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직업성의 담론: 메타포, 이론, 실천(Med Teach, 2019)

Discourses of professionalism: Metaphors, theory and practice

Matthew Jon Linksa , Tim Wilkinsonb and Craig Campbellc




도입 

Introduction


의학교육이 이론에 근거해야 실천의 발전(Rees and Monrouxe 2010)을 이끌 수 있다는 인식이 강하다. 프로페셔널리즘은 논쟁의 여지가 있는 개념이며 다양한 접근법을 평가할 수 있는 이론적 기반이 부족했다. 그 이유의 일부는 전문성의 개념 자체에 이론이 있기contested 때문이다.

There is a strong recognition that medical education needs to be grounded in theory to guide development of practice (Rees and Monrouxe 2010). Professionalism is a contested concept and there has been a lack of an over-arching theoretical base from which diverse approaches can be appraised. Part of the reason for this has been because the concept of professionalism itself has been contested.


이론은 다양한 수준에서 발생할 수 있으며, 하위 수준 이론의 기반이 되는 [중요한overarching 이론적 구성(메타-이론) 또는 가정]이 특히 중요하다. 담론의 변동의 토대가 되는 한 가지 중요한 가정은 인식론적 가정이다 – 지식에 대해 어떤 가정을 하는가?

Theories can occur at different levels and overarching theoretical constructs (meta-theories) or assumptions that underlie lower level theories are particularly important (Nestel and Bearman 2015). One critical assumption underlying variations in discourse is epistemological – what assumptions are made about knowledge?


그러나 전문직업성에 대한 담론은 인식론 이상의 차이가 있으며, 각 담론은 개인, 대인관계 또는 사회 전체의 관점과 다른 초점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인식론에 대한 인식과 사회에서의 개인의 역할을 결합한 틀을 활용하는 것이 도움이 될 것이다. 그러한 틀은 쥬르겐 하버마스의 의사소통 작용 이론이다(Habermas 1989; Edgar 2006).

However, discourses on professionalism differ by more than epistemology, each discourse has a different focus from personal, interpersonal, or a whole of society perspective. It would therefore be helpful to utilize a framework that combines an awareness of epistemology with the role of the individual in society. Such a framework is Jurgen Habermas’ theory of communicative action (Habermas 1989; Edgar 2006).


이것은 다음을 포함한 현대 사회의 많은 중대한 문제들을 다루는 대단히 중요한 이론이다. 

  • 진실-주장truth-claim을 어떻게 검증하고 있는가? 

  • 의사소통, 행동 및 사회적 변화 사이의 관계 

  • 시스템 관점 

  • 사회 개선을 위한 행동 조정의 목표 

This is an overarching theory that deals with many of the critical issues in modern society including: 

  • how do we validate truth-claims; 

  • what is the relationship between communication, action and social change; 

  • a systems perspective; and 

  • a goal of coordinating action to improve society. 


이 이론은 세상에 대한 관점을 [객관적 세계에 정의를 행하면서도] [주관적 경험도 고려하도록 하려면] 어떻게 결합할 것인가 하는 근본적인 문제를 다룬다.

It tackles the fundamental question of how do we combine a perspective on the world that does justice to the objective world but also takes into account subjective experience?


목적과 방법

Aims and methods


다른 저자들이 다른 용어를 사용하거나 동일한 용어를 다르게 사용했기 때문에 이러한 논의에서 전문용어의 진정한 사용에 긴장이 있다.

There is a tension in the authentic use of terminology in these discussions as different authors have used different terms or used the same terms differently.


전문성에 대한 담론의 검토

Review of discourses about professionalism


정의와 의미가 경합할 때 전문성과 같은 분야에 대한 논쟁이 교차할 수 있는at cross 가능성이 있다. 전문성 '디베이트'는 서로 다른 생각, 즉 문제에 대한 관점에 의존하기 때문에 [연결되지 않는 대화의 연속]이 된다. 이를 분석하는 방법은 [토론의 기초가 되는 가정에 비판적으로 의문을 제기하는 것]이며 이를 담화 분석(Hodges et al. 2008)이라고 한다. 

When definitions and meaning are contested there is a possibility that debate over areas, like professionalism, can occur at cross purposes. The professionalism “debate” becomes a series of conversations that are not connected because they rely upon different ideas, or perspectives on the problem. A way to analyze this is to critically question the assumptions underlying the discussion and this is called discourse analysis (Hodges et al. 2008). 


전문성에 대한 평가를 어렵게 하는 문제들 중 하나는 전문성이 무엇인지에 대한 표준적 정의가 결여되어 있다는 것이다. 호지스 외 연구진(2011년)은 전문성을 사용하는 방법이 서로 다른 담화 분석을 수행함으로써 이 문제를 명확히 했다. 전문성에 대한 세 가지 주요 담론이 확인되었고 각각 다른 관점으로 구별되었다. 

  • 첫 번째는 개인의 특성, 특성 또는 인지 과정(개인적)으로서의 전문성이었다. 

  • 두 번째는 대인관계 과정이나 효과(대인관계)로서의 전문성이었다. 

  • 세 번째는 사회적 제도적 현상으로서의 전문성이었다. 사회적 구조는 권력(사회적)과 연관된다.

One of the problems plaguing assessment of professionalism has been the lack of a standard definition of what professionalism is. Hodges et al. (2011) have clarified this issue by performing a discourse analysis of the differing ways professionalism is used. Three major discourses about professionalism were identified and each was distinguished by a different viewpoint. 

  • The first was professionalism as an individual characteristic, trait, or cognitive process (personal). 

  • The second was professionalism as an interpersonal process or effect (interpersonal). 

  • The third was professionalism as societal institutional phenomena a socially constructed way of being associated with power (social).


다른 담론의 기초가 되는 인식론

Epistemology underlying different discourses


프로페셔널리즘에 대한 다른 담론을 확인한 후, 중요한 질문은 이러한 담론의 근거가 되는 가정은 무엇인가? 교육 이론의 기초가 되는 메타 이론들은 철학적 질문의 더 넓은 담론을 구성하는 지식(교육학), 윤리학, 존재(온톨로지)에 대한 기본적인 가정들에 기초할 것이다.

Having identified different discourses about professionalism, an important question becomes what are the assumptions that underlie these discourses? The meta-theories that underlie educational theory will draw on basic assumptions about knowledge (epistemology), ethics, and being (ontology) that constitute the broader discourse of philosophical enquiry.


서양의 전통에서 서로 다른 유형의 지식의 구별은 전문성에 대한 질문이 praxis 영역 내에 있다는 아리스토텔레스의 과학적 지혜와 실제적 지혜의 구별(Aristotle 2002)에서 비롯된다. 그 후의 전개는 [과학지식이 절대적으로 객관적이고 기초적인 현실을 반영한다는 개념(실증주의)]을 비판하며, 조금 더 범위를 한정하는 쪽의 입장을delimited 취하게 되었다(후기 실증주의). 여기서는 [쿤의 패러다임 변화(Kohn 1996년)와 같이] 과학 이론이 구성됨constructed을 인정하면서도, underlying reality는 객관적이라는 개념을 고수하고 있다..

In the western tradition the distinction between different types of knowledge derives from Aristotle’s distinction between scientific and practical wisdom (Aristotle 2002) that and acknowledges questions of professionalism are located within the domain of praxis. Subsequent developments have critiqued the concept that scientific knowledge is absolutely objective and reflective of underlying reality (positivism) to a slightly more delimited position (post-positivism) that acknowledges that scientific theories are constructed, e.g. Kuhn’s paradigm-shifts (Kuhn 1996) but holds onto the concept that the underlying reality is objective.


보다 광범위한 철학적 발전이 함께 묶여서 포스트 모더니즘(Lyotard 1984년)이라고 불리며 객관성에 대해 훨씬 더 급진적인 입장을 취한다. 지식의 객관성에 대한 회의론을 공유하고 있으며, 저자의 관점에 대한 비판적 고찰에 초점을 맞춘다. 권력관계가 관점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인식이 높다. 현실은 구성되는 것이고, 발견되는 것found이 아니며, 객관적이지 않고, 주관적이며, 비판적이며 주어지는 것이 아니다.(Beckett and Hager 2001). 해석주의(Schwandt 1994), 구성주의(Constructivism, 2001), 사후 구조주의(Aylesworth 2015) 등의 접근방식이 있다.

Broader philosophical developments have been grouped together and termed post-modernism (Lyotard 1984) and they take a much more radical position about objectivity. They share skepticism about the objectivity of knowledge and focus on a critical consideration of the author’s perspective. There is a high degree of awareness of how power relations influence perspective. Reality is constructed, not found, subjective not objective and critical, not given (Beckett and Hager 2001). There are a family of such approaches including interpretivism (Schwandt 1994) constructivism (Spector 2001), and post-structuralism (Aylesworth 2015).


이러한 담론이 어떻게 구성되는지 이해할 수 있는 다른 방법이 있는가?

are there alternative ways to understand how these discourses are constructed?


하버마스의 의사소통 작용 이론

Habermas’ theory of communicative action


쥬르겐 하버마스는 프랑크푸르트 학파의 철학자로 비판론(Bohman 2016)의 창시자 중 한 명이다. 그는 자신의 작품을 특히 전문성과 관련되게 만드는 실천적 노력을 위해 과학과 휴머니즘의 경계를 비판하는 [이성과 공생활public life의 관계]에 폭넓은 관심을 갖고 있다. 그는 인간의 행동을 주관적, 객관적, 사회적 세계(Habermas 1989; Edgar 2006)가 구성하는 "인생 세계"에서 일어나는 것으로 본다. 그는 전문가, 조직, 정부의 권위를 의심하는 것이 특징인 후기 근대 자본주의에 대한 견해를 갖고 있다(Habermas 1976). 그는 의사소통 행동 이론을 발전시켰는데, 그것은 "상호간의 숙고와 논쟁을 바탕으로 개인이 수행하는 협동 행동"(Edgar 2006)이다.

Jurgen Habermas is a philosopher of the Frankfurt school and one of the founders of critical theory (Bohman 2016). He has a broad interes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reason and public life that critiques the boundaries between science and humanism for practical endeavors that makes his work particularly relevant to professionalism. He views human action as taking place in “lifeworld” which is constituted by the subjective, objective, and social worlds (Habermas 1989; Edgar 2006). He has a view of late modern capitalismthat there is a crisis of legitimation, characterized by a suspicion of the authority of experts, organizations, and governments (Habermas 1976). He has developed a theory of communicative action, which is “co-operative action undertaken by individuals based upon mutual deliberation and argumentation” (Edgar 2006).


하버마스의 지식-관심 분류

Habermas’ classification of knowledge-interests


[의사소통 작용]은 다른 유형의 질문이나 지식-관심knowledge-interest에 의존한다. '지식-관심' 구축은 과학지식이 무관심하거나 자유로운 가치를 가질 수 있다는 실증주의적 주장에 대한 반발이다.

Communicative action relies upon different types of of questions or knowledge-interest. The construction “knowledge-interest” is a reaction to the positivist assertion that scientific knowledge can be disinterested or value free.


그는 "지식-관심"의 영역을 기술, 실용, 해방(Habermas 1970; Edgar 2006)으로 분류한다.

He classifies areas of “knowledge-interest” into technical, practical, and emancipatory (Habermas 1970; Edgar 2006).


  • 기술적인 문제는 과학적 방법과 실증주의적 관점에서 다룰 수 있다.

Technical questions are addressable by the scientific method and a positivist viewpoint.


  • 실용적인 질문은 인간관계, 비교, 문화, 사회의 의사소통적인 질문이다. 그들은 해석, 해석(hermeneutic), 또는 의사소통적인 관점이 필요하다. 제1차 세계대전의 원인이 무엇이었느냐와 같은 역사적 질문이 좋은 예로서, 텍스트와 사람, 경쟁적 관점을 이해해야 한다.

Practical questions are communicative questions of human relationship, comparison, culture, and society. They need interpretation, a hermeneutic, or communicative viewpoint. A good example is a historical question, such as “what was the cause of World War I?”, which requires understanding of texts, people, and competing viewpoints.


  • 해방적/비판적 질문개인이 생각하는 방식, 그들이 취해온 관점과 관련이 있으며 비판적 접근법을 요구한다. 이것은 가정에 대한 성찰적인 질문에 달려있고 정치적인 과정이다. 현재의 예로는 환자 중심 진료를 촉진하는 것이 있다. 환자 중심 진료의 역사는 의사와 환자의 상대적인 힘과 "의사가 가장 잘 알고 있다"는 이전의 가정에 대한 질문에 의존해왔다.

Emancipatory/critical questions relate to the way the individual thinks, the perspectives they have taken and requires a critical approach. This depends upon a reflective questioning of assumptions and is a political process. A current example is the promotion of patient centered-care. The history of patient centered care has depended upon the relative power of physicians and patients and the questioning of previous assumptions that “the doctor knows best”.


비판적 또는 해방적 접근은 개선이나 변화의 과정이며 정치적 행위라고도 묘사되어 왔다. 이것은 파울로 프레이어가 옹호하는 비판적 교육학의 전통과 일치한다. (Freire 1996; Beckett 2013) 어떤 변화를 촉진할 것인가의 선택은 정치적 결정이다. 자유로운 setting으로서의 해방은 무엇을 할 수 있는 자유, 또는 무엇으로부터의 자유다. 변화의 촉진(예를 들어 윤리나 문화 역량에 있어서)은 정치적 행위일 뿐 과학적인 측정 문제는 아니다. 이를 인정하고 전문적 실무관행을 개선하는 목적과 변화를 위해 정력을 쏟은 원인에 대해 성찰하는 것이 도움이 된다.

A critical or emancipatory approach is a process of improvement or change and has also been described as a political act. This aligns with the tradition of critical pedagogy championed by Paulo Freire (Freire 1996; Beckett 2013). The selection of which changes are to be promoted is a political decision. Emancipation as a setting free is a freedom to do what, or freedom from what. The promotion of change (e.g. in ethics or cultural competency) is a political act and not a scientific measurement problem. It is helpful to acknowledge this and reflect about the purposes of improving professional practice and the causes to which we put our energies for change.


건강에 적용되는 하버마스의 비판적 인식론critical epistemology의 이러한 측면은 부분적으로 "개선 프레임improvement frame" 내의 변화의 촉진에 의해 다루어진다. 비판적 인식론을 개선 프레임으로 변환하면 [개인 개선 문제, 특히 도전적인 제한 가정을 통한 변형 학습, 그리고 환자의 결과 개선에 대한 적절한 초점과 일치하는 시스템 개선]을 다루게 된다. 

This aspect of a Habermas’ critical epistemology, as applied to health is partly covered by the promotion of change within an “improvement frame”. Translation of a critical epistemology to an improvement frame covers the issue of personal improvement, particularly transformative learning through challenging limiting assumptions; and systems improvement consistent with the appropriate focus on improving outcomes for patients. 


개선 틀에서 누락되는 것은 지식 주장을 하는 사람들의 가정에 의문을 제기하는 더 비판적이고 급진적인 요소로서 권력 관계의 영향과 변화를 가져오는 목적에 특히 중요하다. 이것은 비판적인 프레임이라고 불릴 수도 있다.

Missing from an improvement frame is the more critical and radical element that questions the assumptions of those making knowledge claims and is particularly critical of the impact of power relations and the ends to which change is put. This might be termed a critical frame. 


비판적 프레임의 예로는 역량기반 훈련에 대해서 그것이 [개인에 대한 조직 의제의 홍보]라는 비판, 자기주도학습에 대해서 [공동체의 요구는 무시한다]라는 비판 등이 있다. 이 개념은 Ng 등(2015년)이 "비판적" 성찰 또는 비판적 사회탐구라고 칭한 것과 밀접하게 일치한다. 이것은 [자신의 편견을 알고 있는 입장에서 근본적인 가정에 도전하는 성찰]이다. 중요한 프레임과 개선 프레임을 함께 사용하면 보건 교육에 대한 이 개념을 보다 포괄적이고 유용하게 번역할 수 있다.

An example of a critical frame would be challenging the move to competency based training as promoting the agenda of organizations over individuals or critiquing self-directed learning as ignoring the needs of communities. This concept closely aligns with what Ng et al. (2015) have termed “critical” reflection or critical social inquiry. This is reflection where underlying assumptions are challenged from a position that is aware one’s own biases. Together a critical frame and an of improvement frame provide a more comprehensive and useful translation of this concept for health education.


한 유형의 지식을 다른 유형의 지식으로 착각하고, 잘못된 종류의 이해를 적용하며, 잘못된 유형의 질문을 하는 것은 범주 실수category mistake라고 불린 것이다(Ryle 2015). 예를 들어, 기후변화에 접근하기 위해 비판적 프레임을 사용하는 것은, 과학자들이 그들의 힘과 위신을 높이고 자금을 조달하기 위해 고안한 문제로서, 온도가 상승하는 과학적 프레임을 무시하는 것이다. 역사를 오로지 절대적인 진리로만 구성된 [일련의 사실]로만 보는 것은, 해석의 역할을 무시한다. 이 두 가지 사례 모두 적절한 프레임이 중첩된다는 것을 보여준다. 과학자들의 동기를 비판하는 것도, 역사가 기초하고 있는 고고학적 사실에 대한 기술적 접근을 취하는 것도 타당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지배적인 접근방식은 지식-관심의 유형에 따라 결정될 것이다.

To mistake one type of knowledge for another, to apply the wrong sorts of understanding, and to ask the wrong types of question is what has been termed a category mistake (Ryle 2015). As an example, using a critical frame to approach climate change, as a problem invented by scientists to increase their power, prestige, and funding ignores the scientific frame of increasing temperature. Seeing history as a series of facts, with an absolute truth ignores the role of interpretation. Both these examples show that appropriate frames overlap. It is reasonable to critique the motivation of scientists and to take a technical approach to the archeological facts upon which history is based. Nevertheless, the dominant approach will be determined by the type of knowledge-interest.


지식의 각 형태마다 특성이 다르다. 과학적인 사고는 보편적인 진리 진술을 추구하지만 실질적이고 비판적인 지식의 진리는 맥락에 따라 이루어진다. 전문적인 실천은 과학과 맥락 양쪽의 문제를 이해하도록 요구되며 하버마스의 지식 흥미와 의사소통 행동에 대한 이론은 다양한 분야에서 실천을 이해하는 유용한 방법인 것으로 밝혀졌다.

The characteristics of each form of knowledge are different. Scientific thinking seeks for universal truth statements, but the truth of practical and critical knowledge is contextual. Professional practice requires understanding issues of both science and context and Habermas’ theories of knowledge interest and communicative action have been found to be a useful way of understanding practice in diverse areas


[지식 관심사 이론]은 이러한 각 분야에서 적절한 인식론을 이해하고 전략적 또는 의사소통적 행동과 연결시킬 수 있는 체계를 제공한다.

The theory of knowledge interests provides a framework, in each of these fields, for understanding the appropriate epistemology and a linkage to either strategic or communicative action.


특히 메지로우는 하버마스의 인식론적 체계를 이용하여 약간 다른 용어를 사용한 학습 이론을 개발하였다(Mezirow 1997, 2009). [도구적 학습]은 기술적인 문제에 해당하고, [의사소통학습]은 헤르메뉴틱 문항에 해당하며, [변형학습]은 비판적인 문제에 해당된다. 학습에 필요한 요건은 질문 유형에 따라 다르다. 비판적 접근법과 변혁적 학습은 "비판적인 딜레마"에 의존하고 있으며, 션(1983)도 반성을 촉진하는 데 있어 놀라움의 중요성을 밝혀냈다. 비판적 성찰(근본적인 가정에 대한 조사)과 이성적 담론(권위나 권력에 대한 의존이 아니라)은 양쪽의 다른 핵심 요소들이다.재치 있는 행동과 변혁적인 학습

Notably Mezirow has utilized Habermas’ epistemological framework in developing a theory of learning using slightly different terminology (Mezirow 1997, 2009). Instrumental learning corresponds to technical questions, communicative learning corresponds with hermeneutic questions, and transformative learning corresponds with critical questions. The requirements for learning to occur differ according to the type of question. A critical approach and transformative learning is dependent upon “disorientating dilemmas” and Schon (1983) has also identified the importance of surprise in promoting reflection . Critical reflection (an examination of underlying assumptions) and rational discourse (rather than a reliance on authority or power) are other key elements of both communicative action and transformational learning.


대체 포스트모던 인식론적 분류

Alternative postmodern epistemological classifications


해석주의 Interpretivism


해석주의는 일부에서 실증주의에 대한 비판을 논증하는 데 덜 흔하게 사용되는 용어로서 헤르메뉴틱과 하버마스의 헤르메뉴틱 또는 의사소통적 지식-이해 개념과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다(Schwandt 1994; Habbermas 2015). 그것은 맥스 베버로부터 파생된 베르스테른 전통의 일부분이며 사회학 내에서 두드러진다. 그것은 질적 연구와 주관적 또는 살아 있는 경험의 가치를 강조하는 현상학적 접근과 일치한다. 주된 관심사는 [단지 일어난 일]뿐만이 아니며, 그것의 의미가 무엇인지 까지이다.

Interpretivism is a less commonly used terminology in as some discourses critique of positivism and is closely allied to hermeneutics and Habermas’ concept of a hermeneutic or communicative knowledge–interest (Schwandt 1994; Habermas 2015). It is part of the verstehen tradition derived from Max Weber and prominent within sociology. It is aligned with qualitative research and a phenomenological approach that emphasizes the value of the subjective or lived experience. The primary interest is not just what happened it is what it means.


구성주의 Constructivism


구성주의(Ackermann 2001)는 다양하게 정의되어 왔으며, 그 용어가 다방면으로 사용되며 혼란을 야기했다. 공통적인 특징은 지식은 학습자에 의해 적극적으로 구성된다는 것이다(Sjøberg 2010). 피아제(1999년)와 비구츠키(1978년) 등 교육에 중요한 학자들의 업적을 그린다. 여러가지의 구성주의를 구분함에 있어서 유의해야 한다. 구성주의의 성격이 다양해서 특정 이슈에 대해 꼬집고 적용하기 어렵다.

Constructivism (Ackermann 2001) has been diversely defined and the use of the term in multiple ways creates confusion. A common feature is that knowledge is actively constructed by the learner (Sjøberg 2010). It draws on the work of scholars important to education such as Piaget (1999) and Vygotsky (1978). Care needs to be taken to distinguish 

    • constructivism as an epistemology from 

    • constructivism as a theory of learning, personality, or sociology; as well as 

    • constructionism as a learning theory. 

The diversified nature of constructivism makes it difficult to pin down and apply on specific issues.


전문성 분석을 위한 선호 프레임워크로서의 의사소통 작용

Communicative action as a preferred framework for analysis of professionalism


따라서 [전문직업성 담론 분석에 선호되는 분류 체계]에 대한 의문이 제기된다. 의사소통 작용 이론의 주요 장점은 전문성(개인적, 상호적, 사회적)의 초점과 인식론적 차원을 모두 체계적으로 통합한다는 점이다.

The question therefore arises as to a preferred classification system for analysis of professionalism discourse. The major advantage of the theory of communicative action is that it systematically incorporates both the focus of professionalism (personal, inter-personal, and social) and the epistemological dimension.


[의사소통 작용]은 [생활 세계life world 내에서 서로 다른 지식 관심사knowledge interest]를 추구함으로써 일어난다. 생활세계의 현상학적 개념에 대한 하버마스의 정의(Habermas 1989년)는 사람, 대인관계 커뮤니케이션, 사회 차원의 사회 활동을 명시적으로 고려한다. 생활 세계는 이러한 수준의 상호작용을 개인의 살아있는 경험에 통합한다(Edgar 2006). 그의 작업의 주요 부분은 생활세계의 이 관점이 사회와 시스템으로서의 관점이 어떻게 상호작용을 하는가에 관한 것이다.

Communicative action occurs through the pursuit of different knowledge interests within the life world. Habermas definition of the phenomenological concept of the life world (Habermas 1989) explicitly considers social activities at the level of person, interpersonal communication, and society. The life world integrates these levels of inter-action into the lived experience of individuals (Edgar 2006). A major part of his work is how this view of a lifeworld interacts with the view of society as a system,


그의 사고의 "비판적인" 측면은 사회 정의의 문제와도 관련이 있다. 특히, 그것은 소아 발달의 피아제 시스템이라기 보다는 [실천 공동체]의 교육학적 틀에 들어맞는다. 이러한 모든 이유들로 인해, 그것은 전문교육의 실행에서 이슈를 탐구하는 플랫폼으로서 합리적인 선택을 한다.

The “critical” aspect of his thinking also relates to issues of social justice. Of particular note, it fits within a pedagogical framework of communities of practice rather than a Piagetian system of childhood development. For all these reasons it makes a reasonable choice as a platform to explore issues in the practice of professional education.


하버마시안적 관점은 중요한 결과를 가져온다. 

  • 첫째로, 지식 관심사 이론은 선택된 프레임워크가 질문되는 질문에 적합한지에 대한 질문을 허용한다. 

  • 둘째로, 의사소통 작용 이론은 그 과정의 integrity을 고려함으로써 담화의 질을 평가하기 위한 기준을 제공한다

  • 마지막으로, 의사소통과 변화의 명시적인 연계는 담론의 결과를 이해하는 틀을 제공한다.

A Habermasian perspective has important consequences. 

  • Firstly, the theory of knowledge interests allows the question as to whether the framework chosen is appropriate for the question being asked. 

  • Secondly the theory of communicative action provides criteria for the evaluation of the quality of a discourse by considering the integrity of its process. 

  • Finally, the explicit linkage of communication and change provides a framework for understanding the consequences of the discourse.


서로 다른 지식 관심사가 서로 다른 담론으로 간주될 수 있지만 상당한 중복이 있다. 이러한 이유로 우리는 하버마스의 의사소통 행동 이론 내에서 다른 지식 관심사를 프레임워크나 프레임으로 언급할 것이다. 하버마스 지식 관심사를 둘러싼 용어는 다음과 같이 align된다.

  • 기술적, 도구적, 과학적, 실증적 관심사, 

  • 언어적-커뮤니케이션적, 실용적 관심사, 그리고 

  • 비판적-감정적 관심사 또는 개선 관심사

Different knowledge interests can be considered as different discourses but there are substantial overlaps; for these reasons we will refer to different knowledge interests within Habermas’ theory of communicative actions as frameworks or frames. The terminology around Habermas knowledge interest has varied with the alignment of 

  • a technical, instrumental, scientific, positivist interest; 

  • a hermeneutic-communicative, pragmatic interest; and 

  • a critical-emancipatory or improvement interest. 


비판적 관심사를 개선과 비판 프레임으로 나누는 것은 이러한 개념을 건강 내에서 사용되는 언어로 번역한다. 일관성을 위해 기술적, 의사소통적, 개선적 및 중요한 프레임이라고 한다.

The division of a critical interest into both improvement and critical frames translates these concepts into language used within health. For consistency these will be termed, for this purpose: technical, communicative, improvement, and critical frames.


전문성은 의사소통 작용의 관점에서 논증한다.

Professionalism discourses from the point of view of communicative action


전문성 담론에 대한 Hodges 외 연구진(2011)은 한 축의 범위(개인적, 대인관계적, 사회적)와 인식론(다른 축의 경우 실증론자 대 구성론자)에 의해 만들어진 여섯 가지 잠재적 담론을 확인했다.

Hodges et al. (2011) consideration of professionalism discourses identified six potential discourses created by their matrix of scope (personal, interpersonal, and social) on one axis and epistemology (positivist versus constructivist on the other).


테크니컬 프레임

Technical frame


[개별적 특성이나 관찰 가능한 행동의 집합으로서 전문성]에 대한 논의는 실증주의적/객관적 담론 및 기술적 프레임과 일치한다. 개념과 결과는 일치하며 주요 특징은 측정 가능한 관찰에 대한 요건이다. 개인은 과학 법칙의 적용을 받으며, 그 필요성은 변수를 식별하고 기술하는 것이다. 이것은 이타주의 같은 인격적 특성을 측정하고 전문적 행동과의 관계를 모색하기 위해 사용되어 온 방법론이다. 이것에 대한 적절한 메타포는 척도scale이다. 의대 진학을 위해 선택할 수 있는 성격적 특성의 활용이 그 예다.

The discussion of professionalism as an individual trait or set of observable behaviors fits in with the positivist/objective discourse and a technical frame. The concepts and consequences align and a key feature is the requirement for measurable observations. An individual is subject to scientific laws and the need is to identify and describe the variables. This is the methodology that has been used to measure personality traits such as altruism and seek relationships with professional behaviors. The metaphor is the scale. An example is the use of personality traits to select for entry into medical school.


의사소통 틀

Communicative frame


호지스 외 연구진(2011)은 개인간 전문성 담론의 두 가지 유형을 설명하였다.

Hodges et al. (2011) have described two types of inter-individual professionalism discourses. 


첫번째 것은 개인간 프로세스 담론이라고 불렸다. 여기서 개인은 다른 사람에 대한 반응을 선택하기 위해 사용하는 일련의 [사회 인식 과정]을 가지고 있다. 이곳의 시스템은 대인관계지만, 그 주장은 행동이 충분하지 않고 맥락과 동기를 이해할 필요가 있다는 것이다. 이것은 해석이 필요하며 의사소통 틀과 일치한다. 그 예가 프로페셔널리즘의 오류를 발생시키는 맥락 안에서 이해해야 하는 방법이며, [관계된 사람과 환경 사이의 상호작용]의 산물이다.

The first one was termed as an inter-individual process discourse. Here an individual has a set of socio-cognitive processes which they use to select responses to others. The system here is interpersonal but the argument is that behaviors are not sufficient and that context and motivations need to be understood. This requires interpretation and is consistent with a communicative frame. An example is the way in which lapses in professionalism need to be understood within the context in which they arise and are a product of the interaction between the people involved and the environment.


두 번째 유형의 개인간 담론은 구성주의자라고 불린다. 이 담론은 또한 의사소통 틀과 일치한다. 전문직업성은 개인이 가진 개념으로부터 구성되며, 그 개념은 부분적으로 행동을 통해서 반영된다는 생각이 그 예다.

The second type of inter-individual discourse is termed constructivist. This discourse also aligns with a communicative frame. An example is the idea that professionalism is constructed out of concepts held by an individual that is partially reflected by behaviors.


그러므로 학생은 전문적으로 행동할 수도 있지만 인종차별주의자가 될 수도 있다. 두 분류 모두에서 의미는 대인관계 상호작용을 통해 구성된다. 대인관계 담론에서의 핵심 권고사항은 [실천에서의 행동, 판단의 맥락과 환경에 대한 인식, 그리고 "군중의 지혜"에 대한 의존]으로 요약할 수 있다. 이것들은 헤르메네틱스에 초점을 맞추고, 동료의 판단에 초점을 맞추고, 이상적인 의견 교환을 위한 조건들을 만들어내는 하버마스의 의사소통 틀에 대한 이해에 적합하다. 이 프레임에서의 메타포는 대화다.

Thus a student might behave professionally, but be racist. In both classifications meaning is constructed through interpersonal interactions. The key recommendations for an interpersonal discourse can be summarized as a focus on behaviors in practice, an acknowledgement of context and environment in making judgements, and the reliance on the “wisdom of the crowd”. These fit within Habermas understanding of a communicative frame with a focus on hermeneutics, collegial judgement, and creating conditions for an ideal exchange of views. The metaphor is the conversation.


이 프레임은 프로그램 평가의 전문성 판단에 대한 담론에 의해 입증된다(van der Vleuten et al. 2012). 평가 프로그램에서 프로페셔널리즘은 해석이 필요하며 관찰과 데이터를 기반으로 하지만 전문가 커뮤니티의 지혜를 통해 해결된다.

This frame is demonstrated by the discourse around judgement of professionalism in programmatic assessment (van der Vleuten et al. 2012). In a program of assessment, professionalism is a judgement, which requires interpretation and is based on observations and data, but is resolved through the wisdom of a community of experts.


비판적 프레임

Critical frame


구성주의적 담론은 사회문화적 관점에서도 적용될 수 있다. 이 담론은 전문성의 구성적 특성과 도덕과의 관계를 예로 들어 문화간의 전문성 차이와 시간 경과에 따른 전문성의 차이를 강조한다. 이것은 프로페셔널리즘의 구성적 성격이 그것을 비평의 대상으로 열어두는open it up, 특히 권력의 영향과 관련된 비판적 프레임과 잘 들어맞는다. 시스템에 대한 변화와 비판에 대한 이러한 요구를 나타내는 메타포는 바로 시위protest다. 이것의 한 예는 보다 공평한 건강 시스템이나 난민들의 건강을 옹호하는 것이 의사의 전문적인 책임이라는 견해일 수 있다.

The constructivist discourse can also be applied from a socio-cultural perspective. This discourse emphasizes the constructed nature of professionalism and its relation to morality-using as an example the differences in professionalism between cultures and over time. This fits well with a critical frame where the constructed nature of professionalism opens it up to critique, particularly relating the influence of power. A metaphor which represents this demand for change and critique of systems is the protest. An example of this might be the view that it is the professional responsibility of the physician to advocate for a more equitable health system or for the health of refugees.


개선 프레임

Improvement frame


우리 시스템에서 점점 중요해지는 구성주의적 담론의 구체적인 한 가지 실행방식은 [전문성과 관리 질 향상]에 관한 담론이다(Taylor 1996). 이것은 또한 비판적인 시각과 맞아떨어지지만 변화에 대한 수요는 특정한 목적에 집중되어 있다. 소통과 합의와 공감대를 위한 자료를 필요로 하기에, 적절한 메타포는 합의회의consensus conference다. 여기서의 예는 낭비적인 관행에 대한 합의를 통해 치료의 가치를 향상시키려는 시도가 있는 현명한 선택 캠페인(Casel 2012)일 수 있다.

A specific implementation of a constructivist discourse of increasing importance in our systems is the discourse around professionalism and improvement in the quality of care (Taylor 1996). This also fits with a critical perspective but the demand for change is focused on a particular purpose. There is the need for data and for communication and consensus, an appropriate metaphor is therefore the consensus conference. An example here might be the choosing wisely campaign (Cassel 2012) where there is an attempt to improve the value of care through consensus regarding wasteful practices.





하버마시안 프레임 채택의 시사점

Implications of adopting a Habermasian frame


[기술적 프레임]의 사용은 사실 실증주의적 담론과 동일하지만 주관주의적 담론을 위하여 [의사소통적 프레임]으로 대체하게 되면 몇 가지 새로운 가능성을 열어준다.

The use of a technical frame is effectively identical to a positivist discourse but the substitution of a communicative frame for a subjectivist discourse opens up several new possibilities.


[의사소통 프레임]은 효과적인 의사소통과 해석에 관한 것이다. 해석(hermeneutics)에 대한 초점은 내러티브과 해석의 담론에 연결된다. 내러티브은 의학 대화와 교육에서 중요한 요소로 인식된다(Greenhalgh 1999). 헤르메뉴틱스에 초점을 맞추면 문학의 해석 방식(의학문헌 포함)에 초점 차이가 생기며 전문적 실천을 결정하는 것은 상당 부분 텍스트라는 사실을 일깨워 준다.

A communicative frame is about effective communication and interpretation. A focus on interpretation (hermeneutics) connects to discourses of narrative and interpretation. Narrative is recognized as an important component of medical conversations and education (Greenhalgh 1999). A focus on hermeneutics brings into focus differences in the way literature (including the medical literature) is interpreted and reminds us that much of what determines professional practice are texts.


의사소통 작용 이론의 한 가지 기여는 그것이 의사소통 틀에 대한 어떤 기준을 정립한다는 것이다

One contribution of the theory of communicative action is that it establishes some criteria for a communicative frame. 


첫째로, 진실 주장이 평가될 수 있는 기준, 즉 "이상적인 언어 상황"; [관련된 모든 사람들이 참여할 수 있도록 허용되고, 어떤 사람이든 질문할 수 있고, 새로운 생각을 도입할 수 있고, 그들의 생각을 기꺼이 바꿀 수 있어야 한다]. 이러한 이상적인 상황들은 대인관계 구성으로서 전문성의 장애요인이 무엇인지 상기시켜주며, 이 프레임에서 권력이 하는 역할을 보여준다.

Firstly, there are criteria under which a truth claim might be evaluated, an “ideal speech situation”; everyone involved is allowed to take part; can question anything anyone says; can introduce new ideas; and is willing to change their mind. These ideal circumstances remind us of the barriers to professionalism as an interpersonal construct and highlight the role power plays in this frame.


둘째로, 개인의 진리 주장truth claim을 평가하는 방법에는 "발언이 이해할 수 있는 것인가, (정확한 의미에서), 옳고 도덕적으로 적절한가, 성실하게(또는 진실하게) 진술된 것인가"라는 기준이 있다. 담론 내 진실 주장에 대한 평가는 주관적인 정확성 주장에만 의존하는 것이 아니라, 저자의 진정성, 논거의 응집력, 제안의 윤리적 차원에 대한 관점으로 보완된다.

Secondly there are criteria for how to evaluate an individual truth claim “Is the utterance comprehensible, is it true (in the sense of accurate), Is it right and morally appropriate, is it sincerely (or truthfully) stated?”. Evaluations of truth claims within discourses do not depend just upon subjective claims of accuracy, they are supplemented by a view on the sincerity of the author, the cohesiveness of the argument, and the ethical dimension of the proposal.


두 접근법 사이의 또 다른 주요한 차이점은 사회 구성주의자에 대한 개선과 비판적 프레임이 가져오는 부가 가치다. 하버마스의 [비판적 지식 관심]은 사회적 개선을 위한 수단으로서 의사소통적 행동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전문성이 건강증진의 매개체라는 것이 질향상quality improvement을 둘러싼 담론의 전제가 되고 있다. [개선의 언어language of improvement]를 전문성 교육의 일부로 활용하는 것은 질적 향상과 교육의 담론을 연계하는 한 가지 방법으로서, 학습을 통한 돌봄의 질적 향상의 핵심 특징으로 인정받고 있다(Fox와 Bennett 1998).

Another major difference between the two approaches is the additional value brought by an improvement and critical frame over a social constructivist one. Habermas critical knowledge interest focuses on communicative action as a vehicle for social improvement. The premise of the discourse around quality improvement is that professionalism is a vehicle for improvement in health. Utilizing the language of improvement as part of education in professionalism is one way of linking the discourses of quality improvement and education, which is acknowledged as a key feature of improving quality of care through learning (Fox and Bennett 1998).


마찬가지로, [비판적 프레임]은 사회문화적 담론의 일부인 많은 윤리적, 권력적 문제를 강조한다. 또한 전문직업성을 사회 내에서 발생하는 형평성과 권력에 대한 더 넓은 논의와 연결시킨다. 전문직업성에 대한 비판적 프레임을 보다 광범위한 권력 담론에 연결하면 연예계 내 성희롱에 대한 발전이 전문성 담론에 즉각적으로 관련되게 된다는 것이 그 예다.

Similarly, the critical frame highlights many of the ethical and power issues which are part of a sociocultural discourse and links professionalism to broader discussion about equity and power occurring within society. An example is that linking a critical frame on professionalism to broader discourses of power makes developments against sexual harassment within the entertainment industry immediately relevant to professionalism discourses.


[비판적 프레임]과 [개선 프레임]이 만들어내는 차이점의 예는 최근 자기 및 환자 중심 치료의 발전에 반영되어 있다. 개선 프레임이 개인, 대인관계, 사회적 영역에 걸쳐 CanMEDS2015에 통합되어 자아, 환자에 대한 헌신, 직업에 대한 헌신, 사회에 대한 헌신이 그것이다. 그러나 전문직 종사자가 자신을 돌보는 것이 새로운 추가라는 점이 관심사다(Frank et al. 2015). 비판적 프레임을 사용하면, [자기 자신에 대한 돌봄]이라는 관점의 누락을 비판할 수 있다; 반대로 [자기 자신에 대한 돌봄]을 포함하면, 번아웃이 개개인의 문제이며, 회복탄력성의 부족과 관련되어 있는 현상이라고 가정한다고 비판할 수 있다. 번아웃의 문제는 똑같이 조직적 현상으로도 구성될 수 있기 때문이다. 이것은 논쟁적 이슈에 비판적 프레임을 가져오는 효용성의 예다. 자신에게 적용되는 비판적 틀은 변혁적 학습의 특징으로 부각되는 우리 자신의 기본 입장에 대한 깊은 자기 성찰의 형태를 나타낸다(Mezirow 1997).

Examples of the difference a critical and improvement frame makes are reflected in recent developments in self- and patient centered care. An improvement frame is integrated into CanMEDS2015 across the personal, interpersonal, and social domains as caring for self, commitment to patients, commitment to the profession, and commitment to society. But it is of interest that the professional caring for themselves is a new addition (Frank et al. 2015). Using a critical frame, the omission of caring for self can be critiqued as a missing perspective; inclusion of caring for self, can be critiqued as the assuming that burnout is an individual phenomenon, related to a lack of resilience. The problem of burnout can equally be constructed as an organizational phenomenon. This is an example of the utility of bringing a critical frame to the discussion of a contested issue. A critical frame applied to the self, represents a form of deep self-reflection on our own assumptions underlying positions that is highlighted as a feature of transformative learning (Mezirow 1997).


    • 전문성을 [대인관계 구조]로 보는 비판적 시각은 환자 중심성과 의사 환자 관계에서의 권력, 그리고 전문직간 관계에서의 팀 작업과 권력의 문제를 강조할 것이다

    • 전문성을 [사회적 담론]으로 볼 때의 비판적 프레임은 의학 담론의 불평등 문제, 예를 들어 의과대학 선발, 전문 조직의 성별 구성, 가족 휴가 옹호, 파트타임 근무 등을 강조할 것이다.

    • A critical view of professionalism as an interpersonal construction will highlight issues of patient-centeredness and power in physician patient relations and team work and power in inter-professional relations. 

    • A critical frame towards professionalism as a societal discourse will highlight the issues of inequities in medical discourse e.g. selection into medicine, gender composition of professional bodies, advocacy for family leave, and part time work etc.


Govaerts와 Van der Vleuten(2013)은 구성주의적-해석주의적 접근법을 제안했으며, 또한 문맥을 고려하고 정성적 연구와 유사한 접근법을 취할 필요성을 강조했고, 과정과 결과를 이해했다. 그것은 전문성이 다중적이고 상호의존적인 수준에서 복수의 렌즈나 파라미터를 통해 개념화되어야 한다는 이전의 담화 분석(Hodges et al. 2011)의 결론을 강화하고 이러한 관찰을 확장한다.

Govaerts and van der Vleuten (2013), have proposed a constructivist-interpretivist approach and also have highlighted the need to consider context and to take an approach more akin to qualitative research, understanding processes as well as outcomes. It strengthens the conclusions of previous discourse analysis (Hodges et al. 2011) that professionalism needs to be conceptualized at multiple and interdependent levels and through multiple lenses or parameters and extends these observations.


요약 및 결론

Summary and conclusions


프로페셔널리즘 담론은 인식론과 개인적, 대인관계적 또는 사회적 관점에 따라 이전부터 다양하게 묘사되어 왔다. 우리는 이 개념을 재검토하기 위해 하버마스의 [의사소통 작용 이론과 인식론적 분류]를 활용했다. [의사소통 작용 이론]은 질문의 본질에 인식론적 프레임을 일치시킬 수 있는 능력과 포스트 모던 사회의 지식, 행동 커뮤니케이션, 변화에 대한 폭넓은 대화로 통합되었기 때문에 선택되었다. [비판적-해방적 지식 관심사]는 전문성 내에서 서로 다른 담론을 반영하는 두 가지 요소 - 개선 프레임과 비판 프레임 - 로 나뉘었다. 이들은 변화가 가리키고 있는 목적과 관심ends and interests를 비판한다.

Professionalism discourses have previously been described as varying according to epistemology and a personal, interpersonal, or social perspective. We have utilized Habermas theory of communicative action and epistemological classification to reexamine this concept. The theory of communicative action was chosen due to its ability to match an epistemological frame to the nature of the question being asked and due to its integration into broader conversations about knowledge, action communication, and change in a post-modern society. The critical-emancipatory knowledge interest was divided into two components which reflected different discourses within professionalism; an improvement frame and a critical frame, which critiques the ends and interests to which change is directed.


전문성 담론에 4가지 다른 프레임(기술성, 의사소통성, 개선성, 비판성)을 적용하는 것은 이 프레임워크가 기존의 description보다 전문성의 비판적 담론에 더 잘 부합한다는 것을 강조하였다. 특히

  • 사소통 프레임은 해석과 의사소통의 담론에 연결되어 있다. 

  • 개선 프레임은 질 개선의 담론에 연결되어 있다

  • 판적 프레임은 (자기 관리 및 환자 중심 관리를 포함하여) 전문직업성의 형평성과 권력 담론에 연결되어 있다.

Applying four different frames (technical, communicative, improvement, and critical) to discourses of professionalism highlighted that this framework provided a better fit to the important discourses of professionalism than previous descriptions. In particular, 

  • the communicative frame is linked to discourses of interpretation and communication; 

  • the improvement frame to discourses of quality improvement, and 

  • the critical frame to discourses of equity and power within professionalism, including self-care and the 

  • patient centered care. 

특히 중요한 것은 전문성의 대인관계 담론에 대한 장벽, 특히 힘의 불균형을 강조하는 데 있어서 [이상적인 언어 상황]의 개념이었다.

Of particular importance was concept of an ideal speech situation in highlighting barriers, particularly power imbalance, to an interpersonal discourse of professionalism.


구성주의-해석주의자와 비교하여 하버마시안적 관점을 채택한 것은 호지스 외(2011년)에 의해 두드러진 것으로 확인된 몇 가지 문제를 다루었다. 지속적인 개선 문화가 필요하다는 권고를 해결하기 위해 개선 프레임의 도입이 시작된다. 중요한 프레임의 도입은 평가에서 기대와 관행이 틀에 박히거나 시행되는 특정 방법(문화, 세대, 젠더, 계층 등)의 우위에 대한 비판을 포함할 수 있다는 요건을 다루기 시작한다.

The adoption of a Habermasian perspective in comparison to a constructivist-interpretivist one has addressed several of the issues identified as outstanding by Hodges et al. (2011). Introduction of an improvement frame starts to address the recommendation that a culture of continuous improvement is required. Introduction of a critical frame starts to address the requirement that assessment may involve critiquing the dominance of certain ways in which expectations and practices are framed or enforced (cultural, generational, gendered, hierarchical, etc.).







. 2019 Jan;41(1):91-98.
 doi: 10.1080/0142159X.2018.1442565. Epub 2018 Mar 26.

Discourses of professionalism: Metaphors, theory and practice

Affiliations 

Affiliations

  • 1a Medical Education Unit , Gold Coast University Hospital and Health Service , Southport , Australia.
  • 2b Medical Education Unit, Christchurch School of Medicine & Health Sciences University of Otago , Christchurch , New Zealand.
  • 3c Department of Professional Development , Royal College of Physicians and Surgeons of Canada , Ottawa , Canada.

Abstract

Professionalism is a contested concept and different discourses have differed by scope and epistemology. The theory of communicative action integrates epistemology (knowledge interests) with that of scope (lifeworld).

Aim: To pragmatically inform learning of professionalism.

Methods: apply the theory of communicative action to professionalism discourses.

Results: Previous professionalism discourses translated into four frames: technical; communicative; improvement, and critical. These can be viewed as four metaphors the scale; conversation; consensus conference, and protest. The theory of communicative action demonstrated that a critical frame was often lacking from discussions of professionalism and emphasized critiquing the assumptions made, the way power was utilized, and the ends to which actions were directed. Using these frameworks connected discourses on professionalism to other key medical discourses particularly quality improvement, patient centeredness, social justice, and the professional well-being.

Conclusion: The theory of communicative action adds value by introducing criteria for the evaluation of individual truth claims that expands the discussion beyond accuracy to include sincerity, ethics and coherence; and it emphasizes promoting free speech and the inclusion of diverse views and stakeholders. The theory of communicative action provides a coherent and useful framework for viewing professionalism that integrates with broader discussions about philosophy, truth claims, and post-modern society.


의과대학에서 학생의 비-전문직업적 행동(UPB)를 어떻게 발견, 대응, 보고할 것인가? (Med Teach, 2019)

How to identify, address and report students’ unprofessional behaviour in medical school

Marianne Mak-van der Vossena , Arianne Teheranib , Walther van Mookc,d , Gerda Croiseta‡ and

Rashmi A. Kusurkara





도입 

Introduction


의사의 전문직업성은 의료의 질에 매우 중요하다. 의사에게 있어 전문가로서의 행동은 바람직한 조건일 뿐만 아니라 환자 안전을 보호하고 환자 치료 결과 개선에 필요한 것이다(Martinez et al. 2017). 이것은 의과대학과 관련이 있는데, 의과대학들은 학생들이 의사로서의 미래의 역할에 대비하기 때문이다.

Professionalism of doctors is crucial for the quality of health care. For a physician, behaving as a professional is not just a desirable condition, but also a requirement to safeguard patient safety and improve patient care outcomes (Martinez et al. 2017). This is relevant for medical schools, since they prepare students for their future roles as physicians.


파파다키스 외 2005년 학부 의학 훈련 중 비전문적인 행동이 의사로서의 비전문적 행동을 예측한다는 것을 보여주는 파파다키스의 정석적인 연구는 학부 교육에서 비전문주의에 대한 관대한 접근은 용납될 수 없다는 것을 분명히 한다.

Papadakis’s seminal study displaying that unprofessional behaviour during undergraduate medical training is predictive of unprofessional behaviour as a physician, makes clear that a permissive approach to unprofessionalism in undergraduate education is unacceptable (Papadakis et al. 2005).


의료 교육자는 전체 학생의 최대 20%에서 비전문적인 행동을 관찰하지만, 3–5%만 보고한다(Papadakis et al. 2005; Van Mook et al. 2010; Mak-van der Vossen et al. 2014). 이러한 불일치는 전문성 평가의 어려움을 반영하며, 종종 '실패' 현상으로 표시된다(Yepes-Rios et al. 2016).

Although medical educators observe unprofessional behaviour in up to 20% of all students, they only report 3–5% (Papadakis et al. 2005; van Mook et al. 2010; Mak-van der Vossen et al. 2014). This discrepancy reflects the difficulty in evaluating professionalism, and is often denominated as the ‘failure to fail’ phenomenon (Yepes-Rios et al. 2016).


Failure to fail의 이유로는 다음이 있다. 

  • 전문직업성에 대한 개념적 명확성의 결여 

  • 자기 판단의 주관성에 대한 우려 

  • 학생의 평판을 해칠까 봐 두려움

  • 적절한 교수 개발의 부족, 

  • 재교육 프로세스 및 그 결과에 대한 불확실성(Zing et al. 2018).

Probable reasons for the latter are: 

  • a lack of conceptual clarity about (un)professionalism in medical school, 

  • concern for the subjectivity of one’s judgment, 

  • fear of harming a student’s reputation, 

  • lack of appropriate faculty development, and 

  • uncertainty about the remediation process and its outcomes (Ziring et al. 2018).


학부 의대생의 비전문적 행동은 개인, 대인관계, 맥락적 또는 외부적 원인에 기인하여 동료 학생, 교사, 의료팀 및 환자에게도 영향을 미칠 수 있다(Lesser et al. 2010). 전문직업성 실수는 학습의 한 부분이기 때문에 교육자들은 이를 다룰 준비를 해야 한다(Levinson et al. 2014). 의학교육에서 암묵적이고 숨겨진 교과과정은 형식과 비공식적인 교과과정보다 전문성을 가르치는 데 더 강력하다(Hafferty 1998). 그러므로 교육자들은 (암묵적으로, 그리고 명시적으로) 학생들에게 비전문가주의를 다루는 법을 가르쳐야 한다.

Unprofessional behaviour of undergraduate medical students, either originating from personal, interpersonal, contextual or external causes, can have an impact on peer students, teachers, health care teams and also patients (Lesser et al. 2010). As professionalism lapses are a part of learning, educators should be prepared to deal with them (Levinson et al. 2014). The implicit, hidden curriculum in medical education is more powerful in teaching professionalism than the formal and informal curricula (Hafferty 1998). Thus, educators need to (both implicitly and explicitly) teach their students how to handle unprofessionalism.


더욱이, 비전문성 때문에 학생에게 unsatisfactory라는 평가가 내려졌다더라도, 이러한 행동을 교정하기 위해 무엇을 할 수 있는지 명확하지 않다(Papadakis et al. 2012). 그런 학생의 지도는 교직원의 자원, 시간, 노력에 타격을 준다. 의과대학은 명확한 전략을 채택하여 그러한 지침을 최적화할 수 있다.

Moreover, if an unsatisfactory evaluation has been given to a student because of unprofessionalism, it is not clear what can be done to remediate this behaviour (Papadakis et al. 2012). The guidance of such a student takes a toll on the resources, time and effort of faculty. Medical schools can optimize such guidance by adopting a clear strategy


의학 교육에서 '전문적이지 못한 행동'이란 무엇인가?

What is ‘unprofessional behaviour’ in medical education?


의료 전문직업성에 대한 다양한 정의의 본질은 [의사들이 환자의 신뢰를 얻기 위해 높은 윤리적, 도덕적 기준을 고수해야 하는 필요성]이다(스윅 2000).

The essence of the various definitions of medical professionalism is the necessity for physicians to adhere to high ethical and moral standards, in order to gain the trust of their patients (Swick 2000).


전문직업적인 행동을 보여주기 위해서는 특정한 상황에서 발생하는 딜레마를 다루기 위한 지식, 기술, 판단이 필요하다(van Luijk et al. 2010; Irby and Hamstra 2016).

Showing professional behaviour requires knowledge, skills, and judgment to deal with dilemmas that occur in specific situations (van Luijk et al. 2010; Irby and Hamstra 2016).


비전문직업적인 행동은 전문적인 정체성이 형성되는 이 과정에서 학생의 지도에 대한 필요성의 표시일 수 있다.

unprofessional behaviour may be a sign of the student’s need for guidance in this process of professional identity formation.


행동은 정의하고 관찰할 수 있기 때문에 전문직업성을 평가하는 가장 빈번한 방법은 전문적 행동을 관찰하는 것이다. 전문직업적 행동에 대한 평가 방법으로는 결정적 사건 보고서와 학생들의 행동에 대한 직접적인 관찰에 기초한 일상적인 평가가 있다.

As behaviours can be defined and observed, the most frequent way of assessing professionalism takes place through observing professional behaviour. Assessment methods for professional behaviour are critical incident reports, and routine evaluations based on direct observations of students’ behaviour,


  • 교육자나 또래 학생들이 작성한 중대 사건 보고서를 사용하여 조치를 보증하는 비전문적 행동을 식별할 수 있다. 이 조항은 성희롱, 협박, 표절 또는 공식 기록의 위조와 같은 추악하고 불법적인 행위에 필요하다. 그러한 행동은 보호관찰이나 해고와 같은 징벌적 대응을 요구한다.

Critical incidents reports by educators or peer students can be used to identify unprofessional behaviours that warrant action. This provision is necessary for egregious and unlawful behaviours, such as sexual harassment, intimidation, plagiarism or falsifying official records. Such behaviours call for punitive responses like probation or dismissal.


  • 예정된 교육 활동 중 평가의 경우, 형태 형성적 접근법과 총괄적 접근법을 결합하는 것이 권장된다(van Mook et al. 2010).

For assessments during scheduled educational activities, a combined formative and summative approach is recommended (van Mook et al. 2010).


형성적 평가를 사용하는 이유는 학생과 교육자 모두에게 부담stakes을 낮추기 위함이다. 전문적 행동을 형성적으로 처음 평가하는 또 다른 이유는 [행동의 관찰자 및 맥락 의존성]이다. 다른 맥락에서 학생의 관찰에 근거한 다른 평가자들의 의견을 결합하는 것, 즉 평가의 삼각측량은 타당한sound 총괄적 평가를 보장할 수 있다(van Mook et al. 2010).

A reason to use formative assessments is to lower the stakes for both the student and the educator. Another reason to initially assess professional behaviour formatively is the dependence of behaviour on observer and context. Combining the opinions of different assessors based on observations of the student in different contexts, so-called triangulation of assessments, can ensure a sound summative evaluation (van Mook et al. 2010).


학생의 비전문적 행동에 대한 설명자

Descriptors of students’ unprofessional behaviours


학부 의대생을 대상으로 한 영국의학총회(GMC)의 최근 지침은 학생의 전문직업성과 관련한 주요 관심분야에 대한 설명자를 제공한다(2016년 의총). 이 지침은 의료계에서 환자와 사회의 신뢰를 해칠 수 있는 학생 행동의 예를 설명한다. 주요 관심 분야는 다음과 같다. 

  • 지속적인 부적절한 태도 또는 행동 

  • GMP을 보여주지 못하는 경우 

  • 약물 또는 알코올 오용 

  • 부정행위 또는 표절 행위 

  • 부정직 또는 사기 

  • 공격적이거나 폭력적이거나 위협적인 행동

The recent version of the United Kingdom’s General Medical Council (GMC) guidance for undergraduate medical students provides descriptors of key areas of concern regarding students’ professionalism (General Medical Council 2016). The guidance describes examples of student behaviours that will undermine the trust of patients and society in the medical profession. The key concern areas are: 

  • persistent inappropriate attitude or behaviour; 

  • failing to demonstrate good medical practice; 

  • drug or alcohol misuse; 

  • cheating or plagiarizing; 

  • dishonesty or fraud; and 

  • aggressive, violent or threatening behaviour. 


이 지침은 의대 학생들은 의대 내부뿐만 아니라 외부에서도 전문적인 행동을 보여야 한다고 강조한다. 의과대학 밖에서의 비전문적 행동의 사례에는 술과 약물의 오남용이 있다.

The guidance stresses that medical students must display professional behaviour not only inside the medical school, but also outside. Examples of unprofessional behaviour outside the medical school refer to the misuse of alcohol and drugs.


'4 I'로 표시된 네 가지 고유한 범주 다음이 부족하다. 관여, 무결성, 상호작용 및 내성(Mak-van der Vossen et al. 2017) (그림 1 참조)

four distinctive categories, denominated as ‘the 4 I’s’. These are lack of: Involvement, Integrity, Interaction, and Introspection (Mak-van der Vossen et al. 2017) (see Figure 1).



비전문적 행동에 기여하는 요인

Factors contributing to unprofessional behaviour


비전문적 행동의 발생에 대한 트리거는 개인 문제, 대인관계 문제, 외부 요인 및 상황적 요인에서 발생할 수 있다(Hickson et al. 2007; Levinson et al. 2014). 기여 요인의 예는 표 1을 참조하십시오.

Triggers for the occurrence of unprofessional behaviour can originate from personal issues, interpersonal issues, external factors and contextual factors (Hickson et al. 2007; Levinson et al. 2014). See Table 1 for examples of contributing factors


표 1. 비전문적 행동의 발생과 관련된 요인의 예.

Table 1. Examples of factors involved in the occurrence of unprofessional behaviour.


인적 요인

  • 역량결손 (Levinson 등 2014)

  • 학습 장애(Hays et al. 2011, Guerrasio et al. 2014)

  • 정신 건강 문제(예: 우울증, 자폐 스펙트럼 유형 증상, 성격 장애(Bennett et al. 2005; Hickson et al. 2007; Hays et al. 2011; Levinson et al. 2014)

  • 신체 건강 문제(Parker et al. 2008; Levinson et al. 2014)

  • 약물 남용 (Bennett et al. 2005; Hickson et al. 2007; Guerrasio et al. 2014; Levinson et al. 2014)

  • 의대에 대한 동기부여 부족(테헤라니 외). 2009)

  • 충족되지 않은 니즈(피로, 배고픔) (Levinson 등 2014)

Personal factors

  • Competency deficits (Levinson et al. 2014)

  • Learning disabilities (Hays et al. 2011, Guerrasio et al. 2014)

  • Mental health issues (e.g. depression, autism spectrum type symptoms, personality disorders (Bennett et al. 2005; Hickson et al. 2007; Hays et al. 2011; Levinson et al. 2014)

  • Physical health issues (Parker et al. 2008; Levinson et al. 2014)

  • Substance abuse (Bennett et al. 2005; Hickson et al. 2007; Guerrasio et al. 2014; Levinson et al. 2014)

  • Lack of motivation for medical school (Teherani et al. 2009)

  • Unmet needs (fatigue, hunger) (Levinson et al. 2014)


대인관계 요인

  • 다른 문화적 기대치(Parker et al. 2008; Hays et al. 2011; Banhoorn et al. 2017)

  • 위계 (Levinson 등 2014)

  • 역할 및 책임에 대한 이해 부족(Parker et al. 2008; Hays et al. 2011; Levinson et al. 2014)

  • 의사소통 부족 (Guerrasio et al. 2014; Levinson et al. 2014)

  • 언어 장애(Levinson et al. 2014; Banhoorn et al. 2017)

  • 열악한 조직화 능력(Hayes et al. 2011; Guerrasio et al. 2014)

Interpersonal factors

  • Different cultural expectations (Parker et al. 2008; Hays et al. 2011; Barnhoorn et al. 2017)

  • Hierarchy (Levinson et al. 2014)

  • Poor understanding of roles and responsibilities (Parker et al. 2008; Hays et al. 2011; Levinson et al. 2014)

  • Poor communication (Guerrasio et al. 2014; Levinson et al. 2014)

  • Language difficulties (Levinson et al. 2014; Barnhoorn et al. 2017)

  • Poor organizational skills (Hays et al. 2011; Guerrasio et al. 2014)


외부 요

  • 심리사회적 스트레스 요인(Hickson et al. 2007; Parker et al. 2008; Hays et al. 2011; Guerrasio et al. 2014)

  • 가족 문제(Hickson et al. 2007; Hays et al. 2011; Levinson et al. 2014)

  • 재정적 어려움 (Parker et al. 2008; Hays et al. 2011; Levinson et al. 2014)

External factors

  • Psychosocial stressors (Hickson et al. 2007; Parker et al. 2008; Hays et al. 2011; Guerrasio et al. 2014)

  • Family problems (Hickson et al. 2007; Hays et al. 2011; Levinson et al. 2014)

  • Financial challenges (Parker et al. 2008; Hays et al. 2011; Levinson et al. 2014)


맥락적 요인

  • 불분명한 표준 (Hickson 등 2007)

  • 관료적 조직(Hickson et al. 2007; Levinson et al. 2014)

  • 높은 기대치, 높은 작업 부하(Hickson et al. 2007; Levinson et al. 2014)

  • 전문성을 장려하지 않는 학습 환경 (Hickson et al. 2007).

  • 부적절한 감독 (Levinson 외 2014)

  • 부적절한 롤모델링 (Hickson et al. 2007)

  • 나쁜 행동에 보상하는 문화 (Hickson et al. 2007; Levinson et al. 2014)

Contextual factors

  • Unclear standards (Hickson et al. 2007)

  • Bureaucratic organization (Hickson et al. 2007; Levinson et al. 2014)

  • High expectations, high workload in medical school (Hickson et al. 2007; Levinson et al. 2014)

  • Learning environment does not encourage professionalism (Hickson et al. 2007)

  • Inadequate supervision (Levinson et al. 2014)

  • Poor role modeling (Hickson et al. 2007)

  • Culture that rewards bad behaviour (Hickson et al. 2007; Levinson et al. 2014)


교육자들은 전문직업적 실수를 보여주었다고 해서 그 학생을 '전문성이 없는' 사람으로 낙인찍는 데 사용되어서는 안 된다는 것을 명심할 필요가 있다. 대부분 선한 학생들도 일시적으로 눈앞의 전문직업적 도전을 관리할 수 있는 기술이나 태도가 부족하거나, 그들이 운영하는 맥락은 전문성을 장려하거나 촉진시키지 않는다(Lucey and Suba 2010). 구조적인 비전문성은 훨씬 덜 흔하지만, 삼각형 평가의 프레임워크를 사용하여 더 긴 기간에 걸쳐 학생들을 종방향으로 평가할 때 드러날 수 있다(van Mook et al. 2010).

Educators need to keep in mind that the display of a professionalism lapse should not be used to label a student as an ‘unprofessional’ person. Mostly, students with good intentions temporarily lack the skills or attitudes to manage the professionalism challenge in front of them, or the context in which they operate does not encourage or facilitate professionalism (Lucey and Souba 2010). Structural unprofessionalism is thus far less common, but can be revealed when assessing students longitudinally over longer periods of time, using a framework of triangulated assessments (van Mook et al. 2010).


비전문적 행동에 대한 프로파일

Profiles of unprofessional behaviour


의료 전문성은 행동을 관찰함으로써 평가할 수 있다. 다양한 연구자들이 이러한 행동을 범주나 패턴으로 분류해 왔다.

Medical professionalism can be assessed by observing behaviours. Various researchers have grouped such behaviours into categories or patterns


따라서 전문적이지 않은 행동을 그룹화하면 독특한 행동 프로파일을 얻을 수 있다. 학생 행동의 연구 결과 프로파일은 학생의 성찰성과 적응성의 두 가지 요인에 기초한다(그림 2 참조).

Grouping unprofessional behaviours thus yields distinctive behavioural profiles. Research-generated profiles of student behaviours are based on two factors: the student’s reflectiveness and their adaptability (see Figure 2).


성찰적 행동( 피드백과 이를 미래 행동에 포함시킬 의지와 능력에 대한 경청)은 이러한 프로파일의 기초가 되는데, 이는 교육자들이 denominate하는 흔한 참여 행동common engagement behavior보다 학생의 미래 전문성을 더 잘 예측하기 때문이다(Mak-van der Vossen et al. 2016; Hoffman et al. 2016; Krzaniak et al. 2017). 아인스워스와 스조터 2018).

Reflective behaviour (listening to feedback and willingness and ability to incorporate it in future behaviour) is the basis of these profiles, as it predicts the future professionalism of a student better than the common engagement behaviours educators tend to denominate (Mak-van der Vossen et al. 2016; Hoffman et al. 2016; Krzyzaniak et al. 2017; Ainsworth and Szauter 2018).



비전문적 행동에 대한 교육자의 대응을 촉진하는 방법

How to facilitate educators’ responses to unprofessional behaviour


Barron에 의한 기대-가치-비용 모델은 특정 행동을 하거나 하지 않는 동기는 다음의 균형에 근거한다고 설명한다. 

  • 그 과업에서 성공할 수 있는 기대치 (내가 할 수 있는가?) 

  • 업무에 관여하는 것으로 인식되는 가치(내가 하고 싶은가?) 

  • 작업에 참여하는 데 드는 비용(내가 하지 못하게 만드는 장벽이 있는가?) (Barron et al. 2015).

The Expectancy-Value-Cost model by Barron describes that a person’s motivation to engage or not engage in a certain task is based on the balance of 

  • the expectancy of being successful in that task (Can I do it?), 

  • the perceived value of engaging in the task (Do I want to do it?) and 

  • the costs of engaging in the task (Are there barriers that prevent me from doing it?) (Barron et al. 2015).


(표 2 참조).

(see Table 2).


이 모델이 학생들의 비전문적 행동에 대응하려는 교육자들의 동기에도 적용된다고 가정하면, 교육자들이 학생들의 비전문적 행동에 대응하도록 하기 위한 두 가지 주요 전략은 다음과 같다. 

  • (i) 교수 개발을 통해 교육자의 개인적 능력과 자질을 강화해야 한다. 

  • (ii) 조직 정책을 강화하여 평가 절차를 완화하고 교정조치 결과를 개선한다.

Assuming that this model also applies to educators’ motivation to respond to unprofessional behaviour of students, The two main strategies to facilitate educators to respond to unprofessional behaviour of students are 

  • (i) strengthening educators’ personal skills and qualities through faculty development, and 

  • (ii) strengthening organizational policies to mitigate the assessment procedure and improve remediation outcomes.



의대생들의 비전문적인 행동에 대해 교육자들은 어떻게 대응해야 하는가?

How should educators respond to medical students’ unprofessional behaviour?


보고된 비전문적 행동에 대한 대응은 이론적으로 Vanderbilt '파괴적 행동 피라미드'(Hickson et al. 2007)와 같은 졸업된 접근방식으로 설명된다. 최근 의대생들의 성공과 실패의 5개 영역(Ellway et al. 2018)이 제시되고 있다. 그러한 모델의 기본 철학은 학생들이 성장하고 발전하고 있으며, 때로는 실패하기도 한다는 것인데, 이것은 그들에게 도움이 필요하다.

Responding to reported unprofessional behaviour is theoretically described as a graduated approach, e.g. in the Vanderbilt ‘disruptive behaviour pyramid’ (Hickson et al. 2007). Recently, five zones of success and failure for medical students have been presented, including failure in professionalism (Ellaway et al. 2018). The basic philosophy of such models is that students are growing and developing, and sometimes fail, for which they need help.


징벌적 조치는 교정조치에도 불구하고 학생이 개선되지 않는 상황까지는 유보된다(Lucey and Souba 2010). 비전문성 처리를 위한 로드맵은 

  • (i) 탐색과 이해, 

  • (ii) 교정, 

  • (iii) dismissal를 위한 증거 수집(Mak-van der Vossen et al. 2019)의 3단계로 구성된다(그림 3 참조).

Punitive actions are reserved for those instances in which a student does not improve, despite remediation (Lucey and Souba 2010). A road map for handling unprofessionalism includes three phases: 

  • (i) Explore and understand, 

  • (ii) Remediate, and 

  • (iii) Gather evidence for dismissal (Mak-van der Vossen et al. 2019) (see Figure 3).


탐색 및 이해

Explore and understand


한 학생이 비전문적 행동으로 지목된 후에는 전문직업성 교정 감독관(PRS)이 해당 학생을 초청해 실수에 대한 대화를 나눈다. Jha는 학생들의 비전문적 행동을 탐구하고 이해하는 데 계획적 행동 이론을 사용할 수 있음을 증명했다(Jha et al. 2016). 이 이론은 학생의 궁극적인 행동이 다음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

    • 행동과 그 결과 대한 의도와 신념

    • 주관적 규범, 그리고 

    • 인지된 행동 통제

After a student has been cited for unprofessional behaviour, a professionalism remediation supervisor (PRS), invites the student for a conversation about the lapse. Jha demonstrated that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ur can be used to explore and understand students’ unprofessional behaviour (Jha et al. 2016). This theory encompasses that a student’s ultimate behaviour is influenced by 

    • intentions and beliefs about the behaviour and its outcomes, 

    • the subjective norm, and 

    • the perceived behavioural control.


'양파 모델'은 환경, 행동, 역량, 신념, 정체성, 그리고 중심에서 임무(Barnhoorn et al. 2019)의 계층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모델을 바탕으로 학생과의 대화에서 출제해야 할 10가지 질문을 요약한다(표 3 참조).

the ‘Onion model’,consisting of the following layers: environment, behaviour, competencies, beliefs, identity, and, in the center, mission (Barnhoorn et al. 2019). Based on these models, ten questions to be posed in a conversation with the student are summarized (see Table 3).



대부분의 학생들에게, 이 접근방식은 미래의 비전문적인 행동을 예방하기에 충분하다. 더욱이, 이러한 대화들은 학생들의 비전문적 행동에 대한 (숨겨진) 조직적 및 상황적 원인에 대한 중요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으며, 조직은 다시 이 정보를 활용할fed back 수 있다(Lesser et al. 2010; Rougas et al. 2015).

For most students, this approach is sufficient to prevent future unprofessional behaviour. Furthermore, these conversations can yield important information about (hidden) organizational and contextual causes for students’ unprofessional behaviour that can be fed back into the organization (Lesser et al. 2010; Rougas et al. 2015).


교정 

Remediate


이 단계는 [반복적인 비전문적인 행동을 보일 때] 또는 학생과 PRS 모두 [미래의 비전문적인 행동을 막기 위해 특정한 결함을 채우기 위해 추가적인 가르침이 필요하다는 것을 인정할 때] 시작된다. (비록 때로는 비공식적 또는 공식적 경고나 보호관찰과 같은 징벌적 조치가 필요하다고 생각되지만), 대체로 접근방식은 교육적이다(Howe et al. 2010). PRS는 학생과 협력하여 근본 원인에 대한 가정과 학생의 역량에 맞춘 교정조치 계획을 수립한다.

This phase starts when the unprofessional behaviour appears to be repetitive, or when both student and PRS acknowledge that additional teaching is needed to fill in certain deficiencies to prevent future unprofessional behaviour. The approach is mainly pedagogical, although sometimes also punitive actions are deemed necessary, such as an informal or formal warning, or probation (Howe et al. 2010). The PRS, in collaboration with the student, creates a remediation plan that is tailored to the supposed underlying cause, and the student’s capacities.


재교육 방법으로는

    • 재교육 과제 또는 커리큘럼, 

    • (스스로 선택한) 역할 모델에 매칭 

    • 개인 멘토링 및 코칭/컨설팅 

    • 시뮬레이션된 상황에서 의도적인 연습과 피드백 

    • 반복적인 부분/전반적인/반복적인 관계 

    • 사회봉사. 

    • 정신 건강 평가/평가

pedagogical measures from 

    • remediation assignments or curricula, 

    • matching to a (self-chosen) role model, 

    • individual mentoring and coaching/counseling, 

    • deliberate practice and feedback in simulated situations, 

    • repeating part/all of course/clerkship, 

    • community service, up to 

    • mental health evaluation/treatment (Bennett et al. 2005; Levinson et al. 2014; Guerrasio et al. 2014; Ziring et al. 2015; Kalet et al. 2016).


모든 대책은 학생이 [학습목표에 도달]하도록 지원하고, [전문지식과 (상호)개인적 능력을 향상]시키며, [전문성 가치에 대한 통찰력을 창출]하기 위한 것이다. 이것은 가급적 학교 내의 전문 교수진 또는 학교 밖의 전문가들에 의해 개별적인 관계를 통해 이루어진다. 때로는 교정조치가 의무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해 보이기도 하지만, 이는 학생이 행동하기로 결정하거나 하지 말아야 하는 사람이기 때문에 달성하기가 어렵다. 그러므로, [기대수준이 명확하게 제시]되어야 하며, 잘 해봐야 [기대치를 달성할 수 있는 강력한 조언을 주는 정도]일 수 있다. 궁극적으로 교정조치의 효과는 주어진 시간 내에 정규 교육과정에서의 추가 평가에 의해 확인established되어야 한다(Bennett et al. 2005; Guerrasio et al. 2014; Kalet et al. 2016). 시간 경과에 따른 학생의 진도는 PRS에 의해 모니터링되어야 한다(Zing et al. 2015).

All measures are intended to support the student in reaching his/her learning objectives, to improve professionalism knowledge and (inter)personal skills, and to create insight into professionalism values. This is preferably done through an individual relationship by specialized faculty within the school, or by specialists outside the school. Although it sometimes seems desirable that remediation measures are mandatory, this is difficult to accomplish, since the student is the one who should decide to act or not. Thus, expectations must be set out clearly and at most a strong advice can be given how to attain them. Ultimately, the effect of the remediation has to be established by further assessment in the regular curriculum, within a given time frame (Bennett et al. 2005; Guerrasio et al. 2014; Kalet et al. 2016). The student’s progress over time should be monitored by the PRS (Ziring et al. 2015).


전문성 교정조치는 학문적 지식과 기술 부족의 교정조치보다 훨씬 더 많은 교직원의 시간과 노력을 필요로 한다(Guerrasio et al. 2014). 이것은 재교육 조치 교사들을 위한 특정한 교수진 개발을 요구한다.

Professionalism remediation takes far more faculty time and effort than remediation of academic knowledge and skills deficits (Guerrasio et al. 2014). This calls for specific faculty development for remediation teachers.


해고를 위한 정보 수집

Gather information for dismissal


모든 학생이 직업적 정체성을 강하게 발달시키는 것은 아니다. 교정조치에 refer된 전체 학습자의 2% 미만인 소수의 학생들은 반성과 개선을 충분히 보여주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나고, disavowing behavior에 해당하는 행동을 보여준다.

Not every student develops a strong professional identity. A handful of students, less than 2% of all learners referred for remediation, appears to insufficiently demonstrate reflectiveness and improvement, showing the profile of disavowing behaviour, as evidenced by a structural pattern of unprofessional behaviour despite remedial teaching (Bennett et al. 2005; Guerrasio et al. 2014)., 


특히 (미래) 환자 진료가 위태로울 경우 교직원은 의료계의 게이트키퍼 역할을 해야 한다. 이때 기관 정책 문서에 명시된 매우 명확한 절차를 통해 [해고를 위해 강력한 증거를 모아야 하는 최종 단계]가 시작된다. 이 단계에서는 교정조치가 계속될 수 있지만, 이 때 노력의 주된 목표는 학생을 의료계로 인도하는 것에서 학생을 의료계 밖으로 인도하는 것으로 전환된다.

Especially if (future) patient care is potentially compromised, faculty must take their role as gatekeepers of the medical community. That’s when the final phase commences, in which strong evidence has to be gathered for dismissal, through very clear processes that are specified in the institutional policy documents. Although remediation may continue in this phase, the main goal of the effort has changed from guiding the student into the medical community to guiding the student out of it. 


따라서 평가 결과는 신중하게 문서화되어야 한다. 이해 상충을 피하기 위해, 이 최종 단계에서 학생의 과정과 지도에 대한 책임은 교정조치 교사에서 전문성 진행 위원회(Mak-van der Vossen et al. 2019)와 같은 기관 내의 다른 사람으로 옮겨져야 한다.

Therefore, assessment outcomes have to be documented carefully. To avoid conflicts of interest, in this final phase the responsibility for the process and guidance of the student should be shifted from remediation teachers to other people within the institution, e.g. a Professionalism progress committee (Mak-van der Vossen et al. 2019).


실무에 대한 의미

Implications for practice


실수는 학습의 일부분이며, 교사와 학생 사이의 실수에 대해 논하는 것은 학생들의 직업적 정체성 형성을 효과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Lucey and Suba 2010). 따라서 미래의 실수를 방지하기 위해 비전문적 행동에 대응하는 것은 정상적인 교육 과정의 일부가 되어야 한다(Kalet et al. 2017).

Lapses are a part of learning, and discussing lapses among teachers and students can effectively enhance students’ professional identity formation (Lucey and Souba 2010). Thus, responding to unprofessional behaviour to prevent future lapses should be part of the normal curriculum (Kalet et al. 2017).


학생뿐만 아니라 교사들도 프로답지 못한 행동을 보일 수 있다. 그렇기 때문에 이상적으로는 교육자와 학생이 협력하여 전문성 가치가 개발된다(O'Brien et al. 2017). 두 그룹에 대한 프로페셔널리즘 기대치가 일치한다면 학생의 프로페셔널리즘과 교사의 프로페셔널리즘은 같은 기준으로 평가할 수 있다.

Not only students, but also teachers may display unprofessional behaviours. That’s why, ideally, professionalism values are developed in collaboration between educators and students (O’Brien et al. 2017). If professionalism expectations for both groups align, professionalism of students, and professionalism of teachers can be evaluated using the same standards.


특히 '시스템 길들이기' 행태는 더 많은 연구가 필요하다. 그것은 학습 과정의 한 단계인가? (Neve et al. 2016). 아니면 가치관이 아닌 행동에 광범위하게 초점을 맞춘 결과인가?

Especially, ‘gaming the system’ behaviour needs further research. Is it a phase in the learning process? (Neve et al. 2016). Or is it a result from an extensive focus on behaviours, instead of on values?


결론 

Conclusion


부적절한 전문직업적 행동은 증상이지 진단이 아니다. 서로에게 피드백을 주고, 비전문주의에 대해 이야기함으로써 학생과 교육자 모두 잠재적으로 배울 수 있다. 비전문성은 (미래) 환자 치료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용납되지 않는다는 것을 학생들은 배울 수 있다. 교육자들은 교육적 맥락에서 의대생들의 전문적인 행동을 지원하기 위해 어떤 요소들이 영향을 받아야 하는지를 배울 수 있다.

Poor professional behaviour is a symptom, not a diagnosis. By giving feedback to each other, and talking about unprofessionalism both students and educators can potentially learn. Students can learn that unprofessionalism is not tolerated, since it has a negative effect on (future) patient care. Educators can learn which factors in the educational context need to be influenced to support professional behaviour of medical students.




Barnhoorn PC, Houtlosser M, Ottenhoff-de Jonge MW, Essers G, Numans ME, Kramer AWM. 2019. A practical framework for remediating unprofessional behavior and for developing professionalism competencies and a professional identity. Med Teach. 41(3): 303–308.


Byyny, R. L., Papadakis, M. A., Paauw, D. S. editors 2015. Medical professionalism: best practices. Cambridge (MA): Alpha Omega Alpha Honor Medical Society.


Ellaway RH, Chou CL, Kalet AL. 2018. Situating remediation: Accommodating success and failure in medical education systems. Acad Med. 93(3):391–398.


O’Brien BC, Bachhuber MR, Teherani A, Iker TM, Batt J, O’Sullivan PS. 2017. Systems-oriented workplace learning experiences for early learners: three models. Acad Med. 92(5):684–693.


Kalet A, Chou CL, Ellaway RH. 2017. To fail is human: remediating remediation in medical education. Perspect Med Educ. 6(6): 418–424.


Mak-van der Vossen MC, de la Croix A, Teherani A, Van Mook W, Croiset G, Kusurkar RA. 2019. A roadmap for attending to medical students’ professionalism lapses. Acad Med. 94(4):570–578.













. 2020 Apr;42(4):372-379.
 doi: 10.1080/0142159X.2019.1692130. Epub 2019 Dec 27.

How to identify, address and report students' unprofessional behaviour in medical school

Affiliations 

Affiliations

  • 1Department of Research in Education, Faculty of Medicine VU University Amsterdam, Amsterdam UMC, Amsterdam, The Netherlands.
  • 2Department of Medicine and Center for Faculty Educators, University of California, School of Medicine, San Francisco, CA, USA.
  • 3Department of Intensive Care Medicine, Maastricht University Medical Center, Maastricht, The Netherlands.
  • 4School of Health Professions Education, Maastricht University, Maastricht, The Netherlands.

Abstract

This AMEE guide provides a research overview of the identification of, and responding to unprofessional behaviour in medical students. It is directed towards medical educators in preclinical and clinical undergraduate medical education. It aims to describe, clarify and categorize different types of unprofessional behaviours, highlighting students' unprofessional behaviour profiles and what they mean for further guidance. This facilitates identification, addressing, reporting and remediation of different types of unprofessional behaviour in different types of students in undergraduate medical education. Professionalism, professional behaviour and professional identity formation are three different viewpoints in medical education and research. Teaching and assessing professionalism, promoting professional identity formation, is the positive approach. An inevitable consequence is that teachers sometimes are confronted with unprofessional behaviour. When this happens, a complementary approach is needed. How to effectively respond to unprofessional behaviour deserves our attention, owing to the amount of time, effort and resources spent by teachers in managing unprofessional behaviour of medical students. Clinical and medical educators find it hard to address unprofessional behaviour and turn toward refraining from handling it, thus leading to the 'failure to fail' phenomenon. Finding the ways to describe and categorize observed unprofessional behaviour of students encourages teachers to take the appropriate actions.


소셜미디어 가이드라인: 보건의료 전문직 대상(Clin Teach, 2019)

Social media guidelines: a review for health professionals and faculty members

Catherine M Hennessy1 , Claire F Smith1, Sue Greener2 and Gordon Ferns1

1Brighton and Sussex Medical School, Falmer, Brighton, UK

2Brighton Business School, University of Brighton, UK




도입

Introduction


소셜 미디어의 사용 증가는 eHealth의 현상과 유사하다. 세계보건기구(WHO)는 eHealth를 다음과 같이 정의했다. 

'건강을 위한 정보통신기술(SNS 포함) 활용'이며, '전자적 수단을 통해, 보건 서비스 전달과 보건 시스템 관리를 지원하기 위한 정보의 흐름을 개선하는 것'이다.

The increasing use of social media has been paralleled by the phenomenon of eHealth, defined by the World Health Organization as the ‘use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ncluding social media) for health’ and ‘is about improving the flow of information, through electronic means, to support the delivery of health services and the management of health systems’.1 


건강 전문가들은 eHealth 도구를 사용하여 환자와 접촉할 것을 권장하고 있다. 특히 소셜 미디어는 사용자가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한다.2 'ePatients'로 알려진 일부 환자들은 이미 소셜 미디어를 [더 나은 건강 관리가 가능하도록 조언과 지원을 구하기 위해 동료 환자와 교감하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하고 있다.

Health professionals are being encouraged to use eHealth tools to engage with patients, particularly social media because of the ease of communication that it offers and the broad online community that it allows users to reach.2 Some patients, known as ‘ePatients’, are already taking advantage of social media to communicate with fellow patients to seek advice and support to enable better health care.3


e환자(ePatients)는 '의료 제공업체와의 상호 협력의 결과가 우리가 협력하지 않을 때보다 훨씬 낫다'는 점을 인정하면서, 의료 전문가들이 소셜 미디어에 그들과 함께 참여할 것을 요구해 왔다.4 일부 의료 전문가들은 이미 소셜 미디어를 환자 관리에 통합하기 시작했다. 예를 들어, 페이스북 페이지는 당뇨병 환자들의 혈당 수치를 관리하는데 도움을 주기 위해 사용되었다. 건강한 레시피, 지역 걷기 또는 달리기 행사, 운동 프로그램, 혈압을 낮추는 방법에 대한 팁을 보급하기 위해 체중 관리가 필요한 환자들에게 페이스북 페이지도 제안되었다.

ePatients have called for health professionals to engage with them on social media, acknowledging that ‘the results of mutual partnership with our healthcare providers are far better than if we don’t collaborate’.4 Some health professionals have already started to incorporate social media into patient management: for example, a Facebook page has been used to help patients with diabetes manage their blood glucose levels.6 Facebook pages have also been suggested for patients who require weight management, in order to disseminate healthy recipes, local walking or running events, exercise programmes and tips on how to keep blood pressure low.2


일부 보건 전문가들은 대중과의 소통과 상호작용을 개선할 수 있는 소셜 미디어의 잠재력을 보고 있지만, 많은 사람들은 전문성에 대한 도전과 그 함의 때문에 소셜 미디어에서 환자와 관계를 맺는 것을 극도로 경계하고 있다. 소셜 미디어에 대한 비전문적 행동의 결과로 규제 기관에 의해 미국과 영국의 의사들이 의사면허를 정지당하고 심지어 취소당했다는 보고에 비추어 볼 때 이러한 경계는 정당화될 수 있다.

Although some health professionals have reported seeing the potential of social media to improve communication and interaction with the public, many remain extremely wary of engaging with patients on social media because of the challenges and implications for professionalism.7 This wariness may be justified given reports of doctors in both the USA and the UK having their licence to practice suspended, and even revoked, by regulatory bodies as a result of unprofessional behaviour on social media.8,9


상자 1. 소셜 미디어 사용의 어려움

Box 1. Challenges of using social media


• 부적절한 내용 게시: 학생과 초보 소셜 미디어 사용자는 과도한 음주, 불법 약물 사용 및 성적인 내용을 제안하는 게시물과 같이 불쾌한 글이나 사진을 포함하는 게시물이 자신과 건강 전문가에게 미칠 수 있는 영향을 이해하지 못할 수 있다.10 교육자는 학생들에게 조부모 앞에서 말할 수 있는 것이 아니라면 소셜 미디어에 어떠한 것도 게시하지 말라고 권고할 수 있다.

• Posting inappropriate content: students and novice social media users may not understand the impact that posts containing offensive text or photos can have on themselves or the health profession, such as posts suggesting excessive alcohol use, illegal drug use and sexual content.10 Educators could advise students to not post anything on social media that they would not say in person to their grandparents!


• 모호한 경계: 학생과 초보 사용자는 소셜 미디어가 친구, 가족, 강사, 선배 동료 및 환자와 같은 여러 개인 그룹을 자신의 소셜 미디어에 액세스하도록 허용한다는 사실을 깨닫지 못할 수 있다. 개인의 사생활과 직업적 또는 교육적 생활 사이의 경계가 모호해질 수 있다.11–13 교육자들은 학생들에게 온라인 청중이 개인 친구에서 선배 동료와 환자까지 다양할 수 있다는 것을 고려할 필요가 있으며, 따라서 학생들이 자신을 어떻게 묘사하기를 원하는지 고려할 필요가 있다고 조언해야 한다.

• Blurred boundaries: students and novice users may also not realise that social media allows several groups of individuals such as friends, family, lecturers, senior colleagues and patients to access their social media. The boundaries between one’s private life and professional or educational life can become blurred.11–13 Educators should advise students that they need to consider that their online audience may range from their personal friends to senior colleagues and patients, and therefore they need to consider how they wish to portray themselves


• 환자 정보 공유: 소셜 미디어는 종종 일상생활에서 뉴스를 공유하기 위해 사용되며, 따라서 학생들이 흥분한 상태에서, placement 중에 우연히 환자에 대한 정보를 게시하는 것은 이해할 수 있다.14 교육자는 환자를 식별하는 정보를 게시하는 것은 환자의 기밀성과 프라이버시를 침해하며 게시해서는 안 된다는 점을 학생들에게 분명히 해야 한다. 교육자들은 학생들에게 그들이 직업을 대표하고 있고 환자 기밀의 위반은 보건업계에 매우 나쁜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상기시켜야 한다.

• Sharing patient information: social media is often used to share news from one’s daily life and so it is understandable that students may, in a state of excitement, accidently post information about a patient when on placement.14 Educators must make clear to students that posting any information that identifies the patient breaches the confidentiality and privacy of the patients, and must not be posted. Educators should remind students that they are representing the profession and any breaching of patient confidentiality reflects extremely badly on the health profession


• 통제력 부족: 소셜 미디어 포스트의 도달 범위는 예측할 수 없으며 사생활 설정에 따라 완전히 통제 불능이 될 수 있다.10,15 예를 들어, 트위터는 전세계 다른 트위터 사용자들에게 트윗이 다가갈 수 있는 잠재력을 가지고 있다는 것을 의미하는 공공 플랫폼이다. 교육자들은 학생들에게 게시물이 예상보다 훨씬 더 멀리까지 도달할 수 있다는 것을 분명히 해야 한다. 교육자는 학생들이 비전문적인 이유로 사용하고자 하는 계정을 비공개(private)로 설정하도록 권장해야 한다.

• Lack of control: the reach of a social media post is unpredictable and, depending on privacy settings, can be completely out of one’s control.10,15 For example, Twitter is a public platform meaning that a tweet has the potential to reach any other Twitter user worldwide. Educators should make it clear to students that posts can have much further reach than anticipated. Educators should encourage students to set any accounts that they wish to use for non-professional reasons to private


• 학생들은 자신의 소셜 미디어 풋프린트가 전문성 표준을 유지하도록 자신에 대해서 스스로 구글이나 소셜 미디어 검색을 정기적으로 수행하도록 상기해야 한다.

• Students should be reminded to perform regular Google or social media searches on themselves to ensure that their social media footprint maintains professionalism standards


방법

METHODS


주요 국제 영어 사용 국가의 의료 관리 기구가 발행한 9건의 지침 문서를 검토했다(표 110–18).

Nine guidance documents published by medical governing bodies in major international Englishspeaking countries were reviewed (Table 110–18).



결과

RESULTS


그림 1은 각 지침 문서에서 확인된 5가지 공통 주제와 각 주제에 기여하는 하위 주제를 보여준다. 모든 문서에 각 하위 항목이 포함된 것은 아니다(그림 1 참조).

Figure 1 illustrates the five common themes that were identified in each of the guidance documents and the sub-themes that contribute to each theme. Not all documents contain each subtheme (as indicated in Figure 1),



다섯 가지 주제 중 네 가지는 보건 전문가로서 소셜 미디어를 사용하는 것의 잠재적인 위험에 대한 경고와 관련이 있고, 이것은 소셜 미디어 사용에 대한 확장적인 접근보다는 더 조심스러운 접근을 야기시킬 가능성이 있다. 마지막 주제는 소셜 미디어 이용의 잠재적인 이점에 대해 탐구한다. 이 메시지는 모든 안내문서에 수록되어 있지만, 진압subdue되어 있다.

Four of the five themes relate to warnings about the potential risks of using social media as a health professional, and this is likely to engender a more guarded, rather than an expansive, approach to social media use. The final theme explores the potential benefits of using social media. Although this message is contained within all of the guidance documents, it is subdued.


2번 상자. 소셜 미디어 사용에 대한 교육 세션의 제안 과제

Box 2. Suggested task for a training session on the use of social media


• 회사 이메일 주소를 사용하여 전문 Twitter 계정 열기

• Open a professional Twitter account using your work e-mail address


• SNS의 사용 방법을 결정하고, 전달하고자 하는 온라인 정체성을 고려

• Decide on how you want to use it and consider the online identity that you want to convey


• 프로필 설계:

• Design your profile:


o 프로필 사진 선택(작업 환경을 나타내는 사진)

o choose a profile picture (perhaps to represent your work environment)


o 당신의 전체 이름을 사용하라, 특히 당신이 건강관리에 대해 논의할 예정이라면.

o use your full name, especially if you are going to be discussing health care


o 자신을 건강 전문가라고 밝히고 당신의 직업을 명시하라 – 대중은 당신의 게시물을 읽을 때 이것을 고려할 것이다.

o identify yourself as a health professional and specify your occupation – the public will consider this when reading your posts


o 당신의 고용주의 이름을 지었지만 당신의 게시물이 당신의 고용주의 관점을 반드시 반영하지 않는다는 것을 간결하게 인정하기 위해 'views are my own'라고 진술하라.

o name your employer but state that ‘views are my own’ to concisely acknowledge that your posts do not necessarily reflect the views of your employer


o 이해의 상충을 진술하다.

o state any conflicts of interest


o '아빠', '베이커', '커피 애호가'와 같은 개인 정보나 관심사를 포함할 수 있다.

o can include personal information or interests, such as ‘Dad’, ‘baker’ or ‘coffee lover’


• 개인 정보 설정 결정 – Twitter의 경우 다른 사용자가 더 쉽게 follow 할수 있도록 하기 위해 시작할 수 있는 공용public 계정을 갖는 것이 가장 쉬울 수 있음

• Decide on your privacy settings – for Twitter it might be easiest to have a public account to start with in order to allow others to follow you more easily


• 검색창에서 관련 동료나 협회를 검색하여 네트워크를 탐색하고 구축하십시오. 유사한 연구나 관심사를 가진 관련 동료들을 따라가 보십시오. 언제든지 해당 동료들을 해제할 수 있습니다!

• Explore and build your network by searching for relevant colleagues or associations in the search bar – try following relevant colleagues with similar research or work interests, you can always unfollow them!


• 최근에 읽은 출판물을 기반으로 건강 관련 주제에 대한 게시

• Post about a health-related topic based on a recent publication that you’ve read


• 선택한 임상 교육 컨퍼런스 해시태그 준수

• Follow a clinical education conference hashtag of choice


• 소셜 미디어 프로필이 설정되고 사용되면, 서로의 소셜 미디어 계정에 대한 동료 관찰peer observation 연습을 수행하십시오. 이는 대중이 볼 수 있는 개인 정보 설정과 콘텐츠를 테스트하기 위한 것이다.

• Once social media profiles have been set up and used, conduct a peer observation exercise of each other’s social media accounts – this is to test the privacy settings and content that is visible to the public


가이드라인이 실제로 의미하는 바는 무엇인가?

What do the guidelines mean in practice?


환자 기밀을 유지한다고 해서 환자 사례로부터 학습을 공유하는데 소셜 미디어가 사용될 수 없다는 뜻은 아니다. 소셜미디어의 장점 중 하나는 보건전문가가 동료나 환자와 지식을 공유할 수 있게 해 교육적인 환자 사례를 포함해야 한다는 점이다. 주의를 기울인다면, 환자 신원은 성별과 나이와 같은 세부사항을 의도적으로 변경하거나, 상담 날짜와 아마도 질병의 해부학적 부위에 대해 비특정적이 됨으로써 기밀로 유지될 수 있다.19 문서 9개 중 6개는 익명화에도 불구하고 환자로부터 서명된 동의를 얻을 것을 권고하며, 우리는 이것을 제안한다. 환자의 질병 이미지를 포함한 경우에 특히 중요하며, 이는 환자가 확인될 가능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

Maintaining patient confidentiality does not mean that social media cannot be used to share learning from patient cases. One of the advantages of social media is that it allows health professionals to share knowledge with colleagues and patients, which should include educational patient cases. With care, patient identity can be kept confidential by deliberately changing details such as gender and age, or by being nonspecific about the date of consultation and perhaps the anatomical site of the ailment.19 Six of the nine documents recommend that signed consent is obtained from the patient despite anonymisation, and we suggest that this is particularly important if the case includes images of the patient’s ailment, which may increase the likelihood of the patient being identified.


명예훼손은 환자든 동료든 상품이든 용납할 수 없다. 건강 전문가가 소셜 미디어를 어떻게, 왜 사용하려고 하는지, 그리고 그들이 전달하고 있는 온라인 존재감이나 정체성에 대해 되돌아보는 시간을 가져야 한다. 소셜 미디어에서 누구를 팔로우하고 싶은지 또는 누구를 팔로우하도록 허용받고 싶은지에 대한 선호도를 고려하십시오. 연구 관련 글을 자주 올리면 연구 활동적인 동료들을 더 많이 끌어들이기 쉽다. 건강 전문가의 온라인 정체성은 종종 환자, 동료, 조직에 대한 첫인상이며, 프로필 사진을 포함한 소셜 미디어 프로필을 개발할 때 고려해야 한다. 온라인 청중이 게시물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요소를 인지할 수 있도록 프로필에 이해관계가 있거나 이해관계가 상충되는 부분을 명확히 표시해야 한다.

Defamation is clearly unacceptable, whether it be of patients, colleagues or products. Time should be taken to reflect on how and why a health professional intends to use social media, and the online presence or identity that they are conveying. Consider your preference for who you would like to follow you on social media or who you would like to be allowed to follow. If you post frequently about research, you are likely to attract more researchactive colleagues. The online identity of a health professional is often the first impression made to patients, colleagues and organisations, and this should be a consideration when developing a social media profile, including the profile picture. Any affiliations or conflicts of interest should be clearly stated in the profile so that the online audience is aware of factors that may influence postings.


소셜 미디어에서는 프라이버시를 보장할 수 없으며, 따라서 프라이버시를 보장하기 위해 가이드라인은 건강 전문가들이 보수적인 프라이버시 설정을 사용하여 개인 및 전문 소셜 미디어 계정을 별도로 설정할 것을 권고한다. 그러나 개인 전문 계정private professional account을 갖는 것은 게시물의 범위와 건강 관련 정보를 공유할 수 있는 능력이나 공개적으로 동료들과 소통할 능력을 제한할 것이다. 전문적인 트위터와 인스타그램 계정의 경우, 그들을 공개하고 공공 행사에서 건강 관련 정보를 유포하는 것과 같은 방식으로 이러한 공간을 사용하기로 결정하는 것은 가치 있는 일일 수 있다. 그러나 건강 전문가들은 일부 소셜 미디어 계정을 비공개로 유지하기를 원할 수 있으며 개인 정보 보호 설정은 다음과 같이 정기적인 점검을 수행하여 테스트해야 한다: '친구'나 '팔로워'가 아닌 신뢰할 수 있는 동료에게 (대중 임의의 멤버를 복제하기 위해) 사용자의 구글 검색을 수행하도록 요청하십시오(아마 당신의 이름을 사용하여). 소셜 미디어 프로필과 정보에 접근할 수 있다. 이것은 프라이버시 설정이 적절한지 확인하는 매우 유용한 실습일 수 있다.

Privacy cannot be guaranteed on social media, and so to ensure privacy the guidelines recommend that health professionals set up separate personal and professional social media accounts using conservative privacy settings; however, having a private professional account will limit the reach of posts and the ability to share healthrelated information and openly communicate with colleagues. For professional Twitter and Instagram accounts, it may be worthwhile keeping them public and deciding to use these spaces in the same way as if disseminating healthrelated information at a public event. Health professionals might want to keep some social media accounts private, however, and the privacy settings should be tested by conducting regular checks as follows: ask a trusted colleague who is not a ‘friend’ or ‘follower’ (to replicate a random member of the public) to perform a Google search of you (probably using your name) to ascertain what access they have to your social media profiles and information. This can be an extremely informative practical exercise to ensure that the privacy settings are appropriate.


보건 전문가들은 대중의 신뢰를 유지할 책임이 있다. 비록 좋은 평판을 유지하는 것이 통치 기구governing body의 주요 관심사일지라도, 이것은 의료 전문가들이 일과 관련된 문제에 대한 그들의 이해를 향상시키기 위해 대화에 참여하는 것을 방해해서는 안 된다. 보건 전문가가 지식의 부족이 환자 관리의 부실로 이어졌을 수도 있다고 밝히는 것은 아마도 부적절할 것이다. 하지만 만약 의사가 수술 후 유방암 환자의 지원시스템에 대한 정보를 요청한다면, 예를 들어, 그들은 유용한 정보를 얻을 수 있을 것이다. 여기에는 지역 자발적인 암 지원 단체들이 제공할 수 있는 환자 지원이 포함될 수 있다. 

Health professionals have a responsibility to maintain public trust. Although maintaining a good reputation is a primary concern for governing bodies, this should not inhibit health professionals from engaging in dialogue to improve their understanding of workrelated issues. It is probably inappropriate for a health professional to reveal that a lack of knowledge may have led to poor patient management, but if a doctor tweets asking for information about breast cancer support following surgery, for example, they are likely to receive useful information, including perhaps what patient support can be provided by local voluntary cancer support groups. 


일부 사람들은 의사가 이러한 지원을 알고 있어야 한다고 주장할 수 있지만, (다른 보건 전문가와 마찬가지로) 이러한 모습은 의사도 환자에게 제공될 수 있는 다른 지원 방법을 모색하고 지속적인 학습과 정보 수집을 보여줄 수 있는지를 보여준다. 나아가 보건전문가들은 소셜미디어에서 건강관리 문제에 대한 논의를 시작할 수 있다고 느껴야 하며, 가이드라인에 따르면 [소셜미디어가 변화를 구현하는 통로]로 활용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Although some may argue that the doctor should have been aware of this support, it illustrates how a doctor, like any other health professional, may explore other avenues of support to offer patients, and demonstrates continued learning and information gathering. Furthermore, health professionals should feel that they can start a discussion about health care issues on social media, and the guidelines indicate that social media can be used as a conduit to implement change.


소셜미디어를 사용하는 이유는 다양하며, 가이드라인은 보건전문가들이 동료들과의 네트워킹과 같은 혜택과 최신 모범사례 공유 및 토론에 대해 소셜미디어를 사용하도록 인정하고 장려하지만, 보건전문가들이 소셜미디어를 어떻게 사용할 수 있는지에 대한 실질적인 사례와 아이디어가 부족하다. '#colorectalthcorration'이라는 제목의 한 연구 기사는 이 트위터 해시태그가 어떻게 국제 대장내과 의사들이 연습 공동체를 형성하고 다른 수술 기법을 사용한 경험을 공유할 수 있게 했는지에 대한 설명을 제공한다.20 소셜 미디어에 게재하는 것은 학자들과 보건 전문가들 모두 자주 사용된다. 공유: 연구의 범위와 가독성을 높이기 위한 방법으로 전체 기사에 접근할 수 있는 웹 링크를 포함한 소셜 미디어에 대한 연구 데이터가 인용 부수를 증가시킬 수 있다.

There are many reasons to use social media, and the guidelines acknowledge and encourage health professionals to use social media for benefits such as networking with colleagues, and for sharing and discussing latest best practice; however, there is a lack of practical examples and ideas for how health professionals can use social media. One research article entitled: ‘#colorectalsurgery’ gives an account of how this Twitter hashtag allowed international colorectal surgeons to form a community of practice and share their experiences of using different surgical techniques.20 Posting publications on social media is frequently used by academics and health professionals alike: sharing research data on social media including a weblink to access the full article (where publication rules allow) as a way of increasing the reach and readability of the research may lead to increased citations.







Review

 

. 2019 Oct;16(5):442-447.
 doi: 10.1111/tct.13033. Epub 2019 May 29.

Social media guidelines: a review for health professionals and faculty members

Affiliations 

Affiliations

  • 1Brighton and Sussex Medical School, Falmer, Brighton, UK.
  • 2Brighton Business School, University of Brighton, UK.

Abstract

Background: The rising societal use of social media has encouraged health professionals to use social media in their professional activities; however, this can be a daunting task, particularly for those who are uncertain about the boundaries for the professional use of social media. This article summarises the guidelines provided by medical governing bodies on social media use and provides practical advice on how social media can be used, which is transferrable across the health professions.

Methods: Nine guidance documents published by medical governing bodies in major international English-speaking countries were reviewed and analysed to identify their key common messages.

Findings: Five key themes were identified across all of the guidance documents, as follows: maintain patient confidentiality; defamation is unacceptable; privacy cannot be guaranteed; responsibility to maintain public trust; and reasons to use social media.

Conclusions: The guidelines predominantly focus on the risks of using social media. Although this is necessary, it is likely to inhibit the exploration of the potential uses of social media in health care education and practice. All of the guidance documents from governing bodies encourage the use of social media to engage with patients and to network with colleagues; however, there is relatively little practical guidance on how to use social media as a health professional. This article offers some practical advice for faculty members who wish to run development sessions on how to use social media for professional purposes. … there is relatively little practical guidance on how to use social media as a health professional.

의사를 해부하기: 북미 의학교육에서, 품성에서 품성요소로(Adv in Health Sci Educ, 2013)

Dissecting the doctor: from character to characteristics in North American medical education

Cynthia R. Whitehead • Brian D. Hodges • Zubin Austin




도입

Introduction


의료 교육자들은 사회의 요구에 부응하기 위해 훌륭한 의사들을 훈련시키는 임무를 맡고 있다. 교육자들이 의대생 선발과 커리큘럼 설계에 대한 결정을 내릴 때, 그들은 좋은 의사로 구성된다고 생각되는 속성이나 자질에 대한 아이디어를 도출한다. 이러한 개념들은 필연적으로 역사적으로 파생된 구조와 현대의 사회적 가치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 언제라도 의료 교육의 본질에 대한 [특정한 담론]이 우세하다(Hodges 2010). 예를 들어, 현재 21세기 초에는 역할이나 영역 집합에서 역량있는 것이 훌륭한 의사의 담론이 두드러진 반면, 20세기 초에는 좋은 의사가 과학자, 인격있는 사람으로 여겨졌다(Cooke et al. 2010; FMEC 2010; Frank 2005; Whitehead a whitehead a who)단서가 있는

Medical educators are tasked with training good doctors to serve the needs of society. As educators make decisions about medical student selection and curriculum design, they draw upon ideas of attributes or qualities that they deem to comprise a good doctor. These notions are inevitably influenced both by historically derived constructs and contemporary societal values. At any given time, particular discursive formulations of the nature of medical education prevail (Hodges 2010). Currently in the early twenty-first century, for example, the discourse of a good doctor as competent in a set of roles or domains is prominent, whereas in the early twentieth century at the time of the Flexner Report (Flexner 1910) a good doctor was considered a scientist and man of character (Cooke et al. 2010; FMEC 2010; Frank 2005; Whitehead accepted).


모든 담론은 누가 좋은 의사가 될 수 있고 좋은 의사가 무엇을 알고 있는지에 대한 다양한 사회적 가정을 형성하고 끌어낸다. 예를 들어, Flexner의 구조는 [높은 사회적 지위를 가진 남성]들을 의업에 이상적인 것이라는 입장이었고, 그가 낸 보고서의 결과, 사회경제적 지위가 낮은 다양한 소수 집단과 여성들을 위한 의료 훈련 접근성이 훨씬 낮아졌다(Ludmer 1999; StrongBoag 1981).

All such discourses build and draw upon various societal assumptions of who might become a good doctor and what a good doctor knows. Flexner’s construct, for example, positioned men of high social standing as ideal for the medical profession, and as a result of his Report there was much less access to medical training for people of various minority groups, those of lower socioeconomic status and women (Ludmerer 1999; StrongBoag 1981).


배경

Background


아브라함 플렉스너의 1910년 미국과 캐나다의 의학 교육에 관한 보고서 때부터, 교육자들은 학생들을 선발하고 좋은 의사를 훈련시키는 것은 복잡한 과정이라는 것을 인식했다. Flexner 보고서에는 의료 교육을 개선하기 위한 변경에 대한 많은 처방전이 포함되었으며, 그 중 일부만 채택되었다(Hodges 2010; Ludmerer 1999; Whitehead 2010; Whitehead in press).

From the time of Abraham Flexner’s 1910 Report on Medical Education in the United States and Canada, educators have recognized that selecting students and training a good doctor is a complex process. The Flexner Report contained many prescriptions for change to improve medical education, only some of which were adopted (Hodges 2010; Ludmerer 1999; Whitehead 2010; Whitehead in press).


그러나 의학 교육의 연구에 대한 접근에 영향을 준 다양한 사회학적, 역사적 요소들이 잘 설명되어 왔지만, 의학 교육에서 [good doctor의 담론]에 특별히 초점을 맞춘 역사적 연구는 지금까지 없었다.

However, while various sociological and historical factors that influenced the approach to the study of medical education have been well described, there has to date been no historical study focussed specifically on the changing discourses of the good doctor in medical education.


방법

Methods


이 작품은 1910년부터 2010년까지 북미 의학교육의 선량한 의사를 대상으로 한 푸코디안 비판적 담론 분석(Whitehead 2011)의 일환이다. 이 논문은 1950년대 후반에 일어났던 특히 중요한 변화 하나를 보고한다. 작품의 이 부분에 대해서는, 좋은 의사를 묘사하는 데 사용되는 언어의 변화를 모색하면서 1920년대부터 1960년대 말까지 북아메리카의 의학 교육 문헌에 푸콜디안 비판 담화 분석(CDA)이 수행되었다.

This work is part of a larger project, a Foucauldian critical discourse analysis of the good doctor in North American medical education from 1910 to 2010 (Whitehead 2011). This paper reports the findings of one particularly significant discursive shift, which occurred in the late 1950s. For this portion of the work, a Foucauldian critical discourse analysis (CDA) was performed of medical education literature in North America from the 1920s to the end of the 1960s, using the Foucauldian concept of serial history (Foucault 1999)in looking for changes in the language used to describe the good doctor.


CDA는 언어는 사회적으로 구성된 것이라는 이해에 기초한다. 여러 분야에 걸쳐 광범위하게 사용되며, 다양한 현상의 사회 구성과 관련된 언어의 탐구를 허용한다(Hodge 2009). 의학 교육 연구에서는 비교적 새로운 접근 방식이지만 CDA는 보건 전문직 교육의 복잡한 영역에 대한 중요한 통찰력을 가능하게 하는 것으로 점차 인식되고 있다(Hodges 2009, 2010; Whitehead et al. 2011). CDA는 여러 형태의 담론분석 중 하나이며 담론이 "사회 세계의 다양한 체계적 버전을 구성"하는 방법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Rogers et al. 2005, 페이지 371). 푸코디안 CDA는 언어에 내재된 '진리'의 개념을 구체적으로 검토하며, 무엇이 '자연적natural'으로 나타날 수 있는지 의문을 제기한다. 변화, 즉 불연속성은 사고방식의 변화를 신호하고 새로운 '진리'의 출현에 영향을 주고 형성하는 다양한 요소들을 탐험할 수 있게 해주기 때문에 매우 중요해진다(Davidson 1986).

CDA is based upon the understanding of language as socially constructed. Used widely across many disciplines, it allows exploration of the way language relates to the social construction of various phenomena (Hodges 2009). While a relatively new approach in medical education research, CDA is increasingly recognized as enabling important insights into complex areas of health professions education (Hodges 2009, 2010; Whitehead et al. 2011). CDA is one of several forms of discourse analysis, and focuses on the ways discourse ‘‘systematically constructs versions of the social world’’ (Rogers et al. 2005, p. 371). Foucauldian CDA specifically examines ideas of ‘truth’ embedded in language, questioning what might appear as ‘natural.’ Changes, or discontinuities, become extremely important, as these signal a shift in ways of thinking and allow exploration various factors that influence and shape the emergence of new ‘truths’ (Davidson 1986).


푸콜디안 비판적 담론 방법론에서 텍스트는 사회적 관행, 지식, 권력 관계와 통합적으로 연계된 것으로 이해된다. Hodges(2009)에 의해 해명되었듯이, "Foucault는 사회적 관습과 권력/지식에 대한 그들의 연계가 (말뿐만 아니라) 텍스트의 생산과 사용을 구속한다고 느꼈다. 연설과 텍스트가 담론을 구성하는 동안 담론은 특정한 형태의 텍스트와 연설을 가능(그리고 다른 것을 덜 가능)하게 한다."(48쪽) 푸코의 방법론적 원리를 이용하여 정보원을 식별하고 구분한다. 텍스트는 [진술, 주요 단어, 은유에 주목하여] 담론의 변화 및 불연속성의 관점에서 분석된다.

In Foucauldian critical discourse methodology, texts are understood as integrally linked to social practices, knowledge and power relations. As elucidated by Hodges (2009), ‘‘Foucault felt that social practices and their links to power/knowledge constrain the production and use of text (as well as speech). While speech and text construct discourse, discourse makes certain forms of text and speech possible (and others less possible)’’ (p. 48). Using Foucault’s methodologic principles, information sources are identified and delimited. Texts are analysed in terms of discursive shifts and discontinuities, with attention to statements, key words, and metaphors.


학술 의학의 전임 잡지에 실린 기사들은 이 연구를 위한 자료들을 구성했다. 1926년 미국 의과대학협회 회보(Bulletin of American Medical Colleges)로 시작한 이 학술지는 1989년 Academic Medicine이 되면서 몇 가지 명칭을 바꾸었다. 본 학술지 세트는 편의를 위해 학술지 JAM(Journals of Academic Medicine, JAM)으로 총칭된다. 이 학술지는 여러 해 동안 북미의 유일한 의학 교육 저널이었으며, 1966년까지 국제적으로 "유일한 의학 교육 전담 저널"로 인정받았다(Kuper et al. 2010).

Articles in the predecessor journals of Academic Medicine formed the data set for this research. Beginning in 1926 as the Bulletin of the Association of American Medical Colleges the journal underwent several name changes, becoming Academic Medicine in 1989. This journal set, for convenience, is here referred to in aggregate as the Journals of Academic Medicine (JAM). This journal was, for many years, the sole North American medical education journal and was recognized internationally as the ‘‘lone dedicated medical education journal’’ until 1966 (Kuper et al. 2010).


결과 

Results


아브라함 플렉스너가 훌륭한 의사를 담론적으로 공식화한 것은 [사려 깊은 과학자와 인격자]1(화이트헤드 2011)의 그것이었다. 플렉스너 리포트가 있은 후 몇 년 동안, 성격character은 선한 의사의 지배적인 담론으로 남아 있었다. 예를 들어 1936년에 베반은 다음과 같이 단언하였다.

Abraham Flexner’s discursive formulation of the good doctor was that of a thoughtful scientist and a man of character1 (Whitehead 2011). In the years following the Flexner Report, character remained the dominant discourse of the good doctor. For example, in 1936 Bevan asserted that:


무엇보다 의사는 인품이 있어야 한다. 그는 그의 삶과 직업에 있어서 그의 모든 행동을 통제하는 높은 윤리 규범을 받아들여야 한다. (Bevan 1936, 페이지 379)

Above all, the physician must be a man of character. He must in his life and professional work accept a high code of ethics which controls all of his actions. (Bevan 1936, p. 379)


1 이 시대의 의학 교육 문헌에서 의사 묘사의 교묘한 성격을 감안할 때, 남성 대명사는 이 논의에서 사용된다.

1 Given the gendered nature of depictions of doctors in the medical education literature in this era, the masculine pronoun is used in this discussion.


베반은 [좋은 성격]을 ''가장 상업적인 추구''와 차별화시키는 자질들과 연결시키고, 의학이 때때로 직업에 입문하는 ''부적절한undesirable 학생들을 제거하기 위해 "성격의 기준"을 "드높일" 필요가 있다고 제안했다(p. 380). 1935년에 카우프만은 또한 성격 담론을 바탕으로 다음과 같이 말했다.

Bevan linked good character to the qualities that set medicine apart from ‘‘most commercial pursuits’’ and suggested that medicine needed to ‘‘elevate’’ the ‘‘standards of character’’ in order to ‘‘eliminate the undesirable students’’ who sometimes entered the profession (p. 380). Kaufman, in 1935, also drew upon character discourse:


남성은 원형의 한 부분으로서 이러한 자질을 가지고 있든 없든, 너무나 근본적이어서 의식적인 노력에 의해 경작되고 발전되어야 한다.(Kaufman 1935, 페이지 299).

Men possess these qualities or not, as a part of their protoplasm, but they are so fundamental that they must be cultivated and developed by conscious effort. (Kaufman 1935, p. 299)


의학 교육자들은 그들이 [가능한 최고의 의대생을 선발]할 수 있도록 [좋은 인격을 어떻게 식별]해야 하는지에 대해 질문했다. 의대 학장인 데이비슨은 자신의 이상적인 의사 자질 목록을 만들었다.

Medical educators questioned how to identify good character so that they could select the best possible medical students. Davison, a medical school dean, created his own list of ideal physician qualities:


그 우월한 자질은 무엇이며 어떻게 그 자질을 탐지할 수 있는가? 우리들 대부분은 학생이나 의사가 정직, 성격, 지능, 좋은 기억력, 정확성, 응용력, 지적 호기심, 자선, 믿음, 겸손, 희망, 인내심을 가지고 있다면 반드시 '진정한 의사'가 될 것이라는 데 동의한다.(데이비슨 1946 페이지 228)

What are those superior qualities and how can they be detected? Most of us agree that if a student or physician has honesty, character, intelligence, a good memory, accuracy, application, intellectual curiosity, charity, faith, humility, hope and patience, he will surely become the ‘true physician.’ (Davison 1946 p. 228)


교육자들은 의료 훈련medical training 과정 동안 그러한 덕목을 향상시키는 방법을 고려했다(1934년 월, 페이지 267). 1930년대 이후부터 다양한 시험과 조치가 개발되어 사용되었고(Hale 1946; McGaghie 2002), 1940년대 후반에는 여기에 "관심과 인격의 평가"이 추가되었다(Stuit 1948, 페이지 159). 그러나 JAME의 기사 저자들은 예를 들어 Hale과 함께 "많은 원하는 속성들이 수치와 백분율로 측정되지 않는다"고 강조하면서 그러한 테스트의 한계를 자주 지적했다. 그들의 평가는 상대적인 것으로 남아 있으며, 남자, 그들의 미덕과 약점을 이해하는 사람들에 의해 이루어져야 한다."(Hale 1946, 페이지 147–148). 또 다른 저명한 교육자인 테일러는 다음과 같은 점에 주목했다.

Educators considered ways to enhance such virtues during the process of medical training (Moon 1934, p. 267). Various tests and measures were developed and used from the 1930s onwards (Hale 1946; McGaghie 2002), and in the late 1940s ‘‘appraisals of interest and personality’’ were added to the mix (Stuit 1948, p. 159). However, JAM article authors frequently pointed to the limits of any such testing, with Hale, for example, emphasizing that many desired attributes ‘‘do not lend themselves to measurement in figures and percentages. Their appraisal remains relative and must be made by those who understand men, their virtues and frailties’’ (Hale 1946, pp. 147–148). Taylor, another prominent educator, noted that:


객관적인 시험과 측정에 더 많이 의존하게 되면서, 우리는 인격character을 판단하는 기술을 잃고 있다. 몇 년 전 인생의 성공은 빨리 '크는size up' 개인의 능력에 달려 있었다. 우리의 선구자 선조의 일상은 이 학력에 크게 의존했다. Pony Express rider들은 20분간의 인터뷰를 통해 선발되었다. 나폴레옹은 30분간의 회의(Taylor 1948, 페이지 171)를 마친 후 그의 군대의 장군들을 선택했다.

It has been said that we are losing the art of judging character as we place more reliance on objective tests and measurements. Success in life a few short years ago was dependent on an individual’s ability to quickly ‘size up’ a stranger. Our pioneer forefathers’ daily existence depended to a large extent on this faculty. The Pony Express riders were chosen in a twenty-minute interview. Napoleon chose the generals of his armies after a thirty-minute conference (Taylor 1948, p. 171).


테일러는 또한 [객관적인 측정으로는 쉽게 평가되지 않는 자질들이 심리학적으로 "유행하는 방법"(p. 175)에 억지로 끼워져서는 안 된다]고 주장했다. 성격character은 분명히 20세기 전반기 동안 좋은 의사good doctor의 지배적인 담론으로 남아 있었다.

Taylor further argued that qualities not easily assessed by objective measurement should not be forced to fit into the psychological ‘‘methods in vogue’’ (p. 175). Character clearly remained the dominant discourse of the good doctor for the first half of the twentieth century.


