퍼포먼스-기반 평가의 이상과 중요성 구현하기(Teach Learn Med, 2013)

Realizing the Promise and Importance of Performance-Based Assessment

Jennifer R. Kogan

Division of General Internal Medicine, Raymond and Ruth Perelman School of Medicine at the

University of Pennsylvania, Philadelphia, Pennsylvania, USA

Eric Holmboe

American Board of Internal Medicine, Philadelphia, Pennsylvania, USA





도입

INTRODUCTION


직장 내 평가 (WBA)가 점차 중요 해지고 있습니다. 가장 광범위하게 WBA는 실제, 임상 환경에서의 일상적 (습관적) 관행 또는 "실제로 의사가 수행하는 것의 평가"입니다 .3.4 WBA와 다른 평가 방법를 구별해주는 것은 맥락 내에서의 퍼포먼스를 평가한다는 점이다 2.

Of increasing importance is workplace-based assessment (WBA). Most broadly, WBA is the assessment of day-to-day (habitual) practices in the authentic, clinical environment or “the assessment of what doctors actually do in practice”.3,4 What distinguishes WBA from other assessment modalities is that it enables the evaluation of performance in context.2


높아지는 WBA의 중요성

THE GROWING IMPORTANCE OF WORK-PLACE BASED ASSESSMENT


WBA는 일상 생활의 진실성authenticity을 통합적으로 동시에 여러 필수 역량을 평가할 수 있습니다 .10 이것이 중요한 이유는 통제된 환경에서의 지식과 능력의 평가는 임상 역량을 보장하거나 실제 일상적 퍼포먼스를 예측하기에 충분하지 않기 때문이다.11,12

WBAs can evaluate multiple, essential competencies simultaneously in an integrated fashion in the authenticity of day-to-day practice.10 This is crucial because mastery of medical knowledge and ability as assessed in a controlled environment are insufficient to ensure clinical competence and predict actual day-to-day performance.11,12


WBA의 평가는 연수생의 능력이 의학 교육에서 가장 중요한 이해 관계자, 즉 환자에게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의미있는 정보를 제공 할 수 있습니다. CBME 운동은 부분적으로 현재의 보건 의료 및 의료 교육 시스템이 환자, 환자 인구 및 공중 보건 시스템의 요구를 충족시킬 수 없다는 대중의 비판에 의해 촉진된 것이다.13 따라서 WBA는 의학 교육 공동체가 [졸업 한 연수생의 역량]과 [훈련 중 환자의 안전과 진료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책임을 지도록 보장하는 메커니즘으로서 중요하다 .14

assessment in WBA can provide meaningful information about how the trainees’ abilities impact the most important stakeholder in medical education—the patient. The CBME movement was in part catalyzed by the public’s criticism of the current healthcare and medical education systems’ inability to meet the needs of patients, populations of patients and the public health systems that serve those patients.13 Therefore, WBA is an important mechanism to ensure that the medical education community is accountable for the competence of the trainees it graduates and for enhanced patient safety and quality during training.14


WBA는 임상 감독자에게 즉각적으로, 그리고 앞으로 연수생에게 어떻게해야 하는지를 알려준다.14,16,17 궁극적으로 WBA는 연수생에게 직접 감독 없이도 임상 책임을 맡을 수 있는 독립성을 부여하는 위탁 결정을 내리는 데 필요한 정보를 제공한다8

WBA, can inform clinical supervisors about how they need to supervise the trainee immediately and going forward.14,16,17 Ultimately, it is WBAs that provide the information necessary to make entrustment decisions granting graduated levels of independence to trainees to perform clinical responsibilities without direct supervision.18


이제는 평가가 학습자를 주도하거나 촉진해야하는 "학습의 평가"에서 "학습을 위한 평가"로 이동합니다 .21,22 WBA의 유틸리티 요소는 안정성, 타당성, 실행 가능성, 수용 가능성, 비용 효과성을 넘어, 이제는 미래의 학습 및 전문성 개발을 촉진하기위한 촉매 효과를 포함해야한다 .22,23 WBA는 연수생들이 잠재력을 최대한 발휘할 수 있도록 의미있는 피드백을 제공하는 평가자를 도울 수 있어야한다.

Now there is a shift from “assessment of learning” to “assessment for learning” where assessment should drive or catalyze the learner.21,22 The utility elements of WBA extend beyond reliability, validity, practicability, acceptability, and cost-effectiveness and now include its catalytic effect to drive future learning and professional development.22,23 WBA should be able to assist assessors in providing trainees with meaningful feedback to enable them to reach their full potential.4,20


이것은 근본적이고 중요한 생각의 변화입니다. WBA는 단순한 [연수생에 대한 평가]에서 [환자에게 제공되는 진료의 질에 대한 연수생의 역량의 영향]을 통합하는 평가로 진화해야합니다

This is a fundamental and critical shift in thinking: WBA must evolve from assessments of just the trainee to assessments that incorporate the impact of trainees’ competence on the quality of care provided to the patient


WBA가 학습을 촉진시키는 것이라면 평가는 단순한 숫자 이상이어야합니다. 풍부한 내러티브, 질적 평가가 이 목표를 달성하는 데 점점 중요 해지고 있습니다. 9 의료는 복잡하며, 마찬가지로 역량도 통합적 방식으로 평가해야 한다. 수치적 등급에서 질적으로 풍부한 관측치로 나아가는 것은 연수생의 지속적인 학습 및 임상 기술 성장에 필수적인 구체적인 피드백을 더 잘 전달할 수 있습니다.

If WBAs are to catalyze learning, assessments must be more than just numerical ratings. Rich narrative, qualitative assessments are increasingly being viewed as important in achieving this goal.9 Medical practice is complex, as is assessment of competencies in an integrated fashion. Shifting from numerical ratings to qualitatively rich observations can better inform the specific feedback which is essential for trainees’ ongoing learning and clinical skills growth.26


진화하는 WBA

EVOLVING WORKPLACE-BASED ASSESSMENT


20 개 이상의 연구 결과에 따르면 mini-CEX는 우수한 신뢰성과 타당성을 지니고 있으며 학습자는 mini-CEX 경험이 유용하고 유용하다는 것을 스스로보고합니다 .28,29보다 구체적인 역량을 겨냥한 다른 관찰 도구는 the Direct Observation of Practical Skills, the Objective Structured Assessment of Technical Skills, and the Professionalism mini-CEX 등이 있으며, 형성평가로서의 효용성을 보여준다. 그러나 불행히도, 지금까지의 어떤 연구도 이러한 직접 관찰 도구 및 평가 중 어떤 것도 실제 진료 변경이나 환자 치료 개선으로 이어진다는 것을 입증하지 못했습니다. (30-32) 

More than 20 studies have demonstrated that the mini-CEX possesses good reliability and validity properties, and learners self-report that they find the mini-CEX experience to be helpful and useful.28,29 Other observation tools targeting more specific competencies include the Direct Observation of Practical Skills, the Objective Structured Assessment of Technical Skills, and the Professionalism mini-CEX, which possess reasonable utility for formative purposes.30–32 Unfortunately, no study to date has yet demonstrated that any of these direct observation tools and assessment processes leads to actual practice changes or improved patient care.27,33 


개별 trainee에 대해 평가하는 또 다른 WBA 방법은 차트에 의한 recall 또는 사례 기반 토론입니다. 이러한 방법은 환자의 의료 기록을 자극으로 사용하여 임상 결정에 대한 질문과 토론을 통해 연수생을 평가합니다. 두 가지 방법의 가치는 임상 추론의 평가가 실제 환자에게 제공된 care를 가지로 수행한다는 것입니다.

Another WBA method involving a single trainee-patient encounter is chart-stimulated recall or the case-based discussion.33–36 These methods assess the trainee through questioning about and discussion of clinical decisions using the patient’s medical record as the stimulus. The value of both methods is that assessment of clinical reasoning is performed using care delivered to actual patients.


환자 성과에 초점을 둔 WBA 준거

CRITERION WORK-BASED ASSESSMENT FOCUSED ON PATIENT OUTCOMES


환자는 또한 관찰 과정에 참여하고 고품질의 치료를받을 자격이 있습니다. 그러므로 직접 관찰은 점차 환자를 평가 과정의 중심에 둘 필요가있다. 이 접근법은 발달적, 기준 - 참조 평가에 초점을 둔 CBME의 초점과 잘 일치한다.

a patient is also involved in the observational process and is entitled to high-quality care. Therefore, the future of direct observation will need to center the assessment process on the patient; this approach is well aligned with CBME’s focus on developmental, criterion-referenced assessment.25


전통적으로 WBA 규모 앵커는 ordinal ( "merit"의 정도) 또는 상대비교 수준의 성과를 사용했습니다 .27 그러나 규범적normative 평가는 연수생이 역량 표준을 충족시키는 것을 보장하지 못합니다. 연수생이 표준 기준과 비교되는 준거criterion 참조 평가로 바꿈으로서, 연수생이 독립적인 의료에 대한 준비 상태 또는 직업에 대한 위임에 WBA를 grounding할 수 있다17,44

Traditionally, WBA scale anchors used ordinal (degree of “merit”) or comparative levels of performance.27 However, normative assessment fails to ensure that trainees meet competence standards. The shift to criterion referenced assessment, in which trainees are compared to standard criteria, holds promise by grounding WBA in a trainee’s readiness for independent practice or entrustment in the tasks of the profession.17,44


비-의사 의료진과 환자를 평가자로 확장하기

EXPANDING THE ASSESSOR POOL TO INCLUDE NONPHYSICIAN HEALTH PROFESSIONALS AND PATIENTS


지금까지 방금 설명한 평가 방법에 의해 예시 된 바와 같이, WBA 평가자는 주로 의사였습니다. 그러나 WBA의 가치는 학습자가 임상 시스템에서 어떻게 수행하는가에 대한 추가적 시각을 제공 할 수있는 사람들을 포함하도록 평가자 풀을 확장한다면 더욱 향상 될 것입니다. Multisource feedback (MSF)은 환자 및 다른 의료 서비스 제공자로부터 풍부한 경력 정보를 학습자와 실습 의사에게 제공 할 수있는 확립 된 WBA 방법입니다 .46 일반적으로 MSF 도구는 정신 분석을 기반으로 한 설문 조사입니다.

To date, the WBA evaluators, as exemplified by the assessment methods just described, have been primarily physicians. However, the value of WBA will be enhanced by expanding the assessor pool to include individuals who can provide additional perspectives about how the learner performs within clinical systems. Multisource feedback (MSF) is an established WBA method that can provide rich information from patients and other healthcare providers to learners and practicing physicians across an entire career.46 Typically, MSF instruments are psychometrically based surveys;


MSF는 대인 관계 기술, 의사 소통, 전문성 및 전문 직업인 간의 팀워크를 평가하는 데 특히 가치가 있습니다. 후자는 시스템 기반 연습의 중요한 구성 요소입니다 .46 MSF 도구의 대부분은 psychometrially-based이지만, 질적 또는 혼합 된 접근법은 새로운 관심을 받기 시작합니다.

MSF is particularly valuable for assessing interpersonal skills, communication, professionalism, and interprofessional teamwork, the latter an important component of systems-based practice.46 Although the majority of MSF instruments are psychometrically based, qualitative or mixed approaches are beginning to receive renewed attention.


현재까지의 연구는 MSF가 형성평가에 가장 적합하다는 것을 보여주며, 대부분의 developmental work이 의사를 훈련 중에 발생하지만 MSF 사용은 GME에서 급속히 증가하고 있습니다.

Research to date demonstrates MSF is best used for formative assessment, and although most of the developmental work has occurred among practicing physicians, MSF use is rapidly growing in graduate medical education.47,53


아마도 가장 중요한 변화는 [환자자신의 경험과 기능적 상태와 같은 스스로 확인하는 중요 성과에 관한] 환자의 관점을 포함하는 확장일 것이다. Institute of Medicine은 환자 중심의 진료를 모든 의료 서비스 제공자의 핵심 역량으로 강조했으며, 환자 중심의 진료는 미국 의료 개선을 위한 세 가지 목표 중 필수적인 부분입니다 .15 진료가 환자 중심인지 여부를 결정하려면 환자의 관점을 얻는 것이 필수적이다 .15,56 점차, 환자 설문 조사는 피드백을 제공하고 품질을 판단하기위한 독립적인 평가 도구로 이용되고있다 .57-60 가장 잘 알려진 도구의 일부는 PAR (캐나다) 61 및 CAHPS 조사 (미국 )가 있다 46,57,60

Perhaps the most important shift is the growing inclusion of the patient perspective regarding their experience and self-identified important healthcare outcomes such as functional status. The Institute of Medicine identified patient-centered care as the core competency for all healthcare providers, and patient-centered care is an essential part of the triple aim for improving U.S. healthcare.15 To determine if care is patient centered, obtaining the patient perspective is essential.15,56 Increasingly, patient surveys are being used as stand-alone assessment tools to provide feedback and judge quality.57–60 Some of the best known instruments are the PAR (Canada)61 and the family of CAHPS surveys (United States)46,57,60



환자인구집단에 대한 돌봄을 측정하도록 평가를 확장하기

EXPANDING ASSESSMENTS TO MEASURE CARE PROVIDED TO POPULATIONS OF PATIENTS


직접 관찰과 같은 도구를 사용한 단일 환자 encounter에 대한 평가가 극히 중요하게 남아있을 것이라는 점은 거의 의심의 여지가 없지만 대부분의 의사 (입원 환자와 외래 환자 모두)는 급성 및 만성 병태의 환자"군"을 돌봅니다. 따라서 우리는 WBA에 대한 생각을 한 환자에 대한 단일 관찰에서 환자 집단 (또는 그룹)에게 제공되는 치료 평가로 확장해야합니다. 여러 그룹의 환자를 대상으로 한 성과를 평가하는 평가 방법에는 방금 언급한 설문도 있지만, process 그리고 진료의 outcome에 초점을 둔 임상 진료 감사 (의료 기록 감사라고도 함)도 포함됩니다 .64,65

Although there is little doubt that assessment of single patient encounters using tools such as direct observation will remain vitally important, most physicians (both inpatient and outpatient) care for populations of patients with acute and chronic conditions. Therefore, we must expand our thinking about WBA from a single observation of a provider with a patient to an assessment of the care that is provided to populations (or groups) of patients. Assessment methods for examining performance across groups of patients include the surveys just highlighted but also clinical care audits (also known as medical record audits) using performance measures targeting process and outcomes of care.64,65


Process 측정은 전형적으로 검사/시술/치료에 대한 오더여부 또는 코디네이션과 후속 케어, 불필요한 검사 안함 등이 있다.

Process measures typically target whether and how a clinical process was accomplished, such as 

  • ordering key tests (e.g., hemoglobin A1c in patients with diabetes), procedures (e.g., screening mammography) and therapies (e.g., aspirin in patients with coronary artery disease), 

  • appropriately tracking coordination and follow-up of care, or 

  • not performing unnecessary tests (e.g., imaging for low back pain).


Outcome 측정은 중간 (예 : 혈압 및 혈당 조절) 또는 직접 (예 : 수술 합병증 및 사망) 일 수 있습니다. Outcome 측정법은 생성하기가 더 어려우며 유의미한 차이 또는 신호를 발견하기 위해 환자 샘플을 더 많이 필요로합니다. 결과적으로 개인 수준에서 측정하기가 더 어려워지고, 종종 practice level에서 가장 잘 분석됩니다.

Outcome measures can be intermediate (e.g., blood pressure and glycemic control) or direct (e.g., surgical complications and mortality). Outcomes measures are harder to create and often require larger patient samples to detect meaningful differences, or signals, in care. As a result, they are more challenging to measure at the individual practitioner level and are often best analyzed at the practice level.66


Cochrane Collaboration의 체계적인 검토를 비롯한 여러 연구에서 의견을 수렴하면, 피드백을 포함한 audit이 의사와 수련의가 제공하는 서비스에서 중등도의 의미있는 개선이 이루어질 수 있음을 입증했습니다 .67-69

Several studies, including a systematic review by the Cochrane Collaboration, have demonstrated that audit with feedback can lead to modest but meaningful improvements in care provided by practicing physician and physicians-intraining.67–69


결론은 퍼포먼스 측정을 통한 평가가 역량을 평가하고 품질 및 안전을 향상시키는 데 중요한 방법이며, 학습자는이 WBA 방법에 가능한 한 빨리 introduce되어야한다는 것입니다.

The bottomline is that assessment through performance measurement is now a vital method for evaluating competence and improving quality and safety, and learners should be introduced to this WBA method as early as possible.


진화하는 또 다른 outcome WBA 측정은 환자에게 의미있는 기능적 결과를 목표로하는 환자보고 결과 측정 (PROM)의 사용이다. 예를 들어, 영국은 PROM을 품질 프로그램에 사용하여 허니 그래픽, 무릎 및 엉덩이의 기능적 상태 관절 성형술 및 정맥류 수술을 포함한다. 정형 외과 수술 후 정맥 혈전증과 감염을 예방하는 것이 중요하지만 궁극적으로 장기적인 결과는 환자의 이동성과 기능이 더 나은지 여부이다.

Another evolving outcome WBA measurement is the use of patient-reported outcome measures (PROMs) that target meaningful functional outcomes for patients.73 For example, the United Kingdom is using PROMs in its quality programs to assess functional status after herniorraphy, total knee and hip arthroplasty, and varicose vein surgery.74 Although preventing venous thrombosis and infection after arthroplasty is important, ultimately the long-term outcome of interest is whether the patient has better mobility and function.


WBA가 품질 및 환자 안전을 기본 참고 프레임으로 사용하는 환자 집단에 초점을 맞추게 되면서, 전반적인 퍼포먼스overall performance를 집계하고 판단하는 방법이 필요하게 되었다. 포트폴리오는 연수생이 성찰와 개선을 위해 여러 WBA를 사용하는 메커니즘으로서의 약속을 계속 보여주는 하나의 접근 방식입니다 .75

As WBA evolves to focus on populations of patients using quality and patient safety as the primary frame of reference, approaches to aggregate and judge overall performance will be needed. Portfolios are one approach that continues to show promise as a mechanism for trainees to use multiple WBAs for reflection and improvement.75



WBA의 효과적인 도입과 실행

EFFECTIVE IMPLEMENTATION OF WBA


WBA 문헌은 "이상적인 도구"를 만들기 위해서, WBA 도구를 개발, 평가 및 정제하는 데 중점을 두었습니다. 이로 인해 도구를 사용하는 사람이 아니라 도구 그 자체만 지나치게 강조되었습니다. 명백해진 것은 이미 우리는 선택할 수있는 많은 WBA 도구를 가지고 있다는 것입니다 .4,27,46,67 WBA가 완전한 꿈을 이루기 위해 가장 refine이 필요한 것인 도구가 아니라 평가자이다.76,77 이는 평가 질문, 응답, 체크리스트의 문구를 수정하면 평가의 신뢰성과 타당성을 향상시킬 수있는 Miller 피라미드의 평가 도구와는 대조적입니다. 

The WBA literature has, to a large degree, been focused on developing, assessing, and refining WBA tools with the hopes of creating the “ideal tool.” This has led to an overemphasis of the tools rather than the users of the tools. What has become apparent is that we have plenty of WBA tools from which to choose.4,27,46,67 To reach the full promise of WBA, the rater, not the instrument, is what requires the most refining.76,77 This is in contrast to assessment tools lower on Miller’s pyramid in which revising the wording of test questions, responses, and checklists can improve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assessment. 


WBA의 품질을 향상시키는 것은 "양식 수정"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평가자를 교육하는 것입니다. 인간 판단은 WBA의 중심이므로 판단을 내리는 사람의 품질과 전문성이 평가의 품질에 결정적입니다 .26 WBA 방법을 효과적으로 구현하려면, 관찰을 하고, 관찰을 종합하여 판단을 내리고, 효과적인 피드백을 학습자에게 제공할 수 있는 평가자의 개발이 필요하다.

Improving the quality of WBA is not so much about “fixing the form” but rather training the rater. Human judgment is central in WBA, so the quality and expertise of the person who is making the judgment is decisive for the quality of the assessment.26 Effective implementation of any WBA method will require development of the assessor, both in making observations, synthesizing observations into a judgment, and providing effective feedback to the learner.


평가 교육 이외에도 WBA를 교육 프로그램에 구현하는 데 신중한 접근이 필요합니다. 임상 기술은 상황에 따라 다르기 때문에 임상 기술은 여러 상황에서 표본 추출되어야합니다. 또한 평가의 주관성을 극복하기 위해서는 다수의 평가자를 대상으로 표본을 수집해야 합니다. 다양한 맥락과 평가자를 대상으로 샘플링하면 미래의 성과를 예측할 수있는보다 일반적인 추론이 가능합니다 .10 여러 WBA 방법의 가용성을 고려할 때 동일한 WBA를 사용하여 동일한 역량 (삼각 측량)을 평가할 수 있으며 이러한 방식으로 다양한 역량을 평가하면 "program of assessment"로 나아갈 수 있다.87,79

In addition to rater training, there needs to be thoughtful approaches to implementing WBA into the training program. Clinical skills must be sampled across multiple contexts because clinical skills are context specific. It is also necessary to sample across assessors to overcome subjectivity of assessments. Together, sampling across contexts and assessors permits more generalizable inferences that can predict future performance.10 Given the availability of multiple WBA methods, different WBAs can be used to assess the same competency (triangulation) and assessment of different competencies in this way can constitute programs of assessment.78,79



연구 아젠다

RECOMMENDATIONS FOR A FUTURE RESEARCH AGENDA


  • 미래의 연구는 미래의 학습을 촉진하고 환자의 진료를 향상시키기 위해 연수생에게 평가 및 피드백의 질을 이중으로 향상시키는 최상의 평가자 훈련 사례를 명확히해야합니다 .76,77

  • 연구 조사는 WBA 피드백에 대한 연수생 수용력을 높이기위한 전략을 확인해야합니다.

  • 풍부한 서사를 이끌어내는 모범 사례와 훈련생에 대한 올바른 판단을 보장하기 위해 엄격하게 해석하고 해석하는 전략을 식별 할 수있는 연구가 필요합니다 .80

  • 현재까지 WBA에 대한 결과 기반 연구는 주로 실현 가능성, 학습자 또는 평가자 만족도, 지식, 기술 또는 태도의 자체보고 된 변화에 중점을 둡니다 .33 

  • WBA, 결과 피드백, 학습자 향상 간의 결정적인 연결을 증명할 수있는 연구 조사 디자인 , 진료 제공 및 환자 결과의 개선이 필요하다.

  • 환자 결과에 중점을 둔 기준 기반 평가를 사용하고, 비 전문인 건강 전문가 및 환자를 평가자로 사용하고, 환자 집단 (예 : 감사, PROMS)에 초점을 맞춘 새로운 WBA 접근법에 대한 더 많은 연구가 필요합니다.

  • 마지막으로 평가 프로그램에 초점을 맞춘 연구를 강화하여 WBA 도구를 함께 사용할 수있는 방법을 보여줄 필요가 있습니다.

  • Future research needs to clarify best rater training practices that dually improve the quality of assessments and feedback to trainees to catalyze future learning and improve patient care.76,77 

  • Research studies also need to identify strategies for increasing trainee receptiveness to WBA feedback.26 

  • We need research that will identify best practices for eliciting rich narratives and strategies for collating and interpreting them rigorously to ensure good judgments are made about trainees.80 

  • To date, outcomes-based research on WBA has largely focused on feasibility, learner or assessor satisfaction, or self-reported changes in knowledge, skills or attitudes.33 

  • Research study designs that can demonstrate conclusive links between WBA, the resultant feedback, learner improvement, and improvement in care delivery and patient outcomes are needed.33,81 

  • We need more research on newer WBA approaches that use criterion-based assessments focused on patient outcomes, use nonphysician health professionals and patients as assessors, and focused on patient populations (i.e., audits, PROMS). 

  • Finally, it is necessary to intensify research focused on assessment programs, demonstrating how WBA instruments can be used together.


결론

CONCLUSIONS


의학교육은 WBA를 활용하여 연수생 역량 평가를 환자 개개인과 환자 집단의 요구를 충족시키는 성과에 맞출 수있는 기회가있는 유망한 기로에 있습니다. WBA는 연수생이 시간 기반 또는 규범 적 패러다임에서 역량 및 기준을 토대로 한 평가로 나아갈 수있는 정보를 제공 할 수 있습니다.

Medical education is at a promising crossroads in which there are opportunities to better utilize WBA to align the assessment of trainee competency with those outcomes that will meet the needs of both individual patients and populations of patients. WBA can provide information about what trainees are able to do further advancing assessments from a time-based or normative paradigm to one that is competency and criterion based.


15. Institute of Medicine. Crossing the quality chasm: Anewhealth systemfor the 21st century. March 2001. http://www.iom.edu/∼/media/Files/Report% 20Files/2001/Crossing-the-Quality-Chasm/Quality%20Chasm%202001% 20%20report%20brief.pdf. Accessed July 8, 2013.






 2013;25 Suppl 1:S68-74. doi: 10.1080/10401334.2013.842912.

Realizing the promise and importance of performance-based assessment.

Author information

1
a Division of General Internal Medicine , Raymond and Ruth Perelman School of Medicine at the University of Pennsylvania , Philadelphia , Pennsylvania , USA.

Abstract

Work-based assessment (WBA) is the assessment of trainees and physicians across the educational continuum of day-to-day competencies and practices in authentic, clinical environments. What distinguishes WBA from other assessment modalities is that it enables the evaluation of performance in context. In this perspective, we describe the growing importance, relevance, and evolution of WBA as it relates to competency-based medical education, supervision, and entrustment. Although a systematic review is beyond the purview of this perspective, we highlight specific methods and needed shifts to WBA that (a) consider patient outcomes, (b) use nonphysician assessors, and (c) assess the care provided to populations of patients. We briefly describe strategies for the effective implementation of WBA and identify outstanding research questions related to its use.

PMID:
 
24246110
 
DOI:
 
10.1080/10401334.2013.842912


의학교육의 사회적 미션: 순위 매기기(Ann Intern Med, 2010)

The Social Mission of Medical Education: Ranking the Schools

Fitzhugh Mullan, MD; Candice Chen, MD, MPH; Stephen Petterson, PhD; Gretchen Kolsky, MPH, CHES; and Michael Spagnola, BA





미국의 의과 대학은 여러 가지 기능을 수행하지만, 가장 기본적인 목적 중 하나는 의사가 전 인구를 돌보도록 교육하는 것입니다. 20 세기 후반에 연방 및 주정부의 지원을 받아 의학 교육이 인구 필요를 충족시키기 위해 확대되었습니다 (1). 그러나 의학 교육자와 정책 입안자가 해결해야 할 문제는 다음의 세 가지 이다.

  • 1 차 진료 의사 부족, 

  • 의사의 지리적 편재 

  • 의과대학생 및 의사 중 인종적 소수 민족 소수의 부족

Medical schools in the United States serve many functions, but one of their most basic purposes is to educate physicians to care for the national population. During the latter half of the 20th century, with federal and state support, medical education expanded to meet population needs (1). However, 3 specific interrelated issues challenged medical educators and policymakers: an insufficient number of primary care physicians, geographic maldistribution of physicians, and the lack of a representative number of racial and ethnic minorities in medical schools and in practice.


그럼에도 불구하고이 세 영역의 문제는 여전히 남아 있습니다. 1 차 진료가 개선 된 진료의 질 및 의료 비용의 감소와 관련된다는 증거가 점차 많아지고 있습니다 (5, 6). 그러나 주치의가 부족하여 매사추세츠 주와 같은 주에서 의료 서비스 확대를위한 노력이 방해 받고있다 (7)

Nevertheless, problems in these 3 areas remain. Evidence increasingly shows that primary care is associated with improved quality of care and decreased medical costs(5, 6). However, an insufficient number of primary care physicians has hampered efforts to provide expanded health care access in states, such as in Massachusetts (7)


농촌 지역 사회는 만성적 인 의사 부족 (9, 10)을 가지고 있으며, 연방 정부가 지원하는 지역 사회 보건 센터는 의사 모집을 하는데 major deficit이 있음을 보고한다(11, 12). 아프리카 계 미국인, 히스패닉계, 아메리카 원주민 의사는 계속 미국의 workforce에서 과소 대표됩니다. 저소득층 소수 민족은 2006 년 일반 인구의 28 %를 차지했지만 (13 세), 의대 학생의 15 %, 의사의 8 % 만 차지했다 (14). 이 소수인종 내과 의사는 결국 증가하는 소수민족 인구에게 disproportionate한 비중만큼의 헬스케어를 제공합니다.

Rural communities have a chronic shortage of physicians (9, 10), and federally supported community health centers report major deficits in physician recruitment (11, 12). African-American, Hispanic, and Native-American physicians continue to be severely underrepresented in the U.S. workforce. Underrepresented minorities made up 28%of the general population in 2006 (13) but accounted for only 15% of medical students and 8% of physicians in practice (14). These minority physicians provide a disproportionate share of health care to the growing minority U.S. population (15).


그러나 의과 대학은 우리 사회에서 의사를 배출 할 수있는 유일한 기관입니다. 아직 잘 알려진 US News & World Report 순위 시스템과 같은 의과 대학 평가는 특히 졸업생 수에 대한 연구 자금 지원, 학교 평판 및 학생 선발 관련 요소를 중요시하며, 각 학교의 실제 교육 결과 - 일차 진료를 하는지, 취약지역에서 진료를 하는지 - 를 중요시하지 않는다.

Medical schools, however, are the only institutions in our society that can produce physicians; yet assessments of medical schools, such as the well-known U.S. News & World Report ranking system, often value research funding, school reputation, and student selectivity factors (16) over the actual educational output of each school, particularly regarding the number of graduates who enter primary care, practice in underserved areas, and are underrepresented minorities.


시민과 정책 입안자가 미국 헬스케어 시스템을 재고하고 "모든 미국인에게 양질의 저렴한 의료 서비스"를 추구함에 따라 의사 인력의 본질이 주요 관심사가되고 있습니다 (18, 19). 많은 사람들은 의대가 그들의 행동과 성취에 대해 사회적 책임이 있다고 믿습니다 (20-22). 그들의 일반적인 교육 임무 외에도, 의대는 일차 의료, 열악한 지역 및 노동력 다양성 (23-26)과 같은 문제를 고려하여 인구 전체를 돌보는 의사를 교육하도록 사회적 사명을 가질 것으로 기대됩니다.

As citizens and policymakers reconsider the U.S. health care system and seek “quality, affordable health care for every American” (17), the nature of the physician workforce is becoming a key concern (18, 19). Many people believe that medical schools are accountable to society for their actions and accomplishments (20–22). Beyond their general educational mission, medical schools are expected to have a social mission to train physicians to care for the population as a whole, taking into account such issues as primary care, underserved areas, and workforce diversity (23–26).



METHODS


Our analysis is based on the percentage of medical school graduates who practice primary care, work in health professional shortage areas (HPSAs), and are underrepresented minorities.



Primary Care Measure



HPSA Measure



Underrepresented Minority Measure


Composite Index and Aggregate Analysis



Role of the Funding Source


RESULTS


상위 20개와 하위 20개 학교

Table 1 shows the 20 schools with the highest and lowest social mission scores and the primary care, HPSA,and underrepresented minority measures on which the schools’ composite scores were based. The ranking of all141 schools is in the Appendix (available at www.annals.org). 






여러 요인에 따른 비교

Aggregate analyses (Table 2) suggest differences in social mission score and components by geographic region and the size of the metropolitan area in which the schools are located.




DISCUSSION


대학 순위는 새로운 것이 아닙니다. U.S. News & World Report는 1983 년 이래로 학교에서 후원 연구의 수를 기준으로 한 대학 순위와 대학원 순위를 발표했습니다 (33). 의대 선택 시험 점수 및 학점 평균과 같은 학생 선택 기준; (34)의 주관적인 평가가 포함됩니다. 1995 년 US News & World Report는 1 차 진료 레지던트로 진학하는 졸업생의 비율을 고려한 1 차 진료 등급 시스템을 추가했습니다. 그러나 그들의 1 차 진료 등급에는 교수의 의견과 학생 선택도 측정이 계속 포함됩니다 (17). 또한 이 시스템은 수련을 마친 후 일차의료에 종사하는 졸업생의 실제 수를 측정하지도 못하고, 취약지역에서 일하거나 underrepresented minority 졸업생 수를 기록하지 않습니다. 이러한 차이로 인해 우리의 결과는 U.S. News & World Report의 순위와 크게 다릅니다. 우리의 발견은 공공 정책 입안자와 의학교육자가 새로운 의과 대학의 디자인과 현재의 의과대학의 확장에 대해서 고려할 때 생각해 봐야 할 여러 분야를 제안합니다.

Ranking schools is not new. Since 1983, U.S. News & World Report has published rankings of colleges and graduate schools (33) that are based on the amount of sponsored research at the schools; student selectivity criteria, such as Medical College Admission Test scores and grade point averages; and subjective assessments made by medical school deans and residency directors (34). In 1995, U.S. News & World Report added a primary care rating system that takes into account the percentage of graduates entering primary care residencies. However, their primary care rating continues to include faculty opinion and student selectivity measures (17). Moreover, this system does not measure the actual number of graduates entering primary care practice after completing their residencies or score the number of graduates who practice in underserved areas or are underrepresented minorities. Because of these differences, our results vary considerably from the U.S. News & World Report’s rankings. Our findings suggest numerous areas that are relevant to public policymakers and medical educators as they consider the design of new medical schools and the expansion of current ones.


(의과 대학을 갖춘) 역사적으로 흑인 3 개 대학(Morehouse School of Medicine, Meharry Medical College 및 Howard University)이 사회 임무 순위의 최상위 점수를받습니다. 이러한 결과는 예상치 못한 것은 아니며,이 학교의 졸업반 중 70 %에서 85 %가 소수 집단으로 나타났습니다

The 3 historically black colleges and universities with medical schools (Morehouse School of Medicine, Meharry Medical College, and Howard University) score at the top of the social mission rankings. These results are not unexpected, as 70%to 85%of each of these schools’ graduating classes were underrepresented minorities


이전의 연구에 따르면 URM 의사들은 non-URM 의사에 비해 소수 민족과 취약계층에게 상대적으로 더 많은 치료를 제공합니다 (35, 36).

Previous studies have shown that underrepresented minority physicians provide relatively more care to minority and underserved populations compared with nonminority physicians (35, 36).


공립학교는 일차 진료 의사의 비율을 높입니다. 공립학교는 또한 사립 학교보다 빈곤 지역 및 소수민족 의사를 더 많이 담당하는 것으로 보인다.

Public schools graduate higher proportions of primary care physicians. Public schools also seem to graduate greater proportions of physicians practicing in underserved areas and of minority physicians than private schools;


또한 지역사회기반 의과대학의 높은 사회임무점수는 지역 사회의 필요와 양립 할 수있는 직업을 추구 할 의사를 교육하려는 학교의 명시적인 약속이 졸업생의 진로 선택에 장기적인 영향을 미침을 제안합니다.

Furthermore, the higher social mission score of community-based medical schools suggest that a school’s explicit commitment to educate physicians who will pursue careers compatible with community needs has long-term effects on the career choices of its graduates.


의대가 받은 NIH 지원 수준은 취약지역에서 일하는 의사, 일차진료의사에 대한 결과와 반비례 관계가 있습니다. 높은 수준의 연구 기금은 연구에 대한 제도적 의지를 분명하게 나타내 주며, 일차진료 및 취약지역의 수련보다는 테크놀로지와 전문화를 중요시하는 임무를 나타낼 것입니다.

The level of NIH support that medical schools received was inversely associated with their output of primary care physicians and physicians practicing in underserved areas. High levels of research funding clearly indicate an institutional commitment to research and probably indicate missions that value technical medicine and specialization rather than training in primary care and practice in underserved areas.


다른 미국 지역과 비교할 때 북동부 지역은 사립, 전통적, 연구 집중형 의과 대학이 압도적이었고, 일차 진료 및 취약지역 요소에서 가장 낮은 점수를 받았으며 사회적 임무 점수가 현저히 낮았다.

Compared with other U.S. regions, the Northeast, with its preponderance of private, traditional, and research intensive medical schools, had the lowest scores in the primary care and underserved areas components and a distinctly lower social mission score.


우리의 연구 결과에 따르면, 정골 의학 학교는 지속적으로 일차 진료에 진출했고, 졸업생은 빈곤 지역으로 변함없이 많아졌으며, 이는 정골 의학이 일차 진료 및 농촌 진료에 대한 전통적인 집중의 영향을 계속 받았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37-39). 그러나, 동종 요법 학교는 정골 의학 학교보다 소수의 소수 민족을 모집했다. Osteopathic 의학은 Pikeville, Kentucky, Harlem, New York과 같은 비 전통적 위치에 새로운 학교를 설립하고 A.T.와 같은 혁신적인 지역 사회 기반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데 창조적이었습니다.

Our findings indicate that osteopathic schools continue to place substantially more graduates into primary care and marginally more graduates into underserved areas, suggesting that osteopathic medicine has continued to be influenced by its traditional focus on primary care and rural practice (37–39). However, allopathic schools have recruited more underrepresented minorities than osteopathic schools. Osteopathic medicine has been creative in establishing new schools in nontraditional locations, such as Pikeville, Kentucky, and Harlem, New York, and in developing innovative community-based programs, such as A.T.



 2010 Jun 15;152(12):804-11. doi: 10.7326/0003-4819-152-12-201006150-00009.

The social mission of medical educationranking the schools.

Author information

1
Department ofHealth Policy, George Washington University, 2121 K Street NW, Washington, DC 20037, USA. fmullan@gwu.edu

Erratum in

  • Ann Intern Med. 2010 Aug 3;153(3):212.

Abstract

BACKGROUND:

The basic purpose of medical schools is to educate physicians to care for the national population. Fulfilling this goal requires an adequate number of primary care physicians, adequate distribution of physicians to underserved areas, and a sufficient number of minority physicians in the workforce.

OBJECTIVE:

To develop a metric called the social mission score to evaluate medical school output in these 3 dimensions.

DESIGN:

Secondary analysis of data from the American Medical Association (AMA) Physician Masterfile and of data on race and ethnicity in medical schools from the Association of American Medical Colleges and the Association of American Colleges of Osteopathic Medicine.

SETTING:

U.S. medical schools.

PARTICIPANTS:

60 043 physicians in active practice who graduated from medical school between 1999 and 2001.

MEASUREMENTS:

The percentage of graduates who practice primary care, work in health professional shortage areas, and are underrepresented minorities, combined into a composite social mission score.

RESULTS:

The contribution of medical schools to the social mission of medical education varied substantially. Three historically black colleges had the highest social mission rankings. Public and community-based medical schools had higher social mission scores than private and non-community-based schools. National Institutes of Health funding was inversely associated with social mission scores. Medicalschools in the northeastern United States and in more urban areas were less likely to produce primary care physicians and physicians who practice in underserved areas.

LIMITATIONS:

The AMA Physician Masterfile has limitations, including specialty self-designation by physicians, inconsistencies in reporting work addresses, and delays in information updates. The public good provided by medical schools may include contributions not reflected in the social mission score. The study was not designed to evaluate quality of care provided by medical school graduates.

CONCLUSION:

Medical schools vary substantially in their contribution to the social mission of medical education. School rankings based on the social mission score differ from those that use research funding and subjective assessments of school reputation. These findings suggest that initiatives at the medical school level could increase the proportion of physicians who practice primary care, work in underserved areas, and are underrepresented minorities.


역량, 호기심, 창의성(Adv in Health Sci Educ, 2012)

On competence, curiosity and creativity 

Geoff Norman




의학의 실천은 어떤 전문직과 마찬가지로 독창성에 대해 보상해주지 않으며, 실용주의적 관점에서 보더라도 그렇지 않는 것이 합당하다. 전문가는 (다름 사람들이 만든) 방대하고 전문화 지식체를 마스터함으로써 그 지위를 획득합니다. 전문가의 역할은 이 지식체계에 무언가를 더하는 것이 아니라, 그의 고객이 가진 문제에 대한 판단을 내릴 때 이 지식을 사용하는 것이다.

The practice of medicine, like any profession, does not really reward creativity, nor, from a utilitarian perspective, should it. A professional acquires the status by mastering a large and specialized body of knowledge—knowledge that other people created. His role is not to add to this knowledge, but to use his judgment in applying this knowledge to his client’s problem.


물론 몇몇 의과대학 졸업생들은 연구자로서 새로운 지식을 창출하지만, 이것을 하기 위해서 어떤 전문직 자격이 필요한 것은 아니다. 고객이 없기 때문이다. 따라서 우리가 호기심이나 창의력과 같은 일반적 특성이 중요하다고 립서비스를 제공하는 반면, 우리는 분명히 과정이나 단위에서 이것들을 operationalize 하지 않습니다. 리는 호기심에 대해 보상을 하지 않습니다. 우리는 역량에 대해 보상을합니다. 역량 중심의 커리큘럼을 향한 현재의 움직임, 즉, 전적으로 정의된 기술의 숙달을 토대로 판단되는 역량을 지향하는 역량바탕교육과정보다 이것을 더 명확하게 보여주는 것은 없다..

Of course a few medical graduates DO generate new knowledge as researchers, but this does not require any professional qualification, as my own career attests, since they do not have clients. So, while we may pay lip service to general traits like curiosity and creativity, we certainly do not operationalize these in courses or units. We don’t reward curiosity; we reward competence. Nothing demonstrates this more clearly that the current movement toward a competency-based curriculum, where competence is judged entirely on the basis of mastery of defined skills.


역설적이게도, 대학원에서는 '역량을 갖춘competent'이라는 용어는 거의 경멸적인 용어라는 점이다. "그는 competent하긴 한데, 충분히 창의적이지 않다."라는 뜻이다.  역량은 능력은 사다리의 맨 아래에있다. 집의 기초와 같다. 완전히 막장failure가 아니라면, 적어도 competent하다고 가정합니다.

Paradoxically, in graduate school, ‘‘competent’’ is almost a pejorative term, as in, ‘‘Well, he’s competent enough but he’s not very creative.’’ Competence is the bottom rung of the ladder; the foundation of the house. And it’s assumed that anyone who is not an abject failure is at least competent.


"정의된 지식과 기술의 숙달"로 표현되는 "역량"이 항상 ''표준''은 아니 었습니다. McMaster PBL이 개발되었을 때, 5 년마다 모든 지식이 변하기 때문에 학생들은 새로운 지식을 습득 할 수있는 기술을 습득해야했습니다. 학생들에게 현재의 지식을 습득하기 위해 너무 많은 걱정을 할 필요가 없다고 말했습니다. 그래서 지식에 대한 시험을 경멸하듯 보았고, "문제 해결 능력"은 PBL 왕관의 보석이었습니다. 이 mantra는 완전히 틀렸지만, 한편으로 해방군이었습니다. 커리큘럼위원회는 행동적 목표의 폭압으로부터 해방되어, 학생들이 무엇을 배우냐보다 어떻게 배우냐가 더 중요했기 때문에, 학생들에게 스스로의 관심사를 따르도록 격려 할 수있었습니다.

Competence, as expressed as mastery of a defined body of knowledge and skills was not always the ‘‘gold standard’’. Back when McMaster PBL was developed, the dominant mantra was that all knowledge would change every 5 years, so students had to acquire the skills to acquire new knowledge. And it then followed that they need not worry too much about acquiring today’s knowledge. So examinations of knowledge were viewed with disdain, and ‘‘problem-solving skills’’ were the jewel in the PBL crown. Although the mantra was completely wrong, it was a liberating force. Curriculum committees were liberated from the tyranny of behavioural objectives and could encourage students to follow their interests, since it mattered less what you learned than how you learned.


한편으로, 학생은 학부생으로서 생각한 종류의 지적 보상의 종류를 재발견해야했습니다. 다른 한편으로 그는 자율과 수입면에서 가장 큰 전문 보상은 안과, 비뇨기과, 중재적 심장학과 같은 시술중심procedure-driven 전문 분야에 있다고 인정했습니다. 그는 가능한 전공과의 목록을 더 많이 늘어놓을수록, 내재적 보상과 외부 보상 사이에서 Faustian choice에 직면했다는 것이 분명해졌다. 그러나 그와 함께 이 탐색에 참여하면서, 나는 그가 "doctoring이 무엇인가"에 대해 거의 이해하지 못한다는 것에 놀라게 되었다. 그의 인생 전체는 어떻게 의과 대학에 "들어오는가"에 집중되어 있었고, 의대에서 "나와서" 의사가 되는 것이 무엇인지 생각하는 데는 거의 시간을 할애하지 않았습니다.

On the one hand, the student was desperate to rediscover the kind of intellectual rewards he found as an undergraduate; on the other, he recognized that the greatest professional rewards in terms of autonomy and income were in procedure-driven specialties like ophthalmology, urology, and interventional cardiology. The more he went down the list of possibilities, the more it became evident that he was faced with a Faustian choice between intrinsic and external rewards. But as I engaged in this search with him, I was struck by how little he understood about what doctoring was all about. To this point,his entire life was focused on getting INTO medical school, and very little time was devoted to thinking what it would be like to get OUT OF medical school and become a doctor. 


나는 현재의 통계에서 학부생의 약 30 %가 의과 대학에 입학하기를 원하지만, 어쨌든 3 %만이 그렇게 된다는 것을 읽었습니다.

I read somewhere that current statistics are that about 30 % of undergraduates want to get into medical school, but only 3 % will.


학생들은 더 이상 자신의 관심에 기반해 과목을 수강하지 않습니다. 그들은 사탕처럼 높은 점수가 전달되는 '새bird'코스를 택합니다. 학점의 인플레이션은 만연합니다. 교수들이 성적을 충분히 잘 주지 않으면 학장에게 지적을 받는다 (이름도 말할 수 있다!). 학생이 기대치보다 낮은 점수를 받으면 학생과 교수 쌍방의 문제(그리고 종종 가족까지의)로 간주됩니다.

Students no longer take courses based on interest; they take ‘‘bird’’ courses where high marks are handed out like candies. Mark inflation is rampant; professors are challenged by deans because their grades aren’t high enough (yes, I can name names!). When a student receives a mark lower then her expectation, it is viewed as a mutual problem of the student and the professor (and often, her family).


이것들은 모두 현재 학생과 교수진 모두에게 학부과정의 경험을 지속적인 악화시키는 것이다. 그리고 성적이 점점 더 인플레이션되고 학생이 이 시스템과 '게임'을 하는데 능숙해질수록 입학위원회의 일도 점점 더 어려워진다.

All of these are now constant aggravations that degrade the undergraduate experience for students and faculty alike. And it makes the job of the admissions committee that much harder as grades inflate and students become better and better at gaming the system.


그러나 진짜 비극은 이것이 아닙니다. 우리가 정말 잃어버린 것은, 학생들이 흥미를 유발하고 그들을 매혹시키는 대안적인 직업을 추구 할 수있는 기회입니다. 학생이 창의성과 호기심을 발휘할 수 있는 그 기회 말이다.

But this is not the real tragedy. What has really been lost is the opportunity for students to pursue an alternative career that interests and enchants them; that permits them to exercise creativity and curiosity.


McMaster의 첫 번째 교육 학장 인 Bill Walsh는 PBL에 대해 "우리가 정말로 원했던 것은 그들이 의사가 되어 무언가 재미있는 일을하는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The first education dean at McMaster, Bill Walsh, once said about PBL that ‘‘All we really want is for them to become doctors and have some fun doing it’’.





 2012 Dec;17(5):611-3. doi: 10.1007/s10459-012-9416-6.

On competencecuriosity and creativity.

Erratum in

  • Adv Health Sci Educ Theory Pract. 2013 Mar;18(1):157.
PMID:
 
23076677
 
DOI:
 
10.1007/s10459-012-9416-6


UME에 EPA 프레임워크 도입: AAMC Core EPA 도입 초기의 교훈(Acad Med, 2017)

Implementing an Entrustable Professional Activities Framework in Undergraduate Medical Education: Early Lessons From the AAMC Core Entrustable Professional Activities for Entering Residency Pilot

Kimberly Lomis, MD, Jonathan M. Amiel, MD, Michael S. Ryan, MD, MEHP, Karin Esposito, MD, PhD, Michael Green, MD, ScM, Alex Stagnaro-Green, MD, MHPE, Janet Bull, MA, and George C. Mejicano, MD, MS, for the AAMC Core EPAs for Entering Residency Pilot Team




지난 10 년 동안 의학 교육에서 역량 기반 커리큘럼을 구현하려는 추진력은 중요한 전환점에 도달했습니다. 이론은 신속하게 실천으로 옮겨 가고 있습니다 .1 이러한 변화는 신뢰할 수있는 전문 활동 (EPA)의 개발에 의해 촉진되었습니다. 원래 Olle ten Cate2가 대학원 의학 교육 (GME)에서 독립적 인 실무로 전환하는 맥락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EPA는 "충분한 특정 능력을 획득한 사람에게 감독이 없는 상태에서 수행하도록 위임된 업무 또는 책임"을 나타냅니다. 이 구조를 학부 의학 교육 (UME)에 적용하면 의대 졸업생이 전공의 진입 시점에 직접 감독받지 않고도 수행 할 것으로 예상되는 작업을 설명하는 프레임 워크가 제공됩니다 .3

Over the past 10 years, the momentum to implement competency-based curricula in medical education has reached an important turning point—theory is rapidly translating to practice.1 This transformation has been catalyzed by the development of entrustable professional activities (EPAs). Originally described by Olle ten Cate2 in the context of the transition from graduate medical education (GME) to independent practice, EPAs represent “tasks or responsibilities to be entrusted to the unsupervised execution by a trainee once he or she has attained sufficient specific competence.” Applying this construct to undergraduate medical education (UME) offers a framework to describe the tasks that graduating medical students might be expected to carry out without direct supervision on entering residency.3


EPA 프레임 워크는 역량 기반 의학 교육의 다른 구성 요소, 특히 역량 및 이정표를 보완합니다. 역량은 학습자의 능력으로 성능을 기술하고, 이정표는 역량 입증demonstrate을 위한 학습자의 진행을 표시합니다. 대조적으로, EPA는 작업 단위를 기술합니다 .4,5 이러한 구조는 불가분합니다. 전공의가 위임을 받기 위해서는 특정 EPA와 관련된 필요한 역량을 개발해야하며 통합 된 방식으로 이러한 역량을 현재 진행중인 활동에 적용해야합니다. 감독자는 어떤 학습자가 직접적인 감독없이 그 일을 완수하도록 위임되기에 충분한 방식으로 주어진 일을 수행하면, 학습자가 필요한 역량을 소유하고 있다고 추론infer 할 수 있습니다.

The EPA framework complements other constructs in competency-based medical education, specifically competencies and milestones.4 Competencies describe performance as the abilities of a learner, and milestones mark a learner’s progress toward demonstrating competency. In contrast, an EPA describes a unit of work.4,5 These constructs are inextricable—an individual must develop the necessary competencies relevant to a particular EPA, and she must apply those competencies in an integrated manner to the activity at hand in order to be entrusted. A supervisor may infer that a learner possesses the requisite competencies if she performs a given task in a manner sufficient to be entrusted to complete that task without direct supervision.


전공의 프로그램 디렉터들은 일부 의과 대학 졸업자들이 전공의 첫 주에 예상되는 환자 치료 책임의 일부를 준비하지 못하고 있다는 우려를 제기해 왔습니다.

Residency program directors increasingly have expressed concern that some medical school graduates are not prepared for some of the patient care responsibilities expected of them in the first weeks of residency.7–9


모든 UME 프로그램에서 공식적 위임은 학습자가 일정 수준의 독립성을 가지고 필수적인 환자 치료 활동을 수행 할 수 있음을 의미합니다. EPA는 적어도 전공의 첫 날에 문제가 없도록 하려면 UME 프로그램이 무엇을 가르쳐야 하는지를 guide해주며, 의과대학의 임상 감독자가 학생에게 어떤 것을 위탁할 수 있는 수준으로 교육해야 하는지를 guide해준다

Formal entrustment from any UME program should signify that a learner can perform the requisite patient care activities with a certain level of independence. EPAs can serve as an outline for what a UME program must, at minimum, teach for a learner to be successful on day one of residency and what clinical supervisors in medical school must entrust their learners to be able to do without direct supervision in the next phase of training.


전공의 수련을 위한 핵심 EPA

The Core EPAs for Entering Residency


List 1 presents the resulting 13 Core EPAs for Entering Residency (Core EPAs) that were published in May 2014.5


List 1 The 13 Core Entrustable Professional Activities for Entering Residency, 2014

1. 병력을 수집하고 신체 검사를 수행하십시오.

2. 임상 조우 후에 감별진단 우선 순위 결정

3. 일반적인 진단 및 선별 검사를 권장하고 해석하십시오.

4. 오더 / 처방전 입력 및 논의

5. 환자 기록에 임상 만남을 기록하십시오.

6. 임상 만남에 대해서 구두 발표 

7. 임상 질문을 작성하고 환자 진료를 advance하기 위해 증거를 검색하십시오.

8. transition care 책임에 대한 환자 핸드 오버를 제공하거나 받는다.

9. 전문 팀의 일원으로서 협력한다.

10. 긴급하거나 응급 치료가 필요한 환자를 확인하고 평가 및 관리를 시작하십시오.

11. 검사 및 / 또는 절차에 대한 정보에 입각 한 동의 얻기

12. 의사의 일반적인 술기를 수행하십시오.

13. 시스템 실패를 확인하고 안전과 개선의 문화에 공헌한다.


1. Gather a history and perform a physical examination

2. Prioritize a differential diagnosis following a clinical encounter

3. Recommend and interpret common diagnostic and screening tests

4. Enter and discuss orders/prescriptions

5. Document a clinical encounter in the patient record

6. Provide an oral presentation of a clinical encounter

7. Form clinical questions and retrieve evidence to advance patient care

8. Give or receive a patient handover to transition care responsibility

9. Collaborate as a member of an interprofessional team

10. Recognize a patient requiring urgent or emergent care and initiate evaluation and management

11. Obtain informed consent for tests and/or procedures

12. Perform general procedures of a physician

13. Identify system failures and contribute to a culture of safety and improvement



Core EPA 파일럿에 대하여

About the Core EPA Pilot


Aims


we are designing and implementing educational systems that use the Core EPA framework to achieve two aims. 

    • First, we want to develop objective and reliable summative determinations of each student’s readiness to perform the 13 Core EPAs that are based on multimodal evidence of EPA-specific knowledge, skills, and attitudes . 

    • Second, we want to sharelessons learned regarding the Core EPA framework to optimize this approach and foster its propagation to other UME programs.


Timeline


Organization



Interinstitutional 팀은 각 핵심 EPA와 네 가지 주요 개념에 중점을 둡니다.

Interinstitutional teams focused on each of the Core EPAs and on four main concepts:


1. 공식적 위임 : 위임의 바람직한 교육 결과를 고려할 때, 새로운 커리큘럼과 평가 방식이 필요합니까? 누가 위임 결정을 내릴 것입니까? 언제 어떤 증거가 있습니까? 위탁 결정은 시간 제한이 있습니까? 레지던트 프로그램 디렉터는 위탁 결정의 신뢰성을 어떻게 볼 것인가?

1. Formal entrustment: As we consider the desired educational outcome of entrustment, are novel curriculum and assessment practices needed? Who will make entrustment decisions? When and upon what evidence? Are entrustment decisions time-limited? How will residency program directors view the credibility of entrustment decisions?


2. 평가 : 모든 핵심 EPA를 신뢰할 수 있고 유효하며 비용 효율적인 방법으로 평가할 수 있습니까? 공식적 피드백은 위탁 과정에서 어떻게 사용 되는가? 누가 평가를 제공합니까? 학생, 거주자, 환자 및 기타 건강 관리 전문가는 어떻게 평가 과정에 참여할 수 있습니까?

2. Assessment: Can all Core EPAs be assessed in a reliable, valid, and cost- effective manner? How is formative feedback used in the process of entrustment? Who provides the assessment? How might students, residents, patients, and other health care professionals be engaged in the assessment process?


3. 커리큘럼 개발 : 위임 결정에 필요한 학습 경험은 무엇입니까? 교과 과정에있을 때 그들이 발생해야합니까? 핵심 EPA의 순서는 어떻게 정해야합니까?

3. Curriculum development: What are the learning experiences required to inform entrustment decisions? When in the curriculum should they occur? How should the Core EPAs be sequenced?


4. 교수 개발 : 교수가 역량 평가를 수행하고, 핵심 EPA에 링크 된 형성 피드백을 제공하고, 학습자를 위탁하는 결정에 참여할 수 있도록 준비하는 효과적인 방법은 무엇입니까?

4. Faculty development: What are effective practices to prepare faculty to perform competency assessments, to provide formative feedback linked to the Core EPAs, and to participate in decisions to entrust learners?


궁극적인 문제는 파일럿의 기간과 범위를 넘어 UME의 핵심 EPA 프레임 워크 구현으로 환자의 치료의 질이 향상되는지 여부입니다.

The ultimate question, beyond the time frame and scope of the pilot, is whether the implementation of the Core EPA framework in UME will result in improved quality of care for patients.


지금까지의 결과

Pilot Findings to Date


These guides consist of two manuals. 

  • The first is for curriculum developers and contains details on how the drafting panel mapped the Core EPAs to domains of competence. 

  • The second is for frontline faculty and learners and describes each Core EPA with associated narrative descriptions and clinical vignettes.5


공식적 위임
Formal entrustment


초기 논의는 핵심 EPA 프레임 워크가 다른 평가 방법과 다른 점에 초점을 두었습니다. 근본적으로 위탁은 작업장 기반의 construct입니다. 핵심 EPA는 역량을 결정하기위한 직관적 접근 방식이며, 임상 감독자는 진료전달 프로세스 전반에 걸쳐 암묵적으로 임시적 위탁 결정을 내리기 때문에, 이것은 직관적 인 접근 방식입니다. 그러나 이러한 임시 위임 결정은 여러 요소에 기반을두고 있으며 그 중 일부만이 학습자의 통제하에 있습니다 .12,13 공식적인 구조로 이 암시적 위탁 프로세스를 증폭한다면, 체계적이고 유익하며 신뢰할 수 있으며 궁극적으로는 transfer가능한 unsupervised practice를 학습자에게 자격을 부여하는 방법을 촉진할 것이다.

Early discussions have focused on how the Core EPA framework differs from other assessment methods. Fundamentally, entrustment is a workplace-based construct. The Core EPAs are an intuitive approach to determining competency,11 since clinical supervisors routinely make implicit, ad hoc entrustment decisions throughout the process of care delivery. However, such ad hoc entrustment decisions are based on multiple factors, only some of which are under the control of the learner.12,13 Amplifying this implicit entrustment process with a formal structure may foster a more systematic, informative, reliable, and ultimately transferable method of credentialing learners for unsupervised practice.


핵심 기능을 수행하고 주어진 핵심 EPA의 필수 역량을 달성하는 것 외에도, "위임을 받는다"는 것은 각 학습자가 신뢰할 수 있어야 함trustworthy을 뜻한다.5,12 신뢰성에는 다음이 포함된다.

    • 자기의 한계를 알기(식별력), 

    • 정직하게 의사 소통 (신뢰성), 

    • 자신의 약속을 이행하는 것(성실성conscientiousness) .14 

In addition to performing the key functions and achieving the requisite competencies of a given Core EPA, to be entrusted demands that each learner be trustworthy.5,12 Trustworthiness includes 

    • knowing one’s limits (discernment), 

    • communicating honestly (truthfulness), and 

    • fulfilling one’s commitments (conscientiousness).14 


발달 과정에 있는 학습자를 신뢰할 수 없다고 선언하는 것에 대한 우려 때문에, 대안적 표현을 사용하여 이러한 요소에 관한 구체적인 피드백을 제공해야합니다.

Because of concerns about declaring a developing learner to be untrustworthy, specific feedback regarding these elements should be provided using alternative language.


평가

Assessment


교육 일선의 교수는 임상 환경에서 학생들을 관찰 할 수있는 위치에 있기 때문에 체계적인 방식으로 관찰 결과를 기록하도록 위임 받아야합니다 .12

Because frontline faculty are in a position to observe students in clinical environments, they must be commissioned to record their observations in a systematic fashion.12


UME는 여러 임상 분야에 걸쳐 핵심 EPA에 대한 공통의 기대를 설정해야하는 어려움에 직면 해 있습니다.

UME faces the challenge of establishing shared expectations for the Core EPAs across clinical disciplines.


파일럿의 일환으로, 우리는 현재 작업 환경에 기반한 평가를 포착하기위한 툴로서 컨텍스트 정보를 포함하여 Chen과 동료 (목록 2 참조)가 UME에 채택한 감독 척도의 사용을 모색하고 있습니다. 작업장에서 임시 위임 결정을 포함하여 다양한 형태의 평가 증거가 총괄적 위임 결정을 내리는 데 사용됩니다.

As part of the pilot, we are currently exploring the use of the supervision scale adopted for UME by Chen and colleagues15 (see List 2), with the inclusion of contextual information, as a tool to capture workplace-based assessments. multiple forms of assessment evidence, including ad hoc entrustment decisions in the workplace, will be used to render summative entrustment decisions.15



List 2 Proposed Undergraduate Medical Education Entrustment and Supervision Scale

1. EPA를 수행하도록 허가할 수 없음 Not allowed to practice EPA

a. Inadequate knowledge/skill (e.g., does not know how to preserve sterile field); not allowed to observe

b. Adequate knowledge, some skill; allowed to observe

2. EPA를 수행하도록 허가할 수 있으나, 예방적, 총체적 감독이 필요Allowed to practice EPA only under proactive, full supervision

a. As coactivity with supervisor

b. With supervisor in room ready to step in as needed

3. EPA를 수행하도록 허가할 수 있으며, 필요시에만 도움을 주는 것으로 충분함 Allowed to practice EPA only under reactive/on-demand supervision

a. With supervisor immediately available, all findings double checked

b. With supervisor immediately available, key findings double checked

c. With supervisor distantly available (e.g., by phone), findings reviewed

4. 감독이 없는 상황에서 EPA를 수행하도록 허가함 Allowed to practice EPA unsupervised

5. 다른 사람이 EPA를 수행하는 것을 감독할 수 있음 Allowed to supervise others in practice of EPA


Based on the Graduate Medical Education and Proposed Undergraduate Medical Education Entrustment and Supervision Scale developed by Chen et al.15 Reproduced with permission. EPA indicates entrustable professional activity.



교육과정 개발

Curriculum development


많은 보건 시스템에서 학생들은 환자 치료 활동에서 좀더 주변적인 역할로 강등 되었기 때문에 핵심 EPA에 참여할 충분한 기회가 없을 수 있습니다 .16 학생들이 능력을 개발할 수 있도록 관련 보건 시스템과 협력하여 UME 프로그램은 충분한 임상 경험을 보장해야합니다. UME의 임상 프로그램은 일반적으로 다양한 임상 팀에서 짧은 기간 동안 다양한 경험을 제공하도록 구성됩니다. 그러나 많은 교수진은 단시간에 상호 작용을했던 학생들을 공식적으로 평가하기 어려워한다. 에피소드 관찰을 포착하기위한 간단한 도구를 개발하는 것 외에도, 우리는 위탁 결정을 요약하기 위해 종단 관계를 창출하기 위한 임상 경험의 재구성이 필요하다.


In many health systems, students have been relegated to a more peripheral role in patient care activities, so they may not have sufficient opportunities to participate in some of the Core EPAs.16 UME programs in collaboration with their associated health systems must ensure sufficient clinical experiences for students to develop competence. Clinical programs in UME are typically constructed to provide breadth of experience, with short periods on a variety of clinical teams. Yet, many faculty members are reticent to formally assess students with whom they have had only brief interactions. In addition to developing facile tools to capture episodic observations, we may find that a reorganization of clinical experiences to create longitudinal relationships will be needed to inform summative entrustment decisions.17



교수개발

Faculty development


UME의 핵심 EPA 프레임 워크와 관련된 교수진 지식과 기술을 구축하는 것이 필수적 일 것입니다. 여기에는 각 핵심 EPA에 필수적인 콘텐츠 개발이 포함됩니다. 

    • 해당 자료를 가르치는 방법; 

    • 직접 관찰 및 피드백 제공 기술; 

    • 시의 적절하고 표준화 된 데이터를 제공하기위한 평가 전문가; 

    • 성과에 대한 적절한 문서; 

    • 위탁 결정을 내리는데 활용하는 증거를 적절히 검토할 수 있는 전문성


Building faculty knowledge and skills related to the Core EPA framework in UME will be imperative, including developing content that is essential for each Core EPA; methods to teach this material; techniques for direct observation and provision of feedback; assessment expertise to provide data that is accurate, timely, and standardized; appropriate documentation of performance; and expertise in the judicious review of evidence to render entrustment decisions.



원칙

Guiding Principles


이 프레임 워크가 의미를 갖기 위해서는 위탁 결정은 학습자가 기관 간을 이동할 때 인식되어야합니다. 한 학교에서 위탁받은 졸업생은 다른 학교의 레지던시 프로그램 디렉터의 기대에 부합해야합니다. 모든 의대에서 성과에 대한 일관된 기준이 요구됩니다.

For this framework to have meaning, entrustment decisions must be recognized as learners transfer between institutions; a graduate who was entrusted at one school should meet the expectations of the residency program director at another. Consistent standards for performance across all medical schools will be required.


모든 학교에서 응집력있는 접근을 지원하기 위해, 우리는 핵심 EPA 프레임 워크를 사용하고자하는 기관이 목록 3에 제시된 지침 원칙을 따르도록 권장합니다.

To support a cohesive approach across all schools, we recommend that institutions intending to use the Core EPA framework follow the guiding principles provided in List 3.


List 3 Guiding Principles for Institutions Implementing the Core Entrustable Professional Activities for Entering Residency (Core EPAs) Framework

• 각 EPA에 대한 교육 기회와 평가를지도하기위한 체계적인 접근법을 채택한다.

• Employ a systematic approach to map educational opportunities and assessments for each EPA


• 각 EPA에 요구되는 특정 지식, 기술 및 태도 이외에 신뢰성의 속성을 명시 적으로 측정합니다.

• Explicitly measure the attributes of trustworthiness in addition to the specific knowledge, skills, and attitudes required for each EPA


• 집계 된 성과 기록을 통해 각 학습자의 성과에 대한 종단적 관찰을 생성하고, 위탁 결정을 알리는 데있어 종단 관계 및 공식 코칭 구조의 부가 가치를 고려하십시오.

• Create a longitudinal view of each learner’s performance via, at minimum, aggregated performance evidence, and consider the added value of longitudinal relationships and formal coaching structures in informing entrustment decisions


• 각 EPA에 대한 각 학습자에 대한 여러 평가자의 다중 모달 성과 증거 수집

• Gather multimodal performance evidence from multiple assessors about each learner for each EPA


• 총괄적 위탁 결정을 뒷받침하는 증거 자료에 각 학습자의 위임에 관한 전반적 전문적 판단을 포함시킵니다

• Include global professional judgments about the entrustment of each learner in the body of evidence that supports summative entrustment decisions


• 위임에 대한 궤적을 따라 형성에 대한 피드백을 통해 재교육과 책임의 잠재적 가속을 위한 기회를 제공하는 프로세스를 보장합니다.

• Ensure a process for formative feedback along the trajectory to entrustment to provide opportunities for both remediation and potential acceleration of responsibilities


• 각 학습자의 성과 기록을 검토하는 훈련 된 그룹 (위임위원회)이 정식 위임 결정을 내려고 유지하는 프로세스를 만듭니다.

• Create a process to render and maintain formal entrustment decisions by a trained group (entrustment committee) that reviews performance evidence for each learner


• 각 학습자가 기대에 부응하고 성과에 대한 증거를 수집하고 검토하며 위탁을 성취하기 위해 개별화 된 학습 계획을 수립하여 위탁 프로세스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있는지 확인하십시오

• Ensure that each learner is an active participant in the entrustment process—aware of expectations, engaged in gathering and reviewing performance evidence, and generating individualized learning plans to attain entrustment


• 핵심 EPA 커리큘럼 개발자 안내서 5에 현재 기술되어있는 것처럼 개별 학습자에 관한 공식 위임 결정을 국가적으로 확립 된 성과 기대치와 일치시킵니다.

• Align formal entrustment decisions regarding individual learners with nationally established performance expectations, as currently described in the Core EPAs Curriculum Developer’s Guide5


영향, 한계, 다음 단계

Impact, Limitations, and Next Steps


핵심 EPA 파일럿은 두 가지 잠재적 영향 수준을 가질 수 있습니다.

The Core EPA pilot could have two potential levels of impact. 


첫째, 개별 학교가 핵심 EPA를 organizing 프레임워크로 적용 할 때, 학생들은 EPA를 배우고 실습 할 수있는 기회를 창출 할 것이며, 저부담 형성 평가를 구현할 것입니다 .23 우리는 의과 대학 졸업자가 전공의 과정에 들어가기 위한 core responsibility를 더 잘 준비할 것으로 기대하며, 이는 UME에서 GME로의 전환을 크게 개선할 것이다.

First, as individual schools apply the Core EPAs as an organizing framework, they will create opportunities for students to learn and practice the EPAs and will implement low-stakes formative assessments.23 We expect this work to better prepare medical school graduates for the core responsibilities of entering residents, resulting in a significant improvement in the UME to GME transition.


둘째, 위탁 구조를보다 높은 수준의 영향으로 확대하기 위해서는, GME로의 advancement는 개인의 준비 가능성을 총체적으로 보장하는 것에 달려있다.

Second, to escalate the entrustment construct to a higher level of impact, advancement into GME would become contingent on ensuring individuals’ readiness in a summative fashion


이 과정은 기관간에 일관되고 존중받는 공식 위임 결정을 내릴 것을 요구합니다. 모든 학생에게이 결과를 얻으려면 

  • 적절한 학습 기회, 

  • 평가를위한 구조화 된 프로세스, 

  • 그러한 결정을 알리는 데 필요한 증거의 정의, 

  • 위탁위원회의 실행, 

  • 코칭 및 개선 프로세스, 

  • UME에서의 GME로의 교육 전달을 가능하게 하는 구조

...가 필요합니다.

This process will require making formal entrustment decisions that are consistent and honored across institutions. Attaining this outcome for every student demands 

  • adequate learning opportunities, 

  • a structured process for assessment, 

  • a definition of the evidence necessary to inform such decisions, 

  • implementation of entrustment committees, 

  • processes for coaching and remediation, and 

  • a structure to enable an educational handover from UME to GME.


National conversation은 13 개의 핵심 EPA 모두가 UME에 대한 적절한 목표를 제시하는지에 대한 우려를 제기했습니다. 현재의 EPA가 EPA의 정의에 부합하는지에 대한 논란이있다. 또한 핵심 EPA에 대한 진정한 학생 참여는 많은 보건 시스템에서 문제가 될 수있다. 우리는 학생들이 모든 EPA에 대해 동일한 위탁 수준에 도달 할 수있는 위치에 있지 않을 수도 있다는 것을 알고 있습니다.

National conversations have raised concerns about whether all 13 Core EPAs represent appropriate goals for UME. There is some debate about whether they all, as currently written, meet the definition of an EPA.24 Additionally, authentic student participation in some of the Core EPAs may be a challenge in many health systems. We are cognizant that our students may not be in a position to reach the same level of entrustment for every EPA.


Engaging the Broader Community



Conclusions



====찾아야 함====

Englander R, Flynn T, Call S, et al. Toward defining the foundation of the MD degree: Coreentrustable professional activities for entering residency. Acad Med. 2016;91:1352–1358.


1 Irby DM, Cooke M, O’Brien BC. Calls for reform of medical education by the Carnegie Foundation for the Advancement of Teaching: 1910 and 2010. Acad Med. 2010;85:220–227.


17 Hirsh DA, Holmboe ES, ten Cate O. Time to trust: Longitudinal integrated clerkships and entrustable professional activities. Acad Med. 2014;89:201–204.


2 Ten Cate O. Nuts and bolts of entrustable professional activities. J Grad Med Educ. 2013;5:157–158.


5 Englander R, Aschenbrener CA, Call SA, et al. Core entrustable professional activities for entering residency. MedEdPORTAL. 2014. https://www.mededportal.org/icollaborative/ resource/887. Accessed November 9, 2016.


24 Ten Cate O. Trusting graduates to enter residency: What does it take? J Grad Med Educ. 2014;6:7–10.






 2017 Jun;92(6):765-770. doi: 10.1097/ACM.0000000000001543.

Implementing an Entrustable Professional Activities Framework in Undergraduate MedicalEducationEarly Lessons From the AAMC Core Entrustable Professional Activities for EnteringResidency Pilot.

Author information

1
K. Lomis is associate dean for undergraduate medical education and professor of surgery, Vanderbilt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Nashville, Tennessee. J.M. Amiel is associate dean for curricular affairs and associate professor of psychiatry, Columbia University College of Physicians and Surgeons, New York, New York. M.S. Ryan is assistant dean for clinical medical education and associate professor of pediatrics, Virginia Commonwealth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Richmond, Virginia. K. Esposito is associate dean for curriculum and medical education and professor and vice chair of psychiatry and behavioral health, Florida International University Herbert Wertheim College of Medicine, Miami, Florida. M. Green is professor of medicine and director for student assessment, Yale School of Medicine, New Haven, Connecticut. A. Stagnaro-Green is regional dean and professor of medicine, obstetrics and gynecology, and medical education, University of Illinois College of Medicine, Rockford, Illinois. J. Bull is lead specialist in competency-based learning and assessment, Association of American Medical Colleges, Washington, DC. G.C. Mejicano is senior associate dean for education and professor of medicine, Oregon Health & Science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Portland, Oregon.

Abstract

In 2014, the Association of American Medical Colleges (AAMC) published a list of 13 Core Entrustable Professional Activities for EnteringResidency (Core EPAs) that medical school graduates might be expected to perform, without direct supervision, on the first day of residency. Soon after, the AAMC commissioned a five-year pilot with 10 medical schools across the United States, seeking to implement the Core EPA framework to improve the transition from undergraduate to graduate medical education.In this article, the pilot team presents the organizational structure and early results of collaborative efforts to provide guidance to other institutions planning to implement the Core EPA framework. They describe the aims, timeline, and organization of the pilot as well as findings to date regarding the concepts of entrustment, assessment, curriculum development, and faculty development. On the basis of their experiences over the first two years of the pilot, the authors offer a set of guiding principles for institutions intending to implement the Core EPA framework. They also discuss the impact of the pilot, its limitations, and next steps, as well as how the pilot team is engaging the broader medical education community. They encourage ongoing communication across institutions to capitalize on the expertise of educators to tackle challenges related to the implementation of this novel approach and to generate common national standards for entrustment. The Core EPA pilot aims to better prepare medical school graduates for their professional duties at the beginning of residency with the ultimate goal of improving patient care.


위탁가능도 척도: 역량바탕 임상평가에서의 유용성(Acad Med, 2016)

Entrustability Scales: Outlining Their Usefulness for Competency-Based Clinical Assessment

Janelle Rekman, MD, Wade Gofton, MD, MEd, Nancy Dudek, MD, MEd,

Tyson Gofton, PhD, and Stanley J. Hamstra, PhD





직장 기반 평가 (WBA)의 필수 구성 요소는 임상 감독자이며, 레지던트의 성과에 대한 주관적인 판단은 풍부하면서 미묘한 차이를 평가할 수 있지만 때로는 편향을 반영 할 수도 있습니다 .1,2 이러한 편향은 종종 낮은 신뢰도를 나타내는 WBA 도구를 초래합니다 .3-5

A necessary component of workplace-based assessment (WBA) is the clinical supervisor, whose subjective judgments of residents’ performance can yield rich and nuanced ratings but may also on occasion reflect bias.1,2 These biases often result in WBA tools demonstrating low reliability.3–5


흥미롭게도 최근의 연구 결과에 따르면, 평가자는 연수생의 성과에 대한 의견이 크게 다른 것은 아니고, 오히려 평가 척도 또는 응답 형식 (예 : "숫자를 선택하는 방법")을 해석하는 방법이 서로 달랐다.9 WBA에서 평가자 합의를 어떻게 향상시킬 것인지, 어떻게 의미있는 주관적인 판단을 잡아낼 것인지는 현재 명확하지 않다. 행동적으로 고정 된 ordinal scale로 정의하는 "Entrustability 척도"는 평가자에게 임상 적 의미가있는 판단을 반영합니다.

Interestingly, recent work suggests that raters do not so much disagree on trainee performance but, rather, on how to interpret the assessment scale or response format (e.g., how to “choose a number”).9 How to improve rater agreement in WBA and meaningfully capture subjective judgment is not currently clear. “Entrustability scales,” which we define as behaviorally anchored ordinal scales reflect a judgment that has clinical meaning for assessors.


역량 기반의 의학 교육 (CBME)이 보편화됨에 따라 직장 현실을 반영하는 임상 평가 도구를 개발하고 배포해야 할 필요성이 점점 더 중요 해지고있다.

As competency-based medical education (CBME) becomes more prevalent, the need to develop and deploy clinical assessment tools that reflect workplace reality becomes more and more critical.10,11




위임

Entrustment


임상 업무를 competent하게 수행하는 것을 배우는 것은 모든 의학적 학습자가 전문적인 독립에 이르는 길에서 반드시 거쳐야 하는 과정입니다. 임상 프리셉터는 전공의가 독립적으로 과제를 완료 할 수 있는지 계속해서 질문해야합니다.

Learning to perform clinical tasks competently is a process all medical learners must navigate on their road to professional independence. Clinical preceptors should continually be asking themselves if the resident is capable of completing a task independently.15,16


EPA는 연수생에게 맡길 수 있거나 위임할 수 있는 전문 분야의 필수적인 책임으로 정의됩니다.

EPAs are defined as essential responsibilities of the specialty that can be left, or entrusted, to a trainee.


개별 전공의에게 위임할지 여부를 결정하기 위해서는 전공의가 독립적으로 의료행위를 하게 될 경우 실제로 수행 할 작업 또는 추상적인 지식과 일반화된 기술을 보다 넓은 맥락에 두는 행위에 대한 평가를 필요로한다.19 임상 강사는 훈련의 최종 단계 뿐만 아니라, 모든 중요 시점에서 위임 결정을 할 수 있습니다. 

Determining whether to entrust individual residents entails evaluating them against what they will actually do when practicing independently, or putting their abstract knowledge and generalized skills into a larger context.19 Clinical instructors can (and do) make entrustment decisions at all milestones levels, not just in the final stages of training.


  1. "이 전공의는 물리적으로 함께 존재하는 상급자 또는 스텝의 도움을 받아 일반적인 수술 후 문제를 인식하고 관리합니다."14

  2. "이 전공의는 일반적인 시술 후 문제를 인정하고 관리합니다 ... 상급자 또는 스텝이 상담해줄 수 있지만, 물리적으로 그 자리에 있어야 할 필요는 없다"

  3. "이 전공의는 복잡한 수술 후 문제를 독립적으로 인식하고 관리합니다."14

  4. "이 전공의는 팀을 이끌 수 있으며, 복잡한 수술 후 문제의 평가와 관리에 감독을 제공 할 수 있습니다."14

  5. "이 전공의는 독립적인 진료를 할 준비가 되어있다"

  1. “This resident recognizes and manages common post-operative problems … with the assistance of senior residents or staff members who are physically present.”14

  2. “This resident recognizes and manages common post-operative problems … with the assistance of senior residents or staff members who are available for consultation, but not physically present”
  3. “This resident recognizes and manages complex postoperative problems … independently.”14

  4. “This resident can lead a team and provide supervision in the evaluation and management of complex post-operative problems.”14

  5. “ready for independent practice”




위임 척도: construct-aligned scale의 한 종류

Entrustability Scales: A Species of Construct-Aligned Scales


최전선 교육자들이 [평가 도구가 전공의에 대한 진정한 평가를 잡아낸다]고 생각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Crossley와 Jolly22는 효과적인 평가 도구는 construct alignment를 갖는다고 제안했는데, 이 말은 이 도구가 평가자의 전문 지식과 우선 순위를 반영한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최근의 교육 평가에 대한 평가에서 van der Vleuten 및 Verhoeven5는 평가 도구의 가치는 도구 자체보다는 사용자 (평가자)에 달려있다고 언급했습니다.

It is crucial for frontline educators to feel an assessment tool captures their true appraisal of a resident. Crossley and Jolly22 have suggested that effective assessment tools have construct alignment, which means that the tool reflects the expertise and priorities of the evaluator. In a recent review of in-training assessment, van der Vleuten and Verhoeven5 note that the value of assessment instruments depends more on the users (raters) than on the instruments themselves.


Entrustability 척도는 임상의와 교육자의 전문 지식 및 우선 순위에 부합하기 때문에 construct-aligned anchor scale의 한 종입니다. Zwisch 척도 (24)는 아주 간단한 예입니다. 척도의 최하단에는 "보여주고 말하기"와 맨 위에는 감독자의 존재가 환자 안전을 보장하기 위해서만 보장되는 "감독 만"이 있습니다. 이 두 레벨 사이에서, 연수생은 능동적 인 도움의 단계와 수동적 인 도움의 단계로 진행됩니다. 연수생의 지명 된 수술 절차 완성 능력을 평가하는 위탁 가능성 척도의 또 다른 예는 O-SCORE (표 1)입니다.

Entrustability scales are a species of construct-aligned anchor scales because they align with the expertise and priorities of clinician–educators. The Zwisch scale,24 is a great simple example. At the lowest end of the scale is “show and tell,” and at the top, “supervision only,” at which the supervisor’s presence is warranted only to ensure patient safety. In between these two levels, a trainee progresses through a stage of active help and a stage of passive help. Another example of an entrustability scale that assesses a trainee’s ability to complete named surgical procedures is the O-SCORE (Table 1).25



위탁 척도의 장점

Benefits of Entrustability Scales


construct alignment 덕분에 평가자가 자신의 평가 결정이 의미있다고 생각할 수 있다.

Raters find increased meaning in their assessment decisions due to construct alignment


주치의가 "평균보다 높음"이면 4점 또는 "평균보다 낮음"이면 2점와 같은 ordinal 범주로 평가하도록 요구하는 대신, 위탁가능성 척도는 평가자가 다음과 같은 범주에 속하는지 여부를 위임하거나 위임하지 않도록하는 범주적인 판단을 하도록 한다. 평점 척도 오류는 부분적으로는 평가자가 암묵적인 범주형 (간격) 판단을 (전통적으로 추상적 척도에 의해 요구되는) ordinal 판단으로 변환하지 못하는 것에서 발생합니다.27 평가자의 기존 범주형 스키마에 맞춰, reverse engineering descriptor를 사용함으로써 entrustability scales은 평가 신뢰성을 증가시킬 수있다.

Rather than requiring an attending physician to translate his or her assessment into an ordinal category such as 4 for “above average,” or 2 for “below average,” entrustability scales acknowledge the categorical judgment—to entrust or not to entrust— that raters have used successfully in the workplace.2 Rating scale error is partially due to a rater failing to correctly translate implicit categorical (interval) judgments into the ordinal judgments traditionally required by abstract scales.27 By reverse engineering descriptors to fit raters’ existing categorical schemas, entrustability scales can increase assessment reliability.22


게다가, 위탁가능성 척도는 임상 교육의 맥락에서 이미 평가자에게 의미가있는 판단을 반영합니다 .28 위탁 가능성 척도는 현실 세계의 판단에 근거하기 때문이다. 즉, 이러한 현실적이고 실용적인 판단은 평가를 의미있게 만듭니다. 예를 들어, 마취과 의사는 "나는 이 일에 대해서 내 전공의만 남겨 둘 수 있을 것인가?"라고 생각하는 것에 익숙합니다. 평가 양식에 이 판단을 공식화하는 것은 배우자와 연수생 모두에게 덜 부담스럽고 ​​의미있는 것입니다 .13

Moreover, entrustability scales reflect a judgment that already has meaning for evaluators in the context of clinical education.28 Because entrustability scales are based on this real-world judgment . That is, this real-world, practical judgment makes the assessment meaningful. For example, anesthesiologists are accustomed to thinking, “Can I leave my resident alone to do this task?” Formalizing this judgment on an assessment form is less onerous for and more meaningful to both the rater and the trainee.13


행동 기반 평가 척도는 오랜 전통을 지니고 있으며, narrative wording은 평가자가 쉽게 해석할 수 있는 것처럼 보입니다. 왜냐하면 숫자와 단 한두개만의 단어(평균)를 포함하는 척도와 달리, construct에 대해서 ready-made rich description을 제공하기 때문입니다.

Behavioral-based rating scales have a long tradition,30 and their narrative wording seems to be easier for raters to interpret because they offer a ready-made rich description of the construct, compared with scales that include only numbers and just one or two words (e.g., “average”).


Crossley와 동료 9는 실제 척도는 그대로 두고, 앵커만 변경 한 평가 도구를 비교 한 연구에서이를 입증했습니다. Narrative를 제시한 construct-aligned 척도를 갖춘 버전은 더 큰 신뢰도를 보여 주었고, 이는 WBA 도구의 열악한 신뢰성은, 전통적으로 가정 한 것처럼 평가의 차이 때문이 아니라 잘못 정렬된 척도에 대한 서로 다른 해석 때문일 수 있습니다.

Crossley and colleagues9 demonstrated this in a study comparing assessment tools in which they changed only the anchors, not the actual scale. The version of the scale with narrative, construct- aligned anchors showed greater reliability, suggesting that the poor reliability of WBA tools may not, as traditionally assumed, be due to differences in rater assessment but, instead, to different interpretations of poorly aligned scales.



평가를 주고 받는 것에 대한 문화 바꾸기

Changing the culture of giving and receiving assessment


그러나 레지던트 의사는 전문직업인이기 때문에 역량의 향상을 위해, 이 성인 학습자는 개선해야 할 부분에 대해 건설적인 비판을 받아야합니다.

Resident physicians are professional students, however, to advance toward competency in residency, these adult learners must also receive constructive critique on the areas in which they must improve.


그러나 의료 분야에서 평가결과는 척도의 상단 부분으로 치우쳐있고, 대부분의 전공의는 "평균 이상"에 이라는 점수를받습니다 .31 이러한 결과가 나오는 이유는 재교육 방법이 없기 때문에, 주치의와 우호적 근무 관계를 유지하고자 하기 때문에 등이 있다. 평가자는 정당화를 위해서 더 많은 것이 필요하거나, 낮은 점수로 인해 법적 조치가 뒤따를 경우 낮은 점수를 부여하는 것을 주저 할 수도 있습니다.

Frequently, however, medical assessment results are skewed toward the top of the scale, and most residents receive “above average” scores.31 Medical educators have proposed many reasons for this phenomenon including the lack of remediation options and the desire of attending physicians to preserve a positive working relationship. Physician raters may also be hesitant to assign low scores if these require more justification or could lead to legal action.31


실제로, 임상 평가자들은 전공의들에게 그들의 수행능력이 "만족스럽지 못하다"또는 "예상 수준보다 낮다"는 사실을 이야기하지 않는 경향이 있다.

On a practical level, clinical raters are unlikely to tell their residents that their performance was “unsatisfactory” or even “below the expected level”—and even more unlikely to fail them.13 


Entrustability Scale은 연수생의 부족이나 동급생에 대한 순위가 아니라, 자연스럽게 독립적인 의료행위를 위한 연수생의 준비로 피드백을 집중시킵니다 .25 안전한 독립적 실천에 대한 외부 기준에 대한 평가는 WBA 저울에 내재 된 가장 일반적인 약점 두 가지를 극복합니다 - 중앙 경향central tendency과 관대 편향leniency bias1 - 그리고 평가자가 모든 범주 / 숫자를 사용할 수있는 자유를 창출한다.

Entrustability scales naturally focus feedback on a trainee’s readiness for independent practice rather than on a trainee’s deficiencies or his or her ranking with respect to peers.25 Basing evaluations on the external reference of safe independent practice overcomes two of the most common weaknesses inherent in WBA scales—central tendency and leniency bias1—and creates freedom for the assessor to use all categories/numbers on the scale.9


또한 Entrustability 척도는 임상 평가자가 실제 판단을 반영하는 내러티브 설명을 토대로 경멸적이지 않은 평가를하는 데 도움이됩니다. 이것은 평가자 입장에서는 정직한 평가의 가능성을 증가시킬뿐 아니라 (즉, 관심있는 구성을보다 정확하게 평가할 수있게 해줄뿐 아니라) trainee 입장에서 평가를 (동료와의 비교가 아닌) 안전한 독립적 의료행위를 위한 진전의 표현으로 해석하는 데 도움이됩니다. 

Entrustability scales also help clinical raters make nonpejorative assessments based on narrative descriptions that reflect real-world judgments. This not only increases the likelihood of an honest assessment (i.e., it allows for a more valid assessment of the construct of interest) but also helps trainees interpret the assessment as a representation of their progress toward safe independent practice, rather than as a comparison with their peers


아마도 전공의는 (예를 들어, "평균 이하입니다"또는 심지어 단순히 "평균수준입니다."와 같은 평가보다) "당신이 아직이 요추 천자를 할 준비가되어 있다고 생각하지 않습니다. 먼저 해부학을 들여다 보겠습니다. "(위탁 가능성 앵커 척도 1 점) 또는"환자에게 상처 감염이 있고 항생제가 필요하다는 것을 설명해주었습니다. 그러나 부작용을 설명하고 감염이 악화되는 경우 간호사에게 전화하라고 환자에게 알려야한다고 상기시켜야했습니다. " 등의 평가가 더 편안할 것이다. 

Perhaps residents are more comfortable hearing assessments such as “I don’t think you are ready to do this lumbar puncture yet. First look up the anatomy and let me show you” (a score of 1 on an entrustability anchor scale) or “You did a good job of explaining that the patient has a wound infection and needs antibiotics. But I needed to remind you to explain the side effects and to tell the patient to call the nurse if the infection appears to be worsening” (a score of 3)—rather than, for example, “You scored below average” or even, simply, “Your performance was average.”



위탁과 이정표

Entrustment and milestone progression


역량 기반 평가 프로그램의 핵심은 느리게 학습해가는 전공의들을 적절하게 파악하는 것입니다. Entrustability 척도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학습자를 추적하고 그들이 "곡선에서 떨어지는"단계를 평가할 수있는 방법을 제공함으로써이 과정을 능률화합니다.

a key aspect of a competency- based assessment program should be the timely identification of residents who are progressing slowly. Entrustability scales streamline this process by providing a way to track learners over time and assess stages during which they are “falling off the curve.”13


코호트 측정과 비교할 때 이 성취 모델은 개개인의 학습을 명확하게 반영합니다.

Compared with cohort measurement, which would measure only changes in standing, this achievement model unambiguously reflects individual learning.


