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PE Guide No. 1: 효과적인 IPE를 위한 교수개발(J Interprof Care, 2015)

Interprofessional Education and Practice Guide No. 1: Developing faculty to effectively facilitate interprofessional education

Leslie Walter Hall1 and Brenda K. Zierler2




도입

Introduction


본 첫 번째 지침은 전문직 간 교육을 효과적으로 촉진하기 위한 교수진 개발 전략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다양한 보건 전문학교에서 협력 활동이 증가함에 따라 교수진들이 IPE에 대한 인식을 제고했지만, 많은 제도적, 개인적 장벽 때문에 교수진들이 전문간 학습의 리더로 완전히 참여하지 못할 수 있다(Barnsteiner, Disch, Hall, Mayer, 2007; Curran, Sharpe, & Forristall, 2007). 단순히 다른 의료 직업에서 동일한 학습 공간으로 교수진을 데려오는 것이 유익한 IPE 경험을 낳는다고 가정해서는 안 된다(Buring et al., 2009). 많은 의료전문가들은 자체 훈련 중 IPE 활동에 거의 또는 전혀 노출되지 않았으며, 교직원이 훈련을 감독하는 많은 임상현장은 전문가간 팀 기반 관리의 강력하거나 명시적인 예가 부족하다. 

This first guide focuses on strategies for developing faculty to effectively facilitate interprofessional education (IPE). Increasing collaborative activities in a variety of health professions schools have raised faculty awareness of IPE; however, many institutional and personal barriers may prevent faculty members from being fully engaged as leaders of interprofessional learning (Barnsteiner, Disch, Hall, Mayer, & Moore, 2007; Curran, Sharpe, & Forristall, 2007). Simply bringing faculty from differing health care professions into the same learning space should not be assumed to result in beneficial IPE experiences (Buring et al., 2009). Many health professionals had little or no exposure to IPE activities during their own training, and many clinical sites in which faculty oversee training lack robust or explicit examples of interprofessional team-based care.


교수진 개발은 IPE 이니셔티브의 성공을 지원하는 핵심 요소(Ho et al., 2008)로 확인되었으며, 특히 교수진의 필수 요건인 전문가 간 촉진 기술 개발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Ruiz, Ezer & Purden, 2013). 최근에 확인된 IP 협력 실무 역량들은 교수진이 IPE 활동의 주제를 식별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전문 교육 협력 전문가 패널, 2011; 슈미트, 블루, 아스첸브레너, 비지아노, 2011). 그러나, 새로운 IPE 커리큘럼의 계획과 구현은 도전적일 수 있으며, 변화에 대한 저항, 복잡한 일정 조정, 과정 내용의 유연성, 효과를 평가하기 위한 새로운 평가 툴의 사용을 필요로 한다(Gilbert, 2005; Jensen, Harvan & Royen, 2009; Clark, 2011). IPE 리더는 전문적 차이를 이해하고 존중해야 하며, 그러한 차이를 탐구하는 논의를 관리할 수 있어야 한다. IPE 이니셔티브의 순전한 범위는 또한 위축될 수 있는데, 어떤 경우에는 수백 명의 학생이 참여하며, 종종 다수의 소규모 전문직 간 그룹을 촉진하기 위해 수십 명의 교직원이 필요하게 된다.

 Development of faculty members has been identified as key factor supporting success of IPE initiatives (Ho et al., 2008), with a focus on developing interprofessional facilitations skills a particularly critical need for faculty (Ruiz, Ezer, & Purden, 2013). Recently identified competencies for IP collaborative practice may assist faculty in identifying topics for IPE activities (Interprofessional Education Collaborative Expert Panel, 2011; Schmitt, Blue, Aschenbrener, & Viggiano, 2011). However, the planning and implementation of new IPE curricular offerings can be challenging, requiring leadership to overcome resistance to change, the complex coordination of schedules, flexibility in course content, and use of new evaluation tools to assess efficacy (Gilbert, 2005; Jensen, Harvan, & Royeen, 2009; Clark, 2011). IPE leaders must understand and respect professional differences and be able to manage discussions in which those differences are explored. The sheer scope of IPE initiatives can also be daunting, in some cases involving hundreds of students, and often accompanied by the need for dozens of faculty members to facilitate large numbers of small interprofessional groups.


