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셜미디어에 적절한 포스팅은? 학생, 교수, 대중의 평가(Med Educ, 2014)

What is appropriate to post on social media? Ratings from students, faculty members and the public

Anuja Jain,1 Elizabeth M Petty,2 Reda M Jaber,3 Sean Tackett,4 Joel Purkiss,3 James Fitzgerald5

& Casey White6



도입

INTRODUCTION


사용자 제작 콘텐츠 교환을 용이하게하는 소셜 미디어 웹 사이트는 매우 짧은 시간에 많은 사람들의 삶에 중대한 영향을 미쳤습니다. 특히 2004 년 이전에 Facebook이 존재하지 않는다고 상상하기 어려웠던 젊은 성인들에게 심대한 영향을 미쳤습니다.

Social media websites, which facilitate exchange of user-generated content, have had a profound impact on the lives of many in a very short time, especially among young adults who find it hard to imagine that Facebook did not exist before 2004.


소셜미디어에 대한 프로페셔널리즘 가이드라인

Professionalism guidelines on social media


예를 들어, 의사의 약 90 %가 개인용 또는 전문 용 Facebook 페이지를 보유하고 있으며, 거의 모든 의대는 Facebook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5

The medical profession uses social media as much as the general population.3 For example, nearly 90% of   practising doctors have Facebook pages for personal or professional use,4 and nearly all medical   schools have some Facebook presence.5


2010 년 11 월 미국 의사 협회 (American Medical Association)와 2012 년 1 월 미국 의사 협회 (American College of Physicians)는 전문성을 온라인으로 유지하기위한 가이드 라인을 발표했습니다.

The American Medical Association in November 2010 and the American College of Physicians in January 20128 published guidelines for maintaining professionalism online.


이 두 가이드라인에서는 전문적인 경계를 유지하고 환자 정보와 함께 기밀성을 유지하기 위해 온라인 환경에 프로페셔널리즘 표준을 확장하는 것을 지지합니다.

Both advocate extending standards of professionalism to the online environment to maintain appropriate professional boundaries and confidentiality with patient information.8


호주 의학 협회 (Australian Medical Association)는 의과학생이 환자와의 접촉에서 다른 동료를 비방하는 것까지 다양한 상황에서 소셜 미디어 사이트를 탐색하도록 돕기 위해 '행동 강령'을 만들었습니다.

the Australian Medical Association has created a ‘Code of Conduct’ to help medical students navigate using social media sites in various situations ranging from contact with a patient to defaming another colleague.9


마찬가지로 영국의 일반 의학위원회 (General Medical Council)와 캐나다 의학 협회 (Canadian Medical Association)는 의대생을 대상으로 소셜 미디어 사용에 관한 지침을 제공합니다.

Similarly, the General Medical Council in the UK and the Canadian Medical Association have guidelines for medical students regarding social media use.10



의과대학생의 소셜미디어 활용

Medical students’ use of social media


2010 년의 질적 연구에 따르면 의대생들 사이에 UPB를 구성하는 것에 대한 합의가 이루어지지 않았다.

A 2010 qualitative study found that, there was no consensus among medical students for what constitutes unprofessional behaviour.12


일부 의대생은 의과 대학에서 '감시하고있다'는 느낌을 보고하며, 이를 침범intrusion으로 인식하며 분개하고있다.

some medical students have reported a sense of being ‘watched’ by their medical schools and they resent what they perceive to be an intrusion.13


전문직 정체성 형성

Professional identity formation


의과대학생들은 특히 초기에 의사가하는 것과 같은 방식으로 프로페셔널리즘을 보지 못합니다. 왜냐하면 그들은 매우 다른 발전 단계에 있기 때문입니다.

Medical students, particularly early on, do not view professionalism in the same way that doctors do, because they are at a very different stage of development.


자비스 - 셀린저 (Jarvis-Selinger)와 동료들 (17)은 의과대학생이 실제적으로 의사가되는 것의 의미를 깊이 이해하지 못했다고보고했다. 학생들은 이것을 '협소하게 정의하고 피상적으로 이해했다'.

Jarvis-Selinger and colleagues,17 reported that medical trainees do not have a deep understanding of what it actu-ally means to be a doctor; theirs is a ‘narrowly defined, superficial understanding’.17


자라면서 모든 유형의 정보를 공유해온 '디지털 원주민'이 개인 생활과 직업 생활을 분리하는 경계를 개발하는 것은 어려울 수 있습니다.

due to growing up sharing all types of information, it may be difficult for these ‘digital natives’ to develop boundaries that separate their personal lives from their professional lives.


소셜미디어 설문 연구

Social media surveys conducted



방법

METHODS


자료 수집

Data collection


A survey of currently enrolled medical students, medical school faculty members and non-doctor/non-student employees (‘public’) from all schools and units of the entire University of Michigan system was conducted in the winter of 2009. Our public population was not limited to the health system or medical school, and respondents in this category who were health care professionals were excluded from the analysis.


대상

Subjects


In total, 1546 people responded to the survey that was sent out to three list serves. As this was an online survey with list serve e-mail recruitment (i.e. we estimate that thousands could have accessed the survey through the list serve, but we have no way of determining how many deleted it before opening or how many opened and then deleted it), response percentages cannot be accurately determined. Respondents were first asked to identify themselves as health care professionals or non-health care professionals; health care professionals were asked what type they were (e.g. medical student, medical faculty member, other faculty member, other health care professionals of various types).


설문 설계

Survey design


Several of the study investigators, including medical school students and faculty members, designed the survey instrument based on what has been reported in existing literature and investigator hypotheses.10


We attempted to capture the following major themes with our screenshots picture selection: 

    • same-sex pairs (posing together or kissing), 

    • opposite-sex pairs (posing together or kissing), 

    • comments on patients (e.g. ‘saw the fattest patient today’), 

    • substance use (students using marijuana, drinking alcohol, smoking cigarettes), 

    • comments on medical school (e.g. ‘just bombed the anatomy final’), 

    • parties or dancing, 

    • partial nudity, 

    • clinical picture-domestic and 

    • clinical picture-international.


Participants were told that the screenshots were taken from Facebook profiles of medical students with ‘public’ privacy settings and thus accessible by   search engines and all Facebook users, and they were told that the screenshots did not display any medical students from the University of Michigan. Participants were asked to review the screenshots, read the text descriptions within these mock posts, as well as the survey question prompts, and then to rate the pictures accordingly. 

    • They rated the ‘appropriateness’ of each screenshot on a Likert scale from 1 (very appropriate to post on an online network) to 5 (not at all appropriate to post on an online network). 

    • The subjects were also asked to respond to the question ‘Would you feel comfortable having the student who posted this as your doctor in the future?’ using a Likert scale ranging from 1 (would be very comfortable having this student as my doctor in the future) to 5 (absolutely would not feel comfortable having this student as my doctor in the future).


The instrument underwent pilot testing by 20 medical faculty members, 20 medical students from external institutions and 20 non-health professionals (public); these results were not used in the final data analysis. A link to the final survey, including screenshots, can be found here: http://www-personal.umich.edu/ purkissj/FacebookSurvey.pdf.



통계 분석

Statistical analysis


To determine whether respondent groups differed in their uses of Facebook we conducted chi-squared tests of significance and tabulated Cramer’s V effect size measures. Cramer’s V = √(X2/(n[k  1]), where k = the smaller of the number of rows or columns. We interpret effect sizes from Cramer’s V using the following conventions: 0.1 = small, 0.3 = moderate, 0.5 = large (Table 2).


we performed a series of independent samples Kruskal–Wallis H′ tests (the H′ statistic is similar to H, but is adjusted for tie rankings). We utilised non-parametric techniques for these data, as some of our scale-based measures showed evidence of non-normal distributions. When statistically significant associations existed, we followed with Dunn–Bonferroni-adjusted post hoc comparisons to determine which groups differed significantly. To measure effect size for these associations, we used eta-squared (g2 = H′/[n  1]). We interpret effect sizes from eta-squared using the following conventions: 0.01 = small, 0.06 = moderate, 0.14 = large (Table 3). 


Finally, we conducted two multiple linear least-squares regression analyses to explore the relationship between overall assessments of the screenshots, respondent group and demographic characteristics. We elected to use simultaneous forced entry of all regression variables (i.e. enter method, with all variables included), given the absence of a theoretical framework that might guide a hierarchical approach to adding regression variables. This approach to multivariate regression analyses allowed us to explore the relationship between membership in the respondent groups and appropriateness and comfort ratings, while controlling for additional variables, including respondent gender, race ethnicity and age. To measure effect size for the regression analyses, we used Cohen’s f 2 (f 2 = (R2/[1  R2]). We interpret effect sizes from Cohen’s f 2 using the following conventions: 0.02 = small, 0.15 = moderate, 0.35 = large (Table 4). Throughout the study, we used p < 0.05 as our threshold for statistical significance. 


RESULTS


인구통계

Demographics



페이스북 사용

Facebook utilisation


표 2에서 볼 수 있듯이, 응답자 그룹은 다른 유형의 Facebook을보고 했습니까? 각각의 사용 유형 (모든 경우 p <0.05)과 약한 정도에서 중등도 범위의 효과 크기 (Cramer 's V의 범위는 0.08에서 0.20 사이)에 대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집단 차이를 보였다.


As shown in Table 2, respondent groups reported different types of Facebook utilisation, with statistically significant group differences for each usage type (p < 0.05 in every case) and effect sizes in the weak-to-moderate range (Cramer’s V ranged from 0.08 to 0.20).




스크린샷 평가

Screenshot ratings


표 3에 제시된 데이터는 전반적으로 교수진과 대중이 더 보수적 이었음을 보여줍니다

Data presented in Table 3 show that, overall, faculty members and the public were more conservative 


표 3은 29 이미지 평균에 대한 결과 외에도 전반적인 (총) 응답자 등급에 따라 가장 적절하지 않은 것으로 분류되고 정렬 된 이미지 항목을 제공합니다.

In addition to results for the 29-image averages, Table 3 also presents the image topics categorised and sorted from least appropriate to most appropriate according to overall (total) respondent ratings.





표 4는 2 개의 다중 선형 최소 자승 회귀 분석 결과를 요약 한 것이다.

Table 4 summarises the results from two multiple linear least-squares regression analyses.




고찰

DISCUSSION


젊은 사람들 사이에서 소셜 미디어가 널리 보급되고 있으며, 65 세 이상 그룹을 포함하여 지난 5 년 동안 모든 연령대의 페이스 북 사용자 수가 증가했습니다. 22

The widespread use of social media is fairly recent and much more prevalent among younger individuals,11 but the number of Facebook users in all age groups has increased over the past 5 years, including those in the ‘over 65 years of age’ group.22  


일반적으로 교직원과 대중은 소셜 미디어 사이트에 게시 된 콘텐츠의 적합성에 대해 학생들보다 보수적이었습니다.

In general, faculty members and the public were more conservative than students about the appropriateness of content posted on social media sites.


본 연구에서 우리는 의과대학의 교수진, 의대생 및 일반인의 세 그룹에 의해 평가 된 적합성에 대한 인식에서 유의 한 차이를 발견했습니다. 참고로, 교수진은 대중의 적합성 등급보다 약간 더 많은 범주의 의대 학생과 비교하여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낮은 적합성과 comfort 수준을 나타내므로 의대 교수진이 일반 대중보다 학생에 대해 가장 높은 전문성을 기대한다고 제안했습니다.

In our study we found significant differences in perceptions of appropriateness as rated by three groups: medical school faculty members, medical students and the public. Of note, faculty members indicated statistically significant lower appropriateness and comfort levels compared with medical students in slightly more categories than the public’s appropriateness ratings, suggesting that medical school faculty members expect the highest degree of professionalism among students than the general public (based on our sample). 


모든 응답자는 현재의 (환자에 대한 언급이 포함된) 전문직업성 표준이나 법률을 분명히 위반한 이미지를 가장 discomfort하다고 평가했으며, 그 뒤를 마리화나 이미지가 따랐다. 놀랍지 않게도, 우리 사회의 규범을 고려할 때, 서로 다른 성별 사이의 관계 (즉, 키스)를 묘사 한 이미지는 가장 덜 부적절한 것으로 여겨졌고, 모든 세 그룹 사이에서 가장 불편함을 덜 유발했습니다.

All respondents rated images that clearly violated current professional standards or laws, with comments on patients as the most inappropriate and causing the most discomfort, followed by an image with marijuana. Not surprisingly, given our societal norms, images depicting opposite-sex relationships (i.e. kissing) were viewed as least inappropriate and caused the least discomfort among all three groups.


일반적으로, 부적절하거나 적절한 소셜미디어 게시 유형에 대해서, 그리고 그러한 포스팅을 의대생이 아닌 사람들이 봤을 때에 수반되는 결과에 대해서 의대생이 갖고 있는 생각은 의사 및 일반 대중과 크게 다른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In general, we found that medical students differed significantly from doctors and the public in terms of the types of social media posting they find appropriate versus inappropriate, and in terms of the consequences of such postings when viewed by individuals who are not medical students.


우리의 연구 결과는 의대생은 교수 또는 일반 대중이 부적절하거나 프로페셔널하지 않은 것으로 생각할 의견, 사진을 게시 할 가능성이 높다는 것을 보여줍니다. 세 그룹의 스크린 샷 평가에서 통계적 차이가 발견되었으며 연령을 통제했을 때도 중요한 요소로 지속되었습니다.

Our findings suggest that medical students are more likely to post comments, images and photographs that medical school faculty members and the public would consider inappropriate or unprofessional. Statistical differences were found among the three groups’ ratings of the screenshots and persisted as a significant factor, even when we controlled for age.


추가 관심사는 특정 이미지 또는 코멘트가 사회적인 네트워크 사용자에 관하여 개인 정보를 계시했다이다. 기본 Facebook 프로필을 통해 사용자는 자신의 성적 취향뿐만 아니라 정치적 및 종교적 이데올로기를 공개적으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정보는 전통적인 환자와의 만남에서는 드러나지 않으며, 따라서 환자가 이러한 정보를 알게 되면 의사에게 정보 제공을 보류하거나, 선입관을 갖거나, 또는 단순히 의사로서 그 사람에게 불편함을 느낄 수 있습니다. 우리 연구에서 이것을 발견했습니다. 일반인들은 더 높은 비율로 동성간의 관계에 관한 이미지를 부적절하다고 느꼈으며, 이러한 게시물을 올리는 학생들을 미래의 의사로서 덜 comfortable하게 느꼈다. 동성 관계에 대한 이미지를 의대생보다 교수진과 일반인이 더 부정적으로 보았다는 사실은 (특히 특정 인구통계학적 집단에서) 동성 간 관계에 대한 수용이 증가하고 있는 문화적 규범을 반영했을 것입니다. 

Of additional interest is that certain images or comments revealed personal information about social network users. The basic Facebook profile allows users to identify their sexual orientation publicly, as well as their political and religious ideologies. This information, which would probably not be revealed in a traditional patient encounter, could cause a patient to withhold information, to form preconceived biases or simply to feel uncomfortable with that individual as their doctor. We found this in our study – a higher percentage of the public group found images depicting same-sex relationships inappropriate and they were less comfortable having the student posting the image as their future doctor than were members of the student group. The fact that same-sex relationships were viewed more negatively among faculty members and public groups when compared with the medical student group probably reflects cultural norms, where there is growing acceptance of same-sex relationships, especially among certain demographic groups in our society.


남아있는 중요한 문제는 다음에 대해서 의대생들의 이해를 돕는 것이다.

  • 학생들이 소셜 미디어 사이트에 게시해도 괜찮다고 생각하는 것이 교수, 일반인, 미래의 환자가 생각하는 것과는 크게 다르다는 것

  • 다른 사람들이 부적절하다고 생각하는 게시물이 전문직업적 영향 또는 평판에 영향을 가져올 수 있다는 것

A major issue remains in how to help medical students understand that what they think is appropriate to post on a social media site is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what faculty members or the public, their future patients, might think, and that postings thought by others to be inappropriate could have professional or reputational consequences.



한계

Limitations


우리 설문 조사 응답자는 미국 내 다른 학술 의료 센터의 학생, 교수 및 일반인을 대표한다고 생각하지만이 연구는 중서부의 한 대형 기관에서 실시되었습니다.

Although we believe the respondents to our survey are representative of students, faculty members and the public from other academic medical centres in the country, the study was conducted at a single large Midwestern institution.


Summary and future directions


우리 연구 결과는 의대생들이 게시하기 전에 게시하려는 콘텐츠에 대해 배우는 것을 배우도록하기 위해 만들어진 가이드 라인 개발에 중요한 의미가 있다고 생각합니다. 의학 교육은 전통적으로 전문성에 관한 학습을위한 기본 도구로서 역할 모델링에 크게 의존했지만, 이러한 사이트의 사용 방법과 콘텐츠에 대한 관점이 연령별로 차이가있는 것으로 보아, 소셜 네트워킹에 대한 역할 모델링은 현실적이지 않거나 효과적이지 않을 수 있습니다.


We believe our findings have important implications for development of guidelines created to help medical students learn to reflect on content they intend to post before they post it. Although medical education has traditionally relied significantly on role modelling as a primary tool for learning about professionalism, given what appear to be age differences in how such sites are used and how content is viewed, role modelling about social networking might not be realistic or effective.


17 Jarvis-Selinger S, Pratt DD, Regehr G. Competency is not enough: integrating identity formation into the medical education discourse. Acad Med 2012;87: 1185–90.













 2014 Feb;48(2):157-69. doi: 10.1111/medu.12282.

What is appropriate to post on social mediaRatings from studentsfaculty members and the public.

Author information

1
Children's Hospital Boston/Boston Medical Center, Boston, Massachusetts, USA.

Abstract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scertain what medical students, doctors and the public felt was unprofessional for medical students, as future doctors, to post on a social media site, Facebook(®) . The significance of this is that unprofessional content reflects poorly on a student, which in turn can significantly affect a patient's confidence in that student's clinical abilities.

METHODS:

An online survey was designed to investigate the perceptions of University of Michigan medical students, attending physicians and non-health care university-wide employees (that serves as a subset of the public) regarding mock medical students' Facebook(®) profile screenshots. For each screenshot, respondents used a 5-point Likert scale to rate 'appropriateness' and whether they would be 'comfortable' having students posting such content as their future doctors.

RESULTS:

Compared with medical studentsfaculty members and public groups rated images as significantly less appropriate (p < 0.001) and indicated that they would be less comfortable (p < 0.001) having posting students as future doctors. All three groups rated screenshots containing derogatory or private information about patients, followed by images suggesting marijuana use, as least appropriate. Images conveying intimate heterosexual couples were rated as most appropriate. Overall, the doctor group, females and older individuals were less permissive when compared with employee and student groups, males and younger individuals, respectively.

CONCLUSIONS:

The most significant conclusion of our study is that faculty members, medical students and the 'public' have different thresholds of what is acceptable on a social networking site. Our findings will prove useful for students to consider the perspectives of patients and faculty members when considering what type of content to post on their social media sites. In this way, we hope that our findings provide insight for discussions, awareness and the development of guidelines related to online professionalism for medical students.

PMID:
 
24528398
 
DOI:
 
10.1111/medu.12282


의사는 얼마나 많은 소셜미디어 프로파일을 가질 수 있을 것인가?(BMJ, 2012)

How much of a social media profile can doctors have? 


Social media have made it harder to maintain a distinction between professional and personal lives.

Margaret McCartney looks at the dangers


Margaret McCartney general practitioner

Glasgow, UK




전문성과 소셜 미디어는 불안한 혼합이 될 수 있습니다.

Professionalism and social media can be an uneasy mix.


미국에서는 4 명의 간호 학생들이 페이스 북에 인간 태반 사진을 찍은 후 추방되었습니다.

In the United States, four nursing students were expelled after putting a photograph of themselves with a human placenta on Facebook5;


의사는 면역이되지 않았습니다.

Doctors have not been immune.


스코틀랜드 주니어 의사 한 명이 의사와 학생을 위한 웹 사이트에 수석 의사에 대한 논평을 올린 것으로 정학을 받아 논란이 일었다.

one Scottish junior doctor was controversially suspended over comments made about senior doctors on a website for doctors and students.7


한편 BMA는 의사와 의대생을 대상으로 소셜 미디어 사용법에 대한 지침을 발표했으며 8), 영국 보건 당국 (General Medical Council)은 현재 컨설팅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Meanwhile, the BMA has published guidance for doctors and medical students on how to use social media,8 and the General Medical Council, the UK regulator, is currently consulting on it.


Superego Cafe, BMJ 그룹의 doc2doc 및 doctors.net과 같은 의사를 대상으로 한 일부 웹 사이트에는 임상 사례를 논의 할 수있는 특정 포럼이 있습니다. 그러나 모든 경우가 이러한 것이 아니다.

Some websites aimed at doctors—for example, Superego Cafe, the BMJ Group’s doc2doc, and doctors.net—have specific forums for discussing clinical cases. But this isn’t the case everywhere.


"의사가 동료와 이야기를 나누는 경우에 (전문적인 탐구의 정신으로) 동료적인 방식으로 이루어집니다. 이런 대화는 보통 해로울 위험은 없으며 실제로 환자에게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온라인으로하는 것은 환자의 프라이버시에 대한 모든 종류의 우려를 야기합니다. "

If a doctor is talking to a colleague, it’s done in a collegial way, in the spirit of professional inquiry. No harm is likely to be done, and there may actually be a benefit to the patient. But doing it online gives rise to all sorts of concerns about patients’ privacy.”


전문직업적 책임

Professional responsibility


페이스 북에서 "friending"환자와 같은 문제에서 개인적인 것과 전문적인 것 사이의 경계 문제가 제기됩니다. 이것은 BMA에 의해 논의되었으며, 의사는 현재 또는 이전 환자의 "친구"요청을 받아들이지 않을 것을 권장합니다.

The hinterland between personal and professional is raised in issues such as “friending” patients on Facebook. This has been discussed by the BMA, which recommends doctors do not accept “friend” requests from current or former patients.


BMA는 많은 의사들이 일부 개인 정보를 환자와 공유하기로 선택할 수 있음을 인정하지만, 컨설팅 룸에서 온라인으로는 불가능한 방식으로 통제 할 수 있습니다 .8 미국 의사 협회 (American Medical Association)는 의사가 온라인에서 전문적 컨텐츠와 개인적 콘텐츠를 분리해야한다고 제안하고 "게시 된 온라인 및 콘텐츠가 환자 및 동료 간의 평판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의료 분야 (특히 의사와 의사)에게 큰 타격을 줄 수 있으며 의료계에 대한 대중의 신뢰를 약화시킬 수 있음을 인식해야한다"고 강조한다 10

The BMA acknowledges that many doctors may choose to share some personal information with patients, but this can be controlled in the consulting room in a way that is not possible online.8 The American Medical Association suggests that doctors should separate professional and personal content online and “must recognize that actions online and content posted may negatively affect their reputations among patients and colleagues, may have consequences for their medical careers (particularly for physicians-in-training and medical students), and can undermine public trust in the medical profession.”10


개인적 구분

Private distinctions


의사는 온라인에서 친구나 가족에게만 의사 소통을하는 경우에도 전문적인 책임과 표준을 항상 고수해야합니까? 의사가 직장에 있지 않을 때 의사가 개인적인 개인으로 행동 할 수 있습니까? 이것이 합리적입니까? 그렇다면 의사가 온라인에서 윤리적으로 존재할 수 있는 것이 있긴 합니까?

So does a doctor have to adhere to professional responsibilities and standards online at all times—even if communicating only to friends or family? Can a doctor act as a private individual online when not at work? Is this fair—and what kind of online presence can doctors ethically have?


GMC는 Good Medical Practice에서 다음과 같이 말했습니다 : "항상 당신의 행동이 환자의 당신에 대한 신뢰와 대중의 전문직에 대한 신뢰를 정당화하는지 확인해야합니다."라고 말하면서 "때때로 우리는 또한 의사의 행동에 제제를 가하는데, 그 경우는 비록 불법적인 것은 아니지만 환자의 진료 또는 공공 직업에 대한 신뢰를 훼손 할 수있는 공공 영역에서의 행동에 대한 것이다". 이것에 대한 이론적 근거는 항상 환자가 의사를 절대적으로 신뢰해야한다는 것입니다. medical care를 찾을 때 환자들은 취약해질vulnerable 것이며, 암묵적으로 의사를 신뢰할 수 있어야합니다. "12

the GMC quoted Good Medical Practice, which states: “You must make sure that your conduct at all times justifies your patients’ trust in you and the public’s trust in the profession.” It went on, “ occasionally we also take action on doctors’ registration as a result of doctors’ behaviour in the public sphere, which while not illegal, may undermine patients’ or public trust in the profession. The rationale for this has always been that patients need to trust their doctors absolutely. Many patients will be vulnerable when they seek medical care and need to be able to trust doctors implicitly.”12


GMC의 최고 책임자 인 Niall Dickson은 성명서에서 "의사들은 항상 환자의 행동이 환자에 대한 신뢰와 직업에 대한 대중의 신뢰를 정당화하도록해야한다. 공개적 영역에서 자신의 업무나 의료 서비스 제공에 관해 언급할 경우 의사는 환자 기밀 유지에 유의하고 동료를 존중해야합니다.

Niall Dickson, the chief executive of the GMC, said in a statement that “Doctors must make sure that their conduct at all times justifies their patients’ trust in them and the public’s trust in the profession. Doctors who comment in the public domain about their work or the provision of healthcare must be mindful of patient confidentiality and treat colleagues with respect.


그러나 의사가 전문직으로서 소통하는 것과 일반적인 시민으로서 다른 사람들과 상호 작용하는 것 사이에 경계를 그리는 것은 명확하지 않다. "의사를 암묵적으로 신뢰하지 못하게끔" 환자를 만드는 행동 유형은 사람마다 다를 수 있습니다 .

What is less clear is where a line can be drawn around a doctor’s ability to interact with others as a normal citizen rather than with professional responsibility—the types of activity that may lead to patients not “trusting doctors implicitly” will vary from person to person.


예를 들어 온라인 누드 사진을 찍습니다. 누드가 있으며 누드가 있습니다. 그 자체로는 반드시 문제가되지는 않습니다. 문제는 그게 얼마나 음란한가에 달렸을 것입니다. 예를 들어 jape과 환자에게 정말로 불쾌감을 줄 수있는 생식기의 사진 사이에는 차이가 있습니다. 또한 대중에게 얼마나 멀리 퍼졌는지에 달려 있습니다. 그리고 의사에 대한 성공적인 행동은 인과 관계의 라인line에 달려있다. 그 사진으로 인해 환자의 신뢰를 잃을 것으로 예상 할 수 있을 것인가?

For example, take an online nude photograph. Well, there’s nudity and there’s nudity—by itself it wouldn’t necessarily be a problem. It would depend how lewd it was—there’s a difference between japes and, say, objectionable photographs of genitals that could be really offensive to patients. It would also be dependent on how far they were circulated round the public. And then, a successful action against a doctor would depend on the line of causation—could the photo foreseeably lead to a loss of patient trust?”


그러나 우리는 과도하게 신중하지는 않아야하며, 소셜 미디어가 제공 할 수있는 커뮤니케이션 및 상호 작용의 풍부함을 놓치지 않아야합니다. 다른 시민과 마찬가지로 의사도 온라인으로 의견을 표명 할 수 있으며, 의사를 신격화하는 컴플렉스medical god-complex를 제거하는 것의 한 가지 효과는 의료를 humanize하는 것이며, 실수를 할 수 있지만, 전문직업적인 의사로 채우는 것이다.

But we must not be overly cautious and miss the richness of communication and interaction that social media can offer. Doctors, like other citizens, are entitled to express opinions online, and one effect of the undoing of the medical god-complex has been to humanise medicine and populate it with doctors who are fallible but professional.





 2012 Jan 23;344:e440. doi: 10.1136/bmj.e440.

How much of a social media profile can doctors have?

PMID:
 
22271528


프로페셔널리즘 학습: 전임상 의과대학생의 관점(Acad Med, 2009)

Learning Professionalism: Perspectives of Preclinical Medical Students

Amy Baernstein, MD, Anne-Marie E. Amies Oelschlager, MD, Tina A. Chang, MD, and Marjorie D. Wenrich, MPH




프로페셔널리즘을 가르쳐치는 방법에 관한 일관된 주제가 등장했습니다.

(1) 역할 모델은 학생들의 프로페셔널리즘 개발에 일차적 역할을 한다,

(2) 프로페셔널리즘의 원칙을 명시적으로 가르치는 활동은 롤모델링에 전적으로 의존하는 교육의 중요한 보조물이며,

(3) 환자 치료에서 부정적인 롤모델을 관찰하는 것은 불가피하지만, 이러한 사건에 대해 교수들이 학생에게 설명 할 수 있는 능력을 갖게되면 해로운 영향을 완화시킬 수있다.

(4) 진정으로 프로페셔널리즘을 증진시키기 위해서 의과대학은 전체 교수진이 최고 수준의 프로페셔널리즘 기준에 따르도록 해야 한다

consistent themes regarding how professionalism should be taught have emerged: 

(1) role models are the primary influence on students’ professional development,8–10 

(2) activities in which trainees are explicitly taught principles of professionalism are an important adjunct to relying exclusively on role modeling,11–13 

(3) observing negative role models in patient care is inevitable, but having faculty available to students to debrief these events may mitigate deleterious effects,14–16 and 

(4) to truly promote professionalism in our trainees, medical schools must hold the entire faculty to the highest professional standards.2,9,11


학습자 buy-in은 의과대학 커리큘럼에 추상적이거나 외적인extraneous 것으로 인식 될 수있는 주제에 학생들을 참여시키는 데 필수적입니다.

learner buy-in is essential to engaging students in a topic that may be perceived as abstract or extraneous to the scientific curriculum.



전임상 교육과정에서의 프로페셔널리즘

Professionalism in the Preclinical Curriculum


워싱톤 대학 의과 대학에서는 전임상 커리큘럼에서 프로페셔널리즘을 가르치는 접근 방식이 공식 및 비공식 요소를 결합합니다. 공식 전문성 교과 과정에는 강의, 패널, 소그룹 토론, 서면 성찰 및 의식이 포함됩니다 (표 1). 학생들은 전문성 벤치 마크라고하는 일련의 행동 기대치를받습니다.

At the University of Washington School of Medicine, our approach to teaching professionalism in the preclinical curriculum combines formal and informal elements. The formal professionalism  curriculum includes lectures, panels, small- group discussions, written reflections, and ceremonies (Table 1). Students receive an explicit set of behavioral expectations called professionalism benchmarks.


비공식 프로페셔널리즘 커리큘럼은 종종 임상 맥락에서 교수, 의사 또는 동료와의 학생 접촉을 통해 나타납니다. 우리 학부 환경에서 첫 1 년 동안 환자 인터뷰가 개별 인터뷰에서 발생합니다.

The informal professionalism curriculum emerges through student contact with faculty, physicians, or peers, often in clinical contexts. In our undergraduate setting, patient contact occurs in individual interviews during the first year.


2 학년 동안, 30 명의 대학 멘토 중 임상 스킬 (면접, 신체 검사, 임상 추론, 구두 및 서면 프리젠 테이션) 및 전문성 교육을받는 대학 프로그램의 맥락에서 환자 접촉이 발생합니다. Competitive한 과정에서 선발 된 이들 교수진은 수업 및 멘토링 활동을위한 공개 시간을 가지며, 등록부터 졸업까지 각 반의 학생들을 일관되게 멘토합니다 .27,28 각 멘토는 매주 6 명 입원 환자 환경에서 2 학년 학생. 매주 두 명의 학생들이 멘토 감독하에 입원 환자들을 인터뷰하고 검사합니다. 이 학생들은 침대 옆의 환자들을 멘토와 다른 다섯 명의 학생들에게 소개합니다. 연말까지 각 학생은 6 명의 입원 환자에 대해 인터뷰, 조사 및 침대 옆 프리젠 테이션을하고 30 명의 추가 환자를 관찰하고 논의했습니다.

During the second year, patient contact occurs in the context of the colleges program, in which students receive instruction in clinical skills (interviewing, physical exam, clinical reasoning, oral and written presentations) and professionalism from1 of 30 college mentors. These faculty, selected in a competitive process, are given release time for their teaching and mentoring activities, and they mentor a consistent group of students in each class from enrollment to graduation.27,28 Each mentor meets weekly with his or her group of six second-year students in an inpatient setting. Two students each week interview and examine hospitalized patients under their mentor’s supervision. These students then present their patients at the bedside to the mentor and the other five students. By the end of the year, each student has interviewed, examined, and given a bedside presentation on six hospitalized patients and has observed and discussed an additional 30 patients.


멘토는 ​​침대 옆에서 일어나는 프로페셔널리즘 문제와 학생들과의 집단 역학 관계를 탐구합니다. 위에서 언급 한 프로페셔널리즘 벤치 마크의 개발에 참여한 이들 멘토는 학생들과의 프로페셔널리즘 토론을 통해 이러한 벤치 마크를 refer하고 reinforce하도록 권고된다.

College mentors explore professionalism  issues that arise at the bedside and in group dynamics with their students. These mentors, who participated in development of the professionalism  benchmarks described above, are encouraged to refer to and reinforce these benchmarks in discussions of professionalism with their students.


우리는 공식적이고 비공식적인 전임상 프로페셔널리즘 교과 과정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에 관심이있었습니다.

We were interested in students’ perceptions of the formal and informal preclinical professionalism curricula.




방법

Method


참가자

Participants


A convenience sample of second-year students completed interviews in 2004 and 2005 as part of the school of medicine’s internal curricular improvement process. All second-year medical students were invited via e-mail to participate near the end of the 2003– 2004 and 2004–2005 academic years, with the goal of identifying 30 students for interviews and completing interviews with at least 25 students per year in 2004 and 2005. Students were informed that the purpose of the interview was to learn how the curriculum performs in order to make future improvements. Students were assured that their responses would be deidentified and were, therefore, confidential. Each student received $50 for participating.



도구

Instrument


Interview questions were developed by a core team of medical education faculty with expertise in qualitative research and evaluation. Questions assessed multiple domains of the curriculum, including the teaching of professionalism . Every participant was asked six questions specifically addressing professionalism . These questions included 

    • the student’s definition of professionalism , 

    • self- perceived influences on professionalism , 

    • the college faculty and college group’s influence on professionalism , and 

    • professional and unprofessional behaviors observed.


자료 수집, 분석, 해석

Data collection, analysis, and interpretation


In-depth, face-to-face, semistructured interviews were conducted by nonclinical medical education faculty with no supervisory relationship to students. Interviews, conducted in confidential settings and approximately 45 minutes in length, were audiotaped. Students were not identified by name in the interview.


Students’ responses were later transcribed, and all potential identifiers were removed. For the purpose of our analyses, we used portions of the transcripts relevant to professionalism .

    • All members of our research team initially reviewed a common set of 12 interviews and, from this common review, developed preliminary domains and categories within domains. 

    • Then, two researchers (A.B. and either A.A.O., T.A.C., or M.D.W.) independently coded each of the 56 transcripts using these common domains and categories. 

    • New domains and categories that emerged were discussed and added during the coding process. 

    • Coding discrepancies were reconciled by discussion and consensus. 

    • Analysis oversight was provided by an experienced qualitative researcher without direct clinical exposure to the students (M.D.W.).

    • In coding pairs we also identified, reviewed, and discussed representative quotations

    • Quotations best exemplifying domains or categories within domains were edited for length and flow, but the text’s meaning was preserved. 

    • Numeric counts of domains and categories are presented in some cases to demonstrate how frequently these topics were raised by students. 

We calculated interrater reliability using all transcripts.




결과

Results


무엇이 프로페셔널한 것인지를 관찰하다: 롤모델

“Observing what is professional”: Role models


참여자들은 역할 모델을 프로페셔널리즘 교육의 강력한 원천으로 간주했다. 역할 모델은 세 가지 범주로 분류됩니다.

Participants identified observing role models as a powerful source of professionalism education. Role models fell into three categories:


환자 돌봄에서 의사 역할모델

Physician role models in patient care.


대부분의 학생들은 역할 모델링이 프로페셔널리즘을 배우는 기본 방식이라고 표현했습니다.

Most students expressed that role modeling was their primary mode of learning professionalism .


프로페셔널리즘에 대한 긍정적 역할 모델을 설명하는 데있어 대부분의 학생들은 임상 작업에서 관찰 한 의사를 설명했습니다.

In describing positive role models for professionalism , most students described physicians they observed in clinical work.


학생들은 부정적인 의사 역할 모델에 대해서도 설명했습니다. 대부분은 egregious하진 않았지만, 상당히 인상적이었습니다.

Students also described negative physician role models. Although many examples were not egregious, they made a strong impression:


교실에서 교수 롤모델

Faculty role models in the classroom.


56 명의 학생 중 22 명 (39 %)이 교실 수업 중 교직원의 행동을 프로페셔널 또는 unprofessional한 것으로 확인했습니다.

Twenty-two of the 56 students (39%) identified faculty conduct during classroom instruction as professional or unprofessional.


교수자의 UPB에는 강의 준비를하지 못하고 저속한 농담을하고 환자에 대해 무례한 말을하고 학생을 얕잡아보고 학생의 우려를 진지하게 받아들이지 않는 것 등이 포함되었다.

Unprofessional behaviors noted in lecturers included being unprepared for the lecture, telling vulgar jokes, making disrespectful comments about patients, belittling students, and not taking students’ concerns seriously.


동료 롤모델

Peer role models.


2 학년 학생들은 일상적으로 환자를 인터뷰하고 병상에서 사례를 발표하며 서로의 퍼포먼스를 동료에게 피드백합니다. 학생들은 동료의 강점을 통해 배울 기회를 언급했습니다.

Second-year students in our setting routinely observe one another interviewing patients and presenting cases at the bedside, and they provide feedback to peers on their performance. Students cited opportunities to learn from peers’ strengths.


학생 중 절반 이상이 피곤함, 속임수, 환자, 교사 및 동료에 대한 불손한 말하기와 같은 동료의 UPB를 비판했습니다. 학생들은 동료의 행동이 전체 전문직에 반영된다는reflect 것을 파악했습니다.

More than half of the students criticized peers for unprofessional behaviors, such as tardiness, cheating, and speaking disrespectfully of patients, teachers, and peers. Students grasped that peers’ actions reflect on the whole profession. 


학생들은 동료가 UPB를 했을 때 멘토가 개입 할 것을 기대했습니다.

Students expected their mentor to intervene when students demonstrated unprofessional behavior.


무엇이 프로페셔널한 것인지를 듣다: 공식 교육과정

“Being told what is professional”: Formal curriculum


강의와 패널

Lectures and panels.


학생들은 프로페셔널리즘에 중점을 둔 강의와 패널이 긍정적 인 영향을 미쳤다고 말했습니다. 효과에는 프로페셔널리즘을 향상시키는 특정 행동과 같은 "정치적 진주political pearls"를 배우고 "내 견해를 넓히는"것이 포함되었습니다. 일부 학생들은 강의에 열성적이었습니다.

students stated that lectures and panels focused on professionalism had a positive impact. Effects included “broadening my viewpoints” and learning “political pearls,” such as specific behaviors that improve interprofessional relationships. Some students were very enthusiastic about lectures:


그녀는 역할 모델을 보면서 프로페셔널리즘을 배웠지만, 프로페셔널리즘에 대한 분명한 토론을 하는 것은 본 것을 해석하는 데 중요했습니다.

although she learned professionalism from watching role models, explicit discussions about professionalism were important to interpret what she saw.


몇몇 학생들은 강의가 다른 학생들에게 중요하다고 생각했지만, 반드시 그렇지는 않았습니다. 강의를 통한 프로페셔널리즘 탐구에는 "설교"적 요소가 있었으며, 그들은 이미 프로페셔널리즘을 embrace하였다고 생각하는 사람들에게만 관심을 보였습니다.

Several students believed lectures were important for other students, although not necessarily for them. Exploring professionalism in lectures had a “preaching to the choir” element, with interest only from those who believe they already embrace professionalism :


동등한 수의 학생들은 프로페셔널리즘에 관한 강의와 패널에 부정적인 반응을 보였다.

An equal number of students15 had negative reactions to lectures and panels about professionalism .


몇몇 학생들은 강의와 패널이 프로페셔널리즘에 대해 "관심을 끄게 만든다"고 했다.

Several students felt that lectures and panels “turned them off” to professionalism :


의대에 오기 전에 나에게 프로페셔널리즘이 의미한 것은, 내가 의대에 와서 그들에게 듣는 말과 똑같습니다. 이것은 그저 강의 일뿐입니다. "네가 행동을 망치기 전에 어떻게 해야 하는지를 말해 줄거야." 나는 도저히 그것을 참을 수 없다. 도망 가고 싶게 만든다.

What professionalism meant to me before coming to medical school was exactly what they say to us. What it means to me now is just a lecture: “We’re going to tell you how to act, before you ever mess up.” I just can’t stand it. It makes me want to run away.


일부 학생들은 적절한 복장과 같은 구체적인 주제에 대해 강의하는 것은 모욕적이라고 설명했습니다. 그러나 학생들은 동료들이 부적절한 옷차림을 한 경우 이것을 UPB로 명확히 구분했다. 몇몇 학생들은 동료가 알아야하는 것과 일부 동료들이 취하는 행동을 명시적으로 대조했습니다.

Some students commented that being lectured on concrete topics such as appropriate dress was insulting. Yet, students specifically identified inappropriate dress as an unprofessional behavior they observed in peers. Several students explicitly contrasted what peers should know with how some behave.


소그룹 토론

Small-group discussions.


학생들은 공식적으로 구성된 소그룹 토론을 긍정적 인 학습 경험으로 자주 인용했습니다.

Students frequently cited formally organized small-group discussions as positive learning experiences:


멘토가 중요했다고 말한 44명 주에서, 절반은 멘토가 주도한 프로페셔널리즘 토론을 중요하게 꼽았다.

Of 44 students who identified their college mentor as a positive role model, nearly half described discussions their mentor led as important in learning professionalism , as distinct from observation alone.



교육과정의 다른 공식적 파트

Other formal parts of the curriculum.


    • 어떤 학생도 우리의 공식 커리큘럼에서 요구되는 written 성찰을 특별히 언급하지 않았지만 다섯 명의 학생들은 가족이나 친구들과의 자기 반성 또는 비공식 토론을 통해 프로페셔널리즘을 배웠다고 보고했습니다. 

    • 어떤 학생도 의식ceremonies을 언급하지 않았지만, 학생들이 "강의"에 관해 토론했을 때,이 사건에서 연설speeches을 언급했을 수도 있습니다. 

    • 3 명의 학생들은 프로페셔널리즘 OSCE에 대해 교육적이고 유용한 토론이 있었다고 대답했다. 반면에 2 명의 학생들은 station이 불공정하거나 부적절하게 프로페셔널리즘을 "유일한 정답"만 있는 것으로 규정했다.

No student specifically mentioned the written reflections required in our formal curriculum, but five students reported that they learned professionalism from self-reflection or informal discussions with family and friends. No student mentioned ceremonies, although when students discussed “lectures,” this may have referred to speeches at these events. Three students reacted to the professionalism OSCE, commenting that it was educational or spurred useful discussions, whereas two others commented that the station was unfair or inappropriately reduced professionalism  to “the one right answer.”



내가 원래 가지고 있던 것: 비교육과정 요소들

“What I bring to medical school”: Noncurricular elements


15 명의 학생들 (27 %)은 그들이 프로페셔널리즘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의과대학 입학 전에 가졌던 자신의 양육 또는 개인적인 가치를 언급했습니다. 6 명의 학생이 의사 친척을 영향을 언급했다. 양육의 영향에 대한 학생들의 의견은 몇 가지 전형적인 되풀이 진술에 의해 표현됩니다 : "프로페셔널리즘은 가르치는 것이 정말 힘듭니다" "프로페셔널리즘은 직관적인 것이다", "양육 방식에 대한 것이다"

Fifteen students (27%) mentioned their upbringing or personal values they brought to medical school as important influences on their emerging professionalism . Six additional students identified physician relatives as influences. Students’ comments about the influence of upbringing are represented by a few typical recurring statements: “I think professionalism is a really hard thing to teach,” “It’s intuitive,” and “It’s how you were raised.”


10 명의 학생들은 의대 이전의 직업 경험이 그들의 프로페셔널리즘에 영향을 미쳤으며 다른 2 명은 formative 학부생 경험을 확인했다고 언급했습니다. 일부 학생들은 unprofessional한 학생을 배제시키는 입학 절차에 의해 프로페셔널리즘이 확립되었다고 주장했습니다.

Ten students noted that work experience prior to medical school influenced their professionalism , and two others identified formative undergraduate experiences. Some students asserted that professionalism was established by the admission process, which weeded out unprofessional students:


직무에서 배우기: 경험적 학습

“Learning on the job”: Experiential learning


7 명의 학생들 (13 %)은 환자들과 함께 일하는 것이 프로페셔널리즘에 직접적으로 영향을주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한 학생은 "강의는 원하는만큼 들을 수 있지만, 듣는 것과 실제로 적용하는 것에는 큰 차이가 있습니다."

Seven students (13%) described working directly with patients as influencing their developing professionalism . One student said, “You can have as many lectures as you want, but there’s a big difference between hearing about it and actually doing it and applying it for yourself.”


다른 학생들은 전임상 단계에서는 환자를 보는 것이 마치 연극처럼 느껴지지만, 프로페셔널한 행동을 배우는 데 매우 중요하다고 설명했다.

Other students described how seeing patients at their preclinical stage felt like play-acting but was valuable for learning professional behavior:


고찰

Discussion


학생들이 어떻게 프로페셔널리즘 교육을 인식하느냐에 대해서 한 가지 일화는 이렇게 말한다 "프로페셔널리즘 교육의 현재 구조는 일반적으로 인정되는 것보다 학생들의 미덕, 자신감, 윤리에 도움이 되기보다는 해만 끼친다" "학생들은 프로페셔널리즘 교육과정에 의해 향상되기 보다는 희생되었다고 느낀다". 우리의 질적 방법은 학생들이 보통 사적으로 만 표현할 수있는 비슷한 부정적 감정을 불러 일으켰습니다.

One anecdotal account of how students perceive professionalism teaching states, “The current structure of professionalism  education does more to harm students’ virtue, confidence, and ethics than is generally acknowledged” and that “we students feel more victimized by the professionalism curricula than enhanced.”30 Our qualitative methods brought forth similar negative sentiments that students may usually express only privately.


학생들은 프로페셔널리즘에 관한 공식 강의에 대한 혼합 된 반응을 보였습니다. 어떤 사람들은 강의가 관찰한 프로페셔널한 행동을 명확하게elucidate 하는데 영감을 주고 도움이 된다고 말했다. 비슷하게 다른 학생들은 강의를 "상식", "명백한", "불투명 한 것"또는 "모호한"것으로 비난했다. 우리의 연구 결과는 프로페셔널리즘에 관한 공식 교육이 모욕적 인 것으로 인식 될 수 있다는 경험적 증거를 제공한다.

Students had mixed reactions to formal lectures on professionalism . Some found lectures inspirational and helpful for elucidating observed professional behaviors. Comparable numbers criticized lectures as “common sense,” “obvious,” “nebulous,” or “ambiguous.” Our findings provide empiric evidence for the perception that formal education about professionalism may be seen as insulting.31,32


강의를보다 의미있게 만드는 학생들의 구체적인 제안

  • 프로페셔널리즘에 대한 정의를 명시적이고 일관되게 하고

  • 실제적tangible 기술에 초점을 맞추고,

  • 강의를 근거-기반 으로 만들고

  • 복을 피하십시오.

Students’ specific suggestions to make lectures more meaningful included 

  • articulating an explicit and consistent definition of professionalism , 

  • focusing on tangible skills, 

  • making lectures evidence based, and 

  • avoiding repetition.


학생들은 임상 교수 외에도 교실에서 만나는 교수를 긍정적이거나 부정적인 역할 모델로 밝혔다. 우리가 아는 한 이것은 기존 문헌에서 연구하지 않았다. 이것은 기본적인 과학 교수진이 일관된 프로페셔널리즘 표준을 보장하기 위해 임상 교수진 및 의과대학과 협력적으로 작업 할 필요성을 강조합니다

the students identified classroom faculty, in addition to clinical faculty, as positive and negative role models, a finding that, to our knowledge, has not been previously explored in the literature. This emphasizes the need for basic science faculty to work in concert with clinical faculty and medical school administration to ensure consistent standards of professionalism 


학생들은 동료들로부터 프로페셔널리즘을 배웠다고 생각했습니다. 전임상 단계의 학생들은 동료들을 위협적이지 않은 건설적 피드백 소스로 보았으며, 특히 환자 상호 작용이있는 환경에서 그렇게 보았다. 임상 실습기간의 학생들은 신뢰할 수있는 프로페셔널리즘 "진주"의 원천으로 여겨졌다.

Students perceived that they learned professionalism from their peers . Preclinical peers were seen as a nonthreatening source of constructive feedback, particularly in settings with patient interaction; students in the clinical years were viewed as reliable sources of professionalism  “pearls.” 


교수진이 UPB를 동료를 교정하지 않았을 때 학생들은 실망했습니다. 비록 문학이 환자 진료의 맥락에서 침대 머리 회전의 교수적 가치를지지하지만 33,34 우리의 연구 결과는 BST가 전임상 기간 동안에도 프로페셔널리즘을 증진시킬 수 있음을 시사한다.

Students were disappointed when faculty did not correct peers who behaved unprofessionally. Although literature supports the teaching value of bedside rounds in the context of patient care,33,34 our findings suggest that bedside teaching may promote professionalism during the preclinical years as well.


환자와 경험을 묘사하며 학생들은 자신의 "인지한 무능력conscious incompetence"에 대한 인식을 드러내는 생생한 묘사를했으며, 자신이 학생에서 의사로 이행transition 한다는 것을 인식했습니다. 이러한 내면의 경험을 탐색하는 것은 프로페셔널한 행동에 대한 성찰에 학생들을 참여시키는 효과적인 전략 일 수 있습니다.

students who described experiences with patients gave vivid descriptions revealing awareness of their own “conscious incompetence,”37 and they recognized their transition from student to physician. Exploring these inner experiences may be an effective strategy for engaging students in reflection on professional behaviors.


많은 학생들은 자신의 양육, 고용경험, 학부 교육에서 프로페셔널리즘을 배웠거나 상속inherited 받았다고 말했습니다. 일부 학생들에게 공식 프로페셔널리즘 교육과정은 교수들이 [학생들은 프로페셔널리즘이 부족하다]고 생각함을 의미했고, 그 결과 교육과정에 대한 저항을 유발하였다. 이러한 격차를 해소하고 저항을 극복하기 위해서는 학생들이 의대에 입학하기 전에 가지고 있던 것이 무엇인지를 분명히 인정하고 평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Many students said they learned or inherited professionalism from their upbringing, prior employment, or undergraduate education. To some students, a formal professionalism  curriculum implied that faculty believed they lacked professionalism , engendering resistance to the curriculum. To bridge this gap and overcome resistance, it is important to explicitly acknowledge and appreciate what students bring to medical school.


강의와 소그룹 토론은 의대 프로페셔널리즘 교육이 기존의 가치와 삶의 경험을 대체하는 것이 아니라, 구축하려는build on 의도임을 분명히 해야합니다. 또한, 프로페셔널리즘을 제시함에 있어서 퀄리티의 향상과 관련을 지어서 학생 뿐만 아니라 의사로서 진료하는 것에도 관련이 되고 필요하다고 강조하면, 학생들이 토론을 보다 더 contextualize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Lectures and small-group discussions should make it clear that medical school professionalism  education is intended to build on, not replace, existing values and life experiences. In addition, presenting professionalism as a quality improvement concern, as relevant to and necessary for practicing physicians as for medical students, may help students better contextualize discussions.39



Conclusions







 2009 May;84(5):574-81. doi: 10.1097/ACM.0b013e31819f5f60.

Learning professionalismperspectives of preclinical medical students.

Author information

1
Department of Medicine, University of Washington School of Medicine, Seattle, Washington, USA. abaer@u.washington.edu

Abstract

PURPOSE:

To identify and examine how students respond to and engage with formal professionalism teaching strategies, and what factors outside the formal curriculum may influence professional development.

METHOD:

Individual semistructured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56 students completing the preclinical curriculum at the University of Washington School of Medicine in 2004 and 2005. Interviews were recorded, transcribed, and analyzed using qualitative methods.

RESULTS:

Students identified role modeling as an important modality for learning professionalism, even during their preclinical years. Role models included classroom faculty and peers, in addition to physicians in clinical settings. Small-group discussions and lectures helped some students identify and analyze the professional behaviors they observed, but they elicited negative responses from others. Students believed their professionalism derived from values, upbringing, and experiences prior to medical school. Some students reflected on their evolving professionalism while working directly with patients.

CONCLUSIONS:

Medical schools should ensure that students are exposed to excellent role models-ideally, faculty who can articulate the ideals of professionalism and work with students longitudinally in clinical settings. Lectures about professionalism may alienate rather than inspire studentsStudents' premedical experiences and values influencing professionalism should be acknowledged and appreciated. Bedside teaching and reflection on students' inner experience as they begin to work directly with patients deserve further exploration as opportunities to teach professionalism.

PMID:
 
19704189
 
DOI:
 
10.1097/ACM.0b013e31819f5f60
[Indexed for MEDLINE]


만능 열쇠? 프로페셔널리즘 프레임워크 만들기(Acad Med, 2011)

Does One Size Fit All? Building a Framework for Medical Professionalism

Ming-Jung Ho, MD, DPhil, Kun-Hsing Yu, MD, David Hirsh, MD, Tien-Shang Huang, MD, and Pan-Chyr Yang, MD, Ph




의료 프로페셔널리즘은 지난 10 년간 세계적 관심을 얻었습니다 .1-4 전 세계 90 개 전문기구가 의사 헌장을 승인했으며, 이들은 전문 분야의 다양성과 전통을 인정하면서, 공통 주제에 기초한 "의료 전문성의 기본 및 보편적 원칙과 가치"를 재확인하였다.

Medical professionalism has gained global attention over the past decade.1–4 Ninety professional organizations worldwide have endorsed the Physician Charter,5 which, while acknowledging the diversity of medical practices and traditions in its preamble, reaffirms “the fundamental and universal principles and values of medical professionalism ” based on common themes


전 세계의 전문 분야와 국가에 걸쳐 여러 조직들은 헌장을 신속히 채택했습니다 .5 결과적으로 비서구 국가에서도 학부 및 대학원 의학교육에 대한 북미의 인증방식에 따라 의료 프로페셔널리즘을 채택하고 있습니다.

organizations adopted the charter quickly across specialties and countries internationally.5 As a result, non-Western countries are adopting medical professionalism according to the North American forms of accreditation standards for both undergraduate and graduate medical education.8,9


기관 및 전문 단체가 프로페셔널리즘에 대한 표준화 된 가이드라인을 채택하더라도 학자들은 프로페셔널리즘이 맥락에 따라 다르다는 것을 계속 강조하며, 사회적으로 구성됨social construct을 강조합니다.

Even as agencies and professional organizations adopt standardized guidelines for professionalism , scholars continue to emphasize that professionalism  is context dependent13 and is a social construct.3


이 틀의 보편적 적용 가능성에 관한 문헌이 부족하다 .15-17

there is a paucity of literature on the universal applicability of this framework.15–17


배경

Background


대만의 의료 전문가들은 1895 년부터 1945 년까지 50 년간 식민 통치 기간 동안 일본 최초의 의대를 설립 한 이래로 많은 존경과 자율권을 누리고 있습니다. 그 후 수십 년 간 의료 전문가는 의료 및 공공 보건 서비스를 제공했을뿐만 아니라 국가 근대화와 민주화에 적극적으로 주도적 인 역할을한다. 1995 년 국민 건강 보험이 설립됨에 따라 의료기관의 총 예산이 제한되어 의사들이 비용을 통제하고 이익을 증대 시키도록 재정적 압력을 가했다. 의사들은 미용 치료와 같은 국민건강보험에 가입하지 않은 서비스에 점점 더 관심을 갖게 되었고, 이는 의사들의 전문가 이미지 손상을 가져왔다.18,19

Medical professionals in Taiwan have enjoyed much respect and autonomy since the Japanese established the first medical school here during their 50 years of colonial rule between 1895 and 1945. In the decades that followed, medical professionals not only provided medical and public health services but also played active leadership roles in the modernization and democratization of the country. The establishment of the National Health Insurance in 1995 limited the total budget of medical institutions, which put financial pressures on physicians to control cost and to increase profit. As physicians became increasingly interested in services not covered by the National Health Insurance, such as cosmetic treatments, their professional image eroded.18,19


우리의 기관인 National Taiwan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NTUCM)은 국가의 의학 프로페셔널리즘 추구를 추구하는 대학의 사례입니다.

Our institution, National Taiwan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NTUCM), serves as an example of a university seeking to address its nation’s pursuit of medical professionalism .


우리는 히포크라테스적 전통이 비의료전문가에게는 익숙하지 않은 전통적인 대만 문화에서, "의료 프로페셔널리즘"의 개념이 부족하고, 초등 교육 수준에서 유교 교리가 강조되는 상황을 해결하려는 것이다.

The process we describe addresses the lack of the concept of “medical professionalism ” in traditional Taiwanese culture, where Hippocratic tradition is unfamiliar to nonmedical professionals, and Confucian doctrines are emphasized starting at the elementary education level.


방법

Method


NGT

NGT


Through literature reviews and consultations of experts, we determined NGT to be an effective and efficient method to elicit group values and derive consensus.24–27 

  • NGT is a structured procedure for gathering insight from groups of people. 

  • In the NGT process, all group members have equal opportunity to present their views, all views have equal weight, and the process for everyone to list all their ideas for discussion avoids problems associated with traditional group meetings, such as dominating personalities or obedience to authority.24–26 

  • The method is used in management, clinical guidelines creation, and course evaluation in medical education.27


NGT participants.


In our NGT process, we based the selection of participants on the purposive sampling28 method

    • We asked the chairs of various departments (including internal medicine, surgery, obstetrics–gynecology, pediatrics, nursing, and social work) at the National Taiwan University Hospital to recommend those health care workers (including chief residents, attending physicians, intensive care unit nurses, operating room nurses, ward nurses, social workers, public health workers, and hospital volunteers) whom the chairmen believed possessed differing views within each department. 

    • We also asked the most active nongovernment patient support organization, the Taiwan Healthcare Reform Foundation, to suggest participants from a variety of patient support groups. 

    • Most of the potential participants joined the study or recommended other suitable participants.


NGT procedure.


We oriented each group to the purpose of the meeting and the procedure that would be followed. 

    • The first step was for each participant to write down what he or she considered to be the essential abilities of a professional doctor.The purpose of this exercise was to capture participants’ expectations regarding medical professionals. 

    • In the second step, participants took turns naming one item from their list at a time without further discussion. This process continued until all participants had expressed all of their ideas. 

    • In step three, the participants discussed all items and combined any closely related ideas into a single item. When determinations were not unanimous, the person who initially raised the item could decide whether or not to combine the idea or leave it as a separate item. 

    • In the fourth step, each participant selected five items he or she regarded as most important and voted on these five items using a five-point Likert-type scale, where 5  most important and 1  least important. 

    • The fifth step was to sumthe voting results and rank the items.


전문가 위원회

Expert committee


After the NGT meetings, the dean of our medical college convened an expert committee to discuss the results of all NGT meetings.


NGT 녹취록 분석

Text analysis of NGT transcript


We recorded and transcribed NGT meetings verbatim. The transcript was 123 pages, containing 113,547 Chinese characters. After the expert committee constructed the framework, we used NVivo 8.0 software (QSR International Pty Ltd.; Doncaster, Victoria, Australia) to conduct a text analysis of the transcripts of the 12 NGT sessions. The purpose of this analysis was to ensure that the expert committee represented the opinions about professionalism  attributes nominated by the participants in the consensus framework.


결과

Results


NGT 투표 결과

The NGT process voting results


Voting results of the top five items of each group are shown in Supplemental Digital Table 1, 


http://links.lww.com/ACADMED/A57.




전문가 위원회에 의한 프레임워크

The framework constructed by the expert committee


스턴은 세 가지 기본 단계 (임상 적 역량, 의사 소통 및 윤리)와 네 개의 기둥 (휴머니즘, 우수성, 책임 성 및 애타주의)이있는 그리스 성전 모양의 의료 전문성을 묘사합니다.

Stern depicts medical professionalism in the shape of a Greek temple, with three foundational steps (clinical competence, communication, and ethics) and four columns (humanism, excellence, accountability, and altruism).


반복적 인 심의를 거친 후 전문가위원회는 우리의 시각적 프레임워크가 스턴의 프레임 워크를 구성하는 기둥 꼭대기에 "integrity"을 포함해야한다는 합의에 도달했습니다. integrity은 의료 전문성의 다양한 원칙을 통합하기위한 핵심이기 때문이다.

After iterative deliberation, the expert committee reached consensus that our visual framework should include “integrity” across the tops of the columns that make up Stern’s framework because integrity is the key for integrating the different principles of medical professionalism .



녹취록 리뷰

The review of the transcript to confirm the consensus framework


참가자들의 원래 표현에 따라 회의록을 분석함으로써 NGT 참가자가 식별 한 대부분의 항목을 전문가위원회가 개발 한 NTUCM 프레임 워크에 배치 할 수있었습니다. 그림 2는 전문성을위한 NTUCM의 프레임 워크에 대한 NGT 결과의 매핑을 보여줍니다.

By analyzing the transcripts of the meetings according to the original wording of the participants, we were able to place most items identified by NGT participants within the NTUCM framework developed by the expert committee. Figure 2 shows the mapping of the NGT results on the NTUCM’s framework for professionalism .


모든 투표를 모으고 각 전문 가치의 전반적인 평점을 계산함으로써 인본주의, 의사 소통, 책임 및 윤리 (그림 3)와 같은 참가자가 가장 강조한 가치를 명료화했습니다.

By pooling all the votes and calculating the overall ratings of each professional value, we elucidated the values most emphasized by participants, such as humanism, communication, accountability, and ethics (Figure 3).






고찰

Discussion


"프로페셔널리즘 운동"을 관찰한 사회 학자들은 의학 교육자들에게 잠시 다음의 것을 성찰해보기를 권했다.

(1)누가 프로페셔널리즘의 개념과 속성을 결정하는가?

(2)이 가치들이 출현하는 과정은 어떠한가?16

Sociologists observing the “professionalism  movement” are challenging medical educators to pause and reflect on 

(1) who determines the concepts and attributes of professionalism and 

(2) the processes by which these values emerge.16


의학교육 문헌에서 프로페셔널리즘의 기존 정의는 주로 의사에게서 도출되며, 환자, 학생, 레지던트를 종종 포함하지만, 간호사가 포함 된 연구는 소수에 불과하다.

In the medical education literature, previous definitions of professionalism derive mainly from doctors,5,6,34 although some studies involved patients,35–37 students,35 and residents.36 Only a few studies included nurses.37


NGT는 한두 사람이 미치는 영향을 제한하고 모든 아이디어와 득표를 도출함으로써 전통적인 그룹 토의와 관련된 문제를 줄이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NGT의 이러한 특징은 연공 서열과 권위가 강조되는 대만과 같은 문화 환경에서 특히 유용합니다.

NGT has been shown to reduce problems associated with traditional group discussions by limiting the effect of dominating personalities and ensuring the elicitation of all ideas and votes. These features of the NGT are particularly useful in cultural settings, like Taiwan, where seniority and authority are emphasized.


언뜻보기에, 우리의 프레임워크은 서구와 약간의 유사점을 공유합니다.

At first glance, our framework shares some similarities with its Western counterparts.


NTUCM 체제와 스턴의 프레임워크 사이의 가장 현저한 차이점은 4 개의 기둥을 감싸는 빔으로서 "integrity"을 포함하기로 한 합의입니다. 히포크라테스 전통에 기초한 서구 체제가 환자의 우위를 강조하는 반면, 대만의 유교 전통은 다른 사람을 위해 integrity을 갖춘 사람이되어야한다고 강조한다. 공자는 이렇게 썼다. "선Virtuous한 사람은 무엇이든 또는 무엇이든 마음을 정하지 않습니다. 그는 옳은 것을 따를 것이다"

The most striking difference between the NTUCM framework and Stern’s framework is the consensus among our expert committee to ensure the addition of “integrity” as the beam capping the four pillars. Whereas Western frameworks based on the Hippocratic tradition stress the primacy of patients, the Confucian tradition of Taiwan emphasizes that one should become a person with integrity in order to serve others. Confucius39 wrote,

“The virtuous man, in the world, does not set his mind either for anything, or against anything; what is right he will follow.” 


유교 윤리의 서양 철학과 마찬가지로, 유학자들은 integrity가 있는 사람은 유혹과 혼란 속에서도 윤리적 인 선택을 할 것이라고 믿는다. 전문가위원회는 대만 맥락에서 유교 전통이 히포크라테스 전통보다 강력하기 때문에 integrity의 개념을 집중적으로 배치했다.

Similar to Western philosophies of virtue ethics, Confucians believe that people with integrity will make ethical choices even under temptation and confusion. The expert committee placed the concept of integrity centrally in our framework because the Confucian tradition is more powerful than the Hippocratic tradition in the Taiwanese context.


몇 가지 항목은 쉽게 통합되지 않았습니다. 이 항목들은 다른 사람들에 대한 진지한 관심을 나타내는 휴머니즘의 범주에 적합하지 않았으며 대신 의사의 개인적 삶과 직업적 삶의 균형에 관심이있었습니다. 서구의 프로페셔널리즘 틀이 환자의 우선성을 강조하고, 의사와 전문인의 개인 생활을 분리하는 반면, 유교 문화 전통은 이 둘의 조화를 지원support합니다.

a few items were not easily incorporated. These items did not fit in the category of humanism, which denotes a sincere concern for others, and were instead concerned with the balance between physicians’ personal and professional lives. Whereas Western professionalism frameworks emphasize the primacy of patients and separate physicians’ professional and personal lives, Confucian cultural traditions support the harmony of these roles.


유교 사상에서 한 사람의 위치는 사회적 역할에 의존적이지는 않더라도 분리될 수 있는 것이 아니다. 따라서 우리는 개인적 가치뿐만 아니라 전문적인 가치를 설명하는 "living framework"을 만들었습니다. 우리는 프로페셔널리즘 틀을 설계함에 있어서 사회적 책임 외에도 개인적인 책임을 인정하는 빈 공간을 의도적으로 포함시켰습니다. 구조화된 체계 속에 유연한 공간이 존재한다는 것은, 의사의 프로페셔널리즘이 사회가 정의한 핵심 원칙에 기초하고 역동적이며, 시간이 지남에 따라 개인의 성장에 responsive하다는 현실을 의미합니다.

In Confucian thinking, the position of the self is inseparable from, if not dependent on, one’s social roles. Thus, we created a “living framework” that accounts for individual as well as professional values. We designed our professionalism framework intentionally to include empty space, which acknowledges personal responsibility in addition to social responsibility. The presence of flexible space amidst the otherwise structured scheme signifies the reality that a physician’s professionalism is both grounded and dynamic—based on core principles defined by society, but also responsive to personal growth over time.


8 역량 프레임 워크로 분류 된 여러 항목은 대만의 오래 된 문화적 의미와 일치합니다. 예를 들어, 우리는 zi zhong의 개념 (존엄성을 가지고 자신을 수행함)을 "integrity"로 분류했습니다. Zi zhong은 중국 문화에서 오랜 전통을 가지고 있습니다. 중국의 전통 문화에서는 self-dignified or self-respecting이 유교 학자 또는 공무원이되기위한 첫 걸음 중 하나임이 널리 받아 들여지고 있습니다.

Multiple items categorized into the eight- competency framework align with deep cultural meanings in Taiwan. For example, we categorized the concept of zi zhong (conducting oneself with dignity) into “integrity.” Zi zhong has a long tradition in Chinese culture. In traditional Chinese culture, it is widely accepted that to be self- dignified or self-respecting is one of the first steps toward becoming a Confucian scholar or official.


 zhòng
to conduct oneself with dignity 
to be dignified

NGT 참가자들에 의해 제기된 이 개념은 우리 문화에 깊은 곳에 뿌리를두고 있으며, 기존의 서구 프로페셔널리즘 문헌에 기술된 "integrity"보다 더 많은 무게를 지니고 있습니다 .1-7,33-38

This concept, also raised by the NGT participants, is deep-rooted in our culture and carries more weight than “integrity” as it is described in existing Western professionalism literature.1–7,33–38


프로페셔널리즘을 위한 NTUCM의 프레임워크를 구축 한 후, 우리 기관에서 우리 프레임 워크의 핵심 가치를 홍보하기 위해 몇 가지 조치를 취했습니다.

After constructing NTUCM’s framework for professionalism , we took several steps to promote the core values of our framework at our institution.


우리의 교육 병원에서 서구의 프로페셔널리즘 틀을 채택하려는 기존 노력은 교사나 학생에게 잘 받아 들여지지 않았습니다. Cruess 등이 제안한 것처럼 "프로페셔널리즘을 가르치려면, 지역 관습과 가치를 존중하면서 다른 문화와 사회적 계약과 관련이 있어야한다"고 제안했다.

a previous effort to adopt a Western framework of professionalism at our teaching hospital was not well received by teachers or students. As Cruess et al43 suggest, “when professionalism is taught, it should be related to the different cultures and social contracts, respecting local customs and values.”


결론적으로, 이 연구는 서구 의학 전문기구의 보편적 응용성에 의문을 제기하며, 지역의 문화와 이해관계자의 가치를 반영하는 프로페셔널리즘 틀 구출 과정을 제안한다.

In conclusion, this study challenges the universal applicability of the Western frameworks of medical professionalism  and proposes a process to build a professionalism framework that reflects the cultural heritage and the values of local stakeholders.




 2011 Nov;86(11):1407-14. doi: 10.1097/ACM.0b013e31823059d1.

Does one size fit all? Building a framework for medical professionalism.

Author information

1
Department of Social Medicine, National Taiwan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Taipei, Taiwan. mjho@ntu.edu.tw

Abstract

PURPOSE:

Medical professionalism has gained global attention over the past decade, but there is a paucity of literature on the universal applicability of the dominant professionalism framework developed in the West. This study proposes an institutional approach to build a framework for medical professionalism that incorporates historical and sociocultural contexts.

METHOD:

From 2008 to 2009, the authors adopted nominal group technique (NGT) to determine professional competencies valued by 91 critical stakeholders of medical education (divided into 12 discipline-specific groups) at their institution and in their native society, Taiwan. An expert committee subsequently constructed a framework for professionalism which accounted for a literature review and their understanding of the institution's values and historical roots. To confirm that the framework encompassed the attributes nominated by NGT participants, the authors analyzed transcripts of NGT exercises to refine the final document.

RESULTS:

Each of 12 NGT groups raised 5 to 23 core competencies and determined the most important five competencies by summing participants' ratings of each item. The expert panel reached consensus on a framework that included eight competencies. The frameworkdiffers from the Western framework in the centrality of self-integrity, harmonizing personal and professional roles. Text analysis of the NGT transcripts demonstrated that the framework successfully incorporated top-ranked NGT results.

CONCLUSIONS:

This study challenges the universal applicability of the Western framework of medical professionalism and proposes a process to build a professionalism framework that reflects the cultural heritage and the values of local stakeholders.

PMID:
 
21971298
 
DOI:
 
10.1097/ACM.0b013e31823059d1
[Indexed for MEDLINE]


프로페셔널리즘 촉진을 위한 보완적 접근: Unprofessional한 행동의 발견, 측정, 해결(Acad Med, 2007)

A Complementary Approach to Promoting Professionalism: Identifying, Measuring, and Addressing Unprofessional Behaviors

Gerald B. Hickson, MD, James W. Pichert, PhD, Lynn E. Webb, PhD, and Steven G. Gabbe, MD





이 기사에서는 전문직업적 문제행동(unprofessional behaviors, UPB)을 식별하고 측정하고 다루기 위해 고안된 보완적인 접근법에 중점을 둡니다. 우리의 접근 방식은 여러 가지 이유로 장점이 있습니다.

In this article we focus on complementary approach that is designed to identify, measure, and address unprofessional behaviors. Our approach has merit for multiple reasons:


1. 대부분의 의사와 의사는 프로페셔널하게 행동하므로 프로페셔널리즘에 대한 필수 교육은 개인적으로 무관하거나 모욕적 인 것으로 간주 될 수 있습니다. 어쨌든, 어떤 주제에 대해서든 CME를 의무화하는 것은 효과적이지 못하다.

1. Most physicians and physicians-in-training behave professionally, so the imposition of mandatory education on professionalism may be seen as personally irrelevant—even insulting. In any case, mandating continuing medical education on any topic has not proved effective.3


2. 프로페셔널한 행동을 측정하는 것은 어렵습니다 .4-6 게다가, 그것을 표준으로 인정하는 것 외에 무엇을 할 수 있는가? 대조적으로 UPB의 사례를 식별, 정량화 및 다루는 것은 가능하고 바람직합니다 .7-12

2. Measuring professional behavior is challenging.4–6 Besides, what do we do when we see professional conduct except to recognize it as the norm? In contrast, identifying, quantifying, and addressing instances of unprofessional behaviors are both possible and desirable.7–12


3. 의학 교육에서 프로페셔널리즘을 강조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숨겨진 커리큘럼은 연수생을 UPB에 노출시킨다 (예 : 환자를 치료 계획에 동의하도록 압박넣기, 편견과 차별, 개인정보와 프라이버시 위반, 다른 사람이 치명적인 실수를 공개하지 않는 것에 대한 비방적 의견 등) .13-17 학습자가 아무 생각 없이 롤모델을 따라하게 놔두는 대신, 우리는 그러한 사례를 UPB의 함의와 결과를 고려하도록 돕기 위해 고안된 교육 사례로 바꿔야 한다.

3. Despite emphasizing professionalism in medical education, the hidden curriculum exposes trainees to instances of unprofessional behavior (e.g., patients pressured into agreeing with care plans, bias and discrimination, privacy and confidentiality violations, and slanderous comments about others’ failures to disclose harmful errors).13–17 Lest learners unthinkingly emulate their role models, we turn such instances into teaching cases designed to help trainees consider the implications and consequences of unprofessional behavior.18


4. UPB는 실천 지침을 따르지 않는 것, 환자의 손실, 직원의 사기 저하와 높은 이직, 의료 오류 및 불리한 결과, 의료 과실에 대한 소송 등과 관련이 있다9,19-23

4. Unprofessional behaviors are associated with poor adherence to practice guidelines, loss of patients, low staff morale and turnover, medical errors and adverse outcomes, and malpractice suits.9,19–23


5. UPB가 확인되면 지도자들은 행동을 취해야 하지만, 많은 사람들은 그러한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에 대해 거의 훈련을받지 못하여, UPB을 지속하고, 확대하고, 퍼뜨릴 수 있습니다.

5. The identification of unprofessional behavior challenges leaders to take action, but many have little or no training in how to address such problems, often allowing unprofessional behaviors to persist, escalate, and spread.7,9


6. UPB는 모든 시스템에 스트레스를 주며 더 많은 UPB유발합니다. 15,24 특히 그러한 행동을 한 사람들이 "protector"또는 "enablers"를 갖는 경우 더욱 그렇습니다. 이러한 'would-be benefactor'들은 행정적 보호를 제공하거나 "workaround"를 만듦으로써, 문제를 건설적으로 직면하지 못하게 하고, 궁극적으로는 모든 사람에게 부정적인 결과를 가져옵니다. UPB을 다루는 것은 enabler와 protector를 식별하는 데 도움이되며, 해결해야 할 문제를 파악하는 데 도움이됩니다.

6. Unprofessional behavior stresses any system and begets more unprofessional behavior,15,24 especially if disruptive providers have “protectors” or “enablers” shielding them. Such would-be benefactors provide administrative cover or create “workarounds” instead of constructively confronting the problems, ultimately leading to negative consequences for everyone. Addressing unprofessional behaviors aids in the identification of enablers and protectors and helps identify the problems that really need to be solved.


7. VUSMeducation 프로그램에서는 프로페셔널한 행동을 촉진하는 것 외에도, UPB에 대해서 그것을 발견하고, 평가하고, 해결하고, 서로서로에게 그것을 인지하는 것을 가르치는 방법을 개발하고 평가하는 10 년 이상의 경험을 가지고 있습니다. 우리는이 기사에서 그 경험의 일부를 나눌 것입니다 .11,12,18,19,25-27

7. In addition to promoting professional behavior in our VUSMeducation programs, we have more than a decade of experience developing and evaluating initiatives to identify, assess, address, and teach one another about recognizing and dealing with allegations of unprofessional behaviors. We will share some of that experience in this article.11,12,18,19,25–27


파괴적인 행동의 에피소드는 흔하지 않지만 희귀하지도 않습니다. 9,11,12,15 불행히도 프로페셔널리즘을 장려하는 교육 프로그램은 파괴적/UPB 의사 모델에 의해 효과적으로 어지럽 혀질 수 있습니다 ( "교수님들은 모두 항상 프로페셔널리즘에 대해 이야기하고 있지만 우리가 병원에서 보는 것은 전혀 다르다. "[4 학년의 의대생과의 개인적인 대화]).

Although episodes of disruptive behavior are not common, neither are they rare.9,11,12,15 Unfortunately, educational programs encouraging professionalism can be effectively torpedoed by disruptive/unprofessional physician models (“You guys are always talking about professionalism, but it is not what we see in this hospital” [personal communication from a fourth-year medical student]).


프로페셔널한 행동을 촉진하는 것은 리더가 UPB가 발생할 경우 그 문제를 해결하려는 노력을 기울이지 않고서는 불가능하며, 이러한 노력은 문제를 일으킨 의사의 직급이나 직책에 관계없이 이뤄져야 한다.

Promoting professional conduct is not possible without leadership’s commitment to addressing unprofessional/disruptive behaviors whenever they occur, regardless of the rank or title of the physician who behaved poorly.9,19,28 Such commitment therefore requires dedicated leadership


VUSM의 리더십 헌신

Leadership Commitment at VUSM


리더의 프로페셔널 행동에 대한 의지는 신임교수 오리엔테이션 세션에서 나타나는데, 

  • 이 때 학장은 신임교수를 환영하면서, 졸업생과 의과대학생의 프로페셔널리즘 형성에 교수들의 역할이 얼마나 중요한지를 강조한다

  • Vanderbilt University Medical Center (VUMC)의 CMO은 모든 교수진과 교직원에게 credo behavior을 소개하며, 교수들은 이러한 행동을 알고, 이러한 행동을 보이겠다는 약속에 서명해야합니다 (http : //www.mc.vanderbilt. edu / root / facts /mission.html). 

  • 또한, 학부 및 대학원 의학 교육 담당 학장은 전문성에 대해 의대생 및 레지던트에게 피드백을 제공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을 강조합니다. 

  • 마지막으로 임상 담당 부학장은 Vanderbilt의 UPB 또는 환자 또는 직원의 불만 사항에 대한 피드백을 수집, 프로파일링, 피드백하는 정책과 시스템을 설명한다.


Leadership’s commitment to professional behavior is exhibited during new faculty orientation sessions when the 

  • medical school dean welcomes the new faculty members and emphasizes the role they play in modeling professionalism for graduate and medical students. 

  • The Vanderbilt University Medical Center’s (VUMC) chief medical officer introduces credo behaviors for all faculty and staff, and faculty are asked to sign a commitment to know and exhibit these behaviors (http://www.mc.vanderbilt. edu/root/facts/mission.html). 

  • Also, the associate deans for undergraduate and graduate medical education promote the importance of providing feedback to medical students and residents about professionalism. 

  • Finally, the associate dean for clinical affairs presents Vanderbilt’s professional behavior policy and our systems for capturing, profiling, and providing feedback about allegations of unprofessional behavior and other complaints from patients or staff.


새로운 VUSM학과장을 위한 VUSM의 학업 지도력 프로그램 (ALP)

VUSM’s Academic Leadership Program(ALP) for new VUSMdepartment chairs


모델은 파괴적인 행동을 이해하고이를 해결할 수있는 방법을 제시합니다 (그림 1).

model for understanding disruptive behavior and ways to address it (Figure 1).


개입 프로세스

A Process for Guiding Interventions


(개념적으로 그림 아래까지 확장 된) 피라미드의 밑바닥은 대부분의 건강 팀 구성원이 프로페셔널하게 행동하고 UPB는 전혀 하지 않거나, 매우 드물게만 나타낸다는 것을 전달하기위한 것입니다.

The base of the pyramid, which conceptually extends far below the illustration, is meant to convey that most health team members conduct themselves as professionals and never, or very rarely, exhibit behaviors that might be perceived as unprofessional.


사실, 이 탁월한 의사 중 상당수는 일상적으로 동료 및 연수생을 위한 프로페셔널리즘의 모범적 행동을 보여준다. 이들은 인정 받고 보상을 받아야합니다.

In fact, many of these outstanding physicians routinely exhibit the sort of professionalism that serves as a model for their colleagues and trainees. These exemplars should be recognized and rewarded.


피라미드의 다음 블록은 UPB의 단일 사건이 발생한 경우이다. 의료 전문가의 약 20 %에서 25 %가 환자의 불만을 일으키는 행동을 한다는 연구가 있다.11,12 이러한 주장은 관찰자의 잘못된 인식, 재발 가능성이 희박한 고립 된 사건, 행동 양식의 관찰자가 처음으로 관찰 한 것까지 다양한 경우가 있을 수 있다.

The next block up in the pyramid is labeled single unprofessional incidents. about 20%to 25%of medical professionals will allegedly behave in ways that dissatisfy their patients.11,12 Such allegations may represent anything from an observer’s misperception, to an isolated event unlikely to recur, to an observer’s first observation of a pattern of behavior.


이러한 사건의 대부분은 재발 가능성은 낮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커피 한잔의 대화"와 같은 비공식적 개입의 대상으로 다루어 져야한다.

almost all such events should be initially treated as anomalies that, although unlikely to recur, should nevertheless be the subject of an informal intervention, such as a “cup of coffee conversation,”


그러나 법적으로 보고가 요구되거나 금지된 행위을 한 경우에는 예와가 존재합니다. 차별적 행동의 주장 또는 성적 행위 위반, 약물 남용 또는 건강 전문가가 안전하게 연습 할 수있는 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기타 장애에 대한 혐의 등이 있다.

however, important exceptions exist, such as when the law mandates reporting the event and/or provides sanctions for engaging in prohibited behavior. 

  • Claims of discriminatory behavior, or 

  • allegations of sexual boundary violations, 

  • substance abuse, or 

  • other impairment affecting a health professional’s ability to practice safely


다음 단계는 UPB가 반복되는 상황을 나타냅니다. 한 설문 조사에 따르면 의료진의 2 ~ 3 %가 반복적으로 UPB를 하여 리더의 관심 대상이 된다.

The next level represents circumstances in which unprofessional or disruptive behaviors recur. one survey estimates that 2% to 3% of medical staff display disruptive behavior sufficiently often to reach leadership’s attention.31


awareness intervention(인식개입)은 주로 권위자에 의해, 또는 경우에 따라 동료에 의해 수행 될 수 있습니다. 두 경우 모두 인식개입은 의사의 처방 또는 사용 데이터를 프로파일링하는 것과 마찬가지로, 다른 의사들과 차별화하되는 행동패턴을 보여주는 aggregated된 데이터 공유를 기반으로해야합니다.

The awareness interventions may be conducted by an authority figure, or, in certain circumstances, by a peer. In either case, awareness interventions should be based on sharing aggregated data that present the appearance of a pattern that sets the professional apart from his/her peers, similar to profiling a physician’s prescribing or utilization data.


불행히도 일부는 AI에도 불구하고 그것을 따르지 못하거나, 따르고자 하는 의지가 없는 경우가 있다. 이 의사들은 품질과 안전에 위협이 되며 authority intevention(권위개입)이 필요하다. 이러한 개입을 위해서는 지도자가 지속적으로 이들 의사에게 책임감있는 개선 및 평가 계획을 수립하도록 요구해야 한다.

Unfortunately, a small proportion of professionals seem unable or unwilling to respond to an awareness intervention. These health care providers represent a threat to quality and safety, and they require what the pyramid terms an authority intervention. Such interventions require leaders to develop improvement and evaluation plans for these physicians with ongoing accountability.


마지막으로, "개선"에 대한 진지한 희망에도 불구하고, 권위개입에 반응하지 않으면 정부 기관에 적절한 보고를 비롯하여, 권한의 제한이나 해지와 같은 징계 조치로 이어질 것입니다.

Finally, despite the sincere hope to “redeem” , failure to respond to the authority intervention should lead to disciplinary action, the tip of the pyramid, including restriction or termination of privileges with appropriate reporting to government entities.


반더빌트 정책

The Vanderbilt Policy


리더십 헌신과 프로세스 모델은 분명히 필요하지만 UPB를 다루기에는 충분하지 않습니다. 이러한 도구의 일관된 적용을 돕기 위해 프로페셔널 행동 정책이 도움이 될 것입니다. 각 기관은 리더십 buy-in을 창출하거나 홍보하기 위해 자체 정책을 수립해야합니다.

Leadership commitment and process models are obviously necessary but not sufficient to address unprofessional behavior. To aid consistent application of these tools, a professional conduct policy will help. Each institution will need to craft its own policy to create or promote leadership buy-in.


그러나 UPB가 보고되지 않고 기록되지 않으면 정책, 모델 및 리더십조차도 효과적이지 않습니다. 감시 시스템이 필요합니다.

Policies, models, and even leadership commitment will not be effective, however, if unprofessional behavior goes unreported and unrecorded. Surveillance systems are required.


감시

Surveillance


UPB를 탐지하는 가장 효과적인 감시 도구는 환자, 방문객 및 건강 관리 팀 구성원의 눈과 귀입니다. 그러나 대부분의 연구는 환자 / 가족 및 건강 관리 전문가 모두가 UPB를 보거나 경험하면서도, 이를 말하거나 보고하는 것을 주저한다고 보고한다.5,7,27,33,34이 망설임은 reporting을 유도하는 리더십, 정책, 환경에 의해서 경감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밴더빌트에서 입원 환자는 의사 소통을 장려하는 비디오를 봅니다. "우리는 항상 최상의 치료를 제공하려고 노력하지만 때로는 기대에 미치지 못할 수도 있습니다. 그런 일이 발생한다면, 우리는 당신이 우리에게 그 사실을 알려서, 우리가 그것을 올바르게 개선할 뿐만 아니라, 비슷한 문제가 다른 환자들에게 재발할 가능성을 줄일 수 있기를 바랍니다. "

The most effective surveillance tools for detecting unprofessional behavior are the eyes and ears of patients, visitors, and health care teammembers. Most studies suggest, however, that both patients/families and health care professionals observe and experience frustration, but are hesitant to speak up or report it.5,7,27,33,34 This reluctance can be mitigated by leadership, policies, and an environment that promotes reporting. For example, at Vanderbilt, inpatients watch a video that encourages communication: “It’s always our intention to provide the highest-quality care, but sometimes we may fail to meet your expectations. When we do, we want you to let us know, so that we can attempt to make it right, as well as to address and reduce the chance that otherswill experience the same outcomes.” 


환자 / 가족 불만은 불만 사항, 불만 유형 및 문제가되는 사건의 당사자에게 일상적으로 기록됩니다. 불만 사항은 그것이 특정 주치의, 레지던트, 센터에서 주로 발생하는 것이 아닌가를 식별하기 위해 집계됩니다 .11,12,19,27,32

patient/family complaints are routinely coded according to individuals named in the complaint, type of complaint, and location of the event in question. The complaints are then aggregated to identify attendings, residents, and medical center units that demonstrate disproportionate shares of complaints.11,12,19,27,32


의료 팀의 구성원은 UPB를 인지할 경우 상급자에게 직접 보고하거나, 웹 기반 위험이벤트 보고시스템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웹 기반 시스템은 개인이 익명으로 또는 실명으로 보고 할 수 있지만, 어떤 경우든 이벤트에 대한 필수 세부 정보를 제공해야합니다.

Members of the medical teammay similarly observe and report their perceptions of unprofessional conduct to authority figures directly, or they may use a Web-based electronic risk event-reporting system. The Web-based system allows individuals to report events anonymously or not, but in either case the observer is asked to provide essential details about the event.


개입 시행

Conducting Interventions


정책 및 감시 시스템은 그림 1에 나와있는 단계적 중재 프로세스에 따르는 행동이 있는 경우에만 그 가치가 있습니다.

Policies and surveillance systems have value only if they support meaningful action such as those suggested by the graduated intervention process depictedin Figure 1.


개입 스킬 훈련

Intervention skills training


표 1은 우리가 제공하는 선택된 교육 프로그램, 기본 교육 목표 및 대상 고객 (학생, 레지던트, 주치의, 지도자)을 나타냅니다.

Table 1 identifies selected training programs we offer, primary training objectives, and target audiences (students, residents, attendings, leaders).


우리의 교육 프로그램은 문제 해결을위한 균형 빔balance beam  접근법을 강조합니다. 모든 접근법은 조치를 취하기 전에 고려되어야 하는 장단점을 가지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표 2는 T 사인을 방치 한 거주자를 상대하기위한 대안 전략과 관련된 찬반 양론을 나열합니다.

Our training programs, emphasize a balance beam approach to problem solving, in which every approach may have pros and cons that must be weighed before taking action. For example Table 2 lists selected pros and cons associated with alternative strategies for dealing with the resident who flashed the T-sign.


T-sign 상황을 다룸에 있어서 이해관계자에 따라 각각의 대안이 갖는 찬반의견에 두어야 하는 가중치가 다르므로, one-size-fits-all 해결책의 유혹에 빠져서는 안된다.

We resist the temptation to offer a one-size-fits-all solution to handling the T-sign situation, because each alternative does have pros and cons that will be differentially weighted by various stakeholders.



비공식 개입: 커피 한 자의 대화

Informal intervention: A“cup of coffee conversation”


가능하기만 하다면, 비공식적으로라도 UPB는 다루어져야address 한다. "커피 한 잔의 대화" 훈련은 나쁜 소식 전하기의 원칙에 기반을두고 있습니다. 

    • 우선 관찰한 unprofessional event를 간단히 검토하고, 그 당사자가 이에 대해서 설명할 수 있는 잠깐의 시간을 가질 수 있도록 private한 환을 찾아야 한다.

    • 이 때 UPB를 보여준 동료 또는 부하 직원은 일어난 일에 대한 자신의 견해를 설명할 수 있는 기회가 제공되어야 하며, 그 사건과 왜 그 사건이 발생했는지에 대해 성찰하도록 권장되어야 한다. 

    • 이러한 커피 한 잔의 대화가 있은 후에는, 가능하다면, 그 사람이 팀에 공헌한 바에 대한 감사의 표시가 있어야합니다.

It seems reasonable that, whenever possible, disruptive behaviors should be addressed, even informally. Training in having a “cup of coffee conversation” is based on principles of sharing bad news.37,38 The training encourages participants to choose a private setting for this informal intervention where there can be a brief review of the observations of the unprofessional event(s) followed by a pause to allow the individual to respond. The colleague or subordinate who has behaved unprofessionally should be invited to offer his or her view of what happened and should be encouraged to reflect on the event and why it may have occurred. Such encounters must be followed, if possible, by an expressed appreciation for the colleague’s contribution to the team.


(파괴적인 행동 피라미드 (pyramid)에 설명된) 다른 모든 수준의 개입을 위해서는, 그 전에 커피 한잔의 대화를 하기 위한 훈련을 필수적으로 받아야 한다. UPB를 하는 많은 전문가들이 자신의 나쁜 행동을 인식하지 못하고, 커피 한 잔의 대화와 같은 조기 개입이 부족하여 행동 패턴이 일상화 될 수 있다.

Training in having a cup of coffee conversation is essential for all other levels of intervention as outlined on the disruptive behavior pyramid. We believe that many professionals who exhibit unprofessional conduct may fail to recognize their own bad behaviors, and a lack of early intervention, like the cup of coffee conversation, allows patterns of behavior to become routine.


우리가보기에, 대부분의 커피 대화는 문서화 될 필요가 없습니다. 예를 들어 감독자는 자신의 책임하에있는 사람들에게 정기적으로 비공식적 인 피드백을 제공합니다. 그러나 비공식적 개입을 문서화하기로 결정하는 것은 해당 사건의 특성 또는 그러한 사건과 관련된 보고 요건의 영향을받을 수있다.

In our view, most cup of coffee conversations do not need to be documented. Supervisors, for example, regularly provide informal feedback to those under their charge. Deciding to document informal interventions, however, may be influenced by the nature of the event in question or reporting requirements related to such an event.


패턴이 드러나고, 반복될 때

When patterns emerge, then persist


인식 및 권한 중재는 그러한 행동에 따른 우려가 점점 높아지고 있음을 입증하는 데이터를 기반으로 이뤄져야 한다.

awareness and authority interventions rely on data demonstrating that the provider’s behavior warrants increasing levels of concern.



첫째, 우리는 건강 관리 제공자가 UPB를 계속해서 나타낼 수있는 이유를 고려하는 것이 왜 중요한지 가르친다. 감별 진단을 이해하는 것은 합리적으로 고안되고 적용되는 효과적인 개입에 필수적입니다. 너무 자주, UPB은 성격 문제로 치분된다. 연구에 따르면 성격 검사는 disruptive professionals를 식별하지 못하며, 경험과 연구에 따르면 UPB의 병인에는 적어도 다음 6 가지 원인이 있 24,28-30,40,41 :

First, we teach the importance of considering why a health care provider might continue to exhibit unprofessional behaviors. Understanding the differential diagnosis is essential for effective interventions to be reasonably devised and applied. Too often, the disruptive professional’s behavior is dismissed as a function of personality. Research suggests that personality tests do not identify disruptive professionals,39 and experience and research have demonstrated that the etiologies of unprofessional and disruptive behavior include at least the following six drivers24,28–30,40,41:


1. 약물 남용, 심리적 문제;

2. 나르시시즘, 완벽주의 (일이 완벽하게 진행되지 않을 때의 죄책감 또는 부끄러움에 대한 부적절한 취급) 또는 이기심;

3. 만성 또는 급성 가족 / 가정 문제의 파급;

4. 열악한 통제하에있는 분노 - 특히 스트레스가 심한 경우 - 아마도 다음의 원인으로 인한..

a. 부실한 임상 / 행정 / 시스템 지원,

b. 불쌍한 실무 관리 기술이나 열악한 동료와 관련된 과제

c. 다른 사람들에 대한 끊임없는 비판이 빈약 한 실천 환경을 조성하는 간병 제공자 (직업);

5. 나쁜 행동으로 원하는 결과를 얻고, 그러한 행동이 강화되는 것

6. 임상 및 행정 관성 (아무도 UPB를 초기에 해결하지 않아서, 다른 사람들도 마찬가지로 행동하게 되고, 이러한 행동이 "정상"인 것 처럼 받아들여짐).