평가자 훈련과 위탁가능도 척도

Rater training and entrustability scales


새로운 WBA 도구가 구현 될 때마다 평가자 편향과 주관성에 대한 우려는 평가자 교육이 얼마나 필요한지에 대한 토론을 촉구해야합니다 .1 실제로 여러 근거들은 평가자 훈련이 평가 도구의 적절한 사용을 증가시킬 수 있음을 보여줍니다. 그러나 이러한 교육 세션은 자원 집약적이며 시간이 많이 걸리며 (종종 2 시간에서 4 시간의 시간이 필요함) 학습 환경 외부에서 구현하기가 어렵습니다 .36 이러한 이유로 인해 장기적으로 잠재적 인 가능성이 의심 스럽습니다.

Whenever a new WBA tool is implemented, concerns over rater bias and subjectivity should prompt discussions about how much rater training is necessary.1 Indeed, evidence shows that rater training can increase proper use of an assessment tool35; however, these training sessions are resource intensive, time consuming (often requiring two to four hours of a rater’s time), and difficult to implement outside of a study environment.36 For this reason, their potential long-term feasibility is questionable.


전통적인 평가자 교육 프로그램은 더 이상 필요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교육 지도자들이 이러한 유형의 규모, 특히 초반에는, 외부 참조를 의도한대로 사용하지 않는 평가자 (즉, 독립적인 능력의 평가 대신 동료 그룹 내에서의 비교로 되돌아가는 평가자)를 모니터링해야합니다. 레퍼런스 프레임 훈련(reference of reference training)은 평가자의 reorientation을 생성하는 방법으로서, 아웃라이어 평가자를 정기적으로 모니터링하여 scale 원칙을 realign함으로써 이득을 볼 수 있을 때 시도해볼 수 있다.

traditional rater training programs may no longer be necessary. Nonetheless, when education leaders use this type of scale, especially the first time, they should monitor for raters who fail to use the external reference as intended (i.e., who revert to comparing within peer group instead of evaluating for independent competence). A method for creating targeted rater reorientation, called frame- of-reference training, could be attempted by monitoring regularly for outlying raters likely to benefit from realignment to scale principles.


맥락 복잡성과 위탁가능성 척도

Context Complexity and Entrustability Scales



entrustment-aligned 도구조차 모든 WBA 도구와 공유하는 한계가 있는데, 바로 락적 복잡성을 완전히 설명 할 수 없다는 것입니다 .13 평가는 특정 작업을 수행하는 특정 전공의에게만 특정적이어서, 날씬한 환자에서 요추 천자를 완료하는 것은 더 비만한 환자를 대상으로 요추 천자를 하는 것과는 완전히 다르다. 이것은 이 두 가지가 심지어 같은 EPA로 다뤄짐에도 그러하다. 사실, 많은 맥락적 요인들이 위임 결정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우리는 시간 경과에 따른 다수의 평가를 권장합니다 - 이상적으로는 여러 명의 평가자가 평가에 참여해야 한다 - 이를 통해 전공의 평가에서 맥락에 따른 변동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위탁 가능성 척도를 사용하는 도구는 평가자가 내러티브 설명을 남길 수있는 공간에서 이익을 얻습니다.


A limitation that entrustment-aligned tools share with all WBA tools is their inability to completely account for context complexity.13 Although assessments are specific to a particular resident performing a specific task, completing a lumbar puncture on a slim patient is different from completing one on a patient with a larger body habitus—even though both procedures are coveredby the same EPA. Indeed, because many contextual factors influence entrustment decisions,17 we recommend multiple assessments over time—ideally completed by several raters—to limit the impact of contextual variations on overall trainee assessment. Additionally, tools using entrustability scales benefit from a space for raters to leave narrative  comments.38




Conclusions


전선 임상가들은 전공의의 능력에 대한 판단이 "번역과정에서 상실"되기를 원치 않으므로 이러한 문제를 피하는 데 도움이되는 도구는 임상 학습 환경을 더 가치있게 생각할 것입니다. 마찬가지로, 전공의에게도 (연차보다는) 최종 목표에 초점을 맞출 수 있도록 돕는 도구가 사용된다면, well-constructed, actionable한 피드백의 양을 증가시킬 수 있습니다. Entrustability Scale (또는 Independence-Aligned Scale)은 역량 기반 환경에서 특정 임상 적 척도 판단과 특정 척도 척도 측정을 동기화 할 수있는 큰 잠재력을 보여줍니다.


Frontline clinicians do not want their judgments of residents’ abilities to get “lost in translation,”40 so a tool that helps them avoid this problem would add value to the clinical learning environment. Likewise, a tool that helps residents focus on an end goal (rather than on a grade) has the potential to increase the amount of well-constructed, actionable feedback they receive. Entrustability scales (or independence-aligned scales9 or construct-aligned scales) show great potential for synchronizing actual clinical rater judgments with specific anchor scale measures in the competency- based environment.








 2016 Feb;91(2):186-90. doi: 10.1097/ACM.0000000000001045.

Entrustability ScalesOutlining Their Usefulness for Competency-Based Clinical Assessment.

Author information

1
J. Rekman is a general surgery resident and master's in health professions education student, University of Ottawa, Ottawa, Ontario, Canada. W. Gofton is an orthopedic surgeon, University of Ottawa, Ottawa, Ontario, Canada. N. Dudek is associate professor, Department of Medicine, University of Ottawa, Ottawa, Ontario, Canada. T. Gofton is Wissenschaftlicher Mitarbeiter, Department of Philosophy, Eberhard Karls Universität, Tübingen, Germany. S.J. Hamstra is vice president, Milestones Research and Evaluation, Accreditation Council for Graduate Medical Education, Chicago, Illinois.

Abstract

Meaningful residency education occurs at the bedside, along with opportunities for situated in-training assessment. A necessary component of workplace-based assessment (WBA) is the clinical supervisor, whose subjective judgments of residents' performance can yield rich and nuanced ratings but may also occasionally reflect bias. How to improve the validity of WBA instruments while simultaneously capturing meaningful subjective judgment is currently not clear. This Perspective outlines how "entrustability scales" may help bridge the gap between the assessment judgments of clinical supervisors and WBA instruments. Entrustment-based assessment evaluates trainees against what they will actually do when independent; thus, "entrustability scales"-defined as behaviorally anchored ordinal scales based on progression to competence-reflect a judgment that has clinical meaning for assessors. Rather than asking raters to assess trainees against abstract scalesentrustability scales provide raters with an assessment measure structured around the way evaluators already make day-to-day clinicalentrustment decisions, which results in increased reliability. Entrustability scales help raters make assessments based on narrative descriptors that reflect real-world judgments, drawing attention to a trainee's readiness for independent practice rather than his/her deficiencies. These scales fit into milestone measurement both by allowing an individual resident to strive for independence in entrustable professional activities across the entire training period and by allowing residency directors to identify residents experiencing difficulty. Some WBA tools that have begun to use variations of entrustability scales show potential for allowing raters to produce valid judgments. This type of anchor scale should be brought into wider circulation.

PMID:
 
26630609
 
DOI:
 
10.1097/ACM.0000000000001045


역량바탕교육, EPA, 언어의 힘(J Grad Med Educ. 2013)

Competency-Based Education, Entrustable Professional Activities, and the Power of Language 


Olle ten Cate, PhD





저널을 편집하는 것은 언어에 관한 것입니다.

Editing a journal is all about language.



CanMEDS 역량 프레임 워크의 7 가지 역할은 현재 전 세계적으로 널리 보급되어 있으며 강력한 언어입니다. 이와 비교하여 (ACGME) 핵심 역량은 이론적으로 덜 강력하지만 또한 레지던트 교육에 대한 새로운 시각을 구조화하는 역할을합니다.

The 7 roles of the CanMEDS competency framework , now prevalent around the world, representpowerful language. By comparison, (ACGME) core competencies seemlinguistically less powerful but also serve to structure new perspectives about residency training.



역량 (competency)은 신속하게 파악되어 이제는 어디에서나 사용되고 있습니다. 그러나 우리 모두가 역량에 같은 의미를 부여합니까? 역량이 지식 - 기술 태도 (KSA)와 어떻게 다른지 묻는다면, 많은 사람들은 KSA보다 역량이 더 통합적이라고 생각한다 .2) 동시에 ACGME는 의학 지식(K), 대인 관계 및 의사 소통 기술(S), 프로페셔널리즘(A)를 각각의 "핵심 역량"으로 제시한다. "Lurie3는 최근에 역량에 관한 흐릿한 언어가 의학 교육에서의 평가 방법 개선에 어떻게 기여하지 않았는지를 설명하면서, "assessment of competencies"라는 생각을 버려야 한다고 말했다.

The word competency has caught on quickly and is now being used ubiquitously. Do all of us, however, give it the same meaning? If asked how the competencies are different from knowledge-skills-attitudes (KSA), many consider the competencies to be ‘‘more integrated’’ than the KSAs are.1,2 At the same time, ACGME has called the terms medical knowledge, interpersonal and communication skills, and professionalism each ‘‘core competencies.’’ Lurie3 has recently elaborated on how the blurred language around competencies has not contributed to improved assessment practices in medical education and suggests that the idea of ‘‘assessment of competencies’’ should be abandoned.


의사의 중요한 자질을 언어로 포착해야 할 필요성 때문에, 너무 길거나 너무 이론적이어서 실용적이지 못한 자세한 설명만 만들어졌다.

The need to capture important qualities of physicians in language has led to detailed descriptions that can be too long or too theoretical to be practical.


1950 년대까지 Miller5는 인간의 작업 메모리가 제한되어 있으며 한 번에 7 개 (62 개) 이상의 독립적 인 요소를 포함 할 수 없다고 주장했습니다. 연수생을 관찰하는 동안 정교한 역량, 하위 competencies,이정표 프레임 워크를 사용하려면인지 과부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임상 교육자가 역량 개념 및 모든 새로운 언어를 이해할 수없는 경우 연수생 역량을 효과적으로 평가할 수 없습니다.

As far back as the 1950s, Miller5 argued that human working memory is limited and cannot contain more than 7(62) independent elements at a time. To use an elaborate framework of competencies, subcompetencies, and milestones while observing trainees may cause cognitive overload. If clinical educators cannot comprehend the competency concept and all of its new language, they may not be able to effectively assess trainee competencies.


여기서, EPA 개념이 등장한다. EPA는 역량을 임상 실습과 연계하여 실현 가능하도록 만들어졌습니다 .6 EPA는 의사가 일상적으로하는 일을 나타내므로 새로운 언어는 더 간결하고 덜 복잡 할 수 있습니다.

Here, is where the entrustable professional activity (EPA) concept emerges. The EPAs were designed to link competencies to clinical practice and make them feasible.6 Because EPAs represent what physicians do in daily practice, the new language can be briefer and less complicated.


EPA의 기술과 적용에 대한 정확한 표현 방식은 하나도 없지만, "전문적 활동"을 파악하고 인증하는 목적을 충족하는 한, EPA의 성격에 대한 다양한 견해가 적용될 수있다.

Although there is no single correct mode of description and application of EPAs, as long as it serves the purpose of identifying the ‘‘professional activity’’ to be mastered and certified, different views of the nature of EPAs may be applicable.


능력, 이정표 및 EPA가 GME 커리큘럼의 언어가되어야한다면, 공통된 정의를 사용하고 해당 용어가 의미하는 바를 공통적으로 이해하는 것이 가장 중요합니다. 이러한 투명성만으로도 해당 지역이 현지 해석을 초월하고 국가 간, 국가 간, 국제 간 협업 및 교류를 촉진 할 수 있습니다.

If competencies, milestones, and EPAs are to become the language in postgraduate curricula, it will be of utmost importance to use common definitions and have a common understanding of what the terminology means. Only that transparency will enable the field to transcend local interpretations and stimulate interinstitutional, national, and international collaboration and exchange.




 2013 Mar;5(1):6-7. doi: 10.4300/JGME-D-12-00381.1.

Competency-based educationentrustable professional activities, and the power of language.

PMID:
 
24404218
 
PMCID:
 
PMC3613319
 
DOI:
 
10.4300/JGME-D-12-00381.1


성찰, 인식, 지혜의 습득(Med Educ, 2008)

Reflection, perception and the acquisition of wisdom

Ronald M Epstein





인간의 두뇌와 인간의 마음에 대한 이해가 커짐에 따라 우리가 인식하는 것과 우리가 알고있는 것을 판단하는 함정에 대한 통찰력이 생겼습니다. 이러한 정신적 과정은 흔히 무의식적으로 이뤄지기 때문에, 우리는 종종 기억, 인식 및 가정이 우리의 행동과 판단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정확히 알지 못합니다. 의식하지 못하면 우리는 그것을 검증하거나 반박할 수 없습니다. 중요한 것은, 자신의 행동에 대한 가정은 종종 무의식적이기 때문에, 우리는 자신의 역량, 효과성, 전문성의 여러 측면에 대해 보지 못하고 있다는 것입니다. 성찰은 종종 우리의 인식을 벗어나는 지각과 판단에 대한 접근 방법의 하나로서 홍보되며, 따라서 우리를 변화시킬 수있는 더 나은 위치에 놓일 수 있습니다.

Our growing understanding of the human brain and the human mind has given us insight into the pitfalls of making judgements about what we perceive and what we know. Because these mental processes are largely unconscious,1 we are often unaware of exactly which memories, perceptions and assumptions affect our actions and our judgement; without awareness, we cannot validate or disconfirm them. Importantly , assumptions about our own behaviour are also often unconscious and, therefore, we can be blind to many aspects of our own competence, effectiveness and professionalism. Reflection is promoted as one way of gaining access to perceptions and judgements that often escape our awareness, and thus may place us in a better position to change them.


전문 지식은 단지 경험의 반복 그 이상이다: 우리 모두는 경험이란 것이 단순히 더 큰 자신감으로 실수를 반복하는 능력을 합리화하는 의사들을 알고 있다. 전문가들은 자기 감시 능력을 갖추어야 할뿐 아니라 변화하는 상황에도 적응할 수 있어야합니다 .2 데이비드 리치는 전문가는 어떤 규칙을 언제, 어느 정도까지 어기거나 깨뜨릴지를 아는 사람이라고 했다; Dreyfus는 '마스터'가 어떻게 자신의 지식을 지속적으로 질문하고 확장하며 맥락화할 수 있는지 설명합니다 .3 따라서 성찰의 목표는 지식과 기술을 발전시키는 것뿐만 아니라 정보에 입각 한 유연성과 지속적인 학습과 겸손을 촉진하는 마음의 습관을 개발하는 것입니다. 

Expertise is more than just repeated experience: we all know clinicians whose experience merely justifies their ability to repeat their mistakes with greater confidence. Experts should not only possess the capacity for self-monitoring, but should also be adaptable to changing circumstances.2 David Leach once described an expert as someone who has the ‘practical wisdom’ to know which rules to break, when to break them, and to what degree; Dreyfus describes how ‘masters’ are able to question, expand and contextualise their own knowledge continuously.3 Thus, the goal of reflection should be to develop not only one’s knowledge and skills, but also habits of mind that promote informed flexibility, ongoing learning and humility.


성찰에는 메타인지가 포함됩니다 (예 : 사고에 대한 사고와 느낌에 대한 느낌). 최근 neurocognitive 연구는 성찰과 metacognition에 관여하는 두뇌의 부분이 있다는 것을 제안합니다 .4 이러한 영역 중 하나는 전 전두엽 피질입니다

Reflection involves metacognition (e.g., thinking about thinking and feeling about feeling). Recent neurocognitive studies suggest that there are parts of the brain that are involved in reflection and metacognition.4 One such area is the medial prefrontal cortex


  • 공식적인 평가로부터 얻은 비인격적 데이터 (예 : 객관식 질문 테스트), 

  • 다른 사람들의 대인 관계 데이터 (예 : 피드백, 그룹 토론) 

  • 자기 내부의 데이터(gut feeling) 

...을 성찰하여 우리에게 즉각적으로는 명백하지 않은 사고 및 행동의 측면에 대한 지식을 얻을 수 있습니다 - 

It is possible to gain knowledge of aspects of our thinking and behaviour that are not immediately obvious to us through reflection on 

impersonal data from formal assessments (e.g. multiple-choice question tests), 

interpersonal data from others (e.g. feedback, group discussions) and

intra-personal data such as ‘gut’ feelings.


행동 중 성찰은 의사를 on course할 수 있게하고, 오류를 예방하고, 역량을 유지하는 데 필수적인 지속적인 자체 모니터링의 일부이지만, 행동 후 성찰의 가치는 논란의 여지가 있습니다. 예를 들어 Morbidity and mortality rounds는 미래의 실수를 예방하는 것처럼 보이지 않기 때문에 비판을 받아왔다. 또한 자신의 행동에 대해 ascribing하려는 동기는 마음을 편하게 해줄수는 있지만(예 : '피곤했다', '환자는 비협조적이었습니다', '비정형 사례였다'), 우리 개인의 불편한 진실은 밝혀지지 않는다 (예 : '나는 환자에게 유도질문을 했다.', '나는 항상 그 잡음을 듣는 척했지만, 실제로 고령자의 메모를 복사했다', '나는 감별 진단을 구성하는 좋은 방법이 없다').

Whereas reflection-in-action is part of the continuous self-monitoring that is essential to keep clinicians on course, prevent errors and maintain competence,6 the value of reflection-on-action is controversial. Morbidity and mortality rounds, for example, have been criticised because they do not seem to prevent future errors simply by examining and assigning culpability for past ones. Furthermore, ascribing motivations for one’s own actions (e.g. ‘I was tired’; ‘the patient was uncooperative’; ‘it was an atypical case’) after the fact may be comforting, but it does not reveal the inconvenient truths about our own personal deficiencies (e.g. ‘I asked the patient leading questions’; ‘I always pretended to hear those murmurs, but really just copied my senior resident’s note’; ‘I don’t have a good way of organising a differential diagnosis’).


자기 축하 및 자기 관대 한 유사성찰은 잘못된 자기 이미지를 수정하기보다는 강화할 수 있습니다.

Self-congratulatory and self-indulgent pseudoreflection can reinforce rather than challenge a flawed self-image.


실제 임상 실습에서의 성찰 습관의 촉진이 항상 쉽지만은 않은데, 왜냐하면 교사든 학습자든 성찰을 통해서 자신의 능력, 효과, 자기가치에 대한 인식을 위협하는 통찰이 생기면 방어적 자세를 취하기 때문이다. 성찰 집단, 성찰적 내러티브, 성찰 연습 세션을 통해 자기-지식을 제공하고 자기-기만적인 자연적 인간의 경향을 시정하는 방향으로 진화 해왔다.

Promotion of habits of reflection in actual clinical practice is not always easy because both teachers and learners put up defences when reflection yields insights that challenge their perceptions of their competence, effectiveness and selfworth. Reflection groups, reflective narratives and reflective practice sessions have evolved to provide self-knowledge and a corrective to the natural human tendency to self-deceive.


그러나 임상적 맥락을 벗어난 곳에서 실시 된 세션이 가치있어 보일지 몰라도, 그 세션들은 임상 작업에 embed된 성찰을 통해 보완되어야하며, 연수생이 함께 근무하는 통찰력 있고 끈기있는 임상의에 의해 모델링되고 멘토링되어야합니다.

However valuable sessions conducted outside the clinical context might seem, these must be complemented by reflection that is embedded in clinical work, and modelled and mentored by insightful and patient clinicians with whom trainees work.


코간 (Kogan)과 시어 (Shea)의 '피드백 카드 (feedback cards)'에 대한 연구는 의과 대학 임상 회전의 맥락에서 반성과 피드백을 촉진하기위한 노력을 나타낸다.

Kogan and Shea’s study of ‘feedback cards’ represents an effort to foster reflection and feedback in the context of medical school clinical rotations.9



우리 학생들은 충분한 피드백을 얻지 못한다고 끊임없이 불평하지만, '지금, 저는 여러분에게 약간의 피드백을 주고 싶습니다.'라고 말한 다음에 다시 한번 피드백을 주었음을 지적해주지 않으면, 피드백을 받고 있다는 사실을 인식하지 못한다. 피드백 카드를 사용하는 것은 우아한 해결책 인 것처럼 보입니다 : 피드백은 빈번하고, 학생들에게 중요한 주제를 중심으로 체계적으로 분류되어 표시됩니다.

Our students constantly complain that they don’t get enough feedback, but they don’t recognise it when they actually do get it unless we say, ‘Now, I’d like to give you a bit of feedback’ and then again define the feedback as such after it has been shared. Using feedback cards would seem to be an elegant solution: feedback would be frequent, labelled as such and organised around themes that were important to students.



성찰에는 특정한 기술의 개발이 요구되며, 뇌와 정신이 관련되며, 고품질 피드백에 주의를 기울여야하며, 과학적 조사와 이해의 대상이됩니다.

reflection demands the development of specific skills, involves the brain and the mind, requires attention to high-quality feedback and is subject to scientific investigation and understanding.






 2008 Nov;42(11):1048-50. doi: 10.1111/j.1365-2923.2008.03181.x.

Reflectionperception and the acquisition of wisdom.

Author information

1
Rochester Center to Improve Communication in Health Care, University of Rochester School of Medicine and Dentistry, Rochester, New York 14620, USA. ronald_epstein@urmc.rochester.edu
PMID:
 
19141004
 
DOI:
 
10.1111/j.1365-2923.2008.03181.x
[Indexed for MEDLINE]


역량바탕의학교육을 실현하기 위해서(Acad Med, 2015)

Realizing the Promise of Competency-Based Medical Education

Eric S. Holmboe, MD




첫째, 윌리엄스와 동료 1은 교수진의 충분한 직접적인 관찰 없이는 이정표의 모든 잠재력을 실현할 수 없다고 주장합니다. 둘째, 그들은 인증 요구 사항을 충족시키기 위해 단순히 "체크 박스를 체크"하는 표준적인 로테이션 종료 평가로 이정표를 사용하면 이정표의 목표와 목적을 훼손 할 것이라고 가정합니다.

First, Williams and colleagues1 argue that without sufficient direct observation by faculty, the full potential of the Milestones cannot be realized. Second, they posit that using the reporting Milestones as typical end-of-rotation evaluations to simply “check the box” to meet accreditation requirements also will undermine the goals and purpose of the Milestones.


직접적인 관측과 피드백의 필요성

The Need for Direct Observation and Feedback



조지 엥겔 (George Engel)은 전문성 개발에 필수적인 직접적인 관찰과 피드백이 없거나 부족하여 결과가 불충분하다고 강조했다. 또한, 관찰 및 피드백이 없는 자기평가는 효과가 없다 .4,5 Anders Ericsson의 6,7은 여러 영역에서 고의적 인 연습 및 코칭의 중요성에 대해 의학 교육, 특히 역량 기반 모델에 적용 할 수있다.

George Engel emphasized that the absence, or insufficiency, of direct observation and feedback, which is essential to professional development, leads to deficient outcomes. Furthermore, self-assessment without observation and feedback is ineffective.4,5 In addition, Anders Ericsson’s6,7 work on the importance of deliberate practice and coaching in multiple fields is applicable to medical education, especially in a competency- based model.


고의적인 연습은 학습자가 자신의 역량을 지속적으로 향상시키고 개선시키는 데 도움이되는 유익한 피드백을 제공하는 코치의 조심스러운 눈 아래에서, 잘 정의 된 작업을 반복적으로 수행하는 것을 포함합니다. 최근 Boud와 Molloy는 효과적인 피드백은 실제로 피드백의 수신자가 실제로 행동을 시도했을 때만 발생한다고 주장했다.

Deliberate practice involves repetitively working on well-defined tasks under the watchful eyes of a coach who provides informative feedback to help the learners continuously improve and refine their competence. Recently, Boud and Molloy8 argued that effective feedback only truly occurs when the recipient of the feedback has actually attempted the action.


직접관찰과 피드백의 현실

The Reality of Direct Observation and Feedback in Practice


직접 관찰의 질과 양은 의학 교육 연속체 전체에서 지속적으로 부족했다.

the quality and quantity of direct observation has been persistently insufficient across the medical education continuum.9


모든 대학원 2 학년과 3 학년의 거의 3 분의 1이 한 학년 동안 공식적으로 관찰되지 않았습니다. 수술과 마취와 같은 훈련은 수술실을 이용하여 계속적인 직접 관찰을 할 수는 있지만, 수술을받지 않은 환경에서 다른 사람들과의 중요한 의사 소통 (예 : 진찰 및 의사 소통)을 관찰하지 못할 수도 있습니다.

almost a third of all postgraduate year 2 and 3 residents were never formally observed over an entire academic year. Disciplines such as surgery and anesthesia can take advantage of the operating room to perform ongoing direct observation,10 but they may not observe other important competencies, such as history taking and communication, in nonoperative settings.


윌리엄스와 동료들은 교수진 시간 및 기술 평가의 공통적이고 겉으로보기에는 다루기 힘든 문제를 인용하는 것을 중요하게 강조합니다. 어떤 사람들은 Milestone과 같은 노력이 unfunded mandates라고 주장했다 .11 그러나 대학원 의학 교육 (GME)에 대한 공공 투자를 고려할 때, unfunded mandates라는 주장의 근거는 정당화하거나 지지하기가 매우 어렵다.

Williams and colleagues importantly highlight citing the common and seemingly intractable problems of faculty time and skills in assessment. Others have argued that efforts such as the Milestones are unfunded mandates.11 The unfunded mandate rationale, however, is exceedingly difficult to justify and support when you consider the public investment in graduate medical education (GME)


이정표는 또한 일반적으로 환자 경험 조사 (즉, 환자가 학습자를 관찰)를 통해 수집 된 평가 프로세스에 환자 입력의 중요성을 통합합니다. 보다 중요한 것은 환자가 학습 환경에서 고품질의 진료와 안전을 보장 할 수 있도록 훈련중인 의사를 적절한 수준으로 감독 할 권리가 있다는 것입니다. 우리는 종종 환자들이 의학 교육 시스템의 한가운데에 정면으로 앉아 있다는 사실을 무시합니다.

The Milestones also incorporate the importance of patient input into the assessment process, usually captured through patient experience surveys (i.e., their observation of the learner). More important, patients are entitled to appropriate levels of supervision of physicians-in-training to ensure high- quality care and safety in the learning environment. We too often ignore the fact that patients sit squarely in the middle of the medical education system


최근 코간 (Kogan)과 동료 연구원은 지적했듯이, 우리는 평가지 인식 (기술)을 교육 및 임상 치료 문제로 간주해야합니다. 환자는 평가의 객체가 아니라 평가의 주체가 되어야 한다.

As Kogan and colleagues14 recently pointed out, we must view rater cognition (skill) as both an educational and clinical care issue. Patients must be the subject, not the object, of assessment.


교수진이 직접 관찰을 수행 할 수있는 시간이 있는지는 대부분 각 기관이 정면으로 대응해야 하는 시스템 문제이며, 21세기 의료요구를 충족시키기 위한 의사 양성에 대해서 전문직과 공공 사이의 사회적 계약의 한 부분이다.

The availability of time for faculty to conduct direct observation is mostly a system issue that rests squarely with the institution, which must assume responsibility for the portion of the social contract between the profession and the public related to training physicians and other health care professionals to meet 21st-century health care needs.



직접적인 관찰 및 피드백에 대한 장애 극복

Overcoming Obstacles to Direct Observation and Feedback


Asch와 동료들은 산과학에 대한 수련 교육에 대한 획기적인 연구에서 보여주었듯, 레지던트가 경험하고 수행하는 의료의 질은, 그 레지던트가 나중에 독립된 의사로서 제공할 의료의 질과 매우 유사하다. 안전하고 수준 높은 훈련을받는 학습자와 함께, 환자가 안전하고 수준 높은 치료를받을 수 있도록하는 것은 훈련 기관의 윤리적 및 도덕적 책임입니다.

As Asch and colleagues15 demonstrated in their landmark study of residency training in obstetrics, the quality of care a resident experiences and delivers is very likely to be the quality of care that she or he will deliver as a practicing physician. Ensuring that patients receive safe and high-quality care in conjunction with learners receiving safe and high-quality training is an ethical and moral responsibility of training institutions.16


임상가 - 교육자 교수진은 역량 기반 의학 교육 (CBME) 시스템의 핵심 핵심을 구성합니다. 우리는 고도의 유능한 보건 의료 인력을 생산하는 대중의 의무를 충족시키기 위해 시간과 필요한 교육 및 평가 역량을 갖추기 위해 임상의와 교육자 교수진에 투자해야합니다.

Clinician–educator faculty constitute the essential core of a competency-based medical education (CBME) system. we must invest in our clinician–educator faculty to ensure that they have the time and necessary teaching and assessment competencies to meet our public obligation to produce a highly competent health care workforce.



역량, 마일스톤, 나스

Competencies, Milestones, and the NAS


첫째, 이정표는 그 자체가 "NAS"가 아니라 NAS의 9 가지 요소 중 하나이다. 

둘째, 이정표는 커리큘럼의 개발, 평가 방법 및 도구의 선택, 평가 판단을 알리고 안내하는 프레임 워크 역할을해야한다. 의학은 정적 인 직업이 아니며, ACGME는 마일스톤이 정제되고 개정되어야한다는 것을 충분히 인식합니다. 이정표는 또한 학문의 전체 성을 정의하지 않습니다. 오히려 그것들은 임상 능력의 더 큰 "전체"의 핵심 요소입니다.


First, the Milestones are not “the” NAS but, rather, one of nine total elements.19 

Second, the Milestones should serve as a framework to inform and guide the development of curricula, choice of assessment methods and instruments, and assessment judgments by the clinical competency committee. Medicine is not a static profession, and the Accreditation Council for Graduate Medical Education (ACGME) fully recognizes that the Milestones will need to be refined and revised. The Milestones also do not define the totality of a discipline. Rather, they are key elements of a larger “whole” of clinical competence. 




 2015 Apr;90(4):411-3. doi: 10.1097/ACM.0000000000000515.

Realizing the promise of competency-based medical education.

Author information

1
Dr. Holmboe is senior vice president, Milestone Development and Evaluation, Accreditation Council for Graduate Medical Education, Chicago, Illinois.

Abstract

Competency-based medical education (CBME) places a premium on both educational and clinical outcomes. The Milestones component of the Next Accreditation System represents a fundamental change in medical education in the United States and is part of the drive to realize the full promise of CBME. The Milestones framework provides a descriptive blueprint in each specialty to guide curriculum development and assessment practices. From the beginning of the Outcomes project in 1999, the Accreditation Council for Graduate Medical Education and the larger medical education community recognized the importance of improving their approach to assessment. Work-based assessments, which rely heavily on the observations and judgments of clinical faculty, are central to a competency-based approach. The direct observation of learners and the provision of robust feedback have always been recognized as critical components of medical education, but CBME systems further elevate their importance. Without effective and frequent direct observation, coaching, and feedback, the full potential of CBME and the Milestones cannot be achieved. Furthermore, simply using the Milestones as end-of-rotation evaluations to "check the box" to meet requirements undermines the intent of an outcomes-based accreditation system. In this Commentary, the author explores these challenges, addressing the concerns raised by Williams and colleagues in their Commentary. Meeting the assessment challenges of the Milestones will require a renewed commitment from institutions to meet the profession's "special obligations" to patients and learners. All stakeholders in graduate medical education must commit to a professional system of self-regulation to prepare highly competent physicians to fulfill this social contract.

PMID:
 
25295967
 
DOI:
 
10.1097/ACM.0000000000000515


역량바탕교육과정 개발: 고통과 환호(Adv in Health Sci Educ, 2010)

Building a competency-based curriculum: the agony and the ecstasy

Mark A. Albanese Æ George Mejicano Æ W. Marshall Anderson Æ

Larry Gruppen




도입

Introduction


의사 역량은 모든 수준에서 의학 교육의 초점이되어 왔습니다.

Physician competencies have increasingly been a focus of medical education at all levels.


학부 의학 교육 (UME)에 역량을 도입하려는 움직임은 실제로 ACGME / ABMS 역량보다 앞서있었습니다.

The move to introduce competencies into undergraduate medical education (UME) actually preceded the ACGME/ABMS competencies.


전체 학부 역량에 대한 ACGME / ABMS의 보급 외에도, 그들은 전문 사회의 여러 직책 감독자를위한 기초 자료로 사용되었습니다. 내과의 Clerkship Director (CDIM)는 최근 Core Medicine Clerkship Curriculum Guide 버전 3을 발표했습니다 : 모든 목표가 ACGME 핵심 역량으로 코딩 된 교사 및 학습자를위한 리소스입니다 (http://im.org/CDIM/ 참조). ). 가정 의학 교사회 (Society of Teachers of Family Medicine)는 2004 년에 이러한 역량에 기반한 가정 의학 교과 과정 자료를 발표했습니다 (http://www.stfm.org/curricular/index.htm 참조). 또한 산부인과 및 산부인과 학부모 협의회 (ACGME / ABMS Competency)에 코딩 된 목표가 산술 및 산부인과 학부모 목표에 대한 산부인과 및 산부인과 학회 (APGO) 제 8 판에 포함되어 있습니다.

In addition to penetration of the ACGME/ABMS to overall undergraduate competencies, they have been used as a basis for several of the specialty society’s preparatory materials for clerkship directors. 

  • The Clerkship Directors in Internal Medicine (CDIM) recently released version 3 of the Core Medicine Clerkship Curriculum Guide: a resource for teachers and learners in which all objectives are coded to the ACGME core competencies (see http://im.org/CDIM/). 

  • The Society of Teachers of Family Medicine released the Family Medicine Clerkship Curriculum Resource in 2004 that is heavily based on these competencies (see http://www.stfm.org/curricular/index.htm). 

  • Also, objectives contained in the Association of Professors of Gynecology and Obstetrics (APGO) 8th Edition of Objectives for Obstetrics and Gynecology Clerkships have been coded to the ACGME/ ABMS Competencies.


UME수준에서 역량이란 무엇인가?

What does competency mean at the UME level?


의학 교육의 주요 과제 중 하나는 어떻게 새로 입학 한 의대생이 ACGME / ABMS 역량을 충족 할 수 있도록 학습자를 이동move시킬 것인가이다.

One of the major challenges in medical education is how to move a learner from being a newly entering medical student to being capable of meeting the ACGME/ABMS competencies.


의대생 졸업생이 competent physician이 아니라면, 그들은 무엇인가? 개념을 희석하지 않도록 역량이라고 부르면 안된다는 주장이 제기 될 수 있습니다 (즉, progress competencies, pre-competencies, sub-competencies, or proto-competencies 같이 다른 표현으로 부르는 것이 낫습니다) ).

If graduating medical students cannot be competent physicians, what then can they be? It could be argued that they should not be called competencies so as to not dilute the concept (i.e., it would be better to call them something different like ‘‘progress competencies, pre-competencies, sub-competencies, or proto-competencies’’).


특정 역량에 대해 이러한 용어를 사용하도록 유혹을 받았지만 결국에는 이미 복잡한 개념 인 것에 혼란을 야기 할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대신, 예상되는 결과의 유형에 대한 기대치를 조정함으로써 역량이 진보progression의 단계에 적응할 수있는 위치를 취하여 의사가되는 방향으로 나아갈 것입니다. 이러한 맥락에서 의대 졸업생은 competent physician이 아니더라도 전공의 수련과정으로 나아갈 만큼 competent할 수 있다.

While we were sorely tempted to adopt such terminology for the specific competencies, in the end we think it would add confusion to what is already a complex concept. Instead, we will take the position that competencies are adaptable to stage of progression toward becoming a physician by adjusting the expectations for the type of outcomes that are expected. In this context, although the graduating medical student would not be becoming a competent physician, they would, however, be competent for proceeding to residency.


이전 연구에서 (Albanese et al., 2008) 우리는 역량과 그들의 UME단계에서의 derivative는 다음 다섯 가지 특성을 가져야한다고 제안했다.

In previous work (Albanese et al. 2008), we proposed that competencies and their UME derivatives should have the following five qualities:


1. 최종 성과물 또는 목표 상태의 수행에 중점을 둡니다.

2. 교육 프로그램에서 배운 것을 즉각 적용하려는 기대를 반영하십시오.

3. 측정 가능한 행동 (들)로 표현할 수 있어야합니다.

4. 다른 학습자의 수행 수준에 의존하지 않도록 역량 판단의 standard를 사용하십시오.

5. 학생들에게 기대되는 바를 학습자뿐만 아니라 다른 이해 관계자들에게도 알린다.


1. Focus on the performance of the end-product or goal-state of instruction.

2. Reflect expectations that are an application of what is learned in the immediate instructional program.

3. Be expressible in terms of measurable behavior(s).

4. Use a standard for judging competence that is not dependent upon the performance of other learners.

5. Inform learners, as well as other stake-holders, about what is expected of them.



역량은 ABMS / ACGME의 역량과 같은 포괄적 역량을 다루는지 아니면 의과 대학의 첫 학기에 적합한보다 구체적인 역량을 다루는 지에 따라 다양한 '세분성'을 가질 수 있습니다.

Competencies can also have a wide variety of ‘‘granularity’’ depending upon whether one is dealing with overarching competencies such as those of the ABMS/ACGME, or the more specific ones that would be appropriate for the first semester of medical school.



목적과 목표는 코스별로 다르지만, 역량은 주어진 시간에 발생하는 전체 학습 경험에 걸쳐 수평 적 및 수직적으로 통합된다. 

  • 수평 통합 (Horizontal Integration)은 의학 (정상적인 해부학, 생리학, 면역 체계 기능)을 근간으로하는 다양한 개념의 전문 지식 축적

  • 수직적 통합을 위해서는 여러 개념을 동시에 환자 치료에 적용하는 방식으로 적용 할 수 있어야합니다.

Whereas goals and objectives are course specific, competencies horizontally and vertically integrate across the entire set of learning experiences occurring at a given time. 

  • Horizontal integration refers to the accumulation of expertise in the various concepts that underlay medicine (normal anatomy, physiology, immune system functioning) while 

  • vertical integration requires the ability to simultaneously apply multiple concepts in a way that facilitates application to patient care.


목적과 목표의 평가는 구체적인 학습 경험에 중점을 두는 반면, 역량 평가는 과정 전반에 걸쳐 통합적이며 해당 시점까지 취해진 모든 과정에서 누적 될 수 있습니다.

An assessment of goals and objectives would focus on specific learning experiences whereas an assessment of competencies would be integrative across courses and be cumulative across all courses taken to that point.





기존의 교육과정 모델에서, 커리큘럼이 끝나면 기적이 일어나고, 학생들은 레지던트로 갈 준비가되었습니다.

By the conclusion of the curriculum, a miracle has occurred and students are ready for residency.


그림 2는 역량 기반 커리큘럼을 보여줍니다.

Figure 2 depicts a competency-based curriculum.




역량 기반 커리큘럼에서는 학생 평가가 과정에 기반 할 수 있지만 반드시 그런 것은 아니므로 모델에서 학생의 개별 과정 평가를 제거했습니다.

Note also that we have removed the individual course assessment of students from the model because in a competency-based curriculum, student assessment can be course-based, but not necessarily so. 


역량 기반 커리큘럼은 유능한 졸업생의 자질로 시작하여, 조각을 소화 할 수있는 부분들로 잘라냅니다.

A competency-based curriculum starts with the qualities of the competent graduate and then slices and dices them into digestible parts


역량 평가는 커리큘럼 전체에 역량이 축적됨에 따라 점차 복잡해집니다. 역량은 축적accumulate되는 이유는 역량들이 누적되면서 평가해야 할 skill이 '복잡'해지지, 점차적으로 '길어'지는 것이 아니기 때문이다.

The assessments of competencies become progressively more complex as the number of competencies accumulates across the curriculum. The competencies accumulate because the skills assessed become increasingly complex, not because the assessments become incrementally longer as the separate competencies pile up. 



CBME는 무엇인가?

What is a competency-based medical curriculum?


McGaghie와 동료 (1978)는 다음과 같은 세 가지 기능을 통해 역량 기반 커리큘럼을 다른 사람들과 구별했습니다.

  • (1) 특정 환경에서 의료에 필요한 기능 (또는 역량)을 중심으로 구성;

  • (2) 의대에 입학 한 학생들의 지적 능력을 고려할 때, 적절한 준비, 명확한 학습 목표, 충분한 학습 자원, 유연한 시간 계획이 주어지면 (드문 경우를 제외하고는) 높은 수준의 정의 된 역량을 달성 할 수 있다는 결론;

  • (3) 교육은 학생 학습의 과정과 학습을 만드는 데 사용 된 기술이 모두 시험 대상 가설로 간주되는 실험이다(18 쪽).


McGaghie and colleagues (1978) distinguished a competency-based curriculum from others by three features: 

(1) Organization around functions (or competencies) that are required for the practice of medicine in a specified setting; 

(2) Grounding in the principle that students of the intellectual ability of those admitted to medical schools, when given adequate preparation, unambiguous learning goals, sufficient learning resources, and a flexible time schedule, can with rare exceptions achieve the defined competence at high levels of proficiency; and 

(3) It views education as an experiment where both the processes of student learning and the techniques used to produce learning are regarded as hypotheses subject to testing (p. 18).


이들은 역량 기반 교과 과정을위해 mastery learning framework을 채택하고 세 가지 요소로 특성화합니다 :

  • (1) (단순히 학습 과제에서 배우는 것이 아니라) 학생이 학습 과제로 어떤 지식을 bring하는지, 

  • (2) 광범위하게 정의 된 의학 역량을 소규모의 누적 단계로 분해하여 학생들이 자신의 필요와 진도에 따라 많은 학습 자료 (서적, 실험실 경험, 교사 및 기타 사항)를 사용하여 개별 요율로 작업 할 수있게하는 것 ; 

  • (3) 역량의 성장을 문서화하고 교육 질에 대한 귀중한 피드백을 제공하기 위해, 각 학습 단계에서 학생 성취도를 철저히 평가해야 함 "(19 쪽).


They proceed to adopt a mastery learning framework for competency-based curricula and characterize it by three elements: ‘‘

  • (1) knowledge of what a student brings to a learning task, not merely what is to be taken from it; 

  • (2) that broadly defined competencies of medicine be dismantled into smaller, cumulative steps, through which students may work at individual rates using many learning resources (books, laboratory experience, teachers, and other things) according to their own needs and rates of progress; and 

  • (3) that student achievement be thoroughly assessed at each learning stage in order to document the growth of competence and to provide valuable feedback on the quality of instruction.’’ (p. 19).


Merenstein et al. (1990)은 다음 두 가지 속성을 갖기 위해 역량 기반 커리큘럼을 정의했습니다.

(1) 학습 목표는 정확하고 행동 적이며 측정 가능한 용어로 정의되며, 학습자와 교사 모두에게 알려져 있습니다. 

(2) 학습자는 동의 한 조건 하에서 특정한 역량을 입증 할 것으로 기대된다. "(Howsam and Houston 1972).

Merenstein et al. (1990) defined a competency-based curriculum to have the following two attributes: ‘‘

  • (1) Learning objectives are defined in precise, behavioral, and measurable terms, and are known to learner and teacher alike; and 

  • (2) the learner is expected to demonstrate specific competencies under the conditions agreed upon’’ (Howsam and Houston 1972). 

이 두 가지 특성을 통해 역량을 목표와 분리하는 것에 대해 혼란이있는 이유를 알 수 있습니다.

From these two attributes, it can be seen why there is some confusion about what separates a competency from an objective.


UME역량과 ACGME 역량?

UME competencies and the ACGME/ABMS competencies?


ACGME의 여섯 가지 역량

The following are the six central competencies of the ACGME/ABMS:

  • 1. Patient care provide patient care that is compassionate, appropriate, and effective for the treatment of health problems and the promotion of health.

  • 2. Medical knowledge demonstrate knowledge about established and evolving biomedical, clinical, and cognate (e.g., epidemiological and social-behavioral) sciences and the application of this knowledge to patient care.

  • 3. Practice-based learning and improvement investigate and evaluate their patient care practices, appraise and assimilate scientific evidence, and improve their patient care practices.

  • 4. Interpersonal and communication skills demonstrate interpersonal and communication skills that result in effective information exchange and learning with patients, their patients’ families and professional associates.

  • 5. Professionalism demonstrate commitment to carrying out professional responsibilities, adherence to ethical principles, and sensitivity to a diverse patient population.

  • 6. Systems-based practice demonstrate an awareness of and responsiveness to the larger context and systemof health care and the ability to effectively call on systemresources to provide care that is of optimal value.


UME에서 가장 유용하기 위해서는 목표 상태의 역량 목표가 어느 정도 UME의 종점을 반영해야합니다. 레지던트의 수행수준을 넘어서는 목표 상태를 채택하면 의대생을 더 나은 의사를 만들 수 있을지 몰라도, 학생 및 교수진에 대한 많은 재교육과 스트레스를 유발할 수 있습니다. 교수진은 역량과 역량을 측정하기 위해 사용한 성과가 "학생의 요구에 적합함"을 정당화 할 수 있어야합니다. 너무 멀고 달성하기 어려운 목표 상태를 설정하는 것은 자멸을 낳고, 사기일 수 있습니다.


To be most useful in UME, the goal-state target of competencies must at, some level, reflect the terminal point of UME. Adopting a goal-state beyond readiness for the graduated patient care responsibilities of residency may make students better physicians eventually, but will probably lead to much remedial work and/or stress for students and faculty. The faculty must be able to justify the competencies and the outcomes used to measure them as being relevant for the needs of students. Setting them to a too remote and unachievable goal-state can be self-defeating and demoralizing.


역량바탕 교육 만들기

Creating a competency-based curriculum


커리큘럼 디자인에 필요한 특수성을 달성하기 위해 가장 중요한 역량을 어떻게 slice and dice 할 수 있습니까?

How do you slice and dice the overarching competencies to achieve the specificity needed for curriculum design?


커리큘럼 역량을 씹을 수있는 bites으로 잘라내어 다이싱하는 것은 역량 기반 커리큘럼을 구현하는 주요 과제 중 하나입니다.

Slicing and dicing curriculum competencies into chewable bites is one of the major challenges of implementing a competency based curriculum.


Brown et al. (1973)은 하위 역량을 기술, 개념 및 인간의 세 범주로 분류하는 특정 역량을 클러스터링했습니다.

Brown et al. (1973) clustered the specific competencies that they called subcompetencies into three categories: technical, conceptual, and human.


Quinlan (1975)은 장기 시스템 커리큘럼으로 시작했습니다. 이 큰 틀 안에서, 기관 체계는 주요 영역으로 나뉘어져 주제로 나뉘었다. 주제는 학습 목표, 최종 목표, 관련 조건 및 학습 자료의 논리적 순서로 구분됩니다.

Quinlan (1975) started with an organ system curriculum. Within this larger framework, organ systems were divided into major areas that were then broken down into topics. Topics were divided into a logical sequence of learning objectives, terminal objectives, associated conditions and learning resources.


Burg et al. (1976)는 소아과 의사가 어린이를 올바르게 돌보기 위해 필요한 행동의 종합 목록으로 소아과 역량을 정의했습니다. 작업 차원은 (1) 데이터 수집, 구성 및 기록, (2) 데이터 평가, (3) 문제 관리 및 건강 유지의 세 단계로 이루어집니다. 능력 차원은 5 가지 수준으로 나타났습니다 : (1) 민감성, 공감, 환자와 그 가족에 대한 포괄적 인 보살핌에 대한 헌신, (2) 사실적 지식, (3) 대인 관계 기술, (4) 기술적 기술, (5) 임상 적 판단 (Burg et al., 1976).

Burg et al. (1976) defined competency in Pediatrics as a comprehensive list of behaviors needed by a pediatrician to care for children properly. The task dimension had three levels: (1) Gathering, organizing and recording data, (2) Assessing data, and (3) Managing problems and maintaining health. The abilities dimension had five levels: (1) Attitudes as represented by maintaining work habits and reaction patterns that reflect sensitivity, empathy, and devotion to continuing comprehensive care of patients and their families, (2) Factual knowledge, (3) Interpersonal skills, (4) Technical skills, and (5) Clinical judgment (Burg et al. 1976).


분명히, 교육 프로그램을 창출하기 위해보다 구체적이고 발달 적으로 적절한 방법으로 포괄적 인 역량이 정의되는 많은 방법이있었습니다. 아마 유일한 최선의 방법은 없습니다. "옳다고 생각하는 것"을 결정하기 전에 두 가지 또는 세 가지 방법을 시도해야 할 수도 있습니다.

Clearly, there have been many ways in which overarching competencies have been defined in more specific and developmentally appropriate ways for creating instructional programs. There probably is no single best way. It may be necessary to try out two or three different methods before deciding on the one that ‘‘feels right.’’


학생들은 어떻게 자신의 능력을 시연할 수 있습니까?

How will students be able to demonstrate their competence?


각 역량에 대한 성과의 증거로 간주되는 것은 무엇입니까?

What will be considered evidence of competent performance for each competency?


45 년 동안 흔히 제기 된 공통적 인 불만은 교수가 학생들의 임상 교육 과정에서 병력청취와 신체진찰을 관찰하는 횟수가 제한된 것이다 (Engel 1976, Seegel and Wertheim, 1962). 이 문제를 줄이기 위해서 학생들이 자신의 병력청취와 신체진찰 능력을 평가받는 역량을  설정한다면, 평가를 어떻게 할지 결정해야합니다. 교수진은 학생을 관찰해야합니까, 아니면 나중에 교수 검토를 위해 비디오 테이프로 녹화 할 수 있습니까?

A common complaint voiced for over 45 years is the limited number of times that faculty observe students doing a history and physical during their clinical education (Engel 1976; Seegel and Wertheim 1962). If competencies are created to alleviate this problem so that students are evaluated on their history and physical exam skills, it needs to be determined how this will happen. Will faculty have to observe students live, or can it be videotaped for later faculty review?


학생들은 모든 역량과 모든 성과에 대해 역량을 보여 주어야합니까?

Must students demonstrate competence for every competency and all outcomes?


역량의 세분성 및 관련 결과에 따라 전체 커리큘럼에 걸쳐 수 백 또는 수천 개의 결과가있을 수 있습니다. 학생들이 각각의 모든 결과에 역량을 발휘하도록 요구하는 것은 비현실적입니다. 시스템을 합리적인 방법으로 해결해야합니다. 하나의 접근법은 세 가지 유형으로 역량을 분류 할 수 있습니다.

    • 매우 구체적인 방식으로 평가받는 것이 중요한 것

    • 보다 일반적인 방법으로 평가할 수 있는 것

    • 샘플링 할 수있는 것

Depending upon the granularity of competencies and their associated outcomes, there may be hundreds or even thousands of outcomes across an entire curriculum. It would be impractical to require students to demonstrate competency in each and every outcome. A system must be developed to address this in a reasonable manner. One approach could be to classify competencies into three types: 

    • those that are critical to be assessed in a very specific manner, 

    • those that can be assessed in a more general manner and 

    • those that can be sampled.


학생이 최소 수 (예 : 3/10)의 능력을 입증 할 것으로 예상되는 고유 한 역량이있을 수 있습니다. 이 유형의 샘플링은 자체 장치에 맡기기 때문에주의를 기울여야합니다. 바람, 물, 학생들은 모두 저항이 최소화되는 경로를 선택하며, 이 경로가 반드시 균형 잡힌 역량을 입증하는 길은 아닐 수 있다. 다양한 역경, 사례, 평가 방법 등에서 역량을 입증하는 것이 중요한 경우; 이러한 제약 조건은 최소 역량 수와 함께 지정해야합니다.

there may be distinct competencies from which students will be expected to demonstrate competence in a minimum number (say 3 of 10). Care must be exercised in this type of sampling because left to their own devices; wind, water and students will all take the path of least resistance, not necessarily the path to a balanced demonstration of competence. If it is important that competency be demonstrated in a range of contexts, cases, assessment methods, etc.; these constraints need to be specified along with the minimum number of competencies.


커리큘럼에서 역량을 어떻게 파싱해야합니까?

How should competencies be parsed across the curriculum?


학생들이 의대 졸업을 앞두고 마지막 3개월 사이에 역량을 입증하기게 만들어두며, 역량을 기반으로 구축 된 다른 시스템뿐만 아니라 교수진도 overwhelm된다. 따라서 학생들이 커리큘럼의 정의 된 부분에 도달 할 때까지 어떤 역량이 완료되어야하는지에 대한 기대치를 설정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커리큘럼 전반에 걸쳐 벤치 마크를 분석하면 교수진이 역량을 습득하고 성취도를 친숙한 방식으로 문서화하는 데 도움이되는 긴급 성과 권한을 학생들에게 부여하게됩니다.

If students wait to demonstrate their competence until their last 3 months in medical school, it will overwhelm faculty as well as the other systems built around the competencies. Thus, it will be important to set out expectations for what competencies should be complete by the time students reach defined parts of the curriculum. Having benchmarks parsed throughout the curriculum will give students the sense of urgency and authority to push faculty to help them learn the competencies and document their achievement in a developmentally friendly way.


학생들은 언제 역량을 demonstrate할 수 있습니까?

When will students be able to demonstrate their competence?


이 문제를 해결하기위한 두 가지 극단은 다음과 같습니다. 학생들이 준비만 되면 언제든 vs 사전에 계획된 대규모 그룹에서만.

The two extremes for addressing this issue are: whenever students feel ready and only in large group pre-scheduled assessments (e.g., exams).


중요한 관련 쟁점은 여러 역량을 여러 번 (즉, 연속 방식으로) 평가해야하는지 아니면 한 번 평가가 충분한 지 여부입니다. 이것이 쟁점이 되는 이유는, 지식과 기술 모두 사용되지 않는 경우 decay하기 때문이며, 이는 기술이 특히 내용특수성이 높은 것으로 입증 된 경우에 더욱 그러하다(예 : 학생이 울혈 성 심부전 증상을 나타내는 환자에게는 신체 검사를 수행 할 능력이있을 수 있지만 당뇨병 성 망막증의 증상을 나타내는 환자를 대상으로 신체 검사를 수행 할 능력이 없을 수 있음).

An important related issue is whether some competencies should be assessed at multiple times (i.e., in a serial fashion) or whether a ‘‘one time’’ assessment will suffice. This is a complex issue because both knowledge and skills tend to decay if they are not used (reinforced) and skills, especially, have been demonstrated to have a high degree of content specificity (e.g., a student may be competent to perform a physical examination for a patient presenting with symptoms for congestive heart failure, but not competent in performing a physical examination for a patient presenting with symptoms for diabetic retinopathy). 


지식 기반 평가는 아마도 내용의 특수성에 영향을 받기 쉽지만, 대부분의 시험은 지식의 일반화 추정치를 산출하기에 충분한 항목을 포함합니다. 그러나 임상 기술의 수행 능력 평가는 일반적으로 원하는 다양한 종류의 문제를 가진 환자의 가용성에 의해서 제약을 받으며, 시간이 많이 걸린다. 따라서, 일반화 능력을 입증하기위한 임상 기술의 학생 성과에 대한 적절한 표본을 얻는 것은 매우 어렵습니다. 신체 검사를 수행하는 등 능력에 필수적인 것으로 간주되는 기술의 경우 최소한 두 가지 상황에서 평가해야합니다.

Knowledge-based assessments are probably just as susceptible to content specificity, but most examinations contain enough items on them to yield generalizable estimates of knowledge. Assessments of performance of clinical skills, however, are generally time consuming and constrained by the availability of patients with the desired variety of presenting problems. Thus, obtaining an adequate sample of student performance of clinical skills to demonstrate generalizable competence is very challenging. For skills that are considered to be essential for competence, such as performing a physical examination, they should be assessed in at least two different contexts.


학생들이 역량에 관한 성과를 어떻게 기록하고 문서화합니까?

How will student achievement of competencies be documented and filed away?


역량 달성을 쉽게 접근 가능한 형태로 문서화하고 정리하는 것은 중요한 단계입니다. 이 메커니즘은 사용하기 쉽고 결과는 추적을 위해 중앙 데이터베이스로 이동해야합니다.

Documenting and filing away competency achievement in a readily accessible form is a critical step. The mechanism needs to be easy to use and the result needs to go into a central data-base for tracking.


역량 달성에 대한 모니터링 및 통보는 어떻게 이루어 집니까?

How will monitoring and notification of competency attainment be accomplished?


역량 달성 모니터링은 필요악이다. 이와 관련된 문제는, 학생들이 '플러그를 뽑기'전에 몇 차례나 능력을 시연해볼 시도 기회를 가질 수 있는지, 그리고 학생들이 모든 역량에 대해서 아니면 일정 비율의 역량에 대해서만 충족하면 되는지에 대한 결정이다.

Monitoring competency attainment is a necessary evil. Related issues are how many times should a student be allowed to attempt to demonstrate competence before ‘‘pulling the plug’’ and whether students must achieve competence on all competencies or only a fixed percentage of them (e.g., 80%)?


왜 학생 진도를 모니터링하는지 결정하는 것이 중요한 초기 결정입니다. 부담 수준, 지침을 제공하고 학생들이 자신의 진도를 모니터링 할 수 있습니다. 이것은 학생들이 책임있는 성인이라고 assume하는 것이며, 그들이 만족스러운 발전을 보이지 못한다면 action이 뒤따를 것입니다. 이것은 대다수의 학생들에게 사실 일 수 있지만, 희망을 잃지 않게하는 외부의 자극이 필요한 사람들이있을 것입니다.

Deciding why you are monitoring student progress is an important early decision. Atone level, one can provide guidelines and let students monitor their own progress. This assumes that students are responsible adults and they will take action if they are not making satisfactory progress. While this may be true for the large majority of students, there will be those who need some external prompting to keep them from getting hopelessly behind.


역량을 어떻게 측정할 것인가?

How will competence be measured?


UME 인증 및 유지 관리를 위해 설계된 역량이 UME에 사용되는 경우, 어느 정도의 적합성을 고려한 다음 각 표준을 보유 할 것인지에 대한 신중한 고려가 이루어져야합니다. 역량을 평가하는 데 사용 된 접근 방식이 간단할수록 구현 및 유지가 더 쉬워집니다. 그렇다고해서 역량을 평가하는 복잡한 방법이 필요하지 않다고 말하는 것은 아닙니다. 역량 및 그로부터 파생 된 측정 가능한 결과를 판단하는 기준 중 하나는 복잡한 기술 집합을 반영한다는 것입니다. 복잡한 기술을 측정하려면 복잡한 측정 기술이 필요합니다.

If competencies designed for certification and maintenance of certification are to be used for UME, careful consideration needs to be given to which are more and less appropriate and then to what standard each shall be held. The simpler the approach used to assess competence, the easier it will be to implement and sustain. This is not to say that complex methods of assessing competencies will not be needed. One criterion for judging competencies and the measurable outcomes derived from them is that they reflect a complex set of skills. Measuring complex skills is likely to require complex measurement techniques.


역량 기반 교육의 핵심 쟁점은 역량이 binary 결정인지 아니면 여러 단계인지 여부입니다. 무능력자incompetence조차도 모두 같은 무능력자가 아니며, 극단적으로나 또는 심대한 무능력자라고 볼 수 있으며, 이 때 무능력이 다단계 일 수 있다고 주장 할 수있다.

A key issue in competency-based education is whether competency is a binary decision, or multi-level. One could argue that even incompetence may be multi-level with some unfortunate individuals being not just incompetent, but EXTREMELY or PROFOUNDLY incompetent.


탈 밸트 (Talbot, 2004)는 이원화 된 역량 체계에서의 위험은 역량이 '최소치'가 되는게 아니라, 역량이 최대치(목표)가 되는 것이라고 주장한다.

Talbot (2004) argues that the danger in a binary graded competency systemis that rather than the floor, competence becomes the goal.


이 주장을 UME 수준으로 확대하는 것은 역량이 예 / 아니오 결정인지 여부 또는 양쪽 끝에 물건이 있는지 여부를 결정해야합니다. 역량을 여러 단계를 갖는다고 해석한다면 역량기반교육과정에서 [최소역량]이 [수월성]을 대신하여 목표의 자리를 차지하는 것을 피할 수 있다.

Extending this argument to the UME level would require deciding if competence is a yes/no decision or whether there is something in between and things on either end. A multi-level interpretation of competence would be better able to avoid having minimum competence overtaking excellence as the goal in a competency-based curriculum.


Southern Illinois University (SIU)는 불만족스럽고 한계가 있으며 기대 수준을 만족시키는 훌륭한 5 단계 평점 척도를 채택했습니다.

Southern Illinois University (SIU) has adopted a 5-option rating scale consisting of: unsatisfactory, marginal, meets expectations, commendable, excellent.


두 번째 핵심 쟁점은 UME에서 사용할 표준을 설정하는 방법입니다. SIU에서 사용되는 것과 같은 5 단계 연속체를 사용한다면, 우리는 연속체에 어디에 학습자가 놓여 있는지를 결정해야합니다.

A second key issue is how to set standards to use in UME. If we use a 5-level continuum like that used at SIU, we need to determine where learners lie in that continuum.


그러나 이러한 유형의 평가조차도 어려움을 겪고 있습니다. 개념으로서의 최소 능력은 측정 영역에서의 최소 통과와 공통점이 많고 최소 통과 기준 설정은 최소한 1954 년 이후 측정 문헌에서 문제가되었습니다. 많은 수의 수험생이 시험에 합격하지 못한다면, 그것은 교수가 비현실적인 기대를 가지고 있기 때문일 수 있습니다.

However, even this type of assessment is fraught with difficulty. Minimum competence as a concept has much in common with minimum passing in the measurement realm and establishing minimum passing standards has been a challenge in the measurement literature since at least 1954 . If a large number of examinees fail an exam, it can be due to faculty having unrealistic expectations. 


세 번째 핵심 쟁점은 능력, 특히 지식과 태도와 같이 덜 관찰 가능한 영역에서의 역량을 측정하는 방법입니다. Merenstein et al. 역량 평가의 위험으로 주목하십시오. " '배워야 할 것이 아니라 측정 할 수있는 것을 측정하는 경향이 있습니다.'(469 쪽) (Merenstein 외. 1990).

A third key issue is how to measure competency, especially in the less observable domains such as knowledge and attitudes. As Merenstein et al. note as a danger in competency evaluation, ‘‘There can be a tendency to measure what is measurable rather than what needs to be learned’’ (p. 469) (Merenstein et al. 1990).



시험은 지식을 평가하는 전통적인 방법이었습니다. UME의 문제는 개별 학교가 일반적으로 USMLE exams 수준의 심리 측정 품질을 갖는 최저 통과 수준을 도출할 만큼의 충분한 데이터가 없다는 것입니다. 이것은 합/불합 결정에 오류를 유발할 수 있다.

Examinations have been the traditional means of assessing knowledge. The problemfor UME is that individual schools generally do not have enough data to draw upon to setminimum passing levels that have the psychometric quality of those set on the USMLE exams. This leaves the determination of passes or fails to be relatively error prone. 



마지막은 역량 중심의 커리큘럼에서 어떻게 grade할 것인가이다. SIU 및 UI에서 사용되는 5 가지 옵션 척도는 고려할 수있는 대안을 제공합니다. 또한 합격 / 불합점 채점 시스템이 역량 기반 커리큘럼과 가장 잘 호환되는 것으로 보입니다.

The final key issue that we will deal with is how to grade in a competency-based curriculum. The 5-option scales used by SIU and UI offer alternatives that can be considered. It would also seem that a pass-fail grading system would be the most compatible with a competency-based curriculum.



메이는 C의 최하위 경계를 75 % 또는 80 %의 최소 역량으로 설정 한 다음 고정 된 비율에 따라 더 높은 등급을 할당하여 대학 정책에 위임 된 A-F 채점 시스템을 수용하는 방법을 설명합니다. 아마도 우리가 직면 한 가장 대담한 권고는 "목표는 90%의 학생이 90%의 역량을 90%의 경우에 달성하는 것"(28 페이지) (1976 년 5 월) . 역설적이게도 유연한 스케줄링 기능을 제공 할 수있는 제한적인 제약에 직면했을 때 표준은 75-80 %로 완화되었습니다. 이는 보편적 인 표준으로서 높은 수준의 성능을 설정했을 때 빠질 수 있는 함정을 지적합니다.

May describes accommodating an A–F grading system mandated by university policy by setting the lowest boundary of a C to be minimum competency at either 75% or 80% and then allocating higher grades according to fixed percentages. Perhaps the most audacious recommendation we encountered also came from May who stated that ‘‘The goal is to have at least 90% of the students achieve 90% of the competencies 90% of the time’’ (p. 28) (May 1976). Ironically, when faced with the constraint of having limited ability to provide flexible scheduling, the standards were relaxed to 75–80%. This points to the pitfalls of setting high levels of performance as a universal standard.


교수의 buy-in

Faculty buy-in and faculty development


역량 기반 커리큘럼의 기회가 매우 적다면, 교수진 buy-in과 엄청난 규모의 교수 개발이 필요할 것입니다.

If a competency-based curriculum is to have a ghost of a chance, it will require faculty buy-in and massive amounts of faculty development.


개별 교수진이 역량 평가 문서화를 더 많이 해야 할수록, 그들이 역할을 수행할 수 있도록 더 많은 헌신과 교수 개발이 필요합니다.

The more assessment of competence falls on individual faculty to document, the more commitment and faculty development will be necessary for them to fulfill their role.


Discussion/summary and educational implications







 2010 Aug;15(3):439-54. doi: 10.1007/s10459-008-9118-2. Epub 2008 May 15.

Building a competency-based curriculum: the agony and the ecstasy.

Author information

1
University of Wisconsin School of Medicine and Public Health, Madison, 53726-2397, USA. maalbane@wisc.edu

Abstract

Physician competencies have increasingly been a focus of medical education at all levels. Although competencies are not a new concept, when the Accreditation Council for Graduate Medical Education (ACGME) and the American Board of Medical Specialties (ABMS) jointly agreed on six competencies for certification and maintenance of certification of physicians in 1999, it brought about renewed interest. This article gives a brief overview of how a competency-based curriculum differs from other approaches and then describes the issues that need to be considered in the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such a curriculum. In order to achieve success, a competency-based curriculumrequires careful planning, preparation and a long-term commitment from everyone involved in the educational process. Building a competency-based curriculum is really about maintaining quality control and relinquishing control to those who care the most about medical education, our students. In the face of the many challenges that are facing undergraduate medical education (UME), including declining availability of teaching patients and over-burdened faculty, instituting quality control and relinquishing control will be necessary to maintain high quality.

PMID:
 
18481188
 
DOI:
 
10.1007/s10459-008-9118-2


역량중심 의학교육 : 이론에서 실제까지

Competency-based medical education: theory to practice

JASON R. FRANK1, LINDA S. SNELL2, OLLE TEN CATE3, ERIC S. HOLMBOE4, CAROL CARRACCIO5,

SUSAN R. SWING6, PETER HARRIS7, NICHOLAS J. GLASGOW8, CRAIG CAMPBELL9, DEEPAK DATH10,

RONALD M. HARDEN11, WILLIAM IOBST12, DONLIN M. LONG13, RANI MUNGROO14, DENYSE

L. RICHARDSON15, JONATHAN SHERBINO16, IVAN SILVER17, SARAH TABER18, MARTIN TALBOT19 &

KENNETH A. HARRIS20


최근 몇 년간 역량중심 의학교육(CBME)은 교육자들과 정책입안자들의 관심을 끌었지만, 이 패러다임에 대해서 합의된 부분은 많지 않다. 우리는 International CBME Collaborator와의 파트너십을 통해 현재 이슈가 되고 있는 것들을 살펴보았다.


다중 단계 그룹 프로세스(multi-stage group process)를 이용해서 consensus conference를 열어 CBME에 대한 문헌을 살펴보고, 명확히 해야 할 쟁점을 밝히고, 여러 분야의 교육자들이 활용할 수 있는 정의와 개념을 세우고, 미래에 나아갈 방향을 살펴보았다. 


이 논문에서는 20세기의 outcome movement를 중심으로 CBME의 진화를 설명하고자 한다. (outcome movement는 accountability and curricular outcomes and organized around competencies, promotes greater learner-centredness and de-emphasizes time-based curricular design에 초점을 둔다.) 이 패러다임에서는 역량 및 그와 관련된 용어들의 다각도적, 역동적, 발전적, 맥락적 특성을 강조한다. 


여기서는 CBME 접근법과 이와 관련된 개념을 설명하는 동시에 많은 의학교육자들이 이 논의에 참여하고 21세기 CBME의 잠재력과 위험요인을 모두 살펴볼 수 있는 기회가 되었으면 한다.



Practice points

. 역량 기반 교육은 전문 교육의 부활 패러다임입니다.

. CBME는 커리큘럼의 결과로서 역량 또는 사전 정의 된 능력을 중심으로 구성됩니다.

. CBME 패러다임은 역량과 역량발달의 개념을 재정의합니다.

. CBME는 전 세계적으로 의사 훈련에 대한 많은 도전 과제와 함께 큰 약속을하고 있습니다.

. CBME는 현대 의학 교육을 변화시킬 잠재력이 있습니다.


. Competency-based education is a resurgent paradigm in professional education.

. CBME is organized around competencies, or predefined abilities, as outcomes of the curriculum.

. The CBME paradigm employs redefined concepts of competence and its development.

. CBME holds great promise along with many challenges for physician training worldwide.

. CBME has the potential to transform contemporary medical education.



도입

Introduction


우리는 미래에 경험보다는 전문성이 역량 기반 실천 및 인증의 기초가 될 것이라고 믿습니다 (Aggarwal & Darzi 2006)

We believe that in the future, expertise rather than experience will underlie competency-based practice and...certification (Aggarwal & Darzi 2006)



CBME라는 용어가 이 전문직에 도입되었으며, 상위 일반 의학 저널 (Leung 2002, Aggarwal & Darzi 2006)에서 토론되고있다. "역량"은 많은 영역에서 의학 교육 계획의 단위가되었다 (Leung 2002; Albanese et al.2008).

CBME has entered the lexicon of the profession and is now debated in the top general medical journals (Leung 2002; Aggarwal & Darzi 2006).‘‘Competencies’’ have become the unit of medical educational planning in many jurisdictions (Leung 2002; Albanese et al.2008). 


방법

Methods: The ICMBE Collaborators



역량바탕교육의 기원

Origins of competency-based education


전문가 육성에 대한 역량 기반 접근법에 대한 요구는 60 년 이상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Grant 1975, Spady 1977, Carraccio 외 2002) Tyler (1949)와 Mager (1997)의 연구에서 언급된 프로그램 목표와 목표에 중점을 두는 방식이 20 세기 초반에 널리 채택되었지만, 다른 이들은 프로그램 최종 제품을 희생하여 프로세스에 대한 집중을 거부했습니다. 성과기반교육 (OBE)은 이것에 대한 대응으로 발생했다 (Block 1974, Rubin & Spady 1984, Levine 1985, Spady 1994, Harden 1999). OBE는 학습자와 프로그램 결과물을 강조했으나 이를 달성하기위한 경로 및 과정을 강조하지 않았습니다. 지식 목표를 중심으로 구성된 전통적인 기준은 프로그램의 제품에 관계없이 교육 과정을 강조하는 경향이 있지만, OBE는 반대 입장을 취합니다. 성과에 따라 모든 커리큘럼 결정이 guide되고, 커리큘럼 프로세스는 부차적이다 (Harden 1999). 이러한 맥락에서 역량 기반 접근법은 OBE의 한 유형으로 볼 수 있습니다.


Calls for competency-based approaches to preparing professionals go back 60 years or more (Grant 1975; Spady 1977; Carraccio et al. 2002) Although an emphasis on program goals and objectives articulated in the work of Tyler (1949) and Mager (1997) was widely adopted in the early 20th century, others rejected the ensuing focus on process at the expense of program end-products. Outcome-based education (OBE) arose in response (Block 1974; Rubin & Spady 1984; Levine 1985; Spady 1994; Harden 1999). OBE emphasized learner and program outcomes, not the pathways and processes to attain them. Whereas traditional criteria organized around knowledge objectives tend to emphasize the instructional process, regardless of the product of the program, OBE takes the opposite position: outcomes guide all curriculum decisions, and curriculum processes are secondary (Harden 1999). In this context, competency-based approaches to curricula can be seen as a type of OBE.



CBME의 rationale

The rationale for CBME


CBME가 새로운 것이 아니라면 지금 왜 그런 관심을 끌고 있습니까? 최근 몇 년 동안 세력 및 추세가 CBME에 특별한 관심을 불러 일으켰습니다.

If CBME is not new, why it is attracting such interest now? In recent years, number of forces and trends have given rise to a particular interest in CBME.


1. 교육과정 성과에 초점

1. A focus on curricular outcomes


CBME의 지지자들은 전문직에 대한 책임과 감시의 시대에, 의학 교육자들은 모든 졸업생들이 실무에 대비할 수 있도록해야한다고 주장했다. 많은 commentators들이 여러 커리큘럼이 졸업생에게 필요한 성과를 명시적으로 정의내리지 않을 뿐만아니라, 성과의 배움, 평가, 습득을 확인하고 있지도 않다고 지적했다. 그들은 교육과정 개발에 있어서 serve할 인구의 요구에 명시적으로 연계된 접근 방식을 옹호하며, 이들은 본질적으로 실용주의자이다. 각 커리큘럼 요소는 학습자 결과에 기여해야하며, 그렇지 않으면 제거되어야 한다. 또한, 하나의 핵심 영역의 능력(예 : 절차 적 기술)이 다른 능력(예 : 의사 소통)의 부족을 보완하는 현상은, 전문직과 대중에게 해를 끼친다고 주장한다.


Advocates of CBME argue that, in an era of greater accountability and scrutiny of the professions, medical educators must ensure that every graduate is prepared for practice. Commentators in many countries have noted that many curricula do not even explicitly define the outcome abilities needed of graduates, let alone ensure they are learned, assessed, and acquired. They advocate an approach to curriculum planning that, explicitly tied to the needs of those served, is inherently utilitarian: each curricular element must contribute to learner outcomes or be cut. In addition, they argue that the phenomenon of allowing ability in one essential domain (e.g., procedural skills) to compensate for lack of ability in another (e.g., communication) does a disservice to both the profession and the public served.


2. 능력을 강조

2. An emphasis on abilities (competencies as the organizing principle of curricula)


목표 기반 접근법의 환원주의는 기술, 태도, 진료의 고차원적인 측면을 희생하여 지식에 지나치게 강조하게되었다 (Talbot 2004). 또한 독립적 지식 목표 목록은 학습learning이 커리큘럼 전체에 통합되어 있지 않은 프로그램을 만들고는 한다. CBME 패러다임에서, 교육과정 요소는 구성주의적 방식으로 서로 구성되도록 조정됩니다. 역량을 organizing framework로 사용함으로써 교육자는 앞선 학습 요소를 지속적으로 통합하고, 관찰 가능한 능력을 강조하는 학습 경험을 설계함으로써 이러한 문제를 해결할 수있는 기회를 갖게됩니다 (McGaghie 1978, Voorhees 2001a, Carraccio 외 2002).


the reductionism of objectives-based approaches has led to an over-emphasis on knowledge at the expense of skills, attitudes, and higher order aspects of practice (Talbot 2004). In addition, independent lists of knowledge objectives can create a program in which learning is not integrated across the curriculum. In the CBME paradigm, curricular elements are tailored to build on one another in a constructivist manner. by using competencies as an organizing framework, educators have an opportunity to address these issues by designing learning experiences that continuously incorporate prior learning elements and emphasize observable abilities (McGaghie 1978; Voorhees 2001a; Carraccio et al. 2002).



3. 시간 기반 훈련을 강조하지 않음

3. A de-emphasis of time-based training


현대 의학 교육은 실제로 취득한 능력 (오랜 2000)보다는 훈련 (예 : 회전)에서 소비 된 시간의 양을 중시한다. 자격증 시험 자격과 같은 의사 자격 증명의 측면은 특정 경험에 소비되는 시간에 초점을 두는 경향이 있습니다.

contemporary medical education oriented toward the amount of time spent in an aspect of training (e.g., a rotation) rather than the abilities actually acquired (Long 2000). Aspects of physician credentialing, such as eligibility for certification exams, tend to focus on time spent on specific experiences.


융통성있는 시간주기를 가진 커리큘럼은 엄격하게 시간 중심으로 구성된 커리큘럼보다 효율적이고 매력적일 수 있습니다 (Bell et al. 1997; Long 2000; Carraccio 외. 2002).

a curriculum with flexible time periods may be more efficient and engaging than a strictly time-based curriculum (Bell et al. 1997; Long 2000; Carraccio et al. 2002).


4. 학습자 중심 촉진

4. The promotion of learner-centredness


CBME는 trainee가 자신의 진도와 발전에 책임을 지도록 장려합니다.

CBME, encourages trainees to take responsibility for their progress and development by mapping out a transparent pathway frommilestone to milestone on their way toward competence.



CBME란 무엇인가? 핵심 개념 정의

What is CBME? Defining the key concepts


역량 기반 의학 교육의 정의는 문헌에서 매우 다양하다. 그러므로 Box 2에 열거 된 CBME 관련 개념의 정의를 제안한다.

the definition of ‘‘competency-based medical education’’ is highly variable in the literature. We therefore propose the definitions of CBME-related concepts listed in Box 2.




Competence

The array of abilities across multiple domains or aspects of physician performance in a certain context. 

Statements about competence require descriptive qualifiers to define the relevant abilitiescontext, and stage of training

Competence is multi-dimensional and dynamic. It changes with time, experience, and setting.


Competency

An observable ability of a health professional, integrating multiple components such as knowledge, skills, values, and attitudes. Since competencies are observable, they can be measured and assessed to ensure their acquisition.

Competencies can be assembled like building blocks to facilitate progressive development.


Competency-based medical education

An outcomes-based approach to the design, implementation, assessment, and evaluation of medical education programs, using an organizing framework of competencies.


Competent

Possessing the required abilities in all domains in a certain context at a defined stage of medical education or practice.


Dyscompetence

Possessing relatively less ability in one or more domains of physician competence in a certain context and at a defined stage of medical education or practice.


Incompetent

Lacking the required abilities in all domains in a certain context at a defined stage of medical education or practice.


Progression of competence

For each aspect or domain of competence, the spectrum of ability from novice to mastery. The goal of medical education is to facilitate the development of a physician to the level of ability required for optimal practice in each domain. At any given point in time, and in a given context, an individual physician will reflect greater or lesser ability in each domain.


CBME 패러다임의 핵심 교리는 다차원적, 역동적, 맥락적, 발달적 역량에 대한 이해가 필요합니다.

The central tenets of the CBME paradigm require an understanding of physician competence as multi-dimensional, dynamic, contextual, and developmental.


Dreyfus (2004; Carraccio et al., 2008 참조)에 의해 기술 된 바와 같이, 능력의 각 영역에 대해, 초심자에서 마스터에 이르는 능력의 상응하는 스펙트럼이있다. 그러나 우리는 일단 자격증을 취득하면 의사가 영원히 자격을 갖춘 의사를 가정하는 정적 개념의 정적 개념 대신에, 역량의 개념을 끊임없이 변화하는 맥락적 CONSTRUCT로 강조합니다 (Koens et al., 2005).

For each domain of competence, there is a corresponding spectrum of ability from novice to master, as described by Dreyfus (2004; see also Carraccio et al. 2008). However, instead of a static concept of competence that postulates a physician who, once certified to practise, is competent forever, we emphasize the concept of competence as an ever-changing, contextual construct (Koens et al. 2005).


예를 들어, 전공의 수련 후 곧 도시의 대학 교육 병원에서의 의료에 적합한 것으로 증명 된 외과의사가 개발도상국의 한 농촌 병원에서 대처하기 어려울 수 있습니다. "능력의 진보"에 대한 개념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역동적이고 발전적이거나 후퇴하는 역량 개념에 대해 말하고 실천이나 학습 환경에 토대를 둔 역량을 의미한다.

For example, a surgeon certified as fit for practice in an urban academic teaching hospital soon after graduation from residency may find it difficult to cope in a rural hospital in a developing country. The idea of ‘‘progression of competence’’ speaks to this conception of competence as dynamic, developing or receding over time, and as grounded in the environment of practice or learning.


또한 우리는 역량competencies을, 작은 학습요소로부터 조립assemble 할 수 있는 역량competence의 ingredient로 간주 할 것을 제안합니다.

Furthermore, we propose that competencies be viewed as ingredients of competence, which can be assembled from smaller elements of learning.


현재 의사는 독립적으로 연습 할 준비가되어있는 시점에서 역량을 갖춘 것으로 간주됩니다. 역량에 대한 정적 인 견해는 종종 시간 기반의 자격 증명에 상당히 의존합니다. 그러므로 우리는 "역량을 갖춘"이라는 용어는 어떤 역량 영역이, 어떤 맥락에서, 그리고 어떤 의학교육 단계에 대한 것인지를 언급 하는지를 명시하는 수식어와 함께 사용되어야한다고 제안한다. 

Currently, a physician is deemed competent at the point where he or she is considered ready to practise independently. This static view of competence often rests quite arbitrarily on time-based credentialing. We therefore propose that the term ‘‘competent’’ be used with modifiers that specify which domains of ability, which context, and what stage of medical education or practice it refers to. Thus, 

  • a second-year medical student could be competent to enter a supervised undergraduate clinical rotation on a teaching hospital ward, 

  • a resident trainee could be competent to run an intensive care unit autonomously overnight, and 

  • a graduate of a residency program could be competent to perform some, but not all, procedures independently in a rural institution.


EPA은 본질적으로 특정 맥락에서의 역량입니다. 즉, 주어진 전문 분야 내에서 우수한 의사가 기대하는 전문적인 활동을 수행 할 수있게하는 통합된 역량이다.

Entrustable professional activities are essentially competencies in context; that is, an integration of the competencies that allow one to perform the professional activities expected of a good doctor within a given specialty.


  • 우리는 하나 이상의 역량 영역 (예 : 의사 소통 능력)에 상대적인 결함이있는 의사를 지칭하는 비교 용어로 "dyscompetence"를 제안합니다. 
  • "무능incompetent"하다고 말하는 것은 그의 모든 능력이constellation of abilities가 특정 단계의 학습자가, 특정 상황에서 요구되는 사항을 충족시키지 못한다는 판단입니다. 
  • We propose ‘‘dyscompetence’’ as a comparative term to refer to physicians who have a relative deficiency in one or more domains of competence (e.g., communication abilities). 

  • To say that a physician is ‘‘incompetent’’ would be a judgment that his or her constellation of abilities does not meet the requirements for a specified stage of training or practice, in a specified setting (e.g., a third-year medical student could be incompetent to function in an ambulatory clinic with intermediate supervision).



CBME 기획

Planning CBME


전통적인 프로그램은 "학습자는 무엇을 알아야합니까?"또는 "어떻게 우리가 학습자를 가르쳐야합니까?"라는 질문으로 시작하는 반면, CBME는 결과로 시작합니다. CBME는 "졸업생에게 필요한 능력은 무엇인가?"라는 질문을 중심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Harden 외. 1999).


Whereas a traditional program may begin with the question, ‘‘What do learners need to know?’’ or ‘‘How shall we teach our learners?’’, CBME begins with outcomes. CBME is organized around the question, ‘‘What abilities are needed of graduates?’’ (Harden et al. 1999).



기대되는 점과 위험 요소

Promise and perils: implications of the CBME approach for the health professions



CBME를 도입함으로써 기대할 수 있는 장점은

Among the benefits promised by the adoption of CBME are:


. 역량의 새로운 패러다임. ICBME 공동 작업자가 지정한 용어는 의사 전문 역량이 의미하는 바에 대한 새로운 담론과 각 전문인의 능력을 습득, 유지 관리 및 향상시키는 데있어 의학 교육의 역할을 촉진 할 수 있습니다.

. A new paradigm of competence. The terms identified by the ICBME Collaborators can facilitate a new discourse on what is meant by physician competence and the role of medical education in the acquisition, maintenance, and enhancement of the abilities of each individual professional.


. 성과에 대한 헌신. 대학원 능력을 중시하는 CBME 커리큘럼은 임상의가 환자와 지역 사회에 봉사 할 수 있도록 의학의 사회적 계약을 수행 할 수 있습니다.

. A renewed commitment to outcomes. CBME curricula, with their emphasis on graduate abilities, can fulfill medicine’s societal contract to prepare clinicians to serve their patients and communities.


. 개발 이정표에 대한 평가를위한 새로운 초점. 개발을 이끌 기위한 빈번하고 실용적인 평가에 대한 CBME의 요구는 학습 과정에서의 평가의 역할을 강조합니다

. A new focus for assessment on developmental milestones. CBME’s requirement for frequent, utilitarian assessment to guide development emphasizes the role of assessment in the learning process


. 의료 교육의 진정한 연속체를 촉진하는 메커니즘. CBME는 의학 교육과 실습의 각 단계에 대한 역량과 이정표를 정의함으로써 학부 의학 교육에서 레지던트 및 지속적인 전문 개발에 이르는 교육 프로그램의 수직 및 수평 통합을 촉진 할 수 있습니다.

. A mechanism to promote a true continuum of medical education. By defining competencies and milestones for each stage of medical education and practice, CBME can promote vertical and horizontal integration of training programs, from undergraduate medical education to residency to continuing professional development.


. 학습자 중심의 커리큘럼을 촉진시키는 방법. 보다 유연한 시간대에 경험을 제공하고 학습자의 발달에 초점을 맞춤으로써 CBME는 의사가 자신의 진료 속도로 진보하는 과정에 진정으로 참여하도록 도울 수 있습니다.

. A method to promote learner-centred curricula. By providing experiences within a more flexible time frame and focusing on the learner’s development, CBME can help physicians-in-training to become truly engaged in a process that progresses at their own rate of acquisition.



. 의학에서 시간 기반 자격 증명을 덜 강조하는 방법. 학부 교육에서 레지던트 교육으로의 전환은 전문적인 개발이나 역량 유지에 주로 예정되고 보편적으로 적용되는 기간보다는 기술의 증거에 기반을 둘 것입니다. 시간은 교육 자체가 아니라 학습 자원이됩니다.

. A way to de-emphasize time-based credentialing in medicine. Transitions from undergraduate education to residency education to continuing professional development or maintenance of competence would be based primarily on evidence of skills rather than on predetermined and universally applied time frames. Time then becomes a resource for education, not the marker of learning itself.


. 교육의 이식성. 역량 기반 접근 방식을 채택하면 의사, 의사 자격 증명 및 관할 지역에 걸쳐 교육 할 수있는 학점의 이동을 용이하게 할 수 있습니다.

. Potential for portability of training. The adoption of a competency-based approach can facilitate the movement of physicians, physician credentials, and credit for training across jurisdictions.


CBME도입의 잠재적 위험은..

Among the potential perils and challenges of CBME are:


. 환원주의의 위협. 역량을 정의하고 평가하는 문제를 해결하기위한 노력의 일환으로 일부는 관찰 가능한 가장 작은 단위로 나누어 학습자와 교사 모두를 좌절시키는 끝없는 nested 목록을 만듭니다.

. The threat of reductionism. In an effort to address the challenges of defining and assessing competencies, some have resorted to breaking them down into the smallest observable units of behaviour, creating endless nested lists of abilities that frustrate learners and teachers alike.


. 최소공약수를 강조하는 오류. CBME의 비평가들은 역량을 너무 포괄적으로 집중함으로써 학습자는 excellence가 아니라 milestone이 의학의 궁극적 인 목표라는 메시지를 인지할 수 있다고 지적했습니다.

. Promoting the lowest common denominator. Critics of CBME have pointed out that, by focusing on an array of competencies so comprehensively, learners may perceive a underlying message that milestones and not excellence are the ultimate pursuit in medicine.



. 물류적인 혼돈. 전 세계의 많은 교육 시스템이 시간 기반이라는 점을 감안할 때 (예 : 1 회전마다 정해진 주를 필요로 함)보다 역량 기반 시스템으로의 전환은 어떻게 이루어질 수 있습니까? 수천 명의 의료 연수생이 자신의 페이스대로 진행되는 일정을 어떻게 관리 할 수 ​​있습니까 (예 : 순수 CBME 커리큘럼).

. Logistical chaos. Given that many educational systems around the world are time-based (e.g., requiring a precribed number of weeks for each rotation), how can a transition to a more competency-based system be accomplished? How can health care manage the scheduling of the thousands of medical trainees progressing at their own pace (in a pure CBME curriculum, for example)?



. 진정성의 상실. CBME 커리큘럼이 구현된다면, 그리고 교육 설계 영역 및 성과에 중점을 둔다면, 지난 2000 년 동안 의학을 잘 수행해 온 멘토링 및 immersion는 어떻게됩니까? 현재의 커리큘럼의 충실도fidelity와 강점을 잃지 않고 CBME를 사용할 수 있습니까?

. Loss of authenticity. If a CBME curriculum is implemented, along with its language of domains for instructional design and its focus on outcomes, what happens to the mentoring and immersion that has served medicine well for 2000 years? Can we use CBME without losing the fidelity and strengths of our current curricula?



. 유용성의 폭정. 순수한 CBME 접근법은 본질적으로 실용주의적이며, 정의 된 프로그램 결과에 직접적으로 기여하지 않는 내용과 경험을 없앨 것을 제안합니다. 이것은 직업의 일부 이해 관계자에게는 받아 들여지지 않을 수 있습니다.

. The tyranny of utility. A pure CBME approach is inherently utilitarian, and proposes cutting content and experiences that do not directly contribute to defined program outcomes. This can be unacceptable to some stakeholders in the profession.


. 새로운 교육 기술의 필요성. 더 큰 규모의 CBME 교육을 채택하려면 새로운 기술, 새로운 모듈 및 새로운 평가 도구가 실용적이고 효과적이어야합니다.

. The need for new educational technologies. Adopting teaching CBME on a larger scale would require new techniques, new modules, and new assessment tools to be practical and effective.


. (변하지 않으려는) 관성과 자원 부족. 많은 관할 구역에서 CBME는 접근 방식을 채택하기 위해서는 상당한 평가, 교육, 인프라 및 어쩌면 보강 된 인력에 대한 투자가 필요합니다.

. Inertia and lack of resources. For many jurisdictions, CBME adoping a approach would require significant assessment, investments in teaching, infrastructure and and perhaps even an augmented workforce.







Focusing on outcomes

In an era of greater public accountability, medical curricula must ensure that 

all graduates are competent in all essential domains.


Emphasizing abilities

Medical curricula must emphasize the abilities to be acquired


De-emphasizing time-based training

Medical education can shift from a focus on the time a learner spends on an educational unit 

to a focus on the learning actually attained.


Promoting greater learner-centredness

Medical education can promote greater learner engagement in training.








 2010;32(8):638-45. doi: 10.3109/0142159X.2010.501190.

Competency-based medical educationtheory to practice.

