patients, and supervisors.



지난 10 년 동안 직장에서 더 타당한 평가를 추구하는 것은 점수의 신뢰성과 일반화 가능성을 높이는 데 중점을 두었습니다. 예를 들어, 내과 의사 거주자에 대한 전통적으로 긴 임상 평가 시험을 여러 개의 최소 임상 평가 시험으로 분류하면 표본 추출 및 일반화 가능성이 더 높아졌지만, 합리적인 신뢰도를 확립하기 위해서는 관찰 건수가 50건은 되어야 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역량을 타당하게 평가하는 평가 도구를 설계하는 것은 그다지 성공적이지 못하였다.

In the past decade, the quest for more valid assessment in the workplace has focused on increasing the reliability and generalizability of scores. For example, breaking down the traditionally long clinical evaluation exam for internal medicine residents into multiple mini- clinical evaluation exercises led to better sampling and generalizability,55 but the number of observations to establish a reasonable reliability has been estimated to be as large as 50.56 Designing assessment instruments to validly assess competencies has had limited success.57



평가의 consequential validity는 그 목적에 기인한다 .60) 위임 결정은 연수생의 능력뿐 아니라 권리와 의무도 확인하는 명확한 목적을 가지고있다 .61-63 위임의 초점은 현재의 관찰 가능한 성과를 평가하는 것이 아니라, 직접 감독없이 새로운 생소한 상황으로까지 훈련생의 능력을 transfer하는 데 있습니다.


The consequential validity of an assessment stems from its purpose.60 Entrustment decisions have a clear purpose, which is to confirm not only the ability, but also the right and the duty, for a trainee to act.61–63 The focus is not on rating current observable performance but, instead, on the transfer of the trainee’s capacity to new, unfamiliar situations, without direct supervision.


위임 결정에 관여하는 요인

Factors Involved in Entrustment Decision Making


몇몇 저자들 (4,52,65-67)은 연수생의 위탁 결정이 어떻게 이루어 졌는지 조사했다.

Several authors4,52,65–67 have investigated how entrustment decisions for medical of trainees come about.


여러 가지 요소 각각의 다섯 가지 범주가 함께 연수생에게 작업장에서 새롭고 중요한 임무를 맡기기 위해 임시 결정을 내리는 지 여부를 결정합니다. 이러한 요소는


(1) 연수생,

(2) 그 결정을 내리는 감독자, 

(3) 맥락 또는 상황, 그리고

(4) 작업 또는 활동. 

(5) 연수생과 감독자 사이의 관계


(5)는 그 자체를 요인으로 하여 함께 카테고리로 제안되었으며, 2 이것은 신뢰의 발전을 조건으로하는 것처럼 보입니다.


five categories, each of multiple factors, together determine whether an ad hoc decision is taken to entrust a trainee with a new and critical task in the workplace. These factors are specific characteristics of 

(1) the trainee, 

(2) the supervisor making that decision, 

(3) the context or circumstances, and 

(4) the task or activity. In addition, 

(5) the relationship between trainee and supervisor has been suggested as a category, with its own factors,2 as this appears conditional for the development of trust.


총괄적 위임결정의 토대 갖추기

Grounding Summative Entrustment Decisions


총괄적 위임 결정을 내릴 때, 목표는 오직 trainee 요인에만 초점을 맞추는 것입니다. 임시 결정과는 달리, 총괄 결정은 관리자가 누구인지, 맥락이 어떠한지에 거의 영향을 받지 않아야합니다. 연수생이 충분한 능력을 입증하고 감독받지 않은 채 실행할 수있는 전문 연습 단위를 의미하는 EPAs는 총 위탁 결정의 초점이 될 수 있습니다.

In making a summative entrustment decision, the aim is to focus on trainee factors only. In contrast to ad hoc decisions, summative decisions should depend little on supervisor features and context characteristics. EPAs, which are units of professional practice that trainees are permitted to execute unsupervised once they have demonstrated sufficient competence,13,41 can be the focus of summative entrustment decisions.


이러한 총괄적 위임 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는 훈련 단계, 전문 분야, EPA에 따라 다를 수 있지만 그러한 결정의 타당성을 뒷받침하기 위해서는 항상 다수의 정보 출처를 활용해야 한다. 표 3은 문헌에 언급 된 필수 유형 및 정보 출처를 고려한다.

Factors affecting these summative entrustment decisions will vary, depending on stage of training, specialty, and the EPA, but there will always be multiple information sources involved to support the validity of such decisions. Table 3 considers the requisite types and sources of information that are stated in the literature.


케네디 (Kennedy) 등이 제안한 가장 기초적인 요소 인 적격성, 양심 성, 진실성, 자기 자신의 한계를 판단하는 것은 위임 결정의 기본입니다. 아리스토텔레스는 철학에서 표현 된 요소들을 아리스토텔레스의 수사법 (Arthritre 's Rhetoric)만큼 거슬러 올라간다. 아리스토텔레스는 연설자의 정신이 지능, 성격 (신뢰성, 정직), 선의(좋은 의도)의 세 가지에 대한 인식에 기초해야한다고 제안했다. 이것들은 Mayer 등이 신뢰와 신뢰를 지원하기 위해 제안한 능력, 완전성, 자비의 윤리에 부합하며, 철학자 오닐이 제안한 역량, 신뢰성, 정직의 신뢰 조건에도 부합한다.

The most foundational factors— competence, conscientiousness, truthfulness, and discernment of one’s own limitations, as proposed by Kennedy et al69—are fundamental to any entrustment decision. They align, for instance, with factors expressed in philosophy, dating as far back as Aristotle’s Rhetoric.71 Aristotle suggested that a speaker’s ethos should be based on the listener’s perception of three things: intelligence, character (reliability, honesty), and goodwill (favorable intentions). These are parallel to the ethics of ability, integrity, and benevolence proposed by Mayer et al34 to support trust and with the current philosopher O’Neill’s17,70 proposed trust conditions of competence, reliability, and honesty.





결론

Summing Up


우리는 의료 교육의 목표를 감독이 없는 상태에서의 의료행위을 위한 준비로 정의하고, 직장에서 제공되는 감독 수준에 따라 직장에서의 평가 결과가 측정되도록 권고합니다.

We define the goal of medical education as readiness for unsupervised practice and recommend that the outcome of assessment in the workplace be measured in terms of the level of supervision to be provided.



의료 종사자에게 임상 업무를 위임하는 것은 의과 대학생, 레지던트, 펠로우가 훈련받는 거의 모든 임상 환경에서 매일 여러 번 발생하는 일종의 쉬운 과정입니다. 그러나 자세히 들여다보면, 간접적이거나 원격 감독에서는 어떻게, 언제, 그리고 학습자가 책임을 부여 받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많은 요소가 나타난다.

The entrustment of clinical tasks to medical trainees is a seemingly easy process that occurs multiple times every day in almost every clinical setting where medical students, residents, or fellows are trained. Yet, when analyzed, many factors appear to determine how, when, and whether learners are granted responsibilities under indirect or distant supervision.


위임 결정을 명시 적으로 지정하면 현상 유지를 변경할 수 있습니다. 

  • 첫째, 최적의 위임을 위해서는 보다 효과적인 평가가 필요합니다. 

  • 둘째, 안전하고, 효과적이며, 환자 중심 진료를 위임의 frame of reference로 둠으로써, 초점이 명확히 환자가 되게 할 수 있다.

  • 셋째, 명백한 위임은 교육 과정 설계와 관련된 어려운 대화를 필요로한다.

Making entrustment decisions explicit can help to change the status quo. 

  • First, this requires more effective assessments to make the optimum entrustment. 

  • Second, making safe, effective, patient-centered care the frame of reference for the entrustment brings the focus back more firmly to the patient.59 

  • Third, explicit entrustment requires the hard conversations around curriculum design.


위임 결정은 임상가가 단순히 관찰 된 성과를 보고하기보다는, 연수생에게 책임을 부여함으로써 가까운 장래에 수반되는 기회 및 위험에 대해 더 의식적으로 생각하도록 강제합니다.

Entrustment decision making forces clinicians to think more deliberately about opportunities bestowed and risks incurred in the near future by granting responsibility to trainees, rather than simply reporting observed performance.







 2016 Feb;91(2):191-8. doi: 10.1097/ACM.0000000000001044.

Entrustment Decision Making in Clinical Training.

Author information

1
O. ten Cate is professor of medical education and director, Center for Research and Development of Education, University Medical Center, Utrecht, the Netherlands. D. Hart is associate program director of emergency medicine and director of simulation, Hennepin County Medical Center, and assistant professor, University of Minnesota Medical School; both in Minneapolis, Minnesota. F. Ankel is executive director of health professional education, Healthpartners Institute for Education and Research, Bloomington, Minnesota, and professor of emergency medicine, University of Minnesota Medical School, Minneapolis, Minnesota. J. Busari is program director, Department of Pediatrics, Atrium Medical Center, Heerlen, and associate professor of medical education, Faculty of Health, Medicine and Life Sciences, Maastricht University, Maastricht, the Netherlands. R. Englander, at the time this article was written, was senior director of competency-based learning and assessment, Association of American Medical Colleges, Washington, DC. N. Glasgow is dean, Medical School, Australian National University, Canberra, Australia. E. Holmboe is senior vice president, Accreditation Council for Graduate Medical Education, Chicago, Illinois. W. Iobst is vice dean and vice president for academic and clinical affairs, Commonwealth Medical College, Scranton, Pennsylvania. E. Lovell is associate program director of emergency medicine, Advocate Christ Medical Center, Oak Lawn, Illinois, and clinical associate professor, University of Illinois at Chicago, Chicago, Illinois. L.S. Snell is professor of medicine, Centre for Medical Education, McGill University, Montreal, Quebec, Canada, and senior clinician educator, Royal College of Physicians and Surgeons of Canada, Ottawa, Ontario, Canada. C. Touchie is chief medical education advisor, Medical Council of Canada, and associate professor, University of Ottawa Faculty of Medicine, Ottawa, Ontario, Canada. E. Van Melle is education researcher, Queen's Univ

Abstract

The decision to trust a medical trainee with the critical responsibility to care for a patient is fundamental to clinical training. When carefully and deliberately made, such decisions can serve as significant stimuli for learning and also shape the assessment of trainees. Holding back entrustment decisions too much may hamper the trainee's development toward unsupervised practice. When carelessly made, however, they jeopardize patient safety. Entrustment decision-making processes, therefore, deserve careful analysis.Members (including the authors) of the International Competency-Based Medical Education Collaborative conducted a content analysis of the entrustment decision-making process in health care training during a two-day summit in September 2013 and subsequently reviewed the pertinent literature to arrive at a description of the critical features of this process, which informs this article.The authors discuss theoretical backgrounds and terminology of trust and entrustment in the clinical workplace. The competency-based movement and the introduction of entrustable professional activities force educators to rethink the grounds for assessment in the workplace. Anticipating a decision to grant autonomy at a designated level of supervision appears to align better with health care practice than do most current assessment practices. The authors distinguish different modes of trust and entrustment decisions and elaborate five categories, each with related factors, that determine when decisions to trust trainees are made: the trainee, supervisor, situation, task,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rainee and supervisor. The authors' aim in this article is to lay a theoretical foundation for a new approach to workplace training and assessment.

PMID:
 
26630606
 
DOI:
 
10.1097/ACM.0000000000001044


스키마를 활용하여 교육해야 할 것인가? 무작위연구 근거(Med Educ, 2012)

Should we teach using schemas? Evidence from a randomised trial

Sarah Blissett,1–3 Rodrigo B Cavalcanti1–3 & Matthew Sibbald1–3





도입

INTRODUCTION


인지 부하 이론의 렌즈를 통해 보는 정보 과부하

Information overload through the lens of cognitive load theory


인지 부하 이론은 작업 기억의 유한이라는 한계를 통해 학습의 어려움을 봅니다 .1 주제가 다수의 상호 작용적 요소를 포함하면 작업 기억이 압도되어 학습하기 어려워 질 수 있습니다. 전통적으로 많은 상호 작용 요소를 지닌 복잡한 과목은인지 부하를 줄이기 위해 각 요소를 개별적으로 제시하는 방식으로 교육하였다.1,2 예를 들어, 심혈관계 신체 검사를 학습하려면 학생들은 각 관련 진단에 대한 finding 목록을 습득해야합니다.

Cognitive load theory views the challenges of learning through the finite limitations of working memory.1 When a subject matter involves multiple interacting elements, it can overwhelm working memory and become difficult to learn. Traditionally, complex subjects with many interacting elements are taught by presenting each element separately to reduce cognitive load.1,2 For example, learning cardiac physical examination requires students to master lists of findings for each relevant diagnosis.


그러나 학생이 알 수없는 수축기 심잡음을 가진 환자를 만날 때, 그들은 기억력에 엄청난 도전이 되는 진단을 얻기 위해이 모든 정보를 통합해야합니다. 대안적인 접근법은 그 요소들이 어떻게 상호 작용 하는지를 명시 적으로 가르치는 것으로서, 이 때에는 정보를 스키마로 조직화하거나, 정보를 임상적, 병태생리학적 변인을 가지고 구분할 수 있는 진단적 표상으로 조직화하는 것이다. 스키마는 상호 작용하는 요소간에 가장 중요한 링크를 제시함으로써 인지 부하를 줄입니다.

However, when students face a patient with an unknown systolic murmur, they must integrate all of this information to arrive at a diagnosis, a task that presents a tremendous challenge to working memory. An alternative approach is to explicitly teach how the elements interact by organising information into schemas1 or representations of diagnoses distinguished by relevant clinical and pathophysiologic variables. Schemas reduce cognitive load by presenting the most important links between interacting elements.


스키마와 지식의 조직화

Schemas and knowledge organisation


초보자가 습득 한 지식 항목은 종종 격리된 사실isolated fact로 장기 기억에 저장됩니다. 격리된 사실은 다른 관련 정보와 연결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recall과 임상 문제에 적용이 어렵다. 이 정보가 임상 문제를 해결하는 데 유용하기 위해서는 임상 소견 및 개념을 중심으로 재구성해야합니다 .2 이렇게 하려면 학습자는 여러 가지 인과 관계 가설을 연결하고, 기본 개념에 대한 이해를 위해 자세히 설명elaborate해야 한다. Bordage는 이렇게 고도로 연결된 개념적 지식을 '컴파일 된compiled'것이라고 설명합니다 .3 스키마 그룹 진단은 관련 임상 및 병리학 적 변수에 따라 진단됩니다. 따라서 스키마를 제공할 경우, 스키마는 [구조화되고 임상적으로 관련성이 높은 방식]으로 정보를 제공하기 때문에, compiled knowledge를 개발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다.

Items of knowledge acquired by novices are often stored in long-term memory as isolated facts. Isolated facts are hard to recall and apply to clinical problems because they are not linked to other relevant information.3 In order for this information to be useful in solving clinical problems, it needs to be reorganised around clinical findings and concepts.2 This requires trainees to link multiple causal hypotheses and elaborate on them in order to build an understanding of the underlying concept. Bordage describes this highly linked conceptual knowledge as ‘compiled’.3 Schemas group diagnoses by relevant clinical and pathophysiologic variables. Therefore, the provision of schemas is hypothesised to aid in the development of compiled knowledge because schemas present the information in a structured, clinically relevant way.




스키마와 임상 추론

Schemas and clinical reasoning


초보자가 사용하는 진단 추론 전략에는 hypothetico-deductive 및 schema-based reasoning이 포함됩니다. Elstein 등 4)은 

    • hypothetico-deductive reasoning을 임상의가 가설을 순차적으로 공식화하고 시험하는 과정이라고 기술한다. 

    • schema-based reasoning은 주요 임상 기능을 사용하여 진단 세트를 포함 또는 배체하는 프로세스입니다. 

관측 연구에서 Coderre 등 5)은 초보 의대생들이 hypothetico-deductive 전략과 비교하여 스키마 기반 전략을 사용할 때 높은 진단 성공을 달성했다는 것을 발견했습니다. 더 높은 진단 성공의 이유를 스키마 기반 추론으로 돌리고 싶을 수 있지만, 스키마 사용은 임상 문제를 더 철저히 이해하고 있는 학생에게도 surrogate가 될 수 있다.

Diagnostic reasoning strategies used by novice learners include hypothetico-deductive and schema-based reasoning. Elstein et al.4 describe hypothetico-deductive reasoning as a process whereby clinicians formulate and test hypotheses in a sequential fashion. By contrast, schema-based reasoning is a process in which key clinical features are used to include or exclude sets of diagnoses. In an observational study, Coderre et al.5 found that novice medical students achieved higher diagnostic success when employing a schema-based strategy compared with a hypothetico-deductive strategy. It is tempting to attribute the higher diagnostic success to schema-based reasoning. However, the use of schemas may also be a surrogate for students with a more thorough understanding of the clinical problem.5


지식의 조직화와 추론 전략을 서로 연관시키기

Relating knowledge organisation and reasoning strategies


지식 조직화과 추론 전략은 서로 연결될 수 있다. [3,6] 

    • 단순 암기를 통해 얻은 분산된 지식은 hypothetico-deductive reasoning을 강제한다. 

    • 반대로, 정교한 인과 관계 네트워크를 갖춘, 고도로 컴파일 된 지식은 스키마 기반 추론을 촉진한다. 

따라서 스키마를 가르치는 것은 더 전문가와 유사한 형태로 지식을 조직화하도록 촉진하고 전문가와 같은 추론을 촉진하는 데 모두 유익한 효과가있을 수 있습니다.


Knowledge organisation and reasoning strategies are likely to be linked.3,6 Dispersed knowledge acquired through rote memorisation might force hypothetico-deductive reasoning. Conversely, highly compiled knowledge stored as elaborate causal networks may promote schema-based reasoning. Therefore, teaching schemas may have beneficial effects in both promoting more expert knowledge organisation and facilitating expert-like reasoning.


스키마-기반 접근법 테스트

Testing a schema-based approach


스키마 기반 교육에 대한 이전 연구에서는 테스트 점수가 향상되고 진단 정확도가 향상되었음을 확인했습니다 .9 이들 연구에서는 스키마가 스키마-기반 추론을 사용할 수 있도록 그에 적합한 구조로 정보를 제공한다는 점을 상기합니다.

Previous studies of schema-based instruction identified improved test scores and better diagnostic accuracy .9 These studies suggest that schemas provide information in a structure that enables the use of schema-based reasoning. 


경험이 많은 임상의들은 스키마 기반 교육은 학생들에게 배우지 않은 것에 대한 추론을 준비시킬 수 없다는 점에서 스키마 기반 교육을 비판했다. 8.9 심지어는 전문가들조차 낯선 문제에 직면했을 때에는 스키마적 추론을 포기하고 hypothesis testing을 사용한다. 10 스키마를 배운 초보 학생들은 hypothetico-deductive 접근법을 사용하여 자료를 탐색하지 않아도 된다. 그 결과, 학생들은 가르쳐주지 않은 진단에 부딪 힐 때 어려움을 겪을 수 있습니다.

Seasoned clinicians have been critical of schema-based instruction, arguing that schemas cannot prepare students to reason through an unlearned diagnosis.8,9 Even experts abandon schematic reasoning and adopt hypothesis testing when faced with an unfamiliar problem.10 Novice students taught with a schema have not had to navigate the material using a hypothetico-deductive approach. As a result, students may struggle when encountering untaught diagnoses.


우리는 무작위 시험에서 초보자들 사이의 심장 청진 기술 습득에 대한 전통적인 틀의 스키마와 비교하여 스키마 기반 교육의 효과를 테스트하는 것을 목표로 삼았습니다.

We aimed to test the effects of schema-based instruction in comparison with those of a traditional framework on the acquisition of cardiac auscultation skills among novices in a randomised trial.


METHODS


Population


Year 2 medical students at the University of Toronto were invited to participate. Students had previously completed two 4-hour sessions covering the components of the cardiac physical examination. All participants provided informed consent.



Design



Participants attended one of 14 sessions, each of which included up to five participants. Sessions were randomised into two categories to include 

    • a control sample that received an instructional framework based on the traditional approach (Fig. 1) and 

    • an intervention sample that received an instructional framework based on a diagnostic schema (Fig. 2). 

Both frameworks contained the same information. However, the organisation of the information differed

    • The traditional framework (Fig. 1) was structured around individual valvular lesions and listed the 10 clinical features of each diagnosis in a table format. 

    • The schema framework (Fig. 2) grouped diagnoses according to clinical features based on murmur location and timing (e.g. ‘apex beat’, ‘radiation’ and ‘character’ for a murmur heard at the apex).


Before the schemas were developed, we conducted a search for existing frameworks in the literature. This revealed two schemas that were inappropriate for the study. One schema used a finding not available on the simulator, hepatomegaly, as a key distinguishing feature of cardiac lesions, whereas the other was a cumbersome, long framework beyond the scope of a novice.18 Therefore, two experts with 10 years of experience in cardiac physical examination were consulted to develop an appropriate schema. The schema was revised based on pilot data.


The study was divided into four phases: 

    • learning; 

    • consolidation; 

    • testing, and 

    • retesting. 


The first three phases all occurred in the same session. Retesting occurred 2–4 weeks later. All written materials were handed to the facilitator at the end of the session to prevent any contamination between groups.




Learning phase


In groups of two to five students, participants were asked to deduce the diagnosis of four unknown cardiac lesions (aortic regurgitation, aortic stenosis, mitral regurgitation and ventricular septal defect) on the simulator using the assigned framework. A facilitator was available for technical troubleshooting, but did not participate in the learning process. Each participant was asked to record his or her diagnosis and the key features that had led to it. Once the group had finished, participants were given a written answer guide. The group was allowed 15 minutes to resolve any incorrect diagnoses or clarify examination features. 


This case-based, collaborative design was intended to foster learning while limiting the effects of instructional guidance to the framework provided. The four lesions chosen were derived from a survey of internists who identified them as key components of the curriculum for general practice.12 Learning worksheets were reviewed to ensure no misconceptions were learned using either framework. Each diagnosis was scored as correct or incorrect. Key features were categorised as correct features in the schema, correct features not in the schema, or incorrect features.


Consolidation phase


Participants were allocated 15 minutes to review the instructional framework prior to testing. They were allowed to discuss any learning difficulties within their group.


Testing and retesting phase


Participants individually completed a written test and then a practical test without the aid of their instructional framework. Participants were invited to undertake a repeat written test administered 2–4 weeks after the initial session. Retesting was limited to the written test by logistical constraints.



Written test


Participants completed a 19-question written test including single-response multiple-choice questions (MCQs), multiple-response MCQs and short-answer questions. The question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 The first group (n = 9) tested features which linked or distinguished diagnoses (structured knowledge questions)

      • The second group (n = 10) tested features of individual diagnoses (factual knowledge questions). 

Sample questions from each group are included in Table 1. Both groups involved diagnoses familiar to the participants from the learning phase (taught lesions) and not taught to the participants in the learning phase (untaught lesions). All tested diagnoses were present in both the structured and factual knowledge questions. The written test was marked by two researchers blinded to group allocation. Disagreement was resolved by consensus.


Practical test


Participants were asked to individually identify four unidentified lesions on Harvey

      • Two of the tested lesions were taught lesions from the learning phase (aortic regurgitation and mitral regurgitation). 

      • The remaining two lesions, aortic sclerosis and hypertrophic cardiomyopathy, were included on the instructional frameworks, but not in the learning phase (untaught lesions).



Data analysis




RESULTS


A total of 53 students participated in the study; 26 were assigned to the schema-based and 27 to the traditional-based instruction.


학습 단계

Learning phase


  • 시간에 차이 없음
    There was no difference in the time used to complete the learning phase between participants assigned, respectively, to the schema-based and traditional instructional frameworks (45 ± 11 minutes and 39 ± 8 minutes, respectively; t12 = 1.2, p = 0.24). 

  • 진단 정확도 차이 없음
    Accuracy in diagnosing the four lesions in the learning phase was similar between those assigned to the schema-based and traditional frameworks (98% versus 93%, respectively; t163 = 1.9, p = 0.06). 

  • 전통적 방식으로 했을때, total feature, correct feature, incorrect feature 더 많음
    Students assigned to the traditional framework identified 

    • more total features (4.4 ± 1.8 versus 3.8 ± 1.1; t210 = 2.9, p = 0.004), 

    • more correct features not in the schema (1.4 ± 1.3 versus 0.1 ± 0.4; t210 = 9.9, p < 0.001), and 

    • more incorrect features (0.2 ± 0.6 versus 0.04 ± 0.2; t130 = 3.1, p = 0.003) compared with those assigned to the schema-based framework. 

  • 스키마를 받은 경우 스키마에 제시된 feature를 더 많이 찾음
    Students who received the schema identified significantly more features present in the schema (3.7 ± 1.1 versus 3.0 ± 1.3; t210 = 4.3, p < 0.001).



시험 단계

Testing phase


Written tests were scored independently by two raters with high inter-rater reliability (Spearman’s r = 0.961, p < 0.001). 

  • 교육 방식에 따른 유의한 차이 있음
    There was a significant effect of instruction type on performance (F1003,3 = 17, p < 0.001). 

  • 교육 방식과 문제 유형은 서로 상호작용 있음
    There was also a significant interaction between instruction type and question type (F1003,3 = 18, p < 0.001). 

스키마-기반 교육이 구조화된 지식 문항에서 더 높은 점수, 그러나 사실적 지식 문항에서는 더 높지 않음.
Schema-based instruction was associated with higher scores on structured knowledge questions (74% versus 55%; p < 0.0001), but not on factual knowledge questions (62% versus 62%; p = 0.93). 


2~4주 뒤 f/u
On follow-up testing 2–4 weeks later (n = 37, 70% of participants), these findings remained unchanged. 

  • 교육 방식이 퍼포먼스에 영향 줌, 교육 방식과 문제 유형에 상호작용 있음
    There was a significant effect of instruction type on performance (F509,3 = 12, p = 0.001) and a significant interaction between instruction type and question type (F509,3 =5, p = 0.02). 

  • 스키마 그룹이 구조화된 지식 문항에서 더 잘함
    Students in the schema group performed better on structured knowledge questions (62% versus 42%; p = 0.001), but not on factual knowledge questions (52% versus 48%; p = 0.41).


On the practical test

  • 스키마-기반 교육이 더 높은 진단정확도
    schema-based instruction was associated with greater diagnostic accuracy (61% versus 26%; mean difference = 35%, 95% confidence interval [CI] 22–47; t205 = 5.40, p < 0.001). 

  • 스키마-기반 교육이 가르친 lesion과 가르치지 않은 lesion 모두에서 더 높은 진단정확도
    Schema-based instruction was associated with greater diagnostic accuracy for both taught (77% versus 39%, mean difference = 38%, 95% CI 20–56; t102 = 2.26, p < 0.001) and untaught (44% versus 13%, mean difference = 31%, 95% CI 15–48; t89 = 3.75, p < 0.001) lesions. 

    • For taught lesions, schema-instructed students identified the same number of overall features, more correct features in the schema, fewer correct features not in the schema and fewer incorrect features (Table 2). 

    • For untaught diagnoses, schema-instructed students identified fewer overall features, fewer correct features not in the schema and fewer incorrect features (Table 2).


DISCUSSION


우리의 결과는 초심자들에게 심포지엄에서 스키마 기반 교육을 강력하게 지지합니다. 우리는 스키마로 지시받은 학생들이 전통적인 프레임 워크로 학생들이 지시 한 것보다 높은 진단 성공을 달성한다는 것을 발견했습니다. 26 %의 진단 정확도는 2 학년 학생의 진단 정확도에 대한 이전 평가에서 얻은 비율 (19-24 %)과 비교할 만합니다. 이는 이 그룹이 우리 설계에 의해 불공정하게 불리 해지지 않았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Our results provide strong support for the use of schema-based instruction in cardiac auscultation among novice students. We found that students instructed with a schema achieved higher diagnostic success than students instructed with the traditional framework. Of note, the 26% diagnostic accuracy achieved by the control group was comparable with rates achieved in previous evaluations of diagnostic accuracy among Year 2 medical students (19–24%),12,19 which suggests that this group was not unfairly disadvantaged by our design.




초보자에게는 스키마가 어떤 이점이 있습니까? 스키마가 지식 조직 및 진단 추론 전략을 수정하여 초보자에게 이익이된다는 가설은 우리 데이터에 의해 뒷받침됩니다. 필기 시험 결과는 (사실에 대한 진단적 지식을 변경하지 않고) 스키마가 구조화 된 지식의 양을 늘림으로써 조직화된 지식을 수정했다는 증거를 제공합니다. 효과의 크기 (38-40 %)는 이전 연구의 스키마와 유사하여 신상 문제의 점수를 30 % 향상시킵니다. 추론 전략이 직접적으로 측정되지는 않았지만 (언어 프로토콜로 압도적 인 초보자들을 두려워하여), 스키마를 배운 학생들은 자신의 진단에 도달하기 위해 스키마에서 발견한 feature를 보고할 확률이 높습니다. 이는 스키마를 배운 학생이 스키마 기반 추론을 많이 사용함을 의미합니다.

How do schemas benefit novices? The hypothesis that schemas benefit novices by modifying knowledge organisation and diagnostic reasoning strategies is supported by our data. The results on the written test provide evidence that schemas modified knowledge organisation by increasing the amount of structured knowledge without changing factual knowledge of diagnoses. The magnitude of the effect (38–40%) is similar to that in a previous study in which schemas were found to improve scores on nephrology questions by 30%.8 Although reasoning strategy was not directly measured (for fear of overwhelming novices with a verbal protocol), schema-instructed students were more likely to report features from the schema in arriving at their diagnosis. This suggests a higher use of schema-based reasoning by schema-instructed students.



스키마 기반 교육에 단점이 있습니까? 스키마를 사용하여 교육할 경우, 학생들이 아직 알려지지 않은 병변에 대한 진단 정확도가 낮을 ​​것으로 예상했는데, 이는 비-스키마 기반의 옳은 feature를 생성하기 어려울 것이기 때문이다. 전통적 교육을 받은 그룹이 가르치지 않은 병변에 대해 더 많은 수의 정확한 feature를 찾아냈음에도, 진단 성공이 더 좋지는 않습니다. 실제로 스키마 기반 지시 그룹은 진단 성공률이 30 % 높습니다. 두 가지 설명이 가능합니다. 

  • 첫째, 전통적인 교육을 받은 그룹이 틀린 feature를 더 많이 찾아냈기 때문이다. 틀린 feature는 진단 추론을 틀리게 만들 수 있습니다. 

  • 째, 스키마 기반 교육을 받은 그룹이 더 많은 스키마 기반 feature를 찾아냈기 때문이다. 스키마를 기반으로 찾아낸 feature는 진단 프로세스를 구분하는 데 도움이되므로, 비 스키마 기반 기능보다 진단 프로세스에 더 유용 할 수 있습니다.

Is there a downside to schema-based instruction? We anticipated lower diagnostic accuracy on untaught lesions among students instructed with schemas because they may be less likely to generate nonschema-based correct features. Although the traditional instruction group did generate a greater number of correct features for untaught lesions, this did not translate into higher diagnostic success. In fact, the schema-based instruction group had 30% higher diagnostic success. Two explanations are possible. 

  • Firstly, the traditional instruction group identified more incorrect features. Incorrect features may have a derailing effect on diagnostic reasoning. 

  • Secondly, the schema-based instruction group identified more schema-based features. Schema-based features may be more helpful in the diagnostic process than non-schema-based features as they help distinguish diagnoses.










 2012 Aug;46(8):815-22. doi: 10.1111/j.1365-2923.2012.04311.x.

Should we teach using schemasEvidence from a randomised trial.

Author information

1
Department of Medicine, University of Toronto, Toronto, Ontario, Canada.

Abstract

CONTEXT:

Schema-based instruction may alter knowledge organisation and diagnostic reasoning strategies through the provision of structured knowledge to novice trainees. The effects of schema-based instruction on diagnostic accuracy and knowledge organisation have not been rigorously tested.

METHODS:

Year 2 medical students were randomised to learn four cardiac diagnoses using schema-based instruction (n = 26) or traditional instruction (n = 27) on a high-fidelity cardiopulmonary simulator (CPS). Students completed case-based learning in groups of two to five and underwent individual written and practical tests. The written test consisted of questions testing features that linked or distinguished diagnoses (structured knowledge) and questions testing features of individual diagnoses (factual knowledge). A practical test of diagnostic accuracy on the CPS was performed for two diagnoses present in the learning phase (taught lesions) and two untaught lesions. A majority of students (n = 37, 70%) voluntarily returned for follow-up written testing 2-4 weeks later.

RESULTS:

Learning time and accuracy did not differ between students on schema-based and those on traditional instruction. Students receiving schema-based instruction performed better on structured knowledge questions (p < 0.001) and no differently on factual knowledge questions (p = 0.7). Relative differences between groups remained unchanged on follow-up testing. Diagnostic success was higher in the schema-based instruction group for taught lesions (mean difference = 38%, 95% confidence interval [CI] 20-56; p < 0.001) and untaught lesions (mean difference = 31%, 95% CI 15-48; p < 0.001).

CONCLUSIONS:

Schema-based instruction was associated with improved retention of structured knowledge and diagnostic performance among novices. This study provides important proof-of-concept for a schema-based approach and suggests there is substantial benefit to using this approach with novice trainees.

PMID:
 
22803759
 
DOI:
 
10.1111/j.1365-2923.2012.04311.x


기관 문화 평가의 방법으로서 사회적 네트워크 분석(Acad Med, 2009)

Social Network Analysis as a Method of Assessing Institutional Culture: Three Case Studies

Stephen J. Lurie, MD, PhD, Thomas T. Fogg, MS, and Ann M. Dozier, RN, PhD





보건 서비스 연구 및 의료 연구를 일차 진료에 통합하는 데 필요한 구성 요소로서 여러 분야에 걸친 협력이 제안되었다. 

  • 유사하게, ACGME는 "역량있는 기관"이라는 아이디어를 강조했다. '역량있는 기관'은 의료 팀의 여러 전문 분야의 구성원이 각 환자에 대해 최상의 치료를 제공하도록 조정align됩니다. 

  • 기관 외적으로는, 기관들은 점점 더 지리적으로 떨어진 기관 사이의 협력이 환자들에게도 유익하다는 것을 점차 인식하고있다.

Collaboration across disciplines has also been proposed as a necessary component of health services research and integration of medical research into primary care.2,3 Similarly, the Accreditation Council for Graduate Medical Education has highlighted the idea of “the competent institution,”4 in which multidisciplinary members of health care teams are aligned to provide the best possible care for each patient. Extramurally, institutions are increasingly finding that collaboration across geographical distances is also beneficial to patients.5


그럼에도 불구하고 팀 기반 치료를 장려하는 가장 큰 장애물 중 하나는 개별 조사자에게 그러한 협력을 보상하지 않는 문화뿐 아니라 공동 작업을 평가하는 척도의 부족이다

Nonetheless, one of the largest obstacles to encouraging team-based care is a culture that does not reward individual investigators for such collaboration,6 as well as a resulting lack of measures that assess collaboration.


일반적으로 개인이나 프로그램의 성과를 평균하고 비교함으로써 프로그램 효과를 평가하는 전통적인 평가 방법론과는 달리, 소셜 네트워크 분석 (SNA)은 개인이나 프로그램 간의 상호 관계의 고유 한 구조를 평가합니다 .8-10 팀 응집력에 대한 측정을 제공 할뿐만 아니라, 흐름 및 계층 구조의 정도에 따라 SNA는 각 개인의 중심성 및 다른 구성원과의 연관성을 식별 할 수 있습니다.

Unlike traditional evaluation methodologies, which typically assess program effects by averaging and comparing outcomes across individuals or programs, social network analysis (SNA) assesses the unique structure of interrelationships among individuals or programs.8–10 In addition to providing measures of team cohesion, information flow, and degree of hierarchical organization, SNA can also identify each individual’s degree of centrality and connectedness to other members.


SNA는 다음에서의 네트워크 다이나믹을 설명하는 효율적인 방법으로 밝혀졌습니다 .15 

SNA has been found to be an efficient method to describe dynamics of networks in settings ranging from 

  • medical offices,11 

  • interracial friendship choice among teenagers,12 

  • kinship patterns in Central America,13

  • diffusion of medical innovation,14 and 

  • labor negotiations.15 


최근 연구에 따르면 SNA 사회 네트워크를 통한 비만 확산을 추적 할 수있을뿐만 아니라 주치의들 사이의 의사 소통 패턴도 추적 할 수있다 .17 SNA는 다른 방법으로는 알기 힘든 의사 소통 유형을 밝히기 위해 조직적인 환경에서 널리 사용되어왔다.

Recent studies found that SNA could track the spread of obesity through social networks16 as well as patterns of communication among primary care physicians.17 SNA has been widely used in organizational settings to reveal patterns of communication that would not otherwise have been evident.9


SNA의 기본 데이터 단위는 정의 된 네트워크의 가능한 모든 구성원 쌍 사이의 연결 강도에 대한 측정이다. 실제로 네트워크의 각 구성원은 다른 모든 구성원과의 관계에 대해 질의를받을 수 있습니다.

The basic data unit for SNA is a measure of the strength of the connection between all possible pairs of members of a defined network. In practice, each member of the network may be queried about his or her relationship to all other members.


이러한 연결은 개인이 보고 한 서로의 접촉 빈도 또는 서로에 대한 신뢰와 지식 수준의 형태에 대한 자가보고 등이 될 수 있습니다. 데이터는 공유위원회 위원의 명단, 보조금 신청 핵심 인력, 공동 저자 또는 전자 메일 연락 빈도와 같은 아카이브 일 수도 있습니다.

These connections may be self-reported, in the form of individuals’ self-reported frequency of contact with one another or level of trust and knowledge about one another. Data may also be archival, such as rosters of shared committee memberships, key personnel on grant applications, coauthorship, or frequency of e-mail contact.


SNA는 시각적 기술로서, 그룹과 개인의 기능에 대한 다수의 양적 척도를 활용한다. 주요 결과물은 소시오그램이며, 네트워크 구성원 간의 연결 수와 강도에 대한 정보를 제공합니다. 네트워크상의 각 구성원은 소시오그램에서 노드 또는 정점으로 표시됩니다. 노드의 최적의 배치와 배열을 결정하기위한 많은 알고리즘이 있지만 (궁극적으로 분석자가 해석을 가장 명확하게하기 위해) 이러한 데이터 포인트를 최적으로 정렬하는 방법을 결정하는 것은 분석가의 몫입니다.

SNA is a largely visual technique that is supported by a number of quantitative indices of both group and individual function. The main output is the sociogram, which provides information about the number and strength of connections between members of a network. Each member of a network is depicted by a node, or vertex, in the sociogram. Although there are a number of algorithms for determining optimal placement and arrangement of the nodes, ultimately it is up to the analyst to decide how best to arrange these data points to make the interpretation most clear.


또한 SNA는 네트워크의 각 노드 구성원을 특성화하는 추가 설명 통계뿐만 아니라 전체 네트워크의 노드 간 전반적인 상호 작용 패턴과 관련된 몇 가지 기본 설명 통계를 생성 할 수 있습니다. 이 숫자는 일반적으로 소시오그램 해석에 도움이됩니다. 통계 분석을 수행하여 네트워크상 개개인을 비교하거나 네트워크를 서로 비교하는 것이 가능하지만 SNA의 목적은 일반적으로 추측 가설을 테스트하는 것이 아니라 그룹을 특성을 밝히는 것입니다. 따라서 현재보고에서는 P 값이나 통계 테스트의 다른 측면을 제시하지 않고 SNA가 특정 그룹의 구조와 역 동성에 대한 통찰력을 얻을 수있는 방법을 보여주기위한 방법으로 결과를 제시합니다.

Furthermore, SNA can produce some basic descriptive statistics relating to the overall pattern of interactions among nodes in the network as a whole, as well as additional descriptive statistics that characterize each member of the network. These numbers generally serve as further aids to interpretation of the sociogram. Although it is possible to performstatistical tests to compare individuals in a network, or to compare networks with one another, the purpose of SNA is generally to characterize particular groups rather than to test inferential hypotheses. Thus, in the present report, we do not present P values or other aspects of statistical testing—rather, we present our results as a way of demonstrating how SNA can yield insights into structure and dynamics of specific groups.




Method and Results


ICU의 팀 기능

Team function in the intensive care unit


시범 사업의 일환으로 SNA를 사용하여 의료 중환자 실 (MICU)의 간병인 팀 간의 관계를 설명했습니다. 우리는 라운드에서 팀을 관찰하고 지표 환자를 돌볼 책임이있는 모든 개인을 확인하는 것으로 시작했습니다. 그런 다음 각 팀 구성원이 색인 환자에 대해 다른 모든 팀 구성원 (및 주요 가족 구성원)과 상호 작용 한 빈도를 묻는 팀 별 설문 조사를 작성했습니다. 가족 구성원은 조사를 위해 사본을 받았다. 응답 옵션은 "결코"에서 "하루에 세 번 이상"에 이르기까지 다양합니다. 분석의 중요한 결정은 "연결"을 정의하는 방법입니다. 

    • 느슨한 정의 (예 : 하루에 한 번)로 인해 많은 수의 비교적 피상적 인 연결이되어 네트워크에서 중요한 관계의 패턴을 식별하기 어려울 수 있습니다. 

    • 반면에 지나치게 엄격한 정의는 너무 적은 연결로 해석 할 수있는 네트워크를 만들 수 있습니다. 

실제로 조사관은 여러 연관성 정의에 의해 생성 된 네트워크를보고 최상의 균형을 이룬 네트워크를 선택할 수 있습니다. 이 분석의 목적을 위해 팀 구성원간에 하루에 적어도 두 번 이상 대화가 있었다고 말하면 연결이 존재한다고 가정했습니다.

As part of a pilot project, we used SNA to describe relationships among teams of caregivers in our medical intensive care unit (MICU). We began by observing the teams on rounds and then identifying all the individuals who were responsible for caring for an index patient. We then created a team-specific survey that asked how often each team member interacted with all the other team members (and key family member) about the index patient. The family member was also given a copy of the survey to complete. Response options ranged from“never” to “three or more times per day.” A critical decision for the analysis is how to define a “connection.” 

    • A loose definition (e.g., once a day) risks creating a network with large numbers of relatively superficial connections and, thus, may make it difficult to discern a pattern of important relationships in the network. 

    • On the other hand, an overly strict definition may yield a network with too few connections to interpret. 

In practice, the investigator may look at networks produced by several definitions of connectedness and select the one that strikes the best balance. For purposes of this analysis, we assumed that a connection existed between team members if they said that they spoke at least twice a day with one another.



우리는 설명을 목적으로 두 팀의 데이터를 제시합니다. Team1 (그림 1)은 최근 원인을 알 수없는 진행성 호흡 곤란에 대해 MICU에 입원 한 노인 여성을 돌보고있었습니다. Team2 (그림 2)는 MICU에 거의 2 주 동안 호흡 상태가 서서히 개선되고 누가 기계 환기에서 벗어나려고했는지 환자를 돌보고있었습니다. 두 네트워크 모두에서 하루에 적어도 두 번씩 서로 상호 작용한다고 말하면 개인 간의 연결이 있다고 가정합니다. 이 두 그림에서 개인은 노드로 표시됩니다. 회색 음영 및 회색도는 다른 역할을 수행하는 사람들과 한 가지 역할 (예 : 간호사의 역할)을 수행하는 개인을 구별합니다. 각 개인 노드의 크기는 해당 개인이 매일 두 번 이상 연락하는 다른 팀 구성원의 수에 비례합니다. 약사를 제외하고 두 팀은 공통점이 없었습니다.

We present data from two teams for illustrative purposes. Team1 (Figure 1) was caring for an elderly woman who had been recently admitted to the MICU for progressive dyspnea of unknown etiology. Team2 (Figure 2) was caring for a patient who had been in the MICU for nearly two weeks with slowly improving respiratory status and who was about to be weaned from mechanical ventilation. In both networks, a connection was assumed to exist between individuals if they said that they interacted with one another at least twice per day. In these two figures, the individuals are represented by nodes. The gray shadings and degrees of gray distinguish individuals carrying out one role (e.g., the role of nurse) from those carrying out another role. The size of each individual’s node is proportional to the number of other team members with whom that individual has at least twice-daily contact. With the exception of the pharmacist, the two teams had no individuals in common.


육안 검사에서 팀이 구조면에서 상당히 다른 것은 분명합니다. Team1은 서로 다른 역할을 가진 사람들간에 많은 수의 연결을 가지고 있습니다. 주치의는 다른 사람보다 팀 구성원의 상호 작용이 빈번합니다. 가족은 담당 의사, 거주자 및 약사를 포함하여 팀의 다른 여러 구성원과 연결되어있는 두 간호사와 자주 접촉합니다. 호흡 치료사를 제외하고 모든 팀 구성원은 다양한 역할을 통해 적어도 4 명의 다른 팀원과 연락합니다.

From a visual inspection, it is apparent that the teams are quite different in structure. Team1 has a large number of connections between individuals of different roles. The attending physician has frequent interactions with more members of the team than does anyone else. The family has frequent contact with both nurses, both of whom have connections with several other members of the team, including the attending physician, the residents, and the pharmacist. With the exception of the respiratory therapist, all team members have contact with at least four other team members across various roles.


대조적으로, Team2는 팀 구성원간에 비교적 적은 수의 일일 연결을 특징으로합니. 이 팀에서는 의료 직원이 아닌 간호 직원이 중심 인 것처럼 보입니다. 팀 1과 마찬가지로 환자의 가족은 간호 직원과 만 자주 접촉합니다. 그러나이 경우 환자의 가족은 다른 팀원과 상대적으로 격리 된 간호사와 만 연락한다고보고합니다. 따라서이 가족은 첫 번째 환자의 가족보다 다른 팀과 상대적으로 멀리 떨어져 있습니다.

By contrast, Team2 is characterized by a relatively small number of daily connections between team members. In this team, it is the nursing staff, rather than the medical staff, who seem to be central. As in Team1, the patient’s family has frequent contact only with the nursing staff. In this case, however, the patient’s family reports they have contact only with a nurse who is relatively isolated from the rest of the team. Thus, this family has a relatively greater distance from the rest of the team than does the first patient’s family.



다른 팀 구조가 다른 팀 구조보다 임상 상황에 더 적합한 지 여부는 분명하지 않습니다. Team2의 상대적으로 연결되지 않은 간호사 중심 구조는 임상 상태의 일상적인 변화가 거의없는 안정적인 환자에게 더 적합 할 수 있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러한 구조가 다음과 같은 경우에 오류가 발생하기 쉬운 지 여부는 불분명합니다. 정보. 이러한 팀 구조의 차이는 또한 가족 구성원의 치료의 질에 대한 인식에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SNA는 이후의 치료 품질에 대한 예측 변수로 사용될 수있는 팀 기능 지표를 제공합니다.

It is unclear whether different team structures are more appropriate to some clinical situations than others. Although the relatively unconnected, nurse- centered structure of Team2 might be more appropriate for stable patients with little day-to-day change in their clinical status, it remains unclear whether such a structure may nonetheless be more prone to errors in hand-offs of information. Such differences in team structure might also affect family members’ perceptions of the quality of care. SNA provides indices of team functioning that could be used as predictor variables in later studies of quality of care.







연구-멘토링 자문위원회의 교실 구조

Departmental structure of research- mentoring advisory committees


우리는 우리 기관에서 53 명의 연방 직업 능력 개발 프로그램 수혜자를위한 자문위원회 목록을 작성했습니다. 이것은 수상자가 2007 년 초에 계속해서 교수진에 봉사 한 기간 인 2004-2006 년 중 어느 시점에 우리 기관에서 활동 한 모든 수상자를 대표했습니다. 총 157 명의 교수가 위원으로 봉사했습니다. 그러한 회원 자격은 수령인이 다양한 전문성의 혜택을받을뿐만 아니라 교수진이 다른 부서와 학문 분야에서 만나고 상호 작용할 수있는 기회를 제공합니다. 또한 수상자의 위원이 다른 여러위원회에 참여하는 경우 수상자는 다른 수상자와 간접적으로 연락 할 수있는 기회를 더 많이 가질 수 있습니다.

We assembled lists of the advisory committees for 53 federal career development awardees at our institution. This represented all such awardees who were active at our institution at some point during the period 2004 through 2006, where the awardee continued to serve on our faculty at the beginning of 2007. A total of 157 faculty served as committee members. Such membership not only allows the awardees to benefit froma greater diversity of expertise, but also provides an opportunity for faculty fromdifferent departments and disciplines to meet and interact with one another. Furthermore, if an awardee’s committee members sit on multiple other committees, this provides the awardee with greater opportunity to indirectly network with other awardees.


이러한 아카이브 데이터에는 많은 양의 정보가 포함되어 있으며 53 개의 멘토십위원회 멤버 목록을 모두 검토함으로써 해석하기가 어려울 수 있습니다. 그러나 SNA는 쉽게 해석하고 정량화 할 수있는 이러한 데이터의 묘사를 제공 할 수 있습니다. 사실, 이런 종류의위원회 회원 데이터는 서로 다른 두 종류의 네트워크를 검사 할 수있게합니다. 

    • 첫째, 공동위원회 멤버를 통해 수상자 간의 네트워크를 연결하고 

    • 둘째, 공동위원회 멤버십을 통한 교수진 간의 네트워크. 

두 가지 유형의 네트워크는 부서별 소속별로 코딩 할 수 있습니다. 이것은 각기 다른 부서가 전체적으로 각자의위원회 작업을 통해 서로 연관되어있는 정도에 대한 추론을 허용합니다. 이 유형의 네트워크에서 관계를 이해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은 개개인이 개개인의 선택에 의해 직접적으로 연결되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정식 소집 된 그룹의 공동 회원 자격을 통해 서로 연결된다는 것입니다.

Such archival data contain large amounts of information, which would be challenging to interpret by simply examining all 53 mentorship-committee membership lists. SNA, however, can provide depictions of these data that are readily interpretable and quantifiable. In fact, this sort of committee-membership data permits examination of two different kinds of networks. 

    • First, the network of connections between awardees with one another via shared committee members, and 

    • second, the network of connections between faculty via shared committee membership. 

Both types of networks can be coded by departmental affiliation. This permits inferences about the degree to which different departments, as a whole, are associated with one another via their respective members’ committee work. Important to understanding the relationships in this type of network is that the individuals are not connected directly to one another by individual choice but, rather, through their joint memberships in formally convened groups.


그림 3은 각 학과를 구별하기 위해 음영의 정도가 다르거 나 음영이없는 수상자 네트워크를 보여줍니다. 각 원은 수상자를 나타냅니다. 다이어그램의 각 라인은 수상자 쌍 사이의 공유 된위원회 멤버를 나타냅니다. 두꺼운 선은 둘 이상의 공유 멤버를 나타냅니다. 노드의 크기는 수상자가 다른 수상자와 공유하는위원회 구성원의 수에 비례합니다. 이 네트워크에는위원회 위원들의 부서별 소속에 대한 정보가 포함되어 있지 않습니다.

Figure 3 displays the network of awardees, with different degrees of shading or no shading to distinguish each academic department. Each circle represents an awardee. Each line in the diagram represents a shared committee member between pairs of awardees; thicker lines indicate more than one shared member. The size of the nodes is proportional to the total number of committee members that awardees share with other awardees. Note that this network does not contain information about the committee members’ departmental affiliations.


이 다이어그램에서 몇 가지 일반적인 결론을 도출 할 수 있습니다. 