특성요소 담론의 대두

The rise of characteristics discourse


그러나 1950년대 후반에 갑자기 언어의 변화가 있었다. 의학 교육 문헌에 성격요소characteristics가 나타났고, 1960년대 중반 무렵에는 JAM 의학교육 기사에서 사용된 언어에서 성격character이 사라졌다. 이러한 실종은 성격을 기술한 1957년 JAME 기사(Gottheil and Michael 1957)가 1965년 이후 저자들에 의해 특징에 대한 검토(Kole and Matarazzo 1965)가 될 정도로 일어났다.

In the late 1950s, however, there was a sudden shift in language. Characteristics appeared in the medical education literature, and by the mid-1960s, character had vanished from the language used in JAM medical education articles. This disappearance occurred to such an extent that a 1957 JAM article (Gottheil and Michael 1957), which described character,is subsequently re-framed by later authors in 1965 as having been a review of characteristics (Kole and Matarazzo 1965).


JAM에서 좋은 의사에 대한 논란을 프레임하기 위해 특성characteristics이라는 용어를 가장 일찍 사용한 것은 1957년 AAMC의 1956 의과대학 지원자 평가 연구소(Hurtado 1957)에 대한 논평에서 나타났다. 이듬해 AAMC의 연구 책임자의 보고서도 특성characteristics라는 용어를 사용했다(Gee 1957). 이후 몇 년 동안 점차적으로 JAM 기사에서 특성characteristics 단어가 더욱 두드러졌다. 이러한 초기 기사들 중 다수는 특히 1956년 연구소를 언급했는데, 이는 그 사건이 발생하던 변혁에 어떤 영향을 끼쳤음을 시사한다.

The earliest use of the term characteristics to frame discussions of the good doctor in JAM appeared in a 1957 commentary on the AAMC’s 1956 Institute on the Appraisal of Applicants to Medical School (Hurtado 1957). The following year the report from the AAMC’s director of research also used characteristics terminology (Gee 1957). Gradually over the next few years, characteristics language became more prominent in JAM articles. Many of these early articles specifically referred to the 1956 Institute, suggesting some impact from that event on the discursive change that was occurring.


1956년 AAMC 연구소의 proceedings는 JAM(Gee and Cowles 1957)의 부록으로 출판되었다.

The proceedings of the 1956 AAMC Institute were published as a supplement to the JAM(Gee and Cowles 1957).


이 연구소의 보고서는 의대에 가장 적합한 지원자를 선정하기 위한 새롭고 혁신적인 방법에 대한 흥분된 언어로 채워져 있다. 서문은 "경마에서 성공하기 위해서는, 빨리 달릴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빨리 달리고자 하는 말을 가지고 있어야 한다." (p. v)로 시작한다.

The report on the Institute proceedings is filled language of excitement about new and innovative ways to choose the best possible applicants for medical school. The Preface begins, ‘‘to succeed at horse racing, one must have horses that not only can, but will run fast’’ (p. v).


The Institute proceedings는 학생의 '지적'과 '비지적' 특성으로 나누는 것을 중심으로 구성되었다. 논쟁의 여지가 없는 15페이지의 장에서는 주로 MCAT 시험과 대학 성적에 초점을 맞춘 '지적 특성'을 살펴보았다. 이어서 3장 80페이지가 넘는 '비지식적 특성'에 대해 많은 양의 표, 그래픽 및 숫자 데이터를 통합했다.

The Institute proceedings were structured around a division of the student into his ‘intellectual’ and ‘non-intellectual’ characteristics. One fifteen page uncontroversial chapter examined ‘intellectual characteristics,’ largely focused on the MCAT test and college grades. Three chapters and over eighty pages then followed on ‘non-intellectual characteristics,’ incorporating large amounts of tabular, graphic and numeric data.


이 섹션의 개요에 따라 다음과 같이 요약된다.

As the overview to this section summarized:


[A]dmissions 위원회는 일반적으로 지원자의 [지적 능력]을 먼저 평가한다. 그러나 일단, 지원자가 의학 연구에 필요한 지식을 가지고 있다는 것이 확인되면, 위원회는 그들의 학업적 자격을 갖춘 지원자들의 동등하게 중요하지만 더 이해하기 어려운 [비지식적 특성]을 고려한다. (Ceithaml 1957, 페이지 47)

[A]dmissions committees generally evaluate the intellectual capabilities of an applicant first. Once, however, it has been established that the applicant possesses the necessary intellect for the study of medicine, committees consider the equally important but more elusive non-intellectual characteristics of their scholastically qualified applicants. (Ceithaml 1957, p. 47)


저자들은 '비지식적 특성'을 평가하기 위한 잠재적 도구를 분석했다. 의대 면접은 특히 정밀검사를 받았으며, 심리검사와는 대조적으로 그다지 성능이 좋지 않았다. 저자들은 [다양한 잠재적 인터뷰 유형]을 설명한 후(정신과 면접 포함) 학생 선발에서 면접의 사용에 대해서 "타당성이 있다는 증거가 놀라울 정도로 없다"고 결론지었다(Kelly 1957a, 페이지 80).

The authors analyzed potential tools for assessing ‘non-intellectual characteristics.’ The medical school interview was subject to particular scrutiny, and fared poorly in contrast to psychological tests. After describing a variety of potential types of interviews of applicants (including a psychiatric interview) the authors concluded that there was ‘‘surprisingly little evidence of validity’’ to support the use of interviews in student selection (Kelly 1957a, p. 80).


반면 심리 테스트는 열렬한 지지를 받았다. 절차서는 '객관적' 성격 검사(미네소타 다중 인격 목록과 강력한 직업적 관심사 공백과 같은)와 '프로젝티브' 검사(Rorschach Ink-Blot Method 등)를 포함한 다수의 공식적인 심리 도구를 설명했다.

Psychological tests, in contrast, received enthusiastic endorsement. The Proceedings described a multitude of formal psychological tools, including both ‘objective’ personality tests (such as the Minnesota Multiphasic Personality Inventory and the Strong Vocational Interest Blank) and ‘projective’ tests (such as the Rorschach Ink-Blot Method).


심리학 교수인 E. 로웰 켈리는 심리학자들은 "아직 '우리가 모든 중요한 차원을 가지고 있지 않다고 생각함"을 인정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우리는 '좋은 의사'의 매우 중요한 차원에 대해 다른 몇 가지 조치를 취하려고 계획하고 있다'(Kellyb, 페이지 1955). 잘못된 종류의 학생을 인정하는 망령이 널리 퍼지고 있었다. 켈리는 "우리가 의대생들에 대해 수집해 온 데이터는 이 이상에 대한 우리의 믿음을 상당히 흔들어 놓았다"고 경고한 반면, 의학 교육자들은 "젊은 의사의 이상화된 이미지"를 가지고 있다고 말했다. ( 페이지 195). 그는 적나라하게 요약했다(그리고 강조하기 위해 반복된 서문) "집단으로서 의대생들은 인간의 복지에 대한 관심이 현저히 적다"(195쪽)고 말했다.

E. Lowell Kelly, a psychology professor, acknowledged that psychologists did not yet ‘‘think we have all the important dimensions,’’ nevertheless ‘‘we are planning to try to get at some other measures of what may be very important dimensions of ‘the good physician’ (Kelly 1957b, p. 195)’’. The spectre of admitting the wrong sort of student was writ large. Kelly warned that medical educators had an ‘‘idealized image of the young physician’’ whereas ‘‘the data we have been collecting on our own medical students has shaken considerably [our] belief in this ideal’’ (p. 195). He summarized starkly (and the Preface repeated for emphasis) that ‘‘[a]s a group, medical students reveal remarkably little interest in the welfare of human beings’’ (p. 195).


우리가 이용할 수 있는 모든 증거에 따르면, 전형적인 젊은 의사들이 그가 살고 있는 사회의 문화적 측면에 거의 관심이 없고, 공동체의 요구에 대해 매우 민감하거나 느끼는 바가 거의 없으며, 그것들이 그의 소득에 기여하지 않는 한 일반적으로 공동체 활동에 참여하는 경향이 없다는 결론으로 이어진다. (196 페이지)

All of the evidence available to us leads to the conclusion that the typical young physician has little interest in cultural aspects of the society in which he lives, has very little sensitivity to or feeling for the needs of the community, and is generally not inclined to participate in community activities unless these contribute to his income. (p. 196)


성격 검사에서 문제가 드러났고 성격 검사에서 해결책이 나왔다.

Personality tests revealed the problem; personality tests provided the solution.


갑자기 시험 자체가 위기를 초래했다. 그 시험이 문제가 될 수도 있다는 암시는 없었다. 또한 이것이 새로운 현상이라는 데에는 의심의 여지가 없었다. 그것은 분명히 현생과 최근의 의대 졸업자와 관련된 발견으로 프레이밍되었다. "의사가 될 사람들의 종류에 대한 걱정"은 학회에 모인 학장과 의학 교육자들이 아닌 "오늘날 의과대학에 들어가는 사람들의 종류"에만 관련된 것이다.

Suddenly, the testing itself created a crisis. There was no suggestion that the test might be the issue. Nor was there any doubt that this was a new phenomenon. It was clearly framed as a discovery relevant to current students and recent medical graduates. The ‘‘worry about the kind of people who are becoming physicians’’ related only to the ‘‘kinds of people going into medicine today,’’ not the Deans and medical educators gathered at the Institute (Kelly 1957b, p. 195).


켈리는 새로운 특성characteristics 접근법을 열성적인 지지하며 노골적으로 말했다.

Kelly did not mince words in his enthusiastic advocacy for the new, characteristics approach:


나는 네가 이런 일들을 해야 한다고 말하는 것이 아니라, 만약 네가 하지 않는다면 [당신은 그러한 증거의 이용가능성에 눈을 감거나 직업이 어떻게 되는지는 당신이 상관할 바가 아니라고 말하고 있다]고 말하는 것이다. [의과대학에서 만드는 product의 특성을 예측할 수 있는 지식]은 당신의 손에 [전체 직업의 본질을 바꿀 힘]을 준다. 그러한 권력은 매우 무섭지만, 그것을 사용하지 않는 것은 책임의 포기일지도 모른다.(켈리 1957b, 페이지 196)

I am not saying you must do these things, but if you don’t you are either shutting your eyes to the availability of such evidence or saying that it is none of your business what the profession becomes. Knowledge which enables you to predict the characteristics of the product of your medical schools puts in your hands the power to change the nature of the entire profession. Such power is almost frightening, but refusal to use it may be an abdication of responsibility. (Kelly 1957b, p. 196)


난투극이 의학 교육자들에게 던져졌다. 이 연구소의 요약본에서는 '도전적 지평선'과 이러한 '불안한' 폭로를 더 연구할 필요성에 대해 논의하였다(Gee and Cowles 1957, 페이지 7).

A gauntlet was thrown to medical educators. The Institute summary discussed ‘‘challenging horizons’’ and the need to further study these ‘‘disconcerting’’ revelations (Gee and Cowles 1957, p. vii).



특성요소 담론의 고착화

The entrenchment of characteristics discourse


1956년 연구소에 이어 JAM 기사에서도 점차 특징characteristics라는 언어가 보편화되었다. 1957년 AAMC 연구 책임자인 헬렌 호퍼 기는 '의대 학생들의 특성characteristics 다양성 연구'에 초점을 맞췄다(Gee 1957, 페이지 61–62).

Following the 1956 Institute, the language of characteristics gradually became more common in JAM articles. AAMC Director of Research, Helen Hofer Gee’s research report for 1957 focussed on the ‘‘study of diversity of characteristics of medical school students’’ (Gee 1957, pp. 61–62).


특성characteristics 담론은 분명히 교육에서 더 일반적으로 나타나고 있었다.

Characteristics discourses were clearly emerging more generally in education.


1956년 연구소를 통해 심리학자들은 연구 의제를 정의하고 의대생을 이해하는데 발판을 마련했다. 더 나아가서 그들은 선량한 의사의 변화하는 담론을 형성하는 데 영향을 끼쳤다. 그러나 특성characteristics 담론의 발흥은 피할 수 없었다. Medical trainee를 특성characteristics마다 분석하는 심리학적 접근방식이 반드시 기존의 성격character 담론을 대체할 필요는 없다.

Through the 1956 Institute, psychologists gained a foothold in defining the research agenda and approach to understanding the medical student. By extension, they had influence in shaping the changing discourse of the good doctor. However, the rise of characteristics discourse was not inevitable. The psychometric approach to the analysis of the medical trainee characteristic by characteristic need not necessarily supplant the preexisting discourse of character.


심리학자들이 주장하는 주요 논점 중 하나인 [학생 선발의 측면에서 위기가 임박했다는 것]이 지속적인 주요 주제로 자리잡지 못했다. 집중적인 심리 테스트의 배터리에 대한 유의미한 집중도 완전히 자리잡지 못했다. 그러나, 비록 의학교육자들이 심리 테스트의 모든 근거를 수용하지는 않았지만, 그것에 수반되는 특성characteristics의 언어는 고착화되었다.

One of the main arguments made by the psychologists, that of an impending crisis in terms of student selection, did not continue to be a major theme. Even the significant focus on batteries of intensive psychological tests did not completely take hold. However, even while medical educators did not embrace all the rationale for psychological testing, the language of characteristics that accompanied it became entrenched.


1956년 Institute의 심리학자들의 견해와는 달리 의학은 위기에 처해 있지 않았다. 의대생은 임박한 재앙으로 간주되지 않았다. 사실 그 당시 의학은 영광의 시대에 있었다. 미국 의학의 사회변혁(1982년)에서 스타르가 기술한 바와 같이 1950년대 말 의학은 북미 사회에서 그 지위가 최고조에 달했고, 아직 의학적 권위와 자율성의 침식이 시작되지 않았으며, 과학의 약속은 아직 도색되지 않았으며, 의학 연구에 대한 열성적인 투자가 있었다.

Contrary to the view of the psychologists at the 1956 Institute, medicine was not in crisis. The medical student need not be considered an impending disaster. Medicine was, in fact, in its glory days. As described by Starr in The Social Transformation of American Medicine (1982), in the late 1950’s medicine was at the height of its status in North American society, the erosion of medical authority and autonomy had not yet begun, the promise of science was still untainted, and there was enthusiastic investment in medical research.


위기는 다른 형태로 나타났다: 스푸트니크와 함께 소련의 성공에 대한 과학적 신뢰의 위기. 1957년 10월과 11월에 소련이 발사한 스푸트니크 1호와 2호는 미국을 놀라게 했고 과학과 기술에 대한 미국의 지배력에 의문을 제기했다.

Crisis appeared in another form: the crisis of scientific confidence with the Soviet success with Sputnik. The Soviet launches of the satellites, Sputnik 1 and 2, in October and November 1957 surprised the United States and called into question American dominance in science and technology.


과학지식의 폭발적 담론을 통해 양질의 의학연구를 하기 위해 가능한 최고의 학생들을 유치할 필요성이 부각되었고, 냉전시대 수사로 강화되었다. 1958년 한 사설은 스푸트니크에 대한 대응으로 상위권 학생들이 의학 연구로부터 멀어지고 물리과학과 공학으로 쏠리게 될 것이라고 우려를 표명했다.

The need to attract the best possible students in order to have high quality medical research was highlighted through the ongoing discourse of explosion of scientific knowledge, and enhanced with Cold War rhetoric. An editorial in 1958 expressed concern that the response to Sputnik would draw top students away from the study of medicine to the physical sciences and engineering.


마찬가지로, 당시 AAMC의 회장이었던 코게스홀은 의학적 재능과 연구가 국가의 건강의 핵심이기 때문에 의학이 사회에 미치는 "매우 중요한 책임"에 대해 언급했다. 그는 "분명히, 우리 국민의 건강은 우리의 국가 안보에 비하면 부차적인 것이다"라고 주장했다.

Similarly, Coggeshall, then president of the AAMC, commented on the ‘‘highly important responsibility,’’ medicine has to society, since medical talent and research are at the core of the nation’s health. ‘‘Surely,’’ he argued, ‘‘the well being of our people is secondary only to our national security’’ (Coggeshall 1959).


다른 우선순위가 있는 시기에 의학의 중요성을 홍보할 필요성과 함께, 의대 지원자의 질 저하 가능성에 대한 의학교육 논문에서 표출되는 불안감이 커지고 있었다. 지원자 연구에서, 1957–1958년 연구는 상위권 학생(Klinger and Gee 1959)의 진로 선택으로 MCAT 점수의 하락을 지적하고 "의학의 상대적 매력"의 감소를 언급했다.

Along with this need to promote the importance of medicine at a time of other priorities, there was growing angst expressed in medical education articles about a possible decline in the quality of medical school applicants. The Study of Applicants, 1957–1958, noted a decline in MCAT scores and suggested a decrease in the ‘‘relative attractiveness of medicine,’’ as a career choice for top students (Klinger and Gee 1959).


교육자들은 문제가 있을 수 있는 지원자들을 선별하기 위해 적절한 측정치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을 원했다. 특성 담론은 그러한 심사가 가능하다는 것을 시사했다.

Educators wanted a way to ensure that appropriate measurements were available to screen potentially problematic applicants. Characteristics discourse suggested that such screening was possible.


1960년대 초까지, 특성요소는 의학 교육에 관한 연구와 논문에서 훌륭한 의사의 지배적인 틀이었다.

By the early 1960s, characteristics was the dominant framing of the good doctor in research and articles about medical education.


특성요소는 의료 훈련생들을 묘사하는 일반적인 방법이 되었다.

Characteristics had become the accepted way to describe medical trainees.


특성요소 담론이 의학교육에서 차지하는 범위는 1960년대 초반에 기사의 수가 증가하면서 명백해졌다. 그 기사의 특징은 의문의 여지가 없는 접근방식이었다(Johnson 1965; Korman et al. 1964; Price et al. 1964; Schlageter와 Rosental 1962; Schumacher 1964). 예를 들어, Aagard는 몬트리올에서 열린 제72회 AAMC 연차총회에서 대통령 연설을 통해 학생들을 모집할 때 "실습 의사가 필요로 하는 특성요소"를 식별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Aagard 1962, 페이지 87).

The extent to which characteristics discourse took hold in medical education was evident by the increasing number of articles in the early 1960’s in which characteristics were the unquestioned approach (Johnson 1965; Korman et al. 1964; Price et al. 1964; Schlageter and Rosenthal 1962; Schumacher 1964). For example, Aagard, in his Presidential Address at the 72nd AAMC Annual meeting in Montreal, highlighted the importance of identifying ‘‘those characteristics which are needed by the practicing physician,’’ in recruiting students (Aagaard 1962, p. 87).


Ceithaml은 그 첫 번째 단계는 중등 후 성적과 MCAT를 통해 학생들이 충분한 '지적 특성요소intellectual characteristics'를 갖도록 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입학 위원회를 위한 두 번째 단계는 "동등하게 중요하지만 더 이해하기 어려운 이 지원자의 비지식적 특성요소non-intellectual characteristics"를 고려하는 것이었다. (Ceithaml 1962, 페이지 174). 심리 테스트는 이 평가의 핵심 접근법 중 하나였다.

Ceithaml commented that a first step was to ensure that students possessed sufficient ‘intellectual characteristics’ through postsecondary grades and the MCAT (Medical College Admission Test). The second step for the admissions committee was to consider the ‘‘equally important but more elusive non-intellective characteristics of this scholastically qualified applicant’’ (Ceithaml 1962, p. 174). Psychological tests were one of the key approaches to this evaluation.


비록 어렵고 입증되지 않았음에도, 의학교육자들은 특성요소 경로를 택하도록 장려되었다. 만약 그들이 특성요소를 정의할 수 있다면, 심리학자들은 그것을 측정하기 위한 테스트를 고안할 수 있을 것이다.

Even if difficult and unproven, medical educators were encouraged to take the characteristics path. If they could define a characteristic, the psychologists could devise a test to measure it.


1960년대에 의대생은 성격 점수, 지능 점수, 다양한 적성 검사 점수로 해부되었다dissected. 입학 위원회는 성별, 결혼 여부, 연령 등 모든 식별 가능한 구성요소에 따라 학생을 분석하고 선발하는 것이 의대 성공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여지는 특권을 고려했다. 심지어 일부 의과대학은 지원자의 배우자를 인터뷰하기도 했다(존슨 1965). "정서적 안정성"이 가능성으로 여겨진다면, '외과의사 인터뷰'에 대한 추천이 제안되었다(Ceithaml 1962 페이지 175).

During the 1960s, the medical student was dissected into personality scores, intelligence scores and various aptitude test scores. Admissions committees considered it their prerogative to analyse and select students according to any identifiable component, be it gender, marital status, or age as such factors were shown to affect medical school success. Some medical schools even interviewed applicants’ spouses (Johnson 1965). If ‘‘emotional stability’’ were considered a possibility, a referral for an ‘‘extensive psychiatric interview’’ was suggested (Ceithaml 1962 p. 175).


학생에 대한 이러한 특성요소 공식화characteristics formulation는 [구성요소 부분의 분석이 전체에서 중요한 통찰력을 제공할 수 있음]을 시사했다. 따라서 이 의대생은 분리된 분리 가능한 부분으로 해부되었고, 이 조각난 검사들이 다시 합쳐져서 한 명의 의대생에 대해 유용한 것을 말할 수 있기를 희망했다. 의과대학의 특성이 연구되기 시작함에 따라 특성 접근법은 전체 의료 훈련 환경에도 적용되었다(Parker 1960).

This characteristics formulation of the student suggested that analysis of component parts could provide important insights into the whole. The medical student was hence dissected into discrete separable parts, with the hope that these fragmented examinations could be pieced back together to say something useful about the medical trainee as a whole. The characteristics approach was also applied to the entire medical training environment as characteristics of medical schools began to be studied (Parker 1960). 


'생태학'과 '학습환경'과 같은 용어가 등장하여 학생 학습에 다소 도움이 되는 특성으로 분리되어 나갔다. 특성요소 담론은 인물과 학습 환경을 해부함으로써 학생의 통제 범위locus of control를 없애고 과정을 비인격화하였다. 수련생이 현미경을 이용해 세상을 살피는 대신, 학생과 의대는 이제 확대 렌즈 아래 있었다.

Terms such as ‘ecology’ and ‘learning environment’ appeared and were teased apart in terms of characteristics that made them more or less conducive to student learning (Miller 1962). Characteristics discourse, with its dissection of the person and the learning environment, hence removed the locus of control from the student and depersonalized the process. Instead of a trainee using a microscope to examine the world, the student and medical school were now under the magnification lens.


고찰 

Discussion


의학 교육에서 두드러진 담론은 어느 한 담론만 '맞'거나 '최고'이기 때문이 아니라, 각각의 담론이 우리에게 의학 교육과 의료행위의 특정한 사회 문화적 구조에 대한 통찰력을 주기 때문이다. 좋은 의사가 어떻게 개념화되느냐에 따라 의대에 합격할 가능성이 높은 사람(개인적·학술적 전제조건)과 의대 및 레지던트 연수(학생 평가 방식 표시)에 누가 잘하느냐가 결정된다. 의료계의 높은 지위, 사회적 만족도 및 경쟁적 진입 요건을 감안할 때, 중요한 교육 구성의 기초가 되는 가정들이 건강 제공자들의 사회적 가치와 기대에 부합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다.

prominent discourses in medical education are of interest not because any one is ‘right’ or ‘best’ but because each allows us insight into particular societal and cultural constructions of medical education and medical practice. How a good doctor is conceptualized determines who is more likely to be accepted to medical school (personal and academic prerequisites) and who does well in medical school and residency training (shaping how students are assessed). Given the high status, social desirability and competitive entry requirements of the medical profession, examination of the assumptions that underlie important educational constructs will help to see if they are congruent with societal values and expectations of their health providers.


예를 들어, 플렉스너의 좋은 의사 담론은 일반적으로 백인이고 사회적으로 잘 연결된 '교육받은 사람' (Flexner 1910 페이지 26)을 이상적인 의학적 시작점으로 내세웠다. 성격character 담론이 20세기 전반의 의학 교육에서 좋은 의사를 총체적으로 요약하는 것과 동시에, 그것은 또한 좋은 의사가 되기 위한 가장 적절한 인종과 성별에 대한 가정으로 가득 찬 엘리트주의적 구성elitist construction의 일부였다. 페미니스트 역사가들이 기록했듯이, 20세기 초에는 여성이 지적 과학 연구에 적합하지 않거나 헌법상 의료계의 교육적 또는 실천적 요구에 적합하지 않다고 제안하는 것이 타당하다고 간주되었다(Hodges 2010).

Flexner’s good doctor discourse, for example, positioned the generally white and socially well connected ‘‘educated man’’ (Flexner 1910 p. 26) as the ideal medical initiate. At the same time as character discourse provided a holistic summation of the good doctor in medical education for the first half of the twentieth century, it was also part of an elitist construction of the medical profession imbued with assumptions about the most appropriate race and gender of a good doctor. As feminist historians have documented, in the early 20th Century it was considered reasonable to suggest that women were not intellectually suited to scientific study nor constitutionally suited to the educational or practice demands of the medical profession (Hodges 2010).


담론이 그들의 역사적 맥락을 반영하듯이, 변칙적인 변화들은 기초적인 가정들의 변화를 신호한다. 그러므로 성격character에서 특성characteristics으로의 갑작스러운 변화는 더 넓은 사회적 맥락에서 고려하는 것이 중요하다. 의학교육이 심리학과 사회학의 후원으로 연구영역에 들어온 같은 해 동안, 의학교육자의 연구와 토론에 사용되는 언어에 뚜렷한 변혁이 일어났다. 심리학자들은 1956년 AAMC 연구소에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했다. 심리학자들이 연구소에서 두각을 나타내고, 의학교육이 정신분석과 행동심리학에 대한 가치에 대한 그들의 주장을 받아들이게 되면서 좋은 의사가 프레이밍되는 방식의 변화에 기여했다.

Just as discourses are reflective of their historical context, discursive changes signal changes in underlying assumptions. Hence the sudden shift from character to characteristics is important to consider in broader societal context. During the same years that medical education entered the research arena under the auspices of psychology and sociology, a distinct discursive shift occurred in the language used in studies and discussions of medical trainees. Psychologists played a very important role in the 1956 AAMC Institute. Their prominence at the Institute and the acceptance of their arguments about the value of psychometrics and behavioural psychology to medical education contributed to the shift in the way the good doctor was framed.


행동심리학이 1950년대와 1960년대 교육 연구 프레임에 미친 영향은 크론바흐(1975)에 의해 잘 설명되었다. 특성요소 담론은 이러한 심리적 구조에 깔끔하게 들어맞는다. 의료 교육자들이 더 넓은 교육 공동체와 일치하는 접근법을 채택하는 것은 놀라운 일이 아니다. 어떤 담론이든 당대의 다른 두드러진 담론과 사회적 가치에 잘 맞으면 지배적이 될 가능성이 훨씬 높다.

The impact of behavioural psychology on framing education research in the 1950s and 1960s has been well described by Cronbach (1975). Characteristics discourse fits neatly within these psychological constructs. It is not surprising that medical educators would adopt an approach congruent with the broader education community. Any discourse is much more likely to become dominant if it fits well with other prominent discourses and societal values of its time.


character에서 characteristics로의 담론적 전환이 반세기 전에 있었지만, 이 연구는 오늘날에도 여전히 의학 교육자들과 관련이 있다.

While the character to characteristics discursive shift took place half a century ago, this study is still relevant to medical educators today.


현재 의료교육계는 좋은 의사의 역할 기반 역량 모델을 구축한다. 역할로서의 역량의 공식화의 기반이 되는 몇 가지 가정은 그들의 역사적 발전에서 비롯된다. 본 저널에서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CanMEDS 역량 프레임워크(Frank 2005)는 의사 파업이 실패한 이후 의료계가 스스로의 이미지를 재창조하려고 했던 시기에, 온타리오를 위한 미래 의사 교육(EFPO) 프로젝트에서 개발되었다.

Currently, the medical education community constructs roles-based competency models of the good doctor. Some of the assumptions that underlie the formulation of competency as roles derive fromtheir historical development; as we have written about previously in this journal, the CanMEDS Competency Framework (Frank 2005) developed out of the Educating Future Physicians for Ontario (EFPO) project during a time when the medical profession was re-creating its image following a failed physician strike (Whitehead et al. 2011).


게다가 성과 기반 교육의 언어는 성과와 생산에 대한 담론에 의존하며, 이는 우리가 연습생 역량을 개념화하는 방법을 알려주고 영향을 준다(Hodges 2009).

The language of outcomes-based education, moreover, draws on discourses of performance and production, which inform and affect the ways we conceptualize trainee competence (Hodges 2009).


국제적으로 광범위하게 채택된 CanMEDS 역량 프레임워크를 포함한, 몇 가지 성과-기반 프레임워크에서 역할role이라는 용어를 사용하는 것은 성과 담론performance discourse에서 유래하며 행동주의와 연결된다(Hodges 2012). 그러므로 행동주의자적 가정은 특성characteristics과 성과performance 담론의 기초가 된다.

The use of the term roles in several outcomes-based frameworks, including the CanMEDS Competency Framework, which has been adopted widely internationally, derives from performance discourse and is linked to behaviourism (Hodges 2012). Behaviourist assumptions, therefore, underlie both characteristics and performance discourses.


성과기반 모델은 생산 언어production language를 추가하며, 이는 공장 제조 공정을 바탕으로 표준화와 최종 제품 보증을 강조한다. 성과기반 언어에서 의대 또는 레지던트 프로그램의 '제품product'은 사회적 책임을 보장하는 특정 역량 기준을 충족한다.

Outcomes-based models add production language, which, drawing on factory manufacturing processes, emphasize standardization and end product guarantees. ‘Products’ of medical school or residency programs, in outcomes-based language, meet particular competency standards, which ensure social accountability.


최근 포트폴리오의 인기(Hodges 2012)에 등장하는 등, '성찰'은 점점 더 강조되고 있다. 실제로, 현재 현재 알려진 결과 기반 접근법에 사용되고 있는 평가 도구를 살펴보면, 실제로 지식(복수 선택 시험), 수행능력(객관적 구조 임상 시험 및 직접 관찰) 및 성찰(포트폴리오)의 평가가 모두 사용되고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여기에 심리측정학(타당성을 높이기 위해 가변성variability을 감소)에 대한 관심이 더해지면서, 객관성과 책임성을 주장하기 위해 표준화가 사용되었으며, 규정된 영역에서 역량을 갖춘 최종 제품 의사의 '보증'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하였다. 하지만 정확히 뭘 보장하고 있는가? 과연 우리가 [특정 연습생을 '좋은 의사'로 승인하는 도장을 찍어 brand할 수 있음]을 확실히 보장할 수 있는 평가도구의 조합이 있는가?

Reflection is gaining strength, appearing, for example in the recent popularity of portfolios (Hodges 2012). In fact, if we look at assessment tools currently being used in our purported outcomes-based approaches of today, we actually see assessments of knowledge (multiple choice tests), performance (Objective Structured Clinical Examinations and direct observation) and reflection (portfolios) all being used. These are put together with attention to psychometrics (reducing variability to increase validity) and this standardization used to claim objectivity and accountability, giving ‘assurance’ of an end-product doctor with certainty of competence in prescribed areas. But what exactly are we assuring? Can any combination of assessment tools definitively guarantee that we can brand a particular trainee with the good doctor stamp of approval?


결론

Conclusion


특성요소characteristics 용어는 의사를 선택하고 훈련시키는 방법에 대한 통찰력과 답을 제공하기 위해 정신측정학 시험을 사용할 수 있는 특권을 부여했다. 현 시대에 우리의 지배적인 담론이 역량과 역할의 담론으로 옮겨간 반면, 이러한 '특성요소'에 관한 아이디어들 중 일부는 오늘날에도 여전히 우리의 가정에 영향을 미친다. 1950년대 후반에 성격에서 특성으로의 갑작스런 변천에 대한 조사는 푸콜디안 비판적 담화 분석이 의학교육에서 우리가 취한 추정에 대한 이해를 제공하는 데 어떻게 도움이 될 수 있는지를 보여준다. 의대생을 '일군의 비인지적 특성요소로 해부할 수 있는 것'으로 construct하는 것은 학생 선발과 훈련에 시사하는 바가 컸다. 그 학생은 전문적인 발견professional discovery이라는 개인적인 여정에 뛰어든 사람이 아니라, 측정되고, 잘게 쪼개지고, 환경 조작을 통해 주조할 수 있는 무언가가 되었다.

Characteristics terminology privileged the use of psychometric tests to provide insight and answers into how to choose and train doctors. While in the current era our dominant discourse has shifted to that of competence and roles, some of these characteristics ideas still influence our assumptions today. Examination of the sudden discursive shift from character to characteristics in the late 1950s demonstrates how Foucauldian critical discourse analysis can help to provide understanding of our taken-for-granted assumptions in medical education. The construction of the medical student as one who is dissectible into a set of component ‘non-intellectual characteristics’ carried implications for student selection and training. The student became something to be measured, chopped apart and moulded through environmental manipulation, rather than someone who embarked on a personal journey of professional discovery.








. 2013 Oct;18(4):687-99.
 doi: 10.1007/s10459-012-9409-5. Epub 2012 Sep 28.

Dissecting the doctor: from character to characteristics in North American medical education

Affiliations 

Affiliation

  • 1Department of Family and Community Medicine, Faculty of Medicine, University of Toronto, 500 University Ave., 5th Floor, Toronto, ON, M5G 1V7, Canada, cynthia.whitehead@utoronto.ca.

Abstract

Medical educators develop student selection criteria and design curricula based on underlying assumptions about who is best suited to the profession and how these learners should be taught. Often these assumptions are not made explicit but instead are embedded in the words and phrases used to describe trainees and curricula. They may then be considered inevitable, rather than being seen as particular social constructs. Using Foucauldian critical discourse analysis methodology, the authors examined a major shift in language in the late 1950s in North American medical education texts. The discourse of the good doctor as a man of character, which had been present since the 1910 Flexner Report, was replaced by a new discourse of characteristics. Analysis of this sudden discursive shift shows a change in thinking about the medical trainee and learning environment from a personal journey of discovery to a dissectible set of component parts that could be individually measured and manipulated. Understanding the discursive effects of language that we use will allow medical educators greater insight into the implications and consequences of different constructions of important issues in medical education.


성찰적 글쓰기 기반의 포트폴리오에서 참여의 모델: 취약성의 지점과 적응적 행동의 상호작용(Med Teach, 2015)

A model of engagement in reflective writing-based portfolios: Interactions between points of vulnerability and acts of adaptability

SHANNON ARNTFIELD, BRITTNEY PARLETT, CHRISTINE N. MESTON, TAVIS APRAMIAN & LORELEI LINGARD

Western University, Canada




도입

Introduction


역량 기반 의료 교육으로의 국제적인 전환은 의료 훈련 중 본질적인 기술 개발의 새로운 인증 기준을 충족하기 위해 주요 커리큘럼 혁신을 필요로 했다(Canada의 Royal College of Occessors and Occessors of Canada 1996; General Medical Counsulty 2000; Frank 2005; Norcini et al.. 2008; Albanese 외 2010). 포트폴리오에는 자기주도학습(Buckley et al., 2011)을 통한 내재적 역량(Sherbino et al. 2011) 개발을 촉진하기 위해 설계되었다. 2009; Sandars 2009; Toschel 등. 2009; Van Tartwijk & Driessen 2009) 및 반영(Schon 1987; Sandars 2009; Dekker et al. 2013) 및 의료 교육자들이 이러한 요구사항을 해결하는 주요 전략이 되었다(Snadden et al. 1999; Friedman Ben David et al. 2001; Dekker et al). 2009; Van Tartwijk & Driessen 2009).

The international shift toward competency-based medical education has necessitated major curricular innovation in order to satisfy new accreditation standards of teaching and assessing intrinsic skill development during medical training (Royal College of Physicians and Surgeons of Canada 1996; General Medical Counsel 2000; Frank 2005; Norcini et al. 2008; Albanese et al. 2010). Portfolios are designed to promote intrinsic competency (Sherbino et al. 2011) development through self-directed learning (Buckley et al. 2009; Sandars 2009; Tochel et al. 2009; Van Tartwijk & Driessen 2009) and reflection (Schon 1987; Sandars 2009; Dekker et al. 2013) and have become the primary strategy with which medical educators are addressing these requirements (Snadden et al. 1999; Friedman Ben David et al. 2001; Dekker et al. 2009; Van Tartwijk & Driessen 2009).


이후 10년 동안, 포트폴리오, 성찰 및 성찰적 글쓰기(RW)는 의료 커리큘럼에서 상당히 흡수된 서로 얽힌 개념들이 되었고, 일부 지역에서는 의무화되었다(Carr & Carmody 2006; Schele et al. 2008; Dekker et al. 2009; Kind et al. 2009년) 및 타인에서의 면허 및 역량 유지에 필요함(General Medical Council 2005; College of Canada 2007).

Over the next 10 years, portfolios, reflection and reflective writing (RW) became intertwined concepts that saw significant uptake in medical curricula, becoming compulsory in some regions (Carr & Carmody 2006; Scheele et al. 2008; Dekker et al. 2009; Kind et al. 2009) and required for licensing and maintenance of competency in others (General Medical Council 2005; College of Family Physicians of Canada 2007).


Driessen 등은 2005년에 "포트폴리오가 학습과 평가를 위한 강력한 도구가 될 수 있지만, 열악한 조건에 취약하고 실망으로 쉽게 이어질 수 있다"고 보고했다(1235 페이지).

Driessen et al reporting in 2005 that ‘‘portfolios can be a powerful tool for learning and assessment, but the method is vulnerable to adverse conditions and may easily lead to disappointment’’ (p. 1235).


구체적으로, 포트폴리오가 부분적으로 다음 이유 때문에 의대생들의 성찰학습(Wade & Yarboourgh 1996; Pearson & Heywood 2004)이 발생한다고 보장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 성찰을 꼭 학습 전략으로 인식하거나 가치 있게 여기는 것은 아니다(Mann et al.). 2009; Sandars 2009; Van Tartwijk & Driessen 2009; Arntfield et al. 2013; Van Schaik et al. 2013) 

  • 상당한 지침이 없으면 성찰학습에 참여하는 방법을 모를 수 있다(Aertmer & Newby 1996; Driessen et al. 2008; Aronson 2011). 

  • 성찰에 필요한 시간, 노력 및 학습에 의해 위협을 느낄 수 있다(Mann 등). 2009; Van Tartwijk & Driessen 2009).

Specifically, it has been shown that portfolios do not guarantee that reflective learning occurs (Wade & Yarboourgh 1996; Pearson & Heywood 2004), in part, because medical students 

  • do not necessarily recognize or value reflection as a learning strategy (Mann et al. 2009; Sandars 2009; Van Tartwijk & Driessen 2009; Arntfield et al. 2013; Van Schaik et al. 2013) 

  • may not know how to engage in reflective learning without considerable guidance (Ertmer & Newby 1996; Driessen et al. 2008; Aronson 2011) and 

  • may feel threatened by the time, effort and learning required (Mann et al. 2009; Van Tartwijk & Driessen 2009).


멘토는 포트폴리오 학습에 필수적인 것으로 널리 인정받고 있다(Knowles 1975; Schon 1987; Pearson & Heywood 2004; Driessen et al., 2005, 2007; Mansvelder-Longayroux et al. 2006; McMullan 2007; Dekker et al. 2009; Sandars 2009). 하지만, 교수들은 

  • 멘토로서의 그들의 역할을 이해하지 못할 수도 있다(Atkins & Williams 1995; Neary 2000; Bray & Nettelson 2007; Stenfors-Hayes et al. 2011). 

  • 개인적으로 성찰에 참여하지 않을 수 있으며, 결과적으로 학생들에게 충분한 동기를 부여하지 않을 수 있다(Sandars 2009; Van Schaik et al. 2013). 

  • 반성을 통해 학생 학습을 촉진하는 방법을 배우는 데 투자할 시간이나 관심이 없을 수 있다(Wade & Yarboourgh 1996; Pearson & Heywood 2004; Sandars 2009).

Mentors are widely acknowledged to be essential for portfolio learning (Knowles 1975; Schon 1987; Pearson & Heywood 2004; Driessen et al. 2005, 2007; Mansvelder-Longayroux et al. 2006; McMullan 2007; Dekker et al. 2009; Sandars 2009); however, faculty members 

  • may not understand their role as mentors (Atkins & Williams 1995; Neary 2000; Bray & Nettleson 2007; Stenfors-Hayes et al. 2011) 

  • may not engage in reflection personally, and as a result, may not sufficiently motivate students (Sandars 2009; Van Schaik et al. 2013) and 

  • may not have the time or interest to invest in learning how to facilitate student learning through reflection (Wade & Yarboourgh 1996; Pearson & Heywood 2004; Sandars 2009).


이들 연구와 함께 그리고 이 연구를 통해 나타난 것은 포트폴리오를 사용할 때 성공에 필요한 조건을 설명하는 문헌의 한 부분이었다. 

  • 목적을 명확하고 유연하게 의사소통

  • 학습자의 프라이밍

  • 학습자 중심의 구조 

  • 효과적인 멘토링

  • 총괄 평가와 그 한계 및 영향의 고려 

  • 효과적인 서면 피드백과 종단적 피드백

  • 교과과정에 의무적으로 통합.

Emerging alongside and through these studies has been a body of literature describing the conditions necessary for success when using portfolios; these include 

  • a clearly a flexible communicated purpose, 

  • priming of learners, 

  • learner-centered structure, 

  • effective mentorship, 

  • consideration of summative assessments along with their limitations and impact, 

  • effective written feedback and longitudinal, 

  • mandatory integration into the curriculum 

(Wade & Yarboourgh 1996; Roberts et al. 2003; Shumway & Harden 2003; Pearson & Heywood 2004; Driessen et al. 2005; Sandars 2009; Van Tartwijk & Driessen 2009; Reis et al. 2010; Aronson 2011; Donato & George 2012; Wald et al. 2012; Dekker et al. 2013; Van Schaik et al. 2013; Dannefer 2013).


본 연구의 목적은 멘토 중심의 RW를 활용한 학부 의료 교육 포트폴리오 이니셔티브에서 가르치고 배우는 사회적 과정을 탐구하는 것이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social process of teaching and learning in an undergraduate medical education portfolio initiative using mentor-facilitated RW. 


방법 

Methods


과정 설계 Course design


캐나다 주요 의과대학의 3학년 의대생 180명이 새로운 반사 포트폴리오 과정에 등록했는데, 그 목적은 멘토 중심의 RW를 통해 전문적 발전과 성찰 능력을 촉진하는 것이었다. 학생들은 7~8명 26개 그룹으로 나뉘어 교수진 멘토를 배정받았는데, 모두 서부대학교에서 학업에 종사하는 임상 활동 의사였다. 학생들은 서술의학(표 1) (Charon 2001, 2006)의 원칙에 근거한 RW 프롬프트에 대응하여 한 해 동안 안전한 서버를 통해 4개의 RW 항목을 멘토에게 전자적으로 제출하고, CaRMS(Canadian Locker Matching Service)를 준비하기 위한 CV 및 개인 진술서를 제출해야 했다. 멘토들은 추가반성을 촉진하기 위해 각 RW 참가 후 2주 이내에 서면 피드백을 제공해야 했고, 학생들은 피드백을 받고 2주 이내에 피드백에 응답해야 하며, 3부로 구성된 서면 대화를 만들었다.

One-hundred eighty third-year medical students at a major Canadian medical school were enrolled in a new reflective portfolio course, the purpose of which was to stimulate professional development and reflective capacity through mentor-facilitated RW. Students were divided into 26 groups of 7–8 students and assigned a faculty mentor, all of whom were clinically active physicians with academic appointments at Western University. Students were expected to submit four RW entries to their mentor electronically via secure server over the course of the year, in response to RW prompts based on principles of Narrative Medicine (Table 1) (Charon 2001, 2006), as well as a CV and personal statement in preparation for Canadian Resident Matching Service (CaRMS). Mentors were required to provide written feedback within two weeks of each RW entry to promote further reflection, and students were required to respond to feedback within two weeks of receipt, creating a three-part written dialogue.



학생-멘토간 상호작용을 촉진하기 위해, 세 번의 대면 미팅도 올해까지 예정되었다. 

형태 형성적 피드백과 종합적 피드백을 위한 초기 그룹 소개 회의 

    • 수강생들은 강좌의 성격, 목적, 물류, 목표에 대해 두 번의 1시간짜리 입문 세션(부록 A, 온라인에서 보충 자료로 이용 가능)을 받았다. 

    • 멘토들은 같은 이유로 1.5시간 동안 입문 교육을 받았으며, 성찰 학생 글쓰기에 대한 서면 답변 작성에 대한 경험적 스킬 훈련(부록 B, 온라인 보충 자료로 이용 가능)도 받았다. 

    • 한 해 동안, RW에 숙련된 3명의 슈퍼멘토들이 교수 멘토에게 지원을 제공하였고, 멘토-학생 교환을 최소 두 번 이상 검토하였으며, 선택적 보충 RW 스킬 연수를 연중 중간중간에 제공하였다. 

    • 멘토에게는 피드백을 구성하기 위해 생산된 RW의 수준을 식별하는 데 도움이 되는 두 가지 선택적 루브릭이 제공되었다. 루브릭은 평가에 공식적으로 사용되지 않았다. 

    • 형성적 및 총괄적 드백이 모든 학생들에게 제공되었다(부록 C, 온라인에서 보충 자료로 제공). 코스는 필수 과목이었고 사용된 자격은 합격/불합격이었다.

To help facilitate student–mentor interactions, three face-to-face meetings were also scheduled through the year: an initial group introductory meeting, for formative feedback and for summative feedback. 

    • Students received two one-hour introductory sessions on the nature, purpose, logistics and goals of the course (Appendix A, available as supplementary material online). 

    • Mentors received a 1.5 h introductory training session for the same, as well as experiential skills training on crafting written responses to reflective student writing (Appendix B, available as supplementary material online). 

    • Throughout the year, three supermentors skilled in RW provided support to faculty mentors, reviewing the mentor–student exchange at least twice, and providing optional supplementary RW skills training mid-way through the year. 

    • Mentors were provided two optional rubrics to assist in identifying the level of RW produced in order to construct feedback; rubrics were not formally used for assessment. 

    • Formative and summative feedback was provided to all students (Appendix C, available as supplementary material online). The course was mandatory and the qualifications used were pass/fail.


윤리 Ethics approval


연구 설계, 모집, 샘플링 Study design, recruitment and sampling


1단계 완료(질문자 – 부록 D 및 E 참조, 온라인 보충 자료)는 참가 학생과 멘토가 2단계(학생 포커스 그룹 세션 또는 멘토 인터뷰)를 위해 연락을 받기를 원한다는 것을 암시했다.

Completion of the first stage (questionnaire – see Appendix D and E, available as supplementary material online) implied consent that participating students and mentors wished to be contacted for the second stage (student focus groups session or mentor interviews).


참여자 Participants


설문 Questionnaires


설문지에 대한 학생과 멘토 응답은 포커스 그룹과 인터뷰 가이드를 개발하고 다듬는 토대가 되었다.

Student and mentor responses to questionnaires served as a foundation to develop and refine the focus group and interview guides.


포커스그룹 Focus groups


설문지 결과(부록 F, 온라인 보충 자료로 이용 가능)에서 발생하는 주제를 탐구하는 개방형 가이드를 사용하여 포커스 그룹 논의를 촉진했다. 모든 포커스그룹 세션은 1시간이었고 독립적인 연구 보조자에 의해 운영되었다.

Focus group discussions were facilitated using an open-ended guide that explored themes emerging from questionnaire results (Appendix F, available as supplementary material online). All focus group sessions were one hour and run by an independent research assistant.


인터뷰 Interviews


포트폴리오 과정 멘토와 개별 면접은 직접 또는 전화로 진행했다. 설문지 결과, 학생 포커스 그룹 응답 및 연구자 토론에서 개발된 개방형 인터뷰 가이드가 사용되었다(부록 G, 보충 자료로 온라인에서 이용 가능).

Individual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portfolio course mentors either in person or by telephone. An open-ended interview guide, developed from the questionnaire results, student focus group responses and researcher discussion, was used (Appendix G, available as supplementary material online).


질적 분석 Qualitative analysis


본 연구의 데이터 수집은 Charmaz(2006)가 설명한 바와 같이 이론적 충분성에 도달했다고 저자들이 느꼈을 때 중단되었다.

Data collection for this study ceased when the authors felt that theoretical sufficiency was reached, as described by Charmaz (2006).


근거 이론 연구(Charmaz 2006)에서 권장한 바와 같이, 코드를 비교하고 코드 간의 관계를 식별하기 위해 일정한 비교 방법을 사용했다. 세 명의 조사관은 여러 단계에서 함께 분석을 논의했고, 차이점을 논의하여 해결했으며, 새로운 주제를 뒷받침하는 자료의 인용구들이 확인되었다. 코딩이 개선된 후에는 코드 간의 관계를 더 자세히 탐구하고 데이터를 개념적 수준으로 끌어올리기 위해 분석을 실시했다.

The constant comparative method of analysis was used to compare codes and identify relationships between codes, as is recommended for a grounded theory study (Charmaz 2006). The three investigators discussed the analysis together at multiple stages; differences were discussed and resolved, and quotations in the data were identified that supported the emergent themes. Once the coding was refined, analysis was conducted to further explore the relationships between codes and to elevate the data to a conceptual level.


결과 

Results


취약점 및 적응성 행동

Points of vulnerability and acts of adaptability


[취약점]은 학생-멘토 참여의 저하에 작용했고 [적응성 활동]은 참여도를 향상시키는 데 작용했다.

Points of vulnerability worked to degrade student–mentor engagement, and acts of adaptability worked to enhance engagement.


학생-멘토 참여

Student–mentor engagement


참여가 이루어지면 학생들과 멘토들이 충분히 가치 있는 관계를 형성하여 과정에 참여하여 포트폴리오의 긍정적인 성과를 이루었다. 학생들은 [자신의 경험을 기꺼이 공유하고자 하는 접근 가능한 멘토]가 있다면, 첫 만남에서 빠르면 참여engagement 과정이 시작될 수 있다는 것을 확인했다.

When engagement was achieved, students and mentors formed fully a valuable relationship, participated in the course and achieved the positive outcomes of portfolio. Students identified that with an approachable mentor who is willing to share their own experiences, the engagement process could begin as early as the initial meeting.


또 다른 학생은 경험을 공유하려는 멘토의 의지그 의지가 제공하는 확신에 대해 자세히 설명했다.

Another student elaborated on their mentor’s willingness to share experiences and the reassurance this provided.


나의 멘토는 반응이 매우 능숙했고, 뭔가를 validate해주었거나, 심지어 그녀 자신의 예를 들고 나와 동일시했다. 의사가 '나도 네 입장이었던 적이 있고, 나도 전에 이런 느낌을 받았어. 네가 원한다면 할 수 있는 일에 대한 몇 가지 제안이야.'라고 말하는 것은 정말 안심할 수 있었다. (학생, FG#1)

My mentor was very good about her responses and she would either validate things or even come up with her own examples and identify with me. And that was really reassuring to have a physician say, ‘I have been in your shoes and I have felt this way before, these are some suggestions as to what you could do if you wanted to’ (Student, FG#1).


취약점과 적응성 행동 사이의 복잡한 관계를 고려할 때, 참가자마다 학생-멘토 참여 경험이 매우 달랐다. 

Given the complex relationship between points of vulnerability and acts of adaptability, participants had very different experiences of student–mentor engagement. As one mentor summarized


취약점 Points of vulnerability


(1) 구조

(1) Structural


구조적 취약성은 포트폴리오 커리큘럼에서 RW 설계에 내재된 취약성이다. 다수의 학생들이 파악한 구조적 취약성의 한 형태는 RW 프롬프트 형식이었다. 일부 학생들은 프롬프트가 제공하는 초점을 높이 평가했지만, 다른 학생들은 이러한 프롬프트가 개인적인 의미를 갖는 경험을 선택함으로써 글쓰기에 관여하는 능력을 제한한다고 지적했다.

Structural vulnerabilities are vulnerabilities inherent to the design of the RW in the portfolio curriculum. One form of structural vulnerability identified by a number of students was the format of RW prompts. Although some students appreciated the focus provided by the prompts, others indicated that these prompts restricted their ability to engage with the writing by choosing an experience that held personal meaning.


또 다른 구조적 취약성의 원천은 학생들이 RW의 잠재적 청중에 대해서 정직해지는 능력에 관한 것이었다. 어떤 학생들은 서면 성찰을 통해 더 정직해질 수 있다고 느꼈지만, 다른 학생들은 학생-멘토 관계를 넘어 인식된 익명성이 부족하기 때문에 글을 쓸 때 '선택적'이 된다고 했다. "익명이 아니며, 포트폴리오도 익명으로 만들어지지 않는다. 익명성이 부족하면 자연스럽게 약간 방어적이 된다."(학생, FG#2) 또 다른 학생은 "개인적으로 너무 사적인 이야기일 것이기 때문에 내가 말하고 싶지 않은 것들이 있다고 느꼈을 수도 있는 몇 가지 점들이 있었다"고 말했다. 나는 아무것도 공유할 수 있을 것 같지가 않았다."(학생, FG#1)

Another source of structural vulnerability surrounded the ability of students to be honest in RWthat was for an audience. While some students felt that they could be more honest through written reflection, others indicated being ‘‘selective’’ in what they wrote because of a lack of perceived anonymity beyond the student–mentor relationship, ‘‘It’s not anonymous, the portfolio is not made to be anonymous. With lacking anonymity there comes a bit of guardedness by nature’’ (Student, FG#2). Another student elaborated, ‘‘There were some points where I might have felt like there were some things I wouldn’t want to talk about because it would be too personal ...I definitely didn’t feel like I could share [just] anything’’ (Student, FG#1).


학생들은 자신의 RW를 비밀번호로 보호되고 안전한 서버에 업로드했고 각각의 성찰은 개인 멘토에 의해서만 볼 수 있었다. 이런 안전장치에도 불구하고 일부 학생들은 여전히 공개적으로 성찰할 만큼 안전하다고 느끼지 못했다. 한 학생은 일부 멘토들이 학생들이 지원을 고려하고 있는 레지던트 프로그램의 에서 영향력 있는 구성원이었다는 사실에 영향을 받을 수 있다고 말했다.

Students uploaded their RWpieces to a password-protected, secure server, and each reflection was only viewed by their individual mentor. Despite these safeguards, some students still did not feel safe enough to reflect openly. One student indicated this could be influenced by the fact that some mentors were influential members of departments that students may be interested in applying to for residency programs


다른 구조적 취약성의 지점은 학생-멘토 대화와 서면 반사에 대한 멘토 피드백을 위한 주된 의사소통 형태로서 온라인 대화를 사용하면서 발생했다. 한 학생이 설명했듯이'''이메일로 멘토와 실제로 소통하는 것은 어려웠다. 이메일 토론은 상당히 제한적이었다"고 말했다. 한 멘토는 "이메일을 통해 일하는 것에 매우 익숙하지만, 바디랭귀지를 못 본다는 것이 제약이 됨을 느낀다. 나는 이메일을 통한 의사소통을 과도하게 해석하지 않으려고 노력했지만, 그렇지 않기란 어렵다."고 상세히 설명했다. (멘토 #7).

Other points of structural vulnerability arose with the use of electronic dialogue as the predominant form of communication for student–mentor dialogue and mentor feedback about the written reflection. As one student explained, ‘‘It was hard to really communicate with mentors via email. The discussions were quite limited’’ (Student via questionnaire). A mentor elaborated by saying, ‘‘Although I’m very used to working through email, I sense that the lack of my ability to see body language in a way hindered me. I was trying to not over interpret communications through email, but it is hard not to’’ (Mentor #7).


(2) 적성 (2) Aptitudinal


적성 취약성은 멘토와 학생의 타고난 기술 집합의 가변성을 가리킨다. 참여자들의 적성이 포트폴리오 경험에 큰 역할을 하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학생들은 글쓰기와 성찰 모두에서 다양한 수준의 기술을 가지고 그 과정에 입학했다. ''...왜 모든 사람이 그것을 좋아하지 않는지에 대한 한 가지 이유일 수 있다. 모든 사람이 작가도 아니고, 생각을 글로 쓰는 것을 좋아하는 것은 아닐 수도 있기 때문이다."(학생, FG#1)

Aptitudinal vulnerabilities refer to variability in the innate skill sets of mentors and students. The aptitude of participants was observed to play a major role in their experience of portfolio. Students entered the course with varying skill levels in both writing and reflection. ‘‘...Because maybe that is one element as to why not everybody likes it, not everybody is a writer or likes to put their thoughts on paper’’ (Student, FG#1).


마찬가지로, 모든 멘토들이 효과적인 피드백을 제공하는 적성에 있어서 동등하지는 않았다. 학생들은 모호하고 간단하게 진술에 근거한 피드백, ''...내가 누군가에게 뭔가를 쓰고 있다면 '잘했어, 너의 성찰에 감사해'(FG#2)보다 더 많은 답변을 바랄 것이라고 지적했다. 또한 멘토들이 성찰의 내용을 다루기보다는 문법이나 철자법과 같은 RW의 기계적 측면에 초점을 맞출 때 적성적 취약성이 발생하였다.

Similarly, not all mentors were equal in their aptitude for providing effective feedback. Students pointed out that there was little to gain from feedback that was vague and simply statement-based, ‘‘...if I’m writing something to someone, I’d hope for more of a response than, ‘Good job, I appreciate your reflection’’’ (Student, FG#2). Aptitudinal vulnerability also arose when mentors focused on mechanical aspects of the RW entry, such as grammar and spelling, rather than addressing the content of the reflection.


불충분하거나 도움이 되지 않는 멘토 피드백은 이전에 관심이 있었던 학생들에게도 부정적인 결과를 초래할 수 있었다.

Insufficient or unhelpful mentor feedback was capable of producing negative consequences, even for previously interested students.


처음에는 정말 신났던 것 같아, 내가 말했듯이, 난 글 쓰는 걸 좋아해. 나는 내 멘토를 만났고 그녀가 합리적인 사람이라고 생각했지만 피드백은 없었다. 주로 한 문장에 그쳤다. 그 이후로 나는 그렇게 흥분되지 않았다(학생, FG#2).

I think at the beginning I really felt kind of excited about it, like I said, I like to write. I met my mentor and thought she was a reasonable person and then the feedback wasn’t there, it was kind of like one sentence. Then I wasn’t as excited (Student, FG#2).


(3) 문화

(3) Cultural


'문화적 취약성'은 동료, 동료 및 교사의 국소적 태도 또는 의료계 내의 전반적 태도가 포트폴리오에 대한 학생들의 태도에 영향을 미쳤을 때 관찰되었다. 예를 들어, 열정적으로 포트폴리오에 들어간 학생들은 또래들 사이의 부정적인 태도에 취약했다.

Cultural vulnerabilities’ were observed when the attitudes of peers, colleagues and teachers locally, or the attitudes within the global medical community, influenced student attitudes toward portfolio. For example, students who entered portfolio with enthusiasm were vulnerable to the negative attitudes amongst their peers:


만약 다른 모든 사람들이 그것을 귀중한 도구로 본다면, 궁극적으로 당신에게도 영향을 미친다.

if everyone else looks at it as an invaluable tool, then ultimately it does impact you (Student, FG#3).


그 해 포트폴리오가 새로운 과정이었기 때문에 '실험쥐' 또는 '기니아피그'라는 느낌이 들었다는 학생들의 논평을 통해 또 다른 형태의 문화적 취약성이 관찰되었다.

Another form of cultural vulnerability was observed through students commenting that the class had a sense of being ‘‘lab rats’’ or ‘‘guinea pigs’’ because portfolio was a new course that year:


작년 학생들은 이렇게 할 필요가 없었다. 이제는 우리 모두가 써야 한다.

Like, last year’s group didn’t have to do this, and now we all have to write (Student, FG#4).


멘토들의 태도는 문화적 취약성의 또 다른 측면이었다. 한 학생이 이렇게 설명했다.내 생각에 너는 학생뿐만 아니라 교수의 buy-in도 필요할 할 것 같다. 그리고 학생들이 초반에 교수진으로부터 부정적인 경험을 하며, 학생들은 의욕이 떨어질 것이라고 생각한다."(학생, FG#4) 교수가 "기본적으로 이렇게 성찰을 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하지 않고, 이렇게 하는 것을 원하지 않는다"고 말한 학생이 있었는데, 이 경우 전반적인 문화가 의미 있는 RW 경험을 유도하지 않았다.

Attitudes of mentors were another aspect of cultural vulnerability. A student explained, ...I think you just need faculty buy-in, as well as student buy-in. And I think when the students get a bad taste from the faculty initially, then the students are going to be less motivated’’ (Student, FG#4). For a student whose ‘‘preceptor basically said she didn’t think reflecting like this was important and didn’t want to be doing this’’ (Student via questionnaire), the overarching culture was not conductive to a meaningful RW experience.


(4) 시간적

(4) Temporal


시간적 취약성은 과제의 시기, 피드백 시기, 더 큰 규모로 의대 교육과정 내 포트폴리오 과정 시기 등에 내재된 변수였다. 몇 달 후에 멘토 피드백을 받았을 때, 학생들은 피드백을 더 중요하게 여기지 않았고, RW를 완성하려는 동기도 덜했으며, 수업에서 이익을 얻는 것처럼 느낄 가능성도 덜했다. 한 학생은 제출 후 몇 달 후 피드백에 대한 그녀의 반응을 "3개월 후였기 때문에 그것에 대해 생각조차 하지 않았다. 나는 '무슨 상황이었는지도 기억나지 않는다"고 말했다. 피드백이 지연되었을 뿐만 아니라 어떤 경우에는 완전히 부재한 경우도 있었다. 열린 마음과 열정으로 코스에 접근한 많은 학생들에게 지각하거나 부재한 피드백은 과정을 완전히 '관심을 끄게 만들기' 충분했다.

Temporal vulnerabilities were variables inherent to the timing of assignments, the timing of feedback, and on a larger scale, the timing of the portfolio course within the medical school curriculum. When students received mentor feedback months later, they were less likely to value the feedback, less motivated to complete their RWpieces and less likely to feel as though they benefitted fromthe course. One student described her reaction to feedback months after the submission by saying, ‘‘I didn’t even bother thinking about it because it was three months down the line. I was like, ‘I don’t even remember what the situation was’’’ (Student, FG#4). In some instances, feedback was not only delayed, but entirely absent. For many students who approached the course with an open mind and enthusiasm, late or absent feedback was enough to ‘‘turn them off’’ the process entirely.


그러나 학생들은 이 과정에서 상호주의를 인정했다.

However, students did acknowledge reciprocity in this process,


쌍방향적인 것이다. 내가 마감일을 잘 못 맞추었다...내가 그것을 하기 위해 그녀에게 시간을 준 것에 비추어 볼 때, 나는 그녀가 의미 있는 피드백을 하기를 기대할 수 없었다. 내 생각에 내 스승은, 내가 더 일찍 그녀에게 내 RW를 더 잘 주었다면, 그녀는 더 잘 했을 것이다...(학생, FG#4)

...it’s a two-way street. I wasn’t good at my deadlines ...there was no way I could expect her to give meaningful feedback, given the amount of time I gave her to do it ...I think my preceptor, she would have done a better job if I had done a better job in giving her my stuff earlier ...(Student, FG#4)


멘토들은 또한 ''때로는 RW를 읽고, 나의 관찰/질문을 공식화하고, 며칠 안에 학생들에게 대답할 시간을 찾기가 어려웠다"고 말하며 시간 관리를 취약점으로 파악했다. 다시 말하지만, 이 과제는 나에게 늦게 추가된 것이었고, 따라서 나에게 있어서 시간적 측면에서 competing interest였다."(설문서를 통한 의견서).

Mentors also identified time management as a point of vulnerability, saying, ‘‘Sometimes it was difficult to find the time to read the reflections, formulate my observations/ questions and respond to the students within a few days. Again, this assignment was a late addition for me thus the competing interest for my time’’ (Mentor via questionnaire).


(5) 관계

(5) Relational


관계상 취약성은 성공적인 학생-멘토 관계를 형성하는 참가자의 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대인관계 상호 작용으로 분류되었다. 학생들이 멘토의 노력이나 열정이 낮다고 느꼈을 때, 이는 학생-멘토 관계를 형성하는 능력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Relational vulnerabilities were categorized as interpersonal interactions that influenced the ability of participants to form a successful student–mentor relationship. When students perceived mentor effort or enthusiasm to be low, this had a negative impact on their ability to form a student–mentor relationship.


그 결과 모든 관계가 성공적으로 발전한 것은 아니었다. 학생과 멘토 관심사나 개인적 경험을 공유하는 편안함 수준에서 불일치가 발생하면 어려움이 발생했다. 한 학생이 설명했듯이, '...한 번 만난 적 있는 사람에게 사적인 얘기를 많이 한다. 동시에 그 모임에서 어떤 형태의 관계도 형성하지 않았을지도 모른다."(학생, FG#4)

As a result, not all of the relationships developed successfully. Difficulties arose if there was a mismatch between student and mentor interest or comfort level sharing personal experiences. As one student described, ‘‘...you’re talking about a lot of fairly personal things to someone who you have possibly met once. And you may not even have formed any form of a relationship in that meeting’’ (Student, FG#4).


또 다른 학생은 그 과정이 '마음을 쏟아 부었는데, 아무도 당신에게 답을 주지 않는다면, 그것은 정말 나쁜 경험이다'(학생, FG#4)라는 바로 성찰의 개인적 성격 때문에 피드백 부족에 취약하다고 강조했다.

Another student emphasized that the process was vulnerable to a lack of feedback due to the very personal nature of reflection, ‘‘if you pour your heart out, and then no one gets back to you, it’s kind of a really bad experience’’ (Student, FG#4).


멘토들도 이 취약성을 알아봤고, 한 명은 이렇게 말하며 정교하게 설명했다.

Mentors recognized this vulnerability as well, and one elaborated by saying


학생들은 자신의 생각과 감정을 여러 가지 방법으로 전달하고 있다. 교직원인 교직원이 해야 할 감성적인 요소와 전문화된 접근방식이 추가된 것 같다. 만약 사람들이 그들의 영혼을 드러내고 있다면, 우리는 매우 지지적인 방법으로 피드백을 제공할 수 있어야 한다. 나는 그것이 전통적인 교수 역할(멘토 #5)과는 결정적인 차이점이라고 생각한다.

They’re conveying in many ways their thoughts and feelings. I think there’s an added element of sensitivity and a specialized approach that the teacher, the faculty member, needs to make. If people are baring their souls, we want to be able to provide feedback in a very supportive way. I think that’s a critical difference from the traditional teaching role (Mentor #5).


멘토들은 또한 학생-멘토 관계가 늦은 제출을 위해 "추적"해야 하는 상황으로 만들어질 경우 취약하다는 것을 확인했다.

Mentors also identified that the student–mentor relationship was vulnerable if they were made to ‘‘chase’’ or ‘‘hound’’ students for late submissions.


...학생들 중 몇 명은 전 과정에 대해 완전히 저항했다. 그리고 마치 내가 여기서 봉사활동을 하는 것처럼 느껴지고 너희들이 결과를 제출하도록 괴롭히지 않을 거야. 너희는 다 큰 성인이다. 가라앉든지, 수영을 하든지 둘 중 하나다(멘토 #8).

...a couple of the students were just totally resistant to the whole course. And feeling like here I am spending my volunteer time and I’m not going to hound you guys to hand in your results. You’re grown up adults. You can sink or swim (Mentor #8).


적응성 행동

Acts of adaptability


적응성 활동은 취약점에 대응적이거나 선제적으로 발생하며 개인 또는 시스템 수준에서 발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쓰기의 구조적 취약성은 ''제한적'''으로 프롬프트된다. 이는 학생들이 적절하고 반성할 가치가 있다고 느끼는 임상 사건에 대해 쓸 수 있도록 하는 "열린" 프롬프트를 제공하는 방식으로 대응적으로 행동한 과정 관리자 수준의 적응성 행동으로 나타났다.

Acts of adaptability occurred either responsively or preemptively to points of vulnerability and could occur at the individual or system level. For instance, the structural vulnerability of writing prompts as ‘‘restrictive’’. This emerged as an act of adaptability at the level of course administrators who acted responsively to provide ‘‘open’’ prompts that allowed students to write about any clinical event that they felt was relevant and worthy of reflection.


또 다른 시스템 적응성의 행위는 코스 관리자가 연초에 멘토를 대체하기 위해 행동할 때 일어났다. 학생들은 서로 다른 두 멘토 사이의 경험에서 극명한 대조를 보인 것에 대해 다음과 같이 평했다.

Another act of system adaptability occurred when course administrators acted to replace a mentor early in the year. Students commented on the stark contrast in their experience between the two different mentors:


''우리의 멘토 경험은 처음에는 매우 열악했다. 나는 우리가 그것을 교수진에게 가져다주었을 때 이 문제가 얼마나 빨리 해결되었는지에 매우 감명받았다. 그 경험은 결국 대단했다"고 말했다.

the ‘‘Our mentor experience was very poor at beginning. I was very impressed by how quickly this was addressed when we brought it to faculty. The experience was great in the end’’ (Student via questionnaire).


비록 피드백의 질이 적성적 취약점으로서 작용했지만, 멘토들이 학생들과 함께 시간을 내어 그들의 성찰을 실제로 탐구할 때 적응력이 발휘되었다. 학생들은 '나의 멘토가 그 과정에 중요한 역할을 했고 우리에게 더 깊은 문제를 탐구하도록 자극했다'(설문서를 통해 학생)고 성찰하도록 강요한 멘토들에게 고마움을 표시했다.

Although the quality of feedback served as a point of aptitudinal vulnerability, an act of adaptability occurred when mentors took the time to work with students to actually explore their reflections. Students appreciated mentors who pushed them to pursue their reflections in more depth, ‘‘My mentor was instrumental to the process and provoked us to explore deeper issues’’ (Student via questionnaire).


학생과 멘토 모두 시나 예술과 같이 성찰에 적합한 다른 양식이 있다는 것을 확인했으나, 적응력이 더 높아질 수 있는 기회를 놓쳤다. 한 학생의 요청에 따라, 한 멘토는 "나는 그들 중 한 사람에게 시로 쓸 수 있는 자유를 주었다. 이것은 비록 내가 반성을 '차감'하는 것이 더 어렵지만 매우 도움이 되었다."라고 말했다.

There was a missed opportunity for greater adaptability, as both students and mentors identified that there are other modalities suitable for reflection, for example, poetry or art. At the request of one student, a mentor commented, ‘‘I gave freedom to one of them to write in poetry – this was very helpful although more difficult for me to ‘tease out’ the reflection’’ (Mentor via questionnaire).


일부 멘토들은 학생들에게 그들 자신의 성찰적 글쓰기 사례를 제공함으로써 기대 이상의 성과를 거두었다.

Some mentors went beyond expectations by providing students with examples of their own written reflections.


그래서 매번 프롬프트가 나올 때마다 하나를 골라서 내 스스로 반성문을 써서 학생들에게 제출했지...나로서는 내가 스스로 하지 않을 것을 사람들에게 부탁해서는 안 된다는 생각이 들었다(멘토 #4). 

So every time a prompt came out, I chose one and I did my own reflective writing and submitted it to my students ...for me I felt like I shouldn’t ask people to do something I wasn’t willing to do myself (Mentor #4). 


학생들은 이러한 감정에 동의했고 많은 학생들은 일부 멘토들이 보여준 이러한 수준의 헌신에 감사를 표했다. 

Students agreed with this sentiment and many expressed an appreciation for this level of commitment displayed bysome mentors 


...이것은 정말로 그들이 자신의 취약점이나 어려운 경험을 당신에게 보여줄 수 있게 해주며, 그래서 아마도 당신은 그들과 자신의 일부를 공유하는 것에 더 편안함을 느낄지도 모른다... 그렇게 하는 것이 더 쉽다, 만약 당신이 어떤 상호작용을 가지고 있다면, 누군가에게 개인적인 감정을 공개하는 것이 더 쉽다.

...it really allows them to maybe showcase some of their vulnerabilities or their difficult experiences with you and as such maybe you feel more comfortable sharing some of your own with them...it’s easier to do that, to disclose personal feelings to somebody if you have some reciprocity (Student, FG#2). 


토론, 고찰

Discussion and conclusion


우리의 결과는 포트폴리오를 취약한 학습 방법으로 기술한 이전 문헌을 확인하고, 이 개념을 특정 취약점을 식별하고 분류함으로써 확장하며, 학생과 교직원 관계를 강화하는 데 도움이 되는 적응성 활동에 관한 새로운 지식을 기여한다. 우리는 [학생-멘토 참여가 긍정적인 학습 경험 창출의 중심]이 되는, [학생-멘토 참여의 저하를 초래하는 취약점]과 [참여도를 향상시키는 데 효과가 있는 적응성 행동]의 동적 상호작용에 의해 형성되는 포트폴리오 기반 학습 모델(그림 1)을 제안한다. 

Our results confirm previous literature describing portfolio as a vulnerable method of learning, extend this concept by identifying and categorizing specific points of vulnerability and contribute new knowledge regarding acts of adaptability,which serve to strengthen the student–mentor relationship. We propose a model for portfolio-based learning (Figure 1) in which student–mentor engagement is central to creating a positive learning experience and shaped by the dynamic interaction between points of vulnerability, which work to degrade student–mentor engagement, and acts of adaptability,which work to enhance engagement. 



이 모델은 참여 이론과 유사성을 공유하는데, 기본적인 개념은 학생들이 다른 사람과의 상호작용과 가치 있는 과제를 통해 의미 있게 학습 활동에 임해야 한다는 것이다(Kearsley & Schneiderman 1999).

This model shares similarities to Engagement Theory, where the fundamental concept is that students must be meaningfully engaged in learning activities through interaction with others and worth-while tasks (Kearsley & Schneiderman 1999).


드라이센 외 (2005)는 포트폴리오를 "취약한" 학습 방법으로 가장 먼저 설명한 연구로서, [열악한 멘토링, 정의되지 않은 커리큘럼 구조, 학생 평가 부족, 성찰할 의미 있는 경험 부족]과 같은 불리한 조건들이 실망스러운 결과에 기여했다고 보고했다. Driessen 외 (2005) 포트폴리오의 성공적인 성찰적 사용에 필요한 조건의 리스트는 다른 그룹에 의해 확장되었고, 많은 그룹에서 [멘토링, 피드백, 학습의 지지적 문화의 중요성]에 대해 보고하였다(Westberg & Jason 2001; Mann et al). 2009;토첼 외 2009; Stenfors-Hayes et al. 2011; Arntfield et al.2013; Dekker et al. 2013; Van Schaik et al. 2013).

Driessen et al. (2005) were the first to describe portfolio as a‘‘vulnerable’’ method of learning and reported that adverse conditions such as poor mentoring, undefined curricular structure, lack of student assessment and lack of meaningful experiences on which to reflect contributed to disappointing outcomes. Driessen et al.’s (2005) corollary list of conditions required for successful reflective use of portfolios was subsequently expanded upon by others, with many groups reporting on the importance of mentorship, feedback and supportive cultures of learning (Westberg & Jason 2001; Mann et al. 2009;Tochel et al. 2009; Stenfors-Hayes et al. 2011; Arntfield et al.2013; Dekker et al. 2013; Van Schaik et al. 2013).


포트폴리오의 진화에 도움이 되는 이 연구의 새로운 발견은 [적응성의 반응성과 선제적 행동이 상당히 강력할 수 있다]는 것이다; 일부 학생들과 멘토들은 적응성의 행동을 통해 완전히 참여하게 되었다. [반응성]과 [적응성의 선제적 행동]은 포트폴리오 과정에서 "one size fits all" 사고방식이 가질 수 있는 폐해를 강조하며, 특정 의료 교육 기관에 포트폴리오 과정을 맞춤화할 필요성을 보여준다.

A new finding from this study that assists in the evolution of portfolios is the responsive and pre-emptive acts of adaptability could be quite powerful; some students and mentors were resistant became fully engaged through these acts of adaptability. Responsiveness and pre-emptive acts of adaptability highlight the disservice that a ‘‘one size fits all’’ mentality can have in portfolio courses, and stress the need to tailor portfolio courses to specific medical education institutions.


학생-멘토 참여와 관련하여, 우리는 참여가 양방향적이고 주기적인 과정이라는 것을 발견했다. 즉, [학생과 멘토 참여 사이의 강한 불일치]는 양 당사자의 결과에 해를 끼치게 된다. 반대로 초기 참여가 제한적일지라도, 양쪽에서 참여가 작동한다면, 더 긍정적인 방식으로 강화되었다드리센 앤 스크힐(2013년)은 이런 현상을 멘토링과 멘티의 부적절한 매칭이 있는 멘토링에 대한 관계적 장벽으로 설명한다. 마찬가지로 잭슨 외 연구진. (2003)은 친구나 가족과의 관계만큼 복잡할 수 있고, 개인적일 수 있는 멘토링 관계에서 '케미'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With respect to student–mentor engagement, we found that engagement was a bi-directional and cyclical process in which a strong mismatch between student and mentor engagement was damaging to outcomes for both parties, while even limited initial engagement, when it came from both participants, fedforward in a positive fashion. Driessen & Scheele (2013) describe this phenomenon as a relational barrier to mentoring, where there is inadequate match of mentor and mentee. Likewise, Jackson et al. (2003) highlighted the importance of ‘‘chemistry’’ in the mentoring relationship that can be as complex as the relationships with friends or family and as equally personal. 


멘토들은 [제시간에 과제를 제출하지 않은 학생]들을 대할 때 겪게 되는 과정과, 질이 떨어지는 제출물을 평가하기 위해 고군분투해야 할 때 겪는 고충을 토로했다. 이에 학생들은 자기 생각에도 질 낮은 과제를 제출하면, 멘토들로부터 질 높은 피드백을 기대하지 않는다고 보고했다. RW 과정에서 개인적 감정과 경험을 공개하는데 필요한 신뢰를 쌓기 위해서는 [긍정적인 관계를 구축하는 것]이 필수적이었고, 많은 학생들은 이러한 신뢰나 관계를 육성하기 위하여, 멘토링 과정 초기에 개별적으로 또는 학생(들)과 만났거나, 자신의 성찰적 작업물을 공유한 멘토를 높이 평가하였다. 

Mentors reported their motivation to engage in the process suffered when dealing with students who did not hand in work on time and when they had to struggle to evaluate submissions that were of poor quality. In turn, students reported they did not expect quality feedback from their mentors if they knowingly handed in poor-quality work. Establishing a positive relationship was integral to students developing the trust necessary to disclose personal feelings and experiences during the RW process, and many students appreciated mentors who met individually or as a group with students at the beginning of the process to foster this or relationship, who demonstrated reciprocity by sharing their own reflective work.


[학생과 멘토 저항]이 [인문학 기반 커리큘럼 개입]의 1차적 실패 원인임을 감안한다(샤피로 외). 2009년), 긍정적이고 장기적인 문화 변화를 육성하는 능력은 포트폴리오의 성공 요건이 될 것이다. 이와 관련, 가장 최근의 체계적 검토에서는 '문화가 (성찰이라는) 전략을 정당화하지 않으면, 성찰은 사용되지 않을 것이고, 그 잠재적 편익을 상실할 것이며, 부정적인 경험이 발생할 수 있다'(p. 615)고 기술하고 있다.

Given that student and mentor resistance is the primary cause of failure for humanities based curricular interventions (Shapiro et al. 2009), the ability to foster positive, long-term culture change will be a requirement for portfolio to succeed. In keeping with this, the most recent systematic review states that ‘‘if culture does not legitimize the strategy, reflection may not be used, potential benefits may be lost, and negative experiences may result’’ (p. 615).







. 2016;38(2):196-205.
 doi: 10.3109/0142159X.2015.1009426. Epub 2015 Sep 4.

A model of engagement in reflective writing-based portfolios: Interactions between points of vulnerability and acts of adaptability

Affiliations 

Affiliation

  • 1a Western University , Canada.

Abstract

Background: Portfolios are widely used for meeting new accreditation standards in the age of competency-based medicine. However, the method of learning through portfolio has been suggested to be vulnerable.

Aim: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conditions affecting the experience of teaching and learning from the perspective of both students and mentors in a reflective writing-based portfolio initiative.

Method: Using mixed-methods rooted in grounded theory, 139 students and 13 mentors completed questionnaires, 23 students participated in four focus groups and 9 mentors in individual interviews.

Results: The overarching theme in our data was student-mentor engagement. Our results confirm previous literature describing portfolio as a vulnerable method of learning, extend this concept by identifying and categorizing specific points of vulnerability, and contribute new knowledge regarding acts of adaptability, which serve to strengthen the student-mentor relationship.

Conclusion: Engagement is central to the success of portfolio and is shaped by a dynamic interaction between points of vulnerability and acts of adaptability. We propose a model of engagement in portfolio that can be used for faculty development to optimize student-mentor engagement.


성찰: 의무적 절차에서 의미있는 전문성 개발로 (Arch Dis Child, 2014)

Reflection: moving from a mandatory ritual to meaningful professional development

Deborah Murdoch-Eaton, John Sandars




도입 INTRODUCTION


성찰은 좋은 의료 관행의 유지를 뒷받침하는 핵심 원칙과 가치들 중 하나로 간주된다.1 성찰는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 '자신과 상황 모두에 대한 더 큰 이해를 창출하는 메타인지적(생각에 대해 생각하는) 과정으로서, 미래의 행동이 이러한 이해에 의해서 inform될 수 있는 것'이다GMC(General Medical Council) 재검증 절차는 모든 영국의 소아과 의사들이 전문적 발전의 증거의 일부로 성찰을 사용하도록 요구하고 있으며, 모든 훈련생들도 포트폴리오의 완성에 성찰을 사용할 것으로 예상된다.3

Reflection is considered one of the key principles and values underpinning maintenance of Good Medical Practice.1 Reflection is defined as ‘a metacognitive (thinking about thinking) process that creates greater understanding of both the self and the situation so that future actions can be informed by this understanding’.2 The General Medical Council (GMC) revalidation procedures require all UK paediatricians to have used reflection as part of their evidence of professional development and all trainees are also expected to use reflection in the completion of their portfolio.3


전문직업적 실천에 대한 성찰은 [전략이나 기술이 아니라] 생산적인 업무에 대한 사고방식이다.5

Reflection in professional practice is a way of thinking about productive work, not a strategy or technique.5


전문성 개발을 위한 성찰의 중요성

THE IMPORTANCE OF REFLECTION FOR PROFESSIONAL DEVELOPMENT


성찰은 우리 삶의 필수적인 측면이다. 우리는 모두 경험을 가지고 있고, 왜 우리가 특정한 방식으로 반응했는지에 대해 생각해보고, 그리고 나서 우리가 미래에 유사한 경험에 대한 우리의 반응을 바꿀 필요가 있는지 생각해본다.

Reflection is an essential aspect of all of our lives. We have an experience, we think about why we reacted in a certain way and we then consider whether we need to take action and alter our response to similar experiences in the future.


성찰은 전문적인 발전을 향상시킬 뿐만 아니라, 판단력 개선을 통해 환자 치료에 영향을 줄 수 있다.6

reflection could not only improve professional development but also ensure that there is an impact on patient care through improved judgement.6


Donald Schon은 [다양한 경험에 대한 반복적인 노출이 어떻게 점진적으로 내재화]되어 [전문적 실천의 전형인 복잡한 문제에 직면했을 때 직관적인 대응]이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지 설명했다.7 Schon은 reflection-on-action 이 reflection-in-action에 inform한다고 제안하였다. 즉, 어떤 사건이 발생한 후 '전형적인 복잡한 경험'에 대해 신중하게 생각하는 과정이, [직관적인 전문적 의사결정]을 개선할 수 있는 잠재력을 가지고 있다.

Donald Schon described how repeated exposure to a wide range of different experiences becomes progressively internalised so that intuitive responses can be quickly made when faced with the complex problems that are typical of professional practice.7 Schon proposed that reflection-on-action informed reflection-in-action. In other words, a deliberate process of thinking about a typical complex experience after the event has the potential to improve intuitive professional decision making.


널리 알려진 교육학자 존 듀이는 성찰이 [피상적인 학습을 더 깊은 학습으로 옮길 수 있는 의미 있는 과정]이라고 생각했다.8 그는 현재와 이전 경험의 관계를 함께 연결해야 하는 '의식적이고 적극적이며 신중한' 사고 과정으로서 성찰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John Dewey, a widely acknowledged educationalist, considered that reflection was a meaning-making process that could move superficial learning to deeper learning.8 He emphasised the importance of reflection as a ‘conscious, active and deliberate’ thinking process that requires the relationships between present and previous experiences to be linked together.


사고는 다양한 개인적 신념과 가치관에 의해 영향을 받으며, 신념과 가치관은 challenge될 수 있도록 명시화explicit되어야 한다. 이러한 사고와 성찰에 대한 자극은 ['최상의' 행동 방식이 무엇인지에 불확실성이 있을 때] 특히 적절하다.

Thinking is influenced by a variety of personal beliefs and values that need to be made explicit so that they can be challenged. The stimulus for this thinking and reflection is particularly pertinent when there is uncertainty on the ‘best’ course of action;


예를 들어, 임상의는 심하게 휘청거리는 아이를 마주하게 되고 항생제를 처방해야 할지 말아야 할지 불확실하게 느낄 수 있다.

for example, the clinician may be faced with an acutely wheezy child and feels uncertain about whether he/ she should prescribe an antibiotic or not.


상자 1 성찰과 변혁적 학습; 교육 이론의 핵심 사항 

Box 1 Reflection and transformative learning; key points from educational theory 


▸ 상황의 발생원, 성격 및 결과에 대해 비판적으로 성찰7 

▸ Reflecting critically on source, nature and consequences of situation.7 


▸ 제안된 대응proposed response의 기초가 되는 '가정' 및 증거 식별89 

▸ Identify underpinning ‘assumptions’ and evidence for proposed response.89 


▸ 소통적 학습; 담론과 대화를 통해 신념에 도전한다(탐구문헌이나 토론을 통해 자신과/또는 동료와 함께).911 

▸ Communicative learning; challenge beliefs through discourse and dialogue (with self and/ or colleagues through probing literature or discussion).911 


▸ 변화된 관점에 따라 행동한다; 결정을 내리고 새로운 증거가 나타날 때까지 결정된 것을 가지고 살아간다.911 

▸ Take action following transformed perspectives; make a decision and live with what has been decided until new evidence appears.911 


▸ 비판적으로 성찰하는 성향을 개발한다. 가정에 도전하고, 증거나 행동의 타당성 모색하고, 상황을 검토하고, 대화에 개방적이고, 학습 경험의 폭넓은 시사점 모색한다.91012

▸ Develop a critically reflective disposition; challenge assumptions, seek validity of evidence or actions, review situations, be open to discourse, look for wider implications of learning experience.91012


듀이의 작업은 전문적 발전을 위한 '비판적' 성찰이라는 개념으로 확대되었다. 또 다른 교육학자 잭 메지로우는 '당연하게 여기는' 가정들은 우리가 우리의 삶을 인식하고 이해하는 방식을 제약하기에, 여기에 도전할 필요성을 강조한다.9 이처럼 당연하게 여기는 가정을 성찰하고 의문을 제기함으로써, 비로소 실천에 변화를 가져오는 관점의 변화가 생기고, 그래야만 '변혁적' 학습이 일어나는 것이다

The work of Dewey has been expanded with the notion of ‘critical’ reflection for professional development. Jack Mezirow, another educationalist, highlights the need to challenge the way that ‘taken for granted’ assumptions can constrain the way that we perceive and understand our lives.9 It is only by reflection and questioning these assumptions that ‘transformative’ learning can occur, with a change in perspective that produces a change in practice. 


위의 임상 예시에서 보자면, 임상의사는 항생제 처방과 관련된 자신의 불확실성을 반성하고, 자신이 '증거 기반' 지침을 따르기보다는 이전 경험에 의해 잠재적으로 영향을 받고 있음을 깨닫기 시작할 수 있다.

Following on from the clinical presentation above, the clinician may reflect on his/her uncertainty associated with prescribing an antibiotic and begin to realise that he/she is potentially being influenced by a previous experience rather than following the ‘evidence-based’ guideline.


경영학계의 크리스 아르기리스와 도널드 션(Donald Schon)은 비판적 성찰을 '단일 루프'와 '이중 루프' 학습으로 그래픽으로 요약해 중앙난방온도조절기의 비유를 그렸다.10 

  • 단일 루프 학습은 단지 일정한 온도를 유지하기 위해 열원을 약간 조절하는 것과 같이 [우리가 일을 제대로 하고 있는지]만을 고려한다. 

  • 반면, 이중 루프 학습은 [왜 특정한 실내 온도를 선택했는지]와 같이, 올바른 일들이 행해지고 있는지에 대한 훨씬 더 중요한 깊은 성찰에 초점을 둔다.

Chris Argyris, from the world of management science, and Donald Schon graphically summarised critical reflection as ‘single-loop’ and ‘double-loop’ learning, drawing on the analogy of a central heating thermostat.10 

  • Single-loop learning merely considers whether we are doing things right, such as making slight adjustments to the heat source to maintain a constant temperature, 

  • whereas double-loop learning has a focus on the much more important deeper reflection on whether the right things are being done, such as why a particular room temperature has been chosen. 


앞의 사례에서, 이중 루프 학습과 성찰은 [가이드가 어떻게 개발되었는지]에 대한 고려와, 그리고 이러한 [가이드에 inform한 연구를 수행(또는 해석)하는 편향의 영향]을 고려하는 것을 촉진할 것이다.

In our wheezy child example, double-loop learning and reflection would promote considering how the guidelines have been developed and the influence of bias in conducting (or interpreting) the studies that informed these guidelines.


효과적인 성찰은 연구나 증거를 행동으로 변형시킴으로써 관행을 변화시키고 '아는 것'과 '하는 것' 사이의 지식 격차를 해소할 수 있는 잠재력을 가지고 있다이것은 변화를 촉진하기 위한 통찰력을 생성하기 위해 노력하는 '생성적 변화의 모델'로 대안으로 표현되었다.11 '생성성'의 4단계는 다음과 같다 

  • 성찰, 

  • 자기성찰, 

  • 비평, 

  • 개인적 목소리. 

Effective reflection has the potential to change practice through transforming research or evidence into action and address the knowledge gap between ‘knowing’ and ‘doing’. This has been alternatively articulated as a ‘Model of Generative Change’ striving to generate insight to facilitate change.11 Four stages of ‘Generativity’ are described: 

  • reflection, 

  • introspection, 

  • critique and 

  • personal voice. 


볼은 이러한 단계들의 개념화가 [개인의 개성과 헌신, 자신의 옹호 수준과 현재 지식의 수준에 기초하여], [사람마다 각기 다른 수준의 개발에서 건설적인 반성을 할 수 있도록 한다]고 표현한다. 이 모델은 개인의 발전이 진보와 비교되어 측정된다는 것을 의도하고 있다. 그리고 이 4단계를 사용하면 수행능력 향상에 의한 변화의 가능성을 보장한다. 왜냐하면 인식을 촉진하기 위해 [인지적 수준과 개인적 수준 모두에서(표 1)] 가정에 성찰적으로 도전할 필요성에 기초하기 때문이다.

Ball articulates that a conceptualisation of these stages allows individuals to engage with constructive reflection at different levels of development, based on one’s individuality, commitment, own level of advocacy and level of current knowledge. This model intends that personal development is measured against progress, and use of these four phases ensures potential for change by increased performance, underpinned by a need to reflectively challenge assumptions to promote awareness, both at the cognitive and personal levels (table 1).


그러나 실천적 변화에 대한 성찰의 잠재력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성찰에는 [근본적인 가정, 신념, 동기, 가치관에 도전하면서 비판적 관점으로 탐구를 이끌어내는] 프롬프트가 있어야만 한다프롬프트란, '혼란스러운 딜레마' 또는 무엇을 해야 하는지에 대한 불확실성의 시기를 말한다.

However, to achieve the potential of reflection for change in practice, it is essential that reflection has a prompt—a ‘disorientating dilemma’ or a time of uncertainty in what should be done—that leads to exploration with a critical perspective, challenging underlying assumptions, beliefs, motives and values.


실천은 반드시 맥락화되어있으며, 특정 환경을 벗어나서 존재하지 않는다. 실천은 전문가 집단, 활동 공동체, 사회 및 전문가 참여의 집합 내에 존재한다. 이러한 실천의 특성은 '고독solitary' 또는 [개인적 성찰]에 대해 갖는 기대 및 잠재적 영향에 대한 의문을 제기한다.

Practice is necessarily contextualised and does not exist outside of a particular setting, within a cohort of professionals, a community of activity or a set of social and professional engagements. This raises questions about expectations and potential impact of solitary and individual reflection.



프로페셔널 개발의 성찰에 대한 현재의 접근 방식: '의식ritual'?"

CURRENT APPROACHES TO REFLECTION FOR PROFESSIONAL DEVELOPMENT: ‘RITUALS?”


현재, 의사들이 [전문직업석 실천에 대한 성찰을 하고 있다는 것을 증명할 수 있도록 하는 데] 큰 중점을 두고 있다. 의사들은 다양한 환자와 의료 전문가들과의 일상적인 만남에서 반성의 촉구, 이른바 '학습 요구'을 어떻게 찾아냈는지에 대해 글쓰기를 하도록 요구받는다. 확인된 학습 요구의 유형은 명확하게 명시되어 있지 않지만, 약물 투여량에 대한 단순한 지식 부족에서부터 종말기 치료에 대한 복잡한 의사결정에 이르기까지 다양할 수 있다. 

There is currently great emphasis on ensuring that doctors can demonstrate that they are engaging in the process of reflection on professional practice. Doctors are expected to write about how they have identified a prompt for reflection, a so-called ‘learning need’, from their usual encounters with a wide variety of patients and healthcare professionals. The type of identified learning need is not clearly specified, but could range from a simple lack of knowledge of a drug dose to making complex decisions about end-of-life care. 


이 학습 니즈는 [의사들이 그들의 생각과 가치관을 드러낼 것이라는 기대와 함께, 그들의 개인적인 초기 학습이 어떻게 충족되었는지에 대한 제안을 할 것이라는 기대와 함께], 성찰적 글쓰기의 대상이 된다. 성찰의 목적과 접근방식이 명확하게 명시되지 않을 수 있는데, 다만 '좋은 의사'가 기대되고 환자 진료를 개선하겠다는 의도가 있을 뿐이다. 성찰이 일어났다는 증거로 성찰의 과정에 대한 영구적인 기록이 필요하다. 그런 다음 이 기록을 평가자 또는 트레이너에게 보여 준다. 이러한 활동은 성찰을 촉진하는 데 효과적일 수도 있고 효과적이지 않을 수도 있지만, 성찰을 그저 하나의 절차로 만들어버릴 잠재력이 있다.513

This learning need is then subject to written reflection, with an expectation that the doctors will reveal their thoughts and values, as well as making suggestions as to how their personal initial learning need has been met. The purpose and approach to reflection may not be clearly stated, merely that it is expected of a ‘good doctor’ and there is an intention that it will improve patient care. A permanent record of the process of reflection is required as evidence that reflection has occurred. This record is then shown to an appraiser or trainer. These activities may or may not be effective in promoting reflection, but they have the potential to turn reflection into a procedure contrary to the necessary individualistic approach and intended transformative notion of reflection.513


우리의 일화적인 경험에 따르면, 많은 의사들이 위의 과정을 [의례적인 것]으로 간주하고, 전문적인 개발이나 환자 치료의 향상에 대해 [가시적인 이익을 얻지 못한다]는 것이다. 의대생들의 태도에 대한 연구는 또한 관행을 변화시키기 위한 성찰의 가치에 대한 유사한 인식 부족을 보여준다.14

Our anecdotal experience is that many doctors consider the above process as ritualistic and not having a tangible benefiton either professional development or improving patient care. A study of medical students’ attitude also indicates similar lacklustre perceptions of the value of reflection for changing practice.14


예를 들어, 죽어가는 환자를 돌보는 것과 같은, 더 도전적인 프롬프트는 전문적 실천의 복잡성을 반영한다.

The more challenging prompt of, for example, caring for a dying patient reflects the complexity of professional practice,


그러나 그러한 상황에서 [성찰을 위한 프롬프트를 식별하려면 통찰력과 인식이 필요하다]. 성찰의 프로세스 역시 경험에서 비롯된 사고와 의미 계발을 필요로 한다. 앞 절에서 강조했듯이, 이것은 매우 개인적인 과정이며, 다양한 요인의 복잡성을 구분disentangling하는 것은 의사의 개인적, 직업적 정체성 둘 다에 대해서 무척 어려운 일이다.

However, identifying a prompt for reflection in such circumstances requires insight and awareness. The process of reflection also requires thinking and developing meaning from the experience. As highlighted in the previous section, this is a highly personal process and disentangling the complexity of the various factors is challenging to both the personal and professional identities of the doctor.


마지막으로 이러한 감정적 성찰이 서면이나 구두로 (다른 사람에게) 공개될 것이라는 기대가 있다. 따라서, (다른 사람에게 공개될 성찰은) 개인으로서나 전문가로서나 다른 사람들에게 자신을 어떻게 표현하고 싶은지에 따라 영향을 받을 것이다.

Finally, there is an expectation that this emotive reflection is made public through written or verbal articulation. This presentation will be influenced by how the individual wishes to portray himself/herself to others, both as a person and as a professional.


최근 보건직 교육에서 성찰에 대한 체계적인 검토는 [성찰이 임상 실습의 변화나 환자 치료의 개선을 통해 역량을 강화했다는 설득력 있는 증거가 없음]을 강조하였다.15 그러나 성찰이 [(새로운 학습이 기존 지식과 기술에 통합될 수 있도록 하는) 학습에 대한 더 깊은 접근법]과 관련이 있다는 증거도 있었다.

A recent systematic review of reflection in health profession education highlighted the lack of convincing evidence that reflection enhanced competence through a change in clinical practice or improved patient care.15 However, there was evidence that reflection was associated with a deeper approach to learning that allowed new learning to be integrated with existing knowledge and skills.


성찰이 왜 의료에 의도했던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지는 알 수 없지만, 지금과 같은 방식으로는 전혀 성찰에 깊이를 더하지 못한다고 볼 수 있다. 즉, 이중 루프 학습과 같은 필수적인 비판적 측면에 도전하기를 회피하는 것이다. 이것은 아마도 [성찰을 위한 의도된 행동]이나 [성찰의 척도 사용]의 부족과 관련이 있을 것이다. 지금은 주로 변화나 반성에 대한 자기보고 수준에 초점을 맞춘다.216

It is uncertain why reflection does not achieve its intended impact on healthcare, but it is tempting to suggest that current practice results in little depth to the reflection, with avoidance of the challenge of the essential critical aspects, such as that which produces double-loop learning. This may relate to a lack of intended action for the reflection and use of measures of reflection that mainly concentrate on selfreported change in practice or levels of reflection.216


성찰을 통한 의미 있는 전문성 개발?

MEANINGFUL PROFESSIONAL DEVELOPMENT FROM REFLECTION?


우리는 성찰이 전문적 발전의 필수적인 측면이며, 환자 치료를 개선할 수 있는 의미 있는 전문적 발전을 달성할 수 있는 잠재력을 가지고 있다고 믿는다.6 그러나 이러한 의도된 결과는 성찰의 과정에 세심한 주의를 기울여야만 달성될 것이다. 주요 구성요소는 [지지적 환경에서의 도전적인 실무자]와 관련되어야 한다. 또한 변혁적 변화에 대한 효과적인 반성을 인식해야 한다. 이로서 궁극적으로 임상실무를 강화하고, 개인 및/또는 집단의 반성을 위한 동기부여가 필요하며, 개인적 인식의 '생각에 대한 생각' 스킬의 개발(알림, 처리 및 행동 계획 포함)

이러한 구성요소를 인식하고 지원하는 광범위한 조직 시스템과 훈련된 촉진 시스템을 가질 수 있는 기회.

We believe that reflection is an essential aspect of professional development and that it has the potential to achieve meaningful professional development that can improve patient care.6 However, these intended outcomes will only be achieved if there is careful attention to the process of reflection. The main components must relate to challenging practitioners in a supportive environment, recognising that effective reflection for transformative change, which will ultimately enhance clinical practice, requires personal and/or group motivation for reflection, the development of personal metacognitive ‘thinking about thinking’ skills (including noticing, processing and action planning),13 18 the opportunity to have trained facilitation and a wider organisational system that recognises and supports these components.19–21


비판적 성찰에 대한 동기는 전문적인 개발에서 그것의 중요성에 대한 인정appreciation을 필요로 하며, 또한 다양한 학습자들이 선호하는 접근법을 가질 것이다. [성찰의 중요성을 인식하는 것]은 종종 느리고 장기화된 개인적, 직업적 여정이다. 단순히 단일 사건과는 관련이 있는 것이 아니라, 개인적이고 전문적인 인생 이야기가 [하나의 경험에 대한 성찰을 통해 얻은 통찰력을 통해 후속 경험을 알려줌으로써] 진화하게 되는 지속적이고 순환적인 탐구 과정이다.

Motivation for critical reflection requires an appreciation of its importance in professional development and also that different learners will have a variety of preferred approaches. Appreciating the importance of reflection is often a slow and prolonged personal and professional journey. It is not simply related to single events but is an ongoing and cyclical process of inquiry in which a personal and professional life story can evolve through using insights gained from reflection about one experience informing subsequent experiences.


학부생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 따르면, 학생들은 성찰적 글쓰기 사용을 좋아하지 않았지만, 디지털 멀티미디어 스토리텔링의 이용과 같은 대안적 접근방식이 반영의 참여와 깊이를 모두 향상시켰다.22

Research with undergraduate students has highlighted the dislike of the use of written reflection, but offering alternative approaches, such as the use of digital multimedia storytelling, has improved both the engagement and depth of reflection.22


표 2와 상자 223에 두 가지 예가 제시되어 있다.

Two examples are given in table 2 and box 223






성찰은 자연스러운 과정이지만, 대부분의 과정과 마찬가지로 [성찰을 자극하는 프롬프트의 인식] 등 기술개발이 필요하다. 이 프롬프트는 특히 좌절이나 분노와 같은 관련 감정이 있을 때, 불확실성의 순간에 있을 가능성이 높다(그림 1). 감정에 대한 인식은 명상 훈련을 통해 내부적으로 그리고 관찰된 행동에 대한 다른 사람들의 피드백을 통해 외부적으로 개발될 수 있다.25 성찰을 위하여 정보를 처리하는 것은 경험으로부터 의미를 만드는 데 필수적이며, 특히 비판적 성찰은 긴 시간에 걸쳐 발달해나갈 가능성이 높다

Reflection is a natural process, but like most processes, needs personal development of skills, including recognition of a prompt that stimulates reflection. This prompt is likely to be at moments of uncertainty, especially when there is an associated feeling, such as frustration or anger (figure 1). Awareness of emotions can be developed internally through mindfulness training and externally through feedback from others on observed behaviours.25 Processing the information for reflection is essential for making meaning from experiences and, this is likely to be developmental over time, especially for critical reflection.






그림 1 변증법적 추론: 논리적 주장의 교환에 의해 결론에 도달하는 관행.

Figure 1 Dialectic reasoning: the practice of arriving at a conclusion by the exchange of logical arguments. 


효과적인 성찰을 위한 이 모델의 프롬프트는 다음 예시로 설명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소아 중환자 치료의 임상 검토에 참여하는 등 어렵고 감정적으로 어려운 만남 후에 어떻게 이것을 설명할 수 있는지를 고려하라. 생명 유지장치의 잠재적 철수가 논의되었다. 

  • (다른 전문가와의 의사결정 과정의 도전적 성격과 유사한 상황에서 그들의 이전 경험을 포함하여) 맥락은 그들이 임상 상황을 어떻게 생각하고 관찰했는지, 그리고 이것이 여러분과 어떻게 다를 수 있는지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 제약조건에는 모든 관리전략이 탐구되었는지 여부와 더 현실적이고 실현 가능한 치료방법에 대한 다른 인식을 포함하여 임상적 의사결정의 측면을 포함할 수 있었다. 

  • 많은 다른 영향들은 직접적으로 또는 간접적으로 의사 결정 과정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침대의 압박, 표현된 부모의 견해나 문화적 가정, 또는 심지어 유사한 임상 상황에서 참가자들의 이전 경험 중 하나를 포함한 상황상 필수사항들이 설명되지 않았을 수 있다.

The prompt of this model for effective reflection can be illustrated by the following example: consider your (or the clinical team’s) deliberative discussions and thinking, and how you might articulate this after a difficult and emotionally challenging encounter, for example, participating in a clinical review on paediatric intensive care at which potential withdrawal of life support was discussed. 

  • The context, including the challenging nature of the decision-making processes with other professionals and their previous experiences in similar situations, will have influenced not only how they have considered and viewed the clinical situation, and how this may differ from yours. 

  • Constraints could have included aspects of the clinical decision making, including whether all management strategies have been explored and differing perceptions on further realistic and feasible therapeutic manoeuvres. 

  • Many other influences may impinge directly or indirectly upon the decision-making processes, including areas that may not have been articulated, for example, situational imperatives including bed pressures, expressed parental views or cultural assumptions, or even one of the players’ previous experience in a similar clinical situation.



지금과 같은 성찰을 개인의 실천으로 보는 개인주의적 관점은 팀워크와 전문직 간 협업의 세계에서도 비판받을 수 있다. 성찰은 실천의 많은 다른 맥락에서 재배치되어야 한다.5 공통 관심사를 식별하고 해결하려면 다른 성찰 모델이 필요하다. 이는 예를 들어 사망률 및 질병성 회의 또는 팀 보고와 같은 중대 사건 검토를 통해 개발될 수 있지만, 프로세스의 기록에서 참가자의 안전에 이르기까지 상당한 조직적, 문화적 난제를 야기한다. 전문적 실무에서 이러한 이른바 '생산적 성찰'의 주요 특징은 [개별적인 실천 관행]에서 [복잡한 근무지에 embedding된 것]으로의 변화를 보여준다.

The individualistic nature of the current personal practice reflection may also be criticised in a world of team working and cross-professional collaboration. Reflection should be relocated in the many different contexts of practice.5 Identifying and addressing common concerns needs a different model of reflection. This may develop through critical incident review, for example, mortality and morbidity meetings or team debriefs, but pose significant organisational and cultural challenges from the recording of the process through to the safety of the participants. Key features of this so-called ‘productive reflection’ in professional practice illustrate this shift from individual reflective practice to embedding within a complex workplace26 (table 3).



생산적 성찰 접근방식은 준비된 해결책이 없고 명확하게 정의되지 않은 문제를 고려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문제들은 엄격하게 예측하거나 통제하거나 심지어 일상적인 절차로서 관리될 수 없다. 인식의 많은 특징들을 embody하고 있다.

Productive reflection approach is intended to consider matters that do not have ready solutions, are not clearly formulated, and as such, cannot be rigidly predicted or controlled, or even managed as a routine procedure. It embodies a number of features of awareness,


변증법적 추론은 개인과 집단이 논리적 주장의 교환에 의해 결론에 도달하려고 시도하는 임상실무 내의 핵심 기술이다. 이러한 방식으로 하나의 도전은 실행되며, 반성을 위해 사용될 때 영향과 도전 가정을 효과적으로 식별할 수 있다(그림 1).

Dialectic reasoning is a key skill within clinical practice through which individuals and groups attempt to arrive at a conclusion by the exchange of logical arguments. In this way, one challenges practice, and when used for reflection, can effectively identify influences and challenge assumptions (figure 1).


7 Dewey8과 Brookfield12의 Schon은 훈련된 촉진자나 멘토에 의해 지도되는 체계적인 성찰의 과정의 중요성을 강조한다. 촉진자, 멘토 또는 중요한 것은 동료나 동료는 토론을 위해 사각지대가 열려 있을 뿐만 아니라 가정과 신념의 기초에 의문을 제기하는 비판적 성찰이 발생하도록, 나이나 경험에 관계 없이 (개인 학습자나 그룹을) 지지하고 도전해야 한다. 개인적, 직업적 삶의 감정적 측면에 대한 파악과 논의는 'inner person'을 쉽게 노출시킬 수 있으며, 적절한 지원이 없으면 이러한 비판적 성찰의 본질적인 측면은 애초에 발생하지 않거나 그 다음 상황에서 차단되어 버릴 수 있다. 촉진자 및 멘토에 대한 훈련과 감독은 큰 자원이 들어가는 투자지만, 이러한 필수적인 측면이 없다면 전문적 행동과 개선된 환자 치료 모두에서 의도된 변화를 이끌어낼 수 있는 변혁적 학습은 개발되지 않을 것이다

The work of Schon,7 Dewey8 and Brookfield12 particularly highlights the importance of a systematic process of reflection that is guided by a trained facilitator or mentor. A facilitator, mentor or, as importantly, a colleague or peer should both support and challenge either the individual learner or the group irrespective of seniority or experience to ensure that not only are blind spots opened for discussion but also that critical reflection occurs that questions underlying assumptions and beliefs. The identification and discussion of emotive aspects of personal and professional lives can easily expose the ‘inner person’, and without appropriate support, this essential aspect of critical reflection may not occur in the first place or be blocked on subsequent occasions. Training and supervision of facilitators and mentors is a high investment in resources, yet without this essential aspect it is unlikely that transformative learning will be developed that can produce the intended change in both professional behaviour and improved patient care.7


성찰이 발생할 것으로 예상되는 조직은 적절한 자원할당을 하여, 촉진된 비판적 반성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보장할 책임이 있다.

The wider organisation within which reflection is expected to occur has a responsibility to ensure that facilitated critical reflection can take place, with appropriate allocation of resources,


이를 위해서는 기존 정책과 절차의 도전이 전문 관행의 필수적 측면으로 비춰지고 징계로 이어지지 않는 안전한 환경을 조성하기 위한 문화적, 조직적 변화가 필요하다.

This requires cultural and organisational change to create a safe environment where challenges of existing policies and procedures are seen as an essential aspect of professional practice and will not lead to disciplinary action.


결론 CONCLUSION


성찰은 의료 행위 예술의 일부분이며 '특정 기술인 뇌와 정신의 발달은 고품질의 피드백에 주의를 기울여야 하며 과학적인 조사와 이해의 대상이 된다'는 것이다.6

Reflection is part of the art of medical practice and ‘demands the development of specific skills, the brain and the mind, requires attention to high quality feedback and is subject to scientific investigation and understanding’.6


성찰의 주된 역할, 즉 [인식의 향상과 '지혜의 획득']을 위해서는, [지금처럼 공식적인 수행 검토 절차 내에서 일반적인 관행]이 되기보다, 성찰은 의례적으로 작성하는 것 이상이 되어야 한다. 성찰을 통한 임상 관행의 강화와 조직적 변화는 본질적으로 가정 난제를 겪어야 하는 요건 내에 근거를 두고 있다. 이는 단순한 일반적이고 개인주의적이며 광범위한 브러시 스트로크 접근법보다는 멘토링과 집중해야 할 측면의 식별을 허용하는 시스템과 정책을 통해 이루어질 것이다.

The principal role of reflection, that is, to enhance perception and ‘acquisition of wisdom’,6 is going to require more than ritualistic completion of reflection requirements, as is becoming common practice within formal performance review procedures. Enhancement of clinical practice and organisational change through reflection is inherently grounded within the requirement to have assumptions challenged; this will come through mentoring, and systems and policies that allow identification of aspects to focus on, rather than a bland generic, individualistic, broad-brush stroke approach.


11 Ball AF. To know is not enough. Knowledge, power, and the zone of generativity. Educ Res 2012;41:283–93.









Review

 

. 2014 Mar;99(3):279-83.
 doi: 10.1136/archdischild-2013-303948. Epub 2013 Aug 23.

Reflection: moving from a mandatory ritual to meaningful professional development

Affiliations 

Affiliation

  • 1Department of Paediatrics/Medical Education, Leeds Institute of Medical Education, School of Medicine, University of Leeds, , Leeds, UK.
Free article

Abstract

Reflection has become established as a key principle underpinning maintenance of standards within professional education and practice. A requirement to evidence reflection within performance review is intended to develop a transformative approach to practice, identify developmental goals, and ultimately, improve healthcare. However, some applications have taken an excessively instrumental approach to the evidencing of reflection, and while they have provided useful templates or framing devices for recording individualistic reflective practice, they potentially have distorted the original intentions. This article revisits the educational theory underpinning the importance of reflection for enhancing performance and considers how to enhance its value within current paediatric practice.

Keywords: Medical Education; Reflection; professional Development.


의학교육을 위한 성찰적 학습 가이드 개발(Med Teach, 2011)

Development and pilot testing of a reflective learning guide for medical education

LOUISE ARONSON, BRIAN NIEHAUS, JULIE LINDOW, PATRICIA A. ROBERTSON & PATRICIA S. O’SULLIVAN

University of California, USA




도입 Introduction


국가 및 국제적으로 모든 수준의 의료 교육에 성찰을 포함해야 하는 의무가 증가하고 있다(ABIM et al. 2002; GMC 2003; Frank 2005). 의학 교육자들은 다음을 위해서 성찰이 중요하다고 주장해왔다. 

(1) 복잡한 건강 시스템, 임상 사례 및 사회적 상황에 창의적으로 대응한다. 

(2) 팀별로 협력적으로 참여한다. 

(3) 스트레스를 받는 작업 환경에서는 전문적이고 동정적으로 행동한다.

(4) 지속적으로 연습을 개선할 동기와 기술을 보유한다(Maudsley & Strivenes 2000; Mann et al. 2007; Sandars 2009).

There is a growing mandate, nationally and internationally, to incorporate reflection into all levels of medical education (ABIM et al. 2002; GMC 2003; Frank 2005). Medical educators have argued that reflection is critical for training physicians who 

(1) respond creatively to complex health systems, clinical cases, and social situations, 

(2) participate collaboratively in teams, 

(3) behave professionally and compassionately in stressful work environments, and 

(4) have the motivation and skills to continuously improve their practice (Maudsley & Strivens 2000; Mann et al. 2007; Sandars 2009).


교육에서 성찰적 실천에 관한 문헌은 

  • 1930년대 듀이(1933년)가 인간의 마음을 "의미를 만드는 기관meaning making organ"으로 묘사하고 '모든 진정한 교육은 경험과 그 경험에 대한 성찰을 통해 온다'고 진술했다. 

  • 1980년대 저술가인 쇼엔(1983)은 실천의 복잡성에 대처하는 전문가들을 위한 도구로서 성찰의 중요성을 주장했다. 

  • Kolb(1984)는 반성과 행동의 관계를 경험, 반사, 재구성, 실험의 순환으로 개념화했다. 

  • 메지로우(1991)는 습관적인 행동에서, 사려 깊은 행동에서, 성찰에 이어, 궁극적으로 비판적인 성찰에 이르기까지 네 가지 수준의 성찰을 기술했다. 그는 비판적 성찰을 경험에 대한 성찰이 새로운 이해와 미래의 행동을 수정하는 계획으로 이어지는 것을 변혁적 학습으로 정의했다.

  • The literature on reflective practice in education begins with Dewey (1933), in the 1930s, who described the human mind as a meaning-making organ and stated that ‘‘all genuine education comes through experience’’ and reflection on that experience. 

  • Scho¨n (1983), writing in 1980s, argued the importance of reflection as a tool for professionals coping with the complexities of practice. 

  • Kolb (1984) conceptualized the relationship between reflection and action as a cycle of experience, reflection, reframing, and experimentation. 

  • Mezirow (1991) described four levels of reflection: from habitual action to thoughtful action, then on to reflection, and ultimately to critical reflection. He defined critical reflection as transformative learning in which reflection on experience leads to a new understanding and a plan to modulate one’s behavior in the future.


이러한 견실한 이론적 틀에도 불구하고, 우리는 반성을 가르치고 배우는 것에 대해 상대적으로 거의 알지 못한다.

Despite these robust theoretical frameworks, we know relatively little about teaching and learning reflection.


대부분의 연구는 다음의 네 가지 중 하나에 해당한다.

  • (1) 학생의 경험을 이해하기 위한 성찰의 분석(Brady et al. 2002; Dyrby et al. 2007; Roche & Coote 2008), 

  • (2) 학습자의 성찰 능력에 대한 평가(Pee et al. 2002; Boenik et al. 2004; Plack et al. 2007); 

  • (3) 구술 대 서면 반사 또는 동료 대 교수진 피드백과 같은 교육 형식 비교(Platzer et al. 2000; Baerstein & Fryer-Edwards 2003) 및 

  • (4) 성찰 학습의 영향 평가(Sobral 2005; Blatt et al. 2007; Mamede et al. 2008).

Most articles fall into one of the four categories: 

  • (1) analyses of reflections to better understand the learners’ experience(Brady et al. 2002; Dyrbye et al. 2007; Roche & Coote 2008);

  • (2) assessment of the reflective skills of learners (Pee et al.2002; Boenik et al. 2004; Plack et al. 2007); 

  • (3) comparison of educational formats such as oral vs. written reflection or peer vs. faculty feedback (Platzer et al. 2000; Baernstein & Fryer-Edwards 2003); and 

  • (4) evaluation of the impact of reflection on learning (Sobral 2005; Blatt et al. 2007; Mamede et al. 2008).


방법 Methods


가이드 개발 Guide development


설문 조사와 문헌 검토를 바탕으로 학습자와 교수진 모두에게 유용한 간단한 독립형 가이드를 개발하기로 결정했다.

Based on our survey and literature review, we decided to develop a brief, stand-alone guide which would be instructive to both learners and faculty


마지막으로 가이드에 대해 다음과 같은 파라미터를 설정했다.

Finally, we set the following parameters for the guide:


(1) 한 시간 동안 사용할 수 있도록 간략하게 작성해야 한다.

(1) It should be brief enough for use in hour-long sessions.


(2) 넓은 효용성을 위하여, (전문적 개발이나 임상적 추론과 같은 특정한 성찰적 의제를 충족시키기보다는) 성찰적 사고를 촉진하는 데 중점을 두어야 한다. 

(2) For broad utility, it should focus on promoting reflective thinking rather than fulfilling a particular reflective agenda such as professional development or clinical reasoning. 


(3) 이미 꽉 찬 커리큘럼에 추가할 명분과 성찰적 글쓰기가 필요함을 정당화할 수 있어야 한다. 그럼으로써 교수진 및 학생 저항의 공통 원천을 능동적으로 다루어야 한다. 

(3) We should proactively address common sources of faculty and student resistance including justification for adding to a full curriculum and the requirement for written reflection. 


(4) 많은 학습자와 교육자는 성찰적 학습에 대한 공식적인 교육을 받지 않을 것이기 때문에, 가이드는 그 자체로서 독립형 도구로서 적절하게 기능해야 한다.

(4) Because many learners and educators will not have had formal instruction in reflective learning, the guide should function adequately as a stand-alone tool.


(5) 성찰의 단계를 충분히 명확히 하여 교수진 및 동료의 반사 기술에 대한 피드백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5) The guide should make the steps for reflection sufficiently clear, so that they could be used to facilitate feedback on reflective skills from faculty and peers. 


파일럿 Pilot study


2008-2009 학년 동안 코호트 연구를 실시하여 3학년 의대생들의 서면 성찰에 대한 LEAP(Learning as a Professional) 가이드의 영향을 평가하였다.

We conducted a cohort study during the 2008–2009 academic year to assess the impact of the Learning from your Experiences as a Professional (LEaP) guide on the written reflections of third-year medical students


세팅과 참여자 Setting and participants.


UCSF에서는 3학년 커리큘럼이 6개의 블록으로 나뉜다. 2008~2009년 3학년 의대생 122명이 공부 기간 6블록 동안 핵심 산부인과 임상실습을 했다. 학생들이 여러 곳에서 실습을 했지만, 성찰 연습은 임상실습의 필수 요소다.

At UCSF, the third-year curriculum is divided into six blocks. During 2008–2009, 122 third-year medical students took the core obstetrics and gynecology clerkship during the six blocks of the study period. Although students take the clerkship at multiple sites, the reflection exercise is a required component of the clerkship.


개입 Intervention.


모든 학생들은 다음 안내문을 사용하여 전문직업성에 대한 성찰적 글쓰기를 마쳤다. "이 로테이션 중에 자신보다 환자의 요구에 대한 성실성, 존경, 반응성을 입증하는 데 가장 많은 것을 가르쳐 준 임상 상황을 선택하라."블록 1과 블록 2의 학생은 프롬프트만 받았고 블록 3–6의 학생도 LEP 가이드를 받았다. 그리고 간단한 인구 통계 및 만족도 설문지를 작성했다.

All students completed a written reflection on professionalism using the prompt ‘‘Select a clinical situation during this rotation that taught you the most about demonstrating integrity, respect and responsiveness to the needs of the patient above your own.’’ Students in blocks 1 and 2 received only the prompt while students in blocks 3–6 also received the LEaP guide and completed a brief demographic and satisfaction questionnaire.


자료 수집 Data collection.


훈련된 평가자 2명은 0(반사 없음)에서 6(비판적 성찰)까지 0.5점씩 점수를 제공하는 이전에 검증된 루브릭을 사용하여 각 성찰에 점수를 매겼다(Learnerman et al. 2008; O'Sullivan et al. 2010).루브릭의 단계적 진행은 다음과 같다. 