2012년 초 미국에서 미주리 대학교 - 컬럼비아 대학교와 워싱턴 대학교의 주도로 시작된 8개 학계 보건소는 각 기관에서 IPE의 교수진 생도들을 훈련시키기 위한 1년 간의 시범 교수진 개발 프로그램을 실시했다. 참가자는 후원 기관 외에 다음을 포함하였다. 컬럼비아 대학교, 사우스캐롤라이나 의대, 인디애나 대학교, 켄터키 대학교, 노스 다코타 대학교, 버지니아 대학교. 이 프로그램은 IPE 촉진에 직접 참여하는 교육적 프레젠테이션, 소규모 그룹 활동 및 몰입 경험을 결합하여 전문가 간 리더십 기술을 구축했다. 코칭과 동료 학습은 이러한 기술을 지역간 전문가 업무로 변환하는 데 도움이 되었다. 새로운 IPE 활동의 도입에 참여할 수 있도록 홈 기관의 장비를 갖춘 교직원들을 차례로 참여. 본 가이드는 본 연구의 교수진을 준비하기 위해 사용되는 프로세스에 대해 설명하고, 본 프로젝트를 통해 얻은 교훈을 요약한다.

Beginning in early 2012 in the US, under the leadership of University of Missouri – Columbia and the University of Washington, eight academic health centers undertook a yearlong pilot faculty development program to train a cadre of faculty leaders in IPE at each of the institutions. In addition to the sponsoring institutions, the participants included: Columbia University, Medical University of South Carolina, University of Indiana, University of Kentucky, University of North Dakota, and University of Virginia. The program utilized a combination of didactic presentations, small group activities, and immersion experiences with direct involvement in IPE facilitation to build interprofessional leadership skills. Coaching and peer learning helped to stimulate the translation of these skills to local interprofessional work. Participating leaders in turn equipped faculty at their home institutions to participate in the introduction of new IPE activities. This guide describes the processes used to prepare the faculty for this work and summarizes the lessons learned through this project.


주요 교훈

Key lessons learned


최고 기관 책임자의 헌신 보장

Secure the commitment of top institutional leaders


성공적인 IPE 프로그램을 성장시키기 위해서는 "Top-down의 행정 지원 및 리더십"뿐만 아니라 "인력, 시간 및 비용에 대한 자원 투자"가 필요하다(Brazau, 2013). 이 프로젝트에 참여하는 모든 기관들은 그들의 참여형 보건 전문학교에서 최고 지도자들의 지원을 받았다. IPE 이벤트 스케줄의 복잡성을 고려할 때, 리더십이 IPE를 우선순위로 선언하지 않는 한, 진전은 종종 일어나지 않을 것이다. 대부분의 기관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범위와 복잡성이 확대된 초기 소규모 IPE 프로젝트를 통해 이러한 비전과 약속을 구축하는 과정을 기술하였다.

Growing a successful IPE program requires ‘‘top-down administrative support and leadership’’ as well as ‘‘investment of resources in personnel, time and money’’ (Brazeau, 2013). All institutions participating in this project enjoyed support of the top leaders in their participating health professions schools. Given the complexity of scheduling IPE events, without leadership declaring IPE as a priority, progress often will not occur. Most of the institutions described a process of building this vision and commitment through initially smaller IPE projects that expanded in scope and complexity over time.


전문가 간 리더십 사용

Use interprofessional leadership


교수진 개발 노력이 성공하려면, 그들은 우리가 학생들을 가르치려고 하는 전문직 간 원칙을 모범으로 삼아야 한다(Silver & Leslie, 2009). IPE 노력의 리더십은 공동의 의사결정과 각 직업의 고유한 기여에 대한 존중을 반영하여 협력적이어야 한다. 우리의 프로젝트에서, 국가 지도 팀과 각 현장의 지역 지도자들은 의도적으로 전문가 간이었고, 우리의 지도 팀 구축에 적절한 시간과 노력을 기울였다. 이러한 협업을 달성하는 것은 공유된 가치를 식별하고, 공동 계획을 수립하고, 전문가 간 리더십 팀에 신뢰와 책임감을 구축하는 데 필요한 시간과 노력을 투자함으로써 촉진되었다.

For faculty development efforts to be successful, they must model the interprofessional principles we are trying to teach our students (Silver & Leslie, 2009). Leadership of IPE efforts should be collaborative, reflecting shared decision-making and respect for the unique contributions of each profession. In our project, the national leadership team and the local leadership at each site were purposefully interprofessional, with appropriate time and effort devoted to building our leadership teams. Achieving this collaboration was facilitated by identification of shared values, joint planning, and investing the time and effort needed to build trust and accountability into the interprofessional leadership team.