1. Substance abuse, psychological issues;

2. Narcissism, perfectionism (inappropriate handling of one’s feelings of guilt or shame when things don’t go perfectly), or selfishness;

3. Spillover of chronic or acute family/ home problems;

4. Poorly controlled anger—especially under heightened stress—perhaps attributable to

a. Poor clinical/administrative/ systems support,

b. Poor practice management skills or challenges related to poor performing colleagues, or

c. Care providers (any profession) whose constant criticisms of others create poor practice environments;

5. Bad behavior gets desired results, so the behavior is rewarded; and

6. Clinical and administrative inertia (no one addresses the unprofessional behavior earlier and others in the environment may behave similarly, so the behavior becomes “normal” and accepted for the individual).


원인이 무엇이든, 이 의사들은 품질과 안전에 위협이되며, 권위개입이 필요하다

regardless of their driver(s), these physicians represent a threat to quality and safety, and they require what the pyramid terms an authority intervention.


PARSSM 프로세스

The Patient Advocacy Reporting System (PARSSM) process.


PARS 절차는 환자 / 가족 불만 사항에 대한 체계적이고 신뢰할 수있는 분석 및 프로파일 링으로 시작됩니다. 그것은 패턴을 인식하도록 고안되었으며 이전에 설명한 비공식적 인 커피 잔 대화를 뛰어 넘습니다.

The PARS process begins with systematic, reliable analysis and profiling of patient/family complaints. It is designed to recognize patterns, and it goes beyond the informal coffee cup conversation described earlier.


▪ 의사 심사 위원 또는 가능하다면 권한 수치로 구성된 환자 불만 감시위원회 (PCMC)는 법적인 발견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적용 가능한 동료 심사 및 품질 보증 법령에 따라 수립됩니다. 기밀 유지, 정중 한 태도, 지지 행동은 PARS 프로세스에서 필수적입니다.

▪ A Patient Complaint Monitoring Committee (PCMC) composed of physician peers or, if preferred, authority figures, is established under the applicable peer review and quality-assurance statutes to provide protection from legal discovery. Confidentiality, respectful attitudes, and supportive behaviors are essential in the PARS process.


▪ PCMC 위원은 6 ~ 8 시간의 교육 (표 1 참조) 및 연습을받습니다.

▪ PCMC members receive six to eight hours of training (see Table 1) and practice, including 

      • role play exercises, 

      • sharing sensitive information with colleagues who have a record of many complaints against them, and 

      • responding to their colleagues’ varied reactions.


▪ 대부분의 기관은 PARS 과정에서 3 가지 수준의 개입을 채택합니다. 

      • 1 단계는 인식개입이며 비밀리에 제공되고 징계는 없다.

      • 2 단계는 권위개입이며 특정 행동 계획의 개발을 요구한다

      • 3 단계는 징계조치로서 교육 기관의 최고 수준의 관리에 의한 검토 후 발생한다

▪ Most institutions adopt three levels of interventions in the PARS process: 

      • level one describes a confidentially delivered, nonpunitive peer awareness intervention; 

      • level two is the authority intervention and requires development of a specific action plan; and 

      • level three is a disciplinary intervention that occurs after review by the institution’s highest level of administration.


▪ 기관의 데이터베이스에서 가져온 환자 불만 기록을 사용하여 VUMC는 각 "고불만"의사에 대한 환자 불만 사항을 작성하고 프로필은 다른 그룹 구성원에 대한 각 의사의 불만 사항 점수를 나타냅니다. 조립 된 데이터는 눈에 띄는 불만 유형을 묘사합니다 (가상의 "Dr. X"에 대한 그림 2 및 표 3 참조).

▪ Using patient complaint records drawn from the institution’s database, VUMC creates a patient complaint profile for each “high-complaint” physician, and the profile depicts each physician’s complaint score relative to other group members. Assembled data portray the types of complaints that stand out (see Figure 2 and Table 3 for hypothetical “Dr. X”).




약 60 %의 의사가 1 단계 인식 인터벤션 후 불만 점수가 개선된다.19 재발하기도 하지만 희귀합니다 (2 % 미만). 다른 고불만 의사들은 약 20 %가 이직 또는 퇴직으로 인해 병원을 떠납니다. 또 다른 20 %는 개선을 위해 2 단계 권한 개입에서 추가적인 도움을 필요로합니다.

About 60%of physicians demonstrate improved complaint scores after level one awareness interventions.19 Recidivism exists, but it is rare: less than 2%. Other high-complaint physicians are mobile: about 20%leave the institution because of relocation or retirement. Another 20% require additional help at level two authority interventions to improve.19



주치의에 대한 개입 결과

Selected results of interventions on attending physicians.


감소

Our PARS team’s experience shows reductions in patient complaints and malpractice claims rates.19


전공의에 대한 개입 결과

Selected results of interventions on resident physicians.


감소

One-year post-intervention follow-up showed no, or many fewer, complaints about residents still at the institution


UPB 대응을 위한 기관의 자원

Institutional Resources for Dealing with Unprofessional Behavior


앞에서 언급 한 교육 및 개입 프로그램에도 불구하고, 소수의 의사는 환자와 동료간의 업무 관계를 방해하는 UPB를 계속합니다. 이 의사들은 스스로 행동 변화를 일으킬 수 없기 때문에 학장과 학과장에 의해 변화가 요구되어야 하며,그러한 변화를 돕기 위한 지원이 필요하고, 그 의사는 스스로 변화에 대한 책임을 져야합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UPB가 계속되면 징계 조치가 이뤄질 수 있습니다.

Despite the foregoing programs of education and intervention, a small proportion of physicians persist with unprofessional behavior that disrupts patient and peer working relationships. Because these physicians are unable to make behavioral changes on their own, their deans and their department chairs must therefore require change, suggest sources of assistance for making those changes, and hold the physician accountable for changing. If the unprofessional behavior nevertheless persists, disciplinary action leading to termination may result.


UPB를 다루는 것의 장점과 책임

The Benefits and Responsibilities of Addressing Unprofessional Behavior

이러한 프로그램을 운영하는 데 들어가는 비용은 중요한 고려 사항이지만, 마찬가지로 UPB에 대해 가르치지 않고 처리하는 데 드는 비용도 고려되어야 한다. 따라서 단순히 옳은 행동이기 때문이어서만이 아니라, UPB를 해결하는 것은 몇 가지 중요한 비용 절감 혜택을 가져올 잠재력을 가지고 있습니다.

Although the costs of such programs are important considerations, an equally important calculus involves the costs of failing to teach about and deal with unprofessional behavior. Therefore, besides being the right thing to do, dealing with disruptive behavior has the potential to yield several important cost-saving benefits,


1. 직원 만족도 및 유지력 향상;

2. AMC와 그 지도자들에 대한 명성 향상;

3. 학생, 거주자, 직원 및 서로에게 중요한 역할 모델 인 전문가 문화 창출.

4. 환자 치료의 문제를 관찰 할 때 더 큰 직원이 말하도록 기꺼이하기 때문에 환자 안전이 향상되었습니다.

5. 책임 감소 및 위험 관리 활동 감소 과

6. 전반적으로 생산적, 시민 적, 바람직한 작업 환경.


1. Improved staff satisfaction and retention;

2. Enhanced reputation for the AMC and its leaders;

3. Creation of a culture of professionals who are important role models for students, residents, staff, and one another;

4. Improved patient safety attributable to greater staff willingness to speak up when they observe problems in patient care;

5. Reduced liability exposure and risk-management activity; and

6. Overall more productive, civil, and desirable work environments.









 2007 Nov;82(11):1040-8.

complementary approach to promoting professionalismidentifyingmeasuring, and addressing unprofessional behaviors.

Author information

1
Department of Medical Education and Administration, Center for Patient and Professional Advocacy, Vanderbilt University Medical Center, Nashville, Tennessee 37232, USA. gerald.hickson@vanderbilt.edu

Abstract

Vanderbilt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VUSM) employs several strategies for teaching professionalism. This article, however, reviews VUSM's alternative, complementary approachidentifyingmeasuring, and addressing unprofessional behaviors. The key to this alternative approach is a supportive infrastructure that includes VUSM leadership's commitment to addressing unprofessional/disruptive behaviors, a model to guide intervention, supportive institutional policies, surveillance tools for capturing patients' and staff members' allegations, review processes, multilevel training, and resources for addressing disruptive behavior.Our model for addressing disruptive behavior focuses on four graduated interventions: informal conversations for single incidents, nonpunitive "awareness" interventions when data reveal patterns, leader-developed action plans if patterns persist, and imposition of disciplinary processes if the plans fail. Every physician needs skills for conducting informal interventions with peers; therefore, these are taught throughout VUSM's curriculum. Physician leaders receive skills training for conducting higher-level interventions. No single strategy fits every situation, so we teach a balance beam approach to understanding and weighing the pros and cons of alternative intervention-related communications. Understanding common excuses, rationalizations, denials, and barriers to change prepares physicians to appropriately, consistently, and professionally address the real issues. Failing to address unprofessional behavior simply promotes more of it. Besides being the right thing to do, addressing unprofessional behavior can yield improved staff satisfaction and retention, enhanced reputation, professionals who model the curriculum as taught, improved patient safety and risk-management experience, and better, more productive work environments.

PMID:
 
17971689
 
DOI:
 
10.1097/ACM.0b013e31815761ee
[Indexed for MEDLINE]


오늘날의 프로페셔널리즘: 마음Mind 없는 마음Heart (Acad Med, 2005)

Viewpoint: Today’s Professionalism: Engaging the Mind but Not the Heart

Jack Coulehan, MD




H. L. Mencken은 "모든 인간 문제에는 항상 깔끔하고, 그럴듯하고, 동시에 틀린 해결책이 있습니다."1, p. 이것은 오늘날 의학 교육에 "프로페셔널리즘"을 심어주는 프로젝트에 적용됩니다.

H. L. Mencken wrote, “There is always an easy solution to every human problem—neat, plausible, and wrong.”1, p. 442 This applies to today’s project to instill “professionalism” in medical education.


래리 처칠 (Larry Churchill)은 이 문제를 15 년 이상 전에 제기했습니다. "어떻게 특유의 전문직업적 윤리를 중요시하지 않았는가? 자기 분야를 구분짓는 도덕적 신념이 없는 전문직profession은 profess 할 것이 없습니다. "2, p. 만일 우리가 의학 교육자로서 profess 할 것이 없다면, 훈련중인 의사들에게 전문적인 행동 규범을 주입시키고 촉진시키는 어떤 공격적 프로그램도 결국 실패 할 것입니다.

Larry Churchill raised the issue more than 15 years ago, “How didwe get to this point of not valuing a distinctive professional ethic? A profession without its own distinctive moral convictions has nothing to profess.”2, p. 34 If indeed we as medical educators have nothing to profess, then an aggressive program to instill and promote a code of professional behavior in physicians-in-training will be artificial and bound to fail.


프로페셔널리즘의 최근 역사

The Recent History of Professionalism



1970 년대 초, 생물 의학 윤리는 의학교육에서 구식 전문직 윤리를 대체했습니다. 많은 사람들은 미덕과 의무에 근거한 전문직 윤리가 의사의 특별한 관심과 의무에 국한되어 있다고 믿었습니다 .2-6

By the early 1970s, biomedical ethics, had replaced old-fashioned professional ethics in medical education. Many believed that professional ethics, based on virtue and duty, had confined itself to the special interests and obligations of physicians.2–6


2005 년 상황이 크게 바뀌 었습니다. 오늘날, "프로페셔널리즘"이라는 용어는 의학 교육의 모든 곳에 등장하는 칡kudzu와 같습니다.

In 2005, the situation has changed dramatically. Today, the term “professionalism” springs like kudzu from every nook and cranny of medical education.


왜 우리는 이 "명백한 전문직업적 미덕"을 다시 한 번 명시적으로 강조하게 되었을까?

Why have we resurrected this explicit focus on “a distinctive professional virtue”?


지난 수십 년 동안 미국의 의학은 방대하고 값 비싼 기술적 이익 센터로 진화했습니다.

Over the past several decades, medicine in the United States has evolved into a vast, increasingly expensive technological profit center,


전문가들은 강력한 기계를 휘두르는데 더 많은 시간을 보냈지만, 환자의 말을 듣거나 환자와 연락하는 시간은 줄어들었다.

While specialists spent more time wielding the mighty machine, they spent less time listening to or connecting with their patients.


상업주의는 의사와 환자의 이익 사이에 갈등이 커지기위한 발판을 마련했습니다. 시스템의 비용은 급격히 증가했지만 의료에 있어서 인구의 상당 부분은 여전히 불평등하고 접근하기 어렵다.

Commercialism set the stage for increasing conflict between the interests of physicians and their patients. The costs of the system skyrocketed, but it nonetheless remained inequitable and inaccessible to significant segments of the population.


이러한 문제가 발달함에 따라 의료 교육자들은 이를 무시하지 않고, 이러한 새로운 테크놀로지 환경에 의사 소통 기술에 대한 지식, 기술, 태도를 통합하기 위하여 여러 세대의 솔루션을 가져왔다. 초기 혁신에는 다음이 있다.

  • 가정 의학의 전문과 도입 

  • Whole-person 의학 (biopsychosocial model)을 위한 새로운 패러다임의 형성,

  • 커리큘럼에 새로운 기술(예 : 의사 소통, 인문학 및 생물 의학 윤리 코스) 추가

  • 창의적인 교수 방법 (예 : 문제 기반 학습)을 채택

As these problems developed, medical educators, far from ignoring them, responded with several generations of well-intended solutions that aimed to integrate the knowledge, skills, and attitudes of good doctoring into this new technological environment. Early innovations included creating the specialty of family medicine, formulating a so-called new paradigm for whole-person medicine (the biopsychosocial model), adding new skills to the curriculum(e.g., courses in  communication, humanities, and biomedical ethics), and adopting more creative methods of teaching (e.g., problem-based learning).


최근에 근거 중심의 의학 운동은 (의사가 정보를 바탕으로하는 배경을 깎아내어) 의사가보다 과학적인 근거로 임상 결정을 내릴 수있게하고, 따라서 환자 치료를 더욱 유익하게 만드는 수단을 제공합니다. 그러나 상황은 그다지 개선되지 않았습니다. 학생들의 마음은 그 어느 때보다도 예리해졌지만sharper 그들의 마음은 무뚝뚝하고 도덕적 나침반은 표류하는 것처럼 보였습니다. 이 시점에서, 교육자들은 본질적으로 1970 년대 이전의 전문직업적 가치에 대한 복귀라는 완전히 새로운 "압정"을 채택했다. 즉, 그들은 전문성 자체가 가르치고 평가되어야한다고 주장하기 시작했습니다.

 More recently, the evidence-based medicine movement has provided a means of cutting through the information-dense background to teach physicians to make more scientifically based clinical decisions, and,hence, to make patient care more beneficial. Still, the situation did not appreciably improve; while the minds of our students became sharper than ever, their hearts appeared to be listless, and their moral compasses adrift. At this juncture, educators adopted an entirely “new” tack, which in essence is a return to pre-1970s professional values; that is, they began insisting that professionalism itself be taught and evaluated. 


프로페셔널리즘 운동에 대한 나의 비판은 프로페셔널리즘을 좀 더 정량화하려는 시도에서 미덕에 대한 대리자로서 기술과 관습을 사용할 수 있다는 것입니다. 의사가되는 것은 단순히 행동하는 것이 아니라 증명witnessing하는 것입니다. 프로페셔널리즘이 필수 행동의 목록이 되는 한, 이것은 H. L. Mencken이 말한 깔끔하고 단순하지만 잘못된 솔루션의 예입니다.

My criticism of the professionalism movement is that, in the attempt to render professionalism more quantifiable, it may use skills and practices as surrogates for virtue. Becoming a physician involves witnessing, and not just behaving. To the extent that professionalism becomes a list of required practices, it is an example of H. L. Mencken’s neat and simple, but wrong, solution.



현재 상태
The State of the Art

프로페셔널리즘의 전통은 

  • 직업의 목표에 깊이 내재된 가치

  • "내가 가장 신성시하는" 도덕적 행동 기반에 헌신하고자 하는 것(히포크라테스 선서의 현대판을 인용)

  • 지역사회 정체성에 대한 뚜렷한 감각sense 등을 말한다. 

즉, 가치, 신념, 지역사회는 의료 프로페셔널리즘의 필수 구성 요소입니다. 그러나 그것이 의사의 생생한 경험에 나타나지 않는 한, 프로페셔널리즘은 (자율성과 선행의 생물 윤리 원칙과 같은) 단순한 학술적 추상물 일뿐입니다.

The tradition of medical professionalism holds that there are deeply held values internal to the goals of the profession, a commitment to moral behavior grounded in “that which I hold most sacred” (to quote a contemporary version of the Hippocratic Oath), and, a strong sense of community identity in medicine. Values, beliefs, and community are thus essential components of medical professionalism. But unless manifest in the lived experiences of physicians, they are mere academic abstractions, like the bioethical principles of autonomy and beneficence.


Trainee는 롤모델 의사 또는 다른 보건 전문가를 통해 [직접 관찰하거나], 이야기와 영화를 통해 [간접적으로 관찰하는] 현대 서사의 묶음bundle으로서 프로페셔널리즘을 경험해야합니다. 다른 말로하면, 프로페셔널리즘을 배우는 것은 특정한 종류의 서사에 들어가서 그것을 자신의 것으로 만드는 것입니다.

Trainees must also experience professionalism as a bundle of contemporary narratives, either observed directly through role-model physicians and other health professionals, or indirectly through stories and film. In other words, to learn professionalism is to enter into a certain kind of narrative and make it one’s own.


나는이 전통을 지칭하기 위해 내러티브 기반 프로페셔널리즘이라는 용어를 사용할 것이며, 이는 목표, 역량 및 측정 가능한 행동의 집합을 설명 할 때 사용하는 용어 인 규칙 기반 프로페셔널리즘과 대조하기 위함이다.

I will use the term narrative-based professionalism to refer to this tradition, contrasting it with rule-based professionalism, which is the term I’ll use to describe the sets of objectives, competencies, and measurable behaviors that attempt to capture the concept of professionalism



묵시적 vs 명시적 학습

Tacit versus Explicit Learning


많은 관찰자들은 우리가 의대생들과 젊은 의사들에게 가르친다고 생각하는 것(명시적 또는 공식적인 커리큘럼)과 다른 출처에서 배우는 두 번째 세트의 신념과 가치(암묵적, 비공식적 또는 숨겨진 커리큘럼) 사이의 갈등을 기술했습니다 ) .19-29 이 갈등은 전임상 교육 과정에서 시작되어, 임상실습(병원과 클리닉에서) 시기에 더욱 두드러진다.

Many observers have described a conflict between what we think we are teaching medical students and young physicians (the explicit, or formal, curriculum) and a second set of beliefs and values that they learn from other sources (the tacit, informal, or hidden curriculum).19–29 This conflict begins during students’ preclinical education and becomes more pronounced in the hospital and clinic.


  • 프로페셔널리즘 개발의 명시적 요소에는 전문직업적 가치를 심어주기 위해 고안된 강좌, 수업, 라운드, 조언 또는 기타 강의가 포함됩니다. 

  • 대조적으로, 암묵적 학습에는 명시 적으로 그 문제를 분명히 표시하지 않고 전문적인 가치와 정체성을 주입시키는 습 및 사회화 프로세스가 포함됩니다. 이 숨겨진 커리큘럼은 의학교육을 통하여 전수된다. 

  • 명시적 커리큘럼은 공감, 의사 소통, 고통의 완화, 신뢰, fidelity, 환자의 최대 이익 추구에 초점을 맞추지만, 

  • 실제로 병원에서 이들 가치는 구석으로 밀리며, 객관성, 분리, 자기 이익, 감정, 환자, 보험 회사, 관리자에 대한 불신 등을 암묵적으로 학습한다.

  • The explicit component of professional development includes courses, classes, rounds, advice, or other teaching designed to instill professional values. 

  • Tacit learning, by contrast, includes the learning and socialization processes that instill professional values and identity without explicitly articulating those issues. This hidden curriculum continues throughout medical training. 

  • While the explicit curriculum focuses on empathy, communication, relief of suffering, trust, fidelity, and pursuing the patient’s best interest, 

  • in the hospital and clinic environment these values are largely pushed aside by the tacit learning of objectivity, detachment, self-interest, and distrust—of emotions, patients, insurance companies, administrators, and the state.



병원의 내러티브

The Hospital Narratives


병원 진료의 질감texture, ​​특히 구전 문화, 당신 주변의 이야기에 세심한 주의를 기울이십시오. 그들은 어떤 종류의 이야기입니까? 어떻게 분류 될 수 있습니까?

Pay close attention to the texture of hospital practice, in particular to its oral culture, the stories that surround you. What sort of stories are they? How can they be categorized?


첫 번째 놀라운 사실은 병원이라는 우주의 활력이 병실 밖에 집중되어 있다는 것입니다. 내러티브의 세계는 교육 병원의 복도 및 회의실과 병동 스테이션에서 가장 활발합니다. 일반적으로 의사는 가능한 한 드물게 병실에 들어간다는 것을 발견합니다. 또한 병실에 가더라도 이들은 가능한 한 환자의 말을 적게 듣는다.

The first surprising observation you may make is that the vitality of this universe is centered outside the patient room. The narrative world is most alive in the teaching hospital’s hallways and conference rooms and unit stations. Generally, you discover that physicians enter their patients’ rooms as infrequently as possible; and when they do enter, they listen to these patients as little as possible.


실제로 의사가 다른 의사랑 대화할 때에는 환자와의 대화보다는 환자에게 수행되는 절차가 그 대화의 시작점이 되는 경우가 더 많다.

In fact, procedures performed on patients are more frequently the starting place for the stories doctors tell one another than are their conversations with patients.


두 번째 흥미로운 특징은 병원 기풍에 스며들어있는 이야기 환자는 대부분 능동적 주인공이 아니라는 것입니다. 오히려 환자는 영리하거나 좌절스럽거나 심지어 어리석은 음모 장치 역할을합니다.

The second interesting feature is that stories permeating the hospital ethos don’t usually have patients as their active protagonists. Rather, patients serve as clever or frustrating or even stupid plot devices


악당과 관련하여, 환자 자신의 가족은 그 자리에 있든지(예 : 적대적이거나 의문의 딸) 아니면 없든지(예 : 출현하지 않은 아들) 악역을 맡게 된다. 마지막으로, 환자 역시 그 자신이 악역을 맡을 수 있습니다. 보통 환자에 관한 스크립트는 무지, 분노, 그리고 무엇보다 '불순응'을 언급한다.

With regard to villains, the patient’s own family may play a malevolent role, either as a result of being present (e.g., the hostile, questioning daughter) or being absent (e.g., the son who never shows up). Finally, patients themselves may take on the role of Bad Guys, with scripts that that demonstrate ignorance, anger, and— above all—noncompliance.


감정적 측면에서, 환자에 관한 많은 병원 내의 이야기는 (비록 이러한 이야기가 지적으로 자극적임에도) 상당히 평이하게 느껴진다.

From an emotional perspective, many hospital stories about patients feel rather flat, even though at the same time these stories are intellectually stimulating.


그러나 환자와 의사의 이야기에서 정서적 공명력의 부족은 학생과 병원 직원 간의 상호 작용으로까지 확대되지 않습니다. 병원 문화에서 인정받는 감정의 대부분은 의사 또는 의료진의 부정적인 태도와 폭발outburst로 표현된다 . "이 곳은 정말 최악이야!"

Yet the lack of emotional resonance in patient-and-doctor stories does not extend to interactions among students and hospital staff. Most of the feelings in medical culture that do get acknowledged are those of doctors or other health professionals, which tend to be expressed in negative attitudes and outbursts: “This place sucks!”


이와 같은 표현은 허용되지만, 의사의 기풍은 일반적으로 감정을 인정하지 않고 금욕주의적 성향을 선호합니다. 실제로 이것은 의사가 종종 환자에 대해 감정적 우월감을 드러내는 한 방법으로서, 이들의 눈에 환자는 감정적이고 잘 해봐야 주관적 관점 정도만 얻을 수 있는 사람일 뿐이다.

Although expressions like these are permissible, the physician ethos in general disapproves of emotion and favors stoic acceptance. This, in fact, is one way that doctors demonstrate the superiority they feel over patients, who are often emotional and let subjective perspectives get the best of them.


의대생과 젊은 의사들이 속해 있는 세상은 이렇다.

world in which medical students and young physicians find themselves


  • 첫째, 간호, 사회 사업, 종군 사역 및 기타 많은 전문직의 내러티브를 무시합니다. 물론 이들 직군은 서로 겹쳐지고 서로 reverberate하고, 영향을 미치지만, 이들은 마치 의학의 문화에 거의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처럼 보입니다. 병원의 의사들은 여러 다른 전문가와 지원 인력에 전적으로 의존하지만 의학 자체의 문화는 고립되어 있으며 다른 전문직이나 지원인력에 영향을받지 않습니다.

  • 둘째로 요즘 의료 교육의 상당 부분이 진료소 및 사무 환경에서 이루어지며 환자 내러티브가 연수생의 전반적인 경험에서 더 큰 역할을 할 수 있습니다.

  • 마지막으로, 저는 의사들에 대해 너무 많이 과도하게 일반화를 했다. 다행스럽게도 환자와 의사는 활발하고 흥미 진진한 이야기를 전하고 많은 레지던트와 학생들은 그 이야기를 반복하여 배우게됩니다. 병원 문화는 결코 적대적이지 않으며, 대부분의 trainee는 긍정적이고 배려심있는 직업적 정체성을 키운 상태에서 졸업합니다.

  • First, it ignores the narratives of nursing, social work, chaplaincy, and many other professions. These professions, of course, overlap, reverberate with, and influence one another but—and this is quite remarkable—they seem to influence the culture of medicine very little. While physicians in the hospital are completely dependent on multiple other professionals and support personnel, the culture of medicine itself remains rather isolated and uninfluenced by them. 

  • Second, nowadays a substantial proportion of medical education takes place in clinic and office settings, where patient narratives may play a larger role in trainees’ overall experiences. 

  • Finally, I’ve overgeneralized about physicians themselves. Fortunately, patients and their physicians also tell vibrant and edifying stories, and many residents and students repeat them and learn from them. Hospital culture is by no means entirely hostile, and many trainees graduate from it having cultivated positive and caring professional identities.


프로페셔널리즘의 다양한 종류

The Varieties of Professionalism


경험적 차원에서, 의대생과 HO는 세 가지 스타일의 직업적 정체성 중 하나를 채택하여 내부 갈등을 해소하거나 해결합니다.

At an experiential level, medical students and house officers relieve or resolve their internal conflict by adopting one of three styles of professional identity.


  • 테크니컬 전문직업적 정체성: 젊은 전문의가 전통적인 가치관을 포기하고 병원 문화와 일치하는 의료 실천 관점을 채택하는 . 그들은 의무, 성실, 기밀성, integrity에 관하여 냉소적이된다; 그들 자신의 동기와 다른 사람들의 동기에 의문을 제기함으로써 테크니컬 영역에 대한 책임 범위를 좁히는 것이다.

  • 비성찰적 전문직업적 정체성: 의사가 의식적으로는 전통적인 의학적 가치를 고수하지만, 무의식적으로 그 가치와 상반되는 가치에 기반하여 행동하는 것. 이런 유형의 self-delusion에 대해 한 젊은 의사는 병원 문화에 따라 행동 할 때, 병원에서 표현되는 것은 잠재적 가치와 숨겨진 교육과정이지만, 겉으로는 교실에서 배운 명백한 가치를 manifest할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예를 들어 병원에서 연민은 detachment로 의해 가장 잘 표현되며, 객관성이 부족하다는 이유로 개인적 상호작용은 의심의 대상이 된다.

  • 연민적, 반응적 전문직업적 정체성: 제 3의 상당수의 젊은 의사들에 의해 채택되는 방식. 암묵적 사회화와 명시적 사회화 간의 갈등을 극복하는, 연민적, 반응적 전문적 정체성.

  • A technical professional identity, in which young physicians abandon traditional values and adopt a view of medical practice consistent with hospital culture. They become cynical about duty, fidelity, confidentiality, and integrity; and question their own motivation and that of others, thereby narrowing their sphere of responsibility to the technical arena.

  • A nonreflective professional identity, in which physicians consciously adhere to traditional medical values while unconsciously basing their behavior, or some of it, on opposing values. In this type of self-delusion, a young physician believes that when she acts in accordance with hospital culture, she actually manifests the explicit values she learned in the classroom, although instead it is the hidden, negative values that are being expressed. For example, compassion is best manifested by detachment, and personal interaction is suspect because it lacks objectivity.

  • A compassionate and responsive professional identity, adopted by a third, substantial group of young physicians, who thereby overcome the conflict between tacit and explicit socialization.


윌리엄스와 저는 많은 졸업생 대부분은 nonreflective professionals라고 주장합니다. 즉, 의사들은 virtue를 실천하는 과정에서 그러한 virtue와 상충하지 않는다고 믿고 있으나, 실제로는 이러한 미덕과 충돌 할뿐 아니라, 그러한 행동이 헬스케어의 현대적 문제에 기여하는 작동한다.

Williams and I claim that a large percentage of our graduates are best characterized as nonreflective professionals; that is, physicians who believe that they embody virtues while acting in ways that not only conflict with these virtues, but also contribute to contemporary problems in health care


"의학의 핵심적 역설은 이기심과 이타주의 사이의 긴장이다."30, p. 7

“The central paradox in medicine is the tension between self-interest and altruism.”30, p. 7


바람의 깃발

A Flag in the Wind


토마스 누이 (Thomas Inui)의 보고서, "바람의 깃발 : 의학의 전문성 교육"

Thomas Inui’s report, “A Flag in the Wind: Educating for Professionalism in Medicine,”


첫째, "우리가 프로페셔널리즘의 요소로 생각하는 대부분의 것은 이미 여러 차례에 걸쳐 잘 묘사되어왔다."31, p. 그러나 의학의 문학과 수사학은 의학 교육과 실천에서 "이미 잘 인정되고 알려진 행동의 미덕과 우리가 실제로하는 것"사이의 격차를 파악하지 못한다고 지적한다. Inui는 의사들이 "이 격차 중 일부는 인식하지도 못하고 있다"고 인정하지만, 인식하고 있더라도 "불협화음dissonance에 대해 침묵하거나 표현을 제대로 하지 않는" 경향이 있습니다. 4

First, “the major elements of what most of us in medicine mean by professionalism havebeen described well, not once but many times.”31, p. 4 Next he observes, however, that the literature and rhetoric of medicine fail to grasp “the gap between these widely recognized manifestations of virtue in action and what we actually do” in medical education and practice.31, p. 4 Inui acknowledges that physicians “may be unconscious of some of this gap” but when they are conscious of it, they tend to be “silent or inarticulate about the dissonance.”31, p. 4


다섯 번째 결론에서, Inui는 "학생들이 관찰하는 것"(숨겨진 커리큘럼)과 "학생들이 듣는 것"(공식 커리큘럼) 사이의 불일치에주의를 둡니다. 이러한 상황에서, "학생들은 프로페셔널리즘에 대해 냉소적 인 태도를 보였습니다. 실제로 그들은 냉소주의를 의학에 내재 된 것으로 본다."31, p. 이러한 맥락에서 "프로페셔널리즘에 대한 과목을 추가하는 것으로는 이러한 유감스러운 상황을 근본적으로 바꾸지 못할 것이다. 대신 우리는 실제로 우리 행동, 우리 기관, 우리 자신을 변화시켜야 할 것입니다. "31, p. 마지막으로, Inui는 모든 학생들이 가장 어려운 도전은 의학 교육이 기술교육의 한 종류가 아니라, "특별한 형태의 개인적 및 전문적 발달"(강조가 추가됨)임을 학생들과 교육자가 이해하는 것이다5

In his fifth conclusion, Inui draws attention to the discrepancy between “what they see us do” (the hidden curriculum) and “what they hear us say” (the formal curriculum). Under these circumstances, “students become cynical about the profession of medicine— indeed, they may see cynicism as intrinsic to medicine.”31, p. 5 In this context, “additional courses on medical professionalism are unlikely to fundamentally alter this regrettable circumstance. Instead, we will actually have to change our behaviors, our institutions, and ourselves.”31, p. 5 Finally, Inui indicates that the most difficult challenge of all is for students and educators to understand that medical education is “a special form of personal and professional formation” (emphasis added), rather than a species of technical learning.31, p. 5


Inui는 우리의 교육 병원을 특징 짓는 믿음과 행동 사이의 gap이 부분적으로는 무의식적이라는 것을 알고 있습니다. 이것이 사실이라면 의사들은 비성찰적 프로페셔널리즘을 나타내는 것이다. 즉, 전문직업적 정체성의 형성 과정에서, 그들은 어떤 nonvirtuous한 행동이 virtuous하다는 신념을 내면화하게 되는데, 왜냐하면 그것이 "의료에서 일이 작동하는 방식"이기 때문이다. "비성찰"이라는 용어는 의사들이 한 발자국 뒤로 물러서서 그들의 행동이 [자기 자신] 뿐만 아니라 [한 사람의 인간으로서 돌봄과 존중을 받을 자격이 있는 다른 사람들]에게 미치는 영향을 거의 고려하지 않는다는 뜻이다.

Inui recognizes that the gap between belief and behavior that characterizes our teaching hospitals is partly unconscious. To the extent that this is true, these physicians manifest nonreflective professionalism; that is, in the formation of their professional identities, they have internalized the belief that certain nonvirtuous behaviors are virtuous, since they are “the way things are in medicine.” The term“nonreflective” implies that these physicians rarely, if ever, step back and consider the impact of their behavior on themselves and others, as human beings deserving of care and respect.


믿음과 실천 사이의 기관 내에서의 갭의 또 다른 부분은 의식적이고 따라서 위선적이라고 볼 수 있다. 불행히도, 의사의 내러티브와 가치관에 거의 관심이없는 의사조차 때로는 교사로 역할해야 할 수도 있습니다. 이 의사들이 자신의 단순rote "지혜"를 전할 때 위선적으로 그렇게합니다. 그러나 연수생은 이를 신속하게 감지하고 냉소적 인 반응을 보입니다.

another part of the institutional gap between belief and practice is conscious and, therefore, hypocritical. Unfortunately, physicians with little interest in the narrative and value dimensions of medicine may at times be required to serve as teachers . When these physicians impart their rote “wisdom,”they do so hypocritically. Trainees quickly detect this and respond with cynicism.


내러티브 기반 프로페셔널리즘

Narrative-Based Professionalism


Inui는 전문적 미덕이나 서사적 전문성을 양성하기 위해 "우리는 실제로 우리의 행동, 기관 및 우리 자신을 변화시켜야 할 것입니다."31, p.

To nurture the professional virtue, or narrative-based professionalism, Inui observes that “we will actually have to change our behaviors, our institutions, and our selves.”31, p.


나는 4 가지 상호 연관된 교육 요구 사항을 제안 할 것이다.

I will suggest four interrelated educational requirements


학습자가 전문적인 미덕을 배우는 과정을 통해 진행되는 과정에서 연수생의 성과를 평가하는 수단으로 교육 포트폴리오를 제안했습니다 .32-35 이러한 포트폴리오는 시간 경과에 따라 모아진, 학습 및 성취의 증거를 제공하는 자료 모음입니다. 의료 연수생의 포트폴리오는 특정 역량을 다루기 위해 구성 될 수 있으며, 그 내용으로는 공식 서류, 증례보고, 연장 된 환자 서술, 비판적 사건의 서술, 성찰적 글쓰기 및 자기 평가를 포함 할 수 있습니다.

as a means of evaluating a trainee’s performance as he or she progresses through the process of learning professional virtue, I proposed the educational portfolio.32–35 Such a portfolio is a collection of material assembled over time that provides evidence of learning and achievement. A medical trainee’s portfolio might be structured to address specific competencies and include, for example, formal papers, case reports, extended patient narratives, descriptions of critical incidents, reflective writing, and self-assessment.36



프로페셔널리즘 역할 모델링

Professionalism role-modeling


첫 번째 요구 사항은 의학 교육의 모든 단계에서 전문적인 미덕을 롤모델링 할 수있는 의사의 수를 극적으로 늘리는 것입니다.

The first requirement is to increase dramatically the number of physicians who are able to role-model professional virtue at every stage of medical education. 


그러한 의사들은 성찰적이기 때문에, 프로페셔널리즘에 대해 비성찰적인 의사들과 달리, 병원의 명시적인 가치와 암묵적인 가치 사이의 갈등을 희석시키고 줄입니다. 또한 이러한 의사는 정직하게, 직접적으로 연수생과 의사 소통합니다. 더 많은 교수진이 참여하게 되면, 교육 환경은 (행동으로는 "분리"라고 말하면서, 말로만 "참여"라고 하는) 상반된 메시지를 거의 포함하지 않을 것이다. Trainee가 필요로 하는 것은 시간과 휴머니즘이다. 

Because such physicians are reflective, as opposed to nonreflective,in their professionalism, their presence would dilute and diminish the conflict between tacit and explicit values, especially in the hospital and clinic. Such physicians communicate honestly and directly with trainees . With the incorporation of more such faculty, the teaching environment would contain fewer mixed messages, where, for example, the voice says “engage” while the behavior says “detach.” What trainees need is time and humanism.


그러나 그러한 교수진은 pay for themselves 할 수 없으며, 이것은 의학 교육을위한 새로운 중요한 자금 조달 필요성을 의미합니다.

However, such faculty members cannot pay for themselves, and this implies major new financing for medical education.


자기 인식

Self-awareness


두 번째 전제 조건은 의대와 레지던트 기간에, 학생과 레지던트가 자신의 경험을 공유하고 개인의 인식을 향상시킬 수있는 안전한 장소를 제공하는 것입니다.

The second prerequisite is to provide, throughout medical school and residency, a safe venue for students and residents to share their experiences and enhance their personal awareness.


의사는 자신의 신념, 감정, 태도 및 반응 패턴을 이해해야합니다. 의사는 감정을 부정적이거나 파괴적이라고 생각하는 경향이 있으며, 자신의 반응을 지능화intellectualize하는 것(affect라고 부름)을 genuine emotion과 종종 혼동합니다. 의사는 만성 질환을 돌볼 때 불안, 외로움, 좌절, 분노, 우울증 및 무력감에 특히 취약합니다. 그들은 종종 이러한 감정을 억압하거나 합리화함으로써 이러한 감정에 대처하려고 노력합니다.

Doctors need to understand their own beliefs, feelings, attitudes, and response patterns. Physicians tend to view emotions as negative or disruptive, and often confuse intellectualizing their responses (naming an “affect”) with genuine emotion.38 Physicians are particularly vulnerable to anxiety, loneliness, frustration, anger, depression, and helplessness when caring for chronically or terminally ill patients.39 They often try to cope with these emotions by suppressing or rationalizing them.


또한, 연수생의 도덕 발달은 일상적인 학습 상황에 의해 방해받을 수 있습니다. 이러한 상황을 토론하고, 분석하고, 비평하고, 수리 할 수있는 기회는, 학생들로 하여금 자신의 목소리를 찾아 내고, 결과적으로 그 목소리를 효과적으로 개발할 수 있도록 empower 합니다 .40-43

In addition, the trainee’s moral development may be hindered by everyday learning situations. the opportunity to discuss, analyze, critique, and sometimes repair these situations allows students to find their own voice and may eventually empower them to develop that voice effectively.40–43


내러티브 역량

Narrative competence


의료 실습은 서사를 중심으로 구성됩니다. 그러나 학생들은 환자를 객관화하고 주관성을 devalue하도록 배웁니. 동시에, 그들은 병원 내러티브를 내면화하는데, 이것은 냉소적이고, 거만하고, 자기 중심적이고, 자기 축하하고, 고도로 rationalized 함에도 불구하고 연수생의 전문직 페르소나 형성에 지대한 영향을 미친다.

Medical practice is structured around narrative .However, students learn to objectify their patients and devalue subjectivity. At the same time, they internalize hospital narratives, which tend to be cynical, arrogant, egotistic, self-congratulatory, and highly rationalized, but nonetheless become influential in the formation of the trainee’s professional persona.


학생들은이 이러한 스토리에 몰두할 시간이 없으며 환자의 이야기를 이해하고 그에 대응할 기술이 부족할 수 있습니다.

students immersed in these stories have little time to listen to, and may also lack the skill to understand and respond to, their patients’ stories,


따라서 세 번째 전제 조건은 내러티브 역량의 개발이다.

the third prerequisite is the development of narrative competence.


이것은 "다른 사람들의 이야기와 역경을 인정하고, 흡수하고, 해석하고, 행동 할 수 있는 능력"으로 이해 될 수 있습니다.

This can be understood as “the ability to acknowledge, absorb, interpret, and act on the stories and plights of others.”44


내러티브 역량은 임상적 공감과 치료적 관계를 수립하고 유지하는 데 있어 핵심이 되며, 그 뿐만 아니라 직접적으로 알지 못하는 사람들의 경험에 "연결"할 수있게 해주는 상상적 공감imaginative empathy와도 관련된다. 예컨대, Appalachia에 무보험자, HIV 감염 어린이 (남아공), 수단 (Sudan)의 난민들과 같은 사람들을 말한다.51-55


It draws upon the centrality of clinical empathy in establishing and maintaining therapeutic relationships, and also more imaginative empathy that allows observers to “connect with” the experience of persons not immediately known to them, such as the uninsured in Appalachia, HIV-infected children in South Africa, or refugees in Sudan.51–55


긍정적 인 역할 모델링과 성찰적 실천을 통해 만들어진 연수생 자신의 삶의 경험은, 서술적 역량이 발전할 수 있는 기초 자료로 사용됩니다. 그러나 학생들은 실제 및 가상의 의사의 서면, 촬영 및 구두 서술에 노출되어 자신의 인생 경험 레퍼토리를 향상시킬 수 있습니다. 학생들은 개인적이고 전문적인 서술을 꾸준히 그리고 규칙을 가지고 씀으로써, 직업적 정체성 발달에 대한 인식을 높일 수있다 .56-61

The trainee’s own life experience, molded by positive role-modeling and reflective practice, serves as the basic material from which narrative competence may develop. However, students may enhance their repertoires of life experience by exposure to the written, filmed, and oral narratives of real and fictional physicians; and they may increase awareness of their own developing professional identities by writing personal and professional narratives consistently and with discipline.56–61


커뮤니티 서비스

Community service


마지막으로 의료 커리큘럼에는 사회적으로 높은 관련성을 가지는 봉사-지향 학습이 포함되어야합니다.

Finally, the medical curriculum must include socially relevant service-oriented learning.


병원이나 사무실 환경에서 환자와의 상호 작용은 학생과 젊은 의사에게 학제 간 실습, 생리 심리 사회적 모델링 및 사회적 책임에 대한 내러티브를 제공하기에 충분하지 않습니다.

Interaction with patients in the hospital or office setting is insufficient to provide students and young physicians with narratives of interdisciplinary practice, biopsychosocial modeling, and social responsibility.


서비스 학습은 지역적으로 일어나는 활동에서부터 국가적 또는 국제적 차원의 활동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지리학 적, 사회적 수준에서 운영 될 수 있습니다. 

    • 임상 진료 (예 : 무료 진료소에서 근무하는 학생, 제 3 세계 국가에서 임상 시험을하는 학생),

    • 공중 보건 사업 (예 : 이주 노동자 예방 접종, 금연 금연 캠페인 지원)

    • 보건 교육 (예 : 지역 고등학교의 HIV 교육 참여, 교회 단체 및 지역 사회 단체 연설)

    • 지역 사회 봉사 (예 : 지역 기관 또는 제 3 세계 국가에 대한 직접적인 도움을 제공하는 단체의 자원 봉사)

    • 보건 및 복지 문제에 대한 정치적 행동.

관련 업무가 무엇이든 지역사회 관련 교육의 최소한의 "투입량dose"은 학생들이 분절된 add-on이 아닌, 의학 교육 문화에 필수 요소로 간주될 수 있을 만큼 충분히 커야합니다.

Service learning may operate on many different geographic and social levels, from activities that take place locally to those on a national or international level. Moreover, the focus may include students 

    • contributing to clinical care (e.g., working at free clinics, doing clinical work in third-world countries), 

    • public health work (e.g., vaccinating migrant workers, assisting in “Stop Smoking” campaigns), 

    • health education (e.g., participating in HIV education in local high schools, speaking at church groups and community organizations), 

    • community service (e.g., volunteering in local agencies or with groups that provide direct assistance to third-world countries), and 

    • political action on health and welfare issues.63–70 

Whatever the specific tasks involved, the minimal required “dose” of community service must be sufficiently large for students to view it as integral to the culture of medical education, rather than an unconnected add-on.


결론

Conclusions


프로페셔널리즘은 오늘날 의학에서의 au courant이지만, 프로페셔널리즘을 가르치고 평가하는 운동은 의학 교육자들에게 약간의 수수께끼를 안겨줍니다. 그 의도는 칭찬 할만합니다. 그러나 의학교육에 대한 이 운동의 영향은 "자기 이익과 이타주의 사이의 긴장"인 "핵심 역설"에 직접적으로 대면하지 않는 한 미미할 뿐이며, 오도되기 쉽다.

Professionalism is au courant in medicine today, but the movement to teach and evaluate professionalism presents medical educators with somewhat of a conundrum. Its intent is laudable . However, the impact of this movement on medical education is likely to be small and misleading unless it directly confronts the “central paradox in medicine,” which is the “tension between self-interest and altruism.”30


학생들과 젊은 의사들은 명시적 교육과정과 암묵적 교육과정을 조화 시키는 과정에서, 내적 갈등을 경험하며, 종종 비성찰적 프로페셔널리즘을 개발합니다. 현재 진행되고있는 프로페셔널리즘에 대한 추가 연습이나 강좌는, 그것이 역량 목록으로 보완 되더라도, 이러한 다이나믹을 바꾸기 쉽지 않다. 프로페셔널리즘에 대한 이 규칙-기반 접근법은 명시적 가치와 암묵적 가치 사이의 긴장이나 갈등을 변화시키기 못한다.

Students and young physicians experience internal conflict as they try to reconcile the explicit and covert or hidden curricula, and they often develop nonreflective professionalism. Additional exercises in or courses on professionalism as it is currently taught are, in themselves, unlikely to alter this dynamic, even if they are supplemented by lists of competencies . This rule-based approach to professionalism does not alter the tension or conflict between tacit and explicit values.


대신, 나는 내러티브 중심의 프로페셔널리즘을 의학 교육의 문화를 변화시키고, 위의 핵심 역설을 다루는 보다 포괄적 인 접근 방법으로 제안한다. 이것은 (프로페셔널한 덕목을 보여주는) [자신의 경험]뿐만 아니라 [다른 사람들의 경험]에서 끌어 낸 다양한 내러티브에 immersing하게 해준다. 본질적으로 이 접근법은 맹세와 화이트 코트 의식과 같은 상징적인 것 뿐만 아니라, 일상 생활에서 자신을 수행하는 방식으로 반-문화counterculture를 제공합니다.

Instead, I propose promoting narrative-based professionalism as a more comprehensive approach to changing the culture of medical education and addressing its central paradox. This involves immersing students and young physicians in a wide array of narratives, drawn from their own experiences as well as those of others, that display professional virtue. In essence, this approach would provide a counterculture , not just symbolically through oaths and White Coat ceremonies, but in the ways they conduct themselves in their day-to-day practice. 


이 발달을위한 많은 요소들이 이미 존재하지만, 대부분의 의대에서는 의학 교육의 문화에 중대한 영향을 미치기에는 너무 흩어져 있거나 너무 희박하게 분산되어있다. 내러티브 중심 프로페셔널리즘을 위한 연쇄 반응을 일으키는 데 필요한 임계질량이 무엇인지는 알 수 없습니다. 그러나 모든 학부모와 주치의가 덕과 공감을 위한 리트머스 테스트를 통과해야하는 것은 아니며, 상업주의가 사라질 것을 요구하는 것도 아니다. [상대적으로 적은 수의 교수진, 커리큘럼, 교수진 개발 프로그램 및 제도적 지원]으로도 적극적인 대처 방안이 마련 될 경우 문화적 변화가 일어날 수 있다고 생각하기 때문에 촉매의 개념이 중요합니다. 병약 한 전문 문화의 증상뿐만 아니라 회복을위한 문화를 정착시켜야합니다.

Many of the elements for this development are already present, but in most medical schools dispersed too thinly and/or integrated too sparsely to produce a significant impact on the culture of medical education. I don’t know what critical mass might be required to initiate a chain reaction in medical education in favor of narrative-based professionalism. Presumably, however, it would not require that every faculty member and attending physician pass a litmus test for virtue and empathy. Nor would it mandate that commercialism disappear. The concept of a catalyst is important here because I believe that cultural change can take place if a relatively small number of well-placed faculty members, curricula, faculty development programs, and institutional supports are brought together with an aggressive treatment plan not only to alleviate the symptoms of an ailing professional culture, but also to set that culture on the road to recovery.






 2005 Oct;80(10):892-8.

Viewpoint: today's professionalismengaging the mind but not the heart.

Author information

1
Division of Medicine in Society, Department of Preventive Medicine, HSC L3-086, Health Sciences Center, School of Medicine, Stony Brook University, Stony Brook, New York 11794-8036, USA. jcoulehan@notes.cc.sunysb.edu

Abstract

Professionalism is au courant in medicine today, but the movement to teach and evaluate professionalism presents a conundrum to medical educators. Its intent is laudable: to produce humanistic and virtuous physicians who will be better able to cope with and overcome the dehumanizing features of the health care system in the United States. However, its impact on medical education is likely to be small and misleading because current professionalism curricula focus on lists of rules and behaviors. While such curricula usually refer to virtues and personal qualities, these are peripheral because their impacts cannot be specifically assessed. The author argues that today's culture of medicine is hostile to altruism, compassion, integrity, fidelity, self-effacement, and other traditional qualities. Hospital culture and the narratives that support it often embody a set of professional qualities that are diametrically opposed to virtues that are explicitly taught as constituting the "good" doctor. Young physicians experience internal conflict as they try to reconcile the explicit and covert curricula, and they often develop nonreflective professionalism. Additional courses on professionalism are unlikely to alter this process. Instead, the author proposes a more comprehensive approach to changing the culture of medical education to favor an approach he calls narrative-based professionalism and to address the tension between self-interest and altruism. This approach involves four specific catalysts: professionalismrole-modeling, self-awareness, narrative competence, and community service.

PMID:
 
16186604
[Indexed for MEDLINE]


'이게 일반적인가요?' 전임상 학생의 프로페셔널 딜레마에 대한 접근(Med Educ, 2011)

‘Is that normal?’ Pre-clerkship students’ approaches to professional dilemmas

Shiphra Ginsburg1 & Lorelei Lingard



도입

INTRODUCTION


프로페셔널리즘은 어떤 맥락에서의 일련의 행동으로 정의 될 수 있습니다 .1) 따라서 프로페셔널리즘에 대한 연구에서 맥락이 반복적으로 주요 변수로 부각되는 것은 전혀 놀랍지 않다. 연구자들은 프로페셔널 또는 unprofessional 이라고 학생들이 보는 것은 훈련 단계에 따라 다르다는 것을보고했다 .3 학생들은 단계에 따라 프로페셔널리즘의 서로 다른 측면을 강조하며, 윤리적 민감성은 종종 학년이 올라가며 감소한다 .5,6

Professionalism can be defined as a set of behaviours in context.1,2 Not surprisingly then, context repeatedly emerges as a key variable in studies of medical student professionalism. Researchers have reported that what students view as professional or unprofessional varies by stage of training,3 that students at different stages emphasise different aspects of professionalism4 and that ethical sensitivity often declines during medical school.5,6


프로페셔널리즘 개발이 임상실습에서 시작되는 현상이 아니기 때문에 전임상실습과 임상실습 학생 간의 차이점이 중요합니다. 오히려 학생들은 의과대학 초기 경험에서 의사로서 프로페셔널리즘을 형성하기 시작합니다. 이런 현상은 'proto-professionalism'이라고 불립니다.

differences between pre-clerkship and clerkship students are important because it has been recognised that professional development is not a phenomenon that commences in clerkship; rather, students begin to form their professional ethos as medical practitioners from their early medical school experiences, a phenomenon that some have termed ‘proto-professionalism’.7


대부분의 북미 의과대학에서 Pre-clerkship 커리큘럼은 임상 환경에 대한 조기 노출을 포함합니다. 이 때에는 직접적인 환자 치료에 대한 책임이 없지만, 이러한 노출을 통해 임상 및 교육 환경에서 직접 관찰하고 참여합니다. 이러한 경험은 학생들의 긍정적이든 부정적이든 전문직 정체성 개발에 강력한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한 연구에서 의과 대학에 막 입학한 학생들도 전혀 임상 encounter가 없었음에도 휴머니즘과 전문직업적 책무에 대해서 상당한 이해를 갖추고 있었다. 물론 비록 이들은 실제로 이러한 속성들이 어떻게 작용 하는지를 알지는 못했다.

most Pre-clerkship medical curricula in most North American incorporate early exposure to clinical environments. They are not responsible for direct patient care, but through these exposures they observe and participate directlyin the clinical and educational environments. These experiences can have powerful effects on students’ development of professional identities, in both positive and negative ways.3,8,9Matriculating medical students in one study were shown to have a good understanding of humanism and professional responsibilities, even prior to any clinical encounter,although they did not necessarily know how these attributes would function in practice.10 


프로페셔널리즘 연구에서 중요한 부분은 학생들이 전문적으로 어려운 상황에서 의사 결정을 내리는 방식을 탐구하는 것입니다.

An important thread in professionalism research concerns the exploration of how students make decisions in professionally challenging situations.


그러나 각 학생이 직접 또는 개인적으로 마주 쳤던 딜레마에 대해 글을 썼거나 토론했기 때문에 프로페셔널리즘 영역과 반응의 다양성으로 인해, 학생들 간의 직접적인 비교를 할 수 없었다. 또한, 학생들의 행동에 대한 묘사와 그 뒤에 가려진 rationale는 시간의 흐름과 반성 과정 자체에 의해 영향을 받을 수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학생들이 자신의 훈련에 대해 성찰하고 토론하거나 토론 할 특정 사건을 선택하는 시간이 주어졌기 때문에 좋은 인상을 줄 만한 사건을 선택할 수도 있었다. 이러한 유형의 impression management는 실제로뿐만 아니라 연구 연구에서도 나타납니다.

However, because each student reported in these studies wrote about or discussed a dilemma he or she had personally encountered, the diversity of professionalism domains and responses precluded a direct comparison between students.11–13 Further, students’ descriptions of their actions and the rationales behind them may have been affected by the passage of time and the process of reflection itself; Finally, as the students were given time to reflect upon their training and to select particular incidents to write about or discuss, they may have been more likely to choose those they felt showed them in a good light.11–13 This type of impression management has been shown to occur in research studies, as well as in practice.


이러한 효과를 줄이기 위해 다른 연구에서는 학생들이 현장에서보고 반응해야하는 표준화 된 딜레마를 활용하여 더 많은 원시 반응과 반응을 유발하고 학생들 간의 비교를 허용했습니다.

To mitigate these effects, other studies have utilised standardised dilemmas that students must view and respond to on the spot, provoking more raw reactions and responses and allowing for comparison between students.


전문직 딜레마를 발견하고, 대안을 검토하고, 행동 방법을 결정할 때 임상실습 학생에게 영향을주는 요소들은 다음이 있다.14-16

factors that influenced clerkship students as they identified a professional dilemma, weighed alternatives, and decided how to act.14–16


  • 전문성의 원칙 (인정하든 인정하지 않든)

  • 감정 (감정, 신념, 직감)

  • 행동의 함의에 대한 고려 (환자, 다른 사람들 또는 그들 자신에게) .17

principles of professionalism (which could be considered as avowed or unavowed), issues of affect (feelings, beliefs, gut instincts) and consideration of the implications of their actions (on patients, others or themselves).17


방법

METHODS


This was a constructivist grounded theory19 study in which the current project was informed by our previous conceptual work in the domain. 

  • A constructivist approach acknowledges that researchers’ background assumptions, disciplinary perspectives and programmatic efforts along a line of study shape their research processes and conceptual emphases.19 

  • In this tradition, this study used as ‘sensitising concepts’ recurrent themes from our past research into professionalism as a starting point from which to challenge, elaborate and refine existing theoretical concepts around student professionalism.11,17,18


모집

Methodologically, the study involved structured interviews prompted by five standardised scenarios depicting medical students in professionally challenging situations. Potential participants were all medical students in Years 1 and 2 at the University of Toronto in 2004. 

Following research ethics board approval, recruitment was conducted via e-mail to class listserves. 

  • Participant responses were sent directly to the research assistant, who was unknown to participants, so that the principal investigators did not know who did or did not participate. 

  • This process was engaged to protect participants’ anonymity and to avoid any impression of coercion because the lead researcher (SG) was involved in the administration of the undergraduate curriculum at the time. 

  • Sample size was estimated to be sufficient based on the principle of theoretical saturation20 and our previous experience with this methodology (i.e. with a relatively homogeneous population, we expected to reach saturation with approximately 15 interviews per group). 

  • There were no exclusion criteria and we accepted the first 15 students from each class who volunteered.


비디오

The five videos were created based on previous research (Fig. 1).11,17 Briefly, the scenarios were developed based on focus group discussions in which clinical clerks at three medical schools discussed lapses in professionalism of which they had personal knowledge. 

  • The cases ultimately chosen were meant to be challenging, to feature no obvious right answer and to cover a range of professionalism domains. 

  • Each scenario was made into a 1.5–2.0-minute video which ended at the point at which the student depicted in it must act (i.e. must either say or do something as an immediate response to events in the scenario). 

  • Each participant took part in a private, structured interview conducted by the same research assistant, during which the five videos were played in the same pre-set order. 

  • This order was maintained to minimise any potential effects of confounding that might result from cueing between one scenario and the next. 




Following each video, students were asked 

  • what they would do next, 

  • why they would do it, and 

  • what might happen as a result of that action. 

Interviews were audiotaped and transcribed verbatim.


The transcript for each interview was analysed with attention to both sensitising concepts from previous analytical structures and novel, emergent themes

  • Thus, we coded instances that were reflective of the theoretical framework developed in our previous research (Principles [avowed or unavowed], Affect and Implications).17,18,39 

  • We also undertook an open coding process to capture themes that were either new or not adequately explained by the previous framework.21 

  • Codes were modified in an iterative process using constant comparison by the authors and the research assistant. 

  • We resolved disagreements by returning to problematic instances in the data and coming to consensus. 

  • The sample of 30 interviews offered recurrent and elaborated instances of both existing and new themes, and was therefore considered adequate for saturation. NVivo Version 8.0 (QSR International Pty Ltd, Doncaster, Australia) was used to facilitate coding and analysis. 

  • Although the use of numbers in qualitative research can be considered controversial, it has become more accepted (and at times has even been advocated).22 

  • We included simple counts of the presence of codes to illustrate their relative prevalences.


결과

RESULTS


임상실습과 preclerkship 데이터 세트 사이의 주제와 진화에 대한 간략한 설명과 설명 인용을 표 1과 2에서 볼 수있다.

A brief description of themes and their evolution between the clerkship and preclerkship datasets, along with illustrative quotations, can be seen in Tables 1 and 2.


임상 경험이 부족 함에도 불구하고, 이 전임상 학생들은 각 경우에 관한 토론에 광범위하게 참여하고, 행동에 대한 많은 제안을 제공하며,이 행동의 배후에 많은 이유를 설명했습니다.

despite their lack of clinical experience, these junior students engaged extensively in discussion around each case, offered many suggestions for action and explained many rationales behind this action.




원칙과 불가피성

Principles and imperatives


시나리오를 통해 추론 할 때, 전임상 학생들은 임상 학생들과 동일한 전문성 원칙을 언급했다 (표 1).

When reasoning through the scenarios, pre-clerkship students referenced the same general principles of professionalism as clinical clerks had done (Table 1).


두 가지 반복되는 패턴이 전임상 학생을 임상 학생과 구별합니다 : 

  • '시스템을 안다'는 주제와 

  • 환자의 '권리'에 초점을 두는 것

Two recurrent patterns distinguished preclerkship students from their clerkship counterparts: the prominence of the theme ‘know the system’, and the focus on patients’ ‘rights’.


임상실습생의 자료에서 '시스템을 아는 것'의 중요성은 비교적 사소한 주제의 패턴을 나타냈다. 그러나 전임상 학생들은이 아이디어를 중요하게 보았다. 이에 대한 한 가지 가능한 이유는 전임상 학생들이 병동에 대한 경험이 적기 때문에 '어떻게 일하는가'에 대해 더 염려하기 때문일 것이다

In the clerkship data, the importance of ‘knowing the system’ represented a relatively minor thematic pattern. However, the current students referenced this idea pervasively . One possible reason for this is that junior students have less experience on the wards and so are more anxious and concerned about ‘how things work’. 


두 번째 큰 차이점은 전임상 학생들이 환자와의 동일시를 반영하는 방식으로 몇 가지 원리를 골라내는 것이 었습니다. 이러한 동일시identification이 임상실습 학생에도 있었지만, 전임상 학생에게서 환자의 관점이 보다 강하게 자리잡았. 환자의 '권리'를 표현하는 방법은 '그들의 선택이다'(여러 경우), '그것은 자신(환자)의 몸'(여러 사례), '모든 환자는 치료를 거부할 권리가 있고 요청할 권리가 있다 (모든 경우)'와 같은 문구를 사용하였다.

The second major difference involved the current students’ framing of some principles in a way that reflected their identification with patients. Although this identification was present in the clerkship data, pre-clerkship responses were more strongly positioned from a patient’s perspective. One way in which this manifested was in students’ invocation of patients’ ‘rights’, as illustrated by the use of phrases such as ‘It’s their choice’ (multiple instances), ‘It’s their body’ (multiple instances) and ‘Every patient has the right to refuse treatment, or object or make a request’ (Scenario 5, Student 10, Year 2).



감정

Affect


임상 실습생에 대한 연구에서, 주제별 영향력 범주는 전문적인 딜레마에 직면하는 법을 결정할 때 자신의 내적 감정, 직감 또는 신념에 의존하는 경향을 반영했다 .17) 전임상 학생에서도 Affect가 있었지만, 덜 눈에 띄는 패턴을 보여 주었고, 1 학년과 2 학년의 학생 사이에 눈에 띄는 차이가있었습니다.


In the original study of clinical clerks, the thematic category of Affect reflected student reports of relying on their internal feelings, gut instincts or beliefs when deciding how to act in the face of professional dilemmas (Table 2).17 In the current dataset, students also referenced Affect, but their references demonstrated a less prominent pattern and there was a notable difference between students in Years 1 and 2.



함의

Implications


우리는 현재 학생들에게서 얻은 데이터와 이전의 임상실습 학생의 데이터에서, 어떻게 행동할지를 결정할 때 학생이 '행동의 함의'를 고려하는 것에 대해 차이점을 발견하지 못했습니다 .17


We found no recurrent differences between the data derived from the current students and our previous clerkship data regarding students’ consideration of the implications of their actions when deciding how to act.17


고찰

DISCUSSION


1, 2 학년 학생들의 프로페셔널 딜레마에 대한 접근 방식은 이전의 제한된 임상 경험에도 불구하고 임상실습학생의 접근 방식과 매우 유사했습니다. 임상실습학생처럼, 이 학생들은 행동 방법을 결정할 때 전문성의 원칙과 감정의 문제를 언급하고 그들의 행동의 함의를 고려했습니다. 그러나 전임상학생들은 본능과 감정에 대한 의존도가 낮았으며 시스템 관련 문제에 더 관심이있었습니다.

The approaches of students in Years 1 and 2 to professional dilemmas were very similar to those of clinical clerks, despite the former’s limited clinical experience. Like clerks, these students, in deciding how to act, made reference to principles of professionalism and issues of affect, and considered the implications of their actions. However, pre-clerkship students expressed less reliance on instincts and emotions, and were more concerned with systems-related issues.


전임상 단계에서의 학생들의 초점은 주로 의학 지식과 임상 기술 습득에 있지만, 학생들이나 감독자가 명시적으로 다루지 않을 수도있는 직업적 정체성을 형성합니다. 이 연구의 결과는 학생들의 전문직 정체성 형성의 맥락에서 가장 잘 이해 될 수 있습니다.

Students’ focus in the pre-clerkship stage is mostly on acquiring medical knowledge and clinical skills, but they are also forming professional identities, a process that may not be explicitly acknowledged by students or their supervisors. Our findings may be best understood in the context of students’ professional identity formation.


감정: 이것에 대한 한 가지 가능한 이유는 이 단계의 학생들도 의사 역할을 수행하기를 열망 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Monrouxe에서 제안한 것처럼 "의사처럼 이야기하는 법은 내용을 배우는 것만큼이나 중요합니다."23

One possible reason for this is that students at this stage of training may be eager to take on the doctor role, which, as suggested by Monrouxe, may be ‘as much about learning to talk like a doctor as it is about learning the content’.23


하스 (Haas)와 샤피 어 (Shaffir)는 학생들이 흔히 "역량의 망토"뒤에 감정을 숨긴다고 지적했으며, 다른 연구자들도 의과 대학에서 학생들의 감정 억제에 대해 기술했다 .25,26이 문헌을 고려할 때, 우리의 연구 결과는 전임상 학생들이 [임상 상황에서 자신의 '개인적인'감정이나 본능을 고려하거나 명료하게 표현하는 것]이 부적절하다고 느끼는 감정을 보여주는 것일 수 있다.

Haas and Shaffir noted that students often hide their feelings behind a ‘cloak of competence’, and others have also described the suppression of emotions in medical school.25,26 In view of this literature, our results may reflect a sense on the part of pre-clerkship students that it would be inappropriate to consider or articulate their own ‘personal’ feelings or instincts in the clinical situations presented to them.



이와 관련하여, 전임상 학생들은 지식과 내용에 더 초점을 맞추기 때문에, 병원 환경에서 외부인처럼 느껴질 수 있습니다. 아마도 이 결과로 학생들은 선생님 앞에서 '인상 관리impression management'에 관심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이것은 사회적으로 바람직한 반응의 한 요소이며, 심지어 연구 환경에서도 나타나기도 한다따라서 본 연구의 학생들은 면접관이나 연구 조사관에게 전달되는 인상을 관리하기 위하여 affect를 professional decision에 주요 rationale로 표현하지 않았을 수 있다.

Related to this is the notion that pre-clerkship students may be more focused on knowledge and content, which can make them feel like outsiders in the hospital environment.27 Perhaps as a result of this, students have been shown to be concerned with ‘impression management’ in front of their teachers; this is one component of socially desirable responding and has been shown to occur even in research settings.28 Thus, students in our study may have avoided expressions of Affect as a rationale for professional decisions as a way of managing the impressions they were conveying to the interviewer or to the study investigators.


학생들이 자신의 추론에서 '시스템을 아는 것'을 되풀이하며, 훈련의 초기 단계에 있음을 반영합니다. 그들은 시스템을 알지 못하며, 그것이 어떻게 작동하는지 불확실해했다. 이들은 '규칙'및 '계층 구조'와 같은 용어를 사용하면서 그들이 '무엇을 해야 하는지'를 궁금해했다. 더 나아가, 학생들은 빈번하게 '시스템이 존재한다'는 것에 대한 믿음을 보여주었으며, 따라서 일단 그 시스템을 이해하기만 하면 문제를 해결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생각했다.

Students’ recurrent reference to ‘knowing the system’in their reasoning also reflects their early stage of training. They frequently spoke about not knowing the system and being uncertain about how things worked, using terms such as ‘rules’ and ‘hierarchy’ and wondering what they were ‘supposed to do’. Further, they frequently exhibited a sense of trust that a system existed, which, once understood, wouldhelp them resolve problems: 


'... 의대생, 심지어는 거주자, 심지어는 주니어 스태프 멤버 일지라도, 당신은 항상 당신이 무엇을 해야할지를 듣게 될 것입니다.'(시나리오 5, 학생 2, 2 학년)

‘…as a medical student, and even as a resident, and even as a junior staff member, you’re always going to have someone telling you what to do.’ (Scenario 5, Student 2, Year 2)


학생들은 시스템을 배우고 이해하기를 열망하는 것처럼 보였지만, 어딘가 잠금을 해제 할 수있는 비밀 코드가 있거나 누군가가 무엇을 해야할지 항상 알려줄 것이라는 나이브한 기대를 드러냈다. 이러한 결과는 또한 초기 의대생이 모호성이나 불확실성에 대한 상대적으로 낮은 수준의 내성을 제공한다는 것을 시사한다 .29-31

Students seemed eager to learn and understand the system, but revealed a naı¨ve hope that there might be some secret code to unlock or that someone would always be around to tell them what to do. These findings also suggest junior medical students’ relatively low levels of tolerance for ambiguity or uncertainty.29–31


모든 연구자는 아니지만 일부 연구자들은 모호성에 대한 내성이 낮으면 퍼포먼스가 저하 될 수 있다고 제안했습니다. 이러한 반응은 Kohblerg의 도덕 발달 단계에 근거한 종단 적 연구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저학년 의대학생들과 관련된 도덕적 발전의 '통상적 인'단계를 반영 할 수 있습니다. 이 단계는 다음과 같은 특징이 있습니다.

  • 기대에 순응하기

  • 다른 사람들의 승인을 얻기

  • 권위를 존중

  • 질서 유지

그러나 이것은 직업적 정체성의 발달이 반드시 특정 단계를 따르는 것으로 고정되어있음을 의미하지는 않으며, 훈련 과정을 거치며 자연스럽게 펼쳐지는 매끄러운 흐름을 따름을 의미하지도 않는다. 오히려, 이러한 단계는 아마도 유동적이고 상황에 따라 다르며, 학생의 상황의 특성과 이전의 경험에 따라 서로 다른 수준에서 수준에서 작동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지금껏 우리는 전문성에서 중요한 맥락적 요소로서 단계stage를 무시함으로써, 교육을 위한 중요한 기회를 놓쳐왔다.

Some, but not all, researchers have suggested that less tolerance for ambiguity might translate into poorer performance.23,30,33 Such responses may be reflective of the ‘conventional’ stage of moral development associated with junior medical students, as described in a longitudinal study based on Kohblerg’s stages of moral development.34 This stage is characterised by conformation to expectations, gaining the approval of others, respecting authority and maintaining order. however, this is not meant to imply that the development of professional identity necessarily follows a lock-step movement through specific stages, or that it follows a smooth arc that naturally unfolds during training. Rather, these phases are probably more fluid and context-dependent, with students functioning at different levels depending on the specifics of the situation and their own previous experience.37,38 Nonetheless, by neglecting stage as an important contextual factor in professionalism, we miss important opportunities for education.


우리의 발견은 교육자들이 학생들의 의대 초반부터 전문성 개발에 더 많은 관심을 기울일 것을 요구합니다. 트레이닝 초기 단계에서도 의대생들은 전문적인 딜레마에 직면 해 있습니다. 교수개발에 대한 노력은 

  • 전임상 학생과 임상실습 학생 사이의 정체성 차이, 

  • 전문적 딜레마에 대한 그들의 반응, 

  • 딜레마가 발생할 때 적절한 접근법을 가르치는 전략

..에 중점을 두어야한다.

Our findings reinforce calls for educators to pay more attention to students’ professional development, starting at the beginning of medical school. Even at the earliest stages of training, medical students are faced with professional dilemmas that they must negotiate, with little experience to guide them. Efforts at faculty development should focus on 

  • increasing awareness of the difference between pre-clerkship and clerkship students’ emerging identities, 

  • their responses to professionalism dilemmas, and 

  • strategies for teaching appropriate approaches for use when dilemmas do occur.


novice 학생들은 그들이 전문직 정체성을 구축하는 과정에서 의사의 역할을 감당할 필요성을 느끼면서, 학생의 역할을 숨기고 감정을 억제한다. 그러나 일부 연구에 따르면 교수들은 학생들의 감정과 본능을 일반적인 수준보다 더 인정해주고 용서할 수 있음을 보여주었고, 학생의 감정과 본능이 그들의 발전을 돕는데 보다 명확하게 사용될 수 있습니다. 학생들의 교육 수준에 따라 지식 및 임상 기술에 대한 교육 및 평가를 조정하는 것처럼, 우리는 프로페셔널리즘 교육에 대해서도 발달 단계를 명시적으로 인정하고 접근해야합니다.

As novice students construct their professional identities, they seem to feel a need to take on the role of doctor and shed the role of student, which involves the suppressing of emotions; however, some research has suggested that faculty doctors may be more accepting and forgiving of students’ emotions and instincts than is usually acknowledged, and this information could be used more explicitly to aid in students’ development.15,39 Just as we tailor our teaching and evaluation of knowledge and clinical skills to students’ level of training, we should approach their professionalism education by explicitly acknowledging their stage of development.









 2011 Apr;45(4):362-71. doi: 10.1111/j.1365-2923.2010.03903.x.

'Is that normal?' Pre-clerkship students' approaches to professional dilemmas.

Author information

1
Department of Medicine, University of Toronto, Toronto, Ontario, Canada. shiphra.ginsburg@utoronto.ca

Abstract

OBJECTIVES:

Context has been recognised as a key variable in studies of medical student professionalism, yet the effect of students' stage of training has not been well explored, despite growing recognition that medical students begin to form their professional ethos from their earliest medical school experienc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hich builds on previous research involving clinical clerks, was to explore the decision-making processes of pre-clerkship medical students in the face of standardised professional dilemmas.

METHODS:

Structured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30 pre-clerkship (Years 1 and 2) medical students at one institution. During the interviews, students were asked to respond to five videotaped scenarios, each of which depicted a student facing a professional dilemma. Transcripts were analysed using an existing theoretical framework based on a constructivist grounded theory approach.

RESULTS:

Pre-clerkship students' approaches to professional dilemmas were largely similar to those of clerks, despite their limited clinical experience, with several notable exceptions. For example, reliance on instincts and emotions was not as pervasive, but concerns with systems-associated issues were more recurrent. These findings were explored in the context of theory on professional identity formation.

CONCLUSIONS:

As the novice student constructs a professional identity, he or she may feel the need to take on the role of doctor and shed that of student, a process that involves the suppressing of emotions, but this may be misguided. Educators should be aware of these stages of identity formation and tailor their teaching and evaluation of professionalism accordingly.

PMID:
 
21401684
 
DOI:
 
10.1111/j.1365-2923.2010.03903.x
[Indexed for MEDLINE]


메디컬 프로페셔널리즘: 미래 의사의 상충하는 가치(J Gen Intern Med, 2010)

Medical Professionalism: Conflicting Values for Tomorrow's Doctors

Erica Borgstrom, MA, Simon Cohn, PhD, and Stephen Barclay, FRCGP, MD

General Practice and Primary Care Research Unit, University of Cambridge, Cambridge, UK.




도입

INTRODUCTION


전 세계적으로 의료 프로페셔널리즘이 변화하고 있습니다 .1-6. 우선 순위가 변화하면서 의사와 환자 간의 관계가 변화하고 프로페셔널리즘에 대한 토론을 촉진합니다 .7

Internationally, medical professionalism is changing1–6.Shifting priorities are transforming the doctor-patient relationship and stimulating debate about the concept of professionalism7. 


그러나 '의료 프로페셔널리즘'은 모호한 용어로 남아있다 .12-16.

However, ‘medical professionalism’ remains an ambiguous term12–16.


가부장주의, 정서적 분리, 확실성 확립으로 특징 지어진 '오래된'모델은 환자 중심주의와 협동을 강조하는 '새로운'모델로 대체되고있다 (Box 1).

An ‘old’ model, characterised by paternalism, emotional disengagement and establishing certainty, is being replaced by a ‘new’ one emphasising patient-centredness and collaboration (Box 1)17.


비판적인 학습을 통합하는 성찰 연습은 이러한 새로운 특성을 촉진시키는 것으로 주장됩니다 20.

Reflective practice that incorporates critical learning is claimed to foster these new qualities20.


영국 의대생들의 커리큘럼 개혁에도 불구하고, 새로운 요소들과 함께 전통적인 "숨겨진 커리큘럼"이 가르쳐집니다 .26.

Despite recent reforms in the curriculum of UK medical students, a more entrenched traditional ‘hidden curriculum’ is taught alongside the new elements26. 


수년 동안 사회학 연구는 계층 구조와 팀 작업 27-30, (정서적)분리 30,31, 권위의 특징, 불확실성 다루기 32를 포함하여 차세대 의사가 사회화되는 방식에 영향을 미치는 의학 교육의 문화적 차원을 강조했다 .32) 33. 실제로 수십 년 동안 의료 커리큘럼을 개혁하려는 시도는 전반적인 '학습 환경'의 저항에 부딛쳤으며, 이는 단순한 공식 교육과정의 도입보다 학습 환경의 변화가 더 어렵다는 점이 지적되고 있다.

For many years sociological studies have highlighted such cultural dimensions of medical education that influence the ways in which the next generation of doctors are socialised, including issues of hierarchy and working in teams27–29, detachment30,31, features of authority and dealing with uncertainty32,33. Indeed, it has been noted that for decades attempts to reform the medical curriculum have always been held back by the resistant nature of the overall ‘learning environment’, which is always far harder to change than the simple introduction of the formal curriculum34.


<Box 1>



METHODS


This study focuses on how different ideas are received and reproduced by a relatively young (typically early 20s) cohort of soon-to-be qualified doctors during the academic year 2007– 2008.


Analysis focused on the topic of ‘professionalism’, viewing the content of the portfolios as representative of general values imparted to students throughout their education. 

  • All items were coded and analysed in NVivo 8 using an interpretative approach. 

  • Following the social science traditions of two of the authors (EB and SC), the methodology employed a hermeneutic approach, striving to find meaning beyond straightforward discrete references35. 

  • Accordingly, rather than assuming the meaning of isolated sections of text in a reductive manner, they were always analysed in context and in relation to one another. 

  • Given the difficulty many students had in addressing the topic of end of life care, and consequently the very discursive descriptions of their observations, the authors were committed to code more than just those phrases in which a theme was referred to explicitly, and so included concerns that were expressed less directly. 

  • A coding scheme was derived from initial independent item analysis (EB, SC and SB) and adjusted through discussion. 

  • It was initially applicable to explicit statements by drawing on key words and then was augmented to include the more implicit references that potentially alluded more to the hidden dimensions of their teaching (see Box 2). 

  • The inclusion of these required careful interpretative readings of the entire text but provided an essential contribution to our overall analysis. 

  • The first author (EB) then led on-going analysis, with regular meetings to discuss emerging themes.


<Box 2 Examples of explicit and implicit references>



결과

RESULTS


결과적으로 우리는 오래된 프로페셔널리즘의 가치가 새로운 프로페셔널리즘과 함께 존재한다는 것을 발견했을뿐만 아니라 학생들은 병치가 문제가되는 것으로 경험했다. 학생들은 낡은 것과 새로운 것, 숨겨진 것과 공식적 것 사이에 명확한 위계를 구분하거나 적용하지 않았습니다.

We consequently not only found that values of the old professionalism existed alongside new, but that students experienced their juxtaposition as problematic. Students made no distinction or applied any obvious hierarchy between what might be considered old and new values, or hidden versus formal teaching.



긴장의 근원 인 윤리

Ethics as a Source of Tension


도덕적 및 법적 문제를 검토하는 것은 과제의 필수적인 부분 이었지만 대다수의 학생들은 이것을 훌륭한 현대 의사가되는 핵심 요소라고 설명합니다. 그러나 그들은 자주 환자 자율성과 의료의 beneficence 사이의 갈등을 강조했다 (표 1).

Although examining ethical and legal issues was an integral part of their assignment, the majority of students describe them as a key aspect of being a good modern doctor. However, they frequently highlighted conflicts between patient autonomy and medical beneficence (Table 1), reflecting their increased emphasis in health care policy36.


종종 환자 상태가 안 좋아졌을 때 자율성이 제한될 수 있다고 여겨진다.

autonomy is often thought to be jeopardised when patient capacity is in question;


표 2는 이러한 윤리적 인 긴장을 해결하기 위해 사용 된 전략을 나열합니다. 일부 학생들은 정책 또는 법적 원칙을 윤리적 긴장 해소를 위한 핵심 자원으로 사용했습니다. 다른 사람들은 집단적 목소리로 불릴 수있는 것을 사용하여 권위 또는 확실성의 입장을 확립하려고 노력했습니다. 대명사를 바꾸거나, 일인칭을 사용하기보다는 "우리 ..."라고 말하면서, 그들은 직업 전체에 걸쳐 미묘하게 책임을 분산시키는 비-개인화 된 입장을 채택했습니다.

Table 2 lists strategies used to address these ethical tensions. Some students drew on policy or legal principles as a key resource to provide a solution. Others tried to establish a position of authority or certainty using what can be termed a collective voice. By altering pronouns and stating “we…” rather than using the first person, they adopted a de-personalised stance that also subtly distributes responsibility across the profession as a whole.


그럼에도 불구하고, 많은 학생들은 긴장이 해결되지 않은 채 남아 있고 추상적이고 외부적인 기준의 적용이 불충분하다고 느꼈다.

Nevertheless, many students felt tensions remained unresolved and the application of abstract, external criteria insufficient.


<Table 2. Examples of Strategies>

긴장을 풀고 시도하는 주요 전략

  • 문제점을 지연시키기위한 경험 부족에 대한 언급 만들기

  • 집합적 표현, 수동태 사용 - 우리 "/"하나 "

  • 의견 제시의 필요성 피하기

  • 다른 사람들, 특히 동료들과 이야기하기

  • 윤리적 원칙 또는 법률에 대한 언급

  • 환자 자율 / 환자 선택 언급

  • 시간이 지남에 따라 환자와의 의사 소통을 확대

  • 의사 소통을 제한하는 환경 비난

  • 환자와 함께 개방적이고 정직하게 우선 순위 지정

  • 직업과 개인 생활의 분리

  • 환자와의 신체적 거리를 찾거나 다른 의사에게 케이스 제공

  • 문제를 피하기 위해 다른 전문 분야를 선택

  • 전문적 측면과 개인적 측면의 중복을 허용.


Main strategies to try and resolve tension

  • Making reference to lack of experience to defer the issue 

  • Use of a collective/passive voice -we"/"one"

  • Avoiding having to provide an opinion

  • Talking to others, especially colleagues

  • Reference to ethical principles or laws

  • Reference to patient autonomy/ patient choice

  • Extend communication with patient over time

  • Blame the environment for restricting communication

  • Prioritising being open and honest with patient

  • Separation between professional and personal life

  • Seek physical distance with the patient or give case to another doctor

  • Choose a different speciality to avoid problems

  • Allow overlap between the professional and personal aspect


환자와의 상호작용

Interacting with Patients


"어려운 균형잡기이다: 어려운 상황에서 도망치고 싶지는 않지만, 환자가 준비가되지 않았을 때 문제를 강요하여 그들에게 심리적 상처를 입혀서도 안됩니다."(ID 145).

“It is a delicate balancing act: you do not want to shy away from difficult areas, but then equally you must not cause psychological harm by forcing the issue when the patient is not ready to do so” (ID 145).


환자와의 상호 작용은 전체 학습 환경 내에서 학생들에게 전달 된 '과거'과 '새로운'가치 사이의 긴장 영역으로 판명되었습니다. 학생들은 폭 넓은 의사 소통 기술 훈련을 받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정보가 초래할 수 있는 잠재적 harm에 대한 우려가 있습니다 (표 1). 그들의 주요 관심사는 솔직하게 말하면서도 환자를 화나게 하지 않는 것이 었습니다. 또한 학생들이 자기자신의 감정적인 반응에 대해서도 어려움을 겪는 것이 분명했습니다. 어떤 사람들은 의사가 이상적으로 "한 편으로는 민감하고, 다른 한 편으로는 개방적이고 정직한 것 사이의 직관적 인 균형"을 취해야한다는 점을 분명하게 설명했다 (ID 120)

Interacting with patients proved to be a further area of tension between the ‘old’ and ‘new’ values communicated to the students within their entire learning environment. Whilst Cambridge medical students receive extensive communication skills training37, they nonetheless worry about the possible harm information can cause (Table 1). Their main concern was trying to be frank but not upsetting patients. It was also evident that students struggled with their own emotional reactions. Although some explicitly described how the doctor should ideally strike “an intuitive balance between being sensitive on the one hand and being open and honest on the other” (ID 120)


나쁜소식 전하기 또는 환자의 치료 계획을 다른 사람과 상의하는 것에 관련된 기밀 유지 및 informed consent 는 학생들의 평가를 더욱 복잡하게 만듭니다. 그런 어려운 경험을 해결하기 위해 한 학생은 "가족이 도착할 때까지 discussion을 연기하겠다는 것을 환자에게 동의를 얻음으로써, 환자의 자율성을 존중하고 가까운 가족이 engage할 수 있게 했습니다"(ID26). 얼마나 많은 정보를 제공하고 어떤 종류의 정보를 제공해야 하는지를 결정하기 위해 외부 원칙에 기반한 전략을 채택했다 (표 2).

Issues of confidentiality and informed consent around instances of breaking bad news or discussing a patient’s care with others further complicated students’ evaluations. In an attempt to resolve such difficult experiences, one student wrote that “By gaining patient consent to postponing a discussion until family arrive, one can both respect autonomy of the patient and allow the close family to feel engaged” (ID26). Some employed strategies that referred to external principles to establish how much, and what kind, of information should be provided (Table 2).


마침내 많은 사람들이 의료 환경이 고통스러운 대화에 도움이되지 않는다고보고했습니다. 개인 공간 또는 사적인 공간에 대한 우려는 "커튼만으로 가려서는 기밀성이나 사생활에 대한 감각을 제공하지 못했습니다"(ID 98).

Finally, many reported that medical environments, were rarely conducive to distressing conversations. Concern was raised over the physical space not being sufficiently private or appropriate—“pulling the curtain…did little to provide a sense of confidentiality or privacy” (ID 98).


다른 사람들은 물리적, 일반적인 업무 환경을 덜 강조하였다. 왜냐하면 이미 그들은 각 환자에 대해 충분한 시간을 갖지 못할 것이라고 예측하기 때문이다. (ID 61) "검사를 제대로 할 시간도 거의 없습니다 , 고상한 이야기는 말할 것도 없습니다. "(ID 132). 물리적 환경과 작업 부하의 압력에 의한 긴장은 불가피한 외부 요인에 의한 것이기 때문에 따라서 해결할 책임도 없었다.

Others concentrated less on the physical and more on the general work environment, predicting that in the future they simply “will not have the time I want for each patient” (ID 61) since already consultations provide “hardly even enough time for a full examination, let alone a decent talk” (ID 132). Attributing the physical environment and pressures of workload to generating tensions placed blame on unavoidable external factors that were therefore not their responsibility to resolve.


주관적 경계 관리

Managing Subjective Boundaries


"의학에서 우리는 어려운 균형에 직면 해 있습니다. 우리에게는 환자와 그 가족에 대한 전문적인 의무가 있습니다. 그러나 우리는 또한 개인이며 우리 자신의 경험을 가지고 있습니다 ... 우리는 우리의 경험을 억제하는 자동화기기가 될 수 없으며, 그렇게 하는 것이 임상에도 도움이 되지도 않습니다. 직업적 측면과 개인적 측면의 결합은 가장 중요한 이 곳으로 휴머니티를 가져옵니다 ... "(ID 129).

“In medicine we face a difficult balance. We have a professional duty to the patient and their family. However, we are also individuals and carry with us our own experiences… We cannot be automatons, suppressing our experiences, nor is it good for clinical practice. Combining professional and personal aspects brings humanity… where it matters most” (ID 129).


강의에서 학습한 새로운 가치관과 마찬가지로, 학생들은 자신의 개인적인 경험이 영향을 미치고 전문적인 실천을위한 귀중한 자원을 제공 할 수 있음을 인정합니다.

In line with the new values promoted in their lectures, students acknowledge that their personal experiences both influence and can provide a valuable resource for their professional practice.


전문가와 개인, 지식과 감정 사이의 분명한 구분을지지하는 과거 세대와는 달리, 새로운 의사는 공감을 표현하고 자신의 감정에 개입engage하는 것이 좋습니다. 주관적 경계를 모호하지 않게끔 유지하는 능력은 결과적으로 희미 해지는데 (표 1), 이는 또 다른 불확실성의 근원이 된다.

Unlike past generations that upheld a more distinct divide between their professional and personal selves38, and a clear distinction between knowledge and emotion, new doctors are now encouraged to show empathy and engage with their feelings. The ability to maintain an unambiguous subjective boundary consequently becomes blurred (Table 1), generating a further source of uncertainty.


그러나 학생 포트폴리오는 그들이 공식 커리큘럼 내에서 혼합 된 메시지를 어떻게 민감하게 받는지 보여줍니다.  "때로는 환자와 그 가족들에 대해서 감정적이어도 괜찮다."라고 말하면서도 그들 앞에서 결코 감정적으로 무너지지 않아야 한다고 말했다.

The student portfolios, however, reveal how they receive mixed messages, even within the formal curriculum, to be sensitive and that it is “ok to sometimes be emotional with patients and their families” (ID 70), but never to breakdown in front of them.


간병을 제공하면서도 자신을 보호하는 것 사이의 균형을 찾으려고 노력한다는 것을 분명히 말하면서, 많은 학생들은 환자와 경계에 관해 '오래된 방식'과 '새로운 방식'을 혼합합니다. 한 사람은 "정서적으로 영향을 받지 않으면서" "공감을 표현하도록" 발전했다고 보고했지만, 다른 학생들은 자신이 환자와 신체적으로 거리를 두면서도, 현대의 프로페셔널 페르소나를 어떻게 채택하는지 설명했습니다.

By overtly stating that they try to find a balance between providing care yet ensuring they protect themselves, many students mix ‘old’ and ‘new’ ways of relating to patients and guarding boundaries. One reported having developed “the art of being empathetic” without being “emotionally affected” (ID 45), while others described how they adopt a modern professional persona by nevertheless physically distancing themselves from patients.


긴장 관리 전략

Strategies for Handling Tensions


"나는 좋은 의사는 의학지식 그 이상이라는 것을 배웠으며, 삶의 마지막 단계에서 슬픈 느낌을 두려워해서는 안된다는 것을 배웠다"(ID 30).

“I learnt that there is far more too [sic] a good doctor than medical knowledge and I should never be afraid of feeling sad for someone in this [end of life] situation” (ID 30).


학생들은 그들이 직면 한 다양한 긴장을 다루기위한 다양한 전략을 채택했다 (표 2). 일부는 명시 적으로 배운 요소를 사용했지만, 이것만으로는 충분하지 않았습니다. 더욱이, 어떤 사람들은 학생으로서의 지위 또는 경험 한 어려움을 설명하기위한 경험 부족을 언급했지만, 다음처럼 대부분의 경우에 straightforward하지 않았다.

students employed a variety of strategies for handling the various tensions they encountered (Table 2). Whilst some drew on explicitly taught elements, these were rarely sufficient in themselves. Moreover, although some referred to their status as a student or lack of experience to explain the difficulties encountered, this tactic was rarely regarded as straightforward, as the following statement captures:


"의대생으로서 나는 "미안합니다. 저는 학생이고, 회진 때 의사에게 물어보세요."라고 말하고 숨을 수도 있다. 하지만, 내가 만약 의사에게 의사에게 직접적으로 질문을 하는 환자라면 나는 곧바로 대답을 원할 것이라고 확신합니다. "(ID 99).

“As a medical student it is very easy to hide behind the ‘I’m sorry, I’m only a student, why don’t you ask the doctor when they come round’ excuse… However, if I imagine myself as a patient asking a doctor a direct question I am almost certain that I would want a straight answer” (ID 99).


학생들은 이 연습이 단순히 교육의 일부분이라는 사실에서 편안함을 얻었지만 일부 학생은 단순한 지식 축적이 결코 완전한 솔루션을 제공하지 못한다는 것을 인식했습니다. 그들은 자신의 정서적 반응과 감수성에 관여하는 것을 포함하여 다른 태도의 범위가 앞으로 어떻게 그러한 문제를 성공적으로 다루는 중심에 있을지 설명합니다. 이를 위해 일부 사람들은 더 많은 경험을 원한다고 명시 적으로 진술했거나 단순히 "한 발 물러나 상황을보다 명확하게 파악하고 상황을 재평가 할"수있는 충분한 시간이 필요하다고 말했습니다 (ID 131). 이 일반적인 통찰력은 주목할만한 가치가 있습니다. 오래된 그리고 새로운, 잠재 그리고 정규 교육과정 사이의 잠재적 갈등 경험은 계속 진행되는 경험을 통해서만 해결 될 수 있습니다.

Whilst students took comfort from the fact that this exercise was merely part of their education, some recognised that a simple accumulation of knowledge was never going to provide entire solutions. They describe how a range of other attitudes, including engaging with their own emotional reactions and sensibilities, would be at the centre of successfully dealing with such issues in the future. To that end, some explicitly stated that they wanted more experience, or simply have sufficient time to “step back and have a clearer view of the situation one is in, and to reassess the situation” (ID 131). This general insight is worth noting; the potential conflict experiences between old and new, and hidden and formal curricula, might only ever be resolved through on-going experience.



고찰

DISCUSSION


모든 학생들은 '오래된'과 '새로운'형태의 의학 프로페셔널리즘의 가치 특성을 조화시키고 균형을 잡아야하는 어려움에 봉착했습니다.

All of the students encountered challenges that required them to try and balance values characteristics of ‘old’ and ‘new’ forms of medical professionalism.


전문성의 '오래된'가치에서 '새로운'가치로의 전환과 병행하여 공식적인 교육 과정과 숨겨진 교육 과정 간의 갈등이 긴장을 야기 할 수도있다. 우리의 연구에서 공식 교육 과정은 '새로운 프로페셔널리즘'을 받아들이도록 명시 적으로 고안되었으며, '오래된 프로페셔널리즘'은 더 비공식적 인 잠재 교육과정으로 전달됩니다. 그러나 자신의 경험을 개인적으로 성찰하려고 노력하며, 모든 교육과정경험에서 종합적으로 draw하기 때문에, 이 두 영역이 구별되지 않습니다. 큰 조직은 집단적 경험과 개념이라는 기관적 기억이 있습니다. 이것은 교육 환경을 형성하는 구조와 정책뿐만 아니라 교수 요소를 통해 은연중에 전달됩니다. 이 기능은 의학 교육에 대한 이해를 복잡하게합니다. 그것은 가치가 조직의 일과 관행에 편입되어있는 정도를 강조하므로, 변화를 이끄는 커리큘럼이나 개인을 재 설계함으로써 단순히 해결할 수는 없습니다.

In parallel with shifts from ‘old’ to ‘new’ values of professionalism, conflicts between the formal and the hidden curricula may also generate tensions44. In our study, the formal curricula is explicitly designed to embrace the ‘new’, leaving the ‘old’ to be communicated through more informal and hidden aspects of teaching. Yet for the students trying to personally reflect on their experiences and summatively draw from their entire educational experience for the exercise, no distinction is made between these two domains. Large organisations have institutional memories45—collective experiences and concepts. These are communicated imperceptively through teaching elements as well as the very structures and policies that shape the educational environment. This feature serves to complicate understandings of medical education; it emphasises the extent to whichvalues are embedded in the routines and practices of the organisation, and cannot therefore be simply addressed through redesigning curricula or individuals championing change.