    • 첫째, 부서 4 및 19의 수상자는 수상자위원회 위원이 다른위원회의 구성원 및 일반적으로 더 큰 원 크기를 공유함으로써 입증 된 것처럼 위원회 구성원이 가장 다양합니다. 

    • 둘째,이 부서의 수상자는 종종 다른 부서의 수상자와위원회 위원을 공유합니다. 대조적으로, 부서 10은 정반대의 상황을 나타냅니다. 여러 명의 수상자가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있지 않으므로 이러한 개인위원회 위원 중 다른위원회에서 봉사하지 않는 사람이 있음을 나타냅니다. 또한, 이들 수상자 중 적어도 일부는 그 (것)들을 연결하는 두꺼운 선에 의해 표시되는 것처럼, 거의 동일하거나 유사한위원회를 공유합니다. 따라서이 부서의 수혜자는 자신의 부서에서 주로 선발 된 개인으로 구성된위원회를 갖고 있으며이위원회 위원 중 상당수는이 시간 동안 다른위원회에서 근무한 경험이 없었던 것으로 보입니다. 더 많은위원회 멤버십을 보유한 사람들은 대부분 자신의 부서 내의 다른위원회에서 봉사하고있었습니다. 

    • 마지막으로, 부서 18은 이질적이며 일부 수상자위원회는 다른 부서의위원회에서 봉사하는 개인으로 구성되며, 다른 수상자는 다른위원회 경험이없는 개인으로 구성된위원회가 있습니다.

Several general conclusions can be drawn from this diagram. 

    • First, awardees in departments 4 and 19 have the greatest diversity in their committee memberships, as evidenced by their awardees’ committee members’ frequently shared membership in other committees and generally larger circle sizes. 

    • Second, awardees in these departments frequently share committee members with awardees in other departments. By contrast, department 10 represents the opposite situation. Several awardees are not at all connected to the network, indicating that none of these individuals’ committee members serve on any other committees. Furthermore, at least a few of these awardees share more or less the exact same committee, as indicated by the thick line connecting them. Thus, it seems that awardees in this department have committees comprising individuals who are largely chosen from within their own departments, and that many of these committee members did not have the experiences of serving on other committees during this time. Those that do seemto have more committee memberships were largely serving on other committees within their own departments. 

    • Finally, department 18 is heterogeneous, with some awardees’ committees composed of individuals who serve on committees of several other departments, while other awardees have committees composed largely of individuals who do not have other committee experience.



그림 4는위원회 구성원의 제휴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여 그림 3을 보완합니다. 157 명의 개인으로 구성된 네트워크가 해석하기가 쉽지 않기 때문에 다이어그램의 원으로 표시되는 부서 내에서위원회 구성원이 붕괴되었습니다. 부서 간 선의 굵기는 해당 부서에서 온 구성원을 공유하는위원회의 수에 비례합니다. 이보기는 각 부서의 구성원이 수상자위원회에서 공동으로 봉사 한 횟수에 대한 전반적인 요약을 제공합니다.

Figure 4 complements Figure 3 by providing information about committee members’ affiliations with one another. Because a network of 157 separate individuals is difficult to interpret, committee members have been collapsed within departments, which are represented by circles in the diagram. The thickness of lines between departments is proportional to the number of committees that shared members from that pair of departments. This view provides an overall summary of the number of times that members of each department jointly served on awardee committees.


이 결과는 수상자 네트워크의 결과와 동일합니다. 부서 4와 19 사이에는 많은 수의 교수 연결이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부서 19가 가장 잘 연결되어 있고 다른 여러 부서와 자주 연결됩니다. 또한 부서 13은 나머지 네트워크와의 연결이 거의 없지만 상대적으로 고립 된 부서 14와 22를 결합하여 큰 네트워크 내에 작은 서브 네트워크를 형성합니다. 이 묘사는 모든위원회 구성원을 동시에 보는 경제적 인 방법을 제공 할뿐만 아니라 학제 간 개선을위한 노력을 추적하기위한 고유의 방법론을 제안합니다. 그러한 자료가 매년 수집되고 분석된다면 이는 제도적 변화가 측정 될 수있는 지표를 제공 할 것이다. 이 데이터는 또한 새로운 연구원에 대한 지원에서보다 학제 적으로 발전하기 위해 몇 가지 추가적인 노력이 필요할 수있는 부서를 식별하는 데 도움이됩니다.


These results mirror those of the awardee network. There are large numbers of faculty connections between departments 4 and 19. In general, department 19 seems to be the most well connected, with large numbers of frequent connections with several other departments. Furthermore, department 13, although having few connections with the rest of the network, brings together the relatively isolated departments 14 and 22, thus forming a small subnetwork within the larger network. This depiction not only provides an economical way of looking at all the committee memberships simultaneously but also suggests an inherent methodology for tracking efforts to improve interdisciplinarity; if such data were collected and analyzed yearly, this would provide an index by which institutional change could be measured. These data also help identify departments that may need some additional effort to become more interdisciplinary in their support of new researchers.




다학제간 연구기관의 리더십

Leadership of a multidisciplinary research institute


CTSI (Clinical Translational Sciences Institute)를 설립 한 다년간의 NIH 어워드의 일환으로 우리 기관은 자체 이사 (1 ~ 4 명)가있는 일련의 11 가지 핵심 기능 (즉, CTSI의 주요 행정 부서) 및 직원. 이러한 핵심 기능의 공통된 목적은 연구자가 파일럿 연구 기회 제공 및 새로운 연구 방법론 개발과 같은 기관 차원의 서비스에 대한 액세스를 제공함으로써 중개 연구를 촉진하는 것입니다. 연구 설계 컨설팅, 정보학 지원 및 임상 연구 센터와 같은 연구 지원 서비스; 임상 및 번역 연구의 진화하는 분야에서의 교육 및 훈련.

As part of a multiyear NIH award to establish a Clinical Translational Sciences Institute (CTSI), our institution defined a series of 11 key functions (i.e., the major administrative units within the CTSI), each with its own directors (from one to four) and staff. The shared purpose of these key functions is to promote translational research by giving investigators access to institution-wide services such as funding opportunities for pilot studies and for the development of novel research methodologies; research support services such as study design consulting, informatics support, and a clinical research center; and education and training in the evolving disciplines of clinical and translational research.


CTSI의 구조에 대한 초기 평가의 일환으로 우리는 모든 핵심 직무 감독에게 다른 핵심 기능과의 상호 작용 예상 빈도뿐만 아니라 다른 10 가지 핵심 기능의 역할에 대한 지식의 현재 상태를 평가하도록 요청했습니다 . 그런 다음 이러한 응답을 평균화하여 평균 수준의 지식과 예상되는 각 주요 기능 쌍의 예상되는 상호 작용을 창출했습니다. 이를 통해 우리는 다른 10 가지 주요 기능 각각과의 관계 강도를 설명하는 각 주요 기능에 대한 맞춤 보고서를 작성할 수있었습니다.

As part of an initial evaluation of the structure of the CTSI, we asked all the key function directors to rate their current state of knowledge of the role of the other 10 key functions, as well as their anticipated frequency of interaction with the other key functions. We then averaged these responses, creating a mean level of knowledge and anticipated interaction of each possible pair of key functions. This allowed us to produce a customized report for each key function that described the strength of their relationships with each of the other ten key functions.


서로 다른 주요 기능에 대한 핵심 기능 감독자의 지식 수준 (그림 5)에 대한 네트워크 다이어그램을 작성하기 위해 이전 단락에서 언급 한 방법에 대한 가능한 여러 가지 단서를 평가했습니다. 해당 쌍의 평균 응답이 컷오프보다 큰 경우 주요 기능간에 화살표가 그려집니다. 이러한 연결은 양방향입니다. 한 쌍의 핵심 기능을 담당하는 감독이 둘 다 높은 수준의 지식 또는 서로 예상되는 상호 작용을 나타내면 두 구성원 간의 연결은 양방향 화살표로 표시됩니다. 반면에 한 가지 주요 기능이 두 번째 기능에 대해 높은 응답을 주었지만 그 응답을 왕복하지 않으면 일방적 인 관계가됩니다.

To produce a network diagram of the key function directors’ levels of knowledge about one another’s key functions (Figure 5), we assessed a number of possible cutoffs for the means mentioned in the preceding paragraph. An arrow was drawn between key functions if the mean response for that pair was greater than the cutoffs. Note that these connections are thus bidirectional; if directors of a pair of key functions both indicate a high level of knowledge or anticipated interaction with one another, then the connection between them is represented by a two-headed arrow. On the other hand, the relationship would be one-way if one key function gave a high response about the second, but if that response were not reciprocated.


그림에서 노드의 크기는 들어오는 화살표의 수에 비례합니다 (즉, 각 키 기능의 경우 다른 주요 기능 감독이 CTSI 내에서 해당 주요 기능의 역할에 대해 높은 수준으로보고 한 정도 ). 도 6은 동일한 데이터를 나타내지 만, 나가는 화살표의 수 (즉, 각 키 기능의 디렉터가 다른 키 기능의 역할을 이해한다고보고하는 정도)에 비례하는 노드의 크기를 나타낸다. 그림 5와 6을 살펴보면 핵심 기능 2, 3, 4, 6 및 9가 다른 많은 주요 기능 책임자에 의해 잘 이해되지만, 자신의 이사는 다른 핵심 기능에 대한 이해가 상대적으로 적음을 알 수 있습니. 대조적으로 주요 기능 1과 10은 이사가 상대적으로 높은 수준의 여러 가지 핵심 기능의 역할에 대한 이해 수준을보고하지만 상대적으로 잘 이해되지 않습니다. 또한 다이어그램은 주요 기능의 특정 쌍 간의 관계에서 잠재적 인 약점을 보여줍니다. 따라서 이러한 결과는 표적 개입을 통해 일찍 처리 될 수있는 지식의 특정 격차를 드러낸다.

In the figure, the size of the nodes is proportional to the number of incoming arrows (i.e., for the respective key function, the degree to which other key function directors report a high level of understanding of the role of that key function within the CTSI). Figure 6 represents the same data, but with the size of the nodes proportional to the number of outgoing arrows (i.e., the degree to which the directors of the respective key functions report that they understand the roles of the other key functions). From inspection of Figures 5 and 6, it is apparent that although key functions 2, 3, 4, 6, and 9 are well understood by many other key function directors, their own directors report relatively less understanding of the other key functions. By contrast, key functions 1 and 10 are relatively less well understood, although their directors report a relatively high level of understanding of the role of many other key functions. Furthermore, the diagrams also illustrate potential weaknesses in relationships between specific pairs of key functions. Thus, these results reveal specific gaps in knowledge that could be addressed early through targeted interventions.





그림 7은 주요 기능 감독이 예상 한 상호 작용에 대한 데이터를 나타냅니다. 노드의 크기는 각 키 기능의 타당성에 비례하며, 이는 각 키 기능이 가능한 다른 모든 주요 기능 쌍 사이의 경로에있는 정도의 척도입니다. 따라서, 서로간에 접촉이 거의없는 다른 주요 기능을 연결하려면 중요도가 높은 값이 더 중요합니다. 주요 기능 9 및 12는 주요 기능 2, 3, 6 및 8을 포함하는 더 작은 서브 네트워크에 큰 네트워크를 연결한다는 사실과 관련이 있습니다. 주요 기능 6은 주요 기능과의 독점적 인 연결로 인해 두드러집니다 마지막으로, 키 기능 11은 다수의 다른 주요 기능을 고유하게 연결하는데, 이는 노드들 사이의 화살표를 단순히 조사하는 것으로부터 즉시 명백하지는 않다. 따라서 이러한 분석을 통해 네트워크의 결함 및 강점을 파악할 수 있습니다. 주요 기능 들간의 서로 다른 상호 관계를 증진시키려는 노력이 이루어진다면,이 다이어그램들은 제도적 변화를 평가할 기준선의 역할을 할 수 있습니다.

Figure 7 presents data about key function directors’ anticipated interactions with one another. The size of the nodes is proportional to each key function’s betweenness, which is a measure of the degree to which each key function is on a pathway between all other possible pairs of key functions. Thus, those with high betweenness values are more critical to connecting other key functions that would otherwise have little contact with one another. Key functions 9 and 12 owe much of their high betweenness to the fact that they connect the larger network to the smaller subnetwork comprising key functions 2, 3, 6, and 8. Key function 6 is also prominent because of its exclusive connections with key functions 2 and 3. Finally, key function 11 also uniquely connects numerous other key functions, although this is not immediately apparent from simply inspecting the arrows between nodes. These analyses can thus be used to identify deficits and strengths in the network. If efforts are made to promote different interrelationships between key functions, these diagrams can serve as a baseline from which to assess institutional change.





Discussion and Conclusions


앞서 제시된 예는 SNA의 도구가 의료 센터의 조직 역학 범위를 밝힐 수있는 몇 가지 방법을 강조합니다. SNA는 이러한 순수한 시각적 데이터 표현 외에도 개인 및 네트워크에 대한 광범위한 numerical indices를 계산할 수 있어서 시간이 지남에 따라 네트워크 구조의 추세를 식별하는 데 도움이됩니다.

The examples presented in the previous section highlight some ways that the tools of SNA can shed light on a range of a medical center’s organizational dynamics. In addition to these purely visual representations of data, SNA also permits computation of a range of numerical indices, both for individuals and for networks as a whole, and thus helps identify trends in network structure over time.



SNA의 결과는 일반적으로보다 질적이며 미묘하기 때문에, 조직 구조 및 기능에 대한 다른 정보원에 비추어 해석되어야합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SNA는 표준화 된 방법론 및 보고 형식을 통해 그러한 주관적 인상에 유용한 보완책을 제공하고 시간 경과에 따른 조직 구조의 변화를 평가하기위한 표준 메트릭스를 제공합니다. 또한 SNA 데이터는 수집 및 분석이 비교적 간단하고 신속하므로 관찰자 또는 네트워크 구성원의 구조화 된 인터뷰를 포함하는 더 많은 노동 집약적 인 방법에 대한 매력적인 보완책을 제공합니다. SNA는 또한 관측자 편견이 상대적으로 없다. 따라서 SNA는 현재 조직 구조를 평가하고 평가하는 데 사용되는 일련의 도구에 유망한 추가 기능을 제공합니다.

The results of SNA must be interpreted in light of other sources of information about organizational structure and function, which are typically more qualitative and nuanced. Nonetheless, with its standardized methodology and reporting formats, SNA provides a useful complement to such subjective impressions and provides standard metrics for assessment of change in organizational structure over time. Furthermore, SNA data are relatively simple and rapid to collect and analyze, thus offering an appealing complement to more labor intensive methods involving observers or structured interviews of network members. SNA is also relatively free of observer bias. Thus, SNA provides a promising addition to the set of tools currently used to assess and evaluate organizational structure.





 2009 Aug;84(8):1029-35. doi: 10.1097/ACM.0b013e3181ad16d3.

Social network analysis as a method of assessing institutional culturethree case studies.

Author information

1
Office of Curriculum and Assessment, University of Rochester School of Medicine and Dentistry, Rochester, New York 14642, USA. Stephen_Lurie@urmc.rochester.edu

Abstract

PURPOSE:

To describe the basic concepts of social network analysis (SNA), which assesses the unique structure of interrelationships among individuals and programs, and introduce some applications of this technique in assessing aspects of institutional culture at a medical center.

METHOD:

The authors applied SNA to three settings at their institution: team function in the intensive care unit, interdisciplinary composition of advisory committees for 53 federal career development awardees, and relationships between key function directors at an institution-wide Clinical Translational Sciences Institute (CTSI). (Key functions are the major administrative units of the CTSI.)

RESULTS:

In the ICU setting, SNA provides interpretable summaries of aspects of clinical team functioning. When applied to membership on mentorship committees, it allows for summary descriptions of the degree of interdisciplinarity of various clinical departments. Finally, when applied to relationships among leaders of an institution-wide research enterprise, it highlights potential problem areas in relationships among academic departments. In all cases, data collection is relatively rapid and simple, thereby allowing for the possibility of frequent repeated analyses over time.

CONCLUSIONS:

SNA provides a useful and standardized set of tools for measuring important aspects of team function, interdisciplinarity, and organizational culture that may otherwise be difficult to measure in an objective way.

PMID:
 
19638768
 
PMCID:
 
PMC2719826
 
DOI:
 
10.1097/ACM.0b013e3181ad16d3


'역량'을 논할 때 우리가 보는 것과 보지 못하는 것: 'god term'에 대하여 (Adv in Health Sci Educ,2009)

What we see and don’t see when we look at ‘competence’: notes on a god term

L. Lingard




'역량'은 보건 전문 교육에서 가장 소중한 아이디어 중 하나입니다. 그것은 20 세기의 수사학자인 케네쓰 버크 (Kenneth Burke)가 '신의 용어'라고 부르는 것입니다. 일종의 교육적 우상으로서, 다른 모든 표현을 종속시키는 표현입니다. 이 '신의 용어'는 보건 전문가 교육에 관한 매우 다양한 담론에서 등장한다. 그리고, 우리 시대의 다른 '신의 용어'처럼 ('환자 안전'이란 용어가 새롭게 떠오르고 있으며, '객관적 평가'는 오랫동안 god term의 하나였다)는 '역량'은 수사적 트럼프 카드로서, 흔히 어떻게 보건의료인 교육을 해야하는지를 이야기할 때 대화를 종결짓는 단어가 된다.

‘Competence’ is one of health professional education’s most cherished ideas. It’s what the 20th century rhetorician Kenneth Burke would call a ‘god term’ (Burke 1952): a sort of education idol, an ‘‘expression to which all other expressions are ranked as subordinate’’ (Weaver 1953). This god term presides over many of our conversations in health professions education, conversations including curriculum reform, evaluation systems and program accreditation, to maintenance of certification. And, like other god terms of our era (‘patient safety’ has recently emerged as one, ‘objective assessment’ has long been another), ‘competence’ is a rhetorical trump card, regularly played as the last word in debates about how health professions education should function.


수사학자에게, 그런 종류의 힘을 지닌 언어는 조금 더 가까이에서 들여다봐야 한다. 케네 쓰 버크 (Kenneth Burke)가 주장한 것처럼 ( 'Burke 1935)' "모든 '봄'의 방식은, '안 봄'의 방식이기도 하다". 그는 단어가 "종결적 화면"으로서의 기능을하는 방식에주의를 기울였습니다. "어떤 용어가 현실을 반영한다고 할지라도, 용어는 본질적으로 현실의 선택이며, 이는 다른 말로 하면 현실의 왜곡이기도 하다"(Burke 1966) (원래 강조).

To a rhetorician, any bit of language with that kind of power cries out for a closer look. ‘‘Every way of seeing is also a way of not seeing’’, as Kenneth Burke asserted (Burke 1935). He drew attention to how words function as ‘‘terministic screens’’: ‘‘even if any given terminology is a reflection of reality, by its very nature as a terminology it must be a selection of reality, and to this extent it must function also as a deflection of reality’’ (Burke 1966) (emphasis in original).


전통적인 사용법에서 "역량"이란 은 개인주의적 개념이다. 이 때 강조되는 것은 교육과 실습을 거치면서 지식과 기술이 수행하고, 그것이 평가되는 "유능한 의사"를 양성하고 유지하는 것이다. 이와 관련하여 '역량'이라는 '신의 용어'는 보건 전문 교육이 '개인'에 중점을 두는 현실을 반영합니다.

In its conventional usage, competence is an individualist notion. The emphasis is on producing and maintaining ‘‘the competent physician’’ whose knowledge and skill is performed and assessed over the course of his or her training and practice. In this regard, the god term reflects the reality of health professional education’s focus on the individual.


우리는 분명히 개개인의 학문적 자격을 중요하게 여긴다. 

  • 우리는 (심지어 문제 기반 학습과 같은 집단 활동의 맥락에서도) 학생들에게 개별적으로 성적을 부여합니다

  • 개인 지식과 기술을 검토하여 면허를 부여한다.

  • 우리는 개별 CME 크레딧을 가지고 면허를 취득한 의사의 역량 개발을 모니터링합니다. 

  • 우리는 개별 학생을 대상으로 문제적 성과를 개선합니다.

We admit candidates based on individual academic qualification; we assign individual grades to students (even in context of group activities such as problem-based learning); we license trainees based on examination of individual knowledge and skill; we monitor licensed practitioners’ ongoing development through accrual of individual CME credits; we remediate problematic performance by targeting the individual performer.


성인 학습과 성찰적 실천과 같은 학습 이론에 근거하여, '역량'이란 '신의 용어'는 우리의 관심을 '자율적 학습자'로 유도한다(Bleakley 2006).

Based in learning theories such as adult learning and reflective practice, the god term of competence selects for our attention the autonomous learner (Bleakley 2006).


학습자 개인에 초점을 둠으로써, 이 용어는 역량이 맥락과 무관하게, 즉 시간과 공간에 제약받지 않는다는 개념을 유발한다. 이것은 호지스가 "능력 상태state of competence"라고 부르는 개념을 만들어내게 하였고, 이 state of competence는 초심자가 state of incompetence에서 출발하여 궁극적으로 도달하는 상태이다(Hodges 2006). 역량을 '도달가능한 상태'라고 생각할 때, "일반적으로 유능한 의사"라고 말하기를 어려워하지 않는데, 즉 한 가지 상황에서의 의사 소통 능력이 미래의 다른 유사한 상황에서의 의사소통 능력도 예측해준다는 것이다. 인지심리학 연구는 "모든 맥락에서 보편적으로 유능한 개인"에 대한 주장을 경고하지만, "역량"이라는 단어로부터 우리는 여전히 "일반적인 능력"과 "일반적으로 유능한 의사"라는 개념을 떠올리게 한다.

By selecting the individual learner for emphasis, the god term also invokes the notion that competence is context-free, untied to time and space. This, in turn, gives rise to the concept of what Hodges has called a ‘‘state of competence’’, something novices move to ‘‘from a state of incompetence’’ (Hodges 2006). In conceiving competence as a state to be achieved, we not surprisingly end up talking about the generically competent practitioner, one whose, say, communicative competence in one situation should predict future communicative performances in other, similar situations. And while cognitive psychology research warns us against the claimthat an individual can be universally competent in all contexts, still our competence discourse evokes the notion of generic abilities and generically competent practitioners.


우리는 '역량'을 바라보는 우리의 방법이 교육 시스템의 개인주의적 지향성을 반영한다는 것에 놀랄 이유가 없다. 이것이 이치에 맞는 것은, 교육 시스템이 대형 의료 시스템의 개인 주의적 지향에 근거하기 때문이다. 면허, 청구, 의료법적 책임 등이 다 의사 개인에 대해 이뤄진다. (Sidhom and Poulsen 2006). 버크 (Burke)가 말했듯이, 신의 용어는 공동체 또는 맥락의 '궁극적 동기'를 나타낸다.

We should not be surprised that our way of seeing competence reflects the individualist orientation of the education system. This makes good sense, because the education system is predicated on the individualist orientation of the larger healthcare system, in which licensure, billing, and medico-legal accountability function on an individual practitioner basis (Sidhom and Poulsen 2006). As Burke put it, a god term manifests the ‘‘ultimate motive’’ of a community or context.


  • 요약하면, '역량'은 현재의 개인주의적 헬스케어 시스템과 교육 문화를 반영reflect합니다

  • 이 용어는 개별 학습자와 그들이 머리, 손, 마음에 가지고있는 지식, 능력 및 가치를 선택select합니다. 

  • 그렇다면 이 용어가 왜곡deflect하는 것은 무엇일까? 

이 용어가 만들어내는 사각 지대는 무엇인가? 유능한 개개인이 모여서 무능한 팀을 이룰 수 있다. 전통적인 역량 담론은 우리가 이 현실과 씨름하는 것을 돕지 않습니다. 이 끈적거리는 교육 및 임상 문제에서 우리의 관심을 빗나가게합니다. 그러나 이 문제를 해결하는 데 도움이 될 수있는, 역량을 확인하는 또 다른 방법이 등장하고 있습니다.

To summarize then, ‘competence’ reflects our individualist healthcare system and education culture. It selects for our attention the individual learner and the knowledge, abilities and values they possess in their heads, hands and hearts. What, then, does it deflect our attention from? What blind spots does it produce? An example from my own work comes to mind: competent individual professionals can—and do, with some regularity— combine to create an incompetent team. The conventional discourse of competence doesn’t really help us grapple with this reality; it deflects our attention from this sticky educational and clinical problem. However, alternative ways of seeing competence are emerging that may help us address this.


'역량의 집단주의적 담론 (collectivist discourse of competence)'이라고 부르는 것의 출현은 복잡한 체계로서의 헬스케어의 본성에 대한 사회적 및 조직적 분야에서의 관심 증가를 반영한다. '집단적 역량'은 참여를 통해 지식이 구성된다고 전제하는 사회적 학습 이론social learning theory에 의존한다 (Lave and Wenger 1991). 이 초점은 의료와 같은 도제 또는 근무지-기반 학습 환경에서 특히 적절합니다. 교사도 학습자도 '무엇을 배우는지'를 완전히 통제하지 못한다. 학습은 사회적 상호 작용의 결과로서, 육체적, 사회적 및 조직적 맥락에 의해 형성된다.

The emergence of what I will call a ‘collectivist discourse of competence’ reflects growing attention in the social and organizational spheres to healthcare’s nature as a complex system. ‘Collective competence’ draws on social learning theory with its premise that knowledge is constructed through participation (Lave and Wenger 1991). This focus is particularly appropriate in apprenticeship or work-based learning settings like medicine, where what is ‘learned’ is not in the complete control of teacher or learner; it emerges as a consequence of the social interaction, which is shaped by the physical, social and organizational context.



사회적 학습 이론은 개인에 대한 지식을 수집하고, 체계화하고, 문서화하는 것을 넘어서, 집단적 환경에서 지식을 공유, 토론, 혁신하는 것에 초점을 둔다 (Eraut 2000; Mittendorf 외.

Social learning theories move our focus beyond capturing, codifying and documenting knowledge of individuals, and towards the ways through which knowledge is shared, discussed, and innovated in a collective setting (Eraut 2000; Mittendorf et al. 2006).


마찬가지로, 분산 인식distributed cognition은 협동 작업을 '어느 한 개인에게도 귀인하지 못하는 공동 성취'로서의 '인지적 성취'라고 개념화합니다 (Hutchins 1990). 이러한 개념은 지식이 역동적이고, 학습이 복잡하고 불확실하며, 정보와 규칙이 기술 및 임상 그룹의 사회 의식에 저장되는 임상 훈련 시대에 특히 유용합니다.

Similarly, Distributed cognition conceptualizes collaborative work as ‘‘cognitive accomplishments’’ that ‘‘can be joint accomplishments, not attributable to any individual’’ (Hutchins 1990). This concept is particularly useful in this era of clinical training in which knowledge is dynamic, learning is complex and uncertain, and information and rules are stored in technologies and in social rituals of clinical groups.


Bleakley와 Bligh가 주장 하듯, "학습은 주로 situated and distributed knowing에 대한 합법적인 접근에 관한 메타 프로세스"이다. 이는 개개인이 가진 지식저장소의 가치를 부정하는 것이 아니라, 지식을 습득하는 방법이나 지식에 접근하는 방법을 배우는보다 폭 넓고 절박한 맥락에 가치를 두는 것이다. "(Bleakley and Bligh 2007).

As Bleakley and Bligh argue, ‘‘learning is largely a meta-process concerning legitimate access to situated (contextlinked) and distributed knowing. This is not to deny the value of one’s own store of knowledge, but to place this in the wider and more pressing context of learning how to learn or how to access knowledge’’ (Bleakley and Bligh 2007).


팀 성과의 맥락에서 '역량'은 단순히 정보를 재생산하는 능력이 아니며, 공동으로 지식을 생산하는 방법을 아는 것을 포함한다. '분산된 인지'에 의해 가능해진 '조정'은 집단적 역량의 한 표현이다. 공유된 지식은 조화 된 행동을지지하는 공유 된 기대를 돕는 일의 공유 된 정신적 표현을 만들어 낸다 (Salas et al., 2007). 팀 인식team cognition의 이러한 모델은 시스템의 각 부분은 별개의 것이 아니며, 오히려 시스템의 한 부분의 변화나 약점이 다른 부분은 물론 전체 성과에도 영향을 미친다는 "결합"이라는 핵심 개념을 반영합니다.


In the context of team performance, competence includes knowing how to jointly produce knowledge, rather than simply reproduce information. The ‘‘coordination’’ made possible by distributed cognition is one representation of collective competence: shared knowledge helps produce shared mental representations of tasks, which assists shared expectations, which support coordinated actions (Salas et al. 2007). Such models of team cognition reflect the key notion of ‘‘coupling’’, the idea that parts of a system are not discrete but, rather, that their connectedness is such that a change or weakness in one part of the system affects both other parts and the performance of the whole.


'집단적 역량'이라는 새로운 담론은 [유능한 개인으로 구성된 무능한 팀]에 대한 나의 예를 이해할 수있는 토대를 제공합니다. 그러나 여기에 사각지대가 없는 것은 아니다. 집단주의에 대한 비판 가운데 하나는, 개인이 책임감으로부터 벗어나는 문제이다. 따라서, 역량을 '대체'하는 god term로서 'collective competence'을 제안하는 것이 아닙니다. 'Seeing'의 방식은, 그것이 무엇이 되었든 '선택'하고 '왜곡'한다. 우리가 소중히 여기는 '역량'이라는 개념이 만들어진 것이고, 그 결과로 무언가가 선택되고 왜곡된다는 사실을 인식하는 것은 나이브한 수용에 저항하는 첫 걸음이 될 것이다. 버크 (Burke)가 말했듯이, '신의 용어'는 그것이 반복적으로 사용되고 익숙해지면서, 점차 자연의 보편적이고, 불가피한, 현실의 질서를 보여주는 것에 위험이 있다. 여기서 벗어나기 위해서는 그것을 낯설게 만들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며, 그것을 지지하는 동기가 무엇인지 밝히고, 적응력 있고 유연한 역량 담론을 위한 공간을 열어야 한다.


The emerging discourse of collective competence provides a basis for understanding my example of an incompetent team comprised of competent individuals. It is not, however, without its own blind spots. Among the critiques of collectivism is the problem of deflected attention from individual accountability. Thus, I’m not proposing ‘collective competence’ as a replacement god term. Each way of seeing, selects and deflects . Recognizing that our cherished idea of competence is constructed, and that it consequently selects and deflects—this is the necessary first step in guarding against naı¨ve acceptance. For as Burke suggests, the danger with god terms is that, through repeated use and familiarity, they become suggestive of a natural, universal and inevitable order of reality. Teasing them apart is an exercise in making them unfamiliar, excavating the motivations that underpin them, and opening space for an adaptive and flexible discourse of competence.




 2009 Dec;14(5):625-8. doi: 10.1007/s10459-009-9206-y.

What we see and don't see when we look at 'competence': notes on a god term.

PMID:
 
19856124
 
DOI:
 
10.1007/s10459-009-9206-y
[Indexed for MEDLINE]


문화적으로 책임감있는 수업 운영의 개념(J Teach Educ, 2004)

TOWARD A CONCEPTION OF CULTURALLY RESPONSIVE CLASSROOM MANAGEMENT

Carol S. Weinstein

Saundra Tomlinson-Clarke

Mary Curran

Rutgers University



  • 예를 들어 유럽 계 미국인 교사는 일반적으로 "수동적 수용"담화 패턴에 익숙합니다. 그들은 교사가 말하고있는 동안 학생들이 조용히 듣고 교사가 시작한 질문에 개별적으로 대답 할 것을 기대합니다 (Gay, 2000). 

  • 좀 더 적극적이고 참여적인 패턴 ( "전화 응답")에 익숙한 일부 아프리카 계 미국인 학생들이 의견 및 반응을 제공함으로써 참여를 입증하면 교사는 그러한 행동을 무례하고 파괴적이라고 해석 할 수 있습니다. 

  • 유사하게, Pacific Islanders가 얼마나 대인 관계의 조화를 중요시하는지 깨닫지 못하는 교사들은 경쟁 활동에 참여하기를 꺼릴 때 이 학생들이 게으르다고 결론 지을 수 있습니다 (Sileo & Prater, 1998). 

  • 또한 교사들은 동남아시아 학생들이 미소 짓는 것이 무례하지 않고 죄책감을 느끼고 힘든 감정이 없음을 보여주기 위해 노력한다는 사실을 모르는 경우에 꾸짖음을 당하면서 충격을받을 수 있습니다 (Trueba, Cheng, & Ima, 1993). 제네바 게이 (Geneva Gay, 2000)

  • European American teachers, for example, are generally accustomed to a “passive-receptive” discourse pattern; they expect students to listen quietly while the teacher is speaking and then respond individually to teacher-initiated questions (Gay, 2000). When some African American students, accustomed to a more active, participatory pattern (“call-response”), demonstrate their engagement by providing comments and reactions, teachers may interpret such behavior as rude and disruptive. 

  • Similarly, teachers who do not realize how strongly Pacific Islanders value interpersonal harmony may conclude that these students are lazy when they are reluctant to participate in competitive activities (Sileo &Prater, 1998). 

  • In addition, teachers may be shocked when Southeast Asian students smile while being scolded if they are unaware that the smiles are meant not as disrespect, but as an admission of guilt and an effort to show that there are no hard feelings (Trueba, Cheng, & Ima, 1993). As Geneva Gay (2000) observed,


대부분의 교사들이 뻔뻔스러운 인종 차별 주의자는 아니지만 많은 사람들이 문화적 헤게모니스트 일 것입니다. 그들은 모든 학생들이 학교의 '정상적인' 문화적 기준에 따라 행동 할 것으로 기대합니다. 유색인 학생이 따르지 않을 때, 선생님은 그 학생들을 사랑하기 어려운, 문제있는, 명예롭지 않은, 포옹하기가 어려운 학생이라고 생각하게됩니다. (46 쪽)

While most teachers are not blatant racists, many probably are cultural hegemonists. They expect all students to behave according to the school’s cultural standards of normality. When students of color fail to comply, the teachers find them unlovable, problematic, and difficult to honor or embrace without equivocation. (p. 46)


경영 분야의 연구는 다른 문화권 학생들에게 관심을 주기도 하지만 (때때로 특별한 필요를 가진 학생에 대한 별도의 장에서), 유럽계 미국인 학생과 교사도 문화적 존재라는 사실을 거의 인식하지 못합니다. 더욱이, 전통적인 교실 관리는 백인 중산층 (Bowers & Flinders, 1990)의 문화가 문화적으로 중립적인 것처럼 보입니다.

Management texts may give some attention to students who are culturally different (sometimes in a separate chapter on students with special needs), but there is virtually no recognition that European American students and teachers are also cultural beings. Moreover, conventional classroom management is presented as if it were culturally neutral, rather than a White, middle-class construction (Bowers & Flinders, 1990).



그런 다음 CRCM에 필수적인 다섯 가지 구성 요소를 제안합니다.

  • (a) 자신의 민족 중심주의와 편견의 인정.

  • (b) 학생들의 문화적 배경 지식 이해;

  • (c) 교육 시스템의 광범위한 사회적, 경제적, 정치적 맥락에 대한 이해

  • (d) 문화적으로 적절한 교실 관리 전략을 사용할 수있는 능력과 의지

  • (e) 돌보는 교실 커뮤니티 구축에 대한 헌신.


We then suggest five components essential to CRCM: 

(a) recognition of one’s own ethnocentrism and biases; 

(b) knowledge of students’cultural backgrounds; 

(c) understanding of the broader social, economic, and political context of our educational system; 

(d) ability and willingness to use culturally appropriate classroom management strategies; and 

(e) commitment to building caring classroom communities.


다른 문화권의 아이 가르치기

TEACHING OTHER PEOPLE’S CHILDREN



  • 아이티 (Haitian)의 선생님들은 아이들을 돌보고 마음에 가장 큰 관심을 가지고 있다는 사실을 강조하지만 (예 : "너와 같은 어른들, 너는 좋은 아이들이되기를 바란다"), 

  • Ballenger와 유럽계 미국인 교사는 종종 아이의 내면 상태에 대해서 언급한다(예 : "너는 화가 나 있구나") 

  • 또한 유럽계 미국인 교사는 자녀의 행동에 대한 논리적 인 결과를 강조합니다 (예 : "듣지 않으면, 무엇을해야할지 모를 것입니다") 

  • 반면, 아이티 선생님은 집단 구성원의 가치와 책임을 분명히하고 덜 즉각적인 결과를 강조합니다 가족과 같은 수치심을 불러 일으키는 것.


Although Haitian teachers stress the fact that they care for the children and have their best interests at heart (e.g., “The adults here like you, they want you to be good children”), Ballenger—and European American teachers in general—frequently refer to children’s internal states (e.g., “You must be angry”). Moreover, European American teachers stress the logical consequences of children’s behavior (e.g., “If you don’t listen, you won’t know what to do”), whereas Haitian teachers articulate the values and responsibilities of group membership and stress less immediate consequences, such as bringing shame to one’s family.


문화적으로 책임감있는 교실 관리

COMPONENTS OF CULTURALLY RESPONSIVE CLASSROOM MANAGEMENT



우리는 교실 관리의 목표가 학생들이 적절하게 행동하는 환경을 조성하는 것이라고 믿습니다. 처벌에 대한 두려움이나 보상에 대한 열망이 아니라 개인적인 책임감에서 비롯된 것입니다. 우리는 선생님이 권위적인 모습으로 기능 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하지만, 외부 통제를 강조하는 것은 학생들이 어떻게 행동해야할지를 선택하는데 기여하는 바가 거의 없으며, 교과 과정 및 교육에 대한 현재의 사고와 양립 할 수 없다고 생각합니다 (McCaslin & Good, 1992, 1998). 또한 교사가 훌륭한 예방적 경영 전략을 사용하면 교실에서의 장애의 대부분의 문제를 피할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우리는 교실 관리 - 부적절한 행동에 대응하는 학습 및 규율을 지원하는 보살 피고 존중하는 환경을 만드는 방법을 구별합니다.


we believe that the goal of classroom management is to create an environment in which students behave appropriately, not out of fear of punishment or desire for reward, but out of a sense of personal responsibility. Although we believe that teachers need to function as authority fig-ures , we believe that an emphasis on external control does little to teach students to make good choices about how to act and is incompatible with current thinking about curriculum and instruction (McCaslin & Good,1992, 1998). We also believe that most problems of disorder in classrooms can be avoided if teachers use good preventive management strategies. We distinguish between classroom management—ways of creating a caring, respectful environment that supports learning—and discipline—ways of responding to inappropriate behavior.


자기 자신의 문화중심성과 편견을 인식하기

Recognition of One’s Own Ethnocentrism and Biases


다문화적 역량은 자신의 동기, 신념, 편견, 가치 및 인간 행동에 대한 가정에 대한 이해와 직접 관련이 있습니다. 그러나 대부분의 백인 교사 교육 학생들은 유럽계 미국인으로서, 자신의 정체성이 무엇에 의해 어떻게 영향을 받았는지 질문을 받으면 당황스러워한다. 이것은 뱅크스 (Banks, 1994)가 "문화적 캡슐화 (cultural encapsulation)"라고 불렀던 것으로서, 이는 스스로의 인종적 정체성이나 침투성을 알지 못하는 것을 말한다. 그들은 자신의 문화적 규범이 중립적이며 보편적이라고 생각합니다.

Multicultural competence is directly related to an understanding of one’s own motives, beliefs, biases, values, and assumptions about human behavior. Yet most of our White teacher education students are bewildered when we ask how they have been affected by their identity as European Americans. Having experienced what Banks (1994) called “cultural encapsulation,” they are unaware of their own racial identity or the pervasiveness of Whiteness. They consider their own cultural norms to be neutral and universal



교사 준비 프로그램은 학생들로 하여금 백인성의 개념, "백인의 특권"(McIntosh, 1988)의 여러 측면과 자신의 백인 민족 역사를 탐구하도록 해야 할 필요가 있습니다. 암시적이며 생각해보지 않았던 문화적 편견을 의식 수준으로 가져옴으로써 우리는 문화적으로 다른 학생들의 행동을 잘못 해석하고 불공정하게 대우하지 않을 것입니다.

Teacher preparation programs need to help students explore the concept of Whiteness itself, the many facets of “White privilege” (McIntosh, 1988), and their own White ethnic histories. By bringing our implicit, unexamined cultural biases to a conscious level, we are less likely to misinterpret the behaviors of our culturally different students and treat them inequitably.


Tomlinson-Clarke와 Ota Wang (1999)은 세 가지 요소로 구성된 문화 역량 훈련 모델을 제안했습니다. 

Tomlinson-Clarke and Ota Wang (1999) proposed a cultural competency training model that consists of three elements. 


첫째, 강의를 통해 문화적 인식과 지식에 대한 최초의 소개를 제공합니다.

First, didactic coursework provides aninitial introduction to cultural awareness and knowledge.


둘째, 체험적 요소를 통해 집단에 소속됨으로써 다른 사람과 관련하여 바라보는 자신의 모습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 체계적으로 조사함으로써 인식과 지식을 구축합니다.

Second, experiential elements build on awareness and knowledge through systematic examination of how group affiliation influences one’s sense of self in relation to others.


학생들은 몽족 가정과 서양 의학 공동체 간의 문화적 충돌을 묘사하는 <성령이 당신을 잡습니다> (Fadiman, 1998)를 읽었습니다. 후속 활동으로 학생들은 강사와 일부 학생들이 몽족 언어 만 사용하는 강의실에 푹 빠져있었습니다. 이후 그들은이 경험에 대해 반성하고 영어가 추가 언어 인 학생들의 미래 가르침에 대한 함의를 논의 할 수있는 기회를 얻었습니다.

The students had read The Spirit Catches You and You Fall Down (Fadiman, 1998), which describes a cultural clash between a Hmong family and the Western medical community. As a follow-up activity, the students were immersed in a classroom in which the instructor and some students spoke only the Hmong language. Afterward they were given the opportunity to reflect on this experience and discuss its implications for their future teaching of students for whom English is an additional language.


마지막으로 연습을 통해 CRCM 전략을 적용 할 수 있습니다.

Finally, practice allows the application of CRCM strategies.



학생의 문화적 배경에 관한 지식

Knowledge of Students’ Cultural Backgrounds


민족 중심주의에 대한 인식이 분명히 CRCM의 필수 요소이지만, 유럽계 미국인 교사가 문화적으로 다른 학생들과 효과적으로 협동 할 수있게하는 것만으로는 충분하지 않습니다 (Sheets, 2000). 교사는 또한 문화 간 상호 작용을위한 기술을 개발하기 위해 학생들의 문화적 배경에 관한 지식을 가지고 있어야합니다.

Although awareness of ethnocentrism is certainly a necessary ingredient of CRCM, it is not sufficient to enable European American teachers to work effectively with culturally different students (Sheets, 2000). Teachers must also have knowledge of students’ cultural backgrounds to develop skills for cross-cultural interaction.


그러나 교육자들은 그룹 간 문화적 특성에 대한 차이를 이야기하기를 꺼려하는데, 그 이유는 그 차이를 essentilize할 것을 두려워하기 때문이며, 종종 두 그룹 구성원 간의 이질성을 무시한다.

Yet educators are sometimes reluctant to talk about cultural characteristics for fear of essentializing differences between groups (McLaren, 1995) and ignoring heterogeneity among group members.


정체성은 "역사와 문화 외부에서 변하지 않은 고정 된 본질"(Hall, 1989, p.72)이 아니라, 오히려 정체성 형성은 지속적이고 평생 지속되는 과정입니다.

Identity is not a “fixed essence lying unchanged outside history and culture” (Hall, 1989, p. 72); rather, identity construction is an ongoing, lifelong process.


멕시코 청소년들은 학교에 관심을 갖기 전에 관심을 '받아야' 합니다. 그러한 토론은 문화적 가치와 규범이 표면적으로 학교에 대한 관심이 부족한 것처럼 보이는 행동의 기초가 될 가능성에 민감하게 반응 할 수 있습니다.

Mexican youths must feel “cared for” before they can “care about” school. Such discussions can sensitize them to the possibility that cultural values and norms underlie behavior that, on the surface, looks like a lack of interest in school.


1. 가족 배경 및 구조 : 학생들은 어디에서 왔습니까? 학생들이이 나라에 얼마나 오래 있었습니까? 권위의 계층은 무엇입니까? 학생들은 집에서 어떤 책임을 맡습니까? 영어 학습이 최우선 과제입니까?

1. Family background and structure: Where did the students come from? How long have the students been in this country? What is the hierarchy of authority? What responsibilities do students have at home? Is learning English a high priority?


2. 교육 : 이전 학교 수업에 얼마나 많은 돈이 있었습니까? 그들은 어떤 종류의 교수 전략을 익혔습니까? 예전 학교에서는 대규모 그룹 수업, 암기 및 암송에 중점을 두었습니까? 적절한 행동에 대한 기대는 무엇 이었습니까? 학생들이 적극적이거나 수동적으로 행동 할 것으로 기대 되었습니까? 독립 또는 의존? 동료 지향적이거나 교사 지향적입니까? 협동 또는 경쟁?

2. Education: How much previous schooling have the students had? What kinds of instructional strategies are they accustomed to? In their former schools, was there an emphasis on large group instruction, memorization, and recitation? What were the expectations for appropriate behavior? Were students expected to be active or passive? Independent or dependent? Peer oriented or teacher oriented? Cooperative or competitive?


3. 대인 관계 스타일 : 문화적 규범은 집단의 유익을 위해 또는 개인적 성취를 강조하는 것인가? 남성과 여성의 상호 작용에 관한 규범은 무엇입니까? 편안한 개인 공간은 무엇입니까? 학생들은 권위있는 인물에 복종하거나 질문합니까? 감정과 감정 표현이 강조되거나 숨겨져 있습니까?

3. Interpersonal relationshipstyles: Do cultural norms emphasize working for the good of the group or for individual achievement? What are the norms with respect to interaction between males and females? What constitutes a comfortable personal space? Do students obey or question authority figures? Are expressions of emotion and feelings emphasized or hidden?


4. 규율 : 성인은 관용적, 권위주의 또는 독재적인 방식으로 행동 하는가? 어떤 종류의 찬양, 보상, 비판, 처벌이 관례입니까? 그들은 공개적으로 또는 사적으로 관리됩니까? 그룹이나 개인에게?

4. Discipline: Do adults act in permissive, authoritative, or authoritarian ways? What kinds of praise, reward, criticism, and punishment are customary? Are they administered publicly or privately? To the group or the individual?


5. 시간과 공간 : 학생들은 시간에 대해 어떻게 생각합니까? 시간을 잘 엄수해야 하나요? 아니면 시간이 유연한 것으로 간주됩니까? 작업 완수의 속도는 얼마나 중요합니까?

5. Time and space: How do students think about time? Is punctuality expected or is time considered flexible? How important is speed in completing a task?


6. 종교 : 학교에서 토론하면 안되는 주제와 관련하여 어떤 제한이 있습니까?

6. Religion: What restrictions are there concerning topics that should not be discussed in school?


7. 음식 : 무엇을 먹습니까? 먹지 않은 것은 무엇입니까?

7. Food: What is eaten? What is not eaten?


8. 건강과 위생 : 질병은 어떻게 치료되며 누구에 의해 치료됩니까? 원인으로 간주되는 것은 무엇입니까? 정서적 및 심리적 문제에 대한 전문적인 도움을 찾는 것과 관련된 기준은 무엇입니까?

8. Health and hygiene: How are illnesses treated and by whom? What is considered to be the cause? What are the norms with respect to seeking professional help for emotional and psychological problems?


9. 역사, 전통 및 휴일 : 어떤 사건과 사람들이 그룹의 자존심의 원천입니까? 미국 내 그 민족집단은 출신 국의 역사와 전통을 어느 정도까지 파악하고 있습니까? 학교에서 적절하다고 여겨지는 휴일 및 축하는 무엇입니까?

9. History, traditions, and holidays: Which events and people are a source of pride for the group? To what extent does the group in the United States identify with the history and traditions of the country of origin? What holidays and celebrations are considered appropriate for observing in school?




더 광범위한 사회, 경제, 정치적 맥락 이해

Awareness of the Broader Social, Economic, and Political Context


교사는 또한 교육 기업이 더 큰 사회의 차별 관행을 반영할 뿐만 아니라, 심지어는 종종 그것을 영속시킬 수 있음을 이해해야합니다. 우리는 지배 집단의 규범에 기초한 개인의 편견이 제도화되는 방식을 인식해야합니다. 인종, 사회 계급, 성별, 언어 배경 및 성적 취향의 차이가 권력과 어떻게 연관되어 있는지 이해해야합니다.

Teachers also need to understand that the educational enterprise reflects and often perpetuates discriminatory practices of the larger society. We need to become aware of the ways individual prejudices based on the norms of dominant groups become institutionalized. We must understand how differences in race, social class, gender, language background, and sexual orientation are linked to power.



예를 들어, 칠코트씨의 학생들은 비협조적이었다. 무슨 일이 일어나고 있는지 이해하기 위해 칠 코트 (Chilcoate) 씨는 학생들에게 수업에 대한 비판을 적어 보라고 요청했습니다. 그는 그것을 소리내어 읽었고, 함께 수업은 교실 상황을 개선하는 방법을 논의했습니다. 학생들의 행동이 극적으로 바뀌었을 때, 칠 코트 (Chilcoate)는 자신의 학습에 대해 어느 정도 통제 할 수있는 기회가 주어졌으며 자신의 "욕망, 우려 및 소원"(236 페이지)을 전하는 기회를주었습니다. 이것은 무척 드문 경우이긴 하다.

Mr. Chilcoate, for example, an English teacher whose students were uncooperative. In an attempt to understand what was going on, Mr. Chilcoate asked students to write down a criticism of the class. He read them aloud, and together the class discussed how to improve the classroom situation. When students’ behavior changed dramatically, Mr. Chilcoate attributed it to the fact that they had been given an opportunity to have some control over their own learning and to communicate their “desires, concerns, and wishes” (p. 236)—an all-too-rare occurrence.



문화적으로 적합한 관리 전략 사용의 능력과 의지

Ability and Willingness to Use Culturally Appropriate Management Strategies


우리는 문화 다양성을 이해하는데의 세 가지 특수한 어려움이 있다.

Here, we consider three particular challenges that an understanding of cultural diversity poses for teachers.


첫째, '공평한 대우'라는 측면에서 자신의 행동을 모니터해야합니다 (Nieto, 2000). 어떤 사람에게만 더 관용적이거나 더 인내심을 발휘하지는 않습니까?

First, we need to monitor our behavior in terms of equitable treatment (Nieto, 2000): Are we more patient and encouraging with some?


둘째, Ballenger처럼 교실 관리에 의문을 제기하여야 하며, 기존의 운영 전략과 학생들의 문화적 배경 사이의 불일치를 고려하여 "무엇이 효과가 있는가"에 대해 기존에 가지고 있던 가정을 의심해보아야 한다. 예를 들어, 중국계 미국인 학생들에게 "의견을 표현할 의사가 없다"며 나무라는 것은 그들이 부모님으로 배운 것과 충돌할 수 있다.

Second, like Ballenger, we need to question classroom management and be alert to possible traditional assumptions of “what works” in mismatches between conventional management strategies and students’ cultural back-grounds. For example, reprimanding Chinese American students for not being willing to express their opinions may conflict with their parents’ directive to listen and learn what the teacher tells them.


셋째, 언제 학생들의 문화적 배경을 수용할 것인지, 아니면 언제 학생들에게 문화에 적응하라고 할 것인지를 잘 고려해야 한다. 이는 'mutual accommodation'이라고 한다. 상호 수용 시설에서 교사가 학생들의 언어와 문화를 받아들이기도 하지만, 마찬가지로 학생과 그 가족들도 학교의 핵심적 문화에 적응하여야 한다.