교수진 개발 프로그램의 목표에 대해 명확히 함

Be clear about the objectives for your faculty development program


프로페셔널 간 협업을 촉진하기 위한 성공적인 교수진 개발 프로그램의 구축에서 결과 기반 설계의 사용이 권장되었다(Silver & Leslie, 2009). 우리는 이니셔티브 초기에 IPE 교수진 개발 노력의 목표를 확인하여 프로그램 개발 및 유효성 평가를 모두 안내하는 데 도움을 주었다. 우리 프로그램의 주요 목표는 

    • 소규모의 헌신적인 학교 보건소 그룹과 함께 팀 기반 관리에서 교수진 개발 프로그램을 지도한다. 

    • 각 참여기관에서 적어도 하나의 새로운 IPE 활동을 성공적으로 수행한다. 

    • IPE 교수진 개발 활동의 영향을 평가한다. 

    • 이 프로그램을 평가하여 얻은 새로운 지식을 활용하여 교수진 개발을 위한 성공적인 모델을 제안한다. 

이러한 목표를 초기에 그리고 정기적으로 리더 팀과 함께 발표함으로써 프로젝트 목표가 목표에서 벗어나는 것을 방지하는 데 도움이 되었다.

Use of an outcomes-based design has been recommended in the building of successful faculty development programs aimed at promoting interprofessional collaboration (Silver & Leslie, 2009). We identified goals of the IPE faculty development efforts early in our initiative, helping to guide both programmatic development and assessment of efficacy. Primary objectives of our program were to pilot a faculty development program in team-based care with a small group of committed academic health centers, successfully implement at least one new IPE activity at each participating institution, assess the impact of the IPE faculty development activities, and propose successful models for faculty development utilizing new knowledge acquired from evaluating this program. Declaring these objectives initially and periodically revisiting them with the leadership team helped to prevent the project goals from migrating off target.


집중 영역과 관련된 교수진 개발 문서를 검토하십시오.

Review the faculty development literature that relates to your focus area


프로젝트 리더들은 기존의 성공적인 교수진 개발 프로그램(Steinert et al., 2006; Frankel, Eddins-Folensbee, & Inui, 2011)과 IPE 이니셔티브(Thistlethwaite, 2012)에 대한 자료를 검토하고 학습한 교훈을 이 프로그램의 설계에 통합했다

Project leaders reviewed published accounts of previous successful faculty development programs (Steinert et al., 2006; Frankel, Eddins-Folensbee, & Inui, 2011) and IPE initiatives (Thistlethwaite, 2012), and incorporated lessons learned into the design of this program. 


교직원을 지역사회에 대한 실천 연계에 포함시킴으로써 전문직 간 협업을 실천으로 쉽게 번역할 수 있었다. 교직원 개발 회의와 후속 프로젝트 전반에 걸쳐 경험적 학습을 강조함으로써 참여가 촉진되었다. 참여 교수들을 위한 동료 관계와 학습은 공동 개발 회의, 주기적 그룹 통화, IPE 이니셔티브의 실천요강 및 장벽의 공유를 위한 안전한 공동 웹사이트의 최선의 구축, 그리고 IPE 혁신의 프레젠테이션과 동료 피드백을 통해 촉진되었다.

Inclusion of faculty members with the practice linkages to community facilitated translation of interprofessional collaboration into practice. Emphasizing experiential learning throughout the faculty development conferences and subsequent projects fostered engagement. Peer relationships and learning for participating faculty members were stimulated through joint development conferences, periodic group calls, best establishment of a secure joint website for sharing of practices and barriers in the IPE initiatives, and presentation of IPE innovations followed by peer feedback.


컨텍스트에 맞는 교수진 개발 구조 생성

Create a faculty development structure that fits the context


의료 분야에서 지속적인 변화를 창출하려면 변화가 구현되는 상황에 대한 깊은 인식이 필요하다(Batalden &Davidoff, 2007). 8개 기관의 30명 이상의 교수진 IPE 리더가 이 프로그램에 참여함에 따라, 우리는 교수진이 참여 기관의 지역적 환경에 변화를 성공적으로 도입할 때 이 프로젝트의 가장 중요한 혜택이 발생할 것이라고 이해했다

Creating enduring change in healthcare requires a deep awareness of the context in which the change is being implemented (Batalden &Davidoff, 2007). With over thirty faculty IPE leaders fromeight institutions participating in this program, we understood that the most important benefits from this project would occur when faculty successfully introduced changes into the local settings of the participating institutions. 