      • 과제를 이해하지 못함 

      • 성찰 없이 설명만 한다. 

      • 학습된 교훈을 정당화하지 않는다. 

      • 학습한 교훈에 대한 제한된(개인적) 정당성을 제공한다. 

      • 학습된 교훈의 증거를 포함한다. 

      • 과거 경험의 요인을 분석한다. 

      • 이전 경험을 현재 이벤트 및 데이터와 통합하여 추가 조치를 알려준다. 

루브릭은 각 단계에 대해 간략하고 정교한 점수 기준과 예를 제공한다.

Two trained raters scored each reflection using a previously validated rubric which provides scores in increments of 0.5 from 0 (no reflection) to 6 (critical reflection) (Learman et al. 2008; O’Sullivan et al. 2010). The rubric’s stepwise progression is as follows: 

      • does not respond to the assignment; 

      • describes without reflecting; 

      • does not justify lessons learned; 

      • provides limited (personal) justification of lessons learned; 

      • includes evidence of lessons learned; 

      • analyzes factors from past experience; and 

      • integrates previous experience with current events and data to inform further action. 

The rubric provides brief and elaborated scoring criteria and examples for each step.


분석 Analysis.


인구통계 및 만족도 설문지는 LEP 가이드의 성별 및 인상에 대한 정보를 요청했다. 구체적으로, 학생들은 강하게 동의하지 않는다(1)부터 강하게 동의한다(5)까지 응답하였다. 질문은 LEAP가 새로운 통찰력을 이끌어내었는지, 학습 계획을 수립하는 데 도움을 주었는지, 잘 성찰하도록 돕는지 등에 대해 5점 리커트 척도로 평가하도록 요청 받았다. 가이드의 사용 편의성과 학생들이 다른 사람에게 추천할 것인지에 대해서도 물었다.

The demographic and satisfaction questionnaire requested information about gender and impressions of the LEaP guide. Specifically, students were asked to rate on a 5-point Likert scale ranging from strongly disagree (1) to strongly agree (5) whether the LEaP led to new insights, helped them formulate a learning plan, and helped them reflect well. It also asked about ease of use of the guide and whether students would recommend it to others.


우리는 평균 성찰 점수, 성별, 모든 조사 질문에 대한 서술적 통계를 계산했다. 독립 t-테스트를 수행하여 사전 간섭 및 LEAP 개입 그룹의 평균 t-테스트 반사 점수를 비교하고 효과 크기를 계산했다(Hojat & Shu 2004).

We calculated descriptive statistics for average reflection score, gender, and all survey questions. We performed an independent t-test to compare the average t-test reflection scores for pre-intervention and LEaP intervention groups and calculated an effect size (Hojat & Xu 2004).



성찰적 실천 가이드 Guide for Critical Reflection

주소 CHIEF COMPLAINT

다음과 같은 질문이나 문제를 유발한 경험을 선택하십시오.

Choose an experience which triggered questions or concerns for you, such as:

1) 필요한 지식이나 기술이 없었던 상황

    • 1) a situation where you didn’t have the necessary knowledge or skills

2) 잘되긴 했지만 왜 그런지는 완전히 알 수 없는 상황

    • 2) a situation that went well but you’re not entirely sure why

3) 복잡하고 놀랍거나 임상적으로 불확실한 상황

    • 3) a complex, surprising or clinically uncertain situation

4) 개인적으로나 직업적으로 도전을 느낀 상황

    • 4) a situation in which you felt personally or professionally challenged.

참고: 이것은 여러분의 학습에 관한 것이므로 여러분이 주요 배우가 아니더라도, 왜 그 경험이 여러분을 돋보이게 하는지, 그리고 그 경험을 통해 무엇을 배울 수 있는지 생각해 보십시오. 그것은 여러분의 전문적 발전을 더 발전시킬 것이다.

Note: this is about your learning so even if you weren’t the major actor, consider why the experience stands out for you and what you can learn from it that will further your professional development


주제 SUBJECTIVE

경험의 내용, 프로세스 및 전제를 고려하십시오.

Consider the content, processes, and premises of the experience:

    • 내용: 무슨 일이 일어났나요? 상황과 그 맥락을 설명하시오. 지적으로나 감정적으로 어떤 반응을 보였습니까? 뭐가 잘 됐나요? 무엇을 바꾸시겠습니까?

      Content: What happened? Describe the situation and its context. What was your reaction, intellectually and emotionally? What went well? What would you change?

    • 프로세스: 어떻게 그런 일이 일어났는지. 그 상황에 어떻게 접근하셨습니까? 어떻게 행동하셨나요? 귀하와 타인이 결과에 더 좋고 더 나쁜 영향을 미쳤는가? 당신의 감정은 당신의 선택에 어떤 영향을 주었는가?

      Process: How it happened. How did you approach the situation? How did you perform? How did you/others affect the outcome for better and worse? How did your emotions affect your choices?

    • 전제: 왜 그런 일이 일어났는지. 왜 그렇게 행동/반응을 보였는가(과거 경험과 개인적 특성을 고려)? 당신과 다른 사람들은 왜 당신이 한 가정을 했는가? 어떤 시스템 요인이 이 문제에 기여했을 수 있으며 왜 시스템이 그러한 방식으로 설정되었는가?

      Premise: Why it happened. Why did you act/ react as you did (consider past experiences and personal characteristics)? Why did you and others make the assumptions you made? What system factors may have contributed to this problem and why is the system set up that way?

목표 OBJECTIVE

다양한 관점에서 그 경험을 재고하라. 다른 사람의 관점을 상상하는 것 이상의 데이터 제시: 

    • 환자, 가족, 감독자, 동료, 친구 및 기타 전문가의 반응에서 [공식적으로든 비공식적으로든] 무엇을 배웠는가? 

    • 어떤 피드백을 받으셨습니까? 

    • 의학 문헌에서 무엇을 배우셨습니까? 

    • 그 밖에 어떤 소식통을 참고하셨습니까?

Reconsider the experience from multiple perspectives. Go beyond imagining others’ perspectives to presenting data: 

    • What did you learn, formally or informally, from the reactions of patients, families, supervisors, peers, friends and other professionals? 

    • What feedback did you get? 

    • What did you learn from the medical literature? 

    • What other sources did you consult?


평가 ASSESSMENT

학습 내용 종합: 

    • 어떤 교육적, 개인적 또는 전문적 도전 과제 및/또는 강점을 확인하셨습니까? 

    • 이러한 분석이 향후 유사한 상황에 어떻게 접근하는지에 어떤 영향을 미쳤는가? 

    • 행동 방식을 바꾸지 않을 것이라고 결론내린다면, 

      • a) 적절한 경험을 선택했는지, 

      • b) 반성을 통해 정말로 상황을 재구성했는지에 대해 생각해 보라.

Synthesize your learning: 

    • What educational, personal or professional challenges and/or strengths have you identified? 

    • How has this analysis affected how you will approach similar situations in the future? 

    • [If you conclude you wouldn’t do anything differently, consider 

      • a) whether you’ve picked an appropriate experience and 

      • b) whether you’ve really reframed the situation with your reflection.]


계획 PLAN

미래의 유사한 상황에 대처하기 위한 계획을 세워라. 이 계획은 구체적이고 측정 가능하며 가까운 장래에 달성할 수 있어야 한다. 

    • 다음에는 무엇을 할 것인가? 

    • 필요한 정보나 도움은 어디서 얻을 수 있는가? 

    • 누구와 언제 체크인하시겠습니까? 

    • 네 계획이 효과가 있는지 없는지 어떻게 알겠니?

Make a plan to address future similar situations. The plan should be specific, measurable, and attainable in the near future: 

    • What will you do next? 

    • Where can you get the information or help you need? 

    • Who will you check in with and when? 

    • How will you know whether your plan is working, or not?


Figure 1. UCSF LEaP: Learning from your Experiences as a Professional.



결과 Results


성찰적 학습 가이드 Reflective learning guide


우리는 성찰적 학습에 대한 LEAP 가이드를 개발했다. 가이드는 페이지의 앞면과 뒷면을 모두 채우는 1페이지 분량의 문서, 즉 성찰에 대한 구조화된 접근방식(앞면)과 성찰 및 성공적인 성찰을 위한 전략(뒤면)에 대한 정보 시트로 구성된다.

We developed the LEaP guide to reflective learning. The guide consists of a one-page document filling both front and back of the page: a structured approach to reflection (front) and an information sheet about reflection and strategies for successful reflection (back).


1면은 학습자를 이론에 기초하여 5단계 과정을 거쳐 임상 기록의 형식을 모델로 한다(그림 1). 

최고 불만 사항(Hatton & Smith 1995; Moon 2004), 

    • 주관적(Schon 1983; Boud et al. 1987; Mezirow 1991), 

    • 목표(Moon 2004), 

    • 평가(Kolb 1984), 

    • 계획(Meziro 1998; Epstein 2007). 

The front page takes the learners through a five-step process based on theory and modeled on the format of clinical notes (Figure 1): 

    • Chief Complaint (Hatton & Smith 1995; Moon 2004), 

    • Subjective (Schon 1983; Boud et al. 1987; Mezirow 1991), 

    • Objective (Moon 2004), 

    • Assessment (Kolb 1984), and 

    • Plan (Mezirow 1998; Epstein 2007). 


SOAP 접근방식은 학습자에게 친숙하고 효과적인 성찰의 핵심 단계가 [주관적 정보의 수집에서 데이터 나열을 통해 모든 정보의 평가와 계획의 입안까지 이동하는] 임상 추론의 핵심 과정과 매우 유사하다는 점을 강조하기 위해 선택되었다.

The SOAP approach was selected for its familiarity to learners and to emphasize that the key steps in effective reflection are much like those in clinical reasoning, moving from gathering of subjective information, through listing of data to an assessment of all information and formulation of a plan.


뒷면은 우리 태스크포스(TF)가 개발한 의학교육에 대한 성찰의 정의로 시작한다. 그런 다음, 성찰의 교육적·전문적 이익에 대한 설명을 제공하고, 성찰력 개발의 성공과 관련된 요소를 열거하며, 성찰적 글쓰기의 개선 전략을 제시한다. 본질적으로, 이 페이지는 왜 성찰이 필요한지 그리고 어떻게 효과적으로 그렇게 할 수 있는지를 설명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The back page begins with the definition of reflection in medical education developed by our Task Force. It then provides an explanation of the educational and professional benefits of reflection, lists factors associated with success in the development of reflective ability, and offers strategies for improving reflective writing. In essence, this page serves the critical role of explaining why the learners are being asked to reflect and how they can do so effectively.


파일럿 연구 Pilot study


3학년 의대생 122명 중 총 115명이 시범연구에 참여했으며, 사전간섭 코호트 37명, LEAP 중재그룹 78명이었다. 표 1은 성찰 점수에 대한 LEP의 영향을 나타낸다. 성찰 점수는 큰 효과크기와 함께 LEAP 사용자에서 더 높았다. LEAP를 사용하는 학습자가 학습한 레슨에 대한 분석을 포함하며 성찰에 증거를 더 자주 포함했음을 보여주었다. 성숙 효과의 증거는 없었다. 다시 말해 블록 3과 4의 점수는 블록 5와 6의 점수와 크게 다르지 않았다.

A total of 115 out of 122 third-year medical students took part in the pilot study, with 37 in the pre-intervention cohort, and 78 in the LEaP intervention group. Table 1 presents the effect of the LEaP on reflection scores. The reflection score was significantly higher with LEaP (p50.001) with a large effect size and scores indicating learners using LEaP included analysis of lessons learned and incorporated evidence into the reflection more often. There was no evidence of a maturation effect; in other words, scores in blocks 3 and 4 did not differ significantly from scores in blocks 5 and 6.



LEAP 간섭 그룹 내 78명의 학습자 중 34명을 대상으로 학습자 만족도와 성별 데이터를 수집했다. 표 2는 조사 결과를 제공한다.

We collected learner satisfaction as well as gender data on 34 of the 78 learners in the LEaP intervention group. Table 2 provides the survey results.



고찰 Discussion


우리는 이 가이드 개발 과정과 다른 사람들에게 유용할 수 있는 파일럿 테스트를 통해 많은 교훈을 얻었다. 비록 우리의 원래 의도는 한 페이지짜리 문서를 만드는 것이었지만, 독립 실행형 가이드의 작성은 모든 학습자가 읽지는 않는 두 번째 페이지를 추가해야 했다. SOAP 프레임워크는 익숙하고 성찰의 핵심 요소를 강조하기 위해 선택했지만, 이 선택 이유를 페이지에 충분히 명확히 하지 않았다. 교육자와 학습자 모두를 위한 단일 지침을 만들기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 우리는 교사들에게 더 분명한 효용성에 대한 정보를 포함시켰다. 

We learned many lessons from this guide development process and pilot testing which may be of use to others. Although our original intent was to produce a one-page document, guide creation of a stand-alone required the addition of a second page, which not all learners read. We chose the SOAP note framework both because of its familiarity and to emphasize the core elements of reflection but did not make the reason for this choice sufficiently clear on the page. In an effort to create a single guidance for both educators and learners, we included information of greater obvious utility to teachers. 


일부 학습자들은, (Boud와 Walker(1998)가 제기한 우려처럼), LEAP가 성찰을 하는 경험에 대해 갖는 의문이나 중요성을 다루기보다는 '레시피 따라하기'에 그치게 한다면서, LEaP가 오히려 성찰 능력을 너무 제약하고 방해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Some learners argued that the LEaP was too constraining and interfered with their ability to reflect, echoing a concern raised by Boud and Walker (1998) about ‘‘recipe following’’ in reflection without actually addressing the questions and significance of the experience being reflected upon. 


그러나 다른 이들은, 학생들이 자신이 이미 성찰하고 있다고 믿고 있으며, 결과적으로 구조화된 연습의 필요성을 인식하지 못한다는 점에 주목했다(Grant et al. 2006). 이 후자는 우리의 경험을 더 정확하게 묘사한다; UCSF의 구조화되지 않은 "성찰"의 대부분은 학습의 증거가 거의 없는 감동적인 사건, 일화, 혹은 자축적인 이야기로 구성되어 있다.

Others have noted, however, that students believe they are already reflecting and consequently do not see the need for structured exercises (Grant et al. 2006). This latter more accurately portrays our experience; a great majority of the unstructured ‘‘reflections’’ at UCSF consist of moving anecdotes, diatribes, or self-congratulatory tales with little evidence of learning.


우리의 시범 연구는 LEAP 가이드를 사용하는 학생들에게 유리한 3학년 의대생들의 평균 성찰 점수에 상당한 차이를 보였다. 가이드가 없이, 거의 모든 학습자들은 3점 이하의 점수를 받은 반사를 썼고, [그들 자신의 모호한 인상을 넘어서지 못하고], 사건에 대한 고려가 매우 적거나 없는 상태에서, 경험에 대한 설명만으로 구성되어 있었다. 가이드를 활용하면, 훨씬 더 많은 학습자들이 다른 사람의 피드백을 구하고 임상적 또는 직업적 불확실성의 문제를 명확히 하기 위해 문헌에 가서 자신의 경험을 재구성하는 등 더 많은 성찰 요소를 통합했기 때문에 더 높은 점수를 얻었다.

Our pilot study demonstrat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average reflection scores of third-year medical students in favor of those using the LEaP guide. Without the guide, nearly all learners wrote reflections which scored below 3 and consisted exclusively of a description of an experience with little or no consideration of the event beyond their own vague impressions. Using the guide, significantly more learners earned higher scores because they incorporated more elements of reflection including reframing their experience by seeking feedback from others and going to the literature to clarify issues of clinical or professional uncertainty.


우리 조종사는 또한 반사 점수와 인구 통계학적 및 만족도 변수 사이의 연관성을 조사했다. 다른 기관의 예비 자료에서 여성이 남성보다 반사 능력이 더 좋을 수 있다고 제시했지만, 우리는 그러한 차이를 발견하지 못했다. (Dannefer & Bier 2008)

Our pilot also examined associations between reflection scores and demographic and satisfaction variables. Although preliminary data from another institution suggested that females might be better at reflection than males, we found no such difference (Dannefer & Bierer 2008).


특정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맞춤화된 많은 개입과 마찬가지로, 개입과 평가 사이의 상호작용이 가능하다. 우리가 보여준 것은 그저 학습자들이, 자극이 되면, 더 높은 점수를 얻을 수 있는 항목을 성찰에 포함시킬 것이라는 것일 수도 있다. 그러나 본 연구의 두 가지 연구 결과는 우리가 실제로 성찰 능력을 측정하고 있음을 시사한다. 

(1) 모든 LEAP 사용자가 가이드의 단계를 따르지는 않았지만, 그들의 성찰 점수는 여전히 통제군 평균보다 높았다. 

(2) 개별 통제군 학생들은 구조 없이 더 높은 성찰 점수를 얻었다.

As with many interventions that are tailored to meet specific objectives, an interaction between the intervention and the assessment is possible. It is possible that we have demonstrated that learners, when prompted, will incorporate items into their reflection that will earn them a higher reflection score. Two findings from this study suggest that we are in fact measuring reflective ability: (1) not all LEaP users followed the steps in the instructions, but their reflection scores were still higher than the control mean; and (2) individual control students achieved higher reflective scores without the structure.


반사 학습에서 중요한 역할 피드백에 대한 의료 교육 노트에서의 반성의 최근 두 가지 리뷰(Mann et al. 2007; Sandars 2009). 그러나 성찰을 채점하고 피드백을 제공하려면 성찰적 글쓰기를 읽을 수 있는 시간을 가진 숙련된 측정자가 필요하다. 우리 기관에서는 학습자에 대한 개별적인 응답을 준 사례를 거의 찾아내지 못했다. 우리 기관에서 더 흔히 볼 수 있는 경우는, 학생 집단을 위해 성찰의 내용을 주제별로 요약하는 방식이었다. 어떤 경우에는 단순히 반사를 수집하여 어떤 유형의 피드백도 주어지지 않았다. 일부 코스 감독들은 학생들의 경험을 이해하고 멀리 떨어진 사무직 사이트를 평가하기 위해 성찰을 이용했지만, 많은 교육자들은 자신이 성찰적 에세이를 활용하지 못한 주된 이유로 시간 부족과 훈련 부족을 꼽았다. 학교와 훈련 프로그램은 반성 속에서 교직원을 양성할 수 있는 자원을 찾고, 성찰에 대응하는 데 필요한 시간을 보상해야 할 것이다.

Two recent reviews of reflection in medical education note of the critical role feedback in reflective learning (Mann et al. 2007; Sandars 2009). But scoring reflections and providing feedback require trained raters with the time to read reflections. At our institution, we found few cases of individual responses to learners. More commonly at our institution, the content of reflections was thematically summarized for large groups of students. In some cases, the reflections were simply collected, and no feedback of any type was given. While some course directors used reflections to understand the student experience and evaluate distant clerkship sites, many educators cited lack of time and lack of training as the principal reasons for how they handled reflective essays. Schools and training programs will need to find resources to train faculty in reflection and compensate them for the time required to respond to written reflections.









. 2011;33(10):e515-21.
 doi: 10.3109/0142159X.2011.599894.

Development and pilot testing of a reflective learning guide for medical education

Affiliations 

Affiliation

  • 1University of California, San Francisco, CA 94118, USA. aronsonl@medicine.ucsf.edu

Abstract

Background: Reflection is increasingly incorporated into all levels of medical education but little is known about best practices for teaching and learning reflection.

Aims: To develop a literature-based reflective learning guide for medical education and conduct a pilot study to determine whether (1) guide use enhances medical students' reflective writing skills and (2) reflective scores correlate with participant demographics and satisfaction.

Methods: Guide development consisted of literature review, needs assessment, single institution survey, and educational leader consensus. The pilot cohort study compared professionalism reflections written with and without the guide by third-year medical students on their core obstetrics and gynecology rotation. Reflections were scored using a previously validated rubric. A demographics and satisfaction survey examined effects of gender and satisfaction, as well as qualitative analysis of optional written comments. Analyses used independent t-tests and Pearson's correlations.

Results: We developed a two-page, literature-based guide in clinical Subjective-Objective-Assessment-Plan (SOAP) note format.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p < 0.001, in the reflection scores between groups, but no effects of gender or satisfaction. Student satisfaction with the guide varied widely.

Conclusions: A single exposure to a literature-based guide to reflective learning improved written reflections by third-year medical students.


학습과 학습성과에 의도적 성찰이 미치는 영향(Med Educ, 2019)

Effects of deliberate reflection on students’ engagement in learning and learning outcomes

Ligia Maria Cayres Ribeiro,1 Silvia Mamede,2 Eliza Maria de Brito,1 Alexandre Sampaio Moura,1 Rosa Malena Delbone de Faria3,4 & Henk G Schmidt2




도입

INTRODUCTION


낯선 들판의 등산객이 갈림길을 마주보고 있다. 어떤 방향을 따라야 할지 확신이 서지 않는 그는 옵션을 면밀히 살피고 기억 속에서 참고문헌을 검색하고 시각과 소리를 탐구하며 나침반을 이용하거나 심지어 나무에 오르기도 하면서 한 가지 또는 다른 방향으로 유리한 증거를 찾으려고 한다. John Dewey1은 성찰을 설명하기 위해 이 간단한 예를 사용한다: 

망설임이나 의심에 직면할 때 우리가 관여하는 주의 깊은 사고, 그리고 [다른 관점에서] [적절한 해결책을 찾을 때까지] 도전을 탐구하는 신중한 추론 과정. 1,2 

등산객은 무작위가 아니라 성찰을 통해 올바른 길을 찾을 수 있는 기회를 가 더 높다. 하지만 그러기 위해서는 맥락에 대한 관련 지식을 가지고 있어야 한다. 예를 들어 나침반이 있어도 사용할 수 없으면 무용지물이 된다.

A hiker in an unfamiliar field faces a branching. Unsure of what direction to follow, he or she scrutinises the options and tries to find evidence in favour of one or another direction, searching references in memory, exploring sights and sounds, using a compass or even climbing a tree. John Dewey1 uses this simple example to illustrate reflection: 

the attentive thought we engage in when facing hesitation or doubt; and the deliberate reasoning process of exploring a challenge, from different perspectives, until finding a proper solution for it.1,2 

The hiker has a better chance to find the right way through reflection than by randomly choosing a direction, but only if he or she has relevant knowledge of the context. A compass, for example, will be useless if he or she cannot use it.


성찰은, 학습에 대한 참여를 촉발할 수 있는 잠재력이 있기에, 중요한 교육 전략으로 간주될 수 있다.3,4 그러나, 확고한 이론에 기초하지만, 이러한 현상이 실제로 일어나는 경험적 증거는 거의 없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특히 의학 교육에서 말이다.

Because of its potential to trigger engagement in learning, reflection, therefore, can be – and indeed has been – considered an important educational strategy.3,4 It should be noted, however, that although based on solid theory, there is little empirical evidence that this actually happens, especially in medical education.


'갈림길' 상황은 [임상적 소견이 환자의 진단 불확실성을 높이는 경우가 자주 발생하는 등] 모호한 사례가 자주 발생하는 의료실무에서 흔히 볼 수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임상의는 환자와의 만남 가운데서도 성찰을 할 수 있는 반면, 도날드 슈어런이 말한 'Reflection-in-action, RIA'이다.2 진단 과제에 직면한 의사의 경우라면, 이는 다른 잠재적 설명을 마음에 둔 채로 환자의 문제를 살펴보는 것을 것이다. 사용가능한 임상 데이터로부터 서로 다른 가설을 설정하고, 환자를 위한 진단을 내릴 검증testing하는 것을 염두에 두는 것이다.

‘Forked-road’ situations are common in medical practice because cases are often ambiguous, with patients frequently presenting clinical findings that raise diagnostic uncertainty. In these situations, clinicians may engage in reflection in the midst of the encounter with the patient, while it is still possible to respond to the situation at hand, what Donald Sch€on called ‘reflection-in-action’.2 For a medical doctor facing a diagnostic challenge, this would involve looking at the patient’s problem with different potential explanations in mind, confronting different hypotheses with available clinical data and testing them until setting a diagnostic solution for the patient.5,6


실제로 이전 실험에서는 감별진단을 내리는 데 있어서, [의도적인 성찰]이 기존의 접근 방식과 비교했을 때 의대생들의 사례에 대한 [상황적 관심]을 키웠다. [의도적인 성찰]이란 임상 사례를 해결할 때, 자신의 진단 가설을 주장하면서 동시에 반박하는 것으로, 환자의 finding중에서 가설에 부합하는 것과 반박하는 것을 모두 열거하는 것이다이러한 의도적인 성찰이 의대생들의 학습을 촉진한다고 가정하는 것은 타당하다. 왜냐하면, [지식에 대한 '갈증'으로 묘사되는 일시적이고 맥락과 관련된 관심]을 의미하는 '상황적 관심'이란 것이 의학교육 외 분야에서 학습에 대한 참여 및 학습 성과의 좋은 예측 변수임이 입증되었기 때문이다.

Indeed, in a previous experiment, deliberate reflection while solving clinical cases by arguing for and against one’s diagnostic hypotheses, listing patient’s findings that match and refute them, fostered medical students’ situational interest in the cases compared with the more conventional approach of giving differential diagnoses.7 It is reasonable to assume that this deliberate reflection procedure would foster medical students’ learning, because situational interest, a transient and context-related interest also described as ‘thirst’ for knowledge, has proved to be a good predictor of engagement in learning and learning outcomes in experiments with audiences outside medical education.8–11


이것은 [의도적 성찰]의 전도유망한 교육적 효과일 것이다. 왜냐하면, 수년간의 교육, 며칠간의 교육, 또는 몇 시간의 수업으로 측정되든 간에, 학습 활동에 대한 참여는 학습 성과를 향상시키는 것으로 반복적으로 보여왔기 때문이다.12 의대생이나 의사가 진단을 내려야 하는 상황은 (장기간에 걸친 활동이라기보다는) 개별적으로 선택된 의학적 주제에 대한 본문을 읽는 것과 같은 단기적 학습 활동에 가깝다. 그러나 아무리 단기간이라도, 이 시간은 차이를 만들 수 있다. 기존 연구에 따르면, 심지어 분 단위로 측정된 짧은 학습 활동에서조차 [참여]는 학습 성과에 긍정적인 효과를 보여주었다.

This would be a promising educational effect of deliberate reflection because engagement in learning activities, whether measured as years of schooling, days of instruction or hours of classes, has repeatedly been shown to improve learning outcomes.12 Rather than undertaking long-term activities, a medical student or a physician facing a diagnostic challenge is likely to engage, possibly individually, in short-term learning activities such as reading a text on a selected medical topic. However short, this time may make a difference. Research has shown a positive effect on learning outcomes of engagement, even in short learning activities measured in minutes of study time.



방법

METHODS


설계 

Design


이 연구는 실험 또는 통제 조건에 참가자를 무작위로 할당하는 실험이었다. 실험은 진단 과제, 연구 과제, 리콜 과제 등 세 부분으로 나뉜 단일 세션으로 구성됐다. 진단 과제에서 참가자들은 사례에 대한 성찰(실험)이나 차등 진단(통제)을 하기 위한 구조화된 절차를 따라 임상 2건을 진단했다. 사례를 진단한 후, 두 조건의 참가자들에게 황달의 차등 진단에 대한 동일한 연구 자료를 제공하였다. 그 후, 그들은 방금 연구한 자료에 대해 대기록 작업을 수행했다.

The study was an experiment with random allocation of participants to either an experimental or a control condition. The experiment consisted of a single session divided into three parts: a diagnostic task, a study task and a recall task. In the diagnostic task, participants diagnosed two clinical cases by following either a structured procedure to reflect upon the cases (experimental) or to make a differential diagnosis (control). After diagnosing the cases, participants from both conditions were presented with the same study material about the differential diagnosis of jaundice. Subsequently, they performed a cued-recall task about the material that they had just studied.


세팅과 참여자 

Setting and participants


브라질 벨로 호라이즌테(Belo Horizonte)에 있는 조스 에도 로스 아리오 벨라노 대학(UNIFENAS) 4학년 의대생 123명 전원이 자발적으로 연구에 참여하도록 초청받았다. UNIFENAS는 6년제 문제 기반 커리큘럼을 가지고 있으며, 최종 2년은 임상실습을 한다. 우리는 4학년 학생들을 선발했다. 왜냐하면 이 시점에서 그들은 튜토리얼 그룹과 강의 중에 황달환자에 대한 지식은 있지만, 임상경험은 부족했기 때문이다.

All 123 fourth-year medical students at Jos edo Ros ario Vellano University (UNIFENAS) in Belo Horizonte, Brazil, were invited to voluntarily participate in the study. UNIFENAS has a 6-year problem-based curriculum, with the two final years dedicated to clerkships. We selected fourth year students because at this point in their training they have been exposed to knowledge about patients with jaundice during tutorial groups and lectures but have limited clinical experience with them.


재료 및 절차

Materials and procedure


학생들의 학습 자료의 학습을 측정하기 위해, 황달의 차등 진단에 관한 임상 기록, 신체 검사 및 실험실 테스트에 관한 주제를 다루는 8개의 개방형 문항으로 구성된 cued-recall test 가 작성되었다. 각 문항에서 자료의 특정 부분에 대한 cued recall을 했고, 그 부분에 대해서는 참가자들에게 방금 읽은 본문에서 기억한 모든 정보를 기록하도록 요청했다. cued question의 예로는 '황달환자의 평가에 관련된 신체검사 결과를 모두 열거하고 그것들이 차등진단에 어떻게 도움이 되는지 설명하라'가 있다. 전체 연습의 파일럿은 이전에 본 연구에 참여하지 않은 의대 4학년 학생 15명과 함께 이해가능성을 확인하기 위해 실시되었고, 몇 가지 조정 결과를 낳았다.

To measure students’ learning of the study material, a cued-recall task with eight open-ended questions, addressing topics on clinical history, physical examination and laboratory tests concerning the differential diagnosis of jaundice, was created. Each item cued recall of a specific part of the material and, for that part, requested the participants to write down all the information that they remembered from the text that they had just read. An example of a cued question is ‘List all the relevant physical examination findings to the evaluation of patients with jaundice and explain how they help on the differential diagnosis’. A pilot of the whole exercise was previously conducted with 15 fourth-year medical students, non-participants in this study, to check for understandability, and resulted in a few slight adjustments.


각각의 경우에, 학생들은 그들이 수행하는 실험 조건에 따라 일련의 다른 단계를 따르도록 요구 받았다. 의도적인 반영 조건에서, 학생들은 다음과 같이 요청받았다: 

(i) 사례를 읽고 사례에 가장 가능성이 높은 진단을 타이핑하는 것; 

(ii) 구조화된 절차를 따름으로써 사례를 성찰하는 것, 6 이 절차는 간략하게, 다음을 타이핑하는 것으로 구성된다. 

      • 첫 번째 진단 가설과 일치하는 임상 결과, 

      • 그것과 모순되는 임상 결과

      • 첫 번째 가설에서 기대되었지만, 사례에 묘사되지 않은 것, 

      • 마지막으로, 결론을 내리기 전에 두 개의 대체 진단을 입력하고 각 진단에 대해 동일한 분석을 실행.

For each case, the students were asked to follow a set of different steps depending on the experimental condition under which they performed. In the deliberate reflection condition, students were requested to: 

(i) read the case and type down the most likely diagnosis for the case; 

(ii) reflect upon the case by following a structured procedure,6 which, briefly, consists of typing 

      • the clinical findings that are in line with their first diagnostic hypothesis, 

      • those that contradict it, and 

      • those that are expected were this first hypothesis true but are not described in the case, 

      • then typing two alternative diagnoses and running the same analysis for each diagnosis before making a conclusion.


통제 조건의 학생들은 다음과 같은 단계를 수행하도록 요청받았다: 

(i) 사례를 읽고, 사례에 가장 가능성이 높은 진단과 두 가지 대안 진단에 대해 타이핑을 하고, 

(ii) 사례와 관련이 없는 의학 용어를 포함하는 크로스워드 작업을 하고, 

(iii) 사례에 대해 가장 가능성이 높은 진단에 대한 결론을 타이핑한다. 

Students from the control condition were asked to carry out the following sequence of steps: 

(i) read the case, type down the most likely diagnosis for the case and two alternative diagnoses; 

(ii) work on a crossword containing medical terms not related to the cases; and 

(iii) type down their conclusion on the most likely diagnosis for the case. 


크로스 워드는 작업에서 유사한 시간을 보장하고 제어 조건의 사람들이 반사하는 정도를 최소화하기 위해 사용되었다. 사례를 진단한 후 크로스워드 작업을 하는 것은 학생들에게는 이례적인 일로, 준수사항을 방해할 수 있기 때문에, 우리는 통제조건에 대한 가이드에, 비록 그것이 무관해 보일 수 있지만, 그것과 같은 작업이 사고 과정에 도움이 될 수 있고, 따라서 심각하게 고려되어야 한다고 명시했다. 각 실험 조건에 대한 지침이 화면에 독점적으로 제시되어, 한 가지 또는 다른 조건에서 수행된 학생 사이의 지침이 교차하는 것을 방지하였다.

The crossword was used to ensure a similar time on task and to minimise the degree to which those in the control condition would engage in reflection. As working on a crossword after diagnosing a case is unusual for students, which could hinder compliance, we stated in the instructions to the control condition that, although it could seem irrelevant, a task like it might help the thinking process and should, therefore, be taken seriously. The instructions for each experimental condition were presented exclusively on screen, thereby preventing crossing instructions between students who performed under one or the other condition.


자료 분석

Data analysis


연구의 주요 결과 측정은 [(학습 과정의 척도로서) 학습 자료에 소비한 시간]과 [(학습 성과의 척도로) cued-recall task 수]로 측정했다. 평균 연구 시간은 각 실험 조건에 대해 계산되었다. 대기 중인 리콜 과제에 대한 점수는 각 참가자의 점수를 합산한 후 각 실험 조건에 대한 평균을 계산했다. 평균 진단 정확도 점수는 유사한 절차를 통해 계산되었다.

The main outcome measurements of the study were the time students spent on the study material, which has been taken as a measure of the learning process, and their scores on the cued-recall task, assumed to be a measure of learning outcomes. The mean study time was computed for each experimental condition. The scores on the cued-recall task were computed by summing the scores of each participant and, subsequently, averaging themfor each experimental condition. Mean diagnostic accuracy scores were computed through a similar procedure.


결과

RESULTS


표 1은 실험 조건의 함수로 임상 사례에 대한 황달 및 초기 진단 정확도를 가진 환자에 대한 연령, 성별, 이전 경험을 제시한다.

Table 1 presents age, gender, previous experience with patients with jaundice and initial diagnostic accuracy for the clinical cases as a function of experimental condition.


두 실험 조건에 대한 평균 연구 시간 및 누적 리콜 작업 점수는 표 2에 표시된다.

The mean study time and cued-recall task scores for the two experimental conditions are displayed in Table 2.




고찰

DISCUSSION


[의도적 성찰]로 공부한 학생들은 학습 활동에 31% 더 오래 참여했고, 시험에서 40% 더 높은 점수를 받았다. 의도적인 반사 조건의 선호 차이는 중간 효과 크기로 두 측정에서 모두 유의했다.

Students who worked with deliberate reflection engaged 31% longer in the learning activity and attained a 40% higher score on the cued-recall test. The difference in favour of the deliberate reflection condition was significant in both measurements, with a medium effect size.


이러한 결과는 우리의 기대와 일치한다: 진단받을 임상 사례를 의도적으로 성찰하는 학생들은 감별진단 작업을 한 학생들보다 더 도전적인 과제를 수행했다. 사례에 대한 대안적 진단을 의뢰받은 학생들이 어느 정도 성찰하여 과제를 수행하도록 기대하는 것이 타당하다. 그러나 [의도적 성찰]은 학생들이 대안적 진단들을 서로 비교하고 대조하여, 각 진단을 뒷받침하는 증거를 찾고, 체계적으로 반박하도록 요구한다. 이러한 과정은 불확실성을 높이고 지식 격차를 인식하는 것을 촉진할 수 있는데, 이것은 (다른 분야에서 이미) 학습에 대한 관심과 참여를 촉진하는 것으로 입증되었다.8,9 따라서 의도적인 성찰이 학습 활동에 더 오래 관여하도록 이끈 것은 놀라운 일이 아니다. 의도적 성찰이 학습 자료의 실제 참여에 미치는 긍정적인 효과는 또한 의도적 성찰이 사례에 대해 더 많이 알고 있는 의대생들의 관심을 조장한다는 이전의 연구 결과와도 일치한다.7

These results are in line with our expectations: students who deliberately reflected upon to-be- diagnosed clinical cases had a more challenging task than those who worked with differential diagnosis. It is reasonable to expect that students who are requested to provide alternative diagnoses for a case engage in some degree of reflection to perform the task. The deliberate reflection, however, requires students to compare and contrast the alternative diagnoses, searching for evidence supporting and refuting each one in a systematic way. This process might raise uncertainty and facilitate recognition of knowledge gaps, which has already been shown to foster interest and engagement in learning within students outside medical education.8,9 It is not surprising, therefore, that deliberate reflection led to longer engagement in the learning activity. This positive effect of deliberate reflection on actual engagement in studying the learning material is also consistent with previous findings showing that deliberate reflection fostered medical students’ interest in knowing more about the cases.7


신중한 성찰이 공부 시간과 시험 점수를 모두 증가시켰기 때문에, 향상된 점수는 늘어난 시간의 결과였을 수도 있다. 학습 자료를 공부하는 데 더 많은 시간을 투자하도록 유도함으로써, 의도적 성찰은 학습 성과를 증가시켰다. 이러한 가정은 한 학술지의 품질 평가에 관한 연구와 같이, 참가자가 개별적으로 학습work하도록 했던 실험에서 관찰된, [학습 시간과 학습 결과 사이의 긍정적인 관계]와 일치한다. 무엇보다, [학습에 대한 참여engagement]는 학습의 일관되고 중요한 매개요인인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이는 [의사나 의대생이 불확실한 진단에 직면했을 때 발생하는 것처럼] 그 시간이 몇 분 단위로 짧더라도 마찬가지이다. 그러나, 또 다른 가능한 설명도 가능하다: [의도적인 성찰]은 학생들이 사전 지식을 동원하게 만들었을 수 있으며, 일단 사전지식이 활성화되면, 연구 자료에 제시된 새로운 정보를 이해하고 그것을 기존의 지식 구조에 통합하는 것이 더 쉬워질 것이다.22,23

As deliberate reflection increased both study time and test scores, the latter may have been a consequence of the former. By leading to investment of more time in studying the learning material, deliberate reflection increased learning outcomes. This assumption is consistent with the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the amount of study time and learning results observed in experiments in which students worked individually,13,14 as our participants did, such as in research on a teaching journal’s quality assessment. Engagement in learning, after all, has been shown to be a consistent and important mediator of learning, even if the time engagement is short, a matter of minutes,12 such as what is expected to happen when physicians or medical students are confronted with an uncertain diagnosis. However, another possible explanation for our findings has to be considered: deliberate reflection may have mobilised students’ prior knowledge and, once activated, it would make it easier to understand the new information presented in the study material and to integrate it into existing knowledge structures.22,23


교육적 함의

Educational implications


우리의 연구결과는 의대생과 개업의 핵심역량으로서 의도적 성찰의 중요성에 실증적 지원support을 더하고 있다. 즉, 임상 사례에 대한 의도적 성찰이 학생들의 학습 활동 참여의 동기부여로서 작용할 가능성을 보여준다. 이 때 의도적 성찰은 [환자의 임상 데이터로 진단 가설과 대치되는 측면을 찾아보는 간단하고 짧은 과정]이다. 임상 교사들은 이것을 학생들이 임상 사례와 관련된 의학 주제를 연구하도록 동기를 부여하는 전략으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의료영역에서 학습 성과의 중요한 중재자로서 학습에 관여한다는 증거를 확대한다.

Our findings add empirical support to the importance of deliberate reflection as a key competence for medical students and practitioners. It demonstrates the potential of deliberate reflection upon clinical cases, a simple, short-time- consuming process of confronting diagnostic hypotheses with patients’ clinical data, as a motivational force for students’ engagement in learning activities. Clinical teachers could use it as a strategy to motivate their students to study medical topics related to clinical cases. It also expands the evidence of engagement in learning as an important mediator of learning outcomes in the medical domain.


한계

Limitations


우리의 연구는 단일 의과대학에서 진행되었는데, 같은 연도의 연수 참가자들과 단일 임상 주제인 황달로 연구했는데, 이는 연구 결과의 일반성을 제한하는 것이다.

Our study was run in a single medical school, with participants in the same year of training and who worked with a single clinical topic, jaundice, which limits the generalisability of its findings.


결론

CONCLUSIONS


의대생들의 중요한 역량으로 이를 지탱할 수 있는 증거를 추가하는 두 가지 모두에 대해 의도적 성찰의 긍정적인 효과를 발견했다. 또한 임상 교사들이 학생들에게 동기부여를 하기 위해 쉽게 사용할 수 있는 의도적 성찰의 절차의 잠재적인 이익에 대한 증거를 실제 임상 환경과 시뮬레이션 임상 환경 모두에서 확대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관련 질문이 있다. 어떻게 의도적 성찰이 학습을 촉진시켰는가? 지식의 확대 또는 재구성을 통해? 여기서 관찰된 의도적 성찰의 효과는 [예를 들어, 경험이 많은 학생 또는 적은 학생 같은] 다른 맥락에서 유사할까?

We found positive effects of deliberate reflection on both, which adds evidence to sustain it as an important competence for medical students. It also expands the evidence on the potential benefits of a deliberate reflection procedure that can be easily used by clinical teachers to motivate their students, possibly in both real and simulated clinical environments. Nevertheless, there are still relevant questions. How did deliberate reflection foster learning? Through expansion or reorganisation of knowledge? Would the observed effect of deliberate reflection be similar in different contexts, for example, with more or less experienced students?





7 Ribeiro LMC, Mamede S, Moura AS, de Brito EM, de Faria RMD, Schmidt HG. Effect of reflection on medical students’ situational interest: an experimental study. Med Educ 2018;52 (5):488–96.


8 Rotgans JI, Schmidt HG. Situational interest and learning: thirst for knowledge. Learn Instruction 2014;32:37–50. XXX








. 2019 Apr;53(4):390-397.
 doi: 10.1111/medu.13798. Epub 2019 Jan 24.

Effects of deliberate reflection on students' engagement in learning and learning outcomes

Affiliations 

Affiliations

  • 1Department of Medical Education Development, José do Rosário Vellano University (UNIFENAS) Medical School, Belo Horizonte, Brazil.
  • 2Institute of Medical Education Research Rotterdam, Erasmus MC University Medical Center Rotterdam, Erasmus School of Social and Behavioural Sciences, Erasmus University Rotterdam, the Netherlands.
  • 3Department of Clinical Pathology and Medical Education, Minas Gerais Federal University (UFMG), Belo Horizonte, Brazil.
  • 4José do Rosário Vellano University (UNIFENAS) Medical School, Belo Horizonte, Brazil.

Abstract

Context: Reflection in practice is assumed to enhance interest in knowing more about a topic, increasing engagement in learning and learning outcomes. However, this claim lacks empirical evidence, particularly in medical education. The authors investigated the effects of deliberate reflection upon clinical cases on medical students' engagement in a learning activity and learning outcomes.

Methods: A three-task (diagnostic task; learning activity; test) experiment was conducted in August 2017. Seventy-two fourth-year students from UNIFENAS-BH Medical School, Brazil, diagnosed two clinical cases with jaundice as the chief complaint, either by following a deliberate reflection procedure or making differential diagnosis. Subsequently, all participants received the same study material on the diagnosis of jaundice. Finally, they took a recall test on the study material. Outcome measurements were study time and test scores.

Results: There was a significant effect of experimental condition on students' engagement in the learning activity and on learning outcomes. Students who deliberately reflected upon the cases invested more time in studying the material than those who made a differential diagnosis (respectively, mean = 254.97, standard deviation = 115.45 versus mean = 194.96, standard deviation = 111.68; p = 0.02; d = 0.53). Deliberate reflection was also related to higher scores in the test relative to differential diagnosis (respectively, mean = 22.08, standard deviation = 14.94 versus mean = 15.75, standard deviation = 9.24; p = 0.03; d = 0.51). Medium effect sizes (Cohen's d) were observed in both measurements.

Conclusions: Relative to making differential diagnosis, deliberate reflection while diagnosing cases fostered medical students' engagement in learning and increased learning outcomes. Teachers can employ this relatively easy procedure, possibly both with simulated and real scenarios, to motivate their students and help them expand their knowledge, an important requirement for their professional development.

의과대학에서 학생의 성찰적 실천 촉진(Educ Health (Abingdon), 2012)

Facilitating Students’ Reflective Practice in a Medical Course: Literature Review

Lisa Jane Chaffey1, Evelyne Johanna Janet de Leeuw2, Gerard Anthony Finnigan3



도입 

Introduction


의학에서 성찰은 자신의 실천방식에 대해 비판적이고 의식적으로 생각하는 작용[1]으로 설명되어 환자의 치료와 안전을 저해할 수 있는 [의식 없는 습관적 실천]의 위험을 감소시킨다. 성찰 능력은 유능한 전문적 실천의 필수적인 특징으로 여겨지고 있으며 전문적 행동의 발전에 중요하다.[4-10] 성찰은 지속적인 기술로서, 특히 유연한 적응[11]이 필요하거나 뚜렷한 해결책이 없는 상황에 직면했을 때 유용하다.[12]

Reflection in medicine has been described as the action of thinking critically and consciously about one’s practice,[1] so as to reduce the risk of non-conscious habitual practice, which can lead to compromised patient care and safety. Reflective capacity is seen as an essential characteristic of competent professional practice,[2,3] and important in the development of professional behaviours.[4-10] Reflection is an ongoing skill, particularly useful when faced with situations requiring flexible adaptation[11] or that have no obvious solution.[12]


  • Boenink[13]는 성찰이 [서로 다른 시각과 관점을 의식적으로 실천에 통합해야 한다]고 제안했고, 

  • Sandars[14]는 이를 통해 [경험과 자아에 대한 이해의 폭을 넓히고 미래의 행동을 알려준다]고 주장했다. 

  • 이는 심지어 Ewen[15]에 의해 더욱 명확히 설명된다. Ewen[15]은 학생들이 [자신에 대해 학습함으로써] [자신과 타인의 진실과 지식에 의문을 갖는 것]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 Boenink[13] suggested that reflection requires the conscious integration of different perspectives and views into practice, which 

  • Sandars[14] asserted results in a broader understanding of experiences and the self, informing future actions. 

  • This application for medical curricula is even further clarified by Ewen,[15] who emphasised the importance of questioning the truth and knowledge of both oneself and others by students learning about themselves.


성찰은 이제 의료 커리큘럼의 핵심 부분이지만, 그 교육 방법의 효과에 대해서는 여전히 의문이 있다.[16]

Reflection is now a core part of medical curricula, but there are still questions as to the efficacy of its teaching methods.[16]


방법

Methods



결과

Results


표 1에서 볼 수 있듯이, 이 검토는 반성을 촉진하는 방법에 대한 많은 의견, 검토 및 설명을 포함했지만, 이 분야의 일차자료primary data에 대해서는 거의 포함하지 않았다.

As can be seen in Table 1, this review included many opinion pieces, reviews and descriptions of methods of facilitating reflection, but little in regards to primary data in the area.



성찰의 의미의 폭

The breadth of the meaning of reflection


의학 교육 문헌에는 '성찰'이라는 용어가 널리 언급되어 있지만, 기술된 바에 따르면, 성찰의 목적은 광범위하다.[14] Mann 외[10]에서는 성찰의 본질nature이 정량화를 어렵게 한다고 결론지었다. 본 검토에서, 우리는 성찰의 목적이 [판단의 개선, 개인적 발달, 맥락화된 실천]의 세 가지를 포괄한다고 보았다.

The term ‘reflection’ is widely mentioned within medical education literature, but the purposes and goals described indicate a breadth of purposes of reflection.[14] Mann et al.[10] concluded that the nature of reflection makes it difficult to quantify. From this current review, we determined that the breadth of reflection covers the purposes of reflecting to improve judgements, to personally develop and, and to contextualise practice, and are explained in Table 2.



[판단을 개선하기 위한 성찰]은 학생들의 임상 기술 향상, 문제 해결, 유연한 사고, 평생 학습 및 전문지식의 발달에 중점을 둔다.[1,10,14,17] 이러한 목적을 위한 성찰은 대개 문제에 초점을 두며, 비판적 사고를 수반하며, 일반적으로 가설-검증을 지칭한다.

Reflection to improve judgement centres on improving students’ clinical skills, problem solving,[11] flexible thinking, lifelong learning and the development of expertise.[1,10,14,17] Reflection for this purpose usually has a problem focus, involves critical thinking, and is commonly indicated by hypothesis testing.


성찰의 [개인적 발달]의 목적은 고객 중심적인 의료에서 필수적이다.[18] 의사들이 임상결정을 내릴 때, 자신의 가치와 가정, 그리고 환자의 가치와 가정을 소유하는 것을 고려할 필요가 있기 때문이다. 문헌을 검토한 결과, Sandars[14]는 [자신을 이해하는 것이 공감과 배려를 가능하게 하기 때문에], 의사가 환자들과의 치료적 관계를 발전시키는 데 [자신의 가치와 신념에 대한 지식]이 중요하다고 단언했다. Aukes 등은 성찰을 위한 평가도구를 개발하는 과정에서 문헌을 검토하였고, 의학교육에서 개인적인 반성personal reflection이 종종 간과되어 왔다는 점에 주목하였다. 이들은 [개인의 발달]은 의료행위의 '문제해결 문화'의 바깥에 있어서, 즉 의학교육의 영역에 포함되지 않는 것처럼 보여지고 있다고 제안했다.

Reflection to personally develop is essential in client-centred practice, as doctors need to consider they own values and assumptions, and those of the patient, while making clinical decisions.[18] From reviewing the literature, Sandars[14] asserted that the knowledge of one’s values and beliefs is important for a doctor to develop therapeutic relationships with patients, as understanding oneself enables empathy and caring. Aukes et al.[11] reviewed literature in preparation for creating an assessment tool for reflection, and noted that personal reflection has often been overlooked in medical education. They suggested that this has occurred as personal development and has been seen as outside the domain of the problem-solving culture of medical practice, and thus, outside the domain of medical education.


[맥락적 실천]을 위한 성찰은 학생들이 이론과 자신의 경험을 통합하는데 도움을 준다. 몇몇 저자들은 이러한 반성의 측면이 건전한 의료 관행medical practice을 발전시키는데 필수적이라는 가설을 세워왔다.[5] 성찰 능력이 부족하면, 자기인식능력이 떨어지고, 따라서 의료 행위의 질이 낮아진다.[19] 하우 등은 [실천에 대한 성찰]과 [자기 인식의 개발]이 (demanding한 profession에서) 회복탄력성의 중요한 메커니즘이라고 말했다.

Reflection to contextualise practice helps students integrate theory with their own experience. Several authors have hypothesised that this aspect of reflection is essential in developing a sound medical practice,[5] with a lack of reflective ability resulting in poor self-awareness, and thus poor medical practice.[19] Howe et al.[8] found, from their study of the development of professionalism, that reflecting on practice and developing self-awareness are important mechanisms of resilience in the face of a demanding profession.


성찰적 실천의 목표가 폭넓다는 점 때문에 성찰은 의료행위에서 필수적인 기술이지만, 반대로 이 강점이 성찰적 실천을 촉진하려는 교육에 장애물이 될 수 있다.[20,21] 특정한 성찰 과제를 사용하는 경우에 교육자의 목표가 모호한 경우가 종종 있기 때문이다. Aukes 외[11] 성찰 과제의 목적은 거의 명확하게 표현되지 않았으며, 학생들은 종종 그들이 취해야 할 관점, 성찰의 목적 또는 역할에 대해 알지 못한다는 점에 주목하였다. 샌더스[14]는 학생들이 효과적으로 반영하기 위해서는 [성찰과제의 적절한 목적을 명확하게 결정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했다.

Although this breadth of reflective practice makes it an essential skill in medical practice, this very strength can also be a barrier in teaching facilitating reflective practice as there is often ambiguity of the educator’s goals in regard to the use of a particular reflective task.[20,21] Aukes et al.[11] noted that purposes of a reflective tasks were rarely articulated, and students were often unaware of the perspective, reflective purpose or role, they were expected to take. Sanders[14]concluded that, for students to reflect effectively, they required clarity in determining the appropriate purpose of a reflective task.


의료 교육자에 의한 촉진 반영

Facilitation reflection by medical educators


반성은 종종 경험에서 오는 불확실성이나 불편함에 의해 유발된다.[13,22] 알바니아어에 따르면, [22] 이러한 불확실성이나 불편함 외에도, 학생은 [성찰하는 방법에 대한 지식]과 [성찰을 위한 시간과 동기]를 필요로한다. 이러한 의견을 지지하면서 Carr과 Carmody[23]는 정성적 연구에서 일부 학생들은 자기 스스로 허용 가능한 수준의 성찰능력을 얻을 수 있다는 것을 발견했다. 그러나, 의학교육자들의 촉진을 통해 성찰은 더욱 향상되었다.

Reflection is often provoked by uncertainty or unease resulting from an experience.[13,22] According to Albanese,[22] in addition to this uncertainty or unease, a student requires knowledge of how to reflect, and time and motivation for reflection to occur. Supporting this opinion, Carr and Carmody[23] found in their qualitative study that some students could attain an acceptable level of reflection independently. However, reflection was greatly enhanced through medical educators’ facilitation.


의학교육자가 퍼실리테이션하는 것은 학생과의 일대일 미팅이나 소규모 그룹 튜토리얼에 반영하는데 유용한 것으로 나타났다.[9,24] Schaub-de Jong 외 연구 결과에 따르면, 교육자들이 (학생의) 성찰을 촉진하고자 한다면, 성찰적 실천을 모델링 해줄 필요가 있다. 여기에는 자신의 경험을 좀 더 명시적으로 만드는 것, 감정을 조사하는 것, 학생들 사이에 상호작용을 자극하는 것 등이 있다.

Medical educators’ facilitation was found to be useful for reflection in one-on-one meetings with students and in small group tutorials.[9,24] According to results of a study by Schaub-de Jong et al.,[9] educators who wished to encourage reflection needed to model reflective practice by making their experiences more explicit, investigating emotions and stimulating interaction among students.


서면 또는 웹 기반 포트폴리오를 사용하여 반성을 촉진

Using written or web-based portfolios to facilitate reflection


포트폴리오 기반 학습은 학생들의 성찰을 장려하는 일반적인 방법이다.[8,25] 포트폴리오를 통해 학생들은 개인적, 임상적 경험에 대한 자신의 생각을 비판적으로 생각하고 구조화할 것을 요구한다.[8] 피시와 데 코사르트[7]는 성찰적 글쓰기를 지지하며, [학습]이란 글쓰기에 의해 증명되는 것이 아니라, 글쓰기 과정에서 발생한다고 제안하였다. 그들은 또한 글쓰기 과정과 내용을 재방문하고 다듬어서 점점 더 깊이 있는 지식을 얻을 수 있도록 할 필요가 있다고 제안하였다.[7]

Portfolio-based learning is a common method of encouraging students’ reflections.[8,25] Portfolios require students to think critically and structure their thoughts about personal and clinical experiences.[8] Fish and de Cossart[7] supported the use of writing in reflection, as they suggested that learning occurs through the process of writing, not evidenced by it. They also suggested that the writing process and content needs to be revisited and refined to allow for an increasingly greater depth of knowledge.[7]


교육자들은 포트폴리오를 높이 평가하지만[26] 학생들의 관점을 탐구한 결과, 학생들은 그 가치에 대한 다양한 의견이 제시되었다. 영국의 Rees와 Sheard[26]는 반사 포트폴리오 설문지(RPQ)를 사용하여 178명의 2학년 의대생을 대상으로 반사 포트폴리오 평가에 대한 견해를 조사했다. 포트폴리오에 대해 더 긍정적인 시각을 가진 학생일수록 자신의 성찰 능력을 높게 평가하고, 포트폴리오를 만드는 데 더 자신감을 가지고 있었으며, 더 나은 점수를 받는 경향이 있다고 제안한다.

Portfolios are highly valued by educators,[26] however, explorations of students’ views indicated a range of opinions as to their value. in the UK, Rees and Sheard[26] surveyed 178 second-year medical students regarding their views about a reflective portfolio assessment, using the reflective portfolio questionnaire (RPQ). They suggests that students with more positive views about portfolios were more likely to rate their reflection skills as good, be more confident in building a portfolio and receive better marks for their portfolio.


드라이센 외[25] 네덜란드 대학생들의 포트폴리오 멘토와 포트폴리오를 통한 반영조건에 대해 인터뷰했다.

Driessen et al.[25] interviewed portfolio mentors of undergraduate medical students in The Netherlands regarding conditions for reflection via portfolios.


반영을 장려하기 위해 네 가지 조건을 충족해야 한다: 

    • 코칭, 

    • 포트폴리오 구조와 지침, 

    • 경험과 자료, 그리고 

    • 종합 평가. 

following four conditions needed to be met to encourage reflection: 

    • coaching; 

    • portfolio structure and guidelines; 

    • experience and materials; and 

    • summative assessment. 


    • 멘토들의 코칭 역할은 학생들에게 [성찰을 할 때 어떤 질문을 해야 하는지] 보여주고, 학생들이 [자신의 학습 욕구를 파악할 수 있도록] 도와주며, 종종 성찰의 가치를 설명함으로써 학생들을 동기부여하는 것이었다.

    • 포트폴리오 구조와 가이드라인은 학생들에게 무엇이 기대되었는지 명확하게 설명할 필요가 있었다. 참가자들은 일단 학생들이 성찰을 배우면 좀 더 개방적 구조가 유용했고, 너무 많은 구조는 좋은 성찰 능력을 가진 학생들에게 장애물이 될 수 있다고 보고했다. 

    • 다양한 흥미로운 성찰 과목의 중요성은 주제 경험과 자료의 참여자들에 의해 설명되었다. 

    • 마지막으로, 총괄 평가는 평가에 어느 정도 집중하는 것이 적절한지를 판단하는데 몇 가지 어려움을 설명했다. 참가자들은 포트폴리오를 학생들이 진지하게 고려하기 위해서는 평가의 일부가 되어야 하지만, 평가 기준은 개별적인 성찰 스타일을 허용할 수 있을 정도로 충분히 유연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 The mentors’ role of coaching involved showing students what questions to ask themselves when reflecting, helping students to identify their own learning needs and motivating students to reflect, often by explaining the value of reflection. Portfolio structure and guidelines needed to clearly explain to students what was expected. 

    • Participants reported that a more open structure was useful once students had learnt to reflect, and too much structure may be an obstacle for students with good reflective skills. 

    • The importance of a variety of interesting reflective subjects was articulated by participants in the theme experiences and material. 

    • Finally, the theme of summative assessment described some difficulty in providing the right amount of focus on assessment. The participants indicated that portfolios needed to be part of an assessment in order for them to be taken seriously by the students, but the assessment criteria needed to be sufficiently flexible to allow for individual reflective styles.


Sargeant 외[28]은 의대생들의 자기 만족에 대한 인식을 탐구하기 위해 포커스 그룹을 실시하였고, 학생들은 포트폴리오 사용에 대한 다양한 견해를 보고하였다. 일부 학생들은 포트폴리오가 별로 도움이 되지 않는다고 보고했다. 많은 이들은 기껏해야 시간 경과에 따른 실적이라고 주장했다. 소수 학생들은, 포트폴리오의 활용은 구체적인 사건 및 진행상황에 대한 반성을 자극했고, 글쓰기 행위는 보다 깊은 반성의 수준을 자극했다. 저자들은 [감독관들이 이 성찰 도구의 가치를 이해하지 못하면] 학생들이 포트폴리오에 두는 중요성의 수준이 낮아진다고 보고했다.

Sargeant et al.[28] conducted focus groups to explore medical students’ perceptions of self-assessment, with students reporting a range of views on the use of portfolios. Some students reported portfolios had little benefit. Many suggested they were, at best, a record of performance over time. For a smaller number, the use of portfolios stimulated reflection about specific incidents and progress, and the act of writing stimulated a deeper level of reflection. The authors reported that the level of importance that students placed on portfolios was diminished if supervisors did not understand the value of this reflective tool.


전통적으로, 성찰 과제는 종이 기반이었다. 최근에는 반사 능력을 촉진하기 위해 웹 기반 방법과 소셜 미디어가 채택되고 있다.

Traditionally, reflective tasks have been paper based. Recently, web-based methods and social media have been adopted to facilitate reflective skills.


전자 포트폴리오에 대한 학생들의 의견은 카디프 대학의 의대 마지막 학년 학생들을 위한 전자 포트폴리오 시스템을 개발한 핑크 외 연구진[31]이 구했다. 그들은 응답자의 87%가 e-포트폴리오가 성찰적 학습에 대한 참여도를 개선했다는 데 동의했다고 보고했다.

Student opinion of e-portfolios was sought by Pink et al.,[31] who developed an e-portfolio system for final year medical students at the University of Cardiff. They reported that 87% of respondents agreed that e-portfolios improved their engagement in reflective learning.


학생들의 성찰 작업 평가

Assessing the reflective work of students


그랜트 외.[33] 성찰적 학습전략에 자발적으로 참여하는 것이 학생 학습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였다. 저자들은 학생들이 교과과정이나 평가와 연계돼 있다고 생각하지 않으면 자발적으로 성찰에 임할 가능성이 없어 보인다고 결론지었다.

Grant et al.[33] studied the effects of voluntary involvement in reflective learning strategies on student learning. The authors concluded that the students appeared unlikely to voluntarily engage in reflection if they did not think it was linked to the curriculum or assessment.


알바네세[22]는 의학 교육에서 살아남는 것은 종종 힘든 과정이라고 언급했다. 학생들은 성찰할 시간이 거의 없이, 주로 과제에 집중했다. 성찰을 자극하기 위해서는 적절한 시간과 동기 부여가 필요한 만큼, 의대생들에게 자발적인 반성이 일어날 가능성이 낮다는 것은 놀라운 일이 아니다.[22,33] 그러나, 성찰 과제를 평가하는 바로 그 성질 때문에 업무의 효율성이 저하될 수 있다. Sargeant 등.[28] 의대생들의 자기평가 인식에 대한 연구를 통해 학생들은 포트폴리오에 대한 공식적인 평가와 외부의 조사external scrutiny가 개인의 성찰성과, 성찰의 학습적 가치를 감소시켰다고 보고하였다.

Albanese[22] noted that surviving a medical education was often a daunting process. Students were often task-focussed, with little time for reflection. Given that adequate time and motivation are required to instigate reflection, it is not surprising that voluntary reflection is unlikely to occur in the medical student population.[22,33] However, the very nature of assessing a reflective task may decrease the effectiveness of the task. In Sargeant et al.[28] study of medical students’ perception of self-assessment, students reported that formal assessment and external scrutiny of the portfolios diminished the personal reflexivity, and subsequent learning value of this method of reflection.


고찰

Discussion


여러 연구와 문헌 리뷰에서는 성찰의 목적에 관한 불일치를 보고하는데, 이는 성찰 실천의 촉진에 중대한 장벽으로 밝혀졌다.[11,20,21,35] 교육자들에게 시사하는 바는 학생들에게 각 개별 반영 과제의 목적에 관한 명확한 지침을 제공할 필요가 있다는 것이다.

Several studies and literature reviews report inconsistencies regarding the purpose of reflection, which was found to be a significant barrier to the facilitation of reflective practice.[11,20,21,35] The implication for educators is that students need to be given clear guidelines as to the purpose for each individual reflective task.


전통적으로, 종이에 기반한 성찰방법은 교육자들에게 인기가 있었지만, 최근에는 웹에 기반한 방법을 채택하고 있다. 드라이센에 따르면, 성찰의 가이드라인이 중요하며, 초기에는 구조화되어야 하지만, 가이드라인은 학생들의 성찰 능력이 발달함에 따라 더 유연하게 되는 것이 좋다. 이상적으로는 학생들이 성찰을 다시 보고 편집할 수 있어야 하므로 웹 기반 방법이 이 목적에 적합할 수 있다.

Traditionally, paper-based methods of reflection have been popular with educators,[7,8,25] but recently, web-based methods have been adopted. Driessen et al.[36] found that the method of reflection appears to be less important than the guidelines provided, which should be structured initially, and become more fluid as students’ reflective skills progress. Ideally, students should be able to revisit and edit the reflection, hence web-based methods may be suitable for this purpose.


학생들은 성찰 연습을 위해 지정된 시간과 동기를 가질 필요가 있다. 과제 동기를 높이는 일반적인 방법은 과제를 평가물로 포함하는 것이다. 다만, 기존 문헌에서 이러한 방식의 효과에 대해 약간의 논쟁이 있었다. 일부 저자들은 평가 과제를 수행하면 학생들의 성찰 수준이 저하될 것이라고 답한 반면, 다른 저자들은 평가 가능한 작업에 첨부하지 않으면 단순히 성찰이 일어나지 않을 것이라고 보고했다.[22,33]

Students need to have the designated time and motivation for reflective practice. A common method of increasing task motivation in the education setting is to include the task as an assessment piece. There was some debate in the literature about the efficacy of this method. Some authors found that students’ quality of reflection would be diminished if undertaken for an assessment task,[28] whereas others reported that reflection simply would not happen if not attached to an assessable piece of work.[22,33]


결론

Conclusions


이 리뷰에서 인용한 대부분의 저자들은 의료 커리큘럼에서 성찰에 대한 강조가 증가하고 있음을 시사했다. 검토된 문헌에서는 성찰의 구성이 광범위했다. 이것은 의학 교육자들이 반성의 목적, 개별 학생에게 의도된 결과, 그리고 학생들을 위한 이러한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필요한 과정을 분명히 해야 한다는 것을 암시한다. 근거에 따르면, [성찰의 목적이 불분명]하고 [성찰적 행동을 모델링하는 교육자를 보지 않는다]면, 학생들은 교과과정에 포함된 관련 학습 및 개발 기회와 관계없이 성찰 기술을 과소평가할 가능성이 있다고 지적했다.

Most authors cited in this review suggested that the emphasis on reflection is increasing in medical curricula. The construct of reflection was broad in the reviewed literature. This suggests that medical educators must be clear on the purpose of reflection, the intended outcome for the individual student and the process necessary to achieve these aims for students. Evidence indicated that, if students are unclear as to the purpose of reflection and do not see educators modelling reflective behaviours, they are likely to undervalue this skill regardless of the associated learning and development opportunities embedded in the curriculum.






Review

 

. Sep-Dec 2012;25(3):198-203.
 doi: 10.4103/1357-6283.109787.

Facilitating students' reflective practice in a medical course: literature review

Affiliations 

Affiliation

  • 1School of Medicine, Deakin University, Australia. lisach@ffey.com.au
Free article

Abstract

Introduction: Reflection and reflective practice is of increasing importance in medical education curricula. The aim of this review is to summarise the literature published around facilitating reflection in a medical course, and to answer the question : W0 hat is the current evidence regarding learning and development moments across the medical curriculum in developing students' reflective practice?

Methods: A review of the literature was undertaken using defined databases and the search terms 'medical students', 'medical education', 'reflection', 'reflectFNx01' and 'medicine'. The search was limited to peer-reviewed published material in English and between the years 2001 and 2011, and included research, reviews and opinion pieces.

Results: Thirty-six relevant articles were found, identifying enhancing factors and barriers to effectively teaching reflective practice within medical curricula, relating to: The breadth of the meaning of reflection; facilitating reflection by medical educators; using written or web-based portfolios to facilitate reflection; and assessing the reflective work of students.

Discussion: A variety of reflective purposes was found in this literature review. Evidence indicates that, if students are unclear as to the purpose of reflection and do not see educators modelling reflective behaviours, they are likely to undervalue this important skill regardless of the associated learning and development opportunities embedded in the curriculum.


성찰의 습지: 대화분석을 통한 그룹 성찰세션의 구조 드러내기(Med Educ, 2017)

The swamplands of reflection: using conversation analysis to reveal the architecture of group reflection sessions

Mario Veen1 & Anne de la Croix2





도입

INTRODUCTION


의학교육에서 성찰

Reflection in medical education


성찰의 이론적 뿌리는 대개 Dewey1과 Schuroon2의 것이라 하지만, 의학 교육 패러다임을 훨씬 뛰어넘는다.3 

    • 듀이는 성찰을 놀랍고 충격적이거나 의심을 불러일으키는 경험에 의해 촉발된 감각적인 실천이라고 묘사했다. 

    • 슈어런은 자신의 습관적인 사고방식에 맞지 않는 예기치 못한 사건이나 현상을 포함하도록 범위를 넓히는 방법으로 보았다. 

The theoretical roots of reflection are usually credited to Dewey1 and Sch€on2 but extend far beyond the medical education paradigm.3 

    • Dewey described reflection as a sense-making practice prompted by a surprising, shocking or doubt-inducing experience. 

    • Sch€on saw it as a way of broadening one’s scope to include unexpected events or phenomena that do not fit one’s habitual ways of thinking. 

불확실성, 의심, 의문점 소명을 이렇게 강조한 것을 보면, 의학 교육 연구에서 성찰을 마치 [실험과 측정에 의해 충분히 이해할 수 있는 깔끔하게 정리할 수 있는 과정]으로 취급하는 경우가 많다는 것은 모순되어 보인다. Ng 등이 최근 지적했듯이, 성찰의 이론적 뿌리는 '명백히 환원주의에 저항하며, 불확실성 내에서 예술성을 위한 공간을 촉진하나, 의학 교육에서는 성찰이 주로 도구 또는 테크닉으로 적용되고 있다'고 한다.3

Given this emphasis on uncertainty, doubt and calling into question taken-for-granted assumptions, it is ironic that medical education research often treats reflection as a neatly orderable process that can be fully understood by experiment and measurement. As Ng et al. noted recently, the theoretical roots of reflection ‘explicitly resist reductionism and promote a space for artistry within uncertainty, yet in medical education, reflection is chiefly applied in instrumental or technical ways’.3


성찰를 연구하는 현재의 의학 교육 접근방식은 Sch€on의 'high ground'라고 볼 수 있다. 여기서 목적은 성찰와 성찰의 의도된 결과에 대한 [단일한 정의], 그리고 성찰을 측정하는 [신뢰할 수 있고 선호되는 정량적인 방법]을 찾는 것이다.6 이 결과는 성찰의 인지 과정을 지도화하려는 시도로 귀결되었다.7,8 그러나 우리는 Wass와 Harrison과 마찬가지로, 성찰의 일반적인 모델을 제안하는 것의 유용성에 대해 의문을 가지고 있다.

The current medical educational approach to studying reflection can be seen as Sch€on’s ‘high ground’,5 where the aim is to find a singular definition of reflection and its intended outcomes, and a reliable, preferably quantitative, way of measuring reflection.6 This has resulted in attempts to map the cognitive processes when people reflect.7,8 However, we side with Wass and Harrison,9 who express doubt about the usefulness of proposing a generic model of reflection.


현재 성찰에 대한 연구가 접근하고 있는 또 다른 방법은 [코딩 도구에 의해 품질을 평가하는 성찰적 글쓰기 과제의 결과]를 연구하는 것이다.10–12 그러나, 이러한 연구는 학습자의 [실제 성찰능력]을 측정하는 것인가, 아니면 [평가하는 사람에게 보여주기 위해 성찰적으로 행동하는 능력]을 측정하는 것인가?13–15

Another way research into reflection is currently approached, is by studying the outcome of reflective writing assignments, the quality of which is assessed by a coding tool.10–12 However, are these studies measuring learners’ competence in reflection or their competence in acting reflectively for the one who assesses it?13–15


성찰 세션에서 퍼실리테이션을 하는 의학교육자는 인지적 및 실험적 접근방식이 제공할 수 있는 것과 다른 도구와 해결책이 필요하다. Sch€on은 실제 교육 관행을 '질퍽질퍽한 저지대'에 비유했다. 즉, '문제들이 복잡하고 혼란스럽고 기술적인 해결책이 불가능한 곳'을 의미한다.5 도구적-합리적 접근방식에서 반성은 서면 또는 구어를 통해 논증적으로 표현하거나 논증적으로 접근할 수 있는 메타인지적 과정으로 개념화된다.16,17 집단반성의 사회과정의 세부사항은 이러한 연구에는 거의 관심이 없으며 주변 현상으로 취급된다.7 그러나, 참여자 그룹과 관련된 의료 교육자들에게는, 사회적 상호작용이 성찰 과정을 안내하고 그 결과를 판단할 수 있는 주요 도구다. 억양, 질문 시기, 침묵 시기 등과 같은 세부 사항은 이 과정에 중요하다.

A medical educator facilitating a reflection session is in need of different tools and solutions than cognitive and experimental approaches can offer. Sch€on likened actual education practice to ‘swampy lowlands, [where] problems are messy and confusing and incapable of technical solution’.5 In the instrumental-rational approach, reflection is conceptualised as a metacognitive process that can be expressed or accessed unproblematically through written or spoken language.16,17 The details of the social process of group reflection are of little interest to these studies and are treated as peripheral phenomena.7 However, for medical educators involved with a group of participants, social interaction is the main instrument to guide the reflective process and to judge its outcomes. Details such as intonation, when to ask a question or when to remain silent, are crucial for this process.


컨텍스트에서 그룹 성찰의 연구

Studying group reflection in context


의학 교육에서 맥락의 역할은 더 이상 '소음'으로 치부되지 않으며, 실제로 일어나는 학습을 이해하는 중심으로 인식된다.20, 20,21

The role of context in medical education is no longer dismissed as ‘noise’ but recognised as central to understanding learning as it actually happens.20,21


대화 분석(CA)은 특히 비디오 녹화물의 면밀한 분석을 통해 사람들의 실생활 관행을 분석하기 때문에 자연적인 맥락에서 반성을 연구하는데 적합하다.19,27,28 CA의 상향식 접근법은 인토네이션, 침묵, 시선과 같은 비언어적 단서들을 포함한 사회적 상호작용의 세부사항을 검토함으로써 보이는 '메시지'를 수용한다. 이러한 세부 사항을 고려할 때 사실상 '모든 점에서 우선순위order'가 존재한다는 것을 보여주었다."29

Conversation analysis (CA) is particularly suitable for studying reflection in its natural context, as it analyses people’s real-life practices through close analysis of video recordings.19,27,28 CA’s bottom-up approach embraces the seeming ‘messiness’ of practice by examining the details of social interaction, including non-verbal cues such as intonation, silences and gaze. It has shown that, when these details are taken into account, there is in fact ‘order at all points’.”29


이 상호작용 순서는 세 가지 다른 레벨로 설명될 수 있다: 

    • 첫째, 턴 테이크 레벨(예: 충족되지 않은 우려를 도출하는 데 있어 한 단어가 환자에게 제공하는 질문에서 얻을 수 있는 차이점 30) 및 

    • 둘째, 순차적 수준(예: 문제 기반 학습 미팅 25 중에 학습 문제가 발생하는 방식)

This interactional order can be explicated on three different levels: 

    • first, at the level of turn-taking (e.g. the difference one word can make in a doctor’s question to a patient in eliciting unmet concerns30); and 

    • second, at a sequential level (e.g. the way a learning issue emerges during a problem-based learning meeting25).


현재 우리의 초점은 세 번째에 있다.

Our focus now lies on 

    • 세 번째 수준의 구조 조직(OSO): 대화의 중요한 목표와 관련하여 구성되는 방법

the third level of overall structural organisation (OSO): the way a conversation is structured in relation to its overarching goal.18,32,33


본 연구의 교육적 맥락

The educational context for this study


의학 교육의 또래 집단 학습은 긴 역사를 가지고 있다: 1970년대에 동료들이 심리학자의 감독 하에 환자 사례를 토론하는 발린트 그룹이 인기를 얻었다. 40–42 발린트 방법은 의대생들의 전문적 성장 과정을 지원하는 데 사용되어왔다.43,44 네덜란드에서, 그것은 가정의학과 활동을 돕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이들은 한때 전문분야가 없는 의사로 보였지만, 전문적인 정체성을 개발한다.45 발린트 그룹의 버전은 여전히 네덜란드에서 일반 실습(GP) 대학원 훈련을 위한 커리큘럼에 자리를 잡고 있다.

Peer-group learning in medical education has a long history: in the 1970s, Balint groups, in which colleagues discuss patient cases under supervision of a psychologist, gained popularity.40–42 The Balint method has also been used to support medical students’ professional growth processes.43,44 In the Netherlands, it was reported to help family doctors, who were sometimes seen as doctors without a specialism, develop a professional identity.45 A version of Balint groups still has a place on the curriculum for general practice (GP) postgraduate training in the Netherlands.


이번 교육은 전공의가 주 4일 GP에서 근무하고, 5일차에는 대학의 주간 발표 프로그램에 참여하는 3년 단위 역량 기반 프로그램으로 구성된다. 이날의 처음 2시간은 GPT(Gepartment of Experience)와 심리학자(PST)라는 두 명의 강사가 진행하는 소그룹 내 체험교류(EoE)에 바쳐 학생들의 경험이 강의의 출발점으로 받아들여진다.46,47

This training consists of a 3-year competency-based programme in which residents work in a GP setting 4 days a week and on the fifth day attend a day-release programme at the university. The first 2 hours of this day are devoted to Exchange of Experiences (EoE) in a small group, facilitated by two tutors, a GP (GPT) and a psychologist (PST), in which the experience of the student is taken as a starting point for teaching.46,47


이 설정에 대한 이전의 연구는 EoE 세션45에서 논의된 주제에 초점을 맞추고 사례 발표와 사례 토론 사이의 전환이 어떻게 이루어졌는지에 대해 확대했다.48 현재 연구에서 우리는 EoE를 형성하는 활동의 유형을 확인하기 위해 다시 '확대'한다.

Our previous research in this setting has focused on the topics that were discussed in EoE sessions45 and zoomed in on how transitions between case presentation and case discussion took place.48 In the current study, we ‘zoom out’ again to identify the types of activity that form EoE.


우리의 주요 연구 질문은: 전공의들과 교사들은 어떻게 그들의 집단 성찰 세션을 구성할 것인가?

Our main research question is: how do residents and tutors structure their group reflection sessions?


방법

METHOD


자료 수집

Data collection


2010년과 2011년에는 최대 변동 표본추출을 통해 13개 그룹(주민 5~14명, 그룹당 2명)을 47회에 걸쳐 기록하여 그룹 규모, 교사, 그룹 단계 및 연도에 대한 이질성을 달성하였다. 이를 통해 118명의 교육생과 20명의 지도교사가 76시간 동안 영상녹화를 하는 성과를 거뒀다. 모든 세션은 두 대의 카메라로 기록되었다(표 1 참조).

In 2010 and 2011, 13 groups (five to 14 residents and two tutors per group) were recorded in 47 sessions through maximum variation sampling, to achieve heterogeneity with respect to group size, tutors, group phase and year. This resulted in 76 hours of video-recording of 118 trainees and 20 tutors. All sessions were recorded with two cameras (see Table 1).



이 기록들은 필사본으로 옮겨졌고 다섯 명의 다른 필사자들에 의해 익명으로 기록되었고 두 명의 연구자들이 필사 정확성을 확인했다. 추가 분석을 위해 선택된 파편들은 제퍼슨식 전사 50을 사용하여 다른 전사자에 의해 상세하게 기록되었다(세 번째 검사 제공). (사서 키의 경우는 표 2 참조).

The recordings were transcribed ad verbatim and anonymised by five different transcribers and checked by two researchers for accuracy of transcription. Fragments selected for further analysis were transcribed in detail by another transcriber (providing a third check) using Jeffersonian transcription50 (see Table 2 for the transcription key).




분석 절차

Analytical procedure


CA 절차에 따라 개별 조각의 상세 분석이 데이터 기반 및 주기적 분석 절차51을 사용하여 데이터 집합 전체를 보는 방식으로 비디오를 분석하였다. 이것은 상호작용의 세부사항에 대한 관찰을 하고, 가설을 제시하며, 다른 단편들의 세부사항에 대해 시험하는 반복적인 과정이다.

Following the CA procedure, we analysed the videos using a data-driven and cyclic analytical procedure51 in which detailed analysis of individual fragments is alternated with a view of the dataset as a whole. This is an iterative process of making observations about details of the interaction, proffering working hypotheses and testing these on details in other fragments.


탐색적 단계에서, 두 명의 연구자가 176건에서 논의된 다른 주제와 이슈에 대한 목록을 만들었다.48 우리는 사례 발표와 사례 토론 사이의 전환과 같은 전환 조각의 말뭉치를 컴파일하기 위해 참가자들 자신이 주제와 과제 전환을 표시하는 관찰 가능한 방법을 사용했다.31 우리는 한 리커스를 발견했다.이러한 패턴은 종종 참여자들이 이 세션에서 지향했던 4가지 단계 또는 활동 유형 간의 전환이라는 점에서, '참가자, 설정 등에 제약이 있는, 사회 구성적이고 한정된 이벤트, 그러나 무엇보다도 허용 가능한 기여의 종류'이다.53

In an explorative stage, two researchers made an inventory of the different topics and issues discussed in the 176 cases.48 We used observable ways in which participants themselves mark topic and task transitions to compile a corpus of fragments of transitions, such as the transition between case presentation and case discussion.31 We noticed a recurring pattern, in that these are often transitions between four different phases or activity types that participants were oriented towards in these sessions: ‘goaldefined, socially constituted, bounded events with constraints on participants, settings, and so on, but above all on the kinds of allowable contributions’.53


성찰성과 연구 과정

Reflexivity and research process



결과

RESULTS


EoE 참여자들은 중요한 이벤트, 공유 이유, 학습 이슈, 학습 이해력 등 활동 유형을 일관되게 지향한다는 것을 발견했다. 표 3은 이러한 데이터를 설명하고 데이터 집합의 세 가지 사례를 제시한다.

We found that EoE participants consistently oriented towards the following activity types: 

  • significant event, 

  • reason for sharing, 

  • learning issue(s) and 

  • learning uptake. 


Table 3 describes them and illustrates them with three cases from our dataset.



중요한 사건

Significant event


중요한 사건이 발생했을 때, 사례 발표자는 사건의 주제를 파악하고 무슨 일이 일어났는지 서술하는 주요 연설자primary speaker였다. 전공의 개인의 체험은 스토리텔링을 통해 그룹의 공유자원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했다.

During the significant event, the case presenter was the primary speaker, who identified the topic of the case and narrated what happened. The personal experience of the resident was made available as a shared resource for the group through storytelling.


Case A, example 1


공유의 이유

Reason for sharing


공유하는 이유 중에는 이러한 특별한 경험을 공유하고 토론하는 동기가 construct되었다. 환자들이 방문 이유를 설명하며 자신의 우려를 'doctorable'한 것으로 만드는 것과 마찬가지로, 공유 이유 55는 그룹 토론에 적합한 후보로서의 경험을 바탕으로 이를 성찰할 수 있도록 했다.

During the reason for sharing, the motive for sharing and discussing this particular experience was constructed. Similar to how patients make their concerns ‘doctorable’ by accounting for their reason for the visit,55 the reason for sharing framed the experience as a suitable candidate for group discussion and thereby made it reflectable.


Case A, example 2


학습 이슈

Learning issue


학습 이슈는 참여자들이 이 사례에 대해 배울 수 있는 것으로 constructed 되었다.25,48 학습 이슈를 통해 참가자들은 성찰 모임을 단순한 나눔 활동뿐만 아니라 학습 활동으로 취급했다. 학습 문제가 무엇인지에 대해 항상 합의가 있었던 것은 아니다. 사례 발표자에게 조언을 주거나 사례와 느슨하게 관련된 보다 일반적인 주제를 탐구하는 등 학습 문제 중에는 다양한 조치가 수행되었다. 종종 여러 가지 학습 문제가 있다.

The learning issue was what participants constructed as learnable about the case.25,48 Through the learning issue, participants treated the reflection meeting as not just an activity of sharing, but also an activity of learning. There was not always agreement about what the learning issue was. A range of actions were performed during the learning issue, such as giving advice to the case presenter or exploring more general themes loosely related to the case – often there are multiple learning issues.


Case A, example 3


학습 활용

Learning uptake


마지막으로, [학습 수용]에서 참가자들은 어떤 방식으로든 토론이 가치가 있도록 construct하였다. 이 때의 가치는 토론 시작 이후 관점의 변화 또는 유익한 토론 또는 교육적 토론의 인정과 같은 발표자가 취해야 할 다음 단계 등이 있다. [학습 수용]을 통해 전공의와 교사들은 토론을 학문적 또는 철학적인 것 이상으로, 일종의 결과를 요구하는 것으로 취급했다.

Finally, in the learning uptake, participants constructed the discussion as (having been) valuable in some way. This value could be expressed as a next step for the presenter to take, a change in perspective since the start of the discussion or an acknowledgement of the discussion having been informative or educational. Through the learning uptake, residents and tutors treated the discussion as more than academic or philosophical, as requiring some kind of result.


Case A, example 4


여러 것들의 지저분한 순서

The messy order of things


대부분의 경우 네 가지 활동을 나열한 순서대로 수행했지만 항상 그런 것은 아니었다. 때로는 중요한 사건을 말하기 전이라도 사례 발표자가 즉시 공유 이유를 제공하거나 토론이 끝날 때만 다루기도 했다. EoE의 OSO는 고정된 연대순서가 아니라 각 사례 논의 중에 어떤 점에서 어떤 식으로든 지향되는 요소들의 체계다.

We stress that, although in the majority of cases the four activities were carried out in the order in which we have listed them, this was not always the case. Sometimes, the reason for sharing was provided immediately by the case presenter, even before telling the significant event, or addressed only at the end of the discussion. The OSO of EoE is not a fixed chronological sequence, but a scheme of elements that are oriented towards in some way, at some point during each case discussion.


Case A, example 5


고찰

DISCUSSION


우리의 분석으로 우리는 네 가지 레벨에 기여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 EoE의 구조에 대한 상세한 설명을 제공하여, 튜터들이 그들 자신의 행동을 성찰할 수 있게 한다.

  • 의학교육의 성찰 연구에서 흔히 나타나는 합리적-도구적 접근방법의 가정에 의문을 제기한다.

  • 성찰의 상호작용적 특징에 초점을 맞추어 이 분야의 연구에 새로운 차원을 추가한다. 

  • 의학교육에서 집단 성찰의 증거 기반에 기여한다.49

With our analysis we aim to make a contribution on four levels: 

  • providing a detailed description of the structure of EoE that can be used by tutors to reflect on their own practice, 

  • questioning assumptions of the rational-instrumental approach that is commonplace in reflection research in medical education, 

  • adding a new dimension to this body of research by focusing on the interactional features of reflection, and 

  • contributing to an evidence base of group reflection in medical education.49


성찰 연구에 대한 인지적 접근방식과 대조적으로, 우리는 이론적 모델이나 반사 행동에 대한 평가 기준 리스트에서 출발하지 않고, 오히려 한 집단의 사람들이 모여 연습을 반성할 때 펼쳐지는 상호작용에서 출발하였다.19 이것은 사례가 만들어지는 네 가지 활동 유형을 설명하는 결과를 낳았다. 공유된, 반성찰가능한, 학습가능한, 가치있는.

By contrast with the cognitive approach to reflection research, we did not depart from a theoretical model or a list of assessment criteria for reflective behaviour, but rather from the interaction that unfolds when a group of people gathers to reflect on practice.19 This resulted in a description of four activity types through which a case is made shared, reflectable, learnable and valuable.



가정에 의문던지기, 새로운 차원 추가

Questioning assumptions and adding a new dimension


우리의 서술적 분석이 문제시하는 처방적 인지적 성찰prescriptive cognitive reflection 모델에 내재된 많은 인식론적 가정들이 있다. 그리고 이번 연구는 성찰의 상호작용 구조에 초점을 맞춤으로써 새로운 차원을 추가하였다. 예를 들어, 우리가 발견한 활동 유형을 그러한 모델 중 하나와 비교해보자. ALACT 모델(그림 1)은 널리 사용되는 성찰 모델이며, 많은 성찰의 인지 모델들이 그렇듯이 Kolb가 제시한 경험학습 사이클에 크게 의존한다. 우리가 어떤 인지 모델을 선택할 수도 있었지만, ALACT는 모델이 집단 성찰의 상호작용 측면으로 어떻게 번역될 수 있는지를 기술한다는 점에서 충분히 정교하다.

There are a number of epistemological assumptions inherent in prescriptive cognitive reflection models that our descriptive analysis calls into question and, by focusing on the interactional structure of reflection, it adds a new dimension. As an illustration, let us compare the activity types we found to one such model. The ALACT model56 (Fig. 1) is a widely used reflection model and, as do many cognitive models of reflection, leans heavily on the experiential learning cycle by Kolb.16,57,58 Although we could have chosen any cognitive model, ALACT is elaborate in the sense that it states how the model can be translated to interactional aspects of group reflection.


우리의 분석에서 발견한 [중요한 사건]은 2단계 '행동를 되돌아보는 것'과 유사하게 보일 수 있다. 그러나, Dohn이 지적한 바와 같이, [인지 모델]에서는 '행동'으로부터의 전환transition에 큰 변화가 없고, 행동을 돌아보며 표현representing하지만, 교실의 현실에서는 그 행동을 되돌아보는 것이 '실천practice을 날것 그대로 제시하는 것이 아니라, 호혜적으로 다시 재맥락화하여 중요성을 보충하는 것'이다.4 

The significant event that we found in our analysis might seem similar to phase 2 ‘looking back on the action’. However, as Dohn noted, there is an assumption in cognitive models that there is no significant change in the transition from the ‘action’ and representing the action by looking back on it, but in the reality of the classroom, looking back on the action does not ‘present practice as it is, but reciprocally recontextualize[s] and suppl[ies] signification’.4 


우리의 연구에서, 우리는 이 재구성reconstruction[그룹 전체에 의해 협력적으로 구성되는 서사의 형태]를 취하고 있으며, [재맥락화는 '원래' 사건에 대한 다른 방향으로의 지향성orientation]이 수반된다는 것을 발견했다. 실제로 (ALAC 모델에서 추천한 대로 항상 수용과 공감에 초점을 맞추는 것이 아니라) 놀람과 토론에 초점을 맞추고 있는 그룹과 튜터들이 함께 이야기를 공동-구성하거나 스토리에 대응하는 방법은 매우 다양하다.

In our study, we found that this reconstruction takes the form of a narrative that is collaboratively constructed by the whole group, and the recontextualisation involves a different orientation to the ‘original’ event. In practice, there is a wide variety of ways that the group and the tutors co-construct the story or respond to the story, not always focused on acceptance and empathy as recommended by the ALAC model,56 but rather on surprise and discussion.


3단계 '본질적 측면의 인식'은 발표자가 자신의 이야기를 공유하기로 선택한 이유를 명확히 하고 사례의 학습성이 공식화됨에 따라 '공유 이유'와 '학습 문제'의 결합으로 볼 수 있다. ALACT 모델에서는 발표자가 명시적인 질문이나 이슈를 성취할 수 있도록 그룹이나 교사를 위한 전략이 언급된다. 그러나, 우리의 연구 결과에서, 그룹 구성원은 협상하고, 때때로 각각의 경우에 중요한 것이 무엇인지 알아내기 위해 애쓴다; 그것은 발표자만의 노력이 아니라 그룹 과정이다.

Phase 3 ‘awareness of essential aspects’ could be seen as a combination of the Reason for Sharing and the Learning Issue, as the presenter clarifies why they chose to share their story and the learnability of the case is formulated. In the ALACT model, strategies are mentioned for the group or teacher to help the presenter achieve an explicit question or issue. In our findings, however, the group negotiates and, at times, struggles to find out what is significant in each case; it is not an effort of the presenter alone but a group process.


마지막으로, 우리는 4단계 '대체 행동 방법 만들기'가 참여자들이 [학습 수용을 구성하는 방법 중 하나일 뿐]이라는 것을 발견했다. ALACT 모델에서, 이 단계의 목표는 발표자가 해결책을 찾고 선택하는 데 도움을 주는 것인데, 이는 사례 논의에서 미래 행동과의 연계가 이루어지지 않는다면, 그것은 어떻게든 중요한 결과를 도출하지 못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경우, 그 그룹은 어떤 해결책도 찾지 못했으며, 모두 '동의'하였지만, 탄식이나 미소로 사건을 종결한 것이다. 

Finally, we found that phase 4 ‘creating alternative methods of action’ is just one of the ways in which participants construct the learning uptake. In the ALACT model, the goal of this step is to help the presenter in finding and choosing solutions, which implies that if a link to future action is not made in a case discussion, it has somehow failed to yield a significant outcome. In our study, the group can find agreement in finding no solutions and closing the case with a sigh or a smile. 


이 발견은 다음과 같은 Dohn의 관찰을 더했다. '성찰적인 글쓰기나 대화에서 나온 통찰이 행동 실천에 '전이transfer'되는지의 여부와 그 시기에 대한 문제는 결코 간단하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 우리의 분석은 그룹 성찰이 그 자체로 가치 있는 실천으로 볼 수 있다는 점에 주목한다. 그룹 성찰은 임상적 실천에 대한 '적용'으로만 존재하는 것이 아니다.

This finding adds to Dohn’s observation that ‘the question of whether and when insights from reflective writings or reflective dialogues are ‘‘transferred’’ to action practices is shown to be anything but simple’.4 Our analysis calls attention to the value of seeing group reflection as a valuable practice in its own right, which not only exists by virtue of its ‘application’ to clinical practice.




의학 교육에 대한 집단 성찰의 증거 기반

An evidence base of group reflection in medical education


언어학자로서 우리는 상호작용을 교육환경에서 간과되고 필수적인 것으로 본다. 성찰이 글로든 구두로든 외부화되는 순간, 성찰은 상호작용적인 성취가 된다. 집단 성찰이든 해부학 세션이든 교육 분야에서는 어느 곳에나 상호 작용이 있다. 학습은 종종 다른 사람과의 상호작용에서 발생하며, 집단적 상호작용은 많은 교육적 환경을 위한 수단이다. 집단이 공유된 목표를 어떻게 상호작용하고 협상하는지, 그리고 이러한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어떻게 대화를 구성하는지 더 많은 통찰력을 갖는 것은 좋은 교육이나 마찬가지다.

We, as linguists, view interactions as much overlooked yet essential in educational settings. The moment reflection is externalised, whether in writing or orally, it becomes an interactional accomplishment. Whether it be group reflection or a session on anatomy, interaction is everywhere in education. Learning often occurs in interaction with others, and group interaction is the vehicle for many educational settings. Having more insight into how groups interact and negotiate shared goals, and how they structure their talk to achieve these goals, is tantamount to good education.


의학교육에서 [놀라움, 불확실성, 가정에 대한 의문]으로 특징지어지는 현상이 이토록 도구적instrumental 방식으로 접근되어 왔다는 것은 아이러니하다. 우리는 기존 문헌이 [사람들이 성찰할 때 일어나는 관찰가능한 일]보다는 [주로 설문지, 인터뷰, 성찰 에세이와 같은 '성찰에 대한 성찰']에 의존한다는 사실을 발견하고 놀랐다. 자연적인 맥락에서 성찰을 공부하는 것은 교육자와 학생들이 [일상적인 교육 관행에서 접하는 현실]로 초점을 옮긴다. OSO를 기술하는 것은 Sch€on과 Dewey가 성찰적 실천의 핵심으로 강조한 [맥락적이고 창발적 특성('swampland')]을 바르게justice 행하는 동시에, 성찰적 실천에서 패턴을 발견하는 방법이다. 연구자의 성찰 범주에서 시작하는 인지적 접근방식과 대조적으로, 우리는 참여자 자신이 교육 과제를 조직하는 방법을 설명했다.59

It is ironic that a phenomenon characterised by surprise, uncertainty and questioning assumptions, has been approached in such an instrumental way in medical education. We were surprised to find the literature mainly relies on ‘reflections on reflection’, such as questionnaires, interviews and reflective essays, rather than what observably happens when people reflect. Studying reflection in its natural context shifts the focus to the reality that educators and students encounter in everyday educational practice. Describing the OSO is a way of discovering patterns in the practice of reflection, while doing justice to the contextual and emergent nature (‘the swamplands’) that Sch€on and Dewey emphasised as being at the heart of reflective practice. By contrast with cognitive approaches that start with researcher’s categories of reflection, we described the way participants themselves organise the educational task.59


성찰적 학습에 종사하는 집단의 대화를 분석한 바에 따르면, 이것이 매우 상호작용적인 과정임을 보여준다. 그 활동들은 상호작용을 통하여 협력적으로 구성되고 협상된다. 비록 참가자들이 토론의 뚜렷한 요소로 이동하지만, 이러한 단계들은 토론에 부과되는 고정된 프레임워크가 아니라, 오히려 그들의 경계가 협상되고 도전될 수 있다. 빌딩 블록이 함께 작용하여 건물을 구성하는 방식에서, 이러한 단계들은 모두 대화의 중요한 목표와 관련이 있다.

Analysing the talk of groups engaged in reflective learning shows that this is a highly interactive process. The activities are collaboratively constructed and negotiated throughout the interaction. Although participants move towards distinct elements of the discussion, these phases are not a fixed framework that is imposed on the discussion; rather, their boundaries can be negotiated and challenged. In the way building blocks work together to compose a building, these phases all relate to the overarching goal of the conversation.


사회적 사건으로서, 집단 성찰은 예를 들어 PBL처럼 'pre-packaged'된 것은 아니지만, 동료와의 점심식사대화처럼 자발적이고 즉흥적인 것도 아니다.53 Schon은 이미 성찰적 실천 중 상호작용의 과정에서 일어나는 끊임없는 조정을 즉흥적 재즈 뮤지션에 비유한 바가 있다. 또한 작품composition이라는 측면에서도, 집단적 성찰은 관현악곡이라기보다는 재즈 즉흥곡에 가깝다. 각각의 사례 논의에서 다루어지는 구별되는 요소들의 관점에는 구조가 존재하지만, 이러한 요소들의 경계와 전환은 중앙 지휘자에 의해 결정되기 보다는 그룹 역학에서 나온다.

As a social event, group reflection is not as ‘prepackaged’ as, for instance, problem-based learning meetings, but nor is it as spontaneous and unscripted as a lunch conversation with a colleague.53 Sch€on already likened the constant adjustment that happens in reflective practice, an adjustment that we found to be reflected in the interaction in our current and previous study,31 to an improvising jazz musician.2 Also in terms of composition, group reflection is more like a jazz improvisation than an orchestral piece. There is a structure in terms of distinct elements addressed in each case discussion, but the boundaries of, and transitions between, these elements emerge from the group dynamics rather than being determined by a central conductor.


실천에 대한 함의: 강의 반영에 대한 반영

Implications for practice: reflecting on teaching reflection


OSO에 대한 이러한 설명은 튜터들이 그들의 practice을 다른 방식으로 반영하기 위해 사용할 수 있다. EoE의 네 가지 활동을 의식하는 것은 튜터들이 한 활동에서 다른 활동으로 이동하는 것을 돕는 도구가 될 수 있다. EoE를 촉진하는 동안 사용할 수 있는 EoE의 '맵'을 제공하여 그룹이 어떤 활동을 하고있는지, 이 활동이 명확했는지, 어떻게 다음 활동으로 이동할 것인지를 결정한다. 이후 EoE 세션에 대한 반성을 통해 그룹 토론에서 효과가 없었던 부분을 진단하는 틀이 될 수 있다. 본 연구에서 제시된 CA 연구는 이러한 원리에 기초한 대화 분석적 역할극 방법(CARM) 튜터 교육에 사용되어 왔다.60 

This description of the OSO can be used by tutors to reflect on their practice in different ways. Being conscious of the four activities of EoE can be a tool for tutors to help them navigate from one activity to another. It provides a ‘map’ of EoE that they can use while facilitating EoE, to determine which activity the group is occupied with, if this activity is clear and how to navigate to the next activity. In reflecting on EoE sessions afterwards, it can be a framework for diagnosing what was not working in the group discussion. The CA research presented in this study has been used for conversation analytical role-play method (CARM) tutor training based on these principles.60 


다른 유형의 통신 훈련과는 대조적으로, CARM은 가상의 시나리오가 아닌 실제 연습의 비디오를 사용한다. 이번 교육에서는 익명화된 영상녹화를 이용한 EoE의 OSO를 제시하고 이를 과거 사례를 분석하는 지도로 활용할 것을 지도교사에게 요청했다. 흥미롭게도, 교사들이 성찰 과정에 대해 불만족스러워했던 거의 모든 경우에서, 교사들은 네 가지 활동 유형 중 적어도 하나가 명확하지 않은 상황이었음을 발견했다. 또한, EoE의 뚜렷한 구성 요소로서 4가지 활동 유형을 모두 집중함으로써 단순히 학습을 습득하기 위한 수단이 아니라 스스로 가치 있는 활동으로 보게 되었다는 의견도 있었다.

By contrast with other types of communication training, CARM uses actual videos from practice rather than fictional scenarios. In this training we presented the OSO of EoE using anonymised video-recordings and asked tutors to use this as a map to analyse past cases. Interestingly, in almost all cases in which tutors were unhappy about the reflection process, tutors found out that one of the activity types was not clear. In addition, some remarked that focusing on all four activity types as distinct building blocks of EoE led them to see these as valuable activities in their own right, rather than just a means to get to the learning uptake.


우리와 같은 서술적 연구는 의학교육자들이 그들의 교육과정에서 성취하고 싶은 학습의 유형에 대한 토론을 유도할 수 있는 증거를 제공한다. 튜터들이 직면하고 있는 도전들의 종류와 이를 해결하기 위해 배치하는 효과적인 전략에 대한 대화 분석적 증거는 애니메이션 비디오 레코딩을 활용하는 훈련의 기본이 될 수 있다. 우리의 연구 결과는 연구 데이터를 먼저 번역할 필요 없이 직접 훈련 자료로 사용함으로써 다시 연습에 도움이 될 수 있다.60

Descriptive studies like ours offer medical educators evidence to feed discussions about the type of learning they want to achieve in their curriculum. Conversation analytical evidence about the kinds of challenges tutors face and effective strategies they deploy to resolve them, can be the basis of training that makes use of animated video-recordings. Our findings can be fed back to practice by letting the research data serve directly as training material rather than having to translate it first.60


성찰과 미래 방향

Reflections and future directions


성찰은 매우 맥락 특이적이다. 그러므로 맥락은 [교육에서 성찰의 현실을 조사해야 한다고 주장하는 모든 연구]의 일부가 되어야 한다. 우리의 연구에서 우리는 대학원의 환경에서 그룹 성찰에 대해 살펴보았다. 맥락의 중요성을 고려할 때, 성찰 그룹의 숫자 만큼 다양한 유형의 그룹 성찰이 있을 수 있다. 서로 다른 성찰 방법, 학부 및 대학원 성찰 등 사이에는 중요한 차이가 있을 수 있다.

Reflection is highly context specific.9,15 Therefore, context should be part of any study that claims to investigate the reality of reflection in education. In our study we looked at group reflection in a postgraduate setting. Given the importance of context, there may be as many types of group reflection as there are reflection groups. There may be important differences between different reflection methods, undergraduate and postgraduate reflection, and so on.


그룹 성찰 행동의 블랙박스를 비추는 얇은 광선조차, 대부분의 작업이 토론의 각 단계를 성취하기 위한 상호 작용 작업으로 이루어져 있음을 보여준다.

Even a thin light beam into the black box of group reflection reveals that much of the work in the swamplands consists of doing interactional work to accomplish each phase of the discussion.



결론

CONCLUSION


협력적 성찰 실천의 블랙박스는 아직 대부분 미개척 상태다. 우리는 실제로 일어나는 것처럼 집단 성찰이 의학교육에서 성찰이 일어나는 맥락에 충실하고 인간 상호작용의 혼돈을 고려하는 것으로 출발했다.

The black box of collaborative reflective practice is still largely unexplored. We have made a start by studying group reflection as it actually takes place, loyal to the context in which reflection occurs in medical education and taking into account the chaos of human interaction.



REFERENCES


3 Ng SL, Kinsella EA, Friesen F, Hodges B. Reclaiming a theoretical orientation to reflection in medical education research: a critical narrative review. Med Educ 2015;49 (5):461–75.


6 Koole S, Dornan T, Aper L, et al. Factors confounding the assessment of reflection: a critical Med Educ 2011;11:1–9.


van der Vleuten CPM. When I say ... context 20 specificity. Med Educ 2014;48 (3):234–5.










. 2017 Mar;51(3):324-336.
 doi: 10.1111/medu.13154. Epub 2017 Jan 18.

The swamplands of reflection: using conversation analysis to reveal the architecture of group reflection sessions

Affiliations 

Affiliations

  • 1Erasmus University Medical Center, Rotterdam, the Netherlands.
  • 2VU University, Amsterdam, the Netherlands.

Abstract

Context: Many medical schools include group reflection in their curriculum, and many researchers have considered both the concept and the outcomes of reflection. However, no research has been carried out on how 'reflective talk' is structured in the classroom. This paper describes how tutors and residents organise group reflection sessions in situ by describing an example of group reflection in medical education. Our aim is to provide an evidence base that can be used by medical educators to think about the way reflection should be included in their curriculum.

Methods: We video-recorded 47 group reflection sessions of the general practice postgraduate training course at Erasmus University Medical School, Rotterdam. We used conversation analysis to unravel their overall structural organisation: the way participants organise and structure a conversation. Through micro-analysis of the moment-to-moment unfolding of group reflection, we distinguished the main building blocks that form the architecture of these sessions.

Results: We found that participants consistently oriented towards the following activity types: significant event, reason for sharing, learning issue and learning uptake. There was variation in the order of the activity types, the amount of time spent on each of them, and how they were accomplished. By studying reflection in its messy social context, we found order, commonalities and patterns that were typical of the architecture of group reflection in this setting, even if no formal structure is prescribed.

Conclusions: In 'Exchange of Experience', the overall structural organisation consisted of activity types through which a case becomes shared, reflectable, learnable and valuable. There are essential discrepancies between cognitive reflection models and the reality of the classroom. Being conscious of this overall structural organisation can be a tool for tutors of these groups to help them navigate from one activity to another or to diagnose what is not working in the group discussion.

이상, 활동, 충돌, 처리: 학생의 성찰 촉진을 위한 교육자 가이드의 개념모델(Acad Med, 2010)

Ideals, Activities, Dissonance, and Processing: A Conceptual Model to Guide Educators’ Efforts to Stimulate Student Reflection

Britta M. Thompson, MS, PhD, Cayla R. Teal, PhD, John C. Rogers, MD, MPH, MEd, Debora A. Paterniti, PhD, and Paul Haidet, MD, MPH




성찰은 [개인의 인지적 프레임워크에 통합된 경험의 행동, 아이디어, 의미 또는 함의]으로 정의된다.2 많은 의과대학들은 일반적으로 (양질의 의료행위에 필요한) 전문직업성, 문화적 역량, 자기주도적 학습 및 기타 기술을 함양하기 위해 학생들의 성찰을 촉진하기 위한 커리큘럼 활동을 통합했다 1,3 이러한 커리큘럼에서 채택된 전략은 매우 다양하며 내러티브 글쓰기, 반사적 포트폴리오 작성, 인문학과 문학에 대한 노출 등을 포함한다. 4,5

Reflection is defined as the actions, ideas, meanings, or implication of experiences that are integrated into an individual’s cognitive framework.2 Many medical schools have incorporated curricular activities to promote students’ reflection, typically to foster improved professionalism, cultural competency, self-directed learning, and other skills necessary for high-quality clinical practice.1,3 The strategies employed by these curricula vary widely and include narrative writing, creation of reflective portfolios, and exposure to the humanities and literature.4,5


방법

Method


원래 교육적 개입

The original educational intervention


1997년부터 Baylor의 모든 학생들은 의과대학 1학년과 3학년 동안 이전에 검증된 3개의 임상실습기구(CPI)를 이수해야 했다.9–11 

Beginning in 1997, all students at Baylor were required to complete three previously validated clinical practice instruments (CPIs) during their first and third years of medical school.9–11 


자료 수집과 분석

Data collection and analysis


원 연구 프로토콜

Original study protocol (2000).


현재 연구

Current study (2008).



결과

Results


다섯 개의 주요 요소

Five major elements related to students’ reflections emerged from our analysis. (Figure 1)



개념모델의 요소들

Elements of our conceptual model


배경: 내부와 외부의 이상향

In the background: Internal and external ideals.


우리가 "내부/외부 이상향"이라고 부르는 것은 우리의 분석에서 나온 성찰 활동의 중요한 측면이었고 우리 모델의 각 요소에 영향을 주었다. [의사가 누구이며, 의사가 하는 일이 무엇인지에 대한 학생 자신의 이상(내부)][교사는 어떤 이상향이나 이상향이 활동에 갖는 함의를 가지고 있을지에 대한 학생의 인식(외부)] 사이의 관계를 말한다. 활동에 대한 외부적 이상ideal이 명시적으로 표현되지 않았을 때, 우리는 학생들이 외부적 이상에 대한 인식을 스스로 구성했다는 점에 주목했다.

What we termed “internal/external ideals” were an important aspect of reflection activities that emerged from our analysis and influenced each element of our model: the relationship between a student’s own (internal) ideal of what a doctor is or does and the student’s perception of the teacher’s ideal or of the ideal implied by the activity (the external ideal). When the external ideal of an activity was not explicitly articulated, we noted that students constructed their perceptions of the external ideal.


첫 번째 요소: 교육 활동

First element: The educational activity.


우리의 포커스 그룹에 있는 학생들 사이의 성찰 과정은 항상 교육 활동에 의해 촉발되었다. 본 연구의 목적상, 우리는 '활동activity'을 [의도적이든 비의도적이든 성찰을 촉진할 수 있는 잠재력을 가진 경험]으로 폭넓게 정의했다.

The reflection process among the students in our focus groups was always triggered by an educational activity. For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 defined activity broadly as an experience, deliberate or nondeliberate, that held the potential to promote reflection.


교육 활동과 내/외부의 이상은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었다. 예를 들어 1학년과 2학년 포커스 그룹의 대부분의 학생들은 CPI 활동을 CPI에 내재된 전문적 가치(외부적 이상)에 대한 인식과 관련하여 CPI 활동을 자신의 떠오르는 정체성(내부적 이상)에 대해 성찰할 수 있는 기회로 인식했다.

Educational activities and internal/ external ideals were closely related. For example, most students in the first- and second-year focus groups perceived the CPI activity as an opportunity to reflect on their own emerging identities (the internal ideal) in relation to their perceptions of professional values embedded in the CPIs (the external ideal).


한 3학년 학생은 활동의 목표(외부 이상)가 (이 활동에 대한 교육자들의 목표에 부합하는) 임상 실습에 환자 중심 치료가 중요하다는 것을 학생들이 인식하도록 돕는 것이라고 느꼈다고 말했다.

A third-year student indicated that she felt the goal of the activity (external ideal) was to help students recognize that patient-centered care is important for clinical practice (which was in keeping with the educators’ goal for this activity):


그러나 일부 학생의 경우 활동의 목표(외부 이상)가 적절하게 설명되지 않아 활동을 처리하는 데 어려움이 있었다.

For some students, the goal of the activity (external ideal) had not been adequately explained, however, which made it difficult for themto process the activity:


두 번째, 세 번째 요소: 불협화음의 유무

Second and third elements: The presence or absence of dissonance.


학생들이 CPI 활동에 참여하는 과정에서, 활동의 외부적 이상에 대한 그들의 인식은 그들 자신의 내부적 이상과 일치하거나 불일치했다. 학생들이 그 활동의 이상을 그들 [자신의 이상과 일치한다고 인식했을 때], 그들은 사회심리학 문헌에 두 개의 상반된 인식을 가지고 있을 때 개인 내부의 심리적 긴장상태로 정의되는 인지적 또는 정서적 부조화를 경험하지 않았다.16

as students participated in the CPI activity, their perceptions of the activity’s external ideal were either congruent or incongruent with their own internal ideals. When students perceived the ideal of the activity as congruent with their own ideals, they did not experience cognitive or emotional dissonance, defined in social psychology literature as a psychological state of tension within an individual when he or she holds two conflicting cognitions.16


그러나 내적 이상과 외적 이상이 조화를 이루지 못할 때 학생들은 자신이 인지적 또는/또는 정서적 부조화 상태, 즉 두 개의 대립적 이상에 의해 만들어진 긴장 상태에 있음을 알게 되었다. 예를 들어, 한 학생은 CPI 피드백 보고서를 받은 후 자신의 점수가 가정의학과 의사(내부 이상)보다 외과 의사(외부 이상)와 더 높은 상관관계를 보인다는 CPI 피드백 보고서를 받은 후 부조화 상태를 경험했다고 설명했다.

However, when internal and external ideals were not congruent, students found themselves in a state of cognitive and/or emotional dissonance, or tension created by two opposing ideals. For example, one student described experiencing dissonance after receiving the CPI feedback report that showed his scores correlated more highly with practicing surgeons (external ideal) than with family medicine physicians (his internal ideal):


우리는 데이터에서 부조화 상태가 감정적 흥분과 연관되어 있는 많은 예들을 발견했다(예: 위의 예에서와 같이 "놀라움"). 또 다른 학생은 자신의 점수가 평균이라는 사실에 놀라움을 나타냈다.

We found many examples in our data in which dissonance was associated with emotional arousal (e.g., “surprise,” as in the example above). Another student indicated his surprise that his scores were average:


놀람이 전형적인 반응이었지만 학생들이 언급한 다른 감정들에는 '위험', '진짜 행복하지 않다', '공포하다', '공황' 등이 있었다.

Although surprise was the typical response, other emotions that students mentioned included “anger,” “not real happy,” “freaking out,” and “frustrated,”


대다수의 감정은 부정적(예: 분노, 놀라움)이었지만, 우리는 일부 감정, 특히 놀라움도 상황에 따라 중립적이거나 긍정적일 수 있다는 것을 발견했다.

While a majority of the emotions were negative (e.g., anger, surprise), we found that some emotions, particularly surprise, could also be neutral or positive, depending on the situation.


네 번째 및 다섯 번째 요소: 조화와 보존.

Fourth and fifth elements: Reconciliation and preservation.


인지적 또는 정서적 불협화음이 발생하지 않았을 때, 일반적으로 학생들의 활동에 대한 성찰은 종결되었다. 불협화음이 발생했을 때 두 가지 처리 방식 중 하나가 뒤따랐다. 우리는 [프로세싱]을 [내적 이상과 외적 이상 사이의 긴장에 의해 생성되는 정서적 흥분을 감소시키는 경향을 갖는 인지 활동]으로 정의했다. 이 과정은 조화와 보존의 두 가지 형태 중 하나를 택했다.

When no cognitive or emotional dissonance occurred, a student’s reflection on the activity typically ended. When dissonance did occur, it was followed by one of two forms of processing. We defined processing as a cognitive activity that tended to reduce the emotional arousal created by the tension between the conflicting internal and external ideals. This processing took one of two forms: reconciliation or preservation.


조화

Reconciliation.


자신의 이상을 조화시킨 학생들은 종종 자신의 [내적 이상을 변화시켜] 외부적 이상과 조화를 이루거나 조화를 이루며 존재하게 된다.

Students who reconciled their ideals often altered their own internal ideals to align or exist in harmony with external ideals.


[피드백리포트]는 나에게 환자 주변에서 불편할 수도 있다고 지적했다. "내가 그렇다고?"라고 생각했다. 그럼, 내가 환자 곁에 있을 때 내 자신을 좀 더 의식할 수 있게 해줘. 내가 그런 식으로 행동하는지, 어떤 것들이 나를 불편하게 하는지, 어떤 것들이 나를 편안하게 만드는지. —1학년

[The feedback report] pointed out to me that maybe I am uncomfortable around patients. You know, I thought, “AmI?” Well, let me be more aware of myself when I’m around patients and do I act that way or what things make me uncomfortable and what things are making me comfortable? —First-year student


보존

Preservation.


대안적인 처리 형태는 보존이었다. 우리가 관찰한 모든 보존의 경우, 학생은 외부의 이상(활동이나 교사 중 하나)을 평가절하하거나 제거하여, 변화 가능성을 없애고 자신의 내적 이상을 유지할 수 있도록 했다.

An alternate form of processing was preservation. In all occurrences of preservation that we observed, the student discounted or diminished the external ideal (either of the activity or teacher), thus allowing the student to maintain his or her internal ideal without any possibility for change.


무엇보다도 이 도구에 대해 회의적이라고 생각하는데... 내가 나 자신을 전혀 모르는 것처럼 해석할 수 있지만, 나는 나를 꽤 반성하는 사람이라고 생각했기 때문에, 나는 그 악기에 대해 정말 회의적이었다. 나는 이것이 정말 내가 누구인지 반영하지 못한다고 생각했고, 만약 네가 내 가까운 친구들과 가족들에게 나에 대해 물어본다면 아마 답은 다를 것이라고 생각한다.어쩌면 내 대처 기제 중 일부는 조사를 엉망으로 만들며 이것이 믿을 수 없다고 말했을지도 모르지만, 그것이 사실이든 아니든 내 불안은 거기서 비롯되었다. —1학년

I think more than anything, it calls me to be skeptical of the instrument... and you can interpret that as me being totally unaware of myself, but I consider myself a fairly reflective person, so I was really skeptical of the instrument. I [thought that] this just really doesn’t reflect who I am, and I think if you went and asked my close friends and family about me maybe the answer would be different....Maybe some of my coping mechanism was trashing the survey and saying that this can’t be reliable, but whether or not that’s true or not, that’s where my anxiety came from. —First-year student


또 다른 학생은 [그가 그 활동을 더 심각하게 받아들였기 때문에] 스스로 생각하기에 CPI를 서둘러서 아무 생각 없이 작성했던 반 친구들보다 더 나쁜 결과를 얻었다고 결론지으며 자신의 내적 이상을 보존했다.

Another student preserved his internal ideal by concluding that he had taken the activity more seriously and therefore had received poorer results than his classmates, who, he believed, had hurriedly and thoughtlessly filled out the CPIs:


갈림길: 교수 영향의 기회

Branch points: Opportunities for teacher influence.


우리의 개념 모델(그림 1)은 부서진 원들로 표시된 두 개의 분기점을 포함하고 있다.

Our conceptual model (Figure 1) contains two branch points indicated by broken circles.


우리의 데이터는 CPI 활동의 교사/디자이너들이 일부 학생들에게 첫 번째 분기점에서 불협화음을 유발하는 활동("놀라움"과 "위험"에 대한 학생들의 반응에서 입증된 바와 같이)을 만들어내면서 영향을 미쳤지만, 다른 학생들에게는 불협화음을 일으키지 않았다(재발견으로 입증된 바와 같이)."놀라지 않는다"와 같은 행동. 두 번째 지점에서, 우리의 자료는 이 활동의 교사/설계자들이 도구의 타당성과 같은 중요한 문제나 학생들의 점수에 대한 다른 변명을 다루지 않았다는 것을 시사한다. 만약 교사들이 학생들에게 [자신의 내적 이상]을 [활동이 지향하는 외부적 이상]과 조화시키도록 지도함으로써 불협화음을 처리하는 데 도움을 주었다면 영향력을 가질 수 있었을 것이다.

Our data indicate that the teachers/ designers of the CPI activity had influence at the first branch point by creating an activity—students complete CPIs and receive a feedback report— that created dissonance for some students (as evidenced by students’ reactions of “surprise” and “anger”) but resulted in no dissonance in others (as evidenced by reactions such as “not surprised”). At the second branch point, our data suggest that the teachers/designers of this activity did not address critical issues such as instrument validity or students’ other excuses for their scores. Teachers could have had influence if they had helped students process their dissonance by guiding themto reconcile their internal ideals to the external ideals espoused by the activity.


실제의 개념 모델: 도발적인 질문

The conceptual model in action: Provocative questions


포커스 그룹의 학생들은 다양한 교육 환경, 특히 환자-관리 활동 중에 발생한 많은 비현실적인 학습 경험에 대해서도 반영했다. 우리는 우리의 개념 모델이 학생들의 고의적인 성찰활동 처리 이상으로 확장되었다는 것을 발견했고, 여러 교육 환경에서 학생 성찰 과정을 이해할 수 있게 했다.

Students in the focus groups also reflected on many nondeliberate learning experiences that occurred within a variety of educational settings, especially during patient-care activities. We found that our conceptual model extended beyond students’ processing of deliberate reflective activities and allowed us to understand the processes of student reflection across multiple educational settings.


조화는 항상 모델에서 원하는 경로인가?

Is reconciliation always the desired pathway in the model?