CONCLUSION


우리의 분석은 프로페셔널리즘의 '오래된' 형태가 단순히 재 설계된 커리큘럼에 의해 전달 된 '새로운'변종으로 대체되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각각의 가치가 다양한 의학적 맥락에서 출현 할 수 있음을 시사합니다. 결과적으로 전문성은 일련의 고정되거나 추상적인 개념으로 구성되지 않고, 그보다는 의료 행위를 통해 나타납니다.

Our analysis suggests that ‘old’ variants of professionalism are not simply being replaced by ‘new’ ones delivered by a redesigned curriculum, but rather that values from each can emerge in a range of medical contexts. As a result, professionalism does not consist of a set of fixed or abstract concepts, but rather surfaces through medical practice.


개인의 성찰이 이제 '새로운'전문성의 필수 구성 요소로 예고된다면, 교육의 공식적 측면과 잠재적 측면이 종종 모순되며, 변화하는 아이디어와 신념 속에서 폭 넓은 역동적 관계가 필요하다는 점을 인정해야합니다. 이 연구는 [의료에 대한 더 공감적이고 환자 중심의 접근 방식에 대한 확실한 헌신]이 [기관적 실천에 포함 된 숨겨진 커리큘럼의 일부로 남아있는 더 많은 처방 된 가치와 행동]을 반드시 대체하지 않는다는 것을 보여줍니다. '새로운' 핵심 가치와 기술을 훌륭한 의료 실습에 통합하는 과정은 부드럽거나 단순하게 전환되지 않는다. 또한 공식 교육을 통해 의사 소통을 시도하는 간단한 시도는 의학적 조우의 현실을 학생들에게 준비시키기 쉽지 않습니다. 대신 긴장감과 광범위한 이슈에 걸쳐 균형과 해결책을 모색하려는 개인의 욕구 자체가 의학 전문성의 핵심적이고 지속적인 특징 일 수 있습니다.

If individual reflection is now heralded as an essential component of the ‘new’ professionalism, it should be acknowledged that it demands a dynamic engagement with the wide range of often contradictory and shifting ideas and beliefs from both formal and more hidden aspects of their education. This study illustrates that overt commitment to more empathic and patient-centered approaches to medical care do not necessarily replace other more prescribed values and behaviours that remain part of a hidden curriculum embedded in institutional practices. Integration of ‘new’ core values and skills into good medical practice is not a smooth or simple transition. Additionally, it seems any simple attempt to communicate them through formal teaching is unlikely to prepare students for the reality of medical encounters. Instead, the experience of tension and the individual desire to seek balance and resolution across a wide range of issues may themselves be key and lasting features of medical professionalism.










 2010 Dec;25(12):1330-6. doi: 10.1007/s11606-010-1485-8. Epub 2010 Aug 26.

Medical professionalismconflicting values for tomorrow's doctors.

Author information

1
General Practice and Primary Care Research Unit, University of Cambridge, Cambridge, UK. eb442@medschl.cam.ac.uk

Abstract

BACKGROUND:

New values and practices associated with medical professionalism have created an increased interest in the concept. In the United Kingdom, it is a current concern in medical education and in the development of doctor appraisal and revalidation.

OBJECTIVE:

To investigate how final year medical students experience and interpret new values of professionalism as they emerge in relation to confronting dying patients and as they potentially conflict with older values that emerge through hidden dimensions of the curriculum.

METHODS:

Qualitative study using interpretative discourse analysis of anonymized student reflective portfolios. One hundred twenty-three final year undergraduate medical students (64 male and 59 female) from the University of Cambridge School of Clinical Medicine supplied 116 portfolios from general practice and 118 from hospital settings about patients receiving palliative or end of life care.

RESULTS:

Professional values were prevalent in all the portfolios. Students emphasised patient-centered, holistic care, synonymous with a more contemporary idea of professionalism, in conjunction with values associated with the 'old' model of professionalism that had not be directly taught to them. Integrating 'new' professional values was at times problematic. Three main areas of potential conflict were identified: ethical considerations, doctor-patient interaction and subjective boundaries. Students explicitly and implicitly discussed several tensions and described strategies to resolve them.

CONCLUSIONS:

The conflicts outlined arise from the mix of values associated with different models of professionalism. Analysis indicates that 'new' models are not simply replacing existing elements. Whilst this analysis is of accounts from students within one UK medical school, the experience of conflict between different notions of professionalism and the three broad domains in which this conflict arises are relevant in other areas of medicine and in different national contexts.

PMID:
 
20740324
 
PMCID:
 
PMC2988149
 
DOI:
 
10.1007/s11606-010-1485-8


프로페셔널리즘 발달: 교육과정이 중요하다(Acad Med, 2000)

The Development of Professionalism: Curriculum Matters

Delese Wear, PhD, and Brian Castellani, PhD




50 년 동안 프로페셔널리즘 연구는 늘 같았다. 

  • 의학 교육은 심리사회적인 것들을 희생하여 의학의 생물학적 / 기술적 측면에 너무 중점을 둔다

  • 인본주의 자질 (돌봄, 공감, 겸손, 열정, 감수성 등)은 뒤로 밀려났다. 

  • 전문직과 관련된 인본적 가치를 강요하기 위한 일종의 커리큘럼 개입이 이루어져야 한다

For 50 years the professionalism literature has sounded uncannily the same: medical education places too great an emphasis on the biological/technical aspects of medicine at the expense of the psychosocial; humanistic qualities (call it caring, empathy, humility, com-passion, sensitivity, and so on) have taken a back seat; some kind of curriculum intervention should take place to rein-force the humanistic values associated with the profession.


Rene'e Fox는 "의학 교육을 수정하려는 과거의 노력에 대한 리뷰는 문제의 대부분을 드러내고 있습니다. . . 새로운 것은 없다. 간헐적으로 교육 기관이 교육과정을 변경했지만, 불행히도 의사가 교육을받는 방법에 대한 근본적인 재평가는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습니다. 따라서 결함이 발견된다는 것조차 더 이상 참신하지 않다. "3

Rene´e Fox reminds us that ‘‘A review of past efforts to modify medical education reveals that most of the problems . . . are not new. Institutions intermittently have changed their curricula, but unfortunately little progress has been made toward a fundamental reappraisal of how physicians are educated. Thus, we do not claim novelty in the discovery of deficiencies.’’3


불행히도 프로페셔널리즘 개발이라는 용어는 정확성을 잃어 버리는 것이므로, 이제 CME, 교수 개발, 경력 계획 또는 CV 구축 세미나 또는 출판 방법을 언급 할 수도 있습니다. 그러나 이 논문에서는 메니컬 프로페셔널리즘 개발을 매우 구체적인 의미로 사용할 것이다. 즉 생각, 감정, 행동적 습관을 포함하는 지속적이고 자기 성찰적인 과정. 우리는 프로페셔널리즘이 특정 종류의 컨텐츠에 대한 학생들의 참여로 유의미하게 촉진 될 것을 제안합니다.

Unfortunately, the term professional development is losing whatever precision it had, so that now it may also refer to CME, faculty development, career planning, or even seminars in CV construction or how to get published. In this paper, however, we use the term very specifically to denote the development of professionalism in medical trainees—an ongoing, self-reflective process involving habits of thinking,feeling, and acting. We propose that professionalism is fostered in significant measure by students’ engagement with certain kinds of con-tent.


프로페셔널리즘 개발과 관련된 내용은 간-학제적이며 개방적이며, 답변만큼이나 많은 질문을 산출합니다. 그것은 다음의 것들을 포함하지만 여기에 국한되지 않습니다 

  • 의학의 철학과 역사 (우리는 누구인가? 우리는 어떻게이 위치에 도착 했는가? 우리는 왜 이런 식으로 연습 하는가?);

  • 의료 지식의 사회학 (의학 분야에서 어떤 분야와 방법이 사용되며 어떤 분야는 무시됩니까?)이 분야와 방법의 강점과 약점은 무엇입니까?

  • 의료 행위를 둘러싼 정치적, 경제적, 사회적 탐구 (누가 우리에게 도움을 줄 것인가? 누가 남겨두고 누가 이것을 결정할 것인가는 누가이 나라에서 의약품을 제정 할 것인가?); 또는

  • 문학적 탐구 (병에 걸렸을 때의 느낌은 어떻습니까? 피곤하고 불에 타는 의사가되는 것이 어떻습니까?).

The content associated with developing professionalism is interdisciplinary and open-ended, and yields as many questions as answers. It includes but is not limited to 

  • the philosophy and history of medicine (Who are we? How did we arrive in this location? Why do we practice this way?); 

  • the sociology of medical knowledge (Which disciplines and methods does medicine draw from, and which ones are ignored? What are the strengths and weaknesses of these disciplines and methods?); 

  • political, economic, and social inquiry surrounding medical practice (Who do we serve? Who is left out? Who decided this was the way medicine would be enacted in this country?); or 

  • literary inquiry (What does it feel like to be sick? What does it feel like to be a tired, burned-out doctor?).


의학 교육자들은 프로페셔널리즘은 (마치 신체적 성숙처럼) 학생들이 교육과정을 거치며 그것과 동일한 속도로 전문직으로서 발전하는 것이라고 가정하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어떤 교수도 임상 추론에 대해 그렇게 가정하지 않는다. 사실, 프로페셔널리즘이 발달하기 위해서 학생들은 전통적인 의학 커리큘럼에서 제공하는 것보다 광범위한 지적 경험이 필요합니다.

Medical educators cannot assume that students develop professionally at the same pace as they move through the curriculum, or that professional development just naturally happens, like physical maturity. No faculty member would make such as assumption about clinical reasoning, for example. In fact, for professionalism to flourish, students need a broader intellectual experience than those provided by traditional medical curricula.


의학 교육은 전통적으로 과학적(합리주의자적) 지식에 가장 큰 가치를 두었습니다. 이 지식은 자신에 대한 비판적 사고, 의료전문직, 사회 등과는 거의 관련이 없지만, 사실 이 모든 것이 프로페셔널리즘 개발의 기초가됩니다. 우리는 학생들이 과학적, 임상 적 지식, 방법 및 기술에 필요한 도구뿐만 아니라 생명과학 영역 밖의 특정 지식, 방법, 기술이 제공해줄 수 있는 프로페셔널리즘 개발을 위한 기타 관련 도구를 습득하도록 의학 커리큘럼의 지적 확장을 제안합니다. 그렇게 된다면, 학생들은 환자를 만나는 동안 각 임상상황의 독특한 복잡성을 고려하여, 이와 관련된 여러 가지 도구 중에서 필요한 것을 선택할 수 있습니다.

Medical education has traditionally placed the highest value on scientific (rationalist) knowledge, which may have little to do with the critical thinking about oneself, the medical profession, and society, all of which are basic to professional development. We propose an intellectual widening of the medical curriculum, so that students acquire not only the necessary tools of scientific and clinical knowledge, methods, and skills but also other relevant tools for professional development that are provided by particular knowledge, methods, and skills outside bioscience domains. So endowed, students would be able to choose from multiple tools, each relevant to the unique complexities of clinical encounters with patients.


그러나 학생들이 이러한 여러 가지 도구를 사용하는 데 능숙하고 융통성있게되기 위해서는 커리큘럼이 학제 간 콘텐츠 및 방법에서 arise하는 지식과 기술을 반영해야합니다. 그러한 지식들은 임시적이며, 맥락-특이적이고, 우연적이고, 때로는 모순적이다.

But for students to become this adept and flexible in using these multiple tools, our curriculum must reflect knowledge and skills that arise from interdisciplinary content and methods—knowledge that is often provisional, context-specific, and contingent, and sometimes contradictory.


우리는 이러한 생각과 행동의 습관habits of thought and action이 성장하는 프로페셔널리즘의 발전을 보여준다고 판단하며, 그러한 습관이 체크리스트 형태로 나열 될 수 있는 보편적인 행동이라는 것에 회의적입니다.

we see the development of professionalism as growing from within these habits of thought and action, and we remain skeptical that there are any universal behaviors that can be listed as the checklist manifestations of such habits.


기존 가정: 과학이 곧 의학지식이다.

THE EXISTING ASSUMPTION: MEDICAL KNOWLEDGE =SCIENCE


모든 직업의 중심에는 전문 지식과 그 전문 지식에 대한 가정이 있습니다. 의학에서 학생들은 과학의 내용과 방법이 의학에서 "지식"을 위해 필수적이라고 가르칩니다. 즉, 그들은 임상 추론과 질병 이해의 기초입니다. 이 지식의 깊이와 폭이 의사를 다른 건강 관리 제공자와 차별화시킵니다.

At the heart of all professions are specialized knowledge and assumptions about that knowledge. In medicine, inductees are taught that the content and methods of science are essential to ‘‘knowing’’ in medicine—that is, they are the foundation of clinical reasoning and understanding of disease. The very depth and breadth of this knowledge sets doctors apart from other health care providers.


의학 교육에서 객관성, 보편성, 복제 가능성을 특징으로하는 합리적인 탐구를 통해 '실제 지식'- 과학적 지식-을 얻을 수 있습니다. 비록 개성과 주관이 질병의 경험과 많은 관련이 있지만, 학생들이 나중에 배우게 될 것이기 때문에 이러한 자질은 강의와 실험실에서의 교육을 통해 과학 지식을 형성하는 데 아무런 자리가 없습니다. 인간의 신체를 형태와 기능면에서 기계적으로 연구하고, 개인의 특이성보다는 인간의 보편을 배우고, 서사보다는 패러다임으로 생각해보십시오.이 모든 것이 성공적인 의학 학생의 일상적인 사고 습관이됩니다.

In medical education, ‘‘real knowledge’’ —scientific—is gained through rational inquiry that is characterized by objectivity, universality, and replicability. Even though individuality and subjectivity have much to do with the experience of illness, as students will later learn, these qualities have no place in the making of scientific knowledge as taught in these lectures and labs. Studying the human body mechanistically in terms of form and function, learning human universals rather than human idiosyncracies, thinking in paradigms rather than narratives: all these become a successful medical student’s routine habits of thinking.


서구의 '의사처럼 생각하는 것'이라는 개념의 기원은 무엇입니까? 그 중 많은 부분이 지난 200-300 년 동안 발전해 온 현대 세계의 지적 이상과 관련이 있습니다. 헬스케어 직업은 의학보다 합리적인 (즉, 합리적인, 객관적인, 거리가 먼) 탐구에 대한 충성을 더 많이 나타 냈습니다. 우리는 임상 연구와 임상 추론에서 형성된 이 사고 방식이 수백만 명의 사람들에게 더 나은 건강을 제공했다는 것을 쉽게 알 수 있다.

What are the origins of contemporary Western notions of ‘‘thinking like a doctor’’? Much of it has to do with the intellectual ideals of the modern world as they have developed over the past 200–300 years. health care professions has exhibited more allegiance to the rational (i.e. reasoned, objective, distanced) inquiry associated with science than medicine. We are quick to point out that this mode of thinking, enacted in clinical research and clinical reasoning, has afforded millions of people better health


그러나 우아하고 엄청나게 유용한 이 "합리적 사고" 모드가 의사들에게 자비 로움, 의사 소통 능력, 사회적 책임감을 교육시키는 것과 무슨 관련이 있습니까?

But what does this admittedly elegant and enormously useful mode of rationalist thinking have to do with educating doctors to be compassionate, communicative, and socially responsible?


과학적 사고를 포함한 합리주의 사고는 강력한 도구입니다. 그러나 실제로는 더 큰 프로페셔널 개발이라는 퍼즐에서 단 하나의 조각일 뿐이다. 성공적인 의사의 큰 도구 상자에서 하나의 도구입니다. 생의학 담론의 범위 내에서 연민, 의사 소통 기술 및 사회적 책임을 개발하도록 학생들에게 요구하는 것은, 현대 의학 교육의 성공 및 역량에 대한 평가 기준을 감안할 때, 부당하지는 않지만 비현실적입니다.

Rationalist thinking, which includes scientific thinking, is a powerful tool. Yet it actually represents only one piece in the larger professional development puzzle, one tool in a larger toolbox of successful physicianhood. To ask students to develop compassion, communication skills, and social responsibility within the confines of a biomedical discourse is unrealistic, if not unfair, given the evaluative criteria of success and competency in contemporary medical education.


예를 들어, 객관성, 복제 가능성 및 일반화 가능성이 모든 의학 현상을 연구하기위한 필수 기준이 될 때 프로페널리즘 개발은 방해받을 수 있습니다. 게다가 학생들은 초기에 과학에 몰두하며 너무나 많은 시간을 소비하므로 "그들이 배우는 것", 즉 생물 과학적 지식과, "그 지식이 어떻게 만들어지는지/만들어져야 하는지"를 동등하게 여기기 시작합니다. 이러한 가정은 어떤 지식이 가장 가치 있고 가장 기본적인 것 ( "지식"으로 간주되는 것)인지에 대한 학생들의 후속 신념에 영향을 미친다.

For example, developing professionalism can be obstructed when objectivity, replicability, and generalizability become essential criteria for studying all medical phenomena. Moreover, students’ initial immersion in science is so consuming and extended that they begin to think that what they’re learning—bioscientific knowledge and how it is made—is the same as medical knowledge and how it is/should be made. These assumptions influence students’ subsequent beliefs about what knowledge is of the most worth and—most basic —what counts as ‘‘knowledge.’’


학생들은 과학 및 과학에서 지식을 만드는 방법이 과학과 신체의 모든 비밀(즉 어떻게 작용하는지, 어떻게 유지되는지, 어떻게 분해되는지, 어떻게 수리되는지 (기계적 은유는 고의적인 것))을 풀어주는 열쇠라고 여길 뿐만 아니라 환자 및 다른 건강 관리 제공자와의 관계에도 핵심이라고 여긴다. 이러한 신념은 해로운 것입니다.

Students, then, look to science and its methods of making knowledge as key to unlocking all the secrets of the body—how it works, how it is maintained, how it breaks down, and how it is fixed (the mechanical metaphor is deliberate)—but also the key to their relationships with patients and other health care providers. These beliefs are pernicious


우리가 강조하는 이 관찰은 과학과 그 방법에 대한 비판이 아닙니다. 꽤 반대. 워커 퍼시는 한계를 인식했다 :

This observation, we state emphatically, is not a critique of science and its methods. Quite the contrary.Walker Percy recognized its limits:


나는 결코 과학에 등을 돌리지 않았다. 그렇게하는 것은 실수 일 것입니다. 아기에게 목욕탕을 던지십시오. 나는 과학적 방법의 적용을 통해 해답을 찾고 싶었다. 나는 그 방법이 다소 인상적이고 아름다운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 체계적인 탐구의 논리와 정확성; 차갑게 추론하는 마음의 인상적인 능력. 그러나 점차 과학자, 의사, 병리학자인 저는 사람에 대해 많이 알고 있었지만, 사람이 무엇인지는 거의 알지 못한다는 사실을 깨닫기 시작했습니다.

I never turned my back on science. It would be a mistake to do so—throw out the baby with the bath water. I had wanted to find answers through an application of the scientific method. I had found that method a rather impressive and beautiful thing: the logic and precision of systematic inquiry; the mind’s impressive ability to be clear-headed, to reason. But I gradually began to realize that as a scientist—a doctor, a pathologist—I knew very much about man, but had little idea of what man is.6


그러나 의대생은 생물 과학적 / 경험적 방법 외의 방법을 통해 얻어진 지식 체계에 engage in하거나 문제를 해결해볼 수 있는 기회가 거의 없습니다. 즉, 과학의 내용과 방법은 너무 표준화되어있어서 학생들은 편안하지만 명백하게 사실이 아닌 생각의 패턴으로 쉽게 빠져들고, 과학에서 파생되지 않은 모든 것은 부드럽고soft 일화적이며anecdotal 신화적이고myth, 추측, 추론에 가깝고, 잠재적으로 유용하지만 지식이 아니라고 생각한다. 그러나 이러한 철학, 사회학, 문학, 신학, 미학은 종종 연민, 의사 소통 및 사회적 책임이 다루어지고, 조명되고, 연습되고, 배워지는 내용 영역입니다.

Yet, medical students have little opportunity to engage in and puzzle over any body of knowledge that is not gained through bioscientific/empirical methods. That is, the content and methods of science are so normalized that students easily fall into a comfortable but patently untrue pattern of thought wherein everything not derived from that method is soft, anecdotal, closer to myth, conjecture, or speculation, perhaps potentially useful but not ‘‘knowledge.’’ Yet these— philosophy, sociology, literature, spirituality, and aesthetics —are often the very content areas where compassion, communication, and social responsibility are addressed, illuminated, practiced, and learned.


더욱이 - 그리고 역설적으로 - 학생들은 과학 언어를 관찰과 이론을 전달하는 데 문제가 없는 매개체로 보지만, 환자의 언어가 명백한 주관성 때문에 부적절하거나 부정확하다는 것을 알게됩니다. 의학교육자들이 임상에서의 의사와 환자 관계에 많은 관심을 갖지만, 그 관계를 이해하는 데 사용된 이론과 방법은 (의대생이 보기에) 과학적 지식의 영역에 있지 않습니다. 그러므로 당연히 의사와 환자의 관계는 임상 지식이 담긴 상자의 포장지와 같은 것, 메인디시 옆의 곁들임과 같은 것, 의상을 완성시키는 액세서리와 같은 것, 의료 지식의 중요한 핵심이 아닌 것이 된다. 그들의 세계관에 내재되어있는 것은 물론 의학 교육 에서뿐만 아니라 문화 전반에서 당연하게 받아 들여지는 수 백년 된 이원론이다 (객관-주관, 이성-감정, 신체-정신, 임상전문성-침상옆의 매너와 같은 either-or 쌍의 모든 것들). Fox는 말한다.

Moreover—and paradoxically—students come to see scientific language as an unproblematic medium for transmitting observations and theories, but see patients’ language as inadequate or inaccurate because of its obvious subjectivity. Indeed, although medical educators give the doctor–patient relationship much attention (and therefore validation) during the clinical years, the theories and methods used to understand that relationship are not in the domain of ‘‘scientific’’ knowledge as medical students are led to view knowledge. Naturally, therefore, the doctor–patient relationship is the wrapping on the box containing clinical knowledge, the garnish beside the real food, the accessory that makes the outfit complete, not a vital core of medical knowledge. Embedded in their world view are, of course, centuries-old dualisms— objectivity/subjectivity, reason/emotion, body/mind, clinical expertise/bedside manner, and a whole host of either/or pairs —that are taken for granted not only in medical training but in the culture at large. Moreover, Fox maintains,


타 문화적 관점에서 볼 때, 우리 의학적 사고의 이원론과 그것을 타파하기위한 어려움은 오히려 서양에서 이상한 것이라기보다는 서구적인 것을 특징짓는 것이다. 우리 자신보다 전체론적인 세계관을 갖는 서구사회와 그들의 의학 시스템에서는 보다 전체적인 관점에서 세상을 바라보며, 학생들에게 "사람은 신체와 마음을 가지고 있으며, 마음과 뇌는 역동적으로 상호연결되어 있으므로, 이상적으로는 질병의 예방, 진단 및 치료가 '생물 심리 사회적'틀에서 이루어져야한다. "라는 점을 굳이 별도로 "떠올리게"하기 위한 특수분야, 회의, 강의, 코스, 수사학이 필요없다. 우리는 이 연관성을 위해서 의학은 "과학이자 예술이다"라는 우스꽝스러운 경구적 문구를 사용하고 있다.

seen in cross-cultural perspective, the dualism of our medical thinking and our difficulties in breaking through it are distinctively and rather oddly Western. In non-Western societies and medical systems whose world views are more holistic than our own, there is no need for special fields, meetings, lectures, courses, and rhetoric to ‘‘remind’’ and teach medical students and practitioners that human beings have bodies and minds, and minds and brains that are dynamically interrelated; that ideally, the prevention, diagnosis, and treatment of illness should be approached in a ‘‘biopsychosocial’’ framework; that medicine is ‘‘both a science and an art’’—to use some of the clumsy, aphoristic phrases that we have coined in this connection.3


의과대학생에게 경험적, 객관적, 정량적 탐구에만 유일하고 진정한 의학 지식이 있음을 명시적으로나 묵시적으로 가르 치는 과정에서 이들은 자연스럽게 다른 방법으로 얻은 지식을 불신합니다. 성, 인종, 교육, 사회 계급, 민족적 정체성, 정치적 기후와 같은 요소는 종종 '적절한'의학 지식의 외부적인 것 또는 보조적인 것으로서 간주되며, '적절한' 의학 지식을 만드는 과정과 그 결과는 이 요인들과 독립적으로 존재한다고 믿는다. 이것이 의대생들이 전임상에서 임상 교육으로 나아가면서, 과학자들이 '객관성'이라고 부르는 프로세스를 믿는 이유입니다. 이들이 말하는 객관성이란 "절대로 사고 과정에 관여하지 못하도록, 다른 주관적인 요소들을 모두 배제시켜놓을 수 있는 인간 마음의 장소"를 의미하며, 이것이 적절하며 심지어 달성가능하다고 믿는다.

When medical students are taught, explicitly and implicitly, that the only true medical knowledge comes from empirical, objective, quantitative inquiry, they naturally distrust all knowledge that is gained from other methods. Factors such as gender, race, education, social class, ethnic identity, the political climate are often viewed as outside or secondary to ‘‘proper’’ medical knowledge, the assumption being that both the product and the process of making ‘‘proper’’ medical knowledge exist independently of these factors. This is why medical students move from their preclinical to their clinical education believing that the process scientists strive for called ‘‘objectivity’’ —a place in the human mind where all these other subjective factors can be held at bay, never leaking into the thought process—is also appropriate, even achievable for clinicians.


우리는 학생들에게 이 메시지를 성공적으로 전달합니다. 임상적 객관성이 달성 가능하다는 그들의 신념은 환자가 누구인지에 상관없이 모든 환자를 동등하게 대우한다는 것이 (그저 그렇게 하기 위해 노력한다가 아니라) 실제로 의사들이 그렇게 하고 있다고 믿게 만든다.

We are successful in getting this message to students. Their belief that clinical objectivity is attainable is so sincere that they truly believe that they treat all their patients equally regardless of who those patients are—not that they strive to but that they actually do.


교육과정에서 지식으로 현현하는 생의학

MANIFESTATIONS OF BIOSCIENCE =KNOWLEDGE IN THE CURRICULUM


숨겨진 커리큘럼을 통해 전달되는 많은 메시지는 [의학 윤리에 관한 공식 강좌 나 윤리적 행위에 대한 바람직한 기준으로서] 학교에서 공식적으로 교육하는 내용과 직접적으로 충돌 할 수 있습니다 .- HAFFERTY and FRANKS8

Many of the messages transmitted via the hidden curriculum may be in direct conflict with what is being touted in formal courses on medical ethics or with what are formally heralded by the institution as desirable standards of ethical conduct.— HAFFERTY and FRANKS8


어떻게 의학 커리큘럼은 과학 지식이 의학의 계층 구조의 최상위에 있으며, 학생들이 도달가능한 위치이자 과정으로서의 객관성, 주관성이란 의사가 되는 과정에서 중요하지만 객관성에 부차적이라는 점을 강화하는가? 왜 의과대학 커리큘럼은 (과학 외) 다른 도구가 필요하다는 것이 점차 분명해졌음에도, 고작 소수의 도구만을 넣었습니까? 즉, 생물학적 개인은 실험실이나 외부와 격리되어 존재하지 않고, 주관적, 맥락-특이적, 문화적인 사회적 매트릭스가 속에 존재합니다.

How does the medical curriculum continue to reinforce the belief that scientific knowledge is at the top of the hierarchy in medicine, that objectivity as a location and process is attainable for students, that the ‘‘subjective’’ part of doctoring is important but is secondary to its objective essence? Why does the medical curriculum put so few tools in the caregiving toolbox, when it is increasingly clear that other tools are necessary? That is, the biological individual exists not in a lab or bubble but in a social matrix infused with subjective, context-specific, culturally bound dimensions.


이것은 의료 커리큘럼이 의학의 주관적인 차원의 중요성에 응답하지 못했다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습니다. 대부분의 의학 커리큘럼에는 행동 과학 및 사회 과학, 생명 윤리 및 의학 인문학, 문제 기반 학습 및 문화적 역량 중 일부 또는 전부가 포함됩니다. 그러나 몇 가지 예외를 제외하고, 이러한 커리큘럼은 철학적으로 [객관성, 예측 및 통제를 가치있게 여기는 지식에 대한 논리 - 합리적 접근]에 붙어 있습니다.

This is not to suggest that the medical curriculum has failed to respond to the importance of the subjective dimensions of medicine. Most medical curricula include all or some of the following: the behavioral and social sciences, bioethics and medical humanities, problem-based learning, and cultural competency. Yet with few exceptions, these curricula often remain philosophically attached to logico-rational approaches to knowledge that value objectivity, prediction, and control.


하 퍼티 (Hafferty)와 프랭크 (Franks)가 지적했듯이, 학생들이 특정 감정, 내성 또는 개인적 성찰을 저해하는 의학 문화에 둘러싸이고, 단순 암기를 강조하는 기본적인 과학 커리큘럼에 푹 빠져있는 경우, 의대 학생들은 교육과정 초반부터 그러한 성찰적 근시를 상당히 받아 들이게 된다.

As Hafferty and Franks note, if students are ‘‘surrounded by a medical culture that discourages certain feelings, introspection, or personal reflection, and buffeted by a basic science curriculum that emphasizes rote memorization, medical students may come to embrace such a reflexive myopia quite early in the training process.’’8


게다가 기존의 의학 커리큘럼은 과학과 과학적 방법으로만 배타적으로 정렬되어있어 진정한 'knower'는 환자가 아니라 의사가됩니다. 환자의 지식은 종종 일화 (anecdote)로서 절하되며, 흥미롭고 기억에 남을만한 좋은 의학적 이야기지만, 지식은 아니라고 여겨진다.

Moreover, the existing medical curriculum, aligned as it is almost exclusively with science and its methods, results in doctors, not patients, who are the real ‘‘knowers.’’ Patients’ knowledge is often doomed to the same category as the dreaded ‘‘anecdote’’: interesting, memorable, the stuff of good medical stories, but not knowledge.


그러나 대부분의 의과대학생들은 여러 종류의 지식 사이를 오갈 도구가 없기 때문에, 환자의 서사가 고통의 근원일지라도, 그 자체로는 의료 기록에 대해 충분히 유효한 지식을 산출하는 것으로 보지 않습니다. 이 태도는 본질적으로 오만하고 나쁜 의사화doctoring과정이다.

But lacking the tools to move back and forth between and among different kinds of knowledge, most medical students do not view patients’ narratives as yielding knowledge valid enough for the medical record, even though it may be the source of a patient’s suffering. This attitude is inherently dismissive, as well as bad doctoring.


환자의 이야기는 내용 (주관적, 개인적)과 방법 (일반화 할 수 없음) 모두에서 의사 지식 템플릿에 맞지 않는 것으로 여겨지기 때문이다.

patients’ stories do not fit within doctors’ knowledge template in both content (they are subjective, personal) and method (they are not generalizable).


또한 대부분의 의학 커리큘럼은 헬스케어 시스템의 사회적, 경제적, 정치적 환경에 대한 적절한 이해를 촉진시키지 않으며, 그러한 요인들이 어떻게 수련과정에서 의료행위를 수행 할 것인지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게 되는지를 가르치지 않는다.

In addition, most medical curricula do not promote adequate understanding of the social, economic, and often messy political climates of health care systems and how such factors will directly influence the ways trainees will perform their life’s work.


그러나 이러한 것을 가르치는 커리큘럼이 부족하고 생의학을 압도적으로 강조함에도 있음에도 불구하고, 교수들은 학생들이 비판적 이해도 부족하지 않게 하는 프로페셔널한 가치관을 보여줄 것으로 기대합니다. 이로서 학생들은 자신의 경력을 시작하기 전에 이미 냉소주의와 resignation의 문을 엽니다.

Yet despite the lack of curricula and the overwhelming emphasis on bioscience, faculty expect students to exhibit certain professional values of which they do not have the slightest critical understanding. This opens the door for cynicism and resignation among students before they even begin their careers.


마지막으로, 의학 교육은 "앎의 여러 방법들", 전문 영역, 다양한 분야 사이에서 경계와 구분짓기의 사고를 장려합니다. 미분화된 의사가 갖추어야 할 기술, 태도, 가치가 개발되고 장려되는 잘 만들어진 4 년 경력의 경험이 아니라, 대부분의 의학 교육과정은 지식의 차별화, 계층화, 영역간의 명확한 구분, 임상전문과 사이의 통제된 구분 등에 초점을 맞춘다.

Finally, medical education encourages thinking in borders and partitions between ways of knowing, areas of specialization, and divisions of labor in medicine. Rather than a well-crafted, four-year experience where the skills, attitudes, and values relevant to undifferentiated physicians are developed and encouraged, most medical curricula are focused on differentiation and hierarchies of knowledge, on clearly defined spheres of practice, and on controlled distinctions among medical specialties.


"생명과학 = 지식"이라는 발현의 누적 효과는 현대 의학 교육의 핵심에 너무 얽혀있어, 그 과정 속에 있는 사람이 아니라면 뒤로 물러나서 그 결과를 관찰하기가 어렵습니다. 또한 그러한 사람이 아니라면 환자에게 온당하고 의사가 갖추어야 할 넓은 분야의 지식을 위해서는 의학교육 및 의료 행위가 어떠해야하는지 생각해보기 어렵다.

The cumulative effect of these manifestations of bioscience = knowledge are so woven into the heart of modern medical education that it is hard for anyone enmeshed in the process to step back and look at the consequences and then think about what medical education and medical practice would look like if opened up to the properly broad areas of knowing that doctors need and patients deserve.


교육과정 전체에 대한 유토피아적 제안

THE FULL-SPECTRUM CURRICULUM: A UTOPIAN PROPOSAL



완전한 스펙트럼 커리큘럼에서 의사는 필요한 지식의 종류를 배울 것입니다. 단지 생체 과학뿐만 아니라, 종종 뒤죽박죽으로 추가 된 다른 정보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In a full-spectrum curriculum, doctors would learn the kinds of knowledge they need, not just bioscience with a smattering of other, often ill-incorporated information added as afterthought.


입학

Admission


MCAT는 여러 영역의 지식을 가진 신청자의 숙련도를 반영하여 제거되거나 크게 변경됩니다. 학부 평점 (GPA)은 여전히 ​​중요한 요소이지만 여러가지 가중척도 중 하나일 뿐이다.

MCATs would be either eliminated or dramatically changed to reflect an applicant’s adeptness with knowledge across multiple domains. Undergraduate GPAs would remain a major factor but would be one among other weighted measures.


루이스 토마스 (Luis Thomas)의 훌륭한 글쓰기 에세이 인 'Premedical Curriculum을 고치는 법'을 상기시키면서, "의사의 작업에 필요한 지성의 범위를 보장하기 위해서는 다른 비과학 분야의 학생들의 성공에 더 많은 관심을 기울여야한다. "10

We are reminded of Lewis Thomas’s wonderfully wry essay, ‘‘How to Fix the Premedical Curriculum,’’ where he suggest that ‘‘more attention should be paid to the success of students in other, nonscience disciplines before they are admitted, in order to assure the scope of intellect needed for a physician’s work.’’10


대학 교수의 추천은 너무 많지는 않겠지만 직장이나 자원 봉사 감독자의 서한이있을 것입니다. 입학위원회에는 교수뿐만 아니라 다른 의료 전문가, 동료 학생 및 우리가 제공하는 의사의 지분을 가진 커뮤니티 회원도 포함되어야 한다.

Recommendations from college professors would not count too much , but letters from work or volunteer supervisors would.Admission committees would include not only faculty but other health care professionals, fellow students, and community members who have a stake in the kind of doctors we give back to our communities.



교육과정

The Medical Curriculum



사회적 인식

A sociologic consciousness.


1 학년 동안 학생들은 

(1) 지식에 대한 비판적 접근,

(2) "알기"가 의미하는 바에 대한 확대 개념

(3) 순수한 객관성이나 합리성에 대한 어떤 주장에 대해서 '회의주의'에 의해 조정 된 과학의 개념적 우아함과 진리에 대한 인식.

During the first year students would be required to take a philosophy of science or sociology of knowledge course that promotes 

(1) a critical approach to knowledge, 

(2) an enlarged conception of what it means to ‘‘know,’’ and 

(3) an appreciation of the conceptual elegance and truths of science tempered by skepticism for any claims to pure objectivity or rationality.


사회적 구조, 당연하게 여겨지는 지식과 방법, 제도적 실천을 "꿰뚫어 볼 수 있는"능력

the ability to ‘‘see through’’ social structures, taken-for-granted knowledge and methods, and institutional practices


버거 (Berger)에 따르면 사회학적 인식은 엄격한 지적 능력을 요구합니다. 첫 해 의학 커리큘럼에서 학생들은 점점 더 그들과 별개의 부분으로apart 멀어지고 있는 사회 시스템을 밝히거나 드러내는 기술을 배워야 한다.

A sociologic consciousness, according to Berger, requires rigorous intellectual skills. In the first-year medical curriculum, students would learn skills to unmask or divulge the social systems of which they are increasingly becoming apart


학생들이 일반적으로 학생들의 비판적인 조사 밖에 남아있는 의학적 관례와 전통을 목표로 질문 할 것을 배우게 될 질문에는 다음을 포함 할 수 있습니다. 

    • 의사 교육에 2 년간의 기본 과학이 필요한 이유는 무엇입니까? 누가 결정 했습니까?

    • 그것이 의료 행위의 과학적 기초를 배우는 가장 좋은 방법임을 우리는 어떻게 알 수 있습니까?

    • 이 가정을 테스트하는 방법은 무엇입니까? 아니면 누가 의학 분야에서 어떤 분야를 표시 했습니까?

    • 누가 의사 (간호사 / 조산사 / 의사 보조원 등)가 이것을 결정했으나 결정을 내리지 않았습니까?

    • 이 협약의 혜택을받는 사람은 누구입니까?

    • 이 행동 패턴이 바뀌면 어떻게 될까요?

    • 어떻게 될지 어떻게 알 수 있습니까? 또는 교육 수준과 권력의 관계는 무엇입니까? 교육 수준과 돈 사이에?

    • 이러한 관계의 의학적 함의는 무엇입니까?

Questions they would learn to ask, aimed at medical practices and traditions that usually remain outside students’ critical scrutiny, might include:

    • Why are two years of basic science deemed necessary in the education of doctors? Who decided? 

    • How do we know it is the best way to learn the scientific basis of medical practice? 

    • What are the ways to test this assumption? Or, Who marked out spheres of practice in medicine? 

    • Who decided that doctors (nurses/ midwives/physician assistants/etc.) do this but not that? 

    • Who benefits from this arrangement? 

    • What would happen if these practice patterns changed? 

    • How do we know this would happen? Or, What is the relationship between level of education and power? Between level of education and money? 

    • What are the medical implications of these relationships?


사회학적 인식의 두 번째 기술은 의과 대학생들이 사회의 "respectable"과 "unrespectable" 영역에 대해 스스로를 자세를 취하는 법을 배웁니다.

A second skill of sociologic consciousness is how medical students learn to position themselves with regard to ‘‘respectable’’ and ‘‘unrespectable’’ sectors of society.



의대생에게 이러한 친화력을 키우는 데는 돌봄을 주는 것은 물론 받는 것 양쪽에서 가장 힘이없는 사람에게 배우는 것이 포함됩니다.

    • 돌보미 또는 가정 건강 관리 제공자의 업무에 대해 대부분의 의대생은 무엇을 알고 있습니까?

    • 이 간병인들의 지식을 통해 무엇을 배울 수 있습니까?

    • 대부분의 의대생은 가난한 사람들의 건강 관리에 대해 그들의 관점에서 무엇을 배울 수 있습니까?

    • 의학계 학생들은 보험이없는 'house' 환자들에게 종종 병원을 가르치는 데 도움이되는 사회적 상태에 대해 얼마나 배우는가? 그들의 지식으로 무엇을 배울 수 있습니까? (빈곤, 부적절한 주택, 만성 실업, 스트레스, 낮은 자존감)

Developing these affinities in medical students would involve having them learn from persons at the least powerful ends of both giving and receiving care. 

    • What do most medical students know about the work of aides or home health care providers? 

    • What might be learned from these caregivers’ knowledge? 

    • What do most medical students learn about the health care of indigent persons—from their perspectives? 

    • How much do medical students learn from uninsured ‘‘house’’ patients about the social conditions that often bring them to teaching hospitals? What could be learned from their knowledge? (—poverty, inadequate housing, chronic unemployment, stress, and low self-esteem—)


수잔 셔윈 (Susan Sherwin)은 의사들이 다른 사람들의 삶의 조건을 알지 못하는 경우에도 모든 사람들에 대해 "잘 알고 있다"고 가정한다고 지적한다.

Susan Sherwin provides a provocative example of how medical professionals assume to ‘‘know best’’ for all people even as we are oblivious to the conditions of others’ lives.


대부분의 의료 전문가, 특히 의사들은 자신의 삶과 복지에 관한 문제를 통제하고 존엄하고 존경받으며 치료받는 것에 익숙합니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삶을 거의 통제하지 못하는] 취약한 건강 관리 소비자의 관점에서 볼 때, 통제를 유지하는 것은 주된 관심사가 아닌데, 왜냐하면 잃어버릴 통제권도 없기 때문이다. 삶의 다른 부분에서 돌봄을 받거나 존경받는 데 익숙하지 않은 환자는, 오늘날 생명 윤리 분야에서 중심 단계를 차지하고있는 사람들과 비교했을 때, 보건의료직과의 관계에서 다뤄야 할 가치와 우선 순위가 서로 다를 수 있습니다

Most medical professionals, especially doctors, are accustomed to being treated with dignity and respect and having control over matters concerning their own lives and well-being....From the perspective of less privileged health care consumers who normally have little control over their lives, however, maintaining control when ill may not be of paramount concern, since control is not theirs to lose. Patients who are not used to being cared for or respected in the rest of their lives may have a different ordering of values and different priorities in their dealings with health professionals than do those who now occupy center stage in the bioethics arena.12


사회적인 의식의 세 번째 기술은 버거가 여러 인간의 가치와 지향에 대한 ''Mobile mind''를 개발하는 것과 관련이있다. 모바일 정신은 고정되어있는 엄격한 과학적 / 의학적 사고 방식과는 대조적입니다. 

      • 젊은이가 영웅적 조치를 원하지 않는 이유는 무엇입니까?

      • 어떻게 대체 치유력을 실제로 믿을 수 있습니까?

      • 왜 안전에 관심이있는 사람은 가정 출산을 원할 것입니까?

의대생은 학습 환경에서 상대적으로 immobile하기 때문에 그들의 마음도 immobile할 수 있습니다.

A third skill of sociologic consciousness has to do with what Berger calls developing a ‘‘mobile mind’’ toward multiple human values and orientations. A mobile mind contrasts with those that are held stationary by rigid scientific/ medical ways of thinking, such as 

      • How could someone that young not want heroic measures? 

      • How could someone really believe in alternative healing? 

      • Why would anyone interested in safety want a home birth? 

Because medical students are relatively immobile in their learning environments, their minds may become immobile too.


Susan Sherwin이 우리에게 상기시켜 주듯이,

And as Susan Sherwin reminds us,


어떤 분야에서든 참가자들 사이의 동질성은 논쟁에 영향을 미친다. 한 가지 중요한 효과는 대부분의 종사자가 자신의 업무에 대해 자기가 이미 가지고 있는 위치와 관점의 중요성을 알지 못하게하는 것입니다. 교육 수준이 높고 백인 남성 엘리트가 지배하는 다른 분야와 마찬가지로, 대부분의 동료가 동일한 관점을 공유하기 때문에 경험으로부터 거짓 일반화로 빠지기가 매우 쉽다. 상반되는 지점의 직접적인 경험에 대항하여 실제 입장의 특수성을 지적하는 사람이 아무도 없을 때, 자신을 중립적인 '이상적인 관찰자'로 착각하는 것은 너무 쉽습니다 .12

Homogeneity among participants in debates has consequences in any field. One important effect is that it allows most practitioners to remain oblivious to the significance of their own location and perspective for their work. As in other disciplines that are dominated by a well-educated, white, male elite, the fact that most of their colleagues share the same perspective makes it easy . . . to lapse into false generalizations from their own experience. It is all too easy to mistake oneself for a neutral ‘‘ideal observer’’ when no one is present to point out the specificity of one’s actual stance by countering with direct experience from a different vantage point.12


다수의 유리한 점에 대한 인식은 '모빌리티'정신뿐만 아니라 Berger의 사회학적 인식의 네 번째이자 마지막 기술인 Cosmopolitism에도 관련되어있다. 간단히 말하면, 환경에 대한 개방성, 사고와 행동의 다양한 방식에 대한 개방성이다. 그것은 모든 변형에서 인간의 삶에 대한 폭 넓은, 민감한, 해방 된 신념입니다. 이것은 모든 종류, 가치 및 생활 방식의 사람들에 대한 진정한 수용으로부터 진정한 동정심이 나오는 정신입니다.

Awareness of multiple vantage points is related not only to ‘‘mobile’’ minds but also to cosmopolitism, the fourth and final skill of Berger’s sociologic consciousness. Simply, cosmopolitism is an openness to the environment, to diverse ways of thinking and acting; it is a broad-minded, sensitive, emancipated belief about human life in all its variations. This is the spirit from which genuine compassion arises, from an authentic acceptance of people in all their varieties, values, and lifestyles.


학제 간 사고.

Interdisciplinary thinking.


학생들이 일상적으로 기초 과학 및 임상 과학에서 발견 된 것 이외의 여러 분야의 내용, 방법 및 기술에 engage하면서 풍부하고 복잡하며 도발적인 지식을 찾게 된다. 그들은 자신과 직업에 대해 다른 질문을 하게 될 수도 있다. 그들은 다른 분야의 지식에서 자기가 가진 지식의 틈, 빈 곳, 유해한 편견을 인식합니다. 이러한 지적인 모험은 다학제 학습에서 발생하지만, 단, 교수 및 교실 환경이 비판적이고 자기 성찰적인 탐구의 정신을 키우는 경우에만 발생합니다.

When students routinely engage in the content, methods, and skills of multiple disciplines other than those found in the basic and clinical sciences, they find rich, complicated, provocative knowledge They may be moved to ask different questions of themselves and their profession. They recognize gaps, absences, and harmful biases in their knowledge . These intellectual adventures occur during interdisciplinary studies , but only when teaching and classroom environments foster a spirit of critical, self-reflective inquiry.


실제로 생명 윤리, 문학, 철학, 사회학 및 의학의 역사를 포함한 학제 간 탐구가 '마법의 총알'의 특성을 피하기위한 것이라면 의학 교육자는 단순히 콘텐츠만 추가해서는 안 된다. 가능한 한 언제든지 다학제적 학습은 과정 안에서 존재하여 지적으로 도전적일 때 가장 효과적이며, 반대로 개별 분야들을 discrete하게 나란히 배치되어 있을 때는 그렇지 않다.

Indeed, if interdisciplinary inquiry—including bioethics, literature, philosophy, sociology, and history of medicine— is to avoid the characterization of a ‘‘magic bullet,’’ medical educators cannot merely add on content. Whenever possible, interdisciplinary inquiry works best and is most intellectually challenging when it exists within course work, not when disciplines are placed side by side in discrete, self-contained entities.


교수 자체가 모바일 정신을 소유하고 있다면 교육 과정 가능성은 무한합니다. 

    • 순환기 과목에서는 기초 과학 분야, 역학 (인종, 민족 정체성, 성별 및 계급 문제 포함), 임상 심장학, 심장 발작이있는 사람들을위한 지원 그룹, 이식 윤리 및 기본 진료에 대한 접근 문제, 교육, 예방, 역사적, 종교적, 예술적, 문학적 묘사 등을 다룬다. 

    • 해부학에서는 호스피스 경험과 함께 교차 문화적, 영적 / 종교적 시각을 포함하여 죽음과 죽음에 대한 조사를 논리적으로 포함 할 수 있습니다.

The curricular possibilities are endless if faculty themselves possess mobile minds. Cardiovascular study could include relevant learning across basic sciences disciplines, epidemiology (including issues of race, ethnic identity, gender, and class), clinical cardiology, support groups for persons who have had heart attacks, transplantation ethics and issues of access to basic care, education, and prevention, along with historical, religious, artistic, and literary portrayals of the heart. Gross anatomy could logically include investigation of death and dying, including cross-cultural and spiritual/religious perspectives, along with hospice experiences.


그러한 학제 간 탐구는 의학 교육의 과학적 기반을 희석시키지 않으면서도, 비판적이며 창의적으로 그 이론과 실천을 알리는 과학 및 내용에 중점을 두어 의학의 지적 기반을 키우는 것을 목적으로한다.

Such interdisciplinary inquiry is intended not to dilute the scientific basis of medical education but to increase the intellectual basis of medicine by drawing heavily on science and the content and methods of other disciplines that critically and creatively inform its theory and practice.


의료의 경제적/정치적 차원

Economic/political dimensions of health care.


Arnold Relman에 따르면 미국 의과 대학 졸업생 중 거의 1 조 달러가 건강 관리에 소비하는 곳이 어디에서 비롯되었는지에 대한 '일관된 이해'가 있습니다.

According to Arnold Relman, few graduates of U.S. medical schools have a ‘‘coherent understanding’’ of where the trillion dollars annually spent on health care comes from or where it goes.14


종종 프로페셔널리즘의 실수는 의사가 누군지에 따라 생기는 것이 아니라, 그들이 일하는 사회 시스템을 얼마나 잘 이해하는지에 달려있다. 즉, 학생들이 공감능력을 갖추기 위해서 필요한 프로페셔널리즘의 중요한 구성 요소는 [현재의 건강 관리 시스템에 대한 철저하고 정교하며 비판적인 지식]이다. 그것이 없다면, '보살핌'과 같은 전문적인 가치는 추상적 인 상태로 유지되며, 정치적 경제적 환경에 제약받지 않습니다.

Often ‘‘lapses’’ in professional behavior are less about doctors’ characters and more about how well they understand the social systems in which they work. In other words, a significant component of professionalism requires that students have thorough, sophisticated, and critical knowledge of the current health care system in order to be compassionate! Without it, professional values such as ‘‘caring’’ remain in an abstract state, untethered to the political and economic environment in which they are enacted.


Relman은 '경제적 이해 관계의 충돌'에는

    • 영리 건강 관리 회사에 고용되어 있거나 계약을 맺거나 영리 건강 관리 회사에 투자 한 의사;

    • 전문 자치와 의사 - 환자 관계에 대한 간섭에 대한 기업의 제약; 과

    • 의사들의 집단 행동에 대한 독점 규제 '

... 등이 훈련중인 의사를위한 중요한 질문 영역이다.

Relman notes ‘‘economic conflicts of interest involving 

    • physicians employed by, contracted with, or invested in for-profit health care companies; 

    • corporate restraints on professional autonomy and interference with doctor–patient relationships; and 

    • antitrust constraints on collective actions by physicians’’ 

...as critical areas of inquiry for doctors in training.



물론, 이러한 모든 커리큘럼 권고안은 의료 환경이 다음과 같은 경우에는 구현되더라도 공허할 뿐이다.

    • 생들에 의한 성적과 등수에 따라 과격하게 경쟁할 때

    • 멘토, 혁신적인 교수법, 학제 간 협력의 시간 소모적 인 작업에 힘을 쏟는 교수진에 대한 인식과 보상이 부족할 때

Reiser는 기관 리더들이 다음에 대해 강력한 영향력을 미침을 묘사한다.

    • 자원의 청지기(stewardship of resources)

    • 권위의 인도적 사용,

    • 판단을 내릴 때의 가치관의 역할, 

    • 강압 하에서의 인내와 용기의 행사, 실수를 인정하는 법, 용서하는 법, 지식을 실제로 행동에 적용하는 것, 

    • 개인적 및 직업적 헌신의 균형

Of course, all these curricular recommendations are hollow, even if implemented, if the medical environment is characterized by a singular, hypercompetitive focus on grades and class ranks by students, and by a lack of recognition and rewards for faculty who devote energy to mentoring students, innovative teaching, and the time-consuming work of interdisciplinary collaboration. Reiser describes this powerful influence that institutional leaders wield in ‘‘stewardship of resources, the humane use of authority, the role of values in making judgments, and exercise of patience and courage under duress, how to admit mistakes, how to forgive them, the application of knowledge in taking action, [and] the balance of personal and professional commitments.’’15 


격언을 바꾸어 말하면, 의과대학생이라는 사과는 의과대학이라는 나무에서 멀리 떨어져 있지 않습니다.

To paraphrase an aphorism, the medical student apple doesn’t fall too far from the medical school tree.


평가와 면허

Assessment and Licensure


의학 교육자는 학생들에게 여러 영역의 숙달이라는 측면에서 빈번하고 성장 지향적 인 피드백을 제공하는 조치를 취할 필요가 있습니다. 의대에서는 학생의 역량을 결정하기 위해 더 이상 등급 등급과 수치 점수를 사용하지 않습니다. 대신 학생들의 평가에는 학생들의 임상 적 추론 기술, 환자와의 관계 관리 능력, 가치, 태도 및 문화적 민감성에 대한 교수 과정 서면 내러티브를 포함하여 모든 과정에 대한 간단한 합격 / 불합격이 포함됩니다.

Medical educators, would need to put in place measures that provide frequent and growth-oriented feedback to students in terms of their mastery of several domains: Medical schools would no longer use class ranks and numerical scores to determine students’ competencies. Instead, evaluation of students would include a simple pass/fail for all their course work plus faculty’s written narratives about the students’ clinical reasoning skills, their abilities to forge caring relationships with patients, and their values, attitudes, and cultural sensitivity.




CONCLUSIONS




 2000 Jun;75(6):602-11.

The development of professionalismcurriculum matters.

Author information

1
Northeastern Ohio Universities College of Medicine, Rootstown 44272, USA.

Abstract

The authors propose that professionalism, rather than being left to the chance that students will model themselves on ideal physicians or somehow be permeable to other elements of professionalism, is fostered by students' engagement with significant, integrated experiences with certain kinds of content. Like clinical reasoning, which cannot occur in a vacuum but must be built on particular knowledge, methods, and the development of skills, professionalism cannot flourish without its necessary basis of knowledge, methods, and skills. The authors present the need for an intellectual widening of the medical curriculum, so that students acquire not only the necessary tools of scientific and clinical knowledge, methods, and skills but also other relevant tools for professional development that can be provided only by particular knowledge, methods, and skills outside bioscience domains. Medical students have little opportunity to engage any body of knowledge not gained through bioscientific/empirical methods. Yet other bodies of knowledge-philosophy, sociology, literature, spirituality, and aesthetics are often the ones where compassion, communication, and social responsibility are addressed, illuminated, practiced, and learned. To educate broadly educated physicians who develop professionalism throughout their education and their careers requires a full-spectrum curriculum and the processes to support it. The authors sketch the ways in which admission, the curriculum (particularly promoting a sociologic consciousness, interdisciplinary thinking, and understanding of the economic/ political dimensions of health care), and assessment and licensure would function.

PMID:
 
10875504
[Indexed for MEDLINE]


밀레니얼 학생에 대한 잘못된 신화: 전문직 교육과 관련한 특성의 재평가(Anat Sci Educ, 2011)

Demystifying the Millennial Student: A Reassessment in Measures of Character and Engagement in Professional Education

Camille DiLullo,1* Patricia McGee,2 Richard M. Kriebel3

1Department of Anatomy, Philadelphia College of Osteopathic Medicine, Philadelphia, Pennsylvania

2Department of Educational Psychology, College of Education and Human Development, The University of Texas at San Antonio, San Antonio, Texas

3Department of Neuroscience, Physiology and Pharmacology, Philadelphia College of Osteopathic Medicine, Philadelphia, Pennsylvania




도입

INTRODUCTION


In the book Generations: The History of America’s Future, 1584 to 2069, the authors showed the patterns of differences among individual generations including the 

  • Silent Generation (1925–1942), 

  • Baby Boom Generation (1943–1960), 

  • Generation-X (1961– 1981), and 

  • the Millennial Generation (1982–2001), 

...a term which they coined (Strauss and Howe, 1991).


스미스 앤 라간 (Smith and Ragan, 2005)은 학습 특성을 네 가지 영역,

(1) 변화하는 유사점,

(2) 변화하는 차이,

(3) 고정된 유사성, 

(4) 고정된 차이.

Smith and Ragan (2005) have organized learning characteristics into four areas: 

(1) changing similarities, 

(2) changing differences, 

(3) stable similarities, and 

(4) stable differences. 


  • '변화하는 유사점과 차이점'에 포함 된 특징은 개인에 따라 시간이지나면서 진화하는 특성입니다. 이러한 특성에는 개인의 가치와 신념, 성격, 발달 단계, 교육 수준 등이 포함되며, 모두 개인 개발, 현재의 사회 모아레, 전반적인 정치 환경 및 글로벌 경제의 영향을받을 수 있습니다. 학습 설계에서 가장 중요한 학습과 관련된 하나의 '변화하는 특성'은 프로그램 내용의 복잡성 선택에 직접적으로 관련된 교육 수준이다.

  • '안정된 유사점과 차이점' 에는 적성, 민족성, 학습 스타일, 학문적 자아 개념 (학업 능력의 자기 인식), 그리고 '통제의 위치'(내부 위치는 학습자의 책임 임; 외부 통제 위치는 다른 학습자에게 그들의 학습에 대한 책임을진다.) 등이 있다.


  • The characteristics included among ‘‘changing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are those that will evolve over time for an individual. These characteristics include personal values and beliefs, personality, developmental stages, and educational level all of which can be impacted by personal development, current societal moire´s, overall political climate, and global economics. The one ‘‘changing characteristic’’ related to learning most important in the design of instruction is educational level as it is directly relevant to selection of program content complexity. 

  • The characteristics included among ‘‘stabl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are characteristics such as aptitude, ethnicity, learning style, academic self-concept (self-perception of academic ability), and ‘‘locus of control’’ (internal locus of control-learner takes responsibility for their learning; external locus of control-learner expects others to take responsibility for their learning).


동일 세대 집단에 속하는 학습자가 안정된 특성을 공유 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밀레니엄 학생들은 종종 팀 지향적이며 협업적이고 가치있는 동료 의견으로보고됩니다.

Some stable characteristics may be shared by learners that belong to the same generational cohort. For example, Millennial students are often reported to be team-oriented, be collaborative and value peer opinions.


밀레니엄 학생들은 이전 세대와는 분명히 다른 세계에 살며 혁명적 인 기술을 접할 수 있습니다.

Millennial students live in a world that is clearly different from that of previous generations and have access to technologies that are revolutionary.


연구 데이터를 분석하면 이러한 학생들은 학습의 근본적 프로세스라는 점에서는 다른 세대와 다를 수 없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학습 과정에 진정으로 영향을 주는 특정한 '안정된 특성'을 정확하게 평가하는 것이 중요하며 교육 설계시 고려 대상이되어야합니다.

analysis of research data suggests that these students may not be as different from other generations in the fundamental process of learning as is regularly proposed. It is crucial to accurately assess which specific ‘‘stable characteristics’’ truly impact the learning process and should be targeted for consideration in instructional design.




밀레니얼 학생의 특징

MILLENNIAL STUDENT CHARACTERIZATION


일레니얼 학생과 흔히 연관되는 특징들

Characteristics Commonly Associated With the Millennial Student


천년기 세대에 대한 '사실'에 관한 최초의 주목할만한 불일치 중 하나는 넷 세대, 세대 Y, 에코 붐 세대, 세대 Me 및 디지털 원주민으로 불리우며 세대를 분류하는 데 사용 된 날짜의 범위입니다. 출처에 따라, 밀레니엄 세대 경계는 1978 년부터 1984 년까지 범위의 시작, 끝은 1990 년 초 ~ 2001 년 말에 제안되었다.


One of the first notable discrepancies regarding ‘‘facts’’ about the Millennial Generation, alternatively dubbed the Net Generation, Generation-Y, Echo-boomers, Generation Me, and Digital Natives, is the range of dates used to bracket the generation. Depending upon the source, generational boundaries set for the start of the Millennial Generation range anywhere from 1978 to 1984 with the end proposed to be as early as 1990 but as late as 2001.



2003 년, Millennials Go to College의 Howe and Strauss는 신세대 캠퍼스 전략을 수립하여 천년 세대 학생들을위한 7 가지 특성 특성을 제시했습니다.

(1) 특수,

(2) 보호,

(3) 자신감,

(4) 팀 지향,

(5) 종래의,

(6) 압력을 받고,

(7) 달성.

In 2003, Howe and Strauss, in Millennials Go to College: Strategies for a New Generation on Campus, posited seven specific character traits for students in the Millennial Generation which are 

(1) special, 

(2) sheltered, 

(3) confident, 

(4) team-oriented, 

(5) conventional, 

(6) pressured, and 

(7) achieving. 


많은 저자들은 Howe와 Strauss가 제공 한 Millennial 특성 분석에 동의하고 Millennials를 포함하도록 확장하여 Millennials는 낙관적이고 지능적이며 목표 지향적이며 야심 차고 학습에 관심을 갖고 멀티 태스킹, 문화적 차이에 대한 존중, 공동 작업, 유연성에 대한 욕구, 피드백에 대한 궁핍, 그리고 즉각적인 반응을 예상했다.

Many authors concurred with the Millennial characterization offered by Howe and Strauss and expanded it to include that Millennials are optimistic, intelligent, goal oriented, ambitious, interested in learning, multitaskers, respectful of cultural differences, collaborative, desiring of flexibility, needy for feedback, and anticipatory of immediate response . (Oblinger, 2003; McGlynn, 2005; Taylor and MacNeil, 2005; Wilson, 2005; Borges et al., 2006; Goldman and Schmalz, 2006; Pastorino, 2006; Taylor, 2006; Coates, 2007; Roos, 2007; Gleason, 2008; Lower, 2008; Tarr and Palmer, 2008; Wesner and Miller, 2008; Immerwahr, 2009; Moore, 2009; Sweeney, 2009).


밀레니엄 학생들의 학습 스타일에 관해서는 밀레니엄 학생들은 활동적인 학습자이며, 대규모 그룹보다는 작은 그룹에서 가장 잘 작동하고 테크놀로지를 사용하여 학습하는 것을 선호한다는 것을 보여줍니다 (Prensky, 2001; Dede, 2005; Oblinger and Oblinger, 2005, Sweeney , 2006, Sandars and Morrison, 2007, Croasdale, 2008).

regarding the learning style of the Millennial student reports show that Millennial students are active learners, work best in small rather than large groups, and prefer learning via the use of technology (Prensky, 2001; Dede, 2005; Oblinger and Oblinger, 2005; Sweeney, 2006; Sandars and Morrison, 2007; Croasdale, 2008).


다른 불안한 특성. 학생들은 보고됩니다 (Newton, 2000; Kuh, 2003; Weiler, 2004 Speencer, 2006, Westerman, 2006-2007, Hoover, 2007, 2009, Monaco and Martin, 2007, Sweeney, 2007, UCL, 2008, Considine et al., 2009, Immerwahr, 2009, Twenge, 2009).

    • 자격 부여의 느낌으로 자기애 주의적,

    • unmotivated,

    • 참을성이없는,

    • 부주의 한,

    • 독립 준비가 안된,

    • 학업 적으로 이탈 한

    • 시간 관리, 미디어 활용 능력 및 비판적 사고 기술이 부족합니다.

other disquieting traits. Students are reported to be 

narcissistic with a feeling of entitlement, 

unmotivated, 

impatient, 

incurious, 

unprepared for independence, 

academically disengaged, and 

deficient in time management, media literacy, and critical thinking skills (Newton, 2000; Kuh, 2003; Weiler, 2004; Spencer, 2006; Westerman, 2006– 2007; Hoover, 2007, 2009; Monaco and Martin, 2007; Sweeney, 2007; UCL, 2008; Considine et al., 2009; Immerwahr, 2009; Twenge, 2009).


대부분의 밀레니엄 학생 설문 조사는 보통 하나 또는 두 개의 유사한 기관에서 격리 된 학생 집단으로부터 수집됩니다. 따라서 일반적 조사 대상은 (인구 기반이 다양한 종족, 종교, 민족성, 사회 경제적 배경을 가진 학생들을 포함하지 못하여) 전체적으로 밀레니얼 학 생을 반영하지 않는다고 주장 할 수있다 (Kennedy et al., 2006). 특히, 밀레니엄 학생들의 36 %는 흑인, 히스패닉 또는 아시아계이며,이 세대의 3 분의 1은 한 부모 가정에서 자랐습니다 (Taylor and Keeter, 2009). 밀레니엄 학생 인구의 현재 특성은 지나치게 단순화 될 가능성이 있습니다.

Most Millennial student surveys are collected from isolated student populations usually from one or two similar institutions. It could be argued that the population base generally being surveyed does not reflect the Millennial student body as a whole which includes students from various races, religions, ethnicities, and socio-economic backgrounds (Kennedy et al., 2006). Specifically, 36% of Millennial students are African American, Hispanic, or Asian and one-third of this generation has been raised in a single parent household (Taylor and Keeter, 2009). The current characterization of the Millennial student population is likely to be over-simplified.



테크놀로에 대한 관여와 친화도

Engagement and Facility With Technology


밀레니엄 학생들에 관한 한 가지 도그마는 Millennials가 테크놀로지를 사용하여 광범위한 경험을 쌓아 왔기 때문에 수업 내용이 디지털로 전달되어야한다는 것입니다 (Tapscott, 1999, Carlson, 2005, Sweeney, 2006, Sandars and Morrison, 2007, Croasdale, 2008). 실제로,이 학생 집단에 주어진 'Digital Native'라는 이름은 Millennials의 테크놀로지에 친화력에 대한 불균형을 'Digital Immigrants'(Prensky, 2001)라고 불리는 이전 세대의 구성원과 비교하여 강조하기위한 것입니다. . Dede (2005)는 디지털 이민자가 오래된 교수법을 "unlearn"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주장하지만, 이미 디지털 이민자는 많은 디지털 학습 도구와 컨텐츠 전달 혁신을 창안했습니다. 교육 환경에서 그것을 사용하는 데 능숙한 사람들이 많이 있습니다.

One apparent dogma regarding Millennial students is that instructional content must be delivered digitally because Millennials have grown up having extensive experience using technology (Tapscott, 1999, 2009; Carlson, 2005; Sweeney, 2006; Sandars and Morrison, 2007; Croasdale, 2008). In fact, the ‘‘Digital Native’’ moniker given to this student cohort is meant to accentuate the supposed disparity of the technological facility of Millennials compared with members of previous generations who have been dubbed ‘‘Digital Immigrants’’ (Prensky, 2001). Dede (2005) contends that it is necessary for Digital Immigrants to ‘‘unlearn’’ old teaching methods However, many digital learning tools and content delivery innovations have been created by Digital Immigrants. there are many who are adept at using it in the teaching environment.


마찬가지로 디지털 네이티브들 사이에도 디지털 학습 도구를 사용하려는 욕구와 능력에 대한 스펙트럼이 존재 함이 보고되어 있다(Murphy et al., 2004; Kvavik, 2005; Kvavik and Caruso, 2005; Kennedy et al., 2006; Jones et al., 2010). 또한 Digital Native가 써본 테크놀로지 장비는 교육 환경에서 기술을 갖춘 시설과 동일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기술에 대한 밀레니엄 학생들의 경험은 주로 게임 및 소셜 미디어 기술에 관한 것이다(Kennedy 외., 2006; Margaryan and Littlejohn, 2008; Kolikant, 2010). 게임 기술이 디지털 학습에 필요한 기술로 자동 변환되지 않을 수도 있음이 제안되었는데 (Foerde 외., 2006) 이러한 기술은 학습이 결과 인 경쟁 엔터테인먼트 환경에 놓여있다.

Likewise, it has been documented that a spectrum for both the desire and ability to use digital learning tools exists among Digital Natives (Murphy et al., 2004; Kvavik, 2005; Kvavik and Caruso, 2005; Kennedy et al., 2006; Jones et al., 2010). In addition, facility with electronic devices demonstrated by the Digital Native may not equate to facility with technology in the educational environment. The predominant Millennial student experience with technology has been centered on gaming and social media skills (Kennedy et al., 2006; Margaryan and Littlejohn, 2008; Kolikant, 2010). It has been suggested that gaming skills may not automatically translate into skills requisite for digital learning (Foerde et al., 2006) in that these skills are situated in a competitive entertainment context, not one in which learning is the outcome.


또한 문화적 배경, 사회 경제적 지위, 분야 전문화와 같은 요인들로 인해 기술에 대한 가변적 인 노출의 결과로 Millennial 학생들 사이에 기술적 전문성의 차이가 존재한다 (Kvavik and Caruso, 2005; Bennett et al ., 2008). 마지막으로, 영국의 Joint Information Systems Committee (JISC, 2007)에 의해 위탁 된 연구는 특별한주의를 기울일 가치가있는 발견을 포함했다; 밀레니엄 학생의 테크놀로지 사용 경험이 자동적으로 전통적인 형태의 교육학과의 단절을 초래하지는 않습니다.

In addition, it has been proposed that differences in technological expertise among Millennial students exist as a result of variable exposure to technology due to factors such as cultural background, socio-economic status, and discipline specialization (Kvavik and Caruso, 2005; Bennett et al., 2008). Finally, a study commissioned by the United Kingdom’s Joint Information Systems Committee (JISC, 2007) included a finding worthy of special note; Millennial student engagement with technology does not automatically result in their disengagement with traditional forms of pedagogy.


고려해야 할 또 다른 요소는, 실제로 전문직 교실에서 밀레니엄 학생들의 구성 비율입니다 (Pastorino, 2006). Post-baccalaureate 수업은 단일 세대의 학생들로만 구성되지는 않습니다.

Another factor to consider is exactly what percentage within a cohort of students is actually composed of Millennial students especially in professional classrooms (Pastorino, 2006). Postbaccalaureate classes are unlikely to be comprised solely of students from a single generation.



멀티테스킹

Multitasking


Millennial 학생들은 멀티 태스킹 능력으로 인해 놀라운 생산성을 발휘할 수 있다는 평을 받았습니다. Prensky는 "... 기술과 상호 작용하는 사람들의 두뇌는 종종 그 상호 작용에 의해 재구성 될 것입니다."(Prensky, 2009). 즉, 디지털 기술의 사용은 근본적으로 신경 경로를 바꿀 수 있습니다.

Millennial students are lauded for being capable of extraordinary productivity as a result of their ability to multitask. Prensky states ‘‘...the brains of those who interact with technology frequently will be restructured by that interaction’’ (Prensky, 2009). In other words, the use of digital technology can fundamentally alter neural pathways.


사실, 이러한 데이터 중 일부는 멀티 태스킹의 추정된 "기술"이 학습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있음을 나타냅니다 (Foerde 외., 2006).

In fact, some of these data indicate that the presumed ‘‘skill’’ of multitasking is likely to have a negative impact on learning (Foerde et al., 2006).


비디오 게임이 근본적으로 시각적 인 측면을 수정한다는 연구 결과가 있습니다. 본질적으로, 연습을 통해 빠르게 제시되는 자극에 대한 반응 시간을 향상시킬 수 있습니다. 그러나 (비디오 게임에서 얻게 되는) [각 연구에서 실제로 인식되는] 이점이 학습에 어떤 식으로든 외삽하는 것 까지 입증되지는 않았습니다.

Several studies have demonstrated that video game playing fundamentally modified aspects of visual attention. In essence, with practice, one can improve reaction times for rapidly presented stimuli. The perceived benefit of practice, in each study, was not proven to extrapolate to learning in any way.


이중 작업 조건 하에서, 뇌 활동 (즉, 정보 처리)은 선언적 기억 및 유연 학습flexible learning과 관련된 영역에서 벗어나서 습관 학습habit learning을 유도하는 영역으로 향했다. 학생들은 자신의 경력 과정에서 지속적인 지식과 기술 습득을위한 전문적인 요구 사항을 고려할 때 학습 과정에 참여하면서 관심을 나누는 것을 재검토하고 싶어 할 수 있습니다.

Under dual task conditions, brain activity (i.e. information processing) was directed away from the region associated with declarative memory and flexible learning to a region that facilitates habit learning. Students may want to reconsider dividing their attention while engaged in the learning process particularly given the professional requirement for continued knowledge and skills acquisition over the course of their career.



독서
Reading


이 세대는 디지털 미디어 (DVD, 전자 책, 인터넷 및 모바일 기술)를 통한 지식의 분열에 영향을 받아 네러티브를 사운드 비트로 축소시켰으며, 이는 집중력의 저하 및 reading as literacy의 미디어 리터러시로의 전환으로 이어졌습니다 (considine et al., 2009). 그것은 종종 읽지 않아도 되는 디지털 자원으로 학습하는 밀레니얼 학생 선호에 대한 결과로 제시됩니다 (Oblinger and Oblinger, 2005; Sweeney, 2006). 그러나 독서는 학습에 필수적이며 정보에 입각 한 현재 및 미래의 전문적인 성공에 필수적입니다. 미국 국립 독서 예술 기금 (NEA) 보고서는 밀레니엄 학생들이 독서를 하지 않는다는 주장을 뒷받침하기 위해 종종 읽혀집니다. NEA 보고서에는 밀레니얼 인구의 문학 독서가 감소했음을 보여주는 자료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NEA, 2004). 이 보고서의 기초는 지난 12 개월 동안 문학 독서에 헌신 한 시간에 관한 질문을 포함하는 설문 조사였다. 문학 독서는 소설, 단편 소설, 연극 또는 시로 제한된 독서로 정의되었습니다. 응답자들은 학교 나 직장에 헌신적 인 독서를 배제하도록 지시 받았다. 그러나 Millennial Generation에 대한 독서가 10 %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으나, 실제로는 모든 세대 별 코호트의 독서가 10 % 감소했습니다.

This generation more than any other has been influenced by the disaggregation of knowledge through digital media (DVDs, eBooks, the Internet, and mobile technologies) that has reduced narratives to sound bites and resulted in diminished attention spans and a shift from reading as literacy to media literacy (Considine et al., 2009). It is often put forward as a corollary to the Millennial student preference for learning with digital resources that they do not read (Oblinger and Oblinger, 2005; Sweeney, 2006). Yet, reading is fundamental to learning and requisite for informed current and future professional success. Statistics from the 2004 National Endowment for the Arts (NEA) report on reading in America are often referenced to support the claim that Millenial students do not read. The NEA report contained data that revealed a decline in literary reading in the Millennial population (NEA, 2004). The basis of the report was a survey that included questions on the amount of time devoted to literary reading in the preceding 12 months. Literary reading was defined as reading limited to novels, short stories, plays, or poetry. Respondents were directed to exclude any reading devoted to school or work. While the data showed a 10% decline in reading for the Millennial Generation, it showed an equal 10% decline in reading for every generational cohort.


사실, 이후 NEA에서 읽는 2007 년 보고서는 교육 과제에 요구되는 것으로 정의 된 의무 독서를 고려했습니다. 특히 데이터는 학교에서, 그리고 숙제를 위해 하루에 읽은 페이지 수가 실제로 증가했다는 것을 보여주었습니다 (NEA, 2007).

In fact, subsequently, the 2007 report on reading from the NEA took compulsory reading, defined as that required for educational assignments, into consideration. Notably, data showed that overall the number of pages read per day in school and for homework by Millennial students has actually increased (NEA, 2007).


디지털 미디어를 통해 읽을 수있는 읽을 수있는 콘텐츠의 양을 감안할 때 현재 학생들이 이용할 수있는 방법과 내용은 10 년 전 학습 환경의 학생들이 이용할 수 있었던 것과는 다릅니다.

Given the amount of readable content available via digital media, how and what is available now for students to access differs from that which was available for students in the learning environment a decade ago.


또 다른 영국 연구에 따르면 학생들은 연구를 위해 '인터넷만으로 충분합니다'라고 느끼곤 한다(Kolikant, 2010). 그러나 '어려운' 과제에 대한 조사를 할 때 그들은 온라인과 텍스트 북 자원의 조합을 사용하여 정보를 검색했습니다. 이러한 축적 된 결과를 고려할 때, 밀레니얼 학생들은 그들의 학습 전략 중 글 읽기textual reading를 거부하고 있다고 주장하는 것은 과장된 표현 일 수 있습니다.

Another British study reported that students felt with ‘‘an assignment amounting to just a few pages...the internet is sufficient’’ for research (Kolikant, 2010). However, when doing research for more ‘‘serious’’ assignments, they searched for information using a combination of online and text book resources. With these accumulated findings taken into consideration, it is likely an overstatement to claim that students from the Millennial Generation are resistant to including textual reading among their learning strategies.



비판적 사고

Critical Thinking


비판적 사고 능력은 21 세기 직장에서의 전문적인 성공의 열쇠입니다 (P21, 2011). Millennial Generation의 학생들은 아마도 20 세기 말에 학습 이론의 급속한 발전을 감안할 때 광범위한 교수법을 경험 한 최초의 세대 일 것이며, 아마도 미국 역사상 가장 검증 된 세대 일 수 있다고 주장 할 수 있습니다 . 이러한 [과도한] 시험testing은 (21 세기 고용주의 주요 관심사인) 비판적 사고 감소의 원인으로 제안되었습니다 (Spellings, 2006).

The ability for critical thinking is key for professional success in the 21st century workplace (P21, 2011). It can be argued that students of the Millennial Generation are probably the first generation to have experienced a wide range of teaching methods given the rapid advancement of learning theories in the end of the 20th century, and they are possibly the most tested generation in US history. Such testing has been suggested as a cause for reduced critical thinking, a primary concern for 21st century employers (Spellings, 2006).


비판적 사고의 과정은 추론의 과정과 관련이있다.

    • 전문가의 경우 임상 적 추론에는 이전 경험과 함께 관련 지식을 패턴 인식하여 전형적인 조건을 신속하게 평가할 수있는 귀납적 추론이 포함됩니다 (Maudsley and Strivens, 2000). 이러한 인식 패턴은 "스키마"(Sweller, 1988)라고도 불리며 정보의 덩어리를 구성합니다. 전문가가 발전할수록 접근 할 수있는 관련 정보의 덩어리가 커진다 (Sweller, 1998). 전문가들은 귀납적 추론이 실패 할 때, 문제 해결을 위해 귀납적 추론과 연역적 추론을 전환한다 (Maudsley and Strivens, 2000). 

    • 초보자는 스키마를 작성하기위한 기초 지식과 경험이 부족합니다. 그들은 hypothetico-deductive reasoning을 사용하여 가설로부터 후향적으로 작업한다. 초보자에게 문제 해결을위한 미리 결정된 스키마를 제공하면 자신의 전문적인 비판적 사고의 개발을 위해 적절한 지식과 경험을 독립적으로 합성 할 수있는 능력이 제한 될 수 있습니다.

The process of critical thinking is linked to the process of reasoning. For the expert, clinical reasoning involves inductive reasoning in which pattern recognition of relevant knowledge along with previous experience facilitates rapid assessment of typical conditions (Maudsley and Strivens, 2000). These patterns of recognition, also referred to as ‘‘schemas’’ (Sweller, 1988), constitute chunks of information. The more advanced the expert, the larger the chunk of relevant information that can be accessed (Sweller, 1998). For experts, when inductive reasoning fails problem solving involves switching between inductive and deductive reasoning (Maudsley and Strivens, 2000). The novice lacks the foundational knowledge and experience to create schemas. They use hypothetico-deductive reasoning to work backward from a hypothesis. Providing the novice with predetermined schemas for problem solving may limit their ability to independently synthesize appropriate knowledge and experience for the development of their own expert critical thinking.


헬스케어의 지속적인 발전은 실무 전문가가 현재 자신의 분야에서 현재 상태를 유지하고 가장 진보 된 지식을 독립적으로 확인할 수 있어야합니다. 이 지식의 타당성을 검증하기 위해서는 1 차적 문헌에 대한 비판적인 분석이 필요합니다. Millennial 학생 인구 내에서 미디어 리터러시 기술은 약하다는보고가있다 (Weiler, 2004; UCL, 2008; Considine et al., 2009; Hargittai et al., 2010, Kolikant, 2010). 밀레니엄은 WikipediaTM (Wikimedia Foundation Inc., 샌프란시스코, CA) 및 YouTube ™ (YouTube, LLC, San Bruno, CA)에 의해 예견된 융통성없는 인터넷 자원에 놀라운 노출로 성장해 왔습니다. Millennial 학생들은 [빠르게 최소한의 노력으로 큰 이익을 얻는 것]을 선호하며, 이는 그들을 [최초의, 가장 쉽게 얻어진 정보원을 선택하는 경향]을 갖게 했다 (Newton, 2000; Kuh, 2003). 넓게 봤을 때, Millennials는 비평 할 기술이 부족하고, 무엇이 valid하고 무엇이 그렇지 않은지를 판단하는 기술이 부족한 것처럼 보여서, 전략적으로 교육을 통해 이것을 길러줘야 할 것을 제안한다.

Ongoing advances in health care necessitate that practicing professionals, to remain current in their field, must be capable of independently ascertaining the most advanced knowledge. Verifying the validity of this knowledge requires critical analysis of primary literature. It has been reported that media literacy skills within the Millennial student population are weak (Weiler, 2004; UCL, 2008; Considine et al., 2009; Hargittai et al., 2010; Kolikant, 2010). Millennials have grown up with astonishing exposure to unvetted internet resources exemplified by WikipediaTM (Wikimedia Foundation Inc., San Francisco, CA) and YouTubeTM (YouTube, LLC, San Bruno, CA). The predilection for Millennial students is to make big gains quickly and with minimal effort (Newton, 2000; Kuh, 2003) which has conditioned them to select the first or most easily available information resource. In large measure, Millennials appear to lack the skill to critically analyze information and determine what is and is not valid (Selwyn, 2008; Considine et al., 2009) which suggests that strategic curricular strategies should be considered to develop these skills.



프로페셔널하지 못한 행동

Unprofessional Behaviors


Millennial 학생이 특성이 어떻든, 일단 전문 교육과 훈련을 받기로 선택하면 자신이 선택한 직업에 의해 정의 된 행동 기준을 유지해야 할 의무를 인식해야 합니다. 모든 전문 분야는 표준을 유지할 것으로 기대된다 (Cusimano, 1996; Lovas et al., 2008)

Regardless of which character traits are determined to be accurate for the Millennial student, once they choose to progress to professional education and training they must recognize their obligation to maintain the behavioral standards defined by their chosen profession. Every professional field is expected to maintain standards (Cusimano, 1996; Lovas et al., 2008)


적절한 프로페셔널한 행동의 습득이 어떻게 훈련 과정에서 없어 졌는가? 미국의 18 세기 의학 교육은 공식 커리큘럼의 일부인 '견습 (Apprenticeship)'모델을 통해 전문적인 행동에 대한 교육을 통합했다. 각 학생은 교육의 상당 부분을 담당하는 개별 의사의 뒤를 따라다닌다. 의사 견습생은 전문적인 행동, 윤리 및 도덕뿐만 아니라 적절한 환자/의사 상호 작용이 무엇인지에 대해 의도적으로 guide 되었습니다. 의학 교육을 표준화 한 1910 년의 Flexner 보고서는 과학 지식의 전달에 소요되는 시간을 늘려놓았다 (Flexner, 1910; Rothstein, 1987; Mitka, 2010). 근본적으로 ''견습 (Apprenticeship) ''형식의 의학교육 모델은 기본적으로 '2 + 2'모델이 되었습니다.

How did the acquisition of appropriate professional behaviors get lost in the process of training? Eighteenth century medical education in the United States incorporated training in professional behaviors through an ‘‘Apprenticeship’’ model which was part of the formal curriculum (Rothstein, 1987). Each student shadowed an individual physician for a significant portion of their training. The physician apprentice was purposefully guided in appropriate patient/physician interactions as well as professional behaviors, ethics, and morals. The 1910 Flexner report, which standardized medical education, also lengthened the time devoted to the delivery of scientific knowledge (Flexner, 1910; Rothstein, 1987; Mitka, 2010). The essentially ‘‘Apprenticeship’’ model of medical training morphed to a model that was basically a ‘‘Two plus Two’’ model.


2 년의 교육 기간이 기초 지식 습득에 할당되면서, 의사 지식과 환자 상호 작용 관찰을 통해 적절한 전문적 행동을 배울 수있는 'Apprenticeship'훈련에 헌신하는 시간이 감소하였다. 원래 이 시기는 환자/의사 상호작용을 관찰하며 배우는 기회가 있었다. 임상 교육에서 환자와 의사의 상호 작용은 남은 2 년간의 훈련으로 대부분 이관되었습니다. 19 세기가 진행됨에 따라 의료의 근대화로 인해 주로 치료는 점차 사무실/가정에서 병원으로 이동하였다(Rothstein, 1987). 이것은 학생들이 임상에 노출되는 환경을 더 변화시켰고, 더 견습 훈련을 감소시켰습니다. 대부분의 학생과 의사의 상호 작용은 병원 환경에 국한되었습니다. 따라서, 학부 의학 커리큘럼은 전문적인 행동에 대한 공식적인 훈련을 최소화하는 방식으로 발전했습니다.

Approximately, the first two years of training were designated predominantly for the acquisition of foundational knowledge with a concomitant decrease in the time devoted to ‘‘Apprenticeship’’ training in which students had the opportunity to learn appropriate professional behaviors through observation of physician/ patient interactions. Interactions with physicians in clinical training were largely relegated to the remaining two years of training. As the 19th century progressed, modernization of healthcare moved treatment from primarily an office/home setting to one that was hospital based (Rothstein, 1987). This dramatically changed the environment in which students received clinical exposure and further diminished apprenticeship training. The majority of student/physician interactions were limited to the hospital setting. Thus, the undergraduate medical curriculum evolved in a way that minimized formal training in professional behaviors.


현재의 의학 교육 시스템에서 학생들이 프로페셔널한 행동 및 전문직 정체성을 개발하는 대부분의 input은 "숨겨진 커리큘럼"이다.

in the current medical education system, students receive most of their input regarding professional behaviors and the development of their ‘‘Professional Identity’’ (Cribb and Bignold, 1999) through the ‘‘hidden curriculum’’ (Hafferty and Franks, 1994; Turbes et al., 2002; Lempp and Seale, 2004; Chuang et al., 2010) rather than through explicitly delineated program requirements within the formal curriculum.


행동 기준 또는 "전문직 정체성"의 습득은 필수 지식을 전달하는 것과 마찬가지로 공식 커리큘럼에서 필수적인 구성 요소가되어야합니다 (Cruess and Cruess, 1997). 해부학 과정은 초기 의학 커리큘럼에서 '직업적 정체성'교육의 요소를 도입 할 수있는 하나의 수단으로 확인되었습니다 (Escobar-Poni and Poni, 2006; Lachman and Pawlina, 2006; Pangaro, 2006; Pawlina, 2006). Swartz, 2006; Swick, 2006; Warner and Rizzolo, 2006; Bo ckers et al., 2010; Pearson and Hoagland, 2010).

Training students in behavioral standards, or in acquiring their ‘‘Professional Identity,’’ should be as integral a component in the formal curriculum as is delivery of requisite knowledge (Cruess and Cruess, 1997). The anatomy course has been identified as one possible vehicle through which to introduce elements of ‘‘Professional Identity’’ training in the early medical curriculum (Escobar-Poni and Poni, 2006; Lachman and Pawlina, 2006; Pangaro, 2006; Pawlina, 2006; Swartz, 2006; Swick, 2006; Warner and Rizzolo, 2006; Bo¨ ckers et al., 2010; Pearson and Hoagland, 2010).


많은 분야에서 역량 평가만을 위한 성과만을 사용하는 것이 그 약속을 성취하지 못했고 정의 된 표준의 명확한 clarification의 반복만이 되었다는 증거가 있습니다 (Wolf, 2001). 최근에는 적절한 역량 평가 도구가 존재하더라도 그 해석에 일관성이 없다는 것이 지적되고 있습니다 (Green and Holmboe, 2010). 또 다른 지적은 성과 목록 평가에만 전적으로 의존하는 것은 지식과 기술에만 초점을 맞추는 결과를 낳는다는 것이다 (Wass et al., 2001; Whitcomb, 2007)

In many fields, there is evidence that using outcomes alone for competency assessment has not fulfilled its promise and has become a cycle of ever increasing clarification of defined standards (Wolf, 2001). Recently, a case has been made that, although in the field of medicine adequate competency assessment instruments exist, there is inconsistent interpretation and use of them (Green and Holmboe, 2010). Others caution that relying solely on assessing lists of outcomes focuses on testing knowledge and skills (Wass et al., 2001; Whitcomb, 2007)


전직 '견습'교육 모델 하에서 연수생들은 knows, knows how, shows how 등을 평가 받았다. 그러나 견습 모델(the Apprenticeship Model)에서는 비판적 사고 능력의 평가에도 상당한 기회를 제공했다. 멘토는 환자를 치료하는 과정에서 학생들과 협력하여 실제로 지식, 기술 및 행동을 통합하는 방법에 대한 학생의 이해를 평가했습니다. Knows, Knows how, Shows how에 대한 평가는 성과에 초점을 둔 역량 평가에 쉽게 복제duplicate될 수 있다(Miller, 1990). 그러나 어떤 교육 단계에서도, 지식과 기술 만의 시연에 기반을 둔 역량 평가는 본질적으로 학생들의 비판적 사고 능력을 평가하지 못합니다. 이는 이미 천년 학생들에게 취약한 기술입니다. 비판적 사고와 임상 추론의 개발은 특히 전문 교육 분야의 주요 목표로 통합되어야한다 (Norman, 2005, 2006, ElizondoOman ~ a and Guzma'n-Lo'pez, 2008, Elizondo-Oman ~ a et al., 2010 ).

Under the former ‘‘Apprenticeship’’ model of education, trainees were assessed on their acquisition of ‘‘knows,’’ ‘‘knows how,’’ and ‘‘shows how’’ knowledge and skills. The ‘‘Apprenticeship’’ model, however, also provided substantial opportunities for the assessment of trainees’ critical thinking skills. Mentors worked with students in the process of treating patients and assessed student understanding of how to integrate their knowledge, skills, and behaviors in practice. Assessment of ‘‘knows,’’ ‘‘knows how,’’ and ‘‘shows how’’ knowledge and skills can be easily duplicated with competency assessments focused on outcomes (Miller, 1990). However, competency assessment based on demonstration of knowledge and skills alone, at any level of education, essentially neglects the evaluation of the students’ critical thinking skills—a skill already shown to be weak in Millennial students. The development of critical thinking and clinical reasoning should be incorporated as a major objective especially in professional education (Norman, 2005, 2006; ElizondoOman˜ a and Guzma´ n-Lo´ pez, 2008; Elizondo-Oman˜ a et al., 2010).



학습 스타일

Learning Style


많은 교육 기관에서는 학생들에게 최적의 지식 습득에 가장 효과적인 학습 전략을 결정하는 데 도움이되는 특성 또는 학습 스타일 평가를 제공합니다. 학습자의 성격과 학습에 가장 중요한 특성을 이해하는 것이 가장 중요합니다. 이 평가 도구의 대부분은 응답자가 자신이 가장 많이 기울이는 한 쌍의 반대 행동의 극에 대해 자기보고를하는 것을 기본으로합니다 (Felder, 1996; Reynolds, 1997; Coffield et al., 2004). 이러한 평가에 의해 생성 된 정보는 절대적이지 않다 (Coffield et al., 2004).

Many institutions provide students with personality or learning style assessments to help them determine which learning strategies would be most effective for optimal knowledge acquisition. Understanding the nature of the learner and those characteristics most critical for learning is paramount. The majority of these assessment instruments are based on having the respondent self-report toward which pole of a pair of opposite behaviors they are most inclined (Felder, 1996; Reynolds, 1997; Coffield et al., 2004). The information generated by these assessments is not absolute (Coffield et al., 2004).


학습 스타일 평가에 관한 발표 된 데이터는 그들이 선택하는 학습 전략과 관련하여 Millennial 학생 하위 집단 내에 다양성이 있음을 보여줍니다 (Murphy et al., 2004). 학생들 사이의 학습 스타일 차이는 다양한 학습 환경, 자원 또는 징계 내용을 가진 개별 경험을 반영 할 수 있습니다. 특정 직업이 종종 비슷한 핵심 성격 특성을 가진 개인을 끌어 들이고 있다고 생각하십시오. 아마도 각 보건전문직군마다 학생의 독특한 학습 경향이있을 수 있습니다

Published data on learning style assessments demonstrate there is diversity within Millennial student subpopulations in regard to which learning strategies they choose (Murphy et al., 2004). Learning style differences among students may reflect individual experiences with a variety of learning environments, resources, or discipline content. Consider that particular professions often attract individuals with similar core personality traits. Conceivably, there may be a unique learning predisposition among students in each of the health care professions


개인 학습 스타일 선호도를 알면 학생들이 다양한 콘텐츠 전달 방법에 접근하는 방법을 인식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학생들이 자신의 선호를 더 잘 인식할수록, 자신의 학습 전략을 consciously 계획 할 가능성이 높아집니다. 그러나 학생들이 자신이 선호하는 방식으로만 배워야 한다고 느끼지 않도록 주의해야합니다. 오히려 학생들은 자신의 학습을 위해 개인적인 책임을 져야합니다. 콘텐츠 전달에서 다양성을 사용하면 학생들에게 다양한 학습 전략을 제공 할 수 있습니다.

Knowing their personal learning style preferences may aid students in recognizing how to approach various content delivery methods. The more aware the students are of their preferences, the more likely they are to consciously plan their study strategy. However, care should be taken that students do not begin to feel entitled to be taught solely in their preferred style. Rather, students need to take personal responsibility for their own learning. The use of variety in content delivery can provide students a complete spectrum of learning strategies.


프로페셔널 지위에 도달한 이후에는, 청각 및 비주얼을 비롯한 다양한 형식으로 새로운 정보를 접하게 되므로, 학생들에게 복합적인 정보 처리 기술이 필요합니다 (Felder, 1996). 전문가는 어떤 방식으로 정보를 접하더라도 동등한 수준의 친숙도로 그것을 처리 할 수 ​​있어야합니다. 학생들이 자신이 선호하는 스타일로만 학습하도록 허용하면 평생 학습을 위해 준비하기에 충분하지 않습니다.

once professional status is attained, new information will be encountered in a variety of formats including text, auditory as well as visual which will require that students have multimodal information processing skills (Felder, 1996). Professionals must be capable of processing all manner of information with equal facility. Allowing students to learn in their preferred style only, will be insufficient to fully prepare them for life-long learning.


FUTURE DIRECTIONS


교육 재설계

Issues Impacting Instructional Redesign


테크놀로지 혁신을 동반한 학습 향상

Advancing Learning With Technological Innovation


Millennial 학습자들의 유비쿼터스 기술에 대한 열망으로 인해, 교육자들은 (특정 목적을 지원하기 위해 활용할 때 상당한 학습 효과를 보인 모바일 시스템을 포함하여) 자유롭게 접근 할 수있는 교육 기술을 식별하고 사용하는 데 어려움을 겪고 있습니다 (Naismith et al., 2004).