우리는 주요 IPE 지식의 공통 기반을 확보하기 위해 초기 3.5일 교직원 개발 컨퍼런스를 이용했다. 참가 기관 중 한 곳에서 회의를 개최함으로써, 교직원은 시뮬레이션 연습에 참여했고, 훈련의 일환으로 전문가간 오류 공개 커리큘럼의 교직원으로 활동했다. 이러한 공유 경험은 교수들이 그들의 홈 기관의 지역 팀과 함께 IPE의 혁신을 구축할 수 있는 중요한 토대가 되었다. 각 현장의 참가자는 초기 교육 과정에서 모델링된 기법을 사용하여 교직원의 커리큘럼 참여를 준비하는 전략을 개발, 전개했다. 네 개의 기관은 환자 안전 오류 공개 프로그램을 복제하기로 선택했다. 이러한 사이트 간의 프로세스와 결과의 공유는 센터 간의 학습을 증가시켰다. 다른 기관들은 그들의 전문직 간 교육과정 환경에 전략적인 필요성에 맞는 IPE 요소를 도입하는 것을 선택했다.

We used an initial 3.5-day faculty development conference to ensure common grounding in key IPE knowledge. By hosting the conference at one of the participating institutions, faculty members participated in simulation exercises and served as faculty for an interprofessional error disclosure curriculum as part of the training. This shared experience proved to be an important foundation upon which faculty could build innovation in IPE with local teams at their home institution. Participants at each site developed and deployed a strategy for preparing faculty to participate in their curriculum, often using techniques modeled during the initial training. Four of the institutions chose to replicate the patient safety error disclosure program; sharing of processes and outcomes among these sites increased the learning between centers. Other institutions chose to introduce IPE elements fitting strategic needs within their interprofessional curriculum landscape.


역량 중심의 전문가 간 이니셔티브를 개발하도록 교수진 교육

Teach faculty to develop interprofessional initiatives that are competency-driven


모든 사이트는 IP 팀 기반 관리의 IPEC 역량을 도입하였다(Interprofessional Education Collaborative Expert Panel, 2011). 이 보고서에서 전문가 위원회는 핵심 전문직간 역량이 전문직과 제도적 커리큘럼 개발을 이끌 수 있어 평생학습 궤적을 만들 수 있는 토대가 될 수 있다는 점에 주목했다. 역량 기반 IPE 커리큘럼의 개발은 또한 노력이 현행 인증 표준과 일치하도록 보장한다. 버링 외 (2009년) 또한 IPE를 촉진하는 교수진이 필요로 하는 역량은 팀 성과 최적화, 사내 커뮤니케이션, 갈등 해결 및 공통 목표 설정과 같은 전문가 간 협력에 성공적으로 참여하기 위해 보건 전문가 학습자가 필요로 하는 역량을 반영한다는 점에 주목했다. 

All sites were introduced to the IPEC competencies in IP teambased care (Interprofessional Education Collaborative Expert Panel, 2011). In this report, the expert panel noted that core interprofessional competencies can guide professional and institutional curricular development, providing the foundation for creating a lifelong learning trajectory. Development of competency-based IPE curricula also ensures that efforts are aligned with current accreditation standards. Buring et al. (2009) also noted that competencies needed by faculty facilitating IPE mirror the competencies needed by health professions learners to engage in successful interprofessional collaboration: optimizing team performance, intrateam communication, conflict resolution, and setting common goals


현재 기관의 커리큘럼에 대한 검토는 전문가 간 커리큘럼으로 아직 해결되지 않은 역량의 차이를 식별하는 데 도움이 되었으며, 새로운 IPE 노력을 형성하는 데 도움이 되었다. IPEC 하위역량 진술은 종종 새로운 개입이 성공적이었는지를 결정하는 데 도움이 되는 적절한 결과 측정을 제안했다.

Review of current curricular offerings at institutions helped to identify gaps in competencies that were not yet being addressed with interprofessional curricula, and assisted in shaping new IPE efforts. The IPEC sub-competency statements often suggested appropriate outcomes measurements to help determine if new interventions were successful.



경험적 학습에 집중

Focus on experiential learning

Steinert(2011년)는 교수진 개발 활동에서 "자기 주도 학습, 동료 멘토링, 업무 기반 학습"의 중요성을 지적한다. IPE 학생들이 소규모 전문가 간 그룹 학습이 대규모 그룹 강의 형식(Rosenfeld, Oandasan, &Reeves, 2011)보다 더 많은 가치를 제공한다고 보고하는 동안에도, 우리 프로그램의 참가자들은 가장 가치 있는 훈련은 '핸즈 온' 학습과 관련이 있다는 것을 발견했다. 효과적인 IPE 촉진자가 되기 위해 교수진들이 몇 가지 기본적인 배경지식이 필요하다는 것을 인식하고, 우리는 몇 가지 간단한 교육적 프레젠테이션을 제공했다. 그러나, 이것들은 수동적 학습에서 상호 작용적인 학습으로 자주 이동하면서 소규모 그룹 교실 활동과 교차되었다. 