Third, we need to consider when to accommodate students’ cultural backgrounds and when to expect students to accommodate (Grossman, 1995)—what Nieto (2000) called mutual accommodation. In mutual accommodation, teachers accept and build on students’ language and culture but also equip students and their families to function within the culture of the school in key areas needed for academic progress and order (e.g., attendance, homework, punctuality).


수용하는것과 수용을 요구하는 것 사이의 결정은 어려울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아프리카 계 미국인 학생들이 권위있는 인물의 직관적 인 지시에 익숙해지면서 "공손한 공식"(Manke, 1997)과 간접적 인 담화 전략 (예 : "샐리, 앉아 주시겠습니까?" Delpit, 1995)?

Deciding when to accommodate and when to require students to accommodate can be difficult. For example, do we forgo the use of “politeness formulas” (Manke, 1997) and indirect discourse strategies (e.g., “Sally, would you like to sit down?”) with African American students accustomed to more straightforward directives from authority figures (Delpit, 1995)?


교사는 학생들이 자신의 문화적 가정과 가치를 명확히 설명할 수 있도록 도와주어야 하며, 학생의 문화적 가치를 학교 및 지배적인 문화와 비교하도록 도와야합니다. 즉, 외부 적으로 부과 된 요구 사항 ( "당신은 정시에 도착해야합니다. 그렇지 않으면")을 준수하라고 강요하는 대신, 교사는 둘 사이의 조화를 명백하고 가시적으로 만들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문화는 시간에 대해 서로 다른 시각을 가지고 있습니다" ). "문화적 자본"(Bourdieu, 1991)의 관점에서 토론을 보완함으로써 교사는 수용의 이유 (및 장점)를 설명 할 수있다. 목표는 학생들이 동시에 능숙하고 비판적으로 행동하도록 돕는 것입니다.

Teachers should help students to articulate their own cultural assumptions and values and to compare them with the assumptions and values of the school and the dominant culture. In other words, instead of emphasizing compliance with externally imposed demands (“You need to be here on time, or else”), teachers can make the accommodation explicit and visible (explaining, for example, that “cultures have different perspectives on time”). By couching the discussion in terms of “cultural capital” (Bourdieu, 1991), teachers can explain the reasons for (and advantages of) accommodating. The goal is to help students become proficient and critical at the same time.



돌봄 문화의 교실 공동체 만들기

Commitment to Building Caring Classroom Communities


Walter Doyle (1986)은 교실의 규칙를 대화에 비유했다. 그것은 반드시 양측이 협력하기로 동의해야 달성할 수 있는 것이다. 유사하게, Sheets (1996)는 학생들이 교사의 행동을 수동적으로받는 사람이 아니라고 관찰했다 (171 쪽). 학생들은 오히려 영향을 받는 만큼 교실에서 벌어지는 이벤트에 영향을 줍니다. 교사의 지시에 따라 그들은 저항하거나 협동하고, 무시하거나 묵인합니다. 어떻게 행동할지를 결정하는 핵심 요인은 교사의 보살핌에 대한 인식입니다.

Walter Doyle (1986) likened classroom order to conversation: It can only be achieved if both parties agree to cooperate. Similarly, Sheets (1996) observed that students are not “passive recipients” of teachers’ actions (p. 171); rather, they influence classrooms events as much as they are influenced. Faced with directives from the teacher, they resist or cooperate, ignore or acquiesce—and the key factor determining which option they choose is often their perception of the teacher’s caring.


교사 교육을 개혁하려는 노력은 대개 교사의 내용전문성과 교수법 지식에 초점을 두었지만 학생을 돌보는 교사에 대한 비판적 필요성이 인식되고있다 (Morris & Morris, 2002).

Although efforts to reform teacher education have usually focused on teachers’ subject matter competence and pedagogical knowledge, the critical need for teachers who care for and about students has been gaining recognition (Morris & Morris, 2002)


게이 (Gay, 2000)는 "배려는 효과적인 교육과 학습의 기본 기둥이며, caring이 부족한 경우 민족적으로 다른 학생들을 위한 교육 기회와 성취 결과의 불평등을 초래한다"(62 쪽)라고 썼다. Rogers와 Renard (1999)는 "학생들은 교사가 자신들을 사람으로서 대해주고, 인간적으로, 교육적으로 돌봐준다고 느낄 때 동기부여된다"고 주장했다 (34 쪽). Cothran and Ennis (2000)는 학생들이 돌보고 존경하는 교사들과 협력 할 가능성이 더 높다고 주장했다.

Gay (2000) wrote that “caring is a foundational pillar of effective teaching and learning, [and] the lack of it produces inequities in educational opportunities and achievement outcomes for ethnically different students” (p. 62). Rogers and Renard (1999) contended that “students are motivated when they believe that teachers treat them like people and care about them personally and educationally” (p. 34); and Cothran and Ennis (2000) asserted that students are more likely to cooperate with teachers who are caring and respectful.


확실히 문제의 일부는 구조적 제약에 기인합니다 (Katz, 1999) : 너무 많은 학생과 충분한 시간, 추적, 표준화 된 시험, 커리큘럼에 대한 압박감.

Certainly, part of the problem stems from structural constraints oncaring(Katz, 1999): too many students and not enough time, tracking, standardized testing, pressure to cover the curriculum.


효과적인 흑인 교사는 "따뜻하게 요구하는 사람들"(Vasquez, 1988) 경향이있다. - 강력하면서도 동정심이 많고, 권위적이면서도 사랑스럽고, 단호하면서도 존중한다. 대조적으로, 백인 교사들은 권위있는 교사라는 이미지의 이미지에 익숙하지 않은 경향이있다.

effective Black teachers tend to be “warm demanders” (Vasquez, 1988)— strong yet compassionate, authoritative yet loving, firm yet respectful. In contrast, White teachers tend to be less comfortable with the image of teacher-as-authority figure.


교사들은 학생들이 서로 존중 받고, 신뢰 받고, 지원받는 느낌을 갖도록 "학습자 공동체"(Battistich, Watson, Solomon, Lewis, & Schaps, 1999)를 만드는 전략에 익숙해야합니다.

We also have to ensure that prospective teachers are familiar with strategies for creating a “caring community of learners” (Battistich, Watson, Solomon, Lewis, & Schaps, 1999) so that students feel respected, trusted, and supported by one another.


결론

CONCLUDING COMMENTS


우리는 아프리카 계 미국인 학생들의 언어 적 스파링에 대해 징벌 적으로 반응 한 유럽계 미국인 교사 니콜 (Nicole)의 이야기로 이 이야기를 시작했으며, 문화적 배경과 일관된 장난스러운 행동으로 인식하지 못했습니다. 아이러니하게도, 교장이 니콜을 문책했을 때, 그녀 역시 문화적으로 특유한 행동을 했으며, 즉 니콜의 해석에 대해 징벌 적으로 대응했다. Cartledge와 Milburn (1996)이 관찰 한 것처럼, 교장은 사건을 학습과 성장의 기회로 사용할 수있었습니다. 남학생들을 편견적으로 대했다는 것을 이유로 Nicole을 비난하는 대신, 그녀는 남학생들의 그런 표현을 설명하고, 주제에 관한 책을 제안 할 수 있었고 (예 : Black Students and School Failure, Irvine, 1990), 니콜에게 동료들과의 토론을 독려하고 그녀에게 의사 소통 스타일을 영어 커리큘럼의 일부로 만들어야합니다. 요컨대, 그녀는 니콜이 다문화 역량을 개발하고 문화적으로 반응 할 수 있도록 도울 수있었습니다.

We began this article with the story of Nicole, a European American teacher who responded punitively to African-American students’ verbal sparring, failing to recognize it as playful behavior consistent with their cultural backgrounds. Ironically, when the principal reprimanded Nicole, she too responded punitively to behavior that was culturally specific—that is, Nicole’s European American interpretation of negative verbal statements as aggression. As Cartledge and Milburn (1996) observed, the principal could have used the incident as an opportunity for learning and growth. Instead of berating Nicole for prejudicial treatment of the boys, she could have explained verbal sparring, suggested books on the topic (e.g., Black Students and School Failure, Irvine, 1990), encouraged Nicole to engage in discussions with her colleagues, and urged her to make communication style a part of her English curriculum. In short, she could have helped Nicole develop multicultural competence and become more culturally responsive.



학생들의 문화적 배경에 대해 배우고, 다양성을 존중하고 긍정하는 교수법을 개발하고, 교수법을 실제 가르침으로 변형시키는 배려를 모델로 삼는 것. 백인 교사와 다인종 학교에 관한 Gary Howard (1999)의 저서에서 "우리는 우리가 모르는 것을 가르 칠 수 없다"라는 구절을 빌린다.

to examine their own biases and assumptions, to learn about students’ cultural backgrounds, to develop pedagogical practices that respect and affirm diversity, and to model the caring that transforms instruction into real teaching. To borrow a phrase from Gary Howard’s (1999) book on White teachers and multiracial schools, “We can’t teach what we don’t know.”




Toward a Conception of Culturally Responsive Classroom Management

First Published January 1, 2004 Other


Given the increasing diversity of our classrooms, a lack of multicultural competence can exacerbate the difficulties that novice teachers have with classroom management. Definitions and expectations of appropriate behavior are culturally influenced, and conflicts are likely to occur when teachers and students come from different cultural backgrounds.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stimulate discussion of culturally responsive classroom management (CRCM). We propose a conception of CRCM that includes five essential components: (a) recognition of one’s own ethnocentrism; (b) knowledge of students’ cultural backgrounds; (c) understanding of the broader social, economic, and political context; (d) ability and willingness to use culturally appropriate management strategies; and (e) commitment to building caring classrooms. In the final section of the article, we suggest questions and issues for future research.


소셜미디어와 메디컬 프로페셔널리즘(Med Educ, 2014)

Social media and medical professionalism

Anne Cunningham




이번 호에서는 Jain 등이 학생, 교수, 대학 직원 (일반인을 대표)이 Facebook의 공개 프로필에 게시된 특정 자료를 어떻게 생각하는지를 연구하였다.1 그들은 환자의 기밀 유지를 위반하는 것과 같은 가장 심각한 transgression에 대해서는 모두 일치를 이루었다. 그러나 술을 먹는 사진이나 '동성 연애자'를 묘사하는 문제 등에 대해서는 많은 의견 차이가있었습니다 .1 일반적으로 학생들은 교수진이나 대중보다 관용적이었습니다.

In this issue, Jain et al.1 set out to explore how students, faculty members and university staff (presumed to represent the public) view the posting of certain materials to public Facebook profiles.1 They found agreement on the most serious transgressions, such as the breaching of patient confidentiality.1 There was more disagreement, however, about other issues, such as appearing in photographs with alcohol, or as part of what the authors describe as ‘same sex couples’.1 In general, students were more tolerant than their faculty staff or the public.


의대생은 프로페셔널리즘에 대해서 각자 다른 담론을 사용합니다. 일부 학생들은 자신이 어떻게 행동하고 보여지는지와 같은 피상적인 측면에 초점을 맞 춥니 다. 반면에 다른 학생들은보다 복잡하고 구체화된 이해를 가지고 있습니다.

Medical students employ different discourses when considering professionalism: some students focus on more superficial aspects of professionalism, such as how they act or appear, whereas others have more complex and embodied understandings.3


어떤 사람에게 프로페셔널리즘은 정체성과 가치관에 대한 것이지만, 어떤 사람들에게 프로페셔널리은 태도와 행동의 집합입니다

To some professionalism is an identity and set of values, whereas to others it is a set of attitudes and behaviours



소셜미디어에서 그려지는 의대생의 음주에 대해 생각해 봅시다. 의대 문화에서 과도한 알코올 소비는 오랜 역사가 있습니다.

Let us consider the portrayal in social media of alcohol consumption by medical students. We know that excessive alcohol consumption has a long history in the culture of medical schools.



Black and Monrouxe6의 향후 연구에 따르면 영국의 의대생 중 일부는 동료에 의해 술을 억지로 먹게 되거나, 의도한 것보다 더 많이 복용하도록 강요 받거나 강요당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의대생과 의사의 알코올 소비에 관한 우려가 있지만, 이렇게 만드는 의과 대학의 문화에 대한 점검은 거의 없다. 2012 년 영국의 의대생의 온라인 설문 조사에 따르면 22 %만이 자신의 의대가 알코올에 대한 건강한 태도를 장려한다고 응답했다.

Forthcoming research by Black and Monrouxe6 finds that some medical students in the UK felt compelled or coerced by theirfellow students to drink alcohol or to take more than they had intended. Although there are con-cerns about the alcohol consumption of medical students and doctors,7–9 the culture in medical schools that facilitates this is rarely examined. An online surveyof medical students in the UK in 201210 found that only 22% thought that their medical school promoted a healthy attitude towards alcohol.


학생들은 실제로 못된 것보다 못되게 행동하는 것'처럼' 보이는 것이 더 안 좋을 수도 있다고 생각합니다. 즉, '프로페셔널한 태도'를 모사하는 것이 실제 행동보다 더 중요하게 여겨 질 수 있다고 보았다.

Students sense that being seen to behave badly may be considered worse than actually behaving badly: that is, the portrayal of a ‘professional demeanour’11 may be seen as more important than the actual behaviours of medical students.


학생들이 '의대가 학생의 실제 웰빙보다 겉으로 보여지는 이미지를 더 염려한다'고 생각하는 것이 놀랍습니까?

Is it surprising that some students think that medical schools are more concerned about image than about student well-being?


전문직의 바운더리는 일반적으로 침범(환자에게  가해진 피해가 없을 때) 또는 위반(환자에게 피해가 발생했을 때)한 것으로 보여지지만, 소셜 미디어 프로필을 통해 온라인에 self-disclosure를 하는 것이 후속 협의에 영향을 미친다는 증거는 없습니다 .13 그러나 여전히 그러한 경고는 지속된다. Jain 등은 성적 취향의 표현에 대한 인식을 조사했다. 우리는 의과대학의 문화에 동성애 혐오가 존재한다는 것을 알고 있으며, 청소년(동성애자)들은 오프라인에서 접하게 될 동성애혐오에 대응하기 위해 소셜 미디어를 사용하여 스스로를 서포트할 수 있는 네트워크를 형성합니다 .16

Professional boundaries are normally seen as either crossed (when no harm is done to the patient) or violated (when harm does occur), but we have no evidence that online self-disclosure through social media profiles affects subsequent consultations.13 Still, the warnings persist. Jain et al.1 looked at perceptions of the expression of sexual orientation. We know that homophobia exists within medical cultures14,15 and that young people use social media to form networks to support them in dealing with the homophobia they meet in offline life.16


보다 일반화하자면, 개인 정보를 드러내는 것에 대한 불편함은 "표준화에 대한 담론"과 "의학적 전문직 정체성의 다양성의 담론" 사이의 긴장 관계와도 관련이 있다

More generally, discomfort over the disclosure of personal information is in keeping with the tensions described by Frost and Regehr17 between the discourses of standardisation and diversity in medical professional identity. 


[개인이 성적 취향이나 기타 개인 정보에 관한 정보를 공개하는 것에 대한 우려]가, 암묵적이든 아니든, 주요 의과 대학이 [본인의 개인적 가치와 사회 문화적 배경을 벗어날 수있는 '중립적 인 의사'또는 '바닐라 의사'를 생산할 수 있다고 생각하는] 근거인가?


Is the concern over an individual’s releasing of information on his or her sexual orientation or other personal information evidence that those leading medical schools, implicitly or otherwise, believe we can (or desire to) produce ‘neutral doctors’18 or ‘vanilla physicians’19 who are able to leave behind their own personal values and socio-cultural backgrounds? 


만약 그렇다면, 소셜 미디어가 사회화 과정에 대한 위협으로 보여지는 것이 놀라운 일은 아니며, 이러한 위협은 학생들에게 기존의 정체성을 일깨워 줄 수 있는 모든 더 넓은 네트워크로부터의 고립이기 때문이다.


If so, then it is no wonder that the social media are seen as representing a threat to a process of socialisation which Beagan18 describes as in part involving isolation from all wider networks that might remind students of their previous identities.



우리는 오프라인에서와 마찬가지로 온라인에서도 항상 환자와 동료의 존엄성을 존중해야합니다. 이 외에도 소셜 미디어의 행동에 대한 규제와 조언은 러너 (Lerner)가 말한 것처럼 'alarmist'처럼 나타납니다 .20 대안이 있습니다. 매카트니는 '다른 시민들과 마찬가지로, 의사들도 온라인으로 의견을 표명 할 수있는 권리가 있으며, '의술의 신 콤플렉스'를 제거하는 한 가지 효과는 medicine을 humanise하는 것이고, 의사들이 완전무결하지 않더라도 프로페셔널한 사람이 되도록 하는 것'이라고 제안했다. Ballick은 이러한 접근법을 '사려 깊고 미묘한'것이며 '온라인 삶의 복잡성'을 인정하는 것으로 표현했다.

When we are online, just as when we are offline, we must always respect the dignity of our patients and colleagues. Beyond this, regulating and advising on behaviour in social media risks appearing, as Lerner states, ‘alarmist’.20 There are alternatives. McCartney suggests that ‘doctors, like other citizens, are entitled to express opinions online and one effect of the undoing of the medical god complex has been to humanise medicine and populate it with doctors who are fallible but professional’.21 Ballick describes such an approach as ‘rather thoughtful and subtle’ and acknowledging of ‘the complexity of online life’.22


1 Jain A, Petty E, Jaber R, Tackett S, Purkiss J, Fitzgerald J, White C. What is appropriate to post on social media? Ratings from students, faculty and the public. Med Educ 2014;48:157–69.



20 Lerner BH. Policing online professionalism: are we too alarmist? JAMA 2013;173 (19):1767–8. XXX


21 McCartney M. How much of a social media profile can doctors have? BMJ 2012;344:e440.




 2014 Feb;48(2):110-2. doi: 10.1111/medu.12404.

Social media and medical professionalism.

Author information

1
Cardiff, UK.

PMID:
 
24528392
 
DOI:
 
10.1111/medu.12404
[Indexed for MEDLINE]


21세기 의사는 무엇인가? 의과대학 학위의 의미에 대해서 다시 생각해보기(Acad Med, 2014)

What Is a 21st-Century Doctor? Rethinking the Significance of the Medical Degree

Olle ten Cate, PhD




의사 학위의 짧은 역사

A Brief History of the Medical Degree


시간이 지남에 따라 치유는 인증된 전문가의 특권이 되었습니다. BC 2000 년 BC 바빌로니아 사회에서부터 의사의 권리와 의무를 문서화하였고, 이는 지식과 기술을 지닌 전문직과 시민집단 간의 사회적 계약을 의미하기 시작했습니다. Asclepius와 Hippocrates를 모델로 한 의사는 대학 교육을 받은 전문가가되었으며, 19 세기에는 견습생으로서의 현장 경험과 대학에서의 이론 공부가 합해져서 의사의 자격 요건이되었습니다.

Over time, healing became the prerogative of certified professionals. As early as in 2000 BC Babylonian society,8 documented rights and obligations began to signify the social contract between a medical professional community with distinct knowledge and skills and the society’s collective citizens. Medical doctors, initially modeled after Asclepius and Hippocrates, became university- educated professionals, and in the 19th century, theoretical university study combined with practical experience as an apprentice became a certification requirement for the medical doctor.7,9


의학 학위는 사회에 단단히 뿌리 내린 것 같습니다.

The medical degree seems solidly rooted in society.


아브라함 플렉스너가 한 세기 전 미국과 유럽의 의학 교육에 관해 발표 했을 때, 졸업 후 인턴십이나 병원 훈련에 관해 언급하지 않았다. 이것은 당시 학부 의학교육만으로도 평생 의료행위를 위해 준비가 충분하다고 생각했던 당시의 관행을 반영한다. 그 당시에 네덜란드 대학 의학 학위는 대학 당국뿐만 아니라, 시장city mayor도 수여하였으며, 이는 수년동안 지역 사회에서 의료행위가 가능함을 확인해주는certifying것이었다. 추가 대학원 전문 교육은 예외적인 것이었고, 나중에서야 표준이 되었습니다.

Abraham Flexner, reporting a century ago about the state of U.S. and European medical education,10 did not yet mention internships or any hospital training after graduation. This reflected the prevailing practice of relying on undergraduate medical education as sufficient preparation for lifelong medical practice.9 At that time, Dutch medical diplomas were signed not only by university authorities but also by the city mayor, certifying service to the local community for many years. Additional postgraduate specialty training was an exception, only later becoming the norm for medical graduates.



의학 학위의 지위에 대해서 다시 생각해보기

Rethinking the Status of the Medical Degree


의사가 가져야 하는 필수지식이란 무엇인가?

What is the core knowledge that medical doctors should possess?


의사가 무엇인지 정의 할 수있는 한 가지가 있다면 그것은 지식과 기술일 수 있습니다. 그러나 필수 의료 지식, 즉 모든 의료 종사자가 가져야 할 것으로 예상되는, 보편적으로 관련이 있는, 표준적 지식은 이전보다 훨씬 분명하지 않게되었습니다.

If one thing should enable us to define what a doctor is, it may be his or her knowledge and skills. However, the core medical knowledge—that is, the universally relevant, canonical knowledge that all medical practitioners are expected to possess11—has become less clear than it used to be.


    • 학부 의학 교육의 내용은 학교, 국가 및 시간에 따라 다양합니다

    • 제한된 기간의 학위 프로그램은 의학 학위에 추가적 요건을 넣으려는 끊임없는 바람을 제한하고, 커리큘럼 개발자는 학위에 필수 내용을 결정하는 데 어려움을 겪습니다. 

    • 의학 학위를 가진 의사들이 가지고 있는 것이라고 해봐야 이미 50년 전의 레퍼런스일 뿐이며, 이는 산업화된 세계에서 이제는 거의 존재하지 않는 것들이다. 

    • 대부분의 의학 커리큘럼의 내용을 결정하는 전문가들이 반드시 의학 학위의 breadth를 두루 살피는 전문가는 아니다. 

    • 의과대학 커리큘럼에 의사 소통 기술, 연구 기술, 프로페셔널리즘, 기타 비 전문 분야에 대한 일반적인 교육을 추가해야 할 압박이 높아짐으로 인해서 기초 및 임상 지식을 위한 공간은 지식의 양이 늘어났음에도 감소하였다. 

    • 임상의사와 기초 과학자들은 의학 과정에 무엇을 포함시켜야하는지에 대해서 의견 차이가 난다 .12,13

The content of undergraduate medical education is variable across schools, countries, and time. The confined length of degree programs limits the continuous wish to add to the medical degree requirements, and curriculum developers face increasing difficulty determining required content for the degree. The medical practitioners holding no more than a medical degree who used to serve as a reference for curriculum planners half a century ago hardly exist anymore in the industrialized world. The contents of most medical curricula are determined by specialists who do not necessarily oversee the breadth of the medical degree. As justified pressures on medical curricula grow to add general training in communication skills, research skills, professionalism, and other nondisciplinary areas, the space for basic and clinical knowledge decreases while the body of knowledge increases. Clinicians and basic scientists also diverge in opinion about what should be included in the medical course.12,13



21 세기의 모든 사람들을 위한 정보에 대한 유비쿼터스한 접근성은 인식론, 즉 지식에 대한 우리의 철학을 변화 시켰습니다. 의사는 자신의 영역에서 지식의 독점성을 잃었습니다. 의과 대학은 정보를 외우는 것이 아니라, 과학 지식은 물론 개별 환자 기록에 대한 최신 의료 정보를 언제 어디서나 액세스 가능한 지식 클라우드를 효율적으로 처리하기 위해 의과대학생을 훈련시키게 될 것이다.

The ubiquitous access to information for everyone in the 21st century has also changed our epistemology—that is, our philosophy around knowledge. Doctors have lost the knowledge monopoly in their own domain. It has been predicted that medical schools will shift their effort from training students to memorize information to training them to efficiently deal with a ubiquitously accessible knowledge cloud containing up-to-date medical information, both from the scientific literature and from individual patient records.15




이것은 우리 모두가 의사가 지니고 있어야하는 표준적 지식의 본질을 다시 생각해 볼 것을 촉구합니다. 그러한 지식이 있다는 것에 대해서는 이론의 여지가 없지만, 필요한 지식이 무엇인지 말하기는 어렵습니다.

This urges us to rethink the nature of the canonical knowledge every doctor should possess by heart. It is undisputed that there is such knowledge, but it is hard to say what that required knowledge is.



예를 들어, 네덜란드 국립 기본 프레임워크의 최신판은 기존에 세부 주제 목록을 일반적 설명으로 표시하는 것으로 대체하였다. 학부 교육의 국제 표준은 내용, 프로세스, 교육 환경 및 의학 교육의 결과에 대한 광범위한 범주만을 언급합니다. 이러한 국제 표준들은 프로그램 내용을 요구하기보다는, 의대 개혁을 위한 레버 역할을하는 경향이있다 .17 평가 권장 사항은 일반적으로 "정상 및 비정상적인 인간 행동", "분자, 세포, 생화학 및 신체의 항상성을 유지하는 생리 메커니즘 ","신체적, 정신적, 사회적 및 문화적 요인을 고려하여 건강 문제를 평가하고 환자에게 조언 " 등으로 명시되어 있으며, 세부 사항은 각 기관의 결정사항으로 남겨 둡니다.

For example, the most recent edition of the Dutch National Framework of undergraduate objectives16 shows only general descriptions, replacing previously detailed listings of topics. International standards of undergraduate education only mention broad categories of content, process, educational environment, and outcomes of medical education. They tend to serve as a lever for medical school change and reform rather than a requirement for program content.17 Recommendations for assessment are typically limited to general categories, such as “Normal and abnormal human behavior,” “Molecular, cellular, biochemical, and physiological mechanisms that maintain the body’s homeostasis,” and “Evaluate health problems and advise patients taking into account physical, psychological, social, and cultural factors”;18 details are left for local decision making.



고정된 표준에 대한 요구는 높아지고 있지만, 의학 학위 프로그램의 내용에 대한 명확한 기준은 점차 사라지는 듯 보입니다. 국가 시험은 당분간 표준을 유지할 수 있지만, 국가시험의 내용은 합의된 내용에서 유도derive되어야지, 그것을 처방prescribe해서는 안 된다.

While a call for fixed standards is widely heard,19 clear benchmarks for the content of the medical degree program seem to disappear. National exams can uphold standards for a while, but should be derived from agreed- on content20 rather than prescribing it.



수련과정 연속체 내에서 의학 학위의 의미는 무엇인가?

What signifies the medical degree within the continuum of medical training?


산업화 된 세계에서 전문화 된 훈련을 받은 전문의 훈련을 받지 않은 의사는 구별되지 않았다. 우리는 이미 수십년 전 그 시대를 떠났는데, 그 이유는 이제는 거의 모든 의사들이 전문화되어 있기 때문입니다. 의학 학위는 수련의 끝이 아니라 전공과목 수련 시작을 알리는 것 이상도 이하도 아닙니다.

In the industrialized world, there is no distinction between doctors with and without specialized training. We left that era behind decades ago, as virtually all doctors now specialize. Rather than an end point of training, the medical degree has become not much more than a ticket to start specialized training.


흥미롭게도 전문의 교육은 캐나다 CanMEDS 프레임 워크처럼, 전문 지식과 기술만 있는 것에서 일반적인 의학 역량을 포함하는 것으로 변화해갔다. 전문 교육이 일반 역량에 중점을두면 일반적인 의학 학위를 구분하는 것은 무엇입니까? 이 분리가 사라진 것처럼 보인다.

Interestingly, specialty training has recently shifted its focus from specialized knowledge and skill only, to include general medical competencies , such as the Canadian CanMEDS framework21 . If specialized training focuses on general competencies, then what sets the general medical degree apart? Their separation seems to disappear.


실제로 학부 및 대학원 과정 전반에 걸친 의학 교육의 연속체 개발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고있다 .22-25 예를 들어, 영국의 의학 교육 시스템은 foundation year를 만들었으며, 네덜란드는 transition year를 만들어서 학부 및 대학원 교육을 의료 종사자의 오랜 교육 비용을 낮추고자 하였다.

Indeed, the interest for developing a continuum of medical education across undergraduate and postgraduate phases increases.22–25 For example, the British medical education system has created foundation years,26 and the Dutch a transitional year,27 to bridge undergraduate and postgraduate training and to lower the costs of the lengthy training of medical practitioners.28


고도로 전문화된 수련의 기간이 지나치게 긴가?

Is the trajectory to highly specialized medical practice too long?



현재 의료 종사자의 훈련은 1 세기 전의 약 두 배입니다. 훈련을 마친 전문의는 너무 나이가 들었고, 너무 똑똑하고, 너무 비싸다는 점을 시사하고 있으며, 현재 학부 과정의 단축이 논의되고있다 .31) 32) 의료 행위에 대한 전적인 책임을 질 기회가 없는 수련생은 그들의 육체적, 정신적 능력이 최상위에 있을 때 시간을 낭비해야만 한다.

The current training of medical practitioners is about twice as long as it was a century ago. Some have suggested that specialists are too old, too smart, and too expensive when they finish training,30 and shortening undergraduate training is now being discussed.31,32 By not having the opportunity to take full responsibility for medical practice, medical trainees may be wasting time at an age when they are supposedly at the top of their physical and mental abilities.


상당한 노력이 결국 의료행위에 사용되지 않거나 면허 취득 후 더 쉽게 습득 할 수있는 지식과 기술 습득에 투입되고 있다.33 교육의 궤적을 더욱 focused한다면, 일부 고도로 전문화된 의료 직종은 훨씬 적은 시간의 수련만으로도 가능할 것이다. 하루 종일 루틴한 interventional cardiology procedures를 수행하기 위해서는 장기간의 학부 의학 교육, 내과학에서 첫 번째 대학원 레지던시, 그리고 심장학에서의 중재 및 이후 중재 적 심장학에서의 교제를 모두 거쳐야만 하나? 안과 의사를위한 교육이 치과 의사의 두 배 길이라는 이유는 무엇입니까? 어떤 전문 지식이 전문적인 실습을 위한 배경지식으로서 정말 필요합니까?


It is difficult to say how much effort is spent in medical education on the acquisition of knowledge and skills that are not used in later practice or that can be acquired more easily after licensing.33 Some highly specialized medical occupations might require considerably less education if the educational trajectory were more focused. Is it really necessary to have a long undergraduate medical education, postgraduate residencies first in internal medicine and then in cardiology, and subsequently a fellowship in interventional cardiology, to predominantly do routine interventional cardiology procedures all day? What is the reason that training for an ophthalmologist is twice the length of that for a dentist? What medical knowledge is really needed as a background for specialized practice?


의료행위가 언제까지나 의사의 특권일 것인가?

To what extent is medical practice still the prerogative of medical doctors?


과거 수십 년 동안 의료 제공자의 다양성이 증가했습니다. 입법 및 보험 급여로 의학적으로 행동 할 특권은 조산사, 간호사 종사자, 의사 보조원 등 MD 학위가없는 전문가와 점차 공유됩니다. 이것은 우리가 다른 숙련된 의료 종사자들과의 차별화 지점을 다시 생각해 보라고 촉구합니다.

The diversity of nonphysician health care providers has increased in the past decades. The privilege to act medically, granted by legislation and by insurance reimbursement, is gradually being shared with professionals without an MD degree, such as midwives, nurse practitioners, physician assistants, and many more. This urges us to rethink what sets the medical doctor apart from other skilled health care workers.


IMG학생들은 어떻게 인식되어야 하는가?

How must international medical graduates be recognized?


경험이 풍부한 외국의 의료 전문가들이 MD 학위 수준의 요구 사항을 충족시키지 못하는 것은 새로운 나라에서 면허증을 취득하는 데있어 한 가지 큰 걸림돌이며, 다른 하나는 언어와 문화 표준을 따르는 어려움이다.35 그렇다면 숙련 된 전문가에게 이러한 일반적인 요구 사항이 얼마나 중요한지 궁금해집니다.

Failure to meet MD diploma-level requirements by experienced foreign medical specialists is a major obstacle to licensure in a new country, second only to difficulties meeting language and cultural standards.35 This leaves one wondering how important these general requirements are for a skillful specialist.


의학 전문직이 '하나의 직업'이 될 것인가?

Is the medical profession becoming an occupation?


서구 국가의 사회적 변화는 의학 분야의 전문적 정체성에 영향을 미친다. 수련 훈련의 근무 시간 제약 (EU 국가에서는 주당 48시간, 미국에서는 80시간)은 환자의 안전과 레지던트 보호에 대한 논증에 의해 정당화 될 수있다. 이러한 문화적 변화를 설명하는 한 가지 방법은 시민들의 근본적인 희망이 바뀌었다는 것이다. 단 하나의 풀타임 전문직 정체성만을 가지고 있는 것이 아니라, 더 많은 삶을 살아야 하며, 이는 여러 분야에서 탁월한 의사로서 파트 타임으로 일하고 싶은 욕구가 높아지는 것을 반영한다. 새로운 세대는 멀티 태스킹을 원합니다. 많은 의사들이 임상 연구와 연구, 교육 및 기타 의무를 결합하는 반면, 의사가 된다는 것도 풀타임이 아니라 점차 특정 시간에만 수행하는 직업처럼 되어가는 것으로 보인다.


Societal change in Western countries impacts professional identity in medicine. Duty hours restrictions in residency training (48 per week in EU countries, 80 in the United States) may be justified by arguments of patient safety and protection of residents.36 A more likely explanation of this culture change may be the fundamental wish of citizens to get more out of life beyond having just one full-time professional identity, which is reflected in increased desire to work part-time as a doctor37 while excelling in multiple domains. New generations want to multitask. While many physicians do combine clinical work with research, education, and other duties, being a doctor seems to become more and more an occupation conducted in specified hours, rather than a full-time identity.38




의학 학위에 대해서 다시 생각해보아야 하는가?

Is It Time to Rethink the Medical Degree?


의과대학이 학생들을 받는 한, 그들이 정확히 무엇을 위해 훈련되어야 하는지를 재정의해야 할 수도 있습니다. 자율적 의료행위의 권한을 주는 그 마술과 같은 면허 부여의 순간은 과거의 성과에 대한 의식이지, 미래에 대한 실질적 의미를 갖는다고 볼 수 없다.

While students will keep enrolling in medical schools, we might need to redefine what exactly they are trained for. That single magical moment of licensing that grants the autonomous privilege to practice medicine seems a ritual of the past rather than having much practical significance for the future.


제기 된 질문에 대한 쉬운 대답은 없지만 의학 학위를 재정의하는 한 가지 방법은 지식, 기술, 태도 및 역량을 열거하는 것이 아니라 졸업생들이해야 할 일을 실제로 분석하는 것입니다. 신중하게 공식화 될 때, 이들은 교육 궤적 내에서도 특정 치명적인 보건 책임을지기 시작하고 의료 종사자로서의 정체성을 구축하는 것을 돕기 위해 특권을 부여 할 수 있습니다. 이것은 의료 전문가가 의학 학위의 유무에 관계없이 역사를 통해 환자에게 항상 기대했던 것과 유사 할 수 있습니다.

There is no easy answer to the questions posed, but one way to redefine the medical degree is to not just list knowledge, skills, attitudes, and competencies but to actually analyze what tasks we want graduates to be able to do. When carefully formulated, these may privilege learners, even within an educational trajectory, to start bearing specific critical health care responsibilities, and help build their identity as medical practitioners. This may be close to what medical professionals have always been expected to do for patients throughout history, with or without the medical degree.





1 Sklar DP. 2013 question of the year: What is a doctor? What is a nurse? Acad Med. 2013;88:3. XXX


2 Chapman SA. Learning together to practice together. Acad Med. 2013;88:1612. XXX


3 Leng S. Dr. nurse, nurse doctor: Blurring the lines of professional identity. Acad Med. 2013;88:1613. XXX


4 Turner LE. Medicine and nursing: Parallel avenues to patient care. Acad Med. 2013;88:1617. XXX


5 Sochalski J, Melendez-Torres GJ. What is a nurse? “A missioner of health.” Acad Med. 2013;88:1616. XXX


6 Watson NC, Isenberger JL. Working as a team to improve patient care in the intensive care unit. Acad Med. 2013;88:1618. XXX


16 Laan RFJM, Leunissen RRM, Van Herwaarden CLA. The 2009 framework for undergraduate medical education in the Netherlands. GMS Z Med Ausbild. 2010;27:Doc35. http://www.nfu.nl/publicaties/zoekresultaat/search&keywords =framework+2009/. Accessed April 3, 2014.





 2014 Jul;89(7):966-9. doi: 10.1097/ACM.0000000000000280.

What is a 21st-century doctorRethinking the significance of the medical degree.

Author information

1
Dr. ten Cate is professor of medical education and director, Center for Research and Development of Education, University Medical Center Utrecht, Utrecht, The Netherlands.

Abstract

The undergraduate medical degree, leading to a license to practice, has traditionally been the defining professional milestone of the physician. Developments in health care and medical education and training, however, have changed the significance of the medical degree in the continuum of education toward clinical practice. The author discusses six questions that should lead us to rethink the current status and significance of the medical degree and, consequently, that of the physician. These questions include the quest for core knowledge and competence of the doctor, the place of the degree in the education continuum, the increasing length of training, the sharing of health care tasks with other professionals, and the nature of professional identity in a multitasking world. The author concludes by examining ways to redefine what it means to be a "medical doctor."

PMID:
 
24979164
 
DOI:
 
10.1097/ACM.0000000000000280


호기심과 의학교육(Med Educ, 2011)

Curiosity and medical education

Lawrence Dyche1 & Ronald M Epstein2



도입

INTRODUCTION


미국 의과 대학에서 의학에 관한 최신 보고서는 '호기심 많은'의사를 졸업 목표로 삼고 있습니다. 

  • 호기심은 임상 추론의 중심이며, 임상추론의 실패는 premature closure로서, 의료 과오의 일반적인 원인입니다. 

  • 또한, 호기심을 존중하면 환자와의 관계를 구축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 의학 지식과 기술의 급속하게 진화하는 지금, 현재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의사는 자신의 능력에 대해 호기심을 가질 필요가 있습니다.

A recent report from the Association of American Medical Colleges on the sciences in medicine identifies graduating ‘inquisitive’ doctors as a primary goal.1 

  • Curiosity is central to clinical reasoning and its failure, premature closure, is a common cause of medical error.2 

  • In addition, respectful curiosity can help build relationships with patients.3 

  • Doctors need to be curious about their own abilities in order to remain current in rapidly evolving states of medical knowledge and skill.4


호기심, 탐구심, 학습

CURIOSITY, INQUISITIVENESS AND LEARNING


웹스터 사전은 호기심을 '탐구하고자 하는 충동, 지식 추구, 새로운 정보나 관심 대상에 대한 마음을 만족시키기위한 충동'이라고 정의한다.

Webster’s dictionary defines curiosity as ‘the urge to investigate, to seek after knowledge, to gratify the mind with new information or objects of interest’.5


'탐구적'은 '검사나 조사에 대해서, 질문을 던지는 성향이 있으며, 다른 사람들의 일에 대해서 궁금해하는 것'이라고 정의됩니다 .5 학습의 영역에서 호기심은 훈련 된 호기심이며, 성찰, 비판적 사고, 새로운 이해를위한 끊임없는 탐색과 같은 습관의 발달로 이어진다. 호기심과 탐구심은 겹치는 면이 있고, 때때로 동의어로 사용됩니다.

‘Inquisitive’ is defined as ‘given to examination or investigation, inclined to ask questions, …curious about the affairs of others’.5 In the domain of learning, inquisitiveness is a disciplined curiosity and leads to the development of such habits as reflection, critical thinking and a persistent search for new understanding.10 Curiosity and inquisitiveness overlap and are sometimes used synonymously,




심리학 연구에 따르면 독립적으로 또는 동시에 일어날 수있는 몇 가지 유형의 호기심이 있다.

  • 지적 호기심은 지식 습득과 관련이 있으며, 세계에 대한 인지적 지도와 모순되는 사실이 이것을 자극한다. 그것은 우리로 하여금 우리의 탐구와 확장을 유도합니다 .11 

  • 사회적 호기심은 다른 사람들의 경험을 이해하려는 소망과 관련이 있습니다. 

  • 정서적 호기심은 참신함과 자극을 통한 즐거움 추구와 관련이있다 .12 

호기심은 특정 성격 특성에 따라 개인간에 정도가 다르며, 또한 자극trigger 역시 개인적 특성이기 때문에, 사람마다 동일한 자극이 주어져도 서로 다른 측면에 이끌리게된다.

Studies in psychology have delineated several types of curiosity that can act independently or in synchrony. 

  • Intellectual curiosity is concerned with the acquisition of knowledge, and is ignited by facts that contradict our cognitive mapping of the world. It stirs us to explore and to expand our understanding.11 

  • Social curiosity pertains to the wish to understand the experience of others; 

  • affective curiosity concerns the pursuit of pleasure in novelty and stimulation.12 

Curiosity varies in degree among individuals according to certain personality traits7 and its triggers are also individual in nature so that two people might be drawn to different aspects of the same stimulus.



성인 학습 연구에 따르면 호기심과 탐구심은 다음과 같은 교육적 맥락에서 번창한다.

  • 학생들에게 자신의 학습에 대한 책임을 부여하는 

  • 여러 관점을 촉진하는

  • 학습 내용과 학습 과정 자체에 대한 깊은 성찰을 가능하게 하는

  • 단순히 정보를 제공하는 것보다는 탐구를 장려하는

  • 새로운인지 및 정서적 영역의 탐색을위한 안전감을 조성하는

  • 불확실성에 대한 개방성을 허용하는

  • 학생들이 동료들과 함께 일하도록 장려하는

The adult learning literature proposes that curiosity and inquisitiveness flourish in an educational context 

  • that gives students responsibility for their own learning,13 

  • that promotes multiple perspectives,14 

  • that allows for mindful reflection on both the subject and the learning process itself,15 

  • that encourages inquiry rather than simply supplying information,16 

  • that creates a feeling of safety for the exploration of new cognitive and affective domains,17 

  • that permits openness about uncertainty18 and 

  • that encourages students to work together with peers.19


mindfulness 및 성찰 역량의 개발은 특성 호기심과 (문제 해결, 비판적 사고 및 자기 평가와 같은) 높은 인지 기술의 사이를 연결해준다.

the development of capacities for mindfulness and reflection represents an essential bridge between trait curiosity and higher cognitive skills, such as problem solving, critical thinking and self-assessment.


  • 성찰은 이전의 이해와 가정에 비추어 비판적으로 평가하기 위해 학습자가 경험 후에 한 발 뒤로 물러나는 과정입니다. 그것은 reflection-in-action의 발달로 이어질 수 있으며, 자기 관찰과 지속적인 학습에있어 결정적인 역할을합니다 .18

  • Mindfulness는 사건이나 경험에 대한 관심을 비-판단적 방식으로 이끌어내는 인지적, 감정적 반응을 통해 자신의 관심을 여는 과정입니다. 호기심에 이끌린 사람들의 관찰에 생생하고 선명함을 더하고 깊고 복잡한 이해를 향한 방향으로 나아갈 것으로 생각됩니다 .19

  • Reflection is a process in which learners step back after an experience in order to critically evaluate it in the light of their previous understanding and assumptions. It can lead to the development of reflection-in-action, thinking about what one is doing while one is doing it, which is critical to self-monitoring and ongoing learning.18

  • Mindfulness is the process of opening one’s attention to an event or experience while attending to both the cognitive and emotional responses it elicits in a non-judgemental way. It is thought to add vividness and clarity to the observations of those who are curiosity-driven, while directing them toward a deeper, more complex understanding.19


호기심 억누르기

SUPPRESSING CURIOSITY



효율성은 제3자 납부자의 요구와 의학 지식의 급증의 결과로 의료에서 점차 중요 해지고 있다. 그러나 효율성을 추구하는 과정에서 신중한 데이터 수집을 통해 행동과 의사 결정을 하기보다는 서둘러서 쉽게 빠져 나오려고 할 수 있다.20-22 신학교 학생에 대한 연구에서, 호기심과 공감을 파괴 할 수있는 잠재력이 실험적으로 증명되었습니다. 이 학생들은 선한 사마리아 인의 이야기를 토론하기 위해, 필요에 따라 강당에가는 도중에 배치 된 사람을 만났다. 서두르라는 지시를 받은 학생 중에서는 10 % 만 도와 주려고 멈추었지만, 몇 분의 시간이 있다고 말한 사람들 중 63 %는 관심과 도움을 주었다.

 Efficiency is assuming growing importance in medical practice as a result of both the demands of third-party payers and the burgeoning of medical knowledge. However, the quest for efficiency can easily lapse into haste, an approach that can compromise attention to careful data collection, helping behaviours and decision making.20–22 The potential of haste to subvert curiosity and empathy was demonstrated experimentally when seminary students, after preparing to discuss the story of the Good Samaritan, encountered a person in need placed en route to their lecture hall. Of those who had been instructed to hurry, only 10% stopped to help, but of those who had been told they had a few minutes, 63%showed interest and a desire to help.23


호기심은 불안이나 혐오감과 같은 부정적인 감정에 민감합니다. 의사가 객관성과 합리적인 사고를 유지할 수 있게 도와주려는 뜻으로, 의학교육에서는 감정을 최대한 suspend하기를 요구한다. 그러나 인지와 신경 심리학 연구에서 객관성을 추구하기 위해서 감정을 무시하는 것이 실제로 합리적 사고를 방해 할 수 있음을 보여줍니다. 감정은 그 감정을 유심히 살펴보지 않거나 무시하는 경우에 특히 해로울 수 있습니다 .27

Curiosity is sensitive to negative emotions, such as anxiety or disgust.24 In an effort to help the doctor maintain objectivity and rational thinking in a practice that can be highly emotional, medical education promotes the suspension of feelings. However, studies in cognitive24 and neuropsychology25,26 demonstrate that ignoring feelings in the quest for objectivity may actually interfere with rational thinking; feelings can be especially deleterious when they are unexamined or denied.27


과도한 자신감은 또한 호기심의 장벽이 될 수 있습니다. Overconfidence가 진단 오류와 연관되어있다는 연구에도 불구하고, 의료계 문화에 사회화되어가면서 학생들은 확신에 찬 태도와 능력이 있는 것처럼 보여줄 것을 장려당한다. 진료과정에서 자신감을 느끼고 실력이 있다는 느낌을 전달하는 것은 중요하지만, 많은 연구에서 의사들이 환자나 동료들에 대한 불확실성을 인정하지 않으려 한다는 것을 보여줍니다. 30,31 과신은 또한 피드백과 평생 학습의 추구를 방해 할 수 있습니다.

Overconfidence can also be a barrier to curiosity. As part of their socialisation into the culture of medicine, students are encouraged to present an attitude of certainty and a veneer of competence, despite the findings of recent studies that have linked overconfidence to diagnostic error.29 While it is important for doctors to feel confident and to convey a sense of competence to those in their care, many studies demonstrate that doctors show reluctance to acknowledge uncertainty to patients or peers.30,31 Overconfidence can also discourage the pursuit of feedback and lifelong learning.4


호기심을 기르려면 convention과 assumption에 도전 할 수있는 기회가 있어야 한다.14 교육은 보통 강의실과 같이 위계적 세팅에서 진행되거나, 병동에서와 같이 하향식 의사 소통이 이뤄지는 환경에서 수행됩니다. 이러한 환경에서 호기심을 표현하면 비판이나 굴욕을 당할 수 있기 때문에 학습자는 종종 더 안전하고 수동적인 역할을 선택합니다.

Curiosity requires the opportunity to challenge convention and assumptions.14 Teaching is typically conducted in hierarchically organised settings, such as lecture halls, or in ward teams that use top-down communication from an instructor-expert. Because expressing curiosity in these settings can involve risking criticism or humiliation, the learner often chooses to play a safer, passive role.32


호기심 길러주기

NURTURING CURIOSITY


Curious reflection을 위해서는 인내심을 가지고 자신 밖에 서서, 자신의 가정을 비판적으로 검토하고, 다른 사람들에게주의 깊게 귀를 기울여야합니다. 전문가들은 자동 처리 모드에서 신중하고 성찰적 접근 방식으로 전환해야하는 때가 언제인지를 배웁니다. '필요하다면 속도를 늦춰라'는 adaptive expert인 의사의 핵심 습관입니다 .35 준비가 끝나면 의사가 다음 환자를 더 잘 볼 수 있습니다 .34 마찬가지로 교육 환경에서 교수자는 서둘러 내용을 다 다루려하기보다는, 맥락화, 지식의 통합과 적용에 중점을두고, 성찰과 질문을위한 공간을 허용해야 한다.

Curious reflection requires having the patience to stand outside oneself, to critically examine one’s assumptions, and to listen carefully to others.33,34 Expert medical practitioners learn when to switch from automatic processing modes to deliberative, reflective approaches. ‘Slowing down when you should’ is a key habit of surgeons who are adaptive experts.35 A few moments of preparation can help the practitioner engage better with the next patient.34 Similarly, in educational settings, instructors might be cautious of rushing to cover breadth of content and, instead, focus on contextualisation, consolidation and application of knowledge,37 allowing space for reflection and questions.


학생의 호기심을 해소하려면 의학 교육자가 교육을 하면서 감정의 존재를 인정해야합니다. 롤모델로서, 감정을 피할 수는 없지만 관리 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줄 수 있으며, 감정에 주의를 기울이면 회상과 판단이 향상 될 수 있습니다 .38 가르치는 것 그 자체가 교수자에게 상당한 감정을 불러일으키는데, 교육 내용의 세부사항 뒤에 숨지 않으려는 용기가 있어야 하고, 학생의 목소리를 이끌어내는데 필요한 침묵을 견뎌내야 한다. 학생 교육에 있어 가장 학생중심적인 교수자는 학생들과 자신의 감정을 공유하려는 사람이며, 학생들의 피드백을 접할 때 방어적인 태도를 취하지 않아야 한다.

Freeing student curiosity requires medical educators to acknowledge the presence of emotion during the educational process. As role-models, they can demonstrate that feelings are inevitable but manageable, and that giving attention to feelings can even enhance recall and judgement.38 Teaching itself can generate significant feeling in instructors who are invested in their work; it requires courage to avoid hiding behind the details of a subject or to tolerate the silences necessary to elicit the students’ voices.39 The most student-centred instructors in medical education are those who are inclined to share their own feelings with students and who are non-defensive when encountering student feedback.40


교수자는 학생들의 과도한 자신감을 인식하고, 학습자가 curious reflection을 할 수 있도록 학습자에게 방향을 제시해야 한다. 자신의 능력 수준을 비판적으로 평가하고 평생 학습에 참여하기 위해서, 학생들은 스스로를 자기기만에 빠지게 하거나, 자존감에 위협이 되는 정보에 마주할 수 있어야 한다. 숙련 된 교사는 학생들이 가장 취약한시기를 인식할 수 있어야 하며, 수행능력의 적합성과는 별도로 학생들에게 무조건적인 관심을 주어야 한다. 자신이 지지받고 있다고 느끼는 학생만이 불안감을 벗어난 존재가 될 수 있어며, 환자들에게 더 세심한주의를 기울이며, 초기 인상이 틀렸을 때 호기심을 가질 수 있습니다. 이처럼 지지적 환경을 개발하기 위한 한 가지 주요 방법은 교사가 거짓된 겸손이 아니라 과학 지식의 다각적이고 진화하는 본질을 인식하여 자신의 과목에 대한 자신의 이해에 대해 겸손함을 나타내는 것이다.