The desire for ubiquitous technologies which Millennial learners embrace challenges educators to identify and use instructional technologies that can be accessed freely (Kemelgor et al., 2000; Cross, 2003; Norris et al., 2003; Oblinger, 2003) including mobile systems that have shown significant learning gains when utilized to support specific objectives (Naismith et al., 2004).


교수의 선호도를 고려해야하는 반면, 21 세기의 학습자가 전문 기술과 지식을 개발할 때 지원할 수있는 기술 통합을위한 네 가지 일반적인 동인이 있습니다.

While faculty preferences must also be considered, there are four general drivers for technology integration that can support the 21st century learner as they develop professional skills and knowledge.


첫째, 기술은 리허설과 연습을 통해 학습의 decay를 예방할 수 있습니다. 대부분의 학습은 대부분의 학습자가 서로간에 비공식적 인 상호 작용, 내용 및 사용 가능한 리소스를 통해 교실 밖에서 발생합니다. 학생들은 스스로 배우는 방법이나 자신의 전문성 개발을 뒷받침 할 수있는 자원을 어디에서 찾을 수 있는지 숙련되지 않았을 수 있다. 자원에 대한 지침을 제공하고 텍스트 및 수업 노트를 인쇄 할 수있는 대안을 제공하면 학생들이 자신의 시간에 맞춰 배우고, 자신의 전문직 커리어를 유지할 수있는 마음의 습관을 갖게 될 가능성이 크게 커집니다. 논쟁, 문제 해결, 연구, 심지어 수업 외의 경쟁 기회를 제공함으로써 학생들은 자신의 지식발전을 적용하고 성찰할 수 있습니다. 표 1은 자유롭게 사용할 수있는 인터넷 자원의 예를 통해 학습자를 지원하는 다양한 유형의 도구를 보여줍니다.

First, technology can assist to prevent decay of learning through rehearsal and practice. Much learning, if not most of it, occurs outside the classroom through informal interactions between learners with each other, content, and available resources. Students may not be prepared or skilled in how to learn on their own or where to locate resources that can support their developing expertise. Providing directions to resources and offering alternatives to print text and class notes greatly expands the likelihood that students will take it on themselves to learn on their own time, a habit of mind that will sustain them over their professional career. Providing opportunities for debating, problem solving, research, and even competition outside of class can allow students to apply and reflect on their developing knowledge. Table 1 illustrates how different types of tools support the learner with examples from freely available internet resources.



둘째, 기술을 통해 학생들은 자신이 배운 것을 문서화하고, 소유하고, 공개 할 수 있습니다. 학생들이 배우는 것의 대부분은 프로그램 구성 (파절 된 프로그램, 순서가 벗어난 코스 등)의 결과로 파편화 될 수 있습니다. 학생들은 서점에 텍스트를 대여하거나 팔고, 플래시 드라이브를 잃어 버리고, 노트북을 놓습니다. 개인 학습 네트워크와 전자 포트폴리오는 학습자가 제작하고 성취 한 것뿐만 아니라, (밀레니엄 세대에게 자연스러운 접근방식인)동료들의 프로페셔널 네트워크를 추적하는 데에도 도움이되는 체계적인 전략입니다.

Second, technology can allow students to document, own, and reveal what they have learned. Much of what students learn may be fragmented as a result of program organization (fractured programs, courses taken out of order, etc.). Students rent or sell back their texts to bookstores, lose flash drives, and misplace notebooks. Personal learning networks and electronic portfolios are systematic strategies that can assist learners in keeping track not only of what they produce and accomplish but also the professional networks of peers which can be accessed in ways that are natural for the Millennials.


셋째, 기술, 특히 Web 2.0 도구는 학생들이 동료, 강사 및 전문가와 상호 작용하고 의사 소통하는 것을 도울 수 있습니다. 밀레니엄 학생들은 휴대 전화를 통해 서로 유비쿼터스 연결을 유지하며 다른 세대와 달리 자신이 아는 바, 그들이하는 일, 다른 사람들이 하고있는 바를 검증하기 위해 친구들로부터 더 많은 피드백을 얻습니다 (Brown and Duguid, 2000). 그들은 또한 피드백에 대한 기대를 가지고 있으며, 그것 없이는 자신의 진보나 성취에 대한 오해가있을 수 있습니다. 강사는 기술을 통해 피드백과 상호 작용을 제공하여 잠재적으로보다 효과적인 교수법을 개발하고 학습자의 참여를 높일 수 있습니다 (표 2). 동료와 전문가는 학생의 지식을 authentic and public한 방식으로 검증하는 많은 전략을 통해 가치있는 피드백을 제공 할 수 있습니다. 소셜 네트워킹은 학생들이보다 폭 넓은 대화의 맥락에서 아이디어를 평가할 수있는 방법을 제공합니다.

Third, technology, particularly Web 2.0 tools, can help students interact and communicate with peers, instructors, and experts. Millennial students have a ubiquitous connection with each other through their mobile phones and unlike any other generation they get more feedback from their peers to verify what they know, how they are doing, or what others are doing (Brown and Duguid, 2000). They also have an expectation for feedback and without it may have misconceptions about their progress or achievements. Instructors can provide feedback and interaction through technology in ways that can potentially make the work of teaching more efficient and increase learner’s engagement (Table 2). Peers and experts can provide valuable feedback through many of these strategies validating student knowledge in an authentic and public manner. Social networking provides a way for students to assess their ideas in the context of a broader dialogue.




넷째, 마지막으로 기술 (특히 온라인 도구)은 학습자가 정보에 액세스 할 가능성이 높은 방식으로 정보를 구성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학습자는 이미 자신의 스타일과 개인 취향에 맞게 디지털 및 소셜 미디어를 사용하여 개인 생활을 스스로 구성합니다. 디지털 자료, 성취 및 연결을 조직하도록 돕는 것은 교실 및 코스 활동 이외의 학습 이전을 지원합니다. 개인 학습 네트워크 (PLN)를 만드는 것은 밀레니엄 학생들의 유비쿼터스 기술 접근에 대한 선호도를 활용합니다. PLN은 관리 시스템, 과정 또는 권한에 의해 조정되지 않는 분산 된 상호 연결된 사람 및 서비스입니다 (Yang and Yuen, 2010). 가장 단순한 PLN은 중앙 집중식 방식으로 느슨하게 연결된 도구 모음입니다 (그림 1). 무엇보다 PLN은 그것을 만든 학생이 졸업하고 난 후에도 지속적으로 학생의 소유로 남아 있게 된다. 학생들이 익숙하고 편안하게 사용할 수있는 도구를 사용하면 학생 커뮤니케이션, 상호 작용 및 이후에 학습이 향상 될 가능성이 커집니다.

Fourth, and finally, technology—particularly online tools—can help the learner organize information in ways they are more likely to access it. Learners already self-organize their personal lives using digital and social media building upon their style and personal preferences. Helping them to organize their digital materials, accomplishments, and connections supports transfer of learning beyond the classroom and course activities. Creating personal learning networks (PLNs) taps into the Millennial students’ predilection for ubiquitous technology access. PLNs are distributed, interconnected people, and services not mediated by a management system, course, or authority (Yang and Yuen, 2010). At their simplest, PLNs are a collection of tools that are loosely connected in some centralized manner (Fig. 1). Most importantly, they are owned by their creators and remain with them long after they leave the institution. By using tools with which students are familiar and comfortable, it is more likely that student communication, interaction, and subsequently C learning will be enhanced.



교육의 구조를 재구조화 하기 위해 고려해야 할 근본 요인

Fundamental Factors to Consider in Reframing the Structure of Education


변화를 고려할 때 다음의 네 가지 요소를 고려하라

When contemplating changes in the advancement of instructional design four factors should be considered.


지식 습득을 위한 학습 스타일

Student learning styles for acquisition of knowledge.


개인은 학습 스타일 선호도의 독특한 세트를 가지고 있지만 유사한 학습 특성을 가진 학생들은 일반적으로 특정 분야의 학습이나 교육 프로그램에 끌릴 수 있습니다. 특정 학생 집단의 학습 특성을 파악하고 학습 촉진을 위한 지침 혁신에 초점을 맞 춥니 다.

While individuals have unique sets of learning style preferences, students with similar learning characteristics may be commonly attracted to particular fields of study or educational programs. Know the learning characteristics of your specific student cohort and focus on those for instructional innovation to facilitate learning.


테크놀로지에 대한 학생의 적성

Student aptitude for learning with technology.


Millennial Generation을 포함한 모든 세대의 학생들은 교육 기술을 사용할 수있는 능력에 상당한 격차가 있다. 어떤 코호트의 학생들도 교육 기술 사용과 관련하여 동일하지 않은 기술을 가지고 있음을 인식하십시오. 일반 교육 프로그램, 전문 소프트웨어 및 기술 혁신의 사용을위한 교육 또는 최소한의 온라인 교육을 제공하십시오. 이것은 테크놀로지에 덜 익숙한 학생들도 익숙하지 않은 패러다임으로부터 배우는 것을 촉진 할 것입니다.

Students from every generation, including the Millennial Generation, indicate via self-assessment a fairly large disparity in the ability to use various types of educational technology. Recognize that students in any cohort have unequal skill with regard to the use of educational technology. Provide hands on training or at a minimum online instruction for the use of general educational programs, specialized software, and technological innovations. This will facilitate learning from unfamiliar paradigms for students that are less technologically proficient.


비판적 사고에 대한 능력

Student ability for critical thinking.


학생들은 신뢰할 수 있는 수집한 정보를 어떻게 식별, 습득, 조립하는지, 그리고 수집된 정보, 사고 및 데이터를 비판적으로 분석하는 방법을 이해해야합니다. 학생들은 자신이 배운 것을 분석하고 통합 할 수있는 능력을 일찍 평가해야합니다. 온라인 운동은 이와 관련하여 학생들을 훈련시키는 데 유용 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얼굴을 맞댄 상호작용이 학생이 이 목표를 얼마나 잘 달성했는지를 판단하는 데 가장 효과적 일 수 있습니다. 이 분야에서 약한 사람들에게는 training이 이 분야에서 성공하는데 결정적일 수 있습니다.

Students must understand how to identify, acquire, and assemble reliable, vetted information and subsequently how to critically analyze the collected information, thoughts, and data. Students should be assessed early and often for their ability to analyze and integrate what they have learned. Online exercises can be useful to train students in this regard; however, face to face interaction is likely to be most effective in determining how well a student has met this goal. For those weak in this area, training could prove critical to success in their field.


전문직 정체성 개발을 위한 학생 행동

Student behaviors for development of ‘‘Professional Identity’’.


학생이 훈련을 받고있는 분야에서 기대되는 "직업적 정체성"행동의 명시 적 묘사는 공식 커리큘럼에 통합되어야합니다. 학생들은 자신이 약한 행동 영역을 파악하고 개선의 기회를주기 위해 적절한 행동을 훈련 할 수 있도록 전문가 및 동료 평가를 통해 피드백을 제공받아야 합니다.

Explicit delineation of ‘‘Professional Identity’’ behaviors that are expected by the field of study for which a student is being trained should be incorporated into the formal curriculum. Students should be provided feedback through professional and peer evaluation to identify behavioral areas in which they are weak as well as training in appropriate behaviors to give them opportunity for improvement.


Green ML, Holmboe E. 2010. Perspective: The ACGME toolbox: Half empty or half full. Acad Med 85:787–790.









 2011 Jul-Aug;4(4):214-26. doi: 10.1002/ase.240. Epub 2011 Jul 6.

Demystifying the Millennial student: a reassessment in measures of character and engagement in professional education.

Author information

1
Department of Anatomy, Philadelphia College of Osteopathic Medicine, Philadelphia, Pennsylvania 19131, USA. camilled@pcom.edu

Abstract

The characteristic profile of Millennial Generation students, driving many educational reforms, can be challenged by research in a number of fields including cognition, learning style, neurology, and psychology. This evidence suggests that the current aggregate view of the Millennialstudent may be less than accurate. Statistics show that Millennial students are considerably diverse in backgrounds, personalities, and learning styles. Data are presented regarding technological predilection, multitasking, reading, critical thinking, professional behaviors, and learning styles, which indicate that students in the Millennial Generation may not be as homogenous in fundamental learning strategies and attitudes as is regularly proposed. Although their common character traits have implications for instruction, no available evidence demonstrates that these traits impact their fundamental process of learning. Many curricular strategies have been implemented to address alleged changes in the manner by which Millennial students learn. None has clearly shown superior outcomes in academic accomplishments or developing expertise for graduating students and concerns persist related to the successful engagement of Millennial students in the process of learning. Four factors for consideration in general curricular design are proposed to address student engagement and optimal knowledge acquisition for 21st century learners.

PMID:
 
21735557
 
DOI:
 
10.1002/ase.240


성찰: 의과대학생의 전문직정체성형성을 위한 탐구(Med Educ, 2014)

Reflections: an inquiry into medical students’ professional identity formation

Anne Wong1 & Karen Trollope-Kumar2




도입

INTRODUCTION


의대생을 의사로 전환하는 것은 전통적으로 민족 지학 및 사회학 렌즈를 통해 연구되어왔다. 최근에는 학생들의 관점에서 직업적 정체성을 구축하는 방법을 연구하는 데 관심을 기울이고있다 .5-7 의대생이 직업적 정체성을 형성함에 따라 의사들은 의사의 공동체에 '주변부'에서 '완전한'참여로 이동하기 시작한다 .9 따라서 직업적 정체성 형성은 의학 교육과 프로페셔널리즘의 중요한 요소로 간주된다 .9-12

The transition of medical students into doctors has traditionally been studied through an ethnographic and sociological lens.1–4 Recently, interest has focused on students’ perspectives in order to examine the ways in which they construct their professional identities during their training.5–7 As medical students form their professional identities, they begin to move from ‘peripheral’ to ‘full’ participation in the community of doctors.8,9 Therefore, professional identity formation is seen as a crucial component medical education and professionalism.9–12


정체성, 아이덴티티 (Identity)는 자신과 다른 사람들의 의미 형성의 상호 작용으로부터 발생한다. 직업적 정체성 형성은 개인이 그 직업의 구성원으로서 스스로 정의하는 과정으로 개념화 될 수있다. 필요한 지식, 기술, 태도, 가치 및 행동 습득에 관한 것입니다 .6,13,14

Identity, the understanding of who one is, develops from an interplay of meaning-making from self and others.6,7,9 Professional identity formation can be conceptualised as the process by which an individual self-defines as a member of that profession based on the acquisition of the requisite knowledge, skills, attitudes, values and behaviours.6,13,14


예전 이론은 전문직 정체성을 정적인 특성이나 사회적 역할로 본다 .15)  무대 이론은 정체성 형성을 일련의 단계를 거친 점진적 발달로 본다. 예를 들어 힐튼과 슬롯 닉 17은 의대생이 경험에 대한 경험과 반성의 결과로서의 'phronesis'(지혜)를 통한 '성숙한 프로페셔널리즘'을 습득하기 전에 'protoprofessionalism'의 단계를 거친다고 이론화했다 . 그들은 프로페셔널리즘과 전문직 정체성 개발을 '성숙함'에 이르는 안정된 상태로의 선형적 진보로 개념화하였다.

Older theories view professional identity as static traits or societal roles.15 Stage theories view identity formation as a progressive development through a series of stages.16,17 For example, Hilton and Slotnick17 theorised that medical students undergo the stage of ‘protoprofessionalism’ before acquiring ‘mature professionalism’ through ‘phronesis’ (wisdom) as a result of experience and reflection on experience. They conceptualised professionalism and professional identity development to be a linear progression to a stable state at ‘maturity’.17,18


반대로 정체성 형성에 대한 현대의 구성주의 이론은 정체성이 사회적 및 관계 적 환경 내에서 지속적으로 협상되고 공동 구성되는 역동적 인 현상이라고 생각한다. 성별, 성별, 민족성 및 사회적 계층 (덜 가단적임malleable)은 새로운 경험 및 상황과 다른 방식으로 상호 작용합니다 .9 Scanlon19는 이 프로세스를 전문가가 되는being 것이 아니라 되어가는becoming 것의 프로세스로 설명했습니다. 즉, 마지막 종점에 도달하기보다, 전문직 정체성이란 경력을 통해 다차원적이고 진화하는 평생 과정으로 본다. 9,19,20

On the contrary, contemporary constructivist theories of identity formation conceive identity to be a dynamic phenomenon that is continually negotiated and co-constructed within a social and relational environment.7,9,13,14,19,20 Primary identifications, such as gender, ethnicity and social class (which are less malleable), interact in different ways with new experiences and circumstances.9 Scanlon19 described the process as that of ‘becoming’ rather than ‘being’ a professional. Rather than reaching a final endpoint, Scanlon and others conceive professional identity as a multidimensional, evolving and lifelong process throughout one’s career.9,19,20


성찰을 촉진하기위한 내러티브의 사용은 의학에서 상당한 주목을 받았다 .25-31 많은 의대에서는 학생들이 임상 경험을 기록하고 성찰 할 수 있도록 학습 포트폴리오를 통합했다. 포트폴리오는 성찰의 실천과 윤리적 의사 결정 기술 개발에 유용한 도구가 될 수있다. 32 포트폴리오 내의 서사는 전문직 정체성 형성에 대한 의대생의 경험을 보여주는 창을 제공 할 수있다 .26,28,30-34

The use of narrative to promote reflection has gained considerable attention in medicine.25–31 Many medical schools have incorporated learning portfolios for students to record and reflect on their clinical experiences.26–31 Portfolios can be valuable tools for developing skills in reflective practice and ethical decision making.32 The narratives within the portfolios can provide a window into a medical student’s experiences in professional identity formation.26,28,30–34



연구 맥락

CONTEXT OF THE STUDY


Students produce two narrative reflections (one of each category) after their fourth, sixth, eighth, 10th and 15th month of preclerkship training, for a total of 10 reflections. These reflections are not graded, but are read and given written formative feedback by their tutors.


방법

METHODS


Narrative analysis is defined as the ‘family of methods for interpreting texts that have in common a storied form’.35 In this research methodology, narratives are analysed in their entirety rather than in decontextualised pieces. In this study, we used the thematic approach to narrative analysis, which consists of the collection and analysis of narratives in order to discover themes that typify the experiences of a group.35 

  • A typology of narratives is thus inductively created, conceptually organised by thematic categories and illustrated by exemplar narratives or vignettes.35,36 

  • The finding of common thematic elements across a number of participants or cases is used to develop a descriptive framework of professional identity formation.36 

  • Narratives are then analysed longitudinally over the 15 months to examine how these themes evolve over time.



참여자, 모집, 샘플링

Participants, recruitment and sampling


Information about the study was disseminated through e-mail and an oral presentation. Participants sent their signed consent forms to the research assistant. Of the total class population of 194, 65 students (46 women: 19 men) consented for their portfolios to be analysed, yielding a total of 604 narrative reflections (Table 1).


Sampling in qualitative research is not statistically determined, but occurs until information saturation is reached (the point of redundancy where no new information is obtained by further sampling).36,37 This sampling criteria was used to determine the emergent themes related to professional identity formation. These themes were then examined longitudinally within each participant portfolio to determine how they are negotiated and evolve over time.



자료 수집과 분석

Data collection and analysis


    • Initially, 10 portfolios were subjected to a preliminary analysis in order to develop a consistent coding system for thematic analysis. 

    • Each co-investigator analysed and coded the same reflective narratives in each of the 10 portfolios. 

    • Common or recurrent codes across participants’ narratives were identified. 

    • The codes were merged under larger subthemes and themes in order to develop a typology of thematic categories. 

    • This initial inductive analysis yielded a wide range of themes related to medical students’ experiences within and across each narrative. 

However, the majority of the themes clustered under several thematic categories that related to some aspect of what it means to be a doctor. These categories were classified under the overarching concept of professional identity formation.


    • After the thematic coding scheme for professional identity formation was developed, the remainder of the portfolios were analysed. 

    • The investigators held regular meetings to discuss findings and resolve differences in the coding. 

    • The final thematic analysis yielded five themes that were used to develop the descriptive framework of professional identity formation.


Rigour was ensured by regular checks for consistency and consensus in data analysis and interpretation, adequate sampling for information saturation, member checking and peer review.36


결과

RESULTS


주요 주제 카테고리

Major thematic categories of professional identity formation


다섯 개의 주제와 하위주제

The five major themes and subthemes (in italics) are summarised and illustrated with exemplar quotes in Table 2.


이전 경험

Prior experiences


이 주제는 의대에 앞서 개인적 및 전문적 경험과 정체성을 나타냅니다. 내러티브는 새로운 환경의 현실과 기존의 정체성을 협상하는 학생들의 과제를 기술합니다

This theme refers to personal and professional experiences and identities prior to medical school. Narratives describe students’ challenges in negotiating these prior identities with the realities of the new environment.


롤모델

Role models


이 주제의 내러티브는 학생들의 전문적 정체성 개발에 긍정적 인 역할 모델과 부정적인 역할 모델의 영향을 나타냅니다. 학생들은 의사가 되는 것이 무엇을 의미하는지 학생들이 이해하는 데있어 교사가 중요하고 때로는 중추적 인 역할을합니다.

Narratives in this theme refer to the influences of both positive and negative role models on students’ developing professional identities. They reveal the important and often pivotal roles that teachers play in students’ understanding of what it means to be a doctor.


교육과정

Curriculum


이 주제에는 공식 및 숨겨진 커리큘럼의 하위 주제가 포함됩니다. 

    • 공식 교육과정에 관련된 서술은 임상 실습을 준비 할 때 그 가치를 논의합니다. 

    • 잠재 교육고정에 관련된 서술은 행동, 권력 불균형 및 윤리적 딜레마에 대한 '비공식적 인 규칙'을 논의합니다.

This theme includes the subthemes of the formal and hidden curriculum. Narratives associated with the former discuss its value in preparing for clinical practice. Narratives associated with the hidden curriculum discuss the ‘unwritten rules’ of conduct, power imbalances and ethical dilemmas.


환자 경험

Patient encounters


이 주제는 전문직 정체성 형성을 만드는데 환자의 영향을 나타냅니다. 환자로부터의 학습, 심오한 삶의 순간 (출생 및 사망의 목격) 및 공감대 대 효율성 (임상 실습의 효율성에 대한 필요성을 가진 환자에 대한 공감대를 균형 잡기)의 하위 분류가 포함됩니다. 가장 통렬한 내러티브 중 일부는 인간의 고통이 의대생의 정서적 및 신체적 반응에 주는 중대한 영향을 보여줍니다.

This theme refers to the influence of patients on shaping professional identity formation. It includes subthemes of learning from patients, profound life moments (e.g. witnessing birth and death) and empathy versus efficiency (balancing empathy for the patient with the need for efficiency of clinical practice). Some of the most poignant narratives show the profound effect of human suffering on medical students’ emotional and physical responses.


사회적 기대

Societal expectations


이 주제는 학생들의 직업적 역할과 정체성에 대한 학생들의 이해에 대한 사회적 기대의 영향을 의미합니다. 여기에는 환자와 사회에 대한 직업의 권위와 책임이 담겨 있습니다. 학생들은 다른 사람들이 자신을 인식하는 방식 또는 자신의 직업과 관련된 책임을 처리 할 수 ​​있는지를 인식할 수 있는지 여부의 극적인 변화에 대해 기술한다.

This theme refers to the influence of societal expectations on students’ understanding of their professional roles and identities. It includes the subthemes of power and responsibilities of the profession to patients and society. Students write about the dramatic changes in the way that others perceive them and whether they would be able to handle the responsibilities associated with their profession.





종단 분석: 시간 변화에 따른 전문직 정체성 형성의 발달

Longitudinal analysis: development of professional identity formation over time


Detailed quotes and associated themes at each narrative interval are provided in Table 3.


1번 사례

Exemplar 1


P12는 제한된 삶의 경험을 가진 과학 배경을 가진 젊은 남성 학생입니다. 그의 서사에는 교과 과정, 환자 조우, 사회적 기대 및 역할 모델이라는 몇 가지 주제가 섞여있다.

P12 is a young male student with a science background, with limited life experience. Several themes are interwoven in his narrative: the curriculum, patient encounters, societal expectations and role models.


첫 번째 성찰에서 P12는 의사가 될 필요가 있다고 느끼는 지식을 습득 할 수 없다는 두려움에 대해 씁니다. 그러나 6 개월 후, 학생은 자신의 인식에 중요한 변화를 만듭니다. 의사의 학습 접근법을 관찰함으로써, 그는 부적절한 지식에 대한 두려움을 해소합니다. '나는 이제 "확실하지 않습니다. 찾아볼게요"라고 자신있게 말할 수 있다'

In his first reflection, P12 writes about his fear of not being able to master the knowledge that he feels is necessary to be a doctor. However, at 6 months, the student makes an important shift in his perceptions. By observing the learning approaches of doctors, he reconciles this fear of inadequate knowledge: ‘I now have the confidence to say “I’m not sure, let me look that up”’.


P12는 의과 대학의 지적 도전 과제를 탐색 할 수있는 능력에 자신감을 가지기는하지만 도전적인 환자 조우에서 8 개월 동안 의사로 일한다는 것이 무엇을 의미하는지 더 알게됩니다. HIV 진단을 환자에게 준 후에, 학생의 임상 프리셉터는 방을 나와 일부 양식을 집어 들게합니다. 환자와 함께 홀로 남겨진이 학생은 나이처럼 보였던 '귀머거리 침묵'에 앉아 있다고 묘사합니다. 나중에, 환자는 학생이 그곳에 있었던 것에 대해, 학생의 어리석음에, 많이 감사합니다.

Although P12 gains confidence in his ability to navigate the intellectual challenges of medical school, he further learns what it means to be a doctor from a challenging patient encounter, 8 months into his training. After giving the diagnosis of HIV to a patient, the student’s clinical preceptor leaves the room to pick up some forms. The student, left alone with the patient, describes sitting in ‘deafening silence for what seemed like ages’. Later, the patient thanks the student for being there, much to the student’s bewilderment.


이 환자의 만남은 중대한 가르침의 순간을 만듭니다. 임상 프리셉터는 학생의 고통에 대한 증거로서의 자신의 역할의 중요성을 학생들이 이해하도록 도와줍니다. 환자 만남 동안의 부적절한 느낌에 대한 학생의 설득력있는 설명 뒤에는, 훈련 초기 단계에서도 그가 할 수있는 중요한 역할에 대한 사려 깊은 성찰이 이어집니다.

This patient encounter creates a pivotal teaching moment. The clinical preceptor helps the student understand the importance of his role as a witness to the man’s suffering. The student’s compelling description of his feelings of inadequacy during the patient encounter is followed by a thoughtful reflection on the important role that he may play even at this early stage of his training.


P12는 10 개월 후 낙태 윤리 세션에 참석합니다. 이 세션은 그가 논쟁의 여지가있는이 주제에 대한 자신의 도덕적 태도와 다른 관점을 탐구하는 데 도움이됩니다. 그는 의사로서의 미래의 역할이 자신의 개인적인 견해에 상관없이 ... 환자가 진정으로 정보에 입각 한 결정을 내릴 수있는 편견없는 정보를 제공하는 것이라고 자신이 어떻게 이해하고 있는지를 반영합니다.

At 10 months, P12 attends a session on the ethics of abortion. This session helps him to explore his own moral stance and other views on this controversial topic. He reflects on how he now understands that his future role as a doctor is to provide ‘unbiased information for … patients to make a truly informed decision’ regardless of his own personal views.


의과 대학 개학 후 15 개월 만에 P12는 구술 시험에 대한 신중한 비판을하면서 각 시험 과정에서 전문적인 행동을 평가해야한다고 제안했습니다. 이 마지막 서사의 어조는 초기 성찰의 어조와 크게 달라졌습니다. 긍정적 인 의사 역할 모델은이 학생이 의대의 학습 요구에 대한 자신의 불안을 극복하는 데 도움이되었습니다. 환자 치료의 정서적 요구에 직면했을 때 다른 의사는 환자 - 의사 관계에 대한 이해를 심화시키는 데 도움을줍니다. 공식 커리큘럼에 제기 된 과제는 자신의 가치를 다듬고 미래의 역할을 명확히 할 수있게합니다. 의대를 시작한 지 10 개월 만에 그는 자신의 전문적 역할에 대한 이해를 심화시키고 있음을 보여 주며, 전문적인 행동을 평가하는 방법에 관해 논의하는 마지막 반영에서 더욱 발전합니다. 그는 이제 첫 번째 인물에 '의사로서 ...'자신있게 글을 쓰고 있습니다.

In his final reflection, 15 months after the start of medical school, P12 writes a thoughtful critique of an oral examination, suggesting that professional behaviours should be assessed during each examination station. The tone of this final narrative has changed dramatically from that of the early reflections. Positive doctor role models have helped this student overcome his anxieties about the learning demands of medical school. When he is faced with the emotional demands of patient care, another doctor helps deepen his understanding of the patient–doctor relationship. Challenges posed in the formal curriculum allow him to refine his values and clarify his future role. Ten months after starting medical school, he demonstrates a growing identification and deepening understanding of his professional role, which is further developed in his final reflection in which he discusses ways of assessing professional behaviour. He is now writing confidently in the first person: ‘As a physician…’.



Exemplar 2


Exemplar 3






고찰

DISCUSSION


의대생의 내러티브에 대한 우리의 연구는 스칸론의 전문적 정체성 형성에 대한 역동적이고 진화하며 공동의 '발전'과정이라는 개념을 지지합니다. 9,13,19,20

Our study of medical students’ narratives support Scanlon’s concept of professional identity formation as a dynamic, evolving and co-constructed process of ‘becoming’.9,13,19,20


우리의 발견과 비슷하게, 역할 모델은 직업적 정체성 형성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다. Ibarra13은 역할 모델을 관찰하고 모방하는 것이 주니어 전문직의 정체성 형성에 핵심 구성 요소임을 보여 주었다.

similar to our finding, role models have been identified as major influences on professional identity formation.12,14,41 Ibarra13 showed that observing and imitating role models was a key component in the identity formation of junior professionals.


또한, 심오한 환자 조우는 직업적 정체성의 발달을위한 비옥 한 토양이며, 좋은 역할 모델은 인간의 고통을 느끼는 데 어려움을 겪고있는 학생들에게 매우 중요합니다.

Moreover, profound patient encounters are fertile ground for the development of professional identity and good role models are invaluable for students who are struggling to make sense of human suffering.


문헌과 일치하여 우리는 전문성의 결여, 윤리적 딜레마, denigration에 대한 학생의 경험에서 볼 수 있듯이 권력 불균형을 중심으로 한 잠재 교육과정의 많은 사례를 발견했다 .21-23,33,38,39 공식적인 교과 과정은 문헌에서 de-emphasize되어왔지만, 전문적 역할을 준비하는데 이것이 중요하다는 것을 나타냅니다.

Consistent with the literature, we also found many instances of the hidden curriculum that centre around power imbalances, as seen in lapses of professionalism, student experiences of ethical dilemmas and denigration.21–23,33,38,39 Although the role of the formal curriculum has been de-emphasised in the literature, students in our study often refer to its importance in preparing them for their professional roles.


사회적 기대의 영향은 학생이 자신이 어떻게 다르게 바라 보게되는지에 대한 인식이 증가하고 있을 뿐 아니라, 직업의 권위, 명성, 책임의 함의를 인식하게 됨을 보여주었다.

The influence of societal expectations is reflected in students’ growing awareness of how they are viewed differently as well as the implications of the power, prestige and responsibility of the profession.


학생들은 다양한 이전 경험에 의해 형성되었던 기존 정체성과 함께 의과 대학에 입학합니다. 그들이 훈련을 받으면서, 고통에 둔감 해지는 등의 과정에서 이 정체성의 귀중한 측면을 잃어 버릴 염려가 있습니다.

Students enter medical school with pre-existing identities that have been shaped by a variety of prior experiences. As they progress through their training, they often express anxiety about losing precious aspects of these identities in the process, such as becoming insensitive to suffering.


우리의 세 가지 예시적인 종단적 내러티브는 전문직 정체성의 반복적, 협상적 성격과 개인이 학문, 임상 및 지역 사회 환경에서 다른 사람들과의 사건 및 상호 작용으로부터 의미를 형성하는 여러 가지 방식으로 몇 가지 중요한 발견을 강조합니다. 특히 그들은 중요한 순간pivotal moment이 직업적 정체성 형성의 과정을 어떻게 잠재적으로 변화시키고, 그 결과 변화를 위한 기회에 대한 통찰력을 제공하는지 제시합니다.

Our three exemplar longitudinal narratives highlight several important findings: the iterative and negotiated nature of professional identity and the multiple ways in which individuals construct meaning from events and interactions with others in the academic, clinical and community environments. In particular they reveal how pivotal moments can potentially alter the course of professional identity formation, thus providing insights into opportunities for change.


최근 의학 교육에서 학생들의 공감 쇠퇴에 대한 리뷰는 학습자의 스트레스를 잠재적으로 주요 요인으로 강조하며, 여기에 대한 대안이 있어야 한다고 제안합니다.

A recent review on empathy decline among students during medical training highlights learner distress as a potentially major factor, thus suggesting where action could be directed.42


이번 분석에서 드러난 주제는 개선을 위한 추가적 전략을 제시합니다. 우리는 공식 커리큘럼의 유용성, 특히 전문 역량 분야에서의 유용성을 확인합니다. 이 영역에 대해 배우면 학생들에게 신흥 전문 정체성을 개발하는 데 필요한 메타인지 적 및 성찰적 기술을 얻을 수 있습니다. 그것은 또한 사회적 기대에 대한 학생들의 이해를 발전시킬 수 있습니다. 우리의 데이터는 또한 잠재 커리큘럼의 존재를 밝혀 내고 소스를 조사하고 밝히기위한 지속적인 연구를 지원합니다. 공감 쇠퇴의 공통 관심사는 지속적인 훈련의 중요성과 수련 훈련에 전문 역량 영역을 포함시키는 것의 중요성을 시사합니다.

The themes from our analysis suggest further strategies for improvement. We affirm the utility of the formal curriculum, particularly in professional competency domains. Learning about these domains may give students the metacognitive and reflective skills they need to develop their emerging professional identities. It can also further develop dents’ understanding of societal expectations. Our data also reveal the presence of a hidden curriculum and support ongoing research to investigate and uncover its sources. The common concern of empathy decline suggests the importance of ongoing support and inclusion of professional competencies domains in residency training.


긍정적, 부정적 역할 모델링 모두 내러티브에서 강력한 주제로 부각됩니다. 우리 연구 결과는 교수진이 학생들의 전문적 정체성 형성에 역할 모델링이 미치는 중요한 영향을 더 잘 인식 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합니다. [자신의 행동]과 [직업의 가치] 사이의 조화를 유지하기위한 교수진의 professional development는, 프로페셔널리즘에 대한 공식 교육과 임상 환경에서의 경험 간의 격차를 줄이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학생들이 교수진과 임상 경험을 상의 할 수있는 기회가 있다면, 숨겨진 커리큘럼 문제가 발생했을 때 이를 해결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우리의 모범이 보여 주듯이, 교수진은 중대한 순간에 학생들을 지원할 수 있고 잠재적으로 전문적인 정체성 형성 과정을 바꿀 수 있습니다.

Role modelling, both positive and negative, emerges as a powerful theme in the narratives. Our findings suggest that faculty members need to be better aware of the important influence that role modelling plays on students’ professional identity formation. Professional development for faculty members to ensure alignment between their behaviour and the values of the profession could help to close the gap between formal teaching on professionalism and experiences in the clinical setting. If students have the opportunity to discuss their clinical experiences with faculty members, this could also help to address hidden curriculum issues as they arise. As our exemplars show, faculty members can support students during pivotal moments and potentially alter the course of their professional identity formation.


마지막으로,이 연구는 직업적 정체성 형성을위한 중요한 도구로서 성찰적 내러티브를 강조한다. 이러한 내러티브는 학생 역량을 조정하고 지원하기 위해 전문 역량 프로그램의 교수가 리뷰한다. 주간 소그룹 세션을 통해 학생들은 동료 및 교사와 함께 새로운 통찰력을 성찰하고 탐구 할 수있는 공간을 만들어 이러한 새로운 경험을 전문적인 정체성 형성 과정에 통합 할 수 있습니다 25.

Finally, this study highlights reflective narratives as an important tool for professional identity formation. These narratives are reviewed by faculty members in the professional competencies programme in order to calibrate and support student progress. Weekly small group sessions create a space where students can reflect and explore their new insights with peers and tutors, enabling them to integrate these new experiences into a rich process of professional identity formation.25


성찰 연습의 기술 개발은 의학 교육에 중요한 영향을 미칩니다. 성찰적 글쓰기를 통해 개발 된 향상된 자기 인식은 정규 교과 과정에서 배운 개념을 임상 환경에 통합 할 수있는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습니다 .27,29,30,33

The development of skills in reflective practice has significant implications for medical education. The enhanced self-awareness developed through reflective writing can improve the ability of students to integrate concepts learned in the formal curriculum into clinical environments.27,29,30,33



결론

CONCLUSION


우리는 전문적인 정체성 구축을 위해 교사와 학생들에게 반사적 인 글쓰기의 힘을 웅변 적으로 설명하는 학생 서사에서 발췌한 글귀로 결론을 맺습니다.

We conclude with an excerpt from a student narrative, which eloquently illustrates the power of reflective writing for tutors and students in the construction of professional identity:


"Paper"에 대한 내 생각을 말함으로써, 내 의도를 올바른 관점에 넣고 의사 결정 과정을 객관적으로 평가하는 데 정말로 도움이되었습니다. 나는 이 성찰을 읽으면 내 마음의 내적 동작working에 대해 약간의 빛을 비추어 줄 수 있기를 바랍니다. 이것을 읽는 것은 의학을 통한 이 여정에서 제가 인도하는 나침반이 될 수있는 자신의 확신에 대한 경이로움을 가져 왔습니다.

Scribing my thoughts on “paper” has really helped me put my intentions into proper perspective and more objectively evaluate my decision-making process. I hope that reading this reflection will shed some light on the inner workings of my mind, as reading this over has done wonders for my own conviction in what I hold to be my guiding compass in this journey through medicine.


42 Neumann M, Edelh€auser F, Tauschel D, Fischer MR, Wirtz M, Woopen C, Haramati A, Scheffer C. Empathy decline and its reasons: a systematic review of studies with medical students and residents. Acad Med 2011;86:996.


29 Driessan EW, van Tartwijk J, Overeem K, Vermunt JD, van der Vleuten CPM. Conditions for successful reflective use of portfolios in undergraduate medical education. Med Educ 2005;39:1230–5.




 2014 May;48(5):489-501. doi: 10.1111/medu.12382.

Reflections: an inquiry into medical students' professional identityformation.

Author information

1
Department of Anesthesia, McMaster University, Hamilton, Ontario, Canada.

Abstract

CONTEXT:

Professional identity formation plays a crucial role in the transition from medical student to doctor. At McMaster University, medical students maintain a portfolio of narrative reflections of their experiences, which provides for a rich source of data into their professional developmen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understand the major influences on medical students' professional identity formation.

METHODS:

Sixty-five medical students (46 women; 19 men) from a class of 194 consented to the study of their portfolios. In total, 604 reflections were analysed and coded using thematic narrative analysis. The codes were merged under subthemes and themes. Common or recurrent themes were identified in order to develop a descriptive framework of professional identity formationReflections were then analysed longitudinally within and across individual portfolios to examine the professional identity formation over time with respect to these themes.

RESULTS:

Five major themes were associated with professional identity formation in medical students: prior experiences, role models, patient encounters, curriculum (formal and hidden) and societal expectations. Our longitudinal analysis shows how these themes interact and shape pivotal moments, as well as the iterative nature of professional identity from the multiple ways in which individuals construct meaning from interactions with their environments.

CONCLUSIONS:

Our study provides a window on the dynamic, discursive and constructed nature of professional identity formation. The five key themes associated with professional identity formationprovide strategic opportunities to enable positive development. This study also illustrates the power of reflective writing for students and tutors in the professional identity formation process.

PMID:
 
24712934
 
DOI:
 
10.1111/medu.12382


성찰 능력 촉진과 평가: REFLECT 루브릭 개발(Acad Med, 2012)

Fostering and Evaluating Reflective Capacity in Medical Education: Developing the REFLECT Rubric for Assessing Reflective Writing

Hedy S. Wald, PhD, Jeffrey M. Borkan, MD, PhD, Julie Scott Taylor, MD, MSc,

David Anthony, MD, MSc, and Shmuel P. Reis, MD, MHPE




의학 교육 내에서 성찰 능력을 키우는 것은 다음에 도움이 된다.

  • 비판적 사고 능력 개발,

  • 임상 추론,

  • 전문직업성 향상

성찰은 핵심 프로페셔널 실무 역량에 필수적입니다.

성찰은 개인의 경험을 실천에 inform하는 전문성-강화적, 메타인지적, 암묵적 프로세스이다.

Fostering reflective capacity within medical education helps develop critical thinking skills,1,2 inform clinical reasoning,3 and enhance professionalism4 among trainees. Reflection—the expertise-enhancing, metacognitive, tacit process5,6 whereby personal experience informs practice7—is integral to core professional practice competencies.8,9


성찰 능력의 개발은 의학 교육에서 피드백을 효과적으로 사용하기 위해 필요에 따라 강조되어 왔으며, 자기 조절과 평생 학습의 필수적인 측면이다 .5,10 성찰은 임상 실습에 내재 된 복잡성에 직면 할 때 지침을 제공 할 수있다. 성찰은 "어렵거나 도덕적으로 모호한 상황"에서 행동하는 방법의 선택에 잠재적으로 영향을 미친다 .12 이러한 맥락에서 성찰적 실천을 발전시키는 것은 개인의 성격이나 "미덕"을 고양시켜 "마음의 습관habit of mind", "성향적 경향dispositional tendency", "의학적 도덕성medical morality"을 키우는 것과 관련되어있다. 이것들은 임상 추론, 윤리, 가치관과 관련하여 발생할 수 있는 딜레마에 접근하는데 영향을 준다. 성찰은 또한 "phronesis"를 개발하는데 도움이 된다. 실천적 지혜란 적응적 전문성adaptive wisdom 또는 실천적 지혜practical wisdom로서 전문적이고 역량있는 의료행위를 guide하는 것이다 .13,17 자신의 사고 프로세스를 성찰하지 못하는 것(가정, 신념, 결론에 대한 비판적인 검토를 포함)은 최근 의학에서의 진단 오류의 원인이되는 "의사의 과신physician overconfidence"의 인지 구성 요소이다.18


Development of reflective capacity has been highlighted as necessary for effective use of feedback in medical education10,11 and is an essential aspect of self-regulated and lifelong learning.5,10 Reflection can guide practitioners as they encounter the complexity that is inherent to clinical practice, potentially influencing the choice of how to act in “difficult or morally ambiguous circumstances.”12 In this vein, the development of reflective practice has been associated with enhancing an individual’s character or “virtue,” fostering a “habit of mind,”13 “dispositional tendency,”14 or “medical morality”15 with which to approach clinical reasoning and ethical or values- related16 dilemmas that may arise. It also helps in developing “phronesis”— adaptive expertise or practical wisdom to guide professionally competent clinical practice.13,17 Failure to reflect on one’s own thinking processes, including critical examination of one’s assumptions, beliefs, and conclusions, was recently described as a cognitive component of “physician overconfidence,” a contributing cause of diagnostic error in medicine.18


성찰 능력에 대한 정의는 무척 많은데, 일반적으로 미래의 행동을 이끌기 위한 검토, 해석, 이해 경험을 포함한다.

Definitions of reflective capacity abound, though they generally include review, interpretation, and understanding experiences to guide future behavior.



  • 만 (Mann)과 동료 연구원은 성찰 능력을 "더 깊은 의미와 이해를 이루기위한 지식과 경험의 비판적 분석"이라고 정의한다.

  • 성찰 능력의 이론적 기둥에는 다음이 포함된다.

    • Schon's의 진보: 

      • Knowing in action

      • 놀람 

      • 행동 중 성찰(thinking on our feet), 

      • 실험, 

      • 행동 후 성찰 (postexperience reflection)

    • Boud 등: 성찰에서 감정을 다루는 것에 중점을 둡니다.

  • Moon 23은 학습에서의 성찰을 위한 meaning making의 구성요소를 소개한다.

  • Mezirow24는 premise reflection을 transformative or confirmative learning과 연결하여 성찰의 개념화에 깊이와 폭을 더합니다.

  • Mann과 동료는 성찰 모델에서 반복적이고 수직적 인 두 가지 차원을 기술한다. 

    • 반복적 차원은 경험에 의해 유발 된 것으로서, 새로운 이해를 일으킨다. 

    • 수직적 차원은 표면적 (기술적) 수준과 더 깊은 (분석적) 수준의 성찰을 결합합니다.

  • Mann and colleagues19 define reflective capacity as “critical analysis of knowledge and experience to achieve deeper meaning and understanding.” 

  • Theoretical pillars of reflective capacity include 

    • Schon’s20 progression from knowing-in-action, to surprise, reflection-in-action (“thinking on our feet”21), experimentation, and, finally, reflection-on-action (postexperience reflection), and 

    • Boud and colleagues’22 emphasis on addressing feelings in the reflective process. 

  • Moon23 introduces the component of meaning making to reflection in learning, and 

  • Mezirow24 links premise reflection with transformative or confirmatory learning, bringing additional depth and breadth to reflection conceptualization. 

  • Mann and colleagues19 describe two overarching dimensions in models of reflection: iterative and vertical. 

    • The iterative dimension of reflection is one triggered by experience, producing a new understanding; 

    • the vertical dimension combines surface (descriptive) and deeper (analytic) levels of reflection.


성찰이 반드시 직관적인 것은 아니며, 특히 학생들의 의료 진로 초기에 그러하다. 따라서 의학 교육자들은 훈련 과정 초기에 성찰 능력 개발을 촉진하기 위해 혁신적인 교육 방법을 구현하려고 노력합니다. 성찰 연습을 용이하게하기 위해 반사 쓰기 (RW)를 사용하는 것이 잘 문서화되어 있습니다.

Reflection is not necessarily intuitive, especially in students at initial stages of their medical careers. Thus, medical educators strive to implement innovative educational methods to promote development of reflective capacity early in the training process. The use of reflective writing (RW) to facilitate reflective practice is well documented.25–29


"상호작용적" RW- 학습자가보다 정교한 성찰 기술을 개발할 수 있도록 교사로부터 서면 피드백을 통합하는 것 .29

“interactive” RW— integration of written feedback from faculty to foster learners’ development of more sophisticated reflection skills.29


내러티브 의학의 하위 집합 인 RW는 자기 인식을 배양하고 RW와 임상 실습간에 공유되는 참석, 대표, 제휴 과정을 통해 clinical encounter를 위한 서사 역량을 구축한다. RW는 실용적 의학적 추론의 "해석적이고 내러티브적인"31 자질을 구현한다. RW를 통해 배양될 수있는 서사적 역량과 정서적 자기 성찰 능력은 정서적으로 어려운 상황에 대한 회복탄력성을 강화하고 나쁜 소식을 전파하는 등 의사 소통에 어려움을 겪을 수있는 능력을 증진시킬 수 있습니다.

RW, a subset of narrative medicine, cultivates self- awareness and builds narrative competence for clinical encounters through the processes of attending, representing, and affiliating that are shared between RW and clinical practice.25 RW embodies the “interpretative and narrative”31 qualities of practical medical reasoning. Narrative competence and emotional self-reflective ability, which may be cultivated through RW, can bolster resilience to emotionally challenging situations32 and promote capability in challenging communication encounters, such as breaking bad news.33



학습자를 능숙하게 지원하고 challenge하여 성찰 능력을 개발시켜주기 위해서 멘토는 다음을 필수적으로 갖추어야 한다.

  • 성찰적 순간을 알아 차리고,

  • 경험에 대한 이해 (정서적 반응 포함),

  • 불확실성을 용인 ("전문적 지식의 핵심"이 되는 임상 실습의 "지저분함")

  • 새로운 통찰력을 사용

Mentors who skillfully support and challenge learners through 

  • noticing the reflective moment, 

  • making sense of the experience (including emotional responses), 

  • tolerating uncertainty (or “messiness” of clinical practice at the “heart of professional expertise”20), and 

  • using new insights5,34 are an essential component to developing reflective capacity. 


성찰적 내러티브에 대한 guided written 피드백은 보다 심층적인 성찰 과정을 촉진 할 수있다 .35,36

Their guided written feedback about reflective narratives can promote a more in-depth reflective process.35,36


성찰의 정도와 수준을 결정하기 위해 written reflective 저널을 분석하기 위해 사용 가능한 코딩 시스템을 적용 할 때 중요한 한계와 문제점이 있습니다.

There are significant limitations and challenges in applying available coding systems for analyzing written reflective journals to determine the extent and level of reflection.


의대생의 전문성 개발 및 최상의 교육 관행의 지표로서 반영 수준에 대한 공식적인 평가에 대한 관심 증가에 비추어,우리는 기존의 정성적 및 양적 척도와 성찰 능력을 위한 프레임 워크에 대한 검토를 통해 경험적으로 테스트되고 간결한 "사용자 친화적 인"평가 패러다임을 설계하려고했습니다.

In light of the increased interest in formal assessment of level of reflection as an indicator of professional development of medical students and best teaching practices,35 we set out to design an empirically tested, concise, “user- friendly” evaluative paradigm stemming from our review of existing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measures and frameworks for reflective capacity.



방법과 결과

Method and Results


예비 단계

Preliminary stage: Literature and model review


스노우볼 기법 활용

We then used snowball technique to extend the literature search from retrieved articles to other relevant sources. The snowball technique for sampling is a method whereby existing study participants suggest, recruit, or assist in recruiting future subjects from among their acquaintances or contacts.55


문헌 검토에서 네 가지 modality를 도출

From our review of the literature, we identified four existing modalities of reflection assessment: 

  • (1) scales (“paper and pencil” forms with responses scored by respondents), 

  • (2) thematic coding (qualitative analysis that codes themes in the narratives), 

  • (3) qualitative analysis (more elaborate qualitative analysis moving beyond themes into models), and 

  • (4) analytical instructional rubrics (theory-based delineation of dimensions or levels of an assessed construct).


위의 네 가지 접근법을 검토함.

We next examined these four approaches for their utility in the assessment of medical students’ RW. Our deliberations were based on both theoretical and functional premises.


  • Scale: Although our literature search uncovered an existing scale for measuring “personal reflection,”54 we did not use it for our analysis given its intended purpose for students’ self- reported reflective capacity rather than for assessment of the construct within RW. 

  • Thematic coding: Thematic coding26,27 with sole emphasis on extraction of themes was also inadequate for our evaluative aims because students’ reflective levels within RW could not be determined with such a method. 

  • Qualitative analysis: Similarly, qualitative analysis was deemed insufficient because of its inability to provide focused differentiation of reflective levels. 

  • Analytical instructional rubric:
    네 번째 접근법인 분석적 지도 루브릭은 특별히 평가에 사용됩니다. 
    Analytical instructional rubrics 은 이론적 틀을 기반으로하고 특정 목적을 위해 맞춤식으로 작성 될 수 있기 때문에 반영 수준 평가에 가장 적합한 선택 인 것으로 보입니다. Analytical instructional rubrics 은 평가 된 구조의 다양한 차원 또는 수준을 정의하고 각각에 대한 벤치 마크를 정의하며 양적 점수를 산출 할 수 있습니다. (형성평가와 총괄평가에 사용되는) 루브릭 형식은 다를 수 있지만 공통된 기능으로는 strong to weak work product에 대한 연속성에 대한 품질 수준 그라데이션뿐 아니라 프로젝트를 완료하거나 기술 습득시 비교적 복잡한 목록 또는 "무엇이 중요"한지도 포함됩니다.

    The fourth approach, the analytical instructional rubric,56 is specifically used for assessment. Analytical instructional rubrics seemed to be the best choice for the assessment of reflective levels because they are based on a theoretical framework and can be tailor-made for specific purposes. An instructional rubric delineates the various dimensions or levels of an assessed construct, defining benchmarks for each, and can yield quantitative scores.57,58 The rubric format—used for both formative and summative purposes—may vary, though common features include quality level gradations on a continuum of strong to weak work product, as well as a relatively complex list of criteria or “what counts” in completing a project or mastering a skill.59


Iterative development of the initial rubric


Once we had determined which approach to use, we began the process of developing an actual analytical instructional rubric to assess students’ reflective narratives.


The first iterative cycle: Initial reflection rubric.


The second iterative cycle: The REFLECT rubric.


Third iteration.


Present iteration.


'레벨'을 보여주는 숫자를 생략하여 총괄평가보다는 형성평가 목적으로 사용을 유도하고자 하였음.

Given our primary emphasis on analyzing quality of reflection within RW in a developmental context, we decided to omit assigned numbers for reflection “levels” to encourage use of the rubric for formative rather than summative purposes (Appendix 1).


REFLECT rubric application


REFELCT 루브릭을 적용하는 네 단계

The process of applying the REFLECT rubric to a reflective narrative consists of four steps:


1. 전체 서사를 읽으십시오.

2. 단편화 (Fragmentation) : 서사의 세부 사항(구 / 문장)으로 Zoom in하여 모든 기준의 존재와 퀄리티를 평가합니다 (부록 1 참조). 각 기준이 나타내는 수준을 결정하십시오.

3. 게슈탈트 (Gestalt) : 서술의 전반적인 게슈탈트로 zoom out한다(단계 2의 세부 분석을 고려함). 내러티브 전체가 달성하는 수준을 결정합니다. Critical reflection 수준이 달성되면 학습 결과 중 하나 또는 두 가지 모두 (변형 또는 확증 학습)도 달성되었는지 여부를 결정합니다.

4. 본문의 사례를 통해 수준 및 학습 성과 할당을 defend하십시오. "행간을 읽지 마십시오."

1. Read the entire narrative.

2. Fragmentation: Zoom in to details (phrases/sentences) of the narrative to assess the presence and quality of all criteria (see Appendix 1). Determine which level each criterion represents.

3. Gestalt: Zoom out to consider overall gestalt of the narrative (while taking into consideration the detailed analysis of Step 2). Determine which level the narrative as a whole achieves. If the Critical Reflection level is achieved, determine whether either or both learning outcomes (transformative or confirmatory learning) were also achieved.

4. Defend the assignment of level and learning outcomes with examples fromthe text. Do not “read between the lines.”


A sample reflective narrative and REFLECT rubric analysis is presented in Appendix 2. 

Another example can be seen in Supplemental Digital Appendix 1, http://links.lww.com/ACADMED/A68.


통계 분석

Statistical analyses


We applied single-measure ICCs 61 to all datasets and computed ICCs for each iteration of the REFLECT in the pilot developmental phases (Table 1).


ICC를 사용

An ICC is used to measure ordinal/continuous data for interrater reliability for two or more raters when data may be considered interval. It may also be used to assess test–retest reliability. An ICC may be conceptualized as the ratio of between-groups variance to total variance. In single-measure reliability, individual ratings constitute the unit of analysis (i.e., single-measure reliability provides the reliability for a single judge’s rating). Single-measure ICC is the more conservative estimate and can represent how much agreement one rater will have with other raters. We chose to use ICCs because the levels in rubric iterations are ordinal data where gradations are interpretable, with no “natural zero.” Each application of the developing rubric involved at least three raters.




고찰

Discussion


RW 교육은 의료 교육자가 학생들이 성찰적 임상가가 되도록 요청할 때 번성했다 .3,62

RW initiatives within medical education have prospered as medical educators are called on to prepare students to become reflective clinicians.3,62


서면 에세이 방법론은 공감, 개인 성찰, 전문성과 같은 중요한 역량을 활용할 수 있지만 RW의 효과적인 평가는 어려울 수 있습니다.

Although written essay methodology may tap into important competencies such as empathy, personal reflection, and professionalism, effective assessment of RW can be challenging.32


REFLECT 루브릭은 현재 AMS 내에서 닥터 과정과 가정의학 실습 내의 구조화 된 RW 패러다임에 사용됩니다.

The REFLECT rubric is currently used within AMS for structured RW paradigms within the Doctoring course and family medicine clerkship,


교수진은 연구 목적으로 전반적인 "수준"을 평가하지만, 학생들은 이 정보를 피드백으로받지 못합니다. 최근의 근거는 글쓰기의 질과 성찰적 내용간에 유의한 관계가 없음을 보여주므로, 교수진은 글쓰기의 질을 평가하지 않습니다.

Faculty assess overall “level” of reflection for research purposes, but students do not receive this information as feedback. Faculty do not assess quality of writing, in keeping with recent evidence of a lack of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quality of writing and reflective content.63



루브릭 개발 프로세스는 다음을 포함한다

  • 문헌에 더 깊이 관여하면서 파일럿 루 브릭을 정제하고,

  • 루브릭을 다양한 데이터 세트에 적용

  • 특정 기준에 합의가 이루어질 때까지 토론.

현재의 반복에서의 ICC 점수는 허용 가능한 interrater 신뢰도를 보여줍니다. 교수개발 워크샵 및 학생지도에서의 피드백을 기반으로 할 때, 평가자와 학생에게 scoring의 feasibility와 acceptability는 유망합니다.


The process of rubric development involved 

  • refining a pilot rubric through further immersion in the literature, 

  • application of the rubric to various datasets, and 

  • discussion until consensus was reached on specific criteria. 

The ICC scores at the present iteration demonstrate acceptable interrater reliability. Feasibility of scoring and acceptability to both raters and students are promising based on feedback from faculty development workshops and use in student instruction.




표준화에 대한 우리의 노력이 유망한 정신측정학적 특성을 가져 왔지만, 총괄평가보다는 형성평가로 브릭을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성찰에 대한 공식적인 접근 방식을 장려함으로써 성찰의 authenticity가 결여 될 위험이있는 "정량화"또는 "채점"과는 대조적으로, 우리는 REFLECT 루 브릭을 교육자가 성찰 능력의 개발을 평가하고 학생들의 성찰적 내러티브에 건설적이고 개별화 된 피드백을 산출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는 정성적 앵커를 제공한다고 생각합니다.

Although our efforts at standardization have yielded promising psychometric properties, we recommend using the REFLECT rubric for formative rather than summative assessment. In contrast to “quantifying” or “grading,” which may risk a lack of reflective authenticity by encouraging more formulaic approaches to reflection,67 we envision the REFLECT rubric as providing qualitative anchors to help educators both assess development of reflective capacity dimensions and formulate constructive, individualized feedback to students’ reflective narratives. 


현재 우리는 학습자의 양적 및 총괄 평가에 사용되는 루브릭에 대한 요구에 반대합니다 .68 이러한 사용은 잠재적으로 상호작용적 RW 내에서 성찰 능력 개발을 저해하고 역효과를 유발할 수 있으므로주의해야합니다.

At this time, we counter calls for rubrics to be used for quantitative and summative assessment of learners.68 We urge caution in this regard because such use may prove counterproductive, potentially inhibiting the development of reflective capacity within interactive RW.


Conclusions


RW 및 그 평가는 의사의 전문성 개발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이 과정을 지원하기위한 교육학 이니셔티브를 지원할 수 있습니다. 효과적인 환자 치료 (자기 인식, 공감, 통찰력) 및 의사의 복지에 대한 전문성의 차원뿐만 아니라 반사를 포함한 메타인지 능력은 잠재적으로 RW 운동을 통해 촉진 될 수 있습니다 .30

RW and its assessment may enhance our understanding of the professional development of physicians and help guide pedagogic initiatives aimed at supporting this process. Metacognitive skills including reflection as well as dimensions of professionalism in effective patient care (such as self- awareness, empathy, and insight), and physician well-being can potentially be fostered through RW exercises.30


50 O’Sullivan PS, Aronson L, Chittenden E, Niehaus B. Reflective ability rubric and user guide. MedEdPortal. August 26, 2010.


53 Devlin MJ, Mutnick A, Balmer D, Richards BF. Clerkship-based reflective writing: A rubric for feedback. Med Educ. 2010;44:1143–1144.


43 Reis SP, Wald HS, Monroe AD, Borkan JM. Begin the BEGAN(The Brown Educational Guide to the Analysis of Narrative)—A framework for enhancing educational impact of faculty feedback to students’ reflective writing. Patient Educ Couns. 2010;80:253– 259.




 2012 Jan;87(1):41-50. doi: 10.1097/ACM.0b013e31823b55fa.

Fostering and evaluating reflective capacity in medical educationdeveloping the REFLECT rubric for assessing reflective writing.

Author information

1
Warren Alpert Medical School of Brown University, Providence, Rhode Island 02860, USA. hedy_wald@brown.edu

Erratum in

  • Acad Med. 2012 Mar;87(3):355.

Abstract

PURPOSE:

Reflective writing (RW) curriculum initiatives to promote reflective capacity are proliferating within medical education. The authors developed a new evaluative tool that can be effectively applied to assess students' reflective levels and assist with the process of providing individualized written feedback to guide reflective capacity promotion.

METHOD:

Following a comprehensive search and analysis of the literature, the authors developed an analytic rubric through repeated iterative cycles of development, including empiric testing and determination of interrater reliability, reevaluation and refinement, and redesign. Rubric iterations were applied in successive development phases to Warren Alpert Medical School of Brown University students' 2009 and 2010 RW narratives with determination of intraclass correlations (ICCs).

RESULTS:

The final rubric, the Reflection Evaluation for Learners' Enhanced Competencies Tool (REFLECT), consisted of four reflective capacity levels ranging from habitual action to critical reflection, with focused criteria for each level. The rubric also evaluated RW for transformative reflection and learning and confirmatory learning. ICC ranged from 0.376 to 0.748 for datasets and rater combinations and was 0.632 for the final REFLECT iteration analysis.

CONCLUSIONS:

The REFLECT is a rigorously developed, theory-informed analytic rubric, demonstrating adequate interrater reliability, face validity, feasibility, and acceptability. The REFLECT rubric is a reflectiveanalysis innovation supporting development of a reflective clinician via formative assessment and enhanced crafting of faculty feedback to reflective narratives.

PMID:
 
22104060
 
DOI:
 
10.1097/ACM.0b013e31823b55fa


경계를 넘어: 성찰적 글쓰기와 성찰적 역량(J Gen Intern Med, 2010)

Beyond the Margins: Reflective Writing and Development of Reflective Capacity in Medical Education

Hedy S. Wald, PhD1 and Shmuel P. Reis, MD, MHPE1,2

1Department of Family Medicine, Warren Alpert Medical School of Brown University, Pawtucket, RI, USA; 2Division of Family Medicine, Ruth & Bruce Rappaport Faculty of Medicine, Technion-Israel Institute of Technology, Haifa, Israel.




성찰의 변형적 행위 - 암묵적인 것이 명시적이 되고, 새로운 마음의 습관이 발달한다.

The transformative act of reflection—the implicit becomes explicit and new habits of mind develop.


성찰적 글쓰기 (RW)

reflective writing (RW)


이야기 의학 (narrative medicine) - 질병 서사를 인식하고, 흡수하고, 해석하고, 감동 할 수있는 능력을 갖춘 의학.

narrative medicine – medicine practiced with the competence to recognize, absorb, interpret, and be moved by stories of illness-


결국 임상의는 근본적으로 이야기가 있는 사례를 통해 가르치고 의사소통하며 추론합니다 3. 그러한 교육은 더 이상 새로운 것이 아니며, 이러한 이론적 토대는 의학교육에서 내러티브 의학 커리큘럼 이니셔티브 확산의 토대가 되었습니다.

Clinicians, after all, fundamentally teach, communicate, and reason through cases with stories3. Such pedagogy is no longer the renegade new kid on the block—these theoretical underpinnings have served as a foundation for proliferation of narrative medicine curricula initiatives within medical education.



상호 작용하는 RW (학생들의 성찰적 서사를 읽고 응답하기)를 통해, 우리는 학생들이 환자에게 이야기를 이끌어내고, 거기서 진단적 추론을 할 때, "속도를 늦추고" 인식의 수준을 높이도록 가르칩니다. 이 경험을 나타내는 학생의 실제 텍스트를 참조하여 의학교육자는 

  • 가정에 대한 지지적인 도전, 

  • (환자 및 학생의) 감정적 반응 탐구, 

  • 관련된 새로운 관점의 고려를 장려

...함으로써 RC 개발을 촉진할 수 있다.

Through interactive RW—reading and responding to students’ reflective narratives—we teach our students to “slow down”5 and become more aware in the clinical encounter as they elicit a patient’s story and embark on diagnostic reasoning. Referencing the student’s actual text that represents this experience, medical educators facilitate development of RC with 

  • supportive challenging of assumptions, 

  • exploring emotional responses (of patient and student), and 

  • encouraging consideration of new perspectives as relevant.


역량 기반의 의학 교육은 학부 및 대학원 의학 교육의 황금 표준이며, RC를 활용한 교육은 핵심 핵심 구성 요소로 강조되고 있습니다. 그러나 말은 쉽지만 행동은 어렵다.

Competency-based medical education is the golden standard for both undergraduate and graduate medical education with RC now highlighted as integral core component. Easier said than done.


성찰적 역량(RC).

reflective capacity (RC).


RC는 효율적인 교육학 및 평가를 시행하는 교육자에게 어려운 과제를 제기 할 수 있습니다. 성찰이란 무엇입니까? 왜 이것을 습득하는 것이 핵심 역량으로 간주되는가? 배울 수 있습니까? 평가할 수 있는가?

RC can present a challenge for educators charged with implementing effective pedagogy and assessment. What is reflection? Why is it deemed essential for acquiring core competencies? Can it be learned? Assessed?


RC에 빛 드리우기

SHINING LIGHT ON REFLECTIVE CAPACITY



  • 메티인지적 과정. 자신과 상황에 대한 더 큰 인식
    “Reflection is a metacognitive process”, Sandars recently defined, “that occurs before, during, and after situations with the purpose of developing greater understanding of both the self and the situation so that future encounters with the situation are informed from previous encounters”.8 


Both “reflection” and “reflective capacity” terminology has been used11; we have selected “reflective capacity” as our modus operandi(작업방식) to refer to the ability to reflect; the putting of the reflection construct into effect.


  • RIA와 ROA
    Mann
    et. al.’s highlighted some theoretical pillars as central for educating the “reflective practitioner”.9 These included Schon’s core processes of “reflection-in-action” (reflection in the moment) and reflection-on-action (post-experience reflection)10,

  • 감정
    Boud
    et.al.’s inclusion of attending to feelings in reflective process11, and 

  • 경험을 해석하는 방식의 확인 또는 변형
    Mezirow’s
    description of reflective learning as “either confirmation or transformation of ways of interpreting experience”(12, p. 6). 

  • 사고와 행동 사이의 대화
    Schon
    described reflective practice as a “dialogue of thinking and doing through which I become...more skillful (13,p.31) and used the term “professional artistry” to “refer to the kinds of competence practitioners sometimes display in unique, uncertain, and conflicted situations of practice” (14, p. 8).


RC에 들어가는 것들

RC is at the core of mindful practice which includes 

  • self-awareness, 

  • regulation, and 

  • monitoring, 

  • clarifying values, and 

  • recognizing the affective domain of medical care 15.



Schon의 재즈 즉흥 연주에 대한 은유는 적절하다 .10 Practice에는 "기술적인 합리성"을 뛰어 넘는 사려 깊은 행동이 필요하며, 음악가는 즉각적으로 사용가능한 "musical figures의 레퍼토리" 뿐만 아니라 "익숙하고 예측 가능한 음악적 스키마"를 활용하여 펼쳐지는 음악의 새로운 감각을 얻음과 동시에 자신의 퍼포먼스를 조정합니다. (10, p.55).

Schon’s metaphor of jazz improvisation for capturing the essence of practice is apt.10 In line with his purporting practice to be thoughtful action with reflection, going beyond “technical rationality”, he described musicians’ use of both “familiar, predictable musical schema” as well as a readily available “repertoire of musical figures” to adjust their performance as they gain a new sense of the unfolding music. (10, p.55).



Epstein에 따르면, "성찰의 목표"는 지식과 기술의 습득뿐만 아니라 informed flexibility, 지속적인 학습, 겸손과 같은 마음의 습관도 개발해야 하며, 이는 "균형 잡힌 프로페셔널리즘" 또는 [과학과 자기 반성의 통합]이라는 개념에 부합한다19. .21

“The goal of reflection”, according to Epstein, “should be to develop not only one's knowledge and skills, but also habits of mind that allow for informed flexibility, ongoing learning and humility"19, consonant with a concept of “balanced professionalism” or integration of scientific and self-reflection.21 


RC는 그와 같이 의학에서 바람직하다고 여겨지는 blend의 tangible expression을 제시해주며, 이는 축적되는 과학적 지식 기반과 그것을 적용할 수 있는 실천적 지혜(practical wisdom)를 의미한다. 본질적으로, 이는 medical expertise의 구현embodiment이다

RC, we suggest, offers tangible expression of such a desired blend in medicine, i.e. the cumulative scientific knowledge base and the practical wisdom (phronesis) to apply it... in essence, the embodiment of medical expertise.


성찰적 글쓰기 교육 및 성찰 능력 : 기회 및 도전 과제

REFLECTIVE WRITING CURRICULA IMPLEMENTATION AND REFLECTIVE CAPACITY: OPPORTUNITIES AND CHALLENGES


RW는 의학 교육 내에서 자기 반성과 자기 주도 학습을 촉진하는 효과적인 메커니즘으로 설명되어왔다 .4,22

RW has been described as an effective mechanism for promotion of self-reflection and self-directed learning within medical education.4,22


그러나 최근 연구에서, 레지던트 교육에서 RW는 낮은 수준의 성찰을 보여주었으며, 의대생의 RW에 대해서도 그 수준이 다양하였다. 이는 성찰이 반드시 직관적인 것이 아니며, 교육적 개입이 필요하다는 전제를 뒷받침합니다.

Recent studies have, however, shown low levels of reflection in RWwithin residency training26,27 as well as variable level of reflection in medical students’ RW28, supporting the premise that reflection is not necessarily intuitive and educational interventions are warranted.


전망은 유망하다. 예를 들어 강사의 서면 피드백은 학생이 class 블로그에 올린 성찰적 글에 대한 추가적인 성찰을 자극했습니다 .29

Prospects are promising. Instructors’ written feedback, for example, stimulated additional reflection in clerkship students’ reflective postings to a class blog.29


학생의 acceptability, 즉 학생 "바이-인"은 어떠한가? RW 이니셔티브에 대한 학생들의 피드백은 혼합되어 있습니다. 예를 들어, "Net Generation"의 학습 스타일 상 RW engagement가 적은 것은 추가적인 교육적 도전이 될 수 있습니다 .3 "Net Generation"는 멀티미디어 이미지가 풍부하고 사회적 상호 작용을 위한 집단 활동 환경을 선호하기 때문에 Web 2.0 기술의 혁신적인 사용이 제안되었습니다 .33. 또한 RW 그룹 활동에서 동료 간 피드백을 통한 학습 향상은 소셜 미디어 도구, 특히 위키, 블로그 및 팟 캐스트를 사용하면 성찰학습을 개선하고 새로운 협력적 차원을 추가 할 수있는 가능성을 강조합니다.

And what of acceptability, i.e. student “buy-in”? Students' feedback to RW initiatives has been mixed. Less RW engagement within learning styles of the "Net Generation", for example, presents additional pedagogic challenges.33 Innovative use of Web 2.0 technologies has been proposed since learning preferences of the “Net Generation” include environments rich in multi-media images and working in groups for social interaction33. In addition, enhanced learning through peer-to-peer feedback within reflective writing group exercises23,34 highlights the potential for social media tools, particularly wikis, blogs, and podcasts, to improve and add new collaborative dimensions to reflective learning.35


RW에서 RC측정하기

GRAPPLING WITH THE GRAY—MEASUREMENT OF RC IN RW


RC36의 본질적 메타인지적, 암묵적 과정은 애매하게 보일 수 있으며, 명백한 공식화 및 측정은 애매합니다. 스토리 텔링을 통한 성찰 학습을 평가하기위한 "템플릿"이 개발되었습니다 .37 이론적으로 기초한 RC 측정이 가능합니다. 많은 경우 자체 보고서 형식이긴 하지만, 다양한 수준의 RC를 식별 할 수 있습니다.

Inherent metacognitive, tacit processes of RC36 can appear obscure, rendering its explicit formulation and measurement elusive. “Templates” for assessing reflective learning through storytelling have been developed.37 Theoretically based measures of RC are available, albeit many in self-report form,21 and different levels of RC can be discerned.



적용하기 어려운 텍스트 요소를 포함하여 사용 가능한 루 브릭 코딩 시스템의 제한 사항이 설명되었습니다 .40

Limitations of some available rubric coding systems, including difficult-to-apply textual elements have been described.40



RW에 대한 formulaic 접근법을 채택한 경우, authenticity가 떨어지는 문제가 생길 수 있으며, RW 내에서 RC의 공식적 평가가 이루어질 때 나타날 수 있습니다. 본질적으로, 어떻게 교육 환경에서 "사회적 바람직함 "을 위한 potential에도 학습자의 authenticity가 보존 될 수 있을 것인가?

The issue of compromised authenticity with students adopting a more formulaic approach to RW may emerge as formal assessment of RC within RW is implemented. In essence, how can learners’ authenticity be preserved43 despite potential for “social desirability” within an educational context?


RW 및 기타 이니셔티브를 통한 RC 진흥의 유망한 분야에 대한 초기 열정은 전문직 생활주기의 단계 내에서 구조물을 평가하고 전문적 실무에서 그 효과를 입증해야 할 필요성에 의해 단련됩니다.

Initial enthusiasm for the promising field of RC promotion through RW and other initiatives is sobered by the need to assess the construct within stages of the professional life cycle and demonstrate its effectiveness in professional practice.


마지막 성찰

CONCLUDING REFLECTIONS


재즈 음악가들이 역동적인 상호 작용에 참여하면서, 듣기 좋은 음악을 즉흥적으로 연주하듯, RC는 환자 중심의 의학을 적용함에있어 정보에 입각 한 유연성을 촉진 할 수 있기를 기대합니다.

As jazz musicians engage in dynamic interplay, improvising on musical structure for a melodious outcome, so too it is hoped can RC promote informed flexibility in applying patientcentered medicine.




 2010 Jul;25(7):746-9. doi: 10.1007/s11606-010-1347-4. Epub 2010 Apr 21.

Beyond the marginsreflective writing and development of reflective capacity in medicaleducation.

Author information

1
Memorial Hospital, Department of Family Medicine, Warren Alpert Medical School of Brown University, Pawtucket, RI 02860, USA. hedy_wald@brown.edu

Abstract

Reflective capacity has been described as an essential characteristic of professionally competent clinical practice, core to ACGME competencies. Reflection has been recently linked to promoting effective use of feedback in medical education and associated with improved diagnostic accuracy, suggesting promising outcomes. There has been a proliferation of reflective writing pedagogy within medical educationto foster development of reflective capacity, extend empathy with deepened understanding of patients' experience of illness, and promote practitioner well-being. At Alpert Med, "interactive" reflective writing with guided individualized feedback from interdisciplinary faculty to students' reflective writing has been implemented in a Doctoring course and Family Medicine clerkship as an educational method to achieve these aims. Such initiatives, however, raise fundamental questions of reflection definition, program design, efficacy of methods, and outcomes assessment. Within this article, we consider opportunities and challenges associated with implementation of reflective writingcurricula for promotion of reflective capacity within medical education. We reflect upon reflection.

PMID:
 
20407840
 
PMCID:
 
PMC2881974
 
DOI:
 
10.1007/s11606-010-1347-4


성찰, 인식, 지혜의 습득(Med Educ, 2008)

Reflection, perception and the acquisition of wisdom

Ronald M Epstein





인간의 두뇌와 인간의 마음에 대한 이해가 커짐에 따라 우리가 인식하는 것과 우리가 알고있는 것을 판단하는 함정에 대한 통찰력이 생겼습니다. 이러한 정신적 과정은 흔히 무의식적으로 이뤄지기 때문에, 우리는 종종 기억, 인식 및 가정이 우리의 행동과 판단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정확히 알지 못합니다. 의식하지 못하면 우리는 그것을 검증하거나 반박할 수 없습니다. 중요한 것은, 자신의 행동에 대한 가정은 종종 무의식적이기 때문에, 우리는 자신의 역량, 효과성, 전문성의 여러 측면에 대해 보지 못하고 있다는 것입니다. 성찰은 종종 우리의 인식을 벗어나는 지각과 판단에 대한 접근 방법의 하나로서 홍보되며, 따라서 우리를 변화시킬 수있는 더 나은 위치에 놓일 수 있습니다.

Our growing understanding of the human brain and the human mind has given us insight into the pitfalls of making judgements about what we perceive and what we know. Because these mental processes are largely unconscious,1 we are often unaware of exactly which memories, perceptions and assumptions affect our actions and our judgement; without awareness, we cannot validate or disconfirm them. Importantly , assumptions about our own behaviour are also often unconscious and, therefore, we can be blind to many aspects of our own competence, effectiveness and professionalism. Reflection is promoted as one way of gaining access to perceptions and judgements that often escape our awareness, and thus may place us in a better position to change them.


전문 지식은 단지 경험의 반복 그 이상이다: 우리 모두는 경험이란 것이 단순히 더 큰 자신감으로 실수를 반복하는 능력을 합리화하는 의사들을 알고 있다. 전문가들은 자기 감시 능력을 갖추어야 할뿐 아니라 변화하는 상황에도 적응할 수 있어야합니다 .2 데이비드 리치는 전문가는 어떤 규칙을 언제, 어느 정도까지 어기거나 깨뜨릴지를 아는 사람이라고 했다; Dreyfus는 '마스터'가 어떻게 자신의 지식을 지속적으로 질문하고 확장하며 맥락화할 수 있는지 설명합니다 .3 따라서 성찰의 목표는 지식과 기술을 발전시키는 것뿐만 아니라 정보에 입각 한 유연성과 지속적인 학습과 겸손을 촉진하는 마음의 습관을 개발하는 것입니다. 

Expertise is more than just repeated experience: we all know clinicians whose experience merely justifies their ability to repeat their mistakes with greater confidence. Experts should not only possess the capacity for self-monitoring, but should also be adaptable to changing circumstances.2 David Leach once described an expert as someone who has the ‘practical wisdom’ to know which rules to break, when to break them, and to what degree; Dreyfus describes how ‘masters’ are able to question, expand and contextualise their own knowledge continuously.3 Thus, the goal of reflection should be to develop not only one’s knowledge and skills, but also habits of mind that promote informed flexibility, ongoing learning and humility.


성찰에는 메타인지가 포함됩니다 (예 : 사고에 대한 사고와 느낌에 대한 느낌). 최근 neurocognitive 연구는 성찰과 metacognition에 관여하는 두뇌의 부분이 있다는 것을 제안합니다 .4 이러한 영역 중 하나는 전 전두엽 피질입니다

Reflection involves metacognition (e.g., thinking about thinking and feeling about feeling). Recent neurocognitive studies suggest that there are parts of the brain that are involved in reflection and metacognition.4 One such area is the medial prefrontal cortex


  • 공식적인 평가로부터 얻은 비인격적 데이터 (예 : 객관식 질문 테스트), 

  • 다른 사람들의 대인 관계 데이터 (예 : 피드백, 그룹 토론) 

  • 자기 내부의 데이터(gut feeling) 

...을 성찰하여 우리에게 즉각적으로는 명백하지 않은 사고 및 행동의 측면에 대한 지식을 얻을 수 있습니다 - 

It is possible to gain knowledge of aspects of our thinking and behaviour that are not immediately obvious to us through reflection on 

impersonal data from formal assessments (e.g. multiple-choice question tests), 

interpersonal data from others (e.g. feedback, group discussions) and

intra-personal data such as ‘gut’ feelings.


행동 중 성찰은 의사를 on course할 수 있게하고, 오류를 예방하고, 역량을 유지하는 데 필수적인 지속적인 자체 모니터링의 일부이지만, 행동 후 성찰의 가치는 논란의 여지가 있습니다. 예를 들어 Morbidity and mortality rounds는 미래의 실수를 예방하는 것처럼 보이지 않기 때문에 비판을 받아왔다. 또한 자신의 행동에 대해 ascribing하려는 동기는 마음을 편하게 해줄수는 있지만(예 : '피곤했다', '환자는 비협조적이었습니다', '비정형 사례였다'), 우리 개인의 불편한 진실은 밝혀지지 않는다 (예 : '나는 환자에게 유도질문을 했다.', '나는 항상 그 잡음을 듣는 척했지만, 실제로 고령자의 메모를 복사했다', '나는 감별 진단을 구성하는 좋은 방법이 없다').

Whereas reflection-in-action is part of the continuous self-monitoring that is essential to keep clinicians on course, prevent errors and maintain competence,6 the value of reflection-on-action is controversial. Morbidity and mortality rounds, for example, have been criticised because they do not seem to prevent future errors simply by examining and assigning culpability for past ones. Furthermore, ascribing motivations for one’s own actions (e.g. ‘I was tired’; ‘the patient was uncooperative’; ‘it was an atypical case’) after the fact may be comforting, but it does not reveal the inconvenient truths about our own personal deficiencies (e.g. ‘I asked the patient leading questions’; ‘I always pretended to hear those murmurs, but really just copied my senior resident’s note’; ‘I don’t have a good way of organising a differential diagnosis’).


자기 축하 및 자기 관대 한 유사성찰은 잘못된 자기 이미지를 수정하기보다는 강화할 수 있습니다.

Self-congratulatory and self-indulgent pseudoreflection can reinforce rather than challenge a flawed self-image.


실제 임상 실습에서의 성찰 습관의 촉진이 항상 쉽지만은 않은데, 왜냐하면 교사든 학습자든 성찰을 통해서 자신의 능력, 효과, 자기가치에 대한 인식을 위협하는 통찰이 생기면 방어적 자세를 취하기 때문이다. 성찰 집단, 성찰적 내러티브, 성찰 연습 세션을 통해 자기-지식을 제공하고 자기-기만적인 자연적 인간의 경향을 시정하는 방향으로 진화 해왔다.

Promotion of habits of reflection in actual clinical practice is not always easy because both teachers and learners put up defences when reflection yields insights that challenge their perceptions of their competence, effectiveness and selfworth. Reflection groups, reflective narratives and reflective practice sessions have evolved to provide self-knowledge and a corrective to the natural human tendency to self-deceive.


그러나 임상적 맥락을 벗어난 곳에서 실시 된 세션이 가치있어 보일지 몰라도, 그 세션들은 임상 작업에 embed된 성찰을 통해 보완되어야하며, 연수생이 함께 근무하는 통찰력 있고 끈기있는 임상의에 의해 모델링되고 멘토링되어야합니다.

However valuable sessions conducted outside the clinical context might seem, these must be complemented by reflection that is embedded in clinical work, and modelled and mentored by insightful and patient clinicians with whom trainees work.


코간 (Kogan)과 시어 (Shea)의 '피드백 카드 (feedback cards)'에 대한 연구는 의과 대학 임상 회전의 맥락에서 반성과 피드백을 촉진하기위한 노력을 나타낸다.

Kogan and Shea’s study of ‘feedback cards’ represents an effort to foster reflection and feedback in the context of medical school clinical rotations.9



우리 학생들은 충분한 피드백을 얻지 못한다고 끊임없이 불평하지만, '지금, 저는 여러분에게 약간의 피드백을 주고 싶습니다.'라고 말한 다음에 다시 한번 피드백을 주었음을 지적해주지 않으면, 피드백을 받고 있다는 사실을 인식하지 못한다. 피드백 카드를 사용하는 것은 우아한 해결책 인 것처럼 보입니다 : 피드백은 빈번하고, 학생들에게 중요한 주제를 중심으로 체계적으로 분류되어 표시됩니다.

Our students constantly complain that they don’t get enough feedback, but they don’t recognise it when they actually do get it unless we say, ‘Now, I’d like to give you a bit of feedback’ and then again define the feedback as such after it has been shared. Using feedback cards would seem to be an elegant solution: feedback would be frequent, labelled as such and organised around themes that were important to students.



성찰에는 특정한 기술의 개발이 요구되며, 뇌와 정신이 관련되며, 고품질 피드백에 주의를 기울여야하며, 과학적 조사와 이해의 대상이됩니다.

reflection demands the development of specific skills, involves the brain and the mind, requires attention to high-quality feedback and is subject to scientific investigation and understanding.






 2008 Nov;42(11):1048-50. doi: 10.1111/j.1365-2923.2008.03181.x.

Reflectionperception and the acquisition of wisdom.

Author information

1
Rochester Center to Improve Communication in Health Care, University of Rochester School of Medicine and Dentistry, Rochester, New York 14620, USA. ronald_epstein@urmc.rochester.edu
PMID:
 
19141004
 
DOI:
 
10.1111/j.1365-2923.2008.03181.x
[Indexed for MEDLINE]


문화적 역량, 전문직 정체성 형성, 변혁적 학습(Med Educ, 2017)

Cultural competency, professional identity formation and transformative learning

Adam P Sawatsky, Thomas J Beckman & Frederic W Hafferty



의학 교육의 이 호에서는 Leyerzapf와 Abma가 소수 민족 학생들을 문화 역량 교육의 맥락에서 다루는 몇 가지 과제를 발견했습니다.

In this issue of Medical Education, Leyerzapf and Abma identified several challenges that confront minority students in the context of cultural competency teaching.


소수 민족 학생들은 소수 집단 환자를 ​​대상으로 한 사례가 오히려 문화적 고정 관념이나 부정적인 사례를 강조하고, 소수 문화의 신념을 더욱 stigmatize한다고 느꼈습니다. 학습 환경 내에서 소수 민족 학생들은 롤모델의 부재, 주류 학생들의 무례, 문화적 대다수와 소수 민족 학생 간의 분리를 겪어 '고립감'을 느끼게되었습니다 .1

minority students felt that case examples involving minority patients highlighted cultural stereotypes or negative examples, further stigmatising minority cultural beliefs. Within the learning environment, minority students experienced a lack of role models, disrespect from majority students, and segregation between cultural majority and minority students, leading to a feeling of being ‘set apart’.1


이 논문은 다음을 비롯한 많은 질문을 제기합니다. 의대에서 문화적 역량을 어떻게 가르쳐야합니까? 소수 민족 레지던트는 전통 문화 역량 훈련에 관해 두 가지 중요한 점을 강조했습니다. 

  • 첫째, 주류 문화권에 속하는 교수진이 작성한 사례는 소수 문화의 관점을 잘못 해석하고, 고정 관념을 강화하고, 소수 민족을 소외시킬 위험이 있습니다

  • 둘째, 주류 학생들은 소수 문화권이 가진 기본 가정을 성찰하도록 요청 받았지만, 이는 소수 문화의 '타자 성'을 확인시켜줄 뿐이었으며, 결코 자신의 문화적 가정을 비판적으로 성찰하도록 요청받지 않았습니다.

This article raises many questions, including: How should medical schools teach cultural competency? Minority residents highlighted two important points regarding traditional cultural competency training. Firstly, cases created by faculty members from the cultural majority can misinterpret the minority cultural perspective and run the risk of confirming stereotypes and alienating minority students. Secondly, although majority students are asked to reflect on the underlying assumptions of minority cultures, which confirms the ‘otherness’ of these cultures, they are never asked to critically reflect on their own cultural assumptions.


이것은 소수 민족 학생들에게 그들의 문화를 '방어'하라는 불균등 한 학습 환경을 조성하여 문화가 건강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진정한 대화를 방해합니다.

This causes an uneven learning environment for minority students, who are asked to ‘defend’ their cultures, hindering true dialogue about the effects of culture on health beliefs.


두 번째 질문 : 의대가 다양성과 포용 성을 장려하는 학습 환경을 어떻게 마련해야 하는가? 소수 민족 학생들은 문화적 역량 교육에 대한 그들의 인식에 대해 질문 할 때, 다양성과 포용 사이의 흥미로운 긴장을 포함하여 학습 환경의 포괄성에 관한 더 깊은 문제를 논의했습니다. 소수 민족 학생들은 다른 소수 민족 학생들의 다양한 배경을 학습함으로써 얻을 수있는 이점을 확인했습니다. (저자는 대다수 학생들이 분리 때문에 이 학습을 놓칠 수 있다고 가정합니다). 동시에 소수 민족 학생들은 주류와의 차이점에 대한 토론을 통해 '낙인 찍히다'고 느꼈다. "우리를 독특하게 만드는 것을 강조하는 것"과 "우리를 단합시키는 것들을 촉진하는 것" 사이의 균형은 어디에 있습니까?

A second question : How should medical schools cultivate a learning environment that encourages diversity and inclusiveness? When asked about their perceptions of cultural competency teaching, minority stu-dents discussed deeper issues regarding the inclusiveness of the learning environment, including an interesting tension between diversity and inclusion. Minority students identified the benefit of learning from other minority students’ diverse backgrounds (the authors1 posit that majority students miss out on this learning because of segregation). At the same time, minority students felt ‘stigmatised’ by discussions of theirdifferences from the majority. Where is the balance between highlighting that which makes us unique and promoting those things that unite us?


응집력있는 전문적 정체성은 '훌륭한 의사'의 공통된 전문적 가치 아래 다양한 연수생 집단을 결집시킬 수 있습니다.

A cohesive professional identity can unite a diverse group of trainees under the shared professional values of a ‘good doctor’


교육자는 전문직 정체성 (즉, '훌륭한 의사'의 정체성)도 문화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는 것을 인식해야합니다. 

  • 신념의 역할에 대한 차이, 

  • 개인주의 대 집단주의, 

  • 위계

...등은 직업적 정체성의 개념화의 차이를 초래한다 .4 

educators must recognise that the professional identity (i.e. that of a ‘good doctor’) is also influenced by culture; 

  • differences in the role of faith, 

  • individualism versus collectivism, and 

  • hierarchy 

...lead to differences in the conceptualisation of professional identity.4 


그러므로 의과 대학은 다양성과 포용성을 추구함에 따라 개인 간의 문화적 차이를 이해하고 존중해야한다. 의학 교육은 '훌륭한 의사'의 정체성에 대한 주류의 문화적 이해가 어떻게 소수 문화적 신념을 소외시킬 수 있는지 이해해야한다.

Therefore, as medical schools seek diversity and inclusion they must push beyond understanding and respecting cultural differences between individuals. Medical education should seek to understand how the dominant cultural understanding of the identity of a ‘good physician’ may alienate minority cultural beliefs


저자는 이러한 질문을 해결하는 데 도움이 될 수있는 문화 역량 교육에서 누락 된 핵심 요소를 확인합니다. 바로 '비판적 (자아) 성찰'이다.1 문화적 역량 커리큘럼은 '가정assumption의 비판적 성찰, 논쟁을 통한 논쟁의 타당성 입증, 자신의 반사적 통찰력에 대한 행동, 비판적 평가 등으로 특징 지워지는 변형 적 학습'으로부터 이익을 얻을 것입니다. 학생들에게 '다른' 문화와 그 문화에서 건강에 대한 신념을 면밀히 조사하는 대신, 교육자는 모든 학습자가 자신의 문화가 건강에 대한 신념과 '훌륭한 의사'의 가치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를 비판적으로 성찰해야합니다. 이것은 모두가 비판적 성찰의 과정에 동등하게 관여하고 문화적 재귀에 필요한 기술을 개발하는 플랫폼을 설정합니다.


The authors identify a key element missing from cultural competency teaching that might help to resolve these questions: ‘critical (self-) reflection’.1 Cultural competency curricula would benefit from transformative learning, characterised by ‘critical reflection of assumptions, validating contested beliefs through discourse, taking action on one’s reflective insight, and critically assessing it’.6 Instead of asking students to scrutinise ‘other’ cultures and their health beliefs, educators should start by inviting every learner to critically reflect on how his or her own culture affects health care beliefs and the values of a ‘good doctor’. This sets a platform on which everyone is equally involved in the process of critical reflection and develops the skills necessary for cultural reflexivity.


멘토링은 비판적 성찰과 직업적 정체성 형성 사이의 연관성을 제공하여 진정한 변혁적 학습을 가능하게합니다 .2 말라위 의료 훈련생은 다른 문화권의 멘토를 가짐으로써 의학의 직업에 대한 관점을 넓혔지만, 문화적 멘토는 문화에 대한 이해가 부족하다는 것을 인정했습니다. 멘토링에 있어서 공유된 민족성이 중요 할 수 있다는 것을 보여 주었지만, 멘토와 멘티 간의 차이가 '더 큰 동반 성장'의 기회로 이어질 수 있다는 점을 강조하며, 지지적인 관계가 더 중요 할 수 있음을 보여 주었다.

Mentorship can provide a link between critical reflection and professional identity formation, resulting in true transformative learning.2 Malawian medical trainees acknowledged that having cross-cultural mentors broadened their perspective on the profession of medicine, but recognised that cross-cultural mentors lack understanding of culture-specific issues.9 Others have demonstrated that shared ethnicity can be important for mentoring pairs, but that a supportive relationship may be more important, highlighting that differences between mentor and mentee can lead to opportunities for ‘greater mutual growth’.10


마지막으로, 문화와 학습의 역할을 탐구하는 더 많은 의학 교육 연구가 필요합니다.

Finally, more medical education research exploring the roles of culture and learning is required.


모든 학생들이 문화적 영향력에 대한 비판적인 성찰을 통해 개인 및 직업적 정체성에 대한 문화적 역량 교육 및 어드밴스 및 포괄적 학습 환경을 개발할 수 있습니다.

Engaging all students in critical reflection on the influence of culture on personal and professional identities can guide cultural competency teaching and the development of adiverse and inclusive learning environment.





 2017 May;51(5):462-464. doi: 10.1111/medu.13316.

Cultural competencyprofessional identity formation and transformative learning.

Author information

1
Rochester, Minnesota, USA.
PMID:
 
28394072
 
DOI:
 
10.1111/medu.13316


모든 unprofessional한 행동이 같은 것은 아니다: 나쁜 행동의 체크리스트 (Med Teach, 2017)

Not all unprofessional behaviors are equal: The creation of a checklist of bad behaviors

Michael J. Cullena, Mojca R. Koniab, Emily C. Borman-Shoapc, Jonathan P. Bramand, Ezgi Tiryakie, f, Brittany Marcus-Blanka and John S. Andrewsa

aGraduate Medical Education, University of Minnesota, Minneapolis, MN, USA; bDepartment of Anesthesiology, University of Minnesota, Minneapolis, MN, USA; cDepartment of Pediatrics, University of Minnesota, Minneapolis, MN, USA; dDepartment of Orthopaedic Surgery, University of Minnesota, Minneapolis, MN, USA; eMinneapolis VA Health Care System, Minneapolis, MN, USA; fDepartment of Neurology, University of Minnesota, Minneapolis, MN, USA




도입

Introduction


연구에 따르면 팀워크와 존경과 같은 전문적인 행동은 환자 결과의 개선, 환자 만족도 향상 (Grumbach & Bodenheimer 2004), 치료 계획 준수 강화와 관련이 있음을 보여주었습니다 (Beach et al. 2005). 반대로 프로답지 않은 행동은 프로페셔널리즘에 대한 교수들의 부정적인 평가 (Stern et al. 2005)와 나중에 국가 의료위원회 (Papadakis et al. 2005)의 징계 조치와 관련이있다. 개인에 대한 영향 외에도 전문성 위반은 의료계 자체의 명성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침으로써 상당한 집단 차원의 비용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

Studies have shown that professional behaviors such as teamwork and respect are correlated with improved patient outcomes, higher patient satisfaction (Grumbach & Bodenheimer 2004), and greater adherence to treatment plans (Beach et al. 2005). Conversely, unprofessional behaviors are associated with negative faculty assessments of professionalism (Stern et al. 2005) and later disciplinary action by state medical boards (Papadakis et al. 2005). In addition to their effects on individuals, breaches of professionalism can have significant group-level costs by negatively affecting the reputation of the medical profession itself.