Steinert (2011) notes the importance of ‘‘self-directed learning, peer mentoring, and work-based learning’’ in faculty development activities. Even as IPE students report that small interprofessional group learning provides more value than large group lecture format (Rosenfeld, Oandasan, &Reeves, 2011), the participants in our program found that the most valuable training involved ‘‘hands-on’’ learning. Recognizing that faculty members need some fundamental background knowledge in order to be effective IPE facilitators, we provided several brief didactic presentations. However, these were interspersed with small group classroom activities, moving frequently from passive to interactive learning. 


실제 IPE 활동에 참여하는 것은 그들의 협력적 지식과 기술의 실질적인 적용을 배울 수 있는 많은 기회를 제공했다. 

    • 그들의 역할을 명확하게 정의함으로써 

    • 적절한 사전 브리핑과 함께 해당 역할에 맞게 준비 

    • 교직원의 일부로서 이들을 ‘로컬’ 교직원과 짝을 이루는 것. 

    • 교육 후 즉시 IPE 경험을 디브리프

교직원들은 깊고 지속적인 학습을 경험했고, 그 다음 몇 달 동안 그들 중 많은 학생들이 그들의 홈 기관에서 커리큘럼을 복제할 수 있게 했다.

Participation in actual IPE activities provided many opportunities for learning practical application of their collaborative knowledge and skills. By 

    • clearly defining their roles, 

    • preparing them for that role with an appropriate pre-brief, 

    • pairing them with a ‘‘local’’ faculty member as part of a faculty dyad, and 

    • debriefing the IPE experience immediately following the training, 

faculty members experienced deep and enduring learning, allowing many of them to replicate the curriculum at their home institution in the following months.


전문가 간 혁신을 계획할 때는 명시적 커리큘럼으로 벡터를 사용하고 암묵적 커리큘럼으로 팀워크를 활용한다.

When planning interprofessional innovations, use vectors as the explicit curriculum and teamwork as the implicit curriculum

IPE 학습에 대한 반성을 요청받았을 때, 최근 졸업생들은 학생들이 관련된 임상 문제(Gilligan, Outram, & Levett-Jones, 2014)를 둘러싸고 다른 전문 학생들과 함께 유의미한 참여 기회를 제공하는 대부분의 활동을 중요시한다는 것을 반영했다. 전문직간주의는 종종 질 향상, 환자 안전 또는 오류 공개와 같은 다른 벡터에 초점을 맞추어 가르칠 수 있다(Josiah Macy Jr. Foundation, 2012). 

When asked to reflect on IPE learning, recently-graduated students have reflected that students valued most the activities that offered meaningful opportunities for engagement with other professional students around a relevant clinical problem(Gilligan, Outram, & Levett-Jones, 2014). Interprofessionalism can often be taught through focus upon another vector, such as quality improvement, patient safety, or error disclosure (Josiah Macy Jr. Foundation, 2012). 


우리 프로그램에서, 각 참여 기관들은 전문가간 팀워크가 종종 전문가간 교육의 노골적인 초점보다는 암묵적인 것으로 만들어 가장 잘 가르쳐진다는 것을 발견했다. 의료 시뮬레이션이나 환자 안전 개선과 같은 벡터가 명시적인 주제로 제시될 때, 협력적인 팀워크는 원하는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이 된다. 적절하게 준비된 IPE 촉진자를 통해 학습자는 환자에게 높은 품질의 안전한 관리를 제공하고자 하는 열망과 같이 기존의 학습자 전문가 목표에 반향을 일으키는 방법으로 팀워크의 중요성을 배울 수 있다.

In our program, each participating institution found that interprofessional teamwork was often best taught by making it the implicit, rather than the explicit focus of interprofessional education. When vectors such as health-care simulation or improving patient safety are offered as the explicit topic, collaborative teamwork becomes a means to accomplish the desired end. With appropriately prepared IPE facilitators, learners can be taught the importance of teamwork in ways that resonate with existing learner professional goals, such as the desire to provide high quality, safe care to their patients.


반성을 위한 시간에 맞춰 구축

Build in time for reflection


성공적인 교수진 개발 노력에는 경험적 학습과 적절한 성찰의 결합이 포함된다(Steinert, Naismith & Mann, 2012). 강의실 활동이나 실생활 IPE taching 과제에 이어 그룹 성찰의 시간을 마련하는 것은 IPE의 촉진에 관한 "머릿 속 지식"에서 "실용적 지혜"로 이동하는 데 도움이 된다. 디브리핑 세션은 교수진들이 전문가 간 학습을 위해 성공적인 원칙을 통합하고 계속 사용하는 데 도움이 된다. 우리는 전화 통화와 웹사이트 상호작용을 통해 두 번의 컨퍼런스 동안 그리고 프로젝트 전반에 걸쳐 동료의 성찰/멘토링이 이 프로젝트의 가장 가치 있는 보상 중 하나라는 것을 발견했다.