Source

Royal College of Physicians and Surgeons of Canada, Canada. jfrank@rcpsc.edu

Abstract

Although competency-based medical education (CBME) has attracted renewed interest in recent years among educators and policy-makers in the health care professions, there is little agreement on many aspects of this paradigm. We convened a unique partnership - the International CBME Collaborators - to examine conceptual issues and current debates in CBME. We engaged in a multi-stage group process and held a consensus conference with the aim of reviewing the scholarly literature of competency-based medical education, identifying controversies in need of clarification, proposing definitions and concepts that could be useful to educators across many jurisdictions, and exploring future directions for this approach to preparing health professionals. In this paper, we describe the evolution of CBME from the outcomes movement in the 20th century to a renewed approach that, focused on accountability and curricular outcomes and organized around competencies, promotes greater learner-centredness and de-emphasizes time-based curricular design. In this paradigm, competence and related terms are redefined to emphasize their multi-dimensional, dynamic, developmental, and contextual nature. CBME therefore has significant implications for the planning of medical curricula and will have an important impact in reshaping the enterprise of medical education. We elaborate on this emerging CBME approach and its related concepts, and invite medical educators everywhere to enter into further dialogue about the promise and the potential perils of competency-based medical curricula for the 21st century.

PMID:
 
20662574
 
[PubMed - indexed for MEDLINE]







문화적 역량, 전문직 정체성 형성, 변혁적 학습(Med Educ, 2017)

Cultural competency, professional identity formation and transformative learning

Adam P Sawatsky, Thomas J Beckman & Frederic W Hafferty



의학 교육의 이 호에서는 Leyerzapf와 Abma가 소수 민족 학생들을 문화 역량 교육의 맥락에서 다루는 몇 가지 과제를 발견했습니다.

In this issue of Medical Education, Leyerzapf and Abma identified several challenges that confront minority students in the context of cultural competency teaching.


소수 민족 학생들은 소수 집단 환자를 ​​대상으로 한 사례가 오히려 문화적 고정 관념이나 부정적인 사례를 강조하고, 소수 문화의 신념을 더욱 stigmatize한다고 느꼈습니다. 학습 환경 내에서 소수 민족 학생들은 롤모델의 부재, 주류 학생들의 무례, 문화적 대다수와 소수 민족 학생 간의 분리를 겪어 '고립감'을 느끼게되었습니다 .1

minority students felt that case examples involving minority patients highlighted cultural stereotypes or negative examples, further stigmatising minority cultural beliefs. Within the learning environment, minority students experienced a lack of role models, disrespect from majority students, and segregation between cultural majority and minority students, leading to a feeling of being ‘set apart’.1


이 논문은 다음을 비롯한 많은 질문을 제기합니다. 의대에서 문화적 역량을 어떻게 가르쳐야합니까? 소수 민족 레지던트는 전통 문화 역량 훈련에 관해 두 가지 중요한 점을 강조했습니다. 

  • 첫째, 주류 문화권에 속하는 교수진이 작성한 사례는 소수 문화의 관점을 잘못 해석하고, 고정 관념을 강화하고, 소수 민족을 소외시킬 위험이 있습니다

  • 둘째, 주류 학생들은 소수 문화권이 가진 기본 가정을 성찰하도록 요청 받았지만, 이는 소수 문화의 '타자 성'을 확인시켜줄 뿐이었으며, 결코 자신의 문화적 가정을 비판적으로 성찰하도록 요청받지 않았습니다.

This article raises many questions, including: How should medical schools teach cultural competency? Minority residents highlighted two important points regarding traditional cultural competency training. Firstly, cases created by faculty members from the cultural majority can misinterpret the minority cultural perspective and run the risk of confirming stereotypes and alienating minority students. Secondly, although majority students are asked to reflect on the underlying assumptions of minority cultures, which confirms the ‘otherness’ of these cultures, they are never asked to critically reflect on their own cultural assumptions.


이것은 소수 민족 학생들에게 그들의 문화를 '방어'하라는 불균등 한 학습 환경을 조성하여 문화가 건강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진정한 대화를 방해합니다.

This causes an uneven learning environment for minority students, who are asked to ‘defend’ their cultures, hindering true dialogue about the effects of culture on health beliefs.


두 번째 질문 : 의대가 다양성과 포용 성을 장려하는 학습 환경을 어떻게 마련해야 하는가? 소수 민족 학생들은 문화적 역량 교육에 대한 그들의 인식에 대해 질문 할 때, 다양성과 포용 사이의 흥미로운 긴장을 포함하여 학습 환경의 포괄성에 관한 더 깊은 문제를 논의했습니다. 소수 민족 학생들은 다른 소수 민족 학생들의 다양한 배경을 학습함으로써 얻을 수있는 이점을 확인했습니다. (저자는 대다수 학생들이 분리 때문에 이 학습을 놓칠 수 있다고 가정합니다). 동시에 소수 민족 학생들은 주류와의 차이점에 대한 토론을 통해 '낙인 찍히다'고 느꼈다. "우리를 독특하게 만드는 것을 강조하는 것"과 "우리를 단합시키는 것들을 촉진하는 것" 사이의 균형은 어디에 있습니까?

A second question : How should medical schools cultivate a learning environment that encourages diversity and inclusiveness? When asked about their perceptions of cultural competency teaching, minority stu-dents discussed deeper issues regarding the inclusiveness of the learning environment, including an interesting tension between diversity and inclusion. Minority students identified the benefit of learning from other minority students’ diverse backgrounds (the authors1 posit that majority students miss out on this learning because of segregation). At the same time, minority students felt ‘stigmatised’ by discussions of theirdifferences from the majority. Where is the balance between highlighting that which makes us unique and promoting those things that unite us?


응집력있는 전문적 정체성은 '훌륭한 의사'의 공통된 전문적 가치 아래 다양한 연수생 집단을 결집시킬 수 있습니다.

A cohesive professional identity can unite a diverse group of trainees under the shared professional values of a ‘good doctor’


교육자는 전문직 정체성 (즉, '훌륭한 의사'의 정체성)도 문화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는 것을 인식해야합니다. 

  • 신념의 역할에 대한 차이, 

  • 개인주의 대 집단주의, 

  • 위계

...등은 직업적 정체성의 개념화의 차이를 초래한다 .4 

educators must recognise that the professional identity (i.e. that of a ‘good doctor’) is also influenced by culture; 

  • differences in the role of faith, 

  • individualism versus collectivism, and 

  • hierarchy 

...lead to differences in the conceptualisation of professional identity.4 


그러므로 의과 대학은 다양성과 포용성을 추구함에 따라 개인 간의 문화적 차이를 이해하고 존중해야한다. 의학 교육은 '훌륭한 의사'의 정체성에 대한 주류의 문화적 이해가 어떻게 소수 문화적 신념을 소외시킬 수 있는지 이해해야한다.

Therefore, as medical schools seek diversity and inclusion they must push beyond understanding and respecting cultural differences between individuals. Medical education should seek to understand how the dominant cultural understanding of the identity of a ‘good physician’ may alienate minority cultural beliefs


저자는 이러한 질문을 해결하는 데 도움이 될 수있는 문화 역량 교육에서 누락 된 핵심 요소를 확인합니다. 바로 '비판적 (자아) 성찰'이다.1 문화적 역량 커리큘럼은 '가정assumption의 비판적 성찰, 논쟁을 통한 논쟁의 타당성 입증, 자신의 반사적 통찰력에 대한 행동, 비판적 평가 등으로 특징 지워지는 변형 적 학습'으로부터 이익을 얻을 것입니다. 학생들에게 '다른' 문화와 그 문화에서 건강에 대한 신념을 면밀히 조사하는 대신, 교육자는 모든 학습자가 자신의 문화가 건강에 대한 신념과 '훌륭한 의사'의 가치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를 비판적으로 성찰해야합니다. 이것은 모두가 비판적 성찰의 과정에 동등하게 관여하고 문화적 재귀에 필요한 기술을 개발하는 플랫폼을 설정합니다.


The authors identify a key element missing from cultural competency teaching that might help to resolve these questions: ‘critical (self-) reflection’.1 Cultural competency curricula would benefit from transformative learning, characterised by ‘critical reflection of assumptions, validating contested beliefs through discourse, taking action on one’s reflective insight, and critically assessing it’.6 Instead of asking students to scrutinise ‘other’ cultures and their health beliefs, educators should start by inviting every learner to critically reflect on how his or her own culture affects health care beliefs and the values of a ‘good doctor’. This sets a platform on which everyone is equally involved in the process of critical reflection and develops the skills necessary for cultural reflexivity.


멘토링은 비판적 성찰과 직업적 정체성 형성 사이의 연관성을 제공하여 진정한 변혁적 학습을 가능하게합니다 .2 말라위 의료 훈련생은 다른 문화권의 멘토를 가짐으로써 의학의 직업에 대한 관점을 넓혔지만, 문화적 멘토는 문화에 대한 이해가 부족하다는 것을 인정했습니다. 멘토링에 있어서 공유된 민족성이 중요 할 수 있다는 것을 보여 주었지만, 멘토와 멘티 간의 차이가 '더 큰 동반 성장'의 기회로 이어질 수 있다는 점을 강조하며, 지지적인 관계가 더 중요 할 수 있음을 보여 주었다.

Mentorship can provide a link between critical reflection and professional identity formation, resulting in true transformative learning.2 Malawian medical trainees acknowledged that having cross-cultural mentors broadened their perspective on the profession of medicine, but recognised that cross-cultural mentors lack understanding of culture-specific issues.9 Others have demonstrated that shared ethnicity can be important for mentoring pairs, but that a supportive relationship may be more important, highlighting that differences between mentor and mentee can lead to opportunities for ‘greater mutual growth’.10


마지막으로, 문화와 학습의 역할을 탐구하는 더 많은 의학 교육 연구가 필요합니다.

Finally, more medical education research exploring the roles of culture and learning is required.


모든 학생들이 문화적 영향력에 대한 비판적인 성찰을 통해 개인 및 직업적 정체성에 대한 문화적 역량 교육 및 어드밴스 및 포괄적 학습 환경을 개발할 수 있습니다.

Engaging all students in critical reflection on the influence of culture on personal and professional identities can guide cultural competency teaching and the development of adiverse and inclusive learning environment.





 2017 May;51(5):462-464. doi: 10.1111/medu.13316.

Cultural competencyprofessional identity formation and transformative learning.

Author information

1
Rochester, Minnesota, USA.
PMID:
 
28394072
 
DOI:
 
10.1111/medu.13316


모든 unprofessional한 행동이 같은 것은 아니다: 나쁜 행동의 체크리스트 (Med Teach, 2017)

Not all unprofessional behaviors are equal: The creation of a checklist of bad behaviors

Michael J. Cullena, Mojca R. Koniab, Emily C. Borman-Shoapc, Jonathan P. Bramand, Ezgi Tiryakie, f, Brittany Marcus-Blanka and John S. Andrewsa

aGraduate Medical Education, University of Minnesota, Minneapolis, MN, USA; bDepartment of Anesthesiology, University of Minnesota, Minneapolis, MN, USA; cDepartment of Pediatrics, University of Minnesota, Minneapolis, MN, USA; dDepartment of Orthopaedic Surgery, University of Minnesota, Minneapolis, MN, USA; eMinneapolis VA Health Care System, Minneapolis, MN, USA; fDepartment of Neurology, University of Minnesota, Minneapolis, MN, USA




도입

Introduction


연구에 따르면 팀워크와 존경과 같은 전문적인 행동은 환자 결과의 개선, 환자 만족도 향상 (Grumbach & Bodenheimer 2004), 치료 계획 준수 강화와 관련이 있음을 보여주었습니다 (Beach et al. 2005). 반대로 프로답지 않은 행동은 프로페셔널리즘에 대한 교수들의 부정적인 평가 (Stern et al. 2005)와 나중에 국가 의료위원회 (Papadakis et al. 2005)의 징계 조치와 관련이있다. 개인에 대한 영향 외에도 전문성 위반은 의료계 자체의 명성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침으로써 상당한 집단 차원의 비용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

Studies have shown that professional behaviors such as teamwork and respect are correlated with improved patient outcomes, higher patient satisfaction (Grumbach & Bodenheimer 2004), and greater adherence to treatment plans (Beach et al. 2005). Conversely, unprofessional behaviors are associated with negative faculty assessments of professionalism (Stern et al. 2005) and later disciplinary action by state medical boards (Papadakis et al. 2005). In addition to their effects on individuals, breaches of professionalism can have significant group-level costs by negatively affecting the reputation of the medical profession itself.


연수생, 환자 및 직업에 대한 의사의 부정 행위의 결과가 심각하기 때문에, 프로페셔널하지 못한 행동을 감지하기위한 "조기 경보 시스템"이 필요하다.

The serious consequences of physician misconduct on trainees, patients, and the profession argue in favor of an “early warning system” for detecting unprofessional behaviors.


전문성 문제를 확인하기위한 공식적인 시스템 외에도 직접 관찰 도구가 개발되었습니다. Mini-Clinical Evaluation Exercise (Mini-CEX) (Norcini et al. 2003) 및 Professionalism Mini-Evaluation Exercise (P-MEX)와 같은 도구가 포함됩니다 (Cruess et al., 2006).

In addition to formal systems for identifying professionalism issues, direct observation tools have been developed. These include tools such as the Mini-Clinical Evaluation Exercise (mini-CEX) (Norcini et al. 2003) and the Professionalism Mini-Evaluation Exercise (P-MEX) (Cruess et al. 2006).


P-MEX는 환자와의 만남, 소그룹 세션 및 사인 아웃 라운드를 포함 해 의대생의 행동을 관찰 할 수있는 모든 상황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습니다. P-MEX는 mini-CEX를 기반으로 관찰해야 할 더욱 구체적인 행동을 식별하여 개발되었다.

The P-MEX was designed for use in any situation where a medical student’s behavior can be observed, including patient encounters, small group sessions, and sign-out rounds. It builds upon the mini-CEX by identifying a set of even more specific behaviors to be observed.


프로페셔널리즘 문제를 발견하기위한 모든 직접 관찰 도구의 한 가지 일반적인 특징 (Arnold et al., 1998; Reed et al., 2008)은 긍정적이거나 부정적인 전문성 행동의 관측적인 "체크리스트"를 사용하는데, 직접적으로 평가되거나, 척도의 형태로 행동 앵커로 사용된다. 이러한 체크리스트는 개선 노력을 안내하는 데 도움이 된다는 점에서 가치가 있습니다. 몇몇 연구자들은 치료가 목표 일 때 특정적이고 관찰 가능한 전문적이지 않은 행동에 초점을 맞추는 평가 방법이 도움이된다고 주장했다 (Hawkins et al., 2009). 

One common feature of all direct observation tools for detecting professionalism issues (Arnold et al. 1998; Reed et al. 2008) is that they employ an observational “checklist” of positive or negative professionalism behaviors, which are either rated directly or serve as behavioral anchors in a scale. Such checklists have the value of being specific, to help guide remediation efforts. Several researchers have argued that when remediation is the goal, an assessment method that focuses on specific, observable unprofessional behaviors is helpful (Hawkins et al. 2009). 


지금까지 설계된 점검표의 중요한 한계는 행동의 심각성을 구분하지 않는다는 것입니다 (Arnold 2002). 특히, 현존하는 전문성 체크리스트는 

  • (a) 개별적으로 발생하는 행동의 상대적 중대성 비교 여부를 비교하지 못하며

  • (b) 행동의 중대성이 발생 빈도에 영향을 받는지 여부를 구분하지 않습니다. 

An important limitation of the checklists designed so far is that they do not distinguish between the severity of the behaviors on the lists (Arnold 2002). In particular, existing professionalism checklists do not 

  • (a) distinguish between the relative egregiousness of behaviors that occur in isolation or 

  • (b) indicate whether the egregiousness of behaviors is affected by their frequency of occurrence. 



우리는 프로페셔널하지 못한 모든 행동을 개별적으로 보면, 모두 동등하지는 않을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이러한 구분이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 예를 들어, 약물 남용의 징후를 표시하는 등 일부 행동은 너무 심각하여 단 한번만으로도 즉각적인 개선을 필요로 할 수 있습니다. 

  • 대조적으로, 일부 행동 (예 : 비판에 방어 적으로 반응)은 잘못된 행동의 패턴이 시간이 지남에 따라 나타납니다. 

따라서 이러한 고려 사항을 고려한 전문성 체크리스트를 개발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We believe these distinctions are important because it is possible that not all unprofessional behaviors are equally serious in isolation. 

  • For instance, some behaviors (e.g. displaying signs of substance abuse) may be so serious that a single occurrence of the behavior requires immediate remediation. 

  • In contrast, some behaviors (e.g. reacting defensively to criticism) may only be concerning when a pattern of misbehavior emerges over time. 

It would be desirable, therefore, to develop a professionalism checklist that takes these considerations into account.



정책 캡처는 의사 결정자가 평가 판단을 내릴 때 이용 가능한 정보를 사용하는 방법을 평가하기 위해 연구자가 사용하는 방법입니다. 이 방법론의 목적은 개별 심사 위원의 의사 결정 정책, 즉 정보의 가중치, 결합 또는 통합 방법을 포착하는 것입니다. 의사 결정자에게 여러 수준의 하나 이상의 설명 요인을 설명하는 일련의 시나리오를 판단한 다음 통계적 방법을 사용하여 의사 결정자가 자신의 의사 결정 프로세스에서 각 요소에주는 중점을 결정하도록 요구하는 것이 포함됩니다 (Zedeck 1977).

Policy capturing is a method employed by researchers to assess how decision makers use available information when making evaluative judgments. The purpose of this methodology is to capture individual judges’ decision-making policies, that is, how they weight, combine, or integrate information. It involves asking decision makers to judge a series of scenarios describing various levels of one or more explanatory factors, and then using statistical methods to determine the emphasis decision makers give to each factor in their decision-making process (Zedeck 1977).



방법

Method


역량 모델의 개발과 타당화

Competency model development and validation


Using the behaviors gleaned from this process, the first author rationally sorted them into seven “institution-level” professionalism dimensions and associated behaviors. In the creating the model, the focus was on identifying observable behaviors that could be reliably assessed by members of a trainee’s interprofessional team. The dimensions and facets (in brackets) included: 

    • (1) Conscientiousness (dependability, planning/organizing, thoroughness), 

    • (2) Aspiring to Excellence (work commitment, motivation to learn), 

    • (3) Integrity (trustworthiness, discretion, personal conduct, organizational citizenship), 

    • (4) Accountability (personal responsibility, self-awareness), 

    • (5) Teamwork (cooperation, respectful interaction, team building), 

    • (6) Patient-Centeredness (compassion, respect for diversity, humanism), and 

    • (7) Stress Tolerance (situational stress tolerance, interpersonal stress tolerance). 

The first author used the behaviors contained within the dimensions to define each dimension and associated facet.


At this stage, the behaviors were phrased positively. For instance, within the Integrity dimension, the model included such behaviors as “demonstrates honesty in interactions with patients, families, and other health care professionals” and “protects confidentiality of sensitive patient and co-worker information.”


The final professionalism dimensions and facets are displayed in Table S1 (available online as Supplemental Material), and the final validation results are in Table S2 (available online as Supplemental Material).



프로페셔널하지 못한 행동의 리스트 생성

Generating a list of unprofessional behaviors


In order to generate a list of unprofessional behaviors that aligned with the professionalism model, we asked workshop participants to translate each positive behavior in the model into an equivalent negative behavior. For instance, the positive behavior from the Conscientiousness dimension “demonstrates regular and punctual attendance” became “arrives late for conferences, rounds, or other work-related meetings.” This translation exercise resulted in the generation of 70 non-overlapping negative professionalism-related behaviors. 


Determining the relative egregiousness of unprofessional behaviors


To determine the relative egregiousness of these 70 unprofessional behaviors, we asked workshop participants to indicate how concerned they would be if a trainee engaged in each behavior 1, 2, 3, 4, or “5 or more” times during a sixmonth period.


The concern scale ranged from 1 to 4 (

    • 1¼not concerned, 

    • 2¼a little concerned, 

    • 3¼somewhat concerned, and 

    • 4¼very concerned, a meeting with the program director is required). 

Thus, for each behavior, raters made five ratings, showing their level of concern for each of the five possible frequencies of occurrence. Using these ratings, we computed the mean concern rating for each behavior, for each possible frequency of occurrence.


To capture the “overall” level of egregiousness of each behavior across all frequencies of occurrence, we also created a “concern index” (CI) for each behavior by summing the scores for each behavior for each frequency of occurrence. Thus, 

    • the maximum possible score on the CI for a behavior was 20 (i.e. a maximum mean rating of 4 for each behavior for each of the five possible frequencies of occurrence), while 

    • the minimum was 5 (i.e. a minimum mean rating of 1 for each behavior for each of the five possible frequencies of occurrence).


Creating the final professionalism checklists


Table S3).


Results


Table S3 reveals that 14 behaviors were judged to be at least somewhat concerning if they occur even once. These behaviors included: 

(a) 물질 남용의 명백한 징후를 나타내는 것,

(b) 동료들에 대한 폭력적인 행동을 보여주는 것,

(c) 개인의 이익을 위해 의사로서의 지위를 이용하여,

(d) 환자, 가족 또는 다른 의료 전문가와 진실되게 상호 작용하지 못하고,

(e) 동료 나 환자를 차별하는 것,

(f) 연구 및 학술 활동에 대한 윤리적 기대를 지키지 못하고,

(g) 환자를 경멸하는 모습,

(h) 그들의 잘못이 아닌 오류에 대한 동료 비난,

(i) 사실을 허위 진술하거나, 공평하게 사실을 제시하지 못한 경우,

(j) 의도적으로 사이트 규칙 및 절차를 무시하고,

(k) 전자 의료 기록에 잘못된 정보를 포함하는 것,

(l) 공개적으로 동료를 비판하는 방식으로 비판하는 것,

(m) 환자의 필요를 환자의 필요 이상으로 두는 것,

(n) 환자 그룹에 대한 고정 관념.

(a) displaying obvious signs of substance abuse, 

(b) demonstrating abusive behavior toward co-workers, 

(c) using one’s status as a doctor for personal gain, 

(d) failing to interact truthfully with patients, families, or other healthcare professionals, 

(e) discriminating against co-workers or patients, 

(f) failing to uphold ethical expectations of research and scholarly activity, 

(g) showing disrespect toward patients, 

(h) blaming co-workers for errors that were not their fault, 

(i) misrepresenting facts, or failing to present facts impartially, 

(j) knowingly disregarding site rules and procedures, 

(k) including erroneous information in the electronic medical record, 

(l) criticizing co-workers in public in a non-respectful manner, 

(m) putting one’s individual needs above the needs of patients, and 

(n) stereotyping about groups of patients.



Behaviors with the lowest concern indices included: 

(1) 결과 또는 만족도를 결정하기 위해 환자를 추적하지 못한 경우 (CI = 14.66),

(2) 환자들에게 질문을하도록 권유하지 않는 것 (CI14.50),

(3) 팀 상호 작용을 부적절하게 지배 (CI14.50),

(4) 비 체계적으로 업무에 접근 (CI 12.23),

(5) 회의, 라운드 또는 기타 업무 관련 회의에 늦게 도착한 경우(CI 11.18).

(1) failing to follow up with patients to determine outcomes or satisfaction (CI ¼14.66), 

(2) not encouraging patients to ask questions (CI ¼14.60), 

(3) inappropriately dominating team interactions (CI ¼14.50), 

(4) approaching work tasks unsystematically (CI ¼12.23), and 

(5) arriving late for conferences, rounds, or other work-related meetings (CI ¼11.18).



Table 1 provides CI for professionalism dimensions across all behaviors in each dimension. The professionalism dimension with the greatest overall average CI is Integrity (average CI ¼18.47) and the professionalism dimension with the lowest overall CI is Conscientiousness (average CI ¼14.77). Table 1 suggests that while all professionalism breaches are important, breaches of the Integrity domain are viewed to be most concerning.



고찰

Discussion


우리는 프로페셔널리즘 역량 모델을 검증하고 교육 전문가들의 평가에 기초한 "요약" 및 "확장"전문성 체크리스트를 작성했습니다. "요약" 점검표는 문제가 발생하는 경우 해당 문제가 발생했는지, 치료가 필요한지를 식별한다. 두 번째 "확장 된"체크리스트는 우려가 되고 교정이 필요한 덜 심각한 행동에 대해서 패턴을 확인한다.

We validated a professionalism competency model and created both a “brief” and “extended” professionalism checklist based on ratings by education experts. The “brief” checklist identifies those behaviors that are concerning, and require remediation, if they occur at all. The second “extended” checklist identifies patterns of misconduct in less serious behaviors that are concerning and require remediation.


  • 첫째, unprofessional 행동은 egregiousness의 정도가 다르다는 것을 보여줍니다.

  • 둘째, 우리의 연구는 독립적으로 발생하는 unprofessional 행동과 행동의 패턴을 대표하는 것과 비교하기위한 프레임 워크를 만듭니다.

  • 셋째,이 연구는 초기 징후 의사를 확인하고 문서화하는 데 어려움을 겪을 수있는 경험적으로 입증 된 전문성 체크리스트 2 개를 생성했습니다.

  • First, it demonstrates that unprofessional behaviors vary in their level of egregiousness.

  • Second, our work creates a framework for comparing unprofessional actions that occur in isolation to those that represent a pattern of behavior.

  • Third, this study generated two empirically validated professionalism checklists that can be used for of trouble in identifying and documenting early signs physicians.



이 작업에는 한계가 있습니다. 첫째, 체크리스트의 개발은 필연적으로 주관적이다. 그것은 임상 학문, 기관, 그리고 가장 중요하게는 문화 전반에 걸쳐 의견을 넓히려는 미래의 노력으로부터 이익을 얻을 것입니다. 최근 연구에 따르면 unprofessional 로 간주되는 행동에 관한 중요한 지역적 차이가있을 수 있습니다 (Chandratilake 외. 2012; Jha 외 2015). 따라서 이러한 행동의 순위는 다른 국가의 의료 시스템의 문화적 맥락과 고유 한 특성에 따라 다를 수 있습니다.

There are limitations to this work. First, the development of the checklist is necessarily subjective. It would benefit from future efforts to broaden input across clinical disciplines, institutions, and most importantly, across cultures. Recent research suggests that there may be important regional differences regarding which behaviors are considered unprofessional (Chandratilake et al. 2012; Jha et al. 2015). Thus, the rankings of these behaviors may vary depending on the cultural context and unique properties of healthcare systems in different countries.


개선 방안과 관련하여 우리는 "간단한 체크리스트"행동이 발생할 때마다 개입하기로 결정했습니다. 왜냐하면 이러한 행동이 한 번 발생하더라도 최소한 정의에 따라 다소 "somewhat concerning"하기 때문에 개입하기로 결정했습니다. 마찬가지로 확장 된 체크리스트의 모든 행동에서의 부정 행위 패턴이 동일한 우려 수준에 도달하면 개선 조치가 나타납니다.

Regarding the triggers for remediation, we have decided to intervene whenever any of the “brief checklist” behaviors occurs since even one occurrence of these behaviors is by definition at least “somewhat concerning”. Similarly, remediation is indicated when a pattern of misconduct in any behavior in the extended checklist reaches the same level of concern.


접근 방식에 관계없이 평가의 모범 사례는 두 가지 체크리스트에 대한 피드백이 여러 출처에서 나와야하며, 학습자의 interprofessional team에서 가능한 많은 구성원을 포함해야한다고 제안합니다 (Goldie 2013). 이러한 다중 소스 피드백 시스템은 업계에서는 빈번하게 사용되지만 의료 환경에서는 그다지 일반적으로 사용되지 않습니다 (Hawkins 외 2009).

Regardless of the approach taken, best practices in assessment suggest that feedback for both checklists should come from multiple sources, and include as many members of a learner’s interprofessional team as possible (Goldie 2013). Such multisource feedback systems are used frequently in industry, but less commonly in medical settings (Hawkins et al. 2009).


또한 여러 평가자의 통찰력을 포함하여 여러 평가자 그룹이 학습자를 보는 방법을 비교할 수 있으므로 학습자에게 피드백을 제공 할 때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관찰 된 행동에 대해 학습자에게 피드백을 제공하는 것은 모든 치료 계획의 핵심 부분이지만, 누구나 그러한 피드백을 제공하는 전문 기술을 가졌을 것으로 생각해서는 안된다.

In addition, including insights from multiple raters allows for a comparison of how different rater groups view the learner, which can be helpful when providing feedback to learners. The provision of feedback to learners about behaviors observed is a key part of any remediation plan, and expertise in providing that feedback should not be assumed.


교수진이 연수생에 대한 부정적인 평가를 꺼리는 까닭에 (Albanese 2000; Boon & Turner 2004), 교수가 unprofessional한 행동을 문서화하는 것이 중요한 이유를 교육하는 것이 필수적입니다. 잘못된 행동 패턴이 probation을 필요로하거나, 드물지만 termination이 필요한 경우에는, 프로페셔널리즘 문제에 관한 문서화가 중요합니다.

Due to the reluctance of faculty to give negative evaluations of trainees (Albanese 2000; Boon & Turner 2004), it will be essential to train faculty about why documenting unprofessional behavior is important. Documentation of professionalism issues is crucial if a pattern of misbehavior requires probation, or in rare cases when termination is required.


이 위원회의 두 가지 주요 목표는 체크리스트 데이터를 기반으로 언제 remediation을 해야하는지 결정하는 것과 어떻게 이를 효율적으로 수집할지에 대한 것이다.

Two key objectives of this committee will be to decide when checklist data should trigger remediation, and how to collect it efficiently.


프로페셔널리즘 점검표의 주요 목표는 비전문가 행동의 조기 파악이지만 전문직 정체성 형성 및 전문성 지식 개발 분야 (Goldie 2013)에서 총 피드백을 제공하는 데 사용될 수도 있습니다. 힐튼 (Hilton)과 슬롯 닉 (Slotnick, 2005)이 지적했듯이 프로페셔널리즘은 고정된 특성이 아니며, 시간에 따라 습득해가는 state에 더 가깝다.

Although the primary goal of our professionalism checklists is early identification of unprofessional conduct, they could also be used for providing summative feedback in the areas of professional identity formation and the development of professionalism knowledge (Goldie 2013). As Hilton and Slotnick (2005) have observed, professionalism is not a static trait, but an acquired state developed over time.


프로페셔널리즘 평가를위한 가장 중요한 이유 중 하나는 unprofessional한 행동의 조기 발견과 행동의 개선입니다.

One of the most important reasons for assessing professionalism is early detection unprofessional and remediation of behavior.



Policy capturing: 

A method employed by researchers to assess how decision makers use available information when making evaluative judgments. The purpose of this methodology is to capture individual judges’ decision-making policies, that is, how they weight, combine, or integrate information. It involves asking decision makers to judge a series of scenarios describing various levels of one or more explanatory factors, and then using statistical methods to determine the emphasis decision makers give to each factor in their decision-making process. The results indicate the relative importance of the various factors for the decision makers.






 2017 Jan;39(1):85-91. doi: 10.1080/0142159X.2016.1231917. Epub 2016 Sep 27.

Not all unprofessional behaviors are equal: The creation of a checklist of bad behaviors.

Author information

1
a Graduate Medical Education , University of Minnesota , Minneapolis , MN , USA.
2
b Department of Anesthesiology , University of Minnesota , Minneapolis , MN , USA.
3
c Department of Pediatrics , University of Minnesota , Minneapolis , MN , USA.
4
d Department of Orthopaedic Surgery , University of Minnesota , Minneapolis , MN , USA.
5
e Minneapolis VA Health Care System , Minneapolis , MN , USA.
6
f Department of Neurology, University of Minnesota , Minneapolis , MN , USA.

Abstract

INTRODUCTION:

Professionalism is a key component of medical education and training. However, there are few tools to aid educators in diagnosing unprofessional behavior at an early stag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mploy policy capturing methodology to develop two empirically validated checklists for identifying professionalism issues in early-career physicians.

METHOD:

In a series of workshops, a professionalism competency model containing 74 positive and 70 negative professionalism behaviorswas developed and validated. Subsequently, 23 subject matter experts indicated their level of concern if each negative behavior occurred 1, 2, 3, 4, or 5 or more times during a six-month period. These ratings were used to create a "brief" and "extended" professionalism checklist for monitoring physician misconduct.

RESULTS:

This study confirmed the subjective impression that some unprofessional behaviors are more egregious than others. Fourteen negative behaviors (e.g. displaying obvious signs of substance abuse) were judged to be concerning if they occurred only once, whereas many others (e.g. arriving late for conferences) were judged to be concerning only when they occurred repeatedly.

DISCUSSION:

Medical educators can use the professionalism checklists developed in this study to aid in the early identification and subsequent remediation of unprofessional behavior in medical students and residents.

PMID:
 
27670731
 
DOI:
 
10.1080/0142159X.2016.1231917


전문직업성의 행동적, 시스템적 관점(JAMA, 2010)

A Behavioral and Systems View of Professionalism

Cara S. Lesser, MPP

Catherine R. Lucey, MD

Barry Egener, MD

Clarence H. Braddock III, MD, MPH

Stuart L. Linas, MD

Wendy Levinson, MD




수월성은 훈련과 습관을 통해 얻어진다. 좋은 사람이거나 훌륭한 사람이어서 옳게 행동하는 것이 아니라, 옳게 행동하는 사람이 좋은 사람이고 훌륭한 사람이다. 어떤 사람이 반복적으로 하는 행동이 그 사람을 규정한다. 따라서 수월성이란 일회적 행동이 아니라 습관이다.

Excellence is an art won by training and habituation. We do not act rightly because we have virtue or excellence but rather we have those because we have acted rightly. We are what we repeatedly do. Excellence then is not an act but a habit. Aristotle1


현재 보건의료환경에서 프로페셔널리즘

Professionalism in the Current Health Care Environment


헬스케어는 근본적으로 인류의 활동으로 수많은 상호 작용 과정에서 발생하며, 궁극적으로는 가장 중요한 정신ethos이나 가치관value에 의해 안내guide되어야합니다.

Health care is a fundamentally human activity that occurs in the course of innumerable interactions that ultimately must be guided by an overarching ethos or value set,


사회 과학 문헌에 따르면, 동기유발자로서의 경제적 인센티브는 한계가 있으며, 목표의식과 내재적 동기 부여가 인간 행동의 근원이되는 더 강력한 힘이다5 특히 헬스케어와 같은 복잡하고 고부담인 분야에서, 오랫동안 프로페셔널리즘은 경제학자들과 의료윤리학자들에 의해 환자 치료에서 필수적인 중재력mediating force으로 인정되어왔다 .6-8 프로페셔널리즘은 헬스케어 시스템에서 필요로하는 심오하고 광범위한 변화를 일으키는 데 충분하지 않을 수도 있지만, 그것이 없다면 헬스케어 산업은 존재할 수 없다.

A growing body of social science literature calls attention to the limits of financial incentives as a motivator and identifies pride of purpose and intrinsic motivation as more powerful forces underlying human behavior.5 Particularly in a field as complex and as high stakes as health care, professionalism has long been recognized by economists and medical ethicists as an essential mediating force in patient care.6-8 Professionalism may not be sufficient to drive the profound and far-reaching changes needed in the health care system, but without it, the health care enterprise is lost.


프로페셔널리즘과 핵심 프로페셔널 가치의 개념이 일반적으로 건강 개혁에 관한 토론의 명백한 부분이 아닌 데에는 여러 가지 이유가 있습니다. 

  • 환자와 소비자 그룹은 프로페셔널리즘이라는 단어의 의미에 대해 명확하지 않습니다. 그들은 종종 의사에게 전적으로 초점을 맞춘 특권과 자격과 같은 길드의 집합으로 부정적으로 간주합니다. 

  • 의사는 프로페셔널하지 않은 행동을 조장하고 보상하는 시스템에서 "전문적"이 되라는 경고를 받으면서 곤란을 느낄 수 있습니다. 

  • 의대생들은 교실에서 명확히 표현 된 가치와 실제로 임상 환경에서 보여지는 가치 사이에서 관찰 된 단절을 오랫동안 알고있었습니다. 

  • 전문성을 정의하려고 시도하는 공식 진술추상적 원칙을 기반으로하는 경향이 있으며, 특히 현재의 건강 관리 환경의 복잡성과 관련하여 전문적 행동이 실제로 무엇인지 명확하게 설명하지는 않습니다.

There are many reasons the concept of professionalism and core professional values typically are not an explicit part of discussions about health reform. Patients and consumer groups are unclear about the meaning of the word professionalism. They often view it negatively, as a set of guild like privileges and entitlements focused entirely on the physician. Physicians may feel bludgeoned by admonitions to “be professional” in systems that foster and reward unprofessional behavior. Medical students have long been aware of the observed disconnect between values articulated in the classroom and those actually exhibited in clinical settings. Formal statements attempting to define professionalism tend to be abstract and principle based, without clear description of what professional behavior is in practice, particularly in the context of the complexities of the current health care environment.


점차 맥락이 중요하다는 인식이 커지고 있다. 예를 들어 프로페셔널한 행동은 환경적 힘의 영향을 받는다 .11,12 그러나, 만약 프로페셔널리즘이 충분히 강하다면, 그러한 부정적 영향의 압박도 초월하거나 견뎌야한다는 점에서, 프로페셔널리즘에 대한 인식은 여전히 ​​정적인 것static으로 남아있다.

there is greater awareness that context matters; ie, professional behaviors are influenced by environmental forces.11,12 However, there remains a perception of professionalism as a somehow static quality that if strong enough, should transcend or withstand the pressure of negative influences.


프로페셔널리즘은 역동적인 것이자 행동적 언어로서 간주되어야 하며, 이 관점은 프로페셔널리즘이 중요한 이유와 프로페셔널리즘이 강화 될 수있는 방법에 중요한 영향을 미칩니다. 전문성은 단순히 실천을위한 텍스트 기반의 이상ideals의 집합이 아니라, 관찰 가능한 행동으로 표현되는 의료의 실천에 대한 접근 방식입니다.

Professionalism should be considered in more dynamic and behavioral terms, and this perspective has important implications for why professionalism matters and for how professionalism can be strengthened. Professionalism is not simply a set of text-based ideals for practice, rather it is an approach to the practice of medicine that is expressed in observable behaviors.


또한 프로페셔널리즘을 '타고난 성격이나 덕목'으로 보는 관점은 보다 진화할 필요가 있습니다. 전문적인 가치를 반영하는 행동을 일관되게 보여주기 위해서는, 평생 동안 배우고 다듬는 정교한 역량이 필요합니다. 또한 프로페셔널한 행동은 현대 의학 관행의 조직적 및 환경 적 맥락에 크게 영향을받으며, 이러한 외부적 힘은 프로페셔널리즘을 억압하는 것이 아니라 서포트하는 방향으로 발현되어야 한다.

In addition, there is a need to evolve from thinking about professionalism as an innate character trait or virtue. Consistently exhibiting behaviors that reflect professional values requires sophisticated competencies that can and must be taught and refined over a lifetime of practice. Also, professional behaviors are profoundly influenced by the organizational and environmental context of contemporary medical practice, and these external forces need to be harnessed to support, not inhibit, professionalism in practice.


21세기 프로페셔널리즘: 행동이 말보다 더 중요하다

21st-Century Professionalism: Actions Speak Louder Than Words


2002 년에 의료 전문직에 관한 의사 헌장이 발표 된 이래로 현재 환경에서 전문적인 행동을 구성하는 것이 무엇인지를보다 명확하게 밝히기위한 노력이 많이있었습니다. 예를 들어, Swensen et al은 최근에 현대의 훌륭한 의사에 대한 비전을 제시했다.

Since The Physician Charter on Medical Professionalism9 was issued in 2002, there have been a number of efforts to make more explicit what constitutes professional behavior in the current environment. For example, Swensen et al14 recently offered a vision of the modern day good doctor:


이와 마찬가지로, "좋은 의료 실무 지침"10은 "유능한"의사의 바람직한 특성을 설명하며,

Similarly, the “Guide to Good Medical Practice”10 describes the desirable characteristics of the “competent” physician,


ACGME에 의한 6영역.

the 6 domains of competence advanced by the Accreditation Council for Graduate Medical Education.


이 중요한 연구를 더욱 발전시키기 위해 헬스 케어 팀 (표 1)의 환자, 가족 구성원 및 동료와의 개별 상호 작용 및 관리 및 관리 거버넌스의 조직 간 상호 작용이라는 두 가지 주요 영역에서 전문적인 행동을 개념화하기위한 프레임 워크를 제공합니다 배달 설정 및 전문 단체 (표 2).

To further build on this important work, we offer a framework for conceptualizing professional behaviors in 2 key domains: 

  • 개인 수준의 상호작용 individual interactions with patients, family members, and colleagues in the health care team (TABLE 1) and 

  • 조직 수준의 상호작용 organizational interactions in the management and governance of care delivery settings and in professional organizations (TABLE 2).






현대 의학 전문 직업의 4 가지 핵심 가치 :

(1) 환자의 "봉사"에 중점을 두고 공감하고 존중하며 협력을 지향하는 것

(2) 성실성 및 책임;

(3) 수월성 추구; 과

(4) 건강 관리 자원의 공정하고 윤리적 수호자

4 core values of contemporary medical professionalism: (1) compassionate, respectful, and collaborative orientation, with a focus of being “in service” of the patient; (2) integrity and accountability; (3) pursuit of excellence; and (4) fair and ethical stewardship of health care resources.


이 프레임 워크의 중요한 메시지는 프로페셔널리즘이 정적이거나 비정형 구조가 아니라는 것입니다. 오히려 프로페셔널리즘은 구체적인 행동으로 정의 될 수 있으며 의료 전달 시스템에서 의사의 다양한 다양한 상호 작용으로부터 생겨나는 의료 행위에 대한 살아있는lived 접근 방법으로 이해되어야합니다.

The critical message of this framework is that professionalism is not a static or amorphous construct. Rather, it can be defined in concrete behaviors and should be understood as a lived approach to the practice of medicine that emanates from physicians’ many varied interactions in the care delivery system.



성장형, 발달적 모델로서 프로페셔널리즘

Viewing Professionalism Through a Growth and Development Model


특정한 전문 기술에 의해 가능해진 일련의 행동으로 프로페셔널리즘을 개념화하는 것은 [프로페셔널리즘이 변화 할 수없는 성격에 기반한 엄격한 태도적 역량이며 보다 명확한 성장 및 개발 모델을 제안한다는 전통적인 개념]에 도전합니다. Lucey와 Souba는 프로페셔널리즘은 직접 학습 경험이 필요하며 시간이 지남에 따라 발전되고 심화 될 수있는 역량이라고 제안합니다. Leach16은 성인 학습자가 프로페셔널리즘의 가치를 보여주기 위한 생각으로 의과 대학에 입학 할 수 있지만, 의사가 마주해야 하는 도전적인 상황에서 전문적인 행동을 유지하는 것에는 경험이 없다고 말합니다. 실제로 프로페셔널리즘을 얻으려면 상충하는 것들의 우선 순위를 탐색하고 압력이나 스트레스가 많은 상황에서 건전한 판단과 결정을 내리는 능력이 필요합니다. 단순히 무엇이 잘못인지 알고 있거나 강한 내부 나침반을 가진 것 만으로는 충분하지 않습니다. 꾸준히 전문성을 발휘하는 것은 실천된 기술practiced skill입니다. 게다가 다른 역량과 마찬가지로 전문성은 의사의 경력 과정에서 진화하는 초보자부터 전문가까지의 발달 곡선을 따릅니다.


Conceptualizing professionalism as a set of behaviors, enabled by a specific set of skills, challenges the traditional notion that professionalism is a strictly attitudinal competency based on immutable character traits and suggests instead a more explicit growth and development model. Lucey and Souba15 suggest that professionalism requires firsthand learning experiences and is a capacity that can be developed and deepened over time. Leach16 similarly notes that whereas adult learners may enter medical school with the desire to exhibit the values of professionalism, they have no experience in maintaining professional behavior under the challenging circumstances that confront practicing physicians. Achieving professionalism in practice requires the capacity to navigate competing priorities and make sound judgments and decisions, often under pressure or in stressful situations. Simply knowing right from wrong or having a strong internal compass does not suffice. Consistently exhibiting professionalism is a practiced skill. Moreover, like other competencies, professionalism follows a developmental curve from beginner to expert that evolves over the course of a physician’s career.15


Lucey와 Souba15는 또한 프로페셔널한 행동을 실제적으로 보여주는 것에 대한 어려움들은 일상적이거나 예외적이지 않은 것으로 간주되어야하며, 프로페셔널리즘 역량 개발은 그러한 어려움에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있는 탄력성과 적응력을 구축하는 데 초점을 맞추어야한다고 제안합니다.


Lucey and Souba15 further suggest that the challenges to exhibiting professional behaviors in practice should be considered routine, not anomalous, and that development of professionalism competency should focus on building resiliency and adaptability to effectively respond to such challenges.


프로페셔널리즘의 시스템 관점

Systems View of Professionalism


행동을 강조하는 것은 환경의 문화적 규범과 스트레스 요인이 의사 행동에 영향을 미친다는 맥락의 중요성을 강조합니다.

Emphasizing behaviors underscores the importance of context, or the notion that cultural norms and stressors in the environment influence physician behavior.


다른 사람들은 의사들의 전문직으로서의 책임을 시스템과 인구 건강의 개선으로 확장시켰다.17) 이들은 사회와 조직 세력이 의사 전문성에 미치는 영향에 주목했다 .18,18 FIGURE는 의사의 프로페셔널리즘을 일련의 nested setting에서 나오는 것으로 묘사한다.

Others have called for physicians’ professional responsibilities to extend to improving systems of care and population health17 and have noted the impact of societal and organizational forces on physician professionalism.12,18 the FIGURE con-ceptualizes physician professionalismas emerging in a series of nested set-tings




각각의 sphere에서 의사는 여러 가지 관심 분야를 탐색하고 때로는 경쟁 우선 순위를 탐색해야합니다. 전문적으로 행동하기 위해서 의사는 이러한 영향권 전체에 걸쳐 복잡하고 경쟁적인 가치와 시각의 균형을 유지해야합니다.

Each of these spheres requires the physician to navigate multiple interests and, at times, competing priorities. Acting professionally requires the physician to balance complex and competing values and perspectives across these spheres of influence.


프로페셔널리즘에 대한 이러한 시스템 관점은 헬스 케어를 복잡한 적응 시스템으로 이해하는 데 기반을두고 있으며, 여러 가지 분산 된 에이전트들이 서로 영향을 미치는 상호 작용 네트워크를 특징으로합니다. 전문적인 행동은 치료가 제공되는 조직적 및 환경 적 맥락에 의해 크게 영향을받으며 마찬가지로 환경 적 맥락은 이러한 영역의 의사 행동에 의해 형성됩니다 .18

This systems view of professionalism is grounded in understanding health care as a complex adaptive system, characterized by a dynamic network of interactions across multiple dispersed and decentralized agents whose actions influence one another. Professional behaviors are profoundly influenced by the organizational and environmental context in which care is delivered, and likewise, the environmental context is shaped by physician behaviors in these domains.18


이 관점이 중요한 이유는, 실제로 프로페셔널리즘을 강화하기 위해서는 개별 의사의 안정성과 역량을 향상시키는 것 이상의 전략을 필요로한다는 것을 의미하기 때문이다. 전문성을 강화하려는 노력은 의사가 수행하는 조직 및 환경 적 맥락에 초점을 맞추어, 전문적인 행동을 유도하고, 프로페셔널한 행동을 억제하는 장벽을 제거하기 위해 외부적 힘을 조정하는 방법을 밝혀야 합니다.

This perspective is important because it implies that strengthening professionalism in practice will require strategies that go beyond improving individual physicians’resiliency and competency. Efforts to strengthen professionalism also need to focus on the organizational and environmental context in which physicians practice, identifying ways to align these external forces to foster professional behaviors and eliminate the barriers that inhibit them.


프로페셔널리즘이 미덕이 아닌 행동인 것처럼, 건강 관리 시스템의 기능은 여러 에이전트의 무수한 교차하고 상호 작용하는 행동에서 유래합니다. 의사 리더는 전문적인 방식으로 행동하고 어려운 상황에서 배우기 위해 의사를 격려하고 지원하는 의료 환경을 조성해야 할 특별한 책임이 있습니다. 프로페셔널리즘이 실천을 통해 배양되는 환경을 조성하려는 노력이야말로 아마도 프로페셔널리즘의 궁극적인 표현 일 것입니다.

Just as professionalism emanates from actions not virtues, the functionality of the health care system also emanates from the myriad intersecting and interacting behaviors of multiple agents. Physician leaders have a particular responsibility to create care environments that encourage and support physicians to act in a professional manner and to learn from challenging situations. Striving to create environments that cultivate professionalism in practice is perhaps the ultimate expression of professionalism.




교육과 시스템 수준의 개혁

Education and System-Level Reform


의학 교육은 프로페셔널리즘을 개인 성격으로서 다루기보다는, 비판적 사고, 기술 습득, 숙의적 연습이 필요한 다차원 역량으로 진화 할 필요가 있습니다. 교육 프로그램은 연수생에게 자신의 전문성에 대한 도전, 즉 의사의 적응 능력 향상을 예측, 인식 및 관리하는 방법을 가르 칠 수 있습니다.

Medical education needs to evolve from treating professionalism as a personal character trait to teaching professionalism as a multidimensional competency requiring critical thinking, skill building, and deliberate practice. Education programs can teach trainees how to anticipate, recognize, and manage challenges to their professionalism—essentially building physicians’ adaptive capacity.


동시에, 프로페셔널리즘을 조직 및 환경 적 맥락에 의해 형성된 행동으로 이해함으로써 프로페셔널리즘을 강화하는 것이 "전문직"에만 초점을 둔 것 이상의 노력을 필요로한다는 것을 암시합니다. 오히려 완화 요소를 극복하고 의사가 실제로 전문성을 발휘할 수있는 역량을 강화하는 전략을 개발하려면 더 많은 관심이 필요합니다.

At the same time, understanding professionalism as behaviors shaped by the organizational and environmental context suggests that strengthening professionalism will require efforts beyond those focused on “the profession” alone. Rather, more attention is needed to develop strategies to overcome mitigating factors and strengthen those that support physicians’ capacity to exhibit professionalism in practice.



Conclusions






 2010 Dec 22;304(24):2732-7. doi: 10.1001/jama.2010.1864.

behavioral and systems view of professionalism.

Author information

1
Foundation Programs, American Board of Internal Medicine Foundation, Philadelphia, Pennsylvania, USA. cara.lesser@hhs.gov

Abstract

Professionalism may not be sufficient to drive the profound and far-reaching changes needed in the US health care system, but without it, the health care enterprise is lost. Formal statements defining professionalism have been abstract and principle based, without a clear description of what professional behaviors look like in practice. This article proposes a behavioral and systems view of professionalism that provides a practical approach for physicians and the organizations in which they work. A more behaviorally oriented definition makes the pursuit of professionalism in daily practice more accessible and attainable. Professionalism needs to evolve from being conceptualized as an innate character trait or virtue to sophisticated competencies that can and must be taught and refined over a lifetime of practice. Furthermore, professional behaviors are profoundly influenced by the organizational and environmental context of contemporary medical practice, and these external forces need to be harnessed to support--not inhibit--professionalism in practice. This perspective on professionalism provides an opportunity to improve the delivery of health care through education and system-level reform.

PMID:
 
21177508
 
DOI:
 
10.1001/jama.2010.1864


전문직업성 학습: Trench에서의 관점(Acad Med, 2007)

Viewpoint: Learning Professionalism: A View from the Trenches

Andrew H. Brainard, MD, MPH, and Heather C. Brislen, MD




우리는 의대생으로서, 특히 우리 임상실습 동안 병원 환경에서 의료 전문성을 배우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이 에세이를 작성했습니다.

We wrote this essay to describe how we are learning medical professionalism as medical students, especially in the hospital environment in our clinical years.


배경

Background


현재 프로페셔널리즘 교육을 받고 있기는 의대생으로서, 우리는 이 주제에 관한 현재의 문헌 대부분이 핵심을 놓치고 있다고 생각한다. 우리는 의료 프로페셔널리즘 교육의 주요 장벽이 의학 교육자에 의한 비전문가의 행동이라고 제안합니다.

as current medical students immersed in learning professionalism, it is our observation that most of the current literature on this topic misses the mark. We propose that the chief barrier to medical professionalismeducation is unprofessional conduct by medical educators.


실제로, 교수진과 레지던트에 의한 unprofessional한 행위는 확립 된 권위에 의해 보호된다 .5-7

In practice, unprofessional conduct by faculty and residents is protected by an established hierarchy of authority.5–7


교육자들은 학생들과 마찬가지로 더 넓은 의학 문화 내에서 작동하게끔 되어 있다.8 교육병원은 (우리가 표준으로 기대하는 일관된 교수법이나 전문적인 돌봄보다) 위기 통제의 윤리에 따라 행동하는 것처럼 보입니다. 어떤 위기 상황 이건간에 이 병원의 환경은 효율성이나 생산성을 위해 표준 이하의 전문적 행동을 수용하도록 진화했습니다. 이미 확립된 위계 구조는 표준 이하 행동을 인식하고 개혁하려는 경향이 없기 때문에, 의학계는 명백하게 단지 이론적으로만 프로페셔널리즘 교육 커리큘럼을 뒷받침한다. 학생은 이 커뮤니티의 가장 malleable한 구성원이자, 프로페셔널리즘 평가의 novel advent로서, 학생은 행동에 따라 성적이 매겨지는 유일한 대상입니다.


Medical educators, like the students they teach, are forced to operate within the larger medical culture.8 Rather than the consistent teaching or expert caregiving that we would wish for as the standard, providers in academic hospitals seemto operate on an ethic of crisis control.9,10 As in any crisis, the environment has evolved to accept substandard professional behavior in exchange for efficiency or productivity.11,12 Established hierarchies, in turn, are not inclined to recognize and reform their own substandard behavior, and therefore the medical community tends to only theoretically support the explicit professionalism curriculum.13,14 Students are the most malleable members of this community, and with the novel advent of professionalism evaluations, they are also the only players subjected to grading based on their behavior.15,16




문제

The Problem


의학계 학생은 학장에게 전문성에 대한 평가가 부족하거나 전문성이 부족한 것으로 잘못 판단되거나 징계를받을 수있는 학생에 대한 보호 장치가 없다는 우려를 표명했습니다. 학장은 "전문직 종사자를 부르는 것은 인종 차별 주의자라고 불리는 것과 같습니다. 당신은 자신을 방어 할 수있는 방법이 없습니다. 대화가 끝났습니다. "- 4 학년 의대생

A medical student expressed concern to a dean that there were no protections in place for students that are poorly evaluated for professionalism or may be wrongly accused of or disciplined for a lack of professionalism. The dean replied, “Being called unprofessional is like being called a racist. You have no way to defend yourself; the conversation is over.” —Fourth-year medical student


시험은 학생에게 술에 취한 사람들의 반응에 대해 어떻게 반응 하는지를 물었습니다. 기관에는 내부 고발자 보호와 학생 학대 정책이 둘 다 없습니다. 학생은 이러한 경우에 돌이킬 수있는 사람이 없다고 대답했으며보고하기가 너무 두려웠습니다. 그는 전문성 부족으로 시험에 실패했습니다. - 2 학년 의대생

An exam asked a student how he would respond to an intoxicated attending. The institution lacks both whistleblower protection and a student abuse policy; the student answered that there was no one to turn to in these cases, and that he was too afraid to report. He failed the exam for lack of professionalism. —Second-year medical student


사무원 평가에서 한 학생은 임상 강의의 절반 이상을 취소하는 것이 전문가가 아닌 것으로 불평했습니다. 1 년 후,이 기밀 평가는 "비전문가의 기대"의 증거로 인용되었습니다. - 3 학년 의료 학생

In his clerkship evaluation, a student complained that canceling over half of the clinical lectures was unprofessional. A year later, this confidential evaluation was cited as evidence of “unprofessional expectations.” —Third-year medical student


한 학생이 참석자가 성적으로 괴롭힘을 당했다고 느꼈습니다. 참석자의 행동이 적어도 전문가가 아니었다는 것에 동의 한 후, 사무원 장은 그녀가 레지던스를 확보 할 가능성을 상하게 할 것이므로 불만을 제기하지 않았습니다. 그 대가로 그녀는 사건이 기밀로 유지되고 참석자가 더 이상 학생들과 함께 일하지 않을 것이라고 확신했습니다. 그녀의 기밀은 그 때 깨졌고 참석은 학생들을 멘토링하기를 계속합니다. - 3 학년 의대생

A student felt that she was sexually harassed by an attending. After agreeing that the attending’s conduct was at least unprofessional, the clerkship director discouraged her fromfiling a grievance because it would hurt her chances of securing a residency. In return, she was assured that the incident would be kept confidential and the attending would no longer work with students. Her confidentiality then was breeched and the attending continues to mentor students. —Third-year medical student



Coulehan의 견해에 따르면, 이러한 잠재 교육과정은 환자가 아니라, 위계를 교육의 중심에 위치시킵니다. 이 상황에서 학생들은 교육자들에 의한 많은 비전문적 행위, 그리고 그들이 이러한 행동에 책임을 지지 않는다는 것을 목격한다.

In Coulehan’s20 view, the hidden curriculum places the academic hierarchy—not the patient—at the center of medical education. In this arrangement, students witness many unprofessional acts by medical educators for which the educators are not held accountable.21


학생들은 의학자들이 환자의 체중, 인종 또는 질병에 대해 멸시적인 말을 하는 것을 듣습니다 .23 학생들은 그들의 supervisor가 환자 기밀을 위반하고 다른 의사와 전문 분야를 무시하며 병원 규정을 무시하고 환자를 위험에 빠뜨리기도 한다고 보고합니다.

Students hear medical educators make derisive comments about patients’ weight, ethnicity, or diseases.23 Students report that their supervisors violate patient confidentiality, disrespect other physicians and specialties, disregard hospital regulations, and even place patients at risk.


학생들의 프로페셔널리즘에 대한 평가 및 성적 사정 수행이 동일한 레지던트 및 교수에 의해 이뤄질 때가 많습니다. 가장 중요한 것은 명백하게 프로페셔널한 행동을 하는 학생에게 unprofessional이라는 딱지가 붙는 경우입니다 .27 학생들은 환자 병력에 대해서 팀과 동의하지 않을 때, 동의 절차의 적절성에 대해 질문 할 때, 근무 시간 위반을보고 할 때, 자신을 위해서 건강 보험에 대한 인기가없는 할 때, 학업 기록을 요청할 때, 성적 오류에 대한 구제책을 요청할 때조차 그 professionalism에 의심을 받는다.

It is often these same residents and faculty members who are called on to conduct the evaluation and grading of students’ professionalism. Most concerning are the instances in which the label of unprofessional is applied to a student who exhibits explicitly professional behavior.27 Students’ professionalismhas been questioned when they disagree with a teamon a patient history, question the appropriateness of a consent process, report duty hours violations, make an unpopular choice of health insurance for themselves, request their own academic records, or ask for a remedy to a grading error.


분야에 대한 문헌은 없지만, 프로페셔널리즘에서 높은 점수를 받는 것은 아마도 위계의 효율성을 얼마나 수호하는지와 관련이 있을 것이라고 본다.

Although there is no literature in the field, we suggest that high marks in professionalismcorrelate with protecting the efficiency of the academic hierarchy.




프로페셔널하지 못한 행동을 칭찬하고, 프로페셔널한 행동에 벌주기

Praise for the Unprofessional and Punishment for the Professional



학생은 사기 담당 이사에게 그가 사기이고 학교 정책을 명백히 위반한다고 생각하는 주민들을위한 퇴원 요약을 쓰고 있다고보고합니다. 그녀는 "가장 중요한 직업적인 덕목이 상사와 함께하고있다"고 대답하고 계속해서 활동할 것을 제안했습니다. - 3 학년 의대생

A student reports to his clerkship director that he has been writing discharge summaries for his residents that he believes are fraudulent and in clear violation of school policy. She responded that “the most important professional virtue is getting along with your superiors” and suggested he continue the activity. —Third-year medical student


증례 회의에서 학생은 직장 검사의 적절성에 의문을 제기하고 직장 검사가 때때로 학생 및 환자 학대의 한 형태로 사용될 수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그 학생은 그 질문이 "부적절한"것이고 "학습에 대한 전문가가 아닌 전문가의 저항"을 지적한 평가를 받았습니다. - 3 학년 의료 학생

During a case conference, a student questioned the appropriateness of performing a rectal exam, and stated that the rectal exam may sometimes be used as a form of student and patient abuse. The student later received an evaluation noting that question was “inappropriate” and indicated an “unprofessional resistance to learning.” —Third-year medical student


학생들은 서기장에게 초과 근무 시간을보고했습니다. 그 대답은 "전문적인 학생은 일을하고 불평하지 않을 것"이었다. - 3 학년 의대생

Students have reported an excess of work hours to the clerkship director. The response was, “The professional student would just do the work and not complain.” —Third-year medical student


객관적인 기준이 없으면 의료 교육자는 명예, 애타주의, 책임의 미덕보다 외양, 형식, 순응을 "프로페셔널"한 것으로 평가할 가능성이 더 높을 것이다. 학생들은 (환자 또는 명백히 "프로페셔널한" 행동보다) 권력과 성격이 더 중요한 시스템에서 놓여있다고 말한다.

We suggest that, without objective standards, medical educators are more likely to evaluate appearance, formality, and conformity as “professional” than the virtues of honor, altruism, and responsibility. Students say that they function within a systemwhere power and personality are more important than patients or than explicitly “professional” behavior.


우리의 관찰에 따르면 학생들은 unprofessional한 의과 대학이나 병원 문화의 지뢰밭을 탐색 할 수있는 유일한 방법으로서, "전문적이고" "윤리적"인 카멜레온이된다는 것을 보여줍니다.

Our observations show that students become “professional” and “ethical” chameleons because it is the only way to navigate the minefield of an unprofessional medical school or hospital culture.


그들은 또한 시험에 대한 최선의 대답이 올바른 대답이 아닐 수도 있다는 사실에 매우 친숙합니다. 정답은 누가 그 질문을 했는지에 달려 있습니다 .27,29

They are also intimately familiar with the fact that the best answer on a test may not be the right answer— it all depends on who asked the question.27,29


이러한 권력 차이를 협상하는 과정에서, 학생들은 "프로페셔널리즘"에서 높은 점수를 받기 위해서는 전문 직업 윤리를 훼손하거나, 이상을 고집하지 않고 유연하게 대처하거나, 기껏해야 개인적인 윤리 기준을 준수하면서도 '외교적'인 사람이 되어야 함을 알게 된다.

In negotiating this power differential, our colleagues say that high marks in “professionalism” are best obtained by students who compromise formal professional ethics, are flexible with their ideals, or, at best, can be diplomatic while following their personal ethical standards.



권력 차이를 협상하기

Negotiating a Power Differential


학생은 마취 된 취약자에 대한 성폭행이라고 생각되는 것을 관찰합니다. 이 사건을 적절한 행정 당국에보고 한 후,이 교수진은 목격 한 행동이 전문가가 아니며 비 윤리적이며 불법 일 가능성이 있음에 동의했습니다. 그녀는 그녀의 전문 직업을 보호하기 위해 조용히 지내라는 지시를 받았다. - 3 학년 의대생

A student observes what she believed to be a sexual assault on an anesthetized minor. After reporting this incident to the proper administrative authority, this faculty member agreed that the witnessed action was likely unprofessional, unethical, and may have been illegal. She was instructed to keep quiet in order to protect her professional career. —Third-year medical student


면역 억제 상태의 환자들과 함께 급성 종양 내과 병동에서 일하는 참석자들은 학생들에게 "혼수 상태가 아닌 이상" 병가를 내는 것은 전문가가 아님을 학생들에게 가르쳤다."- 제 3 학년 의대생

An attending, working in the acute oncology ward with immunosuppressed patients, instructed students that it was unprofessional to take sick days “unless you are comatose.” —Third-year medical student


한 학생이 평가에서 F를 만든 산술 오류를 발견하였다. 그는 성적을 반영하도록 성적표를 변경하도록 요청했습니다. 원래 잘못 계산 된 후에 등급이 변경되었습니다. 그러나 그는 나중에 오류를 범한 사무실에서 "비전문적인 주장"에 대해 비판을 받았다. - 2 학년 의대생

A student discovered an arithmetic error in his evaluation, resulting in a failing grade. He requested to have the transcript altered to reflect his performance. After originally standing by their erroneous arithmetic, the grade was changed. However, he was later criticized for “unprofessional assertiveness” by the office that had made the error. —Second-year medical student



많은 의대생들은 자신들이 교육자의 비전문적 행동의 피해자라고 생각합니다 .30 악의적인 포주pimping 행위 (수치심을 유발하는 심문), 타인 학대 및 부끄러움의 명백한 사례 외에도, 학생들은 성별 또는 민족성에 따라 타겟팅됩니다 .32,33 학생에 대한 Sexual harassment는 여전히 흔하다.34,35

Many medical students feel they are victims of unprofessional behavior by educators.30 In addition to obvious cases of malignant pimping (i.e., interrogation intended to humiliate), belittlement, and shame,31 students are targeted according to gender or ethnicity.32,33 Sexual harassment of students remains commonplace.34,35


  • 좋게 말해봐야, 학생들은 afloat하게 지내는 것이 우선이고, 자신들은 예의와 존경은 교육자가 거의 제공하지 못하는 사치일 뿐인 혼란스러운 시스템에 참여하고 있다는 것을 이해한다. 

  • 나쁘게 말하면, 학생들은 자신의 교육자의 비전문적 인 행동을 모방하면 보상을 받음을 알게됩니다 .37 

  • 학생들은 전문적 행동을 구성하는 것이 무엇인지 진정으로 혼동합니다.

It is our observation that, at best, students understand that they are participants in a chaotic system in which staying afloat is the priority and courtesy and respect are luxuries seldom afforded by their educators. At worst, students learn they are rewarded for mimicking the unprofessional behavior of their educators.37 Students are genuinely confused as to what constitutes professional behavior.


우리는 다음 패턴을 확인합니다.

we identify the following patterns:


▪ 시스템은 프로페셔널리즘을 장려하나, 동시에 프로페셔널하지 못한 supervisor에게 평가자 역할을 맡긴다. 따라서 주관적인 평가는 쓸모가 없다

▪ The system encourages professionalism and at the same time asks for its evaluation by unprofessional supervisors. Thus, subjective evaluations are useless.


▪ 피드백은 대부분 정확하지 않고, 대부분 건설적이지 않습니다. 대신 학생들은 병동팀의 바퀴에 기름칠을 하지 못했다며 무고한 실수나 행동의 목록만을 전달받는다.

▪ Feedback is rarely seen as accurate and is almost never constructive. Instead, students receive lists of innocent mistakes or descriptions of behaviors that have failed to grease the wheels of the ward team.


▪ 학생들은 전문직의 덕목을 실천하는 것이 아니라 문제를 피하는 방법을 배웁니다.

▪ Students learn how to avoid trouble, rather than how to exemplify the virtues of professionals.




우리는 강의가 예고없이 취소되고, 약속이 잊혀지고, 회의가 거의 시작되지 않는다는 것을 관찰했습니다. 다른 의료계 학생들은 교육자들이 종종 page에 응답하지 않고 전자 메일을 무시할 수 있다고 느낍니다. 임상 평가는 돌려받게되기까지 수 개월이 걸리고 종종 학생을 잘 못 지칭하고 있다. 학생들의 평가는 종종 사실적 오류를 포함하고, 우연히, 부정확하게 적용되며 세부 사항에는 거의 주의를 기울이지 않습니다. 시험 성적은 분실, 지연 또는 잘못 해석됩니다. 관련 개인에 따라 학업 정책을 잊어 버리거나, 잘못 기억하거나, 무시합니다. 학생들의 평가에 대한 기밀 유지는 약속되었지만지지되지 않았습니다. 학문적 리더십, 학장 및 교수진은 꾸준히 혼란과 혼란을 겪고 있습니다.


We have observed that our lectures are canceled without notice, appointments are forgotten, and meetings rarely start on time. Other medical students report that their educators frequently fail to return pages and feel free to ignore emails. Clinical evaluations take many months to be returned and often refer to the wrong student. Students’ evaluations often contain factual errors, are applied haphazardly, inaccurately, and with little attention to detail. Test grades are lost, delayed, or misinterpreted. Academic policies are forgotten, misremembered, or disregarded depending on the individuals involved. Confidentiality of evaluations by students is promised but not upheld. Academic leadership, deans, and faculty are in a constant state of turmoil and turnover.



해결책

Solutions


기본으로 돌아가는 것이 프로페셔널리즘 교육의 진정한 성공의 열쇠라고 생각합니다.

It is our feeling that this return-to-fundamentals approach is the key to the real success of professionalism education.


▪ 학생 학대를 줄이려는 시도가 의대생의 프로페셔널리즘 평가를 위한 노력보다 우선시되어야합니다. 전문성 교육에는 일관된 교육, 명확한 표준 및 공정한 평가가 포함되어야합니다. 성공적인 미덕을 달성하고 증명하는 데 어려움을 겪고 있는 학생들에게는 합리적 결과, 교육적 개선 및 성공 방향 전환이 제공되어야 한다.

▪ Attempts to reduce student abuse must take precedence over efforts toward evaluation of medical students’ professionalism. Professionalism education should involve consistent education, clear standards, and fair assessment. Students who are having difficulty with attaining and demonstrating professional virtues should face rational consequences, educational remediation, and reorientation toward success.


▪ 역할 모델은 전문성 교육의 성공에있어 핵심적인 요소입니다 .41-44 의학 교육자는 모범을 보이며 선도해야하며, 전문직 교육 및 평가는 가장 시니어 의사, 행정관, 직원부터 그 대상이 되어야 한다. 프로페셔널리즘에 대한 정의는 보다 명확해야하며 평가는 객관적이어야하며, 그러한 정의를 기반으로해야합니다. 숙련 된 평가자가 있고 과거의 경험이 건설적인 피드백이 있음이 입증 된 경우를 제외하고는, 학생들의 전문성에 대한 주관적 및 서술 적 평가는 수행되어서는 안됩니다.

▪ Role models are of central importance to the success of professionalism education.41–44 Medical educators must lead by example, and professionalism education and evaluation must be top down, starting with the most senior physicians, administrators, and staff. Definitions of professionalismmust be cogent and clear, and evaluations should be objective and based on such definitions. Subjective and narrative evaluation of students’ professionalism ought not to be performed except when there are trained evaluators and when past experience has proved that there will be constructive feedback.


▪ 교육자는 의학 교육 시스템 내에서 자신의 비전문적 인 행동에 대해 책임을 져야한다 .45) 레지던트에 의해 훈련받은 의과대학생의 schoolyard dynamic은 일관되고 집중적 인 감독을받을 자격이있다. 병원 윤리위원회는 죽음과 죽음과 같은 전통적 영역을 넘어 건강 관리 팀의 전문성 영역으로 나아가 야한다. 교수 역할을하는 사람이 프로답지 않은 행동을하는 것은 절대 용납되어서는 안된다.

▪ Medical educators should hold themselves accountable for the unprofessional behavior within the medical education system.45 The schoolyard dynamic of medical students trained by residents deserves consistent and intensive supervision. Hospital ethics committees ought to be encouraged to move beyond the traditional scope of areas such as death and dying and into the realmof professionalismof health care teams. There should be a zero-tolerance policy for unprofessional behavior by anyone in a teaching role.


▪ 교수진, 레지던트, 직원, 학생 모두 명시적인 커리큘럼에 대한 개인적인 헌신을 보여주고, 숨겨진 커리큘럼을 공개적으로 그리고 proactive하게 처리해야합니다. 그들은 학업 과정에서 투명성을 보장하고, 학생들을 공손하게 대우하며, 자신의 전문적이고 윤리적 인 행동을 입증해야합니다.

▪ Faculty, residents, staff, and students alike need to show a personal commitment to the explicit curriculum, and address the hidden curriculum openly and proactively. They must assure transparency in the academic process, treat students respectfully, and demonstrate their own professional and ethical behavior.


The Ongoing Dilemma


학생들은 자신이 배운 명시적 프로페셔널 가치와 잠재 커리큘럼의 암묵적인 가치 사이의 단절을 이해하는데 큰 어려움을 겪고 있다.


Students struggle profoundly to understand the disconnect between the explicit professional values they are taught and the implicit values of the hidden curriculum.





 2007 Nov;82(11):1010-4.

Viewpointlearning professionalism: a view from the trenches.

Author information

1
University of New Mexico School of Medicine, Albuquerque, New Mexico, USA. brainaa@slhn.org

Abstract

The authors, medical students immersed in learning professionalism, observe that most of the professionalismliterature misses the mark. Their views on professionalism education, although not the result of qualitative research, were gained from four years of conversations with students from a dozen medical schools, plus online student discussions, focus groups, and meetings with supervisors from five schools. The authors propose that the chief barrier to medical professionalism education is unprofessional conduct by medical educators, which is protected by an established hierarchy of academic authority. Students feel no such protection, and the current structure of professionalism education and evaluation does more to harm students' virtue, confidence, and ethics than is generally acknowledged. The authors maintain that deficiencies in the learning environment, combined with the subjective nature of professionalism evaluation, can leave students feeling persecuted, unfairly judged, and genuinely and tragically confused. They recommend that administrators, medical educators, residents, and students alike must show a personal commitment to the explicit professionalism curriculum and address the hidden curriculum openly and proactively. Educators must assure transparency in the academic process, treat students respectfully, and demonstrate their own professional and ethical behavior. Students overwhelmingly desire to become professional, proficient, and caring physicians. They seek professional instruction, good role models, and fair evaluation. Students struggle profoundly to understand the disconnect between the explicit professional values they are taught and the implicit values of the hidden curriculum. Evaluation of professionalism, when practiced in an often unprofessional learning environment, invites conflict and compromise by students that would otherwise tend naturally toward avowed professional virtues.

PMID:
 
17971682
 
DOI:
 
10.1097/01.ACM.0000285343.95826.94


전문직간교육 학습성과 평가에 대한 국제적 합의문(Med Teach, 2016)

International consensus statement on the assessment of interprofessional learning outcomes

Gary D. Rogersa, Jill E. Thistlethwaiteb, Elizabeth S. Andersonc, Madeleine Abrandt Dahlgrend,

Ruby E. Grymonpree, Monica Moranf and Dujeepa D. Samarasekerag

aSchool of Medicine and Health Institute for the Development of Education and Scholarship (Health IDEAS), Griffith University, Gold Coast, Australia; bSchool of Communication, University of Technology, Sydney, Australia; cDepartment of Medical Education, The University of Leicester, Leicester, UK; dDepartment of Medical and Health Sciences, Link€oping University, Link€oping, Sweden; eCollege of Pharmacy, University of Manitoba, Manitoba, Canada; fSchool of Human Health and Social Sciences, Central Queensland University, Rockhampton, Australia; gCentre for Medical Education (CenMED), National University of Singapore, Singapore, Singapore





도입

Introduction


전문 직업인 교육 (IPE)은 "두 명 이상의 전문직이 협력 및 양질의 개선을 위해 서로간에, 그리고 서로에 대해 배울 때"발생합니다 (CAIPE 2002). 이 과정은 건강 전문 학생과 실무자가 효과적인 협동적 직업 간 연습 (IPP)에 필요한 역량을 갖추도록 보장하는 것을 목표로합니다. IPP의 정의는 다음과 같다.

Interprofessional education (IPE) occurs when “two or more professions learn with, from, and about each other to improve collaboration and the quality of care” (CAIPE 2002). This process aims to ensure that health professional students and practitioners have the capabilities required for effective collaborative interprofessional practice (IPP), which we have chosen to define as


보건 및 지역 사회 서비스 전문가가 신뢰와 존경, 그리고 서로의 전문 지식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보완적 지식과 기술을 사용하여 환자, 고객 및 지역 사회를 제공하기 위해 함께 일하는 것 (Canadian Medical Association 2007, p.3).

health and community service professionals working together,using complementary knowledge and skills, to provide care to patients, clients and communities, based on trust, respect and an understanding of each other’s expertise (adapted from Canadian Medical Association 2007,p.3).


세계 보건기구 (WHO 2010)는 직업 간 교육 및 협력 실천을위한 기본 틀 (WHO 2010) 내에서 이러한 증거를 강조했다. 이 문서는 다음과 같은 협력적 치료 모델의 동인을 제시합니다. 가난한 환자 안전 기록; 서비스의 중복; 비용 상승.  적시에 적합한 서비스에 대한 제한된 액세스를 제공합니다. 또한 입원 기간 단축과 같은 IPP의 많은 이점을 확인합니다. 환자, 고객 및 그 가족의 삶의 질 향상. 진료에 대한 접근성 향상; 향상된 환자 및 고객의 안전.

The World Health Organization (WHO 2010) highlighted this evidence within a Framework for Action on Interprofessional Education & Collaborative Practice (WHO 2010). This document cites drivers for collaborative care models including: 

  • health care provider shortages; 

  • poor patient safety records; 

  • duplication of services; 

  • escalating costs; and 

  • limited access to the right services at the right time at the right location. 


It also identifies many possible benefits from IPP such as 

  • reduction in lengths of hospital stay; 

  • improvements in quality of life for patients, clients and their families; 

  • improved access to care; and 

  • enhanced patient and client safety. 


또한 고도의 협업 팀은 긴장과 갈등을 감소시켜 직무 만족도를 높이고 건강 관리 제공자의 채용 및 유지력을 향상시키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Zwarenstein 외 2009, Health Force Ontario 2010, Reeves 외). IPP를 지지하는 사람들은 환자와 고객의 많은 요구가 단일 의료 공급자의 전문성을 넘어서는 것이며 진정한 환자 중심 또는 고객 중심의 서비스를 위해서는 IPP가 필요하다고 주장합니다 (Freeth 2001, Bridges et al. 2011; van Dongen 외 2016) .

Further, evidence suggests that highly collaborative teams experience reduced tensions and conflict, leading to improved job satisfaction, as well as enhanced recruitment and retention of health care providers (Zwarenstein et al. 2009; Health Force Ontario 2010; Reeves et al. 2013). Proponents of IPP assert that the needs of many patients and clients are beyond the expertise of any single health care provider and true patient- or client-centered service requires IPP (Freeth 2001; Bridges et al. 2011; van Dongen et al. 2016).


미국의 Lancet Report는 IPE가 21 세기의 의료, 간호 및 공중 보건 교육을 변화시키는 핵심 요소임을 확인했습니다 (Frenk 외 2010). 캐나다의 의료 교육의 미래에 대한 10 가지 권장 사항 중 하나는 전문 간 및 전문 직업 훈련 (캐나다 학부 의학 연합 2010)에 관한 것입니다.

From the US, the Lancet Report identified IPE as a key factor in transforming medical, nursing, and public health education in the 21st century (Frenk et al.2010). One of 10 recommendations in The Future of Medical Education in Canada report relates to advancing inter- and intra-professional practice (Association of Faculties o Medicine of Canada 2010).


최근 몇 년 동안, IPE의 driver중 하나는 IPE 표준을 건강 및 사회 보호 프로그램 인증에 통합하고자하는 전문직 규제 당국도 포함된다. 인증은 프로그램이 국가의 전문 표준을 준수하는지 평가하고 변경에 대한 인센티브로 작용하는 복잡한 프로세스입니다 (Curran 외. 2005).

In recent years, drivers have also included professional regulatory authorities, who seek integration of IPE standards into the accreditation of health and social care programs. Accreditation is a complex process that assesses a program’s compliance with national professional standards and serves as an incentive for change (Curran et al. 2005).


2010 년 WHO 행동 강령 (World for Action)의 발간 외에도 2010 년에는 호주에서 개최 된 제 5 회 글로벌 투게더 더 나은 건강 컨퍼런스 (The All Together Better Health Conference)에서 합의한 공동 성명 인 Sydney Interprofessional Declaration이 발표되었습니다. 선언문은 제 1 조에서 "... 모든 보건 및 인적 서비스 이용자는 완전히 통합 된, 전문 직업인과의 공동 건강 및 인적 서비스를받을 권리가있다"고 주장하고 제 3 조에서 사전 면허 건강 전문가 교육에 다음과 같은 책임을 부여한다

In addition to publication of the WHO Framework for Action, 2010 saw the promulgation of the Sydney Interprofessional Declaration, a consensus communique from the fifth global All Together Better Health Conference in Australia. The declaration asserted, in Article 1, that “…all users of health and human services shall be entitled to fully integrated, interprofessional collaborative health and human services” and went on in Article 3 to place an onus on providers of pre-licensure health professional education, as follows:


보건 종사자 교육 및 훈련은 IPE의 중요한 핵심 요소를 포함해야합니다. 이것들은 실질적 경험을 포함하고 공식적으로 평가되어야 한다. (모두 함께 건강 해집니다 5 국제 컨퍼런스 참가자 2010, p.1)

Health worker education and training prior to practice shall contain significant core elements … of interprofessional education. These … shall contain practical experiences … [and] … be formally assessed. (All Together Better Health 5 International Conference participants 2010, p. 1)


Sydney Declaration 이후 6 년 동안 IPL 성과의 정의에 대한 많은 활동이 있었지만 (Thistlethwaite 외 2014), 평가할 결과의 범위와 방법에 대한 세계적인 공감대는 나타나지 않았다. 그 평가가 착수되어야한다.

In the six years since the Sydney Declaration, there has been much activity around the definition of interprofessional learning (IPL) outcomes (Thistlethwaite et al. 2014), but so far no global consensus has emerged about the range of outcomes to be assessed and how that assessment should be undertaken.


학업, 전문 및 규제 기관을 만족시키기 위해서는 평가 프로세스 및 절차에 대한 합의가 필요합니다. 그러나 공감대 형성을 위해서는 다음의 두 가지의 긴장감을 인식해야 한다. 한편으로는 규제 당국을 진정시키고 서비스 기관이 필요로하는 종사자 유형을 생산하는 교수진이 받는 압력이 있다. 한편으로는 환자 중심의 효과적인 의료, 효율적이고 수준 높은 의료 서비스에 대한 환자 및 고객의 요구를 고려해야한다(그림 1 참조).

Consensus about assessment processes and procedures is needed to satisfy academic, professional, and regulatory bodies. However, the formation of consensus needs to recognize the tensions between the pressures on faculty members to appease regulators and produce the types of practitioners required by service organizations, on the one hand, while considering the needs of patients and clients for person-centered, effective, and efficient high quality care, on the other (see Figure 1).


동시에 대부분의 저자는 IPE가 중요하다는 데 동의하지만 IPL 평가를 포함하여 학습 결과에 따라 사전 등록 교육 전반에 커리큘럼 주제를 컴파일하는 방법에 대해서는 거의 합의하지 않았습니다. Reeves (2012, p.254)는 "IP 능력을 구성하는 여러 가지 진술을 견고하게 측정 (평가)하는 방법에 대해서는 명확하지 않습니다." 그 이유는 부분적으로 보건의료전문직 교육에서, 대부분 팀의 책임 성과 책임보다는 등록 목적에 대한 개인적인 책임에 초점을 맞추기 때문입니다. 또한, 세계 보건기구 (WHO) 용어 사전 등록 및 다양한 전문화 된 직업 궤적 수준의 "협력적 실천이 준비된"학습자를 완전히 기술하는 방법에 대해 상당한 불확실성이 남아 있습니다.

At the same time, while most authors agree that IPE is important, there is little agreement on how to compile a curriculum theme throughout pre-registration education,aligned with learning outcomes, that includes assessment of IPL. Reeves (2012, p.254) further points out that “we are not clear about how to robustly measure (assess) the many different statements which make up the interprofessional competency”. This is partly because, in health professional education broadly, we are focused on personal accountability for registration purposes, rather than team accountability and responsibility. In addition, there remains considerable uncertainty as to how to describe fully what the World Health Organization terms, “collaborative practice-ready”(WHO 2010, p.7) learners at the pre-registration and various post-qualified levels of a professional career trajectory. 



방법

Methods


In response to an invitation by the Program Committee for the 17th international Ottawa Conference on the Assessment of Competence in Medicine and the Healthcare Professions, held in Perth, Australia in March 2016, we began a collaborative process with the aim of reaching a global consensus on the key questions related to the assessment of IPL outcomes. 



주요 주제

Consensus themes


  Context: 

i. The purposes of the assessment of IPL outcomes 

ii. How assessment should be applied over the course of a learning program

   The assessment journey of teacher and student: 

i. What should be assessed 

ii. How to assess 

iii. How feedback to enhance further learning should best be provided

   Gaps in the evidence base requiring further scholarly enquiry.


맥락

Context


IP평가의 목적

The purposes of interprofessional assessment


길버트 (Gilbert, 2005)가 주장한 것처럼 IPE의 효과에 대한 가장 중대한 장벽 중 하나는 일부 학생과 교사의 부분에 대한 인식이다. 사람들은 "어느 과에서든 IPE를 보건의료전문직 교육의 필수적 요소라기보다는 add-on으로 본다". (p.101). Oandasan and Reeves (2005)는 "학생들은 때로는 IPL이 직업에 대한 구체적인 경험만큼 중요하지 않다고 인식한다"(p.26).

As Gilbert (2005) has argued, one of the most significant barriers to the effectiveness of IPE is the perception on the part of some students and educators that it is a peripheral “add-on”, rather than “an integral and necessary component in the education of health and human service professionals, regardless of discipline” (p.101). Oandasan and Reeves (2005) suggest that “students sometimes feel that IPL is not as important as their profession specific experiences” (p.26).


Boud (2000)는 다음과 같이 평가를 정의했다.

Boud (2000) defined assessment as


우리가 소중히 여기는 것에 대한 의사 소통 행위. 평가는 우리의 subject에 대해 중요한 것에 대한 우리의 견해를 전달할뿐만 아니라 "우리"가 집단적으로 의도하는 것이 무엇인지를 전달하는 문화적 의사 소통의 행위입니다 (p160).

an act of communication about what we value. It transmits not only our views about what is important for our subject, but is an act of cultural communication transmitting what the collective “we” intends (p160).


Muijtjens et al. 1998 년에 관찰 된 "시험은 학생 학습을 이끌었다drive"(81 쪽)

As Muijtjens et al. observed in 1998, “tests and examinations drive student learning” (p. 81)


 대부분의 사실주의와 마찬가지로 이것은 현실의 지나친 단순화이기도하지만 (McLachlan2006), IPE 프로그램에 평가를 포함함으로써, 그렇지 않았다면 uniprofessional learning에만 더 많은 관심을 기울였을 수 있는 학생들의 참여를 촉진한다는 것은 의심의 여지가 없다. 

 while, like most truisms, this is an over-simplification of reality (McLachlan2006), there is no doubt that the inclusion of assessment in an interprofessional program promotes engagement on the part of students who may otherwise tend to pay more attention to the acquisition of uniprofessional learning. 


역사상 지금만큼이나 환자 안전의 촉진이 긴급한 때는 없었고, 그렇기 때문에 효과적인 IPL을 통해서 수련을 마친 의사가 협력적으로, 그리고 안전하게 팀으로서 협력적으로 진료할 것을 확실하게 만들어야 한다(Dixon-Woods 2010) (Ladden 외. 2006).

There has never been a more urgent period in the history of health care for promotion of patient and client safety (Dixon-Woods 2010), underlining the importance of effective assessment of IPL to ensure that graduating practitioners are able to practise collaboratively and work effectively – and safely – in teams (Ladden et al. 2006).



환자와 고객이 의사 소통을 효과적으로 원하고 많은 사람들이 이러한 포부 때문에 IPL의 개발과 전달에 관여하게된다는 증거도있다 (Manidis et al., Anderson et al. 2011).

There is also evidence that patients and clients want professionals to communicate effectively and many become involved in the development and delivery of IPL because of these aspirations (Manidis et al. 2009; Anderson et al. 2011).


보건 의료 종사자가 "서로 이야기하지 않는다"고 종종 불평하는 일화적인 증거가 있습니다. 이러한 기대는 보건 의료 종사자와 그들이 제공하는 시민들 사이의 "사회적 계약"의 일부로서 IPL을 분명히하기 시작합니다 (Cruess & Cruess, 2008).

there is anecdotal evidence that people from indigenous communities in different parts of the world, in particular, frequently complain that health care workers don’t, as Carlisle’s group (2004) put it, “talk to each other” (p. 545). These expectations begin to articulate IPL as part of a “social contract” between the health care professions and the citizens they serve (Cruess & Cruess, 2008).


평가의 목적에는 두 가지 주요 구성 요소가 있습니다. 그것은 학습을 평가하고 그 자체로 학습을 유도합니다 (Thistlethwaite 2015). Imanipour와 Jalili (2016)가 최근에 관찰 한 바와 같이

There are two key components to the purpose of assessment: it both assesses learning and also in itself drives learning (Thistlethwaite 2015). As Imanipour and Jalili (2016) have recently observed


평가를 평가 도구로만 보지 않고 개선 및 학습 방법으로 보는 것은 평가에 대한 사고에서 가장 중요한 변화입니다 (47 페이지).

Viewing assessment as a method for improvement and learning instead of viewing it as only a tool for accountability is the most important change that [has] occurred in thinking about assessment (p. 47).


IPE가 두 영역 모두를 다루기를 요구하면서 "요약 (summative)"또는 "조형 (formative)"으로 평가하는 경우가 자주있다 (Barr et al., 2016).

Frequently, reference is made to assessment as either “summative” or “formative”, with calls for IPE to address both of these areas (Barr et al. 2016).


따라서 형성 평가는 학습자와 교사 간의 "피드백"과 "대화"에 관한 것입니다. 이상적으로, 모든 요약 평가는 형성 요소를 가져야하지만, 표식 또는 합격 / 불합격 결정만으로 발생하는 고부담 검사에서는 누락되는 경우가 종종 있습니다.

Thus, formative assessment is about “feedback” and “dialogue” between learner and teacher. Ideally, all summative assessment should have a formative component, but this is often missing from high stakes examinations that result solely in a mark or a pass/fail decision.


기술 기반 활동 및 팀워크와 같은 복잡한 작업의 형식적 평가는 건설적이고시기 적절한 피드백으로 빈번한 관찰을 포함해야합니다. 따라서 잘 수행되면 시간과 자원이 많이 소모됩니다.

Formative assessment of skills-based activities and complex tasks such as teamwork should involve frequent observation with constructive and timely feedback. When done well, therefore, it is time and resource intensive.


지난 20 년 동안 행동 주의자, 결과에 초점을 둔 건강 관리 커리큘럼은 역량 기반 평가 (Frank et al. 2010)의 사용으로 바뀌었고,이 접근법을 지지하거나 반박하는 많은 논문들이있었습니다 (참조 : 예 : van der Vleuten & Schuwirth 2005; Lurie 2012).

Over the last two decades, behaviorist, outcomes-focused curricula in health care have turned to the use of competence-based assessments (Frank et al. 2010) and there has been a plethora of papers that both support and refute this approach (see, for example, van der Vleuten & Schuwirth 2005; Lurie 2012).


