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생의 강의 출석에 대하여(Acad Med, 2013)
More About Medical Students’ Attendance at Lectures
편집자에게 :
To the Editor:
라이브 강의의 기능 중 하나는 코스 리듬을 조절하는 것입니다. 학생들은 이제 강의 포드 캐스트를 원할 때 시청합니다. 아마도 시계가 공부할 시간이라고 알려주는 때가 아니라 공부할 마음이 되었을 때 팟캐스트를 들을 것이다(이건 좋다). 그러나 일부 학생들은 팟캐스트를 마지막 순간 (보통 시험 전)까지 미뤄뒀다가, 결국 혼란스럽고 급하게 공부하여, 교육적 세동"(fibrillation)"을 겪는다. 또한 강의는 전략적으로 순서가 정해져 학생들이 후속 소그룹 활동에서 심층적 주제 탐구를 준비 할 수 있습니다. 학생들은 때로는 사전에 강의를 들어야만 배울 수 있는 지식 기반을 갖추지 못해서 때로는 소규모 그룹에 준비가되지 않습니다.
One function of live lectures is to pace course rhythm. Students now watch lecture podcasts when they want, presumably when their minds are ready rather than when the clock tells them to (a good thing). However, some students also postpone watching podcasts to the last minute (usually before an exam), leading to chaotic, harried viewing—a form of pedagogic “fibrillation.” Also, lectures are usually strategically sequenced to prepare students for exploring topics in depth in subsequent small groups. Students sometimes come unprepared to small groups because they lack the knowledge base that hearing a prior lecture on time would have imparted.
그럼에도 불구하고 출석을 주장하는 교수진은 수업 중에 일부 학생들이 단지 "몸뚱이만" 강의실에 출석한다는 사실에 경악 할 수 있습니다. 과다한 전자 장치로 무장 한 학생들은 문자 메시지, 트위터, 영화보기, 비디오 게임, 시험 공부 등을 하다가 가끔만 수업을 듣는다.
Faculty who insist on attendance may nevertheless be dismayed that some students in class are present only “in body.” Armed with a plethora of electronic devices, some students are texting, tweeting, watching movies, playing video games, studying for exams, and only occasionally tuning in.
나는 최근에 주목 한 한 교수 (젊은)를 알고 있습니다. "학생들이 강의에 출석하지 않으면, 그런 학교에 가면 된다. 이 전문직에 들어와서는 안된다" 완전히 반대로, 대조적으로 (더 나이든) 다른 교직원은 이렇게 말했다 "Letterman쇼를 라이브로 보는 관객은 아주 소수이다. 그러나 수백만 명이 TV 쇼를 즐긴다. 그러면 학생들이 이걸로 배우기만 한다면 문제될 것이 무언가?" 교수진과 학생들은이 문제에 대한 깊이 있고 다양한 견해의 범위를 존중하도록주의해야합니다.
I know one faculty member (young) who recently remarked, “If students don’t go to lecture, they might as well go to a correspondence school—they have no business entering our profession.” In direct contrast, another faculty member (older) told me, in effect, “Letterman has a small live audience—yet millions enjoy the show on television, so what’s the problem as long as students learn the material?” Faculty and students need to be careful to respect the range of deeply held, diverse views on the matter.
나는 출석에 대한 상충하는 의견을 갖고 있다. 나는 비록 그 결과가 수동적 정보전달형 강의에 대한 결석일지라도, 학생들이 스스로 가장 잘 배울 수있는 방법을 선택할 수 있어야한다고 생각한다. 그러나 좋은 선생님들은 모두 나름의 "햄(아마추어 무선통신)"을 가지고 있습니다. 그들에게 있어서 학생들의 열정과 미소 짓는 얼굴을 보는 것은 강력하고 즉각적인 피드백으로서, 교수와 학생이 "연결"되어있는지를 보여준다. 나는 학생들이 혼란스러워하거나 지루해보이는 반응을 보게 되면, 그에 따라 강의를 바꾸고는 했는데, 이것은 만일 모든 학생들이 집에서 온라인으로 접속해서 강의를 듣는다면 절대 알지 못했을 피드백이다.
I have conflicted views on attendance. I appreciate that students should be able to choose ways in which they learn best, even if that means forgoing attendance at a passive, information- delivery-type lecture. However, all good teachers have a certain amount of “ham” in them—seeing student enthusiasm and smiling faces is powerful, immediate feedback as to whether we faculty are “connecting.” I have changed many a lecture on the basis of puzzled or bored looks— feedback I would never get if all my students were tuning in at home.