Successful faculty development efforts include the combining of experiential learning with appropriate reflective practice (Steinert, Naismith, & Mann, 2012). Building in time for group reflection following classroomactivities or real life IPEteaching assignments helps to move faculty from ‘‘head knowledge’’ to ‘‘practical wisdom’’ regarding the facilitation of IPE. Skilled debriefing sessions help faculty members consolidate and continue to use successful principles for interprofessional learning. We found that peer reflection/mentoring, during the two conferences and throughout the project by means of phone calls and website interactions, was one of the most valuable rewards of this project.


IPE 장벽 및/또는 실패를 통해 교수진의 전문 지식 향상

Use IPE barriers and/or failures to advance faculty expertise


전문직 간 커리큘럼을 설립하거나 개선하는 것은 복잡하고 지저분한 일이다. 우리는 우리의 프로그램 동안 시도된 일부 IPE 혁신은 적어도 첫 번째 시도에서는 성공적이지 못할 수 있다는 것을 깨달았다. 가능한 교수진들의 낙담과 학습 촉진을 위해, 정기적인 그룹 회의 전화가 1년 프로그램 내내 열렸다. 프로젝트 리더들은 필요할 때 현장 팀과 개별 코칭 세션을 계획하여 전문가 간 교수팀이 실패를 구조적으로 분석하고 향후 이니셔티브에 필요한 전략을 수정하도록 했다.

Establishing or improving interprofessional curricular offerings is complex, messy work. We realized that some IPE innovations tried during our program might not be successful, at least in the first iteration. To mitigate possible faculty discouragement and promote learning, periodic group conference calls were held throughout our one year program. When needed, project leaders scheduled individual coaching sessions with site teams to ensure that interprofessional faculty teams were constructively analyzing the failures and those strategies were modified as needed for future initiatives.


지속적인 개선을 촉진하기 위해 결과 측정

Measure outcomes to promote ongoing improvement


IPE 이니셔티브의 결과 모니터링은 학술적 생산성 향상에 중요할 뿐만 아니라 개입의 효과성을 평가하는데 필수적이다. IPE 리더는 "학습 결과를 정의하고 IPE가 비전문적 학습보다 부가가치를 증명할 수 있도록 학습 활동과 연계해야 한다"(Thistletchangite, 2012). IPE 이니셔티브와 관련하여 발표된 많은 연구에서는 학생 만족도 측정과 전문적 역할 및 전문가 간 커뮤니케이션에 대한 학생 학습을 넘어서는 의미 있는 결과를 보고하지 못하고 있다(Abu-Rish et al., 2012). IPE 리더에게 자신의 이니셔티브가 학습자, 교수, 환자 및 관리 시스템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이용할 수 있는 의미 있는 정보가 없다면, 지속적인 표적형 기술혁신은 무작위로 될 수 있다. 

Monitoring outcomes of IPE initiatives is not only important to enhance scholarly productivity, but is essential to assess the effectiveness of the interventions. IPE leaders must ‘‘define learning outcomes and match these with learning activities to ensure that IPE demonstrates added value over uniprofessional learning’’ (Thistletwhaite, 2012). Many published studies regarding IPE initiatives lack in reporting of meaningful outcomes beyond measurement of student satisfaction and student learning about professional roles and interprofessional communication (Abu-Rish et al., 2012). Without meaningful information available to IPE leaders regarding the impact of their initiatives on learners, faculty, patients, and care systems, ongoing targeted innovation can become random. 


Plan-Do-Study-Act 사이클(Langley, Nolan, Norman & Provost, 2009)은 지속적인 개선을 위한 훌륭한 프레임워크를 형성한다. 이 프로젝트에서, IPE 리더들은 프로페셔널 간 교수진 개발 훈련의 목표를 가장 잘 반영할 가능성이 높은 교육과정 및 결과 측정, 즉, 교수진이 그들의 홈 기관에 새로운 IPE 커리큘럼 요소를 성공적으로 구현할 수 있도록 준비하는 것에 초점을 맞췄다.

The Plan-Do-Study-Act cycle (Langley, Nolan, Nolan, Norman, & Provost, 2009) forms a great framework for addressing ongoing improvement. In this project, IPE leaders focused process and outcomes measurements on those that were most likely to reflect the objectives of the interprofessional faculty development training, i.e. the preparation of faculty teams to successfully implement new IPE curricular elements in their home institutions.