처음에, 우리는 조화를 교사나 교육자들이 학생들을 위해 만들고 싶어하는 경로로 보았다. 즉, 우리는 특정한 성찰 활동에 대해 원하는 결과는 전형적으로 학생이 자신의 이상과 교사의 이상을 조화시키는 것이라고 생각했다. 그러나 부정적인 사례(우리의 모델과 모순되는 사례)를 찾아 자료를 뒤져보니 조화가 반드시 바람직한 길이라고 할 수는 없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Initially, we viewed reconciliation as the pathway that teachers or educators would want to create for students. That is, we thought that the desired outcome for a particular reflective activity would typically be for a student to reconcile his or her ideal with the teacher’s ideal. However, when we searched the data for negative cases (cases that contradicted our model), we found that reconciliation was not necessarily the desired pathway.


교육적 관점에서, [바람직한 방향]은 활동activity과 학생이 구성하는 외부적 이상에 의해 결정된다.

From an educational perspective, the desired pathway is determined by the context of the activity and the external ideal that is constructed by the student.


의대생으로서 내가 비판적이 되는 것은 꽤 쉬운 일이다. 나는 그 일이 잘 되지 않아서 환자가 울기 시작하고 아무도, 알다시피, 의대생들—이 일은 이틀 전 만남의 끝에서 일어났다. 팀 전체로서, 우리는 환자에게 외과적 개입이 지시되었는지에 대해 논의하고 있었다. 그리고 어텐딩은 환자 앞에서 환자에 대해 말하는 것이었습니다. 그리고 그는 "우리는 환자를 죽이진 않을 거에요"라고 말했고, 우리가 그 말을 끝마쳤을 때, 환자는 울고 있었고, 그 자리에 있던 의대생들 외에는 아무도 그 말을 듣지 않았다. 나는 우리가 임상 전 경험에서 겪었던 모든 경험들을 포함하여 모든 경험들이 적어도 내가 그런 상황을 더 잘 알 수 있도록 도왔다고 생각한다. —2학년

And it’s pretty easy for me as a medical student to be critical and I feel like the job has not been done well and the patient starts to cry and nobody, you know, but the medical students—this happened two days ago at the end of an encounter: As a whole team, we were discussing whether a surgical intervention was indicated for a patient. And the attending was kind of speaking about the patient in front of the patient. And he used phrases like, “We’d be less likely to kill the patient,” and by the time we were done with that, the patient was crying and nobody picked up on it but the medical students that were there. I think all of the experiences, including all of the ones we had in preclinical experience, at least helped me to be more aware of situations like that. —Second-year student


병동 회진의 교육 활동 동안, 이 학생은 [이상적인 의사(임상 전 경험에 의해 형성되었다는 점에 주목했다)에 대한 그녀의 견해]와 주치의의 행동에 의해 나타난 [주치의가 갖고 있는 "이상적"에 대한 인식] 사이에 불협화음을 경험했다. 이 경우 학생은 주치의의 행동을 평가절하하고("일을 잘하지 못한다"고 평가함으로써) 자신의 내적 이상을 그대로 유지할 수 있는 보존 경로를 통해 이러한 불협화음을 처리했다. 전문성의 관점에서 학생의 보존 경로 선정은 주치의가 모델링한 덜 적절한 외부 아이디어와 화해하기보다는 보다 적절한 내부 이상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해주었기 때문에 바람직했다.

During the educational activity of ward rounds, this student experienced dissonance between her view of an ideal physician (which she noted was shaped by her preclinical experiences) and her perception of the attending’s “ideal” as displayed by his actions. In this instance, the student processed this dissonance through a preservation pathway that allowed her to discount the attending’s actions (by evaluating him as “not doing the job well”) and to keep her internal ideal intact. From a professionalism perspective, the student’s selection of the preservation pathway was desirable because it enabled her to retain a more appropriate internal ideal rather than reconciling with the less appropriate external idea modeled by the attending.


학생들은 항상 모델을 통해 "가장 쉬운" 길을 따르는가?

Do students always follow the “easiest” pathway through the model?


비록 활동의 맥락은 학생들이 모델을 통해 어떤 경로를 따르는지에 영향을 미치지만, 우리의 결과는 학생들이 항상 최소의 저항의 길을 택하지는 않는다는 것을 암시한다.

Although the context of an activity influences which pathways students follow through the model, our results suggest that students do not always take the path of least resistance,


사실 윗층 레지던트한테 가정의학과를 하고 싶다고 말했는데...그리고 이 레지던트는 "쓰레기같아"고 말했다. 그리고 나서 그는 우리에게 15분 동안 가정의학과를 비난했다. 내 말은, 그는 정말 jerk였다. 그는 가정의학과의 게스탈트가 환자에게 제공하는 가치에 대한 가장 간단한 단서조차 없이 가정의학 전체를 매도했다. —3학년

I actually told my upper level resident that I wanted to do Family...andthis gentleman said “What a waste.” And then he berated Family Practice to us for 15 minutes....Imean, he was such a jerk. He berated just the entire limb of Family Practice without even the simplest clue of the value that the gestalt of Family Practice provides to the patient, you know. —Third-year student


레지던트의 행동은 이 학생의 이상적 전문성(가정의학과)에 대한 견해와 그 전공에 대한 레지던트의 견해에 대한 인식 사이에 불협화음을 만들어 내었고, 그 전공에 대한 레지던트의 견해는 상당 부분 부정적인 정서적 흥분감을 불러일으켰다. 그 학생은 레지던트의 견해를 깎아내림으로써 자신의 이상을 유지했다. 그 학생은 결국 레지던트에게 맞서기confront 위해 되돌아감으로써 이러한 입장을 강화하기 위해 추가적인 조치를 취했다.

The activity of the resident’s berating created dissonance between this student’s view of her ideal specialty (family practice) and her perception of the resident’s view of that specialty, creating a large degree of negative emotional arousal. The student preserved her ideal by discounting the resident’s views. The student took the additional step to reinforce this stance by eventually going back to confront the resident.


임상 교사는 학생들이 어떤 처리 경로를 택하는지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가?

Can clinical teachers influence which processing pathway students take?


우리의 자료는 교사들이 의도적인 활동과 비의도적인 활동 둘 다에서 처리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시사한다.

Our data suggest that teachers can influence processing during both deliberate and nondeliberate activities.


한 학생은 주치의(활동)로부터 피드백을 받아 불협화음이 유발되었을 때, 그 불협화음을 유발한 교사에 대한 존경심이 있는 경우, 조화의 방향으로 가도록 유도했다는 사실을 말했다. 이러한 존중은 "나쁜" 피드백을 무시하는 것을 더 어렵게 만들었는지도 모른다.

Here the student discloses that when he received feedback from an attending (activity) that created dissonance, his respect for the teacher delivering the dissonant information fostered reconciliation. This respect may have made it harder to discount the “bad” feedback.


고찰

Discussion


심리학 연구에 따르면, 개개인은 자기-이상을 형성하고, 자신의 행동이나 이상에 대해 가치판단을 하기 위해 외부의 단서나 정보를 이용한다.17 우리는 우리 모델에서 이 과정을 내적, 외적 이상을 형성하는 것으로 언급한다: 학생들은 자신의 내적 이상에 비추어 교사나 활동의 지각된 외부 이상을 평가한다.

Literature in psychology indicates that individuals form self-ideals and use external cues or information to make value judgments about their own actions or ideals.17 We refer to this process in our model as forming internal and external ideals: Students evaluate the perceived external ideal of a teacher or activity in light of their own internal ideals.


심리학 연구에서는 또한 개인들이 불명확한 정보를 평가절하하고, 기존의 자기 인식을 보존하기 위해 많은 방법을 사용한다고 주장한다.17 현실 협상reality negotiation이라고 불리는 이러한 방법은 다음과 같은 것들을 포함한다.

Literature in psychology also purports that individuals employ many methods to discount discrepant information and preserve their existing self-perception.17 These methods, termed reality negotiation in the psychological literature (in our model, preservation), include 

  • 부정적인 결과와 거리두기 (예: "나는 그렇게 하지 않았다"), 

  • 변명하기 (예: "남들이 대답하지 않는 동안 나는 정직하게 대답했다") 

  • 덜 부정적인 방향으로 리프레이밍하기 (예: "시험에 결함이 있었다").

  • disassociating with negative outcomes (e.g., “I didn’t do that”), 

  • making excuses (e.g., “I answered honestly while others did not”), and 

  • reframing outcomes so they are less negative (e.g., “The test was flawed”).


교육자는 자신에게 다음과 같은 질문을 던져야 한다.

Educators should ask themselves the following questions, among others:


  활동에 의해 암시된 이상이 학생들에게 명시적으로 설명되어 있는가?

  그 활동이 감정을 이끌어 낼 수 있을까?

  그 활동이 불협화음을 초래할 것인가?

  선호하는 경로(조정 또는 보존)는 무엇인가?

  화해가 선호되는 길이라면 어떻게 하면 화해를 촉진할 수 있을까?


  Is the ideal implied by the activity explicitly articulated to students?

  Can the activity elicit emotion?

  Will the activity engender dissonance?

  What is the preferred pathway (reconciliation or preservation)?

  If reconciliation is the preferred pathway, how can it be facilitated?


이론을 실천으로

Theory into practice


원래의 CPI 활동은 학생들이 피드백 보고서를 받은 후 불협화음을 경험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했지만, 많은 학생들은 불협화음에 대해서 보존 경로(예: 악기의 타당성이나 급우들의 정직성에 대해 질문함)를 따르는 반응을 보였다. 따라서 CPI 피드백을 받기 전에 학생들이 참석하는 '프레이밍 세션'을 추가해 활동을 수정했다. 이 세션에서는 학생들이 의과대학에 입학하기 전에 자신이 되고자 했던 이상적인 의사(의대 지원서에 대한 개인 진술에 반영됨)에 대해 성찰하고 쓰도록 한다. 

The original CPI activity provided an opportunity for students to experience dissonance after receiving their feedback reports, but many students reacted to their dissonance by following a preservation pathway (e.g., by questioning the validity of the instruments or the honesty of their classmates). Therefore, we modified the activity by adding a “framing session” that students attend before they receive their CPI feedback. During this session, we invite students to reflect and write about the ideal physician they wanted to be before they entered medical school (as reflected in their personal statements on their medical school applications). 


우리는 학생들이 CPI 피드백 보고서의 관련성에 대해 생각하고 이 정보를 이용하여 자신의 가치와 의과대학 동안 그들의 가치관이 어떻게 형성되어 왔으며 어떻게 형성되어 왔는지를 검토하기 시작함으로써 '조화'를 장려할 것을 촉구한다. 대신 우리는 보존 경로를 방해하거나 폐쇄하기 위해 [CPI의 확립된 타당성]에 대한 증거를 제시할 수 있다. 그러나 우리는 화해가 학생과 교사 간의 보다 협력적인 관계로 이어져야 하기 때문에 화해 경로를 장려하거나 개방하는 것이 보존 경로를 좌절시키거나 폐쇄하는 것보다 더 효과적인 교육 전략이 될 수 있다는 가설을 세운다.

We urge students to think about the relevance of the CPI feedback report and to use the information to begin to examine their own values and how their values have been and are being shaped during medical school, thus encouraging reconciliation. We could instead present evidence about the established validity of the CPIs during the session to discourage or close down the preservation pathway. However, we hypothesize that encouraging or opening up the reconciliation pathway may be a more effective educational strategy than discouraging or closing down the preservation pathway, because reconciliation should lead to a more collaborative student–teacher relationship.


한계

Limitations


결론

Conclusions













. 2010 May;85(5):902-8.
 doi: 10.1097/ACM.0b013e3181d7423b.

Ideals, activities, dissonance, and processing: a conceptual model to guide educators' efforts to stimulate student reflection

Affiliations 

Affiliation

  • 1Department of Pediatrics, College of Medicine Dean's Office, University of Oklahoma College of Medicine, Oklahoma City, Oklahoma 73104, USA. Britta-Thompson@ouhsc.edu

Abstract

Purpose: Medical schools are increasingly incorporating opportunities for reflection into their curricula. However, little is known about the cognitive and/or emotional processes that occur when learners participate in activities designed to promote reflec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and elucidate those processes.

Method: In 2008, the authors analyzed qualitative data from focus groups that were originally conducted to evaluate an educational activity designed to promote reflection. These data afforded the opportunity to explore the processes of reflection in detail. Transcripts (94 pages, single-spaced) from four focus groups were analyzed using a narrative framework. The authors spent approximately 40 hours in group and 240 hours in individual coding activities.

Results: The authors developed a conceptual model of five major elements in students' reflective processes: the educational activity, the presence or absence of cognitive or emotional dissonance, and two methods of processing dissonance (preservation or reconciliation). The model also incorpor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tudent's internal ideal of what a doctor is or does and the student's perception of the teacher's ideal of what a doctor is or does. The model further identifies points at which educators may be able to influence the processes of reflection and the development of professional ideals.

Conclusions: Students' cognitive and emotional processes have important effects on the success of educational activities intended to stimulate reflection. Although additional research is needed, this model-which incorporates ideals, activities, dissonance, and processing-can guide educators as they plan and implement such activities.


'내 조부모의 상실': 의과대학생을 통과의례를 서포트하기 위한 상호작용적 성찰적 글쓰기(Med Teac, 2010)

‘The Loss of My Elderly Patient:’ Interactive reflective writing to support medical students’ rites of passage

HEDY S. WALD1, SHMUEL P. REIS1,2, ALICIA D. MONROE3 & JEFFREY M. BORKAN1 1Warren Alpert Medical School of Brown University, USA, 2Technion-Israel Institute of Technology, Israel, 3University of South Florida College of Medicine, USA




도입

Introduction


의대생들은 전문적인 정체성이 형성되는 과정에서 종종 도전적인 성격의 중요한 통과 의례를 경험한다. 학생의 [첫 번째 환자의 죽음에 대한 경험]은 일반적으로 그들의 개인적, 직업적 발달에서 결정적 사건이며, 특히 중요한 통과의례이다. 그러한 중요한 지점에서의 교육적 지원은 성공적인 교육 전환을 가능하게 하고 전문적 정체성의 개발을 촉진할 수 있다(Hoifodt et al. 2007). 죽음은 의사가 성장하는 과정에서 빈번한 동반자가 될 수 있으며, 그러한 첫 만남은 특히 학습자가 그러한 상실에 대한 접촉이 거의 없었던 경우에는 깊이 각인될 수 있다.

Medical students experience critical rites of passage, often of a challenging nature, in the process of professional identity formation. A student’s first experience with the death of a patient is generally a pivotal event within their personal and professional development and represents one particularly cogent rite of passage. Pedagogic support at such important junctures may enable successful educational transitions and promote development of professional identity (Hoifodt et al. 2007). Death may become a frequent companion for the evolving physician, and such a first encounter may imprint the learner, particularly if they have had little contact with such losses.


의학 교육 내의 초기 임상 노출이 예외적인 것이 아니라 이제는 일반적인 것이지만(Dornan et al. 2006), 전임상 시기의 학생들은 전형적으로 조기 임상 노출 기간 내에 죽음에 직면하고, 그러한 상황 하에서 자신의 애도과정에 대처하고자 함에도, 효과적인 감정 관리에 대해서는 관심이 적었다. (Williams et al. 2005). 감독의사들이 [환자의 사망에 대한 감정적으로 강력한 경험]을 '교육가능한 순간'의 기회로 학습자에게 도움을 주도록 권유받지만, 실제로는 이것이 항상 실현되지는 않는다.

While earlier clinical exposure within medical education is now the norm rather than the exception (Dornan et al. 2006), there is little attention to effective management of emotions as students in the pre-clinical years typically confront death within early clinical exposure and attempt to cope with their own grieving process under such circumstances (Williams et al. 2005). Supervising physicians have been encouraged to utilize ‘teachable moment’ opportunities to help trainees with the emotionally powerful experience of patient’s death (Jackson et al. 2005), however, in practice, this is not always realized.


학생들의 성찰적 글쓰기는 그들의 경험으로부터 의미를 구성하며(그들의 감정적 반응을 포함한다), 지도 교수진의 피드백과 결합하여 성찰 능력을 기르고, 정서 지능을 배양하는데 유용하다(Mann et al. 2007; Wald et al.). 2009) 및 

Students’ reflective writing constructs meaning from their experiences (including their affective responses), and combined with guided faculty feedback is useful in fostering reflective capacity (Mann et al. 2007; Wald et al. 2009) and developing emotional intelligence (Grewal & Davidson 2008).


의료 교육 내에서 성찰적 실천 교육을 강화하기 위해 구조화된 성찰적 글쓰기를 사용하는 것은 잘 문서화되어 있다(Brady et al. 2002; Fiege 2006; Kumagai 2008). 내러티브 능력(문헌의 면밀한 읽기와 성찰적 서술 생성 둘 다)은 의료행위를 guide할 수 있는데, 이 능력이 환자 치료를 제공하는 그들만의 경험을 이해하게 도울 뿐만 아니라, 의료인들이 환자의 질병 경험에 대해 더 완전한 '질감 있는textured' 이해를 하게 해주기 때문이다. 소그룹 과정에서의 성찰적 글쓰기는 환자 치료 과정에 대한 통찰력을 배양하고 전문성과 실무자의 안녕을 촉진하는 것으로 설명되어 왔다(Shapiro et al. 2006).

The use of structured reflective writing to augment reflective practice instruction within medical education is well-documented (Brady et al. 2002; Fiege 2006; Kumagai 2008).Narrative competence (both close reading of literature and generating reflective narratives) guides clinical practice by helping practitioners achieve a more fully ‘textured’ understanding of the patient’s experience of illness (‘getting’ and interpreting patients’ stories) as well as their own experience of providing patient care (Charon 2006a). Reflective writing in small group process has been described as cultivating insights into the process of patient care and promoting professionalism and practitioner well-being (Shapiro et. al. 2006).


그러나 초기 단계에서는 학생들의 서술이 자아와 타인에 대한 성찰능력과 정서적 인식에 있어 정교함이 결여될 수 있으며, 이는 본질적으로 좀 더 서술적이 되는 경향이 있다(Morey 2008). 반사 능력을 구축하는 과정을 지원하기 위해, 우리는 학제간 소그룹 교수팀이 제공하는 학생들의 세로방향 반사적 글쓰기에 대한 안내 피드백을 쌍방향 반사적 글쓰기 혁신을 도입했다.

At initial stages, however, student narratives may lack sophistication in reflective capacity and emotional awareness in relation to self and others, tending to be more descriptive in nature (Morey 2008). To assist with the process of building reflective capacity, we have instituted an interactive reflective writing innovation of guided feedback to students’ longitudinal reflective writing – provided by an interdisciplinary small group faculty team.


브라운 대학의 워렌 앨퍼트 의과대학(Alpert Med)에서 '현장 노트' - 체계적인 프롬프트 또는 '트리거'가 포함된 반사적 쓰기 과제 - 1, 2학년 학생들을 위한 닥터링 과정(Monroe et al. 2005; Taylor et al. 2008)에 통합되었다.

At the Warren Alpert Medical School of Brown University (Alpert Med), ‘field notes’ – reflective writing assignments with structured prompts or ‘triggers’ – have been integrated within a Doctoring course for first and second year students (Monroe et al. 2005; Taylor et al. 2008).


과정 강의 시간 내에 내장된 유연성은 학생들이 의미 있는 통과의례(예: 화이트 코트의 특권, 성역사의 획득, 첫 번째 상실 환자, 월드 & 레이스 2008)를 성찰하고 싶을 때 이러한 작문 과제에 대한 통제와 재량권을 허용한다.

Built-in flexibility within the course syllabus allows students some control and discretion with these writing assignments should they wish to reflect on meaningful rites of passage (e.g. the privilege of the white coat, the taking of a sexual history, the first patient they lose; Wald & Reis 2008).


닥터링 과정의 인터랙티브 반사 쓰기

Interactive reflective writing in the Doctoring course


닥터링은 1, 2학년 의대생을 대상으로 임상 기술과 전문성을 가르치기 위해 고안된 2년짜리 종단적, 필수 과정이다. '인터랙티브' 성찰 글쓰기 과제('현장 노트')는 의료면담, 신체진단, 문화역량, 의료윤리 등의 교육과 통합되어 있으며, 2학년도에 더 많은 '고급' 현장 노트 주제가 포함되어 있다. 과정에는 대규모 그룹 교육 세션, 소규모 그룹 처리 및 기술 지침, 일대일 커뮤니티 기반의 의사 멘토링 및 스킬 연습이 포함된다.

Doctoring is a two-year, longitudinal, required course for first and second year medical students designed to teach clinical skills and professionalism. ‘Interactive’ reflective writing assignments (‘field notes’) are integrated with instruction in medical interviewing, physical diagnosis, cultural competence, and medical ethics, with more ‘advanced’ field note topics included in second year. The course structure involves large group didactic sessions, small group processing and skill instruction as well as one-to-one community-based physician mentoring and skill practice.


학생들은 8명으로 구성된 그룹에 배정되고 매주 의사와 사회 행동 과학자로 구성된 학제별 교수팀과 만난다. 소그룹 교수진은 커리큘럼 주제(편향/편견, 행동 변화 촉진 등)를 토론하고, 임상 기술을 가르치고, 현장 노트에 대한 피드백을 제공하며, 학생들의 emerging 역량을 평가한다.

Students are assigned to groups of eight and meet weekly with an interdisciplinary faculty team comprised of a physician and a social-behavioral scientist. Small group faculty discusses curriculum topics (such as bias/ prejudice, facilitating behavior change), teach clinical skills, provide feedback on field notes, and evaluate students’ emerging competencies.


오리엔테이션에서 교수들은 학생들의 내러티브에 양질의 피드백을 제공하는 교수 가이드를 포함하여 성찰적 학습을 촉진하는 방법에 대한 자료를 받는다. 나타날 수 있는 '위험한' 서술적 내용(예: 우울증 또는 기타 상담이 필요한 감정적 문제)을 다루는 방법에 대한 프로토콜도 오리엔테이션 내에서 논의된다. 학생들에게도 닥터링 과정 (Wald 2008b)에서 성찰적 글쓰기에 대한 가이드가 제공된다.

During orientation, faculty receives literature on how to promote reflective learning, including a faculty guide on providing quality feedback to students’ narratives (Wald 2008a). The suggested protocol for addressing ‘risky’ narrative content that may emerge (e.g. depression or other affective issues in need of consultation) is also discussed within faculty orientation. Students are also provided with a student guide to reflective writing in the Doctoring course (Wald 2008b).


학생들은 면접 기술 개발, 환자들과의 고무적이거나 어려운 상호작용, 나쁜 소식 전달과 같은 주제에 대한 성찰의 지침 역할을 하는 구조화된 질문에 답하여 현장 노트를 작성한다.

Students complete field notes in response to structured questions which serve as guides for reflection on topics such as development of interviewing skills, inspiring or difficult interactions with patients, and delivering bad news.


소그룹 상호작용이 생각, 경험, 감정을 공유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는 반면, 

현장 노트와 피드백 내용은 소그룹 교직원과 개별 학생 사이에 기밀로 남아 있다.

While small group interaction provides an opportunity for sharing of thoughts, experiences, and feelings, 

field note and feedback content remains confidential between small group faculty and the individual student.


서술적 분석과 피드백 준비에 대한 교수훈련은, 교수들로 하여금 학생들이 서술한 것에서 제시된 전문직업적 발전 기회를 더 완전하게 포착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다. [교사의 입장에서 읽거나 듣는 것은 '다른 인간에 대한 명백한 의무']라는 서사의학의 선구자 리타 채론의 통찰력 있는 관찰(Charon 2006b)에 맞추어 학생들의 반성적 글쓰기에 대한 질 높은 피드백을 만드는 도구인 'BEGAN, The Brown Educational Guide to the Analysis of Description'을 고안해 냈다(Ris et al. 2010).

Faculty training in narrative analysis and feedback preparation can help faculty to more fully capture the professional development opportunities presented by student narratives. In line with narrative medicine pioneer Rita Charon’s insightful observation (Charon 2006b) that reading or listening as a teacher is a ‘remarkable obligation to another human being’, we devised BEGAN, The Brown Educational Guide to the Analysis of Narrative, a tool for crafting quality feedback to students’ reflective writing (Reis et al. 2010).


'워크샵' 형식의 교수개발에서는 [피드백을 위한 선택적 도구로서 BEGAN 프레임워크의 사용에 대한 지침, 샘플 필드 노트에 대한 적용, 적용 결과에 대한 그룹 토의]를 진행했다. 


양질의 피드백 과정에서, 자신을 드러내기self-revelation 위한 '편안한 영역comfort zone'을 만드는 것은 프로토-프로페셔널을 위한 전문직업적인 개발에 있어 중요한 부분이다. 이렇게 함으로써 [학습 환경 내의 취약성과 불확실성을 잠재적으로 노출]시키고 [양질의 피드백을 제공]하게 되어 학생에게 신뢰감을 심어준다. 코스 종료 시 현장 노트 내 성찰 성장 정도(유능성과 역량 초과 등 예시 포함)가 종합 평가에 포함된다.

Faculty development in ‘workshop’ format includes instruction in the use of the BEGAN framework as an optional tool for feedback crafting, application to a sample field note, and group discussion of application outcomes. Creating a ‘comfort zone’ (Wald 2008c) for self-revelation within quality feedback, thus engendering students’ sense of trust as they potentially expose their vulnerabilities and uncertainties within the learning environment and providing quality feedback, can be a critical segue to professional development for the proto-professional. At the conclusion of the course, the degree of growth in reflection within field notes (with exemplars such as competent and exceeds competence) is included in summative assessment.


BEGAN Framework를 사용하여 4명의 교수진에게 개별화된 피드백을 안내하는 예(표 1)

examples of guided individualized feedback by four faculty members using the BEGAN framework (Table 1).





학생 내러티브 

Student narrative


내 나이든 환자의 죽음. 꾸물거려서 숙제를 미룰 때가 있다. 시험 때문에 숙제를 미룰 때가 있다. 이번 주는 무서워서 처음으로 이 쪽지 쓰는 것을 미뤘어. 나이 든 환자의 상실감에 대해 글을 쓸 수 없을 것 같아 두려웠다. 나는 주중에 몇 번이나 내 기분을 표현하려고 노력했지만 준비가 되지 않았다.

The loss of my elderly patient. There are times when I put off assignments due to procrastination. There are times when I put off assignments due to a test. This week was the first time I put off writing this note because I was scared. I was scared that I would not be able to write about how losing my elderly patient felt. I tried several times during the week to express how I felt but I wasn’t ready.


화요일에, 나는 내 요양 시설의 간호사들로부터 나이든 환자가 죽었다는 소식을 들었다. 더 좋은 방법으로 알려졌으면 좋겠다. 우리는 누군가 세상을 떠났다는 말을 들었다(즉시 내 가슴속에 이렇게 무거운 느낌이 들었다). Paul은 93세였고, 내가 마지막으로 가서 그를 인터뷰했을 때 그의 건강은 상당히 악화되었다. 폴일 가능성이 크다고 생각하지 않을 수 없었다. 글쎄, 간호사들은 끝까지 누군지 몰랐어. 망설이다가, 폴이냐고 물어봤어. 사실이었다. 나는 즉시 대화를 그만둬야 했고 나는 그녀의 환자를 인터뷰하는 데 김씨와 함께 했다. 나는 아직 그것을 듣거나 소화시킬 준비가 되지 않았다고 예상했다.

On Tuesday, I was informed by the nurses at my assisted living facility that my elderly patient had passed away. I wish I was informed in a better way. We were told that someone had passed away (and immediately I had this heavy feeling in my heart). Paul was 93 and his health had deteriorated time significantly the last I went and interviewed him. I couldn’t help but think that there was a strong chance that it was Paul. Well, the nurses didn’t know who it was until at the end, after hesitation, I asked them if it was Paul. It was true. I had to immediately leave the conversation and I joined Kim in interviewing her patient. I expected it yet still wasn’t ready to hear it or digest it.


인터뷰를 반쯤 마친 나는 화장실에 가야만 했고 나는 잠을 조금 깼다. 나는 폴과 좋은 관계를 발전시켰고 이제는 손을 놓아야만 했다. 먼저 생각난 것은 그가 이전 것을 잘못 놓았으니 또 다른 감사장을 가져오라고 했다는 것이었다. 내 마음은 곧 폴이 지난 번에 내게 한 말을 생각했다 – '내면에서부터 아팠다.' 나도 알고 있었고 닥터도 알고 있었던 것 같아. 스튜어트는 폴의 마지막 며칠이 여기 있다는 것도 알아챘다.

Half way through the interview, I had to go to the bathroom and I teared up a little. I had developed a great relationship with Paul and now I had to let go. The first thing that came to my mind was that he had asked me to bring another certificate of appreciation as he had misplaced the previous one. My mind soon thought about what Paul told me last time – ‘I hurt from the inside.’ I think I knew and Dr. Stewart recognized this too that Paul’s last few days were here.


나는 무슨 일이 일어났는지 완전한 이야기를 들어야 내 마음을 알 수 있다는 것을 깨달았다. Paul은 두 번째 울혈성 심부전을 겪었고(2002년 CHF를 앓았다) 병원으로 옮겨졌다. 그는 결코 거기서 다시 돌아오지 않았고, 요양 시설로 돌아가기에는 적합하지 않다고 여겨졌다. 그는 지난 몇 주를 그리 멀지 않은 요양원에서 보냈다. 하루 종일 가장 긍정적인 소식은 아내와 같은 요양원에 있다는 것이었다. 이것은 내 기분을 좀 나아지게 했다.

I realized that I needed to hear the complete story of what happened so I could figure out my feelings. Paul suffered Congestive Heart Failure for a second time (he suffered from CHF in 2002) and was taken to the hospital. He never really bounced back fromit and was deemed unsuitable to return to the Assisted Living Facility. He spent the last few weeks at a Nursing home not too far away. The most positive news all day was that he was at the same nursing home as his wife. This made me feel a little better.


나는 그 상황에 대해 긍정적으로 생각하려고 노력했다. Paul은 아마 그의 아내와 마지막 며칠을 보내고 싶었을 것이다. 그는 몇 달 전에 멋진 음악/드럼플레잉 세션을 가졌다. 그는 자신의 조건과 싸우는 데 지쳤기 때문에 아마 이제 손을 놓아야 할 때라고 생각했을 것이다. 폴이 그리운 만큼 친구로 지내며 의학교육을 도와준 그를 기억할 것인 만큼, 폴은 이제 그만 가야 할 때라고 생각한다. 그는 신의 개입으로 매우 성공적인 삶을 살았다고 내게 말했다. 그는 자기 인생의 긍정적인 면을 제외하고는 다른 어떤 것으로도 기억되고 싶지 않을 것이다.

I tried to think positively about the situation. Paul would have probably wanted to spend the last few days with his wife. He had had a great music/drumplaying session a few months ago. He was getting tired of fighting his conditions so he probably thought it was time to let go. As much as I miss Paul and will remember him for being a friend and helping me in my medical education, I think that it was time for him to go. He told me that because of divine intervention, he had led a very successful life. He wouldn’t want to be remembered for anything else but the positives of his life.


나는 내가 어떻게 느끼는지, 내가 그날 저녁에 얼마나 울어야 조금 더 기분이 나아졌는지, 어떻게 그것이 믿을 수 없는 학습 경험이었는지에 대해 훨씬 더 많이 쓸 수 있었지만, 나는 내가 찾고 있는 의학교육을 계속해야 하고 불행하게도 그런 일이 내 인생에서 일어날 것이라는 것을 깨달아야 한다. 그것은 환자와의 긍정적이고 강한 유대감을 형성하려는 내 욕구를 강화시켰다 – 나는 환자들의 긍정적인 면을 기억하고 싶다.

I could write a lot more about how I feel, how I needed to cry that evening to feel a little better, how it was an incredible learning experience – but I need to move on and continue the medical education that I am seeking and realize that during my unfortunately such occurrences will happen medical career. It has strengthened my need of building a positive and strong rapport with patients – I want to remember them for their positives.


고찰

Discussion


의대생들은 training 과정에서 통과의례를 경험하는데, 이는 전문직 정체성 형성을 촉진하는 역할을 한다. 대화형 성찰 글쓰기, 즉 그러한 경험에 대한 학생들의 성찰적 글쓰기에 개별화된 안내 피드백을 제공하는 것은 중요한 전환 중에 학습자를 진솔하고 투명한 방식으로 지원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다. 첫 번째 환자의 상실은 특히 가슴 아픈 일이며, 학생들이 자신의 감정을 인식하고 반성하도록 돕는 '쓰기 연습'의 가치가 언급된 바 있다(Williams et al. 2005; Levine et al. 2008).

Medical students experience rites of passage during their training, which serve to facilitate professional identity formation. Interactive reflective writing, i.e. providing individualized guided feedback to students’ reflective writing about such experiences can help support learners during important transitions in an authentic, transparent manner. The loss of one’s first patient is particularly poignant and the value of ‘writing exercises’ to help students recognize and reflect upon their emotions (as well as those of patient and family) has been noted (Williams et al. 2005; Levine et al. 2008).


학생의 성찰적 서술에 접근하기 위한 지침 도구로서 BEGAN를 사용함으로써, 교수들을 [관련성이 있고 교육적으로 풍부한 임상 및 일반적 인생 경험을 잠재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 그들 자신의 감정적 반응을 인정하는 병행적인 과정에 참여시킨다. 이러한 내용을 포함하는 서면 피드백은 임상 및 교수 경험과 전문지식으로 정보를 필터링한 후 학생에게 제공된다. 

The use of the BEGAN as a guiding tool for approaching a student’s reflective narrative engages faculty in a parallel process of acknowledging their own affective responses that can potentially tap into relevant, educationally enriching clinical and general life experiences. Written feedback incorporating such content is provided to the student after a filtering process informed by clinical and teaching experience and expertise.


한 피드백 사례에서, 내과의사 교수진(SPR)은 학생의 잠재적 이익을 위해 학생의 대안적인 감정적 반응을 강조하면서 자신의 임상 경험을 반성하면서, 과거의 감정적 차단emotional blocking 에피소드를 투명하게 공유한다. 이에 발맞춰 진정한 감정을 되찾는 것이 의사 소통과 웰빙에 대한 보조수단aid으로서 지지endorse되었다(Bub 2007). 

 In one feedback example, the physician faculty (SPR) transparently shares a past episode of emotional blocking, reflecting on his own clinical experience as he highlights the student’s alternative emotional response for the student’s potential benefit. In line with this, reclaiming authentic emotions has been endorsed as an aid to communication and well-being in medicine (Bub 2007). 


또한, 이 '양방향 소통'에서, 교수진은 그러한 쓰기 연습이 고려가 보장될 수 있는 커리큘럼 요소들에 '창(Window)' (Williams et al. 2005)을 제공할 수 있기 때문에 학생들의 입력input에 열려 있다(예: 환자 손실 소식을 접수하고 대처하는 학생들을 돕기 위한 프로토콜 제정).

Additionally, on this ‘two-way street’, faculty remains open to student input as such writing exercises can provide a ‘window’ (Williams et al. 2005) into curricular elements that may warrant consideration (e.g. establishing protocols to assist students with receiving and coping with news of a patient loss).


(응급의학과 레지던트의 성찰적 글쓰기 포트폴리오(Fiege 2006; Caudle 2008)에 제공되는 교수 코멘트와 같은) 대화형 성찰적 글쓰기는 [성찰능력과 자기 지식의 증진을 통한 전문적 성장의 기초]를 제공하며, 학생에서 전문직으로의 전환을 촉진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다. 이에 발맞춰 최근 진행된 닥터링 과정(1학년) 학생들의 평가 댓글(발트 외 연구) 연구에서는 학제간 교수진 피드백을 통한 개인 및 전문적 발전 강화라는 주제가 종별 성찰적 글쓰기 과제에 등장했다. 2009).

Interactive reflective writing, such as faculty commentaries provided on emergency residents’ reflective writing portfolios (Fiege 2006; Caudle 2008) provides a foundation for professional growth through promotion of reflection and self-knowledge and can help facilitate transformation from student to professional. In line with this, a theme of personal and professional development enhancement through interdisciplinary faculty feedback to longitudinal reflective writing assignments emerged in our recent study of Doctoring course (first year) students’ evaluative comments (Wald et al. 2009).


내러티브의 공유를 통해 학생에게 joining하는 것은 우리(작가-독자 짝dyad)를 ['공유된 경험과 공유된 인간성의 우주']로 이끈다(MacCurdy 2000). 피드백 논평을 통해 학생의 경험을 맥락화하는 과정에서 '경험의 공통성'(MacCurdy 2000)이 생기고, 공동체 의식이 생기고, 본질적으로 '전문직'을 정의하는 데 도움이 된다. 길의 갈림길에 서 있는 우리 교육자들은 성찰적인 글쓰기에 질 좋은 피드백을 제공하며, 비판적인 교육 현장에서 학생들을 동반한다. 새로운 통찰력을 가지고, 우리는 그들이 그들의 여정을 계속하기를 바란다.

Joining with the student through the sharing of narrative carries us (writer–reader dyad) into a ‘universe of shared experience and shared humanity’ (MacCurdy 2000). Contextualizing the student’s experience through feedback commentary creates a ‘commonality of experience’ (MacCurdy 2000), a sense of community, and in essence, helps to define a profession. Poised at that fork in the road, we, the educators, provide quality feedback to reflective writing, accompanying students at critical educational junctures. With new insights, we hope, they then continue on their journey.







. 2010;32(4):e178-84.
 doi: 10.3109/01421591003657477.

'The Loss of My Elderly Patient:' Interactive reflective writing to support medical students' rites of passage

Affiliations 

Affiliation

  • 1Warren Alpert Medical School of Brown University, Providence, RI 02912, USA. hedy_wald@brown.edu

Abstract

Background: The fostering of reflective capacity within medical education helps develop critical thinking and clinical reasoning skills and enhances professionalism. Use of reflective narratives to augment reflective practice instruction is well documented.

Aim: At Warren Alpert Medical School of Brown University (Alpert Med), a narrative medicine curriculum innovation of students' reflective writing (field notes) with individualized feedback from an interdisciplinary faculty team (in pre-clinical years) has been implemented in a Doctoring course to cultivate reflective capacity, empathy, and humanism. Interactive reflective writing (student writer/faculty feedback provider dyad), we propose, can additionally support students with rites of passage at critical educational junctures.

Method: At Alpert Med, we have devised a tool to guide faculty in crafting quality feedback, i.e. the Brown Educational Guide to Analysis of Narrative (BEGAN) which includes identifying students' salient quotes, utilizing reflection-inviting questions and close reading, highlighting derived lessons/key concepts, extracting clinical patterns, and providing concrete recommendations as relevant.

Results: We provide an example of a student's narrative describing an emotionally powerful and meaningful event - the loss of his first patient - and faculty responses using BEGAN.

Conclusion: The provision of quality feedback to students' reflective writing - supported by BEGAN - can facilitate the transformation of student to professional through reflection within medical education.


마음챙김적 실천(JAMA, 2010)

Mindful Practice

Ronald M. Epstein, MD




이러한 비판적 자기 성찰의 과정은 마음챙김의 유무에 달려 있다. 마음챙김적 실천자는 통상적인 일상 업무 중 자신의 신체적, 정신적 과정에 비심판적인 방법으로 참여하여 명확하고 통찰력 있게 행동한다.11-15

This process of critical self-reflection depends on the presence of mindfulness. A mindful practitioner attends, in a nonjudgmental way, to his or her own physical and mental processes during ordinary everyday tasks to act with clarity and insight.11-15


유전자 검사 절차의 정량적 위험과 편익에 대한 증거 기반 접근법을 취하는 어려움(사용 가능한 정보를 얼마나 신뢰해야 하는가?), 그리고 의료 또는 외과적 개입의 효과에 대한 불확실성(결과에 대해 알고 있다면 누구에게 영향을 미칠 것인가?) 외에도, 그 사례는 중요한 [관계 중심적인 문제]를 제기했다. 

  • 가치(어떤 위험을 감수할 가치가 있는가?) 

  • 환자-의사 관계(환자에게 가장 도움이 되는 접근법은 무엇인가?) 

  • 실용주의(유전학자는 유능하고 존경스러운가?) 

  • 카파시티 (질병과 검사에 대한 두려움, 우울증, 불완전한 이해 등으로 인해 편향된 검사에 대한 환자의 욕구는 어느 정도인가?)

Aside from the difficulties in taking an evidence-based approach to assigning quantitative risks and benefits to the genetic screening procedure (How much should I trust the available information?) and uncertainty about the effectiveness of medical or surgical interventions (Would knowing the results make a difference, and, if so, to whom?), the case raised important relationship-centered questions about 

  • values (What risks are worth taking?), 

  • the patient-physician relationship (What approach would be most helpful to the patient?), 

  • pragmatics (Is the geneticist competent and respectful?), and 

  • capacity (To what extent is the patient’s desire for testing biased by her fears, depression, or incomplete understanding of the illness and tests?).


나에게는 책 지식과 임상 경험이 부족했다. 나는 [우리가 상호간의 결정을 내릴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다음의 것들에 대한 개인적인 지식에 의존해야만 했다. 

  • 환자(그녀가 이전의 행동과 가치관과 일치하는 방식으로 이 상황에 대응하고 있는가?)와 

  • 나 자신 (어떤 가치와 편견이 나 자신과 환자를 위해 이 상황을 프레임으로 만드는 방법에 영향을 미치는가?)  

For me, book knowledge and clinical experience were insufficient. I had to rely on my personal knowledge of 

the patient (Is she responding to this situation in a way concordant with her previous actions and values?) and 

myself (What values and biases affect the way I frame this situation for myself and for the patient?) 

to help us arrive at a mutual decision. 


이러한 반사 활동은 아래에도 동등하게 적용된다.

  • 의학의 기술적 측면(의학적 테스트의 해석을 신뢰할 수 있는지 어떻게 알 수 있는가?) 및 

  • 감정적 영역(불확실성과 위험을 얼마나 잘 견딜 수 있는가?)

These reflective activities applied equally to 

the technical aspects of medicine (How do I know I can trust the interpretations of medical tests?) and 

the affective domain (How well can I tolerate uncertainty and risk?).


명시적, 암묵적 지식

Explicit and Tacit Knowledge


임상적 판단은 명시적 지식과 암묵적 지식 모두에 기초한다.34-36 그러나 의료적 의사결정은 명시적으로 정의된 규칙과 객관적으로 검증 가능한 데이터에 대한 환자의 문제에 대한 의식적 적용으로만 제시되는 경우가 많다.34,37,38 이러한 형태의 명시적 지식은 증거 기반 임상 실습 가이드라인에 포함되는 방식으로 정량화, 모델링, 전달, 번역 등이 용이하다.

Clinical judgment is based on both explicit and tacit knowledge.34-36 Medical decision making, however, is often presented only as the conscious application to the patient’s problem of explicitly defined rules and objectively verifiable data.34,37,38 This form of explicit knowledge can be quantified, modeled, readily communicated, and easily translated into evidence-based clinical practice guidelines.


노련한 실무자들은 또한 [자신들에게 명시적으로 서술되어있거나 알려지지 않은] 많은 지식, 기술, 가치관 및 경험들을 그들의 실무에 적용한다.34 이러한 지식은 다른 유형의 근거를 구성하며, 의료 결정에 강한 영향을 미친다. 일상생활에서는 암묵적인 지식의 예가 많다.

Seasoned practitioners also apply to their practice a large body of knowledge, skills, values, and experiences that are not explicitly stated by or known to them.34 This knowledge may constitute a different kind of evidence, which also has a strong influence on medical decisions. In everyday life, examples of tacit knowledge abound.


경험이 풍부한 신경학자는 환자를 만난 순간의 시간 내에 파킨슨병을 인지한 후 이를 뒷받침할 객관적이고 주관적인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다.

an experienced neurologist can recognize Parkinson disease within moments of meeting a patient, before processing the objective and subjective data to support it.


[명시적 요소]는 정식으로 교육되는 반면, [암묵적 요소]는 대개 관찰과 실천 중에 학습된다.40 우수한 임상의는 [그들을 관찰을 하는 다른 사람보다] [자기 스스로] 자신이 하는 일을 더 잘 표현하지 못하기도 한다. 또한 그들은 그들 자신의 추론 과정의 모든 편견을 높이 평가하지도 않는다.41 부수적 인식subsidiary awareness는 어떻게 의사가 [처리되지 않은 경험과 암묵적인 지식의 흐름에 접근하는지]를 설명하는 용어다.

While explicit elements of practice are taught formally, tacit elements are usually learned during observation and practice.40 Often, excellent clinicians are less able to articulate what they do than others who observe them. Nor do they appreciate all of the biases in their own reasoning processes.41 Subsidiary awareness35 is a term that describes how the practitioner makes accessible the flow of unprocessed experience and tacit knowledge.


아나이스 닌의 말에 의하면, "우리는 사물을 있는 [사물이 무엇이냐]가 아니라 [우리가 누구냐]에 따라 본다"42 증거 기반 의학은 의학적 의사결정을 분석하는 구조를 제공하지만, 전문가 임상적 판단의 보다 암묵적인 과정을 기술하기에는 부족하다.43 모든 데이터는 그 완전성이나 정확성과 관계없이 임상의사가 해석한다. 이를 통해 데이터를 이해하고 임상 실습에 적용한다. 

In the words of Anaïs Nin, “We don’t see things as they are, we see things as we are.”42 Evidence-based medicine offers a structure for analyzing medical decision making, but it is not sufficient to describe the more tacit process of expert clinical judgment.43 All data, regardless of their completeness or accuracy, are interpreted by the clinician to make sense of them and apply them to clinical practice.44


임상적 판단은 과학이며 예술이다.36 [암묵적 지식]이라는 개념을 불편해하는 사람들도 전문적인 능력의 모든 측면을 명시하는 것은 불가능하다는 것은 인식하고 있다.43 증거 기반 의사결정 모델은 매우 강력한 도구지만 임상의가 (특히 복잡한 상황에서) 항상 그것들을 사용하는 것은 아니다.3,56 명시적 모델을 구성하는 데 필요한 정보는 종종 불완전하거나 충돌한다. 성격과 같이, 환자에 대한 몇 가지 중요한 암묵적 지식은 단순히 미리 정의된 범주에 들어맞지 않는다. 임상의에게 이러한 모델(explicit model)은 정확하지만 생명력이 없는 모차르트 스타일의 컴퓨터가 만들어낸 교향곡과 유사할 수 있다.

Clinical judgment is a science and an art.36 Even those who are uncomfortable with the notion of tacit knowledge recognize that it is impossible to make explicit all aspects of professional competence.43 Evidence-based decision models are very powerful tools, but clinicians do not always use them, especially in complex situations.30,56 Information necessary to construct explicit models is frequently incomplete or conflicting. Some important tacit knowledge about the patient, such as personality, simply does not fit into predefined categories. To clinicians, these models may resemble computer-generated symphonies in the style of Mozart—correct but lifeless.



전문 지식과 자각

Professional Knowledge and Self-awareness


Eraut 57,58은 각각 암묵적이거나 명시적일 수 있는 4가지 유형의 전문적 관련 지식을 정의한다(표 1). 

Eraut57,58 defines 4 types of professionally relevant knowledge, each of which can be tacit or explicit (TABLE 1). 


  • 가장 친숙한 것은 명제적 지식, 또는 대부분의 사람들이 사실이라고 것이다. 이론, 개념, 원리인데, 보통 책, 전자 매체 또는 강사로부터 습득한다.

The most familiar is propositional knowledge, or what most people call fact: theories, concepts, and principles, usually acquired from books, electronic media, or instructors.


  • 개인적 지식, 즉 경험 즉 통해 습득한 지식은 전문적 실천을 지도하는 정보, 직관, 해석의 집합체다.35 이 지식은 귀납적이고 인상적인 방법으로 내 마음속에 들어와 명제적 사실 외에 임상적 상황의 게스탈트나 느낌을 제공한다.29 그러나 [개인적 지식]과 [일화적 정보]를 혼동하게 되면 잘 못된 결과를 낳는다. 탈맥락화된 일화를 무비판적으로 적용한 예에는 대장암 진단을 놓친 의사가 그 후 그의 모든 환자를 overtest하는 것을 들 수 있다.

Knowledge acquired through experience, or personal knowledge, is a collection of information, intuitions, and interpretations that guides professional practice.35 This knowledge enters into my mind in an inductive, impressionistic way, providing the gestalt or feel of a clinical situation in addition to the propositional facts.29 However, confusion between personal knowledge and anecdotal information results in both being neglected and discounted during medical training. An example of the uncritical application of a decontextualized anecdote is when a physician who after missing a diagnosis of colon cancer, subsequently overtests all of his patients.


  • 프로세스 지식은 정보 수집, 절차 수행, 의사 결정 및 미래 계획과 같은 작업을 수행하는 방법을 아는 것이다.58 프로세스 지식은 메타프로세싱, 또 자신의 정신적 프로세스에 대한 반성의 과정도 포함한다. 이것은 "우리는 [우리의 질문 방법에 의하여 드러난 자연을 관찰하는 것 만큼]도 자연을 관찰하지 않기 때문에", 특히 중요하다."60

Process knowledge is knowing how to accomplish a task,59 such as gathering information, performing procedures, making decisions, and planning for the future.58 Process knowledge also includes metaprocessing, or the process of reflection on one’s own mental processes. This is particularly important in practice, because “we do not observe nature as much as we observe nature exposed to our method of questioning.”60


메타프로세싱은 생각에 대한 생각, 감정에 대한 감정을 일컫는 것이다. 그것은 둘 다 구체적인 행동(거울 속의 빛의 궤적에서의 수정과 같은)이며, 마음이 자신의 행동(과 행동을 행하고 있는 주체)에 주의를 기울이는 자기관찰의 행동이다. 메타프로세싱은 의사가 무의식적 무역량의 영역을 밝혀낼 수 있게 해준다. 61 '무의식적 무역량'이란 의사가 자신의 결함을 모르는 사각지대를 말한다.

Metaprocessing might be called thinking about thinking or feeling about feelings. It is both a concrete action (such as the modification in a trajectory of light in a mirror) and an act of self-observation in which the mind attends to its own actions (including the subject who is performing those actions). Metaprocessing allows the physician to uncover areas of unconscious incompetence,61 the blind spots wherein a physician might not know his or her deficiencies.


  • 에라우트의 네 번째 전문적 관련 지식인 노하우일을 어떻게 해낼 수 있는지 아는 것이다. 새로운 환경에서 일하는 레지던트는 진단 테스트가 중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지만, 방사선과 의사에게 친절하게 전화를 걸어 시험이 더 빨리 일어날 것이라는 것을 모를 수도 있다.

Eraut’s fourth type of professionally relevant knowledge, know-how, is knowing howto get things done. A resident working in a new setting may know that a diagnostic test is important, but may not know that the test will happen sooner with a friendly call to the radiologist.




마음챙김적 실천

Mindful Practice


마음챙김은 성찰적 실천이란 개념의 논리적 확장이다.4,12,14 마음챙김적 실천가는 행동, 생각, 감각, 이미지, 해석, 감정을 포함한 모든 표현에 있어서 일상적인 경험에 '존재present'한다.12,13,65 마음챙김은 "이론, 태도, 추상적인 생각으로부터 마음으로 돌아오게 한다...경험 그 자체의 상황에으로 돌아오는 것이다". 그 결과 우리는 [자신의 편견, 의견, 예상, 기대감에 사로잡히는 것을 막고] "무의식이라는 구속복"에서 벗어날 수 있게 해준다.11.66 마음챙김은 평범한 것, 명백한 것, 현재에 주의를 기울이는 것이다. 요한 세바스티안 바흐는 어떻게 멜로디를 발견했느냐는 질문에 "문제는 멜로디를 발견하지 않고, 아침에 일어나서 침대에서 일어날 때 멜로디를 밟지 않는 것이다."라고 말한 것으로 알려졌다.

Mindfulness is a logical extension of the concept of reflective practice.4,12,14 The mindful practitioner is present in everyday experience, in all of its manifestations, including actions, thoughts, sensations, images, interpretations, and emotions.12,13,65 Mindfulness “leads the mind back from theories, attitudes and abstractions...to the situation of experience itself,”11 which prevents us from “falling prey to our own prejudices, opinions, projections, expectations” and enables us to free ourselves from the “straight jacket of unconsciousness.”66 Mindfulness is attending to the ordinary, the obvious, and the present. Johann Sebastian Bach is reported to have said, when asked how he found melodies: “The problem is not finding them, it’s—when getting up in the morning and out of bed—not stepping on them.”67


마음챙김은 철학-종교 전통에서 유래한 실천이지만, 12,14,15 근본 철학은 근본적으로 실용적 13이며 행동, 인식, 기억, 감정의 상호의존성에 바탕을 두고 있다.

Although mindfulness is a practice that derives from a philosophical-religious tradition,12,14,15 the underlying philosophy is fundamentally pragmatic13 and is based on the interdependence of action, cognition, memory, and emotion.


정신적 과정에 대한 이해에 대한 서구적 접근방식은 역사적으로 [정신활동]을 [실세계에서의 행동]과 분리시켰고, 행동심리학과 정신역학심리학이 분열하며 이러한 분리가 더욱 강화되었다. 그러나, 11,14 동양에서, 그리고 서양의 현상학적 전통에서, 철학은 [세계in the world에서의 감정, 기억, 행동]을 [인지]와 연결시키고 있다

Western approaches to the understanding of mental processes have historically separated mental activity from action in the world, and the schism between behavioral and psychodynamic psychology has reinforced some of this separation. However, in the East.11,14 and in phenomenological traditions in the West,27 philosophy has linked cognition to emotion, memory, and action in the world.


마음챙김적 실천의 목표는 자신의 정신적 과정을 더 잘 인지하고, 더 주의 깊게 경청하며, 유연해지고, 편견과 판단을 인식하여 원칙과 연민을 가지고 행동하는 것이다(표 2). 마음챙김적 실천은 "완성되지 않은 것"이라는 느낌을 수반한다. 다른 사람의 고통을 불완전하게 이해하는 데 있어서 미지의 것에 대한 호기심과 겸손함을 포함한다. 마음챙김은 멀티태스킹과 정반대다.

The goals of mindful practice are to become more aware of one’s own mental processes, listen more attentively, become flexible, and recognize bias and judgments, and thereby act with principles and compassion(TABLE 2). Mindful practice involves a sense of “unfinishedness,”31 curiosity about the unknown and humility in having an imperfect understanding of another’s suffering. Mindfulness is the opposite of multitasking.



마음챙김적 실천가는 상담 시에 [관찰자를 관찰하면서 관찰대상을 관찰할 수 있는 능력]이 있다. 의료행위에서는 자주 논의되지 않는 이 과정은 음악가들에게 필수적인 것으로 여겨지는데, 음악가의 임무는 연주와 청취를 동시에 하는 것이다. 즉, 음악의 테크닉, 감정 표현, 전반적인 이론적 구조에 동시에 신경을 기울이다.69 뛰어난 음악가는 중간중간 손가락 움직임을 교정하고, 생성된 소리를 상상된 소리와 비교하며, 그리고 동시에, 공연에 표현적인 자발성expressive spontaneity을 가져온다.

Mindful practitioners have an ability to observe the observed while observing the observer in the consulting room. This process, not often discussed in medical practice, is considered essential to musicians, whose task is to perform and listen at the same time, attending simultaneously to the technical challenges, emotional expression, and overall theoretical structure of the music.69 The accomplished musician performs midcourse corrections of finger movements, compares the sound produced with the imagined sound, and, at the same time, brings expressive spontaneity to the performance. 


하지만, 만약 음악가가 표현적인 연주를 구성하는 조화로운 구조와 리듬, 그리고 침묵들을 동시에 분석하면서 각각의 손가락 움직임을 통제하려고 한다면, 연주하는 것은 불가능해질 것이다. 따라서 음악에서 초점 인식focal awareness은 테크닉과 분석에 대한 부수적 인식subsidiary awareness를 동반한다. 이는 [예상치 못하거나 어려운 일이 발생할 때만 강조되는] 주변부 시야peripheral vision와 반자동적인 행동의 혼합을 말한다.

However, if the musician were to attempt to control each finger movement while simultaneously analyzing the harmonic structures, rhythms, and silences that constitute expressive playing, playing would become impossible. Thus, focal awareness on the music is accompanied by subsidiary awareness35 of technique and analysis—a mix of peripheral vision and semiautomatic action that is highlighted only when the unexpected or difficult occurs.


마음챙김의 대상은 의료행위의 어떤 측면과 암묵적 또는 명시적 지식의 어떤 영역 내에 적용될 수 있다. 

  • 내면적 자기인식은 의사가 자신의 강점, 한계, 직업적 만족의 원천을 의식하도록 돕는다. 이는 부모가 알코올 중독자였기 때문에 환자와의 알코올에 대한 논의를 피하는 의사와 같은 개인에게 사각지대를 피하는 데 도움이 된다. 그것은 의사가 되기 위한 깊이 간직된 가치와 동기를 명확히 할 수 있다.

  • 대인관계적 자기인식, 즉 사회지능 70,71은 의사가 다른 사람에게 보이는 대로 자신을 볼 수 있게 하고 동료, 환자, 학생과의 만족스러운 대인관계 구축을 돕는다. 

  • 메타프로세싱에 대한 인식은 의사들이 인지, 기억, 감정 처리 사이에 필요한 연결을 포함하여 그들 자신의 임상 추론을 인식할 수 있게 해준다.28 

  • 학습 요구에 대한 자기인식은 의사가 무의식적인 무능 영역을 인식하고 학습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수단을 개발할 수 있도록 한다.61 

  • 윤리적 자기인식은 의학적인 만남을 형성하고 있는 순간순간의 가치에 대한 인식이다. 

  • 테크니컬 자기인식은 신체검사, 수술, 컴퓨터 조작, 통신 등의 시술 중 자가교정을 위해서 필요하다.

The object of mindfulness can apply to any aspect of medical practice and within any domain of tacit or explicit knowledge. 

  • Intrapersonal self-awareness helps the physician be conscious of his or her strengths, limitations, and sources of professional satisfaction. It helps the individual avoid blind spots, such as a physician who, because his or her parent was an alcoholic, avoids discussions of alcohol with patients. It may clarify deeply held values and motivations for becoming a physician. 

  • Interpersonal self-awareness, or social intelligence,70,71 allows physicians to see themselves as they are seen by others and helps to establish satisfactory interpersonal relationships with colleagues, patients, and students. 

  • Awareness of metaprocessing allows physicians to be aware of their own clinical reasoning, including the necessary connections between cognition, memory, and emotional processing.28 

  • Self-awareness of learning needs allows physicians to recognize areas of unconscious incompetence and to develop a means to achieving their learning goals.61 

  • Ethical self-awareness is the moment-to-moment cognizance of values that are shaping medical encounters. 

  • Technical self-awareness is necessary for self-correction during procedures such as the physical examination, surgery, computer operations, and communication.


종종 성찰은 오류나, 어려운 상황이나, 자신의 행동에 대한 예상치 못한 결과를 수반하는 중요한 사건에 의해 유발된다. 25,72,73 다른 때에는 반성은 이산적인 외부 사건에 의해서가 아니라 아이디어의 성숙에 의해 유발된다. 그러나, 이러한 많은 사건들은 가장 창의적인 사상가들을 제외한 모든 사람들에게서 주목을 받지 못하고 있다.

Often reflection is prompted by a critical incident involving an error, a difficult situation, or an unexpected result of one’s actions.25,72,73 At other times, reflection is prompted by the maturing of an idea rather than by a discrete external event. However, many of these events go unnoticed by all but the most creative thinkers.


마음챙김은 의사가 더 넓은 일련의 지각perceptual 자원을 사용할 수 있게 해준다

  • '초심자의 마음'은 지속적으로 전주의적preattentive, 부차적subsidiary 과정에 대해 일정한 역치 아래의subthreshold 의식을 유지할 수 있는 마음의 유동성fluidity of mind을 의미한다. 초심자의 마음은 개방적이고, 환자가 새로운 의사를 만날 때 일어날 수 있는 것처럼 새로운 진단과 치료 가능성을 허용한다. 

  • 이와는 대조적으로, 전문가의 마음은 관찰을 구분하고 제한하기 위한 사전 경험을 이용하여 가능성을 좁힌다. 

Mindfulness enables the practitioner to use a wider set of perceptual resources. 

  • The fluidity of mind that can maintain some constant subthreshold awareness of preattentive and subsidiary processes has been described as a “beginner’s mind.”12 A beginner’s mind is open and allows for new diagnostic and therapeutic possibilities, as may happen when a patient meets a new physician. 

  • By contrast, the expert’s mind narrows possibilities, using prior experience to delimit and confine observations. 


랭거13은 마음챙김을 "그럴 수도 있지could be"의 상태라고 설명하면서, 불확실성을 피하려고 하기보다는 포용하는 것이라고 말한다. 어려운 환자는 흥미로운 환자가 될 수 있고, 해결할 수 없는 문제는 연구의 수단이 될 수 있다. 비판적 호기심critical curiosity은 (기존) 범주의 한계를 드러냄으로써 더 의미 있는 범주를 만드는 데 도움을 준다. 예를 들어, 공황장애를 흉통 통증의 일반적인 원인으로 인식하면 의사가 증상 증폭기 74에서 중증 치료 가능한 질환을 가진 환자로 이러한 환자를 재분류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 전문지식은 종종 '초심자의 마음'이 있을 때 축적되며, 특히 새롭거나, 익숙하지 않거나, 스트레스를 많이 받는 상황에서는 더욱 그러하다.

Langer13 describes mindfulness as a state of “could be,” welcoming uncertainty rather than trying to avoid it. Difficult patients might then become interesting patients; unsolvable problems might become avenues for research. Critical curiosity shows the limits of categories and helps create more meaningful ones. For example, the recognition of panic disorder as a common cause of chest pain might help physicians recategorize these patients from symptom amplifiers74 to patients with a serious and treatable illness. Expertise is often well served by beginner’s mind, especially in new, unfamiliar, or stressful situations.


마음챙김은 마틴부버75의 "I-Thou" 관계에서 제안된 knower와 known의 관계나, 벨렌키와 동료들이 제안한 아이디어, 사람 또는 사물의 "connected knowing"을 조사하는 것을 의미한다.33 따라서, 지식은 독립적으로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그것을 관찰하고 사용하는 것과 관계되어 있다. 이론은 현실 그 자체가 아니라현실의 취약한 근사치이다.76 서치맨과 매튜스17은 이것을 전문직업적 역할을 초원하여, 환자와 의사 사이에 암묵적인 유대관계tacit bond가 있는 의료행위의 연결적 차원connexional dimension이라고 묘사해 왔다.

Mindfulness implies exami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knower and the known as suggested in the “I-Thou” relationship of MartinBuber75 or the “connected knowing” of ideas, people or things, suggested by Belenky and colleagues.33 Knowledge, then, does not exist independently but rather in relationship to the one observing and using it. Theories are seen as fragile approximations rather than reality itself.76 Suchman and Matthews17 have described this as the connexional dimension of medical practice, in which there is a tacit bond between patient and physician that transcends professional roles.


무신경: 지식, 가치, 행동 사이의 차이

Mindlessness: Gaps Between Knowledge, Values, and Actions


의사들은 인지적, 감정적 요인을 수반하는, 순간순간의 가치 중심적인 결정을 내린다.

Physicians make moment-to-moment value-laden decisions that entail cognitive and emotional factors.


대개 [개인적인 지식, 기술 수준, 효율성, 가치관에 근거한] 이러한 빠른 결정은 궁극적으로 행동을 초래한다. 따라서 의사에게 촉구하는 의료행위의 목표는 의료의 중요한 측면에 대한 수행 능력이나 지식뿐만 아니라 그러한 [실천을 일상 업무에 실제로 사용하는 것]을 포함해야 한다.

These rapid decisions, usually based on personal knowledge, level of skill, efficiency, and values, ultimately result inactions. Thus, objectives for the practice of medicine calling on physicians should include the ability to perform or knowledge about important aspects of medical care77 as well as the requirement to actually use those practices in daily work.


자기지식은 공감, 동정, 이타주의 등 의학에서 핵심가치를 표현하는 데 필수적이다. 공감적이기 위해서는, [환자의 고통과 환자의 고통에 대한 나의 반응을 목격하고 이해]함으로써 환자의 경험과 내 경험을 구별할 수 있어야 한다. 그렇게 해야 이해심을 소통하고, 연민을 가질 수 있으며, 내 존재를 이용하여 고통을 덜어주고 환자의 이익을 우선시할 수 있다. 아마도 자기 인식의 부족은 다음에 대한 이유를 알려준다.

  • 왜 의사들이 이러한 가치들을 실제로는 실천하지 않으면서도 지지하는지  

  • 왜 의사들이 덜 환자 중심적인 경향이 있는지 

  • 왜 의사들이 갈등과 강한 감정을 수반하는 상황에서 자신의 관점과 환자의 관점을 혼동하는지

Self-knowledge is essential to the expression of core values in medicine, such as empathy, compassion, and altruism. To be empathic, I must witness and understand the patient’s suffering and my reactions to the patient’s suffering to distinguish the patient’s experience from my own. Then I can communicate my understanding and be compassionate, to use my presence to relieve suffering and to put the patient’s interests first. Perhaps lack of self-awareness is 

  • why physicians more often espouse these values than demonstrate them78-81 and 

  • why they tend to be less patient-centered82 and confuse their own perspectives with those of the patient1,80 in situations that involve conflict and strong emotions.


호기심은 환자에 대한 배려와 문제해결에 모두 중요하다.83

Curiosity is central both to caring about the patient and to solving problems.83


예를 들어, Stetten18은 그의 주치의들이 그의 황반변성을 치료하려고 시도했을 때, 어떻게 그가 실명에 적응하는 것에 관심이 없었는지를 묘사했다; 그들은 사람이 아니라 병을 보았던 것이다.

caring requires an interest in the patient as a person rather than as an abstraction of disease.84,85 For example, Stetten18 described how his physicians were uninterested in his adaptation to blindness while they attempted to treat his macular degeneration; they saw the disease but not the person.


Mindlessness는 전문직업성에서 벗어난 다양한 상황을 설명한다. 그리고 [감정적으로 충전된charged 상황에서, 불확실성의 상황에서, 그리고 문제를 해결하라는 압력을 받는 경우]에 더 자주 발생하는 것처럼 보인다. 예를 들어, 많은 의대생과 레지던트, 그리고 아마도 개업의들도 관찰되지 않은 발견을 보고하고 오류를 시정하지 않는다. 행동은 능률적이기 위한 시도, 감독관의 비위를 맞추려는 욕구, 당혹감, 압도당하는 느낌 때문에 전문적인 지식과 가치에서 벗어나게 된다. 의사들은 스트레스를 받는 임상 환경에서는 강의실 맥락에서 얻은 지식(예: 윤리 과정)을 적용하지 않을 수 있다. 일탈적 행동deviation에는 (환자에 대한 감정적 감정의 건강한 처리가 아닌), 어려운 문제에 대한 회피, 합리화, 외부화 또는 솔직한 부정 등이 있다.

Mindlessness accounts for many deviations from professionalism, which seem to occur more often in emotionally charged situations, during situations of uncertainty, and under pressure to resolve problems. For example, many medical students and residents, and presumably practitioners as well, report findings that were not observed and do not seek correction for errors.20 Actions diverge from professional knowledge and values because of attempts to be efficient, a desire to please supervisors, feelings of embarrassment, and a sense of being overwhelmed.2,19,21,82,86,87 Practitioners may not think to apply knowledge gained in a classroom context (such as anethics course) in a stressful clinical environment. Deviations often involve avoidance of difficult issues, rationalization, externalization, or frank denial rather than the healthy processing of emotional feelings toward patients.88,89


마음챙김적 실천의 단계

Levels of Mindful Practice


(TABLE 3).


Mindless practice의 한 극단에서 의사의 반응은 부정(수준 0)이다. 그 문제를 "나와 관계 없는 일"로 만들면, 의사는 책임과 반성을 피하거나, 그 상황(또는 환자)을 증거에 반하는 방식으로 묘사할 수 있다.

At the extreme of mindless practice, the practitioner’s response is denial (level 0). By making the problem “out there,” the practitioner may avoid responsibility and reflection or describe the situation (or the patient) in ways that are contrary to the evidence.


레벨 1은 성찰을 하지는 않았지만, 상황에 대해 어느 정도 책임을 지고 행동의 외부 기준을 준수하여 해결하려는 수준을 말한다. 예를 들어, 시술자는 "환자와의 성적인 친밀감은 잘못된 것"과 같은 규칙을 읊음으로써 환자에 대한 자신의 매력을 다룰 수 있지만, 의사들을 비위행위의 위험에 빠뜨리는 요인을 이해하려고 하지는 않는다.

Level 1 describes practitioners who do not necessarily use reflection but take some responsibility for the situation and solve it by conforming to an external standard of behavior. For example, a practitioner might deal with his attraction to a patient by reciting a rule, such as “sexual intimacy with patients is wrong,” but may not seek understanding of the factors that put physicians at risk for misconduct.86


레벨 2는 [명시적 인지 모델이 의사의 행동을 가이드하고, 변화의 핵심은 정보의 전이라는 가정]에 근거하여 의사결정을 내리는 단계이다. 가설과 중요한 질문을 만들기 위해서는 호기심과 성찰이 필요하지만, 이 수준의 의사들은 개인적인 지식, 암묵적인 지식, 감정을 무시한다.

Level 2 describes medical decision analysis based on the assumption that explicit cognitive models guide physician behavior and the key to change is the transfer of information. While curiosity and reflection are required to generate hypotheses and important questions, physicians at this level ignore personal knowledge, tacit knowledge, and emotions.


레벨 3은 감정, 생각, 행동에 대해서 좋거나 나쁜 것으로 억압하거나 꼬리표를 붙이지 않는 호기심이 갖는 단계이다. 감정과 개인적인 지식을 포함시킴으로써 임상의사는 환자 진료를 촉진하는 데 사용할 수 있는 도구를 더 많이 갖게 된다.

Level 3 includes curiosity about feelings, thoughts, and behaviors without attempting to suppress or label them as good or bad. By including emotions and personal knowledge, the clinician has more tools available to promote patient care.


레벨 4인 통찰은 세 가지 면을 가지고 있다: 

  • 문제의 본질을 이해하고, 

  • 문제를 해결하려고 하는 방법을 이해하며, 

  • 의사 자신과 자신이 소유하고 있는 지식 사이의 상호연결성을 이해한다.15 

'통찰' 수준에서는 외부 문제를 수정하는 것 외에도 정신적 과정의 교정을 용이하게 한다.

Level 4, insight, has 3 facets: 

  • understanding the nature of the problem, 

  • understanding how one attempts to solve it, and 

  • understanding the interconnectedness between the practitioner and the knowledge that he or she possesses.15 

Insight facilitates the calibration of mental processes, in addition to correction of the external problem.


마지막으로, 레벨 5의 실무자들은 통찰력을 사용하여 일반화, 미래의 유사한 도전을 극복하고, 새로운 행동과 태도를 통합하고, 연민을 표현하고, be present할 수 있다.

Finally, practitioners at level 5 can use their insight to generalize, overcome similar challenges in the future, incorporate new behaviors and attitudes, express compassion, and be present.


마음챙기기

Becoming Mindful


최근의 연구에서는 자기-인식을 위한 다양한 방법을 기술하고 있다. 

  • 개개인의 수준에서, 의사들은 일기를 쓰고 명상을 하고, 환자와의 세션의 비디오테이프를 검토하고, 학습 계약을 사용할 수 있다. 

  • 의학교육에서 학생과 레지던트를 위한 자기평가 양식은 평가 과정의 중요한 부속물이 되어왔다. 학습자들은 그들의 인식을 선생님이나 멘토의 그것과 비교할 수 있다. 

  • 동료 평가는 학생, 거주자 및 개업의에게 전문성과 사회성 측면에 대한 인식을 심어주는 데 유용했다.91,92 

  • 의사가 실수, 장애, 94 윤리적 딜레마, 95 및 어려운 상황에 대해서 작성한 보고서는 소규모 그룹 환경에서 토론하여, 공통의 상황과 거기에 대한 반응이 어떠했는지에 대한 인식을 높일 수 있다. 

  • 가족 정보 및 문화적 배경을 공유하는 것은, 지노그램이나 질병 내러티브를 사용하여, 임상 치료에 영향을 미치는 기대, 편견, 강점 및 경향에 대해 실무자들이 알 수 있도록 도울 수 있다.96-99

Recent articles1,5,90 have described a variety of ways for becoming more self-aware. 

  • Individually, practitioners might keep a journal, practice meditation, review videotapes of sessions with their patients, and use learning contracts. 

  • In medical education, self-evaluation forms for students and residents have been important adjuncts to the evaluation process. Learners can compare their perceptions with those of a teacher or mentor. 

  • Peer evaluations have been useful in bringing awareness to aspects of professionalism and social skills for students, residents, and practicing physicians.91,92 

  • Critical incident reports written by practitioners about mistakes,20,93 impairment,94 ethical dilemmas,95 and difficult situations can be discussed in small group settings and raise awareness about common situations and one’s reactions to them. 

  • Sharing of family information and cultural background, using genograms or illness narratives, can help practitioners learn about the expectations, biases, strengths, and tendencies that influence clinical care.96-99


이러한 접근방식은 대개 실제 의료행위가 이뤄지는 시공간과 분리된 시공간에서 이뤄진다. 그러나 마음챙김은 한 걸음 더 나아간다. 여기서는 의료행위의 모든 측면에 적용된다. 

These approaches, usually consist of exercises separated in space and time from actual clinical practice. Mindfulness training goes one step further. It applies to all aspects of practice,


그러나 교실 환경에서 성찰하는 능력은 스트레스를 받는 임상 환경에서 성찰하는 것과 같지 않다. 예를 들어, 윤리 과목은 학생들의 지식 기반을 높이고 어려운 문제를 해결하는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지만, 윤리 과목이 반드시 그게 없었던 때보다 행동이 더 윤리적인 의사를 만들어내는 것은 아니다.. 임상의-멘토들은 [가치관이 위태로울 때, 의사결정을 어떠한 지식과 감정에 기반하여 내렸는지에 대한 매 순간순간의 인식]을 모델링함으로써, 학생들이 아이디어를 실행에 옮기도록 도울 수 있다. 전문가는 자신의 행동을 관찰함으로써 개인적인 지식을 명확하게 표현하는 법을 배울 수 있다(나는 불확실성에 어떻게 대응하는가? 나는 리스크를 어떻게 제시해야 하는가? 어려운 기술적 절차를 수행할 때 나는 어떻게 스스로 교정하는가?) 전문적인 지식은 (그 지식의 타당성에 의해서가 아니라), 그 지식이 어떻게 사용되는가에 의해서 정의된다.23

However, the ability to reflect ina classroom environment is not equivalent to reflection in a stressful clinical environment. For example, ethics courses might increase students’ knowledge base and improve their ability to solve difficult problems, but ethics courses do not necessarily produce physicians whose behavior is more ethical than it would be otherwise. Clinician-mentors can help students put ideas into action by modeling a moment-to-moment awareness of their own knowledge and emotions that inform their decisions when values are on the line. Professionals can learn to articulate their personal knowledge by observing their own actions (How do I respond to uncertainty? How do I present risks? How do I self-correct when doing a difficult technical procedure?) Professional knowledge is defined, then, not by its validity, but by how it is used.23


마음챙김에 대해 가르치거나 쓰는 것에는 내재된 역설이 있다. 교사의 임무는 학습자를 마음챙김 상태로 환기시키는 것으로, 따라서 교사는 지식의 전달자가 아니라 안내자 역할만 할 수 있다.

There is an inherent paradox in teaching or writing about mindfulness. The teacher’s task is to invoke a state of mindfulness in the learner, and, thus, the teacher can only act as a guide, not a transmitter of knowledge.


마음챙김에 대한 장벽은 의료 훈련, 심지어 개혁된 커리큘럼에서도 많다. 피로와 독단, 그리고 (의식보다는) 행동에 대한 강조는 생각과 감정에 마음을 닫는다. 드러나지 않은 부정적인 감정은 감정적 거리감과 교만으로 이어진다. McWhinney는 다음과 같은 3가지 추가 장벽을 식별했다.

  • 아직 드러나지 않은 부정적인 감정들, 

  • 상상력의 실패,

  • 문자 그대로의 마음가짐

(I. R. McWhinney, MD, 구두 발표, 런던, 온타리오, 1995년 10월 6일).

Barriers to mindfulness are numerous in medical training, even in reformed curricula. Fatigue, dogmatism, and an emphasis on behavior (rather than on consciousness) 103 close the mind to ideas and feelings. Unexamined negative emotions lead to emotional distance and arrogance. McWhinney identified 3 additional barriers:

  • unexamined negative emotions, 

  • failure of imagination,

  • and literal-mindedness

(I. R. McWhinney, MD, oral presentation, London, Ontario, October6, 1995). 


상상력의 실패는 어떤 탐구 과정의 첫걸음인 호기심을 제한한다. [구체적인 문자 그대로의 사고방식]은 간단한 진단 과정을 잘 제공할 수 있지만, [창의적인 문제 해결을 방해하고 환자를 보는 의사의 관점을 제한]한다.

Failure of imagination limits the curiosity that is the first step in any process of inquiry. Concrete literal mindedness may serve simple diagnostic processes well, but impedes creative problem solving and limits the physician’s view of the patient.


실천에서 '마음챙김'하는 법을 배울 기회가 부족하고, 두려움과 불안을 다룰 공간이 부족할 경우, 장벽은 더 높아진다. 

Lack of opportunities to learn how to become mindful in practice and the lack of forums to deal with fears and anxieties create further barriers.


마지막으로, 어떤 의사들은 마음챙김이 [(필요한 임상적 행동을 지연시킬 수 있는) 지나친 자기도취]와 비슷하다며 두려워할 수 있다. 그러나 반대로 [한 가지만 지나치게 생각하는 것]은 [목표 명확성과 당면한 과제에 주의를 기울이는 마음챙김적 실천]과 반대된다는 것을 교육해야 할 것이다.

Finally, some clinicians may fear that mindfulness is the same as excessive self-absorption that would delay necessary clinical actions. They would need to be educated that navel-gazing is antithetical to mindful practice, which has as its goal clarity and attention to the tasks at hand.


결론

Conclusions


마음챙김, 비판적 성찰, 학습, 환자 치료는 모두 "자신self을 첫 번째, 하지만 유일하지는 않은, 지식의 대상으로 보는 것"에서 시작한다.104 마음챙김적 실천은 감정적 영역을 검토하는 것을 넘어, 임상 실습, 교육, 연구의 모든 영역에서 행동, 암묵적 개인적 지식 및 가치에 대한 비판적 성찰을 포함한다. 마음챙김은 규율discipline이며 마음의 태도다. 세상을 (자신이 보고 싶은 방식대로가 아니라) 있는 그대로 보기 위한 critical informed curiosity와 용기를 필요로 한다. 마음챙김적 실천가는 과거의 무의식적인 행동과 오류를 의식하는 것을 용인한다. 마음챙김의 목표는 광범위한 데이터를 사용하여, 올바른 결정을 내리고, 환자를 이해하고 고통을 덜어주는, 세상에서 온정적인 정보에 입각한 행동이다.

Mindfulness, critical reflection, learning, and patient care all “begin with the self as the first, but not the only, object of knowledge.”104 Mindful practice extends beyond examining the affective domains and involves critical reflection on action, tacit personal knowledge, and values in all realms of clinical practice, teaching, and research. Mindfulness is a discipline and an attitude of mind. It requires critical informed curiosity and courage to see the world as it is rather than how one would have it be. Mindful practitioners tolerate making conscious their previously unconscious actions and errors. The goal of mindfulness is compassionate informed action in the world, to use a wide array of data, make correct decisions, understand the patient, and relieve suffering.


마음챙김적 실천은 멘토링과 지도가 필요하다. 자신의 한계와 무능 영역에 대해 인식하는 것은 감정적으로 어려울 수 있으며, 의욕이 강한 의사들에게조차 회피심을 불러 일으킬 수 있다. 마음챙김은 개인적이고 주관적인 과정이지만, 우리들 각자는 이러한 속성을 구현하는 의사를 식별하고, 그들로부터 배우고, 자기-인식의 독특한 방법을 발견할 수 있다. 교육자들은 교육생들이 의식 함양을 위한 그들의 수단을 명시적으로 모델링함으로써 더 정신을 차릴 수 있도록 돕는 임무를 맡을 수 있다.

Mindful practice requires mentoring and guidance. Recognition of one’s limitations and areas of incompetence can be emotionally difficult and can invite avoidance in even highly motivated practitioners. Although mindfulness is an individual and subjective process, each of us can identify practitioners who embody these attributes, learn from them, and identify unique ways of being self-aware. Educators can take on the task of helping trainees become more mindful by explicitly modeling their means for cultivating awareness.















. 1999 Sep 1;282(9):833-9.
 doi: 10.1001/jama.282.9.833.

Mindful practice

Affiliations 

Affiliation

  • 1Department of Family Medicine, University of Rochester School of Medicine and Dentistry, New York 14620, USA. ronald_epstein@urmc.rochester.edu

Abstract

Mindful practitioners attend in a nonjudgmental way to their own physical and mental processes during ordinary, everyday tasks. This critical self-reflection enables physicians to listen attentively to patients' distress, recognize their own errors, refine their technical skills, make evidence-based decisions, and clarify their values so that they can act with compassion, technical competence, presence, and insight. Mindfulness informs all types of professionally relevant knowledge, including propositional facts, personal experiences, processes, and know-how, each of which may be tacit or explicit. Explicit knowledge is readily taught, accessible to awareness, quantifiable and easily translated into evidence-based guidelines. Tacit knowledge is usually learned during observation and practice, includes prior experiences, theories-in-action, and deeply held values, and is usually applied more inductively. Mindful practitioners use a variety of means to enhance their ability to engage in moment-to-moment self-monitoring, bring to consciousness their tacit personal knowledge and deeply held values, use peripheral vision and subsidiary awareness to become aware of new information and perspectives, and adopt curiosity in both ordinary and novel situations. In contrast, mindlessness may account for some deviations from professionalism and errors in judgment and technique. Although mindfulness cannot be taught explicitly, it can be modeled by mentors and cultivated in learners. As a link between relationship-centered care and evidence-based medicine, mindfulness should be considered a characteristic of good clinical practice.


감정 다루기: 의과대학생의 경험 공유에 대한 선호(Med Educ, 2016)

Dealing with emotions: medical undergraduates’ preferences in sharing their experiences

Joy M de Vries-Erich,1 Tim Dornan,2,3 Tobias B B Boerboom,1 A Debbie C Jaarsma4 & Esther Helmich




'모든 상황에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행동의 법칙은 [참여자들에게 "적응fit in"을 의무화하는 규칙]이다. (...) 개인은 '선good'해야 하고, 소란을 일으키면 안 된다. 그는 조립된 회사에 자신을 들이밀거나, 그들의 존재에서 너무 많이 철수하려고 시도하여 자신에게 지나친 관심을 끌지 말아야 한다. 그는 그 상황의 정신이나 기풍을 따라야 한다. 그는 de trop하거나 자리를 비우지 말아야 한다. 심지어 실제로 그와 참석한 다른 몇몇 사람들은 이것이 사실이 아니라는 것을 알고 있을 때 상황에 맞는 것처럼 행동하도록 요청될 때도 있을 수 있다; 어떤 상황에서 조화를 이루기 위해서, 만약 적절히 분위기를 맞추지 못하고 있다면 스스로 타협compromise하거나 심지어 위험을 감수하게endanger 요구받을 수도 있다.' (Goffman1, 1963)

‘The rule of behaviour that seems to be common to all situations is the rule obliging participants to “fit in”. (...) the individual must be “good” and not cause a scene or a disturbance; he must not attract undue attention to himself, either by thrusting himself on the assembled company or by attempting to withdraw too much from their presence. He must keep with the spirit or ethos of the situation; he must not be de trop or drop out of place. Occasions may even arise when the individual will be called upon to act as if he fitted into the situation when in fact he and some of the others present know this is not the case; out of regard for harmony in the scene he is required to compromise and endanger himself further by putting on an air of one who belongs when it can be shown that he doesn’t.’ (Goffman1, 1963).


도입

INTRODUCTION


정서적 경험과 정서적 경험이 전문적 정체성 발달에 미치는 영향이 의료교육에서 더욱 주목받고 있다.2,3 질병과 삶의 질의 저하, 또는 중증 질환으로부터 회복하는 환자와 그 가족을 접하는 것은 [이미 자신의 불확실성, 불안감, 스트레스를 다루고 있는] 청년들에게 강력한 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이다. 

Emotional experiences and their effects on development of professional identity are attracting increasing attention in medical education.2,3 They are doing so because encountering patients and their families struggling with illness and loss of (quality of) life or recovering from severe illness can have a powerful impact on young people, who are simultaneously handling their own uncertainty, anxiety and stress.4–7


(그들의 가장 초기 임상적인 만남에서부터, 임상실습을 거쳐 레지던트에 이르기까지) 의대생들은 그들이 경험하는 광범위한 감정들을 표현하는 것이 어렵다고 생각한다. 1,5,11. 학생들은 자신의 진심을 보여주는 것이 허용되지 않는다는 것을 알아차렸다.1,7 이것이 중요한 이유는 학생들이 가난한 웰빙, 불안, 우울증에 걸릴 위험이 높기 때문이다.12–16

Medical students, from their earliest clinical encounters,8 through clerkships9 and on into residency,10 find it difficult to express the broad range of emotions that they experience.1,5,11. Students noticed that they are not allowed to show their true feelings.1,7 This matters because students are at high risk of poor well-being, anxiety and depression.12–16


이전의 연구는 어떻게 개인의 웰빙이 레지던트의 공감을 높일 수 있는지를 보여주었다.17,18 감정을 인정받지 못한 의사들은 환자 돌봄에도 부정적 영향을 끼친다.19–21 감정은 사람들 자신의 정체성 감각사회적 직업적 정체성의 발달에 영향을 미친다.2,10,22,23 감정 경험을 동료들과 공유한다는 주장이 있다. 의료 커리큘럼 내에서 또래와 정서적 경험을 공유하는 것이 학생들의 전반적인 안녕과 전문적 정체성의 발달을 위해 중요하다고 주장한다.

Previous research has shown how personal well-being can enhance residents’ empathy,17,18 whereas unacknowledged emotions compromise doctors’ care of patients.19–21 Emotions are related to people’s own sense of self and influence development of social and professional identity.2,10,22,23 It is argued that sharing emotional experiences with peers within medical curricula is important for students’ overall well-being 13–16,24 and development of professional identity.22,25


우리는 의대생들이 어떻게 그들의 정서적 경험을 공유하는지, 그리고 왜 그런지를 이해하고 싶었다. 이 연구는 사회적 상호작용에 의해 정체성 발달이 어떻게 형성되는지를 설명하는 상징적 상호작용 이론을 지향하고 있다.28 고프만의 연극적 사회 이론[정체성을 '퍼포먼스'로 취급하는 이론의 집합체 중 하나]로 상징적 상호작용주의의 전통에 부합한다. 고프만에 따르면 사람들은 'construct'로 형성되는데, 이는 다른 사람들이 그들에게 부여한 의무나 기대와 같은 행동 규칙 때문이다. 또한, 개인들이 이러한 행동 규칙을 유지하려고 할 때, 그들은 그들 자신의 특정한 이미지를 유지하기로 약속한다. 그것은 그러한 행동 규칙을 위반하면 불명예를 얻게 된다. 고프만에 따르면 '퍼포밍performing'은 이러한 행동 규칙을 따르거나 외형을 유지하는 것을 말한다.

We wanted to understand how medical students share their emotional experiences and why. The study’s orientation was towards symbolic interaction theory,28,29 which explains how identity development is shaped by social interaction.28 Goffman’s dramaturgical social theory 29 is one of a group of theories that treat identity as ‘performance’, fitting the tradition of symbolic interactionism. Goffman explains that people are built up as ‘constructs’ due to rules of conduct, such as obligations and expectations, placed upon them by others. Also, when individuals try to maintain these rules of conduct they commit to keeping up a certain image of themselves, which is discredited when those rules of conduct are broken. To maintain these rules of conduct or keep up appearances, is considered performing by Goffman.30


고프만의 고전 작품들은 앞무대뒷무대 영역의 연극적 은유를 사용하여 인간이 어디에 있는지 누구와 함께 있는지에 따라 사회생활의 다른 부분에서 어떻게 다르게 수행하는지 설명한다.29 (자신에 대한 타인의) 인상을 형성하려는 사회적 욕구는 사람들이 자신의 자기 자신으로 퍼포먼스를 위한 무대를 꾸미는지를 결정한다.29 정체성 발달에 관해서, 고프만은 자아self를 [연기자의 자기표현]과 [연기에 반응하는 청중] 사이의 협상의 결과로서 개념화한다.29 정체성과 공연 사이의 상호작용을 홀랜드와 동료(1989)에 의해서도 다음과 같이 기술되었다: '사람들은 다른 사람들에게 자신이 누구인지 말하지만, 더 주목해야 할 사실은 자기 자신이 누구라고 말하고 다니는대로 스스로에게 말하고, 그에 따라 행동하려한다는 점이다'

The classic work of Goffman uses the theatrical metaphor of front and backstage areas to explain how humans perform differently in different parts of their social lives, depending on where they are and who they are with.29 A social need to create impressions determines how people stage their performances as themselves.29 As to identity development, Goffman conceptualises the self as the result of a negotiation between a performer’s presentation of self and the audience that reacts to the performance.29 The interplay between identity and performance was also described by Holland and colleagues (1989) as: ‘people tell others who they are, but even more important they tell themselves and try to act as though they are who they say they are’.31


이전의 연구는 의료 종사자들이 어떻게 환자 치료의 무대 앞 영역에서 사회적으로 적절한 행동을 보였는지를 보여주었지만, 의사들의 행동은 환자가 없는 무대 뒤에서 달랐다. 무대 뒤쪽에서 '비공식적 자아'를 표현할 수 있을 때, 무대 앞에서 보다 격식을 갖춘 역할을 수행할 수 있었고, 이로써 부적절한 행동을 예방할 수 있다. 적절하게 행동하기 위해서, 사람들은 그들이 일하고 있는 위치의 규칙(무대 앞-무대 뒤)에 따라 그들의 감정을 조절한다흥분, 험담, 유머와 같은 무대 뒤에서의 행동이 무대 앞에서의 행동을 가능하게 한다. 싱클레어는 의대생 교육이라는 맥락에서 고프만의 작품 33을 확대했다(그림 1).

A previous study showed how health care workers demonstrated socially appropriate behaviour in the front-stage area of patient care but their behaviour was different backstage, where no patients were present.32 When people can express their ‘unofficial selves’ in backstage areas, they can fulfil more formal roles on the front stage,29,32,33 which prevents inappropriate behaviour.34 In order to behave appropriately, people regulate their emotions 35 according to the rules of the position they are working in.29,34 Backstage behaviours, such as blowing off steam, gossiping and (morbid) humour, enable front-stage behaviour.32 Sinclair expanded Goffman’s work 33 in the context of educating medical students (Fig. 1).



  • 겉으로 보이는manifest 커리큘럼은 공식적인 프런트스테이지에서 가르치고 있으며, 환자, 가족, 의료 교육자 등이 참석한 가운데 공연이 진행된다.33 

  • 공식적인 백스테이지 영역에서의 활동도 환자 및 의료 교육자의 관점에서 볼 때 커리큘럼의 일부지만 보다 여유롭고 비공식적이다.29,33 

싱클레어 역시 학생 교육의 공식적 기능과 무관한 '비공식' 활동을 정의했다. 

  • 비공식적인 프론트스테이지 영역은 예를 들어 학생들과 교육자들이 교류하는 스포츠 대회였다. 

  • 비공식적인 백스테이지 영역도 있었는데, 그곳에는 직원이 없었다. 

마지막으로 무대 밖 구역이 있다. 이것은 의료기관 밖에서의 모든 활동을 의미하며, 학생들의 파트너, 친구, 가족들이 참여했다.

The manifest curriculum is taught on the official front stage, where performances in the presence of patients, families and medical educators take place.33 Activities in the official backstage area, out of view of patients and medical educators, are also part of the curriculum but more relaxed and informal.29,33 Sinclair also defined ‘unofficial’ activities that were unrelated to the official function of educating students. The unofficial front-stage area was, for example, a sports competition, in which students and educators interacted. There was also an unofficial backstage area, where no staff were present. Finally, there was an offstage area. This held all activities outside the medical institution 29,33 and was peopled by students’ partners, friends and families.


학생들이 그들의 정서적 경험을 토론할 수 있는 안전하고 지지적인 분위기를 제공할 목적으로 멘토 프로그램을 의료 커리큘럼, 12,14,16,25,36,37에 도입하는 경향이 두드러지고 있다.

There is a noticeable trend towards introducing mentor programmes into medical curricula,12,14,16,25,36,37 with the intention of providing a safe and supportive atmosphere in which students can discuss their emotional experiences.38,39


방법

METHODS


윤리적 고려

Ethical considerations


맥락

Context


배경은 네덜란드의 한 대학 의료 센터였다. 학부 의학 커리큘럼은 주로 이론적 지식 향상에 초점을 맞추고 자기성찰과 소그룹 세션에서의 튜터링를 포함한 3년간의 임상 전 학사 프로그램으로 구성된다. 다음의 3년 마스터스 프로그램에서 학생들은 4주에서 10주 사이에 길이가 다른 18개의 연속적인 임상 로테이션을 하면서 임상 기술과 전문적인 행동을 개발한다.

The setting was a university medical centre in the Netherlands. The undergraduate medical curriculum consists of a three-year pre-clinical Bachelor programme focused primarily on enhancing theoretical knowledge but including self-reflection and tutoring in small-group sessions. In the following three-year Masters programme, students develop clinical skills and professional behaviour during their participation in 18 successive clinical rotations, which vary in length between 4 and 10 weeks.


멘토 프로그램

Mentor programme


멘토 프로그램은 공식적 백스테이지 영역에 위치한다. 왜냐하면 프론트스테이지 영역은 개인적인 감정이나 의견의 표현을 장려하지 않는 것처럼 보이기 때문이다.29,32,33 학생들이 안전한 환경에서 또래들과 경험을 교환하여 웰빙을 증진시키고 정서적인 지원을 제공하며 전문적인 정체성 발전에 기여하도록 돕는 것이 목적이다.

The mentor programme is situated in the official backstage area because frontstage areas do not seem to encourage expression of personal feelings or opinions.29,32,33 The aim is to help students exchange experiences with peers in a safe environment in order to enhance well-being, provide emotional support and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professional identity.


본 연구의 멘토 그룹 세션은 '사회적 사건'에 대한 Goffman의 설명에 부합한다. 다음을 의미한다.

구조화된 사회적 맥락으로서,

종종 한 사이클의 부분으로서 미리 프로그램되어 있는데,

여기에는 (그리고 참여자가 적절하다고 인정하는) 동일한 사람, 공식 의제, 그룹 활동, 행동 패턴이 동반된다.

Mentor group sessions in this study fit Goffman’s description of ‘social occasions’: 

a structured social context, 

often programmed in advance as part of a cycle, 

with the same people, an official agenda or group activity and a pattern of conduct that is acknowledged by participants as appropriate.1


연구 그룹

Research group


표본

Sampling


우리는 처음 3명의 사무원이 피부과, 안과, 귀, 코, 목 수술이었던 5명의 여학생들의 편의 샘플로 시작했다.

We started with a convenience sample of five female students whose first three clerkships were dermatology, ophthalmology and ear, nose and throat surgery.


13개 멘토 그룹의 총 17명의 여학생과 2명의 남학생이 연구에 참여했다(표 1 참조).

A total of 17 female and two male students from 13 different mentor groups participated in the study (see Table 1).


자료 수집

Data collection


자료 분석

Data analysis


인터뷰는 녹음되어 문자 그대로 옮겨졌다. 우리는 질적 데이터 분석 소프트웨어 MaxQDA 버전 11(Verbi GmbH, 독일 베를린)을 사용하여 주제 데이터 분석을 지원했다.43 

    • Dramatural 이론이 이론적인 틀을 제공했는데, 우리는 대화의 내용이나 학생들이 어떤 감정을 경험했는지에 초점을 맞추지 않고, 어떤 '단계' 감정을 어떤 특정한 '관심'과 왜 공유했는지에 초점을 맞추었기 때문이다. 

    • 내레이션의 바로 그 행위가 정체성 구축의 행위라고 볼 수 있기 때문에, 44 우리는 또한 면담 그 자체를 학생-수행자와 면접관-청중간의 상호 작용으로서, 공동건설과 수행의 현장으로서 고려했다. 

    • 따라서 인터뷰 중 관찰된 비언어적 표현, 행동, 인터뷰 진행자가 경험하는 대응의 구체화 등이 모두 분석의 한 부분이었다.

Interviews were audiotaped and transcribed verbatim. We used qualitative data analysis software MaxQDA Version 11 (Verbi GmbH, Berlin, Germany) to support thematic data analysis.43 

    • Dramaturgical theory 29 provided the theoretical framework, because we did not focus on the content of the conversation nor on what emotions students experienced, but on which ‘stage’ emotions were shared, with what specific ‘audiences’ and why. 

    • As the very act of narrating can be considered an act of identity construction,44 we also considered the interview itself, being an interaction between the student-performer and the interviewer-audience, as a site of co-construction and performance. 

    • Therefore, non-verbal expressions, behaviours observed during the interview and embodied responses experienced by the interviewer, kept in logs, were all part of the analysis.


19개의 개별 인터뷰 후, 연구팀이 확인된 주제와 개념 사이의 상호작용을 이해할 수 있도록 충분한 데이터가 수집되었다. 두 주요 연구자(JdV-E와 EH)는 모두 19개 인터뷰 중 6개를 라인별로 코딩했다. 

    • 새로운 데이터가 여전히 수집되고 있는 동안 데이터 분석이 시작되어 반복적이고 지속적인 비교 프로세스가 이루어졌다.45 합의가 이루어질 때까지 개방형 코드가 논의되었다. 

    • JdV-E는 나머지 데이터를 코드화하고 그녀의 해석을 EH와 논의하여 더 깊은 이해를 구했다. 이 과정에서 그녀는 현상을 더 잘 이해하기 위해 끊임없이 대두되는 코딩 구조를 대본과 기존 문헌과 비교했다. 

    • 더욱이, 이러한 토론에서, 두 연구자들은 반사적인 대화, 면접관의 인터뷰와 반응 동안에 관찰에 대한 토론, 그리고 면접에서 학생들이 제정한 구체적인 성과를 어떻게 드러낼 수 있는지에 대해 토론했다. 

    • JdV-E는 해석이 어떻게 발전했고 어떤 결정이 내려졌는지를 추적하기 위해 반사 로그를 작성했다. 연구의 개념, 데이터 수집, 분석에 관여하지 않았던 연구자(TB)가 감사 추적을 조사하여 코딩 프로세스와 연구 프로세스의 신뢰성에 대한 확인 증거를 제공하는 결정을 재조사했다.46

After 19 individual interviews, sufficient data were collected for the research team to understand the interplay between identified themes and concepts. The two main researchers (JdV-E and EH) both coded six out of 19 interviews on a line-by-line basis. 

    • Data analysis started while new data were still being collected, resulting in an iterative, constant comparative process.45 Open codes were discussed until agreement was reached. 

    • JdV-E coded the remaining data and discussed her interpretation with EH to reach deeper understanding. During this process, she constantly compared the emerging coding structure against transcripts and the existing literature, in order to better understand the phenomenon. 

    • Moreover, in these discussions both researchers engaged in a reflexive dialogue, discussion of observations during the interviews and responses of the interviewer, and how these may reveal specific performances enacted by the students in the interviews. 

    • JdV-E wrote reflective logs to keep track of how interpretations developed and what decisions were made. A researcher (TB) who had not been involved in the conception of the study, data collection or analysis examined the audit trail, retracing the coding processes and decisions to provide confirmatory evidence of the trustworthiness of the research process.46 


결과

RESULTS


무대와 관객

Stages and audiences


비공식 백스테이지

청중: 동료 학생

Unofficial backstage

Audience: fellow students


대부분의 참가자들은 계획한 멘토 그룹이 제공하는 공식적인 무대 뒤에서보다는 비공식적인 무대 뒤에서 동료 학생들과 함께 자신들의 경험을 공유하는 것을 선호했다. [같은 상황]에 있는 것과 [같은 교실department]에 있는 것이 같은 멘토 그룹에 배정되는 것보다 더 중요해 보였다. 

Most participants preferred to share their experiences in the unofficial backstage area, with fellow students on wards, rather than the official backstage provided by planned mentor groups. Being in the same situation and working in the same department seemed more important than being assigned to the same mentor group: 


'그래, 내 동료 학생들은 내가 무슨 말을 하고 있는지 훨씬 더 잘 안다; 내 멘토 그룹에는 외과에서 일하는 사람들이 없었다. 몇몇은 내과, 몇몇은 소아과, 그래서 기본적으로 그들은 매우 다른 하루를 보낸다.' (P16)

‘ Yes, my fellow students know what I am talking about much better; in my mentor group there were no people working in the surgery department. A few did internal medicine, some did paediatrics, sobasically they have a very different day.’ (P16)


복도에서, 점심시간 동안 또는 사물함 옆에서 동료 학생들과 이야기하는 것이 예정된 멘토 그룹 세션을 기다리는 것보다 더 편리했다. 이미 그렇게 했기 때문에, 그룹 세션에서 다시 그렇게 하는 것이 어색해 보였다. 비공식적인 백스테이지보다 그룹 세션의 디자인과 타이밍은 토론을 하기에 덜 좋았conducive다.

Talking to fellow students in the hallways, during lunch hours or by the lockers was more convenient than waiting for scheduled mentor group sessions. Having done so, it seemed awkward to do so again in group sessions, whose design and timing were less conducive to discussion than conversations in the unofficial backstage:


'우리 과의 모든 동료 학생들과 매일 점심을 먹고 그날 누군가 감정적인 경험을 했다면 토론한다.'(P18)

‘ We have lunch every day with all the fellow students in our department and if someone has had an emotional experience that day, we discuss it.’ (P18)


오프스테이지

청중: 파트너, 부모, 친구 및 형제

Offstage

Audience: partner, parents, friends and siblings


일부 참가자들은 무대 밖에서 자신들의 감정을 공유하는 것을 선호한다고 말했다.

Some participants said they preferred to share their emotions offstage:


'글쎄, 나는 그것이 나에게 개인적으로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 부모님이나 파트너와 더 많이 공유한다고 생각해.' (P1)

‘ Well I think I share more about what it does to me personally with my parents or my partner.’ (P1)


오프 스테이지가 가치있었지만, 다른 기회를 대신하기보다는 보완하는 역할이었다. 게다가, 동료 학생들과 레지던트들이 자신들의 상황을 더 잘 이해하기 때문에 더 도움이 되었다. 이들과의 협의가 의료 기밀을 침해할 것이라는 우려는 줄어들었다.

Valuable as the offstage was, it complemented rather than substituted for other opportunities. Moreover, fellow students and residents were helpful listeners because they understood participants’ situations better. There was less concern that discussions with them would breach medical confidentiality:


'가족과 파트너에게 이야기하지만, 나를 좌절하게 한다는 것을 알아차렸다. 왜냐하면 "그것이 나에게 어떤 것인지 정말로 이해하지는 못할거야'라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P17)

‘I talk to my family and my partner but (...)I notice that it frustrates me because I think: you don’t really understand what it is like for me.’ (P17)


공식 백스테이지 영역

청중: 멘토와 동료 멘티

Official backstage area

Audience: mentor and fellow mentees


참가자들이 멘토 그룹 세션에서 감정 경험에 대해 이야기할 때에는, 그렇게 하기 위한 편안한 환경이 제공되었다. [다른 사람들로부터 배우는 것], [그들이 그러한 경험을 겪는 유일한 사람들이 아니라는 것을 깨닫는 것 것]은 그곳에서 감정적인 경험을 공유하는 중요한 이유였다.

When participants did talk about emotional experiences in mentor group sessions, these provided a comfortable setting to do so. Learning from others and realising they were not the only people going through such experiences were important reasons for sharing emotional experiences there:


참가자가 공식 백스테이지 내에서 정서적 경험을 공유하지 않는 주요 이유는 그룹의 규모와 불편함, 그럴 필요가 없다는 느낌이었다. 그룹 프로세스의 특징(멘토와 동료의 행동과 학습 환경의 안전)도 이들이 감정적 경험을 공유하지 못하게 할 수 있다.

The main reasons for participants not sharing emotional experiences within the official backstage area were the size of the group, feelings of discomfort and feeling no need to do so. Features of the group process (the behaviour of the mentor and peers and the safety of the learning climate) could also discourage them from sharing emotional experiences:


'멘토 그룹에서 언급하지 않는 이유는 많은 사람들과 함께 있기 때문이다. 마음에 걸리는 것이 있어도 그것을 7명과 동시에 그것을 공유하고 싶지 않다. 오히려 일대일 상황에서 끝까지 이야기하고 싶다.'(P12)

‘The reason not to mention it in the mentor group is being there with a large number of people. If there is something on my mind, I would not want to share that with seven people at the same time but rather talk it through in a one-on-one situation.’ (P12)



자기표현

Presentations of self


멘토 그룹 중 정체성 생성

Creating identities during mentor groups


면접에서 학생들은 자신의 자기표현을 다른 청중에게 맞추었고, 상황에 따라 어떻게 다른 정체성을 형성했는지를 보여주었다. 그들은 동료 멘티들의 가능한 반응을 고려했고 계획된 멘토 그룹 세션 동안 자신들에 대한 구체적인 프레젠테이션을 표현했다.

In the interviews, students showed they adjusted their presentations of self to different audiences, and how they constructed different identities depending on context. They took the possible responses of their fellow mentees into account and expressed an attuned presentation of self during the planned mentor group sessions:


내 멘토가 여기 같은 병원의 레지던트인 내 누나의 프리셉터가 되었다. 나는 이 것 때문에 내가 참고 있다는 것을 깨달았다. (P1)

‘Well ehm my mentor happens to be the preceptor of my sister who is a resident here at the same hospital, so I do notice I am holding back.’ (P1)


임상 작업 중 정체성 생성

Creating identities during clinical work


임상 작업 중 높은 기대에 직면했을 때, 참가자들은 인터뷰 중 자신의 내러티브와 퍼포먼스가가 사실 그렇지 않다는 것을 보여주었음에도 불구하고, 다른 사람들과 자신들에게 자신이 유능하다는 것을 확신시키기 위해 자신의 발표를 조정했다. 학생들은 때때로 환자나 프리셉터와의 상호작용 동안 자신감 높은 이미지를 보여줌으로써 그들의 진짜 감정을 숨기는 방법을 묘사했다.

When faced with high expectations during clinical work, participants adjusted their presentation of self to convince others and themselves that they were competent, even though their narratives and performance during the interviews showed that in fact they were not. They described how they sometimes masked their true feelings with an image of self-confidence during interactions with patients and preceptors:


'앞자리에 앉은 환자를 어떻게 대해야 할지 같은 상황은 너무 어색할 수 있기 때문에 정말 자신이 무엇을 하고 있는지 전혀 모르기 때문에 엄포를 놓아야 한다.'(P12)

‘Situations like how to deal with a patient that sits in front of you can be so awkward that you have to start bluffing because you really have no idea what you are doing.’ (P12)


모든 참가자는 임상 로테이션 중 발생하는 요구나 기대에 대해 선배 동료들로부터 '스토리'를 들었다. 서로 돕는 방법으로, 동료들은 서로에게 내부 정보를 공유하여서 그에 맞춰 자기표현self presentation을 조정할 수 있도록 했다.

All participants had heard ‘stories’ from senior peers about the demands or expectations made during clinical rotations. To help each other, peers provided participants with inside information so they could adjust their presentation of self accordingly:


'어떤 교사와 함께, 말이 되지 않는 말을 할 때, 그들이 '아 저 학생은 전혀 이해하지 못한다'고 생각하는 것을 두려워한다. [비공식 백스테이지의 동료들, JdV-E]에서는 우리가 질문을 적게 하면, 교사들이 당신이 더 많이 안다고 가정할 수 있기 때문에 더 높은 점수를 받는다고 한다. (P9)

‘With some preceptors, when you say something that doesn’t make sense, you are afraid that they think: ‘Oh that student does not understand it at all’. It has been said [by peers in the unofficial backstage, JdV-E] that if we ask less questions we get higher grades because preceptors may assume that you know more.’ (P9)


일부 참가자는 자신을 진정성authentically있게 표현하는 것에 어려움을 겪었다. 왜냐하면 조직에서 무언가를 요구했거나, 스스로 느낀 제약 때문이다. 어떤 학생은 [사람이 되는 것]과 [임상현장에서 의대생이 되는 것] 사이의 정체성 상실감과 혼란감을 다음과 같이 묘사했다.

Some participants struggled to represent themselves authentically because of the demands of the organisation or the restrictions they felt. One described a sense of identity loss and confusion between being a person and being a medical student in the workplace:


인터뷰 중 정체성 생성

Creating identities during interviews


마침내, 면접을 보는 동안, 학생들은 또한 면접관을 청중으로 하여 정체성을 창조하고 있었다. 이것이 우리가 Goffman을 명시적으로 build on하는 지점이며, 인터뷰 동안 참가자들의 행동과 퍼포먼스를 의도적으로 관찰하고, 공동건설 과정에서 인터뷰 진행자가 청중으로서의 갖는 영향력을 비판적으로 성찰했다. 상자 1에서는 관찰 및 구현된 응답과 함께 데이터의 작은 발췌본을 제시한다.

Finally, during the interviews, students were also creating identities, with the interviewer as the audience. This is where we explicitly build on Goffman, deliberately observing participants’ behaviours and performances during the interviews, and critically reflecting on the influence of the interviewer as the audience during this process of co-construction. In Box 1 we present a small excerpt of our data together with observations and embodied responses.




고찰

DISCUSSION


주요 결과

Main findings


대부분의 참가자들은 [다른 곳에서 일하는 동료 멘티들과의 계획된 멘토 그룹 세션]보다 [같은 과의 동료 학생들과 동시에 같은 일을 겪으며 대화]를 나누는 것을 선호했다. 계획된 멘토 그룹 모임에서 소수만이 그들의 감정적 경험을 공유했고, 그렇게 한 사람들은 그것이 도움이 되는 경험이라고 말했다. 그러나 우리는 학생들이 무대 밖에서도 동료 의대생, 레지던트, 의사들과 정서적 경험을 공유하는 것을 훨씬 선호한다는 것을 발견했다. 그들은 관객들에게 깊은 인상을 주기 위해 퍼포먼스를 조정하면서, 무엇을 누구와 공유할 것인지에 대해 어떻게 숙고했는지 서술했다. 아마도 그들은 다른 관객들에게 '평범한 사람들lay people'보다 동료 학생이나 의학 친구들에게 감동을 줄 필요가 덜하다고 느꼈을 것이다.

Most participants preferred to talk to fellow students in the same department, going through the same things at the same time, rather than during planned mentor group sessions with fellow mentees, working elsewhere. Only a minority shared their emotional experiences within the planned mentor group meetings, and those who did so said it was a supportive experience. We found, however, that, even offstage, students much preferred to share their emotional experiences with fellow medical students, residents and doctors. They narrated how they deliberated on what to share and with whom, adjusting their performances to impress the audience. Perhaps they felt less need to impress fellow students or medical friends than ‘lay people’ in other audiences.


다른 연구와의 관계

Relationship with other publications


자신의 전문 커뮤니티 내에서 감정 경험을 공유하고자 하는 선호도는 1차 그룹과 2차 그룹 간의 지원 간에 구별이 이루어지고 의대생들 사이의 전문적인 포괄성과 사회적 배타성에 관한 이전의 연구와 부합한다. 파트너, 가족, 친구 등 1차 그룹 멤버들과의 감정적 유대감은 더 강하지만, 이들은 오프스테이지 배우actor로서 구체적인 스트레스 요인에 익숙하지 않아 조언과 격려의 가치를 떨어뜨린다.

A preference to share emotional experiences within one’s own professional community agrees with previous research in which a distinction is made between support from primary and secondary groups and touches previous research on professional inclusivity and social exclusivity among medical students. Although the emotional ties with primary group members such as partner, family and friends are stronger, these offstage actors are unfamiliar with specific stressors, which reduces the value of their advice and encouragement.47,48


직장동료 등 2차 그룹 구성원은 (개인의 행복에 정서적으로 덜 투자되지만invested), 같은 사회 그룹에 속해 있으면 비슷한 경험을 바탕으로 하기 때문에 효과적인 정서적 지원을 할 수 있다. 의대생들의 연구는 직업적 포괄성inclusivity이라고 불렸던 직업적 가치를 공유하는 전문적 공동체에 소속되어 학생들의 직업적 정체성 발달이 어떻게 강화되는지를 보여주었다. 

Whilst secondary group members such as co-workers are less emotionally invested in an individual’s wellbeing, being part of the same social group allows them to provide emotional support that is effective because it is based on similar experiences.47 Research among medical students has shown how students’ development of professional identity is reinforced by a sense of belonging to a professional community with shared professional values, which was called professional inclusivity.49 


의대생과 경제대생을 비교한 결과 의대생들은 경제대생보다 의대생들 사이에 훨씬 더 많은 친구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훨씬 더 많은 의대생들이 그들의 코스메이트와 파트너였고 의대생만을 위한 스포츠 클럽과 활동을 갔으며, 64%가 다른 대학 활동으로부터 소외감을 느꼈다(경제대생은 13%).

A comparison between medical and economic students revealed that medical students had significantly more friends within their own medical faculty than economic students. Also, significantly more medical students were partners with their course mates and went to sport clubs and activities for medical students only and 64% felt isolated from other university activities, compared with 13% of the economic students.50 


전문적인 포괄성은 왜 우리의 참가자들이 그들의 전문 커뮤니티에 있는 사람들과 그들의 경험에 대해 토론하기를 선호하는지 설명할 수 있다. 아마도 이러한 선호도 역시 전문 커뮤니티나 팀의 일원이 되어 함께 외모를 유지하고 의사와 의대생에 대한 일반 대중의 기대에 부응해야 했던 결과였을 것이다.

Professional inclusivity could explain why our participants preferred to discuss their experiences with people in their professional community. Perhaps this preference was also a result of being part of a professional community or team, which had to keep up appearances together 29 and meet the general public’s expectations of doctors and medical students.


본 연구에서, 우리는 계획된 멘토 그룹을 사용하는 대신 비공식적인 감정 공유에 대한 선호를 발견했는데, 이는 비공식적인 동료 지원을 사회적 지원의 가장 많이 사용되는 원천으로 설명한 Burk와 Bender 26세의 연구와 일치한다.

In our study, we found a preference for informal sharing of emotions instead of using planned mentor groups, which is in line with research by Burk and Bender,26 who described informal peer support as the most used source of social support.


따라서, 사회적 배타성과 전문적 포괄성의 과정은 왜 학생들이 그들의 경험을 의료 동료들과 공유하기로 선택했는지 설명할 수 있지만, 그들이 [계획된 멘토 그룹 세션을 중심으로 만들어진] 공식적인 백스테이지 프로그램을 종종 사용하지 않는다는 것을 깨닫는 것이 중요하다.

Thus, processes of social exclusivity and professional inclusivity may explain why students chose to share their experiences with medical peers, but it is important to realise that they often do not use the formal backstage programme, which is built around planned mentor group sessions.


참여자들이 멘토에게 털어놓기 어려웠을 수도 있는데, 멘토들은 또한 프리셉터나 또는 임상실습 평가자로서 교수를 공식적으로 대표하여 프론트스테이지 영역에서 활동하기도 하기 때문이다. 권력을 가진 official staff으로서의 교수들의 위계적 지위가 학생들로 하여금 멘토 그룹 세션 동안 감정적 경험을 토론하는 것을 방해했을 수 있다. 싱클레어는 의대생들이 자신의 개인적 정보를 말해주는 것에 대해 얼마나 조심스러웠는지, 어떻게 공공의 조롱을 두려워해 고의로 이를 공개하지 않았는지 등을 설명하였고, 이것이 학생들이 멘토 그룹 세션에서 감정적 경험을 공유하기를 꺼리는 이유를 설명할 수 있다.

It may have been hard for participants to confide in a mentor, who also acts in the front-stage area as a preceptor or clerkship assessor and an official representative of the medical faculty. Their hierarchical positions as official staff members in positions of power may have prevented participants discussing emotional experiences during mentor group sessions. Sinclair described how cautious medical students were about giving away personal information and how they purposefully withheld it for fear of public derision,33 which may account for participants’ reluctance to share emotional experiences in mentor group sessions.


의과대학의 공식 영역 내에서 감정 경험을 공유하지 않는 또 다른 가능한 이유는 의과대학이 역량, 지식, 임상, 기술, 과학 기술의 담론에 초점을 맞추면서 태도와 감정과 같은 의학의 사회적 측면을 나타내는 돌봄의 담론이 빛을 잃게 만들기 때문이다.51 적합성suitability은 [돌봄의 담론] 안에서 [역량과 감정의 담론] 안에 위치하기 때문에, 학생들에게는 의사가 되기 위해 훈련하는 동안 감정을 표현하는 것이 적절하지 않을 수 있다는 메시지를 전달한다.

Another possible reason for not sharing emotional experiences within the official regions of the medical school is the focus of medical schools on the discourse of competence, knowledge, and clinical, technical and scientific skills, overshadowing the discourse of caring, which represents medicine’s social aspects such as attitudes and emotions.51 Because suitability is situated within the discourse of competence and emotions within the discourse of caring,51 a message is sent out to students that expressing emotions may not be the suitable thing to do while training to become a doctor.


강점과 한계

Strengths and limitations


우리가 남학생들을 포함시키려고 노력했지만, 이 연구의 주제는 주로 여학생들을 끌어들였고, 이것은 우리의 결과의 전달성을 제한할 수 있었다. 두 명의 주요 연구원이 모두 여성인 상황에서, 우리는 우리의 해석이 자연적으로 왜곡되어gendered 다른 환경으로의 전달가능성에 또 다른 위협을 가하는 것을 상상할 수 있다. 우리의 분석에 대해 상세한 설명을 하고, (공동구축이) 어떻게 언제 일어났는지를 보여줌으로써 신뢰도를 확보하기 위해 노력했다. 결국 성별에 있어서는 외모와 현실의 구분이 있다. 성별은 사회적으로 구성되는 연극적 행동performative act으로 보여질 수 있는데, 이는 거짓도 진실도 아니다.52

Although we tried to include male students, the topic of this study attracted primarily female students, which could limit the transferability of our results. With the two main researchers both being female (JdV-E and EH), we can even imagine our interpretation to be gendered in nature, posing another threat to transferability to other settings. By giving a detailed account of our analysis, showing how and when (co-)construction occurred, we tried to ensure trustworthiness. After all, when it comes to gender, there is a distinction between appearance and reality. Gender can be seen as a performative act, socially constituted, which can neither be false nor true.52


함의

Implications for medical practice


학부생들의 전문적 정체성의 발전을 도모하기 위해서는 의과대학의 프론트스테이지 영역에서 의사교육자가 감정표현을 장려하는 대안적 방법을 모색할 것을 제안한다. 기존의 멘토 프로그램은 같은 사무직에 있는 학생들과 아마도 2주마다 회의를 더 자주 예약함으로써 개선될 수 있다. 멘토에게는 비판단적 성찰 지원, 학부생들의 경험과 환자와의 의사소통 내면의 감정을 드러내는 데 중점을 둔 교육이 제공될 수 있었다.

In order to foster development of undergraduates’ professional identity, we propose that medical educators should explore alternative ways of encouraging them to express emotions in the front-stage areas of medical school. Existing mentor programmes might be improved by scheduling meetings more often, perhaps 2-weekly, with students in the same clerkship. Mentors could be offered training, focusing on supporting non-judgemental reflection, revealing undergraduates’ experiences and inner feelings in their communication with patients.


Implications for further research


결론

CONCLUSIONS


학생들은 청중들이 어떻게 반응하기를 기대하는지, 혹은 어떤 유형의 공연이 기대되는지에 따라 자기표현presentation를 협상한다. 그들은 그들의 감정 경험을 그들 자신의 전문 커뮤니티의 구성원, 가족, 친구들과 비공식적으로 토론하는 것을 선호한다고 보고했다. 왜냐하면 그들은 이 관객들이 가장 도움이 되는 방식으로 반응할 것이라고 예상했기 때문이다.

Students negotiate their presentation of themselves based on how they expect their audiences to respond or what type of performance they think is expected of them. They reported a preference to discuss their emotional experiences unofficially with members of their own professional community, family and friends because they anticipated that these audiences will respond in the most helpful way.











. 2016 Aug;50(8):817-28.
 doi: 10.1111/medu.13004.

Dealing With Emotions: Medical Undergraduates' Preferences in Sharing Their Experiences

Affiliations 

Affiliations

  • 1Department of Evidence Based Education, Academic Medical Center, University of Amsterdam, Amsterdam, the Netherlands.
  • 2Centre for Medical Education, Queens University Belfast, Belfast, UK.
  • 3University of Maastricht, Maastrich, the Netherlands.
  • 4Center for Research & Innovation in Medical Education, University of Groningen, Groningen, the Netherlands.