"역량"의 사용은 평가를위한 명확한 구조를 제공합니다. 역량은 밀러 (Miller, 1990)가 [지식이 후속 실천 능력에 결합되는 것]으로 outline되었다. 특히 인지 영역과 심리 운동 영역의 융합이다.

The use of “a competence” offers a clear structure for assessment. Competence is aligned to what Miller (1990) outlined as a combination of knowledge with subsequent ability to practise. In particular, it is an amalgamation of 

    • knowledge and understanding in the cognitive domain (“Knows” and “Knows How”), 

    • with performance in the psychomotor domain (in “Shows How”) and action (“Does”), which combines all three of Bloom’s domains [Bloom et al. 1956].


그러나 Fraser와 Greenhalgh (2001)는 역량의 개념 ( "지식, 기술, 태도와 관련하여 개인이 알고 있거나 할 수있는 것"[p.799])이 복잡한 보건의료환경에서는 효과적인 실천에 필요한 자질을 기술하기에는 불충분하다고 지적한다. 그들은 "capability능력"를 제안하면서, 이것은 역량의 요소뿐만 아니라 "변화에 적응하고 새로운 지식을 창출하며 지속적으로 성과를 향상시키는 능력"(p.799)까지 포괄하는 더 높은 수준의 결과라고 제안했다. Wilson and Holt (2001)은 같은시기에 비슷한 결론에 도달했다.

However, as Fraser and Greenhalgh (2001) argued the concept of competence (“what individuals know or are able to do in terms of knowledge,skills, attitude” [p.799]) is insufficient to describe the qualities necessary for effective practice in a complex health environment. They suggested “capability” as a higher level outcome that encompassed the elements of competence as well as “the ability to adapt to change, generate new knowledge, and continuously improve performance” (p.799). Wilson and Holt (2001) reached similar conclusions at about the same time. 


Lurie (2012)는 interprofessionalism은 주로 사회적 능력이기 때문에 환원주의적 접근 방식을 포기하고 "임상 환경에서의 인간 수행 패턴"과 관련하여 복잡성을 포용하는 것이 더 적절할 수 있다고 제안했다. (56 쪽).

Lurie (2012) has suggested that, because interprofessionalism is, like many others, mainly a social competence, it may be more appropriate to abandon reductionist approaches to measurement altogether and rather embrace complexity in relation to “patterns of human performance in the clinical setting” (p. 56).


IP성과를 평가하는 목적에 대한 컨센서스

Points of consensus on the purposes of the assessment of interprofessional outcomes.

? 모든 이해 관계자를위한 학습의 가치를 높이고 학습자 참여를 촉진하기 위해

? 안전한 효과적인 의료를 위한 능력을 확인하기 위해

? '보건 및 사회 복지사 간 효과적인 협력 및 전문가 간 의사 소통'이라는 간병인 및 가족뿐만 아니라 환자, 고객 및 지역 사회의 필요와 기대를 충족시키기 위해 

? 어떤 학습이 이루어졌는지 측정하고 추가 학습을 지원하기 위해

? 역량 또는 역량과 관련된 프레임 워크를 사용하여 최소한의 표준 달성에 대한 통찰력을 주기 위해

To raise the value of the learning for all stakeholders and promote learner engagement

To verify the capabilities for safe effective practice

To meet the needs and expectations of patients, clients, and communities, as well as carers and families, for effective cooperation and interprofessional communication between health and social care workers

To measure what learning has taken place and support further learning

To offer insights into the achievement of a minimal standard using frameworks relating to competence or capability.


프로그램에서 평가가 어떻게 적용되어야 하는가

How assessment should be applied over the course of a program



가장 바람직한 평가는 커리큘럼의 alignment를 요구합니다. 즉, 교육 프로그램의 정의 된 학습 결과를 평가해야합니다 (Biggs & Tang 2007). 또한 교육자는 학습 기회 및 학습 활동과 관련하여 학생들이 필요한 결과를 달성 할 수 있도록 도와 줄 수 있도록, 무엇을 언제 평가할 것인가를 결정해야합니다. 현재 일부 교육 기관에서는 모든 전문직 및 사회 복지학생이 충분한 경험과 IPL 관련 노출을 가진 것은 아닙니다. 따라서 꼭 모든 학생들이 정확히 동일한 경험을 가질 필요는 없지만, 적어도 동등한 학습기회가 주어져야만 평가를 받아들일 수 있습니다. 이것은 [조기 이론 학습]뿐만 아니라 [팀 작업 및 협동 연습을 관찰하고, 연습하고, 잠재적으로 평가할 수있는 시뮬레이션 활동 또는 임상 활동]을 동반하는 학습 궤적을 필요로합니다 (Anderson et al., 2015).

Best practice in assessment requires curriculum alignment, that is, it must assess the defined learning outcomes of the educational program (Biggs & Tang 2007). In addition, educators need to decide what should be assessed and when, in relation to the learning opportunities and learning activities in place to help students to meet the required outcomes. At the current time in some institutions, not all health professional and social care students have sufficient experiences and relevant exposure to IPL. Assessment, therefore, cannot be acceptable or feasible until there is equity of opportunity in learning – though all students do not need to have exactly the same experiences. This requires a learning trajectory with early theoretical learning, as well as learning activities – simulated or clinical – where team working and collaborative practice can be observed, practised, and potentially assessed (Anderson et al. 2015).


Reeves et al. (2016)은 IPE 촉진이 자원 및 기술, 준비 및 지원과 같은 facilitator 경험, 반영 및 피드백과 같은 facilitator 전략과 같은 맥락적 특성에 의해 영향을받는다고 주장했다.

Reeves et al. (2016) have argued that IPE facilitation is influenced by contextual characteristics such as resources and technology, facilitator experience such as preparation and support, as well as facilitator strategies such as reflection and feedback.


프로그램에서 어떻게 평가가 적용되어야 하는가에 대한 컨센서스

Points of consensus on how assessment should be applied over the course of a program.

? 형성 및 총괄 평가는 직업 간 교육에 대한 프로그램 방식의 중요한 요소가되어야합니다. 이 때 적절한 평가는 프로그램의 복잡성이 증가함에 따라 학습을 촉진하고 학습 결과를 측정하기 위해 활용되어야 한다.

? 적절한 IPL 기회의 가용성은 전문 직업 능력의 공정한 평가를위한 선결 조건입니다

? 교사와 평가자에 대한 적절한 개발 기회는 전문가 간 평가 프로세스의 효과적인 구현을위한 고유 한 요구 사항입니다.

Formative and summative assessment should be critical elements within a programmatic approach to interprofessional education, where appropriate assessments are utilized to promote learning and to measure learning outcomes of increasing complexity across programs

The availability of appropriate IPL opportunities is a critical prerequisite to the fair assessment of interprofessional capabilities

Appropriate developmental opportunities for educators and assessors are an inherent requirement to the effective implementation of interprofessional assessment processes.



학습자와 교수자를 위한 평가의 여정

The assessment journey for the learner and teacher


무엇을 평가할 것인가

What to assess


적절한 고려를 한 후에, 서면 팀은 이러한 원하는 특성이나 세부 사항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되는 결과 개념에 대한 합의에 도달하려는 시도는 가치가 거의 없다고 결정했습니다.

After due consideration, the writing team has decided that there would be little value in attempting to reach consensus on either the outcome concept to be used to describe these desired characteristics or their detail.


그러나 사용 가능한 모든 직업 간 프레임 워크의 핵심 도메인 간에는 상당한 일관성이 있습니다. 이들 중 가장 두드러진 4 가지는 Thistlethwaite et al. (2014) 표 1에 요약되어있다.

There is, however, considerable consistency between the core domains of all the available interprofessional frameworks. The four most prominent of these were reviewed and compared by Thistlethwaite et al. (2014) and are summarized in Table 1.



1. 역할 이해 :이 영역에는 학습자가 추구하는 직업을 포함하여 향후 실습에서 가장 많이 겪고 직면하게 될 건강 전문직의 역할, 책임, 가치 및 기여에 대한 이해를 확인하는 결과가 포함됩니다. 이것은 첫 번째 저자가 "건강 전문직 문맹 퇴치"라는 별명을 붙인 개념입니다. 합의 과정의 일부 구성원은 [이 기능에 대한 원래의 전체 설명]은, 특히 사전 등록 건강 전문 프로그램 단계에서는, 완전히 도달되기 어려운 깊은 수준의 이해를 암시한다고 보았다.

1. Role understanding: This area includes outcomes that confirm an understanding of the roles, responsibilities, values, and contributions of the health professions that the learner is most likely to encounter and work with in their future practice, including the profession that they are seeking to enter themselves. This is a concept that the first author has dubbed “health professions literacy”, though some members of the consensus process thought that the full original description of this capability (see Teodorczuk et al. 2016) implied a depth of understanding that was unlikely to be fully achieved, particularly in preregistration health professional programs.


2. 전문가 간 의사 소통 :이 주제에는 다른 직업의 동료와 효과적으로 커뮤니케이션하고 존중할 수있는 능력을 확인하는 결과가 포함됩니다. 그것은 듣기, 협상, 갈등 관리 및 해결책의 중요성뿐만 아니라 가치를 탐구하고 존중하는 것 (반드시 그들 모두와 동의하지는 않지만)을 포함합니다.

2. Interprofessional communication: This theme includes outcomes that confirm an ability to communicate effectively and respectfully with colleagues in other professions. It encompasses the importance of listening, negotiation, conflict management, and resolution, as well as exploring and respecting values (though not necessarily agreeing with them all).


3. Interprofessional 가치 :이 주제는 효과적인 IPP와 일치하는 학습자의 가치관에 대한 통합과 관련된 결과를 포함합니다. 여기에는 졸업 후의 직업 생활 전반에 걸쳐 전문 직업인으로서의 평생 교육에 대한 공약뿐만 아니라 동료애, 사람 존중, 확립 된 계층 구조에 대한 비판적 견해, 고객 및 환자 중심성, 다양성에 대한 인식, 정직성, 성실성 및 신뢰성이 포함됩니다. 우리는 그러한 결과가 직접적으로 측정하기가 어려울 수 있음을 인정합니다. 일부에 대해서는 방법이 존재하지만 (아래의 "평가 방법"참조), 종종 관찰 가능한 행동에 대한 영향을 통해 간접적으로 평가됩니다.

3. Interprofessional values: This theme includes outcomes related to the incorporation into the learner’s worldview of values consistent with effective IPP. These include 

    • collegiality, 

    • respect for persons, 

    • a critical view of established hierarchy, 

    • client and patient-centeredness, 

    • appreciation of diversity, 

    • honesty, 

    • integrity, and 

    • reliability, as well as 

    • a commitment to interprofessional continuing education across their professional life after graduation

We recognize that such outcomes may be difficult to measure directly – though some methods do exist (see “How to assess” below) – and will often be assessed indirectly through their impact on observable behaviors.


4. 조정 및 협력 의사 결정 :이 주제는 환자, 고객, 간병인, 가족 및 지역 사회뿐만 아니라 동료와 함께 전문적인 활동을 조정하여 다양한 의견을 종합하고 제공되는 치료와 서비스를 최적화 할 수있는 능력과 관련된 결과를 포함합니다. 옹호, 리더십 및 팔로워십 역량을 통합합니다.

4. Coordination and collaborative decision-making: This theme includes outcomes related to the ability to coordinate one’s professional activities collaboratively with colleagues, as well as with patients, clients, carers, families, and communities, in order to synthesize diverse opinion and optimize care and services provided. It incorporates advocacy, leadership, and followership capabilities.


5. 성찰(Reflexivity) :이 분야의 성과는 지속적 개선을 목표로, 자신의 커리어 내내, 자기 자신과 다른 사람들을 포함하는 전문 직업적 협력의 효과 성을 모니터하고 성찰하는 능력의 획득에 관한 것이다.

5. Reflexivity: Outcomes in this area concern acquisition of the ability to monitor and reflect upon the effectiveness of interprofessional collaborations involving one’s self and others, throughout one’s career, with the aim of continuous improvement.


6. 팀웍 : IPP는 [팀원임을 확인하고, 정기적으로 만나고, 성과를 성찰하는] 한정된 공동 그룹의 전문가라는 전통적인 의미에서 팀워크에 관한 것이 아닙니다. Hammick et al. (2009), 팀은

6. Teamwork: IPP is not solely about teamwork, in the traditional sense of a bounded co-located group of professionals who identify as a team, meet regularly, and reflect on performance. According to Hammick et al. (2009), a team is


상호 보완적인 공통된 목적, 성과, 목표 및 접근 방식에 전념하는 보완 기술을 가진 소수의 사람들 (39 페이지 참조).

a small number of people with complementary skills, who are committed to a common purpose, performance, goals and approach, for which they are mutually accountable (p. 39).


그러나이 주제는

    • 팀은 무엇이며 건강 관리에서 어떻게 기능 하는가?

    • 효과적인 협업 팀을 만드는 이유는 무엇입니까?

    • 팀워크 장벽;

    • 책임;

    • 팀 역학 및

    • 권력 관계.

However, this theme does focus on what teams are and how they function within health care; what makes for an effective collaborative team; barriers to teamwork; accountability; team dynamics, and power relationships.


무엇을 평가할 것인가

Points of consensus on what to assess.

Assessment of IPL should include outcomes in the following six domains: 

  • role understanding; 

  • interprofessional communication; 

  • interprofessional values; 

  • coordination, and collaborative decision-making; 

  • reflexivity; and 

  • teamwork


어떻게 평가할 것인가

How to assess


평가 방법은 언제나 상황과 맥락에 달려있다.

The ways we assess are always situated and contextualized.


[개별 학습자]와 [그룹 또는 팀 환경 내에서의 학습자] 모두에 대한 평가의 조합이 필요하다는 강한 동의가있었습니다.

There was strong agreement that a combination of assessments is required that looks to both the individual learners and their performance within a group or team setting.


팀웍 평가는 여전히 중요한 과제입니다. IPE가 팀워크에만 집중하는 것은 아니지만 IPP와 관련된 팀웍 역량은 평가에 중요한 항목입니다. 대부분의 상황에 적합한 개인의 평가는 주로 보건 전문가와 학생들의 인증 목적입니다. 논리적으로 팀웍 및 협업 실습을 평가하려면 팀 전체에 대한 평가와 팀웍 및 협업에 기여하는 개인의 성과가 모두 평가되어야 한다.

The assessment of teamwork remains an important challenge. Assessment of health professionals and students for certification purposes is predominantly the assessment of individuals, which is appropriate in most situations.However, while IPE does not focus solely on teamwork,teamwork competencies related to IPP are important items for assessment. Assessment of teamwork and collaborative practice logically should involve an assessment of the whole team as well as individual performance contributing to teamwork and collaboration.


교육 프로그램의 초기 단계에서 이러한 작업은 비 임상 프로젝트 일 수 있지만 후기 단계에서는 실제 시뮬레이션 및 실제 임상 설정 (작업 기반 평가)의 작업을 포함하여 임상 적으로 관련성이 있어야합니다.

In the early stages of an educational program, these tasks may be nonclinical projects, but in the later stages they should be clinically relevant, involving authentic simulation and, ideally, tasks in real clinical settings (work-based assessment).


우리는 모든 학습자에게 프로그램 기간 동안 정확히 동일한 경험을 제공하는 것은 불가능 함을 인정합니다. 건강 및 사회 복지 학생들은 다양한 유형의 전문 직업인 팀에서 다양한 기간 동안 일하기 때문에, 팀워크를 관찰하는 것은 쉽지 않다.

We acknowledge that it is impossible to provide all the learners with exactly same experiences during their programs. Health and social care students work in different types of interprofessional teams for varying time periods, making observation of their teamwork challenging.


팀은 시뮬레이션이나 관찰 된 구조화 된 임상 검사 (OSCE)와 같은 평가 목적으로 특별히 형성 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유형의 "팀웍"은 심장 마비에 대한 대응과 같은 팀 작업을 모방하지만, 임상 상황처럼 authentic하지 않습니다. 팀이 이상적으로 기능하기 위해서는 시간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이유로 협력 기술에 대한 평가를 위해 특별히(별도로) 구성된 학생들의 "팀"은 잘 기능 할 것 같지 않습니다 (Oakley 외 2004).

A team may be formed specifically for the purpose of assessment, for example, for a simulation or an observed structured clinical examination (OSCE). While this type of “teamwork” mimics such team tasks as the response to a cardiac arrest, when teams form in response to an incident, it is not as authentic for other clinical situations when teams take time to form, “gel” and thus to perform optimally. For these reasons, a “team” of students formed specifically to be assessed for their collaborative skills are unlikely to function well (Oakley et al. 2004).


학문적, 전문직업적, Interprofessional 고려 사항 및 요구 사항은 종종 충돌합니다. 일부 인증 기관에서는 같은 직업의 구성원에 의해서만 평가 될 수 있다는 specification이 있을 수 있습니다. 직업 간 (그리고 국가 간) 교육 문화의 차이는 IPL 결과 및 역량에 대한 보편적으로 수용 가능하고 실현 가능한 평가의 개발을 방해 할 수있다 (Dunworth 2007).

Academic, professional, and interprofessional considerations and requirements often conflict. There may be a specification on the part of some accrediting bodies that students may only be assessed by members of the same profession. Differences in educational cultures across the professions (and between nations) may also hamper the development of universally acceptable and feasible assessments for IPL outcomes and competencies (Dunworth 2007).






보건전문직 문해력에 대한 전통적 평가

Conventional assessment of health professions literacy.


상위 레벨 IPL의 전제 조건 인 기본 역할 이해는 후보자가 작성한 단답형 질문이나 잘 만들어진 시나리오 기반, 시나리오 기반의 여러 질문 (Morrissey 외 2014)과 같은 기존 기술을 통해 평가할 수 있습니다.

Basic role understandings, as a prerequisite to higher-level IPL, can be assessed through conventional techniques such as candidate-completed short answer questions or wellchoice crafted, scenario-based, multiple questions (Morrissey et al. 2014).


팀 기반 프로젝트

Team-based project.


전문 직업인 팀의 학생들은 지역 사회 방문, 환자 전단지 작성, 병원 감사, 보고서 작성, 예술품, 포스터 또는 비디오와 같은 작은 프로젝트를 수행하거나 프리젠 테이션을 제공 할 수 있습니다 (Anderson & Lennox 2009).

Students in interprofessional teams can undertake small projects such as community visits, writing patient leaflets, hospital audits then produce a report, an artifact (such as an art work, poster or video), or give a presentation (Anderson & Lennox 2009).


시뮬레이션 상황에서의 관찰

Observation in simulation.


시뮬레이션 - 특히 확장 된 다중 방법의 전문가 수준의 시뮬레이션 활동 (Rogers 외 2014a)의 활용 - 학습자의 팀워크 및 전문 직업적 의사 소통 기술을 상대적으로 제어되고 예측 가능한 환경에서 관찰 할 수있는 기회를 제공합니다. 이러한 설정에서 평가자는, 평가의 신뢰성을 보장하기 위해 신중한 교정 및 벤치마킹이 수행되는 경우, 단순한 리커트 유형의 저울에 대한 학생들의 구체적인 능력에 대한 평가를 평가할 수 있습니다. 시뮬레이션 기반 교육에서 학생들은 또한 시뮬레이션을 시행하는 동료 관찰자로 참여합니다. 그들의 관찰은 형성 평가를 위해 사용될 수 있으며 프로패셔널 시뮬레이션 교육의 학습 결과에 기여할 수 있습니다.

Simulation – particularly the utilization of extended, multi-method, interprofessional simulation activities (Rogers et al. 2014a) – provides the opportunity for learners’ teamwork and interprofessional communication skills to be observed in a relatively controlled and predictable environment. In these settings, it is quite feasible for assessors to rate students’ demonstration of particular capabilities on simple Likert-type scales, provided that careful calibration and benchmarking is undertaken to ensure reliability of assessments. In simulation-based education, students are also engaged as observers of peers enacting simulation. Their observations can be used for formative assessment and contribute to the learning outcomes of interprofessional simulation training.


실제 행위의 관찰

Observation in practice.



진정한 환자 또는 고객 관리 실무에서 감독자 관찰을 통한 평가는 실현 가능하고 시간을 초월한 방법이지만 개별 역량보다는 "글로벌"수준에 집중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최근 호주 임상 진료위원회 (Australian Medical Council)의 "인턴 평가 양식 (International Assessment Form)"(노인 의대생 평가에 사용되기도 함)과 같은 이니셔티브를 통해 직장 내 평가 (WBA) 접근법이 전문가 수준의 협업 능력 평가를 포함하도록 확대되었습니다. 

Assessment through supervisor observation in real patient- or client-care practice is a feasible and time-honored methodology, but has tended to focus at a more “global” level than on individual capabilities. Recently, these workplace-based assessment (WBA) approaches have been extended to include assessment of interprofessional collaborative capacity though initiatives like the Australian Medical Council’s “Intern Assessment Form” (which is also being used in the assessment of senior medical students). 


이 문서는 임상 감독자에게 "다른 의료 전문가의 역할과 전문성을 존중하고, interprofessional 팀의 구성원이나 지도자로서 효과적으로 학습하고 일하는 것처럼 보이는 정도까지 다른 영역과 관련하여 학습자의 성과를 평가하도록 요청합니다. 적절한 추천을하는 것 "으로,"전문가 간의 효과적인 기능을 방해하는 방식으로 작업하는 것 "에서"Inter-professional 팀의 구성원이나 지도자로서 효과적으로 작동하는 것 " - 전문 (팀) 팀 및 긍정적 인 팀 역학에 영향을 미칩니다 "(Australian Medical Council 2014).

This document asks clinical supervisors to rate learners’ performance in relation, among other domains, to the extent to which they appear to “respect the roles and expertise of other healthcare professionals, learn and work effectively as a member or leader of an interprofessional team, and make appropriate referrals”, rating them on a five-point Likert-type scale ranging from “Works in a way that disrupts effective functioning of the inter-professional (sic) team” to “Works effectively as a member or leader of the inter-professional (sic) team and positively influences team dynamics” (Australian Medical Council 2014).


성찰 일지

Reflective journaling.


반사 저널링은 건강 전문 교육에서 잘 정립 된 교육 기술이며 임상 또는 시뮬레이션 환경에서 감정적으로 영향을받는 경험과 관련하여 정서 영역에서의 학습 평가를 가능하게합니다. 최근이 접근법은 확장 된 시뮬레이션 경험 동안 직업 간 가치와 관련된 정서적 학습의 사례를 확인하고 평가하는 데 활용되었습니다.


Reflective journaling is a well-established educational technique in health professional education (Mann et al. 2009) and has the potential to allow assessment of learning in the affective domain (according to Bloom’s original taxonomy [Krathwohl et al. 1956]) in association with emotionally impactful experiences in clinical or simulated settings. Recently, this approach has been utilized to identify and assess examples of affective learning related to interprofessional values during extended simulation experiences (Rogers et al. 2012; Rogers et al. 2014b).



팀 기반 비평'

Team-based critique.


임상 배치placement와 관련된 문헌에 따르면 최적 학습을 위해서는 수동적 관찰보다 참여가 중요하다 (Dornan 외. 2007). 그러나 적극적이고 목적있는 관찰은 여전히 ​​실질적인 학습 혜택을 줄 수 있습니다 (Graffam 2007). 학생들이 입학 한 실무자 팀을 고의적으로 비판적으로 관찰함으로써 IPL 프로그램을 통해 얻은 협동 실습에 대한 이해를 적용 할 수있는 "관석capstone"(사전 졸업) 평가 활동을 고안하는 데 최근 관심이있었습니다. 학생들은 실무자 팀원들 사이에서 관찰 한 효과적이고 효과적이지 못한 협력 실습 사례와 이러한 평가의 이유를 확인하고 설명해야하며 팀이 어떻게 협력 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지 제안해야합니다. 

Scholarship in relation to clinical placement emphasizes the importance of participation over passive observation for optimal learning to occur (Dornan et al. 2007). However, active or purposeful observation can still have real learning benefit (Graffam 2007). There has been recent interest in devising “capstone” (pre-graduation) assessment activities that allow students to apply the understandings of collaborative practice they have gained through an IPL program by undertaking deliberate critical observation of a practitioner team into which they have been placed. Students are required to identify and describe examples of effective and less effective collaborative practice they have observed between the practitioner team members, as well as the reasons for these evaluations, and make suggestions for how the team may improve its collaborative function. 


이러한 관찰은 연구 프로그램이 끝날 무렵에 작성된 평가서의 기초를 형성합니다. 이 전략은 구성하기가 쉽고 구현하기가 쉽지 않지만 학습 통합의 관점에서 교육 이익을 제공 할뿐만 아니라 상위 수준의 학습 성과에 대한 포괄적 인 평가를 제공 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습니다. 가장 큰 단점은 평가가 필요한 서면 과제의 숫자 일 수 있습니다. 모든 전문 학습자의 일부 교육 기관에서는 1000을 초과 할 수도 있습니다.

These observations form the basis of a written assessment piece undertaken toward the end of their study program. This strategy has the advantage of being simple to organize and inexpensive to implement but might nonetheless provide educational benefit in terms of consolidation of learning, as well as summative assessment of higher level learning outcomes. A main drawback may be the numbers of such written assignments that need to be assessed – in some institutions across all professional learners the number may be in excess of 1000.


전문직간 포트폴리오

An interprofessional portfolio.


이것은 개인이 정의 된 학습 성과를 달성했거나 프로그램 내에서 또는 인증을 위해 필요한 역량을 달성했음을 확인하기위한 다양한 증거 모음입니다. 포트폴리오는 또한 "직업 간 여권"으로 불릴 수도 있습니다 (예 : 브리티시 콜롬비아 대학의 건강 분야 학회 (College of Health Disciplines) 2014 참조).

This is a collection of diverse evidence intended to confirm that an individual has met the defined learning outcomes or achieved the required competencies for progression within a program or for certification. A portfolio may also be termed “an interprofessional passport” (see for example College of Health Disciplines, University of British Columbia 2014). 


포트폴리오는 일반적으로 다음 두 섹션으로 구성됩니다.

      • (i) 역량, 적합한 IPL 활동 및 완료를위한 목록 결과 또는 템플릿을 포함하여 교육자 및 평가자가 제공 한 요소; 

      • (ii) 학습자가 제공 한 요소는 결과가 자신의 실습에 중요한 이유, 수행 된 활동 및 학습 성과 달성에 대한 증거를 포함합니다.

포트폴리오에는이 섹션에서 논의 된 다른 평가 활동의 모든 증거가 포함될 수 있습니다


Portfolios usually include two sections: 

      • (i) elements provided by educators and assessors including the list outcomes or template for competencies, suitable IPL activities and a by completion; and 

      • (ii) elements provided the learners including discussion of why the outcomes are important for their practice, activities undertaken and evidence for their achievement of the learning outcomes. 

Portfolios may contain evidence from all of the other assessment activities discussed in this section.


이 방법은 모든 학습자가 동일한 결과를 충족시켜야하지만 동일한 학습 활동이나 경험이 없을 수 있음을 다시 한번 인정합니다. 평가 필요성은 학습자 중심으로 학생들이 활동을 선택하고 그들이 필요한 결과를 달성했음을 입증하는 데 필요한 증거에 대한 성찰을 요구한다.


The method again acknowledges that, while all learners must meet the same outcomes, they may not have the same learning activities or experiences. The assessment need becomes learner-centered as students to choose activities and reflect on the evidence required to show that they have achieved the required outcomes.


포트폴리오는 자격을 얻은 후에 재 검증 및 평가를위한 중요한 학습 순간을 선택하는 방법을 배워야하기 때문에 대중적으로 보급되었습니다 (예 : General Medical Council 2012 참조). 영국에서는 학부생이 졸업 후 개인 개발 관리를 준비하기 위해 국민 건강 서비스 포트폴리오에 액세스 할 수 있으며 "성찰"와 같은 드롭 다운 기능은 관련 IPL (스코틀랜드 NHS 교육 2016)을 문서화 할 수있는 곳을 제공합니다. 학부 교과 과정 전반에 걸쳐 IPE를 마친 학생들은이 가치가 있다는 것을 발견했으며이 도구는 다양한 직업에 쉽게 적용되고 수용 될 수 있습니다 (Domac 외 2015). 최근 연구에서, 포트폴리오 내 IPE에 뒤 따르는 성찰적 글쓰기의 분석은 학생들이 지식 학습을 명확하게 명료화하고 그 결과로 그들의 실천을 어떻게 프레임화할 것인지를 고려할 수 있음을 확인했다 (Domac et al., 2016).


Portfolios have become more popular because of the need for students to learn to select critical learning moments for revalidation and appraisal after they have qualified (see General Medical Council 2012, for examples). In the UK, undergraduate students have had access to the National Health Service ePortfolio to prepare them for managing personal development after graduation and the drop down functions, such as “reflection”, offer places to document relevant IPL (NHS Education for Scotland 2016). Students completing IPE across an undergraduate curriculum have found this valuable and the tool appears to be easily adapted and accepted across different professions (Domac et al. 2015). In a recent study, analysis of reflective writing following IPE within a portfolio has confirmed that students can clearly articulate learning of knowledge and consider how they will frame their practice as a result (Domac et al. 2016).



동료 평가

Peer assessment.


대학 설정에서 그룹 및 팀워크를 평가하기 위해 자가 평가 및 동료 평가가 점점 더 많이 사용되고 있습니다. 이것은 임상의와 교육자가 학생을 관찰하는 데 어려움이있는 것과 같은 실용적인 고려 사항을 기반으로 할 수 있지만 학생들이 자신의 학습에 참여하도록하는 중요성을 강조하는 학습 이론에서도 지원됩니다. 이 목적을위한 혁신적인 도구 중 하나는 웹 기반의 SPARK입니다 (Freeman & McKenzie 2002). 팀에서 일하는 학생들은 활동에 대해 정의 된 결과에 대해 자신과 상대방의 성과를 평가합니다. 자체 평가는 동료 평가와 비교 될 수 있으며 모든 판단은 식별되지 않습니다deidentified.


Self and peer assessment are increasingly being used to assess group and teamwork in university settings. This might be based on practical considerations such as difficulties in finding clinicians and educators to observe students, but it is also supported by learning theory that emphasizes the importance of engaging students in their own learning. One innovative tool for this purpose is SPARK, which is web-based (Freeman & McKenzie 2002). Students working in teams assess their own and each other’s performance against outcomes defined for the activity. Self-assessment can be compared to the peer assessment and all judgments are deidentified.


도구

Tools.


팀워크 및 직업 성 간의 태도 측면과 관련하여 설문 조사, 규모, 도구는 전혀 부족하지 않습니다.

There is no shortage of surveys, scales, tools, and instruments in relation to teamwork and attitudinal aspects of interprofessionality.


지난 20 년간 자체 완성 된 여러 설문지와 저울이 개발되어 IPL 프로그램 평가를위한 사전 테스트와 사후 테스트로 활용되었습니다. Interprofessional Learning Scale (RIPLS) (Parsell & Bligh 1999)에 대한 준비는 아마도 가장 잘 알려져있을 것입니다. 그러나 많은 다른 사례들이 캐나다 Interprofessional Health Collaboration (CIHC 2012)와 Oates and Davidson (2014)에 의해 목록 화되고 비교되었습니다.

Several self-completed questionnaires and scales have been developed over the last two decades and utilized particularly as preand post-tests for the evaluation of IPL programs. The Readiness for Interprofessional Learning Scale (RIPLS) (Parsell & Bligh 1999) is perhaps the best known, but the many other examples have been cataloged and compared by the Canadian Interprofessional Health Collaboration (CIHC 2012) and by Oates and Davidson (2014).


합의 과정에 기여한 사람들은 일반적으로 자체 완성 된 설문지가 개인 학습자의 IPL 결과 달성에 대한 포괄적 인 평가에 거의 기여하지 않았다고 믿었습니다. 그 이유는 다음과 같은 우려 때문이었습니다. (Oates & Davidson 2014; Mahler et al. Schmitz & Brandt 2015); 자기보고의 진실성; 그리고 그러한 규모가 그 성격의 환원 주의자라는 점에서 상호 프로 의식의 복잡한 현상을 적은 수의 수치로 압축하려는 철학적 인식.

Contributors to the consensus process generally believed that self-completed questionnaires had little to contribute to the summative assessment of the achievement of IPL outcomes by individual learners due to concerns about: the validity of scales (Oates & Davidson 2014; Mahler et al. 2015; Schmitz & Brandt 2015); 

      • the veracity of self-reporting; and 

      • a philosophical recognition that such scales are, of their nature, reductionist, aiming to compress the complex phenomena of interprofessionality into a small number of numerical values.


다음 툴은 실시간 (임상 설정 또는 시뮬레이션에서) 또는 비디오 레코딩 성능의 관찰 및 구성을 용이하게하기 위해 개발되었습니다. 기존 (임상) 팀의 성과를 평가하기 위해 개발 된 도구는 학생으로 구성된 팀의 평가에 적합하지 않을 수 있음에 유의해야합니다.

The following tools have been developed to facilitate the organization and recording of observations of performance either in real-time (in clinical settings or simulation), or video recordings. It is important to note that tools developed to assess the performance of established teams are unlikely to be suitable for the assessment of teams comprised of pre-registration health professional students.


  Interprofessional collaborator assessment rubric (ICAR) (Curran et al. 2011).


This is a detailed tool for the assessment of observable teamwork behaviors and may be used for individuals within a team or for the team as a whole. It has six domains with several dimensions in each: communication; collaboration; roles and responsibility; collaborative patientor client-centered approach; team functioning; and conflict management and resolution. Learners are graded as: not observable; minimal; developing; competent; and mastery. The ICAR is quite complex and ideally should be used on multiple occasions with repeated observations.


  Interprofessional OSCE (iOSCE) (Simmons et al. 2011).


While stations may be developed locally, this tool includes behavioral indicators for teamwork that are generic. There are four items and a 0–3 grading: demonstrates knowledge and understanding of, and respect for, the roles of different members of the team; demonstrates ability to work well with different team members; has ensured all significant aspects of management have been addressed by a member of the team; does not duplicate information provided by a colleague. Simmons’ group’s paper (2011) describes the development of the iOSCE but there are, as yet, no data on its usage.


  Team OSCE (T-OSCE) (Symonds et al. 2003; Hall et al. 2011; Solomon et al. 2011).


Also known as the McMaster-Ottawa T-OSCE, this is a scenario-based assessment with scenario-specific content and collaborative practice competencies. It involves observation of students in teams. There are six core objectives each containing several items: communication; collaboration; roles and responsibilities; collaborative patient and family-centered approach; conflict and management resolution; and team functioning, each on a 9 point scale.


  iTOFT (interprofessional teamwork observation and back tool) (iTOFT Consortium 2015;Thistlethwaiteetal. 2016).


There are two versions of this tool. The basic version is intended for the observation of junior students and has 11 items in the two domains of shared decision making; and working in a team. The advanced form is for more senior students or novice health professionals and has 10 items in the four domains of shared decision making; working in a team; leadership; and patient safety. Both versions have the same grading: not applicable to this activity; inappropriate; appropriate; responsive.



어떻게 평가할 것인지에 대한 컨센서스

Points of consensus on how to assess.

? IPL 결과의 평가에는 최소한 (후보자가 완료 한) 역할 이해에 대한 기존 평가, 그리고 (모의 환자 또는 실제 환자 및 환자 관리 환경에서) interprofessional하게 상호 작용하는가에 대한 관찰 평가의 두 가지가 포함되어야 한다. 관찰 평가는 학습 결과 영역의 직접 평가를 포함하거나 특별히 고안된 도구를 활용할 수 있습니다

(팀 내에서 상호 작용하는 개인에 대한 평가와는 대조적으로) 팀 단위의 성과 평가는 pre-registration 영역에서는 문제가 있으며, (지원되기 전에) 추가 연구와 개발이 필요합니다.

? 학습자의 성찰 일지를 활용하여 interprofessionalism과 관련된 정서적 학습을 평가하는 기술은 더 많은 연구를 할 가치가 있으며, promising하다.

? 학습자가 배치 된 실무자 팀의 협업 실무 효율성에 대한 비판적인 글쓰기의 사용은 pre-registration 프로그램의 마지막에 사용하는 총괄 평가뿐만 아니라 IPL의 통합consolidation을 제공 할 가능성이 있으며, 또한 추가 연구가 필요하다.

? 태도나 인지 된 자신감을 측정하기 위해 자기기입식 도구와 척도를 사용하는 것은 일반적으로 IPL 결과에 대한 포괄적 평가의 요소로 추천되지는 않지만 이러한 도구 중 일부는 포트폴리오 평가 프로세스의 일부로 자리 잡을 수 있습니다.


Assessment of IPL outcomes should, as a minimum, include candidate-completed conventional assessment of role understanding; and observational assessment of individuals interacting interprofessionally, either in simulated or real patient and client care settings. The observational assessment may involve direct rating of learning outcome areas or utilize specifically designed tools

The assessment of the performance of teams (as opposed to individuals interacting in teams) remains problematic in the pre-registration domain and requires further research and development before it can be supported

Techniques to assess affective learning related to interprofessionalism in the reflective journals of learners have promise and warrant further investigation

The use of critical writing on the collaborative practice effectiveness of practitioner teams into which learners have been placed has the potential to provide consolidation of IPL, as well as summative assessment of understanding, toward the end of pre-registration programs, and also warrants further evaluation

The use of learner-completed tools and scales to measure attitude or perceived confidence is not generally recommended as an element of the summative assessment of IPL outcomes, though some such tools may have a place as part of a portfolio assessment process.


학습을 증진하기 위한 피드백

Feedback to enhance student learning


피드백은 위에서 설명한 형성 평가의 개념과 긴밀하게 일치하는 평가 프로세스의 필수적인 부분입니다. 피드백은 현재 재 개념화를 겪고 있으며 동기 부여에 필수적이라고 여겨지고 있습니다. 이상적인 피드백은 학습자 입장에서의 '수동적 활동'으로 여겨져서는 안되는데, 그 이유는 "학생에게 제공되는 정보는 이후의 과제 수행에 영향을 미치는 방향으로 사용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학습자는 후속 성과를 적절하게 변경하기 위해 피드백을 반영하고 적극적으로 동화 작용을하는 에이전트(주체) 역할을 해야합니다. 이는 IPL에 필수적인 요소로 간주되는데, 왜냐하면 IPL에서는 개인의 통찰력과 반성하는 능력이 그 자체로 중요한 학습 성과이기 때문이다. 이 개념에서 피드백은 양방향 과정이며 학습자는 피드백이 주어질 때까지 기다리기보다는 피드백을 찾는 것이 좋습니다. 많은 경우, 형성 평가 후 피드백을받습니다. 그러나 피드백은 가르침 전반에 걸쳐서 발생하는데, 비공식적으로 교실에서 이해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일어나기도 하고, 임상실습에서 경험이 많은 의사가 어떻게 학생이 더 역량이나 능력을 발전시킬 수 있을지를 보여주기 위해서 opportunistic하게 발생하기도 한다.

Feedback is an integral part of the assessment process that aligns closely with the concept of formative assessment described above. Feedback is currently undergoing a reconceptualization and is seen as vital for motivation and used al. impact when appropriately (van de Ridder et 2015). Optimal feedback should no longer be seen as a passive activity on the part of the learner, since “information provided to students is used to influence their subsequent task performance” (Molloy & Boud 2013, p. 19). Thus, learners need to adopt an agentic role, reflecting on and actively assimilating feedback in order to make appropriate changes in their subsequent performance. This is seen as integral to IPL, where personal insight and the ability to reflect are critical learning outcomes in their own right. In this conception, feedback is a two-way process and learners are encouraged to seek out feedback rather than wait for it to be given to them. In many instances, feedback is received following formative assessments; however, feedback takes place throughout teaching, both informally in a classroom when checking for understanding and opportunistically in clinical practice, where experienced practitioners may indicate how a student can progress their competence or capability.


임상 환경에서 학생들은 종종 피드백을 얻기를 주저하기도 하고, 바쁜 임상환경에서 누구에게 접근해야하는지 확신하지 못할 수 있습니다. 피드백에 대한 요청이 거부되면 학습자는 동기가 저하되고, 미래에 의견을 구할 가능성이 줄어들 수 있습니다. 근무환경의 압력으로 인해 비공식적인 피드백 프로세스는 거의 발생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따라서 학생과 임상의에게보다 체계적인 피드백 프로세스를 제공하기 위해 WBA에서는 보다 공식적인 시스템이 시행되고 있습니다 (예 : Norcini et al. 2003). 그러나 이것은 여전히 ​​'선의'에 달려 있기에 보호 된 시간이 필요하다. 새로 개발 된 접근법은 다중 소스 피드백을 사용하여 임상 설정에서 환자, 고객 및 기타 전문가의 견해를 수집하는 것입니다 (Thompson 외 2016).

In clinical settings, students are frequently reluctant to solicit feedback and may not be sure whom to approach in a busy workplace. If a request for feedback is denied, learners may be demotivated and less likely to solicit comments in the future. Informal feedback processes may be rare due to workforce pressures. More formal systems of WBA are therefore being put into place to give students and clinicians a more structured feedback process (for example, the mini-CEX in medicine – Norcini et al. 2003) but this is still largely contingent on goodwill and there is a need for protected time. A newly developed approach is to use multisource feedback, collecting the views of patients, clients, and other professionals in clinical settings (Thompson et al. 2016).


피드백 제공에 대한 포인트 합의

Points of consensus on feedback.

? IPL 결과 달성에 대한 학습자의 정확한 피드백을 적시에 제공하는 것은 보건 전문 교육 프로그램의 중요한 구성 요소입니다

? IPL 동안의 피드백은 [학습자의 행동을 향상시킬 수 있는 근거를 적극적으로 찾음으로써 학습자의 선택을 강조하는] 능동적 프로세스가 되어야 한다.

The provision of accurate, timely, feedback to learners on their progress toward achievement of IPL outcomes is a critical component of health professional education programs

Feedback during IPL should be seen as an active process that emphasizes the agency of the learner as an active seeker of feedback on the basis of which they can improve their performance.


Gaps requiring further research and scholarship


Faculty development for the assessment of IPL outcomes


Understanding the broader impact of assessment in IPE


The connection between assessment of IPL and patientcentered care


Identification of the minimum required suite of IPL assessments


Optimal feedback strategies for IPL



====아래 찾아야 함====

Mann K, Gordon G, MacLeod A. 2009. Reflection and reflective practice in health professions education: a systematic review. Adv Health Sci Educ Theory Pract. 14:595–621.


Oates M, Davidson M. 2014. A critical appraisal of instruments to measure outcomes of interprofessional education. Med Educ. 49:386–398.


Thompson BM, Gonzalo JD, Levene RE. 2016. The power of the written word: team assessment of behaviour. Med Educ 50:702–708.


van de Ridder JMM, McGaghie WC, Stokking KM, ten Cate OTJ. 2015. Variables that affect the process and outcome of feedback, relevant for medical training: a meta-review. Med Educ. 49:658–673.







 2017 Apr;39(4):347-359. doi: 10.1080/0142159X.2017.1270441. Epub 2016 Dec 26.

International consensus statement on the assessment of interprofessionallearning outcomes.

Author information

1
a School of Medicine and Health Institute for the Development of Education and Scholarship (Health IDEAS), Griffith University , Gold Coast , Australia.
2
b School of Communication, University of Technology , Sydney , Australia.
3
c Department of Medical Education , The University of Leicester , Leicester , UK.
4
d Department of Medical and Health Sciences , Linköping University , Linköping , Sweden.
5
e College of Pharmacy, University of Manitoba , Manitoba , Canada.
6
f School of Human Health and Social Sciences, Central Queensland University , Rockhampton , Australia.
7
g Centre for Medical Education (CenMED), National University of Singapore , Singapore , Singapore.

Abstract

Regulatory frameworks around the world mandate that health and social care professional education programs graduate practitioners who have the competence and capability to practice effectively in interprofessionalcollaborative teams. Academic institutions are responding by offering interprofessional education (IPE); however, there is as yet no consensus regarding optimal strategies for the assessment of interprofessionallearning (IPL). The Program Committee for the 17th Ottawa Conference in Perth, Australia in March, 2016, invited IPE champions to debate and discuss the current status of the assessment of IPL. A draft statementfrom this workshop was further discussed at the global All Together Better Health VIII conference in Oxford, UK in September, 2016. The outcomes of these deliberations and a final round of electronic consultation informed the work of a core group of international IPE leaders to develop this document. The consensus statement we present here is the result of the synthesized views of experts and global colleagues. It outlines the challenges and difficulties but endorses a set of desired learning outcome categories and methods of assessment that can be adapted to individual contexts and resources. The points of consensus focus on pre-qualification (pre-licensure) health professional students but may be transferable into post-qualification arenas.

PMID:
 
28024436
 
DOI:
 
10.1080/0142159X.2017.1270441


전문직정체성형성: TIME을 통한 종단 프레임워크 형성(Acad Med, 2015)

Professional Identity Formation: Creating a Longitudinal Framework Through TIME (Transformation in Medical Education)

Mark D. Holden, MD, Era Buck, PhD, John Luk, MD, Frank Ambriz, MPAS, PA-C, Eugene V. Boisaubin, MD, Mark A. Clark, PhD, Angela P. Mihalic, MD, John Z. Sadler, MD, Kenneth J. Sapire, MD, Jeffrey P. Spike, PhD, Alan Vince, PhD, and John L. Dalrymple, MD





Cooke와 동료 1은 "학생들은 일반적으로 '의학계의 토대가되는 가치'와 그러한 가치가 교육 과정의 각 단계에 어떠한 의미를 가지는지'에 대한 피상적인 이해만을 가지고 의과 대학에 진학합니다."

Cooke and colleagues1 noted, “Students typically enter medical school with only a superficial understanding of the values underpinning the medical profession and how these values inform every step of the educational process.”


많은 학자들이 의학 교육에서 PIF에 의도적 인 초점을 두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4) Sklar6은 "의료의 상품화와 의료환경의 악화"로 인한 PIF에 대한 도전에 대해 우려를 표명했다. 이제 의료 서비스는 시장에서 사고 팔리는 제품이 되었다.

an increasing number of authors have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an intentional focus on PIF in medical education.4,5 Sklar6 expressed concern about the challenges to PIF that result from “the commodification of health care and the deterioration of the health care environment,” in which medical services become products bought and sold in the health care marketplace.


Texas University System (UTS)은 의대 졸업에서부터 대학 입학까지 학부 의학 교육 (UME)을 재구성, 향상 및 단축하기 위해 TIME (Transformation in Medical Education ) 이니셔티브를 수립했습니다. TIME은 역량 기반 교육을 사용하고 인문학 및 사회 과학의 비 전통적 주제를 통합하는 방식으로 운영되며, PIF를 강조합니다.

The University of Texas System (UTS) established the Transformation in Medical Education (TIME) initiative to reconfigure, enhance, and shorten undergraduate medical education (UME) from college matriculation through medical school graduation. TIME uses competency-based education, incorporates nontraditional topics from the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 and emphasizes PIF.


배경

Background


개인의 정체성 개발에 대한 많은 연구는 Erikson의 정체성 이론과 Marcia의 정체성 상태 패러다임이 사회 발전 이론 및 사회적 학습 이론에 의해 확대 된 데서 비롯된다. Wilson 등 11)은 직업적 정체성을 "개인적 가치, 도덕, 특성을 직업의 규범과 통합하는 것" 이라고 했다. Kegan의 건설적 - 발달 이론은 여러 분야에서 정체성 개발에 적용되었습니다.

Much of the work on personal identity development derives from Erikson’s7 identity theory and Marcia’s8 identity status paradigm expanded by social development theory9 and social learning theory.10 Wilson et al11 described professional identity as “the integration of personal values, morals, and attributes with the norms of the profession.” Kegan’s constructive- developmental theory12 has been applied to identity development in several professions.


보건 전문직 내의 전문적 정체성 개발에 대한 고려 16-18은 전문직정체성이란 "조립" 되고 "해체"되며, 사회적으로 정의되고 사회적으로 영향을 받으며, 개인의 자아개념 및 한 개인의 여러가지 정체성 개념과 얽혀있는 직업적 정체성의 역동적인 본질을 인정한다.

Consideration of professional identity development within the health professions16–18 acknowledges the dynamic nature of professional identities that are “assembled” and “disassembled,” socially defined and influenced, and intertwined with one’s self-concept and one’s multiple personal identities.


의학에서의 PIF 문헌은 경험적 학습, 조기 임상 경험, 역할 모델, 담화, 사회화 및 관계의 중요성을 강조한다. 25-28 전문성 개발에 대한 학생들의 수준은 PI F, 29에 영향을 미칠 수있다. 문헌들은 정체성 개발에서 자기 성찰의 중요성을 더욱 강조한다 .31-35

PIF literature in medicine highlights the importance of experiential learning, early clinical experiences, role models, discourse, socialization, and relationships.25–28 Students’ level of developing expertise may also impact PI F, 29 as reflected in their understanding and approach to professional dilemmas.30 The literature further underscores the importance of self-reflection in identity development.31–35



프레임워크 개발

Framework Development


2012 년 TIME 운영위원회 (TIME Steering Committee)는 PIF를 정의하고 주요 측면을 설명하며 홍보 및 평가 전략을 파악할 수있는 특별 전담반을 구성했습니다.

In 2012, the TIME Steering Committee established a task force to define PIF, explicate its key aspects, and identify strategies for its promotion and assessment.


태스크 포스의 업무에는 전문성과 PIF의 구별이 필요했습니다. PIF를 정의하는 과정과 정의 자체가 태스크 포스의 그룹 형성을 촉진하고 언어와 PIF에 대한 이해를 일치 시켰습니다.

Clarification of the distinction between professionalism and PIF was essential to the task force’s work. Both the process of defining PIF and the definition itself facilitated the task force’s group formation and aligned its language and understanding of PIF:


전문직 정체성 형성은 [유능하고 인본주의적인 의사의 지식, 기술, 가치 및 행동]을 [자신의 고유 한 정체성과 핵심 가치]와 통합하는 변혁적 여정입니다. 이 지속적인 프로세스는 멘토십, 자기 반성 및 의료 직업의 모범 사례, 전통 및 윤리를 확인하는 경험을 통해 개인적 및 직업적 성장을 촉진합니다. 모든 의대생의 교육은 PIF.38에 기초합니다.

Professional Identity Formation is the transformative journey through which one integrates the knowledge, skills, values, and behaviors of a competent, humanistic physician with one’s own unique identity and core values. This continuous process fosters personal and professional growth through mentorship, self-reflection, and experiences that affirm the best practices, traditions, and ethics of the medical profession. The education of all medical students is founded on PIF.38



이러한 영역과 하위 영역의 (대학 입학에서 의대 졸업까지) 장기 적용을 용이하게하기 위해 PIF 특별팀은 소아과 이정표 프로젝트 (Pediatrics Milestone Project)에서 세 가지 개발 단계를 채택했다.

  • Phase 1 (Transition)은 학생들의 호기심과 수동 관찰이 초기의 직업적 정체성을 알려주는 PIF의 도입을 나타냅니다. 일반적으로 학부생 인 1 단계의 학생들은 의학에 관심을 나타내지만 아직 전문자로서 현장에 engage하지 않습니다.

  • 2 단계 (Early Developing Professional Identity)는 의과 대학 교육 및 조기 임상 경험에 종사하는 학생의 성숙해져가는 직업적 정체성을 설명합니다. 이 학생들은 환자 치료의 전달과 전문의라는 개념을 높이 평가하지만 아직 일차적 책임을지지하지 않습니다. 서기 직전에 의대생은이 단계를 대표합니다.

  • 3 단계 (전문직 정체성 개발)는 책임감과 서비스 감각을 보여주는 책임있는 의료 서비스 제공자라는 무게과 엄격함을 이해하는 학생들을 묘사합니다. 달성 단계 3은 의과대학 졸업생에 대한 적절한 목표 일 수 있습니다.

To facilitate longitudinal application (from college matriculation through medical school graduation) of these domains and subdomains, the PIF task force adapted three developmental stages from the Pediatrics Milestone Project.41

  • Phase 1 (Transition) represents the introduction of PIF, in which students’ curiosity and passive observations inform their nascent professional identity. Students in Phase 1, typically undergraduates, exhibit an interest in medicine but are not yet engaged with the field as professionals

  • Phase 2 (Early Developing Professional Identity) describes the maturing professional identity of students engaged in medical school education and early clinical experiences. These students appreciate the delivery of patient care and the concept of being professional but have yet to assume primary responsibility. Medical students early in their clerkship rotations typify this phase. 

  • Phase 3 (Developed Professional Identity) describes students who understand the gravity and rigor of being responsible health care providers demonstrating a sense of duty and service. Attaining Phase 3 may be an appropriate goal for graduating medical students.



PIF Framework


구조

Structure


The PIF task force constructed a framework that tangibly formats the 6 domains and 30 subdomains (Table 1) across the three developmental phases. 


For an example of a subdomain in the PIF framework, see Chart 1.





활동 제안

Suggested activities


고교생을 대상으로 한 Leming의 연구에 따르면 윤리적 추론과 자기 성찰적 구성 요소가있는 지역 사회 봉사는 지역 사회 봉사 단독보다 학생의 정체성 형성에 더 큰 영향을 미친다는 것이 밝혀졌다.

Leming’s45 study of high school students revealed that community service with ethical reasoning and self- reflection components had a greater effect on students’ identity formation than community service alone.


PIF 프레임 워크에서 다양한 상황과 역할에 대한 자원 봉사는 세 단계로 이루어져 있으며 모든 영역을 포괄합니다.

In the PIF framework, volunteering in different contexts and roles spans all three phases and crosses all domains:



  • 예를 들어, 1 단계 동안 학생들은 지역 사회 봉사 센터에서 자원 봉사 할 수 있으므로 서비스 지향 태도, 공감대 표시 습관 및 약속을 존중하는 책임을 증진합니다.

  • 2 단계의 학생들은 학생 주도의 무료 진료소에서 자원 봉사 활동을 펼치면 임상 적 역량이 증가함에 따라 더 큰 책임감을 갖고 서비스 방향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습니다.

  • 3 단계의 학생은 리더십의 개인적 특성을 개발하는 데 도움이 되는 학생 주도의 무료 진료소의 책임자가 될 수 있습니다. 학생들은 이러한 자원 봉사 활동, 관련 반사 에세이, 포트폴리오의 형성 피드백을 종적 발달을 입증하는 교육 전략으로 수집 할 수 있습니다 .46-48

  • For example, during Phase 1, students could volunteer in a community service center, thus promoting the attitude of service orientation, the habit of displaying empathy, and the responsibility of honoring commitments. 

  • For students in Phase 2, volunteering in a student-led free clinic could further enhance service orientation with greater levels of responsibility arising from increased clinical competence. 

  • A student in Phase 3 might become director of a student-led free clinic, which would help develop the personal characteristic of leadership. Students could compile these volunteering activities, related reflective essays, and formative feedback in portfolios as an educational strategy to demonstrate longitudinal development.46–48



프레임워크 내에서 PIF평가

Assessment of PIF Within the Framework


평가의 세 가지 중요한 목적은

(1) 학습자에게 피드백 제공,

(2) PIF를 홍보하기위한 교과 과정 및 과외 전략 평가 및

(3) 이론적 발전


Three important purposes for assessments are 

(1) providing feedback to learners, 

(2) evaluating curricular and extracurricular strategies to promote PIF, and 

(3) advancing theoretical development.


Cooke 등은 PIF 평가를위한 세 가지 일반적인 전략을 권고했다 : 임상 평가, 개발 벤치 마크 및 학습 환경 평가의 일부인 관찰.

Cooke et al1 recommended three general strategies for PIF assessment: 

  • observations as part of clinical assessments, 

  • developmental benchmarks, and 

  • assessment of learning environments.


Jarvis-Selinger 등 21)은 성취 요소에 대한 아이디어를 확대하여 역량 기반 평가와 서로 다르면서 그것을 보완하는 PIF 평가를 실시하였으며, PIF를 doing이 아니라 being의 한 가지 방법으로 프레이밍 하였다.

Jarvis-Selinger et al21 expanded the idea of aspirational elements and highlighted assessment of PIF as different and complementary to competency-based assessment, framing PIF as a way of being rather than a way of doing.


Hafferty53은이 구조를 내면화 된 사회화라고 부르며 전문직업성 평가에서 관찰 가능한 행동에 주로 초점을 맞추는 것과 대조했다. 전문직업성과 PIF의 관계는 양방향적이며, 각각 다른 것에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전문직업적 행동의 수행은 PIF를 육성시킬 수있다.

Hafferty53 referred to this construct as internalized socialization and contrasted it with the predominant focus on observable behavior in assessments of professionalism. The relationship between professionalism and PIF is bidirectional, each influencing the other.54 Thus, performance of professional behaviors may foster PIF.


PIF는 개인적 특성, 경험 및 사회 문화적 요소에 영향을받는 복잡하고 비선형적이고 발달 과정이기 때문에 평가 전략은 복잡해야하며 복잡해야합니다 .55 단일 평가 활동으로 개인이나 그룹에 대한 명확한 정보를 제공 할 수는 없습니다. 여러 보완 및 중첩 평가 전략은 학습자에 대한 전반적인 평가 부담을 실질적으로 증가시키지 않으면 서 필요한 다원적 접근을 제공한다.

Because PIF is a complex, nonlinear, developmental process influenced by personal characteristics, experiences, and sociocultural factors, assessment strategies must be longitudinal and embrace complexity.55 No single assessment activity can provide definitiveinformation about an individual or a group. A strategy of multiple complementary and overlapping assessments provides the necessary pluralistic approach without adding substantially to the global assessment burden for learners.56


우리는 지식, 기술, 태도 및 신념을 문서화하는 것을 언급하면서 폭넓게 용어 평가를 사용하고 공식 및 비공식 평가를 모두 포함합니다. PIF의 비선형적 구성은 평가 프로세스를 통한 표준 수립에 적합하지 않습니다. 오히려 태스크 포스는 피드백을 제공하고, 교육 프로그램을 평가하며, 이론 개발을 안내하기 위해 혼합 된 방법을 사용하는 descriptive and formative 평가를 권장합니다.

We use the term assessment broadly, referring to documenting knowledge, skills, attitudes, and beliefs, and include both formal and informal assessments. The nonlinear construct of PIF is not suitable for establishing standards through the assessment process. Rather, the task force recommends descriptive, formative assessments using mixed methods to provide feedback, evaluate curricular programs, and guide theoretical development.


흔한 평가 전략은 객관적 구조 임상 시험 (OSCE), 반사 작문, 다중 소스 피드백, 설문 조사 및 포트폴리오 등이 있으며, PIF를 평가하는 데 적용 할 수 있습니다. 게슈탈트에서 PIF에 대한 잘 발달 된 접근법이 없다면, PIF 요소의 평가는 그 전개explication을 이어나갈 것이다. 평가 전략과 관점을 결합하면보다 견고한 평가를 내릴 수 있습니다.

Common assessment strategies can be adapted to assess PIF, including objective structured clinical examinations (OSCE), reflective writing, multisource feedback, surveys, and portfolios. In the absence of well-developed approaches to PIF in the gestalt, assessment of PIF components may continue its explication. Combining assessment strategies and perspectives can yield more robust assessment.


비록 표준화된 MSF의 가치에 대한 문헌의 결과는 확실하지 않지만, 학습자가 여러 가지 관점을 자신의 자체 평가와 비교할 수있는 기회는 강력한 PIF 도구로 입증 될 수 있습니다. 설문 조사는 PIF의 자연사에 대한 귀중한 정보를 수집하고, 어떻게 PIF가 (개인의 특성이나 인구 통계 학적 변수와 같은) 개인의 다른 속성과 경험과 관련되고 그래서 어떻게 PIF가 발달되는지에 대한 정보를 제공합니다 .72-75 포트폴리오는 평가를위한 종단 데이터를 제공한다.

Although the literature is inconclusive about the value of using standard multisource feedback formats with medical trainees,64–71 the opportunity for learners to compare multiple perspectives with their own self-assessments may prove to be a powerful PIF tool. Surveys offer additional means to collect valuable information about the natural history of PIF and how it develops and relates to other attributes and experiences of the individual, such as personality traits or demographic variables.72–75 Portfolios offer longitudinal data for assessment, synthesized from multiple methods and perspectives.76,77


Other Applications of the PIF Framework



PIF 프레임워크의 함의

Implications of the PIF Framework


세 단계는 시간이 아니라 학생의 헌신과 책임의 깊이에 의해 정의됩니다. 학생들은 다양한 문화적, 개인적, 교육적, 경험적 배경 때문에 각 도메인 및 하위 도메인에서 다양한 진행 상황을 보여줄 수 있습니다.

The three phases are defined not by time, but by the depth of a student’s commitment and responsibility. Students might demonstrate variable progress in each domain and subdomain because of their diverse cultural, personal, education, and experiential backgrounds.


의사의 실제 활동은 지식, 기술 및 태도의 여러 조합의 통합을 요구합니다. 이는 여러 역량을 포함하는 EPA에 대한 Cate's81 설명에 반영되어 있습니다. 일부 교육 활동은 독립적 구성 요소가 아니기 때문에 PIF 프레임 워크의 여러 도메인과 하위 도메인에 대한 통합이 촉진되어야 한다.

Real-life activities of physicians require integration of multiple combinations of knowledge, skills, and attitudes, as reflected in ten Cate’s81 description of entrustable professional activities, which include multiple competencies. Some educational activities promote integration across multiple domains and subdomains of the PIF framework, as they are not independent components.


PIF 태스크 포스 팀이 UME를위한 프레임 워크를 개발했지만, 팀의 다양한 배경은 프레임 워크에 전문 개발에 대한 광범위한 관점을 제공했습니다.

Although the PIF task force developed this framework for UME, the diverse background of the team provided the framework with a broad perspective on professional development.



미래 의사의 훈련은 의학 교육, 의료 실습 및 건강 관리 전달을 구성하는 과학적, 문화적, 인본주의 적, 사회적 차원의 합류점에서 발견되는 복잡한 동력에 더 큰 관심을 요구합니다. PIF는 전문적인 가치와 의사 감각의 본질을 심어주는 조형 발전의 연속체를 반영합니다. 동정심 있고 유능한 의사가되는 것은 [핵심 의학 지식, 기술 및 태도를 통합하는 것] 만큼이나 [개인의 전문적 정체성을 개발하고 이해하는 과정]과 관련이 있습니다.

The training of future physicians demands greater attention to the complex dynamics found in the confluence of the scientific, cultural, humanistic, and social dimensions that constitute medical education, medical practice, and health care delivery. PIF reflects a continuum of formative development that serves to instill the essence of professional values and a sense of physicianship.55,84,85 Becoming a compassionate and competent physician has as much to do with the process of developing and understanding one’s individual professional identity as with the integration of learned core medical knowledge, skills, and attitudes.86





 2015 Jun;90(6):761-7. doi: 10.1097/ACM.0000000000000719.

Professional identity formationcreating a longitudinal framework through TIME (Transformation in Medical Education).

Author information

1
M.D. Holden is vice chair, Undergraduate and Continuing Medical Education, and professor and director, General Internal Medicine, University of Texas Medical Branch, Galveston, Texas. E. Buck is senior medicaleducator, Office of Educational Development, University of Texas Medical Branch, Galveston, Texas. J. Luk is assistant professor of medicine and assistant dean for interprofessional integration, University of Texas Dell Medical School, Austin, and clinical associate professor of pediatrics and assistant dean for regional medicaleducation, University of Texas Medical Branch, Galveston, Texas. F. Ambriz is clinical assistant professor and chair, Physician Assistant Department, University of Texas Pan American, Edinburg, Texas. E.V. Boisaubin is distinguished teaching professor of medicine, University of Texas Medical School at Houston, Houston, Texas. M.A. Clark is visiting scholar, Lincoln Center for Applied Ethics, Arizona State University, Tempe, Arizona. A.P. Mihalic is associate dean for student affairs and professor of pediatrics, Department of Pediatrics, University of Texas Southwestern Medical Center, Dallas, Texas. J.Z. Sadler is professor of psychiatry and clinical sciences and Daniel W. Foster, MD Professor of Medical Ethics, University of Texas Southwestern Medical Center, Dallas, Texas. K.J. Sapire is professor of anesthesiology and perioperative medicine, University of Texas MD Anderson Cancer Center, Houston, Texas. J.P. Spike is professor, McGovern Center for Humanities and Ethics, University of Texas Medical School at Houston, Houston, Texas. A. Vince is medical anthropologist and director, University Health Professions Office, University of Texas at San Antonio, San Antonio, Texas. J.L. Dalrymple is assistant dean for clinical integration, and associate professor and division director of gynecologic oncology, Department of Obstetrics and Gynecology, University of Texas Dell Medical School, Austin, Texas.

Abstract

The University of Texas System established the Transformation in Medical Education (TIME) initiative to reconfigure and shorten medical education from college matriculation through medical school graduation. One of the key changes proposed as part of the TIME initiative was to begin emphasizing professional identityformation (PIF) at the premedical level. The TIME Steering Committee appointed an interdisciplinary task force to explore the fundamentals of PIF and to formulate strategies that would help students develop their professional identity as they transform into physicians. In this article, the authors describe the task force's process for defining PIF and developing a framework, which includes 10 key aspects, 6 domains, and 30 subdomains to characterize the complexity of physician identity. The task force mapped this framework onto three developmental phases of medical education typified by the undergraduate student, the clerkship-level medical student, and the graduating medical student. The task force provided strategies for the promotion and assessment of PIF for each subdomain at each of the three phases, in addition to references and resources. Assessments were suggested for student feedback, curriculum evaluation, and theoretical development. The authors emphasize the importance of longitudinal, formative assessment using a combination of existing assessment methods. Though not unique to the medical profession, PIF is critical to the practice of exemplary medicine and the well-being of patients and physicians.

PMID:
 
25853688
 
DOI:
 
10.1097/ACM.0000000000000719
[Indexed for MEDLINE]


의학전문직업성과 의학교육에서의 자기성찰(KMER, 2018)

Medical Professionalism and Self‐Reflection in Medical Education

전민영1, 유상호2, 차경희3

Min Young Chun1, Sang Ho Yoo2, Kyung Hee Cha3

1성신여자대학교 글로벌의과학과, 2한양대학교 의과대학 의료인문학교실, 3한양대학교 의과대학

1Department of Global Medical Science, Sungshin Women’s University; 2Department of Medical Humanities and Ethics, Hanyang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3Hanyang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Seoul, Korea




서 론


최근 의료에 대한 정부의 개입과 통제가 증가하고, 기업자본의 유입으로 인해 의료계 내부의 경쟁이 심화되면서 의사는 다양한 역학 관계 안에 갇히게 되었다. 오랫동안 견고하게 유지되어온 전문가로서의 사회적 위상이 국민들로부터 불신의 대상이 되기에 이르렀다. 이러한 시점에서 의사들과 의학교육 전문가들은 의학전문직업성(medical professionalism)의 의미에 대해 다시 생각해보지 않을수 없게 되었다. 특히 과거의 상징적인 의미와는 달리 현실적이고실용적인 관점에서 전문직업성을 이해하고, 의학교육에 어떻게 적용할지에 대한 절실한 고민이 필요하게 되었다. 지금까지 우리나라의과대학에서는 “의료윤리,” “의료와 사회,” “의사와 프로페셔널리즘” 등의 주제로 의학전문직업성 교육을 시행하고 있었으나 전문교수인력의 부족과 시간의 한계 등으로 인해 학생들에게 충분한교육기회를 제공하지 못하고 있다[1,2].


정보기술혁명과 상업주의와 같은 사회적 변화로 인해 의사-환자 관계의 기존 구조가 급격히 흔들리는 상황에 직면한 서구 의학계는 의학전문직업성의 개념과 위상에 대한 재정립을 통해 이를 극복하고자 하였다[3]. 1990년대 말 미국의사회-미국내과학회 재단(American College of Physicians-American Society of Internal Medicine Foundation), 미국내과위원회(American Board of Internal Medicine), 유럽내과연합(European Federation of Internal Medicine)은 의사들이 지켜야 할 일련의 원칙들이 포함된 ‘의사헌장(Physician Charter)’을 공동으로 발표하면서 의학전문직업성의 의미와 개념을 재정립하였다[4,5]. 특히 의사헌장에는 의료계와사회 간의 계약이 전문직업성의 기초이며, 의사에 대한 사회의 신뢰를 계약의 가장 중요한 요소로 명시하고 있다. 또한 환자 복지 최우선의 원칙, 환자 자율성의 원칙, 사회정의의 원칙을 전문직업성의 기본원칙으로 제시하고 있다[5].


한편 2000년대에 미국의 의료인문학자인 Swick [6]은 의학전문직업성에 대한 규범적 정의를 제시하였는데, 이 정의에 따르면 의사는 환자에 대한 관심과 배려를 바탕으로 자신의 이해관심보다는환자의 건강회복을 최우선으로 고려해야 함을 강조하고 있다. 또한“높은 윤리적 기준 준수,” “사회적 요구에 대한 대응,” “인본주의적 가치실현,” “본인과 동료들에 대한 책무성,” “수월성에 대한 지속적노력” 등을 전문직업성의 중요한 행동요소로 제시하고 있다[6].


우리나라에서는 Ahn 등[7]이 “한국의 의사상”을 통해 의사가전문직업인으로서 추구해야 할 가치와 역량으로 “환자 진료,” “소통과 협력,” “사회적 책무성,” “전문직업성,” “교육과 연구”라는 다섯가지 영역을 제시하였다. 이 중에서 전문직업성은 직무윤리에 기초한 전문적 판단의 자율성, 진료를 위한 적절한 태도, 진정성과 이타성의 덕목을 갖추는 것을 의미한다고 규정하고, 전문직업성을 개발하고 직종 주도의 자율규제와 자기관리에 힘쓸 것을 주장하고 있다[7].


그럼에도 의학전문직업성에 관한 대부분의 논의는 전문직업성의이념적 측면이나 이를 구성하는 핵심요소에 초점이 맞춰져 있다[8,9]. 이럴 경우 전문직업성은 이론적으로 인식되기 쉬우며 실제의료현장에서의 구체적 역할과는 거리가 있을 수밖에 없다. 따라서실제 의학교육에서 전문직업성의 개념이나 원칙을 적용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교수자 개인의 가치관이나 역량의 차이로 인해 체계적으로교육을 실행하거나 일정 수준 이상의 교육성과를 기대하기가 어려운 상황이다.


한편 의학전문직업성 함양을 위한 대표적인 수업전략으로 자기성찰(self-reflection)활동의 중요성이 최근 강조되고 있다. 학습 측면에서 성찰은 기존에 당연하게 받아들였던 가정과 전제에 대해문제를 제기함으로써 학습자 개인의 경험 재구성을 통해 새로운해결책 또는 새로운 지식습득으로 나아가는 과정을 가리킨다[10]. 실제로 다양한 교육 분야에서 성찰활동을 기반으로 한 수업이 운영되고 있다. 그러나 교육프로그램의 개발과 개편을 지원하는 근거가이론 지향적이며, 어떤 접근법이 실제로 효과적인지 명확하지 않다[11]. 그럼에도 학습자에게 스스로 문제를 제기하고 새롭고 현실적인 해결책을 탐색하게 하는 교육적 방법이 있다면 의사의 전문직업성 함양에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


본 논문에서는 먼저 비전문가적 행동을 보이는 의사의 전형적인사례를 통해 전문직업성에 위배되는 행위의 근거를 찾아봄으로써 의학전문직업성의 개념을  명료화하고 그 교육적 의미를 구체화하고자 한다. 비전문가적 행동의 사례로부터 얻은 교훈은 전문직업성개념을 명료화할 뿐 아니라 전문직업성 교육의 구체적 형태와 내용을 구성할 수 있는 관점을 제공한다. 이러한 접근은 의학교육자에게 전문직업인인 의사의 역할과 책임을 분명하게 제시하고 정체성 형성과정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개념과 판단기준을 제공할 것이다. 다음으로 의학전문직업성 교육의 전략으로 ‘성찰’의 교육적 의미를 제시하고 의학교육에 적용 가능한 방법을 제안하고자 한다. 성찰교육의개념과 접근전략의 사례를 분석함으로써 전문직업성 함양에 적합한성찰활동의 구체적인 적용방식과 그 의의를 찾을 수 있다. 마지막으로 현재 의학교육에서 적용하고 있는 성찰 관련 활동을 점검하고적절한 피드백과정을 제안하고자 한다. 종합하면 의학교육 핵심 주제로서 ‘의학전문직업성 교육의 방향’을 재조명하고 이를 위한 유용한 전략으로 ‘성찰을 기반으로 한 교육과 평가’를 소개함으로써 의학교육자가 전문직업성 함양을 위한 교육을 설계하고 실제 현장에적용할 수 있는 근거와 개념을 제공하고자 한다.


비전문가적 행동의 사례로 살펴보는 의학전문직업성의 개념


의사로서 비전문가적 행동을 보여주는 전형적인 사례에 내재된 전문직업성을 위반하는 행위의 근거를 탐색하는 과정을 통해 의학전문직업성의 개념과 교육적 의미를 찾아보고자 한다. 의사로서 자신(self), 환자, 사회에 대한 무관심에서 비롯된 대표적인 비전문가적행동사례의 유형은 다음과 같다.


  • 사례 1: 의원을 개원하고 있는 중년의 A원장은 우울증 치료를 받고 있는 미모의 B씨에게 성적으로 마음이 끌렸다. A원장은다른 환자들에 비해 진료시간을 길게 끌면서 필요 이상의 신체진찰을 시행하였다. B씨는 A원장의 행동이 수상했지만 권위있는 의사라는 평판 때문에 아무 말도 할 수 없었다. 어느 날A원장은 B씨에게 저녁식사를 제의했고, 그 자리에서 B씨에게호감을 표현하였다. B씨는 A원장에게 호감이 가지 않았지만자신의 치료가 중단되는 것이 두려워 A원장의 제의를 수락하게되었다.

  • 사례 2: 20년째 지방에서 개인 의원을 운영하고 있는 C원장은보수교육을 받는 것이 귀찮아 평소 친분이 있는 후배에게 대리출석을 부탁하거나 출석체크만 하고 교육장을 빠져나왔다. 새롭게 시도되는 약물치료나 시술에 대해 문의하는 환자가 있으면 다른 병원에 가보라고 하고 돌려보내거나 지금까지 해왔던치료방법을 고수하였다. 이러한 태도에도 환자들은 별다른 문제 제기나 불평 없이 처방전을 받아갔다. 오랜 시간 치료해왔던 방식이었고 치료를 받거나 약을 처방받은 환자에게 별다른 이상이 없었다는 이유로 C원장은 진료를 계속해 나갔다.

  • 사례 3: 의사 D는 ○○○과를 개원하고 있다. 얼마 전 인근병원에 다녀간 환자가 메르스(Middle East respiratorysyndrome, 중동호흡기증후군) 확진 판정을 받은 이후 환자들이 병원에 오는 것을 꺼려하게 되어 그 여파로 D의 병원의환자도 많이 감소하였다. D는 병원 문을 닫는 것이 오히려병원경영에 유리하다는 생각을 갖게 되었다. 평소 수술로 인한체력 소모가 많다 보니 이러한 상황에 해외에 나가 휴가를 보내며 재충전하는 것이 좋겠다고 생각했다. D는 메르스 여파가지속되는 상황을 며칠 동안 지켜보다가 병원을 휴진하고 아내와 함께 필리핀으로 출국하였다. 필리핀 도착 다음 날 보건당국으로부터 D의 병원을 다녀간 환자가 뒤늦게 메르스 확진 판정을 받아 D가 격리 대상자로 분류되었다는 통보를 받았다.


위의 3가지 사례는 의학전문직업성에 위배되는 대표적 유형으로서 자신과 타인에 대한 의사의 무책임한 태도가 공통적으로 나타나고 있다. 


첫 번째 사례에서 의사는 자신의 전문적 재량권을 이용하여환자를 성적으로 응대함으로써 의사-환자 간 신뢰관계를 훼손시켰다. 이러한 행동은 환자의 심리적․ 신체적 상황에 대한 고려 없이의사 본인의 욕구만을 충족하기 위한 이기적인 행동으로서 환자의인격에 대한 존중의 결여에서 비롯된다. 의사-환자 관계를 계약관계로 설정하는 모델에서도 선의와 신뢰는 관계형성의 기본조건이다.환자는 의사에 대한 신뢰를 바탕으로 건강회복을 위해 자신의 신체에 대한 재량권을 의사에게 맡기게 된다. 그러나 환자에 대한 무관심과 의사-환자 관계에 대한 통찰이 수반되지 않는다면 의사는 자신의권력을 이용하여 환자를 쉽게 조정하게 된다.


두 번째 사례에서 의사는 자신의 전문역량 개발에 태만하고 주의사무를 다하지 않는 태도를 보이고 있다. 이와 같은 태도는 결과적으로 환자의 건강에 해악을 끼치고 의사 집단 전체에 대한 신뢰에도악영향을 미치게 된다. 의사의 직무가 생계수단을 넘어 자아실현의방법이라는 사실을 이해한다면 이와 같은 태도는 무책임할 뿐 아니라 본인의 삶의 발전에도 관심이 없음을 의미한다. 의사로서 본인의전문직업과 삶에 관심이 없다면 최신 의학지식과 기술의 습득에소홀해지기 쉽다. 또한 전문역량 개발에 소홀히 함으로써 진료표준을 위반하게 된다면 환자에 대한 기본적인 주의 사무를 다하지 않은 것이다.


세 번째 사례는 사회공동체의 의료 위기상황에 대해 의사로서책임을 인식하지 못하고 자신의 안위만을 위하는 모습을 보여주고있다. 이는 의사의 사회적 책무성에 대한 이해 부족과 사회공동체의운명에 대한 무책임에서 비롯된다. 공동체 구성원 모두는 의료전문직의 도움을 받을 수밖에 없기 때문에 의료는 사회의 공동선(common good)이며, 이런 공동선을 실현하는 의료전문직은 사회계약이라는 개념을 통해 사회적 책무성을 지게 된다. 사회적 맥락안에서 본인의 역할을 성찰하지 못하고, 공동체의 운명에 무관심하다면 결과적으로 본인의 사회적 위상과 지위를 스스로 추락시키는결과를 낳게 된다.


위의 세 가지 비전문가적 행동의 사례를 통해 의료전문직이 환자와 사회로부터 신뢰를 받고 그 위상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 타인에 대한 윤리적 책임, 

  • 자신의 전문역량 개발에 대한 책임, 그리고 

  • 사회공동체에 대한 책임을 올바르게 인식하는 성찰적 자세가 필요하다 

...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다. 


의학전문직업성은 이와 같이 타인, 자신,사회공동체에 대한 의료전문직의 역할과 책임 및 이를 수행하기위해 반드시 요구되는 성찰적 자세라고 정의할 수 있다. 교육심리학자인 Gardner [12]에 의하면, 자신과 타인에 대한 책임을 균형 있게 정렬시키기 위해서는 끊임없는 성찰과 타인을 고려하는 관점이 필요하다. 그러므로 현직에 종사하는 의사뿐 아니라 장차 의료전문가가될 의과대학생에게 의사의 역할과 책임에 대해 진지하게 고민하고 성찰해볼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이런 성찰의 기회는 의사와 의과대학생으로 하여금 의료전문직을 선택하게 된 이유를 깨닫게 하고, 전문직 삶의 발전방향을 스스로 찾아갈수 있도록 유도하여 일(학습)과 삶의 균형을 얻는 데 기여할 뿐아니라 의료전문직의 적절한 역할과 위상이 사회와의 관계를 통해형성된다는 사실을 이해할 수 있는 관점을 제공할 것이다.


성찰의 교육적 의미


  • 교육철학자인 Dewey [13]는 성찰을 “어떤 앎이나 추정된 형태의 지식에 대한 능동적이고, 지속적이고, 주의 깊은 고려”라고 정의하였다. 이후 다양한 이론가들이 이 정의를 기초로 하여 새로운성찰의 정의와 모형을 제시하였다[14]. 

  • 예를 들어, Boud 등[15]은“개인이 새로운 이해와 인식을 갖기 위해 자신의 경험을 탐색하는 지적이고 정서적인 활동을 총칭하는 용어”라고 정의하였다. 이와같이 성찰이란 개인이 이미 갖고 있는 앎이나 경험에 대해 의도적이고 의식적으로 시행하는 탐색과정으로 인지적 활동뿐 아니라 정서적 활동까지 아우르는 총체적인 정신적 활동을 가리킨다. 

  • 한편Schön [16]은 전문가가 직무와 관련된 복잡한 문제를 해결하고 그과정에서 학습하는 재경험의 도구로 성찰을 소개하였고 ‘성찰적 실천가’의 개념을 제안하였다. 또한 성찰적 학습은 학습자 스스로 자신의 행동과 경험에 대해 이해하고 이런 행동이 자신과 타인에게미치는 영향을 탐구하며 이런 행동의 의미를 사회적 맥락 안에서발견함으로써 자신의 행동에 대해 비판적인 관점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해준다고 설명하였다.


Schön [16]에 의하면, 전문가는 어떤 문제에 직면했을 때 상황에 따라 전체적 흐름을 이해하고 분석하여 최상의 해결책을 찾은 후 이를 자율적으로 실천하는 자기성찰적 사고의 특성을 지니고 있으며, 경험을 통해 학습하고 복잡한 문제의 윤곽을 잡기 위해 자기성찰적 사고를 유용한 도구로 활용한다. 이와 같이 성찰적 사고와실천은 전문가적 소양의 바탕이 되며, 전문적 영역의 어려운 문제를해결할 수 있는 효과적인 도구가 될 수 있다.


성인학습은 경험을 통해 이루어지며, 경험학습의 핵심은 성찰과정에 있다[17]. 성찰은 학습의 깊이와 그 관련성을 향상시키고[18],학습자 자신에 대해 통찰하도록 유도하며[19], 학습을 통한 변화의잠재력을 배가시키고, 학습자가 성찰적 실천가로 전환될 수 있도록 도와준다[20,21]. 그러므로 성찰적 기회를 제공하는 학습활동은 좋은 수업의 전형일 뿐 아니라 교육적 효과가 높다. 학습은 학습자가스스로 배운 것을 다시 되돌아보는 기회를 가질 때 강하게 일어난다. 그러므로 배운 것을 요약하여 간단히 보고하고, 관련된 주요 이론들과 비교하여 자신의 학습활동이 적절한지 평가하는 기회가 필요하다[22].


성찰과정은 ‘행위 중 성찰(reflection–in-action)’과 ‘행위에 대한성찰(reflection-on-action)‘로 나누어 설명할 수 있다[16]. 

  • 행위 중성찰은 암묵적으로 습득한 ‘행위 중 앎(knowing-in-action)’을 바탕으로 직관적으로 행위를 수행하다가 원하지 않은 결과가 발생할 경우 행위 중 앎의 재구성을 통해 대처하는 성찰과정을 가리킨다. 

  • 반면에 행위에 대한 성찰은 행위가 끝난 상황에서 문제점을 비판적으로 검토하여 해결방안을 모색하는 성찰과정이다. 

행위 이후 성찰과정에서 얻게 된 인식은 다음 행위에 반영되어 행위 중 성찰과정을 강화하는 데 기여하기 때문에 두 과정은 유기적인 관계를 이루고있다. 이와 같이 문제를 해결할 때의 성찰적 사고(행위 중 성찰)와문제를 해결하고 난 후의 성찰적 사고(행위에 대한 성찰) 및 이둘의 연계가 전문가 교육에 있어서 매우 중요하며, 이와 같은 연계과정을 통해 실천적 문제 해결을 위한 새로운 지식과 통찰을 얻을수 있다[23].


의학전문직업성 교육과 성찰


성찰과 성찰적 활동은 의사의 전문직업성을 함양하는 데 효과적이다[24]. 

  • 특히 자신의 경험을 통해 학습하는 것이 실무역량을 개발하고 유지하는 데 매우 효과적이라는 것은 널리 알려져 있다[15,16,18,25]. 

  • 성찰적 활동은 직업적 환경과 문화적 맥락하에서개인이 갖추어야 할 신념, 태도 및 가치에 대한 이해를 증진하고 이를 통합적으로 수용할 수 있는 능력을 함양함으로써 전문가 정체성 발달에 기여한다[18,26]. 

  • 또한 성찰적 활동은 기존의 지식을 습득하고 이를 새로운 지식과 연계하는 데 기여함으로써 전문적 지식의 통합적 기반을 구축한다. 

  • 아울러 성찰역량은 자신을 모니터링하고문제점을 인식하게 하므로 자기규제와 관리라는 측면에서 직업전문성 함양에 중요한 토대가 된다[19].


의과대학생을 대상으로 한 의학전문직업성 교육은 전문직업성을함양하기 위한 공식적인 교과과정뿐 아니라 교수와 선배 의사로부터 조언을 듣거나 의과대학과 병원의 문화를 통해 내면화하는 암묵적인교육과정을 모두 포함한다[27]. 전문직업성 교육은 의사로서의 삶이내면화되어 있는 교수나 선배 의사가 맡는 것이 가장 적절하다.이들은 학생들에 대한 역할모델이 될 수 있다는 점에서도 유용성이크다. 의학전문직업성을 교육할 뿐 아니라 전문직 역할모델이 된다는 것은 쉬운 일은 아니지만 교수와 선배 의사 또한 교수자로서의경험을 통해 전문직 정체성을 강화할 수 있는 기회를 얻을 수 있다.


한 예로 학생을 지도하는 과정이 의과대학 임상교수들의 전문직업성 강화에 매우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28].특히 교육을 설계하고 실시하고 종료하는 과정 전반에서 임상교수들이 시행한 지속적인 성찰이 전문직업성 강화에 긍정적인 영향을미쳤음이 확인되었다[28,29]. 이처럼 교육과정 전반에서 실시할 수있는 성찰이 교육자의 전문직업성을 발전시키므로 성찰적 활동은교육자의 전문직업성 개발을 위해서도 강조되어야 한다.


한편 의과대학생의 경우 학년이 올라갈수록 성찰적 활동이 감소하며, 현실에서 쉽게 접하는 환경에서는 성찰적 사고가 강화되지않는다고 알려져 있다[30]. 특히 시간의 부족과 압박이 성찰을 방해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임상의사의 경우 임상 경력이 증가할수록 문제해결을 위한 성찰적 활동이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30].


그러나 성찰역량은 전문직업성 발달과 밀접한 관련이 있으며,특정 과정을 통해 촉진할 수 있다[31,32]. 의과대학생의 성찰과정에 대한 장기간의 한 연구에 의하면, 학생들의 성찰역량을 4단계—

  • (1)비판적 성찰

  • (2) 감정적 성찰, 

  • (3) 객관적 보고, 

  • (4) 빈약한 보고 또는 보고의 회피

—로 구분한 후 이 중에서 비판적 성찰역량을 가진 학생이 환자 진료에서 보다 전문적인 선택을 하고 의료전문직에 어울리는 정체성과 개인적 목표를 갖춘 것으로 보고하였다[33].


의과대학 시절의 부적절한 행동이 의사가 된 후에도 전문직업성에 위배되는 행동이나 법적 제재가 필요한 행동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다는 연구결과를 감안한다면 전문직업성 교육과 성찰과정은 의과대학에 입학하는 순간부터 이루어져야 하며, 전문직업성은반복적인 경험의 축적과 자율적인 행동수정을 통해 개발되어야 한다[34,35].


따라서 의사의 전문직업성 교육은 원칙이나 규범을 논하는 도덕교육과는 달리 자기반성적 사고와 실천을 기반으로 전문가다운 사고와 행동을 자율적으로 선택하고 때로는 동료들에 의해 교정되어합의를 도출해내는 방향으로 진행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의학교육의 전체적인 구조 차원에서 성찰과정을 자연스럽게 경험하는방향으로 재편되어야 한다. 물론 의료전문직 양성과정에서 의학 지식과 기술에 대한 교육만으로도 시간이 부족한 것은 사실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의료는 변화하는 사회와의 맥락 속에서 그 존재 가치와 의의를 갖기 때문에 의료전문직이 환자와 사회공동체와 신뢰관계를 유지하면서 자기성장을 추구하기 위해서는 반성적 사고에 기반을둔 자아성찰 교육과 훈련은 반드시 필요하다. 최근 다른 전문직영역에서도 전문가 육성을 위한 과정으로 성찰이 다양한 방식으로시도되고 있다[16,28,29].


의학전문직업성 교육을 위한 성찰 교육


성찰의 교육적 모형은 ‘반복적 차원(iterative dimension)’과 ‘수직적 차원(vertical dimension)’의 두 가지 차원으로 접근해 볼 수 있다[36]. 

  • 반복적 차원’은 성찰을 하나의 ‘과정’으로 이해하는 모형으로서 성찰의 과정이 새로운 이해와 인식을 가능하게 하고 이런 이해와인식을 통해 미래의 경험을 예전과 다르게 체험하고 대처하게 된다는 것이다. 그러므로 학습자로 하여금 기존의 경험을 새로운 관점에서 해석하고 성찰해볼 수 있는 기회를 ‘반복적으로’ 제공하는 것이 중요하다. 

  • ‘수직적 차원’은 성찰을 여러 ‘수준’으로 이해하는 모형으로서 성찰의 수준이 여러 단계임을 인식하고 학습자로 하여금 이런‘여러 단계의 성찰’을 모두 경험하게 해야 된다는 것이다. 성찰의수준이 피상적 수준의 자기이해에서부터 깊이 있는 분석과 통찰적인 성찰까지 다양하므로, 성찰교육은 통찰적인 성찰에까지 이를 수 있도록 체계적이며 지속적으로 시행되어야 한다. 

따라서 이 두 가지 차원을 성찰교육에 통합적으로 도입할 경우 다양한 수업과 평가전략을 개발할 수 있을 것이며, 반복적인 교육과 훈련을 통해 성찰역량을 강화할 수 있을 것이다.


국내․외 많은 교육전문가들은 의학전문직업성 교육에 있어 설명식 강의와 지필시험을 지양하도록 권고하고 있으며, 이들에 대한 대안으로 임상사례 활용 및 발표, 임상상황 시뮬레이션, 소그룹 토론,역할극, 의료윤리 집담회, 시청각자료 활용, 서사 의학(narrativemedicine), 포트폴리오, 예술 및 문학작품 활용 등의 경험학습에근거한 학생 참여 중심의 교육전략을 추천하고 있다[27,37,38]. 이와같이 경험학습을 통해 전문직업성 교육을 시행할 경우 의사로서의정체성을 확립하고 의료의 중요한 실천적 가치들을 확인하는데 용이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39].


성찰교육 전략은 개인 중심 전략과 개인 간 또는 그룹 중심 전략으로 나누어 볼 수 있다. 