연수생, 환자 및 직업에 대한 의사의 부정 행위의 결과가 심각하기 때문에, 프로페셔널하지 못한 행동을 감지하기위한 "조기 경보 시스템"이 필요하다.

The serious consequences of physician misconduct on trainees, patients, and the profession argue in favor of an “early warning system” for detecting unprofessional behaviors.


전문성 문제를 확인하기위한 공식적인 시스템 외에도 직접 관찰 도구가 개발되었습니다. Mini-Clinical Evaluation Exercise (Mini-CEX) (Norcini et al. 2003) 및 Professionalism Mini-Evaluation Exercise (P-MEX)와 같은 도구가 포함됩니다 (Cruess et al., 2006).

In addition to formal systems for identifying professionalism issues, direct observation tools have been developed. These include tools such as the Mini-Clinical Evaluation Exercise (mini-CEX) (Norcini et al. 2003) and the Professionalism Mini-Evaluation Exercise (P-MEX) (Cruess et al. 2006).


P-MEX는 환자와의 만남, 소그룹 세션 및 사인 아웃 라운드를 포함 해 의대생의 행동을 관찰 할 수있는 모든 상황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습니다. P-MEX는 mini-CEX를 기반으로 관찰해야 할 더욱 구체적인 행동을 식별하여 개발되었다.

The P-MEX was designed for use in any situation where a medical student’s behavior can be observed, including patient encounters, small group sessions, and sign-out rounds. It builds upon the mini-CEX by identifying a set of even more specific behaviors to be observed.


프로페셔널리즘 문제를 발견하기위한 모든 직접 관찰 도구의 한 가지 일반적인 특징 (Arnold et al., 1998; Reed et al., 2008)은 긍정적이거나 부정적인 전문성 행동의 관측적인 "체크리스트"를 사용하는데, 직접적으로 평가되거나, 척도의 형태로 행동 앵커로 사용된다. 이러한 체크리스트는 개선 노력을 안내하는 데 도움이 된다는 점에서 가치가 있습니다. 몇몇 연구자들은 치료가 목표 일 때 특정적이고 관찰 가능한 전문적이지 않은 행동에 초점을 맞추는 평가 방법이 도움이된다고 주장했다 (Hawkins et al., 2009). 

One common feature of all direct observation tools for detecting professionalism issues (Arnold et al. 1998; Reed et al. 2008) is that they employ an observational “checklist” of positive or negative professionalism behaviors, which are either rated directly or serve as behavioral anchors in a scale. Such checklists have the value of being specific, to help guide remediation efforts. Several researchers have argued that when remediation is the goal, an assessment method that focuses on specific, observable unprofessional behaviors is helpful (Hawkins et al. 2009). 


지금까지 설계된 점검표의 중요한 한계는 행동의 심각성을 구분하지 않는다는 것입니다 (Arnold 2002). 특히, 현존하는 전문성 체크리스트는 

  • (a) 개별적으로 발생하는 행동의 상대적 중대성 비교 여부를 비교하지 못하며

  • (b) 행동의 중대성이 발생 빈도에 영향을 받는지 여부를 구분하지 않습니다. 

An important limitation of the checklists designed so far is that they do not distinguish between the severity of the behaviors on the lists (Arnold 2002). In particular, existing professionalism checklists do not 

  • (a) distinguish between the relative egregiousness of behaviors that occur in isolation or 

  • (b) indicate whether the egregiousness of behaviors is affected by their frequency of occurrence. 



우리는 프로페셔널하지 못한 모든 행동을 개별적으로 보면, 모두 동등하지는 않을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이러한 구분이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 예를 들어, 약물 남용의 징후를 표시하는 등 일부 행동은 너무 심각하여 단 한번만으로도 즉각적인 개선을 필요로 할 수 있습니다. 

  • 대조적으로, 일부 행동 (예 : 비판에 방어 적으로 반응)은 잘못된 행동의 패턴이 시간이 지남에 따라 나타납니다. 

따라서 이러한 고려 사항을 고려한 전문성 체크리스트를 개발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We believe these distinctions are important because it is possible that not all unprofessional behaviors are equally serious in isolation. 

  • For instance, some behaviors (e.g. displaying signs of substance abuse) may be so serious that a single occurrence of the behavior requires immediate remediation. 

  • In contrast, some behaviors (e.g. reacting defensively to criticism) may only be concerning when a pattern of misbehavior emerges over time. 

It would be desirable, therefore, to develop a professionalism checklist that takes these considerations into account.



정책 캡처는 의사 결정자가 평가 판단을 내릴 때 이용 가능한 정보를 사용하는 방법을 평가하기 위해 연구자가 사용하는 방법입니다. 이 방법론의 목적은 개별 심사 위원의 의사 결정 정책, 즉 정보의 가중치, 결합 또는 통합 방법을 포착하는 것입니다. 의사 결정자에게 여러 수준의 하나 이상의 설명 요인을 설명하는 일련의 시나리오를 판단한 다음 통계적 방법을 사용하여 의사 결정자가 자신의 의사 결정 프로세스에서 각 요소에주는 중점을 결정하도록 요구하는 것이 포함됩니다 (Zedeck 1977).

Policy capturing is a method employed by researchers to assess how decision makers use available information when making evaluative judgments. The purpose of this methodology is to capture individual judges’ decision-making policies, that is, how they weight, combine, or integrate information. It involves asking decision makers to judge a series of scenarios describing various levels of one or more explanatory factors, and then using statistical methods to determine the emphasis decision makers give to each factor in their decision-making process (Zedeck 1977).



방법

Method


역량 모델의 개발과 타당화

Competency model development and validation


Using the behaviors gleaned from this process, the first author rationally sorted them into seven “institution-level” professionalism dimensions and associated behaviors. In the creating the model, the focus was on identifying observable behaviors that could be reliably assessed by members of a trainee’s interprofessional team. The dimensions and facets (in brackets) included: 

    • (1) Conscientiousness (dependability, planning/organizing, thoroughness), 

    • (2) Aspiring to Excellence (work commitment, motivation to learn), 

    • (3) Integrity (trustworthiness, discretion, personal conduct, organizational citizenship), 

    • (4) Accountability (personal responsibility, self-awareness), 

    • (5) Teamwork (cooperation, respectful interaction, team building), 

    • (6) Patient-Centeredness (compassion, respect for diversity, humanism), and 

    • (7) Stress Tolerance (situational stress tolerance, interpersonal stress tolerance). 

The first author used the behaviors contained within the dimensions to define each dimension and associated facet.


At this stage, the behaviors were phrased positively. For instance, within the Integrity dimension, the model included such behaviors as “demonstrates honesty in interactions with patients, families, and other health care professionals” and “protects confidentiality of sensitive patient and co-worker information.”


The final professionalism dimensions and facets are displayed in Table S1 (available online as Supplemental Material), and the final validation results are in Table S2 (available online as Supplemental Material).



프로페셔널하지 못한 행동의 리스트 생성

Generating a list of unprofessional behaviors


In order to generate a list of unprofessional behaviors that aligned with the professionalism model, we asked workshop participants to translate each positive behavior in the model into an equivalent negative behavior. For instance, the positive behavior from the Conscientiousness dimension “demonstrates regular and punctual attendance” became “arrives late for conferences, rounds, or other work-related meetings.” This translation exercise resulted in the generation of 70 non-overlapping negative professionalism-related behaviors. 


Determining the relative egregiousness of unprofessional behaviors


To determine the relative egregiousness of these 70 unprofessional behaviors, we asked workshop participants to indicate how concerned they would be if a trainee engaged in each behavior 1, 2, 3, 4, or “5 or more” times during a sixmonth period.


The concern scale ranged from 1 to 4 (

    • 1¼not concerned, 

    • 2¼a little concerned, 

    • 3¼somewhat concerned, and 

    • 4¼very concerned, a meeting with the program director is required). 

Thus, for each behavior, raters made five ratings, showing their level of concern for each of the five possible frequencies of occurrence. Using these ratings, we computed the mean concern rating for each behavior, for each possible frequency of occurrence.


To capture the “overall” level of egregiousness of each behavior across all frequencies of occurrence, we also created a “concern index” (CI) for each behavior by summing the scores for each behavior for each frequency of occurrence. Thus, 

    • the maximum possible score on the CI for a behavior was 20 (i.e. a maximum mean rating of 4 for each behavior for each of the five possible frequencies of occurrence), while 

    • the minimum was 5 (i.e. a minimum mean rating of 1 for each behavior for each of the five possible frequencies of occurrence).


Creating the final professionalism checklists


Table S3).


Results


Table S3 reveals that 14 behaviors were judged to be at least somewhat concerning if they occur even once. These behaviors included: 

(a) 물질 남용의 명백한 징후를 나타내는 것,

(b) 동료들에 대한 폭력적인 행동을 보여주는 것,

(c) 개인의 이익을 위해 의사로서의 지위를 이용하여,

(d) 환자, 가족 또는 다른 의료 전문가와 진실되게 상호 작용하지 못하고,

(e) 동료 나 환자를 차별하는 것,

(f) 연구 및 학술 활동에 대한 윤리적 기대를 지키지 못하고,

(g) 환자를 경멸하는 모습,

(h) 그들의 잘못이 아닌 오류에 대한 동료 비난,

(i) 사실을 허위 진술하거나, 공평하게 사실을 제시하지 못한 경우,

(j) 의도적으로 사이트 규칙 및 절차를 무시하고,

(k) 전자 의료 기록에 잘못된 정보를 포함하는 것,

(l) 공개적으로 동료를 비판하는 방식으로 비판하는 것,

(m) 환자의 필요를 환자의 필요 이상으로 두는 것,

(n) 환자 그룹에 대한 고정 관념.

(a) displaying obvious signs of substance abuse, 

(b) demonstrating abusive behavior toward co-workers, 

(c) using one’s status as a doctor for personal gain, 

(d) failing to interact truthfully with patients, families, or other healthcare professionals, 

(e) discriminating against co-workers or patients, 

(f) failing to uphold ethical expectations of research and scholarly activity, 

(g) showing disrespect toward patients, 

(h) blaming co-workers for errors that were not their fault, 

(i) misrepresenting facts, or failing to present facts impartially, 

(j) knowingly disregarding site rules and procedures, 

(k) including erroneous information in the electronic medical record, 

(l) criticizing co-workers in public in a non-respectful manner, 

(m) putting one’s individual needs above the needs of patients, and 

(n) stereotyping about groups of patients.



Behaviors with the lowest concern indices included: 

(1) 결과 또는 만족도를 결정하기 위해 환자를 추적하지 못한 경우 (CI = 14.66),

(2) 환자들에게 질문을하도록 권유하지 않는 것 (CI14.50),

(3) 팀 상호 작용을 부적절하게 지배 (CI14.50),

(4) 비 체계적으로 업무에 접근 (CI 12.23),

(5) 회의, 라운드 또는 기타 업무 관련 회의에 늦게 도착한 경우(CI 11.18).

(1) failing to follow up with patients to determine outcomes or satisfaction (CI ¼14.66), 

(2) not encouraging patients to ask questions (CI ¼14.60), 

(3) inappropriately dominating team interactions (CI ¼14.50), 

(4) approaching work tasks unsystematically (CI ¼12.23), and 

(5) arriving late for conferences, rounds, or other work-related meetings (CI ¼11.18).



Table 1 provides CI for professionalism dimensions across all behaviors in each dimension. The professionalism dimension with the greatest overall average CI is Integrity (average CI ¼18.47) and the professionalism dimension with the lowest overall CI is Conscientiousness (average CI ¼14.77). Table 1 suggests that while all professionalism breaches are important, breaches of the Integrity domain are viewed to be most concerning.



고찰

Discussion


우리는 프로페셔널리즘 역량 모델을 검증하고 교육 전문가들의 평가에 기초한 "요약" 및 "확장"전문성 체크리스트를 작성했습니다. "요약" 점검표는 문제가 발생하는 경우 해당 문제가 발생했는지, 치료가 필요한지를 식별한다. 두 번째 "확장 된"체크리스트는 우려가 되고 교정이 필요한 덜 심각한 행동에 대해서 패턴을 확인한다.

We validated a professionalism competency model and created both a “brief” and “extended” professionalism checklist based on ratings by education experts. The “brief” checklist identifies those behaviors that are concerning, and require remediation, if they occur at all. The second “extended” checklist identifies patterns of misconduct in less serious behaviors that are concerning and require remediation.


  • 첫째, unprofessional 행동은 egregiousness의 정도가 다르다는 것을 보여줍니다.

  • 둘째, 우리의 연구는 독립적으로 발생하는 unprofessional 행동과 행동의 패턴을 대표하는 것과 비교하기위한 프레임 워크를 만듭니다.

  • 셋째,이 연구는 초기 징후 의사를 확인하고 문서화하는 데 어려움을 겪을 수있는 경험적으로 입증 된 전문성 체크리스트 2 개를 생성했습니다.

  • First, it demonstrates that unprofessional behaviors vary in their level of egregiousness.

  • Second, our work creates a framework for comparing unprofessional actions that occur in isolation to those that represent a pattern of behavior.

  • Third, this study generated two empirically validated professionalism checklists that can be used for of trouble in identifying and documenting early signs physicians.



이 작업에는 한계가 있습니다. 첫째, 체크리스트의 개발은 필연적으로 주관적이다. 그것은 임상 학문, 기관, 그리고 가장 중요하게는 문화 전반에 걸쳐 의견을 넓히려는 미래의 노력으로부터 이익을 얻을 것입니다. 최근 연구에 따르면 unprofessional 로 간주되는 행동에 관한 중요한 지역적 차이가있을 수 있습니다 (Chandratilake 외. 2012; Jha 외 2015). 따라서 이러한 행동의 순위는 다른 국가의 의료 시스템의 문화적 맥락과 고유 한 특성에 따라 다를 수 있습니다.

There are limitations to this work. First, the development of the checklist is necessarily subjective. It would benefit from future efforts to broaden input across clinical disciplines, institutions, and most importantly, across cultures. Recent research suggests that there may be important regional differences regarding which behaviors are considered unprofessional (Chandratilake et al. 2012; Jha et al. 2015). Thus, the rankings of these behaviors may vary depending on the cultural context and unique properties of healthcare systems in different countries.


개선 방안과 관련하여 우리는 "간단한 체크리스트"행동이 발생할 때마다 개입하기로 결정했습니다. 왜냐하면 이러한 행동이 한 번 발생하더라도 최소한 정의에 따라 다소 "somewhat concerning"하기 때문에 개입하기로 결정했습니다. 마찬가지로 확장 된 체크리스트의 모든 행동에서의 부정 행위 패턴이 동일한 우려 수준에 도달하면 개선 조치가 나타납니다.

Regarding the triggers for remediation, we have decided to intervene whenever any of the “brief checklist” behaviors occurs since even one occurrence of these behaviors is by definition at least “somewhat concerning”. Similarly, remediation is indicated when a pattern of misconduct in any behavior in the extended checklist reaches the same level of concern.


접근 방식에 관계없이 평가의 모범 사례는 두 가지 체크리스트에 대한 피드백이 여러 출처에서 나와야하며, 학습자의 interprofessional team에서 가능한 많은 구성원을 포함해야한다고 제안합니다 (Goldie 2013). 이러한 다중 소스 피드백 시스템은 업계에서는 빈번하게 사용되지만 의료 환경에서는 그다지 일반적으로 사용되지 않습니다 (Hawkins 외 2009).

Regardless of the approach taken, best practices in assessment suggest that feedback for both checklists should come from multiple sources, and include as many members of a learner’s interprofessional team as possible (Goldie 2013). Such multisource feedback systems are used frequently in industry, but less commonly in medical settings (Hawkins et al. 2009).


또한 여러 평가자의 통찰력을 포함하여 여러 평가자 그룹이 학습자를 보는 방법을 비교할 수 있으므로 학습자에게 피드백을 제공 할 때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관찰 된 행동에 대해 학습자에게 피드백을 제공하는 것은 모든 치료 계획의 핵심 부분이지만, 누구나 그러한 피드백을 제공하는 전문 기술을 가졌을 것으로 생각해서는 안된다.

In addition, including insights from multiple raters allows for a comparison of how different rater groups view the learner, which can be helpful when providing feedback to learners. The provision of feedback to learners about behaviors observed is a key part of any remediation plan, and expertise in providing that feedback should not be assumed.


교수진이 연수생에 대한 부정적인 평가를 꺼리는 까닭에 (Albanese 2000; Boon & Turner 2004), 교수가 unprofessional한 행동을 문서화하는 것이 중요한 이유를 교육하는 것이 필수적입니다. 잘못된 행동 패턴이 probation을 필요로하거나, 드물지만 termination이 필요한 경우에는, 프로페셔널리즘 문제에 관한 문서화가 중요합니다.

Due to the reluctance of faculty to give negative evaluations of trainees (Albanese 2000; Boon & Turner 2004), it will be essential to train faculty about why documenting unprofessional behavior is important. Documentation of professionalism issues is crucial if a pattern of misbehavior requires probation, or in rare cases when termination is required.


이 위원회의 두 가지 주요 목표는 체크리스트 데이터를 기반으로 언제 remediation을 해야하는지 결정하는 것과 어떻게 이를 효율적으로 수집할지에 대한 것이다.

Two key objectives of this committee will be to decide when checklist data should trigger remediation, and how to collect it efficiently.


프로페셔널리즘 점검표의 주요 목표는 비전문가 행동의 조기 파악이지만 전문직 정체성 형성 및 전문성 지식 개발 분야 (Goldie 2013)에서 총 피드백을 제공하는 데 사용될 수도 있습니다. 힐튼 (Hilton)과 슬롯 닉 (Slotnick, 2005)이 지적했듯이 프로페셔널리즘은 고정된 특성이 아니며, 시간에 따라 습득해가는 state에 더 가깝다.

Although the primary goal of our professionalism checklists is early identification of unprofessional conduct, they could also be used for providing summative feedback in the areas of professional identity formation and the development of professionalism knowledge (Goldie 2013). As Hilton and Slotnick (2005) have observed, professionalism is not a static trait, but an acquired state developed over time.


프로페셔널리즘 평가를위한 가장 중요한 이유 중 하나는 unprofessional한 행동의 조기 발견과 행동의 개선입니다.

One of the most important reasons for assessing professionalism is early detection unprofessional and remediation of behavior.



Policy capturing: 

A method employed by researchers to assess how decision makers use available information when making evaluative judgments. The purpose of this methodology is to capture individual judges’ decision-making policies, that is, how they weight, combine, or integrate information. It involves asking decision makers to judge a series of scenarios describing various levels of one or more explanatory factors, and then using statistical methods to determine the emphasis decision makers give to each factor in their decision-making process. The results indicate the relative importance of the various factors for the decision makers.






 2017 Jan;39(1):85-91. doi: 10.1080/0142159X.2016.1231917. Epub 2016 Sep 27.

Not all unprofessional behaviors are equal: The creation of a checklist of bad behaviors.

Author information

1
a Graduate Medical Education , University of Minnesota , Minneapolis , MN , USA.
2
b Department of Anesthesiology , University of Minnesota , Minneapolis , MN , USA.
3
c Department of Pediatrics , University of Minnesota , Minneapolis , MN , USA.
4
d Department of Orthopaedic Surgery , University of Minnesota , Minneapolis , MN , USA.
5
e Minneapolis VA Health Care System , Minneapolis , MN , USA.
6
f Department of Neurology, University of Minnesota , Minneapolis , MN , USA.

Abstract

INTRODUCTION:

Professionalism is a key component of medical education and training. However, there are few tools to aid educators in diagnosing unprofessional behavior at an early stag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mploy policy capturing methodology to develop two empirically validated checklists for identifying professionalism issues in early-career physicians.

METHOD:

In a series of workshops, a professionalism competency model containing 74 positive and 70 negative professionalism behaviorswas developed and validated. Subsequently, 23 subject matter experts indicated their level of concern if each negative behavior occurred 1, 2, 3, 4, or 5 or more times during a six-month period. These ratings were used to create a "brief" and "extended" professionalism checklist for monitoring physician misconduct.

RESULTS:

This study confirmed the subjective impression that some unprofessional behaviors are more egregious than others. Fourteen negative behaviors (e.g. displaying obvious signs of substance abuse) were judged to be concerning if they occurred only once, whereas many others (e.g. arriving late for conferences) were judged to be concerning only when they occurred repeatedly.

DISCUSSION:

Medical educators can use the professionalism checklists developed in this study to aid in the early identification and subsequent remediation of unprofessional behavior in medical students and residents.

PMID:
 
27670731
 
DOI:
 
10.1080/0142159X.2016.1231917


전문직업성의 행동적, 시스템적 관점(JAMA, 2010)

A Behavioral and Systems View of Professionalism

Cara S. Lesser, MPP

Catherine R. Lucey, MD

Barry Egener, MD

Clarence H. Braddock III, MD, MPH

Stuart L. Linas, MD

Wendy Levinson, MD




수월성은 훈련과 습관을 통해 얻어진다. 좋은 사람이거나 훌륭한 사람이어서 옳게 행동하는 것이 아니라, 옳게 행동하는 사람이 좋은 사람이고 훌륭한 사람이다. 어떤 사람이 반복적으로 하는 행동이 그 사람을 규정한다. 따라서 수월성이란 일회적 행동이 아니라 습관이다.

Excellence is an art won by training and habituation. We do not act rightly because we have virtue or excellence but rather we have those because we have acted rightly. We are what we repeatedly do. Excellence then is not an act but a habit. Aristotle1


현재 보건의료환경에서 프로페셔널리즘

Professionalism in the Current Health Care Environment


헬스케어는 근본적으로 인류의 활동으로 수많은 상호 작용 과정에서 발생하며, 궁극적으로는 가장 중요한 정신ethos이나 가치관value에 의해 안내guide되어야합니다.

Health care is a fundamentally human activity that occurs in the course of innumerable interactions that ultimately must be guided by an overarching ethos or value set,


사회 과학 문헌에 따르면, 동기유발자로서의 경제적 인센티브는 한계가 있으며, 목표의식과 내재적 동기 부여가 인간 행동의 근원이되는 더 강력한 힘이다5 특히 헬스케어와 같은 복잡하고 고부담인 분야에서, 오랫동안 프로페셔널리즘은 경제학자들과 의료윤리학자들에 의해 환자 치료에서 필수적인 중재력mediating force으로 인정되어왔다 .6-8 프로페셔널리즘은 헬스케어 시스템에서 필요로하는 심오하고 광범위한 변화를 일으키는 데 충분하지 않을 수도 있지만, 그것이 없다면 헬스케어 산업은 존재할 수 없다.

A growing body of social science literature calls attention to the limits of financial incentives as a motivator and identifies pride of purpose and intrinsic motivation as more powerful forces underlying human behavior.5 Particularly in a field as complex and as high stakes as health care, professionalism has long been recognized by economists and medical ethicists as an essential mediating force in patient care.6-8 Professionalism may not be sufficient to drive the profound and far-reaching changes needed in the health care system, but without it, the health care enterprise is lost.


프로페셔널리즘과 핵심 프로페셔널 가치의 개념이 일반적으로 건강 개혁에 관한 토론의 명백한 부분이 아닌 데에는 여러 가지 이유가 있습니다. 

  • 환자와 소비자 그룹은 프로페셔널리즘이라는 단어의 의미에 대해 명확하지 않습니다. 그들은 종종 의사에게 전적으로 초점을 맞춘 특권과 자격과 같은 길드의 집합으로 부정적으로 간주합니다. 

  • 의사는 프로페셔널하지 않은 행동을 조장하고 보상하는 시스템에서 "전문적"이 되라는 경고를 받으면서 곤란을 느낄 수 있습니다. 

  • 의대생들은 교실에서 명확히 표현 된 가치와 실제로 임상 환경에서 보여지는 가치 사이에서 관찰 된 단절을 오랫동안 알고있었습니다. 

  • 전문성을 정의하려고 시도하는 공식 진술추상적 원칙을 기반으로하는 경향이 있으며, 특히 현재의 건강 관리 환경의 복잡성과 관련하여 전문적 행동이 실제로 무엇인지 명확하게 설명하지는 않습니다.

There are many reasons the concept of professionalism and core professional values typically are not an explicit part of discussions about health reform. Patients and consumer groups are unclear about the meaning of the word professionalism. They often view it negatively, as a set of guild like privileges and entitlements focused entirely on the physician. Physicians may feel bludgeoned by admonitions to “be professional” in systems that foster and reward unprofessional behavior. Medical students have long been aware of the observed disconnect between values articulated in the classroom and those actually exhibited in clinical settings. Formal statements attempting to define professionalism tend to be abstract and principle based, without clear description of what professional behavior is in practice, particularly in the context of the complexities of the current health care environment.


점차 맥락이 중요하다는 인식이 커지고 있다. 예를 들어 프로페셔널한 행동은 환경적 힘의 영향을 받는다 .11,12 그러나, 만약 프로페셔널리즘이 충분히 강하다면, 그러한 부정적 영향의 압박도 초월하거나 견뎌야한다는 점에서, 프로페셔널리즘에 대한 인식은 여전히 ​​정적인 것static으로 남아있다.

there is greater awareness that context matters; ie, professional behaviors are influenced by environmental forces.11,12 However, there remains a perception of professionalism as a somehow static quality that if strong enough, should transcend or withstand the pressure of negative influences.


프로페셔널리즘은 역동적인 것이자 행동적 언어로서 간주되어야 하며, 이 관점은 프로페셔널리즘이 중요한 이유와 프로페셔널리즘이 강화 될 수있는 방법에 중요한 영향을 미칩니다. 전문성은 단순히 실천을위한 텍스트 기반의 이상ideals의 집합이 아니라, 관찰 가능한 행동으로 표현되는 의료의 실천에 대한 접근 방식입니다.

Professionalism should be considered in more dynamic and behavioral terms, and this perspective has important implications for why professionalism matters and for how professionalism can be strengthened. Professionalism is not simply a set of text-based ideals for practice, rather it is an approach to the practice of medicine that is expressed in observable behaviors.


또한 프로페셔널리즘을 '타고난 성격이나 덕목'으로 보는 관점은 보다 진화할 필요가 있습니다. 전문적인 가치를 반영하는 행동을 일관되게 보여주기 위해서는, 평생 동안 배우고 다듬는 정교한 역량이 필요합니다. 또한 프로페셔널한 행동은 현대 의학 관행의 조직적 및 환경 적 맥락에 크게 영향을받으며, 이러한 외부적 힘은 프로페셔널리즘을 억압하는 것이 아니라 서포트하는 방향으로 발현되어야 한다.

In addition, there is a need to evolve from thinking about professionalism as an innate character trait or virtue. Consistently exhibiting behaviors that reflect professional values requires sophisticated competencies that can and must be taught and refined over a lifetime of practice. Also, professional behaviors are profoundly influenced by the organizational and environmental context of contemporary medical practice, and these external forces need to be harnessed to support, not inhibit, professionalism in practice.


21세기 프로페셔널리즘: 행동이 말보다 더 중요하다

21st-Century Professionalism: Actions Speak Louder Than Words


2002 년에 의료 전문직에 관한 의사 헌장이 발표 된 이래로 현재 환경에서 전문적인 행동을 구성하는 것이 무엇인지를보다 명확하게 밝히기위한 노력이 많이있었습니다. 예를 들어, Swensen et al은 최근에 현대의 훌륭한 의사에 대한 비전을 제시했다.

Since The Physician Charter on Medical Professionalism9 was issued in 2002, there have been a number of efforts to make more explicit what constitutes professional behavior in the current environment. For example, Swensen et al14 recently offered a vision of the modern day good doctor:


이와 마찬가지로, "좋은 의료 실무 지침"10은 "유능한"의사의 바람직한 특성을 설명하며,

Similarly, the “Guide to Good Medical Practice”10 describes the desirable characteristics of the “competent” physician,


ACGME에 의한 6영역.

the 6 domains of competence advanced by the Accreditation Council for Graduate Medical Education.


이 중요한 연구를 더욱 발전시키기 위해 헬스 케어 팀 (표 1)의 환자, 가족 구성원 및 동료와의 개별 상호 작용 및 관리 및 관리 거버넌스의 조직 간 상호 작용이라는 두 가지 주요 영역에서 전문적인 행동을 개념화하기위한 프레임 워크를 제공합니다 배달 설정 및 전문 단체 (표 2).

To further build on this important work, we offer a framework for conceptualizing professional behaviors in 2 key domains: 

  • 개인 수준의 상호작용 individual interactions with patients, family members, and colleagues in the health care team (TABLE 1) and 

  • 조직 수준의 상호작용 organizational interactions in the management and governance of care delivery settings and in professional organizations (TABLE 2).






현대 의학 전문 직업의 4 가지 핵심 가치 :

(1) 환자의 "봉사"에 중점을 두고 공감하고 존중하며 협력을 지향하는 것

(2) 성실성 및 책임;

(3) 수월성 추구; 과

(4) 건강 관리 자원의 공정하고 윤리적 수호자

4 core values of contemporary medical professionalism: (1) compassionate, respectful, and collaborative orientation, with a focus of being “in service” of the patient; (2) integrity and accountability; (3) pursuit of excellence; and (4) fair and ethical stewardship of health care resources.


이 프레임 워크의 중요한 메시지는 프로페셔널리즘이 정적이거나 비정형 구조가 아니라는 것입니다. 오히려 프로페셔널리즘은 구체적인 행동으로 정의 될 수 있으며 의료 전달 시스템에서 의사의 다양한 다양한 상호 작용으로부터 생겨나는 의료 행위에 대한 살아있는lived 접근 방법으로 이해되어야합니다.

The critical message of this framework is that professionalism is not a static or amorphous construct. Rather, it can be defined in concrete behaviors and should be understood as a lived approach to the practice of medicine that emanates from physicians’ many varied interactions in the care delivery system.



성장형, 발달적 모델로서 프로페셔널리즘

Viewing Professionalism Through a Growth and Development Model


특정한 전문 기술에 의해 가능해진 일련의 행동으로 프로페셔널리즘을 개념화하는 것은 [프로페셔널리즘이 변화 할 수없는 성격에 기반한 엄격한 태도적 역량이며 보다 명확한 성장 및 개발 모델을 제안한다는 전통적인 개념]에 도전합니다. Lucey와 Souba는 프로페셔널리즘은 직접 학습 경험이 필요하며 시간이 지남에 따라 발전되고 심화 될 수있는 역량이라고 제안합니다. Leach16은 성인 학습자가 프로페셔널리즘의 가치를 보여주기 위한 생각으로 의과 대학에 입학 할 수 있지만, 의사가 마주해야 하는 도전적인 상황에서 전문적인 행동을 유지하는 것에는 경험이 없다고 말합니다. 실제로 프로페셔널리즘을 얻으려면 상충하는 것들의 우선 순위를 탐색하고 압력이나 스트레스가 많은 상황에서 건전한 판단과 결정을 내리는 능력이 필요합니다. 단순히 무엇이 잘못인지 알고 있거나 강한 내부 나침반을 가진 것 만으로는 충분하지 않습니다. 꾸준히 전문성을 발휘하는 것은 실천된 기술practiced skill입니다. 게다가 다른 역량과 마찬가지로 전문성은 의사의 경력 과정에서 진화하는 초보자부터 전문가까지의 발달 곡선을 따릅니다.


Conceptualizing professionalism as a set of behaviors, enabled by a specific set of skills, challenges the traditional notion that professionalism is a strictly attitudinal competency based on immutable character traits and suggests instead a more explicit growth and development model. Lucey and Souba15 suggest that professionalism requires firsthand learning experiences and is a capacity that can be developed and deepened over time. Leach16 similarly notes that whereas adult learners may enter medical school with the desire to exhibit the values of professionalism, they have no experience in maintaining professional behavior under the challenging circumstances that confront practicing physicians. Achieving professionalism in practice requires the capacity to navigate competing priorities and make sound judgments and decisions, often under pressure or in stressful situations. Simply knowing right from wrong or having a strong internal compass does not suffice. Consistently exhibiting professionalism is a practiced skill. Moreover, like other competencies, professionalism follows a developmental curve from beginner to expert that evolves over the course of a physician’s career.15


Lucey와 Souba15는 또한 프로페셔널한 행동을 실제적으로 보여주는 것에 대한 어려움들은 일상적이거나 예외적이지 않은 것으로 간주되어야하며, 프로페셔널리즘 역량 개발은 그러한 어려움에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있는 탄력성과 적응력을 구축하는 데 초점을 맞추어야한다고 제안합니다.


Lucey and Souba15 further suggest that the challenges to exhibiting professional behaviors in practice should be considered routine, not anomalous, and that development of professionalism competency should focus on building resiliency and adaptability to effectively respond to such challenges.


프로페셔널리즘의 시스템 관점

Systems View of Professionalism


행동을 강조하는 것은 환경의 문화적 규범과 스트레스 요인이 의사 행동에 영향을 미친다는 맥락의 중요성을 강조합니다.

Emphasizing behaviors underscores the importance of context, or the notion that cultural norms and stressors in the environment influence physician behavior.


다른 사람들은 의사들의 전문직으로서의 책임을 시스템과 인구 건강의 개선으로 확장시켰다.17) 이들은 사회와 조직 세력이 의사 전문성에 미치는 영향에 주목했다 .18,18 FIGURE는 의사의 프로페셔널리즘을 일련의 nested setting에서 나오는 것으로 묘사한다.

Others have called for physicians’ professional responsibilities to extend to improving systems of care and population health17 and have noted the impact of societal and organizational forces on physician professionalism.12,18 the FIGURE con-ceptualizes physician professionalismas emerging in a series of nested set-tings




각각의 sphere에서 의사는 여러 가지 관심 분야를 탐색하고 때로는 경쟁 우선 순위를 탐색해야합니다. 전문적으로 행동하기 위해서 의사는 이러한 영향권 전체에 걸쳐 복잡하고 경쟁적인 가치와 시각의 균형을 유지해야합니다.

Each of these spheres requires the physician to navigate multiple interests and, at times, competing priorities. Acting professionally requires the physician to balance complex and competing values and perspectives across these spheres of influence.


프로페셔널리즘에 대한 이러한 시스템 관점은 헬스 케어를 복잡한 적응 시스템으로 이해하는 데 기반을두고 있으며, 여러 가지 분산 된 에이전트들이 서로 영향을 미치는 상호 작용 네트워크를 특징으로합니다. 전문적인 행동은 치료가 제공되는 조직적 및 환경 적 맥락에 의해 크게 영향을받으며 마찬가지로 환경 적 맥락은 이러한 영역의 의사 행동에 의해 형성됩니다 .18

This systems view of professionalism is grounded in understanding health care as a complex adaptive system, characterized by a dynamic network of interactions across multiple dispersed and decentralized agents whose actions influence one another. Professional behaviors are profoundly influenced by the organizational and environmental context in which care is delivered, and likewise, the environmental context is shaped by physician behaviors in these domains.18


이 관점이 중요한 이유는, 실제로 프로페셔널리즘을 강화하기 위해서는 개별 의사의 안정성과 역량을 향상시키는 것 이상의 전략을 필요로한다는 것을 의미하기 때문이다. 전문성을 강화하려는 노력은 의사가 수행하는 조직 및 환경 적 맥락에 초점을 맞추어, 전문적인 행동을 유도하고, 프로페셔널한 행동을 억제하는 장벽을 제거하기 위해 외부적 힘을 조정하는 방법을 밝혀야 합니다.

This perspective is important because it implies that strengthening professionalism in practice will require strategies that go beyond improving individual physicians’resiliency and competency. Efforts to strengthen professionalism also need to focus on the organizational and environmental context in which physicians practice, identifying ways to align these external forces to foster professional behaviors and eliminate the barriers that inhibit them.


프로페셔널리즘이 미덕이 아닌 행동인 것처럼, 건강 관리 시스템의 기능은 여러 에이전트의 무수한 교차하고 상호 작용하는 행동에서 유래합니다. 의사 리더는 전문적인 방식으로 행동하고 어려운 상황에서 배우기 위해 의사를 격려하고 지원하는 의료 환경을 조성해야 할 특별한 책임이 있습니다. 프로페셔널리즘이 실천을 통해 배양되는 환경을 조성하려는 노력이야말로 아마도 프로페셔널리즘의 궁극적인 표현 일 것입니다.

Just as professionalism emanates from actions not virtues, the functionality of the health care system also emanates from the myriad intersecting and interacting behaviors of multiple agents. Physician leaders have a particular responsibility to create care environments that encourage and support physicians to act in a professional manner and to learn from challenging situations. Striving to create environments that cultivate professionalism in practice is perhaps the ultimate expression of professionalism.




교육과 시스템 수준의 개혁

Education and System-Level Reform


의학 교육은 프로페셔널리즘을 개인 성격으로서 다루기보다는, 비판적 사고, 기술 습득, 숙의적 연습이 필요한 다차원 역량으로 진화 할 필요가 있습니다. 교육 프로그램은 연수생에게 자신의 전문성에 대한 도전, 즉 의사의 적응 능력 향상을 예측, 인식 및 관리하는 방법을 가르 칠 수 있습니다.

Medical education needs to evolve from treating professionalism as a personal character trait to teaching professionalism as a multidimensional competency requiring critical thinking, skill building, and deliberate practice. Education programs can teach trainees how to anticipate, recognize, and manage challenges to their professionalism—essentially building physicians’ adaptive capacity.


동시에, 프로페셔널리즘을 조직 및 환경 적 맥락에 의해 형성된 행동으로 이해함으로써 프로페셔널리즘을 강화하는 것이 "전문직"에만 초점을 둔 것 이상의 노력을 필요로한다는 것을 암시합니다. 오히려 완화 요소를 극복하고 의사가 실제로 전문성을 발휘할 수있는 역량을 강화하는 전략을 개발하려면 더 많은 관심이 필요합니다.

At the same time, understanding professionalism as behaviors shaped by the organizational and environmental context suggests that strengthening professionalism will require efforts beyond those focused on “the profession” alone. Rather, more attention is needed to develop strategies to overcome mitigating factors and strengthen those that support physicians’ capacity to exhibit professionalism in practice.



Conclusions






 2010 Dec 22;304(24):2732-7. doi: 10.1001/jama.2010.1864.

behavioral and systems view of professionalism.

Author information

1
Foundation Programs, American Board of Internal Medicine Foundation, Philadelphia, Pennsylvania, USA. cara.lesser@hhs.gov

Abstract

Professionalism may not be sufficient to drive the profound and far-reaching changes needed in the US health care system, but without it, the health care enterprise is lost. Formal statements defining professionalism have been abstract and principle based, without a clear description of what professional behaviors look like in practice. This article proposes a behavioral and systems view of professionalism that provides a practical approach for physicians and the organizations in which they work. A more behaviorally oriented definition makes the pursuit of professionalism in daily practice more accessible and attainable. Professionalism needs to evolve from being conceptualized as an innate character trait or virtue to sophisticated competencies that can and must be taught and refined over a lifetime of practice. Furthermore, professional behaviors are profoundly influenced by the organizational and environmental context of contemporary medical practice, and these external forces need to be harnessed to support--not inhibit--professionalism in practice. This perspective on professionalism provides an opportunity to improve the delivery of health care through education and system-level reform.

PMID:
 
21177508
 
DOI:
 
10.1001/jama.2010.1864


전문직업성 학습: Trench에서의 관점(Acad Med, 2007)

Viewpoint: Learning Professionalism: A View from the Trenches

Andrew H. Brainard, MD, MPH, and Heather C. Brislen, MD




우리는 의대생으로서, 특히 우리 임상실습 동안 병원 환경에서 의료 전문성을 배우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이 에세이를 작성했습니다.

We wrote this essay to describe how we are learning medical professionalism as medical students, especially in the hospital environment in our clinical years.


배경

Background


현재 프로페셔널리즘 교육을 받고 있기는 의대생으로서, 우리는 이 주제에 관한 현재의 문헌 대부분이 핵심을 놓치고 있다고 생각한다. 우리는 의료 프로페셔널리즘 교육의 주요 장벽이 의학 교육자에 의한 비전문가의 행동이라고 제안합니다.

as current medical students immersed in learning professionalism, it is our observation that most of the current literature on this topic misses the mark. We propose that the chief barrier to medical professionalismeducation is unprofessional conduct by medical educators.


실제로, 교수진과 레지던트에 의한 unprofessional한 행위는 확립 된 권위에 의해 보호된다 .5-7

In practice, unprofessional conduct by faculty and residents is protected by an established hierarchy of authority.5–7


교육자들은 학생들과 마찬가지로 더 넓은 의학 문화 내에서 작동하게끔 되어 있다.8 교육병원은 (우리가 표준으로 기대하는 일관된 교수법이나 전문적인 돌봄보다) 위기 통제의 윤리에 따라 행동하는 것처럼 보입니다. 어떤 위기 상황 이건간에 이 병원의 환경은 효율성이나 생산성을 위해 표준 이하의 전문적 행동을 수용하도록 진화했습니다. 이미 확립된 위계 구조는 표준 이하 행동을 인식하고 개혁하려는 경향이 없기 때문에, 의학계는 명백하게 단지 이론적으로만 프로페셔널리즘 교육 커리큘럼을 뒷받침한다. 학생은 이 커뮤니티의 가장 malleable한 구성원이자, 프로페셔널리즘 평가의 novel advent로서, 학생은 행동에 따라 성적이 매겨지는 유일한 대상입니다.


Medical educators, like the students they teach, are forced to operate within the larger medical culture.8 Rather than the consistent teaching or expert caregiving that we would wish for as the standard, providers in academic hospitals seemto operate on an ethic of crisis control.9,10 As in any crisis, the environment has evolved to accept substandard professional behavior in exchange for efficiency or productivity.11,12 Established hierarchies, in turn, are not inclined to recognize and reform their own substandard behavior, and therefore the medical community tends to only theoretically support the explicit professionalism curriculum.13,14 Students are the most malleable members of this community, and with the novel advent of professionalism evaluations, they are also the only players subjected to grading based on their behavior.15,16




문제

The Problem


의학계 학생은 학장에게 전문성에 대한 평가가 부족하거나 전문성이 부족한 것으로 잘못 판단되거나 징계를받을 수있는 학생에 대한 보호 장치가 없다는 우려를 표명했습니다. 학장은 "전문직 종사자를 부르는 것은 인종 차별 주의자라고 불리는 것과 같습니다. 당신은 자신을 방어 할 수있는 방법이 없습니다. 대화가 끝났습니다. "- 4 학년 의대생

A medical student expressed concern to a dean that there were no protections in place for students that are poorly evaluated for professionalism or may be wrongly accused of or disciplined for a lack of professionalism. The dean replied, “Being called unprofessional is like being called a racist. You have no way to defend yourself; the conversation is over.” —Fourth-year medical student


시험은 학생에게 술에 취한 사람들의 반응에 대해 어떻게 반응 하는지를 물었습니다. 기관에는 내부 고발자 보호와 학생 학대 정책이 둘 다 없습니다. 학생은 이러한 경우에 돌이킬 수있는 사람이 없다고 대답했으며보고하기가 너무 두려웠습니다. 그는 전문성 부족으로 시험에 실패했습니다. - 2 학년 의대생

An exam asked a student how he would respond to an intoxicated attending. The institution lacks both whistleblower protection and a student abuse policy; the student answered that there was no one to turn to in these cases, and that he was too afraid to report. He failed the exam for lack of professionalism. —Second-year medical student


사무원 평가에서 한 학생은 임상 강의의 절반 이상을 취소하는 것이 전문가가 아닌 것으로 불평했습니다. 1 년 후,이 기밀 평가는 "비전문가의 기대"의 증거로 인용되었습니다. - 3 학년 의료 학생

In his clerkship evaluation, a student complained that canceling over half of the clinical lectures was unprofessional. A year later, this confidential evaluation was cited as evidence of “unprofessional expectations.” —Third-year medical student


한 학생이 참석자가 성적으로 괴롭힘을 당했다고 느꼈습니다. 참석자의 행동이 적어도 전문가가 아니었다는 것에 동의 한 후, 사무원 장은 그녀가 레지던스를 확보 할 가능성을 상하게 할 것이므로 불만을 제기하지 않았습니다. 그 대가로 그녀는 사건이 기밀로 유지되고 참석자가 더 이상 학생들과 함께 일하지 않을 것이라고 확신했습니다. 그녀의 기밀은 그 때 깨졌고 참석은 학생들을 멘토링하기를 계속합니다. - 3 학년 의대생

A student felt that she was sexually harassed by an attending. After agreeing that the attending’s conduct was at least unprofessional, the clerkship director discouraged her fromfiling a grievance because it would hurt her chances of securing a residency. In return, she was assured that the incident would be kept confidential and the attending would no longer work with students. Her confidentiality then was breeched and the attending continues to mentor students. —Third-year medical student



Coulehan의 견해에 따르면, 이러한 잠재 교육과정은 환자가 아니라, 위계를 교육의 중심에 위치시킵니다. 이 상황에서 학생들은 교육자들에 의한 많은 비전문적 행위, 그리고 그들이 이러한 행동에 책임을 지지 않는다는 것을 목격한다.

In Coulehan’s20 view, the hidden curriculum places the academic hierarchy—not the patient—at the center of medical education. In this arrangement, students witness many unprofessional acts by medical educators for which the educators are not held accountable.21


학생들은 의학자들이 환자의 체중, 인종 또는 질병에 대해 멸시적인 말을 하는 것을 듣습니다 .23 학생들은 그들의 supervisor가 환자 기밀을 위반하고 다른 의사와 전문 분야를 무시하며 병원 규정을 무시하고 환자를 위험에 빠뜨리기도 한다고 보고합니다.

Students hear medical educators make derisive comments about patients’ weight, ethnicity, or diseases.23 Students report that their supervisors violate patient confidentiality, disrespect other physicians and specialties, disregard hospital regulations, and even place patients at risk.


학생들의 프로페셔널리즘에 대한 평가 및 성적 사정 수행이 동일한 레지던트 및 교수에 의해 이뤄질 때가 많습니다. 가장 중요한 것은 명백하게 프로페셔널한 행동을 하는 학생에게 unprofessional이라는 딱지가 붙는 경우입니다 .27 학생들은 환자 병력에 대해서 팀과 동의하지 않을 때, 동의 절차의 적절성에 대해 질문 할 때, 근무 시간 위반을보고 할 때, 자신을 위해서 건강 보험에 대한 인기가없는 할 때, 학업 기록을 요청할 때, 성적 오류에 대한 구제책을 요청할 때조차 그 professionalism에 의심을 받는다.

It is often these same residents and faculty members who are called on to conduct the evaluation and grading of students’ professionalism. Most concerning are the instances in which the label of unprofessional is applied to a student who exhibits explicitly professional behavior.27 Students’ professionalismhas been questioned when they disagree with a teamon a patient history, question the appropriateness of a consent process, report duty hours violations, make an unpopular choice of health insurance for themselves, request their own academic records, or ask for a remedy to a grading error.


분야에 대한 문헌은 없지만, 프로페셔널리즘에서 높은 점수를 받는 것은 아마도 위계의 효율성을 얼마나 수호하는지와 관련이 있을 것이라고 본다.

Although there is no literature in the field, we suggest that high marks in professionalismcorrelate with protecting the efficiency of the academic hierarchy.




프로페셔널하지 못한 행동을 칭찬하고, 프로페셔널한 행동에 벌주기

Praise for the Unprofessional and Punishment for the Professional



학생은 사기 담당 이사에게 그가 사기이고 학교 정책을 명백히 위반한다고 생각하는 주민들을위한 퇴원 요약을 쓰고 있다고보고합니다. 그녀는 "가장 중요한 직업적인 덕목이 상사와 함께하고있다"고 대답하고 계속해서 활동할 것을 제안했습니다. - 3 학년 의대생

A student reports to his clerkship director that he has been writing discharge summaries for his residents that he believes are fraudulent and in clear violation of school policy. She responded that “the most important professional virtue is getting along with your superiors” and suggested he continue the activity. —Third-year medical student


증례 회의에서 학생은 직장 검사의 적절성에 의문을 제기하고 직장 검사가 때때로 학생 및 환자 학대의 한 형태로 사용될 수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그 학생은 그 질문이 "부적절한"것이고 "학습에 대한 전문가가 아닌 전문가의 저항"을 지적한 평가를 받았습니다. - 3 학년 의료 학생

During a case conference, a student questioned the appropriateness of performing a rectal exam, and stated that the rectal exam may sometimes be used as a form of student and patient abuse. The student later received an evaluation noting that question was “inappropriate” and indicated an “unprofessional resistance to learning.” —Third-year medical student


학생들은 서기장에게 초과 근무 시간을보고했습니다. 그 대답은 "전문적인 학생은 일을하고 불평하지 않을 것"이었다. - 3 학년 의대생

Students have reported an excess of work hours to the clerkship director. The response was, “The professional student would just do the work and not complain.” —Third-year medical student


객관적인 기준이 없으면 의료 교육자는 명예, 애타주의, 책임의 미덕보다 외양, 형식, 순응을 "프로페셔널"한 것으로 평가할 가능성이 더 높을 것이다. 학생들은 (환자 또는 명백히 "프로페셔널한" 행동보다) 권력과 성격이 더 중요한 시스템에서 놓여있다고 말한다.

We suggest that, without objective standards, medical educators are more likely to evaluate appearance, formality, and conformity as “professional” than the virtues of honor, altruism, and responsibility. Students say that they function within a systemwhere power and personality are more important than patients or than explicitly “professional” behavior.


우리의 관찰에 따르면 학생들은 unprofessional한 의과 대학이나 병원 문화의 지뢰밭을 탐색 할 수있는 유일한 방법으로서, "전문적이고" "윤리적"인 카멜레온이된다는 것을 보여줍니다.

Our observations show that students become “professional” and “ethical” chameleons because it is the only way to navigate the minefield of an unprofessional medical school or hospital culture.


그들은 또한 시험에 대한 최선의 대답이 올바른 대답이 아닐 수도 있다는 사실에 매우 친숙합니다. 정답은 누가 그 질문을 했는지에 달려 있습니다 .27,29

They are also intimately familiar with the fact that the best answer on a test may not be the right answer— it all depends on who asked the question.27,29


이러한 권력 차이를 협상하는 과정에서, 학생들은 "프로페셔널리즘"에서 높은 점수를 받기 위해서는 전문 직업 윤리를 훼손하거나, 이상을 고집하지 않고 유연하게 대처하거나, 기껏해야 개인적인 윤리 기준을 준수하면서도 '외교적'인 사람이 되어야 함을 알게 된다.

In negotiating this power differential, our colleagues say that high marks in “professionalism” are best obtained by students who compromise formal professional ethics, are flexible with their ideals, or, at best, can be diplomatic while following their personal ethical standards.



권력 차이를 협상하기

Negotiating a Power Differential


학생은 마취 된 취약자에 대한 성폭행이라고 생각되는 것을 관찰합니다. 이 사건을 적절한 행정 당국에보고 한 후,이 교수진은 목격 한 행동이 전문가가 아니며 비 윤리적이며 불법 일 가능성이 있음에 동의했습니다. 그녀는 그녀의 전문 직업을 보호하기 위해 조용히 지내라는 지시를 받았다. - 3 학년 의대생

A student observes what she believed to be a sexual assault on an anesthetized minor. After reporting this incident to the proper administrative authority, this faculty member agreed that the witnessed action was likely unprofessional, unethical, and may have been illegal. She was instructed to keep quiet in order to protect her professional career. —Third-year medical student


면역 억제 상태의 환자들과 함께 급성 종양 내과 병동에서 일하는 참석자들은 학생들에게 "혼수 상태가 아닌 이상" 병가를 내는 것은 전문가가 아님을 학생들에게 가르쳤다."- 제 3 학년 의대생

An attending, working in the acute oncology ward with immunosuppressed patients, instructed students that it was unprofessional to take sick days “unless you are comatose.” —Third-year medical student


한 학생이 평가에서 F를 만든 산술 오류를 발견하였다. 그는 성적을 반영하도록 성적표를 변경하도록 요청했습니다. 원래 잘못 계산 된 후에 등급이 변경되었습니다. 그러나 그는 나중에 오류를 범한 사무실에서 "비전문적인 주장"에 대해 비판을 받았다. - 2 학년 의대생

A student discovered an arithmetic error in his evaluation, resulting in a failing grade. He requested to have the transcript altered to reflect his performance. After originally standing by their erroneous arithmetic, the grade was changed. However, he was later criticized for “unprofessional assertiveness” by the office that had made the error. —Second-year medical student



많은 의대생들은 자신들이 교육자의 비전문적 행동의 피해자라고 생각합니다 .30 악의적인 포주pimping 행위 (수치심을 유발하는 심문), 타인 학대 및 부끄러움의 명백한 사례 외에도, 학생들은 성별 또는 민족성에 따라 타겟팅됩니다 .32,33 학생에 대한 Sexual harassment는 여전히 흔하다.34,35

Many medical students feel they are victims of unprofessional behavior by educators.30 In addition to obvious cases of malignant pimping (i.e., interrogation intended to humiliate), belittlement, and shame,31 students are targeted according to gender or ethnicity.32,33 Sexual harassment of students remains commonplace.34,35


  • 좋게 말해봐야, 학생들은 afloat하게 지내는 것이 우선이고, 자신들은 예의와 존경은 교육자가 거의 제공하지 못하는 사치일 뿐인 혼란스러운 시스템에 참여하고 있다는 것을 이해한다. 

  • 나쁘게 말하면, 학생들은 자신의 교육자의 비전문적 인 행동을 모방하면 보상을 받음을 알게됩니다 .37 

  • 학생들은 전문적 행동을 구성하는 것이 무엇인지 진정으로 혼동합니다.

It is our observation that, at best, students understand that they are participants in a chaotic system in which staying afloat is the priority and courtesy and respect are luxuries seldom afforded by their educators. At worst, students learn they are rewarded for mimicking the unprofessional behavior of their educators.37 Students are genuinely confused as to what constitutes professional behavior.


우리는 다음 패턴을 확인합니다.

we identify the following patterns:


▪ 시스템은 프로페셔널리즘을 장려하나, 동시에 프로페셔널하지 못한 supervisor에게 평가자 역할을 맡긴다. 따라서 주관적인 평가는 쓸모가 없다

▪ The system encourages professionalism and at the same time asks for its evaluation by unprofessional supervisors. Thus, subjective evaluations are useless.


▪ 피드백은 대부분 정확하지 않고, 대부분 건설적이지 않습니다. 대신 학생들은 병동팀의 바퀴에 기름칠을 하지 못했다며 무고한 실수나 행동의 목록만을 전달받는다.

▪ Feedback is rarely seen as accurate and is almost never constructive. Instead, students receive lists of innocent mistakes or descriptions of behaviors that have failed to grease the wheels of the ward team.


▪ 학생들은 전문직의 덕목을 실천하는 것이 아니라 문제를 피하는 방법을 배웁니다.

▪ Students learn how to avoid trouble, rather than how to exemplify the virtues of professionals.




우리는 강의가 예고없이 취소되고, 약속이 잊혀지고, 회의가 거의 시작되지 않는다는 것을 관찰했습니다. 다른 의료계 학생들은 교육자들이 종종 page에 응답하지 않고 전자 메일을 무시할 수 있다고 느낍니다. 임상 평가는 돌려받게되기까지 수 개월이 걸리고 종종 학생을 잘 못 지칭하고 있다. 학생들의 평가는 종종 사실적 오류를 포함하고, 우연히, 부정확하게 적용되며 세부 사항에는 거의 주의를 기울이지 않습니다. 시험 성적은 분실, 지연 또는 잘못 해석됩니다. 관련 개인에 따라 학업 정책을 잊어 버리거나, 잘못 기억하거나, 무시합니다. 학생들의 평가에 대한 기밀 유지는 약속되었지만지지되지 않았습니다. 학문적 리더십, 학장 및 교수진은 꾸준히 혼란과 혼란을 겪고 있습니다.


We have observed that our lectures are canceled without notice, appointments are forgotten, and meetings rarely start on time. Other medical students report that their educators frequently fail to return pages and feel free to ignore emails. Clinical evaluations take many months to be returned and often refer to the wrong student. Students’ evaluations often contain factual errors, are applied haphazardly, inaccurately, and with little attention to detail. Test grades are lost, delayed, or misinterpreted. Academic policies are forgotten, misremembered, or disregarded depending on the individuals involved. Confidentiality of evaluations by students is promised but not upheld. Academic leadership, deans, and faculty are in a constant state of turmoil and turnover.



해결책

Solutions


기본으로 돌아가는 것이 프로페셔널리즘 교육의 진정한 성공의 열쇠라고 생각합니다.

It is our feeling that this return-to-fundamentals approach is the key to the real success of professionalism education.


▪ 학생 학대를 줄이려는 시도가 의대생의 프로페셔널리즘 평가를 위한 노력보다 우선시되어야합니다. 전문성 교육에는 일관된 교육, 명확한 표준 및 공정한 평가가 포함되어야합니다. 성공적인 미덕을 달성하고 증명하는 데 어려움을 겪고 있는 학생들에게는 합리적 결과, 교육적 개선 및 성공 방향 전환이 제공되어야 한다.

▪ Attempts to reduce student abuse must take precedence over efforts toward evaluation of medical students’ professionalism. Professionalism education should involve consistent education, clear standards, and fair assessment. Students who are having difficulty with attaining and demonstrating professional virtues should face rational consequences, educational remediation, and reorientation toward success.


▪ 역할 모델은 전문성 교육의 성공에있어 핵심적인 요소입니다 .41-44 의학 교육자는 모범을 보이며 선도해야하며, 전문직 교육 및 평가는 가장 시니어 의사, 행정관, 직원부터 그 대상이 되어야 한다. 프로페셔널리즘에 대한 정의는 보다 명확해야하며 평가는 객관적이어야하며, 그러한 정의를 기반으로해야합니다. 숙련 된 평가자가 있고 과거의 경험이 건설적인 피드백이 있음이 입증 된 경우를 제외하고는, 학생들의 전문성에 대한 주관적 및 서술 적 평가는 수행되어서는 안됩니다.

▪ Role models are of central importance to the success of professionalism education.41–44 Medical educators must lead by example, and professionalism education and evaluation must be top down, starting with the most senior physicians, administrators, and staff. Definitions of professionalismmust be cogent and clear, and evaluations should be objective and based on such definitions. Subjective and narrative evaluation of students’ professionalism ought not to be performed except when there are trained evaluators and when past experience has proved that there will be constructive feedback.


▪ 교육자는 의학 교육 시스템 내에서 자신의 비전문적 인 행동에 대해 책임을 져야한다 .45) 레지던트에 의해 훈련받은 의과대학생의 schoolyard dynamic은 일관되고 집중적 인 감독을받을 자격이있다. 병원 윤리위원회는 죽음과 죽음과 같은 전통적 영역을 넘어 건강 관리 팀의 전문성 영역으로 나아가 야한다. 교수 역할을하는 사람이 프로답지 않은 행동을하는 것은 절대 용납되어서는 안된다.

▪ Medical educators should hold themselves accountable for the unprofessional behavior within the medical education system.45 The schoolyard dynamic of medical students trained by residents deserves consistent and intensive supervision. Hospital ethics committees ought to be encouraged to move beyond the traditional scope of areas such as death and dying and into the realmof professionalismof health care teams. There should be a zero-tolerance policy for unprofessional behavior by anyone in a teaching role.


▪ 교수진, 레지던트, 직원, 학생 모두 명시적인 커리큘럼에 대한 개인적인 헌신을 보여주고, 숨겨진 커리큘럼을 공개적으로 그리고 proactive하게 처리해야합니다. 그들은 학업 과정에서 투명성을 보장하고, 학생들을 공손하게 대우하며, 자신의 전문적이고 윤리적 인 행동을 입증해야합니다.

▪ Faculty, residents, staff, and students alike need to show a personal commitment to the explicit curriculum, and address the hidden curriculum openly and proactively. They must assure transparency in the academic process, treat students respectfully, and demonstrate their own professional and ethical behavior.


The Ongoing Dilemma


학생들은 자신이 배운 명시적 프로페셔널 가치와 잠재 커리큘럼의 암묵적인 가치 사이의 단절을 이해하는데 큰 어려움을 겪고 있다.


Students struggle profoundly to understand the disconnect between the explicit professional values they are taught and the implicit values of the hidden curriculum.





 2007 Nov;82(11):1010-4.

Viewpointlearning professionalism: a view from the trenches.

Author information

1
University of New Mexico School of Medicine, Albuquerque, New Mexico, USA. brainaa@slhn.org

Abstract

The authors, medical students immersed in learning professionalism, observe that most of the professionalismliterature misses the mark. Their views on professionalism education, although not the result of qualitative research, were gained from four years of conversations with students from a dozen medical schools, plus online student discussions, focus groups, and meetings with supervisors from five schools. The authors propose that the chief barrier to medical professionalism education is unprofessional conduct by medical educators, which is protected by an established hierarchy of academic authority. Students feel no such protection, and the current structure of professionalism education and evaluation does more to harm students' virtue, confidence, and ethics than is generally acknowledged. The authors maintain that deficiencies in the learning environment, combined with the subjective nature of professionalism evaluation, can leave students feeling persecuted, unfairly judged, and genuinely and tragically confused. They recommend that administrators, medical educators, residents, and students alike must show a personal commitment to the explicit professionalism curriculum and address the hidden curriculum openly and proactively. Educators must assure transparency in the academic process, treat students respectfully, and demonstrate their own professional and ethical behavior. Students overwhelmingly desire to become professional, proficient, and caring physicians. They seek professional instruction, good role models, and fair evaluation. Students struggle profoundly to understand the disconnect between the explicit professional values they are taught and the implicit values of the hidden curriculum. Evaluation of professionalism, when practiced in an often unprofessional learning environment, invites conflict and compromise by students that would otherwise tend naturally toward avowed professional virtues.

PMID:
 
17971682
 
DOI:
 
10.1097/01.ACM.0000285343.95826.94


전문직정체성형성: TIME을 통한 종단 프레임워크 형성(Acad Med, 2015)

Professional Identity Formation: Creating a Longitudinal Framework Through TIME (Transformation in Medical Education)

Mark D. Holden, MD, Era Buck, PhD, John Luk, MD, Frank Ambriz, MPAS, PA-C, Eugene V. Boisaubin, MD, Mark A. Clark, PhD, Angela P. Mihalic, MD, John Z. Sadler, MD, Kenneth J. Sapire, MD, Jeffrey P. Spike, PhD, Alan Vince, PhD, and John L. Dalrymple, MD





Cooke와 동료 1은 "학생들은 일반적으로 '의학계의 토대가되는 가치'와 그러한 가치가 교육 과정의 각 단계에 어떠한 의미를 가지는지'에 대한 피상적인 이해만을 가지고 의과 대학에 진학합니다."

Cooke and colleagues1 noted, “Students typically enter medical school with only a superficial understanding of the values underpinning the medical profession and how these values inform every step of the educational process.”


많은 학자들이 의학 교육에서 PIF에 의도적 인 초점을 두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4) Sklar6은 "의료의 상품화와 의료환경의 악화"로 인한 PIF에 대한 도전에 대해 우려를 표명했다. 이제 의료 서비스는 시장에서 사고 팔리는 제품이 되었다.

an increasing number of authors have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an intentional focus on PIF in medical education.4,5 Sklar6 expressed concern about the challenges to PIF that result from “the commodification of health care and the deterioration of the health care environment,” in which medical services become products bought and sold in the health care marketplace.


Texas University System (UTS)은 의대 졸업에서부터 대학 입학까지 학부 의학 교육 (UME)을 재구성, 향상 및 단축하기 위해 TIME (Transformation in Medical Education ) 이니셔티브를 수립했습니다. TIME은 역량 기반 교육을 사용하고 인문학 및 사회 과학의 비 전통적 주제를 통합하는 방식으로 운영되며, PIF를 강조합니다.

The University of Texas System (UTS) established the Transformation in Medical Education (TIME) initiative to reconfigure, enhance, and shorten undergraduate medical education (UME) from college matriculation through medical school graduation. TIME uses competency-based education, incorporates nontraditional topics from the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 and emphasizes PIF.


배경

Background


개인의 정체성 개발에 대한 많은 연구는 Erikson의 정체성 이론과 Marcia의 정체성 상태 패러다임이 사회 발전 이론 및 사회적 학습 이론에 의해 확대 된 데서 비롯된다. Wilson 등 11)은 직업적 정체성을 "개인적 가치, 도덕, 특성을 직업의 규범과 통합하는 것" 이라고 했다. Kegan의 건설적 - 발달 이론은 여러 분야에서 정체성 개발에 적용되었습니다.

Much of the work on personal identity development derives from Erikson’s7 identity theory and Marcia’s8 identity status paradigm expanded by social development theory9 and social learning theory.10 Wilson et al11 described professional identity as “the integration of personal values, morals, and attributes with the norms of the profession.” Kegan’s constructive- developmental theory12 has been applied to identity development in several professions.


보건 전문직 내의 전문적 정체성 개발에 대한 고려 16-18은 전문직정체성이란 "조립" 되고 "해체"되며, 사회적으로 정의되고 사회적으로 영향을 받으며, 개인의 자아개념 및 한 개인의 여러가지 정체성 개념과 얽혀있는 직업적 정체성의 역동적인 본질을 인정한다.

Consideration of professional identity development within the health professions16–18 acknowledges the dynamic nature of professional identities that are “assembled” and “disassembled,” socially defined and influenced, and intertwined with one’s self-concept and one’s multiple personal identities.


의학에서의 PIF 문헌은 경험적 학습, 조기 임상 경험, 역할 모델, 담화, 사회화 및 관계의 중요성을 강조한다. 25-28 전문성 개발에 대한 학생들의 수준은 PI F, 29에 영향을 미칠 수있다. 문헌들은 정체성 개발에서 자기 성찰의 중요성을 더욱 강조한다 .31-35

PIF literature in medicine highlights the importance of experiential learning, early clinical experiences, role models, discourse, socialization, and relationships.25–28 Students’ level of developing expertise may also impact PI F, 29 as reflected in their understanding and approach to professional dilemmas.30 The literature further underscores the importance of self-reflection in identity development.31–35



프레임워크 개발

Framework Development


2012 년 TIME 운영위원회 (TIME Steering Committee)는 PIF를 정의하고 주요 측면을 설명하며 홍보 및 평가 전략을 파악할 수있는 특별 전담반을 구성했습니다.

In 2012, the TIME Steering Committee established a task force to define PIF, explicate its key aspects, and identify strategies for its promotion and assessment.


태스크 포스의 업무에는 전문성과 PIF의 구별이 필요했습니다. PIF를 정의하는 과정과 정의 자체가 태스크 포스의 그룹 형성을 촉진하고 언어와 PIF에 대한 이해를 일치 시켰습니다.

Clarification of the distinction between professionalism and PIF was essential to the task force’s work. Both the process of defining PIF and the definition itself facilitated the task force’s group formation and aligned its language and understanding of PIF:


전문직 정체성 형성은 [유능하고 인본주의적인 의사의 지식, 기술, 가치 및 행동]을 [자신의 고유 한 정체성과 핵심 가치]와 통합하는 변혁적 여정입니다. 이 지속적인 프로세스는 멘토십, 자기 반성 및 의료 직업의 모범 사례, 전통 및 윤리를 확인하는 경험을 통해 개인적 및 직업적 성장을 촉진합니다. 모든 의대생의 교육은 PIF.38에 기초합니다.

Professional Identity Formation is the transformative journey through which one integrates the knowledge, skills, values, and behaviors of a competent, humanistic physician with one’s own unique identity and core values. This continuous process fosters personal and professional growth through mentorship, self-reflection, and experiences that affirm the best practices, traditions, and ethics of the medical profession. The education of all medical students is founded on PIF.38



이러한 영역과 하위 영역의 (대학 입학에서 의대 졸업까지) 장기 적용을 용이하게하기 위해 PIF 특별팀은 소아과 이정표 프로젝트 (Pediatrics Milestone Project)에서 세 가지 개발 단계를 채택했다.

  • Phase 1 (Transition)은 학생들의 호기심과 수동 관찰이 초기의 직업적 정체성을 알려주는 PIF의 도입을 나타냅니다. 일반적으로 학부생 인 1 단계의 학생들은 의학에 관심을 나타내지만 아직 전문자로서 현장에 engage하지 않습니다.

  • 2 단계 (Early Developing Professional Identity)는 의과 대학 교육 및 조기 임상 경험에 종사하는 학생의 성숙해져가는 직업적 정체성을 설명합니다. 이 학생들은 환자 치료의 전달과 전문의라는 개념을 높이 평가하지만 아직 일차적 책임을지지하지 않습니다. 서기 직전에 의대생은이 단계를 대표합니다.

  • 3 단계 (전문직 정체성 개발)는 책임감과 서비스 감각을 보여주는 책임있는 의료 서비스 제공자라는 무게과 엄격함을 이해하는 학생들을 묘사합니다. 달성 단계 3은 의과대학 졸업생에 대한 적절한 목표 일 수 있습니다.

To facilitate longitudinal application (from college matriculation through medical school graduation) of these domains and subdomains, the PIF task force adapted three developmental stages from the Pediatrics Milestone Project.41

  • Phase 1 (Transition) represents the introduction of PIF, in which students’ curiosity and passive observations inform their nascent professional identity. Students in Phase 1, typically undergraduates, exhibit an interest in medicine but are not yet engaged with the field as professionals

  • Phase 2 (Early Developing Professional Identity) describes the maturing professional identity of students engaged in medical school education and early clinical experiences. These students appreciate the delivery of patient care and the concept of being professional but have yet to assume primary responsibility. Medical students early in their clerkship rotations typify this phase. 

  • Phase 3 (Developed Professional Identity) describes students who understand the gravity and rigor of being responsible health care providers demonstrating a sense of duty and service. Attaining Phase 3 may be an appropriate goal for graduating medical students.



PIF Framework


구조

Structure


The PIF task force constructed a framework that tangibly formats the 6 domains and 30 subdomains (Table 1) across the three developmental phases. 


For an example of a subdomain in the PIF framework, see Chart 1.





활동 제안

Suggested activities


고교생을 대상으로 한 Leming의 연구에 따르면 윤리적 추론과 자기 성찰적 구성 요소가있는 지역 사회 봉사는 지역 사회 봉사 단독보다 학생의 정체성 형성에 더 큰 영향을 미친다는 것이 밝혀졌다.

Leming’s45 study of high school students revealed that community service with ethical reasoning and self- reflection components had a greater effect on students’ identity formation than community service alone.


PIF 프레임 워크에서 다양한 상황과 역할에 대한 자원 봉사는 세 단계로 이루어져 있으며 모든 영역을 포괄합니다.

In the PIF framework, volunteering in different contexts and roles spans all three phases and crosses all domains:



  • 예를 들어, 1 단계 동안 학생들은 지역 사회 봉사 센터에서 자원 봉사 할 수 있으므로 서비스 지향 태도, 공감대 표시 습관 및 약속을 존중하는 책임을 증진합니다.

  • 2 단계의 학생들은 학생 주도의 무료 진료소에서 자원 봉사 활동을 펼치면 임상 적 역량이 증가함에 따라 더 큰 책임감을 갖고 서비스 방향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습니다.

  • 3 단계의 학생은 리더십의 개인적 특성을 개발하는 데 도움이 되는 학생 주도의 무료 진료소의 책임자가 될 수 있습니다. 학생들은 이러한 자원 봉사 활동, 관련 반사 에세이, 포트폴리오의 형성 피드백을 종적 발달을 입증하는 교육 전략으로 수집 할 수 있습니다 .46-48

  • For example, during Phase 1, students could volunteer in a community service center, thus promoting the attitude of service orientation, the habit of displaying empathy, and the responsibility of honoring commitments. 

  • For students in Phase 2, volunteering in a student-led free clinic could further enhance service orientation with greater levels of responsibility arising from increased clinical competence. 

  • A student in Phase 3 might become director of a student-led free clinic, which would help develop the personal characteristic of leadership. Students could compile these volunteering activities, related reflective essays, and formative feedback in portfolios as an educational strategy to demonstrate longitudinal development.46–48



프레임워크 내에서 PIF평가

Assessment of PIF Within the Framework


평가의 세 가지 중요한 목적은

(1) 학습자에게 피드백 제공,

(2) PIF를 홍보하기위한 교과 과정 및 과외 전략 평가 및

(3) 이론적 발전


Three important purposes for assessments are 

(1) providing feedback to learners, 

(2) evaluating curricular and extracurricular strategies to promote PIF, and 

(3) advancing theoretical development.


Cooke 등은 PIF 평가를위한 세 가지 일반적인 전략을 권고했다 : 임상 평가, 개발 벤치 마크 및 학습 환경 평가의 일부인 관찰.

Cooke et al1 recommended three general strategies for PIF assessment: 

  • observations as part of clinical assessments, 

  • developmental benchmarks, and 

  • assessment of learning environments.


Jarvis-Selinger 등 21)은 성취 요소에 대한 아이디어를 확대하여 역량 기반 평가와 서로 다르면서 그것을 보완하는 PIF 평가를 실시하였으며, PIF를 doing이 아니라 being의 한 가지 방법으로 프레이밍 하였다.

Jarvis-Selinger et al21 expanded the idea of aspirational elements and highlighted assessment of PIF as different and complementary to competency-based assessment, framing PIF as a way of being rather than a way of doing.


Hafferty53은이 구조를 내면화 된 사회화라고 부르며 전문직업성 평가에서 관찰 가능한 행동에 주로 초점을 맞추는 것과 대조했다. 전문직업성과 PIF의 관계는 양방향적이며, 각각 다른 것에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전문직업적 행동의 수행은 PIF를 육성시킬 수있다.

Hafferty53 referred to this construct as internalized socialization and contrasted it with the predominant focus on observable behavior in assessments of professionalism. The relationship between professionalism and PIF is bidirectional, each influencing the other.54 Thus, performance of professional behaviors may foster PIF.


PIF는 개인적 특성, 경험 및 사회 문화적 요소에 영향을받는 복잡하고 비선형적이고 발달 과정이기 때문에 평가 전략은 복잡해야하며 복잡해야합니다 .55 단일 평가 활동으로 개인이나 그룹에 대한 명확한 정보를 제공 할 수는 없습니다. 여러 보완 및 중첩 평가 전략은 학습자에 대한 전반적인 평가 부담을 실질적으로 증가시키지 않으면 서 필요한 다원적 접근을 제공한다.

Because PIF is a complex, nonlinear, developmental process influenced by personal characteristics, experiences, and sociocultural factors, assessment strategies must be longitudinal and embrace complexity.55 No single assessment activity can provide definitiveinformation about an individual or a group. A strategy of multiple complementary and overlapping assessments provides the necessary pluralistic approach without adding substantially to the global assessment burden for learners.56


우리는 지식, 기술, 태도 및 신념을 문서화하는 것을 언급하면서 폭넓게 용어 평가를 사용하고 공식 및 비공식 평가를 모두 포함합니다. PIF의 비선형적 구성은 평가 프로세스를 통한 표준 수립에 적합하지 않습니다. 오히려 태스크 포스는 피드백을 제공하고, 교육 프로그램을 평가하며, 이론 개발을 안내하기 위해 혼합 된 방법을 사용하는 descriptive and formative 평가를 권장합니다.

We use the term assessment broadly, referring to documenting knowledge, skills, attitudes, and beliefs, and include both formal and informal assessments. The nonlinear construct of PIF is not suitable for establishing standards through the assessment process. Rather, the task force recommends descriptive, formative assessments using mixed methods to provide feedback, evaluate curricular programs, and guide theoretical development.


흔한 평가 전략은 객관적 구조 임상 시험 (OSCE), 반사 작문, 다중 소스 피드백, 설문 조사 및 포트폴리오 등이 있으며, PIF를 평가하는 데 적용 할 수 있습니다. 게슈탈트에서 PIF에 대한 잘 발달 된 접근법이 없다면, PIF 요소의 평가는 그 전개explication을 이어나갈 것이다. 평가 전략과 관점을 결합하면보다 견고한 평가를 내릴 수 있습니다.

Common assessment strategies can be adapted to assess PIF, including objective structured clinical examinations (OSCE), reflective writing, multisource feedback, surveys, and portfolios. In the absence of well-developed approaches to PIF in the gestalt, assessment of PIF components may continue its explication. Combining assessment strategies and perspectives can yield more robust assessment.


비록 표준화된 MSF의 가치에 대한 문헌의 결과는 확실하지 않지만, 학습자가 여러 가지 관점을 자신의 자체 평가와 비교할 수있는 기회는 강력한 PIF 도구로 입증 될 수 있습니다. 설문 조사는 PIF의 자연사에 대한 귀중한 정보를 수집하고, 어떻게 PIF가 (개인의 특성이나 인구 통계 학적 변수와 같은) 개인의 다른 속성과 경험과 관련되고 그래서 어떻게 PIF가 발달되는지에 대한 정보를 제공합니다 .72-75 포트폴리오는 평가를위한 종단 데이터를 제공한다.

Although the literature is inconclusive about the value of using standard multisource feedback formats with medical trainees,64–71 the opportunity for learners to compare multiple perspectives with their own self-assessments may prove to be a powerful PIF tool. Surveys offer additional means to collect valuable information about the natural history of PIF and how it develops and relates to other attributes and experiences of the individual, such as personality traits or demographic variables.72–75 Portfolios offer longitudinal data for assessment, synthesized from multiple methods and perspectives.76,77


Other Applications of the PIF Framework



PIF 프레임워크의 함의

Implications of the PIF Framework


세 단계는 시간이 아니라 학생의 헌신과 책임의 깊이에 의해 정의됩니다. 학생들은 다양한 문화적, 개인적, 교육적, 경험적 배경 때문에 각 도메인 및 하위 도메인에서 다양한 진행 상황을 보여줄 수 있습니다.

The three phases are defined not by time, but by the depth of a student’s commitment and responsibility. Students might demonstrate variable progress in each domain and subdomain because of their diverse cultural, personal, education, and experiential backgrounds.


의사의 실제 활동은 지식, 기술 및 태도의 여러 조합의 통합을 요구합니다. 이는 여러 역량을 포함하는 EPA에 대한 Cate's81 설명에 반영되어 있습니다. 일부 교육 활동은 독립적 구성 요소가 아니기 때문에 PIF 프레임 워크의 여러 도메인과 하위 도메인에 대한 통합이 촉진되어야 한다.

Real-life activities of physicians require integration of multiple combinations of knowledge, skills, and attitudes, as reflected in ten Cate’s81 description of entrustable professional activities, which include multiple competencies. Some educational activities promote integration across multiple domains and subdomains of the PIF framework, as they are not independent components.


PIF 태스크 포스 팀이 UME를위한 프레임 워크를 개발했지만, 팀의 다양한 배경은 프레임 워크에 전문 개발에 대한 광범위한 관점을 제공했습니다.

Although the PIF task force developed this framework for UME, the diverse background of the team provided the framework with a broad perspective on professional development.



미래 의사의 훈련은 의학 교육, 의료 실습 및 건강 관리 전달을 구성하는 과학적, 문화적, 인본주의 적, 사회적 차원의 합류점에서 발견되는 복잡한 동력에 더 큰 관심을 요구합니다. PIF는 전문적인 가치와 의사 감각의 본질을 심어주는 조형 발전의 연속체를 반영합니다. 동정심 있고 유능한 의사가되는 것은 [핵심 의학 지식, 기술 및 태도를 통합하는 것] 만큼이나 [개인의 전문적 정체성을 개발하고 이해하는 과정]과 관련이 있습니다.

The training of future physicians demands greater attention to the complex dynamics found in the confluence of the scientific, cultural, humanistic, and social dimensions that constitute medical education, medical practice, and health care delivery. PIF reflects a continuum of formative development that serves to instill the essence of professional values and a sense of physicianship.55,84,85 Becoming a compassionate and competent physician has as much to do with the process of developing and understanding one’s individual professional identity as with the integration of learned core medical knowledge, skills, and attitudes.86





 2015 Jun;90(6):761-7. doi: 10.1097/ACM.0000000000000719.

Professional identity formationcreating a longitudinal framework through TIME (Transformation in Medical Education).

Author information

1
M.D. Holden is vice chair, Undergraduate and Continuing Medical Education, and professor and director, General Internal Medicine, University of Texas Medical Branch, Galveston, Texas. E. Buck is senior medicaleducator, Office of Educational Development, University of Texas Medical Branch, Galveston, Texas. J. Luk is assistant professor of medicine and assistant dean for interprofessional integration, University of Texas Dell Medical School, Austin, and clinical associate professor of pediatrics and assistant dean for regional medicaleducation, University of Texas Medical Branch, Galveston, Texas. F. Ambriz is clinical assistant professor and chair, Physician Assistant Department, University of Texas Pan American, Edinburg, Texas. E.V. Boisaubin is distinguished teaching professor of medicine, University of Texas Medical School at Houston, Houston, Texas. M.A. Clark is visiting scholar, Lincoln Center for Applied Ethics, Arizona State University, Tempe, Arizona. A.P. Mihalic is associate dean for student affairs and professor of pediatrics, Department of Pediatrics, University of Texas Southwestern Medical Center, Dallas, Texas. J.Z. Sadler is professor of psychiatry and clinical sciences and Daniel W. Foster, MD Professor of Medical Ethics, University of Texas Southwestern Medical Center, Dallas, Texas. K.J. Sapire is professor of anesthesiology and perioperative medicine, University of Texas MD Anderson Cancer Center, Houston, Texas. J.P. Spike is professor, McGovern Center for Humanities and Ethics, University of Texas Medical School at Houston, Houston, Texas. A. Vince is medical anthropologist and director, University Health Professions Office, University of Texas at San Antonio, San Antonio, Texas. J.L. Dalrymple is assistant dean for clinical integration, and associate professor and division director of gynecologic oncology, Department of Obstetrics and Gynecology, University of Texas Dell Medical School, Austin, Texas.

Abstract

The University of Texas System established the Transformation in Medical Education (TIME) initiative to reconfigure and shorten medical education from college matriculation through medical school graduation. One of the key changes proposed as part of the TIME initiative was to begin emphasizing professional identityformation (PIF) at the premedical level. The TIME Steering Committee appointed an interdisciplinary task force to explore the fundamentals of PIF and to formulate strategies that would help students develop their professional identity as they transform into physicians. In this article, the authors describe the task force's process for defining PIF and developing a framework, which includes 10 key aspects, 6 domains, and 30 subdomains to characterize the complexity of physician identity. The task force mapped this framework onto three developmental phases of medical education typified by the undergraduate student, the clerkship-level medical student, and the graduating medical student. The task force provided strategies for the promotion and assessment of PIF for each subdomain at each of the three phases, in addition to references and resources. Assessments were suggested for student feedback, curriculum evaluation, and theoretical development. The authors emphasize the importance of longitudinal, formative assessment using a combination of existing assessment methods. Though not unique to the medical profession, PIF is critical to the practice of exemplary medicine and the well-being of patients and physicians.

PMID:
 
25853688
 
DOI:
 
10.1097/ACM.0000000000000719
[Indexed for MEDLINE]


의학전문직업성과 의학교육에서의 자기성찰(KMER, 2018)

Medical Professionalism and Self‐Reflection in Medical Education

전민영1, 유상호2, 차경희3

Min Young Chun1, Sang Ho Yoo2, Kyung Hee Cha3

1성신여자대학교 글로벌의과학과, 2한양대학교 의과대학 의료인문학교실, 3한양대학교 의과대학

1Department of Global Medical Science, Sungshin Women’s University; 2Department of Medical Humanities and Ethics, Hanyang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3Hanyang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Seoul, Korea




서 론


최근 의료에 대한 정부의 개입과 통제가 증가하고, 기업자본의 유입으로 인해 의료계 내부의 경쟁이 심화되면서 의사는 다양한 역학 관계 안에 갇히게 되었다. 오랫동안 견고하게 유지되어온 전문가로서의 사회적 위상이 국민들로부터 불신의 대상이 되기에 이르렀다. 이러한 시점에서 의사들과 의학교육 전문가들은 의학전문직업성(medical professionalism)의 의미에 대해 다시 생각해보지 않을수 없게 되었다. 특히 과거의 상징적인 의미와는 달리 현실적이고실용적인 관점에서 전문직업성을 이해하고, 의학교육에 어떻게 적용할지에 대한 절실한 고민이 필요하게 되었다. 지금까지 우리나라의과대학에서는 “의료윤리,” “의료와 사회,” “의사와 프로페셔널리즘” 등의 주제로 의학전문직업성 교육을 시행하고 있었으나 전문교수인력의 부족과 시간의 한계 등으로 인해 학생들에게 충분한교육기회를 제공하지 못하고 있다[1,2].


정보기술혁명과 상업주의와 같은 사회적 변화로 인해 의사-환자 관계의 기존 구조가 급격히 흔들리는 상황에 직면한 서구 의학계는 의학전문직업성의 개념과 위상에 대한 재정립을 통해 이를 극복하고자 하였다[3]. 1990년대 말 미국의사회-미국내과학회 재단(American College of Physicians-American Society of Internal Medicine Foundation), 미국내과위원회(American Board of Internal Medicine), 유럽내과연합(European Federation of Internal Medicine)은 의사들이 지켜야 할 일련의 원칙들이 포함된 ‘의사헌장(Physician Charter)’을 공동으로 발표하면서 의학전문직업성의 의미와 개념을 재정립하였다[4,5]. 특히 의사헌장에는 의료계와사회 간의 계약이 전문직업성의 기초이며, 의사에 대한 사회의 신뢰를 계약의 가장 중요한 요소로 명시하고 있다. 또한 환자 복지 최우선의 원칙, 환자 자율성의 원칙, 사회정의의 원칙을 전문직업성의 기본원칙으로 제시하고 있다[5].


한편 2000년대에 미국의 의료인문학자인 Swick [6]은 의학전문직업성에 대한 규범적 정의를 제시하였는데, 이 정의에 따르면 의사는 환자에 대한 관심과 배려를 바탕으로 자신의 이해관심보다는환자의 건강회복을 최우선으로 고려해야 함을 강조하고 있다. 또한“높은 윤리적 기준 준수,” “사회적 요구에 대한 대응,” “인본주의적 가치실현,” “본인과 동료들에 대한 책무성,” “수월성에 대한 지속적노력” 등을 전문직업성의 중요한 행동요소로 제시하고 있다[6].


우리나라에서는 Ahn 등[7]이 “한국의 의사상”을 통해 의사가전문직업인으로서 추구해야 할 가치와 역량으로 “환자 진료,” “소통과 협력,” “사회적 책무성,” “전문직업성,” “교육과 연구”라는 다섯가지 영역을 제시하였다. 이 중에서 전문직업성은 직무윤리에 기초한 전문적 판단의 자율성, 진료를 위한 적절한 태도, 진정성과 이타성의 덕목을 갖추는 것을 의미한다고 규정하고, 전문직업성을 개발하고 직종 주도의 자율규제와 자기관리에 힘쓸 것을 주장하고 있다[7].


그럼에도 의학전문직업성에 관한 대부분의 논의는 전문직업성의이념적 측면이나 이를 구성하는 핵심요소에 초점이 맞춰져 있다[8,9]. 이럴 경우 전문직업성은 이론적으로 인식되기 쉬우며 실제의료현장에서의 구체적 역할과는 거리가 있을 수밖에 없다. 따라서실제 의학교육에서 전문직업성의 개념이나 원칙을 적용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교수자 개인의 가치관이나 역량의 차이로 인해 체계적으로교육을 실행하거나 일정 수준 이상의 교육성과를 기대하기가 어려운 상황이다.


한편 의학전문직업성 함양을 위한 대표적인 수업전략으로 자기성찰(self-reflection)활동의 중요성이 최근 강조되고 있다. 학습 측면에서 성찰은 기존에 당연하게 받아들였던 가정과 전제에 대해문제를 제기함으로써 학습자 개인의 경험 재구성을 통해 새로운해결책 또는 새로운 지식습득으로 나아가는 과정을 가리킨다[10]. 실제로 다양한 교육 분야에서 성찰활동을 기반으로 한 수업이 운영되고 있다. 그러나 교육프로그램의 개발과 개편을 지원하는 근거가이론 지향적이며, 어떤 접근법이 실제로 효과적인지 명확하지 않다[11]. 그럼에도 학습자에게 스스로 문제를 제기하고 새롭고 현실적인 해결책을 탐색하게 하는 교육적 방법이 있다면 의사의 전문직업성 함양에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


본 논문에서는 먼저 비전문가적 행동을 보이는 의사의 전형적인사례를 통해 전문직업성에 위배되는 행위의 근거를 찾아봄으로써 의학전문직업성의 개념을  명료화하고 그 교육적 의미를 구체화하고자 한다. 비전문가적 행동의 사례로부터 얻은 교훈은 전문직업성개념을 명료화할 뿐 아니라 전문직업성 교육의 구체적 형태와 내용을 구성할 수 있는 관점을 제공한다. 이러한 접근은 의학교육자에게 전문직업인인 의사의 역할과 책임을 분명하게 제시하고 정체성 형성과정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개념과 판단기준을 제공할 것이다. 다음으로 의학전문직업성 교육의 전략으로 ‘성찰’의 교육적 의미를 제시하고 의학교육에 적용 가능한 방법을 제안하고자 한다. 성찰교육의개념과 접근전략의 사례를 분석함으로써 전문직업성 함양에 적합한성찰활동의 구체적인 적용방식과 그 의의를 찾을 수 있다. 마지막으로 현재 의학교육에서 적용하고 있는 성찰 관련 활동을 점검하고적절한 피드백과정을 제안하고자 한다. 종합하면 의학교육 핵심 주제로서 ‘의학전문직업성 교육의 방향’을 재조명하고 이를 위한 유용한 전략으로 ‘성찰을 기반으로 한 교육과 평가’를 소개함으로써 의학교육자가 전문직업성 함양을 위한 교육을 설계하고 실제 현장에적용할 수 있는 근거와 개념을 제공하고자 한다.


비전문가적 행동의 사례로 살펴보는 의학전문직업성의 개념


의사로서 비전문가적 행동을 보여주는 전형적인 사례에 내재된 전문직업성을 위반하는 행위의 근거를 탐색하는 과정을 통해 의학전문직업성의 개념과 교육적 의미를 찾아보고자 한다. 의사로서 자신(self), 환자, 사회에 대한 무관심에서 비롯된 대표적인 비전문가적행동사례의 유형은 다음과 같다.


  • 사례 1: 의원을 개원하고 있는 중년의 A원장은 우울증 치료를 받고 있는 미모의 B씨에게 성적으로 마음이 끌렸다. A원장은다른 환자들에 비해 진료시간을 길게 끌면서 필요 이상의 신체진찰을 시행하였다. B씨는 A원장의 행동이 수상했지만 권위있는 의사라는 평판 때문에 아무 말도 할 수 없었다. 어느 날A원장은 B씨에게 저녁식사를 제의했고, 그 자리에서 B씨에게호감을 표현하였다. B씨는 A원장에게 호감이 가지 않았지만자신의 치료가 중단되는 것이 두려워 A원장의 제의를 수락하게되었다.

  • 사례 2: 20년째 지방에서 개인 의원을 운영하고 있는 C원장은보수교육을 받는 것이 귀찮아 평소 친분이 있는 후배에게 대리출석을 부탁하거나 출석체크만 하고 교육장을 빠져나왔다. 새롭게 시도되는 약물치료나 시술에 대해 문의하는 환자가 있으면 다른 병원에 가보라고 하고 돌려보내거나 지금까지 해왔던치료방법을 고수하였다. 이러한 태도에도 환자들은 별다른 문제 제기나 불평 없이 처방전을 받아갔다. 오랜 시간 치료해왔던 방식이었고 치료를 받거나 약을 처방받은 환자에게 별다른 이상이 없었다는 이유로 C원장은 진료를 계속해 나갔다.

  • 사례 3: 의사 D는 ○○○과를 개원하고 있다. 얼마 전 인근병원에 다녀간 환자가 메르스(Middle East respiratorysyndrome, 중동호흡기증후군) 확진 판정을 받은 이후 환자들이 병원에 오는 것을 꺼려하게 되어 그 여파로 D의 병원의환자도 많이 감소하였다. D는 병원 문을 닫는 것이 오히려병원경영에 유리하다는 생각을 갖게 되었다. 평소 수술로 인한체력 소모가 많다 보니 이러한 상황에 해외에 나가 휴가를 보내며 재충전하는 것이 좋겠다고 생각했다. D는 메르스 여파가지속되는 상황을 며칠 동안 지켜보다가 병원을 휴진하고 아내와 함께 필리핀으로 출국하였다. 필리핀 도착 다음 날 보건당국으로부터 D의 병원을 다녀간 환자가 뒤늦게 메르스 확진 판정을 받아 D가 격리 대상자로 분류되었다는 통보를 받았다.


위의 3가지 사례는 의학전문직업성에 위배되는 대표적 유형으로서 자신과 타인에 대한 의사의 무책임한 태도가 공통적으로 나타나고 있다. 


첫 번째 사례에서 의사는 자신의 전문적 재량권을 이용하여환자를 성적으로 응대함으로써 의사-환자 간 신뢰관계를 훼손시켰다. 이러한 행동은 환자의 심리적․ 신체적 상황에 대한 고려 없이의사 본인의 욕구만을 충족하기 위한 이기적인 행동으로서 환자의인격에 대한 존중의 결여에서 비롯된다. 의사-환자 관계를 계약관계로 설정하는 모델에서도 선의와 신뢰는 관계형성의 기본조건이다.환자는 의사에 대한 신뢰를 바탕으로 건강회복을 위해 자신의 신체에 대한 재량권을 의사에게 맡기게 된다. 그러나 환자에 대한 무관심과 의사-환자 관계에 대한 통찰이 수반되지 않는다면 의사는 자신의권력을 이용하여 환자를 쉽게 조정하게 된다.


두 번째 사례에서 의사는 자신의 전문역량 개발에 태만하고 주의사무를 다하지 않는 태도를 보이고 있다. 이와 같은 태도는 결과적으로 환자의 건강에 해악을 끼치고 의사 집단 전체에 대한 신뢰에도악영향을 미치게 된다. 의사의 직무가 생계수단을 넘어 자아실현의방법이라는 사실을 이해한다면 이와 같은 태도는 무책임할 뿐 아니라 본인의 삶의 발전에도 관심이 없음을 의미한다. 의사로서 본인의전문직업과 삶에 관심이 없다면 최신 의학지식과 기술의 습득에소홀해지기 쉽다. 또한 전문역량 개발에 소홀히 함으로써 진료표준을 위반하게 된다면 환자에 대한 기본적인 주의 사무를 다하지 않은 것이다.