Instructors should recognise students’ overconfidence and redirect learners toward curious reflection. To critically examine their own level of competence and to engage in lifelong learning, students must also learn to face information that might challenge their self-esteem and incline them toward self-deception.41 Skilled teachers recognise when students feel most vulnerable and provide them with unconditional regard that is distinct from the adequacy of their performance.17 Students who feel supported can cultivate a non-anxious presence, be more attentive to their patients and be curious if their initial impressions are wrong. One key way of developing an environment that facilitates this sense of support may be for instructors to demonstrate humility about their own understanding of their subjects, not as false modesty, but in recognition of the multifaceted and evolving nature of scientific knowledge.39


호기심은 학생들이 질문을 만들 수 있도록 도와줌으로써 길러질 수 있다. 호기심 많은 교수자들은 학생들이 자신들의 호기심을 불러일으킬 수 있도록 개방성을 만들어주고, 특히 나이브해 보일까봐 두려워서 질문을 하지 못하는 학생들을 더 그렇게 대한다. 예리하고 통찰력있는 질문에 대한 보상이 진단적 추론의 표현을 향상시키고, 따라서 불확실성에 대한 인정을 촉진한다는 것을 보여 주었다

Curiosity is supported by helping students formulate questions. Curious instructors create an openness that encourages students’ curiosity, especially among students who might withhold their questions for fear of appearing naı¨ve. Research has shown that rewarding the formulation of incisive and insightful questions enhances the expression of diagnostic reasoning,42 thus promoting the acknowledgement of uncertainty


'질문하기'는 또한 개발 될 수있는 기술입니다. 의사들은 성찰적 질문을하는 습관을 개발함으로써 자신의 진단 정확도를 높일 수 있다. 

questioning is also a skill that can be developed. Doctors can benefit their own diagnostic accuracy by developing a habit of asking themselves reflective questions.43 


그러한 질문은 감정이 어떻게 지각을 채색하는 지에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

Such questions might bear on how one’s emotions may be colouring perception, such as: 

'이 환자가 나를 자극하니?'

'피곤하니?'

'곧 집에 가고 싶니?'

‘Is this patient irritating me?’ 

‘Am I tired?’ 

‘Do I want to get home soon?’ 



성찰적인 질문은 다음과 같은 임상 적 추론에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Reflective questions might bear on clinical reasoning, such as: 

'내 진단에는 사용 가능한 모든 정보가 포함되어 있습니까?'

'이 치료법이 효과가 있습니까? 아니면 뒤로 물러 설 필요가 있습니까?'

‘Does my diagnosis encompass all the available information?’ 

‘Is this treatment approach working or do I need to step back and start over?’ 



성찰적 질문은 thinking out loud를 통해서 가르 칠 수 있습니다.

Instructors can teach reflective questioning by thinking out loud: 

'내가 그 지역을 커버했는지 궁금하다.'

'나는이 물질을 통과하는 것이 가장 시급한 일이지만 그게 최선인지 궁금해하니?'

‘I’m wondering if I covered that area adequately?’ 

‘I feel some urgency to get through this material but wonder if that is the best thing?’



마지막으로 강사는 사회적 본성을 활용하여 호기심을 지지해야 한다. 이 사회적 본성은 타인의 견해에 대한 관심이 생존의 기본이며 협력의 토대가 된다는 것이다. 8.9 학생들의 호기심은 다른 사람들의 견해와 상호 작용할 때 심화되고 다양합니다 .44 문제에 기반한 학습과 teambased learning (TBL)은 호기심의 이러한 측면을 활용합니다.

Lastly, instructors can support curiosity by harnessing its social nature, the fact that interest in the views of others is fundamental to survival and represents the foundation of collaboration.8,9 Students’ curiosity is deepened and diversified when they interact with the views of others.44 Problem-based learning and teambased learning (TBL) leverage this aspect of curiosity.


반대로, 이것은 교수자의 역할을 연단에 서서 강의하는 내용 전문자로부터, 효과적인 상호 작용을 촉진하는 것으로 확장시킵니다. 강사는 자신의 학습 요구를 공식화하고 피드백을 구함으로써 expert learner를 모델링 할 수 있습니다 .40

Conversely, this expands the instructor’s role of the subject specialist, who educates from the podium, to one that includes facilitating effective learning interactions. Instructors can model the expert learner by formulating their own learning needs and soliciting feedback.40


묘사

ILLUSTRATION


예를 들어, 전립선 특이 항원 (PSA) 검사 세션에서 강사는 TBL 형식을 사용하여 학생들을 7 명으로 나누었습니다. 그녀가 회의를 시작했을 때 강사는 다음과 같은 개인적인 자기 평가를 공유했습니다. '저는이 회의 형식을 TBL 형식으로 미세 조정하려고 했으므로 오늘 시간을 어떻게 사용하는지주의하십시오. 귀하의 의견은 저에게 중요 할 것입니다. '명시적 자기 성찰은 학생들의 성과에 대한 자신의 호기심이 어떻게 자기 모니터와 개선을 배우는 데 도움이되는지 모델링 할 수 있습니다.

For instance, in a session on prostate specific antigen (PSA) testing, an instructor used a TBL format, breaking the students into small groups of seven. As she began the conference, the instructor shared a personal selfassessment: ‘I’m trying to fine-tune my pacing in this TBL format, so please pay attention to how I use our time today; your feedback will be important to me.’ Explicit self-reflection can model how students’ own curiosity about their performance might help them learn to self-monitor and improve.


회의 도중, 강사는 소그룹에게 ‘the most valuable question for class discussion’을 공식화하는 임무를 부여했습니다. 대답보다는 질문에 초점을 맞추면 학생들이 대답을 단순히 작성하려는 의도보다는 탐구의 태도를 개발하도록 유도 할 수 있습니다.

During the conference, the instructor assigned the small groups a task of formulating ‘the most valuable question for class discussion’. Focusing on questions rather than answers can challenge students to develop an attitude of inquiry rather than an intention to simply produce an answer.



결론

CONCLUSIONS


의학 교육이 주로 사실과 기술의 숙달을 요구하는 내용이 많은 교육으로 여겨지게 되면 교수자와 학생들은 정답을 만들어내는 쪽으로 이끌릴 것이며, 호기심과 발견을 촉진시키는 탐구 기반 학습에서는 멀어질 것이다. 의학교육을 제한하는 수업 내용과 시간적 제약이 있지만, 의료는 항상 발견과 강한 감정을 필요로하며 역동적 사회 환경에서 수행된다는 점을 기억해야합니다. 의사는 기술자 이상의 역할을합니다. 적응력, 예기치 못한 관리 능력이 있어야합니다.

If medical education is viewed predominantly as a content-heavy enterprise requiring the mastery of facts and skills, instructors and students will be drawn primarily toward producing answers and away from developing an inquiry-based learning that fosters curiosity and discovery. Although medical education must address the realities of content learning and time constraints, it should be remembered that the practice of medicine always involves discovery and strong emotions, and is conducted in highly dynamic social environments. Doctors are more than technicians: they must have adaptive expertise, the ability to manage the unexpected.45






 2011 Jul;45(7):663-8. doi: 10.1111/j.1365-2923.2011.03944.x.

Curiosity and medical education.

Author information

1
Department of Family and Social Medicine, Montefiore MedicalCenter ⁄ Albert Einstein College of Medicine, Bronx, NY 11542, USA. ldyche@montefiore.org

Abstract

CONTEXT:

For doctors, curiosity is fundamental to understanding each patient's unique experience of illness, building respectful relationships with patients, deepening self-awareness, supporting clinical reasoning, avoiding premature closure and encouraging lifelong learning. Yet, curiosity has received limited attention in medical education and research, and studies from the fields of cognitive psychology and educationsuggest that common practices in medical education may inadvertently suppress curiosity.

OBJECTIVES: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common barriers to and facilitators of curiosity and related habits of mind in the education of doctors.

METHODS:

We conducted a theory-driven conceptual exploration and qualitative review of the literature.

RESULTS:

Curiosity is related to inquisitiveness, reflection and mindfulness. Instructional practices can suppress curiosity by confusing haste with efficiency, neglecting negative emotions, promoting overconfidence and using teaching approaches that encourage passive learning. Curiosity tends to flourish in educational environments that promote the student's responsibility for his or her own learning, multiple perspectives and mindful reflection on both the subject and the learning process. Specific educational strategies that can support curiosity in classroom and clinical settings include the mindful pacing of teaching, modelling effective management of emotions, confronting uncertainty and overconfidence, using inquiry-based learning, helping students see familiar situations as novel, simultaneously considering multiple perspectives, and maximising the value of small-group discussions. Instructor attributes that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student curiosity include patience, a habit of inquiry, emotional candour, intellectual humility, transparency and recognition of the benefits to be gained in learning from peers.

CONCLUSIONS:

  Curiosity, inquisitiveness and related habits of mind can be supported in medical education through specific, evidence-based instructional approaches. Medical educators should balance the teaching of facts, techniques and protocols with approaches that help students cultivate and sustain curiosity and wonder in the context-rich, often ambiguous world of clinical medicine.

PMID:
 
21649698
 
DOI:
 
10.1111/j.1365-2923.2011.03944.x


잠재 교육과정 분석: 문화적 그물 활용(Med Educ, 2013)

Analysing the hidden curriculum: use of a cultural web

Liz Mossop,1 Reg Dennick,2 Richard Hammond1 & Iain Robbe´3



도입

INTRODUCTION


프로페셔널리즘 교육이 어려운 이유는 단순이 프로페셔널리즘에 포함될 속성을 정의하는 것이 어렵기 때문만은 아니다. 많은 사람들은 학생들이 선량한 태도와 나쁜 태도의 폭 넓은 스펙트럼에 노출되어있는 환경에서 '올바른 행동'을 가르치는 것이 어렵다고 지적한다. 이 환경은 상대적으로 제어 할 수없는 근무지 환경을 비롯한 여러 가지 상황을 포함한다. 프로페셔널리즘 아무리 잘 가르치더라도 잠재 교육과정인 문화 및 환경의 영향은 선의를 지닌 교사의 기여를 손상시킬 수 있다.


The teaching of professionalism is challenging, not least because of the difficulties of defining the attributes to be included in this complex skill set.2,6 An area of focus for many refers to the difficulty of teaching the ‘right thing to do’ in an environment in which students are exposed to a wide spectrum of behaviour and attitudes, both good and bad. This environment has several contexts, including that of the relatively uncontrollable workplace. No matter how well taught professionalism is, it is possible for the influence of the culture and environment – the hidden curriculum – to undermine the work of well-intentioned teachers.



잠재 교육과정

The hidden curriculum


고전적으로, 잠재 교육과정은 '조직 구조와 문화 수준에서 기능하는 일련의 영향'으로 정의됩니다.

The hidden curriculum is classically defined as ‘a set of influences that function at the level of organisational structure and culture’,8


임상 교육 과정에서 학생들은 그들이 새롭게 속하게 된 새로운 community of practice의 '규칙'을 배우면서 PIF 프로세스를 거친다. 프로페셔널리즘 학습의 핵심 요소로 널리 인식되어있는 이 situated learning이라는 프로세스는 종종 명확히 드러나지 않는 또래와 교사들의 태도와 행동에 크게 영향을 받는다. 훌륭한 전문가가되는 과정과 새로운 환경에 '들어맞기fit'기 위해 필요한 것을 배우는 과정 사이에는 갈등의 여지가 있습니다.

During clinical training, students undergo a process of professional identity formation9 as they learn the ‘rules’ of the new community of practice they are joining.10 This process of situated learning, widely recognised as a key element of learning professionalism,11,12 is heavily influenced by the often non-overt attitudes and behaviours of peers and teachers. There is the potential for conflict between the process of becoming a good professional and that of learning what is necessary to ‘fit’ into a new environment.


그러므로 잠재 교육과정의 영향을 무시한 프로페셔널리즘의 본질이나 교육방법에 대한 이론적 논의는 비판을 받았다. 8,13-16 학생들은 의사가 되는 것이 진정으로 무엇을 의미하는지 배우고, 의학교육 지도자는 이 과정에 영향을 미치는 잠재 교육과정의 문제점을 인식하고있다 .17,18 부정적인면이 확인되면 숨겨진 커리큘럼을 변경하려고 할 필요가 있다고 제안되어왔다. 19,20 교수개발은 종종이 과정의 핵심 구성 요소로 포함된다

Theoretical discussions around the nature of professionalism or how it should be taught have therefore been criticised when the influence of the hidden curriculum is ignored.8,13–16 Students need to learn what it truly means to be a doctor and medical education leaders must be aware of the issues in the hidden curriculum influencing this process.17,18 It has been suggested that it may be necessary to attempt to change the hidden curriculum if negative aspects are identified.19,20 Faculty development is often included as a key component of this process



잠재 교육과정의 구성요소

Components of the hidden curriculum


잠재적 영향에는 롤모델, 규칙 및 규정, 제도적 속어 사용 및 자원 할당과 같은 요소 등이 있다.

Hidden influences include elements such as role models, rules and regulations, the use of institutional slang and resource allocation.8


비즈니스 분석가는 문화적 모델을 고객의 인식을 인식하고 그에 따라 전략을 개발하는 수단으로 사용합니다. 하나의 특정 모델 인 문화 웹 (그림 1)은 기업의 사명과 가치를 고려하는 데 사용할 수있는 여러 가지 주제를 나타냅니다. 교육적 맥락에서도 이러한 요소들이 적용가능하다.

Business analysts use cultural models as a means of recognising customer perceptions and develop strategy accordingly. One particular model, the cultural web (Fig. 1),22 identifies several different themes that can be used to consider the mission and values of a company. The applicability of these elements in the educational context can easily be recognised.



잠재 교육과정 찾아내기

Identifying the hidden curriculum


잠재 교육과정의 요소는 그것을 개선해야 할 것인가를 확인해야 할 필요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공식적으로 평가되는 경우는 거의 없었다.

the elements of the hidden curriculum is rarely formally assessed despite the need to establish whether remediation may be necessary.


기관 내에서 숨겨진 커리큘럼을 분석하기위한 구체적인 시도가 있었지만 이를 위한 확립 된 방법론이 없으면 어렵다 .23,24

Specific attempts have been made to analyse the hidden curriculum within institutions, but without an established methodology for doing so, this is difficult.23,24


전형적인 요인에는 롤모델, 특정 사건, 비공식 학습이 포함됩니다. 그러나 학생마다 프로페셔널리즘에 대한 이해가 달라서, 그것이 어떻게 영향을 주었는지에 대한 학생의 판단은 완전히 reliable하지 않다. 그리고 medical professionalism의 정의에 대한 전반적인 합의가 없는 한, 이것이 놀랍지는 않다.

Typical factors to emerge include role models, specific events and informal learning. However, students may not be completely reliable in their ability to identify these influences as their understanding of professionalism may be variable.29This is perhaps not surprising given the general lack of consensus on the definition of medical professionalism,6,13


민족지학 연구는 '보이지 않는'영향에 대한 가장 유효한 그림을 제시하지만, 이는 구현하는 데 많은 시간과 비용이 소요됩니다. 여러 이해 관계자로부터 체계적으로 데이터를 수집하는 정량적 방법과 정 성적 방법을 결합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인 전략 일 수 있지만, 이는 많은 기관에서 실현 불가능할 수 있으며 충분히 검증되지 않았습니다.

Ethnographic studies give the most valid picture of ‘unseen’ influences,31 but these are costly and time-consuming to implement. A combination of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methodologies that systematically collect data from multiple stakeholders is probably the most effective strategy, but this may be unfeasible for many institutions and, again, has not been validated sufficiently.19



방법

METHODS



A qualitative approach using focus groups was chosen in order to establish perceptions of staff and students within the school. A total of seven groups were led by an independent researcher (staff groups) and a trained student researcher (student groups). It was hoped that the use of a student researcher and the consequent absence of an authority figure would help the student groups feel more able to contribute. Selection for the groups was carried out using a combination of stratified random and purposive sampling, and participation was voluntary. Each contributor gave individual consent and his or her anonymity was assured.


Johnson et al.’s cultural web22 was developed as a framework by which data could be collected and analysed. The participants were introduced to the themes in the web and the facilitators used a semistructured approach to discuss the non-overt influences within the curriculum in each category. Discussion around the potential for these factors to manipulate the development of behaviours in students was encouraged.


  • Focus group discussions were recorded and transcribed

  • Thematic analysis of the data was undertaken using a combination of a priori themes derived from the model developed by Johnson et al.22 and emergent themes. NVivo Version 8.0 (QSR International Pty Ltd, Doncaster, Vic, Australia) was used to manage this process. 

  • Initial analysis was undertaken by two researchers until agreement was reached on the first two transcripts. 

  • Analysis was completed by a single researcher once the coding had been confirmed. 

  • An iterative process was used to draw out themes of interest and relevance to the area under study. 

  • These themes were then cross-checked for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and grouped together accordingly across the a priori themes.



결과

RESULTS


주제 분석

Thematic analysis




핵심 가정

Core assumptions



이것과 관련된 몇 가지 주제가 등장했으며 특히 학교 내 공동체 의식에 대한 언급이있었습니다. 직원과 학생들은 하나의 팀과 같은 분위기를 확인했습니다.

Several themes in relation to this emerged, with particular reference to the feeling of community within the school. Staff and students identified a team-like atmosphere:


참가자들은 신설 학교에서 예상되는 대로 환경을 혁신적이고 실험적이라고 판단했습니다. 위험을 감수하는 것은 이것의 한 요소로서 논의되었다.

Participants judged their environment as innovative and experimental, as might be expected in a new school; risk taking was discussed as an element of this:


혁신적인 커뮤니티로서의 학교를 이야기할 때, 참가자들에게 그들이 경험했던 다른 환경과의 차이점을 확인하여 커뮤니티 주제를 강화하도록 권장하는 듯했습니다.

This discussion about the school as an innovative community seemed to encourage participants to identify differences between it and other environments they had experienced, reinforcing the community theme:


특히 직원 그룹은 개인이 역할과 책임의 전통적인 경계에 구애받지 않고, 학교내에서 '무엇이든 해보세요' 태도의 존재를 확인했습니다.

The staff groups in particular identified the existence of a ‘do anything’ attitude within the school, in which individuals might ignore traditional boundaries of roles and responsibilities:


참가자들은 학교 내에서 열심히 일해야한다는 인식에 동의했습니다. 학생들은 전체 시간표 및 시험 일정에 대한 엄격함에 대해 논의했으며 직원들은 자신의 역할과 학생의 작업량에 대해 의견을 나눴습니다.

Participants agreed that there was an awareness within the school of the need to work hard. Students discussed the rigours of a full timetable and examination schedule, and staff commented on the workloads of both their own roles and students.


학교가 성취 한 것에 관해, 그리고 확인 된 공동체의 일원임을 언급하면서 자긍심이 나타났습니다. 학교에 소속 된 느낌은 매우 중요했으며 직원들은 student body내에서 이것을 인식할 수 있었다.

A sense of pride emerged in discussions about what the school had achieved, and with reference to being a member of an identified community. The feeling of belonging to the school was very important and staff were able to recognise this within the student body:


학교의 공동체적 분위기는 이 주제에서 더 논의되었습니다. 학교는 직원들과 학생 단체들 사이뿐만 아니라 그들 사이의 관계에서도 친절하고 편한 것으로 묘사되었습니다 :

The school’s community atmosphere was discussed further within this theme. The school was described as being friendly and relaxed, within both the staff and student bodies, as well as in relations between them:


교원들은 학교의 핵심 패러다임이 교육에 초점을 두고 교육을 존중하는 것이었는데, 이는 종종 연구에 지장을 준다고 표현했습니다.

Faculty staff participants expressed the belief that a core paradigm referred to a focus on, and respect for, teaching, sometimes to the detriment of research activities:


루틴

Routines


참가자들은 그들이 발견한 루틴을 논의하도록 요청 받았다. 다소 역설적이게도 떠오르는 주제는 (학생들이 극도로 엄격하게 지각 한 시간표 지정을 제외하고는) 학교 내 루틴의 부재에 관한 것이 었습니다.

Participants were asked to discuss routines they identified . Somewhat ironically, an emerging theme concerned the lack of routine within the school, with the exception of timetabling, which was perceived by students as extremely strict:


학교 일상에 대한 비공식적인 접근 방식이 때로는 위압적으로 느껴졌으며, 학생들은 이것을 다루기 어려워했다.

An informal approach in the routine of the school was felt to prevail on occasion and represented something students struggled to manage:


처음에는 직원 중 일부가 "그냥 이름으로 부르세요."라고 말하면서 조금 어려워졌습니다. 그리고 나서 또 다른 직원들과 이야기 할 때 그들은 , "오, 당신은 나에게 닥터 so-and-so 또는 교수 so-and-so라고 불러야한다."라고 말했다. 이런 것들이 학교 전체에 걸쳐서 이름으로 부르든, 직위로 보르든 통일되었으면 좋겠다. 5 분마다 바뀌는 것(flip-flopping)보다 조금 더 체계적이면 좋겠다. (학생 그룹 1)

‘And it’s a bit difficult where, at the start, some members of staff will say, ‘‘Call me by my first name.’’ And then when you talk to someone else about a member of staff about them, they’re like, ‘‘Oh, you should call me Doctor so-and-so or Professor so-andso.’’ And it’s kind of – it would be nicer to have a sort of, across the whole school say, everyone will be called by their first name. Apart from in correspondence. Or everyone will be called by their full title kind of thing. Something just a bit more structured than kind of it flip-flopping every five minutes.’(Student group 1)



학교가 교육활동을 강조하는 것은 루틴과 핵심 가정 사이에 어느 정도 겹치는 부분이 있었으며, 참가자들은 이것을 루틴이 반영된 것으로 강조하였습니다. 비록 학생들이 이것이 단순한 패러다임이 아니라고 느꼈지만, '열심히 일하고 열심히'하는 일상이 논의되었습니다.

Demonstrating a degree of overlap between routines and core assumptions, the school’s emphasis on teaching activities was highlighted by some participants as reflecting its routines. Discussed within most groups was the routine of ‘work hard, play hard’, although students felt this was not a simple paradigm:



의식

Rituals


그룹은 자신이나 다른 사람들에게 영향을 미쳤던 의미를 가진 사건이나 활동을 언급하면서 학교 내에서 의식이 이루어 졌다고 느낀 것을 묘사하도록 요청 받았다. 학장의 연례 칵테일 파티, 직원 및 학생을위한 사교 행사는 중요한 사회 의식으로 강조되었습니다. 학생 연례 카바레, 학생 멘토링 프로그램, 튜토리얼 및 학교 내 농가 방문과 같은 교육 관련 활동 인 'Land Rovers'와 같은 기타 행사도 중요한 학교 의식으로 논의되었습니다.


The groups were asked to describe what they felt constituted a ritual within the school with reference to an event or activity with meaning that had influenced themselves or others. The annual dean’s cocktail party, a social event for staff and students, was highlighted as an important social ritual. Other events, such as the annual student cabaret, the student mentoring programme, and teaching-related activities such as tutorials and visits to farms in the school, branded ‘Land Rovers’, were also discussed as important school rituals.


통제 시스템

Control systems


외부 소스를 통한 학교 통제 개념이 논의되었습니다. 학교가 중앙 대학교와 독립적으로 활동할 수 있지만 여전히 특정 규정을 준수해야하거나, 여러 가지 이유로 준수하고 있는 규정등이 확인되었다.

The concept of control of the school, through external sources, was discussed; an emergent theme concerned a mixture of compliance and conflict, whereby the school is able to act independently of the central university, but still must comply with certain regulations, or does comply for different reasons:


분리 된 정체성의 존재에 대한 인식 또한 통제의 주제에 속하며, 이에 대한 논의는 갈등 및 준수와 관련된 논의와 중첩됩니다. 학교 구성원들은 일반적으로 단과대학이 지리적으로나 심리적으로 중앙 대학교와 매우 다르다고 느꼈습니다.

Awareness of the existence of a separate identity also falls into the theme of control, discussions of which overlapped with those around conflict and compliance. Members of the school generally felt that the school was very distinct from the central university, both geographically and psychologically:


"하지만 나는 많은 메인캠퍼스가 우리가 누구 였는지 알고 싶어하지 않을 것이고, 실제로 우리 캠퍼스에 대해 정말로 듣지 못했다고 생각한다. 분명히 우리가 실제로 거기에 가지 않기 때문에, 수의사로서 우리는 수업 들으러 메인 캠퍼스에 가지 않습니다. '(학생 그룹 3)

‘But I doubt that a lot of main campus would really know like who we were, and like hadn’t really heard of our campus really. Because obviously we don’t really go there for, well us as a vet school don’t go there for lectures.’(Student group 3)


조직 구조

Organisational structure


여러 주제를 중심으로 한 학교 구조에 대한 토론. 학교 내 의사 소통은 매우 다르게 인식되었습니다. 어떤 사람들에게 의사 소통은 대체로 좋았지만, 어떤 사람들은 학교가 성장하면서 의사소통이 변화하는 양상이나, 학생들 사이에 돌아다니는 소문 등의 이슈를 언급했다.

Discussion around the structure of the school from within centred on several themes. Communication within the school was perceived very differently. Some felt that communication was generally good, whereas others were aware of changes associated with the growth of the school, and issues with rumours emerging within the student body:


사회적 그룹화의 문제는 다른 맥락에서 주제로 떠올랐다. 직원들은 수년간의 학생 통합에 관해 논의했으며 의사 소통과 혼합을 장려하지 않은 그룹의 등장을 언급했습니다. 학생들은 '파벌'의 맥락에서 집단을 논의했습니다.

The issue of social groupings arose as a theme in different contexts. Staff discussed student integration between years, and referred to the emergence of groups that perhaps did not encourage communication and mixing. Students discussed groups in the context of ‘cliques’:


'... 수의사 학교에는 상당히 파벌적인 측면이 있습니다. 그리고 만약 당신이 그 그룹에 속해 있지 않다면, 당신도 알다시피, 당신은 거의 늘상 배제될 것입니다. '(학생 그룹 3)

‘...at vet school there are aspects which are quite cliquey almost, you know. And if like you’re not in that group then, you know, you don’t get involved kind of thing.’(Student group 3)



또한 루틴이라는 주제에서도 나온 것처럼, 교직원과 학생들이 어떻게 상호 작용하는지, 특히 사회적 이벤트와 관련하여 이것이 어떻게 해석되었는지에 관한 중요한 문제였습니다.

Also within the theme of routines was a prominent issue referring to how staff and students interact within the school, and how this was interpreted, particularly with reference to social events:



"하지만 정말로, 사람들의 공동체를 형성하는 학생 - 스태프 스포츠 데이와 같은 것들이 있다고 생각합니다. 서로 축구를하거나 자전거 경주를 하는 동안 직원과 학생들 사이의 거리는 없습니다. 그래서 저는 이것이 학생과 교직원 관계의 중요한 부분이라고 생각합니다. "(스태프 그룹 2)

‘But I think, really, things like the student–staff sports day, which really shape the kind of community of people. There is not one big distance between staff and the students if you want to play football against each other or do bicycle racing. So I think this is really an important part of student–staff relations.’(Staff group 2)



학교 내에서 이용할 수있는 지원 조직에 대한 토론에서 주제로 등장했습니다. 직원들은 학생들이 까다로운 교육 과정을 마칠 수 있도록 막대한 지원을받을 수 있다고 느꼈고, 학생들 역시 이러한 측면을 가치있게 여기고 접근하는 것을 두려워하지 않았습니다.

Support available within the school arose as a topic in discussion about organisation. Staff felt students were able to access a huge amount of support to help them complete a demanding course, and students equally valued this aspect of the culture and did not feel afraid to access it:




권력 구조

Power structures


권력의 주제는 그룹에서 광범위하게 논의되었습니다. 누가 학교에 대한 통제권을 가지고 있으며, 다른 사람들이 이에 어떻게 반응했는지에 대한 의견이 다양했습니다. 직원과 학생 내 계층 구조의 존재 또는 부재에 관한 대화가있었습니다. 학교의 운영 구조는 상대적으로 '평평한' 것으로 묘사되어 친근하고 개방 된 느낌을 더했습니다.

The theme of power was discussed extensively in the groups. Opinions on who was in control of the school and how others reacted to this varied. There was dialogue regarding the presence or lack of a hierarchy within both staff and students. The management structure of the school was described as relatively ‘flat’, which added to feelings of friendliness and openness:


그러나 일부 참가자는 이것을 관리하는 것이 쉽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However, some participants did not find this easy to manage:


평평한 구조이기 때문에, 누가 주요 관리자인지, 누구에게 가야하는지 불확실하다"(스탭 1 그룹)

because it’s such a flat structure, you’re never quite sure of okay, who is line manager there? Who do I go to?’(Staff group 1)


학생들은 또한 학교 계층에 대한 그들의 인식이 달랐습니다. 그들은 직원 - 학생 계층에 초점을 맞추었고 이것이 어떻게 행동에 영향을 주었는지를 말했다.

Students also differed in their perceptions of the school hierarchy. They focused on the staff–student hierarchy and how this affected behaviour:


직원 및 학생 모두 학생회의 힘과 학교 내 의사 결정에 영향을 줄 수있는 능력에 대해 의견을 나눴습니다.

Both staff and students commented on the power of the student body and its ability to influence decisions within the school:


'학생들은 학교 내에서 이루어지는 일을 크게 좌우합니다. 따라서 심각한 문제를 제기하더라도, 그것이 학생들의 의견이 많이 반영되는 어떤 위원회로 가게 되면, 심각했던 문제가 그냥 사라져버린다. '(스태프 그룹 1)

‘To a large extent the students dictate the way things are done within the school. So even if you do put a serious point across, it then goes back to certain committees where students will have a lot of input into it and what was a serious sometimes just gets dressed – brushed under the carpet and you know, forgotten about, really.’(Staff group 1) 


그룹 간의 현저한 유사성 중 하나는 일반적인 대화에서 종종 제기 된 '수의사와 비 수의사'의 구분에 관한 것입니다. 학교와 학생들이 보기에 수의사가 더 강력한 위치에있는 것으로 묘사되었습니다. 두 그룹 간의 이분법은 많은 사람들에 의해 분명히 인식되었고 학생들은 또한 '수의대 학생'으로 분류되는 중요성을 설명했습니다.

One of the striking similarities among the groups concerned the distinction between ‘vets and non-vets’, which was often raised within the general conversation. Vets were often described as being in a more powerful position in both the school’s and students’ eyes. The dichotomy between the two groups was clearly perceived by many and students also described the importance of being labelled a ‘vet student’:



스토리

Stories


일반적으로 그룹 토론을 통해 스토리텔링이 이루어졌지만 롤모델링 및 학생들의 프로페셔널리즘에 미치는 영향과 관련하여 다음과 같은 몇 가지 뚜렷한 주제가 등장했습니다.

In general, storytelling occurred throughout the group discussions, but some distinct themes emerged within these stories, often relating to role-modelling and its influence on students’ professionalism:



"좋은 예가 교수들이 하는 욕설이라고 생각한다. 어떤 교수들은 거리낌없이 하고 거기에는 문제가 없습니다. 그러나 다른 교수들은 그것을 매우 불편해한다. 그리고 교직원이 그런 식으로 행동한다면 학생들도 그래도 되는 것인가? 아니면 그렇지 않은가? 그리고 매우 어려운 선이 있습니다. '(학생 그룹 1)

‘I think perhaps a good example is swearing by members of staff. Some will do it quite freely in lectures. And there’s not a problem there. But other lecturers get very upset by it. And then it’s the point of if the staff member acts like that, does that allow the students to swear? Or doesn’t it? And there’s a very difficult line.’(Student group 1)


심볼

Symbols


기호는 크게 사건, 위치, 사람 및 사물과 관련된 네 가지 범주로 분류되었습니다. 학교에서 구입 한 브랜드 의류는 많은 학생들에게 상징적 인 것으로 강조되었습니다. 학장의 '개'는 일반적으로 열정적 성격을 나타내는 직원을 대표하는 상징적 '사람'으로 묘사되었습니다.

Symbols broadly fell into four categories pertaining to events, locations, people and objects, respectively. Branded clothing, purchased from the school, was highlighted as something symbolic to many students. The dean’s dog was described as a symbolic ‘person’, representing the enthusiastic nature of the staff in general.



고찰

DISCUSSION



잠재 교육과정 해석

Interpreting the hidden curriculum


의사들이 다른 사람들보다 우월하다는 정체성을 갖게 되면, 학생들이 졸업 후 전문직으로 근무할 때 자신이 환자나 동료 직원보다 우월하다는 느낌을 갖게 된다. 학교는 사회적 계약의 다른 측면을 강조하지 않은 채로 프로페셔널리즘에 대한 이러한 측면을 장려하는 것으로 보여질 수 있습니다. 전문가는 과도한 권한을 행사하지 않으면서, 그들이 사회에 효과적으로 기여할 수 있도록주의해야합니다 .35 이것은 잠재 교육과정으로 강화 될 수 있는 강력한 메시지이다.

The occasional superior identity of clinicians referred to in the narratives may encourage graduates entering the workplace as professionals to feel superior to their patients and co-workers. The school may be viewed as encouraging this aspect of professionalism without reinforcing the other side of the social contract.34 Professionals must take care not to overly exert their authority and to ensure that they contribute effectively to society.35 This is a strong message which should be reinforced by the hidden curriculum.


    • 대조적으로, 독립적 사고를 정당화하는 것은 자율적 전문가로 발전해야하는 학생에게 긍정적 인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기업가 정신은 자기 진료를 시작하는 사람들에게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 그러나 대학에서 대학의 통제를 벗어난 행동을 승인하는 것은 반란을 승인하는 것으로 해석 될 수 있습니다. 

[전문직업적 자율성]과 [조직에 의한 통제]는 학생들이 근무현장의 복잡성을 다루는 능력을 개발하는 과정이며, 미래 전문직의 삶에서 주된 주제가 될 것이다. 따라서 유사한 유형의 갈등을 미리 경험해보는 것은 미래를 위한 좋은 준비일 수 있다.

By contrast, the legitimisation of independent thought may have a positive influence on students as they need to develop into autonomous professionals. An entrepreneurial spirit may benefit those who enter private practice. However, sanctioning actions independently of a controlling body such as the university may be interpreted as approving rebellion. The constant conflict between professional autonomy and organisational control will be a theme in students’ future professional lives as they develop the ability to negotiate the complexities of the workplace36 and thus the experience of a similar type of conflict may be seen as good preparation for the future.


잠재 교육과정 관리

Managing the hidden curriculum


영향이 확인되면 관리해야 할 수도 있습니다. 필요한 모든 변경은 개인, 교수 및 기관 수준에서 이루어져야합니다 .19,32


Once influences have been identified, they may need to be managed; any changes that are necessary should occur at individual, faculty and institutional levels.19,32


문화 그물의 사용

The use of the cultural web


문화적 웹은 기존에 인지 된 숨겨진 커리큘럼 요소와 몇 가지 추가 영역을 식별 할 수있게 해줍니다. 예를 들어, 정책 개발, 평가 및 평가, 자원 배분 및 제도적 속어의 사용은 Hafferty8에 의해 기술되었으며 모두 현재 연구에서 나타났습니다.


The cultural web appears to have enabled the identification of previously recognised elements of the hidden curriculum, plus several additional areas. For example, policy development, evaluation and assessment, resource allocation and the use of institutional slang are described by Hafferty8 and all emerged in the current study.


강점 약점

Strengths and limitations of the study


CONCLUSIONS







 2013 Feb;47(2):134-43. doi: 10.1111/medu.12072.

Analysing the hidden curriculum: use of a cultural web.

Author information

1
School of Veterinary Medicine and Science, University of Nottingham, Nottingham, UK. liz.mossop@nottingham.ac.uk

Abstract

CONTEXT:

Major influences on learning about medical professionalism come from the hidden curriculum. These influences can contribute positively or negatively towards the professional enculturation of clinical students. The fact that there is no validated method for identifying the components of the hidden curriculum poses problems for educators considering professionalism.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analyse whether a cultural web, adapted from a business context, might assist in the identification of elements of the hidden curriculum at a UK veterinary school.

METHODS:

A qualitative approach was used. Seven focus groups consisting of three staff groups and four student groups were organised. Questioning was framed using the cultural web, which is a model used by business owners to assess their environment and consider how it affects their employees and customers. The focus group discussions were recorded, transcribed and analysed thematically using a combination of a priori and emergent themes.

RESULTS:

The cultural web identified elements of the hidden curriculum for both students and staff. These included: core assumptions; routines; rituals; control systems; organisational factors; power structures, and symbols. Discussions occurred about how and where these issues may affect students' professional identity development.

CONCLUSIONS:

The cultural web framework functioned well to help participants identify elements of the hidden curriculum. These aspects aligned broadly with previously described factors such as role models and institutional slang. The influence of these issues on a student's development of a professional identity requires discussion amongst faculty staff, and could be used to develop learning opportunities for students. The framework is promising for the analysis of the hidden curriculum and could be developed as an instrument for implementation in other clinical teaching environments.

PMID:
 
23323652
 
PMCID:
 
PMC3562476
 
DOI:
 
10.1111/medu.12072


전문직 정체성 형성에 관한 학생들의 성찰(Acad Med, 2015)

The Becoming: Students’ Reflections on the Process of Professional Identity Formation in Medical Education

Joanna Sharpless, Nell Baldwin, Robert Cook, Aaron Kofman, Alessio Morley-Fletcher, MD, MMSc, Rebecca Slotkin, and Hedy S. Wald, PhD




궁극적으로 학생과 의학 교사의 의도는 의료 전문직의 가치와 역량에 부합하는 정체성을 개발하는 것입니다 .3 이것이 "프로페셔널리즘"또는 "행동 방식"으로 나타날 수도 있지만 4,5 더 중요한 PIF 목적은 새로운 "존재의 방식"을 개발하는 것이다.

Ultimately, the intention of both student and medical educator is to develop an identity consistent with the values and competencies of the medical profession.3 Although this may manifest as “professionalism,” or “ways of acting,”4,5 the more overarching PIF objective is developing new “ways of being.”6



학생들이 중요한 formative 경험에 대한 guided reflection에 참여할 수있는 기회를 제공하는 것은 학습자가 PIF에서 의미를 만들고 가치를 명확하게하는 데 도움이되는 효과적인 도구로서, 궁극적으로 "새로운 존재being으로 자립할 수 있는 패턴"을 형성하게 한다.

Providing opportunities for students to engage in guided reflection on their critical formative experiences is one effective tool for helping learners use their experiences to construct meaning and clarify values within PIF,9,11–13 ultimately promoting a “self-sustaining pattern of a new way of being.”14



의학 교육에서의 "가장"

“Pretending” in Medical Education


의과 대학을 시작할 때 학생들은 의사와 일치하는 가치와 행동에 스스로를 몸담글 것으로 기대받는다.7 종종 이 과정에서는 역할을 완전히 embody하기 전에 의사됨을 "시늉go through the motions"해야 한다.

Upon starting medical school, students are expected to immerse themselves in the values and behaviors consistent with physicianship.7 Often, this process requires that we “go through the motions” of being a physician before we can fully embody this role.



List 1

작성자의 전문직 정체성 형성 (PIF)에 대한 성찰 에세이에 사용된 질문

Questions Used to Prompt Written Reflections About Professional Identity Formation (PIF) From the Authors


Question 1

몇몇 저자들은 의대생들의 "가짜 (imposters)"처럼 느껴지는 정체성 형성 단계에 관해 썼습니다. 8,9 현재 직업 생활에서 "가장하고 있는pretending"역할은 무엇입니까? 만약 그렇다면, 당신은 무엇을 했습니까? 또는 당신이 의료 전문직인것 처럼 "가장하는"것과 전문 직업에 완전히 "inhabiting"하는 것 사이에서 선을 넘을 수있게 한 것은 무엇입니까?


Several authors have written about a stage of identity formation in which medical students feel like “imposters.”8,9 What role, if any, does “pretending” currently play in your professional life? If applicable, what have you done or what has allowed you to cross the line between “pretending” to be a medical professional and fully inhabiting your professional role?


Question 2

귀하가 받은 의학교육 중 (학업, 직장, 의학 교육 이외의 삶) 어떤 사건이나 관계가 자신의 PIF를 결정적이거나 의미있는 것으로 인식하게 하였나요?


What incidents or relationships during your medical education (whether in the context of your study/work or in your life outside of medical education) do you perceive as critical or meaning making for your PIF?


Question 3

의대 또는 레지던트 프로그램의 어떤 공식적 또는 비공식적 커리큘럼이 PIF를 서포트하고 개인의 성장에 특히 가치가 있는 것으로 나타 났습니까? 당신은 교사나 멘토가 무엇을 통해서 의학교육이 더 PIF 과정을 원활하게 해줄 수 있다고 생각하나요?


What formal or informal aspects, if any, of the curriculum provided at your medical school or in your residency program have you found to be particularly valuable in supporting your PIF and nurturing your personal growth? What, if anything, do you believe teachers or mentors could do differently in medical education to facilitate your process of PIF?


Question 4

훈련 중 다른 의료 전문가 (간호사, 치료사, 영양사, 약사 등)와의 상호 작용이 자신의 전문직 정체성에 어떻게 영향을 줍니까? 귀하의 professional identity를 interprofessional identity와 구별짓거나 조화시키는 것은 무엇인가요?


If relevant, how have your interactions with other health care professionals (nurses, therapists, nutritionists, pharmacists, etc.) during your training affected your understanding of your own professional identity? How, if at all, do you differentiate and/or reconcile your medical professional identity with an interprofessional identity?





The Role of Relationships


개인적 및 전문적 관계는 의학 교육에서 PIF에 중요한 초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8,15


Personal and professional relationships have been shown to have a significant, early impact on professional identity development in medical education.8,15


The Impact of Formal and Informal Curricula on PIF


학생들에게 전문 역량을위한 지식 및 기술 능력을 가르치는 것 외에도 의대는 학생들의 개인적 및 직업적 성장을 도모하기 위해 공식 및 비공식적 인 개입을 점차 늘리고 있습니다.


In addition to teaching students the knowledge and technical skills for professional competency, medical schools are increasingly implementing formal and informal interventions to cultivate students’ personal and professional growth.


Navigating and Developing Interprofessional Relationships and Identities


Interprofessional 관계를 구축하고, 협상하며, 새로운 Interprofessional 정체성과 의사로서의 정체성을 구별하는 것은 특히 의학 교육의 초기 단계에서 어려울 수 있습니다 .16 우리 자신이 기존에 가지고 있던 전문직 역할이나 다른 의료 전문가의 역할과 비교되고 대조되는 경우, Interprofessional한 상호 작용은 의사 역할에 대한 우리의 이해를 illuminate해줄 가능성이 있습니다.


Learning to build and negotiate interprofessional relationships and distinguishing between an emerging interprofessional identity and physician identity can be challenging, especially at initial stages of medical education.16 When compared and contrasted either with our own prior professional roles, or the roles of other medical professionals, interprofessional interactions have the potential to illuminate our understanding of the physician role.



결론, 고찰

Discussion and Conclusions



이러한 "스냅 샷"은 PIF 프로세스를 위한 다양한 멘토, 동료, 전문 직업인, 가족 및 환자 관계를 강조합니다. 

  • 환자와 멘토와의 의미있는 관계는 우리가 미래 의사로서의 역할을 계획하는 데 도움이되는 반면, 

  • 또래 관계는 의과대학 입학 전의 공통 관심사와 가치를 강화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 또한 건강 관리 시스템 내에서의 개인적인 경험도 강력한 영향을 미치며, 이 때문에 우리는 공급자의 역할을 맡을 때 겸손을 유지할 수 있다.

These “snapshots” highlight various mentor, peer, interprofessional, family, and patient relationships as instrumental for our PIF process. 

  • Meaningful relationships with patients and mentors help us envision our future clinician roles, 

  • while peer relationships can help us strengthen shared interests and values that preceded medical school. 

  • We also appreciate the powerful impact of our own personal experiences within the health care system, which help us remain humble as we assume the provider role.


  • 따라서 우리는 의학교육이 교실 내외부에서 환자 간호 및 자기-케어 경험을 처리하고 맥락화 할 수있는 guided opportunities를 제공할 것을 권장합니다. 

  • 우리는 또한 PIF에서 관계의 역할에 맡고 있으며, 효과적인 소그룹 촉진기술을 훈련받은 역할 모델과 함께 reflection-on-action과 reflection-on-being을 자극하는 교과 과정 혁신을 설계하기 위해 노력할 것을 권장합니다.

교육 수준과 관련된 의견의 비균질성은 학습자의 교육 단계에 맞춰 만들어진 "발달 공간" 내에서 발달적 교육 과정developmental curricula이 잠재적으로 유용함을 강조한다.

  • Consequently, we encourage medical education models to provide guided opportunities to process and contextualize our experiences of patient care and self-care, both inside and outside the classroom. 

  • We also support efforts to design curricular innovations stimulating reflection-on-action17 and reflection-on-being11 alongside role models who appreciate the role of relationships in PIF and who are trained in effective small-group facilitation skills. 

The heterogeneity in our comments as linked to level of training underlines potential utility of developmental curricula within created “developmental  space”18 tailored to the educational stage of the learner. 


그러한 교과 과정에서 guided reflection은 의학 교육 과정을 통한 professional transformation를 드러내는 거울이 될 수 있습니다 .19 진화하는 과정에 대한 self-awareness을 개발하는 것은 우리의 전문직 정체성의 요소를 crystallize하고, 다른 사람들의 진화를 촉진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우리는 어렵거나 도전적인 것으로 여겨지는 PIF의 측면조차도 비판적인 성찰의 맥락에서 보람을 느낄 수 있음을 알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위장한imposter"경험에 대해 치열하에 성찰함으로써, 자기 인식과 다른 사람들에 대한 성찰적 개방성을 기를 수 있으며, 잠재적으로 정서적 회복탄력성과 웰빙에 기여할 수 있습니다 .11

Within such curricular efforts, guided reflection can be a mirror, revealing our professional transformation through the medical education process.19 Developing self-awareness of this evolving process may serve to crystallize elements of our professional identities and promote the evolution of others. We realize that even aspects of PIF perceived as difficult or challenging may become rewarding within the context of critical reflection. Grappling with the “imposter” experience, for example, can cultivate a sense of humility15 and promote self-awareness and reflective openness to others, potentially contributing to emotional resilience and well-being.11


유사하게, 정체성 갈등은 "창조적 긴장"의 원천이 될 수 있습니다. 우리는 진화하는 전문가로서 종종 초기 기대치를 뛰어 넘는 새로운 의료 현실에 직면하며, 상상해온 전문직 정체성과 현실의 전문직 정체성을 조화시켜야합니다. 예를 들어, 비록 의사의 지식과 영향력의 한계에 직면하는 것은 비록 어려운 일일지라도 ("모든 답을 아는 것"에서 벗어나)답을 찾아나서는데 필요한 "인지적 도구"와 모호함을 인내하는 데 도움이되는 "정서적 도구"를 습득하는 것에 초점을 둘 수 있다. 일반적으로 이러한 갈등을 해결해나가는 과정은 핵심 가치와 결정적 행동에 의문을 품거나 또는 종종 그것을 더 강화함으로써 더욱 정체성 발달을 촉진해준다.

Similarly, identity conflicts can be a source of “creative tension”2 as personal meets professional and/or one strives for an idealized professional self. As evolving professionals, we often confront new realities of medical practice that depart from our initial expectations, and must adapt and reconcile the imagined and lived versions of professional identity. For example, we note that confronting the limits of a physician’s knowledge and influence, although daunting, may motivate us to shift our focus away from knowing all the answers towards acquiring “cognitive tools” that allow us to search for answers (and recognize when answers may be elusive) as well as “emotional tools” to help with tolerating ambiguity. In general, the process of negotiating such conflicts potentially spurs further identity development by encouraging us to question and at times reinforce core values and critical behaviors.


일반적으로 우리는 점차 자신의 professional lives에 대한 통찰을 얻고 더 많은 소유권을 가지게 되면서, PIF프로세스에 자신의 개인적personal 신념과 가치를 깨닫는 과정을 포함하게 되고, 전문직으로서의 가치와 목표에 더 헌신하게 된다. 스스로 자신의 professional selves의 이야기를 더 잘 인식하게 될수록, 이 모든 것이 우리의 경력 설계과 심지어 전공과목 선택에 영향을 줄 것이다20 . 그러므로 이 코멘터리는 전문직 정체성의 의식적 발전을 위한 curricula-supported engaged reflection이라는 "대우주"에 속한 "소우주"로 간주 될 수있다.

In general, we gain insight into and assume more ownership over our professional lives within a developmental, integrative PIF process that includes recognizing our personal beliefs and values and committing to professional values and goals. All of this can support our career design and even specialty choice20 as we become more aware of authoring the story of our emerging professional selves. Hence, our presented Commentary may be regarded as a “microcosm” of the “macrocosm” of curricula-supported engaged reflection for the conscious development of professional identity.21





11 Wald HS, Anthony D, Hutchinson TA, Liben S, Smilovitch M, Donato AA. Professional identity formation in medical education for humanistic, resilient physicians: Pedagogic strategies for bridging theory to practice. Acad Med. 2015;90:753–760.



 2015 Jun;90(6):713-7. doi: 10.1097/ACM.0000000000000729.

The becoming: students' reflections on the process of professional identity formation in medical education.

Author information

1
J. Sharpless is a fourth-year student, Warren Alpert Medical School of Brown University, Providence, Rhode Island. N. Baldwin is a first-year student, Warren Alpert Medical School of Brown University, Providence, Rhode Island. R. Cook is a third-year student, Warren Alpert MedicalSchool of Brown University, Providence, Rhode Island. A. Kofman is a fourth-year student, Warren Alpert Medical School of Brown University, Providence, Rhode Island. A. Morley-Fletcher is a first-year resident, Department of Pediatrics, Massachusetts General Hospital-Harvard Medical School, Boston, Massachusetts. R. Slotkin is a second-year student, Warren Alpert Medical School of Brown University, Providence, Rhode Island. H.S. Wald is clinical associate professor of family medicine, Warren Alpert Medical School of Brown University, Providence, Rhode Island.

Abstract

Professional identity formation (PIF) within medical education is the multifaceted, individualized process through which students develop new ways of being in becoming physicians. Personal backgrounds, values, expectations, interests, goals, relationships, and role models can all influence PIF and may account for diversity of both experience and the active constructive process of professional formation. Guided reflection, including reflective writing, has been used to enhance awareness and meaning making within the PIF process for both students and medical educators and to shed light on what aspects of medical education are most constructive for healthy PIF. Student voices about the PIF process now emerging in the literature are often considered and interpreted by medical educators within qualitative studies or in broad theoretical overviews of PIF.In this Commentary, the authors present a chorus of individual student voices from along the medical education trajectory. Medical students (years 1-4) and a first-year resident in pediatrics respond to a variety of questions based on prevalent PIF themes extracted from the literature to reflect on their personal experiences of PIF. Topics queried included pretending in medical education, role of relationships, impact of formal and informal curricula on PIF (valuable aspects as well as suggestions for change), and navigating and developing interprofessional relationships and identities. This work aims to vividly illustrate the diverse and personal forces at play in individual students' PIF processes and to encourage future pedagogic efforts supporting healthy, integrated PIF in medical education.