Abstract

Context: Patient care evokes emotional responses such as uncertainty, grief and pride in medical students. There is a need for opportunities to share and express such emotions because they influence students' professional development and well-being. There is a trend towards introducing mentor programmes into medical curricula. It remains unknown whether students are willing and able to share their emotional experiences within this formal setting. We set out to explore how medical students share their emotional experiences and why.

Methods: We used thematic analysis, including purposeful sampling, parallel processes of data collection and constant comparative analysis, maintaining an audit trail for validation purposes. The study had a constructivist, interactional design and used Goffman's dramaturgical theory as an interpretive framework. Nineteen students participated in individual, semi-structured interviews.

Results: Participants' narratives revealed a preference for sharing emotional experiences away from people who might expect them to uphold formal behaviour. They deliberately decided with whom to share their emotional experiences. Participants had a preference to talk to fellow students working in the same department, or family and friends outside medical school.

Conclusions: Participants found it difficult to uphold behaviours that they thought patients, preceptors or the organisation expected of them as future doctors. In adjusting their behaviour to meet those expectations, they became attuned to how to best present themselves based on the people present. This influenced how they chose which emotional experiences to share with whom.

의학교육이 전문직업적 감정상실을 유발하는가? 환자와 자신의 감정에 관심 기울이기(Acad Med, 2011)

Perspective: Does Medical Education Promote Professional Alexithymia? A Call for Attending to the Emotions of Patients and Self in Medical Training

Johanna Shapiro, PhD



알렉시티미아는 감정을 인지, 처리, 조절하는 데 어려움을 겪는 사람들을 묘사하기 위해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다—테일러 GJ, 백비 RM, 파커 JDA.영향 규제 장애: 알렉시스미인 의학 및 정신 질환, 1997

Alexithymia is a term used most commonly to describe people who have difficulties recognizing, processing, and regulating emotions. 

—Taylor GJ, Bagby RM, Parker JDA.Disorders of Affect Regulation: Alexithymiain Medical and Psychiatric Illness, 1997


감정 없이는 지식이 있을 수 없다. 우리는 진실을 알고 있을지 모르지만, 그 힘을 느끼기 전까지는 진실은 우리의 것이 아니다. 뇌의 인식에는 영혼의 경험이 더해져야 한다. —1867–1931년 영국의 소설가 겸 수필가 아놀드 베넷

There can be no knowledge without emotion. We may be aware of a truth, yet until we have felt its force, it is not ours. To the cognition of the brain must be added the experience of the soul. 

—Arnold Bennett, British novelist and essayist, 1867–1931


의대생들은 의대 교육 과정에서 자신과 환자 모두에게 일련의 강렬한 감정들에 직면하는 것은 놀랄 일이 아니다. 학생들은 그들이 동화시켜야 하는 방대한 양의 지식 때문에 지적, 인지적 압박을 경험한다. 그들은 긴 시간과 수면 부족과 관련된 상당한 신체적 스트레스를 받는다. 아마도 가장 도전적인 것은, 그들 자신이 종종 강렬한 감정을 경험하고 있는 환자와 가족들에게 매일 접촉한다는 것, 그리고 점차 책임감을 증가한다는 것이다.

Not surprisingly, medical students confront an array of intense emotions in both themselves and their patients over the course of their medical education. Students experience intellectual and cognitive pressures because of the vast quantities of knowledge they must assimilate. They undergo significant physical stress associated with long hours and lack of sleep. Perhaps most challenging, they have daily contact with, and increasing responsibility for, suffering patients and families who themselves are often experiencing intense emotions.


이러한 모든 상황은 학습자들에게 강력한 감정을 불러일으킨다. 임상적 만남에서 전이 문제(환자의 무의식적 성향으로 인해 젊은 시절의 중요한 타인과 관련된 의사 감정과 태도에 귀속되는)와 역전이 문제(환자의 감정, 경험 또는 문제에 대한 반작용에 대한 의사의 감정)은 이러한 감정 수프를 악화시킨다.1

All of these circumstances generate powerful feelings in learners. Issues of transference (a patient’s unconscious tendency to attribute to the physician feelings and attitudes associated with significant others in his or her early life) and countertransference (the physician’s feelings in reaction to the emotions, experiences, or problems of a patient) in clinical encounters exacerbate this emotional soup.1


연구에 따르면, 감정은 의사-환자 관계에서 [의사 결정, 정보 처리, 대인관계 태도와 같은 분야에서] 환자와 의사 모두의 행동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이 확고하다.4,5 의학 교육자들은 또한 [자신의 심리적인 삶을 살펴보고 받아들이는 것을 어려워하는 학생들]은 다른 사람과 공감적 연결을 하는 것도 어려워한다는 것을 발견했다.6,7

Research has firmly established that emotions influence the behavior of both patients and physicians in areas such as decision making, information processing,and interpersonal attitudes in the doctor–patient relationship.4,5 Medical educators also recognize that students who are not able to examine and come to terms with their own psychological lives find connecting empathically with others to be difficult.6,7


실제로 - 물론, 의학 교육이 문자 그대로의 전문직업적 감정상실을 촉진하는 것은 아니지만 - 의학교육은, 특히 잠재 교육과정의 작용을 통해, 학생들이 감정을 분리하고 거리를 두도록 장려하는 것 같다.

Indeed—although, of course, medical education does not literally promote professional alexithymia—much that occurs in medical education, especially through the action of the hidden curriculum,9 seems to encourage students to separate and distance themselves from emotions.


나는 Merriam-Webster 온라인 사전에 있는 "감정emotion"의 정의를 사용하고 있다. 

  • "a: 의식의 감정적인 측면 

  • b: 감정 상태; 

  • c: (분노나 두려움으로서) 주관적으로 경험하는 의식적인 정신 반응(분노나 두려움으로서)은 대개 특정 대상을 향한 강한 느낌으로, 일반적으로 신체의 생리적, 행동적 변화를 동반한다."10 

I am using the definition of “emotion” found in the Merriam-Webster online dictionary: 

  • “a: the affective aspect of consciousness; 

  • b: a state of feeling; 

  • c: a conscious mental reaction (as anger or fear) subjectively experienced as strong feeling usually directed toward a specific object and typically accompanied by physiological and behavioral changes in the body.”10 


나아가 나는 감정, 인지, 메타인지11의 복잡한 상호작용을 인식하고, 단순하게 말해서, '감정'을 언급할 때 이 관계가 존재한다고 볼 것이다.

Further, I recognize the complex interplay of emotion, cognition, and metacognition11 and posit the existence of this relationship when I refer, for simplicity’s sake, to “emotion.” 


마지막으로, 이 논문에서는 [일반적인 감정과 상황 특이적 스킬로서의 감정]의 두 가지를 모두 다룰 것이다. 감정을 다루는 기술의 일반적인 모델은 다음의 과정을 포함한다.

  • 감정을 식별하는 것, 

  • 주어진 임상 상황에서 의사의 환자 중심 목표를 진전시키는 데 있어 감정의 적절성과 유용성을 평가하는 것,

  • 필요에 따라 감정을 조절하거나 수정하는 것

Finally, I argue that working with emotions is both a general and a situation-specific skill. A general model for the skill set of working with emotions would include the process of 

  • identifying emotions, 

  • evaluating their appropriateness and usefulness in advancing the physician’s patient-centered goals in any given clinical situation, and 

  • working to modulate or reformulate them as needed. 


그러나 상황이 다르면 사람마다 다른 감정이 생기기 때문에 각각의 상황은 개별적인 기준으로 평가되어야 한다. 한편, 서로 다른 두 상황(예: 나쁜 소식을 전하고 죽음과 죽음을 논하는 것)이 학습자에게 유사한 감정(예: 무력감)을 불러일으킨다면, 그들은 한 상황에서 배운 것 중 일부를 다른 상황과 일반화할 수도 있다.

However, different situations trigger different emotions in different people, so each situation must be assessed on an individual basis. On the other hand, if two different situations (e.g., breaking bad news and discussing death and dying) evoke a similar emotion (e.g., helplessness) in learners, then they may generalize some of what they have learned in one situation to the other situation.


환자, 의대생 및 의사의 역할 모델에서의 감정

Emotions in Patients, Medical Students, and Physician Role Models


환자의 감정

Patients’ emotions


의대생들은 환자의 감정에 효과적으로 반응하는 법을 배워야 한다

    • 첫째로, 학생들은 어떤 주어진 상황에서든 환자의 감정을 인지하고 확인identify할 수 있어야 하며, 

    • 다음으로 환자의 감정을 듣고 이해하면서도 판단하지 않는다는 것을 전달할 수 있어야 하며, 

    • 마지막으로 그들은 환자의 가치와 바람에 기반하여, 가능한 (방해하기 보다는) 최선의 임상 결과를 촉진하는 방향으로 환자가 감정을 다룰 수work with 있도록 도울 수 있어야 한다. 

Medical students must learn to respond effectively to the emotions of their patients: 

    • First, students should be aware of and able to identify the patient’s feelings in any given situation; 

    • next, they should be able to convey that they hear and understand, yet do not judge, the patient’s feelings; 

    • and finally, they should be able to help the patient work with his or her emotions in ways that advance, rather than impede, the best possible clinical outcome based on the patient’s values and desires.


선행 연구는 환자의 감정이 임상 결과에 상당한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시사한다. 또한 compliance와 무관하게, 환자의 기분 상태가 의료 조건의 임상 결과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증거도 있다.

Prior research suggests that patients’ emotions may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their clinical outcomes. Evidence also shows that patients’ mood states, independent of compliance, may influence clinical outcomes in medical conditions


환자의 감정은 의사와 환자 관계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다.

Patient’s emotions can also influence the doctor–patient relationship.


또 다른 연구는 3학년 학생들 대다수가 환자나 동료들 앞에서 우는 것은 전문가답지 못하다고 믿는다는 것을 발견했다.31 게다가, 비록 학생들은 훈련이 진행될수록 덜 공감하고 더 무관심해질 것이라고 걱정함에도 불구하고, 그리고 비록 환자와 감정적인 관계를 맺고 싶어함에도 불구하고, 학생들은 환자를 향한 감정에 압도당할까봐 두려워한다.3,34

Another study found that a large majority of third-year students believed that crying in front of patients or colleagues is unprofessional.31 Further, although students worry that as their training proceeds they will become less empathetic and more apathetic,32 and although they want to establish emotional connections with patients,33 they also are afraid that they will be overwhelmed by their feelings toward patients.3,34


의대생의 감정

Medical students’ emotions


학생들은 환자의 감정을 인정하고 다루는 법을 배워야 할 뿐만 아니라, 학생들은 자신의 감정을 인지하고 다룰 수 있어야 한다. 정서적 디스트레스는 의대생과 레지던트들 사이에서 흔하다.26 학생들의 첫 번째 환자 접촉에 대한 한 연구에서 학생들은 심각한 질병과 죽음에 직면했을 때의 무력감과 불확실성을 보고했고, 신체 검사에 대한 초기 시도는 불안감을 유발하고 혼란스럽게 한다고 설명했다.27

Not only must students learn to acknowledge and deal with patients’ emotions, they must become aware of and address their own emotions as well. Emotional distress is common among medical students and residents.26 In one study of students’ first patient encounters, students reported feelings of helplessness and uncertainty when faced with serious illness and death, and they described their initial attempts at physical examination as anxiety-provoking and confusing.27


또 다른 연구는 3학년 학생들이 감사, 행복, 연민, 자부심, 안도감 등 긍정적인 감정을 경험했지만 (불확실성, 무력함, 책임감, 책임감, 존중 부족, 존중과 가치관의 충돌 등에 의해서 발생한) 불안, 죄책감, 슬픔, 분노, 수치심 등의 고통스러운 감정도 경험했다는 사실을 발견했다.28 이러한 감정의 범위를 확인하면서, 3학년 학생들의 다른 연구는 비록 환자와의 접촉이 보람 있다고 생각했지만, 학생들은 계속해서 불안, 스트레스, 무능함에 대한 두려움을 느낀다고 결론지었다.29 학생들은 또한 환자에 대한 공격성과 혐오를 경험할 수 있으며, 한 연구는 학생들이 환자들의 행동을 이유로 이러한 부정적인 감정을 합리화하거나 정당화하는 경향이 있다는 결론을 내렸다. 

Another study found that students in the third year of training experienced positive emotions such as gratitude, happiness, compassion, pride, and relief but that they also experienced emotions they found more distressing, such as anxiety, guilt, sadness, anger, and shame, triggered by uncertainty, powerlessness, responsibility, liability, lack of respect, and the conflict of values.28 Confirming this range of emotions, a different study of third-year students concluded that although students found patient contact rewarding, they continued to feel anxious, stressed, and fearful of not being competent.29 Students can also experience feelings of aggression and dislike toward patients, and one study concluded that students tended to rationalize or justify these negative feelings as appropriate because of patient behavior.2


학생들은 자신의 감정을 의심의 눈초리로 보는 것 같다. 예를 들어, 최근의 한 연구에서, 저자들은 잠재교육과정이 의사들로 하여금 자신이 감정을 겉으로 드러내는 것은 물론, 느끼거나 인정하는 것조차 하지 못하는 방향으로 규범을 계속 강화하고 있다고 추측했다.

Students seem to view their own emotions with some suspicion. For example, in one recent study,30 authors speculated that the hidden curriculum9 continues to reinforce norms against physicians’ displaying or even allowing themselves to feel or acknowledge emotion.


또 다른 연구는 환자의 정서적 고통을 인정하는 의사의 능력이 도전적인 임상 문제에 대한 토론을 시작하는 데 필수적인 첫 번째 단계라고 결론지었다.23 여전히 의대생들은 환자의 감정과 마주쳤을 때 당황하고 불편해하는 경우가 많다.24 한 연구에서 학생들은 분노, 짜증, 두려움, 불만족 등 부정적인 감정을 적어도 부분적으로는 환자 중심의 치료에 장벽으로 표현한 환자를 확인했다.25

Another study concluded that a physician’s ability to acknowledge patient emotional distress is an essential first step in initiating a discussion of challenging clinical issues.23 Still, medical students are often embarrassed and uncomfortable when confronted with patients’ emotions.24 In one study, students identified patients who expressed negative emotions such as anger, annoyance, fear, or dissatisfaction as a barrier, at least in part, to patient- centered care.25


의사 역할 모델이 감정을 다루는 방법

How physician role models deal with emotions


학생들은 레지던트와 주치의가 환자를 만나서 감정적 반응을 어떻게 표현하는지 주의 깊게 관찰한다.3 학생들은 감독관이 표현하는 적개심, 무관심, 좌절, 조급함의 부정적인 감정뿐 아니라 환자에 대한 배려, 동정, 친절의 긍정적인 감정도 금방 알아차린다.

Students pay careful attention to how residents and attendings express emotional responses in patient interactions.3 Students are quick to notice the negative emotions of hostility, indifference, frustration, and impatience that supervisors express—as well as the positive emotions of caring, compassion, and kindness shown toward patients.


일부 연구에서는 의사가 환자의 감정 상태를 정확하게 파악하지 못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암 환자에 대한 연구에서는 종양학자들이 환자의 감정 표현을 인식, 인정 또는 반응하는 데 어려움을 겪는 것으로 나타났다.40–42

Some studies have shown that physicians may lack accuracy in identifying their patients’ emotional states36–38; Studies of cancer patients have found that oncologists seemed to have trouble recognizing, acknowledging, or responding to their patients’ emotional expressions.40–42


의사가 환자의 감정에 반응할 때에도, 그들은 일반적으로 최소한의 공감(예를 들어, 더 깊은 감정의 탐구와 대조적으로 짧은 인정)만을 제공하므로, 39,43 환자의 고통에 대한 추가적인 탐색을 가로막는다. 또한 의사들은 감정적 탐색을 완전히 비껴가는 "차단 행동"(예를 들어, 눈맞춤을 피하거나, 대화 주제를 바꾸는 것)을 하는 경향이 있다. 

even when physicians do respond to a patient’s feelings, they typically offer only minimal empathy (e.g., brief acknowledgment in contrast to exploration of deeper feeling), which tends to discourage further inquiry into the patient’s distress,39,43 or they engage in “blocking behaviors” (e.g., breaking eye contact, changing the topic) that deflect emotional exploration entirely.44


의학 교육에서 현재 감정이 어떻게 다뤄지는가

How Emotions Are Currently Addressed in Medical Education


무시 및 불신

Ignoring and mistrust


의학 교육에서는 긍정적인 감정과 부정적인 감정 모두에 대해서 신뢰하지 못하는 것 같다. (환자를 좋아하고/또는 애정을 느끼는 것과 같은) 긍정적인 감정이 환자에게 영향을 미치는 문제 진단이나 다른 어려운 상황에 직면할 수 있는 의사의 능력을 잠재적으로 저해하는 것으로 보고 있다.

Both positive and negative emotions seem to be regarded with some mistrust in medical education. Positive feelings— such as liking and/or feeling affection for a patient—are seen as potentially inhibiting the physician’s ability to face either problematic diagnoses or otherwise difficult situations that affect the patient.45


반대로, 좌절, 분노, 무력감, 짜증, 혐오, 비난 등 부정적인 감정이 환자 관리를 부실하게 만들 수 있다는 우려도 정당화된다.

On the other side of the coin, concerns that negative emotions such as frustration, anger, helplessness, annoyance, dislike, and blame can result in poor patient care are justifiable:


감정 분리 및 거리

Emotional detachment and distance


그들의 정석 기사 "Vanquishing Virtue: 의학 교육의 영향" 쿨한과 윌리엄스는 이렇게 쓰고 있다. 

"북미 의학교육은 겉으로는 의사에 대한 전통적 가치 - 감정, 동정, 이타주의 - 를 중시하는 듯 보인다. 하지만 암묵적으로는 [감정적 분리, 자기의 이익, 객관성의 윤리]에 근거한 행동에 헌신하고 있다" 다른 사람들은 환자-의사 관계를 정의하는 패러다임의 변화와는 상관없이, 감정통제는 전체적인 원칙의 하나로 남아 있다는 것을 관찰했다. 의학 교육의 문화적 규범도 마찬가지로 정서적 분리, 감정적 거리, 임상적 중립성을 촉진한다.

In their seminal article “Vanquishing Virtue: The Impact of Medical Education,” Coulehan and Williams write, “North American medical education favors an explicit commitment to traditional values of doctoring—empathy, compassion, and altruism among them—and a tacit commitment to behaviors grounded in an ethic of detachment, self-interest, and objectivity.”48 Others have observed that regardless of the shifts in the paradigms defining the patient–doctor relationship, the overriding principle remains one of emotional control.49 The cultural norms of medical education likewise promote emotional detachment, affective distance, and clinical neutrality.50–52


학생들은 스트레스를 참을 수 있어야 하고 감정을 표현해서는 안 된다는 암묵적인 메시지를 받는다. 의대생들은 종종 스트레스를 받고 감정적으로 까다로운 임상 의학 환경에서 여전히 그들 자신의 감정 상태를 조절하는 방법을 배우고 있기 때문에 감정 분리에 특히 취약하다. 이 때 감정 분리는 유혹적인 해결책으로 보일 수 있다. 적어도 처음에는 학생들이 복잡하거나 스트레스로 느끼는 감정적 반응에 대해서 "아무것도 느끼지 않는다"는 식으로의 자기 보호를 제공하기 때문이다. 

Students receive the implicit message that they should be able to tolerate stress and not express emotions.53 Medical students are particularly vulnerable to emotional detachment because they are still learning how to modulate their own emotional states in the often stressful and emotionally demanding environment of clinical medicine.54 Emotional detachment may seem a tempting solution because, at least initially, “not feeling anything” provides a form of self-protection against emotional responses that the learner finds either complicated or distressing.


순수한 인지 과정으로서의 공감

Empathy as a purely cognitive process


의학교육 연구자들은 (공감에 대해서) 점점 더 순수하게 인지적인 접근방식을 채택하는 경향이 있다. Hojat et al58,59에 의해 공식화된 정의와 같은 정의는 

    • Sympathy가 감정적이고, 자기만족적이며, 공동의존적이며, 심지어는 불신적인 관행이 번아웃과 연민피로를 초래한다는 비판을 받는 것과 대조적으로, 

    • Empathy는 환자와 의사 모두에게 "항상" 좋은, 객관적이고, 합리적이며, 정확하고, 지적 과정으로, 간주한다. 

medical education researchers increasingly have tended to adopt a purely cognitive approach to defining the construct. Definitions such as the one formulated by Hojat et al58,59 identify 

    • empathy as an objective, rational, accurate, intellectual process that is “always” good for both patient and practitioner, 

    • in contrast to sympathy, which is criticized as an emotional, self- indulgent, codependent, even histrionic practice that will lead to burnout and compassion fatigue.


공감의 인지적 요소를 분리하기 위한 이러한 노력은 학습자의 식별과 측정이 용이하도록 구조를 만드는 효과를 가질 수 있다. 그러나 공감을 [(단순히 인지적인 이해뿐만이 아니라) 감정적 공명(즉, 임상 상황에 대응하여 감정을 보정하는 방법을 배우는 것)을 통합하는 과정]보다는 [인지 및 행동 기술 집합에 초점을 맞춘 공감 능력]을 가르치기 위한 공식으로 귀결될 수도 있다는 문제점도 있다. 

These efforts to separate out the cognitive elements of empathy may have the effect of making the construct easier to identify and measure in learners, but may also result in formulations for teaching empathy that focus on a set of cognitive and behavioral skills60 rather than a process that incorporates emotional resonance (i.e., learning to calibrate one’s emotions in response to the clinical circumstances) as well as cognitive comprehension.


감정을 가지고 능숙하게 작업하는 법을 배우는 것

Learning to Work Skillfully With Emotions


의학의 감정 주제를 다루기 위한 요구들이 주기적으로 등장하고 있다.1,46 그러나 이러한 호소는 의학이라는 기존의 문화적 규범에 도전하기 때문에 커리큘럼의 pervasive한 변화로 이어지지 않았다. 의사나 의학 교육자들은 감정의 어지러움과 명백하게 걷잡을 수 없는 것을 두려워할 수 있으며, 그들은 [감정을 변화시키는 것]보다 [인식을 수정하는 것]이 더 쉽다는 가정을 할 수도 있다.59

Calls to address the topic of emotions in medicine have emerged periodically.1,46 Yet these appeals have not led to pervasive curricular changes because they pose challenges to the existing cultural norms of medicine. Physicians and medical educators may be afraid of the messiness and apparent uncontrollability of emotions, and they may make the assumption that modifying cognition is easier than changing emotions.59


학생들은 그들 스스로 어려운 변화transition 동안, 그리고 윤리적 딜레마에 직면하여 경험하는 감정을 처리할 수 있어야 할 필요성을 인식하고 있다.32 게다가, 의대생들은 성공적으로 정서적 자각을 발달시킬 수 있다는 증거를 보여주고 있다.62

Students themselves recognize the need to be able to process the emotions that they experience during difficult transitions and in the face of ethical dilemmas.32 Further, evidence shows that medical students can successfully develop emotional self-awareness.62


감정으로부터의 분리는 번아웃 및 동정심 피로와 관련이 있다.63 인정되지 않은 감정은 시간 소모적인 임상적 어려움으로 이어질 수 있다(예: 환자의 의료적 치료법 준수 불량, 의사와의 환자 후속 조치 부족).46 많은 의사 및 의학교육자들은 [정서적 연결이 환자를 돌보고, 시간을 투자하고, 노력을 쏟고, 한걸음 더 나아가게 한다]고 볼 뿐만 아니라, [환자 상태가 나아지는 것에 대한 동정적 기쁨이나 환자의 고통이 완화되는 만족감과 같은 보상을 만들어 내는 것]으로도 이어진다고 믿는다.

Detachment from emotions is associated with burnout and compassion fatigue.63 Unacknowledged emotions can lead to time-consuming clinical difficulties (e.g., poor patient adherence to medical regimen, lack of patient follow-up with physician).46 Many physicians and medical educators believe that emotional connection not only leads to caring for, investing time in, expending effort for, and going the extra mile for a patient but also to producing rewards, such as sympathetic joy at a patient’s progress or satisfaction that a patient’s suffering has eased, for the physician.46,63–65


부정적인 감정에 대한 인식은 임상결과 뿐만 아니라, 어려운 환자-의사 관계를 개선하는 첫 번째 단계가 될 수 있67 그래서 이것들도 유익한 잠재력을 가지고 있다. 규제되지 않은 감정 반응은 임상적, 대인관계적 실수를 초래할 수 있지만, 의사는 그러한 오류에 대해 성찰하고 더 적절한 감정적 반응을 표현하는 법을 배울 수 있다.z

Awareness of negative emotions can be the first step in improving a difficult patient–doctor relationship,66 as well as clinical outcomes,67 so these also have beneficial potential. Although unregulated emotional reactions can likely lead to clinical and interpersonal mistakes, physicians can become reflective about such errors and learn to express more appropriate emotional responses.


개념 모델 및 교육학 도구

Conceptual Models and Pedagogical Tools


감성지능

Emotional intelligence


한 가지 유망한 개념은 다음과 같이 정의되는 정서 지능(EI)의 개념이다. 자기 자신과 타인의 감정에 대해서 다음을 하는 능력이다.

  • 인식 (감정의 존재에 대한 인식) 

  • 이해 (감정의 본질을 이해하고 서로 다른 감정 상태를 구별할 수 있음) 

  • 관리 (감정에 압도되거나 무시됨) 

  • 사용 (부정적인 환자 결과보다는 긍정적인 결과를 촉진하는 방식으로 감정을 경험, 인정 및 통합할 수 있는 능력) 

One promising concept is that of emotional intelligence (EI), defined as 

  • perceiving (awareness of the existence of emotions), 

  • understanding (comprehending the nature of the emotions and being able to discriminate different emotional states), 

  • managing (neither ignoring nor being overwhelmed by the emotions), and 

  • using (being able to experience, acknowledge, and integrate emotions in ways that promote positive rather than negative patient outcomes) 

  • one’s own and others’ emotions.68–70


감정조절

Emotion regulation


감정조절(ER), 즉 감정경험과 반응을 조절하는 능력, 72도 유망한 개념이다. 그 목표는 단순히 부정적인 감정의 하향 조절(축소)이 아니라 주로 환경 및 대인관계 우발상황의 변화에 적합한 인지적 재평가(즉, 감정적 대응방식을 바꾸기 위해 사고방식을 바꾸는 것)를 통해 저반응과 과반응 사이의 적절한 반응수준을 찾는 것이다73.

Emotion regulation (ER), or the ability to modulate one’s emotional experiences and responses,72 is also a promising concept. Its goal is not simply down-regulation (reduction) of negative emotions but, rather, finding a response between hypo- and hyper- arousal, primarily through a cognitive reappraisal (i.e., changing how we think in order to change how we respond emotionally) that is appropriate to changing environmental and interpersonal contingencies73;


어떤 이들은 ER의 변종으로 mindful emotion regulation을 제안했는데, 이는 골치 아픈 감정에 대응하여 의식 함양과 비활동성nonreactivity을 강조하는 것이다. 이러한 접근방식은 개개인이 자동으로 "미숙한unskillful" 감정에 사로잡히기 보다는 그들이 어떤 감정과 생각들과 동일시하는지를 의식적으로 선택할 수 있게 할 수 있다.

Some have proposed a variant of ER, mindful emotion regulation,73 which emphasizes cultivating awareness and nonreactivity in response to troublesome emotions. This approach may allow individuals to consciously choose which emotions and thoughts they identify with rather than automatically getting caught up in “unskillful” emotions;


관련개념

Related concepts


의료교육에서 감정을 탐구할 때 잠재적 가치의 다른 개념으로는 윤리학자 조디 할펜의 임상적 공감이라는 아이디어가 있는데, 이는 환자가 느끼고 있는 것에 대한 인지적 이해뿐만 아니라 세밀한 경험에 의존한다.

Other concepts of potential value in exploring emotions in medical education include ethicist Jodi Halpern’s46 idea of clinical empathy, which depends on a detailed experiential as well as cognitive understanding of what the patient is feeling.


관계 중심 치료76에는 영향을 주고 감정이 환자-의사 관계의 중심이 되는 사상이 핵심 원칙 중 하나로 포함된다.

Relationship-centered care76 includes as one of its core principles the idea that affect and emotion are central to the patient–doctor relationship.


감정적 자아 인식은 신경과학 연구에 기초하여 자아와 타인의 경험의 구분에 대한 인식이 공감의 결정적인 측면을 구성한다는 것을 입증한다.77

Emotional self-awareness is based on neuroscience research demonstrating that awareness of a distinction between the experiences of self and others constitutes a crucial aspect of empathy.77


월드와 동료는 감정적 회복탄력성을 감정적으로 도전적 상황에서 감정적 붕괴에 굴복하지 않는 역량으로 규정하면서 정서적 회복력 개념을 의학 교육의 세계에 적용했다.

Wald and colleagues78 have applied the concept of emotional resilience to the world of medical education, defining it as the capacity not to succumb to emotional collapse in emotionally challenging situations.


Coulehan79는 정서적 평형이라는 개념, 즉 정서적 안정(자기 자신의 감정이나 다른 사람의 감정에 압도되지 않는 능력)과 정서적 부드러움(다른 사람의 고통에 의해 감동되는 능력)을 결합한 균형을 제공한다.

Coulehan79 offers the concept of emotional equilibrium—a balance combining emotional steadiness (the capacity not to be overwhelmed by one’s own and/or another’s emotions) and emotional tenderness (the capacity to be moved by another’s suffering).


MBM(Mind-Body Medicine)은 흥미로운 가능성을 제공한다. 왜냐하면 그것은 환자의 전체 사람뿐만 아니라 의사의 자기 관리에도 영향을 미치기 때문이다.80–82

Mind– body medicine (MBM) offers interesting possibilities because it has implications for the self-care of physicians as well as care of the whole person of patients.80–82


감정 작업을 위한 도구

Tools for working with emotions


몇몇 교육자들은 학습자들의 감정적인 반응을 의식하기 위해 마음챙김 명상 훈련 64,85를 사용했다.

Several educators have used training in mindfulness meditation64,85 to bring mindful awareness to learners’ emotional responses,


서사 의학 87,88은 환자와 의사 경험의 감정적 차원에 관심을 가져온다.

Narrative medicine87,88 brings attention to the emotional dimension of both patient and physician experience.


일반적인 의료인문학, 특히 성찰적 글쓰기, 8,91 또한 학생들이 의학에서 감정과 자신의 역할을 더 잘 인식하도록 돕고, 임상 실습에서 감정의 역할에 대해 비판적으로 질문하는 방법을 배우고, 그 결과 다차원적 공감을 표현하는 데 도움을 준다는 측면에서 이론적, 일화적, 그리고 약간의 경험적 약속을 보여주었다.

The medical humanities in general,89,90 and reflective writing in particular,8,91 have also shown theoretical, anecdotal, and some empirical promise in terms of helping students to become more aware of emotions and their role in medicine, to learn how to critically question the role of emotions in clinical practice, and, as a result, to express multidimensional empathy.


학생들이 (내가 개인적으로 친숙한) 감정 관리 기술을 반영하고 개발할 수 있도록 돕는 또 다른 혁신적인 수단은 캘리포니아 대학교 어바인 의과대학이 제공하는 4학년 선택과목인 '닥터링의 예술'이다.

Another innovative means of helping students to reflect on and develop skills for managing emotions (with which I am personally familiar) is the fourth-year elective course, Art of Doctoring, that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Irvine, School of Medicine offers.



결론

In Sum


이 시점에서 의료진이 실제로 덜 이해하고 동의하는 것은 학생-의학자들이 이러한 감정을 인지하고 일할 수 있도록 어떻게 준비해야 하는가에 관한 것이다. 이론적이고 번역적인 작업이 많이 남아 있다.

At this point, what medical personnel actually understand and agree on less is how they should prepare student–physicians to be aware of and work with these emotions. Much theoretical and translational work remains to be done.



4 Oatley K, Keltner D, Jenkins JM. Understanding Emotions. 2nd ed. Malden, Mass: Wiley-Blackwell; 2006.


48 Coulehan J, Williams PC. Vanquishing virtue: The impact of medical education. Acad Med. 2001;76:598–605. http://journals.lww.com/ academicmedicine/Fulltext/2001/06000/ Vanquishing_Virtue__The_Impact_of_ Medical.8.aspx. Accessed November 15, 2010. XXX







. 2011 Mar;86(3):326-32.
 doi: 10.1097/ACM.0b013e3182088833.

Perspective: Does Medical Education Promote Professional Alexithymia? A Call for Attending to the Emotions of Patients and Self in Medical Training

Affiliations 

Affiliation

  • 1Program in Medical Humanities & Arts, University of California, Irvine, School of Medicine, Irvine, California, USA. jfshapir@uci.edu

Abstract

Emotions--one's own and others'--play a large role in the lives of medical students. Students must deal with their emotional reactions to intellectual and physical stress, the demanding clinical situations to which they are witness, as well as patients' and patients' family members' often intense feelings. Yet, currently few components in formal medical training--in either direct curricular instruction or physician role modeling--focus on the emotional lives of students. In this article, the author examines patients', medical students', and physician role models' emotions in the clinical context, highlighting challenges in all three of these arenas. Next, the author asserts that the preponderance of medical education continues to address the emotional realm through ignoring, detaching from, and distancing from emotions. Finally, she presents not only possible theoretical and conceptual models for developing ways of understanding, attending to, and ultimately "working with" emotions in medical education but also examples of innovative curricular efforts to incorporate emotional awareness into medical student training. The author concludes with the hope that medical educators will consider making a concerted effort to acknowledge emotions and their importance in medicine and medical training.


의과대학의 어떤 경험이 전문직정체성발달을 시작하게 하는가? (Teach Learn Med, 2018)

What Experiences in Medical School Trigger Professional Identity Development?

Denise Kay, Andrea Berry , and Nicholas A. Coles

Department of Medical Education, University of Central Florida College of Medicine, Orlando, Florida, USA




도입

Introduction


2010년 카네기 재단은 의과대학 교육과정이 학생과 레지던트의 전문직업적 형성professional formation을 위한 지원 학습 환경을 제공할 것을 권고했다.1

The 2010 Carnegie Foundation call for reform of medical education recommended that the medical school curriculum provide a supportive learning environment for professional formation of students and residents.1


단독으로든 여러가지의 조합으로든, 다양한 발달 이론을 적용하여 다양한 관점에서 전문적인 아이덴티티 형성을 탐구하고 PIF를 다양한 방식으로 설명할 수 있다. 어떤 사람들은 그것을 정신사회적인 과정으로 개념화하고, 다른 사람들은 사회화 과정으로, 그리고 다른 사람들은  식별identification의 과정으로 개념화한다. 어떤 사람들은 PIF를 의과대학에서의 경험으로 인한 결과로 설명한다. 예를 들어, 의과대학 입학 첫날의 representation, 임상 기술 훈련 동안의 정체성에 대한 인식, 임상 전 훈련 동안의 자기 성찰, 그리고 죽음에 대한 첫 번째 경험..등

Applying various developmental theories, alone or in combination, these presentations explore professional identity formation from a variety of perspectives and describe PIF in different ways. Some conceptualize it as a psychosocial process, others a socialization process, and still others a process of identification. Others provide more personal accounts of PIF as a result of some component of the medical school experience, such as medical students’ representations of their profession on the 1st day of medical school,13 perceptions of identity during clinical skills training,14 self-reflections during preclinical training,10 and the first experience with death.15


의학 교육자들은 학생들이 의사로서 자기자신의 정체성 발달을 이해할 수 있는 기회를 갖는 교육학적 공간을 만들도록 권장된다.8

Medical educators are encouraged to create the pedagogical space wherein students have an opportunity to understand the development of their own identities as doctors.8


그러나, 이미 빽빽하게 압축된 커리큘럼에서, 커리큘럼은 효율성이 필요하고, 따라서 PIF를 위해 설계된 교육적 개입은 가장 효과적인 타이밍에 배치되어야 한다고 요구받는다. 하지만 그게 도대체 언제인가?

However, in an already compact and compressed curriculum, the need for curricular efficiency demands that educational interventions designed to shape professional identity formation be deployed when they will be most effective. But when is that?


이전 문헌에서는 의대생들에게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충격적 경험들을 강조하고 있다; 

  • 흰 외투 의식, 

  • 사체와의 첫 경험 또는 생살을 자르는 경험, 

  • 처음 성병력를 청취한 경험, 

  • 외상팀을 처음 지휘한 경험, 

  • 사망을 목격하는 경험들. 3,8,12,15 

Previous literature highlights impactful experiences common to medical students; 

  • the white coat ceremony,18 

  • the first experience with a cadaver or with cutting live flesh,8 

  • taking the first sexual history,18 

  • leading a trauma team for the first time,8 or 

  • the first time witnessing death.3,8,12,15 


이러한 첫 번째 경험들은, 때로는 통과의례나 위기로 묘사되는데, 학생들이 생각하고, 알고, 세상을 보는 방식에 영향을 미치는 인지 불연속부cognitive discontinuities를 일으킨다.8 개념 변화 이론에 따르면, 인지 불연속성 또는 인지 불안정성은 개념 변화를 활성화한다.19,20

These firsts, sometimes described as rites of passage18 or crises, introduce cognitive discontinuities that influence the way students think, know, and see their world.8 According to conceptual change theory, cognitive discontinuity or cognitive disequilibrium activates conceptual change.19,20


개념 변화 이론에 따르면, 개념 변화는 개인이 인지적 갈등cognitive conflict을 경험할 때 시작되는데, 이는 피아제가 인지 불안정disequilibrium을 언급한 것과 비슷하다. 피아제트에 따르면, 개인은 자신과 환경 사이의 안정된 상태나 평형을 추구한다. 그 평형이 붕괴되었을 때, 결과의 불안정 상태가 현재 개념의 변화 필요성을 촉발한다.21 피아제의 이론과 개념 변화 이론 모두 인지 평형으로의 회귀가 이루어지는 과정이라는 점에서 맞닿아 있다. 현재 개념화에 대한 최소한의 개념적 재구성(감정 또는 약한 구조조정)이나 유의적인 조직적 재구성(취약 또는 급진적 구조조정)이 필요할 수 있다.19-21 인지불균형이 발생하면, 개인은 논리적이고, 설득력있고, 도움이 되는 새로운 개념화를 채택하여 불안정을 조정한다.19

According to conceptual change theory, conceptual change is initiated when individuals experience cognitive conflict, a phenomenon that Piaget referred to as cognitive disequilibrium. According to Piaget, individuals seek a steady state or equilibrium between themselves and their environment. When that equilibrium is disrupted, the resulting state of disequilibrium triggers the need for a shift in one’s current conceptualization.21 Both Piaget’s and conceptual change theories blend in relationship to the process wherein the return to cognitive equilibrium is attained. It may require minimal conceptual reorganization (assimilation or weak restructuring) or significant reorganization (accommodation or radical restructuring) of the current conceptualization.19–21 When cognitive disequilibrium is introduced, individuals reconcile the disequilibrium by adopting new conceptualizations that are intelligible, plausible, and fruitful.19


우리는 개념 변화 이론이 의과대학에서 의대생의 자기 인식, [즉 전문직으로서 자기자신self-in-profession에 대한 순진한naive 이론이 어떻게 도전받는지]를 이해할 수 있는 가능성을 가지고 있어 자아 인식과 관련된 인지적 구조조정의 필요성을 촉발한다고 믿는다. 현재 문헌에서 언급된 예들은 다양한 수준의 인지불균형을 도입할 수 있지만, 의대생들의 불안정이 도입되었을 때, 그들이 이러한 위기 경험을 어떻게 조화시키는지, 그리고/또는 인지 구조조정이 일어나는지에 대한 논의는 적다. Jarvis-Selinger8은 의과대학에서의 이러한 경험들이 학생들의 PIF에서 "취약할 수 있는 기간vulnerable periods"을 나타낸다고 제안했다.

We believe that conceptual change theory holds promise for understanding how medical students’ self-perceptions, or naїve theories of self-in-profession, are challenged in medical school, thus triggering the need for cognitive restructuring related to perceptions of self. Although examples mentioned in the current literature may introduce varying levels of cognitive disequilibrium, there is less discussion of medical students’ experiences of when disequilibrium is introduced, how they reconcile these crisis experiences, and/or if cognitive restructuring takes place. Jarvis-Selinger8 suggested that these experiences in medical school represent “vulnerable periods” in students’ PIF.


방법

Methods


세팅

Setting


(우리 대학의) 커리큘럼 정책은 수동적 형태의 학습을 제한하기 때문에(40% 미만) 프로그램에서는 최신 기술, 가상 및 표준화된 환자와의 상호작용, 임상 및 실험실 경험, 연구, 촉진자 주도 소그룹 세션, 팀 기반 학습, 대화형 강의 등을 사용하여 학습 환경을 강화한다. 그리고 학생 중심의 학습과 지식의 응용을 강조한다.

Curriculum policies limit passive forms of learning (less than 40%) so the program uses state-of-the-art technology, interactions with virtual and standardized patients, clinical and laboratory experiences, research, facilitator-directed small-group sessions, team-based learning, and interactive didactic lectures to enhance the learning environment and emphasize student-centered learning and application of knowledge.


교육과정(즉, 다양한 교육학적 접근법을 실험하는 새로운 학교)의 잠재적 특수성을 인식하면서, 더 큰 질적 프로젝트를 통해 우리의 의도는 학생들이 다양한 교육적 접근법을 학습을 향상시키기 위해 어떻게 활용하는지 이해하기 위해 학생들의 경험에 대한 광범위한 관점을 얻는 것이었다.다양한 교육 경험들이 어떻게 그들에게 의사처럼 "의사"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했는지도 잘 알고 있다.

Recognizing the potential uniqueness of our curriculum (i.e., a new school experimenting with diverse pedagogical approaches), our intent with the larger qualitative project was to gain as broad a perspective of the students’ experiences as feasible to understand how students utilize the diverse instructional approaches to enhance their learning, as well as how the various educational experiences afforded them opportunities to “feel” like a doctor.


대상

Subjects


일차 자료원

Primary Data Source.


연간 초점 그룹 수는 표 1에 제시되어 있다.

The number of focus groups per year are provided in Table 1.


이차 자료원

Secondary Data Source.


교육과정 4년 동안의 모든 과정과 사무직에 대한 학생 평가의 코멘트는 데이터 감소 및 인터뷰 데이터의 심층 분석 과정에서 파악된 주제를 더욱 심층적으로 탐구하기 위한 2차 데이터 소스로 활용되었다.

Comments from student evaluations for all courses and clerkships across the 4 years of the curriculum were used as a secondary data source to further explore themes identified during data reduction and in-depth analysis of interview data.




자료 분석

Data analysis


질적 분석은 NVivo 10에서 사용할 수 있는 도구를 사용하여 수행되었다. 면접 데이터의 전통적인 정성 분석은 데이터 감소와 내부 코딩이 뒤따르기 전에 면접을 기록해야 하기 때문에 장황하고 번거롭다.

Qualitative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the tools available in NVivo 10. Traditional qualitative analysis of interview data is lengthy and cumbersome as interviews need to be transcribed before data reduction and indepth coding can ensue.


텍스트의 질적 분석을 실시하기 위한 다양한 접근방식이 있지만, 오디오 텍스트의 분석과 관련된 유사한 프로세스를 기술하는 자원은 확인할 수 없었다. 우리는 오디오 데이터 분석을 위한 조직적 프레임워크로서 일반적으로 서면 텍스트와 관련된 기존 내용분석 원칙을 적용하기로 결정했다.

Although there are a variety of approaches for conducting qualitative analysis of text, we were unable to identify any resource that described similar processes related to analysis of audio text. We elected to apply principles of conventional content analysis,25 typically associated with written text, as an organizing framework for analysis of audio data.


모든 저자가 데이터 감소와 분석에 기여했다. 저자들의 관점은 교육심리학(DK), 조직이론과 업무중심 학습평가(AB), 인지 및 영향(NC) 등 다양한 직업적 배경에서 알려진다. 우리는 처음에 확인된 개념에 대한 공통의 이해를 확립하기 위해 함께 또는 짝을 지어 일했다. 이것이 성립되면서 작가들은 독자적으로 활동했다.

All authors contributed to the data reduction and analysis. The authors’ perspectives are informed from diverse professional backgrounds, including educational psychology (DK), organizational theory and work-based learning and assessment (AB), and cognition and affect (NC). We initially worked together or in pairs to establish a shared understanding of the identified concepts. As this was established, authors worked independently.


이론적 및 선택적 코딩23은 많은 수의 참조 출처(높은 수의 초점 그룹/인터뷰)에 걸쳐 표현된 개념에만 적용되었다.

Theoretical and selective coding23 were applied only to those concepts represented across a high number of reference sources (high number of focus groups/interviews).


이론적 코딩

Theoretical Coding:


이론적 코딩은 연구자가 데이터 감소reduction의 초기 단계에서, 동일한 개념(노드 또는 하위 노드)에 할당된 다른 데이터와 비교하여 원래 데이터 소스의 맥락 안에서뿐만 아니라 현재 데이터를 재방문할 수 있게 한다. 이 과정에서 연구자들은 식별된 개념을 더 깊이 이해할 수 있으며, 이 지식을 통해 다른 주제(노드) 또는 하위 주제(하위 노드)와의 관계 및/또는 전체 연구 초점과의 관계에 대한 가설을 세울 수 있다. 이 단계에서는 데이터의 새로운 개념화가 나타나기 시작한다.

Theoretical coding allows the researcher to revisit the data, not just within the context of the original data source but now in comparison to other data assigned to the same concept (node or subnode) during the initial stages of data reduction. In this process, researchers are able to gain a deeper understanding of the identified concept and, with this knowledge, hypothesize about its relationship to other themes (nodes) or subthemes (subnode) and/or about its relationship to the overall research focus. In this stage, new conceptualizations of the data begin to emerge.


표 2에 열거된 카테고리별 이론 코딩을 실시했다. 이 분석 수준 동안 새로운 테마가 나타날 경우 이 범주 내의 데이터는 재할당되었다. 주제가 등장하면서 학생평가의 코멘트를 포함하도록 질의를 확대했다.

We conducted theoretical coding for each category listed in Table 2. Data within these categories were reassigned if new themes emerged during this level of analysis. As themes emerged, we expanded our inquiry to include comments from the student evaluations.


표 3은 이 코딩 프로세스에서 도출된 전문적 아이덴티티 개발과 관련된 새로운 주제를 나열한다.

Table 3 lists the new themes related to professional identity development derived fromthis coding process.


선택적 코딩

Selective coding:


선택적 코딩에서, 연구자들은 분석의 이전 단계에서 식별된 여러 테마를 연결하는 중심 조직 개념을 식별하고 설명하려고 한다. 이러한 핵심 개념은 분석의 초기 단계에서는 분명하지 않을 수 있지만, 이 수준에서는 새로운 방식으로 데이터를 연결하고 조사 중인 현상에 대한 새로운 개념화를 제공한다. 다음에 제공되는 결과는 "개념 변동"과 "인지적 충돌" 범주의 선택적 코딩에서 도출된다.비록 이론적 코딩 중에 분석의 일부 단위가 이 두 범주에 모두 할당되었지만, 이러한 개념들은 9개의 포커스 그룹/인터뷰에서 독립적으로 제시되었다.

In selective coding, researchers seek to identify and elucidate the central organizing concepts that connect multiple themes identified in previous stages of analysis. These core concepts may not be evident in earlier stages of analysis but, at this level, connect the data in new ways and provide a new conceptualization of the phenomenon under investigation. The results provided next derived from selective coding of the categories “conceptual shift” and “cognitive conflicts.”Although some units of analysis were assigned to both of these categories during theoretical coding, these concepts independently presented in nine focus groups/interviews.




결과

Results


개념 변화 이론을 이용하여, 우리의 의도는 인지 불안정이 도입되고 학생들의 현재 자기 자신에 대한 개념화가 도전받는 경험의 본질, 그 경험의 영향, 그리고 가능하면 불안정성이 어떻게 조정되는지를 파악하는 것이었다. 학생들의 경험 중에서 인지불균형을 발생시키고 뒤이어 다음 개인적 신념 및 현재의 자아 개념화의 변화로 이어진 네 가지 기간을 확인했다. 

  • (a) 학부생에서 의대생으로 전환, 

  • (b) 전임상 기간의 임상 경험 

  • (c) 비지니스로서 의료에 노출 

  • (d) 임상현장에서 의사에게 노출되는 경우.

Using conceptual change theory, our intent was to identify the nature of experiences where cognitive disequilibrium was introduced and students’ current conceptualizations of self were challenged, the impact of those experiences and, when possible, how the disequilibrium was reconciled. We identified four periods wherein students’ descriptions of their experiences represented examples of cognitive disequilibrium followed by a shift in their personal beliefs and/or current conceptualizations of self: 

  • (a) transition from undergraduate student to medical student, 

  • (b) clinical experiences in the preclinical years, 

  • (c) exposure to the business of medicine, and 

  • (d) exposure to physicians in clinical practice.


대학생에서 의대생으로 전환

Transition from undergraduate student to medical student


우리는 모두 의대를 파악하여 학생이 된다는 것이 무엇을 의미하는지, 그리고 당신이 하고자 하는 일에 성공한다는 것이 무엇을 의미하는지 좋아하려고 노력하고 있다.(M1 학생)

We’re all trying to figure out medical school and like what it means to be a student and what it means to succeed in what you’re trying to do. (M1 student)


의과대학에 들어가기 전의 생활에 대한 참가자들의 서술은 그들의 "개인적인" 삶과 "학생적인" 삶 사이의 뚜렷한 경계를 강조한다. 학생들은 의과대학에 들어가기 전에 다양한 취미와 관심사를 가지고 있다고 보고했다. 그러나, 많은 참가자들에게 있어서, 의과대학의 요구에 적응한 결과, 그들의 개인 생활과 학생 생활 사이의 경계가 약화되었다. 일부 참가자는 입학 전 삶과의 관계를 어느 정도 유지하고 의대의 요구를 여전히 관리할 수 있었지만, 학생들은 공통적으로 단일한 정체성singular identity으로의 전환이 나타났다고 묘사했다. 예를 들어, 한 학생은 이전에 다양한 학부 사회 생활에도 불구하고 의대생으로서의 그녀의 지위가 이제 그녀에 대한 유일한 흥미거리라고 말했다. 또 다른 학생은 자신의 삶이 이제 공부 중심으로 돌아간다는 사실을 암시하면서 의대의 요구가 "훨씬 더 희박한 모습의 나"(M2 학생)를 만들어냈다고 인정했다.

Participants’ descriptions of their lives prior to medical school highlight a distinct boundary between their “personal” and “student” life. Students reported engaging in diverse hobbies and interests prior to medical school. However, for many participants, the boundary between their personal and student life eroded as a consequence of adapting to the demands of medical school. Although some of the participants were able to maintain some semblance of their previous life and relationships and still manage the demands of medical school, a shift toward a singular identity emerged as a common theme portrayed by students. For example, one student stated that, despite her previously diverse undergraduate social life, her status as a medical student is now the only interesting thing about her. Another student, alluding to the fact that his life now revolves around studying, conceded that the demands of medical school created “a much lamer version of myself” (M2 student).


단일 정체성으로의 자기 이동은 개인적인 관계에도 영향을 미쳤다. 한 학생은 "의대 다니면서는 가족과 보낼 시간이 없다"(M2 학생)고 말했다. 또 다른 학생(M3)은 예비 파트너가 자신의 바쁜 생활방식을 이해하지 못하기 때문에 의과대학에서 연애의 어려움을 설명했다. 결과적으로, 그녀는 외부인과 사귀지 않는 것을 고려했고, 그녀가 차라리 그 직업 내에서 공감하고 친근한 동료들과 어울릴 것이라고 언급했다.

The self-portrayed shift to a singular identity also impacted personal relationships. One student commented that “there is no time for family in medical school” (M2 student). Another student (M3) described the difficulties of dating in medical school, as potential partners do not understand her busy lifestyle. As a result, she considered not dating outsiders, noting she would rather socialize with her empathetic and relatable peers within the profession.


몇몇 학생들은, 사회적 환경에서, 공감과 동정심과 같은 "의사적인" 자질을 보여주지 못했을 때, 가족이나 친구들에게 받은 지적disapproval을 묘사했다. 몇몇 학생들은 학생 의사처럼 행동하지 않는 것이 받아들여질 때가 언제인지를 공개적으로 고민하면서, 그들이 그들의 사적 삶에서 의사로서의 자질을 지키지 못할 경우에 발생한 불협화음을 경험했을 때의 사건을 묘사했다. 예를 들어, 응급 상황에서 의사의 도움을 받기 위한 공고에 응답하지 않은 것에 대해 죄책감을 느꼈을 때를 묘사했다. 비록 아무것도 하지 않은 것은 정당화되었지만, 그 사건들은 학생들의 practice의 범위와 직업적 역량에 관한 인지적 갈등을 유발했고, 그 반응의 여부와 방법을 결정하고 나중에 그들의 반응을 합리화했다.

A few students described the disapproval of family members or friends when, in a social setting, the students failed to demonstrate “doctorly” qualities, such as empathy and compassion. Several students openly contemplated when it is acceptable to not act like a student doctor, describing incidences when they experienced dissonance if they failed to uphold doctorly qualities in their personal lives. For instance, a couple of students shared incidences when they felt guilty for not responding to a public announcement for a doctor’s assistance in an emergency situation. Although the inaction was justified, the events introduced cognitive conflict regarding scope of practice and professional competence for students, in both determining if and how to respond and later rationalizing their responses.


전임상 시기의 임상경험

Clinical experiences in the preclinical years


나에게 있어서, 내가 처음으로 의사처럼 느꼈던 것은, 시험에 도움이 되지 않을 환자에 대한 어떤 것을 찾아봤을 때였다. …저 환자를 마치 내 환자처럼 돌보는 방법에 대해 더 알고 싶어서 그랬어. (M2 학생)

For me, the first time I felt like a doctor was when I looked up something about a patient that wasn’t going to benefit me on the test. …I did it because I wanted to know more about how to take care of that patient as if they were my own. (M2 student)


의대에 입학하는 학생들은 대부분 늘 시험을 잘 봐왔다. 실제로, 시험을 잘 보는 능력은 일부 학생들이 자신의 성취도, 자신의 정체성을 어떻게 정의하는지에 대한 결정적인 특징이 될 수 있다. 의과대학에서 시험을 잘 치르려는 기대는 줄어들지 않으며, 사실, 학생들이 방금 설명한 단일한 정체성으로 전환하도록 유발하는 긴장을 도입할 수 있다. 많은 학생들이 시험에 대해 매우 상세하게 토론했고, 어떤 학생들은 그로 인한 스트레스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했으며, 다른 학생들은 다양한 학습 접근법과 팁에 대해 토론했다. 그러나 이 분석에서 공통적인 주제는 학생들이 전임상 시기에 preceptorship이나 임상 경험을 통해 환자에 노출되었을 때 공부에 대한 동기부여가 변화한다는 보고였다. 시험을 잘 봐야 한다는 압박감이 환자들에게 좋은 보살핌을 제공하기 위해 좋은 성적을 내고 싶다는 욕구로 바뀌었다.

Students who get into medical school have a history of performing well on tests. Indeed, the ability to perform well on tests may be the defining feature for how some students define their own achievement, their own identity. The expectation to perform well on tests doesn’t diminish in medical school and can, in fact, introduce the tension that triggers students transition to the singular identity just described. Many students discussed exams in great detail, some elaborating on the resulting stress and others discussing various study approaches and tips. However, a common theme in this analysis was students’ report of a shift in their motivation for studying when they were exposed to patients through preceptorships and clinical experiences in the preclinical years. The pressure to perform well on exams shifted to a desire to perform well in order to provide good care for patients.


일부 학생들은 [다른 사람들이 임상 환경에서 어떻게 그들을 인지하였는지] 또는 [그들이 공공장소에서 처음으로 흰색 가운을 입었을 때 변화가 어땠는지]를 설명했다.

Some students described a shift in how others perceived them in the clinical setting or when they wore their white coat for the first time in public.


[임상 전 교사와 관련하여] 그렇지만, 내가 말해야 할 것은, 개인 클리닉에 들어가는 공공장소에서 흰 가운을 입은 것은 처음이었고, 그것은 매우 이상한 경험이었다. …나에 대해 뭔가 달라졌어.(M1학생)

[In reference to preclinical preceptorship] I have to say though, that was my first time ever wearing like a white coat in public going into a private clinic, and it was a very strange experience. … Something’s changed about me. (M1 student)


비지니스로서 의료에 대한 노출

Exposure to the business of medicine


전문직을 벗어난 바깥에서의 생활이 어떤 모습인지에 대한 측면은 … 개인실습에 있는지 아니면 사업을 경영하는지를 결정하는데, 단지 처음 2년 동안은 실제로 현장에서 일하기 전에는 정말 느낄 수 없는 의료업의 다른 미묘한 측면들이다. (M3학생)

The aspects of what life is like outside of the profession … decide if you’re in private practice or running a business, just all of the other kinda subtle aspects of the medical profession that you don’t really consider in the first two years …that you can’t really appreciate until you’re actually working in the field on a daily basis. (M3 student)


많은 학생들이 공평하고 환자 중심적인 치료가 건강관리의 일차적인 목표라고 믿고 환자 지향적인 태도로 의대에 입학한다. 그러나 학생들이 전임상 교과에서 임상 교과로 옮겨감에 따라 새로운 도전을 경험하고 환자와 높은 수준의 자율성을 부여받는 의학 문화에 몰입하게 되며, 의료진에서 자신의 역할을 탐색해야 한다. 학생들은 임상 경험을 통해 "의학 사업"에 노출되면서, 많은 사람들은 환자 치료가 시간 제약적이고 제거되기 때문에, 전문직으로서 자신의 역할에 대한 인식에 영향을 미친다고 관찰했다. 한 학생은 자신의 의대 시절이 환자(M4)와 함께 상당한 시간을 보낼 수 있는 마지막 시기라고 설명했다.

Many students enter medical school with a patient-oriented attitude, believing that equitable, patient-centered care is the primary goal of healthcare. However, as students move from the preclinical to clinical curriculum, they are immersed in the culture of medicine, where they experience new challenges, are given a higher degree of autonomy with patients, and must navigate their role on the medical team. As our participants were exposed to the “business of medicine” through clinical experiences, many observed that patient care was time-restrained and somewhat removed, thus impacting perceptions of their role in the profession. One student described her medical school years as the last time she will be able to spend a substantial amount of time with patients (M4).


시간 제약이 있는 환자 관계를 이해하는 것 외에도, 학생들은 또한 진단과 치료에서 사회 경제적 지위가 상당히 그리고 자주 (불평등한) 역할을 수행한다는 것에 노출되었다. 좀 더 구체적으로, 학생들은 [개인클리닉에서의 이익 요구]와 [병원의 높은 생산성 요구]는 종종 의사들이 환자와 함께 보낼 수 있는 시간의 양을 제한한다는 것을 깨닫게 되었다. 인지불균형은 학생들이 의약에 대한 관심을 자극한 모집단에 돌봄 수준을 제공할 수 없을 가능성을 인식함에 따라 도입되어, 그들이 의료를 어떻게, 어떤 조건에서 할 것인지에 대해 성찰하게 되었다.

In addition to understanding the time-restrained patient relationship, students were also exposed to the large and often unequitable role that socioeconomic status played in diagnosis and treatment. More specifically, students came to realize that profit demands in private practice and high productivity demands in hospitals often limit the amount of time physicians may spend with patients. Cognitive disequilibrium was introduced as students recognized the possibility that they may be unable to provide the level of care to the population that motivated their interest in medicine, prompting them to reflect on how they would practice medicine and under what conditions.


어떤 학생들은 환자 진료가 제약받는다는 것을 깨달으면서 직업적 선택에 대한 의구심이 갖게 되었고, 어떤 학생들은 그들의 레지던트 선택이 환자와 더 많은 시간을 보낼 수 있거나 의료 기록 업무가 덜 한 전공과를 선호하는 것으로 영향을 받았다.

For some, the realization of constrained patient care created doubt over professional choice, and some students reported that their residency choice was influenced by preferences to specialties where they could spend more time with patients or that required less medical record keeping.


의료 실무에서 의사에게 노출됨

Exposure to physicians in clinical practice


내가 의학에 입문했을 때 나는 의사가 사회의 기둥이어야 한다고 생각하고 있었다…. 매우 정직한 시민들과 나는 많은 의사들이 환자 앞에서 좋은 모습을 보여주는 것을 아주 잘 한다고 생각한다. 하지만, 뒤에서, 나는 이 의사들이 서로에게 얼마나 고약할 수 있는지에 놀랐다. 그리고 앞으로, 내가 찾을 무언가가 있을 것이라고 생각한다.너도 알다시피, 내 직업 배경은 사람들이 서로 잘 대해주는 곳으로 가는 거야. (M3 학생)

When I came into medicine I was thinking that doctors should be pillars of society … very upstanding citizens and I think a lot of doctors do a very good job of putting on that face in front of the patient, but behind the scenes, I was surprised at how nasty these physicians can be to one another, and I think going forward, something I’ll look forward in, you know, my career setting is to really hone in on that and make sure I’m going to a place where people treat each other well. (M3 student)


학생들은 의사가 된다는 것이 무엇을 의미하는지 선입견을 가지고 의대에 입학한다. 많은 학생들이 의사들에 대한 인식을 높은 수준의 임상적 역량과 숙련도를 가진 사회의 우호적인 기둥으로 묘사하면서 그들의 초기 지나치게 낙관적이거나 비현실적인 믿음을 공유했다. 그러나, 임상 전 학위, 사무원, 필수 연구 프로젝트에서 의료 전문가에 노출됨으로써, 이전에 가지고 있던 이러한 신념에 인지적 변화가 있었다. 예를 들어, 일부 의료 환경에서는 부정적인 측면이 만연했다. 많은 의사나 레지던트는 멘토링에 거의 관심이 없었고, 뒤에서는 거칠게 행동했다. 이러한 학생들에게, 이러한 노출은 인지적 불안정성을 만들어내, 일부 학생들이 자신의 전문적 선택과 자신이 되고 싶은 의사 유형에 대해 생각하게끔 했다.

Students enter medical school with preconceived notions about what it means to be a doctor. Many students shared their initial overly optimistic or unrealistic beliefs, describing their perceptions of doctors as friendly pillars of society with high levels of clinical competence and proficiency. However, through exposure to medical professionals in preclinical preceptorships, clerkships, and required research projects, there was a cognitive shift in these previously held beliefs. For example, in some medical environments, negativity was pervasive; many doctors or residents possessed little interest in mentoring and/or behaved crudely behind the scenes. For these students, this exposure created cognitive disequilibrium, priming some students to reflect on their specialty choice and the type of physician they want to become.


그 교사는 환자에게 매우 무례하고 동정심이 없는 사람이었다. 이것은 정말 보기 어려웠으며 불행한 일이다. (M3학생)

The preceptor was very rude and not compassionate (at all) to the patient—this was really hard for me to watch and is unfortunate. (M3 student)


직업적 정체성의 관점에서, 학생들의 정체성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변화하며, 그들은 결국 의사로서 식별해야 한다. 우리의 자료는 이 과정이 그들의 의대 경험 동안 진행되고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그러나 예상대로 자신이 유능한 의사라고 완전히 밝힌 학생은 없었다.

From a professional identity perspective, students’ identities do shift over time, and they should eventually identify as physicians. Our data demonstrate that this process is under way during their medical school experiences. However, as expected, no student fully identified himself or herself as a competent physician.


난 여전히 사람들이 나를 "의사"라고 부를 때 항상 사람들에게 나는 의사가 아니라고 바로잡는다. 왜냐하면, 난, 아직, 내가 의사가 되어야 한다고 생각하거나, 그 정도의 책임이 주어지거나, 그런 식으로 보여지지 않기 때문이다. 그들이 잘못된 인상을 받는 것을 원하지 않기 때문이다. (M3 학생)

I still always correct people when they call me “doctor” because I don’t, uh, feel like I amor should be a doctor or given that level of responsibility yet or be looked at that way… definitely don’t want them to have the wrong impression. (M3 student)


고찰

Discussion


임상치료에 대한 조기노출이 의대생의 진단능력, 문제해결력, 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문서화했다.26–28 우리의 결과는 환자 치료에 대한 조기 접근은 추가적인 이점을 제공하며, 잠재적으로 [시험을 잘 보기 위한 동기]를 [환자를 잘 보려는 동기]로 변화시킬 수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 같은 연습(공부)과 코스 내용 및 문헌(전문적 지식과 도구)은 여전히 사용되고 있지만, 목적이 달라지는 것이다. 우리는 이것이 개념적 변화conceptual shift의 증거이며 긍정적인 개념적 변화의 증거라고 주장한다.

The influence of early exposure to clinical care on medical students’ diagnosis skills, problem solving, and attitudes have been documented.26–28 Our results suggest that early access to patient care provides additional benefits, potentially shifting students’ motivation to perform well on exams to performing well in order to provide good patient care. The same practice (studying) and course content and literature (professional knowledge and tools) are still used, but for a different purpose. We contend this is evidence of a conceptual shift and is evidence of positive conceptual change.


[학부생]에서 [의대생]으로 전환하면서 촉발된 불안정성은 학생들로 하여금 이전에 다면적 정체성을 가지고 있던 사람으로 인식했던 자신을 단일한 정체성을 가진 것으로 인식하게끔 변화를 가져왔다. 흥미롭게도, 우리는 학생들이 이 의과대학에서 그들의 [첫 전공 시험을 보는 바로 그 시점]이 이러한 변화의 모멘텀의 최고점이 아닌가 의심한다. 성과 면에서는 보람이 있지만, 이러한 변화는 자기 자신뿐만 아니라 학생들이 이전에 누렸던 활동과 관계의 손실을 나타낼 수 있다. 비록 우리 참가자 중 몇몇이 예전 자신의 일부 버전을 계속 유지했지만, 우리의 결과는 의사가 되는 과정에서 주어진 새로운 요구들에 대한 실질적인 대응의 결과, 학생들은 singular identity로 기능한다는 것을 암시한다. 의과대학의 매력적인 지원자로 만들었던 바로 그 특성들이 [다면적 정체성]에서 [단일한 정체성]으로의 전환 속에서 억압되고 있는 듯 하다.

The disequilibrium triggered via the transition from undergraduate student to medical student resulted in a shift in how students perceived themselves, previously with a multifaceted identity to now, a singular identity. Of interest, we suspect that the momentum of this shift is in full swing just about the time students take their first major exam at this medical school. Although fruitful in terms of performance, this shift can represent a loss not only of self but of the activities and relationships that students previously enjoyed. Although a few of our participants continued to maintain some version of their former self, our results suggest that students primarily function from a singular identity as a practical response to the challenging new demands of becoming a doctor. We wonder if the very characteristics that made the student an attractive candidate for medical school are suppressed in the shift from multifaceted to a singular identity.


핀레이(Finlay)와 파지29(p92)는 의대 경험 보고서에서 "의대를 졸업할 때가 되었을 때, 우리는 입학했던 때와 많이 달라져 있었다. …의학적 역할에 맞게 적응하고, 집단으로서 점점 고립되어 가는 등, 많은 플레어는 가라앉았다." Beagan30은 또한 이러한 경향을 포착했고, 인터뷰한 의대생들의 44%가 때때로 그들이 누구와 연결touch을 잃었다고 느낀다고 말했다고 보도했다. 이러한 가능성을 감안할 때, 우리는 (이 때가) 학생들의 직업적 정체성 발달에 있어 취약한 시기라고 본다. 우리는 이러한 변화의 누적된 영향에 대해 거의 알지 못하며, 조정되지 않은 자아 상실이 시간이 지남에 따라 부적응적 기능을 위한 촉진적 사건으로 작용할 가능성이 있는지에 대해 의문을 제기한다.

In their own report of the medical school experience, Finlay and Fawzy29(p92) noted, “Leaving medical school, we are different from how we were on entering. …Much flair has been subdued, as we have adapted to fit the medical role and become increasingly isolated as a group.” Beagan30 captured this trend as well, reporting that 44% of medical students interviewed indicated they sometimes felt they’d lost touch with who they were. Given this possibility, we see this as a vulnerable period in students’ professional identity development. We know little about the cumulative impact of this shift and question whether unreconciled loss of self has the potential to serve as a precipitating event for maladaptive functioning over time.


우리가 확인한 전문적 정체성 발달과 관련된 인지적 불안정성에 대한 검토에서, 우리는 실제 의료현장에 노출되었을 때 발생하는 불안정성에 대해 가장 우려하고 있다심지어 의사가 되는 것이 의미하는 것에 대한 학생들의 신념을 소유하는 것 조차도 의대에 입학하면서 잘못된 정보를 얻을 수 있다. 그들의 나이브 이론과의 갭("좋은 의사"가 되는 것이 무엇을 의미하는지 정규 교과과정에서 가르치고 강화하려는 것, vs 그들이 임상 환경에서 숨겨진 커리큘럼으로 관찰하고 경험하는 것으로 알려진 것)은 불안unsettling하다. 참여자들이 "의학의 비지니스"이라고 언급한 것에 대한 노출의 영향과 환자 중심적인 상태를 유지하는 우리의 목표의 균형을 맞추는 것은 임상 전 및 임상 교육자들 모두에게 중요한 과제인 것 같다.

In review of the cognitive disequilibrium related to professional identity development that we identified, we are most concerned about the disequilibrium introduced upon exposure to the actual practice of medicine. Even owning that students’ beliefs about what it means to be a physician are likely ill-informed upon entering medical school, the gap between their na€ıve theories, what we attempt to teach and reinforce in the formal curriculum about what being a “good doctor” means, and what they reportedly observe and experience as hidden curriculum in clinical settings is unsettling. Balancing the impact of exposure to what our participants referred to as the “business of medicine” and our goal of remaining patient centered seems a critical task for both preclinical and clinical educators.


부정적인 역할 모델은 학생들의 전문적 발전에 강력한 영향을 미칠 수 있다.33–35 의료 교육에서 이것은 새로운 것이 아니다.31 여전히, 의료계가 "더 잘 알아야 한다"고 가정함에도 불구하고, 학생들은 자신의 가치관과 대립되는 환자에 대한 학대 및 치료의 발생을 계속 보고한다.34

negative role models can have a powerful impact on students’ professional development.33–35 This is not a new concern within medical education.31 Still, despite the assumption that the medical community should “know better,” students continue to report incidences of mistreatment and/or treatment of patients that is at odds with their values.34


학생들에게 미치는 영향의 측면에서 우리가 확인한 네 가지 경험 중 세 가지 공통 주제는 "상실"이다: 

  • 자아의 상실, 

  • 환자 치료에 대한 순진한 신념의 상실

  • 의사가 되는 것이 의미하는 바가 무엇인가에 대한 순진한 신념의 상실이다

The common theme, in terms of impact on students, for three of the four experiences we identified is “loss”: 

  • loss of self, 

  • loss of naive beliefs about patient care, and 

  • loss of naive beliefs of what it means to be a doctor. 


이러한 상실은 (이미 높은 수준의 스트레스가 존재하는) 교육과정 전반에 걸쳐 새로운 요구와 도전을 성공적으로 관리해야 하는 필요성과 맞물리게 된다. 이러한 [연속적인 사건이 학생에게 미치는 누적적인 영향]은 [의대 경험과 주관적인 자아 의식 사이의 합리적인 균형]을 회복하거나 유지하기 위해 학생들이 채택하는 메커니즘에 따라 좌우될 가능성이 높다.

This loss is experienced contiguous with the need to successfully manage the new demands and challenges across the curriculum, demands already associated with high levels of stress. The cumulative impact of these contiguous events on students is likely dependent on the mechanisms students adopt in order to restore or maintain reasonable equilibrium between their experience of medical school and their subjective sense of self.


의사가 되는 길은 어렵고 인지적 구조조정이 필요한데, 무엇인가를 아는 것뿐만 아니라, [그 과정에서 자신을 어떻게 인지하는지]에 대해서도 더 깊이 연관되어 있다. 우리는 학생들의 주관적인 자기 직업 의식과 관련하여 인지적 불안정성을 초래한 네 가지 일반적인 경험을 확인했다. 이러한 경험들이 의과대학에서 적응적 직업 정체성 형성을 위해 특히 취약한 시기를 나타낸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이 시기는, 학생들이 "자신"에 대한 개인적 개념을 형성하고, 전문직에 대한 신념을 형성하는 데 의미 있는 교육 개입을 배치할 수 있는 기회가 될 것이다.

The path to becoming a doctor is difficult and requires cognitive restructuring, not only related to what one knows but, at a deeper level, to how one perceives himself or herself in that process. We identified four common experiences that introduced cognitive disequilibrium in relationship to students’ subjective sense of self-in-profession. We suggest that these experiences represent particularly vulnerable periods for adaptive professional identity formation in medical school and thus represent high yield opportunities to deploy meaningful educational interventions designed to shape students’ personal conceptualizations of “self” within, and their beliefs about, their chosen profession.


한계

Limitations


Appendix

Example of questions asked in semistructured focus group/interviews with M1 and M2 students

1. What “nonscheduled” learning tasks did you engage in this week?

2. How did or will you link the scheduled learning tasks to your own study time?

3. What aspects of the curriculum this week do you believe provided the most “bang for your buck” in terms of your own learning or development? Why?

4. Did you experience anything this week that challenged or shaped your current attitudes and beliefs about any aspect of the medical profession?

5. Did you experience anything this week that made you feel like a “doctor” or that shaped your sense

of identity as a novice physician?


Example of questions asked in semistructured focus group/interviews with M3 and M4 students

1. Think about the first time in your training that you began to feel like a “doctor”—Can you connect any part(s) of the medical school curriculum, learning activities or your own approaches to learning to that sense of your own professional identity?

2. What events or types of events during your medical program so far have had the most impact on your attitudes about the medical profession?

3. What “aha” moments have you experienced during medical school?

4. Do you think people’s perceptions of you have changed as you’ve gone through medical school? How has that affected you?

5. What aspects of the medical school curriculum do you believe provided the most “bang for your buck” in terms of your own learning or development?Why?

6. What is the role of lecture in the 21st-century medical school?







. Jan-Mar 2019;31(1):17-25.
 doi: 10.1080/10401334.2018.1444487. Epub 2018 Apr 2.

What Experiences in Medical School Trigger Professional Identity Development?

Affiliations 

Affiliation

  • 1a Department of Medical Education , University of Central Florida College of Medicine , Orlando , Florida , USA.

Abstract

Phenomenon: This qualitative inquiry used conceptual change theory as a theoretical lens to illuminate experiences in medical school that trigger professional identity formation. According to conceptual change theory, changes in personal conceptualizations are initiated when cognitive disequilibrium is introduced. We sought to identify the experiences that trigger cognitive disequilibrium and to subsequently describe students' perceptions of self-in-profession prior to the experience; the nature of the experience; and, when applicable, the outcomes of the experience. Approach: This article summarizes findings from portions of data collected in a larger qualitative study conducted at a new medical school in the United States that utilizes diverse pedagogies and experiences to develop student knowledge, clinical skills, attitudes, and dispositions. Primary data sources included focus groups and individual interviews with students across the 4 years of the curriculum (audio data). Secondary data included students' comments from course and end-of-year evaluations for the 2013-2017 classes (text data). Data treatment tools available in robust qualitative software, NVivo 10, were utilized to expedite coding of both audio and text data. Content analysis was adopted as the analysis method for both audio and text data. Findings: We identified four experiences that triggered cognitive disequilibrium in relationship to students' perceptions of self-in-profession: (a) transition from undergraduate student to medical student, (b) clinical experiences in the preclinical years, (c) exposure to the business of medicine, and (d) exposure to physicians in clinical practice. Insights: We believe these experiences represent vulnerable periods of professional identity formation during medical school. Educators interested in purposefully shaping curriculum to encourage adaptive professional identity development during medical school may find it useful to integrate educational interventions that assist students with navigating the disequilibrium that is introduced during these periods.

Keywords: cognitive disequilibrium; conceptual change; professional identity.


당신은 누구이고, 무엇이 되고싶은가? 전문직 정체성 발달의 주요 고려사항(Med J Aust, 2018)

Who are you and who do you want to be? Key considerations in developing professional identities in medicine



의학에서는 전문직업적 정체성이 가장 중요하다. 그것들은 전문성의 초석이며, 우리가 일하는 곳에서 윤리적 프레임워크를 우리에게 제공한다.1 

  • 예를 들어, 의사로서의 강한 전문적 정체성을 갖는 것은 당신이 당신의 가치와 그것들이 규정된 가치들(예: 전문성 행동 강령)과 어떻게 관련되는지, 그리고 환자와 동료들의 가치관을 고려할 수 있게 해준다.2 

  • 게다가, 강한 직업적 정체성을 소유하는 것은 자신감을 기를 수 있고, 협력적인 리더십 스타일을 배양하고 웰빙을 발전시킬 수 있다.3 

  • 반대로, 전문적 정체성이 강했을 때, 부정적인 결과(부정적인 직장 행동, 팀워크 불량, 환자와 의사결정을 공유하기 위한 도전, 계층적 리더십 스타일 등)로도 이어질 수 있으며, 이는 환자 안전 위협으로 이어질 수 있다.4

 Professional identities are of utmost importance in medicine. They are the cornerstone of professionalism, providing us with ethical frameworks within which we work.1 For example, having a strong professional identity as a doctor enables you to consider your values and how they relate to those prescribed (eg, professionalism codes of conduct), and to patients’ and colleagues’ values.2 Furthermore, possessing a strong professional identity can foster confidence (both in yourself, and others in you), cultivate collaborative leadership styles and develop wellbeing.3 Conversely, having strong professional identities can lead to negative outcomes —including negative workplace behaviour, poor teamwork, challenges to shared decision making with patients, and hierarchical leadership styles — resulting in patient safety threats.4


정체성의 개념은 다양하게 구성되었다.1 본질적으로, 우리의 정체성은 언어, 옷, 그리고 일상적인 행동을 통해 발휘되는 우리가 누구인지에 대한 주관적인 감정이다. 우리는 다른 사람들과 관련하여 우리 자신의 다른 측면과 연결되는 많은 정체성을 가지고 있다. 실제로, 우리는 gendered, family, professional 및 national을 포함한 다양한 종류의 사회적 정체성을 가지고 있다.1,5

The concept of identities has been variously constructed.1 In essence, our identities are subjective feelings of who we are and who we might be that are played out through language, clothes and everyday behaviour. We have many identities linking to different aspects of ourselves in relation to others (hence, social identities).5 Indeed, we have different types of social identities, including gendered, familial, professional and national.1,5


전문직업적 정체성professional identity은 [우리의 전문직과 관련하여 우리의 속성, 신념, 가치관, 동기, 경험에 근거하여 우리 자신을 전문직으로서 인식하는 방식]으로 정의되어 왔다. 다시 말하지만, 이것들은 여러 가지가 될 수 있다: 아마도 당신은 임상 교사, 연구자, 그리고 의사일 것이다. 그것은 모두 "적합도fit"에 관한 것이다: 한 사람이 전문직업적 정체성을 취하는take on 정도는 그 특정 그룹 내에서 적합성fit에 대한 그 사람의 인식에 달려 있다. 1,5

Professional identities have been defined as how we perceive ourselves as professionals based on our attributes, beliefs, values, motives and experiences in relation to our profession. Again, these can be multiple: perhaps you are a clinical teacher, a researcher and a physician? It is all about “fit”: the extent to which we take on a professional identity depends on our perception of fit within that particular group.1,5


개인 및 직업적 정체성은 분리되어 있지 않다.6 때로는 하나의 정체성이 전면에 배치되는 반면 다른 정체성은 배경화된다.7 이러한 전경과 배경은 맥락에 따라 달라진다: 사회 모임에서 당신은 당신의 더 넓은 의사 정체성과 더 많은 것을 동일시할 수 있다; 의학교육 컨퍼런스에서 당신은 당신의 임상 감독자 정체성과 더 많은 것을 동일시할 수 있다.

Our personal and professional identities are not separate.6 Sometimes identities are foregrounded while others are backgrounded.7 This foregrounding and backgrounding depends on context: at a social gathering outside work, you might identify more with your broader doctor identity; at a medical education conference, you might identify more with your clinical supervisor identity (overlapping with, but extending beyond, your doctor identity).


그러나 이 전경과 배경은 복잡할 수 있다. 이러한 서로 다른 상호관계는 다른 시기에 채택될 수도 있고 다른 감정 상태와 함께 채택될 수도 있으며, 사회적 상호작용에 매우 다른 결과를 가져올 수도 있다.1,7 예를 들어 가상의 앤을 상상해보라. 앤은 아시아의 여성 외과 교육자로 알려져 있다

  • 앤의 정체성이 하나의 복합적인 정체성으로 교차한다면, 그녀는 다른 모든 아시아 여성 수술 교육자(그녀의 소위 그룹 내)들과 동일시하고 다른 사람들(아웃 그룹)들과 차별화 될 것이다. 

  • 만약 그녀의 신분이 위계적이고, 외과의사의 정체성이 지배적이라면면, 그녀는 다른 외과의들을 그녀의 그룹 내(즉, 그룹 내 확대)로 동일시할 것이다. 

  • 만약 앤의 정체성이 구획화되어있다면, 그것들은 맥락에 따라 구체화된다. 예를 들어, 성희롱 상황에서 여성의 정체성이 활성화된다면, 그녀는 다른 여성들과 함께 자신의 집단 내에서 동일시하게 될 것이다. 

  • 마지막으로 자신의 정체성이 융합된다면, 여성들과 아시아인, 외과의사와 교육자들을 그룹 내(가장 포용적인 범주)로 보게 된다

But this foregrounding and backgrounding can be complex. These different interrelations can be adopted at different times or with different emotional states, and can have very different consequences for social interaction.1,7 For example, imagine fictitious Anne. Anne identifies as a female Asian surgical educator. 

  • If Anne’s identities intersect into a single compound identity, she will identify with all other female Asian surgical educators (her so-called in-group) and differentiate herself from others (out-groups). 

  • If her identities are hierarchical, and her surgeon identity dominates, she will identify other surgeons as her in-group(thus broadening her in-group). 

  • If Anne’s identities are compartmentalised, they become context specific. If, for example, her female identity is activated during sexual harassment situations, she will identify with other women as her in-group. 

  • Finally, if her identities merge, she will see females and Asians and surgeons and educators as her in-group (the most inclusive category). 


내집단과 외집단의 포괄성의 정도는 의학적인 맥락에서 중요하다: 그것은 전문가 간의 팀워크와 의사-환자 관계와 같은 측면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The degree of inclusivity of in- and out-groups is important in medical contexts: it can influence aspects such as interprofessional teamwork and doctor-patient relationships.


이것은 우리에게 다음과 같은 질문을 하게 한다: 전문직업적 정체성은 어떻게 형성되는가?

This brings us to the question: how are professional identities formed?


정체성은 사회화의 과정을 통해 형성된다.1 우리가 개인이면서, 동시에 우리는 또한 여러 집단 세계의 일부분이다. 우리의 사고 방식과 행동 방식(이것이 우리 자신과 경험을 이해하는 방법이다)은 우리가 가진 관계와 제도적 구조와 문화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 그러므로 자기-정체화self-identification의 과정을 통해 우리의 정체성은 우리가 사회세계를 고민하면서 매일매일 형성되고 재편된다. 이 프로세스를 통해 내그룹을 식별하고, 외그룹과 차별화하며, 모방하거나 거부할 역할 모델을 찾는다.

Identities are formed through the process of socialisation.1 While we are individuals, we are also part of multiple collective worlds. Our ways of thinking and behaving — through which we make sense of ourselves and our experiences —are influenced by the relationships wehave and by institutional structures and cultures. Thus, through a process of self-identification, our identities are shaped and reshaped everyday as we contemplate our social worlds. Through this process, we identify with in groups, and differentiate ourselves from out-groups, looking for role models to either emulate or reject.1 


우리의 옷, 언어, 가치관, 행동은 모두 우리가 투영하고자 하는 정체성을 반영한다.8 우리가 정체성을 개발하기 시작하면서, 그것은 처음에는 어색하고 의식적인 노력으로 약간 불편한 새로운 신발 한 켤레처럼 느껴질지도 모른다. 하지만 결국, 그 신발들은 부드러워지고 우리 발에 맞게 된다; 우리는 더 이상 그들에게 다시 생각할 필요가 없다. 신발과 마찬가지로, 우리의 정체성은 우리의 일부가 된다.9

Our clothes, language, values and behaviour all reflect the identity we wish to project.8 As we begin to develop an identity, it may initially feel like a new pair of shoes, slightly uncomfortable, with walking an awkward, conscious effort. But eventually, those shoes soften and mould to our feet; we no longer give them a second thought. As with the shoes, our identity becomes part of who we are.9


전문적 정체성을 개발하는 것은 목적지가 끊임없이 변화하는, 도전적인 우여곡절이 있는, 그리고 때로는 닥쳐올 위험이 앞에 놓인 일련의 여행처럼 느껴질 수 있다.

Developing professional identities can feel like a series of (seemingly never-ending) journeys with ever-shifting destinations, challenging twists, turns and, occasionally, dangers ahead.


  • 어떤 개인은 앞으로 나아가지 못하거나, 나아가기를 꺼려하며 여행의 벼랑 끝에 서 있다. 이 경우, 의사가 되려는 동기는 아마도 외부적으로 정의되어 있을 것이다(예: 가족의 기대)

  • 어떤 사람들은 그들의 여행을 열정적으로 시작하지만, 나중에 환멸을 느끼게 된다. 예를 들어, 그들은 정체성의 부조화를 경험할 수 있다. 그들은 발전하는 직업적 정체성과 기존의 개인적 정체성을 연관시키기 위해 애쓴다. 특히 그들의 개인적 정체성(예: 성별, 민족성)이 의료계나 그들이 선택한 전문분야에서 부족하게 표현되는 경우 더욱 그렇다;10 다시 강조하지만, 정체성은 적합성fit의 문제이다.

Some individuals stand at the brink of their journeys, unable or reluctant to move forward. Their motivation to become a doctor is perhaps externally defined (eg, family expectations). Others begin their journeys enthusiastically, only to become disillusioned later. They may, for example, experience identity dissonance. They struggle to relate their developing professional identities with existing personal identities —particularly when their personal identities (eg, gender, ethnicity) are underrepresented in the medical profession or in their chosen specialties;10 remember, it is about fit.1,5


일부 개인은 의료 교육에서 상충하는 가치를 이해하려고 애쓴다. 예를 들어, 다양성 표준화를 들 수 있다.11

Some individuals struggle to make sense of competing values in medical education; for example, the value of diversity versus the standardisation of medical graduates.11


어떤 사람들은 개인 정체성(예: 감정이입적이고 동정심이 많은 인간)과 전문직업적 정체성(예: 객관적이고 고립된 전문가) 사이의 부러진 곳에서 정체성의 부조화를 경험한다.12

Others experience identity dissonance through fractures between personal (eg, being empathic, compassionate humans) and professional (eg, being objective, detached experts) identities.12


그리고 어떤 이들은 직업적 딜레마를 경험할 때 환멸을 느끼게 된다(예: 직업적 전문성이 실추되는 것을 목격하거나 참여함으로써) 때로는 도덕적으로 의심스러운 행동과 도덕적 정체성 사이의 불협화음을 경험하게 된다.2

And some become disenchanted when experiencing professionalism dilemmas (eg, witnessing or participating in workplace professionalism lapses), leading them to experience dissonance between their sometimes morally dubious actions and their moral identities.2


마지막으로 적절한 직업적 정체성이 형성되더라도 다음과 같은 특정 상황에서 위협을 받을 수 있다. 

  • 의사와 환자의 관계 변화(예: 의사의 권위를 위협하는 행위) 

  • 환자 불만 사항 상황, 

  • 형편없는 언론 보도, 

  • 부정적인 정형화된 라벨의 사용 

  • 역할 및 책임의 변화(예: 전문가의 경계를 모호하게 함) 

  • 드레스 코드 제거(예: 흰색 코트) 

  • 규제 프로세스(예: 재검증) 

  • 근로 시간 제한(전통적인 통과의례 위협)13

Finally, even if appropriate professional identities are formed, they might be threatened under certain circumstances, including 

  • changing doctor-patient relationships (eg, threatening doctors’ authority), 

  • patient complaint situations, 

  • poor media reports, 

  • the use of negative stereotypical labels, 

  • changing roles and responsibilities (eg, blurring professional boundaries), 

  • the removal of dress codes (eg, white coats), 

  • regulatory processes (eg, revalidation), and 

  • working hours restrictions (threatening traditional rites of passage).13


직업적 정체성이 약해지거나 발달하지 못하면 어떻게 되는가? 취약한 사회적 정체성은 압박이 있는 상황에서 대처 능력이 떨어지는 것과 관련이 있다: 최근 한 연구는 주니어 의사들의 낮은 수준의 자기 보고 전문적 정체성이 개인, 환자 관련, 그리고 일과 관련된 소진 점수의 높은 수준과 유의하게 관련이 있다는 것을 발견했다.14

What if professional identities are weakened or fail to develop? A weak social identity has been associated with a poor capacity for coping when under duress: a recent study found that junior doctors’ lower levels of self-reported professional identity were significantly related to their higher levels of personal, patient-related and work-related burnout scores (and vice versa).14


약한 직업 정체성의 다른 영향으로는 유지와 팀워크 문제가 있다.15 또는, 강한 긍정적인 직업 정체성의 발달은 건강관리 관행(예: 윤리적 의사결정)과 건강관리 전문가의 직업 선택, 웰빙과 삶의 만족도에 도움이 될 수 있다.14 나아가  강력한 공유된 정체성(예: 전문가 간 정체성)을 갖는 것은 다른 사람의 역할과 책임에 대한 이해로 높은 강도의 상황에서 신뢰를 강화하고 팀워크 수행을 촉진할 수 있다. 

 Other implications of a weak professional identity include retention and teamwork problems.15 Alternatively, the development of a strong positive professional identity can be beneficial to health care practice (eg, ethical decision making), and health care professionals’ career choice, well being and life satisfaction.14 Furthermore, having a strong shared identity(eg, interprofessional identity) with an understanding of the different roles and responsibilities of others can foster trust and facilitate teamwork performance in high intensity situations. 


그러나 앤의 단일 복합체 정체성을 상기시키는 지나치게 강하고 구체적인 직업 정체성을 개발하면 "그들과 우리"의 사고방식으로 이어져 외부 집단에 대한 부정적인 태도를 초래할 수 있다. 또한 정형화된 행동(예: 수술 문화 내에서: 지구력, 권위성, 용감성, 위험 감수, 오만과 남성성)에 참여하도록 이끌 수 있다.13

However, developing an overly strong and specific professional identity —recall Anne’s single compound identity—can lead to a “them and us” mentality resulting in negative attitudes towards out-groups. It can also lead to participation in stereotypical behaviour (eg, within a surgical culture: endurance, authoritativeness, bravery, risk taking, arrogance and masculinity).13


어떻게 하면 강하지만 긍정적인 직업 정체성의 개발을 촉진할 수 있을까? 초기의 의학 전문적 정체성(예: 의사)은 의료 사업장의 제도적 구조와 문화(일명 숨겨진 교육과정)를 통해서뿐만 아니라 공식 및 비공식 커리큘럼을 통해 의과대학 이전과 도중에 때때로 개발되기도 한다.2

How can we facilitate the development of strong, but positive, professional identities? Initial medical professional identities (eg, doctor) are developed sometimes before and also during medical school through formal and informal curricula, as well as through the institutional structures and cultures of the health care workplace (so-called hidden curricula).2


그룹 코칭, 서사적 성찰연습 등 강의실 기반 활동을 통해 교육생들을 위한 전문적 아이덴티티를 발굴할 수 있다.17

Professional identities can be fostered serendipitously for trainees through classroom based activities, including group coaching and narrative reflective practice.17


어떤 이들은 특정 전문분야에 대한 전문적 정체성의 개발을 촉진하기 위한 교육적 이정표의 사용을 주장해왔다.19 그러나 우리는 커리큘럼이 일련의 발달단계를 강요하거나, 합격(또는 불합격) 평가의 과정을 거치도록 강요하는 것이 아니라, 자신이 누구이며, 누가 되고 싶은지에 대한 개별적인 인식을 촉진함으로써 전문직 정체성을 개발하는 것을 명시적으로 목표로 해야한다.

Some have advocated the use of educational milestones to foster the development of professional identity for specific specialties.19 However, we advocate that curricula explicitly aim to develop professional identities, not by forcing people to go through stages of development, passing (or failing) assessments, but through the promotion of individuals’ sense making around who they are and who they want to be.


전문성 커리큘럼이 현재 학부 및 대학원 의학 교육에 잘 내재되어 있지만, 커리큘럼은 전문성 개발을 명시적으로 다루는 경우는 드물다. 따라서 의대생, 연수생, 연수생, 훈련된 의사는 의대, 임상 훈련, 임상 실습, 전문 훈련 등으로의 중요한 전환 과정을 거치면서 자신의 정체성 발달을 위한 대화에 정기적으로 임해야 한다. 프로페셔널리즘 커리큘럼의 일부로서, 개인들은 정체성 위협이나 불협화음의 어떤 느낌에 대해 논의하면서 그들의 경험들이 어떻게 그들의 개인적 그리고 전문적인 정체성과 상호 작용하는지를 탐구하도록 장려되어야 한다. 그들은 자신의 가치관이 위협받고 있다고 느낄 때, 두려움 없이 직업적 정체성을 유지할 수 있도록 격려하고 지원받아야 한다. 우리는 그러한 정체성 커리큘럼(일상적인 교육 및 학습 활동과 전문성 커리큘럼)이 정체성 형성의 가시적인 여정을 통과하는 나침반이 될 수 있다고 생각한다.

While professionalism curricula are now well embedded in undergraduate and postgraduate medical education, curricula rarely explicitly address professional identity development. Therefore, medical students, trainees and trained doctors should regularly engage in conversations about and for their identity development as they progress across important transitions into medical school, clinical training, clinical practice, specialty training and so on. As part of professionalism curricula, individuals should be encouraged to explore how their experiences interplay with their personal and professional identities, discussing any feelings of identity threats or dissonance. They should be encouraged and supported in speaking out when they feel their values are threatened, to uphold their professional identities without fear. We consider that such an identities curricula — interwoven through everyday teaching and learning activities and professionalism curricula —could be the compass aiding navigation through the thorny journey of identity formation.






. 2018 Aug 3;209(5):202-203.

Who Are You and Who Do You Want to Be? Key Considerations in Developing Professional Identities in Medicine

Affiliations 

Affiliations

  • 1Monash Centre for Scholarship in Health Education (MCSHE), Monash University, Melbourne, VIC Monrouxe@me.com.
  • 2Chang Gung Medical Education Research Centre (CG-MERC), Chang Gung Memorial Hospital, Linkou, Taoyuan City, Taiwan.
  • PMID: 30157410


전문직 형성: 의학의 봉사 혈통을 다음 세기로 확장하기(Acad Med, 2010)

Professional Formation: Extending Medicine’s Lineage of Service Into the Next Century

Michael W. Rabow, MD, Rachel N. Remen, MD, Dean X. Parmelee, MD, and Thomas S. Inui, ScM, MD





1910년 아브라함 플렉스너의 카네기 재단 보고서1의 출판은 의학 교육에 실질적이고 유익한 영향을 끼친 것으로 널리 인정받고 있다. Flexner는 실험실 과학과 임상 환경의 경험적 학습을 통합한 커리큘럼을 옹호했다. 이 인프라는 오늘날에도 여전히 우세하다. 덜 널리 알려진 것은 Flexner가 1910년 보고서를 통해 의사 준비에서 교양liberal 교육의 중요성에 대해 강조한 점이다.2,3:

The publication of Abraham Flexner’s Carnegie Foundation report1 in 1910 is widely recognized to have had a substantial and salutary effect on medical education. Flexner championed a curriculum that integrated laboratory science with experiential learning in clinical environments. This infrastructure still prevails today. Less widely recognized is Flexner’s emphasis on the vital importance of a liberal education in the preparation of physicians.2,3 From his 1910 report:


지금까지 우리는 기초과학에 대해서만 분명히 말해왔다. 그들은 실제로 의료 교육의 필수적인 도구적 기초를 제공한다. 그러나 도구적 최소치가 영구적인 전문적 최소치로 작용할 수는 거의 없다. 그것은 심지어 도구적으로도 불충분하다.1

So far we have spoken explicitly of the fundamental sciences only. They furnish, indeed, the essential instrumental basis of medical education. But the instrumental minimum can hardly serve as the permanent professional minimum. It is even instrumentally inadequate.1


오데가르드와 이누이2는 플렉스너가 자신의 보고서에 의해 촉발된 의료교육의 변화가 의료 커리큘럼에서 광범위한 교육broad education을 사실상 없앤 것을 후회하고, 의사에게 필요한 필수 전제조건으로 인문학의 교양교육(철학, 윤리, 문화 포함)을 적극 옹호했다고 지적했다.

Odegaard and Inui2 note that Flexner subsequently regretted that changes in medical education triggered by his report had virtually eliminated a broad education from the medical curriculum and he advocated actively for liberal education in the humanities (including philosophy, ethics, and culture) as a necessary prerequisite for a medical career.


지난 몇 십 년 동안, 의료행위의 운영적operational 가치는 상충되었다. 과학 지식과 기술의 급속한 성장과 함께, [예측 가능성, 측정 가능성, 효율성, 생산성, 비용 효과와 객관성]과 같은 특성이 [해를 피하고avoiding harm, 봉사, 이타성, 삶에 대한 경외심, 연민]등과 같은 전통적 전문직의 특성과 동일한(적어도 덜하지는 않은) 중요도를 갖게 되었다.

in the last few decades, the operational values of medical practice have become conflicted. With the rapid growth of scientific knowledge and technology, the qualities of predictability, measurability, efficiency, productivity, cost-effectiveness and objectivity have come to assume a priority equal to, if not exceeding, older professional qualities of compassion, avoiding harm, service, altruism, and reverence for life.


그러나, 생의학만으로는 고통과 상실, 회복과 치유의 인간의 질병 경험을 다루기에는 부족하다는 것이 점점 더 명백해졌다. 실제로 바이오의약품은 종종 인간의 의제를 심화시킨다. 윤리적 문제가 복잡해지고 한정된 자원의 공정한 분배는 더욱 어려워지며, 예방보다 치료 수요가 우세하다. 과학적 역량의 성장과 도달은 같은 수준으로 인간의 이해와 감수성의 강력한 발전을 요구한다.

However, it has become increasingly apparent that biomedical science alone is insufficient to address human illness experiences of suffering, loss, recovery and healing. In fact, biomedicine often intensifies the human agenda—ethical issues become more complex, fair distribution of limited resources becomes more difficult, and the demand for treatment prevails over prevention. The very growth and reach of scientific competence demands an equally powerful development of human understanding and sensitivity.


다음 세기의 과제를 해결하려면 의료 교육자들이 인지 및 기술적 전문지식에 초점을 맞추는 동시에 "전문적 형성" 즉 학생들의 도덕적이고 전문적인 개발, 임상적 역량의 성장과 개인 성숙도의 통합, 그리고 학생들이 개인의 가치와 그 직업의 핵심 가치에 진심으로 충실한stay true 능력을 적극적으로 지원해야 할 것이다.

Meeting the challenges of the next century will require that medical educators maintain a focus on cognitive and technical expertise while also actively supporting “professional formation”— the moral and professional development of students, the integration of their individual maturation with growth in clinical competency, and their ability to stay true to values which are both personal and core values of the profession.


전문직 형성 정의

Defining Professional Formation


교육자들은 학습자의 통합된 개인 및 전문적 개발을 지원하기 위해 고안된 훈련의 명칭에 아직 동의하지 않았으며, "정체성 형성", "가치 교육" 또는 "전문성 훈련"과 같은 용어를 사용해 왔다.4–7 성직자의 훈련에서 유사한 과정을 "형성"이라고 부른다. 세미나리아에서, 형성은 개인이 소명을 섬기도록 준비하기 위한 과정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여기에는 일반적으로 다음이 포함된다.

Educators have yet to agree on a name for the training designed to support the integrated personal and professional development of learners and have used such terms as “identity formation,” “values education,” or “professionalism training.”4–7 The analogous process in the training of clergy is called “formation.” In seminaries, formation is understood to encompass the processes intended to prepare an individual to serve a calling. It typically includes:


  봉사에 참여engaging

  engaging in service;


  경험과 성찰의 반복

  reiterating cycles of experience and reflection;


  자기 자신 및 그 분야에 대한 지식의 증가

  growth in knowledge of self and of the field; and


  행동의 삶뿐만 아니라 내면의 삶에 대한 끊임없는 관심

  constant attention to the inner life as well as the life of action.


(목록 1 참조). 학생들은 의학의 문화 안에서 규범적 행동과 마주치는 것에 기초하여 가치관의 우선순위를 정하는 것을 배운다. 의과대학에서 일부 가치관(연민 등)은 명시적으로 공언되지만, 다른 가치관(개인적 분리personal detachment 등)은 전문직업적 가치관과 충돌하더라도 학습자에 의해 암묵적으로 규범적 교훈으로 흡수될 수 있다.8,9

(see List 1). Students learn to prioritize their values on the basis of encounters with normative behavior within the culture of medicine. While some values (such as compassion) are professed explicitly in medical schools, others (such as personal detachment) may conflict with professed values but be absorbed tacitly by learners as normative lessons.8,9



전문적 형성의 목표는 학생들이 자신의 개인적 원칙과 직업의 핵심 가치에 묶어두는tether or anchor 것이며, 학생들이 훈련과 실습에서 발생하는 불가피한 갈등을 통해 탐색하도록 돕는 것이다.10 예를 들어, [모든 인간의 삶이 중요하다는 가치와 원리를 고수하는 학생]은 [제한된 자원을 할당해야만 하는 상황에 직면했을 때] 도덕적 스트레스에 직면 할 수 있다. 전문성 형성의 핵심 측면은 학습자들에게 지지적인 전문 커뮤니티 내에서 자신의 진정한 가치와 가치관의 충돌을 인식하고, 탐구하고, 명확하게 하고, 우선순위를 정하고, 공유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는 것이다.

The goal of professional formation is to tether or anchor students to their personal principles and the core values of the profession and help themnavigate through the inevitable conflicts that arise in training and practice.10 For example, students holding to the basic principle of the primacy and value of every human life may encounter moral stress when confronted with the need for the allocation of limited resources. A key aspect of professional formation is to offer learners the opportunity to recognize, explore, articulate, prioritize, and share their authentic values and values conflicts within a supportive professional community.


의사로서의 정체성의 발달은 개별 학생의 매우 개인적인 일로, 특정 학습 환경(비공식 교육과정) 내에서뿐만 아니라 정식 커리큘럼의 맥락에서 진행된다.11 이 두 커리큘럼 모두 기초적인 개인적 가치와 핵심 직업적 가치를 식별하고 헌신하는 학생들의 능력을 지원하거나 잠식할 수 있는 잠재력이 있다.

The development of an identity as a physician is the highly personal work of individual students and proceeds in the context of a formal curriculum as well as within a particular learning environment (the informal curriculum).11 Both of these curricula have the potential to support or erode students’ ability to identify and remain committed to foundational personal values and core professional values.


많은 사람들이 의과대학에 입학하도록 원래 동기를 부여했던 핵심 가치들이 의사가 되는 과정에서 상실되거나 '훈련되어 갈 수 있다'는 사실은 오래 전부터 인식되어 왔다. 많은 교육자들이 학생들의 가치관, 신념, 이상을 잃는 것에 대항하여 "면역"이라는 은유를 채용했다.8

It has long been recognized that the core values that originally motivate many to enter medical school may be lost or “trained away” during the process of becoming a physician. A number of educators have employed the metaphor of “immunizing” students against the loss of their values, beliefs, and ideals.8


학생들이 전문적으로 발전함에 따라, 그들은 동료들에 의해 모델링되고 받아들여지는 것들로부터 새로운 가치를 채택할 수도 있다. 대부분의 학교에서, 이 과정은 비공식적이고 감독되지 않으며, 전문직 공동체로부터의 명시적인 입력input 없이 이뤄진다.

As students develop professionally, they may also adopt new values fromthose modeled and accepted by their colleagues. In most schools, this process is informal, unsupervised, and accomplished without the explicit input of the professional community.


전문직업성 형성은 그들이 의대에 입학할 때 이미 가지고 있었던 가치, 편향, 편견에 대한 고의적이고 엄격한 재검토를 포함하는 능동적인 성숙 과정이다. 다른 학습자 및 교수진과의 솔직한 토론을 통해 개인은 자신의 경험을 심도 있게 살펴보고, 자신이 진실하고 적절하다고 생각하는 가치와 신념에 다시 다가갈 수 있다.

Professional formation is an active maturational process, including a deliberate and rigorous reexamination of the values, biases, and prejudices with which they may have entered medical school. Through candid discussion with other learners and faculty, individuals are enabled to examine their experience in depth and recommit to those values and beliefs they hold as true and appropriate.


의대생들은 그들의 개인적 가치가 그들의 새로운 문화의 규범과 상충될 때 적절하게 상황을 탐색하고 어떤 것을 우선시할지를 선택하며 교육적, 임상적으로 매우 다양한 만남에서 위험에 처한 가치들을 식별하는 법을 배워야 한다.

Medical students must learn to identify the values at stake in a great variety of educational and clinical encounters, choose which to prioritize, and navigate situations appropriately when their personal values conflict with the norms of their new culture.


대규모 연구에서, 4분의 1 이상의 레지던트들이 "지난 1년 동안 부도덕하고, 비윤리적이고, 개인적으로 용납할 수 없는 일을 하도록 요구받았다"고 보고했다.15 Inui12는 학생들이 "불안한 상황에서 균형을 유지하기 위해 분투"를 겪는다고 묘사한다. 말로 표현되는expressed 가치를 위반하는 직업적 행동이 보편적으로 받아들여지는 모습을 관찰하면 도덕적 불협화음이 생긴다.16 학생들은 [옹호된 이상]과 [이상과 불일치하는 일상적인 행동] 사이의 차이를 인식하지만, 그러한 경험에 어떻게 반응해야 하는지에 대한 지침을 거의 받지 못한다.10

In a large study, more than one quarter of residents reported they had been “required to do something during the past year that they believed was immoral, unethical, or personally unacceptable.”15 Inui12 describes students as “struggling to keep one’s balance in precarious situations.” Observing the general acceptance of professional behaviors in violation of expressed values creates moral dissonance.16 Students recognize differences between espoused ideals and discordant day-to-day behaviors but rarely receive guidance on how to respond to such experiences.10


궁극적으로 [행동과 가치관의 일관된 응집성]이 의학을 도덕적 기업enterprise으로서, 그리고 전문성을 "도덕적 헌신"으로서 구별지을 것이다.

Ultimately, a consistent coherence between action and values identifies medicine as a moral enterprise and professionalism as a “moral commitment.”17


전문직 형성은 왜 중요한가?

Why Professional Formation Is Important


전문직업적 형성은 과학적 의학이 인간의 관련성을 유지하게 해주며, 사회적 상호작용에서 증가하는 복잡성을 탐색할 수 있게 해준다. 그것은 의사들이 개별적인 관계에 우선순위를 두고, 의사 결정시에 미묘한 뉘앙스를 인식하도록 장려한다.

Professional formation enables scientific medicine to maintain its human relevance and to navigate the increasing complexities in social interactions. It encourages physicians to accord primacy to individual relationships and recognize nuance in decision making.


[개인적인 삶에서 가치관의 집합]과 [일에서 가치관의 집합]을 따르는 과정에서, 학생들은 고립되거나, 전문직업적 가면을 쓰거나, "게임 페이스"를 배우거나, "분열된 삶"을 시작할 수 있다. 18 그 결과 활력과 정직성integrity을 잃게 된다.19 이러한 부조화discordance의 스트레스가 너무 심하면 학습자들은 관계나 더 깊은 가치나 미덕에 관심을 잃게 되고, 단순한 기술이나 지적능력의 숙달에만 초점을 맞출 수 있다.8 그러한 부조화의 잠재적 결과로는 냉소주의, 20 우울증, 21개의 교육 불만, 22개의 공감 상실, 23,24개의 양심 위기, 25개의 도덕적 성장 저해, 26 그리고 윤리적 침식이 있다.27

Following one set of values in their personal lives and another in their work, students may become isolated, learn to wear a professional mask, or a “game face,” or begin to live a “divided life,”18 resulting in a loss of vitality and integrity.19 The discordance may become so stressful that learners narrow their focus to the mastery of simple technical or intellectual competencies without attention to relationships or deeper values or virtues.8 The potential outcomes of such discordance and disaffiliation include cynicism,20 depression,21 educational dissatisfaction,22 loss of empathy,23,24 crises of conscience,25 stunting of moral growth,26 and ethical erosion.27


의학의 [공언된 가치관]과 [현실에서의 실천] 사이의 불협화음은 학생들이 어떤 가치를 배워야 하는지를 분별하는 것을 어렵게 한다.3 전문적인 형성, 피드백, 역할 모델링에 대한 불충분한 훈련으로 학생들은 스스로 비전문적인 행동에 취약해진다.

Dissonance between the professed values of medicine and its actual practice makes it difficult for students to discern what values they are supposed to learn.3 With inadequate training in professional formation, feedback, or role modeling, students become vulnerable to unprofessional behavior themselves.


근본적이고 개인적으로 의미 있는 가치를 희생시키는 것은 도덕적 정체성과 자기 신뢰의 상실을 야기하여 의사의 핵심적 기술인 [자기자신의 전문적인 사용professional use of self]을 위협한다.29 의사가 자신들과 정직과 이타주의와 같은 가치로부터 멀어질 때 환자의 안전은 타격을 받을 수 있다. 비인격화, 소진, 열악한 환자 치료는 의료 오류는 물론, 임상의사의 낮은 자기인식과도 연계되어 있다.31

Sacrificing foundational, personally meaningful values creates a loss of moral identity and self-trust, threatening a key physician skill—the professional use of self.29 When physicians are distanced fromthemselves and fromsuch values as honesty and altruism, patient safety may suffer. Depersonalization, burnout, and poor patient care are linked,30 as are medical error and limited clinician self- awareness.31


개인의 의사가 개인의 진실성integrity으로 행동하지 않는다고 여겨질 때, 의사와 환자간의 관계는 위협받을 뿐만 아니라, 의학적 직업과의 사회적 계약도 파괴된다.32 서비스 가치에 대한 개인적 집착은 대대로 우리 직업에서 대중이 걸어온 신뢰의 기초가 된다.

When individual physicians cannot be counted on to act with personal integrity, not only is the doctor–patient relationship threatened,12 but the social contract with the profession of medicine is fractured as well.32 A personal adherence to service values is the foundation of the trust that the public has placed in our profession for generations.


우리의 전문지식은 우리를 유능하게 하지만, 우리의 가치는 우리를 신뢰할 수 있게 만든다.

Our expertise makes us competent, but our values make us trustworthy.


의학교육의 전문성 형성의 현황

The Current Status of Professional Formation in Medical Education


LCME 인증 표준 MS-31-A는 "명백하고 적절한 전문적 속성(성, 행동 및 정체성)의 개발"을 촉진할 필요성에 대해 명시적이다."33 이러한 요건에 대한 결과를 정의, 측정 및 문서화하는 것은 각 의과대학에 맡겨진다.

The LCME accreditation standard MS-31-A is explicit about the need to promote the “development of explicit and appropriate professional attributes (attitudes, behaviors, and identity).”33 It is left to each medical school to define, measure, and document outcomes for these requirements.


현재 대부분의 미국 의과대학은 (비록 프로그램 성과 평가는 제한적이지만) 전문성 형성의 측면을 다루는 선택 커리큘럼이나 필수 커리큘럼을 제공하고 있다.34 모든 학교는 의료윤리 교육을 실시해야 하며, 많은 학교들은 의학 인문학, 영성학, 통합의학 분야의 선택권을 제공해야 한다.

Currently, most American medical schools offer either elective or required formal curricula that address aspects of professional formation, although evaluation of outcomes is limited.34 All schools must offer instruction in medical ethics, and many provide electives in medical humanities, spirituality, and integrative medicine.


전문성 형성 교육 교수진

Faculty in professional formation education


교수 롤모델링 및 멘토링은 학생의 전문적 발전에 중심적이다.7,41 불행히도 대부분의 교수진은 의대생으로서 형성formation 커리큘럼에 노출되지 않았고, 자기 성찰에 대한 교육을 받지 않았으며, 효과적인 가치 기반 피드백을 제공하거나, 또는 전문적 형성을 지원하는 교육을 받지 않았다.41 학생들은 의과대학을 다니면서, 점점 더 많은 퍼센트가 그들의 교수진을 휴머니즘적인 간병인이나 의사-환자 관계를 가르칠 때 좋은 역할 모델로 보지 않는다.42

Faculty role modeling and mentorship are central to the professional development of students.7,41 Unfortunately, most faculty were not exposed to formation curricula as medical students themselves and are untrained in self-reflection, providing effective values-based feedback, or supporting professional formation.41 As students progress through medical school, an increasing percentage do not see their faculty as humanistic caregivers or good role models in teaching the doctor–patient relationship.42


구성 프로젝트의 두 가지 예

Two examples of formation projects


전국적으로 성공적인 많은 전문성 형성 프로젝트들 중에서, 우리는 우리가 가장 잘 알고 있는 두 개의 오랜 프로그램을 설명할 것이다.

Among the many successful professional formation projects nationally, we will describe the two long-standing programs with which we are most familiar.


1991년 미국 샌프란시스코 캘리포니아대에서 개발된 '치유자의 예술'은 현재 미국 60개 의과대학과 캐나다, 이스라엘, 슬로베니아, 호주, 대만의 학교에서 매년 제공되는 1학년과 2학년 학생들을 위한 15시간의 선택과목이다.45

The Healer’s Art, developed at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San Francisco in 1991, is a 15-hour elective course for first- and second-year students now offered annually in 60 medical schools in the United States as well as schools in Canada, Israel, Slovenia, Australia, and Taiwan.45


치유사의 예술은 학생들로 하여금 [한 사람으로서 자신이 누구인가]가 [의사로서의 일의 결과의 중심]이라는 것을 이해하도록 돕는다. 학생들은 또한 그들을 의학에 심취하게 한 평생의 가치들을 성찰하고 명확히 할 수 있는 기회를 가지고 있으며, 의학 내에서 삶의 한 방법으로 그것들을 더 발전시키고 보존할 것을 약속할 수 있다. 봉사, 무해함, 동정심, 평등주의와 같은 개인적인 가치를 다른 사람들에게 보이도록 만드는 데 있어서, 학생들은 종종 그러한 가치들이 그들의 또래와 전문 커뮤니티에 의해 공통적으로 유지되고 있으며, 그러한 가치들이 의학의 대계통grand lineage의 일부라는 것을 발견하고 놀라게 된다.

The Healer’s Art facilitates students in understanding that who they are as a person is central to the outcome of their work as physicians. Students also have the opportunity to reflect on and clarify the lifelong values that have brought them into medicine and to commit to further developing and preserving them as a way of life within medicine. In making personal values like service, harmlessness, compassion, and egalitarianism visible to others, students are often surprised to discover that such values are held in common by their peers and professional community and are, in fact, part of medicine’s grand lineage.


이 과정의 마지막 세션 동안, 학생들은 개인적인 사명선언문을 쓰도록 초대 받는다. 종종 "히포크라테스 선서문 다시 쓰기"라고 불린다. 이러한 사명선언의 분석은 학생들이 존재감, 경외감, 사랑과 같은 요소들을 포함하는 전문성의 확대된 개념을 열망한다는 것을 보여준다.48

During the final session of the course, students are invited to write a personal mission statement—often referred to as “rewriting the Hippocratic Oath.” Analysis of these mission statements reveals that students aspire to an expanded concept of professionalism that includes such elements as presence, awe, and love.48


인디애나대 의과대학(IUSM)에서 제2의 전문직업성 형성 이니셔티브이 등장하고, 교육 환경을 과감하게 리메이크하는 데 초점을 맞추고 있어, 광범위한 정규 교육과정 개정의 발판을 마련하기도 한다.10,49,50

A second professional formation initiative has emerged at the Indiana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IUSM) and is focused on boldly remaking the educational environment, setting the stage for broad formal curricular revision as well.10,49,50


IUSM의 변신transformation은 의대생에서 학장, 그리고 시설에서 서비스 직원으로 이어지는 모든 수준의 학습과 제도적 커뮤니티를 포함했다. 조직 변화는 "긍정 탐구"라고 불리는 기업 세계에서 더 광범위하게 적용되는 과정에 의해 시작되었는데, 조직 내 개인들은 작동하지 않는 것에 초점을 맞추기보다는 자신이 추진하고자 하는 기존 시스템에 대해 무엇이 좋은지 확인하는 조직 개발 방법이다.50

the transformation at IUSM has involved every level of the learning and institutional community, from medical students to the dean and from faculty to service staff. Organizational change was initiated by a process more widely applied in the corporate world referred to as “appreciative inquiry,” an organizational development method in which individuals within the organization identify what is good about the existing system they want to promote, rather than focusing on what is not working.50


Inui et al10은 이 커리큘럼의 한 핵심 요소를 "경험에 뒤따르는 또래 집단에서의 성찰"로 요약했다. IUSM에서 학생 가치는 비공식 커리큘럼과 공식 커리큘럼의 융합을 나타내는 적어도 두 가지 방법으로 지원된다. 

    • 첫째, 의대생들은 의료전문직의 역사에 대해 배우고 그들의 직업적 역할에 대한 이해를 발전시킨다. 

    • 둘째, 학생들은 중요한 사건에 대한 저널링과 토론을 통해 자신의 경험을 반성하도록 장려된다. 궁극적으로, 학생들은 "행동 속에 내재된 가치"에 대해 유념하게 된다.

Inui et al10 have summarized one key component of this curriculum as “experience followed by reflection in a community of peers.” At IUSM, student values are supported in at least two ways, which represent a fusion of informal and formal curricula. First, medical students learn about the history of the profession and develop an understanding of their professional role. Second, students are encouraged to reflect on their experiences, through journaling and discussion of critical incidents. Ultimately, students become mindful of the “values embedded in actions.”


일부 교수진은 초기 감사조회 활동에 참여하여 '체크인(Check in)'을 포함한 모든 소그룹에서 관계업무를 강화하는 스킬 구축 워크숍을 진행했다.

Some faculty participated in the early appreciative inquiry activities and went on to skill- building workshops that strengthened relational work in all small groups, including “checking in” (beginning meetings with an opportunity to say whatever each person needs to say to be fully present),


전문직 형성의 미래

The Future of Professional Formation


전문적 형성에서의 훈련은 경험적이면서도 사색적인 것으로, 개인적인 서술, 이야기, 비유를 바탕으로 하며, 자기, 존재감, 전문지식의 통합에 초점을 맞추고, 학습 공동체에 내재되어 있으며, 안전하고 평등주의적인 학습자 공동체 내에서 중대 사건 및 개인적 경험에 대한 솔직한 토론을 특징으로 한다.53,54

Training in professional formation is both experiential and contemplative, based on personal narratives, stories, and parables, focused on the integration of self, presence, and expertise, embedded in a learning community, and featuring candid discussion of critical incidents and personal experience within a safe, egalitarian community of learners.53,54


목록 2는 전문 형성 교육의 필수적인 요소들을 요약한다. 현재, 많은 미국 의과대학들이 이러한 요소들을 많이 제공하지만, 종종 선택적으로 또는 교육과정 내에서 흩어진다. 의학 교육의 진정한 전환은 전문적인 형성 교육을 필수적으로 만들고, 학습자와 교사 모두에게 그것에 대한 책임을 묻는 것이 될 것이다.

List 2 summarizes the essential elements of professional formation education. Currently, many U.S. medical schools offer a number of these elements, but often electively or scattered within the curriculum. The true transformation in medical education will be to make professional formation education required and to hold both learners and teachers accountable for it.



Flexner의 비전의 완전한 실현은 새로운 입학사정관부터 학장, 그리고 직업 전반에 이르기까지 우리 교육 시스템의 모든 수준에서 변화를 필요로 할 것이다. 개별 학생들은 매일 명상하고 성찰하는 연습을 개발하도록 장려될 수 있다.57 그러한 습관에는 저널링, 성찰, 스토리텔링 및 비판적 사건 검토를 포함하여 입증된 커리큘럼 효과의 요소가 포함될 수 있다.56

The complete realization of Flexner’s vision will involve changes at all levels of our educational system—from the new matriculant to the dean to the profession at large. Individual students can be encouraged to develop a daily practice of mindfulness and reflection.57 Such a habit, built into the practice of medicine, might include elements of proven curricular effectiveness, including journaling, reflection, storytelling, and critical incident review.56


전문적 형식의 공식적인 커리큘럼은 모든 학생들이 가치관을 탐구하고 상충하는 이상과 맥락에서 분별력과 평정을 배우도록 요구할 것이다. 형성Formation 커리큘럼은 해부학 수업에서처럼 학생들이 자신의 몸을 기증한 사람에게 감사하거나 기념할 때 또는 기증자의 가족을 만날 때 수행되는 기본적인 과학 학습으로 통합될 것이다.60

Formal curricula in professional formation would require all students to explore values and learn discernment and equanimity in the context of competing ideals. Formation curricula would be integrated into basic science learning, as has been done in anatomy classes when students thank and/or memorialize the person who donated their body or when students meet the donor’s family.60


전문적인 형성을 위해서는 학생들이 긍정적인 역할 모델링, 적절한 멘토링, 그리고 공동의 가치와 투쟁을 탐구하고 토론할 수 있는 진정한 공동체를 경험할 수 있는 기회를 가질 필요가 있다.26 교수진 개발은 가치 중심 피드백을 제공하고 긍정적인 역할 모델로서 역할을 하는 훈련을 필요로 한다. 의과대학 교수진은 가치관과 행동의 일관성에 대한 책임을 질 것이며, 그들이 가르치는 것과 일관된 방식으로 행동하고 상호작용할 것으로 예상된다.

