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에서 의료전문직의 개념과 논의

강윤식*




I. 서 론


2005 10 10일 자로 대법관을 퇴임한 유지 담 판사의 퇴임사 중 몇 구절을 인용하면서 논의를 시작하려고 한다. 이 글에서 나오는 반성과 성찰이 의사들의 전문직 논의와 관련하여 시사하는 바가 있 다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사건 당사자들의 입장을 깊이 헤아려서 그 들의 주장을 충분히 들어주며 신속하고 공정하 게 결론을 내려 주는 것은 국민에게 봉사하는 법관으로서 마땅히 해야 할 덕목(德目)임에도 불구하고 당사자가 주장하는 말을 자세히 듣거 나 써낸 글을 끝까지 읽는 것을 가지고도 마치 시혜적(施惠的)인 일을 하는 것으로 착각하기 도 했습니다.


“법관의 권위는 그 법대 아래에 내려가서 재 판을 받고 있는 사건 당사자의 발을 씻겨주는 심정으로 그들의 답답함을 풀어주려고 정성을 다함으로써 자연스럽게 따라오는 것임에도 불 구하고, 법관의 권위는 무조건 지켜져야 하고 법관은 국민으로부터 당연히 존경과 신뢰를 받 아야 한다고 강변하기도 했습니다.


“사법부에 대한 경청할 만한 비평을 겸허히 받아들여야 할 때 이를 외면한 채‘사법권 독 립’이라든지‘재판의 권위’라는 등의 명분으로 사법부의 집단이익을 꾀하려는 것으로 비쳐질 우려가 있는 움직임에도 냉정한 판단을 유보 (留保)한 채 그냥 동조하고 싶어 했다는 것입니 다.1)


한국 사회에서 국민들에게 비쳐지는 의사들의 이미지 중 대표적으로 부정적인 것은 권위적이라는 것과 자신들의 집단이익에만 관심을 갖는다는 것이 다. 이러한 평가는 법조인들에게도 예외가 아닌 듯 유지담 판사의 글에는 대중에 대한 봉사를 본분으로 하는 법관이 자신의 권위와 이익에만 집착하지는 않 았는가 하는 반성이 드러나고 있고, 역설적으로 전 문직에게 요구되는 가장 중요한 덕목은 대중에 대한 봉사와 공공의 이익 추구임을 잘 보여주고 있다.


많은 논란이 있지만, 아직도 한국 사회에서 의사 는 경제적 수준에서나 사회적 지위에서 여타의 직업 들에 비해 높은 위치에 있다. 직업 자율성이나 의료 영역에 대한 전문적 지배라는 측면에서 본다면 의사 는 대표적인 전문직으로 분류되기에 전혀 부족함이 없는 것도 사실이다. 의사들 스스로도 의사는 의료 에 대한 유일한 전문가이며 이에 걸맞은 수준의 사 회적인 대우를 받기에 합당하다고 여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의사들 사이에서는 의사라는 직업이 전문 직으로서의 위기에 봉착해 있다는 인식이 널리 퍼져 있고, 정부와 대중으로부터 자신의 직업에 걸맞는 대우를 받지 못하고 있다는 불만감이 팽배해 있다. 의약분업이 있었던 2000년 이후에 의사의 전문성 에 대한 논의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의학교육에서 프로페셔널리즘에 대한 강조가 두드러진 것도 뒤집 어 보면 전문직으로서 의사의 위상에 대한 위기의식 이 그만큼 널리 유포되었기 때문이라고 할 수 있다.


이 글에서는 전문직, 특히 의료전문직의 개념과 특성들을 살펴보고 오늘 그러한 내용이 어떤 의미가 있는지를 함께 모색해 보고자 한다.2)

 

II. 본론`-`의료전문직

 

어떤 직업이 일반적인 직업(Occupation)과 구 분되는 전문직(Profession)이냐에 대해서는 사람마 다 다양한 견해가 있겠지만 일반적으로는 이론적이 고 체계적 지식과 기술, 그 직업만의 직업결사와 직 업윤리, 봉사지향적 직무 특성, 그리고 높은 직업 자 율성 등을 가진 일련의 직업군을 전문직으로 지칭한 다고 할 수 있다. 서구 사회에서는 전통적으로 교사 와 법률가가 그러한 직업이었고 의사가 전문직으로 인정받기 시작한 것은 19세기 이후라고 볼 수 있다.


  • 의료사회학자인 Cockerham은 소명의식을 바탕 으로 하여 환자에게 고도의 수준을 갖는 의학 지식 과 기술을 제공하는 전문집단이 의료전문직이라고 정의하였고,3)

  • Goode는 추상적 지식에 대한 장기 간의 훈련, 서비스 제공을 목적으로 하는 노동을 전 문직의 두 가지 핵심적인 특징으로 제시하였다.4)


전문직으로서의 의사 지위에 대해서는 이론적으 로 몇 가지 다른 관점이 존재한다.


먼저 구조기능주의적인 관점에서는 의료전문직이 사회적인 요구에 의해서 발생하는 것으로 파악된 다

  • 질병이라고 하는 사회적 일탈(deviance)은 어떤 사회에서든 존재하며 사회가 발전함에 따라서 질병 도 필연적으로 다양하고 복잡하게 발생할 수밖에 없 는 만큼, 원활한 사회의 운영을 위해서는 이를 체계 적으로 관리해야 할 필요가 있다. 또한 이를 위해서 는 전문적인 지식과 기술이 필요하며, 질병의 관리 를 위해서 특별히 훈련받은 의료전문직은 사회적으 로 핵심적인 기능을 수행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이렇게 중요한 역할을 감당하는 의사는 이미 사회에 의해서 어느 정도 특권적인 지위를 부여받으며, 환 자의 통제에 있어서 일정한 정도의 지배력을 행사함 이 온당하다고 파악하는 것이다. 기능주의적 관점에 의한다면 의학 지식 자체가 이미 의료전문직의 정당 성을 담보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2) 엄밀히 말한다면 의료전문직에는 의사 이외의 다른 보건의료직종도 포함될 수 있으므로 의사와는 그 개념 범주를 달리하지만, 이 글이 의사들의 전문주의를 다루는 논의이니만큼 여기서는 두 가지를 구분하지 않고 사용하기로 하겠다.

3) Cockeram WC. Medical sociology(5th Ed). Prentice-Hall Inc, 1992 : 53-76.

4) Goode W. Encroachment, charlantalism and emerging profession: Psychiatry, sociology and medicine. American Sociological review ; Vol 25 : 1960; 정경균, 김영기, 문창진 등. 보건사회학. 서울대학교 출판부, 1995 : 209-219에서 재인용.

 

반면 갈등론적 관점에서는 의학 지식 자체보다 는 이러한 지식이 사회적으로 구성되는 방식에 의하 여 의료전문직의 사회적인 지위가 결정된다고 본다

  • 의학 지식과 그 수행자들이 사회적으로 어떻게 받아들여지며 자신의 역할에 대해서 어떤 사회적인 설득을 이루어내느냐가 전문직의 사회적인 지위 결 정에 더 중요하다. 이런 관점에서는 지식 자체의 소 유와 실행 여부보다는 그러한 지식을 가진 집단이 다른 사회적 집단과의 관계 속에서 자신의 지위를 인정받는 정치적인 과정이 더 중요시된다.5)


  • 기능론적인 관점에서 본다면 한국 의사의 프로 페셔널리즘에 대한 위기 논란은 사회 자체의 미성숙 에서 일정 부분 기인한다고 할 수 있다. 의료전문직 이 적절한 사회적인 지위를 유지하고 자신의 업무를 수행하기에는 한국 사회의 성숙 정도가 낮아서 이를 받아들일 수가 없다고 파악하는 것이다

  • 하지만, 갈 등론적 입장에서 본다면 한국 의사들이 자신의 직업 적 전문성을 충분히 인정받지 못하고 전문직으로서 의 지위에서 위기를 경험하는 것은 사회적 설득 과 정의 부족과 그에 따른 전문적 지배의 미흡함에 그 원인이 있다고 할 수 있다. 의사들이 자신의 의학 지 식과 그 지식을 사용하여 행하는 업무의 중요성을 대중들에게 충분히 설득해내지 못함으로써 이에 걸 맞은 사회적인 지위를 획득하지 못했다고 보는 것 이다.


저자는 이 두 가지 관점 모두가 현재 한국 의사 들의 위기의식과 의사 지위의 위기를 설명하는데 부 분적인 유용함을 가진다고 생각한다. 이에 대해서는 결론 부분에서 다시 이야기하기로 하고, 의료전문직 의 특성과 변화에 대한 논의를 좀 더 진행하고자 한다.


앞서 Goode가 이야기했던 전문직의 두 가지 핵 심적인 특성 즉, 전문적 지식의 소유를 위한 훈련과 서비스 지향적 업무로 인해 전문직은 다양한 파생적 인 특성을 지니게 된다. 자체적인 훈련기준의 설정, 심오한 성인사회화 과정, 면허제도의 성립, 전문직 성원 스스로에 의해 관리되는 면허와 자격부여, 사 회적 통제로부터의 자율성, 자체적인 직업결사체의 조직, 높은 직업윤리와 직업자부심 등이 그러한 특 성이다.6) 성숙한 전문직은 이러한 특성들을 모두 갖고 있으며, 대중들에게도 이를 인정받는다.


이러한 전문직의 특성은 다시 구조적 요건도적 요건으로 구분해 볼 수 있다.7) 

  • 교육제도, 자격 의 부여, 전문적인 조직과 윤리 강령 등은 구조적 요 건이라고 할 수 있는 것으로서 일정한 제도적인 형 태를 갖추고 있어서 객관적인 확인이 용이한 반면에 

  • 직업윤리나 소명감과 같은 태도적 요건은 내적이고 주관적인 것으로 직업 구성원들의 인식에 대한 조사 를 통해서만 알 수 있는 것들이다

  • 의과대학 졸업자 만이 응시할 수 있는 국가시험 제도에 의한 의사 면 허의 독점적인 부여, 의과대학을 통한 구성원의 공 식적인 충원구조, 전문직 결사이자 이익단체로서 의 사협회의 존재, 전문의 제도의 정착 등 구조적인 측 면에서 한국 의사들은 전문직의 특성을 비교적 확고 하게 가지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 하지만, 윤리의식, 직업 자부심과 만족도, 소명감과 봉사 정신 등 태도적인 요건에서는 그 구성이 구조적 요인만큼 정착되 었는지 단언하기 어렵다.8)


한국에서 의사들은 전문직으로서의 구조적인 요 건을 확립하고 있으며 높은 소득 수준 등에서 전형 적인 전문직으로 인식되지만, 사회적인 신뢰도나 직 업윤리의 측면에서는 국민들이 기대하는 바에 미치  지 못하는 측면이 많으며,9) 이러한 사회적인 인식 은 2000년 의약분업 사태 이후로 지난 10여년간 오 히려 심화되고 있는 것처럼 보인다. 다시 말하면 료전문직의 구조적 요인은 비교적 확고하게 정착되 었다고 할 수 있지만, 이를 뒷받침하는 태도적 요인 들은 그만큼 확고하지 못했고 의약분업 사태를 계기 로 의료전문직에 대한 사회적인 비난과 관심이 표면 화되면서 의사들 내부에서는 의료전문직의 위기에 대한 인식이 광범위하게 형성되어 있는 상황이라고 할 수 있다.


의료전문직의 위기와 관련해서는 여러 가지 설 명이 가능하다

  • 자연과학적 논리에 근거하여 이루어 진 생의학적 모델과, 이에 기반하는 의학 교육에 필 연적으로 따를 수밖에 없는 사회적, 인문적 인식의 미비는 의학 내부의 지식 논리에 의한 것이고,10) 

  • 회구조의 전반적인 탈전문화, 컴퓨터와 인터넷의 확산으로 인해 지식의 독점이 희석되는 점 등은 사회 구조 전반의 변화와 연결되며,11) 

  • 짧고 압축적인 근대화 과정에서 대사회적 설득과 타협을 통한 집단 자율성의 획득이 부재한 채 의료전문직 자체가 국가 에 의해 하향적으로 조직되어 온 것은 우리나라의 역사적 경험과 관련되는 원인이라고 할 수 있다.12)


일제 강점기 이후 근대국가가 형성되는 과정에 서 별다른 사회적인 설득이 필요없이 전문직으로 자 리잡는 데 필요한 여러 가지 요건들을 외부적으로 수여받아 온 한국 의료전문직의 특수한 경험, 자 체적인 직업윤리의 형성, 전문적인 교육과정의 성 립, 혹독하다고 할 정도의 내부 징계 과정 등을 통해 높은 전문가적 신뢰를 획득해 온 유럽이나 미국의 경험과 대비된다. 공과(功過)에 대한 많은 논란이 있 지만, 1901년에 발표된 플렉스너 보고서 이후 의과 대학의 자체 조정 과정이나 징계 사유가 존재하는 의사들에 대한 과감한 제재를 통해 전문가적 자율성 을 공고히 해 온 미국과는 달리, 한국 의사들의 경우 는 자기 집단의 이익을 주장해 온 경험 외에 스스로 자율 규제를 통해 국민들에게 의사집단의 전문가적 윤리수준을 증명해 본 경험이 거의 없다.13)


높은 직업 자부심과 낮은 윤리의식, 집단 이익에 대한 민감한 반응에 비해 부족한 대사회적 접촉면과 정치력의 미숙, 직업 정체성에 대한 혼란과 장래에 대한 불안감14)으로 대변되는 전문직 인식의 위기 상황이 지금까지의 논의를 기반으로 거칠게 규정한 현재 우리나라 의사들의 대체적인 현실이다.


한국 의사들은 안팎으로 위기에 처해 있는 것이 분명해 보인다. 사회적인 신뢰를 얻지 못한 채 언론 과 시민 사회의 거센 도전을 받고 있으며, 내부적으 로도 전문직 의식의 미비로 인한 정체성 확립의 혼 란 등을 겪고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저자는 이것이 한국 의사들의 프로페셔널리즘에 대한 절대적인 위 기만은 아니라고 생각한다. 결론부터 이야기하자면 한국 사회는 이제 형식적, 절차적 수준의 민주주의 를 지나서 내용적, 실제적인 수준의 시장경제와 시 민 민주주의 사회로의 이행을 겪고 있으며, 그에 따 른 다양한 혼란과 논쟁을 경험하고 있다. 그 이전 시 대에는 당연한 특권으로 여겨지던 많은 사회적인 기 득권들이 지금은 공론(公論)의 장에서 정당성에 대 한 추궁을 당하고 있다. 의사들도 여기에서 예외가 될 수 없다. 이런 관점에서 본다면 현재의 의료전문 직 위기는 위기라기보다는 시대적 요구에 따른 재정 립에 더 가깝다는 것이 저자의 견해이다. 물론 이러 한 도전을 잘 넘기지 못하면 진정한 위기가 닥칠 수 도 있겠지만, 한국 사회의 여타 부문과 마찬가지로 의사들은 지금 질적으로 새로운 변화를 모색하지 않 으면 안 될 시기를 맞고 있다고 해석할 수도 있는 것 이다.

 

9) 박종연. 한국의사의 전문직업성 추이에 관한 연구. 박사학위논문. 연세대학교 대학원, 1992.

10) Mishler EG. 생의학적 모델에 대한 비판적 견해. 이종찬 편저. 서양의학의 두 얼굴. 서울 : 한울, 1992 : 81-112.

11) Light D., Levine S. The changing character of medical profession: A theoretical overview. The Milbank Quarterly 1988 ; 66(suppl 2)

: 10-32.

12) 조병희. 한국의 의료전문직의 구조분석. 현상과 인식 1989 ; 13(1,2) : 9-25.

13) 폴 스타 지음. 이종찬, 윤성원 공역. 의사, 국가 그리고 기업 - 미국의료의 사회사. 명경, 1994.

14) 저자의 2000년도 조사에 의하면, 조사에 참여한 의사의 88.6 %가 앞으로 의사의 사회적인 지위가 하락할 것이라고 답하였다. 강윤식. 앞의 논문. 2004 : 14.

 

III. 결어`-`한국의료전문직에 대한 활발한 논의를 기대하며


의사들은 의료에 대한 전문가라는 말들을 곧잘 한다. 맞는 말이다. 의료지식의 구성과 그 수행에 대 해서 의사보다 잘 아는 직업은 없다. 하지만, 생의학 적인 의료지식이 곧바로 사회적인 관계 속에서 의료 가 갖는 의미에 대한 이해나 의료의 사회적인 역할 과 책임에 대한 성찰로 이어지지는 않는다. 기능적 전문의료인이 곧바로 의료전문직으로 여겨져서는 안 된다는 뜻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종종 의사들은 이 두 가지 차원을 혼동한다. 임상적 장면에서는 의사가 모든 결정의 권위자이며 전문가이지만, 사회 적인 관계망에서 의료와 의사의 역할과 의미에 대해 서는 생의학적인 지식만으로 이해하거나 해석하기 가 곤란하다. 어떻게 보면 의료의 사회적인 성격이 나 역할에 대한 의사들의 평균적인 이해는 일반인들 에 비해 더 나을 것이 없다고 할 수도 있다. 이 간격 을 어떻게 메울 것인가?


  • 기능론적인 관점에서 의료전문직의 위기는 사회 구조의 미성숙으로 파악할 수 있다고 했다. 권위적, 비민주적인 시대에 의료전문직에 대한 사회적인 비 판이 크지 않았던 것은 우리 사회가 그만큼 성숙하 지 못했던 때문이라고 생각한다. 다시 말하면 의료 전문직이 자신의 역할을 충실히 수행하여 국민적인 신뢰를 쌓았기 때문에 지금과 같은 비판이 없었던 것이 아니라, 모든 것이 획일적이고 중앙집중적으로 결정되던 시대, 다양성과 상반된 가치에 대한 자유 로운 발언이 차단당했던 시대에는 의료전문직에 대 해서도 대중적인 불만이나 요구가 공론화되기 어려 운 측면이 있었다. 이것은 비단 의료전문직에만 국 한된 것이 아니라 사회전체에 공통된 것으로, 지금 우리 사회에서 그토록 다양한 위기와 불만들이 표출 되고 있는 것은 역으로 한국 사회가 그만큼 성숙했 음을 증명하는 것이기도 하다.

  • 갈등론적 관점을 들어서 말하자면, 한국 사회는 이제 통제와 권위의 시대를 지나갔으므로 전문가 집 단들은 공적인 영역에서 사회적인 설득을 통해서 끊 임없이 전문가적 지배(professional dominance)와 전문가적 자율성에 대한 정당성의 근거를 획득해 나 가야 하며, 이것은 국가나 외부적인 세력에 의해서 전문가 집단에게 저절로 주어지지는 않는다는 것 이다.


따라서 의사라고 하는 자격증만으로 대중적인 권위가 획득되는 시대는 이미 아니며, 의사들은 성 숙한 사회에 적합한 존재 의의를 공론의 장에서 스 스로 증명해 보이면서 전문가적 입지를 쌓아 나가야 만 할 것이다.


전문직은 서비스 지향적 업무와 추상적 지식의 사용을 특성으로 한다고 하였다. 이를 위해서는 다 른 직업에 비해서 훨씬 혹독하고 장기적인 훈련을 거쳐야 하며, 그 결과로 그러한 노력에 상응하는 사 회적인 지위와 보수를 보장받게 된다.15) 저자는 의 사들이 그러한 훈련 과정을 거치는 집단이며, 그러 므로 그러한 노력에 합당한 사회적, 경제적인 대우  를 받아야 한다는데 동의한다. 문제는 의사들이 자 신 존재 의의를 스스로 성찰하고, 그것을 대중들에 게 설득해 냄으로써 의사의 정당한 이익 추구가 사 회 전체의 공적 이익에도 기여함을 보여주는데 성공 하고 있지 못하다는 것이다. 이 지점에서 저자는 왜 의료전문직에 대한 이해, 의료의 사회적 의미에 대 한 이해가 그토록 중요한가 하는 한 근거를 찾을 수 있다고 본다. 생의학에 대한 많은 지식이 의료가 갖 는 사회적 의미에 대한 성찰로 곧바로 이어지지는 않는 것이기에, 의사들에게는 자신의 전문성을 사회 적인 관계망 속에서 파악하고 반성할 수 있는 능력 이 필연적으로 요구된다. 이는 단순히 많은 지식을 익힌다고 해서 얻어지는 것이 아니며, 사회와 의료, 인간과 의학에 대한 성찰적인 교육과 인문학적 훈련 을 통해서만 습득될 수 있다.


위기는 언제나 변화를 의미한다. 지금의 한국 사 회가 근본적인 변화를 요청받는 시기라는 데 동의한 다면, 의료전문직만이 그 흐름에서 예외일 수는 없 다는 데도 동의해야 한다. 앞서 언급하였듯 우리는 지금의 상황을 위기라기보다는 의료전문직에 대한 재정립이 요구되는 시기라고 파악하는 것이 온당하 다. 그 동안의 의학교육과 훈련이 외부적으로 부여 된 권위와 기득권에 대한 보장에 기대어 기능적인 역할을 전달하는 데 중점을 두었다면, 앞으로의 의 학교육은 생의학적 지식만이 아니라 의학의 의미와 의사의 역할에 대해서도 비판적 성찰을 할 수 있으 며, 이를 바탕으로 사회적 접촉면을 확장해 나가는 성숙한 의식을 지닌 의사들을 양성할 수 있어야 한 다. 여기에는 합리적으로 자신의 입장을 설명하고 설득할 수 있는 능력과 더불어서, 엄격한 전문가적 직업윤리의식에 대한 요청이 포함될 것이다.


의료전문직에 대한 논의를 통해서 얻고자 하는 목적은 다양하겠지만, 의사들이 국민들에게 신뢰받 고 이를 통해 온당한 전문가적 지위를 확립하는 것 도 그 하나일 터이다. 이것은 단기적인 처방을 통해 서 얻어질 수 있는 성과가 아니며, 모두의 반성과 노 력을 통해서 이루어야 하는 장기적인 과제라고 할 수 있다. 그러므로 다시 의료에서 전문직의 문제를 고민하지 않을 수 없으며, 어떻게 그 내용과 형식을 채워나가는가가 미래 한국 의사들의 위상에 심대한 영향을 미치게 될 것이다.



한국의료윤리학회지 제13권 제3호(통권 제27호) : 255-261 ⓒ한국의료윤리학회, 2010년 9월

Korean J Med Ethics 13(3) : 255-261 ⓒ The Korean Society for Medical Ethics, September 2010

ISSN 2005-8284


The Concepts and Discussions about Medical Professionalism

in Korea

Yunesik Kang*


Abstract

Many Korean physicians are dissatisfied with their socioeconomic status. While they report

high levels of pride in their chosen profession, Korean physicians tend to have a poor

understanding of ethical issues, weak social skills, confusion about their job identity, and high

levels of anxiety toward the future. These problems are partly addressed by current medical

school curricula, most of which provide students with at least some basic training in medical

ethics. However, this article argues that in order to resolve the aforementioned problems fully,

greater awareness is needed of the concept of medical professionalism. Awareness of the

requirements of medical professionalism would not only assist physicians in their practice of

medicine, but would also help physicians gain greater levels public trust and thereby improve

their standing in society.

keywords

professionalism, structural functionalism, conflict theory, physicians


우리나라 의료윤리교육에 대한 비판적 고찰*

**




. 들어가는


우리나라 41 의과대학은 오늘날 어떤 형태로든 료윤리를 교육과정에 포함하고 있으며 37 대학 정규과목으로, 3 대학은 특강이나 통합강의 형식으 , 그리고 1 대학은 세미나 형식으로 교육을 실시 하고 있다.1) 그러나 의료윤리교육의 교육 목적과 방법, 효과에 대한 평가에 대해서는 기존의 연구가 별로 없다

  • 교육 목표에서 참고할 만한 자료로는 

    • 2006 의과대학 학장협의회에서 발행한 <의과대학 학습목표>정도가 뿐이며2), 

  • 교육방법에 대해서는

    • 역할극을 사용한 윤리 교육에 관한 권복규 등의 연구3)

    • 의예과 영어시간을 용한 교육에 관한 이정구 등의 연구

    • 딜레마토론을 활용 김익중 등의 연구4)

    • 토론회를 활용한 박은경 등의 5) 등이 있다

  • 의료윤리교육 평가에 대한 연구로는 

    • DIT 활용한 홍성훈의 박사학위 논문6) 이미 언급한 김익중 등의 논문이 있다


하지만 이들 연구로는 의과대 학이 어떤 교육 목적을 가지고 어떤 방식으로 학생들을 교육해야 하며 장기적으로 교육 효과를 어떻게 검증할지 대해서 뚜렷한 해답을 찾기 어렵다. 이미 출간된 대표 적인 교재 2, 한국의료윤리교육학회가 펴낸 <의과 대학 학습목표에 기초한 의료윤리학> 한국의학교육연 수원이 펴낸 <임상윤리학>역시 주제에 대한 일반적인 기술(description) 머물러 있고 구체적인 사례에 대한 접근방법은 드러나 있지 않다. 의료윤리 교육의 필요 성에 대해 모든 의과대학이 공감하면서도 효용성에 대해 서는 회의적인 이유 중의 하나가 의료윤리 교육의 이러 현실 때문이다. 논문에서는 현재 우리나라 의료윤 교육의 문제점을 필자의 교육 경험에 비추어 분석하 , 이를 극복하기 위해 <프로페셔널리즘에 입각한 임상 에서 겪게 되는 흔한 윤리적 갈등의 해결 능력(medical ethics competence) 배양> 기초의학교육과정(BME) 에서 의료윤리교육의 목적으로 제시하며 이를 위한 구체 적인 방법론을 제안하고자 한다


.


1. 교육 목적

< 1> 한국의과대학학습목표 <의료윤리와 환자의 권리>7)


표는 한국의과대학장협의회가 펴내는 <의과대학 학습목표> 의료윤리와 환자의 권리 대한 내용이 . 대부분의 내용이나열한다, 설명한다, 정의한 같은 이른바행동 기술(behavior description) 형태로 되어있는데 학생들이 이와 같은 내용을 나열 하고, 설명하고, 정의한다고 해서 실제 현장에서 접하는 의료윤리 문제들을 해결해 나갈 있을지는 매우 의심 스럽다. 학습목표는 의료윤리를 어디까지나지식 (knowledge) 차원에서 바라보고 있으며, 전통적으로 3 , (knowledge)-수기(skill)-태도(attitude) 차원 중에 오로지 지식만을 강조하고 있다. 하지만 알고 있다고 해서 반드시 아는 것은 아니라는 명제는 의료윤리 교육에도 역시 적용될 있다. 그리고 의료윤리교육에 항상 언급되는태도 문제는 학습목표에서는 그다지 다루어지고 있지 않다.8)


  • 실제로 대부분의 교육현장에서는 의료윤리교육의 분명하지 않다.9) 

  • 의료윤리 교육은 생명윤리 (bioethics) 교육, 혹은 윤리학 교육과 혼동되고 있으며때로는“인문사회의학”혹은“인성교육”과도 혼동된다. 

  • 생명윤리의 4원칙, 낙태, 안락사와 같은 주제들은 가장 흔히 다루어지는 학습 내용이지만 이러한 것들이 소위 윤리적인 의사 양성하는 어떤 관련이 있는지 대해서는 뚜렷한 근거가 없다

  • 인성교육 의사학, 료윤리, 대화술, 심리학, 행동과학, 철학 등의 과목, 기초의과학이나 임상의학, 혹은 전통적인 예방의학에 해당하지 않는 거의 모든 교과목을 포함하는 것으로 있는데10) 이러한 과목들이 학생의인성 함양 마나 도움이 되는지를 실제로 보여주는 연구는 거의 으며, 그러한 교육 효과를 측정하기가 쉬운 일은 아니

  • 그렇기 때문에 의과대학에서의 윤리교육, 혹은 성교육 효과가 없이 시간만 낭비하는 격이라는 회의 론이 생겨나고 있는 것이다.11)

 

그러나 엄밀히 말해서윤리교육인성교육 서로 분리될 필요가 있다.

  • 인성교육 의사로서 기본 적으로 갖추어야 인격과 품성, 그리고 프로페셔널리 12) 의미하는 것이며 이는 특정 교과목을 통해 양성 있는 것이 아니라 의과대학의 전체 프로그램, 리고 일종의학습 생태계(learning ecosystem)13) 통해 습득되는 것이다. 물론 특정 프로그램을 통해 러한 학습 과정을 촉진시킬 수는 있으나 오로지 특정 프로그램을 통해서 학생의인성 계도하기란 불가 능하다

  • 아울러 의사의 인성이란 의사의 프로페셔널리 즘과 분리될 없는 것으로, 일반인의 인성과는 조금 다른 면이 있다. 의사로서 지켜야 기본적인 위와 인격, 가치관과 자세를 심어주는 것이 프로페셔널 리즘 교육이다. 지금까지 의사의 프로페셔널리즘에 각한 교육은 우리나라에서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는데 이는 프로페셔널리즘의 개념 자체가 발달하지 못한 의사 사회의 한계에서 비롯된 것으로 생각된다.14)

 


8) 동일한 학습목표집에서 윤리적“태도”와 가장 근접해 있는 것은 소위“프로페셔널리즘”에 대한 항목이다. 그러나 이 항목의 내용은 의료인의 권리와 의무, 의료자원 배분, 실습학생과 환자 및 다른 의료인 관계에 있어서 주의할 점, 그리고 자문과 의뢰의 차이를 설명하라는 것으로 되어 있다. 이 정도의 학습목표로는 우리가 원하는 자질을 갖춘 의사를 양성하기 어렵다.


9) 한국의료윤리교육학회. 전국의대 의료윤리교육 향상 워크숍 자료집. 2006. 5. 23. 이 자료집에 수록된 여러 의과대학의 의료윤리 과목 계획서에 나타난 교육목표는 학교에 따라 매우 다르다.


10) 한국의과대학장협의회, 한국의학교육학회. 제4차의학교육합동학술대회자료집 : 의과대학 인성교육, 어떻게 할 것인가. 1996. 12. 이 자료집 발간이후 10년이 지났지만 의과대학에서의 윤리교육, 혹은 인성교육에 관한 포괄적인 고민은 여기서 별로 진전된 바가 없다.


11) 이런 이유 때문에 임기영은“윤리교육, 인성교육 하지말자!”는 자극적인 표현을 쓰기도 한다. 그의 주장에 따르면 의료계의 모든 문제를“의사들의 도덕적 해이에서 기인되었다”는 식의“환원적 도덕주의”로 돌리는 식의 윤리교육이라면 하지 않는 편이 낫다. 그런데도 우리나라의 의학교육자들 많은 수가 윤리교육을 임기영이 말하는“환원적 도덕주의”에 입각하여 생각한다.

임기영. 의사와 사회·윤리적 측면. 제8차 의학교육 합동학술대회 결과보고서 : 의사와 사회 2001

한국의과대학장협의회·한국의학교육학회 : 41-42


12) 프로페셔널리즘에 대해서는 여러 분분한 논의들이 있고 정의도 다양하지만 이 논문에서는 의사로서의 사회적 책임감과 일반적으로 기대되는의사의 표상이라는 좁은 의미로 사용하며. 따라서 전문직업성이라는 번역어 대신 프로페셔널리즘이라는 영어 표현을 그대로 사용하였다. 프로페셔널리즘에 관한 국내의 논의에 대해서는 다음 논문을 참조.

김선,허예라. 의학전문직업성, 어떻게 평가할 것인가? 한국의학교육 2005 ; 17(1) : 1-14


13) 학습이 그 자체의 규칙에 따라 교수자의 계획을 넘어서서 자체의 역동성에 따라 진행되며 궁극적으로 질서를 찾아간다는 학습생태계의 개념은 최근 성인교육과 e-learning에서 많은 주목을 받고 있다. 이 논문에서는 의과대학의 모든 정규, 비정규 프로그램을 포괄하며 의과대학 자체가학습 환경으로 작용한다는 의미에서 이 용어를 사용하였다.


14) 강신익은 한국의 치과의사가 주체적 직업전문화과정을 경험하지 못했다고 주장하는데 이는 의사 집단에게도 그대로 적용될  있을 것이다. 일제 강점기와 해방 이후 사회 환경에 관한 강신익의 논의는 여전히 유효하다. 

강신익. 치과의사의 전문직업성과 윤리. 의료·윤리·교육

2002 ; 5(2)__

 

1999 한국의과대학장협의회가 발간한21세기 한국 의학교육 계획 : 21세기의 의사상 2003 영국의 General Medical Council 발간한Tomorrows Doctor : Recommendations on Undergraduate Medical Education 비교해보면 이러한 차이를 있다(2).

 

< 2> 한국의과대학장협의회21세기의 의사상 GMC Tomorrows Doctor

 


한국의과대학장협의회의 <21세기의 의사상> 의료 윤리와 관련된 제안에서 의료윤리교육을 크게 갈래로 파악하고 있다

  • 하나는 다음과 같은 제언의 본문에 타난 대로“…… 또한 의학의 발전은 인간 복제, 안락사 의학 윤리적인 문제를 가져왔다. 이런 문제는 윤리적 차원에서 끝나는 것이 아니라, 법적인 문제로까지 관된다. 따라서 의사는 생명윤리에 관한 윤리적·법적 문제를 이해하고 숙지해야 한다. 내용으로서 의료윤리를 첨단 의학의 발전에 따르는 소위 생명윤리 문제(bioethical issues) 파악하고 있다는 점이다

  • 두 번째는 의료윤리를 소위 “인성”의 영역에서 파악하고 있 는 것으로서 위 제언에 나타난 바와 같이“환자의 이익 과 생명을 보호하고, 일상생활에서도 높은 도덕관과 윤 리관을 유지해야 한다.”는 것이다. 환자의 이익과 생명 을 보호하는 것은 의사로서 마땅히 준수해야 할 기본적 인 프로페셔널리즘이지만 “일상생활에서도 높은 도덕관 과 윤리관을 유지해야 한다.”는 것은 지나친 요청이며 이와 같은 높은 도덕관과 윤리관을 의과대학 교육을 통 해 달성하기란 기대하기 힘든 일이라는 것이 이 제안의 한계이다. 하지만 이러한 인식은 오늘날 대부분의 의과 대학 의료윤리교육에 있어 지배적인 흐름으로 생각된다.



의료윤리 교육을생명윤리 교육인성 교육으로 생각한다면 크게 가지의 문제가 발생할 있다.

  • 하나는 생명윤리교육을 통해서 임상에서 접하는 여러 갈등사례에 대한 분석과 이해 능력은 증진시킬 있지 , 사례에 대해 의사로서 어떻게 접근하여 해결하는 가를 알려주기가 어렵다는 것이다. 그리고 가장 흔하고 일반적인 의료윤리 문제들, 예컨대 환자-의사 관계에서 발생하는 갈등이나 금전적 요인과 결부된 갈등에 대해서 보다는 낙태와 안락사 같은 매우 극한적인 상황에서의 갈등들에게만 초점을 맞추게 되어 자칫하면 교육이 비현 실적이라는 비판을 듣기 쉽다.15) 

  • 반면“인성 교육”을 통 해서라면 과연 어떻게 이미 성인이 된 의과대학생들의 “인성”을 높이는가 하는 문제가 발생하는데 성인에게서 시간, 혹은 학점의 교육으로인성 바꿀 프로그램을 만들기란 불가능하기 때문이다.16) 

  • 게다 가 의료윤리 문제를“인성”의 차원에서 바라보는 관점은 엉뚱한 결론으로 이어질 우려가 있다. 현재의 의료윤 문제는 기성 의사들의인성 문제 있어서라는 식의 논의와 함께 이상화된쉬바이처, 혹은 비현실적 으로 신비화된허준등이 의사가 지향해야 모델이라 결론과 연결되기 쉬운 것이다.17) 그러나 평범한 의대 생을 쉬바이처 박사와 같은 인격으로 변화시킬 수도 없 을뿐더러 그럴 필요도 없을 것이다. 게다가 의과대학생 의“인성 교육”을 논하기 시작한다면 그 교육자는 상당 히 높은 도덕성과 윤리성을 담보하고 있어야 한다는 주 장이 정당성을 갖게 된다. 이런 선입견으로 인해 의과대 학에서 실제 의료윤리를 교육할 담당자를 구하기 어려 운 문제가 발생하며, 전문성보다는 최연장자, 혹은“원 만한 인격자”라고 생각되는 교수들에게 윤리교육을 미 루는 모습이 나타난다. 이 모두가“프로페셔널리즘”과 개인의“인성”, 혹은“도덕성”을 혼동하는 데서 오는 문제들이다.

 

15) 우리나라 의사들이 가장 흔히 겪는 의료윤리 문제는 불법적인 환자유치, 과잉/과소진료와 같은 소위 직업윤리적인 문제로 뇌사, 장기이식, 유전자연구와 같은 생명윤리 문제들은 거의 관련이 없다고 느끼고 있었다. 사실 이런 의료윤리 문제는 의사의 인성과 관련된 것이기 보다는 열악한 의료환경과 더 큰 관련이 있다.

구영모,권복규,김옥주 등. 의료윤리 문제에 관한 우리나라 의사들의 의식 조사. 의료·윤리·교육 1999 ; 2(1) : 59-60


16) Rest는 대학생활을 통해 도덕판단력지수인 DIT 점수가 크게 변화하며 대학 생활의 경험이 DIT변량의 40%까지를 설명할 수 있다는 연구결과를 내놓았지만 DIT는 인지적 수준에서의 도덕판단력을 측정하는 지수로서 이것이 우리가 말하는“인성”, 혹은“도덕성”을 바로 의미하지는 않는다. “인 .혹 .“도 .성”에는 항상 개인의 결단과 실천(practice)이 포함되어야 하나 DIT는 그렇지 않다. 역설적으로 우리는 교육을 통해서무엇이 도덕적으로 잘못인지를 학습시킬 수는 있지만 그것이 올바른 행동을 하게 하는 결과를 낳는 게 아니라 도덕적 비난을 피해가는 방법으로 사용될 수도 있는 것이다.


17) 일반 국민들의 한국 의사들에 대한 누적된 감정적인 불만, 특히 2001년 의사 파업 사태 이후의 의사 집단에 대한 불신과 불만으로 인해 의사들의 인성과 도덕성에 대한 비난이 터져나왔지만 1999년 한국 형사정책연구원의 직업별 부정부패 정도에 대한 조사에서 의사들의 부정부패지수는 평균 2.66으로 법조삼륜은 물론 교수나 교사보다도 낮게 나타났다. 임기영. 제8차 의학교육합동학술대회 결과보고서 2000 : 43

 


따라서 의과대학의 의료윤리교육, 기본의학교육 (BME)과정에서 의료윤리교육의 교육 목표는 일반적인 의학교육 목표와 마찬가지로 일차진료의사(primary physician)으로서 갖추어야 프로페셔널리즘을 바탕 으로 하여 흔히 접할 있는 임상 환경에서의 윤리적 사례를 해결할 있는 능력(medical ethics competence) 양성하는 것이 되어야 한다. 이는 졸업후 교육, 혹은 평생교육을 통해 보다 심화된 의료 윤리에 관한 교육을 받을 있는 능력과 연계되어야 것이다.

 


2. 효과적인 교육 방법론


의료윤리교육을 어떻게 하느냐에 대해서는 많은 논의 있었으며 아직까지 뚜렷한 해답은 나와 있지 않다. 러나 교육 목표를 앞에서 논한 대로 의사로서의 프로페 셔널리즘에 입각한 흔히 접하는 의료 윤리적 문제의 국한한다면 이는 오히려 교육 방법론의 차원에서 쉽게 풀어갈 있는 면이 있을 것이다. 현재 우리나라 의료윤리교육 방법론의 혼선은 이렇듯 의료윤리 교육의 목표가 분명하지 못한 상당 부분 기인한다. 하지만 목표를 명료하게 제시한다 해도 이를 달성할 있는 가장 효과적인 방법론이 무엇인가에 대해서는 논의를 속할 수밖에 없다.


  • 현재 우리나라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의료윤리교 방법론은 강의, 소그룹토론, 역할극 등의 학생 활동, 봉사학습 등의 체험 활동, 그리고 일부에서 시도되고 PBL TBL18) 이용한 윤리교육 등이다.19) 

  • 일부 학에서는 문학과 예술 등을의학인문학,또는 의료인 문학 개념으로 인성교육 광의의 의료윤리교육과 연결시키기도 한다.20) 

  • 미국의 의과대학들에서도 의료윤 교육을 위해 토론/논의(84%), 자료 읽기(83%), 에세 (64%), 강의(64%) 같은 방법론을 주로 사용하고 어서 우리와 차이가 없다.21) 


미국 의과대학의 의료윤 리교육 목적이의료윤리 문제들과 익숙해지기(77.5% 채택), 혹은윤리적 판단력과 문제해결능력의 배양 (63.8%)22)이라고 하더라도 이와 같은 방법론으로 이러 교육목적을 달성할 있는지는 불분명하다. 물론 식으로든 교육을 하면 학생은 해당 주제들과는 친숙 해질 있겠으나 이는 마치 의학교육의 목적이질병 의료 행위와 익숙해지기 것처럼 받아들이기는 란한 것이다. 문제해결능력의 차원에서 본다 해도 , 에세이, 토론, 혹은 자료읽기나 시청각자료의 시청 문제해결 능력과 어떻게 연관된다는 것인지 자세 논의가 필요하다.

 

프로페셔널리즘에 입각한 의사가 흔히 접하는 윤리 문제의 해결 능력 배양으로 의료윤리 교육의 목표를 설정했을 경우 이를 교육하기 위해서는 실제로 의사가 윤리적 문제를 어떻게 해결하고 있는지를 생각해볼 필요 있다. 일반적으로 윤리적 사안(ethical issue) 접했 의사는 다음과 같이 반응할 것이다. 다음 그림은 의사가 윤리적 사안을 접하였을 이를 해결해가는 과정과 해결에 필요한 능력을 도식적으로 보여준다.23)

 

 

19) 설문에 응답한 총 37개 대학 중 34개 대학(91.9%)에서 강의’를 의료윤리교육 강좌의 수업방식으로 사용하고 있어서, 의료윤리교육 강좌에서교육방법으로‘강의’가 보편적임을 알 수 있었다. 두 번째로 많이 사용하고 있는 수업 방식은‘전체 토론’‘, 소규모 증례 토론’으로 각각 24개 대학(64.9%), 23개 대학(62.2%)에서 수업 방식으로 채택하고 있었다. 그 외‘비디오 상영’을 수업 방식으로 택한 대학이 15개 대학(40.5%)였으며, ‘병원내 실습,’‘지역사회실습’등 실습을 수업 방식으로 택한 대학도 각각 3개 대학(8.1%), 5개 대학(13.5%)이 있었다.

최은경,장기현,김수연 등. 우리나라 의료윤리 교육의 현황과 발전방향. 미발표 논문.

 

<도표 1> 윤리적 문제의 해결 과정

 


사례에서 윤리적인 문제 해결의 단계는 이러한 요청을 의학적인 것과 아울러 윤리적인 것으로 파악하는 것이다. 어떤 의사들은 이러한 요청에 윤리적인 문제가 내재하고 있음을 전혀 이해하지 못할 있으며 결고 환자가 원하는데 그냥 한번 찍어주지내가 문제 없다는데 말이 많은가 반응을 보일 있다. 이러 반응은 모두 바람직하지 못한 것이다. 윤리적으로 감한 의사라면 이러한 환자의 요청에 대해 자신이 해결 해야 문제로 받아들이며 해결 방법을 모색하여 것이다. 모든 문제해결의 첫걸음은윤리적 문제를  윤리적인 것으로 인식하는 있다.24) 따라서 의료윤리 교육 방법 역시 윤리적 민감성을 높이는 초점을 맞추 도록 해야 한다. 윤리적 민감성은 선천적으로 타고 나는 부분도 있지만 의사와 같은 전문직 영역에서는 교육과 모범, 그리고 지속적인 문제제기와 접촉 성찰에 의해 길러지는 부분이 크다고 생각된다. 윤리적 민감성은 인에 대한 공감(sympathy) 정서적 예민함, 그리고 리에 관한 지식에 의해 길러지는데 이를 위해서 역할극, 영화, 문학작품 등이 활용될 있다.25)

 

번째 단계에서 윤리적인 문제로 사태를 파악한 사는 이를 해결하기 위해 사태를 분석하려고 것이다. 단계에서 필요한 것이 윤리적 지식과 분석능력이다. 생명윤리 4원칙과 같은 원칙들이 도움이 되기도 한다. 사례를 가지고 생각해 본다면MRI 찍어달라고 환자의 요청을 들어주는 것이 자율성 존중의 원칙에 합당한가?, 의사는 환자의 요청에 모두 응하여야 도덕적 의무가 있는가?, MRI 이득/위험은 무엇인 ?, 급한 환자에게 MRI 사용하도록 하는 것이 희소하고 귀중한 자원의 정의로운 배분이 아닌가?하는 등의 물음을 물을 있고 여기에 대해서 나름대로의 석과 결론을 내릴 있다. 이러한 문제들을 명료화하여환자의 자율성 존중과 의사의 전문적 판단의 갈등으로 결론을 짓고 각각이 우세할 있는 조건들을 탐구하 것이 필요할 것이다. 단계에서 필요한 윤리적 지식 분석능력은 각종 사례 분석과 윤리학 강의를 통해서 증진될 있다. 현행 우리나라 윤리교육은 번째 단계에 주로 초점을 맞추고 있다.

 

번째로 문제를 어느 정도 정리하여 분석을 하였다 하더라도 실제 의사결정을 하는 데에는 다양한 판단 인이 개입될 수밖에 없다. 사례에서 본다면 자는 굳이 MRI 원하는가에 대해 의사의 관심이 집중 되어야 한다. 과정에서 좋은 의사소통능력이 필수적 이며, 환자의 불안, 기대, 관심사, 욕구에 대한 이해가 있어야 한다. 심지어 MRI 보험급여가 되지 않는다면 환자의 경제적 수준 역시 판단을 내리는 필요한 요인 수도 있다. 실제 의료 현장에서 이러한 판단 요인 매우 중층적이고 다차원적이며 의사의 경험과 지혜가 필요한 부분이다. 이런 이유 때문에 엄격하게 윤리학적 분석을 넘어서 시점에서 의사집단과 개별 의사의 행위를 규율하는 각종 <지침> 필요하며 핵심적 부분은 학생들에게 교육되어야 한다. <대한의사협회 의사윤리지침>외에 개별적인 사안에 대한 자세한 지침 없다는 것도 학생들에게 윤리교육을 하기 어려운 중의 하나이다.@

 

마지막으로 본인이 옳다고 생각하는 결정을 하였으면 이를 실천할 용기와 결단력, 도덕적 실천 의지가 필요 하다. 예컨대 어떤 의사가 전문직 정신에 입각하여 례와 같은 환자에 대해서는 설명해서 그냥 보내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결론을 내려놓고, 실제로는 MRI 찍는 것이 병원 경영에 도움이 되니 환자의 원대로 하게 다면 이는 올바른 자세라고 보기 어렵다. 이러한 용기와 결단력은 정규 교육을 통해서라기보다는 의사 집단의 화와 정서, 그리고 의료행위를 둘러싼 사회 분위기의 영향 많이 받는다. 학생들의 올바른 의료윤리 실천을 위해서는 먼저 선배 의사들의 모범과 전문직 정신의 고양이 필요한 이유가 여기에 있다. 그러나 도덕적 실천 역시 세한 교육적 접근을 통해 어느 정도는 증진될 있으며 방법으로는부정적 사례(bad case) 대한 분석26), 자기 성찰27), 리더십 훈련, 모델 제시28), 선서, 혹은 , 우수 학생에 대한 표창 등이 있을 있다. 물론 러한 방법들은 학생에 따라 교육효과의 차이가 매우 크다.

 

 

 

24) 이와 같은 능력을 윤리적 민감성(ethical sensitivity)라고 한다. Rest의 고전적 정의에 의하면 도덕적 행동은 moral sensitivity, moral judgement, moral motivation & commitment, moral character & competence로 구성된다고 한다. 그가 파악하는 도덕적 민감성은“윤리적 문제를 윤리적인 것”으로 받아들이는 한편 자신의 행동이 타인에게 미칠 영향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다. 필자는 이 글에서“윤리적 민감성”과“도덕적 민감성”을 구분하지 않고 사용할 것이다.


Rest JR, Morality. Handbook of Child Psychology : Cognitive Development. vol 3. New York : John Wiley & Sons


25) 윤리적 민감성을 측정하려는 몇 가지 시도가 있었는데 이는 대부분 간단한 사례를 주고, 어떤 윤리적 문제가 얼마나 있는지를 서술하게끔 하는 것이었다. Hebert의 다음 논문 참조.

Hebert P, Meslin E, Dunn E. Measuring the Ethical Sensitivity of Medical Students: a Study at the University of Toronto.

Journal of Medical Ethics 1992 ; 18 : 142-147. 이와 같은 접근방식은 개인별 비교와 측정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는 반면 인지적이고지식 의존적이라는 한계가 있다. 즉 어떤 사례에서 사전의 경험이나 노출을 통해 몇 개의 문제를“인지(perceive)”한다 하여 그 문제를 정작 진지하게 취급할지는 알 수 없는 것이다.

 

3. 의료윤리 교육의 평가


의료윤리교육의 성과를 평가하기 위해서는 궁극적으 학생들이 졸업 임상에서 겪는 윤리적 갈등상황들 얼마나 효과적이고 전문직답게 대처하고 있는가를 아야 것이나 이는 현실적으로 쉽지 않다. 덧붙여 의료 윤리 교육이 인지적이고 행동적인 발달을 추구할 니라 정의적인 발달 역시 지향하고 있기 때문에 평가가 어려워진다. 의료윤리교육의 효과에 관한 포괄적이고 유효한 평가가 쉽지 않기 때문에 최근까지 우리나라 료윤리교육의 평가는 주로 교육 학생의 도덕적 추론 능력을 보는 DIT검사29), 프로그램에 대한 학생 만족 평가에 머물러 있었다. DIT검사와의료윤리민감성 검사(Medical Ethics Sensitivity Test, MEST) 사용 이와 같은 측정은 딜레마토론이라는 교육방법론과 물려 있고, 정량적인 평가가 가능하며, 평가가 비교적 이하다는 이유로 널리 사용되었다.30)

도덕적 판단력과 도덕적 민감성이 의료윤리교육이 루는 중요한 요인이지만 이것만 가지로 의사, 혹은 의대 생의 윤리성을 정량적으로 평가하거나 교육의 효과를 가하기란 불가능하다

  • 우선 지표들은의료윤리 개인의 도덕성 문제, 혹은 도덕 판단력의 수준으로 치환 시키는데 앞서 여러 차례 지적하였듯이 의료윤리의 실천 의사의 프로페셔널리즘이라는 사회적 맥락에서 접근 해야 하며, 범용한 의사라도 일반적인 의사집단의 판단 기준을 따라가면 오류를 저지르지 않을 있는 것이 . 예컨대충분한 정보에 근거한 동의(informed consent) 내용과 절차를 이해하고 이를 실무에 적용 있는 능력은 특정한 경우에 이를 받느냐 마느냐 도덕적 추론의 문제보다 의사에게 실질적으로 요할 있다

  • 번째 낙태, 안락사, 뇌사, 유전자 검사 같은 생명윤리적 사안들에 대해서 인지적 관점의   판단과 도덕추론은 어떤 결정도 내려주지 못한다. 러나 의사는 어떤 식으로든 의사결정을 내려야만 하며 이를 위해서는 생명윤리의 정치한 지식과 논의들, 그리 사회적인 합의가 필요하다

  • 번째 의료윤리교육을 통해 이와 같은 지표들이 긍정적인 방향으로 상승한다는 연구는 거의 찾아볼 없다. 대부분의 연구는 성인, 의과대학생이나 의사에게서 도덕판단력과 도덕민감 성이 교육, 혹은 학년에 따라 올라간다는 어떠한 증거도 없음을 시사한다.31) 의료윤리교육이 이러한 도덕판단력 추락을 일부나마저해하는 효과가 있다는 주장32) 의료윤리 교육의 목표로 삼기에는 빈약한 것으로 생각된 .

  • 마지막으로 이러한 지표들은 의료윤리 교육의 성과 개인의도덕성도덕판단력 관련된 것으로 주하나 이는 다양한 의료윤리의 영역과 문제들을 개인도덕성의 차원으로 치환하는 지나친 단순화의 오류 저지 르고 있는 것이다.33)


이상적인 의료윤리 교육의 효과에 대한 평가는 지식, 문제해결능력, 그리고 실천의지를 모두 포함하는 것이 되어야 한다. 지식은 지필시험 기존의 평가방법을 적용할 있으며 실천의지는 사실상 개인의 품성과 관련되는 부분이니만큼 이를 평가하는 타당하고 신뢰할 있는 방법을 찾기란 매우 어렵다.34) 그러므로 의료윤 교육의 평가의 핵심은 의료윤리문제의 해결 능력 (medical ethics competence) 두어야 한다. 

  • 이를 가하는 방법으로는 특정 의료윤리 사례(case-vignette) 주고 그에 대한 에세이 작성, 의료윤리 사례를 구술 평가하기, 표준화환자(standardized patient) (Objective Standardized Clinical Exam, OSCE), 표준화환자를 활용한 임상수행능력평가(Clinical Performance Exam)등이 있을 있다

어느 경우든 사례를 제공하고 그에 대한 학생의 반응과 의사결정 능력을 평가한다는 점에서 공통점을 가지나 평가 결과에 대한 통계적인 당도와 신뢰도를 보장하기 어렵다는 한계가 있다. Savulescu등은 이와 같은 의료윤리 문제해결능력 평가 도구의 개발에 대해서 다음과 같은 제안을 하고 있는데 

  • 첫째, 의료윤리 지식과 해결능력을 평가하는 도구는 관련이 있어야 하며 통계 타당도(statistical validity) 보다는 내용 타당도(content validity) 가져야 한다

  • 번째, 도구는 다른 평가자에 의해 신뢰성 있게 용되어야 하지만 아무 평가자나 적용할 있음을 의미 하지는 않는다

  • 번째, 평가 도구는 임상 의료 환경과 관련을 가져야만 하며 마지막으로 평가 도구는 공개 적인 검증과 평가가 가능해야 한다는 것이다.35) 

이와 원칙을 적용한다면 다양한 형태(format) 내용을 임상 의료윤리 문제 해결능력 평가도구를 개발할 있을 것이다. 다만 이러한 평가도구의 개발을 위해서는 임상의사와 전문 의료윤리학자가 함께 참여하여야 한다.

 

33) 개인도덕성이나 인성, 혹은 도덕판단력이 중요하지 않다는 뜻이 아니고 제한된 시간과 자원을 활용한 의료윤리 교육에 있어서 현실적이고 실현가능한 목표를 설정하자는 것이 필자의 주장이다. 프로페셔널리즘에 입각한 의료윤리교육을 통해 궁극적으로 학생의 인격과 인성이 고취된다면 이는 매우 바람직한 일이다.


34) 임상멘터(clinical mentor), 혹은 동료학생 평가(peer evaluation), 상벌기록 등을 통해 특정 학생에 대한 인격적인 평가가 가능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평가는 매우 조심스럽게 사용되어야 한다. 사실 이러한 면에 대한 평가보다도 프로페셔널리즘을 준수할 때 자신은 물론 의사 집단에게도 유익하다는 인식이 확산되고, 심각한 위반 행위에 대해서는 집단으로서의 제재가 있을 때 실천의지가 고양될 수 있을 것이다.



. 논의 결론

 

우리나라 의료윤리교육이 겪고 있는 어려움은 전문인 력과 예산 등의 지원 부족, 교육 시간 부족36) 기인하 바도 크지만 이는 외국의 의과대학 역시 마찬가지로 겪고 있는 상황이다. 문제점은 의과대학 의료윤리 교육의 근본적인 목적과 이를 달성할 있는 방법론에 대해 진지한 논의가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다는 있다. 우선 의과대학 교육, 기본의학교육 과정에서 의료윤 교육의 목적은임상에서 흔히 접하는 윤리적 문제의 해결능력(medical ethics competence) 배양이 되어 한다. 의료윤리 문제해결능력은 의료윤리에 대한 식과 함께 분석, 추론 의사결정능력(decision making ability)으로 구성된다. 중에서도 이해상충 (conflict of interest) 전문직 윤리(professional ethics) 관련된 사안들을 제대로 처리하기 위해서는 도덕적 실천의지와 아울러 의사소통 능력과 같은 자질을 길러주어야 한다. 그리고 임상시험이나 줄기세포 연구 같은 첨단의학과 관련된 윤리적 문제는 관련 지식을 알아야 해결이 가능하다. 편의적으로 의료윤리교육의 주제들을 각각 의료윤리(medical ethics)/생명윤리 (bioethics)/전문직 윤리(professional ethics) 영역 (domain)으로 나누어 있는데37) 이들 영역들은 겹치는 부분이 있는 한편 고유한 부분들도 가지고

  • (협의의)의료윤리 영역은 주로 환자의 비밀보장, 진 실을 말하기, 환자의 보호와 존중 등 전통적으로 의사가 지켜야 할 윤리적 문제를 다루며, 

  • 생명윤리 영역은 낙태, 안락사, 장기이식, 임상연구 등 의학의 발전에 따라 생겨 난 윤리적 문제를 다루고 

  • 전문직윤리 영역은 이해상충, 동료의료인 관계, 금전 문제 등을 다룬다. 


  • 의료윤리 영역 에서는 지식과 함께 사례 중심의 문제해결 능력이 중시 되어야 하며, 

  • 생명윤리 영역에서는 관련 분야에 대한 지 식이 중시되어야 한다. 

  • 전문직윤리 영역에서는 지식과 함께 인성 교육이 중요하다. 


강의, 토론, 사례연구, PBL, TBL, 봉사활동 등의 각종 교육방법은 원하는 결과가“지식 획득”,“ 문제해결능력 고취”, 혹은“인성 및 프로페셔널리즘의 함양”인지에 따라 각기 달리 사용되 어야 하며 학교의 전반적인 교육 목적과 교수전략에 따 라 적절하게 배치될 필요가 있다.38)

 

<도표 2> 의료윤리교육의 영역

 

37) 이 구분은 문제의 명료화를 위한 지극히 편의적인 구분이다. 실제로 이 세 영역은 함께 교육되어야 하며 실질적으로 겹친다. 다만 어느 영역에비중을 두는가는 개별 학교의 교육 전략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을 것이다.

 

의료윤리교육의 목적이 의료윤리 문제의 해결능력 양이라고 전제한다면 평가 역시 부분에 초점이 맞추 어져야 한다. 불충분하기는 하지만 이와 같은 능력을 가할 평가 도구는 이미 언급하였듯이 가지가 개발되 었고 현재에도 개발 중에 있다. 그러나 의학 지식이나 기의 숙련 정도를 평가하는 의과대학의 일반적인 평가도 구와는 달리 의료윤리교육 결과에 대한 평가 도구는 한계를 인식하고 신중하게 사용되어야 하며, 지나치게 경직된 통계적인 타당도나 신뢰도 보다는 전문가의 판단 내용에 대한 전문가 집단(교수) 합의를 중시할 필요 있다. 이는 의료윤리의 본질상 불가피한 부분이다.


우리나라 의료윤리교육이 겪고 있는 가장 본질적인 어려움은 실질적인 교육 컨텐츠의 부족이며 이는 한국 의사사회의 프로페셔널로서의 미성숙함에 기인한다고 생각된다. 기성 의사집단이 프로페셔널리즘의 입장에서 민감한 의료윤리 문제들에 대해 구체적인 판단을 제대로 내려주지 못하고 있기 때문에 교육 내용과 의료 현실이 일치하고 있지 않은 것이다.39)


예컨대 보라매병원 사건의 예와 같이 경제적인 이유 보호자가 퇴원을 요구하는 경우에 한국 의사는 어떻 대처하는 것이 윤리적인가? 환자의 자율성 존중과 밀보호가 보호자의 요구와 대립될 어떻게 대응해야 하는가? 이런 경우의 문제해결능력(competence) 엇인가에 대해 의료윤리 전문가들조차도 어느 정도 일치 판단을 내리기 어려운 것이 우리나라의 현실이며 러한 부분들에 대해서는 구미의 논의들을 그대로 가져다 사용하기가 불가능하다.


의료윤리교육은 학교를 둘러싼 사회문화적 환경, 기성 의사집단의 판단과 의지, 생명의료윤리학의 원리와 법률 판단이라는 맥락 속에서 이루어질 수밖에 없다. 효과 적이고 의미 있는 의료윤리교육을 위해서는 자격 있는 교육자, 충분한 시간, 좋은 교육프로그램, 좋은 평가 측정도구 등이 필수적이나 전제로 프로페셔널리즘의 입장에서의료윤리 문제 해결능력 내용을 제공할 있도록 기성 의사집단의 노력이 있어야 한다.

 

 

 38)“의사의 윤리가 땅에 떨어졌어”와 같은 식의 개탄은 대개 의사들이 돈만 너무 밝힌다는“전문직 윤리”의 추락을 의미하고 있다. 그런데 이를해결하기 위해 안락사나 뇌사 등의 주제를 열심히 강의하고 토론시키는 식의 교육은 나무에서 물고기를 찾는 것과 다름없다. 더 큰 문제는 이와 같은 방식의 교육이 궁극적으로 의료윤리 교육 전반에 대한 회의와 불신을 불러일으킨다는 점이다.


39) 미국의사협회(AMA)가 매년 민감한 윤리적 사안에 대해 윤리법사위원회를 중심으로 각종 보고서와 의견, 강령 해석들을 제출하고 대의원회의결의에 따라 회원들에게 배포하는 것은 이런 맥락에서 중요한 참고가 되어야 한다.

@@ 대한의사협회 중앙윤리위원회. 각국 의사단체 윤리위원회 조직 및 기능 비교연구. 2005. 2. : 20-22










한국의료윤리교육학회지 제9권 1호(통권 제15호) : 60-72, 2006년 6월

ⓒ한국의료윤리교육학회

Korean J Med Ethics Educ 9(1):60-72, June 2006

ISSN 1229-0904


A Critical Review of the Current Medical Ethics Education in Korea

KWON Ivo*


There are numerous problems with the medical ethics education currently practiced in Korea. In

the first place, there is a lack of consensus regarding the goals of medical ethics education. Some

educators seek to promote morality or good character in medical students, while others focus on

advanced bioethical issues such as euthanasia or organ transplantation. Secondly, there is confusion

concerning teaching methods. Lectures, small group discussions, so called “dilemma discussions”,

PBL, TBL, and public service components are all used without any clear educational purpose and

strategy. Thirdly, there are problems with evaluation; few know how to evaluate students’

performance or measure the effects of medical ethics education.

In this article, I argue that the promotion of medical ethics competence based on the medical

professionalism should be recognized as the ultimate goal of basic medical ethics education.

Medical ethics competence is composed of knowledge, problem solving skills, and professionalism,

and it covers three different domains: medical ethics, bioethics, and professional ethics. Instructional

tools and methods should be constructed and implemented to achieve this goal of medical ethics

competence, which will in turn help to promote medical professionalism in Korea.


􄧏 key words : Medical ethics education, Professional ethics, Medical ethics competence


ME

 

 

 







전문직업적 정체성 형성(PIF)를 포함시킨 수정된 밀러의 피라미드 (Acad Med, 2016)

Amending Miller’s Pyramid to Include Professional Identity Formation

Richard L. Cruess, MD, Sylvia R. Cruess, MD, and Yvonne Steinert, PhD



1990 년 George Miller1은 "임상 기술 / 역량 / 성과 평가"라는 제목의 기사를 발표했습니다. 그 영향은 즉각적이었습니다. 1 년당 인용 횟수는 1990 년대 한 자릿수에서 증가하여 2010 년에는 100을 넘어 섰고 그 이후로 매년 100-140 회로 증가했습니다.

In 1990, George Miller1 published an article entitled “The Assessment of Clinical Skills / Competence / Performance.” Its impact was immediate. Citations per year grew from single digits in the 1990s, passing 100 in 2010, and remaining between 100 and 140 per year since then.


Miller1은 원 논문에서 "의사가 전문적인 서비스를 제대로 제공하는 것만큼 복잡한 것은 없고, 따라서 이렇게 복잡한 판단을 내리는 데 필요한 모든 데이터를 한 가지 평가만으로 얻을 수는 없다"라고 말하면서 4단계 피라미드 구조를 프레임 워크로 제안했습니다. 의학적 숙달의 여러 단계를 평가 할 수 있다. 밀러는 교육법과 평가법의 통합이 필요하다는 것을 인정하면서 "교수들은 이 피라미드의 상위에 맞는 교육 방법과 평가 절차를 찾아야한다"고 말했다.

In the original article, Miller1 stated that “no single assessment method can provide all the data required for judgment of anything so complex as the delivery of professional services by a successful physician.” He then proposed a four- part pyramidal structure as a framework within which the multiple levels of mastery over the art and science of medicine could be assessed. Recognizing the necessary integration of teaching and assessment, Miller stated that “faculties should seek both instructional methods and evaluation procedures that fall in the upper reaches of this triangle.”1


우리는 Miller의 기여에 찬사 보내며, 의학 교육에서 전문직 정체성 형성(PIF)의 중요성에 대한 이해가 높아짐에 따라 피라미드의 구성을 재검토해야한다고 제안합니다.

We have nothing but admiration for Miller’s contribution, however, we believe that the growing understanding of the importance of professional identity formation in medical education2–4 suggests that the composition of the pyramid should be reexamined.


잘 알려진 바와 같이 Miller의 피라미드 또는 삼각형 (그림 1)은 지식을 기반으로합니다. 

  • Miller는 전문가의 기능을 수행하는 데 필요한 지식을 개인이 "알고"있다는 지식의 기본 중요성을 인식했습니다. 더욱이, 그는 단순히 의학 지식을 습득하는 것만으로는 충분하지 않으며 지식을 평가하는 것이 상대적으로 쉽다는 것을 이해했습니다. 

  • 다음 단계는 졸업생들이 자신의 지식을 어떻게 역량의 지표로 사용할 것인지 "방법을 알아야"한다는 사실을 기반으로했으며 지식의 분석, 해석, 합성 및 적용을 평가하는 방법을 검토했습니다. 

  • 세 번째 수준 인 "shows how"는 "수행능력"와 관련이 있으며, 학습자가 감독하고 관찰하는 동안 자신의 지식을 사용할 수 있다는 것을 성과를 통해 입증해야하는 필요성을 나타냅니다. Miller는 이 성취도를 평가하기 위해 새로운 방법을 고안했습니다. 

  • 마지막으로, 피라미드의 꼭대기는 학습자가 임상 상황에서 독립적으로 기능 할 수 있는지 여부를 결정하려는 시도 인 동사 "Does"가 차지했습니다. Miller1은 "전문적인 행동에 대한 이 단계의 행동 요소는 정확하게 측정하기가 가장 어렵습니다."라고 했다.

As is well known, Miller’s pyramid, or triangle as he also called it (Figure 1), has knowledge as its base. 

  • Miller recognized the foundational importance of knowledge, that an individual “Knows” what is required to carry out the functions of a professional. Moreover, he understood that merely knowing was insufficient for the practice of medicine, and stated that assessing knowledge was relatively easy. 

  • The next layer was based on the fact that graduates must “Know How” to use their knowledge as an indicator of “competence,” and he reviewed methods of assessing the analysis, interpretation, synthesis, and application of knowledge. 

  • The third level, “Shows How” was related to “performance,” referring to the necessity for learners to demonstrate, through performance, that they are capable of using their knowledge while being supervised and observed. Miller described the then emerging methods designed to assess this level of accomplishment. 

  • Finally, the apex of the pyramid was occupied by the verb “Does,” representing an attempt to determine whether learners are capable of functioning independently in clinical situations. Miller1 stated that “this action component of professional behavior is clearly the most difficult to measure accurately and reliably,” an observation that is still accurate.





CBME는 피라미드의 유용성을 강조했습니다. "Know"에서 "Does"까지의 시퀀스가 ​​여러 분야에서 이정표를 개발하기위한 기초 역할을하기 때문이다.

The move to competency-based education and milestones has emphasized the usefulness of the triangle, as the sequence of descriptors from “Knows” to “Does” serves as the basis for developing milestones in many disciplines.9


Miller가 처음 피라미드를 개념화했을 때, 의사가 지속적으로 지식과 기술을 효과적으로 사용하고, 전문가가 기대하는 행동을 보여줄 수 있다면 충분하고 만족스럽다고 생각했을 것입니다. 이론적으로 의사가 의식적으로, 정해진 방식으로 행동한다면 도달할 수 있다.

When Miller conceptualized his pyramid, it seems likely that most observers would have considered it sufficient and satisfactory if they could ensure that those entering practice would consistently use their knowledge and skills effectively and demonstrate the behaviors expected of a professional. Theoretically, this could be accomplished by practitioners consciously acting in the prescribed ways expected of them.