세 번째 사례는 사회공동체의 의료 위기상황에 대해 의사로서책임을 인식하지 못하고 자신의 안위만을 위하는 모습을 보여주고있다. 이는 의사의 사회적 책무성에 대한 이해 부족과 사회공동체의운명에 대한 무책임에서 비롯된다. 공동체 구성원 모두는 의료전문직의 도움을 받을 수밖에 없기 때문에 의료는 사회의 공동선(common good)이며, 이런 공동선을 실현하는 의료전문직은 사회계약이라는 개념을 통해 사회적 책무성을 지게 된다. 사회적 맥락안에서 본인의 역할을 성찰하지 못하고, 공동체의 운명에 무관심하다면 결과적으로 본인의 사회적 위상과 지위를 스스로 추락시키는결과를 낳게 된다.


위의 세 가지 비전문가적 행동의 사례를 통해 의료전문직이 환자와 사회로부터 신뢰를 받고 그 위상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 타인에 대한 윤리적 책임, 

  • 자신의 전문역량 개발에 대한 책임, 그리고 

  • 사회공동체에 대한 책임을 올바르게 인식하는 성찰적 자세가 필요하다 

...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다. 


의학전문직업성은 이와 같이 타인, 자신,사회공동체에 대한 의료전문직의 역할과 책임 및 이를 수행하기위해 반드시 요구되는 성찰적 자세라고 정의할 수 있다. 교육심리학자인 Gardner [12]에 의하면, 자신과 타인에 대한 책임을 균형 있게 정렬시키기 위해서는 끊임없는 성찰과 타인을 고려하는 관점이 필요하다. 그러므로 현직에 종사하는 의사뿐 아니라 장차 의료전문가가될 의과대학생에게 의사의 역할과 책임에 대해 진지하게 고민하고 성찰해볼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이런 성찰의 기회는 의사와 의과대학생으로 하여금 의료전문직을 선택하게 된 이유를 깨닫게 하고, 전문직 삶의 발전방향을 스스로 찾아갈수 있도록 유도하여 일(학습)과 삶의 균형을 얻는 데 기여할 뿐아니라 의료전문직의 적절한 역할과 위상이 사회와의 관계를 통해형성된다는 사실을 이해할 수 있는 관점을 제공할 것이다.


성찰의 교육적 의미


  • 교육철학자인 Dewey [13]는 성찰을 “어떤 앎이나 추정된 형태의 지식에 대한 능동적이고, 지속적이고, 주의 깊은 고려”라고 정의하였다. 이후 다양한 이론가들이 이 정의를 기초로 하여 새로운성찰의 정의와 모형을 제시하였다[14]. 

  • 예를 들어, Boud 등[15]은“개인이 새로운 이해와 인식을 갖기 위해 자신의 경험을 탐색하는 지적이고 정서적인 활동을 총칭하는 용어”라고 정의하였다. 이와같이 성찰이란 개인이 이미 갖고 있는 앎이나 경험에 대해 의도적이고 의식적으로 시행하는 탐색과정으로 인지적 활동뿐 아니라 정서적 활동까지 아우르는 총체적인 정신적 활동을 가리킨다. 

  • 한편Schön [16]은 전문가가 직무와 관련된 복잡한 문제를 해결하고 그과정에서 학습하는 재경험의 도구로 성찰을 소개하였고 ‘성찰적 실천가’의 개념을 제안하였다. 또한 성찰적 학습은 학습자 스스로 자신의 행동과 경험에 대해 이해하고 이런 행동이 자신과 타인에게미치는 영향을 탐구하며 이런 행동의 의미를 사회적 맥락 안에서발견함으로써 자신의 행동에 대해 비판적인 관점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해준다고 설명하였다.


Schön [16]에 의하면, 전문가는 어떤 문제에 직면했을 때 상황에 따라 전체적 흐름을 이해하고 분석하여 최상의 해결책을 찾은 후 이를 자율적으로 실천하는 자기성찰적 사고의 특성을 지니고 있으며, 경험을 통해 학습하고 복잡한 문제의 윤곽을 잡기 위해 자기성찰적 사고를 유용한 도구로 활용한다. 이와 같이 성찰적 사고와실천은 전문가적 소양의 바탕이 되며, 전문적 영역의 어려운 문제를해결할 수 있는 효과적인 도구가 될 수 있다.


성인학습은 경험을 통해 이루어지며, 경험학습의 핵심은 성찰과정에 있다[17]. 성찰은 학습의 깊이와 그 관련성을 향상시키고[18],학습자 자신에 대해 통찰하도록 유도하며[19], 학습을 통한 변화의잠재력을 배가시키고, 학습자가 성찰적 실천가로 전환될 수 있도록 도와준다[20,21]. 그러므로 성찰적 기회를 제공하는 학습활동은 좋은 수업의 전형일 뿐 아니라 교육적 효과가 높다. 학습은 학습자가스스로 배운 것을 다시 되돌아보는 기회를 가질 때 강하게 일어난다. 그러므로 배운 것을 요약하여 간단히 보고하고, 관련된 주요 이론들과 비교하여 자신의 학습활동이 적절한지 평가하는 기회가 필요하다[22].


성찰과정은 ‘행위 중 성찰(reflection–in-action)’과 ‘행위에 대한성찰(reflection-on-action)‘로 나누어 설명할 수 있다[16]. 

  • 행위 중성찰은 암묵적으로 습득한 ‘행위 중 앎(knowing-in-action)’을 바탕으로 직관적으로 행위를 수행하다가 원하지 않은 결과가 발생할 경우 행위 중 앎의 재구성을 통해 대처하는 성찰과정을 가리킨다. 

  • 반면에 행위에 대한 성찰은 행위가 끝난 상황에서 문제점을 비판적으로 검토하여 해결방안을 모색하는 성찰과정이다. 

행위 이후 성찰과정에서 얻게 된 인식은 다음 행위에 반영되어 행위 중 성찰과정을 강화하는 데 기여하기 때문에 두 과정은 유기적인 관계를 이루고있다. 이와 같이 문제를 해결할 때의 성찰적 사고(행위 중 성찰)와문제를 해결하고 난 후의 성찰적 사고(행위에 대한 성찰) 및 이둘의 연계가 전문가 교육에 있어서 매우 중요하며, 이와 같은 연계과정을 통해 실천적 문제 해결을 위한 새로운 지식과 통찰을 얻을수 있다[23].


의학전문직업성 교육과 성찰


성찰과 성찰적 활동은 의사의 전문직업성을 함양하는 데 효과적이다[24]. 

  • 특히 자신의 경험을 통해 학습하는 것이 실무역량을 개발하고 유지하는 데 매우 효과적이라는 것은 널리 알려져 있다[15,16,18,25]. 

  • 성찰적 활동은 직업적 환경과 문화적 맥락하에서개인이 갖추어야 할 신념, 태도 및 가치에 대한 이해를 증진하고 이를 통합적으로 수용할 수 있는 능력을 함양함으로써 전문가 정체성 발달에 기여한다[18,26]. 

  • 또한 성찰적 활동은 기존의 지식을 습득하고 이를 새로운 지식과 연계하는 데 기여함으로써 전문적 지식의 통합적 기반을 구축한다. 

  • 아울러 성찰역량은 자신을 모니터링하고문제점을 인식하게 하므로 자기규제와 관리라는 측면에서 직업전문성 함양에 중요한 토대가 된다[19].


의과대학생을 대상으로 한 의학전문직업성 교육은 전문직업성을함양하기 위한 공식적인 교과과정뿐 아니라 교수와 선배 의사로부터 조언을 듣거나 의과대학과 병원의 문화를 통해 내면화하는 암묵적인교육과정을 모두 포함한다[27]. 전문직업성 교육은 의사로서의 삶이내면화되어 있는 교수나 선배 의사가 맡는 것이 가장 적절하다.이들은 학생들에 대한 역할모델이 될 수 있다는 점에서도 유용성이크다. 의학전문직업성을 교육할 뿐 아니라 전문직 역할모델이 된다는 것은 쉬운 일은 아니지만 교수와 선배 의사 또한 교수자로서의경험을 통해 전문직 정체성을 강화할 수 있는 기회를 얻을 수 있다.


한 예로 학생을 지도하는 과정이 의과대학 임상교수들의 전문직업성 강화에 매우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28].특히 교육을 설계하고 실시하고 종료하는 과정 전반에서 임상교수들이 시행한 지속적인 성찰이 전문직업성 강화에 긍정적인 영향을미쳤음이 확인되었다[28,29]. 이처럼 교육과정 전반에서 실시할 수있는 성찰이 교육자의 전문직업성을 발전시키므로 성찰적 활동은교육자의 전문직업성 개발을 위해서도 강조되어야 한다.


한편 의과대학생의 경우 학년이 올라갈수록 성찰적 활동이 감소하며, 현실에서 쉽게 접하는 환경에서는 성찰적 사고가 강화되지않는다고 알려져 있다[30]. 특히 시간의 부족과 압박이 성찰을 방해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임상의사의 경우 임상 경력이 증가할수록 문제해결을 위한 성찰적 활동이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30].


그러나 성찰역량은 전문직업성 발달과 밀접한 관련이 있으며,특정 과정을 통해 촉진할 수 있다[31,32]. 의과대학생의 성찰과정에 대한 장기간의 한 연구에 의하면, 학생들의 성찰역량을 4단계—

  • (1)비판적 성찰

  • (2) 감정적 성찰, 

  • (3) 객관적 보고, 

  • (4) 빈약한 보고 또는 보고의 회피

—로 구분한 후 이 중에서 비판적 성찰역량을 가진 학생이 환자 진료에서 보다 전문적인 선택을 하고 의료전문직에 어울리는 정체성과 개인적 목표를 갖춘 것으로 보고하였다[33].


의과대학 시절의 부적절한 행동이 의사가 된 후에도 전문직업성에 위배되는 행동이나 법적 제재가 필요한 행동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다는 연구결과를 감안한다면 전문직업성 교육과 성찰과정은 의과대학에 입학하는 순간부터 이루어져야 하며, 전문직업성은반복적인 경험의 축적과 자율적인 행동수정을 통해 개발되어야 한다[34,35].


따라서 의사의 전문직업성 교육은 원칙이나 규범을 논하는 도덕교육과는 달리 자기반성적 사고와 실천을 기반으로 전문가다운 사고와 행동을 자율적으로 선택하고 때로는 동료들에 의해 교정되어합의를 도출해내는 방향으로 진행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의학교육의 전체적인 구조 차원에서 성찰과정을 자연스럽게 경험하는방향으로 재편되어야 한다. 물론 의료전문직 양성과정에서 의학 지식과 기술에 대한 교육만으로도 시간이 부족한 것은 사실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의료는 변화하는 사회와의 맥락 속에서 그 존재 가치와 의의를 갖기 때문에 의료전문직이 환자와 사회공동체와 신뢰관계를 유지하면서 자기성장을 추구하기 위해서는 반성적 사고에 기반을둔 자아성찰 교육과 훈련은 반드시 필요하다. 최근 다른 전문직영역에서도 전문가 육성을 위한 과정으로 성찰이 다양한 방식으로시도되고 있다[16,28,29].


의학전문직업성 교육을 위한 성찰 교육


성찰의 교육적 모형은 ‘반복적 차원(iterative dimension)’과 ‘수직적 차원(vertical dimension)’의 두 가지 차원으로 접근해 볼 수 있다[36]. 

  • 반복적 차원’은 성찰을 하나의 ‘과정’으로 이해하는 모형으로서 성찰의 과정이 새로운 이해와 인식을 가능하게 하고 이런 이해와인식을 통해 미래의 경험을 예전과 다르게 체험하고 대처하게 된다는 것이다. 그러므로 학습자로 하여금 기존의 경험을 새로운 관점에서 해석하고 성찰해볼 수 있는 기회를 ‘반복적으로’ 제공하는 것이 중요하다. 

  • ‘수직적 차원’은 성찰을 여러 ‘수준’으로 이해하는 모형으로서 성찰의 수준이 여러 단계임을 인식하고 학습자로 하여금 이런‘여러 단계의 성찰’을 모두 경험하게 해야 된다는 것이다. 성찰의수준이 피상적 수준의 자기이해에서부터 깊이 있는 분석과 통찰적인 성찰까지 다양하므로, 성찰교육은 통찰적인 성찰에까지 이를 수 있도록 체계적이며 지속적으로 시행되어야 한다. 

따라서 이 두 가지 차원을 성찰교육에 통합적으로 도입할 경우 다양한 수업과 평가전략을 개발할 수 있을 것이며, 반복적인 교육과 훈련을 통해 성찰역량을 강화할 수 있을 것이다.


국내․외 많은 교육전문가들은 의학전문직업성 교육에 있어 설명식 강의와 지필시험을 지양하도록 권고하고 있으며, 이들에 대한 대안으로 임상사례 활용 및 발표, 임상상황 시뮬레이션, 소그룹 토론,역할극, 의료윤리 집담회, 시청각자료 활용, 서사 의학(narrativemedicine), 포트폴리오, 예술 및 문학작품 활용 등의 경험학습에근거한 학생 참여 중심의 교육전략을 추천하고 있다[27,37,38]. 이와같이 경험학습을 통해 전문직업성 교육을 시행할 경우 의사로서의정체성을 확립하고 의료의 중요한 실천적 가치들을 확인하는데 용이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39].


성찰교육 전략은 개인 중심 전략과 개인 간 또는 그룹 중심 전략으로 나누어 볼 수 있다. 

  • 개인 중심 전략은 학생 단독으로 주관적입장에서 시행하고 교수자나 촉진자(facilitator)의 지도를 추후에받는 방식이라면, 

  • 인 간 또는 그룹 중심 전략은 교수자나 촉진자의실시간 지도 아래 타인과의 상호관계를 배경으로 한 간주관적 입장에서 성찰을 시행하고 실시간으로 지도를 받는 방식이다. 


물론 어떤 방식이든지 교수자나 감독자의 지도는 반드시 필요하다. 예를 들어,

  • 성찰적 글쓰기는 개인 중심 전략으로 볼 수 있으며, 

  • 소그룹 토론이나 멘토링은 개인 간 또는 그룹 중심 전략으로 볼 수 있을 것이다[14].


성찰수업에서 학습자의 성찰을 유도하고 독려하는 교수자나 촉진자의 역할은 매우 중요하다. 교수자를 교육하고 훈련하기 위한별도의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해야 하며, 이런 교육프로그램에는 교육철학, 교육이론, 전문직업성의 이론과 실천방법, 성찰 및 성찰수업에 대한 이론과 실천방법 등이 포함되어야 한다. 특히 성찰을 유도하는 방법을 이론적으로 이해해야할 뿐 아니라 경험 많은 교수자의지도 아래 성찰을 유도하고 적절하게 멘토링을 제공하는 방법을직접 훈련해 보아야 한다. 성찰수업에서 교수자가 활용할 수 있는성찰을 유도하는 질문은 다음과 같다[14].


<문제의 인식을 유도하는 질문>

○ 무슨 일이 (방금) 일어났는가?

○ .... 할 당시 무엇을 생각하고 있었는가?

○ .... 을 인식하였는가?

○ 그 상황에서 당신을 놀라게 한 것은 무엇인가?

○ 그 상황에서 당신은 어떤 느낌을 받았는가?


<문제나 상황에 대해 성찰을 유도하는 질문>

○ 지금 이것을 제대로 하고 있는가?

○ 다른 선택지가 있는가?

○ 이 상황에서 이것을 적용할 수 있는가?

○ 이것은 무엇을 의미하는가?

○ 이와 같이 느끼게 하는 것은 무엇인가?

○ 이와 같이 느끼게 될 경우 (예상되는) 결과는 무엇인가?

○ 이 문제를 내(우리)가 대처하는 것이 적절한가?


<미래 행동과 해결책을 유도하는 질문>

○ 이 문제를 해결하는 데 필요한 것(예: 자원, 지식, 기술 등)은무엇인가?

○ 다음 기회에는 무엇을 다르게 할 것인가?

○ .... 을 시행하는 데 있어서 장애는 무엇인가?

○ .... 을 가능하게 하는 것은 무엇인가?


본 논문에서는 성찰 교육을 위한 전략으로 멘토링, 소그룹 활동,포트폴리오, 성찰적 글쓰기를 살펴보고자 한다.


1. 멘토링


멘토링(mentoring)은 지식과 경험이 많은 교수자가 학생에게 성찰적 지도와 지지를 제공하는 교육전략을 가리킨다. 멘토링은 교수자와 학생 간의 일대일 관계를 통해 학생의 발전과 성숙을 유도하는 방식으로서 의학교육의 맥락에서는 전문직 정체성을 함양하는 가장 중요한 방식 중 하나이며, 성찰적 활동이 그 핵심을 이룬다[40].


    • 멘토는 먼저 학생에게 비판적 사고와 상황분석을 시행할 수 있는기술을 가르친 후 전문직업성 함양에 적합한 문제나 상황에 대해가능한 행위나 선택지로 무엇이 있는지 인식하도록 유도한다. 

    • 다음 자신이 선택한 행위나 선택지에 대해 성찰하도록 돕고 이런 선택을하게 된 근거로서의 관련 지식이나 가치로 무엇이 있는지 확인하게한다. 

    • 마지막으로 이런 과정을 통해 무엇을 새롭게 배우게 되었는지비판적으로 검토하게 하고 새로운 지식을 기존의 지식체계에 융합시키도록 돕는다. 

    • 학생이 이와 같은 과정을 반복적으로 수행하여 일정수준 이상의 성찰역량을 함양한다면 그 이후의 멘토의 역할은 체계적인 경험학습을 유도하고, 관련 문제에 대해 현장에서의 자기실험과 성찰을 시행할 수 있도록 유도하는 것이다[40]. 

의과대학생을대상으로 한 한 연구에서 연구참여자들은 멘토링이 성찰활동을 촉진하였을 뿐 아니라 성찰활동을 통해 전문직업성과 의사소통 역량에긍정적인 변화가 있었다고 보고하였다[41].


멘토링은 학생 개인 수준에서 전문직업성의 발전을 자극하고 격려하는 교육전략이므로 어려운 상황이나 문제를 개별적으로 다룰 수 있어 각자에게 적합한 수준과 내용으로 성찰활동을 진행할 수있으며, 전문직업성 발달에 있어 다양한 수준을 나타내는 학생들의요구에 맞게 융통성 있게 변화시킬 수 있다. 또한 학생 입장에서밝히기 어려운 문제를 멘토와 안전한 상황에서 상의하고 조언을들을 수 있어 학생의 사생활을 보호할 수 있다. 그러나 적합한 멘토의역할을 수행할 교수자를 찾거나 개발하는 것이 쉽지 않다. 그러므로 적절한 멘토를 모집하고 훈련시킬 수 있는 교육자 프로그램이 반드시 필요하다.



2. 소그룹활동


소그룹활동은 보통 같은 학년이나 비슷한 정도의 발달수준을 보이는 학생을 소그룹으로 조직하고 교수자나 촉진자가 그룹을 이끌면서 학생의 성찰활동을 촉진하는 교육전략을 가리킨다. 소그룹활동은 토론, 프로젝트 기반학습, 문제 중심 학습 등 다양한 수업형태를수용할 수 있으며[40], 이런 수업형태 모두 성찰활동을 포함할 수 있다.


소그룹활동에 기초한 성찰활동은 

    • 전문직업성 관련 문제나 상황에 대한 학생들의 자기성찰과 집단성찰을 시작으로, 

    • 가능한 행위와선택지, 

    • 그 근거, 

    • 이들에 대한 성찰적 접근, 

    • 성찰을 통한 새로운 지식이나 통찰의 발견 등의 순으로 진행된다. 

성찰적 접근은 소그룹이 함께 생각과 경험을 공유하는 형태이거나 개별 학생이 갖고 있는 생각이나 확신을 소그룹을 시험대로 활용하여 점검하고 교정하는 형태일 수 있다[42].


소그룹활동은 

    • 소그룹 내 학생들의 상호작용을 통해 서로 성찰을 촉진할 수 있으며, 

    • 자기평가뿐 아니라 동료평가를 통해 새로운 해석과 관점을 일으키고 수용할 수 있다. 

    • 특히 특정 문제에 대해 집단적관점을 택할 수 있으므로 의료전문직 정체성 발달에 유용한 방식이다. 

    • 뿐만 아니라 소그룹활동은 경청 태도, 의사소통능력, 협동능력도 함께 함양할 수 있다. 


그러나 타인 앞에서 자신의 생각이나 주장을표현하는 것이 서투르거나 두려운 학생은 소그룹활동에서 불편함을 겪을 수 있으며 참여를 회피하거나 소극적일 수 있다. 일부 학생은소그룹활동을 통해 평가는 받으면서 자신의 몫은 다하지 않는 ‘무임승차자(free rider)’ 행태를 보이기도 한다. 그러므로 이런 학생들을 적절히 지도하고 그룹을 이끌어 나가는 교수자의 역할이 매우 중요하다.



3. 포트폴리오


    • 포트폴리오(portfolio)는 일반적으로 학습이 일어났음을 입증하는 의도적인 증거의 수집을 가리킨다[43]. 또한 

    • 포트폴리오는 학습자가 학습과정에서의 자신의 노력과 발전을 증명하고 평가받기 위해 학습목적에 적합한 성과물을 통합적으로 수집하고 이런 노력과 발전에 대해 스스로 평가한 후 교수자로부터 피드백을 받는 과정 전반을 의미하기도 한다[44]. 

포트폴리오는 성찰과정을 핵심에 두고 있으므로 이를 활용한 교육은 학생으로부터 성찰을 자연스럽게 독려하고 경험적 학습과 심층학습을 유도하여 학생의 내적 변화를 일으킴으로써 전문직업성 함양에 가장 적절한 교육전략 중 하나로 알려져 있다[39,45].


포트폴리오는 일반적으로 목표가 정해진 장기적인 학습과정을 실천하는 데 활용하므로 전문직업성과 같이 지속적으로 발전시켜야하는 역량을 개발하고 모니터링하는 데 있어 적합한 방식이며, 학생이 자신의 필요에 맞게 개별화하여 작성할 수 있으므로 개인적 성찰활동에도 부합된다[43]. 포트폴리오에 포함된 성찰은 학생이 작성하는 것으로 끝나는 것이 아니고 교수자로부터 반드시 평가를 받아야한다. 이때 교수자는 포트폴리오에 포함되어 있는 다른 증거들을활용하여 성찰을 좀 더 체계적이고 객관적으로 평가할 수 있다.이런 결과로 학생은 교수자의 지도 아래 비판적이고 건설적인 성찰을 장기간에 걸쳐 시행할 수 있으며, 이런 과정은 전문직업성 함양에기여한다[43].


4. 성찰적 글쓰기 또는 성찰일지


성찰적 글쓰기(reflective writing)는 자기서사, 자기서술, 자기탐색, 자기표현의 글쓰기를 모두 포함한다. ‘나’라는 개인에 대한 성찰을 시작으로 ‘너’라는 타자를 거쳐 ‘우리’라는 공동체의 문제의식까지 함께 고민하는 수렴과 확산의 비판적 사고력을 요구하는 성찰적 글쓰기는 학습자의 내적 변화와 정체성 함양이라는 목적을 지향하는교육에 적합한 전략이다. 글쓰기는 일반적으로 생각을 상세하게 표현하게 하고 객관적 입장을 취하게 도와주므로 복잡한 문제를 좀더 명확하게 이해하게 해줄 뿐 아니라 성찰을 위한 심적 공간을 제공한다[46]. 성찰적 글쓰기는 성찰활동과 자기주도학습을 전반적으로 증진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47].


성찰일지(reflective journal)는 성찰을 목적으로 정기적으로 또는 교수자의 요구에 따라 작성하는 일지를 가리킨다[18]. 성찰일지는 의학교육의 맥락에서는 

    • 주로 미리 선정한 학습성과나 목표역량에 얼마나 도달하였는지, 

    • 도달하는 과정에 어떤 어려움이 있었으며,

    • 어떤 경험을 하였는지, 

    • 도달하는 데 도움이 된 학습요인이나 환경은 무엇인지 

...등을 확인하는 데 활용하고 있다. 이와 같이 정기적으로성찰일지를 작성할 수도 있지만 교수자의 요구에 따라 학습과정이나 실습과정에서의 특이한 경험을 대상으로 작성할 수도 있다. 의과대학생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 의하면, 성찰적 글쓰기는 성찰활동을 증진하고 자기주도학습을 향상시킨다[47].


성찰적 글쓰기는 원칙적으로 일인칭 입장에서 시행하는 성찰활동이지만 교수자의 역할 또한 중요하다. 

    • 각 학생의 수준에 맞는 성찰적 글쓰기의 형태와 주제를 선정하고, 

    • 성찰과정을 지속적으로 독려하며, 

    • 제출된 성찰일지에 대해 피드백을 제공하여 추가적인 성찰을 유도함으로써

...학생들의 성찰역량을 향상시킬 수 있다[48]. 


    • 체계적이고 건설적인 피드백과 평가를 제공할 수 있는 도구를 활용할 경우 교수자는 좀 더 원활히 그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47]. 

    • 또한 학생들 간에 상호 피드백을 시행할 경우 학생 입장에서의 문제 제기를 통해 다른 시각에서의 성찰을 유도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집단적관점을 채택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는 것이므로 

...교수자는 이와같은 방법도 고려하는 것이 좋다[49].


성찰적 글쓰기를 실제 의과대학 교육에서 실시할 때는 학생의발달 단계에 따라 적용하는 것이 적절하다. 

    • 예를 들어, 의예과 학생은좀 더 자유로운 주제에 대해 개인적 성찰적 글쓰기를 하도록 권고하고, 

    • 임상실습 전 본과 학생에게는 수업과 실습에서 학생이 직접경험한 문제나 상황에 대해 개인별 성찰적 글쓰기를 하도록 권고한다. 

    • 임상실습 중인 학생에게는 임상상황에서 접한 전문직업성과 직접 관련된 문제나 상황에 대해 성찰적 글쓰기를 진행하고 교수자의지도 아래 소그룹토론을 진행하여 협동적 성찰을 수행하는 것이 추천된다.


성찰적 글쓰기를 학생평가에 활용할 경우 일부 학생들은 정직하게 작성하지 않고 평가자가 기대하는 내용을 거짓으로 기입하는경우도 있다[50]. 이럴 경우 성찰을 목적으로 한 활동이 오히려 성찰을 방해하는 역효과를 낳게 된다.


성찰교육전략에서 성찰과 성찰적 사고의 실천을 가능하게 하는결정적인 요소는 인지적 차원 뿐 아니라 감정적으로 학습자를 지지해주는 교육환경이다. 그러므로 학습방식의 개인차를 수용하고, 멘토링과 소그룹토론을 활용하여 자유롭게 의견을 표현할 수 있는분위기를 조성하는 등의 긍정적이며 존중받는 교육환경을 조직하는것이 중요하다[36]. 성찰적 글쓰기에 대한 평가는 그 자체가 성찰을촉진하는 교육적 목적을 함께 갖고 있는 대안적인 평가유형이다[42]. 그러므로 글쓰기나 학생활동에 대해서는 체계적이며 구체적인교육적 피드백이 이루어져야 한다.


구체적인 교육적 피드백을 시행하기 위해서는 교육목표에 근거한 평가준거(criteria)와 평가기준(standards)이 필요하다. 

    • 평가준거는 복합적인 인간의 성과에 대해 공평하고 타당하게 평가를 시행할 수 있는 구체적 지표를 가리킨다. 

    • 평가기준은 평가준거에 맞추어보통 루브릭(rubrics)으로 구조화된다. 루브릭은 선택된 단일반응이 아니라 구성된 반응(constructed-response)의 범위를 단계별로 정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의료인문학 수업에서 지필시험으로는평가가 불가능한 조별협업태도 역량을 평가하고자 할 때, 총 5단계수준의 루브릭을 구성할 수 있다. 이때 수준은 사전에 설정된 것이아니며 교수자가 3–5단계 수준에서 자율적으로 정할 수 있다(부록1).


성찰과정에 루브릭체제를 도입하면 교수자는 교육의 목표와 평가기준을 사전에 설정하고 이에 초점을 맞춘 수업에 집중할 수 있으며, 학습자는 사전에 평가내용과 기준을 이해함으로써 자칫 개인의 사고방향에 지나치게 의존할 수 있는 성찰과정에서 보다 발전적이고 균형적인 교육적 효과를 기대할 수 있게 된다. 예를 들어, 앞서 제시한 ‘멘토링’을 수업전략으로 선택한 경우 의학전문직업성을 위한‘이타주의,’ ‘자기개발과 자기관리,’ ‘사회적 책무성’을 평가준거로 설정한 후 교수자가 판단하기에 학습자 수준에서 인식해야 할 각준거별 수준을 개략적으로 설정하여 멘토링을 진행하면 학습자마다 멘토링의 내용과 수준에서 최대한 동질성을 확보할 수 있을 것이다(부록 2).





의학전문직업성 교육을 위한 성찰 평가


의학전문직업성 교육에서 성찰에 대한 평가는 전통적인 관점의 평가가 아닌 대안적 평가로 이루어져야 한다. 대안적 평가는 전통적 평가와는 달리 결과가 아닌 과정(process)이나 성과(product)에 초점을 맞춤으로써 학습자 개인에게 도움이 필요한 부분, 수업에서개선하거나 보완해야 할 부분, 그리고 교수자가 지향해야할 점 등을 인식하도록 돕는다. 대안적 평가에서는 학습자의 창조적이고 절차적인 성과, 고도의 사고력과 문제해결능력, 수행활동에 대한 발표, 실제 장면에 대한 적용전략, 점수가 아닌 인간의 판단 등을 강조한다[51]. 

  • 과정에 대한 평가에는 개별면담, 관찰일지 작성, 성찰적 글쓰기, 발표 및 프로젝트활동에 대한 동료평가, 체크리스트 등이 포함된다. 

  • 성과에 대한 평가에는 성찰적 글쓰기, 프로젝트보고서, 포트폴리오, 관찰보고서, 스토리보드, 태도 척도 등이 포함된다[51].


1. 자기성찰 체크리스트


자기성찰 체크리스트는 성찰역량과 성찰의 수준을 평가할 수 있는 평가문항모음을 활용하여 학습자를 평가하는 방식을 가리킨다. 학습자가 미리 준비된 문항모음으로 스스로 사정한 후 이 결과를 바탕으로 교수자가 학습자의 성찰역량과 수준에 대해 평가를 내린다. 체크리스트는 학습자로 하여금 자신의 현재 상태를 점검하게하고, 사전-사후 학습에 대한 자기인식 태도의 변화를 확인하는데 활용할 수 있다. 체크리스트 항목은 역량에 대한 수준(‘잘한다’ 또는‘부족하다’)보다는 관심도(‘좋아한다’ 또는 ‘관심이 없다’)와 주로 연관된다. 체크리스트 항목에 대한 학습자의 답변은 일반적으로 5점 척도(5점: ‘매우 그렇다’–1점: ‘그렇지 않다’)로 측정한다. 대표적인평가 체크리스트 예시는 다음과 같다.



<다중지능 자기평가 문항: 자기성찰지능 항목>

○ 자신을 되돌아보고, 앞으로의 생활을 계획하는 것을 좋아한다.

○ 나의 건강상태나 기분, 컨디션을 정확히 파악할 수 있다.

○ 내 생각이나 감정을 상황에 맞게 잘 통제하고 조절한다.

○ 평소에 내 능력이나 재능을 개발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 내 일정을 다이어리에 정리하는 등 규칙적으로 생활하기 위해 노력한다.

○ 어떤 일에 실패했을 때 그 원인을 철저히 분석해서 다음에는 그런 일이 생기지 않도록 노력한다.

○ 앞으로 어떻게 성공해야 할지에 대한 뚜렷한 신념을 갖고 있다.


의사와 의과대학생의 성찰 역량을 평가하기 위해 개발된 대표적인 자기성찰척도로는 Gronigen Reflection Ability Scale (GRAS)이 있다[52]. 이 척도는 총 23개 항목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개인 평가수준이나 집단 평가수준에서 모두 활용할 수 있다. 구체적인 항목은 다음과 같다.


<GRAS 의사와 의과대학생 대상 자기성찰 척도>

○ 나 자신의 사고습관을 주의 깊게 살펴본다.

○ 내가 왜 그런 행동을 하게 되었는지 알고 싶다.

○ 나는 (어떤) 특정한 규칙과 지침이 무엇에 근거하고 있는지를 아는 것을 중요하게 생각한다.

○ 나 자신을 이해하고 싶다.

○ 나의 사고에 영향을 미치는 감정을 인식하고 있다.

○ 나의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감정을 인식하고 있다.

○ 나는 거리를 두고 나 자신의 행동을 바라볼 수 있다.

○ 나 자신의 판단을 타인의 판단과 비교하여 평가한다.

○ 다른(다양한) 관점에서 경험을 관찰할 수 있다.

○ 나의 의견에 대한 문화적 영향을 인식하고 있다.

○ (특정) 정보가 타인에게 끼칠 수 있는 감정적 영향을 인식하고 있다.

○ 타인의 상황에 공감할 수 있다.

○ 나 자신의 한계를 인식하고 있다.

○ (나와) 다른 사고방식을 거부한다.

○ 간혹 남들은 내가 나 자신을 과대평가한다고 말한다.

○ 다른 문화적/ 종교적 배경을 갖고 있는 사람을 이해할 수 있다.

○ 나의 관점에 대해 논의하는 것을 좋아하지 않는다.

○ 윤리적 관점을 설명(표현)하는 것에 간혹 어려움을 겪는다.

○ 내가 말하는 것에 대해 내가 설명의무를 진다(I am accountable for what I say).

○ 내가 말하는 것에 대해 내가 책임을 진다(I take responsibility for what I say).

○ 나의 의견에 대해 논의할 수 있다.

○ 간혹 다른 해결책을 생각하는 데 어려움을 겪는다.

○ 나의 개인적 기능상태(functioning)에 대해 (타인이) 언급하는 것을 반기지 않는다.


위에서 제시한 자기성찰 척도는 단순히 학생의 현재 성찰수준을 파악하는 것을 넘어서 예비의사로서 지속적으로 성찰이 필요함을 인식하고 자기고백을 할 기회를 제공한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성찰은 완성된 인격체가 아닌 미완성의 인격체로 자신을 인식하고보다 바람직한 인간으로 성장하기 위한 자기노력의 출발점이기도하다.



2. 성찰적 글쓰기 및 성찰일지 


교수자는 미리 정해진 주제나 양식에 따라 글쓰기를 하게 하거나 자유롭게 글쓰기를 하게 한 후 학생의 성찰역량과 성찰의 수준을 미리 정해놓은 평가방법을 활용하여 평가를 내린다.


성찰적 글쓰기에 대한 평가방법으로는 질적인 평가방법과 양적인 평가방법이 있다. 

    • 질적인 방법으로는 꼼꼼하게 읽고 분석하는 방법(close reading)과 주제분석(thematic analysis)이 있으며, 

    • 양적인 방법으로는 루브릭을 활용한 평가방법이 있다[53,54]. 성찰적 글쓰기 평가를 위해 사용되는 대표적인 루브릭으로는 Reflection,Evaluation For Learners’ Enhanced Competencies Tool(REFLECT) 등이 있다. REFLECT는 미국의 브라운 의과대학에서 성찰적 글쓰기 수업을 위해 개발한 루브릭으로서 평가준거로 5개의기준과 1개의 추가기준을 포함하고 있으며 이들을 종합적으로 활용하여 학생의 성찰수준을 평가한다[55] (부록 3). 

그 외 다른 루브릭 또한 비슷한 평가항목으로 구성되어 있다. 대표적인 평가 루브릭예시는 다음과 같다.




<성찰적 글쓰기 평가 루브릭[53]>


○ (관련) 절차/사건/상황을 기술하였지만 어떤 교훈(배움)을 얻었는지 언급하지 않음.

○ 얻은 교훈에 대해 기술하였지만 사례를 들어 설명하지 않음.

○ 얻은 교훈에 대한 피상적인 정당화를 제시함.

○ 조리 정연한 설명을 제시함. 설명은 문제적 상황에 대한 사례, 문제적 상황을 해결하기 위해 활용한 기술 및 이를 통해 얻은 교훈으로 잘 뒷받침되어 있음.

○ (역량) 발전에 기여한 경험으로부터 (주요) 요인을 분석(하여 제시)함.

○ (문제적 상황을 해결하기 위해) 사용한 전략에 대한 정당화를 제시함. 이 전략의 효과에 대한 증거를 함께 제시함.


이외에도 KWL 차트를 활용하여 성찰적 글쓰기를 하게 한 후학생의 성찰수준을 평가할 수 있다. KWL 차트는 수업(교육프로그램) 종료시점에 전반적인 수업에 대한 성찰을 유도하기 위해 사용한다. 

    • K (know: what I already know)‘지금까지의 수업내용과 관련하여 나는 무엇을 알고 있었는가?’로 수업내용에 대한 학생의 사전학습상태나 관심 여부에 대해 확인하는 것이다. 

    • W (want: what I want to know)‘지금까지의 수업과정이나 활동 중에서 궁금한점 또는 새롭게 관심을 갖게 된 것은?’으로 학생의 학습동기나 추후학습과제에 대한 학생의 수용태도를 점검하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 L (learned: what I have learned)‘지금까지의 수업을 통해 얻게된 지식이나 역량은?’으로 학생 스스로 자신의 학습성과에 대해확인하고 정리하는 과정을 돕게 된다. 

이런 KWL 차트를 학생들에게작성하게 하고 교수자는 이를 토대로 학생의 성찰과정과 수준을 평가할 수 있다.


또 다른 형식으로는 총 3가지 내용—

    • (1) 수업내용 요약 정리,

    • (2) 수업내용에 대한 자신의 생각이나 느낌, 

    • (3) 수업을 통해 얻은것

...—을 정리하게 하는 방식이 있다. 이 방식은 수업활동에 대해 일기를 적거나 스토리텔링을 하는 형식으로 표현하되 글쓰기 활동이 주를 이룬다. 이런 성찰일지 또한 학생들의 성찰과정과 수준을 평가하기 위해 활용할 수 있다.


종합하면 성찰일지는 학생으로 하여금 수업활동의 경험적 의미를 탐색하고 자신의 수행과정에 대해 성찰하도록 유도한다. 교수자에게는 수업 내용 중 실제 수업이 이루어진 내용이라고 할 수 있는학생의 실제적 성과를 확인하는 방법으로 매우 유용하다.


3. 포트폴리오


포트폴리오는 학생의 성찰적 활동을 평가하는 데 있어 최적의도구 중 하나이다. 

    • 포트폴리오에는 학생이 정한 목표와 이를 증명하고 평가받기 위해 수집한 자료 및 성찰의 증거가 모두 포함되어있기 때문이다

    • 아울러 포트폴리오는 장기적으로 진행되는 학습과정을 반영하고 있으므로 전문직업성과 같이 지속적인 관심과 노력을 들여야 하는 역량을 평가하는데 적절한 방식이다. 

    • 또한 학습 포트폴리오(learning portfolio)는 자신이 학습하고 이해한 내용에 대해 심층적인 성찰을 하도록 유도하므로 이를 통해 자기반성적 관점과 메타인지적 사고를 향상시킬 수 있다. 

    • 성찰을 통해 학생은 

      • 자신이 이해하거나 느낀 바를 서술하고, 

      • 학습자로서 자신의 강점과 약점을 스스로 평가하며, 

      • 학습성과에 대해 가치적 판단을 내리고, 

      • 후속 학습에 대한 방향과 범위를 고민하게 된다[56]. 


포트폴리오에 포함될수 있는 ‘자기성찰 글쓰기 항목’의 예시는 다음과 같다.


○ 나의 포트폴리오 제목과 그 제목을 정한 이유는?

○ 내가 수행한 내용이 교육목표(또는 졸업역량)과 일치하다고 생각하는 이유와 근거는?

○ 포트폴리오에 제시한 증명자료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 이번 수업활동을 기반으로 내가 성장하기 위한 계획을 세 가지 수립한다면?


포트폴리오는 자료수집의 완벽함 또는 학생 성과의 우수성에 초점을 맞출 필요가 없다. 평가로서의 포트폴리오의 핵심기능은 학생의 고유함과 향상과정을 설명하는 것이다. 집단 속에서의 학생의위치가 아니라 학생 고유의 특성과 성장과정을 이해하는 데 주력해야 한다. 의학전문직업성을 함양하고 평가하는 데 있어서도 역시 전문직 집단의 공통 특성이나 역량에 도달하였는지 만을 평가하기보다는 개별 구성원의 차이를 인정하되 공동체적 사고의 관점에서 공유해야하는 일정 기준 이상의 사고방식을 함양한다는 차원에서 포트폴리오는 의미 있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을 것이다.


결론 및 제언


최근 국내 의료계에서 급격히 부상하고 있는 의학전문직업성에 대한 논의와 의학전문직업성 교육에 대한 요구는 날로 떨어지고 있는 의사의 사회적 위상을 회복하고자 하는 자정의 몸부림이자최근 증가하고 있는 의사의 비전문가적 행위에 대한 자성의 목소리라고 할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현실적으로 적용 가능한 전문직업성 교육의 전략은 매우 부족하거나 미흡한 상태이며, 현재 시행되고 있는 교육에 대한 학생들의 평가 역시 대체로 부정적이다[57].실제 임상현장에서도 전문가로서의 정체성을 효과적으로 교육하는 방법을 제대로 찾지 못하고 있으며, 전문직업성 개념의 불명확성으로 인해 전문직업성을 갖춘 모범적인 역할모델을 설정하는 것도 쉽지 않은 실정이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전문직업성을 확연히 벗어난 전형적인 사례를 고찰해 봄으로써 전문직업성의 의미를 구체적으로 재개념화하고, 이런 재개념화된 의미로서의 전문직업성를 향상시킬 수 있는 교육전략으로서 자기성찰에 대해 검토해 보았다.


결론적으로 의학전문직업성의 개발과 함양을 위해 자기성찰과 성찰활동은 매우 중요하다. 또한 의사가 갖추어야 할 전문직업성은 외부로 드러나는 행위에 국한되는 것이 아니고 이런 행위의 배후에존재하는 가치관과 정체성의 문제이므로 전문직업성을 제대로 교육하기 위해서는 내적 변화를 유도할 수 있는 전략을 채택하는 것이필수적이다. 의과대학생의 전문직업성과 성찰역량 간의 관련성을평가한 한 연구에 의하면, 전문직업성에 문제가 있어 경고를 받은 학생에서 그렇지 않은 학생보다 성찰역량이 유의하게 떨어져 있음을확인하였다[58]. 이처럼 비전문가적 행동을 보이는 의과대학생의 성찰역량이 떨어져 있다면 이를 교정할 수 있는 교육전략이 반드시 도입되어야 한다. 뿐만 아니라 다른 직업과 달리 의사가 갖추어야할 전문직업성으로 사고, 정서, 태도, 가치관까지 거론하는 것은 의사의 자질에 관하여 사회가 기대하는 수준이 매우 높기 때문이며, 이러한 기대를 충족할 때 비로소 의사는 사회 내 전문가로서의 위상을 인정받기 때문이다[27].


효과적인 의학전문직업성 교육을 위하여 자기성찰활동에 근거한 전문직업성 향상을 위한 교육프로그램 개발을 후속연구로 제안하고자 한다. 프로그램의 한 예를 들어보자면, 

  • 교육목표는 ‘의학전문직업성을 함양하기 위한 자기성찰과정을 경험함으로써 바람직한 의사로서의 가치와 태도를 설명할 수 있다’로 설정할 수 있다. 이때 학생들의 선수학습, 즉 출발점 행동 차원에서 자기성찰 항목으로 구성된체크리스트를 활용하게 되면 추후 교육의 효과 검증에 도움이 될 것이다. 

  • 교육내용(주제)은 의학전문직업성의 중심 조직 개념인 ‘이타주의,’ ‘자기개발과 자기관리,’ ‘사회적 책무성’으로 정하고, 수업방법은 강의식 수업은 지양하고 경험학습에 근거한 학생 참여 중심의 교육전략을 적용한다. 

  • 마지막으로 성찰역량을 파악하는 평가방법으로는 자기성찰 준거를 기반으로 한 성찰일지나 포트폴리오 평가를 활용한다. 또한 인지적 측면(의학적 사고), 정서적 측면(의학적상황에 대한 가치판단), 심동적 측면(자기성찰 글쓰기 역량)에서의 발전에 대해서는 루브릭을 적용하여 구체적인 피드백을 제공할 수있다. 

이와 같은 교육목표-교육내용(주제)-수업방법-평가방법의 네 가지 유기적인 과정에 대한 설계와 구체적 실행은 현재 의학교육에서 절실히 필요로 하는 의학전문직업성 교육의 방향, 교육활동, 평가와 피드백의 최적화된 전략을 구상하는 데 있어 소중한 기초자료가 될 것이다.





Recently, unprofessional behavior by physicians and misconduct by medical students have led to increased

public concern over medical professionalism. Many studies have been conducted to explore strategies that

reinforce professionalism education and prevent misconduct in medical students. However, most studies

focused on defining the medical professionalism and its conceptual components. In this study, we conducted

a conceptual analysis based on the literature review to categorize issues of unprofessional behavior, and

identified doctors’ indifference to self and others as the reason for the unprofessional behavior. In this

regard, self-reflection provides a practical tool to overcome such indifference. We suggest ‘education and

evaluation based on self-reflection and reflective practices’ as the effective strategies to enhance the

professionalism in medical students.

Keywords: Medical professionalism, Medical education, Self-reflection, Professionalism education,

Unprofessional behavior


Corresponding author

Sang Ho Yoo

Department of Medical Humanities and Ethics, Hanyang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222-1 Wangsimni-ro, Seongdong-gu, Seoul 04763, Korea


Tel: +82-2-2220-2461

Fax: +82-2-2290-8713

E-mail: karmaboy@hanyang.ac.kr

https://orcid.org/0000-0002-7258-5090

Received: April 19, 2018

1st revised: June 15, 2018

Accepted: June 15, 2018

잠재교육과정의 어떤 경험이 학생들에게 프로페셔널리즘에 대하여 가르쳐주는가? (Acad Med, 2011)

Which Experiences in the Hidden Curriculum Teach Students About Professionalism?

Orit Karnieli-Miller, PhD, T. Robert Vu, MD, Richard M. Frankel, PhD, Matthew C. Holtman, PhD, Stephen G. Clyman, MD, Siu L. Hui, PhD, and Thomas S. Inui, MD, ScM




최근 몇 년 동안, 다양한 형태의 내러티브 적 서술과 성찰이 전문성 개발을 향상시키고 전문직업적인 가치를 가르치기 위해 광범위하게 사용되었습니다 .1-4 학생 서사를 사용하는 rationale는 [비공식적 인 또는 "숨겨진"교과 과정에 대한 학생들의 생생한 경험과 일상적인 immersion이 전문성 발달에 강력한 영향을 미친다는 것]이다.5-7 이러한 경험은 조직의 규범 및 의식에 대한 학생의 사회화에 영향을주고, 학생과 교사, 환자 및 의사 간의 대인 관계적 관례convention을 가르치고, 다른 전문가들과의 관계의 복잡성을 보여줍니다 .8

In recent years, narrative writing and reflection in various forms have been widely used to enhance professional development and inculcate professional values.1–4 The rationale for using student narratives is a belief that the lived experience of students and their day-to- day immersion in this informal or “hidden” curriculum are a powerful influence on their professional development.5–7 These experiences influence students’ socialization into the norms and rituals of the organization, teach the conventions of interpersonal processes between students and teachers and patients and physicians, and demonstrate the complexities of relationships with other professionals.8


부정적인 역할 모델링에 노출되면 냉소적으로되고 부정적인 전문직업적 태도와 행동을 채택 할 가능성이 높아질 수 있습니다 .10 성찰적인 글쓰기와 피드백은 이러한 위험을 완화 할 수 있습니다. 많은 경험 중에서 하나의 경험을 선택하는 것은 분별discernment적 행동으로 묘사 될 수 있습니다 .11

Exposure to negative role modeling, may increase the likelihood of becoming cynical and adopting negative professional attitudes and behaviors.10 Reflective writing and feedback may mitigate this risk. Selecting one experience from among many could be described as an act of discernment.11


본 연구는 의과 대학생들의 숨겨진 커리큘럼에서의 학습 경험과 이들 경험이 전문성과 관련된 범주에 속하는 방법 사이의 관계를 조사하는데 초점을 맞추고있다.

The present study focuses on exami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medical students’ learning experiences in the hidden curriculum and how they attribute these experiences to the categories associated with professionalism.


Method


Many terms, definitions, and taxonomies of professionalism are available in the broad-ranging literature that describe the attributes of the “good” physician, professional values, professional ethics, and commitments of medicine.5,21–23 One taxonomy that might be considered a reasonable gold standard emerged from a working conference cosponsored by the AAMC and NBME.20 The qualities of the good physician in this formulation were captured in eight categories: 

  • (1) altruism, 

  • (2) responsibility and accountability, 

  • (3) excellence and scholarship, 

  • (4) respect, 

  • (5) honor and integrity, 

  • (6) caring/compassion/communication, 

  • (7) leadership, and 

  • (8) knowledge and skills.


학생 서사

The student narratives


Since February 2004, third-year IUSM medical students on their two-month internal medicine clerkship have been required to keep a professionalism journal. Accessing a password-protected Web site, they are asked to record narratives of two rotation experiences, in which they were present as participants or observers, that manifested professionalism(or lack thereof).9,19 After writing the narrative in a free-text area, they also check off any of the eight professionalism categories that they consider relevant to their experience. 


At the end of the clerkship, the clerkship director—the only person who has access to these narratives—collates and duplicates them for use in a small-group discussion. Group members first read through all of the narratives and then are asked to identify and read aloud one or more that caught their attention. A faculty-facilitated discussion of professionalism issues embedded in the selected narratives then ensues. Once the discussion is completed, the narratives are warehoused until the students graduate (to assure students that they are protected from any risk of reprisal).


분석 

Analysis


We used several statistical analyses to explore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students’ experiences (domains and themes) that emerged in our earlier thematic analysis9 and the professionalism categories checked off by the student–authors.


결과

Results


학생 경험의 개괄

Brief overview of student experiences


학생들의 경험 분석은 프로페셔널리즘에 관한 문헌에서 보여지는 기존의 범주 언어가 아닌 자유 텍스트 서술과 학생의 "살아있는"경험의 자연어에 뿌리를두고 있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학생들의 경험을 묘사하는 주제 중 일부는 존경, 보살핌, 책임감과 같은 전문직업성과 관련된 잘 알려진 가치와 행동 용어를 사용하였다. 한편, 어떤 학생의 서술은 문헌에서 특별히 인용되지 않은 행동들을 포함했다.

The analysis of students’ experiences was rooted in the free-text narratives and the natural language of student “lived” experience, not in any predefined categorical language drawn from specific literature about professionalism. Some of the themes describing student experiences, nevertheless, used well- known values and behavioral terminology related to professionalism, such as respect, caring, and responsibility, whereas other student narratives included behaviors not specifically cited elsewhere in the professionalism literature, such as 

    • capitalizing on teaching opportunities, 

    • creating an (un)welcoming environment, and 

    • spending time taking care of patients, patients’ education and understanding.


학생 경험의 카테고리 분포

Distribution of students’ experiences within and across professionalism categories


75%이상의 행동이 하나 이상의 카테고리에 해당됨. 

Table 1 shows the associations students made between their experiences and the categories of professionalism. More than three-fourths (77%) indicated that more than one category was relevant to their narrative. Students checked off a mean of 2.9 categories for each narrative (SD  1.8, range 0–8), suggesting that the narratives are rich with heuristic value.





학생 경험에서 전문직업성 카테고리 예측

Prediction of professionalism categories from students’ experiences


Table 2 displays associations between varieties of students’ experiences and professionalism categories that are specific to the pair, as demonstrated by logistic regression models.


전문직업성 카테고리와 가장 많이 유의하게 연관된 학생 경험은 의사소통과 팀으로 일하는 것 이었다

The student experience that has a significant relationship with more professionalism categories5 than any other (including altruism, honor and integrity, excellence and scholarship, knowledge and skills, and leadership)is communicating and working in teams (for illustrative quotes, see Table 3).






학생이 토론을 위해 선택한 네러티브에 존재하는 경험과 전문직업성 카테고리

Experiences and professionalism categories present in narratives students selected for discussion


During the six-month study period, 12 small-group discussions were facilitated by two of the authors (T.S.I. and R.M.F.). During that period, 27 out of the 272 narratives were selected by the students for discussion in these groups. Table 4 displays the distribution of student experience and professionalism categories checked off within this subset of narratives.




고찰

Discussion


우리는이 연구 결과가 성찰적 내러티브를 전문직업성을 가르치는 도구로 사용하기로 선택한 의대의 교수진에게 고무 될 것으로 기대합니다. 학생 내러티브에 설명 된 경험은 다양하며 기존의 모든 전문성 범주를 다룹니다. 우리의 데이터에 따르면 학생들은 숨겨진 / 비공식 커리큘럼에서 자신의 경험을 직접적으로 그리고 다양한 차원의 전문성에 연결합니다.

We hope the findings of this study will be encouraging to faculty in medical schools who have chosen to use reflective narratives as a tool to teach professionalism. The experiences described in the student narratives are diverse and touch on all of the conventional categories of professionalism. our data suggest that students do connect their experiences in the hidden and informal curriculum directly and immediately to various dimensions of professionalism.


이 연구 결과는 또한 학생 관점에서 전문직업성을 구체화 할 수있는 구체적인 행동에 대한 이해와 학생이 전문직업성에 대해 적극적으로 학습하고있는 상황에 대한 이해를 심화시켰다. 그 행동에는 의학 - 임상 상호 작용과 교육 및 학습 환경에서의 경험이 포함되었습니다. 로지스틱 회귀 분석 결과에 따르면 학생들은 임상 환경 (예 : 환자, 가족 및 동료와의 관계)에서 실행enact되어야하는 행동과 자신과 교수 간의 관계에서 중요한 것으로 여겨지는 행동을 구분한다.

The findings in this study also deepened our understanding of the specific behaviors that may embody professionalism from a student perspective25,26 and of the circumstances in which students are actively learning about professionalism. The behaviors included medical–clinical interactions and the experiences in the teaching and learning environment. Th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results suggest that students differentiate between behaviors that are supposed to be enacted in the clinical setting (i.e., with patients, family members, and colleagues) and those that are seen as important in relationships between themselves and faculty.


이타주의, 책임, 명예와 성실성, 존중을 나타내는 행동은 의학-임상 상호 작용 영역에 자리 잡고 있지만 탁월함, 리더십, 지식과 기술은 교육 및 학습 환경에서 관찰되는 것이다. 조사 결과는 배려와 연민, 의사 소통이 구체적으로 교육 및 학습 영역에서 점검 항목 중에서 부정적으로(덜 자주) 관련되었으며, 이는 학생들은 [선생님이 학생들에게compassionate를 갖는 것을 기대하지 않는다는 것]을 보여줍니다.

Behaviors manifesting altruism, responsibility, honor and integrity, and respect are situated in the medical–clinical interaction domain, whereas excellence, leadership, and knowledge and skills are observable in the teaching and learning environment. The findings show that caring, compassion, and communication specifically was negatively (less frequently) associated with checked items in the teaching and learning domain, suggesting that students are not expecting their teachers to be compassionate toward them as students.


Ginsburg와 동료들은 전문직업적 가치의 상충을 경험한 학습자는, 종종 그러한 갈등이 만들어내는 "이중 구속"에서 벗어나기위한 전략으로 "해체step out of"를 사용한다고 주장한다. 분리적dissociative 대처 전략이 전문직업적 정체성 형성에 미칠 수있는 부정적인 영향은 더 큰 관심을 가질 만하다.

Ginsburg and colleagues28 argue that learners facing a conflict of professional values often use “dissociation” as a strategy to “step out of” the “double-bind” that such a conflict creates for them. The potential negative impact of dissociative coping strategies on professional identity formation deserves further attention.


팀 내에서 의사 소통하고 일하는 것(communicating and working within teams)은 5 개의 전문성 범주 (의학 - 임상 상호 작용 및 교육 및 학습 환경 영역 모두)의 핵심 동력 인 것으로 보입니다. 비록 이 주제에서 서술은 상대적으로 적었지만, 이러한 경험은 다양한 전문성 범주의 생각을 이끌어내는 강력한 것들이었으며, 아마도 환자 간호와 학생 학습 모두를 위한 팀웍의 특별한 중요성을 나타낼 수 있었다.

One experience, communicating and working within teams, seems to be a key driver for five professionalism categories (in both the medical–clinical interactions and teaching and learning environment domains). Even though relatively few narratives were identified within this theme, these experiences were powerful ones that elicited thoughts of various professionalism categories, possibly indicating the special importance of teamwork for both patient care and student learning.


그러나 팀워크 그 자체가 전문성의 속성으로 명시 적으로 고려되지 않는다는 것은 흥미 롭다. 학생의 네러티브를 비롯해서 퀄리티 및 환자 안전에 관한 문헌이 급증함에 따라 전문성의 속성으로서 팀과 팀워크의 중요성을 다시 생각하게된다.

Yet it is interesting that teamwork in itself is not explicitly considered an attribute of professionalism.21 Student narratives, as well as a burgeoning literature in quality and patient safety, may give us pause to reconsider the importance of teams and teamwork as an attribute of professionalism.


다양한 전문성 범주와 긍정적 내러티브 사이의 중요한 관계, 그리고 긍정적 내러티브가 대부분이었다는 사실은 reassuring하며, 네러티브와 성찰의 사용 또는 잠재 교육과정의 일반적 측면에서 전문직업성의 lapse가 파다하다는 것에 대한 우려를 덜어준다. 학생들은 긍정적 (부정적인) 역할 모델을 통해 다양한 형태의 전문직업성에 대해 알아보고 감사하고 배우며 전문가로서 우리에게 긍정적으로 반영되는 행동을 인정하고 감사하게 생각합니다. 특히 긍정적 인 내러티브는 우수성과 지식 및 기술에 대해 배우는 것과 관련이있는 것으로 보입니다.

The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various professionalism categories and positive narratives, and the fact that the positive narratives were in the majority, is reassuring and may alleviate general concerns about overweighting lapses of professionalism27 in the use of narrative and reflection and in the hidden curriculum in general. It seems that students notice, appreciate, and learn about various forms of professionalism from positive (as well as negative) role models, and acknowledge and appreciate actions that reflect positively on us as professionals. In particular, positive narratives seem to be associated with learning about excellence and knowledge and skills.




 2011 Mar;86(3):369-77. doi: 10.1097/ACM.0b013e3182087d15.

Which experiences in the hidden curriculum teach students about professionalism?

Author information

1
Department of Community Mental Health and Center for Excellence in Patient-Professional Relationships in Health Care, University of Haifa, Haifa, Israel. OritKM@gmail.com

Abstract

PURPOSE: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learner experience in the "hidden curriculum" and student attribution of such experiences to professionalism categories.

METHOD:

Using the output of a thematic analysis of 272 consecutive narratives recorded by 135 students on a medical clerkship from June through November 2007, the authors describe the frequency of these experiences within and across student-designated Association of American Medical Colleges-National Board of Medical Examiners professionalism categories and employ logistic regression to link varieties of experience to specific professionalism categories.

RESULTS:

Thematic analysis uncovered two main domains of student experience: medical-clinical interaction and teaching-and-learning experiences. From a student perspective the critical incident stories evoked all professionalism categories. Most frequently checked off categories were caring/compassion/communication (77%) and respect (69%). Logistic regression suggested that student experiences within the teaching-and-learning environment were associated with professionalism categories of excellence, leadership, and knowledge and skills, whereas those involving medical-clinical interactions were associated with respect, responsibility and accountability, altruism, and honor and integrity. Experiences of communicating and working within teams had the broadest association with learning about professionalism.

CONCLUSIONS:

Student narratives touched on all major professionalism categories as well as illuminating the contexts in which critical experiences emerged. Linked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analysis identified those experiences that were associated with learning about particular aspects of professionalismExperiences of teamwork were especially relevant to student learning about professionalism in action.

PMID:
 
21248599
 
DOI:
 
10.1097/ACM.0b013e3182087d15


대안적 전문직 정체성 상상해보기: 의대생과 간호대생 사이의 전문직 경계의 재조정(Acad Med, 2015)

Imagining Alternative Professional Identities: Reconfiguring Professional Boundaries Between Nursing Students and Medical Students

Vicki Langendyk, BMed, MEd, Iman Hegazi, MBBS, MS, MD,

Leanne Cowin, BNurs, PhD, MAppStats, Maree Johnson, MAppSci, PhD,

and Ian Wilson, MBBS, MAssess&Eval, PhD, FRACGP




간호 교육과 의학 교육의 목표는 학생들을 의료 전문가로 변화시키는 것입니다. 그러나 학생들이 필요한 지식, 기술, 태도 및 가치를 격리 된 또는 통합 된 역량으로 개발하는 것은 충분하지 않습니다. 오히려 학생들은 health care practice의 실제 상황에서 간호사나 의사가 하는 일을 하는 "바로 그러한 유형의 사람들the sort of people"이되어야합니다.

The goal of both nursing education and medical education is to transform students into health care professionals. It is not sufficient, however, for students to develop the requisite knowledge, skills, attitudes, and values as isolated or even integrated competencies. Rather, students must become “the sort of people” who do the kinds of work that nurses or doctors do in the real-world context of health care practice;


이러한 연관성에도 불구하고 간호 교육과 의학 교육의 결과로서 부적절한 직업적 정체성 발달에 대한 우려가 문서에서 제기되었다. 3-6 간호대학에서 발달한 정체성과 실제 전문직의 practice 상황에서 발달하는 정체성 사이의 격차는 환멸을 불러올 수 있으며, 그 결과로 retention이 저하되고, 헬스케어 시스템의 심각한 손실이 발생한다. 의학교육이 환자 중심의 전문직 정체성 개발을 돕기보다는, 오히려 환자에게서 멀어지게하는 직업적 정체성의 발전에 기여할 수 있다는 증거가 있다.

Despite this association, concerns have been expressed in the literature about inappropriate professional identity development as an outcome of nursing education and medical education.3–6 Disparities between the professional identities students develop during nursing school and the actuality of professional practice can lead to disillusionment, resulting in poor retention and significant losses to the health care system.7 There is evidence that, rather than helping students develop patient-centered professional identities, medical education may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professional identities that alienate patients.8


개인 및 전문직 정체성 개발

Personal and Professional Identity Development


유아기에 시작하여 성인기까지 계속되는 정체성 형성은 개인적 및 사회적 문화적 차원 모두에 의해 구성됩니다 .10 에릭슨은 정체성을 심리 사회 발달의 주요 과정으로 개념화했습니다 .11 에릭슨은 정체성을 우리가 누구이고 누구가 아닌지를 identify하는 심리사회적 핵심 발달과정이라고 개념화했다. 에릭슨은 나이와 관련된 심리적 성숙 단계를 제안하였으며, 이 중 사춘기를 정체성 발달에 가장 중요한 시기로 지명했다. 최근에 Kroger 등은 이 핵심 단계는 그것보다 조금 늦게, 즉 19 세에서 21 세 사이에 발생한다고 말했다. 보건 전문가 교육자의 경우,이 연령대는 간호대학이나 의과대학에 입학하는 학생들의 (공통적인) 연령에 해당하므로 매우 중요합니다 .10

Identity formation, which begins in early childhood and continues throughout the adult years, is constituted by both personal and sociocultural dimensions.10 Erikson conceptualized identity as a key process of psychosocial development,11 through which we identify ourselves in terms of who we are and who we are not.12 He proposed age- related psychological maturational stages, nominating adolescence as the most significant for identity development.12 More recently, Kroger et al10 demonstrated that this key stage occurs somewhat later, from ages 19 to 21 years. For health professions educators, this age range is highly significant as it corresponds with the (common) ages of students at entry into nursing programs and medical schools.10


이 단계에서 청년들은 직업, 종교, 정치, 민족, 성 정체성의 진화와 관련하여 새로운 도전에 직면하게 된다. 보건전문직 교육자들은 전문직 정체성이 정신사회적 발달의 여러 가닥 중 하나라는 점에 유의해야하며, 학생들은 이 과정에서 불안정정, 불확실성, 불안의 도전에 직면하게 된다.

It is at this stage that young adults face new challenges regarding the evolution of more autonomous vocational, religious, political, ethnic, and sexual identities.12 Health professions educators, therefore, should be mindful that professional identity is but one of the strands of psychosocial development challenging our students in this time of instability, uncertainty, and anxiety.


사회문화 이론가들은 정체성에 대한 역동적 개념을 주장하는데, 이 때 정체성은 epigenetic하기보다는 사회문화적 과정의 결과이다. 사회문화적 관점에서 볼 때, 전문직 정체성 개발은 개인의 발달적 성취가 아닙니다. 오히려 그것은 다른 사람들과의 관계 속에서 정체성이 형성되는 사회적 과정이다 .13 보건 전문인들에게 성공적인 전문적 정체성 형성은 헬스케어 팀 내에서 점점 의미 있고 중심적인 일에 접근하는 것에 달려있다.

Sociocultural theorists argue for a dynamic conception of identity that results more from sociocultural processes than from epigenetic forces. From a sociocultural perspective, professional identity development is not a developmental achievement of the individual; rather, it is a social process in which identity is constructed in relationships with others.13 For health professions students, successful professional identity formation depends on gaining access to increasingly meaningful and central work within the health care team.14


Legitimate한 집단 구성원으로 인정 받기 위해서, newcomer들은 수용가능한 행동에 관한 집단의 암묵적 근거 규칙을 받아들이고, 집단의 규범과 일치하는 전문직 정체성을 개발해야합니다 .15 학생들은 새로운 사회적 언어로 들어가는 사회화 과정을 통해 새로운 정체성을 개발합니다. 이 때 사회적 언어라는 것은 말하기, 듣기, 행동하기, 다른 사람과의 관계, 그리고 trade 도구사용의 방식 등이다. 학생들은 "언행일치"도 배우고 "말만 번지르르하게 하는 것"도 배운다.

To be recognized as legitimate group members, the newcomers need to adopt the group’s implicit ground rules about acceptable behavior and develop professional identities that are consonant with the norms of the group.15 Students develop their professional identities through a process of socialization into a new social language—that is, a discourse that involves a way of speaking, listening, behaving, relating to others, and using the tools of the trade: They learn to “walk the walk” and “talk the talk.”1,13


헬스케어 환경은 매우 복잡하며 간호대생 및 의대생은 교육 과정에서 만나는 학문적 및 임상적 공동체의 여러 학습 환경에서 경험하게 되는 간혹 모순되거나 상충하는 담론을 탐색해야합니다. 명백히, 전문직 정체성 개발은 깔끔한 역량 세트로 유형화될 수 있는 단일하고 일관된 construct가 아닙니다.

The health care environment is highly complex, and both nursing and medical students need to navigate the sometimes contradictory and conflicting discourses they experience in the multiple learning contexts of the academic and clinical communities they encounter during their education.16 Clearly, professional identity development is not a unitary, coherent construct that can be categorized into a neat set of competencies.17



의학교육 도전: 학생들이 환자-중심적 전문직 정체성 개발하도록 돕기

Medical Education Challenge: Helping Students Develop Patient-Centered Professional Identities


의료계와 사회 간의 암묵적 사회 계약은 상호 이익에 기반을두고있다. 그러나 사회적 계약을 뒷받침하는 의료 전문가들의 도덕적 헌신은 점점 더 대중에게 의문의 대상이 되어가고 있다.

The implicit social contract between the medical profession and society is based on reciprocal benefits: Increasingly, though, the moral commitment of medical professionals, which underpins this social contract, is under question by the public.19


이에 따라, 많은 의대는 학생들에게 초보 직업인으로서 더 의미있는 참여를 목표로 조기 임상 노출을 제공하고, 교육과정에 전문직업성과 윤리에 대한 정식 교육을 도입했습니다. 최근의 연구들은 환자 접촉 및 의료 롤모델에 대한 조기 노출이 직업적 정체성의 발달에 중요한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강조합니다.

In response, many medical schools have moved to provide students with earlier clinical exposure, aiming for more meaningful participation by students as novice professionals, and have introduced formal teaching on professionalism and ethics into the curriculum. Recent publications20,21 highlight the significant impact that early exposure to patient contact and medical role models can have on the development of professional identity.


그러나 의학 교육 연구를 살펴보면, 전문직 정체성 발달이 항상 긍정적인 방향으로만 발달하지는 않는다는 것을 보여줍니다. 냉소주의의 상승과 공감의 저하가 후기 의학교육에서 발생함이 지적되었습니다. 일부 저자는 이러한 변화가 학생들이 까다로운demanding 임상적, 윤리적 환경에서 자신의 전문직 정체성을 발달시키려는 사회화 과정의 부산물이라고 가정합니다. 다른 이들은 의과 대학의 후기 학년에 전문직 정체성의 개발에 지배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이 잠재 교육과정이라고 지적합니다 .5

The medical education literature, however, demonstrates that professional identity development does not always progress positively. A rise in cynicism22 and a fall of empathy23 have been noted in students in the later years of training. Some authors hypothesize that these changes are by-products of the socialization process as students try to develop their professional identities in a demanding clinical and ethical environment22; others point to the hidden curriculum as a dominant force in the development of professional identity in the later years of medical school.5


임상 환경에서 성공하기 위해서, 학생들은 그들이 embed된 특정 보건 의료 환경에서 받아들여지는 전문직 정체성을 개발할 필요가 있습니다 .15 Wear와 Skillicorn은 의과대학생들은 잠재 커리큘럼이 롤모델링에 기반한다고 믿고 있으며, 학생의 발달에 임상교사의 경험과 직관은 공식 커리큘럼만큼이나 중요했다. "그건 교과서에서 배우는 것이고, 실제로 어떻게 하는지는 여기에 있다."

To be successful in the clinical environment, students need to develop professional identities that are acceptable within the particular health care context in which they are embedded.15 Wear and Skillicorn24 found that medical students believed the hidden curriculum was based on role modeling and that their clinical teachers’ experiences and intuitions were at least as important to their development as the formal curriculum: “That’s what you learn in textbooks, but, here’s the way you really do it.”


임상 환경에서 보건 팀의 상위senior 구성원은 커뮤니티 내에서 학생의 정당성을 인정하고, 적절한 학습 기회를 제공 할 수있는 힘을 가지고 있습니다 .14 또한, 헬스케어 팀 구성원은 근무지 평가에 대한 강조가 증가함에 따라, 임상 환경에서 학생들의 능력과 전문성을 평가하게 된다. 따라서 학생들은 의학 교육자들이 의도 한 것과 전혀 반대되는 특성을 자신의 전문직 정체성과 결합시킬 수도 있습니다 25.

In clinical settings, the more senior members of the health care team have the power to legitimate students’ membership within their community and to provide appropriate learning opportunities.14 Furthermore, with the increased emphasis on workplace assessment, members of the health care team also evaluate students’ competence and professionalism within the clinical environment. Students may therefore incorporate within their professional identities characteristics that are diametrically opposed to those that medical educators intended to instill.25 


학생들의 주요 목표가 메디컬 팀의 practicing member가 되는 것임을 감안할 때, 의료계의 문화가 현 상태를 유지하는 방식으로, 성공적으로 재창출reproduce된다는 것은 놀라운 일이 아닙니다. 결과적으로, 공식 교육과정에 의해 지지되는 환자 중심의 전문적 실천 모델은 실제 practice에 침투하여 그것을 변화시키지 못한다.

Given that students’ main aim is to become practicing members of the medical team, it is not surprising that the medical culture reproduces itself so successfully, maintaining the status quo. Consequently, the patient-centered model of professional practice, espoused by the formal curriculum, fails to penetrate and change actual practice.15


Bleakley와 Bligh26은 더 많은 시니어 의사에게 롤모델링 되는 것이 임상 환경에서 학생의 전문직 정체성 형성에 가장 중요한 요인이되어야한다는 가정에 반기를 든다. 그들은 학생들이 환자 중심의 전문적 정체성을 달성 할 수 있도록 도우려면, 환자 - 학생 관계가 중심이 되어야 하고, 여기에 시니어 보건 전문가와 배우는 것은 촉진적 역할을 하는 것이라고 주장했다.

Bleakley and Bligh26 challenge the assumption that role modeling by more senior clinicians should be the most important factor for student professional identity formation in the clinical environment. They argue that to help students achieve patient- centered professional identities, the patient–student relationship should be given primacy in student learning with the senior health professional in a facilitatory role.26


감독자가 아닌 환자를 교육 경험의 중심에 배치하기 위해서는 임상 환경에서 의학 교육의 구조를 크게 재구성해야 할 것입니다. 보다 현실적으로는, 학생과 환자의 관계에 대한 집중도를 높이기 위해서 LIC로 나아갈 수 있습니다. 한 명의 환자와 질병의 전 과정 동안 함께 하는 경험이 환자 중심의 전문직 정체성 발전을 촉진한다는 증거가 일부 있습니다 .27

Placing patients, rather than supervisors, at the center of the educational experience would require a significant reorganization of the structure of medical education in the clinical environment. More feasibly, an increased focus on the student– patient relationship may be attained by moving toward longitudinal integrated clinical placements. There is some evidence that the experience of being with patients over the course of their illnesses facilitates the development of a patient-centered professional identity.27 



간호교육의 과제: Attrition 줄이기

Nursing Education Challenge: Reducing Attrition


호주에서 간호 교육은 병원에서 대학으로 이동했는데, 그 이유는 간호 채용 및 개발을 장려하고 간호사와 의사 간의 비대칭 권력 관계를 다루기 위해서였다. Serra28은 간호 교육을 고등 교육 기관으로 옮기는 것이 역사적으로 "의사 대 간호사"의 직업적 정체성을 특징지었던 "인지과 정서"의 이분법을 파괴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고 주장했다. 이 변화로 인해서 간호는 이론적, 실천적, 감정적, 인지적, 그리고 의료팀의 리더십과 멤버십을 모두 포함하는 전문직 정체성을 주장할 수 있게 되었다. 또한 이러한 전문직 정체성은 보건 의료 시스템 내 분업의 변화를 반영하기도 하는데, 이전에는 의사의 배타적 영역이었던 임상 책임을 간호사도 점점 더 많이 감당하게 되었기 때문이다.

In Australia, nursing education shifted from the hospital to the university with the goal of encouraging nursing recruitment and development and addressing the asymmetrical power relationship between nurses and doctors. Serra28 argues that moving nursing education into higher education institutions was aimed at disrupting the dichotomy of cognition versus emotion that has historically characterized the professional identities of doctors versus nurses. The shift has allowed nursing to claim a professional identity that is inclusive of the theoretical and the practical, the emotional and the cognitive, and both leadership and membership of health care teams.28 Moreover, this professional identity is reflected in some changes in the division of labor within the health care system, as nurses increasingly take on clinical responsibilities that were previously the exclusive domain of doctors.29


많은 현재 간호 프로그램은 의학 교육 프로그램과 유사한 구조를 사용합니다. 그들은 대학 환경에서 전달되는 이론 지식에 초점을 맞추기 시작했고, 뒤이어 clinical placement에 immersion하는 과정이 따른다.

Many current nursing programs use a structure similar to that of medical education programs. They commence with a focus on theoretical knowledge delivered within the university setting; this is followed by immersion in clinical placements.


Cowin 등은 이제 막 간호대학에 입학한 학생의 기존 직업적 정체성과 직장에서 근무하고 있는 간호사의 확립된 직업적 정체성 사이에 상당한 불일치가 있음을 제안한다. 신입 간호대학생들은 미래 직업 역할에 대한 이상적인 견해를 가지고 있는데, 이것은 미래의 전문직 삶에 대한 정확한 개념을 제공해주지 못한다. preexisting and established 전문직 정체성의 불일치가 간호에서 attrition의 가능한 원인으로 언급되었다.

Cowin et al32 suggest that there are significant discrepancies between the preexisting professional identities of nursing students commencing their studies and the established professional identities of nurses in the workplace. Beginning nursing students have idealized views of their future professional roles, views that do not provide accurate conceptions of their future professional lives . A lack of congruence between preexisting and established professionalidentities has been cited as a possible cause of nursing attrition.33


전통적인 교실 또는 강의 접근 방식은, 지식이 맥락과 분리되어있는 학습이고, 실제 간호 근무에서 발생하는 모호함과 현실에 적절하게 준비시키지 못합니다.

The traditional classroom or lecture approach to learning, in which knowledge is separated from context, fails to adequately prepare nursing students for the ambiguities and realities of the real work of nursing.


의대 학생들과 마찬가지로, 간호 학생들도 대학에서 배우는 전문직업성에 대한 공식적인 담론과 임상 환경에서의 담론 사이에 불협화음을 경험합니다. 그들은 학생으로 발달시킨 환자 치료 중심의 전문직 정체성과 졸업시 맡게 되는 관리적, 주변적 역할에서 요구받는 것이 서로 일치하지 않는다고 보고합니다 .35 졸업을 하고 나면, 간호사들은 과도한 작업량과 융통성 없는 시스템에 대한 준비가되어 있지 않다고 느끼고 있습니다. 이러한 요인은 최근 간호 졸업생의 불만족스러운 유지율에도 기여할 수있다.

Akin to medical students, nursing students experience a dissonance between the official discourse about professionalism in the university setting and the discourse of the clinical environment. They report a mismatch between the professional identities centered on patient care that they develop as students and the demands that they undertake more administrative and peripheral roles upon graduation.35 Following graduation, they also report feeling unprepared for the heavy workloads and inflexibility of the system in which they work.36 Factors such as these may also contribute to the unsatisfactory retention rate of recent nursing graduates.37


간호 학생들이 신뢰할 수있는 직업의 구성원으로서의 의미와 소속감을 찾도록 돕기 위해 필요한 변화는 무엇입니까? attrition은 간호대학에서부터 시작되므로, retention 척도는 졸업 이전부터 도입되어야 한다. 학생들은 현재 관행을 비판적으로 분석하고 모범 사례를 연구하며 대안을 구상하는 데 필요한 지원을 필요로합니다.

What changes are needed to help nursing students find meaning and a sense of belonging as members of a trusted profession? As attrition begins in nursing school, retention measures need to be introduced prior to graduation. Students require support to critically analyze current practices, research best practices, and envision alternatives.





고정관념을 부수고 전문직 경계를 재설정하기

Breaking Down Stereotypes and Reconfiguring Professional Boundaries


그러나 "uniprofessional"정체성의 구축은 두 직업의 구성원 간의 긍정적인 협력 관계 발전을 저해 할 수있다. 사회적 정체성 이론에 따르면, 개인은 자신의 그룹을 식별하고, 다른 그룹과 비교하여, 자신의 그룹을 다른 그룹과는 다른 것, 심지어는 더 나은 그룹으로 생각하게 된다. 이것은 내집단 편애를 가져오고, 그룹 구성원들 사이에 높은 수준의 신뢰를 만들고 외부에있는 사람들에 대한 불신을 초래합니다. Sargeant41은 의학 및 간호 학생이 자신의 전문 그룹으로 사회화되기 때문에 전문직 정체성 발달이 전문직 간 경계, 역할 및 권력 구조를 더욱 구체화한다고 주장합니다.

The construction of a “uniprofessional” identity may, however, impede the development of positive collaborative relationships between members of the two professions. According to social identity theory,40 individuals identify with their own group and view their group as being different or even better than other groups. This results in group favoritism, creating a high level of trust among the members of a group and distrust toward those on the outside. Sargeant41 argues that as medical and nursing students are socialized into their own professional groups, their professional identity development reifies disciplinary boundaries, roles, and power structures.


간호 졸업생이 갖는 전문적 지위와 자율성에 대한 기대는 임상 환경에서 medicine을 선호하는 계속되는 위계적 구조에 의해 훼손 될 수있다.

nursing graduates’ expectations of professional status and autonomy may be undermined by the continued hierarchical structure favoring medicine in clinical settings.


보건 의료 시스템의 위계적 구조는 작은 부분이 아니며, 이는 의학과 간호 사이에 역사적으로 성별에 따른 구분이 있어왔기 때문이다. 의사의 전형적인 전문직 정체성은 진단 및 관리 의사 결정과 같은 인지 능력과 관련되지만, 간호사의 전형적인 전문직 정체성은 돌봄과 양육의 정서적 가치를 중심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성과 육체는 전통적으로 남성적인 것으로, 감정과 신체는 여성적인 것으로 코드화되어있다. 더욱이 인지와 감정은 이분법적이며 계층적이며 그 valence는 신체보다는 정신에, 감정보다는 이성을 더 가치있다고 여긴다. 이러한 고정관념은 간호가 전문직화되고, 더 많은 여성이 의학으로, 더 많은 남성이 간호로 진출함으로써 두 직업 간의 노동 분열 경계선의 흐려짐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지속되고있다.

The hierarchical structure of the health care system is in no small part due to the historically gendered divide between medicine and nursing.42 The stereotypical professional identity of the physician is associated with the cognitive capabilities of diagnostic and management decision making, whereas that of the nurse is viewed as encompassing the emotional values of caring and nurturing.29 Reason and the mind have been traditionally coded as masculine, whereas emotions and the body have been coded as feminine.43 Furthermore, cognition and emotion are viewed as dichotomous and hierarchical, with valency awarded to the mind over the body and to reason over emotion. Thestereotypes still persist, despite the professionalization of nursing, the move of women into medicine and men into nursing, and the blurring of the boundaries in the division of labor between the two professions.44


불행하게도, 이러한 고정 관념은 헬스케어 환경에서 받아들여지는 제한된 전문직 정체성을 나타냅니다. 전문직이라는 '부족'에 합류하기 위해서는 높은 수준의 적합성conformity가 필요합니다. 학생이 발달시킨 전문직 정체성이 적절하다고 인정되지 않으면 학생들은 헬스케어 팀의 핵심 구성원이 되는데 어려움을 겪을 것이다.

Unfortunately, these stereotypes represent, the limited professional identities that are acceptable in the health care environment. A high degree of conformity is required to gain acceptance into professional tribes.45 Students will struggle to become integral members of health care teams if the professional identities they have developed are not recognized as appropriate.46


그 결과, 의대생들은 임상 과학에 초점을 맞추고, 종종 공감과 환자 중심의 치료를 소홀히하는 담론으로 acculturate된다. 한편 간호 학생들은 그들이 생각한 방식으로 임상 진료와 의사 결정에 기여할 수있는 권한을 부여하지 못하게 하는 담론에 acculturate된다. 그 결과 간호대생과 의대생의 전문직 정체성의 옵션은 제한적이 되며, tribal allegiance는 지속된다.

Medical students are therefore acculturated into discourses that focus on clinical sciences and often marginalize empathy and patient-centered care. Nursing students are acculturated into discourses that may fail to empower them to contribute to clinical care and decision making in the ways they had envisioned. The result is a restriction of professional identity options for nursing and medical students and a continuation of tribal allegiances.


안전한 전문직 정체성을 개발하는 한 가지 방식은, 자신의 전문직 그룹을 다른 전문직 그룹보다 더 나은 그룹으로 차별화하는 것이다. 그러나 효과적인 직업 간 협력은 "우리"와 "그들"이라는 범주적, 계층적 차별화를 넘어서야합니다.

Developing a secure professional identity involves categorizing one’s professional group in ways that positively differentiate it from others. Effective interprofessional collaboration requires moving beyond categorical and hierarchical differentiations of “us” and “them.”47


  • Mindfulness자신, 타인, 환경에 대한 novel distinction의 discerning의 인지 과정입니다. 이를 위해서는 집중력, 새로운 해석의 개방성, 비판적 성찰, 모호함에 대한 내성이 필요합니다 .49,50 

  • Mindlessness는 정반대의 상태를 말하며, 범주화에 과도하게 집착하는 것으로 드러난다. 이것은 세계에 대한 고정 관념, 고정된 견해, 응답을 초래합니다 .49 

범주화는 우리 세계의 대상에 대한 정체성을 부여하는 수단이기 때문에 그것이 가치가 있다는 것에 대해서는 논박의 여지가 없습니다. 구조적 관계를 기반으로 한 정보의 범주화는 우리가 경험을 설명하고 예측할 수있게한다. 그러나 범주적 사고는 환원주의적 일 수 있다. 개인성의 세부 사항을 인정하지 못하게 되거나, 차이점과 다양성을 무시하게 된다.

  • Mindfulness is a cognitive process that involves discerning novel distinctions about oneself, others, and the environment. It requires focused attention, openness to new interpretations, critical reflection, and increased tolerance of ambiguity.49,50 

  • The opposite state, mindlessness, represents an overcommitment to categorization; it results in stereotyping and fixed views of and responses to the world.49 

The value of categorization is indisputable as it is the means by which we impose identity on objects in our world. Categorization of information on the basis of structural relationships allows us to explain and predict our experiences.51 However, categorical thinking can be reductionist; it can fail to acknowledge details of individuality, and it can ignore differences and diversity.52


Mindfulness는 보다 유연한 직업적 정체성의 개발을 촉진하기 위해 역할의 구체화reification와 종족주의에 반대한다.

Mindfulness works against role reification and tribalism to facilitate the development of a more flexible professional identity.53


어렵고 복잡한 상황을 해석하고 대응할 수있는 능력을 높이기 위해서, mindfulness가 학생의 회복탄력성 구축에 기여할 수 있습니다 .50 과도한 작업량과 숨겨진 커리큘럼의 압력과 같은 직장에서의 역경을 경험하면, 소진되거나, withdrawal을 낳을 수 있습니다 .54 회복탄력성은 직장에서 경험하는 피할 수없는 좌절에 대한 건설적인 대응을 촉진한다. 복잡하고 역동적인 의료 환경에서 위계의 최하단에 있는 신규 의대 및 간호대 졸업생은 [자신이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차이를 만들 수 있다]는 자신감을 유지할 필요가 있습니다 .54 그러나 개념적으로, 위계 구조 자체가 uniprofessional 정체성을 강화시킬 수 있으며, 이는 interprofessional 관계에 해로운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By increasing the capacity to interpret and respond to difficult and complex situations, mindfulness may also contribute toward building resilience in students.50 Experiencing workplace adversity, including a heavy workload and the pressures of the hidden curriculum, can result in burnout or withdrawal.54 Resilience facilitates constructive responses to the inevitable setbacks of working life. In the complex and dynamic health care environment, new medical and nursing graduates, who are on the bottom rung of the hierarchy, need to maintain confidence that they can have a positive influence and make a difference.54 Notionally, however, the attempt to position themselves in the hierarchy may result in strengthening of the uniprofessional identity, with the potential for detrimental effects on interprofessional relationships.


그러므로 보건 전문가 교육은 사회적 회복탄력성의 발전을 장려해야한다고 주장한다 .55 상호 신뢰와 존중을 바탕으로 협력 적으로 일할 수있는 개인은 회복탄력적인 팀을 구성할 수 있으며, 복잡한 조직 내에서도 우여곡절vicissitude of working을 더 잘 탐색 할 수있다. 만약 mindfulness와 회복탄력성에 대한 교육이 보다 유연하고 interprofessional identity 개발에 영향을 미친다면, 의대와 간호 교육과정은 다른 분야의 학생들이 함께 학습 할 수있는 기회를 제공해야한다.

Therefore, we argue that health professions education should also encourage the development of social resilience.55 Individuals who are able to work cooperatively, based on mutual trust and respect, are able to form resilient teams and are better able to navigate the vicissitudes of working in complex organizations.56 Yet if the teaching of mindfulness and resilience is to effect the development of a more flexible and interprofessional identity, medical school and nursing program curricula must provide opportunities for students from different disciplines to learn together.




IPE


건강 관리 분야의 IPE은 제 2 차 세계 대전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57) 실천 영역이 확립되어 있음에도 불구하고, IPE는 의료 및 간호 학교에서 확립되지 못하고있다 .57) 체계적인 문헌 고찰에서 Hammick 등 58)은 긍정적인 다른 전문직 집단 구성원에 대한 태도가 긍정적으로 변화한다는 근거를 별로 찾지 못했는데, 이는 확장된 IPE 프로그램을 도입하는 큰 장애요인을 고려한다면 놀라운 일이 아니다. 이러한 장벽은 

  • 전문직 분리 문화, 

  • 교수개발 요구 사항, 

  • 개입의 선택적 상태, 

  • 적절한 평가 방법 개발의 어려움, 

  • 실용적인 문제 (예 : 시간표, 대규모 집단) 

등을 포함합니다 .57,58 IPE는 자원 집약적 인 경향이 있습니다 . 단기 자금 조달을 기본으로 종종 시작되기 때문에 유지가 어렵다.

Interprofessional learning in health care dates back to World War II.57 Despite having become established insome areas of practice, IPE has failed to become established in medical and nursing schools.57 In a systematic literature review, Hammick et al58 found less evidence of persisting positive attitudinal change toward other disciplinary groups’ members, which is not surprising given the significant barriers to implementing extended IPE programs. These barriers include 

  • cultures of professional segregation, 

  • requirements for significant staff development, 

  • the optional status of interventions, 

  • difficulty in developing appropriate assessment methods, and 

  • practical issues (e.g., timetables, large cohorts).57,58 

Moreover, IPE tends to be resource intensive. It is often initiated on the basis of short-term funding and is therefore difficult to sustain.59


우리는 IPE가 전문 직업인 간의 정체성 개발 문제를 해결하는 데 중요하며 모든 보건 관련 직업 커리큘럼의 필수 요소로 우선 순위를 매길 필요가 있다고 주장합니다.

We argue that IPE is critical to addressing the challenge of interprofessional identity development and needs to be prioritized as an essential element of all health professions curricula.


그러나 전문적인 경계를 유지하려는 기득권이 있다고 가정한다면 (협력적 실무 성과에 대한 인증을 요구하는 것과 같은) 하향식 접근이 필요할 것이다 .60,61

Given vested interests in maintaining professional boundaries, however, a top- down approach, such as accreditation requirements for collaborative practice outcomes, will be necessary.60,61




헬스케어의 변혁 또는 현재상태 유지?

Transforming Health Care or Maintaining the Status Quo?


의료 교육자와 간호 교육자는 의대생 및 간호 학생의 적절한 전문직 개발을 유도하기 위해 독립적으로 활동합니다. 그러나 전문 직업인 정체성의 건설은, 학생들이 포괄적인 환자 위주의 간병 서비스를 제공하는 데 필요한 협력적이고 interprofessional한 관계를 발전시킬 수있는 잠재력을 약화시킬 수있다.

Medical educators and nursing educators work independently to guide medical students’ and nursing students’ development of appropriate professional identities. The construction of uniprofessional identities, however, may undermine the potential for students to develop the collaborative, interprofessional relationships necessary for the delivery of comprehensive patient-centered care.9


고정 관념을 무너뜨리고 간호 및 의대생을위한 광범위한 전문직 정체성 옵션을 제공함으로써, IPE는 각 직업이 해결해야 하는 정체성 문제를 해결할 잠재력을 가지고 있습니다. 각 분야의 사일로에 남아있는 것은, 전문적인 정체성 옵션을 제한하고 현재 상태를 유지하게 만든다. 그리고 만약 우리가 간호사 유지율을 높이고 환자 중심의 치료 모델에 대한 일반 대중의 요구를 충족 시키려면, 이것은 더 이상 옵션이 아니다.


By breaking down stereotypes and providing a wider range of professional identity options for nursing and medical students, IPE has the potential to address the identity issues that each profession is trying to resolve on its own. Remaining in disciplinary silos—which restrict professional identity options and maintain the status quo—is no longer an option if we, as heath care professionals, are to increase the retention of nurses in the workforce and fulfill the public’s request for a patient-centered model of care.





 2015 Jun;90(6):732-7. doi: 10.1097/ACM.0000000000000714.

Imagining alternative professional identitiesreconfiguring professional boundaries between nursing students and medical students.

Author information

1
V. Langendyk is senior lecturer in medical education, School of Medicine, University of Western Sydney, Campbelltown, New South Wales, Australia. I. Hegazi is lecturer in medical education, School of Medicine, University of Western Sydney, Campbelltown, New South Wales, Australia. L. Cowin is senior lecturer in nursing, School of Nursing, University of Western Sydney, Campbelltown, New South Wales, Australia. M. Johnson is associate dean of research, Australian Catholic University, North Sydney, New South Wales, Australia. I. Wilson is dean of medicine, School of Medicine, University of Wollongong, Wollongong, New South Wales, Australia.

Abstract

The transition of a medical student or a nursing student into a health care practitioner requires many changes. Among these is the development of an appropriate professional identity, which assists in the establishment of a sound base for professional practice and therefore should be a focus for health professions educators. There is evidence, however, that medical education and nursing education face challenges in guiding students' development of appropriate professional identities. In medicine, there is concern that medical education may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professional identities that alienate patients rather than identities that are patient centered. The nursingprofession struggles with poor retention rates in the workforce, which have been attributed in part to discrepancies between the professionalidentities that students develop during nursing school and the realities of professional practice.In this Perspective, the authors explore the importance of and the pedagogical strategies used to facilitate professional identity formation for medical and nursing students. They argue that medical and nursing educators aim to instill in their students strong occupational identities which may perpetuate hierarchical disciplinary boundaries. They suggest that health professions educators should move beyond current disciplinary silos and create interprofessional education opportunities for medical students and nursing students to learn together to facilitate the development of the collaborative interprofessional identities necessary for the delivery of high-quality, patient-centered health care.

PMID:
 
25901875
 
DOI:
 
10.1097/ACM.0000000000000714


의과대학생의 전문직 정체성 형성: 프로페셔널리즘 실수의 분류와 학습환경(BMC Med Educ, 2014)

Formation of medical student professional identity: categorizing lapses of professionalism, and the learning environment

Walter Hendelman1* and Anna Byszewski2






배경

Background


In 1990 the American Board of Internal Medicine (ABIM)


Project Professionalism was launched in 1995 [1].


  • 이 보고서는 "프로페셔널리즘이란 이타심, 책임, 우수성, 의무, 서비스, 명예, 무결성 및 타인을 존중하는 것을 갈망하는 것으로서" 이러한 전문성의 요소 각각에 대한 정의가 제공됩니다.

  • 보고서는 또한 "프로페셔널리즘의 요소에 도전하거나 감소시키는"7 가지 이슈를 설명합니다. 권력 남용, 오만, 탐욕, 허위 진술, 손상, 양심의 결여, 이해 상충 (선물 수용, 업계와의 협력)이 포함됩니다.

  • The report states: “Professionalism aspires to altruism, accountability, excellence, duty, service, honor, integrity and respect for others” and definitions are provided for each of these “elements of Professionalism.” 

  • The report also describes seven issues that “challenge or diminish the previously identified elements of professionalism”; these include: abuse of power, arrogance, greed, misrepresentation, impairment, lack of conscientiousness, and conflict of interest (acceptance of gifts, collaboration with industry).