Professional formation requires that students have an opportunity to experience positive role modeling, adequate mentoring, and authentic community to explore and discuss common values and struggles.26 Faculty development would require training in providing values-driven feedback and in serving as positive role models. Medical school faculty would be held accountable for a consistency between values and action and expected to behave and interact in ways coherent with what they teach.


안전하고 다양한 공동체에서 개인이 자신의 신념과 가치관의 진실이나 적절성을 평가하는 것이 가능하다. [다른 사람들의 관점을 듣고 존중하는 것]은 학습자들이 그들의 행동과 선택 중 일부의 근거가 될 수 있는 [부정적인 편견을 조사하도록 격려]하고, 학생들이 공동체 내에서 자신에 대한 엄격한 분석을 견뎌내는 가치에만 전념하도록 장려한다. 의대생을 위한 학습 커뮤니티에 협업적인 전문가간 팀을 통합하면 중요한 사건에 대한 관점을 확장하고 전문직들 간의 공유된 가치에 대한 더 큰 감각을 제공할 수 있다.

In a safe, diverse community, it is possible for individuals to assess the truth or appropriateness of their beliefs and values. Hearing and respecting the perspectives of others encourages learners to examine the negative biases that might underlie some of their behaviors and choices, encouraging students to remain committed only to those values that withstand a rigorous analysis of self within community. Incorporating collaborative, interprofessional teams into the learning community for medical students may expand perspectives in critical incidents and afford a greater sense of shared values between the professions.


[직업적 가치와 개인적 약속의 영역에서] 성공적인 의학교육 개혁은 [광범위한 조직 변화와 숨겨진 교육과정]을 다루지 않고는 진행될 수 없다.66 의대 내의 구조, 문화 및 관행은 물론 더 넓은 의대 내에서도 우리의 최고 가치에 대한 깊은 헌신을 지원하기 위해 노출, 연구 및 변혁이 필요할 것이다.67 궁극적으로 그러한 변혁은 의대와 우리의 국가기관 내에서의 관심과 재정적 지원의 재조정이 필요할 것이다.

Successful medical education reform in the domain of professional values and personal commitments cannot proceed without widespread organizational change and addressing the hidden curriculum.66 Structures, cultures, and practices within medical schools, but also within the broader medical enterprise, will require exposure, study, and transformation to support a deep commitment to our highest values.67 Ultimately, such transformation will require a rebalancing of attention and financial support within medical schools and within our national medical institutions.


마무리

Closing Comments


근본적 가치와 일상적 관행의 불일치는 의대생과 교직원이 보고하는 냉소주의, 우울증, 불만에 기여할 가능성이 높다. 의과대학의 전문적 형성 교육은 학생과 교사 모두에게 참여하며 각각 의료계의 최고 이상을 구현하는 방식으로 성장하고 발전하기 위해 도전한다.69 [상충되는 가치의 도전]은 모든 의사들에게 친숙하다. 우리 모두는 어느 순간 의사로서의 정체성과 개인으로서의 정체성을 조화시킬 수밖에 없었다.

Discordance between foundational values and daily practice likely contributes to the cynicism, depression, and dissatisfaction reported by medical students and faculty. Professional formation education in medical school engages both the student and the teacher and challenges each to grow and develop in ways that embody the highest ideals of the medical profession.69 The challenge of conflicting values is familiar to all physicians. We have all at some point been forced to reconcile our identity as physicians with our identity as people.


전문성 형성을 진전시키는데 있어서, 교수진들은 [그들이 가르치는 것]과 [그들이 어떻게 행동하는지]에 대한 불일치를 조사하고 이에 대응하도록 요구될 것이며, 그들의 행동과 직업적 선택에 동기를 부여하는 명시적인 오랜 가치관을 만들도록 초청될 것이다. 안전한 학습자 커뮤니티에서 교직원이 용납하지 않는 학습자, 동료, 자신 사이의 행동을 파악하고 건설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권한을 부여한다. 학생들과 교수진들 모두 마찬가지로, 우리 모두는 배울 것이 있고, 원래 우리 모두를 의학medicine으로 이끌었던 가치와 약속의 일부에 다시 연결reconnect해야 하는 공통의 필요성을 가지고 있다.

In advancing professional formation, faculty will be called on to examine and respond to inconsistencies in what they teach and how they behave and will be invited to make explicit long-held values that motivate their behavior and professional choices. In a safe community of learners, faculty will be empowered to identify and constructively respond to behaviors among learners, colleagues, and themselves that they do not condone. We all, students and faculty alike, have something to learn and a shared need to reconnect to some of the values and commitments that originally called us all to medicine.


전문적 형성의 학습은 모든 의학 전문지식의 진정한 학습자 커뮤니티에서만 이루어질 수 있는데, 교수진들은 학생들로부터 스스로를 분리하지 않고, 모두가 안전하다고 느끼고, 자신의 계기와 상처에 직면하고, 모두가 서로 지지하고, 봉사의 꿈을 공유하는 것이다.

Learning in professional formation can only happen in an authentic community of learners at all levels of medical expertise, where faculty do not separate themselves from students, where all feel safe, facing their own acculturation and woundedness, where all support one another and share their dream of service.











. 2010 Feb;85(2):310-7.
 doi: 10.1097/ACM.0b013e3181c887f7.

Professional Formation: Extending Medicine's Lineage of Service Into the Next Century

Affiliations 

Affiliation

  • 1Division of General Internal Medicine, Department of Medicine, University of California, San Francisco, San Francisco, California 94143-1732, USA. mrabow@medicine.ucsf.edu

Abstract

In his 1910 report on medical education, Flexner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competency in basic sciences. Less widely recognized is that he also emphasized the necessity of liberal education. On the Flexner Report's 100th anniversary, medicine is challenged to realize Flexner's full vision for medical education to ensure that physicians are prepared to lead lives of compassion and service as well as to perform with technical proficiency. To meet the complex medical and social challenges of the next century, medical educators must continue to promote cognitive expertise while concurrently supporting "professional formation"-the moral and professional development of students, their ability to stay true to their personal service values and the core values of the profession, and the integration of their individual maturation with growth in clinical competency. The goal of professional formation is to anchor students to foundational principles while helping them navigate the inevitable moral conflicts in medical practice. The consequences of inadequate support for professional formation are profound, impacting individual learners, patients, the profession, and society at large. Among the many successful professional formation projects nationally, two long-standing programs are described in modest detail to identify common elements that might guide future developments elsewhere. Key elements include experiential and reflective processes, use of personal narratives, integration of self and expertise, and candid discussion within a safe community of learners. Committing to professional formation within medical education will require transformation of formal and informal curricula and will necessitate a rebalancing of attention and financial support within schools of medicine.


의과대학생의 전문직정체성: 전임상 시기의 자기 성찰(Med Teach, 1997)

Medical students' professional identity: self-reflection during the preclinical years

P M Niemi

Department of Psychiatry, University of Turku, Turku, Finland





도입

INTRODUCTION


학생이 [전문직의 도전과 기회에 대한 현실적인 시각을 키우는 것]은 전문직 정체성의 발전을 위해 필수적이다. 정체성 형성은 이용 가능한 대안을 탐구하고, 어떤 선택과 목표에 전념하는 것으로 구성된다. 오늘날, 의사의 직업적 의무는 전보다 덜 명확하고 더 복잡하다. 예를 들어, 좋은 의사는 (좋은 의료 지식과 임상 기술에 더하여) 좋은 대인관계 기술 및 자기 성찰에 대한 준비성을 갖추어야 한다. (Simpson et al. 1991; Boelen 1995). 성찰적 실천은 일반적으로 필수적인 전문적 문제를 식별하고, 자명한 '진리'에 도전하고, 피드백을 찾고, 개인 전문적 개발에 사용할 수 있다(예: Schoen 1983; von Wright 1992). 자기 성찰에 대한 준비는 평생학습과 전문적 발전을 위한 중요한 토대가 된다.

It is essential for the development of professional identity that the student develops a realistic view of the challenges and opportunities of the profession. Identity formation consists of exploring the available alternatives and committing to some choices and goals. Nowadays, the doctor's professional duties are less clear-cut and more complex than ever before. For example, qualified doctors are expected to have ± apart fromgood medical knowledge and clinical skills ± good interpersonal skills and readiness for self-reflection (Simpson et al. 1991; Boelen 1995). A reflective practitioner is typically able to identify essential professional problems, to challenge self-evident `truths', to seek for feedback and to use it for personal professional development (e.g. SchoÈn 1983; von Wright 1992). Readiness for self-reflection constitutes an important basis for lifelong learning and professional development.


전통적인 의료 커리큘럼은 학생들에게 비판적 사고와 문제 해결 능력과 같은 직업의 미래 도전에 대한 충분한 qualification을 제공할 수 없다는 비판을 받아왔다(Colles 1990; Tosteson 1990). 이러한 교육 문제에 대한 대응으로 많은 의과대학들이 교육 프로그램(예: 문제 기반 학습, 조기 환자 접촉 과정 및 지역사회 지향 프로그램)을 개발하기 시작했다.

Traditional medical curricula have been criticized for not being able to provide students with sufficient qualifications for the future challenges of the profession, e.g. critical thinking and problem-solving skills (Coles 1990; Tosteson 1990). As a response to these educational problems, many medical schools have started to develop their educational programmes (e.g. problem-based learning, early patient contact courses and community-oriented programmes).


정체성 개발과 자기성찰

IDENTITY DEVELOPMENT AND SELF-REFLECTION


에릭슨(1968)은 자아 인식의 평가, 선택, 조직 등의 과정이 본질적으로 관여하는 정체성 형성의 건설적 성격에 주목했다. 제임스 E. 마르시아(1966년, 1980년)는 정체성 상태 패러다임을 개발하여 에릭슨적 정체성 개념에 대한 조작적 정의를 제공하였다. "[자기탐색 또는 위기] 및 [개인적 헌신]". 

  • 개인적 헌신은 안정적인 자기-정의를 말한다. 즉, 자신이 하고 믿는 일에 대한 확고한 의식을 의미한다(Berzonsky 1990). 사람은 자신의 삶에 방향과 의미를 부여하는 자기 정의된 목표, 가치, 신념에 전념하고 싶어한다. 

  • 위기는 [한 사람이 다양한 역할에 대한 실험을 하고, 의식적으로 자신의 기본 가치와 신념, 목표를 질문하고 평가하는] 자기탐구의 시간이다. 

개인은 의도적인 자기 성찰에 임해야 하며, 자기 관련 정보를 적극적으로 처리하고 정교하게 작성해야 한다. 사람은 자신의 생각, 신념 및 행동을 다른 가능한 관점과 연관시킨다(Schoen 1983; Berzonsky 1990; von Wright 1992). 이 두 가지 차원에 따라 네 가지 서로 다른 정체성 상태를 설명할 수 있다(표 1 참조).

Erikson (1968) drew attention to the constructive nature of identity formation, where processes of evaluation, selection and organization of self-perceptions are essentially involved. James E. Marcia (1966, 1980) developed an identity status paradigm, which provided operational definitions for the Eriksonian concepts of identity ± self-exploration or crisis and personal commitment. 

  • Personal commitment implies a stable self-definition ± a firm sense of what one does and believes in (Berzonsky 1990). A person wants to commit to self-defined goals, values and beliefs which give direction and meaning to his/her life. 

  • A crisis is a time of self-exploration, when one experiments with various roles and consciously questions and evaluates one's basic values, beliefs and objectives. 

An individual must engage in deliberate self-reflection and actively process and elaborate self-relevant information. A person relates his or her own thoughts, beliefs and behaviours to other possible perspectives (SchoÈn 1983; Berzonsky 1990; von Wright 1992). According to these two dimensions, four different identity statuses can be described (see Table 1).



성취된 정체성은 개인의 자기탐구와 개인적 목표에 대한 헌신을 통해 발전되었다. 

모라토리엄은 아직까지 어딘가에 헌신하지 못한 적극적 탐험의 상황이다. 

  • 성취된 정체성을 가진 개인과 모라토리엄을 거치는 사람들은 더 큰 인지적 통합적 복잡성과 경험적 지향성을 보인다. 즉, 그들은 그들의 경험과 동기에 대해 호기심과 개인적인 의미를 찾는다(Stephen et al. 1992; Berzonsky et al. 1997). 

  • 성취된 정체성을 가진 사람은 높은 자아 수용력, 안정된 자기 정의, 정서적 안정감, 대인관계적 관점을 취할 수 있는 능력을 가진 것으로 묘사된다(예: 마르시아 1980; 워터맨 1984). 

  • 모라토리엄을 겪고 있는 사람은 변증법적 사고에서 높은 점수를 얻는데, 이는 사고의 모순에 대한 종합성, 상대성 및 내성으로 특징지어질 수 있다(Stephen et al. 1992). 집중적인 자기 탐구는 감정 반응성, 당혹감, 그리고 자기 의식의 증가를 초래할 수도 있다. 

  • 담보된 정체성을 가진 사람은 확고한 약속과 결정을 내릴 수 있다. 그러나 이것은 개인적인 자기 탐구 없이, 종종 권위 있는 인물들의 기대에 근거하여 행해진다. 이러한 사람들은 성취 지향적이지만, 성찰성이 떨어지고 여러 관점에서 정보를 통합할 능력이 떨어진다(Stephen et al. 1992; Berzonsky et al. 1997). 

  • 분산된 정체성을 가진 사람은 탐사를 시작하지도 않았고, 어떤 약속도 하지 않았다. 이 사람들은 문제를 가지고 대립하는 것을 피하거나 연기하려고 한다.

Achieved identity has developed through personal self-exploration and commitment to personal goals. Moratorium is a state of active exploration without commitments thus far. 

  • Individuals with achieved identity and those going through moratorium display greater cognitive integrative complexity and an experiential orientation, i.e. they are curious and seek personal meaning for their experiences and motives (Stephen et al. 1992; Berzonsky et al. 1997). Individuals with achieved identity are described as having a high acceptance of self, a stable self-definition, emotional stability and a capacity for interpersonal perspective taking (e.g. Marcia 1980; Waterman 1984). 

  • Individuals undergoing moratorium score high in dialectical thinking, which can be characterized by synthesis, relativism and tolerance of contradiction in thinking (Stephen et al. 1992). Intensive self-exploration may also result in emotional reactivity, embarrassment and increased self-consciousness. 

  • Individuals with a foreclosed identity may make firm commitments and decisions. However, this is done without personal self-exploration, often on the basis of the expectations of authority figures. These people are achievement-oriented, but less reflective and less able to integrate information from multiple perspectives (Stephen et al. 1992; Berzonsky et al. 1997). 

  • A person with a diffuse identity status has not started an exploration, nor made any commitments. These people try to avoid or postpone confrontation with problems.


Stephen 외 연구진(1992)은 한 상태에서 다른 상태로 진행하는데 선형적이거나 단일한 방법이 없다고 주장했다. 정체성 과정은 나선형으로 더 잘 설명될 수 있는데, 이 나선형은 [구조의 형성과 유지(즉, '나는 누구인가?')와 변화하기 위한 유연성과 개방성(예: 탐사, 예를 들어 '내가 무엇을 할 수 있는가?')] 사이의 역동적이고 변증법적인 평형이 유지되고 있다. 모순되고 모호한 상황과 경험은 대개 자신의 개인적 견해에 대한 자기 성찰과 의문을 자극한다. 이전의 사고방식과 행동방식은 더 이상 당면한 상황과 일치하지 않지만, 개인은 대안적 결의와 관점을 고려할 필요성에 직면해 있다. 전문직 정체성의 발전에 결정적인 순간은 아마도 직업 훈련과 경력의 시작 시기에 일어날 것이다. 새로운 경험과 인지 능력이 학생의 자기 성찰을 활성화시킬 수도 있다. 자이르비넨(1992)은 교육 중 의대생들의 직업적 지향이 전문적 실무에서 발전하기 위한 후속 준비 상태를 예측했다고 관찰했다. 대인관계 의사소통은 또한 자기 성찰과 자신의 경험의 정교함을 촉진시킬 수 있다(예: 롤로프 & 버거 1982). 학생이 자신의 감정과 생각을 다른 사람에게 전달하려고 할 때, 자기 자신의 사고방식도 알게 된다.

Stephen et al. (1992) argued that there is no linear or single way of proceeding from status to status. The identity process may be better described as a spiral, where a dynamic and dialectic equilibrium is maintained between the formation and maintenence of structure (i.e. commitment and the definition of self, e.g. `who am I?') and flexibility and openness to change (i.e. exploration, e.g. `what is possible for me?'). Contradictory and ambiguous situations and experiences usually stimulate self-reflection and questioning of one's personal views. The earlier ways of thinking and acting no longer match the situation at hand, but the individual is faced with a need to consider alternative resolutions and views. The moments crucial for the future development of professional identity probably occur at the beginning of the professional training and career. New experiences and cognitive con¯icts may activate a student's self-reflection. JaÈrvinen (1992) observed that medical students' professional orientation during the education predicted their subsequent readiness to develop in professional practice. Interpersonal communication can also facilitate self-reflection and the elaboration of one's own experiences (e.g. Roloff & Berger 1982). When a student tries to communicate his or her feelings and thoughts to another person, he or she also becomes aware of his/her own way of thinking.


이번 연구

PRESENT STUDY


전통적 교육과정의 혁신

Innovation in a traditional curriculum


투르쿠 대학의 의학 커리큘럼은 전통적으로 조직되어 왔다(예: 임상 전 훈련과 임상 훈련은 분명히 서로 분리되어 있다).

The medical curriculum at the University of Turku has been traditionally organized (e.g. preclinical and clinical training are clearly separate from each other).


이 프로그램의 교육 개혁은 PBL의 원칙과 초기 환자 접촉 과정인 '스트랜드'가 이 프로그램에 시행된 1991년에 시작되었다.

Educational reforms of the programme started in 1991, when the principles of PBL and an early patient contact course, a `strand', were implemented into the programme.


의대생들은 그들의 첫 2년간의 연구 기간 동안 정기적으로 1차 보건소를 방문한다. 그들은 의사±환자 관계에 대한 관찰을 하고, 기본적인 임상 기술을 배우고, 1차 의료 시스템에 대한 관점을 개발한다.

The medical students regularly visit primary health care centres during their first 2 years of studies. They make observations about the doctor±patient relationship, learn some elementary clinical skills and develop a view of the primary health care system.



연구 목적

Aims of the study


종방향 연구 프로그램인 '2000년을 위한 의사'는 의대생들의 발달 과정을 분석하기 위해 1991년에 시작되었다(예: Niemi et al. 1996).

The longitudinal research programme `Doctor for the year 2000' was started in 1991 to analyse medical students' developmental process (e.g. Niemi et al. 1996).


질문은 다음과 같았다. 1학년 학생들은 그들의 첫 번째 학습 경험을 전문적인 맥락에서 얼마나 그리고 어떤 방식으로 반영하고 있는가?

The question was: How much and in what way do first year students reflect their first learning experiences in a professional context?



방법

METHOD


참가자 및 절차

Participants and procedure


후속 연구는 1991년 8월 6년간의 의대 교육을 시작한 110명의 의대생들로 구성되어 있다. 이 중 절반은 남성, 절반은 여성으로, 평균 연령은 21세. 학생들의 발전은 학업의 첫날부터 1997년 의대를 졸업할 때까지 이어질 것이다. 본 기사는 임상 전년도(참가자 수와 응답률을 괄호 안에 표시) 동안 다음과 같은 질의 시간을 다루고 있다. 시간 0: 연구 첫째 날(109, 99%) 

    • 시간 1: 제 1기(NHN 94, 85%) 

    • 시간 2: 제 2기(NHW 91, 83%) 

    • 시간 5: 제 5기(즉, 전임상 시기의 종료시점) (NNNH 92, 85%). 1학기 및 2학기 동안 학습 일지를 제출하였다(NNH 90=100, 90%).

The follow-up study consists of 110 medical students who started their 6-year medical education in August 1991. Half of them are male and half female with an average age of 21 years at the beginning of their training. The development of the students will be followed from the first day of their studies until they graduate fromthe medical school in 1997. This article deals with the following times of inquiry during the preclinical years (the number of participants and the response rates are indicated in parentheses): time 0: first day of studies (Nˆ 109, 99%), time 1: end of the first term (Nˆ 94, 85%), time 2: end of the second term (Nˆ 91, 83%) and time 5: end of the fifth term, i.e. the preclinical period (Nˆ 92, 85%). Learning logs were handed in during the first and second terms (Nˆ 90=100, 90%).



척도

Measures


학습 로그

Learning logs.


학생들이 초기 환자 접촉 과정을 위해 1차 건강관리센터를 방문할 때마다, 그들은 그들의 경험에 대한 학습 일지를 보관하도록 요청 받았다. 그들은 일기를 쓰는 아이디어에 대한 간단한 설명을 제공받았다: "학습 일지를 쓰는 목적은 당신의 학습을 촉진하는 것이다. 그것은 당신의 학습을 강화시키고 심화시키며 당신의 자각을 발전시킨다." 가르침은 '배운 상황 후에 가능한 한 신선하게 생각을 적는 것이 목적'이었다. 자신의 생각, 경험, 감정을 개인적인 방법으로 자유롭게 기록하는 것이 중요하다. 당신이 중요하다고 생각하거나, 흥미롭거나,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것들을 기록하는 것은 필수적이다. 올바른 해결책이 없기 때문에 로그를 사용하는 올바른 방법이 무엇인지 궁금하지 마십시오. 그 학습 일지는 당신에게 당신의 경험을 반영하고 궁금해할 수 있는 포럼을 제공한다. 이런 식으로 너는 로그를 너 자신에 대해 배우는 데 사용할 수 있다.'

Each time the students visited the primary health care centre for the early patient contact course, they were requested to keep a learning log about their experiences. They were presented with a short description of the idea of keeping a diary: `The aim of keeping a learning log is to promote your learning¼ it intensifies and deepens your learning and develops your self-awareness'. The instruction was: `The purpose is that you write your thoughts down as freshly as possible after the learning situation¼ It is important that you freely record your own thoughts, experiences and emotions in your personal way. It is essential to record the things you consider important, interesting or significant. Do not wonder which might be the right way to keep a log, as there is no one right solution. The learning log offers you a forum where to reflect and wonder about your experiences. In this way you can use themfor learning about yourself '.


보도를 자극하고 촉진하기 위해 몇 가지 질문이 주어졌다: '

      • 무엇을 관찰하고 경험했는가? 

      • 무엇이 가장 인상적이고 중요했는가? 

      • 기분이 어땠어? 

      • 어떻게 생각하셨나요? 

      • 무엇을 배우고 이해했는가? 

      • 무엇이 너의 생각을 자극했니? 

      • 무슨 일로 마음을 빼앗겼니? 

      • 가장 이해하기 어려웠던 점은 무엇이었습니까? 

      • 무엇을 물어보고 싶으세요? 

      • 당신은 어떻게 괴로운 상황에 대처하셨나요? 

      • 앞으로 비슷한 상황에 어떻게 대처할 것 같아? 

      • 만약 당신이 의사/환자 입장이었다면, 어떻게 행동했을까?'

some questions were given to stimulate and facilitate the reporting: 

      • `What did you observe and experience? 

      • What was most impressive and important? 

      • How did you feel? 

      • What were your thoughts? 

      • What did you learn and understand? 

      • What stimulated your thinking? 

      • What occupied your mind? 

      • What was the most difficult thing to understand? 

      • What would you like to ask? 

      • How did you cope with distressing situations? 

      • How do you think you will handle similar situations in the future? 

      • If you had been in the doctor's/patient's position, how would you have behaved?'


정체성 상태 인터뷰

Identity status interview.


학생들은 임상 전 훈련 기간이 끝날 무렵 자신의 정체성 발달에 대해 개별 면접을 보았다. 신분 상태 인터뷰의 프로토콜(부록 1)은 애덤스(1989년)가 개발한 인터뷰 프로토콜 외 에 기초하였다.

The students were individually interviewed about their identity development at the end of the preclinical training period. The protocol of the identity status interview (Appendix 1) was based on et al. the interview protocol developed by Adams (1989).



APPENDIX 1 Identity status interview

Have you already decided what kind of a career you are striving for?

A. If affirmative, answer:

1 Can you give reasons for considering this interest area?

2 Please describe how you arrived at this choice and how it occurred to you to think about this alternative.

3 What kind of experiences have helped or stimulated you in your decision-making?

4 Who are the people that have stimulated your reflection?

5 What is your opinion about the probability of changing your mind? (on a scale of 0±100%; 100% meaning that the respondent is 100% sure about his/her decision; 50% that there is a half chance of his/her changing his/her mind)

6 What kind of things could make you change your mind? Or why would you change your mind?

7 Would you change your mind if the significant others disagreed with your choice?

8 How would you feel if you were unable to execute your decision or plan?


B. If negative, answer:

1 Are you just now considering some resolution? Are you exploring some alternatives, plans or decisions at this very moment? What are the alternatives you now have in mind?


B1. If positive, answer:

1 Why are you considering precisely these alternatives?

2 Please describe how you arrived at these alternatives and how it occurred to you to think about them.

3 What kind of experiences have stimulated your reflection?

4 Who are the people that have stimulated your reflection?

5 How near are you to the ®nal decision-making? (0±100%; 100% indicating that the respondent is very near; 50% that he/she is in half way of making his/her decision)

6 On what basis do you think your future decisions will take their direction? Or what kind of things you will pay attention to in your career choice? 


B2. If negative, no further questions are asked.



전문직업적 관점과 선택

Professional views and choices.


학생들은 '미래 전문직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얼마나 명확한가?'(0, 1, 2, 5 시기의 3점 만점에 대한 자기 평가), '의료 훈련의 선택에 대해 얼마나 확신하는가?'(0, 1, 2, 5 시기의 5점 만점에 대한 자기 평가) 등의 질문을 받았다. 더구나 면접(시간 5)에서 '의료훈련을 그만두고 전공을 바꿀 생각을 했느냐' '의사로서 미래 직업에 적합하다고 생각하느냐'는 질문을 받았다.

The students were asked `How clear is your view of the future profession?' (self-ratings on a three-point scale at the times 0, 1, 2, 5) and `How sure are you about your choice of medical training?' (self-ratings on a five-point scale at the times 0, 1, 2, 5). Moreover, they were asked in the interview (time 5): `Have you thought about quitting medical training and changing your major?' and `Do you consider yourself suitable for the future profession as a doctor?'


질적 자료의 내용 분석

Content analyses of the qualitative material


학습 로그의 분석은 주어진 학생이 작성한 모든 학습 로그 자료를 바탕으로 수행되었다. 첫째, 신분 상태 패러다임에 기초하여 4가지 다른 범주의 보고가 가설되었다(표 1) 

    • (1) 탐구와 헌신 모두를 예시하는 성숙한 성찰, 

    • (2) 탐구와 의문이 가장 분명한 모라토리엄, 

    • (3) 헌신이 가시적이지만 반영이나 탐구심이 없는 담보된 보고 유형

    • (4) 약속이나 탐구의 징후 없는 분산된 보고

The analysis of the learning logs was done on the basis of all learning log material produced by a given student. First, four different categories of reporting were hypothesized on the basis of the identity status paradigm (Table 1): (1) mature reflection exemplifying both exploration and commitment; (2) moratorium, where exploration and questioning are most evident; (3) foreclosure type reports, where commitment is visible but without reflection or exploration; and (4) diffuse reporting with no signs of commitment or exploration.



결과

RESULTS


전문적 성찰의 초기 특성

The nature of early professional reflection


질적으로 서로 다른 4개의 학습 로그 그룹이 확인되었다.

Four qualitatively different groups of learning logs were identified.


(1) 헌신적 성찰

(1) `Committed reflection'


(NHW 14, 그룹 1  10 10, 그룹 2 ˆ 4) 의료 센터에서 행해진 경험과 관찰은 분석적으로 고려된다. 예를 들어, 학생은 자신의 수행, 학습, 일반 또는 환자-의사 상호작용의 직업 등을 성찰한다. 또한 다른 관점이나 다른 사람들의 관점의 현상을 고려하는 관점, 즉 perspective-taking 능력이 있다. 게다가 자신의 개인적 관점을 진술하는 증거를 제시한다.

(Nˆ 14, group 1 ˆ 10, group 2 ˆ 4). The experiences and observations made in the health care centre are considered analytically, e.g. the student reflects his/her own performance, learning, the profession in general or patient±doctor interaction. He or she also has capacity for perspective-taking, i.e. considering phenomena from different perspectives or from other people's viewpoints. Moreover, he/she gives evidence of stating his/her own personal point of view.


(2) 정서적 탐구

(2) `Emotional exploration'


(N ˆ 27, 그룹 1 ˆ 13, 그룹 2 ˆ 14). 이들 로그에서는 성찰의 징후도 보인다. 그러나 탐구는 자기인식, 감정표현, 당혹감 등이 특징이다. 범주 1의 전형적인 개인적 관점이나 타인의 관점에 대한 표현은 가끔만 일어났다.

(N ˆ 27, group 1 ˆ 13, group 2 ˆ 14). In these logs, signs of reflection are also visible. However, the exploration is characterized by self-consciousness, emotional expressions and embarrassment. The expression of personal standpoints or perspective-taking typical of category 1 only occurred occasionally.


(3) 객관적 보고

(3) `Objective reporting'


(N ˆ 26, 그룹 1 ˆ 12, 그룹 2 ˆ 14). 이러한 학습 로그는 객관적 사건, 임상적 사실 및 사례와 참가자의 성과에 초점을 맞춘 풍부한 보고 내용을 입증한다. 이 학생들은 [자신의 경험과 관찰에 대한 감정적 반응, 질문 또는 정교한 질문 대신] 발생했던 일에 집중한다. 사건들과 사실들은 다른 관점에서 성찰되지 않는다.

(N ˆ 26, group 1 ˆ 12, group 2 ˆ 14). These learning logs evidence an abundance of reporting focusing on objective events, clinical facts and cases and on the performance of the participants. These students concentrate on what happened ± instead of their emotional reactions, questioning or elaboration of their experiences and observations. The events and facts are not reflected on from different perspectives.


(4) 부족한 보고, 보고 회피

(4) `Scant and avoidant reporting'


(N ˆ 23, 그룹 1 ˆ 8, 그룹 2 ˆ 15). 이러한 로그의 일반적인 품질은 불충분하거나, 비어 있거나, 회피성 또는 확산성 보고다. 로그는 종종 짧지만, 더 길면 분리되고 피상적인 보고가 특징이다. 이 학생들은 (어떤 이유로든) 이 문제를 더 깊이 들여다보지 않는다.

(N ˆ 23, group 1 ˆ 8, group 2 ˆ 15). The typical quality of these logs is scant, empty, avoidant or diffuse reporting. The logs are often short, but if longer they are characterized by detached and superficial reporting. These students do not ± for some reason or another ± go into the matter.


전임상 교육 종료시점의 정체성 상태

Identity status at the end of the preclinical training


(1)전문직업적 정체성 획득'

(1)`Achieved professional identity'


(NNH 20). 학생들은 하나 이상의 전문적인 대안이나 계획을 표현한다. 게다가, 그들은 그 대인 중 하나에 상당히 전념하고 있는 것 같다(헌신률이 분명히 50%를 넘는다). 그러나 개인적 자기탐구는 면접에서 그들의 약속과 선택에 대한 근거로 표현되는 경우는 드물다.

(Nˆ 20). The students express one or more professional alternatives or plans. Furthermore, they seem to be considerably committed to one of them (commitment rate clearly above 50%). However, personal self-exploration is rarely articulated as a basis for their commitments and choices in the interview.



(2) "특정 대안의 적극적 탐구"

(2) `Active exploration of specific alternatives'


(NNND 29). 학생은 몇 가지 concrete한 대안을 제시하거나 specific한 대안을 정의한다. 그 또는 그녀는 가능성을 실험하고, 탐구하고, 고려하고 비교한다. 그러나 최종 결정을 내릴 확률은 분명히 50% 미만이 되는 등, 학생은 그 중 어느 것에 대해서도 확고한 의지를 갖고 있지 않다.

(Nˆ 29). The student expresses some concrete alternatives or defines a specific alternative. He or she experiments, explores, considers and compares possibilities. However, the student does not have a firm commitment to any of them, e.g. the probability of making a final decision is clearly under 50%.


(3) "모호한 환상과 잠정적인 생각"

(3) `Vague fantasies and tentative ideas'


(NNH 21). 그 학생은 자신의 미래에 대한 막연한 환상이나 잠정적인 생각을 스케치한다. 그 혹은 그녀는 몇몇 흥미로운 분야를 언급할 수도 있지만, 동시에 진지하게 탐구하거나 저지르려는 의도는 없다.

(Nˆ 21). The student sketches some vague fantasies or tentative ideas about his or her future chances. He or she may mention some interesting areas, but at the same time does not seriously explore or intend to commit.


(4) 분산된 정체성 상태

(4) `Diffuse identity status' (Nˆ 22).


그 학생은 어떤 대안도 표현하지 않고, 어떤 대안도 탐구하지 않는다. 미래의 직업적 선택을 고려할 적절한 시기가 아니라고 생각하는 듯하다.

The student does not express any alternatives, nor has explored any. He or she seems to think that it is not a proper time for considering future professional choices.


초기 전문적 반영, 신원 상태 및 전문적 견해 사이의 연관성

Associations between early professional reflection, identity status and professional views


보고 집단 간, 전문직 상태 집단 간 유의미한 성별이나 나이 차이가 없었다.

There were no significant sex or age differences between the reporting groups, nor between the identity status groups.


전문적 성찰과 전문적 견해

Early professional reflection and professional views


ID 상태 및 전문가 보기

Identity status and professional views


임상 전 훈련(시간 5: Chi square 3 75, P 53 053)이 끝날 무렵 '분산된'와 '모호한' 정체성 학생(44%)보다 '탐구하는'과 '성취한' 학생(67%)이 직업 선택에 대해 매우 확신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탐색하고 성취한 정체성' 학생이 '분산되거나' '모호한' 정체성 학생(47%)에 비해 직업에 적합하다고 생각하는 경향도 있었다(64%)

More `exploring' and `achieved identity' students (67%) were very certain about their professional choice than `diffuse' and `vague' identity students (44%) at the end of the preclinical training (time 5: Chi square ˆ 3 75, P ˆ 0 053). There was also a tendency for the `exploring and achieved identity' students to consider themselves suitable for the profession more frequently (64%) in comparison to the `diffuse' and `vague' identity students (47%).


고찰

DISCUSSION


'헌신적 성찰'은 성찰에 대한 기술과 경향으로, 비판적 사고, 조망수용, 헌신 등으로 정의된다. 따라서 고등학교에서 의과대학으로 직행하는 많은 대다수의 학생들이 학생들이 이런 '성숙한' 사고에 준비가 되어 있지 않다는 것은 이해할 수 있다. '헌신적 성찰자'는 미래 직업에 대해 가장 명확한 견해를 가지고 있었고, 다른 직업보다 직업 선택에 대해 더 확신하고 있었다. 요컨대, 그들의 학습 기록은 한결같이 그들의 더 강한 직업적 자신감을 반영했다.

`Committed reflection' was defined as a skill and tendency for reflection, critical thinking, perspectivetaking and commitment. Consequently, it is understandable that not many students, the majority of whom come straight from high school to the medical school, are ready for this kind of `mature' thinking. `Committed reflectors' had the clearest views of the future profession and they were more certain about their professional choice than the others. In sum, their learning logs consistently reflected their stronger professional confidence.


반면 '감정 탐험가'도 성찰의 자세를 보였다. 그들의 글은 직업적인 상황에 대한 개방적이고 민감하며 개인적인 지향점을 생생하게 묘사했다. 그러나 그들은 그들의 전문적인 견해와 선택에 대해 덜 확신하고 있었다. 분명히, 그들의 학습일지 보고서는 적극적인 자기탐구와 심지어 의심까지 동반한 지속적인 모라토리엄을 나타낸다(Stephen et al. 1992).

On the other hand, `emotional explorers' also showed a readiness for reflection. Their writings vividly illustrated an open, sensitive and personal orientation to the professional situations. They were, however, less certain of their professional views and choices. Quite apparently, their learning log reports represent ongoing moratorium with active self-exploration and even doubts (Stephen et al. 1992).


'객관적 보고자'는 개인의 학습 경험의 정교함 대신 의료 사실, 관행, 사건 등을 체계적으로 보도하는 데 집중했다.

`Objective reporters' systematically concentrated on reporting medical facts, practices and events instead of personal elaboration of learning experiences.


정반대로 '부족한, 회피성 보고자'의 로그 보도는 공허하고 분산되고 분리된 접근방식이 특징이었다. 이 학생들은 또한 의학 훈련을 그만둘 것을 고려했던 학생들 중 더 자주 있었다. 이러한 발견은 전문적이고 교육적인 헌신을 회피하려는 경향을 나타낼 수 있다.

An opposite was true of `scant and avoidant reporters', whose log reports were characterized by an empty, diffuse and detached approach. These students were also more often among those who had considered quitting medical training. These findings may be indicative of their tendency to avoid professional and educational commitments.


2.5년 전 임상 훈련 기간이 끝날 때 수행된 신원 면접을 기초로 네 가지 신원 상태 그룹을 확인할 수 있었다.

On the basis of the identity interview performed at the end of the 2.5-year preclinical training period, four identity status groups could be identified:


학생의 약 절반은 전문적 자기탐색을 미루거나 잠정적이고 막연한 생각만을 표현하려는 의향적인 정체성 상태에 있었다. 가장 큰 그룹(약 3분의 1)은 서로 다른 대안을 비교하고 고려했지만 아직 실천하지 못한 '능동적인 탐험가'였다.

About half of the students were in a state of diffuse or vague identity, i.e. willing to postpone professional self-exploration or to express only tentative and vague ideas. The biggest group (about one-third) were `active explorers' who compared and considered different alternatives but had not yet become committed.


요컨대, 임상 전 훈련이 끝나면, 대다수의 학생들은 여전히 임상적 맥락에 대한 개인적인 전문적 경험이 부족하기 때문에, 단지 가상의 직업 아이디어 테스트에 engage하는 것처럼 보인다. 직업적 정체성에 대한 개인적인 탐구는 일반적으로 임상 기간으로 '미뤄'진다. '성취한 정체성' 그룹으로 분류된 학생들조차 적극적인 자기탐색을 현재의 직업계획의 기초라고 말하는 경우는 거의 없었다. 임상 전기에 대한 이론적, 생물학적 연구는 분명히 이런 종류의 전문적 발달에 자극을 주지 않는다.

In sum, at the end of preclinical training, a majority of the students seem to engage in merely hypothetical testing of career ideas, since they still lack personal professional experiences of clinical contexts. Personal exploration of professional identity is ordinarily `postponed' to the clinical period. Even the students categorized as the `achieved identity' group fairly seldom described active self-exploration as the basis of their present professional plans. The theoretical and biomedical studies of the preclinical period apparently do not offer stimulation for this kind of professional development.


마지막으로, 학습 로그는 개발 과정의 특정 시점에서 자신의 경험과 대안을 표현하는 한 가지 방법만을 설명한다는 것을 명심해야 한다. 따라서 장기적 정체성 개발과 그 미래 방향에 대해 광범위한 추론을 할 수 없다. 정체성 발달이 반드시 선형적으로 진행되는 것은 아니다.

Finally, it should be kept in mind that learning logs illustrate only one way of expressing one's experiences and alternatives at a certain point of time in the developmental process. Consequently, no far-reaching inferences can be made about long-term identity development and its future direction. Identity development does not necessarily proceed in a linear way.







. 1997 Nov;31(6):408-15.
 doi: 10.1046/j.1365-2923.1997.00697.x.

Medical Students' Professional Identity: Self-Reflection During the Preclinical Years

Affiliations 

Affiliation

  • 1Department of Psychiatry, University of Turku, Finland.

Abstract

Critical thinking, readiness for self-reflection and professional development have recently been emphasized as important goals of medical education. However, little is known about the developmental processes through which a medical student elaborates his or her personal experiences during the training, and about the way he or she gradually develops a professional identity. How does the student identify the opportunities and alternatives offered by the profession and finally commit to the professional values and goals he or she finds personally important? In order to grasp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ersonal development process in depth, qualitative, process-oriented and individually tailored methods are warranted. In this paper, the quality of professional self-reflection and identity formation during the preclinical training are described on the basis of two qualitative materials--learning logs and identity status interviews. Four types of learning log reports on the early patient contact course could be identified: 'committed reflection', 'emotional exploration', 'objective reporting' and 'diffuse reporting'. At the end of the preclinical training, the identity status of several students could still be characterized as diffuse or giving rise to only very tentative professional considerations.


전문직정체성 발달의 서포트: 일반 원칙(Med Teach, 2019)

Supporting the development of a professional identity: General principles

Sylvia R. Cruess, Richard L. Cruess and Yvonne Steinert

Centre for Medical Education, Lady Meredith House, McGill University, Montreal, Canada





도입

Introduction


2006년에는 의대생의 전문직업성을 명시적으로 가르침으로써 의대생의 직업문성이 향상될 수 있다고 가정하였다. 의학 교육의 미래에 관한 카네기 재단 보고서의 발간은 또 다른 방향을 제시하면서, 정체성 형성이 의학을 포함한 모든 전문직업성 교육의 기초적 요소가 될 것을 권고했다(Coke et al. 2010).

In 2006 it was assumed that the professionalism of medical students could be improved by teaching professionalism explicitly. The publication of the Carnegie Foundation report on the future of medical education suggested another direction, recommending that identity formation become a foundational element of all professional education, including medicine, (Cooke et al. 2010).


카네기 재단 보고서는 이러한 새로운 방향의 진화에 크게 기여했다(Cooke et al. 2010). 우리(Cruess et al. 2014) 및 기타(Jarvis-Selinger et al. 2012; Holden et al. 2015; Kalet et al. 2018)는 모든 학습자의 전문적 정체성 개발을 지원하는 것이 의료 교육의 주요 목표가 될 것을 권고했다.

The Carnegie Foundation report was a major contributor to the evolution in this new direction (Cooke et al. 2010). We (Cruess et al. 2014) and others (Jarvis-Selinger et al. 2012; Holden et al. 2015; Kalet et al. 2018) have recommended that supporting the development of a professional identity in all learners become a principal objective of medical education.


지금 일어나고 있는 것은 [이전 것에 대한 거부감보다는] 사상의 진화다(Irby and Hamstra 2016).

What is occurring is an evolution in thought rather than a rejection of what has gone before (Irby and Hamstra 2016).


특히 전문직업성을 가르치는 것이 목적인 프로그램 설립을 시도해온 많은 이들이 실존적 질문에 직면해 있다. 

  • 전문직업적 행동은 상황에 따라 달라지고, 필요할 때만 입는 코트 같은 것을 나타내야 하는가(Haidet 2008)? 

  • 아니면 전문직업적 행동은 그 사람이 누구인가의 본질적인 부분을 나타내는 표현으로 개인 내부에서 생겨나야 하는가? (Hafferty 2016).

Significantly, many who have attempted to establish programs whose objective was the teaching of professionalism have been faced with an existential question. Should professional behaviors be context-dependent and represent the equivalent of a coat that is worn only when necessary (Haidet 2008), or should these behaviors spring from within the individual, with their expression representing an essential part of who that person istheir professional identity? (Hafferty 2016).


교육목표로서의 직업적 정체성 형성

Professional identity formation as an educational objective



전문적 정체성의 본질과 그 형성을 이끄는 과정

The nature of a professional identity and the processes that lead to its formation


개인의 정체성은 유전적 요소와 환경적 요인 모두에 의존한다. 그것의 형성은 출생 시에 시작되어 유아기, 소아기, 청소년기, 초기 성인기 전반에 걸쳐 계속된다(마르시아 1966; 케간 1982; 에릭슨 EH와 에릭슨 JM 1998; 몬록세 2013). 이때 대부분의 학습자들은 의대에 입학한다. 발달 심리학에 따르면 청소년기와 성인 초기는 불확실성과 혼란의 시기일 뿐 아니라, 개개인이 점차 [자신이 되고자 하는 사람]을 확신하기 때문에 기회의 시기라는 것을 말해준다(Marcia 1966; Ericson EH and Ericson JM 1998; Vignoles et al. 2011).

One’s personal identity is dependent upon both genetic and environmental factors. Its formation begins at birth and continues throughout infancy, childhood, adolescence, and early adulthood (Marcia 1966; Kegan 1982; Erikson EH and Erikson JM 1998; Monrouxe 2013), at which time most learners enter medical school. Developmental psychology tells us that adolescence and early adulthood are a time of both uncertainty and turmoil, but also of opportunity because individuals gradually become more certain of who they wish to become (Marcia 1966; Erikson EH and Erikson JM 1998; Vignoles et al. 2011).


학습자가 일반인 구성원에서 숙련된 전문가로 변신하는 전문적 정체성 형성 과정(힐튼과 슬롯닉 2005)은 정상적인 발달 과정에 중첩된다.

The process of professional identity formation, through which learners are transformed from members of the lay public into skilled professionals (Hilton and Slotnick 2005), is superimposed upon the normal developmental process.


문헌에 따르면 전문직 정체성 형성에 영향을 미치는 가장 강력한 요인은 [역할 모델과 멘토], [임상적 상황과 비임상적 상황에서의 경험적 학습]이다(Skorikov and Vondracek 2011; Monruxe 2016). 더구나 경험학습은 성찰에 의해 강화되고, 가급적 롤모델과 멘토(Mann et al. 2009). 획득한 지식은 명시적 지식과 암묵적 지식의 혼합이며, 이것들 중 정체성 형성과 관련된 대부분은 암묵적이다(Eraut 2000; Hafferty 2016). 전문직 정체성 획득을 향한 진전은 일직선으로 진행되지 않고, 경과기간, 종종 전환이나 변화와 관련되는, 그리고 때때로 회귀하는 시간으로 특징지어진다(Monrluexe 2016).

The literature tells us that the most powerful factors impacting professional identity formation are role models and mentors, and experiential learning in both clinical and nonclinical situations (Skorikov and Vondracek 2011; Monrouxe 2016). Moreover, experiential learning is reinforced by reflection, preferably guided by role models and mentors (Mann et al. 2009). The knowledge gained is a mixture of the explicit and the tacit, with the majority relating to identity formation being tacit (Eraut 2000; Hafferty 2016). Progress towards the acquisition of a professional identity does not proceed in a straight line, but is characterized by periods of progress, often associated with transition or change, and occasional times of regression (Monrouxe 2016).


개인은 의학의 실천 공동체에서 "합법적인 주변 참여"에서 완전한 참여로 이동하며, 그 기간 동안 그들은 공동체 구성원들의 정체성을 획득한다(Lave와 Wenger 1991). 그렇게 함으로써 그들은 공동체에 의해 확립된 행동 규범을 받아들여야 한다(벵거 1998). 이 때, 규범이 개인의 습관이나 신념과 상충될 수 있기 때문에 자기 자신과 공동체 사이에서의 일련의 개인적 협상이 수반된다(Frost and Regehr 2013). 공동체의 실천에 대한 무자격 동의나 참여가 요구되지는 않지만, [역량, 배려와 동정심, 정직과 성실성, 기밀성과 같은 핵심 태도와 신념은 본질적으로 협상할 수 없다](Cruess et al. 2014). 이러한 핵심 신념을 받아들이지 않으면 제재나 공동체로부터의 실제 배제로 이어질 수 있다(Hafferty 2016).

Individuals move from “legitimate peripheral participation” in  medicine’s community of practice to full participation, during which time they acquire the identity of members of the community (Lave and Wenger 1991). In so doing, they must accept the norms of behavior established by the community (Wenger 1998). This entails a series of personal negotiations with one’s self and the community as the norms can conflict with personal habits or beliefs (Frost and Regehr 2013). While unqualified agreement or engagement in the practice of the community are not required, core attitudes and beliefs, such as competence, caring and compassion, honesty and integrity, and confidentiality are essentially nonnegotiable (Cruess et al. 2014). Failure to accept these core beliefs can lead to either sanctions or actual exclusion from the community (Hafferty 2016).


개인의 정체성은 그 개인이 타인에 의해 어떻게 인식되는지, 그리고 그들이 자신을 어떻게 인지하는지의 조합을 나타낸다(Monruxe 2010). 각 개인의 여정은 독특하며, 일부는 과정을 통해 순조롭게 진행되는 반면, 다른 사람들에게는 그 경험이 좌절감과 스트레스를 주는 경우가 많은데, 이는 종종 그들의 기존 정체성과 지역사회의 요구 조건 사이의 "불협화음" 때문이다(Frost and Regehr 2013; Monruxe 2016). 학습자는 의학의 언어를 배우고 의학의 위계 및 권력 구조를 이해해야 한다(Beagan 2005; Lamilley et al. 2011). 그들이 의사처럼 대우받게 되면서, 그들은 더 진정성authentic을 느끼기 시작하는데, 이것은 전문직 정체성의 개발에 필요한 것이다(Jarvis-Selinger et al. 2012). 가장 중요한 것은 역량의 느낌feeling of competence이다(Skorikov and Vondracek 2011). 이는 만족과 즐거움, 직업 정체성의 발전과 안정화에 있어 강력한 요인을 이끌어낼 수 있다.

An individual’s identity represents a combination of how that individual is perceived by others and how they perceive themselves (Monrouxe 2010). Each person’s journey is unique, with some progressing smoothly through the process, while for others the experience is frustrating and stressful, often because of “dissonance” between their existing identity and the requirements of the community (Frost and Regehr 2013; Monrouxe 2016). Learners must learn the language of medicine and come to grips with its hierarchy and power structures (Beagan 2005; Bleakley et al. 2011). As they come to be treated like doctors, they begin to feel more authentic, something necessary for the development of a professional identity (Jarvis-Selinger et al. 2012). Of utmost importance is a feeling of competence (Skorikov and Vondracek 2011). This can lead to satisfaction and joy, powerful factors in the development and stabilization of a professional identity.


개인의 개인적, 직업적 정체성은 평생 동안 발달하며, 10대 후반과 초기 성인의 삶은 특히 형성적formative이다. 오래 전부터 의대생들은 레지던트와 의사들처럼 뚜렷한 정체성을 가지고 있다는 것이 인정되어 왔다(보스크 1979; Becker et al. 1961). 개인은 개인 및 직업적 상황이 변함에 따라 일생 동안 언제든지 자신의 정체성을 재창조할 수 있기에, 정체성이 결코 고정된 것이 아니다(Lockyer et al. 2016).

An individual’s personal and professional identities develop throughout their lifetime, with the late teens and early adult life being particularly formative. It has long been recognized that medical students have distinct identities, as do residents, and practitioners (Bosk 1979; Becker et al. 1961). Identities are never fixed, as an individual can re-create their identities at any time during their lifetime as personal and professional circumstances change, leading to an altered sense of self (Lockyer et al. 2016).


교육 이론

Educational theory


의학교육을 지원하기 위해 제기되어 온 교육 이론들이 많은데, 대부분은 역할 모델링이나 체험 학습과 같은 개별 학습 영역을 언급하고 있다(Kaufman and Mann 2010; Teunissen and Wilkinson 2011; Steinert 2016a). "논리적인 근거의 체계와 학습 자체에 대한 더 나은 이해를 구축할 수 있는 개념 체계"를 제공하는 사람은 거의 없다(Mann et al. 2011). 이용 가능한 이론 중, 실천공동체가 가장 적합한 것으로 보인다(Cruess et al. 2018). 이 구성주의적 사회학습 이론은 Lave와 Wenger에 의해 처음 제안되었으며, 그 공식화 이후 직업 정체성의 개념과 불가분의 관계에 있었다(Lave와 Wenger 1991). 실천 공동체는 "중복된 지식 기반, 일련의 믿음, 가치관, 역사 및 공통 실천에 초점을 맞춘 경험을 공유하고 발전시키는 개인의 지속적이고 지속적인 사회적 네트워크"이다(Barab et al. 2002). 공동체에 참여하고자 하는 사람들은 지역사회에 대한 [합법적인 주변적 참여]에서 [완전한 성원권 획득]으로 이동하면서 자발적으로 참여한다. 그렇게 함으로써, 그들은 공동체 구성원들이 염원하는 정체성을 획득하면서 공동체가 확립한 규범을 받아들여야 한다(벵거트레이너 E와 벵거트레이너 B 2014).

There are a host of educational theories that have been invoked to support medical education, with most referring to individual domains of learning such as role modeling or experiential learning (Kaufman and Mann 2010; Teunissen and Wilkinson 2011; Steinert 2016a). Few provide an integrated “conceptual framework that can build a coherent body of evidence and a better understanding of learning itself” (Mann et al. 2011). Of those available, communities of practice appear to be the most suitable (Cruess et al. 2018). This constructivist social learning theory, first proposed by Lave and Wenger, has been inextricably linked with the concept of professional identity since its formulation (Lave and Wenger 1991). A community of practice is “a persistent, sustaining social network of individuals who share and develop an overlapping knowledge base, set of beliefs, values, history, and experiences focused on a common practice” (Barab et al. 2002). Those wishing to join the community do so voluntarily, moving from legitimate peripheral participation in the community to full membership. In so doing, they must accept the norms established by the community as they acquire the identity aspired to by community members (Wenger-Traynor E and Wenger-Traynor B 2014).


의학은 (다른 직업처럼) 하나의 공동체로만 구성되는 것이 아니라 실제로 각각의 잠재적 정체성을 가진 "공동체의 풍경"을 나타낸다(Wenger-Traynor E, Wenger-Trayn 2014). 'medicine' 이라고 부를 수 있는 global community가 분명히 하나 있지만, medicine의 activity는 무엇보다도 임상치료, 교육 실무, 연구, 기타 활동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 모든 것이 medicine 공동체 내에서 (하위)공동체를 구성할 수 있다고 지적하고 있다. 각각은 뚜렷한 정체성이나 정체성을 촉진시킬 수 있다. 따라서, 의사는 다중적 개인 정체성 외에도, 상황에 따라 표현되거나 작동되는 다중의 전문적 정체성을 보일 수 있다.

Medicine, in keeping with other occupations and vocations, does not consist of only one community, but actually represents a “landscape of communities”, each with its own potential identity (Wenger-Traynor E and Wenger-Traynor B 2014). There is clearly one global community that can be termed as medicine, but the Wenger-Traynor E and WengerTraynor B (2014) point out that medicine’s activities consist, amongst other things, of clinical care, educational practices, research, and other activities, all of which can constitute communities within medicine’s larger community. Each can foster a distinct identity or identities. Thus, in addition to multiple personal identities, a physician can demonstrate a multiplicity of professional identities that are expressed or operationalized depending upon the context.


중요한 것은 의료현장의 성격이 지난 몇 십 년 동안 급격히 변화했고 그 결과 의사가 기능하는 실천공동체의 구성과 내부 구조가 진화했다는 점이다(Goldie 2012; 2013; Monruxe 2016). 의사들은 이제 다른 건강관리 전문가들을 포함하는 "유동적fluid" 공동체의 일원이 되었다. 계층 구조와 업무 할당에도 상당한 변화가 있었다. 이러한 공동체 내에서 경계를 협상하는 것은 어렵지만 필요하다. 특히 의료행위의 새로운 현실을 대표하기 때문이다(Bleakley et al. 2011).

Importantly, the nature of the healthcare workplace has shifted dramatically during the past few decades and as a result, the composition and internal structures of communities of practice within which physicians function has evolved (Goldie 2012; 2013; Monrouxe 2016). Physicians are now members of “fluid” communities that include other health-care professionals. There has also been a significant shift in hierarchical structures and work assignments. Negotiating boundaries within these communities are difficult but necessary, especially as it represents the new reality of the practice of medicine (Bleakley et al. 2011).


실행 이론working theory으로서 실천 공동체에 비판이 없는 것은 아니었다. 가장 심각하고 확실히 가장 타당한 것은 다른 사회 구조(Bourdieu and Paison 1990)와 함께, 실천공동체는 기존의 계층 구조와 불평등을 영구화하면서 스스로를 재생산하는 경향이 있다는 것이다(Roberts 2006). 또한, 다른 이론과 마찬가지로, 정체성 형성의 미묘함과 복잡성을 완전히 포괄할 수는 없다(Monrouxe 2013). 그러나, 몇년에 걸친 실천 공동체에 대한 문헌의 검토는 공동체와 그 성격에 대한 우리의 이해의 변화를 수용하면서 진화 능력을 나타낸다(벵거-트레이너 E 및 벵거-트레이너 B 2014).

Communities of practice as a working theory has not been without criticism. The most serious, and certainly the most valid, is that, in keeping with other social structures (Bourdieu and Passeron 1990), communities tend to reproduce themselves, perpetuating existing hierarchies and inequities (Roberts 2006). Also, in keeping with other theories of learning, it cannot fully encompass all of the subtleties and complexities of identity formation (Monrouxe 2013). However, examination of the literature on communities of practice through the years indicates its capacity to evolve, accommodating changes in our understanding of communities and their nature (Wenger-Traynor E and Wenger-Traynor B 2014).


이러한 비판에도 불구하고 의료 교육에 대한 이의 적용은 커리큘럼을 개발할 수 있는 유용한 이론적 프레임워크를 제공할 수 있다(Cruess et al. 2018).

In spite of these criticisms, Its application to medical education can provide a useful theoretical framework around which a curriculum can be developed (Cruess et al. 2018).


원칙

Principles


거의 20년간의 경험은 전문직업성과 관련된 이슈를 다루는데 있어 의도적인 것의 중요성을 강조해왔다(Cruess RL and Cruess SR 2006; Birden et al. 2013).

Almost two decades of experience have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being intentional in addressing issues related to teaching professionalism (Cruess RL and Cruess SR 2006; Birden et al. 2013).


전문성을 가르치면서 습득한 주요 교훈(Birden et al. 2013)은 여전히 타당하다: 

  • 교육목표를 명시적으로 다루어야 하고, 

  • 인지적 기반을 확립하고 전달해야 하며, 

  • 자발적이고 의도적으로 창조된 임상 및 비임상적 교육경험에 대한 guided reflection을 촉진하며, 이 과정에 멘토와 역할모델이 참여하여 그 과정의 핵심을 이루어야 한다

The principal lessons learned in teaching professionalism (Birden et al. 2013)remain valid: 

  • addressing the educational objective explicitly, 

  • establishing and transmitting a cognitive base, and 

  • promoting guided reflection on both spontaneous and intentionally created clinical and non-clinical educational experiences, with mentors and role models being central to the process.



교육 목적 및 지망 목표로서의 전문적 정체성 확립

Establish professional identity as an educational objective and aspirational goal


반세기 이상 전에 머튼이 지적한 바와 같이, 의학교육의 목적은 의사들이 "의사처럼 생각하고 행동하며 느낄 수 있도록" 의사들에게 의학의 실천에 필요한 지식과 기술을 제공하는 것이다(Merton 1957). 우리는 이 두 가지 목표가 동등하게 중요하며, 이 두 가지 목표가 모두 의학의 교육 기관의 목표를 설명하는 미션 진술과 다른 문서에서 명시적으로 설명되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As pointed out by Merton over one half-century ago, the aim of medical education is to provide practitioners with the knowledge and skills necessary for the practice of medicine and a professional identity so that they come to “think, act, and feel like doctors” (Merton 1957). We believe these two objectives are of equal importance and that they should both be explicitly addressed in the mission statements and other documents outlining the objectives of medicine’s educational institutions.


의료 교육을 뒷받침하는 교육 이론으로 실천 공동체를 명시적으로 수용

Explicitly embrace communities of practice as the educational theory underpinning medical education


교육을 가이드할 이론적 틀이 없다면 역사적 전례, 직관 또는 인식된 상식에 너무 많이 의존하게 될 위험이 있다(Steinert 2016a). 이는 새로운 개념이나 기존 커리큘럼에 대한 접근법을 도입할 때 특히 그렇다. 의학교육에서 언급되기는 하지만 정체성 형성과 사회화는 최근까지도 그 과정의 기본이 되는 임상 교사들 사이의 일상적인 대화의 일부가 되지 못했다.

Without a theoretical framework to guide our teaching, there is a danger that there will be too much reliance on historical precedent, intuition or perceived common sense (Steinert 2016a). This is particularly true when introducing new concepts or approaches to an existing curriculum. Identity formation and socialization, while referred to in medical education, have not until recently been part of the everyday dialog among the clinical teachers who are fundamental to the processes.


'실천 공동체'의 개념을 사용하는 것은 많은 이점을 제공한다: 

    • 의학을 집단적 실천과 학습 공동체로서 정확하고 명확하게 설명하며, 공동체 구성원들이 쉽게 이해할 수 있다; 

    • 전문적 정체성의 획득이 공동체 참여에 필요한 부분임을 명시한다.

    • 명확하게 이해되는 규범의 중요성을 강조한다.

    • 교육 활동과 그것을 뒷받침하는 이론을 실천 공동체 안에 배치함으로써 다른 학습 이론을 통합할 수 있다;  

    • 전문적인 정체성의 발달로 이어지는 과정을 설명할 수 있고, 이 과정을 서포트하는 데 필요한 교육 활동의 방향을 가이드해준다.

Promoting the use of communities of practice offers many advantages: 

    • it is an accurate and clear description of medicine as both a collegial practice and a learning community and can be understood readily by members of the community; 

    • it specifies that the acquisition of a professional identity is a necessary part of joining the community; 

    • it recognizes the importance of clearly understood norms; 

    • it is capable of incorporating other learning theories by placing the educational activities and the theories that support them within the community of practice; and 

    • it can both explain the process that leads to the development of a professional identity and help to guide educational activities to support that process.


제도적 지원 제공

Provide institutional support


교수진의 리더십이 필수적이기 때문에 강력한 제도적 뒷받침 없이는 커리큘럼 강조나 방향 전환이 일어날 수 없다. 학장과 과장은 공개적으로 승인 신호를 보내야 하고 교수진의 참여를 유도하는 조치를 취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교육과정, 인력 및 자원의 시간 배분이 필요하다. 또 프로그램 설립과 유지에 관여한 자도 인정받아 보상을 받아야 한다. 전문성을 가르치기 위한 프로그램을 잘 개발한 기관의 경우, 이러한 변화는 혁명적이기보다는 진화적일 수 있다(Irby and Hamstra 2016).

No major shift in curricular emphasis or direction can occur without strong institutional support, with faculty leadership being essential. Deans and Chairs must publicly signal their approval and institute measures that lead to faculty buy-in. This requires the allocation of time in the curriculum, personnel, and resources. In addition, those involved in establishing and maintaining the program should be recognized and have rewarded. For those institutions that well-developed programs for teaching professionalism, the changes can be evolutionary rather than revolutionary (Irby and Hamstra 2016).


책임 할당

Allocate responsibility


전문적 정체성 형성을 지원하는 프로그램 구축에 대한 책임은 명확한 권한으로 정립되어야 한다. 광범위한 참여를 촉진하기 위해, 대부분의 기관은 부서 차원을 초월한 작업 그룹에 책임을 할당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고 생각한다(Holden et al. 2015; 2016). 그룹리더로 선정된 개인이나 집단은 해당 분야에 대한 식견을 갖추고 기관 내에서 충분한 신장과 인격을 갖추어 존경심을 갖고 교수진 리더십에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일부 기관은 정체성 형성과 사회화에 대한 유용한 지식을 가져올 수 있는 교육이나 사회과학의 구성원들을 포함하는 것이 도움이 된다는 것을 발견했다(Holden et al. 2016).

Responsibility for the establishment of programs to support professional identity formation must be established with clear lines of authority. In order to promote broad buy-in, most institutions find it preferable to allocate responsibility to a working group that crosses departmental lines (Holden et al. 2015; 2016). It is important that the individual or individuals chosen to lead the group be knowledgeable in the area and have sufficient stature and profile within the institution to command respect and to have easy access to faculty leadership. Some institutions have found it helpful to include members from education or the social sciences who can bring helpful knowledge of both identity formation and socialization (Holden et al. 2016).


비록 의학 교육은 연속체이지만, 인증 과정이 연결되지 않기 때문에 학부와 대학원 프로그램의 관리에 대한 책임은 거의 보편적으로 분리되어 있다.

Although medical education is a continuum, responsibility for the administration of undergraduate and postgraduate programs is almost universally separate, in part because accreditation processes are not linked.


공통의 핵심이 존재하지만 의대생, 전공의, 의사는 실제로 뚜렷한 정체성을 가지고 있다는 것이 여러 해 동안 이해되어 왔다(Becker et al. 1961; Bosk 1979). 지금까지 의학의 정체성 형성에 관한 문헌은 대부분 학부 수준의 연구로부터 생겨났으며, 대학원 교육에 대한 관찰은 겨우 나오기 시작했다. 전문성을 가르치면서 얻은 경험을 바탕으로, 부분적으로는 커리큘럼의 통일된 특성 때문에 학부 차원의 프로그램은 상대적으로 구축이 용이하다는 것이 명백하다. 졸업후교육은 여러 개의 크게 독립적인 프로그램으로 구성되어 있어 모두에게 인지적 기반을 전달하고 정기적으로 성찰적 운동의 존재를 보장하는 것을 더욱 어렵게 한다. 그러나 이는 졸업후교육이 실무자들의 최종 정체성에 더 깊은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유감스러운 일이다(Ludmerer 2014).

It has been understood for many years that, while there exists a common core, medical students, residents, and practitioners actually have distinct identities (Becker et al. 1961; Bosk 1979). Thus far, most of the literature on identity formation in medicine has arisen from studies at the undergraduate level, with observations on postgraduate training only beginning to emerge. Based on experience gained in teaching professionalism, it is apparent that it is easier to establish programs at the undergraduate level, in part due to the unified nature of the curriculum. Postgraduate education consists of multiple largely independent programs, making it more difficult to communicate the cognitive base to all and to ensure the presence of reflective exercises on a regular basis. This is unfortunate as many feel that postgraduate education has a more profound impact on the practitioners’ final identities (Ludmerer 2014).


인지 기반 개발 및 전달

Develop and transmit the cognitive base


직업적 정체성 형성을 명시적으로 다루기 위한 기본은 공식 커리큘럼에 포함시키는 것이다. 공식 커리큘럼은 "문서화된, 의도된, 공식적으로 승인된" 교육이다(Hafferty and Franks 1994).

Fundamental to explicitly addressing professional identity formation is its inclusion in the formal curriculum the part that is “stated, intended, and formally endorsed” (Hafferty and Franks 1994).


어떤 것을 가르치고 배우고 평가하려면 반드시 정의가 있어야 한다(Kolb 1984). 전문성을 가르치는 것이 교육 목적이었을 때, 인지 기반은 직업이나 전문성의 정의와 사회에 의해 "좋은 의사"가 기대하는 속성 및 가치에 대한 지식으로 구성되었다(Cruess RL and Cruess SR 2006).

If something is to be taught, learned, and assessed, it must be defined (Kolb 1984). When teaching professionalism was the educational objective, the cognitive base consisted of a definition of profession or professionalism and a knowledge of the attributes and values expected of the “good physician” by society (Cruess RL and Cruess SR 2006).


직업적 정체성 형성이 명시적 교육목표가 되려면 인지적 기반이 확장되어야 한다. 전문직 정체성은 정체성이 형성되는 과정인 사회화와 함께 정의되어야 한다. 학습자와 교수진은 전문적 정체성의 본질과 그 발전을 지지하거나 억제하는 요소에 대한 지식을 알아야 한다. 이것은 특히 중요한데, 교육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기본은 학생들을 자신의 정체성 개발에 참여시키는 것이기 때문이다(Billett 2004).

If professional identity formation is to become an explicit educational objective, the cognitive base must be broadened. Professional identity must be defined as well as socialization, the process through which identities are formed. Knowledge of the nature of professional identity and the factors that support or inhibit its development must be known to learners and faculty. This is particularly important because fundamental to achieving the educational objective is engaging students in the development of their own identity (Billett 2004).


전문직업성을 가르치면서 얻은 경험과 발전된 내용이 실천 공동체의 규범을 정의하게 되므로, 여전히 깊이 관련성이 유지된다(Cruess et al. 2014).

The experience gained and the content developed in teaching professionalism continues to be pertinent as it defines the norms of the community of practice (Cruess et al. 2014).


이러한 이유로, 전문직이나 전문직업성에 대한 정의와 전문직업적 "좋은 의사"의 가치와 속성의 목록은 전문적 정체성의 기반이 되거나 인지 기반에서 기초적인 부분으로 남아있게 된다.

For this reason, the definitions of profession or professionalism and the list of the values and attributes of the professional “good physician” that underlie professional identity, or remain a foundational part of the cognitive base.


인지 기반은 교육과정 초반에 신입 의대생들에게 상호작용적 방식으로 교육되어야 하며 경험과 성숙도를 얻을수록 더욱 정교해지는 수준으로 개발되어야 한다(Boudreau 2016). 이것은 대학원 수준에서도 적용된다. 그러나 인지 기반에 대한 노출은 그 내용에 의해 제기된 도전적인 문제에 대한 반성과 분리되어서는 안 된다. 아래에서 볼 수 있듯이, 지식기반은 그것을 인증하고 원하는 정체성의 성격과 달성 방법에 대한 반성을 자극하기 위해 설계된 활동과 연결되어야 한다(Boudreau 2016; Holden et al. 2016).

The cognitive base should be presented hopefully in an interactive fashion to incoming medical students very early in the curriculum and it should be developed with increasing levels of sophistication as they gain experience and maturity (Boudreau 2016). This also holds true at the postgraduate level. However, exposure to the cognitive base must not be divorced from reflection on the challenging issues raised by its content. As will be seen below, the base must be linked to activities designed to authenticate it and to stimulate reflection on the nature of the desired identity and how it is to be achieved (Boudreau 2016; Holden et al. 2016).


교수개발 제공

Provide faculty development


교수개발은 전문직업성을 가르치기 위한 프로그램 구축에 필수적인 것으로 밝혀졌다(Steinert et al. 2007). 정체성 형성, 사회화, 실천 공동체의 개념과 언어가 임상 교사들 사이에 일반적인 담론의 일부가 아니었기 때문이다. 전문직 정체성 형성을 뒷받침하는 교육 활동을 성공적으로 수행하기 위해서는 교수개발이 필수적이다(Steinert 2016b).

Faculty development was found to be essential in establishing programs to teach professionalism (Steinert et al. 2007). Because the concept and language of identity formation, socialization, and communities of practice have not been a part of the ordinary discourse amongst clinical teachers, faculty development is essential to successfully implementing educational activities in support of professional identity formation (Steinert 2016b).


교수개발에 대한 현대의 이해에 따르면, FDP는 [교수진 개개인]과 교수학습이 발생하는 [복잡한 기관] 모두를 다루어야 한다(Steinert et al. 2016c). 교수진들이 커리큘럼 목표, 핵심 개념, 정체성 형성의 언어를 이해하도록 보장함으로써 역할 모델링과 멘토링을 향상시켜 정식 커리큘럼과 비공식 커리큘럼 모두에 영향을 줄 수 있다. 레지던트는 동료 및 학부 의대생 모두에게 강력한 역할 모델인 만큼(Sternszus et al. 2016) 교수개발 프로그램에도 포함시켜야 한다.

Contemporary understanding of faculty development indicates that programs must address both individual faculty members and also the increasingly complex institutions in which teaching and learning occur (Steinert et al. 2016c). By ensuring that faculty members understand the curricular objectives, the core concept and the language of identity formation, it is possible to improve role modeling and mentoring, impacting both the formal and the informal curriculum. As residents are powerful role models for both their peers and undergraduate medical students (Sternszus et al. 2016), they should also be included in faculty development programs.


학생들이 자신의 전문적 정체성을 개발하도록 유도

Engage students in the development of their own professional identities


[전문직업성을 가르치는 것]에서 [개인의 직업적 정체성을 발전시키도록 개인을 명시적으로 지원하는 것]으로 초점을 전환하는 것은 의과대학에서 전통적으로 발견되었던 교육에도 큰 변화를 나타낸다. 전문직업성을 가르치는 것이 목표였을 때 교수들이 가르쳤고 학생들이 배웠다고 가정했다(Cruess RL과 Cruess SR 2006). 전문직 정체성의 획득이 목표가 되면, 핵심적 책임은 교사로부터 의학의 실천 공동체에 참여하기를 원하는 학습자로 옮겨간다(Wenger-Traynor E, Wenger-Traynor B 2014). 오직 학습자만이 자신이 되고자 하는 사람이 누구인지 결정할 수 있으며, 개인적이고 전문적인 정체성을 결합해나갈 수 있다(Monrouxe 2013).

Shifting the emphasis from teaching professionalism to explicitly supporting individuals as they develop their professional identities represents a major change from the educational practices traditionally found in the medical school. When the objective was teaching professionalism, professors taught and it was assumed that students learned (Cruess RL and Cruess SR 2006). When the acquisition of a professional identity becomes the objective, the onus shifts from the teacher to the learner who wishes to join medicine’s community of practice (Wenger-Traynor E and Wenger-Traynor B 2014). Only the learner can determine who they wish to become, gradually melding their personal and professional identities (Monrouxe 2013).


정체성 형성에 관한 문헌(Jarvis-Selinger et al. 2012; Monrouxe 2016), 실천 공동체(WengerTraynor E 및 Wenger-Traynor B 2014), 직장 학습(Billett 2004; 2016)은 모두 정체성 형성의 과정에서 학습자 참여의 중요성을 강조한다. 또한, 모든 "(더 전문성을 가진 (의료)인력과의 활동을 포함하여) 경험한 것에 대한 적극적인 참여를 강조한다" (Billett 2016) 참여engagement에 의존하는 참여participant도 필수적이라고 간주된다(Billett 2004; Willigger-Traynor E 및 Wenger-Traynor B 2014). 참여engagement를 보장하기 위해서는, 일과 학습에 대한 명확한 목표를 주고, 적절한 활동에 대해 접근할 수 있어야 한다(Billett 2016). 교육 여정 초기에 교육 목적과 인지 기반을 전달하면 목표를 설정할 수 있다.

The literature on identity formation (Jarvis-Selinger et al. 2012; Monrouxe 2016), communities of practice (WengerTraynor E and Wenger-Traynor B 2014), and workplace learning (Billett 2004; 2016) all stress the importance of learner engagement in the process of identity formation. Additionally, all “emphasize active engagement with what is experienced, including activities with more expert workers” (Billett 2016). Participation, that is dependent upon engagement, is also deemed to be essential (Billett 2004; Wenger-Traynor E and Wenger-Traynor B 2014). To ensure engagement, the presence of clear goals for work and learning, and access to appropriate activities are stressed (Billett 2016). Communicating the educational objectives and the cognitive base very early in the educational journey can establish the goals.


McGill University 및 그 밖의 지역에서의 경험(Boudreau 2016; Kalet et al. 2018)은 학생들을 자신의 정체성 개발에 참여시키는 것이 어렵지 않다는 것을 시사한다. 우리 의과대학에서는, 교육 첫날의 교육목적으로 정체성 형성에 대해 논의함으로써 다루어진다. 입학생들은 자신의 정체성을 생각하고, 자신이 되고자 하는 전문직의 유형을 미리 내다보고 결정하라는 도전을 받는다. 그들은 전문적인 정체성과 그들이 어떻게 형성되는지, 사회화의 세부사항, 그리고 예상되는 정체성의 규범에 대한 지식을 제공받는다. 학습단계에 적합한 성찰 연습은 학부 및 대학원 과정 전반에 걸쳐 계획되어 있으며, 그 때 학습자들은 의사가 되기 위한 여정에서 현재 자신이 서있는 곳을 확인하고 그 과정을 촉진하거나 방해하는 요인을 조사하도록 권장된다. 임상실습 시작과 졸업후수련 등 전환시점에서는 특히 주의를 기울인다. 참여는 각 개별 학습자에 중점을 두고 교육 연속체 전체에 걸쳐 지속적으로 정체성 형성의 주제로 되돌아감으로써 촉진된다.

Experience at McGill University and elsewhere (Boudreau 2016; Kalet et al. 2018) suggests that engaging students in the development of their own identities is not difficult. In our setting, it is addressed by discussing identity formation as an educational objective on the first day of instruction. Incoming students are challenged to think of their own personal identities and to look ahead and determine the type of a professional they wish to become. They are provided with knowledge of professional identities and how they are formed, the details of socialization, and the norms of the identity expected. Stage-appropriate reflective exercises are scheduled throughout the undergraduate and postgraduate years, at which time learners are encouraged to identify where they are on the journey to becoming a physician and examine the factors that are either promoting or hindering the process. Particular attention is given to periods of transition such as the beginning of clerkship and postgraduate training. Engagement is promoted by constantly returning to the theme of identity formation throughout the educational continuum, with an emphasis on each individual learner.


환영 커뮤니티 만들기 및 유지 관리

Create and maintain a welcoming community


실천 공동체의 안정성과 행복은 가입join을 희망하는 사람들과 떠날 준비를 하는 사람들 사이의 역동적인 상호 작용에 달려 있다(Wenger-Traynor E, Wenger-Traynor B 2014; Lockkyer et al. 2016). 분명히, 어떤 공동체의 미래는 [공동체에 헌신하는 유능한 개인들의 지속적인 획득acquitision]에 달려있다. 이들이 미래의 동료와 조직의 미래를 모두 대변하는 만큼 환영하는 공동체를 만드는 것은 현명하고도 현명한 일이다.

The stability and well-being of communities of practice, depends upon the dynamic interplay between those aspiring to join, and those preparing to leave (Wenger-Traynor E and Wenger-Traynor B 2014; Lockyer et al. 2016). Clearly, the future of any community depends upon the constant acquisition of competent individuals committed to the community. As they the represent both future colleagues and the future of organization, it is both judicious and wise to create a community that is welcoming.


의학은 고유의 언어, 계층 및 권력 구조를 가진 사회 구조다(Bleakley et al. 2011; Goldie 2012; Monruxe 2013). 의료계가 언제나 모든 사람을 환대한 공동체는 아니었고, 여성과 많은 소수민족을 배재해왔다. Medicine 역시 (다른 사회구조와 마찬가지로) 기존의 위계, 권력구조, 불평등을 영구화하면서 자신을 재생산하려는 특성을 모든 공유한다(Bourdieu and Paesson 1990). 진전이 이루어진 반면, 커뮤니티는 규범과 경계를 정함으로써 포함과 배제를 계속 결정하고 있다(Beagan 2005). 이는 반드시 인정되어야 하며, 커뮤니티는 성별, 인종, 문화 또는 사회경제적 지위에 관계없이 모두에게 환대해야 하며, 그렇게 하는 것으로 인식되어야 한다(Frost and Regehr 2013; Monruxe 2016).

Medicine is a social structure with its own language, hierarchy, and power structures (Bleakley et al. 2011; Goldie 2012; Monrouxe 2013). It has not always been a welcoming community, having in the past excluded women and many minorities (Beagan 2005). Medicine shares this characteristic with all social structures that tend to reproduce themselves, perpetuating existing hierarchies, power structures, and inequities (Bourdieu and Passeron 1990). While progress has been made, the community continues to determine inclusion and exclusion by establishing its norms and boundaries (Beagan 2005). This must be recognized and the community must be, and be seen as being, welcoming to all, irrespective of gender, race, culture, or socioeconomic status (Frost and Regehr 2013; Monrouxe 2016).


환대를 위해서, 공동체는 [개인의 정체성이 공동체의 규범과 충돌할 때 발생하는 긴장을 해소하기 위한 개인적 시도에서] 발생할 수 있는 불안감이나 불협화음을 이해해야 한다(Monrouxe 2010). 직업적 정체성의 획득은 학습자의 개인적 정체성의 핵심을 억압해서는 안 된다. 학생들과 거주자들은 표준화와 다양성 (Frost and Regehr 2013)이라는 두 가지 경쟁 담론으로 묘사된 것을 조화시키려 하기 때문에 "온전히 학생에게만 맡겨져서는" 안 된다.

To be welcoming, the community must understand the unease or dissonance, that can arise as an individual attempts to resolve the tension that can arise when their personal identity conflicts with the norms of the community (Monrouxe 2010). The acquisition of a professional identity must not suppress the core of a learner’s personal identity. Students and residents must not be “left to their own devices” as they attempt to reconcile what has been described as two competing discourses - standardization and diversity (Frost and Regehr 2013).


의학의 사회 구조에 내재된 일부 어려움을 인지하는 것 외에도, 교육의 연속에서 다양한 단계에서 의도적으로 구조화된 사회적 사건을 통해서도 소속감을 기를 수 있다(Frost and Regehr 2013). 전통적이고 지역적으로 중요한 의례ritual가 받아들여짐acceptance의 표식 역할을 할 수 있는데, 흰색 외투 의식, 청진기의 획득, 히포크라테스 선서 등이 여기에 해당하는 현대적인 예시이다(골디 2012; Monruxe 2016). 학습자와 지역사회 구성원이 함께 모이는 부서 또는 팀 디너와 같은 공식적이고 비공식적인 사교 행사 역시 의학의 위계 구조를 줄여주는 학습 기회를 배울 수 있는 중요한 환영 역할을 할 수 있다(Bleakley et al. 2011).

In addition to being cognizant of some of the difficulties inherent in medicine’s social structure, purposely structured social events at various stages in the continuum of education can foster a sense of belonging (Frost and Regehr 2013). Traditional and locally important rituals can serve as markers of acceptance, with the white coat ceremony, the acquisition of a stethoscope, and the recitation of the Hippocratic Oath or its modern equivalent being relevant examples (Goldie 2012; Monrouxe 2016). Formal and informal social events such as departmental or team dinners that bring together learners and community members (Frost and Regehr 2013; Cruess et al. 2016) can play an important welcoming role, as can learning opportunities that flatten medicine’s hierarchical structures (Bleakley et al. 2011).


ID 형성에 영향을 미치는 알려진 요인을 명시적으로 다루십시오.

Explicitly address the known factors affecting identity formation


일반인에서 전문가로 가는 모든 사람의 여정은 독특하고 각각의 학습 환경은 자신만의 개성과 문화를 가지고 있다. 따라서 사회화의 과정에 대한 각 개인의 반응과 각 개인의 여정에 미치는 특정 요소의 영향의 규모에 차이가 있다.

Every person’s journey from layperson to professional is unique and each learning environment has its own character and culture. Therefore there are differences in each individual’s responses to the process of socialization and in the magnitude of the impact of any given factor on each person’s journey.


그림 1(Cruess et al. 2015).

Figure 1 (Cruess et al. 2015).



롤모델과 멘토(Kenny et al. 2003)와 경험학습(Eraut 2000)이 가장 강력한 영향력을 가지고 있으며, 둘 다 최대한의 효과를 보장하기 위해서는 성찰에 크게 의존해야 한다(Epstein 2008; Mann et al). 2009년). 학생은 각자 의식적 경로 또는 무의식적 경로의 조합을 활용하며, 이 과정에서 명시적 및 암묵적인 지식 기반을 획득하게 되는데, 대부분은 '암묵적'인 것들이 많다.

There is agreement that role models and mentors (Kenny et al. 2003) and experiential learning (Eraut 2000), have the most powerful influence, with both relying heavily upon reflection to ensure their maximum effect (Epstein 2008; Mann et al. 2009). Each utilizes a combination of conscious and unconscious pathways (Eraut 2000), leading to the acquisition of a knowledge base that is both explicit and tacit, with the great majority remaining tacit (Eraut 2000).


피드백은 학습을 강화하고 학습자의 자기 인식 확인에 도움을 주는 역할 모델링과 멘토링의 필수적인 부분이다(Mann et al). 2009; Goldie 2013). 역할 모델은 명시적 지식을 공식적으로 전달하고, 역설적으로 암묵적 지식의 중요성을 의식하는 책임을 진다. 이를 위해서는 교사와 학습자 간의 공동 활동과 물리적 근접성이 요구되며, 학습자가 그룹 내에서 기능해야 한다(Billett 2002; 2016).

Feedback is an essential part of both role modeling and mentoring, serving to both reinforce learning and assisting in the confirmation of the learner’s self-perception (Mann et al. 2009; Goldie 2013). Role models are responsible for formally transmitting explicit knowledge and, paradoxically, for being conscious of the importance of tacit knowledge. This requires joint activities and physical proximity between teachers and learners and with learners functioning within the group (Billett 2002; 2016).


경험적 학습은 명시적 및 암묵적 지식 습득과 동등하게 중요하며 의사의 정체성에 기초한다.

Experiential learning is of equal importance to the knowledge acquisition of both explicit and tacit and is foundational to the identity of the physician.


효과적이 되려면 역할 모델과 멘토, 경험학습 모두 guided reflection에 의존한다(Epstein 2008; Mann 등). 2009; Wald 2015). 성찰 없이는 암묵적으로 남게 되었을 정보가 유도된 성찰을 통해 명시적인 것으로 변화하게 된다(Eraut 2004). 또한, 실제authentic 경험은 각 개인이 자신의 "자아의 감각sense of self"에 미치는 영향을 판단할 때 각 개인과 관련성을 갖게 된다(Monrouxe 2013). 모델링과 직장 경험을 반영할 예정 시간과 비공식적인 기회는 커리큘럼 전체에 걸쳐 일정한 간격으로 존재해야 한다.

To be effective, both role models and mentors and experiential learning depend on guided reflection (Epstein 2008; Mann et al. 2009; Wald 2015). Information, which otherwise would remain tacit, is made explicit through this means (Eraut 2004). Additionally, authentic experiences are made relevant to each individual as he or she judges their impact on their “sense of self” (Monrouxe 2013). Both scheduled time and informal opportunities to reflect upon modeling and workplace experiences must be present at regular intervals throughout the curriculum.


현대 사회에서 소셜 미디어의 역할은 특별한 언급이 필요한데, 그것은 의사소통 방법이 발달함에 따라 학습자들의 삶에서 매우 만연하고 끊임없이 변화하는 역할을 하기 때문이다. 다만 새로운 시책에 의해 대체될 뿐이다. 의학과 의학 교육에서 소셜 미디어에 관한 초기 문헌은 대체로 비판적이었으며, 기밀의 경계를 위반하는 신뢰와 받아들일 수 없는 전문적 정체성의 투영에 대한 부정적인 영향을 강조했다(크레티엔 외). 2009년). 거의 모든 의대생과 레지던트가 개인, 교육, 직업적 이유로 소셜 미디어를 지속적으로 사용하고 있는 것이 명백해짐에 따라 이 주제에 대한 최근의 접근방식은 보다 균형balance를 잡아가고 있다(Chu et al. 2015). 또 학습자가 개인적 정체성이나 직업적 정체성과는 다른 온라인 정체성을 유지하기를 기대하는 것은 불합리하다.

The role of social media in contemporary society requires special mention, as it plays such a pervasive and constantly shifting role in the lives of learners as methods of communication are developed, only to be superseded by newer initiatives. The early literature on social media in medicine and medical education was largely critical, stressing the negative impact on trust of breaching the boundaries of confidentiality and the projection of unacceptable professional identities (Chretien et al. 2009). Recent approaches to the subject have been more balanced as it became apparent that virtually every medical student and the resident was making constant use of social media for personal, educational, and professional reasons (Choo et al. 2015;O’Regan et al. 2018). In addition, it is unreasonable to expect learners to maintain an online identity that is different from their personal and professional identities.


의료와 소셜 미디어의 관계를 조사함에 있어 개인과 직업 양쪽 모두에 대한 니즈의 서열이 확인되었다(펜윅 2014). 

    • 첫째, 환자와 학습자의 프라이버시를 보장함으로써 보안을 제공해야 한다. 

    • 이를 통해 소셜미디어가 2단계 니즈 성찰으로 진행될 수 있다. 펜윅은 "우리의 온라인 정체성은 무엇인가? 온라인으로 환자, 동료, 고용주와 어떻게 상호작용할 것인가? 온라인 상에서의 전문적 이상과 가치를 어떻게 구현하고 있는가?"(펜윅 2014). 

    • 마지막으로, 성찰 단계를 넘어서면 발견이 된다. "어떻게 소셜 미디어를 사용하여 통합하고, 보다 건강한 사회를 만들고, 환자를 교육하고, 진로를 발전시키고, 다른 사람들을 조언할 수 있는가?”

In exami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medicine and social media, a hierarchy of needs for both individuals and the profession has been identified (Fenwick 2014). 

    • First, security must be provided by guaranteeing the privacy of patients and learners. 

    • This allows social media to proceed to the second level of need reflection. As Fenwick stated, “What is our online identity? How will we interact with patients, colleagues, and employers online? How do we embody our professional ideals and values in our online presence?” (Fenwick 2014). 

    • Finally, beyond the reflection stage is discovery. “How can we use social media to integrate, to create a healthier society, to educate patients, to advance our careers and mentor others ….?”


현재의 학습자 세대는 온라인에서 지식을 습득하는 데 편안하며, 수년 동안 가상 커뮤니티에서 소속감을 고취하고, 고립감을 줄이고 학습을 할 수 있는 온라인 커뮤니티를 만들어 왔다(Chu et al. 2015). 그러나 전문적 정체성 형성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이 공동체 구성원들과의 의미 있는 접촉으로 남아 있다는 점을 분명히 밝혀야 한다. 소셜 미디어는 도움이 될 수 있고 다른 교육 활동을 보완할 수 있다. 그러나 소셜 미디어는 동료, 역할 모델 및 멘토와의 개인 대 개인 접촉을 결코 대체할 수 없다.

The current generation of learners is comfortable acquiring knowledge online and has for years been creating online communities that can promote a sense of belonging, diminished isolation and learning in virtual communities (Choo et al. 2015). However, it must be stated unequivocally that the most significant impact on professional identity formation remains meaningful contact with members of the community. Social media can be of assistance and can supplement other educational activities; however, it can never replace person-to-person contact with peers, role models, and mentors.


각 기관은 각 요소가 정체성 형성에 미치는 영향을 교직원과 학습자 모두가 이해하도록 자체 환경을 분석해야 한다.

Each institution must analyze its own environment to ensure that both faculty and learners understand the impact of each factor on identity formation.


교육기관의 역할은 시스템을 변경하는 것 뿐만 아니라, [학습자가 스스로 되고자 하는 의사의 정체성]에 [시스템이 미치는 영향]을 [학습자가 이해하도록 해야 한다].

It is not the role of the educational institution to alter the system, but it must ensure that learners understand the impact of the system on the identity of the physician they wish to become.


프로페셔널 아이덴티티 획득의 진행 상황을 평가하는 프로그램 구축

Establish a program to assess progress in the acquisition of a professional identity


커리큘럼 변화는 반드시 어떤 형태의 평가를 동반해야 한다(Cruess et al. 2016). 현재, 두 가지 접근방식이 가치 있고 가능한 것처럼 보인다. 애당초 프로페셔널리즘의 존재를 나타내는 행동 목록이 개발되었고, 그 존재를 평가하는 도구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윌킨슨 외). 2009; Hodges et al. 2011; Norcini 및 Shea 2016). 이러한 행동들은 전문적인 정체성의 유무를 나타내므로 결과적으로 대리지표surrogates으로 사용될 수 있다.

the institution of curricular change must be accompanied by some form of assessment (Cruess et al. 2016). At the present time, two approaches seem worthwhile and possible. In the first place, lists of behaviors indicative of the presence of professionalism have been developed and tools to assess their presence are in wide use (Wilkinson et al. 2009; Hodges et al. 2011; Norcini and Shea 2016). These behaviors are also indicative of the presence or absence of a professional identity and consequently can be used as surrogates.


주로 형성적인 두 번째 방법은 [정체성의 아주 개인적인 성격]에 달려 있다. 학습자에게 일반인에서 의사로 가는 여정에 대한 자신의 진행 상황을 도표로 작성하고, 멘토와 함께 자신의 상태에 대해 토론하도록 요청할 수 있다(Kalet 2017; 2018). 질문은 다음과 같다: "1에서 10까지의 스케일로 표현한다면, 지금 여행하는 곳은 어디인가? 이 여정에서 어떤 요인이 당신을 돕거나 억제했는가?" 대안으로 학습자에게 자신의 진행 과정을 설명하는 서사를 제공하도록 요청할 수 있다(Bebeau 및 Faber-Langendoen 2014).

The second method, which is primarily formative, depends upon the very personal nature of identity. Learners can be asked to chart their own progress on the journey from layperson to the physician, and discuss their status with a mentor (Kalet 2017; 2018). The question can be posed: “Where are you on the journey on a scale from 1 to 10? What factors have helped or inhibited you in your journey?” As an alternative, learners can be asked to provide a narrative describing their progress (Bebeau and Faber-Langendoen 2014).


따라서 정체성의 이중성을 반영할 수 있는 그림이 만들어질 것이다. 

    • 하나는 [다른 사람에게 어떻게 보여지는지]에 대한 관찰가능한 행동에 대한 chart

    • 다른 하나는 [학습자가 자기 자신을 어떻게 보는지]에 대한 자기평가와 피드

Thus, a picture will be created that can reflect the dual nature of identity - 

    • observable behaviors chart how an individual is seen by others and 

    • self-assessment with feedback documents how an individual sees themselves.



결론

Conclusions


의사들에 의한 직업적 정체성의 획득은 새로운 현상이 아니다. 최근까지 이 용어는 사용되지 않았지만, 과거 "성격"과 같은 단어로 특징지어지거나 올바른 "성격"을 소유하는 등 수세기 동안 의학 교육의 근본적 요소를 대표해 왔다(Whitehead et al. 2013). 실천 공동체는 또한 "인간이 동굴에 살았던 이래로" 존재해왔다. (Lave와 Wenger 1991).

The acquisition of a professional identity by physicians is not a new phenomenon. Although the term was not used until recently, it has represented a foundational element of medical education for centuries, having been characterized in the past by words such as “character” or possessing the right “characteristics” (Whitehead et al. 2013). Communities of practice have also existed “since man lived in caves” (Lave and Wenger 1991).


설리번으로부터의 인용은 적절하다. 

"전문직 양성기관은 

전문적 지식과 판단력이 고급 실무자에서 초보자까지 전달되는 곳일 뿐만 아니라 

미래의 실무자들이 자신의 미래 정체성을 가정하고 비판적으로 검토하기 시작할 수 있는 

직업의 정의적 가치와 모범을 보여주는 곳이다."(Sulliban et al. 2007)

A quote from Sullivan is appropriate. “Professional schools are not only where expert knowledge and judgment are communicated from advanced practitioner to beginner; they are also the place where the profession puts its defining values and exemplars on display, where future practitioners can begin to both assume and critically examine their future identities” (Sullivan et al. 2007).





Socialization: “The process by which a person learns to function within a particular society or group by internalizing its values and norms” (Oxford English Dictionary 1989).


Professional identity: “A representation of self, achieved in stages over time during which the characteristics, values, and norms of the medical profession are internalized, resulting in an individual thinking, acting, and feeling like a physician.”


Professional identity formation: “An adaptive developmental process that happens simultaneously at two levels: (1) at the level of the individual, which involves the psychological development of the person and (2) at the collective level, which involves the socialization of the person into appropriate roles and forms of participation in the community’s work.”


Cruess RL, Cruess SR, Boudreau JD, Snell L, Steinert Y. 2014. Reframing medical education to support professional identity formation. Acad Med. 89:1446–1451.


Cruess RL, Cruess SR. 2006. Teaching Professionalism: General principles. Med Teach 28:205–208.


Cruess RL, Cruess SR, Steinert Y. 2018. Medicine as a community of practice: implications for medical education. Acad Med. 92:185–195.


Epstein RM. 2008. Reflection, perception and the acquisition of wisdom. Med Educ. 42:1048–1050.


Fenwick T. 2014. Social media in medical professionalism: rethinking the debate and the way forward. Acad Med. 89:1331–1334.


Ginsburg S, van der Vleuten CPM, Eva KW. 2017. The hidden value of narrative comments for assessment: a quantitative reliability analysis of qualitative data. Acad Med. 92:1617–1621.


Goldie J. 2012. The formation of professional identity in medical students: considerations for educators. Med Teach. 34:e641–e648. XXX


Goldie J. 2013. Identity formation in medical students: elaboration of a previous conceptualization and review of the literature. Med Ed World. 2:1–23. XXX


Hafferty FW. 2016. Professionalism and the socialization of medical students. In: Cruess RL, Cruess SR, Steinert Y, editors. Teaching medical professionalism: Supporting the development of a professional identity. Cambridge (UK): Cambridge University Press; p. 53–73.


Irby DM, Hamstra SJ. 2016. Parting the clouds: three professionalism frameworks in medical education. Acad Med. 91:1606–1611.


Kalet A, Buckvar-Keltz L, Monson V, Harnik V, Hubbard S, Crowe R, Ark T, Song H, Tewksbury L, Yingling S. 2018. Professional identity formation in medical school: one measure reflects changes during pre-clerkship training. MedEdPublish. 7:255–261


Monrouxe LV. 2013. Identities, self and medical education. In: Walsh K, editor. Oxford textbook of medical education. Oxford (UK): Oxford University Press; p. 113–123. 


Wilkinson TJ, Wade WB, Knock LD. 2009. A blueprint to assess professionalism: results of a systematic review. Acad Med. 84:551–558.








. 2019 Jun;41(6):641-649.
 doi: 10.1080/0142159X.2018.1536260. Epub 2019 Feb 11.

Supporting the Development of a Professional Identity: General Principles

Affiliations 

Affiliation

  • 1a Centre for Medical Education, Lady Meredith House , McGill University , Montreal , Canada.

Abstract

While teaching medical professionalism has been an important aspect of medical education over the past two decades, the recent emergence of professional identity formation as an important concept has led to a reexamination of how best to ensure that medical graduates come to "think, act, and feel like a physician." If the recommendation that professional identity formation as an educational objective becomes a reality, curricular change to support this objective is required and the principles that guided programs designed to teach professionalism must be reexamined. It is proposed that the social learning theory communities of practice serve as the theoretical basis of the curricular revision as the theory is strongly linked to identity formation. Curricular changes that support professional identity formation include: the necessity to establish identity formation as an educational objective, include a cognitive base on the subject in the formal curriculum, to engage students in the development of their own identities, provide a welcoming community that facilitates their entry, and offer faculty development to ensure that all understand the educational objective and the means chosen to achieve it. Finally, there is a need to assist students as they chart progress towards becoming a professional.


정말 의사가 되고 싶은가요? 정체성 개발의 긍정적 감정과 부정적 감정(Med Educ, 2012)

Do you really want to be a doctor? The highs and lows of identity development

Esther Helmich1 & Tim Dornan2




전문적 정체성의 발달, 즉 진실로 의사가 되는 것은 의대생 교육의 중심이다.

The development of professional identity, or truly becoming a doctor, is central to medical students’ education.


사회 정체성 이론은 심리학 이론이며, 따라서 주요 대안인 사회문화적 이론보다 개인주의적 초점을 둔다. 자기 범주화는 [사회적 비교에 기초하여 '집단 내'와 '집단 내'의 식별을 유도하는] 개별적인 행위다. 그러나 사회문화적 관점에서 보건전문가들은 [서로 다른 집단의 멤버십에 의해 분리되기 보다는] 실천에 의해 연합된 것으로 볼 수 있다.2

Social identity theory is a psychological theory and as such has a more individualistic focus than its main alternative, socio-cultural theory. Self-categorisation is an individual act, based on social comparison, that leads to the identification of ‘in-groups’ and ‘outgroups’. However, from a sociocultural perspective, health professionals can be viewed as united by practice rather than separated by membership of different groups.2


집단의 구성원으로서의 자기 범주화는 상당히 정적인 개념을 나타내는 것으로 보인다.3,4 이는 [(사회문화적) 실천 공동체(CoPs)에서 일어나는 다른 개인들과의 상호작용 속에서 발생하는 의미와 정체성의 지속적인 협상]과 비교하면 특히 그러하다. 사회 정체성 이론은 '내 집단' 또는 '외 집단'으로 구분하는 식으로 '사람에 초점을 맞추는 것'이기에, 그룹 간의 [경계 문제]라든가, (집단 간) 긴장관계에 대해 더 민감하다. 반대로 집단의 역동적 성격이나, 지속적인 재협상에는 덜 민감하다. 우리는 결과적으로 사회 정체성 이론이 오늘날의 임상 치료 팀의 유동성에 얼마나 잘 대처할 수 있을지 궁금하다.

Self-categorisation as a member of a group seems to represent a quite static concept when contrasted with the continuous negotiation of meaning and identity in interaction with other individuals that takes place in (socio-cultural) communities of practice (CoPs).3,4 Social identity theory’s focus on people as being ‘in-group’ or ‘out-group’ seems more sensitive to boundary issues among groups and the tensions associated with them than to the dynamic nature of groups and their constant renegotiation. We consequently wonder howwell social identity theory can cope with the fluidity of today’s clinical care teams.


집단 내/집단 내 이분법은 interprofessionalism이라는 개념에 문제가 된다. (내집단-외집단의 이분법은) 공동체의 joint enterprise보다는 집단의 구별성을 강조하기 때문이다. 이와는 대조적으로, CoP는 실천을 중심에 두며, '정체성'이란 [(멤버십에서 나오는 것이 아니라) 본질적으로 공동의communal 상황에서 발생하는 의미 협상에서 발생하는 것]으로 간주한다. CoP에서는 실천-중심성이 명백하지만, 사회 정체성 이론에서는 암묵적으로만 남아 있다.

the in-group / outgroup dichotomy makes the notion of interprofessionalism problematic. It does so by highlighting the distinctiveness of groups rather than the joint enterprise of communities. By contrast, a CoP puts practice at its centre and regards identity as something that emerges not so much from membership as from the negotiation of meaning in an essentially communal situation. The centrality of practice is explicit in a CoP, but is left implicit in social identity theory.


사회 정체성 이론은 의학 교육과 매우 관련이 있는 두 가지 특징, 즉 특정 사회 범주의 접근성적합성을 강조한다.

Social identity theory stresses two features that are very relevant to medical education: the accessibility and fit of a particular social category.


사회적 범주의 [접근성]이라는 개념은 [다양한 의료 학습 환경이 어떻게 서로 다른 참여의 기회를 제공하는지]를 탐구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6 그것은 우리가 어떻게 그리고 어느 정도까지 학생들이 우리의 전문직업적 커뮤니티에 접근할 수 있도록 허락하는지에 대해 생각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 학생들은 '사회적 실천'을 통해서 특정 실천에 주로 관련된 기대, 가치 및 행동을 숙지함으로써 fit-in 하는 방법을 배운다.7 이러한 접근성에 대한 강조가 갖는 중요한 실제적인 의미는 [의학교육자들은 학생들에게 참여 기회를 주고 그들의 역할에 맞는 것을 배울 수 있는 기회를 주거나 거부할 수 있는 힘을 가지고 있다]는 것이다.

The notion of the accessibility of a social category, we suggest, can be used to explore how different medical learning environments offer different opportunities for participation.6 It can help us think about how and to what extent we allow students access to our professional communities. It is within social practice that students learn to fit in by familiarising themselves with the expectations, values and behaviours that prevail in any particular practice.7 The important practical implication of this emphasis on accessibility is that medical educators have the power to give or deny students opportunities to participate and learn to fit into their roles.


적합성fit의 개념과 관련하여, Burford는 지식, 기술, 임상 경험 또는 자신감의 부족은 학생이 의사로 이행하는 것을 어렵게 만든다고 제안한다.1 그러나 의사가 실제로 무엇인지에 대한 (정확하거나 부정확한) 인식은 학생들의 정체성을 개발하려는 투쟁에도 기여할 수 있다. 어떤 학생들은 의사로서 갖춰야 할 역할 특성을 식별하는 것을 꺼릴 수 있는데, 여기서 '식별identification'한다는 것은 자기 자신을 그 역할의 점유자로서 인식하고, 그 역할과 관련된 의미와 기대를 통합하는 것을 말한다.8  인지적 또는 정서적 부조화dissonance는 개인적 가치관이 전문적 정체성의 발달과 불일치할 때 발생할 수 있다.9 의사가 되는 법을 배우는 것은 때때로 개인적인 가치를 희생시키거나 사회적으로 고립될 위험이 있는 전문적인 태도와 행동을 내면화하는 것을 포함한다.

Regarding the notion of fit, Burford proposes that the transition from student to doctor is made difficult by a (perceived) lack of knowledge, skills, clinical experience or confidence.1 But correct or incorrect perceptions of what doctors actually are may also contribute to students’ struggle to develop their identities. Some might be reluctant to identify with the needed role characteristics of a doctor, where ‘identification’ refers to a perception of the self as an occupant of a role, incorporating the meanings and expectations associated with that role.8 Cognitive or emotional dissonance may occur when personal values are dissonant with developing professional identities.9 Learning to be a doctor includes internalising professional attitudes and behaviours, sometimes at the expense of personal values or at the risk of becoming socially isolated.


연령, 성별, 기타 특정 요인에 관계없이 일부 학생들은 매년 첫 번째 임상 경험 후 의대를 중퇴한다. 일부 학생들은 의사보다는 간호사나 다른 의료 전문가로서의 직업을 선호한다는 것을 발견하게 되는데, 이 분야들이 환자와 더 밀접하게 접촉하고 그들이 스스로 enact하는 더 환자 중심적적 정체성과 들어맞기 때문이다. 다른 학생들은, 이러한 의료 관행과 처음 마주친 후에, 그들이 전혀 의학에 맞지 않고 더 이상 환자 치료에서 일하고 싶어하지 않는다고 결정한다.

Regardless of age, gender or other specific factors, a small minority of students drop out of medical school each year after their first clinical experience. Some students discover they would prefer careers as nurses or other health care professionals rather than as doctors because these disciplines have closer contact with patients and the identities they enact are more patient-centred. Other students, after these initial encounters with medical practice, decide they do not fit into medicine at all and no longer aspire to work in patient care.


이 과정은 또한 Monrouxe의 identity and identification에 관한 중요한 최근 논문에서 언급되었다. 여기서 저자는 다음과 같은 관점에서 정체성 부조화와 그것의 가능한 결과를 기술했다. 

  • 거부: 전문적 역할의 거부 

  • 저항: 부적절한 전문적 행동을 보여주는 행위 

  • 회피: 전문적인 상호 작용 또는 역할 수행을 회피


This process was also referred to in Monrouxe’s important recent article on identity and identification,11 in which the author described identity dissonance and its possible consequences in terms of: 

  • rejection of the professional role; 

  • the display of inappropriate professional behaviours as acts of resistance; and 

  • the avoidance of or role-playing in professional interactions.

프레데릭슨은 그녀의 'broaden-and-build' 이론에서 [기쁨, 흥미와 헌신과 같은 긍정적인 감정]은 개개인이 신체적, 지적, 사회적 기술을 쌓도록 이끌며, 개인과 사회적 자원을 깊게 할 수 있도록 이끈다고 말했다.13 지금까지 의학교육에서는 [학생들이 자신의 긍정적 또는 부정적 감정에 민감하게 반응하도록 돕고, (전문직업적 행동과 환자중심성을 함양하기 위한 중요한 단서로서) 감정을 인식하고, 받아들이고, 가치있게 여길 수 있도록 돕는 것]이 그다지 강조되어오지 않았다.14

Frederickson, in her ‘broaden-and-build’ theory, stated that positive emotions, such as joy, interest and commitment, lead individuals to build physical, intellectual and social skills, and to deepen personal and social resources.13 Helping students to be sensitive to their own positive and negative emotions, and to recognise, accept and value emotions as important clues in the development of professional behaviour and patient-centredness, is largely unaddressed in medical education.14


교육자들이 의대생과 신입 의사들의 경험에서 접근성과 적합성이 얼마나 두드러지는지 질문하도록 장려하는 데 있어서 우리는 Burford1을 지지하지만, 정체성 형성과 관련한 정서적 기복highs and lows에도 민감할 것을 촉구한다. 우리는 직장에서의 학습의 정서적 차원을 분명히 고려한다면 이 분야를 한 단계 더 발전시킬 것이며 아마도 더 많은 젊은이들이 의사가 되기를 진정으로 원하는 것을 도울 것이라고 제안한다.

Although we support Burford1 in encouraging educators to question how accessibility and fit are salient in the experiences of medical students and new doctors, we urge them to be sensitive to the emotional highs as well as the lows of identity formation. We suggest that explicitly taking into account the emotional dimension of learning in workplaces will push the field another stepforward and perhaps help more young people really want to be doctors.


1 Burford B. Group processes in medical education: learning from social identity theory. Med Educ 2012;46:143–52.


9 Thompson BM, Teal CR, Rogers JC, Paterniti DA, Haidet P. Ideals, activities, dissonance, and processing: a conceptual model to guide educators’ efforts to stimulate student reflection. Acad Med 2010;85 (5):902–8.


15 Shapiro J. Perspective: does medical education promote professional alexithymia? A call for attending to the emotions of patients and self in medical training Acad Med 2011;86 (3):326–32.





Comment

 

. 2012 Feb;46(2):132-4.
 doi: 10.1111/j.1365-2923.2011.04189.x.

Do You Really Want to Be a Doctor? The Highs and Lows of Identity Development


전문직정체성형성: 다양한 영역의 수렴(HEC Forum, 2012)

Professional Identity Formation in Medical Education: The Convergence of Multiple Domains

Mark Holden • Era Buck • Mark Clark • Karen Szauter • Julie Trumble




의학 교육의 전문성에 대한 강조는 지난 수십 년간 증가해 왔으며, 처음에는 의대생과 의대생들의 생명윤리, 의사소통 능력, 그리고 행동들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보다 최근에 저자들은 전문적 정체성 형성(PIF)에 대해 논의하기 시작했으며, 이를 일반인에서 의사로 전환하는 과정에서 경험하는 기초적 과정으로 구분했다(Inui 2003).

There has been increasing emphasis on professionalism in medical education over the past several decades, initially focusing on bioethics, communication skills, and behaviors of medical students and practitioners. More recently, authors have begun to discuss professional identity formation (PIF), distinguishing it as the foundational process one experiences during the transformation from lay person to physician (Inui 2003).


문학은 PIF를 전문성, 심리적 자아 발달, 사회적 상호작용, 다양한 학습 이론 등 다양한 패러다임에서 접근해 왔다.

The literature has approached PIF from various paradigms, including those of professionalism, psychological ego development, social interactions, and various learning theories.


의학 교육에서 PIF의 복잡성을 설명하는 것을 돕기 위해 이러한 다양한 관점을 함께 가져온 작가는 거의 없다. 현재 PIF(Cohen et al)의 과정을 이해하기 위한 통일된 이론적 프레임워크가 없다. 2009).

Few authors have brought these various perspectives together to help explicate the complexities of PIF in medical education. There is currently no unified theoretical framework for understanding the process of PIF (Cohen et al. 2009).


우리는 PIF가 매우 복잡한 과정, 즉 일련의 과정을 반영한다고 가정한다. 이는 문직업성, 정신사회학적 정체성 개발, 형성과 같은 중요한 중복 영역의 측면을 적용함으로써 가장 잘 이해된다(그림 1).

We posit that PIF reflects a very complex process, or series of processes, best understood by applying aspects of important overlapping domains: professionalism, psychosocial identity development, and formation (Fig. 1).



프로페셔널리즘

Professionalism


의료 전문직업성의 핵심 요소들은 이러한 생물윤리적 원리에 대한 지식, 의사소통 및 대인관계 기술, 이타주의, 성실성, 신뢰도, 동정심, 성실성 등과 같은 속성들을 포함하도록 다양하게 기술되어 왔다(Inui 2003). 현대의학의 전문직업성은 의학과 사회 사이의 사회적 계약, 즉 사회가 직업에 자율성, 위신, 특권을 제공하는 대가로 갖는 암묵적이고 노골적인 기대를 기술한다(ABIM Foundation et al. 2002).

The core elements of medical professionalism have been variably described to include knowledge of these bioethical principles, communication and interpersonal skills, and attributes such as altruism, dutifulness, trustworthiness, compassion, integrity, etc. (Inui 2003). Contemporary medical professionalism describes a social contract between medicine and society, the tacit and explicit expectations society has in exchange for providing the profession with autonomy, prestige, and privilege (ABIM Foundation et al. 2002).


전문직업성의 중요성은 의학 실천의 본질적 토대, 즉 전문직과 치료자의 속성(Cruess et al. 2009). 전문직업성은 의료계와 사회 사이의 계약 뿐만 아니라 의사와 환자 사이의 전문적인 신뢰와 신탁적관계(fiduciary)의 토대 역할을 한다.

The importance of professionalism lies in the essential foundations of the practice of medicine: the attributes of the professional and the healer (Cruess et al. 2009). Professionalism serves as the foundation of the professional trust and fiduciary relationship between physicians and patients, as well as for the contract between the medical profession and society.


의료 훈련에서 전문성을 강조하는 것은 부분적으로 주 면허 게시판, 뉴스 매체, 국회의원, 대중이 지적하는 의사들의 비전문적 행동을 인정하는 것에 대한 반응이다. 의사 직업적 행동의 오류는 의과대학에서 확인된 비전문적 학생의 행동과 관련이 있으며, 특히 ''심각한 무책임' 또는 ''심각하게 자기 계발을 위한 능력이 저하된' 학생에게서 두드러진다(Papadakis et al. 2005). 아마도 이러한 비전문직업적 행동의 예는 PIF가 제대로 되지 않은 것의 결과로서 관찰할 수 있는 징후일 것이다.

The increasing emphasis on professionalism in medical training is in part a response to the recognition of unprofessional behaviors by physicians noted by state licensing boards, news media, lawmakers, and the public. Lapses in physician professional behavior have been correlated with unprofessional student behaviors identified during medical school, most notably in students with ‘‘severe irresponsibility’’ or ‘‘severely diminished capacity for self-improvement’’ (Papadakis et al. 2005). Perhaps these examples of unprofessional behavior are observable manifestations of poor PIF.


최근의 많은 문헌들은 전문성에 대한 이해에 영향을 미치고 PIF에 기여하는 교육 과정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Much of the recent literature has focused on the educational processes that impact an understanding of professionalism and contribute to PIF.


단순히 의료 연수생들에게 전문성 있는 커리큘럼을 제공하는 것은 불충분하다. 코헨(2007)은 전문직업성을 관찰 가능한 행동('연기하는 방식')으로만 보지 않고 휴머니즘('존재하는 방식')을 육성하는 것의 중요성을 의학계에 상기시킨다. 루시와 수바(2010년)는 전문성 제고가 모든 실천 공동체에 중요하다고 강조하고 규칙, 역할 모델, 올바른 행동을 넘어 패러다임 전환을 장려한다.

Simply providing medical trainees with curricula in professionalism is inadequate. Cohen (2007) reminds the medical community of the importance of fostering humanism (‘‘a way of being’’) and not just looking at professionalism (‘‘a way of acting’’) as observable behaviors. Lucey and Souba (2010) emphasize that enhancing professionalism is important to all communities of practice and encourages a paradigm shift beyond rules, role models, and right behaviors.


정체성 개발과 사회적 학습

Identity Development and Social Learning


전문적 정체성의 구축은 전반적인 정체성 형성의 한 부분이다. PIF의 복잡성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정신사회 발전의 시사점에 대한 고려가 필요하다.

The construction of professional identity is a part of overall identity formation. Consideration of the implications of psychosocial development is necessary for understanding the complexities of PIF.


정체성 발달의 과정과 결과는 각 개인에게 독특하다.

The process and outcome are unique to each individual.


대부분의 의대생들은 보통 사람에서 의사로의 전환이 청소년기 후반에 시작된다. 에릭슨(1963년)에 따르면 정체성의 발달은 강한 자아 정체성을 초래하거나 서툴게 해결되더라도 역할혼란으로 이어질 수 있는 심리적 투쟁을 해결하는 청소년기의 일차적인 심리적 작업이다. 이 발달 모델에서, 청소년들은 다양한 선택사항을 탐구하고, 비록 시간이 지남에 따라 안정적이거나 더 많은 변화를 겪을 수 있지만, 결국 심리적 정체성을 형성한다(Klimstra et al. 2010).

For most medical students the transition from lay person to physician begins during late adolescence. According to Erikson (1963), development of identity is the primary psychological work of adolescence, resolving the psychological struggle that may lead to a strong ego identity or, if poorly resolved, to role confusion. In this developmental model, adolescents explore various options and eventually construct a psychological identity, although it may remain stable or undergo further change over time (Klimstra et al. 2010).


마르시아(1966)의 정체성 상태에 관한 연구는 에릭슨의 발달 이론을 상세히 설명하면서, 정체성 형성의 다양한 상태에 대한 설명을 제공했다. 이 패러다임에서 지위는 개발 대안의 탐색과 채택된 옵션에 대한 약속 사이의 균형을 설명한다. 마르시아는 확산, 모라토리엄, 압류, 성취의 네 가지 정체성 발달 상태를 설명했다.

Marcia’s (1966) study on identity status elaborated on Erikson’s developmental theory, providing descriptions of various states of identity formation. In this paradigm, status describes the balance between exploration of developmental alternatives and commitment to adopted options. Marcia described four statuses of identity development: diffusion, moratorium, foreclosure, and achievement.


이러한 상태는 순차적 단계가 아니며 개인은 어떤 순서로든 그들 사이에서 이동move할 수 있으며, 개발 과정의 여러 지점에서 동일한 상태를 재방문할 수 있다.

These statuses are not sequential stages and an individual may move among them in any order and revisit the same status at multiple points in the developmental process.


Status는 탐구헌신의 두 가지 차원에 따라 다르다. 

  • 정체성 확산은 정체성 옵션의 탐구에 거의 관여하지 않고 어떤 정체성에 대한 헌신도 거의 보이지 않는 상태를 말한다. 

  • 정체성 성취 상태에 있는 사람들은 적절한 탐구를 한 후에 중요한 헌신을 한다. 

  • 정체성 압류 상태는 강한 헌신을 보여주나, 헌신에 앞선 탐구가 없고

  • 모라토리엄에 있는 사람들은 헌신은 없지만, 상당한 탐구를 보여준다.

The statuses vary along two dimensions: exploration and commitment. 

  • Identity diffusion is a state during which the individual engages in little exploration of identity options and displays little commitment to any identity, 

  • while those in the state of identity achievement have significant commitment after appropriate exploration. 

  • Those in foreclosure demonstrate strong commitment without preceding exploration and 

  • those in moratorium show significant exploration without commitment.


도덕적 발전은 PIF의 핵심 요소로 간주될 수 있다. 도덕적 발전은 4단계로 일어나는 것으로 설명되어 왔지만, 이것이 반드시 순서대로 일어나진 않는다 (Bebeau와 Monson 2008). 다음의 것들이 포함된다.

  • 도덕적 감수행동이 다른 사람에게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인식

  • 도덕적 추론과 판단: 어떤 행동의 방향이 가장 정의로운지에 대한 의사결정에서 도덕적 원칙의 통합 

  • 도덕적 정체성과 동기부여: 다른 유형의 가치에 대한 도덕적 가치관의 식별(직관적 또는 심리학적)

  • 도덕적 이행: 장애에 직면하여 도덕적 가치를 집행할 수 있는 능력

Moral development may be viewed as a key component of PIF (Podd 1972; Forsythe 2005). Moral development has been described as occurring in four stages, not necessarily in a linear sequence (Bebeau and Monson 2008). These include 

  • moral sensitivity, an awareness of how actions affect others; 

  • moral reasoning and judgment, an integration of moral principles in decision making about which course of action is most just; 

  • moral identity and motivation, an identification with moral values over other types of values (pragmatic or psychological); and 

  • moral implementation, an ability to enact moral values in the face of impediments.


도덕적 발달은 직업적 정체성의 발전에 필수적인 부분이다. 전문가들이 사회와 맺은 계약을 이해하고 지탱하는 것은 상당한 도덕적 성숙을 요구하는데, 때로는 자기-저술이라고 일컬어지기도 한다(해밀턴 2008; 포사이스 2005).

Moral development is an essential part of the development of professional identity. Understanding and upholding the social contract professionals have with society require considerable moral maturation, sometimes referred to as self-authorship (Hamilton 2008; Forsythe 2005).


학생들이 전문직업적 정체성을 개발하고 도덕적 딜레마에 직면하는 방법을 배우는 방식은 환경적, 맥락적 요인에 의해 강하게 영향을 받는다(van der Zwet et al. 2010). 의학교육은 학생에게 내재된 스트레스 요인(예: 자신과 타인에 대한 기대, 시간 및 내용 도전, 가족과의 분리, 지원 네트워크)을 부과한다(코헨 외). 2009).