그러나 Hafferty 등은 과연 이것으로 충분한지 궁금해했다. 필요할 때만 전문적으로 행동하면 되는가? Hafferty2는 "임상 의사 결정을 강조하는 근본적인 불확실성과 의학 실습에 스며드는 모호성은 전문적인 존재를 필요로한다고 말하면서 자신의 질문에 대답했습니다. 어떤 사람이하는 것보다 하나에 최선의 근거가있다. "2) 

Hafferty2 and others3,4 wondered whether this is sufficient. Is professional behavior something that is only used when necessary? After asking, “Does it really matter what one believes as long as one acts professionally?” Hafferty2 answered his own question by stating that 


"임상적 의사결정의 근본인 불확실성은 그 사람이 '무슨 행동을 하는가'를 넘어서  그 사람이 '어떠한 사람인가'에 기반을 둔 전문가적 정체성을 필요로 한다"

“the fundamental uncertainties that underscore clinical decision making and the ambiguities that permeate medical practice, require a professional presence that is best grounded in what one is rather than what one does.”2 


전문직정체성professional identity의 중요성을 믿는 다른 사람들은 "무엇을 하는가"보다 "누구인가"가 전문적인 행동의 일관된 존재를 보여주는 더 확실한 근거임에 동의했다. 따라서 우리는 Miller의 피라미드의 꼭대기가 "Is"(그림 2)라는 추가 레벨로 점령되어야한다고 제안 할 것입니다 (그림 2).

Others, believing in the importance of a professional identity, have agreed, stating that “being” is a sounder basis for the consistent presence of professional behaviors than is “doing.”3,4,12 We would therefore propose that above “Does,” the apex of Miller’s pyramid should be occupied by an added level: “Is” (Figure 2).










전문 직업 성에서 직업적 정체성 형성에 이르기까지

From Professionalism to Professional Identity Formation



"직업"이라는 단어는 헬레닉 그리스 (Helellic Greece)에 처음으로 나타나는데, 처음에는 스크리보니우스(Scribonius)의 연구에서 나타난다. 세월이 흐르면서 사회와 의사들은 "프로페셔널"라는 단어를 사용하여 의료 종사자를 묘사했다. 의사들이 전문적으로 행동하리라 기대했지만, 전문직업성을 교육하지는 않았다. 지난 수십 년 동안의 "프로페셔널리즘 운동"14는 의학과 사회가 의학의 프로페셔널리즘이 그 자체로 실패했고, 현대적 의료시스템의 진화에 의한 위협을 받고 있다고 느꼈기 때문이다.15,16 그 결과로 의학의 프로페셔널리즘을 분석하게 되었고, 존재의 이유, 정의가 개발되었고, 교수법과 전문성 평가 방법이 고안되었다. 정의에 따라서는 실제로 관찰 가능한 행동을 강조하였고, 마찬가지로 많은 평가 방법도 그러하였다. 비록 프로페셔널리즘이 일관되게 의학의 도덕적 성격과 미래의사에 대한 가치 전수에 중점을 두어 왔지만, 늘 강조했던 것은 "Does"였다.

The word “profession” can be traced to Hellenic Greece, first appearing in the work of Scribonius.13 Through the ages, society and physicians have used the word “professional” to describe medical practitioners. Professional behaviors were expected of physicians, but professionalism was not taught. The “professionalism movement”14 of the past few decades arose because medicine and society believed that medicine’s professionalism was threatened by its own failures and by the evolution of modern health care.15,16 As a result, medicine’s professionalism was analyzed, including its origins and the reasons for its continued existence. Definitions were developed,17 and methods of teaching18 and assessing professionalism6,19 were devised. Some definitions actually emphasize observable behaviors,11,18 as do many methods of assessment. Even though there has been a consistent emphasis on the moral nature of medicine and on the transmission of its values to future practitioners, the emphasis has been on “Does.”


개념으로서의 직업적 정체성 또한 의학에서 오랫동안 존재 해왔다. 아리스토텔레스의 "phronesis"라는 용어는 직업적 정체성을 주로 기술하고 있으며, 시대에 따라 수정 된 형태로 우리에게 내려왔다. 20,21 1957 년 Merton (22)은 의학 교육의 사회학에 대한 고전적 연구를 소개하면서, 전문직 정체성의 발달이 의학 교육의 기능이라고 하였다.

Professional identity as a concept has also had a long existence in medicine. The Aristotelian term “phronesis” is largely descriptive of a professional identity and has come down to us in modified form through the ages.20,21 In 1957, Merton,22 in the introduction to a classic study of the sociology of medical education, stated that it is the function of medical education to


(의학교육이란) 초보자를 의학의 효과적인 의사로 만들어주고, 가능한 최선의 지식과 기술을 제공하고, 전문적인 정체성을 제공하여 그가 생각하고 행동하고 의사처럼 느껴지도록 하는 것이다.

transmit the culture of medicine and … to shape the novice into an effective practitioner of medicine, to give him the best available knowledge and skills, and to provide him with a professional identity so that he comes to think, act, and feel like a physician.



그 다음에 베커 (Becker)와 그의 동료들에 의한 두 개의 다른 고전적 연구들 23)과 보스 (Bosk, 24)는 의사의 "자아"에 대한 정체성의 중심성을 강조했다. 이러한 공헌들의 상당한 영향에도 불구하고, 그 용어는 aspirational goal이었지만, 교육 목표로서의 전문직 정체성은 거의 관심을 받지 못했다. 

This was followed by two other classic studies by Becker and his colleagues23 and Bosk,24 both of which emphasized the centrality of identity to a physician’s “self.” In spite of the considerable impact of these contributions, professional identity as an educational objective received little attention, although the term was frequently invoked as an aspirational goal.


이러한 관심 부족은 최근 몇 년간 개선되었습니다. 카네기 재단 (Carnegie Foundation)이 의학 교육의 미래에 관한 보고서는 이 문제를 가장 앞서 제기했습니다. 여기서는 "전문직 정체성 형성 - 전문적인 가치, 행동 및 열망의 개발 -은 의학 교육의 중추가되어야 함"이라고 명시했습니다.

This lack of attention has been remedied in recent years. The Carnegie Foundation report on the future of medical education brought the issue to the forefront. Its authors stated that “professional identity formation—the development of professional values, actions, and aspirations—should be the backbone of medical education.”25 


의학에서의 전문직 정체성 서사의 본질은 이제 분명합니다. 
  • 학생들은 유아기부터 개발 된 기존 정체성을 가지고 의대에 입학합니다. 
  • 그들은 의학의 실천 공동체에 참여하기를 원하고 43), 자신의 전문 분야에 대한 최종적인 강한 감각을 지닌 의대생, 레지던트, 의사의 정체성을 연속적으로 습득합니다 .44 
  • 그들의 전문직 정체성은 의식적 의사 결정과 임상적 및 비임상적 경험에 총체적으로 영향을 받는다45 
  • 프로세스 전반에 걸쳐 "완전히 통합 된 도덕적 자아 (개인적 및 전문적 가치가 완전히 통합되고 일관되게 적용되는 것)를 나타내는 정체성을 구축하는 것"이 목표가 된다3 
  • 바람직한 정체성의 본질은 단일하지도, 정적이지도 않다. 모든 개인은 자신의 삶 전체에서 계속 변화하는 다양한 개인 및 전문직 정체성을 습득합니다. 
  • 자비로운 의사에 대한 열망과 같은 사회적 기대가 있지만, 사회와 의료 전달 시스템이 발전함에 따라 전문직 정체성의 어떤 측면들은 변화할 것이다. 지난 수십 년간 환자의 자율성에 대한 존중을 점차 강조해 온 것은 그러한 변화를 대표한다.

The nature of the professional identity narrative in medicine is now clear. 

  • Individuals enter medical school with existing identities developed since infancy. 

  • They desire to join the community of practice that is medicine43 and successively acquire the identity of medical student, resident, and practitioner, with a final strong sense of belonging to their chosen specialty.44 

  • Their professional identity is developed gradually in stages as a result of both conscious decisions taken and the impact of the totality of their clinical and nonclinical experiences.45 

  • The aim throughout the process is to construct an identity that represents a “fully integrated moral self (one whose personal and professional values are fully integrated and consistently applied).”3 

  • The nature of the desired identity is neither monolithic nor static. Every individual acquires multiple personal and professional identities that continue to change throughout their lives. 

  • Although there are some societal expectations, such as the desire for a caring and compassionate physician who will listen, that seem to be relatively timeless, other aspects of a professional identity will change as both society and health care delivery systems evolve.3,12  The emergence over past decades of the importance of respect for patient autonomy represents such a change.46


전문직 정체성 형성에 대한 이해의 진화하며 Carnegie Foundation 보고서는 큰 영향을 미쳤고, 많은 사람들이 전문성 교육에 대한 접근 방식을 재검토하게되었습니다. 이제 전문직 정체성 형성은 "전문직업성을 위한 필수 기반"이 되었습니다.

The impact of the literature on this evolving understanding of professional identity formation, with the Carnegie Foundation report being of great consequence,25 has been significant, causing many individuals to reexamine their approach to teaching professionalism. Professional identity formation has been identified as “a necessary foundation for professionalism.”31


전문직업성을 가르치는 진정한 목적은 항상 학생들이 자신의 전문적 정체성을 개발할 때 학생들을 돕는 것이었고 전문적 정체성 형성PIF은 의학 교육의 주요 목표가되어야 합니다 .46) 따라서 밀러의 피라미드의 원래 공식은 불완전한 것처럼 보입니다. 의학교육의 목적이 학습자가 자신의 직업적 정체성을 개발하도록 도와줌으로써 자신의 행동이 자신의 정체성에서 비롯할 수 있도록 만드는 것이라면, "Does"만으로는 충분하지 않습니다.

the real objective of teaching professionalism has always been to assist students as they develop their own professional identities and that professional identity formation should therefore become a principal objective of medical education.46,47 It thus appears that the original formulation of Miller’s pyramid is incomplete. If the objective of medical education is assisting learners to develop their own professional identities so that their behaviors spring from who they are, then “Does” is not sufficient.





"Does"에서 "Is"로 : 전문가 아이덴티티 평가

From “Does” to “Is”: Assessing Professional Identity



밀러의 의도는 평가 이슈를 다루는 것이었고, 그의 피라미드를 변경해야하는 경우,이 문맥 적 틀을 무시할 수 없었습니다. 수정 된 피라미드 버전이 도움이된다면, "Is."를 포함하여 각 단계에 대하여 평가 방법이 있어야합니다.

Miller’s intent was to address the issue of assessment, and if his pyramid is to be altered, this contextual framework cannot be ignored. If the revised version of the pyramid is to be of assistance, methods of assessment must be available for each level of achievement, including “Is.”


전문직업성의 평가와 PIF에 대한 평가의 목적은 서로 다르며, 서로 다른 방법이 필요합니다. "Does"는 "Is"와 다릅니다.

The assessment of professionalism and of professional identity formation have different objectives and will require different methods. “Does” is different from “Is.”


호킨스와 그의 동료들은 밀러의 피라미드를 효과적으로 사용하여 전문성을 평가하는 "누가, 무엇을, 언제, 어디서, 어떻게 그리고 ... 왜"논의하는 데 효과적으로 사용했습니다. 피라미드의 기초를 놓고 

  • "Knows"은 지식 기반에 "전문성의 핵심 원칙을 알고 이해해야한다"고 기술했다. 

  • "Knows how"의 예로는 "특정한 도덕적 갈등을 다루는 과정을 설명한다. 

  • "Shows how"는 "인터뷰에서 문화적 민감성을 보여 주겠다 "고 제안했고

  • "Does"는 사람들은"복잡한 의료 시스템에있는 환자를 지지하는 것"을 제안했습니다. 

각각에 대해 평가 방법에 대한 개요를 제공합니다. 

Hawkins and his colleagues5 used Miller’s pyramid effectively in discussing “who, what, when, where, how, and … why” to assess professionalism. 

  • For the foundation of the pyramid, “Knows,” they stated that the knowledge base should include “Knows/understands core principles of professionalism.” 

  • For “Knows How,” they gave as an example “Describes a process for addressing a specific moral conflict.” 

  • As a representative of “Shows How,” they suggested “Demonstrates cultural sensitivity in interviewing,” and 

  • for “Does” they proposed “Advocates for patients in complex healthcare systems.”

 For each, they provide an overview of the methods available at the time for assessment.


그림 2에서 우리는 비슷한 템플릿을 제공하려고 시도했습니다. 

  • "Knows"의 경우 학습자는 "의사가 기대하는 행동 규범을 알게 될 것"이라고 예상 할 수 있습니다. 의학 공동체의 행동 규범은 모든 학습자에게 명시 적으로 전달되어야합니다. 

  • "Knows how"수준에서, "개인 행동이 언제 적절한 것인지를 아는 것"이 ​​필요합니다.이 과정은 커리큘럼에서 명시 적으로 전달되어야합니다. 

  • "Shows how"는 학습자가 감독하에 있는 동안 의사가 기대하는 행동을 보여주는 것이다 

  • "Does"레벨에서, 학습자는 의사가 기대하는 행동을 의식적으로 보여줄 것으로 기대합니다. 

  • 마지막으로, 삼각형의 꼭대기에서 개인은 "의사처럼 생각하고 행동하고 느끼기" 때문에 "is"단계에서의 행동이 자연스럽게 일어납니다. 22 이것은 개인의 태도, 가치 및 신념을 포괄합니다.

In Figure 2 we have attempted to provide a similar template . 

  • For “Knows,” learners wouldbe expected to “Know the behavioral norms expected of a physician.” For this to occur, the behavioral norms of medicine’s community of practice must be communicated explicitly to every learner. 

  • At the “Knows How” level, it would be necessary to “Know when individual behaviors are appropriate”—again, something that must be communicated explicitly in the curriculum. 

  • As learners progress up the pyramid, they would model “Shows How” by demonstrating the behaviors expected of a physician while under supervision. 

  • At the “Does” level, the expectation would be that a learner consciously demonstrates the behaviors expected of a physician. 

  • Finally, at the apex of the triangle, behaviors at the “Is” stage would occur naturally because the individual has come to “think, act, and feel like a physician.”22 This would encompass the individual’s attitudes, values, and beliefs. 


직업적 정체성을 발전시키고 견고하게하는 결정적 사건 (예 : 죽음과의 최초 접촉)이 있을 수 있고, 따라서 피라미드의 각 단계가 선형적으로 진행되지는 않습니다. 학습 환경이 개인에 대해 서포트해주지 못하면, 발달 과정이 지연될 수 있습니다 .2,32,38

The process does not proceed linearly as there are sentinel occurrences (as an example, the first contact with death) that advance and solidify a professional identity.3,29,30 A learning environment that fails to support individuals during their journey can retard the process.2,32,38


Miller1이 지적한 것처럼 피라미드가 올라감에 따라 평가가 더 복잡해지고 "Is"에 대한 평가가 "Does"평가보다 더 어려울 것입니다. 기본 지식에 대한 평가는 가장 덜 어렵다. 밀러 (Miller)가 지적한 바와 같이, 지식의 존재 유무는 전통적인 방법으로 쉽게 평가할 수 있습니다.

As Miller1 pointed out, assessment becomes more complex as one ascends the pyramid, and the assessment of “Is” will undoubtedly prove to be more difficult than the assessment of “Does.” The base—knowledge—continues to offer the fewest difficulties for assessment. The presence or absence of knowledge can be assessed easily by traditional methods, as noted by Miller.


피라미드를 진행함에 따라 전문성 평가는 '전문적 정체성 형성'이라는 렌즈를 통해 재검토되고 재구성 될 수 있습니다. 기대되는 정체성의 태도, 가치 및 특성이 본질적으로 주관적이어서 직접적으로 평가하기가 어렵기 때문에, '정체성 평가'는 태도, 가치관 및 태도를 보여주는 행동의 관찰에 계속 의존할 것이다.  또한 문제행동과 비전문가 행동은 계속 주의를 요한다.

As one progresses up the pyramid, the assessment of professionalism can be reexamined and reformulated through the lens of professional identity formation. As the attitudes, values, and characteristics of the desired identity are largely subjective in nature, and therefore difficult to assess directly,48 it is probable that there will continue to be a reliance on the observation of behaviors representative of those attitudes, values, and characteristics as a surrogate for the assessment of identity.46 In addition, professional lapses and unprofessional behaviors will continue to require attention.


그러나 관찰 가능한 행동에만 의존한다면, 전문성의 중요한 측면을 놓칠 수 있다.

However, it is recognized that reliance on observable behaviors alone misses important aspects of professionalism,49


지금까지 자신의 발달 상황을 평가하는 도구는 당사자의 해석에 크게 의존하고 있으며, 미래를 긍정적으로 보여주려는 경향이 있다.

The tools that have been developed thus far to have relied heavily onthe interpretation of individuals assessing their own progress, and it seems likely that this will represent a rewarding direction in the future. 


각 개별 학습자는 유니크하며, 한 사람도 다수의 전문직 정체성을 보유하기 때문에 평가는 더욱 어렵다. 따라서 교육 목표로서의 단일 표준은 불가능할 뿐만 아니라 바람직하지도 않습니다. Frost와 Regehr39는 의학 교육의 목표는 의학에 입문한 모든 사람들의 정체성을 표준화, 균질화하는 것이 아니라고 지적했다. 그들은 개인적 정체성과 의료계에서의 정체성의 다양성을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점을 강조합니다. 정체성에 대한 변화 없이 의사가 되는 것은 불가능하지만, 의대에 입학했을 때의 "자아"가 가진 성격은 지속되어야 합니다.

Assessment is further complicated by the fact that it is axiomatic that each individual learner is unique and each will possess multiple personal and professional identities.3,4,46 Thus, a single standard as an educational objective is not only impossible, it is undesirable. Frost and Regehr39 have pointed out that the objective of medical education is not the homogenization of all individual identities into a standardized medical persona imposed on those entering medicine. They stress the importance of both maintaining an individual’s personal identity and a diversity of identities within the medical profession. Although it is not possible to acquire the identity of a physician without changing one’s identity, the nature of the “self ” that enters medical school must be allowed to persist.




Methods Currently Available to Assess Professional Identity Formation


의학 분야에서 개발된 방법

Methods developed in medicine


자기 인식의 중요성을 강조한 마샤 (Marcia)는 Erikson에 의해 제안 된 신원 개발 단계에 대한 운영상의 정의를 제공하는 "정체성 상태 패러다임"을 개발했다 .52이 구조를 기초로 Niemi26은 질적 방법을 사용하여 "학습 일지"를 분석하고 "정체성 상태 인터뷰". 둘 다 유도 반사에 크게 의존합니다.

Marcia,51 who stressedthe importance of self-perception developed an “identity status paradigm” which provided operational definitions for the stages of identity development proposed by Erikson.52 On the basis of this framework, Niemi26 used qualitative methods to analyze “learning logs” and “identity status interviews,” both of which depend heavily on guided reflection.


그들의 전임상 훈련의 끝에서, 학생들은 네 가지 범주로 균등하게 배분되었다. 여전히 특정 대안을 적극적으로 탐구하는 사람들; 그들의 정체성에 관한 모호한 환상과 잠정적 인 생각을 다루는 사람들; 매우 분산 된 신분 상태를 유지하고있는 사람들.

At the end of their preclinical training, students were evenly distributed between four categories: 

    1. those who had achieved a stage-appropriate professional identity; 

    2. those still actively exploring specific alternatives; 

    3. those dealing with vague fantasies and tentative ideas about their identities; and 

    4. those who remained with a very diffuse identity status.


또 다른 관련 도구는 Crossley와 Vivekananda-Schmidt가 개발 한 직업적 정체성 개발에 기여하는 커리큘럼 특징을 조사하기 위해 개발 한 "Professional Self Identity Questionnaire"입니다.

Another relevant tool is the “Professional Self Identity Questionnaire” developed by Crossley and Vivekananda-Schmidt31 to examine the curricular features that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a professional identity.


Madill과 Latchford53은 인간 해부 전후의 1 학년 의대생의 직업적 정체성을 추적하기 위해 2 개의 "레퍼토리 그리드"를 개발했다.

Madill and Latchford53 developed two “repertory grids” to trace the development of professional identity of first-year medical students before and after human dissection.



다른 분야에서 개발된 방법

Methods developed in other professions


치과학 3과 미국 육군 54의 장교들도 다른 분야에서 "Is"를 평가할 가능성을 확인하는 확실한 연구가있었습니다.

There have also been solid studies in dentistry3 and in the officer corps of the U.S. Army54 that confirm the possibility of assessing “Is” in other professions.



Bebeau와 동료들은 치과 학생들에게 전문적인 정체성 개발을 평가했다. Bebeau는 Kegan57에 의해 제안 된 정체성 개발의 6 단계 이론적 틀에 크게 의지합니다.

Bebeau and colleagues55,56 have assessed professional identity development in dental students. Bebeau leans heavily on the six-stage theoretical framework of identity development proposed by Kegan57 that she has adapted for use in dental education.



교육에 대한 함의

The Implications for Teaching



새로운 성취 수준을 평가하려면, 교육에도 변화가 있어야 함은 자명하다. 전문적 정체성 형성은 의학 교육의 목표가되어야하며 전문성의 기초로서의 중요성을 인정해야합니다.

It is self-evident that introducing the assessment of a new level of accomplishment in medical education must be linked to changes in what is taught. Professional identity formation should become a goal of medical education, thus acknowledging its importance as the foundation of professionalism.



전문성의 본질, 그것이 존재하는 이유, 약의 사회 계약과의 연관성, 의학의 전문적 지위를 유지하는 데 필요한 행동에 대한 분명한 가르침은 여전히 ​​중요합니다. 여기에 추가로 전문직 정체성 형성과 사회화 과정을 명시되어야 한다. 이런 식으로 학습자는 자신의 정체성을 개발하고 롤모델과 멘토와 협력하여이 목표를 향한 자신의 발달과정을 추적 할 수 있습니다. 10,47,56 "Is"에 대한 평가는 주로 학생들은 의학의 공동체 실천에 동참합니다. 의사가 실제로 "의사처럼 생각하고 행동하고 느끼는 것"을 보장하기 위해서는, 의학에 대한 사회의 의무를 충족시키기 위해 총괄평가가 필요합니다.

The explicit teaching of the nature of professionalism, the reasons for its existence, its link to medicine’s social contract, and the actions necessary to sustain medicine’s professional status will remain important. To this should be added explicitly outlining the process of professional identity formation and socialization. In this way, learners can become engaged in the development of their own identity, tracing their own progress toward this goal in collaboration with role models and mentors.10,47,56 The assessing of “Is” should be primarily formative in order to guide students as they join medicine’s community of practice. Summative assessment will remain necessary to meet medicine’s obligation to society to ensure that practicing physicians have come to “think, act, and feel like a physician.”22




결론

Conclusion


조지 밀러 (George Miller) 1의 견해를 마무리하는 것이 적절합니다. "임상 실적의 적정성을 증명하기 위해 사회가 제기 한 혐의에 충실해야한다면 ... 더 이상 가능한 방법을 찾을 책임을 피할 수 없습니다. 


It is appropriate to close with a quote from George Miller1: 


“If we are to be faithful to the charge placed upon us by society to certify the adequacy of clinical performance … then we can no longer evade the responsibility for finding a method that will allow us to do so.” 


전문직 정체성 형성은 교육의 목표가 되었고, 이 목표 달성도를 명시적으로 평가하는 것은 우리의 책임이 되었다.

As professional identity formation becomes an educational goal, explicitly assessing progress toward the achievement of this goal becomes a responsibility,







2 Hafferty FW. Professionalism and the socialization of medical students. In: Cruess RL, Cruess SR, Steinert Y, eds. Teaching Medical Professionalism. New York, NY: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9:53–73.


5 Hawkins RE, Katsufrakis PJ, Holtman MC, Clauser BE. Assessment of medical professionalism: Who, what, when, where, how, and … why? Med Teach. 2009;31:348–361.


12 Jarvis-Selinger S, Pratt DD, Regehr G. Competency is not enough: Integrating identity formation into the medical education discourse. Acad Med. 2012;87:1185–1190.


17 Birden H, Glass N, Wilson I, Harrison M, Usherwood T, Nass D. Defining professionalism in medical education: A systematic review. Med Teach. 2014;36:47–61.


19 Wilkinson TJ, Wade WB, Knock LD. A blueprint to assess professionalism: Results of a systematic review. Acad Med. 2009;84:551–558.


20 Kinghorn WA. Medical education as moral formation: An Aristotelian account of medical professionalism. Perspect Biol Med. 2010;53:87–105.


21 Kumagai AK, Wear D. “Making strange”: A role for the humanities in medical education. Acad Med. 2014;89:973–977.


32 MacLeod A. Caring, competence and professional identities in medical education. Adv Health Sci Educ Theory Pract. 2011;16:375–394.


33 Monrouxe LV, Rees CE, Hu W. Differences in medical students’ explicit discourses of professionalism: Acting, representing, becoming. Med Educ. 2011;45:585–602.


34 Weaver R, Peters K, Koch J, Wilson I. “Part of the team”: Professional identity and social exclusivity in medical students. Med Educ. 2011;45:1220–1229.


36 Burford B. Group processes in medical education: Learning from social identity theory. Med Educ. 2012;46:143–152.


37 Goldie J. The formation of professional identity in medical students: Considerations for educators. Med Teach. 2012;34:e641–e648.


39 Frost HD, Regehr G. “I am a doctor”: Negotiating the discourses of standardization and diversity in professional identity construction. Acad Med. 2013;88:1570–1577.


41 Wilson I, Cowin LS, Johnson M, Young H. Professional identity in medical students: Pedagogical challenges to medical education. Teach Learn Med. 2013;25:369–373.


46 Cruess RL, Cruess SR, Boudreau JD, Snell L, Steinert Y. Reframing medical education to support professional identity formation. Acad Med. 2014;89:1446–1451.


47 Cruess RL, Cruess SR, Boudreau JD, Snell L, Steinert Y. A schematic representation of the professional identity formation and socialization of medical students and residents: A guide for medical educators. Acad Med. 2015;90:718–725.






 2016 Feb;91(2):180-5. doi: 10.1097/ACM.0000000000000913.

Amending Miller's Pyramid to Include Professional Identity Formation.

Author information

1
R.L. Cruess is professor of surgery and core faculty member, Centre for Medical Education of McGill University, Montreal, Quebec, Canada. S.R. Cruess is professor of medicine and core faculty member, Centre for Medical Education of McGill University, Montreal, Quebec, Canada. Y. Steinert is professor of family medicine and director, Centre for Medical Education of McGill University, Montreal, Quebec, Canada.

Abstract

In 1990, George Miller published an article entitled "The Assessment of Clinical Skills/Competence/Performance" that had an immediate and lasting impact on medical education. In his classic article, he stated that no single method of assessment could encompass the intricacies and complexities of medical practice. To provide a structured approach to the assessment of medical competence, he proposed a pyramidal structure with four levels, each of which required specific methods of assessment. As is well known, the layers are "Knows," "Knows How," "Shows How," and "Does." Miller's pyramid has guided assessment since its introduction; it has also been used to assist in the assessment of professionalism.The recent emphasis on professional identityformation has raised questions about the appropriateness of "Does" as the highest level of aspiration. It is believed that a more reliable indicator of professional behavior is the incorporation of the values and attitudes of the professional into the identity of the aspiring physician. It is therefore proposed that a fifth level be added at the apex of the pyramid. This level, reflecting the presence of a professional identity, should be "Is," and methods of assessing progress toward a professional identity and the nature of the identity in formation should be guided by currently available methods.

PMID:
 
26332429
 
DOI:
 
10.1097/ACM.0000000000000913


프로페셔널리즘에 대한 도전: 사회적 책무성과 글로벌 환경 변화(Med Teach, 2015)

Challenges to professionalism: Social accountability and global environmental change

DAVID PEARSON1, SARAH WALPOLE1 & STEFI BARNA2

1Hull York Medical School, UK, 2Norwich Medical School, UK






배경: 변화, 개념, 도전

Background: changes, concepts and challenges 


전문직업성은 value-driven concept 으로서, 헌장/선언문/테스크포스에 따라서 다양하게 정의되나 본질적으로 의료전문직과 그들이 serve하는 사회와의 "사회적 계약"이다. 이러한 목적에서 우리는 프로페셔널리즘을 "대중이 의사에게 가지는 신뢰의 근간이 되는 가치/행동/관계의 집합"으로 정의하고자 한다.

Professionalism is a value-driven concept, variously defined in charters, statements and by task forces, but essentially offering a ‘‘social contract’’ between health profes-sionals and the society that they serve (Cruess & Cruess 2008;Cruess et al. 2010). For the purpose of this discussion, we will use the definition of professionalism as a ‘‘set of values, behaviours and relationships that underpin the trust the public has in doctors’’ (Royal College of Physicians 2005). 


의-프로페셔널리즘 문헌의 systematic review를 보면 프로페셔널리즘의 세 가지 주요 주제가 드러난다.

A systematic review of the medical professionalism litera-ture (Van de Camp et al. 2004) identified three key themes in professionalism: 


  • Interpersonal professionalism: 환자의 요구에 부응하는 것, 이타성, 봉사
    meeting patient demands,altruism and service delivery. 
  • Public professionalism: 책무성, 윤리 원칙과 자기조절에 대한 헌신submission
    accountability, submission to an ethical code and self-regulation. 
  • Intrapersonal professionalism: 표준을 유지하고 평생학습을 하는 것
    maintaining standards and life-long learning. 



사회적책무성Social accountability 은 의과대학에서 지난 30년간 중요한 개념이었다. 일련의 최근의 리뷰와 보고서들은 이 개념을 강화하기 위해서 의과대학에서는 명시적으로 그들의 사명mission이 그들이 serve하는 커뮤니티의 건강요구와 합치align할 것을 요구하고 있다.

Social accountability has been an important concept for medical schools for 30 years. A series of recent reviews and reports have strengthened the concept by recommending that the mission of medical schools should be explicitly aligned with the health needs of communities (and regions) they serve


의과대학의 GCSA를 보면 사회적 책무를 다하는 의과대학이란 아래와 같다.

The Global Consensus for Social Accountability of Medical Schools (2010) defines a socially accountable medical school as one which 

  • 사회의 건강요구와 건강 과제에 대응respond하는 것
    Responds to society’s health needs and challenges. 
  • 교육, 연구, 봉사service의 우선순위를 이러한 요구 해소에 따라 재정비reorient하는 것
    Reorients its education, research and service priorities to address these needs. 
  • 이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다른 이해관계자들과 협력work in partnership하는 것
    Works increasingly in partnership with other stakeholders to meet these goals.
  • 이 목표에 따른 수행과 그 영향력을 평가하는 것
    Assesses performance and impact against the above goals.


이 토론을 위하여 우리는 WHO의 '사회적 책무성'의 개념을 사용하고자 한다.

For the purpose of this discussion, we use the definition of social accountability used by the World Health Organisation since 1995

 

"의과대학이 그들의 교육/연구/봉사(진료)활동을 그들의 serve해야 하는 커뮤니티/지역/국가의 최우선 건강 문제health concerns에 따라 수행한다. 최우선 건강문제는 정부, 보건의료조직, 의료전문직, 대중이 함께 정해야 한다"

‘‘...the obligation (of medical schools) to direct their education, research and service activities towards addressing the priority health concerns of the community, region and the nation that they have a mandate to serve. The priority health concerns are to be identified jointly by governments, health-care organizations, health professionals and the public’’. (Boelen & Heck 1995).



WHO의 정의는 더욱 발전하여 아래의 세 가지를 포함하게 되었다.

The WHO definition has been further developed to include social responsibility, social responsiveness and social account- ability (Boelen & Woollard 2011):


  • Social responsibility: 최우선 건강문제와 과제를 인식하나, 교육/연구/진료가 반드시 여기에 부합alignment하지는 않음
    an awareness of society’s priority health needs and challenges but not necessarily an alignment of educational, research or service outcomes to these needs 
  • Social responsiveness: serve하는 커뮤니티의 건강요구를 적극적으로 밝혀내는 것, 이 요구에 부응하는 사명, 프로그램과 그 목표가 이 요구에 부응하기 위하여 align된 것.
    an active identification of health needs of the community served, a mission to address these needs and programmes and outcomes aligned to address these needs. 
  • Social accountability: (의과대학이) serve하는 커뮤니티와 적극적 파트너십을 맺고, 어떻게 의과대학이 (교육/연구/진료활동을 통해) 의료서비스와 그들의 serve하는 커뮤니티의 건강을 향상시킬 수 있을지에 초점을 두는 것
    an active partnership with the community served (including the public voice) and a focus on how the schools (through their education, and research service activities) improve the health services and health of the communities they serve.

우리의 환경 변화

We are increasingly..

  • informed about (through media and travel),
  • connected to (through trade and migration) and
  • reliant on (for food and other goods and services) other parts of the globe.

 

의사의 활동은 다른 사람에게 영향을 준다.

As doctors and as citizens, our actions affect other people:

  • their environment (through climate change),
  • working prospects and conditions (through the international labour market) and
  • living conditions (via the development of new technologies, products and services).


사회적 책무성Social accountability 과 프로페셔널리즘

Social accountability and professionalism


사회적 책무성에 관한 모든 프레임워크는 의과대학이 그들이 serve하는 커뮤니티의 요구에 부응할 수 있는 기술과 자질을 갖춘 의사(졸업생)을 양성할 것을 강조한다.

All social accountability frameworks emphasise the need for medical schools to produce graduates with skills and the disposition to meet the needs of the communities they serve.


The GCSA suggests 10 strategic directions,

 




Interpersonal professionalism: 

 

도덕적 계약의 기초

The element of profession- alism which includes altruism, integrity and meeting patient demand (Van de Camp et al. 2004) constitutes the basis of a moral contract between the medical profession and society (RCP 2005; Cruess & Cruess 2008, Cruess et al. 2010).


커뮤니티/환자/대중의 목소리가 의료전문직의 목소리와 조화co-ordinate되었을 때 의료와 교육이 강화될 수 있음.

Community, patient and public voices co-ordinated with the voices of health professionals can strengthen health delivery and education. In the most socially accountable schools, such voices will be clear, explicit and central to schools planning and governance.


사회적책무성을 위해서 의과대학이 커뮤니티에 초점을 두고 성과척도와 교육훈련방식을 결정할 때 유연성을 가져야하는 것처럼, 의사들도 점차 환자에 초점을 두고, 역할/기술/접근법에 유연성을 가져야 한다.

For doctors, professionalism increasingly implies patient focus and flexibility in roles, skills and approaches just as social accountability implies that medical schools must develop a community focus and flexibility in determining outcome measures and delivery of training.

 


Public professionalism: 

자율, 자기조절, 윤리에 대한 복종submission 등과 같은 프로페셔널리즘의 핵심 주제들이 사회적 책무성 개념에 의해 challange되고 있다. 두 가지 모두 사회적 요구와의 관계를 인정하나, 전문직으로서의 자율성과 사회적 책무성이 충돌하는 지점에 대해서 의견이 다르다.

Key professionalism themes such as autonomy, self- regulation and submission to an ethical code (Van de Camp et al. 2004) are challenged by social accountability concepts: both accept a relationship to societal needs, but disagree at the sites where professional autonomy and social accountability clash.


Intrapersonal professionalism: 

Life-long learning, maintain- ing standards and professional knowledge are central features of intrapersonal professionalism (Van de Camp et al. 2004).




환경의 변화, 사회적 책무성, 프로페셔널리즘

Environmental changes, social accountability and professionalism


GCSA는 새로운 사회적 변화에 대하여 반응responsiveness하는 것의 중요성을 강조한다. 우선 생태계를 보호하는 것이다.

The GCSA (2010) highlights the importance of responsiveness to new societal challenges. Foremost is the need to protect ecosystems which provide the foundations of life and health.


만약 사회적 책무성이 커뮤니티의 요구와 의과대학 사이의 alignment라면, 프로페셔널리즘은 사회적 요구와 개인 사이의 alignment에 대한 것이다. 사회적 책무성과 프로페셔널리즘에 대한 고려시에는 늘 글로벌 환경 변화로부터 오는 새로운 도전과제들을 고려해야 한다. 건강의 환경적 결정요인과 그것이 사회적 결정요인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 진솔한 토론을 할 수 있게 의과대학이 장려해야 한다. 미래의 의사는 그들이 serve할 커뮤니티에 닥친 사회적/환경적 과제를 해결할 수 있어야 하고, 생태계에 미치는 영향을 완화mitigate시킬 수 있게 도와야 한다.

If social accountability is best understood as an alignment of the medical school with the needs of the community served, professionalism can be seen as an individual’s alignment with society’s needs. Any consideration of social accountability and professionalism must consider new challenges arising from global environmental change. As a first step, medical schools should encourage honest discussions about environmental determinants of health (e.g. water, land, air, and climate change) and their effect on social determinants (e.g. social injustice, nutrition, conflict, and migration). Tomorrow’s doc- tors must understand and address the social and environmen- tal challenges faced by the communities they serve, helping them to mitigate their own impact on the ecosystem. In that way, they can help ensure that the health services,



Interpersonal professionalism...

의사는 그들이 제공하는 (의료)서비스의 지속가능성에 있어서 responsible, responsive and accountable 해야 한다. 지속가능한 의료시스템은 미래 의사들이 미래 세대의 건강요구를 충족시키기 위한 능력을 과하게 희생시키지 않으면서 현 세대의 건강요구를 충족시켜야 한다. 지속가능한 헬스케어 서비스는 다음이 필요하다.

requires doctors to be of the responsible, responsive and accountable in terms sustainability of services that they deliver. Sustainable health- care systems meet the health needs of the current generation without overly compromising the ability of tomorrow’s doctors to meet their generation’s health needs. A sustainable healthcare service

  • uses resources more efficiently,
  • focuses on prevention,
  • avoids low value procedures,
  • streamlines care to avoid waste,
  • chooses low-carbon technologies wherever possible and
  • fosters patient autonomy to manage their own care (Mortimer 2010).




Public professionalism... 

 

의사들은 ethical and professional codes에 충실하여야 한다. 

requires doctors to adhere to ethical and professional codes. The UK Royal College of Physicians (RCP 2010), the UK Academy of Medical Royal Colleges Nursing (Maughan & Gibbs 2014) and the American Association (2010) are among professional bodies highlighting that health professionals must exhibit environmental respon- sibility and environmental stewardship.


health advocate 이 된다는 것은 점차 우리를 유지sustain시켜주는 생태계ecosystems의 건강을 advocate한다는 것을 의미하게 될 것이다.

Being a health advocate will increasingly mean being an advocate for the health of the ecosystems which sustain us.


Intrapersonal professionalism: 

 

많은 의사들이 사회적, 환경적으로 책임감있는 삶을 살아가나, 대부분의 시민들과 같이 개인의 행동 변화를 넘어서서 사회 정의나 생태계의 건강을 advocate하는 의사는 거의 없다. 실제로 우리 대부분은 이 문제에 불균형하게 이 문제에 기여하고 있다.

Many doctors live socially and environmentally responsible lives but, as most citizens, few doctors go beyond individual behaviour change to advocate for social justice or ecosystem health. Indeed, most of us contribute disproportionately to the problem: we are..

  • high earners (contributing to social injustice),
  • high consumers (contributing to environmental degradation) and
  • high polluters (large carbon footprint, high water use, big cars, and relatively extravagant lifestyles).

Recommendations


핵심 교육과정

Core curriculum


세 개의 큰 틀에서의 학습목표가 제시된 바 있으며, GCSA에 매핑될 수 있다.

three overarch- ing learning objectives have been proposed (Thompson et al. 2014) which can be mapped to the strategic directions from the Global Consensus statement on social accountability (Table 1).

 

 


선택 교육과정

Optional or student-selected components



교육과정에서 SSC는 동기부여가 되어 있는 학생들이 기업가적 아이디어를 개발할 수 있게 해주며, (사회적 책무성이나 환경 변화에 대해서) 다른 학생과 전문직의 인식 변화도 일으킬 수 있다.

Student-selected components of the curriculum allow moti- vated students to develop entrepreneurial ideas and also shift the awareness of other students and professionals, including develop ideas of social accountability and environmental responsiveness (Lausten 2005).


교육과정에서 학생이 선택가능한 또 다른 영역인 일렉티브는 프로페셔널리즘 교육, 사회적 책무성, 환경적 책무성을 강화하고 통합할 수 있게 해준다. 의과대학은 일렉티브의 근원이 되는 윤리적으로, 환경적으로 타당sound한 원칙을 만들게끔 도울 수 있다. 또한 개인적으로는 크게 도움이 될지 몰라도, 환경적으로는 파괴적일 수도 있으며, 그 호스트 커뮤니티에 poorly integrated 되어 있을수도 있다. 의과대학은 학생들이 일렉티브의 영향(사회적, 윤리적, 환경적)을 성찰해보고, 프로페셔널리즘과 사회적 책무성을 일렉티브 보고서에서 다루게끔 권장해야 한다.

Medical electives are another student-selected area of the curriculum where schools can help reinforce and merge the teaching of professionalism, social accountability and envir- onmental responsiveness. Schools can help shape the prin- ciples underlying electives to ensure that they are ethically and environmentally sound (Johnson et al. 2012). While often of profound individual benefit, electives can be both environ- mentally destructive (not least through the carbon footprint of international travel) and locally poorly integrated into host communities. Medical schools should encourage students to reflect on their impact (socially, ethically and environmentally) and consider professionalism and social accountability along- side medical learning and personal development in electives reports.



Policy


The UK’s Sustainable Development Unit has produced a practical guide for sustainable meetings (SDU 2013) and Green Impact (NUS 2015) offers universities a framework to analyse and reduce their environmental impact, and the opportunity to involve staff and students in doing so.


Further debate


사회적 책무성과 환경적 책임의 개념이 규범적인normative한 것이므로, 다양한 의견은 도움이 되기도 하겠지만, 조금 불편할 수도 있다.

Because the concepts of social accountability and environ- mental responsibility are normative, a diversity of opinions is both useful (to promote discussion and engagement with new issues) and potentially uncomfortable.


각 의과대학이 이러한 토론을 장려할 책임이 있다.

We suggest that each medical school has a duty to encourage such debates among its staff, stakeholders and students.









For full Education for Sustainable Healthcare Priority Learning Outcomes, see
http://sustainablehealthcare.org.uk/sustainable-healthcare-education/priority-learning-outcomes



 2015 Sep;37(9):825-30. doi: 10.3109/0142159X.2015.1044955. Epub 2015 Jun 1.

Challenges to professionalismSocial accountability and global environmental change.

Author information

  • 1a Hull York Medical School , UK .
  • 2b Norwich Medical School , UK.

Abstract

This article explores the concept of professionalism as it relates to social change and social accountability, and expands on them in the light ofglobal environmental changes. Professionalism in medicine includes concepts of altruism, service, professional knowledge, self-regulation and autonomy. Current dialogues around social accountability suggest that medical schools should re-orientate their strategy and desired education, research and service outcomes to the health needs of the communities they serve.This article addresses the following questions: • How do we reconcile ideas of medical professionalism with the demands of creating a more equal, just, sustainable and socially inclusive society? • What newchallenges do or will we face in relation to environmental degradation, biodiversity loss, ecosystem health and climate change? • How can medical schools best teach social and environmental responsiveness within a framework of professionalism? • How do medical schools ensure that tomorrow's doctors possess the knowledge, skills and attitude to adapt to the challenges they will face in future roles?We offer ideas about why and how medical educators can change, recommendations to strengthen the teaching of professionalism and social accountability and suggestions about the contribution of an emerging concept, that of "environmental accountability".

PMID:

 

26030377

 

[PubMed - in process]




문화권별 의-전문직업성: 의료와 의학교육의 과제(Med Teach, 2014)

Medical professionalism across cultures: A challenge for medicine and medical education

Vikram Jha, Michelle Mclean, Trevor J. Gibbs & John Sandars






의과대학 교육과정에서 프로페셔널리즘을 졸업 성과로 기술하지 않은 곳을 찾기는 어려운 반면, 어떻게 프로페셔널리즘을 가르치고 평가할 것인가에 대해서는 차이가 크다. 이는 부분적으로는 프로페셔널리즘을 정의하는 것 자체가 애매한 특성elusive nature를 갖기 때문이다.

While it would be rare to find a medical curriculum in which professionalism was not a stated graduate outcome, there is a wide variation in how profes- sionalism is taught and assessed (Hodges et al. 2011). This is, in part, due to the elusive nature of a definition of profession- alism (Jha et al. 2010; Passi et al. 2010; Aguilar et al. 2011; O’Sullivan et al. 2012),


현재 프로페셔널리즘에 대한 이해는 여러 문헌에서 프로페셔널리즘에 대해서 주로 서구의(앵글로-색슨) 개념을 반영하기 때문에 보다 복잡해지기도 한다. 여러 연구자들은 프로페셔널리즘이 복잡하고 다차원적인 사회적 구인complex, multi- dimensional social construct 으로서, 모든 프로페셔널리즘에 대한 토론에서 맥락/지리적 위치/문화적 주요 고려사항 등을 고려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Our current under- standing of professionalism is further complicated by the fact that the literature largely reflects a Western (Anglo-Saxon) notion of professionalism(Hodges et al. 2011). Several authors have, however, identified professionalism as a complex, multi- dimensional social construct (Ginsburg et al. 2000; Stern 2006; Martimianakis et al. 2009; Cruess et al. 2010; Ho et al. 2011), making context, geographical location and culturally important considerations in any discussion of professionalism (Cruess et al. 2010; Chandratilake et al. 2012).


맥락이 특정하게 제한된 상황에서 프로페셔널리즘을 측정가능한 구인으로 정의하고자 하는 노력은 엄청나게 어려운 것은 아니지만, 지난 수십년간 의과대학생들과 의사들이 국경을 넘나드는 일이 잦아지면서 어떻게 프로페셔널리즘을 정의하고 평가할지가 점차 더 문제가 되어왔다.

If trying to define professionalism as a measurable construct within a particular context is not sufficiently difficult, the increased movement of medical students and qualified health practitioners across the globe over the last few decades has further challenged how we define and assess professionalism.


  • 의학교육자들과 의사들의 이동 medical educators and clinicians are also on the move (Hodges et al. 2009; Gibbs & McLean 2011; McKimm & McLean 2011),
  • 국제 학생들, 해외 위탁 의과대학 international students and offshoring of medical campuses in, the Middle East and the Caribbean


대중들이 의사와 의대생을 막론하고 점차 더 비전문직업적 행위에 대해서 엄격한 판단을 내리는 성향을 보임에 따라, 문화마다 다양한 의사 환자 관계 혹은 교사-학생 상호작용의 방식들이 "서로 다른" 행동이나 태도가 "전문직답지 못한 것"으로 인식될지를 상상하는 것은 어렵지 않다. 사례로는..

With reports that the public appears to be more judgemental of unprofessional behaviour than either doctors or students (Brockbank et al. 2011), it is not difficult to imagine how in a cross-cultural doctor–patient or a teacher–student interaction, perceptions of a ‘‘different’’ behaviour or attitude might be perceived as ‘‘unprofessional’’. Examples of this include:

  • IMG사이의 의사소통 perceived barriers in communication skills amongst International Medical Graduates,
  • 효과적 커뮤니케이션을 막는 언어 장벽 language barriers impeding effective communication, 
  • 사회적으로 용납되지 않는 행동에 관한 문화적 차이 cultural differences leading to socially unacceptable practices and
  • 하나 혹은 그 이상의 집단에 대한 오해와 잘못된 해석 misunderstanding or misinterpretation by one or more parties (Yao & Wright 2001; Dorgan et al. 2009).


Rothwell 등은 해외에서 수련받은 의사들이 환자-의사 관계에 있어서 다른 의사들과 차이를 보이며, 특히 그들의 고국에서보다 위계구조에 있어서 보다 부드러운fluid 태도를 보임을 보고한 바 있다.

In Rothwell and colleagues’ (2013) paper, overseas-trained doctors reported differences in patient–staff relationships, with more fluid hierarchical struc-tures than they were used to in their home countries.


Chandratilake 등은 프로페셔널리즘을 구성하는 것으로 생각하는 태도/신념/행동에 지리적, 지역적 차이가 있다는 근거를 제시하였다. 이들은 전문직으로서 갖춰야 할 자질에 대해서는 어느 정도 합당한 합의가 있지만, 그 자질 중 무엇이 필수적인가에 대해서는 지역적 차이가 있다고 하였다. 이들은 이러한 차이가 사회문화적 요인에 기인해씅ㄹ 것이라고 결론지으며, 반-문화적 반응counter-cultural response의 존재를 제안하였다.

In a study by Chandratilake et al. (2012), there was the evidence of geographical and regional variations in attitudes, beliefs and behaviours believed to constitute profes-sionalism. They found that while there was a reasonable consensus on professional attributes, there were regional differences as to which of the attributes were essential. The authors concluded that differences may be due to socio-cultural factors and suggested the existence of a counter-cultural response, first reported by Schmidt et al. (2004) to explain medical students’conventional perceptions of holism. 


물론 이 분야의 연구가 여러 이해관계자들의 관점을 반영해야 하겠지만, 문화에 대한 어떤 설명을 할 때 '개인'에 초점을 맞춰야 한다는 의견에 동의한다. 여기에 깔린 전제는 문화는 개인이 표현하는 가치/신념/행동을 보여주는데, 이것이 사회적으로 구성된다는 것이다. 예컨대, 더 넓은 범위의 사회에서 하나의 지배적인 문화가 존재한다면, 그 환경 내에 있는 의사는 사회화를 통해 그 문화를 내면화할 것이다. 반대로 지배적 문화가 다양한 경우, 다양한 가치/신념/행동이 학생이나 의사에게 제시될 것이다.

Whilst we agree that future research in this area should include canvassing the views of other stakeholders, e.g. patients and students (Chandratilakeet al. 2012), we are also of the opinion that any exploration of culture pertaining to interactions between medical students and their teachers, doctors and patients, and amongst member of the multiprofessional team should focus on the individual(Goldie 2012). The underpinning rationale is that culture represents the values, beliefs and behaviours expressed by an individual, which are socially constructed. For example, if there is a particular dominant culture in the wider society, then doctors within that context will internalise the culture through socialisation. Diversity in dominant cultures may, on the other hand, result in differing values, beliefs and behaviour being presented to students or doctors (Bennett & Bennett 2004). 


문화간 발달 연속체

Intercultural development continuum


1993년 Bennett 은 문화간 민감성의 발달모델Developmental Model of Intercultural Sensitivity 을 통해서 개인의 문화적 차이에 대한 반응을 묘사하였다. 이 모델은 문화간 발달 연속체intercultural development con-tinuum로 진화하였으며, Hammer는 2011년 "더 넓은 문화간 역량/민감성을 향한 움직임으로서, 문화적 공통점과 차이점에 관한 보다 덜 복잡한 인식과 행동으로부터(monocultural mindset orien-tations), 보다 복잡한 상태로 나아가는 것(intercultural/global mindset)."이라고 하였다. 이는 이(종)문화간 정체성intercultural identity을 구성하기 위해 다음의 단계를 거치게 된다.

In 1993, Bennett proposed a Developmental Model of Intercultural Sensitivity to describe a person’s reactions to cultural differences (Bennett 1993). This model evolved into the intercultural development con-tinuum, described by Hammer (2011) as ‘‘a movement towards greater intercultural competence/sensitivity, from a less com-plex set of perceptions and behaviours around cultural commonalities and differences (monocultural mindset orien-tations) to a more complex set of perceptions and behaviours This continuum therefore(intercultural/global mindset)’’. involves an individual potentially moving from

  • 거부 단계 the initial stages of denial,
  • 양극화/대립 through polarisation,
  • 최소화 minimisation,
  • 수용 accept-ance and
  • 적응 finally to adaptation,

 

which involves the construction of an intercultural identity. 



문화적 적합성

Cultural fit


Lu 에 따르면, 사회적 수준의 문화는 주류의 경향을 반영하나 모든 개인의 모든 행동을 반영하지는 않는다. 저자는 개인의 문화적 적합성은 그들의 웰빙을 보여준다고 주장한다. 만약 한 개인이 공동의 가치나 행동과 잘 부합하면 그/그녀의 사회환경과의 상호작용은 보다 부드러울 것이고, vice versa.

According to Lu (2006), the culture at a societal level involves mainstream tendencies but does not involve all behaviours  of all individuals. The author contends that an individual’s cultural fit has implications for their well-being. If an individual is in accord with the shared values or behaviours, his/her interactions with the social environment are likely to be smooth


 

앞으로는?

Moving forward?


만약 Bhawuk and Brislin 이 제안한 바와 같이 "(무언가가 혹은 사람이) 다른 문화권에서도 효과적이려면 반드시 다른 문화에 관심을 가져야 하며, 문화적 차이를 인식할 수 있을 만큼 민가해야 하고, 다른 문화의 사람들이 가리키는 방향에 맞춰서 행동을 변화시키고자 하는 의지가 있어야 한다"면, 이는 문화적으로 다른 곳에서 일을 하기로 마음을 먹은 사람들의 책임이며, 그러한 결정이 마주할 도전을 설명하는 것이다.

If, as Bhawuk and Brislin (1992) have suggested that ‘‘to be effective in another culture, people must be interested in other cultures, be sensitive enough to notice cultural differences, and then also be willing to modify their behaviour as an indication of respect to the people of other cultures’’ (p. 416), this places an onus on the individual who has chosen to study or work in a culture different to contemplate the implications of their decision, particularly in terms of the potential challenges they may face.


스스로 자신이 얼마나 tolerant 한지 생각해봐야 한다. 즉, 자신의 문화적 민감성과 역량에 대해서 생각해봐야 하며, 얼마나 자신이 새로운 사회, 문화적 맥락에 적합fit할 것인지 생각해봐야 한다.

One would need to question how tolerant one might be, i.e. one’s intercultural sensitivity/competence (Hammer 2011) and one would also have to project how one might ‘‘fit’’ into a new social and cultural context (Lu 2006).


의료인력에 국제적으로 이동하는 현 시점에서, 글로벌 프로페셔널리즘을 위학 핵심 교육과정이 제시된 바 있다. 아마도 이러한 상황에서 의학교육자들은 글로벌 시티즌으로서 졸업생을 가르쳐야 할 것이며, 그들이 단순히 사회문화적 맥락에 따른 프로페셔널리즘에 대한 다양한 인식을 갖는 것을 넘어서, 다양성을 포용할 수 있는 스스로의 능력에 대해 성찰하는 능력reflexivity을 기르게 해야 하며, 이것은 다양한 인식을 받아들이는 시작점이 될 것이다

With an internationally mobile medical workforce, a core global professionalism curriculum has been suggested (Evert et al. 2010). Perhaps, as medical educators in a world of international travel and migration, we need to be educating graduates who are global citizens (McKimm & McLean 2011), making them aware not only of different perceptions of professionalism across different social and cultural contexts but also developing their reflexivity in terms of interrogating their ability to embrace difference as a starting point to accepting varying perceptions in order to fit in with local needs.


Bennett and Bennett 및 여러 연구에 근거해서 조직 차원에서는 다음을 해야 한다.

Based on the work of Bennett and Bennett (2004) and a number of others (Slowther et al. 2009; Morrow et al. 2013; Rothwell et al. 2013), ways forward from an organisational perspective would include:



  • 기관의 다양성 프로필diversity profile을 인정하고 다양한 가치와 신념의 차이가 존재함을 인식함
    Acknowledging the institution’s diversity profile and recognising that differences in values and beliefs will exist. 
  • 문홪거 선입견에 따른 라벨링 지양
    Avoid labelling in terms of cultural stereotypes. 
  • 다양성 프로필이 그 지역의 지배적 사회/정치/법적 맥락과 잘 맞게끔 하는 것에 발달 초점을 둠(합목적성) 
    Ensuring a development focus to ensure that the diversity profile fits with the dominant local socio-political/legal culture (i.e. fit for purpose).
  • 이문화간 발달 연속체를 따라 훈련과 오리엔테이션 제공
    Providing training and orientation that takes into account that individual students and employees may be some- where along the intercultural development continuum, ranging from denial and defence and so not tolerating difference in culture (ethno-centricism) to being able to adapt to the different cultural context (ethno-relativism). 
    The ethno-centric stance may culminate in anger and attempts to control the situation while ethno-relativism will involve tolerance and understanding, allowing for negotiation and discussion so that both parties can learn from each other.





결론

Conclusions


시나리오 1

Scenario 1


Dr A, a Canadian-born gastroenterologist, starts working at a hospital in the Middle East. During his first month, a young man brings his 80-year-old widowed mother to the hospital because she has noticed bloody stools. During the consult- ation, it is the son who communicates with Dr A, rather than the mother, who is not able to speak English. Dr A accepts this, knowing that many elderly patients in the region have a poor command of English.

 

Consent for a colonoscopy is obtained from the patient via her son. The result reveals advanced colorectal cancer. At the follow-up consultation, the young man brings a younger male sibling but not his mother. They ask Dr A for the colonoscopy results, suspecting that the news is not good and not wanting their mother to know. They also state that if their mother requires surgery, they consent. Dr Ais not sure how to proceed.


원칙: 고지에 입각한 동의, 환자의 권리, 비밀유지

Principles: Informed consent, patient rights and confidentiality



코멘터리

Commentary


고지에 입각한 동의, 환자의 권리, 비밀유지는 서구에서는 잘 받아들여지고 소중하게 여겨지는 것이지만, 가족 관계와 사회적 규범을 보존하는 것이 개인의 자율성보다 더 가치로운 것으로 여겨지는 사회에서는 반드시 그렇지는 않다. 이러한 사회에서는 여러 의사결정이 집단적collective이며, 가족/부족/커뮤니티 수준에서 결정된다. 이 시나리오의 사회-문화에서 아들은 가족 내에서 여성(어머니)를 보호하고자 한다.

Informed consent, patient rights and confidentiality, accepted and enshrined Western constructs, are not always given the same weight in some societies in which preserving family relationships and social norms are valued more than individual autonomy. Many decisions are collective, being made at the family, tribal or at community level (Berg et al. 2001; del Carmen & Joffe 2005). In the socio-culture depicted in this scenario, the son is expected to protect the women in his family.


사우디아라비아에서 병원들이 겪는 주된 윤리적 문제에 대해서 Alkabba 등은 top 10 문제 중 환자의 권리/비밀유지/고지에 입각한 동의를 꼽았다. 그러나 고지에 입각한 동의나 비밀유지와 같은 서구적 개념에 대한 이러한 저항challenge이 비단 한 지역에서의 문제는 아니다. 파키스탄 역시 대체로 이슬람 국가이며, Humayun 등은 대부분의 이들 원칙이 거의 지켜지지 않으며, 저자들은 파키스탄을 비롯한 많은 아시아 문화권의 가부장주의적 모델paternalistic model를 그 원인으로 지적했다. 우간다에서는 Baigana 등이 아프리카의 '우분투' 철학이 "한 사람은 다른 사람의 결과로 존재하는 것이다"를 가지고 있기에, 의과대학생들에게 비밀유지confidentiality를 지키게 만들지 않으며, 대신 환자의 친척들로 하여금 그들이 환자의 정보에 대한 접근이나, 의학적 의사결정에 참여할 수 있는 권리를 허한다.

In a review of the major ethical challenges facing hospitals in Saudi Arabia, Alkabba and colleagues (2012) reported patients’ rights, confidentiality and informed consent amongst the top 10 challenges in terms of the commonly accepted principles of professionalism. These ‘‘challenges’’ to Western perceptions of informed consent and confidentiality are, confined In however, not to one geographic region. Pakistan, which is also largely Islamic, Humayun and col- leagues (2008) reported the almost complete lack of these principles, which the authors ascribe to a paternalistic model of patient care in Pakistan and many other Asian cultures. In Uganda, Baigana and colleagues (2010) reported that the African Ubuntu philosophy of one being as he/she is as a result of others, not only made medical students less likely to practice confidentiality compared with students in the West but also allowed relatives of patients to believe that they had the right to access patient information and to be involved in medical decision making.


문화는 shared decision making에 대한 환자의 기대 수준이나 관여에도 영향을 준다. Yousuf 등은 말레이시아와 인도에서의 연구로부터 의사들이 환자(특히 여성환자)를 보호하기 위해서 진실truth를 딱 필요한 만큼만 제시함을 발견하였다. 이들 의사들은 '환자들은 진짜로 의사결정에 참여하기를 원하는 것이 아니다'라고 가정하고 있다. Barr의 에스토니아 연구에서 환자들은 그들이 진료의 구체적 사항에 대해서 알 권리가 있다는 인식을 못하며, 종종 병환에 대한 정보를 충분히 제공받지 못한다.

Cultures also vary with regard to patient expectations and involvement in shared decision making. In Yousuf and colleagues’ (2007) study in Malaysia and India, doctors were found to be economical with the truth to ‘‘protect’’ patients, particularly females. The doctors also assumed that patients did not really wish to be involved in decision making. In Barr’s (1996) Estonian study, patients were not aware of their right to know details of their care and were often not informed of their illnesses.


 

중동에서 수행된 연구에서 Al-Eraky and Chandratilake 는 ABIM의 프레임워크에 일곱 번째 영역, professional autonomy를 새롭게 만들 것을 권고하며, 이 지역에서는 의사결정에 있어서 권력의 균형이 환자가 아니라 의사에 맞춰져 있다고 주장했다.

In a study conducted in the Middle East involving the American Board of Internal Medicine professionalism frame- work, Al-Eraky and Chandratilake (2012) suggesting adding a new seventh domain, professional autonomy, claiming that in this region, the power balance in the decision-making process is in favour of the doctor rather than patients.


Recommendations




시나리오 2

Scenario 2


Dr B, who was born in South East Asia, has completed her medical degree in her home country. She was a diligent student, always following her seniors’ advice. In particular, the professors at her medical school were treated with utmost reverence and, in the eyes of students and patients, they could do nothing wrong. In her first job in the UK, Dr B is placed on a team to work with Professor P, a very senior Professor of Medicine who is also the Head of Department. He is known to have a bad temper. During a ward round one morning, Professor P is rude to the senior nurse. When he finds a patient who he has specifically come to see is not on his bed, he turns to Dr B, shouting: ‘‘It is your job as a house officer to ensure that all patients are ready to be seen once I am on the ward’’. The patient concerned needs his warfarin dose adjusted. Professor P snatches the prescription chart and increases the dose of warfarin. When Professor P leaves, Dr B realises that the dose is too high. She decides not to question Professor P’s decision. He is, after all, the expert and a senior colleague and, back home, she would not challenge him.



원칙: 위계구조와 위계에 대한 도전

Principles: Hierarchical structures and challenging senior colleagues



Commentary


많은 서구 국가(캐나다, 미국)와 달리 아시아 국가들은 임상 근무환경에서 특히 엄격한 위계구조를 보여주고 있으며, 이는 서구적 맥락에서 '프로페셔널한 행동'으로 여겨지는 일부 측면의 발달이나 발현을 억제한다. Kobayashi 등의 연구에서 일본에서 시니어를 향해 목소리를 높이는speaking up 것은 받아들여지지 않으며, 이것이 개개인들이 다른 사람의 전문직답지 못한 행동을 목격하고도 이에 대응하지 못하는 요인이라고 지적했다 또한 일본 의사와 달리 미국 시니어 의사는 주니어 의사의 질문을 보다 더 장려하였다.

Compared with many Western countries, e.g. the USA and Canada, Asian countries in particular, have a stricter hierarchical reporting structure in the clinical workplace, impede which may the development/exhibition of some aspects of what would be considered professional practice in a Western context. In Kobayashi et al.’s (2006) study, the unacceptability of speaking up in front of seniors in Japan was a factor inhibiting individuals from challenging unprofessional behaviour they had witnessed. In addition, compared with their Japanese colleagues, US seniors were much more encouraging of questions from juniors.


터키에서 Ozan 등은 유사한 조직적 위계를 발견하였고, 지지적 환경이 존재하지 않는 것이 의과대학생들의 윤리적 문제에 대한 결심resolution을 제한시킨다고 보고했다. 윤리적 문제에 직면했을 때, 학생들은 교사보다 친구나 선배 학생과 그것을 논의하는 편이다. 같은 연구에서 학생들은 선배 학생의 전문직답지 못한 행동을 보고하는 것을 꺼려했다.

In Turkey, Ozan and colleagues (2010) found a similar organisational hierarchy and reported the lack of a supportive environment limited medical students’ resolution of ethical problems. When faced with ethical issues, e.g. rational use of medicine, drug promotion by pharmaceutical companies, confidentiality or malpractice, students were more likely to discuss these issues with friends or senior students than with their teachers. In the same study, students also failed to report poor professional behaviour amongst seniors.


Recommendations



시나리오 3

Scenario 3


Student C, a fourth year medical student in the UK, chooses to undertake an elective in a far Eastern country, staying with his parents’ family friends who are doctors. Their son, Student M, is a medical student and a friendship develops between the two. Whilst studying together, Student C is shocked to find that Student M copies and pastes large sections froma standard text into his assignment without referencing the original.



원칙: 표절

Principles: Plagiarism



Commentary

 

인도에서의 연구가 보고한 바와 같이 학업적 부정직행위와 관련한 교육이 없는 것이 부정행위가 발생하는데 기여했을 수 있지만, 어떤 문화권에는 북미나 영국에서 수련받은 사람이 보기에는 unprofessional한 행동임에도 그 문화권에는 "문화적으로 뿌리내린" 행동이 있다. 예컨대, 부정행위나 학업적 비정직행위는 크로아티아 학생들에게 흔하고 받아들여진다. Taradi 등의 연구에서 표절은 경고할 만한 수준으로 퍼져 있었다. 이러한 현상은 국가의 빈곤한 사회경제적 구조에 따른 것으로 볼 수 있는데, 전쟁과 더 큰 사회적 수준에서의 부패가 만연한 것에서부터 생기기 때문이다 또한 잡혔을 때 적절한 제재가 없는 것도 한 이유이다.

While the lack of training around academic misconduct may contribute to cheating, as reported for medical students in India (Babu et al. 2011), there is ‘‘culturally engrained’’ behaviour in some contexts that would be deemed unprofessional by someone trained in North America or the UK. For example, cheating and academic dishonesty appears to be commonplace and acceptable amongst Croatian medical students (Bilic´-Zulle et al. 2005; Kukolja et al. 2010; Taradi et al. 2012). In Taradi et al.’s paper (2012), the prevalence of plagiarism was alarming, with most of the 761 students surveyed admitting to educational dishon- esty. Possible reasons for these high figures were the country’s poor socio-economic structures as it emerged from war and the prevalence of corruption within the wider society. Also, a perceived lack of sanctions for those caught cheating meant that students persisted with the practice.



언어 능력이 부족한 일부 학생에게 복사-붙이기는 외국어로 작문을 하는 것보다 쉽다. Vance의 관점에서 "표절은 문화적으로 구성되는 다양한 인식을 포함하는 실로 복잡한 주제이다"라고 썼다. 또 다른 것으로는 유교의 영향을 받은 사회에서는 어떤 "생각"을 그것을 처음 한 사람이 소유권을 가지는 것으로 보지 않고, 그 사회의 총체적인 지식의 한 부분으로서 보기 때문에, 이러한 타인의 생각을 원문 그대로 사용하는 것은 그것을 소유한 사람에게 존중을 표하는 것으로 인식되며, 그 출처를 밝히는 것은 독자의 지적능력을 모욕하는 것으로 인식되기도 한다(정보를 아는 것은 그 정보의 출처를 아는 것으로 이해되므로) .

For some students with poor language skills, copying and pasting was easier than writing in a foreign language (Taradi et al. 2012). In Vance’s (2009) view, however, ‘‘plagiarism is actually a complex subject that involves many culturally constructed notions’’. In other instances, such as in Confucian- influenced societies, rather than perceiving ideas as the property of the originator, they are seen as being part of the collective knowledge of the society and so reproducing these ideas in the original format is perceived as paying respect to the owner and citing the source might be an insult to the intelligence of the reader as knowing the information is recognised as knowing the source (Vance 2009).



Recommendations




시나리오 4

Scenario 4


Student D was born in a country in Eastern Europe that was previously a part of the Soviet Block. He moved to the UK as a child, to be brought up by his uncle. Unfortunately, he does not secure a place in a medical school in the UK despite good grades. He decides to go to Eastern Europe to study medicine in a school where his father’s friend is a Professor of Medicine. Student D’s father has always been proud of his son and takes an active interest in his medical studies. It is no surprise, therefore, to find that two weeks before his final examinations, his father arrives from his hometown. What surprises Student D, however, is that his father has already presented the Dean with a Rolex watch, thanking him for looking after his son. Even worse, the Dean has accepted the watch! His father has also asked his friend, a professor, to find out the questions to the examination Student D is due to take.




원칙: 호의의 댓가로 선물 받기

Principle: Accepting gifts in return for favours

 


 

Commentary


SES가 낮은 조건에서는 부패가 더 일어나기 쉽고 더 쉽게 받아들여진다. 의사들이 경제적으로 부유하지 못한 일부 개발도상국에서 그러한 비전문직업적 행위의 원인이 될 수 있다. 예컨대, 가난한 에스토니아 의사들 일부는 환자들에게 선물을 받는 것을 당연하게 받아들였다considered acceptable. 남아프리카 연구에서 Rooyen은 의과대학생들은 이타적이 되면서 전문직으로서 경재적으로 우아한 삶을 사는 것의 균형을 잡는 것이 어려움을 표했다.