한 기관에서 다른 기관으로 커리큘럼 요소를 수출하여 IPE의 확산 촉진

Enhance the spread of IPE by exporting curricular elements from one institution to another


우리의 시범 프로젝트에 참여하는 기관들의 명백한 상황 차이에도 불구하고, 네 곳의 학술 보건 센터는 그들의 기관에서 환자 안전 오류 공개 훈련을 성공적으로 이행할 수 있었다. 각 기관에서 커리큘럼의 일부 수정, 즉 각 기관을 대표하는 환자 시나리오를 반영하도록 변경하거나, 요점을 강조할 때는 발표자 또는 조력자의 개인적인 이야기를 추가하였다. 그러나 동영상 등 핵심 요소가 뒷받침하는 기본 커리큘럼은 수많은 사이트에서 성공적으로 활용됐다. 이것은 새로운 IPE 커리큘럼 de novo를 시작하기 위해 필요한 것보다 훨씬 적은 노력으로 이루어졌다.

Despite obvious differences in context at the institutions participating in our pilot project, four academic health centers were able to successfully implement the patient safety error disclosure training at their institutions. Some modifications of the curriculum were made at each institution, i.e. changing the disciplines represented in the patient scenario to reflect the health professions schools at that institution, or adding in a personal story from a presenter or facilitator to make a point. However, the fundamental curriculum, supported by key elements such as video clips, was successfully utilized at numerous sites. This was have been accomplished with much less effort than would required to launch a new IPE curriculum de novo.


정보 리소스 센터를 사용하여 전문가 간 작업을 지원하고 변화의 속도를 높이십시오.

Use information resource centers to support interprofessional work and accelerate the pace of change


Lancet 보고서(Frenk et al., 2010)는 교육자들이 전문간 진료를 가르칠 수 있도록 교육자원(실라버스, 강의자료 등)의 강화가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이 프로젝트에서, 전문가간 자원을 위한 중앙 저장소를 만들어, 모든 참여 사이트는 커리큘럼 자원과 표준화된 평가 도구에 접근할 수 있었다. 이것은 효율성을 촉진하고 다중 사이트 학습을 허용하면서 많은 영역에서 접근법의 일관성을 제공했다. 참가자들은 전문 분야간 프로젝트의 포트폴리오를 확장함에 따라 미래에 훨씬 더 큰 자원 라이브러리를 만드는 것이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IPE 커리큘럼을 위한 새로운 자원에는 National Center for Professional Practice and Education과 MedEdPortal 내의 iCollaborative가 포함된다(자세한 내용은 주요 자원 섹션 참조).

The Lancet report on transforming health professions education (Frenk et al., 2010) noted that strengthening of educational resources, to include syllabuses and didactic material, was needed to equip educators to teach interprofessional care. In this project, by creating a central repository for interprofessional resources, all participating sites had access to curricular resources and standardized evaluation tools. This provided a consistency of approach in many areas, promoting efficiency and allowing for multi-site learning. Participants indicated that creating even larger resource libraries in the future would be helpful as they expanded their portfolio of interprofessional projects. Emerging resources for IPE curricula include the National Center for Interprofessional Practice and Education and the iCollaborative within MedEdPortal (see key resources section for further information).



교육 및 실습 간의 보다 강력한 연결 구축

Create more robust linkages between education and practice


대부분의 사이트에서 IPE 제공의 대부분은 교육의 임상 전 단계에 있거나 초기 임상 단계에 있는 학습자를 대상으로 했다. 임상에서의 IPE 경험은 우리 프로젝트에 참여한 대부분의 센터의 임상 전 업무보다 뒤쳐져 있다. 헤드릭 외 연구진(2012년)은 협력적인 전문직 간 품질 개선 프로그램을 구축하는 데 있어 속도 제한 단계로서 개선을 가르칠 준비가 된 임상 교수진의 중요한 덩어리가 부족하다는 것을 확인했다. 임상 영역에서 IPE를 진전시키기 위해서는, 모범이 될 수 있는 더 많은 고성능 인터프로페셔널 팀과 함께 추가적인 교수진 챔피언이 필요하다. 건강 시스템과의 제휴는, 풍부한 전문직 간 임상 학습 사이트를 만드는 목표가 교육 및 임상 리더 간에 공유되는 것을 의미하며, 이것이 임상 IPE 작업을 진전시키기 위해 필수적일 것이다.