The manner in which students develop professional identity and learn to face moral dilemmas is strongly influenced by environmental and contextual factors (van der Zwet et al. 2010). Medical education imposes inherent stressors on students, e.g., expectations of self and others, time and content challenges, separation from family, and support networks (Cohen et al. 2009).


의과대학을 다니며 지지받거나 역량의 감각에 기여하는 정체성은 강화될 것이다. 반대로 무시되거나 비판받는 측면들은 시들거나 왜곡될 것이다. 이러한 지원 또는 그 부족은 동료 학생, 교수진, 직원 및 환자로부터 발생하며, 한편으로는 미묘하거나 반대로 노골적일 수 있다. 따라서, 전문직 정체성은 각 개인의 고유한 필터를 통해 처리된 수많은 경험으로부터 구성된다.

The aspects of identity which are supported and which contribute to a sense of competence will strengthen during medical school; 

those aspects which are ignored or criticized will wither or become distorted. 

Such support, or lack thereof, comes from fellow students, faculty, staff, and patients and may be subtle or blatant. 

Thus, professional identity is constructed from a multitude of experiences processed through the unique filter of each individual.


의학 교육을 구성하는 많은 경험은 그룹과 의료현장에서 발생하는데, 여기서 사회적 발전과 학습 이론이 직무 정체성 형성 과정을 설명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다. 의대생들이 직업적 정체성을 개발하는 과정에서 해야 할 한 가지 과제는 이상화된 의사 개념을 현대 의학의 현실과 조화시키는 것이다(Nieme et al. 2003). 직장은 필연적으로 한 사람을 [기대와 이상]을 비교할 수 있는 현실에 노출시킨다. (Cohen et al. 2009). 또한 동료, 교수진 및 훈련 기관 자체를 포함한 중요한 역할 모델을 제공한다(Kenny et al. 2003). 초기 임상 경험은 PIF 육성을 위한 핵심 전략이 될 수 있다(Littlewood et al. 2005).

Many of the experiences comprising physician education occur in groups and in the medical workplace, where social development and learning theories may help elucidate the process of work identity formation. One task of medical students as they develop a professional identity is to reconcile their idealized concept of physician with the realities of modern medicine (Nieme et al. 2003). The workplace provides essential exposure to the reality to which the individual can compare expectations and ideals (Cohen et al. 2009). It also provides critical role models, including peers, faculty, and the training institutions themselves (Kenny et al. 2003). Early clinical experiences may be a key strategy for fostering PIF (Littlewood et al. 2005).


비구츠키는 [언어의 사용]과 [보다 박식한 타인과의 상호작용]을 통해 사회적 환경에서 학습과 인지발달이 일어난다고 제안했다(Swanwick 2010). 비구츠키의 'ZPD'은 개발을 촉진하는 학습 컨텍스트 특성화에도 적용되었다(van der Zwet et al. 2010). Lave와 Wenger(1991)의 연구는 학습이 "실천 공동체" 내에서와 같이 학습자와 활동의 맥락과 문화적 환경 내에 위치하며 사회적 상호작용을 수반한다는 것을 강조한다.’’

Vygotsky suggested that learning and cognitive development occur in social settings through use of language and interaction with more knowledgeable others (Swanwick 2010). Vygotsky’s ‘‘zone of proximal development’’ has also been applied to characterize learning contexts that foster development (van der Zwet et al. 2010). A study by Lave and Wenger (1991) emphasizes that learning is situated within the context and cultural setting of the learner and the activity and involves social interaction, as within a ‘‘community of practice.’’


성숙한 전문가를 양성하기 위한 필수 조건 중 하나는 능력이나 자기 효능감이다. 개인은 '실천 공동체'에서 수용받고, 역량을 인정받음을 경험함에 따라, 스스로 사기꾼imposter처럼 느끼지 않고 의사의 역할을 체화embody할 수 있다(van der Zwet et al. 2010; Stets and Burke 2000; Rabow et al. 2010; Pratt et al. 2006).

One of the requisites for development of a mature professional is a sense of competency or self-efficacy. As individuals experience themselves as accepted and competent in the ‘‘community of practice,’’ they are able to embody the role of physician without feeling like an imposter (van der Zwet et al. 2010; Stets and Burke 2000; Rabow et al. 2010; Pratt et al. 2006).


성직자의 형성

Formation in Clergy


형성은 이전에 다른 직업, 특히 성직자의 교육에서 설명한 고전적인 개념으로, 여기서 가변적으로 성직자의 형성, 정신적 형성 또는 인간 형성을 가리킨다(Foster et al. 2006). 종교적 형성은 그들의 신념과 관행을 형성하는 핵심 지식, 기술, 행동, 그리고 헌신들을 가진 학생들 내부의 응집력 있는 발전을 포함한다. 종교 분야마다 조형훈련의 편차가 있지만 예수회 형성의 요소들에 대한 자세한 논의는 그 475년의 역사, 심오한 교육적 영향, 세계적 영향에 근거한 예시적 사례로 작용하고 있다.

Formation is a classical concept previously described in other professions, especially in the education of clergy, where the term variably refers to priestly formation, spiritual formation, or human formation (Foster et al. 2006). Religious formation involves the cohesive development within students of core knowledge, skills, behaviors, and commitments that shape their beliefs and practices. While there are variations in formation training across religious disciplines, a detailed discussion of the elements of Jesuit formation serves as an illustrative example based on its 475-year history, profound educational influence, and global impact.


의학에서의 전문직정체성형성

Professional Identity Formation in Medicine


문헌에 따르면 의료 연수생들의 PIF에 대해 알 수 있는 것은 무엇인가? 의대생의 PIF에 프로페셔널리즘, 정신사회 발전, 다른 직업의 형성에 대해 알고 있는 것을 어떻게 적용할 수 있을까? 의대생들의 PIF와 관련된 문헌에 보고된 몇 가지 요소들은 관계, 성찰, 스토리텔링, 윤리적 딜레마, 역할 모델링, 일과 삶의 주기를 강조한다.

What does the literature reveal about PIF in medical trainees? How can we apply what we know about professionalism, psychosocial development, and formation in other professions to PIF in medical students? Several factors reported in the literature related to PIF in medical students emphasize relationships, reflection, storytelling, ethical dilemmas, role modeling and work-life cycles.


의학 교육의 맥락에서, Monrouxe(2010)는 [언어, 경험, 상징적 사건(예: White Coat 의식), 상호작용을 통해 영향을 받고 구축된] 개인적이고 전문적인 정체성은 역동적이며 종종 성별, 민족성, 직업군 등 복수의 정체성을 포함한다고 보고한다. 이러한 발견은 경험의 지속적인 재해석으로서 그리고 복수의 '하위 정체성'의 균형으로서 전문적 정체성의 특성화와 일치한다(Beiaard et al. 2004).

In the context of medical education, Monrouxe (2010) reports that personal and professional identity, influenced and constructed through language, experiences, symbolic events (such as the White Coat Ceremony), and interactions are dynamic and often include multiple identities, such as gender, ethnicity, and occupational group. These findings are consistent with the characterization of professional identity as an ongoing reinterpretation of experiences and as the balance of multiple ‘‘sub-identities’’ (Beijaard et al. 2004).


의대생에 대한 연구는 의대생 정체성 발달에 있어서 자기성찰과 환자 상호작용 및 의사소통 능력의 중요성을 입증했다(Niemi 1997;Va˚gan 2009).

Studies of preclinical medical students have demonstrated the importance of self-reflection and patient interaction and communication skills in medical student identity development (Niemi 1997;Va˚gan 2009).


하이데와 공동저자(2008)는 의대생 교육과 그들의 전문적 정체성 구축 과정에서 다중적 대인관계의 중요성을 확인했다.

Haidet and co-authors (2008) identified the significance of multiple interpersonal relationships during the education of medical students and the construction of their professional identities.


나이트와 매틱(2006)은 의대생들의 인식론적 사고와 신념 또한 PIF와 함께 또는 PIF의 일부로 교육하는 동안 발전하고 변화함을 제안했다.

Knight and Mattick (2006) proposed that medical students’ epistemological thinking and beliefs also develop and change during their education along with or as part of their PIF.


따라서 지금까지 의대생들의 PIF를 조사하는 작업은 전문성, 정체성 개발 및 형성의 여러 영역에서 나온 주제를 반영한다. 유도된 성찰, 내면화, 관계구축, 역할모델의 필요성, 초기경험의 필요성, 탐구 및 헌신의 과정은 이러한 상호관련 영역 전반에 걸쳐 나타나는 테마들이다.

Thus the work to date examining PIF in medical students reflects themes fromthe multiple domains of professionalism, identity development and formation. Guided reflection, internalization, relationship building, the need for role models, the need for early experiences, and the processes of exploration and commitment are themes that appear throughout these interrelated domains.


의학에서 PIF의 복잡한 과정을 더 잘 정의하고 평가하기 위한 중요한 작업은 아직 행해지지 않았다.

Significant work is yet to be done to better define and assess the complex processes of PIF in medicine.





. 2012 Dec;24(4):245-55.
 doi: 10.1007/s10730-012-9197-6.

Professional Identity Formation in Medical Education: The Convergence of Multiple Domains

Affiliations 

Affiliation

  • 1Division of General Internal Medicine, University of Texas Medical Branch, 301 University Blvd, Galveston, TX 77555-0566, USA. mholden@utmb.edu

Abstract

There has been increasing emphasis on professionalism in medical education over the past several decades, initially focusing on bioethical principles, communication skills, and behaviors of medical students and practitioners. Authors have begun to discuss professional identity formation (PIF), distinguishing it as the foundational process one experiences during the transformation from lay person to physician. This integrative developmental process involves the establishment of core values, moral principles, and self-awareness. The literature has approached PIF from various paradigms-professionalism, psychological ego development, social interactions, and various learning theories. Similarities have been identified between the formation process of clergy and that of physicians. PIF reflects a very complex process, or series of processes, best understood by applying aspects of overlapping domains: professionalism, psychosocial identity development, and formation. In this study, the authors review essential elements of these three domains, identify features relevant to medical PIF, and describe strategies reported in the medical education literature that may influence PIF.


의학교육에서 감정에 대한 담론: 늘 존재하는 부재(Med Educ, 2013)

Discourse(s) of emotion within medical education: the ever-present absence

Nancy McNaughton





도입

INTRODUCTION


감정은 (전문 지식과 일상적인 담론의 대상으로) 당연한 것으로 간주된다.1 의학에서 감정은 전문적인 가치, 태도, 신념의 핵심 요소로 인식되며, 진단, 상담, 환자 관리를 포함한 전문적 활동에 대한 휴머니즘적 접근법을 지지한다. 그것은 또한 직업적 행복과 환자 만족의 필수적인 측면으로 인식된다.

Emotion is taken for granted as an object of both specialised knowledge and everyday discourse.1 Within medicine, emotion is recognised as a core element of professional values, attitudes and beliefs and is espoused in humanistic approaches to professional activities, including diagnosis, counselling and patient management. It is also recognised as an essential aspect of professional well-being and patient satisfaction.


훈련, 임상적 의사결정 및 일상적 상호작용의 모든 측면에 피할 수 없는 존재임에도 불구하고, 감정은 가치, 태도 및 믿음의 더 큰 구성의 일부분으로서 또는 '이성'으로 잘못 이분화되어, 대부분 귀중한 형태의 지식의 원천으로서 보이지 않게 된다.

Despite its unavoidable presence in all aspects of training, clinical decision making and day-to-day interactions, emotion is either elided as part of a larger construct of values, attitudes and beliefs, or falsely dichotomised with ‘reason’, making it largely invisible as a valuable form and source of knowledge.


이성 vs 감정

Reason Versus Emotion


의학 교육 내에서 정신-신체와 이성-감정과 같은 데카르트적 이분법은 부분적으로 '이성이 부패된 상태로서 초월되어야 할 것'으로 감성을 바라보는 과학과 기술 발달의 효과에 의해 영속된다.9 어떻게 '선량한' 의사가 되려면 이성으로부터 감정을 제거해야 한다는 생각이 영속되어 왔는가? 아니면 적어도 초연적 관심의 형태로 환자의 이익을 위해 그에 상응하는 적정성을 부여할 수 있어야 하는가?10

Within medical education Cartesian dualities,9 such as mind⁄ body and reason⁄ emotion, are perpetuated in part by the effects of scientific and technological developments that find ‘emotion as a corruption of reason that needs to be transcended’.9 How has the idea been perpetuated that to be a ‘good’ doctor one must evacuate emotion from reason or, at very least, be able to titrate it accordingly for the patient’s benefit in the form of detached concern?10


전문직업적, 학문적 고정관념은 이분법적 사고에 달려있다. 예를 들어, 보통 사람들이 흔히 하는 [예절이라고는 전혀 없지만 뛰어난 외과의사]에게 치료를 받는 것이 더 나은 것인지 아니면 [덜 똑똑하지만 환자의 손을 잡아줄 용맹스러운 외과의사]에게 치료받는 것이 더 나은 것인지에 있다. 그러한 구별은 어처구니없을 정도로 환원적일 뿐만 아니라 전문적 정체성 형성에 영향을 미치는 이분법적 관점을 재현한다.

Professional and disciplinary stereotypes rest on binary thinking: for example, a question commonly voiced by lay people concerns whether it is preferable to be treated by a brilliant surgeon who has awful bedside manners OR a less-than-brilliant surgeon who will hold the patient’s hand. Such distinctions are not only insultingly reductive, but reproduce a binary perspective that has implications for professional identity formation.


이분법은 감정과 그 표현에 대한 경계를 전문성, 도덕적 감수성, 지성의 표시로 유지하기 위해 생산적으로 사용된다. 임상 훈련에서 감정을 불법적인 형태의 지식으로 폄하하는 것 또한 의학 교육 내에서 기여가 부족하게 되었다.

Dichotomies are used productively to maintain boundaries around emotion and its expression as signs of professionalism, moral sensibility and intelligence. The disparagement of emotion as an illegitimate form of knowledge (seen as both gendered and unscientific) in clinical training has also led to a paucity of contributions within medical education


감성이란 무엇인가?

What is Emotion?


연구의 대상으로서, 감정은 기술하기 힘들기로 악명 높으며 직업과 학문 사이에는 그것이 무엇인지에 대한 동의가 거의 없다. 그것은 생리학적으로 결정되고, 내적으로 경험되고 자연스럽고, 이성의 요소로서, 사회문화적 가치와 사회문화적 관행의 결과의 전달 매개체로서, 수행과 미적, 도덕적 경험의 중심이라고 다양하게 묘사되고 있다.

As an object of study, emotion is notoriously difficult to delineate and there is little agreement among professions and disciplines about what it is. It is variously described as physiologically determined,11–13 internally experienced and natural,14,15 a component of reason,16–19 a medium for the transmission of socio-cultural values and the result of socio-cultural practices,1,16,20–26 a performance27–29 and central to aesthetic and moral experience.30–32


방법

METHODS


'담론은 그들이 말하는 대상을 체계적으로 형성하는 관습이다.'29

‘Discourses are practices that systematically form the objects of which they speak.’29


푸코디안 프레임워크 내에서, 담론 분석은 제작, 배포 및 수신의 상호 관련 텍스트와 실행의 집합을 말한다. 이는 공식 및 비공식 커리큘럼 형식과 전문 문서에서 전문성과 역량과 관련된 관행과 정책에 영향을 미친다. 감정에 대한 다른 생각들은 구체화되고 법제화된다. 그 후 감정을 연구하기 위한 이산적인 접근은 사회 관계를 통해 역사적으로 제도적 환경에서 형성되는 글쓰기 단어뿐만 아니라 실천으로서 감정에 초점을 맞춘다. 이와 같이, 낙서는 세계에 영향을 주는 사회적 행동의 형태로 조사될 수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우리는 다음과 같은 질문을 던지기 시작할 수 있다: 누가 감정에 대한 일반적인 생각으로부터 이익을 얻는가? 감정이 임상 지식으로 중요한 것을 형성하는 데 어떤 역할을 하는가?

Within a Foucauldian framework, discourse analysis refers to inter-related sets of texts and practices of their production, dissemination and reception. This occurs through both formal and informal curricular forms and in professional documents, producing effects on practices and policy related to professionalism and competency. Different ideas about emotion are taken to be both embodied and enacted. A discursive approach to studying emotion then focuses on emotions as practices, as well as written words that are shaped historically in institutional settings through social relations. As such, discourses can be investigated as forms of social action that create effects in the world. From this perspective, we can begin to ask questions such as: who benefits from prevalent ideas about emotion? What role does emotion play in shaping what counts as clinical knowledge?


감정의 세 가지 담론: 생리적 담론, 기술과 능력으로서의 감정, 그리고 사회문화적 담론(표 1)

three discourses of emotion: a physiological discourse; emotion as skills and abilities, and a socio-cultural discourse (Table 1).




생리학으로서 감정

EMOTION AS PHYSIOLOGY


'생리학으로서의 감정' 담론은 보편적으로 경험된 감정과 우리의 신체적 구성의 일부로서 감정을 본다. 예를 들어, 모든 사람들은 문화나 배경에 상관없이 분노를 경험한다. 이 때, 특정한 신경 화학적 연쇄반응이 시작되어, 우리의 의식적인 통제를 벗어난 많은 경우에 물리적 영향과 행동을 야기한다.

An ‘emotion as physiology’ discourse posits emotion as universally experienced and part of our physical make-up; for example, everyone has experienced anger regardless of culture or background. A particular neurochemical cascade is set off, leading to physical effects and behaviour, in many instances beyond our conscious control.


사람들이 경험하는 감정의 양과 종류는 병리적 상태가 아닌 인간에게서 [동일한 감정을 자극하는 보편적인 정신생물학적 과정의 예측 가능한 결과라고 이해된다.33

The amount and kinds of emotion that people experience are understood to be predictable outcomes of universal psychobiological processes stimulating identical emotions in non-pathological humans.33


이 담론은 생물학적 과정으로 감정을 확보하고 합리적이고 실증주의적인 인신론으로부터 지지를 받는 연구를 통해 재현되고 정당화된다. 생리학과 감정은 질병뿐만 아니라 행동에 대한 경험적 증거를 제공하기 위해 그들의 인과관계를 연구한다. 임상 실습 연구에서 담론은 개인의 의식적 통제나 행동 효과에 대한 인식을 벗어난 신경 화학적 원인을 식별하는 데 관심이 있는 신경 및 인지 과학자와 교육자에 의해 작용에서 명백하다.34–41 의학 교육에서 신경과학자와 인지과학자는 스트레스의 생리적 효과(이것을 감정으로 해석한다)가 인지적 평가 기술 42,43 및 의료 성과 44,45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한다.

This discourse is reproduced and legitimated through research that posits emotion as a biological process and is supported by a rational, positivist ontology. Physiology and emotion are studied for their causal connections to provide empirical evidence for behaviour as well as illness. In clinical practice research, the discourse is evident in work by neuro- and cognitive scientists and educators interested in identifying neurochemical causes that are beyond the individual’s conscious control or awareness of behaviour effects.34–41 In medical education, neuroand cognitive scientists are studying the physiological effects of stress (interpreted as an emotion) on cognitive appraisal skills42,43 and health care performance.44,45


Pottier 등의 연구에서, 46 학생들은 자신의 몸에서 화학적으로 일어나는 스트레스 수준을 의식하지 못했다. 우리의 몸이 우리의 마음과 별개로 작용하고 있다는 생각은 데카트트적 마음-신체, 이성-감정 이분법에 의해 뒷받침된다.

in the work of Pottier et al.,46 the students were not conscious of the level of stress their bodies were registering chemically. The idea that our bodies are acting separately from our minds is supported by a Cartesian mind⁄ body reason⁄ emotion duality.


의학 교육에서 생리적 담론의 또 다른 예는 표준화된 환자(SP)뿐만 아니라 의료인을 훈련시키기 위해 Paul Ekman의 아이디어를 적용한 것이다.47,48,49 Ekman의 연구는 감정의 보편적 생물학적 생성과 그에 따른 얼굴 표정 사이의 논증할 수 없는 연관성에 기초한다.47 Through 미세표현훈련도구(METT)를 이용한 Ekman의 안면행동코딩시스템(FACS)에서의 훈련은 미세표현에 감추어진 감정을 읽음으로써 다른 사람의 내적 감정상태를 신뢰성 있게 분별하는 법을 배울 수 있다.

Another example of a physiological discourse within medical education is the application of Paul Ekman’s ideas for training medical practitioners as well as standardised patients (SPs).47,48,49 Ekman’s research is based on an incontrovertible connection between the universal biological production of emotion and resulting facial expressions.47 Through training in Ekman’s facial action coding system (FACS) using the micro-expression training tool (METT), one can learn to reliably discern other people’s internal emotional states by reading emotions concealed in micro-expressions:


Ekman의 이론은 우리 모두가 [사회적, 문화적 차이와 무관하게 우리의 인식과 통제를 벗어난 보편적으로 측정할 수 있는 방법으로 경험하고 감정을 표현하도록 연결되어 있다]는 것을 암시한다.47

Ekman’s theory, suggests that we are all, regardless of social and cultural differences, wired to experience and express emotion in universally measureable ways that are beyond our awareness and control.47



함의

Implications


신경 영상 실험은 우리에게 감정의 일반적이고 보편적인 특성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활동이다.

Neuro-imaging experiments, are activities that provide us with information about the generalisable and universal characteristics of emotion.


이 담론 안에서 감정은 그들만의 삶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보여지고, 방해가 되고, 어쩌면 우리의 이성을 압도하고 위험한 결정과 행동으로 이어질 수도 있다.  ‘I lost my head’, or I need to get a grip’와 같은 흔한 문구나, blowing off steam or losing one’s cool 과 같은 은유들은 이중적인 사고에 의해 더욱 뒷받침되는 감정에 대한 그러한 이해를 반영한다. 그러나, 현재의 신경과학 연구는 우리의 인식은 본질적으로 감정적인 두 가지 – 사이에 구분split이 없다는 것을 시사한다. 안토니오 다마시오는 '이성이라는그림에서 감정이 완전히 배제될 때...(감정이 우리의 결정에 나쁜 장난을 칠 때보다) 이성은 훨씬 더 결점이 있는 것으로 판명된다.'라고 쓰고 있다.

Within this discourse emotions are seen to have a life of their own, getting in the way, possibly overwhelming our reason and leading to dangerous decisions and actions. Such common phrases as ‘I lost my head’, or I need to get a grip’, or metaphors such as blowing off steam or losing one’s cool reflect such an understanding of emotion which are further supported by dualistic thinking. However, current neuroscience research suggests that there is no split between the two – our cognition is essentially emotional. Antonio Damasio writes, ‘When emotion is entirely left out of the reasoning picture…reason turns out to be even more flawed than when emotion plays bad tricks on our decisions.’11


그러나 이성과 감정 사이에 분열이 없음을 보여주는 연구에도 불구하고, 우리의 감정은 파괴적이며 관리되어야 한다는 생각이 우리의 일상적 사고와 실천에 스며들고 있다.

Yet despite the research that shows there is no split between reason and emotion, the idea that our emotions are disruptive and need to be managed is pervasive and deeply ingrained in our day to day thinking and practices.


이것과 평행한 또 다른 개념은 감정이 자연의 날씨 패턴처럼 일어난다는 것이다.22 이러한 관점에 따르면, 감정이란 긍정적이든 부정적이든 간에 감정 그 자체가 문제가 되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그 발생이 [우리에게 비자발적으로 일어나고 우리의 이성적 능력에 문제를 일으키는 것]처럼 보이기에 문제인 것이다.

Another notion parallel to this one is that emotions occur like naturalised weather patterns.22 In this view, it is not emotions themselves, either positive or negative, that are troublesome, but, rather, their occurrence, which seems to happen to us involuntarily and to connect to our rational capacities in troubling ways.


스킬로서 감정

EMOTION AS SKILL


'기술로서의 감정' 담론에서 '지능'과 '감정'의 개념은 능력, 기술 습득 및 성과에 관한 아이디어와 관련된 궤적을 따라 수렴된다. 이러한 담론은 우리의 감정에 대한 생물학적 근거를 인정하지만, 이제 그것들은 실천을 통해 변화할 수 있는 것으로 보인다.

Within an ‘emotion as skill’ discourse, concepts of ‘intelligence’ and ‘emotions’ converge along a trajectory related to ideas about ability, skills acquisition and performance. This discourse acknowledges the biological basis for our emotions; however, they are now seen as amenable to change through practice.


'우리는 감정 능력이 신체검사 기술과 마찬가지로 (환자 진단이나 사회문화적 배경을 대체하는) 적절하게 정의되고, 가르칠 수 있는(그리고 측정할 수 있는) 기술로 간주될 수 있다고 제안한다.'52

‘We suggest that emotion skills, much like physical examination skills, can be regarded as a properly defined, teachable (and measurable) skill set that supersedes patient diagnoses or socio-cultural backgrounds.’52


이러한 의무는 태도와 가치에 관련된 전문적인 행동을 할 때, 감정을 가시화하는 의사소통 기술 훈련을 통해 부분적으로 충족된다. 행동 훈련은 의사결정의 인지적 측면으로 되돌아온다. 어떻게, 언제, 무엇을 말할 것인가에 대한 결정은 체계적 연습을 통해 개발될 수 있는 기술이다.

This mandate is met in part through communication skills training in which emotion becomes visible in demonstrations of professional behaviours linked to attitudes and values. Behavioural training feeds back into cognitive aspects of decision making. Decisions about how, when and what to say are skills that can be developed through organised practice.


감정지능

Emotional Intelligence


감성 지능(EI)은 감성에 대한 특별한 생각이 의학에서나 일상 생활에서나 작동하게 되는 지배적인 기술이다.

Emotional intelligence (EI) is the dominant technology through which particular ideas about emotion become operationalised both in medicine and throughout our day-to-day lives.


EI의 목적은 연습을 통해 

    • 자신과 타인의 감정을 인지하고 이해하고 관리하는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기술을 개발하고, 

    • 부정적인 감정 경험과 그들의 표현을 감소시키기 위해 그 결과를 평가하는 것이다.

The aim of EI is to develop skills through practice 

    • to improve abilities to perceive, understand and manage emotion in both oneself and others, and 

    • to evaluate the outcomes in order to reduce negative and increase positive emotional experiences and their expression.


'자신과 다른 사람들의 감정을 능숙하게 감지, 이해 및 관리하는 것은 제공자 웰빙, 제공자 만족, 전문성 및 환자 결과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52

‘The skillful detection, understanding and management of emotions in the self and others may impact on provider well-being, provider satisfaction, professionalism and patient outcomes.’52


감성 지능은 의료 전문가를 개발하는 의료의 인문학적 목표를 충족시키는 동시에, 신뢰할 수 있는 포착에 적합하지 않은 것으로 보이는 능력을 측정하고 판단하는 신뢰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한다.

Emotional intelligence meets health care’s humanistic goals of developing caring professionals while providing a dependable method for measuring and judging capacities seen as not otherwise amenable to reliable capture.


감성 지능은 의대 입학 과정, 53 임상 및 서면 평가에 대한 성과와의 상관 관계, SPs.55에 의해 평가된 EI 속성과 학생 임상 기술 사이의 가능한 관계를 포함하는 광범위한 맥락에서 관여하고 연구되고 있다.

Emotional intelligence is being engaged and studied in a wide range of contexts that include medical school admissions processes,53 its correlations with performance on clinical and written assessments54 and the possible relationship between EI attributes and student clinical skills as assessed by SPs.55


스킬의 수행으로서 감정

Emotion as Performance of Skills


Performance는 기술로서 EI가 드러내어지는 매개체. 보이지 않는 전문적 속성을 [개별적인 관찰 가능한 기술과 능력]으로 변환하려면 특정한 종류의 퍼포먼스가 필요하다.

Performance is the medium through which the skills of EI are manifest. The transforming of invisible professional attributes into individual observable skills and abilities requires a specific kind of performance


이 담론에서의 성과는 '인지기능 과정하고는 관련성이 낮고, 행동, 움직임, 언어 및 몸짓과 더 많은 관계가 있다.56

Performance in this discourse ‘has less to do with cognitive processes and more [to do] with action, movement, speech and gesture’.56


감정은 관찰할 수 있고 측정할 수 있는 과제의 수행을 통해 가시화된다. 그것은 분리된 요소(rapport, empiration, eye contact, question style)로 나눠질 수 있으며, 의사소통이 수행된 기술의 더 미세하고 더 미세한 슬라이드로 분석되는 연속체를 따라 평가될 수 있다. 그래서 감정에 관한 정보에 접근하기 위해 개인의 경계 안에 도달하는 것이 아니라, 이 담론은 [역량있는 실천]과 관련된 [특정한 시연demonstration]으로서 감정을 관찰할 수 있게 해준다. 감정은 아직 생물학적으로 생산되고 있지만, 지금은 그 외적인 면을 관찰하고 측정하는 데 초점이 맞춰져 있다.

Emotion then becomes visible through the performance of tasks that are observable and measureable. It can be broken into discrete component parts (rapport, empathy, eye contact, questioning style) and assessed along a continuum on which communication is parsed into finer and finer slivers of performed skills. So, rather than reaching inside the boundaries of the individual to access information about emotion, this discourse allows one to observe it as a particular demonstration related to competent practice. Emotion is still biologically produced, but now the focus is on observing and measuring its external aspects.


예를 들어, 테크닉으로서의 공감이나 연민은 벅만의 공감 모델에서 분명히 알 수 있듯이 학습하고 평가할 수 있는 단계로 나눌 수 있다: '감정반응은 다음의 테크닉으로 구성되어 있다

(i) 감정을 식별하고

(ii) 감정의 근원을 식별한 두,

(iii) 이 두 단계 사이를 자신이 어떻게 연결했는지를 보여주는 방식으로 반응하는 것

For example, empathy or compassion as a technique can be broken into steps that can be learned and assessed, as is evident in Buckman’s model for empathy: ‘The empathic response, for example, is a technique that consists of 

(i) identifying the emotion, 

(ii) identifying the source of emotion, and 

(iii) responding in a way that shows you have made the connection between the first two steps.’57


감정을 기술이나 기법으로 프레이밍 하는 것은 전문적인 훈련과 연습에 영향을 미친다.

Framing emotion as a skill or technique has effects on professional training and practice.


[단순히 다른 형태의 기술로서 감정]을 지탱하는 아이디어는 [사회문화적 맥락을 고려하지 않으며[감정을 관리, 통제, 설명하는데 있어 가장 큰 부분을 개인에게 맡기는] 방식의 설명 모델을 넘어서야 할 필요성을 충분히 인식하지 못한다. 


Ideas that support emotion as simply another form of skill do not offer sufficient recognition of the need to move beyond explanatory models that put the largest part of the responsibility for managing, controlling and explaining emotion on the individual without addressing the social and cultural context.


함의

Implications


'병원 곳곳에 화장실과 계단통에서 조용한 울음소리가 있다. 동료, 환자, 심지어 친구까지도 어떤 붕괴도 좋은 의사가 되지 못하는 지표로 보고 있다는 인식이다.'58

‘There is muted crying in bathrooms and stairwells all over the hospitals. The perception is that colleagues, patients and even friends see any breakdown as an indicator of not being a good doctor.’58


[개인의 감정 기술과 능력에 초점을 맞춘 책무성 전략]은 개별 workplace을 형성하는 [situated inequalities과 물질적 압력을 눈에 보이지 않게 만들 수 있는 잠재력]을 가지고 있다. 감정이 개인의 것으로, 프라이버시로 정의될 때, 학생과 의사의 고립과 소진을 증가시킬 잠재력을 가지고 있다. [허용 가능한 것]의 규범을 벗어났다고 여겨지는 감정은 어딘가에 숨겨져 있을 수 있으며, '자신에 대한 통제력 확보'나 '감정을 제쳐두는' 방식으로 다뤄지게 개인에게 맡겨질 수 있다. 자신이 전문직에 들어갈 만한 가치가 있다는 것을 증명해야 한다는 엄청난 압박감 속에서, 학생들은 자신들이 환자나 절차에 대해 불편한 감정을 가지고 있다는 것을 인정하기를 두려워하고, 이러한 감정들을 '역량'이라는 망토 뒤에 숨긴다.59

Accountability strategies that centre on the emotion skills and abilities of the individual have the potential to make invisible the situated inequities and material pressures shaping individual workplaces. Emotion defined as individual and private also has the potential to add to increased student and practitioner isolation and burnout. Emotions identified as outside the norm of what is acceptable may remain hidden and be handled individually by ‘getting control of oneself’ or ‘putting feelings aside’. Under great pressure to prove themselves worthy of entering the profession, students are afraid to admit that they have uncomfortable feelings about patients or procedures and hide these feelings behind a cloak of competence.59


한 학생은 이런 의견을 표현했다: '그런 감정들은 그냥 방해가 된다. 그것들은 맞지 않아, 나는 그것들을 없애는 법을 배울 거야. 아직 어떻게 해야할지는 모르겠지만, 어떤 것들은 좀 무섭기까지 하다'

One student expressed the opinion: ‘Those feelings just get in the way. They don’t fit, and I’m going to learn to get rid of them. Don’t know how yet and some of the possibilities are scary.’60


이 학생의 진술은 훈련을 통해 문제가 되는 감정을 없애기 위해 노력하면서 연민을 유지하도록 요구하는 의사들의 이중 부담double burden을 밝히고 있다.

This student’s statement identifies the double burden of medical practitioners that requires them to sustain compassion while working to rid themselves of problematic emotions through training.


EI에 대한 비판

CRITIQUE OF EI


이러한 감정 담론에 대해 의학 교육자들은 기꺼이 비판적인 반응을 보여 왔다. 루이스 외 연구진.60은 의료 교육에서 EI의 구조가 [측정할 수 없는 것을 측정하려고 시도하는 것은 아닌지]에 대해 질문을 제기하고, 현재의 모델들이 집단적이고 분산된 감정 모델보다는 개별화된 것을 영구화할 것을 제안한다.

There has been a welcome critical response by medical educators to this discourse of emotion as skills. Lewis et al.60 raise relevant questions about whether the construct of EI in medical education is attempting to measure the immeasurable and suggest that current models perpetuate individualised rather than collective and distributed models of emotion.


Lewis 등은 EI를 '집단적 분위기를 고려하며 그룹 환경에서 정서적 행동의 '지능적' 부분으로 공유하는 협력적인 분산 모델로 재배치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60

Lewis et al. are working towards relocating EI as a collaborative distributed model which ‘takes account of group climate and shared affect as the ‘‘intelligent’’ part of emotional behaviour in group settings’.60


사회문화적 매개체로서 감정

EMOTION AS A SOCIO-CULTURAL MEDIATOR


'감정은 차이와 윤리가 소통되고 협상되고 형성되는 매개체다.'22

‘Emotions are a medium, a space in which differences and ethics are communicated, negotiated and shaped.’22


사회문화적 담론은 [감정이 사회적 교류에서 갖는 기능과 사회적, 정치적, 문화적 중재자로서의 감정의 역할]에 대한 관심을 갖게 한다. 그것은 또한 감정을 신경화학이나 심리학적 과정으로서가 아니라 실천으로서도 전조가 된다.

A socio-cultural discourse directs our attention to emotion’s function in social exchanges and its role as a social, political and cultural mediator. It also foregrounds emotion as a practice rather than as a neurochemical or psychological process.


이 마지막 관점은 학습을 위한 상황화된situated 문화적 및 맥락적 요인의 중요성을 인정한다. 이처럼 감정은 언제나 개인과 사회 사이에 매개력mediating force으로 존재한다.

This last perspective acknowledges the importance of situated cultural and contextual factors for learning. As such, emotion is always between the individual and the social as a mediating force.


사회문화적 담론은 [감정을 협력적인 것, 즉 특정한 문화적, 사회적 맥락에서 개인들에게 분포된distributed 것]으로 본다.

A socio-cultural discourse constructs emotions as collaborative and distributed among individuals in particular cultural and social contexts,


사회적, 물질적 요소들이 우리의 정체성에 미치는 영향을 인정하는 관점은 [안정된 실체가 아닌 힘으로서의 감정]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Lewis et al.의 EI 대체 모델은 그것을 '개별적이고 정적'이 아닌 '협동적이고 역동적인' 것으로 묘사하고 있으며, 공간 뿐만 아니라 시간 차원에서 작동하는 시스템의 창발적 특성이라고 보았다.

A view that acknowledges the effects that shared social and material artefacts have on our identities, our work and relationships includes emotion as a force, not as a stable entity. For example, Lewis et al.’s alternative model of EI describes it as ‘collaborative and dynamic, rather than individual and static, [and] importantly, as an emergent property of a system operating in time, as well as space’60


이 저자들은 다음과 같이 제안한다: '이러한 환경에 대한 민감성은 어떤 임상의사가 언제 어떻게 개입하는지를 지배할 수도 있고, 또는 전문가간 팀 절차에 개입하지 않기로 결정할 수도 있다.'60

These authors suggest: ‘…such sensitivity [to environment] may govern when and how any clinician intervenes, or decides not to intervene in an interprofessional team procedure.’60


[모든 사람이 자신의 감정을 얼마나 잘 표현할 수 있는지에 관계없이 특정한 맥락에서 자신의 감정을 드러낼 수 있는 권한이 사람마다 동일하지 않다는 것]은 특정 직업적 맥락에서 감정을 실천(표현)함을 형성하는데 있어서, 권력 관계를 인식하는 것이 얼마나 중요한지를 보여준다.

That not everyone has the same permission to reveal their emotions in particular contexts, regardless of how well they may express them, suggests how important it is to recognise power relations in shaping the practice of emotion in specific professional contexts.


실천윤리로서 감정

Emotion as an Ethics of Practice


[사회적으로 의식적인 감정]이라는 담론을 지지하는 사람들은 의대 과정 내에 인문학에 대한 관심을 높이고 포함시키는 것을 긍정적으로 보고 있다. 연극과 서술을 채택하는 프로그램, 예술의 창조, 음악의 감상 등을 통해 인문계는 인지뿐만 아니라 구체적이고 감정적인 학습의 새로운 길을 열어주는 것으로 점점 더 인정받고 있다.

Proponents of a socially conscious discourse of emotion see as a positive step the increasing attention to and inclusion of the humanities within medical school curricula. Through programmes that adopt theatre and narrative, the creation of art and appreciation of music, the humanities are increasingly acknowledged as opening up new pathways for learning that are embodied and emotional, as well as cognitive.


'실천으로서의 윤리는 다층적 주관성의 모든 단계를 아우르는 복잡성의 연극이다. 이 때 인지는 감정에, 지성은 감성에 구속bind되며, 이 모든 것은 다시 사회적으로 내재된 지속가능성의 윤리와 연결시키는 것이다.'61

‘Ethics as a practice is related to a play of complexity that encompasses all levels of one’s multilayered subjectivity, binding the cognitive to the emotional, the intellectual to the affective and connecting them all to a socially embedded ethics of sustainability.’61


이러한 윤리의 관념은 이성과 감정의 이분법적 분열에 의문을 품게 함으로써, 개개인이 '감정을 담아내는 그릇'이라는 개념을 뛰어넘게 한다. 그러나, 예술과 인문학에 기반을 둔 접근방식이 전문성과 실천과 관련된 기존의 생각을 파괴하고 확장하기보다는 재생산하는 역할을 할 위험도 있다.

Such a conception of ethics move us beyond the notion of the individual as a container of emotion by asking us to question the split between emotion and rationality. However, There is a danger that, artsand humanities-based approaches may serve to reproduce rather than disrupt and expand existing ideas related to professionalism and practice.


노동으로서 감정

Emotion as Labour


의료행위의 핵심은 의사와 환자의 대화적 관계다. 인간의 고통에 관심을 기울이는 것은 정교한 기술적, 임상적 기술을 숙달하고 여러 가지 면에서 자아와 다른 것들에 대한 미묘한 협상을 필요로 한다(개인적이고 전문적인 것 둘 다). 이것은 사회문화적 관점에서 노동의 한 형태로 정의될 수 있다.

At the heart of the practice of medicine is the dialogical relationship between doctor and patient. Tending to human suffering requires mastery of sophisticated technical and clinical skills and nuanced negotiations of self and other on a number of fronts (both personal and professional). This can be defined as a form of labour from a socio-cultural perspective.


알리 호치차일드는 서비스업에서 노동의 한 형태로서 감정을 연구해 왔다.21 호치차일드는 노동자들의 정서적 경험을 형성하는 개개인이 아닌 사회적 심리적 힘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이런 관점에서 부정적인 반응을 억누르거나 '하고 싶은 말을 참는' 것과 같은 감정적 결정을 내리게 만드는 것은 사회정치적 환경이다.21

Arlie Hochschild has studied emotion as a form of labour in service occupations .21 Hochschild focuses on the social, not the individual, psychological forces that shape workers’ emotional experiences. In this view, it is the social and political environment that is seen to produce emotional decisions to suppress a negative reaction or to ‘bite one’s tongue’.21


사회문화적 관점은 감정을 전문적 발전의 필수적인 부분으로 간주하고 연습과 학습이 일어나는 더 큰 사회적, 정치적 맥락을 반영하는 질문의 생성을 허용한다.

Socio-cultural perspectives take account of emotion as an integral part of professional development and allow for the generation of questions that reflect the larger social and political contexts in which practice and learning occur.


함의

Implications


'우리가 감정을 (피할 수 없는 생리적 능력이나 단순한 사회적 구성으로 인식하는 정도가 아니라) 사회적, 정치적 맥락에서 형성되는constituted 것으로 볼 때, 우리는 현대의 교육 환경에서 그것을 어떻게 변화시키는데 기여하고자 하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63

‘To the extent that we recognise emotion not as an inescapable physiological faculty or simply a social construction but as that which is constituted in social and political contexts, we can assess how we wish to contribute to transforming it in contemporary school settings.’63


감정은 의학 전문가들이 매일 수행하는 일의 중심에 있다. 이해, 성찰, 감정에 관여하고 표현하는 것은 유능한 의료행위의 중요한 측면이다.

Emotion is central to the work carried out by medical professionals daily. Understanding, reflecting on, engaging with and expressing emotion are important work-related aspects of competent practice.


의학 교육 분야의 사회 문화적인 감정 관점은 현재 저개발되어 있다.

Socio-cultural perspectives of emotion in the field of medical education are currently underdeveloped,


이 담론 속의 감정에 대한 은유는 유동성을 보여준다. 그것은 교환의 매개체, 22 통화와 역동적인 정치세력, 경이로움의 공간이다.26 아흐메드는 감정은 대상이나 대상에 감정이 상주하지 않고 순환의 효과로 만들어지는 통화currency의 형태라고 주장한다.26 아흐메드는 감정이 국가, 직업, 이익 단체와 같은 개인과 집단 사이를 여행하는 것으로 묘사하고 있다. 감정은 어떤 사람에게는 stick하지만 다른 사람에게는 stick하지 않지만, 언제나 문자 그대로 [우리의 몸과 정신에 포함 또는 배제inclusion or exclusion를 알리는 표식mark]을 남긴다.

The metaphors for emotion within this discourse reference its fluidity. It is a medium of exchange,22 a currency and dynamic political force, a space of wonder.26 Ahmed argues that emotions are a form of currency in which feelings do not reside in subjects or objects, but are produced as effects of circulation.26 She describes them as travelling between individuals and groups, such as nations, professions and interest groups, sticking to some people and not others, but always leaving impressions literally in the form of marks on our bodies and psyches that signal inclusion or exclusion.


그러한 이론적 접근은 감정을 내부 상태에 관한 것이라기 보다는 사회 생활에 관한 것으로 해석한다. 교육 및 감정 분야에서 일하는 사회과학 학자들은 감정을 '윤리적, 도덕적, 평가적, 인지적, 감정적, 선정적'을 포함하는 다중적인 측면을 가지고 있다고 본다.26 의과 교육 내에서 우리는 사회문화적 규범과 실천이 전문적 실천에서 감정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아직 충분히 조사하지 않았다.

Such a theoretical approach construes emotion as being about social life rather than about internal states. Social science scholars working in the field of education and emotion view emotion as having multiple aspects that include the ‘ethical, moral, evaluative, cognitive, affective and sensational’.26 Within medical education we have not yet fully examined how socio-cultural norms and practices influence emotion in professional practice.


결론

CONCLUSION


이러한 각각의 담론에서 감정은 뚜렷하게 형성되지만, 서로 완전히 고립되어 있는 것은 아니다이러한 담론들 중 어느 것도 그 혼자서는 감정과 관련된 전문적인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모든 서사를 제공하지 않으며, 각각은 의료 훈련에서 감정에 대한 보다 포괄적인 이해를 약속하는 방식으로 다른 사람들을 겹치고 확장시킨다.

Emotion is constituted distinctly in each of these discourses; however, they are not isolated from one another. None of these discourses alone provides an overarching grand narrative with which to resolve professional problems related to emotion, and each overlaps and extends the others in ways that hold promise for a more inclusive understanding of emotion in medical training.








, 47 (1), 71-9
 

Discourse(s) of Emotion Within Medical Education: The Ever-Present Absence

Affiliations 

Affiliation

  • 1Standardized Patient Program Director of Research, Standardized Patient Program Affiliated Scholar, Wilson Centre for Research in Education Faculty of Medicine, University of Toronto, Toronto, Ontario, Canada. n.mcnaughton@utoronto.ca

Abstract

Context: Emotion in medical education rests between the idealised and the invisible, sitting uneasily at the intersection between objective fact and subjective values. Examining the different ways in which emotion is theorised within medical education is important for a number of reasons. Most significant is the possibility that ideas about emotion can inform a broader understanding of issues related to competency and professionalism.

Objectives: The current paper provides an overview of three prevailing discourses of emotion in medical education and the ways in which they activate particular professional expectations about emotion in practice.

Methods: A Foucauldian critical discourse analysis of the medical education literature was carried out. Keywords, phrases and metaphors related to emotion were examined for their effects in shaping medical socialisation processes.

Discussion: Despite the increasing recognition over the last two decades of emotion as 'socially constructed', the view of emotion as individualised is deeply embedded in our language and conceptual frameworks. The discourses that inform our emotion talk and practice as teachers and health care professionals are important to consider for the effects they have on competence and professional identity, as well as on practitioner and patient well-being. Expanded knowledge of how emotion is 'put to work' within medical education can make visible the invisible and unexamined emotion schemas that serve to reproduce problematic professional behaviours. For this discussion, three main discourses of emotion will be identified: a physiological discourse in which emotion is described as located inside the individual as bodily states which are universally experienced; emotion as a form of competence related to skills and abilities, and a socio-cultural discourse which calls on conceptions from the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 and directs our attention to emotion's function in social exchanges and its role as a social, political and cultural mediator.

의과대학 기간의 공감 변화가 지리-사회-문화적으로 영향을 받는가? (Med Educ, 2019)

Is empathy change in medical school geo-socioculturally influenced?

Gominda Ponnamperuma, Su Ping Yeo & Dujeepa D Samarasekera





도입

INTRODUCTION


칼 로저스1이 반세기 넘게 공감을 '한 사람이 'as if' 상태를 한 번도 잃지 않고, 한 사람이 다른 사람이라도 되는 것처럼 정확하게 다른 사람의 내적 레퍼런스 프레임을 지각할 수 있는 능력'이라고 정의한 이후, 그에 대한 여러 가지 해석이 있어 왔다. 무엇보다도 가장 간단한 것은 '다른 사람의 입장에서 설 수 있는 능력'이다.

Ever since Carl Rogers1 defined empathy over half a century ago as ‘the ability to perceive the internal frame of reference of another with accuracy, as if one were the other person without ever losing the “as if” condition’, there have been many interpretations of it. The simplest of all is the ability to ‘stand in another’s shoes’.


그러한 공감은 상당한 연구와 정밀조사를 거쳤으며, 의사의 공감이 의사와의 만남에서 중심적 역할을 할 뿐만 아니라 그 결과에 영향을 미친다는 증거에 기인할 수 있다.2–5

That empathy has been subjected to considerable research and scrutiny can be attributed to evidence indicating that a doctor’s empathy not only plays a central role in the doctor–patient encounter, but also affects its outcomes.2–5


우리는 공감의 요소를 탐구해야 한다.

we should explore the constituents of empathy


의료 전문가(그리고 이에 따라 의대생)가 가져야 할 공감대 구성 요소와 관련된 논쟁이 계속되고 있다. 이 논쟁의 초기 단계에서 블룸가르트10은 윌리엄 오슬러경의 '중립적 공감' 개념을 지지하는 사람들이 있었다고 다시 말했다. 왜냐하면 이 '중립적 공감'은 [슬픔, 후회, 또는 다른 어려운 감정들을 느끼지 않고] [해야 할 일을 하는] 의사와 관련이 있기 때문이다. 이것은 근본적으로 환자를 '객관적으로' 다루기 위해서는 의사가 환자의 감정과 거리를 두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후 '공감'과 '연민'의 구별을 통해 오슬러의 권고가 공감보다는 연민에 일치한다는 것을 명확히 했다.

There is an ongoing debate related to the constituents of empathy that a medical professional (and hence a medical student) should possess. During the early stages of this debate, Blumgart10 recounted that there were some who supported Sir William Osler’s concept of ‘neutral empathy’ as it pertains to the doctor who will do what needs to be done without feeling grief, regret or other such difficult emotions.11 This essentially means that in order to treat a patient ‘objectively’, the doctor should distance himself or herself from the patient’s emotions. Later, the distinction of ‘empathy’ from ‘sympathy’ clarified that Osler’s recommendations were more in line with sympathy than empathy.


신경과학의 보다 최근의 증거는 

  • 감을 주로 뇌의 신피질과 관련된 지적 반응으로 

  • 민을 뇌의 변연계와 관련된 감정적 반응으로 

...개념화하여 이러한 구별을 뒷받침한다. 

따라서, 

  • 공감의 인지적 요소는 의사가 객관적인 결정을 내릴 때 기능할 수 있는 반면에, 

  • 인지적 요소와 감정적 요소 모두 의사가 환자와 다른 모든 활동을 논의, 전달 및 수행할 때 그들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More recent evidence from neuroscience that conceptualises empathy as predominantly an intellectual response involving the neocortex of the brain, and sympathy as predominantly an emotional response involving the limbic system of the brain,12 supports this distinction. Hence, 

  • whereas the cognitive component of empathy can function when the doctor takes objective decisions, 

  • both cognitive and emotional components can play their roles when the doctor discusses, communicates and performs all other activities with the patient.


공감은 오늘날, 특히 헬스케어와 관련하여 인지적, 감정적, 도덕적, 행동적 차원을 갖는 다차원적 구조로 간주된다.13,14 공감을 측정하기 위해 개발된 대부분의 척도는 공감을 인지적 요소와 정서적 요소로 이분화함으로써 이러한 차원성을 보다 한정된 형태로 포착했다.

Empathy is viewed today, especially in relation to health care, as a multidimensional construct that has cognitive, emotional, moral and behavioural dimensions.13,14 Most scales developed to measure empathy have captured this dimensionality in a more circumscribed form by dichotomising empathy into cognitive and affective components.


JSPE-S(Jefferson Scale of Physician Empathy–Student 버전), 12 

대인관계 반응 지수(IRI), 15 및 

BEES(Balanced Emotional Empathy Scale), 16

the Jefferson Scale of Physician Empathy–Student version (JSPE-S),12 

the Interpersonal Reactivity Index (IRI),15 and 

the Balanced Emotional Empathy Scale (BEES),16


그러나, 인지적-정서적 이분법에도 불구하고, 대부분의 연구는 공감을 전체론적 구조로 측정했다,19

However, notwithstanding the cognitive–affective dichotomy, most studies have measured empathy as a holistic construct,19


따라서, 보건전문직교육에서는 공감의 다양한 차원을 인정하면서도, 총체적인 구조로 본다고 가정해도 무방할 것이다.

Hence, it would be safe to assume that the health sciences education community views empathy as a holistic construct, while acknowledging its different dimensions.


주로 JSPE-S와 함께 의대생 공감을 추적하는 초기 단계에서 수년간의 공감이 저하된 것이 밝혀졌을 뿐만 아니라, 학생들이 임상연수를 시작했을 때(즉, 훈련을 위해 병원을 방문) 가장 현저한 감소가 일어난 것으로 보인다. 이것은 의학 교육계에 임상 훈련 환경이 학생들의 공감을 촉진하고 있지 않을 수도 있다는 경고를 보냈다. 이 발견은 나중에 주로 작은 효과크기와 낮은 응답률의 문제로 통계적 근거가 부족하다는 도전받았지만, 공감 감소는 이러한 초기 연구에서 공통적인 특징이었으며, 대부분은 미국에서 수행되었다.

In the initial phase of tracking medical student empathy, mainly with the JSPE-S, a decline in empathy over the years of training was revealed.12 Not only did this decline take place, but it appeared that the most prominent decline occurred when students started clinical training (i.e. visited hospitals for training) to a greater extent. This sent a warning to the medical education community that the clinical training environment may not be nurturing empathy in students. Although this finding was later challenged, mainly on the statistical grounds of small effect sizes and low response rates,20 a decline in empathy was a common feature in these early studies, most of which were carried out in the USA.


가장 최근의 연구 단계에서, 북아메리카 이외의 국가에서 의대생들의 공감이 변했다는 증거가 나타났다. 최근의 세 가지 리뷰19,21,22는 의학 학부 연수 동안 공감의 변화에서 일반적인 추세는 없었다고 결론지었다. 이러한 검토에 의해 보고된 '혼합된mixed' 결과는 세계 각지에 걸친 공감 변화의 뚜렷한 패턴이나 추세를 확인하지 못했다. 이처럼 현재 의학 교육계에서는 세계 각지의 학부 의술 연수 기간 동안 공감이 다양한 방향으로 변화(즉 무차별적으로)한다고 보는 것 같다.

During the most recent phase of research, evidence on changes in empathy in medical students from countries other than those in North America emerged. Three recent reviews19,21,22 concluded that there was no generalisable trend in changes in empathy during medical undergraduate training. The ‘mixed’ results reported by these reviews did not identify any discernible pattern or trend in changes in empathy across different parts of the world. As such, it appears that the medical education community presently believes that empathy changes variably (i.e. indiscriminately) during undergraduate medical training around the world.


맥락 특수성23과 경험적 연구24와 관련된 이론 모두 공감과 같은 구조를 국지적으로 해석된 글로벌 구조로 보아야 한다는 것을 나타낸다.

Both the theory related to context specificity23 and empirical studies24 indicate that constructs such as empathy should be viewed as locally construed global constructs.


방법

METHODS


비록 위에서 설명한 방법들이 단지 지리적 패턴만을 보일지라도, 우리는 이 패턴이 자연에서 은밀하게 지리적 패턴이라고 믿지 않기 때문에 그것을 '지리-사회-문화적'이라고 불렀다. 오히려, 우리는 지리적으로 볼 수 있는 패턴이나 경향은 각각의 지리적 지역들의 독특한 사회 문화 특성을 가장 잘 반영할 것이라고 믿는다. 

Although the methods described above will show only a geographical pattern, we have termed it ‘geo-sociocultural’ as we do not believe this pattern to besolely geographical in nature. Rather, we believe that a pattern or trend seen geographically will most likely reflect the unique sociocultural features of the respective geographical localities. 


결과

RESULTS


검토 대상으로 선정된 40개 연구 중 29개는 단면적 연구였고 11개는 종적 연구였다.

Of the 40 studies thus selected for the review, 29 were cross-sectional studies and 11 were longitudinal studies.


표 1은 단면연구 결과를 나타낸다.

Table 1 shows the results of the cross-sectional studies.




공감의 변화에 대한 조사가 세계 각지에서 '혼합된 결과'를 낳는다는 연구자들의 일반적인 가정과는 달리, 이 표에서 상당한 긍정적인 변화(즉, 증가)를 보고한 연구들은 대부분 표의 오른쪽에 있다는 것은 분명하다. 그러나 좀 더 면밀하게 살펴보면 그러한 결론(즉, 서양과 비교할 때 동양계가 공감의 긍정적인 변화를 보인다는 것)은 지나치게 단순화되어 부정확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표 1에서 알 수 있듯이, 동양에서 이뤄진 모든 연구가 긍정적인 변화를 보이는 것은 아니다; 일부(소수자임에도 불구하고)는 부정적인 변화까지 보인다. 그러나 분명한 것은 세계에는 (대부분의 지역과 달리) 학생 공감의 비슷한 변화를 주로 보고하는 지리사회적 문화 주머니geo-sociocultural pockets가 있다는 것이다.

Contrary to the prevailing assumption among researchers that investigations into changes in empathy produce ‘mixed results’ in different parts of the world, it is clear from this table that the studies that reported a significant positive change (i.e. an increase) in empathy are mostly towards the right of the table. However, closer scrutiny reveals that such a conclusion (i.e. that the Eastern world shows a positive change in empathy when compared with the West) is an oversimplification and hence inaccurate. As Table 1 shows, not all studies from the eastern part of the world show a positive change; some (although a minority) even show a negative change. What is apparent, however, is that there are geo-sociocultural pockets (as opposed to larger regions) in the world that predominantly report similar changes in student empathy over the undergraduate years.


그러나 이 모든 논문들은 단면 연구를 보고하고 있다. 따라서 표 2에 제시된 연구에서 사용한 종단적 설계는 시간이 경과함에 따른 공감 변화 분석에 더 적합하다. 

However, all of these papers report cross-sectional studies. Hence, the longitudinal design used inthe studies illustrated in Table 2 is more suitable for the analysis of changes in empathy over time. 



표 2의 종적 연구에서 나온 증거를 분석할 때, 공감 변화에서 유사한 패턴을 보이는 지역적 포켓의 발견은 훨씬 더 명백하다.

When the evidence from the longitudinal studies in Table 2 is analysed, the finding of regional pockets showing similar patterns in empathy change is even more apparent.


더욱 놀라운 것은 같은 지리적 지역에서 수행된 단면 및 종방향 연구 결과의 유사성이다. 예를 들어 

  • 미국의 연구는 대부분 부정적인 변화를 보고하고, 

  • 극동 연구는 대부분 긍정적인 변화를 보고하며, 

  • 남아시아 연구는 대부분 유의미한 변화가 없다고 보고한다

What is even more striking are the resemblances in the results of cross-sectional and longitudinal studies conducted in the same geographical regions(e.g. US studies mostly report negative changes, FarEastern studies mostly report positive changes, and South Asian studies mostly report no significant changes).


고찰

DISCUSSION


문맥의 특수성에 대한 의과대학의 공감 변화

Empathy change in medical school with respect to context specificity


이 검토에서 관찰된 지역사회 문화 패턴은 맥락 특이성의 개념을 뒷받침한다.23

The geo-sociocultural pattern observed in this review supports the concept of context specificity.23


그러나 이 검토의 결과를 고려할 때, 맥락의 어떤 측면이 더 특이적이고(즉, 같은 지역 내의 모든 지역들이 공유하지 않음) 어떤 면이 덜 특이적인지(즉, 더 일반적이거나 같은 지역 내의 많은 지역들에 의해 공유됨)를 식별하는 것은 우리의 공감에 대한 이해에 더 많은 통찰력을 제공할 것이다. 

    • 맥락의 일반적인 측면은 이 검토에서 관찰된 공감 변화에서 넓은 범위에서의 지역적 차이(즉, 지역간 차이)를 설명할 수 있다. 이와는 대조적으로, 

    • 맥락의 특이적 측면은 동일한 국가 또는 지역 내에서 감정이입 변화에서 상충되는 패턴의 이면에 있는 이유일 수 있다(즉, 지역 내 차이).

However, given the results of this review, identifying which facets of context are more specific (i.e. not shared by all localities within the same region) and which facets are less specific (i.e. more general or shared by many localities within the same region) would provide more insights into our understanding of empathy. The general facets of context could explain the broad regional differences (i.e. between-region differences) in empathy changes observed in this review. By contrast, the specific contextual facets may be the reasons behind the conflicting patterns in empathy changes within the same country or region (i.e. within-region differences).


맥락 특이성의 일반성

Generality of context specificity


일부 사회문화적 특성은 넓은 지리사회문화권(예: 서구와 극동지역 간의 차이) 사이의 공감 변화의 특정한 패턴에 기여할 수 있다. 어떤 특성은 나라 전체나 지역에 의해 공유된다. 이것들은 공감의 '일반적인 맥락적 측면'이라고 불릴 수 있다.

Some sociocultural characteristics may contribute to a particular pattern of empathy change between wider geo-sociocultural regions (e.g. differences between the West and the Far East). These characteristics are shared by an entire country or region. Hence, they could be termed ‘general contextual facets’ of empathy.


그러한 특징 중 하나는 '언어'일 수 있다. 서로 다른 언어를 사용하는 서로 다른 문화 실체에 대한 공감의 개념화(그리고 아마도 후속 발성vocalization 및 조작화)의 변화는 문헌에 잘 기록되어 있다.43 예를 들어, 

      • 이번 리뷰에서 거의 모든 극동 연구가 공감에 상당한 긍정적인 변화를 가져왔고, 대부분은 JSPE-S의 번역 버전을 사용했다. 

      • 이와는 대조적으로, 같은 규모의 영어 버전은 지속적으로 유의미한 긍정적인 변화를 가져오지 못했을 뿐만 아니라, 미국에서는 12,18,38 –40의 부정적인 변화를 가져왔다. 같은 영어 버전은 동남아시아와 호주 연구에서 공감에 큰 변화를 일으키지 않았다.

One such characteristic could be ‘language’. Variations in the conceptualisation (and perhaps the subsequent vocalisation and operationalisation) of empathy across different cultural entities with different languages have been well documented in the literature.43 

      • For example, almost all of the Far Eastern studies in this review that produced significant positive changes in empathy30–33,42 used translated versions of the JSPE-S. 

      • By contrast, the English version of the same scale has consistently not only failed to produce significant positive changes, but has produced negative changes12,18,38–40 in the USA. The same English version has produced no significant changes in empathy in Southeast Asian and Australian studies.


따라서 극동 언어(및 그 문화)가 공감을 촉진하려는 성향을 가지고 있는지 또는 극동 연구에 적용된 번역된 척도에 사용되는 언어가 일부 척도 항목의 의미를 긍정적으로 증폭시키는 경향이 있는지 여부는 조사되어야 할 과제로 남아 있다.

Hence, whether the Far Eastern languages (and their cultures) have an inclination to promote empathy or whether the language used in the translated scales applied in the Far Eastern studies has a tendency to amplify the meaning of some of the scale items positively remains to be investigated.


언어와 비슷하게, 문화의 차이도 또다른 요인이 될 수 있다. 서구 문화는 좀더 개인주의적이고 동양 문화는 더 집단주의적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44 집단주의가 다른 사람들에 대한 감정적 행동을 촉진하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 그 결과 이 지역의 연구 대다수가 긍정적인 공감 변화를 보였을 수 있다.

Similarly to language, Differences in culture may be another factor. Western cultures are known to be more individualistic and Eastern cultures more collectivist.44 As collectivism promotes emotional behaviour towards others, this may be a reason why the majority of Far Eastern studies show a positive empathy change.


맥락 특이성의 특이성

Specificity of context specificity


좀 더 구체적인(즉, 더 제한된 지역성에 국한되고 고유한) 맥락적 측면은 같은 국가 또는 지역 내의 특정 연구(예: USA27 또는 한국45와 같은 특정 국가 내의 특정 연구)에 의해 입증된 감정 변화에서 서로 다른 감정 변화 패턴을 설명할 수 있다.동일한 국가 내에서 수행된 나머지 연구(예: USA12,18,25,26,38–40 및 한국32,33,42)에 의해 입증된 것이다. 이러한 특정 맥락적 측면은 특정 의과대학 내의 교육 환경, 자원 및 물류에 기인할 수 있다.

The more specific (i.e. confined and unique to a more limited locality) contextual facets may explain the conflicting patterns in empathy change demonstrated by certain studies within the same country or region (e.g. certain studies within a given country, such as the USA27 or South Korea45) that produce a pattern of empathy change that differs from that shown by the rest of the studies carried out within the same country (e.g. the USA12,18,25,26,38–40 and South Korea32,33,42). These specific contextual facets may refer to the educational environment, resources and logistics within a given medical school.


일반성과 특수성의 상호 작용

The interplay between generality and specificity


이러한 일반적 측면과 특정 측면 간의 상호 작용은 맥락의 일반적general 측면과 특이적specific 측면 중 어느 것이 한 지역 내에서 주어진 구조(공감 등)의 주요 결정요소인지를 나타내야 한다. 언급된 상호작용이 단지 공감뿐만 아니라 어떠한 구성도 아직 탐구되지 않았다.

The interplay between these general and specific facets should indicate which of the two categories of facets is the major determinant of a given construct (such as empathy) within a locality. The said interplay is yet to be explored, not just for empathy, but for any construct.


예를 들어, 4개의 한국 연구 중, 32,33,42,45개의 연구 중, 학부 기간 동안 공감이 현저하게 감소했다는 증거를 제시하는 유일한 연구는 나라 전체의, 45개였고, 다른 322,33,42개는 비교적 작은(그러나 표본 크기가 충분한) 학교 기반 연구였고, 하나는 종단적 연구였다. Countrywide 연구에서 부정적인 변화가 관찰된 것은, 일부 개별 학교의 긍정적인 경향과 패턴이 다른 학교의 더 큰 부정적인 경향에 의해 감쇄되었기 때문일 가능성이 높다 (즉, 소수 학교의 긍정적 맥락적 요소는 다수 학교가 공유하는 부정적 요소에 의해서 attenuate된다)

For example, of the four South Korean studies,32,33,42,45 the only one to produce evidence of a significant decrease in empathy over the undergraduate years was a large, countrywide, cross-sectional study,45 whereas the other three32,33,42 were comparatively smaller (but with large enough sample sizes) school-based studies and one42 was a longitudinal study. It is very likely that the countrywide study showed a negative change (i.e. a decrease) in empathy because positive trends and patterns in some individual schools were attenuated by larger negative trends in some other schools (i.e. the positive contextual facets of empathy prominent in a few schools were attenuated by the negative facets shared by many schools).


결과적으로, 우리가 세 개의 학교 기반 연구를 무시하고 전국적인 연구만을 고려한다면, 세 개의 학교 기반 연구에서 확인된 긍정적 결과를 낳은 독특한 특성은 상실된다. 따라서, 학년이 높아지면서 공감을 증가시키는 학교의 독특한 사회 문화 특성을 이해할 수 있는 기회가 없어진다. 그러나 이것은 전국적인 연구가 정당화되지 않았다고 말하는 것은 아니다. 오히려 전국단위 또는 지역단위 연구는 유사한 학습 조건을 공유하는 소규모 학교 집단의 하위 분석을 수행해야 한다.

As a result, if we disregard the three school-based studies and consider only the countrywide study, the unique characteristics that produced favourable results in the three school-based studies are lost. Hence, the opportunity to understand the unique sociocultural characteristics of a school that nurtures an increase in empathy over the academic years is lost. This, however, is not to say that countrywide studies are not warranted. Rather, the larger countrywide or regional studies should carry out sub-analyses of smaller clusters of schools that share similar conditions for learning.


의과대학의 공감 변화 및 작은 효과 크기

Empathy change in medical school and small effect sizes


이 문헌 분석의 한 가지 일반적인 발견은 대부분의 연구가 공감에 있어 상대적으로 작은 변화(즉, 작은 효과 크기)와 중요하지 않은 결과를 발견했다는 것이다. 이것은 과거의 연구자들이 주장한 공감의 변화가 대단히 과장되어 있다고 주장하도록 만든다. 우리는 의료행위에 대한 공감의 중요성을 고려할 때 그러한 결론을 오해의 소지가 있다고 본다. 그 변화가 작다고 결론짓는 것은 통계적으로 정확하지만, 모든 것이 잘되어 있다고 생각하는 안일한 상태에 빠지는 것은 교육적으로 부정확하다. 

One common finding of this analysis of the literature is that most studies have found relatively small changes in empathy (i.e. small effect sizes) and non-significant results. This has led researchers in the past to claim that changes in empathy are vastly exaggerated.20 We view such a conclusion as misleading, given the importance of empathy for medical practice. Although it is statistically accurate to conclude that the changes are small, it is educationally inaccurate to fall into a state of complacency thinking that all is well. 


이러한 안일한 태도는 우리가 학부 연수 과정에서 공감이 변화할 것으로 기대하지 않는다면(특히 개선될 것으로 기대하지 않는다면) 괜찮다. 하지만, 우리는 학부 연수 기간 동안 공감이 향상될 것으로 기대한다. 이러한 기대가 충분히 실현되지 않을 때는 작은 감소나 큰 변화라도 우려해야 한다. 마찬가지로, 우리는 이러한 공감의 증가 또는 감소와 관련된 요인에 대해 더 많이 배울 수 있는 기회로서 작은 (그러나 일관된) 공감의 증가와 감소를 보아야 한다. 가능한 경우, 이렇게 함으로써 공감을 향상시키는 요소들을 육성하는 조건들을 복제하는 것과 동시에 공감을 감소시키는 요소들을 제거하거나 완화시키는 조치를 취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다.

Such complacency is fine if we do not expect empathy to change (especially to improve) over the course of undergraduate training. However, we do expect empathy to improve during the undergraduate years of training. When this expectation is not sufficiently realised, we should be concerned with even small decreases or non-significant changes. Similarly, we should view even small (but consistent) increases and decreases in empathy as opportunities to learn more about the factors that are associated with these increases or decreases in empathy. Where possible, this will help us to replicate the conditions that foster factors that improve empathy and at the same time to take steps to eliminate or mitigate factors that decrease empathy.


한계

Limitations


첫째로, 본 논문에서 인용된 모든 연구는 자기 보고 척도의 사용에 기초하였다. 자기 보고 척도가 공감과 같은 구조를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는 정도는 논란의 여지가 있다.

Firstly, all studies cited in this paper were based on the use of self-report scales. The extent to which a self-report scale can accurately measure a construct such as empathy is open to debate.


둘째로, 모든 연구는 공감을 측정하기 위해 같은 척도를 사용하지 않았다. 그 척도들 중 일부는 공감의 다른 측면을 평가할 수 있다. 더 나쁜 것은, 어떤 경우, 어떤 척도는 공감을 제외한 다른 구성들을 평가할 수 있다. 최근의 연구는 공감의 두 척도 사이의 불일치를 밝혔다.40

Secondly, all studies did not use the same scale to measure empathy. Some of the scales may assess different aspects of empathy. Still worse, some other scales may assess constructs other than or in addition to empathy. A recent study revealed the discrepancies between two scales of empathy.40


셋째, 더욱 혼란을 가중하는 것은 평가 시행 타이밍이다. 우리는 그 자료가 연초에 수집되었는지, 아니면 연말에 수집되었는지, 정보가 있는 곳을 표시하려고 시도했다. 그러나 학생들의 반응과 상호 작용했을 수 있는 다른 요인들은 대부분 알려지지 않았다. 예를 들어, 스트레스가 많은 기간(예: 검사 전)에 데이터를 수집한 경우, 반응이 지나치게 영향을 받았을 수 있다. 또한 커리큘럼의 길이, 교육 및 학습 방법, 학생 지원 시스템 등 서로 다른 연구가 수행된 조건과 관련된 다른 변화도 있을 수 있다. 

Thirdly, a further confounder is the timing of the administration of the scale. We have attempted to indicate, where information is available, whether the data were collected at the beginning or end ofthe year. However, the other factors that may haveinteracted with student responses are largely unknown. For example, if data were collected during a stressful period (e.g. before an examination), the responses may have been unduly impacted. There may also be other variations related to the conditions in which different studies were carried out, such as in the length of the curriculum,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student support systems, and so on. 


결론

CONCLUSIONS


이 분석의 위의 한계에도 불구하고, 본 논문에서 제시된 증거는 유사한 지리적 문화 지역이나 지역 내에서 대규모로 식별 가능한 패턴이나 추세를 따르는 학부 의료 훈련 동안의 공감의 변화를 나타낸다.

Notwithstanding the above limitations of this analysis, the evidence presented in this paper indicates that changes in empathy during undergraduate medical training by and large follow discernible patterns or trends within similar geo-sociocultural locations or regions.




Review

 

, 53 (7), 655-665
 

Is Empathy Change in Medical School Geo-Socioculturally Influenced?

Affiliations 

Abstract

Context: There is convincing evidence that physician empathy leads to better patient care. As a result, there has been considerable research interest in investigating how empathy changes during undergraduate medical studies. Early (generally North American) studies raised concerns that medical training causes a decline in empathy. More recent studies (conducted around the world) have begun to suggest that either a slight increase or decrease in empathy occurs during undergraduate medical training, which has led some to argue that empathy changes indiscriminately (with no discernible pattern). This paper explores whether there is evidence to suggest that empathy changes indiscriminately or with a discernible geo-sociocultural pattern during undergraduate medical training.

Methods: Literature that investigated change in empathy during undergraduate medical training was reviewed. Cross-sectional and longitudinal studies were tabulated separately according to their respective geographical locations. The tabulated results were analysed to investigate whether empathy changed similarly or differently within different geographical locations.

Results: The studies reviewed indicate similar patterns of empathy change within approximate geo-sociocultural clusters. Whereas US studies predominantly show small but significant decreases in empathy, Far Eastern studies mostly show small but significant increases in empathy as undergraduates progress through the medical course.

Conclusions: These results suggest that change in empathy during undergraduate medical education is not as indiscriminate (patternless) as once thought. Additionally, these results support the notion that empathy is a locally construed global construct.

의학교육에서 공감의 발달 평가: 체계적 문헌고찰(Med Educ, 2016)

Assessing empathy development in medical education: a systematic review

Sandra H Sulzer,1 Noah W Feinstein2 & Claire L Wendland3



도입

INTRODUCTION


레쇼날레

Rationale


의사와 환자 관계의 공감은 의학 학자들에게는 익숙한 주제이며, 의학 교육자들에게는 중요한 목표다. 그러나 공감의 정의는 연구자마다 일관되지 않고 그 분야의 몇몇 기본적인 문제들에 대해 첨예한 의견 차이가 있다.

Empathy in doctor–patient relationships is a familiar topic for medical scholars and a crucial goal for medical educators. Yet definitions of empathy are not consistent from one piece of scholarship to another and there is sharp disagreement on some basic issues in the field.


휴머니스트, 윤리학자, 사회과학자들은 공감이 매우 중요(그리고 매우 자주 부족)하다는 데 동의한다.

Humanists, ethicists and social scientists agree that empathy is critical – and very often lacking – in medical care.


인기 있는 텔레비전 쇼인 House, MD는 의사가 병상 매너를 무시한 것을 공공연히 칭송하며, 대인관계 차원을 숙달하지 않고도 좋은 의사가 될 수 있다고 암묵적으로 전달한다. 이러한 행동은 드라마에만 국한되지 않는다: 임상 인턴과 레지던트의 잠재 커리큘럼에서 교육받으며, 새로운 의사들은 특정 그룹의 환자들을 조롱하는 것을 배운다.4

the popular television show House, MD openly celebrates a doctor’s disregard for bedside manner, implicitly communicating that one can be a good doctor without mastering the interpersonal dimensions of the job.3 Such behaviour is not confined to fiction: schooled in the hidden curriculum of clinical internships and residency, new doctors learn to mock certain groups of patients.4


의료 훈련생들 간의 공감의 발달이 의학 교육자들에게 중요한 목표였던 반면에, 그것은 연구원들에게 흥미로운 난제였다: 상당한 (어느 정도 논란이 되긴 했지만) 여러 연구에 따르면 의학교육기간 중에 공감이 전형적으로 감소한다는 것을 증명했다.5

Whereas the development of empathy among medical trainees has been an important goal for medical educators, it has been an intriguing conundrum for researchers: a substantial (if somewhat controversial) body of research has demonstrated that empathy typically decreases during medical training.5


그러나 수많은 개입 전략에도 불구하고 '의학 교육은 여전히 학생들이 환자의 입장에서 보도록 만드는 데 놀라울 정도로 비효율적인 것 같다.' 이러한 지속적인 어려움 때문에 일부 연구자들은 이 문제가 치료보다는 선발에 있다고 주장했고, 의과대학은 우선 좀더 공감력이 있거나 의사소통 능력이 뛰어난 학생들을 식별하고 모집할 수 있는 방법을 찾아야 한다고 제안했다. 그러한 제안의 기초가 되는 가정은 공감은 개인적이고 비교적 변하지 않는 특성이라고 보기 때문이다. 즉, 공감은 있든지 없든지 둘 중 하나이다.

Yet despite a host of intervention strategies, ‘medical education still seems surprisingly ineffective in helping students walk a mile in their patients’ shoes’.6 This persistent difficulty has led some researchers to suggest that the problem lies in selection, rather than treatment, and that medical schools must find ways to identify and recruit students who are more empathic or have better communication skills to begin with. The assumption underlying such proposals seems to be that empathy is a personal and relatively immutable characteristic: one either has it, or one does not.


다른 연구자들은 이러한 공감의 감소가 실제로 존재하는지 의문을 제기하며, 연구 설계와 측정의 문제점을 지적한다.7 의대생과 레지던트 사이의 공감의 변화에 대한 두 가지 최근 검토는 서로 다른 결론에 도달했다. 체계적인 검토에서, Neumann 등 8은 학생들이 환자와 더 많이 engage함에 따라 의학적 훈련 동안 감정이입이 감소한다는 것을 발견했다. 콜리버 외 연구진은 (대부분의 동일한 연구에 대한) 메타 분석을 실시했으며, 의료 훈련 중 공감이 감소하는 것은 미미하며, 어쩌면 존재하지 않을 수도 있다고 결론지었다. 이 두 번째 그룹은 또한 '공감'을 연구하기 위해 사용되는 도구들이 임상 실습이나 환자 만족에 의미 있는 어떤 것도 측정하지 않을 수도 있다고 주장했다. (예를 들어, 대부분의 과거 연구는 학생들의 자기 평가를 이용했는데, 이것은 공감을 측정하는 비효과적인 방법이 될 수 있다.)

Other researchers question whether this much lamented decline in empathy is actually real, pointing to problems in study design and instrumentation.7 Two recent reviews of changes in empathy among medical students and residents reached disparate conclusions. In a systematic review, Neumann et al.8 found that empathy declines during medical training as students engage more with patients. Colliver et al.7 conducted a meta-analysis drawing on much of the same research and concluded that declines in empathy during medical training are minimal, perhaps even non-existent. This second group7 also argued that the instruments used to study ‘empathy’ may not be measuring anything meaningful to clinical practice or to patient satisfaction. (For example, most past research has utilised student self-assessment, which may be an ineffective way to measure empathy.)


목표

Objectives


의료 교육에서 공감에 대한 보다 우수하고 유용한 연구를 육성하기 위해 의료 교육 연구에서 공감이 어떻게 정의되고 운영되는지 알아보기 위해 체계적인 검토를 설계했다.

To foster better and more useful research on empathy in medical training, we designed a systematic review in order to learn how empathy is defined and operationalised in medical education research:


대부분의 체계적인 검토와 메타 분석은 경험적 연구의 방법과 결과에 초점을 두는 반면에, 우리는 방법론적 결정보다, 그 앞에 있는 개념적이고 정의적인 문제들이 현장의 상태를 이해하는 데 열쇠가 되며, 공감에 대한 불완전하고 제대로 표현되지 않은 이해가 양쪽의 불협화음의 근저에 있다고 믿는다. 또한 이것이 교육 개입의 제한적 성공의 원인일 것이다.

Whereas most systematic reviews and meta-analyses focus on the methods and results of empirical research, we believe that conceptual and definitional issues that precede methodological decisions are key to understanding the state of the field, and that an incomplete, poorly articulated understanding of empathy is at the root of both the discordant results and the limited success of educational interventions.



방법

METHODS


정보 출처 및 검색

Information sources and search


2012년 11월 1일 이전에 발표된 관련 영어 연구에 대해 다음 데이터베이스를 체계적으로 쿼리했다.

We systematically queried the following databases for relevant English-language studies published before 1 November 2012:



자격 기준

Eligibility criteria


이러한 체계적인 검토를 위해, 우리는 

(i) 의사, 의대생 또는 레지던트를 조사한 것, 

(ii) 실증적 연구에 공감을 조작operationalize한 것

(iii) 일부 정량적 요소를 포함한 영어 간행물을 포함했다.

For this systematic review, we included English language publications that: (i) examined physicians, medical students or residents, (ii) operationalised empathy in an empirical study, and (iii) included some quantitative component.


스터디 선택: 제목 및 추상 검토

Study selection: title and abstract review


데이터 수집 프로세스 및 데이터 항목

Data collection process and data items


데이터 분석 및 요약 측정

Data analysis and summary measures



결과

RESULTS


공감의 정의

Definition of empathy


어떤 저자들은 공감의 정의에 대한 합의가 거의 없다는 점에 주목했다.101 존재하는 정의는 인지, 감정 또는 행동 요소 또는 그 조합을 강조할 수 있다. 우리의 검토에 포함된 109개 기사 중 22개 기사(20%)는 공감의 정의를 전혀 제시하지 않았다. 정의를 제공한 87개 기사에 대해, 우리는 그 정의에 사고, 느낌 또는 행동과 관련된 요소가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를 코드화했다. 정의는 한 가지, 두 가지 또는 세 가지 요소를 모두 통합할 수 있으며, 우리는 'acting'이라는 루브릭 아래에 구두 의사소통을 포함시켰다. 생각, 느낌 및 행동을 식별하는 데 사용되는 단어 목록은 부록 S3에서 확인할 수 있다.

Other authors have noted that there is little consensus on definitions of empathy.101 Those definitions that exist may emphasise cognitive, emotional or behavioural elements, or some combination thereof. Twenty-two of the 109 articles (20%) included in our review offered no definition of empathy at all. For the 87 articles that did provide definitions, we coded whether those definitions included elements related to thinking, feeling or acting. A definition could incorporate one, two or all three elements, and we included verbal communications under the rubric of ‘acting’. A list of words used to identify thinking, feeling and action can be found in Appendix S3.


전반적으로 정의의 대부분은 둘 이상의 도메인의 구성요소를 포함했다(그림 2).

Overall, the majority of definitions included components from more than one domain (Fig. 2).



공감의 작동

Operationalisation of empathy


우리의 표본에 포함된 모든 연구(n = 109)는 모든 연구가 어떤 식으로든 그것을 측정, 평가 또는 평가하고자 한다는 의미에서 공감을 운영했다. 총 95개(87%)의 연구가 공감을 평가하기 위해 어떤 종류의 scarlar 도구를 사용했으며 43개(39%)가 non-scalar도구를 사용했다(예: 환자에게 의사의 공감을 설명하도록 요청). Twentynine 연구(27%)가 이 두 가지를 모두 사용했다. 

    • 가장 흔한 스칼라 도구는 JSPE(Jefferson Scale of Physician Empathy)이다. 45개(41%)의 연구는 JSPE 또는 JSPE-Student Version을 사용했다. 

    • 19명(17%)은 대인관계 반응지수(IRI)를 사용했다. 

    • 5명(5%)은 호건 공감 척도를 사용했다. 

    • BEES(Balanced Emotional Empathy Scale), Barrett–Lennard Scale, Accurrent Empathy Scale, Consultation and Relational Empathy Measure(CARE)를 각각 4번(각 4%) 사용되었다. 

    • 12개 이상의 다른 척도들은 더 드물게 사용되었으며, 일반적으로 한 번의 연구에서 사용되었다.

All of the studies included in our sample (n = 109) operationalised empathy in the sense that every study sought to measure, assess or evaluate it in some way. A total of 95 (87%) studies used some sort of scalar tool to evaluate empathy and 43 (39%) used a non-scalar tool (such as in asking patients to describe physicians’ empathy). Twentynine studies (27%) used both. The most common scalar instrument was the Jefferson Scale of Physician Empathy (JSPE). Forty-five (41%) studies used either the JSPE or the JSPE-Student Version. Nineteen (17%) used the Interpersonal Reactivity Index (IRI). Five (5%) used the Hogan Empathy Scale. The Balanced Emotional Empathy Scale (BEES), the Barrett–Lennard Scale, the Accurate Empathy Scale and the Consultation and Relational Empathy Measure (CARE) were each used four times (4% for each). More than a dozen other scales were used more rarely, typically in a single study.



공감 할당

Assignment of empathy


우리는 각 연구의 맥락에서 공감의 유무를 누가 결정했는지를 평가하였다.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연구: 

    • 109건 중 66건은 자기보고 도구만을 사용했으며, 

    • 13건은 다른 평가 자료와 결합하여 자기보고서를 사용하였다. 

종합적으로, 

    • 79개(72%)은 자기보고서를, 

    • 18개(17%)는 환자 또는 표준화된 환자보고서에 의존했으며, 

    • 28개(26%)은 교수진, 훈련된 관찰자 또는 동료의 보고서와 같은 제3자 보고서를 사용했다. 

    • 14개의 연구(13%)는 복수의 관점에서 보고서를 사용했으며, 일반적으로 자기 보고서를 관찰자의 보고서와 결합했다.

We evaluated who determined the presence or absence of empathy in the context of each study. Studies most commonly used self-report: 66 of 109 (61%) used only self-reporting tools, and an additional 13 articles used self-report in combination with another source of evaluation. In total, 79 (72%) used self-report, 18 (17%) relied on patient or standardised patient reports, and 28 (26%) used a third-party report such as that of a faculty member, a trained observer or a peer. Fourteen studies (13%) used reports from multiple perspectives, typically combining a self-report with that of an observer.


구성으로서의 공감

Empathy as a construct


마지막으로, 우리는 공감이 

(i) 존재, 부재 또는 정도에서 측정되어야 하는 글로벌 구조인지 또는 

(ii) 다중 요소 부분의 합계로 개념화되었는지에 대한 데이터를 추출했다. 

위의 예26과 같이 운용화(n = 102)의 세부사항을 평가할 수 있는 논문 중 

    • 80(78%)은 글로벌 구조로서의 운용 공감, 

    • 45(44%)는 복합 구조로서의 운용화 공감을 평가하였다. 

    • 15개 출판물(15%)이 둘 다로 공감을 조작화했다

Finally, we extracted data on whether empathy was conceptualised as: (i) a global construct to be measured in presence, absence or degree, or (ii) a summation of multiple component parts. Among the papers for which we could assess details of operationalisation (n = 102), 80 (78%) operationalised empathy as a global construct and 45 (44%) operationalised empathy as a composite construct, as in the example26 above. Fifteen publications (15%) operationalised empathy in both ways.


정의와 운영화 간의 일관성

Consistency between definition and operationalisation


구체적으로, 우리는 공감에 대한 정의의 코딩을 공감을 위한 코딩과 비교했다. 예를 들어, JSPE의 개발자인 Hojat와 LaNouuui가 제공하는 공감의 정의를 사용한 연구: 

'환자의 경험, 우려, 관점에 대한 이해(감정과는 반대로)를 수반하는 인지적 속성(감정적 또는 정서적과는 반대로)으로, 이 이해를 의사소통하는 능력과 결합된 것'116 

Specifically, we compared our coding of the definitions of empathy with our coding for operationalisations of empathy. For example, several studies used the definition of empathy provided by Hojat and LaNoue, developers of the JSPE: 

‘a predominantly cognitive (as opposed to affective or emotional) attribute that involves an understanding (as opposed to feeling) of patients’ experiences, concerns, and perspectives combined with a capacity to communicate this understanding.’116 


우리는 이 정의를 사고와 행동 요소를 포함하되, 느낌feeling은 포함하지 않는 것으로 코드화했다. JSPE 척도의 항목들을 검사한 결과, 행동에 대한 항목이 없기 때문에 사고방식에 광범위하게 초점을 맞춘 것으로 나타났다. 이 정의를 사용하고 JSPE만으로 조작화한 연구는 비매칭으로 간주된다.

We coded this definition as including thinking and acting components, but not feeling. An examination of the items in the JSPE scale shows an extensive focus on thinking; there are no items on action. A study that used this definition and operationalised it with the JSPE alone would be considered non-matching.


102개 연구 중 13%만이 이러한 차원에 걸쳐 운영과 정의가 일치했다.

In only 13 (13%) of 102 studies did operationalisations and definitions match across these dimensions.


고찰

DISCUSSION


근거 요약

Summary of evidence


의학 교육의 공감에 대한 경험적 연구는 점점 더 흔해지고 있지만, commentaries가 여전히 수적으로 우세하다. 게다가, 우리의 분석은 이러한 연구의 많은 부분이 공감의 개념화와 운영화 둘 다에서 내부 모순과 모호함으로 특징지어지는 것을 보여준다.

Empirical studies on empathy in medical education, although increasingly common, are still outnumbered by commentaries. Furthermore, our analysis reveals that many of these studies are characterised by internal inconsistencies and vagueness in both the conceptualisation and operationalisation of empathy,


우리의 표본에 있는 연구들의 5분의 1은 공감의 중심 구조를 정의하는 데 실패했고 대신에 공감의 상식적인 개념에 의존하거나 사실상의 공감의 정의로서 scale이나 다른 도구를 사용했다.

One-fifth of the studies in our sample failed to define the central construct of empathy and instead either relied on commonsense notions of empathy or used a scale or other instrument as a de facto definition of empathy.


측정 도구를 암묵적으로 정의하여 사용하는 것은 다른 학자들이 특정 도구가 적절한지 그리고 그 결과 발생하는 주장이 유효한지 판단할 수 있는 구성 정의이기 때문에 문제가 있다.

Using a measurement tool as an implicit definition is problematic because it is the construct definition that enables other scholars to judge whether a particular instrument is appropriate and the resulting claims are valid.


공감을 정의한 모든 연구(n = 87)는 이들 중 어느 것이 핵심 요소인가에 대한 합의가 없었음에도 불구하고 사고, 느낌, 행동의 세 가지 영역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합하였다

    • 12개 연구(14%)가 3차원을 모두 통합했다. 예를 들어, Shanafelt 외 연구진.96은 공감을 '환자의 말을 듣고, 그들의 관점을 이해하고, 그들의 경험을 느끼sympathize고, 이해와 존경과 지지를 표현하는 능력'으로 정의했다. 

    • 또 다른 51개(59%)는 가장 일반적인 사고와 행동이라는 두 가지 차원을 포함했다(34개 연구[39%]). 따라서, 2004년 논문에서 Hojat 등은 공감을 다음과 같이 정의했다: '이 이해를 환자에게 전달할 수 있는 능력과 결합된, 별도의 개인으로서 환자의 내적 경험과 관점에 대한 이해를 수반하는 인지적 속성'. 

    • 공감을 정의한 연구의 4분의 1만이 감정 차원을 포함했다. 그러나 일부 연구는 'empathy'의 어원적 기원(처음에는 그리스어로 '감정' 또는 '감정'을 의미)에도 불구하고 그것을 꽤 구체적으로 배제했다. 

All of the studies that defined empathy (n = 87) incorporated at least one of the three domains of thinking, feeling and acting, although there was no consensus about which of these were the key components. 

    • Twelve studies (14%) integrated all three dimensions. For example, Shanafelt et al.96 defined empathy as ‘the ability to listen to a patient, understand their perspective, sympathise with their experience, and express understanding, respect, and support’. 

    • Another 51 (59%) included two dimensions, most commonly thinking and acting (34 studies [39%]). Thus, in a 2004 paper Hojat et al.59 defined empathy as: ‘a cognitive attribute that involves an understanding of the inner experiences and perspectives of the patient as a separate individual, combined with a capability to communicate this understanding to the patient.’ 

    • Only a quarter of the studies that defined empathy included its feeling dimension – and some quite specifically excluded it – despite the etymological origins of ‘empathy’ in the German and, initially, Greek terms for, literally, ‘feeling in’ or ‘feeling with’.


놀라울 정도로 많은 연구가 수반되는 척도나 연구 기구와는 다른 차원(즉, 사고, 느낌, 행동)에 초점을 맞춘 정의를 사용함으로써 내부 모순을 포함하고 있었다.

A surprising majority of studies contained internal contradictions, with definitions that focused on dimensions (i.e. thinking, feeling and acting) that differed from those of the accompanying scales or research instruments.


11개 연구(14%)만이 공감의 정의와 조작화 측면에서 일관성있었다.

only 11 studies (14%) defined and operationalised empathy consistently.


검토에 포함된 모든 연구를 전반적으로 살펴보면, 우리의 분석은 공감을 연구하는 데 사용되는 방법들이 임상 환경에서 공감의 유무를 예측하는 데 한계가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공감을 측정하기 위한 가장 일반적인 도구는 자기 보고서에 의존하는데, 콜리버 등이 우리에게 상기시켜주듯이, 자기보고식 공감은 행동과 아주 약하게만 연관되어 있을 뿐이다. 게다가, 많은 도구들은 인식, 즉 공감과 관련된 생각들에 큰 중점을 둔다. 의료사고와 임상판단에서 최고의 연구들은 언제나 인식과 행동을 결합시켜왔으며, 이는 인식만으로는 예측가치가 제한되기 때문이다.

Looking across all studies included in the review, our analysis reveals that the methods used to study empathy have limited power to predict the presence or absence of empathy in clinical settings. The most common instruments for measuring empathy rely on self-report, which, as Colliver et al.7 remind us, is only loosely correlated with behaviour. Furthermore, many instruments place a heavy emphasis on cognition, or thoughts related to empathy. The best research on medical thought and clinical judgement has always paired cognition with its action consequences because the predictive value of cognition alone is limited.117


결론

CONCLUSIONS


이 검토에서 지적된 다양한 개념적 결함들 즉 정의의 결여, 정의와 운영의 불일치, 인지 및 자기 보고에 대한 지나친 의존은 의학 교육에서 공감에 대한 연구의 타당성에 상당한 도전을 제기한다. 그러나 우리의 가장 큰 관심사는 경험적 연구가 공감을 '블랙박스'로 취급하는 정도로서, 따라서 임상적 공감을 뒷받침하는 메커니즘을 조명할 수 없다.

The various conceptual flaws noted in this review – lack of definition, mismatch between definition and operationalisation, an over-reliance on cognition and self-report – raise significant challenges to the validity of research on empathy in medical education. Our greatest concern, however, is the degree to which empirical studies treat empathy itself as a ‘black box’ and are thus incapable of shedding light on the mechanisms that underlie clinician empathy.


기초 과학 연구(진화 심리학 및 영장류 연구 포함)는 의료 사회 과학이 공감의 근본적인 메커니즘을 조사함에 따라 따를 수 있는 몇 가지 단서를 제공한다.15 적절한 훈련을 통해 통째로wholesale 바뀔 수 있는 개인의 질quality라기보다는, 이 연구는 공감이, 주체와 객체 사이의 engagement를 표상하는, 관계적인 것임을 시사하고 있다. 게다가, 이 연구는 공감은 스스로 자신과 비슷하다고 생각하는 사람들에게 더 호의적임을 보여준다

Basic scientific research (including evolutionary psychology and primate studies) offers some leads that medical social science might follow in investigating the underlying mechanisms of empathy.15 Rather than a personal quality that may be modified wholesale through appropriate training, this research suggests that empathy is relational, that it represents an engagement between a subject and an object. Furthermore, this research suggests that empathy favours individuals who we perceive as similar to ourselves.9


따라서 임상적 공감에 관한 연구에서는 인종, 계급, 성별, 문화적 역량과 같은 문제를 소홀히 할 수 없다. 자기자신을 다른 사람으로부터 보호shieling하는 것은(이는 의료 교육의 널리 알려진 결과이다) 실제로 공감을 감소시킬 수 있다.16

Therefore, in research on clinical empathy, issues such as race, class, gender and cultural competency cannot be neglected. Shielding oneself from identifying with another – a widely noted consequence of medical education – may actually reduce empathy.16






Review
 
, 50 (3), 300-10
 

Assessing Empathy Development in Medical Education: A Systematic Review

Affiliations 

Affiliations

  • 1Department of Family Medicine, University of Wisconsin-Madison, Madison, Wisconsin, USA.
  • 2Departments of Curriculum and Instruction and Community & Environmental Sociology, University of Wisconsin-Madison, Madison, Wisconsin, USA.
  • 3Departments of Anthropology, Obstetrics & Gynecology, and Medical History & Bioethics, University of Wisconsin-Madison, Madison, Wisconsin, USA.

Abstract

Context: Empathy in doctor-patient relationships is a familiar topic for medical scholars and a crucial goal for medical educators. Nonetheless, there are persistent disagreements in the research literature concerning how best to evaluate empathy among physicians, and whether empathy declines or increases across medical education. Some researchers have argued that the instruments used to study 'empathy' may not measure anything meaningful to clinical practice or patient satisfaction.

Methods: We performed a systematic review to learn how empathy is conceptualised in medical education research. We examined how researchers define the central construct of empathy and what they choose to measure, and investigated how well definitions and operationalisations match.

Results: Among the 109 studies that met our search criteria, 20% failed to define the central construct of empathy at all and only 13% used an operationalisation that was well matched to the definition provided. The majority of studies were characterised by internal inconsistencies and vagueness in both the conceptualisation and operationalisation of empathy, constraining the validity and usefulness of the research. The methods most commonly used to measure empathy relied heavily on self-report and cognition divorced from action, and may therefore have limited power to predict the presence or absence of empathy in clinical settings. Finally, the large majority of studies treated empathy itself as a 'black box', using global construct measurements that are unable to shed light on the underlying processes that produce an empathic response.

Conclusions: We suggest that future research should follow the lead of basic scientific research that conceptualises empathy as relational - an engagement between a subject and an object - rather than as a personal quality that may be modified wholesale through appropriate training.

의학교육 중 공감의 저하에 관한 보고: 과장된 것은 아닌가? 문헌재검토(Acad Med, 2010)

Reports of the Decline of Empathy During Medical Education Are Greatly Exaggerated: A Reexamination of the Research

Jerry A. Colliver, PhD, Melinda J. Conlee, Steven J. Verhulst, PhD, and J. Kevin Dorsey, MD, PhD






공감은 거의 틀림없이 환자 치료에 종사하는 의사의 가장 중요한 정신 사회적 특성이다. "공감"은 [한 개인으로서 환자]를 대하는 caregiver의 인지적 및 대리적 이해이다. 또한 의사와의 관계에 대한 자신감과 신뢰를 낳고, 효과적인 치료와 치유를 촉진하는 것으로 여겨지는 이해이다.

Empathy is arguably the most important psychosocial characteristic of a physician engaged in patient care. “Empathy” refers to a caregiver’s cognitive and vicarious understanding of the patient as a person—an understanding that is thought to generate confidence and trust in the doctor–patient relationship and to promote effective treatment and healing.


자기보고도구들이 주로 의사의 공감을 측정하는 데 사용되었음,133

Self-report instruments have been used to measure physician empathy,1–3


이러한 연구들의 불안한 결론은 의과 교육 과정에서 감정이입이 감소한다는 것이다. 

  • 한 연구는 "환자 치료 상황에서 공감을 측정하기 위해 특별히 개발된 새로운 심리학적 견실한 도구를 사용하여 의과대학에서 공감이 감소한다는 것을 보여주는 경험적 증거를 제공한다"고 말한다. 

  • 또 다른 논문은 "의학연수 중 공감의 감소가 북미 의대생들에게 보고되었으며, 우려의 원인으로 간주되고 있다."9 

  • 이러한 우려의 깊이는 "의대 시절 심장이 딱딱해지는가?"14, "덕을 고치는 것"과 같은 저널 기사 제목과 "관련 질문은 어떻게 (인간적 자질)을 창조하느냐가 아니라 어떻게 의학교육이 그들을 파괴하느냐"와 같은 문장에도 반영되어 있다. 

  • 이러한 생각은 다음과 같이 요약된다: "일화 보고서와 연구 양쪽 모두가 전임상과 임상시기 사이 어디에선가 환자에 대한 학생들의 태도가 현저하게 부정적인 변화가 발생함을 가리키고 있다."17

The disturbing conclusion of these studies is that empathy declines during medical education. 

  • One study says it “provides empirical evidence to show that empathy declines in medical school by using a new psychometrically sound tool developed specifically to measure empathy in patient care situations.”8 

  • Another paper notes, “A decline in empathy during medical training has been reported in North American medical students and is regarded as a cause for concern.”9 

  • The depth of this concern is reflected in journal article titles, such as “Is there hardening of the heart during medical school?”14 and “Vanquishing virtue,”15 as well as in statements like, “The relevant question is not how to create (humane qualities) but how it comes about that medical education destroys them.”16 

  • This thinking is summed up in the following: “Both anecdotal reports and research studies point to significant negative shifts in students’ attitudes toward patients between the preclinical and clinical years.”17


  • 몇몇 저자들은 공감의 감소가 환자나 그 가족과의 임상적 상호작용 동안 겪게 되는 pain and suffering에 눈감아버리는 자기보호적 냉소의 결과라고 추측해 왔다.

  • 그러나 "의대 선발 과정"을 비판하는 사람들도 있는데, "Premedical 트레드밀은 [성적이 높고 시험 점수가 높은, detachment나 competitiveness와 같은 성격적 특성을 보여주는] 과학 전공자에게 우선권을 주는 것"이라고 주장한다. 그리고 이 과정은 "지원자의 성격과 성취의 질적 또는 감정적 측면"을 평가절하한다고 주장한다.

  • 다른 이들은 "(공감의) 감소가 널리 퍼져 있는 교수법을 반영하고 더 나은 방법으로 수정할 수 있다"거나 "의학계에 적응하는 과정이 피할 수 없는 심리적 영향"인지 의문을 제기한다.

  • 이러한 공감의 저하에 의해 생겨난 불안과 좌절은 "어떻게 하면 부패를 막을 수 있을까?"라는 한 글의 부제에도 반영되어 있다.

  • Several authors have speculated that the decline in empathy is a result of a self-protective cynicism that blunts the pain and suffering encountered during clinical interactions with patients and their families.12,14,15 

  • However, others criticize the “medical school selection process, arguing that the premedical treadmill gives precedence to science majors who have high grades and test scores, and who demonstrate personality characteristics such as detachment and competitiveness” and argue that this process “undervalues qualitative or affective aspects of the applicants’ characters and accomplishments.”15 

  • Others question whether “the decline is reflective of the prevalent teaching methods and modifiable with better methods or is an unavoidable psychological effect of the acculturation process into the medical profession.”12 

  • The anxiety and frustration generated by the purported decline are reflected in one article’s subtitle: “How can we stop the rot?”17


이러한 연구의 결과가 수정 조치를 요구하는 환자 치료에 대한 심각한 함축적 의미와 관련하여 자기 보고된 공감이 크게 감소했음을 보여주었는가? 아니면 그 감소는 작고 하찮은 것이었고, 실제적인 의미를 거의 보이지 않았던 것일까? 그리고 관측된 감소는 낮은 응답률 및 차등 응답률과 같은 공통 교란 요인(즉, 지속적인 편견)에 의해 설명될 수 있는가?

did the results of these studies show large declines in self-reported empathy with serious implications for patient care that call for corrective action? Or were the declines small and inconsequential, showing little of practical significance? And, could the observed declines possibly be accounted for by common confounding factors (i.e., constant biases),18,19 such as low and differential response rates?


방법

Method


우리는 의대생과 레지던트들의 시간 경과에 따른 공감의 변화를 조사한 최근의 연구를 확인하기 위해 2000년부터 2008년까지 출판된 논문 초록을 조사했다.

we examined article abstracts published from 2000 to 2008 to identify recent studies that examined change in empathy over time in medical students and residents.


검토한 11개 연구에서 공감도를 측정하기 위해 세 가지 자기 보고 계기를 사용했다: 대인관계 반응 지수 –감정 우려 하위 척도(IRI-EC),1 제퍼슨 의사 감정 감정 척도(JSPE),2 및 균형감정 감정 감정 감정 감정 감정 감정 척도(BEES)3. IRI-EC 하위 척도는 0점부터 4점까지 5점 만점으로 평가된 7개의 항목으로 구성되어 있다. 총점수는 0점부터 28점까지의 시청률로 집계된다. JSPE는 1점(강력하게 동의하지 않음)에서 7점(강력하게 동의함)까지로 평가된 20개의 리커트 척도 항목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총점수는 20점부터 140점이다. BEES는 4점에서 4점까지(매우 강하게 반대) 30점으로 평가되며, 총점수는 120점부터 120점까지이다.

Three self-report instruments were used to measure empathy in the 11 studies reviewed: 

  • the Interpersonal Reactivity Index–Empathy Concern subscale (IRI-EC),1 

  • the Jefferson Scale of Physician Empathy (JSPE),2 and 

  • the Balanced Emotional Empathy Scale (BEES).3 


  • The IRI-EC subscale consists of seven items rated on a five-point scale from 0 (does not describe me well) to 4 (describes me very well). The total scores are summed ratings that range from 0 to 28. 

  • The JSPE consists of 20 Likert scale items rated on a seven-point scale from 1 (strongly disagree) to 7 (strongly agree), with total (summed) scores that range from 20 to 140. 

  • The BEES has 30 items rated on a nine-point scale from  -4 (very strongly disagree) to  +4 (very strongly agree), with total (summed) scores that range from -120 to +120.


놀랍게도, 이 세 척도는 평균 등급에 서술적 의미를 부여하는 데 필요한 미드레인지 앵커가 아니라 양극단 앵커에게만 라벨을 제공한다. 따라서 본 프레젠테이션의 목적을 위해, 관찰된 평균 정격에 해당하는 미드레인지 앵커의 라벨을 다음과 같이 추론했다. 

  • IRI-EC의 경우, 3점은 "잘 묘사한다"; 

  • JSPE의 경우, 4점은 "중립"과 6점은 "동의" 

  • BEES의 경우, 1점은 "약간동의"

Surprisingly, the three scales provide labels for only the extreme anchors and not for the midrange anchors which are needed to give narrative meaning to the mean ratings. Consequently, for the purposes of this presentation, we inferred labels for the midrange anchors, that corresponded to the observed mean ratings, based on the extreme labels and the general pattern used to label such anchors, as follows: for IRI-EC, 3   “describes me well”; for JSPE, 4   “neutral” and 6  “agree”; and for BEES, 1  “somewhat agree.”


결과

Results


평균 공감 점수

Mean empathy ratings


평균적으로 표 1의 11개 연구는 평균 공감도가 감소하여 훈련 첫해에서 마지막 해로 약 0.2포인트가 변화하였다.

On average, the 11 studies in Table 1 showed a decline in mean empathy ratings, a change of about  0.2 points from the first year of training to the last.



응답률

Response rates


4개 연구(Studies 1, 2, 8 및 9)의 연도별로 응답률을 보고(또는 추정)했다. 1차 훈련의 응답률은 상당히 높았고, 이후 마지막 훈련의 경우 평균 약 26%포인트 하락했다. 표 1을 보면, 일반적으로 높은 평균 등급이 높은 응답률과 낮은 평균 등급과 관련이 있음을 보여준다.

Response rates were reported (or estimated) by year of training for four studies (Studies 1, 2, 8, and 9). The response rates were considerably higher for the first level of training and then declined on average by about 26 percentage points for the last level of training. Visual inspection of Table 1 shows that, in general, higher mean ratings were associated with higher response rates and lower mean ratings with lower response rates.


고찰

Discussion


요약하자면, 이 연구 결과는 연구 전반에 걸쳐 일관되고 설득력 있게 [의학 교육으로부터 기인하는 공감의 자기평가 변화가 거의 또는 전혀 없음]을 보여준다. 평균 공감 등급의 변화는 공감이 0.1포인트 증가하는 것(Study 6)에서 0.5포인트 감소하는 것(Study 9)까지 다양했으며, 11개 연구에서는 평균 0.2포인트 감소했다.

In summary, the findings are consistent across studies, showing little or no change in self-ratings of empathy that can convincingly be attributed to medical education training. The changes in mean empathy ratings ranged across studies from a 0.1-point increase in empathy (Study 6) to a 0.5-point decrease (Study 9), with an average of about a 0.2-point decline for the 11 studies.


의대 내 평균 점수는 레지던트 등급과 비슷해 의대에서 레지던트까지의 하락이 없었다. 그 결과는 의학 교육으로 인한 공감이 심각하게 감소하고 있다는 강력하고 불안한 결론을 보증하지 못한다(이러한 불안한 결론은 이것에 대해 뭔가 조치를 취해야 한다는 암시를 담고 있다). 이번 연구 결과는 의학 교육이 인간의 자질을 파괴하고 심장을 딱딱하게 만든다는 것을 보여주지 않으며, 14, 반드시 막아야 할 부패가 있다는 것을 보여주지도 않는다.17

mean ratings in medical school were similar to those in residency, showing no decline from medical school to residency. The results do not warrant the strong, disturbing conclusion that there is a serious decline in empathy due to medical education, with the implication that something must be done about it. The results do not show that medical education destroys humane qualities16 and causes a hardening of the heart,14 nor do they reveal a rot that must be stopped.17


이번 결과는 평균mean점수를 바탕으로 점수를 매기는 것의 장점을 보여준다. 합계점수는 평균점수와 항목 수를 모두 반영해 점수 차이를 확대시키고 차이점을 지금보다 더 큰 것처럼 보이게 한다. 예를 들어, BEES 척도에서 등급 2 "약정"과 등급 3 "약정" 사이의 1점 차이는 합계(60 대 90)에 근거한 점수 사이의 30점 차이가 된다.3

The results illustrate the advantage of scoring based on means. The sums of ratings reflect both the ratings and the number of items, which magnifies differences between scores and makes differences appear more important than they are. For example, a one-point difference between a rating of 2  “somewhat agree” and 3  “agree” on the BEES scale becomes a 30-point difference between scores based on sums (60 versus 90).3


한편, 표 1에 보고된 평균 공감 등급의 작은 감소(평균 0.2점 감소, 0.1점에서 0.5점 범위)는 의료 교육 때문에 공감이 "약간" 감소했다는 더 약한 결론을 확립하는 것으로 생각할 수 있다. 그러나, 응답자 편향response bias은 11개 연구들에서 평균점수 변화가 아주 작다는 것에 대한 매우 그럴듯한 대안적 설명이다. 

  • 감정이입이 약간 감소했다는 약한 결론은 [무응답자가 모든 학생 또는 레지던트의 무작위 표본이거나 대표적인 표본이라는 가정]을 수반하며, 이 경우 응답 편향은 없을 것이다. 

  • 그러나, 그 반대 주장도 타당하다: 즉, 비응답자는 번아웃 되었으며, 공감이 낮다는 것이다(관측정한 하락을 최소화할 것이다.) 또는, 비응답자가 일반적으로 더 공감적이었고, 동일한 공감수단의 재관리에 대해 긍정적인 반응을 반복할 필요가 없다고 느꼈을 수도 있다(관측된 하락을 증가시킬 것이다).

On the other hand, the small declines in mean empathy ratings reported in Table 1 (average decline of  0.2 points; range from  0.1 points to  0.5 points) might be thought to establish the weaker conclusion that empathy declined “just slightly” because of medical education. However, response bias is a very plausible alternative explanation of the small changes in mean ratings for the 11 studies. 

  • The weaker conclusion that empathy declined just slightly entails the assumption that the nonrespondents were a random or representative sample of all students or residents, in which case there would be no response bias. 

  • However, it is just as reasonable to argue the opposite: that the nonrespondents were burned out and less empathic (which would minimize the observed decline)—or that nonrespondents were generally more empathic and felt no need to repeat their positive responses on  readministrations of the same empathy instrument (which would increase the observed decline).


간단히 말해서, 관찰된 작은 감소는 공감이 단지 약간 감소했다는 약한 결론을 확립하지 못한다. 이 문제에 대한 결론은 아직 불분명하다. 공감에 대한 연구는 연구자들이 응답률이 높은지 확인하고(100%에 근접) 의대와 레지던트 전체에 걸쳐 높은 (응답률) 상태를 유지하여, 타당성에 대한 이러한 위협을 해결하고, 약한 효과 가설에 대한 보다 설득력 있는 테스트를 제공하는 단계를 밟는 것이 필요하다.

In brief, the observed small decline does not establish the weaker conclusion that empathy declined just slightly. The rival explanations cannot be ruled out—the case is still open. Studies of empathy are needed in which researchers take steps to ensure that response rates are high (approaching 100%) and remain high throughout medical school and residency to address this threat to validity and provide a more convincing test of the weak effect hypothesis.


그렇다면, 왜 의학 훈련 동안에 인정되는 공감의 감소는 그렇게 쉽게 받아들여지는 것일까? 아마도 그 해답은 그것들을 읽은 의학 교육자들뿐만 아니라 이러한 연구의 주제에 있을 것이다.

Why, then, is the purported decline of empathy during medical training so readily accepted? Perhaps the answer lies in the subject of these studies as well as the medical educators who read them.



자기보고식 공감 검사도구

Empathy self-report instruments


이러한 연구에 대한 또 다른 우려는 공감에 대한 (학생과 레지던트의) 자기보고적 평가도구에 기반을 두고 있다는 것이다. 그러나 (마치 아름다움과 같이) 공감은 caregiver가 아니라 보는 사람(환자)의 눈에 달려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우리가 아는 바로는, 이러한 공감 도구들 중 어떤 것도 caregiver의 공감능력에 대해, 환자의 인식과의 관계를 경험적으로 확인하는 방식으로 검증되지 않았다. 필요한 것은 실제 또는 시뮬레이션된 임상적 만남에서 간병인 공감에 대한 실제 또는 표준화된 환자의 평가와 자기 보고 공감 기기에 대한 자기 평가의 상관관계에 대한 연구들이다.23

Another concern about these studies is that they are based on instruments that assess student and resident self-reports of empathy. But empathy—like beauty— would seem to be in the eye of the beholder—the patient, not the caregiver. And yet, to our knowledge, none of these empathy instruments have been validated by determining empirically their relationship with patients’ perceptions of the caregivers’ empathy. What are needed are studies of the correlations of self-ratings on the self-report empathy instruments with real or standardized patients’ assessments of caregiver empathy in actual or simulated clinical encounters.23


현재의 증거 기반 의료 교육 이니셔티브에 따라, 어느 시점에서는 효과적인 치료와 치유의 궁극적인 결과와의 상관관계가 입증되어야 한다. 이렇게 함으로써 공감 수준이 의료실무에 대해 갖는 예측 가치를 문서화해야 한다. 자기보고된 공감능력이 감소한 이유는 [환자가 느낀 공감]이나 [효과적인 임상치료]와는 무관한 여러 가지가 가능하다는 것이 합리이다. 

    • 예를 들어, 훈련생들은 [자신이 새로운 책임에 대한 준비가 미흡하다는 느낌]과 공감 저하를 혼동하거나, [스스로 통제할 수 있는 요인(흡연, 체중)을 제대로 통제하지 못해서 생긴 병을 가져온 환자에 대한 동정 부족]을 공감 저하로 혼동했을 수 있다. 

In keeping with the current evidence-based medical education initiative, at some point even correlations with the ultimate outcomes of effective treatment and healing must be demonstrated to document the predictive value of the empathy ratings for clinical practice. It seems reasonable that self-reports of empathy might decline for a number of reasons that have nothing to do with the patient’s experience of empathic concern and effective clinical care. 

    • For example, trainees might confuse loss of empathy with feeling ill-prepared for their new responsibilities, or with guilt regarding a lack of compassion for patients who “brought on” their own illness by factors under their control, such as smoking or weight control, or by trading empathy for the need to get through the day’s work in the time allotted. 


이유가 무엇이든, 의대와 레지던트가 자기평가한 공감능력의 변화는 너무 작아서 practice outcome의 감소를 예측하지 못하는 것처럼 보인다.

Whatever the reasons, the observed changes in mean self-ratings in medical school and residency are so small that they would not seem to be predictive of diminishing practice outcomes.


여기서 근본적인 문제는 자기 보고 공감 도구가 기본적으로 자기 평가이며 최근 자기 평가에서 광범위하게 논의된 것과 같은 문제에 시달린다는 것이다.24–27 이러한 비평의 저자가 지적한 바와 같이, 문제는 "학생들은 자기 평가의 정확성이 낮다는 것을 일관되게 보여 왔다"23 "방대한 근거는 의사들이 자기 평가 능력이 제한되어 있음을 시사한다."25 이미 보여진 바와 같이, 학생, 레지던트, 의사가 지식과 기술을 정확하게 평가하지 못하는 경우 그들이 (더 불분명indefinite한 특성인) 공감을 정확하게 평가할 수 있는지에 대해서도 의문을 제기하는 것은 타당하다. 또한, 자기 보고식 척도는 공감을 서로 다른 문제, 배경, 성격을 가진 다른 환자와 마주칠 때 서로 다른 방식으로 자신을 드러내는 "상태state"가 아니라 있거나 없거나 하는 "자질trait"로 취급한다.

The fundamental problem here is that the self-report empathy instruments are basically self-assessments and suffer from  the same problem s as discussed extensively in recent critiques of self-assessment.24–27 As the authors of these critiques note, the problem is that “studies have consistently shown that the accuracy of self-assessment is poor”23 and that “the preponderance of evidence suggests that physicians have a limited ability to self-assess.”25 If students, residents, and physicians are unable to accurately self-assess knowledge and skills, as has been shown, it seems reasonable to question whether they can accurately assess something more indefinite—like empathy. Also, the self-report instruments treat empathy as a “trait” that is either present or absent rather than as a “state” that manifests itself in varying ways across encounters with different patients with different problem s, backgrounds, and personalities.


여기서 조사한 11개 연구에서 사용된 세 가지 공감 도구에 대한 관련 질문은 그들이 같은 것을 측정하느냐 하는 것이다. 이들이 언급한 "공감"은 같은 뜻일까? 항목별 차이, 항목별 표현, 항목 수, 등급 척도, 앵커 등을 포함하는 운용 정의의 관점에서 연구마다 '공감'은 분명히 다르다. 그렇다면, 이 기구들은 같은 구인construct를 측정하는가? 한 연구는 세 가지 도구 중 두 가지에 대한 점수 사이의 상관관계를 조사했다.IRI-EC와 JSPE—and는 193명의 의대생에게 r=0.41을, 41명의 레지던트를 대상으로 r=0.40을 보고했다.2

A related question about the three empathy instruments used in the 11 studies reexamined here is whether they measure the same thing. Do they mean the same thing by “empathy?” Clearly, they differ in terms of their operational definitions which involve differences in their items, the wording of the items, the number of items, the rating scales, the anchors, etc. So, do these instruments measure the same construct? One study examined the correlations between scores on two of the three instruments—IRI-EC and JSPE—and reported r  0.41 for n   193 medical students and r  0.40 for n  41 residents.2


직관적으로, 공감은 의료실무와 환자의 치료에 있어 중요한 고려사항이다. 그러나 공감의 개념은 이해하기 어렵고 이론적으로 그리고 조작적으로 설명된다.28 

    • 이론적으로, 공감은 부분적으로 은유와 대조에 의해 정의되어 왔다. 예를 들어, 은유적으로 공감은 "상대방의 입장에서 자신을 넣는다" 또는 "환자의 입장에서 서 있다"라고 묘사되어 왔다. 공감은 흔히 동정과 대조를 이루는데, 공감은 환자의 상황과 감정에 대한 인지적 이해를 더 많이 지칭한다고 하며, 동정은 환자의 감정을 공유하고 느끼는 것을 가리키는 데 쓰인다. 

    • 조작적으로, 은유와 대조를 바탕으로 이론적 의미를 표현하는 진술이나 항목을 개발한다. 여기에서 검토한 11개 연구에서 사용된 3개의 도구의 경우, 응답자에게 각 항목에 대한 자기 자신에 대한 의견을 스스로 보고하도록 요청한다. 그러나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환자 또는 표준화된 환자를 위한 도구를 개발할 수도 있다. 또는 심지어 전문가 관찰자가 (clinical practice의 contributor인) 공감을 포착하도록 훈련되었다. [공감의 자기평가 점수]가 [실제 또는 표준화된 환자]의 평가와도 다르고 [훈련된 전문가의 평가]와도 다르다는 것은 놀랍지 않다(특히 자기 평가점수가 도구에 따라 다르다는 점을 감안하면 더욱 그렇다.)

Empathy is intuitively an important consideration in medical practice and the care of patients. The concept of empathy, however, is elusive, theoretically and operationally.28 

    • Theoretically, empathy has been defined in part by metaphor and contrast. Metaphorically, for example, empathy has been described as “putting oneself in the other’s shoes” or “standing in the patient’s shoes.” Empathy is commonly contrasted with sympathy, whereby empathy is said to refer more to a cognitive understanding of a patient’s situation and feelings, and sympathy is used to refer to a sharing and feeling of the patient’s emotions. 

    • Operationally, statements or items are developed that express the theoretical meanings based on metaphor and contrast and that, in the case of the three instruments used in the 11 studies reviewed here, ask respondents to self-report their opinions about themselves on each item. But, as mentioned above, instruments could also be developed for patients or standardized patients—or even for expert observers trained to capture empathy as a contributor to clinical practice. It would not be surprising to find that self-ratings of empathy differ from real or standardized patient ratings and that both differ from ratings by a trained expert (especially given that self-ratings differ from instrument to instrument).