Low socio-economic conditions make corruption more likely and acceptable in some countries. The relative lack of financial well-being of doctors in some developing countries may contribute to an unprofessional behaviour. For example, amongst poorly paid Estonian doctors, accepting gifts from patients was considered acceptable (Barr 1996). In a South African study, van Rooyen (2004) reported that medical students expressed the opinion that being altruistic and achieving a balance between being professional and making a decent living financially was difficult because of the tension between running the business of medical care and earning a decent living.


Recommendations


Chandratilake M, McAleer S, Gibson J. 2012. Cultural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in medical professionalism: A multi-region study. Med Educ 46:257–266.


Cruess SR, Cruess RL, Steinert Y. 2010. Teaching professionalism across cultural and national borders: Lessons learned from an AMEE workshop. Med Teach 32(5):371–374.






 2015 Jan;37(1):74-80. doi: 10.3109/0142159X.2014.920492. Epub 2014 Jul 30.

Medical professionalism across cultures: a challenge for medicine and medical education.

Author information

  • 1University of Liverpool , UK .

Abstract

BACKGROUND:

The recognition of medical professionalism as a complex social construct makes context, geographical location and cultureimportant considerations in any discussion of professional behaviour. Medical students, medical educators and practitioners are now much more on the move globally, exposing them to cultural and social attitudes, values and beliefs that may differ from their own traditional perceptions ofprofessionalism.

AIMS AND METHODS:

This paper uses the model of the intercultural development continuum and the concept of "cultural fit" to discuss what might transpire when a student, teacher or doctor is faced with a new cultural environment. Using our own experiences as medical educators working abroad and supported by evidence in the literature, we have developed four anecdotal scenarios to highlight some of the challenges that different cultural contexts bring to our current (Western) understanding of professionalism.

RESULTS AND CONCLUSIONS:

The scenarios highlight some of the potentially different regional and/or cultural perspectives and nuances of professional behaviours, attitudes or values that many of us either take for granted or find difficult, depending on our training and socio-cultural upbringing. With this paper, we hope to start a long overdue conversation about global professionalism amongst medical educators, identify potential areas for research and highlight a need for medical schools to embrace a "global" approach to how professionalism is embedded in their curricula.

PMID:
 
25073712
 
[PubMed - indexed for MEDLINE]


미국 의과대학생의 번아웃과 전문직다운 행실의 관계(JAMA, 2010)

Relationship Between Burnout and Professional Conduct and Attitudes Among US Medical Students 


Liselotte N. Dyrbye, MD, MHPE / F. Stanford Massie Jr, MD / Anne Eacker, MD / William Harper, MD / David Power, MD, MPH / Steven J. Durning, MD / Matthew R. Thomas, MD / Christine Moutier, MD / Daniel Satele, BA / Jeff Sloan, PhD / Tait D. Shanafelt, MD








기존 연구에서 의과대학생들이 사회적으로 전문직에게 요구하는 기대에 부합하는 전문가적 정체성 발달에 실패하고 있음을 지적한다. 이러한 결과가 우려스러운 이유는 의과대학 기간의 일부 비전문직업적 행동이 이후 의사가 된 이후의 비전문직업적 행동을 예측하기 때문이다.

Research suggests that medi- cal students may fail when attempting to develop a professional identity con- sistent with the expectations of soci- ety and the profession.3-9 These find- ings are concerning because evidence suggests that some unprofessional be- haviors during medical school predict subsequent unprofessional conduct once in practice.10


프로페셔널리즘의 중요성은 널리 인정되고 있지만 어떻게 개인적 스트레스(우울, 낮은 QOL)나 전문직으로서의 스트레스(탈진) 이 프로페셔널리즘과 어떻게 연결되는지는 거의 알려진바가 없다. 기존 연구에서 과도한 스트레스(distress)는 공감능력의 저하 및 의료의 질 저하와 관련됨을 보고한 바 있으며, 이는 과도한 스트레스가 비전문직업적 행동과 태도로 귀결된다는 개념적 프레임워크를 상정posit한다.

Despite the widely acknowledged importance of professionalism, how personal distress (such as depression or low mental quality of life [QOL])and professional distress (such as burnout) relate to professionalism is largely unexplored. Previous studies suggest that distress is associated with decreased empathy11-14 and decreased quality of care,13,15-17 which has led to a conceptual framework that posits that distress can lead to unprofes-sional behaviors and attitudes.14 



METHODS


참여자

Participants



자료 수집

Data Collection


all letters indicated that partici- pation was voluntary, responses were confidential, and data would be ano- nymized

Informed consent was im- plied upon return of the survey. No incentive was provided for participa- tion.



연구 척도

Study Measures


탈진, 우울증상, QO

Burnout, Symptoms of Depression, and QOL.


탈진척도: Maslach Burnout Inventory (MBI),

Burnout was measured by the Maslach Burnout Inventory (MBI),18 which is considered the criterion stan- dard.19 Burnout encompasses 3 do- mains

    • 정서적 탈진 emotional exhaustion [score range 0-54],
    • 비인간화 depersonalization [score range 0-30],
    • 개인적 성취 personal accomplishment [score range 0-48]

which have been confirmed in factor analyses.18


탈진은 자살성 사고/유급에 대한 생각/낮은 공감능력 등과 관련됨

Previously dem- onstrated relationships between burn- out and

    • suicidal ideation,20
    • serious thoughts of dropping out,21 and
    • low em- pathy12 among medical students

pro- vide validity evidence.


 

'정서적 탈진' 혹은 '비인간화' 스케일에서의 높은 점수가 임상적 번아웃을 구분할 수 있어서 이분변수화 함.

Because high scores on either the emotional exhaustion ( 27) or depersonalization( 10) scales can distinguish clinically burned out from non–burned out individuals,22 burnout as a dichotomous variable was defined as having high emotional ex- haustion and/or high depersonalization.


 

우울 평가 척도: Primary Care Evalua- tion of Mental Disorders (PRIME- MD)

The 2-item Primary Care Evalua- tion of Mental Disorders (PRIME- MD) was used to screen for depres- sion.23 A positive depression screen is defined as a positive response to either of the 2 items. The PRIME-MD per- forms similar to longer instruments24 and has a sensitivity of 86%to 96%and a specificity of 57% to 75% for major depressive disorder.23,24


QOL 평가 척도: Medical Outcomes Study Short-Form (SF-8, range 0-100)

Quality of life was measured using the psychometrically sound Medical Outcomes Study Short-Form (SF-8, range 0-100)25 with norm-based scor- ing methods used to calculate mental and physical QOL summary scores.25,26 The mean (SD) mental and physical QOL summary scores for the US popu- lation are 49.2 (9.46) and 49.2 (9.07), respectively.25




전문직적 행위와 태도

Measures of Professional Conduct and Attitudes.


치팅/임상에서의 비정직한 행위 문항: 기존 문헌 바탕

Items inquiring about professional conduct and attitudes rep- resentative of professionalism are shown in eBox (available at http://www.jama.com). The items exploring whether students had engaged in cheating/ dishonest clinical behaviors were de- rived from previous studies of medical students.5-8

 

의사의 책임에 관한 문항: Medical Students’ Atti- tudes Toward Providing Care for the Underserved (MSATU) instrument

The items regarding physi- cians’ responsibility to society were de- rived from the Medical Students’ Atti- tudes Toward Providing Care for the Underserved (MSATU) instrument.3,27


 

의과대학생들은 제약업계의 홍보전략에 상당히 노출되며, 전문직으로서 COI를 관리하는 것은 프로페셔널리즘에 중요하므로, 우리는 학생들이 산업계와 적절한 관계가 무엇인지에 대한 관점을 평가하고자 했다. 이와 관련된 항목등르 AMA의 'Ethi- cal Guidelines of Gifts to Physicians from Industry' 항목으로부터 만들어졌다. 학생들에게 제약업계나 산업체가 스폰서를 하는 행사에서 다양한 선물을 받는 것에 대해서 질문을 했다. 항목들은 AMA policy에서 거의 문자 그대로 따왔다.

Because medical students have sub- stantial exposure to the promotional tactics of the pharmaceutical indus- try4 and managing professional con- flicts of interest is an important aspect of professionalism, we included items assessing students’ views regarding what represented appropriate relationships with industry. These items regarding conflicts of interest in relationships with industry were derived from the Ameri- can Medical Association (AMA) Ethi- cal Guidelines of Gifts to Physicians from Industry.29,30 Students were asked about the appropriateness of accept- ing various gifts from pharmaceutical representatives or attending industry- sponsored events. These items were taken nearly verbatim from the AMA policy.29,30

 

AMA는 다음의 것은 엄격하게 금지하고 있으며, 다만 교재를 제공받거나 작은, 비-교육관련 선물(펜 등)은 허용가능하다

    • Accepting $500 after com-pleting a short survey,
    • attending din- ner at an expensive restaurant, or
    • ac- cepting movie coupons or meals from pharmaceutical representatives

are spe- cifically banned by the AMA policy while accepting textbooks (eg, pocket antimicrobial book) and small, non- educational gifts (eg, pens) are allow- able under the AMA policy.



통계 분석

Statistical Analysis


 

Standard descriptive summary sta- tistics were used to characterize the sample. Differences in a dependent out- come variable by independent vari- ables were evaluated using the Kruskal- Wallis test (continuous variables) or 2 test (categorical variables) as appropri- ate. All tests were 2-sided with type I error rates of .05. Participants were ex- cluded from individual analyses if their data involved in the comparison were missing.

 

 

 

Bivariable logistic regression was per- formed to evaluate the relationship be- tween burnout and individual cheating/ dishonest clinical behaviors, attitudes toward appropriate relationships with industry, and beliefs about physicians’ responsibility to society.

  • For multivari- able analysis, forward stepwise logis- tic regression was performed to evalu- ate associations of all independent demographic and distress variables with engaging in 1 or more cheating/ dishonest clinical behaviors and dis- agreeing with 1 or more of the respon- sibility to society items. 
  • Logistic regression with backward stepping con- firmed results of the initial stepwise re- gression. In both forward and back- ward stepping models, a significance level of .05 was used as an entry thresh- old.
  • Saturated models that included all of the variables confirmed the find- ings of the stepwise models.
  • Because each school has its own culture, method for selecting matriculates, learning en- vironment, and curriculum, we also re- peated the multivariable analysis and controlled for site (school) in the model. All analyses were conducted using Linux SAS 9.2 (SAS Institute Inc, Cary, North Carolina).

RESULTS


 

Professional Conduct, Relationships With Industry, and Views Regarding Physicians’ Responsibility to Society




프로페셔널리즘과 번아웃

Professionalism and Burnout



Table 2. Self-reported Behaviors and Attitudes Among Medical Students With and Without Burnout



프로페셔널리즘과 과도한 스트레스

Professionalism and Personal Distress



 


 

Multivariable Analysis에서 프로페셔널리즘과 관련된 요인

Factors Associated With Professionalism on Multivariable Analysis

 

Table 3. Multivariable Analysis of Factors Independently Associated With Self-reported Cheating/Dishonest Clinical Behaviors and Less Altruistic Professional Values



 


COMMENT



본 대규모의 다기관 연구에서, 자기보고식 cheating and dishonest clinical behaviors 번아웃과 직접적으로 관련이 있음을 보여주었다. 한편 의사의 사회적 책임과 관련한 전문직의 이타적 가치번아웃과 역의 관계에 있었다.

 

번아웃의 ...

  • 비인간화 영역은 AMA의 정책과 부합하지 않는 산업계와의 관계를 맺는 것을 받아들이는 것과 관련되어 잇었다.
  • 반대로 우울 영역이나 정신적/신체적 QOL은 임상에서의 부정행위/부정직행위, 산업계에 대한 태도, 이타적인 전문직으로서의 가치와 관계가 거의 없었다.

 

이러한 결과는 번아웃이 주로 프로페셔널 영역에 영향을 주는 한편 개인 수준의 과도한 스트레스는(낮은 정신적 QOL) 개인적 영역(인간관계의 어려움, 약물 남용)에 보다 더 큰 영향을 미친다는 이론적인 프레임워크와 부합하며, 이 때 프로페셔널 역역의 이차적 효과는 그 만성화 정도chronicity나 심각도severity에 따라 달려 있다.

 

In this large, multi-institutional study, self-reported cheating and dishonest clinical behaviors showed a direct as- sociation with burnout, while altruis- tic professional values regarding phy- sicians’ responsibility to society showed an inverse relationship with burnout. The depersonalization domain of burn- out was also associated with the belief that it is acceptable to engage in rela- tionships with industry that are incon- sistent with the AMA policy state- ment. In contrast, there were few relationships between depression or mental/physical QOL and cheating/ dishonest clinical behaviors, attitudes toward industry, or altruistic profes- sional values. These findings are in keeping with the theoretic frame- work18 that burnout primarily affects the professional domain, whereas per- sonal distress (such as a low mental QOL) often has greater initial effect on personal domains (eg, relationship dif- ficulties or substance abuse), with a sec- ondary effect on the professional do- main depending on chronicity and severity.



학생들이 부정직한 행위에 대해서 그것의 부적절성을 알면서도 그러한 행위를 하는 것은 부정직을 촉진하는 학습 환경의 요소와 관련이 있을 수 있다. 학생들은 신체검진을 충분히 하지 않고도 신체검진 결과를 거짓으로 보고하는 것 등의 상황을 만들 수 있다. 학생들의 평가에 대한 두려움과 팀에 들어맞기fit in 위한 열망에 더하여, 본 연구에서는 번아웃이 전문직답지 못한 행위에 기여하는 중요한 변인일 수 있을 제기한다.

The fact that students fre- quently engage in dishonest behaviors despite knowing they are inappropri- ate may imply that some elements of the learning climate foster dishonesty. This could lead to a situation in which stu- dents are more willing to falsely re- port physical examination findings than admit they performed an incomplete ex- amination. In addition to students’ fear of poor evaluations and a desire to fit in with the team,9 this study suggests that burnout may be another impor- tant variable contributing to unprofes- sional behavior.


번아웃된 학생은 의사의 사회적 책무성에 대해서 이타적 관점을 보다 덜 가지며, 이는 프로페셔널한 태도와 advocacy가 professional distress에 취약할 수 잇음을 보여준다.

Students with burnout were also less likely to hold altruistic views regard- ing physicians’ responsibility to soci- ety, suggesting that professional atti- tudes and advocacy may be vulnerable to professional distress.







 


 


 








 2010 Sep 15;304(11):1173-80. doi: 10.1001/jama.2010.1318.

Relationship between burnout and professional conduct and attitudes among US medical students.

Author information

  • 1Mayo Clinic College of Medicine, Rochester, Minnesota, USA. dyrbye.liselotte@mayo.edu

Abstract

CONTEXT:

The relationship between professionalism and distress among medical students is unknown.

OBJECTIVE:

To deter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measures of professionalism and burnout among US medical students.

DESIGN, SETTING, AND PARTICIPANTS:

Cross-sectional survey of all medical students attending 7 US medical schools (overall response rate, 2682/4400 [61%]) in the spring of 2009. The survey included the Maslach Burnout Inventory (MBI), the PRIME-MD depression screening instrument, and the SF-8 quality of life (QOL) assessment tool, as well as items exploring students' personal engagement in unprofessional conduct, understanding of appropriate relationships with industry, and attitudes regarding physicians' responsibility to society.

MAIN OUTCOME MEASURES:

Frequency of self-reported cheating/dishonest behaviors, understanding of appropriate relationships with industry as defined by American Medical Association policy, attitudes about physicians' responsibility to society, and the relationship of these dimensions of professionalism to burnout, symptoms of depression, and QOL.

RESULTS:

Of the students who responded to all the MBI items, 1354 of 2566 (52.8%) had burnout. Cheating/dishonest academic behaviors were rare (endorsed by <10%) in comparison to unprofessional conduct related to patient care (endorsed by up to 43%). Only 14% (362/2531) of studentshad opinions on relationships with industry consistent with guidelines for 6 scenarios. Students with burnout were more likely to report engaging in 1 or more unprofessional behaviors than those without burnout (35.0% vs 21.9%; odds ratio [OR], 1.89; 95% confidence interval [CI], 1.59-2.24).Students with burnout were also less likely to report holding altruistic views regarding physicians' responsibility to society. For example, studentswith burnout were less likely to want to provide care for the medically underserved than those without burnout (79.3% vs 85.0%; OR, 0.68; 95% CI, 0.55-0.83). After multivariable analysis adjusting for personal and professional characteristics, burnout was the only aspect of distress independently associated with reporting 1 or more unprofessional behaviors (OR, 1.76; 95% CI, 1.45-2.13) or holding at least 1 less altruistic view regarding physicians' responsibility to society (OR, 1.65; 95% CI, 1.35-2.01).

CONCLUSION:

Burnout was associated with self-reported unprofessional conduct and less altruistic professional values among medical students at 7 US schools.

PMID:
 
20841530
 
[PubMed - indexed for MEDLINE]




학업적 비정직성과 윤리적 추론: 뉴질랜드 약대생과 의대생 연구(Med Teach, 2013)

Academic dishonesty and ethical reasoning: Pharmacy and medical school students in New Zealand

MARCUS A. HENNING, SANYA RAM, PHILLIPA MALPAS, BOAZ SHULRUF, FIONA KELLY & SUSAN J. HAWKEN

University of Auckland, New Zealand






학업적 비정직성(Academic dishonesty)는 cheating, fabrication and falsifying, and plagiarism 등을 포함한다. 학업적 비정직행위가 널리 확산되면서 이 현상의 결정인자에 대한 관심이 촉발되고 있다. Jurdi 등은 학업적 비정직행위에 관한 태도가 실제 비정직행위에 가담할지를 결정한다고 주장했으며, 이는 theory of planned behavior와 일관된 것이다. 더 나아가, 그들의 모델에 따르면 학업적 비정직행위에 대한 태도나 그것에 가담할지를 결정하는 것은 인구통계학적/심리사회적/학업적/상황적 요인이 있다고 했다. 추가적으로, 도덕 및 윤리적 발달이 있는데, 비록 이론적이지만 학문적 진실성과 관련된다고 보고된 바 있다.

Academic dishonesty encompasses the areas of cheating, fabrication and falsifying, and plagiarism (Guthrie 2009). The prevalence of academic dishonesty has prompted an increas- ing interest into the determinants of this phenomenon (Jurdi et al. 2011). Jurdi and colleagues (2011) suggested that attitudes with respect to academic honesty determined actual engagement in dishonest behavior; this is consistent with established theories such as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r (Ajzen 1991). Furthermore, according to their model, the antecedents that predetermine attitude to, and engagement in, academic dishonesty can be considered in terms of demographics, and psychosocial, academic, and situational factors (Jurdi et al. 2011). In addition, the area of moral and ethical development, albeit theoretically, has been linked to academic integrity (Hardigan 2004; Jurdi et al. 2011)


또한 남학생과 여학생 사이에 학업적 비정직 행위에 대한 차이에 대한 근거도 잇으나, 일부 연구에서는 남성과 여성 간 차이가 없다고 한 것도 있다.

There is also evidence suggesting differences with respect to engagement in academic dishon-esty between male and female medical students (Babu et al.2011). However, other studies have not found differences between male and female students in terms of engaging in academic dishonesty (Rennie & Rudland 2003; Bilic-Zulleet al. 2005; Jurdi et al. 2011). 



방법

Method


참가자와 샘플링

Participants and sampling



절차

Procedure


현실적 시나리오를 기반으로 함으로써 학생들이 그들의 professional context를 고려할 수 있고, 그 시나리오에 친숙함을 느끼게끔 했다. 구체적 문장은 다음과 같다.

Distinct from Hauser et al. (2007), this scenario was based on a realistic scenario so that students could consider their professional context and thus be familiar with this case. The wording the scenario was as follows:

스테픈스 의사는....Z라는 약이...

‘‘Dr Stephens is in charge of a patient who is seriously ill. All this patient needs in order to return to his good health is a small dose of drug Z. Unfortunately drug Z is extremely hard to get hold of. However, Dr Stephens knows a source. In order to get the drug she will have to steal it for her patient.’’

 

학생에게 질문은 다음과 같다.

Students were asked,

 

스테픈스 의사가 약을 훔치는 것을 인정할 수 있는가?

‘‘Is it ethically permissible for Dr Stephens to steal the drug for her patient?’’

 

6점 척도로 (절대 동의하지 않음 - 언제나 동의함) 평가하였고, 주관식으로 판단의 이유를 설명할 수 있게 했다.

Students were asked to appraise the case using a six-point Likert scale (from never agree to always agree). A commentary box was state their available below the case to allow students to reasons for their decision.



학업적 비정직행위에 대해서는 문헌에 등장한 구체적인 행동을 가지고 32개의 문항을 만들었다. 학생들은 "전혀 사실이 아님 - 매우 사실임"으로 6점 척도로 응답.

To measure self-reported engagement in academic dishon- esty, students were asked to respond to 32 items regarding specific behaviors often cited in the literature in the area of academic dishonesty Students were asked to rate each of the items in terms of a six-point Likert scale of ‘‘never true’’ to ‘‘very true.’’ For example,

    • ‘‘using abbreviations written on arm during a written examination,’’
    • ‘‘using hidden notes in written examinations,’’ and
    • ‘‘copying from a neighbor during an examination without the person realizing.’’

좀더 해석을 명확하게 하기 위해서 32개 문항으로 EFA 수행

To provide greater clarity to the interpretation, this intial set of 32-items was examined using exploratory factor-analysis.


사회적 바람직성social desirability  척도도 포함되었으며, 구체적으로는 자기기만척도self-deceptive enhancement (SDE) scale 를 사용하였음. Li와 Bagger는 SDE가 "비의도적으로 스스로를 보다 바람직한 방식으로 보여주고자 하는 것, 긍정적인 방향을의 비뚤림이지만, 그것이 스스로의 모습이라고 진정으로 믿는 것"을 보여준다고 설명했다. 이 척도는 잠재적 confounder를 통제하기 위해서 분석에 포함됨.

A social desirability measure was incorporated, specifically the self-deceptive enhancement (SDE) scale of the Balanced Inventory of Desirable Responding (Paulhus 1991). Li and Bagger (2007) stated that SDE aims to elicit information about ‘‘an unintentional propensity to portray oneself in a favorable light, manifested in positively biased but honestly believed self-descriptions (p. 526).’’ This measure was entered into the analysis to control for this potential confounder.


Data analysis


두 단계로 진행됨.

Two phases of data analysis were conducted


Preliminary analyzes.


Incidence of academic dishonesty.


A multiple analysis of covariance model (MANCOVA) was used to appraise the level of association between the dependent variables (incidence of academic dishonesty) and the independent variables case responses, gender and course of study. Several covariates were also entered into the analytical model to control for potential confounding influences (SDE, age, and year of study). Both age and year of study were converted to two sets of dummy variables. For age, two dummy variables were coded, coding over 25 as 1 and all else 0 (older group) and 15–19 age group as 1 and all else 0 (younger group). In addition, to annul any problems with assumptions related to the cumulative effect of year of study we created a similar set of dummy variables. Henceforth, two dummy variables weregenerated: first year two was coded as 1 and all else 0 (younger year) and then year 4 was coded as 1 and all else 0 (older year).




Results


Participants

 

 


 

예비 분석

Preliminary analyzes


EFA에서는 학업적 비정직행위의 구체적 영역이 발견되었다.

The exploratory factor analysis revealed three identifiable factors that relate to specific areas of academic dishonesty.

  • (1) copying relating to items that explicitly probed the notions of copying with or without crediting the source or manipulation of data;
  • (2) cheating referring to items related to intentional engagement in the use of unauthorized material by deceptive or dishonest means; and
  • (3) collusion in reference to items that imply collaborating withor aiding other students or ignoring actions by other studentsin relation to academic dishonesty.

 

이 영역에 따르면, 91% 학생이 copying에, 34%가 cheating에, 60%가 collusion 경험이 있음을 밝혔다.

According to these domains, 91% of students disclosed some form of engagementin copying, 34% in cheating, and 60% in collusion. 



학업적 비정직행위

Incidence of academic dishonesty


허용성permissibility 수준에 따라 고허용 그룹과 저허용 그룹으로 구분함

To explore the possibility of interactions, the responses tothe case scenario were converted to a categorical variable by considering the contrast between higher levels of permissibil-ity (ratings 4–6) versus lower levels of permissibility (1–3).Additionally, an inspection of the right skewed distribution of the response scores to the cases scenarios suggested that it would be sensible to create a dichotomous variable. Genderand course of study were also entered as independent variables. 


 



 

고찰

Discussion



가장 두드러지는 결과는 학생들이 학업적 비정직행위를 한 적이 있다고 밝힌 정도와(copying, collusion) 의사의 비도덕적 행위에 대해서 평가한 수준이 밀접하게 연관되어있었다는 점이다. 더 나아가서 collusion(공모, 결탁)은 성별/학년/전공에 따른 차이가 나타났다.

The foremost findings suggested that the way students disclosed engagement in academic dishonesty,namely copying and collusion, was linked to the way they rated a cases scenario related to a doctor stealing a drug for a patient in need. Moreover, a further aspect of academic dishonesty, collusion, was seen as a differential element with respect to gender, year, and course of study; 


학업적 비정직 행위에 가담Engagement

Engagement in academic dishonesty


전문직으로서의 행동은 지조있는principled 자세를 개발하고, 윤리적, 도덕적 딜레마를 해결하는 방식에 토대를 두고 있음을 시사하는 강력한 근거가 있다. 이 연구에 따르면 학업적 비정직행위에 가담하는 것은(copying, collusion) 학생들이 시나리오 사례에 응답한 것과 관련되어 있었다.

There is a strong argument implying that professional activities are likely grounded in the way people develop principled positions and solve ethical and moral dilemmas (Latif 2000). In reference to this study, engagement in copying and collusion were related to students’ responses to a case scenario


Granitz and Loewry 는 학생들이 다양한 윤리적 frames of reference 에 따라서 행동함을 보여주었다.(예컨대 rational self- interest 혹은 Machiavellianism (ethical egoism)) 내용 분석으로 표절 사례를 분석하여 이들은 대부분의 학생들이 deontology 와 유사한 frame of reference를 적용함을 밝혔다. 그러나 Granitz and Loewry 는 또한 많은 학생들이(18%) 잡힐 가능성이 매우 낮다는 전제 하에서는 다른 사람이 지불하는 비용을 통해 자신의 이익을 강조하는 시스템으로 frame되어 있음을 밝혔다.

Granitz and Loewry (2007) have suggested that students operate from varying ethical frames of reference such as rational self- interest or Machiavellianism (ethical egoism). By appraising plagiarism cases using content analysis, they found most students apply a frame of reference akin to deontology through fundamental considering duty and respect for human rights. However, Granitz and Loewry also determined that many students (18%) were framed according to a system that emphasized self-interest at the expense of others, with the proviso that they have a high probability of not getting caught.


실용적 관점에서, 학생들이 학업적 비정직행위에 가담할 이유는 다양하다. 일부 학생들은 전략적으로 "앞서나가기 위하여" 그럴 수도 있다. Ercegovac and Richardson은 학업적 비정직성을 예측할 수 있는 몇 가지 요인을 제시했다.

From a pragmatic perspective, it is probable that students have different reasons for engaging in academically dishonest behaviors. For example, some students may be strategically motivated to ‘‘get ahead’’ (Simkin & McLeod 2010). Additionally, Ercegovac and Richardson (2004) posited that several factors could predict academic dishonesty, which include

  • a sense of societal skepticism,
  • lack of trust,
  • alienation from educational authority,
  • larger class size,
  • increased com- petition,
  • collaborative work projects,
  • lack of understanding,
  • the need to produce higher grades, and
  • fear of failure.

따라서, 학업적 비정직행위를 하는 학생들도  저마다 서로 다른 frames of reference 를 가지고 있을 수 있고, 따라서 각 학생의 사례들이 각각 그에 따라 고려되어야 한다. 고의적인 학업적 비정직행위로 간주되는 사례에 대해서는 다음의 것들이 적절할 수 있으나, 쉽게 정의되지 않는 사례에 대해서는 적절하지 않을 수 있다.

It is, thus, likely that students engaging in academic dishonesty do have different frames of reference and ratio- nales and as such each student’s case needs to be considered accordingly. The use of a disciplinary tribunal that incurs penalties related to

  • non-credit for courses,
  • a monetary fine,
  • suspension of attendance, and
  • cancellation of enrollment (The University of Auckland 2010),

 

may be appropriate in cases considered as intentional acts of academic dishonesty, but may not be appropriate for cases not so easily defined.




성별과 전공에 따른 차이

Gender and course differences



본 연구의 결과는 성별에 따른 차이도 보여주는데, 남학생에서 collusion형태의 학업적 비정직행위가 더 흔하게 나타났다.

The findings of this study also indicated a gender difference whereby male students disclosed higher levels of academic dishonesty in the form of collusion than female students.

  • 남학생이 동료들과 더 비정직한 학습환경에서 공부하고 있을 가능성
    This implies that male students are more likely to be working with others in a dishonest learning environment whether by engaging ignoring behaviors or in peer-related behaviors.
  • 남학생이 더 tolerant하다는 근거
    This finding supports evidence to suggest that male students are more tolerant towards unacceptable behavior, as noted during group work activities, than female students and this may be related to differences in sensitivity towards context (Underwood 2003).

 

성별 간 차이에 따른 또 다른 설명

Several other explanations for gender differences have also been posed in the literature, including

  • 동기 차이 motivational differences (male students are more extrinsic compared the intrinsic nature of female students) (Hardigan 2004),
  • 여자 비율 높음 female dominance in pharmacy (Aggarwal et al. 2002),
  • 여학생이 더 위험-회피적 female students may be more risk-averse (Baker Jr & Maner 2009; Gupta et al. 2009), and
  • 남학생이 더 사회적 이미지에 쉽게 영향을 받음. 상대적으로 여학생은 독립적 male students are more easily affected by social image compared to the independent nature of female students (Aggarwal et al. 2002).

 

Jurdi 등은 남학생과 여학생 간에 사회적 책무성에 대한 인식이 다르나, 이 차이가 명확히 이해되거나 설명되고 있지는 않다고 하였음. 선택과 고집choice and persistence과 관련한 설명도 있는데, 예컨대 여학생이 선택에 있어서 좀 더 보수적이고, 남학생보다 전통적인 규범을 고집하는 경우가 많다.

Even though they did not find a significant gender result in their study, Jurdi and colleagues (2011) identified that there are different notions of societal responsibility between male and female students and the impact of these differences are not clearly understood or explained in the literature. There may also be an explanation related to choice and persistence (Pintrich & Zusho 2007); for example, female students may be more conservative in their choice and may likely persist with conventional norms than male students (Hardigan 2004).



어린 학생들이 더 비정직한 행위를 할 가능성이 높다는 것을 보여준 다른 연구들도 흥미로우나 이번 연구에서는 그렇지는 않았다.

It was interesting to note that other studies have suggested that younger students may be more predisposed to dishonest behaviors than older students (Hardigan 2004), but in this study no age effects were noted.



결론과 권고

Conclusion and recommendations


Granitz and Loewry 는 학생들은 서로 다른 ethical frames of reference를 가지고 있으며, 따라서 학생들이 어떻게 복잡한 윤리적 딜레마를 풀기 위하여 서로 상호작용work하는지 초기에 발견하는 것은 교육자들이 위험의 소지가 있는 학생들을 찾아내거나 단체상황에서 어떤 행동을 할 것인지 예측gauge할 수 있어서 향후의 행동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기에 중요함. 더 나아가서 케이스 시나리오는 윤리/도덕적 추론 수준을 측정하는데 활용할 수 있어서 대학기간 뿐 아니라 미래 행동의 implication으로서 사용될 수 있다. 학생들이 윤리적 도덕적 딜레마에 공모collude하는 방식은 교육 초기에 다뤄져야 하며, 이를 통해서 학생들이 전문직으로서 행동을 엄격하게 하도록  잘 준비하여야 한다.

A useful study, Granitz and Loewry (2007) suggest that students employ different ethical frames of reference, and therefore, early detection in relation to how students work with each other in solving complex ethical dilemmas may alert educationists to at-risk students or to gauge how students construct behavior in group situations, thus pre-empting later disciplinary action. Moreover, the case scenario approach could be used to gauge levels of ethical and moral reasoning (Kohlberg 1975; Hauser et al. 2007), which can then be discussed in line with professional conduct both at university as well as implications for future practice (Papadakis et al. 2004). The ways in which students collude to address ethical and moral dilemmas need to be discussed early in their training so that they are adequately prepared for the rigors of professional practice whether it is medicine or pharmacy.



 



Granitz N, Loewy D. 2007. Applying ethical theories: Interpreting and responding to student plagiarism. J Bus Ethics 72(3):293–306.


Hauser M, Cushman F, Young L, Jin RK-X, Mikhail J. 2007. A dissociation between moral judgments and justifications. Mind Lang 22(1):1–21.


Simkin MG, McLeod A. 2010. Why do college students cheat? J Bus Ethics 94:1–13.






 2013 Jun;35(6):e1211-7. doi: 10.3109/0142159X.2012.737962. Epub 2012 Nov 12.

Academic dishonesty and ethical reasoningpharmacy and medical school students in New Zealand.

Author information

  • 1Centre for Medical and Health Sciences Education, University of Auckland, Auckland 1142, New Zealand. m.henning@auckland.ac.nz

Abstract

BACKGROUND:

There is ample evidence to suggest that academic dishonesty remains an area of concern and interest for academic and professional bodies. There is also burgeoning research in the area of moral reasoning and its relevance to the teaching of pharmacy and medicine.

AIMS:

To explore the associations between self-reported incidence of academic dishonesty and ethical reasoning in a professional student body.

METHODS:

Responses were elicited from 433 pharmacy and medicine students. A questionnaire eliciting responses about academic dishonesty(copying, cheating, and collusion) and their decisions regarding an ethical dilemma was distributed. Multivariate analysis procedures were conducted.

RESULTS:

The findings suggested that copying and collusion may be linked to the way students make ethical decisions. Students more likely to suggest unlawful solutions to the ethical dilemma were more likely to disclose engagement in copying information and colluding with other students.

CONCLUSIONS:

These findings imply that students engaging in academic dishonesty may be using different ethical frameworks. Therefore, employing ethical dilemmas would likely create a useful learning framework for identifying students employing dishonest strategies when coping with their studies. Increasing understanding through dialog about engagement in academic honesty will likely construct positive learning outcomes in the university with implications for future practice.

PMID:
 
23146078
 
[PubMed - indexed for MEDLINE]


의사로서의 발전 - 전문직 되기 (NEJM, 2006)

The Developing Physician — Becoming a Professional

David T. Stern, M.D., Ph.D., and Maxine Papadakis, M.D.






학생들에게 우리의 핵심 가치를 가르칠 때, 학생들이 근무하고 휴실을 취할 실제 세계를 고려해야 한다. "가르치는 것"의 개념은 교실에서의 강의/소그룹 토론/실험실 실습/클리닉에서의 환자돌봄 뿐 아니라 복도에서 오가는대화/카페테리아에서의 농담/"위대한 사례"에 대한 스토리 등도 포함된다.

When teaching students our core values, we must consider the real world in which they will work and relax.1-4 The concept of “teaching” must include not only lectures in the classroom, small group discussions, exercises in the laboratory, and care for patients in clinic but also conversations held in the hallway, jokes told in the cafeteria, and stories exchanged about a “great case” on our way to the parking lot.




기대치 설정

Setting Expectations


3학년의 첫 임상실습날을 떠올려보면, 여전히 그 불안감과 불확실성을 느낄 수 있을 것이다. 각 로테이션은 새로운 규칙을 설정하고, 새로운 행동규범을 설정하며, 새로운 의사와 의료전문직 커뮤니티를 설정한다.

Remembering back to your own first day on the wards as a third-year medical stu- dent, you can probably still feel the anxiety and uncertainty. Each rotation brought a new set of rules, a new set of behavioral norms, and a new community of physi- cians and health care professionals with whom to engage.


불행하게도, 이러한 규칙이 쓰여진 곳은 어디에도 없고, 실수를 했을 때에만 그 규칙이 무엇인지 드러난다.

Unfortunately, the rules were unwritten and often discovered only when you made a mistake.


AMA의 의료윤리헌장과 Charter on Medical Professionalism은 이러한 원칙과 기대에 대한 것이다.

The Code of Medical Eth- ics from the American Medical Association and the Charter on Medical Professionalism12 serve to advance these principles and expectations.



경험 제공

Providing Experiences


1970년대 후반까지만 해도, 윤리/프로페셔널리즘/인문학의 공식적 교육은 의과대학의 교육과정이 아니었다. 이후로 교육자들은 혁신적 교육과정 경험을 개발하였고, 이를 통해 학생들이 프로페셔널리즘에 대한 이슈에 노출되고, 윤리적 원칙에 대한 지식을 쌓고, 도덕적 추론 기술을 익히고, 인간적 태도를 개발하게끔 했다

Until the late 1970s, the formal teaching of eth- ics, professionalism, and humanism was not part of the medical school curriculum.13 Since then, educators have developed innovative curricular experiences to expose students to issues of pro- fessionalism and promote knowledge of ethical principles,14 skills of moral reasoning,15 and the development of humanistic attitudes.


  • problem-based learning
  • formal ethics course.14 
  • doctor–patient relationship17
  • experience in underserved communities and international settings 

이러한 접근법의 안면타당도는 높지만, 이러한 요소를 교육과정에 추가한 것의 효과성은 아직 공식적으로 검증되지 않았다.
Although the face validity of such approaches is high, the effectiveness of these additions to the curriculum has not been formally tested.


이러한 공식 교육과정의 요소보다 더 중요한 것은 비공식적 경험이다.

Potentially more important than these formal elements of the curriculum are the informal ex- periences


초등학교 교육에 대한 연구는 이러한 유형의 경험을 "잠재 교육과정"이라고 처음 명명하였다.

A study of primary-school education was the first to label this sort of experience as part of the “hidden curriculum” —

“the curriculum of rules, regulations and routines, of things teachers and students must learn if they are to make their way with minimum pain in the social institution called the school.”20


교수들은 스스로를 학생들의 롤 모델로 인식하며, 이것이 프로페셔널리즘을 가르치는 주된 수단이라고 주장한다. 그러나 롤모델은 "어떤 여행을 수행함에 있어서, 다른 사람의 모델로서 받아들여지는 사람"이다. 롤모델은 그것을 받아들이는 사람의 관점, 즉 교사가 아니라 학생에 달린 것이다"멘토로서 인식되어지는 개인들은 아마 그들 스스로는 프로페셔널의 가치를 가르치고 있음을 느끼지 못할 수도 있다. 반대로 멘토라고 인정받지 못하는 사람들은 자신들이 그러한 가치를 가르치고 있다고 믿는다"

Faculty often per- ceive themselves as role models for students and claim that this is one of the primary means through which they teach professionalism. But a role model is “someone who, in the performance of a role, is taken as a model by others.”23 Role modeling is in the eye of the beholder — the stu- dent, not the teacher. “Individuals who are seen as mentors may not realize that they are teach- ing professional values, and those not seen as mentors may believe that they are.”24


롤모델이 프로페셔널리즘 교육이 되려면 반드시 reflection on action과 합해져야 한다. 주치의는 단순히 그/그녀가 환자에게 옳은 약을 처방한다면 별 토론 없이 학생들을 남겨놓고 떠나더라도 그것을 학생들이 보고 잘 배울 것이라는 건방진 생각을 해서는 안된다.

Role modeling must be combined with reflection on the action27,28 to truly teach professionalism. Attending physicians are not presumptuous enough to believe that if they simply prescribe the correct medication to a patient and leave the room without discussion that the students who are observing will learn to treat the disease.


우화parable은 문화를 전수하는 강력한 수단이다. 전문직으로서 행동의 규범은 의미가 담인 스토리를 통해 아래 세대로 전수된다.

Parables are a powerful means of transmission of cultural values; the norms of professional be- havior have been handed down through genera- tions of doctors using stories with meaning.29-31


의학에서 우화는 종종 "이런 대단한 일이 있었지" 혹은 "내가 인턴일 때는 말이야" 등으로 시작한다. 뒤이어 '의사가 된다는 것은 무엇을 의미하는가'에 관한 도덕moral이 가미된 흥미로운 사례가 따라온다. (William Carlos Wil- liams, Jerome Groopman, Atul Gawande)

In medicine, parables often start with “I had this great case” or “When I was an intern.”32 What ensues is a story about a fascinating medical case with a moral about what it means to be a doctor. The published writings of William Carlos Wil- liams, Jerome Groopman, Atul Gawande, and oth- ers take this process to its highest form.


헬스케어 환경도 프로페셔널 가치에 스며들어 영향을 미친다.

The health care environment itself can also have a pervasive effect on professional values.


마우스 클릭 몇 번으로 모든 사람의 건강관련정보를 알 수 있다는 기밀에 대한 우려가 잇으나, 이러한 환경은 교육에 미치는 영향이 더 크다. 환자의 수가 과도하고, 의료진대 환자 비율이 낮은 것은 레지던트 사이에 "환자를 치워버리는 것"이 그들의 임무라는 생각을 갖게 한다. 최근의 레지던트 근무시간 규제는 긍정적/부정적 영향이 모두 있다. 예컨대, 스스로를 더 잘 돌볼 시간을 주었지만, 환자와의 신뢰관계를 발전시키는데는 제약이 된다.

Although there is ample reason for concern about confidentiality in a world where almost anyone’s personal health information is only a few mouse-clicks away,34 the environment itself actually does much of the teaching. An envi- ronment with high patient volumes and low staff- to-patient ratios has been shown to foster an at- titude among residents that their job is to “get rid of patients.”35 Recent changes in residents’ duty hours may have both positive and negative con- sequences for professional behavior.36 For exam- ple, limiting duty hours may give residents time to take better care of themselves but may also limit the development of a trusting relationship with patients.



성과 평가

Evaluating Outcomes


기대를 명확하게 하고, 최선의 경험을 제공해도 프로페셔널 발전을 장담할 수 없다. 교사들은 반드시 학생들이 가르친 내용을 제대로 학습하였는지, 그리고 중요한 것을 학습할 동기부여가 되엇는지 평가해야 한다.

Even the clearest of expectations and the best of experiences will not guarantee professional de- velopment. Teachers must evaluate students both to determine whether the lessons were learned and to motivate students to learn what is impor- tant.


그러나 프로페셔널리즘을 측정하기 위한 충분히 엄중한 평가법이 부족하다면 학생과 레지던트는 스스로의 전문직으로서의 행실을 구성하는 것에 대한 스스로의 도덕적 잣대를 상담할 곳이 없게 된다.

However, the absence of equally stringent methods for measur- ing professionalism leaves students and residents to consult their own moral compasses about what constitutes professional behavior.37


프로페셔널리즘 평가는 더 이상 주관적인 것이 아니다.

Measures of professionalism are no longer subjective



프로페셔널리즘 가르치기

Teaching Professionalism


비록 우리가 학생들이 환자와 온 종일 시간을 보내고 병력청취와 신체검진을 하기를 바라지만, 바쁜 의사들은 그러한 사치를 누리지 못한다. 우리가 가르치는 것과 학생들이 실제 현장에서 보는 것 사이의 갈등이 내재되어 있다면 프로페셔널리즘이 발달하지 않을 것이다. 적어도, 그러한 갈등이 있을 경우 학생들에게 설명되어야 한다. 이상적인 프로페셔널리즘을 가르치기 위한 노력은 잠재 교육과정의 강력한 메시지에 의해서 아주 쉽게 전복될 수 있다.

Although we allow students to spend a full hour with a patient to take a history and perform a physical examina- tion, busy physicians do not have that luxury. In- herent conflicts between what we teach and what students see in real-life settings will not promote professionalism.22,51 At a minimum, such conflicts must be explained to students. Efforts to teach the ideals of professionalism can be easily over- whelmed by the powerful messages in the hid- den curriculum.7,52


전문직으로서의 발달과정은 복잡하고, 개개인의 교사가 문제를 인식하고 적절히 대응하는 것은 매우 부담스러운 과제이다.

Profes- sional development is complex1,2; it is a daunt- ing challenge for individual teachers to both rec- ognize the problem53 and respond effectively.54


해답은 교사로서 우리 자신의 스킬을 개발하는 것 뿐만 아니라, 우리가 가르치는 환경 자체를 개선하는 것에 있다. 학생들은 프로페셔널리즘이 그들이 근무하고 배우는 시스템 전체에 결쳐서 이뤄지고 있는 것을 봐야 한다. 우리의 academic medical center에서 이것은 의과대학 뿐 아니라 모든 system of care에 있어서 일관되고 명확한 프로페셔널을 제시하는 것을 뜻한다. 이러한 과제는 다기관에 걸쳐서 프로페셔널리즘 자세를 도입하고자 할 경우에 더 어려운 문제가 된다.

The solutions rest not only with developing our skills as teachers25-28 but also with improv- ing the environment in which we teach.55 Students need to see that professionalism is articulated throughout the system in which they work and learn. In our academic medical centers, this means providing an environment that is consistently and clearly professional not only in medical school but throughout the entire system of care. The chal- lenge becomes even more daunting when the goal is to institute an attitude of professionalism in multiple organizations.56



우리가 학생에게 더 큰 프로페셔널리즘을 기대할수록 우리는 교사들과 조직의 리더들에게도 같은 것을 기대해야 한다. 그렇지 않다면 솔직하지 못한 것이다.

As we expect greater professionalism from our students, we need to expect the same from teachers and organizational leaders. Anything else is disingenuous.



의료전문직 조직은 전문직으로서 우리의 정체성을 옹호해야 하며, 의사가 합당하게 자신의 이익-추구가 가능함을 인정함과 동시에 환자의 이익을 자신의 이익보다 우선해야 한다. 우리의 전문직은 비지니스가 아니며, 환자를 “managed care lives” or “consumers.”로 재정의하는 것에 저항해야 한다.

Professional organizations must advocate for our identity as a profession that celebrates the primacy of patients’ interests over self-interest12,59 while acknowledging that physicians do have legitimate self-interests. Our profession is not a business, and we must resist redefining our pa- tients as “managed care lives” or “consumers.”


AAMC의 명예대표인 Jordan J. Cohen는 이렇게 말했다.

Jordan J. Cohen, president emeritus of the Association of American Medical Colleges, writes,

 

“Failing to deliver on these expectations . . . fall- ing short on the responsibilities of profession- alism, will surely result in a withdrawal of the tremendous advantages that now accompany our profession’s status.”60



12. Medical Professionalism Project. Medi- cal professionalism in the new millenni- um: a physician charter. Ann Intern Med 2002;136:243-6.










 2006 Oct 26;355(17):1794-9.

The developing physician--becoming a professional.

Author information

  • 1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University of Michigan Medical School and the Veterans Affairs Ann Arbor Healthcare System, Ann Arbor 48109, USA. dstern@umich.edu

Comment in


의과대학기간의 의대생의 도덕성 발달(CMAJ, 2003)

Changes in students’ moral development during medical school: a cohort study

Johane Patenaude, Theophile Niyonsenga, Diane Fafard






프로페셔널리즘에 대한 요구와 의료진에 대해 기대하는 퀄리티(도덕성 등)은 각 관련기관으로 하여금 의과대학생이 의학교육기간동안 윤리적 성장에 관해 관심을 가질 동기를 부여하였다. 윤리는 과학과 기술적 지식을 습득하는 것과 관련하여 의사에게 기대되는 여러 스킬 중 하나이다.

The requirements of professionalism and the ex- pected qualities of medical staff, including high moral character, motivate institutions to care about the ethical development of students during their medical education.1,2 Ethics is thus one of several expected physician skills related to the acquisition of scientific and technical knowledge.3–6



미국이나 다른 곳에서 진행된 연구의 결과는 의과대학기간동안 윤리적 스킬이 점진적으로 하락한다는 것을 보여준다. 이들 연구는 세 가지 다른 도구를 사용하였고, 서로 다른 결과를 보여주었는데, 때로는 윤리적 민감성이 감소하였고, 때로는 도덕적 추론능력의 발전이 억제되었다. 일부 결과는 낮은 도덕적 추론 수준과 의료과오로 인한 법적 문제의 숫자가 상관관계가 있다는 것을 보여주기도 했다. 한 설문으로부터 거의 절반의 학생이 비윤리적으로 행동해야 할 것 같은 압박을 느낀대고 응답했고, 또 다른 설문에서 3, 4학년의 62%가 그들의 윤리적 원칙이 점차 부식되어가거나 사라지는 것처럼 느낀다고 했다. 이러한 상황은 의학교육이 종료된 이후에도 나아지는 것 같지 않다.

The results of studies performed in the United States and elsewhere suggest a negative trend in the progress of ethical skills during medical training.7–10 These studies, which used 3 different instruments, yielded divergent re- sults, showing sometimes decreased ethical sensitivity11 and sometimes inhibited development in moral reasoning.12–15 Some of the results demonstrated a strong correlation be- tween low levels of moral reasoning and the number of le- gal proceedings for malpractice (unpublished data). In one survey, nearly half of the students reported that they felt pressure to act unethically,16 and in another survey of 665 third- and fourth-year medical students, 62% of them felt that their ethical principles had been seriously eroded or had disappeared.17 The situation does not appear to im- prove once medical education is completed.18



의료행위에 있어서 윤리의 중요성에 대한 관심이 늘어남에 따라, 성숙에 따른 도덕적 추론의 자연적 성장과 교육에 의한 성장 사이의 차이에 대한 이해가 더 필요해졌으며, 여기에는 윤리적 기술을 향상시키기 위한 교육법, 의과대학기간의 윤리성 저하 등이 포함된다. 의학교육 기간에 더 나은 개입법을 만들기 위해서 많은 사람이 이러한 차이를 설명하고자 했다. 미국 의대생들의 도덕 발달에 대한 연구를 보면 단 하나만이 장기적 자료를 사용하고 있다. 그 연구에서 도덕적 추론 점수의 상승은 4년에 기간동안 이뤄지지 않았으며, 이는 핛생들의 교육경험이 도덕추론의 발달을 촉진한다기보다는 억제함을 시사한다.

In light of growing concern about ethics in medical practice, it is important to have a better understanding of the divergence between the natural progression of moral reasoning that comes with maturity19 and education,20 in- cluding pedagogical measures taken to promote ethical skills, and the degradation observed during medical educa- tion. Many have attempted to explain this divergence in or- der to better intervene during medical education.21–23 Stud- ies have been published on the moral development of American medical students,12–15 but only one used longitudi- nal data.13 In that study, the expected increase in scores for moral reasoning did not occur over the 4 years of medical education, which suggests that the students’ education ex- perience somehow inhibited rather than facilitated the de- velopment of their moral reasoning.



방법

Methods


Uni- versity of Sherbrooke에 입학한 모든 92명의 학생을 대상으로 MJI설문을 함. 참여는 자율적이었으며, 비밀이 지켜질 것을 확실히 했음. 같은 학생을 3학년 말에 다시 설문함.

We invited all 92 students entering medical school at the Uni- versity of Sherbrooke, Que., to complete the Moral Judgment In- terview (MJI) questionnaire upon registration. Participation was voluntary, and we assured respondents of confidentiality. We in- vited the same individuals to complete the questionnaire again at the end of their third year of medical studies.


MJI scale은 Lawrence Kohlberg 에 의해서 1958년 개발되었고, 원래는 도덕적 추론의 로직에 따라 변화를 측정하려는 것이었다. Kohlberg의 이론에 따르면 다음의 단계에 따라 성숙한다.

The MJI scale, developed by Lawrence Kohlberg in 1958,24,25 was designed to measure changes in the logic of moral reasoning that usually occur over years. According to Kohlberg’s theory, people proceed through stages of reasoning as they mature (Table 1).



 

참가자의 도덕추론에 대해서 검사한 것은 그 사람의 도덕신념이나 가치에 대한 것이 아니었다. 예컨대 4단계의 사람도 보수적이거나 진보적일 수 있으며, 실제로 어떤 사람이 보수적이거나 진보적이라는 것은 도덕적 추론 능력과는 아무런 관계가 없다.

What is being tested is the participant’s capacity for moral reasoning and not the person’s particular set of moral be- liefs and values. For example, a person could be at stage 4 and have either conservative or liberal values; indeed, whether a per- son holds conservative or liberal values has no bearing on the rea- soning capacities for supporting whatever values are held.



Colby and Kohlberg가 정의한 매개변수에 따라서 코딩하고, 각 학생별로 발달의 단계를 평가하였다. 이 단계는 학생의 응답에서 가장 많이 등장하는 것으로 하였고, 두 개가 같은 빈도일 경우 두 단계 사이의 중간이라고 하였다.

We coded responses according to parameters defined by Colby and Kohlberg.19 A stage of development was first attributed to each response. The stage attributed most frequently in a stu- dent’s questionnaire constituted the individual’s dominant stage. When students invoked 2 stages with equal frequency, an inter- mediate category falling halfway between the 2 stages was created (e.g., intermediate stage 3–4).

 

세 번째 단계에서 각 단계의 빈도에 가중치를 둔 단계를 산출함

In a third step, we converted recorded stages to numeri- cal scores (weighted average scores) according to the frequency of use of each stage.



해석

Interpretation



미국에서의 종단연구와 마찬가지로 우리는 maturation에 따라 동반될 것으로 기대된 도덕 추론능력의 향상을 관찰하지 못했다. 우리는 가중-평균점수에서 유의미한 감소를 확인하였다. 그러나 우리의 관찰결과는 이러한 도덕발달의 저하와 의학교육 사이의 인과관계를 보여주는 것은 아니다. 그러나 명백한 것은 해당 연령대에서 기대되는 발달의 하한선 정도밖에 미치지 못한다는 점이다. Colby와 Kohlberg는 도덕적 추론의 conventional 수준(3~4단계, 4단계)이 청년과 성인에서 가장 흔하게 나타나는 것이라고 했다. 이와는 대조적으로 어린이나 유년기에는 preconventional level (1~3단계)가 가장 흔하다. 이 단계에서 부모의 권외와 벌을 회피하고자 하는 성향이 두드러진다. postconventional level (4~5단계, 5단계)는 사회적 관점을 받아들이는 것이며 성인의 소수에서만 발견된다.

As in the US longitudinal study,13 we did not observe the increase in the development of moral reasoning that was expected with maturation and involvement in university studies. We found a significant decrease in weighted aver-age scores after 3 years of medical education. Our findings do not, however, establish a direct causal relation between the observed decrease in moral development and medical education. Yet they do clearly indicate the occurrence overtime of a levelling to a lower threshold of development than that expected for this age group. Colby and Kohl-berg19 stated that the conventional level of moral reasoning(represented by intermediate stage 3–4 and stage 4) is the one most commonly found in the adolescent and adult population. In contrast, among children and young adoles-cents, the preconventional level (represented by stages 1 to3) prevails; at this level parental authority and the desire to avoid punishment are determinative. The postconventional level (represented by intermediate stage 4–5 and stage 5) is characterized by the adoption of a societal perspective and is found only in a minority of adults. 


우리의 결과는 의과대학이 강력한 사회화 경험을 구성한다는 가설을 확인시켜주었다. 높은 단계에 있는 학생들은 반 단계 이상 단계가 감소하는 경향이 있었으며, 이들 중 단 한 명만이 3년이 지난 후 원래 단계를 유지하고 있었다. 이들학생에서 가중 평균점수가 감소할 가능성은 100%였다. 반대로, 낮은 단계에서 시작했던 학생들은 반 단계 이상 단계가 높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이는 이러한 레벨링 효과가 의과대학 3년의 기간동안 도덕적 추론에 대해서 발생함을 보여준다.

Our findings appear to confirm the hypothesis that medical school constitutes a strong socializing experience. There was a strong likelihood of a decrease in stage of moral development by more than half a stage among the students rated as having a high stage (stage 4 or intermedi- ate stage 4–5) upon entering medical school. Among these students, only 1 stayed at his or her initial stage after 3 years. The probability of a decrease in weighted average scores among these students was 100%. Inversely, the like- lihood of an increase by more than half a stage among the students who were initially rated at lower stages (interme- diate stage 2–3 and stage 3) was high. It seems reasonable to infer that a levelling effect occurred in moral reasoning over the 3 years of medical education.





 








 2003 Apr 1;168(7):840-4.

Changes in students' moral development during medical school: a cohort study.

Author information

  • 1Department of Surgery, Faculty of Medicine, University of Sherbrooke and the Centre for Clinical Research, Centre hospitalier universitaire de Sherbrooke, QC. johane.patenaude@usherbrooke.ca

Abstract

INTRODUCTION:

The requirements of professionalism and the expected qualities of medical staff, including high moral character, motivate institutions to care about the ethical development of students during their medical education. We assessed progress in moral reasoning in a cohort ofmedical students over the first 3 years of their education.

METHODS:

We invited all 92 medical students enrolled at the University of Sherbrooke, Que., to complete a questionnaire on moral reasoning at the start of their first year of medical school and at the end of their third year. We used the French version of Kohlberg's Moral Judgment Interview. Responses to the questionnaire were coded by stage of moral development, and weighted average scores were assigned according to frequency of use of each stage.

RESULTS:

Of the 92 medical students, 54 completed the questionnaire in the fall of the first year and again at the end of their third year. The average age of the students at the end of the third year was 21 years, and 79% of the students included in the study were women. Over the 3-year period, the stage of moral development did not change substantially (i.e., by more than half a stage) for 39 (72%) of the students, shifted to a lower stage for 7 (13%) and shifted to a higher stage for 8 (15%). The overall mean change in stage was not significant (from mean 3.46 in year 1 to 3.48 in year 3, p = 0.86); however, the overall mean change in weighted average scores showed a significant decline in moral development (p = 0.028).

INTERPRETATION:

Temporal variations in students' scores show a levelling process of their moral reasoning. This finding prompts us to ask whether a hidden curriculum exists in the structure of medical education that inhibits rather than facilitates the development of moral reasoning.

PMID:
 
12668541
 
[PubMed - indexed for MEDLINE] 
PMCID:
 
PMC151989
 
Free PMC Article


포격 속의 프로페셔널리즘: 갈등, 전쟁, 그리고 전염병

Professionalism under fire: Conflict, war and epidemics

MICHELLE MCLEAN1, VIKRAM JHA2 & JOHN SANDARS3





군복을 입고있든 아니든, 정권의 탄압이 있든 없든, 관리의료기관의 수문장 역할이든 아니든, 의사는 환자의 마지막 보루이다. 이 역할을 저버리는 것은 의학의 본분 - 지식을 사람을 돕고, 낫게 하고, 돌보는 것 - 을 저버리는 것이다.

Whether in a military uniform or not, whether a bureaucrat in an oppressive regime, whether a gatekeeper in a managed care organization, the doctor is the patient’s last safeguard. To abandon that role is to defect from what medicine is about: the use of knowledge to help, heal, cure, and care for persons. (Pellegrino & Thomasma 2000, p. 270)


의학에서 프로페셔널리즘은 다음과 같이 정의되어 왔으며 그리고 이는 의학과 사회 사이에 맺어진 사회적 계약이다.

In medicine, professionalism has been defined as ‘‘a set of values, behaviors, and relationships that underpin the trust that the public has in doctors’’ (Royal College of Physicians 2005) and is the basis of a social contract between medicine and society (Cruess & Cruess 2014). 


오늘의 의학전문직업성을 규정한 것은 Swick의 professional competencies를 기반으로 하고 있다. Sox에 따르면 '전문직업성'이라는 단어는 현대 의사에게 특별한 의미를 지닌다. 이 단어는 존경하는 모든 동료에 대한, 그리고 고군분투하는 자신에 대한 것을 모두에 대한 것이다.

Today’s medical profession- alism codes such as the 2001 American Medical Association Principles of Medical Ethics and the 2002 Professional Charter have been framed around Swick’s (2000) professional competencies (Table 1). For Sox (2007), ‘‘the word profes- sionalism has a particular meaning to contemporary phys- icians. It connotes everything that we admire in our colleagues and strive for in ourselves’’ (p. 1532).




Conflict and war


홀로코스트의 잔혹성은 아마도 인간에 대한 범죄의 가장 극명한 사례일 것이다. 뉘른베르그 코드와 같이 이런 일이 다시는 일어나서는 안된다는 전 세계적인 합의가 있었지만, 다시 일어나고 말았다. IMAP TF 보고서와 US SSCI에서는 부시행정부가 테러와의 전쟁을 치르는 동안 CIA에 의해 자행된 고문과 비인간적 행위를 인정했다. IMAP 보고서에서는 구체적으로 기술했다. 

The atrocities of the Holocaust are probably the most explicit examples of crimes against humanity (Pellegrino & Thomasma 2000; Geiderman 2002a,b; Chelouche 2005, 2008). Despite universal acceptance (e.g. Geneva Conventions, Nuremburg Code) that such abuse and dehumanization should never be allowed to happen again, it has. Both the Institute on Medicine as a Profession (IMAP) Task Force Report (2013) and the United States (US) Senate Select Committee on Intelligence (2014) have made public the torture and inhumane treatment of detainees at the hands of the US Military and the Central Intelligence Agency (CIA) during the Bush regime’s War on Terror which began after the events of 9/11. The 2013 IMAP report specifically described how military medical personnel were involved in monitoring oxygen saturation during water- boarding, watched for edema in detainees forced to stand in stress positions, shared information from prisoners’ health records with interrogators and force-fed prisoners (Okie 2005; Clark 2006; Miles 2007, 2013; IMAP 2013; Kimball & Soldz 2014), as well as failing to document evidence of torture in many instances (Iacopino & Xenakis 2011).


911사건은 새로운 종류의 전쟁을 이끌어낸 계기가 되었다. 군의사가 개입하기 시작한 것이다.

The events of the 11 September 2001 led to ‘‘a new kind of war’’ (War on Terror), one in which the ‘‘long-accepted norm barring military clinicians from being involved in coercive interrogations of prisoners and in administering non-thera- peutic drugs to soldiers’’ (Miles 2013, p. 117) was set aside. So began a period of obtaining information at any cost, a time in which military medical personnel participated in activities which ‘‘represent a dramatic departure from the conventional medical ethics, which are anchored in the ‘‘do no harm’’ principle’’ (Kimball & Soldz 2014, p. 1) and which violated widely accepted ethical standards set out in the United Nations Principles of Medical Ethics, the Geneva Conventions and the Declarations of Tokyo and Malta (Clark 2006; Miles 2007; IMAP 2013).


Clark의 질문은 주목할 만 하다. "잘 훈련받은 의료인이 이러한 행위에 동참하는 것, 더 나아가 여기에 대해 조용히 있는 것은 우리의 의학교육 시스템이 문제가 있음을 보여주는 것일까? 이 부적절한 프로페셔널리즘적 행위와 주변 맥락을 함께 살펴본다면, 이 행위 중 일부는 미국 정부가 WoT 를 치르는 동안에 자행된 것임을 눈여겨봐야한다."

In the light of this discussion, Clark’s (2006) question becomes pertinent: Is there something fundamentally wrong with our medical education system that allows well-trained medical personnel to become actively involved in abuses, or, even worse, remain silent? To place these reported ‘‘lapses’’ in professionalism into context, it is important to note some of the actions taken by the US government and military during the War on Terror (IMAP 2013):


따라서, WoT동안 많은 군 의사와 심리학자들은 법적 구속력이 있는 지침에 따라 행동했고, 이것을 따르지 않는 것이 위법이 될 상황이었다.

Thus, during the War on Terror, many military physicians and psychologists acted under legally binding instructions, with disobedience carrying the threat of misconduct and possible dismissal (Physicians for Human Rights 2014).




감염질환과 유행병

Infectious disease and epidemics


역사적으로 유행병에 대한 의사들의 반응은 여러 갈래였다. 흑사병 시기에 그 환자들을 보는 것은 개인적 선택이었지만, 1847년 이후 여러 규정이 등장하였다. 1912년에는 그러한 환자를 돌보는 것이 대중의 일반적인 기대였고, 이것으로 인해서 1920년과 1940년 사이에는 많은 의사들이 결핵에 걸리거나 사망하기도 했다. 그러나 1950년대가 되어서는 유행병이 크게 줄어들면서 1977년에는 전염병과 관련된 조항이 삭제되었다.

Historically, physicians’ responses during epidemics have been mixed. For example, during the plague outbreaks of Europe, some stayed with their patients, often succumbing to the disease. Others fled, abandoning their patients (Huber & Wynia 2004). At that time, treating such patients was viewed largely a matter of personal choice, a charitable act or a religious obligation until the founding of 

    • the American Medical Association (AMA) in 1847 when explicit professional ethical standards around treating infected patients were formalized. The 1847 Code specifically stated ‘‘when pestilence prevails, it is [physicians’] duty to face the danger, and to continue their labors for the alleviation of suffering, even at the jeopardy of their own lives’’. 
    • This was strengthened in 1912 (Principles of Medical Ethics) with ‘‘When an epidemic prevails, a physician must continue his labors for the alleviation of suffering people, without regard for risk of his own health or financial return’’ (Baker et al. 1999). At that time, it became a public expectation that physicians treat the sick which probably accounted for many physicians contracting and even succumbing to tuber- culosis between 1920 and 1940. 
    • By the 1950s, however, the risk of epidemics had fallen dramatically and, in 1977, the principle of care relating to epidemics was removed from the Principles of Medical Ethics (Huber & Wynia 2004).

1980년대에 HIV가 등장하면서 전염병에 대한 경험이 없던 두 세대의 의사는 감염된 환자를 보는 것을 거부하기에 이르렀다. 이는 30년이 지난 시점에서 그러한 상황에서 의사의 역할에 대한 논의를 촉발시켰고 AMA는 다음과 같이 기술했다. HIV환자에 대한 문제는 의사의 사회적 의무보다 '차별을 금지하는 것' 혹은 '장애'에 대한 것에 더 초점이 맞춰졌다. 

With the emergence of HIV in the 1980s and with two generations of doctors having had no experience of outbreaks or epidemics, some medical practitioners refused to treat infected patients. This fuelled the first discussions in about 30 years about physicians’ duty of care in such instances. Eventually, the AMA stated that ‘‘A physician may not ethically refuse to treat a patient whose condition is within the physician’s current realm of competence solely because the patient is [HIV] seropositive’’ (Huber & Wynia 2004, p. W8). The issue of duty to HIV patients thus related to non- discrimination (Huber & Wynia 2004) or ‘‘disability’’ (Reid 2005) rather than the profession endorsing a broad social duty to treat during epidemics.


최근의 Ebola, 조류독감, 사스 등의 사태는 의료 전문직업성을 더 살펴볼 수 있는 계기였다. 어떤 사람은 이타적으로, 어떤 사람은 보다 자신의 안전을 중심으로 행동했다. 그리고 이것을 바라보는 관점도 자신에 대한 보호라는 견해부터 책무를 이행하지 않았다는 것까지 다양했다.

Recent outbreaks of Ebola, avian flu and SARS (severe acute respiratory syndrome) have provided opportunities to further explore medical professionalism in the context of emerging health threats. While altruism led to many individ- uals risking their lives to serve affected patients, the behavior of others could be deemed to be more self-serving: Compensation requests, failure to report for work and refusal to put oneself at risk (Straus et al. 2004; Reid 2005; Shiao et al. 2007; Seale et al. 2009; Kinsman 2012; Silva 2014; Yakubu et al. 2014). Perceptions of these actions have ranged from self- preservation to abandonment of duty (Reid 2005; Kinsman 2012).



행동에 대한 이해

Towards an understanding of behavior


어떤 행동의 근간을 이해하는 것은 왜 의사들이 그렇게 다양하게 행동하는지를 이해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Understanding what underpins behavior may help to explain why health care professionals chose to behave differently when faced with moral challenges.


모든 행동은 개인적, 사회적, 환경적 복잡한 관계의 영향을 받는다. 따라서 의료 전문직업성에 대한 개인주의적 관점은 의사들이 전문직으로서 어떻게 행동하는지를 완전히 설명해주지 못하며, 이는 특히 전문직으로서의 가치와 신념이 도전받는 상황에서 더욱 그러하다. 다음과 같은 다양한 관점이 있다.

Any behavior is therefore a complex relationship involving the individual and social influences, including environmental factors (e.g. threat, peer pressure, law). An individualistic perspective of medical professionalismtherefore does not fully explain how physicians develop and act as professionals, especially when their fundamental professional values and beliefs are challenged (Martimianakis et al. 2009).


  • For Ginsburg and colleagues (2000), context is important in influencing individual factors in this model. In terms of military medical personnel, dual loyalty, the need to balance the medical needs of patients in the face of a duty to an employer, has been used to explain why physicians have been seen to act ‘‘unprofessionally’’ in challenging circum- stances (Sidel & Levy 2003; Clark 2006; Snow 2007; Miles 2013; Kimball & Soldz 2014; Solberg 2014).
  • As Powell (2005) has pointed out, the ethos of an organization or a cause can be internalized, prompting actions which the individual would not normally perform. Such acts might include medical personal being aware of (and not reporting) or participating in physical or psychological abuse or torture.
  • Gross’ (2006) provocative debate on nationalism vs. morality in challenging circumstances such as conflict considers the rights of the individual (the prisoner) and ‘‘the greater good’’ (national security). 
    • In his view, a physician’s duty, like any citizen, is to consider the humanitarian issues involved and question national directives. 
    • He argues, however, that there may be times, in the interest of national security, that a physician is required to certify that a detainee is medically fit to undergo interrogation because the benefit to the nation outweighs the needs of the individual. 
    • TBP에 따르자면 이런 상황에서는 주관적인 규범이 더 강력한 동기가 된다.
      In terms of the TPB, the subjective norm (i.e. social pressure to respond) would thus be a powerful motivator to comply.