  • 개인 중심 전략은 학생 단독으로 주관적입장에서 시행하고 교수자나 촉진자(facilitator)의 지도를 추후에받는 방식이라면, 

  • 인 간 또는 그룹 중심 전략은 교수자나 촉진자의실시간 지도 아래 타인과의 상호관계를 배경으로 한 간주관적 입장에서 성찰을 시행하고 실시간으로 지도를 받는 방식이다. 


물론 어떤 방식이든지 교수자나 감독자의 지도는 반드시 필요하다. 예를 들어,

  • 성찰적 글쓰기는 개인 중심 전략으로 볼 수 있으며, 

  • 소그룹 토론이나 멘토링은 개인 간 또는 그룹 중심 전략으로 볼 수 있을 것이다[14].


성찰수업에서 학습자의 성찰을 유도하고 독려하는 교수자나 촉진자의 역할은 매우 중요하다. 교수자를 교육하고 훈련하기 위한별도의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해야 하며, 이런 교육프로그램에는 교육철학, 교육이론, 전문직업성의 이론과 실천방법, 성찰 및 성찰수업에 대한 이론과 실천방법 등이 포함되어야 한다. 특히 성찰을 유도하는 방법을 이론적으로 이해해야할 뿐 아니라 경험 많은 교수자의지도 아래 성찰을 유도하고 적절하게 멘토링을 제공하는 방법을직접 훈련해 보아야 한다. 성찰수업에서 교수자가 활용할 수 있는성찰을 유도하는 질문은 다음과 같다[14].


<문제의 인식을 유도하는 질문>

○ 무슨 일이 (방금) 일어났는가?

○ .... 할 당시 무엇을 생각하고 있었는가?

○ .... 을 인식하였는가?

○ 그 상황에서 당신을 놀라게 한 것은 무엇인가?

○ 그 상황에서 당신은 어떤 느낌을 받았는가?


<문제나 상황에 대해 성찰을 유도하는 질문>

○ 지금 이것을 제대로 하고 있는가?

○ 다른 선택지가 있는가?

○ 이 상황에서 이것을 적용할 수 있는가?

○ 이것은 무엇을 의미하는가?

○ 이와 같이 느끼게 하는 것은 무엇인가?

○ 이와 같이 느끼게 될 경우 (예상되는) 결과는 무엇인가?

○ 이 문제를 내(우리)가 대처하는 것이 적절한가?


<미래 행동과 해결책을 유도하는 질문>

○ 이 문제를 해결하는 데 필요한 것(예: 자원, 지식, 기술 등)은무엇인가?

○ 다음 기회에는 무엇을 다르게 할 것인가?

○ .... 을 시행하는 데 있어서 장애는 무엇인가?

○ .... 을 가능하게 하는 것은 무엇인가?


본 논문에서는 성찰 교육을 위한 전략으로 멘토링, 소그룹 활동,포트폴리오, 성찰적 글쓰기를 살펴보고자 한다.


1. 멘토링


멘토링(mentoring)은 지식과 경험이 많은 교수자가 학생에게 성찰적 지도와 지지를 제공하는 교육전략을 가리킨다. 멘토링은 교수자와 학생 간의 일대일 관계를 통해 학생의 발전과 성숙을 유도하는 방식으로서 의학교육의 맥락에서는 전문직 정체성을 함양하는 가장 중요한 방식 중 하나이며, 성찰적 활동이 그 핵심을 이룬다[40].


    • 멘토는 먼저 학생에게 비판적 사고와 상황분석을 시행할 수 있는기술을 가르친 후 전문직업성 함양에 적합한 문제나 상황에 대해가능한 행위나 선택지로 무엇이 있는지 인식하도록 유도한다. 

    • 다음 자신이 선택한 행위나 선택지에 대해 성찰하도록 돕고 이런 선택을하게 된 근거로서의 관련 지식이나 가치로 무엇이 있는지 확인하게한다. 

    • 마지막으로 이런 과정을 통해 무엇을 새롭게 배우게 되었는지비판적으로 검토하게 하고 새로운 지식을 기존의 지식체계에 융합시키도록 돕는다. 

    • 학생이 이와 같은 과정을 반복적으로 수행하여 일정수준 이상의 성찰역량을 함양한다면 그 이후의 멘토의 역할은 체계적인 경험학습을 유도하고, 관련 문제에 대해 현장에서의 자기실험과 성찰을 시행할 수 있도록 유도하는 것이다[40]. 

의과대학생을대상으로 한 한 연구에서 연구참여자들은 멘토링이 성찰활동을 촉진하였을 뿐 아니라 성찰활동을 통해 전문직업성과 의사소통 역량에긍정적인 변화가 있었다고 보고하였다[41].


멘토링은 학생 개인 수준에서 전문직업성의 발전을 자극하고 격려하는 교육전략이므로 어려운 상황이나 문제를 개별적으로 다룰 수 있어 각자에게 적합한 수준과 내용으로 성찰활동을 진행할 수있으며, 전문직업성 발달에 있어 다양한 수준을 나타내는 학생들의요구에 맞게 융통성 있게 변화시킬 수 있다. 또한 학생 입장에서밝히기 어려운 문제를 멘토와 안전한 상황에서 상의하고 조언을들을 수 있어 학생의 사생활을 보호할 수 있다. 그러나 적합한 멘토의역할을 수행할 교수자를 찾거나 개발하는 것이 쉽지 않다. 그러므로 적절한 멘토를 모집하고 훈련시킬 수 있는 교육자 프로그램이 반드시 필요하다.



2. 소그룹활동


소그룹활동은 보통 같은 학년이나 비슷한 정도의 발달수준을 보이는 학생을 소그룹으로 조직하고 교수자나 촉진자가 그룹을 이끌면서 학생의 성찰활동을 촉진하는 교육전략을 가리킨다. 소그룹활동은 토론, 프로젝트 기반학습, 문제 중심 학습 등 다양한 수업형태를수용할 수 있으며[40], 이런 수업형태 모두 성찰활동을 포함할 수 있다.


소그룹활동에 기초한 성찰활동은 

    • 전문직업성 관련 문제나 상황에 대한 학생들의 자기성찰과 집단성찰을 시작으로, 

    • 가능한 행위와선택지, 

    • 그 근거, 

    • 이들에 대한 성찰적 접근, 

    • 성찰을 통한 새로운 지식이나 통찰의 발견 등의 순으로 진행된다. 

성찰적 접근은 소그룹이 함께 생각과 경험을 공유하는 형태이거나 개별 학생이 갖고 있는 생각이나 확신을 소그룹을 시험대로 활용하여 점검하고 교정하는 형태일 수 있다[42].


소그룹활동은 

    • 소그룹 내 학생들의 상호작용을 통해 서로 성찰을 촉진할 수 있으며, 

    • 자기평가뿐 아니라 동료평가를 통해 새로운 해석과 관점을 일으키고 수용할 수 있다. 

    • 특히 특정 문제에 대해 집단적관점을 택할 수 있으므로 의료전문직 정체성 발달에 유용한 방식이다. 

    • 뿐만 아니라 소그룹활동은 경청 태도, 의사소통능력, 협동능력도 함께 함양할 수 있다. 


그러나 타인 앞에서 자신의 생각이나 주장을표현하는 것이 서투르거나 두려운 학생은 소그룹활동에서 불편함을 겪을 수 있으며 참여를 회피하거나 소극적일 수 있다. 일부 학생은소그룹활동을 통해 평가는 받으면서 자신의 몫은 다하지 않는 ‘무임승차자(free rider)’ 행태를 보이기도 한다. 그러므로 이런 학생들을 적절히 지도하고 그룹을 이끌어 나가는 교수자의 역할이 매우 중요하다.



3. 포트폴리오


    • 포트폴리오(portfolio)는 일반적으로 학습이 일어났음을 입증하는 의도적인 증거의 수집을 가리킨다[43]. 또한 

    • 포트폴리오는 학습자가 학습과정에서의 자신의 노력과 발전을 증명하고 평가받기 위해 학습목적에 적합한 성과물을 통합적으로 수집하고 이런 노력과 발전에 대해 스스로 평가한 후 교수자로부터 피드백을 받는 과정 전반을 의미하기도 한다[44]. 

포트폴리오는 성찰과정을 핵심에 두고 있으므로 이를 활용한 교육은 학생으로부터 성찰을 자연스럽게 독려하고 경험적 학습과 심층학습을 유도하여 학생의 내적 변화를 일으킴으로써 전문직업성 함양에 가장 적절한 교육전략 중 하나로 알려져 있다[39,45].


포트폴리오는 일반적으로 목표가 정해진 장기적인 학습과정을 실천하는 데 활용하므로 전문직업성과 같이 지속적으로 발전시켜야하는 역량을 개발하고 모니터링하는 데 있어 적합한 방식이며, 학생이 자신의 필요에 맞게 개별화하여 작성할 수 있으므로 개인적 성찰활동에도 부합된다[43]. 포트폴리오에 포함된 성찰은 학생이 작성하는 것으로 끝나는 것이 아니고 교수자로부터 반드시 평가를 받아야한다. 이때 교수자는 포트폴리오에 포함되어 있는 다른 증거들을활용하여 성찰을 좀 더 체계적이고 객관적으로 평가할 수 있다.이런 결과로 학생은 교수자의 지도 아래 비판적이고 건설적인 성찰을 장기간에 걸쳐 시행할 수 있으며, 이런 과정은 전문직업성 함양에기여한다[43].


4. 성찰적 글쓰기 또는 성찰일지


성찰적 글쓰기(reflective writing)는 자기서사, 자기서술, 자기탐색, 자기표현의 글쓰기를 모두 포함한다. ‘나’라는 개인에 대한 성찰을 시작으로 ‘너’라는 타자를 거쳐 ‘우리’라는 공동체의 문제의식까지 함께 고민하는 수렴과 확산의 비판적 사고력을 요구하는 성찰적 글쓰기는 학습자의 내적 변화와 정체성 함양이라는 목적을 지향하는교육에 적합한 전략이다. 글쓰기는 일반적으로 생각을 상세하게 표현하게 하고 객관적 입장을 취하게 도와주므로 복잡한 문제를 좀더 명확하게 이해하게 해줄 뿐 아니라 성찰을 위한 심적 공간을 제공한다[46]. 성찰적 글쓰기는 성찰활동과 자기주도학습을 전반적으로 증진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47].


성찰일지(reflective journal)는 성찰을 목적으로 정기적으로 또는 교수자의 요구에 따라 작성하는 일지를 가리킨다[18]. 성찰일지는 의학교육의 맥락에서는 

    • 주로 미리 선정한 학습성과나 목표역량에 얼마나 도달하였는지, 

    • 도달하는 과정에 어떤 어려움이 있었으며,

    • 어떤 경험을 하였는지, 

    • 도달하는 데 도움이 된 학습요인이나 환경은 무엇인지 

...등을 확인하는 데 활용하고 있다. 이와 같이 정기적으로성찰일지를 작성할 수도 있지만 교수자의 요구에 따라 학습과정이나 실습과정에서의 특이한 경험을 대상으로 작성할 수도 있다. 의과대학생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 의하면, 성찰적 글쓰기는 성찰활동을 증진하고 자기주도학습을 향상시킨다[47].


성찰적 글쓰기는 원칙적으로 일인칭 입장에서 시행하는 성찰활동이지만 교수자의 역할 또한 중요하다. 

    • 각 학생의 수준에 맞는 성찰적 글쓰기의 형태와 주제를 선정하고, 

    • 성찰과정을 지속적으로 독려하며, 

    • 제출된 성찰일지에 대해 피드백을 제공하여 추가적인 성찰을 유도함으로써

...학생들의 성찰역량을 향상시킬 수 있다[48]. 


    • 체계적이고 건설적인 피드백과 평가를 제공할 수 있는 도구를 활용할 경우 교수자는 좀 더 원활히 그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47]. 

    • 또한 학생들 간에 상호 피드백을 시행할 경우 학생 입장에서의 문제 제기를 통해 다른 시각에서의 성찰을 유도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집단적관점을 채택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는 것이므로 

...교수자는 이와같은 방법도 고려하는 것이 좋다[49].


성찰적 글쓰기를 실제 의과대학 교육에서 실시할 때는 학생의발달 단계에 따라 적용하는 것이 적절하다. 

    • 예를 들어, 의예과 학생은좀 더 자유로운 주제에 대해 개인적 성찰적 글쓰기를 하도록 권고하고, 

    • 임상실습 전 본과 학생에게는 수업과 실습에서 학생이 직접경험한 문제나 상황에 대해 개인별 성찰적 글쓰기를 하도록 권고한다. 

    • 임상실습 중인 학생에게는 임상상황에서 접한 전문직업성과 직접 관련된 문제나 상황에 대해 성찰적 글쓰기를 진행하고 교수자의지도 아래 소그룹토론을 진행하여 협동적 성찰을 수행하는 것이 추천된다.


성찰적 글쓰기를 학생평가에 활용할 경우 일부 학생들은 정직하게 작성하지 않고 평가자가 기대하는 내용을 거짓으로 기입하는경우도 있다[50]. 이럴 경우 성찰을 목적으로 한 활동이 오히려 성찰을 방해하는 역효과를 낳게 된다.


성찰교육전략에서 성찰과 성찰적 사고의 실천을 가능하게 하는결정적인 요소는 인지적 차원 뿐 아니라 감정적으로 학습자를 지지해주는 교육환경이다. 그러므로 학습방식의 개인차를 수용하고, 멘토링과 소그룹토론을 활용하여 자유롭게 의견을 표현할 수 있는분위기를 조성하는 등의 긍정적이며 존중받는 교육환경을 조직하는것이 중요하다[36]. 성찰적 글쓰기에 대한 평가는 그 자체가 성찰을촉진하는 교육적 목적을 함께 갖고 있는 대안적인 평가유형이다[42]. 그러므로 글쓰기나 학생활동에 대해서는 체계적이며 구체적인교육적 피드백이 이루어져야 한다.


구체적인 교육적 피드백을 시행하기 위해서는 교육목표에 근거한 평가준거(criteria)와 평가기준(standards)이 필요하다. 

    • 평가준거는 복합적인 인간의 성과에 대해 공평하고 타당하게 평가를 시행할 수 있는 구체적 지표를 가리킨다. 

    • 평가기준은 평가준거에 맞추어보통 루브릭(rubrics)으로 구조화된다. 루브릭은 선택된 단일반응이 아니라 구성된 반응(constructed-response)의 범위를 단계별로 정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의료인문학 수업에서 지필시험으로는평가가 불가능한 조별협업태도 역량을 평가하고자 할 때, 총 5단계수준의 루브릭을 구성할 수 있다. 이때 수준은 사전에 설정된 것이아니며 교수자가 3–5단계 수준에서 자율적으로 정할 수 있다(부록1).


성찰과정에 루브릭체제를 도입하면 교수자는 교육의 목표와 평가기준을 사전에 설정하고 이에 초점을 맞춘 수업에 집중할 수 있으며, 학습자는 사전에 평가내용과 기준을 이해함으로써 자칫 개인의 사고방향에 지나치게 의존할 수 있는 성찰과정에서 보다 발전적이고 균형적인 교육적 효과를 기대할 수 있게 된다. 예를 들어, 앞서 제시한 ‘멘토링’을 수업전략으로 선택한 경우 의학전문직업성을 위한‘이타주의,’ ‘자기개발과 자기관리,’ ‘사회적 책무성’을 평가준거로 설정한 후 교수자가 판단하기에 학습자 수준에서 인식해야 할 각준거별 수준을 개략적으로 설정하여 멘토링을 진행하면 학습자마다 멘토링의 내용과 수준에서 최대한 동질성을 확보할 수 있을 것이다(부록 2).





의학전문직업성 교육을 위한 성찰 평가


의학전문직업성 교육에서 성찰에 대한 평가는 전통적인 관점의 평가가 아닌 대안적 평가로 이루어져야 한다. 대안적 평가는 전통적 평가와는 달리 결과가 아닌 과정(process)이나 성과(product)에 초점을 맞춤으로써 학습자 개인에게 도움이 필요한 부분, 수업에서개선하거나 보완해야 할 부분, 그리고 교수자가 지향해야할 점 등을 인식하도록 돕는다. 대안적 평가에서는 학습자의 창조적이고 절차적인 성과, 고도의 사고력과 문제해결능력, 수행활동에 대한 발표, 실제 장면에 대한 적용전략, 점수가 아닌 인간의 판단 등을 강조한다[51]. 

  • 과정에 대한 평가에는 개별면담, 관찰일지 작성, 성찰적 글쓰기, 발표 및 프로젝트활동에 대한 동료평가, 체크리스트 등이 포함된다. 

  • 성과에 대한 평가에는 성찰적 글쓰기, 프로젝트보고서, 포트폴리오, 관찰보고서, 스토리보드, 태도 척도 등이 포함된다[51].


1. 자기성찰 체크리스트


자기성찰 체크리스트는 성찰역량과 성찰의 수준을 평가할 수 있는 평가문항모음을 활용하여 학습자를 평가하는 방식을 가리킨다. 학습자가 미리 준비된 문항모음으로 스스로 사정한 후 이 결과를 바탕으로 교수자가 학습자의 성찰역량과 수준에 대해 평가를 내린다. 체크리스트는 학습자로 하여금 자신의 현재 상태를 점검하게하고, 사전-사후 학습에 대한 자기인식 태도의 변화를 확인하는데 활용할 수 있다. 체크리스트 항목은 역량에 대한 수준(‘잘한다’ 또는‘부족하다’)보다는 관심도(‘좋아한다’ 또는 ‘관심이 없다’)와 주로 연관된다. 체크리스트 항목에 대한 학습자의 답변은 일반적으로 5점 척도(5점: ‘매우 그렇다’–1점: ‘그렇지 않다’)로 측정한다. 대표적인평가 체크리스트 예시는 다음과 같다.



<다중지능 자기평가 문항: 자기성찰지능 항목>

○ 자신을 되돌아보고, 앞으로의 생활을 계획하는 것을 좋아한다.

○ 나의 건강상태나 기분, 컨디션을 정확히 파악할 수 있다.

○ 내 생각이나 감정을 상황에 맞게 잘 통제하고 조절한다.

○ 평소에 내 능력이나 재능을 개발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 내 일정을 다이어리에 정리하는 등 규칙적으로 생활하기 위해 노력한다.

○ 어떤 일에 실패했을 때 그 원인을 철저히 분석해서 다음에는 그런 일이 생기지 않도록 노력한다.

○ 앞으로 어떻게 성공해야 할지에 대한 뚜렷한 신념을 갖고 있다.


의사와 의과대학생의 성찰 역량을 평가하기 위해 개발된 대표적인 자기성찰척도로는 Gronigen Reflection Ability Scale (GRAS)이 있다[52]. 이 척도는 총 23개 항목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개인 평가수준이나 집단 평가수준에서 모두 활용할 수 있다. 구체적인 항목은 다음과 같다.


<GRAS 의사와 의과대학생 대상 자기성찰 척도>

○ 나 자신의 사고습관을 주의 깊게 살펴본다.

○ 내가 왜 그런 행동을 하게 되었는지 알고 싶다.

○ 나는 (어떤) 특정한 규칙과 지침이 무엇에 근거하고 있는지를 아는 것을 중요하게 생각한다.

○ 나 자신을 이해하고 싶다.

○ 나의 사고에 영향을 미치는 감정을 인식하고 있다.

○ 나의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감정을 인식하고 있다.

○ 나는 거리를 두고 나 자신의 행동을 바라볼 수 있다.

○ 나 자신의 판단을 타인의 판단과 비교하여 평가한다.

○ 다른(다양한) 관점에서 경험을 관찰할 수 있다.

○ 나의 의견에 대한 문화적 영향을 인식하고 있다.

○ (특정) 정보가 타인에게 끼칠 수 있는 감정적 영향을 인식하고 있다.

○ 타인의 상황에 공감할 수 있다.

○ 나 자신의 한계를 인식하고 있다.

○ (나와) 다른 사고방식을 거부한다.

○ 간혹 남들은 내가 나 자신을 과대평가한다고 말한다.

○ 다른 문화적/ 종교적 배경을 갖고 있는 사람을 이해할 수 있다.

○ 나의 관점에 대해 논의하는 것을 좋아하지 않는다.

○ 윤리적 관점을 설명(표현)하는 것에 간혹 어려움을 겪는다.

○ 내가 말하는 것에 대해 내가 설명의무를 진다(I am accountable for what I say).

○ 내가 말하는 것에 대해 내가 책임을 진다(I take responsibility for what I say).

○ 나의 의견에 대해 논의할 수 있다.

○ 간혹 다른 해결책을 생각하는 데 어려움을 겪는다.

○ 나의 개인적 기능상태(functioning)에 대해 (타인이) 언급하는 것을 반기지 않는다.


위에서 제시한 자기성찰 척도는 단순히 학생의 현재 성찰수준을 파악하는 것을 넘어서 예비의사로서 지속적으로 성찰이 필요함을 인식하고 자기고백을 할 기회를 제공한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성찰은 완성된 인격체가 아닌 미완성의 인격체로 자신을 인식하고보다 바람직한 인간으로 성장하기 위한 자기노력의 출발점이기도하다.



2. 성찰적 글쓰기 및 성찰일지 


교수자는 미리 정해진 주제나 양식에 따라 글쓰기를 하게 하거나 자유롭게 글쓰기를 하게 한 후 학생의 성찰역량과 성찰의 수준을 미리 정해놓은 평가방법을 활용하여 평가를 내린다.


성찰적 글쓰기에 대한 평가방법으로는 질적인 평가방법과 양적인 평가방법이 있다. 

    • 질적인 방법으로는 꼼꼼하게 읽고 분석하는 방법(close reading)과 주제분석(thematic analysis)이 있으며, 

    • 양적인 방법으로는 루브릭을 활용한 평가방법이 있다[53,54]. 성찰적 글쓰기 평가를 위해 사용되는 대표적인 루브릭으로는 Reflection,Evaluation For Learners’ Enhanced Competencies Tool(REFLECT) 등이 있다. REFLECT는 미국의 브라운 의과대학에서 성찰적 글쓰기 수업을 위해 개발한 루브릭으로서 평가준거로 5개의기준과 1개의 추가기준을 포함하고 있으며 이들을 종합적으로 활용하여 학생의 성찰수준을 평가한다[55] (부록 3). 

그 외 다른 루브릭 또한 비슷한 평가항목으로 구성되어 있다. 대표적인 평가 루브릭예시는 다음과 같다.




<성찰적 글쓰기 평가 루브릭[53]>


○ (관련) 절차/사건/상황을 기술하였지만 어떤 교훈(배움)을 얻었는지 언급하지 않음.

○ 얻은 교훈에 대해 기술하였지만 사례를 들어 설명하지 않음.

○ 얻은 교훈에 대한 피상적인 정당화를 제시함.

○ 조리 정연한 설명을 제시함. 설명은 문제적 상황에 대한 사례, 문제적 상황을 해결하기 위해 활용한 기술 및 이를 통해 얻은 교훈으로 잘 뒷받침되어 있음.

○ (역량) 발전에 기여한 경험으로부터 (주요) 요인을 분석(하여 제시)함.

○ (문제적 상황을 해결하기 위해) 사용한 전략에 대한 정당화를 제시함. 이 전략의 효과에 대한 증거를 함께 제시함.


이외에도 KWL 차트를 활용하여 성찰적 글쓰기를 하게 한 후학생의 성찰수준을 평가할 수 있다. KWL 차트는 수업(교육프로그램) 종료시점에 전반적인 수업에 대한 성찰을 유도하기 위해 사용한다. 

    • K (know: what I already know)‘지금까지의 수업내용과 관련하여 나는 무엇을 알고 있었는가?’로 수업내용에 대한 학생의 사전학습상태나 관심 여부에 대해 확인하는 것이다. 

    • W (want: what I want to know)‘지금까지의 수업과정이나 활동 중에서 궁금한점 또는 새롭게 관심을 갖게 된 것은?’으로 학생의 학습동기나 추후학습과제에 대한 학생의 수용태도를 점검하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 L (learned: what I have learned)‘지금까지의 수업을 통해 얻게된 지식이나 역량은?’으로 학생 스스로 자신의 학습성과에 대해확인하고 정리하는 과정을 돕게 된다. 

이런 KWL 차트를 학생들에게작성하게 하고 교수자는 이를 토대로 학생의 성찰과정과 수준을 평가할 수 있다.


또 다른 형식으로는 총 3가지 내용—

    • (1) 수업내용 요약 정리,

    • (2) 수업내용에 대한 자신의 생각이나 느낌, 

    • (3) 수업을 통해 얻은것

...—을 정리하게 하는 방식이 있다. 이 방식은 수업활동에 대해 일기를 적거나 스토리텔링을 하는 형식으로 표현하되 글쓰기 활동이 주를 이룬다. 이런 성찰일지 또한 학생들의 성찰과정과 수준을 평가하기 위해 활용할 수 있다.


종합하면 성찰일지는 학생으로 하여금 수업활동의 경험적 의미를 탐색하고 자신의 수행과정에 대해 성찰하도록 유도한다. 교수자에게는 수업 내용 중 실제 수업이 이루어진 내용이라고 할 수 있는학생의 실제적 성과를 확인하는 방법으로 매우 유용하다.


3. 포트폴리오


포트폴리오는 학생의 성찰적 활동을 평가하는 데 있어 최적의도구 중 하나이다. 

    • 포트폴리오에는 학생이 정한 목표와 이를 증명하고 평가받기 위해 수집한 자료 및 성찰의 증거가 모두 포함되어있기 때문이다

    • 아울러 포트폴리오는 장기적으로 진행되는 학습과정을 반영하고 있으므로 전문직업성과 같이 지속적인 관심과 노력을 들여야 하는 역량을 평가하는데 적절한 방식이다. 

    • 또한 학습 포트폴리오(learning portfolio)는 자신이 학습하고 이해한 내용에 대해 심층적인 성찰을 하도록 유도하므로 이를 통해 자기반성적 관점과 메타인지적 사고를 향상시킬 수 있다. 

    • 성찰을 통해 학생은 

      • 자신이 이해하거나 느낀 바를 서술하고, 

      • 학습자로서 자신의 강점과 약점을 스스로 평가하며, 

      • 학습성과에 대해 가치적 판단을 내리고, 

      • 후속 학습에 대한 방향과 범위를 고민하게 된다[56]. 


포트폴리오에 포함될수 있는 ‘자기성찰 글쓰기 항목’의 예시는 다음과 같다.


○ 나의 포트폴리오 제목과 그 제목을 정한 이유는?

○ 내가 수행한 내용이 교육목표(또는 졸업역량)과 일치하다고 생각하는 이유와 근거는?

○ 포트폴리오에 제시한 증명자료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 이번 수업활동을 기반으로 내가 성장하기 위한 계획을 세 가지 수립한다면?


포트폴리오는 자료수집의 완벽함 또는 학생 성과의 우수성에 초점을 맞출 필요가 없다. 평가로서의 포트폴리오의 핵심기능은 학생의 고유함과 향상과정을 설명하는 것이다. 집단 속에서의 학생의위치가 아니라 학생 고유의 특성과 성장과정을 이해하는 데 주력해야 한다. 의학전문직업성을 함양하고 평가하는 데 있어서도 역시 전문직 집단의 공통 특성이나 역량에 도달하였는지 만을 평가하기보다는 개별 구성원의 차이를 인정하되 공동체적 사고의 관점에서 공유해야하는 일정 기준 이상의 사고방식을 함양한다는 차원에서 포트폴리오는 의미 있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을 것이다.


결론 및 제언


최근 국내 의료계에서 급격히 부상하고 있는 의학전문직업성에 대한 논의와 의학전문직업성 교육에 대한 요구는 날로 떨어지고 있는 의사의 사회적 위상을 회복하고자 하는 자정의 몸부림이자최근 증가하고 있는 의사의 비전문가적 행위에 대한 자성의 목소리라고 할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현실적으로 적용 가능한 전문직업성 교육의 전략은 매우 부족하거나 미흡한 상태이며, 현재 시행되고 있는 교육에 대한 학생들의 평가 역시 대체로 부정적이다[57].실제 임상현장에서도 전문가로서의 정체성을 효과적으로 교육하는 방법을 제대로 찾지 못하고 있으며, 전문직업성 개념의 불명확성으로 인해 전문직업성을 갖춘 모범적인 역할모델을 설정하는 것도 쉽지 않은 실정이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전문직업성을 확연히 벗어난 전형적인 사례를 고찰해 봄으로써 전문직업성의 의미를 구체적으로 재개념화하고, 이런 재개념화된 의미로서의 전문직업성를 향상시킬 수 있는 교육전략으로서 자기성찰에 대해 검토해 보았다.


결론적으로 의학전문직업성의 개발과 함양을 위해 자기성찰과 성찰활동은 매우 중요하다. 또한 의사가 갖추어야 할 전문직업성은 외부로 드러나는 행위에 국한되는 것이 아니고 이런 행위의 배후에존재하는 가치관과 정체성의 문제이므로 전문직업성을 제대로 교육하기 위해서는 내적 변화를 유도할 수 있는 전략을 채택하는 것이필수적이다. 의과대학생의 전문직업성과 성찰역량 간의 관련성을평가한 한 연구에 의하면, 전문직업성에 문제가 있어 경고를 받은 학생에서 그렇지 않은 학생보다 성찰역량이 유의하게 떨어져 있음을확인하였다[58]. 이처럼 비전문가적 행동을 보이는 의과대학생의 성찰역량이 떨어져 있다면 이를 교정할 수 있는 교육전략이 반드시 도입되어야 한다. 뿐만 아니라 다른 직업과 달리 의사가 갖추어야할 전문직업성으로 사고, 정서, 태도, 가치관까지 거론하는 것은 의사의 자질에 관하여 사회가 기대하는 수준이 매우 높기 때문이며, 이러한 기대를 충족할 때 비로소 의사는 사회 내 전문가로서의 위상을 인정받기 때문이다[27].


효과적인 의학전문직업성 교육을 위하여 자기성찰활동에 근거한 전문직업성 향상을 위한 교육프로그램 개발을 후속연구로 제안하고자 한다. 프로그램의 한 예를 들어보자면, 

  • 교육목표는 ‘의학전문직업성을 함양하기 위한 자기성찰과정을 경험함으로써 바람직한 의사로서의 가치와 태도를 설명할 수 있다’로 설정할 수 있다. 이때 학생들의 선수학습, 즉 출발점 행동 차원에서 자기성찰 항목으로 구성된체크리스트를 활용하게 되면 추후 교육의 효과 검증에 도움이 될 것이다. 

  • 교육내용(주제)은 의학전문직업성의 중심 조직 개념인 ‘이타주의,’ ‘자기개발과 자기관리,’ ‘사회적 책무성’으로 정하고, 수업방법은 강의식 수업은 지양하고 경험학습에 근거한 학생 참여 중심의 교육전략을 적용한다. 

  • 마지막으로 성찰역량을 파악하는 평가방법으로는 자기성찰 준거를 기반으로 한 성찰일지나 포트폴리오 평가를 활용한다. 또한 인지적 측면(의학적 사고), 정서적 측면(의학적상황에 대한 가치판단), 심동적 측면(자기성찰 글쓰기 역량)에서의 발전에 대해서는 루브릭을 적용하여 구체적인 피드백을 제공할 수있다. 

이와 같은 교육목표-교육내용(주제)-수업방법-평가방법의 네 가지 유기적인 과정에 대한 설계와 구체적 실행은 현재 의학교육에서 절실히 필요로 하는 의학전문직업성 교육의 방향, 교육활동, 평가와 피드백의 최적화된 전략을 구상하는 데 있어 소중한 기초자료가 될 것이다.





Recently, unprofessional behavior by physicians and misconduct by medical students have led to increased

public concern over medical professionalism. Many studies have been conducted to explore strategies that

reinforce professionalism education and prevent misconduct in medical students. However, most studies

focused on defining the medical professionalism and its conceptual components. In this study, we conducted

a conceptual analysis based on the literature review to categorize issues of unprofessional behavior, and

identified doctors’ indifference to self and others as the reason for the unprofessional behavior. In this

regard, self-reflection provides a practical tool to overcome such indifference. We suggest ‘education and

evaluation based on self-reflection and reflective practices’ as the effective strategies to enhance the

professionalism in medical students.

Keywords: Medical professionalism, Medical education, Self-reflection, Professionalism education,

Unprofessional behavior


Corresponding author

Sang Ho Yoo

Department of Medical Humanities and Ethics, Hanyang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222-1 Wangsimni-ro, Seongdong-gu, Seoul 04763, Korea


Tel: +82-2-2220-2461

Fax: +82-2-2290-8713

E-mail: karmaboy@hanyang.ac.kr

https://orcid.org/0000-0002-7258-5090

Received: April 19, 2018

1st revised: June 15, 2018

Accepted: June 15, 2018

우리나라 의사양성체제의 관점에서 본 의과대학 교육의 문제점과 개선방향(KMER, 2018)

Current Issues and Future Considerations in Undergraduate Medical Education from the Perspective of the Korean Medical Doctor Development System

한재진

Jae Jin Han

이화여자대학교 의과대학 의학교육학교실

Department of Medical Education, Ewha Womans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Seoul, Korea




서 론


19세기 말에 시작된 우리나라의 서양의학 의사양성체제는 대한민국 정부 수립 후 의과대학에서 예과 2년과 본과 4년의 총 6년제 학부교육체제였다가 2004년부터 4년제의 의학전문대학원 체제가병행되었고 2018년 현재 총 40개의 의과대학 혹은 의학전문대학원이 한국의 의학 학부교육을 운영하며 매년 3,300명 전후의 의사면허시험 응시자격자를 배출하고 있다. 한국에서 의료행위를 하기 위해서는 의과대학 졸업 후 의사면허를 획득해야 하는데, 이를 위한의사국가시험은 1952년에 시작되었다. 

  • 학부의학교육과 관련된 주요 기관들의 역사를 살펴보면, 

  • 한국의과대학・의학전문대학원협회(Korea Association of Medical Colleges)는 1960년 설립된 의대학장회의에서 기원하였으며 

  • 한국의학교육학회(Korean Society for Medical Education)는 1983년에 설립되었고 

  • 한국보건의료인국가시험원(Korea Health Personnel Licensing Examination Institute)은 1992년에 설립된 한국의사국가시험원이 모태이다. 

  • 한국의학교육평가원(Korean Institute of Medical Education and Evaluation)은 1998년 설립된 한국의과대학인정평가위원회(Accreditation Board for Medical Education in Korea)를 모태로 2003년에 재단법인화되었는데 의과대학 인증평가는 2000년부터 시작되었다[1]. 

건국 후 70여 년이 지나는 동안 한국사회 각 분야의 발전과 변화는한국의 의료환경 및 의사양성체제에도 영향을 주게 되는데, 가장 획기적인 계기는 1977년 직장의료보험으로 시작되어 1989년도에전 국민으로 확대된 국가의료보험제도이다. 이 제도의 초기 틀은한국의 각 급 병원, 의과대학, 의사 수의 가파른 증가를 가져왔지만국가 보건의료체계를 치료의학과 전문과목 진료에 치중하게 되는원인을 제공하여 현재에 이르렀는데, 이는 의학의 학부교육체계에도 그대로 반영되었다. 즉 그간의 교육과정, 교육인프라, 교수개발,교육방법 등 의학교육의 여러 영역에서의 발전에도 불구하고 세계적인 보건의료환경의 변화 추세에 능동적인 대처를 못하면서 미래한국 의학의 발전과 국가 보건의료체계의 효과성과 효율성을 저해하는 고질적인 문제점들이 계속 제기되고 있다[2]. 이 글에서 본 저자는현재 한국의 의사양성체제의 관점에서 학부 의학교육의 문제점과개선방향을 ‘의학교육기관,’ ‘교육목표,’ ‘교육과정과 방법,’ ‘교육환경과 내용,’ ‘모니터링과 평가’ 등의 영역별로 살펴보고 이어서 ‘학생선발과 지도,’ ‘교육연한,’ ‘의사면허시험,’ ‘학생의 진료참여,’ ‘공중보건 전문인력 양성’ 등의 특정 주제별로 논점을 더하였다.


의학교육기관


현재 의과대학의 설립과 운영에 관한 법적 근거는 고등교육법및 대통령령 등에 기술되어 있는데 이를 보면 다른 학문의 학부체계와 일률적으로 동일한 규정 하에 가둠으로써 의학의 특성이 반영되는 학교체계를 발전시키는 것이 쉽지 않다. 의학교육은 교육학적관점도 있지만 보건의료 관점에서도 접근하여야 하며 졸업-후-교육 및 의사의 평생교육체계와도 연계된 학부교육과정이 개발되어야 국가보건의료환경의 변화를 적절하게 반영하여 사회가 요구하는의사의 배출이 가능하게 된다. 


한국의 경직된 의학교육체계의 한 예로, 얼마 전에 공론화되어 많은 논의가 있다가 원점으로 돌아간 인턴제도를 들 수 있다. 1950년대에 도입된 인턴제도는 정작 원산지인 미국에서는 의료현실을 반영한 변화를 거치면서 그 내용과 틀이학부의 기본의학 교육과정과 졸업-후-교육체계로 다양하게 수렴되었으나 한국에서는 거의 변하지 않고 60년 이상 지속되다가 인턴의역할에 대한 논란과 수련기간의 단축 필요성 등의 이유로 인턴제폐지에 대한 공론화가 진행되었다. 하지만 인턴제 폐지 때 예상되는수많은 파생문제들을 해결할 수가 없어서 원점으로 돌아가게 되었는데, 이를 통해 얻은 교훈이라면 학부교육, 졸업-후-교육과 평생교육으로 이어지는 의사양성체제의 연속성에 대한 현실적인 중요성을인식하게 되었다는 점일 것이다. 


의학교육환경의 변화 중 고무적인것은 교육이론과 실무를 겸비한 의학교육전문가가 의과대학 교육현장에 투입되기 시작한 것인데, 아직은 그 양과 질에서 지속적인향상이 필요하다. 한편, 계속 지적되고 있는 고착화된 국가보건의료체계 문제뿐 아니라 최근 고령화와 의료비용을 둘러싼 진료환경의 변화와 함께 의생명산업의 급속한 부상 등도 의과대학의 교육환경에 많은 영향을 주고 있는데, 이러한 도전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현재와 미래를 아우르는 의학 및 의료의 가치도출과 함께 의과대학의 역할을 재정립하는데 의학계와 사회가 함께 지혜를 모아야 할 시기이다.


교육목표


현재 의과대학 졸업생은 대부분 수련의 과정에 들어감에도 불구하고 졸업예정자는 의사면허시험을 볼 수 있고 이 시험에 합격하여의사면허를 취득하면 현행 법체계에서는 독립진료를 할 수가 있으므로 의과대학 입장에서는 졸업생이 졸업 후 바로 진료가 가능한 ‘일차진료 의사’이어야 한다는 암묵적 인식의, 혹은 명시적인 교육목표로지금까지 지속되고 있다. 여기서 ‘일차진료 의사’는 그 명칭이 국가보건의료체계에 따라 ‘general physician,’ ‘general practitioner,’‘primary care physician’ 등으로 불리면서 역할, 수준 및 규정 등이시대에 따라 국가에 따라 다양한데, 특정 분야의 진료를 하는 전문의(specialist)와 구별하여 어떤 증상의 환자이건 처음으로 진료하게되는 의사로 정의하는 점은 동일하다. 


하지만 ‘일차진료 의사’가우리나라 의료체계에서 개념이 정리되고 발전하기도 전에, 현재 한국에서 진료하는 의사의 85% 이상이 전문의가 되어버린 현실, 다가오는 초-고령사회로의 진입, 세계 각국의 보건의료체계에서 ‘일차진료의’와 ‘전문의’ 비율의 의미 등을 함께 고려하면서 우리나라보건의료체계의 현실을 반영하고 동시에 미래 발전과 연결되는 의사의 역할에 대한 사회적인 협의가 절실하다. 즉 이러한 작업을 공론화하고 미래지향적으로 합의를 도출하는 것이 분명 난제임에도 불구하고, 한국에서 매년 3,000명 이상의 의사가 배출되는 현실을 직시할때, 의과대학의 졸업생이 가져야 하는 의사로서의 역량수준과 명확한 역할을 교육목표 안에 시급하게 기술할 필요가 있다.


교육과정과 방법


선진국을 중심으로 1980년대부터 성과바탕 교육이론이 주목을받으면서 국내 의학교육계에도 ‘성과바탕 교육과정’의 개발과 실행을 하는 것이 교육과정 분야의 주요 인증 평가항목으로 등장하였다.이는 과거 전통적인 ‘교수자 주도’에서 ‘학습자 중심’으로 교수-학습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바람직한 방향의 교육이론임에는 대부분 동의하지만, 이러한 과정을 온전히 운영하기 위해서는 

  • 학부 졸업 시갖추어야만 하는 성과(outcome) 혹은 역량(competency)의 규정,

  • 이를 달성하기 위해 각 단계마다 연계된 복합적이고도 구체적인교육과정의 개발, 

  • 이를 달성할 다양한 교수-학습법의 고안과 실행,측정준거 및 평가도구 개발과 적용 등 

..많은 인력과 노력과 재원이 필요하다. 


하지만 의학교육활동에 대한 투자와 환경이 현실적으로어려운 의과대학에서는 온전한 형태의 성과바탕 교육과정을 완성하고 실행하는 것이 난제가 되고 있다. 또한 많은 학교에서 전통적인과목 중심으로부터 통합과정체계로의 전환을 표방하였고, 교수학습방법에서는 과거의 대규모 강의 위주에서 탈피하여 문제바탕학습(problem-based learning)이나 팀바탕학습(team-based learning)등 소그룹 학습법을 도입하거나 “flipped class” 등 혁신적인 교육방법을 시도하는 학교도 있으나 아직도 대부분 의과대학의 주된 교수-학습법은 강의형태이다. 이러한 문제 외에도 진료환경 변화에 따른도전을 극복할 수 있는 실효성 있는 임상실습, 타 직종과의 협력진료를 가능하게 하는 전문직군간교육(inter-professional education), 전문직업성과 사회책무성에 연관된 인문사회의학 분야 등, 선진국과 비교하여 아직 우리에게 부족한 분야에 대한 교육과정 개발과 실행을 위한 관심과 투자가 필요한 시점이다.


교육환경과 내용


2013년도에 총 9,096명의 한국의 의과대학생을 대상으로 조사분석한, 학교에서의 교육에 대한 만족도(Dundee Ready Education Environment Measure)는 스리랑카, 나이지리아, 인도 등의 나라와비슷한 점수분포를 보이고 있다[3]. 한국의 의학교육체계는 20세기전반 Flexner 제안에 따른 의과대학 교육체계의 전범, 즉 기초의학과임상의학의 양대 구분 및 각 하부구조의 교과목에 따른 교실 전통과학술 및 의료 관련 과목으로서의 체계가 성립되면서 아직까지 주된교육 틀로 유지되고 있다. 21세기에 들어서면서 통합과정, 인문사회학이나 타 학문 분야와의 융합 등이 시도되고 의과대학의 전통적인 역할이었던 진료의사 양성에서 최근 의생명산업 발전을 주도할 연구와 교육 등으로 의과대학의 정체성을 확대하고 심화하는 ‘academic medicine’을 강조하게 되었는데, 이러한 개념이 현실화되기 위해서는 의과대학이 국가 보건의료 발전의 중심이 될 수 있도록 사회적인지지와 지원방안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4]. 


우리나라 의과대학의 교육내용 중에서 국가 보건의료체계를 건전하게 유지하고 발전하는데 매우 중요한 공중보건(public health) 분야가 그 동안의 치료 위주의료환경에 기인하여 다른 나라에 비해 상대적으로 미진하다고 할수 있는데, 이에 대한 관심과 지원이 시급히 필요하다. 공중보건학내용을 의과교육과정에서 충실히 다룰 때 메르스 사태와 같은 국가재난에 적절히 대처하고 국제 보건안보 분야에서도 뒤떨어지지 않을수 있으며 또한 머지않아 도래할 한국의 초-고령사회 환경에서 치료위주의 고비용구조로부터 예방과 건강유지의 구조로 탈바꿈하는데일조하면서, 아울러 경제협력개발기구(Organization for Economic Cooperation and Development) 최저 수준인 공공성을 높이고 국가보건의료수준 향상을 위한 효율성을 담보할 수 있을 것이다.


모니터링과 평가


의과대학 교육에서 성취되는 학생의 지식, 술기 및 태도의 성과를모니터링하고 평가하는 것은 학부교육과정에서 매우 중요한 요소이다. 성과바탕 교육과정에서의 학생 평가방법은 과거의 일률적인 단순 지필시험의 형태로부터 탈피하여 수행평가 등 보다 다양한 평가방법을 활용하고 상대 평가적 요소뿐 아니라 각 수준별로 절대 평가적 요소를 반영하여 개별적인 진급판정을 지향하고 있다[5]. 하지만 전반적인 한국의 의과대학 형편은 측정평가 전문가 등 인적 투자가부족하여 학습성취에 대한 심리측정학적 모니터링과 평가체계 수립및 운영수준이 아직 낮은 편이다. 


한편, 한국 의과대학의 교육에대한 발전과 성취에 대한 의학 및 의료전문직 사회 내부에서의 자율적인 모니터링 및 평가 노력들은 일찍이 의학교육평가원이나 의사국가시험원 등의 설립과 함께 자발적으로 왕성하게 활동하면서 다른전문 직종에 영향을 주는 모습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전통적으로 관주도인 한국사회 풍토에서 전문직업성의 특징인 자율성을 반영하게 된 모범사례라 할 수 있다. 이러한 동료평가, 자율규제 등 전문직업성의 주요 요소들이 의학 학부교육에 적극적으로 반영되어 학습된다면 향후 의료 전문직업성이 선진국 수준으로 발전되어 궁극적으로국가 보건의료 복지수준을 향상시키는 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기타 주제


1. 학생 선발과 지도


한국사회에서 의과대학으로 진학하려는 학생들은 어떤 특성을가지고 있는가? 혹시 다른 분야로 진학하는 학생들과 다른 특성이있다면 이는 의과대학의 학생 선발 목적과 방법에 어떤 영향을 미칠까? 의과대학 신입생들이 졸업 후 추구하는 직업관은 의과대학의교육목표나 교육과정과 어느 정도로 밀접한 상호 영향을 끼치며학부교육 중 계발이 가능한 것인가? 이러한 질문들은 의사 및 의과대학의 역할이 확장되고 국가보건의료체계의 중심적 역할을 하게 되는시대가 될수록 중요한 탐구주제가 되어야 한다. 


중등교육에서의 성적 우수자가 대거 의과대학을 지원하는 사회에서 학습능력 이외의자질도 학생 선발의 주요 요소로 삼아야 한다는 요구는 의사라는직업의 본래적 특성에 대한 사회적인 공감에 기인하며, 이는 의과대학의 학생 선발에서 단순한 지적 역량의 측정만이 아닌 다양한 선발방법의 적용을 요구한다[6]. 한국에서는 의학전문대학원체제가 시작되면서 심층면접, 팀-활동 관찰 등 다양한 학생 선발방법을 통해응시생의 지적 역량뿐 아니라 인성, 사회성, 가치관 등을 측정한 바 있는데, 이러한 학생 선발의 경험을 일반대학 입시에서의 학생선발제도 변화에 따른 최근의 국가적 경험들과 함께 분석하고 ‘의과대학 지망생-의과대학 교육-현재와 미래의 의사상’의 연계성 속에다시 적용해야 함에도 불구하고 아직은 실제 학생 선발에 활용하지못하고 있다. 


한국의 의과대학생의 특성에 대한 2012년 연구결과에따르면 이전 세대에 비해 폐쇄성과 배타성에서 벗어나 보다 개방적이고 유연한 의사-환자 관계를 형성하려는 경향을 가지고 있으나 도덕 판단력 및 사회추론능력, 전문성 교육의 자기 인식이 낮은것으로 분석되어 이에 대한 교육이 필요하다고 하였다[7]. 현재와가까운 미래의 의과대학 입학 대상자들은 소위 ‘Z세대’라 할 수있는데 이들은 1995년부터 2000년대 중반 태어나 그 선배 세대인1980–1995년 태어난 밀레니얼세대(Y세대)를 잇는 세대이다. 날 때부터 스마트 기기와 친한 Z세대는 스크린이나 동영상에 밀착된 세대이며, 소셜미디어 활용, 글로벌 공감, 집단보다 개인의 가치를 중시,실용주의적 사고, 경제적 안정 중시 등의 특징을 보인다고 한다[8]. 이와 같이 시대에 따른 의과대학 지망 세대의 특성을 파악하여 학생선발과 지도방법을 개발하고 나아가 학부교육과정에서 교수-학습방법 개발과 운영, 교수개발 등에 적용할 필요가 있다.


2. 교육연한


한국의 의과대학 역사에서 초기 6년제의 의과대학 학제는 2004년부터 10여 년에 걸친 4년제 전문대학원체제 실험 후 2015년부터 다시 의과대학체제로 대부분 회기하게 되는데, 아이러니한 것은 ‘의예과 2년+본과 4년’이라는 과거 50년이 넘게 익숙한 체제로 고착화되어버리는 우려가 있다는 점이다. 실제 전문대학원체제로 전환했던 한국의 많은 의과대학들은 당시 일률적인 학부교육 규제로부터잠시 벗어나 보다 자유로운 대학원제도를 활용하고 정부 보조까지받으면서 한결 자유로워진 교육예산 편성하에서 교육연한 4년을최대한 활용하는 교육과정 개발과 다양한 교수학습방법의 도입과실행 등을 주도한 바 있다. 만일 이러한 경험을 발전시켜 나가지못한다면, 세계적으로 6년제의 의학 학부체제를 계속 유지하고 있는여러 국가에서 ‘통 6년’ 체제를 혁신적이고 지속적으로 발전시켜온것과 대비되어 한국은 오히려 전문대학원 실험기간이 ‘잃어버린 10년’이 되어버릴 수 있다. 학부체제로 완전히 전환되고 있는 앞으로수년의 기간은 이러한 우를 범하지 않도록 의과대학, 고등교육 당국,의료계, 학생 및 사회 등 의과대학 교육에의 이해당사자들의 관심과지원이 필요한 기간이다. 


의학의 학부교육에서의 교육연한과 관련하여 세계적으로 대두되는 이슈는 성과바탕교육과정의 특징인 개별성과 유연성이다. 즉 교육시기별로 성과의 내용과 수준을 정하고이를 평가하는 체계를 갖추어 학생들의 전체 교육연한을 각각의 학생들에게 달리할 수 있다는 개념이며, 이는 학부교육뿐 아니라졸업-후-교육체계와도 연계하여 보다 현실적이고 구체적인 역량의성취를 유도하는 것이다[9]. 한국의 의학교육현장에서 이러한 선진의학교육체계에 발맞추기 위해서는 지금까지의 교육과정 실행 경험에 대한 조사 및 분석연구와 함께 미래 한국의 보건의료체계와 교육환경에 적합한 교육과정을 설계하고 개발하기 위한 불굴의 의지와노력이 필요할 것이다.


3. 의사면허시험


한국에서 독립진료를 허용하는 의사면허 획득을 위한 의사국가시험은 1952년에 필기시험형태로 처음 시작된 이래 1991년 내과,외과 등 15개의 시험과목을 출제하다가 1994년도에 내과, 외과,산부인과, 소아청소년과, 정신건강의학과, 예방의학 및 보건의약관계법규 등 7과목으로 과목 축소를 단행하였고, 다시 2002년에 ‘의학총론,’ ‘의학각론’ 및 ‘보건의약관계법규’의 3과목으로 통합 개정하였으며, 2009년에는 세계에서 세 번째로 실기면허시험을 시작하는등의 변화를 거쳐 멀티미디어 문항 출제를 앞두고 있다. 


그 동안 의사면허시험을 선진국 수준으로 개선하고 발전시키기 위해 여러정책연구들이 꾸준히 이루어졌는데, 앞으로 정책 결정이 필요한 사안들은 기초의학시험의 도입, 실기시험 상시 체계의 도입, 면허 후임상연수제도나 독립진료면허 등 의사양성체제 전반의 개선방안과연계된 단계별 면허시험체계 설계 등이다. 의사면허시험의 질-관리와 개선을 위해 제기되는 현안으로는 ‘60점 합격선’이라는 절대 이념화 되다시피 한 오래 관행을 아직도 고수하고 있는 필기시험 합격선결정방법과 수년 전에 돌발적으로 시작되어 아직 지속되고 있는필기문항 공개 사안이다. 이 두 가지 문제는 서로 밀접한 관련이있는데, 출제문항의 공개 사안은 수험생 편의를 위한 정보 제공역할에 과도하게 의미를 부여하는 정책으로 시간이 흐를수록 시험출제 및 난이도 조절 등에 인적 및 비용적 부담을 점점 가중시키게될 뿐 아니라 문항반응이론 등 측정평가기법을 도입한 문제은행체계의 구축을 통해 고부담 시험의 타탕도와 신뢰도를 유지하고 시험의질을 향상시키는 선진국의 모범사례를 적용할 수 없기 때문에 시급히 개선될 필요가 있다. 앞으로 의사면허시험제도의 개선은 시험주관기관이나 시험 해당자의 문제라기보다는 국가 의사 양성체제와보건의료 발전이라는 보다 큰 틀에서 접근해야할 것이다.


4. 학생의 진료 참여


현재의 법체계상 의사면허를 취득하면 독립진료를 할 수 있고,의사면허는 의과대학 졸업과 더불어 대부분 취득을 하는 현실에서‘의과대학은 졸업생들의 실제 진료역량을 어디까지 교육해야 하는가?’라는 질문이 벅찬 이유는 의사사회에서 자율규제 등 전문직업성을 계발하는 노력이 늦어지는 가운데 의료상업주의와 법에 의한규제만능주의의 팽배, 일부 의사의 비윤리적 혹은 비전문가적 행태를 일반화하는 부정적인 여론 확산 등 의료인과 의료에 대한 불신풍조가 만연한 요즈음의 한국 의료환경에서 흡사 훈련이 충분히안된 학도병을 전쟁터로 내보내는 것 같기 때문이다. 


진료역량의 ‘최소한’과 ‘충분한’의 논란을 차지하고서라도 실제 환자의 진료에참여하는 경험이 진료역량에 필수조건임은 의학의 역사상 이론의여지가 없다. 이러한 당연한 명제가 문제점으로 제기되는 모순은교육병원들에 가해지는 저수가-고비용 진료구조에 따른 경영 압박,환자소비자주의를 우선적으로 고려하면서 초래된 학부생의 임상실습환경의 악화에 기인한다고 볼 수 있다. 전통적인 임상실습은 교수중심, 일방향성, 기회의존의 도제식 교육방법 위주였으나 이제는 소정의 실습기간들과 연계된 필수적인 임상역량의 기준 이상을 달성할 수 있는 성과바탕의 구조화하고 표준화된 실습체계를 구현해야한다. 


또한 입원환자 위주의 병원실습과 지역 혹은 외래실습에서의 일차진료 실습이 균형을 맞추도록 하며 강의, 소그룹 실습, 일대일지도, 실습노트나 포트폴리오를 활용한 자기평가와 성찰, 객관화한임상수행평가시험(objective structured clinical examination,mini-clinical evaluation exercise 등), 진료현장에서의 다면평가등 다양한 교수-학습 및 평가방법을 적용하되 환자안전을 최우선으로 하는 환자친화적인 실습이 되어야 하며 실습 지도의사들은 전문직업성의 역할모델이 되어야 한다. 특히 현대 의료의 많은 부분이팀-진료에 의해서 행해지므로 의사소통과 협력, 리더십, 관리능력등도 실습과정 중에 교육 및 평가가 이루어져야 한다[10]. 


이러한 임상실습이 가능하기 위해서는 안전한 실습환경 및 체계를 구축해야하며 병원을 이용하는 환자 및 사회의 인식 변화를 유도하여 학생의임상실습이 보장되는 문화를 확산하고, 학생의 진료 참여 시 밀착하여 긴밀히 지도할 임상실습 지도인력에 대한 교수개발 및 적절한보상 등이 필수적이다[11]. 더불어 전자의무기록이나 인터넷을 통한 환자정보공유체계 등 급격하게 변화하는 의료환경에서 임상실습교육을 위협하는 새로운 요소들에 대해서도 적절히 대응해야 하는데,스크린 문서화된 환자 정보에만 의지하여 신체진찰 등을 소홀히할 때 오히려 진료의 질 저하와 의료과오로 이어질 수 있다는 보고등은 기본적인 임상술기 역량교육을 더욱 강화해야 하는 근거가될 수 있다[12].


5. 의과대학의 공중보건 전문인력 양성 책무성


‘보건’과 ‘의료’의 차이는 그 대상이 ‘집단’ 대 ‘개인,’ 그 역할이‘건강증진과 질병예방’ 대 ‘치료 중심’으로 구분하고 정의하는데, 한국의 보건의료체계가 처음부터 공중보건과의 균형 발전보다는개인의 질병 치료 중심의 민간의료체계로 치중되면서 지금까지 지속되고 있다. 이는 한국의 ‘의료’수준이 우수하다고 인정을 받는 반면,공중보건 전문인력의 부족과 국제보건안보 분야에서 뒤처지게 되면서 재정을 포함한 국가의 보건의료자원도 상대적으로 ‘보건’보다는 ‘의료’에 쏠리는 상황이 계속되다가 결국 한국의 민간의료가 국가전체 의료시스템의 90%를 점하게 된 것도 일견 당연한 결과이다.


보건활동의 주체가 반드시 의사일 필요는 없으나 2014년 현재 한국의 공중보건 대표기관인 전국 보건소장의 39.8%만이 의사이며 의과대학 졸업생 중에서 공중보건의 중요성과 전문성을 추구하면서 보건소장 등 공중보건이나 공공의료 분야에 지원하는 인력이 오히려줄고 있다는 것은 우리나라 전체 보건의료체계의 지속적 발전을저해하는 중요한 문제이다[13]. 200년 이상 공중보건학 역사를 가진선진국에서는 의과대학을 중심으로 공중보건 전문인력이 양성되어왔으며 사회의료체계가 아닌 민간의료체계 주도의 미국에서도 유수한 의과대학이나 교육병원에서 공중보건 분야가 진료의학 분야와동등하거나 더 큰 규모인 점을 돌아볼 때, 한국의 의과대학 학부교육의 과거 모습과 현재의 상황은 우리가 매우 중요한 부분의 발전을소홀이 하고 있다는 방증이다. 


    • 현재 의과대학의 예방의학교실에서 다루고 있는 전통적인 예방의학 분야는 공중보건의 핵심 역량규정과역할이 점점 확대되는 국제 추세에 따라 하나의 교과목이나 교실단위보다 더 확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 이를 통하여 공중보건 전문인력을 양성해야 하고 정부 당국도 ‘(가칭)공중보건전문의’제도를 마련하는 등 제도적 법적 지원을 할 필요가 있다. 

    • 의사 사회도 개별환자 진료 중심의 의료체계에 치우치지 않고 국민 보건체계의 선진화가 함께 이루어져야 국가의 보건의료복지의 수준이 높아지게 되며, 

    • 또한 의사가 공중보건 전문인력의 중심 역할을 할 수 있는데필요한 교육이 의과대학을 중심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정책 개발과 실행방안을 도출하고 협력해야 한다. 


미국의과대학협회(Association of American Medical Colleges)에서는 보건과 연관된 사회 및환경요소를 이해하고 국민의 건강수준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의사를비롯한 의료인과 과학자들이 공중보건 관련 역량을 갖추도록 하는것이 중요하다고 천명하고 있다. 또한 예비의과대학생, 의과대학생,레지던트 및 전문의 등이 국내・외 의과대학, 의료기관 및 공공기관과 연계하여 각 수준별로 공중보건 분야 활동이나 학위에 지원할수 있도록 공중보건진로에 대한 안내를 하고 있는데, 이러한 모델은우리나라 의과대학에서도 기존의 예방의학 교육내용과 실습체계에더하여, 보다 다양하고 심화된 공중보건 분야로 외연을 확장하는개선방안으로 제시될 수 있을 것이다[14].


결 론


한국의 의사양성체제의 특징은 의사양성제도 수립 역사 초기부터 시작된 ‘의과대학 졸업-의사면허시험 합격-민간진료 중심의 보건의료체계하에서 독립진료 가능’이라는 고착화된 틀에서 크게 벗어난 적이 없다는 것이다. 하지만 이러한 고착화된 체계가 국내・외보건의료환경의 변화와 미래의 도전에 바람직한 해결책을 찾아나가는데 걸림돌이 되지 않도록 한국의 의사양성체제의 모든 이해당사자들은 지혜를 모아야 할 시기인데, 미래의료는 의료현장의 다양화,새로운 개념의 팀-진료, 빅-데이터와 인공지능, 기계 활용 등의특성으로 다가오므로 이에 대비하여 보다 높은 수준의 인지역량,기계와 인공지능 운용 술기, 시뮬레이션 교육, 타 직종 간의 협업 등에 관한 교육이 필요하다[15]. 


한국의 의사양성체제와 학부의 의학교육에서의 문제점 제기와 개선에 대한 제안을 보다 큰 틀로부터작은 사안 쪽으로 접근해 본다면, 

  • 국가적으로 초-고령사회 진입과맞물린 인구 피라미드의 변화에 대비한 민간의료와 공공의료의 조정과 적절한 투자 배분, 의료와 보건의 균형 발전, 4차 산업과 연계한의료 및 의학교육환경 조성, 선진국 수준에 맞는 자율규제를 포함하여 전문직업성의 효율성과 효과성을 극대화 할 수 있는 법적 제도적지원 등의 큰 틀에서부터 우선적으로 미래 한국의 보건의료 발전로드맵이 도출되어야 한다. 

  • 이러한 국가보건의료체계의 발전 로드맵에 따라 일차진료 의사와 전문분야 진료의사의 역할과 책무범위가점차로 가시화되도록 진료의사-수련 전공의-의과대학생의 교육과정의 목표들이 연계되어 정해지고, 각 교육목표에 맞는 교육과정,교육훈련방법, 그리고 모니터링과 평가가 유기적으로 연결된 의사양성체제가 수립되어야 한다. 이러한 작업에는 전문인력, 재원 및전문직업성을 구현할 수 있는 새로운 조직 설립 등 자원과 많은노력이 들어가므로 보건의료 관련 민간 및 정부기관과 사회의 관심과 지원이 반드시 필요하며, 보건의료의 발전이 국가 복지의 핵심사안이라는 인식이 전 사회적으로 확산되어야 한다. 

  • 이러한 개선방향이 세워지면 의과대학은 한국의 바람직한 의사상을 구현할 수 있는구체적인 성과바탕 교육과정을 개발하고 운영하면서 기초연구의학,임상진료의학, 공중보건학뿐 아니라 미래의 새로운 보건의료모델과관련 산업을 이끌어갈 수 있는 융합 역량증진을 위한 ‘academic medicine’의 개념을 실현하는 장이 될 것이다. 한국의 의과대학은그동안 환자 진료에만 머무르는 교육에 치중하고 의사가 되어서도그 역할에만 과도하게 얽매이기 쉬운 사회구조와 환경에서 분투하여왔으나, 이제는 적어도 미래는 의사에게 전체 국민건강의 증진자로서의 역할을 요구하고 있다[16]. 의과대학은 이러한 시대정신에 맞추어 미래의 한국사회가 요구하는 의사의 역할들을 감당할 인재를양성하는데 방향을 맞추고 학생 선발부터 교육목표 설정과 교육내용, 교육과정 개발과 교수-학습방법, 모니터링과 평가의 모든 의학교육 분야에서 실제적인 개선과 혁신을 지속적으로 해나가야 할것이다[17].



Observation of the current Korean medical education and training system shows that certain negative traits

of unchangeable solidification engraft themselves so deeply into the overarching system that they are now

hampering the state of the national health welfare. Focusing only on undergraduate medical education,

we can point out some glaring side-effects that should be of concern to any stakeholder. For instance,

a graduate can legally begin his career as an independent practitioner immediately after passing the licensing

exam and return to the old stuck school-year system of 2-year-premedical and 4-year-medical programs

where outcome-based and integrated curricula are incomplete and unsatisfactory. In terms of learning

opportunities, the balance between patient care and public health, as well as that between in-hospital

highly specialized practice and community-based general practice, has worsened. Every stakeholder should

be aware of these considerations in order to obtain the insight to forge a new direction. Moreover, our

medical schools must prepare our students to take on the global roles of patient care within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health advocacy for the imminent super-aged society, and education and research

in the bio-health industry, by building and applying the concept of academic medicine. We will need to

invest more resources, including educational specialists, into the current undergraduate medical education

system in order to produce proper outcomes, smart curriculum, innovative methods of teaching and learning,

and valid and reliable monitoring and evaluation. The improved quality of undergraduate medical education

is the starting point for the success of the national system for public health and medical care as a whole,

and therefore its urgency and significance should be emphasized to the public. The medical society should

go beyond fixing what is broken and usher in a new era of cooperation and collaboration that invites

other health professionals, governmental partners, law-makers, opinion leaders, and the general public in

its steps toward the future.

Keywords: Medical education, Medical schools, Physicians


Corresponding author

Jae Jin Han

Department of Medical Education, Ewha Womans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1071 Anyangcheon-ro, Yangcheon-gu, Seoul 07985, Korea

Tel: +82-2-2650-5629

Fax: +82-2-2650-5836

E-mail: jjhan@ewha.ac.kr

https://orcid.org/0000-0002-6499-7642

Received: May 15, 2018

1st revised: June 14, 2018

Accepted: June 14, 2018


우리나라 의사양성체제의 관점에서 본 의과대학 교육의 문제점과 개선방향 
Current Issues and Future Considerations in Undergraduate Medical Education from the Perspective of the Korean Medical Doctor Development System
Jae Jin Han1 
Department of Medical Education, Ewha Womans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Seoul, Korea(1)
의학교육논단 2018 6;20(2):72-77
DOI : https://doi.org/10.17496/kmer.2018.20.2.72
Keyword : Medical education, Medical schools, Physicians
 


우리나라 의사양성체제의 역사와 미래(KMER, 2018)

History and Future of the Korean Medical Education System


안덕선, 한희진

Duck-Sun Ahn, Hee-Jin Han

고려대학교 의과대학 의인문학교실

Department of Medical Humanities, Korea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Seoul, Korea




서 론


‘의사양성체제’(medical education system)는 이 개념을 구성하는 단어들이 뜻하듯이 의사를 만들어내기 위한 의학교육 및 이와관련된 제도를 의미한다. 여기에서 ‘의학교육’(medical education)은 의사를 전문직업인으로 양성하기 위한 교육을 지칭하고 의학교육에 포함되는 교육과정에는 

  • 의사가 되기 위한 첫 단계의 교육인 기본의학교육(basic medical education), 

  • 의사로서 갖추어야 할 보편적이고 일반적인 역량을 배양하는 과정(intern, foundation years,transition years), 

  • 그 후 특정 전문과목 영역의 수련과정(post-graduate medical education), 

  • 이어서 이 전문과목 내에서세부 영역의 전공역량을 개발하기 위한 추가 수련과정(subspecialty training), 

  • 그리고 이후 의사활동을 종료하는 시점까지 계속되는 평생전문직업성 과정(continuing professional development)

...이 있다. 이처럼 의사양성체제는 의학교육체제 또는 의학교육체계와 유사한의미로 사용되고 여러 단계에 걸쳐서 시행되지만 이 논문에서는 첫 단계의 의학교육인 기본의학교육에 국한하여 우리나라 의사양성체제의 역사적 배경과 미래 의학교육에 대하여 논의하고자 한다.


첫 단계의 의학교육은 5년제 또는 6년제 의과대학, 학사 후 교육인의학전문대학원 등 각 나라마다 서로 다른 체제와 제도를 통하여 운영되고 있지만 세계의학교육연합회(World Federation for Medical Education)에서는 이 과정을 기본의학교육으로 통칭하고있다[1]. 그런데 의사양성체제를 기본의학교육의 수준에서 논한다고 하더라도 기본의학교육은 각 나라의 사회적 통념과 정부의 정책에 기초하여 수립되기 때문에 논의의 범위를 의과대학이나 의학전문대학원의 교육과정으로 제한할 수는 없다. 단순하게 의과대학이나 의학전문대학원의 교육과정을 설계하고 학생을 선발하여 졸업을시키고 면허를 취득하게 하는 교육과정을 기본의학교육이라고 생각할 수도 있으나 실제로 의사양성체제는 보다 더 근본적인 물음과 반성이 요구되는 개념이다. 특히 우리 사회가 어떻게 그리고 어떠한 의사를 양성하여 왔으며 앞으로 어떠한 의사를 양성할 것인가를 논의하기 위해서는 의사양성의 배경이 되는 우리의 역사적, 철학적,문화적, 사회적, 정치적, 경제적 환경이 무엇이었는가를 반추하여보아야 한다는 것이다. 각 나라의 의료가 그것이 구현되는 특정한사회의 역사, 문화, 경제, 정치로부터 영향을 받아서 결정되듯이 의사양성체제 역시 특정한 사회의 의학 외적 요인들과의 관계 속에서만 규명될 수 있기 때문이다.


현재 거의 모든 나라의 기본의학교육의 내용은 표준화되어 있다고 볼 수 있다. 근대 이후 서양 문명의 과학주의 철학을 바탕으로서 양의학은 각각 생물학적 환원주의와 통계학적 결정론을 추구하는 생의학(bio-medicine)과 근거중심의학(evidence based medicine)을 추구하고 있어서 기초의학과 임상의학을 의과학의 필수적인 교육내용으로 인정하고 있다. 최근 미국의 의학교육계는 기존의 기초의학과 임상의학을 넘어서 생명윤리, 의료윤리, 전문직업성 등이 포함된 인문사회의학을 의사양성을 위한 필수적인 교육내용이라고 규정하고 기본의학교육에서 ‘제3의 축’(the 3rd pillar, health system sciences)이라고 강조하고 있다[2]. 인문사회의학은 의사가 환자의고통과 사회의 문제를 보다 심층적으로 인식함으로써 보다 인본주의적인 의료를 실천하기 위하여 반드시 필요한 인문사회적 역량을배양하는 분야라고 볼 수 있다.


그런데 여러 나라에서 이렇게 유사한 기본의학교육 과정을 이수한 의사들이 실제로 활동하며 보여주는 의료의 모습은 매우 상이한데, 이러한 차이는 그 의사가 속한 사회의 특정한 의료환경에 의하여결정된다고 볼 수 있다. 현대사회에서는 이제 의식주 이외에 의료가 국민의 기본권으로 인정되고 있고 이러한 국민 기본권을 확보하기 위하여 다양한 보건, 의료, 사회정책들이 존재하며 이 정책들이 의료활동에 영향을 주고 있다. 의사양성을 위한 교육도 이와 유사한방식으로 의료환경으로부터 직접적 및 간접적으로 상당한 영향을받는다. 따라서 이 논문에서는 먼저 오늘날 우리나라 의사양성체제의 실체와 그 문제를 파악하기 위하여 이 체제의 수립에 영향을준 다양한 인문사회적 요인을 역사적으로 조망하고 이어서 현재의문제와 한계를 극복하기 위하여 미래 의학교육이 고려하여야 할몇 가지 사항을 제안하고자 한다.


우리나라 의사양성체제의 역사적 배경


우리나라에 서양의학이 소개된 정확한 연대에 대해서는 여전히논란이 있다. 조선말 지식인들은 이미 서양의학의 존재를 중국에서 수입된 서양의학 서적을 통하여 알고 있었을 것으로 추정하지만 서적을 통한 간접경험이었기에 본격적인 서양의학의 도입으로 보기에는무리가 있다. 서양의학을 실제 경험하게 된 것은 개항과 함께 국내에들어온 외국 의사와 외국 문물을 통하여 이루어졌다. 구체적으로는1885년 제중원이 개원하고 이듬해인 1886년 제중원 의학교가 개교하면서 해부학과 생리학 강의가 영어로 시작된 것이 우리나라에서근대서양의학교육의 시초라고 볼 수 있다. 1894년 제중원은 미국의선교부로 이관되었고 조선정부는 1899년 의학교를 설립하였으며‘공립의원 규칙’에 비하여 상당히 진전된 ‘의학교 관제’를 반포하면서 이 관제에 따라서 동물, 식물, 화학, 물리 등의 기초학문과 해부,생리, 약물 및 위생 등의 기초의학을 교육하기 시작하였다[3]. 이와 같이 구한말부터 들어오기 시작한 선교의학을 바탕으로 비정규적인 의학교육이 간헐적으로 이루어졌다. 이후 조선식민화를 위하여 일본식 서양의학이 도입되면서 당시에 전통의학에서 경험하지 못한 새로운 의학의 효과에 놀라 서양의학교육에 대한 요구가 급속히 증가되는 상황에 이르렀고, 이에 대응하기 위한 자력적인 조치로서 조선왕조는 의학교를 설립하였던 것이다.


하지만 이미 기울어가는 조선왕조의 운명과 일본의 식민화 과정에서 의사양성을 위한 의학교육에 공적인 투자를 할 수 있는 여력은 거의 없었다. 결국 비정규적인 의학교육과 사이비 의료업자들이 득세하는 시대를 거치게 되었고 관주도의 의학교는 19세기 말에서야 시작되었다. 당시에 우리 사회는 일본의사나 선교의료로 도입된 서양의학을 이해하기 위하여 필요한 영어와 일본어 어학능력은 고사하고 서양기초과학에 대한 교육이 전혀 이루어지지 않고 있었다. 이러한 사회적 배경으로부터 서양의학 도입 초기에 서양의학교육에 자신을 헌신한 얼마 안 되는 교육자들이 상당한 어려움을 겪었을 것으로추측된다. 이렇게 기울어가는 조선의 암울한 사회정치적 상황에서 7년 이상의 수학기간을 거쳐 최초로 정식의사를 배출한 민간교육기관의 등장과 조선왕조에 의하여 시작된 공공의학교육의 시작은 우리나라 초기의학교육의 여명기에서 여전히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3].



1. 일제 강점기의 의사양성


1910년 한일합방으로 조선이 일본의 식민지가 되면서 일제 강점기는 시작되었고 일본식 서양의학이 우리나라에 본격적으로 도입되었다. 의학교육기관 내에 일본식 하부단위인 기초학을 위한 교실과 임상을 위한 의국제도가 도입되었고 교수진은 거의 일본인이었지만 극소수의 조선인 의학자가 가르치기도 하였다. 이 시기에 조선총독부의 조선교육령의 일환으로 의학전문학교로 세브란스의학전문학교(1917), 대구의학전문학교(1933), 평양의학전문학교(1933),경성여자의학전문학교(1938), 광주의학전문학교(1944)가 설립되었고 경성제국대학은 차별적 지위를 갖고 있었다. 일제 강점기총독부의 조선인에 대한 교육목표는 황국신민화, 저급상인교육,차별화였고, 조선인을 계몽시킬 우려가 있는 인문학과 고등기술과같은 고급학문은 교육에서 철저하게 배제되었다[4]. 이 당시에 우리나라가 전수 받은 서양학문은 주류 정통학문이 아니라 ‘변질된’(degenerated) 학문이라고 평가되기도 한다[5]. 이때부터 의학은 이과로 분류되었고 식민조선에서 의학교육은 태평양전쟁의 군의관 공급을 위한 방편이 되기도 하였으며 의학교육에서 조선인에 대한 부당한 대우는 이 시대 이후에도 위계적인 차별과 구조적인 폭력이 의학계의 규범으로 정착되는 단초가 되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사변적인 이론과 ‘폐쇄된 병리’(closed pathology)에 근거하였던 전통적인 조선의학과 비교하여 서양의학은 ‘열린 병리’(open pathology)를 바탕으로 상당한 효과를 보임으로써 압도적인 우위를 점하게 되었고 서양의학을 배운 의사는 과학적 의학을 표방하며 경제적 자율권과 함께 사회적 지위도 획득하였다[5]. 이렇게 전문직으로서 서구식 의사의 등장은 전통적인 유교적관습에 기초한 양반의 우월적인 지위와 사농공상(士農工商)이라는 계급적 질서에 변화를 초래하였다. 이제 출신계급과 무관하게 서양의학교육을 받고 의사가 되면 중산층 이상의 경제적 및 사회적 지위를 획득할 수 있게 되었고 이렇게 의사라는 전문직은 우리나라에계층상승을 가능하게 하는 또 하나의 길을 열게 된 것이다.


2. 해방과 한국전쟁, 그리고 군사정권시대의 의사양성


우리나라는 해방이 되고 나서 의학교육체제의 수립과 실행에 지배적인 영향력을 행사하는 주체가 일본에서 미국으로 전환되는시대를 맞이하게 되었고 1946년 미군정청의 계획에 따라서 6년제교육으로 단일화되었다[6]. 상위학부인 경성제국대학 의학부와 경성의학전문학교가 폐지되었고 이를 대신하여 국립서울대학교 의과대학이 설립되었다. 또한 기존의 의학전문학교은 모두 6년제 의과대학으로 개편되었으며 여성의사를 양성하기 위하여 이화여자대학교에 의과대학이 신설됨으로써 1950년대 초까지 우리나라에는 6개의 의과대학이 있었다. 당시 미군정청은 우리나라 의사교육제도와 의사자격기준의 다양성 때문에 발생하였던 복잡한 의사자격요건의 혼란을 해결하고자 미국식 기준을 도입하여 표준화하여야 한다는 명분을 제시하였다. 하지만 이러한 명분의 이면에는 대학 내의 좌익을 소탕하려는 목적이 있었다. 그런데 이러한 이면의 목적은 경성제국대학 출신과 전문학교 출신 사이의 갈등, 사립대학출신과 관립대학 출신 사이의 갈등, 좌익과 우익의 갈등 등 복잡한내부갈등만을 표출하고 대학에서 좌익으로 간주되는 인사들이 추출되는 결과만을 초래하였다.


1960년대 이후 급속한 경제성장과 함께 증가되는 의료수요에부응하기 위하여 의과대학 신설이 시작되었다. 1960년대에 5개교,1970년대에 6개교, 1980년대에 12개교, 1990년대에 10개교가 신설되었다. 이러한 과정을 거쳐서 오늘날에 이르러서 의과대학의 수는41개가 되었고 연간 입학정원은 3,300명에 달하게 되었다. 이 과정에서 의료계는 급속한 의료수요 증가에 대처해야 한다는 정부의 방침을 비판하며 의학교육과 의료의 질적 저하를 우려하는 입장을 표명하면서 의과대학 신설을 저지하기 위하여 1971년에 의학교육협회(현 한국의과대학・의학전문대학원협회)를 설립하였다. 아울러 의학협회(현 대한의사협회)의 주도로 의학교육의 평가인증을 위한 자발적인 연구모임이 형성되었고 그 결과로 1998년에 한국의과대학인정평가위원회가 신설되고 오늘날 한국의학교육평가원으로 정착됨으로써 외부의 도움과 간섭 없이 의학교육의 질적 향상을도모할 수 있는 제도와 기관이 마련되었다.


1970년대 북한과 의료 분야에서 경쟁하면서 준비가 부족한 상태에서 도입된 국민의료보험제도는 1989년 당시 정부의 정치적 치적이 되었던 국민개보험제도로 완성되었고 이때부터 의사전문직에 대한 사회의 규제가 본격적으로 시작되었으며 일제강점기부터 인정받던 경제적 자율권은 제도적으로 제한되었다. 이렇게 군사정권 시절부터 도입된 규제적 성격의 여러 보건의료정책은 의사전문직으로 하여금 자율성을 상실하게 만들었고 이때 형성된 의사전문직의 수동적인 태도로 인하여 의사전문직업성의 추락이 시작되었다. 다른 한편으로 신설의과대학은 충분한 재정적, 교육적 역량이나 충분한 수의 교육자도 확보하지 못한 상태에서 의학교육을 시작하면서 부실한 교육을 제공할 위험성이 클 수밖에 없었다. 또한 급속하게 신설된의과대학의 대부분이 사립대학이었고 따라서 이때부터 의사양성과 졸업 후 교육은 철저히 사적 투자의 영역으로 간주되기 시작하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 시기는 의사양성제제 수립의 여명기를 지나서 점차로 기본의학교육이 정규 고등교육화와 토착화로 전개되었다는점에서 긍정적으로 평가될 수 있다.


이 시기에 미국은 여러 공정을 통하여 우리나라 의학교육의 현대화를 지원하였다. 미네소타대학과 서울대학교의 협약을 통하여 218명의 교수진이 1954년부터 1961년까지 미국에서 연수를 할 기회가주어졌다[7]. 또한 1980년대 중반에 옹골리(Patrick A. Ongley) 박사는 여러 아시아 국가를 방문하고 의학교육에 대한 자신의 의견을기록으로 남겼다[8]. 이 기록에 따르면 

    • 과거 영국의 식민지였던 홍콩과 말레이시아의 교수진은 교육과 진료에서 좋은 역량을 보이었던데 반하여 

    • 한국과 대만은 교육, 진료, 연구 모두에 있어서 역량이 충분하지 않음을 지적하였다. 

사실 이러한 문제는 의사양성을 위한 의학교육만의 문제가 아니라 급속히 팽창하던 우리나라 고등교육의 일반적인 문제였다. 이러한 의학교육의 질적 차이는 영국식 ‘계몽’ 식민지체제와 일본식 ‘착취’ 식민지체제의 차이로부터 유래한다고 볼 수있고 오늘날에도 잔존하는 의학교육과 의료계의 일부 그릇된 규범은일본식 의학교육에서 비롯되었다고 볼 수 있다.


3. 의사양성을 위한 학제 논란


1990년대는 군사정권에서 문민정부로 이행하는 시대였다. 보수와 진보의 정권교체를 거치면서도 정부는 지속적으로 의사양성체제를 변화시켰고 노무현 정부에서는 의학전문대학원을 출범시켰다.이를 통하여 정부는 우리나라 대학원 교육과 관련된 고등교육의 기본방향을 일반대학원, 특수대학원 및 전문대학원으로 구분하고의학, 법학, 경영학 등의 분야를 미국과 같은 방식으로 전문대학원체제로 개편하고자 하였고, 이는 과열된 입시경쟁을 해소하고 사교육비를 절감하기 위한 조치였다. 하지만 본래 미국식 의학전문대학원제도의 장점을 충분히 살리지 못한 현재 의학전문대학원의 미래는 매우 불투명하다. 의학전문대학원은 2004년에 기존의 5개 의과대학이 의학전문대학원으로의 전환을 결정하면서 도입되었고 2006년에는 27개교가 전면 혹은 부분적으로 의학전문대학원으로 전환되었다. 미국의 전문대학원제도에서는 전문대학원 입학에서 재수를 허용하지 않지만 이러한 취지가 정치적인 이유에서 우리나라 제도에는도입되지 않으면서 의학전문대학원 입학을 위한 새로운 형태의 재수학원이 등장하였고 심지어 일부 전공의 대학교육은 의학전문대학원의 입학을 위한 사전 준비로 간주되는 상황까지 벌어졌다.


이후 이명박 정부가 들어서면서 의학교육 학제에 대한 논의는 새로운 양성을 보였다. 이명박 정부는 이전 정권이 추진한 여러 정책을 중단하고 그 이전으로의 환원을 시도하였고 의학교육도 그러한 정책적 변화의 대상에서 예외가 아니었다. 한국의학교육학회,한국의과대학장협의회, 한국의학교육협의회의 의학교육 전문가들이나 의학교육 현장의 실무자들은 의사양성체제의 이원화에 따른부작용에 대하여 우려의 목소리를 높였다. 그리고 우리나라 역사적,철학적, 문화적, 사회적, 정치적, 경제적 배경이 미국과 다르기 때문에 의학전문대학원제도의 도입이 적절하지 않음을 일관되게 지적하였다. 결국 의학전문대학원제도로 인하여 이공계 학생들의 두뇌유출 문제가 심각해지면서 정부는 2010년 7월 의학교육 학제를 대학자율의 선택제도로 변경하였다. 이로 인하여 2015학년도부터 단계적으로 의학전문대학원제도가 폐지되었고 2018년 현재는 3개의 의학전문대학원만이 남게 되었다.


의사양성체제의 이원화가 실패한 이유는 교육과 의료가 문민정부 이후 모든 정권이 시도하였던 개혁의 대상이며 주제였고 이 때문에 충분한 논의와 준비 없이 급하게 추진되면서 장기적인 전망,일관성 및 통일성을 상실하였기 때문이라고 볼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상황은 현재도 크게 다르지 않을 것 같다는 우려가 상존하고있다. 

    • 1980년대에 대만이 우리와 같이 정부 주도로 강력하게 5개의과대학을 전문대학원으로 전환하였으나 실패로 끝난 경험을 충분히 고려하지 못하였고 입시에 대한 우리 국민의 정서를 극복하지못하였기에 오늘날 이 제도는 사실상 실패한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미국식 전문대학원이 양질의 의사를 배출한다는 일부 의학교육학자들의 주장도 확실한 근거를 확인하기가 어렵고 그 이전에 과연 우리사회에서 양질의 의사가 무엇인지에 대한 개념적 규정도 없는 상황에서 사실상 입시과열의 해결책으로 도입된 의학전문대학원제도는 출발점에서부터 실패가 예고된 제도라고 볼 수도 있다. 

    • 그럼에도 불구하고 정부가 의학전문대학원으로의 전환을 독려하기 위하여지원한 교육과정 개발 연구비는 각 의과대학의 의학교육에 대한연구와 개발에 투자될 수 있었고 선진 의학교육국가와의 교류도 가능하게 하였다. 이렇게 의학교육에 공적 자금이 투입됨에 따라서의과대학 평가인증제도도 발전할 수 있었고 서남대학교 의과대학의경우처럼 충분한 양과 질의 의학교육이 시행되지 못하는 교육기관의퇴출도 가능하게 되었다. 2019년부터는 국제적 기준을 근간으로하지만 우리 기본의학교육의 상황을 고려하여 개정된 새로운 의학교육 평가인증 기준, 즉 ‘ASK 2019’ (Accreditation Standards of KIMEE 2019)가 시행됨으로써 우리나라 의학교육이 질적으로 보다 향상될 것으로 기대된다. 

이상에서 몇 가지 주요한 역사적 사안을중심으로 우리나라 의사양성체제를 살펴본 바에 따르면 전체적으로 우리나라 기본의학교육의 역량과 수준이 상승되는 가시적인 성과를거두고 있다고 평가할 수 있다.


미래 의사양성체제를 위한 제언


1. 의사양성체제에 대한 공적 투자의 확대


이상에서 역사적으로 간략하게 살펴본 우리나라 의사양성체제의문제를 해결하고 미래를 대비한 의학교육체제를 개발하기 위하여고려해야 할 사항들은 무엇인가? 먼저 정치적 차원에서 정부가 더많은 공적 자금을 의학교육에 투자하도록 유도해야 할 것이다. 보수와 진보의 정치적 이념을 넘어서 의료의 근본적인 특징 중에 하나는‘공공성’이다. 한 사회가 존속되려면 시민의 생명권이 보장되어야하고 이 생명권을 유지하는데 가장 중요한 사회적 역할을 하는 것이 바로 의료이며 이 의료를 책임지는 전문직이 바로 의사이다. 정부는 의료의 공공성에 근거하여 의사전문직의 경제적 자유를 제한하고의료비 지출을 억제하여 의료의 보장성을 강화하여 나가는 정책을 정당화할 수 있다. 그런데 문제는 우리나라에서는 사회에 공헌해야할 의사를 양성하는 체제가 대부분 민간자본에 의하여 운영되고있다는 것이다.


근대 시민혁명 이후 자유권과 관련하여 논리적인 일관성을 확보하려면 사적인 자본으로 양성된 의사전문직이 이윤을 추구하는 의료행위는 제한될 수 없다. 하지만 의료의 본질이 공공성에 있고 한사회의 존립을 위하여 의사의 전문성이 반드시 필요하다면 의사전문직의 양성은 국가가 공적인 자금으로 책임져야만 한다. 이러한 이유에서 프랑스와 독일 등 유럽 국가에서는 기본의학교육뿐만 아니라그 이후의 교육과정도 공적 자금으로 운영되고 있고 이렇게 양성된 의사는 자신의 사적인 자금이 거의 투자되지 않았기 때문에 의료의 공공성을 위하여 정부의 엄격한 경제적 관리를 받으면서도 큰 불만이 없는 것이다. 따라서 우리나라도 의료의 공공성을 인정하고 의료에 지출되는 사회적 비용을 엄격하게 관리하고자 한다면 정부가 중장기적으로 더 많은 공적 자금을 의사양성체제에 투자하여야 할것이다. 오늘날 우리 의료계의 여러 현안뿐만 아니라 의학교육의 근본적인 문제도 의료의 공공성과 민간 의사양성체제의 괴리에서발생하기 때문에 정부가 의료의 공공성에 상응하는 의무를 인식하고 공적인 투자를 하도록 유도하는데 더 많은 관심과 노력을 기울일 필요가 있다고 본다.


2. 미래 의사에게 필요한 역량으로서 불확실성에 대한 적응력 개발


공적 자금이 투자되어야 할 미래 의사양성체제를 논의하기 위해서는 먼저 미래사회를 잠정적으로라도 예측하여야 한다. 이미 잘 알려져 있는 바와 같이 국제연합(United Nations)은 ‘2030년 지속가능발전목표’를 수립하고 의료분야에서는 보장성 확대를 목표로 제시하였다[9]. 이에 맞추어 세계보건기구(World Health Organization)도 2017년에 국제적 전략 보고서를 출간하였다[10]. 또한 여러미래학자들은 미래사회에 가장 큰 영향을 주는 사건을 제4차 산업혁명이라는 이름으로 집약하여 표현하고 있다. 제4차 산업혁명의 토대가 되는 기술에 대해서도 다양한 의견이 존재하지만 소프트웨어의차원에서는 빅데이터, 머신러닝, 인공지능 등이 공통적으로 언급되고 하드웨어의 차원에서는 로봇이 중요한 기술로 간주된다. 그런데 무엇보다도 제4차 산업혁명의 핵심적 가치는 단순히 과거에 존재하지 않았던 기술의 등장과 발전이 아니라 다양한 신기술의 조합을통한 미지의 분야와 가치의 창출이다. Schwab [11]은 과학과 기술의 융합으로 인하여 제4차 산업혁명시대에는 학문 및 분야 간의 경계와구분이 더 이상 의미 없게 될 것이라고 세계경제포럼에서 전망하기도 하였다.