사회는 의료계가 소위 '사회적 계약'을 형성하는 가장 높은 행동 및 윤리적 기준을지지 할 것으로 기대한다. 따라서 의학 교육자는 학생들에게 의료 정보에 대한 접근을 제공 할뿐만 아니라, 어떻게 의료 전문직이 되는가를 가이드해주어야 합니다. "점점 학습자가 직업의 가치를 분별하기 어려워지고 있습니다"[4].


Society expects that the medical profession will uphold the highest behavioral and ethical standards, which form the so-called ‘social contract’ [3]. medical educators should therefore be not only to provide the students with access to medical information, but guidance on how to become medical professionals. It has been noted that “the values of the profession are becoming increasingly difficult for learners to discern” [4].


돌이켜 볼 때, 20 세기 후반의 프로페셔널리즘의 초석은 이제 직업적 정체성의 발전을 위한 주요 영향으로 롤모델링으로 인식되고 있습니다. 1990 년대에는, 의대생의 다양성 증대, 사회에서 보유한 패러다임의 변화, 시장의 압박 등으로 인해 전문성의 가치와 속성이 반드시 의대에 입학하는 모든 학생에게 accompany하지 않는다는 것이 명확 해졌습니다. 또한 의과대학 동안 이것이 최적으로 nurture 될 수 없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의학 프로페셔널리즘의 인지적 측면이 명백하게 가르쳐 질 필요가 있다고 제안되었다.

In retrospect, the cornerstone of Professionalism during the second part of the twentieth century is now recognized to have been role modeling as the major influence for the development of a professional identity. During the 1990’s, it became clear that due to the increasing diversity of our medical students, the changing paradigm of values held by society, along with the pressures of the marketplace, that the values and attributes of Professionalism do not necessarily accompany each and every student upon entry to medicine, and that these may not be nurtured optimally during the medical undergraduate years. Therefore it was proposed that the cognitive aspects of medical professionalism needed to be taught explicitly [5].


프로페셔널리즘은 이제 프로페셔널리즘의 가치를 포함하는 '학습 환경'[7]이라는 LCME 인증 표준 (MS31-A)에도 들어가게 되었다. 이것은 전체 의학 커리큘럼 내에서 totality of influence에 대한 평가와 이것이 의대생에게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포괄적인 이해를 요구합니다.

Professionalism is now embraced by the LCME accreditation standard (MS31-A) called ‘the learning environment’ [7], a standard which includes the values of Professionalism; this mandates an evaluation of the totality of influences within the whole medical curriculum and a comprehensive understanding of those factors influencing medical students.


최근의 프로페셔널리즘 육성을위한 주요 계획은 의대생들의 이러한 가치 개발에 중점을 두었으며, 이것은 특히 전임상 단계의 공식적인 커리큘럼에서, 대개 의대 시작 때 화이트 코트 (White Coat) 행사를 포함한다. 또한 명백한 인지적 구성 요소가 경험적 학습에 의해 강화 될 필요가 있다 [8]. 또한 이 교육의 목적이 달성되었는지 확인하기 위해 의대생을 평가하는 데 많은 노력을 기울였습니다 (예 : [9]).

The major recent initiatives to foster professionalism have focused on the development of these values in our medical students, particularly during the pre-clinical phase, in the formal curriculum, usually including a White Coat ceremony at the start of medical school. It is also understood that the explicit cognitive component needs to be reinforced by experiential learning [8]. In addition, considerable effort has gone into evaluating medical students in order to ensure that the objectives of this instruction have been achieved (e.g., [9]).


우리의 의과 대학에서,

  • 학생들은 오리엔테이션 기간 동안이 문 서에 포함된 프로페셔널리즘 선언 (Professional Declaration of Professionalism) [10]과 전문성의 가치 (속성이라고도 함)에 처음 노출됩니다.

  • 그 다음에 White Coat 의식이 진행되는 동안 학생들은 교수, 가족, 친구들 앞에서 이 선언문을 공동으로 '선서'하고 자신의 공식적인 copy을 받게됩니다.

  • 전임상 단계에서 4 명의 소규모 그룹 전문성 사례 중심 세션이 개최됩니다 (매년 2 회). 

  • 임상실습 입문 모듈에는 3 학년 초에 프로페셔널리즘 행동에 중점을 둔 수업에 대한 '재확인 의식'이 포함됩니다.

  • 4 년 동안의 학생들의 평가에는 프로페셔널리즘 행동이 포함되며, 규정은 재교육 또는 기타 lapse에 대한 결과를 제공합니다.

In our Faculty of Medicine, 

  • the students are first exposed to our Declaration of Professionalism [10] and the values (also called attributes) of Professionalism incorporated in this document during the orientation period. 

  • This is followed by a White Coat ceremony during which the students collectively ‘profess’ this Declaration in front of faculty, family and friends, and receive their own official copy of the document. 

  • During the pre-clerkship phase, four small group professionalism case-based sessions are held (two in each year) moderated by a faculty member. 

  • The introductory module to the clerkship, at the beginning of third year, includes a ‘re-affirmation ceremony’ for the class, with the emphasis on professionalism behavior. 

  • The assessment of our students throughout the four years includes professionalism behavior, and the regulations provide for remediation or other consequences for lapses.


의대생은 의사, 레지던트, 보건 요원이 있는 마을에서 '교육받는다'. 대부분의 의학 교육자들은, 특히 의과대학생들이 의료 현장에서의 직무 수행을 하는 동안, 의학 전문직의 가치를 주입하려는 노력을 저해하는 것이 바로 '잠재 교육과정'이라는 의견을 가지고 있다 (예 : [13]).

Medical students are ‘taught’ by a village of doctors, residents and allied health personnel. Most medical educators are of the opinion that it is the hidden curriculum, particularly as students engage in their clerkship in the clinical setting, which undermines the efforts to instill the values of the medical profession (e.g., [13]).



방법

Methods


The survey was developed by a small task group consisting of two medical students, with a faculty member (WH), and was subsequently approved by the committee responsible for review of the professionalism curriculum. The survey question regarding lapses of professionalism observed by the students were drawn from the “challenges”–called domains in this paper – outlined in the Project Professionalism report ([1], see also [2]). These include (Figure 1): 

  • 거만,

  • 손상,

  • 기밀 유지,

  • 양심의 결여,

  • 학대 권력 비대칭,

  • 잘못된 자기표현misrepresentation,

  • 편견 및 성희롱,

  • 업계와의 협력,

  • 선물 수령 

  • 윤리적 원칙을 훼손

  • arrogance, 

  • impairment, 

  • breach of confidentiality, 

  • lack of conscientiousness, 

  • abusing power asymmetries, 

  • misrepresentation, 

  • bias and sexual harassment, 

  • collaboration with industry, 

  • acceptance of gifts, and 

  • compromising ethical principles, 

  • ...to which was added cultural or religious insensitivity.



The survey questions were electronically set so that once the respondent indicated that a lapse had occurred in one of these domains, she/he could not proceed further until the information was provided as to 

  • 이 사건이 발생한 곳 (학업 또는 의료 환경) 및

  • 프로페셔널리즘 lapse의 source에 대한 정체성,

  • 사건에 연루된 사람

  • where this incident had occurred (academic or clinical setting), and 

  • the identity of the source of the lapse in professionalism, 

  • the person involved in the incident: 

    • tutor (involved in small group teaching sessions), 

    • faculty member (could be any physician encountered on the ward), 

    • preceptor (the assigned supervisor of a small group of students on the clinical rotation), 

    • clinician, 

    • nurse, 

    • student, 

    • administrative staff, 

    • other hospital staff. 

The student respondent could indicate one or several lapses in each domain before proceeding to the next item.


The electronic survey, including quantitative responses and some open-ended opportunities for supplemental or additional comments (in both English and French), was sent out in December 2006 with two email reminders. The Ottawa Research Ethics Board had no objections to the content of the survey. The survey was not piloted, given the time pressures of the curriculum review being undertaken at the time at the Faculty of Medicine.


Data analysis




결과

Results


The response rate was 45.6%, with 255 responses from a possible 559 student population. The breakdown was: in year 1, 29% (74/152), in year 2, 34% (87/138), in year 3, 14% (36/135) and in year 4, 23% (58/134).



프로페셔널리즘 행동 목격

Witnessed professionalism behavior


In total, 64.3% of the students (164 of 255) had witnessed a lapse of professionalism at some point of their training (Table 1), and this was more evident in the clerkship (72.3%, 68 of 94), compared to the pre-clerkship (59.6%, 96 of 161).



38%의 학생이 모범적인 프로페셔널리즘을 목격했거나 그러한 행동의 한 part였다고 응답

When asked about their experience with professionalism, 38% of students had witnessed or been part of an exemplary demonstration of professionalism during their training. Some examples of these are included in Table 2.



잘못의 유형

Types of lapses


11개 영역

The incidence of lapses across the 11 domains are shown for both the pre-clerkship and the clerkship together (Figure 1).


누가 관여되어 있는가

Who was involved



전임상 단계

Pre-clerkship (Figure 2)


요약하면, 전임상 단계에서 가장 빈번한 프로페셔널리즘 lapse에 대해, 학생들은 학생 동료가 장애, 오만, 기밀 위반과 관련된 실격에 연루된 가장 흔한 인물이라는 것을 인정했습니다. 학생과 교수진 모두 문화적 또는 종교적 무감각과 관련된 실종에 연루되었지만 의사 / 임상 교사 및 기타 사람들은 권력 비대칭 남용에 연루되어 있었다.


In summary, for the most frequent professionalism lapses at the pre-clerkship stage, students recognized that by far their student peers were the most common person implicated in lapses involving impairment, arrogance, and breach of confidentiality. Both students and faculty were implicated in lapses relating to cultural or religious insensitivity, while physician/clinical teacher and others were implicated in abusing power asymmetries.



임상 단계

Clerkship (Figure 2)


요약하면, 학생들이 병동의 실제 임상 상황에 노출되는 임상실습 시기가 되면, 문제 발생 건수가 증가하고, 가장 중요한 문제와 책임자로 간주되는 사람으로 바뀌 었습니다. Preceptor, Tutor, Clinician의 역할을 하는 의사/ 임상 교사는 교만과 권력 비대칭 남용 등의 lapse에 가장 많이 개입 한 것으로 보인다. 기밀성 침해와 문화적 또는 종교적 무감각은 어느 정도 모두 관련되어 있습니다. 대부분의 경우 손상impairment은 주로 학생을 동반 할 가능성이 높았고, 전임상단계와 유사하게, 오만함도 주로 학생들의 문제였습니다.

In summary, in clerkship, where students are exposed to real clinical situations on the wards, the reported incidence of lapses increased in number and changed as to the most significant issues, as well as who was seen as the person responsible. The physician/clinical teacher in the form of preceptor, tutor or clinician were the most likely to have been involved in lapses involving arrogance and abusing power asymmetries. Breach of confidentiality and cultural or religious insensitivity involved all to some degree. Impairment for the most part was still likely to involve mostly students, similar to the trend seen in pre-clerkship, while arrogance remained an issue involving mainly students.





전임상 단계와 임상 단계를 비교해 보면, 보고 된 사안은 임상 환경 때문에 어느 정도 바뀌었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상위 6 가지 이슈는 그대로 남아 있습니다.

Comparing pre-clerkship to clerkship, the reported issues shifted to some degree because of the clinical environment, but nevertheless the top six issues remain the same at both stages.


보고 된 사건수가 적은 영역 (그림 2에 표시되지 않음)에서 보고 된 편견 및 성희롱 발병률은 임상실습생 수준에서는 36 건 (68 명의 학생)으로 높았습니다.

In the domains with low reported number of incidences (not shown in Figure 2) the reported incidence of bias and sexual harassment was higher at the clerkship level, with 36 incidences (for the 68 students);


표 3에는 교수진에서 전문성을 향상시킬 수있는 방법에 대한 질문에 대한 답을 보여주는 학생들의 샘플 의견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이 제안에는 학생과 임상 직원 모두의 행동을 개선하기 위해 노력하는 방법에 대한 통찰력이 포함됩니다.

Table 3 includes some sample comments from students in answer to the question as to how professionalism can be improved in our faculty. These suggestions include insights as to how to strive for improving the behavior of both students and clinical staff alike.




The setting




Discussion


우리는 전임상 단계에서 임상실습으로 이행하는 과정에서 생기는 학습 환경의 명확한 차이점을 발견했습니다. 우리 연구에서 전임상단계 학생 중 거의 60 %는 프로페셔널리즘의 상실을 목격했으며, 그 수가 임상실습에서 72 %로 증가한 반면, 학생 중 38 %만이 training기간동안 프로페셔널리즘에 대한 모범적인 demonstration를 목격했거나 거기에 참여했다.

We found there were definite differences of the learning environment in transition from pre-clerkship to the clerkship phase. In our study, almost 60% of students in the pre-clerkship had witnessed a lapse of professionalism and that number rose to 72% in the clerkship, whereas only 38% of students had witnessed or been part of an exemplary demonstration of professionalism during their training.




우리의 연구 결과에 의하면 상당한 정도의 학생의 장애impairment와 오만함arrogance이 전임상단계에서 유행하고 이러한 행동은 임상실습으로 계속 이어지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따라서 교육과정에서 전문성에 중점을 두었음에도 불구하고 많은 학생들의 행동 측면을 변경하지 못하는 것으로 보입니다. 커리큘럼의 임상실습 단계에서 우리의 연구 결과는 다양한 유형의 lapse의 발생 빈도뿐만 아니라, 그 사건에 관련되는 인물에도 차이가 있음을 보여주었습니다. Lapse 중 상당 부분이 의사 / 교사 교수, 간호사, 행정 직원 / 기타와 관련이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Our results indicate that a significant degree of student impairment and arrogance are prevalent in the preclerkship and that these behaviors continue into the clerkship. Thus, notwithstanding the emphasis on professionalism in the curriculum, it appears that there is a failure to alter some facet of the behavior of many of the students. In the clerkship phase of the curriculum, our study results showed a difference in the frequency of occurrence of the various types of lapses, as well as the person involved; a large proportion of the lapses were seen to involve physician/teaching faculty, nurses, as well as administrative staff/other.




시카고 대학에서 실시 된 연구에 따르면 1학년과 3학년의 첫 몇 개월동안 그 전에는 unprofessional하게 보았던 상황에 내성이 생기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17,18]. 학생 스스로의 보고서 [19-23]는 학생 단체가 프로페셔널리즘에 대해 부정적으로 인식하고 있음을 더욱 구체화합니다. 학생들은 교수와의 상호 작용과정에서 프로페셔널리즘을 '가르치려는' 노력이 실제로 실패했다는 사실을 명확하게 지적했습니다.

Studies conducted at the University of Chicago have shown that within months students in both their first year and in their third year tolerate situations which were initially thought to be unprofessional [17,18]. Previous reports by student themselves [19-23] further substantiate the negative perception of professionalism by the student body. The students have clearly indicated that the efforts to ‘teach’ Professionalism have in fact failed because of their interaction with their teaching faculty.



연구 [24]에서 한 학생은 다음과 같이 논평했다 : "이 수업은이 주제가 우리의 목구멍에 여러 번 쑤셔 넣어 졌음을 보여주는 훌륭한 예입니다."

In a study [24], one student commented as follows: “This class is a great example of how this topic has been shoved down our throats too many times”.


다른 프로그램과 마찬가지로 우리 학생들은 임상입문교육을 마친 후 3학년 기간을 임상실습을 위해 병원에서 지내게 된다. 잘 알려진 바와 같이, 이 임상 단계에서는 숨겨진 커리큘럼이 가장 큰 영향을 미친다. 우리는 Hufferty [12]에 의해 정의 된 용어에 따라, 잠재 교육과정을 "조직 구조와 문화 수준에서 기능하는 일련의 영향"으로 사용하고있다. 교육 환경은 병동 효율성과 병동 위계구조 중 하나로 바뀐다 [22,25]. 우리는 이러한 문화 변화를 위해 학생들을 준비시켜야합니다. 학생들은 특히 학년이 올라갈수록 주변의 실제 행동을 경험하면서 의과대학에 진학한 이유, 그리고 그들이 가지고 있던 이상주의를 잃게 되는데, 여기에는 그들이 보는 교수의 lack of sensitivity도 포함된다.

Similar to other programs our students enter their clerkship in their third year after an introductory module to clinical work in the hospital. As is well recognized,it is during this clinical phase that the hidden curriculum exerts its greatest impact; we are using the term as defined by Hafferty [12] as “a set of influences that function at the level of organizational structure and culture”.The educational milieu changes to one of ward efficiency and ward hierarchy [22,25]. We need to prepare students for this shift of culture .The idealism and reason why students have entered medicine can be undermined, especially in the more se-nior years, by the actual behavior of those around the students, including a lack of sensitivity of their teachers[26]. 



전문적인 정체성 형성의 침식에 기여할 가능성이있는 학생 냉소주의의 발전에 임상 환경이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도 연구된 바가 많다. 3 학년 임상실습에 대한 연구에 따르면 가장 흔한 프로페셔널리즘 문제에는 "다른 진료나 환자에 대한 경멸적인 표현의 사용, 다른 사람들의 무례한 처우"[30]가 포함됩니다. 이러한 행동은 학생이나 레지던트, 주치의가 환자를 비하하거나 냉소적 유머를 환자에게 던지는 것에 책임이있을 수 있습니다.

Much has also been written about the effect of the clinical environment on the development of student cynicism [27-29], which likely contributes to the erosion of professional identity formation. A study of third year clerks found that the most common transgressions of professionalism included “the use of derogatory language towards other services or patients and the disrespectful treatment of others” [30]. It is possible that this behavior could be responsible for the reports of the use of derogatory and cynical humor towards patients by students [31], residents and attending doctors [32,33].




임상실습 단계에서 프로페셔널리즘에 대한 공식적인 '가르침'이 부재하거나 크게 감소한다는 사실은 학생에게 더 이상 프로페셔널리즘이 중요한 문제가 아니라는 식으로 메시지를 보냅니다. 어떤 이들은이를 null curriculum이라고 부른다 [35]. 지금이야말로 임상에서의 challenge가 직업적 정체성 개발의 기초를 형성할 때입니다. 이 견해는 학생들의 프로페셔널리즘 학습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은 임상의와 접촉하는 것이라는 최근의 체계적인 검토에 의해 뒷받침된다 [36].

The fact that there is often an absence or a major decline of any formal ‘teaching’ on Professionalism in the clerkship phase [34] sends a message to the students that this is no longer an important issue for them; some have termed this the null curriculum [35]. This is exactly the time when clinical challenges form the foundation for developing a professional identity. This view is supported by a recent systematic review which emphasizes that it is the clinician encounters that exert the greatest influence on students’ learning of professionalism[36].




스턴은 공식 커리큘럼에서 가르친 가치를 병동이나 진료소에서 발생하는 가치 및 행동과 비교했으며, 후자는 종종 전임상 단계에서 주입하려는 가치에 반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프로페셔널리즘의 가치는 교수가 없는 동안 학생이 밤에 온콜 당직을 서면서 정기적으로 전공의로부터 전달되며, 이는 소위 비공식 커리큘럼이라고 불리는 것이다 [38]


Stern has compared the values taught in the formal curriculum to the values and behaviors that occur on the wards or clinics and has found that the latter are often contrary to the values we try to instill in the pre-clerkship phase [37]. It seems that the values of professionalism are also regularly conveyed in the so-called informal curriculum by residents while the students are on call, commonly at night, often when the staff person is not present [38]



우리 교수진은 전문성 사무소Office of Professionalism을 만들고, 병원 및 기타 임상 환경에서 전임상과 임상실습 시기에 프로페셔널리즘 문제에 대한 접근의 조정과 같은 전문성을 향상시킬 수있는 잠재력을 가진 몇 가지 이니셔티브를 도입했습니다 (표 4 참조) .

Our Faculty has introduced some initiatives with the potential to enhance professionalism, such as the creation of an Office of Professionalism and the coordination of the approach to professionalism issues in the pre-clerkship and clerkship with the hospital and other clinical milieus (see Table 4).



현재 프로페셔널리즘 운동의 강조점은 학생 행동에있다 [19, 40, 41]. 학생 (및 레지던트)가 환자를 자신의 교수자 및 기타 보건 전문가가 환자를 돌보는 과정에서 목격하게 된 unprofessional한 사건을 목격 할 때 무엇을 해야 하는지에 대한 새로운 정책과 절차가 개발되고 있습니다. 이로 인해 '우려/사고concern/incident'양식이 도입되었습니다. 이 양식을 사용하면 학생을 포함한 교수진 모두가 학부 의학 교육 담당 부학장에게 누군가 unprofessional한 행동을 했을 때 기밀로 보고 할 수 있습니다. 부국장은이 보고서를 조사하고 처리해야합니다. 우리의 e- 포트폴리오 프로그램 [42]은 직업적 정체성을 개발할 수있는 장으로 발전했습니다.

At the present time much of the emphasis of the professionalism movement is on student behavior [19,40,41]. New policies and procedures are being developed to address what should ensue when students (and residents) witness unprofessional incidents involving their preceptors and other health professionals while caring for patients. This has led to the introduction of a ‘concern/incident’ form. This form allows anyone in the faculty, including students, to report to the Vice-Dean of undergraduate medical education any incident of unprofessional behavior involving anyone – with complete confidentiality; the Vice-Dean then must investigate and deal with this report Our e-portfolio program [42] has evolved as a venue to develop professional identity.


우리는 직업적 정체성 형성의 열쇠로서 역할 모델링에 온전히 온 것 같다. Kenny et al [44]은 이것을 "필수적이지만 미개발 된 교육 전략"이라고 불렀다. 유사한 문구를 사용하여 Cruess 등 [45]은 "가장 강력한 교수 전략"은 바로 역할 모델링이라고 불렀습니다. 좋은 의사의 발달에서 역할 모델의 특성과 그 부분은 Paice 등 [46]에 의해 검토되었다. 역할 모델링이 표시된 것만 큼 중요하다면, (Steinert 등 [47]에 따르면) 미래의 의사가 훈련하는 환경을 변화시키기 위해서는 교수 개발에 대한 활발한 프로그램이 필요하다. Glicken과 Merenstein [48]은 이것을 "교육자 프로페셔널리즘"이라고 불렀으며, 이것은 교사로서의 의학교육자의 professionalization이라고 불릴 것이다. Birden et al [36]은 프로페셔널리즘 교육에 관한 체계적인 문헌 고찰에서 이상적으로는 교수에 의해서 guide되는 롤모델링과 개인적 성찰은 교육 프로그램에서 가장 중요한 요소라고 결론지었다.

We seem to have come full circle to role modeling as the key to the development of professional identity formation; Kenny et al [44] have called this “an essential but untapped educational strategy”. Using similar phrasing, Cruess et al [45] have termed role modeling “the most powerful teaching strategy”. The qualities of role models and their part in the development of good doctors has been reviewed by Paice et al [46]. If role modeling is as important as indicated, a vigorous program of faculty development is necessary for the transformation of the environment where future physicians train, according to Steinert et al [47]. Glicken and Merenstein [48] have called this “educator professionalism”, the professionalization of medical educators as teachers. Birden et al [36] conclude their systematic review regarding the teaching of medical professionalism with the view that role modeling and personal reflections ideally guided by faculty are the most important elements in the teaching program.


학생과 교수, 레지던트의 프로페셔널리즘을 다루는 것 외에도 일부 기관에서는 전임 교원 전체에 전문성 문화를 전이시키기 시작했습니다. 이러한 제도적 지원이 없다면, 프로페셔널리즘의 문화를 변화시키지 못할 수도있다.

Beyond addressing student and faculty (and residents)professionalism, some institutions have set out to trans-form the culture of professionalism throughout the whole faculty . Without this institutional support, it may not be possible to change the climate of professionalism.




개념 매핑 방법을 사용하는 우리 기관의 레지던트 및 교수진 연구에서 프로페셔널하지 못한 행동을 보고하는 데 있어서의 어려움이 확인되었습니다. 여기에는 다음의 것이 포함된다: 

  • 반향repercussion의 두려움, 

  • 보고 할 동기 유발의 부족, "프로페셔널하지 못한 의사에게 아무런 결과가 없을 때에는 '빨간 테이프'와 복잡한 문서도 노력할만한 가치가 없다"는 인식이 포함됩니다.

In a study of residents and faculty at our institution, using concept mapping methods, barriers to reporting unprofessional behavior were identified; these include fear of repercussions, lack of incentive to report, and the perception that the ‘red tape’ and complex documentation are “not worth the effort when there are no consequences to the unprofessional physician” [54].


개요

Summary


결론

Conclusions




1. 간호사 및 직원뿐만 아니라 학생 및 임상의와 관련된 전문성 lapse은 정기적으로, 특히 임상 환경에서 발생합니다.

1. Lapses of professionalism involving students and clinicians, as well as nurses and staff, occur regularly, particularly in the clinical setting.



2. 모든 환경 (병원, 진료소 및 기타 환경 포함)에서 전문성의 역할 모델링은 긍정적 인 의대생 전문 정체성 개발의 과제를 해결하는 핵심 구성 요소입니다.


2. Role modeling of professionalism in all settings (including hospitals, clinics and other milieus) is the key component to address the challenge of the development of a positive medical student professional identity.



3. 추가적으로, 학습 환경의 개선을 다루기 위해서는 정식 Office of Professionalism, 피드백 메커니즘, 교수 개발 워크샵 및 개선 노력이 필요합니다.

3. Additional measures, including a formal Office of Professionalism, feedback mechanisms, faculty development workshops, and remediation efforts are needed to address the improvement of the learning environment.



1. American Board of Internal Medicine 1995: Project Professionalism. Available from: [http://www.abimfoundation.org/Resource-Center/ Bibliography/~/media/Files/Resource%20Center/Project%20professionalism. ashx]












 2014 Jul 9;14:139. doi: 10.1186/1472-6920-14-139.

Formation of medical student professional identitycategorizing lapses of professionalism, and the learning environment.

Author information

1
Department of Cellular & Molecular Medicine, Faculty of Medicine, University of Ottawa, 451 Smyth Road, Ottawa, ON K1H 8M5, Canada. whendelm@uottawa.ca.

Abstract

BACKGROUND:

Acquiring the values of medical professionalism has become a critical issue in medical educ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lapses in professionalism witnessed by medical students during their four year MD curriculum, and to categorize, from the students' perspective, who was responsible and the settings in which these occurred.

METHODS:

An electronic survey, developed by faculty and medical students, was sent to all students with two email reminders. It included quantitative responses and some open-ended opportunities for comments. All analyses were performed with SAS version 9.1.

RESULTS:

The response rate was 45.6% (255 of 559 students) for all four years of the medical school curriculum. Thirty six percent of students had witnessed or been part of an exemplary demonstration of professionalism; 64% responded that they had witnessed a lapse of professionalism. At the pre-clerkship level, the most frequent lapses involved students: arrogance (42.2%), impairment (24.2%), followed by cultural or religious insensitivity (20.5%). At the clerkship level of training, where students are exposed to real clinical situations, the lapsesinvolved primarily faculty (including preceptor and clinician) or other staff; these included arrogance (55.3%), breach of confidentiality (28.3%), and cultural or religious insensitivity (26.6%); impairment involved mostly students (25.5%). These findings are analyzed from the perspective of role modeling by faculty and in the context of the learning environment.

CONCLUSIONS:

Medical students witnessed a lapse of professionalism involving both fellow students as well as faculty and administrative staff, in several domains. Results from this study emphasize the importance of role modeling and the need for faculty development, to improve the learning environment. This study adds to the limited emerging literature on the forces that influence medical student professionalidentity formation.

PMID:
 
25004924
 
PMCID:
 
PMC4102062
 
DOI:
 
10.1186/1472-6920-14-139
[Indexed for MEDLINE] 
Free PMC Article


4년 교육과정에 걸친 의과대학생의 호기심 (Med Teach, 2017)

Describing medical student curiosity across a four year curriculum: An exploratory study

Robert Sternszusa, Alenoush Saroyanb and Yvonne Steinertc 


aDepartment of Pediatrics and Centre for Medical Education, McGill University, Montreal, Quebec, Canada; bDepartment of Education and Counseling Psychology, McGill University, Montreal, Quebec, Canada; cDepartment of Family Medicine and Centre for Medical Education, McGill University, Montreal, Quebec, Canada




도입

Introduction


지적 호기심은 내재적이고 안정된 기준선 특성 (즉 특성 호기심)과 다양한 상황 의존적 상태 (즉, 국가 호기심)로 구성된 탐색적 행동으로 이끄는 지식에 대한 욕구로 정의 될 수있다 (Berlyne 1954, Berlyne 1960, Naylor 1981 ; Pluck & Johnson 2011; Reio et al., 2006). 의학 및 의학 교육 분야에서의 중요성은 약 15 년 전 내부자 인 Faith T. Fitzgerald에 의해 강조되었습니다. 그녀는 호기심이 의학에서 인본주의적 실천의 핵심에 있으며 "어떤 경우에는, 돌보는 것caring과 같다"라고 하였다 (Fitzgerald 1999, p.70).

Intellectual curiosity can be defined as a desire for knowledge that leads to exploratory behavior, consisting of an inherent and stable baseline trait (i.e. trait curiosity) and a variable context-dependent state (i.e. state curiosity) (Berlyne 1954; Berlyne 1960; Naylor 1981; Pluck & Johnson 2011; Reio et al. 2006). In medicine and medical education, its importance was highlighted by internist Faith T. Fitzgerald more than 15 years ago, when she argued that curiosity is at the core of the humanistic practice of medicine and is “the same, in some cases, as caring” (Fitzgerald 1999, p. 70).


그 이후 호기심이 지적 발견, 문제 해결, 자기 감시, 평생 학습에 결정적인 역할을한다고 가정 한 의학 교육자들 사이에서 호기심의 중요성에 대한 관심이 커졌습니다 (Kasman 2004; Epstein 외 2008; Curry & 몽고메리 2010, Dyche & Epstein 2011, 로마 2011, Nanda 2012, Kanter 2012, Whitehead & Kuper 2012, Ellaway 2014).

Since that time, interest in the importance of curiosity has grown amongst medical educators who have hypothesized that curiosity plays a critical role in intellectual discovery, problem solving, self-monitoring, and lifelong learning (Kasman 2004; Epstein et al. 2008; Curry & Montgomery 2010; Dyche & Epstein 2011; Roman 2011; Nanda 2012; Kanter 2012; Whitehead & Kuper 2012; Ellaway 2014).


피츠제랄드 박사는 호기심의 중요성을 강조한 것 외에도 "의학 교육 자체가 호기심의 표현을 억제한다"고 주장하면서 "의사의 호기심이 위험하다"고 경고했다 (Fitzgerald 1999, p.71).

In addition to highlighting the importance of curiosity, Dr. Fitzgerald also warned that, “curiosity in physicians is at risk,” arguing that, “medical education itself suppresses the expression of curiosity” (Fitzgerald 1999, p. 71).


최근에는 "고의적이고deliberate 집중적이며focused 지속적인sustained 지적 탐구의 개발이 (...) 의학 교육에서 배우고 가르치는 핵심 부분이되어야한다고 주장 해왔다"(Ellaway 2014, 113 쪽).

More recently, it has been argued that the “development of deliberate, focused, and sustained [intellectual] curiosity should ( …) be a core part of learning and teaching in medical education” (Ellaway 2014, p. 113).


호기심은 의학 교육에서 중요한 주제 인 것처럼 보이지만,이 구조에 대한 이해를 높이기위한 경험적 연구는 거의 없습니다. "호기심", "의학", "교육", "학생", "대학", "성인 학습"및 "학업 성과"와 같은 주요 검색어를 사용하여 PubMed 및 Scopus 데이터베이스를 검색 한 결과, 의학교육에서 호기심에 관한 연구는 세 가지 뿐이었다.

While curiosity appears to be an important topic in medical education, there has been little empirical research to advance our understanding of this construct. A search of the PubMed and Scopus databases using key search terms “curiosity,”“medicine,”“education,”“student,”“university,” “adult learning” and “academic performance” yielded only three published studies on curiosity in medical education.


결론적으로,이 세 연구는 의료 전문가가 호기심을 의학에 중요하다고 생각하고 호기심이 강한 의대생이 더 깊은 학습 전략을 채택하고 있음을 보여줍니다. 그러나 연구는 state 와 trait 호기심이 의학 교육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그리고 이 잠재적 영향이 퍼포먼스에 어떤 영향을 미칠 수 있는지에 대해 조사하지 않았습니다.

In sum, these three studies illustrate that healthcare professionals perceive curiosity as important to medicine and that medical students with high trait curiosity employ deeper learning strategies. Studies have not explored the influence of medical education on state and trait intellectual curiosity or how this potential influence may affect performance.


그러나 고등교육에서는 검증 된 도구를 사용하여 state and trait 지적 호기심이 연구되고 측정, 탐구되었다 (Naylor 1981; Reio et al., 2006). 연구 결과는 학습자의 state 호기심이 자극받을 수 있음을 보여 주며 (Loewenstein 1994; Reio & Wiswell 2000, Reio & Callahan 2004, Pluck & Johnson 2011), state and trait 호기심은 교실 및 직장 학습 및 성과를 긍정적으로 예측합니다 (Chamoiro-Premuzic 2006, Arteche et al., 2009, von Stumm et al., 2011). 종합적으로 말하자면, 이러한 연구들은 지적 호기심이 교육을 통해 성인들에게 촉진 될 수 있으며, 그렇게하면 학습자들에게 유익한 효과가 있음을 암시합니다.

These relationships, however, have been explored in higher education, where both state and trait intellectual curiosity have been studied and measured using validated instruments (Naylor 1981; Reio et al. 2006). Findings show that learner state curiosity can be stimulated (Loewenstein 1994; Reio & Wiswell 2000; Reio & Callahan 2004; Pluck & Johnson 2011), and that both state and trait curiosity are positively predictive of classroom and workplace learning and performance (Chamoiro-Premuzic et al. 2006; Arteche et al. 2009; von Stumm et al. 2011). Taken together, these studies suggest that intellectual curiosity can be promoted in adults through education and that doing so will have beneficial effects on learners.




방법

Methods


연구 설계와 성과 척도

Study design and outcome measure


To quantify and describe curiosity across all 4 years of a medical school at a single university, we employed cross-sectional design. State and trait intellectual curiosity was measured using the Melbourne Curiosity Inventory (MCI). This instrument has been previously used in studies carried out in other contexts, including higher education, which shares similarities to medical education (Naylor 1981; Reio & Wiswell 2000; Reio et al. 2006). This self-report measure uses distinct state and trait subscales, each consisting of 20 positively worded items, rated on a four-point Likert-type scale. Items assess thoughts and feelings about learning, exploring, problem solving, and questioning. The trait subscale focuses on the individual in general, whereas the state subscale asks respondents to focus on the current situation. The maximum score for each subscale is 80 and each subscale can be scored separately.


참여자와 세팅

Participants and setting


The undergraduate medical program at McGill University has parallel admission streams for students with and without a prior university degree. The curriculum follows the Canadian accreditation model and is delivered over 4 years. The emphasis in the first two years is on the basic sciences and clinical skills (pre-clerkship), with an early longitudinal exposure to the clinical setting. The final 2 years are devoted to experiential learning and the delivery of supervised clinical care in hospital and community practice settings (clerkship). The admissions website lists intellectual curiosity as one of the attributes desired in a potential medical student; however, curiosity is not listed as one of the core values of the undergraduate medical education program.


자료 수집

Data collection


Exceptionally, a subset of third-year medical students completed the questionnaire on two separate occasions in order to allow us to monitor the test–retest reliability of the tool in our context.


자료 분석

Data analysis


Data analysis occurred in two steps: 

(1) examining the appropriateness of the MCI as measure of curiosity in our context and 

(2) describing medical student curiosity across years of training.


MCI의 적절성

Appropriateness of the MCI


Given that the MCI had never been used in a medical education context, we monitored the performance of the tool prior to analyzing our data. 

    • Using our entire dataset, we assessed the scale and subscale characteristics by calculating Cronbach’s alpha coefficients in order to determine the internal consistency of the instrument in the medical education context. 

    • In addition, we conducted a test–retest analysis on the MCI subscales with a subset of the third-year medical class to confirm that the trait subscale would be more reliable on repeated measures than the state subscale, as the construct definitions would predict.


호기심에 대한 서술적 분석

Descriptive analysis of curiosity



Demographic data and curiosity scores were analyzed in a descriptive fashion, and means and standard deviations on each of the MCI subscales were determined. A Mixed Models ANOVA, with the MCI subscale as the repeated factor and year of training as the between-subjects factor, was used to compare mean state and trait curiosity scores within and across years of training.


Results


인구통계학 자료

Demographic data


Of the 751 students enrolled at McGill University for the 2014–2015 academic year, 402 completed the inventory, resulting in a response rate of 53.5%.


A summary of the demographic data by year of trainingis presented in Table 1. 


MCI의 적절성

Appropriateness of the MCI


Cronbach’s alphas for the 20-item trait and 20-item state curiosity subscales were calculated and determined to be 0.90 and 0.94, respectively. In addition, test–retest on a subsample of 26 third year medical students revealed a high correlation on the trait subscale, r ¼0.84. The state subscale was more unreliable than the trait subscale on test-retest analysis, r ¼0.69, which is consistent with the context-dependent construct definition of state curiosity and supports the assumption that the two subscales are measuring different dimensions of curiosity in our participants.


Descriptive analysis of curiosity


Examination of the descriptive statistics (as shown in Table 2 and Figure 1) reveal that trait curiosity is relatively stable across years whereas there is more variability in state curiosity, which is consistently lower than trait curiosity in each year, and particularly low in the year-2 student sample.





고찰

Discussion


교육 심리학에서는 호기심이 단일 구조로 연구 된 것이 아니라 오히려 다차원적인 구조로 연구되었다 (Langevin, 1971). 그러한 차원 중 하나는 지적 호기심이며, 여러 차례 렌즈에서 볼 수 있습니다. 즉, 호기심은 일시적이고 맥락의존적인 동기부여상태 또는 안정된 성격 특성으로서의 동기부여 상태로 묘사되어왔다(Langevin 1971, Reio et al. 2006). 우리 연구 결과는 의과대학생의 state and trait 지적 호기심이 의학 교육에서의 연구와 실천의 관심대상이 될 수 있음을 시사합니다.

In educational psychology, curiosity has not been studied as a unitary construct, but rather as a construct with multiple dimensions (Langevin 1971). One such dimension is intellectual curiosity, which in turn has been viewed from multiple lenses. Namely, it has been described as a motivational state that is transient and context dependent and/or a more stable personality trait (Langevin 1971; Reio et al. 2006). Our study findings suggest that both state and trait medical student intellectual curiosity may be of interest to research and practice in medical education.


형질 호기심과 관련하여 고등학생 2 명 (M = 56.1, SD = 8.5, M = 56.0)의 문헌에서 이전에보고 된 점수와 비교할 때 우리 연구 참가자의 호기심은 매우 높았다 (M = 64.9, SD = 8.5) , SD = 8.1), 두 명의 대학생 (M = 57.9 ~ 57.9, SD = 8.8, M = 55.6, SD = 9.9) (Naylor 1981). 이 연구의 횡단면 설계가 인과 관계를 추론하는 능력을 제한하지만,이 결과는 의과 대학이 높은 trait 호기심을 가진 학생들을 선발 할 가능성을 시사한다. 교육 심리학에 관한 연구에 따르면 trait 호기심은 학업 성취와 관련이 있습니다. (Chamoiro-Premuzic 외 2006, Arteche 외 2009, von Stumm 외. 2011).

With regard to trait curiosity, participants in our study scored highly (M¼64.9, SD¼8.5) when compared with scores previously reported in the literature for two samples of high school students (M¼56.1, SD¼8.5; and M¼56.0, SD¼8.1) and two samples of university students (M¼57.9 to 57.9, SD¼8.8; and M¼55.6, SD¼9.9) (Naylor 1981). Although the cross-sectional design of this study limits our ability to infer causality, this result suggests the possibility that medical schools may be selecting for students with high trait curiosity. Studies in educational psychology have shown that trait curiosity is positively associated with academic achievement; it is possible that medical schools are selecting for curiosity by prioritizing academic achievement in their admissions processes (Chamoiro-Premuzic et al. 2006; Arteche et al. 2009; von Stumm et al. 2011).


또는, 의과 대학은 인터뷰 과정을 통해 지적 호기심이 높은 사람을 뽑을 수도 있습니다. 호주 국립 대학 (Australian National University)의 멀티 미니 인터뷰 스테이션은 호기심이 높은 사람을 선발하기 위해 고안되었다. 호기심은 여러 이해관계자들로부터 의사의 가장 중요한 특성 중 하나로 선정되었습니다 (Harris & Owen 2007). 또한이 연구가 진행된 대학을 비롯한 여러 캐나다 대학의 입학 시험 웹 사이트는 잠재적 인 후보자가 찾는 특성으로 지적 호기심을 포함하고 있다.

Alternatively, it is possible that medical schools are selecting for intellectual curiosity through their interview process. At the Australian National University, a multi-mini interview station was designed to try and select for curiosity, which was listed as one of the most important attributes in a practicing physician by their stakeholders (Harris & Owen 2007). In addition, the admissions websites at several Canadian universities, including the university in which this study was conducted, list intellectual curiosity as an attribute that they look for in potential candidates.


우리가 trait 호기심을 바탕으로 선발할 가능성도 있지만, 이번 결과는 교육 과정 그 자체도 의대생의 지적 호기심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제안합니다.

While it is possible that we are selecting for trait curiosity, our findings suggest that the educational process itself may be influencing medical students’ state intellectual curiosity.


우리는 trait를 불변이라고 생각하는 경향이 있지만, 심리학 문헌에 따르면 어떤 성격 state의 장기변화는 결국 trait에 영향을 줄 수 있다는 증거가있다 (Roberts et al., 2006; Roberts & Jackson 2008).

although we tend to think of traits as immutable, there is evidence in the psychology literature to suggest that a prolonged change in the state of a characteristic can eventually influence trait (Roberts et al. 2006; Roberts & Jackson 2008).


우리의 데이터는 의과 대학이 trait 호기심을 바탕으로 선발할지 모르지만, 의대학생의 state 호기심에 대해 이상적인 서포트를 하고있지는 않을 수 있다는 예비 증거를 제시합니다. 반드시 다른 대학에 일반화되지는 않을지라도, 호기심에 대한 의학 교육의 영향은 더 많은 탐구가됩니다. 알버트 아인슈타인 (Albert Einstein)은 "호기심이 공식 교육에서 살아남는 것이 기적이다"라고 말한 적이있다.

Our data suggest that medical schools may be selecting for trait curiosity and provide preliminary evidence that the state curiosity of our medical students finding may not be optimally supported. Although this may not necessarily generalize to other universities, the influence of medical education on curiosity merits further exploration. Albert Einstein once said that, “it is a miracle that curiosity survives formal education;”



Norman G. 2012. On competence, curiosity and creativity. Adv Health Sci Educ Theory Pract. 17:611–613.



 2017 Apr;39(4):377-382. doi: 10.1080/0142159X.2017.1290793. Epub 2017 Feb 19.

Describing medical student curiosity across a four year curriculum: An exploratory study.

Author information

1
a Department of Pediatrics and Centre for Medical Education , McGill University , Montreal , Quebec , Canada.
2
b Department of Education and Counseling Psychology , McGill University , Montreal , Quebec , Canada.
3
c Department of Family Medicine and Centre for Medical Education , McGill University , Montreal , Quebec , Canada.

Abstract

BACKGROUND:

Intellectual curiosity can be defined as a desire for knowledge that leads to exploratory behavior and consists of an inherent and stable trait (i.e. trait curiosity) and a variable context-dependent state (i.e. state curiosity). Although intellectual curiosity has been considered an important aspect of medical education and practice, its relationship to medical education has not been empirically investigated. The purpose of this exploratory study was to describe medical students' intellectual curiosity across a four-year undergraduate program.

METHODS:

We employed a cross-sectional design in which medical students, across a four-year undergraduate program at McGill University, completed the Melbourne Curiosity Inventory as a measure of their state and trait intellectual curiosity. A Mixed Models ANOVA was used to compare students across year of training.

RESULTS:

Four hundred and two out of 751 students completed the inventory (53.5%). Trait curiosity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state curiosity (M = 64.5, SD = 8.5 versus M = 58.5, SD = 11.6) overall, and within each year of training.

CONCLUSIONS:

This study is the first to describe state and trait intellectual curiosity in undergraduate medical education. Findings suggest that medical students' state curiosity may not be optimally supported and highlight avenues for further research.

PMID:
 
28379089
 
DOI:
 
10.1080/0142159X.2017.1290793


인본주의적, 회복탄력적 의사 양성을 위한 전문직 정체성 형성: 이론을 실제와 연결시키기 위한 교육전략(Acad Med, 2015)

Professional Identity Formation in Medical Education for Humanistic, Resilient Physicians: Pedagogic Strategies for Bridging Theory to Practice

Hedy S. Wald, PhD, David Anthony, MD, MSc, Tom A. Hutchinson, MB, Stephen Liben, MD, Mark Smilovitch, MD, and Anthony A. Donato, MD, MHPE




의사가 되려는 개인은 transformation이 필요합니다. 한 개인은 단순히 의사가 되는 법을 배우는 것이 아니라, 의사가 되는become 것입니다.

To be a physician requires a transformation of the individual—one does not simply learn to be a physician, one becomes a physician.


— Abraham Fuks and colleagues, “The Foundation of Physicianship”1


이 기사에서 우리는 전문적인 정체성 형성 (PIF)을 목표로 삼은 3 가지 교육 혁신을 소개합니다.

Within this article, we present three pedagogic innovations aimed at professional identity formation (PIF)


이러한 교수법의 공통된 특징은 핵심 역량에서 전문 역량에 이르는 성찰 기술 개발입니다 .3 안내된Guided 성찰은 PIF의 적극적인 건설 프로세스의 중요한 구성 요소입니다

A shared feature of these pedagogies is the development of reflective skills, core to professional competency.2,3 Guided reflection is a critical component of the active construction process of PI F. 4 


PIF과정의 중요성

Importance of the PIF Process


의학 교육은 기술과 지식을 가르치고 전문적인 정체성의 개발을 지원하는 이중dual 책임이있다.

Medical education has the dual responsibility of teaching skills and knowledge and of supporting the development of a professional identity.6,7


인본주의적인 기술, 행동 및 태도의 개발은 능동적 학습 과정이며, 이상적으로는 "인간에 대한 깊은 존경에 따라 ... 그들의 일반적인 복지와 번영에 대한 관심"에 이르게합니다. 성격 (덕과 속성 포함)의 배양과 인본주의적 의사의 행동을 평생 추구하기 위해서는 교수, 의료진, 학생들의 집단적 자기 인식을 필요로 한다.

Development of humanistic skills, behaviors, and attitudes is an active learning process, ideally leading to the “accordance of deep respect to humans … and concern for their general welfare and flourishing.”9 Cultivating the  character (including virtues and attributes) as well as lifelong pursuits and behaviors of humanistic physicians requires a collective self-awareness of faculty, house staff, and students4 and is of keen interest within medical education

의과대학생 "전체wholeness"와 engagement (환자 및 자아로부터의 과도한 분리를 피하는 것)는 "온 사람을 온 인격으로 돌보는 것"에 부합하는 돌보는 인본주의적이고 윤리적 인 의사의 훈련에 필수적입니다.

Medical student “wholeness” and engagement (avoiding excessive detachment from patients and from self) are essential for the training of caring, humanistic, and ethical physicians,10 in line with “bringing our whole person to whole person care.”11


성찰적 글쓰기 (reflection writing-RW)를 통한 성찰은 PIF에서 학생들의 지적, 감정적, 영적 차원의 배양을 강조한다.

reflective writing (RW)-enhanced reflection—emphasizes cultivation of students’ intellectual, emotional, and spiritual dimensions within PIF,


궁극적으로, 의료 전문가의 정체성은 "여러 단계와 오랜 시간에 걸쳐서 달성되는, 의료 전문직의 특성, 가치 및 규범이 내면화되어 개인이 의사와 같이 생각하고, 행동하고, 느끼도록 하는 자기 표현입니다."

Ultimately, a medical professional’s identity is “a representation of self, achieved in stages over time during which the characteristics, values, and norms of the medical profession are internalized, resulting in an individual thinking, acting, and feeling like a physician.”


일반적으로 PIF는 잘 통합 된 개인적 및 전문적 개발 또는 다음과 같다.

In general, PIF may be conceptualized as well-integrated personal and professional development or 

“the moral and professional development of students, 

the integration of their individual maturation with growth in clinical competency, and 

their ability to stay true to values which are both personal and core values of the profession.”7



보건전문직교육에서 PIF 서포트를 위한 성찰의 촉진

Fostering Reflection to Support PIF in Health Professions Education and Practice


성찰적 글쓰기의 힘

The power of RW


임상 추론, 환자 의사 소통 및 전문성을위한 필수 역량 인 RC (Reflective Capacity)는 (학생들이 의사 - 환자 상호 작용의 복잡성을 탐구하고 반성하는 전문적인 자아를 개발함에 따라) 메타인지 정서 인식 기술을 포함합니다. 성찰이 반드시 직관적인 것은 아니므로, RW를 통해 성찰 기술을 향상시키고 보건 의료 직업 교육에서 개인적 및 전문적 개발을 지원할 수 있다.19-23

Reflective capacity (RC), an essential competency for clinical reasoning, patient–physician communication, and professionalism,3 encompasses skills of metacognition and emotional awareness as students explore the complexities of physician–patient interactions18 and develop a reflective professional self. Given that reflection is not necessarily intuitive, the use of RW to enhance reflective skills and support personal and professional development in health care professions education is well documented.19–23



A RW curriculum in a family medicine clerkship


At Alpert Medical School of Brown University (AMS), students’ structured RW, which was combined with guided individualized written feedback from interdisciplinary faculty (“interactive RW”), was first implemented in a doctoring course20 in 2005 and further developed within a family medicine clerkship beginning in 2009.27 AMS students participate in two cycles of interactive RW during a six-week required family medicine clerkship. The curricular objectives align with processes fundamental to and essential for students’ active construction of PIF—namely, 

  • (1) improving students’ RC; 

  • (2) sharing personal narratives within an authentic, safe community of learners7; and 

  • (3) providing positive role modeling and adequate mentoring.28


The RW curriculum, which is a component of an existing small-group curriculum during weekly didactics, bridges classroom learning and clinical experiential learning. 

  • In each of two RW cycles, students respond in writing to a prompt and electronically submit their RW to an interprofessional small-group faculty team—a physician and a clinical psychologist–medical educator (H.S.W.). 

  • During the small-group session in the following week, an hour is devoted to collaborative reflection on and processing of the narratives (reflective triggers). Faculty facilitators emphasize the small groups as safe spaces for discussing challenges, triumphs, uncertainties, lessons learned, and inherent stresses of developing into a physician. Students are invited, though not required, to share their narratives, and the group is invited to respond.


Following this session, each student is provided written structured, individualized feedback to his or her narrative via e-mail from faculty. Written feedback is strictly formative, not included in the student’s final summary evaluation, and uses systematic frameworks for enhancing the educational impact of RW (described below). In crafting feedback, faculty often attach supplemental literature (resonating with students’ RW themes), including published reflective narratives, poetry, and/or peer-reviewed research. 


The curriculum structure includes four reflection tiers

  • (1) community mentor experience (role modeling), 

  • (2) RW (the writing process itself), 

  • (3) small-group collaborative reflection and feedback, and 

  • (4) individualized written formative feedback promoting a more in-depth reflective process. 

Experience followed by reflection within a community of peers is a key PIF component.29


Guided reflection is an integral component of PIF4; thus, we provide a faculty development (FD) session30 to enhance the educational impact of RW pedagogy as well as the availability of ongoing faculty advising and consultation. The formalized FD session promotes skilled readers/responders (and small-group facilitators) with instruction in 

  • (1) systemized frameworks to guide the crafting of quality written feedback to students’ RW while attending to the intellectual and emotional processes of becoming a physician,31 and 

  • (2) effective small-group facilitation


The frameworks are 

  • (1) the Brown Educational Guide to the Analysis of Narrative (BEGAN)24,32 and 

  • (2) the Reflection Evaluation For Learners’ Enhanced Competencies Tool (REFLECT) rubric.33 

The REFLECT rubric is used for formative assessment of reflective level within students’ RW and guides BEGAN application. 


PIF가 평생 과정이기 때문에 (협동적 성찰과 같은) 교육 또는 FD 세션 참여를 통한 교수 자신의 PIF가 이루어질 가능성이 있다.34,35 소그룹 토론의 촉진은 교수진의 성취 및 renewal의 원천이 될 수있다. .36 사실 우리 소그룹 교수 중 한 명이 최근에 이렇게 말했습니다. "이것은 내가 왜이 사업에 들어 갔는지를 상기시켜줍니다."

Given that PIF is a lifelong process, the potential for faculty members’ own PIF through the teaching (collaborative reflection) and participation in FD sessions is recognized.34,35 Facilitation of small- group discussions may be a source of fulfillment and renewal for faculty.36 Indeed, as one of our small-group faculty recently remarked, “This reminds me why I went into this business.”


Guided reflection within individualized RW feedback and/or a collaborative group process (using RW) on key wellness themes—such as 

  • managing uncertainty23; 

  • identifying gaps in self- care; and 

  • fostering self-compassion37 and attitudes promoting constructive, healthy engagement with challenges at work

...may foster resiliency and enhance well-being to promote healthy, integrated PIF.10 


이와 같이 대화 형 RW는 지적 스트레칭, 정서적 인 근육 만들기, 임상 실습의 "마라톤"을위한 윤리적 적합성 증진과 같은 은유 적 "탄력성 운동"으로 최근 설명되었습니다 .5

As such, interactive RW has recently been described as a metaphorical “resiliency workout” with intellectual stretching, building emotional muscle, and fostering ethical fitness38 for the “marathon” of clinical practice.5 


우리의 목표에 부합하도록 유도된 비판적 성찰 기술 개발은 의대생의 스트레스를 줄이고 건강을 증진시키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39-41 그리고 RW는 학생들의 공감 능력에 긍정적 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42 학생들의 PW와 소그룹 성찰에는 통찰력이 풍부하며, 우리는 학생들이 자신과 의사로서의 역할에 대해 더 깊이 이해하는 것을 관찰하게 된다..

In line with our objectives, guided critical reflective skills development has been shown to reduce stress and foster wellness in medical students,39–41 and RW has been shown to positively influence students’ capacity for empathy.42 There is a richness of insight in students’ RW and small-group reflection, and we observe students gaining a deeper understanding of themselves and their roles as physicians.



의과대학생에서 PIF의 하나로 회복탄력성 증진하기

Promoting Resilience as Part of PIF in Medical Students


앞서 우리는 의학 교육의 초기 단계에서 회복력을 키우는 것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의학 교육과 실습은 PIF를 초래할 수 있지만 건강한 직업적 정체성에 손상을 줄 수 있습니다. 실천하는 의사와 대학 의대생 모두에서 냉소주의와 번아웃이 높아지는 것이 이를 입증한다. 10,46,47 직업 분야에서 효과적으로 기능하는 것은 의료 PIF의 중요한 구성 요소이며, 회복탄력성의 정의는 "지속적인 스트레스와 역경에 직면하여 개인적이고 전문적인 복지를 유지할 수있는 능력"으로 정의된다. 불리한adverse 의료 상황에서 의과대학생은 기존의 개인적 정체성이 아니라 전문직으로서의 개인으로 응대해야 한다. 학생에 대한 멘토링은 그러한 시나리오를 준비하면서, 기능적 자기 개념과 행동 ( "훌륭한 의사"의 존재와 수행)을 발전시킵니다. 4


Earlier, we described the increasing interest in fostering resilience within early stages of medical education. Medical education and practice can result in PIF but also in damage to a healthy professional identity, as evidenced by the high levels of cynicism and burnout both in practicing physicians as well as in undergraduate medical students.10,46,47 Developing the necessary resilience to function effectively in the professional arena is a vital component of medical PIF,48 with a working definition of resilience being “the ability to maintain personal and professional well-being in the face of ongoing work stress and adversity.”48 Adverse medical situations challenge medical students to respond as professional individuals rather than as they would have in their preexisting personal identities.49 Mentoring students in preparing for such scenarios fosters the development of functional self- concepts and behaviors (the being and the doing of the “good physician”).4


Module One: Resilient responses to difficult clinical interactions


For a teaching module used at McGill University Faculty of Medicine since 2007, we developed brief, emotionally confronting, and ethically challenging clinical scenarios based on real events reported to faculty. Examples included 

    • being verbally abused by a physician in authority, 

    • being put under pressure to perform an ethically questionable procedure on a patient, 

    • being manipulated by a resident to not answer questions posed by attending staff, and 

    • having a conversation with an angry family about a seriously ill family member.


Each student plays a role in one scenario and observes two other scenarios. These teaching sessions consist of five separate sections: 

    • (1) prebriefing for faculty (the prebriefing documents for faculty are available from us), 

    • (2) prebriefing for faculty and students, 

    • (3) scenarios followed by small-group debriefing, 

    • (4) large-group debriefing, and 

    • (5) debriefing for faculty.


We base our faculty briefing for these sessions and our teaching in the large-group debriefing on Satir and colleagues’50 work on congruent relating and Kabat-Zinn’s51 work on coping with stress mindfully. 


특히 Satir의 작업에서 우리는

    • 스트레스가 많은 상황에서 자신, 다른 사람, 상황에 remaining present하는 것의 중요성 50

    • 비난받으며, 비난 받거나, 매우 합리적이거나 혼란스러워하는 도움이되지 않는 생존 자세에서 자신을 붙잡기 위해 필요한 자기 인식.

    • From Satir’s work in particular, we stress 

      • the importance of remaining present to self, other, and context in stressful situations50 and 

      • the self-awareness necessary to catch oneself in an unhelpful survival stance52 of placating, blaming, being super-reasonable, or distracting. 

Kabat-Zinn의 작업을 바탕으로 스트레스에 반응react하는 것과 반응responde하는 것의 차이점을 강조합니다 .51 우리는 이러한 주제에 대해 강의하지 않습니다. 오히려, 우리는 세션에서 나타나는 것을 사용하여 관련 사항을 강조합니다. 시나리오에 대하여(윤리적 딜레마 상황에서조차) 옳고 그른 반응을 강조하는 대신, 우리는 스트레스 상황의 시나리오에 대해서 congruent함을 유지하고, 스스로의 반응에 대해서 mindful하는 능력에 주로 초점을 둡니다.

    • On the basis of Kabat-Zinn’s work, we emphasize the difference between reacting and responding to stress.51 We refrain from lecturing on these topics; rather, we use what emerges in the sessions to highlight relevant points. Instead of highlighting right or wrong responses to a scenario (even with an ethical dilemma), we focus primarily on a student’s ability to remain congruent50 and mindful in his or her response to a stressful scenario.


Module Two: Mindful clinical practice


Decreased stress and increased appreciation for life are demonstrated outcomes of mindfulness-based stress reduction courses first offered by the University of Massachusetts Medical School to patients with chronic pain.53 To address the problems of stress and burnout in medical students, “mindfulness-based medical” courses have recently been introduced into the curricula of several medical schools.54,55 New mindfulness-based medical undergraduate courses continue to emerge with outcome goals such as reducing student stress and cultivation of resilience, well-being, and personal growth.54,55 More broadly, mindful practice56 is highlighted as integral to the professional competency of physicians, requiring mentoring and guidance.


Synergy between the two modules


Our intention is synergy between these two teaching modules (mindful clinical practice before clerkships and resilient responses to difficult interactions during clerkships) to provide students with necessary knowledge, skills, and attitudes of mind fostering clinician resilience and enhanced well-being.



GME내에서 성찰 기술을 촉진하여 PIF 기르기

Fostering Reflective Skills to Cultivate the PIF Process Within GME


GME에서 PIF기르기의 중요성

The importance of cultivating PIF within GME


우리는 GME 내에서 복잡하고, 진행중이며, 역동적이며, 반복적 인 PIF 과정을 육성하기위한 효과적인 교육학의 실행의 중요성을 강조합니다. 직업의 하위 구성원은 의학 전문의 진술 된 가치와 의학의 현실 사이에서 불협화음을 조화시켜야합니다 이 과정은 학습자가 직업에 대한 암묵적이고 명시적인 기대를 동화하면서 환자 치료 경험의 서찰, 피드백, intercalation을 필요로한다.

We now turn to highlighting the importance of implementing effective pedagogy for cultivating the complex, ongoing, dynamic, and iterative PIF process within GME, given that junior members of the profession must reconcile dissonance between the stated values of the medical profession and the realities of medicine as practiced in the real world.58 This process requires reflection, feedback, and intercalation of patient care experiences as the learner assimilates tacit and explicit expectations of the profession.59 


    • 레지던트는 의사를위한 최초의 전문적인 업무 경험을 대표하므로 직업의 연장자와의 성찰적 대화를 촉진하기위한 중요한시기입니다.

    • 전문직 종사자로서의 역할에서부터 가치 평가, 의견 통합, 의사가되기까지 점진적으로 진보하는 것을 지원하려면 협업 학습 환경 내에서 숙련 된 종업원 지도 및 자문이 필요합니다 .58

    • 이러한 지속적인 상호 작용은 PIF가 선형이 아니라 임상 경험에 의해 조장 된 위기와 학습자의 가치를 드러내고 도전하는 숨겨진 커리큘럼에 의해 추진된다는 점에서 중요합니다.

    • 학습자의 성찰을 촉진하고 안내 할 수있는 역할 모델과 멘토는이 과정에서 매우 중요합니다.

    • 이러한 중요한 멘토링 관계를 촉진하는 데 대한 위협은 교수진의 교육에 대한 관심 감소, 교육 시간 단축, 교수진에 대한 임상 요구 증가 등을 포함합니다.

    • Residency represents the first professional work experience for physicians and is thus a critical time for facilitated reflective discussions with seniors in the profession. 

    • Supporting the gradual progression from acting as a member of a profession to assuming its values, integrating feedback, and becoming a physician60 requires skilled longitudinal mentoring and advising within a collaborative learning environment.58 

    • Such ongoing interaction is key, given that PIF is not linear but rather is pushed forward by crises fostered by clinical experiences and by the hidden curricula exposing and challenging a learner’s values.49 

    • Role models and mentors who can facilitate and guide learners’ reflections are thus critical to this process.4 

    • Threats to fostering these critical mentoring relationships include faculty members’ diminished interest in teaching,61 shortened training times, and increasing clinical demands on faculty.62


PIF 교과 중재는 주로 전문성 교육 및 평가에 중점을 두 었으며 윤리 및 직업에 대한 기대에 대한 강의 4 RW 세미나 3,8,9 및 촉진 된보고와 함께 실제 및 실제 경험에 대한 노출을 포함 할 수 있습니다 .63 최근 육성에 중점을 둡니다. GME의 "전문성"과 구별되는 PIF는 연수생이 자신의 가치와 이상을 재검토하고 의미를 연구하는 동안 반영하도록 배움으로써 훈련의 연속체와 실천에 대한 멘토와 역할 모델과의 종사적 참여를 강조합니다 .64 우리는 훈련 된 멘토에 의해 촉진 된 e- 포트폴리오에서의 연습은 PIF를 교육의 "그림자"에서 벗어나 반사 된 토론을 유도하는 데 도움이됩니다. 따라서이 연습은 PIF 목표를 추구하는 수단으로 사용됩니다. 즉, 학습자가 "그들이 누구인지, 그들이 누구인지, 누구가되고 싶은지"를 발견하도록 도와줍니다.

PIF curricular interventions have been primarily focused on teaching and assessing professionalism25 and may include 

    • lectures on ethics and expectations of the profession,4 

    • RW seminars,3,8,9 and 

    • exposure to simulated and real experiences with facilitated debriefing.63 

The recent focus on fostering PIF in GME as distinct from “professionalism” emphasizes longitudinal engagement with mentors and role models throughout the continuum of training and into practice, during which trainees learn to reflect while reexamining their values and ideals and finding meaning in their work.64 We believe that reflective exercises in an e-portfolio, facilitated by trained mentors, help bring PIF out of the “shadows” of training and into the light of guided reflective discussion. As such, these exercises serve as a vehicle for pursuing PIF goals— namely, helping learners discover “who they are, who they are becoming, and who they wish to become.”4


PIF 목표를 위해 e-포트폴리오와 훈련된 멘토 사용

Using an e-portfolio and trained mentors to pursue PIF goals


At Reading Health System in Pennsylvania, an electronic professional development portfolio has served since 2008 as a documentation tool supporting residents’ reflections on performance and their self-monitoring, comparisons of self-assessments with external feedback, and generation of learning plans.65,66 Mentors are selected from a pool of full-time faculty educators and matched with individual residents at the start of residency, with each mentor assigned four to six mentees. The e-portfolio was overlaid on this existing mentoring process, with goals of promoting reflective skills, supporting self- directed learning, and enhancing career development.65 The portfolio backbone is the mentee’s curriculum vitae (CV). All scholarly activity and research efforts are uploaded, with automatic reminders (generated by any uploads) triggering future CV updates. The portfolio is designed to assist the resident

    • (1) to reflect in action,2 with reflection-inviting questions for each document type; and 

    • (2) to reflect on action, including the ability to open and view their descriptions of all sequential reflections in order to review longitudinal progress toward self-declared goals. 


Mentors coach mentees at triannual meetings to facilitate reflections on clinical evaluations, test scores, critical incident RW assignments, feedback from their teaching, and their presentations for meaning making and transformative learning. Self-directed learning is supported through mentor- coached reviews of uploaded chart audits and evidence-based medicine searches. The last portfolio section contains uploads of trainees’ short- and long-term professional development plans, initially created jointly by the mentor and the mentee, but solely by the mentee later in the program as the scaffolding process is gradually reduced and independence is achieved.67


각 거주자는 회의를 멘토링하기 전에 3 차원 및 밤 플로트 회전 동안 e- 포트폴리오 작성 및 반사적 과제를 완료합니다. 각 세션의 특정 연습 문제는 거주자가 3 년 동안의 거주 기간 동안 일련의 연례 및 세션 별 과제를 완료 한 경우 사전에 설명되어 있습니다 .65

Each resident completes e-portfolio writing and reflective assignments prior to mentoring meetings triannually and during night float rotations. Specific exercises for each session are outlined in advance for the resident, who completes a series of year- and session-specific assignments throughout the three years of residency.65 


    • 멘토는 멘티에게 신빙성과 기밀성을 유지하기 위해 멘티에게만 형성적인 피드백을 제공합니다.

    • 멘토는 또한 멘토가 프로그램 디렉터 (멘토가 아닌)와 연례 포트폴리오 검토를 준비하고 임상 적 능력위원회 (Clinical Competence Committee)의 지지자 역할을하도록 도와줍니다 .68

    • 멘토링 회의에는 멘티가 결정한 의제가 포함 된 일련의 과제가 있습니다.

    • 포트폴리오는 (일과 삶의 균형을 달성하고, 탄력성을 조성하여 번아웃를 예방하고, 미래의 노력을 도모하는 것과 같은 주제에 관한 PIF 토론을 위한) 대화식 "출발점"역할을합니다.

    • Mentors provide only formative feedback to mentees, to maintain both authenticity and confidentiality for the mentees. 

    • Mentors also help mentees prepare for annual summative portfolio reviews with the program director (not a mentor) and serve as their advocates to the Clinical Competence Committee.68 

    • Mentoring meetings have a series of assignments with agendas determined by mentees. 

    • The portfolio serves as the conversational “departure point” for PIF discussions about such topics as achieving work–life balance, fostering resiliency69 to prevent burnout,70 and future endeavors.


멘토 교육은 PIF 개입을 성공적으로 수행하는 데 중요합니다. 멘토는 자신의 교육에서 결코 경험하지 못했던 과정에 참여하게되어 FD가 프로그램 성공의 중요한 부분이되었습니다. 한 포트폴리오 챔피언 (A.A.D.)은 포트폴리오 멘토링 과정을 촉진하고 진행중인 FD를 수립하는 데 도움이되는 "성찰 코치"의 역할을 수행합니다. 멘토의 요구 사항 평가를 통해 반기 별 FD 세션을 디자인한다.

    • "새로운 제자를 포트폴리오의 목표에 맞추기"

    • "교육 개입 도구 모음"

    • "멘토와 평가 시스템의 역할",

    • "포트폴리오 평가를위한 질적 방법에 대한 소개"

Mentor training is critical to successful PIF interventions.4,71 Our mentors participate in a process most have never experienced in their own training, which makes FD a critical portion of the program’s success. One portfolio champion (A.A.D.) serves the role of “reflective coach” to assist in facilitating the portfolio mentoring process and craft ongoing FD. Mentors’ needs assessments led to designing biannual FD sessions,72 including the topics 

    • “orienting the new mentee to goals of the portfolio,” 

    • “a toolbox of educational interventions,” 

    • “role of the mentor and the assessment system,”‘ and 

    • “an introduction to qualitative methods to assess portfolios.” 

이 모든 과정에서 "멘토를 멘토링하는 것"에는 지지적 성찰 학습 환경을 조성하는 멘토와 멘티 간의 관계를 조장 할 수있는 "성찰적 멘토"를 육성하는 것이 포함됩니다. 멘토는 자신의 개인 포트폴리오를 웹 사이트에 유지함으로써 경험적으로 자신을 프로세스에 배정합니다. 멘토와 함께 자기 성찰 프로세스를 모델링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Within all of this, “mentoring the mentors” includes cultivating “reflection mentors” who can foster the kind of mentor–mentee relationships that create a supportive reflective learning environment. Mentors orient themselves to the process experientially by maintaining their own personal portfolio on the Web site, which can help inform their own modeling of the self-reflective process with mentees.


레지던트와 멘토에게 e-포트폴리오의 중요성

Importance of e-portfolios to both residents and their mentors


이 과정에서 배양 된 기술과 습관을 감안할 때, GME에서 그러한 PIF 개입의 효과에 대한 장기적인 연구가 필요합니다. 향후 방향에는 직원의 의사 탄력성 / 소진 수준, 자기 주도적 학습 및 지각 및보고 된 포트폴리오 측정에 대한 포트폴리오 사용의 장기 영향을 결정하기 위해 포트폴리오를 통해 멘토링에 노출 된 거주자의 질적 평가가 포함됩니다 (참여도가 낮은 사람들 포함). 관계 중심의 환자 치료에 미치는 영향, 포트폴리오에 대한 지속적인 참여 여부에 관계없이. e- 포트폴리오로 PIF를 육성하는 GME 멘토에게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는 것도 중요합니다.

Given the skills and habits cultivated by this process, long-term studies of effectiveness of such PIF interventions in GME are needed. Future directions include qualitative assessments of residents exposed to mentoring through portfolios (including those who are less engaged) to determine the long-term impact of portfolio use on measures of staff physician resiliency/levels of burnout, self- directed learning, and perceived and reported impact on relationship- centered patient care, with or without their continued engagement with their portfolios. Evaluating the impact on GME mentors of cultivating PIF with e-portfolios is also of interest.



조나스 삭크 (Jonas Salk)는 "우리의 가장 큰 책임은 좋은 선조가되는 것입니다."74 이러한 책임을 수행하는 것은 성찰적 기술을 육성하고 코치하기 위한 효과적인 플랫폼에 의해 향상 될 수 있으며, 동시에 전문직의 가치를 전달impart하면서 경력 개발과 일과 삶의 균형을 추구할 수 있다. 우리는 전문성 개발 전자 포트폴리오가 거주자의 꿈 그림을 그리는 매력적인 "캔버스"역할을 할 수 있다고 믿고, 최신 직업 의학자를 직업에 소개하고 (잠재적으로 꿈을 실현하는 데 도움이되는)지도 및 안내를 제공하며, 그 과정에서 멘토 자체를 다시 활성화하십시오.

Jonas Salk said that “our greatest responsibility is to be good ancestors.”74 Carrying out this responsibility may be enhanced by effective platforms to foster and coach reflective skills, at the same time promoting career development and work–life balance while imparting the values of the profession. We believe a professional development e-portfolio can serve as an attractive “canvas” to paint the picture of a resident’s dreams, while offering coaching and guidance for introducing the newest members of medicine to the profession (and potentially help realize their dreams), and in the process, reenergize the mentors themselves.



요약

Summing Up


요약하면, 우리가 위에서 설명한 교육 전략은 이론에서 실천에 이르는 다리, PIF를 촉진하고 풍요롭게하는 주요 요소를 구현하고 구현하는 교량을 나타냅니다 .75 이러한 요소에는 지침 반영, 관계의 필수 역할, 형성 피드백 및 협동 학습 생성이 포함됩니다 사회화 과정을 촉진하기위한 환경 76 또는 "실천 공동체"77.

In summary, the pedagogic strategies we have described above represent bridges from theory to practice, embodying and integrating key elements of promoting and enriching PIF.75 Such elements include 

  • guided reflection, 

  • the integral role of relationships, 

  • formative feedback, and 

  • the creation of collaborative learning environments76 or “communities of practice”77 for promoting the socialization process.


의학 교육의 표준화 된 측면과 개인화 된 측면을 모두 포함하는 위에 제시된 교육 접근법은 이상적으로 "의사가되는 것"이라는 독점적 인 초점에서 "의사가되는 것"을 포함하는 더 광범위한 초점으로 전환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습니다. 49

The pedagogic approaches presented above, which include both standardized and personalized aspects of medical education, can ideally help educators shift away from “an exclusive focus on ‘doing the work of a physician’ toward a broader focus that also includes ‘being a physician.’49


=====찾아야 함======


3 Epstein RM. Reflection, perception and the acquisition of wisdom. Med Educ. 2008;42:1048–1050.


26 Wong A, Trollope-Kumar K. Reflections: An inquiry into medical students’ professional identity formation. Med Educ. 2014;48:489–501.


43 Armstrong GW, Wald HS. Fostering reflective capacity with interactive reflective writing in medical education: Using formal analytic frameworks to guide formative feedback to students’ reflective writing. Med Teach. 2013;35:258.  XXX


33 Wald HS, Borkan JM, Taylor JS, Anthony D, Reis SP. Fostering and evaluating reflective capacity in medical education: Developing the REFLECT rubric for assessing reflective writing. Acad Med. 2012;87:41–50.


19 Wald HS, Reis SP. Beyond the margins: Reflective writing and development of reflective capacity in medical education. J Gen Intern Med. 2010;25:746–749.


63 Ginsburg S, Lingard L. “Is that normal?” Pre- clerkship students’ approaches to professional dilemmas. Med Educ. 2011;45:362–371.






 2015 Jun;90(6):753-60. doi: 10.1097/ACM.0000000000000725.

Professional identity formation in medical education for humanisticresilient physicianspedagogic strategies for bridging theory to practice.

Author information

1
H.S. Wald is clinical associate professor of family medicine, Warren Alpert Medical School of Brown University, Providence, Rhode Island. D. Anthony is associate professor of family medicine, Warren Alpert Medical School of Brown University, Providence, Rhode Island. T.A. Hutchinson is professor of medicine and director, McGill Programs in Whole Person Care, McGill University Faculty of Medicine, Montreal, Quebec, Canada. S. Liben is associate professor of pediatrics, McGill University Faculty of Medicine, Montreal, Quebec, Canada. M. Smilovitch is associate professor of medicine, McGill University Faculty of Medicine, Montreal, Quebec, Canada. A.A. Donato is clinical associate professor of medicine, Jefferson Medical College, Philadelphia, Pennsylvania.

Abstract

Recent calls for an expanded perspective on medical education and training include focusing on complexities of professional identityformation (PIF). Medical educators are challenged to facilitate the active constructive, integrative developmental process of PIF within standardized and personalized and/or formal and informal curricular approaches. How can we best support the complex iterative PIF process for a humanisticresilient health care professional? How can we effectively scaffold the necessary critical reflective learning and practice skill set for our learners to support the shaping of a professional identity?The authors present three pedagogic innovations contributing to the PIF process within undergraduate and graduate medical education (GME) at their institutions. These are (1) interactive reflective writing fostering reflective capacity, emotional awareness, and resiliency (as complexities within physician-patient interactions are explored) for personal and professional development; (2) synergistic teaching modules about mindful clinical practice and resilient responses to difficult interactions, to foster clinician resilience and enhanced well-being for effective professional functioning; and (3) strategies for effective use of a professionaldevelopment e-portfolio and faculty development of reflective coaching skills in GME.These strategies as "bridges from theory to practice" embody and integrate key elements of promoting and enriching PIF, including guided reflection, the significant role of relationships (faculty and peers), mindfulness, adequate feedback, and creating collaborative learning environments. Ideally, such pedagogic innovations can make a significant contribution toward enhancing quality of care and caring with resilience for the being, relating, and doing of a humanistichealth care professional.

Comment in

PMID:
 
25901874
 
DOI:
 
10.1097/ACM.0000000000000725


불확실성에 대한 내성 측정: 1학년부터 6학년까지 단면연구(BMC Family Practice, 2014)

Measuring the ambiguity tolerance of medical students: a cross-sectional study from the first to sixth academic years

Anne Weissenstein1*, Sandra Ligges2, Britta Brouwer3, Bernhard Marschall4 and Hendrik Friederichs3




배경

Background


버너 (Budner, 1962)는 모호성에 대한 불내성을 "모호한 상황을 위협의 원천으로 인식하는 경향"으로,  모호함에 대한 내성을 "모호한 상황을 바람직한 것으로 인식하는 경향"으로 정의한다 [1]. 모호함이란, '결과의 확률'이 알려지지 않은 위험의 한 유형이다 [2].

Budner (1962) defines intolerance of ambiguity as “the tendency to perceive ambiguous situations as sources of threat” and tolerance of ambiguity as the tendency to “perceive ambiguous situations as desirable” [1]. Ambiguity is a type of risk, in that the probability of the outcome is unknown [2].


  • 모호성의 내성은 독창성과 새로운 아이디어에 대한 개방성 등 몇 가지 긍정적 인 특성과 관련되어 있습니다. 

  • 대조적으로 모호함의 불내성은 낮은 정신적 유연성 뿐만 아니라, 정신적 강직, 순응, 민족적 편견과 같은 다른 부정적인 성격 특성과 관련되어있다 [1,3,4].

  • Tolerance of ambiguity has been associated with several positive traits, such as originality and openness to new ideas [3]. 

  • In contrast, intolerance of ambiguity has been associated with lower mental flexibility as well as other negative personality traits, such as mental rigidity, conformity, and ethnic prejudice [1,3,4].


보건 의료 산업에서의 고용은 진기함, 복잡성, 때로는 불용성으로 특징 지어진다. 따라서 의사들은 매우 복잡한 상황에 직면 할 수 있습니다. 왜냐하면 환자 진료란 광범위한 모호성을 반영하는 경향이 있기 때문입니다. Geller (2013)가 요약 한 바와 같이, 모호함에 대한 내성이 낮은 의사는 

  • 유방 X 선 사진을 리콜할 가능성이 높고, 

  • 환자에게 더 많은 비용을 청구하며, 

  • 부정적인 유전자 검사 결과를 보류하고, 

  • 의료 사고로 인한 소송을 두려워하고, 그 결과 방어적 진료를 하고, 

  • 죽음과 슬픔의 맥락에서의 경험을 불편해하고 [10], 

  • 더 검사를 내는 경향이 더 높으며, 

  • 증거 기반 가이드 라인을 따르지 못하는 것을 보여줍니다 [11].

Employment in the health care industry is characterized by novelty, complexity, and sometimes insolubility [5]. Thus, physicians may encounter very complex situations, as they tend to patients whose treatments and diagnoses reflect a wide continuum of ambiguity. As Geller (2013) summarized, physicians who have a low tolerance of ambiguity are more likely to recall mammograms [6], increase patient charges [7], withhold negative genetic test results [8], fear malpractice litigation, and thus engage in defensive practice [9], experience discomfort in the context of death and grief [10], exhibit greater test-ordering tendencies, and demonstrate failure to comply with evidence-based guidelines [11].


모호성에 대한 내성은 의대생의 태도와 행동에 중요한 역할을합니다. 다음과 같은 특성들은 이 집단에서 모호성의 낮은 내성과 관련이있다 : 

  • 취약집단에 대한 부정적인 태도 [12,13] 

  • 실수를하는 것에 대한 두려움 [14]. 

반대로, 모호성에 대한 높은 내성은 

  • 의대생의 리더십 능력의 향상과 

  • 농촌 지역에서의 의료실천에 대한 의지의 증가와 관련이있다 [16,17]. 

학생들이 모호성을 다루는 방식이 malleable할  수 있습니다 [18].

Tolerance for ambiguity also plays an important role on the attitudes and behaviors of medical students. the following traits have been associated with a low tolerance of ambiguity in this population: negative attitudes toward the underserved [12,13] and fear of making mistakes [14]. Conversely, higher tolerance of ambiguity has been associated with greater leadership abilities in medical students [15] as well as increased willingness to practice in rural areas [16,17]. It is possible that the way students deal with ambiguity is malleable [18].


겔러 (Geller, 2013)는 그 이유를 설명하려고 시도했다. 의과대학에 입학하는 학생들은 불확실성으로 특징지어지는 의학의 특성에 끌려서 들어오는 것이고, 따라서 모호성과 관련된 의사 소통 및 의사 결정 기술을 발전시킬 기회를 더 많이 얻는다. 그러면 (이것이 선순환이 되어) 모호성 관련 커뮤니케이션 및 의사 결정 기술을 더욱 발전시킬 수있는 기회를 갖게됩니다. 이러한 결과는 모호함의 내성이 만들어내는 긍정적 피드백 루프입니다 [5]. 마찬가지로, 모호함에 대한 내성이 낮은 학생들에게는 부정적 피드백 루프가 작동 할 수 있는데, 모호한 상황을 피할수록 더욱 모호함에 대한 내성이 낮아지는 경향이 있기 때문이다.

Geller (2013) has attempted to explain why: medical students with a high tolerance of ambiguity entering medical school are drawn to uncertainties characterized by medicine and thus have the opportunity to further develop their ambiguity related communication and decision-making skills. These students would then have the opportunity to further develop their ambiguity-related communication and decision-making skills. The result is a positive feedback loop in which the tolerance of ambiguity increases in these students [5]. In a similar manner, a negative feedback loop may operate for students with a low ambiguity tolerance, as they may tend to avoid ambiguous situations and thus become even less tolerant [5].




방법

Methods


연구 설계 및 참가자

Study design and participants


Our study was conducted in the summer semester of 2013 at the medical school of the Westphalian Wilhelms University in Muenster, Germany. We used a crosssectional design to evaluate ambiguity tolerance in 622 medical students from the first to the sixth academic years, as well as 30 general practitioners.


성과 척도 및 측정 도구

Outcome measures and measuring instrument


Measurements were conducted using the Inventory for measuring ambiguity tolerance (IMA) by Reis (1997, Additional file 1) [21]. The IMA comprises 40 items, divided into the following five areas:


다음에 대한 모호함에 대한 내성을 측정 

Ambiguity tolerance with respect to:

      • 명백하게 해결 불가능한 문제들 apparently insoluble problems (PR)

      • 사회적 갈등 social conflicts (SC)

      • 부모의 이미지 parental image (PI)

      • 역할 고정관념 role stereotypes (RS) 

      • 새로운 경험에 대한 개방성 openness to new experiences (OE). ## Critical thinking



As our aim was to conduct a survey in the context of an academic profession, we shortened the sections of the IMA that addressed parental image and role stereotypes. For the remaining three areas, the Cronbach’s alpha values ranged from .78 to .86, indicating acceptable levels of reliability.


Ambiguity tolerance was assessed for the three scales regarding 

    • openness to new experiences (OE, eight questions in total), 

    • social conflicts (SC, six questions in total), and 

    • apparently insoluble problems (PR, six questions in total).


자료 분석

Data analysis


결과

Results


Figure 1 shows the scores for each of the three scales with respect to academic year together with the results from the general practitioners.


학년 간 유의한 점수 차이 없음.

We found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 the scores (95% confidence interval) obtained by the general practitioners (OE score 20.5 (19.2–21.7), SC score 23.6 (21.8–25.3), PR score 15.3 (13.4–17.2)), and 

  • those obtained by the medical students (p = .111 for OE score, p = .8 for SC score and p = .404 for PR score).



Discussion


우리의 연구 결과에 의하면 의대생은 새로운 경험에 대한 개방성명백하게 해결불가능한 문제에 대한 접근 방식에 대해 매우 낮은 수준의 모호성 내성을 가지고 있음을 나타냅니다. 여기서 우리는 새로운 경험과 사회적 갈등에 대한 개방성과 관련하여 성별에 따른 차이가 서로 다르다는 것을 발견했습니다. 

  • 새로운 경험에 대한 개방성의 성별 차이는 거의 없었다 (남녀 모두 평균은 1 ~ 10 %였다). 

  • 사회적 갈등에 대한 접근 방식의 차이 (여성 학생의 평균은 71-80 % 밴드 였고 남성 학생의 평균은 61-70 % 밴드 였음)는 사회적으로 바람직하게 여겨지는 행동에 대한 편향 때문일 수 있습니다. 

여러 학년 사이의 차이는 Reis (1997)가 제안한 기준 그룹과 관련하여 유의하지 않았다. 일반 의사는 높은 수준의 모호한 내성을 갖고 있다고 여겨지지만, Reis (1997)가 제시 한 참조 그룹과 우리의 표본 사이에 임상적으로 관련된 비 유사성을 발견하지 못했습니다.

The results of our study indicate that medical students have a very low level of ambiguity tolerance regarding openness to new experiences and in their approach to apparently insoluble problems. Here, we detected gender-specific differences with respect to openness to new experiences and social conflicts. However, the gender-based differences in openness to new experiences were minimal (the average for both female and male students was in the 1–10% band). The observed differences in approach to social conflicts (average for female students was in the 71–80% band and the average for male students was in the 61–70% band) may have been due to a behavioral response bias regarding social desirability. Although we observed differences between the various academic years, these differences were not significant with respect to the reference groups suggested by Reis (1997). Although general practitioners are thought to possess a higher level of ambiguity tolerance, we did not detect any clinically relevant dissimilarities between our sample and the reference groups suggested by Reis (1997).


어린 학생이 나이가 많은 학생보다 모호함에 대한 내성이 떨어진다는D eForge (1989) 및 Tatzel (1980)의 연구와 대조적으로, 우리는 집단 별 차이점을 발견하지 못했다. 모호함 내성이 청소년기부터 중년까지 안정적으로 유지되고 50 세가 될 때까지 변하지 않는다는 Reis (1997)의 발견을 뒷받침 해 주면서, 우리는 의대 학년간의 모호성에 대한 내성에 차이가 없음을 발견했다 . 일반적으로, 우리 학생집단은 Reis [21]에 의해 연구 된 것보다 모호함에 대한 내성이 떨어지는 것처럼 보였다. 우리의 연구 결과는 의대생이 Reis의 연구 이후 수년간 모호성 관용의 측면에서 변화했다는 것을 나타냅니다

In contrast with DeForge (1989) and Tatzel (1980), who found younger students to be more intolerant of ambiguity than older students [3,24], we did not detect cohort-specific differences. Corroborating the findings of Reis (1997), who stated that ambiguity tolerance tends to remain stable from adolescence to middle age, and does not change until around age 50 [21], we found no differences in ambiguity tolerance between the academic years of medical school. In general, our student population appeared to be more intolerant of ambiguity than those studied by Reis [21]. Our findings may indicate that medical students have changed in terms of their ambiguity tolerance in the years since Reis’ study


DeForge는 1970 년대 학생들이 1950 년대의 학생들보다 불확실성을 더 잘 처리 할 수 ​​있다고 밝힌 폭스 (Fox [25])연구에서의 경향에도 불구하고, 기술에 대한 의존도가 높아짐에 따라 오늘날보다 많은 구조화를 추구할 수 있으며, 그 결과로 그들의 선배의사보다 모호함을 더 위협으로 인식하는 경향이 있을 수 있다. 모호성에 내성이 강한 의대생은 가정의학과 같은 덜 구조화된 전공을 선택하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 GP들이 학생들보다 모호성에 대한 더 높은 내성을 가질 것으로 예상됩니다. 그러나 들어오는 의대생의 의학 전문화 선호도에 따라 모호성 편협성에 차이가 없다는 것을 발견 한 DeForge와 마찬가지로 GP와 의대생간에 임상적으로 관련된 차이를 발견하지 못했습니다 [24, 27].

Despite the trend described by Fox [25], who perceived students in the 1970s as being more capable of dealing with uncertainty than those in the 1950s, DeForge hypothesized that, owing to their increasing dependence on technology, students today may be seeking more structure than their predecessors, and thus may perceive ambiguity as more of a threat [24]. As medical students who are more tolerant of ambiguity tend to choose more unstructured specialties, such as family practice [1,26], we expected that general practitioners would have a higher ambiguity tolerance than students. However, like DeForge, who found no differences in ambiguity intolerance based on the medical specialization preferences of incoming medical students, we found no clinically relevant differences between general practitioners and medical students [24,27].


일반 의사가 의대생과는 다른 수준의 모호한 내성을 보이는다면 이는 (학생들에게 진단 기술을 가르치려는 노력과 함께) 중요한 교육적 고려 사항이 될 수 있습니다. 이는 결국 정확성과 세심한 배려가 학문적, 직업적 성공에 핵심적인 역할을 할 것이다.

If general practitioners do exhibit a different level of ambiguity tolerance to medical students, this may be an important educational consideration, alongside the efforts to train students to have sound diagnostic skills, in which accuracy and attention to detail play a central role in academic and professional success [28].



Conclusions







 2014 Jan 9;15:6. doi: 10.1186/1471-2296-15-6.

Measuring the ambiguity tolerance of medical students: a cross-sectional study from the first to sixth academic years.

Author information

1
Department of Gastroenterology and Hepatology, University Hospital of Cologne, Kerpener Strasse 62, Cologne, 50937 Germany. anne.weissenstein@gmail.com.

Abstract

BACKGROUND:

Tolerance of ambiguity, or the extent to which ambiguous situations are perceived as desirable, is an important component of the attitudes and behaviors of medical students. However, few studies have compared this trait across the years of medical school. General practitioners are considered to have a higher ambiguity tolerance than specialists. We compared ambiguity tolerance between general practitioners and medical students.

METHODS:

We designed a cross-sectional study to evaluate the ambiguity tolerance of 622 medical students in the first to sixth academicyears. We compared this with the ambiguity tolerance of 30 general practitioners. We used the inventory for measuring ambiguity tolerance(IMA) developed by Reis (1997), which includes three measures of ambiguity tolerance: openness to new experiences, social conflicts, and perception of insoluble problems.

RESULTS:

We obtained a total of 564 complete data sets (return rate 90.1%) from medical students and 29 questionnaires (return rate 96.7%) from general practitioners. In relation to the reference groups defined by Reis (1997), medical students had poor ambiguity toleranceon all three scales. No differences were found between those in the first and the sixth academic years, although we did observe gender-specific differences in ambiguity tolerance. We found no differences in ambiguity tolerance between general practitioners and medicalstudents.

CONCLUSIONS:

The ambiguity tolerance of the students that we assessed was below average, and appeared to be stable throughout the course of their studies. In contrast to our expectations, the general practitioners did not have a higher level of ambiguity tolerance than the students did.

PMID:
 
24405525
 
PMCID:
 
PMC3897997
 
DOI:
 
10.1186/1471-2296-15-6


프로페셔널하지 못한 행동에 동참할 것인가 말 것인가? (Med Teach, 2016)

To participate or not participate in unprofessional behavior – Is that the question?


Renato Soleiman Francoa,b , Camila Ament Giuliani dos Santos Francoa,b , Solena Ziemer Kusmaa ,

Milton Severob and Maria Amelia Ferreirab,c


aMedicine School, Pontifical Catholic University of Parana, Curitiba, Brazil; bDepartment of Medical Education and Simulation, Faculty of Medicine, University of Porto, Porto, Portugal; cFaculty of Medicine, University of Porto, Porto, Portugal




도입

Introduction


비전문가적 행동은 프로페셔널리즘을 위반한 것으로, 징계 조치를 받을 가능성이 있다 (Papadakis 외 2004, Teherani 외 2005). 학업 부정 행위에 연루된 대부분의 의대생이 자신의 위반에 대해 징계를받지는 않지만, 학생 시기의 위법 행위misconduct는 훗날 전문직 커리어에서 징계를 받는 것의 위험 요소입니다 (Yates & James 2010).

Unprofessional behavior relates to a violation of professionalism for which one has an increased chance of incurring disciplinary action (Papadakis et al. 2004; Teherani et al. 2005). Even though most medical students involved in academic misconduct will not be disciplined for their infractions, misconduct as a student is a risk factor for disciplinary problems in one’s professional career (Yates & James 2010).


전문직 및 비전문가적 행동은 많은 접근법과 방법을 사용하여 연구되었습니다. 시카고 대학의 Pritzker School of Pritzker School은 일련의 행동 양식을 열거하고 학생들에게 그들이 프로페셔널이 아닌지 관찰하고 참여했는지 여부를 묻습니다 (Humphrey 외 2007, Reddy 외 2007). 이 설문지는 다른 연구자에 의해서도 적용된 바 있다 (Reddy 외 2007, Humphrey 외 2007, Arora 외 2008, Arora 외 2010, Dyrbye 외 2010, Byszewski 외. 2012; Reddy et al., 2012; Kulac et al., 2013).

Professional and unprofessional behaviors have been The studied using many approaches and methods. University of Chicago Pritzker School of Medicine listed a set of behaviors and asked students if they had observed, participated in and judged them to be unprofessional (Humphrey et al. 2007; Reddy et al. 2007). This questionnaire has been adapted and applied in different contexts and countries by other researchers (Reddy et al. 2007; Humphrey et al. 2007; Arora et al. 2008; Arora et al. 2010; Dyrbye et al. 2010; Byszewski et al. 2012; Reddy et al. 2012; Kulac et al. 2013).


학부 수준에서 시작하여 의대생은 다양한 학습 기회를 제공받으며, 다양한 잠재적 역할 모델에 노출되어 있으며, 그 중 일부는 긍정적, 전문적 행동보다 부정적 행동을 모델링 할 수 있습니다 (Hendelman & Byszewski 2014). 롤모델은 전문성 교육을 지원하는 주요 전략 중 하나로 추진되어왔다 (Birden et al., 2013).

Beginning at the undergraduate level, medical students are immersed in diverse learning opportunities and are exposed to a variety of potential role models, some of whom could model negative behaviors more often than positive, professional behaviors (Hendelman & Byszewski 2014). Role models have been promoted as among the main strategies to support the teaching of professionalism (Birden et al. 2013),


어떤 행동을 자주 보게 되면 그 행동이 허용된다고 생각하게 될 수 있으며, 학생들은 일부 레지던트와 주치의가 이러한 행동에 관여하는 순간 뿐만 아니라, 다른 사람들의 위법 행위를 교정해주지 않는 것을 보면서도 시작될 수 있다(Wear et al., 2006; Bryden et al 2010).

Frequent observation could promote a sense that a given behavior is permissible, and may begin when students see that some residents and attendants are not only involved in these behaviors, but also refrain from correcting misconduct in others (Wear et al. 2006; Bryden et al. 2010).