전염병이나 공공보건에 관한 이슈에 대해서 이해할 때 어떤 연구자들은 어떻게 개개인이 반응하며, 무엇이 그러한 행동의 기저에 있는가에 대한 통찰을 제시했다. 

In terms of understanding responses to epidemics and public health issues, several authors have provided useful insight into how individuals respond and what might underpin their actions (Straus et al. 2004; Reid 2005; Qureshi et al. 2005; Seale et al. 2009; Connor 2013, 2014; Silva 2014). Of particular relevance in this context are Reid’s (2005) debate on risk and the duty to care and Connor’s (2014) TPB modeling on the intention of health care workers to respond

  • Reid에 따르면 사회는 적절한 보건의료 시설을 갖추고 예방적 규정을 마련하는 것과 같이 동등한 책임을 갖는다.
    Reid’s (2005) discussion, sparked by the SARS epidemic revolves around the risk health care workers faced and the unrealistic social expectation to treat, irrespective of their personal well-being. For Reid (2005),
    unrealistically, ‘‘the social contract forming the professions leaves us with no one but the licensed healthcare professionals to turn to in an emergency’’ (p. 353) and ‘‘posing the issue of duty of care solely in terms of an obligation to others in conflict with self-interest fails to capture the real moral dilemmas faced by healthcare workers in an infectious epidemic’’ (p. 358). In Reid’s (2005) opinion, it should be incumbent upon society to equally share in the responsibility during such episodes by, for example, ensuring appropriate health care infrastructure and by having appropriate precautionary regulations.
  • 공공적 응급상황에 대응하는 것은 perceived behavioral control > subjective norm > outcomes belief 순서로 영향을 받는다.
    Connor (2013, 2014) found that the intention to respond to public health emergencies is influenced directly and foremost by perceived behavioral control, followed by the subjective norm, and, to a lesser extent, by outcomes beliefs. The decision to respond to a disaster is thus a complex balance between 
    • personal (e.g. knowledge, skills, duty to patients vs. loved ones), 
    • contextual and environmental (e.g. natural disaster vs. biological or chemical) and 
    • social (e.g. response role) factors (Connor 2013, p. 5). 
  • 확실한 가이드라인 없이는 의료인력은 도덕적 딜레마에 빠지게 된다. 여러 상황이 종합되면 '양심'의 값이 비싸진다.
    Yakubu and colleagues’ (2014) article on the ethical obligations during the recent Nigerian Ebola outbreak identifies just this in the face of no clear guidelines: ‘‘In the absence of clear guidelines, healthcare workers face a moral dilemma. Their conscience urges themto treat all patients, but convergence of...
    • failed health system factors
    • the danger to life
    • emotional considerations like danger posed to family and friends, and 
    • the absence of commensurate compensation for engaging in high risk service can make following one’s conscience costly’’ (p. 1).


교육에 대한 함의 
Addressing the challenges: Implications for medical and health professions education (and beyond)


Bryan은 기초-전문직업성과, 상위-전문직업성을 구분하였다.

Bryan (2003) explains some health care professionals risking their own lives for the greater good in terms of two types of professionalism, which he calls basic and higher professionalism

    • 모든 의료인은 기초-전문직업성 All health care professionals should demonstrate basic professionalism. 
    • 소명과 같은 상위-전문직업성 Higher professionalism, however, becomes important in challenging situations. Higher professionalismis a calling, often with little or no prospect of reimbursement, is virtue-based and usually involves substantial personal risk. 
      • 에볼라에 대응한 의사와 같은 사례
        Time Magazine’s recent Person of the Year issue, which recognizes the heroic work of some of those involved in dealing with the recent Ebola outbreak in Liberia, exemplifies this higher professionalism: ‘‘Doctors who wouldn’t quit even as their colleagues fell ill and died; nurses comforting patients while standing in slurries of mud, vomit and feces’’ (http:// time.com/time-person-of-the-year-ebola-fighters/). 
      • 학생을 선발할 때 이러한 상위-전문직업성을 보유한 개인들이 비록 최상위 성적이 아니더라도 입학할 수 있게 해야 함.
        As many individuals with such a calling will apply to study medicine and other health professions, the challenge is to ensure that our admission criteria include such individuals, even if they are not the highest academic achievers (Box 1).


이러한 상황에 직면한 모든 의사가 근본적 도덕 원칙에 반하여 행동하는 것은 아니다. 사회학적 관점이 유용한 통찰을 제공한다.

Not all doctors faced with challenging situations will, however, act against their fundamental moral principles (Perl 1948; Leyton & Locke 1998). A sociological perspective provides a useful insight, highlighting the dynamic relationship between individual agency (freedom to choose from a range of valued options and outcomes) and the social structures within which the individual is working and living (Archer 1995). 

  • The development and maintenance of individual agency is complex but depends on a clear moral purpose and a well-developed professional identity (Korsgaard 2009). We believe that medical and health professions education has a responsibility to assist individuals to develop a strong moral purpose, with well-constructed personal and professional identities and to explore how these may be challenged. 
  • This can be done by selective prompts for discussion (Lifton 2000;Hsin & Mercer 2004) and by fostering a constant reflective approach to practice thereby creating an increased awareness of the influence of social structures on one’s behavior(Archer 2003). 


학생의 성찰 능력을 키워줘야 한다. 그러한 상황이라면 자신의 신념에 의해, 그리고 행동의 결과에 기반하여 어떻게 행동했을지 생각해봐야 한다.

By developing students’ reflective skills, medical and health professions education can assist students (and later, as professionals) maintain their moral purpose in difficult situations. Students (and health professionals) need to reflect on how they might behave during challenging times, based on their own beliefs about their behavior, as well as the outcomes of the behavior (i.e. their behavioral beliefs). 


TPB를 활용한 시나리오 제공

Using the TPB,students can be provided with scenarios in which personal risk needs to be evaluated, taking into consideration the possible variables, opinions e.g. and 

    • outcomes (e.g. personal benefit or loss),
    • involvement of colleagues (i.e. normative beliefs), 
    • incentives (e.g. financial or social gains) and 
    • barriers (e.g. unsafe working conditions). 


We also need to make our graduates aware of the need to continue to develop the skills required to deal with challenging situations. This is particularly important for those joining the armed forces or who volunteer during civilian crises. Although ethical guidelines have emerged from the experiences of medical personnel during the War on Terror (e.g. 2012 British Medical Association toolkit for ethical decision-making for doctors in the armed forces), understanding how humans behave in a range of challenging contexts and examining how one might respond if confronted with similar scenarios, will contribute to developing the skill of reflection as an tool to regulate our graduates’ actions when under pressure and to ensure the maintenance of a True North on their moral compass. 






 2015 Sep;37(9):831-6. doi: 10.3109/0142159X.2015.1044951. Epub 2015 Jun 1.

Professionalism under fireConflictwar and epidemics.

Author information

  • 1a Bond University , Australia .
  • 2b University of Liverpool , UK .
  • 3c University of Sheffield , UK.

Abstract

Today's medical students (tomorrow's doctors) will be entering a world of conflictwar and regular outbreaks of infectious diseases. Despite numerous international declarations and treaties protecting human rights, the last few decades has been fraught with reports of "lapses" in medicalprofessionalism involving torture and force-feeding of detainees (e.g. captured during the War on Terror) and health care professionals refusing to treat infected patients (e.g. HIV and Ebola). This paper provides some historical background to the changing status of a physician's duty to treat and how medical practitioners came to be involved in the inhumane treatment of detainees during the War on Terror, culminating in reports of "lapses" inprofessionalism.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r, which takes into account the individual, the environment and the social context, is used to explain the factors that might influence an individual's behavior in challenging situations. The paper concludes with some recommendations for medical and health professions education. The recommendations include selecting students who, as a minimum, can provide evidence of "basic"professionalism, engaging them in exploring the history of the medical profession, exposing them to contexts of uncertainty and moral dilemmas and challenging them to reflect on their responses.

PMID:
 
26030379
 
[PubMed - in process]



의사들의 이주: 문화적 이행기에 있는 의사들의 전문직업성 (Med Teach, 2015)

‘‘Doctors on the move’’: Exploring professionalism in the light of cultural transitions

JUDY MCKIMM1 & TIM WILKINSON2

1Swansea University, UK, 2Otago University, New Zealand




현대 의학은 글로벌하다. 우리는 전 세계의 의사로부터 이익을 얻고, 다른 국가들은 다른 곳에서 양성된 의사로부터 혜택을 본다.

Modern medicine is global: we benefit from the skills ofdoctors from around the world and other nations benefit from doctors trained elsewhere (General Medical Council 2014).


McLean은 global health practitioner 양성에 대해서 다음과 같이 말했다.

McLean suggest that ‘

‘institutions should...be producing medical graduates who can think globally but act locally to deliver appropriate healthcare and adapt to the changing needs of communities and populations, irrespective of where they practice medicine – a global health practitioner’’ (2011,)


이러한 문화의식은 전문직으로서 갖춰야 할 것이지만, 많은 의사들은 여기에 어려움을 겪고 있으며, 특히 다른 국가로 이주해갈 때 그러하다.

We suggest that such cultural awareness is part of being a professional, yet it is an area in which many doctors struggle, particularly when they move to countries with very different cultures.


'프로페셔널리즘'이라는 개념 자체도 문화적으로 구성되고 정의된다. 또한 시간에 따라 변화며 개념과 정의도 보건의료인 또는 대중(public)에 따라 다르다. 프로페셔널리즘이 무엇인가에 대한 전 세계적인 단 하나의 답은 없으며 전문직과 사회 간에 지속적으로 중재되는 계약이라고 할 수 있다. NIH는 문화를 다음과 같이 정의한다.

The concept of ‘‘professionalism’’ is itself culturally constructed and defined, it changes over time and concepts and definitions vary amongst health practitioners and the public (Wilkinson et al. 2012). There is no ‘‘universal truth’’ about what professionalism is – it is a constantly mediated contract between the profession and society (Cruess & Cruess 2010). The US National Institute for Health (NIH) describes culture as 


the combination of a body of knowledge, a body of belief and a body of behavior. ...personal identification, language, thoughts, communications, actions, customs, beliefs, values, and institutions that are often specific to ethnic, racial, religious, geographic, or social groups. ...these elements influence beliefs and belief systems surrounding health, healing, illness, wellness, disease, and delivery of health services’ (www.nih.gov/clearcommunication/ culturalcompetency.htm).



한 나라의 문화와 무관하게 모든 의사들은 '일반인'에서 '전문직'으로 문화적 이주를 겪게 된다. 의료전문직의 가치와 규범을 배우며, 학생과 일반 사회 구성원으로서의 가치는 내려놓게 된다. 많은 학생들이 이러한 변화를 겪느라 고생하지만, 특히 IMG는 Professional socialization과 Acculturation이라는 두 가지 형태의 이주를 동시에 겪게 된다. 

Regardless of national culture, all doctors make the culturalshift from layperson to professional – ‘‘taking on’’ the valuesand norms of the medical profession and leaving behind someof their values as students and general members of society.Many students struggle with this transition but IMGs have tomake two major ‘‘shifts’’ in terms of (1) professional socializa-tion and (2) acculturation, which embody an interlinkedrecalibration of their social and professional identities


학생과 의사는 자신의 문화와 다른 문화에서 온 사람들과 함께 일하며 배워야 한다. 의사들이 환자의 가치와 규범을 의사결정에 포함시키고자 하는 동시에, 의사와 환자가 서로 다른 문화적 신념과 이해를 가지고 있을 때 하나의 레벨이 더 추가되며 이는 '문화적 역량'이란 것이다. 

Students and doctors have also to learn to work with people from cultures different from their own. Whilst doctors aspire to include patients’ values and norms into decision- making, when the patient and doctor have different cultural beliefs and understandings, an additional level is added to consultations – these are components of ‘‘cultural compe- tence’’, represented in Figure 1 by the double arrow.




의사로서 성장하고 정체성을 만들어가는 과정에서 여러 부분에서 문화적 이주가 나타나며, '비전문적인' 행위 문제를 야기할 수 있다.

Various points in cultural transitions occur where a doctor’s development and identity formation may become problematic and lead to ‘‘unprofessional’’ behaviors: 


(1) The transition to professional socialization or identity formation may be arrested. 의사처럼 행동해야 하는 것

For example, when students act like students but should be acting like doctors – being late for a lecture may have been acceptable but being late for a ward round is not (Case Example 1). Occasionally, students act like doctors but should be acting more like students, e.g. when a student is over-confident and tries to perform a procedure outside their scope of competence; 


(2) The acculturation may become problematic. 본국의 문화에서 새 문화로의 적응의 어려움

IMGs or elective students may act in ways appropriate to the norms and expectations of their home culture but inappropriate in the new culture e.g. attitudes to alcohol, appearance, or condescending attitudes to lack of avail- ability of expensive investigations or medications (Case Example 2); 


(3) A student or doctor imposes their own cultural values and beliefs on a patient/service user from a different culture, 자신의 문화적 가치를 강요함

e.g. how women are regarded or the role a patient may wish to play in negotiating treatment decisions (Case Example 3).









전문직의 사회화는, "되어가고, 되고, 소속되고"

Professional socialization – ‘‘Becoming, being and belonging’’



사회적, 전문적 정체성

Social and professional identity


전문가적 정체성은 더 넓은 범위에서의 사회적 정체성이며, 개인의 고국과 문화적 배경이 어딘가에 따라 달라진다. 따라서 모든 의사는 사회적 정체성에 의해서 영향을 받은 전문가적 정체성을 지니게 되며 "나(사회 속 개인)"이 "우리(의사 집단)"이 되고, "다른 사람들"이 보다 명확히 규정되고, 집단의 정체성 유지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의사들은 그들이 간호사가 아님을 알며, 간호사는 그들이 물리치료사가 아님을 안다.

Professional identity is part of a widersocial identity, which varies depending on the person’scountry of origin and cultural background (ethnicity, religion,etc). So every doctor has a professional identity which isinfluenced and constructed by a social identity. Doctors arepart of a group, and as ‘‘me’’ (individual social self) becomes‘‘us’’ (doctor group self), so do ‘‘the others’’ become moredefined and important in maintaining the group identity.Doctors know they are not nurses, nurses know they are notphysiotherapists,


그러나 여기서도 문화가 등장한다. 간호사와 의사의 관계 어떤 문화에서는 위계적이지만 어떤 문화에서는 평등하다.

Yet even here, there are cultural overlays, e.g.relationships between doctors and nurses can be hierarchicalin some cultures and egalitarian in others.


전문직으로서, 그리고 사회안에서 보건전문직의 역할은 전통적으로 잘 정해져 있다. 이것은 기본적으로 의사들간, 의사와 다른 보건의료인간, 의사와 대중간의 관계에 영향을 준다. 의사가 어떻게 행동하고, 바라보고, 말해야 하는가에 대한 기대와 윤곽과 프로토타입은 사회적으로 구성되며, 보건의료에 관여되어있는 모든 사람에 의해서 형성된다. 의사의 행동과 기질은 그러한 윤곽에 의해서 평가되며, 개개인이 의사에 대해 갖는 기대에 큰 영향을 준다. 이것은 왜 어떤 의사들이 기술이나 전문성이 아니라 성별, 성적 정체성, 장애, 연령, 인종을 이유로 받아들여지지 않는가에 대한 이해에 도움을 준다. 현실적인 의미에서, 이것은 왜 어떤 의사들은 의사가 어떻게 보이고 행동해야 하는가에 대한 깊이 뿌리박힌 (그러나 잘 설명되지 않는) 믿음을 극복하기 위해서 더 열심히 노력해야 하는가를 의미한다. 역사적으로 그리고 지금까지도 의사에 대한 프로토타입은 의사, 유색인종, 소수민족, 장애인 등을 배제하고 있다.

Roles in the health professions are well-established along traditional lines both professionally and socially (Mannion et al. 2015). This fundamentally informs and influences relationships between different doctors, relationships between doctors and other health professionals and between doctors and the public. Expectations, schemata and prototypes of how doctors should behave, look and speak are socially con- structed and mediated by all those engaging in healthcare. Attributes or behaviors of doctors are measured against such schemata and are highly influential in shaping individuals’ expectations of doctors. They help to explain why some doctors may not be accepted if they do not fit prototypes based, not on skill or expertise, but on general attributes such as gender, sexuality, disability, age or race (Mannion et al. 2015). In practical terms, this means that some doctors may have to work harder to overcome deeply held (but not always articulated) beliefs about what doctors should look like and behave. Historically and to the present day, doctor prototypes have served to exclude women, non-whites, ethnic minorities and doctors with disabilities.



전문가 되기

Becoming a professional


의사라는 전문직에 들어서는 모든 사람은 전문직적 사회화 과정을 거친다.

All those entering the profession of medicine go through professional socialization.


일단 개인이 관련된 규준, 가치, 행동을 습득하고 따를 수 있게 되면 그들은 그 문화에서 수용가능한 일원이 되며, 어떤 요구되는 행동과 역할을 적절히 수행할 권리도 부여받는다. 여기에는 그들과 다른 전문직, 환자, 가족 사이의 경계를 인식하는 것도 포함되며, 이 유동성을 다룰 수 있어야 한다.

Once an individual has acquired and/or learned to display the relevant norms, values and behaviors, they become an accepted member of that culture and are accorded the rights to perform the required activities and role appropriately. They are also aware of the boundaries between themselves, other profes- sionals, patients and families and can negotiate these fluidly.


다른 하위문화를 바라보는 다른 방식은 "종족과 영토"라는 개념에 따르는 것이다. 의학의 여러 전문과는 각각 "존재와 행동"에 대한 다양한 형태를 보인다. 한 종족에 속한다는 것은 매우 안정적인 것으로서, 어딘가 속해 있다는 것을 아는 것은 매우 유용하다. 그리고 어디엔가 속해 있다는 것은 '영토'의 문제와 따라오게 되는데, 여기에는 물리적 공간 뿐 아니라 지식/시설/시간과 사람에 대한 통제에 대한 것을 포함하기에 종족간 전쟁(tribal warfare)를 유발하기도 한다. 이러한 전쟁은 환자에게 악영향을 줄 수 있는 의사소통의 장애, 전문직과 전문과간의 갈등 등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환자를 "타자화(othering)"하기도 하는데, 환자를 마치 의사와 다른 '종족'에서 온 것처럼 바라봄으로써 비인간적으로, 열등하게 생각할 위험이 있다.

Another way of thinking about the different subcultures that inhabit healthcare and medical practice is in terms of ‘‘tribes and territories’’ (Becher & Trowler 2001). Medical specialities, different health and social care professions, and healthcare managers all have distinguishing features and ways of ‘‘being and behaving’’. Belonging to a tribe can feel very comforting: it is good to know that you belong, that you are a surgeon, a gastroenterologist, a medical educator or a family medicine doctor. And when belonging comes with a territory, which may be physical space (e.g. an operating theatre or a clinic), or a body of knowledge, equipment, control over time or people then this can give some tribes more power or status than others and lead to ‘‘tribal warfare’’. Such ‘‘warfare’’ may be characterised by miscommunication, or conflict between professions and specialties which may adversely affect patient care. It can also contribute to the ‘‘othering’’ of patients – where patients are regarded as coming from a different ‘‘tribe’’ from doctors and therefore risk being regarded more imper- sonally or as inferior (Figure 2).





문화간 차이는 동양과 서양에서도 찾아볼 수 있다.

Cross-cultural differences may be identified by some aspects of Western medicine which differ from those of the East. 

중국의 도덕성 For example, Ho et al.’s (2014) study of a Chinese medical school found a strong emphasis on the professional attributes of morality (as exemplified by adherence to one’s principles, public-spirited and humanistic Confucian values). 

서양의 의사소통 Contrast to this is Bensing et al.’s findings on (Western) doctor patient communication, which indicated a shift ‘‘towards a more business-like, task-oriented GP (general practitioner) – patient communication pattern, reflecting the recent emphasis on evidence- based medicine and protocolized care (raising) concerns ...about the effectiveness of modern medicine in helping patients voice their worries’’ (Bensing et al. 2006). 


동양에서 서양, 서양에서 동양으로 이주하는 의사는 서로 다른 전문가적 가치와 의학에 대한 철학적 접근법의 차이로 고생할 수 있다. 이는 임종에 관한 문제에서 특히 더 두드러질 수도 있다.

Doctors moving from East to West, and vice versa, may well struggle with such different professional values and philo- sophical approaches to medicine as they play out in the clinic or consultation. This is further highlighted with end of life issues where cultural differences can become more pro- nounced and poignant. 


또 다른 관점에서 누군가가 한 종족(우리 집단)에 속할 때, '우리 집단'이 효과적으로 작동하려면 반드시 '다른 집단'이 있어야 한다. Tee 등은 '집단'이란 것이 비슷하지 않은 사람들끼리 등을 돌리게 만들기도 하지만, '다른 집단'에 대항할 때 지도자를 더 지지해주는 기능도 한다라고 주장하였다.

From another perspective, belonging to a group (or tribe) means that you belong to an ‘‘in-group’’ and for an in-group to function effectively, there must be an ‘‘out-group’’. In light of the apparent importance of social and professional shared identity within teams, the concepts of ‘‘in-groups’’ and ‘‘out- groups’’ in the clinical environment is therefore relevant. Tee et al. (2013) assert that, not only do groups turn against members who are perceived as dissimilar but also that a group will support a leader more strongly when they explicitly oppose an out-group.


집단 정체성은 의사와 다른 보건의료직의 구분을 강화하는 것이기도 하지만 의사(그리고 IMG)는 동질적인 집단이 아니며, 이 커다란 집단 안에 우리 집단과 다른 집단의 여러 층위가 있다. 이러한 집단이 존재하는 것의 위험성은 '다른 집단'을 그저 다른 사람들이라고 보는 것이 아니라 개개인이 아닌 집단을 엮어서 무언가에 실패했을 때 비난의 대상으로 삼는다는 것이다. 이러한 '고정관념의 위헙'이라는 개념은 어떻게 IMG가 '우리 집단'에 대한 위협으로 인식되는 것을 악화시킨다.

Group identity is reinforced by the clinical expertise that sets doctors apart from other health professionals, but doctors (and IMGs) are not a homogenous group and within these larger groupings lay further layers of in-groups and out-groups. A danger of such groups’ existence is that out-groups may be seen not only as very different, but may even be blamed for service failings or stereotyped instead of being treated as individuals. The concept of ‘‘stereotype threat’’ may also exacerbate how IMGs (and others who seem different) can be seen as threatening to the in-group.




Cruess와 Cruess는 프로페셔널리즘을 정의하는 방법이 지역, 문화, 전문직의 맥락과 밀접히 연결되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개인보다는 집단에 초점을 맞추는 비-서양의 문화에서 프로페셔널리즘은 더 많은 보건의료인을 포함하게 된다. 

Cruess & Cruess (2010) suggest that the way professional- ism is defined should be tied closely to local, cultural and professional contexts. Cultural differences exist between Western models and other cultures which may focus less on the individual than the collective and which often include a wider range of health workers, such as traditional healers or birth attendants and spiritual aspects. 


Fig 3을 보면, 의사의 전문직적 사회적 정체성이 비교정 명확했던 본국에서 생소한 다른 국가로 이주할 때 두 개의 정체성 변화가 일어나고 정체성 갈등을 겪게 된다. IMG는 여기서 그 사회의 '외부인'이 될 뿐만 아니라, 다른 부류의 의사로서도 적응해야 한다. 이는 즉 IMG 의사들이 의료전문직 사이에서 '우리'가 아니라 '그들'로 인식된다는 것이다.

In Figure 3, we can see that in moving from their ‘‘home’’ country where a doctor’s professional and social identity is relatively clear (as defined by professional standards and guidance, expectations from and that patients and the public the profession itself in country) a double identity shift has to occur which can lead to identity conflict. Not only does the IMG have to adjust to being an ‘‘outsider’’ ’ or ‘‘incomer’’ to society (they may need a visa, work permit etc), they also have to adjust to been seen as a different sort of doctor, e.g. an IMG. This means that they are not necessarily part of the ‘‘us’’ of the medical profession, and may even be seen as part of ‘‘the other’’.




지도자와 다른 사람간의 '권력 거리'는 문화에 따라서 다르며, 환자-의사 관계도 마찬가지이다. 이것을 이해한다는 것은 새로운 행동 양식을 배우는 것 뿐만 아니라 문화적 규범과 가치에 깊게 새겨진 행동을 unlearn하는 것도 포함한다.

Nuances such as the ‘‘power-distance’’ relationship (Hofstede 1983) between leaders and others (i.e. the way in which people can get near to or communicate closely with leaders) vary between cultures as does the way in which the doctor- patient relationship is defined (e.g. as paternalistic, protective, advocatory, empowering or partnership). Understanding this means that individuals may not only have to learn newways of behaving and working but may also have to unlearn behaviors (such as deference) based on deeply held cultural norms and values.


Ho 등은 윤리적 딜레마에 응답하는 학생들을 통한 비교연구에서 동양과 서양의 문화적 차이를 밝혔다. 아라비안 국가의 Four gates. 

Ho et al. (2012) comparative study of medical students from Taiwan and Canada responding to ethical dilemmas also demonstrates cultural differences between East and West. The Taiwanese students drew from their cultural practices around social relationships and protection of the patient and were highly respectful of their seniors and cultural norms. Many interventions that aim to develop ‘‘cultural awareness’’ focus on race and ethnicity. Although this is important, taking a broader view of what culture entails avoids possible stereo- typing and includes taking account of gender, sexual orientation, socioeconomic status, faith, profession, tastes, disability, age, as well as race and ethnicity (Truong et al. 2014). For example, Al-Eraky et al. (2014) study in Arabian countries identified the ‘‘Four-Gates’’ of medical professionalism: Dealing with Self, Dealing with Tasks, Dealing with Others, Dealing with God. The final Gate includes two elements central to Arab culture, rooted in faith: Self accountability for themselves (taqwa) and self-motivation – expect reward from God, not people (ehtesab). It is important therefore to importance of working in acknowledge the this when Arabian countries, and similarly, when doctors from Arabian countries move to the West (or elsewhere) they will need to be aware not to impose their own beliefs on patients and also to consider where their (non-Arabian) colleagues’ motivations and beliefs may come from, as these may not be faith based.







Cultural competency – ‘‘it’s more than empathy’’





학생이나 의사가 한 사회에서, 환자와 가족이 다른 사회에서 온 경우에 의사가 꼭 자신의 가치관이나 규범을 바꿀 필요는 없으나 이 환자 각각에 대해서 더 민감해질 필요가 있다.

Finally, in the situation where a student or doctor is from one ‘‘society’’ (or culture) and the patient/family is from another, the doctor doesn’t necessarily shift their values and norms but must be sensitive to those of each patient,


또한 IMG는 물론 자기 자신의 국가에서 진료하는 의사조차 문화적으로 '안전'하지 못할 수 있음을 알아야 한다.

It is sometimes forgotten that IMGs, and even doctors practicing in their own country, can feel culturally unsafe.


새로운 문화로 여행을 갈 때, 새로운 문화에 들어서는 사람은 질문하고, 면밀히 관찰하고, 미리 무언가를 결론짓지 말아야 한다.

When travelling to a newculture (including situations such as working in a city with large ethnic communities) the person entering the culture needs to ask questions, observe intently and assume nothing.


문화의 영향력을 이해하는 첫 번째 단계는 '모든 곳은 다르다'라는 것을 받아들이는 것이며, 관찰과 질문 기법을 사용하여 어떻게 해야 최선의 행동을 할 수 있을것인지 노력하는 것이다. 열린 관심과 호기심을 가지는 것이 도움된다. 단순히 '내가 지금 무엇을 보고 있으며, 이것이 나의 가치관이나 생각과 어떻게 부합하는가?'라는 질문을 하는 것도 다른 문화를 배우자 하는 모습을 보여주면서 스테레오타입이나 부정확한 가설을 피하는데 도움이 된다. 환자와 상호작용시에 문화에 대한 자신의 이해를 명확히 드러내고 문화를 배우고 그것을 의사결정에 포함시키려는 의지를 갖는 것은 매우 높게 인정받을 수 있다.

A first step to understanding the impact of any culture is to assume that everywhere is different (be a ‘‘social anthropologist in mini- ature’’) and use observational and questioning skills to work out howbest to behave. Being openly interested and curious is beneficial – simply asking ‘‘what am I seeing, and how does this fit with my values and ideas?’’ displays a willingness to learn about other cultures, without making stereotypical and/or inaccurate assumptions. When interacting with patients, being explicit about one’s understanding of their culture, and displaying a willingness to learn and incorporate their culture into decision-making is usually regarded highly positively (Box 3).












 2015 Sep;37(9):837-43. doi: 10.3109/0142159X.2015.1044953. Epub 2015 Jun 1.

"Doctors on the move": Exploring professionalism in the light of cultural transitions.

Author information

  • 1a Swansea University , UK .
  • 2b Otago University , New Zealand.

Abstract

As the world becomes "flattened" and travel is easier, doctors and other health professionals move and live around the world in large numbers: some for short periods (such as student electives) others on a longer-term or permanent basis. Similarly, as wider migration patterns play out, all doctors need to learn to work in multi-cultural environments, whether they move countries or work in their "home country". We consider cross-culturalaspects of "professionalism" in terms of medical students' and graduates' assimilation into different cultures and some of the aspects of professional practice that may be problematic where cultural expectations and practices may differ. Specifically we explore professional socialization, identity formation, acculturation and cultural competency as related concepts that help our understanding of challenges for individuals and strategies for curriculum development or support mechanisms.

PMID:
 
26030381
 
[PubMed - in process]



디지털 프로페셔널리즘에 대하여 (Med Teach, 2015)

Exploring digital professionalism

RACHEL H. ELLAWAY1, JANET CORAL2, DAVID TOPPS3 & MAUREEN TOPPS3

1The Northern Ontario School of Medicine, Canada, 2University of Colorado, Denver, USA, 3University of Calgary, Canada



'사회적 계약'이란 의학과 사회 사이의 관계를 정의하는 말로 사용되어 왔고, 의학 전문직업성의 토대이기도 하다. 의학과 의학교육은 그것이 위치하고 있는 더 포괄적인 사회적 맥락에 적응해가게 되며, 디지털 미디어의 흡수는 사회와 전문직 모두에게 큰 영향을 주었으며, 의학 전문직업성에까지 큰 도전이 되엇다.

The ‘social contract’ has been described as defining therelationship between medicine and society, and as such it isthe foundation for medical professionalism (Cruess & Cruess2008; Cruess et al. 2010). Medicine and medical educationadapt to the broader social contexts in which they are situated(Starr 1982), and the widespread uptake of digital media has had a major impact on society and the professions, which inturn presents a growing range of challenges to medicalprofessionalism (Ellaway 2010; Gagnon & Sabus 2015).


디지털 미디어의 활용은 우리가 서로 상호작용하는 기회를 크게 넓혔다. 전례없는 수준으로 활용도가 넓어져서 어떤 사회적 전통(예절과 공경의 형태)을 흐리게 하기도 했다. 동시에 소셜미디어의 활용으로 부적절한 행동과 상호작용을 낳기도 했다.

    • The use of digital media has significantly expanded our range of opportunities to interact with each other. As much as this has been received with unprecedented uptake and enthusiasm, it has also tended to blur some social conventions (such as forms of politeness and deference), while providing new opportunities for ill- considered actions and interactions, particularly through the use of social media. 
디지털 미디어의 활용은 우리의 행동의 속도와 척도를 가속화했다. 전례없는 양의 w정보가 네트워크로 들어오고, 다른 사람들과의 의사소통과 협동은 시공간의 제약을 받지 않는다. 그러나 우리의 자료 접근과 상호작용이 많아질수록 우리는 스스로의 삶에 잠깐의 휴식을 가지고 성찰을 할 수 있는 시간을 잃게 되었으며, 프라이버시와 개인 시간도 크게 사라졌다.
    • The use of digital media has accelerated the speed and scale of our actions. Unprecedented quantities of infor- mation can be retrieved instantly wherever a network connection can be accessed, allowing us to communicate and collaborate with others independent of space or time. However, as our access to resources and to each other has expanded, we have arguably lost many of the natural pauses for reflection in our lives, while privacy and personal time are being increasingly eroded.

인터넷의 파워는 이질적인 기술들의 대규모 상호연결성에 있다. 이것이 전례없는 기회를 만들어낼 수도 있지만, 이는 시스템간, 기기간, 유저간 상호의존성을 유발한다. 이는 시스템의 한 부분의 문제가 다른 부분 혹은 전체 시스템의 문제를 일으킬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하며, 그 결과 기기의 분실 혹은 이메일과 같은 서비스의 심각한 문제는 우리의 주요한 능력이나 기능에 큰 영향을 준다.
    • The power of the Internet is based on massiveinterconnectivity between heterogeneous technologies.Although this can create unprecedented opportunities(such as providing seamless interactions between devicesand services), it can also create increasing interdepen-dencies between systems, devices, and their users. Thismeans that failures in one part of a system cancompromise others, or the system as a whole. As aresult the loss of a device or of a critical online servicesuch as email can have a major impact on our ability (andon others’) to function professionally and domestically. 

인터넷은 아주 많은 수의 깊고 광범위하게 분포한 기억으로 우리가 그것을 사용하는 것이 추적되고, 이후 분석을 위하여 자료를 저장한다. 이는 우리의 용서하고 잊어버릴 집단적 능력을 저해시킬 뿐 아니라, 서로가 서로를 감시하는 상황을 강요한다. 
    • The Internet has an increasingly deep and distributedmemory with a multitude of digital media tracking ouruse of them and storing that data for subsequentanalysis. Not only does this restrict our collective abilityto forgive and forget, it creates compelling panopticrelationships (a few individuals can anonymously scru-tinize a great many others) between Internet technolo-gies and those that use them (Land & Bayne 2005;Ellaway 2014). 




전통적으로 의료와 사회 사이의 사회적 계약은 약간의 단절이 있어서 역할과 책임이 서로와 서로에게 분명히 나뉘어질 수 있었다. 그러나 이러한 단절이 디지털 미디어와 함께 무너지고 전문직과 사회의 경계의 구멍이 뚫리며 정의내리기 힘들어졌다. 이는 사회적 계약이 그 타당성을 잃었음을 뜻하는 것은 아니다. 오히려 디지털미디어가 널리 퍼진 오늘날의 맥락에서 전문직이 전통적인 의미의 사회적 계약을 충실히 지키기 어려워졌음을 의미한다.

Traditionally, the social contract between medicine andsociety depended on a degree of separation between themso that their roles and responsibilities could be has clearlybeenarticulated with respect to one another. This somewhat collapsed in the presence of digital media, withthe result that the boundaries between profession and societyhave become increasingly porous and ill defined. This is notto say that the social contract has lost its validity; it is ratherthat it is increasingly difficult for professionals to adhere totraditional concepts of the social contract in a societal contextinformed by the widespread use of digital media. 


이러한 문제는 보건의료직 수련에서 더 증폭되었다. 네트워크 세대, 디지털 네이티브라는 개념에 의해 생겨난 어떤 가정, 즉 현시대의 학습자들이 디지털 미디어로부터 파생된 문제를 그들의 선생들보다 더 잘 다룰 것이라는 가정은 철저한 검토를 버텨내지 못했다. 학생들의 스스로의 skill에 대한 인식은 제한적이며, 심지어 무모하기까지 하다. 

These challenges are, if anything, amplified in the trainingof health professionals. Assumptions, encapsulated in con-cepts such as ‘netGen’ and ‘digital natives’ (Prensky 2001), thatcontemporary learners are better able to negotiate thechallenges of digital media than their teachers do notwithstand scrutiny. What differences there are seem to bemore about generational asymmetries in opportunity, confi-dence, and risk (Parasuraman 2000), than something that setsyouth apart, while students’ awareness of their skills can besomewhat limited (Beetham et al. 2009), and even, at times,reckless (Ferdig et al. 2008). 


디지털 악행(?)에 대한 기관의 대응은 규제와 처벌의 형태를 지닌다. 우리는 이러한 규제에 집중하는 것이, 그리고 특히 소셜미디어에 집중하는 것이 디지털 비-전문직업성이라는 잠재교육과정을 만들었다고 본다. 우리가 '디지털 프로페셔널리즘'이라 부르는 것에 대해서 더 건설적이고 종합적인 가이드를 줄 필요가 있다. 단순히 기존의 프로페셔널리즘이라는 개념을 가져다 붙이는 것이 아니라, 프로페셔널리즘의 원리와, 디지털 미디어의 역할과 기회, 그리고 그것들이 실현되는 사회적 맥락의 변화 간의 중요한 교차점으로서 교육해야 한다.

Institutional responses to of digital misdemeanours havetypically taken the form regulation and punishment(Farnan et al. 2009; Kind et al. 2010). We would argue thatthis focus on regulation, and the particular attention paid tosocial media (Gagnon & Sabus 2015) has created a hiddencurriculum of digital unprofessionalism. There is a needtherefore for more constructive and comprehensive guidanceon matters regarding what we call ‘digital professionalism’,not simply as an adjunct to existing concepts of profession-alism, but as a critical intersection between the principles ofprofessionalism, the roles and opportunities of digital media,and the shifting social contexts within which they are realized(Tworek 2012). 



디지털 프로페셔널리즘이라는 개념은 전통적인 의료 프로페셔널리즘에 기반하고 있으며, 특히 디지털 미디어를 활용하는 전문직이 맞닥뜨린 기회와 도전에 보다 관심을 기울이고 있다.

The concept of ‘digital professionalism’ isgrounded in traditional concepts of medical professionalismwhile drawing attention to the particular opportunities andchallenges afforded by professionals’ use of digital media andthe ways in which the profession is changed by this use(Ellaway & Tworek 2011; Topps & Powelson 2013). 


의료 전문직업성에는 다양한 모델이 있다. 소셜미디어의 활용에 대해서도 가이드의 형태든, 정책의 형태든 여러 프레임워크가 출판된 적 있었다. 비록 이러한 것들이 소셜미디어를 넘어서 보다 넓은 프로페셔널리즘 프레임워크에 대한 일반화가 있긴 했지만, 대부분으 소셜미디어에 집중하고 있었고, 그것이 비전문적 행위와 그것이 전문직에 미치는 위험에 대해 다루었을 뿐이다. 그 결과 프로페녀럴리즘이 디지털 시대에 어떤 비용을 지불해야 하는가에 대한 포괄적 고려는 거의 없다.

There are many models of medical professionalism thatset out physicians’ responsibilities to their patients, to society,to the profession, and to themselves (ABIM et al. 2002;Hafferty 2006; CPSO 2007a; Cruess et al. 2009; Mondoux 2010;Spandorfer et al. 2010; Frank et al. 2014). There have alsobeen a number of frameworks published regarding physicians’use of social media, both in the form of guidance (WMA 2011;Brasg 2013) and policies (CPSO 2007b; AMA 2011; APHRA2014). Although there has been some generalization beyondsocial media to broader professionalism frameworks(GMC 2013), the majority have focused on social media,reflecting its potential for affording unprofessional behaviourand the risks this presents to the profession (Gholami-Kordkheili et al. 2013). As a result, there has been littlebroader consideration of how professionalism fares in a digitalage. B


우리의 주장의 핵심은 디지털 기술과 우리의 관계가 변한다는 것이다.

Central have to this argument is the changing relationshipswe with our digital technologies. 


디지털 미디어의 활용이 학생과 의사들의 인지적 능력을 확장시켰을 뿐 아니라, 비판적 사고의 형태도 바꾸고 있다.

Not only can the useof these digital media extend student and practitioner cogni-tive abilities, they can even shape their clinical thinking(Percival et al. 2014). 



디지털 프로페셔널리즘에 대해서 다음과 같은 생각의 토대를 제안한다.

we propose the following foundational basis for digital professionalism: 


디지털 미디어는 의료 프로페셔널리즘의 내재적 위협이 아니다. 전문직은 디지털 미디어를 진료, 공감, 이타적 행동, 신뢰 등의 원칙에 따라 긍정적인 목적으로 활용해야 한다. 전문직은 디지털 미디어와의 관계를 만들어나가고 있음을 인식해야 하고, 신중하고, 윤리적이고, 책임있는 행동양식을 유지해야 한다.

Digital media are not an intrinsic threat to medical professionalism. Professionals should use digital media for positive purposes in ways that support principles of patient care, compassion, altruism, and trustworthiness. Professionals should be aware of the shaping nature of their relationships with digital media and they should maintain the capacity for deliberate, ethical, and accountable practice when using them.


이것에 기초해서 다음의 디지털 프로페셔널리즘 프레임워크를 제안한다.

Building on this foundation, we propose the following digital professionalism framework structured around concepts of proficiency, reputation, and responsibility: 


유창성 Proficiency: 


평판 Reputation: 


책임 Responsibility: 



전문직은 유창성/평판/책임과 관련하여 다음의 행동을 해야(하지 말아야) 한다.




이 프레임워크를 실제 현장으로 옮기는 것이 중요하다. 그러나 프로페셔널리즘의 다른 측면처럼 그 방법은 하나의 교육과정 인터벤션이 아니라 여러 개의 조직화된 행동이며, 그 중 일부는 개개인의 책임에 대한 것이고, 다른 것들은 교육 프로그램과 시스템의 책임이다. 다음의 네 영역으로 제안한다.

Translating this framework into practice is an essential part of realising its value. However, as with other aspects of professionalism, the answer is not a single curriculum inter- vention but rather multiple coordinated activities, some of which are about individual responsibility (as set out in the framework), while other aspects are broader and are the responsibility of educational programs and systems. We have grouped some suggested adoption strategies around the following four dimensions:


  • Awareness: learners and teachers need to be aware of the dynamics and dimensions of digital professionalism. Rather than adding to curriculum content we suggest that this can be accomplished through iterative assess- ments of learners’ needs and uses of digital media at all stages of their medical careers. The likelihood of gener- ational differences in the perception and use of digital media affords constructive opportunities for discussion and debate, alongside the use of role-play and simulation to engage learners and their teachers in developing a strong and effective sense of digital professionalism.
  • Alignment: digital professionalism should not be taught independent of other curriculum topics, nor as an independent skill. We suggest that it should instead be woven in to the fabric of the curriculum as a whole. For example, using digital devices at the bedside can help learners to develop technical competence, while their teachers can model appropriate professional use of hand held technology during patient consultations. There are intersections with many other topics, such as communication (learning how to use digital media in a consultation without losing important non-verbal cues)and advocacy (learning how to advise and teach patients about online health resources). Digital professionalism should also be folded in to the ongoing development of competencies, milestones, and entrustable professional activities (EPAs) to ensure appropriate levels of independent practice involving the use of digital media. 
  • Assessment: as with other aspects of curriculum change,requiring that a competency be assessed can help to promote its legitimacy and value within a broader program context. The attainment and maintenance of skills in digital professionalism must therefore be woven into assessments in ways appropriate to, and aligned with,learners’ level of training and their appropriate use of digital media. However, as with broader concepts ofprofessionalism, this should involve the use of multiple methods including workplace-based assessments andpeer review. Moreover, remediation of learners may need to be approached differently when there are digital professionalism infractions that compromise patients’privacy or care, and/or colleagues’ or institutional reputations. 
  • Accountability: responsibility and accountability provide connections between our personal and professional uses of digital media. Codes of conduct, by laws, guidelines and policies governing professional behaviour should be updated to encompass the use of digital media. Given the apparent asymmetrical attention paid to the risks and negatives of digital media in medicine, these changes should highlight constructive uses of digital media (such as the use of digital media to facilitate safe patient care delivery and management) as well as identifying boundaries, risks, and potentially negative outcomes. 

학습자가 디지털 미디어를 사용하는 것을 인지적 보조장치라고 언급했다. 의학교육에 있어서 교실에서, BST에서, 평가의 한 부분으로 디지털 미디어의 전문적 활용이라는 내용을 포함시켜야 한다. 보다 명확히 하자면 우리는 디지털 미디어가 모든 고셍 존재한다는 것에 가정한 의학교육 모델을 지지하는 것이 아니다. 학생과 의사들은 인지적 보조장치 없이 일할 수 있어야 한다. 따라서 우리는 어느 정도까지 학습자들이 인지적 보조장치를 활용하는 것이 괜찮은가 대한 역량을 정의해야 한다. 명백히 이것은 현재의 진료 모습에서 출발해야 하며, 인지적 보조장치의 적절한 활용에 대해서는 더 많은 연구가 필요하다. 

We have also noted learners’ use of digital media as cognitive prosthetics. This has a number of implications for medical education such as actively including the professional use of digital media in the classroom, at the bedside, and as apart of assessment. To be clear, we are not advocating for a model of medical education based on the ubiquitous presence of digital media. Physicians (and therefore our students) still need to be able to practice without their cognitive prosthetics(such as when their device is lost or there is no electricity or data service). We suggest therefore that we should define competence (along with its many other properties) in terms of how much our learners can or should employ cognitive prosthetics. Clearly this is a departure from current practice and, as such, the appropriate use of cognitive prosthetics needs further exploration. Furthermore, we have yet to explore the potential for digital media (in particular social media) to collaboratively enhance physicians’ resilience in practice. 




 2015 Sep;37(9):844-9. doi: 10.3109/0142159X.2015.1044956. Epub 2015 Jun 1.

Exploring digital professionalism.

Author information

  • 1a The Northern Ontario School of Medicine , Canada .
  • 2b University of Colorado, Denver , USA .
  • 3c University of Calgary , Canada.

Abstract

The widespread use of digital media (both computing devices and the services they access) has blurred the boundaries between our personal and professional lives. Contemporary students are the last to remember a time before the widespread use of the Internet and they will be the first to practice in a largely e-health environment. This article explores concepts of digital professionalism and their place in contemporary medical education, and proposes a series of principles of digital professionalism to guide teaching, learning and practice in the healthcare professions. Despite the many risks and fears surrounding their use, digital media are not an intrinsic threat to medical professionalism. Professionals should maintain the capacity for deliberate, ethical, and accountable practice when using digital media. The authors describe a digital professionalismframework structured around concepts of proficiency, reputation, and responsibility. Digital professionalism can be integrated into medical education using strategies based on awareness, alignment, assessment, and accountability. These principles of digital professionalism provide a way for medical students and medical practitioners to embrace the positive aspects of digital media use while being mindful and deliberate in its use to avoid or minimize any negative consequences.

PMID:

 

26030375

 

[PubMed - in process]









세계화, 경제, 그리고 전문직업성 (Med Teach, 2015)

Globalisation, economics and professionalism

CHAY-HOON TAN1 & PAUL MACNEILL2

1National University of Singapore, Singapore, 2University of Sydney, Australia






세계화는 상호작용과 통합의 과정이다. 세계화라는 단어는 Friedman을 비롯한 여러 작가들이 산업과 경영에서와 같은 시장영역에서 세계화라는 단어를 사용하면서 유명해졌다. 세계화는 그러나 그 범위가 더 넓어져서 경제 영역을 국내는 물론 해외에까지 개방한 정책 등까지 넓어졌다. 이러한 과정을 의사소통의 속도와 단순성을 향상시킨 기술 혁신의 도움을 받아 극적으로 지식과 자원의 전 세계적 교류를 향상시켰다. 국가간 상품과 서비스의 이동성을 가로막는 장애물을 점차 더 적어졌다. 세계화라는 단어는 인간의 노력이 들어가는 여러 분야에 넓게 확장되었다. 세계화라는 단어가 '글로벌 헬스케어'라는 용어에서도 볼수 있듯 의료에까지 영향을 주었음은 물론이고, 의료 관련 행위들에 대하여 국경도 쉽게 넘나들고 있다. 이러한 것은 의료진의 이동이나, 약품의 이동, 그리고 의료 관광객(수술, 이식, 심지어 안락사까지)들에 의해서 일어난다. 세계화는 의학교육에도 영향을 주었고, 의료윤리, 의료전문직업성에도 영향을 준다.

Globalisation is a process of interaction and integration. The term‘globalisation’ was popularised by many writers includingFriedman (2005) who used the term globalisation to refer tothe market place associated with business and industry.Globalisation has been however extended much further, bypolicies that have opened economies domestically and inter-nationally. This has been aided by technological innovationsthat have enhanced the speed and simplicity of communica-tion and dramatically increased exchanges of knowledge andresources across the globe (Sciarra et al. 2014). There are nowfewer obstacles to the mobility of products and services acrossnational borders (Dalmolin et al. 2013). The word ‘globalisa-tion’ has spread extensively into many fields of humanendeavour (Balasubramanian et al. 2015). Inevitably, global-isation has affected medical practices as is evident fromnotions of ‘global healthcare’, and from the relative ease ofcrossing of national borders – for medically related activities –by the movement of medical staff, by pharmaceutical products(and the ‘off-shoring’ of clinical trials) and by ‘medical tourists’– seeking surgery, organ transplants and even medical euthanasia. Globalisation has also influenced medical educa-tion, medical ethics and medical professionalism (Frenk et al.2010; Crone & Samaan 2013). 



의학과 의료에 관한 우려는 이제 전 세계적인 문제가 되었다.

Concerns about medicine and medical practice now needto be addressed globally



보험 

Insurance 


카네기재단이 1900년대 초반에 지원하여 이뤄진 플렉스너의 연구는 의료 전문직업성의 토대를 지식을 이타적으로 사용하고, 환자와 의사의 신뢰를 기반하는 것이라 묘사했다. 플렉스너의 이타적인 비전은 사회 변화에 따라서 엄청난 저항을 받게 된다. 1920년대의 대공황은 미국에 고용주가 지원하는 건강보험 형태를 가져왔고, 이는 '회사들이 비용으로 처리하여 세금을 감면받을 수 있는 능력'으로 더 촉진되었다. 이러한 경향은 공격적인 의료 마케팅에 지원을 받는 행위별 수가제에 의해서 또 한번 촉진되었으며, 이는 '최고와 최신의 기술의 사용이 권장'되었기 때문이다. 모든 비용이 보험에 의해서 커버되면서 많은 환자들은 최고의 그리고 최신의 비싼 치료를 받기를 원하게 되었다. 또한 회사가 이렇게 나오자 병원들도 서로서로 최고의 최신의 치료를 위해 경쟁했으며, '절차주의자(proceduralist)가 내과 외과를 모두 장악하기 시작했다. 이러한 미국의 보건의료정책과 의료행위는 국제적으로 퍼져나갔다. 미국의 의료사업은 국제적 현상이 되었다.

In the landmark study funded by the Carnegie Foundation inthe early 1900s, Abraham Flexner described the underpinningof medical professionalism as knowledge used in an altruisticfashion and based on a trust between the patient and thetreating doctor. Flexner’s altruistic vision, however, met con-fronting challenges brought about by societal change. The greatdepression in the 1920s led to a rise in employer-sponsoredhealth insurance in the USA – a trend that was further fuelled bythe ‘‘ability of companies to take a full tax deduction for their costs’’. This trend was added to by a ‘‘fee-for-service system, aided by aggressive new medical marketing’’ which ‘‘encour- aged use of the latest and the best’’ (Wenger 2007). With costs covered almost totally by insurance, many patients demanded only the best and most expensive treatment. Furthermore, with ‘‘corporate encouragement, hospitals began to compete with each other to deliver the latest and best, with proceduralists beginning to dominate both medicine and surgery’’ (Wenger 2007). This trend of US healthcare and practice spread globally (Reif & Whittle 1997; Neill 2015). US business expansion in healthcare services has become a global phenomenon (Health and Medical 1997) and predominates over health concerns.



임상 진료

Clinical practice 


의학이 가장 헌신해야 할 것은 환자의 최선의 이익이다. 그러나 이는 헬스케어가 기업의 영역이나 개인의 이익의 영역에 들어갈 때 더 이상 유지하기 어려워진다. 이에 더하여 보건의료제도의 접근성의 변화는 부유한 사람은 그게 세계 어디에 있든 바로 접근 가능하게 되었다. 이는 가난한 사람들의 희생으로 부유한 사람들에 대한 의료를 향상시키는 결과를 가져왔다. "경제성 평가에 대한 유혹은 의사들로 하여금 그 전문직의 핵심 가치를 훼손시키는 결과를 가져왔다" 의료 전문직은 이제 금전적 이익을 가장 최우선으로 두는 것처럼 보여지게 되었고, 적절한 임상 행위의 조절, 진료의 진실성 등이 부족한 것으로 인식되게 되었다. 

The primary commitment of medicine is to serve patients’ bestinterests. But this is difficult to maintain in the face of globalshifts in the control of healthcare delivery either towards thestate or towards the corporate sector and individual interest(Casalina 2013). In addition, changes in the availability ofhealth care services, both nationally and internationally, allowthe rich to seek medical care wherever it can be found. This inturn leads to increased pressures to care for the rich at theexpense of the poor. The lure of ‘‘economic advantage hastested, and often undermined, practitioners’ commitments tocore values of their professional’’ (Faulconbridge & Muzio2009). The medical profession is increasingly seen as con-cerned primarily about financial gain, lacking in adequateregulation of clinical behaviour and skills, and lacking honestyin practice (Cruess & Cruess 2004; Bernat 2014). 



시나리오: 과도하게 비용을 청구당하는 해외 환자

Scenario (Over-charging an International patient)


글로벌 헬스케어는 의료를 산업화 하였다. 자유시장을 가능하게 하여서 가장 비싼 최신의 치료의 활용을 촉진시켰다. 비약리적으로 사용되는 항생제의 pandemic한 사용은 문화와 경제적 요인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

Global health care, however, tends to advance medical practice as an economic enterprise. It enables free trade and promotes the use of the latest most expensive medical treatment. The pandemic use of antibiotics used non-pharmacologically is shaped by culture and economic factors (Avorn & Solomon 2000).


시나리오: 말기암환자 치료에 관한 프로페셔널리즘

Scenario (professionalismof treating patients with end stage cancer)


개인병원 암 전문의가 환자와 치료의 위해(의료적, 경제적)에 대해 이야기를 꺼리는 것, 그리고 치료에서 얻을 수 있는 이익이 거의 없는 것은 암 전문의의 전문가적 역량에 의문을 제기한다.

The private oncologist’s reluctance to discuss the risks (both medical and financial), and the slim likelihood of any benefits from the treatment, raises serious questions about the oncologist’s professional competence (Mohanti 2009).



헬스케어의 세계화 : 의료 관광

Globalisation of healthcare: medical tourism



시나리오 (의료 관광) 

Scenario (medical tourism)


외국 환자에게 의료를 제공하는 것은 빠르게 확장되어가는 의료 관광산업으로, 600억달러에 달한다. Snyder 등은 의료전문직의 의료관광에 대한 역할에 대해서 서술한 바 있다. 이것이 자국과 자국 의사, 의료기관에는 경제적으로 도움이 될지 몰라도 자국민의 의료서비스에 관해서 심각한 갈등을 초래할 수도 있다.

The delivery of global healthcare to international patients has spawned a growing and lucrative medical tourism indus- try, said to be worth US$60 billion (Jones & Keith 2006; Gwee et al. 2013). Snyder et al. (2011) described the roles for medical professions in the tourism industry. While this is economically beneficial to the host country, the treating doctors and to health care institutions, it can also pose a potential source of conflict with the delivery of healthcare to the citizens of the host nation.




세계화와 의학교육 
Globalisation and medical education

많은 국가들이 교육과 평가에 대한 공통의 기준을 도입하고 있다.

The adoption across many countries of common standards for teaching and assessment 


더 중요한 것은 공통의 기준으로 인해 의과대학과 전공의 교육에 대해서 국가간 이동이 허용되었다는 것이며, 교사들도 다른 국가로 이동이 가능해졌다는 것이다.

More importantly, common standards have allowed for transnational training of both undergraduate and postgraduate medical professionals as well as for the movement of medical teachers across the globe.


의학교육에서 세계화의 영향은 그 이득과 피해에 대한 평가가 필요하다. 의학교육도 사업이 되었다. 일부 미국, 영국, 호주의 대학은 다른 국가의 병원, 기관, 의과대학과 파트너십을 맺었다. 이러한 파트너십은 다양한 형태를 띈다. 일부는 구매자의 명성을 올리기 위하ㅏ여 '브랜드'를 '구입'하기도 한다. 어떤 경우에서는 교육과정과 평가도구를 패키지로 판매하기도 한다. 인적자원도 이러한 협약의 대상이 된다. 또 다른 모델은 '공동 브랜드' 혹은 '의과대학 전체의 업무 위탁'으로서, 카타르의 Weill Cornell Medical College가 그 예이다.

The impact of globalisation on medical education needs to be evaluated in terms of its benefits and potential harms. Medical education has become a business enterprise. Several medical schools in the USA, the UK and Australia have entered into partnerships with hospitals, institutions and medical schools outside of their own country (Tsai 2012). These partnerships take different forms. In some cases, a ‘brand’ is ‘purchased’ to enhance the prestige of the purchaser. Other situations involve the sale and purchase of curriculum pack- ages and assessment tools. Human resources such as teaching faculty may also be included in the agreement. Another model 852 is the ‘‘co-branding’’ and ‘‘‘off-shoring’ of a whole medical school’’ as epitomised by the new Weill Cornell Medical College in Qatar at a contractual cost of USD750 million for 11 years. (Hodges et al. 2009). Green (2007) commented that the Cornell-Qatar partnership ‘‘is a revenue stream’’. In another example, the Medical Education Partnership Initiative provided $130-million over 5 years to 13 African medical schools from the U.S. government (Omaswa 2014). 


세계화 뒤에는 엄청난 돈의 흐름이 있다. 그러나 이러한 협약이 치뤄야 할 숨겨진 비용이 있다. 파트너 의과대학에서의 의학교육자들은 그것을 구매한 국가에 적절하지 않은 교육방법을 수입해올 수 있다. Lim의 관점에 따르면 의료기관의 질이 크게 손상되게 된다. 또한 "세계화의 경제적 측면을 지나치게 강조하는" 환경에서는 의과대학생의 프로페셔널리즘과 태도에 큰 영향을 줄 수 있다.

These are considerable sums of money and draw attention to the business motivation behind globalisation. The arrangements, however, may come at some hidden cost to the host countries. Medical educators from ‘partner’ medical institutions are more likely to conform to imported educational approaches and standards of practice which may not be appropriate in the host country (Ho et al. 2011). The quality of the medical institutions can be heavily compromised in Lim’s view (Lim 2008; Lum 2011). There are also serious concerns about the effect on the professionalism and attitudes of medical students in an environment of on ‘‘overemphasis the economic aspects of globalisation’’ (Hodges et al. 2009).



제약산업과 세계화

Globalisation and the pharmaceutical industry


약의 접근성이나 신약 개발의 우선권은 주로 제약산업의 손에 달려 있다.

The availability of drugs and priorities in developing new drug treatment is largely in the hands of the pharmaceutical industry. 


문제는 그 산업계가 이익을 중시하는 회사의 손 안에 있다는 것이다.

The problem, however, is that industry is largely dominated by for-profit companies. Marcia Angell (former Editor of the New England Journal of Medicine), in her book The Truth About the Drug Companies (and a previous article with the same title) makes a strong case for claiming that the industry is dominated by the profit motive (Angell 2004a,b; Hoey 2004). 


대형 제약회사 (약 10개 정도의 다국적 기업)는 어마어마한 부와 정치력을 가지고 있다.

Big Pharma – the collective name for 10 or more very large multinational companies – have enormous wealth and political power. The global pharmaceutical market was estimated 10 years ago at about US$20 billion per annum although, when all drug expenditure is taken into account, it can be as much as $400 billion (Angell 2004a,b). 


이러한 힘과 영향력의 영향은 세계화에 의해서 더 악회된다. 예컨대 호주에서는 제약회사들이 국가 기관의 결정에 항의하는 일이 있었다.

The concerns about the power and influence of drug companies are exacerbated by globalisation and the influence of companies across national borders. In Australia, for example, which has a well-established drug evaluation programme that limits the extent to which drugs can be subsidised by the national health system, drug companies have challenged decisions of the Pharmaceutical Benefits Advisory 


자유 무역 아래에서는 의원회의 결정의 제약된다. TPP는 이를 더 악화시킬 것이다.

Committee (e.g. in not admitting new drugs when an equivalent drug arguing that the generic was available) decisions are constraints on free trade (Quiggin 2010). There is further concern that a new Trans-Pacific Partnership will add to the pressure (Sheftalovich 2015).


John Le Carre의 소설에서 제약회사의 타락을 극적으로 그린 바 있다. 이는 많은 경우 실제와 다르지 않다.

Whilst John Le Carre´’s novel The Constant Gardener presented an extreme (fictional) account of corrupt behaviour by pharmaceutical companies, it is apparent that there have been many instances of corruption in reality (Groeger 2014).


또한 다국적 임상시험도 우려스러운 것 중 하나다. 다음의 이유로 인도는 국제적 임상시험의 매력적인 장소가 되었다.

There are also concerns about trans-national clinical trials of drugs (Lang & Siribaddana 2012). The availability of a large drug-naı¨ve patient population and well-trained medical professionals, coupled with sophisticated technological infrastructure, has made developing countries like India attractive destinations for conducting global clinical trials. Jayaraman (2004) reported that many clinical trials are conducted in a ‘‘rash and risky’’ manner, which raises questions about the professionalism of the investigators and their regulatory bodies.




제약산업의 힘 

The power of the pharmaceutical industry 


탐욕스러운 가격책정과 의심스러운 의료행위. 약값은 그 약을 만드는데 들어간 비용과 거의 관계가 없다.

The consequences of the global influence of drug companies are enormous. These include the growing cost of medical treatment, to which pharmaceutical products contribute the greatest proportion. Yet ‘‘prices are much higher for precisely the people who most need the drugs and can least afford them’’. Angell accuses the pharmaceutical industry of ‘‘rapacious pricing and other dubious practices’’ and claims that the ‘‘prices drug companies charge have little relationship to the costs of making the drugs and could be cut dramatically without coming anywhere close to threatening R&D’’ (Angell 2004a).



의과대학의 독립성

Independence of medical schools 


가장 우려되는 것은 의료전문직과 의과대학의 독립성이 훼손될 수 있다는 우려이다. 의과대학과 교육병원의 기풍(ethos)이 변화하고 있다. 의과대학은 제약산업에 연구와 많은 경우 자본 개발에 의존적이 되어가고 있다. 점차 독립성을 유지하기가 어렵다 

A principal concern is that the independence of the medical profession, and medical schools, have been compromised through their relationships with Big Pharma – a relationship which has ‘‘transformed the ethos of medical schools and teaching hospitals’’ (Angell 2004a). Medical schools have become dependent on the pharmaceutical industry to support research and, in many cases, for direct support in capital development. It becomes increasingly difficult to maintain independence, let alone a critical stance, at the risk of losing significant funding. And for many reasons, as Angell points out, there ‘‘has been a growing pro-industry bias in medical research – exactly where such bias doesn’t belong’’.



Conclusion


Globalisation has its benefits in creating a more cohesive world with more porous borders, but it has blurred the definition and practice of medical professionalism. Proponents of globalisa- tion argue that it allows poor countries and their citizens to develop economically and raise their standards of living. Harden (2006) suggests globalisation is the way to achieve the goals for higher education. Opponents of globalisation claim that the creation of an unfettered international free market has benefited multinational corporations in the Western world at the expense of local enterprises, local cultures and common people. Economic factors including payment models affect professionalism (Moser 2009; Collier 2012). In assessing globalisation’s effect on professionalism, there is a need for appraisal at the intrapersonal, interpersonal and institutional levels and for evaluation of its effect on society at large (Hodges et al. 2011). The medical profession must recapture for itself the critical function of what constitutes excellence (Heller 2012) and align the goals of the organisation, accountability and professionalism (Conway & Cassel 2012; Miles et al. 2013; Updegraff Marketing 2013).




 2015 Sep;37(9):850-5. doi: 10.3109/0142159X.2015.1045856. Epub 2015 Jun 15.

Globalisationeconomics and professionalism.

Author information

  • 1a National University of Singapore , Singapore .
  • 2b University of Sydney , Australia.

Abstract

This paper presents an analysis of the effect of globalisation and attendant economic factors on the global practice of medicine, medical education, medical ethics and medical professionalism. The authors discuss the implications of these trends, citing case scenarios in the healthcare insurance, medical tourism, pharmaceutical industries, and the educational systems as well as in clinical practice, to illustrate the impact of globalisation andeconomics on professionalismGlobalisation, on the one hand, offers benefits for the global practice of medicine and for medical education. On the other, globalisation can have negative effects, particularly when the main driver is to maximise profitability across national boundaries rather than concern for human well-being. Appraising the effect of globalisation on professionalism involves assessing its effects at the intrapersonal, interpersonal, and institutional levels, and its effect on society at large.

PMID:
 
26075950
 
[PubMed - in process]








프로페셔널리즘의 변화: 깨진 거울에 비친 모습 (Med Teach, 2015)

The changing face of professionalism: Reflections in a cracked mirror

TREVOR GIBBS

AMEE, UK




가변성은 삶의 법칙이다. 어떤 두 얼굴도 서로 같지 않고, 어떤 두 신체도 같지 않다. 또한 어떤 두 사람도 우리가 질병이라 부르는 비정상적인 조건에서 동일하게 반응하거나 행동하지 않는다. William Osler

Variability is the law of life, and as no two faces are the same, so no two bodies are alike, and no two individuals react alike and behave alike under the abnormal conditions which we know as disease. William Osler (1949–1919)


William Osler가 한 이 말은 의학교육과 학생들에게도 동등하게 적용될 수 있다. 두 명의 환자가 절대로 동일하지 않은 것처럼, 두 명의 학생, 두 가지의 교육 및 직업환경도 절대로 동일하지 않다.

Much of what the renowned clinician, William Osler, was quoted to have said regarding clinical medicine can be equally applied to medical education and its students; just as two patients are not likened the same, neither are two students nor two educational or vocational environments.


Koehn과 Swick은 모든 의과대학생들이 문화적역량을 갖춰야 할 뿐만 아니라 초국가적인 역량 역시 갖춰야 한다고 주장했다. 즉, 국가간 관계에서 유도된 기술, 여러 문화를 아우르는 심리학과 여러 문화권 사이의 의사소통능력 등을 갖추어서 변화하는 사회에 적용시킬 수 있어야 한다는 것이다. 그들은 우리가 가르치는 것(문화적 역량)과 문화에 따라서 역량이 얼마나 다양하게 바뀔 수 있는가(문화 이외의 다른 요인들에 의해서 영향을 받은 역량)의 차이를 transnational competency라 명명하였다.

Koehn and Swick (2006) described the need for all medical students to not only become culturally competent but also to become transnation- ally competent as well; the need to produce students having a comprehensive set of skills, derived from international relations, cross-cultural psychology and intercultural commu- nication, equipping themto work in and adapt to our changing society. They describe the difference between what we teach – cultural competence and how various competencies change as a result of culture, with what happens when other factors other than culture affect those competencies – transnational competency.


프로페서녈리즘은 새로운 것이 아니며 히포크라테스 시절부터 존재해왔다. 이 당시에는 판단, 윤리, 특히 지혜가 핵심적 특징이었고, 매우 강한 실증주의적 관점과 함께 발전해왔다.

Professionalism is not new; with its origins firmly based on the early Hippocratic era, when judgement, ethics and has particularly wisdom were its key features, which it developed with a strongly positivist stance.


전문직업성에 관한 더 포괄적인 정의는 Epstein과 Hundert가 한 것으로 아래와 같다.

A more expansive definition of professionalism is Hundert provided by Epstein and (2002): ‘‘Professional competence is the habitual and judicious use of communication, knowledge, technical skills, clinical reasoning, emotions, values, and reflection in daily practice for the benefit of the individual and community being served’’. 



Hilton과 Southgate는 현대사회에서의 의료 전문직업성은 환자를 돌보는 것에 있어서 필요한 광범위한 자질을 포괄하고 있으며, 전통적인 의미의 전문성을 함양하고, 자율성을 가지고, 자기조절을 하는 것 이상이다"라고 했으며, 전문직업성이 역동성을 가지면서, 사회의 변화에 따라 적용해나갈 수 있는 것임을 암시했다.

Hilton and Southgate (2007, p. 265) recognized that ‘‘Medical the Professionalism in today’s society requires exhibition of a range of qualities deployed in the service of patients, rather than more traditionally defined aspects such as mastery, autonomy and self-regulation’’, alluding to the need for professionalism to be a dynamic entity, capable of adaptation to a changing world.