PMID:
 
25881650
 
DOI:
 
10.1097/ACM.0000000000000729


의학교육에서 그룹 프로세스: 사회적 정체성 이론의 교훈(Med Educ, 2012)

Group processes in medical education: learning from social identity theory

Bryan Burford




도입

INTRODUCTION


이러한 이론적 입력은 연구가 현상에 대한 설명을하고 개발할 수있게하며, 단순히 개입을 기술하거나 정당화하기보다는 명확하게 설명한다 .6) Regehr은 최근에 다음과 같이 썼다. "교육과학은 일반적인 문제에 대한보다 보편적 인 해결책을 만들고 공유하는 것이 아니라, 우리가 직면 한 문제에 대해 더 나은 사고 방식을 만들고 공유하는 것에 관한 것입니다 .'7, p37

Such theoretical input can allow studies to explain and develop understanding of phenomena, and to clarify rather than simply describe or justify interventions.6 As Regehr recently wrote: ‘…the science of education is not about creating and sharing better generalisable solutions to common problems, but about creating and sharing better ways of thinking about the problems we face.’7, p37



사회적 정체성 접근

THE SOCIAL IDENTITY APPROACH


'사회적 정체성'은 일반적으로 사회 집단의 회원 자격과 관련한 개인의 자기 개념을 지칭한다. 그러나 사회 정체성 이론은 1970 년대에 개발 된 집단화 과정group process에 대한 특별한 접근법이다 .10 그 이후의 확장된 것으로, 자기 범주 이론이 있으며, 이것은 [사회 집단의 형성에서 그들 사이에 생겨나는 편견에 이르기까지] 모든 수준의 집단 행동에 대한 설명을 제공한다.

‘Social identity’ generically refers to an individual’s selfconcept in relation to his or her membership of social groups and has been used in many ways in the social sciences.9 Social identity theory, however, is a particular approach to group processes developed in the 1970s .10 With its later extension, self-categorisation theory,11,12 it provides an account of group behaviour at all levels, from the formation of social groups to the biases and prejudices that emerge between them.


사회적 정체성 접근법의 특징은 사회적 및 개인적 수준의 분석을 통합 할 수있는 능력이다. 사회적 정체성 접근법은 [그룹 프로세스]를 [대인 관계 상호 작용]과는 다른 것으로 간주하지만, 철저하게 개인의 인식individual cognition에 토대를 두고 있다: '사회적 정체성은 개인과 집단 차원에서 동시에 존재하고, 그 간극을 이어준다.'17) (p2)

The distinctive feature of the social identity approach is its ability to integrate social and individual levels of analysis. the social identity approach considers group processes as something distinct from interpersonal interactions, but grounded firmly in individual cognition: ‘Social identity exists at both individual and group level simultaneously and bridges the gap.’17(p2)


사회적 정체성은 사회적으로 의미있는 자극에 대한 능동적 범주화 과정을 통해 나타난다. '... 그룹은 특정한 심리적 과정, 자기 분류, '자기 집단화 '과정이 있다는 점에서 심리적 실재를 가진다. 집단 행동의 고유 한 특징에 상응하고 그 기초가된다. '11, p267 [원래 이탤릭체].

Social identity emerges through an active process of categorisation, operating on socially meaningful stimuli, whereby: ‘…the group has psychological reality in the sense that there is a specific psychological process, a self-categorisation or ‘‘self-grouping’’ process which corresponds to and underlies the distinctive features of group behaviour’11, p267 [original italics].


그것은 또한 동기 부여 요소를 포함하기 때문에 완전히 수동적이지 않습니다. 자기-분류는 다른 그룹 (out-group)에 비해 자신의 그룹 (in-group)이 '긍정적 차별성'을 유지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it is not completely passive because it also contains a motivational component; self-categorisation aims to maintain ‘positive distinctiveness’ on a valued dimension for one’s own group (the ‘in-group’), compared with other groups (‘out-groups’).


카테고리화는 본질적으로 비교이다. 왜냐하면 한 그룹으로 분류한다는 것은 다른 그룹과의 차별화를 필요로하기 때문이다.  '... 집단 표현group representation은 집단 간 비교intergroup comparison에서 벗어날 수 없다.'20, p10 결과적으로 자기-분류는 '나는 누구인가' 만큼이나 '나는 누가 아닌가'로부터 출발한다.

Categorisation is essentially comparative, because categorisation into one group requires differentiation from another: ‘…group representations are inextricable from intergroup comparisons.’20, p10 Consequently, self-categorisation derives as much from a sense of who one is not as from a sense of who one is.


여기에 집단 간 갈등의 가능성이 함축되어 있다. 문헌은 이 갈등이 나타날 수있는 여러 가지 복잡한 방법을 밝히고 있지만 그룹 구성원은 그룹 구성원에 대한 긍정적 태도(내그룹 편애in-group favouritism)와 그룹 외부에 대한 부정적인 태도 (외 그룹 비하out-group derogation) . 이러한 편향과 함께 '외부 집단 동질화 효과 (out-group homogeneity effect)'가있어 외부 집단 구성원이 종종 균질하다고 여겨지는 반면, 내부 집단의 다양성은 더 높이 평가하곤 한다.21 이것은 오히려 정형화 현상stereotyping과 밀접하게 관련되어있다. 정형화 관념은 일부 인간 사회 집단에 대한 인식, 신념, 기대를 포함하는 '인지 구조'로 간주 될 수있다. 이러한 구조는 비하적이 될 수 있지만 출발점은 중립적이다. 이것은 부정적인 정형화 관념이 형성되고 전달되는 방법을 다룰 때 중요해진다.

The potential for intergroup conflict is implicit here. The literature identifies many and complex ways in which this conflict may emerge, but the consistent basic finding is that group membership is associated with positive attitudes towards in-group members (ingroup favouritism) and negative attitudes towards out-groups (out-group derogation). Alongside these biases is the ‘out-group homogeneity effect’, whereby out-group members will often be seen as homogeneous, whereas variability in the in-group may be more appreciated.21 This is linked closely to the phenomenon of stereotyping, although rather than being inherently derogatory, stereotypes may be seen as ‘cognitive structure[s] containing the perceiver’s knowledge, beliefs and expectancies about some human social group’.22, p42 These structures may become derogatory, but their starting point is neutral. This is important when considering how negative stereotypes form and are transmitted.


사람들은 다양한 정체성을 가지고 있다. 어떤 상황이 주어지더라도, 그 상황마다 자신을 범주화 할 수 있는 그룹이 존재한다. 다른 그룹이 서로 교차할 수 있는데, 다른 말로 하면 다수의 정체성이 서로 관련될 수 있다 (예 : 성별, 민족, 국적, 가족, 취미).

People have multiple identities available to them; in any given situation there are different groups into which they may be categorised.23 Other groups may be cross-cutting, meaning that multiple identities can relate, respectively, to different areas of an individual’s life (e.g. gender, ethnicity, nationality, family, hobbies).


어떤 시점에서 가장 두드러진 정체성 - '자기 인식의 내용을 결정하고, 그 결과 사회적 행동의 형태를 결정하는 정체성'- 은 가변적이며 맥락에 달려있다. 사회적 정체성 문헌에는 카테고리의 두 가지 결정 요인이 기술되어있다 : 접근성카테고리의 적합성 .18) 

  • 접근성이란 현재 목표, 과제의 방향, 사용가능한 맥락적 단서에 의해 결정되는 개인에 대한 집단 정체성의 가용성을 말한다 (예컨대 의사라는 카테고리는 임상현장에서 더 접근가능하다)

  • 적합성이란 접근 가능한 범주에 대해 개인이 얼마나 매칭되느냐에 관련되며, 내-집단 차이를 최소화하고 동시에 외-집단 차이를 극대화하는 으로 정의됩니다 (이것은 자기 분류 이론에서 '메타 콘트라스트의 원리'라고 부릅니다 '25).

The identity that is most salient at any point – that which ‘determines the content of self-perception, which, in turn, determines the form of social behaviour’18, p117 – is variable and depends on the context. Two determinants of category salience are described in the social identity literature: the ‘accessibility’ and the ‘fit’ of a category.18,24 

  • Accessibility refers to the availability of the group identity to an individual as determined by his or her current goals, task orientation and available contextual cues (e.g. the professional category of ‘doctor’ will be more accessible in a clinical workplace than elsewhere). 

  • Fit relates to the matching of an individual to an accessible category and is defined in the minimisation of in-group differences, alongside the maximisation of differences from out-groups (this is referred to in self-categorisation theory as the principle of ‘meta contrast’25).



적합성은 두 가지 방법으로 결정될 수 있습니다 .18

Fit may be determined in two ways.18 


규범적 적합성은 개인을 기존 그룹과 비교할 때 발생합니다. 카테고리화는 개인이 다른 그룹보다 한 그룹의 기존 스테레오타입과 더 유사하면 발생합니다. 예를 들어, 의사자격을 취득한 후에도 의대생은 ['의과대학생'보다] '의사'그룹을 대표하는 자질 (예 : 지식, 기술, 성숙도)을 소유하고 있다고 느낄 때까지 자신을 의사로 분류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Normative fit arises from the comparison of an individual with existing groups: categorisation occurs if an individual is more similar to an existing stereotype of one group than another. For example, even after qualification an individual may not categorise herself as a doctor until she feels she possesses qualities (such as knowledge, skills, maturity) that she holds to be more representative of the group of ‘doctors’ than of ‘medical students’.


대조적 적합성은 그룹의 스테레오타입이 관념이 불확실 할 때 두드러지며, 예를 들어 ad hoc 또는 새로운 사회적 그룹의 출현 등의 상황이 있다.(특정 활동을 중심으로 전개되는 특정 다-전공 팀)

Comparative fit, by contrast, will determine salience when a group stereotype is uncertain, such as in the emergence of ad hoc or novel social groups (such as specific multidisciplinary teams that develop around particular activities).


서로 다른 cue나 contextual demands가 동시에 하나 이상의 정체성을 제안한다면 서로 다른 정체성 사이에는 긴장이있을 수있다. 26,27

There may be tensions between different identities if different cues and contextual demands suggest the salience of more than one identity at the same time.26,27




사회적 정체성 이론을 의학교육에 적용하기

APPLYING SOCIAL IDENTITY THEORY TO MEDICAL EDUCATION


사회적 정체성으로서의 전문직 정체성

Professional identity as social identity


사회적 정체성 접근법이 적용될 수 있는 의학 교육의 첫 번째 영역은 '의사'로서의 전문직 정체성의 성취입니다. 전문직 정체성은 사회적 정체성의 사례입니다. 의대생이 의사로 전환하는 것은 단순히 자격을 부여하는 것이 아니라 의사가 '됨'으로써, '의사'의 정체성을 내면화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The first area of medical education that the social identity approach may inform is the achievement of the professional identity of ‘doctor’: professional identity is an instance of social identity. The transition from medical student to doctor does not simply involve qualifying, but refers to ‘becoming’ a doctor and internalising the ‘doctor’ identity.28


이러한 전환과 관련된 주요 쟁점은 전문직 정체성의 salience를 결정하는 요소와 관련이 있습니다. 언제 그러한 접근성이 '접근가능' 해지고, 다른 정체성보다 언제 더 '적합'해 질까요? 전문직 정체성의 성취는 지식, 실제 경험, 자격을 갖춘 직원에 의한 강화 등 여러 요소와 관련이 있다는 연구 결과가 있습니다.

The main issue around these transitions relates to the factors determining the salience of the professional identity: when does it become accessible and when will it have better fit than alternative identities? Studies have found that the achievement of professional identity is related to a number of factors, including knowledge, practical experience and reinforcement by qualified staff.


학생들이 만드는 명시적 또는 묵시적 비교는 적합성 탐구의 한 형태로 볼 수 있습니다. 학생들은 자기자신들이 내러티브가 나타내는 규범에 얼마나 잘 어울리는지 고려하고 있습니다.

The explicit and tacit comparisons made by students may be seen as illustrations of the exploration of fit: the students are considering how well they fit the norms represented by the narratives.


이 연구는 '의사의 일을 하는' 사람은 그렇지 않은 사람보다 '의사'의 스테레오타입과 더 유사하다는 점에서 정체성에 대한 performance element의 중요성을 강조합니다.

These studies emphasise the importance of the performative elements of identity to fit: someone who is ‘doing what a doctor does’ is more similar to the stereotype of ‘doctor’ than someone who isn’t.


'의사'로서의 적합성을 극대화하고 전문직 정체성을 더 빠르게 받아들이기 위해서 일부 행동을 수행할 수 있습니다.

It is possible that the performance of some behaviours is felt to maximise the fit of ‘doctor’ and accelerate the adoption of professional identity.



계급, 성별, 인종의 요소가 '의사'의 스테레오타입에 통합되면, 적합성의 개념은 의료 인력의 다양성 및 의료 이용 기회에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이들은 그룹 정체성이기도 하지만, 동시에 attributes가 될 수도 있다).

The notion of fit may also have consequences for the diversity of the medical workforce, and access to, medical careers if elements of class, gender or ethnicity are incorporated into a stereotype of ‘doctor’ (these are themselves group identities, but can also be attributes).


서로 다른 전문직에 입학하는 학생들 사이의 차이가, 전문직 집단 자체의 차이를 반영할 수도 있다. 의사의 스테레오타입이 보여주는 속성 중 일부만을 가지고 있거나, 꼭 있어야 하는 속성이 없다고 스스로 느낀다면, 의사로서의 정체성을 충분히 갖출 것으로 기대하지 못해서, 심지어 의대에 지원조차 하지 않을 수도 있다.

differences between students of different professions at entry can mirror those between qualified professionals.33 It may be that people who feel they lack the necessary attributes or have only a partial stereotype of the doctor do not even apply to enter medicine because they are insufficiently able to anticipate the identity of doctor.


경력이 본격적으로 시작될 때도 비슷한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임상 전문과들에 대한 일반적인 스테레오타입이 있지만, 그들의 존재를 확인하는 경험적 연구는 거의 없다 .34,35 그러한 스테레오타입이 종종 유머로써 언급 되기도 하지만, 이러한 고정 관념의 일화적인 보급에는 심각한 문제가 있다. 스테레오타입에 대한 인식이 그 전공과목에 대한 '적합성'에 영향을 주어, 궁극적으로 직업 선택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Similar problems may emerge once a medical career has begun. Different clinical specialties have commonly invoked stereotypes, but there has been little empirical work to confirm their existence.34,35 Although they are often referred to humorously, there is a serious point in the anecdotal pervasiveness of these stereotypes in the extent to which doctors’ perceptions may influence their perceived fit for a specialty and thus their career choices.


'기대적 사회화'는 의대생과 주니어 의사로 하여금, 어떤 특성이 out-group에서 바람직하지 못한 것으로 간주되더라도, 자신이 지망하는 전공과목 in-group의 특성에 맞춰서 그 집단의 스테레오타입을 체득하도록 만들 수 있다. 전공과목에 존재하는 부정적인 하위문화는 이러한 방식으로 사회적 정체성의 유지를 통해 영속 될 수 있습니다.

anticipatory socialisation may lead medical students and junior doctors to adopt stereotypical traits to match the specialty ingroups to which they aspire, even if those traits are not considered desirable outside the specialty. Negative specialty subcultures may thus be perpetuated through the maintenance of social identity.


사회적 정체성은 향후 커리어에서의 성과와도 관련이 있습니다. 한 연구에 따르면 clinical error가 환자 안전은 물론 전문직 정체성도 위협하는 것으로 밝혀졌으며, 간호사들 사이의 강한 직업적 정체성은 예방 접종을 최신 상태로 계속 유지하는 데 더 큰 관심을 갖게 만든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Social identity is also linked to performance later in careers: one study found that clinical errors were identified as a threat to professional identity as well as patient safety,36 and another found strong professional identity among nurses was linked to greater attention to keeping their vaccinations up to date.37


임상가에서 관리자로의 전환을 연구한 결과, 의사가 임상 역할과 관리 역할 사이의 갈등을 인식하고 있으며, 후자를 약화시켜 임상 정체성을 유지하려고 시도 할 수 있다고합니다.

Studies looking at the transition from clinician to manager have found that doctors perceive a conflict between clinical and managerial roles38,39 and may attempt to maintain their clinical identity by undermining the latter.40


전문적 정체성은 professionalism의 문제로 이어진다. 문헌에 두 가지 지배적 인 접근법이있다. 하나는 추상적인 것으로서, 프로페셔널리즘을 '전문직'의 사회적 관계를 반영한 것으로 간주하고, 다른 하나는 프로페셔널리즘을 주로 평가의 대상으로 여긴다.


Professional identity leads to the question of professionalism .There have been two dominant approaches in the literature, of which one is abstract and considers professionalism as a reflection of the social relationships of ‘a profession’,41,42 and the other focuses on the operationalisation of professionalism as something to be assessed.43,44


'사회적 정체성 접근법'은 규범norm을 역동적이며 특정 맥락에서 구성되는 것으로 보게 함으로써 프로페셔널리즘에 대한 이해를 도울 수있다 .20 이것은 프로페셔널리즘 교육의 도덕적 의도에도 불구하고 왜 '프로페셔널하지 못한' 행동과 태도가 학습되고 유지되는지를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될 수있다.

The social identity approach may aid understanding of professionalism by allowing norms to be viewed as dynamic and constructed in specific contexts.20 This may help us to understand why ‘unprofessional’ behaviours and attitudes are learned or maintained, despite the virtuous intentions of professionalism teaching.




팀워킹: 근무지에서의 그룹-프로세스

Team-working: group processes in the workplace


사회적 정체성이 조명할 수 있는 두 번째 영역은 interprofessional 그리고 multidisciplinary 팀워킹이다. 여러 문헌은 그룹 멤버십은 구성원이 타 그룹에 대한 편파적 태도를 유지하는 것과 관계되며, 특히 그룹 내 구성원에 대해서는 긍정적으로, 그룹 외 구성원에 대해서는 폄하적으로 대하는 것과 관련됨을 보여줍니다 .47

The second area that may be illuminated by considering social identity is that of interprofessional and multidisciplinary team-working. An extensive literature demonstrates that group membership is associated with the holding of biased attitudes towards others and, in particular, with positive attitudes towards in-group members and the denigration of out-group members.47


편견은 언어와 다른 자동적 행동으로부터 식별 할 수 있다.

biases may be identified in language49 and other automatic behaviours.50


따라서 임상 팀은 자주 여러 무의식적 편견의 위험에 빠질 수 있다.

The clinical team, composed as it is of many groups, is therefore at risk from many, often unconscious, biases.


직업 간 교육 (IPE)은 다른 직업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부정적인 고정 관념을 약화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하며, 이는 그룹 간의 접촉이 편견을 줄여 줄 수 있다고 가정하는 '접촉 가설'에서 묵시적으로, 때로는 명시적으로 생각한다.

inter-professional education (IPE) aims to increase understanding of other professions and to reduce negative stereotypes, thinking which is implicitly, and sometimes explicitly, derived from the ‘contact hypothesis’ which assumes that contactbetween groups has the potential to reduce prejudice.58,59 


IPE가 다른 직업에 대한 인식과 기대를 향상시키는 데 도움이되는 것으로 밝혀졌지만, 그 효과가 직접적이지는 않다는 연구 결과가있다. 예를 들어 의과대학생 및 치과대학생과의 IPE에 관한 한 연구에서, 치과 학생은 같은 장소에서 근무하고 있음에도 의대생과 교수진에 의해 여전히 소외받았으며, 부정적인 고정관념을 받았다 .62 한 가지 설명은 그룹 간 편향이 '틀린' 고정 관념 그 자체로부터 발생하는 것이 아니라, 단순히 범주화에서 비롯된다는 것일 수 있다. 즉, 편향이 발생하는 것은 카테고리화에 대한 신념이 아니며, 오히려 신념이 범주화의 결과입니다.

Although IPE has been found to have benefits in terms of improving awareness and expectations of other professions,60 there are findings that its effects are not straightforward.61 For example, one study of IPE with medical and dental students found that despite working together in the same location, dental students still felt marginalised and negatively stereotyped by medical students and faculty staff.62 One explanation may be that intergroup biases do not arise from ‘wrong’ stereotypes per se, but simply from categorisation. That is, biases do not stem from beliefs about categorisation; rather, beliefs are a consequence of categorisation.


상위 정체성 (예 : 보건 전문가의 정체성)에 초점을 두거나, 공통의 특성에 대한 '교차crossed' 정체성에 초점을 두는 접근법이 더 효과적 일 수 있습니다 .65,66 IPE의 성공은 단순히 개입의 형태와 내용보다는 이러한 요인의 영향을받을 수 있습니다 

Approaches that focus on a superordinate identity (such as that of health care professional)63,64 or ‘crossed’ identities that share characteristics may be more effective.65,66 It may be that the success of IPE is influenced by these factors, rather than simply by the form and content of interventions.


또 다른 위험은 교육초반의 IPE 개입이 적절한 그룹 정체성 형성에 도움이 되지 않을 수도 있다는 것입니다. (의과대학) 학생은 '학생'과 '전문가'라는 두 가지 정체성을 가지고 있으며 너무 일찍 개입하면 전문직으로서의 정체성보다는 학생으로서의 정체성이 더 강할 수 있습니다. 서로 전공이 다르더라도 학생들은 학생이라는 '공통 기반'을 가지고 있으며, 이것이 암묵적으로 공통의 pre-professional 정체성이 된다. 또한 학생의 전공마다 학생들은 전문직 집단에 대해서 알고identify있는 바가 모두 다를 수 있다. 학습이 주관적으로 전문성을 갖추고 실천에 확장 할 수있는 정도는 가정 한 것만 큼 단순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Another risk is that IPE interventions early in trainingmay not engage with the appropriate group identities. A student professional has two identities, of ‘student’ and ‘professional’, and too early an intervention may relate to the student rather than the professional identity. Students of different professions may be aware of ‘common ground’ as students,68 implicitly a common, pre-professional identity. Additionally, students of different professions may identify with their professional groups to different extents.69 The extent to which learning is subjectively interprofessional and extendable to practice may not be as straightforward as is assumed.


커뮤니케이션의 위험

Risks for communication


사회적 정체성은 집단 내 응집력이나 집단 간 갈등의 형태로 정서적 결과를 낳을뿐 아니라 집단 간 의사 소통에 뚜렷한 영향을 미친다. 커뮤니케이션은 언어 사용을 통해 그룹의 경계를 만들고 강화하는 수단이며, 71,72 사회적 정체성은 또한 정보가 전송되고 수신되는 방법에 영향을 미칩니다. 그룹 내 구성원에서 그룹 외 구성원으로 전달 된 정보는 당초 의도와는 다르게 인코딩 (저장) 될 수 있으며, 그룹 내 구성원으로부터 얻은 정보를 더 정확하게 기억하고, 그룹 내 자료의에 더 가치를 둘 수 있다 74

Social identity does not just have affective consequences in the form of in-group cohesion or intergroup conflict, but also has distinct effects on intergroup communication. Communication is a means of creating and reinforcing group boundaries through language use,71,72 and social identity also affects how information is transmitted and received. Information passed from in-group to out-group members may be encoded (stored) differently,73 which can lead to the more accurate recall of information derived from in-group members and the greater valuing of in-group sources.74


전문가 그룹 간의 의사 소통 문제는 임상에서 실수로 이어질 수 있다고 알려져 있으며, 이러한 오류는 정보가 처리되는 방식과 관련이있을 수 있습니다.

It is known that communication problems, often between professional groups, can lead to human error in clinical settings75,76 and it may be that such errors are related to the ways in which information is processed.


또 다른 연구에 따르면 다분야 팀의 팀원은 자신과 동일한 직업군의 팀원보다 다른 직업군의 팀원으로부터 정보를 거의받지 못한다고 생각했습니다.

Another study found that members of a multidisciplinary team felt they received less information from members of a different occupational group than from their own.78


추가 연구에 따르면 의사와 간호사는 동일 직업군이 작성한 노트만 읽을 뿐이며, 다른 직업군의 견해를 고려하지 않았습니다 .79

A further study found that doctors and nurses read only their own profession’s notes and fail to take account of other views.79


평가 타당도의 위험

Risks for assessment validity


집단 간 편향은 또한 평가와 관련하여 우려를 나타낼 수있다. 훈련중인 의사에 대한 평가는 이제 직장에서 많이 이루어집니다. 훈련중 의사에 대한 평가는 모두 동료의 의사의 관찰과 평가를 포함합니다. 따라서 이러한 평가에는 그룹 간 차원intergroup dimension이 매우 눈에 띄게 나타납니다. INTER-professional일 수도 있고, INTRA-professional일 수도 있습니다. 다른 연차가 다르거나 전공이 다르면 out-group으로 여겨질 수 있기 때문입니다.

Intergroup biases may also present concerns in relation to assessment. Much assessment of doctors in training now takes place in the workplace. These all involve the observation and evaluation of a doctor’s work by colleagues. There is therefore a highly visible intergroup dimension to these assessments. This may be interprofessional, but also intra-professional, as doctors of different grades and specialties may be seen as out-group members.


그러한 평가는 세 가지 측면에서 집단 간intergroup 편향에 취약 할 수있다. 

Such assessments may be vulnerable to intergroup biases at three points. 


첫째, 의사는 여러 전문 그룹의 평가자를 선택할 수 있습니다 (그렇게하도록 권장됩니다). 그룹 내 선호In-group favouritism는 의사들이 그룹 내 구성원으로 인식하는 사람들을 선택하도록 유도 할 수 있습니다. 실제로 선택의 행위는 그룹 내 구성원 자격의 지표가 될 수 있습니다.

Firstly, doctors can select raters from different professional groups (and are encouraged to do so). In-group favouritism may lead doctors to select people they perceive as in-group members (and in fact the act of selection may become a marker of in-group membership).


둘째, 의사에게 주어진 실제 등급은 평가시에 평가자가 피평가자인 의사를 in-group 또는 out-group 구성원으로 인식하는지 여부에 따라 그룹 간 편향의 영향을받을 수 있습니다. in-group 이라면 그는 좀 더 관대 할 수 있지만 의사가 out-group으로 인식하면 평가자가 더욱 까다로울 수 있습니다. 중요한 것은 in-group인지의 여부가 평가자와 피평가자 간에 일치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Secondly, the actual rating given to a doctor may be influenced by intergroup biases, depending on whether the rater perceives an individual doctor as anin-group or out-group member at the time he completesthe assessment: if a rater perceives the doctor as an in-group member, he may be more lenient, whereas if he perceives the doctor as belonging to an out-group,the rater may be more severe. Importantly, the doctor’s and her raters’ perceptions of in-group status do not have to agree. 


그룹 외 동질성 효과out-group homogeneity effect는 개인에 대해 덜 주의를 기울이게 만들 수 있다. 결과적으로, 평가자가 피평가자를 out-group으로 인식한다면 실제 성과보다 낮게 평가할 수 있습니다. 집단 간 편향Intergroup bias은 암묵적이며 의식적 과정이 아니기 때문에 집단 간 과정Intergroup process을 고려하지 않으면 평가자의 훈련이 반드시 해결책이 될 수는 없다.

The out-group homogeneity effect34 may reduce attention to the individual. Consequently, a rater perceiving a trainee as an out-group member may rate that trainee as a stereotypical trainee rather than according to that actual individual’s performance. Intergroup bias may be implicit, and not a conscious process, and thus the training of raters may not necessarily be a solution if intergroup processes are not considered.


셋째, 그룹 간 편향은 피드백에 대한 반응에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수신자는 out-group 구성원의 관점을 잠재적으로 의해 폄하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피드백을 요청할 때는 그 사람을 in-group으로 보지만, 피드백을 받을 때에는 out-group으로 볼 수있다. ). 의견의 신뢰성은 평가자와의 관계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는 증거가있다. 그러나 이것은 집단 간 용어보다는 대인 관계로 구성되어있다.

Thirdly, intergroup biases may influence responses to feedback, with out-group views potentially denigrated by the recipient (again, an individual may be seen as an in-group member when asked to give feedback, but as an out-group member when feedback is received). There is some evidence that the credibility of feedback is influenced by perceived relationships with the rater,84 but this has been framed in interpersonal, rather than intergroup, terms.



결론

CONCLUSIONS


정체성 문제에 대한 인식은 그 자체로 교육 도구일 수 있습니다. 그것은 학생과 연수생의 성찰을 지원하는 구조를 제공 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스스로를 '의사'라고 생각하고 있는지, 그들이 가지고 있는 고정 관념과 그것은 왜 그런지, 그리고 그것이 의사소통과 주의에 미치는 영향을 생각해볼 수 있습니다. 이 논문의 논의는 다른 전문직과 관련하여 '의사'의 직업적 정체성에 집중되었지만 의사 - 환자 관계는 집단 간 관계이기 때문에 그 맥락에서 사회적 정체성을 고려하는 것이 중요하고 유용 할 수 있습니다 전문 직업인 상호 작용에서. 마지막으로 '교육자'와 '학습자'도 사회적 정체성의 사례이며, 이러한 경우 집단 간 프로세스의 역할도 고려해야한다.

Awareness of identity issues may be an educational tool in its own right. It may provide a structure to support student and trainee reflection, through which participants can consider whether they are thinking ‘as a doctor’, the stereotypes they may be invoking and why, and the effects of these on communication and attention. The discussion in this paper has concentrated on the professional identity of ‘doctor’ as it relates to other professions, but the doctor–patient relationship is also an intergroup relationship and consideration of social identity in that context may be as important and useful as it is in interprofessional interactions. Finally, ‘educator’ and ‘learner’ are also instances of social identity and the role of intergroup processes in these instances should also be considered.


또한 사회적 정체성 프로세스의 긍정적 효과가 있습니다. 그룹 식별은 스트레스를 낮추는 것과 관련이 있습니다. 병원을 기반으로 한 한 연구에 따르면 Restructuring과정에서 사람들은 조직 내 그룹이나 작업 그룹보다 더 많은 professional group을 identify하였고, 이는 조직에서 professional 그룹과 더 많은 관계를 맺음으로써 보다 안전한 정체성에 대한 더 큰 지지를 받았다고합니다.

There are also positive effects of social identity processes that may be developed. Group identification is associated with lowered stress.89 One hospital-based study found that staff identified more with their professional groups during a restructuring than they did with organisation-based groups or workgroups,90 suggesting that they felt more supported by the more secure identity of the professional group.




 2012 Feb;46(2):143-52. doi: 10.1111/j.1365-2923.2011.04099.x.

Group processes in medical educationlearning from social identity theory.

Author information

1
Medical Education Research Group, Durham University, Durham, UK. b.c.burford@durham.ac.uk

Abstract

CONTEXT:

The clinical workplace in which doctors learn involves many social groups, including representatives of different professions, clinical specialties and workplace teams. This paper suggests that medical education research does not currently take full account of the effects of group membership, and describes a theoretical approach from social psychology, the social identity approach, which allows those effects to be explored.

METHODS:

The social identity approach has a long history in social psychology and provides an integrated account of group processes, from the adoption of group identity through a process of self-categorisation, to the biases and conflicts between groups. This paper outlines key elements of this theoretical approach and illustrates their relevance to medical education.

RESULTS:

The relevance of the social identity approach is illustrated with reference to a number of areas of medical education. The paper shows how research questions in medical education may be usefully reframed in terms of social identity in ways that allow a deeper exploration of the psychological processes involved. Professional identity and professionalism may be viewed in terms of self-categorisation rather than simply attainment; the salience of different identities may be considered as influences on teamwork and interprofessional learning, and issues in communication and assessment may be considered in terms of intergroup biases.

CONCLUSIONS:

Social identity theory provides a powerful framework with which to consider many areas of medical education. It allows disparate influences on, and consequences of, group membership to be considered as part of an integrated system, and allows assumptions, such as about the nature of professional identity and interprofessional tensions, to be made explicit in the design of research studies. This power to question assumptions and develop deeper and more meaningful research questions may be increasingly relevant as the nature and role of the medical profession change.

PMID:
 
22239328
 
DOI:
 
10.1111/j.1365-2923.2011.04099.x


'팀의 일부' : 의과대학생들의 전문직 정체성과 사회적 배제(Med Educ, 2011)

‘Part of the team’: professional identity and social exclusivity in medical students

Roslyn Weaver,1 Kath Peters,1,2 Jane Koch2 & Ian Wilson3




도입

INTRODUCTION


의대생은 의과대학에 들어오는 시점에 이미 종종 언론, 의사와의 개인적인 접촉 및 'doctoring'을 통한 자신의 경험을 바탕으로 의료전문직에 대한 나름의 견해를 가지고 있다.

medical students often enter university with preformed views of the medical profession1,2 that may be influenced by the media, personal contact with doctors and their own experiences as recipients of ‘doctoring’.3


전문직 정체성은 전문가로서의 자신의 인식이다 .4) 전문직 정체성 (또는 특정 집단의 구성원)의 발달은 사회 정체성 이론 및 자기 분류 이론을 포함한 다양한 이론적 관점을 통해 탐구되었다 .9 근본적인 이론적 관점에 관한 논쟁은 있지만, 대부분은 어떤 형태로든 '사회화'를 포함하고 있다.

Professional identity is the perception of oneself as a professional.4 The development of a professional identity (or membership of a particular group) has been explored through multiple theoretical perspectives,5 including social identity theory6–8 and self-categorisation theory.9 Although there is debate around underlying theoretical perspectives, most involve socialisation in some form or other.10–12


사회적 정체성의 핵심 가정은 사람은 자신이 속한 서로 다른 사회적 그룹마다 각기 다른 다수의 사회적 정체성을 가지고 있다는 것이다.

Social identity theory at its core assumes people have multiple social identities as they move through different social groupings,8


자기 범주화 이론은 사람들이 자신을 바라봄에 있어서 어떻게 [독립된 한 개인으로서의 정체성]에서 [공유하는 정체성을 가진 그룹의 구성원]으로 보는 방법으로 전환하는지에 대한 것이다

self-categorisation theory is about how people shift from identifying themselves as individuals to seeing themselves as members of a group with a shared identity.2


특히, 사회적 정체성 이론은 3 가지 영역을 포함한다 : 

  • 범주화: 개인은 자연발생한 그룹을 가지고 서로를 분류한다

  • 식별: 사람들은 자신과 동일 그룹의 구성원은 자신과 비슷하다고, 다른 구룹의 구성원은 다신과 다르다고 식별한다

  • 비교: 사람은 자신과 다른 사람을 비교하며, 따라서 자기자신을 긍정적으로 인식되는 그룹의 구성원으로 분류한다.

In particular, social identity theory includes three areas: 

  • categorisation (individuals categorise one another into natural groupings); 

  • identification (people identify members of the same group as similar to themselves and members of other groups as dissimilar), and 

  • comparison (individuals compare themselves with others and thus see themselves as members of a group that is positively perceived).2


High achiever임에도 불구하고, 의대생들은 (강한 윤리 및 실천 구성 요소를 통합해야하는) 전문직 정체성을 개발하기 전까지는 의사로서 성공하기가 어려움을 깨닫게 된다.5 전문직 정체성 발달이란 개인적으로 중요할 뿐만 아니라 의료 전문직 내에서도 받아들여질 수 있는 전문적 가치와 목표에 대해 개인이 궁극적으로 헌신하게 되는 점진적 과정이다. (비록 여러 전문직 단체들이 프로페셔널한 행동에 관한 가이드라인을 발행하고 있지만) 전문직 정체성을 받아들이는 것은 주관적이고 정의가 명확하지 않은 '프로페셔널리즘'이라는 개념을 동화시키는 것을 포함한다. 그러나 대부분의 의대생은 기대되는 행동의 유형을 알고 있으며 이를 시험에서 모방mimic 할 수 있습니다 .16

Despite being high achievers, medical students find it challenging to be successful as doctors until they have developed their professional identity, which needs to incorporate strong ethical and practice components.5 The development of a professional identity is a gradual process that ultimately enables the person to commit to professional values and goals that are important to them personally13 and also acceptable to the medical profession.3 Adopting a professional identity includes assimilating aspects of what may be a subjective and ill-defined concept of ‘professionalism’,14 although each professional body issues guidelines on professional behaviour.15 However, most medical students know the type of behaviour that is expected and can mimic this in an examination.16


롤모델은 정체성 형성에 강력하게 기여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18 롤모델이란 교수진, 임상 분야 및 동료들 사이에서 개인이 '프로페셔널'한 것이 무엇인지 시연하는 것과 같습니다 .1

Role models have been shown to contribute powerfully to identity formation,18 as do demonstrations of what is ‘professional’ by individuals among faculty staff, in the clinical area and among peers.1


임상 지식과 기술에 대한 신뢰 구축 과정은 전문직 정체성 개발의 과제 중 하나이다. 낮은 수준의 임상 역량과 지식은 의사 소통의 어려움을 초래할 수 있으며 전문직 정체성의 발전에 해로울 수 있습니다.

The process of building confidence in clinical knowledge and skills is one of the challenges of professional identity development,20 and low levels of clinical competence and knowledge can lead to communication difficulties and can be detrimental to the development of professional identity.21


이전에 언급했듯이, 정체성 형성 과정의 일부는 다른 그룹과 다른 특정 그룹의 구성원으로 자신을 식별하는 것을 포함합니다. 이 점에서, 강한 직업적 정체성은 여기서 "다른 학생들과의 사회적 분리"로 이해한 배타성excluivity과 연결될 수 있습니다.

As noted earlier, part of the process of identity formation involves identifying oneself as a member of a particular group that differs from other groups. In this respect, a strong professional identity may be linked to a sense of exclusivity, understood here as social segregation from other students.22


Blakey et al.의 경제학과 학생과 의과대학생을 비교 한 연구에 따르면 의대생은 경제학과 학생보다 사회적으로 배타적 인 것으로 나타 났으며, 저자는 이것이 내집단과 외집단 사이의 편향적 태도와 차별적 행동으로 이어질 수 있다고 주장했다. Blakey 등 22)은 의대생이 경제학과 학생보다 학생보다 같은 과 내의 학생들과 가깝게 지내며, 같은 과 내에서 친한 친구 및 파트너를 유지한다는 사실을 발견했. 그들은 또한 전체 대학 단위의 스포츠 활동보다 단과대학(의과대학) 수준의 대학생 스포츠 클럽과 동아리에 참여하여 대학생활로부터 분리되어 있다고 느꼈다. 이러한 배타성은 의대생들에게 다양한 환자 및 동료 그룹과의 통합과 의사소통을 위해서는 포용적 사회적 태도를 개발해야하기 때문에 당황스럽게 여겨지기도 한다.

Blakey et al.’s22 study comparing economics and medical students found that medical students were more socially exclusive than economics students, which, the authors argued, could lead to prejudiced attitudes and discriminatory behaviour between inand out-groups. Blakey et al.22 found that medical students lived with and had more close friends and partners among students on their own course than did economics students. They also participated in departmental rather than university sports clubs and societies more than economics students and felt separated from university life.22 This exclusivity may be viewed as disconcerting because medical students do need to develop inclusive social attitudes in order to be able to integrate and communicate with diverse patient and colleague groups.22,23




방법

METHODS


세팅과 참여자

Setting and participants


This sub-study is based on the qualitative data gained from telephone interviews. Of the medical students who provided their contact details for the interviews, 13 students were interviewed by telephone at the end of the academic and calendar year in 2009. Forty-two students agreed to be contacted for interview in the original survey, but not all of these could be contacted or were willing to be interviewed when we called; the timing of the data collection (at the conclusion of the academic and calendar year) may have influenced this.



At this stage, both the Year 1 and 3 groups had experienced clinical placements: 

    • Year 1 students had spent 1.5 hours per week in an organised hospital experience, and 

    • Year 3 students had been immersed full-time in clinical attachments. 

We used purposive sampling to include students from Years 1 and 3. We included students from both of these years in order to generate a wider range of answers than would sampling from a single year-group only and to assess whether there were marked differences between participants’ answers. Seven participants were enrolled in Year 1 and six were in Year 3. Their ages ranged from 18 to 26 years; eight were female and five were male. The participants came from culturally and linguistically diverse backgrounds; nine had been born overseas and four had been born in Australia. The length of time for which they had lived in Australia ranged from 1 to 21 years (Table 1).



자료 수집

Data collection


In order to ensure that data collected would be as consistent as possible, one member of the research team undertook the data collection.24 The interviews took place via telephone and the interviewing researcher used a semi-structured schedule to ask questions. These questions covered 

    • students’ reasons for enrolling in medicine, what they enjoyed about being a medical student, 

    • their experiences of other student groups at the university, 

    • any differences they perceived between groups, and 

    • times when they felt part of the medical profession. 

    • Students were also asked about their sense of institutional identity. 

Interviews were audio-recorded and transcribed verbatim.


No new themes related to the phenomena of interest emerged after 10 interviews; however, as advised by Francis et al.,25 data collection continued for a further three interviews. As no new themes became evident in the additional interviews, at this point data saturation was considered to have been achieved by two members of the research team.


윤리

Ethical approval



자료 분석

Data analysis


Within the context of the larger study, the unit of analysis for the purpose of this paper was text related to medical students’ sense of professional identity and social exclusivity. Therefore, as described by Graneheim and Lundman,26 data that reflected these concepts were extracted from the transcripts and combined into one text. 

    • The researchers immersed themselves in these data to ensure in-depth understanding of the text and accuracy of context. 

    • The data were then subjected to conventional qualitative content analysis26,27 in which categories were inductively derived from the data.28 

    • Specifically, meaning units (groups of words or phrases reflecting similar content and context) were identified, condensed and coded. 

    • The coded data were then organised into sub-categories and categories, which reflected the manifest content on professional identity and social exclusivity. 

    • The categories were then further elucidated through discussions among the researchers and developed into themes and sub-themes until the latent content of the phenomena was agreed upon.26,27 

This collaborative process enhanced the credibility of the findings.29 

The researchers agreed to organise the data according to two main themes that function as components contributing to students’ formation of a professional identity: professional inclusivity and social exclusivity. 

Although analysis revealed no differences between the themes of students in Years 1 and 3 (other than an increased connection to the profession described by students in Year 3 because of increased clinical time [noted below]), we have included the year, age and gender of the interviewee with each quotation. In some cases, participants’ comments have been edited in very minor ways to enhance readability.


결과

RESULTS


전문적 포용

Professional inclusivity


의대생의 직업적 정체성에 대한 강한 감각을 이끌어 내는데 도움이되는 요소들에 대한 설명에서 나온 첫 번째 주제는 전문적인 포용성, 특히 임상 환경에서 언급되었습니다. 이 안에는 두 가지 하위 주제가 등장했습니다.

The first theme to emerge from descriptions of factors that helped to produce a strong sense of professional identity in medical students referred to professional inclusivity, particularly within the clinical environment. Within this emerged two sub-themes:


1 '도제': 의사의 일을하고,

1 ‘apprenticeship’: doing the work of a doctor,


2 '직업의 일부': 의사처럼 느껴짐.

2 ‘part of the profession’: feeling like a doctor.



'견습': 의사의 일을한다.

‘Apprenticeship’: doing the work of a doctor


학생들은 임상 진료에 참석하면서 전문적인 포괄성을 경험했습니다. 거의 모든 참가자는 자신이 의료 전문직에 속해있다는 감정에 주로 기여한 것으로서 병원에서 보낸 시간을 꼽았고 이에 따라 이러한 소속감belonging은 3 학년까지 증가했습니다. 이 참가자의 경우 임상실습이 중요한 이유는 '주로 직업 현장에 가까이 있었기 때문이며, 약간의 도제식 배움도 영향을 줬기 때문'이다(P5, 3 학년, 여성, 22 세). 많은 경우 실천(의사의 일을하는 것)은 이론(의사의 일을 배우는 것)보다 전문적인 정체성을 형성하는 데 더 가치가 있었습니다.

Students experienced professional inclusivity as they attended clinical placements. Almost every participant nominated time spent in hospital as representing a key contributor to their feelings of belonging to the medical profession and, accordingly, their connection to the profession increased by Year 3. For these participants, the clinical placement was important because it was ‘more on the job and it’s a bit of an apprenticeship’ (P5, Year 3, female, 22 years). Practice (doing the work of a doctor) was in many cases more valuable in forming professional identity than theory (learning the work of a doctor).



"우리는 병원 시스템에 통합되었습니다. 올해는 병원에서 24 주간을 보냈고 우리는 팀의 일원이었습니다. 우리는 보통의 인턴이 할 수있는 일을하도록 요청 받았고 회진을 가졌습니다. '(P2, 3 학년, 20 세 여성)

‘We were integrated into the hospital systemthis year, and for the whole year we spent pretty much [...] 24 weeks at the hospital and in that we were a part of the team. We were asked to do stuff that normal interns would do and we’d go on rounds.’ (P2, Year 3, female, 20 years)


참가자는 의사가 되고 있다는 믿음은 어느 순간 생기는 것이 아니라 시간이 지남에 따라 점차적으로 발생하는 과정이라고 말했다. 이 여정은 주로 임상 환경에서 발생합니다.

The participants’ comments showed their belief that becoming a doctor is a process that gradually occurs over time rather than at once. This journey happens largely in the clinical environment:


"우리가 임상실습 나날들을 보내고 실제로 병원에 있을 때, 그리고 의사들이 우리에게 여러 곳을 둘러보게 해주고 환자와 사물에 관여하게 되면, 그 때 진실로 내가 이 곳의 일부임을 상기하게 된다[...] 특히 우리가 나아갈수록 점점 더 중요 해지고 있습니다. "(P1, 1 학년, 여성, 18 세)

‘When we have our clinical days, when we’re actually at the hospitals, and we have our doctors showing us around and you get to engage with patients and things, they really remind you that you are part of it [...] especially as you go on, we’re more and more a part of it.’ (P1, Year 1, female, 18 years)



그러한 의견 ( '도중에'과 '계속됨에 따라)'은 의과대학 교육과정의 의미란 학습과 실습의 기간에 걸쳐 점진적인 진전이 이루어지는 견습임을 반영한다.

Such comments (‘on our way’ and ‘as you go on’) reflect a sense of the medical programme as an apprenticeship in which gradual progress occurs over a period of learning and practice.


몇 명의 참가자가 지적했듯이, 의사의 일을하는 것은 환자들과의 작업을 포함했다.

Doing the work of a doctor included working with patients, as several participants noted:


대부분의 참가자가 전문직에 대한 소속감을 느끼게 해준 주된 영향으로 임상실습을 지명했지만 다른 사람들은 다른 측면이 중요하다고 꼽았다. 한 학생은 수업 내용을 배우는 것이 '의사처럼 생각하기'(P4, 3 학년, 남성, 21 세)에 도움이되는 반면, 다른 학생의 전문직 정체성은 그녀가 의학을 시작한 특별한 세계에 대한 공통된 이해에 의해 형성되는 것처럼 보였다고 언급했습니다. 그녀는 새로운 지식을 바탕으로 '의료계의 뉴스 보도와 관련이있다'(P11, 1 학년, 여성, 18 세).

Although most participants nominated the clinical placement as the primary influence on feeling part of the profession, others found different aspects to be important. One student mentioned that learning the content helped in ‘thinking like a doctor’ (P4, Year 3, male, 21 years), whereas another’s professional identity seemed to have been shaped by a shared understanding of a special world in which she was initiated into medicine and could draw on her new knowledge to ‘relate to news coverage of the medical profession’ (P11, Year 1, female, 18 years).




'직업의 한 부분': 의사와 같은 느낌

‘Part of the profession’: feeling like a doctor



또한 학생들은 강사, 의사 및 환자가 미래의 의료 전문가로 대할 때 전문적인 포용성을 경험했습니다. 임상 환경은 전문직 정체성 개발을 위한 맥락을 제공합니다.

Students also encountered professional inclusivity when they were treated as future medical professionals by lecturers, doctors and patients. The clinical environment provided a context for professional identity development in which:


'의사들은 학생들을 의대생이 아닌 젊은 의사들이라고 지칭했다...'(P3, 3 학년, 여성, 21 세)

‘[doctors referred to the students as] young doctors not medical students…’ (P3, Year 3, female, 21 years)


이 공동체 정신은 방문 강사들도 학생들을 포용적으로 대우하는 교육 환경에서도 분명하게 나타났습니다.

This collegiality was also evident in the educational environment, in which visiting lecturers also treated the students inclusively:


'모든 외부 강사들... [...] 나는 학생과 교사 관계가 아니라 동료 수준으로 대접받는다고 느꼈다. (P7, 1 학년, 남성, 21 세)

‘All the guest lecturers [...] It’s not so much of a teaching lecture rather than just sharing with you of their findings. I find that [students are considered as] more a colleague level as well rather than just a student–teacher relationship.’ (P7, Year 1, male, 21 years)


학생들은 이러한 공유와 포용성의 사례를 감사해했고, 평등함의 감정을 느끼게 함으로써 의사가 되어간다는 느낌을 갖게 했다.

Such examples of sharing and inclusivity were appreciated by students and seemto have generated a feeling of equality among students that aided their progress towards feeling like a doctor.


일부 참가자들은 자신의 프로페셔널리즘에 대한 감각이 현장에서 만나게 된 이미 일하고 있는 롤모델의 영향을 받았다고 지적했습니다.

Some participants pointed out that their sense of professionalism was influenced by role models they met who were already working in the field:


이와 같은 학생들에게 환자와의 상호 작용은 미래의 의료 종사자로서의 그들의 지위를 중요하게 상기시키고 강화시키는 것입니다.

For students such as this, patient interaction becomes an important reminder and reinforcement of their status as future medical practitioners.


다른 의료 전문가들을 보고, 그들로부터 영감을 얻는 것이 전문직의 일부분이 된다는 느낌에 영향을 미쳤습니다.

Seeing and being inspired by other medical professionals in action influenced the participants’ feelings of being part of the profession.


나는 아주 좋은 사람과 좋은 의사와 훌륭한 선생님, 그리고 나를 위해 매우 고무적인 훌륭한 사람들을 갖게되어 매우 운이 좋았습니다. 그냥 그 일을하고, 따라하고, 오랜 시간을 함께 해보니, 이제는 나 자신을 위해 그것을 볼 수 있습니다. 나는 그걸로 더 확인할 수 있습니다. "(P5, 3 학년, 22 세 여성)

I’ve been very lucky to have good people and good doctors and very good teachers and very nice people who have been very inspiring for me. Just doing that, following them, and doing the long hours with them, I can see it for myself now. I can identify with it more now.’ (P5, Year 3, female, 22 years)


다른 참가자들은 다음과 같은 역할 모델의 중요성을 강조했습니다.

Other participants reinforced the importance of role models, noting that:


'... 병동 회진에서 선생님들이 저에게 환자를 검사하거나 엑스레이를보고 자신이 생각하는 것을 말해보라고 요구하며, 이 때 정말로 실제로 그 입장이 된 것처럼 느껴집니다.'(P4, 3 학년, 남성, 21 세)

‘…on your ward round and the doctors ask you to examine a patient or look at an X-ray and tell them what you think, that’s when you really do feel like you’re really stepping into the big shoes.’ (P4, Year 3, male, 21 years)


학생이 말한 것과 달리, '그 입장이 된다'는 이 의견은 책임감 있고 성실한 역할을해야 하는 자리로 더 나아간다step up는 인식을 나타낼 수 있습니다.

This comment – ‘stepping into the big shoes’ – may indicate an awareness of the need to ‘step up’ into a more responsible and adult role as opposed to that of the student.


의사와 교수에 의해서 '포용감'을 느끼는 것 외에도, 환자에 의해 의사로 대접받는 것이 전문직 정체성을 구축하고 검증하는 데 중요한 구성 요소라는 점에 주목했습니다.

In addition to feelings of being included by doctors and lecturers, participants noted that being treated as a doctor by patients was an important component in building and validating their sense of professional identity:


'환자들과 이야기를 하며, 나는 환자들이 환자가 나에게 기꺼이 무언가를 개방하려고 한다고 생각한다. 이것은 환자들이 마치 의사와 이야기할 때 그러는 것처럼, 존경심의 표식이자 거기에 보여진 약간의 신뢰라고 생각한다 [...]