At most sites, the majority of IPE offerings were directed at learners who were either in pre-clinical phases of their education or were early in the clinical phase of learning. Clinical IPE experiences are lagging behind the pre-clinical work at most of the centers who participated in our project. Headrick et al. (2012) identified the lack of a critical mass of clinical faculty who are ready to teach about improvement as a rate-limiting step in building collaborative interprofessional quality improvement programs. In order to advance IPE in the clinical domain, additional faculty champions are needed, along with a larger number of highly performing interprofessional teams that can serve as exemplars. Partnerships with health systems, where goals of creating rich interprofessional clinical learning sites are shared between educational and clinical leaders, will be essential to advancing the clinical IPE work.



IPE를 지원하는 데 필요한 수많은 직업에서 많은 교직원으로 교육을 확대하기 위한 새로운 교수진 개발 전략 식별

Identify new faculty development strategies to expand training to the many faculty in numerous professions that are needed to support IPE


모든 보건직 종사자를 대표하는 수만 명의 교수진은 IPE 이론과 실천에 초점을 맞춘 교수진 개발 훈련을 통해 잠재적으로 이익을 얻을 수 있다. 최소한, 모든 보건 전문직 교직원들은 전문가간 팀 기반 관리의 중요성을 이해하고 부적절한 전문직 사일로를 적극적으로 좌절시키는 것을 자제할 필요가 있다. 각 전문 교육 사이트에는 학습자를 위한 의미 있는 전문가 간 경험을 공동 설계, 구현 및 지속적으로 개선할 수 있는 교수진 챔피언이 필요하다. 우리의 프로젝트에 참여한 교수진은 국가 보건 전문가 인력들이 협업적 관행을 수용하도록 하기 위해 IP 팀 기반 관리에 대한 지속적인 교수 개발 지원이 필수적이라고 생각했다. 

Tens of thousands of faculty members representing all health professions can potentially benefit from faculty development training focusing on IPE theory and practice. At the least, all health professions faculty need to understand the importance of interprofessional team-based care and refrain from actively discouraging inappropriate professional silos. Each professional training site needs faculty champions who can co-design, implement, and continuously improve meaningful interprofessional experiences for learners. The faculty participating in our project felt that ongoing support of faculty development in IP team-based care is essential to help equip the national health professions workforce to embrace collaborative practice.


    • IPEC Institute와 같은 기존 프로그램을 기반으로, 

    • 이러한 목표를 공유하는 전문 조직에서 협력자를 모집하고, 

    • 이 목표를 공유하는 정부 기관, 납부자 및 재단의 교수개발 자금 지원을 옹호하는 것 

    • 확산 촉진을 위한 보다 비용 효율적인 방법 찾기 

앞으로 탐구할 수 있는 전략들 중 하나야

    • Building upon existing programs such as the IPEC Institute, 

    • recruiting allies from professional organizations who share these goals, 

    • advocating for faculty development funding from government agencies, payers, and foundations who share this goal, and 

    • finding more cost-effective ways of promoting spread 

...are among the strategies that can be explored going forward.


고찰

Discussion


이 프로젝트 내내, 우리는 진정성과 맞춤화가 성공적인 IPE의 중요한 특성인 것처럼(Hammick, Freeth, Koffel, Reeves & Bar, 2007), 이것이 IPE 교수개발에서도 중요한 특징이라는 것을 알게 되었다.

Throughout this project, we learned that just as authenticity and customization are important characteristics of successful IPE (Hammick, Freeth, Koppel, Reeves, & Barr, 2007), these are also important characteristics of IPE faculty development.







Interprofessional Education and Practice Guide No. 1: Developing Faculty to Effectively Facilitate Interprofessional Education

Affiliations 

Affiliation

  • 1School of Medicine, University of Missouri, Dean's Office , Columbia , USA and.

Abstract

With the growth of interprofessional education (IPE) and practice in health professional schools, faculty members are being asked to assume new roles in leading or delivering interprofessional curriculum. Many existing faculty members feel ill-prepared to face the challenges of this curricular innovation. From 2012-2013, University of Missouri - Columbia and University of Washington partnered with six additional academic health centers to pilot a faculty development course to prepare faculty leaders for IPE. Using a variety of techniques, including didactic teaching, small group exercises, immersion participation in interprofessional education, local implementation of new IPE projects, and peer learning, the program positioned each site to successfully introduce an interprofessional innovation. Participating faculty confirmed the value of the program, and suggested that more widespread similar efforts were worthwhile. This guide briefly describes this faculty development program and identifies key lessons learned from the initiative. Peer learning arising from a faculty development community, adaptation of curricula to fit local context, experiential learning, and ongoing coaching/mentoring, especially as it related to actual participation in IPE activities, were among the key elements of this successful faculty development activity.

Keywords: Faculty development; interprofessional collaboration; interprofessional education; team-based care.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