가까운 미래에는 지금까지 인류가 상상할 수 없는 양의 정보를생산, 축척 및 활용할 수 있을 것이고 이 정보를 인간보다 효율적으로검색, 종합, 활용할 수 있는 알고리즘을 스스로 학습하고 진화시킬수 있는 인공지능이 인간의 추론, 선택, 결정을 대신하며 인간보다 정밀하게 작동할 수 있는 로봇에 이러한 지적 능력이 탑재될 것으로 예상된다. 한 마디로 과거의 산업혁명 때 간단한 기계가 인간을단순한 육체적 노동으로부터 해방시켰다면 제4차 산업혁명 시대에는 인공지능 장착된 로봇이 인간을 모든 노동, 즉 복잡한 육체적노동과 심지어 지적 노동으로부터도 해방시킬 것이라고 예상하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전망에 따르면 인간 의사가 존립하기 위하여 경쟁하여야 할 대상은 다른 인간 의사가 아니라 로봇 의사일 것이다. 


그런데 인간 의사가 로봇 의사의 능력을 평가할 때 잊지 말아야할 것은 ‘최신이 항상 최고는 아니다’라는 캉귈렘(Georges Canguilhem)의 말이다[12]. 20세기 후반 프랑스를 대표하는 의사이며의철학자인 캉귈렘은 가장 최근에 개발되었다는 이유에서 주목받았던 여러 생명의료 신기술을 일정한 시간이 지난 후에 재평가하면서 상당히 많은 생명의료신기술이 결국에는 최고의 혁신적인 의료기술로 판명되지 않는 경우가 많다는 사실을 밝혀낼 수 있었다. 따라서 인간 의사는 로봇 의사의 최신의료기술에 압도되어서는 안 되고 비판적인 분석력과 판단력을 활용하여 최신 의료기술의 활용 여부를합리적으로 판단하여야 한다는 것이다. 아울러 이러한 분석과 판단은 인본주의와 기본적인 생명의료윤리원칙에 입각하여 이루어져야한다는 것이다.


그런데 제4차 산업혁명에 대한 모든 전망은 어디까지나 예측에불과하고 너무나도 당연한 단 한 가지 확실한 사실은 미래의 불확실성이고 이 불확실성 속에서 살아남기 위하여 필요한 역량은 끊임없는 변화에 대한 ‘적응력’(adaptability)라는 것이다. 평균수명이 연장되고 있는 시대의 미래 의사는 상상도 할 수 없는 제5차 산업혁명을직면하게 될 수도 있고 현실성이 적고 지나치게 낙관적인 전망이기는 하지만 의학의 궁극적인 목표인 모든 질병의 박멸에 성공하여더 이상 의사가 필요 없는 시대가 올 가능성도 완전히 배제할 수는없다. 결국 다른 어떠한 분야보다 급변하고 있는 의료환경에 인간의사가 적응하려면 지속적인 학습이 필수적이다. 최근에 국내에서도 논의되고 있는 ‘변혁적 의학교육’(transformative medical education)은 이러한 미래 전망에 근거하여 미래 의사의 적응력을 지속적으로 향상시키기 위하여 제안된 것이라고 이해될 수도 있다. 따라서 미래 기본의학교육의 목표는 기존의 지식이나 기술의 전수보다는 평생교육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자발적인 평생학습을 할 수 있는 동기를 스스로에게 부여하는 것이어야 할 수도 있다.


3. 미래 의사에게 필요한 역량으로서 윤리의식 함양


불확실한 미래에 대비하기 위하여 필요한 역량 이외에 의료의본질이며 미래에도 여전히 그 중요성이 감소하지 않을 역량도 있다.바로 의사의 윤리의식이다. 물론 윤리가 과연 무엇인가에 대해서는지난 수세기 동안 여러 윤리학자들 사이에서 논쟁이 이어져 오고있지만 가장 상식적이고 간단한 의미는 타인에 대한 고려와 배려이다. 따라서 의사에게는 환자에 대한 최선의 고려와 최대한의 배려가곧 윤리인 것이고 이러한 고려와 배려를 의식적으로 함으로써 형성되는 것이 윤리의식이라고 말할 수 있다. 이러한 윤리의식은 이제는국내에도 잘 알려져 있는 생명의료윤리의 4대 원칙에 명확하게 반영되어 있다[13].


    • 윤리의식은 기원전 히포크라테스 선서에 이미 표명되어 있듯이의사의 의사됨을 규정하는 초석이며 시대가 변하더라도 의료의 근본으로서 유지되어야 할 가치이고 덕목이다. 

    • 18세기 유럽을 대표하는의사인 카바니스(Pierre-Jean-Georges Cabanis)는 ‘모든 임상적 행위가 윤리적 행위이다’라고 선언하면서 의사의 윤리의식을 강조하였다[14]. 이 선언은 의학적으로 근거가 있는 임상적 행위일지라도 윤리적으로 수용할 수 없다면 결코 올바른 임상적 행위가 아니라는 의미이다. 

    • 이러한 전통을 계승하여 20세기에 들어서서 캉귈렘도‘의료는 근본적으로 가치론적 활동’이라고 규정하였다. 의료행위는 과학적 활동이면서 동시에 가치판단이라는 뜻이다.


이처럼 히포크라테스 이래로 줄곧 임상적 행위는 반드시 환자에 대한 윤리적 고려를 전제하여 왔다. 최근에 동물권이 인식되고 실험윤리가 강화되면서 불필요하게 동물에게 고통을 주거나 죽음을 초래하는 행위가 금지되는 추세이기는 하지만 오랫동안 동물은 윤리적 고려의 대상이 아니었다. 하지만 인간의 인간에 대한 모든 행위에 대해서는 서양과 동양의 인류 역사 전체에서 원칙적으로 윤리적고려가 배제되지 않았고 제2차 세계대전 당시 나치에 협조하였던 의사들처럼 특정한 사회적 또는 정치적 이념에 근거하여 특정한민족, 젠더, 연령 등에 대하여 차별하는 모든 행위는 강력하게 비판받아 왔다.


가까운 미래에 빅데이터를 초인간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인공지능이 탑재된 로봇 의사가 출현하더라도 로봇 의사와 인간 의사의결정적인 차이를 나타내는 사실, 즉 인간 의사만이 윤리적 판단의주체가 될 수 있다는 사실은 변하지 않을 것이라는 점이다. 윤리적추론과 선택은 빅데이터를 활용한 정교한 알고리즘으로 인간의 윤리와 유사하게 구현할 수 있다고 하더라도 로봇 의사는 근본적으로윤리적 책임을 질 수 없다는 한계가 있다. 최근에 자율주행 자동차가발생시킨 교통사고의 법적 책임을 누가 지어야 하는가라는 문제에대하여 자동차, 운전자가 아닌 탑승자, 소유자, 개발자나 개발업체등의 관계에서 점차로 수렴된 의견에 접근하고 있지만 윤리적 책임의 문제는 법적 책임의 문제가 해소되거나 해결되더라도 여전히남는다. 그 이유는 적어도 아직까지는 윤리적 판단은 윤리적 책임을질 수 있는 주체인 인간만이 가능하다고 생각되기 때문이다.


그런데 올바른 임상적 판단, 즉 윤리적 판단은 인간과 사회에대한 심층적이고 종합적인 이해, 곧 인문학과 사회과학의 지식과지혜를 전제해야만 가능하다. 인간은 무의식적이고 직관적으로 일차적인 윤리적 판단을 내리지만 이러한 판단은 완전한 윤리적 판단이 아니다. 윤리적 판단은 의식적이고 체계적인 반성을 거쳐서만완성될 수 있기 때문이고 이를 위해서는 인문사회적 교양이 반드시 필요하다.


그런데 우리나라 의과대학 학생들은 수학과 자연과학에만 치중된 왜곡되고 편협한 중등교육과정을 마친 후에 인문학적 및 사회과학적 기본교양을 검증하지 않는 입시제도를 통과하여 의과대학에입학한다. 따라서 중등교육과정의 근본적인 개혁이 실현되기 전까지는 이렇게 부족한 인문학과 사회과학에 대한 교육은 유럽과 북미의 기본의학교육보다 더 강화되어야 할 것이다. 우리나라의 교육과입시 현실을 고려하면 국제적으로 기본의학교육의 제3의 축으로인정되고 있는 인문사회의학의학이 해외에서보다 더 강조될 필요가있는 것이다. 이렇게 하지 않는다면 우리나라 의과대학 졸업생의인문사회적 교양수준은 과학적 지식과 기술의 수준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국제적 수준에 도달하지 못하게 될 것이다. 물론 한국형 인문사회의학 교육과정을 개발하는 것은 남겨진 과제이다. 올바른 윤리적판단과 행위를 가능하게 하는 인문사회적 교양은 인터넷을 통하여쉽게 얻을 수 있는 단편적 정보와 지식의 총합이 아니다. 인문사회적교양은 종합적이고 총체적인 사유를 가능하게 하는 토대이다. 적어도 의과대학의 기본의학교육은 우리나라 의과대학 학생들에게 부족한 언어능력(literacy, 글을 읽고 쓸 줄 아는 능력)을 학습하는 과정을반드시 포함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우리나라의 의사양성체제는 의사 이전에 로봇과 분명하게 차별화되는 인간을 양성하는 체제를지향하여야 할 것으로 보인다.


결 론


19세기 말 선교사와 일본인을 통하여 도입된 서양의학은 그 역사적, 철학적, 문화적, 사회적, 정치적, 경제적 가치가 누락된 채로 우리에게 전해졌고, 특히 일제 강점기에 조선인에게는 주류 정통의학이 아니라 이념적으로 ‘변질된’(degenerated) 의학이 교육되었다. 그 영향으로 오늘날까지도 우리나라에서 의학은 기초의학과 임상의학을 중심으로 교육되고 있고 위계적인 차별과 구조적인 폭력이 의학계의 규범으로 정착되었다. 해방 이후에는 미국의 절대적인 영향을 받으면서 의사양성체제가 미국화 되었지만 1980년대 이후에는 의학교육의 한국화가 점차로 진행되었다. 이 과정에서 몇몇 의사는 사회적으로 이슈가 된 의료윤리문제를 야기하였고 이를 예방및 해결하고자 인문사회의학이 의학교육과정에 도입되기 시작하였다. 하지만 중등교육과정에서 인문사회적 교양을 충분히 함양하지 못한 우리나라 의과대학 학생들에게는 인문사회의학교육이 더욱강화될 필요가 있다. 특히 제4차 산업혁명시대에는 로봇 의사와 차별화되기 위해서 인간 의사에게 더 높은 윤리의식이 요구될 것으로 보인다. 이렇게 인문사회의학교육을 강화하고 미래의 변화된 의료환경에 잘 적응할 수 있는 의사를 양성하는 데는 정부의 적극적인 공적 재정지원이 필요하다. 개선된 미래 의사양성체제는 유능한 의사 이전에 존경받을만한 인간을 양성할 수 있는 체제로 발전하여 나아가길 기대한다.



Western medicine was first introduced to Korea by Christian missionaries and then by the Japanese in

the late 19th century without its historical, philosophical, cultural, social, political, and economic values

being communicated. Specifically,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era, only ideologically ‘degenerated’ medicine

was taught to Koreans and the main orthodox stream of medicine was inaccessible. Hence, Korean medical

education not only focuses on basic and clinical medicine, but also inherited hierarchical discrimination

and structural violence. After Korea’s liberation from Japan and the Korean war, the Korean medical education

system was predominantly influenced by Americans and the Western medical education system was adopted

by Korea beginning in the 1980s. During this time, ethical problems arose in Korean medical society and

highlighted a need for medical humanities education to address them. For Korean medical students who

are notably lacking humanistic and social culture, medical humanities education should be emphasized

in the curriculum. In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human physicians may only be distinguishable from

robot physicians by ethical consciousness; consequentially, the Korean government should invest more of

its public funds to develop and establish a medical humanities program in medical colleges. Such an improved

medical education system in Korea is expected to foster talented physicians who are also respectable people.

Keywords: Basic medical education, History, Korea, Medical ethics, Medical humanities


Corresponding author

Hee-Jin Han

Department of Medical Humanities, Korea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73 Inchon-ro, Seongbuk-gu, Seoul

02841, Korea

Tel: +82-2-2286-1172

Fax: +82-2-928-1647

E-mail: heejinhan@korea.ac.kr

https://orcid.org/0000-0002-8404-1912

Received: June 22, 2018

1st revised: June 26, 2018

Accepted: June 26, 2018


우리나라 의사양성체제의 역사와 미래
History and Future of the Korean Medical Education System
Duck-Sun Ahn1 Hee-Jin Han1 
Department of Medical Humanities, Korea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Seoul, Korea(1)
의학교육논단 2018 6;20(2):65-71
DOI : https://doi.org/10.17496/kmer.2018.20.2.65
Keyword : Basic medical education, History, Korea, Medical ethics, Medical humanities
 


잠재교육과정의 어떤 경험이 학생들에게 프로페셔널리즘에 대하여 가르쳐주는가? (Acad Med, 2011)

Which Experiences in the Hidden Curriculum Teach Students About Professionalism?

Orit Karnieli-Miller, PhD, T. Robert Vu, MD, Richard M. Frankel, PhD, Matthew C. Holtman, PhD, Stephen G. Clyman, MD, Siu L. Hui, PhD, and Thomas S. Inui, MD, ScM




최근 몇 년 동안, 다양한 형태의 내러티브 적 서술과 성찰이 전문성 개발을 향상시키고 전문직업적인 가치를 가르치기 위해 광범위하게 사용되었습니다 .1-4 학생 서사를 사용하는 rationale는 [비공식적 인 또는 "숨겨진"교과 과정에 대한 학생들의 생생한 경험과 일상적인 immersion이 전문성 발달에 강력한 영향을 미친다는 것]이다.5-7 이러한 경험은 조직의 규범 및 의식에 대한 학생의 사회화에 영향을주고, 학생과 교사, 환자 및 의사 간의 대인 관계적 관례convention을 가르치고, 다른 전문가들과의 관계의 복잡성을 보여줍니다 .8

In recent years, narrative writing and reflection in various forms have been widely used to enhance professional development and inculcate professional values.1–4 The rationale for using student narratives is a belief that the lived experience of students and their day-to- day immersion in this informal or “hidden” curriculum are a powerful influence on their professional development.5–7 These experiences influence students’ socialization into the norms and rituals of the organization, teach the conventions of interpersonal processes between students and teachers and patients and physicians, and demonstrate the complexities of relationships with other professionals.8


부정적인 역할 모델링에 노출되면 냉소적으로되고 부정적인 전문직업적 태도와 행동을 채택 할 가능성이 높아질 수 있습니다 .10 성찰적인 글쓰기와 피드백은 이러한 위험을 완화 할 수 있습니다. 많은 경험 중에서 하나의 경험을 선택하는 것은 분별discernment적 행동으로 묘사 될 수 있습니다 .11

Exposure to negative role modeling, may increase the likelihood of becoming cynical and adopting negative professional attitudes and behaviors.10 Reflective writing and feedback may mitigate this risk. Selecting one experience from among many could be described as an act of discernment.11


본 연구는 의과 대학생들의 숨겨진 커리큘럼에서의 학습 경험과 이들 경험이 전문성과 관련된 범주에 속하는 방법 사이의 관계를 조사하는데 초점을 맞추고있다.

The present study focuses on exami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medical students’ learning experiences in the hidden curriculum and how they attribute these experiences to the categories associated with professionalism.


Method


Many terms, definitions, and taxonomies of professionalism are available in the broad-ranging literature that describe the attributes of the “good” physician, professional values, professional ethics, and commitments of medicine.5,21–23 One taxonomy that might be considered a reasonable gold standard emerged from a working conference cosponsored by the AAMC and NBME.20 The qualities of the good physician in this formulation were captured in eight categories: 

  • (1) altruism, 

  • (2) responsibility and accountability, 

  • (3) excellence and scholarship, 

  • (4) respect, 

  • (5) honor and integrity, 

  • (6) caring/compassion/communication, 

  • (7) leadership, and 

  • (8) knowledge and skills.


학생 서사

The student narratives


Since February 2004, third-year IUSM medical students on their two-month internal medicine clerkship have been required to keep a professionalism journal. Accessing a password-protected Web site, they are asked to record narratives of two rotation experiences, in which they were present as participants or observers, that manifested professionalism(or lack thereof).9,19 After writing the narrative in a free-text area, they also check off any of the eight professionalism categories that they consider relevant to their experience. 


At the end of the clerkship, the clerkship director—the only person who has access to these narratives—collates and duplicates them for use in a small-group discussion. Group members first read through all of the narratives and then are asked to identify and read aloud one or more that caught their attention. A faculty-facilitated discussion of professionalism issues embedded in the selected narratives then ensues. Once the discussion is completed, the narratives are warehoused until the students graduate (to assure students that they are protected from any risk of reprisal).


분석 

Analysis


We used several statistical analyses to explore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students’ experiences (domains and themes) that emerged in our earlier thematic analysis9 and the professionalism categories checked off by the student–authors.


결과

Results


학생 경험의 개괄

Brief overview of student experiences


학생들의 경험 분석은 프로페셔널리즘에 관한 문헌에서 보여지는 기존의 범주 언어가 아닌 자유 텍스트 서술과 학생의 "살아있는"경험의 자연어에 뿌리를두고 있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학생들의 경험을 묘사하는 주제 중 일부는 존경, 보살핌, 책임감과 같은 전문직업성과 관련된 잘 알려진 가치와 행동 용어를 사용하였다. 한편, 어떤 학생의 서술은 문헌에서 특별히 인용되지 않은 행동들을 포함했다.

The analysis of students’ experiences was rooted in the free-text narratives and the natural language of student “lived” experience, not in any predefined categorical language drawn from specific literature about professionalism. Some of the themes describing student experiences, nevertheless, used well- known values and behavioral terminology related to professionalism, such as respect, caring, and responsibility, whereas other student narratives included behaviors not specifically cited elsewhere in the professionalism literature, such as 

    • capitalizing on teaching opportunities, 

    • creating an (un)welcoming environment, and 

    • spending time taking care of patients, patients’ education and understanding.


학생 경험의 카테고리 분포

Distribution of students’ experiences within and across professionalism categories


75%이상의 행동이 하나 이상의 카테고리에 해당됨. 

Table 1 shows the associations students made between their experiences and the categories of professionalism. More than three-fourths (77%) indicated that more than one category was relevant to their narrative. Students checked off a mean of 2.9 categories for each narrative (SD  1.8, range 0–8), suggesting that the narratives are rich with heuristic value.





학생 경험에서 전문직업성 카테고리 예측

Prediction of professionalism categories from students’ experiences


Table 2 displays associations between varieties of students’ experiences and professionalism categories that are specific to the pair, as demonstrated by logistic regression models.


전문직업성 카테고리와 가장 많이 유의하게 연관된 학생 경험은 의사소통과 팀으로 일하는 것 이었다

The student experience that has a significant relationship with more professionalism categories5 than any other (including altruism, honor and integrity, excellence and scholarship, knowledge and skills, and leadership)is communicating and working in teams (for illustrative quotes, see Table 3).






학생이 토론을 위해 선택한 네러티브에 존재하는 경험과 전문직업성 카테고리

Experiences and professionalism categories present in narratives students selected for discussion


During the six-month study period, 12 small-group discussions were facilitated by two of the authors (T.S.I. and R.M.F.). During that period, 27 out of the 272 narratives were selected by the students for discussion in these groups. Table 4 displays the distribution of student experience and professionalism categories checked off within this subset of narratives.




고찰

Discussion


우리는이 연구 결과가 성찰적 내러티브를 전문직업성을 가르치는 도구로 사용하기로 선택한 의대의 교수진에게 고무 될 것으로 기대합니다. 학생 내러티브에 설명 된 경험은 다양하며 기존의 모든 전문성 범주를 다룹니다. 우리의 데이터에 따르면 학생들은 숨겨진 / 비공식 커리큘럼에서 자신의 경험을 직접적으로 그리고 다양한 차원의 전문성에 연결합니다.

We hope the findings of this study will be encouraging to faculty in medical schools who have chosen to use reflective narratives as a tool to teach professionalism. The experiences described in the student narratives are diverse and touch on all of the conventional categories of professionalism. our data suggest that students do connect their experiences in the hidden and informal curriculum directly and immediately to various dimensions of professionalism.


이 연구 결과는 또한 학생 관점에서 전문직업성을 구체화 할 수있는 구체적인 행동에 대한 이해와 학생이 전문직업성에 대해 적극적으로 학습하고있는 상황에 대한 이해를 심화시켰다. 그 행동에는 의학 - 임상 상호 작용과 교육 및 학습 환경에서의 경험이 포함되었습니다. 로지스틱 회귀 분석 결과에 따르면 학생들은 임상 환경 (예 : 환자, 가족 및 동료와의 관계)에서 실행enact되어야하는 행동과 자신과 교수 간의 관계에서 중요한 것으로 여겨지는 행동을 구분한다.

The findings in this study also deepened our understanding of the specific behaviors that may embody professionalism from a student perspective25,26 and of the circumstances in which students are actively learning about professionalism. The behaviors included medical–clinical interactions and the experiences in the teaching and learning environment. Th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results suggest that students differentiate between behaviors that are supposed to be enacted in the clinical setting (i.e., with patients, family members, and colleagues) and those that are seen as important in relationships between themselves and faculty.


이타주의, 책임, 명예와 성실성, 존중을 나타내는 행동은 의학-임상 상호 작용 영역에 자리 잡고 있지만 탁월함, 리더십, 지식과 기술은 교육 및 학습 환경에서 관찰되는 것이다. 조사 결과는 배려와 연민, 의사 소통이 구체적으로 교육 및 학습 영역에서 점검 항목 중에서 부정적으로(덜 자주) 관련되었으며, 이는 학생들은 [선생님이 학생들에게compassionate를 갖는 것을 기대하지 않는다는 것]을 보여줍니다.

Behaviors manifesting altruism, responsibility, honor and integrity, and respect are situated in the medical–clinical interaction domain, whereas excellence, leadership, and knowledge and skills are observable in the teaching and learning environment. The findings show that caring, compassion, and communication specifically was negatively (less frequently) associated with checked items in the teaching and learning domain, suggesting that students are not expecting their teachers to be compassionate toward them as students.


Ginsburg와 동료들은 전문직업적 가치의 상충을 경험한 학습자는, 종종 그러한 갈등이 만들어내는 "이중 구속"에서 벗어나기위한 전략으로 "해체step out of"를 사용한다고 주장한다. 분리적dissociative 대처 전략이 전문직업적 정체성 형성에 미칠 수있는 부정적인 영향은 더 큰 관심을 가질 만하다.

Ginsburg and colleagues28 argue that learners facing a conflict of professional values often use “dissociation” as a strategy to “step out of” the “double-bind” that such a conflict creates for them. The potential negative impact of dissociative coping strategies on professional identity formation deserves further attention.


팀 내에서 의사 소통하고 일하는 것(communicating and working within teams)은 5 개의 전문성 범주 (의학 - 임상 상호 작용 및 교육 및 학습 환경 영역 모두)의 핵심 동력 인 것으로 보입니다. 비록 이 주제에서 서술은 상대적으로 적었지만, 이러한 경험은 다양한 전문성 범주의 생각을 이끌어내는 강력한 것들이었으며, 아마도 환자 간호와 학생 학습 모두를 위한 팀웍의 특별한 중요성을 나타낼 수 있었다.

One experience, communicating and working within teams, seems to be a key driver for five professionalism categories (in both the medical–clinical interactions and teaching and learning environment domains). Even though relatively few narratives were identified within this theme, these experiences were powerful ones that elicited thoughts of various professionalism categories, possibly indicating the special importance of teamwork for both patient care and student learning.


그러나 팀워크 그 자체가 전문성의 속성으로 명시 적으로 고려되지 않는다는 것은 흥미 롭다. 학생의 네러티브를 비롯해서 퀄리티 및 환자 안전에 관한 문헌이 급증함에 따라 전문성의 속성으로서 팀과 팀워크의 중요성을 다시 생각하게된다.

Yet it is interesting that teamwork in itself is not explicitly considered an attribute of professionalism.21 Student narratives, as well as a burgeoning literature in quality and patient safety, may give us pause to reconsider the importance of teams and teamwork as an attribute of professionalism.


다양한 전문성 범주와 긍정적 내러티브 사이의 중요한 관계, 그리고 긍정적 내러티브가 대부분이었다는 사실은 reassuring하며, 네러티브와 성찰의 사용 또는 잠재 교육과정의 일반적 측면에서 전문직업성의 lapse가 파다하다는 것에 대한 우려를 덜어준다. 학생들은 긍정적 (부정적인) 역할 모델을 통해 다양한 형태의 전문직업성에 대해 알아보고 감사하고 배우며 전문가로서 우리에게 긍정적으로 반영되는 행동을 인정하고 감사하게 생각합니다. 특히 긍정적 인 내러티브는 우수성과 지식 및 기술에 대해 배우는 것과 관련이있는 것으로 보입니다.

The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various professionalism categories and positive narratives, and the fact that the positive narratives were in the majority, is reassuring and may alleviate general concerns about overweighting lapses of professionalism27 in the use of narrative and reflection and in the hidden curriculum in general. It seems that students notice, appreciate, and learn about various forms of professionalism from positive (as well as negative) role models, and acknowledge and appreciate actions that reflect positively on us as professionals. In particular, positive narratives seem to be associated with learning about excellence and knowledge and skills.




 2011 Mar;86(3):369-77. doi: 10.1097/ACM.0b013e3182087d15.

Which experiences in the hidden curriculum teach students about professionalism?

Author information

1
Department of Community Mental Health and Center for Excellence in Patient-Professional Relationships in Health Care, University of Haifa, Haifa, Israel. OritKM@gmail.com

Abstract

PURPOSE: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learner experience in the "hidden curriculum" and student attribution of such experiences to professionalism categories.

METHOD:

Using the output of a thematic analysis of 272 consecutive narratives recorded by 135 students on a medical clerkship from June through November 2007, the authors describe the frequency of these experiences within and across student-designated Association of American Medical Colleges-National Board of Medical Examiners professionalism categories and employ logistic regression to link varieties of experience to specific professionalism categories.

RESULTS:

Thematic analysis uncovered two main domains of student experience: medical-clinical interaction and teaching-and-learning experiences. From a student perspective the critical incident stories evoked all professionalism categories. Most frequently checked off categories were caring/compassion/communication (77%) and respect (69%). Logistic regression suggested that student experiences within the teaching-and-learning environment were associated with professionalism categories of excellence, leadership, and knowledge and skills, whereas those involving medical-clinical interactions were associated with respect, responsibility and accountability, altruism, and honor and integrity. Experiences of communicating and working within teams had the broadest association with learning about professionalism.

CONCLUSIONS:

Student narratives touched on all major professionalism categories as well as illuminating the contexts in which critical experiences emerged. Linked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analysis identified those experiences that were associated with learning about particular aspects of professionalismExperiences of teamwork were especially relevant to student learning about professionalism in action.

PMID:
 
21248599
 
DOI:
 
10.1097/ACM.0b013e3182087d15


생각에서 길을 잃다 - 인간의 마음의 한계와 미래 의학(N Engl J Med, 2017)

Lost in Thought — The Limits of the Human Mind and the Future of Medicine

Ziad Obermeyer, M.D., and Thomas H. Lee, M.D.




좋은 옛날에, 임상의는 그룹으로 생각했습니다. 와드 또는 방사선과 판독실의 "라운딩"은 동료가 하나의 정신으로 해결하기 어려운 문제에 대해 함께 작업 할 수있는 기회였습니다.

In the good old days, clinicians thought in groups; “rounding,” whether on the wards or in the radiology reading room, was a chance for colleagues to work together on problems too difficult for any single mind to solve.


오늘날 생각은 매우 다르게 보입니다. 우리는 컴퓨터 화면의 푸른 빛을 쬐며 혼자서 그렇게합니다.

Today, thinking looks very different: we do it alone, bathed in the blue light of computer screens.


우리의 무릎반사는 컴퓨터를 비난하는 것이지만, 이 변화의 뿌리는 훨씬 더 깊어집니다.

Our knee-jerk reaction is to blame the computer, but the roots of this shift run far deeper.



컴퓨터는, 문제가되는 것이 아니라, 해결책입니다. 그러나 21 세기 의학의 복잡성을 관리하기 위해 그것들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우리가 생각하고 의학 교육과 연구의 구조에 대해 생각하는 방식에 근본적인 변화가 필요할 것입니다.

Computers, far from being the problem, are the solution. But using them to manage the complexity of 21st-century medicine will require fundamental changes in the way we think about thinking and in the structure of medical education and research.



역설적이지만, 임상의가 일상적으로 생각을 할 시간이 없다고 느낄 때, 깊은 생각에 대한 필요성은 그 어느 때보다도 절실합니다. 면역학, 유전학, 시스템 생물학의 진보에 힘 입어 의료 지식은 급속도로 확대되고있다. 환자는 나이가 들어 병이 풍부 해지고 약물이 많이 투여됩니다. 전문가는 더 많은 전문가를 만나고 더 많은 진단 테스트를 거쳐 전자 건강 기록 (EHR) 데이터를 기하 급수적으로 계산합니다. 모든 환자는 과거의 궤도와 현재 상태에 대한 방대한 양의 정보로 "큰 데이터"문제에 직면 해 있습니다.

It’s ironic that just when clini-cians feel that there’s no time in their daily routines for thinking, the need for deep thinking is more urgent than ever. Medical knowledge is expanding rapidly, with a widening array of ther-apies and diagnostics fueled by advances in immunology, genet-ics, and systems biology. Patients are older, with more coexisting illnesses and more medications. They see more specialists and undergo more diagnostic testing, which leads to exponential accu-mulation of electronic health rec-ord (EHR) data. Every patient is now a “big data” challenge, with vast amounts of information on past trajectories and current states.


이 모든 정보는 우리의 생각을 하는 집단적 능력을 제한시킨다. 의료 의사 결정이 복잡하게 복잡해졌습니다.

All this information strains our collective ability to think. Medical decision making has become maddeningly complex.


따라서 우리가 이러한 결정 중 많은 부분을 잘못 이해하게 된 것은 놀라운 일이 아닙니다. 대부분의 검사는 음성으로 돌아 오지만 오진은 흔합니다 .1 응급 치료를받는 환자는 병원에 불필요하게 입원하는 경우가 많지만 집에 돌아간 후 갑자기 사망하는 경우도 많습니다 .2 전반적으로 우리는 환자에게 우리가 기대하는 것보다 훨씬 적은 혜택을 제공합니다. 이러한 실패는 의사들 사이에 심한 불만족과 번아웃을 초래하고, 의료 시스템의 재정적 지속 가능성을 위협합니다.

So, it’s not surprising that we get many of these decisions wrong. Most tests come back negative, yet misdiagnosis remains common.1 Patients seeking emergency care are often admitted to the hospital unnecessarily, yet many also die suddenly soon after being sent home.2 Overall, we provide far less benefit to our patients than we hope. These failures contribute to deep dissatisfaction and burnout among doctors and threaten the health care system’s financial sustainability.



우리의 도전 과제의 근본 원인이 복잡성이라면, 그 해결책도 간단하지 않을 것입니다.

If a root cause of our challenges is complexity, the solutions are unlikely to be simple.


우리는 모두 어떤 보살핌이 필요한지 식별하는 것이 얼마나 어려운지 알고 있습니다.

we all know how difficult it’s become to identify what care is necessary.


우리는 의사가 적은 치료를 제공하는 것에 대해 보상 할 수 있지만, 아마도 그 결과는 더 나은 치료가 아니라 그저 더 적은 치료일 수 있습니다.

we can reward physicians for delivering less care, but the end result may simply be less care, not better care.


해결책을 향한 첫 번째 단계는 인간의 정신력과 의학의 복잡성 사이의 심오한 불일치가 있음을 인정하는 것입니다. 오래 전에, 우리는 우리의 선천성 감각기관 만으로는 신체의 내부 동작을 면밀히 조사하기에 부적합하다는 것을 깨달았습니다. 그래서 우리는 현미경, 청진기, 심전도 및 방사선 사진을 개발했습니다. 마찬가지로, 우리의 선천적 인지 능력만으로 새로운 세기의 건강과 질병의 신비를 해결할 수 있습니까? 현재 우리 헬스케어 시스템은 이에 대해서 긍정적인 이유를 거의 주지 않는다.

The first step toward a solution is acknowledging the profound mismatch between the human mind’s abilities and medicine’s complexity. Long ago, we realized that our inborn sensorium was inadequate for scrutinizing the body’s inner workings — hence, we developed microscopes, stethoscopes, electrocardiograms, and radiographs. Will our inborn cognition alone solve the mysteries of health and disease in a new century? The state of our health care system offers little reason for optimism.



그러나 희망이 있습니다. 이미 데이터 과학이 중대한 문제로 우리를 도울 수 있다는 징후가 있습니다.

But there is hope. Already, there are indications that data science can help us with critical problems.



심전도 판독의 어려움을 생각해보십시오. 우리는 Holter 모니터를 여러 날 동안 기록하는 것만 큼은 아니지만 10 초간의 추적에서 파형을 진정으로 "읽습니까"? 그러나, 반대로 알고리즘은 모든 심박동을 체계적으로 분석 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그들은 새로 발견 된 예측 자의 메커니즘에 관한 기초 연구를 안내 할 수 있습니다.

Consider the challenge of reading electrocardiograms. can we ever truly “read” the waveforms in a 10-second tracing, let alone the multiple-day recording of a Holter monitor? Algorithms, by contrast, can systematically analyze every heartbeat. And they could guide basic research on the mechanisms of newly discovered predictors.


방대한 양의 EHR 데이터를 분석하기 위한 알고리즘도 배포되어, 2 형 당뇨병에는 3 가지 하위 유형이 있으며, 각각 자체 생물학적 특성 및 질병 궤적이 있음을 시사합니다.

Algorithms have also been deployed for an analysis of massive amounts of EHR data whose results suggest that type 2 diabetes has three subtypes, each with its own biologic signature and disease trajectory.4



알고리즘이 의학에 깔린 사고를 변형시킬 것이라는 것에는 의심의 여지가 없다. 유일한 변화는 이 변환을 이끌 세력이 의학 내부에 있느냐 또는 외부에 있느냐 여부입니다. 의학이 자신의 미래를 통제하고자 한다면, 의사들은 알고리즘을 포용해야 할 뿐만 아니라, 그것을 개발하고, 평가할 수 있어야 하며, 기계학습을 의료 영역으로 가져와야 한다.

There is little doubt that algo-rithms will transform the think-ing underlying medicine. The onlyquestion is whether this transfor-mation will be driven by forces from within or outside the field. If medicine wishes to stay in con-trol of its own future, physicians will not only have to embrace algorithms, they will also have to excel at developing and evalu-ating them, bringing machine-learning methods into the medi-cal domain. 


기계 학습은 이미 천체 물리학에서 생태학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분야에서 혁신을 일으켰습니다.

Machine learning has already spurred innovation in fields ranging from astrophysics to ecology.


천체 물리학 자나 생태 학자 인 현장의 전문가가 연구 의제를 설정하고 관련 데이터에 기계 학습을 적용하는 일상적인 비즈니스를 이끌고 있습니다.

experts in the field — astrophysicists or ecologists — set the research agenda and lead the day-to-day business of applying machine learning to relevant data.


대조적으로, 의학에서 임상 기록은 비 임상 분야의 연구자를위한 데이터의 보물로 간주됩니다.

In medicine, by contrast, clinical records are considered treasure troves of data for researchers from nonclinical disciplines.


의사는 이 work의 intellectual center에서 멀리 떨어져 있으며, 알고리즘 개발 방법이나 임상 적용시 발생할 수있는 상황에 대해 생각하는 경우가 거의 없습니다.

Physicians are far from the intellectual center of the work and rarely engage meaningfully in thinking about how algorithms are developed or what would happen if they were applied clinically.


인간의 결정에서 배우는 알고리즘은 다음과 같은 인간의 실수도 배울 것이다.

  • 과다 테스트 및 과다 진단,

  • 돌봄에 대한 접근성이 없는 학생을 알아 차리지 못하고,

  • 지불 할 수없는 사람들에 대한 과소 검사고

  • 미러링 인종 또는 성별 편견.

이러한 사실을 무시한다면, 현재의 헬스케어 시스템이 가지고 있는 문제를 자동화하고 심지어 확대하는 결과를 낳을 것입니다 .5 이러한 문제를 인식하고 취소하려면 임상에서의 의사결정이나 그 과정에서 생성되는 데이터에 대한 깊이있는 지식이 필요합니다. 즉 알고리즘을 의사를 대체하는 것이 아니라, 의사의 thinking partner로서 보는 관점이 중요하다.

Algorithms that learn from human decisions will also learn human mistakes, such as overtesting and overdiagnosis, failing to notice people who lack access to care, undertesting those who cannot pay, and mirroring race or gender biases. Ignoring these facts will result in automating and even magnifying problems in our current health system.5 Noticing and undoing these problems requires a deep familiarity with clinical decisions and the data they produce — a reality that highlights the importance of viewing algorithms as thinking partners, rather than replacements, for doctors.


궁극적으로, medicine 그 자체가 그러하듯, medicine에서 기계학습은 팀 스포츠가 될 것입니다. 그러나 팀은 새로운 선수를 필요로 할 것입니다. 새로운 선수란 바로, 통계 및 컴퓨터 과학자로서 알고리즘 개발 및 평가에 의미있는 기여를하는 임상의입니다. 오늘날의 의학 교육 시스템은 이러한 요구를 충족시킬 준비가되어 있지 않습니다. 학부 의예과에서 지금 요구하는 것들은 어리석을 정도로 구식입니다. 의학 교육은 임상 실습에서 알고리즘을 개발, 평가 및 적용하는 데 필요한 데이터 과학, 통계 또는 행동 과학에서 의사를 훈련시키는 데별로 도움이되지 않습니다.

Ultimately, machine learning in medicine will be a team sport, like medicine itself. But the team will need some new players: clinicians trained in statistics and computer science, who can contribute meaningfully to algorithm development and evaluation. Today’s medical education system is ill prepared to meet these needs. Undergraduate premedical requirements are absurdly outdated. Medical education does little to train doctors in the data science, statistics, or behavioral science required to develop, evaluate, and apply algorithms in clinical practice.


데이터 과학 및 의학의 통합은 생각만큼 멀지 않습니다. 세포 생물학 및 유전학은 한 때 의학 연구에서 낯선 것이었지만, 지금은 의학 연구의 핵심이다. 의학교육은 모든 의사들이 이 분야의 informed consumer가 되게 만들었다. 비슷한 노력이 데이터 과학에서도 시급히 필요합니다.

The integration of data science and medicine is not as far away as it may seem: cell biology and genetics, once also foreign to medicine, are now at the core of medical research, and medical education has made all doctors into informed consumers of these fields. Similar efforts in data science are urgently needed.





 2017 Sep 28;377(13):1209-1211. doi: 10.1056/NEJMp1705348.

Lost in Thought - The Limits of the Human Mind and the Future of Medicine.

Author information

1
From Brigham and Women's Hospital and Harvard Medical School, Boston (Z.O., T.H.L.), and Press Ganey, Wakefield (T.H.L.) - both in Massachusetts.
PMID:
 
28953443
 
PMCID:
 
PMC5754014
 
DOI:
 
10.1056/NEJMp1705348


학부의학교육의 잠재교육과정: 의과대학생의 교육에 대한 인식의 질적연구(BMJ, 2004)

The hidden curriculum in undergraduate medical education: qualitative study of medical students’ perceptions of teaching

Heidi Lempp, Clive Seale




Introduction


Methods


We undertook a qualitative investigation of the content of the hidden curriculum and how it is delivered to medical students.



Results


개인적인 격려

Personal encouragement


36 명의 학생 중 26 명은 긍정적 인 역할 모델로 46 명의 특정 스태프 멤버를 확인하여 격려와 동기 부여에 영향을 미쳤습니다. 교사, 학생, 환자 및 동료와의 의사 소통에 대한 이러한 노력은 높은 평가를 받았습니다.

Among the 36 students, 26 identified 46 specific staff members as positive role models who had an encouraging and motivating impact on them. These teachers’ commitment to teaching and to communicating with students, patients, and colleagues were highly rated.


언급 된 롤모델의 대부분은 남성 의사 (27/46)였으며, 이들은 지식, 전문 권력 및 권한과 관련하여 특히 중요하게 여겨졌다. 여성 롤모델 (19/46)은 더 많은 "인간적"특성을 보여주었고, 즉 관용, 정직, 존중, 학생에 대한 지지 등이었다.

Most of the role models mentioned were male doctors (27/46), who were seen particularly valued in relation to their knowledge, professional power, and authority. The female medical role models (19/46) were said to convey more “human” attributes: support tolerance, integrity, respectfulness, and towards students.



우연한 가르침

Haphazard teaching


대부분의 학생들 (25/36)은 임상 교수에 의한 교육의 haphazard한 특성을 언급했고, 이는 주로 특히 명시된 시간표를 무시하는 방식이었다. 20 명의 학생들은 수업 세션에 대한 예상치 못한 변화가 시간 낭비이며 매우 보편적이라고 지적했습니다. 최종 학년 학생들 (6/7)은 일부 선생님들에게 헌신이 부족하고 교수 기술이 부족한 것으로 여겨지는 것에 대해 특히 비판적이었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대부분의 학생들은 교사가 교육 세션에서 참석하지 않은 것을 위해 일련의 변명을했습니다. 임상 교사들이 가르침에 대한 열의가 부족하다는 인식으로 인해 학생들은 종종 심하게 동기부여를 상실했다. 이로 인해 학생과 교사 모두 결석이 반복되는 사이클이 반복되었습니다.

Most students (25/36) described the haphazard nature of teaching, particularly by clinical staff, who often disregarded the overt timetable. Twenty students indicated that unscheduled changes to teaching sessions were time wasting and very common. Final year students (6/7) were especially critical of what they perceived as a lack of commitment and poor teaching skills in some teachers. Despite this, most students gave a series of excuses to explain teachers’ absence from educational sessions. Often students were profoundly demotivated by their perception that many clinical teachers had a low level of commitment to teaching, and this led to a repetitive cycle of non-attendance by students and teachers alike.


위계의 중요성

Importance of hierarchy


학생들이 의학에서 위계 구조의 중요성에 대해 배운 주요 방법 중 하나는 이전 연구에서 지적 된 특징인 굴욕을 주는 교육을 통한 것입니다 .57 총 21/36 명의 학생들이 29 가지 굴욕 사건을보고했습니다.

One of the principal ways in which students learnt about the importance of hierarchy in medicine is through teaching that involved humiliation, a feature noted in previous studies.57 In total, 21/36 students reported 29 incidents of humiliation:


보고 된 거의 모든 가해자는 남성 의사 (28/29 사건)였습니다. 전형적으로 사건은 병동 회진 중에 발생했으며, 학생이 같은 반복되는 질문에 답을 못하거나(11 건) 부적절한 임상 검진에 대해서 지적받을 때(8 건)였다.

Almost all the reported perpetrators were male doctors (28/29 incidents). Typically the incidents occurred in ward rounds, when students were unable to answer the same repeated question (11 incidents) or when they were criticised for an inadequate clinical examination (8 incidents).


간호사와 조산사가 의과 대학생을 불손하게 대한다는 보고가 여러 건있었습니다 (15/23 임상 학생). 그러한 행동은 전문적인 경쟁 정도를 나타낼 수있다.

There were also several reports of nurses and midwives treating medical students disrespectfully (15/23 clinical students). Such behaviour may indicate a degree of professional rivalry.519


경쟁적이 됨으로써 앞서나가기

Getting ahead by being competitive


학생들 중 절반 (18/36)은 협력보다는 경쟁이 의학의 특성을 정의하는 것이라고 보고했다. 이는 임상 학생 (16/23)에서 비임상 학생 (2/13)보다 일반적인 관점이었다.

Half of the students (18/36) reported that competition rather than cooperation is the defining characteristic of medicine, a view that was more common among clinical students (16/23) than non-clinical students (2/13).


임상 기간 동안 학생들은 stand out 하기위해 서로에게 칼을 겨눈다. (3 학년 학생)

You notice that students during the clinical years try to stand out, stabbing each other. (Year 3 student)



Discussion


일반화가능성을 평가하려면 추가 연구가 필요함

Further studies of the hidden curriculum from other medical schools are needed, including the perspectives of clinical teachers, to assess the generalisability of our findings.






 2004 Oct 2;329(7469):770-3.

The hidden curriculum in undergraduate medical educationqualitative study of medicalstudents' perceptions of teaching.

Author information

1
Academic Rheumatology, Guy's, King's and St Thomas' School of Medicine, King's College London, London SE5 9RJ. heidi.k.lempp@kcl.ac.uk

Abstract

OBJECTIVE:

To study medical students' views about the quality of the teaching they receive during their undergraduate training, especially in terms of the hidden curriculum.

DESIGN:

Semistructured interviews with individual students.

SETTING:

One medical school in the United Kingdom.

PARTICIPANTS:

36 undergraduate medical students, across all stages of their training, selected by random and quota sampling, stratified by sex and ethnicity, with the whole medical school population as a sampling frame.

MAIN OUTCOME MEASURES:

Medical students' experiences and perceptions of the quality of teaching received during their undergraduatetraining.

RESULTS:

Students reported many examples of positive role models and effective, approachable teachers, with valued characteristics perceived according to traditional gendered stereotypes. They also described a hierarchical and competitive atmosphere in the medicalschool, in which haphazard instruction and teaching by humiliation occur, especially during the clinical training years.

CONCLUSIONS:

Following on from the recent reforms of the manifest curriculum, the hidden curriculum now needs attention to produce the necessary fundamental changes in the culture of undergraduate medical education.

PMID:
 
15459051
 
PMCID:
 
PMC520997
 
DOI:
 
10.1136/bmj.329.7469.770


대안적 전문직 정체성 상상해보기: 의대생과 간호대생 사이의 전문직 경계의 재조정(Acad Med, 2015)

Imagining Alternative Professional Identities: Reconfiguring Professional Boundaries Between Nursing Students and Medical Students

Vicki Langendyk, BMed, MEd, Iman Hegazi, MBBS, MS, MD,

Leanne Cowin, BNurs, PhD, MAppStats, Maree Johnson, MAppSci, PhD,

and Ian Wilson, MBBS, MAssess&Eval, PhD, FRACGP




간호 교육과 의학 교육의 목표는 학생들을 의료 전문가로 변화시키는 것입니다. 그러나 학생들이 필요한 지식, 기술, 태도 및 가치를 격리 된 또는 통합 된 역량으로 개발하는 것은 충분하지 않습니다. 오히려 학생들은 health care practice의 실제 상황에서 간호사나 의사가 하는 일을 하는 "바로 그러한 유형의 사람들the sort of people"이되어야합니다.

The goal of both nursing education and medical education is to transform students into health care professionals. It is not sufficient, however, for students to develop the requisite knowledge, skills, attitudes, and values as isolated or even integrated competencies. Rather, students must become “the sort of people” who do the kinds of work that nurses or doctors do in the real-world context of health care practice;


이러한 연관성에도 불구하고 간호 교육과 의학 교육의 결과로서 부적절한 직업적 정체성 발달에 대한 우려가 문서에서 제기되었다. 3-6 간호대학에서 발달한 정체성과 실제 전문직의 practice 상황에서 발달하는 정체성 사이의 격차는 환멸을 불러올 수 있으며, 그 결과로 retention이 저하되고, 헬스케어 시스템의 심각한 손실이 발생한다. 의학교육이 환자 중심의 전문직 정체성 개발을 돕기보다는, 오히려 환자에게서 멀어지게하는 직업적 정체성의 발전에 기여할 수 있다는 증거가 있다.

Despite this association, concerns have been expressed in the literature about inappropriate professional identity development as an outcome of nursing education and medical education.3–6 Disparities between the professional identities students develop during nursing school and the actuality of professional practice can lead to disillusionment, resulting in poor retention and significant losses to the health care system.7 There is evidence that, rather than helping students develop patient-centered professional identities, medical education may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professional identities that alienate patients.8


개인 및 전문직 정체성 개발

Personal and Professional Identity Development


유아기에 시작하여 성인기까지 계속되는 정체성 형성은 개인적 및 사회적 문화적 차원 모두에 의해 구성됩니다 .10 에릭슨은 정체성을 심리 사회 발달의 주요 과정으로 개념화했습니다 .11 에릭슨은 정체성을 우리가 누구이고 누구가 아닌지를 identify하는 심리사회적 핵심 발달과정이라고 개념화했다. 에릭슨은 나이와 관련된 심리적 성숙 단계를 제안하였으며, 이 중 사춘기를 정체성 발달에 가장 중요한 시기로 지명했다. 최근에 Kroger 등은 이 핵심 단계는 그것보다 조금 늦게, 즉 19 세에서 21 세 사이에 발생한다고 말했다. 보건 전문가 교육자의 경우,이 연령대는 간호대학이나 의과대학에 입학하는 학생들의 (공통적인) 연령에 해당하므로 매우 중요합니다 .10

Identity formation, which begins in early childhood and continues throughout the adult years, is constituted by both personal and sociocultural dimensions.10 Erikson conceptualized identity as a key process of psychosocial development,11 through which we identify ourselves in terms of who we are and who we are not.12 He proposed age- related psychological maturational stages, nominating adolescence as the most significant for identity development.12 More recently, Kroger et al10 demonstrated that this key stage occurs somewhat later, from ages 19 to 21 years. For health professions educators, this age range is highly significant as it corresponds with the (common) ages of students at entry into nursing programs and medical schools.10


이 단계에서 청년들은 직업, 종교, 정치, 민족, 성 정체성의 진화와 관련하여 새로운 도전에 직면하게 된다. 보건전문직 교육자들은 전문직 정체성이 정신사회적 발달의 여러 가닥 중 하나라는 점에 유의해야하며, 학생들은 이 과정에서 불안정정, 불확실성, 불안의 도전에 직면하게 된다.

It is at this stage that young adults face new challenges regarding the evolution of more autonomous vocational, religious, political, ethnic, and sexual identities.12 Health professions educators, therefore, should be mindful that professional identity is but one of the strands of psychosocial development challenging our students in this time of instability, uncertainty, and anxiety.


사회문화 이론가들은 정체성에 대한 역동적 개념을 주장하는데, 이 때 정체성은 epigenetic하기보다는 사회문화적 과정의 결과이다. 사회문화적 관점에서 볼 때, 전문직 정체성 개발은 개인의 발달적 성취가 아닙니다. 오히려 그것은 다른 사람들과의 관계 속에서 정체성이 형성되는 사회적 과정이다 .13 보건 전문인들에게 성공적인 전문적 정체성 형성은 헬스케어 팀 내에서 점점 의미 있고 중심적인 일에 접근하는 것에 달려있다.

Sociocultural theorists argue for a dynamic conception of identity that results more from sociocultural processes than from epigenetic forces. From a sociocultural perspective, professional identity development is not a developmental achievement of the individual; rather, it is a social process in which identity is constructed in relationships with others.13 For health professions students, successful professional identity formation depends on gaining access to increasingly meaningful and central work within the health care team.14


Legitimate한 집단 구성원으로 인정 받기 위해서, newcomer들은 수용가능한 행동에 관한 집단의 암묵적 근거 규칙을 받아들이고, 집단의 규범과 일치하는 전문직 정체성을 개발해야합니다 .15 학생들은 새로운 사회적 언어로 들어가는 사회화 과정을 통해 새로운 정체성을 개발합니다. 이 때 사회적 언어라는 것은 말하기, 듣기, 행동하기, 다른 사람과의 관계, 그리고 trade 도구사용의 방식 등이다. 학생들은 "언행일치"도 배우고 "말만 번지르르하게 하는 것"도 배운다.

To be recognized as legitimate group members, the newcomers need to adopt the group’s implicit ground rules about acceptable behavior and develop professional identities that are consonant with the norms of the group.15 Students develop their professional identities through a process of socialization into a new social language—that is, a discourse that involves a way of speaking, listening, behaving, relating to others, and using the tools of the trade: They learn to “walk the walk” and “talk the talk.”1,13


헬스케어 환경은 매우 복잡하며 간호대생 및 의대생은 교육 과정에서 만나는 학문적 및 임상적 공동체의 여러 학습 환경에서 경험하게 되는 간혹 모순되거나 상충하는 담론을 탐색해야합니다. 명백히, 전문직 정체성 개발은 깔끔한 역량 세트로 유형화될 수 있는 단일하고 일관된 construct가 아닙니다.

The health care environment is highly complex, and both nursing and medical students need to navigate the sometimes contradictory and conflicting discourses they experience in the multiple learning contexts of the academic and clinical communities they encounter during their education.16 Clearly, professional identity development is not a unitary, coherent construct that can be categorized into a neat set of competencies.17



의학교육 도전: 학생들이 환자-중심적 전문직 정체성 개발하도록 돕기

Medical Education Challenge: Helping Students Develop Patient-Centered Professional Identities


의료계와 사회 간의 암묵적 사회 계약은 상호 이익에 기반을두고있다. 그러나 사회적 계약을 뒷받침하는 의료 전문가들의 도덕적 헌신은 점점 더 대중에게 의문의 대상이 되어가고 있다.

The implicit social contract between the medical profession and society is based on reciprocal benefits: Increasingly, though, the moral commitment of medical professionals, which underpins this social contract, is under question by the public.19


이에 따라, 많은 의대는 학생들에게 초보 직업인으로서 더 의미있는 참여를 목표로 조기 임상 노출을 제공하고, 교육과정에 전문직업성과 윤리에 대한 정식 교육을 도입했습니다. 최근의 연구들은 환자 접촉 및 의료 롤모델에 대한 조기 노출이 직업적 정체성의 발달에 중요한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강조합니다.

In response, many medical schools have moved to provide students with earlier clinical exposure, aiming for more meaningful participation by students as novice professionals, and have introduced formal teaching on professionalism and ethics into the curriculum. Recent publications20,21 highlight the significant impact that early exposure to patient contact and medical role models can have on the development of professional identity.


그러나 의학 교육 연구를 살펴보면, 전문직 정체성 발달이 항상 긍정적인 방향으로만 발달하지는 않는다는 것을 보여줍니다. 냉소주의의 상승과 공감의 저하가 후기 의학교육에서 발생함이 지적되었습니다. 일부 저자는 이러한 변화가 학생들이 까다로운demanding 임상적, 윤리적 환경에서 자신의 전문직 정체성을 발달시키려는 사회화 과정의 부산물이라고 가정합니다. 다른 이들은 의과 대학의 후기 학년에 전문직 정체성의 개발에 지배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이 잠재 교육과정이라고 지적합니다 .5

The medical education literature, however, demonstrates that professional identity development does not always progress positively. A rise in cynicism22 and a fall of empathy23 have been noted in students in the later years of training. Some authors hypothesize that these changes are by-products of the socialization process as students try to develop their professional identities in a demanding clinical and ethical environment22; others point to the hidden curriculum as a dominant force in the development of professional identity in the later years of medical school.5


임상 환경에서 성공하기 위해서, 학생들은 그들이 embed된 특정 보건 의료 환경에서 받아들여지는 전문직 정체성을 개발할 필요가 있습니다 .15 Wear와 Skillicorn은 의과대학생들은 잠재 커리큘럼이 롤모델링에 기반한다고 믿고 있으며, 학생의 발달에 임상교사의 경험과 직관은 공식 커리큘럼만큼이나 중요했다. "그건 교과서에서 배우는 것이고, 실제로 어떻게 하는지는 여기에 있다."

To be successful in the clinical environment, students need to develop professional identities that are acceptable within the particular health care context in which they are embedded.15 Wear and Skillicorn24 found that medical students believed the hidden curriculum was based on role modeling and that their clinical teachers’ experiences and intuitions were at least as important to their development as the formal curriculum: “That’s what you learn in textbooks, but, here’s the way you really do it.”


임상 환경에서 보건 팀의 상위senior 구성원은 커뮤니티 내에서 학생의 정당성을 인정하고, 적절한 학습 기회를 제공 할 수있는 힘을 가지고 있습니다 .14 또한, 헬스케어 팀 구성원은 근무지 평가에 대한 강조가 증가함에 따라, 임상 환경에서 학생들의 능력과 전문성을 평가하게 된다. 따라서 학생들은 의학 교육자들이 의도 한 것과 전혀 반대되는 특성을 자신의 전문직 정체성과 결합시킬 수도 있습니다 25.

In clinical settings, the more senior members of the health care team have the power to legitimate students’ membership within their community and to provide appropriate learning opportunities.14 Furthermore, with the increased emphasis on workplace assessment, members of the health care team also evaluate students’ competence and professionalism within the clinical environment. Students may therefore incorporate within their professional identities characteristics that are diametrically opposed to those that medical educators intended to instill.25 


학생들의 주요 목표가 메디컬 팀의 practicing member가 되는 것임을 감안할 때, 의료계의 문화가 현 상태를 유지하는 방식으로, 성공적으로 재창출reproduce된다는 것은 놀라운 일이 아닙니다. 결과적으로, 공식 교육과정에 의해 지지되는 환자 중심의 전문적 실천 모델은 실제 practice에 침투하여 그것을 변화시키지 못한다.

Given that students’ main aim is to become practicing members of the medical team, it is not surprising that the medical culture reproduces itself so successfully, maintaining the status quo. Consequently, the patient-centered model of professional practice, espoused by the formal curriculum, fails to penetrate and change actual practice.15


Bleakley와 Bligh26은 더 많은 시니어 의사에게 롤모델링 되는 것이 임상 환경에서 학생의 전문직 정체성 형성에 가장 중요한 요인이되어야한다는 가정에 반기를 든다. 그들은 학생들이 환자 중심의 전문적 정체성을 달성 할 수 있도록 도우려면, 환자 - 학생 관계가 중심이 되어야 하고, 여기에 시니어 보건 전문가와 배우는 것은 촉진적 역할을 하는 것이라고 주장했다.

Bleakley and Bligh26 challenge the assumption that role modeling by more senior clinicians should be the most important factor for student professional identity formation in the clinical environment. They argue that to help students achieve patient- centered professional identities, the patient–student relationship should be given primacy in student learning with the senior health professional in a facilitatory role.26


감독자가 아닌 환자를 교육 경험의 중심에 배치하기 위해서는 임상 환경에서 의학 교육의 구조를 크게 재구성해야 할 것입니다. 보다 현실적으로는, 학생과 환자의 관계에 대한 집중도를 높이기 위해서 LIC로 나아갈 수 있습니다. 한 명의 환자와 질병의 전 과정 동안 함께 하는 경험이 환자 중심의 전문직 정체성 발전을 촉진한다는 증거가 일부 있습니다 .27

Placing patients, rather than supervisors, at the center of the educational experience would require a significant reorganization of the structure of medical education in the clinical environment. More feasibly, an increased focus on the student– patient relationship may be attained by moving toward longitudinal integrated clinical placements. There is some evidence that the experience of being with patients over the course of their illnesses facilitates the development of a patient-centered professional identity.27 



간호교육의 과제: Attrition 줄이기

Nursing Education Challenge: Reducing Attrition


호주에서 간호 교육은 병원에서 대학으로 이동했는데, 그 이유는 간호 채용 및 개발을 장려하고 간호사와 의사 간의 비대칭 권력 관계를 다루기 위해서였다. Serra28은 간호 교육을 고등 교육 기관으로 옮기는 것이 역사적으로 "의사 대 간호사"의 직업적 정체성을 특징지었던 "인지과 정서"의 이분법을 파괴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고 주장했다. 이 변화로 인해서 간호는 이론적, 실천적, 감정적, 인지적, 그리고 의료팀의 리더십과 멤버십을 모두 포함하는 전문직 정체성을 주장할 수 있게 되었다. 또한 이러한 전문직 정체성은 보건 의료 시스템 내 분업의 변화를 반영하기도 하는데, 이전에는 의사의 배타적 영역이었던 임상 책임을 간호사도 점점 더 많이 감당하게 되었기 때문이다.

In Australia, nursing education shifted from the hospital to the university with the goal of encouraging nursing recruitment and development and addressing the asymmetrical power relationship between nurses and doctors. Serra28 argues that moving nursing education into higher education institutions was aimed at disrupting the dichotomy of cognition versus emotion that has historically characterized the professional identities of doctors versus nurses. The shift has allowed nursing to claim a professional identity that is inclusive of the theoretical and the practical, the emotional and the cognitive, and both leadership and membership of health care teams.28 Moreover, this professional identity is reflected in some changes in the division of labor within the health care system, as nurses increasingly take on clinical responsibilities that were previously the exclusive domain of doctors.29


많은 현재 간호 프로그램은 의학 교육 프로그램과 유사한 구조를 사용합니다. 그들은 대학 환경에서 전달되는 이론 지식에 초점을 맞추기 시작했고, 뒤이어 clinical placement에 immersion하는 과정이 따른다.

Many current nursing programs use a structure similar to that of medical education programs. They commence with a focus on theoretical knowledge delivered within the university setting; this is followed by immersion in clinical placements.


Cowin 등은 이제 막 간호대학에 입학한 학생의 기존 직업적 정체성과 직장에서 근무하고 있는 간호사의 확립된 직업적 정체성 사이에 상당한 불일치가 있음을 제안한다. 신입 간호대학생들은 미래 직업 역할에 대한 이상적인 견해를 가지고 있는데, 이것은 미래의 전문직 삶에 대한 정확한 개념을 제공해주지 못한다. preexisting and established 전문직 정체성의 불일치가 간호에서 attrition의 가능한 원인으로 언급되었다.

Cowin et al32 suggest that there are significant discrepancies between the preexisting professional identities of nursing students commencing their studies and the established professional identities of nurses in the workplace. Beginning nursing students have idealized views of their future professional roles, views that do not provide accurate conceptions of their future professional lives . A lack of congruence between preexisting and established professionalidentities has been cited as a possible cause of nursing attrition.33


전통적인 교실 또는 강의 접근 방식은, 지식이 맥락과 분리되어있는 학습이고, 실제 간호 근무에서 발생하는 모호함과 현실에 적절하게 준비시키지 못합니다.

The traditional classroom or lecture approach to learning, in which knowledge is separated from context, fails to adequately prepare nursing students for the ambiguities and realities of the real work of nursing.


의대 학생들과 마찬가지로, 간호 학생들도 대학에서 배우는 전문직업성에 대한 공식적인 담론과 임상 환경에서의 담론 사이에 불협화음을 경험합니다. 그들은 학생으로 발달시킨 환자 치료 중심의 전문직 정체성과 졸업시 맡게 되는 관리적, 주변적 역할에서 요구받는 것이 서로 일치하지 않는다고 보고합니다 .35 졸업을 하고 나면, 간호사들은 과도한 작업량과 융통성 없는 시스템에 대한 준비가되어 있지 않다고 느끼고 있습니다. 이러한 요인은 최근 간호 졸업생의 불만족스러운 유지율에도 기여할 수있다.

Akin to medical students, nursing students experience a dissonance between the official discourse about professionalism in the university setting and the discourse of the clinical environment. They report a mismatch between the professional identities centered on patient care that they develop as students and the demands that they undertake more administrative and peripheral roles upon graduation.35 Following graduation, they also report feeling unprepared for the heavy workloads and inflexibility of the system in which they work.36 Factors such as these may also contribute to the unsatisfactory retention rate of recent nursing graduates.37


간호 학생들이 신뢰할 수있는 직업의 구성원으로서의 의미와 소속감을 찾도록 돕기 위해 필요한 변화는 무엇입니까? attrition은 간호대학에서부터 시작되므로, retention 척도는 졸업 이전부터 도입되어야 한다. 학생들은 현재 관행을 비판적으로 분석하고 모범 사례를 연구하며 대안을 구상하는 데 필요한 지원을 필요로합니다.

What changes are needed to help nursing students find meaning and a sense of belonging as members of a trusted profession? As attrition begins in nursing school, retention measures need to be introduced prior to graduation. Students require support to critically analyze current practices, research best practices, and envision alternatives.





고정관념을 부수고 전문직 경계를 재설정하기

Breaking Down Stereotypes and Reconfiguring Professional Boundaries


그러나 "uniprofessional"정체성의 구축은 두 직업의 구성원 간의 긍정적인 협력 관계 발전을 저해 할 수있다. 사회적 정체성 이론에 따르면, 개인은 자신의 그룹을 식별하고, 다른 그룹과 비교하여, 자신의 그룹을 다른 그룹과는 다른 것, 심지어는 더 나은 그룹으로 생각하게 된다. 이것은 내집단 편애를 가져오고, 그룹 구성원들 사이에 높은 수준의 신뢰를 만들고 외부에있는 사람들에 대한 불신을 초래합니다. Sargeant41은 의학 및 간호 학생이 자신의 전문 그룹으로 사회화되기 때문에 전문직 정체성 발달이 전문직 간 경계, 역할 및 권력 구조를 더욱 구체화한다고 주장합니다.

The construction of a “uniprofessional” identity may, however, impede the development of positive collaborative relationships between members of the two professions. According to social identity theory,40 individuals identify with their own group and view their group as being different or even better than other groups. This results in group favoritism, creating a high level of trust among the members of a group and distrust toward those on the outside. Sargeant41 argues that as medical and nursing students are socialized into their own professional groups, their professional identity development reifies disciplinary boundaries, roles, and power structures.


간호 졸업생이 갖는 전문적 지위와 자율성에 대한 기대는 임상 환경에서 medicine을 선호하는 계속되는 위계적 구조에 의해 훼손 될 수있다.

nursing graduates’ expectations of professional status and autonomy may be undermined by the continued hierarchical structure favoring medicine in clinical settings.


보건 의료 시스템의 위계적 구조는 작은 부분이 아니며, 이는 의학과 간호 사이에 역사적으로 성별에 따른 구분이 있어왔기 때문이다. 의사의 전형적인 전문직 정체성은 진단 및 관리 의사 결정과 같은 인지 능력과 관련되지만, 간호사의 전형적인 전문직 정체성은 돌봄과 양육의 정서적 가치를 중심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성과 육체는 전통적으로 남성적인 것으로, 감정과 신체는 여성적인 것으로 코드화되어있다. 더욱이 인지와 감정은 이분법적이며 계층적이며 그 valence는 신체보다는 정신에, 감정보다는 이성을 더 가치있다고 여긴다. 이러한 고정관념은 간호가 전문직화되고, 더 많은 여성이 의학으로, 더 많은 남성이 간호로 진출함으로써 두 직업 간의 노동 분열 경계선의 흐려짐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지속되고있다.

The hierarchical structure of the health care system is in no small part due to the historically gendered divide between medicine and nursing.42 The stereotypical professional identity of the physician is associated with the cognitive capabilities of diagnostic and management decision making, whereas that of the nurse is viewed as encompassing the emotional values of caring and nurturing.29 Reason and the mind have been traditionally coded as masculine, whereas emotions and the body have been coded as feminine.43 Furthermore, cognition and emotion are viewed as dichotomous and hierarchical, with valency awarded to the mind over the body and to reason over emotion. Thestereotypes still persist, despite the professionalization of nursing, the move of women into medicine and men into nursing, and the blurring of the boundaries in the division of labor between the two professions.44


불행하게도, 이러한 고정 관념은 헬스케어 환경에서 받아들여지는 제한된 전문직 정체성을 나타냅니다. 전문직이라는 '부족'에 합류하기 위해서는 높은 수준의 적합성conformity가 필요합니다. 학생이 발달시킨 전문직 정체성이 적절하다고 인정되지 않으면 학생들은 헬스케어 팀의 핵심 구성원이 되는데 어려움을 겪을 것이다.

Unfortunately, these stereotypes represent, the limited professional identities that are acceptable in the health care environment. A high degree of conformity is required to gain acceptance into professional tribes.45 Students will struggle to become integral members of health care teams if the professional identities they have developed are not recognized as appropriate.46


그 결과, 의대생들은 임상 과학에 초점을 맞추고, 종종 공감과 환자 중심의 치료를 소홀히하는 담론으로 acculturate된다. 한편 간호 학생들은 그들이 생각한 방식으로 임상 진료와 의사 결정에 기여할 수있는 권한을 부여하지 못하게 하는 담론에 acculturate된다. 그 결과 간호대생과 의대생의 전문직 정체성의 옵션은 제한적이 되며, tribal allegiance는 지속된다.

Medical students are therefore acculturated into discourses that focus on clinical sciences and often marginalize empathy and patient-centered care. Nursing students are acculturated into discourses that may fail to empower them to contribute to clinical care and decision making in the ways they had envisioned. The result is a restriction of professional identity options for nursing and medical students and a continuation of tribal allegiances.


안전한 전문직 정체성을 개발하는 한 가지 방식은, 자신의 전문직 그룹을 다른 전문직 그룹보다 더 나은 그룹으로 차별화하는 것이다. 그러나 효과적인 직업 간 협력은 "우리"와 "그들"이라는 범주적, 계층적 차별화를 넘어서야합니다.

Developing a secure professional identity involves categorizing one’s professional group in ways that positively differentiate it from others. Effective interprofessional collaboration requires moving beyond categorical and hierarchical differentiations of “us” and “them.”47


  • Mindfulness자신, 타인, 환경에 대한 novel distinction의 discerning의 인지 과정입니다. 이를 위해서는 집중력, 새로운 해석의 개방성, 비판적 성찰, 모호함에 대한 내성이 필요합니다 .49,50 

  • Mindlessness는 정반대의 상태를 말하며, 범주화에 과도하게 집착하는 것으로 드러난다. 이것은 세계에 대한 고정 관념, 고정된 견해, 응답을 초래합니다 .49 

범주화는 우리 세계의 대상에 대한 정체성을 부여하는 수단이기 때문에 그것이 가치가 있다는 것에 대해서는 논박의 여지가 없습니다. 구조적 관계를 기반으로 한 정보의 범주화는 우리가 경험을 설명하고 예측할 수있게한다. 그러나 범주적 사고는 환원주의적 일 수 있다. 개인성의 세부 사항을 인정하지 못하게 되거나, 차이점과 다양성을 무시하게 된다.

  • Mindfulness is a cognitive process that involves discerning novel distinctions about oneself, others, and the environment. It requires focused attention, openness to new interpretations, critical reflection, and increased tolerance of ambiguity.49,50 

  • The opposite state, mindlessness, represents an overcommitment to categorization; it results in stereotyping and fixed views of and responses to the world.49 

The value of categorization is indisputable as it is the means by which we impose identity on objects in our world. Categorization of information on the basis of structural relationships allows us to explain and predict our experiences.51 However, categorical thinking can be reductionist; it can fail to acknowledge details of individuality, and it can ignore differences and diversity.52


Mindfulness는 보다 유연한 직업적 정체성의 개발을 촉진하기 위해 역할의 구체화reification와 종족주의에 반대한다.

Mindfulness works against role reification and tribalism to facilitate the development of a more flexible professional identity.53


어렵고 복잡한 상황을 해석하고 대응할 수있는 능력을 높이기 위해서, mindfulness가 학생의 회복탄력성 구축에 기여할 수 있습니다 .50 과도한 작업량과 숨겨진 커리큘럼의 압력과 같은 직장에서의 역경을 경험하면, 소진되거나, withdrawal을 낳을 수 있습니다 .54 회복탄력성은 직장에서 경험하는 피할 수없는 좌절에 대한 건설적인 대응을 촉진한다. 복잡하고 역동적인 의료 환경에서 위계의 최하단에 있는 신규 의대 및 간호대 졸업생은 [자신이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차이를 만들 수 있다]는 자신감을 유지할 필요가 있습니다 .54 그러나 개념적으로, 위계 구조 자체가 uniprofessional 정체성을 강화시킬 수 있으며, 이는 interprofessional 관계에 해로운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By increasing the capacity to interpret and respond to difficult and complex situations, mindfulness may also contribute toward building resilience in students.50 Experiencing workplace adversity, including a heavy workload and the pressures of the hidden curriculum, can result in burnout or withdrawal.54 Resilience facilitates constructive responses to the inevitable setbacks of working life. In the complex and dynamic health care environment, new medical and nursing graduates, who are on the bottom rung of the hierarchy, need to maintain confidence that they can have a positive influence and make a difference.54 Notionally, however, the attempt to position themselves in the hierarchy may result in strengthening of the uniprofessional identity, with the potential for detrimental effects on interprofessional relationships.


그러므로 보건 전문가 교육은 사회적 회복탄력성의 발전을 장려해야한다고 주장한다 .55 상호 신뢰와 존중을 바탕으로 협력 적으로 일할 수있는 개인은 회복탄력적인 팀을 구성할 수 있으며, 복잡한 조직 내에서도 우여곡절vicissitude of working을 더 잘 탐색 할 수있다. 만약 mindfulness와 회복탄력성에 대한 교육이 보다 유연하고 interprofessional identity 개발에 영향을 미친다면, 의대와 간호 교육과정은 다른 분야의 학생들이 함께 학습 할 수있는 기회를 제공해야한다.

Therefore, we argue that health professions education should also encourage the development of social resilience.55 Individuals who are able to work cooperatively, based on mutual trust and respect, are able to form resilient teams and are better able to navigate the vicissitudes of working in complex organizations.56 Yet if the teaching of mindfulness and resilience is to effect the development of a more flexible and interprofessional identity, medical school and nursing program curricula must provide opportunities for students from different disciplines to learn together.




IPE


건강 관리 분야의 IPE은 제 2 차 세계 대전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57) 실천 영역이 확립되어 있음에도 불구하고, IPE는 의료 및 간호 학교에서 확립되지 못하고있다 .57) 체계적인 문헌 고찰에서 Hammick 등 58)은 긍정적인 다른 전문직 집단 구성원에 대한 태도가 긍정적으로 변화한다는 근거를 별로 찾지 못했는데, 이는 확장된 IPE 프로그램을 도입하는 큰 장애요인을 고려한다면 놀라운 일이 아니다. 이러한 장벽은 

  • 전문직 분리 문화, 

  • 교수개발 요구 사항, 

  • 개입의 선택적 상태, 

  • 적절한 평가 방법 개발의 어려움, 

  • 실용적인 문제 (예 : 시간표, 대규모 집단) 

등을 포함합니다 .57,58 IPE는 자원 집약적 인 경향이 있습니다 . 단기 자금 조달을 기본으로 종종 시작되기 때문에 유지가 어렵다.

Interprofessional learning in health care dates back to World War II.57 Despite having become established insome areas of practice, IPE has failed to become established in medical and nursing schools.57 In a systematic literature review, Hammick et al58 found less evidence of persisting positive attitudinal change toward other disciplinary groups’ members, which is not surprising given the significant barriers to implementing extended IPE programs. These barriers include 

  • cultures of professional segregation, 

  • requirements for significant staff development, 

  • the optional status of interventions, 

  • difficulty in developing appropriate assessment methods, and 

  • practical issues (e.g., timetables, large cohorts).57,58 

Moreover, IPE tends to be resource intensive. It is often initiated on the basis of short-term funding and is therefore difficult to sustain.59


우리는 IPE가 전문 직업인 간의 정체성 개발 문제를 해결하는 데 중요하며 모든 보건 관련 직업 커리큘럼의 필수 요소로 우선 순위를 매길 필요가 있다고 주장합니다.

We argue that IPE is critical to addressing the challenge of interprofessional identity development and needs to be prioritized as an essential element of all health professions curricula.


그러나 전문적인 경계를 유지하려는 기득권이 있다고 가정한다면 (협력적 실무 성과에 대한 인증을 요구하는 것과 같은) 하향식 접근이 필요할 것이다 .60,61

Given vested interests in maintaining professional boundaries, however, a top- down approach, such as accreditation requirements for collaborative practice outcomes, will be necessary.60,61




헬스케어의 변혁 또는 현재상태 유지?

Transforming Health Care or Maintaining the Status Quo?


의료 교육자와 간호 교육자는 의대생 및 간호 학생의 적절한 전문직 개발을 유도하기 위해 독립적으로 활동합니다. 그러나 전문 직업인 정체성의 건설은, 학생들이 포괄적인 환자 위주의 간병 서비스를 제공하는 데 필요한 협력적이고 interprofessional한 관계를 발전시킬 수있는 잠재력을 약화시킬 수있다.

Medical educators and nursing educators work independently to guide medical students’ and nursing students’ development of appropriate professional identities. The construction of uniprofessional identities, however, may undermine the potential for students to develop the collaborative, interprofessional relationships necessary for the delivery of comprehensive patient-centered care.9


고정 관념을 무너뜨리고 간호 및 의대생을위한 광범위한 전문직 정체성 옵션을 제공함으로써, IPE는 각 직업이 해결해야 하는 정체성 문제를 해결할 잠재력을 가지고 있습니다. 각 분야의 사일로에 남아있는 것은, 전문적인 정체성 옵션을 제한하고 현재 상태를 유지하게 만든다. 그리고 만약 우리가 간호사 유지율을 높이고 환자 중심의 치료 모델에 대한 일반 대중의 요구를 충족 시키려면, 이것은 더 이상 옵션이 아니다.


By breaking down stereotypes and providing a wider range of professional identity options for nursing and medical students, IPE has the potential to address the identity issues that each profession is trying to resolve on its own. Remaining in disciplinary silos—which restrict professional identity options and maintain the status quo—is no longer an option if we, as heath care professionals, are to increase the retention of nurses in the workforce and fulfill the public’s request for a patient-centered model of care.





 2015 Jun;90(6):732-7. doi: 10.1097/ACM.0000000000000714.

Imagining alternative professional identitiesreconfiguring professional boundaries between nursing students and medical students.

Author information

1
V. Langendyk is senior lecturer in medical education, School of Medicine, University of Western Sydney, Campbelltown, New South Wales, Australia. I. Hegazi is lecturer in medical education, School of Medicine, University of Western Sydney, Campbelltown, New South Wales, Australia. L. Cowin is senior lecturer in nursing, School of Nursing, University of Western Sydney, Campbelltown, New South Wales, Australia. M. Johnson is associate dean of research, Australian Catholic University, North Sydney, New South Wales, Australia. I. Wilson is dean of medicine, School of Medicine, University of Wollongong, Wollongong, New South Wales, Australia.

Abstract

The transition of a medical student or a nursing student into a health care practitioner requires many changes. Among these is the development of an appropriate professional identity, which assists in the establishment of a sound base for professional practice and therefore should be a focus for health professions educators. There is evidence, however, that medical education and nursing education face challenges in guiding students' development of appropriate professional identities. In medicine, there is concern that medical education may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professional identities that alienate patients rather than identities that are patient centered. The nursingprofession struggles with poor retention rates in the workforce, which have been attributed in part to discrepancies between the professionalidentities that students develop during nursing school and the realities of professional practice.In this Perspective, the authors explore the importance of and the pedagogical strategies used to facilitate professional identity formation for medical and nursing students. They argue that medical and nursing educators aim to instill in their students strong occupational identities which may perpetuate hierarchical disciplinary boundaries. They suggest that health professions educators should move beyond current disciplinary silos and create interprofessional education opportunities for medical students and nursing students to learn together to facilitate the development of the collaborative interprofessional identities necessary for the delivery of high-quality, patient-centered health care.

PMID:
 
25901875
 
DOI:
 
10.1097/ACM.0000000000000714


의학교육에서 롤모델링: 성찰적 모방의 중요성(Acad Med, 2014)

Role Modeling in Medical Education: The Importance of a Reflective Imitation

Jochanan Benbassat, MD




의과대학생들의 행동 관찰, 특히 역할 모델의 관찰은 정식 교육 이상의 학습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여겨집니다. 연구에 따르면 실제로 의과대학 졸업생의 90 %가 전문적 태도 형성에 기여한 역할 모델을 기억하고 있습니다. 문헌에 따르면, 롤모델링은 (비록 많이 사용되지는 않더라도) 강력한 교수 전략으로 거의 일률적으로 다룹니다.

Medical students’ observations of behaviors, specifically those of their role models, are believed to affect learning more than formal teaching.1,2 Research shows that, indeed, as many as 90% of medical graduates remember role models who shaped their professional attitudes.3 The medical literature almost uniformly addresses role modeling as a powerful,4 albeit underexploited,5 teaching strategy. 


다음과 같은 연구 결과가 나타났습니다.

  • 다양한 임상 환경에서의 의사 노출은 학생들의 직업 선택에 영향을 미친다.

  • 비디오 테이프 녹화된 교사의 퍼포먼스를 보는 것은 학습자의 태도를 변화시킨다 11-13; 과

  • 시연은 강연과는 반대로 학생들의 기술 습득을 촉진합니다 .13-15

research has shown that exposure to physicians at various clinical settings affects students’ career choices3,9,10; that viewing videotaped teacher performance changes learners’ attitudes11–13; and that demonstrations, as opposed to lectures, promote students’ acquisition of skills.13–15


  • 교육자들은 이러한 결과를 롤 모델링의 가치를 옹호하는 것으로 해석했습니다. 그들은 학생들의 "의료 훈련의 고통"이 적절한 태도를 지닌 역할 모델에 의해 완화 될 수 있으며, 공감, 연민 및 보살핌을 강화하는 역할 모델 훈련을 목표로하는 교수 개발에 의해 완화 될 수 있다고 제안했다 .17,18

  • 그럼에도 불구하고 일부 저자는 역할 모델링에 대한 더 광범위한 함의에 의문을 제기하여, 표준이 애매하고, "교육자는 학습자가 모델에 반응하는 과정에 대한 적절한 이해가 부족합니다."라고 지적한다5

  • 다른 저자들은 역할 모델이 훈련 시작 시점의 견해를 강화하기만 하기 때문에 학생들의 가치에 거의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고 주장했다. 일부 임상지도 교사는 비 윤리적 행동을 보여 학생들의 혼란을 야기 할 수 있습니다 20; 그 역할 모델링은 능동적 인 학습이 아닌 모방적인 학습을 장려한다 .21,22

  • Educators have interpreted these findings as an endorsement of role modeling’s value. They have suggested that students’ “pain of medical training” may be alleviated by role models with appropriate attitudes,16 and by faculty development aimed at role model training that reinforces empathy, compassion, and caring.17,18 

  • Still, some authors have questioned the broader implications of role modeling, pointing out that its standards are elusive, and that “educators lack an adequate understanding of the process through which learners respond to models.”5 

  • Other authors have argued that role models merely reinforce views held at the start of training, and therefore, they exert little influence on students’ values19; that some clinical tutors may show unethical behavior and cause students’ confusion20; and that role modeling encourages imitative rather than active learning.21,22


롤모델과 롤모델링의 정의

Definition of Role Models and Role Modeling


역할 모델링은 정확한 정의가 없다. 분명히 멘토링과 가르침과는 다른 점은 "교사는 학습을 촉진하는 반면, 롤모델은 학생이 롤모델의 속성을 얻고 자하는 사람이다."23

Role modeling eludes precise definition. Clearly, it is different from mentoring and teaching in the sense that “a teacher … facilitates learning, while role-models are persons from whom [one] wants to gain some of their attributes.”23


그럼에도 불구하고, 다른 저자들은 명시적으로 또는 암시적으로 역할 모델링과 효과적인 교수법 사이의 경계를 흐리게하는 다양한 정도degree의 정의를 사용했습니다. 일부 저자는 역할 모델링이라는 용어를 특정 학습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목적의 의도적 교육 개입으로 사용하였으며, 여기에는 기술 13-15 또는 행동 24,25의 시연이 포함된다. 이 정의는 교사와 학습자 모두의 의식적 활동을 의미합니다.

Still, different authors have explicitly or implicitly used definitions with varying degrees of blurring the boundary between role modeling and effective teaching. Some authors have used the term role modeling to refer to deliberate teaching interventions, such as demonstration of skills13–15 or behaviors,24,25 which are intended to achieve specific learning objectives. This definition implies a conscious activity by both teachers and learners.


다른 저자들은 롤모델링을 무의식적이거나 또는 의식적으로 가르치는 것으로 정의하였는데, 이것은 '학생에 의해서 관찰되기 때문에' 기본적으로by default 롤모델인 의사에 의해서 가르쳐지는 것이고, 학생들은 반성과 추상화를 통해 학생들이 무의식적이고 의식적으로 학습한다.

Other authors define role modeling as either unconscious5,26 or conscious23,24 teaching by practicing physicians who are by default role models because they are observed by students, and as both unconscious and conscious learning by students through reflection and abstraction.4,25


또 다른 저자들은 역할 모델링이 학습자는 주로 역할 모델의 속성을 무의식적으로 채택하고 있다는 것을 암시합니다.

Still other authors have implied that role modeling is a predominantly unconscious adoption18,26 or imitation21,22 of the role models’ attributes by the learners.



두 번째 모호성은 역할 모델 자체의 정의와 관련이 있습니다. "롤모델"이라는 용어는 "개인이 열망하는aspire 사회적 역할을 담당하는 사람"을 지칭하기 위해 처음 사용되었습니다 .27이 정의는 의대생이 figure of status에 끌린다는 주장과 일치합니다 28. 그러나 그것은 의학 교육 연구에서 롤모델을 정의하는 것과 차이가 있다. 의학교육연구에서는 "전문적 특성attributes를 갖추었기 때문에 모방할 만한 수월성의 표준으로 간주되는 사람"으로 정의했다29

A second ambiguity is related to the definition of the role models themselves. The term “role model” was first used to refer to a person who “occupies the social role to which an individual aspires.”27 This definition is consistent with claims that medical students are drawn to figures of status28; however, it is at variance with how medical education research defines a role model: a person who is considered as a standard of excellence to be imitated because of his or her professional attributes.29



긍정적 역할 모델을 확인identify하는 학생들의 이유에는 성격, 기술, 능력 및 교수 능력이 포함되지만 연구 성과 및 학업 위치는 포함되지 않았습니다. 학생들은 부정적인 역할 모델로 환자에게 둔감 해 보인 교과서를 인식했습니다.

Students’ reasons for identifying a positive role model have included personality, skills, competence, and teaching ability, but not research achievements and academic position.3,31 Students perceived preceptors who appeared insensitive to patients as negative role models.10


롤모델 본인이 보고하는 특성은 다음과 같습니다.

  • 자신의 능력과 가르침 기술

  • 환자에 대한 존중과 개인적인 관심;

  • 전문성에 대한 열정, 추론 기술 및 의사와 환자 간의 긴밀한 관계;

  • 의학의 정신 사회적 측면에 대한 배려.

Role models’ self-reported attributes were their competence and teaching skills23; respect for and personal interest in patients24; enthusiasm for specialty, reasoning skills, and close doctor–patient relationships7,32; and consideration of the psychosocial aspects of medicine.8



이러한 관찰에 따르면 학생들은 역할 모델을 개인적 및 직업적 특성 때문에 인식한다고 말한다. 그러나 이러한 결론은 의대생이 책임과 지위가 있는 의사를 모방한다는 주장과는 상충된다 .28 그러므로 학생들이 역할 모델을 선택했다고 겉으로 말하는 이뉴는, 실제 그들이 롤모델을 선택한 이유와 다를 수 있다. 예를 들어 임상과장에 대해서 그 사람의 능력 때문에 존경한다고 말할 수 있지만, 의식적이든 무의식적이든 그 사람의 사회적 역할(지위) 열망하기 때문에 그 사람을 모방하는 것일지도 모른다.

These observations suggest that students perceive role models as such because of their personal and professional attributes. However, this conclusion is at odds with the claim that medical students emulate those doctors who have responsibility and status.28 It is possible, therefore, that the reasons students provide for choosing role models are different from the real ones: Students may say they admire a head of a clinical service, for example, because of her competence, while actually emulating her, consciously or subconsciously, because they aspire to her social role.26



롤모델의 교육적 가치

The Educational Value of Role Modeling


역할 모델링의 교육적 가치는 그것이 어떻게 정의되는지에 달려 있습니다

  • 학생의 성과를 관찰 한 후에 기술의 시연과 피드백 제공으로 정의 된 경우 역할 모델링은 임상 교육의 중요한 구성 요소입니다. 

  • 그러나 롤 모델링이 롤 모델의 행동을 의식적 또는 무의식적으로 모방하는 것 또는 학습 환경의 형식적 (기관적 문화) 및 알려지지 않은 (숨겨진 커리큘럼) 메시지에 대한 무비판적 순응conformity을 언급하는 경우, 롤모델의 이점은 롤모델의 의도하지 않은 피해까지 고려해서 평가되어야 한다.

The educational value of role modeling depends on how it is defined. 

  • If defined as a demonstration of skills and provision of feedback after observing students’ performance, then role modeling is a crucial component of clinical training. 

  • However, if role modeling refers to a conscious or unconscious unselective imitation of a role model’s behaviors and/or to an uncritical conformity with the formal (institutional culture) and unacknowledged (hidden curriculum) messages of the learning environment, then its benefits should be weighed against its unintended harm.


모방의 이점은 학생들이 임상 로테이션의 압도적인 첼린지에 대응할 수 있도록 도와주며, 이것은 "어떻게 위협적인 환경에서 살아남고 어떻게 권위있는 인물을 기쁘게 할 수 있는지"라고 묘사되곤 한다. Treadway and Chatterjee34는 " [임상] 경험에 대한 반응을 지배하는 규칙이 불분명하기 때문에 학생들은 그들이 관찰한 행동에서 신호를 얻습니다. "

The benefit of imitation is that it helps students’ initial coping with the overwhelming challenges of clinical rotations, which have been described as “how to survive in a threatening environment and how to please authority figures.”33 Treadway and Chatterjee34 have claimed that “the rules governing the responses to [clinical] experiences are unclear … so students take their cues from the behaviors they observe.”


모방 학습이 능동적 학습과 양립 할 수 없다는 주장과는 반대로, Schon35는 "우리는 모방을 좋아하지 않는다 ... 우리는 계속하고있다 ... 관찰 된 행동의 모방적 재구성은 문제 해결의 일종이다"라고 주장했다.

Contrary to the claim that imitative learning is incompatible with active learning, Schon35 has argued that although “we do not like imitating … we are continually doing it … the imitative reconstruction of an observed action is a kind of problem solving.”


그러나 모방은 학생들의 임상 환경에 대한 초기 적응에 중요하지만, 역할 모델을 지속적으로 무비판적으로 모방하게 되면, 학생들의 비판적 성찰을 억누르고, 학생들이 진화하는 윤리적 규범과 환자의 필요에 응답하지 못하도록합니다. 또한 이는 가치관과 행동을 판단 할 때 옳고 그름이라는 이원론에 빠지게 만든다. 그러므로 학생들에게 교수자를 무의식적으로 모방하는 경향을 경고해야 하는데, 왜냐하면 오류가 없는 사람은 없으며, 어떤 사람들을 합해놓는다고 하더라도 이상적인 의사의 모든 자질을 모두 갖추기란 불가능하기 때문이다. 오히려 학생들은 유용하고 가치가 있다고 인식되는 속성을 선택하려는 의도를 가지고, 임상 프리셉터의 속성을 비판적으로 평가하도록 권장해야합니다.

However, although imitation is important for students’ initial adaptation to the clinical environment, sustained uncritical imitation of role models may “stifle students’ critical reflection”5 and prevent students from responding to evolving ethical norms and patients’ needs.26 It may also promote a judgmental right/wrong dualism towards values and behaviors.36 Therefore, I suggest that faculty should warn students against the tendency to uncritically imitate one or more of their tutors, because none of them is error-proof, and none of them combines, at all times, all of the qualities of the ideal clinician. Rather, students should be encouraged to critically assess the attributes of their clinical preceptors, with an intention to select those attributes that are perceived useful and worth adopting.