‘On top of that just talking to patients, I think where patients are willing to open up to you, I think that’s a sign of respect and a bit of trust just shown there, like they would talk to a doctor [...]


이러한 방식으로, 학생들의 전문직 정체성의 발전은 내부 요인보다는 외부 요인에 기초를 두었습니다. 다른 말로하면, 직업적 정체성에 대한 감정은 단순히 내부적으로 생산 된 것이 아니라 다른 사람들이 학생들을 대하는 방식에 의존하거나 강화되었을 것입니다. 많은 학생들에게 병원의 환경과 학생들을 향한 다른 사람들의 태도가 의료 전문가로서의 정체성에 기여하는 주요 요인이었습니다.

In this way, students’ development of their professional identity was based on external rather than internal factors. In other words, feelings of professional identity were not simply produced internally but relied on, or were perhaps reinforced by, the way that other people treated the students. For many students, the environment of hospitals and the attitudes of other people towards the students were the main factors contributing to their sense of identity as medical professionals.



사회적 배제

Social exclusivity


직업적 정체감에 기여한 두 번째 주요 요소는 사회적 배타성이었습니다. 참가자들은 종종 비 의대생과 사회적으로 분리되어 있음을 느끼고, 또한 대학의 다른 학문 분야와 과정 구조 및 학교 위치에서 격리되었다고 설명했습니다. 그러나 의과 대학 내에서,이 사회적 배타성은 높은 수준의 동료 동맹과 의대생으로서 강한 정체성 공유로 나타났다. 사회 독점의 광범위한 주제에서 3 가지 하위 주제가 등장했습니다.

The second major component that contributed towards a sense of professional identity was social exclusivity. Participants often explained that they felt socially separate from non-medical students and also isolated from other disciplines at university by the course structure and school location. Within the medical school, however, this social exclusivity dissolved into high levels of peer unity and a strong shared sense of identity as medical students. Within the broad theme of social exclusivity, three contributing sub-themes emerged:


1 '올려다 봐야 하는 것': 사회 계급;

1 ‘something to look up to’: social hierarchies;


2 '과정의 본질': 신체적, 사회적 분리,

2 ‘the nature of the course’: physical and social separation,


3 '하나의 가족': 동료에 대한 포용성

3 ‘a family’: peer inclusivity.



'올려다 봐야 하는 것': 사회 계급;

‘Something to look up to’: social hierarchies


몇몇 참가자들은 의사가 사회에서 특권적 역할을 차지한다는 인식을 보여 주었는데, 그러한 것이 어떤면에서는 의대생의 격상된 지위를 반영했. 일부 학생에게, 이것은 그들의 사회적 연결에서 긍정적 요소였다.

Several participants showed an awareness that doctors occupy a privileged role in society, an exalted status that in some ways reflects on medical students. For some, this represented a positive element in their social connections:


유사하게, 다른 학생들은 의학은 롤모델링, 사회에 대한 기여, 다른 사람을 돕는다는 점 등에서 우월한superior 커리어 선택이라는 신념을 드러냈다. 1 학년의 한 학생이 다음과 같이 말했습니다 :

Similarly, other comments revealed a belief that medicine offers a superior career choice when it comes to role modelling, contributing to society and ‘helping people’ (P6, Year 3, male, 19 years). One student in Year 1 commented:



"나는 단지 전반적으로 낫기 때문에 법학 대신 의학을 선택했다. 지역 사회를 돕는 것에 대해서 이야기하자면, 의사는 실제로 가치있는 일을하는 것입니다. [...] 의대생으로서, 모든 사람들이 의대생을 뭔가 다르게 대한다. 나는 사람들이 의사들을 올려다본다고 생각하며, 의사를 신뢰한다고 생각한다. 나는 그것이 사회가 의사를인지하는 방법이라고 생각합니다. "(P9, 1 학년, 남성, 18 세)

‘I chose medicine over law because I just felt that was generally better. So in terms of like helping the community, actually doing something that’s very worthwhile [...] being a medical student, I guess it’s kind of different because everybody seems to treat you differently [...] I think people look up to doctors and they trust their doctors. So I think it’s how society perceives doctors.’ (P9, Year 1, male, 18 years)



사회적 계층 구조에 대한 또 다른 증거에서, 몇몇 참가자들은 의과 대학 학생들이 '진정한 high achiever'와 '굉장히 동기부여되어있는' 등과 같이 다른 학생들과 긍정적으로 구분되는 특정한 자질을 지니고 있다고 (암묵적으로 또는 명시 적으로) 말했다. 의학은 '평범한'직업 (P7, 1 학년, 남성, 21 세)과 비교할 때 '정말 도전적인'직업 선택으로 간주되었습니다.

In further evidence of social hierarchies, several participants made comments that showed (implicitly or explicitly) that they perceived medical students as having particular qualities that positively distinguished them from other students, such as being ‘really high achievers’ and ‘really motivated’ (P1, Year 1, female, 18 years). Medicine was seen as a ‘really challenging’ career choice in comparison with ‘mundane’ jobs (P7, Year 1, male, 21 years),



이 의견들은 암묵적으로 의대생 그룹과 다른 학과 학생들 사이의 차이를 강화하고 있다. 그러나 모든 학생들이 의대생이 다른 그룹과 다르다고 믿는 것은 아니었으며, 적어도 한 명의 참가자는 의학 외 학생들을 실제로 알지 못하면 정확한 비교를하는 것이 어려웠다 고 인정했습니다 (P9, 1 학년, 남성, 18 세).

These particular comments implicitly reinforce the difference between medical students as a group and students in other disciplines. However, not every student believed medical students were at all different from other groups, and at least one participant acknowledged that it was difficult to make accurate comparisons without actually knowing students outside medicine (P9, Year 1, male, 18 years).



'과정의 본질': 육체적, 사회적 분리

‘The nature of the course’: physical and social separation


참가자들은 의과대학 교육과정의 구조와 조건이 다른 학생들과의 사귐을 막는다는 것을 지적했다. 일반적으로 임상실습과정에서는 학생들이 의대 밖에서 대학 생활을 경험하는 것을 제한하는 경향이있었습니다. 한 참가자는 다음과 같이 지적했다.

Participants noted that the structure and conditions of the medical course prevented them from befriending other students. In general, clinical placement requirements tended to restrict students’ ability to experience university life outside medical school. One participant pointed out:


배타성은 학습 방식의 피할 수없는 부작용이었습니다.

For another student, exclusivity was an inevitable side effect of the mode of study:


"의대생은 매우 배타적이지만, deliberate한 방식으로 그러한 것은 아니다. 다른 과의 경우 비슷한 과목을 공부하는 또 다른 과의 사람들과 섞여서 어울리는 경향이 있기 때문이라고 생각한다. 그래서 당신은 다른 과목에서 더 많은 친구 관계를 발전시키는 경향이 있지만, 의대생들은 언제나 동일한 튜토리얼 그룹에서 공부하기 때문에 대학 단위에서 많이 섞여서 어울리지 않는 경향이 있습니다. '(P4, 3 학년, 남성, 21 년)

‘Medical students are very – what’s the word – I guess you could say they’re exclusive but not in a deliberate way. I guess because, like other courses tend to mix around with other people doing similar subjects from different courses. So you do tend to develop more friendships and things across different courses but with medicine because you’re always together studying in the same tutorial groups, you tend not to mix around a lot at the university.’ (P4, Year 3, male, 21 years)


의학 공부는 의학 외 분야를 전공하는 사람들과의 관계를 형성하는 것을 가로막는 장벽이었으며, 많은 학생들은 의대 밖의 학생들과 거의 섞이지 않는다고 설명했습니다.

Studying medicine proved to be an isolating barrier against forming relationships with people studying outside medicine and many students commented that they rarely mixed with students outside the medical school:


'솔직히 말해서, 나는 다른 대학생들을 만날 기회가 없었기 때문에 ([P5, 3 학년, 여성, 22 세]) 나는 [내 대학]과 연결되어 있다고 느끼지 않습니다.

‘To be honest with you, I don’t really feel connected with [my university] because I’ve never had a chance to meet other [non-medical] students.’ (P5, Year 3, female, 22 years)


비 의학적 동료와의 disconnect가 일반적이었습니다.

The disconnect with non-medical peers was common:


교육과정의 요구사항과 (학습) 장소는 많은 학생들에게 의대를 넘어선 사회화를 이루는데 장애요인이 되었고, 많은학생들은 의대 밖의 친구들이 거의 없다는 사실을 인정하였다.

Course requirements and location became obstacles to socialising beyond medicine, to the point that many participants acknowledged having few university friends outside the medical school.



하나의 가족: 동료에 대한 포용성

‘A family’: peer inclusivity



그러나 강한 사회적 배타성은 다른 과에 대해서만 나타났습니다. 의대 내에서는 매우 높은 수준의 포용성이 존재했으며, 의대생 사이에서는 공유된 정체성에 대한 인식이 명백히 나타났습니다. 의학 내에서의 이러한 강한 사회적 관계는 의학의 분야를 벗어난 학생들의 친구 부족에 기여하고 보상했습니다.

However, the strong sense of social exclusivity was only evident outside the students’ discipline; within the medical school very high levels of inclusivity and a strong sense of a shared identity as medical students were apparent. These strong social connections within medicine both contributed to and compensated for students’ lack of friends outside the discipline of medicine:


이 감각은 ​​몇 명의 참여자들에 의해 가족이라는 프레임으로 묘사되었는데, 3 세 (P2)의 한 20 세 여성 한 명의 여성처럼 그들의 의학 동료들을 '가족'으로 인식했다.

This sense of belonging in the cohort was framed in familial terms by several of the participants, who, like one female, 20-year-old student in Year 3 (P2), perceived their medical peers as a ‘family’:


'우린 모두 하나, 큰 집단이야. 행복한 가정. '(P1, 1 학년, 여성, 18 세)

‘We’re all one, big group. A happy family.’ (P1, Year 1, female, 18 years)


이 코호트의 친밀감은 의대에서의 경험에서 긍정적 인 측면으로 인식되었으며,

This closeness of the cohort was perceived to be a positive aspect of their experience in medical school,


하나의 가족이라는 느낌은 아마도 의과 대학의 벽을 넘어선 사회적 연결의 부족을 보상했을 것입니다.

The strong sense of family within perhaps compensated for the lack of social connections beyond the walls of the medical school.



고찰

DISCUSSION


학생들은 높은 수준의 전문적이고 동등한 포용성을 경험했지만, 또한 그들과 다른 학생들 사이의 사회적 구분을 주목했습니다. 이것은 두 요소 모두가 학생들을 의학계에 끌어들이면서, 잠재적으로 다른 분야에서 제외시킴으로써 전문직 정체성을 강화 시킨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These findings suggest that there is a reciprocal and reinforcing relationship between student experiences of, respectively, professional inclusivity and social exclusivity that creates a defined sense of professional identity. Whereas these students experienced high levels of professional and peer inclusivity, they also noted social divisions between themselves and other students. This suggests that both of these elements reinforce professional identity by drawing students into the medical world and potentially excluding them from other arenas.


우리의 결과는 의학계 학생들이 보다 사회적으로 배타적으로 행동하는 경향이 있음을 보여준 블레이키 (Blakey) 등의 발견을 확인시켜 주면서, 더 나아가 그 이유도 함께 보여준다.

Our results confirm the finding of Blakey et al.22 – that medical students tend to act more exclusively socially – but extend it to provide an understanding of why this occurs.


참가자들이 이 용어를 구체적으로 언급하지는 않았지만 몇몇 참가자는 임상의와 롤모델이 된 강사에서 영감을 얻었 음을 암시합니다.

Although they did not specifically mention the term, several participants implied that they had found inspiration in clinicians and lecturers who became role models.


우리 참가자의 전문직 정체성은 여러 가지 요소의 영향을받는 것으로 보입니다. 

Our participants’ professional identity seems to be influenced by a number of factors. 


첫째, 학생들이 임상에 노출되면서 그 과정 초기에 발생한 임상적 이슈들이 있고, 이것은 대부분의 참가자들에게 중요한 것으로 인식된다. 이 노출은 학생들을 다른 의료전문직 구성원 및 환자들과 접촉하게하고, 그들을 profession의 일부라는 느낌이 들게 해준다. 이것은 환자와의 초기 접촉과 참여가 직업적 정체성을 개발하는 데 중요하다는 이전의 연구를 확인해준다.1,18,19 학생들의 정체성 개발은 다른 의료전문직 구성원이 학생을 대하는 방식에 의해서 더욱 강화됩니다. 병동 회진의 토론에 참여하면서, '젊은 의사 (young doctor)'라고 불리면서, 강사에 의해 profession으로 포용되면서 강화되었다. 이러한 요인들은 모두 소속감을 발전시키는 데 긍정적 인 영향을줍니다. "젊은 의사"로 의대생을 표시하는 것은 긍정적인 측면도 있지만, informed consent 측면에서는 부정적인 결과를 가져올 수도 있는데, 왜냐하면 환자들은 '수련'의사로부터 동의서를 받는 것을 꺼려하기 때문이다.

Firstly there are the clinical issues that arise early in the course as students undergo clinical exposure, recognised as crucial by most participants. This exposure brings students into contact with the medical profession and patients and contributes towards students’ feelings that they are part of the profession. This reinforces previous research that shows early patient contact and engagement with patients are important in developing professional identity.1,18,19 Students’ developing identity is further enhanced by the way they are treated by members of the medical profession, such as when they are included in ward discussions, referred to as ‘young doctors’ and brought into the profession by lecturers. These factors all have a strong positive impact on developing feelings of belonging. The positive aspect of labelling medical students as ‘young doctors’ may have negative consequences for informed consent, however, as previous research has indicated that patients are less willing to be seen by individuals they know to be ‘trainee’ doctors.30


전문직 정체성과 사회화에 관한 이전의 연구는 언어 분석의 중요성을 강조한다 .31-34 ‘we’, ‘us’ and ‘you’의 사용은 distancing mechanism이고, proximal pronouns인  ‘I’, ‘me’ and ‘myself’와 다르다 이것은 학생마다 학생들이 미래의 의료 전문가로서의 페르소나를 완전히 습득하고 조율하는 데 있어 다양한 수준의 어려움을 느낄 수 있음을 나타냅니다.

Previous research on professional identity and socialisation highlights the importance of analysing language.31–34 For some students talking about their sense of professional identity, the use of the pronouns ‘we’, ‘us’ and ‘you’ represents a distancing mechanism compared with the use of the proximal pronouns ‘I’, ‘me’ and ‘myself’ (‘I can see it for myself now’).35 This suggests that different students may feel different degrees of agency and levels of difficulty in fully taking on and articulating the persona of a future medical professional.


우리의 연구 결과에 따르면 학생들은 이러한 임상적 및 교육적 환경을 하나의 중요한 감각으로 조화 시켰습니다. 이 결과는 의대생이 학생과 전문가로서 상충되는 역할을 경험한다는 점에서 직업 사회화에서 문맥의 중요성을 지적하는 이전 연구 결과와는 다르다.

Our findings suggest that the students conflated these clinical and educational environments into one key sense of feeling included by medical professionals. This result differs from findings in earlier work that point out the importance of context in professional socialisation in that medical students experience conflicting roles as students and professionals.37


전문직 정체성을 개발하는 과정에 관련되는 두 번째 요소는 의대생으로서 발전하는 사회적 배타성입니다

  • 부분적으로 이것은 높은 성취자로 여겨지는 것으로부터 생겨난 특별한 학생이라는 느낌에 기반을 두고 있으며, 의학을 경쟁이 치열한 과정이라고 받아들임으로써 강화됩니다. 

  • 코스 구조 자체가 배타성의 느낌을 더합니다. 이 의학 과정의 과목은 의대생 만이 수강 할 수 있으며 의대생은 다른 과목의 과목을 공부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이 수준의 의대생은 다른 분야의 학생들과 섞이지 않습니다. 

  • 의대생은 적극적인 의대생 사회를 통해 자신의 사회적 기능을 조직하며 이는 의대생의 자립적인 특성을 다시금 촉진합니다. 

  • 여러면에서 의대생들은 자신의 특정 그룹 외부에서 섞을 필요성을 느끼지 못합니다. 이는 참가자 외의 학생들을 알지 못했다는 참가자의 자백admissions에서 드러난다 

일부 학생들은 실제로 다른 학생들을 모른 채 다른 그룹과 다른 것으로 인식하는 것이 흥미 롭습니다. 다른 연구에 따르면 보건 전문가 집단 간의 상호 작용은 전문적 신원 형성 과정의 '타자화하는' 과정에서 핵심 요소이다.

The second factor to have bearing on the process of developing professional identity is the social exclusivity that develops from being a medical student. 

  • Partly this is based on the student’s feeling of being someone special, which arises from being seen as a high achiever and is reinforced by acceptance into medicine in a highly competitive process. 

  • The course structure itself adds to the feelings of exclusivity. Subjects on this medical course are undertaken by medical students only and medical students do not study subjects on other courses; thus medical students at this level do not mix with students of other disciplines. 

  • Medical students organise their own social functions through a very active medical student society, which again promotes the self-supporting nature of medical students. 

  • In many ways medical students do not see a need to mix outside their particular in-group, which was reflected in our participants’ admissions that they did not know students outside medicine. 

It is interesting that some students perceived themselves as different from other groups without actually knowing any other students; other research suggests that the interaction between health professional groups is a key factor in the ‘othering’ process of professional identity formation.34


그러나 '코스 구조'와 같이 배타성 기여하는 요인 중 일부는 의대생의 통제를 벗어난다는 점에 유의해야합니다. 이전의 연구는 'in-group' 태도와 행동이 학생들의 미래 전문성에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변화하는 역할과 팀워크에 대한 필요성에 마지못해 적응하는 의료계의 태도와 연결될 수 있음을 시사하고 있습니다 .3 그러나 중요한 것은, 사회적 배타성이 반드시 다른 보건 의료 전문가들과의 함께 배우는 것에 대해서까지 배타적인 태도를 암시하는 것은 아니며, 배타성에 대한 초기의 경오신호를 감지하고 후에 교육과정 개발에서 강조되어야한다. 우리의 연구 결과에 따르면, 우리는 사회적 배타성이 직업적 정체성을 촉진시키는 것처럼 보이기 때문에 유익 할 수 있다고 이론화하고 있지만, 그 부정적인 의미를 무시해서는 안된다.

It is important to note, however, that some of the factors that contribute to this exclusivity, such as course structure, are outside the control of medical students. Previous research suggests that ‘in-group’ attitudes and behaviours may affect students’ future professionalism22 and may be linked to the medical profession’s reluctance to adapt to changing roles and the increasing necessity for teamwork.3 However, and importantly, social exclusivity does not necessarily imply an exclusive attitude towards learning with other health care professionals, as shown by Morison et al.,38 but perhaps early warning signs of exclusivity should be noted and highlighted in later curriculum developments. Based on our findings, we theorise that social exclusivity may be beneficial because it seems to promote professional identity, yet its negative implications cannot be overlooked.


방법과 관련하여 우리는 데이터 포화를 달성했지만 샘플 크기가 약한 것으로 간주 될 수 있습니다. 전화 인터뷰는 또한면 대면 인터뷰의 풍부함이 부족할 수 있습니다. 우리의 결과는 부분적으로는 의대생의 인식보다는 이러한 구체적인 맥락 적 요인들을 반영 할 수 있습니다. 이 연구는 대학원 진학 프로그램을 포함한 다른 학교로 확대되어야하며이 주제에 중점을 둔 심층 면접을 사용해야합니다.

With regard to method, our sample size may be considered a weakness, although we did achieve data saturation. Telephone interviewing can also lack some of the richness of face-to-face interviewing; our results may in part reflect these specific contextual factors rather than the perceptions of medical students in general. this research should be extended to other schools, including those with graduate-entry programmes, and should use in-depth interviews focused on this topic.


실용적인 의미에서 이 연구는 환자 접촉을 포함한 임상 진료에 대한 초기 노출이 직업적 정체성을 정의하는 데있어 중요하고 긍정적인 영향 준다는 점을 확인합니다. 또한 학생들이 받은 의학 실습에 관한 암묵적 메시지와 관련된 숨겨진 커리큘럼에도 영향을 미친다. 이 메시지는 '특별한 존재'라는 것과 '구분짓기'를 포함하기도 한다.

In a practical sense, the study confirms the significant and positive impact that early exposure to clinical practice, including patient contact, has in defining professional identity. It also has implications for the so-called hidden curriculum39 which relate to the unspoken messages about medical practice received by students. These messages include the encouragement of the sense of being special and set apart.



25 Francis J, Johnston M, Robertson C, Glidewell L, Entwistle V, Eccles M, Grimshaw J. What is an adequate sample size? Operationalising data saturation for theory-based interview studies. Psychol Health 2010;25 (10):1229–45.





 2011 Dec;45(12):1220-9. doi: 10.1111/j.1365-2923.2011.04046.x. Epub 2011 Oct 14.

'Part of the team': professional identity and social exclusivity in medical students.

Author information

1
Family and Community Health Research Group, University of Western Sydney, New South Wales, Australia. r.weaver@uws.edu.au

Abstract

OBJECTIVES:

Medical students must develop not only their professional identity but also inclusive social attitudes for effective medicalpractice in the future. This study explores the elements that contribute to medical students' sense of professional identity and investigates the concept of social exclusivity and how this might relate to students' development of their identity as medical professionals.

METHODS:

The study is based on qualitative data gathered in telephone interviews with 13 medical students enrolled in Years 1 or 3 at an undergraduate medical school at a university in Australia. The questions were open-ended and asked students about their experiences in medical school, sense of identity and social connections.

RESULTS:

Two main components contributed to a strong sense of professional identity in medical studentsprofessional inclusivity and socialexclusivityStudents experienced professional inclusivity when they attended clinical placements and when they were treated as future medical professionals by lecturers, doctors and patients. Social exclusivity was demonstrated by participants' perceptions of themselves as socially separate from non-medical students and isolated from students in other disciplines. Students described a sense of peer unity and a shared sense of identity as medical students within the medical school.

CONCLUSIONS:

It is important to understand how students develop their sense of identity as medical professionals and the ways in which medical education and clinical placements can influence this professional identity. Although this study noted a very strong sense of socialexclusivity in its findings, there were also high levels of intra-discipline inclusivity.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re is a reciprocal and reinforcing relationship between student experiences of professional inclusivity and social exclusivity that creates a defined sense of professional identity.

PMID:
 
21999250
 
DOI:
 
10.1111/j.1365-2923.2011.04046.x


15년간의 비-성적기반 의과대학 선발경험의 교훈(Med Educ, 2018)

Lessons learned from 15 years of non-grades-based selection for medical school

Karen M Stegers-Jager






도입

INTRODUCTION


1988 년 에딘버러 선언 (Edinburgh Declaration)에 따르면 의학 교육의 목표는 '모든 사람의 건강을 증진시킬 의사를 양성하는 것'입니다. 그때 그 목표는 많은 곳에서 실현되지 못했습니다 .1 불행히도, 오늘날까지 우리는 여전히 그 목표를 실현하지 못했습니다. 2006 년 Betancourt는 진행중인 인종적, 민족적 불평등을 제거하기 위해 보건 의료 인력의 소외된 소수 민족 비율을 높이는 것에 대한 의과 대학의 역할에 대해 설명했습니다 .2 의료 혜택 조항 개선, 특히 소수 민족에 대한 의료 제공 향상은 현재의 widening access initiative에 대한 논거 중 하나이다 .3,4 이러한 이니셔티브, 특히 미국과 영국에서 소수 민족 및 1 세대 대학생과 같은 비 전통적인 학생들은 여전히 의과대학에서 과소-대표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의과 대학에서 취한 조치로 인한 진전이있었습니다. 에딘버러 선언에서 제시 한 행동 중 하나는 '지적 능력과 학업 성취를 뛰어 넘어 개인적 특성 평가를 포함하는 의대생 선발 방법 채택'이었습니다.

According to the 1988 Edinburgh Declaration,1 the aim of medical education is ‘to produce doctors who will promote the health of all people’. At that time, that aim was not being realised in many places.1 Unfortunately, until today, we have still not realised that aim. In 2006, Betancourt described the role medical schools had to play in increasing the proportion of underrepresented minorities in the health care workforce in order to eliminate the on-going racial and ethnic disparities.2 The promise of improved health care provision, in particular for minority populations, is also one of the arguments for current widening access initiatives.3,4 Despite these initiatives, in particular in the USA and the UK, non-traditional students, such as ethnic minority and first-generation university students, are still under-represented in medical schools.3,5 Nevertheless, there has been progress, probably because of actions taken by medical schools. One of the actions suggested by the Edinburgh Declaration was to ‘Employ selection methods for medical students which go beyond intellectual ability and academic achievement to include evaluation of personal qualities’.


의과대학 선발에서 인성에 대한 평가를 확대하는 첫 번째 근거는 이것이 학업 척도로만 선발되는 사람들보다 의사로서 더 잘 수행 할 학생들의 선택으로 이어진다는 것입니다.

A first rationale behind extending medical school selection procedures with the evaluation of personal qualities is that this will lead to the selection of students who will perform better as a doctor than those who are selected on the basis of academic measures only.


지금까지 선발에서 개인적 자질을 측정하려는 시도는 윤리적 의사 결정, 의사 소통 및 협동 기술과 같은 기술에 초점을 맞추어왔다.

So far, attempts to measure personal qualities in selection have been focused on skills such as ethical decision making, communication and collaboration skills.4,7,8


최근에는 의대 선정 기준으로 창의력과 혁신의 잠재력을 포함 할 것을 촉구했다.

Recently, there have been calls to also include potential for creativity and innovation as a selection criterion for medical school.12


현재의 증거에 따르면, 맥락화 된 MMI7 또는 SJT4,8을 사용하여 비 학업 기술을 측정하려는 시도는 자기보고 설문지를 사용하여 바람직한 특성을 측정하려는 시도보다 더 효과적이다.

Current evidence shows that attempts to measure nonacademic skills using the contextualised MMIs7 or SJTs4,8 are more effective than attempts to measure desirable traits using self-report questionnaires.16,17



성적 이외의 기준을 포함하는 두 번째 근거는 인구집단을 대표하는 보건 인력을 확보하는 것인데, 이는 특히 소수 집단의 의료 서비스 개선으로 이어질 것이기 때문이다.

A second rationale for the inclusion of criteria other than grades is to ensure a representative health workforce, as this will lead to improved health care provision, in particular for minority populations.3,4


불행히도, 비-성적 기반 선발기준의 도입은 학생의 다양성과 관련하여 혼재된 결과를 보여주었습니다. 3,4,18-20

Unfortunately, the introduction of nongrades-based selection criteria has shown mixed results with respect to student diversity.3,4,18–20


최선의 (미래) 의사를 선발하고 대표 의료 인력을 확보하려는 목표는 다음과 같은 미해결 문제로 인해 더욱 복잡해집니다.

The aims of selecting the best (future) doctors and ensuring a representative health care workforce are further complicated by the following unresolved issues.


선발의 목표는 의료 훈련에 성공할 사람과 궁극적으로 유능한 의사가 될 사람을 확인하는 것입니다. 이것은 자체적으로 이미 의과 대학에 대한 첫 번째 딜레마를 제시합니다 : 

선발의 초점은 최고의 학생에 맞춰져야 하는가 최고의 의사에 맞춰져야 하는가? 

달리 말하자면, 예측하고자하는 성과는 무엇인가?

the goal of selection is to identify those who will be successful in medical training and who will ultimately become competent doctors. This in itself already presents a first dilemma for medical schools: should the focus be on selecting the best students or the best doctors? Put differently, which outcomes do we want to predict?



만약 '최고의 의사' 초점을 맞추고 싶다면 다른 딜레마에 직면하게됩니다. 좋은 의사의 정의는 무엇입니까? 우리가 필요로 하는 의사는 한 가지 종류인가 혹은 다양한 종류인가? 관련 어려움은 선택 과정에서 평가 된 개인적 특성과 관련 될 수있는 미래의 실행에서 신뢰할 수있는 성과 측정 방법을 찾는 방법입니다.

If we would like to focus on the best doctors, we are confronted with another dilemma: What is the definition of a good doctor? Do we need one type of doctor or different types? A related difficulty is how to find credible measures of performance in future practice that can be related to the personal qualities assessed during selection.



그럼에도 불구하고 수년 후에 훌륭한 의사가 될 사람이 누구인지를 입학시에 예측하는 것은 극히 어렵습니다.

Nevertheless, it remains extremely difficult to predict at the time of admission to medical school who will be a good doctor many years later.


최고의 학생들을 선택하는 데 중점을 둔다면 추가적인 질문이 제기됩니다. 최고의 학생이 누구인지는 어떤 퍼포먼스를 기준으로 삼느냐에 따라 다르다. Lievens와 동료는 대인 관계 기술을 측정하는 선택 도구가 대인 관계 과정을 포함하는 커리큘럼에 대한 인지 기반 측정보다 단지 incremental한 validity만을 보여 주었다.

A focus on selecting the best students raises additional questions. Who will be the bestperforming students depends on the kind of performance you are looking for. Lievens and colleagues,26 found that a selection tool measuring interpersonal skills only showed incremental validity over cognitively oriented measures for curricula that included interpersonal courses.



또 다른 문제는 [개인의 자질이나 기술을 기반으로 학생을 선발하는 것]과 [의대에서 이러한 자질이나 기술을 가르치고 개발하는 것] 중 무엇이 더 효과적 일지 여부입니다. 증거에 따르면 적어도 일부 자질은 훈련 할 수있는 것으로 나타 났지만, 사람들은 높은 학업 능력 외에도 특정한 기술과 자질을 처음부터 갖춰야 할 필요가 있다고 주장한다.

Another issue is whether it would be more effective to select students based on personal qualities or skills or to teach and develop these qualities or skills at medical school. Although evidence shows that at least some qualities are trainable,27 others argue that specific skills and qualities, next to high academic ability, may need to be present from the start.17


개인적 자질 평가를 포함하는 선정 절차에 대한 요청은 소위인지 (또는 학술 또는 지적) 및 비인지 (또는 비 학문 또는 비 지적) 테스트 또는 기준 간의 구분을 이끌어 냈습니다. 

  • 그러나 비인지 도구는 인지적 구성 요소를 포함 할 가능성이 매우 높다. 

  • 또한 대학 예비 점수 (pu-GPA)와 같은인지 척도는 효율적인 학습 전략과 시간 관리와 같은 인성 특성을 반영 할 수있다. 

  • 비 학업 및 학문적 자질은 독립적 인 것이 아닙니다. 

  • 학업 성취에 대한 성공은 학업 기준에서 성공할 수 있으며, 그 반대도 마찬가지입니다. 

따라서 '입학 준거의 확대'가 더 적절한 이야기일 수 있습니다 지적 능력과 pu-GPA의 전통적인 척도를 뛰어 넘습니다.


The call for selection procedures that also include the evaluation of personal qualities has led to a divide between so-called cognitive (or academic or intellectual) and non-cognitive (or non-academic or non-intellectual) tests or criteria. However, noncognitive instruments are very likely to also include cognitive components,29 and cognitive measures like pre-university grade point average (pu-GPA) might also reflect personal qualities such as efficient study strategies and time management.30 Additionally, several studies have shown that non-academic and academic qualities are not independent: success on non-academic criteria enables success on academic criteria and vice versa.7,31,32 Hence it might be more appropriate to speak about ‘broadened admission criteria’,21 referring to criteria beyond traditional measures of intellectual ability and pu-GPA.





네덜란드에서 비-성적-기반 선발

NON-GRADES-BASED SELECTION IN THE NETHERLANDS



네덜란드에서는 2000 년 이래로 아주 최근까지 학생들은 대학 진학을 위해 weighted 전국단위 추첨 시스템 또는 의과 대학 특정 선발 절차에 의거하여 의과 대학에 진학했습니다. 의대가 자체적으로 선발 기준을 결정할 수는 있지만, pre-university 성적은 사용할 수 없었다. 전국 추첨 시스템 옆에 학교-특이적 절차가 도입 됨으로써 자연 실험의 기회가 만들어졌습니다. 또한, 처음부터 의과 대학은 성적 이외의 기준을 고려해야했습니다. 학교-특이적 절차를 통해 입학 한 학생의 비율은 2000 년의 최대 50 %에서 현재 100 %로 꾸준히 증가했습니다. 2017-2018 학년부터는 전국단위 추첨 제도가 폐지되었습니다. 이 폐지와 함께 네덜란드 의과 대학은 현재 학교-특이적 절차에 pu성적을 포함시킬 수 있습니다.

In the Netherlands, since 2000 until very recently, students were selected for medical school either on the basis of a national lottery system that was weighted for pre-university grades or on medical school-specific selection procedures. The medical schools themselves could decide on their selection criteria, but were not allowed to use pre-university grades. The introduction of these school-specific procedures next to the national lottery system created opportunities for natural experimentation. Additionally, right from the start, medical schools had to consider criteria other than grades. The percentage of students who are admitted via the school-specific procedures has steadily increased from a maximum of 50% in 2000 to currently 100%. Starting from the academic year 2017–2018, the national lottery system was abolished. With this abolishment Dutch medical schools are now permitted to include pre-university grades in their school-specific procedures.


관련된 질문은 초점이 (부적절한) 개인적 자질에 근거하여 select in 해야하는지 select out 해야하는지이다.

A related question is whether the focus should be on ‘selecting in’ or on ‘selecting out’ on the basis of (unsuitable) personal qualities.28




참가 효과?

A participation effect?


아주 최근까지, 자발적인 학교-특이적 선발 절차 중 하나에서 떨어진 학생들은 같은 해 추첨 시스템을 통해 입학 할 기회를 얻었습니다.

Until very recently, students who were initially rejected in one of the voluntary school-specific selection procedures still had a chance of admission via the lottery system in the same year.


이러한 2단계 선발 과정에서, 학교-특이적 선발에 참여하지 않은 학생에 비해 참여한 학생이 유의하게 더 낮은 탈락율을 보였다. 한 가지 설명은 선발 과정에서의 자기-선발이었다. 또 다른 설명은 선발 과정에 참여하는 것이 의과 대학에 진학하려는 더 높은 동기 부여와 관련이 있으며, 이것이 의과대학에 진학 할 추가 기회를 파악하는 방식으로 반영된다는 것이다.

One of the studies by our group showed a significant lower dropout rate for participants than for non-participants in our two-phase selection procedure.33 An explanation was self-selection instigated by the selection procedure. An alternative explanation is that participation in the selection procedure is associated with a higher motivation to become a medical doctor, reflected in grasping this additional chance to enter medical school.33


덴마크와 네덜란드의 다른 연구들도 소위 참여 효과를 나타냈다. 명백히, 학업 성과를 예측할 때, 시간 소모적 인 자발적 선발 절차에 참여하는 것이 단순 합격보다 더 중요하다 .31,33,37

Other studies, from Denmark and the Netherlands, also revealed this so-called participation effect: Apparently, in predicting academic performance, participation in a time-consuming voluntary selection procedure is more important than acceptance.31,33,37


불행하게도, 후속 다중 현장 연구에서, 참여 효과는 교육과정과 선발 절차에서 제도적 차이에 의해 매개되는 것으로 결론 지었다.

Unfortunately, in a follow-up multi-site study , the conclusion was that participation effects seem to be mediated by institutional differences in curricula and in selection procedures.38



입학 전 교과외활동 평가

Assessing pre-university extracurricular activities


우리 대학을 포함한 여러 네덜란드 의과 대학은 예비 대학 교육 (pueca) 동안 지원자의 교과외 활동을 통해서 비-학업적 스킬을 평가했습니다 .31,33이 방법은 단일 테스트를 기반으로 한 것이 아니라 장기간에 걸친 학생들의 발달을 반영하기 때문에 authenticity가 증가한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Several Dutch medical schools, including our own, have operationalised non-academic skills by examining applicants’ extracurricular activities during pre-university education (puECAs).31,33 This method has the advantage of an increased authenticity, because it reflects students’ development over the last couple of years instead of being based on a ‘single’ test administration.



비록 puECAs를 자기소개서의 한 형태로 볼 수는 있지만, 적어도 네덜란드 의과 대학에서의 pu-ECA 평가는 자유로운 형식으로 기술된 자기소개서를 분석하는 것과는 다르다 . 고도로 구조화 된 지원서를 고도로 구조화 된 평가서식과 함께 사용하면 평가자의 판단을 높은 수준으로 구조화할 수 있다. 이는 취업 면접이 구조화 정도가 높아지면 긍정적으로 작용하는 것과 같은 방식으로, 준거-관련 타당도에 긍정적으로 작용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pu-ECAs는 판단 과정이 충분히 구조화되어 있으면 선택 도구로 성공적으로 사용될 수있다.

It is good to note that although puECAs can be seen as a form of personal statements,17 their assessment, at least in the Dutch medical schools, is different from analysing the content of free response personal statements, as for example described by Ferguson et al.42 The use of a highly structured application form in combination with a highly structured rating form provides a high degree of structure to the raters’ judgements. This may positively affect the criterion-related validity, in the same way as job interviews are positively affected by the degree of structure.43 Consequently, puECAs may be used successfully as a selection tool provided that the judgement process is sufficiently structured.


활동 표본

Work samples


인사 선택에서 널리 활용된 work sample의 사용은 미래에 기대되는 행동의 표본이 곧 미래에 직장에서의 성공의 예측인자로 간주되는 상황을 의미한다.44 Sign 대신 Sample에 초점을 맞춘다는 점에서 의학 교육에서 사용되는 전통적인 선택 방법과 구별된다 .45 이러한 접근 방식의 논리는 행동의 일관성 개념에 따라 predictor와 criterion이 비슷할수록 예측 타당도가 높아진다는 사실이다 . 의과대학 초반의 퍼포먼스가 미래 성적의 가장 좋은 예측 지표인 것과 같이, 대학에 입학해서 처음 이수할 과정과 유사한 입학 시험을 개발하는 것은 제법 가능성이 있는 듯 하다.

The use of work samples, well known in personnel selection, refers to a situation where a sample of future expected behaviour is taken as a predictor of future success in the job.44 The focus on samples instead of signs (i.e. distinguishable constructs, traits or skills) distinguishes them from traditional selection methods used in medical education.45 The reasoning behind this approach is that, following the notion of behavioural consistency,44 the more the predictor and criterion are alike, the higher the predictive validity will be.21 As early performance is the best predictor of future (medical school) performance,46–48 developing an admission test similar to the first course in the university programme sounds promising.


예를 들어 지원자는 비디오 촬영 강연을 보거나 집에서 독립적으로 입문 수준의 특정 자료를 조사한 다음 대학에서 하는 것과 비슷하게 대학에서 시험을 치러야했습니다. 이러한 방식은 대규모 집단에 대한 효율적 것으로 나타났는데, 그 이유는 이러한 방식으로 설계한 교육 프로그램에서의 표본 행동sampled behavior의 대표성이 높기 때문이다. 실제로 암스테르담, 로테르담,그로닝겐에서 적용되는 선정 절차에는 '강의 시험'을 포함하고 있다.

 In all the above studies, applicants were required to watch a videotaped lecture or study introductory domain-specific material independently at home, followed by an examination at the university, just like the reality at university. Positive findings for this efficient method for large groups49 are explained by the high representativeness of the sampled behaviour for the educational programme it was designed for.51 Actually, the selection procedures applied in  Amsterdam, Rotterdam and Groningen also contain ‘lecture tests’.34,35


남은 질문은, 샘플-기반 테스트로 측정되는 것이 정확히 무엇이며, 그 결과를 학업적 척도로 봐야하는지 비학업적 척도로 봐야하는지 여부이다. De Visser 등은 이와 같은 curriculum sample 접근법은 학업 기반의 선발이라고 하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인지적 능력, 동기 부여, 학습 시간, 전략적 지식의 혼합치를 측정한다고 말했다.

The question of course is, what exactly is measured by sample-based tests, and whether such tests should be considered academic or non-academic measures. De Visser et al.49 describe their curriculum sample approach as selection on an academic basis, although it could also be argued that the samplebased approaches described above measure a mixture of cognitive ability, motivation, time spent studying, and tactic knowledge.21


또 하나의 중요한 점은, 이 방식은 '최고의 의사'보다 '최고의 학생'을 선택하는 데 중점을 둔다는 점이다.

It is important to note that the examples mentioned here are focused on selecting the best students rather than the best doctors.


SJT

Situational judgement tests


SJT는 성실성, 공감, 팀워크와 같은 의사에게 중요한 다양한 개인적 자질을 평가할 수있는 신뢰할 수 있고 타당한 방법으로 꾸준히 보급되었습니다 .17 이러한 긍정적 발견 덕분에 네덜란드 의과 대학에서는 학교 특정 선택 절차의 한 요소로 SJT 사용을 시작했습니다 

SJTs have consistently been shown to be a reliable and valid method to assess various personal qualities that are important to medical doctors, such as integrity, empathy and teamwork.17 Thanks to these positive findings, Dutch medical schools have started using (or piloting) SJTs as part of their school-specific selection procedures.


Erasmus MC Medical School에서는 영국에서 개발 된 integrity-based의 SJT (네덜란드어로 번역 된 53)를 파일럿 테스트했습니다. 우리는이 노력에서 두 가지 중요한 교훈을 배웠습니다. 

    • 첫째, 해외에서 개발 된 특정 상황에 적합한 SJT를 사용할 때에는 신중해야합니다. 원래 영국 점수 키와 네덜란드 전문가를 사용하여 개발 한 점수 키 간에는 상당한 차이가있었습니다. 또한 네덜란드 참가자들은 모든 문항이 네덜란드 맥락에 적절하다고 간주하지는 않았습니다. 

    • 마지막으로, 영국 맥락에서와 동일한 채점 방법을 사용하여 내부 일관성 신뢰성이 낮았다. 이러한 결과에 이어 우리는 28가지의 대안 점수 방법을 탐구하기로 결정했습니다 .54 이것은 두 번째 중요한 교훈을 선사합니다 : 의과 대학 선발 과정에서 SJT를 사용하게 된다면 반드시 채점 방법을 철저히 검토해야 한다. 우리는 적용된 채점 방법이 SJT 점수의 내부 일관성 신뢰도와 불리한 영향에 강한 영향을 준다는 것을 발견했다.

At Erasmus MC Medical School we first pilot-tested an integrity-based SJT developed in the UK,53 which was translated into Dutch. We learned two important lessons from this endeavour. 

    • First, one should be cautious in using SJTs developed abroad and tailored to the specific contexts. There were substantial differences between the original UK scoring key and the scoring key we developed using Dutch experts. Additionally, not all items were considered relevant or appropriate to the Dutch context by our participants.

    • Finally, using the same scoring method as in the UK context revealed a low internal consistency reliability. Following on from these findings we decided to explore 28 (!) alternative scoring methods.54 This revealed a second important lesson: the increased use of SJTs in medical school selection must be accompanied by a thorough examination of the scoring method to be used. We found that the applied scoring method has a strong influence on the internal consistency reliability and adverse impact of an SJT score.54


예비적 연구 결과들을 살펴보면, 딜레마 상황에서 "무엇을 해야하는지"가 아니라 "무엇을 해서는 안되는지"를 인식하는 능력에 기초하여 SJT를 채점하면 convergent validity가 향상되었다.

Preliminary findings suggest that scoring an SJT based on the ability to recognise what one should not do as opposed to the ability to recognise what one should do in a challenging situation strengthens the convergent validity of that SJT (unpublished results).


예상치 못했던 것은, integrity 관련 측면을 선발 절차에 포함하는 것에 대해 네덜란드에서 논란이 있었습니다. 이에 반대하는 사람들은 integrity 문제에 대해 학생을 판단하는 것이 공정한 것인지 의심스럽고, 이러한 행동은 가르 칠 수 있다고 제안합니다. 따라서 integrity에 대해 점수가 낮은 지원자를 불합격시키기보다, 이들에게 '경고red-flag'를 하고, 추가 교육을 제공하는 것이 옳다고 주장한다. 심지어 어떤 사람들은 integrity 척도에 대한 지원자의 점수를 의대에 보고하는 것이 비윤리적인 것으로 말하기도 한다. 이들은 그러한 점수는 지원자에게만 제공되어야 한다고 주장한다. 이것은 Patterson et al.17의 성격 평가가 지원자 자신을 위한 자료로 사용되어야지, 그 자체가 선발도구로 사용되어서는 안된다는 발언과 관련이있다.

Unexpectedly, our intention to include integrityrelated aspects in our selection procedure has caused some controversy in the Netherlands. Adversaries doubt whether it is fair to judge young adults on integrity-related issues and propose that these behaviours are teachable. Therefore, it might be better to ‘red-flag’ applicants with low scores on integrity-related measures and offer them (additional) training instead of rejecting them. Others even go so far as to say that it is unethical to report applicants’ scores on integrity-related measures to the client (the medical school), and state that such scores should only be reported to the applicants themselves, who then can decide whether or not to continue with their application.55,56 This is related to the remark made by Patterson et al.17 that personality assessments should not be used as a selection method on their own, but rather as input for selection interviews.



그러나 integrity 기반의 SJT는 성격 특성 (행동 방법)보다는 지식 및 기술 (행동 방법)을 측정하기위한 것입니다. 우리의 의견으로는 challenging한 상황에 적절하거나 부적절한 반응을 구분하는 능력은 미래의 의사에게 필수적입니다.

However, our integrity-based SJT is intended to measure knowledge and skills (how one should act) rather than personality traits (how you would act). In our opinion, a certain ability to identify appropriate and inappropriate reactions to challenging situations is essential for our future medical doctors.





변화하는 교육과정의 영향

Effect of changing circumstances


지금까지 네덜란드의 연구 결과는 긍정적인 효과 (즉, 추첨된 학생과 비교했을 때 선발된 학생의 실적이 더 좋음)와 특히 최근의 연구에서 거의 효과가 없다고보고 한 몇 가지 증거가 서로 상충되는 모습을 보였습니다. 한 가지 가능한 설명은 선발을 통해 입학한 학생의 비율이 증가한 것입니다 (50 %에서 100 %까지). 또한, 학교-특이적 선발 절차를 사용하는 의과 대학의 수가 이제 모든 학교로 증가했습니다.

So far, studies from the Netherlands have reported conflicting evidence, with some reporting positive effects (i.e. better performance for selected students compared with lottery-admitted students) and some, especially more recent studies, reporting little or no effect. A possible explanation is the increased proportion of students admitted through selection (from 50% to 100%). Moreover, the number of medical schools using school-specific selection procedures increased from only a few to currently all.


모든 의대생을 추첨으로 선발했던 당시의 자료에 따르면 네덜란드의 모든 의과 대학의 졸업률은 약 85 % 였고, 높은 기본 요율base rate을 의미한다. 이 높은 base rate의 가장 큰 이유는 네덜란드의 의과 대학 지원자가 매우 동질적이라는 사실입니다 .40 중등 학교를 가장 높은 수준으로 졸업 한 학생 (pre-university 수준)과 의학에 필요한 6 과목을 지원한 학생만이 의과대학에 지원할 수 있고 이는 모든 고등학생의 10 % 미만이다.

Data from the time when all medical students were admitted via lottery show that for all Dutch medical schools the graduation rate was about 85%,58 suggesting a high base rate. A main reason for this high base rate is the fact that medical school applicants in the Netherlands form a very homogenous group.40 Only students who completed the highest level of secondary school (equals pre-university level) and took the six subjects required for medical school are allowed to apply (less than 10% of all high school students).


히긴스 (Higgins)의 규제 초점 이론 (regulatory focus theory)에 따르면, 입학을 위한 pu-ECA 참여가 필요하다는 사실이 보다 투명해졌을 때, 신청자는 의대에 진학 할 기회가 있기 위해 이것을해야한다고 느꼈기 때문에 pu-ECAs에 참여하기로 선택했다고 볼 수 있다. 그들이 그것을 '원했기'때문에 한 것이 아니다.

following Higgins’ regulatory focus theory,59,60 when the requirement of puECA participation for admission became more transparent, applicants mayhave chosen to participate in puECAs because they felt they ‘had to’ do this to have a chance to get into medical school, and not because they ‘wanted to’. 


보다 일반적인 교훈은 각 의대는 선발절차가 지원자 행동에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을 알고 있어야한다는 것입니다. 이것은 신청자가 커리큘럼보다 선발 과정에서 더 많은 의대를 선택하도록하는 경우 특히 중요합니다.

The more general lesson from this is that medical schools should be aware of the possible effects of selection procedures on applicants’ behaviour. This is especially important as applicants have been shown to base their choice of a medical school more often on the selection procedure than on the curriculum.61



부정적 영향

ADVERSE IMPACT


첫째, 선발도구 사용의 효과로 발생하는 학생들의 다양성에 미치는 영향은 주어진 선발도구의 가중치와 선발 비율에 달려 있습니다.

First, the effect of using an instrument with reduced or no adverse impact on student diversity depends on the weight given to the instrument and the selection ratio.


둘째로, 서로 다른 선택 기준이 동시에 사용되어야한다 .32 이렇게 함으로써 학점 요건이 충족되었을 때만 개인적 자질을 고려함으로써 다양성을 제한하게 되는 효과를 방지한다 .20,62 또한 다양성을 증가시키기 위해서는 (모든 선발준거에서 높은 점수를 받아야 하는 비보상적 방법보다) 보상적 방법(한 영역의 낮은 점수가 다른 영역의 높은 점수로 보상되는)을 사용해야 한다. 현재 Erasmus MC 의과 대학에서는 보상 시스템이 사용됩니다. 선택 절차의 세 가지 요소 (학업 및 비 학업 기준의 혼합)에 대한 점수는 z 스코어로 변환되며, 지원자는 평균 z- 점수에 따라 순위가 결정됩니다.

Second, different selection criteria should be used concurrently.32 This prevents the diversity-limiting effect of considering personal qualities only once grade requirements have been met.20,62 Additionally, to increase diversity it might be better to allow applicants to make up for lower scores on some criteria with high scores on others (compensatory) instead of expecting them to score highly on all selection criteria (noncompensatory).32 Currently, at the Erasmus MC medical school a compensatory system is used. Scores on the three different elements of our selection procedure (a mixture of academic and non-academic criteria) are transformed into zscores, and applicants are ranked according to their average z-score.


셋째, 선발 과정에서 비학업적 기준을 포함하는 것은 의대생의 다양성을 증가시키는 데 도움이된다. 그러나 이전에이 논문에서 옹호 한 바와 같이 선발 절차는 비 학업적 기준에만 의존해서는 안되며 학업적 기준도 포함해야 한다 .33,40

Third, including non-academic criteria in the selection procedures does help to increase the diversity of medical student populations.32 However, as advocated previously in this paper, selection procedures should not rely on non-academic criteria alone, but should also include academic criteria.33,40


넷째, 비 전통적인 지원자에게는 자기 선택 (self-selection) (즉, 선발에 지원하지 않음)이 생길 수 있음을 인식해야합니다. 우리가 앞서 논한 바와 같이, 비 전형적 배경을 가진 지원자의 경우에 선발절차에 의해 선동된instigated 자기선발의 효과가 더 강력하다는 것을 배제 할 수 없다.

Fourth, one should be aware of self-selection (i.e. resulting in not applying) in non-traditional applicants. As we have argued previously,32 it cannot be ruled out that self-selection instigated by selection procedures is stronger in applicants from non-traditional backgrounds.