의사의 공감능력을 훈련시킬 때, 의학 교육자들은 [이해하기 어려운 공감 개념에서 벗어나] [더 좋은 대인관계 행동]에 초점을 두어야 할지도 모른다. 이러한 (더 좋은 대인관계적 행동이) 의사-환자 관계에 중요한 찾는 심리사회적 특성을 더 잘 달성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즉, "숨겨진 교육과정"30의 이런 측면은 교사들에 의해 능동적으로 모델링됨으로써 의학 교육에 더 도움이 될 수 있다. 

When it comes to training empathic physicians, medical educators might be better served by shifting their focus from the elusive empathy concept and concentrating more on good interpersonal behaviors to better achieve the sought-after psychosocial characteristic important to the doctor– patient relationship. That is, this aspect of the “hidden curriculum”30 may better serve medical education by being actively modeled by teachers. 


최근 흥미로운 기사인 "에티켓 기반 의학"31에 따르면, "환자들은 그들의 의사가 얼마나 성찰적이고 공감하는지보다, 의사가 얼마나 존중해주고 주의깊게attentive 생각하는지에 더 신경쓸 수도 있다". "에티켓 기반 의학을 연민에 기반한 의술보다 우선하는 것에 대해 교육적 논쟁이 필요하다"고 제안한다. 의사와의 환자 관계의 심리학적 측면에 대한 이러한 [예절에 기초한 접근방식]은 "좋은 매너의 기반 위에 구축"될 것이며, 행동이 변화하기 쉽고 "더 즉각적인 이득"을 가질 수 있기 때문에 감정과 태도보다 행동을 강조할 것이다.

A recent intriguing article entitled “Etiquette-based medicine”31 suggests that “patients may care less about whether their doctors are reflective and empathic than whether they are respectful and attentive” and suggests that “pedagogically an argument could be made for etiquette-based medicine to take priority over compassion-based medicine.” This etiquette-based approach to the psychosocial aspect of the doctor–patient relationship would be “built on a base of good-manners” and would emphasize behavior over feelings and attitudes, because behavior is easier to change and may have “more immediate benefits.”31


의학 교육 연구의 명성은 한동안 의문이 제기되어 왔다.32–35 비평가들은 이 연구가 "방법론적 엄격성 결여"라고 말하며 무작위화 및 통제력 강화를 요구하고 있다.34 우리는 그 문제가 방법론적 결함 그 자체가 아니라고 주장해왔다. 오히려, 연구자들의 실패는, 그 결함을 고려하여 결론을 내리고, 결과를 비판적으로 해석하지 못했다는 점이다.

The reputation of medical education research has been questioned for some time.32–35 Critics say the research “lacks methodological rigour” and call for randomization and greater control.34 However, given that research in medical education is primarily and necessarily quasi-experimental, we have argued that the problem is not the methodological flaws per se but, rather, the failure of researchers, in light of the flaws, to critically interpret the research and its results in reaching and stating their conclusions.21 


준 실험적 측면에서, 결론을 내리기 위해서는 [타당성에 대한 위협]은 rule out되어야 한다. 이것이 공감 감소를 보여준 연구의 문제인 것 같다. 문제는 낮은 응답률이나 다른 응답률 그 자체가 아니라 연구자들이 연구 결론에 도달하는 데 있어 그러한 위협을 인정하지 않는 것이다이 문제는 이 수치들이 정확히 무엇을 의미하는지 알아보기 위해 공감 측정값(등급, 자기 평가, 작은 차이점)을 비판적으로 검토하지 못함으로써 여기서 더욱 복잡해진다.

In quasi-experimentation terms, threats to validity must be ruled out or used to qualify the conclusions. This seems to be the problem with the empathy decline studies. The problem is not the low or differential response rates per se but, rather, the researchers’ failure to acknowledge those threats to validity in reaching a research conclusion. The problem is compounded here by a failure to critically examine the empathy measurements (sums of ratings, self-ratings, and small differences) to see exactly what the numbers mean and take this into account in interpreting research findings.



Summary and conclusions







Comparative Study
 
, 85 (4), 588-93
 

Reports of the Decline of Empathy During Medical Education Are Greatly Exaggerated: A Reexamination of the Research

Affiliations 

Abstract

Purpose: Research is said to show that empathy declines during medical school and residency training. These studies and their results were examined to determine the extent of the decline and the plausibility of any alternative explanations.

Method: Eleven studies published from 2000 to 2008 which reported empathy at various stages of physician training were reexamined. Their results were transformed back to the original units of the rating scales to make results more interpretable by reporting them in the metric of the original anchors. Next, the relationship between empathy ratings and response rates were examined to see whether response bias was a plausible threat to the validity of the empathy decline conclusion.

Results: The changes in mean empathy ranged across the 11 studies from a 0.1-point increase in empathy to a 0.5-point decrease, with an average of a 0.2-point decline for the 11 studies (ratings were on 5-point, 7-point, and 9-point scales). Mean ratings were similar in medical school and residency. Response rates were low and-where reported-declined on average about 26 percentage points.

Conclusions: Reexamination revealed that the evidence does not warrant the strong, disturbing conclusion that empathy declines during medical education. Results show a very weak decline in mean ratings, and even the weak decline is questionable because of the low and varying response rates. Moreover, the empathy instruments are self-reports, and it isn't clear what they measure-or whether what they measure is indicative of patients' perceptions and the effectiveness of patient care.


공감 교육하기: 리뷰( J Gen Intern Med, 2006)

Educating for Empathy A Review

Kathy A. Stepien, BS, MA,1 Amy Baernstein, MD2

1University of Washington School of Medicine, Seattle, WA, USA; 2General Internal Medicine, University of Washington School of Medicine, Seattle, WA, USA.




의사-환자 관계의 구성요소로서, 공감은 진단과 환자 치료에 모두 영향을 미친다.

As a component of the physicianpatient relationship, empathy affects both diagnosis and patient care.


임상적 공감이란 무엇인가?

What Is Clinical Empathy?


다른 사람이 어떻게 느끼는지 이해하거나 감상하는 감정적, 도덕적, 인지적, 행동적 차원을 포함하도록 임상적 맥락에서 공감의 국부적 정의가 확대되었다. 이러한 측면은 다음과 같이 보다 충분히 설명된다. 

  • (1) 정서적: 환자의 감정과 관점을 상상할 수 있는 능력 

  • (2) 도덕적: 의사에게 공감하는 내적 동기 부여, 

  • (3) 인지적: 환자의 감정과 관점을 식별하고 이해할 수 있는 지적 능력 

  • (4) 행동적: 감정, 관점에 대한 이해를 환자에게 전달하는 능력.19 

  • The vernacular definition of empathy, understanding or appreciating how someone else feels, has been expanded in the clinical context to include emotive, moral, cognitive, and behavioral dimensions. These aspects are more fully described as follows: 

  • (1) emotive, the ability to imagine patients’ emotions and perspectives; 

  • (2) moral, the physician’s internal motivation to empathize; 

  • (3) cognitive, the intellectual ability to identify and understand patients’ emotions and perspectives; and 

  • (4) behavioral, the ability to convey understanding of those emotions and perspectives back to the patient.19–22 


이러한 분리된 공감의 차원을 탐구하는 저자들은 효과적인 공감을 위해 지적인 이해만이 아니라 감정적 참여가 중요하다는 것을 강조한다.

The authors who explore these separate dimensions of empathy stress that emotional engagement, not just intellectual understanding, is crucial for effective empathy.


야오23 라르손은 이 임상적 공감의 정의를 '깊이 연기' 또는 '표면 연기'를 모두 필요로 하는 '감정적 노동'의 한 형태로 보아, 실제로 느끼지 못하는 열의나 걱정과 같은 감정들을 의도적으로 표출하는 것으로 보아 더욱 풍부하게 했다. 표면 연기는 감정적 참여와는 정반대여서, 임상적 공감에는 다양한 환자와 상황에 맞는 융통성이 요구된다는 것을 암시한다.

Yao23 Larson and have enriched this definition of clinical empathy by viewing it as a form of ‘‘emotional labor’’ which requires both ‘‘deep acting,’’ or intentional modification of one’s true emotions, and ‘‘surface acting,’’ the deliberate display of emotions such as enthusiasm or concern that one does not actually feel. Surface acting is the opposite of emotional engagement, suggesting that clinical empathy requires flexibility to suit varying patients and circumstances.


모든 네 가지 차원의 공감이 환자들에게 도움이 될 수 있다. 신뢰. 즉, 의사들이 효과적으로 공감하기 위해서는 임상적 공감의 모든 차원이 필요할 수 있다.

All 4 dimensions of empathy may work together to benefit patients. trust. In other words, all dimensions of clinical empathy may be required for physicians to be effectively empathetic.


공감 대 공감

Empathy Versus Sympathy


공감Empathy과 동정Sympathy의 혼란은 임상적 공감에 관심이 있는 사람들이 겪는 개념적 어려움이다. 

Confusion of empathy with sympathy is a conceptual difficulty encountered by those interested in clinical empathy. 


동정은 다른 사람의 감정을 경험하는 것으로 정의되며, 그 감정들을 감상하거나 상상하는 것과는 대조적이다. 일부 저자들은 동정은 전적으로 공감과는 별개라고 말한다.20,21,24 이러한 저자들은 

  • 환자에 동정하는 의사는 고통을 공유하며, 이는 객관성과 정서적 피로 부족으로 이어질 수 있는 반면, 

  • 공감은 의사와 환자의 상호작용에 한결같이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점에 주목한다. 다른 한편으로, 어떤 연구자들은 동정을 공감의 감정적 요소와 같다고 여긴다.

Sympathy is defined as experiencing another person’s emotions, as opposed to appreciating or imagining those emotions. Some authors state that sympathy is wholly distinct from empathy.20,21,24 These authors note that 

  • physicians who sympathize with patients share their suffering, which could lead to lack of objectivity and emotional fatigue, whereas 

  • empathy has a uniformly positive impact on physician-patient interactions. One the other hand, other authors imply that they consider sympathy to be the same as the emotional component of empathy.


공감은 측정가능한가?

Can Empathy Be Measured?


임상적 공감의 다차원적 성질은 측정하기 어렵게 만든다. 이 검토에서 교육적 개입을 평가하기 위해 사용되는 각 공감 측정 도구는 단점이 있다.

The multidimensional nature of clinical empathy makes it difficult to measure. Each empathy measurement tool used to evaluate educational interventions in this review has shortcomings.


대부분의 연구는 대인관계 반응도 지수(IRI),26 공감대 형성률 척도(ECRS),27,28,균형감성감정감정감정감정척도.29,30 등 연필과 종이의 자기평가를 사용했다. 그러나 이것들은 medicine에 특화된 것이 아니다.

Most of the studies used pencil-and-paper self-evaluations such as the interpersonal reactivity index (IRI),26 the Empathy Construct Rating Scale (ECRS),27,28 and the Balanced Emotional Empathy Scale.29,30 While these are validated instruments, they are not specific to medicine.


이 검토의 다른 연구에서는 훈련된 관찰자를 사용하여 공감을 평가했는데, 정확한 감정 척도(AES)31과 역사 평가 등급 척도(HRS)32,33의 항목을 사용하여 학생들의 공감을 평가하였다. 이것들 역시 검증되었지만, 환자의 감정이 정확히 identify되었는지가 아니라, 공감의 표현만을 측정한다.

Other studies in this review used trained observers to assess empathy, using tools such as the Accurate Empathy Scale (AES)31 and the items from the History-taking Rating Scale (HRS)32,33 to rate students’ empathy. These too are validated, but measure only expressions of empathy, not whether the patient’s emotions were correctly identified.


잘 알려져 있고 검증된 Jefferson Scale of Physician Empathy24도 의사의 공감을 평가하는 데 사용되었지만 이 기사의 기준을 충족하는 어떤 연구에도 채택되지 않았다. 표 1은 본 검토에 포함된 기사에 사용된 공감 측정 도구를 비교하고, 샘플 항목을 제공한다.

The well-known and validated Jefferson Scale of Physician Empathy24 has also been used to assess physician empathy but was not employed in any studies meeting criteria for this article. Table 1 compares empathy measurement tools used in the articles included in this review, and gives sample items.



어떤 집중적인 교육적 개입이 학부 의대생들의 공감을 효과적으로 조장하는가?

What focused educational interventions effectively foster empathy in undergraduate medical students?


방법

METHODS


결과

RESULTS


교육자들은 의대생들의 공감을 높이기 위해 다양한 전략을 채택했다. 표 2와 표 3은 연구를 나열한다.

Educators employed a variety of strategies to enhance medical student empathy. Tables 2 and 3 list the studies,


표 2는 정량적 결과를 보고한 9개의 연구를 나타낸다.32,34–41 

표 3은 정성적 결과를 보고한 6개의 연구를 나타낸다.25,39,40,42–44 

정량적 및 정성적 결과를 모두 측정하여 두 개의 연구 39,40은 두 표에 모두 포함된다.

Table 2 presents the 9 studies that reported quantitative outcomes.32,34–41 Table 3 presents the 6 studies that reported qualitative outcomes.25,39,40,42–44 Two studies39,40 measured both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outcomes and are therefore included in both tables.







공감하기 위한 커뮤니케이션 스킬 훈련

Communication Skills Training for Empathy


13개의 연구 중 6개는 의사소통 기법으로 공감에 접근하면서 공감의 행동적 차원에 초점을 맞추었다.32,343838 이 연구들은 공감을 전달하기 위한 의사소통 기술을 가르치기 위해 강의, 작은 그룹 워크숍, 오디오 테이프 또는 비디오테이프를 사용했다. 모두 사후 개입으로 인한 공감이 현저하게 증가했다고 보고되었으며, 대조군 그룹을 사용한 5개 연구는 개입 그룹에 비해 상당히 높은 점수를 보였다. 이러한 성공은 6개월과 12개월36년 그리고 3년에서의 통제에 비해 지속적인 공감이 증가했음을 보여주는 2개의 연구에 의해 더욱 강화된다.37

Six of the 13 studies focused on the behavioral dimension of empathy, approaching empathy as a communication technique.32,34–38 These studies used lectures, small group workshops, audiotapes, or videotapes to teach communication skills intended to convey empathy. All reported significant increase in empathy from preto postintervention, and the 5 studies using control groups showed significantly higher scores favoring the intervention group. This success is further reinforced by 2 studies demonstrating continued increased empathy compared with control at 6 and 12 months36 and at 3 years.37


내러티브 및 공감

Narrative and Empathy


교육자들은 연극, 문학, 글쓰기를 의대생의 공감을 증진시키기 위한 교육 전략으로 삼았다. 근본적인 논리는, 학생들이 질병에 대한 감정적인 설명에 몰두함으로써, 임상 작업 중에 환자의 관점을 채택할 수 있는 능력을 확대할 것이라는 것이다. 이 접근방식은 감정이입의 감정적, 인지적 차원에 초점을 맞춘다. Medical literature 강좌에 등록하거나, 성찰적 글쓰기 연습에 참여하거나, 연극 공연에 참석한 4개 연구의 참가자들은 각각 적은 수의 지원자를 조사했다(표 3 참조).

Educators have employed theater, literature, and writing as educational strategies to foster medical student empathy. The underlying logic is that by immersing themselves in emotional accounts of illness, students will expand their capacity to adopt the patient’s perspective during clinical work. This approach focuses on the emotive and cognitive dimensions of empathy. Participants in 4 studies enrolled in medical literature courses, participated in reflective writing exercises, or attended theatrical performances.25,40,43,44 Each of these studies examined a small number of volunteers (see Table 3).


경험적 학습의 공감

Empathy from Experiential Learning


두 가지 연구는 학생들이 환자의 관점에서 의료 서비스를 경험하는 공감을 촉진하는 접근법을 설명한다. 서술법을 채용하는 중재와 마찬가지로, 여기서 기본적인 논리는 학생들이 환자로서 병을 경험했다면 환자의 관점을 더 쉽게 받아들일adopt 것이라는 예상이다. 윌크스 외 연구진.42는 건강한 임상 전 의대생들이 가짜 진단을 받은 교직병원에 입원해 24시간에서 30시간 동안 입원하는 개입을 지시했다. 그들을 돌보는 레지던트들은 그들이 진짜 환자라고 믿었다. 학생들은 이런 경험이 환자에 대한 공감대를 높이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자신했다.

Two studies describe an approach to promoting empathy in which students experience medical care from a patient’s perspective. Like interventions employing narrative, the underlying logic here is that students will adopt the patient’s perspective more readily if they have experienced illness as a patient. Wilkes et al.42 directed an intervention in which healthy preclinical medical students were admitted to a teaching hospital with fake diagnoses, remaining hospitalized for 24 to 30 hours. The residents caring for them believed they were real patients. Students reported confidence that this experience would help them be more empathetic toward patients.


셀프케어의 공감

Empathy from Self-Care


의료 훈련과 연습은 스트레스가 되고, 개인적인 스트레스는 공감을 방해할 수도 있다. 따라서, 어떤 사람들은 의사들의 웰빙을 다루는 강좌가 공감을 증진시킬 수도 있다는 가설을 세웠다. 의사들의 건강은 대체로 가족과 친구들과 함께 보내는 시간, 운동, 건강 영양, 취미, 또는 정신적 활동에 대한 관심으로 해석된다. 대규모 단면조사에서 DiLalla 외 연구진.41은 의대 시절 공감, 영성 또는 웰빙에 대한 사전 교육이 검증되지 않은 자체 보고 등급 척도로 측정했을 때 더 높은 공감 점수와 상관관계가 있는지를 조사했다. 이 연구는 설계와 참여자 수가 많고 여러 가지 교육적 개입을 포함하고 있다는 점에서 독특했다. 웰빙 세션, 즉 공감과 영성에 관한 세션에 참석하기로 한 참가자들의 공감도가 더 높았다. 영성spirituality 세션에는 참석했지만 공감세션에는 참석하지 못한 사람들은 공감 점수가 낮았다.

Medical training and practice are stressful, and personal stress may be a barrier to empathy. Therefore, some have hypothesized that coursework addressing physician wellness might foster empathy. Physician wellness is broadly construed as attention to health and happiness via time spent with family and friends, exercise, healthful nutrition, hobbies, and/or spiritual activity. In a large, cross-sectional survey, DiLalla et al.41 investigated whether prior education in empathy, spirituality, or wellness during medical school was correlated with higher empathy scores, as measured by an unvalidated self-reported rating scale. This study was unique in its design, large number of participants, and that it includes multiple educational interventions. The major result was that participants who had chosen to attend sessions on wellness, or sessions on both empathy and spirituality, had higher empathy scores. Those who had attended spirituality but not empathy sessions had lower empathy scores.


코멘트

COMMENT


의대생들의 공감을 촉진하기 위한 교육적 개입에 대한 이러한 보고서들은 다음과 같은 여러 가지 제약으로 인해 어려움을 겪고 있다. 

  • 개념적 명확성의 결여, 

  • 작은 표본 크기, 

  • 비교 집단의 부족, 

  • 간략하고 이질적인 개입, 

  • 효과 내구성에 대한 장기 평가의 희귀성 

  • 공감의 객관적 척도보다는 자기 평가에 의존하는 것

These reports of educational interventions to promote medical student empathy suffer from many limitations: 

  • lack of conceptual clarity, 

  • small sample sizes, 

  • lack of comparison groups, 

  • brief and heterogeneous interventions, 

  • rarity of long-term assessment for durability of effect, and 

  • reliance on self-assessment rather than objective measures of empathy. 


이러한 한계에도 불구하고, 이 리뷰는 집중적인 교육 개입이 학부 의대생들의 공감대를 형성하는데 성공할 수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 한 가지 연구를 제외한 모든 연구는 사전 개입에서 사후 개입으로 상당한 개선을 보였으며 대조군과 비교했을 때 변경사항은 내구성이 입증되었으며 효과 크기는 일반적으로 컸다. 그러나 발표된 모든 연구가 채택된 전략의 긍정적인 효과를 나타낸다는 사실은 출판 편향성을 나타낼 수 있다.

In spite of these limitations, studies in this review suggest that focused educational interventions may be successful at fostering undergraduate medical student empathy. All but 1 study reported significant improvements from pre- to postintervention and as compared with controls, the changes proved durable, and the effect sizes were generally large. However, the fact that all published studies show a positive effect of the strategy employed may indicate publication bias.


이러한 연구에 사용된 평가 도구의 단점은 주요 제한 사항이다. 

  • 첫째, 13개 연구 중 4개 연구만이 공감에 대한 observed measure를 사용했으며, 그 중 3개 연구만 검증되었다. 감정이입 도구에 대한 그의 조사에서, Jarski 등은 "학생들이 공감적 특성을 가지고 있다고 스스로 평가한 것과 유의하게 상관을 보인 행동-기반 척도는 없었다"라고 지적하며 자기보고된 공감을 바탕으로 한 모든 평가에 의문을 제기한다.

  • 둘째로, 어떤 연구도 환자의 인식을 측정하거나 의사의 공감을 평가하기 위해 표준화된 환자를 이용하지 않았다. 감정이입이 효과적이기 위해서는 환자가 연습생을 공감하는 것으로 인식하는지가 이러한 개입의 중요한 표준이 되어야 한다. 

    • Mercer와 Reynolds48은 환자의 인식을 측정하기 위한 유망한 공감 도구를 개발했다. 이 보고서는 환자들에게 '의사와의 의학적 상호작용의 10가지 측면을 평가하도록 요구한다. 예를 들어, '의사는 어떻게 보살핌과 동정심을 보였는가?, 인간적인 차원에서 당신과 연결되고 무관심하거나 '상상상하지 않음'과 같은 것이다. 이 새롭고 검증된 도구는 공감에 대한 광범위한 정의를 가지고 있으며 미래의 공감 연구에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다. 의대생에 대한 연구나 공감을 증진시키는 개입이 효과적인지 여부를 평가하는 데 아직 사용되지 않았다.

The shortcomings of the assessment tools used in these studies are a major limitation. 

  • First, only 4 of the 13 studies used observed measures of empathy, and only 3 of those were validated measures. In his investigation of empathy tools, Jarski et al.46 reports that ‘‘empathy self-assessed by the students themselves as having that trait did not correlate significantly with any of the behavior-based measures’’ which casts doubt on all assessments based on self-reported empathy. 

  • Secondly, no studies in this review measured patients’ perceptions or used standardized patients to assess physician empathy. For empathy to be effective, it must be perceived by the patient.47 Whether patients perceive a trainee as empathetic should be an important standard for these interventions. 

    • Mercer and Reynolds48 has developed a promising empathy tool for measuring patients’ perceptions. It asks patients to rate their physician on 10 aspects of the medical interaction, such as ‘‘How was the doctor at . . . showing care and compassion . . . seeming genuinely concerned, connecting with you on a human level; not being indifferent or ‘detached’?’’  This new, validated instrument has a broad definition of empathy and may play an important role in future empathy research. It has not yet been used in studies of medical students or in assessing whether empathy-enhancing interventions are effective.


이러한 연구에서 개별 환자 특성은 무시된다. 환자의 나이, 성별, 민족성, 질병 상태 또는 질병의 심각성이 학생들의 공감 능력에 영향을 미칠지 여부를 다룬 연구는 없었다. 몇몇 저자들은 여학생들이 공감 점수가 더 높다고 평가하지만, 환자의 성별이 중요한지에 대해서는 더 깊이 조사하지 않았다. 어떤 저자도 연령, 성별, 인종 또는 사회경제적 지위의 학생과 환자 사이의 일치성이 공감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지 조사하지 않았다.

Individual patient characteristics are ignored by these studies. No study addressed whether the patient’s age, gender, ethnicity, disease state, or severity of illness might impact the student’s ability to be empathetic. Several authors note that female students score higher on empathy scales24,38,40,41,49,50 but do not delve further into whether the gender of the patient matters. No author examined whether congruence between the student and patient in age, gender, ethnicity, or socioeconomic status might affect empathy, though these seem likely to have a major impact.


공감에 대한 개념적 명확성의 결여도 이러한 연구들의 제한점이다많은 저자들은 임상적 공감이 다차원적이라고 강조하는데, 이는 감정적, 도덕적, 인지적, 행동적 차원의 상호작용을 요구한다.19–22,24 그러나 검토된 연구 중 3개만 그들의 교수 철학이나 평가 전략에 이것을 명시한다. 마찬가지로, 공감에 대한 여러 연구자들이 공감과 동정을 구분하는 데 관심있지만, 특정 교육적 개입을 조사한 저자는 자신의 연구에 참여하는 학생, 강사 또는 평가자에게 이러한 구분을 명확히 하기 위한 노력을 논하지 않는다. 또한, 학생들은 자기 평가에 대해 이러한 구별을 할 수 없을 것이며, 관찰자들은 환자와의 짧은 상호작용을 평가할 때 대상자가 공감하는 것인지 아니면 감정적인 공감의 차원을 보여줄 것인지를 결정하지 못할 것 같다. 그러나, 공감과 동정의 상관관계가 있을 수 있으므로, 이 용어들 사이의 개념적 혼란은 실질적인 중요성을 갖지 못할 수 있다.

The lack of conceptual clarity about empathy also limits these studies. Many authors emphasize that clinical empathy is multidimensional, requiring the interaction of emotive, moral (which we would rename motivational), cognitive, and behavioral dimensions.19–22,24 Yet only 3 of the reviewed studies32,40,44 make this explicit in their teaching philosophy or evaluation strategies. Similarly, while the distinction between empathy and sympathy is discussed by various authors interested in promoting empathy,20,21,24 none of the authors who examined specific educational interventions discuss efforts to make this distinction clear to the students, instructors, or evaluators participating in their studies. Further, students are unlikely to make this distinction on self-evaluation, and observers are unlikely to determine whether a subject displays sympathy or the emotional dimension of empathy when evaluating a brief interaction with a patient. However, as sympathy and empathy may be correlated,24 the conceptual confusion between these terms may not have practical importance.


우리는 의대생에 대한 공감과 관련된 구체적인 연구과제는 의료실무에서 임상적 공감을 촉진하기 위한 근본적인 동기를 재검토하는 것에서부터 시작되어야 한다고 믿는다. 의사의 공감이 환자 만족도 증가, 의료 권고사항 준수, 임상 결과 및 전문적 만족도 증가와 관련이 있다는 제안이 있지만, 여기에 관한 body of evidence는 거의 확정적이지 않다. 

We believe that a specific research agenda regarding empathy for medical students should begin by re-examining the underlying motivations for promoting clinical empathy in medical practice. While there are suggestions that physician empathy is correlated with increased patient satisfaction, adherence to medical recommendations, clinical outcomes, and professional satisfaction,2–11,13,14 this body of evidence is hardly conclusive. 


의학분야Medicine 특이적 validated 측정 도구를 사용하여 연구자들은 의사 공감의 어떤 구성요소가 환자 만족도, 임상 결과 및/또는 의사의 웰빙을 향상시키는지 연구할 수 있을 것이다. 여기에는 JSPE와 같은 의사 감정이입의 인지적 및 동기적 측면 평가도구(예: 의사 공감의 척도), Mercer's Consultation and Relational Empathy Measure와 같은 환자가 인지하는 공감하는 행동을 평가하는 도구 등이 있다.

Using a validated, medicine-specific measurement tool that assesses the cognitive and motivational dimensions of physician empathy such as the Jefferson Scale of Physician Empathy,51 and a tool that evaluates empathetic behaviors as perceived by patients such as Mercer’s Consultation and Relational Empathy Measure,48 researchers could tease out what components of physician empathy improve patient satisfaction, clinical outcomes, and/or physician well-being. 


그러한 연구는 실제로 공감을 조사하여, 교육자들이 가르칠 때 공감의 어떤 차원(감정적, 동기적, 인지적 또는 행동적)에 초점을 맞춰야 하는지를 이해할 수 있게 해줄 것이다. 또한 그러한 연구는 공감을 가르치려는 노력이 특정 학생이나 특정한 도전적인 임상 상황을 목표로 해야 한다는 것을 보여줄 수 있다. 예를 들어, 의사와 환자 사이의 연령 차이나 사회경제적 지위의 차이는 공감에 특별히 주의를 기울여야 하는 상황일 수 있다.

Such studies examining empathy in practice would allow educators to understand whether they should focus on emotive, motivational, cognitive, or behavioral dimensions of empathy when teaching. Additionally, such studies might show that efforts to teach empathy should be targeted to specific students or toward specific challenging clinical situations. For example, a disparity in age or socioeconomic status between physician and patient might be a situation that requires special attention to empathy.




CONCLUSION




Review

 

, 21 (5), 524-30
 

Educating for Empathy. A Review

Affiliations 

Affiliation

  • 1University of Washington School of Medicine, Seattle, WA, USA.

Abstract

Objective: Empathy in the medical setting is appreciation of the patient's emotions and expression of that awareness to the patient. Named as an essential learning objective by the American Association of Medical Colleges, empathy is believed to significantly influence patient satisfaction, adherence to medical recommendations, clinical outcomes, and professional satisfaction.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effective strategies to enhance empathy in undergraduate medical students.

Data sources: We searched PubMed for studies that address the effectiveness of strategies for teaching empathy to medical students. We identified 13 peer-reviewed, English language,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studies reporting primary data on interventions that aim to foster empathy in undergraduate medical students, using Medical Subject Heading terms education, medical, undergraduate or student, medical crossed with empathy.

Results: These studies indicate that empathy may be amenable to positive change with a range of interventional strategies. Communication skill workshops addressing the behavioral dimension of empathy show greatest quantitative impact on participants. However, current studies are challenged by varying definitions of empathy, small sample sizes, lack of adequate control groups, and variation among existing empathy measurement instruments.

Conclusion: Given the methodological limitations of the available studies, and uncertainty about which dimensions of empathy should be addressed, larger studies using validated measurement tools are recommended.


의과대학생의 비전문직업적 행동UPB 프로파일의 2차원 모델(Adv Health Sci Educ Theory Pract, 2019)

Developing a two‑dimensional model of unprofessional behaviour profiles in medical students

Marianne C. Mak‑van der Vossen1 · Anne de la Croix1,2 · Arianne Teherani3 · Walther N. K. A. van Mook4 · Gerda Croiset5 · Rashmi A. Kusurkar1






도입

Introduction


의대생들의 전문직업적 성과를 평가하는 것은 어렵고 민감한 활동이다(Veloski et al. 2005; Ginsburg et al. 2009). 교육자들이 성적이 저조한 학생들을 낙제시키지 못하는 결과를 초래하는 경우가 많다(Yepes-Rios et al. 2016). Underperforming students를 파악하지 못할 경우, 성적 향상을 돕기 위한 지원을 제공할 수 없다(Ellaway et al. 2017). 의대생들의 열악한 전문직업적 성과를 쉽게 파악할 수 있는 연구기반 도구를 만들고, 교사가 어떤 어려움도 극복하기 위해 추가 지도에서 혜택을 받을 수 있는 학생들을 인정하도록 돕는 것이 학부 의대교육의 중요성이 있을 것이다(Arnold 2002; Hodges et al. 2011).

Evaluating medical students’ professional performance is a difficult and sensitive activity (Veloski et al. 2005; Ginsburg et al. 2009). It often results in educators’ failure to fail underperforming students (Yepes-Rios et al. 2016). When underperforming students are not identified, they cannot be offered assistance to help them improve their performance (Ellaway et al. 2017). It would be important for undergraduate medical education to create research-based tools to facilitate identification of poor professional performance of medical students, and help teachers recognize students who may benefit from extra guidance in order to overcome any difficulties (Arnold 2002; Hodges et al. 2011).


의대생들의 문제행동을 조기에 발견하고 교정하는 것이 필수적이다(Papadakis et al. 2005). 현재의 문헌은 이러한 학습자에게 피드백을 제공하고 교정조치가 필요한 학생을 식별하기 위해 전문적이지 않은 행동을 하는 학생을 탐지하는 전략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학생들의 비전문적 행동의 서술자 및 범주에 주의를 기울였는데, 여기에는 참여 부족, 정직성 결여, 타인과의 상호작용 문제, (피드백에 응답하지 않는 것을 포함하여) 서투른 자기인식 등이 포함된다(테헤라니 외). 2009; Mak-van der Vossen et al. 2017).

Early detection and remediation of poor performance of medical students is essential (Papadakis et al. 2005). Current literature has focused on strategies to detect students who behave unprofessionally, aiming to provide feedback to these learners and to identify students who need remediation. Attention has been given to descriptors and categories of students’ unprofessional behaviours, which include poor engagement, lack of integrity, poor interaction with others, and poor self-awareness, including not responding to feedback (Teherani et al. 2009; Mak-van der Vossen et al. 2017).


표준화된 내러티브나 프로파일이 보더라인 퍼포먼스를 보이는 레지던트에 대한 교직원의 의견을 효과적으로 나타낼 수 있다는 연구 증거가 있다(Regehr et al. 2012). 이전의 연구에서는, 학부 의대 교사들이 비전문적 행동을 식별하도록 돕기 위해, 학부 학생들을 위해 그러한 프로파일을 작성했다(Mak-van der Vossen et al. 2016). 이 이전의 연구는 세 가지 방법론적 단계로 구성되었다: 

  • 첫째로, 전문적이지 않은 행동의 본보기를 만들기 위해 문헌을 검토하였다. 

  • 두 번째 단계에서는 학생의 비전문적 행동을 이 템플릿을 사용하여 채점하고 이후 Latent Class Analysis를 사용하여 그룹화했다. (최전방(의사) 교육자가 첨부 종료 평가 양식과 같은 형태로)

  • 마지막 단계에서, 각 클래스에는 해당 클래스의 프로토타입 평가 양식에 대한 서술적 정보에 기초한 설명이 제공되었다. 

Research evidence shows that standardized narratives or profiles can effectively represent faculty opinions of residents with borderline performance (Regehr et al. 2012). In our earlier work, we generated such profiles for undergraduate students, in an attempt to aid undergraduate medical teachers to identify unprofessional behaviour (Mak-van der Vossen et al. 2016). This previous study consisted of three methodological steps: 

  • firstly, the literature was reviewed to construct a template of unprofessional behaviours. 

  • In the second step, students’ unprofessional behaviours, as described by frontline (physician) educators on end-of-attachment evaluation forms, were scored using this template, and subsequently grouped using Latent Class Analysis. 

  • In the last step, each class was provided with a description based on the narrative information on the evaluation forms of prototypes of that class. 


우리는 전문적이지 않은 행동으로 인용된 학생들의 행동을 과대평가한 세 가지 다른 수업이나 프로필을 발견했다. 프로필은 다음과 같았다: 

  • 낮은 신뢰성, 

  • 낮은 신뢰성, 낮은 통찰력, 

  • 낮은 신뢰성, 낮은 통찰력, 낮은 적응력. 

We found three different classes or profiles that hypothetically describe the behaviours of students who are cited for unprofessional behaviour. The profiles were: 

  • Poor reliability, 

  • Poor reliability and poor insight and 

  • Poor reliability, poor insight and poor adaptability. 


세 가지 프로파일의 내용에 기초하여, 세 가지 프로파일 사이의 구별 변수는 자기반성과 적응성을 위한 용량(그림 1과 온라인 부록 #1 참조)으로 기술되었다(Mak-van der Vossen et al. 2016).

Based on the content of the three profiles, the distinguishing variable between the three profiles was described as the Capacity for self-reflection and adaptability (see Fig. 1 and online appendix #1) (Mak-van der Vossen et al. 2016).




전문 교사들의 관점을 추가하면 이론적 개념에 경험 기반 계층을 추가하기 때문에 최종 모델이 실제로 사용될 가능성이 더 높아질 것이다(Pajares 1992; Turner 등). 2009). 전문가의 관점을 통합하는 접근방식은 합의된 그룹 방법의 사용이다. 컨센서스 그룹 방법은 일반적인 합의를 수집하기 위한 체계적인 수단을 제공하며, 지식 있는 참여자의 경험을 추가하여 연구로부터 불완전한 경험적 증거를 강화하는 데도 사용할 수 있다(Humphrey-Murto et al. 2017).

Adding expert teachers’ perspectives will make it more likely that the final model will be used in practice because of the addition of an experience-based layer to a theoretical concept (Pajares 1992; Turner et al. 2009). An approach to incorporating experts’ perspectives is the use of consensus group methods. Consensus group methods offer a systematic means to gather general agreement, and can also be used to strengthen incomplete empirical evidence from research by adding experience of knowledgeable participants (Humphrey-Murto et al. 2017).



방법

Methods


연구 설계

Study design


전문가 패널 방법이라고도 하는 명목 그룹 기술(NGT)을 채용하였으며(Humphrey-Murto et al. 2017; Waggoner et al. 2016) 이를 전문가 패널 토론의 주제 분석과 결합하였다(Ho et al. 2011). NGT에서, 회의 참가자는 특정 개념에 대한 그들의 관점을 공유하고 토론한 후, 이 개념에 대한 그들의 생각을 독립적으로 순위를 매긴다. NGT는 참가자가 조사 영역의 지식 있는 대표자이고, 실제 경험을 가지고 있으며, 다양한 환경에서 왔기 때문에 외부의 영향 없이 진정한 전문가의 의견을 밝히는 데 도움이 된다. 다른 합의 방법(델파이 기법 등)보다 NGT를 선택했는데, 이는 더 많은 아이디어의 발생으로 이어지기 때문이다(Humphrey-Murto et al. 2017). 더욱이, 참가자들이 서로 이러한 생각을 토론함에 따라, 각 참여자들은 유사한 전문지식을 가진 동료들과의 상호작용과 토론에 기초하여 소개된 모든 아이디어에 대한 개인적인 의견을 확립할 수 있다. 이 분야에서 인정받는 전문가여야 할 강력한 조력자가 회의를 주재하여 일부 참가자가 지나치게 그룹 토론을 지배할 가능성을 완화시킨다. NGT의 순위 절차는 최종 순위가 개별적으로 그리고 개인적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민주적인 결과를 보장한다.

We employed Nominal Group Technique (NGT), also called expert panel method, (Humphrey-Murto et al. 2017; Waggoner et al. 2016) and combined this with thematic analysis of expert panel discussions (Ho et al. 2011). In NGT, participants in a meeting share and discuss their perspectives on a certain concept and subsequently independently rank their ideas about this concept. NGT helps to reveal authentic expert opinion without any outside influence, since participants are knowledgeable representatives of the area of inquiry, have practical experience, and come from diverse settings. We selected NGT over other consensus methods (such as a Delphi technique) because it leads to generation of a larger number of ideas (Humphrey-Murto et al. 2017). Furthermore, as participants discuss these ideas among each other, each participant can establish their personal opinions about all introduced ideas based on interaction and discussion with colleagues with similar expertise. A strong facilitator, who should also be a recognized expert in the field, chairs the meeting, mitigating the potential for some participants to unduly dominate the group discussion. The ranking procedure in NGT ensures a democratic result, since final ranking takes place individually and privately.


성찰성

Reflexivity


이 연구는 참여자와 연구자의 살아 있는 경험에 기초하여 지식이 활발히 구성되고, 그들에 의해 그들의 상호작용과 관계의 산물로 공동작성되는 구조성의적 패러다임을 사용하여 설정되었다(Corbin과 Strauss 2008). 이 선택의 의미는 우리의 방법이 참여자, 연구자 및 연구된 현상 간의 상호작용과 담론을 허용해야 한다는 점이었고, 이는 NGT와 주제 분석 방법을 선택하고 이 둘을 결합하도록 만들었다(Varpio et al. 2017). 

This study was set up using a constructivist paradigm, in which knowledge is seen as actively constructed based on the lived experiences of participants and researchers alike, and co-created by them as the product of their interactions and relationships (Corbin and Strauss 2008). The implication of this choice was that our method had to allow for interaction and discourse between participants, researchers and the studied phenomenon, which led us to choose the NGT and thematic analysis methods, and combine these two (Varpio et al. 2017). 


구성주의적 패러다임을 사용하는 것의 또 다른 의미는 참여자들과 연구자들이 이 연구의 결과를 공동으로 만들었음을 인정해야 한다는 것이다. 최종 결과는 참여자들과 연구자들 사이의 공유된 지식과 일상적인 경험에 대한 상호작용과 토론에서 비롯된다.

Another implication of using the constructivist paradigm is that we must acknowledge that participants and researchers co-created the outcomes of this study: the final results originate from the interaction and discussion among participants and researchers about their shared knowledge and day-to-day experiences.


절차 및 참가자

Procedures and participants


2016년 10월부터 2018년 1월 사이에 네덜란드 각 의과대학의 전문가 패널과의 회의를 통해 양적·질적 자료를 수집했다. 각 학교에서는 네덜란드 의학 교육 협회(NVMO)의 프로페셔널리즘에 관한 국가 특별 이익 그룹의 구성원의 도움을 받아 전문가 패널 회의가 하나씩 조직되었다. 이러한 구성원들은 적어도 3년 동안 비전문적 행동을 가진 학생들의 평가 및/또는 교정조치를 담당한 의료 교육자로 정의되는 전문 행동 전문가를 학교에 초빙했다. 이 회원은 그들에게 소위 스노우볼 샘플링이라고 불리는, 참가 자격이 있는 전문가들의 다른 이름을 언급할 수 있는지 물었다. 이 개인들은 추가로 참여하도록 초청되었다. 

Between October 2016 and January 2018, we collected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data through meetings with panels of experts from different medical schools in the Netherlands. In each school one expert panel meeting was organised with the help of a member of the national Special Interest Group on Professionalism of the Netherlands Association for Medical Education (NVMO). These members invited professional behaviour experts at their school, defined as medical educators who had been responsible for the assessment and/or remediation of students with unprofessional behaviour for at least three years. The member asked them if they could mention any other names of experts who would be eligible to participate, so called snowball sampling (Berg 1998). These individuals were additionally invited to participate. 


NVMO 회원은 전문가들의 가용성에 근거하여 회의를 조직했다. 참가자는 다양한 환경에서 다양한 관점과 전문지식 관점을 포함하기 위해 임상 및 임상 학부 의학의 교육 중 하나 또는 둘 다에 대한 지식과 실제 경험을 목적으로 표본 추출되었다. 이 전문가들은 정규 일선 교사들보다 훨씬 더 자주 비전문적으로 행동하는 학생들과 접촉해 왔다. 전문가들은 비전문적으로 행동하는 학생들과 직면해 있다. 따라서, 그들은 그러한 학생들의 지도에서 특정한 경험을 발전시켰다. 

The NVMO member organized a meeting based on the availability of the experts. The participants were purposively sampled for their knowledge and practical experience, either or both in preclinical and clinical undergraduate medical education, to include a wide range of viewpoints and expertise perspectives from different settings. These experts had been in contact with students who behaved unprofessionally much more frequently than regular frontline teachers; the experts are confronted with a selection of students who have shown to behave unprofessionally. Thus, they had developed a specific experience in the guidance of such students. 


모든 참가자는 절차에 동의했고, 최종 일정은 가용성에 기초했다. 표본 크기는 연구를 앞두고 결정되지 않았다. 우리는 데이터의 충분성을 목표로 했는데, 이는 데이터가 연구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을 만큼 충분히 풍부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Varpio et al. 2017). 그 자료의 충분성은 전체 연구팀에서 합의에 도달함으로써 결정되었다.

All participants agreed with the procedures, and final scheduling was based on availability. The sample size was not determined ahead of the study. We aimed for sufficiency of the data, meaning that the data should be rich enough to accomplish the aim of the study (Varpio et al. 2017). The sufficiency of the data was determined by reaching consensus in the full research team.



자료 분석

Data analysis


A. 순위 결과

A. Ranking results


그룹 아이디어와 각 전문가 패널 회의에서 도출된 순위는 기존 프로필을 정비하는 데 대한 그룹 합의를 나타냈다(그림 1과 온라인 부록 1 참조). MM과 AdlC는 5개 그룹 모두의 그룹 아이디어를 최종 아이디어로 합성했는데, 이 아이디어는 전체 연구팀에 의해 확인되었다. 최종 아이디어의 순위는 각 그룹 아이디어에 대해 모든 참가자의 순위를 합산하여 설정되었으며, 모든 포인트의 백분율로 제시되었다.

The group ideas and the ranking originating from each expert panel meeting represented the group consensus about refining the pre-existing profiles (see Fig. 1 and online appendix #1). MM and AdlC synthesized the group ideas from all five groups into final ideas, which were confirmed by the full research team. The ranking of the final ideas was established by adding up the rankings from all participants for each group idea, and presented as the percentage of all points.


B. 질적 자료

B. Qualitative data


C. 기존 프로필 개념을 최종 모델로 개발

C. Developing the pre-existing profiles concept into a final model


D. 회원 조회

D. Member checking


결과

Results


1차 결과

Primary results


A. NGT 공정 순위 결과

A. NGT process ranking results


5개 그룹은 162개의 개별적인 아이디어를 만들어냈다. 참가자들 사이에서 토론과 순위를 매긴 후, 이 아이디어들 중 37개만이 적어도 한 표 이상을 얻었다. 37개의 아이디어 중 일부는 매우 비슷하여, 다른 그룹의 그룹 아이디어를 10개의 최종 아이디어로 통합시켰다. 세 가지 가장 우선순위가 높은 최종 아이디어는 합쳐서 모든 점수의 60%를 받았다. 프로세스를 생성하고 최종 아이디어로 순위를 매기는 아이디어는 그림 2를 참조하십시오.

The five groups generated 162 individual ideas. After debating and ranking among the participants, only 37 of these ideas got at least one vote. Some of the 37 ideas were very similar, leading to a synthesis of the group ideas from different groups into ten final ideas. Combined, the three most prioritized final ideas received 60% of all points. See Fig. 2 for the idea generating process and ranking into final ideas.



B. 전문가 패널 회의의 주제 분석

B. Thematic analysis of the expert panel meetings


(1) 프로파일과 프로파일을 구분하는 변수, (2) 시간에 따른 프로파일의 동적 특성, (3) 프로페셔널하지 못한 행동에 대한 인과 요인의 세 가지 주요 주제를 찾아냈다. 이 세 가지 주제는 아래에서 논의될 것이다. 

We found three main themes: (1) The profiles and the variable that distinguishes between profiles, (2) The dynamic nature of the profiles over time, and (3) Causal factors for the unprofessional behaviour. These three themes will be discussed below. 


(1) 프로파일과 프로파일을 구분하는 변수

(1) The profiles and the variable that distinguishes between profiles


(2) 프로파일의 동적 특성

(2) The dynamic nature of the profiles


(3) 비전문적 행동의 원인

(3) Causes for unprofessional behaviour


개인적인 사정

Personal circumstances


교육적 맥락에서 본 상황

Circumstances from the educational context


문화적 차이

Cultural differences


표 1에서 NGT-프로세스의 최종 아이디어 10개를 전문가 패널 회의의 인용문으로 예시한다.

In Table 1 the ten final ideas from the NGT-process are illustrated with quotes from the expert panel meetings.



C. 최종 모델 개발

C. Development of the final model


우리는 10가지 아이디어를 통합하여 기존 개념에서 프로파일을 구분하는 변수와 프로파일을 개선하고, 사본의 주제 분석 결과에 세심한 주의를 기울였다. 이 개정 내용은 표 2에 설명되어 있다.

We incorporated the ten ideas to improve the profiles and the variables that distinguish between the profiles in the pre-existing concept, paying close attention to the results of the thematic analysis of the transcripts. These amendments are described in Table 2.



전문가 패널 회의에서 가장 높은 순위의 아이디어는 성찰성과 적응성이 두 가지 구별되는 변수라는 것이었다. 이 때문에 우리는 두 변수로 구별되는 네 개의 프로파일의 2차원 모델을 고안하게 되었다(그림 3 참조). 기존의 프로파일은 우리의 참여자들에 의해 어떤 신뢰성도 정상적인 행동으로 보여지지 않으며, 직업적이지 않은 행동이 우발적으로 발생할 수 있다는 것을 반영한다. 학생이 직업적이지 않은 행동을 인정하고, 그것을 통해 배울 수 있다는 것을 증명하는 것은 중요하다. 따라서 이 프로파일은 최종 모델에서 우발적인 행동으로 설명된다. 기존의 프로파일은 신뢰성이 없고, 어떤 통찰력도 두 개의 별도 프로파일로 나누지 않았다. 한편으로는, 적응할 가능성이 없는 학생의 통찰력을 나타내는 학생들의 행동도, 고군분투하는 행동으로 묘사된 최종 모델에서 나타난다. 반면에, 시스템 게임 행위로 묘사된 최종 모델에서, 통찰력이 부족함에도 불구하고 개선을 보여주는 학생들의 행동. 기존의 프로파일은 신뢰도, 통찰력, 적응력 등이 없으며, 시간이 지남에 따라 반영성이나 적응력을 보여주지 않고 비전문적 행동을 보이는 학생을 기술하는 것은 변경되지 않았다. 최종 모델에서 이 프로파일은 경멸하는 행위로 묘사된다.

  • 기존의 프로필 "신뢰성이 없음"은 참여자들에 의해 정상적인 행동으로 보여지며, 비전문적 행동이 우발적으로 발생할 수 있음을 반영한다. 학생이 직업적이지 않은 행동을 인정하고, 그것을 통해 배울 수 있다는 것을 증명하는 것은 중요하다. 따라서 이 프로파일은 최종 모델에서 우발적인 행동으로 설명된다. 

  • 기존 프로파일 "신뢰성, 통찰력 없음"은 두 개의 별도 프로파일로 구분되었다. 

    • 한편으로는, 적응할 가능성이 없는 학생의 통찰력을 나타내는 학생들의 행동도, 고군분투하는 행동으로 묘사된 최종 모델에서 나타난다. 

    • 반면에, 시스템 게임 행위로 묘사된 최종 모델에서, 통찰력이 부족함에도 불구하고 개선을 보여주는 학생들의 행동. 

  • 시간이 지남에 따라 반사성이나 적응성을 보여주지 않고 비전문적 행동을 보이는 학생을 기술하는 기존의 프로파일 "신뢰성, 통찰력, 적응성 없음"은 변경되지 않았다. 최종 모델에서 이 프로파일은 경멸적 행위로 묘사된다.


The highest ranked idea from the expert panel meetings was that reflectiveness and adaptability are two distinct distinguishing variables. This prompted us to devise a two-dimensional model of four profiles distinguished by two variables (see Fig. 3). 

  • The preexisting profile no reliability is seen by our participants as normal behaviour, reflecting that unprofessional behaviour can accidentally happen. It is important that the student acknowledges the unprofessional behaviour, and demonstrates that he or she can learn from it. This profile is thus described as accidental behaviour in the final model. 

  • The pre-existing profile no reliability, no insight has been divided in two separate profiles. On the one hand, students’ behaviour that indicates a student’s insight without the possibility to adapt, in the final model described as struggling behaviour

  • On the other hand, students’ behaviour that show improvement, despite lacking insight, in the final model described as gaming-the-system behaviour

  • The pre-existing profile no reliability, no insight and no adaptability, describing a student displaying unprofessional behaviour without showing reflectiveness or adaptability over time, has not been changed. In the final model this profile is described as disavowing behaviour.




D. 회원 확인 결과 유효성 확인

D. Validation of the results by member checking


고찰

Discussion


본 연구의 목적은 다양한 맥락에서 전문직업성 전문가의 의견을 추가하여 기존의 연구 기반 개념을 구체화하여 학부 의대생들의 비전문적 행동 프로파일을 위한 모델을 개발하는 것이었다. 전문가 패널 회의에 참여하는 전문가 교육자들은 기존의 개념을 개선하기 위한 10가지 아이디어를 제안하였다. 결과는 프로필을 구별하는 변수가 반사성과 적응성임을 나타낸다. 게다가, 두 가지 추가적인 프로파일이 나타났다. 바로 게임-시스템 행동과 고군분투하는 행동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refine a pre-existing research-based concept by adding opinions of professionalism experts from different contexts, thus developing a model for unprofessional behaviour profiles of undergraduate medical students. Expert educators participating in expert panel meetings collectively proposed ten ideas to improve the pre-existing concept. The results indicate that the variables discriminating the profiles are reflectiveness and adaptability. Furthermore, two additional profiles emerged: gaming-the-system behaviour and struggling behaviour.


전문가들은 프로필의 유동성을 강조했는데, 이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학생들이 한 프로필에서 다른 프로필로 이동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놀랍게도, 전문적이지 않은 행동에 대한 구체적인 서술적 서술은 전문가들에게 중요하지 않은 것처럼 보였다. 우리는 이 연구 결과를 사용하여 네 개의 프로파일과 두 개의 구별 변수를 가진 최종 모델을 구성했다. 이 최종 모델은 의료 교육자가 학부생들의 비전문직업적 행동을 인식하도록 유도하여 전문성 역량이 부족한 학생을 쉽게 식별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또한 최종 모델은 학습자가 추가 훈련을 받지 못하도록 교정하거나 해고하는 의사결정 과정을 지원할 수 있다.

Experts stressed the fluidity of the profiles, which means that students can move from one profile to another over time. Surprisingly, specific narrative descriptions of unprofessional behaviours appeared not to be important to the experts. We used these findings to construct a final model of four profiles and two distinguishing variables. This final model should guide medical educators to recognize unprofessional behaviours of undergraduate students, thus facilitating the identification of students who underperform in the competency of professionalism. The final model could also support the decision-making process to remediate or dismiss learners from further training.


프로필을 구별하는 두 가지 변수는 성찰성과 적응성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성찰 능력이 전문적 행동에 대한 합격과 불합격 사이의 임계값을 설명하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한다는 이전의 연구 결과를 확인시켜 준다(Kalet et al. 2016, 2017; Hoffman et al. 2016) 이러한 초기 연구 결과에 적응성도 재교육을 할 것인지 제적할 것인지에 대한 의사결정 과정의 중요한 지침이 된다는 점을 추가한다. 그러나 여전히 남아 있는 질문은 "이 두 변수는 독립적인가, 아니면 서로 영향을 미치는가?"이다.

The two variables discriminating between the profiles appeared to be reflectiveness and adaptability. This confirms earlier findings that reflective ability plays a role as a determinant for describing the thresholds between pass and fail for professional behaviour (Kalet et al. 2016, 2017; Hoffman et al. 2016) We add to these earlier findings that adaptability is also an important guiding factor in the decision-making process on remediation strategies or dismissal. A question that still remains is: “Are these two variables independent, or do they influence each other?”


두 개의 새로운 프로파일이 설명되었다. 

  • 첫 번째 새로운 프로파일은 시스템 게임 행동의 프로파일이었다. 전문가들은 교사들이 분명히 이러한 행동을 인식하기 어렵기 때문에 이러한 행동을 감지하기 어렵다고 표현했다. 시스템적 행동은 전문성의 가치를 개인적으로 내재화하지 않고 외부 규범에 근거한 바람직한 직업적 행동을 보여주는 것으로 보인다. 이것은 시스템의 조작 또는 게임 행위가 전문성이 없는 것인지, 또는 학습 과정의 문턱 단계인지를 질문한다(Neve et al. 2016). 아니면 의과교육이라는 고도로 도전적인 환경 속에서 학생들이 탈진으로부터 자신을 보호하는 방법일까. 우리의 연구결과는 이 상황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의 중요성을 보여준다. 학습자가 그것이 목적을 위한 수단이라는 것을 알고 있는 한, 효과적인 전략이 될 수 있을 때까지 페이크할 것이다(Larson과 Yao 2005; Patel et al. 2018). 

  • 두 번째 프로필, 군분투하는 행동은 의료 교육 문헌에서 많이 인정받고 있다(Dyrby et al. 2010). 또한 이 경우, 학생의 상황 인식이 더욱 발전하기 위해 매우 중요해 보인다.

Two new profiles were described.

  • The first new profile was the profile of gaming-the-system behaviour. Experts expressed that this behaviour is difficult to detect, since teachers obviously find it difficult to recognize this behaviour. Gaming-the-system behaviour seems to be the display of desired professional behaviour based on external norms, without having personally internalized the values of professionalism. This brings up the question if faking or gaming-the-system behaviour is unprofessional, or a threshold phase in the learning process (Neve et al. 2016). Or is it a way that students protect themselves from burn-out in the highly challenging environment of medical education? Our findings indicate the importance of the students’ awareness of this situation. Fake it till you make it can be an effective strategy, as long as the learner is aware that it is a means to an end (Larson and Yao 2005; Patel et al. 2018). 

  • The second new profile, struggling behaviour is widely acknowledged in the medical education literature about burnout (Dyrbye et al. 2010). Also in this case, the student’s awareness of the situation seems crucial for further development.


전문가들은 학생들이 시간이 지남에 따라 한 프로필에서 다른 프로필로 이동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우리의 연구결과는 성찰력과 적응력이 전문성 결여의 심각성에 대한 결정을 내릴 때 고려해야 할 중요한 측면이라는 것을 보여준다. 피드백에 대한 학생들의 반응과 그 후의 개선은 어떤 프로필이 적합한지fitting 확인하는 것의 일부분이다. 교사들은 전형적으로 스냅 사진을 찍고, 그에 따라 행동한 후, 선택한 프로필을 확인하거나 수정하기 위해 학생의 성적을 재평가한다. 학생들의 프로필은 역동적일 뿐만 아니라, 그것에 대한 교육자들의 의견도 다양하다. 이것은 다른 교육자에 대한 평가를 결합하여 일정 기간 동안 성과를 평가하는 프로그램적 평가 방법이 필요함을 의미한다(Van der Vleuten과 Schuwirth 2005). 이는 또한 교정조치 활동이 정상적인 교육 과정의 일부여야 하며 의료 교육 프로그램에 통합되어야 함을 의미한다(Kalet et al. 2017).

Experts stressed that students can move from one profile to another over time. Our findings indicate that reflectiveness and adaptability are important aspects to consider in making decisions about seriousness of the professionalism deficiency. Students’ response to feedback, and improvement thereafter is part of establishing the fitting profile. Teachers typically take a snapshot, act accordingly, and later re-evaluate the student’s performance to ascertain or modify the profile chosen. Possibly, not only students’ profiles are dynamic, but also educators’ opinions about them. This warrants the programmatic assessment method, in which performance is assessed over a period of time, by combining assessments of different educators (Van der Vleuten and Schuwirth 2005). This also implies that remediation activities should be part of the normal educational process, and integrated in the medical education program (Kalet et al. 2017).


구체적인 행동들에 대한 서술은 문제 행동들을 잘 구분해주지 않는 것discriminative으로 보인다. 아마도 초기 프로파일과 함께 제공된 서술적 서술은 너무 상세하고 맥락에 따라 달라지기 때문일 것이다. 행동에만 치중하는 듯한 일선 교사들과는 달리 전문 교사들은 학생들의 성찰과 향상에 더 많은 관심을 기울인다. 이 발견은 행동, 행동의 귀속성 및 행동의 결과를 가지고 설명하는 detecting underperformance에 관한 기존 문헌에 공헌한다. 우리의 연구결과는 성찰성이 전문성 우려와 관련이 있다는 것을 입증한다(Hoffman et al. 2016). 우발적인 비전문적 행동은 문제가 되지 않지만, 관찰된 비전문적 행동에 대한 피드백 후 성찰의 부족과 개선의 부족은 학생이 교정조치를 필요로 하는 지표로 간주된다.

Descriptions of specific behaviours turned out to not be discriminative. Possibly the narrative descriptions that came with the initial profiles were too detailed and context-specific. In contrast with frontline teachers, who seem to focus on behaviours, expert teachers pay more attention to students’ reflectiveness and improvement. This finding is a contribution to the existing literature about detecting underperformance, in which behaviours, attributions for behaviours and consequences of behaviours have been described (Teherani et al. 2009; Ginsburg et al. 2009; Guerrasio et al. 2014). Our findings confirm that reflectiveness is related to professionalism concerns (Hoffman et al. 2016). Accidental unprofessional behaviour is not seen as problematic, but a lack of reflectiveness and a lack of improvement after feedback on observed unprofessional behaviour are seen as indicators that a student needs remediation.


기존 개념은 일선(의사)-교사의 평가 양식에 대한 전문적 행동 평가에 기초하였으며, 프로필의 최종 모델은 전문 교수진의 의견을 바탕으로 하였다. 우리는 기존의 개념과 최종 모델의 차이가 전문적이지 않은 행동을 인식하는 과정의 여러 단계에서 학생의 비전문적 행동에 대한 [일선(의사) 교육자]와 [전문가]의 접근방식 차이에 의해 설명될 수 있을 것이다(표 3 참조).

The pre-existing concept was based on frontline (physician)-teachers’ evaluations of professional behaviour on evaluation forms, and the final model of profiles is based on opinions of expert faculty. We hypothesize that the differences between the pre-existing concept and the final model could be explained by the different approaches of frontline (physician)-educators and experts to students’ unprofessional behaviour, in several phases of the process of recognizing unprofessional behaviour (see Table 3).



한계

Limitations


교육 및 향후 연구에 대한 시사점

Implications for education and future research


프로필은 일선 교사들에게 유용할 수 있다. 왜냐하면 특정 프로필의 식별은 교사 과정이 끝난 후 추가적 지침guidance을 위해 학생을 추천할 필요가 있는지를 결정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기 때문이다. 일선 교사들은 신뢰성 문제뿐 아니라 전문 교수진의 전문성 필수 요소로 꼽히는 학생의 성찰력과 적응력에도 초점을 맞춰야 한다. 이러한 프로파일은 교정조치가 적용된 후 교정조치의 감시를 받은 개인이 학생의 개발, 특히 학생들의 성찰성과 적응성을 따르는 데 유용할 수 있다.

The profiles can be useful for frontline teachers because identification of a certain profile can help to decide if a student needs to be referred for further guidance after the teacher’s course has been finished. Frontline teachers should not only focus on reliability issues, but also on a student’s reflectiveness and adaptability, which are seen as essential aspects of professionalism by expert faculty. The profiles can be useful for individuals with remediation oversight to follow the student’s development after remediation has been applied, especially students’ reflectiveness and adaptability.


교육 연구자들은 프로파일이 효과적인 교정조치를 결정하기 위한 수단인지 조사해야 한다. 성찰성 및 적응성은 개발 중인 프레임워크에서 교정조치의 threshold로 통합될 수 있다(Ellaway et al. 2017; Kalet et al. 2017). 본 연구의 결과에 기초하여 결과 효과를 위해 추가적으로 연구해야 하는 각 프로파일에 대해 다음과 같은 교정조치 전략을 상정한다. 

Educational researchers have to investigate if the profiles are a means to determine effective remediation. Reflectiveness and adaptability could possibly be incorporated as thresholds for remediation in frameworks that are under development (Ellaway et al. 2017; Kalet et al. 2017). Based on the findings of our study, we postulate the following remediation strategies for each of the profiles that need to be studied further for outcome effectiveness. 


    • 우발적 행동: 학생은 누구나 개인적, 상황적, 문화적 인과적 요인의 결합에 기초하여 실수를 저지를 수 있으며, 그 목표는 개인이 실수로부터 배우도록 하고, 그렇게 함으로써 서로를 지지하고, 이러한 우발적 비전문적 행동으로부터 집단적으로 학습하도록 하는 것임을 알아야 한다. 

    • 시스템 게임 행동: 전문직업적 행동과의 관련성을 명확히 하여 전문적 가치를 내재화할 수 있어야 한다. 

    • 고군분투하는 행동: 비전문적 행동에 대한 내부적 또는 외부적 인과관계에 대한 지원이 필요하다. 여기에는 의대 밖의 자원에 도움을 받아 guidance가 필요할 수 있다. 멸시하는 행동이 교정하기 가장 어려운 것처럼 보인다. 이러한 학생들은 처음에는 성찰적 능력을 개발해야 하며, 그들에게 제공된 피드백을 바탕으로 대안적인 행동을 시도하도록 동기 부여되어야 한다. 우리는 이러한 가설을 차후의 연구에서 다룰 작정이다. 

    • For the profile of accidental behaviour the student needs to become aware that anyone can make a mistake based on the combination of personal, contextual and cultural causal factors, and that the goal is to let the individual learn from mistakes, support each other in doing so, and collectively learn from these accidental unprofessional behaviours. 

    • For students who display gaming-the-system behaviour the relevance of professional behaviour needs to be made clear, so that they can internalize the professionalism values. 

    • The student with struggling behaviour needs support for the internal or external causal factor for the unprofessional behaviour. This might include guidance from resources outside the medical school. The disavowing behaviour seems to be the most challenging to remediate. These students initially need to develop reflective skills, and be motivated to try out alternative behaviour based on the feedback provided to them. We intend to address these hypotheses in a future study. 

더욱이, 이 프로파일에 맞는 새로운 설명이나 비그넷이 연구를 통해 개발될 수 있다면 흥미로울 것이다. 표 3에 기술된 일선 교사와 전문 교사의 가설적 차이도 연구로 확인할 필요가 있다.

Furthermore, it would be interesting if new descriptions or vignettes that fit the profiles could be developed through research. The hypothesized differences between frontline teachers and expert teachers as described in Table 3 also need to be confirmed by research.













24 (2), 215-232
 

Developing a Two-Dimensional Model of Unprofessional Behaviour Profiles in Medical Students

Affiliations 

Affiliations

  • 1Department of Research in Education, VUmc School of Medical Sciences, Amsterdam UMC, PO Box 7057, 1007 MB, Amsterdam, The Netherlands. m.mak@vumc.nl.
  • 2Department of Research in Education, VUmc School of Medical Sciences, Amsterdam UMC, PO Box 7057, 1007 MB, Amsterdam, The Netherlands.
  • 3LEARN! Academy, Vrije Universiteit, Amsterdam, The Netherlands.
  • 4Center for Faculty Educators, School of Medicine, University of California San Francisco, San Francisco, USA.
  • 5Department of Intensive Care Medicine, Maastricht University Medical Center, Maastricht University, Maastricht, The Netherlands.
  • 6Faculty of Medical Sciences, University Medical Center Groningen, Groningen, The Netherlands.

Abstract

Standardized narratives or profiles can facilitate identification of poor professional behaviour of medical students. If unprofessional behaviour is identified, educators can help the student to improve their professional performance. In an earlier study, based on opinions of frontline teachers from one institution, the authors identified three profiles of medical students' unprofessional behaviour: (1) Poor reliability, (2) Poor reliability and poor insight, and (3) Poor reliability, poor insight and poor adaptability. The distinguishing variable was Capacity for self-reflection and adaptability. The current study used Nominal Group Technique and thematic analysis to refine these findings by synthesizing experts' opinions from different medical schools, aiming to develop a model of unprofessional behaviour profiles in medical students. Thirty-one experienced faculty, purposively sampled for knowledge and experience in teaching and evaluation of professionalism, participated in five meetings at five medical schools in the Netherlands. In each group, participants generated ideas, discussed them, and independently ranked these ideas by allocating points to them. Experts suggested ten different ideas, from which the top 3 received 60% of all ranking points: (1) Reflectiveness and adaptability are two distinct distinguishing variables (25%), (2) The term reliability is too narrow to describe unprofessional behaviour (22%), and (3) Profiles are dynamic over time (12%). Incorporating these ideas yielded a model consisting of four profiles of medical students' unprofessional behaviour (accidental behaviour, struggling behaviour, gaming-the-system behaviour and disavowing behaviour) and two distinguishing variables (reflectiveness and adaptability). The findings could advance educators' insight into students' unprofessional behaviour, and provide information for future research on professionalism remediation.

Keywords: Attitude; Consensus; Faculty; Medical schools; Medical students; Professional misconduct; Professionalism; Undergraduate medical education; Unprofessional behaviour.


의과대학생의 UPB 기술어: 분류와 체계적 종설(BMC Med Educ, 2017)

Descriptors for unprofessional behaviours of medical students: a systematic review and categorisation

Marianne Mak-van der Vossen1,2,3*, Walther van Mook4,5, Stéphanie van der Burgt1,2, Joyce Kors6,

Johannes C.F. Ket7, Gerda Croiset1,2 and Rashmi Kusurkar1,2





배경

Background


전문직업성을 평가하는 것은 어려운데, 부분적으로는 교육자들이 주관적인 것을 두려워하기 때문이기도 하지만, 비전문성을 묘사하기 위해 일반적으로 채택된 언어가 존재하지 않기 때문이다. 프로페셔널리즘 지침은 때때로 규범적 비전문직업적 행동을 기술하지만, 이는 의료 교육자, 의사, 기타 보건 요원, 환자 및 학생에 의해 입증된 것처럼 학생의 실제 비전문적 행동에 대한 체계적인 경험적 연구에 기초하지 않는다[2].

Evaluating professionalism is difficult, partly because educators are afraid to be subjective, but also because a commonly adopted language to describe unprofessionalism does not exist. Professionalism guidelines sometimes describe normative unprofessional behaviours, but these are not based on systematic empirical research on students’ actual unprofessional behaviours, as witnessed by medical educators, physicians, other health personnel, patients and students [2].


전문직업성을 가르치는 것은 학습자의 지식, 태도, 판단 및 기술을 암묵적으로 개발하는 전략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복잡하다[6]. 전문직업성의 명시적 가르침은 의과대학이 취한 결정적인 행동을 포함하며 암묵적 가르침은 감독관의 암묵적 모델링을 포함한다. 이러한 암묵적 모델링, 숨겨진 커리큘럼은 의료계 학생들의 사회화를 강화하고 촉진한다[7]. 가르치는 것 외에도, 교육자들은 학생들의 전문직업성을 평가해야 한다.

Teaching professionalism is complex, as it requires strategies that explicitly as well as implicitly develop a learner’s knowledge, attitudes, judgment and skills [6]. Explicit teaching of professionalism includes the decisive actions taken by the medical school, while implicit teaching includes supervisors’ tacit modeling. This tacit modelling, the hidden curriculum, reinforces and promotes the socialization of students in the medical profession [7]. Beside teaching, educators also have to evaluate their students’ professionalism.


전문직업성을 평가하기 위한 지배적인 프레임워크는 행동 기반이다[6, 9]. 행동은 학습자의 전문성을 관찰할 수 있는 전문성의 실용적이고 적절한 측면이다[10–12].

The dominant framework to evaluate professionalism is behaviour-based [6, 9]. Behaviour is the practical, relevant aspect of professionalism through which a learner’s professionalism becomes observable [10–12].


성과 평가는 여러 가지 이유로 어렵다. 

  • 첫째로, 의료 교육자들은 비전문적 행동을 라벨링하는데 어려움을 겪는다. 그들은 학생들의 행동을 전문적이지 않다고 분류하는 것을 꺼린. 부분적으로는 어떤 행동이 이 라벨을 부여할 수 있는지 모르기 때문이다[15]. 

  • 둘째로, 교육자들은 학생들에 대한 기대기준expected standard의 불확실성과 씨름할 뿐만 아니라, 그들의 우려를 어떻게 명확히 표현해야 하는지 알지 못한다[3]. 결과적으로 평가 양식에서 교육자의 언어는 모호하고 간접적이다[16]. 또한 교육자들은 형태별 또는 종합 교육 평가 보고서[ITER]에서 행동 기반 의견을 제공하도록 권고받지만 전문적이지 않은 행동의 정의는 부족하다. 

  • 마지막으로, 무엇이 비전문적인지는 시간과 문화적 맥락에 따라 달라지는데, 이것은 의료 교육 문헌에서 낮은 전문적 성과를 묘사하는 많은 용어를 사용하게 되었다[19].

The evaluation of performance is difficult for several reasons. 

  • Firstly, medical educators experience challenges in labelling unprofessional performance. They are reluctant to label students’ behaviours as unprofessional, partly because they do not know which behaviours can be assigned this label [15]. 

  • Secondly, educators not only struggle with the uncertainty of the expected standards for students, but also do not know how to articulate their concerns: what to document and how to document it [3]. As a result educators’ language in assessment forms is vague and indirect [16]. Furthermore, educators are advised to provide behaviour-based comments in formative or summative In Training Evaluation Reports [ITERs], but a definition of unprofessional behaviour is lacking [17, 18]. 

  • Finally, what is seen as unprofessional is dependent on time and cultural context, which has led to the use of a plethora of terms describing poor professional performance in the medical education literature [19].


비전문주의를 부정하는 것을 꺼린 결과, 교육자들이 항상 학생들에게 비전문적 행동을 인식시키지는 않는다. 결과적으로, 교육자들은 근본적인 원인적 개인, 대인관계 및/또는 조직적 요소를 밝혀냄으로써 전문직업성을 분명히 가르칠 기회를 놓친다. 이러한 거부감의 또 다른 결과는 비전문적 행동을 인정하지 않음으로써 교육자들은 암묵적으로 이러한 행동이 용인될 수 있다는 인상을 심어준다는 것이다. 이렇게 하면 교육자들은 바람직하지 않은 문화를 낳는다[6, 8, 20].

As a result of their reluctance in denominating unprofessionalism, educators do not always make students aware of their unprofessional behaviour. Consequently, they miss the opportunity to explicitly teach professionalism by revealing underlying causative personal, interpersonal and/or organisational factors. Another result of this reluctance is that by not acknowledging unprofessional behaviour, educators implicitly create the impression that this behaviour is acceptable. This way, educators give rise to an undesirable culture [6, 8, 20].


현재 통합적이고 체계적인 검토 연구는 행동 기반 전문성 프레임워크를 사용한다[6, 9].

The current integrative, systematic review study uses the behaviour-based professionalism framework [6, 9].



방법

Methods


일반적 방법

General methodology


텍스트 기반 데이터를 분석하기 위한 정성적 방법인 내용 분석이 사용된 체계적인 검토를 수행하여 사전 임상 및 임상 의대생의 비전문적 행동에 대한 설명을 식별하고, 학생이 시인하거나 이해관계자가 목격한 [21] 우리는 체계적 검토 및 메타 분석을 위한 선호 보고 항목에 기초한 검토 프로토콜을 개발했다[22].

We conducted a systematic review, in which content analysis was used, a qualitative method to analyse text-based data, to identify descriptions of unprofessional behaviours of preclinical and clinical medical students, admitted by students or witnessed by stakeholders [21]. We developed a review protocol based on the Preferred Reporting Items for Systematic Reviews and Meta-Analysis [PRISMA]statement [22].


자료 출처와 검색 전략

Data sources and search strategy


연구 선택

Study selection


자료 추출과 병합

Data extraction and synthesis


데이터는 행정 항목, 평가 방법 및 맥락과 같은 BEME 코딩 항목을 포함하여 BEME(Best Emergence Medical Education) 협업[23]에 기초한 코딩 시트를 사용하여 추출되었다. 내용분석 검토법에 근거하여, 이해관계자가 목격하거나 학생 스스로 인정한 의대생들의 비전문적 행동에 대한 설명이라는 코딩 시트에 다음과 같은 "분석 단위"가 추가되었다. 보고된 조사 결과를 코드 시트 위에 추출했다.

Data were extracted using a coding sheet based on the Best Evidence Medical Education (BEME) collaboration [23], including the following BEME coding items: the administrative item, the evaluation methods, and the context. Based on the content analysis review method the following “unit of analysis” was added to the coding sheet: descriptions of medical students’ unprofessional behaviours that were witnessed by stakeholders or admitted by students themselves. Reported findings were extracted onto the coding sheets.


기사의 방법론적 질은 다음과 같은 5가지 질적 질문에 답하여 평가하였다. 

  • [i] 연구문항이나 목적이 명확히 기술되어 있는가? 

  • [ii] 연구문제의 답변에 이용되는 방법이 적절한가? 

  • [iii] 방법과 결과를 명확히 기술하고 있는가? 

  • [iv] 분석방법이 적절한가? 

  • [v] 연구문제는 자료로 답하고 있는가? [24] 

더 많은 질문에 긍정적으로 대답할 수 있을 때 연구는 더 높은 품질로 여겨졌다.

The methodological quality of the articles was assessed by answering the following five quality questions: 

  • [i] Is the research question or purpose clearly stated?, 

  • [ii] Is the method used suitable for answering the research question?, 

  • [iii] Are the methods and results clearly described?, 

  • [iv] Is the method of analysis appropriate?, and 

  • [v] Is the research question answered by the data? [24] 

Studies were considered to be of higher quality when more questions could be answered positively.



결과

Results


검색 결과

Search results


그림 1 참조. 정당성을 가진 제외된 연구 목록은 추가 파일 2로 제공된다.

See Fig. 1. A list of excluded studies with justifications is provided as Additional file 2.




연구 특징

Study characteristics


이 검토에는 1977년 1월부터 2016년 5월까지 광범위한 국가의 연구가 포함되었다. 46개의 포함된 연구에 대한 개요는 추가 파일 3을 참조하십시오.

The review included studies from a wide range of countries, from January 1977–May 2016. See additional file 3 for an overview of the 46 included studies.


    • 1980년경 미국에서 시작된 의대에서의 직업적 행동에 대한 주의는 우선 사기행위에 중점을 두었고, 그 다음으로는 무례한 행동과 참여 실패에 대한 관심이 뒤따랐다. 

    • 우리는 2000년 이전에 출판된 다른 대륙에서 온 어떤 기사도 발견하지 못했다. 

    • 2000년경, 북미 연구자들은 서투른 자기 인식에 초점을 맞추기 시작했고, 다른 대륙에서는 부정직한 행동만 묘사되었고, 후에 다른 주제들이 뒤따랐다. 

    • 최근, 인터넷 사용에서 비롯되는 비전문주의, 사생활 침해와 다른 무례한 행동과 부정직한 행동에 대한 관심이 문헌에 집중되었다. 세 가지 기간 동안의 글로벌 추세는 그림 2를 참조하십시오.

Attention for professional behaviour in medical school started in the US around 1980, firstly emphasised on fraudulent behaviours, followed by attention for disrespectful behaviour and failure to engage. We did not find any articles coming from the other continents that were published before 2000. Around 2000, North-American researchers started to focus on poor self-awareness, while in other continents only dishonest behaviour was described, later followed by other themes. Recently, attention was paid in the literature to unprofessionalism originating from the use of the internet, which can lead to privacy violations and other disrespectful behaviour, as well as to dishonest behaviours. See Fig. 2 for global trends in three time periods.



UPB의 주제

Themes of unprofessional behaviour


네 가지 행동 테마: 참여 실패, 부정직한 행동, 무례한 행동, 그리고 나쁜 자기 인식. 그림 3을 보시오.

four behavioural themes: failure to engage, dishonest behaviour, disrespectful behaviour,and poor self-awareness. See Fig.3.


다음 단락은 네 가지 주제 각각에 대한 주요 결과를 제시한다. 테마, 설명자 및 행동의 전체적이고 자세한 목록은 추가 파일 4를 참조하십시오.

The next paragraphs present the primary findings for each of the four themes. See Additional file 4 for a complete and detailed list of themes, descriptors and behaviours.



참여 실패

Failure to engage


첫 번째 테마는 참여실패로서, 이는 과제task를 충분히 처리하지 못한 것으로 정의하였다.

The first theme can be described as failure to engage, one’s which was defined as insufficiently handling tasks.


여기에는 다음이 포함된다.

    • 회진 또는 기타 할당된 활동에 늦거나 부재 중 [283232] 

    • 낮은 신뢰성과 책임 [25, 31, 33, 34] 

    • 가용성이 낮음[32], 

    • 양심 부족 [35] 

    • 지각[32]과 서투른 진취성과 동기부여 [31, 32, 36 3838] 

    • 원칙 무시[39] 

    • 최소 허용 수준의 성능을 수용하거나 추구하는 경우 [25]. 

Failure to engage [25–27] included descriptions as 

    • being late or absent for rounds or other assigned activities [28–32], 

    • poor reliability and responsibility [25, 31, 33, 34], 

    • poor availability [32], 

    • lack of conscientiousness [35], 

    • tardiness [32] and poor initiative and motivation [31, 32, 36–38], 

    • cutting corners [39], and 

    • accepting or seeking a minimally acceptable level of performance [25]. 


    • 일반적인 무질서함이 언급되었다. [26, 27], 여기에는 읽기 어려운 필체, 마감일을 지키지 않는 빈약한 노트 등이 있었다[32]. 

    • 팀워크를 저하시키는 데 실패했음을 나타내는 행동은 [27], [40], 팀워크 언어의 어려움에서 벗어나고 다른 사람들에게 피드백을 주지 않는 것으로 설명되었다[37].

    • General disorganization was mentioned [26, 27], examples of which were illegible handwriting, and poor note keeping not meeting deadlines [32]. 

    • Behaviours indicating failure to engage leading to poor teamwork were described as avoiding [27], [40], work escaping teamwork language difficulties [37] and not giving feedback to others [30].


의과대학의 임상 단계에 참여하지 못하는 것은 

    • 환자 접촉의 회피 [27, 37], 

    • 환자 치료에 기여하지 못하는 형태[26, 37, 39], 

    • 교대 근무 중 퇴근 [41], 

    • 불만족스러운 참여[33, 36]로 나타났다.

Failure to engage in the clinical phase of medical school was seen in the form of avoidance of patient contact [27, 37], failing to contribute to patient care [26, 37, 39], leaving the hospital during a shift [41], and unsatisfactory participation [33, 36].



부정직 행동

Dishonest behaviours


이 주제는 학생들의 integrity 문제를 설명한다. 그것은 부정행위, 거짓말, 표절, 규칙과 규정을 따르지 않는 것을 포함한다.

This theme describes students’ integrity problems. It includes cheating, lying, plagiarism and not obeying rules and regulations.


속이기, 거짓말하기

Cheating and lying


수업시간에 일어나는 부정행위와 거짓말은:

    • 위조 서명 [40, 42, 43] 또는 

    • 결석 시 거짓 변명하기 [40, 43–47] 

    • 동료에게 출석부에 서명하도록 요청한다 [26, 41, 43, 45, 48]. 

    • 다른 학생들에게 당신의 일을 부탁하거나 다른 학생을 위해 일을 하라고 한다 [40, 41, 43]. 

Cheating and lying took place in class by 

    • forging signatures [40, 42, 43], or 

    • giving false excuses when absent [40, 43–47], 

    • asking a colleague to sign in on an attendance list [26, 41, 43, 45, 48], 

    • asking other students to do your work or doing work for another student [40, 41, 43]. 


시험에서의 부정행위는 광범위하게 설명되었고, 다음과 같이 구성되었다. 

    • 시험 문제에 불법적으로 접근하는 것 [40, 43–47] 

    • 다른 사람이 당신의 시험을 치르게 하는 것 [43, 46, 47] 

    • 크립 노트 사용 [43, 44, 46–49] 

    • 시험 중 답변 교환 [43–49] 

    • 휴대폰을 사용하여 답변 교환 [43, 45, 48] 

    • 지인의 도움을 받아 시험에 합격한다[43, 48, 50]. 

Cheating in exams [32] was extensively described, and consisted of: 

    • gaining illegal access to exam questions [40, 43–47], 

    • letting someone else take your exam [43, 46, 47], 

    • using crib notes [43, 44, 46–49], 

    • exchanging answers during an exam [43–49], 

    • exchanging answers by using mobile phones [43, 45, 48] and 

    • passing an exam by using help from acquaintances [43, 48, 50]. 


임상이나 연구 맥락에서 부정행위가 일어났다. 

    • 데이터 위조[26, 40, 41, 43–46, 49, 51–53] 및 

    • 데이터 변조 [25, 31, 32, 37, 40, 41, 43, 51–54] 

    • 때로는 실수를 가장한다[43]. 

    • 예: 학생이 실험실 시험 주문을 잊었거나 시험이나 신체검사 기록의 일부를 누락한 경우 [40, 41, 44, 46, 49, 59, 51, 55 

    • 또한, 환자의 임상 검사에 대한 동의를 구하지 않는 것이 언급되었다[56, 57]. 

Cheating in clinical or research context took place in the form of 

    • data fabrication [26, 40, 41, 43–46, 49, 51–53], and 

    • data falsification [25, 31, 32, 37, 40, 41, 43, 51–54], 

    • sometimes to disguise mistakes [43], 

    • e.g. when a student had forgotten to order a laboratory test or omitted a part of the history taking or physical examination [40, 41, 44, 46, 49, 51, 55]. 

    • Also, not asking consent for clinical examination of a patient was mentioned [56, 57]. 


한 연구는 병원의 전자 건강 기록 문서[EHRD]를 사용하는 부정행위를 보고하였다. 

    • 동료의 메모를 복사/붙여넣기 

    • 자동 삽입된 데이터 사용 또는 

    • EHRD에서 다른 사람의 이름으로 서명하는 동안 문서화 [58].

One study reported cheating in using the hospital’s electronic health record documentation [EHRD]: 

    • copy/pasting a colleague’s notes, 

    • using auto-inserted data, or 

    • documenting while signed under someone else’s name in the EHRD [58].


이미 1978년에 법학자인 심슨은 환자에게 학생을 "의사"로 소개하는 것이 환자 치료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거짓말의 한 형태라고 강조했다. 이러한 유형의 잘못된 표현도 최근에 설명되었다[35, 57].

Already in 1978, a law scholar, Simpson, emphasised the phenomenon of deceptive introduction [59] Students being introduced as “doctors” to patients is a form of lying that directly influences patient care. This type of misrepresentation has also been described more recently [35, 57].


표절

Plagiarism


표절과 관련된 UPB는...

    • 자기 표절[43], 

    • 선배나 동료의 작품을 표절하는 것[46, 52], 

    • 참조를 인정하지 않고 다른 출처에서 표절하는 것으로 구성되었다[40, 42, 47, 60]. 

    • 출처가 참조 목록에 포함되었을 때에도 출판된 책이나 기사에서 직접 텍스트를 복사하는 것[43].

Plagiarism consisted of self-plagiarism [43], plagiarizing work of seniors or peers [46, 52], and plagiarizing from other sources without acknowledging the reference [40, 42, 47, 60]. Copying text directly from published books or articles was seen as unprofessional even when the source was included in the reference list [43].


규칙과 규정 미준수

Not obeying rules and regulations


언급된 비전문적 활동은 다음과 같다. 예를 들어, 감염관리 절차를 따르지 않고 제한구역에서 전화기를 사용함으로써 규칙과 규정을 준수하지 않는 것을 인정한다[43, 57].

Unprofessional activities mentioned were: acceptance of failing to obey rules and regulations [26] for example by not following infection control procedures [43, 57] and using phones in restricted areas [61].


포함된 조항에 언급된 무면허 활동은 다음과 같다: 

    • 중대한 위법 행위[32, 42], 

    • 절도[62], 

    • 타인의 재산을 훼손하거나, 

    • 대학 직원이나 동료 학생을 물리적으로 폭행하는 행위[43].

Unlicensed activities that were mentioned in the included articles were: 

    • significant misconduct [32, 42], 

    • stealing [62], 

    • damaging another’s property[62] or 

    • physically assaulting a university employee or fellow student [43].


무례한 행동

Disrespectful behaviour


또 다른 주제는 무례한 행동으로 밝혀졌는데, 이것은 다른 사람들에게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행위로 정의되었다. 이 테마의 행동은 심각성이 매우 다양하다.

Another theme was found to be disrespectful behaviour, which was defined as behaviour that has a negative effect on other people. Behaviours in this theme vary widely in severity.


부적절한 언어적 또는 비언어적 의사소통이라고 묘사되었다. 

    • 부적절한 구어 [25, 26, 32, 56, 63] 

    • 부적절한 바디랭귀지 [26–28, 32] 

    • 이메일에 의한 무례한 통신[32] 및 

    • e-메일 또는 기타 형태의 연락은 무시한다 [26, 36]. 

Disrespectful behaviour was described as poor verbal or non-verbal communication: 

    • inappropriate spoken language [25, 26, 32, 56, 63] 

    • inappropriate body language [26–28, 32], 

    • disrespectful communication by email [32] and also 

    • ignoring emails or other forms of contact from teaching or administrative staff [26, 36]. 


Facebook이나 다른 소셜 미디어에서 전문적이지 않은 행동을 언급한 최근 기사 

    • 환자와의 임상 경험 논의 [64] 

    • 부정적인 시각으로 임상 현장이나 대학에 대해 논하는 것 [64] 

    • 동료 학생들의 사진을 게재하는 것 [63, 65]. 

Recent articles mentioned unprofessional behaviour on Facebook or other social media, for example 

    • discussing clinical experiences with patients [64] 

    • discussing a clinical site or the university in a negative light [64] and 

    • posting compromising pictures of peer students [63, 65]. 


다른 사람들의 요구에 대한 민감성이 결여된 것에 대한 모범적인 무례한 행동들은 

    • 문화 및 종교 관련[35], [33, 35], 

    • 불감증 차별 성희롱 [35, 43, 63]. 

Other disrespectful behaviours that are exemplary for the lack of sensitivity to others’ needs were 

    • cultural and religious [35], [33, 35], and 

    • insensitivity discrimination sexual harassment [35, 43, 63]. 


이러한 무례한 행동은 이 학생들이 교사와 다른 직원 또는 보건 요원, 환자와 그 가족, 또는 동료 학생과 상호작용하는 모든 사람들에게 영향을 미칠 수 있다.

These disrespectful behaviours can affect all persons with whom these students interact: teachers and other staff or health personnel, patients and their families, or fellow students.


교사는 수업 시간에 부정적인 반응이나 방해적인 행동에 의해 무례하게 취급될 수 있다[26, 34, 36, 66]. 시험지에 무례한/부적절한 의견을 쓰거나 시험 과정에 대한 존중을 나타내지 못함[28].

Teachers can be treated disrespectfully by negative responses or disruptive behaviour in teaching sessions [26, 34, 36, 66], writing rude/inappropriate comments on exam papers [26] or other failure to show respect for the examination process [28].


환자도 학생의 무례한 행동에 영향을 받을 수 있다. 

    • 공감 부족 [26, 28] 

    • 타인의 요구에 대한 불감증[25, 26, 62] 및 

    • 환자에 대한 갑작스럽고 무관심한 태도 [26] 

    • 경멸적인 방식으로 환자를 지칭하는 것 [29, 30, 39, 56, 57]. 

    • 환자 안전 위에 자체 학습 배치 [57] 

    • 시험 중 환자를 불편하게 만드는 것 [56] 또는 

    • 시뮬레이션 환자를 감정과 우려를 가진 사람으로서가 아니라 수동적인 대상으로 취급하는 것 [28] 

    • 감정이입의 결여로 보여진 행동들의 예들이다. 

Patients can be affected by a student’s disrespectful behaviour when the student shows 

    • a lack of empathy [26, 28], 

    • insensitivity to the needs of others [25, 26, 62], and 

    • abrupt and non-empathetic manner with patients [26], 

    • referring to patients in a derogatory way [29, 30, 39, 56, 57], 

    • placing own learning above patient safety [57], 

    • making a patient feel uncomfortable during an exam [56] or 

    • treating simulation patients as passive objects rather than as people with feelings and concerns [28] 

    • were examples of behaviours that were seen as a lack of empathy. 


    • 또한 지나치게 비공식적인 행동[27] 및 

    • 전문적 외관과 복장을 유지하는 데 실패 [25, 26, 28, 30, 37] 

    • 너무 지저분한 가운 [29, 30]도 이 주제에 속한다. 

    • Also, overly informal behaviour [27], and 

    • failure to maintain professional appearance and attire [25, 26, 28, 30, 37] and 

    • poor condition of white coats [29, 30] belong to this theme. 


더 나아가 

    • 공공 장소에서의 환자 논의 [29] 

    • 따라서 환자 기밀성을 존중하지 않음 [25, 30, 35, 56, 63] 또는 

    • 환자를 리서치하기 위해 구글을 사용하는 것은 전문적이지 않은 것으로 기술되었다.

Furthermore, 

    • discussing patients in public spaces [29] and 

    • therefore failing to respect patient confidentiality [25, 30, 35, 56, 63] or 

    • using Google to research patients [67] were described as unprofessional.


동료 학생들은 언어적, 서면적, 신체적 또는 행동적 학대로 구성된 또래들에 의한 괴롭힘이나 victimizing누군가의 존재를 무시하는 행동도 무례하게 취급될 수 있다[43, 62, 68, 69]. 

Fellow students can be treated disrespectfully through bullying by peers, which consist of verbal, written, physical or behavioural abuse and victimizing, which is the ignoring of someone’s existence [43, 62, 68, 69]. 


학생들은 또한 개인에게 접근하기 전에 동료의 부적절한 행동을 교수진에게 보고함으로써 동료의 비전문적 행동에 영향을 받을 수 있다[29, 30].

Students can also be affected by their peers‘ unprofessional behaviour by reporting a peer’s improper behaviour to faculty before approaching the person individually [29, 30].


자기인식 부족

Poor self-awareness


마지막 주제는 자신의 수행을 부적절하게 처리하는 것으로 정의한 자기 인식 부족이다. 서투른 자각은 다음과 같이 기술되었다. 

    • 피드백을 회피하고, 피드백을 수용하고 통합할 수 없음 [30, 31, 38] 

    • 비판에 대한 저항적 또는 방어적 행위 [25, 34, 37] 

    • 행동에 대한 통찰력 부족 [26, 28] 

    • 소유가 아닌 외부 요인 탓 [28] 

    • 행동에 대한 책임을 수락하지 않음 [25, 28]. 

The last theme is poor self-awareness, which was defined as inappropriately handling one’s own performance. Poor self-awareness was described as 

    • avoiding feedback, inability to accept and incorporate feedback [30, 31, 38], and 

    • resistant or defensive behaviour towards criticism [25, 34, 37], 

    • lack of insight into behaviour [26, 28], 

    • blaming external factors rather than own [28] and 

    • failing to accept responsibility for actions [25, 28]. 

더 나아가 

    • 한계를 인식하지 못함 [32] 

    • 자신의 능력 수준을 넘어선 행위 [56, 57] 또는 

    • 전문적 경계를 존중하지 않는 것[26, 63]은 이 테마로 분류되었다.


Furthermore, 

    • not being aware of limitations [32], 

    • acting beyond own level of competence [56, 57], or 

    • not respecting professional boundaries [26, 63] was categorised in this theme. 


이러한 행동은 자기계발에 대한 능력이 감소했음을 나타내는 것 같다 [32, 34, 37, 70].

These behaviours seem to indicate a diminished capacity for self-improvement [32, 34, 37, 70].


고찰

Discussion


검색 결과 및 연구 특성

Search results and study characteristics


대부분의 연구는 단일 기관에서 나왔으며, 이는 종종 제한된 수의 학생과 문화적 맥락에서 제한된 다양성을 낳았다. 기관과 국가 간의 협력은 비전문적 행동에 대한 연구에 큰 도움이 될 것이다.

Most studies came from a single institution, which often resulted in a limited number of students, and limited diversity in cultural context. Collaboration across institutions and countries would add greatly to the research of unprofessional behaviour.


프로페셔널리즘(Professionalism)은 시간과 장소에 따라 달라지는 개념으로, 동봉된 논문에서 조사되었던 주제로부터 명확해진다. 놀랍게도, UPB들에 대한 묘사는 대륙마다 크게 다르지 않았다. 비록 아시아와 아프리카에서는 부정직한 행동에 초점을 맞춘 것처럼 보이지만 말이다. 아마도 전문적이지 않은 행동에 대한 연구는 사기행위에 초점을 맞추는 것으로 시작되는데, 그것은 탐지하기 쉬운 심각한 문제로 보여지기 때문이다.

Professionalism is a concept that varies in time and place, which becomes clear fromthe subjects that were investigated in the included articles. Surprisingly, the descriptions of behaviours that were seen as unprofessional did not differ largely between the continents, although in Asia and Africa the focus seems to lay on dishonest behaviours. Probably, the research on unprofessional behaviour starts with a focus on fraudulent behaviour because it is seen as a serious problem that is easy to detect.


최근 의학 교육 문헌에 기술된 주제는 자기 인식과 성찰이며, 의사의 사람은 그/그/그 자신[2, 71]이다. 비전문적 행동에 대한 보다 긍정적인 접근을 나타내는 이러한 경향은 북아메리카에서 유럽, 호주로 넘어온 것으로 보이며, 이러한 추세가 앞으로 남아메리카, 아프리카, 아시아로 확산될지 주목된다.

Recently described topics in the medical education literature are self-awareness and reflection, and the person of the doctor him/herself [2, 71]. This trend, representing a more positive approach to unprofessional behaviour, seems to have come over from North America to Europe and Australia, and it will be interesting to see if this trend will spread to South America, Africa and Asia in the coming years.



UPB의 주제들

Themes of unprofessional behaviour


최근의 한 리뷰는 미래의 의사들의 비전문적 행동이 사기와 부정직한 행동이라는 주제로 보여진다는 것을 보여주었다[76]. 본 연구는 추가 기사를 포함시킴으로써 세 가지 주제를 추가하여 이러한 연구 결과를 확대한다.

A recent review revealed that unprofessional behaviours in future physicians are seen in the theme of fraud and dishonest behaviour [76]. The current study extends these findings with three additional themes by including additional articles.


이전의 연구는 전문성의 증거를 훈련 중인 의사로부터 기대할 수 있는 여섯 가지 영역, 즉 행동, 실천, 환자에 대한 윤리적 존중에 대한 책임, 반성/자각, 팀워크 및 사회적 책임[77]을 제안했다. 현재의 연구 결과는 4가지 주제만 구별되었지만 부분적으로 이 프레임워크와 일치한다. 사회적 책임감이 떨어진다고 볼 수 있는 학생들의 행동의 예는 발견되지 않았다. 이 영역은 학부 학생들보다 레지던트들에게 더 적합할 수 있다.

Previous research proposed six domains in which evidence of professionalism can be expected from doctors-in-training: 

    • actions, 

    • practice, 

    • responsibility for ethical respect for patients, 

    • reflection/self-awareness, 

    • teamwork, and 

    • social responsibility [77]. 

Current findings are partly consistent with this framework, although only four themes were distinguished. Examples of students’ behaviours that can be regarded as poor social responsibility were not found. This domain might be more relevant for residents than for undergraduate students.


GMC(General Medical Council)는 최근 의대생을 위한 최신 전문성 지침을 발표했는데, 이 지침에서 관심 영역이 설명된다[2]. 우리는 우리의 연구 결과를 이러한 규범적 설명에 매핑했고 많은 유사점들, 그러나 약간의 차이점을 발견했다. 추가 파일 5는 우리의 조사 결과가 어떻게 GMC의 관심 영역에 매핑되었는지 자세히 보여준다.

The General Medical Council (GMC) recently published an updated professionalism guidance for medical students, in which domains of concern are described [2]. We mapped our findings to these normative descriptions and found many similarities, but also some differences. Additional file 5 shows in detail how our findings were mapped to the GMC’s domains of concern.


중요한 질문은 학생들에게서 발견되는 행동들이 의사로서의 미래의 비전문적 행동들과 관련이 있느냐 하는 것이다. 부족한 이니셔티브와 책임감없는 행동은 자기계발을 위한 능력 저하와 연관된 것으로 밝혀졌지만, 이 연구에서 발견된 다른 행동들이 의사로서의 미래 성과를 예측하는지는 아직 알려지지 않았다[25, 70].

A crucial question is whether the behaviours found in students relate to future unprofessional behaviours as a physician. This has been shown for poor initiative, and irresponsibility diminished capacity for self-improvement, but it is not yet known whether the other behaviours found in this study also predict future performance as a physician [25, 70].



참여실패

Failure to engage


열악한 참여가 신체적 또는 정신 질환의 결과인 경우, 학생들은 이것을 인정하는데 있어서 지지를 받아야 하며, 그들의 연구를 계속하여 완료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해야 한다[78]. 학생 동기의 질과 양과 관련된 참여 문제는 자기 결정 이론을 사용하여 해결할 수 있다. 이 방법은 의료 교육자가 클래스에서 적용할 수 있는 12가지 실천적 팁에 설명되어 있다[80].

When poor engagement is a consequence of physical or mental illness, students have to be supported in acknowledging this, and offered possibilities to continue and complete their studies [78]. Engagement problems related to the quality and quantity of student motivation could be addressed by using Self-determination Theory . This method has been described in twelve practical tips that medical educators can apply in class [80].


부정직 행동

Dishonest behaviour


가장 나쁜 행동은 그 사건만 고립되서 발생하는 경우가 거의 없으며, 한 가지 부정행위에 연루된 사람들은 다른 부정직한 행동에 더 많이 연루될 가능성이 더 높다[81]. 필수 과정 평가를 완료하지 못했거나, 면역 규정 준수를 보고하지 않은 것은 후속 과정에서 학생들의 비전문적 행동에 대한 중요한 예측 변수임이 밝혀졌다[82]. 따라서, 규칙과 규정을 준수하지 않고 부정직한 행동을 저지르지 않는 학생들에 대한 교직원의 인식을 높일 필요가 있어 보인다[52]. 표절을 탐지하는 소프트웨어는 이러한 행동 중 일부를 공개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83].

Dishonest behaviours are rarely isolated events and individuals involved in cheating are more likely to be involved in other dishonest behaviours [81]. Failing to complete required course evaluations and failing to report immunization compliance were found to be significant predictors of students’ unprofessional behaviours in subsequent years [82]. Thus, it seems necessary to raise faculty’s awareness for students not obeying rules and regulations and committing dishonest behaviours [52]. Software to detect plagiarism can help to unveil some of these behaviours [83].


무례한 행동

Disrespectful behaviour


비록 무례한 행동은 다른 시대와 세계 각지에서 다르게 경험될 수 있지만, 무례한 행동을 묘사하는 데 사용되는 용어는 시간과 장소에 따라 놀라울 정도로 일치한다.

Although disrespectful behaviour might be experienced differently in different time periods and in different parts of the world, the terms that are used to describe disrespectful behaviour are surprisingly consistent over time and place.


동료에 대한 경멸은 동료와 팀워크를 억제하고, 환자에 대한 무례는 환자와의 공감대를 억제한다[84]. 괴롭힘과 인종 차별이 극단적인 예인 불경한 행동은 종종 용인되고 심지어 다른 사람들에 의해 강화된다[85 무례함은 대부분 학습된 행동이기 때문에 긍정적인 역할 모델링과 정규 교육을 통해 이를 해결할 수 있다[85]. 그러나 불행히도, 학생들은 때때로 무례한 행동을 보이면 매우 부정적이고 문제가 많은 역할 모델들에 노출된다. 보복에 대한 두려움은 학생이 전문적이지 않은 행동을 하도록 이끌 수 있다[87]. 학생들은 교사와 감독관의 비전문적 행동을 학교 경영에 보고할 기회를 가져야 한다. 또한 의대생들의 공감을 유지하고 강화하기 위한 교육적 개입이 적용될 수 있다[88].

Disrespect towards colleagues inhibits collegiality and teamwork, and disrespect towards patients inhibits empathic relations with patients [84]. Disrespectful behaviour, of which bullying and racism are extreme examples, is often tolerated and even reinforced by others [85]. As disrespect is mostly a learned behaviour, it is possible to tackle it with positive role modeling and formal education [85]. However, unfortunately, students are sometimes exposed to very negative and problematic role models who at times are disrespectful [86]. Fear of retaliation can lead a student to act unprofessionally him/herself too [87]. Students should have the opportunity to report unprofessional behaviour of their teachers and supervisors to the school management. Furthermore, educational interventions to maintain and enhance empathy in medical students could be applied [88].


사생활 침해도 일종의 무례한 행동이다. 이 연구에 따르면, 환자뿐만 아니라 학생과 의사의 프라이버시를 유지하기 위한 새로운 도전은 디지털 미디어와 전자 건강 기록 문서 시스템의 사용에서 비롯된다. 프로페셔널리즘은 역동적인 개념으로 [89]이며, "디지털 프로페셔널리즘"에 관해서 의사뿐만 아니라 학생에 대한 새로운 가치와 표준을 개발해야 하는 것 같다. [90–92].

Compromising privacy is also a form of disrespectful behaviour. According to this study, new challenges for maintaining privacy of patients, but also of students and physicians, come from the use of digital media and electronic health record documentation systems. Professionalism is a dynamic concept [89], and it seems that new values and standards for students as well as for physicians have to be developed regarding “digital professionalism.” [90–92].


부실한 자기인식

Poor self-awareness


이 테마의 행동은 자신의 부진한 퍼포먼스를 제대로 인식하지 못하는 학생들에 의해 나타난다: 학생은 외부 평가가 나타내는 것보다 더 잘 수행한다고 생각한다.

Behaviours in this theme are displayed by students who are insufficiently aware of their own poor performance: the student thinks to perform better than the external evaluation indicates.


성찰 능력의 감소는 전문직업성 문제와 관련된다. 자신의 행동에 대한 통찰력이 있어야, 행동을 변화시킬 필요성을 느끼게 되기 때문에 교정조치에도 문제가 된다[82, 95]. 전문성의 이러한 측면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학생들을 위해, 교육자들은 또래의 성과에 기초하여 명확하게 기대를 정할 필요가 있다[96].

A diminished reflective ability is related to professionalism lapses [94], and forms a challenge for remediation, since insight into one’ sbehaviour is regarded necessary to change it [82, 95]. For students struggling with this aspect of professionalism, educators need to clearly set expectations based on the performance of peers [96].



비전문적 행동의 맥락

Context of unprofessional behaviour


학생의 직업적 행동을 평가할 때 개인적, 대인 관계 및 제도적 상황을 고려해야 한다[97, 98]. 이 행동 목록은 어떤 행동이 학생과 토론을 해야 하는 이유가 되어야 하는지를 나타내며, 그 행동이 정말 비전문적이었는지를 밝힐 수 있는 맥락에서 해석을 목표로 한다. 우리는 학생들이 도전적인 작업 환경에 대비하기를 원하기 때문에, 학생들에게 (다른 사람의 비전문적 행동, 스트레스가 많은 조건 및 시간 제약과 같이) 그들이 미래에 겪게 될 가능성이 있는 어떤 어려운 상황을 효과적으로 처리하는 방법을 가르치는 것이 중요하다[3, 84, 99]. 학생들과 교사들은 어려운 상황에서 어떤 행동이 적절할 수 있는지에 대해 토론하고 협상해야 한다. (어려운 상황에서) 역할 모델링만으로는 충분하지 않다. (임상실습에서) 어려운 조건이 발생할 때 공식적인 가르침이 필요해 보인다.

Personal, interpersonal and institutional circumstances have to be taken into account when evaluating a student’s professional behaviour [97, 98]. This list of behaviours indicates which behaviours should be a reason to have a discussion with the student, aiming for an interpretation in the context that could reveal if the behaviour was indeed unprofessional. Since we want to prepare students for a challenging work environment, it is crucial to teach students how to effectively handle certain difficult contextual conditions that are likely to happen in their future work, like unprofessional behaviours of others, stressful conditions and time constraints [3, 84, 99]. Students and teachers have to discuss and negotiate what behaviours could be adequate in difficult circumstances. Role modeling is not enough; formal teaching when these difficult conditions occur [in the clerkships] is deemed necessary [100].


한계

Limitations


이 방법의 한계는 교사들과 학생들에 의해 인식되지 않거나 보고되지 않는 일부 비전문적 행동이 있을 수 있다는 것이다. 이러한 - 여전히 숨겨진 행동은 우리가 제안하는 용어를 사용하여 오류에 대해 말할 때 더 일반적으로 받아들여질 수 있다.

A limitation of this method is that there may be some unprofessional behaviours which go unrecognised or unreported by teachers and students. These -still hidden- behaviours might be revealed when speaking about lapses becomes more commonly accepted using the terminology that we propose.


우리의 방법은 연구 기사에 기술되지 않은 행동을 밝힐 수 없었다. 일부 지역에서 발췌한 연구 논문의 수가 제한되어, 결과적으로 특정 행동들에 대한 보고가 부족할 수 있기 때문에, 잠재적으로 세계의 일부 지역이 충분히 대표되지 못하고 있다는 것을 인정해야 한다.

our method could not reveal behaviours that were not described in research articles. It has to be acknowledged that potentially some parts of the world are underrepresented due to the limited number of original research papers originating from some regions, which consequently could have led to an underreporting of certain behaviours.


실질적 의미

Practical implications


이 검토의 결과는 의료 교육자와 의료 교육 연구자에게 임상 및 임상 학부 의학의 비전문적 행동을 기술하기 위한 공통의 언어를 제공한다. 학생들의 비전문적 행동의 성격과 정도에 대한 지식은 교사들을 자극할 수 있고, 교사들과 학생들 사이에서 이러한 행동들에 대한 인정과 논의를 촉진할 수 있다. 이 목록은 교사들이 비전문적 행동을 보고 보고하도록 하고, 따라서 "failure to fail"라는 문제를 해결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

The results of this review provide medical educators and researchers in medical education with a common language for the description of unprofessional behaviour in preclinical and clinical undergraduate medical education. Knowledge of the nature and extent of students’ unprofessional behaviours could prompt teachers, and facilitate the acknowledgment and discussion of these behaviours among teachers and students. The list might facilitate teachers to see and report unprofessional behaviours, and thus help to solve the problem of “failure to fail”.


그러나 낙제만 주는 것으로는 충분하지 않다. 즉, 교육자들이 관찰된 행동에 대해 학생과 대화를 하는 것이 필요하다. 설명이 제시되고 맥락이 논의되는 그러한 대화는 공정한 평가와 학생에게 귀중한 형태 형성적 학습 경험 또는 비전문적 행동에 대한 대인관계 또는 제도적 원인을 개선하기 위해 필요한 기타 행동으로 이어질 수 있다[101, 102](표 1)

Yet, only giving a fail is not enough: it is necessary that educators conduct a conversation with the student about observed behaviours. Such a conversation, in which explanations are given and context is discussed, can lead to a fair assessment and to a valuable formative learning experience for the student, or to other actions needed to improve interpersonal or institutional causes for unprofessional behaviour [101, 102] (Table 1).



후속 연구

Further research


또 다른 조사가 필요한 과목은 또래 학생들에 대한 책임감이다. 최근, 미국의 한 전국적인 연구는 대다수의 학생들이 또래 학생들의 비전문적 행동을 보고해야 할 의무감을 느낀다고 말한 것을 발견했다[104]. 이는 다음과 같은 문제로 이어진다. 어떻게 하면 이런 학생들의 의도를 행동으로 바꾸도록 교육할 수 있을까?

Another subject that needs investigation is students’ accountability for their peers. Recently, a US nationwide study found that a significant majority of students said that they feel obligated to report unprofessional behaviour of their peers [104]. This leads to the question: How can we educate these students to change their intentions into actions?


80. Kusurkar RA, Croiset G, Ten Cate OT. Twelve tips to stimulate intrinsic motivation in students through autonomy-supportive classroom teaching derived from self-determination theory. Med Teach. 2011;33(12):978–82.










Review

 

, 17 (1), 164
 

Descriptors for Unprofessional Behaviours of Medical Students: A Systematic Review and Categorisation

Affiliations 

Affiliations

  • 1Department of Research in Education, VUmc School of Medical Sciences, Amsterdam, the Netherlands. m.mak@vumc.nl.
  • 2LEARN! Research Institute for Education and Learning, VU University, Amsterdam, the Netherlands. m.mak@vumc.nl.
  • 3Department for General Practice and Elderly Care Management, VU Medical Center, Amsterdam, the Netherlands. m.mak@vumc.nl.
  • 4Department of Intensive Care Medicine, Maastricht University Medical Center, Maastricht, the Netherlands.
  • 5Department of Medical Education Development and Research, Faculty of Health, Medicine and Life Sciences, Maastricht University, Maastricht, the Netherlands.
  • 6Department of Research in Education, VUmc School of Medical Sciences, Amsterdam, the Netherlands.
  • 7LEARN! Research Institute for Education and Learning, VU University, Amsterdam, the Netherlands.
  • 8AVAG Midwifery Academy Amsterdam Groningen, Amsterdam, the Netherlands.
  • 9Medical Library, University Library, Vrije Universiteit, Amsterdam, the Netherlands.

Abstract

Background: Developing professionalism is a core task in medical education. Unfortunately, it has remained difficult for educators to identify medical students' unprofessionalism, because, among other reasons, there are no commonly adopted descriptors that can be used to document students' unprofessional behaviour. This study aimed to generate an overview of descriptors for unprofessional behaviour based on research evidence of real-life unprofessional behaviours of medical students.

Methods: A systematic review was conducted searching PubMed, Ebsco/ERIC, Ebsco/PsycINFO and Embase.com from inception to 2016. Articles were reviewed for admitted or witnessed unprofessional behaviours of undergraduate medical students.

Results: The search yielded 11,963 different studies, 46 met all inclusion criteria. We found 205 different descriptions of unprofessional behaviours, which were coded into 30 different descriptors, and subsequently classified in four behavioural themes: failure to engage, dishonest behaviour, disrespectful behaviour, and poor self-awareness.

Conclusions: This overview provides a common language to describe medical students' unprofessional behaviour. The framework of descriptors is proposed as a tool for educators to denominate students' unprofessional behaviours. The found behaviours can have various causes, which should be explored in a discussion with the student about personal, interpersonal and/or institutional circumstances in which the behaviour occurred. Explicitly denominating unprofessional behaviour serves two goals: [i] creating a culture in which unprofessional behaviour is acknowledged, [ii] targeting students who need extra guidance. Both are important to avoid unprofessional behaviour among future doctors.

Keywords: Humanities; Medical education; Medical students; Professional misconduct; Professionalism; Systematic review; Unprofessional behaviour.


전문직이란(When I say . . . ) (Med Educ, 2019)

When I say . . . profession

Michael Trimble




의학을 논할 때 전문직업성을 벗어나기는 어렵다.

When discussing medical education it is hard to escape professionalism,


그렇다, 전문직업성은 우리 주위에 있다. 하지만, 솔직히 말해서, 나는 전문직업성을 말하지 않으려고 노력한다. 전문직업성을 증명하는 의사들에 대해 이야기하기보다는, 나는 그들이 '전문직을 실천하는 것'에 대해 말하고 싶다.

Yes, professionalism is all around us. But, truth be told, I try not to say professionalism. Rather than talking of doctors demonstrating professionalism, I would rather speak of them practising a profession.


사회학자 엘리엇 프리슨은 전문직을 광범위하게 기술하고 분석하는 글을 썼다. 그는 그 용어의 역사적 유래에 주목한다. 전문직이라는 단어는 라틴어의 뿌리를 가진 모든 유럽 언어에서 오랜 역사를 가지고 있다. 그러나 오늘날 영어에서 아래에 기술한 가장 오래된 용례로 쓰이는 경우는 비교적 드물다.

Sociologist Eliot Freidson has written extensively describing and analysing the professional occupations. He notes the historical derivation of the term. The word profession has a long history in all European languages with Latin roots. However, the oldest usage in English is today relatively uncommon:


선언, 공언 또는 의도나 목적의 표현으로서 직업(그리고 고백). 종교적이고 도덕적인 동기가 자신을 좋은 목적에 바치도록 암시한다.3

Profession (and profess) as a declaration, avowal or expression of intention or purpose ... implying religious and moral motives to dedicate oneself to a good end.3


처음에 직업은 대학에서 교육받은 신, 법, 의학을 지칭했고, 덜 일반적으로는 군대라는 직업들을 언급했는데, 이 모든 직업들은 전문직에 종사하는 사람들에게 헌신적인 서약을 하도록 요구하였다. 그런 직업이나 헌신이 목숨을 걸 정도로까지 확대되었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군인의 경우라면 분명하겠지만, 시칠리아 마피아 재판을 주재하는 판사가 취한 위험도 생각해 보십시오. 수세기 동안 종교적인 순교자들, 그리고 더 최근에는 에볼라 발병을 돕기 위해 자원하는 의사들도 있다.

Initially, profession referred to the university-educated occupations of divinity, law and medicine, and, less commonly, the military, all of which required those entering to take a vow of commitment. It should be noted that such profession or commitment extended to the point of risking one’s life. Perhaps obvious in the case of the soldier, but think also of the risks taken by the judge presiding over a Sicilian mafia trial, religious martyrs through the ages and, more recently, doctors volunteering to help in Ebola outbreaks.


미국의 내과 의사와 철학자 에드먼드 펠레그리노는 우리에게 직업에 대한 이 오래된 생각을 다시 생각해보라고 권하고 있다.

American physician and philosopher Edmund Pellegrino encourages us to think back to this older idea of profession:


병인 인류 특유의 상태에 있는 환자 앞에서, 그 의료전문가는 "선언profess"을 한다. 그는 특별한 지식과 기술을 가지고 있고, 치유할 수 있고, 또는 도울 수 있으며, 자기자신이 아니라 환자의 이익을 위해 그렇게 할 것이라고 "소리 높여 선언한다"고 말한다.5

In the presence of a patient in the peculiar state of vulnerable humanity which is illness, the health professional makes a “profession.” He “declares aloud” that he has special knowledge and skills, that he can heal, or help, and that he will do so in the patient’s interest, not his own.5


이 promise, profession과 대조적으로, 프리슨은 전문성을 다음과 같이 기술하고 있다.

By contrast with this profession, this promise, Freidson describes professionalism as follows, it is:


subordinate occupation은 대중에게 그리고 스스로에게 ...라고 주장한다. 자신은 봉사할 가치가 있는 업무와 전문가의 개인적 자질 증거를 가지고 있다고... 그리고 실제로, 전문직을 그렇게 주장하려면, medicine의 진정한 profession을 identification해야만 가능하다

... whereby subordinate occupations claim to the public and to themselves that they have worthy tasks of service and evidences of the personal qualities of professionals. Indeed, the claim to be a profession as such, if only by identification with the real profession of medicine.6


그래서 전문직업성은 다른 사람들이 정한 어떤 기준과 규칙을 지키는 것이고, 따라서 비슷한 방식으로 행동하는 것이다.

And so professionalism is more about upholding certain standards and rules set by others, and therefore behaving in a similar manner.


왜 이것이 의학 교육에 관련된 우리들에게 중요한가? 전문직업성에 중점을 두는 것은 규칙에 초점을 맞추고, 비전문적 행동을 피하고, [수월성을 장려하기 보다는 최소한의 기준을 유지하는 것]에 초점을 맞춘다. 이것은 영국 재단 프로그램 피드백 양식에서 연습생들을 위한 가장 좋은 평가옵션이 '우려되는 점이없음no concern'이라는 사실에 의해 입증된다. 한편, 전문직업profession으로서 의학이 중점을 두는 것은, 최고의 기준을 지키고, 최선의 실천에 전념하고, 보살핌은 명사뿐 아니라 동사라는 것을 기억하고자 하는 것이다. 즉, 모두 환자의 이익을 위해서다.

Why does this matter to those of us involved in medical education? A focus on professionalism is a focus on rules, on avoiding unprofessional behaviours, on maintaining minimum standards rather than encouraging excellence. This is borne out by the fact that on the UK Foundation Programme feedback forms for trainees the most positive option one can select is ‘No Concern’. To focus on medicine as a profession, on the other hand, is to aspire to uphold the highest standards, to commit to best practice, to remember that care is verb as well as a noun – all for the good of the patient.


그의 논문 도덕 담론 수준7에서 헨리 데이빗 아이켄은 어떤 상황에 대한 '윤리적인' 대응, 즉 어떤 것이 '올바른' 것인지 '좋은' 것인지, 아니면 해야 할 '구수한' 것인지, 네 가지 수준에 도달할 수 있다고 제안한다. 

  • 첫째는 표현-유발적 수준, 즉 초기 비성찰적 반응이다. 

  • 두번째로 그는 도덕적인 수준을 말하는데, 여기서 결정들은 규칙들에 의해 알려진다. 

  • 세 번째는 윤리적 수준이며, 이 규칙의 기초가 되는 원칙이 작용하게 된다. 

  • 넷째는 '내가 왜 도덕적으로 되어야 하는가?'라는 도덕적 추론의 바로 '근거'에 의문을 제기하는 포스트-윤리적 수준이다. 

In his paper Levels of moral discourse7 Henry David Aiken proposes that the ‘ethical’ response to a situation, that is whether something is ‘right’ or ‘good’ or what ‘ought’ to be done, can be arrived at on four different levels. 

  • The first is the expressive-evocative level, that is, the initial unreflective response. 

  • The second he terms the moral level, where decisions are informed by rules. 

  • The third is the ethical level, where the principles underlying the rules come into play. 

  • The fourth is the post-ethical, which questions the very ‘ground’ of moral reasoning: ‘Why should I be moral?’ 


우리는 이 분석을 당면한 문제에 적용할 수 있다. 

  • 피상적이거나 비성찰적 수준에서 medicine은 job이나 career이다.

  • 이를 넘어 규칙을 지키려고 한다면 professionalism을 발휘하는 것이다.

  • 더 깊은 수준에서, 우리는 환자를 돌보는 원칙에 헌신하기를 바랄지도 모른다: 이로서 profession이 된다.

  • 마지막으로, 우리는 무엇이 우리에게 동기를 부여하는지, 왜 우리가 이것을 해야만 하는지 물어본다. 이 가장 깊은 단계에서, 우리는 우리의 천직vocation을 찾았다는 것을 발견할 수 있을 것이다. 


We can apply this analysis to the question at hand. 

  • At a superficial or unreflective level medicine may be considered a job or career. 

  • Beyond this, if we are seeking to abide by the rules, we are demonstrating professionalism.

  • At a deeper level, we may wish to dedicate ourselves to the principle of care for the patient: we have made a profession. 

  • Finally, we ask what motivates us, why should we do this? At this deepest level, we may discover that we have found our vocation. And that is a word to discuss another day ...







, 53 (10), 965-966
 

When I Say … Profession

Affiliations 

Affiliation

  • 1Centre for Medical Education, Royal Victoria Hospital, Queen's University, Belfast, Belfast, UK.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