여기서 다시, 어린이 학습에 대한 비유가 적절하게 보인다. 어린이들은 모방을 통해서만 언어를 배우지 않는다. 왜냐하면 그들 주위의 언어는 매우 불규칙하고 성인의 말은 종종 분열되고 말문이 파열되기 때문입니다. 촘스키는 언어의 원리와 문법적 구조가 뇌에 "hardwired"되어있어 아이들이 주위에서 사용되는 언어의 불규칙 함에도 불구하고 학습 할 수있는 능력을 제공한다고 제안합니다 .37 마찬가지로 의과대학생도 전문직으로서 적합한 태도의 원칙을 encode하도록 훈련받고, 그 원칙이 위반되었을 때를 인식하고, 따라하지 않을 수 있도록 해야 한다.

Here again, the analogy with children’s learning seems appropriate. Children do not learn language through imitation alone because the language spoken around them is highly irregular, and because adults’ speech is often broken up and ungrammatical. Chomsky suggests that the principles of a language and its grammatical structures are “hard- wired” in the brain, thereby providing children with an ability to learn despite the irregularities in the language that is spoken around them.37 Similarly, medical students should be trained to encode the principles of professional attitudes and behavior so that they are able to recognize and ignore instances when these principles are violated.


사실, 교사 역할을 담당하는 모든 의사들이 학생들이 역할 모델에서 기대하는 속성을 갖춘 것은 아닙니다. 한 연구에서 한 명 이상의 레지던트에게 롤모델이라고 인정받는 담당 주치의는 40 %에 불과했고, 다른 설문 조사에 따르면 임상실습생 중 절반 정도가 선생님이 좋은 역할 모델이 아니라고 느꼈다. Skeff와 Mutha는 "일반적으로 롤모델이라고 인식되지 않는 교수들조차 학습자의 관점을 재 형성하고 넓히는 데 여전히 중요 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Indeed, there is evidence that not all doctors with teaching responsibilities have the attributes that students say they seek in role models. In one study, only 40% of the attending physicians were identified by one or more residents as role models,8 and another survey found that as many as half of the clerks felt their teachers were not good role models.38 Still, as pointed out by Skeff and Mutha,39 “faculty members [who are] not generally identified as role models can still be important in reshaping and broadening learners’ views.”


다시 말하면, 학생들은 임상 프리셉터의 비 윤리적 행동에 의해 도덕적으로 스트레스를 받기 보다는, 그러한 행동을 학습 기회로 보고, 관찰한 행동의 장점과 단점을 비판적으로 평가하는 것이 좋습니다. 학생들에게 환자 면담의 옳은 방식과 틀린 방식이 있다고 알려주는 대신, 프리셉터는 학생들에게 다양한 인터뷰 기법의 특성을 존중하면서 그 기법에 대해 토론하게 해야 한다. 또한 다양한 접근법을 비판적으로 평가하고, 학생들에게 다양한 인터뷰 스타일 중 자기 자신에게 가장 좋은 것이 무엇인지 선택할 수 있는 힘을 길러주어야 한다.

In other words, rather than being morally distressed by clinical preceptors’ unethical behavior, students should be encouraged to view such behavior as a learning opportunity and to critically assess the advantages and disadvantages of the observed behaviors. Instead of telling students that there is a right and a wrong way to interview patients, preceptors should urge students to discuss different interviewing techniques in an atmosphere characterized by respect for the techniques’ worth, critical assessment of various approaches, and student empowerment to choose for themselves the elements that they like best among the different interviewing styles. 


마지막으로, 학생들은 "긍정적인"역할 모델을 존중하고 "나쁜"역할 모델을 비웃는 것보다는, 모든 사람들이 다른 사람들에게서 뭔가를 배울 수 있기 때문에, (여러 프리셉터를 분별discriminate)하기보다는, 여러 "행동"을 잘 분별하여야 하며, 프리셉터를 존경심으로 대하는 것이 좋습니다.

Finally, students should be encouraged to discriminate among behaviors, rather than among preceptors, and treat all of them with respect—rather than admiring “positive” role models, and deriding “bad” role models—because everybody can learn something from everybody else.



학습 환경의 교육적 가치

The Educational Value of the Learning Environment


임상 교육은 정의 된 학습 환경에서 임상 교육자에 의해 제공되며, 이 둘은 상호 의존적이며 상호 보완적이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역할 모델링과 학습 환경의 영향을 구분할 수없는 경우가 많을 뿐만 아니라 특히 숨겨진 커리큘럼이 그렇다. 잠재 교육과정은 롤모델의 행동에 영향을 미치며, 롤모델은 메시지를 학생들에게 전달합니다. 따라서 롤모델링에 대한 논의는 개인을 초월하여 숨겨진 커리큘럼과 기관의 문화를 조사해야합니다.

Clinical training is delivered by clinical preceptors in a defined learning environment, both of which are interdependent and complementary,4,5,18 and so it is sometimes impossible to discern between the influence of role modeling and that of the learning environment in general, and particularly of the hidden curriculum. The hidden curriculum affects the behavior of role models, and role models deliver its messages to students. Therefore, any discussion of role modeling must transcend individuals and examine the hidden curriculum and institutional culture.


잠재 교육과정은 학생들의 개인적 부적절함에 대한 경감시키기보다는 도리어 높히고, mental illness에 대한 학생들의 편견을 완화시키지 못함으로써 일부 임상 학습 환경에 부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40 숨겨진 커리큘럼은 바람직하지 못한 행동을 지속시키기도 한다. 그 예로는 다음이 있다. 

  • 시간을 절약하기 위해 의사 중심의 면담을 하는 것;

  • 학습을 장려하는 잘못된 시도로서 학생들에게 굴욕감을 주는 것;

  • 일차의료의사, 학자, 정신과 의사를 깔보는 말을함으로써, 환자 치료에 대한 생물 의학적 접근을 촉진하려는 시도를 하는 것

The hidden curriculum may negatively affect some clinical learning environments by enhancing rather than alleviating students’ fear of personal inadequacy, and by failing to mitigate students’ prejudice against mental illness.40 The hidden curriculum may also perpetuate undesirable behaviors, such as 

  • doctor-centered patient interviewing in order to save time; 

  • humiliating students as a misguided attempt to encourage learning; and 

  • making disparaging remarks about primary care physicians, epidemiologists, and psychiatrists in an attempt to promote a biomedical approach to patient care.5,41,42


임상 학습 환경의 또 다른 부정적 측면은, 의도하지 않게 의료서비스 제공자가 환자를 차별하는 것처럼 보이는 것입니다. 백인 환자가 아프리카 계 미국인 환자보다 전문 서비스에 더 잘 접근 할 수 있다는 증거가 있습니다.

Another disturbing aspect of the clinical learning environment is that some health care providers appear to unintentionally discriminate among patients. There is evidence that white patients have better access than African American patients to specialized services,43–46


Universal 의료 보험이 적용되는 국가에서 privately 보험에 가입 한 환자의 비율이 높아짐에 따라 의료 서비스 제공의 불평등이 더욱 강화되었습니다.

The increasing proportion of privately insured patients in countries with universal medical insurance has further enhanced the inequalities in health care delivery.


일부 임상 교육의 학습 환경의 바람직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임상 교육자의 개인적 및 전문적 특성은 매우 이질적이기 때문에, 롤모델링을 개선하려는 노력은 학생들을 대상으로 해야합니다. [학습 환경의 바람직하지 않은 메시지가 유발하는 영향을 줄이려는 노력]이 [임상 프리셉터 중 긍정적 롤모델의 수를 늘리기 위한 목적]을 보완해야 합니다. 무엇보다도 교수진은 학생들이 그들의 프리셉터와 학습 환경으로부터의 메시지를 관찰하고, 비판하고 선별적으로 받아들이도록 권장해야합니다. 즉, 학생들의 성찰능력은 효과적인 역할 모델링을위한 가장 중요한 전제 조건입니다.

Because of the inevitable heterogeneity in the personal and professional attributes of clinical preceptors, as well as the undesirable aspects of the learning environment in some clinical teaching settings, efforts to improve role modeling should be targeted at students. Efforts to reduce the impact of a learning environment’s undesirable messages should complement those aimed at increasing the number of positive role models among clinical preceptors. First and foremost, though, faculty should encourage students to observe, criticize, and be selective in adopting the messages of their preceptors and learning environment. In other words, students’ reflectivity is the most important prerequisite for effective role modeling.



성찰의 정의와 그것을 촉진하는데 드는 어려움

Definitions of Reflectivity and Difficulties in Promoting It


Reflexivity는 아래에 정의 된 몇 가지 중첩 된 구조에 대한 포괄적 인 용어입니다. 

  • "사려 깊은 전문가들"은 일하는 동안 무엇을하는지 생각합니다. 특히 새로운, 생소한 문제에 직면 할 때 특히 그렇습니다. 

  • "마음 닦는mindful 종사자"는 자신의 실수를 인식하고 자신의 가치를 명확히하기 위해 비판적 자기 성찰을 사용하여, 일상 업무 중에 자신의 정신적 인 과정에 참석합니다. 50 

  • 자기 인식과 introspection과 같은 개념은 한 사람의 자기 이해를 나타냅니다 ; 사회적 지능과 공감은 타인에 대한 이해를 의미합니다. 

  • Theory of Mind와 Reflective Function는 자신과 타인에 대한 이해를 포함합니다. 

  • 마지막으로, 이러한 개념은 사람의 지적 발달과 도덕적 발달, 불확실성의 내성과 관련이있다. 54,55 

  • Reflexivity와 불확실성에 대한 내성은 clinical practice과 관련이있다.

Reflectivity is an all-inclusive term for several overlapping constructs, defined below. 

  • “Reflective practitioners” think about what they do while doing,35 particularly when confronting a new, unfamiliar problem. 

  • “Mindful practitioners” attend to their mental processes during everyday tasks, using critical self-reflection in order to recognize their own errors, and clarify their values.50 

  • Other concepts, such as self-awareness and introspection, refer to one’s understanding of one’s self; social intelligence and empathy refer to one’s understanding of others. 

  • Theory of Mind51 and Reflective Function52 include an understanding of both oneself and others. 

  • Finally, these concepts are related to a person’s intellectual36 and moral53 development, and tolerance of uncertainty.54,55 

  • Reflectivity35,50 and tolerance of uncertainty56,57 are relevant for clinical practice.


Perry's36의 지적 및 윤리적 발달 척도는 reflectivity의 발달을 기술하는 데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모델이다. 페리가 이원론, 다양성, 상대주의, 상대주의에서의 헌신이라고 부르는 일련의 단계.

Perry’s36 intellectual and ethical development scale is a commonly used model to describe the development of reflectivity. a sequence of stages, which Perry called dualism, multiplicity, relativism, and commitment in relativism.


  • 이원론 단계에서, 학생들은 절대적인 진리와 모든 질문에 대한 단 하나의 정답의 존재를 믿었습니다. 그들은 옳고 그름의 관점에서 생각하고 "나는 동의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당신은 틀렸습니다."라고 말했습니다.

  • 다원론 단계로의 전환은 학생들이 "모르겠다"고 대답 한 교사 / 역할 모델을 발견 할 때 시작되었습니다. 그러나 절대 진실의 존재에 대한 학생들의 믿음은 여전히 ​​그대로이다: 우리가 옳은 답을 모르는 경우에도, 어느 시간이 지나면 우리는 그것을 알 것이라고 믿고 있다. 그때까지 다양한 의견이 legitimate하므로, "의견에 대해 판단할 수 없습니다."

  • 다원론 단계가 끝나기 전에 학생들은 의견에 대해 판단할 수 있다는 것을 깨닫는다. 그리고 심지어는 불확실성이 있는 영역에서도, 어떤 문제에 대해서 이용 가능한 데이터에 일치하는 제한적인 숫자의 legitimate 솔루션이 있으며, 비논리적이거나 현실과 동떨어진 illegitimate한 접근법이 있다는 것을 깨닫는다. 이 실현은 상대론으로의 전환을 시사한다. 이제 학생들은 "나는 동의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당신은 틀릴 것입니다."보다는 "나는 동의하지 않습니다. 그러나 당신이 맞을 수도 있습니다."라고 말할 수 있다. 이 단계에서는 각 대안의 장점이 너무 분명하게 나타나서, 그 중에서 선택이 불가능해 보인다.

  • 학생들은 최종 단계에 이르렀습니다. 이 단계는 '상대론에서의 헌신'이며, 학생들이 [비록 결론짓지 않음으로서 아무것도 하지 않을 것이 아니라면], 하나의 결정에 대해서 헌신할 수 있어야 하고, 그것은 나중에 그 결정을 후회할지라도 그러함을 깨달았을 때이다. 페리가 주장한 발달은 불확실성에 대한 내성의 증가로 볼 수있다. 불확실성은 이원론에서 거부되며, 다원론에서 임시적으로 확인되며, 상대론에서 합법적으로 받아들여지고, 궁극적으로 학생들이 스스로의 헌신에 자신을 affirm할 때 다루어진다.

  • At the dualism stage, students believed in the existence of absolute truth and of a single correct answer for every question. They thought in terms of right and wrong, and made comments like “I disagree, and therefore, you are wrong.” 

  • The transition to the multiplicity stage began when students came across teachers / role models who answered “I don’t know.” Still, students’ belief in the existence of absolute truth remained unchallenged: Even if we do not know the right answer, in due time we shall know it. Until then, a multiplicity of opinions is legitimate, and therefore, “opinions can’t be judged.” 

  • Towards the end of the multiplicity stage, students realized that one can judge opinions, and that even in areas of uncertainty, a problem may have a limited number of legitimate solutions that are congruent with available data, and an unlimited number of illegitimate approaches, which are illogical and divorced from reality. This realization signaled their transition to relativism. Now students would say, “I disagree, but you may be right,” rather than, “I disagree and, therefore, you are wrong.” At this stage, the merits of each alternative appear so clearly that choosing among them became impossible. 

  • Students progressed to the final stage—commitment in relativism—when they understood that, unless they were to remain frozen in indecision, they would have to commit themselves to a decision, even if they would regret it in light of future evidence. The development along Perry’s scheme may be seen as an increase in tolerance of uncertainty: Uncertainty was rejected in dualism, viewed as temporary in multiplicity, accepted as legitimate during relativism, and dealt with when students affirmed themselves in their commitments. 


페리의 계획에 따른 발달은 [역할 모델의 맹목적인 모방]에서 [특정 역할 모델의 행동 및 태도의 비판적이고 선택적 채택]으로의 전환으로 볼 수도 있습니다.

The development along Perry’s scheme may be also seen as a transition from blind imitation of role models to a critical and selective adoption of specific role models’ behaviors and attitudes.


의대생의 성찰이나 관련 개념에 대한 연구에 따르면 대부분의 학생들은 가치 판단을 할 때 참이나 거짓으로 나눈다58. 이는 그들의 지적 발달은 주로 이원론 또는 다원론 단계에 있음을 보여준다59; 또한 이는 학생들이 "대단히 단순한 사고 수준"60임을 보여준다. 최종 학년도에 성찰 능력이 감소했다는 사실이 있다 61; 주니어와 시니어 학생 사이에 불확실성에 대한 내성의 차이는 발견되지 않았다. 54,62,63 

Studies of medical students’ reflectivity or related concepts have shown that most students believed that value judgments were either true or false58; that their intellectual development was mainly at the dualism or multiplicity stage59; that they expressed “predominantly simplistic levels of thinking”60; that their reflective ability decreased over the course of the final academic year61; and that there were no detectable differences in tolerance of uncertainty between junior and senior students.54,62,63


질적 관측에 따르면 의대생은 여러 임상 프리셉터의 의사 소통 스타일에서 관찰 된 불일치에 대한 반응이 다르다고 제안했다. 어떤 학생들은 환자 인터뷰 기법이 매우 떨어지는 것에 대한 변명의 여지가 없다고 생각하기도 했지만, 어떤 학생들은 교사의 의사 소통 스타일에 variability가 발생하는 이유에 대해 성찰하고 이해하려고 시도했다 .64 그러나 여전히 어떤 학생들은 특정 상황에 항상 적용될 수 없는 "원리"에 집착했으며, "그들이 원하는 걸 주도록 하자"와 같은 시니컬한 태도를 보이며 페리의 다원론 단계의 특징을 보이기도 했다.

 Qualitative observations have suggested that medical students differ in their responses to observed inconsistencies in the communication styles of their clinical preceptors. Although some students thought that there was no excuse for a “poor” patient-interviewing technique, others attempted to reflect on, and understand, the reasons for the variability in their tutors’ communication styles.64 Still other students have been reported to stick to “principles” that do not always apply to specific situations, or to express the cynical attitude of “give them what they want”35 that characterizes Perry’s stage of multiplicity.


초심자가 성찰적 의료인으로 진화하는 것은 지능적으로 어렵고 감정적으로도 어려운 일이다.36) 임상 실습의 불확실한 영역에서, 롤모델은 절대적 진실을 알고 있을 것이라는 가정은 매우 매력적이다. 권위에 대한 conformity는 의대생이 임상 환경의 복잡성으로 인해 생기는 불안을 조절할 수있는 수단으로 확인되었다. 즉, 임상 실습에 내재 된 불확실성을 파헤 치는 것보다는 역할 모델을 모방하는 것이 더 쉽다. 성찰성은 지배, 계층 구조, 적합성에 바탕을 둔 사회적 규범보다 복잡한 생각을 필요로한다 .6) 또한 연구에 따르면, (자기 인식이나 다른 사람들의 감정에 대한 인식과 같은) 성찰의 특정 측면이 [더 높은 수준의 대인 관계 능력]뿐만 아니라 [높은 수준의 심리적 고통과 자기 자신에 대한 덜 우호적인 인식]과도 관련됨을 보여준다.

The evolution of a novice into a reflective practitioner is intellectually difficult and emotionally demanding.36 The assumption that, in the uncertain realm of clinical practice, there is an absolute truth known to role models, is extremely attractive. Conformity with authority has been identified as a means by which medical students control anxieties generated by the complexity of the clinical environment.65 In other words, it is easier to imitate role models than to grapple with the uncertainties inherent in clinical practice. Reflectivity necessitates more complex thinking than does a social code grounded in dominance, hierarchies, and conformity.66 Furthermore, research suggests that certain aspects of reflectivity, such as self-awareness67 and awareness of others’ feelings,68,69 are associated with not only higher levels of interpersonal competence but also higher levels of psychological distress and a less favorable perception of one’s self.



학생들의 성찰능력과 불확실성에 대한 내성을 높이기 위해 몇 가지 구체적인 교육 개입이 제안되었다. 이러한 교육적 개입이 확실히 탐구할만한 가치가 있지만, 나는 mindfulness가 명시 적으로 가르쳐 질 수는 없지만 "멘토에 의해 모델화되고 학습자에게서 배양"될 수 있다는 견해에 동의한다. 다원론 단계로의 전환이 시작되는 시점은 학생이 교사로부터 "나도 모른다"라는 답을 들었을 때라는 점을 고려한다면, 학생들의 지적, 윤리적 발전에 대한 서포트의 주요 원천은 그들이 혼자가 아니라는 것을 깨닫고 그들의 강사들이 그들의 의구심과 불확실성을 공유한다는 것이다 .36 그러므로, 롤 모델과 역할 모델링은 의학 교육의 중요한 요소라고 생각합니다. 그러나 임상 적 역할 모델의 주된 특징은 그들의 숙고deliberation에 대한 의심과 visibility를 표현할 수 있는 개방성이다. 롤모델이 deliberate하는 것을 보는 것은 학생의 성찰능력을 높이며, 학생의 성찰능력은 효과적인 롤모델링의 전제 조건입니다.

Several specific teaching interventions70,71 have been suggested in order to promote students’ reflectivity and tolerance of uncertainty. Although such interventions are certainly worth exploring, I concur with the view that mindfulness cannot be taught explicitly but can be “modeled by mentors and cultivated in learners.”50 Given Perry’s finding that the transition to the multiplicity stage began when students came across teachers who answered, “I don’t know,” it would appear to me that the main source of support in students’ intellectual and ethical development is the realization that they are not alone, and that their instructors share their doubts and uncertainties.36 Therefore, I think that role models and role modeling are an important element of medical education. However, the main attribute of clinical role models is their openness in expressing their doubts and visibility in their deliberations. Seeing role models deliberate promotes students’ reflectivity, while students’ reflectivity is a prerequisite of effective role modeling.



Conclusions


역할 모델링을 개선하려는 시도는 주로 학습자와 학습자 또는 동료들이 바람직한 역할 모델의 특성으로 판별 한 개인적 특성을 촉진시키는 것을 목표로했다 .4,5,18이 관점에서 나는 이러한 시도만으로는 역할 모델링의 교육적 가치를 향상시키는 것이 불가능하다고 주장했다

  • 첫째, 그러한 시도가 긍정적 인 역할 모델 인 임상 교수의 비율을 증가 시킨다는 어떠한 증거도 없다. 

  • 둘째, 학습자가 존경한다고 말하는 개인적 속성이 실제로 흉내낼 수있는 개인적 속성인지 여부는 불확실하다 .26 

  • 째, 개별 교수의 강점과 약점의 이질성은 그 자체로 고유 한 교육적 가치를 지닌다.

Attempts to improve role modeling have been targeted primarily at the promotion of those personal attributes that learners and learner- or peer-identified role models identified as desirable.4,5,18 In this Perspective, I have argued that these attempts alone are not likely to improve the educational value of role modeling. 

  • First, I know of no evidence that such attempts increase the proportion of clinical faculty who are “positive” role models. 

  • Second, it is uncertain whether the personal attributes, which learners say they admire, are those that they actually emulate.26 

  • Third, the heterogeneity in the strengths and weaknesses of individual faculty has, in and of itself, a unique educational value.39



역할 모델링의 교육적 가치를 높이려는 시도는 [역할 모델 자체를 목표로하고 교수 성과를 향상시키는 것뿐만 아니라] 학생들의 학습 환경과 임상 프리셉터에 대한 성찰능력과 비판적 태도를 높이려는 목적으로 학생들을 목표로 삼아야한다고 생각합니다. 그러므로 교수는 

  • 먼저 학생들에게 그들의 프리셉터 중 하나를 무 비판적으로 모방하려는 경향에 대해 경고해야한다고 제안합니다. 

  • 두 번째로, 학생들에게 그들의 교훈자가 그들의 의심과 불확실성을 공유한다는 것을 깨닫게하십시오; 

  • 셋째, 임상 환경의 숨겨진 커리큘럼과 제도적 문화의 바람직하지 못한 특징에 대한 통찰력을 얻고 교정한다. 

  • 마지막으로, 임상지도 교사가 자신의 강점과 약점에 대한 전반적인 평가의 맥락에서만 "긍정적 인"역할 모델인지 여부를 고려하는 교수진 채용 및 승진 정책을 개발하십시오.

I believe that attempts to enhance the educational value of role modeling should include not only targeting the role models themselves and improving faculty performance but also targeting the students, with an intent to enhance their reflectivity and critical attitudes to their learning environment and clinical preceptors. Therefore, I suggest that faculty should, 

  • first, warn students against their tendency to uncritically imitate any of their preceptors; 

  • second, make students realize that their preceptors share their doubts and uncertainties; 

  • third, gain an insight into, and correct, undesirable features of the clinical setting’s hidden curriculum and institutional culture; and 

  • finally, develop policies for faculty recruitment and promotion that consider whether a clinical tutor is a “positive” role model only in the context of an overall evaluation of his or her strengths and weaknesses.





 2014 Apr;89(4):550-4. doi: 10.1097/ACM.0000000000000189.

Role modeling in medical education: the importance of a reflective imitation.

Author information

1
Dr. Benbassat is a retired professor of medicine, and presently a research associate, Department of Health Policy Research, Myers-JDC-Brookdale Institute, Jerusalem, Israel.

Abstract

The medical literature almost uniformly addresses the positive aspects of role modeling. Still, some authors have questioned its educational value, a disagreement that is probably due to differing definitions of role modeling. If defined as demonstration of skills, provision of feedback, and emulation of specific professional behaviors, then role modeling is an important component of clinical training. However, if it is defined as a learner's unselective imitation of role models and uncritical adoption of the messages of the learning environment, then the benefits of rolemodeling should be weighed against its unintended harm.In this Perspective, the author argues that imitation of role models may initially help students adapt to the clinical environment. However, if sustained, imitation may perpetuate undesirable practices, such as doctor-centered patient interviewing, and unintended institutional norms, such as discrimination between private and public patients. The author suggests that the value of role modeling can be advanced not only by targeting role models and improving faculty performance but also by enhancing students' reflective assessment of their preceptors' behaviors, especially so that they can better discern those that are worth imitating. This student-centered approach may be accomplished by first, warning students against uncritically imitating preceptors who are perceived as rolemodels; second, showing students that their preceptors share their doubts and uncertainties; third, gaining an insight into possible undesirable messages of the learning environment; and finally, developing policies for faculty recruitment and promotion that consider whether a clinical preceptor is a role model.

PMID:
 
24556777
 
PMCID:
 
PMC4885588
 
DOI:
 
10.1097/ACM.0000000000000189


보건전문직교육에서 습득적역량과 참여적역량: 국제보건 분야의 정의와 평가(Acad Med, 2017)

Acquired and Participatory Competencies in Health Professions Education: Definition and Assessment in Global Health

Quentin Eichbaum, MD, PhD, MPH, MFA, MMHC




역량의 보다 완전한 모델은 실천공동체와 개개인의 전문성에 초점을 두어야 하며, 더욱 중요하게는 이 둘 사이의 관계에 초점을 둠으로써 한 인간은 개인의 지혜와 사회적 관계를 모두 지니고 있음을 인식해야 한다. 미래 연구는 이 "공유 된 적성"의 성격을 깊이있게 탐구해야한다 .

- 곽 외 1

The more complete model of competence focuses on communities of practice and on individual expertise and, importantly, the interactions between them, recognizing that humans possess both individual wisdom and social connectedness. Future research should explore in greater depth the nature of this “situated shared competence.” —Leung et al1



역량 기반 학습으로의 보건 전문 교육 추세에 따라 고소득 국가 (HIC)의 글로벌 보건 프로그램은 계속 확산되고 있습니다. 또한, 이들 프로그램의 대다수는 학생과 연수생이 저소득 및 중산층 국가 (LMIC)에서 자원이 제한된 환경에서 1 개월 이상 일렉티브을 수행하는 패러다임을 채택하고 있습니다 .2,3

Global health programs in high-income countries (HICs) continue to proliferate, with many following the trend in health professions education toward competency- based learning. Furthermore, a majority of these programs are adopting a paradigm in which students and trainees undertake elective work for periods of one or more months in resource-constrained settings in low- and middle-income countries (LMICs).2,3


• HIC 프로그램이 저 자원 환경에서 지역 보건 상황의 특수성을 충분히 고려하지 못하며, 맥락-특이적 역량 개발에 LMIC 보건 전문가 및 근로자를 포함하지 못함.

• HIC의 문화 및 학습 환경에서 유행하는 개인주의와 LMIC 상황에서의 집단주의 사이의 "분리disjunction"에 대한 과소 평가.

• LMIC의 저 자원 환경에서 일하는 HIC의 학생 및 연수생의 글로벌 건강 역량 평가의 한계.


• the failure of HIC programs to take sufficient account of the specificity of local health contexts in low-resource settings and to be inclusive of LMIC health professionals and workers in the development of context-specific competencies;

• an underappreciation of the “disjunction” between the individualism prevalent in cultural and learning contexts in HICs and the collectivism in LMIC contexts2,3; and

• the shortcomings in the assessment of global health competencies of students and trainees from HICs working in the low-resource settings of LMICs.



우리는 식민지 시대의 세계적 건강 유산을 뛰어 넘는 중대하고 변혁적인 학습 경험을 창출하고 상호 의존성공유에 기반한 공평한 파트너십을 개발하기 위해 이러한 과제를 해결할 필요가 있습니다.

We need to address these challenges to create significant, transformative learning experiences5 that move beyond the colonialist legacy of global health6,7 and to develop equitable partnerships based on interdependence and sharing.



맥락의 문제
The Problem of Contexts


글로벌 건강 역량에 관한 논쟁에서 핵심 질문은 그러한 역량이 "맥락 연계 (context-linked)"또는 "맥락 무관(context-free)"인지 여부입니다. 4 유감스럽게도 맥락은 종종 학습자에게 암시 적입니다 .10 

  • "맥락-무관"경우, 언제 어디서 배우든, 우리는 상황에 관계없이 이러한 역량에 대해 학습자를 평가할 수 있습니다. 한 맥락에서 배운 역량은 다른 맥락에서 전달되고 적용될 수 있습니다. 이 견해는 역량을 갖춘 개인이 일반적으로 맥락 전반에 걸쳐 유능하다는 것을 가정하고, 한 맥락에서 개인의 성과는 다른 유사한 맥락에서 성과를 예측한다는 것을 가정한다.

A central question in the debate about global health competencies is whether such competencies are “context- linked” or “context-free.”4 contexts are, unfortunately, often left implicit for learners.10 If competencies are context-free, they can be learned at any time and place, and we can assess learners on these competencies, independent of context. Competencies learned in one context can be transferred and applied in other contexts. This view posits that a competent individual is generally competent across contexts, and that the individual’s performance in one context predicts performance in other similar contexts.11


  • 대조적으로 역량이 "맥락-연계" 되어 있으면 컨텍스트간에 전이될 수 없습니다. 오히려 그러한 맥락과 관련하여 학습하고 평가해야합니다 .11 경험 많은 글로벌 보건 의료 종사자는 한 가지 건강 컨텍스트에서의 역량이 다른 컨텍스트로 반드시 전달되는 것은 아니라는 점을 인식합니다.

In contrast, if competencies are context-linked, they cannot be transferred across contexts; rather, they must be learned and assessed in specific relation to those contexts.11 Experienced global health workers recognize that competence in one health context does not necessarily transfer to a different context.4


HIC의 글로벌 보건 프로그램은 주로 LMIC의 지역 보건 상황의 특수성을 적절하게 반영하지 못했습니다 .4 그들은 상황에 관계없이 역량 목록을 가르치며, 다양한 LMIC 사이트에서 그러한 역량을 일렉티브를 선택한 연수생들이 전이할 수 있다고 편리하게 고려합니다.12

Global health programs in HICs have largely failed to take adequate account of the specificity of local health contexts in LMICs.4 They tend to teach generic lists of competencies, independent of context, and conveniently consider such competencies transferable across the diverse LMIC sites that their trainees choose for electives.12



  • 개인이 맥락과 독립적으로 획득 할 수있는 것들(습득적 역량)과 

  • 특정한 건강 컨텍스트 (들)과 관련이 있고 맥락의 역동적 인 사회적 상호 작용에의 참여에 의존하는 것들(참여적 역량)

...로 역량의 분류를 제안한다.

I propose a classification of competencies into 

  • those that individuals can acquire independent of context (acquired competencies) and 

  • those that are linked to specific health context(s) and depend on participation in the dynamic social interactions of the context (participatory competencies).


습득적 역량과 참여적 역량

Acquired and Participatory Competencies


배움이라는 것이 "개인이 획득하고, 유지하고, 개인적 이득을 얻기 위해 이용할 수있는 것"이라는 생각은 집단주의적 관점에서는 거의 생각할 수 없다. -Bleakley et al13

The idea that learning is something that an individual can acquire, retain and exploit for personal gain is almost unthinkable from a collectivist perspective. —Bleakley et al13



개인은 "죽어가는 환자에게 조언"과 같은 역량을 배우고 간단히 check off 할 수 있습니까? 아니면 이 역량은 그렇게 간단히 배우기에는 너무 문화적으로나 사회적으로 복잡하고 맥락에 따라 달라집니까? 죽어가는 환자에 대한 상담은 참여 적 역량으로 분류됩니다. 상황에 따라 크게 달라지며 일반적으로 컨텍스트간에 전이될 수 없습니다.

Can an individual learn and simply check off a competency such as “counsel a dying patient”? Or is this competency too culturally and socially complex and too contextually situated to be so readily learned? Counseling a dying patient would be classified as a participatory competency: It is highly dependent on context and cannot be generically transferred across contexts. 



학습 접근법 : 습득과 참여, 개인주의와 집단주의

Learning approaches: Acquisition and participation, individualism and collectivism


Sfard14는 "습득"과 "참여"의 은유를 사용하는 학습 접근법을 구분합니다. 

    • 습득 메타포는 개인이 습득하고 소유 할 수있는 것으로 학습을 바라보고, 상황에 따라 전이될 수 있으며 따라서 개인을 효과적으로 평가할 수 있다. 

    • 참여 메타포는 학습이 그룹 및 커뮤니티 내에서 참여 및 공유 된 상호 작용을 통해 동적으로 발생하는 사회적 및 맥락적으로 "위치한"것으로 평가합니다. 다시 말해서, "참여가 곧 배움"이며 "배움(참여와 같은)은 개인의 정적 인 획득이나 속성 이라기보다 지속적인 과정으로 간주된다."11,14 이 관점에서 볼 때, 학습은 오히려 맥락과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으며, 쉽게 전이가능한 것이 아니다.

Sfard14 makes the distinction between approaches to learning using the metaphors of “acquisition” and “participation.” The acquisition metaphor views learning as something the individual can acquire and possess, that can be transferred across contexts, and for which the individual can therefore be effectively assessed. The participation metaphor views learning as being socially and contextually “situated,” arising dynamically through participation and shared interactions within groups and communities. In other words, “participation is learning” and “learning (like participation) is viewed as a continuous process” rather than as a static acquisition or attribute of the individual.11,14 Learning, by this view, is inextricably linked to contexts rather than transferable.


역량에 대한 또 다른 담론은 학습에 대한 개인주의적 접근과 집단주의적 접근 사이의 구분이다 .11) 

    • 개인주의와 자율성이 높은 HIC는 일반적으로 학습을 개인 내에서 발생하고 습득되어 개인이 "소유"할 수 있는 것으로 보는 개인주의적 접근을 한다. 11,14. 

    • LMIC는 주로 그룹 또는 집단의 측면에서 자신을 이해하고 그룹 상호 작용 및 참여에서 동적으로 발생하는 것으로 학습을 봅니다. 

습득과 참여에 대한 학습은 각 개인주의 문화와 집단 주의적 문화에서 우세하다.

Another discourse of competence is the distinction between individualist and collectivist approaches to learning.3,11 

    • HICs that rank high in individualism and autonomy are generally individualist in their approach to learning insofar as they view learning as something that occurs within the individual and is acquired and “possessed”11,14 by the individual. 

    • LMICs understand themselves primarily in terms of the group, or collective, and view learning as arising dynamically out of group interactions and participation. 

The learning metaphors of acquisition and participation thus predominate, respectively, in individualist and collectivist cultures.



두 은유는 모두 타당성이 있으며 "단지 하나만 취사선택하는 위험"이 있기 때문에 "각자의 장점을 가져와 통합해야"합니다. 14 개인주의 문화의 훈련생이 집단주의적 문화에서 일하고 배우는 경우, 관점, 태도, 학습 접근법의 분리disjunction는 학습 부조화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HIC 연수생의 학습에 대한 경쟁적이고 능동적 인 개인 주의적 접근 방식은 호스트 LMIC에서 학습에 대한보다 협동적이고 참여적인 집단 주의적 접근 방식과 충돌 할 수있다.

Both metaphors have validity, and they should be integrated to “bring to the fore the advantages of each” because there are “dangers in choosing just one.”14 Be that as it may, when trainees from individualist cultures work and learn in collectivist culture settings, a disjunction of perspectives, attitudes, and approaches to learning may lead to a learning dissonance. For example, HIC trainees’ competitive and proactive individualist approach to learning may clash with the more collaborative and participatory collectivist approach to learning in the host LMIC.4


역량을 습득적인 것과 참여적인 것으로 분류하기

Classifying competencies as acquired or participatory


기존의 리스트는 개인주의자와 집단주의자의 문화와 학습에 대한 각각의 접근법을 구분하지 않는다.

The core competency lists of major health professional organizations—such as those of the Accreditation Council for Graduate Medical Education (ACGME)15 in the United States and the Royal College of Physicians and Surgeons of Canada (CanMEDS framework)16 do not make the distinction between individualist and collectivist cultures and their respective approaches to learning.


나는 의학 교육자들이 능력을 획득하는 것이나 참여하는 것으로 분류하는 모델을 제안한다. 획득 된 역량은 개인이 습득하고 소유 할 수있는 역량이며 직접 관찰 및 심리 측정과 같은 표준 방법을 사용하여 평가할 수 있습니다 .17,18이 모델에서 ACGME 핵심 역량 영역 인 의학 지식 및 환자 진료 영역은 대부분 의학 전문 분야는 주로 획득 한 역량으로 구성됩니다. 다른 네 가지 ACGME 핵심 역량 영역 (실습 기반 학습 및 개선, 시스템 기반 실무, 전문성 및 대인 관계 기술 및 의사 소통)의 역량은 대부분의 전문 분야에서 참여적 역량으로 보는 것이 우세하다.

I propose a model in which medical educators classify competencies as either acquired or participatory. Acquired competencies would be those that the individual can acquire and possess and that we can assess using standard methods such as direct observation and psychometric evaluation.17,18 In this model, the ACGME core competency domains15 of medical knowledge and patient care would, in most medical specialties, be composed mostly of acquired competencies. Competencies in the other four ACGME core competency domains (practice-based learning and improvement, systems-based practice, professionalism, and interpersonal skills and communication) would include, in most medical specialties, a preponderance of participatory competencies.


참여 적 역량은 다른 개인 및 그룹과 관련된 역동적 인 사회적 맥락에서 "위치"를 차지하고 있으며, 직접적인 관찰이나 표준 척도를 통해 쉽게 평가할 수는 없습니다.

Participatory competencies are “situated”20 in dynamic social contexts involving other individuals and groups, and we cannot readily assess them through direct observation or standard metrics.


이러한 분류는 각각에 취득 된 참여 적 역량의 혼합을 나타냅니다 (표 1).

these classifications reveals a blend of acquired and participatory competencies in each (Table 1).




참여적 역량의 평가

Assessment of Participatory Competencies



LMIC의 자원이 제한된 환경에서 일하는 HIC 연수생의 역량 평가는 몇 가지 과제를 안겨줍니다.

Assessing competencies of HIC trainees working in resource-constrained settings in LMICs presents several challenges


특히 집단 주의적 환경에서 참여하는 역량은 연수생 및 의료 팀의 다른 구성원이 참여하는 다차원 적 접근이 필요합니다. 참여 적 역량을 평가하는 가장 합리적인 방법은 자기 주도적 평가 (Self-Directed Assessment) 추구입니다 .4이 접근법에서 연수생은 관련 출처의 범위에서 피드백과 평가를 적극적으로 추구seeking합니다 (교수 및 보건 시스템에서 권한을 부여 받음). 그 후, 연수생은이 피드백을 자신의 수행 능력을 향상시키는 것으로 해석합니다.

participatory competencies— particularly in collectivist settings— requires a multidimensional approach involving the trainee and other members of the health care team. The most congruent method for assessing participatory competencies is self-directed assessment seeking.4 In this approach, the trainee proactively seeks feedback and assessment from a range of relevant sources (while being empowered by faculty and the health care system to do so); subsequently, the trainee translates this feedback into improving his/her performance.8


Boud25는 과도한 자신감이나 부정확 한 판단으로 인해 자기 평가가 부정확 해지는 것을 피하기 위해 "자기 평가는 개인 주의적 활동을 의미해서는 안되며, 오히려 동료, 교사 및 기타 정보 출처를 포함해야합니다."라고 주장합니다. 단 한명의 preceptor에 의해 평가받는 것과는 대조적으로, 그러한 외적 자원이 "공동평가자"로서 참여하게 되면 평가의 타당성과 신뢰성을 향상시킨다 .25,26

To avoid the hazards of overconfidence and self-misjudgment that result in inaccurate self-assessment, Boud25 insists that “self-assessment should not imply individualistic activity [but] should commonly involve peers, teachers, and other sources of information.” The inclusion and participation of such “external sources”8 as coassessors, in contrast to having just a single assessing preceptor, enhance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assessments.25,26


Moonen-van Loon 등의 최근 연구에 따르면 평가자 그룹의 고유한 특성과 평가되는 역량이 신뢰도에 영향을 준다 하더라도, 복수 평가자가 전공의의 역량을 평가하는 것이 단일 평가자를 사용하는 것보다 (또는 자기평가만 사용하는 것보다) 더 안정적이라고 결론 지었다.

A recent study by Moonen-van Loon et al27 concluded that having multiple assessors evaluate resident competence was more reliable than using single assessors (or than using self-assessment alone), although the unique characteristics of the assessor group and the competencies being assessed could affect such reliability.


팀원, 동료, 교사 및 기타 출처를 포함하는 자기 주도적 평가 추구 방식은 참여 적 역량을 평가하는 데 적합합니다. LMIC의 자원 부족 상황에서 다른 출처source는 연수생과 협력하고 상호 작용 한 보조 의료 종사자를 포함 할 수 있습니다(예 : 간호사, 의료진, 행정관, 지역 사회 근로자). 이것은 21 세기를위한 Lancet Independent Global Commission of 21 세기의 교육에 주창 된 "transprofessionalism"이라는 개념과 일치 할 것입니다 .5 직장의 맥락에서 수행되고 동료 및 감독자를 평가자로서 포함하는 평가가 더 높은 타당도를 갖는다.28

The approach of self-directed assessment seeking, which includes team members, peers, teachers, and other sources, is befitting for assessing participatory competencies. In low-resource settings in LMICs, the other sources might include ancillary health care workers who have worked and interacted with the trainee (e.g., nurses, medical officers, administrators, community workers). This would be consonant with the notion of “transprofessionalism”  advocated in the seminal work of the Lancet Independent Global Commission on Education of Health Professionals for the 21st Century.5 Assessments performed within the context of the workplace and that include coworkers and supervisors asassessors have enhanced validity.28 


사회 과학의 방법을 포함하여, 질적 및 혼합 평가 방법은 상황에 맞는, "맥락-연계"된 참여적 역량을 평가하는 데 매우 적합 할 수 있습니다. 화이트 헤드 (Whitehead)와 동료 연구원은 표준적 심리측정 검사 방법이 가치 있고 필요한 것이지만 역량 중심 평가 환경에는 충분하지 않다고 주장한다. 새로운 평가 접근법, 특히 사회 과학의 평가 접근법은 위치에 있고 상황에 맞는 비 의학 전문가 (내재적) 역할을 평가할 수 있어야합니다. "

Qualitative and mixed assessment methods, including methods from the social sciences, may be well suited for assessing situated, context-linked, participatory competencies. Whitehead and colleagues29 argue that although standard psychometric methods are valuable and necessary, they “are not sufficient for a competency-oriented assessment environment. New assessment approaches, particularly ones from the social sciences, are required to be able to assess non-Medical Expert (intrinsic) roles that are situated and context- bound.”


평가 접근법 중이 저자들은 현실적 탐구와 민족지 학적 방법론을 제안한다. 둘 다 복잡한 사회 구조를 평가하고 문맥과 사회적 위치를 고려하도록 고안되었다.

Among the assessment approaches these authors29 suggest are the realist inquiry and ethnographic methodologies, both of which are designed to assess complex social constructs and take account of context and social locations.



왜 문화적 역량만으로 불충분한가

Why “Cultural Competence” Is Insufficient


학생들과 연수생들이 LMIC "문화"에서 선택 과목을 준비 할 수 있도록 HIC의 글로벌 건강 프로그램은 종종 문화적 역량에 관한 코칭과 지도를 통합합니다. 그러나 문화적 역량이라는 용어는 가정들과 왜곡 된 인식들로 가득 차있다 .32-35

  • 문화를 정의하는 사람은 누구입니까?

  • 그 문화를 묘사하는 것은 무엇입니까?

  • LMIC 문화의 HIC 연수생과 같이, 문화에 외부인은 어느 정도까지 역동적 인 뉘앙스를 이해할 수 있습니까?

이것은이 기사의 범위를 벗어나는 복잡한 주제입니다.

(1) 문화적 능력을 가르치는 것 자체가 국제보건 역량의 다른 단점을 개선하기에 불충분하며,

(2) 문화적 능력이 가르쳐지고 실행되는 한, 습득적 역량보다는 참여적 역량으로 취급되어야한다.

To prepare students and trainees for their elective work in LMIC “cultures,” HIC global health programs often incorporate coaching and guidance in cultural competence. The term cultural competence is, however, loaded with assumptions and skewed perceptions.32–35 

  • Who defines a culture? 

  • What delineates that culture? 

  • To what extent can outsiders to a culture (like HIC trainees in an LMIC culture) understand its dynamic nuances? 

This is a complex topic beyond the scope of this article except to argue that 

(1) teaching cultural competence in itself is insufficient to remedy other shortcomings of competency in global health, and 

(2) to the extent that cultural competence is taught and implemented, it should be treated as a participatory rather than acquired competency.


문화는 다방면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한 개인의 삶의 경험과 정체성에서 복잡한 방식으로 교차하는" 다양한 차원으로 구성됩니다. 36 문화적 역량의 컴파일 된 목록은 그것을 지나치게 단순화한 것이며, 고정 관념으로 이어질 수 있는 assumption을 만들어낼 위험을 안고 있습니다. 일부는 "문화적 겸손"이나 "문화적 인식"이라는보다 겸손한 목표를 채택함으로써 이러한 위험을 완화시킬 것을 제안합니다.

Cultures are multifaceted and composedof a variety of dimensions that “intersect in complex ways in the life experienceand identity of any one individual.”36 Compiled lists of cultural competencies run the risk of being simplistic and making assumptions that verge on stereotyping. Some suggest mitigating these risks by adopting the more modest goals of “cultural humility” or “cultural awareness.”37


문화적 역량 과목은, 문화적 역량을 대부분 개인주의적인 것으로 간주하며 연수생이 습득하는 기술로 간주됩니다. 이러한 과정은 종종 정적이고 정보를 전달하는 방식으로 가르쳐지며, 특정 문화의 맥락적, 내면화 된 가치를 고갈시킨다. 그러나 쿠마 가이 (Kumagai)와 립슨 (Lypson)은 "문화적 역량은 복부 검사가 아니다." 문화적 역량은 지식, 기술, 태도 등을 통해 쉽게 획득 및 점검 될 수 없다고 지적했다. 문화는 정적인 것이 아니라 역동적 상호 작용에 자리 잡고 있으며, 사회 정치적 흐름과 기술 혁신의 결과로 시간에 따라 변화하는 것이다.

Cultural competence courses are mostly conceived as individualist, with cultural competency viewed as a skill that trainees acquire. Such courses are often taught in a static and informational manner, depleted of the contextual internalized values of the specific culture. As Kumagai and Lypson,32 however, point out, “cultural competency is not an abdominal exam.” Cultural competency cannot be readily acquired and checked off using a knowledge, skills, and attitudes list. Cultures are not static but, rather, are situated in dynamic interactions, and they change with time as a consequence of sociopolitical flux and technological innovations.


'공유'의 은유와 멘탈모델

Metaphors and Mental Models of Sharing


Holmboe17은 교육자들이 새로운 개념의 역량을 의미있는 변화로 이끄는데 어려움을 겪은 주된 이유는 공유된 정신 모델의 부족이라고 주장합니다. "공유 된 마음"38과 "공유 된 학습"과 같은 공유의 은유와 모형은 개인 주의자 - 집단 주의자의 분열과 그것과 관련된 문화적 및 학습 부조화를 연결하는 역할을한다. 이러한 공유 모델은 사회적 학습 이론, 집단주의 및 참여 적 역량의 개념과 일치한다. 이러한 모델을 채택하면 HIC와 LMIC 보건 전문 교육 프로그램 간의 아이디어, 혁신 및 자원의 양방향 공유뿐만 아니라 글로벌 건강 역량 개발에 LMIC 보건 전문가의 참여가 촉진되어야합니다.

Holmboe17 argues that a major reason educators have struggled to translate emerging concepts of competency into meaningful change is the lack of shared mental models. Metaphors and models of sharing such as “shared mind”38 and “shared learning”39 serve to bridge the individualist–collectivist divide and its associated cultural and learning dissonances. These models of sharing align with social learning theories, collectivism, and the notion of participatory competencies. Adopting these models should promote inclusion of LMIC health professionals in developing global health competencies as well as the bidirectional sharing of ideas, innovations, and resources between HIC and LMIC health professions education programs.


Epstein과 Street38은 "transactional care"가 아닌 "interactional care"를 촉진하기 위해 "shared mind"에 대한 은유를 발전시킵니다.

Epstein and Street38 advance their metaphor of “shared mind” to promote “interactional care” rather than “transactional care.”


  • transactional한 접근은 정보 교환, 협상 (심의 형태) 및 의사 결정의 개별 선택에 초점을 둡니다. 

  • interactional한 접근 방식은 공유의 속성을 통합합니다.

In this model, the transactional approach to care focuses on information exchange, negotiation (as a form of deliberation), and individual choice in decision making. The interactional approach, on the other hand, incorporates attributes of sharing:


• 공유 정보는 (예 : 학습자와 환자 간) 공유 된 지식; 질병, 건강 및 학습의 특정 상황; 정보의 획득 및 양보다는 이해 및 의미에 초점을 맞 춥니 다

• 공동 숙의는 계약적 관계, 협상, 위험의 정량화보다는 협업적 인식과 선호도의 상호 발견에 초점을 맞춘다. 

• 공동 의사 결정은 개인의 자율성보다는 관계적인 자율성과 합의 결정에 초점을 맞추고있다.

• shared information focuses on shared knowledge (e.g., between learners, with patients); specific contexts of illness, health, and learning; and comprehension and meaning rather than just acquisition and quantity of information;

• shared deliberation focuses on collaborative cognition and mutual discovery of preferences rather than contractual relationships, negotiation, and quantification of risk; and

• shared decision making focuses on relational autonomy and consensus decisions rather than individual autonomy.


공유를 기반으로 한 이러한 상호 작용 모델은 트랜잭션 모델과 같이 정적이지 않으며, 동적입니다. 이와 같이, 그것은 사회적으로 집단적 (집단 주의적) 상호 작용을 통해 맥락적으로 존재하고 발생하는 참여적 학습의 많은 속성을 포함한다.

This interactional model of care based on sharing is dynamic, not static like the transactional model. As such, it includes many of the attributes of participatory learning that are contextually situated and arise through social group (collectivist) interactions.



Heifetz 등 40이 쓴 것처럼 :

공유 언어shared language는 선도적인 적응 변화에서 중요합니다. 사람들이 같은 의미로 같은 단어를 사용하기 시작할 때, 문제에 대한 중요한 차이를 놓고도 더 효과적으로 의사 소통하고, 오해를 최소화하며, 같은 페이지에 있다는 느낌을 얻습니다.


As Heifetz et al40 write:

Shared language is important in leading adaptive change. When people begin to use the same words with the same meaning, they communicate more effectively, minimize misunderstandings, and gain the sense of being on the same page, even while grappling with significant differences on the issues.


세계 보건 교육에서 공유하는 중요한 패러다임은 위치 및 상호 작용 학습이 발생할 수있는 공간을 제공하는 실천 공동체 (CoP)입니다. CoP의 학습은 역동적이고 공유되며 참여 적입니다. 전문가 나 초심자에게 개인 행동이나 지식을 수동적으로 전달하는 것이 아닙니다 .20, 41

An important paradigm of sharing in global health education is the community of practice (CoP), which provides a space in which situated and interactional learning can occur. Learning in CoPs is dynamic, shared, and participatory—it is not an individual act or a passive transfer of knowledge from expert to novice.20,41



역량과 관련하여 위치, 참여 및 상호 작용 학습의 개념을 캡슐화하기 위해 Klass47은 "입지 역량situated competence"이라는 용어를 만들어 냈습니다. 이 역량은 특정 맥락과 역동적 인 상호 작용에 situated하고 있으며, 그 맥락에 참여하고 근무하는 개인 간에 situated하고 있으며, 개인과 맥락의 "상황 적 또는 체계적 요인들"사이에 situated하고 있다.

To encapsulate the concepts of situated, participatory, and interactional learning with regard to competencies, Klass47 has coined the term “situated competence.” Situated competencies are linked to a specific context and “situated” in the dynamic interactions both 

  • between individuals participating and working in that context, and 

  • between individuals and the context’s “situational or systems factors.”47


그러나 역량의 "위치 적 성향"(맥락 특이성)은 로컬 제약 조건을 넘어선 상황에 대한 일반화 가능성에 대한 딜레마를 제기 할 수있다.

The “situated-ness” (context-specificity) of competencies may, however, pose a dilemma to their generalizability to contexts beyond their local constraints.



Regehr48은 상황 특이성과 일반화 가능성 사이의 이러한 딜레마를 다음과 같이 설명한다.

Regehr48 distills this dilemma between context-specificity and generalizability as follows:


일반화 가능한 교육 이론이 로컬에서 실용적인 가치를 갖기에는 일반화가능성이 너무 약하고, 현지화 된 해결책이 현지 상황에 너무 강하게 실재적 가치로 포함된다면, 우리는 집단 교육 문제에 대한 일반적인 해결책이 없다고 결론내릴 수 밖에 없다.

If generalizable education theories are too weakly generalizable to be of local practical value, and if localized solutions are too strongly embedded in the local context to be of practical value, we must conclude that there may be no generalizable solutions to our collective education problems.


따라서 공유의 은유는 맥락 특이성과 일반화 가능성 사이의 중요한 연관성을 제공한다. 역량과 관련하여 Leung 등은 맥락 특이성과 공유를 통한 학습 전이의 필요성을 모두 고려한 통찰력있는 용어 인 "situated shared competence"을 제안했다. 

  • "situated shared competence""[개인이 어느 정도 인식을 공유한다는 것을 인정하는] 개인적 및 집단적 요소를 통합하는"공유 모델을 제공한다. 1 

  • 공유란, interactional하기에, 하나의 상황 또는 상황에서 다른 상황이나 상황으로의 "학습의 정적"전달과는 대조적으로, "새로운 아이디어와 관점이 등장"하는 것을 가능하게 만든다.

Metaphors of sharing thus provide a critical connection between context- specificity and generalizability. With regard to competency, Leung et al1 have proposed the insightful term “situated shared competence” that takes account of both context-specificity and the need for a transfer of learning to occur through sharing

  • Shared situated competence provides a model of sharing that “integrates individual and collective factors acknowledging that cognition is to some degree shared across individuals.”1 

  • Sharing, by being interactional, permits “new ideas and perspectives [to] emerge”38 in contrast to a static “transfer of learning” from one situation or context to another.



국제보건교육의 새로운 역량 영역

New Competency Domains in Global Health Education


여기에서는 집단주의, 참여 적 학습, 공유라는 개념에 뿌리를두고있는 세계적 건강 교육에서 3 가지 새로운 역량 영역을 제안한다. 


Here, I propose three new competency domains in global health education that are rooted in the concepts of collectivism, participatory learning, and sharing

  • resourceful learning; 

  • transprofessionalism and transformative learning; 

  • social justice and health equity.


리소스적 학습

Resourceful learning


루드 미어 (Ludmerer)는 "20 세기 전반에 걸친 의학 교육의 최대 결핍은 임상 적 불확실성에 대해 학습자를 제대로 훈련시키지 못한 것이다"라고 쓴다. LMIC의 자원이 제약 된 의료 환경은 세계적 건강 프로그램에 연수생에게 Bjork이 "바람직한 어려움"이라고 묘사한 불확실성으로 가득차있다. 이 용어는 [어려움을 발생 시키지만 "보다 내구성 있고 유연한 학습"을 초래하는 학습 조건]을 의미합니다 .51 바람직한 어려움은 학습자가 도전적인 학습 과제를 능동적으로 추구하도록 동기를 부여 할 수 있습니다 .9 학습자를 불편하고 불확실하게 만드는 반면, 학습을 ​​다른 상황에 적응시키는 능력을 키워준다.

Ludmerer50 writes that “the greatest deficiency of medical education throughout the twentieth century … was the failure to train learners properly for clinical uncertainty.” The resource- constrained health care settings in LMICs are fraught with uncertainties that present trainees in global health programs with what Bjork describes as “desirable difficulties.”51,52 This term refers to learning conditions that seem to create difficulty but result in “more durable and flexible learning.”51 Desirable difficulties can motivate the learner to proactively seek out challenging learning tasks9 that, while making the learner uncomfortable and uncertain, lead to enhanced learning and the ability to adapt such learning to other contexts.


지식이 풍부한 학습의 구성 요소로서, 바람직한 어려움을 찾기 위해서는, 자기 주도적 평가를 추구하는 데 필수적인 수준의 자기 동기 부여, 모니터링 및 참여가 필요합니다 .9

Seeking out desirable difficulties, as a component of resourceful learning, requires a level of self-motivation, monitoring, and participation that is essential for self-directed assessment seeking.9


Englander 등 49)은 불확실성을 다루고, 모호성을 인식하며, 인지적 유연성을 실천하고, 팀과 집단에 참여할 수있는 역량과 같이 수완있는 학습과 유사한 특성을 포함하는 개인적 및 전문적 개발 역량을 제안했다.

Englander et al49 have proposed a competency domain of personal and professional development that includes attributes similar to those of resourceful learning, such as 

    • the capacity to deal with uncertainty, 

    • recognize ambiguity, and 

    • practice cognitive flexibility, and 

    • the ability to participate in teams and collectives.


트랜스 프로페셔널리즘과 변혁적 학습

Transprofessionalism and transformative learning


의사와 보건전문가만으로는 LMIC의 리소스가 제한된 환경에서 효과적으로 의료 서비스를 제공 할 수 없습니다. 지역 사회의 근로자, 관리자, 정책 입안자 및 관리자의 참여를 통한 transprofesionalism은 보건 시스템 성과를 향상시키기위한 공유를 촉진합니다 .5 비-보건전문가를 포함 시키면 국제보건 연수생의 자기주도적 평가 탐색에 대한 참여도 허용됩니다. 이 포함적 역량 원칙은 집단주의와 참여적 역량 개발 및 평가에도 부합한다

Physicians and health professionals alone cannot effectively deliver health care in resource-constrained settings in LMICs. Through inclusion of community workers, managers, policy makers and administrators, transprofessionalism promotes sharing to improve health system performance.5 Inclusion of non–health care professionals also permits their participation in the global health trainee’s self-directed assessment seeking. This inclusive competency do- main is also congruent with collectivism and the development and assessment of participatory competencies. 


변혁적 학습은 "change agent"역할을 할 수있는 리더를 개발함으로써 글로벌 건강의 변화와 혁신을 촉진시키는 것을 목표로합니다 .5 변형 학습은 암기와 같은 학습에 대한 정적 접근으로부터 역동, 협동, 참여적 인지 전략으로의 전환을 말한다. 이는 궁극적으로 보다 효과적인 의사 결정과 현지 우선 순위에 부합하는 자원의 창의적인 adaptation을 가능하게 할 것이다.

Transformative learning aims to promote transformation and innovation in global health by developing leaders who can act as “change agents.”5 Transformative learning includes a shift away from static approaches to learning, like memorization, toward dynamic, collaborative, and participatory cognitive strategies that lead to more effective decision making and creative adaptation of resources to address local priorities.



Social justice and health equity


국경을 넘어, 불평등의 역사적인 구배를 넘어, 공동 학습을 목표로 진정으로 평등한 대화를 촉진하기 위해서는 무엇이 필요할 것인가? -Binagwaho et al39

[W]hat might it take to catalyze a truly equal dialogue aimed at shared learning across borders and across historical gradients of inequality? —Binagwaho et al39


상호 의존적 인 세계에서, 건강 공평성 문제와 사회 정의에 대한 인식과 이해를 평가하는 역량 영역은 세계 보건 교육에 필수적입니다. 이 영역은 HIC와 LMIC 간의 양방향 학습과 상호 학습이 있어야한다는 개념을 강화합니다.

In an interdependent world, a competency domain assessing awareness and apprehension of health equity issues and social justice seems essential for global health education. This domain reinforce the notion that learning should be bidirectional and reciprocal between HICs and LMICs.


HIC와 LMIC 간의 양방향 학습의 개념은 또한 국제보건 교육에서의 "상호 의존성"에 대한 핵심 개념에 부합하며, "학문적 사일로"를 해체하고 "직업의 종족주의"를 지양할 필요성과 일치합니다.

The notion of bidirectional learning between HICs and LMICs also aligns with the core concept of “interdependence” in global health education and the need to dismantle “academic silos” and discourage the “tribalism of the professions.”5


Binagwaho 등은 사회 정의와 건강 형평성의 세계적 건강 역량 영역에 부합하는 학습에서 양방향 파트너십을 암시하기 위해 "상호 연결된 세계에서의 공유 학습"이라는 언어를 사용한다. 그들은 "호혜성과 존중"에 기반한 "공유 학습"모델을 제안하는데, 이는 "리버스 혁신"으로 이어지는 "맥락을 초월한 실험"을 촉진한다. 

Binagwaho et al39 use the language “shared learning in an interconnected world” to connote a bidirectional partnership in learning that is consonant with a global health competency domain of social justice and health equity: They propose a model of “shared learning” based on “reciprocity and respect” that promotes “experimentation across contexts” leading to “reverse innovation.” 


이 역량 영역에서 "공유 된 학습"개념은 건강 불평등, 식민주의의 역사적 유산에 대한 연수생의 이해를 촉진하고, 양방향 학습과 "호혜적 관계"을 증진시키는 "공유 된 마음"38의 은유와 부합한다. 54 사회 정의와 건강 평등이라는 국제보건 역량 영역은 참여와 공유라는 개념에 확고하게 뿌리를두고있다.

In this proposed competency domain, the “shared learning” concept resonates with the metaphor of “shared mind”38 to promote the trainee’s understanding of health inequalities and historical legacies of colonialism, and to promote bidirectional learning and “reciprocal relationships.”54 A global health competency domain of social justice and health equity is thus firmly rooted in the concepts of participation and sharing.



Conclusions


기존 HIC의 국제보건 교육 프로그램은 LMIC의 리소스가 제한된 환경에서 특정 컨텍스트에 대한 설명이 부족한 역량 모델을 고안했습니다. 이 모델은 주로 학습에 대한 개인 주의적 접근 방식을 기반으로하며 학습은 획득 된 속성으로 간주되고 평가되며, 일반적으로 학습에 실질적인 참여 요소가있는 호스트 LMIC의 상대적 집단주의를 인식하지 못합니다.

Global health education programs in HICs have devised competency models that take insufficient account of specific contexts in resource-constrained settings in LMICs. These models are largely based on individualist approaches to learning, in which learning is viewed and assessed as an acquired attribute, and they generally fail to recognize the relative collectivism of host LMICs in which learning has a substantial participatory component.


역량을 취득 또는 참여로 분류하고 적절한 방법론 (참여 적 역량을 추구하는 자기 주도적 평가와 같은)을 사용하여 각 유형을 평가하는 것은 역량 기반 교육에 대한 올바른 접근 방식을 제공 할 수 있으며 국제보건 교육에서 덜 dissonant하고, 더욱 포괄적인 접근 방법을 제공할 수 있습니다.

Classifying competencies as acquired or participatory and assessing each type using appropriate methodologies (such as self-directed assessment seeking for participatory competencies) may provide a valid approach to competency-based education, and a less dissonant, more inclusive, approach to global health education.


이 분류 적 접근은 또한 풍부한 학습, 경공업 및 변형 학습, 건강 평등 및 사회 정의를 통합하는 새로운 글로벌 건강 역량 영역을 공유하고 개발하는 새로운 정신 모델을 채택 할 것을 제안합니다. 특정 맥락을 고려하여, 취득한 또는 참여하는 역량의 분류는 다른 보건 전문가의 교육에보다 광범위하게 적용될 수있다.

This classificatory approach also suggests adopting fresh mental models of sharing and developing new global health competency domains that incorporate resourceful learning, transprofessionalism and transformative learning, and health equity and social justice. By taking account of specific contexts, the classification of competencies as acquired or participatory may apply more broadly to education in the other health professions.





====찾아야 함=====

1 Leung S, Epstein R, Moulton C-AE. The competent mind: Beyond cognition. In: Hodges BD, Lingard L, eds. The Question of Competence: Reconsidering Medical Education in the Twenty-First Century. Ithaca, NY: IRL Press; 2012:155–176.


4 Eichbaum Q. The problem with competencies in global health education. Acad Med. 2015;90:414–417.


17 Holmboe ES. Realizing the promise of competency-based medical education. Acad Med. 2015;90:411–413.


29 Whitehead CR, Kuper A, Hodges B, Ellaway R. Conceptual and practical challenges in the assessment of physician competencies. Med Teach. 2015;37:245–251.








 2017 Apr;92(4):468-474. doi: 10.1097/ACM.0000000000001382.

Acquired and Participatory Competencies in Health Professions EducationDefinition and Assessment in Global Health.

Author information

1
Q. Eichbaum is associate professor of pathology, microbiology, and immunology; associate professor of medical education and administration; director, Vanderbilt Pathology Program in Global Health; and clinical fellowship program director, Vanderbilt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Nashville, Tennessee. The author is also cofounder, Consortium of New Southern African Medical Schools (CONSAMS).

Abstract

Many health professions education programs in high-income countries (HICs) have adopted a competency-based approach to learning. Although global health programs have followed this trend, defining and assessing competencies has proven problematic, particularly in resource-constrained settings of low- and middle-income countries (LMICs) where HIC students and trainees perform elective work. In part, this is due to programs failing to take sufficient account of local learning, cultural, and health contexts.A major divide between HIC and LMIC settings is that the learning contexts of HICs are predominantly individualist, whereas those of LMICs are generally collectivist. Individualist cultures view learning as something that the individual acquires independent of context and can possess; collectivist cultures view learning as arising dynamically from specific contexts through group participation.To bridge the individualist-collectivist learning divide, the author proposes that competencies be classified as either acquired or participatoryAcquired competencies can be transferred across contexts and assessed using traditional psychometric approaches; participatory competencies are linked to contexts and require alternative assessmentapproaches. The author proposes assessing participatory competencies through the approach of self-directed assessment seeking, which includes multiple members of the health care team as assessors.The proposed classification of competencies as acquired or participatorymay apply across health professions. The author suggests advancing participatory competencies through mental models of sharing. In globalhealth education, the author recommends developing three new competency domains rooted in participatory learning, collectivism, and sharing: resourceful learning; transprofessionalism and transformative learning; and social justice and health equity.

PMID:
 
27603041
 
DOI:
 
10.1097/ACM.0000000000001382
[Indexed for MEDLINE]


의과대학생의 전문직 정체성 형성: 프로페셔널리즘 실수의 분류와 학습환경(BMC Med Educ, 2014)

Formation of medical student professional identity: categorizing lapses of professionalism, and the learning environment

Walter Hendelman1* and Anna Byszewski2






배경

Background


In 1990 the American Board of Internal Medicine (ABIM)


Project Professionalism was launched in 1995 [1].


  • 이 보고서는 "프로페셔널리즘이란 이타심, 책임, 우수성, 의무, 서비스, 명예, 무결성 및 타인을 존중하는 것을 갈망하는 것으로서" 이러한 전문성의 요소 각각에 대한 정의가 제공됩니다.

  • 보고서는 또한 "프로페셔널리즘의 요소에 도전하거나 감소시키는"7 가지 이슈를 설명합니다. 권력 남용, 오만, 탐욕, 허위 진술, 손상, 양심의 결여, 이해 상충 (선물 수용, 업계와의 협력)이 포함됩니다.

  • The report states: “Professionalism aspires to altruism, accountability, excellence, duty, service, honor, integrity and respect for others” and definitions are provided for each of these “elements of Professionalism.” 

  • The report also describes seven issues that “challenge or diminish the previously identified elements of professionalism”; these include: abuse of power, arrogance, greed, misrepresentation, impairment, lack of conscientiousness, and conflict of interest (acceptance of gifts, collaboration with industry).


사회는 의료계가 소위 '사회적 계약'을 형성하는 가장 높은 행동 및 윤리적 기준을지지 할 것으로 기대한다. 따라서 의학 교육자는 학생들에게 의료 정보에 대한 접근을 제공 할뿐만 아니라, 어떻게 의료 전문직이 되는가를 가이드해주어야 합니다. "점점 학습자가 직업의 가치를 분별하기 어려워지고 있습니다"[4].


Society expects that the medical profession will uphold the highest behavioral and ethical standards, which form the so-called ‘social contract’ [3]. medical educators should therefore be not only to provide the students with access to medical information, but guidance on how to become medical professionals. It has been noted that “the values of the profession are becoming increasingly difficult for learners to discern” [4].


돌이켜 볼 때, 20 세기 후반의 프로페셔널리즘의 초석은 이제 직업적 정체성의 발전을 위한 주요 영향으로 롤모델링으로 인식되고 있습니다. 1990 년대에는, 의대생의 다양성 증대, 사회에서 보유한 패러다임의 변화, 시장의 압박 등으로 인해 전문성의 가치와 속성이 반드시 의대에 입학하는 모든 학생에게 accompany하지 않는다는 것이 명확 해졌습니다. 또한 의과대학 동안 이것이 최적으로 nurture 될 수 없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의학 프로페셔널리즘의 인지적 측면이 명백하게 가르쳐 질 필요가 있다고 제안되었다.

In retrospect, the cornerstone of Professionalism during the second part of the twentieth century is now recognized to have been role modeling as the major influence for the development of a professional identity. During the 1990’s, it became clear that due to the increasing diversity of our medical students, the changing paradigm of values held by society, along with the pressures of the marketplace, that the values and attributes of Professionalism do not necessarily accompany each and every student upon entry to medicine, and that these may not be nurtured optimally during the medical undergraduate years. Therefore it was proposed that the cognitive aspects of medical professionalism needed to be taught explicitly [5].


프로페셔널리즘은 이제 프로페셔널리즘의 가치를 포함하는 '학습 환경'[7]이라는 LCME 인증 표준 (MS31-A)에도 들어가게 되었다. 이것은 전체 의학 커리큘럼 내에서 totality of influence에 대한 평가와 이것이 의대생에게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포괄적인 이해를 요구합니다.

Professionalism is now embraced by the LCME accreditation standard (MS31-A) called ‘the learning environment’ [7], a standard which includes the values of Professionalism; this mandates an evaluation of the totality of influences within the whole medical curriculum and a comprehensive understanding of those factors influencing medical students.


최근의 프로페셔널리즘 육성을위한 주요 계획은 의대생들의 이러한 가치 개발에 중점을 두었으며, 이것은 특히 전임상 단계의 공식적인 커리큘럼에서, 대개 의대 시작 때 화이트 코트 (White Coat) 행사를 포함한다. 또한 명백한 인지적 구성 요소가 경험적 학습에 의해 강화 될 필요가 있다 [8]. 또한 이 교육의 목적이 달성되었는지 확인하기 위해 의대생을 평가하는 데 많은 노력을 기울였습니다 (예 : [9]).

The major recent initiatives to foster professionalism have focused on the development of these values in our medical students, particularly during the pre-clinical phase, in the formal curriculum, usually including a White Coat ceremony at the start of medical school. It is also understood that the explicit cognitive component needs to be reinforced by experiential learning [8]. In addition, considerable effort has gone into evaluating medical students in order to ensure that the objectives of this instruction have been achieved (e.g., [9]).


우리의 의과 대학에서,

  • 학생들은 오리엔테이션 기간 동안이 문 서에 포함된 프로페셔널리즘 선언 (Professional Declaration of Professionalism) [10]과 전문성의 가치 (속성이라고도 함)에 처음 노출됩니다.

  • 그 다음에 White Coat 의식이 진행되는 동안 학생들은 교수, 가족, 친구들 앞에서 이 선언문을 공동으로 '선서'하고 자신의 공식적인 copy을 받게됩니다.

  • 전임상 단계에서 4 명의 소규모 그룹 전문성 사례 중심 세션이 개최됩니다 (매년 2 회). 

  • 임상실습 입문 모듈에는 3 학년 초에 프로페셔널리즘 행동에 중점을 둔 수업에 대한 '재확인 의식'이 포함됩니다.

  • 4 년 동안의 학생들의 평가에는 프로페셔널리즘 행동이 포함되며, 규정은 재교육 또는 기타 lapse에 대한 결과를 제공합니다.

In our Faculty of Medicine, 

  • the students are first exposed to our Declaration of Professionalism [10] and the values (also called attributes) of Professionalism incorporated in this document during the orientation period. 

  • This is followed by a White Coat ceremony during which the students collectively ‘profess’ this Declaration in front of faculty, family and friends, and receive their own official copy of the document. 

  • During the pre-clerkship phase, four small group professionalism case-based sessions are held (two in each year) moderated by a faculty member. 

  • The introductory module to the clerkship, at the beginning of third year, includes a ‘re-affirmation ceremony’ for the class, with the emphasis on professionalism behavior. 

  • The assessment of our students throughout the four years includes professionalism behavior, and the regulations provide for remediation or other consequences for lapses.


의대생은 의사, 레지던트, 보건 요원이 있는 마을에서 '교육받는다'. 대부분의 의학 교육자들은, 특히 의과대학생들이 의료 현장에서의 직무 수행을 하는 동안, 의학 전문직의 가치를 주입하려는 노력을 저해하는 것이 바로 '잠재 교육과정'이라는 의견을 가지고 있다 (예 : [13]).

Medical students are ‘taught’ by a village of doctors, residents and allied health personnel. Most medical educators are of the opinion that it is the hidden curriculum, particularly as students engage in their clerkship in the clinical setting, which undermines the efforts to instill the values of the medical profession (e.g., [13]).



방법

Methods


The survey was developed by a small task group consisting of two medical students, with a faculty member (WH), and was subsequently approved by the committee responsible for review of the professionalism curriculum. The survey question regarding lapses of professionalism observed by the students were drawn from the “challenges”–called domains in this paper – outlined in the Project Professionalism report ([1], see also [2]). These include (Figure 1): 

  • 거만,

  • 손상,

  • 기밀 유지,

  • 양심의 결여,

  • 학대 권력 비대칭,

  • 잘못된 자기표현misrepresentation,

  • 편견 및 성희롱,

  • 업계와의 협력,

  • 선물 수령 

  • 윤리적 원칙을 훼손

  • arrogance, 

  • impairment, 

  • breach of confidentiality, 

  • lack of conscientiousness, 

  • abusing power asymmetries, 

  • misrepresentation, 

  • bias and sexual harassment, 

  • collaboration with industry, 

  • acceptance of gifts, and 

  • compromising ethical principles, 

  • ...to which was added cultural or religious insensitivity.



The survey questions were electronically set so that once the respondent indicated that a lapse had occurred in one of these domains, she/he could not proceed further until the information was provided as to 

  • 이 사건이 발생한 곳 (학업 또는 의료 환경) 및

  • 프로페셔널리즘 lapse의 source에 대한 정체성,

  • 사건에 연루된 사람

  • where this incident had occurred (academic or clinical setting), and 

  • the identity of the source of the lapse in professionalism, 

  • the person involved in the incident: 

    • tutor (involved in small group teaching sessions), 

    • faculty member (could be any physician encountered on the ward), 

    • preceptor (the assigned supervisor of a small group of students on the clinical rotation), 

    • clinician, 

    • nurse, 

    • student, 

    • administrative staff, 

    • other hospital staff. 

The student respondent could indicate one or several lapses in each domain before proceeding to the next item.


The electronic survey, including quantitative responses and some open-ended opportunities for supplemental or additional comments (in both English and French), was sent out in December 2006 with two email reminders. The Ottawa Research Ethics Board had no objections to the content of the survey. The survey was not piloted, given the time pressures of the curriculum review being undertaken at the time at the Faculty of Medicine.


Data analysis




결과

Results


The response rate was 45.6%, with 255 responses from a possible 559 student population. The breakdown was: in year 1, 29% (74/152), in year 2, 34% (87/138), in year 3, 14% (36/135) and in year 4, 23% (58/134).



프로페셔널리즘 행동 목격

Witnessed professionalism behavior


In total, 64.3% of the students (164 of 255) had witnessed a lapse of professionalism at some point of their training (Table 1), and this was more evident in the clerkship (72.3%, 68 of 94), compared to the pre-clerkship (59.6%, 96 of 161).



38%의 학생이 모범적인 프로페셔널리즘을 목격했거나 그러한 행동의 한 part였다고 응답

When asked about their experience with professionalism, 38% of students had witnessed or been part of an exemplary demonstration of professionalism during their training. Some examples of these are included in Table 2.



잘못의 유형

Types of lapses


11개 영역

The incidence of lapses across the 11 domains are shown for both the pre-clerkship and the clerkship together (Figure 1).


누가 관여되어 있는가

Who was involved



전임상 단계

Pre-clerkship (Figure 2)


요약하면, 전임상 단계에서 가장 빈번한 프로페셔널리즘 lapse에 대해, 학생들은 학생 동료가 장애, 오만, 기밀 위반과 관련된 실격에 연루된 가장 흔한 인물이라는 것을 인정했습니다. 학생과 교수진 모두 문화적 또는 종교적 무감각과 관련된 실종에 연루되었지만 의사 / 임상 교사 및 기타 사람들은 권력 비대칭 남용에 연루되어 있었다.


In summary, for the most frequent professionalism lapses at the pre-clerkship stage, students recognized that by far their student peers were the most common person implicated in lapses involving impairment, arrogance, and breach of confidentiality. Both students and faculty were implicated in lapses relating to cultural or religious insensitivity, while physician/clinical teacher and others were implicated in abusing power asymmetries.



임상 단계

Clerkship (Figure 2)


요약하면, 학생들이 병동의 실제 임상 상황에 노출되는 임상실습 시기가 되면, 문제 발생 건수가 증가하고, 가장 중요한 문제와 책임자로 간주되는 사람으로 바뀌 었습니다. Preceptor, Tutor, Clinician의 역할을 하는 의사/ 임상 교사는 교만과 권력 비대칭 남용 등의 lapse에 가장 많이 개입 한 것으로 보인다. 기밀성 침해와 문화적 또는 종교적 무감각은 어느 정도 모두 관련되어 있습니다. 대부분의 경우 손상impairment은 주로 학생을 동반 할 가능성이 높았고, 전임상단계와 유사하게, 오만함도 주로 학생들의 문제였습니다.

In summary, in clerkship, where students are exposed to real clinical situations on the wards, the reported incidence of lapses increased in number and changed as to the most significant issues, as well as who was seen as the person responsible. The physician/clinical teacher in the form of preceptor, tutor or clinician were the most likely to have been involved in lapses involving arrogance and abusing power asymmetries. Breach of confidentiality and cultural or religious insensitivity involved all to some degree. Impairment for the most part was still likely to involve mostly students, similar to the trend seen in pre-clerkship, while arrogance remained an issue involving mainly students.





전임상 단계와 임상 단계를 비교해 보면, 보고 된 사안은 임상 환경 때문에 어느 정도 바뀌었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상위 6 가지 이슈는 그대로 남아 있습니다.

Comparing pre-clerkship to clerkship, the reported issues shifted to some degree because of the clinical environment, but nevertheless the top six issues remain the same at both stages.


보고 된 사건수가 적은 영역 (그림 2에 표시되지 않음)에서 보고 된 편견 및 성희롱 발병률은 임상실습생 수준에서는 36 건 (68 명의 학생)으로 높았습니다.

In the domains with low reported number of incidences (not shown in Figure 2) the reported incidence of bias and sexual harassment was higher at the clerkship level, with 36 incidences (for the 68 students);


표 3에는 교수진에서 전문성을 향상시킬 수있는 방법에 대한 질문에 대한 답을 보여주는 학생들의 샘플 의견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이 제안에는 학생과 임상 직원 모두의 행동을 개선하기 위해 노력하는 방법에 대한 통찰력이 포함됩니다.

Table 3 includes some sample comments from students in answer to the question as to how professionalism can be improved in our faculty. These suggestions include insights as to how to strive for improving the behavior of both students and clinical staff alike.




The setting




Discussion


우리는 전임상 단계에서 임상실습으로 이행하는 과정에서 생기는 학습 환경의 명확한 차이점을 발견했습니다. 우리 연구에서 전임상단계 학생 중 거의 60 %는 프로페셔널리즘의 상실을 목격했으며, 그 수가 임상실습에서 72 %로 증가한 반면, 학생 중 38 %만이 training기간동안 프로페셔널리즘에 대한 모범적인 demonstration를 목격했거나 거기에 참여했다.

We found there were definite differences of the learning environment in transition from pre-clerkship to the clerkship phase. In our study, almost 60% of students in the pre-clerkship had witnessed a lapse of professionalism and that number rose to 72% in the clerkship, whereas only 38% of students had witnessed or been part of an exemplary demonstration of professionalism during their training.




우리의 연구 결과에 의하면 상당한 정도의 학생의 장애impairment와 오만함arrogance이 전임상단계에서 유행하고 이러한 행동은 임상실습으로 계속 이어지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따라서 교육과정에서 전문성에 중점을 두었음에도 불구하고 많은 학생들의 행동 측면을 변경하지 못하는 것으로 보입니다. 커리큘럼의 임상실습 단계에서 우리의 연구 결과는 다양한 유형의 lapse의 발생 빈도뿐만 아니라, 그 사건에 관련되는 인물에도 차이가 있음을 보여주었습니다. Lapse 중 상당 부분이 의사 / 교사 교수, 간호사, 행정 직원 / 기타와 관련이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Our results indicate that a significant degree of student impairment and arrogance are prevalent in the preclerkship and that these behaviors continue into the clerkship. Thus, notwithstanding the emphasis on professionalism in the curriculum, it appears that there is a failure to alter some facet of the behavior of many of the students. In the clerkship phase of the curriculum, our study results showed a difference in the frequency of occurrence of the various types of lapses, as well as the person involved; a large proportion of the lapses were seen to involve physician/teaching faculty, nurses, as well as administrative staff/other.




시카고 대학에서 실시 된 연구에 따르면 1학년과 3학년의 첫 몇 개월동안 그 전에는 unprofessional하게 보았던 상황에 내성이 생기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17,18]. 학생 스스로의 보고서 [19-23]는 학생 단체가 프로페셔널리즘에 대해 부정적으로 인식하고 있음을 더욱 구체화합니다. 학생들은 교수와의 상호 작용과정에서 프로페셔널리즘을 '가르치려는' 노력이 실제로 실패했다는 사실을 명확하게 지적했습니다.

Studies conducted at the University of Chicago have shown that within months students in both their first year and in their third year tolerate situations which were initially thought to be unprofessional [17,18]. Previous reports by student themselves [19-23] further substantiate the negative perception of professionalism by the student body. The students have clearly indicated that the efforts to ‘teach’ Professionalism have in fact failed because of their interaction with their teaching faculty.



연구 [24]에서 한 학생은 다음과 같이 논평했다 : "이 수업은이 주제가 우리의 목구멍에 여러 번 쑤셔 넣어 졌음을 보여주는 훌륭한 예입니다."

In a study [24], one student commented as follows: “This class is a great example of how this topic has been shoved down our throats too many times”.


다른 프로그램과 마찬가지로 우리 학생들은 임상입문교육을 마친 후 3학년 기간을 임상실습을 위해 병원에서 지내게 된다. 잘 알려진 바와 같이, 이 임상 단계에서는 숨겨진 커리큘럼이 가장 큰 영향을 미친다. 우리는 Hufferty [12]에 의해 정의 된 용어에 따라, 잠재 교육과정을 "조직 구조와 문화 수준에서 기능하는 일련의 영향"으로 사용하고있다. 교육 환경은 병동 효율성과 병동 위계구조 중 하나로 바뀐다 [22,25]. 우리는 이러한 문화 변화를 위해 학생들을 준비시켜야합니다. 학생들은 특히 학년이 올라갈수록 주변의 실제 행동을 경험하면서 의과대학에 진학한 이유, 그리고 그들이 가지고 있던 이상주의를 잃게 되는데, 여기에는 그들이 보는 교수의 lack of sensitivity도 포함된다.

Similar to other programs our students enter their clerkship in their third year after an introductory module to clinical work in the hospital. As is well recognized,it is during this clinical phase that the hidden curriculum exerts its greatest impact; we are using the term as defined by Hafferty [12] as “a set of influences that function at the level of organizational structure and culture”.The educational milieu changes to one of ward efficiency and ward hierarchy [22,25]. We need to prepare students for this shift of culture .The idealism and reason why students have entered medicine can be undermined, especially in the more se-nior years, by the actual behavior of those around the students, including a lack of sensitivity of their teachers[26]. 



전문적인 정체성 형성의 침식에 기여할 가능성이있는 학생 냉소주의의 발전에 임상 환경이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도 연구된 바가 많다. 3 학년 임상실습에 대한 연구에 따르면 가장 흔한 프로페셔널리즘 문제에는 "다른 진료나 환자에 대한 경멸적인 표현의 사용, 다른 사람들의 무례한 처우"[30]가 포함됩니다. 이러한 행동은 학생이나 레지던트, 주치의가 환자를 비하하거나 냉소적 유머를 환자에게 던지는 것에 책임이있을 수 있습니다.

Much has also been written about the effect of the clinical environment on the development of student cynicism [27-29], which likely contributes to the erosion of professional identity formation. A study of third year clerks found that the most common transgressions of professionalism included “the use of derogatory language towards other services or patients and the disrespectful treatment of others” [30]. It is possible that this behavior could be responsible for the reports of the use of derogatory and cynical humor towards patients by students [31], residents and attending doctors [32,33].




임상실습 단계에서 프로페셔널리즘에 대한 공식적인 '가르침'이 부재하거나 크게 감소한다는 사실은 학생에게 더 이상 프로페셔널리즘이 중요한 문제가 아니라는 식으로 메시지를 보냅니다. 어떤 이들은이를 null curriculum이라고 부른다 [35]. 지금이야말로 임상에서의 challenge가 직업적 정체성 개발의 기초를 형성할 때입니다. 이 견해는 학생들의 프로페셔널리즘 학습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은 임상의와 접촉하는 것이라는 최근의 체계적인 검토에 의해 뒷받침된다 [36].

The fact that there is often an absence or a major decline of any formal ‘teaching’ on Professionalism in the clerkship phase [34] sends a message to the students that this is no longer an important issue for them; some have termed this the null curriculum [35]. This is exactly the time when clinical challenges form the foundation for developing a professional identity. This view is supported by a recent systematic review which emphasizes that it is the clinician encounters that exert the greatest influence on students’ learning of professionalism[36].




스턴은 공식 커리큘럼에서 가르친 가치를 병동이나 진료소에서 발생하는 가치 및 행동과 비교했으며, 후자는 종종 전임상 단계에서 주입하려는 가치에 반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프로페셔널리즘의 가치는 교수가 없는 동안 학생이 밤에 온콜 당직을 서면서 정기적으로 전공의로부터 전달되며, 이는 소위 비공식 커리큘럼이라고 불리는 것이다 [38]


Stern has compared the values taught in the formal curriculum to the values and behaviors that occur on the wards or clinics and has found that the latter are often contrary to the values we try to instill in the pre-clerkship phase [37]. It seems that the values of professionalism are also regularly conveyed in the so-called informal curriculum by residents while the students are on call, commonly at night, often when the staff person is not present [38]



우리 교수진은 전문성 사무소Office of Professionalism을 만들고, 병원 및 기타 임상 환경에서 전임상과 임상실습 시기에 프로페셔널리즘 문제에 대한 접근의 조정과 같은 전문성을 향상시킬 수있는 잠재력을 가진 몇 가지 이니셔티브를 도입했습니다 (표 4 참조) .

Our Faculty has introduced some initiatives with the potential to enhance professionalism, such as the creation of an Office of Professionalism and the coordination of the approach to professionalism issues in the pre-clerkship and clerkship with the hospital and other clinical milieus (see Table 4).



현재 프로페셔널리즘 운동의 강조점은 학생 행동에있다 [19, 40, 41]. 학생 (및 레지던트)가 환자를 자신의 교수자 및 기타 보건 전문가가 환자를 돌보는 과정에서 목격하게 된 unprofessional한 사건을 목격 할 때 무엇을 해야 하는지에 대한 새로운 정책과 절차가 개발되고 있습니다. 이로 인해 '우려/사고concern/incident'양식이 도입되었습니다. 이 양식을 사용하면 학생을 포함한 교수진 모두가 학부 의학 교육 담당 부학장에게 누군가 unprofessional한 행동을 했을 때 기밀로 보고 할 수 있습니다. 부국장은이 보고서를 조사하고 처리해야합니다. 우리의 e- 포트폴리오 프로그램 [42]은 직업적 정체성을 개발할 수있는 장으로 발전했습니다.

At the present time much of the emphasis of the professionalism movement is on student behavior [19,40,41]. New policies and procedures are being developed to address what should ensue when students (and residents) witness unprofessional incidents involving their preceptors and other health professionals while caring for patients. This has led to the introduction of a ‘concern/incident’ form. This form allows anyone in the faculty, including students, to report to the Vice-Dean of undergraduate medical education any incident of unprofessional behavior involving anyone – with complete confidentiality; the Vice-Dean then must investigate and deal with this report Our e-portfolio program [42] has evolved as a venue to develop professional identity.


우리는 직업적 정체성 형성의 열쇠로서 역할 모델링에 온전히 온 것 같다. Kenny et al [44]은 이것을 "필수적이지만 미개발 된 교육 전략"이라고 불렀다. 유사한 문구를 사용하여 Cruess 등 [45]은 "가장 강력한 교수 전략"은 바로 역할 모델링이라고 불렀습니다. 좋은 의사의 발달에서 역할 모델의 특성과 그 부분은 Paice 등 [46]에 의해 검토되었다. 역할 모델링이 표시된 것만 큼 중요하다면, (Steinert 등 [47]에 따르면) 미래의 의사가 훈련하는 환경을 변화시키기 위해서는 교수 개발에 대한 활발한 프로그램이 필요하다. Glicken과 Merenstein [48]은 이것을 "교육자 프로페셔널리즘"이라고 불렀으며, 이것은 교사로서의 의학교육자의 professionalization이라고 불릴 것이다. Birden et al [36]은 프로페셔널리즘 교육에 관한 체계적인 문헌 고찰에서 이상적으로는 교수에 의해서 guide되는 롤모델링과 개인적 성찰은 교육 프로그램에서 가장 중요한 요소라고 결론지었다.

We seem to have come full circle to role modeling as the key to the development of professional identity formation; Kenny et al [44] have called this “an essential but untapped educational strategy”. Using similar phrasing, Cruess et al [45] have termed role modeling “the most powerful teaching strategy”. The qualities of role models and their part in the development of good doctors has been reviewed by Paice et al [46]. If role modeling is as important as indicated, a vigorous program of faculty development is necessary for the transformation of the environment where future physicians train, according to Steinert et al [47]. Glicken and Merenstein [48] have called this “educator professionalism”, the professionalization of medical educators as teachers. Birden et al [36] conclude their systematic review regarding the teaching of medical professionalism with the view that role modeling and personal reflections ideally guided by faculty are the most important elements in the teaching program.