편집자에게
To the Editor:
정식으로 예정된 교육 세션에서의 출석 감소는 학부 의학 교육에만 국한된 것이 아니며 그랜드 라운드와 같은 회의에까지 침투했습니다 .2 Kanter는 생각하기에, 내가 생각하기에, 해결해야 할 학습자 - 교사 관계에 관해 몇 가지 도발적인 질문을합니다 근본적인 문제에 대한 해결책은 그 관계에 놓여 있다는 것입니다.
The decreasing attendance in formally scheduled educational sessions is not unique to undergraduate medical education and has permeated conferences such as grand rounds.2 Kanter asks some provocative questions about the learner–teacher relationship that need to be addressed, since I believe, as I think he does, that the solution to the underlying problem rests in that relationship.
우리가 문제의 근원에 도달하고자 할 때 반드시 물어야 할 추가 질문이 있다. 예를 들어, 강의 관점에서 볼 때 학생들에게 부가 가치 혜택이란 무엇입니까? 이에 대한 대답은 교수가 낮은 수준의 정보 (예 : 블룸의 분류법에서 "아는 것")를 학습자에게 전송하는 증후군에 직면해야 답할 수 있다. 이 관점에서 학생들은 교수전문가에 의해서 factoid로 채워지기를 기다리고 있는 수동적 수용체이다.
There are additional questions that must be posed if we are to get to the root of the problem. For example, What is the value-added benefit to students of attending a lecture, from their point of view? The answer must confront the syndrome in which faculty transmit low-level information (such as “knowing” in Bloom’s taxonomy) to learners who behave as passive receptacles waiting to be filled with factoids by faculty experts.
교실에서 학생들을 활성화 시키면 학습 중심의 학습 환경이 조성되어 학습 및 교수법에 대한 책임이 분산되고 학생들과 교사 간의 대화가 촉진되며 혼자서 보는 팟캐스트로는 복제되지 않는 것이 생겨난다. 팀 기반 학습, 그룹 및 대화 토론, 도전적인 질문이 포함 된 사전 독서 및 이론 실습으로의 이론 번역은 모든 학생들이 강의실로 돌아올 수있는 방법입니다. 이러한 모든 상호 작용은 높은 수준의 사고가 필요하며 교과서 읽기, 필기 노트 및 팟 캐스트를 뛰어 넘습니다.
Activating students in the classroom creates a student-centered learning environment that diffuses responsibility for learning and teaching, fosters a dialogue between students and teacher, and cannot be replicated when one sits alone watching a podcast. Using team-based learning, group and dyad discussions, prelecture readings with accompanying challenging questions, and translation of theory into contextual practice are all ways that could attract students back to the lecture hall. All of these interactions require higher-level thinking and go beyond textbook reading, transcribed notes, and podcasts.
따라서 Kanter의 접근 방식이 타당하다고 생각합니다. 문제는 이것이다. 현재의 환경을 학습에서의 협력이 가장 중점을 두는 환경으로 바꾸려면 어떤 노력이 필요할까요?
So, I think Kanter’s approach is on target. The question is, What effort will it take to change our current environment to one where collaboration in learning is the major focus?
More about medical students' attendance at lectures.
Comment in
- In reply to Kalmey. [Acad Med. 2013]
- Stop wasting classroom time: embrace the podcast and use the "lecture" to enhance learning. [Acad Med. 2013]
Comment on
- To be there or not to be there: is attendance really the question? [Acad Med. 2012]
- More about medical students' attendance at lectures. [Acad Med. 2013]
- PMID:
- 23361017
- DOI:
- 10.1097/ACM.0b013e31827b27dd
'Articles (Medical Education) > 교수법 (소그룹, TBL, PBL 등)' 카테고리의 다른 글
피드백, 의사의 다양한 직무, 피드포워드 대안(Med Educ, 2010) (0) | 2018.08.24 |
---|---|
의학교육에서 롤모델링: 성찰적 모방의 중요성(Acad Med, 2014) (0) | 2018.06.27 |
To Be There or Not To Be There: Is Attendance Really the Question? (0) | 2018.06.10 |
피드백-탐색 행동 이해하고 장려하기: 문헌 고찰(Med Educ, 2013) (0) | 2018.05.01 |
왜 의과대학생들은 새로운 교육과정의 '능동적 학습'에서 정신을 팔고있나? (Med Educ, 2014) (0) | 2018.04.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