마지막으로, 선발절차는 또한 학생 인구의 성별 구성에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SJT와 같은 비 학문적 성격을 측정하는 도구는 여학생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 났지만 적성 검사는 남성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남성 지원자는 여성 지원자보다 적성 검사에 입학 할 가능성이 높음)

Finally, the choice of selection procedure may also influence the gender composition of the student population. Aptitude tests were found to favour men (i.e. male applicants had a higher chance of being admitted based on aptitude tests than female applicants),64 whereas instruments measuring nonacademic qualities such as SJTs seem to favour female students.4



결론

CONCLUSION



첫째, 자발적 선발 절차에 참여한 학생들이 참여하지 않은 학생보다 의대에서 더 나은 성적을 냈다는 점에서 참여 효과가있는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그 효과의 정도는 의대의 커리큘럼과 선발 과정에 달려 있습니다.

First, there appears to be a participation effect, in that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voluntary selection procedures performed better at medical school than nonparticipants. However, the magnitude of the effect depends on the curriculum and the selection procedure of the medical school.


둘째, 대학 진학을 위한 교과외 활동을 의과 대학 선발에서 사용하는 것은 판단 과정이 충분히 구조화되어있는 한, 탈락률이 낮아지고 전임상 및 임상 성적이 향상되는 것으로 보인다.

Second, using pre-university extracurricular activities for selection to medical school seems to lead to lower dropout rates and better preclinical and clinical performance, provided that the judgement process is sufficiently structured.


셋째, 특히 커리큘럼에서 가장 잘 수행 할 학생들을 선발하기 위해 커리큘럼 샘플을 사용하는 것이 유망한 선택 방법입니다.

Third, the use of curriculum samples is another promising selection method, particularly when the aim is to select those students who will perform best in your curriculum.


넷째, SJT와 같은 맥락화 된 도구는 지역 맥락에 맞게 조정되어야하며 사용되는 채점 방법에 대해 면밀히 조사해야한다.

Fourth, contextualised instruments such as SJTs should really be tailored to the local context and should be accompanied by a careful examination of the scoring method to be used.


다섯째, 선정 절차에서 (특정) 개인적 자질에 대한 평가를 포함시킬 때 논란의 가능성을 인식해야합니다.

Fifth, one should be aware of the possibility of controversy when including the assessment of (certain) personal qualities in selection procedures.


여섯째, 상황이 변화하면(선발 비율을 높이거나, 선발 기준에 맞춘 지원자의 적응적 행동 등) 선발 방법의 예측 타당성을 감소시킬 수있다.

Sixth, changing circumstances, such as higher selection ratios or applicants’ adapting behaviour to meet the selection criteria, may decrease the predictive validity of selection methods.


마지막으로, 악영향과 관련하여 의과 대학의 주요 권고안은 타당성과 다양성에 모두 부합 할 수 있도록 학업적 및 비학업적 선택 도구의 조합과 중요성에 대해 주의 깊게 생각하는 것입니다 .4,17,32 , 65

Finally, with respect to adverse impact the main recommendation for medical schools would be to carefully think about a combination and weighting of academic as well as non-academic selection instruments that would fit both the needs of validity and of diversity.4,17,32,65



12 Patterson F, Zibarras L. Selecting for creativity and innovation potential: implications for practice in healthcare education. Adv Health Sci Educ 2017;22:417–28.


30 Schripsema NR, van Trigt AM, Borleffs JCC, CohenSchotanus J. Underlying factors in medical school admissions. Med Educ 2015;49 (6):639–40.


47 Stegers-Jager KM, Themmen APN, Cohen-Schotanus J, Steyerberg EW. Predicting performance: relative importance of students’ background and past performance. Med Educ 2015;49 (9):933–45.


49 De Visser M, Fluit C, Fransen J, Latijnhouwers M, Cohen-Schotanus J, Laan R. The effect of curriculum sample selection for medical school. Adv Health Sci Educ 2017;22:43–56.




 2018 Jan;52(1):86-95. doi: 10.1111/medu.13462. Epub 2017 Oct 6.

Lessons learned from 15 years of non-grades-based selection for medical school.

Author information

1
Institute of Medical Education Research Rotterdam, Erasmus MC, University Medical Centre Rotterdam, Rotterdam, The Netherlands.

Abstract

CONTEXT:

Thirty years ago, it was suggested in the Edinburgh Declaration that medical school applicants should be selected not only on academic, but also on non-academic, attributes. The main rationale behind extending medical school selection procedures with the evaluation of (non-academic) personal qualities is that this will lead to the selection of students who will perform better as a doctor than those who are selected on the basis of academic measures only. A second rationale is the expectation that this will lead to a representative health workforce as a result of reduced adverse impact. The aims of this paper are (i) to describe what can be learned about the use of selectioncriteria other than grades from over 15 years of Dutch experience and (ii) to summarise current knowledge on the issue of adverse impact in relation to non-grades-based selection.

METHODS:

A narrative review was undertaken of the (published) evidence that has resulted from non-grades-based school-specific selectionprocedures in the Netherlands and from recent explorations of the effect of the use of non-grades-based selection criteria on student diversity.

RESULTS:

The Dutch evidence is grouped into five key themes: the effect of participation in voluntary selection procedures, the assessment of pre-university extracurricular activities, the use of work samples, Dutch experiences with situational judgement tests and the effects of changing circumstances. This is followed by several lessons learned for medical schools that aim to increase their student diversity.

CONCLUSION:

Over the last 30 years, important steps towards reliable and valid methods for measuring non-academic abilities have been taken. The current paper describes several lessons that can be learned from the steps taken in the Dutch context. The importance of sharing evidence gathered around the globe and building on this evidence to reach our goal of predicting who will be a good doctor is acknowledged.

PMID:
 
28984374
 
PMCID:
 
PMC5765503
 
DOI:
 
10.1111/medu.13462


의학교육을 촉진하기 위한 인지이론(BMC Med Educ, 2014)

Using cognitive theory to facilitate medical education

Yu Qi Qiao1,4, Jun Shen1,4, Xiao Liang1,4, Song Ding2,4, Fang Yuan Chen3,4, Li Shao4,5, Qing Zheng1,4

and Zhi Hua Ran1,4*





배경

Background


1940 년대부터, 학문-기반 모델의 핵심 원칙과 관행은 교육자들에 의해 의문을 제기 받았다. 1944 년에, Goodenough는 "학생의 마음을 어지럽히고 흥미를 없애는 것"으로 보였던 기초 과학 세부 사항을 줄여야 한다고 주창했습니다.

From the 1940s, key principles and practices of the discipline-based model were questioned by educators. In 1944, Goodenough advocated for a reduction in basic science detail which seemed to “clutter up the student’s mind and deaden interest” [1].



교육자들은 계속해서 의학 교육을위한 더 나은 전략을 모색하고 있습니다. Papa et al. [3]는 여러 개혁을 관통하는 주제를 다음과 같이 정리했다: 의료 전문가와 초보자를 특징 짓고 구별하는 지식 기반 구조와 인지 과정에 대한 관심 증가, 주의 집중, 이해. 이 주제에는 3 가지 주요 측면이 있습니다 : 

  • (1) 더 매력적인 과정; 

  • (2) 조직화 된 지식; 

  • (3) 다른 학생들을위한 적절한 안내. 

각각의 측면은 상대적으로 독립적인 것이지만, 우리는 종종 이 셋을 혼동합니다. 매력적인 과정이 반드시 효과적 일 수는 없으며 효과적인 교육이 항상 흥미로운 것은 아닙니다. 단일 유형의 교육을 통해 이러한 모든 측면을 달성하는 것은 어렵습니다.

Educators continue to search for better strategies for medical education. Papa et al. [3] detail the unifying theme of reforms: increasing interest in, attention to, and understanding of the knowledge base structures and cognitive processes that characterize and distinguish medical experts and novices. There are three main aspects to this theme: (1) more attractive courses; (2) well organized knowledge; and (3) proper guidance for different students. Although these aspects are relatively independent, they are often confused by educators. Attractive courses are not necessarily effective, and effective training is not always interesting. It is difficult to achieve all these aspects via a single type of instruction.




방법

Methods



결과 및 고찰
Results and discussion

암기: 학습의 기본 단계
Memorizing: a basic step in learning

의학 학습에서 가장 기본적인 단계는 무엇입니까? 학생들을 "memorizer"가 아니라 "thinker"로 만드는 것은 19 세기 말로 거슬러 올라가는 학문-기반 교육과정 운동의 특징이었습니다. 스턴 버그 (Sternberg)는 1898 년 미국 의학 협회 (American Medical Association, AMA)의 대통령 연설 [3]에서 사고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그로부터 100 년 동안 교육자들은 이 견해를 지지하며, 지속적으로 memorizing보다 thinking의 중요성을 지지하기 위해 노력했습니다. 그러나 우리는 thinker가 되려면 먼저 memorizer가 되어야한다고 주장합니다.
What is the most basic step in medical learning? To make students “thinkers” rather than “memorizers” was the hallmark of the discipline-based curricular movement, which dates back to the late 19th century. In 1898, Sternberg echoed the importance of thinking in his American Medical Association (AMA) presidential address [3]. Over the next hundred years, educators continually made efforts to support this view and the importance of thinking over memorizing. However, we contend that to be a thinker, one first needs to be a memorizer.

Sweller'swords에서, 학습자의 지식이 더 정교하고 많을수록 다룰 수 있는 요소는 더욱 복잡해질 것입니다 [10]. 여기서 요소는 학습 할 자료로 정의됩니다.

In Sweller’swords, the more sophisticated and knowledgeable the learner, the more complex will be the elements he or she is dealing with [10]. An element is defined here as material to be learned.


작업 메모리 (WM)는 작업 관련 정보를 저장하고 "인지 작업의 범위에서 처리중인 정보의 임시 저장"[11,12]을 포함합니다. 임시 저장소 때문에 WM은 한때 STM의 기능으로 간주되었습니다. 현재 많은 연구자들은 실제로 STM는 WM의 구성 요소라고 생각하며, LTM에 저장된 것을 능숙하게 사용하는 것에 기반한 또 다른 메커니즘들이 있습니다. Ericsson과 Delaney는 안정된 형태로 저장된 정보를 지칭하기 위해 "장기 작업 메모리 (LTWM)"라는 용어를 사용했지만 STM의 신호를 통해 일시적으로 검색 할 수있었습니다 [13]. Baddeley는 이것을 새로운 유형의 WM 그 자체라기 보다는 LTM과 WM 사이의 대화 모드로 간주했습니다 [14].

Working memory (WM) stores task-relevant information and involves “the temporary storage of information that is being processed in any of a range of cognitive tasks” [11,12]. Because of temporary storage, WM was once considered as a function of STM. Now, many researchers believe STM is in fact a component of WM, and there are other mechanisms based on skilled use of storage in LTM. Ericsson and Delaney used the term “long-term working memory (LTWM)” to refer to information that is stored in stable form, but could be retrieved temporarily by means of cues in STM [13]. Baddeley considered this as an interactive mode between LTM and WM rather than a new type of WMper se [14].


LTM은 WM의 중요한 원천으로 입증되었으므로 LTM에 대한 지식은 무시되어서는 안됩니다. 의학 교육에서 선언적 지식의 습득은 기억, 특히 LTM에 의존하며, LTM은 또한 행동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줄 수있다. 절차 적 또는 기술 기반의 지식은 필요한 경우 LTM에서 검색되어야한다 [15].

As LTM has been demonstrated as an important source of WM, knowledge in LTM should not be neglected. In medical education, acquisition of declarative knowledge depends on memory, especially LTM, and LTM can also directly affect actions [14]. Procedural or skills based knowledge should be retrieved from LTM when needed[15]. 


Clark et al. [16] 초보자는 문제 해결 과정에 참여하면서 동시에 거의 배우지 않을 수 있다고 설명했다. 암기는 학습의 첫 번째 기본 단계로 간주되어야 하며, 더 많은 학습과 실습을 위한 확고한 토대가 되기 때문이다. 그러나 암기를 촉진하는 것은 어려운 과제로 남아 있습니다.
As Clark et al. [16] described, novices can attend the problem-solving process, but they may learn almost nothing. Memorizing should be regarded as a first basic step in learning as it gives a firm foundation for further learning and practice. However, promoting memorizing remains a challenging task.



인지부하이론: 적절한 교육을 위한 프레임워크

Cognitive load theory: a framework for proper instruction


WM 용량 (WMC)은 정보 처리시 약 7 개의 요소 (또는 청크)를 보유하는 것으로 제한됩니다 [17]. 연구에 따르면 WMC는 학생들의 과학 학습 및 문제 해결 능력을 제한합니다 [18-20]. 마찬가지로, 인지부하이론은 WM이 개인이 처리 할 수있는 정보의 양을 제한한다는 개념을지지한다 [5,21]. 이 이론은 인지부하에는, 내재적 부하와 외재적 부하라는 두 가지 주요 유형이 있음을 제시합니다. Germane load는 보충적 유형으로 간주 될 수 있습니다.

WM capacity (WMC) is limited to holding approximately seven (plus or minus two) elements (or chunks) when processing information [17]. Studies have indicated that WMC limits students’ performance in science learning and problem solving [18-20]. Similarly, cognitive load theory supports the idea that WM limits the amount of information an individual can process [5,21]. The theory suggests that there are two main types of cognitive load, intrinsic and extraneous load. Germane load can further be considered as a supplementary type.


내재적 부하는 학습 자료에서 요소의 상호작용성interactivity을 기반으로합니다

    • 학습 자료의 특성을 지칭하기 때문에 주어진 영역에서 일정합니다. 일부 과목에서, 많은 요소들 사이의 상호 작용이 학습되어야하고, 내재적인지 부하가 ​​높을 것이다 [5,21,22]. 

    • 내적인지 부하는 학습자의 사전 지식에 의존한다 [23]. 많은 새로운 요소가 학습 자료에 함께 나타나면 초보자는 요소의 상호 작용이 낮더라도 학습의 어려움을 경험할 수 있습니다. 

    • 학습 과정은 개별 요소를 청크로 결합하는 과정이 포함될 수 있습니다. 이러한 덩어리는 인지 스키마로 정의되며 LTM [24]에 저장 될 수 있습니다. 인지 스키마를 보는 또 다른 방법은 그것들을 고도로 조직화 된 정보 또는 지식으로 보는 것입니다. 시간이 지남에 따라 사전 지식이 스키마로 형성되기 때문에 전문 지식이 증가하고 내재적 부하를 줄일 수 있습니다.

Intrinsic load is based on the interactivity of elements in learning materials. 

    • As it refers to the nature of learning materials, it is constant for a given area. In some subjects, interactions between many elements must be learned, and the intrinsic cognitive load will be high [5,21,22]. 

    • Intrinsic cognitive load depends on a learner’s prior knowledge [23]. When many new elements appear together in learning materials, novices may experience learning difficulties even if the interactivity of elements is low. 

    • The learning process may involve combining single elements into chunks. These chunks are defined as cognitive schemata and can be stored in LTM [24]. Another way of viewing cognitive schemata is to see them as highly organized information or knowledge. Over time, as prior knowledge forms into schemata, expertise increases, and the intrinsic load can be reduced.


교수법이 학습을 촉진하지 못하는 경우, 이것은 외재적 인지부하로 정의될 수 있습니다. 외래적 인지부하는 인지 스키마의 구성에 기여할 수없는 부적절한 가이드로부터 발생한다 [24].

When teaching methods do not promote learning, they can be defined as extraneous cognitive load. Extraneous cognitive load arises from inappropriate guidance that cannot contribute to the construction of cognitive schemata [24].


외래적 인지부하와는 대조적으로, 본유적 인지부하는 인지 스키마를 형성하는 과정에서 발생합니다. Germane 하중은 supplement로서 인지부하 구조에 추가되었다 [4]. 이론에 대한 최근의 설명에서, 본유적 인지부하는 본유적 자원으로 불리고, 내재적 인지부하와 밀접하게 관련되어있다 [5,6].

In contrast with extraneous cognitive load, germane load arises from the process of forming cognitive schemata. Germane load was added to the cognitive load framework as a supplement [4]. In recent explanations of the theory, germane load was termed as germane resources and closely related to intrinsic load [5,6].



의학교육에서 오로지 학습 양이 많다는 것만 고려하면 학습과 관련된 어려움은 더욱 커질 수 있습니다. 임상 추론 교육의 경우 요소의 인지부하를 높이는 주 원인은 요소간 상호 작용이 높기 때문이다. 많은 양의 정보와 높은 내적인지 부하는 ​​왜 의학 학습이 가장 어려운 문제인지 설명 할 수 있습니다. 학습은 인지부하가 WMC의 한계를 초과 할 때 영향을받을 수있다.

In medical learning, considering only the large volume of information, the challenges associated with learning can be very high. For clinical reasoning education, the cognitive load becomes higher because of the high interactivity of elements. The large amount of information and high intrinsic cognitive load can explain why medical learning is most often a challenge. Learning processes could be affected when the cognitive load exceeds the limit of WMC [26].



두 번째 질문으로 이동 : 왜 일부 커리큘럼은 매력적이지만 효과적이지 않습니까? 많은 양의 정보는 높은 내재적인지 부하를 유발하여 학습을 어렵게 만든다.

Moving to our second question: Why do some curricula seem attractive, but not effective? High intrinsic cognitive load causes difficulties when studying medicine because of the large volume of information.



인지 부하 이론이 항상 명시 적으로 고려 된 것은 아니지만 그 효과에 대한 증거가 있습니다. 1950 년대에 웨스턴 리저브 스쿨은 최초의 "장기 시스템 커리큘럼"을 시작했습니다 [27]. 교육자들은 학생들이 체계적인 기능과 malfunction에 대한 지식을 통합 할 수 있도록 돕는 것을 목표로 삼았습니다. 이 개혁은 기초 과학을 임상 지식과 통합하는 것처럼 보였지만, 학습자는 이러한 통합을 달성하기 어려워했기 때문에 실패했습니다. 정보의 양이 줄어들지 않고 상호 작용 요소가 커리큘럼에 추가되면서, 특히 주니어 의대생에게 외래 인지부하가 특히 높아졌다. 초기 학위 프로그램의 학생들은 의학에 대한 배경 지식이 부족하며 많은 수의 요소를 효과적으로 스키마로 분류 할 수 없습니다. 장기 시스템 교육과정에서 부과되는 인지 부하는 학생들의 WMC를 능가 할 가능성이 큽니다. 이러한 요구는 초보자 외국어 학습자가 문법을 쉽게 습득 할 수 있다고 기대하는 것과 비슷하다고 볼 수 있습니다.

Although cognitive load theory has not always been explicitly considered, there is evidence for its effectiveness. In the 1950s, the Western Reserve School of Medicine initiated the first organ-system curriculum [27]. Educators aimed to help students integrate knowledge of systemoriented functions and malfunctions. This reform failed because while it appeared to integrate basic science with clinical knowledge, learners struggled to achieve this integration. As the amount of information was not reduced and interacting elements were added to the curriculum, extraneous cognitive load became untenably high, especially for junior medical students. Students in the early years of their degree programs have limited background knowledge of medicine, and are not able to effectively chunk the large number of elements into schemata. The cognitive load of the organ-system framework most likely exceeded the students’ WMC. The demands of that process may be viewed as analogous to expecting novice foreign language learners to readily master grammar.



임상 사례에 초점을 둔 PBL은 의학 교육에 널리 사용됩니다. PBL에 관한 상당한 논란이있었습니다. Albanese et al. PBL과 그 효과성에 초점을 둔 메타 분석에서 

    • PBL 학생들이 학습 시간이 더 길었지만 기초과학 시험 점수는 다른 방법을 사용하여 훈련받는 학생들보다 낮다는 것을 발견했다. 

    • PBL 학생들이 임상 성적에 대해 더 나은 점수를 얻었지만, 환자에게 불필요한 검사를 훨씬 많이 주문한 것으로 나타났고, 이것은 비용-효과성이 떨어지는 것이다.

Berkson의 메타 분석에서 유사한 결론에 도달했다 [30]. Colliver는 PBL 문헌을 검토 한 결과, PBL이 학생들의 지식 기반과 임상 수행 능력을 향상 시킨다는 확실한 증거는 없다고 지적했다. 

Kirschner가 PBL의 효과에 대해 논한 반면, Sanson-Fisher et al. 전통적인 방법에 비해 PBL의 우월성을 뒷받침하는 증거가 부족하다는 것을 강조한다.

PBL focuses on clinical cases and is widely used in medical education. There has been considerable debate about PBL . Albanese et al. carried out a meta-analysis focusing on PBL and its effectiveness [29].They found that PBL students spent more time studying,but that their basic science exam scores were lower than students who were being trained using other methods. Although PBL students achieved better scores for their clinical performance, they were found to order significantly more unnecessary tests for their patient, which means a higher cost with less benefit. 

In Berkson’s meta-analysis,similar conclusions were reached [30]. Colliver reviewed PBL literature and noted no convincing evidence that PBL improves students’ knowledge base and clinical performance [31]. 

While Kirschner debates the effect of PBL [9],Sanson-Fisher et al. highlight a lack of evidence supporting the superiority of PBL over traditional methods [32]. 



Sweller et al. PBL이 학생들에게 정보를 찾는 방법을 가르쳐 줄 수는 있지만, 궁극적으로 동화되어야 하는 관련 정보의 숫자를 줄여주지는 않는다고 강조했다. 보다 최근의 메타 분석은 unassisted discovery는 학습자에게 도움이되지 않는다는 것을 시사한다 [34]. 반대로, 피드백, worked example, 스캐폴딩, guided explanation이 효과가있을 수 있습니다.

Sweller et al. emphasize that PBL may teach students how to find information, but it does not reduce the relevant information that is ultimately required to be assimilated [33]. A more recent meta-analysis suggests that unassisted discovery does not benefit learners [34]. Conversely, feedback, worked examples, scaffolding, and elicited explanations might work.


PBL은 학생의 hypothetico-deductive reasoning (HDR)을 향상시키는 것을 목표로합니다. 그러나 HDR은 상당히 높은 인지 부하를 가지고 있으며, 어느 정도의 사전 지식과 기본 기술을 필요로합니다.

PBL aims to improve the hypothetico-deductive reasoning (HDR) of students. However, HDR brings with it a high cognitive load, which needs some degree of prior background knowledge and some basic skills.


기본 지식이 부족하다면, 인지부하는 ​​높고 자료는 학생들이 이해하기 어려울 수 있습니다. 이것이 왜 PBL 학생들이 더 많은 시간을 학습하고도 더 많은 개념적 오류를 만들어 내는지 설명 할 수 있습니다. Haeri et al. HDR의 보급을 권장하지 않았다. PBL의 완전한 사용은 의료 커리큘럼을 위해 옹호되지는 않지만 이것이 PBL이 완전히 구식이거나 부적절하다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습니다.

Before acquiring basic knowledge, the cognitive load is high and materials might be hard for students to understand. This can explain why PBL students spend more study hours and make more conceptual errors. Haeri et al. did not recommend widespread use of HDR [35]. Although the full use of PBL is not advocated for medical curricula, it should be noted that this does not mean that PBL is totally outdated or inappropriate.


스키마: 전문가와 초보자의 차이

Schemata: distinguishing experts from novices


부적절한 교육은 특히 초보자의 학습을 촉진 할 수 없습니다. 올바른 지시를하기 전에 초보자와 전문가의 차이점을 고려해야 한다. 셰익스피어의 드라마를 암기 할 수있는 능력이 있더라도 셰익스피어의 작문 기술을 습득 할 수있는 것은 아닙니다. 더 많이 외울 때 더 배울 수 있습니까? 이것은 논리적으로 보일지라도 정확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Inappropriate instruction cannot promote learning, especially in novices. Before giving proper instruction, we consider the differences between novices and experts. While a person may have the capability to memorize Shakespeare’s dramas, it does not mean that s/he would then have the writing skills of Shakespeare! Could one learn more when memorizing more? Although this seems logical, it may not be accurate.



LTM에 정보를 저장하는 것이 학습의 기본 단계이지만, Paas et al. 다른 두 가지 중요한 메커니즘, 즉 스키마 획득제어된 프로세스에서 자동 처리로의 학습된 프로시져의 전이[37]를 제안했다. 학습과 문제 해결 스킬에서 전문가를 초보자와 구별하는 주요 요인은 [스키마의 형태를 갖춘 도메인 특이적 지식]이다 [21].

While storing information in LTM is the basic step of learning, Paas et al. suggested two other critical mechanisms: schemata acquisition and the transfer of learned procedures from controlled to automatic processing [37]. Evidence showed that domain specific knowledge in the form of schemata is the primary factor distinguishing experts from novices in learning and problem-solving skill [21].



스키마는 고도로 조직 된 지식과 정보로 구성됩니다. 엘 스타 인 (Elstein)에 따르면, 지식 조직과 스키마 획득은 전문성 개발 과정에서 중요하다 [38]. 예를 들어, chessexperts는 50,000 개의 게임 위치를 기억할 수 있습니다. Cooke et al. 숙련 된 체스 선수들은 자신의 구조에 대한 높은 수준의 묘사 측면에서 체스 입장을 표현한다고 주장했다.

Schemata consist of highly organized knowledge and in-formation. According to Elstein, knowledge organizationand schemata acquisition are important in developing ex-pertise [38]. For example, experiments suggest that chessexperts can remember 50,000 game positions. Cooke et al. contended that skilled chess players encode chess positions in terms of high-level descriptions of their structure [40].



체스 플레이어에 관한 연구는 LTM에서 조직 된 지식의 두 가지 측면을 제시합니다 : 

(1) 조직화 된 지식을 사용하면 LTM으로부터 검색 속도가 빨라질 수 있습니다. 

(2) 교육 기간이 후 LTM에 저장할 수 있는 특정 영역과 관련된 조직화 된 지식의 양이 많아진다.

The research on chess players suggests two aspects of organized knowledge in LTM: (1) Using organized knowledge can increase the speed of retrieval from LTM; (2) After a training period, a large amount of organized knowledge relating to a specific area can be stored in LTM.



특정 분야의 전문가는 새로운 정보를 보다 신속하게 조직화할 수 있습니다. 스키마는 어떤 정보가 어떻게 처리 될 것인가에 따라 그것을 조직화하는 인지 구조이다 [21]. Sweller's 인지부하이론에서 스키마는 요소의 상호 작용을 감소시킬 수 있고, 그로 인해 내재적인지 부하를 감소시킬 수있다. Ericsson et al.에 따르면, LTM으로부터 검색을 할 때 생기는 병목 현상은 LTM에 저장된 원하는 항목과 관련된 retrieval cue의 부족이다 [13]. Schemata는 단순히 [하위 레벨 구성 요소의 집합]이 아니라 [상위 레벨의 조직화 된 지식]을 나타냅니다 [41]. 조직화 된 지식은 검색 큐를 증가시킬 수는 없지만, 그러한 큐에 대한 필요성을 줄일 수 있습니다. 자동화 된 절차적 지식을 포함하는 스키마는 통째로 처리되어 한 번에 불러올 수 있다.


New information can be organized more quickly by experts in a specific field. A schema is a cognitive construct that organizes the elements of information according to how they will be processed [21]. In Sweller’s cognitive load theory, schemata could reduce elements’ interactivity, and thereby reduce the intrinsic cognitive load. According to Ericsson et al., the bottleneck for retrieval from LTM is the lack of retrieval cues that relate to the desired item stored in LTM [13]. Schemata represent a higher level of organized knowledge than a simple collection of lower-level components [41]. Although organized knowledge cannot increase the retrieval cues, it can reduce the need for such cues. Schemata that contain automated procedural knowledge, can be considered as a whole to be retrieved together.



이제 우리는 경험이 많은 의사가 초보자보다 임상 적 추론에 더 나은 이유를 설명 할 수 있습니다. 추론을 하기 위해서는 의사는 언제나 광범위한 관점의 조직화 된 지식이 필요할 것이다. 슈미트 (Schmidt)는 전문가들이 광범위한 사례 지식에 어떻게 접근 할 수 있는지에 대해 설명하지만, 이 지식은 필요할 때까지 '캡슐화'된 상태로 유지된다. Rikers et al. 캡슐화 된 지식은 전문가의 임상 추론 [43]에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하며, 이는 의대생의 임상 적 추론과는 매우 다르다는 것을 보여 주었다. 시니어 의과대학생들은 현상을 설명하기 위해 기초과학 지식을 사용할 수 있지만, 전문가들은 자신의 전문 분야를 넘어서는 분야에서도 더 정확한 진단을 내렸습니다.

Now we can also explain why senior doctors are better at clinical reasoning than novices. Doctors will always require a broad perspective of organized knowledge for their reasoning. Schmidt describes how experts may have access to extensive case knowledge, but this knowledge re-mains ‘encapsulated’ until needed [42]. Rikers et al. showed that encapsulated knowledge plays a very important role in specialists’ clinical reasoning [43] and that this is very different from the clinical reasoning of senior medical students. While senior medical students could use basic scientific knowledge to explain a phenomenon, specialists made more accurate diagnoses even in areas beyond their own specialty. 


Norman은 임상 추론에 초점을 맞춘 연구를 검토했다. 전문성이란 다음의 습득으로 구분지어진다.

    • 질병 스크립트, 

    • 의사 결정 나무, 

    • 증상, 

    • 질병 확률, 

    • 의미론적 한정자 

    • 기초 과학의 획득

임상의는 

    • 질병의 기본 메커니즘에서부터 

    • 질병 스크립트, 

    • 경험에 기반한 대표사례

...에 이르기는 세 가지 종류의 정신 표현을 통해 움직이는 것처럼 보입니다 [45].

Norman reviewed research focusing on clinical reasoning [44]. Evidence suggests that expertise is distinguished by acquisition of 

    • illness scripts, 

    • decision trees, 

    • symptoms, 

    • disease probabilities, 

    • semantic qualifiers and 

    • more (or less) basic science. 

Clinicians appear to move through three different kinds of mental representations, 

    • from basic mechanisms of disease 

    • to illness scripts 

    • to exemplars derived from experience [45].



경험은 초보자와 전문가 간의 가장 중요한 차이 일 수 있습니다. Norman의 연구는 임상 전문가에게 집중하는 것이 임상 추론을 촉진하는 유용한 방법이 될 수 있다고 제안했습니다. 임상 전문가에게 배우는 것은 그들의 경험을 배우는 것입니다. 경험이 축적됨에 따라 더 많은 스키마가 형성됩니다. Merriënboer et al. 학습을 스키마의 구성과 자동화라고 묘사하였다[8].

Experience might be the most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novices and experts. Norman’s work suggested to us that focusing on clinical experts might be a useful way to promote clinical reasoning. To study from clinical experts is to study their experiences. The increasing store of experiences results in more schemata formation. Merriënboer et al. described learning as the construction and automation of such schemata [8].



적절한 교육이 초보자를 전문가로 만든다.

Proper instruction helps novices become experts


교육자는 언제나 암기의 부담을 줄이고, 학생이 배우기 쉽도록 정보를 논리적 순서로 통합하기 위해 노력한다. worked example는 초보자에게 좋은 방법 일 수 있습니다. 여기에는 실제 작업 과정을 설명하는 것이 아니라 실제 작업 과정을 표현하는 과정이 포함됩니다. Worked example을 제공하면, 거기에는 경험이 포함되어있다. 모방은 가장 낮은인지 부하로 학습하는 좋은 방법입니다. 예제를 먼저 주고 그 이유를 설명하는 것은 합리적인 방법이다.

Educators are always looking for ways to lower the burden of remembering and trying to integrate information into a logical order that is easy for students to learn. Worked examples may be a good method for novices. This involves presentation of a real task process rather than just explaining how it works. When giving worked examples, the experience is contained. Imitation is a good way of learning with the lowest cognitive load. It is reasonable to give an example first and then explain why.


의학 교육에서 임상 추론 전략 훈련을 통해 조직화된 지식을 형성하는 것은 쉽지 않다. 그러나 캘거리 대학 (University of Calgary)의 의학부 (UCFM)의 교육자들은 이것을 달성하기 위해 worked example이라는 아이디어를 사용했습니다. 그들은 developed scheme을 사용하여 의대생과 함께 전문가의 경험을 공유했다 [3,50]. 1991 년까지 임상 표현 커리큘럼 (CPC)을 사용할 준비가되었으며 120 건의 임상 표현으로 구성되었습니다 [50].

In medical education, it is not easy to form organized knowledge through clinical reasoning strategy training [44]. However, educators at the University of Calgary’s Faculty of Medicine (UCFM) used the idea of worked examples to achieve this. They shared the experience of experts using developed schemes with medical students [3,50]. By 1991, the clinical presentation curriculum (CPC) was ready for use and consisted of 120 clinical presentations [50].


1998 년 UCFM 교육 담당자는 CPC 사용 분석을 수행했습니다. 그들은 동일한 작업량에도 불구하고 다른 교육 과정보다 스트레스가 적다는 것을 발견했다.

In 1998, educators from UCFM carried out an analysis of the use of CPC. They found that it generated less stress than other curricula, despite an equivalent workload [51].


Worked example은 진단 지식을 길러줄 수 있다 [54]. 반 덴 버지 (van den Berge) 외. ECG (electrocardiograms)의 예를 연구 한 초보자가 유지 테스트에서 더 잘 수행되었음을 보여주었습니다 [55].

Worked examples can foster diagnostic knowledge [54]. van den Berge et al. showed that novices who studied worked examples of electrocardiograms (ECG) performed better on a retention test [55].


PBL로 돌아가서, 우리는 이 접근법이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되고 있음을 주목합니다. 의학 교육에서 PBL은 HDR 능력을 향상시키는 데 적합한 방법으로 간주되며 많은 교과 과정에서 구현되었습니다 [58]. PBL은 exploration을 장려하는 방법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지만, 많은 학자들은 의학 교육에서의 재사용이 재검토가 필요하다고 주장한다.

Returning to PBL, we note that this approach has been used in a range of different areas. In medical education, PBL is considered an appropriate way to promote HDR abilities and it has been implemented in many curricula [58]. PBL has been widely used as a way to encourage exploration, but many scholars argue that its use in medical education needs reconsideration [9].


오늘날 전 세계 의과 대학에서 사용되는 PBL 커리큘럼이 많이 있습니다. PBL 커리큘럼은 일반적으로 사전에 제공되는 가이드는 최소화된 상태에서, 실제 임상 상황을 시뮬레이션한 시나리오를 제공합니다. PBL은 학생 중심의 능동적 학습 활동으로서, 자율적 학습을 촉진하려는 의도가 있다[3]. 그러나 PBL이 전통적인 커리큘럼보다 학생들의 퍼포먼스를 더 높일 수 있다는 증거는 없습니다. 이것은 PBL의 부적절한 구현 때문일 수 있습니다.

Today there are still many PBL curricula used in medical schools around the world. A PBL curriculum will typically give simulated scenarios of real clinical work, with minimal guidance given beforehand. It is a student centered active learning activity which strives to promote self-study [3]. However, there is no evidence to show that PBL students perform better than students following a traditional curriculum. This may be because of the inappropriate implementation of PBL.


초심자는 지식을 아직 습득하지 못했다. 그들은 프로세스를 완수하기에는 지식이 부족합니다. 의학 교육의 초기 단계에서 기초 과학 및 전임상 코스가 학습의 주요 구성 요소입니다. 그 단계에서 지식을 암기하는 것은 중요한 역할을합니다. 해부학, 병리학, 생리학 및 생화학 분야에는 많은 양의 새로운 정보가 있습니다. 정보량이 크기 때문에 작업이 어렵습니다 [10]. 이 단계(기초의학)에서 PBL을 사용하는 것은 내재적 부하를 줄일 수 없습니다. 오히려 요소 간의 상호 작용이 높은 HDR이 외래적 인지 부하를 증가시킬 수 있습니다. 이것은 PBL 학생들이 기초 과학에서 낮은 점수를 얻는 이유를 설명 할 수 있습니다 [29].

Novices have yet to acquire this knowledge. They lack the knowledge to complete the process. In early stages of medical education, basic science and preclinical courses are the main components of learning. Memorizing knowledge plays an important role at that stage. There is a large amount of new information in anatomy, pathology, physiology and biochemistry. The task is difficult because of the high volume of information [10]. Using PBL at that stage cannot reduce the intrinsic load. HDR with high interactivity of elements might even increase the extraneous cognitive load. This could explain why PBL students achieve lower scores in basic science [29].


시니어 의대생의 경우, 상황이 상당히 다릅니다. 특히 인턴십을 시작할 때 특히 그렇습니다. 고학년 학생들은 초보자들보다 더 많은 지식을 가지고 있으며, 주니어 학생들보다 임상 문제에 더 많이 노출 될 것입니다. 시니어 학생들에게 스키마의 형성 (전문 지식의 증가)은 내적인지 부하를 감소시킬 수 있기 때문에, 부분적 또는 최소한의 guided instruction은 시니어 의대생 또는 레지던트에게 효과적 일 수있다.

For senior medical students, the situation is quite different, especially when they begin their internships. Senior students have more relative knowledge than novices, and they will be exposed to more clinical problems than their junior peers. As formation of schemata (increasing expertise) can reduce the intrinsic cognitive load, partially or minimally guided instruction can be effective for senior students and residents under supervision [16].


Conclusion


인지 부하 이론에 따르면, 해부학이나 병리학과 같은 과목의 내재적 인지 부하는 주로 많은 양의 새로운 정보에 기인합니다. 외부적 인지부하를 감소시키는 방법은 이러한 경우 효과적이지 않을 수 있습니다. LTM에 더 많은 정보를 저장하는 것이 유일한 실현 가능한 해결책 일 수 있습니다. 인지 부하가 ​​높을 때 학습이 어려워진다. 부적절한 교육 방법의 사용은 또한 외부적 인지부하를 증가시킬 수 있습니다. 인지 부하가 ​​WMC를 초과하면 학습 프로세스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칩니다. 이 논문에서 설명한 장기 시스템 커리큘럼의 실패는 이러한 음성 과부하 효과의 예를 제공합니다.

According to cognitive load theory, the intrinsic cognitive load of subjects like anatomy or pathology originates mainly from the large volume of new in-formation. Methods to decrease extraneous cognitive load might not be effective in the case of these subjects. To store more information in LTM might be the only feasible solution. Learning challenges will increase when cognitive load is high. Inappropriate use of educational methods can also increase the extraneous cognitive load. When cognitive load exceeds WMC, it will negatively affect the learning processes. The failure of the organ-system curriculum described in this paper gives an example of this negative overloading effect. 


마찬가지로, PBL의 부적절한 사용은 동일한 결과로 이어질 것입니다. 이러한 커리큘럼은 매력적이고 혁신적이지만 효과적이지는 않습니다. 임상 추론은 내재적 인지부하가 ​​높은 복잡한 과정입니다. 전문가는 초보자와 비교할 때 임상 적 추론에 능숙합니다. 우리는 이것이 그들의 경험으로 인한 것이라고 강조했습니다. 우리는 전문가들이 학생들의 학습을 돕기 위해 학생들을 위해 worked example를 개발한 스키마의 적용에 대해 설명했습니다.

Similarly, the inappropriate use of PBL will lead to the same outcome. These curricula seem attractive and innovative, but are not effective. Clinical reasoning is a complex process with a high intrinsic cognitive load. Experts are skilled at clinical reasoning when compared with novices. We have emphasized that this is because of their experiences. We described the application of such schemata where experts have developed worked examples for students to facilitate their study.


완전히 PBL만 사용하는 것은 의학 교육에서는 권장되지 않지만, 시니어 학생들이 탐구와 자율 학습을 용이하게하기위한 보완적인 접근 방법으로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습니다.

Although the full use of PBL is not recommended in medical education, it could be effectively used as a supplementary approach with senior students to facilitate their exploration and self-study.


47. Blissett S, Cavalcanti RB, Sibbald M: Should we teach using schemas? Evidence from a randomised trial. Med Educ 2012, 46(8):815–822.




 2014 Apr 14;14:79. doi: 10.1186/1472-6920-14-79.

Using cognitive theory to facilitate medical education.

Author information

1
Division of Gastroenterology and Hepatology, Ren Ji Hospital, School of Medicine, Shanghai Jiao Tong University, Shanghai Institute of Digestive Disease, 160# Pu Jian Road, Shanghai, China 200127. zhihuaran@vip.163.com.

Abstract

BACKGROUND:

Educators continue to search for better strategies for medical education. Although the unifying theme of reforms was "increasing interest in, attention to, and understanding of the knowledge base structures", it is difficult to achieve all these aspects via a single type of instruction.

METHODS:

We used related key words to search in Google Scholar and Pubmed. Related search results on this topic were selected for discussion.

RESULTS:

Despite the range of different methods used in medical education, students are still required to memorize much of what they are taught, especially for the basic sciences. Subjects like anatomy and pathology carry a high intrinsic cognitive load mainly because of the large volume of information that must be retained. For these subjects, decreasing cognitive load is not feasible and memorizing appears to be the only strategy, yet the cognitive load makes learning a challenge for many students. Cognitive load is further increased when inappropriate use of educational methods occurs, e.g., in problem based learning which demands clinical reasoning, a high level and complex cognitiveskill. It is widely known that experts are more skilled at clinical reasoning than novices because of their accumulated experiences. These experiences are based on the formation of cognitive schemata. In this paper we describe the use of cognitive schemata, developed by experts as worked examples to facilitate medical students' learning and to promote their clinical reasoning.

CONCLUSION:

We suggest that cognitive load theory can provide a useful framework for understanding the challenges and successes associated with education of medical professionals.

PMID:
 
24731433
 
PMCID:
 
PMC3989791
 
DOI:
 
10.1186/1472-6920-14-79


인지부하이론의 진화와 의학교육에의 적용(Perspect Med Educ, 2015)

The evolution of cognitive load theory and its application to medical education

Jimmie Leppink · Angelique van den Heuvel




도입

Introduction 


의료 영역은 복잡한 지식 영역입니다. 진단을 내리는 것은 의료 종사자가 환자 자신, 이전에 환자를 본 동료 종사자, 환자의 의료 기록 및 이와 유사한 환자의 경우와 같이 여러 출처에서 검색 한 정보를 처리하고 통합 할 것을 요구합니다. 이것은 인지부하이론 (CLT)이 정확히 무엇인지에 대한 것입니다. 학습이라는 프로세스는 새로운 정보가 소화되어 이미 저장된 기억에 관련되고, 장기 기억 내에 조직화되는 것이며, 그 결과 더 정교하고 광범위한 지식 기반을 갖추게 된다.

The medical domain is a complex knowledge domain. The making of a diagnosis requires medical practitioners to process and integrate information that is retrieved from multiple sources, such as the patient him or herself, fellow practitioners who have seen the patient before, the patient’s medical records, and similar patient cases. This is precisely what Cognitive Load Theory (CLT) is about: the process called learning whereby new information is digested and related to knowledge already stored and organized in longterm memory, the result of which is a more elaborate and extensive knowledge base [1].




그러나 역사는 학습이 자연스럽게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라는 것을 알려주었다. 보다 구체적으로 말하면, 처리해야 할 새로운 정보의 복잡성 정도그 정보가 제시되는 방식에 크게 의존하고있는 것으로 보입니다. 이러한 연결을 더 잘 이해하려면 이 리뷰를 통해 작업 메모리와 장기 기억의 앙상블로 간주되는 메모리의 광범위한 작동을 파악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작업기억은 새로운 정보 요소가 처음 수신되는 곳이며, 

  • 장기기억은 처리 된 정보가 저장되고 인지 체계로 조직화되는 보관소이다.

History has taught, however, that learning does not just come about naturally. More specifically, it appears to be heavily reliant on two factors, that is, the degree of complexity of the new information to be processed, and the way in which that information is presented. To better apprehend these connections, it is important to grasp the broad workings of memory, which, throughout this review, are regarded as the ensemble of working memory and long-term memory, the former being the place where new information elements are initially received and processed, the latter being the depository where processed information is stored and organized into cognitive schemas.


CLT의 존재 이유는 작업 기억이 용량과 지속 시간 모두에 제한되어 있다는 것을 지적 할 때 의미가 있습니다. 다양한 경험적 연구에서 공통된 발견은: 작업기억은 한 번에 몇 가지 새로운 정보 요소 만 처리 할 수 ​​있습니다. 또한 현실적인 상황에서 작업 기억에 남을 수 있는 시간은 20초 이내이다. 이론의 핵심은, 가능한 한 효율적으로 사용 가능한 자원을 활용할 수 있도록 메모리 프로세스를 설명하는 것입니다. 이 프레임 워크의 핵심은 총 작업 메모리 부하와 같은 개념으로, 정신적 노력이나 인지 부하와 동등하며 동시에 처리되어야하는 정보 요소의 수에 의해 결정됩니다. 

  • 정보가 제공되는 방식을 다루는 데 추가적 작업 메모리 용량이 필요하다는 것은 말할 필요도 없으며, 이를 외재적 인지 부하라고 한다. 

  • 이로 인해서 정보의 본질적 내용을 다루는 데 필요한 작업 메모리 용량이 줄어드는데, 이것을 내재적 인지부하라고 하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CLT’s raison d’être will start to make sense when pointing out that working memory is limited both in capacity and duration, a finding that has found resonance in various empirical studies: only a few new information elements can be processed at a time, which elements, moreover, can— under realistic circumstances—be held in working memory for less than 20 s [2, 3]. The theory’s key remit, then, is to explain our memory processes in such a way that the available resources can be wielded as effectively as possible. Central stage in this framework are concepts such as total working memory load, which is tantamount to mental effort or  cognitive  load [4,  5] and is determined by the number of information elements that need to be processed simultaneously [1]. It goes without saying that the more working memory capacity is required for dealing with the way in which information is presented—a concept coined extraneous cognitive load [6]—the less working memory capacity remains for dealing with the intrinsic content of information—hereinafter referred to as intrinsic cognitive load [7, 8]—and vice versa. 



어떻게 CLT가 진화하였는가

How CLT has evolved


CTL는 작업기억의 용량과 지속기간이 제한된다는 개념을 중심으로 한다.

As was pointed out in the foregoing, CLT revolves around the notion of a working memory that is limited in capacity and duration [1–3].


CLT원칙의 경험적 근거

Empirical evidence for CLT principles



CLT 원칙을 뒷받침하는 경험적 발견은 네 가지 유형의 측정에서 비롯됩니다. 

  • (1) 작업 수행 정확도 [9-11] 또는 작업 수행에 필요한 시간 [12,13]을 통한인지 부하의 간접 측정. 

  • (2) 이중 작업 성과 측정 [14, 15]; 

  • (3) 기능적 자기 공명 영상 (fMRI) [16] 또는 특정 뇌 심전도 (EEG) [17,18] 또는 안구 추적 변수 [19]와 같은 생체 측정. 

  • (4) 주관적 평가 척도 [4, 20, 21].

Empirical findings supporting CLT principles come from four types of measures: 

  • (1) indirect measures of cognitive load through task performance accuracy [9–11] or time needed for task performance [12, 13]; 

  • (2) dual-task performance measures [14, 15]; 

  • (3) bio-measures such as functional magnetic resonance imaging (fMRI) [16] or specific electroencephalographic (EEG) [17, 18] or eye-tracking variables [19]; and 

  • (4) subjective rating scales [4, 20, 21].


간접적 측정은 외재적 또는 내재적 인지 부하에 의해 더 많은 용량이 사용되는 경우 작업 메모리 용량이 줄어든다는 이전 주장을 서포트한다

Indirect measures have provided support for the previous assertion that less working memory capacity remains if more capacity is taken up by either extraneous or intrinsic cognitive load.


특히 초보자들 사이에서는 문제 해결 검색에 참여하는 것은 외래인지 부하에 영향을 미치므로 내적인지 부하를 처리 할 여지가 적어지고 결과적으로 덜 정확한 작업 수행 또는 작업 수행에 필요한 시간 증가로 이어집니다.

Especially among novice learners, engaging in problem-solving search contributes to extraneous cognitive load, leaving less room for dealing with intrinsic cognitive load, resulting, in turn, in less accurate task performance or an increase in time needed for task performance.


외래인지 부하가 최소화되어도 내재 인지 부하를 과도하게 필요로 하게 되는 상황에서는 - 논리적으로 그러하듯 - 오류율이 증가하면서 전반적 인지 부하가 증가하고, 아마도 인지적 과부하가 발생합니다.

Excessive administration of intrinsic cognitive load, even with extraneous cognitive load being kept to a minimum, resulted in a very high overall cognitive load—and perhaps cognitive overload—with an increase in error rates as a logical consequence.


이중 작업 연구에서 참가자는 기본 작업과 일반적으로 기본 작업과 관련없는 보조 작업을 동시에 수행하도록 지시받습니다.

dual-task studies, participants are instructed to simultaneously perform a primary task and a secondary task that is typically unrelated to the primary task.


생체 측정을 ​​사용하는 연구는 늘 가능한 것은 아니며, 이것이 왜 지금까지 이 방법이 잘 사용되지 않아왔는지에 대한 논리적 인 설명을 제공한다.

Researchers using bio-measures is not always feasible, which provides a logical explanation for their infrequent use so far.


학습자가 경험하는 인지 부하을 측정하는 주관적인 평가 척도는 사용하기가 훨씬 쉬우 며 문헌에서 자주 접하게됩니다. 첫 번째 규모는 1990 년대 초반에 9 점 1 차원 정신적 노력 평가 등급으로 나타났습니다 [4]. 이 척도의보다 포괄적 인 변형은 NASA 작업 부하 지수 (TLX) [27]에 의해 나타낼 수 있는데, 정신적, 육체적, 시간적 요구, 자신의 성과, 노력과 좌절의 다섯 가지 측면을 포착하려고 합니다.

Subjective rating scales that measure cognitive load experienced by the learner are much easier to use and frequently encountered in the literature. The first scale made its appearance in the early 1990s in the form of a 9-point one-dimensional mental effort rating scale [4]. A more inclusive variation of this scale may be represented by the NASA task load index (TLX) [27], which seeks to capture five dimensions: mental, physical and temporal demands, own performance, and effort and frustration.



지금까지 의존해온 2-요인 프레임 워크는 인지부하의 증가가 학습을 뒷받침 할 수 있다는 생각을 지지하지 않는 것으로 보입니다. 따라서 세 번째 유형의 인지 적 부하가 관련되어 있다는 것이 그럴듯하게 보였습니다. 어떤 종류의 방법은 학습에 유익했습니다. 이 개념은 본유적 인지 부하로 알려져왔다 [28].

The two-factor framework one had relied on so far, did not appear to hold when considering that in some cases an increase in cognitive load could bolster learning. It therefore appeared plausible that a third type of cognitive load was involved, which in some sort of way was beneficial to learning. This concept came to be known as germane cognitive load [28].


지금까지 각각의 인지부하의 존재는 대체로 이론적이었습니다. 인지 부하를 측정하려는 시도는 많았지 만 이들 중 어느 것도 각 인지 부하를 개별적으로 측정하려고 시도하지 않았습니다.

So far, the existence of distinct types of cognitive load had been largely theoretical; although attempts to measure cognitive load had been plentiful, none of these had sought to measure each cognitive load separately.



서로 다른 유형의 인지부하를 측정하려는 노력

Attempts to measure the distinct types of cognitive load


이 시점에서 CLT는 다음의 두 가지 가정에 기반한다

(1) 외래인지 부하는 최소한으로 유지되어야한다.

(2) 내재적 인지 부하가 ​​특정한 수준에 이르렀을 때에만 본유적 인지 부하가 ​​발생할 수있다 [28]. 