학생과 교수, 레지던트의 프로페셔널리즘을 다루는 것 외에도 일부 기관에서는 전임 교원 전체에 전문성 문화를 전이시키기 시작했습니다. 이러한 제도적 지원이 없다면, 프로페셔널리즘의 문화를 변화시키지 못할 수도있다.

Beyond addressing student and faculty (and residents)professionalism, some institutions have set out to trans-form the culture of professionalism throughout the whole faculty . Without this institutional support, it may not be possible to change the climate of professionalism.




개념 매핑 방법을 사용하는 우리 기관의 레지던트 및 교수진 연구에서 프로페셔널하지 못한 행동을 보고하는 데 있어서의 어려움이 확인되었습니다. 여기에는 다음의 것이 포함된다: 

  • 반향repercussion의 두려움, 

  • 보고 할 동기 유발의 부족, "프로페셔널하지 못한 의사에게 아무런 결과가 없을 때에는 '빨간 테이프'와 복잡한 문서도 노력할만한 가치가 없다"는 인식이 포함됩니다.

In a study of residents and faculty at our institution, using concept mapping methods, barriers to reporting unprofessional behavior were identified; these include fear of repercussions, lack of incentive to report, and the perception that the ‘red tape’ and complex documentation are “not worth the effort when there are no consequences to the unprofessional physician” [54].


개요

Summary


결론

Conclusions




1. 간호사 및 직원뿐만 아니라 학생 및 임상의와 관련된 전문성 lapse은 정기적으로, 특히 임상 환경에서 발생합니다.

1. Lapses of professionalism involving students and clinicians, as well as nurses and staff, occur regularly, particularly in the clinical setting.



2. 모든 환경 (병원, 진료소 및 기타 환경 포함)에서 전문성의 역할 모델링은 긍정적 인 의대생 전문 정체성 개발의 과제를 해결하는 핵심 구성 요소입니다.


2. Role modeling of professionalism in all settings (including hospitals, clinics and other milieus) is the key component to address the challenge of the development of a positive medical student professional identity.



3. 추가적으로, 학습 환경의 개선을 다루기 위해서는 정식 Office of Professionalism, 피드백 메커니즘, 교수 개발 워크샵 및 개선 노력이 필요합니다.

3. Additional measures, including a formal Office of Professionalism, feedback mechanisms, faculty development workshops, and remediation efforts are needed to address the improvement of the learning environment.



1. American Board of Internal Medicine 1995: Project Professionalism. Available from: [http://www.abimfoundation.org/Resource-Center/ Bibliography/~/media/Files/Resource%20Center/Project%20professionalism. ashx]












 2014 Jul 9;14:139. doi: 10.1186/1472-6920-14-139.

Formation of medical student professional identitycategorizing lapses of professionalism, and the learning environment.

Author information

1
Department of Cellular & Molecular Medicine, Faculty of Medicine, University of Ottawa, 451 Smyth Road, Ottawa, ON K1H 8M5, Canada. whendelm@uottawa.ca.

Abstract

BACKGROUND:

Acquiring the values of medical professionalism has become a critical issue in medical educ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lapses in professionalism witnessed by medical students during their four year MD curriculum, and to categorize, from the students' perspective, who was responsible and the settings in which these occurred.

METHODS:

An electronic survey, developed by faculty and medical students, was sent to all students with two email reminders. It included quantitative responses and some open-ended opportunities for comments. All analyses were performed with SAS version 9.1.

RESULTS:

The response rate was 45.6% (255 of 559 students) for all four years of the medical school curriculum. Thirty six percent of students had witnessed or been part of an exemplary demonstration of professionalism; 64% responded that they had witnessed a lapse of professionalism. At the pre-clerkship level, the most frequent lapses involved students: arrogance (42.2%), impairment (24.2%), followed by cultural or religious insensitivity (20.5%). At the clerkship level of training, where students are exposed to real clinical situations, the lapsesinvolved primarily faculty (including preceptor and clinician) or other staff; these included arrogance (55.3%), breach of confidentiality (28.3%), and cultural or religious insensitivity (26.6%); impairment involved mostly students (25.5%). These findings are analyzed from the perspective of role modeling by faculty and in the context of the learning environment.

CONCLUSIONS:

Medical students witnessed a lapse of professionalism involving both fellow students as well as faculty and administrative staff, in several domains. Results from this study emphasize the importance of role modeling and the need for faculty development, to improve the learning environment. This study adds to the limited emerging literature on the forces that influence medical student professionalidentity formation.

PMID:
 
25004924
 
PMCID:
 
PMC4102062
 
DOI:
 
10.1186/1472-6920-14-139
[Indexed for MEDLINE] 
Free PMC Article


4년 교육과정에 걸친 의과대학생의 호기심 (Med Teach, 2017)

Describing medical student curiosity across a four year curriculum: An exploratory study

Robert Sternszusa, Alenoush Saroyanb and Yvonne Steinertc 


aDepartment of Pediatrics and Centre for Medical Education, McGill University, Montreal, Quebec, Canada; bDepartment of Education and Counseling Psychology, McGill University, Montreal, Quebec, Canada; cDepartment of Family Medicine and Centre for Medical Education, McGill University, Montreal, Quebec, Canada




도입

Introduction


지적 호기심은 내재적이고 안정된 기준선 특성 (즉 특성 호기심)과 다양한 상황 의존적 상태 (즉, 국가 호기심)로 구성된 탐색적 행동으로 이끄는 지식에 대한 욕구로 정의 될 수있다 (Berlyne 1954, Berlyne 1960, Naylor 1981 ; Pluck & Johnson 2011; Reio et al., 2006). 의학 및 의학 교육 분야에서의 중요성은 약 15 년 전 내부자 인 Faith T. Fitzgerald에 의해 강조되었습니다. 그녀는 호기심이 의학에서 인본주의적 실천의 핵심에 있으며 "어떤 경우에는, 돌보는 것caring과 같다"라고 하였다 (Fitzgerald 1999, p.70).

Intellectual curiosity can be defined as a desire for knowledge that leads to exploratory behavior, consisting of an inherent and stable baseline trait (i.e. trait curiosity) and a variable context-dependent state (i.e. state curiosity) (Berlyne 1954; Berlyne 1960; Naylor 1981; Pluck & Johnson 2011; Reio et al. 2006). In medicine and medical education, its importance was highlighted by internist Faith T. Fitzgerald more than 15 years ago, when she argued that curiosity is at the core of the humanistic practice of medicine and is “the same, in some cases, as caring” (Fitzgerald 1999, p. 70).


그 이후 호기심이 지적 발견, 문제 해결, 자기 감시, 평생 학습에 결정적인 역할을한다고 가정 한 의학 교육자들 사이에서 호기심의 중요성에 대한 관심이 커졌습니다 (Kasman 2004; Epstein 외 2008; Curry & 몽고메리 2010, Dyche & Epstein 2011, 로마 2011, Nanda 2012, Kanter 2012, Whitehead & Kuper 2012, Ellaway 2014).

Since that time, interest in the importance of curiosity has grown amongst medical educators who have hypothesized that curiosity plays a critical role in intellectual discovery, problem solving, self-monitoring, and lifelong learning (Kasman 2004; Epstein et al. 2008; Curry & Montgomery 2010; Dyche & Epstein 2011; Roman 2011; Nanda 2012; Kanter 2012; Whitehead & Kuper 2012; Ellaway 2014).


피츠제랄드 박사는 호기심의 중요성을 강조한 것 외에도 "의학 교육 자체가 호기심의 표현을 억제한다"고 주장하면서 "의사의 호기심이 위험하다"고 경고했다 (Fitzgerald 1999, p.71).

In addition to highlighting the importance of curiosity, Dr. Fitzgerald also warned that, “curiosity in physicians is at risk,” arguing that, “medical education itself suppresses the expression of curiosity” (Fitzgerald 1999, p. 71).


최근에는 "고의적이고deliberate 집중적이며focused 지속적인sustained 지적 탐구의 개발이 (...) 의학 교육에서 배우고 가르치는 핵심 부분이되어야한다고 주장 해왔다"(Ellaway 2014, 113 쪽).

More recently, it has been argued that the “development of deliberate, focused, and sustained [intellectual] curiosity should ( …) be a core part of learning and teaching in medical education” (Ellaway 2014, p. 113).


호기심은 의학 교육에서 중요한 주제 인 것처럼 보이지만,이 구조에 대한 이해를 높이기위한 경험적 연구는 거의 없습니다. "호기심", "의학", "교육", "학생", "대학", "성인 학습"및 "학업 성과"와 같은 주요 검색어를 사용하여 PubMed 및 Scopus 데이터베이스를 검색 한 결과, 의학교육에서 호기심에 관한 연구는 세 가지 뿐이었다.

While curiosity appears to be an important topic in medical education, there has been little empirical research to advance our understanding of this construct. A search of the PubMed and Scopus databases using key search terms “curiosity,”“medicine,”“education,”“student,”“university,” “adult learning” and “academic performance” yielded only three published studies on curiosity in medical education.


결론적으로,이 세 연구는 의료 전문가가 호기심을 의학에 중요하다고 생각하고 호기심이 강한 의대생이 더 깊은 학습 전략을 채택하고 있음을 보여줍니다. 그러나 연구는 state 와 trait 호기심이 의학 교육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그리고 이 잠재적 영향이 퍼포먼스에 어떤 영향을 미칠 수 있는지에 대해 조사하지 않았습니다.

In sum, these three studies illustrate that healthcare professionals perceive curiosity as important to medicine and that medical students with high trait curiosity employ deeper learning strategies. Studies have not explored the influence of medical education on state and trait intellectual curiosity or how this potential influence may affect performance.


그러나 고등교육에서는 검증 된 도구를 사용하여 state and trait 지적 호기심이 연구되고 측정, 탐구되었다 (Naylor 1981; Reio et al., 2006). 연구 결과는 학습자의 state 호기심이 자극받을 수 있음을 보여 주며 (Loewenstein 1994; Reio & Wiswell 2000, Reio & Callahan 2004, Pluck & Johnson 2011), state and trait 호기심은 교실 및 직장 학습 및 성과를 긍정적으로 예측합니다 (Chamoiro-Premuzic 2006, Arteche et al., 2009, von Stumm et al., 2011). 종합적으로 말하자면, 이러한 연구들은 지적 호기심이 교육을 통해 성인들에게 촉진 될 수 있으며, 그렇게하면 학습자들에게 유익한 효과가 있음을 암시합니다.

These relationships, however, have been explored in higher education, where both state and trait intellectual curiosity have been studied and measured using validated instruments (Naylor 1981; Reio et al. 2006). Findings show that learner state curiosity can be stimulated (Loewenstein 1994; Reio & Wiswell 2000; Reio & Callahan 2004; Pluck & Johnson 2011), and that both state and trait curiosity are positively predictive of classroom and workplace learning and performance (Chamoiro-Premuzic et al. 2006; Arteche et al. 2009; von Stumm et al. 2011). Taken together, these studies suggest that intellectual curiosity can be promoted in adults through education and that doing so will have beneficial effects on learners.




방법

Methods


연구 설계와 성과 척도

Study design and outcome measure


To quantify and describe curiosity across all 4 years of a medical school at a single university, we employed cross-sectional design. State and trait intellectual curiosity was measured using the Melbourne Curiosity Inventory (MCI). This instrument has been previously used in studies carried out in other contexts, including higher education, which shares similarities to medical education (Naylor 1981; Reio & Wiswell 2000; Reio et al. 2006). This self-report measure uses distinct state and trait subscales, each consisting of 20 positively worded items, rated on a four-point Likert-type scale. Items assess thoughts and feelings about learning, exploring, problem solving, and questioning. The trait subscale focuses on the individual in general, whereas the state subscale asks respondents to focus on the current situation. The maximum score for each subscale is 80 and each subscale can be scored separately.


참여자와 세팅

Participants and setting


The undergraduate medical program at McGill University has parallel admission streams for students with and without a prior university degree. The curriculum follows the Canadian accreditation model and is delivered over 4 years. The emphasis in the first two years is on the basic sciences and clinical skills (pre-clerkship), with an early longitudinal exposure to the clinical setting. The final 2 years are devoted to experiential learning and the delivery of supervised clinical care in hospital and community practice settings (clerkship). The admissions website lists intellectual curiosity as one of the attributes desired in a potential medical student; however, curiosity is not listed as one of the core values of the undergraduate medical education program.


자료 수집

Data collection


Exceptionally, a subset of third-year medical students completed the questionnaire on two separate occasions in order to allow us to monitor the test–retest reliability of the tool in our context.


자료 분석

Data analysis


Data analysis occurred in two steps: 

(1) examining the appropriateness of the MCI as measure of curiosity in our context and 

(2) describing medical student curiosity across years of training.


MCI의 적절성

Appropriateness of the MCI


Given that the MCI had never been used in a medical education context, we monitored the performance of the tool prior to analyzing our data. 

    • Using our entire dataset, we assessed the scale and subscale characteristics by calculating Cronbach’s alpha coefficients in order to determine the internal consistency of the instrument in the medical education context. 

    • In addition, we conducted a test–retest analysis on the MCI subscales with a subset of the third-year medical class to confirm that the trait subscale would be more reliable on repeated measures than the state subscale, as the construct definitions would predict.


호기심에 대한 서술적 분석

Descriptive analysis of curiosity



Demographic data and curiosity scores were analyzed in a descriptive fashion, and means and standard deviations on each of the MCI subscales were determined. A Mixed Models ANOVA, with the MCI subscale as the repeated factor and year of training as the between-subjects factor, was used to compare mean state and trait curiosity scores within and across years of training.


Results


인구통계학 자료

Demographic data


Of the 751 students enrolled at McGill University for the 2014–2015 academic year, 402 completed the inventory, resulting in a response rate of 53.5%.


A summary of the demographic data by year of trainingis presented in Table 1. 


MCI의 적절성

Appropriateness of the MCI


Cronbach’s alphas for the 20-item trait and 20-item state curiosity subscales were calculated and determined to be 0.90 and 0.94, respectively. In addition, test–retest on a subsample of 26 third year medical students revealed a high correlation on the trait subscale, r ¼0.84. The state subscale was more unreliable than the trait subscale on test-retest analysis, r ¼0.69, which is consistent with the context-dependent construct definition of state curiosity and supports the assumption that the two subscales are measuring different dimensions of curiosity in our participants.


Descriptive analysis of curiosity


Examination of the descriptive statistics (as shown in Table 2 and Figure 1) reveal that trait curiosity is relatively stable across years whereas there is more variability in state curiosity, which is consistently lower than trait curiosity in each year, and particularly low in the year-2 student sample.





고찰

Discussion


교육 심리학에서는 호기심이 단일 구조로 연구 된 것이 아니라 오히려 다차원적인 구조로 연구되었다 (Langevin, 1971). 그러한 차원 중 하나는 지적 호기심이며, 여러 차례 렌즈에서 볼 수 있습니다. 즉, 호기심은 일시적이고 맥락의존적인 동기부여상태 또는 안정된 성격 특성으로서의 동기부여 상태로 묘사되어왔다(Langevin 1971, Reio et al. 2006). 우리 연구 결과는 의과대학생의 state and trait 지적 호기심이 의학 교육에서의 연구와 실천의 관심대상이 될 수 있음을 시사합니다.

In educational psychology, curiosity has not been studied as a unitary construct, but rather as a construct with multiple dimensions (Langevin 1971). One such dimension is intellectual curiosity, which in turn has been viewed from multiple lenses. Namely, it has been described as a motivational state that is transient and context dependent and/or a more stable personality trait (Langevin 1971; Reio et al. 2006). Our study findings suggest that both state and trait medical student intellectual curiosity may be of interest to research and practice in medical education.


형질 호기심과 관련하여 고등학생 2 명 (M = 56.1, SD = 8.5, M = 56.0)의 문헌에서 이전에보고 된 점수와 비교할 때 우리 연구 참가자의 호기심은 매우 높았다 (M = 64.9, SD = 8.5) , SD = 8.1), 두 명의 대학생 (M = 57.9 ~ 57.9, SD = 8.8, M = 55.6, SD = 9.9) (Naylor 1981). 이 연구의 횡단면 설계가 인과 관계를 추론하는 능력을 제한하지만,이 결과는 의과 대학이 높은 trait 호기심을 가진 학생들을 선발 할 가능성을 시사한다. 교육 심리학에 관한 연구에 따르면 trait 호기심은 학업 성취와 관련이 있습니다. (Chamoiro-Premuzic 외 2006, Arteche 외 2009, von Stumm 외. 2011).

With regard to trait curiosity, participants in our study scored highly (M¼64.9, SD¼8.5) when compared with scores previously reported in the literature for two samples of high school students (M¼56.1, SD¼8.5; and M¼56.0, SD¼8.1) and two samples of university students (M¼57.9 to 57.9, SD¼8.8; and M¼55.6, SD¼9.9) (Naylor 1981). Although the cross-sectional design of this study limits our ability to infer causality, this result suggests the possibility that medical schools may be selecting for students with high trait curiosity. Studies in educational psychology have shown that trait curiosity is positively associated with academic achievement; it is possible that medical schools are selecting for curiosity by prioritizing academic achievement in their admissions processes (Chamoiro-Premuzic et al. 2006; Arteche et al. 2009; von Stumm et al. 2011).


또는, 의과 대학은 인터뷰 과정을 통해 지적 호기심이 높은 사람을 뽑을 수도 있습니다. 호주 국립 대학 (Australian National University)의 멀티 미니 인터뷰 스테이션은 호기심이 높은 사람을 선발하기 위해 고안되었다. 호기심은 여러 이해관계자들로부터 의사의 가장 중요한 특성 중 하나로 선정되었습니다 (Harris & Owen 2007). 또한이 연구가 진행된 대학을 비롯한 여러 캐나다 대학의 입학 시험 웹 사이트는 잠재적 인 후보자가 찾는 특성으로 지적 호기심을 포함하고 있다.

Alternatively, it is possible that medical schools are selecting for intellectual curiosity through their interview process. At the Australian National University, a multi-mini interview station was designed to try and select for curiosity, which was listed as one of the most important attributes in a practicing physician by their stakeholders (Harris & Owen 2007). In addition, the admissions websites at several Canadian universities, including the university in which this study was conducted, list intellectual curiosity as an attribute that they look for in potential candidates.


우리가 trait 호기심을 바탕으로 선발할 가능성도 있지만, 이번 결과는 교육 과정 그 자체도 의대생의 지적 호기심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제안합니다.

While it is possible that we are selecting for trait curiosity, our findings suggest that the educational process itself may be influencing medical students’ state intellectual curiosity.


우리는 trait를 불변이라고 생각하는 경향이 있지만, 심리학 문헌에 따르면 어떤 성격 state의 장기변화는 결국 trait에 영향을 줄 수 있다는 증거가있다 (Roberts et al., 2006; Roberts & Jackson 2008).

although we tend to think of traits as immutable, there is evidence in the psychology literature to suggest that a prolonged change in the state of a characteristic can eventually influence trait (Roberts et al. 2006; Roberts & Jackson 2008).


우리의 데이터는 의과 대학이 trait 호기심을 바탕으로 선발할지 모르지만, 의대학생의 state 호기심에 대해 이상적인 서포트를 하고있지는 않을 수 있다는 예비 증거를 제시합니다. 반드시 다른 대학에 일반화되지는 않을지라도, 호기심에 대한 의학 교육의 영향은 더 많은 탐구가됩니다. 알버트 아인슈타인 (Albert Einstein)은 "호기심이 공식 교육에서 살아남는 것이 기적이다"라고 말한 적이있다.

Our data suggest that medical schools may be selecting for trait curiosity and provide preliminary evidence that the state curiosity of our medical students finding may not be optimally supported. Although this may not necessarily generalize to other universities, the influence of medical education on curiosity merits further exploration. Albert Einstein once said that, “it is a miracle that curiosity survives formal education;”



Norman G. 2012. On competence, curiosity and creativity. Adv Health Sci Educ Theory Pract. 17:611–613.



 2017 Apr;39(4):377-382. doi: 10.1080/0142159X.2017.1290793. Epub 2017 Feb 19.

Describing medical student curiosity across a four year curriculum: An exploratory study.

Author information

1
a Department of Pediatrics and Centre for Medical Education , McGill University , Montreal , Quebec , Canada.
2
b Department of Education and Counseling Psychology , McGill University , Montreal , Quebec , Canada.
3
c Department of Family Medicine and Centre for Medical Education , McGill University , Montreal , Quebec , Canada.

Abstract

BACKGROUND:

Intellectual curiosity can be defined as a desire for knowledge that leads to exploratory behavior and consists of an inherent and stable trait (i.e. trait curiosity) and a variable context-dependent state (i.e. state curiosity). Although intellectual curiosity has been considered an important aspect of medical education and practice, its relationship to medical education has not been empirically investigated. The purpose of this exploratory study was to describe medical students' intellectual curiosity across a four-year undergraduate program.

METHODS:

We employed a cross-sectional design in which medical students, across a four-year undergraduate program at McGill University, completed the Melbourne Curiosity Inventory as a measure of their state and trait intellectual curiosity. A Mixed Models ANOVA was used to compare students across year of training.

RESULTS:

Four hundred and two out of 751 students completed the inventory (53.5%). Trait curiosity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state curiosity (M = 64.5, SD = 8.5 versus M = 58.5, SD = 11.6) overall, and within each year of training.

CONCLUSIONS:

This study is the first to describe state and trait intellectual curiosity in undergraduate medical education. Findings suggest that medical students' state curiosity may not be optimally supported and highlight avenues for further research.

PMID:
 
28379089
 
DOI:
 
10.1080/0142159X.2017.1290793


인본주의적, 회복탄력적 의사 양성을 위한 전문직 정체성 형성: 이론을 실제와 연결시키기 위한 교육전략(Acad Med, 2015)

Professional Identity Formation in Medical Education for Humanistic, Resilient Physicians: Pedagogic Strategies for Bridging Theory to Practice

Hedy S. Wald, PhD, David Anthony, MD, MSc, Tom A. Hutchinson, MB, Stephen Liben, MD, Mark Smilovitch, MD, and Anthony A. Donato, MD, MHPE




의사가 되려는 개인은 transformation이 필요합니다. 한 개인은 단순히 의사가 되는 법을 배우는 것이 아니라, 의사가 되는become 것입니다.

To be a physician requires a transformation of the individual—one does not simply learn to be a physician, one becomes a physician.


— Abraham Fuks and colleagues, “The Foundation of Physicianship”1


이 기사에서 우리는 전문적인 정체성 형성 (PIF)을 목표로 삼은 3 가지 교육 혁신을 소개합니다.

Within this article, we present three pedagogic innovations aimed at professional identity formation (PIF)


이러한 교수법의 공통된 특징은 핵심 역량에서 전문 역량에 이르는 성찰 기술 개발입니다 .3 안내된Guided 성찰은 PIF의 적극적인 건설 프로세스의 중요한 구성 요소입니다

A shared feature of these pedagogies is the development of reflective skills, core to professional competency.2,3 Guided reflection is a critical component of the active construction process of PI F. 4 


PIF과정의 중요성

Importance of the PIF Process


의학 교육은 기술과 지식을 가르치고 전문적인 정체성의 개발을 지원하는 이중dual 책임이있다.

Medical education has the dual responsibility of teaching skills and knowledge and of supporting the development of a professional identity.6,7


인본주의적인 기술, 행동 및 태도의 개발은 능동적 학습 과정이며, 이상적으로는 "인간에 대한 깊은 존경에 따라 ... 그들의 일반적인 복지와 번영에 대한 관심"에 이르게합니다. 성격 (덕과 속성 포함)의 배양과 인본주의적 의사의 행동을 평생 추구하기 위해서는 교수, 의료진, 학생들의 집단적 자기 인식을 필요로 한다.

Development of humanistic skills, behaviors, and attitudes is an active learning process, ideally leading to the “accordance of deep respect to humans … and concern for their general welfare and flourishing.”9 Cultivating the  character (including virtues and attributes) as well as lifelong pursuits and behaviors of humanistic physicians requires a collective self-awareness of faculty, house staff, and students4 and is of keen interest within medical education

의과대학생 "전체wholeness"와 engagement (환자 및 자아로부터의 과도한 분리를 피하는 것)는 "온 사람을 온 인격으로 돌보는 것"에 부합하는 돌보는 인본주의적이고 윤리적 인 의사의 훈련에 필수적입니다.

Medical student “wholeness” and engagement (avoiding excessive detachment from patients and from self) are essential for the training of caring, humanistic, and ethical physicians,10 in line with “bringing our whole person to whole person care.”11


성찰적 글쓰기 (reflection writing-RW)를 통한 성찰은 PIF에서 학생들의 지적, 감정적, 영적 차원의 배양을 강조한다.

reflective writing (RW)-enhanced reflection—emphasizes cultivation of students’ intellectual, emotional, and spiritual dimensions within PIF,


궁극적으로, 의료 전문가의 정체성은 "여러 단계와 오랜 시간에 걸쳐서 달성되는, 의료 전문직의 특성, 가치 및 규범이 내면화되어 개인이 의사와 같이 생각하고, 행동하고, 느끼도록 하는 자기 표현입니다."

Ultimately, a medical professional’s identity is “a representation of self, achieved in stages over time during which the characteristics, values, and norms of the medical profession are internalized, resulting in an individual thinking, acting, and feeling like a physician.”


일반적으로 PIF는 잘 통합 된 개인적 및 전문적 개발 또는 다음과 같다.

In general, PIF may be conceptualized as well-integrated personal and professional development or 

“the moral and professional development of students, 

the integration of their individual maturation with growth in clinical competency, and 

their ability to stay true to values which are both personal and core values of the profession.”7



보건전문직교육에서 PIF 서포트를 위한 성찰의 촉진

Fostering Reflection to Support PIF in Health Professions Education and Practice


성찰적 글쓰기의 힘

The power of RW


임상 추론, 환자 의사 소통 및 전문성을위한 필수 역량 인 RC (Reflective Capacity)는 (학생들이 의사 - 환자 상호 작용의 복잡성을 탐구하고 반성하는 전문적인 자아를 개발함에 따라) 메타인지 정서 인식 기술을 포함합니다. 성찰이 반드시 직관적인 것은 아니므로, RW를 통해 성찰 기술을 향상시키고 보건 의료 직업 교육에서 개인적 및 전문적 개발을 지원할 수 있다.19-23

Reflective capacity (RC), an essential competency for clinical reasoning, patient–physician communication, and professionalism,3 encompasses skills of metacognition and emotional awareness as students explore the complexities of physician–patient interactions18 and develop a reflective professional self. Given that reflection is not necessarily intuitive, the use of RW to enhance reflective skills and support personal and professional development in health care professions education is well documented.19–23



A RW curriculum in a family medicine clerkship


At Alpert Medical School of Brown University (AMS), students’ structured RW, which was combined with guided individualized written feedback from interdisciplinary faculty (“interactive RW”), was first implemented in a doctoring course20 in 2005 and further developed within a family medicine clerkship beginning in 2009.27 AMS students participate in two cycles of interactive RW during a six-week required family medicine clerkship. The curricular objectives align with processes fundamental to and essential for students’ active construction of PIF—namely, 

  • (1) improving students’ RC; 

  • (2) sharing personal narratives within an authentic, safe community of learners7; and 

  • (3) providing positive role modeling and adequate mentoring.28


The RW curriculum, which is a component of an existing small-group curriculum during weekly didactics, bridges classroom learning and clinical experiential learning. 

  • In each of two RW cycles, students respond in writing to a prompt and electronically submit their RW to an interprofessional small-group faculty team—a physician and a clinical psychologist–medical educator (H.S.W.). 

  • During the small-group session in the following week, an hour is devoted to collaborative reflection on and processing of the narratives (reflective triggers). Faculty facilitators emphasize the small groups as safe spaces for discussing challenges, triumphs, uncertainties, lessons learned, and inherent stresses of developing into a physician. Students are invited, though not required, to share their narratives, and the group is invited to respond.


Following this session, each student is provided written structured, individualized feedback to his or her narrative via e-mail from faculty. Written feedback is strictly formative, not included in the student’s final summary evaluation, and uses systematic frameworks for enhancing the educational impact of RW (described below). In crafting feedback, faculty often attach supplemental literature (resonating with students’ RW themes), including published reflective narratives, poetry, and/or peer-reviewed research. 


The curriculum structure includes four reflection tiers

  • (1) community mentor experience (role modeling), 

  • (2) RW (the writing process itself), 

  • (3) small-group collaborative reflection and feedback, and 

  • (4) individualized written formative feedback promoting a more in-depth reflective process. 

Experience followed by reflection within a community of peers is a key PIF component.29


Guided reflection is an integral component of PIF4; thus, we provide a faculty development (FD) session30 to enhance the educational impact of RW pedagogy as well as the availability of ongoing faculty advising and consultation. The formalized FD session promotes skilled readers/responders (and small-group facilitators) with instruction in 

  • (1) systemized frameworks to guide the crafting of quality written feedback to students’ RW while attending to the intellectual and emotional processes of becoming a physician,31 and 

  • (2) effective small-group facilitation


The frameworks are 

  • (1) the Brown Educational Guide to the Analysis of Narrative (BEGAN)24,32 and 

  • (2) the Reflection Evaluation For Learners’ Enhanced Competencies Tool (REFLECT) rubric.33 

The REFLECT rubric is used for formative assessment of reflective level within students’ RW and guides BEGAN application. 


PIF가 평생 과정이기 때문에 (협동적 성찰과 같은) 교육 또는 FD 세션 참여를 통한 교수 자신의 PIF가 이루어질 가능성이 있다.34,35 소그룹 토론의 촉진은 교수진의 성취 및 renewal의 원천이 될 수있다. .36 사실 우리 소그룹 교수 중 한 명이 최근에 이렇게 말했습니다. "이것은 내가 왜이 사업에 들어 갔는지를 상기시켜줍니다."

Given that PIF is a lifelong process, the potential for faculty members’ own PIF through the teaching (collaborative reflection) and participation in FD sessions is recognized.34,35 Facilitation of small- group discussions may be a source of fulfillment and renewal for faculty.36 Indeed, as one of our small-group faculty recently remarked, “This reminds me why I went into this business.”


Guided reflection within individualized RW feedback and/or a collaborative group process (using RW) on key wellness themes—such as 

  • managing uncertainty23; 

  • identifying gaps in self- care; and 

  • fostering self-compassion37 and attitudes promoting constructive, healthy engagement with challenges at work

...may foster resiliency and enhance well-being to promote healthy, integrated PIF.10 


이와 같이 대화 형 RW는 지적 스트레칭, 정서적 인 근육 만들기, 임상 실습의 "마라톤"을위한 윤리적 적합성 증진과 같은 은유 적 "탄력성 운동"으로 최근 설명되었습니다 .5

As such, interactive RW has recently been described as a metaphorical “resiliency workout” with intellectual stretching, building emotional muscle, and fostering ethical fitness38 for the “marathon” of clinical practice.5 


우리의 목표에 부합하도록 유도된 비판적 성찰 기술 개발은 의대생의 스트레스를 줄이고 건강을 증진시키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39-41 그리고 RW는 학생들의 공감 능력에 긍정적 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42 학생들의 PW와 소그룹 성찰에는 통찰력이 풍부하며, 우리는 학생들이 자신과 의사로서의 역할에 대해 더 깊이 이해하는 것을 관찰하게 된다..

In line with our objectives, guided critical reflective skills development has been shown to reduce stress and foster wellness in medical students,39–41 and RW has been shown to positively influence students’ capacity for empathy.42 There is a richness of insight in students’ RW and small-group reflection, and we observe students gaining a deeper understanding of themselves and their roles as physicians.



의과대학생에서 PIF의 하나로 회복탄력성 증진하기

Promoting Resilience as Part of PIF in Medical Students


앞서 우리는 의학 교육의 초기 단계에서 회복력을 키우는 것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의학 교육과 실습은 PIF를 초래할 수 있지만 건강한 직업적 정체성에 손상을 줄 수 있습니다. 실천하는 의사와 대학 의대생 모두에서 냉소주의와 번아웃이 높아지는 것이 이를 입증한다. 10,46,47 직업 분야에서 효과적으로 기능하는 것은 의료 PIF의 중요한 구성 요소이며, 회복탄력성의 정의는 "지속적인 스트레스와 역경에 직면하여 개인적이고 전문적인 복지를 유지할 수있는 능력"으로 정의된다. 불리한adverse 의료 상황에서 의과대학생은 기존의 개인적 정체성이 아니라 전문직으로서의 개인으로 응대해야 한다. 학생에 대한 멘토링은 그러한 시나리오를 준비하면서, 기능적 자기 개념과 행동 ( "훌륭한 의사"의 존재와 수행)을 발전시킵니다. 4


Earlier, we described the increasing interest in fostering resilience within early stages of medical education. Medical education and practice can result in PIF but also in damage to a healthy professional identity, as evidenced by the high levels of cynicism and burnout both in practicing physicians as well as in undergraduate medical students.10,46,47 Developing the necessary resilience to function effectively in the professional arena is a vital component of medical PIF,48 with a working definition of resilience being “the ability to maintain personal and professional well-being in the face of ongoing work stress and adversity.”48 Adverse medical situations challenge medical students to respond as professional individuals rather than as they would have in their preexisting personal identities.49 Mentoring students in preparing for such scenarios fosters the development of functional self- concepts and behaviors (the being and the doing of the “good physician”).4


Module One: Resilient responses to difficult clinical interactions


For a teaching module used at McGill University Faculty of Medicine since 2007, we developed brief, emotionally confronting, and ethically challenging clinical scenarios based on real events reported to faculty. Examples included 

    • being verbally abused by a physician in authority, 

    • being put under pressure to perform an ethically questionable procedure on a patient, 

    • being manipulated by a resident to not answer questions posed by attending staff, and 

    • having a conversation with an angry family about a seriously ill family member.


Each student plays a role in one scenario and observes two other scenarios. These teaching sessions consist of five separate sections: 

    • (1) prebriefing for faculty (the prebriefing documents for faculty are available from us), 

    • (2) prebriefing for faculty and students, 

    • (3) scenarios followed by small-group debriefing, 

    • (4) large-group debriefing, and 

    • (5) debriefing for faculty.


We base our faculty briefing for these sessions and our teaching in the large-group debriefing on Satir and colleagues’50 work on congruent relating and Kabat-Zinn’s51 work on coping with stress mindfully. 


특히 Satir의 작업에서 우리는

    • 스트레스가 많은 상황에서 자신, 다른 사람, 상황에 remaining present하는 것의 중요성 50

    • 비난받으며, 비난 받거나, 매우 합리적이거나 혼란스러워하는 도움이되지 않는 생존 자세에서 자신을 붙잡기 위해 필요한 자기 인식.

    • From Satir’s work in particular, we stress 

      • the importance of remaining present to self, other, and context in stressful situations50 and 

      • the self-awareness necessary to catch oneself in an unhelpful survival stance52 of placating, blaming, being super-reasonable, or distracting. 

Kabat-Zinn의 작업을 바탕으로 스트레스에 반응react하는 것과 반응responde하는 것의 차이점을 강조합니다 .51 우리는 이러한 주제에 대해 강의하지 않습니다. 오히려, 우리는 세션에서 나타나는 것을 사용하여 관련 사항을 강조합니다. 시나리오에 대하여(윤리적 딜레마 상황에서조차) 옳고 그른 반응을 강조하는 대신, 우리는 스트레스 상황의 시나리오에 대해서 congruent함을 유지하고, 스스로의 반응에 대해서 mindful하는 능력에 주로 초점을 둡니다.

    • On the basis of Kabat-Zinn’s work, we emphasize the difference between reacting and responding to stress.51 We refrain from lecturing on these topics; rather, we use what emerges in the sessions to highlight relevant points. Instead of highlighting right or wrong responses to a scenario (even with an ethical dilemma), we focus primarily on a student’s ability to remain congruent50 and mindful in his or her response to a stressful scenario.


Module Two: Mindful clinical practice


Decreased stress and increased appreciation for life are demonstrated outcomes of mindfulness-based stress reduction courses first offered by the University of Massachusetts Medical School to patients with chronic pain.53 To address the problems of stress and burnout in medical students, “mindfulness-based medical” courses have recently been introduced into the curricula of several medical schools.54,55 New mindfulness-based medical undergraduate courses continue to emerge with outcome goals such as reducing student stress and cultivation of resilience, well-being, and personal growth.54,55 More broadly, mindful practice56 is highlighted as integral to the professional competency of physicians, requiring mentoring and guidance.


Synergy between the two modules


Our intention is synergy between these two teaching modules (mindful clinical practice before clerkships and resilient responses to difficult interactions during clerkships) to provide students with necessary knowledge, skills, and attitudes of mind fostering clinician resilience and enhanced well-being.



GME내에서 성찰 기술을 촉진하여 PIF 기르기

Fostering Reflective Skills to Cultivate the PIF Process Within GME


GME에서 PIF기르기의 중요성

The importance of cultivating PIF within GME


우리는 GME 내에서 복잡하고, 진행중이며, 역동적이며, 반복적 인 PIF 과정을 육성하기위한 효과적인 교육학의 실행의 중요성을 강조합니다. 직업의 하위 구성원은 의학 전문의 진술 된 가치와 의학의 현실 사이에서 불협화음을 조화시켜야합니다 이 과정은 학습자가 직업에 대한 암묵적이고 명시적인 기대를 동화하면서 환자 치료 경험의 서찰, 피드백, intercalation을 필요로한다.

We now turn to highlighting the importance of implementing effective pedagogy for cultivating the complex, ongoing, dynamic, and iterative PIF process within GME, given that junior members of the profession must reconcile dissonance between the stated values of the medical profession and the realities of medicine as practiced in the real world.58 This process requires reflection, feedback, and intercalation of patient care experiences as the learner assimilates tacit and explicit expectations of the profession.59 


    • 레지던트는 의사를위한 최초의 전문적인 업무 경험을 대표하므로 직업의 연장자와의 성찰적 대화를 촉진하기위한 중요한시기입니다.

    • 전문직 종사자로서의 역할에서부터 가치 평가, 의견 통합, 의사가되기까지 점진적으로 진보하는 것을 지원하려면 협업 학습 환경 내에서 숙련 된 종업원 지도 및 자문이 필요합니다 .58

    • 이러한 지속적인 상호 작용은 PIF가 선형이 아니라 임상 경험에 의해 조장 된 위기와 학습자의 가치를 드러내고 도전하는 숨겨진 커리큘럼에 의해 추진된다는 점에서 중요합니다.

    • 학습자의 성찰을 촉진하고 안내 할 수있는 역할 모델과 멘토는이 과정에서 매우 중요합니다.

    • 이러한 중요한 멘토링 관계를 촉진하는 데 대한 위협은 교수진의 교육에 대한 관심 감소, 교육 시간 단축, 교수진에 대한 임상 요구 증가 등을 포함합니다.

    • Residency represents the first professional work experience for physicians and is thus a critical time for facilitated reflective discussions with seniors in the profession. 

    • Supporting the gradual progression from acting as a member of a profession to assuming its values, integrating feedback, and becoming a physician60 requires skilled longitudinal mentoring and advising within a collaborative learning environment.58 

    • Such ongoing interaction is key, given that PIF is not linear but rather is pushed forward by crises fostered by clinical experiences and by the hidden curricula exposing and challenging a learner’s values.49 

    • Role models and mentors who can facilitate and guide learners’ reflections are thus critical to this process.4 

    • Threats to fostering these critical mentoring relationships include faculty members’ diminished interest in teaching,61 shortened training times, and increasing clinical demands on faculty.62


PIF 교과 중재는 주로 전문성 교육 및 평가에 중점을 두 었으며 윤리 및 직업에 대한 기대에 대한 강의 4 RW 세미나 3,8,9 및 촉진 된보고와 함께 실제 및 실제 경험에 대한 노출을 포함 할 수 있습니다 .63 최근 육성에 중점을 둡니다. GME의 "전문성"과 구별되는 PIF는 연수생이 자신의 가치와 이상을 재검토하고 의미를 연구하는 동안 반영하도록 배움으로써 훈련의 연속체와 실천에 대한 멘토와 역할 모델과의 종사적 참여를 강조합니다 .64 우리는 훈련 된 멘토에 의해 촉진 된 e- 포트폴리오에서의 연습은 PIF를 교육의 "그림자"에서 벗어나 반사 된 토론을 유도하는 데 도움이됩니다. 따라서이 연습은 PIF 목표를 추구하는 수단으로 사용됩니다. 즉, 학습자가 "그들이 누구인지, 그들이 누구인지, 누구가되고 싶은지"를 발견하도록 도와줍니다.

PIF curricular interventions have been primarily focused on teaching and assessing professionalism25 and may include 

    • lectures on ethics and expectations of the profession,4 

    • RW seminars,3,8,9 and 

    • exposure to simulated and real experiences with facilitated debriefing.63 

The recent focus on fostering PIF in GME as distinct from “professionalism” emphasizes longitudinal engagement with mentors and role models throughout the continuum of training and into practice, during which trainees learn to reflect while reexamining their values and ideals and finding meaning in their work.64 We believe that reflective exercises in an e-portfolio, facilitated by trained mentors, help bring PIF out of the “shadows” of training and into the light of guided reflective discussion. As such, these exercises serve as a vehicle for pursuing PIF goals— namely, helping learners discover “who they are, who they are becoming, and who they wish to become.”4


PIF 목표를 위해 e-포트폴리오와 훈련된 멘토 사용

Using an e-portfolio and trained mentors to pursue PIF goals


At Reading Health System in Pennsylvania, an electronic professional development portfolio has served since 2008 as a documentation tool supporting residents’ reflections on performance and their self-monitoring, comparisons of self-assessments with external feedback, and generation of learning plans.65,66 Mentors are selected from a pool of full-time faculty educators and matched with individual residents at the start of residency, with each mentor assigned four to six mentees. The e-portfolio was overlaid on this existing mentoring process, with goals of promoting reflective skills, supporting self- directed learning, and enhancing career development.65 The portfolio backbone is the mentee’s curriculum vitae (CV). All scholarly activity and research efforts are uploaded, with automatic reminders (generated by any uploads) triggering future CV updates. The portfolio is designed to assist the resident

    • (1) to reflect in action,2 with reflection-inviting questions for each document type; and 

    • (2) to reflect on action, including the ability to open and view their descriptions of all sequential reflections in order to review longitudinal progress toward self-declared goals. 


Mentors coach mentees at triannual meetings to facilitate reflections on clinical evaluations, test scores, critical incident RW assignments, feedback from their teaching, and their presentations for meaning making and transformative learning. Self-directed learning is supported through mentor- coached reviews of uploaded chart audits and evidence-based medicine searches. The last portfolio section contains uploads of trainees’ short- and long-term professional development plans, initially created jointly by the mentor and the mentee, but solely by the mentee later in the program as the scaffolding process is gradually reduced and independence is achieved.67


각 거주자는 회의를 멘토링하기 전에 3 차원 및 밤 플로트 회전 동안 e- 포트폴리오 작성 및 반사적 과제를 완료합니다. 각 세션의 특정 연습 문제는 거주자가 3 년 동안의 거주 기간 동안 일련의 연례 및 세션 별 과제를 완료 한 경우 사전에 설명되어 있습니다 .65

Each resident completes e-portfolio writing and reflective assignments prior to mentoring meetings triannually and during night float rotations. Specific exercises for each session are outlined in advance for the resident, who completes a series of year- and session-specific assignments throughout the three years of residency.65 


    • 멘토는 멘티에게 신빙성과 기밀성을 유지하기 위해 멘티에게만 형성적인 피드백을 제공합니다.

    • 멘토는 또한 멘토가 프로그램 디렉터 (멘토가 아닌)와 연례 포트폴리오 검토를 준비하고 임상 적 능력위원회 (Clinical Competence Committee)의 지지자 역할을하도록 도와줍니다 .68

    • 멘토링 회의에는 멘티가 결정한 의제가 포함 된 일련의 과제가 있습니다.

    • 포트폴리오는 (일과 삶의 균형을 달성하고, 탄력성을 조성하여 번아웃를 예방하고, 미래의 노력을 도모하는 것과 같은 주제에 관한 PIF 토론을 위한) 대화식 "출발점"역할을합니다.

    • Mentors provide only formative feedback to mentees, to maintain both authenticity and confidentiality for the mentees. 

    • Mentors also help mentees prepare for annual summative portfolio reviews with the program director (not a mentor) and serve as their advocates to the Clinical Competence Committee.68 

    • Mentoring meetings have a series of assignments with agendas determined by mentees. 

    • The portfolio serves as the conversational “departure point” for PIF discussions about such topics as achieving work–life balance, fostering resiliency69 to prevent burnout,70 and future endeavors.


멘토 교육은 PIF 개입을 성공적으로 수행하는 데 중요합니다. 멘토는 자신의 교육에서 결코 경험하지 못했던 과정에 참여하게되어 FD가 프로그램 성공의 중요한 부분이되었습니다. 한 포트폴리오 챔피언 (A.A.D.)은 포트폴리오 멘토링 과정을 촉진하고 진행중인 FD를 수립하는 데 도움이되는 "성찰 코치"의 역할을 수행합니다. 멘토의 요구 사항 평가를 통해 반기 별 FD 세션을 디자인한다.

    • "새로운 제자를 포트폴리오의 목표에 맞추기"

    • "교육 개입 도구 모음"

    • "멘토와 평가 시스템의 역할",

    • "포트폴리오 평가를위한 질적 방법에 대한 소개"

Mentor training is critical to successful PIF interventions.4,71 Our mentors participate in a process most have never experienced in their own training, which makes FD a critical portion of the program’s success. One portfolio champion (A.A.D.) serves the role of “reflective coach” to assist in facilitating the portfolio mentoring process and craft ongoing FD. Mentors’ needs assessments led to designing biannual FD sessions,72 including the topics 

    • “orienting the new mentee to goals of the portfolio,” 

    • “a toolbox of educational interventions,” 

    • “role of the mentor and the assessment system,”‘ and 

    • “an introduction to qualitative methods to assess portfolios.” 

이 모든 과정에서 "멘토를 멘토링하는 것"에는 지지적 성찰 학습 환경을 조성하는 멘토와 멘티 간의 관계를 조장 할 수있는 "성찰적 멘토"를 육성하는 것이 포함됩니다. 멘토는 자신의 개인 포트폴리오를 웹 사이트에 유지함으로써 경험적으로 자신을 프로세스에 배정합니다. 멘토와 함께 자기 성찰 프로세스를 모델링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Within all of this, “mentoring the mentors” includes cultivating “reflection mentors” who can foster the kind of mentor–mentee relationships that create a supportive reflective learning environment. Mentors orient themselves to the process experientially by maintaining their own personal portfolio on the Web site, which can help inform their own modeling of the self-reflective process with mentees.


레지던트와 멘토에게 e-포트폴리오의 중요성

Importance of e-portfolios to both residents and their mentors


이 과정에서 배양 된 기술과 습관을 감안할 때, GME에서 그러한 PIF 개입의 효과에 대한 장기적인 연구가 필요합니다. 향후 방향에는 직원의 의사 탄력성 / 소진 수준, 자기 주도적 학습 및 지각 및보고 된 포트폴리오 측정에 대한 포트폴리오 사용의 장기 영향을 결정하기 위해 포트폴리오를 통해 멘토링에 노출 된 거주자의 질적 평가가 포함됩니다 (참여도가 낮은 사람들 포함). 관계 중심의 환자 치료에 미치는 영향, 포트폴리오에 대한 지속적인 참여 여부에 관계없이. e- 포트폴리오로 PIF를 육성하는 GME 멘토에게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는 것도 중요합니다.

Given the skills and habits cultivated by this process, long-term studies of effectiveness of such PIF interventions in GME are needed. Future directions include qualitative assessments of residents exposed to mentoring through portfolios (including those who are less engaged) to determine the long-term impact of portfolio use on measures of staff physician resiliency/levels of burnout, self- directed learning, and perceived and reported impact on relationship- centered patient care, with or without their continued engagement with their portfolios. Evaluating the impact on GME mentors of cultivating PIF with e-portfolios is also of interest.



조나스 삭크 (Jonas Salk)는 "우리의 가장 큰 책임은 좋은 선조가되는 것입니다."74 이러한 책임을 수행하는 것은 성찰적 기술을 육성하고 코치하기 위한 효과적인 플랫폼에 의해 향상 될 수 있으며, 동시에 전문직의 가치를 전달impart하면서 경력 개발과 일과 삶의 균형을 추구할 수 있다. 우리는 전문성 개발 전자 포트폴리오가 거주자의 꿈 그림을 그리는 매력적인 "캔버스"역할을 할 수 있다고 믿고, 최신 직업 의학자를 직업에 소개하고 (잠재적으로 꿈을 실현하는 데 도움이되는)지도 및 안내를 제공하며, 그 과정에서 멘토 자체를 다시 활성화하십시오.

Jonas Salk said that “our greatest responsibility is to be good ancestors.”74 Carrying out this responsibility may be enhanced by effective platforms to foster and coach reflective skills, at the same time promoting career development and work–life balance while imparting the values of the profession. We believe a professional development e-portfolio can serve as an attractive “canvas” to paint the picture of a resident’s dreams, while offering coaching and guidance for introducing the newest members of medicine to the profession (and potentially help realize their dreams), and in the process, reenergize the mentors themselves.



요약

Summing Up


요약하면, 우리가 위에서 설명한 교육 전략은 이론에서 실천에 이르는 다리, PIF를 촉진하고 풍요롭게하는 주요 요소를 구현하고 구현하는 교량을 나타냅니다 .75 이러한 요소에는 지침 반영, 관계의 필수 역할, 형성 피드백 및 협동 학습 생성이 포함됩니다 사회화 과정을 촉진하기위한 환경 76 또는 "실천 공동체"77.

In summary, the pedagogic strategies we have described above represent bridges from theory to practice, embodying and integrating key elements of promoting and enriching PIF.75 Such elements include 

  • guided reflection, 

  • the integral role of relationships, 

  • formative feedback, and 

  • the creation of collaborative learning environments76 or “communities of practice”77 for promoting the socialization process.


의학 교육의 표준화 된 측면과 개인화 된 측면을 모두 포함하는 위에 제시된 교육 접근법은 이상적으로 "의사가되는 것"이라는 독점적 인 초점에서 "의사가되는 것"을 포함하는 더 광범위한 초점으로 전환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습니다. 49

The pedagogic approaches presented above, which include both standardized and personalized aspects of medical education, can ideally help educators shift away from “an exclusive focus on ‘doing the work of a physician’ toward a broader focus that also includes ‘being a physician.’49


=====찾아야 함======


3 Epstein RM. Reflection, perception and the acquisition of wisdom. Med Educ. 2008;42:1048–1050.


26 Wong A, Trollope-Kumar K. Reflections: An inquiry into medical students’ professional identity formation. Med Educ. 2014;48:489–501.


43 Armstrong GW, Wald HS. Fostering reflective capacity with interactive reflective writing in medical education: Using formal analytic frameworks to guide formative feedback to students’ reflective writing. Med Teach. 2013;35:258.  XXX


33 Wald HS, Borkan JM, Taylor JS, Anthony D, Reis SP. Fostering and evaluating reflective capacity in medical education: Developing the REFLECT rubric for assessing reflective writing. Acad Med. 2012;87:41–50.


19 Wald HS, Reis SP. Beyond the margins: Reflective writing and development of reflective capacity in medical education. J Gen Intern Med. 2010;25:746–749.


63 Ginsburg S, Lingard L. “Is that normal?” Pre- clerkship students’ approaches to professional dilemmas. Med Educ. 2011;45:362–371.






 2015 Jun;90(6):753-60. doi: 10.1097/ACM.0000000000000725.

Professional identity formation in medical education for humanisticresilient physicianspedagogic strategies for bridging theory to practice.

Author information

1
H.S. Wald is clinical associate professor of family medicine, Warren Alpert Medical School of Brown University, Providence, Rhode Island. D. Anthony is associate professor of family medicine, Warren Alpert Medical School of Brown University, Providence, Rhode Island. T.A. Hutchinson is professor of medicine and director, McGill Programs in Whole Person Care, McGill University Faculty of Medicine, Montreal, Quebec, Canada. S. Liben is associate professor of pediatrics, McGill University Faculty of Medicine, Montreal, Quebec, Canada. M. Smilovitch is associate professor of medicine, McGill University Faculty of Medicine, Montreal, Quebec, Canada. A.A. Donato is clinical associate professor of medicine, Jefferson Medical College, Philadelphia, Pennsylvania.

Abstract

Recent calls for an expanded perspective on medical education and training include focusing on complexities of professional identityformation (PIF). Medical educators are challenged to facilitate the active constructive, integrative developmental process of PIF within standardized and personalized and/or formal and informal curricular approaches. How can we best support the complex iterative PIF process for a humanisticresilient health care professional? How can we effectively scaffold the necessary critical reflective learning and practice skill set for our learners to support the shaping of a professional identity?The authors present three pedagogic innovations contributing to the PIF process within undergraduate and graduate medical education (GME) at their institutions. These are (1) interactive reflective writing fostering reflective capacity, emotional awareness, and resiliency (as complexities within physician-patient interactions are explored) for personal and professional development; (2) synergistic teaching modules about mindful clinical practice and resilient responses to difficult interactions, to foster clinician resilience and enhanced well-being for effective professional functioning; and (3) strategies for effective use of a professionaldevelopment e-portfolio and faculty development of reflective coaching skills in GME.These strategies as "bridges from theory to practice" embody and integrate key elements of promoting and enriching PIF, including guided reflection, the significant role of relationships (faculty and peers), mindfulness, adequate feedback, and creating collaborative learning environments. Ideally, such pedagogic innovations can make a significant contribution toward enhancing quality of care and caring with resilience for the being, relating, and doing of a humanistichealth care professional.

Comment in

PMID:
 
25901874
 
DOI:
 
10.1097/ACM.0000000000000725


불확실성에 대한 내성 측정: 1학년부터 6학년까지 단면연구(BMC Family Practice, 2014)

Measuring the ambiguity tolerance of medical students: a cross-sectional study from the first to sixth academic years

Anne Weissenstein1*, Sandra Ligges2, Britta Brouwer3, Bernhard Marschall4 and Hendrik Friederichs3




배경

Background


버너 (Budner, 1962)는 모호성에 대한 불내성을 "모호한 상황을 위협의 원천으로 인식하는 경향"으로,  모호함에 대한 내성을 "모호한 상황을 바람직한 것으로 인식하는 경향"으로 정의한다 [1]. 모호함이란, '결과의 확률'이 알려지지 않은 위험의 한 유형이다 [2].

Budner (1962) defines intolerance of ambiguity as “the tendency to perceive ambiguous situations as sources of threat” and tolerance of ambiguity as the tendency to “perceive ambiguous situations as desirable” [1]. Ambiguity is a type of risk, in that the probability of the outcome is unknown [2].


  • 모호성의 내성은 독창성과 새로운 아이디어에 대한 개방성 등 몇 가지 긍정적 인 특성과 관련되어 있습니다. 

  • 대조적으로 모호함의 불내성은 낮은 정신적 유연성 뿐만 아니라, 정신적 강직, 순응, 민족적 편견과 같은 다른 부정적인 성격 특성과 관련되어있다 [1,3,4].

  • Tolerance of ambiguity has been associated with several positive traits, such as originality and openness to new ideas [3]. 

  • In contrast, intolerance of ambiguity has been associated with lower mental flexibility as well as other negative personality traits, such as mental rigidity, conformity, and ethnic prejudice [1,3,4].


보건 의료 산업에서의 고용은 진기함, 복잡성, 때로는 불용성으로 특징 지어진다. 따라서 의사들은 매우 복잡한 상황에 직면 할 수 있습니다. 왜냐하면 환자 진료란 광범위한 모호성을 반영하는 경향이 있기 때문입니다. Geller (2013)가 요약 한 바와 같이, 모호함에 대한 내성이 낮은 의사는 

  • 유방 X 선 사진을 리콜할 가능성이 높고, 

  • 환자에게 더 많은 비용을 청구하며, 

  • 부정적인 유전자 검사 결과를 보류하고, 

  • 의료 사고로 인한 소송을 두려워하고, 그 결과 방어적 진료를 하고, 

  • 죽음과 슬픔의 맥락에서의 경험을 불편해하고 [10], 

  • 더 검사를 내는 경향이 더 높으며, 

  • 증거 기반 가이드 라인을 따르지 못하는 것을 보여줍니다 [11].

Employment in the health care industry is characterized by novelty, complexity, and sometimes insolubility [5]. Thus, physicians may encounter very complex situations, as they tend to patients whose treatments and diagnoses reflect a wide continuum of ambiguity. As Geller (2013) summarized, physicians who have a low tolerance of ambiguity are more likely to recall mammograms [6], increase patient charges [7], withhold negative genetic test results [8], fear malpractice litigation, and thus engage in defensive practice [9], experience discomfort in the context of death and grief [10], exhibit greater test-ordering tendencies, and demonstrate failure to comply with evidence-based guidelines [11].


모호성에 대한 내성은 의대생의 태도와 행동에 중요한 역할을합니다. 다음과 같은 특성들은 이 집단에서 모호성의 낮은 내성과 관련이있다 : 

  • 취약집단에 대한 부정적인 태도 [12,13] 

  • 실수를하는 것에 대한 두려움 [14]. 

반대로, 모호성에 대한 높은 내성은 

  • 의대생의 리더십 능력의 향상과 

  • 농촌 지역에서의 의료실천에 대한 의지의 증가와 관련이있다 [16,17]. 

학생들이 모호성을 다루는 방식이 malleable할  수 있습니다 [18].

Tolerance for ambiguity also plays an important role on the attitudes and behaviors of medical students. the following traits have been associated with a low tolerance of ambiguity in this population: negative attitudes toward the underserved [12,13] and fear of making mistakes [14]. Conversely, higher tolerance of ambiguity has been associated with greater leadership abilities in medical students [15] as well as increased willingness to practice in rural areas [16,17]. It is possible that the way students deal with ambiguity is malleable [18].


겔러 (Geller, 2013)는 그 이유를 설명하려고 시도했다. 의과대학에 입학하는 학생들은 불확실성으로 특징지어지는 의학의 특성에 끌려서 들어오는 것이고, 따라서 모호성과 관련된 의사 소통 및 의사 결정 기술을 발전시킬 기회를 더 많이 얻는다. 그러면 (이것이 선순환이 되어) 모호성 관련 커뮤니케이션 및 의사 결정 기술을 더욱 발전시킬 수있는 기회를 갖게됩니다. 이러한 결과는 모호함의 내성이 만들어내는 긍정적 피드백 루프입니다 [5]. 마찬가지로, 모호함에 대한 내성이 낮은 학생들에게는 부정적 피드백 루프가 작동 할 수 있는데, 모호한 상황을 피할수록 더욱 모호함에 대한 내성이 낮아지는 경향이 있기 때문이다.

Geller (2013) has attempted to explain why: medical students with a high tolerance of ambiguity entering medical school are drawn to uncertainties characterized by medicine and thus have the opportunity to further develop their ambiguity related communication and decision-making skills. These students would then have the opportunity to further develop their ambiguity-related communication and decision-making skills. The result is a positive feedback loop in which the tolerance of ambiguity increases in these students [5]. In a similar manner, a negative feedback loop may operate for students with a low ambiguity tolerance, as they may tend to avoid ambiguous situations and thus become even less tolerant [5].




방법

Methods


연구 설계 및 참가자

Study design and participants


Our study was conducted in the summer semester of 2013 at the medical school of the Westphalian Wilhelms University in Muenster, Germany. We used a crosssectional design to evaluate ambiguity tolerance in 622 medical students from the first to the sixth academic years, as well as 30 general practitioners.


성과 척도 및 측정 도구

Outcome measures and measuring instrument


Measurements were conducted using the Inventory for measuring ambiguity tolerance (IMA) by Reis (1997, Additional file 1) [21]. The IMA comprises 40 items, divided into the following five areas:


다음에 대한 모호함에 대한 내성을 측정 

Ambiguity tolerance with respect to:

      • 명백하게 해결 불가능한 문제들 apparently insoluble problems (PR)

      • 사회적 갈등 social conflicts (SC)

      • 부모의 이미지 parental image (PI)

      • 역할 고정관념 role stereotypes (RS) 

      • 새로운 경험에 대한 개방성 openness to new experiences (OE). ## Critical thinking



As our aim was to conduct a survey in the context of an academic profession, we shortened the sections of the IMA that addressed parental image and role stereotypes. For the remaining three areas, the Cronbach’s alpha values ranged from .78 to .86, indicating acceptable levels of reliability.


Ambiguity tolerance was assessed for the three scales regarding 

    • openness to new experiences (OE, eight questions in total), 

    • social conflicts (SC, six questions in total), and 

    • apparently insoluble problems (PR, six questions in total).


자료 분석

Data analysis


결과

Results


Figure 1 shows the scores for each of the three scales with respect to academic year together with the results from the general practitioners.


학년 간 유의한 점수 차이 없음.

We found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 the scores (95% confidence interval) obtained by the general practitioners (OE score 20.5 (19.2–21.7), SC score 23.6 (21.8–25.3), PR score 15.3 (13.4–17.2)), and 

  • those obtained by the medical students (p = .111 for OE score, p = .8 for SC score and p = .404 for PR score).



Discussion


우리의 연구 결과에 의하면 의대생은 새로운 경험에 대한 개방성명백하게 해결불가능한 문제에 대한 접근 방식에 대해 매우 낮은 수준의 모호성 내성을 가지고 있음을 나타냅니다. 여기서 우리는 새로운 경험과 사회적 갈등에 대한 개방성과 관련하여 성별에 따른 차이가 서로 다르다는 것을 발견했습니다. 

  • 새로운 경험에 대한 개방성의 성별 차이는 거의 없었다 (남녀 모두 평균은 1 ~ 10 %였다). 

  • 사회적 갈등에 대한 접근 방식의 차이 (여성 학생의 평균은 71-80 % 밴드 였고 남성 학생의 평균은 61-70 % 밴드 였음)는 사회적으로 바람직하게 여겨지는 행동에 대한 편향 때문일 수 있습니다. 

여러 학년 사이의 차이는 Reis (1997)가 제안한 기준 그룹과 관련하여 유의하지 않았다. 일반 의사는 높은 수준의 모호한 내성을 갖고 있다고 여겨지지만, Reis (1997)가 제시 한 참조 그룹과 우리의 표본 사이에 임상적으로 관련된 비 유사성을 발견하지 못했습니다.

The results of our study indicate that medical students have a very low level of ambiguity tolerance regarding openness to new experiences and in their approach to apparently insoluble problems. Here, we detected gender-specific differences with respect to openness to new experiences and social conflicts. However, the gender-based differences in openness to new experiences were minimal (the average for both female and male students was in the 1–10% band). The observed differences in approach to social conflicts (average for female students was in the 71–80% band and the average for male students was in the 61–70% band) may have been due to a behavioral response bias regarding social desirability. Although we observed differences between the various academic years, these differences were not significant with respect to the reference groups suggested by Reis (1997). Although general practitioners are thought to possess a higher level of ambiguity tolerance, we did not detect any clinically relevant dissimilarities between our sample and the reference groups suggested by Reis (1997).


어린 학생이 나이가 많은 학생보다 모호함에 대한 내성이 떨어진다는D eForge (1989) 및 Tatzel (1980)의 연구와 대조적으로, 우리는 집단 별 차이점을 발견하지 못했다. 모호함 내성이 청소년기부터 중년까지 안정적으로 유지되고 50 세가 될 때까지 변하지 않는다는 Reis (1997)의 발견을 뒷받침 해 주면서, 우리는 의대 학년간의 모호성에 대한 내성에 차이가 없음을 발견했다 . 일반적으로, 우리 학생집단은 Reis [21]에 의해 연구 된 것보다 모호함에 대한 내성이 떨어지는 것처럼 보였다. 우리의 연구 결과는 의대생이 Reis의 연구 이후 수년간 모호성 관용의 측면에서 변화했다는 것을 나타냅니다

In contrast with DeForge (1989) and Tatzel (1980), who found younger students to be more intolerant of ambiguity than older students [3,24], we did not detect cohort-specific differences. Corroborating the findings of Reis (1997), who stated that ambiguity tolerance tends to remain stable from adolescence to middle age, and does not change until around age 50 [21], we found no differences in ambiguity tolerance between the academic years of medical school. In general, our student population appeared to be more intolerant of ambiguity than those studied by Reis [21]. Our findings may indicate that medical students have changed in terms of their ambiguity tolerance in the years since Reis’ study


DeForge는 1970 년대 학생들이 1950 년대의 학생들보다 불확실성을 더 잘 처리 할 수 ​​있다고 밝힌 폭스 (Fox [25])연구에서의 경향에도 불구하고, 기술에 대한 의존도가 높아짐에 따라 오늘날보다 많은 구조화를 추구할 수 있으며, 그 결과로 그들의 선배의사보다 모호함을 더 위협으로 인식하는 경향이 있을 수 있다. 모호성에 내성이 강한 의대생은 가정의학과 같은 덜 구조화된 전공을 선택하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 GP들이 학생들보다 모호성에 대한 더 높은 내성을 가질 것으로 예상됩니다. 그러나 들어오는 의대생의 의학 전문화 선호도에 따라 모호성 편협성에 차이가 없다는 것을 발견 한 DeForge와 마찬가지로 GP와 의대생간에 임상적으로 관련된 차이를 발견하지 못했습니다 [24, 27].

Despite the trend described by Fox [25], who perceived students in the 1970s as being more capable of dealing with uncertainty than those in the 1950s, DeForge hypothesized that, owing to their increasing dependence on technology, students today may be seeking more structure than their predecessors, and thus may perceive ambiguity as more of a threat [24]. As medical students who are more tolerant of ambiguity tend to choose more unstructured specialties, such as family practice [1,26], we expected that general practitioners would have a higher ambiguity tolerance than students. However, like DeForge, who found no differences in ambiguity intolerance based on the medical specialization preferences of incoming medical students, we found no clinically relevant differences between general practitioners and medical students [24,27].


일반 의사가 의대생과는 다른 수준의 모호한 내성을 보이는다면 이는 (학생들에게 진단 기술을 가르치려는 노력과 함께) 중요한 교육적 고려 사항이 될 수 있습니다. 이는 결국 정확성과 세심한 배려가 학문적, 직업적 성공에 핵심적인 역할을 할 것이다.

If general practitioners do exhibit a different level of ambiguity tolerance to medical students, this may be an important educational consideration, alongside the efforts to train students to have sound diagnostic skills, in which accuracy and attention to detail play a central role in academic and professional success [28].



Conclusions







 2014 Jan 9;15:6. doi: 10.1186/1471-2296-15-6.

Measuring the ambiguity tolerance of medical students: a cross-sectional study from the first to sixth academic years.

Author information

1
Department of Gastroenterology and Hepatology, University Hospital of Cologne, Kerpener Strasse 62, Cologne, 50937 Germany. anne.weissenstein@gmail.com.

Abstract

BACKGROUND:

Tolerance of ambiguity, or the extent to which ambiguous situations are perceived as desirable, is an important component of the attitudes and behaviors of medical students. However, few studies have compared this trait across the years of medical school. General practitioners are considered to have a higher ambiguity tolerance than specialists. We compared ambiguity tolerance between general practitioners and medical students.

METHODS:

We designed a cross-sectional study to evaluate the ambiguity tolerance of 622 medical students in the first to sixth academicyears. We compared this with the ambiguity tolerance of 30 general practitioners. We used the inventory for measuring ambiguity tolerance(IMA) developed by Reis (1997), which includes three measures of ambiguity tolerance: openness to new experiences, social conflicts, and perception of insoluble problems.

RESULTS:

We obtained a total of 564 complete data sets (return rate 90.1%) from medical students and 29 questionnaires (return rate 96.7%) from general practitioners. In relation to the reference groups defined by Reis (1997), medical students had poor ambiguity toleranceon all three scales. No differences were found between those in the first and the sixth academic years, although we did observe gender-specific differences in ambiguity tolerance. We found no differences in ambiguity tolerance between general practitioners and medicalstudents.

CONCLUSIONS:

The ambiguity tolerance of the students that we assessed was below average, and appeared to be stable throughout the course of their studies. In contrast to our expectations, the general practitioners did not have a higher level of ambiguity tolerance than the students did.

PMID:
 
24405525
 
PMCID:
 
PMC3897997
 
DOI:
 
10.1186/1471-2296-15-6


세계 여러 나라의 학부의학교육프로그램에 대한 인증 개괄(Med Educ, 2008)

Overview of accreditation of undergraduate medical education programmes worldwide

Marta van Zanten, John J Norcini, John R Boulet & Frank Simon




의학 교육 프로그램의 인정은 적절한 학습 환경을 촉진시키는 방법이며 궁극적으로 환자에게 제공되는 의료의 질에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인정 용어는 다양한 의미를 지니지 만 본 백서의 목적 상 지정된 기관이 명확하게 정의 된 기준과 절차를 사용하여 교육 기관을 검토하고 평가하는 프로세스로 정의됩니다.

The accreditation of medical education programmes is a way of promoting an appropriate learning environment, and may ultimately impact the quality of medical care provided to patients. The term  accreditation  has various meanings, but, for the purpose of this paper, it is defined as a process by which a designated authority reviews and evaluates an educational institution using a set of clearly defined criteria and procedures.


국제적인 관점에서 의학 교육 품질 보증에 관한 데이터는 거의 없다. 1996 년 세계 보건기구 (WHO)의 건강 사역과 의과 대학 학장에 관한 보고서에 따르면, 의대의 약 2/3가 외부 기관의인가를 받았지만 다양한 과정을 묘사 한 상세한 데이터는 제공하지 못했다고합니다.

there are few data pertaining to medical education quality assurance from an international perspective. A report based on a 1996 World Health Organization (WHO) survey of ministries of health and deans of medical schools, indicates that almost two-thirds of medical schools are accredited by an external body, but does not provide detailed data depicting the various processes.2


세계 의학 교육 연맹 (WFME)은 품질 향상을위한 세계 표준 3부작을 개발했습니다. 이 문서는 restrictive하게 사용하도록 고안된 것이 아니라 인증 절차 개발에 관심이있는 국가 기관용 템플릿의 역할을하기위한 것입니다. WFME 표준은 널리 승인되었으며 전 세계 국가에서 국가 및 지역 인증 절차 수립의 모델로 사용되고 있습니다.

The World Federation for Medical Education (WFME) has developed a Trilogy of Global Standards for Quality Improvement. This document is not designed to be used restrictively, but instead is intended to function as a template for national agencies interested in developing accreditation procedures.4 The WFME standards have been widely endorsed and are being used in countries throughout the world as a model for establishing national and regional accreditation procedures.5


방법

METHODS


Data


The Foundation for Advancement of International   Medical Education and Research (FAIMER ) has developed and continues to update a Directory of Organizations that Recognize⁄ Accredit Medical Schools (DORA). This database is freely available on   the FAIMER website (http://www.faimer.org/ orgs.html). 

  • DORA contains a list of countries with identified accreditation authorities, the names of the organisations, and website links if available. More than one authority is included for a small number of countries. 

  • Information on whether the process is mandatory or voluntary and on whether the accrediting body is an independent entity or a government authority is provided, if known. 

  • This information is gathered using a variety of methods, including surveys of ministries and medical schools, a review of the published literature, Internet searches, and personal communication with medical educators around the world. 

  • Although attempts are made to ensure that the information on the website is up to date and accurate, rapid changes in medical schools and government policies may result in some discrepancies. Thus a feedback form and e-mail link is provided requesting DORA visitors to comment on entries or to provide information on accreditation authorities not presently included.


DORA에 국가 인정 기관을 포함시키는 것과 관련된 여러 가지 문제를 주목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조직 목록은 해당 국가의 모든 의대가 인정 절차를 거쳤 음을 의미하지는 않습니다. 인증 기관의 범위는 공립 학교와 같은 특정 유형의 교육 기관에만 국한되는 경우도 있습니다. 인증이 의무가 아닐 때, 때때로 그 나라에있는 소수의 학교 만이 인증을 시도했습니다. 인증 기관이 절차 준수가 의무적 인 경우에도 제한된 시행 능력 또는 비 준수에 대한 결과의 결여는 때때로 학교가 위임 사항을 무시하고 계속 기능 할 수 있음을 의미 할 수 있습니다. 어떤 경우에는 법이 비교적 새롭고 규제 당국은 수년간 학교가 수락을받을 수 있도록했습니다.

It is important to note a number of issues pertaining to the inclusion of a national accreditation authority in DORA. The listing of an organisation does not imply that all medical schools in that country have undergone an accreditation process. In some instances the scope of the accreditation authority is limited to a certain type of education institution, such as publicly funded schools only. When the procedure is indicated as voluntary, sometimes only a small minority of schools in that country have attempted accreditation. Even when the accreditation authority indicates that adherence to its procedures is mandatory, limited enforcement ability or a lack of consequences for non-adherence may mean that occasionally schools will ignore the mandate and continue to function. In some instances the law is relatively new and the regulatory authority has given schools many years to achieve compliance. 


또한 일부 인증 기관은 모든 고등 교육 기관 프로그램에 적합한 일반 기준을 사용하고 의학 교육에 중점을 둔 특정 표준을 가지고 있지 않습니다. 마지막으로, DORA에 인증 기관을 포함한다고해서 FAIMER가 권한을 승인했거나 제공된 감독의 품질 수준을 확인한 것은 아닙니다. FAIMER는 인증 기관이 아니며 나열된 기관과 관계가 없습니다.

In addition, some accreditation authorities listed use general criteria appropriate for all higher education institution programmes and do not have specific standards focused on medical education. Finally, the inclusion of an accreditation body in DORA does not indicate that FAIMER   has endorsed the authority or verified the level of quality of overseeing provided. FAIMER   is not an accrediting agency and has no relationship with the organisations listed. 


The WHO divides the world into six regions: 

  • the African region; 

  • the Americas; 

  • the Eastern Mediterranean region; 

  • Europe; 

  • South-East Asia, and 

  • the Western Pacific.7



결과

RESULTS


Table 1 presents information from DORA by WHO region on 91 entities that accredit undergraduate medical education programmes in the countries in which the schools are located.


각 지역에 걸친 국가 인증 기관의 보급률에는 아프리카의 20 %에서 동남아시아의 75 %에 이르기까지 다양합니다. 전반적으로 정부 당국의 약 절반이 정부 산하 기관이며 1/3은 독립 기관이며 제한된 수의 경우 조직이 반 자율적이어서 이분법 분류가 어려워 지거나 당국의 통치가 알려지지 않았다. 인증 기관이있는 대부분의 국가에서는 의무적 인 절차 (n = 27, 30 %)가 있지만 일부는 의무가 아니라고(n = 64, 70 %) 보고합니다. 일부 국가는 정부의인가를받은 위임 시스템 이외에 자발적이고 독립적 인 프로세스를 갖추고 있습니다.


There is wide variability in the prevalences of national accrediting bodies across the regions, ranging from 20%in Africa to 75%in SouthEast Asia. Overall, about half the authorities are government-affiliated, one-third are independent entities, and in a limited number of instances organisations are semi-autonomous, making dichotomous classification difficult, or the governance of the authority is not known. Most countries with accreditation authorities report that the process is mandatory (n = 64, 70%), although some have a non-compulsory system (n = 27, 30%). A limited number of countries have a voluntary, independent process in addition to a mandated, government-authorised accreditation system.





아프리카 지역

The African region


WHO의 아프리카 지역에는 IMED에 의료 학교가 등록 된 35 개 국가가 있습니다. 이들 중 7 개국 만이 인정 기관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들은 에티오피아, 가나, 케냐, 나이지리아, 남아프리카, 탄자니아 및 잠비아입니다. 이들 중 6 개에서는 정부 당국이 의무적 인 품질 보증 절차를 시행 할 책임이 있습니다. 가나의인가 기관은 정부와 무관합니다. 아프리카 지역의 일부 국가의 경우 인증 기관의 존재 여부, 고등 교육의 품질 보증 범위 및 프로세스 및이 문제와 관련된 데이터를 찾기가 어렵습니다.

There are 35 countries with medical schools listed in IMED in the WHO s African region. Only seven of these countries have known accreditation authorities. These are Ethiopia, Ghana, Kenya, Nigeria, South Africa, Tanzania and Zambia. In six of these, a government authority is responsible for enforcing mandatory quality assurance procedures; the accrediting organisation in Ghana is independent of the government. For some nations in the African region, information regarding the presence or absence of an accrediting body, the scope and process of higher education quality assurance, and data related to this issue are difficult to locate.


나이지리아의 경험은 비교적 많은 수의 의대와 인정 practice의 역사를 가지고 있으며 의사의 상당 부분이 다른 나라로 이주하여 실습을하기 때문에 주목할 만하다 .8 나이지리아의 의학 및 치과위원회 (MDCN)와 국립 대학교위원회 (National Universities Commission, NUC)는 의과 대학을 감독하는 책임이있는 두기구입니다 .3이 두 당국은 협력하여 각 기관마다 중점을두고 있습니다. MDCN은 임상 서비스를위한 인프라의 적절성, 학생 선택의 질과 합격률, 기관 기금 및 기타 문제를 검토하는 데 중점을 둡니다. MDCN과 NUC 모두 다양한 교육 과정에서 무엇을 가르쳐야 하는지를 명시하면서 교과 내용에 관한 유사한 정보를 발표합니다. 이 커리큘럼 내용은 대부분 의과 대학에서 NUC 제안을 따르지 만 의무 사항은 아닙니다. 또한 NUC는 고등 교육 행정 문제를 검토합니다 (C Okoromah, personal communication, 2007).

The experience of Nigeria is notable as the country has a relatively large number of medical schools and a history of accreditation practice, and a large proportion of its doctors emigrate to other countries to practise.8 The Medical and Dental Council of Nigeria (MDCN) and the National Universities Commission (NUC) are the two organisations responsible for overseeing medical schools.3 These two authorities work in tandem and each has its own focus. The MDCN concentrates on reviewing adequacy of infrastructure for clinical services, quality of student selection and pass rates, institutional funding and other issues. Both the MDCN and the NUC publish similar information regarding curriculum content, specifying what should be taught in the various years of medical training. This curriculum content is not mandated, although most medical schools follow the NUC suggestions. The NUC also reviews higher education administrative issues (C Okoromah, personal communication, 2007).


The Americas


Eastern Mediterranean region


European region



동남아시아

South-East Asia


이 지역의 8 개국은 IMED에 상장 된 의과 대학을두고 있습니다. 대부분의 경우, 인증 기관은 다양한 역량으로 기능합니다. 

    • 방글라데시와 한국은 모두 의료 교육 기관의 의무적 인인가를 수행하는 독립 단체를두고있다. 

    • 인도네시아와 네팔의 정부 기관들은 의대를 voluntary basis로 인정합니다. 

    • 태국에서는 정부 기관이 필요한 인증 절차를 담당합니다.

Eight countries in this region have medical schools listed in IMED. In most of these, accreditation authorities function in a variety of capacities. 

    • Bangladesh and South Korea both have independent entities which conduct mandatory accreditation of medical education institutions. 

    • Government-run organisations in Indonesia and Nepal accredit medical schools on a voluntary basis. 

    • In Thailand, a government body is charged with a required accreditation process.


인도의 의과 대학의 품질 보증은 나라 의과 대학의 수가 많고 최근에 신생 학교가 성장한 덕분에 매우 중요합니다. 현재 인도의 219 개 의과 대학은 IMED 6에 등록되어 있습니다. 민간 ​​기관은 인도의 모든 의과 대학의 거의 절반을 구성합니다. 이러한 사립 학교의 대부분은 최근 상대적으로 부유하고 건강한 인도의 지역에서 시작되었다 .24) 

Medical school quality assurance in India is extremely important because of the large number of medical schools in the country and recent growth in new schools. Currently, 219 open medical schools in India are listed in IMED.6 Private sector institutions comprise almost half of all medical schools in India. Most of these private sector schools have opened recently in relatively wealthier and healthier Indian provinces.24 


인도에서는 전문 용어의 차이로 인해 혼란이 특히 많이 발생한다. 

    • 인증이라는 용어가 기관 순위 결정 과정을 설명하기 위해 종종 사용되며

    • 품질 보증 절차는 일반적으로 검사 및 인정이라는 용어를 사용하여 언급된다 .25) 

Confusion arising from differences in terminology is especially problematic in this area, 

    • because in India the word  accreditation  is often used to describe a process of rank ordering of institutions

    • whereas quality assurance procedures are generally referred to using the terms  inspection  and  recognition .25 


이러한 어휘의 변형에도 불구하고 인도는 의학 교육의 품질 보증에 관한 잘 정립 된 정책을 갖고있다. 의무적 인 인정은 정부 기관인 인도의 의료위원회 (MCI)에서 실시합니다. 대학 보조금위원회 (UGC)가 설립 한 자율 기관인 NAAC (National Assessment and Accreditation Council)는 고등 교육 기관도 인정합니다. NAAC의 인증은 UGC가 자금을 지원하는 5 개 학교에 필요하지만 다른 대학은 자발적으로 검토됩니다 .3

Despite these variations in vocabulary, India has a well established policy of quality assurance of medical education. Mandatory accreditation is conducted by the Medical Council of India (MCI), a government agency. The National Assessment and Accreditation Council (NAAC), an autonomous body established by the University Grants Commission (UGC), also accredits higher education institutions. Accreditation by the NAAC is required for the five schools funded by the UGC, whereas other colleges are reviewed on a voluntary basis.3



서태평양 지역

Western Pacific region



이 지역의 19 개국에 IMED에 리스팅된 현재 운영중인 의과 대학이 있습니다. 의학 교육 시스템은 지역마다 다양합니다. 일부 국가에서는 의학 교육 인증 시스템을 잘 갖추고 있습니다. 

  • 호주와 뉴질랜드는 독립적 인 기관인 호주 의료위원회 (Australian Medical Council)에서 시행하는 것과 동일한 필수 제도를 사용합니다. 

  • 말레이시아 정부는 자발적으로 활동하는 정부 제도를 운영하고 있으며 말레이시아의 10 개 학교는 모두 그 절차를 준수하고 있습니다. 

  • 필리핀에서 학교, 대학 및 대학의 필리핀 인정 협회 (Philippine Accrediting Association of Schools, Colleges and Universities)는 학교를 자발적으로 인정하는 독립적 인 단체입니다. 그러나 소수의 의과 대학 만 참여했습니다.

There are 19 countries in this region with currently operating medical schools listed in IMED. Systems of medical education quality regulation vary throughout the region. Some countries have well established medical education accreditation systems. 

  • Australia and New Zealand use the same mandatory system, enforced by an independent body, the Australian Medical Council. 

  • Malaysia has a government system that functions on a voluntary basis and all 10 schools in Malaysia have complied with its process. 

  • In the Philippines, the Philippine Accrediting Association of Schools, Colleges and Universities is an independent entity that voluntarily accredits schools; however, only a small minority of medical schools have participated.


이 지역의 다른 국가에는 의과 대학 인정 제도가 없습니다. MD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130 개 의과 대학이 IMED에 등재되어있는 중국에서는 당국이 현재 국가 품질 관리 프로세스를 개발하고 실행하는 가능성을 모색하고 있습니다 .26 의학 교육을위한 중국 표준은 부분적으로 WFME 세계 표준 문서를 따라 만들었다modelled. 또한, 국제 의료 교육 연구소 (IIME)는 여러 중국 의과 대학에서 시범 적으로 실시 된 일련의 결과 기반 표준을 제안했습니다 .27

Other countries in this region do not have national systems of medical school accreditation. In China, in which 130 medical schools offering MD programmes are listed in IMED, authorities are currently exploring the feasibility of developing and implementing a national quality control process.26 Chinese standards for medical education are under development, modelled in part on the WFME Global Standards document. Additionally, the Institute for International Medical Education (IIME) has proposed a set of outcome-based standards that have been piloted in a number of Chinese medical schools.27




고찰

DISCUSSION


이 분석의 결과는 의대 인정이 보편적이지 않음을 보여줍니다. 거의 모든 WHO 지역의 대부분의 국가에서 인정 시스템이 마련되어 있거나 계획 단계에 있지만 아프리카 지역은 주목할만한 예외입니다. 많은 아프리카 국가에서 의대 학교의인가 절차가 부족한 이유는 아마도 복잡하고 정치적 불안정, 자원 부족 또는 그러한 시스템에 대한 필요성의 부재로 인식 될 수 있습니다.

Results of this analysis reveal that medical school accreditation is not universal. Although most countries in almost all WHO regions have accreditation systems in place or in the planning stages, the African region is a notable exception. The reasons why many African countries lack medical school accreditation processes are probably complex, and may include political instability, insufficient resources or a perceived lack of need for such systems.


인정 절차가 존재하는 국가에 따라서, 당국의 범위와 성격이 상당히 다를 수 있습니다. 

  • 칠레와 멕시코와 같은 품질 보증 기관이 설립 된 일부 국가의 경우 현재 인증 상태 달성의 중요성과 결과에 대한 신뢰성 수준을 높이는 데 주력하고 있습니다. 

  • 카리브 해, 중남미 및 걸프 지역을 포함한 다양한 분야의 인정 활동에 대한 지역 협력은 자원을 모으는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음을 보여주는 증거입니다. 또한 국가 간 교육 경험을 직접 비교하고 학위에 대한 상호 인정을 허용합니다. 

  • WFME 표준의 개발 및 보급과 같은 이니셔티브는이 분야의 국제적 확산을 나타냅니다.

In countries where a process of accreditation exists, the scope and nature of the authority can vary considerably. 

  • For some countries with established quality assurance entities, such as Chile and Mexico, the current focus is on enhancing the level of credibility in terms of the significance and consequences of attaining accreditation status. 

  • Regional co-operation in accreditation activities in various areas, including the Caribbean, Central and South America, and the Gulf Region, is evidence of a growing need to pool resources. This also allows for the direct comparison of education experiences across countries and the mutual recognition of degrees. 

  • Initiatives such as the development and widespread adoption of the WFME Standards indicate the spread of globalisation in this area.


전 세계적으로 의료 교육 품질 보증을 감독하는 데 초점이 맞춰지는 추세가 고무적이지만, 인증 활동이 실제로 고도의 숙련 된 의사를 양성하는 궁극적 인 목표를 달성하는 데 기여한다는 것(그리고 차례로 인구의 건강을 향상시킨다는 것)을 입증하는 출판 된 연구가 부족하다는 점을 강조해야합니다. 최근에, 학부 교육 기관인가 변수를 의사의 질에 연결시키는 연구가 요구되었고,이 프로토콜을 고수하는 학교가 지식이 풍부하고 숙련 된 의사를 생산한다는 것을 분명하게 증명하는 자료에 근거한 표준 및 절차가 요구되었다. 누가 궁극적으로 환자에게 더 높은 수준의 진료를 제공 할 수 있는지에 대한 정보를 제공합니다. 따라서 안면 타당도의 관점을 넘어, 인정의 가치는 여전히 불확실하고, 합법성에 대한 문제는 인증 제공자, 정책 입안자, 학생 및 연구자에게 문제가되고있다.

Although these trends towards an increasing focus on the overseeing of medical education quality assurance worldwide are certainly encouraging, it should be emphasised that there is a lack of published research demonstrating that accreditation activities do indeed contribute to achieving the ultimate goal of producing more highly skilled doctors and, in turn, improving the health of populations. Recently, there have been calls for research linking undergraduate education institution accreditation variables to the quality of doctors produced, and a request that standards and procedures be based on data which clearly demonstrate that schools which adhere to these protocols produce doctors who are more knowledgeable and skilled, and who are ultimately able to provide higher-quality care to their patients.28–30 Therefore, beyond the perspective of face-validity, the value of accreditation remains uncertain and the question of its legitimacy continues to be problematic for accreditation providers, policymakers, students and researchers.


사용 된 표준 및 절차의 다양성, 데이터 수집 프로세스의 지속적인 특성 및 제한된 수의 국가에서 쉽게 이용할 수있는 정보의 부족으로 인해 이 연구는 광범위하지만, 여전히 불완전한 의학교육의 품질 보증에 대한 설명만을 제시합니다. 이러한 한계에도 불구하고 전 세계적으로 의료 교육 시스템 및 기관의 대다수를 반영하는 설명 데이터가 제공되므로 광범위한 추론 및 추세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건강 관리 정책의 발전을 알리는 것은 우리의 사명 중 하나이며, FAIMER는 전 세계적으로 인정 절차 및 표준에 관한 정보를 지속적으로 업데이트 및 확대하고 이러한 데이터를 의사 및 진료 서비스의 품질과 연관시킬 수있는 기회를 모색 할 것입니다.

Because of variability in the standards and procedures used, the ongoing nature of the data-gathering process, and the lack of readily available information in a limited number of countries, this paper presents a broad, yet incomplete, description of the quality assurance of medical education. Despite these limitations, descriptive data reflecting the majority of medical education systems and institutions around the world are provided, from which broad inferences and trends can be identified. As part of our mission to inform the development of health care policies,   FAIMER will continue to update and expand the information gathered on accreditation procedures and standards worldwide, and will explore opportunities for associating these data with the quality of doctors and the care provided.







 2008 Sep;42(9):930-7. doi: 10.1111/j.1365-2923.2008.03092.x.

Overview of accreditation of undergraduate medical education programmes worldwide.

Author information

1
Foundation for Advancement of International Medical Education and Research, Philadelphia, Pennsylvania 19104, USA. mvanzanten@ecfmg.org

Abstract

CONTEXT:

There is significant variation in the structure and quality of undergraduate medical education around the world. Accreditationprocesses can encourage institutional improvement and help promote high-quality education experiences.

METHODS:

To investigate the overseeing of medical education from an international perspective, the Foundation for Advancement of International Medical Education and Research (FAIMER) has developed, and continues to update, the Directory of Organizations that Recognize/Accredit Medical Schools (DORA). The directory includes information on the presence of national accrediting bodies and related data. Medical education accreditation information was pooled by World Health Organization (WHO) regions.

RESULTS:

Although over half of all countries with medical schools indicate that they have a national process for accrediting medicaleducation programmes, the nature of the various authorities and levels of enforcement vary considerably.

DISCUSSION:

Despite global trends indicating an increasing focus on the quality of education programmes, data linking accreditationprocesses to the production of more highly skilled doctors and, ultimately, better patient care are lacking. Investigating current accreditationpractices is a necessary step for further research. To this end, we will continue to gather data on medical education around the world and will explore opportunities for relating these processes to outcomes.

PMID:
 
18694406
 
DOI:
 
10.1111/j.1365-2923.2008.03092.x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