조금 더 일찍이, Schon은 진료에 대한 이론과 현실 사이의 이분성을 이야기하면서, "의사들이 연구에서 도출한 이론과 기술을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높고 단단한 기반과, 온갖 상황이 혼란스럽고 난장판인 질퍽질퍽한 저지대"라고 묘사했다. 또한 우리가 가르치는 것과 우리가 노출되는 현실의 차이를 언급하였다. 우리가 명료하다고 가르치는 'learning organization'은 현실이라는 탁한 물 속에서 언제나 적용가능한 것은 아니다. 우리가 전문직업성에 대해서 가지고 있는 관점을 지지해주는 성찰적 거울은 우리가 실제로 발을 딛고 있는 현실에 의해서 깨어지고, 그 금(crack)으로 인해 상이 왜곡된다.

Somewhat earlier, it was Scho¨n who spoke of a dichotomy between our use of theory to inform practice and the reality of the real world, when he described the evocative image of: ‘‘...the high, hard ground where practitioners can make effective use of research-based theory and technique, and the swampy lowland where situations are confusing ‘‘messes’’ incapable of technical solution’’(Scho¨n 1983, p. 42). He too was describing the difference between what we teach and what we are exposed to in reality. What we see and teach in the clarity pervading the learning organization is not always applicable in the murky waters of the real world; what we see in the reflective mirror that support our views of profession- alism is frequently distorted by the cracks caused by the situation where we find ourselves in.







 2015 Sep;37(9):797-8. doi: 10.3109/0142159X.2015.1054797. Epub 2015 Jun 17.

The changing face of professionalismReflections in a cracked mirror.

Author information

  • 1a AMEE , UK.


보건의료인들 간 이메일 의사소통: 근거기반 가이드라인 (Academic Medicine, 2015)

Professional E-mail Communication Among Health Care Providers: Proposing Evidence-Based Guidelines

S. Terez Malka, MD, Chad S. Kessler, MD, MHPE, John Abraham, MD,

Thomas W. Emmet, MD, MLS, and Lee Wilbur, MD






이메일과 인터넷 활용이 광범위함. 젊은 층에서 더 많이 쓰고, 이들은 곧 의사가 될 것임.

As of January 2014, 87% of American adults use the Internet.1 A 2004 study of health care professionals found that 64% use e-mail to communicate with each other for work-related purposes.2 According to the Pew Research Internet Project, 18- to 29-year-olds are the most frequent e-mail users, so we can expect this figure to increase as more young physicians enter the workforce.1 Simultaneously, the Internet is becoming increasingly accessible with the rising prevalence of smartphones and portable handheld devices.3 As e-mail is now a frequent method of workplace correspondence, it is imperative for users to have an understanding of appropriate etiquette and proper professional e-mail use.


의사들은 다양한 용도로 이메일을 사용함

Physicians use e-mail for a multitude of purposes: 

  • to obtain consults, both formal and “curbside”; 
  • communicate with patients; 
  • collaborate on scholarly projects; 
  • perform administrative duties; and 
  • conduct routine communication. 


이메일 기술은 원격진료 측면에서도 다양한 영역으로 확대되고 있음. 용이하면서도 적절한 이메일 활용이 중요함.

E-mail technology also expands the scope of telemedicine, allowing for remote consultation, radiographic assessment, and patient care. Facile e-mail use and appropriate e-mail communication skills are vital to this growing field.


 

사례

The Case for Evidence-Based E-mail Guidelines for Physicians

 

부적절한 이메일 사례

Imagine receiving an e-mail from a colleague. There is no subject line. It is written in all capital letters, uses abbreviations or slang terminology and poor grammar, employs questionable humor, and even includes sensitive patient details. Its origin is from a personal e-mail account, not a professionally affiliated account, and its signature line is more suitable for informal communications than workplace correspondence (see Box 1 for an example). Although this is an extreme example, such an e-mail demonstrates several features that may be deemed unprofessional, and even illegal, while highlighting the challenge of using e-mail in a professional setting.


의사와 환자 사이에서 중요한 이슈가 된다. 적절한 라뽀를 유지하고, 환자 자료를 전송하면서 보안과 비밀을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다. AMA와 AMIA는 이러한 어려움을 깨닫고 가이드라인을 제시했다.

These issues are of tremendous importance when e-mail is used for communication between physicians and patients. Maintaining a professional rapport through electronic correspondence and ensuring the security and confidentiality of transmitted patient data are paramount concerns. The American Medical Association (AMA) and American Medical Informatics Association (AMIA) recognized these challenges and have published consensus guidelines for physician-to-patient e-mail use.4,5


그러나 아직 근거기반가이드라인은 없다. 의사의 특성을 반영한 이메일 에티켓에 대한 것도 없다. 

Despite the attention paid to physician-to-patient e-mail use, there are no evidence-based guidelines addressing the use of e-mail among physicians.3 Many online sources and lay publications promote guidelines for professional e-mail etiquette; however, these guidelines may not address the unique needs of physicians. Serious legal and ethical issues may arise when e-mail is used between physicians that are not fully covered by simple etiquette. Our goal is to briefly summarize the literature relating to professional e-mail use between health care providers, to discuss the challenges of e-mail use within health care, and to offer our recommendations for professional e-mail use.


 


가이드라인 개발 (문헌 조사)

Developing the Guidelines: A Literature Search

 

To inform our development of professional e-mail guidelines, a comprehensive search of the literature was performed by one of us, an experienced medical librarian (T.W.E.), using the following databases: Ovid MEDLINE, PubMed (for non-MEDLINE records), Embase, the Cochrane Library, CINAHL, PsycINFO, Communication & Mass Media Complete, and Google Scholar. Searches were conducted between October 3 and 12, 2012, and all databases were searched from inception. We also reviewed bibliographies of relevant studies for additional references. Database-specific subject headings and keyword variants for each of the three main concepts—electronic mail, communication, and physicians—were identified and combined (detailed search strategy available upon request). We limited results to the English language, but no other limits were applied. Ultimately, 4,185 titles and abstracts were independently reviewed by two of us (T.M. and J.A.) for relevance. We identified 15 articles that directly discussed interprofessional physician e-mail use: 9 editorials or commentaries and 6 journal articles.



 

입원환자에 관한 이메일 활용의 장점과 단점

Benefits and Drawbacks of E-mail Use in an Inpatient Setting

 

장점: 신속한 회신, 사용의 편이성

We identified three studies that surveyed physicians and nurses using e-mail for communication in an inpatient setting. O’Connor and colleagues 6 performed a survey of providers within an intensive care unit communicating by e-mail over an encrypted cellular network via portable handheld device. Wu and colleagues 7 performed a mixed-method assessment of nursing and physician communication via handheld wireless device on an inpatient medicine service. A third survey-based study by Singarella and colleagues 8 assessed physician opinions on e-mail use and also analyzed the content of e-mails sent. Across all studies, survey respondents reported that response times were more rapid and e-mail was easier to use than alternative methods such as written correspondence, phone calls, and paging. Over 90% of those surveyed by O’Connor and colleagues 6 felt that patient care was improved as a result of e-mail use because of the efficiency of e-mail communication.


단점: 환자 상태가 복잡한 경우, 두 차례 이상 메일이 오가야 하는 경우, 시급성에 대한 인식 차이, 면대면 의사소통 저하

Several negative impacts of e-mail use were also identified by survey respondents. E-mail was deemed to be less efficient when subject matter was complex, requiring more than one initial e-mail and reply. There was also frequent discordance between senders’ and recipients’ perceptions of a message’s urgency. Singarella and colleagues 8 noted that e-mail users uniformly assumed a more casual tone and were more apt to make grammatical errors than those communicating by telephone or in writing. The most frequently cited negative impact in these studies was a reduction in face-to-face communication which potentially weakened interpersonal relations.6–8


 

단점 추가: 보안, 이메일 내용이 EMR에 포함되는가의 문제

A further concern is the security of transmitted patient information. Although these studies explored the use of e-mail on handheld devices provided by the hospital, none commented explicitly on how these devices were encrypted and secured. None of the studies specify if the messages sent on these devices assume a formal place within the patients’ charts or electronic medical records (EMRs). Discussion of a patient’s condition with a “casual tone” or in an e-mail fraught with grammar errors is concerning if these e-mails are considered a part of the EMR. If e-mails are not included within the patient record, care must be taken to document these communications when they lead to a change in management plan or affect the patient’s clinical care.


프로페셔널리즘 이슈가 있다. 이메일의 톤, 시급성에 따라 적절한 타이밍의 회신, 언어적 의사소통의 감소

The question of e-mail use in the inpatient setting highlights both positive and negative elements of workplace e-mail. In the studies we reviewed, users of e-mail for communication within inpatient teams felt that e-mail improved their efficiency and had a positive impact on speed and ease of communication. However, issues with professionalism were identified in all three studies. Primary areas of concern were the casual tone of e-mail use, the lack of timely response to e-mails perceived as urgent, and the resulting decrease in verbal communication. We believe that these studies emphasize the need to maintain professional formality in workplace e-mail communications, and we suggest that e-mail should be avoided when the issue is complex or time-sensitive. In addition, when e-mail is used specifically for the purpose of communicating secure patient data, specific hospital guidelines should be in place to ensure the confidentiality of these transmissions and to address the appropriate documentation of these transactions within the patient medical record.


 

이메일 구성이 평판에 어떤 영향을 줄 수 있는가?

How E-mail Composition May Affect Professional Reputation

 

가장 부정적으로 인식되는 이메일 특성(배경색 있는 것, 폰트, 제목없음, 인사없음). 이는 발신자에 대한 부정적 인식을 유발하며, 회신도 더 늦게 하게 만든다. 적절한 제목, 형식을 잘 갖춘 첫인사와 마무리, 적절한 문법과 스펠링을 갖춘 이메일일 경우 발신자에 대해서 더 professional하다는 인식과 즐거운 감정을 느끼고 긍정적으로 인식하게 된다.

Our literature review also pointed toward further consequences of unprofessional versus professional e-mail use. A study of surgery residents published in the Journal of Surgical Education sent 100 e-mail examples to physicians in training.9 The most negatively rated features were the presence of a colored background, atypical fonts, lack of a subject line, and lack of a formal salutation. E-mails containing these negatively perceived characteristics were “likely to result in a negative perception of the sender and delays in response time.” Conversely, respondents were more likely to perceive senders as professional and pleasant when they sent e-mails that employed positively perceived features such as a descriptive subject line, formal greeting and closing line, and proper grammar and spelling.


이메일 구성에 얼마나 무관심할 경우 직업적 명성에 치명적일 수 잇음을 보여준다. 워딩과 형식은 수신자가 발신자에 대해서 느끼는 감정 뿐 아니라, 적절한 타이밍에 답장을 해줄 것인가에도 영향을 준다. 따라서 우리는 의과대학생들도 이러한 이메일 작성과 부적절한 메일을 받았을 경우 적절한 피드백을 제공하는 방법에 대해서 교육받기를 권고한다.

This study demonstrated that attention to e-mail composition is critical to professional reputation. E-mail wording and formatting affected not only the receivers’ perception of the sender but also the likelihood of a timely response. Therefore, we recommend that medical students receive training in composing professional e-mails and timely feedback when unprofessional e-mail characteristics are identified. Further, physicians should be aware of poorly regarded e-mail features and strive to avoid them in work-related e-mails.


 

형식의 중요성 

A Call for Formality


기본적 에티켓, 프로페셔널리즘, 환자정보 보안, 법적 문제 등에 대한 이슈를 제기했다. 우리가 리뷰한 대부분의 기존 연구들은 전문가의 의견이나 사례 등을 바탕으로 하거나, 상식적인 수준에서의 권고를 하고 있었다. 이러한 가이드라인들은 비지니스 문헌에서 언급되는 전문직으로서 공통적으로 따라야 할 이메일 가이드라인을 보여주며, 직관적으로 타당하다. 구체적으로 저자들은 직무와 관련된 이메일을 작성할 때 형식에 관심을 더 가질 것을 강조하고 있으며(high degree of formality), 보통 이메일이 지나치게 캐주얼하다고 지적한다.

The studies summarized above confirm the importance of appropriate e-mail use and raise crucial issues of basic etiquette, professionalism, patient confidentiality, and legal concerns. The majority of scholarly articles that we reviewed discussing appropriate use of e-mail are opinion based or anecdotal and offer commonsense recommendations for professional e-mail use that address some of the above concerns. These guidelines mirror the common professional e-mail use guidelines suggested in business literature and make intuitive sense. In specific, authors recommend maintaining a high degree of formality when using e-mail for work-related correspondence and note that current e-mail use is predominantly casual.


일부 구체적인 조언에서는 배경색을 넣지 않는다거나, 일반적이지 않은 텍스트 패턴, 약어, 이모티콘 등의 사용을 하지 않을 것 등의 형식을 강조하고 있다. 이메일은 발신 전에 문법과 스펠링에 어긋나지 않도록 퇴고가 필요하다.

We believe that observing these common-sense etiquette guidelines and erring towards formality in work-related e-mail communications is best practice. Some specific suggestions relating to formality include avoiding background colors, unusual text patterns, abbreviations, and “emoticons.” E-mails should be proofread for proper grammar and spelling prior to sending.10–17 See Box 1 for a revised e-mail that incorporates these recommendations.


 

HIPAA, EMR, 환자정보 보호

HIPAA, EMRs, and Protected Patient Data

 


보호받아야 할 건강정보라고 정의된 것이 있지만 HIPAA에서는 어떤 방법을 써야하는지 구체적인 언급은 없다. 여기서 모호한 지점이 발생한다.

The U.S. Department of Health and Human Services defines protected health information as all “individually identifiable health information” that is stored or transmitted in any form, including electronic.18 Persons or institutions who fail to ensure the confidentiality of protected health information are subject to criminal penalty. However, the Health Information Portability and Accountability Act (HIPAA) makes no clear specifications as to which privacy features (such as encryption software or secured networks) are considered adequate. This leaves ambiguity in the use of e-mail for transmitting patient data. For example, you may open an appropriately encrypted e-mail within your personal e-mail and then save that message to your inbox or to your personal laptop, or you may inadvertently forward an e-mail containing protected patient data to an unintended recipient. Smartphones and other personal handheld devices present additional concerns—for example, if you bring your hospital handheld device home with you in the evening or check your work-related e-mail in a public location. The privacy of even securely encrypted data is of concern in an age of hacking, computer viruses, and piracy.


AMIA와 AMA는 가이드라인을 만들었다.

The AMIA and AMA attempted to address some of these inconsistencies by establishing guidelines for the use of e-mail in physician-to-patient communication.4,5 Although these guidelines were not specifically targeted to physician to physician communication, they are the only available evidence-based guidelines that discuss the protection of electronically transmitted patient data. More and more physicians are using e-mail to discuss patient care or to share clinical information; therefore, these guidelines are pertinent to interprofessional e-mail use as well as communication between physicians and patients.2


AMIA의 권고

AMIA recommends that printed guidelines should exist within each practice that clearly detail the security mechanisms in place. No correspondence containing protected patient data should occur outside of these established security mechanisms. AMIA further suggests that e-mail should never be left open on a workstation screen, that e-mails containing patient data may never be forwarded without written permission from the patient, and that all e-mails containing patient data be clearly listed as confidential in the subject or top of the e-mail message.


경험적 사례들: 이메일은 보호장치 없이 의사들 사이에서 돌아다니고 있다.

Anecdotal accounts suggest that e-mail containing protected patient data is routinely being exchanged between physicians via e-mail with none of the above safeguards in place. All of us, for instance, have personally received unsecured patient information via e-mail during the preparation of this article. This is clearly a tremendous professional liability as well as a medicolegal risk. We recommend that every institution provide clear guidelines for acceptable methods of transmitting secured patient data via e-mail, based on the AMIA/AMA guidelines, and that physicians take every effort possible to ensure the security of patient data when discussing patients via e-mail.


또 하나의 불확실한 영역은 e-mail correspondence에 대한 것이다. 이메일을 통해 논의된 환자 진료 관련 결정은 EMR의 사각지대이다. 

An additional area of uncertainty is the documentation of e-mail correspondence. E-mail is routinely used within the workplace for obtaining consults, sharing interesting cases, providing changeover, and discussing general patient care.2 In the studies of inpatient team e-mail use, the transmitted messages were not necessarily included in the EMR. These undocumented conversations become a concerning “blind spot” within the EMR or paper chart if patient care decisions result from those interactions. In the event that these messages are included verbatim in the EMR, care must be made to ensure that the content is professional and formal in nature, which was not the case in the studies that observed inpatient team e-mail use.6–8 Additional research is indicated to fully understand the legal and ethical risks of using e-mail for the transmission of patient data and to provide guidelines for appropriate documentation of e-mail correspondence within the patient medical record—electronic or print.


 

이메일의 잠재적 불명확성 회피

Avoiding the Potential Ambiguity of E-mail


면대면 소통 없이, 표정 없이, 목소리 변화 없이 이메일로만 이뤄지는 의사소통에는 오해의 여지가 있다. 

Another concern noted throughout the literature and also addressed in the AMIA/AMA guidelines is the increased potential for misunderstanding when communication occurs primarily over e-mail. With no facial expression, vocal inflection, or opportunity for real-time clarification, elements such as humor may easily be misinterpreted, and an angry or firm e-mail may come across more harshly than intended.


이메일은 사용하기 쉬운만큼 감정섞인 이메일을 보내기가 쉬워진다.

A benefit of e-mail is that it is fast and convenient. The downside to this accessibility is that it is very easy to compose an emotional e-mail in the heat of the moment or a thoughtless e-mail carelessly that may not convey your intended message. The AMIA task force cautions that “irony, sarcasm, and harsh criticism should not be attempted in e-mail messages” because “the impersonal nature and ambiguity of e-mail often results in real or imagined exaggeration of animosity toward the recipient.”5


퉁명스럽거나 말만 번지르르한 이메일을 보내기가 쉬워진다. "다른사람을 얕보는, 경솔한, 차별하는 말이 담긴 이메일은 지웠다고 하더라도 다시 되돌아오게 되어있다." 이메일은 중앙병원의 저장장치에 저장되고, 감시당하고, 통신사에 의해서 회수될 수 있음을 인지해야 한다.

The casual nature of e-mail may also predispose clinicians to send offhand or glib e-mails. While unprofessional remarks are never appropriate in a work setting, there is an added danger to expressing these sentiments by e-mail. Comments that once would have been a casual aside now may be stored on a hard drive forever, or within a patient’s EMR, or forwarded in error to an unintended recipient. Kane and Sands 5 note that “‘deleted’ messages containing disparaging, flippant, or incriminating remarks have come back to haunt physicians.” It is important for clinicians to be aware that even personal e-mails may be stored on a central hospital hard drive, monitored, or available for retrieval by cellular service providers.


 

요약 

Summary of Recommendations

 

On the basis of analysis of the available literature as well as our personal observations, we suggest a formal set of evidence-based guidelines for the use of e-mail in a professional setting:


 

  • 1. Proofread each e-mail for proper spelling, grammar, and punctuation.11,13,15–17
  • 2. Use a meaningful subject line that is descriptive of e-mail content.10,12,13,15–17
  • 3. Avoid background colors, patterns, all capitals, and unusual fonts.9–12,14,16,17
  • 4. Avoid humor that may be misinterpreted.11–13,15
  • 5. Don’t send an e-mail to the wrong person; be especially careful with reply all and mass forwarding.11,12,15–17
  • 6. Don’t send emotionally charged e-mails; consider a direct conversation for complex or sensitive topics.11–13,17,18
  • 7. Transmit protected patient data cautiously using a private or secured computer or handheld device via an encrypted, secured network. Avoid sending such data to or from a public e-mail service such as Gmail, Yahoo, or Hotmail.4,5

 


 

Concluding Remarks

 

The topic of e-mail communication between health care providers has been broadly discussed but, to our knowledge, is underresearched. Our review of the literature did not reveal any formal guidelines or curricula for e-mail use among physicians. Although e-mail is fast and convenient, this accessibility has led to a decrease in formality and increase in errors and unprofessional behavior. E-mail recipients form perceptions of e-mail senders based on the format, content, and tone of their e-mails. An e-mail that is perceived as unprofessional may be less likely to receive a response or may receive a different response than one that follows etiquette guidelines. In addition, serious medicolegal and ethical concerns arise when e-mails contain patient data or unprofessional remarks. The appropriate use of e-mail has the potential to affect one’s professional reputation and to influence clinical, and potentially legal, outcomes. The recommendations we make for interprofessional e-mail use are based on the literature review and analysis above.







 2015 Jan;90(1):25-9. doi: 10.1097/ACM.0000000000000465.

Professional e-mail communication among health care providersproposing evidence-based guidelines.

Author information

  • 1Dr. Malka is assistant professor, Department of Emergency Medicine, Department of Pediatric Emergency Medicine, Carolinas Medical Center, Charlotte, North Carolina. Dr. Kessler is consulting associate, Department of Emergency Medicine,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Duke University Medical Center, and deputy chief of staff, Department of Emergency Medicine, Durham VA Medical Center, Durham, North Carolina. Dr. Abraham is a resident physician, Department of Emergency Medicine, Duke University Medical Center, Durham, North Carolina. Dr. Emmet is medical librarian, Ruth Lilly Medical Library, Indiana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Indianapolis, Indiana. Dr. Wilbur is vice chair and professor, Department of Emergency Medicine, University of Arkansas for Medical Sciences, Little Rock, Arkansas.

Abstract

E-mail is now a primary method of correspondence in health care, and proficiency with professional e-mail use is a vital skill for physicians. Fundamentals of e-mail courtesy can be derived from lay literature, but there is a dearth of scientific literature that addresses the use of e-mailbetween physicians. E-mail communication between providers is generally more familiar and casual than other professional interactions, which can promote unprofessional behavior or misunderstanding. Not only e-mail content but also wording, format, and tone may influence clinical recommendations and perceptions of the e-mail sender. In addition, there are serious legal and ethical implications when unprofessional or unsecured e-mails related to patient-identifying information are exchanged or included within an electronic medical record. The authors believe that the appropriate use of e-mail is a vital skill for physicians, with serious legal and ethical ramifications and the potential to affect professionaldevelopment and patient care. In this article, the authors analyze a comprehensive literature search, explore several facets of e-mail use between physicians, and offer specific recommendations for professional e-mail use.


의대를 다니는 동안 마음이 오히려 차가워지는가? (Academic Medicine, 2008)

Is There Hardening of the Heart During Medical School?

Bruce W. Newton, PhD, Laurie Barber, MD, James Clardy, MD, Elton Cleveland, MD, and Patricia O’Sullivan, EdD





의료 전문직업성의 중요성과 구성. 교육을 통해서 길러줘야 함에도 의과대학 기간동안 특정 부분에 대해서는 안좋은 영향만 주고 있다는 연구들이 있다. 냉소주의가 높아지고, 윤리적, 도덕적 발달이 저해된다.

Medical professionalism is essential for maintaining the integrity of the profession, and it includes demonstrating compassion, caring, and a willingness to put the concerns of patient and society above one's own. Medical education should promote the development of these professional qualities. However, studies have shown that medical school can often have a detrimental effect on certain aspects of students’ professional growth. Negative characteristics such as cynicism may increase, and ethical and moral development can be stunted.1–3


공감능력은 반드시 키워야 할 중요한 전문직으로서의 자질이다. 환자의 만족도를 높이고 치료를 더 잘 따르게 한다. 의사의 공감능력은 환자가 인지하는 치료자로서의 능력에도 영향을 준다. 진료기술이 뛰어나도 이러한 환자만족, 치료에 대한 순응, 의사의 공감능력에 대한 중요성을 모르면 환자는 '비효과적'이라고 느낄 수 있다.

Empathy is one of the most highly desirable professional traits that medical education should promote, because empathic communication skills promote patient satisfaction and adherence to treatment plans while decreasing the likelihood of malpractice suits.4,5 Patients view physicians who possess the quality of emotional empathy as being better caregivers. A physician may possess competent diagnostic skills, yet be considered by patients as “ineffective” because the physician misses the link between patient satisfaction, adherence to medical instructions, and physician empathy.


공감능력은 두 가지로 분류된다. 간접적(vicarious), 상상적(? imaginative)이다. 

Sociologists and psychologists have divided the concept of empathy into two main definitions or types: vicarious and imaginative. 

  • Vicarious empathy 다른 사람의 감정적 경험을 인식하는 것. is “an individual's vicarious emotional response to perceived emotional experiences of others” and 
  • imaginative empathy 다른 사람의 입장에서 그 사람의 생각, 감정, 행동을 정확히 이해하고 예측하는 것 is “an individual's ability to imaginatively take the role of another so as to understand and accurately predict that person's thoughts, feelings and actions.6 


첫 번째는 정서적 반응이다(gut reaction), 두 번째는 인지적 공감(cognitive empathy)이다.

The first definition reflects an innate emotional response, that is, a “gut reaction,” and is equivalent to the “empathic concern” described by Davis 7; the second definition refers to “cognitive” empathy and reflects a learned ability to imagine and intellectualize.7


여러 척도들이 '인지적 공감'을 측정한다. 기존의 연구에서 의과대학생의 인지적 공감은 변화가 없다고 나온 것, 올라간다고 나온 것, 내려간다고 나온 것 등 다양하다. 우리의 이전 단면연구에서 보면 의과대학기간동안 공감이 감소한 것을 확인하였다. 

Many scales that measure empathy are investigating cognitive empathy of individuals to “role-play.”8 Previous data concerning medical students’ cognitive empathy are conflicting, indicating either no changes, decreases, or increases in empathy during undergraduate medical training.9–13 In our previous cross-sectional study, we observed a decline in vicarious empathy during medical school.14 There are no known longitudinal studies of vicarious empathy. In the current study, we examined the longitudinal effect of medical education on vicarious empathy.



Methods



Setting and sample.

 

We gathered this study's data from a single South-Central U.S. medical school: The University of Arkansas for Medical Sciences. Starting in the 1997, 1998, 1999, and 2000 academic years, the students in the graduating classes of 2001, 2002, 2003, and 2004 completed a survey at the beginning of their freshman (M1), sophomore (M2), junior (M3), and senior (M4) years. With approval from our local institutional review board in 2005, we contacted the 535 graduates and asked whether they would allow their data to be used in a research study. A total of 419 (78.3%) students agreed, 1 student refused, and 115 students did not reply.


 

Survey instrument.

 

The survey instrument was the Balanced Emotional Empathy Scale (BEES), a well-established measure of the vicarious emotional qualities of empathy that examines the emotional “primitive” level of interpersonal interactions.8,16 The BEES coefficient alpha is 0.87. The BEES consists of 30 positively or negatively worded items (15 items in each category) that measure responses to fictional situations and particular life events. Because the BEES is gender sensitive, with men scoring lower than women, the students were asked to report their gender. Using the students’ responses to the BEES, we analyzed the changes in the students’ vicarious empathy by gender across their first three years of medical school.


 

Specialty choice.

 

We classified each student's specialty choice on the basis of his or her residency match at the time of graduation. Specialty choice was divided into two categories, five core specialties (i.e., internal medicine, family medicine, pediatrics, obstetrics–gynecology, and psychiatry) and noncore specialties (all other choices, for instance, surgery, pathology, and radiology).


 

Timing of test administration.

 

Students completed the questionnaire during registration for each academic year. Therefore, the M1 classes had no medical training, providing a baseline empathy score.


 

Analysis of data.

 

Scores for each student were calculated according to BEES instructions.16 Descriptive statistics were calculated by class, gender, and choice of specialty. As stated earlier, we conducted separate analyses for men and women, because the BEES is gender specific. For each year, we conducted a two-factor repeated-measures ANOVA, using the general linear model procedure from SPSS, with the significance level set at P < .05. The between-subjects factor was specialty choice, and the within-subjects factor was time. Significant effects were followed by post hoc tests. We also performed single-sample tests of means to compare our respondents with those in the normed sample for the BEES.








Discussion

공감능력이 의학교육에 의해서 영향을 받는다는 결과. 오히려 남학생은 일반 사람들보다 더 높았다.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student empathy is affected by medical education. Our study supports the findings of Coulehan and Williams,18 who described deleterious changes in various humanistic qualities as medical students became “immunized” against these values after their matriculation into medical school. In the freshman year, the similar M1 BEES scores for all four classes indicate that the matriculates studied were drawn from a homogenous population, and that the undergraduate education of the matriculates, predominated by basic science courses, did not decrease vicarious empathy below the established norm. Indeed, the entering male medical students had BEES scores that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norm. For both the men and the women, the M1 BEES scores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core and noncore groups.


의과대학 1학년이 지나며 크게 감소함. 1학년을 지나면서 미디어에서 보여지는 것과 실제 모습이 차이가 있다는 것을 인지하게 되었을 것이다. 1학년들은 자신들이 애들 대접을 받는다고 느낄 것이다. 이에 대한 대응적 행동으로 냉소주의가 높아지고, VE가 감소한 것으로 본다. 

For all the students studied, the significant decrease in vicarious empathy that occurred after completing the freshman year of medical school may have resulted from a high degree of student stress and anxiety caused by the students’ competitiveness and desire to overachieve on examinations. Additional stressful factors may include the media's presentation of doctors as heroes, which helps create a skewed image of the ideal physician for entering freshmen medical students. As the students progressed through their freshman year, they probably realized there is a mismatch between the media representation and reality.19 Additionally, the freshmen likely considered themselves to be in a hostile educational environment that treated them like children.20 All of these stressors induce self-preservation and coping behaviors. In our view, some of these behaviors, expressed as increased cynicism 2 and, ostensibly, decreased vicarious empathy, were used by the students to adjust to the stresses and internal conflicts associated with medical education.



2학년 기간에는 BEES 점수가 유지된다. 학생들이 적응한 것으로 보인다. 3학년 임상실습을 돌며 크게 다시 한 번 감소하는데, 이는 임상실습 첫 해에 대해 학생들이 느끼는 부담이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 특히 환자를 보는 경험이 있는 동안 크게 감소한다. 최신기술을 적용하는 것이 치료에 있어서 중요하게 강조되는 3차병원에서는 환자에 대한 공감을 형성하기가 쉽지 않다. 

The sophomore year, which is an additional year of basic science courses similar to the freshman experience, maintained stable BEES scores. This may be explained by the students’ acclimating to the academic rigors of basic science courses. The junior clinical year, where all students participate in standard rotations, produced another dramatic drop in BEES scores for both the men and the women. This drop substantiates findings from the literature that suggest that the first clinical year of medical school is demanding and challenging.21 The large drop in M3 students’ vicarious empathy occurred while the students were seeing patients they had, presumably, looked forward to helping. It is interesting to note that a recent study showed that a similar drop in empathy occurred after dental students began seeing patients.22 In university tertiary care centers, empathy is hard to direct toward the challenging patients when the treatment emphasis is on technology.23 Immense cultural differences between physicians-in-training and patients may also make it more difficult to achieve adequate empathy. Physicians who are role models should work more closely with medical students to develop an empathic relationship with such patients.24 Our own findings suggest that this could be particularly important for women who enter a noncore specialty, because their drop in vicarious empathy scores more closely emulated the naturally lower empathy scores of the men than the scores of their female colleagues who selected a core specialty.


기존 연구에서 공감능력을 바탕으로 한 환자-의사 관계가 프로페셔널리즘의 중요한 측면 중 하나이며, 프로페셔널리즘과 환자-의사 관계는 병원 내 롤모델로 삼을 만한 의사들에 의해서 가장 잘 보여지게 된다고 나타난다. 다른 연구는 임상 롤모델이 계속 부족해왔음을 지적하는데, 이러한 긍정적인 롤모델이 부족한 것이 공감점수의 감소에 영향을 주었을 것이다.

Studies show that clinicians consider an empathic physician–patient relationship as one of the most important aspects of professionalism 5 and that professionalism and physician–patient interactions are best demonstrated by clinician role models at the bedside in hospitals or,25 as suggested by Benbassat and Baumal,24 in primary and chronic care clinics and/or hospice facilities. Other studies reveal a chronic lack of clinical role models,26 and perhaps a lack of positive role models could have contributed to the decline in empathy scores we observed after the completion of the first clinical year of undergraduate medical education.


복잡한 치료 요법이나 임상 롤모델의 부족함 외에도, 갓 의사가 된 사람들이나 학생들은 그들이 멘토나 롤모델에 의해서 남용(abuse)되고 있다고 느낀다는 점이 보고되고 있다. 이러한 학생에 대한 남용은 "traumatic deidealization"으로 불리곤 하는데, 이 역시 영향을 주었을 것이다. 누적되는 피로와 로테이션에 의해 환자에 대한 연속성이 떨어지는 것도 상황을 악화시켰을 수 있다.

In addition to complicated treatment regimes and a lack of clinical role models, literature shows that juniors, as student/physicians (i.e., individuals that are learning to assume an authoritative role in providing care while simultaneously being subservient to their mentors), perceive themselves as being abused by their mentor/role models.1,21,27 This student abuse has been termed “traumatic deidealization” by Kay 19 and is another factor possibly contributing to the declines in empathy. Other potential factors include fatigue and a lack of patient continuity that is exacerbated by starting a new clinical rotation every four to five weeks.


'의도한' 교육과정은 '비공식적' '숨은' 교육과정에 의해서 학생들의 기대에 못미치게 된다. 비공식 교육과정과 숨은 교육과정의 정의. 

The “intended” medical curriculum, which is the formally offered and endorsed curriculum, often falls short of student expectations because of the “informal” and the “hidden” curricula.28 

  • The informal curriculum, as defined by Hafferty,28 “is an unscripted, predominantly ad hoc, highly interpersonal form of teaching that takes place among and between faculty and students” (e.g., in the hallway, lounge, or on-call room), whereas 
  • the hidden curriculum “is a set of influences that function at the level of organizational structure and culture” (e.g., advertising the amount of National Institutes of Health dollars the institution garners or espousing the need for basic science rather than humanities courses when applying to medical school). 


이 두 가지가 바람직한 프로페셔널리즘을 은밀히 저하시키는 역할을 하게 되는데, 이는 학교의 정책이나 학교가 자원을 투자하는 부분과 '실제로 중요한 것'이 갈등을 일으키는 것을 학생들이 쉽게 파악하기 때문이다. 대신 비공식, 숨은 교육과정에서 강조하는 것은 의과대학의 사회적 의무와 학생의 공감 및 기타 직업전문성적 특성을 배양을 도와줄 수 있는 롤모델의 양성이어야 한다.

These latter two curricula contribute to insidious declines in desirable professional traits, because students easily recognize that campus policies and resource allocations and “what's really important to learn” often conflict with the stated institutional educational mission.1,28 Instead, the mandate that should be implicit within the informal and hidden curricula should be the societal obligation of medical schools to provide and/or train better physician role models who can aid students in overcoming losses in empathy and other professional characteristics.26


가장 흔하게 제시되는 대안은 공감적, 인문학적 교과목을 넣는 것이다. 그러나 많은 연구에서 이러한 식의 대안은 한시적이고 큰 효과가 있지 않으며, 어떤 사람들은 공감능력이 가르쳐서 기르기에 어려운 것이라고 느끼기도 한다. 전통적인 4년제 의과대학과 달리 최근 일부 6년제 학교 또는 PBL을 기반으로 하는 학교에서는 인문사회의학이나 공감에 대한 내용을 교육과정에 넣기가 더 용이하다는 점이 보고된 바 있다.  

The most frequently offered solutions to ameliorate the loss of professionalism at the undergraduate medical level involve teaching students to be empathic or “humanitarian” via courses that emphasize empathic communication skills.9,12,29 Evidence suggests that in most instances the gains are modest and temporary,10,30 and some feel that empathy and compassion are increasingly difficult to teach as an individual matures.20 In contrast to traditional four-year schools, several recent studies have shown that six-year medical schools, or schools with a problem-based learning curriculum, have greater opportunities to integrate humanism and empathy into their curricula.31,32 


이들 '비전통적'학교의 초기 결과보고는 긍정적이지만, 많은 사람들이 의대생이 가지고 있는 해로운 무력함(detrimental inertia)이 윤리, 도덕, 공감, 봉사지향적 태도에 의해서 가속화되고 이것이 얼마 안되는 교육을 더 한다고 극복되지 않는다고 느낀다. 일부 전공의 프로그램은 이러한 사실을 깨닫고 집중워크숍을 통해서 가르쳐보고자 하나, 그러한 교육에도 불구하고 인턴 시작 후 다섯 달만 지나면 이상주의나 공감은 감소하고 냉소주의는 올라간다는 것을 보고한 바 있다. 

Despite some encouraging initial reports from several of these nontraditional schools, a large cadre feels that medical students possess a detrimental inertia, fueled by a frank decline in ethics, morals, empathy, and service-oriented attitudes, that cannot be overcome by a concurrent limited exposure to the humanities, especially when presented in an already crowded four-year curriculum.2,9,33,34 Some residency programs, aware of the reduction in humanitarian traits in medical graduates, have developed intensive workshops devoted to teaching and enhancing physician–patient interactions, yet studies show that even with such courses, idealism and empathy decrease and cynicism increases in as little as five months after the start of the intern year.35–37 



We maintain that the attempted maintenance of professionalism should be part of the medical school curriculum that is combined with the reinstatement of effective bedside teaching. However, our study findings suggest that the loss of innate, vicarious empathy could make it difficult to effectively teach medical students, interns, and residents to consistently role-play empathic concern.







 2008 Mar;83(3):244-9. doi: 10.1097/ACM.0b013e3181637837.

Is there hardening of the heart during medical school?

Author information

  • 1College of Medicine, Academic Affairs, #603, University of Arkansas for Medical Sciences, 4301 W. Markham St., Little Rock, AR 72205, USA. newtonbrucew@uams.edu

Abstract

PURPOSE:

To determine whether vicarious empathy (i.e., to have a visceral empathic response, versus role-playing empathy) decreases, and whether students choosing specialties with greater patient contact maintain vicarious empathy better than do students choosing specialties with less patient contact.

METHOD:

The Balanced Emotional Empathy Scale was administered at the beginning of each academic year at the University of Arkansas for Medical Sciences for four classes, 2001-2004. Students also reported their gender and specialty choice. Specialty choice was classified as core (internal medicine, family medicine, obstetrics-gynecology, pediatrics, and psychiatry) or noncore (all other specialties).

RESULTS:

Vicarious empathy significantly decreased during medical education (P < .001), especially after the first and third years. Students choosing core careers had higher empathy than did those choosing noncore careers. Men choosing core careers initially had empathy exceeding population norms, but their empathy fell to be comparable with that of norms by the end of their third year. The empathy of men choosing noncore careers was comparable with that of norms. Women choosing core careers had empathy scores comparable with those of norms, but the scores of women choosing noncore careers fell below those of the norms by their second year.

CONCLUSIONS:

The findings suggest that undergraduate medical education may be a major determinant differentially affecting the vicarious empathy of students on the basis of gender and/or specialty choice. The greatest impact occurred in men who chose noncore specialties. The significant decrease in vicarious empathy is of concern, because empathy is crucial for a successful physician-patient relationship.

PMID:
 
18316868
 
[PubMed - indexed for MEDLINE]


Defining issues test(DIT)를 이용한 의과대학 학생들의 학년별 도덕 판단력의 발달 정도 : 인제 의대생을 대상으로

권혜미*․김병진*․김성록*․김영민*․문정휘*․박민우*․방종욱*1)






가. 용어의 정의


1. 도덕과 윤리


도덕이란 인간이 지켜야 할 도리 또는 바람직한 행동기준을 뜻하는 용어이다. 즉, 그 사회체계에서 일반적으로 인식되는 질서이며, 지하철에서 어른에게 자리를 양보한다거나 새치기를 하지 않는 것은 도덕이다. 윤리는 비슷한 개념이긴 하지만 인륜적으로 모든 사람이 양심이란 것이 작용하여, 가르치지 않아도 지키는 것이다. 어느 나라를 막론하고 함부로 남을 죽이지 않는다거나, 강도질을 하지 않는 것 등 사람으로서 당연히 지켜야 할 것들, 양심의 작용에 의해 인간들이 스스로 지키는 인륜적 이론이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도덕과 윤리는 크게 구분되지 않고 쓰이고 있으며, 인지발달 이론가들과 Kohlberg 또한 도덕과 윤리는 같은 것으로 가정하고 이론을 기술하였다.’1) 여기에서도 Kohlberg의 이론에 기초를 두고 있으므로 도덕과 윤리를 구분하지 않고 사용하기로 한다.


2. 도덕발달(moral development)과 도덕판단력(moral judgment)


도덕발달은 도덕 판단력의 발달을 가리키는 것이다, 도덕 판단력이란 보편적이며 포괄적인 일관성을 가지며 사람과 사람 사이에서 마찰하는 이익 또는 권리를 주장하는 당사자들의 관점을 조정하여 갈등을 해소하기 위한 추론의 방식을 의미하는 것이다.2) 


3. 인지(cognition)와 인지발달 이론

인지란 지각한 내용을 여러 가지 방법으로 변형하고 부호화하여 기억한 다음, 필요할 때 그것을 인출하는 정신과정을 일컫는다. 인지발달 이론은 외적행동을 가져오는 인간의 내적 정신과정의 발달을 객관적이고 과학적인 방법으로 연구하는 학문의 일종이다.3)


4. 정의 지향

정의 지향은 자신의 역할과 관련된 의무, 책무, 혹은 약속에 관심을 가지며, 자기, 타인들 혹은 사회를 위한 표준, 규칙, 혹은 원리로서 상호성과 공정성에 관심을 기울이는 것을 말한다. 정의 지향에서는 전통적으로 사람들이 서로 공유하는 규칙, 원리, 권리, 의무에 따라 생활함으로써 서로를 공정하게 대우해야만 한다는 점이 강조된다. 이것은 논리적, 합리적, 객관적인 것으로 여겨지며, 보다 직접적으로 도덕적 사고와 연관되는 것으로 이해된다.3)


5. 배려 지향

배려 지향은 관계, 즉 서로간의 상호 의존적인 관계를 유지하는 것과 타인들의 복지를 증진하는 일이나 혹은 그들의 해를 방지하는 일을 고려하며 타인들의 짐, 상처, 혹은 심리적 정신적 고통을 덜어주려는 일에 관심을 기울이는 것을 말한다. 이것은 직관적, 비논리적, 비합리적, 주관적인 것으로 여겨지며 보다 직접적으로 도덕적 감정과 연관된 것으로 이해된다.3)




나. DIT의 이론적인 배경 


1. 인지발달 이론

인지발달 이론은 인간의 인지발달을 생물학적 연구 를 바탕으로 설명하였으며, 인간의 도덕발달 또한 인지 발달을 바탕에 두고 해석하였다. 인지발달 이론가들은 도덕발달을 개인이 도덕적 원리들을 이해하고 그것들 에 동의하기 때문에 받아들이는, 혹은 그가 스스로 성취 하게 된 도덕적 원리들에 따라 행동할 수 있는 상태로 나 아가는 적극적, 역동적, 구성적 과정으로서 간주한다.3) 


이 이론에서는 전통적으로 도덕성을 정의 지향과 동일시하여 왔으며, 또한 도덕발달을 질적으로 다른 정의의 개념을 구성해 가는 단일한 과정으로 이해하였 다. 도덕적 영역의 일차적인 것으로 정의를 가정한 것 은 정의 지향이 모든 사람들의 사고에서 도덕 판단의 기본적인 양식이라는 것을 의미한다. 즉, 모든 사람들 은 도덕적 문제 사태에 직면하면 정의 지향에 따라 옳 고 그름을 판단한다는 것을 뜻한다.4) 


인지발달 이론을 기초로 한 도덕발달 이론에 가장 기 본적인 토대를 제공한 것은 피아제이다. 피아제는 도덕적 규칙을 이해하지 못해 규칙 위반에 대해 판단을 하지 못 하는 전도덕적 국면(전인습적 수준)으로부터 물리적 결 과에 의존하는 외적인 도덕성(인습적 수준), 그리고 마지 막으로 내적인 혹은 자율적인 도덕성(후인습적 수준)에 이르기까지 3단계의 뚜렷한 방향이 존재한다는 것이다.3) 


2. Kohlberg와 Rest의 이론 


Kohlberg는 이런 피아제 이론의 기본적인 골격들을 받아들여, 이론적 차원에서 발달의 세 수준을 포함한 보다 세련된 도덕발달 계열을 제안하였다. Kohlberg 의 도덕발달의 구조는 3수준 6단계의 형식을 취하고 있으며, 각 단계는 도덕적으로 행동하고자 하는, 혹은 도덕 판단을 내리는 각기 다른 종류의 동기들을 품고 있다. 모든 단계가 도덕적 이상을 나타내는 것은 아니 다. 각 단계는 단지 도덕적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사용 되는 하나의 관점에 해당한다. 높은 단계일수록 보다 진정으로 혹은 본질적으로 도덕적이다. 따라서 최고의 단계가 도덕적 이상을 나타낸다고 할 수 있다.3) 



Kohlberg의 도덕발달의 구조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1) 


  • 1단계 : 처벌 및 복종 지향 
    • 시킨대로 행동한다. 
  • 2단계 : 개인주의, 도구적 목적 및 거래 지향 
    • 손해 보지 않는 거래를 한다. 
  • 3단계 : 개인 상호간의 기대, 관계 및 개인 상호간의 동조 지향 
    • 남들에게 신중하고 친절하고 좋은 사람이라는 인상을 심어 주면 친구가 많아질 것이다. 
  • 4단계 : 사회체제와 양심 지향 
    • 사회 속의 개인은 모두 법을 지켜야 하고 법의 보호를 받는다. 
  • 5단계 : 사회계약, 공리성과 개인 권리의 지향 
    • 개인의 의무는 정당한 과정과 절차를 거쳐 이 루어진 사회적 합의에 의해 부과된다. 특히 5단계는 사회계약으로서의 도덕성을 나타내는 5A단계와 직관적 인간주의로서의 도덕성을 의미하는 5B단계로 나누어진다.5) 
  • 6단계 : 보편적 윤리적 원칙 지향 
    • 도덕성은 합리적이고 비편파적인 사람들이 협동을 이상적으로 조직함으로써 정의된다

Kohlberg의 다음 세대 연구자인 Rest는 도덕 판단 력 이외에도 도덕적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들을 통합하여 4-구성요소 모형(The Four Component Model)을 제시하였다. 4-구성요소 모형에 대해 간단히 소개하면 다음과 같다. 4-구성요소 모형은 각 요소마 다 연구 사례들을 갖고 있다.1)


  •  제1요소 도덕 감수성 : 상황의 해석
  •  제2요소 도덕 판단력 : 특정 행동이 도덕적으로 옳 은지 그른지에 대해 판단
  •  제3요소 도덕 동기화 : 도덕적 가치를 다른 가치보 다 우선시하는 것
  •  제4요소 도덕적 품성 : 마음이 흐트러지지 않고 용 기 있게 행동에 옮김. 


‘이러한 네 요소 중에서 가장 중요하고, 또한 평가가 용이한 요소는 바로 제2요소인 도덕 판단력이다. 즉, 도덕 판단력이 높은 사람이 그만큼 도덕적인 행동을 할 가능성이 높고, 도덕 판단력 수준이 높은 의사가 윤리 적인 직무수행을 더 잘 할 수 있다는 것이다. 이 주장은 이미 상당히 많은 연구에서 입증되거나 주장되었다.’6) 


이런 이유로 도덕 판단력에 대한 연구가 가장 활발 하게 이루어졌다. Kohlberg는 자신의 이론을 바탕으 로 도덕 판단력 검사법을 고안해 냈는데, 이것이 도덕 판단 면접법(The Moral judgment Interview; MJI)이 다. Rest는 MJI가 검사 실시와 채점방법의 객관성이 부 족하다고 생각하고 도덕발달 수준을 측정하기 위한 표 준화 검사인 DIT를 개발하였다. 이는 Kohlberg에 의 해 제작된 인터뷰 방식의 검사(MJI)를 Rest가 객관형 검사의 방식으로 표준화하여 전환시킨 것이다. 즉, DIT는 Rest의 4-구성요소 모형 중 제 2요소인 도덕 판 단력을 객관적으로 측정하는 도구이다. 


'도덕 판단력의 수준을 측정하는 근본적인 문제는 대상자가 어느 단계의 사고를 하고 있는가에 관심을 두고 있는 것이 아니라 대상자가 어떠한 상황에서 어 느 정도까지의 다양한 도덕 판단을 하고 있는가에 관 심을 두는 것이다. 즉 도덕 판단력의 발달은 낮은 단계 의 사고가 줄어들고 점차로 높은 단계의 사고가 비례 적으로 증가해 나가는 것이므로 발달단계에 속하는 사고의 출현빈도는 양적으로 측정될 수 있다.'5) 




3. Kohlberg 이론의 비판 


앞에서 인지발달 이론에서는 정의 지향을 도덕 판 단의 기본적인 양식으로 보았다고 언급하였다. 이 이론에 근거해서 만들어진 DIT 역시도 정의 지향에 입각 한 도덕 판단만을 측정한다. 도덕 판단에 정의 지향 이 외에도 다른 과정들과 구성들은 존재하며, 어떤 하나 의 접근법으로 그것을 개념화하고 또한 평가한다는것 은 불가능하다. 이는 Kohlberg 자신도 인정하였다.1) 


정의 지향 이외의 다른 도덕 판단 해석체계 중 가장 대표적으로 주장되고 있는 것은 바로 Gilligan의 배려 지향이다. Gilligan의 주장에 따르면, ‘Kohlberg 이론과 채점체계는 특수한 관계와 의무에 대한 딜레마(또는 그 러한 딜레마에 대한 지향)를 다루지 않았다는 점에서 한 계가 있다. 여기에서 특수한 관계란 가족, 친구 관계와 그 자신이 구성원으로 있는 집단과의 관계를 포함한다. 그러한 특수한 관계는 정의 지향에 의해 다루어지는 보 편주의적 관계와는 구별된다. 특수한 관계의 윤리에 핵 심적인 것은 감정적인 색조를 띤 생각과 배려, 사랑, 충 성, 책임감의 태도이다. 이를 배려 지향이라 한다.’7) 


이와 같이 정의 지향 이외의 배려 지향과 같은 다른 도덕 판단 해석체계들도 통합하여 설명할 수 있는 이 론의 정립이 필요하다. 



다. DIT의 구성 


DIT 완성형 검사지는 총 6가지의 딜레마로 구성되어있고 그 내용은 남편의 고민, 학생 데모, 탈옥수, 의 사와 환자, 고용주의 처지, 학생 신문 이다. 각 이야기 마다 12개의 질문이 주어지고 그 질문에 대한 5가지의 평정(매우 중요하다, 대체로 중요하다, 약간 중요하다, 별로 중요하지 않다, 전혀 중요하지 않다)을 하고 마지 막으로 12개의 질문 중 가장 중요하다고 생각되는 질 문 4개를 순서대로 선택 한다. 각 문항은 도덕발달 단 계를 알 수 있는 내용으로 구성되어 있다. 




라. DIT의 채점 점수 


DIT채점 결과는 Kohlberg의 도덕발달 6단계별 점 수가 나오고, 추가로 P, M 점수가 있다. 


P(%)점수(5,6단계 문항에 주어진 가중치가 부여된 순위매김들의 합)의 의미는 “피험자가 도덕딜레마에 대해 결정을 내리는 데 있어서 5,6단계 수준의 도덕성 을 고려하는 것에 상대적 중요성을 둔 정도”로 해석된 다. P(%)점수는 DIT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점수로 서, 0~95점 범위에 있다. 


M점수는 고상하게 보이는 문항이나 의미 없는 문항 을 나타낸다. 이 점수는 사고의 단계를 나타내기 보다 는 피험자가 진술문의 의미보다는 그것의 허세성 때문 에 진술문에 찬성하는 견해를 나타내므로 이 점수가 8 점 이상일 경우 연구 대상에서 제외한다.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P(%)점수는 5,6단계 즉, 인습이후 도식의 발달 정도만을 나타내는 점수로서, 더 낮은 단계들의 변화(개인적 관심도식에서 규범준수 도식으로의 변화)를 설명하지 못했다. 또한 이 점수는 순위매김 과제에만 기초하여 계산된 점수이므로 평정 과제의 결과를 배제했다. 이에 따라 Rest 등에 의해서 새로이 N2점수라는 것이 개발되었는데 이는 인습이후 도식과 개인적 관심 도식 간의 평점점수 차이를 전통 적인 P(%)점수에 더한 것이다. 또한 순위매김 점수뿐 만 아니라 평정 점수도 사용하여 계산된다. 인습이후 도식 문항들과 개인적 관심 도식 문항들의 평균 평정 점수간의 차이가 N2의 평정 부분을 구성한다.8) 이 지 수의 의의는 순위매김 요소에 평정을 더하게 되면 전 통적인 P(%) 지수보다, 더 낮은 수준에서의 변화를 탐 지할 수 있다는 것이다. N2 점수를 계산하는 공식은 다음과 같다. 


N2=P(%)+3*(S56-S23) 


S56-S23계산은 5,6단계 문항에 대한 평정치를 모두 더한 후 5,6단계 문항수인 21로 나누어 5,6단계 평균 평정치를 구하고, 마찬가지로 2,3단계의 문항의 평정 치를 모두 더한 수 2,3단계 문항수인 22로 나누어서 2,3단계 평균 평정치를 구한다. 그리고 ‘5,6단계 평균 평정치-2,3단계 평균 평정치’에 대한 표준화를 위해 (5,6단계 평균평정치-2,3단계 평균평정치)를 2+3+5+6 단계의 통합된 표준편차로 나눈다. S56-S23의 변량 크 기는 P의 변량 크기의 1/3이기 때문에, S56-S23에 가중 치 3을 준다.8) 


우리나라에서 N2점수를 바탕으로 도덕 판단력에 대 해 연구한 것은 문미희의 연구8)가 유일하다.   



마. DIT 점수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 


1. 성차 


Gilligan은 남성 편파성이 개입된 정의지향 도덕 판 단력 검사로 여성에게 적용하면, 여성의 배려 지향 도 덕성을 간과하게 되어 도덕 판단력 점수가 남성보다 낮게 나온다고 했다.’9) 


하지만 ‘Rest는 Kohlberg의 도덕 판단력 검사와 DIT 에서 의미 있고 일관성 있는 성차가 발견되지 않았기 때문에, 성차에 대한 증거는 없다’고 주장하였다.4) 


DIT 검사결과의 성차에 대해 많은 연구가 이루어졌 지만 아직 그 결론은 명확하지 않다. ‘성차에 관한 불일 치하는 결과들이 측정상의 오차를 반영하는지 진정한 성차를 나타내는지는 설명되지 않았다. 그러나 분명한 것은 많은 연구에서 유의미한 성차가 나타난다 해도 그 실제크기는 작은 경향이 있다.’9) 


2. 연령과 교육수준 


‘Rest의 횡단 연구 결과 연령과 교육수준은 DIT점수 변량의 38~49%를 설명했으며, 종단 연구에서는 연령 에 따른 상향 발달 경향을 보여 주었는데, 이러한 경향 은 하향 이동 경향보다 약 10배 더 높게 나타났다.’4) 


‘18세 이전의 아동 및 청소년에서는 연령에 의한 생 물학적 인지구조의 발달이 일어나면서 교육받는 기간 이 증가하기 때문에, 이들의 도덕 판단력에 대한 영향 이 중복된다고 한다. 그러나 성인에서의 연구결과는 단순한 연령보다는 교육수준이 도덕발달에 더 큰 영향 을 주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4) 


국내에서는 대부분 횡단적 연구가 이루어 졌으며, 연령과 교육수준에 따른 도덕 판단력의 발달경향이 나 타났다.4) 


3. 종교 


‘Rest에 의하면 종교 가입은 도덕 판단력과 거의 관 련이 없었다. Kohlberg의 연구에서도 신교도, 가톨릭 교도, 유대교도, 불교도, 모슬렘교도, 무신론자의 도덕 판단력 발달 간에 의미 있는 차이가 없었으며, 마찬가 지로 Getz의 연구에서 DIT의 P(%)점수와 종교가입 간 에는 의미 있는 상관이 없었다.’9) 


국내에서도 종교가 개인에게 미치는 영향에 대한 논문분석연구가 있었으며, 여기서도 종교는 도덕 판단 력의 발달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는 결론이 나왔다.9) 


4. 지역 


국내의 논문분석연구에서 연령과 교육을 통제한 상 태에서 도시-농촌간의 도덕 판단력이 유의미한 차이가 있다는 결과가 7편의 논문 중 5편에서 나왔다.9) 


5. 가정/사회적 변인 


Rest는DIT를 사용한 연구에서 성별, 정당, 사회경 제적 지위와 같은 인구통계학적 변인이나 사회학적 변 인과 도덕 판단력 발달과의 상관은 의의 없거나 매우 낮다.고 밝혔다.4) 


가정과 사회적 변인에 대한 국내 청소년의 연구를 보 면, 부의 학력, 부의 직업, 가정의 심리적 환경, 시설아 /정상가정아 차이에 따른 의의 있는 차이가 있었다.4) 이는 Rest의 주장과는 다른 결과를 보여주고 있다. 


6. 지적/성격적 변인 


‘Rest에 의하면 DIT 점수는 IQ, 적성, 성취 척도와 .20~.50정도의 상관을 가지며, 지능 척도나 인지 발달 척도와의 상관은 의의 없거나 비일관적이다.’4) 


국내의 지능을 변인으로 다루고 있는 논문에 대한 분석 연구에서 대체로 양의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왔 다. 하지만 관계가 없다는 결과와 음의 상관이 있다는 결과가 나온 논문도 상당한 비율을 차지했다.9) 이는 도덕 판단력이 지능을 바탕으로 논의된다고 해도 다른 여러 요소의 작용을 더 많이 받고 있으며 이를 규명하 는 연구가 필요함을 시사한다. 


다음으로 인지발달 수준에 따른 도덕 판단력 발달 경향은 정향인의 연구에서 P(%)점수의 경우 의미 있는 차이를 보여주지 않았다. 이는 앞에서 언급한 Rest의 견해와 일치한다.   




Ⅵ. 고찰 


<표3>에서 볼 수 있는 것처럼 의학과 1,2학년의 P(%)점수는 표준 집단의 P(%)점수보다 통계적으로 유 의하게 높았다.(p<.05) 이는 대학 입학 당시의 불안정 한 도덕발달상태에서 교육을 통해 후인습적 수준으로 도덕적 사고가 발달되면서도, 4년제 대학과는 다르게 아직 졸업반이 아니고 취업에 대한 부담감이 없다. 또 한 아직 임상실습도 시작하지 않은 상태라, 사회적 및 현실적 제약이 비교적 적고 자유분방한 시기적 특성 때문이 아닌가 생각된다. 


또한 의학과 4학년의 P(%)점수는 표준 집단의 P(%) 점수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다.(p<.05) 이는 의학과 3, 4학년 동안 강의실에 앉아 공부하던 것에서 벗어나 임상실습을 통해 현실적 상황에 부딪히게 되면 서 현실화 효과6)가 나타난 것으로 생각된다. 즉, 학생 들이 개인적 사고 내에서만 경험하던 문제들을 현실적 상황과 마주침으로써 더 구체적인 도덕적 사고를 하고 되고, 도덕판단을 더 낮지만 더 현실적으로 하게 되었 을 것으로 생각된다. 이는 김용순14)과 김익중6)의 딜 레마를 이용한 윤리 교육의 결과와 일부 일치하며, 김 용순5)의 종단적 연구결과와도 일치한다. 


학년 수준별 도덕 판단력의 변화추이는 P(%)점수와 N2점수에서 동일한 경향성-본과 2학년에서 가장 높았 고 본과4학년에서 가장 낮아지는 모습-을 보였지만 통 계적으로 유의하지 못하였다. 


쉬한 등의 연구1)에 따르면, 의과대학생 52명의 도 덕 판단력 점수를 입학 후부터 3학년말까지 조사한 결 과 의미 있는 상승을 확인할 수 없었고, 셀프와 슈레이 더 등의 연구1)에서도 의학교육을 이수하는 동안에 도 덕 판단력의 의미 있는 향상이 나타나지 않을 것이라 는 가설이 입증되었는데, 이는 우리의 연구결과와 일 치하는 것으로 김용순 등의 연구5)에서도 확인된다. 


이 같은 연구결과는 도덕 판단력의 발달에 대한 일 반적인 대학교육의 효과(대학4년동안 도덕 판단력에 있어서 강한 종단적 발달이 나타났음을 보여준 베델대 학에서의 연구1))와는 달리 전통적인 의학교육과정이 도덕 판단력의 발달을 돕지 못하고 오히려 도덕 판단 력을 인습수준에 머무르게 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그 것은 본 연구에서 도덕 판단력의 단계별 평균점수에서 4단계(인습수준으로서 권위와 사회질서유지의 도덕 성)가 가장 높게 나타난 것과 일치한다. 


학년별 표준편차에서는 의학과 4학년의 표준편차가 P(%)점수와 N2점수에서 각각 ±9.85,±9.58로 전체학 년 가운데 가장 작게 나타났는데,(표4) 이 같은 결과는 간호대생을 대상으로 했던 이미애 등의 연구16)와 셀프 와 슈레이더 등의 연구1)와 일치한다. 이는 의과대학 생의 교육경험이 도덕 판단력을 촉진하기보다는 억제 한다는 사실과 의학교육을 경험하는 것이 강력한 사회 화 요인이 될 수 있음을 보여주는 것으로,1) 이미애 등 16)이 지적한 것처럼 학생들의 도덕 판단력이 서로 비 슷한 수준으로 맞추어지고 있는 것(평균수렴효과)6)- 비슷한 방식으로 사고하고 의사결정하도록 만드는-은 아닌가 하는 의구심을 갖게 한다. 즉, 우리나라 의료전 문직의 지적환경이 매우 보수적이고 교육형태 역시 인 간의 생명과 안위를 다룬다는 점에서 한 치의 오차나 실수가 용납되지 않기 때문에 학생들이 자유롭게 생각 하고 행동하여 시행착오를 통해 스스로 깨닫고 배우면 서 의사결정을 해나가기 보다는, 정형화되고 규격화된 모범적 행동이나 의사결정이 미리 제시되며 이것이 진 지하게 받아들여지고 그 외의 행동이나 판단은 엄격히 통제되어지는 도제식 교육방법을 채택한 결과로 해석 될 수 있을 것이다.16) 


본 연구 결과 중 5A 단계의 경우 의학과 4학년의 P(%)점수가 본과 2학년의 P(%)점수 보다 유의하게 낮 았다. 이는 우리나라 의과대학 교육의 특성과 더불어 다원적 민주주의, 자율성, 평등성, 개인주의 전통에 입 각한 서구사회와는 다른 전통과 보수성 그리고 안정성 을 중시하는 우리 사회문화적 현실 및 의료 환경의 영 향에 의해 후인습적 도덕성이 발달하기 보다는 인습 적 수준의 도덕발달단계를 지향하게 된 결과 때문으로 생각된다.12) 이러한 차이는 한국과 미국의 초, 중, 고 등학생과 대학생의 도덕발달을 비교한 박종영과 이종 현의 연구결과17)에서도 확인할 수 있으며, 미국남부와 북부의 대학생 집단을 비교한 결과에서도 확인된다.1) 또한 각 단계별 평균 점수에서 4단계가 가장 높은 본 연구의 결과와도 일치한다. 


Simpson, Rest, Krebs &Gillmore 등12)에 의하면 성별 차, 연령, 성장지역, 종교 등이 도덕 판단력의 발달 에 유의한 차이를 보인다고 하였으나, 본 연구결과에서 는 성별차를 제외한 변인들 즉, 연령, 성장지역, 종교, 형제관계, 형제 수에 의한 유의한 차이가 관찰되지 않 았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각 도덕 판단력의 발달 에 대한 이들의 영향은 고려하지 않아도 좋을 것이다. 


본 연구에서 도덕 판단력의 발달에 유의한 영향을 미친 변인은 성별로 나타났는데, 앞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여자가 남자보다 높았다. 이와 같은 결과는 남녀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하여 여학생 45.85, 남학생 39.18 로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도덕 판단력이 유의하게 높다 는 결과가 나온 오갑례의 연구2)와 일치한다. 또한 중 학생, 고등학생, 대학생, 성인 등의 폭넓은 대상으로 실 시된 박찬주의 연구 결과13)(여자 40.93, 남자 38.49, p=.01)와도 일치한다. 부모 양육 태도와 성별에 따른 도덕성 발달의 차이에 관한 연구에서는 ‘국외 연구 대 부분이 성차가 없는 것으로 나타나는 것은 문화적 배 경이 다르기 때문인 것 같다. 즉, 우리 나라의 가정에 서는 여자는 남자보다 더 정숙하고 성실하며 얌전해야 함을 강조하는 경향이 있는 바 이 같은 가정 교육이 남 녀의 도덕성 판단의 차를 초래한 것 같다’라고 기술하 고 있다.4) 


그러나 56개 연구를 종합하여 여성이 남성보다 다 소 높은 도덕수준을 가지나 그 차이는 유의하지 않다 고 보고한 Thoma의 연구 결과와, DIT에서 성차는 미 약하며 단지 DIT변량의 0.5% 이하를 설명한다는 Rest 의 결론과는 상반된다.4) 또한 8편의 논문을 종합하여 한국 청소년의 도덕 판단력 발달에서 성차가 나타나지 않는 경향이 강하다고 한 문용린4)의 연구와 48편의 논문을 분석하여 60.4%의 논문에서 남녀 간 성차가 없 다고 한 진미숙의 연구9)와도 상반된다. 


이와 같이 선행 연구결과들이 일치하지 않고 있으 므로 성별에 따른 도덕 판단력의 차이는 좀더 많은 연 구를 통하여 확실한 관계가 규명되어야 할 것이다. 


‘도덕 판단력의 발달은 의도적인 교육프로그램에 의 해 촉진될 수 있는가’하는 문제에 있어서 기존의 연구 결과에 따르면 교육수준이 도덕 판단력의 발달에 가장 큰 영향을 주며14), 교육프로그램은 도덕 판단력의 평 가지표인 DIT점수를 높이는데 효과적이라는 것을 보 여준다.1) 또한 연구들에 따르면 도덕 판단력이 4년 동 안의 의과대학 교육을 통해 가르쳐질 수 있고 한번 획 득된 것은 유지될 수 있다고 한다.1) 그리고 학생들의 도덕적 사고 수준은 개인적 특성보다는 정규 교육 과 정 내 여러 교과목이나 전공을 통해 습득한 경험들에 서 영향을 받을 수 있으므로 좀 더 체계화된 윤리 교육 의 활성화가 필요하다고 한다.5) 


이 같은 연구결과는 우리사회의 대표적인 전문직인 의사들의 윤리성에 대한 사회적요구가 증대되고 의대 생들에 대한 도덕교육의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는 현실 과 관련하여 의료윤리교육의 필요성과 그를 통한 교육 효과를 제고시키기 위한 방안의 모색을 요구한다 .18)19) 그렇지만 우리의 연구를 통해 살펴본 결과-의학 교육을 이수하는 동안에 도덕 판단력의 의미 있는 향 상이 나타나지 않았다는 점-와 이를 위한 의료윤리 교 육 현황(강의시간과 배정학점 등에 있어서 의료윤리 교육이 그 목적에 부합되게 이루어지고 있지 못하고 있다.)은 만족스럽지 못하다.1),20) 이와 관련해서 Fotion은 의료인들에겐 인간에게 보다 나은 건강을 제 공해야 하는 책임이 있기 때문에 윤리교육이 교과과정 의 핵심에 위치해야 함을 강조하면서, 윤리교육을 통 하여 직관적 사고와 비판적 사고의 수준을 높여야 하 며, 이를 위해서는 학생교육의 전반에 걸쳐 윤리적 문 제에 대한 계속 교육이 요구되고 사례연구를 통하여 구체적인 상황에서 보편적인 원리를 도출해 낼 수 있 는 교과과정이 운영되어야 함을 주장하였다.1,21) 


인제의과대학의 경우 의예과 과정에서는 생명의료 윤리(3학점)가 그리고 의학과 과정에서 의료윤리(1학 점)가 개설되어 있고, 관련과목으로 의예과 과정에서 의료인문학(3학점), 예술과 의학(2학점), 문학과 의학 (2학점)이 의학과 과정에서 환자-의사, 의료와 역사, 전 문주의 과목이 각각 1학점으로 개설되어 강의시간과 종류에 있어서 41개 의과대학의 평균(강의시간 29.7시 간, 학점1.6학점)보다 나은 것을 알 수 있다.20) 그러 나 의예과 과정에서의 개설과목이 모두 필수과목이 아 닌 선택과목으로 되어 있어(2007학년도를 기준으로 의 료윤리 관련과목의 선택현황을 보면, 생명의료윤리 (35.8%), 의료인문학(29.4%), 예술과 의학(54.9%), 문 학과 의학(수강인원부족으로 폐강))실제 전체 학생을 대상으로 한 본격적인 의료윤리 교육은 의학과 과정에 서 비로써 이루어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것은 의학 교육 초기단계에 의료윤리를 가르침으로써 학생들의 도덕 판단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교육기회를 마련하 는 것이 중요하다는 지적과 관련하여 검토, 개선되어져 야 할 사항이라 생각된다.1) 아울러 현재 이루어지고 있는 의료윤리 관련과목들이 도덕 판단력을 향상시키 는데 어떻게 기여하고 있는지, 그리고 관련 과목들 간 의 연계성 등에 대한 심화연구도 요구된다고 하겠다. 