다양한 이론이 행동을 이끌어내는 요인을 설명 할 수 있으며,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이론 중 하나는 계획된 행동 이론 (TBP)입니다. 전통적으로 TPB는 태도와 주관적 규범에 의해 결정되는 행동 수행의 가장 결정적인 요소 중 하나 인 의도적 행동 이론(TRA)의 확장으로 이해 될 수있다 (Conner & Armitage 1998). 비록 의도가 광범위한 행동을 설명해주긴 하나, 복잡한 행동, 특히 퍼포먼스와 밀접한 관련이 있는 행동은 다른 변수의 영향을받는 것으로 보입니다. 따라서, TPB는 행동 통제 (PBC)를 TRA에 통합시켰다 (Conner & Armitage 1998; Sheeran et al., 2003). PBC는 자신의 효율성과 특정 행동에 관여하는 능력에 대한 자신의 평가를 나타냅니다.

Different theories could explain what drives behavior, and one of the most commonly used and accepted is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r (TBP). Classically, the TPB can be understood as an extension of the theory of reasoned action (TRA), in that intention is one of the closest determinants of the performance of a behavior which, in turn, is determined by attitude and subjective norms (Conner & Armitage 1998). Although intention explains a wide range of behaviors, more complex behavior, especially that which is closely related to performance, seems to be influenced by other variables. Thus, the TPB incorporated perceived behavioral control (PBC) into TRA (Conner & Armitage 1998; Sheeran et al. 2003). PBC refers to one’s assessment of one’s own efficiency and ability to engage in certain behaviors.


방법

Methods


표본과 자료 수집

Sample population and data collection


The unprofessional behavior survey was based on two studies carried out at the University of Chicago Pritzker School of Medicine (Humphrey et al. 2007; Reddy et al. 2007), which listed a set of behaviors and asked medical students if they had observed and participated in these behaviors, and whether they judged them to be unprofessional.


We built a survey that listed 22 behaviors; its face validity was assessed by two medical educators from each university in this study. Both schools are in Portuguese-speaking countries, although there are many differences in usage and idiom between Brazil and Portugal. 

    • The medical educators involved were fluent in English grammar, so they were able to assess whether the behaviors translated into Portuguese had the same meanings in Portugal and in Brazil. 

    • They described the meaning of each behavior and ensured that they were referred to the same specific aspects. 

    • They out carried this evaluation independently first, and then in a consensus meeting. 

    • After that, they did a pre-test study of the questionnaire with a group of five students in each country in order to assess if all questions were understood by the students. 


For each behavior, we designed three questions, 

    • asking students whether they had observed the behavior (yes/no), 

    • whether they had participated in the behavior (yes/no), and 

    • how they had judged the behavior (unprofessional, borderline or professional). 

Thus, the survey comprised a total of 66 questions in three domains: observation, participation, and judgment.


The original Pritzker questionnaire asked if the students had judged each behavior as professional or unprofessional. We inserted the intermediary classification of “borderline” into this field. Thus, the possibilities for the student’s judgment of the behavior were unprofessional, borderline, and professional.



자료 분석

Data analysis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was used to assess the three domains in our theoretical framework: observation, participation in and judgment of unprofessional behaviors, with residual correlations between each behavior.





결과

Results


We tested the model with three factors: observation, participation, and judgment, as well as with the residual correlation within each behavior observed, participated in, and judged (Table 2). Almost all items showed a high factor loading with the respective domain.


Thus, we could analyze data assessing not only each behavior but also the domain as a whole (Table 2).




각 행동에 대한 빈도

The frequencies related to each behavior are presented in Table 3, displayed in the three categories of academic,clinical, and patient-related. Most of the responses regard-ing behaviors displayed no statistical differences between UNIPT and UNIBR students.



관찰-참여, 참여-판단 사이에 유의한 상관관계. 관찰과 판단 사이에는 유의했지만, 강도는 낮음

Among both sample populations, there were strong and significant correlations between observation and participation (r ¼0.54, p<0.001) and between participation and judgment (r ¼0.44, p<0.001). The correlation between observation and judgment was significant but less strong (r ¼0.26, p<0.001).


After adjusting for curricular year, country, and gender, the observation and judgment scores were positively associated with the participation score (Table 4).





고찰

Discussion


이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이 나타냅니다.

  • (1) unprofessional하다고 느끼거나 가장 동참하지 않을 행동은 환자와 직접적인 관련이있는 행동이었습니다.

  • (2) 관찰과 참여 사이, 참여와 판단 사이의 연관성이 유의미했다.

  • (3) 학생의 unprofessional한 행동에 대한 동참은 행동의 관찰, 행동에 대한 그들의 판단, 학년에 따라 다르다

  • (4) 상관 관계와 연관성에도 불구하고, 어떤 행동을 'professional'하다고 잘 못 판단할 가능성보다 그 행동에 동참할 가능성이 더 높았다.


The main findings of the study indicate: 

  • (1) the behaviors that students were most likely to consider unprofessional and in which they were least likely to participate were those directly related to patients; 

  • (2) the associations between observation and participation and between participation and judgment were both significant; 

  • (3) the students’ participation in unprofessional behavior could be driven by their observation of the behavior, their judgment of the behavior and their academic year; 

  • (4) despite the correlations and associations, participation was higher than the prevalence of misjudgment of an action as professional.


교육적(또는 비교육적) 환경이 있는가?

Are there educational or (un)educational environments?


관찰 된 unprofessional 행동의 평균은 양국 모두에서 높았고, 학업적 부정 행위에 대한 관찰이 특히 prevalent했다. 유사성에도 불구하고 두 샘플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인 행동도 있었다. 여기에는 주로 시험에서 부정 행위를 관찰한 것이나, 다른 학생으로 서명하는 등 학업 환경에서의 행동과 관련하여 발생한 것으로 UNIBR에서 더 높았다.

The mean of observed unprofessional behavior was high in both countries, and the observation of academic misconduct was especially prevalent. Despite the similarities, there were behaviors that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two samples. This occurred primarily in relation to behaviors in the academic setting, such as observing cheating on exams and signing as another student, which were higher at UNIBR,


부정 행위에 대한 관찰은 학업 상황에만 국한된 것이 아니며, 응답자의 절반 이상이 환자 치료와 관련된 행동의 65 %를 관찰하엿다고 응답했다.

The observation of misconduct was not restricted to the academic setting, and 65% of behaviors related to patient care had been observed by more than 50% of respondents.


비록 롤모델의 사용은 결정적으로 중요하지만, 의사 소통 교육은 롤모델에만 의존하기보다는 정식 (교과) 교육 프로그램, 비판적 사고의 개발, 직장 학습, 모의 훈련, 피드백,보고 및 이론적 지식과 같은 여러 가지 전략을 필요로합니다. (Feraco et al., 2016). 따라서 의사 소통에 있어서 poor conduct를 하는 경우에 그것이 학생에게 어떤 메시지를 보내는지를 고려하는 것이 중요하며, 이로써 distant and ineffective 의사-환자 관계 유발을 피할 수 있다.

The teaching of communication needs to strategies, include multiple such as formal (curricular) teaching programs, development of critical thinking, workplace learning, simulated training, feedback, debriefing and even theoretical knowledge, rather than relying solely on the use of role models; although the use of role models remains crucially important (Feraco et al. 2016). Thus, it is important to consider the types of messages sent to students in such instances of poor conduct in communication, in order to avoid bringing about a distant and ineffective doctor–patient relationship.


적절한 자기 밝힘self-presentation은 정직하고 정중한 의사 소통 과정에서 시작되며, 의사와 환자 간의 초기 관계에서 중요한 역할을합니다 (King & Hoppe 2013). 두 대학 모두 학생들은 동료가 자신을 의사라고 잘못 present하거나, 스스로 의사로 오인받는 것을 시정하지 않는 상황을 관찰했다. 또한 응답자의 약 20 %가 이러한 행동에 직접 참여했다.

Adequate self-presentation begins with an honest and respectful communication process and serves as an important part of the initial rapport between doctor and patient (King & Hoppe 2013). In both universities, students reported observing situations in which classmates falsely presented themselves as doctors or failed to correct someone who mistook them for doctors. Moreover, around 20% of respondents had participated in such behaviors themselves,


이 유형의 행동에 대한 동참 또는 잘못된 판단은 임상실습 기간동안 증가할 수 있으며, 이는 임상 상황 자체가 위험한 습관을 심어줄 수 있음을 보여준다(Hicks 외 2005, Reddy 외 2007, Kulac 외 2013).

The participation in and misjudgment of this type of behavior may increase during clerkship (Hicks et al. 2005; Reddy et al. 2007; Kulac et al. 2013), revealing that the clinical setting itself could instill some dangerous habits.


무엇이 학생들이 프로페셔널하지 못한 행동에 대한 오판과 동참으로 이끄나?

What makes students more prone to misjudging and participating in unprofessional behavior?


관찰과 참여 사이의 연관성은 유의하고 강했다 (0.54). 이 결과는 예상할 수 있었는데, 다른 사람들로부터 어떤 행동을 전혀 관찰하지 않고서 그 행동에 참여하는 것은 어렵기 때문이다.

The association between observation and participation was significant and strong (0.54). This result could even be expected, as it would be difficult to be involved in behavior without first having observed it in others.


그러나 이 숫자의 중요성을 고려한다면, 환경을 조사해야합니다. 학생들은 어떤 행동을 관찰했을 때, 그것이 주어진 그룹에서 기대되는 것으로 또는 적어도 받아 들일 수있는 것을 반영한다고 인식 할 수 있습니다. 이것은 이런 종류의 행동에 함축된 주관적인 규범을 드러 낼 수 있습니다.

However, given the importance of these numbers, one must look into the environment. Students could perceive the behaviors they observe to be reflections of what is expected or, at least, tolerable in the given group. This could reveal some subjective norms that are implicit in this kind of behavior.


따라서 비록 이것이 예상되는 상관 관계이긴하지만, 행동의 관찰을 통해 행동에 참여하겠다는 의지를 표명 할 때, 참여(동참)는 TPB의 주관적인 규범과 관련 될 수있다. 이런 식으로 관측은 행동을 시작하거나 유지하기위한 출발점이 될 수 있습니다.

Thus, even though this is an expected correlation, with the observation of behavior opening one’s willingness to engage in that behavior, participation could also be related to the subjective norms of the TPB. In this way, observation could be a starting point to initiate or maintain a behavior.


다양한 학습 상황에서, 의대생은 부정 및 긍정적 행동 모델 (Hendelman & Byszewski 2014)과 같은 다양한 사례에 노출 될 것입니다.

In diverse learning situations, medical students will be exposed to a variety of examples, including negative and positive models of behavior (Hendelman & Byszewski 2014).


의도적 행동의 관찰에서 그 행동에 참여하기까지 이르는 과정은 (충동적 또는 비자발적 행위의 경우를 제외하면) 그 이유가 무엇인지를 검토하는 과정을 밟는다scrutiny. 프로페셔널리즘이 결여된 것을 관찰하더라도, 학생들은 그들이 본 행동을 판단할 기회를 갖게 되며, 많은 학생들은 그 행동을 따라하지 않는다.

The pathway from the observation of an intentional behavior to participation in that behavior must undergo the scrutiny of reason, except in the case of impulsive or involuntary acts. After a lack of professionalism is observed, students have the opportunity to judge the modeled behaviors, and go on many will not to participate.


비전문적, 경계선, 전문적 행동에 대한 학생의 판단은 행동에 대한 태도와 동등한 것으로 간주되어야합니다. 판단은 참여와 유의미한 상관 관계가 있었기 때문이다.

The student’s judgment of the behavior as unprofessional, borderline, or professional should be considered equivalent to his or her attitude toward the behavior. Judgment was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participation,


비전문적 행동에 대한 학생의 동참여부는 행동을 관찰했는지 여부, 그 행동에 대한 판단, 학년에 의해 45 % 설명되었습니다.

Students’ participation in unprofessional behavior was 45% explained by the respondents’ observation of the behavior, judgment of the behavior, and academic year.


관찰, 참여, 판단 사이에는 상당한 상관 관계가 있습니다. unprofessional한 행동을 관찰하거나 참여한 학생은 악순환에 빠진 것처럼 보였습니다. 일단 학생이 어떤 유형의 unprofessional한 행동을 관찰했거나, 동참했거나, 잘못된 판단을 내리면 미래에 다시 그렇게 할 가능성이 높아졌습니다. 한 번 참여하기 시작하면 바람직하지 못한 관행이 유지 될 수 있으므로 이로 인해 불행한 결과가 초래 될 수 있습니다(Benbassat 2014) .

Observation, participation, and judgment have considerable correlations amongst themselves. The student who observed or participated in unprofessional behavior seemed to enter into a vicious circle: once the student had observed, participated in or misjudged a certain form of unprofessional behavior, the likelihood that he/she would do so again in the future increased. This could bring about unfortunate consequences, as once one begins to participate, it is possible that the undesirable practices will be maintained (Benbassat 2014).


따라서 우리는 어느 시점에서, 환경의 주관적인 규범이 전문적이지 않은 행동을 암묵적으로 지지한다고 인식하는 학생들을 만날 수 있습니다. 그들은 이러한 방식으로 이러한 행동에 대한 개입이 정당하다고 믿게되었을 것입니다. 일부 학생들은 판단력이 부족하고, 어떤 형태의 승인을 받은 결과로서, unprofessional한 행동을 하기로 결정했을 수도 있습니다.

Thus, we may have come across students who at some point perceived that the subjective norms of their environment had tacitly endorsed unprofessional behaviors; they may have, in this way, come to believe that their engagement in these behaviors was justified. It is also possible that some students were lacking judgment and, having received some form of authorization, decided to engage in unprofessional acts.


두 경우 모두, 의도와 주관적 규범은 인지 조화가 행동의 중심에 놓이는 과정의 일부임을 알 수 있습니다. Unprofessional한 행동에 대한 동참 원인을 보면 판단, 참여, 관찰의 조화를 보여준다. 그러나 일부 학생은, 그 행동이 unprofessional 하거나 borderline으로 판단하였음에도 행동에 참여했습니다. 이처럼 규범과 개인적 신념 사이의 불일치가 있을 때, 인지 부조화가 발생한다 (Wald et al. 2012).

In both cases, one may notice that intention and subjective norms are part of a process in which cognitive consonance lies at the center of behavior. The correlations and the percentage of explained participation showed consonance aligning judgment, participation, and observation. However, some of the students who judged a behavior to be unprofessional or borderline were participating in that behavior. When there is conflict in cognition, for example in disagreements between norms and personal beliefs, cognitive dissonance takes place (Wald et al. 2012). 


어떤 행동을 하면서도, 그것이 unprofessional하다고 판단하는 학생 (또는 경계선이라고 판단하는 학생) 역시 도덕적 원칙에 반하여 그러한 행동을 하는 것이고, 자신의 행동에 대한 인지부조화가 나타납니다. 이러한 내부 갈등과 관련된 상황에서, 많은 학생들이 인지적 조화가 dictate하는 과정을 깸으로써 도덕적 스트레스를 받는다고 느낍니다.

Students who participate in behaviors but judge them to be unprofessional (or even those who judge them to be borderline) could have done so against their moral principles, thus displaying cognitive dissonance in their actions. In situations involving these internal conflicts, many students feel compelled by moral distress, breaking the process dictated by cognitive consonance.


부정적인 역할 모델링은 학생들에게 높은 비율로 도덕적 스트레스를 유발하며, 원칙에 어긋난 행동을 하게 유도한다(Lomis 외. 2009). 또한 스트레스가 많은 상황에서는, 유연한 기억flexible memory을 "습관"으로 굳어지게 만들기도 한다(Schwabe & Wolf 2013).

Negative role modeling has been correlated with higher rates of students’ moral distress and inducement to act against their principles (Lomis et al. 2009). In addition,stressful situations may lead a flexible memory to become a rigid “habit” (Schwabe & Wolf 2013). 


판단의 분야에서, 우리는 약 3 가지 카테고리 (전문가가 아닌, 경계선, 직업)를 물었다. 학생이 비전문적 행동을 전문적 행동으로 잘못 판단하는 경향은, borderline이라는 믿음으로 시작될 수 있습니다. 경계선 응답은 그 행동이 전문적인지 아닌지에 대해서 불확실하다는 것을 의미할 수도 있고, 또는 그 행동이 완전히 전문적인것도 완전히 비전문적인것도 아니라고 생각한다는 것을 의미 할 수 있습니다. 이것은 학생들이 자신의 행동이나 신념을 의심 할 수 있음을 시사합니다.

In the field of judgment, we asked about three categories (unprofessional, borderline ,and professional). It is possible that a student’s inclination to misjudge an action as professional can begin with the belief that it is borderline. The borderline answers could mean uncertainty about whether a behavior is unprofessional, or they could mean that the students consider the behavior to be neither totally professional nor unprofessional. This suggests that students may doubt their own behaviors or beliefs.


따라서 판단 점수에 근거한 비전문가 행동에 참여하는 경향은 "의심을 던지는 학생"에 근거하고 있어야합니다.

Thus, the tendency to participate in unprofessional behavior based on the judgment score should be grounded by students in doubt.


우리의 데이터를 다른 연구와 비교하면 프로답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는 행동에 약간의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 그러나 우리가 전문적인 것으로 판단되는 행동 유형을 고려할 때 큰 차이가있었습니다. 예를 들어, Reddy 외 (2007)의 연구에서, 전임상 학생의 19 %와 임상실습 중 학생의 27 %는 misjudged action을 professional하다고 보았다. 반면, 이번 연구에서는 학생의 1 %만이 misjudged actions을 프로페셔널하다고 보았다.

Comparing our data with other studies , one finds little difference in some of the behaviors judged to be unprofessional . However,there were large differences when we considered the types of behaviors judged to be professional. For example, in Reddy et al.’s(2007) study, which considered students both pre- and post-clerkship, 19% of pre-clerkship students and 27% of students in their clerkship misjudged actions as professional. In our study, only 1% of students misjudged actions as professional. 


이 발견은 훌륭한 역할 모델을 제공하고, 잘못된 행동을 교정하며, 의학 교육의 시작과 평생 학습을 통한 전문성에 대한 성찰의 중요성을 강조합니다. 그러한 조치가없는 경우, 이러한 행동은 학부 수준을 넘어서고 학생의 미래 전문 직업에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Fargen 외 2016). 이러한 문제를 효과적으로 해결하기 위해 교수 전략은

These findings highlight the importance of providing good role models, remedying misconduct, and reflecting on professionalism from the very beginning of medical education and throughout lifelong learning. In the absence of such measures, these behaviors could continue past the undergraduate level and affect the student’s future professional practice (Fargen et al. 2016). In order to address these issues effectively, teaching strategies should 


    • (1) 부정적인 역할 모델링에 대한 비판적인 평가를 수행한다.

    • (2) 학생들의 지식 및 윤리적 및 분석적 기술의 결함을 개선한다 (Berger 2014).

    • (3) 역할 모델 활용과 학생 행동의 평가(형성 및 총괄)의 단점을 개선한다  (Byszewski et al., 2012); 

    • (4) 학생들이 전문성에 대한 그들의 헌신을 강화하고, 인지 부조화를 줄이도록 empower한다(Amoura 외 2015).

    • (1) undertake a critical appraisal of negative role modeling; 

    • (2) remedy deficiencies in students’ knowledge and ethical and analytical skills (Berger 2014); 

    • (3) remedy deficiencies in the use of role models and in the assessment (formative and summative) of students’ behaviors (Byszewski et al. 2012); and 

    • (4) empower students to enhance their commitment to professionalism and reduce cognitive dissonance (Amoura et al. 2015). 


이러한 조치는 학생들의 전문적인 행동에 대한 이해와 기대를 높이고 개인 신념, 직업적 규범 및 직장 관행 탐색의 복잡성을 효과적으로 처리하도록 도울 수 있습니다.

Such measures may enhance students’ understanding and expectations about professional behavior and help them deal effectively with the complexity of navigating personal beliefs, professional norms, and workplace practices.



결론

Conclusions


비전문가 행동에 참여하는 주제는 다각적이며 간-학제적입니다. 따라서 교수진이 이러한 상황을 적절하게 처리하려면 다양한 요인을 고려해야합니다. 

  • 학습 환경 ( "숨겨진"및 "공식"커리큘럼 포함)은 전문적 또는 비전문적 행동의 예를 풍부하게 제공하며, 이 모든 것은 학습의 가능성을 나타냅니다. 

  • 비판적 사고의 촉진은 학생들이 전문직 정체성을 구축 할 때 학생들에게 긍정적 인 영향을 미쳐야하는 건전한 전략이며 (Langendyk et al., 2016), 이는 미래의 임상에서의 양심적인 행동으로 이어질 것입니다.

The subject of participation in unprofessional behavior is multifaceted and interdisciplinary. Thus, in order for faculty members to adequately handle these situations, they have to consider the variety of factors involved. 

  • The learning environment (including the “hidden” and “formal” curricula) provides an abundance of examples of unprofessional (and professional) behavior, all of which represent possibilities for learning. 

  • The promotion of critical thinking is a sound strategy that should positively impact students as they build their professional identities (Langendyk et al. 2016), and this should lead to more conscientious behavior in future clinical practice.


전문가가 아닌 행동을 치료하는 전략을 개발하는 것을 무시하면 악순환이 생길 수 있습니다. 이것을 확인하지 않으면, 복잡성이 증가하고 해결하기가 어려워집니다. 만약 관찰과 참여와 잘못된 판단이 서로 영향을주고, 스스로에게 feed upon할 수 있따면, 반대로 비판적 사고와 행동의 올바른 판단이 바깥으로도 퍼져나가 프로페셔널 한 문화를 육성 할 수도 있습니다.

Neglecting to develop strategies to remedy unprofessional behavior could lead to a vicious circle that, if unchecked, will only grow in complexity and become more difficult to resolve. If it is possible that observation, participation, and poor judgment influence each other and feed upon themselves, then it also seems possible that higher degrees of critical thinking and good judgment in behavior could ripple outwards and forwards as well, fostering a culture of professionalism.


이러한 데이터를 토대로 unprofessional한 행동에 참여하거나, 어떤 unprofessional한 행동을 professional한 것으로 인식하는 학생에 대해서 더 또는 덜 unprofessional하다고 판단내리는 것은 실수입니다. 우리의 목적은 unprofessional한 행동에 대한 복잡한 관점을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점을 밝히고 "잘못된 행동"을 찾아 내고 전문가, 학생, 환자, 사회를 위한 보다 나은 건강 관리 시스템 및 의학 교육 프로그램을 지원하는 것입니다. 


It would be a mistake to declare that, based on these data, the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one unprofessional behavior and/or perceived a certain unprofessional behavior to be professional were more or less professional than other who did not. Our purpose is to shed light on the importance of maintaining a complex and multifaceted not view of unprofessional behaviors, to find a “wrongdoer”, but rather to support a better health care system and medical education programs for professionals, students, patients, and society at large.


Limitations


Hendelman W, Byszewski A. 2014. Formation of medical student professional identity: categorizing lapses of professionalism, and the learning environment. BMC Med Educ. 14:139. Available from: http://bmcmededuc.biomedcentral.com/articles/10.1186/1472-692014-139.


Benbassat J. 2014. Role modeling in medical education. Acad Med. 89:550–554. Available from: http://www.ncbi.nlm.nih.gov/pubmed/ 24556777.




 2017 Feb;39(2):212-219. doi: 10.1080/0142159X.2017.1266316. Epub 2016 Dec 26.

To participate or not participate in unprofessional behavior - Is that the question?

Author information

1
a Medicine School, Pontifical Catholic University of Paraná , Curitiba , Brazil.
2
b Department of Medical Education and Simulation, Faculty of Medicine , University of Porto , Porto , Portugal.
3
c Faculty of Medicine , University of Porto , Porto , Portugal.

Abstract

INTRODUCTION:

Medical education provides students with abundant learning opportunities, each of which is embodied with messages concerning what is expected from students. This paper analyses students? exposure to instances of unprofessional behavior, investigating whether they judge such behavior to be unprofessional and whether they also participate in unprofessional behavior.

METHODS:

The survey developed in the Pritzker School of Medicine at the University of Chicago was the basis of this questionnaire that was answered by 276 students from two medical schools in Brazil and Portugal.

RESULTS:

Unprofessional behavior was observed frequently by students in both universities, and the mean participation rates were similar (26% and 27%). Forty-five percent of students? participation in unprofessional behavior was explained by academic year, prior observation, and judgment.

DISCUSSION:

The results indicate that once students have observed, participated in or misjudged unprofessional behavior, they tend to participate in and misjudge such behavior. The frequency with which students judged behaviors they had observed or participated in as ?borderline? or unprofessional could mean that they are experiencing moral distress.

CONCLUSION:

Proper discussion of unprofessional behavior should foster a broad debate to encourage empowered students, faculties, and physicians to co-create a more professional environment for patient care.

PMID:
 
28024438
 
DOI:
 
10.1080/0142159X.2017.1266316


의과대학 초기에 전문직정체성 측정하기(Med Teach, 2016)

Measuring professional identity formation early in medical school


Adina Kaleta, Lynn Buckvar-Keltza, Victoria Harnikb, Verna Monsonc, Steven Hubbardb, Ruth Crowea,

Hyuksoon S. Songd and Sandra Yinglingb,e


aDivision of General Internal Medicine and Clinical Innovation, New York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New York, NY, USA; bNew York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New York, NY, USA; cMonson Consulting and Evaluation, Minneapolis, MN, USA; dDepartment of Education, Georgian Court University, Lakewood, NJ, USA; eDepartment of Medical Education, University of Illinois College of Medicine, Chicago, IL, USA




도입

Introduction


의료 전문 직업적 정체성은 "의료 직업의 특성, 가치 및 규범이 내면화되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단계적으로 달성 된 자아의 표현"으로 정의되었다 (Cruess et al., 2014). 전문직 정체성 형성 (PIF)은 발달적 구조로서 신뢰성있고 의미있게 측정 될 수 있으며, 우리는 그 발달에 기여하는 것을 더 잘 연구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의학 프로페셔널리즘에 대한 훈련생의 숙달을 명시적으로 지원하는 방법을 이해할 수있을 것입니다.

medical professional identity has been defined as a “… representation of self, achieved in stages over time during which the characteristics, values, and norms of the medical profession are internalized” (Cruess et al. 2014). If professional identity formation (PIF) can be reliably and meaningfully measured as a developmental construct, we will be better able to study what contributes to that development as well as understand how to explicitly support trainees’ mastery towards medical professionalism.


의대생은 의사가 되어간다. 여러 다른 정체성과 더불어서, 직업적 정체성을 형성하는 방식은 현재와 미래의 웰빙과 관계에 중요합니다 (Monrouxe 2010). 이것은 모두 역동적인 개인적, 복잡한 대인관계 및 사회문화적, 고도로 주관적인 발달 과정입니다.

Medical students are becoming physicians. The ways in which they form their professional identity along with multiple other identities matters to their present and future well-being and relationships (Monrouxe 2010). This is both, a dynamic personal as well as a complex interpersonal and socio-cultural, highly subjective developmental process.


일부 이론가들은, 초기 성인에게 있어서, PIF는 대체로 의과대학 지원과정에서 강화 된 외부적으로 정의된 과정이며, 이 과정은 대단히 경쟁이 심하고, 개인의 성취를 중시하는 과정이다. 그 결과 이 초기 성인기의 지원자들은 "외부에서 정의되고 개인에게 집중되는 업적"을 강조하는 전문직에 들어서는 압력을 받게 되는 것입니다. 의학교육자들은 이 학생들을 PIF와 도덕적 추론의 초기 단계에서 효과적이면서 이타주의적인 의사, 사회적 정의를 지향하는 의사라는 상위단계로 안내하는 중요한 임무를 수행합니다 (Jarvis-Selinger 외. 2012).

Some theorists posit that early on, in young adults, PIF is a largely externally defined process reinforced in the application process to medical school, which is highly competitive and emphasizes personal achievement. This pressures young adults seeking entr ee into the profession to focus on achievements that are externally defined and individually focused. Medical educators have the important task of guiding these students from early stages in PIF and moral reasoning toward the advanced stages needed to become effective, altruistic physicians, and social justice oriented (Jarvis-Selinger et al. 2012).


최근 강조되는 PIF는 프로페셔널리즘 교육은 학생들이 종종 깊은 생각과 헌신없이 생성하는 "가치와 행동 목록"으로 구성된 피상적 노력으로 간주될 수 있다는 우려를 제기합니다 (Wynia 외 2014). 강건하고 회복탄력적인 의료 전문직 정체성 (Goldie 2012, Holden et al 2015)의 발전을 장려하기 위해 부유하고, 종단적이고, 다중적 방식의 교육 과정이 시행되고 있지만, 벤치 마크 측정은 아직 이용 가능하지 않다.

The recent focus on PIF addresses the concern that professionalism education often has been seen as a superficial effort consisting of “lists of values and behaviors” that can be generated by students with insufficient depth of thought and commitment (Wynia et al. 2014). Rich, longitudinal, multi-method curricula are being implemented to encourage the development of a hardy, resilient medical professional identity (Goldie 2012; Holden et al. 2015), but benchmark measures are not yet available.


의학 및 기타 전문 학교에서 PIF를 강조하는 움직임은 부분적으로는 "아는 것"과 "하는 것"의 gap을 연구 한 도덕 심리학자 연구에서 유래합니다. 개인이 직업의 가치에 따라 행동해야 한다는 강한 믿음을 가질 수는 있지만, 그 신념이 자신의 정체성에 깊이 뿌리 내리지 않은 경우, 이것만으로 행동을 보장하기에는 불충분합니다 (Blasi 1980, 2004). 우리는 시간에 걸쳐 변화하는 PIF를 측정하려고했기 때문에, '정체성 발달'이란 의과대학 입학하기 전부터 시작되어 그 이후로 전문직 생에에 결처 진행되는 인지적, 사회적, 감정적인 능력을 통합하는 평생의 과정이라고 제안한 건설적 발달 이론가인 로버트 케간 (Robert Kegan)의 연구에서 비롯된 프레임 워크를 선택했습니다 (Kegan 1982; Bebeau 2006).

The movement to emphasize PIF in medical and other professional schools stems in part from the work of moral psychologists who studied the gap between “knowing and doing,” noting that the individuals may profess strong beliefs in acting according to the values of a profession, but beliefs alone are insufficient to ensure behaviors if they are not deeply rooted in one’s identity (Blasi 1980, 2004). Because we were seeking to measure PIF over time, we have chosen a framework stemming from the work of constructive developmental theorist Robert Kegan, who proposed that identity development is a life long and process of integrating cognitive, social, emotional capacities which begins before entering professional school and continues throughout professional life (Kegan 1982; Bebeau 2006).



직업적 정체성 에세이 (PIE)는 사회에서의 전문직 역할에 대한 개념화를 도출하고 전문직 교육 (표 1 참조) (Kegan 1982)에서 사용하기에 적합한 Kegan 이론의 단계를 측정합니다. 학생들은 고도로 숙련 된 전문가가 전체 문서에 Kegan 무대 점수를 할당하는 기초가되는 7 가지 프롬프트 (표 2)에 대한 간단한 서술 응답을 작성합니다.

The professional identity essay (PIE) elicits a respondent’s conceptualization of a professional role in society and measures the stages of Kegan’s theory adapted for use in professional education (See Table 1) (Kegan 1982). Students write brief narrative responses to seven prompts (Table 2), which are the basis for assigning an overall Kegan stage score to that document by a highly trained expert.



치과대학 학생 정체성 에세이의 내용 분석에서 Monson, Roehrich 및 Bebeau는 3-4 단계 (코호트의 37 %를 대표하는)의 치과대학생이 의료의 격차를 줄이고, 의료가 필요한 사람을 위해 봉사할 것이라고 기술했기 때문에, 학생들을 보다 복잡한 정체성 단계로의 성장할 수 있도록 촉진하는 것이 중요함을 지지하였다(Monson et al., 2008).

In a content analysis of dental student identity essays, Monson, Roehrich, and Bebeau found that dental students at stage 3–4 (representing 37 percent of a cohort) were more likely to state that they expected to make a contribution to society in reducing healthcare disparities, serving medical assistance patients, and volunteering to help those in need, supporting the importance of promoting growth towards more complex stages of identity (Monson et al. 2008).



Table 1. Kegan stages: the four broad levels of mental complexity relevant for professional education.


Table 2. The PIE instructions and prompts (modified for use in medicine).



도덕적 추론

Moral reasoning


의학에서의 도덕적 딜레마에는 대개 단 하나의 정답만 있는 것이 아니다. 성숙한 전문가들은 개인적 관심사라든가, 좁게 정의된 규칙보다는, 윤리적 또는 전문적 원칙에 기초하여 그러한 딜레마에 대처하는 경향이있다 (Rest 1986, 1994; Beauchamp & Childress 2001). 우려되는 것은 medical training이 도덕적 딜레마에 대한 감수성을 무디게하고 도덕적으로 성장할 것으로 예상되는 나이와 교육 추론을 늦추는 것이다 (Self et al., 1993; Patenaude et al., 2003; Bebeau & Faber-Langendoen 2014; Murrell 2014).

Moral dilemmas in medicine typically do not have a single right answer. Mature professionals tend to respond to such dilemmas based on ethical or professional principles, rather than personal interest or narrowly defined rules (Rest 1986, 1994; Beauchamp & Childress 2001). Of concern is that medical training blunts sensitivity to moral dilemmas and slows the expected age and education reasoning based growth in moral (Self et al. 1993; Patenaude et al. 2003; Bebeau & Faber-Langendoen 2014; Murrell 2014).


이슈 정의 테스트 (DIT2)는 도덕적 문제에 직면할 때 개인이 설득력있는 것으로 보이는 도덕적 논증의 유형을 측정하는 것으로, 도덕적 판단의 척도이다. 그러나 이는 도덕적 행동에 필수적이지만 충분하지는 않습니다 (Bebeau 2002).

The defining issues test (DIT2) measures the types of moral arguments an individual finds persuasive when confronted with a moral problem and therefore is a measure of moral judgment – a necessary but not sufficient component of moral behavior (Bebeau 2002).


행동에 대한 정당화는 세 가지 일반적인 도덕적 스키마로 묶이는 경향이 있습니다.

  • 개인의 이익을 보호하고 (PI), 

  • 규칙과 규범을 지키고 (MN), 

  • 보편적인 윤리적 원칙을 적용하는 것(흔히 "포스트 관습적 사고"라고 불리며 N2 점수로 측정 됨) 

Justifications for actions tend to cluster in three general moral schemas based on: protecting personal interests maintaining (PI), upholding rules and norms (MN), and applying universal ethical principles (often referred to as “post-conventional thinking” and measured as N2 scores).


PIF와 도덕적 개발 이론적 틀 모두가 건설적인 발달 이론 (예 : Piaget, Kohlberg)에서 공유 된 기초를 가지고 있다고 가정 할 때, 우리는 그것들이 상호 연관 될 것으로 기대할 수 있다.

Given that both PIF and moral development theoretical frameworks have a shared basis in constructive developmental theories (e.g. Piaget, Kohlberg), we would expect them to be correlated.


Methods


교육과정 맥락

Curricular context


A decade ago, along with many medical schools, we implemented a case-based and student-led professionalism curriculum spanning our four-year curriculum (Horlick et al. 2009) and an online portfolio to promote learners’ professional development (Kalet et al. 2007). 

  • In 2015, (class of 2019), we introduced PIF during orientation, using the framework of Cruess (Cruess et al. 2014) and Bebeau (Bebeau & Faber-Langendoen 2014). 

  • To facilitate self-awareness students completed both the PIE and the DIT2. On average, students completed both instruments within an hour. 

  • Three weeks later, students received a detailed, individualized, six-page narrative feedback report from an expert (VM) (See Supplementary Appendix). 

  • During a large-group debriefing session, the concepts of PIF were reviewed and students wrote portfolio reflections to the following prompts: 

  • “Now that you have received your feedback, write your first impressions of your PIE and DIT2 information – What surprised you? What “rings true”? What information is helpful to you?”



채점과 분석

Scoring and data analysis


전문직 정체성 에세이

Professional identity essay scoring


PIEs were scored by a lifespan, developmental educational psychologist (VM) with expertise in measurement of moral capacities in professional education (Lahey et al. 1988; Bebeau & Monson 2012). Each student was assigned a Kegan PIF stage score in an individualized report with narrative feedback to each student. Five months later, the primary rater (VM) re-rated and a second trained rater rated 12 randomly selected PIEs (10%) to establish reliability (inter-rater ICC 0.83, 95% CI [0.57–0.96], intra-rater ICC 0.85, 95% CI [0.50–0.93]).



DIT 점수

Defining issues test scoring


The Center for the Study of Ethical Development at the University of Alabama (Development) scored DIT2s using established algorithms and provided metrics of students’ preferred moral schema (personal interest, maintaining norms, post conventional (N2)). For simplicity in this paper we report only the N2 score, which reflects the proportion of time students applied a social contract orientation or universal principles approach to the cases.



양적 분석

Quantitative



질적 분석

Qualitative


  • A directed and summative content analysis of students’ reflections was conducted by two readers (SY, RC) (Hsieh & Shannon 2005). 

  • The first reader (SY) defined a set of thematic categories and subcategories (Table 3) which were then grouped into three clusters: 

    • 긍정적 반응 positive responses (student reported feeling positive about the exercise, or feeling positive about the journey ahead of them in medical school), 

    • 중립적 반응 neutral responses (student discussed metrics, had an analytic approach to their data), and 

    • 부정적 반응 negative responses (students reported disappointment with their feedback, or reported feeling negative or confused about the exercise). 

  • After a training set (30) during which two readers (SY, RC) discussed disagreements to they resolve discrepancies, each independently applied the code categories to each student’s reflections. 

  • Table 3 shows the frequency for the 9 of 17 response categories that showed adequate inter-rater reliability (Cohen’s kappa >0.300) (Landis & Koch 1977). The remaining categories were useful for descriptive purposes and hypothesis generation.


결과

Results


The correlation between N2 score and Kegan PIF stage was q¼ 0.18 (p¼0.03). The mean DIT N2 differed by Kegan PIF stages (early, 52.0 (SD¼11.8) vs. late, 56.0 (SD¼11.1) (p¼0.046).



내용 분석과 DIT 점수

Content analysis of student reflective writing on PIE stage and DIT score report


Table 3 lists identified themes. Of the 130 students, 

    • 117 (90%) reported positive reactions to the PIF curriculum. 

    • Mixed negative reactions (28/130, 21%, not mutually exclusive) included confusion, concern about future training, or dissatisfaction with the gap between their self-perception and the results. 

    • Very few reported only negative reactions. Students who described an analytic approach to evaluating their feedback tended not to report negative reactions, even when they were surprised by the feedback.





고찰

Discussion


우리는 각 학생에게 PIF 단계를 제공하고, 선호하는 도덕적 추론 스키마 및 개별화 된 피드백을 제공하는 것이 타당하다는 것을 발견했습니다. 이 접근 방식은 학생들에게 받아 들여지고 흥미로우며 잠재적으로 역량 기반 전문성 커리큘럼에 대한 접근 방식으로 유용합니다.

We found that it was feasible to provide each student with a PIF stage, their preferred moral reasoning schema and individualized feedback. This approach is acceptable and intriguing to our students and potentially has utility as an approach to competency-based professionalism curricula. 



우리 학생들의 Kegan PIF 단계 분포는 다른 비슷한 연령대의 전문직 학생과 유사합니다 (Bebeau & Monson 2012). other-defined 정체성에서 self-defined 정체성 (단계 3-4)으로 바뀌는 것은 완전히 발달 된 직업적 정체성의 신호이다(Bebeau 2008). 엄격하게 나이에 좌우되지는 않지만, 대부분의 북미 의사들은 레지던트 훈련 후인 30 대 초중반 사이에 이러한 shift가 가장 자주 발생합니다. 따라서 우리는 의사들에게 PIF에 대한 장기적인 관점을 가져야합니다. 일반 인구의 많은 성인들이 케건의 청소년기 (2 단계, 13 %) 또는 초기 성인기 (3 단계, 46 %)와 1 % 미만의 단계 (5 단계 Kegan & Lahey 2009)를 벗어나 발전하지 못합니다

The distribution of the Kegan PIF stages among our students is similar to that of other age-comparable professional students (Bebeau & Monson 2012). Fully-developed professional identity is signaled by the shift from ther- to self-defined identity (stage 3–4) (Bebeau 2008). While not strictly age-dependent, this shift most often takes place at the age of early- to mid-30s – which is after residency training for most North American physicians. So we must take a long-term view of PIF in physicians. Many adults in the general population do not develop beyond the Kegan stages of adolescence (stage 2, 13%) or early adulthood (stage 3, 46%) and less than 1% achieve stage 5 (Kegan & Lahey 2009). 


그러나 의사들이 우리의 사회적 계약을 존중하기 위해 평균 성인보다 더 높은 수준에 도달해야하느냐에 대해서는 논쟁의 여지가 있습니다. 도덕적 정체성에 대한 연구에서 PIF의 후기 단계에있는 사람들은 

  • 다른 사람들에게 봉사하는 데 집중할 가능성이 높고, 

  • 관심사가 이기심에 의해 동기 부여될 가능성이 낮으며, 

  • 동료들에 의해서 효과적이라고 인식될 가능성이 높고

  • 잠재 커리큘럼(알려진 것과 실제로 가르쳐지는 것) 사이의 단절에 덜 취약합니다(Kegan & Lahey 2016).

However, it is arguable that physicians must reach higher levels than the average adult to honor our social contract. In studies of moral identity, those at later-stages of PIF are 

  • more likely to focus on service to others, 

  • less likely to articulate concerns motivated by self-interest, 

  • be perceived as more effective by peers (Kegan & Lahey 2016), and 

  • less vulnerable to the disconnect between what is taught and what is actually practiced – known as the hidden curriculum (Kegan & Lahey 2016).


일반적으로 우리 학생들은 exercise에 의해서 활성화되었고, 그들의 baseline PIF에 대해 알게되었습니다. PIF 피드백에 대한 분석적 접근과 초보자로서의 자신에 대한 인식을 가진 사람들은 (숙달 획득에 대한 기대를 포함하여) 정서적으로 긍정적 인 반응을 나타내는 경향이있었습니다. 개인화된 PIF 단계 데이터는 '프로페셔널리즘의 결여'에 초점을 맞춘 대화를 '전문적 "지혜"' 개발에 대한 숙달 접근법에 대한 대화로 확대 시켰습니다(Rees, 2005; McGaghie 2015).

In general, our students were activated by the exercise and intrigued to learn about their baseline PIF. Those with an analytical approach to their PIF feedback and an awareness of themselves as novices tended to have emotionally positive responses, including anticipation of acquiring mastery. Personalized PIF stage data expanded the conversation beyond a focus on lapses in professionalism into a conversation about a mastery approach to the development of professional “wisdom” (Rees, 2005; McGaghie 2015).



생각 지도자는 성인 발달의 선형 단계 모델이 너무 단순하다고 지적하며 (Rees 2005), 우리는 여기에 동의합니다. 우리는 의대생의 PIF가 부드럽거나 예측가능하거나 선형적인 방식으로 진행될 것으로 예상하지 않으며, 경로는 개별화되어있고, 맥락에 민감할 것이라고 생각한다. 그러나 아직 알려지지 않았기 때문에 우리가 이 연구를 한 것이다.

Thought leaders argue that linear staged models of adult development are too simplistic (Rees 2005) and we agree. We do not anticipate that PIF in medical students proceeds in a smooth, predictable, linear manner and fully anticipate it will be shown to have individualized paths and be context sensitive. But, it is not yet known, and therefore why we are pursuing this work.


예상보다 낮은 PIF 무대 점수를 받은 소수의 학생들이 실망한 것은, 이것이 평생 성장 단계가 아니라 결함이라는 인식을 반영 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입장은 학습을 방해 할 수 있습니다 (Blackwell 외. 2007). 의대생은 개인 성취도에 따라 선발되기 때문에, 개인 성취도에 중점을 둔 의대 진학이 적절합니다. 그러나 그들은 사회 계약에 의해서 정의 된 의료 전문직의 원칙과 가치에 헌신하는 방향으로 옮겨가야 한다. 이것은 실천 공동체의 구성원이 되는 복잡성을 address하겠다는 의지를 의미합니다 (Hafferty & Levinson 2008; Levinson 외 2014).

The disappointment of a small number of students receiving earlier than expected PIF stage scores may reflect their perception that this is a flaw rather than stage in life-long growth. This stance can interfere with learning (Blackwell et al. 2007). Since medical students are selected based on their individual accomplishments, it is appropriate for them to enter medical school focused on personal achievement. However, they must move on to commit to the principles and values of the medical profession as defined by our social contract. This means a commitment to addressing the complexities of being a member of the community of practice (Hafferty & Levinson 2008; Levinson et al. 2014). 


학생들이 피드백을 찾고 자신의 전문성 개발에 관한 대화에 참여하는 학습 문화를 통해서 [자신의 정체성은 완벽하거나 거의 완벽한 성취에 의해서만 보여진다로 느끼는 학생들]이 사고 방식을 바꾸는 것을 가능하게합니다. 이러한 방식으로 자기를 돌아볼 수 있는 의사들은 의료의 문화를 경쟁적 문화를 협력적 문화로 변화시키기 위해서 필요하다 (Hafferty & Castellani 2010). 왜냐하면 이러한 문화는 환자의 건강은 물론, 점점 경쟁이 치열해지는 시장에서의 조직의 생존 능력과도 연관되어 있기 때문이다(Brennan & Monson 2014).

A learning culture in which students seek feedback and engage in dialog about their professional development enables the needed shift in mindset for students who feel their identity is only reflected in perfect or near perfect achievements. Physicians capable of such introspection are needed to lead change in the culture of medical practice from competitive to cooperative (Hafferty & Castellani 2010), because such a culture is associated with improved outcomes for both the health of patients and organizations’ ability to thrive in an increasingly competitive marketplace (Brennan & Monson 2014).



Conclusions


전통적으로 의학 전문 직업에 대한 가르침은 미덕, 성격 "특성"및 예상되는 행동에 초점을두고 있습니다. 수십 년 동안 우리는 전문성의 행동적 징후를 해체하고 측정 가능한 역량을 생성해냈다 (Irby & Hamstra 2016). 도덕적 추론과 전문적인 가치에 헌신하는 능력이 강할수록 medical trainee는 전문성의 결여를 초래할 수있는 상황 요인 (예 : 피로, 모호함, 정서적 스트레스)에 덜 susceptible해질 수 있다. 성격 및 행동 관점에, 심리적 발달적 구조를 추가함으로써, 우리는 직업적 정체성과 전문성을 이해할 수 있으며, 더 중요한 것은 학생이 어떻게 "의사처럼 생각하고 행동하고 느끼는"과정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가를 학습 할 수 있습니다 (Cruess et al., 2014).


Traditionally, teaching about medical professionalism is focused on virtues, character “traits”, and expected behaviors. Over several decades, we have deconstructed the behavioral manifestations of professionalism and created measurable competencies (Irby & Hamstra 2016). A strong capacity for moral reasoning and commitment to professional values makes medical trainees less susceptible to situational factors (e.g. fatigue, ambiguity, emotional stress), which may cause lapses in professionalism. By adding a psychological development framework to character and behavior perspectives, we can better understand professional identity and professionalism and, more importantly, how the students themselves can influence the process of being able to “think, act, and feel like a physician” (Cruess et al. 2014).


Glossary


전문직 정체성 형성

Professional Identify Formation: 


Medical professional identify formation (PIF) is both a process of personal development and a social construction and has long been claimed to be the fundamental goal of the learning process in medical education (Cooke et al. 2010). 

  • In 1957, Merton stated that the task of medical education is to provide the medical trainee “with a professional identity so that he comes to think, act, and feel like a physician” (as quoted by Cruess et al. (2016), italics theirs).” 

  • It has been further defined as an ongoing, self-reflective process aimed at developing habits of “thinking, feeling and acting” that allow learners to be compassionate and socially responsible physicians (Cooke 2010 quoting Ware and Castelini 2000). 

A staged, developmental framework for PIF has been applied in health professions education (Bebeau & FaberLangendoen 2014). There is an enthusiastic dialog in the medical education literature about whether PIF can be measured. And it was recently proposed that we add PIF to the tip of Miller’s Pyramid for the assessment of clinical competence and performance (Cruess et al. 2016).


Bebeau MJ, Faber-Langendoen K. 2014. Remediating lapses in professionalism. In: Kalet A, Chou C, editors. Remediation in medical education. New York: Springer; p. 103–127. XXX


McGaghie WC. 2015. Mastery learning: it is time for medical education to join the 21st century. Acad Med. 90:1438–1441.


Goldie J. 2012. The formation of professional identity in medical students: considerations for educators. Med Teach. 34:e641–e648.


Wynia MK, Papadakis MA, Sullivan WM, Hafferty FW. 2014. More than a list of values and desired behaviors: a foundational understanding of medical professionalism. Acad Med. 89:712–714.









 2017 Mar;39(3):255-261. doi: 10.1080/0142159X.2017.1270437. Epub 2016 Dec 30.

Measuring professional identity formation early in medical school.

Author information

1
a Division of General Internal Medicine and Clinical Innovation , New York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 New York , NY , USA.
2
b New York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 New York , NY , USA.
3
c Monson Consulting and Evaluation , Minneapolis , MN , USA.
4
d Department of Education , Georgian Court University , Lakewood , NJ , USA.
5
e Department of Medical Education , University of Illinois College of Medicine , Chicago , IL , USA.

Abstract

AIM:

To assess the feasibility and utility of measuring baseline professional identity formation (PIF) in a theory-based professionalism curriculum for early medical students.

METHODS:

All 132 entering students completed the professional identity essay (PIE) and the defining issues test (DIT2). Students received score reports with individualized narrative feedback and wrote a structured reflection after a large-group session in which the PIF construct was reviewed. Analysis of PIEs resulted in assignment of a full or transitional PIF stage (1-5). The DIT2 score reflects the proportion of the time students used universal ethical principles to justify a response to 6 moral dilemma cases. Students' reflections were content analyzed.

RESULTS:

PIF scores were distributed across stage 2/3, stage 3, stage 3/4, and stage 4. No student scores were in stages 1, 2, 4/5, or 5. The mean DIT2 score was 53% (range 9.7?76.5%); the correlation between PIF stage and DIT score was ρ =  0.18 (p = 0.03). Students who took an analytic approach to the data and demonstrated both awareness that they are novices and anticipation of continued PIF tended to respond more positively to the feedback.

CONCLUSIONS:

These PIF scores distributed similarly to novice students in other professions. Developmental-theory based PIF and moral reasoning measures are related. Students reflected on these measures in meaningful ways suggesting utility of measuring PIF scores in medical education.

PMID:
 
28033728
 
DOI:
 
10.1080/0142159X.2017.1270437


헬스케어와 교육에서 비판적 사고(BMJ, 2017)

Critical thinking in healthcare and education


Critical thinking is just one skill crucial to evidence based practice in healthcare and education, write

Jonathan Sharples and colleagues, who see exciting opportunities for cross sector collaboration


Jonathan M Sharples professor 1, Andrew D Oxman research director 2, Kamal R Mahtani clinical

lecturer 3, Iain Chalmers coordinator 4, Sandy Oliver professor 1, Kevan Collins chief executive 5,

Astrid Austvoll-Dahlgren senior researcher 2, Tammy Hoffmann professor 6


1EPPI-Centre, UCL Department of Social Science, London, UK; 2Global Health Unit, Norwegian Institute of Public Health, Oslo, Norway; 3Centre

for Evidence-Based Medicine, Oxford University, Oxford, UK; 4James Lind Initiative, Oxford, UK; 5Education Endowment Foundation, London, UK;

6Centre for Research in Evidence-Based Practice, Bond University, Gold Coast, Australia



비판적 사고, 즉 무엇을해야할지, 무엇을 믿어야하는지 명확하고 합리적으로 생각하는 능력은 의학 실습에 필수적입니다. 이 점에 대해 논쟁 할 의사는 거의 없습니다. 그러나 최근까지 영국의 보건 당국, General Medical Council 및 북미 지역의 유사한 기구들은 면허 및 인정 기준의 어디에서도 "비판적 사고"를 언급하지 않았으며, 보건전문직을 대상으로 한 대부분의 교육 프로그램에서 비판적 사고를 명시 적으로 가르치거나 평가하지 않았습니다 

Critical thinking, the ability to think clearly and rationally about what to do or what to believe, is essential for the practice of medicine. Few doctors are likely to argue with this. Yet, until recently, the UK regulator the General Medical Council and similar bodies in North America did not mention “critical thinking” anywhere in their standards for licensing and accreditation,1 and critical thinking is not explicitly taught or assessed in most education programmes for health professionals.2



또한 PubMed가 색인 한 2800 개 이상의 기사가 제목이나 초록에 "비판적인 사고"를 가지고 있지만 대부분은 간호에 관한 것입니다. 우리는 임상의와 환자가 비판적으로 생각하는 것을 배우는 것이 중요하며이 기술의 가르침과 학습이 명시 적으로 고려되어야한다고 주장합니다. 폭 넓은 교육을 통한 비판적 사고에 대한 공통된 관심을 감안할 때, 우리는 왜 헬스케어 및 교육 전문가와 연구자가 사람들이 평생 동안 건강 선택에 대해 비판적으로 생각할 수 있도록 협력해야하는지를 강조하고자 한다.

Moreover, although more than 2800 articles indexed by PubMed have “critical thinking” in the title or abstract, most are about nursing. We argue that it is important for clinicians and patients to learn to think critically and that the teaching and learning of these skills should be considered explicitly. Given the shared interest in critical thinking with broader education, we also highlight why healthcare and education professionals and researchers need to work together to enable people to think critically about the health choices they make throughout life.


Essential skills for doctors and patients


교육에서 비판적 사고는 새로운 개념이 아닙니다. 지난 세기 초, 미국 교육 개혁가 인 존 듀이 (John Dewey)는 학생들이 "잘 생각하도록"도울 필요성을 확인했습니다.

Critical thinking is not a new concept in education: at the beginning of the last century the US educational reformer John Dewey identified the need to help students “to think well.”3


비판적 사고는 다음과 같은 광범위한 기술과 처분을 포함합니다.

  • 인지 기술 (예 : 분석, 추론, 자기 조절);

  • 구체적인 질문이나 문제에 대한 접근(질서, 근면, 합리성); 과

  • 일반적인 삶에 대한 접근 방식 (탐구심, 좋은 정보에 대한 관심, 개방적 마음).


Critical thinking encompasses a broad set of skills and dispositions, including 

  • cognitive skills (such as analysis, inference, and self regulation); 

  • approaches to specific questions or problems (orderliness, diligence, and reasonableness); and 

  • approaches to life in general (inquisitiveness, concern with being well informed, and open mindedness).4


점점 더 많은 증거들이 비판적 사고 능력 개발은 학문적 결과뿐만 아니라 더 광범위한 추론과 문제 해결 능력에 도움이 될 수 있음을 강조합니다 .5

An increasing body of evidence highlights that developing critical thinking skills can benefit academic outcomes as well as wider reasoning and problem solving capabilities.5


의학에서 지난 40 년 간 "비판적 평가"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었습니다. 비판적 평가는 의료분야의 결정을 연구 증거를 어떻게 이용할지에 중점을 둔 것으로, 비판적 사고의 하위 집합입니다 .7-9 의학에서 비판적 평가에 대한 필요성은 적어도 75 년 전에 인식되었으며, 수십년간 비판적 평가는 의료 전문가를위한 필수 역량으로 인식되어왔다.11 GMC의 GMP에는 의사가 "가장 유용한 증거를 기반으로 효과적인 치료를 제공하는 능력"의 필요성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In medicine, increasing attention has been paid to “critical appraisal” in the past 40 years. Critical appraisal is a subset of critical thinking that focuses on how to use research evidence to inform health decisions.7-9 The need for critical appraisal in medicine was recognised at least 75 years ago,10 and critical appraisal has been recognised for some decades as an essential competency for healthcare professionals.11 The General Medical Council’s Good Medical Practice guidance includes the need for doctors to be able to “provide effective treatments based on the best available evidence.”12


환자와 대중이 정보에 입각 한 건강 선택을해야 한다면, 건강과 관련한 여러 주장과 정보의 신뢰성을 평가할 수 있어야합니다. 이것은 대부분의 사람들이 어려워하는 것입니다. 점차 환자가 자신의 건강을 관리하고 결정을 내리는 데있어서 더 큰 역할을 담당하고 있으며, 동시에 점점 더 많은 건강 정보에 대처하는 것이 요구되기 때문에 점점 더 중요 해지고 있습니다. .

If patients and the public are to make well informed health choices, they must also be able to assess the reliability of health claims and information. This is something that most people struggle to do, and it is becoming increasingly important because patients are taking on a bigger role in managing their health and making healthcare decisions,13 while needing to cope with more and more health information, much of which is not reliable.14-17


비판적 사고 가르치기

Teaching critical thinking


비록 비판적 사고 기술이 의학 교육의 기준에서 제한적으로나마 명시적인 관심을 받고 있지만, 많은 국가의 초등 및 중등 학교를위한 국가 교과 과정을위한 대부분의 프레임워크는 비판적 사고를 주요 역량으로 포함하고 있다.18 그럼에도 불구하고 많은 보건교육과 과학교육, 그리고 일반교육에서는 여전히 비판적 사고의 촉진보다는 기계적 학습으로 나아가는 경향이있다 .19) 많은 경우 비판적 사고 능력은 의사 결정과 관련된 필수적인 기술이기 때문에 중요하다. 비판적으로 생각할 수있는 능력은 다른 여러가지와 마찬가지로 학교와 가정에서 개발됩니다. 자녀에게 자신이 무엇을 하고 있는지에 대해 생각하고 이야기하도록 격려받는 가정에서 자라난 학생들에게 이점이 있다. 특히 이것은 단순히 과제를 완료하는 것을 넘어, 학습 과정을 더 깊이 이해하는 것이다. 따라서 [불우한 지역 사회의 어린이들]과 [애초에 더 유리한 학생들] 사이의 '비판적 사고 차이'에 가능한 한 일찍 주목해야합니다.

Although critical thinking skills are given limited explicit attention in standards for medical education, they are included as a key competency in most frameworks for national curriculums for primary and secondary schools in many countries.18 Nonetheless, much health and science education, and education generally, still tends towards rote learning rather than the promotion of critical thinking.19 20 This matters because the ability to think critically is an essential life skill relevant to decision making in many circumstances. The capacity to think critically is, like a lot of learning, developed in school and the home: parental influence creates advantage for pupils who live in homes where they are encouraged to think and talk about what they are doing. This, importantly, goes beyond simply completing tasks to creating deeper understanding of learning processes. As such, the “critical thinking gap” between children from disadvantaged communities and their more advantaged peers requires attention as early as possible.


어른에게도 비판적 사고를 가르치는 것이 가능하지만, 초등학교부터 초기 교육 환경에서부터 이것을 다루면 생산성이 향상 될 것입니다. 어린 시절에 개발 된 잘못된 믿음, 태도 및 행동은 나중에 변경하기가 어려울 수 있습니다. 22 22 이것은 의학 교육 및 보건 전문가에게도 적용됩니다. 비판적 사고 기술을 배우기 위한 토대가 없거나 이를 위한 충분한 시간을 갖지 않으면 이러한 기술을 가르치는 것이 점점 어려워집니다.

Although it is possible to teach critical thinking to adults, it is likely to be more productive if the grounds for this have been laid down in an educational environment early in life, starting in primary school. Erroneous beliefs, attitudes, and behaviours developed during childhood may be difficult to change later.21 22 This also applies to medical education and to health professionals. It becomes increasingly difficult to teach these skills without a foundation to build on and adequate time to learn them.


보건 교육 및 의학 교육에서, 학생들에게 비판적 사고를 가르치는 것을 평가해왔다. 과학, 기술, 공학 및 수학 분야; 연구에 따르면, 비판적 사고 기술은 가르칠 수 있으며, 비판적 사고를 명시적으로 가르치지 않는다면, 학생들이 sound judgement를 내리는 데 중요한 결함이 발생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보건분야 연구에서, 많은 의대 학생들은 비판적 사고 능력을 측정하는 시험에서 낮은 점수를 받고 있으며, 비판적 사고 능력은 학업 성공과 관련이 있습니다 .24 25

Strategies for teaching students to think critically have been evaluated in health and medical education; in science, technology, engineering, and maths; and in other subjects.23 These studies suggest that critical thinking skills can be taught and that in the absence of explicit teaching of critical thinking, important deficiencies emerge in the abilities of students to make sound judgments. In healthcare studies, many medical students score poorly on tests that measure the ability to think critically, and the ability to think critically is correlated with academic success.24 25


의학에서 비판적 사고를 가르치는 전략에 대한 평가는 주로 근거-기반 의료의 한 부분으로서 비판적 평가 기술에 중점을 둬왔다. 이러한 연구에 대한 체계적인 문헌고찰을 살펴보면, EBM 역량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평가를 비롯하여 다면적인, 임상적으로 통합된 접근법을 요구한다.

Evaluations of strategies for teaching critical thinking in medicine have focused primarily on critical appraisal skills as part of evidence based healthcare. An overview of systematic reviews of these studies suggests that improving evidence based healthcare competencies is likely to require multifaceted, clinically integrated approaches that include assessment.26


분야 간 협력

Cross sector collaboration


Informed Health Choices, an international project aiming to improve decision making, shows the opportunities and benefits of cross sector collaboration between education and health.27 This project has brought together people working in education and healthcare to develop a curriculum and learning resources for critical thinking about any action that is claimed to improve health. It aims to develop, identify, and promote the use of effective learning resources, beginning at primary school, to help people to make well informed choices as patients and health professionals, and well informed decisions as citizens and policy makers.



비판적 사고를 추상적으로 가르치는 것은 어렵다. 따라서 건강에 초점을 맞추는 것이 대중의 health literacy를 높이는 것을 넘어서는 이점을 얻을 수 있습니다. 어린이를 포함하여 거의 모든 사람은 건강에 관심을 가지기 때문에, 학습자 참여를 쉽게 만듭니다. 또한 건강은 학생들과 즉각적으로 관련이 있습니다. 한 학교에서 10 살짜리 한 사람이보고 한 바와 같이, 이것은 "나중에 사용할지도 모르지만, 막상 그 때에는 다 잊어버릴 내용이 아니라, 실제로 사용할 내용을 가르치는 것"을 다룬다.


It is difficult to teach critical thinking abstractly, so focusing on health may have advantages beyond the public health benefits of increasing health literacy.36 Nearly everyone is interested in health, including children, making it easy to engage learners. It is also immediately relevant to students. As reported by one 10 year old in a school that piloted primary school resources, this is about “things we might actually use instead of things we might use when we are all grown up and by then we’ll forget.”



비판적 사고를 넘어서

Beyond critical thinking


의료계와 교육계 간 교차 섹터 공동 작업을위한 흥미로운 기회가 생겨나고 있습니다. 비판적 사고가 이것의 유용한 예이지만, 다른 주제는 영양, 운동, 교육 신경 과학, 학습 장애 및 특수 교육 요구, 정신 건강을 포함한 교육 및 보건 영역을 횡단합니다.

Exciting opportunities for cross sector collaboration are emerging between healthcare and education. Although critical thinking is a useful example of this, other themes cross the education and healthcare domains, including nutrition, exercise, educational neuroscience, learning disabilities and special education needs, and mental health.



교육자와 건강 간의 공동 작업의 또 다른 예

Another example of joint working between educators and health is the Best Evidence Medical Education Collaboration, an international collaboration focused on improving education of health professionals.38 And in the UK, the Centre for Evidence Based Medicine coordinates Evidence in School Teaching (Einstein), a project that supports introducing evidence based medicine as part of wider science activities in schools.39 It aims to engage students, teachers, and the public in evidence based medicine and develop critical thinking to assess health claims and make better choices.



협업은 또한 사람들이 공정한 공정 비교를 이해하도록 돕기 위해 고안된 자원 인 CARL (Critical Thinking and Appraisal Resource Library)의 개발에 중요합니다.

Collaboration has also been important in the development of the Critical Thinking and Appraisal Resource Library (CARL),40 a set of resources designed to help people understand fair comparisons of treatments.



4 Facione PA. Critical thinking: a statement of expert consensus for purposes of educational assessment and instruction. Research findings and recommendations. American Philosophical Association, 1990, http://files.eric.ed.gov/fulltext/ED315423.pdf.




 2017 May 16;357:j2234. doi: 10.1136/bmj.j2234.

Critical thinking in healthcare and education.

Author information

1
EPPI-Centre, UCL Department of Social Science, London, UK Jonathan.Sharples@eefoundation.org.uk.
2
Global Health Unit, Norwegian Institute of Public Health, Oslo, Norway.
3
Centre for Evidence-Based Medicine, Oxford University, Oxford, UK.
4
James Lind Initiative, Oxford, UK.
5
EPPI-Centre, UCL Department of Social Science, London, UK.
6
Education Endowment Foundation, London, UK.
7
Centre for Research in Evidence-Based Practice, Bond University, Gold Coast, Australia.
PMID:
 
28512135


의과대학생의 정체성 형성: 의학교육의 교육적 과제(Teach Learn Med, 2013)

Professional Identity in Medical Students: Pedagogical Challenges to Medical Education

Ian Wilson

Medical Education, University of Western Sydney School of Medicine, Campbelltown, Australia

Leanne S. Cowin

University of Western Sydney School of Nursing and Midwifery, Campbelltown, Australia

Maree Johnson

Centre for Applied Nursing Research, University of Western Sydney School of Nursing and Midwifery,

Campbelltown, Australia

Helen Young

Department of English, Western Sydney Australia, Penrith, Australia





도입

INTRODUCTION


의사가 자신을 의사라고 생각하는 전문직 정체성의 발달은 의학 교육 과정에서 기술과 지식을 습득하는 것만큼이나 중요하기 때문에 중요합니다 .1,2 광범위하게 말하면 직업 의식은 "스스로를 worker로 의식적으로 인식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는 직업의 성공, 심리적 건강, 사회 적응과 관련이있다. [3]

The development of a professional identity—how a doctor thinks of himself or herself as a doctor—is so important that it is as essential as acquiring skills and knowledge during medical education.1,2 Broadly speaking, occupational identity “refers to the conscious awareness of oneself as a worker” and is linked to career success, psychological health, and social adjustment.3


지난 10 년 간 이루어진 정책 및 연구 활동의 상당 부분은 의사의 행동인 프로페셔널리즘에 중점을두고 있으며, 긍정적 성과를 위해서 의과 대학생들에게 이것을 어떻게 교육할 것인가를 다루고 있다. 전문직 정체성은 비교적 적은 관심만을 받았습니다.

Much of the policy and research work done in the past decade or so focuses on professionalism—the behavior of doctors—and howto educate medical students for positive outcomes in this area .Professional identity has received comparatively little attention.



프로페셔널리즘과 전문직 정체성

PROFESSIONALISM AND PROFESSIONAL IDENTITY


그러나 프로페셔널리즘은 전문직 정체성과 동일하지 않다. 전문직 정체성은 개인이 의사로서 자신을 어떻게 생각하는지에 대한 것이며, 프로페셔널리즘은 전문가의 행동을 나타내는 것과 관련되고, 여기에는 의사의 경우 윤리, 전문 지식 및 서비스가 포함됩니다. Coulehan16 (p895)은 전문직 정체성은 "훌륭한 의사가 무엇을 의미하는지, 그리고 의사가 어떻게 행동해야하는지에 대한 한 사람의 해석을 나타냅니다"라고 주장했다.

Professionalism, however, is not the same construct as professional identity. Professional identity is how an individual conceives of himor herself as a doctor, whereas professionalism involves being and displaying the behavior of a professional;15 in the case of doctors this includes ethics, expertise, and service. Coulehan16(p895) argued that professional identities “represent the physician’s interpretation of what being a good doctor means and the manner in which he or she should behave.” 


  • Skorikov와 Vondracek에 따르면 전문직 정체성은 "개인이 자신의 동기와 능력을 수용 할 수있는 직업의 역할과 연결시키는 의미의 복잡한 구조"로 표현됩니다. 3 (p694) 

  • 카네기 재단의 의학 교육에 대한 최근의 리뷰는 "전문직 정체성 형성, 즉 전문적인 가치, 행동, 열망의 개발이 의학교육의 중추가 되어야 한다"고 주장한다. 17 

  • 다른 연구에서 전문직 정체성 형성은 "사고, 감정, 행동의 습관을 수반하는 계속적이고 자기성찰적인 과정"18) (p603)

  • According to Skorikov and Vondracek, a professional identity is represented by a “complex structure of meanings in which the individual links his or her motivation and competencies with acceptable career roles.”3(p694) 

  • A recent review of medical education by the Carnegie Foundation, Educating Physicians: A Call For Reform of Medical School and Residency, argues that “professional identity formation – the development of professional values, actions, and aspirations—should be the backbone of medical education.”17 

  • In other work the professional identity formation is a complex construct, “an on-going, self-reflective process involving habits of thinking, feeling, and acting.”18(p603)


그러한 과정은 개인의 가치관, 도덕성, 속성을 직업의 규범과 통합 할 것을 요구하며, 이것은 개인의 정체성과 직업적 자아를 통합하는 것이다 (p312)

Such a process requires the integration of personal values, morals, and attributes with the norms of the profession, that is, of the individual’s personal identity with the professional self.14(p312)


우리는 Skorikov와 Vondracek, 3 Cooke et al., 17 and Wear and Castellani, 18의 견해를 가지고 있으며, 전문 정체성의 정의에 관한 이 기사를 기반으로합니다

We have takenthe views of Skorikov and Vondracek,3 Cooke et al.,17 and Wear and Castellani,18 and based this article around a definition of Professional Identity that incorporates


• 개인이 자신의 동기와 역량을 직업과 연결시키는 데 사용하는 복잡한 구조,

• a complex structure that the individual uses to link their motivations and competencies to their career role,

• 전문적인 가치, 행동 및 열망의 개발.

• the development of professional values, actions, and aspirations, and

• 개인의 정체성에 대한 자기 성찰의 진행 과정.

• an ongoing process of self-reflection on the identity of the individual.



전문직 정체성 형성

PROFESSIONAL IDENTITY FORMATION


직업적 정체성 형성에 관한 최근의 연구는 청소년기 또는 청소년기 이전에, 즉 직업 별 교육이 시작되기 전에이 과정이 시작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19,19 연구에 따르면 의대생은 교육을 받기 전에 미래의 전문 자아를위한 토대를 마련한다. 예를 들어 2000 년대 중반의 전임상 프로그램 학생들은 교육을 시작할 때 자신의 배경, 경험 및 가치가 자신의 직업적 자아에 영향을 주었다고 느꼈다. 반면에 의대생은 법대생보다 해당 직종의 가족 구성원이 두 배나 많았다. 우리는 또한 의료 텔레비전 드라마가 의학 개업의가 무엇인지에 대한 학생들의 이해에 영향을 미친다고 추측한다. 이것들이 전문직 정체성 형성의 과정을 시작할 것이다.

Recent work on occupational identity formation suggests that the process may begin during or even before adolescence, that is, before career-specific education begins.3,19 Research suggests that medical students lay some foundations for their future professional selves before entering education. For example, students in a preclinical program in the mid-2000s felt that their backgrounds, experiences and the values they had when starting their education influenced their professional selves,20 whereas medical students were twice as likely as law students to have a family member already in the profession.21 We also surmise that medical television dramas have an impact on the students understanding of what a medical practitioner does, and this will commence the process of professional identity formation.22


수년간의 교육은 개인의 전문적 정체성을 개발하는 데에도 중요합니다. 왜냐하면 이 시기에 전문직으로의 전환이 일어나기 때문입니다 .23 교육 시스템 내에서의 학생들의 경험이 자신의 전문적 정체성에 영향을 미치고, "의료 훈련에 사용 된 모델은 의사가 전문직을 내면화하는 방법에 큰 영향을 미칩니다."24 (p1154), 25 의료 전문가로서의 생각, 행동 또는 행동은 명확한 목표없이 성공적으로 가르치거나 배울 수 없습니다 .26 이러한 목표는 의사에게 있어서 의료 전문직이 된다는 것이 어떤 의미인지에 대한 포괄적인 정의 없이는 identify 할 수 없습니다 

The years of education are also crucial to the development of an individual’s professional identity because it is during this period that the transition to a professional takes place.23 It has long been recognized that students’ experience within the educational system impacts on their professional identity—“the model used in medical training significantly affects how physicians internalize professional roles.”24(p1154),25 How to be, think, or act as a medical professional cannot be taught or learned successfully without clear goals.26 Such goals cannot be identified without an overarching definition of what being a medical professional (of a particular kind) means to a doctor.



전문직 개발에 대한 사회 문화적 이론은 전문직 정체성 개발에 대한 사회화의 영향을 이해할 수있는 견고한 토대를 제공합니다. Mann은 "직업적 정체성은 개인적이고 사회적인 과정이다"라고 주장했다. 광범위하게 보면, 직업적 자아에 대한 맥락을 제공하는 [사회적 관계와 조직 및 제도적 구조로부터 전문적 정체성을 형성하는 과정]이 사회화이다. 

The sociocultural theory of professional development provides a solid basis for understanding the impact of socialization on the development of professional identity. Mann argued that “professional identity is both a personal and social process.”23(p64) The process of assembling one’s professional identity from the social relationships and organizational and institutional structures that provide context to the professional self is broadly known as socialization.19 


한 개인이 공동체에 들어갈 때에는 가장자리에서부터 들어가게 되며, 다른 의료전문직 및 보건의료전문직과의 engagement를 점차 늘려간다. 이 과정에서 환자 돌봄에 대한 책임이 점차 증가하고, "기술, 규범, 문화와 커뮤니티의 가치 등을 습득해나간다". 이것은 "실천공동체"의 개념을 반영하며, 의사 및 간호사의 전문직 정체성 탐구에 유용한 것으로 밝혀진 바 있다.

An individual enters such a community at the edge and through a process of increasing engagement with other medical professionals and health professionals with increasing responsibility for patient care he or she “assumes and acquires the skills, norms and values of the culture and community.”23(p64) This reflects the concept of “communities of practice,”27 which has proven useful in the exploration of professional identity construction among doctors23(pp64–65) and nurses.28,29


의대생이 실천 공동체의 "가장자리"에서 "중심"으로 이동함에 따라 "낮은 책임감에서 높은 책임 성으로 등급이 부여 된 기여"를 제공하고 "전문적 정체성에 대한 인식을 높입니다."23,30 (p863) 학생들은 훈련 초기에 의미있는 공헌을 할 수 있다고 느끼지 않기 때문에, 진정한genuine 기분이 들지 않는다고보고했습니다. 그러나 그들은 "일대일 방식으로 상호 작용할 때"팀 멤버 "로서 더 많은 수석 팀원들과 정체성을 형성하고 환자 치료에 도움을 줄 수있었습니다 .31 (p87) 커뮤니티 내의 다른 사람들로부터의 지원은 이 과정에서 핵심 요소이며, 이와 더불어 피드백과 자신감의 개발과 유지가 필수적인 지원이다.

As a medical student moves from the “edge” toward the “center” of a community of practice he or she “offers graded contributions from low to high accountability” and “develops a heightened sense of professional identity.”23,30(p863) Students reported that early in their training they did not feel like they could make a valuable contribution and thus did not feel genuine; however, they could “develop an identity as a ‘member of the team’ when they interacted on a one-to-one basis” with more senior team members and helped with patient care.31(p87) Support from others within the community is a key factor in this process, with feedback and the development and maintenance of self-confidence being essential supports.30,31



임상 세팅은 의대생이 전문가로서 자신의 이미지를 개발하는 데 매우 중요합니다 .23) 

  • 한 연구에 따르면, 학생들이 미래의 의사로서의 스스로를 개념화하는 것은 환자 접촉과 함께 빠르게 진화했습니다. 조기에 그들은 자신감이 없었지만, 이것은 변화하여 임상 배치 1 학년이 끝날 때 환자와의 상호 작용에있어 믿을만하고 편안함을 느꼈습니다 .33 

  • 임상 환경의 조직적organizational 측면은 의대생의 정체성 개발에 심각한 어려움을 줄 수 있습니다. 왜냐하면 학생들은 위계 속에 어떻게 스스로를 맞춰야 하는지를 배워야 했으며, "개인의 도덕적 가치와 성실성을 지닌 유익한 전문가로서의 자기 평가"를 유지하면서 동시에 실용적인 보건 의료의 협박stricture에 대처하는 법을 배워야 했기 때문이다.34)

Clinical settings are very significant to medical students’ development of images of themselves as professionals.23,31,32 

  • According to one study students’ concepts of themselves as future doctors evolved quickly as they came into contact with patients. Early on they were not confident, but this changed so that they felt credible and comfortable in their interactions with patients by the end of their 1st year of clinical placement.33 

  • The organizational aspects of clinical settings can pose significant challenges to medical students’ identity development as they must learn to fit into the hierarchy and cope with the strictures of practical healthcare while maintaining “personal moral values and selfvaluation as a beneficent professional with integrity.”34(p49)



그러나 환자와의 상호 작용은 의대생의 전문적 정체성 개발을 복잡하게 만들 수 있습니다. 최근 연구에 따르면 1 학년 학생 중 일부는 충분한 기술과 의학 지식이 없기 때문에 환자와 의사 소통이 어려우며, 학생은 다른 정체성을 발동enact시킴에 따라 원활하지 못한 의사소통을 하게 되는 것으로 판명되었습니다 .35이 연구에서 얻은 하나의 결론은, 교육자는 의학교육의 초기 단계에서 낮은 지식수준이 전문직 정체성의 개발을 훨씬 더 복잡하고 어렵게 만들 수 있따는 것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는 것이다.

Interaction with patients, however, can also complicate medical students’ development of professional identity. A recent study revealed that some 1st-year students had difficulty communicating with patients because they did not have sufficient skills and medical knowledge, and that the students “enacted other identities,” leading to poor communication.35 One conclusion drawn from this study was that educators need to take into account the ways that low levels of knowledge in the early years of medical training can make the development of professional identity much more complex and difficult.35


환자뿐 아니라 다른 의료 전문가와의 상호 작용은 학생 의사의 전문직 정체성 형성에 결정적인 역할을합니다. 

  • 예를 들어, 학생들이 고위급 의사들과 직접 상호 작용하는 아침 보고는 과학적 접근을 강조하면서, 반대로 인본주의적인 접근을 경시하고, 기존의 위계 구조를 강화함으로써 직업적 정체성을 형성하는 담론을 배치하는 장소이다. 

  • 덜 공식적인 상호 작용도 중요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한 연구에서 주니어 의대생들은 이름이 불리거나, 시니어 스테프를 위해서 차를 만드는 것과 같은 단순한 일이 팀의 일원이라는 느낌을 촉진할 수 있다고보고했습니다 .31

Interactions with other healthcare professionals as well as patients play a crucial role in the professional identity formation of student doctors. 

  • For example, the morning report where students directly interact with more senior doctors is a locus for deploying discourses that shape professional identity by emphasising scientific and downplaying humanistic approaches as well as for reinforcing existing systemic hierarchies.36 

  • Less formal interactions can also be important; for example, in one study junior medical students reported that simple things such as being addressed by name, or making tea for a more senior staff member, could foster a sense of being part of a team.31



지난 10 년간의 연구에 따르면 사회화를 통한 신념과 행동의 변화는 한 개인이 일반인에서부터 의료 전문가로 변모하는 과정에서 요소입니다. 롤모델링은 사회화의 한 방법입니다. "직업 정체성은 그것의 형성을 둘러싼 대인 관계 시스템의 변화에 의해 형성된다."3) (p696) 롤모델은 학생의 직업적 정체성의 발전에 큰 영향을 미칠 수있다. Baernstein 등 20)은 긍정적 롤모델은 의사 훈련의 직업적 정체성을 형성하는 데있어 가장 중요한 요소였습니다. 강력하고 긍정적 인 역할 모델은 의대생의 심리적 웰빙의 핵심으로 확인되었으며, 학생들은 자신과의 관계를 형성해야합니다 .34 역할 모델은 시니어 의사 외에도 "학생, 거주자, 교수진, 간호사 및 다른 팀원들 "34 (p47)이 있다.

Studies in the last decade have demonstrated that changing beliefs and behaviours through socialization is a key element in an individual’s development from layperson to medical professional.4,37 Role modeling is one method of socialization. “Occupation identity is shaped by the changing system of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round which it is constructed.”3(p696) Role models can have a major impact on the development of a student’s professional identity.38,39 Baernstein et al.20 demonstrated that positive role models were the most important factor in shaping the professional identity of doctors in training. Strong, positive role models have been identified as key to the psychological well-being of medical students, and students must form relationships with themto succeed.34 Role models are not just more senior doctors but might also be “students, residents, faculty members, nurses, and other team members.”34(p47)



그러나 현대 의학의 학생들이 살고 배우고 일하는 세상의 지속적 변화는 교육 모델로서의 역할 모델링의 지속적인 효과에 대한 우려를 제기했다. 예를 들어, Steinert et al. (40)은 주니어 학생과 시니어 스탭 사이의 차이점이 일반적인 의학적 가치에 의해 무시 되었기 때문에 역할 모델링이 성공적이라고 주장했다. 그들은 역할 모델링만으로는 불충분하며, 의대생 교육의 전반적인 접근 방식에 있어 명백한 커리큘럼과 교육 환경의 변화가 이루어져야한다고 결론 지었다.

The changing world in which contemporary medical students live, learn, and will work has, however, raised some concerns about the continued efficacy of role-modeling as a pedagogical tool. Steinert et al.,40 for example, argued that role-modeling was successful because differences between junior students and senior staff were overridden by common medical values. They concluded that role-modeling is as a result insufficient and that both explicit curricula and changes to educational environments should be made in an overall approach to teaching medical students.



Gleeson에 따르면, 의학 교육을 통한 성찰 기회는 전문직 실천professional practice에 대처할 수있는 학생들의 능력을 개발하는 데 중요합니다. 그는 현대의 교육 과정이 역량에 너무 집중한 나머지 의사가되기위한 다른 측면을 희생하고 있다고 주장했습니다. 경력 개발에서의 성찰과 토론의 중요한 역할은 여러 다른 연구에서 인정되었다. 38,42,43

Opportunities for reflection throughout medical education are significant in developing students’ capacities to cope with professional practice according to Gleeson.41 He argued that contemporary curricula can focus too much on competency at the expense of other aspects of becoming a doctor. The critical roles of reflection and discussion in career development have been recognized in a number of other studies.38,42,43



개개인은 스스로의 전문직 자아 형성의 능동적 참여자이다. 그리고 Baernstein 외 20 명의 연구 결과는 의대생이 다른 전문가와 마찬가지로 그렇다는 것을 보여줍니다. 직업적 정체성의 형성에있어서 개인의 적극적인 참여를 인정하고 지시하는 한 가지 교육적 접근은 내러티브 성찰이다. 네러티브 정체성은 "사람이 자신의 삶에서 의미와 의미를 이루기 위해 구성한 내면화되고 진화하는 이야기"입니다. 교육적 맥락에서 서술은 외면화될 수 있으며, 이는 의사 연수생이 내러티브를 통해 자신의 경험의 이야기를 narrative enquiry를 통해 "tell and retell" 하도록 한다. 임상교육에서 개인의 생각, 행동, 경험에 대한 토론을 한다면, 자기 반성을 통해 "의사로 살 수있는 자신의 이야기"를 개발할 수 있습니다.

The individual is an active participant in the construction of their professional self,44 and Baernstein et al.’s20 findings show this is the case for medical students as for other professionals. One pedagogical approach that acknowledges and indeed fosters the active participation of the individual in the creation of their professional identity is narrative reflection. Narrative identity is the “internalized and evolving story of the self that a person constructs to make sense and meaning out of his or her life.”45 In an educational context narratives can be externalized, allowing trainee doctors to “tell and retell, through narrative enquiry, the story of their experiences.”46(p766) Discussion of an individual’s thoughts, actions, and experiences within their academic and clinical education allows that person to develop “their own stories by which to live as doctors” through self-reflection.46(p766)




전문직 정체성 발달의 과제

CHALLENGES TO THE DEVELOPMENT OF PROFESSIONAL IDENTITY


의사의 전문직 정체성은 "의사-치료자의 사회적 역할"에 의해 형성되며, 이것은 의사가 누구이고 의사가 무엇인지에 대한 사회적, 문화적 기대에 의해 형성되는 것이다. 또한 의학교육을 받는 기간동안 이러한 기대치와 개인의 가치관 및 정체성을 통합하는 것은 의대생이 직면하는 주요 도전 과제 중 하나입니다.

Doctors’ professional identities are shaped by “the social role of physician-healer” that is, by social and cultural expectations of who and what a doctor should be, and consolidating these expectations with personal values and identityis one of the major challenges facing medical students throughout their training


의대생들은 빠르면 1학년 초부터 전문직 정체성에 대한 확신 부족으로 어려움을 겪기도 한다. 의대생들은 자신의 능력에 대한 자신감이 낮은 것으로부터 어려움을 겪기도 하는데, 이러한 suffer는 학생 주변의 사람들(환자, 간호사)이 학생을 점점 의사로 보게 됨에 따라서 더 심해진다. 최근의 한 연구에 참여한 학생들은 다른 전문가들, 특히 간호사들과의 부정적인 상호 작용이 '낙인찍힘'의 느낌으로 남을 수 있다고 보고했습니다 .31 실패에 대한 두려움이 스트레스의 원천이 될 수 있지만, 연구에 따르면 정체성의 실질적 위기, 즉 학생의 행동이 실제 자기의 모습과 자신과 일치하지 않는 것은 변화의 필요성과 기회를 보여줌으로써 긍정적 전문직 정체성을 위한 기회를 제공 할 수 있다고 제안합니다 .48

Medical students may suffer from lack of certainty about their professional identities as early as the 1st year of their training.31,47 They can also suffer from low confidence about their abilities, a concern that may increase as others around them—for example, patients and nurses—increasingly identify them as doctors.33,34,48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one recent study reported that negative interactions with other professionals, particularly nurses, could leave them feeling stigmatized.31 Although fear of failure can be a source of stress for medical students, some work suggests that actual crises of identity, instances where a student’s actions do not match who they are, can offer opportunities for positive professional identity by demonstrating both need and opportunity to change.48


의학 교육에서는 점차 이론을 실제를 연결할 필요성이 높아지고 있다. 이론과 실제 사이의 불일치는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이른바 잠재 커리큘럼을 다루는 것은 의학 교육에 대한 최근 논의에서 주요한 주제이다. 37,49,50 한 연구에서 예를 들어, 3 학년 학생들은 감독자 보여주는 행동이 학생들이 실제로 배운 환자-중심적 가치와 상충함을 보고했다.51 이러한 갈등은 어떤 경우에는 힘을 잃고 좌절감을 느끼게 만들었습니다. Coulehan과 Williams는 전통적인 의학적 가치를 강조하는 서류상의 교육과정은 "환자와의 거리두기, 자기 이익과 객관성의 윤리"를 가르치는 잠재 커리큘럼에 의해 크게 훼손되었다고 주장했다 .52 (p598)

The need to connect theory with practice is an increasingly recognized aspect of medical education. Disjunctions between the two can have negative effects and addressing the so-called hidden curriculum is a major theme in recent discussions of medical education.37,49,50 In one study, for example, 3rd-year students reported that their supervisors displayed behavior that was at odds with the values of patient-centered care that they had been taught.51 This conflict, in some cases, led to the students feeling powerless and frustrated in their roles. Coulehan and Williams argued that the stated curriculum fostering traditional medical values is heavily undercut by an implied curriculum teaching “an ethic of detachment, self-interest and objectivity.”52(p598)


의과대학생의 직업적 정체성의 성숙과 관련된 문제는 다음과 같은 문제를 포함 할 수 있습니다.

  • 학생 역할로 전환,

  • 적응의 필요성,

  • 초기 적응 스트레스

  • 시험 성적 불안

  • 윤리적 및 개인적/사회적 양심에 기반한 발전 .34


The challenges involved in the maturation of the medical student’s professional identity may include issues such as 

  • transitioning to student role, 

  • the need to conform, 

  • initial fitting-in stresses, and 

  • examination performance anxieties, as well as 

  • ethical and personal/social conscience driven developments.34 


이러한 도전은 일부 학생들로 하여금 의도하지 않게 "냉소, 오만, 의료 실천으로 인한 실망감"의 측면을 키울 수 있습니다. 34 (p50) 기초 및 임상 과학의 모범적 인 프로그램 외에도, 학생들은 잘 통합 된 (스캐 폴딩 된) 교과 과정 문제 기반 학습 그룹, 소규모 그룹 작업, 멘토와 교훈 자의 사용과 같은 다양한 학습 환경에서 촉진되는 자기 성찰적이며 독창적 인 인문학이 인문학의 견고한 혼합을 통합 한 것은 과거의 저자들에 의해 제안된 바 있으며, 이는 오늘날에도 여전히 메리트를 가지고 있습니다 .42,53,54

Such challenges may lead some students to unintentionally nurture aspects of “cynicism, arrogance, and disenchantment with medical practice.”34(p50) In addition to an exemplary program of basic and clinical sciences, students require a well-integrated (scaffolded) curriculum that incorporates a solid blending of humanities, self reflective and creative work facilitated in a variety of learning settings such as Problem-Based Learning groups, small-group work, and the use of mentors and preceptors has been proposed by authors in the past and still holds merit today.42,53,54


전문직 정체성을 바꾸는 외부적 힘

EXTERNAL FORCES CHANGING PROFESSIONAL IDENTITY


의사의 전문직 정체성의 두 가지 핵심 측면은 현대의 의학 교육에서 서로 긴장감을 느낄 때가 있습니다. 테크니컬 스킬과 의사의 전통적인 돌봄 역할 .46 의료전문직의 변화하는 특성에 중요한 영향을 주는 여러 요소들은 다음과 같다 :

Two core aspects of doctors’ professional selves are at times in tension with each other in modern medical education: technical skill and the traditional role of doctor as a carer.46 A number of factors that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the changing nature of the medical profession have been identified: 

  • 의료 및 정보 기술 발전 46;
  • 언론에서의 헬스케어에 대한 관심 증가, 환자 돌봄 그리고 의사의 태도에 대한 에 대한 철학 및 관리의 변화
  • 의학의 여성화 .56
  • developments in medical and information technology46; 

  • increased attention to health care in the media, changes in the philosophy and management of patient care and in doctors’ attitudes; and 

  • the feminization of medicine.56 

이 중 많은 부분이 상호 의존적이며 중첩되어 있습니다. 예를 들어, 기술 변화를 통한 환자의 정보 접근성 증가와 치료 철학의 변화는 동시대 의학의 특징 인 환자 선택에 대한 강조를 증가시킬 수 있습니다 .5 의과대학 교육과정은 이것을 반영하기 위해 고쳐지고 고정된 지식 집합보다는 역량에 점점 더 초점을 맞추고있다.

Many of these are mutually interdependent and overlapping, for example, increased patient access to information through technological change and shifts in the philosophy of care might both lead to an increased emphasis on patient choice, which is a growing feature of contemporary medicine.5 The curricula of medical schools alter to reflect this and are increasingly focused on competency rather than fixed knowledge sets.8


의학 전문직의 정체성에 대한 기술적 변화의 효과에 대해, 개인 차원의 전문직 정체성이 끊임없이 변화하고 있음을 강조한다. Trede는 [의대생과 최근 졸업생들이 긍정적 전문적 정체성을 개발하는 가장 좋은 방법]은 정체성 형성이라는 끊임없이 지속되는 과정에 참여하는 것이며, 즉 "앎과 실천과 실천에 대하여 이야기하는 다양한 방법을 배우고 이해하고 통합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on the effects of technological change on medical professional identity, emphasizes that professional identities at an individual level are constantly changing.4,57 Trede argued that the best way for medical students and recent graduates to develop positive professional identities is to engage with identity formation as an ongoing process, “to learn, understand and integrate different ways of knowing, practising, and talking about practice.”43(p1)


결론

CONCLUSIONS


우리는 의대생의 경험이나 현대 사회에서의 요인들로 인해 야기 된 직업적 정체성의 변화에 ​​의학 교육이 반응해야한다고 결론 지었다.

We conclude that medical education needs to be responsive to changes in professional identity being generated from factors within medical student experiences or within contemporary society.



============아래 확인해야 함============

8. Borgstrom E, Cohn S, Barclay S. Medical professionalism: Conflicting values for tomorrow’s doctors. Journal of General Internal Medicine 2010;25:1330–6.


15. Lesser CS, Lucey CR, Egener B, Braddock CH, Linas SL, Levinson WA. Behavioral and systems view of professionalism. Journal of the American Medical Association 2010;304:2732–7.


38. Goldie J, Dowie A, Cotton P. Morrison J. Teaching professionalism in the early years of a medical curriculum: Aqualitative study. Medical Education 2007;41:610–7.


16. Coulehan J. Today’s professionalism: Engaging the mind but not the heart. Academic Medicine 2005;80:892–8.


18. Wear D, Castellani B. The development of professionalism: Curriculum matters. Medical Education 2000;75:602–11.


41. Gleeson C. Education beyond competencies: A participative approach to professional development. Medical Education 2010;44:404–11.


20. Baernstein A, Oelschlager AM, Amies E, Chang TA, Wenrich M. Learning professionalism: Perspectives of preclinical medical students. Medical Education 2009;84:574–81.


49. Lempp H, Seale C. The hidden curriculumin undergraduate medical education: Qualitative study of medical students’ perceptions of teaching. British Medical Journal 2004;329:770–3.


50. Karnieli-Miller O, Vu TR, Frankel RM, et al. Which experiences in the hidden curriculum teach students about professionalism? Medical Education 2011;86:369–77.


51. Brainard AH, Brislen HC. Viewpoint: Learning professionalism: A view fromthe trenches. Medical Education 2007;82:1010–4.


35. V˚agan A. Medical students’ perceptions of identity in communication skills training: A qualitative study. Medical Education 2009;43:254–9.


57. Korica M, Molloy E. Making sense of professional identities: Stories of medical professionals and new technologies. Human Relations 2010;63:1879–1901.




 2013;25(4):369-73. doi: 10.1080/10401334.2013.827968.

Professional identity in medical students: pedagogical challenges to medical education.

Author information

1
a Medical Education , University of Western Sydney School of Medicine , Campbelltown , Australia.

Abstract

BACKGROUND:

Professional identity, or how a doctor thinks of himself or herself as a doctor, is considered to be as critical to medical education as the acquisition of skills and knowledge relevant to patient care.

SUMMARY:

This article examines contemporary literature on the development of professional identity within medicine. Relevant theories of identity construction are explored and their application to medical education and pedagogical approaches to enhancing students' professional identity are proposed. The influence of communities of practice, role models, and narrative reflection within curricula are examined.

CONCLUSIONS:

Medical education needs to be responsive to changes in professional identity being generated from factors within medical student experiences and within contemporary society.

PMID:
 
24112208
 
DOI:
 
10.1080/10401334.2013.827968
[Indexed for MEDLINE]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