이러한 믿음에 비추어 볼 때, 세 번째 유형의인지 부하가 ​​어떻게 제한된 작업 기억으로 흡수 될 수 있는지, 그리고 더 중요한 것은 특정 인지 부하가 ​​어떻게 정량화 될 수 있는지에 대한 의문이 제기되었습니다.

At this point, CLT rested on the assumptions that 

(1) extraneous cognitive load should be kept to a minimum; and 

(2) germane cognitive load could arise only if intrinsic cognitive load had reached a specific level [28]. In view of these beliefs, the question arose as to how a third type of cognitive load could be assimilated into a limited working memory, and more importantly, how each of the specified cognitive loads could be quantified.



어떤 연구도 소위 효과를 expertise reversal effect 설명해주지 못했다 [34,35]. 간결하게 말하자면, 초보 학습자에게 도움이 되는 학습 과제에 대한 교육 지원은, 학습자가 더 능숙해지면 효율성을 잃어 버리거나 심지어는 해가 될 수 있습니다.

none of the studies could address the so-called expertise reversal effect [34, 35]. Succinctly put, instructional support in a learning task that is beneficial for novice learners loses its effectiveness or even becomes detrimental as learners become more proficient in that type of task.


불행하게도, 이러한 개념적이고 방법론적 인 문제는 대부분 인식 할 수 없게되었고 대신에 이전의 원칙으로 돌아가는 것이 임박한 것으로 간주되었다 [36-38]. 본유적 인지 부하는 내재적 인지 부하의 하위 유형으로 재 개념화되어 2-요인 (내재적 / 외재적 인지 부하) 체계로 되돌아가는 탄원을 가져왔다.

Unfortunately, these conceptual and methodological issues were left largely unrecognized and, instead, a return to former principles was deemed imminent [36–38]. Germane cognitive load was reconceptualised as a subtype of intrinsic cognitive load, resulting in a plea for a move back to a two-factor intrinsic/extraneous cognitive load framework.


2 개의 추적 연구 [21]는 본유적 인지 부하 요인에 대한 더 이상의 증거를 제시하지 못했다. 그러므로 이 도구의 3 가지 요소는 내적인지 부하, 외래인지 부하 학습에 대한 주관적 판단으로 해석되어야한다고 제안되었다. 표 1은 내재적인지 부하 (항목 1-4)와 외부의인지 부하 (항목 5-8)를 각각 반영하는 8 가지 항목의 설문지를 나타낸다. 설문지는 항목 4와 8 없이도 사용될 수있다 [20-22].

two follow-up studies [21] failed to provide further evidence for the germane cognitive load factor. It was therefore suggested that the three factors in the instrument be interpreted to represent intrinsic cognitive load, extraneous cognitive load, and a subjective judgment of learning [21, 22]. Table 1 presents the eight items of the questionnaire that reflect intrinsic cognitive load (items 1–4) and extraneous cognitive load (items 5–8) respectively; the questionnaire can also be used without items 4 and 8 [20–22].


표1



2-요인 내재적/외재적 부하이론 프레임워크

A case for a two-factor intrinsic/extraneous cognitive load framework


CLT의 요지를 다시 말하자면 사실상 학습은 내재적 인지 부하를 다루는 것을 중심으로 이루어집니다 [22, 39]. 과제의 정보 요소의 수를 감안할 때, 학습에 익숙한 학습자는 초보자보다 더 낮은 내재적 인지 부하를 경험하게 될 것입니다. 왜냐하면 과제의 정보 요소 중 일부는 이미 숙달 된 학습자의 인지 스키마에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처리할 새로운 요소의 수가 줄어든다. 학습자의 스키마에 아직 포함되지 않은 더 많은 정보 요소를 포함하는 과제를 제공하면 더 높은 내재적인지 부하가 ​​부여됩니다.

To rephrase the gist of CLT, learning in fact revolves around dealing with intrinsic cognitive load [22, 39]. Given the number of information elements in a task, a more proficient learner will experience a lower intrinsic cognitive load than a novice learner, because some of the information elements in the task are already part of the cognitive schema of the more proficient learner, leaving fewer new elements needing to be processed. Providing learners with a task that comprises more information elements that are not yet part of their schemas will impose a higher intrinsic cognitive load on their minds.



  • 우리가 전에 보았 듯이, 내재적 인지 부하가 심해지면 이익보다 더 해를 끼칠 수 있습니다. 보다 정확하게는 내재적 인지 부하와 외재적 인지 부하의 합계가 작업 기억 용량을 넘어서버리면, 새로운 지식 요소를 기존 지식에 통합할 수 있을 것이라고 합리적으로 기대할 수 없다. 

  • 내재적 인지 부하가 너무 적은 경우에도 똑같은 사실이 드러난다. 이미 가지고있는 지식에 비추어 학습자가 작업을 매우 쉽게 수행 할 때 학습보다는 지루함을 느낀다.

이것을 확장하면, 우리는 제한된 작업 메모리에 대해 추가적으로 본유적 인지 부하를 동화시키는 방식을 상상해보기가 그리 쉽지 않다. 이전에 언급 된 모든 조건을 충족하는 2-요인 프레임 워크는 훨씬 더 그럴듯 해 보입니다. 특히 본유적 인지 부하의 개념이 실제로 경험적 연구에서 지원을 찾지 못했다고 생각하면 특히 그렇습니다. 따라서 두 요소 프레임 워크는 논리적 출발점입니다. 지금까지 얻은 통찰력이 어떻게 의학 교육 설계 및 연구에 정보를 제공 할 수 있는지이 논문의 나머지 주제에서 다루고 있습니다.

  • As we have seen before, excessive administration of intrinsic cognitive load can do more harm than good. More precisely, when the sum of intrinsic and extraneous cognitive load exhausts working memory capacity, it cannot reasonably be expected that any integration of new information elements into existing knowledge will occur. 

  • The same holds true for trivial administration of intrinsic cognitive load: when tasks are made very easy for learners in the light of the knowledge they already possess, boredom may prevail over learning [42]. 

By extension, we have seen that the assimilation of an additional germane cognitive load into a limited working memory was not so easy to envisage. A two-factor framework that meets all the conditions previously addressed seems much more plausible, especially so if one considers that the concept of germane cognitive load has never really found support in empirical research. The two-factor framework is therefore a logical starting point from which to proceed. How insights yielded so far can inform medical education design and research is the topic of the remainder of this paper.


어떻게 의학교육 디자인에 CLT가 도움이 되는가?

How CLT can inform medical education design



첫째, 외부 인지 부하을 최소화해야합니다.

둘째, 내적 및 외적인지 부하의 합은 작업 기억 용량을 넘어서서는 안된다.

셋째, 의학 교육은 학습자가 가용 작업 기억 자원을 내적 인지 부하에 할당하도록 자극하도록 설계되어야한다.

Firstly, extraneous cognitive load should be kept to a minimum. 

Secondly, the sum of intrinsic and extraneous cognitive load should not exhaust working memory capacity. 

Thirdly, medical education should be designed such that it stimulates learners to allocate their available working memory resources to dealing with intrinsic cognitive load.



외래인지 부하를 줄이기위한 6 가지 전략

Six strategies for reducing extraneous cognitive load


1. 풀이 과정이 제시된 예제의 사용.

1. Use worked examples.


학습자가 예제를 공부하라는 지시와 함께 문제 해결의 상세한 사례를 제공하면 학습자가 문제를 자발적으로 해결하려고 시도 할 때 문제 해결 검색을 줄여줍니다. 이것은 또한 그룹 활동의 형태를 취할 수 있으므로 학습자가 서로 보완 할 수있어 지식 기반을 극대화 할 수 있습니다 [44].

Providing learners with a detailed example of a problem that has been solved with the instruction to study the example carefully reduces the problem-solving search learners would have to engage in when attempting to solve that problem autonomously. This can also take the form of a group activity, so that learners can complement each other, maximizing their knowledge base in a less demanding fashion [44].


2. 빈칸 채우기 과제 사용

2. Use completion tasks.


worked example에서 자율적 문제 해결로 전환하는 과정은 [학습자가 해결 된 솔루션 단계를 연구]하고 [나머지 단계를 독립적으로 완료해야하는 부분적으로 수행 된 예제], 즉 빈칸 채우기 작업을 사용하여 촉진 할 수 있습니다 [45]. 이러한 작업은 수술 도중에도 의대생이 외과 수술을 관찰하고 특정 부분 만 수행하는 등의 방식으로 시행 될 수 있습니다 [43].

The transition from worked examples to autonomous problem solving can be facilitated through the use of either partially worked examples or completion tasks that require the learner to study the solution steps worked out and independently complete the remaining steps [45]. Such a task could also be effected during surgery, having medical students observe a surgical operation and perform only a specific part of it [43].


3. 구체적이지 않은 목표로 시작하세요

3. Start with non-specific goals.


초보 학습자는 문제에 대한 명확한 해결책을 찾기 위해서 problem-solving search를 수행해야 하며, 이것은 비-구체적 목표를 가진 학습과제를 제시함으로써 줄어들 수 있다. 예를 들어, 학습자들에게 '이러한 증상에 대한 가장 가능성있는 인과 관계 설명을 찾도록 요청하는 것' 대신, '이러한 증상에 대한 많은 병인학적인 설명을 가능한 한 많이 찾아 보도록'[43]함으로써, 그들은 힘든 과제나 명확한 해결책을 찾는 과제에서 오는 어려움을 겪는 대신, 지식기반을 확장하는 쪽으로 유도할 수 있다.

Having to find a definite solution to a problem requires novice learners to engage in a problem-solving search that can be reduced by first confronting learners with learning tasks that have a non-specific goal. For instance, by asking learners to ‘find as many aetiological explanations for these symptoms as you can’ instead of asking them to ‘find the most probable aetiological explanations for these symptoms’ [43], they are encouraged to extend their knowledge base without being encumbered with the more strenuous task of finding a definite solution.


4. 주의 분산을 지양하라

4. Avoid split attention.



공간이나 시간으로 나누어 진 여러 출처 사이에주의를 나누면 학습자는 작업 메모리에 정보를 보유하면서 정보를 처리하려고합니다. 예를 들어, 

    • 온라인 학습 환경의 출현으로 학습자가 웹 페이지의 일부를 앞뒤로 스크롤하고 새로운 정보를 처리하면서 페이지의 다른 부분에서 정보를 이해하는 데 필요한 공간적 주의 분산을 피해야합니다 또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습니다. 

    • 마찬가지로 우리는 의대생에게 실제로 어떤 장비를 사용하는 때가 아니라, 그보다 이전에 장비를 사용하는 방법에 대한 지침을 제공하는 것과 같은 시간적 주의 분산을 피하는 것이 좋습니다. [46].

Having to divide attention between multiple sources that are divided in either space or time forces learners to attempt to process information while holding information in their working memory. 

    • For instance, with the advent of online learning environments, we should avoid spatial split attention from learners having to scroll back and forth between parts of a webpage, attempting to process new information while holding information from another part of the page that is needed to understand or solve a problem. 

    • Likewise, we should avoid temporal split attention by providing medical students with instructions on how to use a piece of equipment right when they it instead of sometime before that [46].



5. 형식 경계를 유의하라

5. Respect modality boundaries.


시각적으로 가장 잘 표현할 수있는 정보는 구두로 전달되어서는 안됩니다. 또한, 어떤 상황에서는 학습자가 시각 정보만 받는 것 보다는, 청각 / 시각 프레젠테이션의 듀얼 모드가 더 최적일 수 있습니다 [47, 48]. 예를 들어, 특정 해부학 적 구조에 직면 한 학습자는 이러한 구조의 시각적 이미지와 함께 구두 설명을하는 것이 도움이 될 수 있지만 말로만 설명하면 유익한 효과가 없을 수 있습니다.

Information that could best be presented visually should not be transmitted verbally. Moreover, in some situations, learners may be served optimally by dual-mode auditory/visual presentations rather than visual-only presentations [47, 48]. For example, learners who are first confronted with specific anatomic structures may benefit from having a verbal explanation along with visual images of these structures, while verbal-only explanations may not have any beneficial effect.


6. 불필요한 중복을 피하라

6. Avoid redundancy.


단일 정보 소스만으로도 메시지를 전달할 수 있다면, 그 외의 추가 정보는 불필요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심장, 폐 및 신체를 통한 혈액의 흐름을 보여주는 다이어그램은 그 자체로 내용을 잘 설명해준다. 그러나 구두 설명이 수반되는 경우,이 프리젠 테이션 모드는 중복 효과 (redundancy effect)를 만들어 낸 것일 수있다.

If a single source of information suffices to get the message across, any further information may be redundant. For instance, a diagram of the flow of blood through the heart, lungs, and body may speak for itself; if, however, it is accompanied by verbal descriptions, this presentation mode may just bring about what has been coined a redundancy effect [43].



중복을 피하라는 전략을 제외하고, 이들 전략은 초보 학습자에게만 효과가있는 경향이 있습니다. 앞서 언급 한 전문 역전 효과 [34, 35]는 능숙한 학습자에게는 INSTRUCTIONAL SUPPORT가 불필요할 수 있고, 외래적 인지 부하를 줄이는 데 도움이 되기보다는 오히려 그것을 높인다고 지적한다.

With exception of the strategy aimed at avoiding redundancy, these strategies tend to be effective only for novice learners. The aforementioned expertise reversal effect [34, 35] indicates that instructional support may be redundant for more proficient learners and as such increase rather than decrease extraneous cognitive load.


따라서 외래적 인지적 부하를 최소로 줄이는 것 뿐만 아니라, 내재적 인지 부하를 가장 적정한 수준으로 높이는 것이 필요합니다. 외래적인 부담이 완화 될수록 내재적인지 부하를 처리할 공간이 더 커진다.

This is necessary not only to keep extraneous cognitive load to a minimum, but also to raise intrinsic cognitive load to the most favourable level: the more the extraneous burden is eased, the more scope remains for intrinsic cognitive load to be processed.



내재적 인지부하를 최적화하기 위한 세 가지 전략

Three strategies for optimizing intrinsic cognitive load


어던 학습 과제가 복잡한 것으로 간주되는지 여부는 과제에 대한 개별 학습자의 인지적 스키마에 달려 있습니다. 학습자가 의지할 지식이 적을수록 학습 과제는 더 복잡해질 것이고, 결과적으로 경험하게 될 고유의인지 적로드의 양은 더 커질 것입니다.

Whether a learning task is regarded as complex depends on the individual learner’s cognitive schema of this type of task. The less knowledge learners can fall back on, the more complex a task will be, and, consequently the greater the amount of intrinsic cognitive load they will experience.


1. 점차적으로 작업 복잡성을 증가시킵니다.

1. Gradually increase task complexity.


학습자가 발전하고인지 체계가 더욱 발전되면서 점점 더 복잡한 정보에 대처할 수있게되었습니다. 사실 그렇게 한다면 복잡한 작업도 점점 덜 복잡한 것으로 인식됩니다. 따라서 작업 복잡성을 점차적으로 높여갈 수 있습니다.

As learners progress and their cognitive schemas become more developed, they are increasingly able to cope with more complex information; in fact, complex tasks are then gradually perceived as less and less complex. Hence, task complexity can be gradually upgraded.


2. 점차적으로 작업 충실도를 높입니다.

2. Gradually increase task fidelity.


진단을 내리는 복잡한 작업을 염두에두고, 이것은 학습자가 텍스트 설명을 먼저 검토하고,이어서 컴퓨터로 구현 된 환자 또는 동료가 담당하는 환자와 작업 한 다음 더 전문적인 배우가 연주 한 시뮬레이션 환자로 이동하여 연습 할 수 있습니다. 인턴쉽에서 실제 환자들과 끝납니다 [43].

To call to mind the complex task of making a diagnosis, this could be practised by having learners first review textual descriptions, subsequently work with computersimulated patients or patients role-played by peers, then move on to simulated patients played by more professional actors, to end with real patients in an internship [43].


3. 학습과 평가는 동전의 양면입니다.

3. Learning and assessment are two sides of the same coin.


Lafleur와 동료 [40]는, 학습과 평가가 우리의 인지 시스템의 경계를 존중하는 한, 더 도전적인 평가 기준이 학습에 더 좋은 영향을 줄 수 있음을 보여줍니다. 더욱이, 적절한 평가 프로그램은 특정 과정에서 학습자를 자극 할뿐만 아니라 교과 과정을 넘어 학습을 촉진 할 수있다.

The experiment by Lafleur and colleagues [40] illustrates that more challenging assessment criteria can influence learning for the better as long as instruction and assessment respect the boundaries of our cognitive system. Moreover, a proper assessment programme may not only stimulate learners in a particular course, but also facilitate further learning, throughout a curriculum and beyond [49].





능숙한 학습자, 초보 학습자, 희망없는 학습자를 위한 모델

A model for the proficient, the neophyte, and the hapless


앞서 언급 한 전략은 의학 교육 설계에 대한 일관된 접근 방식으로 결합됩니다.이 접근법은 그림 1에서와 같이 입방체로 시각화 할 수 있습니다.

The aforementioned strategies come together in one coherent approach to medical education design: This approach can be visualized in a cube as in Fig. 1.




이 모델은 작업 충실도 (문헌에서 실제 환자까지), 작업 복잡성 (작업의 정보 요소 수) 및 교육 지원 (작업 예제에서 자율적 인 문제 해결까지)의 세 가지 차원을 구별합니다.

This model distinguishes three dimensions: 

    • task fidelity (all the way from literature to real patients), 

    • task complexity (the number of information elements in a task), and 

    • instructional support (all the way from worked examples to autonomous problem solving).




이 세 가지 차원은 함께 숙달 된 학습에 대한 세 가지 단계를 구성합니다. 

    • (1) 저 충실도의 복잡하지 않은 작업에 대한 높은 지원으로, 시작하고 학습자가 더욱 능숙 해짐에 따라 점차적으로 지원을 줄여나간다. 

    • (II) 충실도는 낮지만 복잡성이 높은 작업은 I를 반복합니다. 

    • (III) 다음 단계의 충실도에서 이 순서로 I 및 II를 반복한다.

These three dimensions together constitute three steps to proficient learning: 

    • (I) start with high support on low-fidelity low-complexity tasks and gradually fade that support as learners become more proficient; 

    • (II) repeat I for low-fidelity but higher-complexity tasks; and 

    • (III) repeat I and II in that order at subsequent levels of fidelity.




이것은 언어를 배우는 것과 같습니다. 간단한 단어 완성 작업으로 여전히 어려움을 겪고 있다면, 

It is like with learning a language. If one is still struggling with simple word completion tasks in a textbook, one cannot expect 

    • a more solid understanding of sentence patterns (low-fidelity task) that is needed to have 

    • a somewhat meaningful communication in that language with a teacher in class (medium-fidelity task) let alone 

    • for some meaningful communication in an everyday environment of native speakers (high-fidelity task).



미래 연구를 위한 제안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프레임워크 확장하기: 세 가지 고려할 요인

Expanding the framework: three factors to be considered


CLT는 3 가지 요인을 감안하면 더 확장 될 수 있습니다. 첫 번째 요인은 감정입니다. 보다 구체적으로 말하면 감정이 다양한 상황에서 정보를 처리하는 우리의 능력에 어떻게 영향을 미칠 수 있는지에 대한 질문은 대답 할만한 가치가 있습니다.

CLT could be extended further if three factors were taken into account, the first factor being emotion. More specifically, the question as to how emotions can influence our ability to process information in a variety of circumstances is one worthy of answering.


또 다른 요소는 평가입니다. CLT의 강조는 본질적으로 학습과 교육 이었지만, 최종 목적과 평가 기준이 우리가 실제로 학습에 참여하는 정도에 영향을 줄 수있는 방법을 다루는 데 덜 신경을 썼습니다.

Another factor the impact of which has been equally under-researched is assessment. While CLT’s emphasis has been essentially on learning and instruction, it has been less concerned with addressing how end terms and assessment criteria can affect the extent to which we actually engage in learning.


마지막으로, (의학 교육 디자인에 중요한) 내재적 및 외적인지 적 부하의 구분이다. 이는 단일 항목 측정으로는 이루어질 수 없으며 NASA TLX가 이러한 구분을하도록 어느 정도까지 도움이되는지는 분명하지 않습니다. 그러나 NASA TLX는 예를 들어 학습 절차 및 기술과 관련하여 표 1의 도구를 구축 할 때 고려할 때 연구자에게 영감을 줄 수 있습니다.


Finally, the distinction between intrinsic and extraneous cognitive load—which is crucial for medical education design—cannot be made by a single-item measure, and it is unclear to what extent the NASA TLX could help us to make that distinction. However, the NASA TLX could provide inspiration to researchers when considering for instance to build forth on the instrument in Table 1, especially in the context of learning procedures and skills.




Essentials


● 내적 및 외적인지 부하의 합이 작업 기억의 한계를 존중하고 학습이 내적인지 하중을 다루는 것을 감안할 때, 

외재적 인지 부하는 최소화하고, 내재적 인지 부화는 최적화되어야 한다.

● Given that the sum of intrinsic and extraneous cognitive load should respect the limits of working memory and learning is about dealing with intrinsic cognitive load, extraneous cognitive load should be minimized while intrinsic cognitive load should be optimized.


● 학습 지원은 초보 학습자에게는 외재적 인지 부하를 줄이지만, 능숙한 학습자들 사이의 외재적 인지 부하에 늘릴 수있다. 그러므로 학습자가 더 능숙 해짐에 따라 이러한 교육적 서포트는 점차 사라져야합니다.

● Instructional support that reduces extraneous cognitive load among novice learners may contribute to extraneous cognitive load among more proficient learners; this instructional support should therefore fade gradually as learners become more proficient.


●능숙한 학습자는 일종의 학습 과제에 대해보다 정교한인지 스키마를 가지므로 그 유형의 과제를 다룰 때 실력이 떨어지는 동료보다 낮은 내재적인지 부하를 경험합니다. 학습 과제의 복잡성은 학습자가보다 능숙 해짐에 따라 점진적으로 증가시킬 수 있다.

● More proficient learners have more elaborate cognitive schemas of a type of learning task and therefore experience a lower intrinsic cognitive load than their less proficient peers when dealing with a task of that type; learning task complexity should gradually increase as learners become more proficient.


● 실제 환자를 다루는 것과 같은 충실도가 높은 작업은 일반적으로 컴퓨터 시뮬레이션 환자 또는 진단의 텍스트 설명과 같은 충실도가 낮은 작업보다 어렵습니다. 학습 과제 충실도는 학습자가보다 능숙 해짐에 따라 점진적으로 증가시킬 수 있다.

● High-fidelity tasks such as dealing with real patients are generally more challenging than lower-fidelity tasks such as computer-simulated patients or textual descriptions of diagnoses; learning task fidelity should gradually increase as learners become more proficient.






 2015 Jun;4(3):119-27. doi: 10.1007/s40037-015-0192-x.

The evolution of cognitive load theory and its application to medical education.

Author information

1
Department of Educational Development and Research, Maastricht University, PO Box 616, 6200 MD, Maastricht, The Netherlands, jimmie.leppink@maastrichtuniversity.nl.

Abstract

Cognitive Load Theory (CLT) has started to find more applications in medical education research. Unfortunately, misconceptions such as lower cognitive load always being beneficial to learning and the continued use of dated concepts and methods can result in improper applications of CLT principles in medical education design and research. This review outlines how CLT has evolved and presents a synthesis of current-day CLT principles in a holistic model for medical education design. This model distinguishes three dimensions: task fidelity: from literature (lowest) through simulated patients to real patients (highest); task complexity: the number of information elements; and instructional support: from worked examples (highest) through completion tasks to autonomous task performance (lowest). These three dimensions together constitute three steps to proficient learning: (I) start with high support on low-fidelity low-complexity tasks and gradually fade that support as learners become more proficient; (II) repeat I for low-fidelity but higher-complexity tasks; and (III) repeat I and II in that order at subsequent levels of fidelity. The numbers of fidelity levels and complexity levels within fidelity levels needed depend on the aims of the course, curriculum or individual learning trajectory. This paper concludes with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based on this model.


피드백-탐색 행동 이해하고 장려하기: 문헌 고찰(Med Educ, 2013)

Understanding and encouraging feedback-seeking behaviour: a literature review

Michiel Crommelinck & Frederik Anseel





도입

INTRODUCTION


'내가 잘 하고 있나?'

‘How am I doing?’


피드백을 주는 것은 학습과 발달을 자극하기 위해 가장 널리 사용되는 심리적 개입 중 하나입니다.

Giving feedback is one of the most widely used psychological interventions to stimulate learning and development.1



많은 근로자와 학생들이 피드백 진공 상태에 빠지기 때문에, 피드백 추구 행동이 더욱 중요하다.

As many workers and students find themselves in a feedback vacuum,4 feedback-seeking behaviour has probably never been more important.



피드백 추구 행동이란 무엇입니까?

WHAT IS FEEDBACK-SEEKING BEHAVIOUR?


피드백 추구 행동은 [가치를 두는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행동]의 정확성과 적절성을 결정하기 위해 의식적으로 노력하고 헌신하는 것으로 정의 할 수 있습니다 .2이 정의에서 피드백 추구는 목표 지향적 행동을 구성합니다. 피드백 추구를 통해 개인은 기술 개발, 좋은 성과, 승진과 같은 가치있는 최종 상태를 달성 할 수있는 기회를 향상시키는 것을 목표로 삼습니다.

Feedback-seeking behaviour can be defined as the conscious devotion of effort towards determining the correctness and adequacy of one’s behaviours for attaining valued goals.2 From this definition, it follows that feedback seeking constitutes goal-oriented behaviour. Through feedback seeking, individuals aim to improve their chances of attaining valued end states, such as skill development, good performance or promotion.




왜 피드백-탐색 행동이 중요한가?

WHY DOES FEEDBACK-SEEKING BEHAVIOUR MATTER?


이 논문의 핵심 전제는 피드백-탐색이 개개인에게 도움이 된다는 것이다.

The key premise in this article is that feedback seeking benefits individuals.


퍼포먼스

Performance


여러 연구에서 피드백 추구 행동이 업무 성과에 긍정적 인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Several studies have documented positive effects of feedback-seeking behaviour on job performance.


부정적 피드백을 탐색하는 행동은 관리자와 부하 직원 모두에서 높은 성과 평점과 관련이 있다.

For both managers and subordinates, negative feedback-seeking behaviour tends to be associated with higher performance ratings.6,7


학습과 창의성

Learning and creativity


피드백은 학습의 중요한 결정 인자입니다 .8

Feedback is an important determinant of learning.8


야나기자와 (Yanagizawa)는 피드백을 탐색하는 사람들은 그렇지 않는 사람들보다 목표 달성 및 학습이 더 뛰어나다는 것을 발견했다.

Yanagizawa9 found that individuals who more frequently sought feedback demonstrated higher goal attainment and learning compared with individuals who sought feedback less frequently.


피드백은 창의적 행동에도 중요합니다. 피드백을 통해 개인은 창의력 관련 기술을 개발하고 아이디어에 대한 새로운 시각을 얻을 수 있습니다.

Feedback is also important for creative behaviour.11 Through feedback seeking, individuals can develop creativity-relevant skills and gain fresh perspectives on their ideas.


적응과 사회화

Adaptation and socialisation


피드백 추구 행동은 개인 적응을 위한 유용한 자원으로 여겨졌다. 연구자들은 피드백을 자주 탐색하는 조직의 newcomer가 새로운 사회 환경에서 더 잘 통합된다는 것을 보여주었습니다 .13 또한 새로운 조직에서 첫 달에 피드백을 찾는 개인 조직에서 자신의 역할에 대해보다 정확하고 명확하게 파악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피드백 추구 행동은 직무 만족도 향상, 이직 의도 저하, 실질적 turnover를 낮추는 것과 관련이 있습니다 .15,16


Feedback-seeking behaviour has been regarded as a useful resource for individual adaptation.2 Studies have shown that newcomers in organisations who frequently seek feedback integrate better in their new social environment.13 In addition, individuals who seek feedback in their first months in a new organisation tend to have a more accurate and clearer view of their role in the organisation.13,14 Finally, feedback-seeking behaviour has been linked to higher job satisfaction, less intention to leave the organisation and lower actual turnover.15,16



ASPECTS OF FEEDBACK-SEEKING BEHAVIOUR


연구는 피드백 추구의 5 가지 주요 측면에 초점을 두었습니다 : 

  • (i) 피드백을 얻는 데 사용 된 방법; 

  • (ii) 피드백 추구 행동의 빈도; 

  • (iii) 피드백을 탐색하는 시기; 

  • (iv) 피드백을 요청하는 대상의 특성, 

  • (v) 피드백을 요청하는 주제.

Research has focused on five key aspects4 of feedback seeking: 

  • (i) the method used to obtain feedback; 

  • (ii) the frequency of feedback-seeking behaviour; 

  • (iii) the timing of feedback seeking; 

  • (iv) the characteristics of the target of feedback seeking, and 

  • (v) the topic on which feedback is sought.


첫째, 피드백은 두 가지 방법, 즉 요청 또는 모니터링을 통해 얻을 수 있습니다 .3 

Firstly, feedback can be sought through two methods: inquiry and monitoring.3 


피드백을 위해 다른 사람 (예 : 감독자 또는 동료)에게 직접 질문하는 것은 요청inquiry를 통함 피드백 탐색이다. 요청이 유용한 방법이기는하지만, 개인은 종종 직접 피드백 추구와 관련된 위험에 관해 걱정한다. 예를 들어, 학생들은 자신의 상사에게 부담을주고 싶지 않거나 피드백을 구함으로써 자신이 needy한 것처럼 보이고 싶지 않을 수 있다.

Individuals seek feedback through the inquiry method when they directly ask others (e.g. a supervisor or co-worker) for feedback. Although inquiry is a useful method, individuals often report concerns relating to the risks associated with direct feedback seeking. For example, students may not want to burden their supervisor or appear to be needy by seeking feedback.



모니터링은 자신의 수행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기 위해 [상황 및 다른 사람들의 행동 (즉, 자신의 환경)에 대한 심층적 인 관찰]을 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감독자가 새로운 작업 방법을 실험한 다른 간호사를 칭찬하는 모습을 주의깊게 본 어떤 간호사를 생각해보십시오. 그 간호사는 그러한 혁신적인 행동이 임금 인상의 기회를 얻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추측합니다. 그러나 이 경우, 개인이 수집 된 정보를 잘못 해석 할 위험이 있기 때문에 모니터링이 항상 쉽지는 않습니다. 이 추론inference의 문제는 간접적 피드백 탐색 방법에서 전형적으로 나타나는 것이다.

Monitoring entails an in-depth observation of the situation and other people’s behaviour (i.e. one’s environment) in order to collect information about one’s own performance. Consider a nurse who pays careful attention when a supervisor praises other nurses for experimenting with new work methods, and infers that such innovative behaviour will benefit her chances of gaining a pay raise. The monitoring is not always straightforward because the individual runs the risk of misinterpreting the information collected. This inference problem is typical of an indirect method of feedback seeking.




둘째, 연구는 피드백 추구 행동의 빈도에 상당한주의를 기울였다. 개인별 피드백 탐색 빈도가 어떻게 다른지를 아는 것은 유익하지만, 빈도 측정은 피드백 추구 프로세스의 대략적인rough 그림만을 보여줄 뿐이다.

Secondly, research has paid considerable attention to the frequency of feedback-seeking behaviour. Although it is informative to know how individuals differ in the frequency of their feedback-seeking attempts, frequency measures paint only a rough picture of the feedback-seeking process.




피드백 추구 행동의 세 번째 측면은 피드백 탐색의 시점와 관련이 있습니다. 종종 개인은 피드백을 요구할 때 전략적으로 행동합니다. 실제로, Morrison과 Bies는 개인이 피드백을 달라고 접근하기 전에 그 사람의 기분이 좋을 때까지 기다리는 경향이 있다고 했다.

A third aspect of feedback-seeking behaviour concerns the timing of the feedback-seeking attempt. Often individuals act strategically when asking for feedback. Indeed, Morrison and Bies17 proposed that individuals tend to wait until the target is in a good mood before approaching him or her for feedback.




 피드백 탐색의 네 번째 측면은 목표의 특성과 관련됩니다. 연구에 따르면 사람들은 누구에게 의견을 물을지를 신중하게 결정합니다. 예를 들어 그 사람의 전문성이 높거나 그 사람에게 접근하기 쉬울수록 더 많은 사람들이 의견을 묻는 경향이있다 .18,19

 the fourth aspect of feedback seeking concerns the characteristics of the target. Research has shown that individuals carefully decide whom to ask for feedback. For example, the higher the target’s expertise and the more accessible the target is, the more individuals will be inclined to ask this target for feedback.18,19




피드백 추구 행동의 다섯 번째이자 마지막 측면은 피드백을 요청하는 주제이다. 사람들은 성공, 실패, 자신의 수행의 특정 측면에 대해 피드백을 찾는다.

A fifth and final aspect of feedback-seeking behaviour deals with the topic on which feedback is sought. One might decide to seek feedback on successes or failures, or on certain aspects of one’s performance.


피드백-탐색 행동의 선행조건

ANTECEDENTS OF FEEDBACK-SEEKING BEHAVIOUR


몇 가지 요인들

Several factors have been examined with respect to their influence on feedback-seeking behaviour. In Table 1



지향하는 목표

Learning goal orientation


어떤 목표를 지향하는지는 개인별로 차이가 있지만, 출생 순서와 같은 상황적 특성에 영향을 받기도 한다. 

    • 학습-지향적인 사람은 새로운 기술 습득, 새로운 상황의 마스터링 및 자신의 역량 향상을 통해 자아를 개발하려는 욕망이 있다.  

    • 과-지향적인 사람은 우호적 인 판단을 추구하고 자신의 능력에 대한 부정적인 판단을 회피함으로써 자신의 능력의 적절성을 입증하고 입증하려는 욕망을 말한다.

Although goal orientations represent individual differences, their strength also depends upon situational characteristics, such as birth order.22–24 A learning goal orientation is the desire to develop the self by acquiring new skills, mastering new situations and improving one’s competence.23 By contrast, a performance goal orientation refers to the desire to demonstrate and validate the adequacy of one’s competence relative to that of others by seeking out favourable judgements and avoiding negative judgements about one’s competence.23


일반적으로 이러한 목표 지향성은 VandeWalle이 고안 한 13 개 항목의 자체보고 척도를 사용하여 측정됩니다.

Typically, these goal orientations are measured using a 13-item self-report scale devised by VandeWalle.26


어떤 목표를 지향하는지가 피드백 추구 행동에 대한 개인의 비용 및 가치 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23,27,28 

    • 학습-지향적인 사람은 능력을 시간이 지남에 따라 개선 될 수있는 것으로 보았 기 때문에 (즉, 고정된 것이 아니다) 향상의 수단으로서 피드백에 높은 가치를 둔다. 

    • 또한 학습-지향적인 사람은 성과-지향적인 사람보다 피드백 탐색에 들어가는 비용을 더 적게 생각하는 경향이 있다. 

    • 학습-지향적인 사람들은 실패를 더 많은 노력을 할 기회로 생각하며, 자신의 이미지나 자아에 대한 위협으로 보지 않는다. 그 결과 이들은 부정적인 피드백을 두려워하지 않게 된다. 

    • 요컨대, 학습-지향적인 경우 피드백을 더 자주 탐색하며, 더 많은 진단적 피드백을 선호한다.

Goal orientations have been shown to influence individuals’ cost and value perceptions of feedback-seeking behaviour.23,27,28 Because learning goal-oriented individuals see ability as something that can be improved over time (i.e. it is not fixed), they attribute a higher instrumental value to feedback as a means for improvement.27 In addition, learning goal-oriented individuals assign lower costs to feedback inquiry than do individuals with performance-based goals.23 Learning goal-oriented individuals conceive task failure as an invitation to increase effort and not as a threat to their image or ego. This makes them less afraid of negative feedback. In sum, a learning goal orientation leads individuals to seek feedback more frequently23 and to have a preference for more diagnostic feedback.27


공공 상황 vs 개인 상황

Public versus private context


애쉬 포드 (Ashford)와 노스 크래프트 (Northcraft)는 개인이 사적인 환경에있을 때보다 다른 사람들이 관찰 할 때 피드백을 찾는 경향이 적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Ashford and Northcraft29 found that individuals are less likely to seek feedback when they are observed by others than when they are in a private setting.


리더십 스타일

Leadership style


Levy 등 (30)은 상사를 변형적 리더 (트랜잭션 리더가 아닌)로 보는 부하들은 상사로부터 피드백을 구할 의사가 있음을 보여 주었다. 이와 관련하여 Chen 등은 높은 leader-member exchange (즉, 상사와 부하 간 교환 및 호혜 관계를 촉진하는 양질의 관계)이 follower들이 얼마나 부정적인 피드백을 추구하려는 의지가 높은가를 예측한다는 것을 발견했다.

Levy et al.30 showed that subordinates who see their supervisors as transformational leaders (as opposed to transactional leaders) have higher intentions of seeking feedback from their supervisor. Related to this, Chen et al.6 discovered that a high leader– member exchange (i.e. a high-quality relationship between the supervisor and the subordinate that fosters exchange and reciprocity) predicted a higher willingness in followers to seek negative feedback.


문헌에서 해결되지 못한 이슈들

UNRESOLVED ISSUES IN THE LITERATURE


피드백 탐색 동기에 대한 일관되지 못한 결과들

Inconsistent results regarding motives for seeking feedback


전통적으로 피드백 추구에 관한 문헌에서 3 가지 유형의 동기가 확인되었습니다.

    • (i) 목표를 달성하고 행동을 조절하기 위해 피드백을 추구하는 도구적 동기;

    • (ii) 자존심을 강화하고 자존심을 위협 할 수있는 피드백을 회피 할 수있는 피드백을 찾는 자아 기반 동기 

    • (iii) 공개적Public 이미지를 보호하고 향상시키기위한 이미지 기반 동기.

Traditionally, three types of motive have been identified in the literature on feedback seeking: 

    • (i) the instrumental motive to seek feedback in order to meet goals and regulate behaviour; 

    • (ii) the ego-based motive to seek feedback that can bolster the ego and avoid feedback that might threaten the ego, and 

    • (iii) the image-based motive to protect and enhance one’s public image.3


첫 번째 비일관성은 도구적 동기에서 나타난다. 연구자들은 '불확실성으로 가득찬 맥락에서, 도구적 동기가 지배적이다'라고 결론지었습니다 .4 피드백이 가치를 갖기 위해서는 어느 정도의 불확실성이 종종 필요하다고 주장되어 왔고, 연구자는 이러한 동기를 "불확실성-감소 동기"라고 부르게 되었다.

The first set of inconsistent results refers to the instrumental motive. Researchers have concluded that ‘in a context filled with uncertainty, the instrumental motive for seeking dominates’.4 It has been argued that some degree of uncertainty is often necessary for feedback to have informational value,3 which has led researchers to refer to this motive often as the uncertainty-reduction motive.


그러나 Ashford2는 불확실성과 피드백 추구 행동간에 부정적인 관계가 있음을 발견했습니다. 따라서, "불확실성-감소 동기"와는 달리, 불확실성을 더 많이 경험할수록 피드백을 탐색하지 않는다. 연구에 따르면 피드백 추구 행동이 항상 불확실성을 감소시키는 것은 아닙니다.

Ashford2 found a negative relationship between uncertainty and feedback-seeking behaviour. Thus, contrary to the uncertainty-reduction motive, it seems that the more uncertainty individuals experience, the less they seek feedback, and vice versa. Research has also shown that feedback-seeking behaviour does not always reduce uncertainty.


자아-기반 동기는 타인으로부터의 피드백이 unfavorable한 정보를 포함 할 수 있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피드백 수신자는 그것을 neutral하게 받아들이지 않는다는 것을 가정합니다. 그러므로 일반적으로 피드백이 자아에 너무 위협적 일때 피드백 탐색을 덜 할 것으로 기대된다. 그러나 자존심과 피드백 추구 행동 사이의 관계는 straightforward하지 않다

The ego-based motive posits that feedback from others is typically not very neutral to the feedback receiver because it can contain unfavourable information. Therefore, it is usually expected that individuals will refrain from feedback seeking when it is too threatening to the ego.32 However,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esteem and feedback-seeking behaviour is not straightforward



피드백 반응의 '블랙박스'

The ‘black box’ of feedback reactions


피드백 추구 행동은 여러 측면에서 성과를 높이는데 도움이 된다. 몇 가지 메커니즘이 가정되었지만, 피드백 탐색과 성능 간의 관계에있는 특정 프로세스를 경험적으로 탐구 한 연구는 거의 없습니다. 현재까지,이 '블랙 박스'를 여는 이론은 피드백 추구 행동에 관한 문헌에서 사실상 나타나지 않았다.

Feedback-seeking behaviour can aid performance in several ways. Although several mechanisms have been postulated, few studies have empirically explored the specific processes underlying the relationship between feedback seeking and performance. To date, virtually no theory with which to open this ‘black box’ has emerged in the literature on feedback-seeking behaviour.


피드백 탐색 행동의 자기-동기적 관점

A SELF-MOTIVES PERSPECTIVE ON FEEDBACK-SEEKING BEHAVIOUR


Table 2.


  • 첫 번째 동기는 자기 평가self-assessment를 말하며 자기에 대한 정확한 정보를 얻기위한 동기를 나타냅니다. 이 동기가있는 개인은 정확하고 진실 된 자아상을 얻고 싶어하므로, 자신의 실제 모습을 보고 싶어한다.

  • 두 번째 동기는 자기 개선self-improvement로서 자신의 특성, 능력 및 기술을 향상시키고자 하는 동기입니다. 이 동기의 대상은 자신의 진실 된 개선을 위해 노력합니다. 

  • 세 번째 동기는 자기-고양self-enhancement로서, 호감도를 향상시키려는 동기이다. 이 경우 개인은 어떤 정보가 합당한지 여부와 상관없이, 좋은 정보를 제공하는 정보를 찾고 얻고자 한다. 

  • 네 번째이자 마지막 동기는 자기 검증self-verification입니다. 이것은 자신의 핵심적 자기-이미지와 새로운 자기-관련 정보 사이의 일관성을 유지하려는 욕망을 말합니다. 이 동기의 대상자는 다른 사람의 self-confirming한 정보를 찾아 자신의 자기 견해self-view를 확인하고 다른 사람에게 자신의 self-view를 전달하려고합니다.

  • The first motive refers to self-assessment and represents the motive to obtain accurate information about the self. Individuals subject to this motive want to obtain an accurate and true self-image and thus to see themselves as they really are. 

  • The second motive is the self-improvement motive, which is the motive to improve one’s traits, abilities and skills. Individuals subject to this motive strive for true betterment of their selves. 

  • The third motive is self-enhancement, which is the motive to enhance the favourability of self-views. Individuals subject to this motive are driven to seek and recall information that puts them in a good light, irrespective of whether this is justified or not. 

  • The fourth and final motive is self-verification, which refers to the desire to maintain consistency between one’s central self-views and new self-relevant information. Individuals subject to this motive seek out self-confirming information from others to confirm their self-views and try to convey their own selfviews to others.


자기 동기는 개인차와 상황에 따른 영향으로 결정됩니다 .32,33 일반적으로 자기-평가 동기에 의해 움직이는 직원을 생각해보십시오. 승진 결정이 있기 몇 주 전에, 이 사람은 좀 더 self-enhancing 하게 변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열악한 성과를 은폐하려고 시도 할 수 있습니다.

Self-motives are determined by individual differences, as well as situational influences.32,33 Consider an employee who is generally driven by self-assessment motives. In the weeks preceding a promotion decision, this individual might become more self-enhancing and try to cover up any poor performance.


  • 자기-고양self-enhancement 동기를 가진 사람의 목표는 자신에 대한 호의적 인 이미지를 다른 사람들에게 제시하는 것입니다 .33 

  • 자기-확인self-verification 동기를 가진 사람의 목표는 다른 사람들이 자신이 자신을 보는 것과 같은 방식으로 타인이 자신을 보는 것입니다 . 예를 들어, 이러한 사람은 자신의 대중연설 능력에 자신의 부정적인 견해를 확인하는 피드백을 이끌어 낼 수 있습니다. '나는 대중 연설에 능숙하지 않아요. 그렇지 않나요?'

The goal of an individual driven by a self-enhancement motive is to present a favourable image of himself to others.33 In the self-verification motive, the objective is to make others see the feedback seeker in the same way as the seeker sees himself. For instance, an individual can elicit feedback that confirms his negative self-views about his ability to speak in public: ‘I’mnot very good at public speaking, am I?’


피드백 탐색에 관한 현재의 이슈 해결

Resolving current issues in the literature on feedback seeking


첫 번째 쟁점은 피드백 추구를위한 전통적인 불확실성 감소 동기 (즉, 도구 동기)에서 발견 된 일관성없는 관계에 관한 것이다.

The first issue relates to the inconsistent relationships found for the traditional uncertainty-reduction motive (i.e. instrumental motive) for seeking feedback.


두 번째로, 자아 - 기반 동기에 대한 모순 된 관계가 발견되었다. Bernichon 등은 자부심이 강한 개인은 비록 부정적이더라도 자기 확인적인 피드백을 추구했으나, 자존심이 낮은 사람들은 non-self-verifying함에도 긍적적인 피드백을 추구했다.

Secondly, inconsistent relationships have been found for the ego-based motive. Bernichon et al.36 showed that individuals with high self-esteem sought self-verifying feedback, even if it was negative, but those with low self-esteem sought positive feedback, even if it was non-self-verifying.


셋째, 우리는 피드백 추구 행동이 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안내하는 메커니즘에 관한 이론과 연구가 부족하다고 주장했다.

Thirdly, we argued that theory and research concerning the mechanisms guiding the effect of feedback-seeking behaviour on performance are lacking.


피드백 반응을 고려할 때 두 가지 요인, 즉 피드백 처리 및 피드백 수용이 중요하다고 생각됩니다.

Two factors are deemed especially important when considering feedback reactions: feedback processing, and feedback acceptance.37


첫째, 피드백 처리는 수령인이 주어진 소스로부터의 피드백을 인지적으로 얼마나 깊이 있고 정확하게 처리하는지를 나타낸다. 연구에 따르면 자기-동기가 자기-관련 정보의 회상과 처리에 영향을 준다는 것을 발견했다 .33 자기-고양이나 자기-검증과 비교하여 , 특히 자기-평가와 자기-개선 동기는 피드백 정보의 깊은 처리로 이어진다.

Firstly, feedback processing represents how deeply and accurately the recipient cognitively processes the feedback from a given source.37 Research has found that self-motives influence the recall and processing of self-relevant information.33 In comparison with self-enhancement and self-verification, especially the self-assessment and self-improvement motives lead to deep processing of feedback information.38



둘째, 행동에 영향을 미치기 위해서는 피드백이 수용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자기-확인 동기를 가진 개인은 자기-반박적 피드백을 부정확한 것으로 기각하고 그러한 피드백 출처의 신뢰성을 평가 절하 할 가능성이 높다. 33

Secondly, feedback must be accepted in order to have an effect on behaviour.37 For example, individuals with a self-verification motive are more likely to dismiss self-refuting feedback as inaccurate and devalue the credibility of the source of self-refuting feedback.33



CONCLUSIONS


미래 연구 제안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피드백-탐색 행동을 장려하기 위한 방법

Encouraging feedback-seeking behaviour in medical settings and medical education


  1. 낮은 퍼포먼스 기대치를 가진 사람들에게 오류를 수정하고 학습 할 수 있도록 의견을 구할 것을 장려하세요. 오류와 실수가 학습 과정의 정상적인 부분으로 받아 들여지고 심리적으로 안전한 환경을 조성하도록 강조하십시오.

  2. 특별 오리엔테이션 프로그램, 사교 행사 및 멘토링을 통해 신규 이민자의 사회화 기간 동안 피드백-탐색을 하도록 장려하십시오.

  3. 비록 그 사람들이 피드백을 찾지 않더라도, extensive tenure나 충분한 직업 경험이있는 사람들에게도 충분한 피드백을 제공해야합니다 .2,46

  4. 개인의 학습-지향성을 개발하기 위한 교육 프로그램을 설계하십시오. 다른 사람의 성과와 비교하기보다는, 개인의 성과에 대한 피드백이 제공되는 발달적 성과 평가 시스템을 사용하십시오. 23,28 개개인의 목표-지향성을 파악하고 그에 따라 피드백 시스템의 맞춤화하십시오 .47

  5. (퍼포먼스에 대한 통계를 등록, 추적, 표시하는 것과 같이) 정보 기술 및 통신 매체를 사용하여 피드백 추구를 장려하십시오. 피드백을 public하게 탐색하는 비용을 줄이기 위해서 private하게 피드백을 탐색할 수 있는 대체 방법 (예 : 헬프 데스크 또는 인트라넷)을 제공하세요.29,43

  6. 배려와 지지를 보여주고, 나쁜 감정은 숨기고, 변형적 리더십 스타일을 사용하여 피드백 추구를 장려할 수 있는 지도자를 훈련시킵니다 .30

  1. Encourage individuals with low performance expectations to seek feedback so that they can correct errors and learn from them.42,43 Emphasise that errors and mistakes are accepted as a normal part of the learning process and create an environment that is psychologically safe.44

  2. Encourage feedback seeking during the socialisation periods of newcomers by means of special orientation programmes, social events and mentoring.45

  3. Make sure sufficient feedback is provided to individuals who have extensive tenure or job experience, even when they do not seek feedback themselves.2,46

  4. Design training programmes in order to develop the learning goal orientations of individuals (e.g. by changing the attributions individuals make about success and failure). Use developmental performance appraisal systems in which feedback is provided on the individual’s own performance rather than on the individual’s performance relative to the performance of others.23,28 Map goal orientations of individuals and customise feedback systems.47

  5. Use information technology and communication media in order to encourage feedback seeking, such as by registering, tracking and displaying performance statistics. Provide alternative avenues for privately seeking feedback (e.g. a helpdesk or an intranet) so that the cost of seeking feedback publicly can be diminished.29,43

  6. Train leaders in different strategies for encouraging feedback seeking, such as by showing consideration and supportiveness,14,48 by concealing a bad mood,17,49 and by using a transformational leadership style.30


26 VandeWalle D.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 work domain goal orientation instrument. Educ Psychol Meas 1997;57 (6):995–1015.







 2013 Mar;47(3):232-41. doi: 10.1111/medu.12075.

Understanding and encouraging feedback-seeking behaviour: a literature review.

Author information

1
Department of Personnel Management, Work and Organisational Psychology, Ghent University, Ghent, Belgium. michiel.crommelinck@ugent.be

Abstract

OBJECTIVES:

The goals of this paper are to review the literature on feedback-seeking behaviour using a self-motives framework and to provide practical recommendations for medical educators on how to encourage feedback-seeking behaviour.

METHODS:

To gain a better understanding of feedback-seeking behaviour, we apply a self-motives framework. Through this conceptual lens, we define feedback-seeking behaviour and review its antecedents and consequences. We provide an overview of the key findings and answer to a number of unresolved issues in the literature.

RESULTS:

On the basis of the literature review, we present six evidence-based insights to encourage feedback-seeking behaviour in practice.

CONCLUSIONS:

The literature review shows that feedback-seeking behaviour is a valuable resource for individuals in work and educational settings as it aids their adaptation, learning and performance. Several individual and contextual factors that promote the seeking of feedback are presented. Although feedback-seeking behaviour has been a subject of research for over 25 years, some unresolved issues remain. We present a self-motives framework to resolve those issues and to stimulate future research. We conclude this paper with six actionable insights for medical educators based on the evidence reviewed.

PMID:
 
23398009
 
DOI:
 
10.1111/medu.12075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