이와 관련해서 지난 2007년 8월 인제대학교 김해캠 퍼스에 개소한 인문의학연구소는 그 설립배경 및 취지 에서 밝히고 있듯이 앞으로 의학과 의료에 대한 인문 학적 접근을 통해 의료윤리 교육에 있어서도 올바른 방향의 제시와 함께 교육효과를 제고 시킬 수 있는 기 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의료윤리의 4대원칙: 측정가능한가? 윤리적 의사결정을 예측해주는가? (BMC Medical Education, 2012)

The four principles: Can they be measured and do they predict ethical decision making?

Katie Page






BACKGROUND: 

Beauchamp과 Childress의 의료윤리의 4대원칙(자율존중, 악행금지, 선행, 정의)은 의료윤리 분야에서 매우 큰 영향력을 가지고 있으며, 보건의료 분야에서의 윤리성 평가에 대한 접근법 이해의 기본이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네 가지 원칙이 개개인 수준에서 정량적으로 측정가능한지, 윤리적 딜레마 상황에서 실제로 의사결정에 활용되는지를 보고자 했다.

The four principles of Beauchamp and Childress--autonomy, non-maleficence, beneficence and justice--have been extremely influential in the field of medical ethics, and are fundamental for understanding the current approach to ethical assessment in health care. This study tests whether these principles can be quantitatively measured on an individual level, and then subsequently if they are used in the decision makingprocess when individuals are faced with ethical dilemmas.


METHODS:

Analytic Hierarchy Process를 측정도구로 사용하였다. 네 가지 시나리오를 제시하고 시나리오 내에서 이루어진 행동의 윤리성을 판단하게 했다. 그리고 같은 상황에서 유사하게 행동할 것인지에 대해서 물었다.

The Analytic Hierarchy Process was used as a tool for the measurement of the principles. Four scenarios, which involved conflicts between the medical ethical principles, were presented to participants who then made judgments about the ethicality of the action in the scenario, and their intentions to act in the same manner if they were in the situation.


RESULTS:

의료윤리원칙에 대한 개개인의 선호도는 AHP를 활용하여 측정하였다. 이 기법은 개개인의 윤리적 가치관을 드러내기에 유용한 도구이다. 평균적으로 개인들은 악행금지의 원칙을 다른 원칙에 비해 중요하게 생각했다. 그러나 (직관적이지는 않았으나) 이러한 중요도가 실제 윤리적 딜레마 상황에서 판단해야 할 때 적용되는 것으로 보이지는 않았다.

Individual preferences for these medical ethical principles can be measured using the Analytic Hierarchy Process. This technique provides a useful tool in which to highlight individual medical ethical values. On average, individuals have a significant preference for non-maleficence over the other principles, however, and perhaps counter-intuitively, this preference does not seem to relate to applied ethical judgements in specific ethical dilemmas.


CONCLUSIONS:

사람들은 의료윤리원칙을 중요시한다고 말하지만, 실제로 의사결정 과정에서 직접적으로 사용하는 것으로 보이지는 않는다. 이러한 이유는 윤리 원칙에 의해서 완벽하게 설명되지 않는 다양한 상황적 요인을 설명해줄 수 있는 행동모델이 없기 때문이다. 

People state they value these medical ethical principles but they do not actually seem to use them directly in the decision makingprocess. The reasons for this are explained through the lack of a behavioural model to account for the relevant situational factors not captured by theprinciples. The limitations of the principles in predicting ethical decision making are discussed.





“But I think the four principles should also be thought of as four moral nucleotides that constitute the moral DNA - capable alone or in combination, of explaining and justifying all the substantive and moral norms of health care ethics and I suspect of ethics in general” [1], p.308



Analytic hierarchy process: an overview

The measure of the medical ethical principles developed here uses pairwise comparisons to elicit the weightings for the principles. This methodology is part of the AHP. The AHP is a multi-criteria decision making tool originally developed by Saaty [5] that has been widely applied to many areas in the field of decision making [19] including resource allocation [20], business performance evaluation [21], project selection [22], and auditing [23].


In the AHP, a judgement or a comparison is the numerical representation of a relationship between two elements that share a common parent. In this study there is only one parent (ethical principles) and a judgement consists of a rating of the relative importance of one principle over another. Through trade-offs the technique enables the explication of the advantages and disadvantages of options under circumstances of risk and uncertainty.


The AHP is used in this study as a pragmatic tool to assess the relative preferences that individuals have for the principles. The technique of weight computation for the principles can be considered an alternative way to assess the importance of the principles in the individual decision making process. Prior research has tended to only measure the importance of principles either in scenarios, in isolation (one principle at a time), or with post-hoc matching of responses to set criteria. The AHP methodology is a novel approach in this area.


It should be noted that no behavioural hypothesis about the way people cognitively use the principles is made in order to use the AHP. The numerical results must therefore be seen as an approximation and, to some extent, still qualitative, in spite of their quantitative nature.



The scenarios

There were four scenarios used in this study all containing ethical issues framed in a medical context and involving medical ethical principles. 

  • The first was an IVF scenario dealing with issues of ownership, autonomy, and privacy. 
  • Two scenarios (hereafter referred to as Confidentiality and End of Life) were from a questionnaire on medical ethics [8]. The Confidentiality scenario primarily concerns issues of privacy and trust (Dr Heron has a right to his confidentiality) weighed against the principle of non-maleficence (the possibility of future harm to potential patients). 
  • In contrast, the End of Life scenario concerns patient autonomy and the right of a patient to choose to end their own life. The ethical conflict in this case arises because of the conflict between autonomy and professional duty and non-maleficence. 
  • The fourth scenario is a commonly cited and discussed case in the field of medical ethics and involves the process of a blood transfusion for a child of Jehovah’s Witnesses [24]. This case involves the principles of beneficence (helping the child’s interests) versus patient autonomy or the parents’ right to decide for their child. 


Together these four scenarios were thought to provide a good basis for, and be representative of, the salient issues in medical ethics. All four scenarios can be seen in Additional file 1. At the end of each scenario participants were asked two questions, the first about the ethicality of the action (1) How ethical is this action? (rated on a seven point Likert scale from very unethical to very ethical), and the second concerning their intentions to act in that way if they were in the same situation, (2) I would act in the same way (rated on a seven point Likert scale from strongly disagree to strongly agree).





 2012 May 20;13:10. doi: 10.1186/1472-6939-13-10.

The four principles: can they be measured and do they predict ethical decision making?

Author information

  • 1School of Public Health, Institute of Health and Biomedical Innovation, Queensland University of Technology, Australia. katie.page@qut.edu.au

Abstract

BACKGROUND:

The four principles of Beauchamp and Childress--autonomy, non-maleficence, beneficence and justice--have been extremely influential in the field of medical ethics, and are fundamental for understanding the current approach to ethical assessment in health care. This study tests whether these principles can be quantitatively measured on an individual level, and then subsequently if they are used in the decision makingprocess when individuals are faced with ethical dilemmas.

METHODS:

The Analytic Hierarchy Process was used as a tool for the measurement of the principlesFour scenarios, which involved conflicts between the medical ethical principles, were presented to participants who then made judgments about the ethicality of the action in the scenario, and their intentions to act in the same manner if they were in the situation.

RESULTS:

Individual preferences for these medical ethical principles can be measured using the Analytic Hierarchy Process. This technique provides a useful tool in which to highlight individual medical ethical values. On average, individuals have a significant preference for non-maleficence over the other principles, however, and perhaps counter-intuitively, this preference does not seem to relate to applied ethical judgements in specific ethical dilemmas.

CONCLUSIONS:

People state they value these medical ethical principles but they do not actually seem to use them directly in the decision makingprocess. The reasons for this are explained through the lack of a behavioural model to account for the relevant situational factors not captured by theprinciples. The limitations of the principles in predicting ethical decision making are discussed.

PMID:
 
22606995
 
[PubMed - indexed for MEDLINE] 
PMCID:
 
PMC3528420
 
Free PMC Article


임상실습 전 의과대학 교육을 받으며 도덕지향이 변하게 될까? (Journal of Medical Ethics, 2012)

Is medical students’ moral orientation changeable after preclinical medical education?

Chaou-Shune Lin,1,2 Kuo-Inn Tsou,1,3 Shu-Ling Cho,1 Ming-Shium Hsieh,4 Hsi-Chin Wu,5 Chyi-Her Lin6






PURPOSE:

도덕지향은 윤리적 의사결정에도 영향을 줄 수 있다. 의학교육을 통해서 도덕지향을 바꿀 수 있는가에 대한 연구는 매우 적다. 본 연구는 의과대학생들의 도덕지향을 분류하고, 전임상실습 교육 이후에 바뀌는지를 보았다.

Moral orientation can affect ethical decision-making. Very few studies have focused on whether medical education can change the moralorientation of the students.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document the types of moral orientation exhibited by medical students, and to study if their moral orientation was changed after preclinical education.


METHODS:

2007년부터 2009년까지 Mojac scale을 활용하여 대만 의과대학생의 도덕지향을 측정하였다. 271명의 1학년과 109명의 3학년을 대상으로 하였다. 사회주의지향-중도지향-자유주의지향으로 구분하였으며 2년 후 변화를 살펴보았다.

From 2007 to 2009, the Mojac scale was used to measure the moral orientation of Taiwan medical students. The students included 271 first-year and 109 third-year students. They were rated as a communitarian, dual, or libertarian group and followed for 2 years to monitor the changes in their Mojac scores.


RESULTS:

1학년과 3학년에서 중도지향 학생은 2년간의 전임상실습 교육 이후에 변화가 없었다. 자유주의지향 그룹은 1학년도 ㅏ3학년 모두 99.4점에서 101.3점으로, 103.0점에서 105.7점으로 높아졌으며, 사회주의지향 그룹은 1학년과 3학년 모두 낮아졌다.

In both first and third-year students, the dual group after 2 years of preclinical medical education did not show any significant change. In the libertarian group, first and third-year students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increase from a score of 99.4 and 101.3 to 103.0 and 105.7, respectively. In the communitarian group, first and third-year students showed a significant decline from 122.8 and 126.1 to 116.0 and 121.5, respectively.


CONCLUSION:

전임상실습 교육을 겪으며 사회주의지향과 자유주의지향 그룹은 모두 중도쪽으로 가까워졌다. 이러한 결과는 의과대학의 생명윤리 교육과 학생선발을 담당하는 사람들에게 중요한 힌트를 준다.

During the preclinical medical education years, students with communitarian orientation and libertarian orientation had changed in their moral orientation to become closer to dual orientation. These findings provide valuable hints to medical educators regarding bioethics educationand the selection criteria of medical students for admission.





일부 연구에서 도덕적추론능력이 교육으로 향상된다는 것을 보여준 바 있다. 그러나 Evans 등은 belief-bias dual effect를 언급하며, 이상적 추론과 실제 결정이 차이가 있음을 지적한 바 있다. 즉 아는 것과 행하는 것 사이에 차이가 있다는 것이다. 

Some studies have shown that medical education may enhance the moral reasoning skills of the students.2 However, Evans3 proposed the ‘belief-bias dual effect’ of reasoning to highlight the discrepancies between optimal reasoning and actual moral decision. There is a gap between ‘knowing’ and ‘doing’. For example, when a physician is faced with a patient with terminal cancer, intellectually the physician knows he/she must tell the patient the truth, but under the influence of family members or other factors, a physician may decide not to tell the patient the truth.


Tsai와 Harasym은 의사들의 도덕적 의사결정을 연구하여 도덕적 의사결정은 세 가지 요소(지식, 도덕적 추론능력, 태도) 에 의한 복합적 과정임을 밝혔다. '태도'라는 용어는 도덕적합리화시스템을 관장하는 도덕적 가치나 신념에 대한 것으로서 이를 통해 윤리적 이슈의 옳고 그름에 관한 결정하게 된다. 도덕적 가치관의 발달은 어떤 교육을 받았는지, 어떤 경험을 했는지, 사회문화적 배경이 어떠한지와 밀접한 연관이 있다. 서로 다른 도덕적 가치관을 가진 사람들은 서로 다른 의사결정양상을 보인다. Gilligan이 제안한 도덕지향의 개념에 따르면 어떤 사람들은 사회적정의의 원칙을 중시하며, 다른 사람들은 개인적 안위를 가장 중요한 요소로 본다. 일부 이론가들은 도덕적 추론능력이 아니라 도덕지향이 윤리적의사결정에 더 중요하다고 주장하기도 한다.

Tsai and Harasym4 studied the moral decision- making process of clinicians and found that the moral decision is a complex process composed of three components: the doctor’s knowledge (clinical and ethical); moral reasoning skills and attitudes. The term ‘attitude’ refers to the moral value or belief governing the moral justification system that determines the ethical issues of right and wrong.4 The development of moral value is closely tied to a person’s education process, personal experience, culture and socioeconomic background. Persons with different moral values when making moral decisions show different tendencies: some relied on the social justice principle while others used personal care as the most important factor, a concept of moral orientation pointed out by Gilligan.5 6 Some theorists argue that moral orientation, rather than moral reasoning, might be more important in ethical decision-making in medicine.7


Bore 등은 Gilligan의 원칙에 따라 의과대학생의 도덕지향을 측정하는 도구를 개발하였다(Mojac) 다양한 나라에서 여러 학년의 학생을 대상으로 Mojac을 활용해보고 나서 Bore는 libertarian-dual-communitarian의 개념을 개발하였다. 도덕적 딜레마 상황에서 자유주의자는 개인의 요구에, 사회주의자는 사회적 요구에, 중도주의자는 두 가지에 모두 중점을 둔다는 것이다. 또한 그는 극단적인 사회주의자나 극단적인 자유주의자는 입학평가과정에서 배제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왜냐하면 이러한 학생들의 도덕적 지향은 의료 맥락의 윤리적 기준이나 요구조건과 잘 맞지 않기 때문이다.

Bore et al,8 following Gilligan’s theory, had developed a tool to measure the moral orientation of medical students, known as the moral orientation of justice and care (Mojac) scale. After using Mojac to measure medical students at different levels from different countries, Bore developed a conceptualisation of a libertarianedualecommunitarian dimension of moral orientation. When confronted by a moral dilemma, libertarians will place greater value on the needs of the individuals, communitarians will place greater value on the needs of society and important reference groups, and the dualoriented will equally value the needs of both the individuals and society. He argued that extreme communitarians and extreme libertarians could be considered for exclusion from the process of selecting medical students on the grounds that that their moral orientation is likely to be incongruent with the ethical standards and requirements of the medical context.7


임상실습전 교육은, 대부분 18~22세에 속하는 이 시기에서 학생들의 학습능력에 유연성이 가장 뛰어나기에 학생들의 도덕지향을 형성하는데 중요한 시기이다. 

The preclinical medical education stage is especially important for moulding the moral orientation of students because students at this age (18e22 years) exhibit the most flexibility in their learning ability.9 10 A proper medical education at this stage will prepare them for the complex clinical situations they will encounter




METHODS

Background

Medical education in Taiwan is a 7-year undergraduate programme, which offer courses in liberal arts, general education and general science in the first 2 years, problem-based learning courses in basic sciences and some clinical sciences in the third and fourth years, clerkship in the fifth and sixth years and internship in the seventh year.


We focused our study on the preclinical period of year 1 to year 4. 

    • During years 1 and 2, there were courses on introduction to medical ethics and law that included topics on ethical theory, patient autonomy, clinical dilemmas, professional ethos and social issues.
    • During years 3 and 4, healthcare problems in the problem-based learning curriculum are used as the focus on the teaching of medical ethics.





Instrument

The instrument used at each point to measure students’ moral orientation was the Chinese version of the Mojac scale, which consists of three hypothetical situations (dilemmas) with 45 statement items. Respondents read each dilemma and were then asked to choose the answer that most closely reflects their value system and what they believe is appropriate for the statement using a four-point Likert scale (strongly agree to strongly disagree). The tests were administered in pen and paper format, using the optical mark reading answer sheets.



The Mojac scale has demonstrated high internal consistency (Cronbach a coefficient of above 0.80) and construct validity among medical school applicants and students in Australia, Israel, Fiji, New Zealand, Scotland and England.7 8


영문도구를 번역하여 활용하는 방법

The original English version of the Mojac scale was translated into Chinese, then back translated into English by bilingual persons. Three authors (CSL, KIT and SLC) examined each translated version. Any inconsistencies were resolved by discussion among the three authors.



DISCUSSION

도덕지향은 교육을 통해 쉽사리 변하지 않는 인적특성이다.

Moral orientation is considered to be a personal trait that is not easy to change with education.7


본 연구에서 학생들은 교육과정을 거치며 보다 중도쪽으로 수렴하는 경향을 보였다. 중도적 도덕지향이 도덕적 의사결정시에 다양한 측면을 동시에 고려해야 하는 임상 환경에 보다 적합한 형태라 할 수 있다. 어느 한 쪽에 치우친 의사는 도덕적 의사결정시에 중요한 이슈를 놓칠 수도 있다.

These results showed that education channels the students more towards dual orientation. This type of moral orientation (dual orientation) is more suitable for clinical situations because a clinician has to consider a situation from many aspects when making a moral decision. For example, factors such as equality of healthcare resources distribution, severity of a patient’s medical condition, a patient’s wish (or decision), and possible benefits and harms, are important issues for a clinician to consider when making a moral decision.4 Consideration of these factors will undoubtedly lead to conflicts, and only after careful weighing of the pros and cons can a clinician arrive at a logical moral decision. Clinicians with moral orientation leaning more towards libertarian or communitarian when faced with moral dilemmas often cannot balance different issues, thus missing some important moral issues in their decisionmaking process.7 13


Libcom점수는 문화적 배경에 의해 영향을 받을 수 있다.

Libcom scores may be influenced by the cultural background of the students.7


의과대학생의 도덕지향의 유형과 분포에 대한 이해를 통해서 생명윤리 교육과정 계획에 활용할 수 있다. 

An understanding of the distribution and types of moral orientation of medical students is important for teachers who are planning the curriculum on bioethics. This is because students with different moral orientations when faced with moral dilemmas may arrive at different interpretations and decisions, and the way to change their value system is to consider things from their point of view.14


도덕성 발달에 영향을 주는 두 요인은 성별/연령/교육수준과 같은 개인적 특성과, 부모의 교육수준, 사회경제적 수준, 문화와 같은 환경적/사회적 요인이다.

There are two factors that influence the moral development of a person: personal characteristics such as gender, age and level of education; and familial and societal factors such as educational level and income of the parents, and cultural background.15


Jaffee와 Hyde의 메타분석연구를 보면 성별은 도덕지향에 큰 영향을 주지 못한다.

A meta-analysis by Jaffee and Hyde16 on the influence of gender differences on moral orientation found that small differences in care orientation favour women and small differences in justice orientation favour men.


본 연구에서도 성별은 도덕지향 차이에 있어서 큰 역할을 하지 않았으며, 가정환경의 영향력을 고려할 때 일부 사람들은 중국인에게 있어서 가족구성원의 영향이 클 것이라고 주장하는 사람도 있다.

These results are similar to those reported by others, ie, gender plays a minor role in the change in moral orientation.16 Concerning the influence of family background on moral orientation, some have suggested that the moral development of Chinese individuals is greatly influenced by family members, because traditional thinking is that children strive to be obedient and to satisfy the wishes of their parents.17


본 연구는 대만에서 진행되었으며 문화적 맥락 차이에 의해서 다른 지역에서는 적용가능하지 않을 수도 있다. 대부분의 아시아 의과대학은 시험결과를 바탕으로 학생을 선발하고 18~19세에 입학하게 된다. 반면 영미권에서는 면접이 입학절차에서 한 부분으로 활용되고 있기 때문에 더 적합한 학생을 선발할 수 있을지도 모른다.

Finally, our study was carried out in Taiwan, which may not be applicable to other regions with different cultural backgrounds. Most Asian medical schools choose their students based on examination results and their average age is between 18 and 19 years. In contrast, personal interview is part of the admission process in medical schools in Europe and North America, so that students more suitable for medicine are probably selected through this process. Some of these students already have college degrees, and the age of these students is also older than Asian students.






 2012 Mar;38(3):168-73. doi: 10.1136/medethics-2011-100092. Epub 2011 Sep 24.

Is medical students' moral orientation changeable after preclinical medical education?

Author information

  • 1College of Medicine, Fu-Jen Catholic University, No. 510 Chung-Cheng Road, Hsin-Chuang District, New Taipei City, Taiwan, ROC. 049687@mail.fju.edu.tw

Abstract

PURPOSE:

Moral orientation can affect ethical decision-making. Very few studies have focused on whether medical education can change the moralorientation of the students.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document the types of moral orientation exhibited by medical students, and to study if their moral orientation was changed after preclinical education.

METHODS:

From 2007 to 2009, the Mojac scale was used to measure the moral orientation of Taiwan medical students. The students included 271 first-year and 109 third-year students. They were rated as a communitarian, dual, or libertarian group and followed for 2 years to monitor the changes in their Mojac scores.

RESULTS:

In both first and third-year students, the dual group after 2 years of preclinical medical education did not show any significant change. In the libertarian group, first and third-year students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increase from a score of 99.4 and 101.3 to 103.0 and 105.7, respectively. In the communitarian group, first and third-year students showed a significant decline from 122.8 and 126.1 to 116.0 and 121.5, respectively.

CONCLUSION:

During the preclinical medical education years, students with communitarian orientation and libertarian orientation had changed in their moral orientation to become closer to dual orientation. These findings provide valuable hints to medical educators regarding bioethics educationand the selection criteria of medical students for admission.

PMID:
 
21947804
 
[PubMed - indexed for MEDLINE]


미꾸라지 한 마리가 물을 흐린다: 의사의 부적절 행위에 대한 대처 (Medical Teacher, 2010)

Bad apples spoil the barrel: Addressing unprofessional behaviour

WALTHER N. K. A. VAN MOOK1,2, SIMONE L. GORTER1, WILLEM S. DE GRAVE2, SCHELTUS J. VAN LUIJK3, VALERIE WASS4, JAN HARM ZWAVELING1,6, LAMBERT W. SCHUWIRTH2 & CEES P. M. VAN DER VLEUTEN2

1Maastricht University Medical Centre, The Netherlands, 2Maastricht University, The Netherlands, 3Free University of Amsterdam, The Netherlands, 4University of Manchester, UK, 5currently Head of School of Medicine, Keele University, Staffordshire, UK, 6currently member of the Board of Directors, Maxima Medical Centre, Veldhoven, The Netherlands







사회 변화와 함께 환자중심진료가 강조되고, 의학교육에서의 프로페셔널리즘 이슈가 의대생, 전공의 뿐만 아니라 의사의 모든 일생에 걸쳐서 이뤄져야 함이 강조되고 있다. 프로페셔널리즘에 대한 기존 문헌은 프로페셔널리즘을 가르치고, 배우는 것에 초점을 맞춰 왔지만, 프로페셔널하지 못한 행위와 이와 관련된 환자 안전의 문제는 기존의 관점을 대체하거나 혹은 보완하는 접근법이 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의과대학생을 성격특성에 기반해서 선발하는 가능성에 대해 알아보고, 학부의학교육에서 발생하는 프로페셔널하지 못한 실수들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또한 이러한 졸업후의학교육과 CME에서 비프로페셔널한 실수의 정도, 감독체계와 이것을 다루는 방법 등을 알아보고자 한다.

Given the changes in society we are experiencing, the increasing focus on patient-centred care and acknowledgement that medical education including professionalism issues needs to continue not only in the residency programmes but also throughout the doctors career, is not surprising. Although most of the literature on professionalism pertains to learning and teaching professionalism issues, addressing unprofessional behaviour and related patient safety issues forms an alternative or perhaps complementary approach. This article describes the possibility of selecting applicants for a medical school based on personality characteristics, the attention to professional lapses in contemporary undergraduate training, as well as the magnitude, aetiology, surveillance and methods of dealing with reports of unprofessional behaviour in postgraduate education and CME.





의대 학부와 레지던트 시기의 전문직답지 못한 행위가 졸업 이후에도 연결된다.

Recent landmark studies revealed that unprofessional behaviour during undergraduate and postgraduate education is associated with unprofessional behaviour and subsequent disciplinary actions by medical boards after graduation (Papadakis et al. 2004, 2005, 2008).


의사들은 CME에서도 프로페셔널리즘을 지속적으로 학습해야 한다.

Clinicians are thereafter expected to continue to learn how to be ‘better professionals’ as ‘continuous medical education’ (CME),


그러나 이것을 강요하는 것은 효과적이지도 않고, 오히려 반발만 일으킬 수도 있다.

Mandating it is however certainly ineffective (Stross & Harlan 1987), and may prove counterproductive as it may ‘be seen as personally irrelevant, or even insulting’ (Hickson et al. 2007b).


어떻게 프로페셔널리즘을 증진시킬 것인가만 생각할 것이 아니라 프로페셔널하지 못한 행동에 어떻게 대응할 것인가에 대한 우리의 생각을 새롭게 해야한다.

As Hickson et al. (2007b) stated: ‘The challenges for leaders in academic medicine are to think not only about how best to promote professionalism, but simultaneously to renew our commitment to addressing unprofessional or disruptive behaviours whenever they occur’.




Selection for medical school


의과대학은 중도탈락이 거의 없기 때문에 선발단계가 가장 중요한 평가이다. 

Since many medical schools have very low rates of attritionthe admissions procedure is argued to be the most important evaluation exercise conducted by North American schools (Eva et al. 2004; Wagoner 2006), and is increasingly used on the European continent as well.


그러나 입학 전 학업성취는 수련과정중의 성취에 대해서 매우 조금밖에 예측하지 못한다. 학부시절 수행능력의 23%, 졸업후 역량의 6%에 불과하다. 임상교육에서 훌륭한 성과를 보이는 많은 학생이 기초에서는 그렇지 못한 경우가 70%에 달한다.

However, previous academic performance proves only a limited predictor of achievement in medical training. It accounts for 23% of the variance in performance in undergraduate medical training and only 6% of that in postgraduate competency (Ferguson  et al. 2002)! Consequently, many students (70%!) who excelledin the clinical courses did not so in the basic sciences (Rhoads et al. 1974).


어떤 입학 전 행동이 프로페셔널리즘의 어떤 특정 부분과 연관되는지에 대한 컨센서스는 이루기 쉽지 않다.

it is difficult to obtain consensus as to exactly which pre-medical behaviours are associated with what specific aspects of professionalism (Wagoner 2006).


미국 의과대하의 99%가 면접을 활용하고 있지만, 이러한 유명세에도 불구하고 면접에는 두 가지 문제가 있다. 하나는 잘 보이기 위해서 꾸며진 모습만 평가한다는 점이고, 다른 하나는 맥락에 따라서 행동이 달라진다는 점이다.

A total of 99% of the US medical schools now use the interview as part of the admissions process (Puryear & Lewis 1981). In spite of its popularity, the admission interview is plagued by at least two remediable problems. First, it fails to take into account non-cognitive attributes formed for example  by personality traits (Benor et al. 1984); second, it is plagued by the problem of context specificity.



Screening for personality traits and influence of context


First, the sensitivity to detect dysfunctional tendencies due to personality characteristics is considered too low in an interview (Stern et al. 2005). These personality traits could however indicate a student’s fit with the formal curriculum. It is known that dysfunctional personality characteristics have a negative impact on the learning process, academic motivation, academic grades and course attendance


Knights et al. have extensively studied this subject (Knights & Kennedy 2006, 2007). They report that dysfunctional tendencies are not uncommon in a survey among first-year medical students.


Another example of another self-reporting method to specifically assess interpersonal problems is the Hogan Development Survey



Furthermore, the interview is plagued by the problem of context specificity, the fact that many of our cognitive ‘skills’ are highly dependent on context (Eva et al. 1998). A person’s performance is commonly less determined by ‘trait’, the personality characteristics, than by the ‘state’, e.g. the context within which the performance is elicited (Eva et al. 2004). To overcome this problem, a multiple mini-interview protocol consisting of a series of short OSCE-style stations was developed.


한 사람의 수행능력은 그 사람의 내재적 '특질'이 아니라 그 사람이 처한 '상태'에 따라서 달라지는 부분이 더 크다. 이러한 문제를 극복하고자 MMI가 개발되었다. MMI에서도 연구결과에 따르면 지원자-스테이션간 상호작용에 따른 영향이 지원자 단독에 의한 영향보다 컸다. 

Indeed, the variance component attributable to candidate–station interaction was greater than that attributable to candidate, supporting the hypothesis that the context specificity reduces the validity of traditional interviews (Eva et al. 2004).




Attention to professional lapses in undergraduate training

프로페셔널하지 못한 행동을 잡아내는 방법으로 두 가지가 있다.

Different approaches to signalling unprofessional behaviour can be adopted (van Mook et al. 2009c)

The first is a system in which faculty members reflect on students’ professional performance over a longer period of close observations and guidance. 

The second approach seems especially appropriate for the hectic clinical environment where the number of the faculty have brief interactions with students. The evaluation in that context more resembles ‘one-time snapshots’. 


이러한 critical incident 방식은 'extreme'에 있는 학생에게 효과적이다.

These so-called ‘critical incidents’ document a specific sentinel event in detail and ‘particularly useful for the students at the extremes of performance’.


예시들도 있다.

Although several, mainly US, examples of critical incidents reporting systems can be found in the literature (Papadakis et al. 1999, 2001; van Mook et al. 2009c), examples from the European continent are so far lacking.



맥락에 따라 봐야 한다.

When attempting to establish whether a certain behaviour is acceptable or not, the behaviour should be looked at within its appropriate context, the environment in which it occurred (Fochtmann 2006; Sullivan & Arnold 2009).


이러한 부적절한 행동들이 완전히 굳어지기 이전에 조기 발견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Early lapse identification is critical to facilitate institution of such strategies before such behaviour becomes refractory to change (Sullivan & Arnold 2009)


기록하는 것이 중요하다.

It is needless to say that candid documentation of every incident, the remediation strategy and the response is required. All reports should be confidentially handled, and complainants should receive follow-up of review and resulting actions (Sullivan & Arnold 2009).


여러번 지적받은 학생이 프로페셔널한 발전이 더디고, 발견된 문제의 책임을 자신의 것으로 받아들이지 못하며 오히려 불공정하고 부정확하다며 평가자를 비난한다.

Comparing to reports by Papadakis et al., we have the strong impression that students who receive multiple critical incident reports have significant deficits in professional development, and it frequently encountered that they do not accept responsibility for the problems identified, and accuse the evaluators of unfairness and inaccuracy (Papadakis & Loeser 2006).



Unprofessional behaviour in postgraduate education and CME

-문제의 정도 Magnitude of the problem

Estimates of the magnitude of the problem of impaired physicians at some point in their careers vary from 3–5% to approximately 15% (Boisaubin & Levine 2001; Leape & Fromson 2006).


-문제의 종류 Aetiologies of unprofessional behaviour

The aetiologies of unprofessional behaviour include at least the following drivers: substance abuse, psychological issues, inappropriate handling of narcissism, perfectionism and/or selfishness, spill over of chronic or acute family/home problems, poorly controlled anger due to different causes (e.g. poor clinical/administrative support), rewarding of unprofessional behaviour since it yields desired results, and clinical and administrative inertia (no early feedback provided), and similar behaviours are observed in the environment (Leape & Fromson 2006; Hickson et al. 2007b).



-감시와 보고 시스템 Surveillance and reporting

The eyes and ears of patients, visitors and healthcare team members are considered to be the most effective surveillance tools for detecting unprofessional behaviour.


그러나 종종 이러한 불평불만은 문제를 일으킨 주치의나 담당 부서가 누구인지를 찾는것으로 귀결되곤 한다.

Nevertheless, the complaints are then aggregated to identify attendings, physicians or units that demonstrate disproportionate shares of complaints (Pichert et al. 1998; Hickson et al. 2002, 2007a, 2007b).


환자와 동료에 의한 감시만으로는 불충분하며 intervention이 늘 필요하다.

Surveillance by patients and healthcare team members alone will not suffice. Intervention is always necessary, even in the case of single incidents.



-보고 결과에 대한 대응 Dealing with the reports

When unprofessional behaviour by a resident is observed, the programme director is responsible for addressing the problem. For practicing physicians, the department’s chair, a hospital’s review committee, state or national licensing board, or judicial tribunal is responsible (Sullivan & Arnold 2009). So far however, few organizations have formal programmes to identify problem doctors (Leape & Fromson 2006; Hickson et al. 2007b), and management of problems, once identified, has frequently been haphazard, ad hoc, informal and reactive (Leape & Fromson 2006).


-대응의 규격화 Formalising the response

To optimize dealing with professional lapses and unprofessional behaviour, implementing a routine, formal, pro-active system of monitoring and remediation has been proposed (Leape & Fromson 2006).




Costs and potential benefits

모든 학년의 모든 학생을 대상으로 이러한 평가시스템을 도입하는 것에 대한 비용은 엄청나지만 피해갈 수는 없다.

When implementing an assessment system for professional behaviour for all students in all years of medical school, the accompanying administrative burden (and related cost) is enormous, but unavoidable (van Luijk et al. 2000; Fochtmann


실제로 문제를 일으킨 사람을 대상으로 대처해나가는 것은 비용을 절감하는 방법이면서도, 구성원의 만족을 높이고 대학과 병원의 평판을 높이는 길이기도 하다.

Dealing with those displaying unprofessional behaviour potentially contributes to ultimately cost-saving benefits including improved staff satisfaction and retention, improved reputation of the university centre and their leaders, institutional culture building and role modelling, improved patient safety, and reduced liability exposure (Hickson et al. 2007b).





 2010;32(11):891-8. doi: 10.3109/0142159X.2010.497823.

Bad apples spoil the barrel: Addressing unprofessional behaviour.

Author information

  • 1Department of Intensive Care, Maastricht University Medical Centre, P. Debeijelaan 25, 6202 AZ Maastricht, The Netherlands. W.van.mook@mumc.nl

Abstract

Given the changes in society we are experiencing, the increasing focus on patient-centred care and acknowledgement that medical education including professionalism issues needs to continue not only in the residency programmes but also throughout the doctors career, is not surprising. Although most of the literature on professionalism pertains to learning and teaching professionalism issues, addressing unprofessional behaviour and related patient safety issues forms an alternative or perhaps complementary approach. This article describes the possibility of selecting applicants for a medical school based on personality characteristics, the attention to professional lapses in contemporary undergraduate training, as well as the magnitude, aetiology, surveillance and methods of dealing with reports of unprofessional behaviour in postgraduate education and CME.

PMID:
 
21039099
 
[PubMed - indexed for MEDLINE]




한국 의과대학생들의 공감능력: 전국단위 조사

Empathy in Korean medical students: Findings from a nationwide survey

KYUNG HYE PARK1, HYERIN ROH1, DAE HUN SUH2 & MOHAMMADREZA HOJAT3

1Inje University, Republic of Korea, 2Seoul National University, Republic of Korea, 3Thomas Jefferson University, USA






Background

한국 의대생들의 공감에 대한 기존 연구는 작은 수의 학생을 대상으로 했거나 척도가 달라서 대표성이 낮고 결과의 일반화가능도가 낮았음.

: Previous studies on empathy in Korean medical students were conducted on small populations or with different scales of measurement, resulting in low representativeness and generalisability of the findings.


Aim

전국단위로 한국 의과대학생들의 공감능력을 평가하여 공감능력 향상에 대한 제안을 함.

To evaluate empathy in Korean medical students throughout the country and to make suggestions to improve empathy.


Methods

JSE의 한국어버전을 활용하였으며, 성별, 연령, 학제, 학년에 따른 영향을 보았음.

: The Jefferson Scale of Empathy (JSE) (Korean) was used, and the impact of sex, age, the medical school admission system, and grade of the respondents was investigated.


Results

5343명으로부터 설문을 받았으며, 평균점수는 105.9점이었음. 여학생과 의전원학생이 더 높은 점수를 받았으며, 성별에 따른 영향을 통제한 이후에도 의대-의전원 학생간 차이가 있었다. 고학년 학생이 저학년 학생보다 점수가 더 낮았다.

: We analyzed 5343 questionnaires and found a mean empathy score of 105.912.8. Females and post-baccalaureate students had higher scores as compared with their counterparts.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admission systems after controlling for gender. Students from higher grade levels had lower scores than those from the lower grade levels.


Conclusions

한국 의과대학생들의 JSE점수는 서양 학생의 점수보다 더 낮은 편이었다. 성별과 학제에 따른 영향을 감안해야 할 것이며, 임상현장에 공감능력을 적용하는 능력을 키워주기 위한 교육이 필요할 것이다.

: The JSE score of Korean medical students was lower than that of students in Western countries. The difference of gender and medical school admission system should be considered, and capability to apply empathy to clinical practice should be focused upon in medical training.






  • However, empathic skills are not acquired automatically during clinical training or applied in clinical practice (Hornblow et al. 2009).



  • Such studies on the JSE have revealed that the mean empathy score tends to be higher in female students compared with their male counterparts (Alcorta-Garza et al. 2005; Kliszcz et al. 2006; Chen et al. 2007; Ferna´ndez-Olano et al. 2008).



  • However, longitudinal studies have revealed a significant decline in empathy scores in the third year of medical school, when the curriculum shifts to patient-care activities (Hojat et al. 2004, 2009).



  • The total number of medical students in South Korea was 14,070 in 2012, out of which 7412 students (52.7%) had enrolled in undergraduate programmes.


  • The students’ version of the JSE (JSE-S) was used to evaluate the empathy levels of the participants. The JSE-S was translated into Korean in 2010 and was reported to have a Cronbach’s alpha of 0.84 (Roh et al. 2010).


  • Analysis of variance (ANOVA) with the Dunnett T3 post hoc test was used to compare empathy scores across grade levels.









Comparison with other countries 


  • The JSE-S scores of the Korean medical students found in the present study were lower than that of their counterparts in Western countries. Asian medical students have relatively low empathy scores because of the variation in people’s sentiments and empathy, which is influenced by the culture of each country (Kataoka et al. 2009; Rahimi-Madiseh et al. 2010; Roh et al. 2010; Hong et al. 2012). The communicative culture of Asia is not dependant on non-verbal communication, such as facial expression and hand gestures, which might suppress empathic communication (Park 1980). In addition, for years, a calm, unemotional, and less assertive attitude has been considered a virtue in Korea. Another reason for the lower empathy scores in the present study could be that the highschool students who want to attend medical school have to score high in mathematics and science subjects in the entrance examination, which is similar to Japan (Kataoka et al. 2009). The Program for International Student Assessment (PISA) test showed that Korean students secured the highest scores in mathematics, but a very low percentage of Korean students exhibited good engagement skills, drive, and self-belief (PISA 2012, Results in Focus 2013).



  • It is not surprising that the empathy score of Korean physicians, as measured by the JSE, was very low (98.2), which was substantially lower than that of Korean medical students (Roh et al. 2010; Suh et al. 2012). Medical students might consider the physicians with low empathy as their role models during their clinical work.


  • Korean medical students have a cognitive understanding of the patient’s perspectives, but have difficulties in applying empathy to clinical experiences and treating a patient by putting themselves in the patient’s position.








 2014 Sep 3:1-6. [Epub ahead of print]

Empathy in Korean medical studentsFindings from a nationwide survey.

Author information

  • 1Inje University , Republic of Korea .

Abstract

Abstract Background: Previous studies on empathy in Korean medical students were conducted on small populations or with different scales of measurement, resulting in low representativeness and generalisability of the findings. Aim: To evaluate empathy in Korean medical studentsthroughout the country and to make suggestions to improve empathy. Methods: The Jefferson Scale of Empathy (JSE) (Korean) was used, and the impact of sex, age, the medical school admission system, and grade of the respondents was investigated. Results: We analyzed 5343 questionnaires and found a mean empathy score of 105.9 ± 12.8. Females and post-baccalaureate students had higher scores as compared with their counterparts.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admission systems after controlling for gender. Students from higher grade levels had lower scores than those from the lower grade levels. Conclusions: The JSE score of Korean medical students was lower than that of students in Western countries. The difference of gender and medical school admission system should be considered, and capability to apply empathy to clinical practice should be focused upon in medical training.

PMID:
 
25182523
 
[PubMed - as supplied by publisher]


의료윤리교육의 목적 및 과정에 대한 고찰

Medical Ethics Education: Its Objectives and Curriculum

이일학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의료법윤리학과

Ilhak Lee

Department of Medical Law and Ethics, Yonsei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Seoul, Korea





서 론


의료윤리가 우리 의과대학에서 정식으로 교육된 지 20년이 지난 현재(Sohn, 2005), 전국 41개 의과대학 대다수에서 의료윤리를 정규교과목으로 교육하고 있다(Meng, 2003). 교육내용은 공식화되어2006년 제정된 ‘한국 의과대학 학습목표’에는 의료윤리와 환자의권리라는 항목으로, 2012년 간행된 “기본의학교육 학습성과-진료역량중심”에도 일반학습성과에 포함되어 의료윤리의 교육목표가 제시되었다(Korean Association of Medical Colleges, 2012). 그러나 의료윤리교육을 어떻게 할 것인가에 대한 구체적인 논의에 들어서면 아직 명확한 것이 없다(Kwon, 2006). 한국의료윤리학회 차원에서 두 차례 자체적으로 설정한 의료윤리교육의 목표를 기본으로교과서를 간행했고(1999년, 2003년), 의료윤리 관련 서적(예를 들어 한국의료윤리학회가 2011년 간행한 “전공의를 위한 의료윤리”등)을 출판한 바 있으나 의료윤리교육방안에 관한 고민은 여전하다.


본고는 어떻게, 무엇을 교육할 것인가 하는 실천의 문제는 의료윤리의 성격과 교육목표에 관한 성찰에서 해결의 단초를 얻을 수 있다는 문제의식에서 출발한다. 오늘날 교육과 관련된 고민은 의료윤리가 갖는 다학제간 접근(interdisciplinary approach)의 성격과 관련되어 있고 의료윤리교육에 대한 심도 깊은 성찰을 통해서 더욱 의료윤리교육이 자리잡을 수 있을 것임을 드러낼 것이다. 본고에서 외국의 교육사례를 제시하는 것은 의료윤리교육의 다양성은 의료윤리에관한 이해의 다양성을 살펴보고 이들 다양한 관점의 공존가능성을 탐색해 보기 위한 것이다. 이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고는 (1) 의료윤리교육에 관한 성찰의 필요성과 의료윤리교육의 어려움, (2) 의료윤리교육에 관한 두 가지 접근, (3) 의료윤리교육의 성과에 대한비판, (4) 의료윤리교육의 다양한 방법론 그리고 (5) 한국에서 의료윤리를 어떻게 교육할 것인가 등의 내용을 살펴보았다.



1. 의료윤리교육에 관한 성찰의 필요성과 교육의 어려움


의료윤리교육의 성찰은 크게 두 가지 측면—의료윤리가 학제 간 접근을 취한다는 점의료윤리교육이 실천을 위한 규범과 성찰을 위한 능력의 두 가지 가능한 접근을 갖는다는 점—에 집중된다. 여타의생명과학 분야의 교육이 단일한 관점과 문제의식을 가지기 쉬운분과학문(discipline)의 성격을 유지하는 데 비하면 의료윤리는 철학이나 법학 등 다양한 분야의 전공자가 참여하는 학제간 학문 분야로연구, 교육되고 있다. 의료윤리 교육자들은 철학이나 법학 등을 학문적 배경으로 하며 의과대학 교육의 특징이나 관점, 문제의식 등에관하여 어떤 명시적인 지침이 없이 자신이 익힌 학문의 교육방법론을 활용하기 십상이다. 또한 성찰과 토론을 중심으로 하는 의료윤리의 특성은 의료윤리교육에 일반적인 의학교육과정 개발을 그대로적용하기 어렵다는 점도 장애가 된다고 할 수 있다. 문제확인, 일반적수요평가, 대상자 수요평가, 목적과 목표설정, 교육방침, 수행 및평가라는 단계들로(Kern et al., 2010) 의료윤리교육을 기획하려할 때 해결하기 어려운 난점이 존재한다. 예컨대 의료윤리교육에대한 수요가 불확실하고(무엇을 의료윤리교육의 수요로 삼을 것인가), 목표에 대한 논의도 없거니와 철학적 의료윤리가 의료윤리교육자료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상황에서 실천적인 교육내용을 교과과정에 담기에 현실적으로 어려운 측면이 있었다(Kwon, 2006).한편 의료윤리는 평생에 걸쳐 서서히 배우는 태도를 중요한 내용으로 삼고 있는 바 이것이 교육과정 설정에 난점으로 작용한다. 실제교육현장에서는 의료윤리교육을 통해 피교육자들이 구체적인 행위지침(에티켓으로 규정할 수 있는)을 익히고 실천하도록 할 것인지아니면 자신의 행위를 성찰할 수 있는 능력과 개선하려는 의지를함양하도록 이끌 것인가 하는 관점이 교육의 방식이나 내용을 규정할 것인데, 이런 차원에 대한 이해는 암묵적 수준에서 이루어지고 기관마다 다른 형태로 이루어지고 있다.


2. 의료윤리교육에 관한 두 가지 관점


의료윤리교육에 대한 두 가지 관점이 존재하는 것 같다. 하나는‘의료인으로 활동하는 과정에서 경함하게 될 윤리적 딜레마를 이해하고 분석하는 실질적인 기술을 교육해야 한다는 관점(프래그머틱한 관점)’이고 다른 하나는 ‘덕스러운 의료인(virtuous medical professional)의 기준을 제시하고 의식을 함양하려는 관점(프로페셔널리즘적 관점)’이라고 할 수 있다(Ten Have &Gordjin, 2012).


1) 문제해결능력의 습득으로서 의료윤리교육: 프래그머틱한 관점


최근 우리나라에서 소개되는 의료윤리 교육방법에 관한 문헌은임상현장을 반영하여 실질적인 문제를 제시하고, 이런 문제를 해결하는데 강령과 법규를 통한 접근을 사용하는 것으로 보인다. 우리의과대학에서 사용되는 임상윤리증례토의(Kwon &Koo, 2002;Park et al., 2002)나 의료윤리 집담회와 같은 교육방식 그리고 전공의를 위한 의료윤리(Korean Society for Medical Ethics, 2011) 등교육자료 등에서 이를 살펴볼 수 있다. 이들 교육내용을 살펴보면 의료윤리문제에 대한 고찰을 프로페셔널리즘을 강조함으로써 정당화하고, 여기에 철학적, 법적 문제해결방식을 훈련시킨다. 이런 접근은 임상술기에 필수적인 부분으로서 의료윤리를 이해하는 것으로철학적/법적 판단능력을 수단적으로 배워 활용할 수 있으며, 도덕적/법적 주체로서 의료진의 전문성을 인식하는 것이다. 흔히 이와 같은관점의 의료윤리교육은 임상에 적용될 술기로서 정보전달과 의견청취능력 등을 종합하는 교육으로 진화할 가능성이 있다. 그러나 의료윤리교육에서 임상현장의 윤리적 문제를 이해하고, 그것을 판단하고 평가하는 주체들(의료인과 환자)의 존재, 그들의 행위에 대한철학적 이해는 필수불가결하다. 철학적인 이해와 능력이 없이 수단만 익힌 전문가를 의료윤리가 양성하는 것은 아닐 것이다. 그리고이런 판단은 다음과 같이 의료윤리의 성격에 관한 질문을 제기한다.“의료윤리란 무엇인가? 외재적인 규율로 의료행위를 재단하려는것인가? 아니면 의료계 내부에서 진료의 일부로 교육해야 하는 의료의 기술인가?” 의료윤리 교육목표는 단순한 환자를 돌보는 과정에서필요한 술기에 불과할 수도 있고, 다른 한편으로 의료실천의 미묘한차이점을 무시한 외재적 관점의 강요 사이에 자리할 것이다. 2000년대 이후 강조되는 프로페셔널리즘에 대한 논의는 의료윤리를 이해하는 적절한 접근이라 할 수 있다.



2) 프로페셔널리즘으로서 의료윤리교육


프로페셔널리즘 교육을 통해 얻게 될 효과 중에는 피교육자들이자신의 정체성을 인식하고, 그 정체성에 비추어 전문가적 행위를성찰할 수 있게 되는 점이 있다. 전문가로서 정체성을 형성하는것은 자신에게 주어진 권한과 책무를 인식하고, 그 한계를 존중하는태도를 가져오는 효과가 있다(Holden et al,, 2012). 프로페셔널리즘의 교육은 프로페셔널의 핵심가치를 확립하고 그 기반 위에 도덕원칙과 자기인식을 확립하고, 팀의 리더로서 기능하도록 하는 것이며,이 근간은 성찰능력이다(Cox, 2012). 의료윤리와 의료인문학 교육은 의료인의 프로페셔널리즘 개발의 근간으로 인정받으나(Doukaset al., 2012), 프로페셔널리즘이 의료윤리교육의 전부라고 말하는것은 문제가 있다. 예컨대 프로페셔널리즘의 대상, 지향점, 방법론이아직 발전하지 않은 차원에서 프로페셔널리즘을 강조하는 것은 도리어 의료윤리교육에 한계요, 장애물이 될 수도 있을 것이다.


프로페셔널리즘의 내용의 예로 캐나다의사협회가 제시한 프로페셔널리즘의 다섯 가지 영역을 살펴보자. 그것은 

    • (1) 윤리적 실천원칙(정직, 성실성, 비밀유지 등)의 준수, 
    • (2) 환자 및 환자에게 중요한 사람과의 효과적인 상호작용(신중함, 배려, 감정이입, 존중), 
    • (3)보건의료체계 내의 다른 이들과의 효과적인 상호작용(팀워크, 인내심, 전문가 영역의 유지 등), 
    • (4) 신뢰성(서명의무, 정확성, 체계성등), 
    • (5) 자율적인 유지와 역량의 지속적인 향상(평생교육, 검토,성찰능력 등) 등인데, 특히 주목할 점은 이러한 프로페셔널리즘은 개선의 의지를 중요하게 여긴다는 점이다. 

이는 의학교육에서 프로페셔널리즘이 일찍부터 제시되고 반복하여 학습되어야 한다는 점을드러낸다. 이런 반복적인 교육을 위해 학생들은 자신을 성찰하는능력을 갖출 것을 요구받는다(Collier, 2012; Verkerk et al., 2007).그 외 의료인으로 성장하는 과정에서 경험하게 되는 도덕적 고뇌와같은 한계들을 극복하고 지속적으로 성장하는 데 있어 회복탄력성을갖추도록 유도하는 것이 유용할 것이다(Grob et al., 2012). 회복탄력성은 다른 무엇보다 자기통제, 적절한 대응능력, 희망과 자기희생을 통해 획득될 수 있는 것이고 도덕적 사고와 도덕적 행위를 유지할수 있게 만든다.



3. 의료윤리교육의 성과에 대한 비판: 의료윤리에서 교육은 과연목표를 달성하는가?


1) 의료윤리의 효과에 관한 비판적 관점들


자신을 성찰하는 능력이나 지속적인 성장을 통해 바람직한 의료인의 성품, 즉 도덕성의 개발을 목표로 둘 때, 중요한 고려해야 할사항은 어떻게 해야 평생 지속되는 덕성함양이 필요하다고 인식하게할 수 있는가 하는 문제이다. 그런데 보여지는 태도와 행동을 전문가의 충분한 자격조건으로 인식하는 현재 교육체계 내에서는 위협받을수밖에 없다. 교육과정에서 우리는 다양한 목록을 만들어 제시하고,그것이 의학교육의 목표라고, 너희들이 보여야 할 태도라고 말하지만, 이런 말은 학생들이 묻는 말, “시험에 나와요?”에 무력할 수밖에없다. 게다가 이런 태도는 보여지지 않는 도덕적 고뇌를 현실적인문제로 다루는 것을 어렵게 만든다(McCammon &Brody, 2012).


의료윤리교육이 효과가 있다는 보고는 많다(Cheong &Park,2000; Kim et al., 2008). 이들 보고에 따르면 의료윤리교육은 도덕적 감수성을 제공한다. 도덕적 감수성은 도덕적 문제의 존재를 인식하고, 윤리적 갈등이 존재하고 있음을 깨닫는 능력인데 의료윤리교육은 윤리적 갈등이 존재하는 상황을 구체적으로 제시함으로써 이런능력을 향상시킨다(Park et al., 2012). 학생들이 도덕적으로 둔감한것은 맹목적이거나, 무관심하거나, 도덕의 존재를 인정하지 않거나,비도덕적이거나 지나치게 몰입하거나, 해결방안훈련이 되지 않았거나 하는 경우와 같이 다양한 원인에서 비롯된다. 윤리교육은 이런상황에서 학생들이 스스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인격적 자산을획득하게 지지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그리고 실제로 학생들의태도에 변화가 따른다는 보고도 있다(Saito et al., 2011). 그러나국내에서 수행된 소수의 연구에서는 효과에 관해서는 큰 차이가없는 결과가 제시되기도 했다(Kim et al., 2008; Kwon et al., 2008).학생들은 자신의 판단이나 다른 학생들의 판단에 대한 모호한 정리수준의 교육에 불만을 가질 수도 있고(Itai et al., 2006), 자신의상황을 변화시킬 수 없는 교육으로 인하여 윤리적 성찰에 대하여회의적인 태도가 증가할 수도 있다(Patenaude et al., 2003). 그 밖에도 교육의 효과에 대한 우려할만한 조사들이 있다. 소위 대표사례(paradigmatic cases)들은 법적 논쟁이 주를 이룬 것들로 소송에대한 두려움을 강화시켜 피교육자에게 방어적 태도를 이끌어내고,최악의 경우 공감하고 함께 문제를 해결하는 의사가 되는데 장애가될 수도 있다(Barilan &Brusa, 2013), 다양한 관점을 한 사람의교수가 제시하고 결론에 도달하는 윤리교육은 많은 의료윤리교육이학생의 ‘잘못된’ 판단을 교정하기보다는 학생의 이견을 확인하는수준에서 끝나게 된다. 또한 학생들이 자신의 견해를 비판적으로 검토하고 무엇이 문제인지 확인하지 못할 때, 학생들이 윤리적으로정당한 입장에 저항하고 자신의 편견을 강화할 수도 있다(Gross,1999; Turban, 2012). 게다가 프로페셔널리즘 관점에서 제공되는 의료윤리교육은 프로페셔널의 입장에서 사안을 살펴본다는 점에서그 관점 때문에 오류(bias)를 가질 수 있다. 프로페셔널리즘은 비록사회와 소통을 강조하는 가장 바람직한 경우조차 자기중심적이다.그리고 많은 윤리교육이 윤리강령(code of ethics)을 일방적으로나열하는 데서 멈출 수 있는데, 이는 윤리적, 그리고 임상적인, 복잡성이나 다양성에 대처하는 기본적 역량을 제공하지 못하게 되는위험이 있다.


어떤 윤리교육은 체크리스트를 제시하고 활용할 수 있는 기전을 제시하는 데서 멈추게 되는데 이는 학생들이 윤리적 사고를 절차로오인하고 견해의 적절성을 평가하는 데 무관심하거나 임상적으로중요한 환자와의 관계에 적극인 자세를 취하지 않게 만들수도 있다.의료인은 비록 환자와 같이 문제의 일차적인 행위자(primary agent)가 아니라도 윤리적 문제에 대한 경험과 훈련을 바탕으로 다양한측면을 통찰하고 지혜로운 방안을 찾아내도록 훈련받아야 한다(Cowley, 2012).


의료윤리교육의 효과와는 무관하게 의료윤리교육이 적절성하게이루어지고 있지 않다는 비판도 존재한다. 우리나라에서 의료윤리현황에 대한 몇 편의 분석이 있으나 이 논문들에서는 아직 교육여부, 교육자에 대한 본격적인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고 보기는어렵다. 유럽의 경우 의료윤리교육는 윤리에 대한 전문성을 갖추지못한 교육자에 의해 전체 교육과정 중 극히 짧은 기간 제공되는것으로 조사된 바 있다(Ten Have &Grodijn, 2012). 이런 평가는의료윤리 분야 전문성이 무엇을 의미하는지 정의가 불명확하고 태도의 일부로서 교수되는 의료윤리의 특성을 완전히 반영하는 것이아니라는 점에서 조심스럽게 받아들여야 하겠지만 그 수업의 양과질에 관해서는 외국에서도 비판적인 평가와 지속적인 논의가 이루어지고 있음을 보여준다.



2) 한계의 원인


의료윤리교육의 한계에는 구조적인 원인이 존재한다. 강의 중심으로 이루어지는 오늘날 의학교육은 일반적인 한계를 갖고 있는데,학생들이 문제를 인식하고, 대화하고, 논쟁하도록 만드는 것이 윤리교육의 핵심이지만 강의로 제공되는 윤리교육의 경우 학생들은 의료윤리를 부차적인 프로그램으로 여기는 경향이 있다. 전통적인 강의실 교육에서 학생들은 수동적으로 앉아 있지 적극적으로 토론에참여하지 않는다. 학생들은 자신의 수업이 실제 어떻게 기능하는지알고 싶어 하며(일종의 실험실 시스템), 다양한 배경이 실제로 어떻게 기능하는지 통합적으로 알고 싶어 한다. 그러나 강의는 이런필요를 충족시키지 못한다(Miller &Loike, 2012). 숨겨진 교과(hidden curriculum)의 문제도 무시할 수 없는데, 강의실에서 전달되는 도덕적 해답이 현장에서 임상적인 의사결정과 일치하지 않을때 학생들은 후자를 더 구속력 있게 받아들이게 될 것이다(Bissonetteet al., 1995). 단적인 경우 학생들은 윤리적이라는 점을 인정한후에도 ‘이것이 합법인가?’라는 질문을 제기한다(Olick, 2001). 이런 학생들의 태도는 학생들이 의학교육에 접근할 때 실질적으로어떤 차이를 가져오는가에 관심을 갖고 있음을 드러내고, 교육자들이 이론과 현실 사이의 균형점에 천착해야 할 필요성을 드러낸다.의료윤리를 프로페셔널리즘의 일부로, 덕스러운 의사를 양성하는관점에서 접근하는 것은 이념적으로 바람직할지 모르지만 실제 의학교육에서는 다른 방식으로 이루어져야 할 수 있다. 프로페셔널리즘은 강의를 통해 얻어진다기보다 시행착오를 통해 얻어진다는 점을고려하여 롤모델과 성찰의 교육적 효과에 관심을 가질 필요성이있다.



4. 의료윤리 교육의 다양한 방법론: 무엇을, 어떻게 교육할 것인가?


앞에서 살펴본 것과 같이 의료윤리교육의 가능한 범위는 의사의품위 있는 태도나 몸가짐부터 도덕적인 숙고와 의사결정 및 법규정의 이해와 적용까지 너무 넓다. 일반적으로 말해 학생들이 자신의가치관을 행위에 맞추고, 윤리적으로 숙고해야 임상에서 어려움을피할 수 있다. 따라서 이를 위해서 윤리적 결정을 실행에 옮길 수있는 기술을 습득할 수 있도록 교육을 제공해야 할 것이다(McDougall, 2009). 그렇지만 만약 프래그머틱한 관점으로 의료윤리교육을 제한하더라도 졸업전의학교육의 윤리적 역량을 어떻게규정할 것인지의 문제는 여전히 해결되지 않았다. 예를 들어 학부과정의 목표를 일반적인 수준에서 멈출 것인지, 아니면 실제 의사결정능력까지 포함할 것인지와 같은 문제가 있다(Akabayashi et al.,2004; DuBois &Burkemper, 2002). 철학적 숙고능력은 어느 정도요구할 것인지, 법적 내용을 어느 정도 강조할 것인지와 같은 방법의문제도 해결되지 않았고, 그 담당 주체도 임상의학이나 실습에 어느정도 포함할 것인지, 아니면 예방의학/사회의학의 일부로 간주하여 교육할 것인지 잠재적인 논란이 있다.



1) 누가 교육할 것인가?


의료윤리를 교육자로 우선 고려할 수 있는 사람들에는 의과대학소속 의료윤리 전담 교원이 있다. 이들을 교육배경으로 구분하자면 철학 전공자와 임상가, 그리고 법률가로 나누어질 것이다. 의료윤리영역에서 법학과 철학의 기여가 절대 작지는 않으나 의과대학의 현실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도덕철학(윤리학) 전공자들을 의과대학에서 찾는 것은 한국이나 영국이나 미국이나 모두 쉽지 않은 일이다. 의료윤리를 전담하는 교원을 둔 대학은 영국에서도 16개소에 불과했고, 미국에서도 일관성이 없다는 보고가 있다(Mattick &Bligh,2006; Ten Have &Gordijn, 2012). 대부분의 의과대학에서는 임상의사들이 윤리를 교육한다. 이때 임상배경을 가진 교육자가 과정을이끄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즉 임상가가 주된 역할을 담당하되해당 전문가의 도움을 필요로 하며, 이를 조율하는 역할도 담당해야한다는 주장이 오래전부터 제기되었다(Welbourn, 1985).


그렇다면 교육자의 역할은 무엇일까? 우선 학생들이 도덕문제를바르게 이해하고 해결하는 능력을 갖추는 것이 가장 기본적이라는점에서 철학적 접근 역량을 제공하는 것이다. 철학적 접근은 동시에그 결론이 법적으로 구속력을 가지고 있다는 점을 확인시켜주는데까지 나가야 한다. 이런 점에서 의료윤리교육은 다양한 교육자들이 팀으로 접근할 때 가장 효과적일 수 있는 분야일 수 있다. 하지만 학생들의 발전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는 점에서, 그리고 이변화가 즉각적으로 감지되지 않는다는 점에서 학생들은 지속적으로접촉할 일관된 창구를 필요로 한다. 학생들이 윤리교육을 어떻게받아들이고 어떻게 변화하고 있는지 함께 탐구하고 상담할 수 있는교욱자가 필요한 것이다. 일부에서는 교육자들을 대상으로 하는 프로그램의 효과 및 필요성을 강조하기도 한다. 교육자그룹은 지속적으로 의학교육분야에서 경력을 추구하도록 동기를 부여하고, 학문적 성취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Chowning et al., 2012; Lord,2012).



2) 어떻게 교육할 것인가?


의료윤리교육의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학생들이 참여하고 지속적으로 문제의식을 갖도록 유도해야 한다. 장기적으로는 졸업후에도 윤리문제에 정기적으로 시간과 관심을 할애하도록 해야 한다.다음의 사안들을 고려해야 할 것이다(Zaikowski &Garrett, 2004).

  • 첫째, 윤리적 접근의 핵심사항에 대한 강의가 제공되어야 한다. 
  • 둘째, 의료윤리교육이 핵심과정의 일부로 포함되어야 한다. 
  • 셋째, 의료윤리분야에서 구체적이며 실질적인 지식을 제공해야 한다.


이 원칙하에서 강의, 현장방문, 임상실습 중의 토론, 임상술기,문제중심학습 등 다양한 수업방식을 고려할 수 있다. 각각의 수업방식은 장단점이 분명하며, 기관과 교육자의 여건에 따라 운영 가능성과 성과가 다를 수 있다. 여기서는 다양한 수업방식을 제시하고이에 대한 평가를 제시하도록 한다. 국내에서는 토론식수업, 임상사례토의 등으로 보완하지만 강의가 주된 교육방식을 이루고 있다.한편 강의에 있어서도 교수 1인의 강의와 다수의 교수가 블록형태로교육하는 경우가 있는데, 그 장단점이 존재한다.



(1) 강의

강의는 가장 기본적인 지식전달방식인데, 의료윤리교육에서는학생들의 반응을 찾아내고, 문제를 제기하고, 해답을 찾아내도록요구하는 강의법(소위 Socratic, didactic)을 익힐 필요성이 있다.의과대학의 강의에서는 흔히 발견되지 않는 태도라는 것이 문제다.의학교육자들은 제한된 시간에 필수적인 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중요한 덕목으로 인식하고 있기 때문에 이런 쌍방향 교육에는 어려움이있을 수밖에 없다. 강의를 통해 학생들은 사고의 틀을 학습하고이를 훈련할 수 있게 된다(Manson, 2012).


강의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온라인 강좌를 적극적으로 활용하거나 ARS (audience response sytem)를 활용한 상호작용 강좌를활용하는 방안도 제시되고 있다. 지식전달 목적의 강의를 줄이고토론과 문제해결방식에 집중하는 강의는 그 필요성이 매우 높다.한편 상호작용을 표면에 드러냄으로써 윤리적 관점을 파악하고 문제를 해결하는 동시에 학생 개인에게도 도덕적 낙인의 위험에도 불구하고 자기 견해를 옹호하도록 요청함으로써 교육적 효과를 얻을수 있을 것이다(Turban, 2012).


(2) 현장방문

임상, 또는 연구소 등 윤리적 문제가 발생하는 현장을 직접 방문하여 윤리적 관점에서 관찰하고 논의하도록 기회를 제공하는 프로그램이 가능하다. 이것은 담당 부서의 협조가 필요할 것이다. 예를 들어컬럼비아 의과대학의 BioCEP 프로그램이 있다. 40분 강의와 실제사례분석이 60–70%, 현장방문과 문제탐구가 30–40% 정도의 시간을 할애한다(Miller &Loike, 2012).



(3) 임상실습 중의 토론

임상실습과정에서 학생들과 실습경험을 성찰하는 기회를 정기적으로 갖는 것이 효과가 있다. 임상실습과정에서 학생들과 교수가윤리적 문제에 관해 공식적/비공식적으로 논의할 수 있도록 하는것이 학생들에게 전문직 내/간의 갈등, 비윤리적으로 인식되는 교수의 행동, 자신들의 경험부족을 인식하게 함으로써 발전의 동기를제공한다. 임상실습기간은 강의에서 다루어지지 않는 문제를 인식하고 토론할 수 있는 기회가 될 수 있다(Howard et al., 2012).임상실습기간에 특정한 사례에 대하여 임상가와 윤리학자 사이에 증례토의하는 기회, 소위 윤리집담회(ethics grand round)를 모든학생들을 대상으로 개최하는 것도 가능하다(Feudtner &Christakis,1994). 이 접근방식은 참석자의 적극적인 참여, 가치관과 실제 태도사이의 관계를 모색하도록 요구하는 점에서 효과적이다. 윤리적 사례를 검토하고, 성찰능력-학제간 협력-의사결정능력을 향상시키며, 정책을 개발하기 위해 임상에서 활용하는 것이다. 교육적, 임상적효과를 기대하고 개발한 이 프로그램은 결국 운영자의 관점과 능력에 성패가 달려 있다고 할 수 있는데, 대부분의 경우 프래그머틱한문제해결에 집중하는 행태를 보이지 윤리적, 규범적 근거에는 무관심한 태도로 발전할 위험성이 있다. 무엇보다 주어진 사례에 매몰되어 넓은 관점을 갖지 못하는 문제, 법적 관점에 국한된 논의 등의한계가 있다(Donaldson et al., 2010; Weidema et al., 2012).


임상실습과정에서 성찰을 기록하도록 하는 것은 일정한 형태를취할 수 있다. 학생들의 성찰과정에 직접 참여하는 방식(성찰노트작성)과 에세이 작성을 요구하는 방식(윤리에세이)이 있다. 전자는참여학생들에게 자신의 경험을 짧게 적고 최초의 느낌을 적도록유도한다. 지도교수는 무엇을 성찰할 것인지 학생들에게 제안하고,그 성찰은 윤리적 책무를 기록하도록 함으로써 마칠 수 있다(Verkerk et al., 2004). 한편 이러한 성찰은 에세이뿐 아니라 연극이나 그림 등 다양한 방식의 표현을 통해서도 유도할 수 있다(Roff& Preece, 2004).


(4) 임상술기(objective structured clinical examination) 활용

임상에서 환자를 접하는 문제의 중요성을 반영하여 임상술기 강의에 표준환자(standarozed patient)나 표준환자가족(S-family member) 등을 포함하는 임상술기방안을 고려할 수 있다. 이런 교육은 평가라는 측면에서 탐구할 가치가 있겠다(Downar et al., 2012;Singer, 2003).


(5) 문제중심학습(problem-based-learning)

문제해결능력에 집중하는 방식을 활용하려는 시도가 있고 일부에서는 강의에 비해 학습효과가 높다는 보도가 있다(Lin et al.,2010). 그러나 지식과 술식에 집중하는 문제중심학습방식의 한계점을 분명히 인식할 필요성이 있을 것이다.


(6) 그 외 보조적 방법

그 외에도 상황극이나 무용/노래 등 무대예술(performing art)을활용하는 방식이 있는데, 이 방식은 환자의 상황을 인식하고, 함께토론하고, 해결책이나 결과를 예측하여 학생들의 의사소통능력, 협력역량, 학습에 대한 열린 태도를 이끌어 내는 것을 목표로 학생들이예술전공자들과 팀을 짜서(2주 정도) 수행한다(McCullough,2012). 조금 일반화된 방식으로는 영화와 드라마 등 서사적 도구를사용하기도 한다. 서사를 활용함으로써 내용을 파악하고 분석하는훈련을 제공할 수 있다. 예컨대 문학평론의 기술은 윤리문헌이나관행을 비평하는 능력을 부여하고, 다양한 관점의 존재를 인식하고이해하는 데 도움을 제공한다. 보통 서사장르를 문제 제기하고 학생들의 관심을 환기시키려는 목적으로 사용하나 원칙적으로 서사는화자-환자-의 관점을 중요하게 고려하도록 요청한다는 데 주의해야 할 것이다. 한편 멘토링이나 코칭은 지속적인 접촉을 통해 지적능력과 윤리적 판단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점에서 주목할 교육방침인데, 이를 위해서는 전공에 국한되지 않고 일정 주제를 다루도록배정된 멘토와 접촉하도록 한다.




5. 한국의 의료윤리, 무엇을 어떻게 교육할 것인가?


2006년 제정된 “한국 의과대학 학습목표”나 2012년 간행된 “기본의학교육 학습성과-진료역량중심”에도 제시된 의료윤리와 법은일반적인 내용을 제시할 뿐 구체적인 행위기준 등을 제시하고 있지않다(Appendices 1, 2). 그리고 2012년 학습성과에서 언급된 의료오류, 생명유지장치 중지 등의 상황이 현재 의학교육에서 반드시 교육되는 내용인지에 관하여 고려가 필요하다. 즉 현재 임상중심의 교육에 쉽게 녹아들어 갈 수 있으며, 임상진료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방향으로 의료윤리적 고려를 반영하는 방식이다. 의료윤리 교육내용을 현실화하고, 적절한 수준에서 제공할 수 있는 방안으로 생각할수 있는 것은 주요한 임상표현에 관한 접근에 윤리적 고려사항을제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한 도구로는 윤리 사례에 대한 ‘네 주제표(the four topic chart)’를 활용하는 방안이 있다(Jonsen et al., 2010).각각의 임상표현에 관한 접근과정에서 윤리적으로 고려해야 할 4가지 요건, 즉 의학적 적응증(medical indications), 환자의 선호(patient preference), 삶의 질(quality of life), 그리고 고려할 요소들(contextual features)을 임상교육이나 의료윤리 교육과정에서 반영하도록 하는 것이다. 의료윤리 교과과정은 이런 요소들의 내용과윤리적, 임상적 의미를 설명하고 성찰할 수 있도록 하며 임상교육(특히 임상실습과정)에서 이를 되짚는 절차가 도움이 될 것이다.


한편 의료법과 의료윤리를 어느 정도 교육할 것인가의 질문이우리나라의 특성상 중요하다. 미국 등의 경우 윤리적 판단과 법적판단을 구별하지 않는 경우가 종종 있으나, 우리 법은 실정법을의료윤리 교육과정에서 무시할 수 없는 상황이다. 따라서 의료법을의료윤리교육에 포함시킬 방안을 모색해야 할 것이다. 현재 의과대학에서 제공되는 의료법규와 달리 의료행위를 둘러싸고 있는 다양한법적 고려를 학생들이 익히고, 이런 규범적 내용을 의료윤리와 통합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해야 한다.


종합하면 의료윤리교육의 제공방식을 결정하는 과정에서 강의,임상실습, 의료법과의 조율이 필요하다. 학생들은 의료윤리 강의를통해 의료윤리의 주요한 접근, 철학적 논증과 판단 근거, 주요한사례, 임상윤리 사례에 대한 접근방식 등을 습득할 수 있을 것이다.이어 임상실습과정에서 학생들에게 경험한 임상과에 해당하는 가치있는 윤리적 문제를 성찰하고 토의하는 시간을 가지고, 이 과정에서의료법적 고려를 통합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결 론


이상에서 의료윤리교육에 관해 고려할 사항들을 살펴보았다. 그러나 본고에서는 아직 몇 가지 중요한 문제를 다루지 못하였다.

  • 첫 번째는 의료윤리교육자의 문제이다. 서론에서 언급했듯 의료윤리학은 법학, 철학 등의 학문이 의료의 가치문제에 관심을 갖고접근함으로써 시작되고, 이들 학문이 의료행위에 갖는 함의를 교육하기 위해 의과대학 교육과정에 포함되었다. 그리고 의료윤리학 교육은 법학, 철학 등 의료윤리 전공자와 윤리적 문제에 관심이 있는임상가들의 공동작업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두 무리의 의료윤리 교육자 모두 자신의 적합성에 대하여 만족스러운 정도가 아니다. 임상가들은 윤리적, 법적 지식과 사례 분석경험의 부족을, 윤리학자들은임상의 구체적인 사안에 관한 지식과 경험의 부족을 생생하게 경험하게 된다. 그러나 임상가와 윤리학자들이 한 자리에서 강의하는형태의 강의(패널 또는 토론)는 종종 서로의 몰이해와 아집만을 확인하는 씁쓸한 종말을 짓는다. 결과는 학생들의 의료윤리에 관한 무관심 또는 회의다. 이런 상황을 극복하기 위해 교육자들이 훈련받아야한다. 필자는 교육자들이 모두 참여하여 솔직하게 논의하는 일이필요함을 강조하려 한다. 구체적인 임상사례를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교육 모듈을 개발하는 것은 교육자에게 확신을 부여하고 내용이 구체적이며 깊이 있게 만들 것이다. 
  • 두 번째로 학생들의 학습성과와 역량기준 선정의 문제가 있다. 지식의 차원에서는 임상증례에포함함으로써 어느 정도 해결할 수 있을 것이나 태도와 실천 차원(역량)의 경우 이를 평가하는 일은 의과대학생이 수련의, 전공의 과정을거쳐 성숙하는 과정에서 경험하는 윤리적 자신감/의지의 변화는지식의 차원에서 평가할 수 있지 않으며 그들이 경험하는 주변의환경과 깊이 관련있다는 점에서 그 성과를 쉽게 판단하기 어렵다(Huddle &Accreditation Council for Graduate MedicalEducation (ACGME), 2005). 다만 구체적으로 요구되는 행위(의학적 에티켓)를 임상술기 등에 반영하고 평가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이 절에서 다룬 두 질문, 교육자 개발과 평가기준의 개발은 더 깊은논의가 필요할 것이다.


이상에서 의료윤리교육이 해결해야 할 어려운 문제점과 지금까지 제시된 교육방법론 등을 살펴보았다. 의료윤리교육은 학제간 연구로서 다양한 관점이 병존하고 있다. 다양한 교육방법이 있으나어떤 월등한 효과를 가진 방법론이 없다는 점에서 교육자 자신의훈련과 교육이 필요하다는 점을 드러낸다. 가능한 최선의 의료윤리교육을 위해서는 임상과 연계해야 할 것이지만, 동시에 철학적/법적기반을 갖추도록 함으로써 사례에 대한 분석능력을 향상시킬 필요가있다. 의료윤리는 자신을 성찰하는 능력을 요청하는 바, 의학적 관점을 벗어나 사고할 수 있는 상상력을 갖추도록 유도할 필요성도 있다.다른 무엇보다 교육자들이 학생들과 지속적으로 교류하고, 가르치며 배울 마음가짐의 중요성을 인식해야 할 것이다.







Medical ethics has been integrated into the curriculum for medical education in Korea for over 30 years

now. There have been many attempts to establish standards for the educational objectives and curriculum,

including establishing learning outcomes and publishing medical ethics textbooks in Korean. However, this

task is not easy for several reasons: the interdisciplinary nature of the subject, educators’ lack of experience,

and the lack of a consensus on the criteria that would be effective educational goals. In this article, the

author explores (1) the need for reflection on the education itself, (2) two perspectives of medical ethics

education, (3) critical perspectives on the effectiveness of the current medical ethics education, and (4)

the variety of modalities of medical ethics education. Further, the author proposes a way to teach medical

ethics in Korea. The contents and means are closely related to the question of philosophy of medical education:

“Should professional ethics education be ‘realistic’ or ‘idealistic’?” Ethics requires educators to be open

to new learning experiences and to ethical development. Medical Ethics education should be relevant to

everyday clinical experiences and, at the same time provide students and educators to critically review their

ethical perspective through reflections.


Keywords: Medical ethics, Medical education, Professional ethics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의학전문직업성 교육 경험의 반성적 고찰

Reflection on the Experience of Medical Professionalism Education at Yonsei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안신기·부성희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의학교육학과

Shinki An · Sunghee Bu

Department of Medical Education, Yonsei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서 론


포괄수가제의 적용을 받는 질환에 대해 수술 거부라는 대처방안이 대한의사협회를 통해 나오고 있다(대한의사협회, 2012). 대중매체와 언론에서는 비판의 목소리가 끊이지 않는다. 대한의사협회는 진료의 질적 수준의 저하가 우려되므로 반대한다고 하지만 보건복지부의 견해는 이와는 아주 다르다. 첨예한 대립이다. 의과대학학생이 이런 상황을 겪어내는 것은 일반인과는 그 의미가 다를 것이다. 한 4학년 학생과의 면담 중에 “좋은 의사란 무엇인가를 다시고민하게 되었다”는 이야기를 듣는다. 환자만 잘 치료하면 좋은 의사가 될 수 있을 것이라 생각했는데 그것이 아닌 것 같다는 이야기다. “그렇기 때문에 학교에서 의료와 사회, 의학의 이해라는 과목들을 개설하고 공부하는 것이잖아?” 이렇게 반문했을 때 학생은 이렇게 대답했다. “네, 그렇기는 하지요. 그러나 좋은 의사가 되는 것에 이렇게 거시적이고 큰 의료환경의 문제가 있는 것인 줄 실감하지 못했었습니다. 의사들이 연일 이렇게 비판과 공격을 당하는 상황을 대하고서야 비로소 실감하게 되네요. 교수님, 좋은 의사가 되는 것이란 무엇일까요?”


새로운 밀레니엄의 시대라며 소란스럽게 시작했던 2000년에 대한민국의 의료계는 그야말로 역사에 없던 전혀 새로운 경험을 해야 했다. 의약분업의 전격적인 시행이라는 ‘사태’ 앞에서 당시 의료계에서는 ‘의료파업’이라는 초유의 초강수로 대응했고, 이것은 ‘의료대란’이라 일컬어진 결과로 이어졌다. 이 사건을 “패자들의 전쟁”이라 했던 사회학자 송호근(2001)은 이 일을 통해서 “의사들은 직업적 정체성과 존엄성을 잃었고, 정부는 원칙 없이 흔들렸으며, 국민들은 의료비 인상과 불편을 감수해야 했다”고 지적했다. 이처럼여러 다양한 의견, 작금의 포괄수과제(대한의사협회 보도자료,2012)와 같은 첨예한 대립과 갈등이 있는 주장들이 충돌하는 사회가운데서 전문직을 수행하는 전문인(professional)으로서의 역량에는 생의학적인 지식에 더한 다른 영역의 역량이 있어야 함은 분명하다. 1970년대 후반을 들어오면서 미국에서 의학전문직업성에관한 명시적인 논의가 시작되고 90년대 이후에는 의학교육의 본질적인 부분으로서 인정되어 적극적인 도입을 한 것은 의사들이 전문가로서 활동해야 하는 사회적 환경에 대한 진지한 고민과 반성의결과이고(Stern & Papadakis, 2006), 그것은 우리 사회와 우리 의학교육도 마찬가지라 여겨진다. 1990년 후반부터 의료의 윤리성 혹은인성교육에 관한 진지한 논의가 시작되었고, 2000년에 경험한 충격적인 사회적 현실은 의학전문직업성 교육에 관해 관심을 가지고 있던 교수들에게 의학교육에 변화가 반드시 필요하다는 확신을 주게되었을 것이고 이는 의료인문학 교과과정의 도입으로 드러났다(정철운, 2004; 맹광호, 2008).


한편 의학전문직업성의 정의가 매우 다양하고 역동적이며 일치된 바가 없어 그 정의에 대해 논의하기에는 어려운 점이 있다(Passiet al., 2010). 역사적으로 1910년 Flexner가 탁월한 교육과 확고한과학적 토대 위에 의사를 양성한다는 비전을 제시하였고, 그가 제시한 의학교육의 틀은 지난 1세기를 이끌어왔으며(Cooke et al.,2006; Irby et al., 2010) 오늘의 의학발전을 이루는 토대가 되었다.그러나 의사가 전문가로서의 역량을 갖추도록 하는 의학전문직업성 교육에는 의사와 환자와의 관계를 생의학적인 관점으로만 이해하는 것이 아니라, 그 기초 위에 환자라는 인격을 인간적으로 대할수 있는 역량, 또한 사회적으로 의료계가 직면하고 있는 도전이나해결해야 할 과제를 다룰 수 있는 사회적이고 거시적인 역량의 양성이 필요하고, 이를 위해서는 인문사회학적인 교육, 즉 의료인문학(medical humanities)이 필요하다(오늘날의 의과대학 학생들이 공부하는 의과대학들과 대학부속병원들의 환경은 전문화된 진료가더 세분화되어가고 있고, 의료기관의 대형화-집중화에 따라 단위시간당 이루어지는 의료행위의 집중도와 난이도가 과거에 비할 수없을 만큼 높아졌으며, 따라서 그만큼 바빠졌다. 그리고 교수들은연구에 늘 쫓긴다. 인간적인 교감을 가질 만한 시간적인, 정서적인공간을 가진 의사-환자 관계를 경험하기가 쉽지 않다. 임상에서의중요한 결정은 어떤 첨단기기의 검사 결과에 따라서 결정적으로 결정되는 것과 같은 느낌을 준다. 이런 환경에서 학생들은 의사되기를 배워간다. 강의실에서 학생들은 의사로서의 기본적인 책무는환자의 이익을 최우선으로 해야 하는 것이라 배우고 또 대답하지만, 정당한 보상을 받는 직업인으로서 의사들이 자신의 이익을 어떻게 추구해야 하는가에 대해서는 강의실에서 배운 것과는 사뭇다른 내용의 메시지를 실제 의료의 현장에 있는 선배들로부터 배운다. 상대적으로 매우 긴 교육의 과정을 통해서 사회적으로도 매우 중요하다고 인정받는 전문가가 되는 것이지만 정작 사회 가운데서 전문가로서 전문가다운 영향력과 지도력을 어떻게 발휘할 것인가에 대해서는 스스로 배워가고 있었던 것이다).


1908년에 첫 7명의 의사를 배출한 연세대학교 의과대학(연세의대)은 1971년에 이르러서야 China Medical Board기금으로 의학교육의 목적과 목표에 대한 연구작업을 진행하여 의학교육의 목적과목표를 명시화하기에 이른다(연세대학교 의과대학 CDP2004 위원회, 2002). 1996년에는 국내에서는 처음으로 의학교육학과를 독립된 과로서 개설하였다. 1886년 미국인 의사 알렌에 의해 서양식 의학교육이 시작된 이래 의과대학에서 행해지는 모든 교육이 당연히의학교육인데 의학교육학과라는 것이 별도로 필요한가라는 인식이 있었던 것을 생각할 때 의학교육학과의 개설이란 새로운 분야를개척하는 일이었다. 이와 같은 변화는 의료환경의 변화, 학생들의가치관과 생활방식의 변화 및 의학지식과 기술의 발전에 따라 교육내용의 변화 필요성이 대두되는 것에 효과적으로 대처하기 위한 것이라 할 수 있다.


의료계에 일어난 변화는 크고 지속적이었다. 의사의 역할과 전문 분야가 다양화되고, 의료정보 접근도의 신장에 따른 의료의 질적 수준에 대한 요구의 증가, 노년의학과 같은 새로운 분야의 성장,정보 분야의 발달에 따른 교육, 진료, 병원 관리환경의 변화, 의료에대한 권리의식의 강화에 따른 의료의 공적 봉사의 성격 강화와 같은 변화가 분명해졌다. 대체의학과 보완의학의 성장에 대한 대처가필요해지고, 국제화에 따른 국제적 사고의 신장과 폭넓고 국제화된안목이 필요하게 되었다. 동시에 대학의 자율성에 따른 독창적 교육과정의 수립의 가능성이 증진되었다. 이에 연세의대는 2001년Curriculum Development Project 2004 (CDP2004)를 출범시킨다.CDP2004 위원회는 1971년에 제정한 교육목표를 검토한 결과 교육목적과 목표가 의과대학을 졸업한 의사에게 기대하기 어려운 이상적인(idealistic) 의사상이라는 것과, 목표 자체가 포괄적이고 추상적이어서 교과과정과 학습목표로 구체화하기 어렵다는 평가 아래 학생들이 국제적인 지도력을 발휘하는 지도자의 소양을 가지도록 하기 위해 필수전문교육(general professional education)을 하되 획일적이 아닌 개개인의 학생에 맞는 다양한 교육과정을 지향하는 방향으로 새롭게 교육목적과 목표를 설정하였다. 그리고 그목적에 따라 교육과정을 개정하게 되었다. 교수중심의 강의식 교육에서 자율적 학습태도를 강조하고 학생들의 선택의 폭을 넓힌 학생중심의 교육으로의 전환, 의학전문직업성 교육에서 절실히 필요했던 의료인문학의 도입, 문제중심학습(problem-based learning,PBL)과 같은 새로운 학습법의 도입 등 CDP2004 curriculum이 가져온 변화는 획기적이었다. 이처럼 CDP2004를 통해 의료인문학이적극적이고 체계적으로 도입되고, 의학전문직업성 교육이라는 개념이 강조되기 시작하였기 때문에 지난 9년간의 CDP2004 교과과정의 시행경험을 반성적으로 고찰하는 것은 이후의 발전을 위해서필요한 일이라 할 수 있다.


대상 및 방법


연세의대 의학전문직업성 교육의 경험에 대한 반성적 고찰을 위하여 

    • 첫째, 의료인문학 강의를 교과과정으로 체계적으로 도입하게된 CD2004의 전개과정을 개괄하고 개정된 교과과정의 의미를 의학전문직업성 교육의 측면에서 평가하고자 하였다. 
    • 둘째, CDP2004교과과정을 통해 배출된2009학년도부터 2012학년도까지 졸업생을 대상으로 실시한 졸업설문지에서 의료인문학과정인 “의료와 사회”에 대한 강의평가 및 만족도, 선택과목에 대한 만족도, 의학과의사직에 대한 자기 이해, World Health Organization (WHO)에서 정의한 의사의 역할에 대한 인식에 대한 설문 결과를 분석하였고, 2009–2011년도에 광혜교육위원회에서 실시한 1-2학년을 대상으로 하여 실시한 “의료와 사회”에 대한 설문조사 결과, 그리고Curriculum Development Project 2013 (CDP2013) 위원회에서 의학과 재학생 252명을 대상으로 시행한 설문조사에서 “의료와 사회” 교과과정에 대해 주관식으로 대답한 결과를 범주화하여 평가결과를 분석하여 연세의대의 의학전문직업성 교육과 의료인문학교육경험을 반성적으로 고찰하였다.


결 과


1. CDP2004 교과과정에서 지향한 의학전문직업성 교육


CDP2004의 교과과정 개정은 크게 ‘무엇을 가르칠 것인가’와 ‘어떻게 가르칠 것인가’에 대한 변화인데, 이것은 연세의대의 의학전문직업성 교육의 지향점을 반영하는 작업이었다고 할 수 있다. 우선강의내용에 있어서는, 

    • 첫째로 의학과 1, 2학년은 강의, 3, 4학년은실습으로 구성하되 강의는 교실별-과목별 강의에서 장기-계통별통합강의로 전환하여 학생들이 기초의학과 임상의학을 통합적 안목으로 볼 수 있도록 하였다. 이에 따라 대형 강의형태의 수업시간은 2,531시간에서 1,440시간으로 감소하였는데, 이런 결정은 “학생들에게는 필요하지 않은 과도한 정보를 주어 학생으로 하여금 강의내용을 소화하는데 급급하게 하는 수동적인 학습을 하도록 하는것이 아니라 좀 더 효율적으로 필요한 내용을 가르치자는 목적”으로 이루어진 것이다(연세대학교 의과대학 CDP2004 위원회, 2002).강의의 내용은 학생으로서 반드시 알아야 할 내용이 무엇인가에대한 담당교수들의 토의를 통해 결정하였다. 
    • 둘째로 임상의학입문과정(introduction to clinical medicine)을 신설하여 1, 2학년들로하여금 임상에 조기 노출될 수 있도록 하였으며, 
    • 셋째로는 학생들이 사회를 이해하고, 환자를 생심리사회적(bio-psycho-social) 관점, 즉 통전적인 관점에서 볼 수 있는 안목을 키워주기 위한 과정으로서 “의료와 사회” 교육과정을 개발하였다.


이어 ‘어떻게 가르칠 것인가’ 즉, 교수-학습의 방법에 있어서는 자기주도형 학습 또는 자율적 학습태도를 갖추기 위한 변화를 시도하였다. 

    • 첫째로 교수가 강의를 통해 정보를 전달하는 것이 아니라학생들로 하여금 자기주도적인 학습경험을 하도록 돕는 튜터(tutor)혹은 촉진자(facilitator)로서 역할하는 PBL 교과과정을 신설하였는데 이 과정은 1학년 4분기와 2학년에 주당 4시간씩 진행하도록 하여 총 80시간을 배정하였다. 
    • 둘째로 선택과목을 확장하여 학생들로 하여금 관심 분야에 대해 자발적-주도적으로 선택하여 심화학습을 할 수 있도록 하였다. 선택과목은 임상 및 기초의학 분야에서 2004년 28개 과목이 개설된 이후 2011년까지 중앙값 50개의선택강의가 매년 개설되었고, 의료와 사회의 경우에도 다양한 주제로 선택과목을 개설하여 학생들의 선택에 따라 다양한 학습이가능하도록 하였다. 
    • 셋째로 의학과 1, 2학년의 경우 오후 시간에는가능한 강의시간을 배정하지 않아 학생들이 자율적으로 학습할수 있는 시간으로 전환한 것 또한 자기주도형 학습을 강조한 결정이라고 할 수 있다.


2. 의료인문학 교육을 위한‘의료와 사회’ 교과과정 신설


CDP2004 교과과정의 큰 변화는 “의료와 사회” 교과과정의 신설이다. 이 과정은 학생들로 하여금 인문사회학적 소양을 획득하도록 함을 목적으로 하였다. CDP2004에서 인문사회학적인 소양이란 첫째, 자신과 다른 타인, 타 집단에 대해 이해하고 그들과 함께더불어 사는 능력, 둘째, 문제의식을 가지고 그에 대하여 생각하고행동하여 해결할 수 있는 능력, 즉 인간, 사회, 역사, 자연, 환경, 진리등에 대한 질문을 던질 수 있고, 고민하고, 그에 대한 해결을 추구할수 있는 매우 포괄적인 지적 능력, 곧 단순한 의학지식만을 가지고는 이룰 수 없는 능력을 의미하고 이에 더하여 생각의 균형과 삶을풍부하게 누리고 감동할 수 있는 능력으로 이해하였다(연세대학교의과대학 CDP2004 위원회, 2002).


우선 의예과 교과과정은 2004년부터 ‘의료인문학’ 강의로 개설되었다가 2008년에는 ‘의학의 이해’ 과정으로 개정되면서 수업방식은 이론 강의, 독서 토론, 조별 발표 등으로 진행했고, 경험학습의기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수업과정에 대해서 반성적 사고를 통한 글쓰기 작업을 과제로 부과하여 포트폴리오를 작성하도록하였다. 학기말 필기시험은 논술형 문제로 출제하여 학생들의 문제인식, 논리적 전개, 논거의 적절성, 그리고 결론의 타당성 등을 평가함으로써 의학에 대한 관점을 어떻게 형성해 가고 있고, 또 그에 대해서 어떻게 자기주장을 할 수 있는지를 평가하였다. 2010년부터는‘생-로-병-사’라는 생애주기를 중심주제로 구성하였다(Table 1). 이를 사진, 연극, user created contents, 소설과 같은 창작과제와 함께패널 토론, 튜터교수와의 소그룹 토론 등과 같은 다양한 방식으로학습하도록 유도하여 과학적 주제들에 대해 창의적인 인문학적 사유와 경험을 가지도록 하였다(연세대학교 의과대학 CDP2013 사업단, 2012). 학생들이 주도적으로 참여하기 위해서는 적절한 양의 과제가 주어지는 것이 의미 있는 동기부여를 하고 있다는 것을 관찰할 수 있었다(안재희 & 전우택, 2011).





의학과 과정은 의료와 사회 교육과정의 목표의 상당 부분을 이미 다루고 있던 기존 교과과정(예방의학, 행동과학, 의료윤리, 의료법, 한의학)의 내용을 보강하여 포괄하였고, 아직 다루지 못했던부분을 새로운 교과목으로 개설하였다. 이에 따라 의료사회총론,리더쉽과 커뮤니케이션, 의료정책과 경영, 통합의학과 같은 교과목이 새롭게 개설되었다. 처음 교과과정이 편성될 때는 교과목이 블록강좌형태로 배열되는 구조였으나 2009년부터는 교과목의 구성을 학생들로 하여금 반복 노출되면서 심화학습이 되도록 하는 나선형 구조로 편성하였다(Table 2). 이에 따라 ‘프로페셔널리즘’ 교과목의 경우는 리더십(1학년)-진로선택과 리더십(2학년)-진로선택(3학년)-진로선택 및 직업전문성이해(4학년)와 같은 구성을 이루게되었다. 의료윤리의 경우도 본과 3학년 4분기에 이루어지던 것을 2학년과 3학년에 나누어 편성하였다. 총론의 경우에는 인간과 사회에 대한 이해로서 좀 더 내용을 심화하였고, 이에 따라 행동과학의시간을 줄이면서 의학사 강의를 추가하였다. 이는 의학에 대한 통시적이고 다면적인 이해 그리고 인문학적인 인간 이해를 도모하고자 한 것이라고 할 수 있겠다. 공통과정에 더하여 의학과 1–3학년의3분기에는 선택과목을 수강할 수 있게 하였는데, 2004년 5과목을개설한 이래 예술과 의학, 문화적 이해, 인권과 의료윤리, 보건정책,의사소통과 다면적인 인간이해 그리고 의학과 기독교와 같은 다양한 주제로 총 25개의 선택강좌가 개설되었으며 개설 과목수가 증가하는 추세에 있다(Table 3).







3. 학생 피드백을 통한 의학전문직업성 교과과정의 평가


의료와 사회 교과과정에 대한 긍정적인 평가는 의료에 대한 이해와 관점을 형성할 수 있었고(48.1%), 자신과 타인에 대한 이해와성찰의 기회가 되었으며(39.3%), 다양한 분야의 다양한 경험을 가진 전문인사들을 만날 수 있는 기회가 되어 그들의 비전과 경험을공유할 수 있어 인문사회학적인 소양을 함양할 수 있는 기회가 되었다(28.6%)는 것이었다. 이에 더하여 의사의 역할과 책임에 대해서 자각할 수 있는 기회가 되었다는 것(21.4%)과 개인적 관심 분야의 계발의 기회가 되었다는 것이었다(Fig. 1A).





의료와 사회 교과과정이 나선형 교육모델을 통해 학생들이 학습의 주제들에 반복적으로 노출되되 심화된 내용으로 경험함으로써효과적인 학습이 되도록 계획하였으나 같은 주제가 반복되는 경우에 그 내용의 차별성이나 심화가 뚜렷하지 않아 학생들로부터 같은내용을 반복한다는 반응과 평가를 받았다. 상당수의 과정이 여러명의 강사에 의해서 진행되면서 강의내용이 강사들 간에 충분히조율되지 못해 다른 제목임에도 불구하고 같은 내용이 반복되는경우가 적지 않아 학생들로 하여금 그 내용 면에서 별로 들을 것이없다는 반응을 보이게 하였다. 이러한 사실은 범주화된 학생들의비판에서 확인되었다. 과정에 대한 비판 중 가장 빈번하게 드러난것이 과정이 비실제적이고 추상적이며 피상적인 내용이라는 것이었다(42.1%). 이어 강의주제의 중복과 내용의 비연계성(28.6%), 상호작용의 결여(21.8%), 부적절한 강사선정과 수업시간 분배(20.6%)의 문제 등이 지적되었다. 특기할 것은 이 과정의 학습성과평가방식이 적절하지 못하다는 지적이 32.9%로 두 번째로 많이 나타난 비판이었다는 것이다(Fig. 1B). 이러한 사실들은 의료와 사회 교과과정을 맡아 운영하는 책임교수의 역할이 매우 중요하며 이 과정에참여한 교수들 간에 사전 조율과 전체적인 강의운영계획을 구체적으로 수립하는 것이 중요한 사실임을 알 수 있다.


강의만족도에 대한 광혜교육위원회의 설문 결과를 보면 1학년이 2학년보다 강의만족도가 높았다(Table 4). 2009년 1학년이었던학생이 2010년 2학년이 되었을 때, 또한 2010년 1학년이었던 학생이2011년 2학년이 되었을 때의 만족도가 유의하게 감소되는 것을 관찰할 수 있었다. 1, 2학년 학생들 모두가 다 의료와 사회의 강의평가의 적절성에 대해서 낮은 만족도를 보이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강의에 대한 종합적인 만족도 평균이 3.01–3.39였는데, 강의에 대해서만족한다는 긍정 점수가 4점 이상인 것을 고려할 때 이 강의에 대한 만족도가 높은 않은 것을 시사하는 것이라 하겠다.


4. 연세의대 졸업생들의 전문직으로서의 의사에 대한 자기 이해


2005년부터 2012년까지 졸업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의 결과 전문직으로서 의료인에 대한 사회적 평가 및 전망에 대한 졸업생들의 인식을 보면(Table 5) 

    • 첫째, 전문직으로서 의사에 대한 경제적 보상과 사회적 존경에 대해서는 부정적인 전망을 가진 경향이 뚜렷하고
    • 둘째, 의사로서의 책임을 다하기 위해서는 개인적인 삶의 희생이 여전히 필요하다는 인식을 보였다. 

이렇듯 의료직에 대한 사회적전망과 개인적인 삶에 대한 부정적인 평가에도 불구하고 의과학의발전에 대한 신뢰, 그리고 의료인의 사회적 영향력에 대한 긍정적인인식은 여전히 견지하고 있었다. 질병의 회복보다는 환자를 고통으로부터 자유롭게 하는 것이 의사의 가장 중요한 가치라고 인정하는 학생이 변함없이 많아 병든 장기가 아니라 아파하는 인간으로환자를 보고 대해야 한다는 의사의 책임에 대해서 지지를 보내고있음을 알 수 있다. 지급능력에 관계없이 적절한 진료를 받을 자격이 있어야 한다는 것에 대해서는 다소 차이가 있으나 그렇다는 지지를 보낸 졸업생들이 더 많은 경향을 보인다. 그러나 개인적인 차원에서 환자가 회복되는 것을 지지하는 것에 비해서는 상대적으로지지하는 수가 적어 의료의 사회적 책임과 분배의 문제에 대해서는덜 관심을 보이고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인턴으로서의 기본적인 지식과 술기의 습득이 이루어졌는가를물었을 때는 술기의 습득에 대해 부족함을 느끼는 경향이 있음을알 수 있었으나 2010년 졸업생부터 술기에 대해 그렇다고 응답한 학생 수가 현저히 증가하였는데 그것은 2009년 9월 개소한 임상술기교육센터에서의 술기교육의 결과라 할 수 있겠다. 의사소통 능력에대한 자기평가나 윤리적, 전문가적 가치에 대해서 숙지정도에 대한자기평가도 2008년 이후로 꾸준히 증가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어의학전문직업성 교과과정을 통한 의료윤리와 의사소통에 관한 내용의 전달이 이루어지고 있음을 추측할 수 있다.


WHO가 정의한 돌봄제공자(care giver), 의사결정자(decisionmaker), 의사소통자(communicator), 지역사회지도자(communityleader), 관리자(manager)로서의 의사역량에 대한 CDP2004 졸업생들의 응답을 보면, 의과대학 교육이 돌봄제공자, 의사결정자로서의 역량을 갖추는 도움을 주었다는 긍정적인 응답을 한 학생이 총응답자 456명 중 각각 316명(69.3%), 317명(69.5%)였던 것에 비하여지역사회지도자로서의 역량을 갖추는데 도움을 주었다는 응답 수는 227명(49.8%)로서 상대적으로 응답수가 적었다(Fig. 2).





Care-provider. Besides giving individual treatment “five-star doctors”must take into account the total (physical, mental and social) needs of the patient.  They must ensure that a full range of treatment - curative, preventive or rehabilitative - will be dispensed in ways that are complementary, integrated and continuous.  And they must ensure that the treatment is of the highest quality. 


Decision-maker. In a climate of transparency “five-star doctors” will have to take decisions that can be justified in terms of efficacy and cost.  From all the possible ways of treating a given health condition, the one that seems most appropriate in the given situation must be chosen.  As regards expenditure, the limited resources available for health must be shared out fairly to the benefit of every individual in the community.

 

Communicator. Lifestyle aspects such as a balanced diet, safety measures at work, type of leisure pursuits,  respect for the environment and so on all have a determining influence on health.  The involvement of the individual in protecting and restoring his or her own health is therefore vital, since exposure to a health risk is largely determined by one’s behaviour.  The doctors of tomorrow must be excellent communicators in order to persuade individuals, families and the communities in their charge to adopt healthy lifestyles and become partners in the health effort.


Community leader. The needs and problems of the whole community - in a suburb or a district - must not be forgotten.  By understanding the determinants of health inherent in the physical and social environment and by appreciating the breadth of each problem or health risk “five-star doctors” will not simply be treating individuals who seek help but will also take a positive interest in community health activities which will benefit large numbers of people.


Manager. To carry out all these functions, it will be essential for “five-star doctors” to acquire managerial skills.  This will enable them to initiate exchanges of information in order to make better decisions, and to work within a multidisciplinary team in close association with other partners for health and social development.  Both old and new methods of dispensing care will have to be integrated with the totality of health and social services, whether destined for the individual or for the community. 



HRDJ_1_1_02.pdf




고 찰


1. 의학전문직업성 교육은 생의학적 의학교육과 상치되는 것이 아니다


환자와 사회가 요구하는 의료를 제공할 수 있는 의사를 양성하는 것이 의과대학에서의 교육의 일차적인 목적이라고 할 때 이에대해 전우택 등(2010)은 다음과 같이 기술하였다.


좋은 의사로 활동하도록 교육시킨다는 것은... 인간에 대한깊은 이해(인문학적 공감능력)와 사회에 대한 거시적 시각(사회과학적 능력)을 갖춘, 도덕적이고 윤리적인 따뜻한 의사가 되어야만 그들이 가지고 있는 의학적 지식과 기술이 제대로 작동될 수 있다고 보는 것이다. 이것을 한 단어로 요약한다면 ‘의사로서의 바람직한 프로페셔널리즘(professionalism)을 가진 의사를 키워내는 것’이라고 말할 수 있다.


이처럼 의학전문직업성, 혹은 프로페셔널리즘이라는 용어는 의학 관련 지식과 술기능력에 관한 생의학적 교육으로만은 좋은 의사를 양성하는 것이 어렵다는 반성적인 인식과 함께 의료와 관련된 인문사회학적인 지식과 관리능력 그리고 도덕적 책무성, 이타적인 사회지도자의 역할에 관한 인문사회의학 교육이 강조되며 사용되었기 때문에 의학전문직업성 교육이라는 것이 마치 생의학적인의학교육과는 상치되는 것처럼 이해되는 측면이 있었다. 국내의 의학전문직업성 교육이 교양교육적인 특성을 많이 보였다는 방재범등(2008)의 보고나 CDP2004를 진행하면서 교수들이 생의학적인의학지식을 가르치기에 시간이 부족한데 그 시간을 줄이고 인문학적인 교육을 하는 것이 과연 타당한 것인가 우려를 보인 것도 바로이러한 이해에 근거한 것이라 할 수 있다. 의학전문직업성에 대해의사다운 의사가 갖추어야 하는 행동, 규범 또는 상태로서 이해하고 있는 여러 기술을 고려해볼 때(American Board of Internal MedicineFoundation et al., 2002; Canadian Medical Association, 2002;Swick, 2000) 의학전문직업성은 생의학적인 관점에서의 의학적인역량에 더하여 심리적, 사회적, 나아가 영적인 측면까지 아우르는보다 포괄적인 개념으로 이해할 수도 있다. 이런 포괄적인 안목을갖추는 것이 의학전문직업성을 갖추는 것을 의미하기에 전우택 등(2010)은 “장래 의사가 되기 위해 임상상황에서 요구되는 전문의학적 지식, 임상술기와 함께 전문가적 자질을 함양시키기 위한” 교육이며, 따라서 그 교육은 “임상상황에서 자연스럽게 환자를 대하면서 가르치는 것이 이상적”이라고 기술한다. 그러므로 의학전문직업성 교육이란 생의학적인 의학교육과 상치되거나 다른 영역의 교육이 아니라 생의학적인 의학교육을 포괄하는 개념으로 이해되어야할 것이다. 교과과정에서 학생들 간의 경쟁 그리고 과중한 시험에대한 부담이 있을 때 타인을 이해하는 공감력(vicarious empathy)과 같은 인문사회의학적 역량 형성에 부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이전향적 관찰에 의해 보고되었는데(Newton et al., 2008) 이런 의미에서 연세의대 CDP2004의 교과과정에서 이루려 했던 기초와 임상을 통합하는 교육, 과도한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수동적으로 학습하는 교육이 아니라, 필수적인 내용을 학습하되 학생들이 능동적으로 참여할 수 있는 학습, 그리고 획일화된 교과과정이 아니라선택과목을 통해 자신의 관심에 따라 주도적으로 선택하여 심화발전을 시킬 수 있는 능동적이고 자기주도적인 학습태도를 가지며 인문사회학적인 역량을 가진 의사를 키워내고자 한 연세의대의 의학전문직업성 교육방향을 보이는 것이라 하겠다.


2. 의학전문직업성 교육은 이를 지지하는 환경의 구축이필요하다


1) 의료인문학 교과과정은 의과대학 강의실에 국한되지 않는다


광혜교육위원회 설문의 결과에서 의료와 사회 교과과정에 대한학생들의 만족도가 낮았는데, 학생들의 주된 비평은 강의내용이실제적이지 않고 추상적이며 피상적이라는 것이다. 학생들의 이러한 비평은 이미 관찰되어 보고된 경험과 다르지 않다(Goldstein etal., 2006; Shapiro et al., 2009) 의학전문직업성 교육에 관하여 창의적인 접근을 하고 있는 Washington대학의 경험을 소개한 Goldsteinet al. (2006)은 의학전문직업성 교과과정에 대한 보고에서‘professionalism’이라는 단어가 지나치게 많이 자주 사용되고, 부정적인 의미로 사용되고 있는 것과 학생들이 이 교과과정을 지나친 지시, 강의, 규율 그리고 도덕적인 언급을 중복하여 모아놓은 것이라고 평가한 것을 보고한다. 이를 검토한 후 의학전문직업성 교육에 있어서 추상화된 개념을 강의로 전달하는 것을 줄이고 의료전문가로서 기대되는 행동을 구체적이고 직접적으로 기술하거나학생들이 실제로 현장에서 의료전문가로서 어떤 역할을 해야 하는지에 대해서 배울 수 있도록 교과과정을 전환하기에 이른다. 학생들은 실제로 진료에 참여하는 가운데 일어나는 내러티브(narrative)를 통해서 강력한 의학전문직업성 교육경험을 가지게 되고(Passi et al., 2010), 실제 의료행위 현장의 내재적 교육과정에 의해더 강력한 영향을 받는다(Goldstein et al., 2006; Rogers et al., 2012).학생들이 강의실의 교과과정에서 배우는 것(formal curriculum)과 실제로 현장에서 배우는 내재적인 교과과정(hidden curriculum)의 가치들이 서로 상충되면 결국 학생들로 하여금 갈등을 일으키고 졸업할 때 냉소적이 되도록 만든다(Stern & Papadakis, 2006). 교수들은 의도적이거나 혹은 의도적이지 않게 나아가 알게 모르게긍정적이든 부정적이든 학생들에게 역할모델로서 지속적인 영향을 주고 있고 그 영향력이 매우 크다는 것이 현실이다(Berman etal., 2008; Rogers et al., 2012). 이처럼 의학전문직업성 교육은 의과대학만이 아니라 전공의 수련 그리고 병원 전체의 모든 단계의 요소들이 함께 긴밀하게 연관되어 이루어지므로(맹광호, 2007; 전우택 등, 2010; Newton et al., 2008; Stern & Papadakis, 2006), Goldstein(2006)은 학생들이 경험하는 교육적 환경 전체를 의학전문직업성의 생태계(ecology of professionalism)라고 하였다.


2) 의료인문학을 이해하고 그 역량성취를 적절히 평가할 수 있는교수개발이 필요하다


의료인문학 과정을 진행하는 강사선정이 적절하지 못하다는 학생들의 평가는 비의료인인 경우 의료의 현실에 대한 이해가 부족할것이라는 인식이고, 의료인인 강사인 경우에는 인문학적인 교과과정을 맡아 진행하기에 적합하지 못했다는 반응일 수 있다(전우택등, 2010). 이러한 학생들의 평가는 교과과정을 위한 교수개발이 필요함을 적시한다. 의학전문직업성 교육에 있어서 의료인문학의 중요성은 꾸준히 강조되어 왔지만 현재 교수들의 대부분은 의료인문학을 공식적인 교육과정으로서 경험해보지 않았다. 익숙하지 않은영역에 대해서 강의를 진행하는 것은 쉬운 일이 아니고 더구나 익숙하지 않은 전달방식과 평가방식은 더욱 어려운 일이다. 그러므로 실제로 의학교육을 맡고 있는 교수들에게 의료인문학과 의학전문직업성 교육이란 과연 무엇인지를 논의하고 이해하며, 의료현장과교육현장에서 어떻게 적용하고 가르칠 것인지를 찾도록 하는 교수개발이 시급하다고 할 수 있겠다.


광혜교육위원회 설문 결과에서 보면 학생들은 의료와 사회의 교과과정의 학습성과평가가 적절하지 않았다는 비판이 있었다. 사실의료인문학 학습성과를 단순히 숫자로 계량화하는 것은 인문사회의학적인 소양의 획득에 대한 평가로서는 적절하지 않다(전우택등, 2010; Shrank et al., 2004). 더구나 학생들은 그들이 어떻게 평가되는가와 그 평가의 결과가 미치는 영향에 매우 민감하다. 인턴과전공의 선발이 학생들의 성적에 의해서 크게 좌우된다는 사실을알게 되면 학생들은 그들의 학점을 관리하는 쪽으로 재빠르게 움직인다. 그러므로 학생들로 하여금 의학직업전문가 교과과정을 통해 전달하고자 하는 가치에 따라 태도와 가치관의 변화가 일어나도록 하려면 적절한 평가가 반드시 필요하다.


이를 위해서는 적절한 형성평가(formative evaluation)가 적극적으로 적용되어야 할 것이다. “형성평가는 과정에 초점을 맞춘 것으로”(Amin et al., 2006) 피드백을 받은 학생들은 자신의 부족한 것이나 수정할 부분을 교정할 수 있는 기회를 가질 수 있게 하는 것인데 현재 의과대학의 교수-학생 관계의 상황과 교과과정으로는 의학전문직업성에 대한 형성평가가 어렵다. 생의학적 지식에 대한 형성평가는 반복되는 지필고사를 통해서 어느 정도 가능하다. 그러나 의학전문직업성 교육에 대한 평가는 이러한 방법으로 이루어질수 없다. “본과 3학년은 학년 말에 있는 임상종합시험 한방에 가요”라고 학생들이 말하는데 그렇다면 그들이 임상종합시험에 이르기전까지의 실습과 학습의 과정을 어떻게 보낸다고 할 수 있겠는가?학생들에게 기대하는 바가 명확하고 그 역량을 성취하기 위해 무엇을 해야 하는지가 구체적으로 알려지며, 그 결과는 어떻게 평가할것이며, 평가에 따른 학생들의 책임이 무엇인지가 분명히 제시된 가운데 형성평가를 통해 충분한 교정과 발전의 기회를 주어졌을 때학생들은 자신의 학습성과에 대한 최종 평가 결과에 납득하고 수긍할 수 있을 것이다(Shrank et al., 2004).


교수만이 평가자가 되는 것이 아니라 학생들이 스스로에 대해서평가자로 참여하였을 때 동료를 평가하면서 평가자로서 객관화하는 능력을 배우고 또한 그들의 평가과정이 어떻게 인간관계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경험하는 기회가 될 수 있는데 이것은 팀 리더로서활동하게 될 의료전문가가 갖추어야 할 핵심역량 중의 하나이다. 이에 더하여 간호사, 그리고 환자들도 평가자로 참여하는 것이 다면평가의 방법이 될 수 있다. 실제로 교수들은 학생들이 당직을 설 때는 어떤 행태를 보이는지, 또한 동료들 가운데서는 팀원으로서 어떻게 그 역할을 하는지를 정확히 알 수 없는 경우가 많다. 실제 의료환경에서는 상급자만이 아니라 환자, 동료, 그리고 다른 직원 등으로부터의 다면적인 평가에 따라 훌륭한 의사인지 아닌지가 결정되기 때문이다. 나아가 비전문가다운 행동을 정의하고 이를 교정하기위한 구체적인 부분을 지적하는 평가와 동시에 탁월한 역량을 보이는 학생들로 하여금 격려받도록 하기 위해서는 이에 관하여 긍정적인 보상과 인정을 해주는 것이 필요할 것이다.


학생들이 자신이 받은 평가를 수긍하고 인정하려면 자신을 평가하는 교수가 자신을 알고 있음을 인정할 수 있어야 한다. 이것은 최근의 의학교육이 지향하는 역량근거 의학교육에서는 더욱 그러하다. 역량근거학습의 핵심은 학생 개개인의 핵심역량 성취 여부를확인 후 다음 단계로 가도록 하는 개별화된 교육과정이라 할 수 있다. 이 교육과정은 개개인의 역량 성취를 정확히 평가할 수 있어야가능한 것이므로 이를 위한 교육적인 환경의 조성과 의대를 포함한 병원 전체를 포함한 교육환경이 지향하는 가치의 재설정이 반드시 필요하다(Goldstein et al., 2006). 연세의대에서 현재 진행 중인CDP2004의 개정작업인 CDP2013에서 college system의 도입을 적극적이고 진지하게 논의하고 있는 것도 바로 이런 이유이며, 이처럼교육적인 환경을 구축하는 것은 교수개발의 매우 중요한 기초이다.


3) 교수들이 교육에 참여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환경과 문화의구축이 필요하다


CDP2004가 의과대학의 전통적인 교과과정에 획기적인 변화를도입한 것이기에 이러한 변화의 목적과 내용을 교육을 담당해야할 교수들이 이해하고 공유하는 것이 필요했다. 학생중심형 교육,능동적인 자기주도형 학습이 되도록 한다는 것은 교수들의 교육부담이 줄어든다는 것을 의미함이 아니다. 오히려 CDP2004 교과과정에서는 교수 일인당 교육시간이 오히려 더 증가되었고, 그리고 교수방법도 전통적인 강의가 아니라 새로운 형식의 교수방법이 도입되었다(과목-교실별로 진행되던 기존의 강의와 실습시간은 2,531시간에서 1,440시간으로 44%가 감소했지만, PBL, 임상의학입문,의료와 사회, 선택과목 등으로 인해 새롭게 편재된 과정으로 인해5,685시간이 늘어나 총 강의시간은 8,216시간에 이르게 되었다. 이를 교수 일인당 수업부담시간으로 보면 의학과 2학년의 경우 3.63시간에서 10.03시간에 이르게 되었다. 이에 더하여 PBL과 같은 새로운 교수법, 그리고 의료와 사회에서 새롭게 개설된 의료인문학과정을 운영을 위한 교수들의 교수개발이 필요하게 되었다). 이것은 교수들은 학생교육을 위해 시간을 투자하여 역량을 개발해야한다는 의미이다. CDP2004의 경과를 돌이켜 볼 때 교수들에게CDP2004로 인한 변화를 이해하고 공감할 수 있는 노력을 했음에도 불구하고 이런 변화에 대한 공감과 동의가 여전히 충분하지 않았던 점이 있었다(양은배, 안덕선, 2012). 그러나 그 근저에는 논문을 발표하지 않으면 도태되는 소위 “publish or perish”의 의과대학의 분위기, 그리고 버거운 임상진료의 부담이라는 현실이 있다. 이 현실로 인해 모든 교수들이 바람직한 의사를 양성하기 위해서는좋은 교육이 필요함을 원칙적으로 인정하고 있으나 교수들로 하여금 교육과 연구를 같이 행할 수 있을 것이라는 생각을 어렵게 하고있고 그러므로 교과과정을 변화시킨다는 것은 새로운 부담을 지우는 것으로 느낀다. 이는 미국의 의과대학의 경우도 마찬가지어서 연구에 비해 교육이나 환자 진료 혹은 사회적인 문제에 대해서 언급을하는 활동들은 덜 중한 것으로 여겨지고 있다(Cooke et al., 2006).


CDP2004 교과과정의 얼개는 자기주도형 학습을 지향했고 이 자기주도형 학습의 태도는 의학전문직업성의 핵심 역량 중의 하나이다(Duffy & Holmboe, 2006). 그러나 학생들의 자기주도형 학습도 결국은 지도교수의 적절한 지도와 평가 아래 있어야 그 학습의효과를 평가할 수 있다. 과거 한 학생이 한 교수를 접하는 기회는 대개 한 학기에 1–2시간의 강의와 1–2회의 회진시간인데 이를 통해 멘토링 관계를 형성한다는 것은 거의 불가능하다. 이에 비해 CDP2004에서 도입한 PBL은 튜터교수와 최소한 4주 정도의 지속적인 튜터링의 기회가 있기 때문에 교수-학생 간의 멘토링 관계가 형성될 수있는 기회가 될 수 있다. 그러나 CDP2004에서 PBL 과정을 운영해본 결과 적극적으로 PBL에 참여해 줄 교수를 찾는 것이 쉽지 않았다. 교수들이 우선 시간을 많이 할애해야 하고, 둘째, 강의가 아닌촉진자 혹은 튜터로서의 새로운 학습법에 익숙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이미 연구, 진료에 대한 부담이 있는 상황에서 PBL 과정 그 자체가 부담스럽고 낯설다면 이에 대해서 자발적인 참여를 격려하는 것은 어려운 일이다. 결국 교과과정이 의학전문직업성을 고양할 수있는 방향으로 변화되었어도 교수들의 참여를 충분히 지지할 수있는 교육적 환경이 조성되지 않으면 교과과정이라는 틀이 바뀌어도 그 실재는 변하지 않게 된다.


연세의대는 1996년 의학교육학과가 개설된 이래 1998년부터 교육에 관심을 가진 교수들이 의학교육 관련 논문 및 도서 주간 정기 초독회를 시행하였다. 이 초독회는 education grand round의 형태로 발전되었고 교수개발프로그램의 모체가 된다. 이는 학생교육이라는 본질적인 사명에 좀 더 관심을 가지고 교수 자신을 개발하도록 격려하기 위한 노력이었다. 그러나 교육에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 있도록 구체적으로 지지해주는 제도적 변화가 필요하다는 것이 분명해졌다.이에 2010년에는 교육중점교수제도 및 의학교육학과 겸무교수제도를 신설하여 의학교육에 관심과 역량이 있는 교수들을 확보하고자하였고, 이들이 교육중점교수로 활동하는 동안 교원업적평가의 기준을 특수목적계열에 따름으로써 교육을 위하여 상대적으로 더 많은 시간을 투자할 수 있도록 하였다. 2011년 CDP2004 교과과정 개정에 대한 필요성이 논의되면서 이 과정에 책임을 맡을 교수들을 대상으로 한 의학교육전문가 프로그램(Medical Education Scholar Association)을 시행하였다. 일부 교수가 아니라 의과대학 전체 교수들에게 학생교육에 대한 책임을 강조하기 위하여 2012학년도부터는 모든교수들이 교수개발과 관련된 세미나와 워크숍에 일정시간 이상을참여하여 교육평점을 이수하는 것을 의무화하여 이를 승진과 승봉의 조건이 되도록 학칙을 개정하였다. 이 교수개발프로그램은 의학교육학과의 교수개발센터에서 준비하여 진행하고 있다. 이러한 제도적 변화는 교수들로 하여금 학생교육에 보다 적극적으로 참여하고동시에 책임감을 가질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려는 것이라 할 수 있다.


미국의 인디애나 의과대학은 문화적 변화라는 전략을 통해 의과대학의 사회적 환경 혹은 내재적인 교과과정개선 과제를 진행했는데, 그 결과 학생들의 교육에 대한 만족도가 획기적으로 개선되고,학생들에 의해 주도된 논문 발표가 증가했으며 학생들과 교수들의평가에서 근무 및 교육환경에 유의한 개선을 이룰 수 있음을 보고하였다(Cottingham et al., 2008; Suchman et al., 2004). 이처럼 교육을 지지하는 환경의 구축은 단순한 보상으로 해결될 수 있는 문제가 아니라 모든 교수로 하여금 이 어려운 환경 가운데 학생교육을 감당해야 하는 것이 교수로서는 피할 수 없는, 동시에 본질적인도전임을 인정하고 이를 위해서 지속적으로 자신들을 개발해 나가도록 하는 문화 혹은 공동체를 형성하는 것이다(Lucey & Souba,2010). CDP2004를 통해서 배출한 학생들이 그들을 둘러싼 의료환경이 어렵다는 부정적인 현실인식에도 불구하고 그들이 장차 전문가로서 사회에 미칠 영향력에 대해서는 긍정적인 확신을 견지하고있는 것은 어려운 환경 가운데 있을지라도 의과대학의 본질적인 가치인 연구와 교육의 공존-상생의 길을 모색해야 하는 교수들의 사명과 책임을 다시 상기시키는 것이라 하겠다.


3. 가능성과 과제


Bryan (2003)은 의학전문직업성에 내재되어 있는 소명의 차원에관해서는 기초 직업전문성고등 직업전문성이라는 구분된 개념을 통해 설명한다. 

    • 상황과 환경이 잘 갖추어져 있을 때 기대되는 행동을 잘 수행하는 것을 기초 직업전문성이라 하였고 그 행동의 본질은 직업의 차원이지만, 
    • 황과 환경이 어려움에도 불구하고 자신의 이익을 넘어서는 가치를 추구하는 결정과 행동을 고등 직업전문성이라 할 때 그 결정과 행동의 본질은 소명에 닿아있는 것이라 하였다. 

CDP2004 교과과정을 거친 졸업생들은 한국 의료의 사회적환경이 어려운 현실이라는 이해를 가지고 있음이 분명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전문직으로의 의료인의 역할과 환자와 사회에 대한 책임감에 대해서는 긍정적인 태도를 견지하고 있다는 사실은 소명으로서의 의학전문직업성을 이해하고 있는 것이라 할 수 있겠다. 이런학생들의 태도와 인식은 의학전문직업성 교육의 많은 어려움과 장애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교육이 가능한 것이고 또 해야 하는 것임을 시사하는 것이라 하고 싶다. 그리고 앞서 고찰한 변화와 개선의필요들은 난제라고 해도 의학교육자로서는 내려놓을 수 없는 본질적인 과제임을 상기해주는 것이라 하겠다.


WHO가 정의한 의사의 역할과 역량에 대해서 CDP2004 졸업생들은 지역사회 지도자와 관리자로서의 역량의 획득에 대해 부족함을 느끼는 것으로 보고된 점은 의학전문직업성 교과과정의 개발에서 고려해야 할 점이라 생각된다. 연세의대에서는 다양한 사회기관들의 봉사활동에 참여하도록 하는 Severance Leadership Program,국제 비정부기구(non-governmental organization)나 국제기구 혹은 의료개발도상국가의 의료기관에 가서 봉사하는 특성화 과정,의학과 1학년의 교과과정의 시작을 봉사기관에서 봉사하는 것으로 시작하는 등의 시도를 하고 있는데 이러한 것은 지역사회에서책임있는 구성원으로서 그리고 지도자로서의 역량을 강화하고자하는 시도라 할 수 있겠다.


한편 CDP2004 교과과정을 시작한 후 졸업생들을 대상으로 한동일한 설문조사를 시행했지만, 입학할 때와 졸업할 때의 의료직업전문성에 대한 이해가 어떻게 달라졌는지, 그리고 이들이 졸업 후에 어떻게 자신의 진로를 선택해 가는지 그리고 그 선택이 과거와는 어떻게 다른 양상을 보이고 있는지에 대한 전향적인 관찰과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For decades medical educators have continually emphasized medical professionalism, which is reflective response

to the challenges of a rapidly changing medical environment. This study aimed to review the experience

of implementing medical professionalism education at Yonsei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YUCM). YUCM introduced

a new curriculum in 2004 designed by Curriculum Development Project 2004 (CDP2004), a project

that was launched in 2001. CDP2004 reorganized lectures as organ-based integrated lectures, introduced an introductory

course for clinical medicine and medical humanities courses for premedical and medical students.

Problem-based learning (PBL), elective courses, and self-study sessions in the afternoon were implemented in

order to equip students with a self-directed learning attitude as medical professionals. Professors were asked by

the CDP2004 curriculum to spend more time on student education and to adopt new teaching methods. Experiences

of the CDP2004 curriculum reveals 1) difficulty of motivating professors to be PBL tutors 2) students’ dissatisfaction

with the medical humanities course (major critique was that the course was impractical and unrealistic),

and 3) students’ optimistic understanding about their future role as medical professionals in influencing

and helping people in spite of their perception of the general medical environment not as promising. To foster

professionalism, the following are necessary in our experiences: 1) faculty development of medical humanities

and medical professionalism, 2) establishment of an environment throughout the whole institution to support

medical professionalism education and to integrate the concept into praxis, 3) emphasis on the fact that medical

professionalism education is not contradictory to biophysical medical education.

Keywords: Medical Professionalism, Educational environment, Faculty development

아주대학교 의과대학 환자/의사/사회 과정을 통한 의학전문직업성 교육 경험

Ajou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s Educational Approach to Cultivating Professionalism

채수진·신윤미·함기현·임기영

아주대학교 의과대학 인문사회의학교실

Su Jin Chae·Yun Mi Shin Ki Hyun Hahm Ki Young Lim

Department of Medical Humanities & Social Medicine, Ajou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Suwon, Korea



서 론


국내 의과대학에서의 의학전문직업성(professionalism) 교육에대한 관심은 그리 오래되지 않았다고 할 수 있다(전우택 외, 2002).의학교육의 근본적인 목적이 의사로서의 인격 완성과 자질함양이라는 측면에서 ‘인문사회의학’이라고 불리는 인문학 관련 교육이있어 왔지만(박정한, 1996; 이성낙, 1996), 의과대학에서의 의학전문직업성 교육에 관한 공식적인 관심은 의약분업 사태 이후 2000년에 들어와서라고 할 수 있다. 2001년에 개최된 제8차 의학교육합동학술대회에서 임기영(2001)은 ‘어떤 의학교육을 시켜야 할 것인가’라는 화두를 제시하면서 인문사회의학 교육이 왜 의과대학에서 이루어져야 하는지를 윤리적 측면에서 발표한 바 있다. 또한 한국의과대학장협의회(2000)는「21세기 한국의학교육계획」을 발표하면서 의과대학에서의 인문사회교육의 중요성을 선언하였으며,전우택 등(2001)은 의과대학에서의 사회의학 교육과정 개발연구를 수행하여 의과대학에서의 교육의 방향을 제시하기도 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노력에도 불구하고 현재 의과대학에서의 인문사회의학 교육 나아가 의학전문직업성 함양교육을 실천하는데 체계적인방안이나 정책대안이 아쉬운 실정이라고 볼 수 있다. 본 논문은 의과대학에서는 ‘인문사회의학’이라는 용어조차 생소하던 1994년부터 인성교육을 실행하고자 노력했던 아주대학교 의과대학(아주의대)의 교육 사례를 소개하고 의학전문직업성 함양교육에 대한 시사점을 찾고자 한다.


아주의대의 교육목표는 의학지식과 유능한 임상능력을 갖춘 의사의 양성에 국한된 것이 아니고 사명감, 책임감 및 윤리관을 가지고 지역사회에 공헌할 수 있는 자질을 갖춘 의사를 양성하는 것을포함하고 있다. 이를 위하여 1994년 3월에 개설된 의사학교실을 모태로 하여 1999년 3월 사회의학교육과로 개칭하였고, 2001년 4월인문사회의학(Medical Humanities & Social Medicine)교실로 확대 개편하였다. 2012학년도 현재 아주의대는 인문사회의학교실을유지하고 있으며, 현재 5명의 교수진을 확보하고 있다.본 논문은 아주의대가 의학전문직업성을 함양하기 위해서 교육과정을 어떻게 운영하고 있는지 아주의대의 교육현황을 구체적으로 살펴보고 앞으로 교육과정 변화를 지속적으로 실천해 나가는데 필요한 과제를 제시하고자 한다.


2009학년도 이전 교육과정


2009년 새 교육과정이 도입되기 전까지 아주의대 인문사회의학교과목 편성은 Table 1과 같았다. 의예과 1학년에서 의학과 3학년까지 총 10개 교과목이 개설되었으며, 시간으로 환산하면 340시간,학점도 18점에 달한다. 인성 관련 교과목으로 의사소통(30시간),의학의 역사(28시간), 의료인류학(16시간) 교과목을 의예과 과정에서 개설되었으며, 나머지 대부분의 과목은 의학과 3학년 임상실습과정 중 매주 수요일마다 정해진 시간에 운영되었다. 예를 들어,법의학, 의학윤리학, 리더십, 의료법규, 의학적 결정, 의료사회학, 실용영어 등이 그것이다. 특히 의과대학생들에게 미술 및 예술 등의분야를 접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고 인성교육과 접목하고자 의학과 예술 과목을 월 1회씩 년 10회를 운영한 것이 특이할 만하다.이들 수업은 강의와 토론, 발표와 토의, 비디오 시청, 영화 감상 등다양한 교육방법을 사용하여 이루어졌으며 아주의대 학생들로서올바른 가치관과 태도를 함양하고 도덕적이고 이타적인 의사로 성장하는데 그 목적이 있었다.





2009학년도 새 교육과정 도입


2006년 12월 통합교육과정에 대한 새로운 논의가 시작되어 2007년 7월 100명의 교수 중 97명이 찬성한 가운데, 그 해 9월 아주의대의 교육목적과 교육목표의 개정이 이루어졌고, 2009년 1월 ‘AjouCurriculum for Medical Excellence 2009 (ACME 2009)’라는 이름으로 아래 5가지 원칙에 의해서 새로운 통합교육과정이 시작되었다.

    • 1) 기초의학과 임상의학을 통합하여 장기, 계통별 통합교육을 기본 틀로 삼는다.
    • 2) 의과대학 교육목적 및 교육목표를 실현하는 교육을 실시한다.
    • 3) 통합교육은 과정 단위로 구성하며 과정 당 책임교수와 부책임교수를 둔다.
    • 4) 학생들의 자기 주도 학습 능력을 증진시키기 위해서 오후 시간은 강의 이외의 수업으로 진행한다.
    • 5) 교육내용에 따라 다양한 학습방법을 도입한다.

ACME 2009 개요는 Fig. 1과 같다. ACME 2009 통합교육과정은주로 의학과 1학년과 2학년 교육과정에 적용되는 과정이지만, 환자/의사/사회(Patient-Doctor-Society)와 임상실습입문(Introductionto Clinical Practice) 두 개 과정은 4년간의 전 교육과정을 아우르는 하나의 통합교육과정으로 획기적인 시도이라고 할 수 있다. 환자/의사/사회 1, 2, 3, 4과정은 기존의 10개의 교과목 340시간의 인문사회의학 교과목들을 128시간 8학점으로 재편성한 과정이다. 주임교수가 아닌 과정의 책임교수를 임명하고 교육목표를 실천하는교육영역을 설정하며 다양한 교수-학습을 도입하였다.





환자/의사/사회 과정 소개


1. 기본 방향


아주의대의 졸업성과 중 하나는 21세기 바람직한 의사상의 구현을 위하여 학생들이 인간의 본질에 대해 탐구하도록 하고, 다른 구성원과 관계 맺음을 할 수 있는 지식, 수기 및 태도를 개발시키는 것을 함양하는 것이다. 이러한 졸업성과를 달성하기 위해 아주의대는학생들이 인간의 본질에 대해 이해하고 스스로를 성찰할 수 있어야하며, 다른 직종 및 다른 사람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상호 관계지움을 할 수 있어야 한다는 것을 시기별 학습성과로 설정하였다.ACME 2009 새 교육과정으로 개편된 환자/의사/사회 과정은 질병,의사 중심이 아닌 인간, 환자 중심의 생물/심리/사회학적 모델에 근거한 통합적 시야를 가진 의사가 되기 위한 자질을 습득하고 미래의 의사에게 요구되는 덕목인 리더십, 의사소통능력, 경영관리능력,윤리적 직업 등을 배양하는 것을 단위별 학습성과로 설정하였다.한국의과대학∙의학전문대학원협회(2007)는 연구보고서에서 1)인간과 고통에 대한 이해, 2) 의료윤리의 이해, 3) 자신에 대한 분석과 개발, 4) 의료와 사회관계에 대한 이해, 5) 다른 사람과의 관계 유지, 6) 의사의 직업 전문성 등의 교육목표를 제시하였다. 이 보고서에서 제시한 교육목표를 4년간의 학년에 따라 배정하면 Table 2와같이 분석할 수 있다. 아주의대의 환자/의사/사회 과정은 한국의과대학∙의학전문대학원협회가 제시한 인문사회의학 교육목표와 그맥을 같이 한다고 볼 수 있다.





2. 환자/의사/사회 1


환자/의사/사회 1과정은 의학과 1학년 1학기에 17주 동안 2시간씩 총 34시간 진행되며 의학윤리, 의학사, 의학전문직업성, 의료와사회 등 4개의 큰 주제로 구성된다. 수업 내용은 Table 3에 보는 바와 같다. 대부분의 수업이 강의와 발표 및 토론으로 이루어지며 이론 중심의 지필시험으로 학생을 평가한다.


과정을 마치고 의학과 1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실시한 과정평가 결과에 의하면, 학생들에게 가장 도움이 된 점으로 학생들은 의과대학에서 지나치기 쉬운 인문학, 사회학적 내용들을 배울 수 있고, 의료와 사회의 관계, 의학전문직업성에 대해서 깊이 있게 생각할 수 있다는 것과 그리고 자유로운 토론수업 및 발표기회를 가지게 된 것이 좋았다고 대답하였다. 반면, 개선 및 건의사항으로 토론이나 발표준비를 위한 시간할애의 부담과 한 학기 동안 여러 주제를 다루다 보니 교수자간 내용연계가 체계적으로 되지 못한 점을단점으로 지적하였다.





3. 환자/의사/사회 2, 3


환자/의사/사회 2과정은 의학과 2학년 2학기에, 환자/의사/사회3과정은 의학과 3학년 2학기에 각각 17주 동안 2시간씩 총 34시간진행된다. 환자/의사/사회 2, 3과정의 수업내용은 Table 4와 같다.환자/의사/사회 2, 3과정은 같은 시기에 이루지는 통합교육 및 임상실습교육과 연계하여 관련된 토픽을 결정하고 찬반으로 나누어 토론하는 형식으로 진행된다. 사전에 결정된 주제에 대한 시나리오를학생들에게 고지하고 학생들은 환자, 의사, 사회적인 측면으로 나눠서 5-6명의 패널을 구성하여 주제에 따라 발표를 한다. 모듈에 등장하는 환자는 사회∙심리학적, 문화적, 경제적 문제들을 갖고 있고학생들은 이러한 문제들을 다루어야 한다.


환자/의사/사회 2과정의 주제는 해당하는 시기에 이루어지는 통합교육과의 연계성을 고려하여 정해진다. 예를 들어, 2학년 정신과행동 통합교육과정이 이루어지는 시기에는 지역사회에서 행해지는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의 선별검사에 대한 찬반 토론을, 생식 통합교육과정 시기에는 유전 질환을 갖고 있는 태아의 인공유산에 대한 찬반 토론 등을 각각 시행하였다. 각 모듈은 의학, 법학,사회학, 교육학 등 인문사회의학교실 교수들이 다학문중심(multidisciplinarybased)으로 접근하여 협동학습을 할 수 있는 문제들로 이루어져 있으며 환자/의사/사회 3과정은 환자/의사/사회 2과정에 비해 심도 있고 의료현장에서 경험할 수 있는 문제들로 이루어져 있다. 평가는 패널토의에 참가한 임상교수들의 교수평가와 학생들이 발표하는 동료들을 직접 평가하는 동료평가가 시행되었다.


인문사회의학교실 교수들은 주기적인 회의를 개최하여 통합교육과정 및 임상실습과의 연계를 고려한 모듈을 개발하였다. 환자/의사/사회 과정 책임교수는 해당 내용에 직접적으로 관련이 있는임상교수를 패널로 초청하였다. 환자/의사/사회 2, 3과정에서는 강의보다는 패널토의방식을 도입한 팀접근 협동학습(team approachlearning)을 적용하여 세련된 토론수업이 되도록 설계하였다. 의과대학 특성상 전문인력 확보의 어려움, 물리적 시간 확보 등의 한계가 있었으나, 환자/의사/사회 2, 3과정은 통합교육과정과 임상실습교육 간의 내용 연계성을 1차 목적으로 두어 수업 간의 연계성 부족이라는 인문사회의학 수업의 단점을 개선하고자 노력하였다.과정을 마치고 의학과 2학년을 대상으로 실시한 과정평가 결과,학생들은 토론주제를 통합교육이나 임상실습 진도에 맞춰 임상과연관된 내용을 공부할 수 있도록 한 점이 가장 좋았다고 대답하였다. 또한 학생들이 패널이 되어 직접 토론을 주관하고 전문가 교수의 코멘트를 듣는 방식이 신선하다고 응답한 학생이 많이 있었다.반면, 단점으로 패널토의방식과 동료평가실시를 지적하였는데, 패널토의방식이 생소하고, 고른 학생들의 발언 기회가 적어 학생참여가 제한적이었다는 점, 그리고 모두 열심히 준비한 동료들을 상호평가해야 한다는 점이 부담된다고 대답하였다.





4. 환자/의사/사회 4


환자/의사/사회 4과정은 2012학년도에 처음 실시하는 과정으로의학과 4학년 2학기에 15주 동안 2시간씩 총 30시간 진행되었다.Table 5와 같이, 새 교육과정으로 개편되면서 의료법규를 새롭게추가하여 흔한 의료소송과 판례, 보건의료 기본법, 한국 의료제도변화과정, 보건의료정책 등 의사로서의 직업전문성을 함양하는 데에 초점을 두었다. 또한 개인이력서 작성법(curriculum vitae), 영어논문 작성법, 참고문헌 작성법 등 졸업을 앞둔 4학년 학생들을 위해서 기존의 교육과정에서 다루지 않았던 내용을 추가한 것이 특이하다.





결 론


2009학년도부터 실시한 아주의대 환자/의사/사회 과정은 올해로4년째 시행하고 있으며 매년 과정평가를 통해서 개선점을 찾고 그내용을 교육과정 개발에 반영하고 있다. 지금까지 아주의대에서 시행하고 있는 환자/의사/사회 과정의 특징을 정리하면 아래와 같다.


    • 첫째, 환자/의사/사회 과정은 특정 학년에 일회적으로 개설되는것이 아니라 1학년부터 4학년까지 의학과 전 학년에 걸쳐서 이루어지는 종적 통합과 각 통합교육과정 및 임상실습교육 내용과 연관된 주제를 함께 다루는 횡적 통합을 실천하는 나선형 교육과정을꾀하고 있다. 이것은 급변하는 사회 변화 속에서 삶의 의미를 추구하는 것이 단락적인 현상이 아닌 것처럼 의학전문직업성의 함양을위한 교육과정 또한 의학교육 전체 기간에 걸쳐 이루어져야 함을의미한다.
    • 둘째, 환자/의사/사회 과정은 아주대학교 의과대학의 이념과 교육목표에 따라 그 특수성을 반영하여 구성되었으며 교육과정 편성에 의과대학의 자율성이 최대한 보장하고자 하였다. 아주의대는2007년 교육목적과 교육목표를 재정비하였는데, 의학전문직업성(professionalism), 역량(competence), 자기개발(self-development),리더십(leadership) 등이 그것이다. 환자/의사/사회 과정은 사회가요구하는 소명의식과 책임감, 품위와 윤리 도덕관을 갖춘 의사, 다양한 전문 분야에서 세계를 무대로 활동할 수 있는 지도적 역량을갖춘 의사와 같은 교육목표를 교육과정에 반영하고 실천하고자 하였다.
    • 셋째, 환자/의사/사회 과정은 지식, 수기, 태도의 전인교육을 지향한다. 의학교육이 단순히 지식을 습득하는 것 이상의 의미를 갖는 것처럼 의료인의 전문직업성을 함양한다는 것 또한 지식습득에국한되지 않도록 설계하였다. 교육방법 또한 기존의 강의 중심의교육방법을 지양하고 이론과 실제를 동시에 추구할 수 있는 다양한 수업방법을 도입 하였다.


환자/의사/사회 과정은 4년이라는 짧은 역사에도 불구하고 사회의 여러 측면을 생각하고, 성찰할 수 있는 기회를 갖고, 환자, 의사,사회에 대한 다각적인 시야를 넓히고 여러 분야를 경험해 볼 수 있다는 점에서 학생들에게 긍정적인 평가를 받고 있지만, 학습성과를 행동 동사로 설정하기가 어렵고 가시적인 평가 결과를 내기가 쉽지 않다는 단점도 있었다. 의학전문직업성 교육을 실천하기 위한교육과정을 설계한다는 것이 어려운 과제일 수밖에 없는 것이 이점에 있다. 인문학, 사회학적 지식에 익숙지 않은 교수자는 그만큼 ‘무엇을 가르칠 것이며,’ ‘어떻게 가르칠 것인가’에 대한 고민이 많이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앞으로 아주의대는 매년 평가를 통하여 환자/의사/사회 과정의 장∙단점을 면밀히 분석하여 보다 체계적인 교육과정으로 나아갈 것이며 장차 학생들이 존경과 사랑을 받는 지도자로 성장할 수 있도록 하는데 일조할 수 있도록 노력을 경주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observe how Ajou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runs its curriculum to cultivate

professionalism. The paper also proposes a plan for the next step for the school. The Patient-Doctor-Society

(PDS) course, begun in 2009, can be summarized by three characteristics. First, the PDS course is an integrated

curriculum that is not a one-time program for a specific grade, but a continuous program open for all medical

students. Second, the PDS course is designed following the philosophy and educational goals of the institution,

and the curriculum assures maximum autonomy. Third, the PDS course is ‘whole person education’ that provides

knowledge and teaches skills and an attitude. By analyzing the pros and cons of the program through annual

evaluation, leaders of the program at Ajou will continue to consider what to teach and how to do so.

Keywords: Professionalism, Patients, Doctor, Society, Curriculum

왜 의학전문직업성 교육인가?

Why Medical Professionalism Education?

반덕진

우석대학교 교양학부

Deok-Jin Ban

Department of Liberal Arts, Woosuk University, Wanju, Korea





서 론


전통적으로 대학교육은 특정 분야에 대한 전공교육과 일반 분야에 대한 교양교육으로 이루어진다. 전공교육이 학생들에게 직업적세계관을 형성시켜준다면 교양교육은 전인적 인간관을 심어준다.학생들은 전공교육을 통해 특정 분야에 대한 전문적 능력을 키우고 교양교육을 통해 인생관과 세계관을 형성해 간다. 학생들은 교양공부와 전공공부를 조화시켜 특정 분야에만 능숙한 전문가가아닌, 폭넓은 교양을 갖춘 전문인이 되도록 노력한다. 문학청년들이 열역학 제2법칙을 이해할 수 있어야 하듯이, 자연과학도들은 셰익스피어의 비극을 음미할 수 있어야 한다. 학생들은 자연과 우주,인간과 사회, 그리고 문화와 예술에 대한 폭넓은 안목을 갖춰 냉철한 두뇌와 따뜻한 가슴을 가진 지성인으로 성장해야 한다. 우리는폭넓은 교양의 바탕 위에 깊은 전문지식을 쌓은 인간의 모습을 이상으로 떠올리면서 교양적 지식과 전문적 지식은 서로 보완 관계에있다고 생각한다. 그러나 최근에 오면서 대학이 직업을 위한 교육장으로 변하면서 고도로 전문화되어 가는 학문의 세계에서 한 분야만이라도 제대로 전공하는 것이 교육현장의 급선무가 되다 보니,보편적 교양교육에 의한 전인적 인간형성이라는 교육적 이상은 점차 사라지고 있다.


현재 우리나라 의과대학의 교육현장도 이와 크게 다르지 않을것이다. 의학전문대학원으로 전환되기 이전의 예과 2년이나 전환후의 일반대학 4년의 기간은 학생들이 인간과 사회에 대한 체계적인 이해를 바탕으로 올바른 세계관을 확립하고 창조적 사고 능력을 배양하여 의사라는 전문가가 되기 이전에 필요한 인격적 바탕을 마련하는 시기일 것이다. 그리고 의학교육자라면 누구나 의대생들을 따뜻한 휴머니즘을 갖춘 의학도나 냉철한 과학성을 갖춘 전인적 의사로 키우고 싶을 것이다. 의학도들도 첨단 의술을 갖춘 과학적 의사이면서 인간에 대한 성찰이 가능한 철학적 의사를 꿈꾸며과학성과 인간성을 겸비한 의사를 추구할 것이다(반덕진, 2006).


그러나 그동안 축적된 방대한 의학이론과 지식을 습득하는 데에도 시간이 절대적으로 부족한데, 매일매일 새롭게 발견되고 있는연구성과가 더해져 학생들은 의대에 입학하자마자 자연과학적 지식에 매몰되어 의학공부에 전념할 수밖에 없다. 중고교 시절에 교양교육과 인성교육을 충분히 받지 못하고 대학에 온 학생들이 의과대학에 와서도 부족한 교양교육을 보충하지 못한 채 의학을 공부하게 된다. 이로 인해 생명이란 무엇인지, 인간이란 무엇인지, 건강이란 무엇인지에 철학적 성찰보다 병을 고쳐서 수입을 올리는 데에 1차적인 관심을 갖는 경우가 많다. 이로 인해 의료현장에서 의사에 대한 환자의 신뢰가 약화되고 불신이 깊어지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왜 의학전문직업성교육인가?”라는 문제의식아래에 오늘날 우리나라 의과대학 교육에서 의학전문직업성 교육이 왜 필요하고 의학전문직업성의 철학적 근거가 무엇인지를 살펴본 다음, 전문직업성을 갖춘 히포크라테스적 의사의 모습을 고고학적 차원에서 고찰해 보면서, 오늘 우리나라 의과대학의 전문직업성 교육에 포함되면 좋을 내용들을 검토해보고자 한다. 의학전문직업성의 철학적 근거를 고대 그리스 사상가들에게서 찾는 이유는서양의 학문사에서 명확한 연구대상과 독자적인 연구방법을 통해학문을 발전시킨 시대와 장소가 고전기 그리스였고, 이 시대에 전문직에 대한 철학적 성찰이 처음으로 기록되어 있기 때문이다. 그리고 의학도 마찬가지로 이전의 신비적 의학과 결별한 합리적 의학이 그 전문성과 윤리성을 겸비하여 진정한 의미의 서양의학의 출발점이 된 것이 그리스의 히포크라테스 의학이기 때문이다.


의학전문직업성 교육의 필요성


의학은 오늘날 전문성을 습득하는데 가장 오랜 시간이 소요되는 학문의 하나이다. 다른 학문의 습득과정보다 훨씬 긴 수련을 요하기 때문에 졸업을 하면 의학전문가로서 일반직 종사자보다 높은수준의 전문성을 갖추고 대체로 일반직 종사자들보다 높은 사회적평가와 경제적 보상을 받는다. 우리 사회에서 직업의 보장성과 경제적 안정성에 있어 의사라는 직업은 선망의 대상이 된다. 우리의 삶이 점차 의료화되어가는 상황에서 이런 경향은 더욱 가속화될 것같다.


오늘날 사람들은 병원에서 태어나 평생 동안 병원을 출입하다가영안실에서 이 세상과 작별한다. 탄생에서 죽음까지 생활이 의료화되고 있다. 생활의 의료화는 의학적 지식을 가진 의사와 병원에 대한 심리적 의존성을 높인다. 인간의 삶에서 건강과 생명은 가장 중요한 것이기에 질병을 치료하고 생명을 구하는 의사의 전문성은 대부분의 나라에서 법적 독점의 형식으로 보호를 받는다. 죽어가는사람도 살릴 수 있는 의술을 가진 사람도 국가가 인정하는 의사면허증이 없으면 치료할 수 없다. 오늘날 대부분의 국가에서 환자를치료할 수 있는 권한은 일정한 자격을 갖춘 의사들에게 독점적으로 주어진다.


이처럼 의사들은 의료 분야에서 독점적 지위를 보장받는 대신사회에 대한 일정한 책임의식도 요청받는다. 전문가들의 전문성은자신들의 권익을 위해서가 아니라 약자의 권익을 위해 사용되어야한다는 생각은 아마도 고대 그리스에서 탄생한 것 같은데, 의학 분야에 가장 잘 적용되어야 할 사고가 아닌가 한다. 개인의 이익을 넘어 공공의 이익을 우선하는 자세가 전문직업의식의 출발점이 된다.나아가 이것은 일반인이 전문직 종사자들에게 보내는 사회적 존경과 신뢰의 근거가 된다. 전문가들은 공인으로서의 일정한 사회적역할과 함께 일반인들보다 더 높은 윤리의식과 도덕수준을 요구받게 되고, 이에 부응해서 전문가들은 자신들의 직업적 전문성을 유지하고 사회적 의무를 이행하기 위해 그들의 직업적 행위에서 일정한 도덕성을 유지하고 실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그들은 자율적으로 동업단체를 조직하여 회원들이 준수해야 하는 윤리강령을만들어 실천하기도 한다(반덕진, 2011). 역사적으로 의사전문가 집단은 이런 전통을 가장 먼저 만들었고 의사단체의 이런 노력은 훗날 다른 전문 분야로 널리 확산되고 있다.


그런데 전문직업의식은 학생들이 배움의 과정에 있을 때 교육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으로 생각된다. ‘한국의 히포크라테스’라는 꿈을 안고 이제 막 대학에 입학한 학생들에게 나는 누구인지, 의학의본질이 무엇인지, 의학과 의술을 어떻게 공부할 것인지, 어떤 자세로 환자를 대하고 치료할 것인지, 의사로서 자기 인생의 최종 목표를 무엇에 둘 것인지 등에 대해 적절한 교육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이제 막 가치관과 윤리관, 직업관과 인생관이 형성되어 가는 이시기에 훗날 진료현장에 가서도 현실적 상황에 오염되지 않을 의사로서의 소명의식과 직업정신을 심어 줄 필요가 있다. 물론 신입생들중에는 의사로서의 숭고한 이상보다 다른 목적을 갖고 의대에 진학한 학생들도 있을 것이다. 의사라는 직업에 적성이 맞는지, 고통스런 수련과정을 견딜만한 마음의 준비가 되어 있는지 등에 대해 별다른 자기점검의 과정 없이, 사회적 평판이나 신분상승의 수단으로의대에 진학한 학생들도 없지 않을 것이다. 아니 오히려 오늘날에는이런 부류의 학생들이 더 많을 수도 있을 것이다. 만약 그렇다면 의학교육의 필요성은 더욱 커지게 되고 교육적 의미는 더욱 배가될수 있을 것이다.


예비 의사로서의 선천적 자질과 마음공부가 잘되어 있는 학생들에게는 그들이 설정한 의사로서의 이상과 목표가 올바른 것임을확신시켜주고 더욱 강화시켜주면 된다. 반면에 의사로서의 본질적사명보다 부차적인 목적에 관심을 가진 학생들의 경우는 그들의 생각을 바꿔주는 교육이 필요하다. 교육이란 인간을 바람직한 방향으로 변화시켜 주는 것이다. 아직 성장과정에 있는 학생들이므로 변화의 가능성은 충분하다고 할 수 있다. 인간은 불완전한 존재이기에 젊음의 한순간, 정신적으로 방황할 수도 있지만 언젠가 올바른 길을 망각하지 않는 존재이기에 교육자들은 한순간도 인간에대한 신뢰를 포기해서는 안 된다.


물질적 가치가 지배하는 자본주의 사회에서 현실적 부귀공명에경도되기 마련인 학생들을 교육을 통해 억지로라도 아직 그들이알지 못하는 가치가 있음을, 아직 그들이 체험해보지 못한 세계가있음을 알게 해야 한다. 그래서 그들이 지금까지 보지 못했던 신세계가 그들 앞에 펼쳐져 있음을 깨닫게 해야 한다. 항상 외부세계로만 향하기 마련인 그들의 시선을 자신들의 내면적 세계로 향하게하고, 의료자본에 대한 욕망이 꿈틀대는 그들의 가슴을 의사로서의 보람과 자긍심으로 채워줘야 한다. 의사는 기본적으로 인간애를 가진 사람이어야 하고 “인간에 대한 사랑이 있는 곳에 의술에대한 사랑이 있다”(Hippocrates, Precepts 6)는 말에서 알 수 있듯이, 인간에 대한 사랑(philanthropia)과 의술에 대한 사랑(philotechnia)이 서로 분리되지 않음을 알 수 있게 해야 한다. 의학교육을 통해 예비 의학도의 심혼(心魂)에 인간에 대한 사랑이라는 용어를 심어줄 필요가 있다.


의학전문직업성의 철학적 근거


서양의학사에는 의학의 전문화가 일찍부터 이루어지고 있음을보여주는 증거들이 있다. 기원전 13세기의 치료영웅이었던 아스클레피오스(Asklepios)는 몇 명의 자녀를 두고 있었는데(천병희, 2001),그들 대부분이 건강이나 의학의 전문가들이었다. 아스클레피오스의 자녀에 대해서는 기록이 서로 다르지만 아들 둘과 딸 둘의 이름이 유력하게 전해지고 있다. 

    • 첫째 아들 마카온(Machaon)은 외과의사의 자격으로 트로이 전쟁에 참전했고, 
    • 동생인 포달레이리오스(Podaleirios)는 형과 함께 트로이 전쟁에 참가하여 내과의사로 활동했다. 
    • 장녀인 휘기에이아(Hygieia)는 건강의 여신으로, 
    • 동생인 파나케이아(Panakeia)는 의약의 여신으로 알려져 있다. 

이처럼 아스클레피오스의 집안은 장남인 외과의사, 차남인 내과의사, 자기관리로 질병을 예방하는 건강의 여신, 초목으로 질병을 치료하는 약의 여신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이를 통해 질병을 치료하고 건강을증진시키는 직업들이 일찍부터 세분화되고 전문화되었음을 알 수있다.


진정한 의미에서 서양의 학문이 시작되는 기원전 5세기에 오면수사학, 철학, 역사학, 비극 등과 함께 의학도 학문적 체계를 갖추게된다. 기원전 5세기에 서양의학의 아버지로 알려져 있는 히포크라테스(BC 460-375)가 나타나 의학의 연구방법을 개척하면서 의술의 전문성이 더욱 깊어졌고, 훗날 의술의 전문성에 걸맞은 고도의윤리성까지 갖춤으로써 그는 서양의학의 진정한 출발점이 되었다.이제 의술은 행운이나 우연으로 얻는 것이 아니라 경험, 관찰, 추론을 통해 얻은 진정한 기예(techne)가 되었다. 그런데 의술이 테크네로 인정받으려면 어느 정도 전문성을 갖추어야 했고 의사의 전문성은 의사가 증상의 규칙성과 주기성을 얼마나 정확히 알아내는가,의사의 예후가 얼마나 구체적이고 정확한가, 그리고 의사가 환자에게 처방한 섭생법이 얼마나 정확한가에 달려 있었다. 의사가 지닌전문성의 수준은 유능한 의사와 무능한 의사를 구별하는 기준이되었다(반덕진, 2011).


의사라는 직업이 갖는 사회적 책임에 대해서도 이미 고대에서부터 철학적 근거가 마련되고 사회적 합의가 이루어져 있었다. 의사가지닌 의술은 그 대상이 되는 환자에게는 이롭지만 의술을 지닌 의사에게는 슬프고 고통스러운 것이라는 관념이 있어 왔다. 왜냐하면 의사의 고통은 환자의 고통을 대하는 순간 시작되기 때문이다.환자가 괴로워하면 이를 지켜보는 의사의 마음도 아프고 환자의 상태가 호전되면 의사의 마음도 한결 가벼워질 것이기 때문이다. 의사로서의 슬픔과 기쁨은 오직 환자의 상태에 달려 있는 것이다. 그래서 고대에서부터 의학의 목적은 의사의 이익이 아니라 환자의 이익에 있다는 인식이 강했다. 의사의 전문성과 그 의미에 대해서는 플라톤이 「국가」의 1권에서 길게 논하고 있는데, 여기서 소크라테스는 다음과 같이 말하고 있다.


의술은 의술에 편익이 되는 것을 생각하는 것이 아니라 몸에편익이 되는 것을 생각하오(Plato, Republic 1.342c) (박종현,1997).


소크라테스는 의사의 전문적 기술은 전문가 자신의 이익을 위한것이 아니라, 그 대상이 되는 사람의 이익을 위한 것이므로 의술도의사의 이익이 아닌 환자의 이익을 위해 존재한다고 말하고 있다.소크라테스는 이 말을 하기 직전에 다음과 같이 말한다.


“진정한 의사는 돈벌이하는 사람인가요, 아니면 환자들을돌보는 사람인가요? 진정한 의사인 사람을 말하시오” 내가 말했네. “환자들을 돌보는 사람입니다” 그가 대답했네(Plato, Republic1.341c) (박종현, 1997).


물론 이 말이 제자의 글을 통해 표현된 역사적 인물로서의 소크라테스의 것인지, 아니면 스승의 말을 빌려 플라톤 자신이 한 말인지 정확히 알 수는 없지만, 이 말은 다양한 전문직 가운데서도 의사라는 직업의 본질적인 목표가 무엇이고 의사의 존재의미가 어떤 것인지를 잘 보여주고 있다.


그 어떤 의사든 그가 의사인 한, 의사에게 편익이 되는 것을생각하고 행동하는 일은 결코 없고 환자를 위해 일한다네(Plato,Republic 1.342d) (박종현, 1997).


고전기 그리스인들은 어느 분야의 전문성이란 전문가 자신의 편익이 아니라 그 기술의 적용을 받는 자의 편익을 위해 사용되어야한다는 데에 공감하고 있었고, 이와 관련하여 아리스토텔레스도다음과 같이 말하고 있다.


의사는 다른 사람들에 대한 우정에서 이성에 반하는 행동을하는 일이 없이 환자를 치료해주고 보수를 받을 뿐이지만, 공직을 맡은 정치가들은 많은 일을 적들을 괴롭히고 친구들을 이롭게 하는 방향으로 처리하는 것이 관행이기 때문이다(Aristotle,Politics 3.1287a) (천병희, 2009).


위에 인용된 글을 보면 아리스토텔레스에게 당대의 의사와 정치가는 크게 다른 모습으로 비쳤던 듯하다. 그에게 의사는 비교적 전문가적 소명에 충실한 사람으로, 정치가는 자신의 이익을 우선하는사람으로 묘사하고 있는데, 여기에 마케도니아 궁정의 의사였던 아버지의 영향이 어느 정도 작용했는지는 알 수 없지만 의사의 바람직한 모습에 대한 그의 기대가 부분적으로 반영되었을 수도 있다.


모든 전문 기술은 자기에게 이득을 제공하는 것이 아니라 그다스림을 받는 쪽에 이익이 되는 것을 제공한다네. 다시 말해서더 약한 자의 편익을 생각하지, 더 강한 자의 편익을 생각하지않는다네(Plato, Republic 1.346d) (박종현, 1997).


좋은 의술은 환자를 위하는 의술이고 좋은 요리술이란 먹는 사람들을 위한 기술이듯이, 모든 기예는 그 기예가 적용되는 사람들을 위한 것이라는 의미이다. 따라서 어떤 전문적 지식도 강자가 아니라 그의 지배를 받는 그 대상을 위한 것이다. 그러므로 의사든 요리사든 지배자들은 피지배자들을 위해서 일하는 것이 된다(반덕진, 2006).


의술을 가진 의사의 목표는 진료비를 받아 이익을 취하는 것이아니라 환자의 건강을 회복시키는 것이며, 다만 그 의사의 돈을 버는 재능이 치료비를 받게 할 뿐이다. 물론 플라톤은 전문 기술과 그에 부수되는 돈 버는 기술을 완전히 분리할 수 없음을 인정하고 있다. 만일 그 일에 보수가 지불되지 않는다면 전문 기술자의 이익은없게 되고 따라서 그는 다른 사람의 고통을 덜어주는 수고를 하려하지 않을 것이다. 하지만 이 주장의 핵심은 의술은 개인적 이익과는 무관하며 전문직 중의 하나인 이상 그것이 처음 목표로 한 환자의 이익을 위해 봉사해야만 한다는 것이다.


「히포크라테스 전집」에 나타난 의사의 모습


전문성의 의미와 전문가의 역할에 대해 고전기 그리스 의사들의생각도 크게 다르지 않았던 듯하다. 의사들은 환자들을 어떻게 도울 것인가에 대해 고민했고 그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에 도달했다.


질병을 치료함에 있어 두 가지를 명심해야 한다. 환자에게 도움을 주든지, 아니면 적어도 피해를 주어서는 안 된다(Hippocrates,Epidemics 1.11) (Jones, 1923).


위의 인용문이 히포크라테스의 글인지, 아니면 그의 제자의 글인지는 정확히 알 수 없지만 이 글을 쓴 의사는 의학의 목적이 의사의 성공이 아니라 환자의 건강에 있음을 플라톤과 아리스토텔레스보다 먼저 언급하고 있다. “환자에게 도움을 주어라”라는 말은의사들이 항상 지킬 수만은 없는 이상적 목표이기 때문에 “피해를주지 마라”라는 말이 현실적 목표가 부가된 것 같다. 만약 환자에게 도움을 줄 수 없다면 적어도 부적절한 방법에 의해 환자의 상태를 악화시켜서는 안 된다는 것이다. 즉 ‘환자에게 최선의 이익이 되도록 진료하라’라는 윤리적 대전제가 당대 의사들 앞에 놓여 있었고(반덕진, 2006) 이런 정황은「히포크라테스 전집」의 여러 편에나타나 있다. 그 중「선서」에는 “환자를 돕기 위해”라는 표현이 두단락에서 사용되고 있는데 그 중 3단락에는 다음과 같이 나타나있다.


나는 나의 능력과 판단에 따라 환자를 돕기 위해 섭생법을처방할 것이며 환자들을 위해나 비행으로부터 보호하겠습니다(Hippocrates, The Oath) (Jones, 1923).


여기서 “환자를 돕기 위해”라는 구절은 의학의 대상과 목적이담긴 부분으로 의학의 대상은 ‘질병’보다 ‘환자’이며, 의학의 목적도‘치료’가 아니라 ‘도움’에 있음을 보여준다. 의학의 근본정신이 인본주의에 입각하고 있음을 엿보게 한다. 마지막의 “환자들을 위해나 비행으로부터 보호하겠습니다”라는 다짐도 앞부분의 “환자를 돕기 위해”라는 표현과 대응하는 표현이다. 의사는 “환자를 돕기 위해” 최선을 다하겠지만 “환자를 돕는다”라는 언명은 의사들이 항상 성취할 수 있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환자들을 위해나 비행으로부터 보호하겠습니다”라는 현실적 언급이 추가된 것이다.「선서」는의사의 삶에 대해서도 언급하고 있다. 5번째 단락에 다음과 같은내용이 나온다.


나는 나의 삶과 나의 의술을 순수하고 경건하게 지켜가겠습니다(Hippocrates, The Oath) (Jones, 1923).


“순수하고 경건한 삶과 의술”은 의사의 직업적 삶과 개인적 삶이결코 분리될 수 없으며 직업적 행위와 개인적 행위가 모두 정직하고성실해야 함을 함축하고 있다. 직업윤리와 개인윤리의 도덕적 합일이 진정한 의사의 완결요건으로 제시되고 있다(반덕진, 2006). 평생 동안 자신의 삶과 의술을 신체적, 정신적, 도덕적 측면에서 순수하고 경건하게 지켜온 의사는 영원한 명예로 보상을 받게 된다(반덕진, 2012).


「선서」는 의사의 이상으로 ‘명예 추구’가 제시되면서 마무리된다.의사는 ‘재물을 추구하는 사람’이 아니라 ‘명예를 추구하는 사람’이며, 환자들 사이에서의 명예가 아니라 모든 사람들로부터 영원한명예를 얻는 것이 의사의 이상적 가치로 제시되고 있다. 그러나「선서」의 내용을 위반하게 되면 그 반대인 불명예를 내려주도록 선서자는 기원하고 있다. 의사는 영원한 명예를 최우선으로 추구할 뿐다른 가치들은 부차적인 것으로 여긴다.


환자의 생명과 건강을 다루는 의업(醫業)은 전문적 기술과 고도의 윤리의식이 필요한 분야여서 고대에서부터 의사에게는 훌륭한의사가 되기 위한 덕목이 요구되었다. 의사는 우선 심신의 자제력을 갖추어야 했다(Hippocrates, Physician) (Potter, 1988). 의사로서의 선천적인 자질과 후천적인 교육의 중요성에 대해 당시 의사들은많은 관심을 보였는데 의사로서의 선천적 능력의 구체적인 요소에관해서는「예의에 관하여」에 기술되고 있다.


철학자인 의사는 신과 같다. 지혜(철학)와 의학 사이에는 큰차이가 없다. 사실 의학은 지혜에 필요한 모든 자질들을 내포하고 있다. 의학은 공정성, 겸손함, 신중함, 건전한 사고, 판단력,평온함, 단호함, 순수함, 정중한 언어…미신의 탈피, 탁월한 신성을 가지고 있다(Hippocrates, On Decorum 5) (Jones, 1923).


이와 반대로 무절제, 야만, 탐욕, 색욕, 사취, 몰염치는 의사의 금기사항으로 규정되고 있다. 플라톤이「국가」에서 양성하고자 했던이상적인 인간상도 철인 왕이었듯이 히포크라테스 학파도 철학적의사 상을 목표로 하고 있다. 히포크라테스 학파는 의사에게도 철학자적 소양이 필요하며 의사가 만약 철학자이면 그는 신과 같다고생각했다(반덕진, 2005).


히포크라테스 학파의 의사들이 추구했던 철학적 의사 상은「히포크라테스 전집」에서 가장 널리 알려진「격언집」의 첫 구절에 나타나 있다. 이 격언은 고대 의사들 사이에서도 가장 유명했던지,「격언집」에 담긴 400여 가지의 경구 중 첫 번째로 등장한다. 이 경구의정확한 의미에 대해서는 연구자들 사이에서 아직 만장일치의 의견이 이루어지고 있지 않지만, 우리는 이 경구에서 진정한 의사의 모습을 볼 수 있다.


인생은 짧고 의술은 길다. 기회는 순식간에 지나지고 경험은불확실하며 판단은 어렵다. 의사는 자신의 의무를 다하기 위해서 뿐 아니라 환자, 조수들, 주변 여건들과 협력하기 위해 항상준비되어 있어야 한다(Hippocrates, Aphorims 1) (Jones, 1931).


이 경구의 첫 문장은 곧바로 성찰적인 철학자와 숙련된 의사의모습을 보여 준다. 동시에 의술의 방대함과 인생의 유한함을 노래한다. 두 번째 문장에서 ‘기회(kairos)’란 의사가 개입해야 할 시점과 개입의 정도를 의미한다. 질병이 진행되는 과정에서 가장 올바른 방법으로 최적의 시기에 개입하는 것이 얼마나 어려운 일인지를말해주고 있다. 뒤이어 나오는 ‘경험(peira)’이란 의사의 오감을 통한 다양한 진단 경험들을 말하는데, 이것들 역시 상황에 따라 가변적이라는 것이다. 그리고 질병의 원인과 결과, 그리고 예후에 대한‘판단(krisis)’도 어렵다며 질병에 대한 이성적 판단과 합리적 추론이 결코 쉽지 않음을 토로하고 있다(반덕진, 2006). 결국 이 독백은‘경험’과 ‘관찰’, ‘판단’과 ‘추론’이라는 두 가지 의학방법의 한계를인정하면서 인간의 생명을 다루는 의학의 세계가 이처럼 불확실하므로 의사는 환자 치료에 혼신을 다해야 한다는 의미로 이해할 수있다. 이 불확실한 의술을 체득하기 위해 의학도들은 진지하고 경건하게 수련에 임해야 하고 환자의 진료에 모든 주의의무를 기울여야 한다. 이렇게 해도 죽을 때 까지 모두 습득할 수 없는 것이 의술이니, 의학도들은 의술의 방대함과 인생의 유한성을 깨달아 의사생활을 하는 동안 쉼 없이 의술의 연마에 정진할 것을 당부하고 있다(반덕진, 2006). 이 경구는 인생의 유한성, 의술의 방대함, 의술의한계, 의사의 준비성 등에 대해 많은 것을 함축하고 있다. 결국 이경구는 의학도들에게 의술에 관해 확실하게 말할 수 있는 것은 의술이 매우 불확실하다는 것이고, 의술의 주체인 의사는 의술의 불확실성과 불완전성을 줄이기 위해 진료실에서 겸손하게 만반의 준비를 갖추고 있어야 한다는 메시지를 담고 있다.


치료 효과의 불확실성을 낮추기 위해 의사들은 오늘날에도 실험실, 진료실, 수술실에서 새로운 의학지식을 발견하고 의술을 개발하기 위해 서로 돕고 협력한다. 스승은 제자에게 자신의 의술을 전수하고 제자들은 스승의 연구 위에서 출발하여 자신들이 새롭게얻은 지식과 기술을 그들의 제자들에게 물려주는 식으로 의술은세대를 이어가며 축적되고 발전한다. 이처럼 의학의 현장에서 나날이 쌓이고 새로워지는 의학지식과 기술을 충실히 익혀 진료현장에적용하기 위해 부단히 노력해야 하는 상황에서 어떻게 의사가 의술앞에 자만할 수 있을까? 그런데 의학지식을 계승하고 발전시키는과정은 달콤하고 화려하기보다 외롭고 고통스런 작업이다. 아직 알려지지 않은 인체의 비밀과 질병의 실체에 접근하기 위해 의사들은요란한 세상과 일정한 거리를 두고 실험실, 연구실, 병실에서 자신의 인식 욕구를 극한까지 밀고 가야 한다. 이런 과정은 필연적으로고독할 수밖에 없다.



결 론


오늘날 의학전문직업성 교육은 무엇보다 의대생들에게 강렬한직업정신을 심어줄 수 있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왜 의사는 평생 동안 자신의 삶과 의술을 순수하고 경건하게 지켜가야 하는가? 왜 의사의 개인적 행위와 직업적 행위는 도덕적 합일이 필요한가 등에 대해 쉼 없이 묻고 답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해 주어야 한다고 본다. 그리고 그들이 평생 본받고 닮고 싶은 이상적인 의사 상을 그들의 가슴에 새겨주면 좋을 것이다.


이를 위해 필자는 우리나라 의학교육이 히포크라테스의 격언으로 시작해서 히포크라테스 선서로 마무리되면 어떨까 하는 생각을 해본다. 즉 신입생들에게 “인생은 짧고 의술은 길다”라는 격언으로 첫 강의를 시작하고, 6년 과정을 마치고 현장으로 향하는 학생들에게 의대 강의의 마지막을「선서」로 장식해 주는 것도 한 가지 방법이 될 수 있을 것이다.


앞에서 살펴본 것처럼 히포크라테스의 격언은 의학의 세계가 얼마나 방대하고 여기에 비해 인간의 삶이 얼마나 유한한가에 대해, 그리고 의사의 의술이 얼마나 불확실하고 의사는 항상 준비되어 있어야 한다는 사실을 일깨워 주고 있다. 그래서 의과대학에 입학한 새내기들에게 1) 의학은 어떤 학문인가(의학의 성격), 2) 의학을 어떻게 공부할 것인가(의학의 방법), 3) 의학을 어떤 자세로 공부할 것인가(의학의 학습태도)에 대해 생각하게 해주는 문서로서 격언은 짧지만 유용한 자료가 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선서」는 의사의 신화적 기원부터 시작하여 의사 간의 관계, 의사가 환자에게 해야 할 일과 해서는 안 되는 일에 대해 언급한 후, 의사에 대한 최종 평가로 마무리된다. 의대 6년간의 고단한 수련기간을 마치고 진료현장으로 가는 의사들에게 1) 의사는 누구인가(의사의 정체), 2) 의사는 무엇을 하는가(의사의 본분), 3) 의사는 무엇을 추구하는가(의사의 이상)라는 물음에 대해「선서」는 충분하지는 않지만 나름대로 의미 있는 답변을 내장하고 있다.「선서」는 비록 짧게 압축된 문서이다 보니 현대 의학교육의 내용을 완벽하게 담아내지는 못하지만 졸업식장에서 한번 낭송하고 폐기하기에는 아까운 문서이다(반덕진, 2006).「선서」는 오늘날 의사의 전문직업성 교육이나 의료윤리 교육의 자료로 사용해도 손색이 없을 만큼 관련된 주제와 내용들을 많이 담고 있다.


모든 사람들이 그러하듯이 의사도 언젠가 생의 마지막 순간을 맞게 될 때가 온다. 최후의 순간에 의사는 평생의 진료기록부를 내놓고 판정을 받게 될 것이다. 나는 언제나 자신의 이익보다 환자의 이익을 위해 최선을 다했는가? 자신에 대한 법적 처벌보다 환자의 불신을 더 두려워했는가? 의료자본가로서의 세속적 성공보다 의료전문가로서의 직업적 보람을 추구했는가? 의사는 자신의 삶과 의술을 순수하고 경건하게 지켜가며, 비록 도덕적으로 완전한 삶을 살지는 못해도 항상 자기반성적인 삶을 살아야 한다.






The idea that medicine itself imposes certain obligations upon the physician probably originated in Greece. It is

Socrates in the fifth century BC who first discussed medical professionalism. Socrates said that no physician

should seek the advantage of the physician but of the patient. For the physician was a ruler of bodies and not a

money-maker. However, it is Hippocrates, the contemporary of Socrates and the Father of Medicine, who founded

medical professionalism education and professional medical ethics. The professional spirit of Greek physicians is

summed up in the magic phrase ‘love of humanity.’ In Epidemics I, Hippocrates expressed hope that physicians

would help patients, or at least do them no harm. He also said, “Life is short; Art is long” in The Aphorisms. Here

he described the reflective philosopher and the practiced physician. At once he sang the shortness of human

life and the extent of the medical arts. Moreover, he made students swear by the gods that “I will keep pure and

holy both my life and my art.” The Oath can serve as a coherent starting point and organizing framework for

medical

professionalism education and professional medical ethics. We need to have an opportunity to employ

this fascinating text in teaching medical professionalism and medical ethics. In this article, the author asserts

that the Hippocratic Aphorism (Life is short; Art is long) and The Oath, the most famous work of the entire Hippocratic

collection, should be used for medical professionalism education.

Keywords: Professionalism, Socrates, Hippocrates, The Aphorims, The Oath


한국 의사가 바라본 의사의 사회적 역량: 의사 대상 설문조사를 바탕으로

Korean doctors’ perception on doctor’s social competency: based on a survey on doctors

김 정 아1·권 복 규2·한 희 진3·허 윤 정4·안 덕 선5 | 1가톨릭대학교 의학전문대학원 인문사회의학과, 2이화여자대학교 의학전문대학원

Claire Junga Kim, MD1 · Ivo Kwon, MD2 · Hee-Jin Han, PhD3 · Yun-Jung Heo, PhD4 · Ducksun Ahn, MD3

의학교육학교실, 3고려대학교 의과대학 의인문학교실, 4아주대학교 의과대학 인문사회의학과, 5고려대학교 의과대학 성형외과교실

1Department of Medical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 The Catholic University of Korea School of Medicine, Seoul, 2Department of

Medical Education, Ewha Womans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Seoul, 3Department of Medical Humanities, Korea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Seoul, 4Department of Medical Humanities and Social Medicine, Ajou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Suwon, 5Department

of Plastic Surgery, Korea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Seoul, Korea



서론

역량바탕학습(competence based education)은 교육과정의 설계와 평가, 정착과 설계를 역량의 틀을 바탕으로 하여 실행하는 것을 의미한다[1,2]. 이때 역량은 단일한 요소로서의 역량(competence), 복수 개념의 역량들(competencies, 어떤 특정한 능력의 요소가 되고 있는 구체적인 지식 술기 태도의 요소들)로도 쓰일 수 있고 이것들이 모인 넓은 의미의 역량(competency)으로도 쓰일 수 있으나[3], 우리 말에서는 단수와 복수의 구분을 명확하게 하지 않으므로 각각의 경우에서 구분 없이 역량이라고 표현하며, 사회적 역량에 있어서도 마찬가지로 사용한다.


이러한 역량바탕학습의 기본 틀을 바탕으로 의사들이 사회와 관계하는 데에 있어 필요한 역량을 ‘사회적 역량’이라고 규정할 수 있다. 현대사회에서 의료가 차지하는 비중이 높아지고, 의료가 국민의 기본적인 권리로서 자리매김하면서 의료전문직, 특히 의사가 사회 안에서 해내야 하는 역할은 의학적 지식의 적용을 넘어서 더욱 확장되게 되었다. 의료(medical practice)는 본질상 실천(practice)적 개념을 포함하고 있으며 그 실천은 사회라는 장 안에서 이루어 진다. 따라서 의사들이 개별 환자, 사회 구성원들, 제도, 전체 사회와의 상호관계 속에서 필요한 능력을 발휘할 수 있는지 여부는 의료가 제대로 펼쳐질 수 있는지 여부에 직결되는 매우 중요한 사안이다. 그러나 의사의 역할을 개별 환자와 의사 간의 치료적 관계만으로 한정할 경우, 게다가 이를 생의학적인 관점만으로 접근할 경우, 질병을 치료하는 능력이라는 임상적 역량(clinical competence)에만 주안점을 둘 위험이 있다. 따라서 임상적 역량과 비임상적 역량의 구분이 자의적이긴 하지만, 연구진은 의사에게 요구되는 포괄적 역량·역할[4] 중에 임상적 역량 이외의 부분을 강조하기 위하여 사회적 역량이라는 개념을 사용하였다. 즉, 사회적 역량이란 ‘사회적 제도로서의 의료를 위한 의사의 역량’을 의미한다.


일대일 환자-의사의 치료적 관계 내에서 벌어지는 질병의 치료 이외에 환자를 비롯한 전체 사회와의 의사소통, 법·제도나 사회전반에 관한 이해에 바탕을 둔 윤리 및 의학전문직업성, 이를 위한 지속적인 자기계발 등의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고 의학교육학계에서도 이러한 필요에 맞는 의료전문직을 양성해야 한다는 필요성을 인지하고 있다[5-8]. 진료실에서의 신뢰의 상실과 일부 이에 기인한 언론의 의사 때리기(doctor bashing) 등은 의료를 둘러싼 사회적 논의에서 정작 의사들의 의견은 배제되는 현상을 부추긴다. 노령화 등 사회변화에 따라 의료에도 상당한 변화가 일어나고 있으며, 이 변화의 가운데 의사들이 직무를 수행할 수 있는 합리적 여건을 보장받고 환자 치유라는 직분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능동적 사회 참여를 위한 역량이 필요하다. 이렇듯 변화한 사회조건과 이에 따른 요구를 인지하고, 의사들의 현재 역량 상태와 그 요구 간의 간극을 인지하는 것은 새로운 교육과정의 구성을 위하여 필수적이다[9]. 본 작업을 위하여 사회적 역량의 목록을 추출하고 현재 의사들의 수준을 측정하는 기초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기존의 연구들에서 좋은 의사나[10-12] 의사의 실천 전반의 역량을 다루고 있으나[1,6,7], 사회적 역량이라는 영역에 한정되어 접근한 경우는 없으며 의사의 전반적 역할과 역량에 대한 기술이라고 할 수 있다. 혹은 총체적 사회적 역량 중 단일한 역량 목록인 의사소통능력이나[13,14] 자기 성찰 능력[15], 의학전문직업성[16,17]을 각기 다루고 있다. 여기에는 의(medicine) 그 자체의 본성 상 실천(practice)이 있다는 것을 인지하고 의료전문직의 역량에 의사소통자, 교수자, 옹호자 등의 역할을 포함시키고 있는 서구의 맥락이 전제되어 있다고 할 수 있다. 이에 반하여 진료실이라는 한정된 공간 안에서 의과학 지식을 환자의 질병에 적용하는 능력이 주로 강조되던 한국의 맥락을 고려한다면, 사회적 역량을 강조하고 진흥하고자 하는 목적을 추구하기 위해서 이러한 기존 연구와는 다른 연구가 기획되어야 한다.


이에 본 연구는 의사의 사회적 역량에 관한 기초연구로서 문헌 조사와 전문가 논의를 통하여 사회적 역량의 목록을 추출하고, 그 목록을 바탕으로 현재 의료인들이 인지하는 사회적 역량의 수준과 필요성, 이와 관련한 학습 경험의 유무, 역량의 증진을 위한 방안 등을 도출해 내고자 한다.


연구의 대상 및 방법

1. 조사대상

2013년 1월부터 2월에 걸쳐 의학교육학회와 대한전공의협의회 소속 의사 288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시행하였다. 웹메일을 통하여 일차적으로 자발적으로 참여를 받았으며, 이후 Facebook 등 설문조사 독려를 통하여 설문조사 온라인 페이지에서 설문을 받았다. 설문 배부는 총 601부였으며, 응답자는 총 288명으로 응답률은 47.9%였다. 응답자의 구성은 Table 1과 같다.


2. 조사도구

의사들의 사회적 역량을 알아보기 위한 조사도구로서 설문지를 개발하는 단계는 두 단계에 걸쳐 이루어졌다. 먼저 국내외의 선행연구에서 드러난 의사의 포괄적인 역량과 역할 중, 사회적 역량의 조작적 정의에 해당하는 바를 추려냈다[1,4,18-22]. 이를 통하여 각 문헌에 공통적으로 제시되는 항목이면서 사회적 역량에 해당하는 역량들이 대략적으로 도출되었다. 두 번째 단계로 도출된 목록 대하여 의대교수, 개원의, 의료정책전문가 등 관련분야에서 경험이 있는 이들 13명이 이를 검토하여 국내 현실에 맞게 재구성하였다.


최종적으로 ‘법률과 제도의 이해,’ ‘프로페셔널리즘과 윤리,’ ‘자기관리,’ ‘리더십,’ ‘의사소통,’ ‘인간과 사회의 이해’라는 6범주와 하위항목 30개 역량이 도출되었다. 30개 하위항목과 6개의 범주를 선정할 때에는 환자의 만족도와 의료의 질적 향상과의 직접적 연관성 여부와 교육학적 필요성을 그 기준으로 삼았다. 이는 이 목록을 통하여 도출될 필요성 인식과 만족도라는 현황 분석이 교육적 개입이 필요한 지점을 명확하게 보여주고 따라서 여러 단계의 의학교육에서 교육목표를 설정하는 데에 쓰일 수 있다는 점을 고려한 것이다.


이렇게 도출된 목록을 토대로 응답자가 각 세부항목이 의사들에게 필요하다고 인지하는 정도를 5점 척도(1, 전혀 필요하지 않음; 2, 별로 필요하지 않음; 3, 보통; 4, 어느 정도 필요함; 5, 매우 필요함)로 표시하도록 하였다. 마찬가지로 주변에서 만나는 의사들을 볼 때 사회적 역량의 전반적 발휘의 정도에 관한 만족도를 5점 척도로 묻고, 각 세부항목의 역량을 얼마나 만족스러운 수준으로 보여준다고 생각하는지 세부 항목 만족도를 5점 척도(1, 전혀 만족하지 않음; 2, 별로 만족하지 않음; 3, 보통; 4, 만족함; 5, 매우 만족함)로 표기하게 하였다. 교육경험과 시기에 대하여 6개의 범주 별로 물었다. 학습경험이 있다면 그 시기가 언제인지


(의과대학 입학 이전, 의과대학 시절, 전공의 시절, 전문의 취득 이후)를 표기하도록 하였다. 사회적 역량을 증진시키기 위하여 개입할 수 있는 주체와 각각의 이슈들에 대하여 중요도를 물었다(1, 전혀 중요하지 않음; 2, 중요하지 않음; 3, 보통; 4, 중요함; 5, 매우 중요함). 설문도구의 신뢰도는 Cronbach α=0.93(필요성), 0.92(만족도), 0.79(진흥요소 중요도)이었다. 5점 척도로 물은 항목에 대하여는 평균과 표준편차를 구하였다.









3. 결과

1) 의사의 사회적 역량의 필요성과 만족도

연구자들이 제시한 6범주 30개 세부항목의 사회적 역량에 대하여, 설문에 답한 의사들이 인지한 필요성과 현재 그 해당 역량의 보유 수준에 대한 만족도는 Table 2와 같다. 각 항목이 의사들에게 얼마나 필요한지 5점 척도로 평가하도록 하였을 때 절반 이상의 세부항목에서 4점(어느 정도 필요함) 이상의 점수로 답하였다. 각 범주 별 평균 점수는 ‘법률과 제도의 이해’ 4.36, ‘프로페셔널리즘과 윤리’ 4.31, ‘자기관리’ 4.26, ‘리더십’ 3.99, ‘의사소통’ 4.32, ‘인간과 사회의 이해’ 3.59로 모두 3점(보통) 이상의 점수로 필요하다는 답이 나왔으며, 그 중 4범주, ‘법률과 제도의 이해,’ ‘프로페셔널리즘과 윤리,’ ‘자기관리,’ ‘의사소통’은 어느 정도 필요함 이상으로 평가하였다. 세부 항목 중에 의사들이 가장 높은 평균점수로 필요성을 평가한 항목은 ‘환자와의 의사소통 능력’(4.72±0.52)이었고 가장 낮은 점수로 필요성을 평가한 항목은 ‘문학·예술에 대한 이해’(3.27±0.91)이었다.


사회적 역량의 필요성에 관하여 전반적으로 보통 이상으로 인정한 데에 반해 역량의 발휘에 관한 만족도에 관해서는 모든 세부항목과 범주 별 평균에서 보통(3점) 이하로 평가하였다. 사회적 역량의 발휘 수준에 대해서 전반적인 만족도를 5점 척도로 묻는 질문에 대한 응답자들의 평균은 1.89±0.72로 2점(만족하지 않는다) 이하였다. 각 범주 별 평균 점수는 ‘법률과 제도의 이해’ 2.38, ‘프로페셔널리즘과 윤리’ 2.60, ‘자기관리’ 2.63, ‘리더십’ 2.49, ‘의사소통’ 2.58, ‘인간과 사회의 이해’ 2.17로 모두 3점(보통) 이하의 점수로 역량의 발휘에 관한 만족도를 평가하였다. 세부 항목 중에 의사들이 가장 높은 평균점수로 만족도를 답한 항목은 ‘시간관리 능력’(2.94±0.90)이었고 가장 낮은 점수로 만족도를 답한 항목은 ‘사회(언론 등)와의 의사소통 능력’ (2.02±0.80) 이었다.


2) 사회적 역량 학습경험

사회적 역량의 학습 경험 유무와 그 시기에 관한 결과는 Table 3와 같다. 사회적 역량에 대하여 교육을 받거나 본인이 스스로 학습한 경험이 있는지의 여부와 만일 경험이 있다면 그 시기가 언제인지 물었을 때, ‘법률과 제도의 이해’에 관하여는 68.1%가 학습경험이 있다고 답하였고 그 중 82.7%는 의과대학 시절에 해당하는 학습이 일어났었다고 답하였다. 그 다음으로 많은 분율(8.2%)는 전문의 취득 이후에 법률과 제도 이해에 관한 학습이 일어났었다고 답하였다. ‘프로페셔널리즘과 윤리’라는 사회적 역량 영역에 대해서는 53.5%가 학습경험이 있다고 답한 반면 46.5%는 학습경험이 없다고 답하였다. 해당 학습경험자들 중에는 해당 영역에 대해서 의과대학 시절(63.6%)과 전문의 취득 이후(19.5%)에 학습이 일어났다고 답한 사람이 많았다. ‘자기관리’에서는 가장 낮은 분율인 30.6%의 응답자만이 학습경험이 있다고 답하였고 나머지 69.4%는 학습이 일어난 바가 없다고 답하였다. 자기관리 학습경험이 있는 응답자들 중의 가장 많은 분율(30.7%)은 그 시기로서 전문의 취득 이후를 꼽았고, 그 다음을 따르는 분율(27.3%)은 의과대학 시절에 학습이 일어났다고 답하였다. ‘리더십’ 영역에서 학습경험이 있다고 답한 응답자는 38.2%였고 나머지 61.8%는 경험이 없다고 답하였다. 경험이 있는 이들 중 36.4%는 전문의 취득 이후, 25.5%는 의과대학 시절에 이를 학습했다고 답하였다. ‘의사소통’ 영역의 학습경험의 유무에 대하여 54.5%가 경험이 있다고 하였고, 45.5%가 경험이 없다고 하였다. 학습경험에 ‘예’라고 답한 이 중 42.0%는 의과대학 시절, 29.3%는 전문의 취득 이후에 학습을 하였다고 답했다. ‘인간과 사회의 이해’에 관하여 학습한 바가 있는 응답자는 50.3%, 없는 응답자는 49.7%로 학습 경험이 있는 이들 중 49.7%는 의과대학 시절에, 18.6%는 의과대학 입학 이전에 이를 학습하였다고 답하였다.


3) 사회적 역량 증진을 위한 요소의 중요도

사회적 역량 증진을 위한 각각의 요소들에 관한 중요도 평가는 Table 4에서와 같다. 의사들의 사회적 역량을 증진하는 데에 기여할 만한 여러 요소들 중, 의사들이 인지하기에 중요한 요소가 무엇인지 물었을 때, 연구진이 제시한 모든 요소에서 보통 (3점) 이상으로 중요하다는 결과가 나왔다. 이 중, ‘저수가 등 건강보험제도 개선’에 관한 중요도 평가가 평균 4.69±0.60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그 뒤로 평균점수가 높았던 요소는 ‘전공의 수련 제도 개선’이었다(평균 4.59±0.64). 면허관리 제도의 개선이 응답자들에게서 가장 낮은 평균점수로 중요도가 평가되었고(3.56±1.03), 의료의 공공성 강화가 그 다음을 이었다(3.60±1.137).


고찰 및 결론


현재까지의 의학교육은 의사의 역량 중 특히 생의학 지식과 임상술기에 치중하여 왔다. 그러나 생의학 지식의 적용뿐 아니라 개별 환자를 치유하고 동료들과 소통하며 자기 자신을 계발하고, 환자뿐만 아니라 동료 의사, 대중을 교육하며, 제도 안에서 의료를 실천하고 그 실천이 온전하게 이루어 질 수 있도록 제도를 만들어 나가는 일련의 행위는 모두 의(medicine)를 구성하는 본질적인 요소로서 필수불가결하다. 그렇기 때문에 여러 의학 관련 단체들은 이러한 의사의 포괄적 역할의 실재를 인정하고, 이를 적절하게 실현하기 위한 역량을 강조해 왔다[1,2,23]. 이는 의학교육이 점차 국제화되고 의사들의 국가 간 이동이 활발해지면서, 표준화된 의사 역량이 강조되고 한국의학교육에서도 동일한 목표가 달성되어야 한다는 점에서 그 당위성을 더한다[4,24]. 의학 전문직업성 교육 및 인문사회의학 교육[5,8,25-29] 등이 목표하는 바 또한 이러한 측면의 역량의 중요성과 필요성에 관한 인지에서 나왔다고 볼 수 있다. 본 연구는 의사의 포괄적 역량 중에서 생의학적 지식과 술기의 적용이라는 이른바 임상적 역량 이외에 ‘사회적 역량’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또 장기적으로는 교육적 개입을 체계화하기 위하여 구성되었다. 의사들 스스로 의사로서 필요하지만 만족스럽지 않다라고 평가하고 있는 역량이 있다면 이 지점이 바로 여러 형태와 단계의 교육적 개입을 정당화할 수 있는 지점일 것이다. 또한 역량이라는 개념이 맥락 의존적이라는 점에서 그 역량을 계발하고 발휘할 수 있는 맥락에 대한 인식 또한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의 설문은 의사의 사회적 역량을 진흥하기 위하여 교육적인 개입, 더 넓게는 제도적인 개입으로 무엇이 가능할 것인가 추론할 만한 기초 자료가 될 것이다.


응답자들은 사회적 역량 세부항목들에 대하여 그 필요성을 인식하고 있는 데에 반하여, 자신의 동료들이 그 역량을 어느 정도 발휘하고 있는지를 물었을 때 만족도가 떨어지는 것으로 보였다. 이는 5점 척도에서 전반적 만족도가 떨어지는 현상과 세부 항목에 있어서의 만족도가 떨어지는 현상 모두에서 확인 가능하였다. 이 결과는 의사들이 수행해야 하는 업무의 특성과 그 업무가 이루어지는 환경으로부터 요구되는 역량이 교육을 통하여 충분히 획득되지 못했음을 보여준다[9]. 특히 ‘의사소통’ 범주의 결과는 주목할 만하다. 의(medicine)의 실천에 있어서 의사소통 기술의 중요성은 여러 문헌에서 강조되어 왔으며, 치료 성적이나 의료의 질과 직접적인 연관이 있다는 점 또한 지적된 바 있다[14,30,31]. 본 설문에 응답한 의사들 또한 ‘환자와의 의사소통 능력’을 의사에게 필수적인 사회적 역량으로 인정하고 있었으나(평균, 4.72±0.52; 중요함, 4 점 이상), 이에 대한 만족도는 떨어졌다(평균, 2.86±0.85; 보통, 3점 이하). 이 측면의 역량에 대한 교육적 개입이 필요하고, 또 상대적으로 저항감 없이 수용될 수 있으리라는 점을 예상해 볼 수 있다. ‘사회(언론 등)와의 의사소통 능력’에 대해서는 모든 세부항목 중에 가장 낮은 만족도를 표했는데(2.02±0.80), 미디어를 통한 소통이 늘어나고 있는 추세를 고려할 때 의사소통 교육 주제의 폭을 넓히는 것이 유의미할 것이다.


범주 별로 살펴 보았을 때 ‘법률과 제도의 이해’에 관한 중요도 평가에서 항목 평균 점수가 가장 높았고, 만족도는 보통 이하로 떨어졌다. 이에 반하여 ‘인간과 사회의 이해’에 관하여는 그 필요성을 ‘보통’ 이상으로는 인지하고 있었으나 타 범주의 세부항목들에 비하여 그 필요성을 비교적 낮게 평가하고 있었다. 교육 경험을 토대로 한 Jeon [32]의 분석과 일치하게, 법률이나 제도, 의사소통, 프로페셔널리즘과 윤리 등은 의과대학 교과과정 내에 도입하기가 상대적으로 수월한 반면, 의철학, 의사학이나 문학, 예술과 의학을 접목한 교과목과 같은 경우에는 도입이 상대적으로 어렵고, 따라서 필요에 따라서는 선택과목 등으로 도입할 가능성을 추론할 수 있다.


학습경험의 유무의 경우, ‘법률과 제도의 이해,’ ‘의사소통,’ ‘프로페셔널리즘과 윤리,’ ‘인간과 사회의 이해’의 범주에서 학습한 경험이 있다고 답한 응답자가 50% 이상이었다. 그러나 사회적 역량 또한 의사의 포괄적 역량 중 필수불가결하며 대부분의 응답자가 이를 필요하다고 인식하고 있는 점을 고려할 때 이 분율을 만족스러운 것으로 평가할 수는 없다. 또한 학습경험이 있는 이들이 50% 이상인 항목에서는 공통적으로 학습경험이 의과대학 시절에 일어났다고 답한 분율이 높았다. 실제로 의과대학 시절에 한정되어 필요한 역량에 관한 학습이 일어났거나, 그 이후에도 학습이 일어났음에도 불구하고 체계적이지 않아서 응답자들이 이를 학습이라고 받아들이지 않았을 가능성을 생각해 볼 수 있다. 따라서 졸업 후 교육이나 지속적 전문직업성 개발의 측면에서 다음의 역량들을 체계적으로 교육할 필요가 있다. 실제로 Kim 등[33]의 연구에서 의사 연수교육의 내용은 대부분 최신의학정보로 한정되어 있으며 인문사회의학이나 의료정책의 부분은 미미하다고 나타났다. 생의학적 지식과 술기의 전달로서의 CME (continuing medical education)보다 확장된 의미로서 CPD (continuing professional development)를 연수교육의 목적으로 정의한다면[34], 사회적 역량에 관한 교육이 의학교육의 연속적 단계에서 제공될 필요가 있다는 점이 명확하다.


역량이라는 개념이 맥락 의존적이라는 점을 염두에 둘 때[35], 외적 요소에 대한 평가는 중요한 시사점을 지닌다. 역량이 능력과 과제, 그리고 그 과제가 펼쳐지는 의료 체계와 임상 맥락 사이의 관계에 대한 진술이므로[36,37] 한편으로는 개인 외적인 환경에 따라 역량이 형태 잡혀야 하며 또 한편으로는 역량이 적절하게 발휘될 수 있도록 환경이 구성되어야 한다. ‘저수가 등 건강보험제도 개선’이 응답자들에게 가장 중요하게 평가된 요소라는 점은 현행 제도가 의사의 사회적 역량이 제대로 발휘될 수 없는 의료체계라는 의사들의 인식을 반영한다. ‘면허관리 제도의 개선’은 보통 이상의 중요도로 평가되었으나 다른 요소들에 비해서는 낮은 점수(3.56±1.03)로 평가되었다. 면허제도 개선이나 재인증(revalidation)제도의 엄격화에 대한 두려움에 관하여 Levinson [38]은 실패에 대한 두려움, 의료체계로부터 의사를 잃게 되는 것에의 두려움, 기대치 상승에 대한 두려움 등을 가능한 원인으로 꼽으면서, 이러한 두려움이 제도의 전환에 있어서 일시적인 것이라고 주장하였다. 이 맥락에서 면허관리 제도의 개선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낮은 중요도를 배정한 응답자들의 답변을 해석하는 데에는 신중함이 필요하며, 앞으로 면허관리 제도의 개선과 관련한 정책 구상과 시행을 할 때에 해당 제도 개선의 궁극적 목적에 대한 공감대 형성과 그 방법에 대한 고려, 홍보 등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본 연구는 사회적 역량에 관한 조작적 정의를 내리고 이에 대한 의사들의 인식을 알아보기 위하여 구성된 기초적인 연구로서 몇몇 제한점들을 가지고 있다. 첫째, 대상자 집단 구성의 편향됨이다. 2개월에 걸친 웹메일의 배부와 회수라는 기본적인 방식에 Facebook으로 연구참여 독려를 받은 이들이 온라인 웹사이트를 방문하여 답변을 한 추가적인 방식을 더했기 때문에 수거된 288명의 답변이 전체 의사들을 대변한다고 하기 어렵다. 또한 웹메일 배부의 대상 또한 의학교육학회와 전공의협의회라는 특정한 집단 구성원을 대상으로 하였기 때문에 의대교수라든지 전공의가 차지하는 비율이 타 직책 구성원들보다 월등하게 높았다. 둘째, 사회적 역량의 개념과 그 세부 항목에 관한 타당성 검증이 앞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의사의 포괄적 역량에 관한 기존의 문헌들을 검토하여 본 연구의 역량 목록을 도출해 냈으나, 기초 자료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서구 문헌이 생성된 배경과 우리나라의 의료 환경과 역사가 기본적으로 다르다는 점을 간과할 수 없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제안된 사회적 역량이라는 개념과 세부 내용의 타당성은 우리나라 맥락 안에서 추후 검증되어야 할 것이다.


위와 같은 제한점들은 본 연구에서 제시된 사회적 역량에 대한 의사들의 인지를 일반화하는 데에 한계를 보여준다. 그러나 연구진이 사회적 역량이라고 개념화한 의사의 역량에 대한 필요성과 만족도의 자료는 한국 의사들의 현황을 보여주었기 때문에 미래의 의학교육과 의료제도의 개선에 시사점을 던진다. 모든 역량의 범주와 세부항목에서 의사들은 사회적 역량의 필요성을 보통 이상으로 인지하고 있었으나, 만족도에서는 보통 이하로 만족하고 있었다. 특히 ‘의사소통’이나 ‘법률과 제도에 관한 이해’ 부분에서 필요성을 높게 인지하고 있었고 만족도는 떨어졌다. 사회적 역량에 관한 학습 경험이 충분하지 않게 나타났으며 특히 ‘자기관리’나 ‘리더십’ 분야의 학습경험이 적었다. 사회적 역량 진흥을 위해 시도될 수 있는 방안들 모두에 대하여 보통 이상으로 중요성을 인정하고 있었고 그 중 ‘의료보험체계의 개선’과 ‘전공의 수련 제도의 개선’에 대하여 중요성을 높게 인지하였다. 결론적으로 본 기초연구의 결과는 의사의 사회적 역량의 진흥을 위한 여러 개입의 필요성을 시사한다.














J Korean Med Assoc. 2014 Feb;57(2):128-136. Korean.
Published online February 14, 2014.  http://dx.doi.org/10.5124/jkma.2014.57.2.128 
Copyright © 2014 Korean Medical Association
Korean doctors' perception on doctor's social competency: based on a survey on doctors
Claire Junga Kim, MD,1 Ivo Kwon, MD,2 Hee-Jin Han, PhD,3 Yun-Jung Heo, PhD,4 and Ducksun Ahn, MD5
1Department of Medical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 The Catholic University of Korea School of Medicine, Seoul, Korea.
2Department of Medical Education, Ewha Womans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Seoul, Korea.
3Department of Medical Humanities, Korea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Seoul, Korea.
4Department of Medical Humanities and Social Medicine, Ajou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Suwon, Korea.
5Department of Plastic Surgery, Korea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Seoul, Korea.

Corresponding author: Ducksun Ahn, Email: dsahn@korea.ac.kr 
Received December 23, 2013; Accepted January 06, 2014.

This is an Open Access article distributed under the terms of the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Non-Commercial License (http://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3.0/) which permits unrestricted non-commercial use, distribution, and reproduction in any medium, provided the original work is properly cited.


Abstract

Medicine is the practice that occurs in the context of the society. It requires interaction with individual patients, fellow doctors and other health care professionals, health care officials, public, institution, and the society as a whole. To date, medical practice in Korea has largely been concentrated on applying biomedical knowledge and skill to a patient. We defines 'social competency' as 'competency for medicine as a social institution.' This survey aims to grasp the current situation of Korean doctors' perception on social competency, in terms of necessity, satisfaction, learning experience, and possible intervention. Respondents generally recognized the necessity of social competencies but were not satisfied with their demonstration of those competencies. Competencies for 'understanding on law and institution' and 'communication' were perceived highly necessary. General satisfaction and each satisfaction rate on individual competencies were all below 'neutral,' showing their dissatisfaction. Especially, doctors assess their fellow doctors' competencies for 'understanding on law and institution' and 'understanding on human being and society' at the lowest level. The mismatch between perceived necessity and satisfaction shows the legitimate ground for educational intervention. The proportions of respondents who have learned on each domain of social competency were all below 70%. Learning experience on self-management and leadership was the least. Among possible remedy for low social competency, respondents perceived 'improvement on national health insurance' and 'improvement on resident training program' as the most urgently needed. The data from this preliminary survey can be utilized for educational and institutional intervention in the future.



국가와 사회가 바라는 의사의 역량과 역량강화 방안

Doctors’ competency and empowerment measures desired by the state and society

허 윤 정 | 아주대학교 의과대학 인문사회의학교실

Yun-Jung Heo, PhD

Department of Medical Humanities and Social Medicine, Ajou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Suwon, Korea





서론


의료는 기본적으로 의사와 환자의 사회적 관계로 구성되며 어느 사회에서나 공익적 성격을 지닌다. 국가와 사회는 의사의 권위를 인정하는 동시에 특별한 직업윤리와 공익성의 실천을 기대한다. 계급론적 관점에서는 의사를 의료기술을 통해 자본의 이익을 대변하는 역할로 폄하한다[1]. 이 관점은 의사의 진료로 환자가 건강해지는 것을 ‘노동 능력의 회복’이라고 본다. 그러나 의사들의 진료행위 전체를 이와 같이 규정하기는 어렵다.


우리나라에서 의사는 소규모 자영업 직업군으로 발전해왔다. 건강보험제도 실시 이전에는 많은 국민들이 의료기관을 쉽게 찾아가지 못하였고 의사와 환자 관계도 크게 성숙되지 못하였으나 국가 주도로 건강보험제도가 도입되고 의료 인프라가 확대되면서 의료기관 이용이 보편화되었다. 그에 따라 의료의 사회적 관계는 의사와 환자를 중심으로 하기보다는 국가와 의사, 국가와 국민의 관계를 중심으로 형성되었고 의사와 환자 관계는 이에 종속되는 양상을 보였다[2].


국가가 제시하는 기준에 따라 의사의 진료행위에 대한 수가를 결정하는 건강보험체계에서는 국가와의 협상을 통한 보상 수준이 중요시되었다. 환자들이 직접 비용을 지불하는 방식에서는 환자들의 만족도를 높이는 것이 중요하게 될 것이다. 현재 비급여 진료 영역의 비중이 상대적으로 높은 피부과, 성형외과, 치과 등에서 진료의 질과 환자들의 만족도를 높이기 위해 다양한 방식의 서비스가 개발되면서 치열하게 경쟁하고 있는 현실이 이를 반증한다.


전국민 건강보험제도에 의해 의료기관 접근성이 높아진 환자들은 과거처럼 거주지 주변의 익숙한 동네의사에게만 의존하지 않고, 다수의 의료기관을 방문하면서 자유롭게 의사를 선택하는 경향이 확산되었다. 이러한 변화로 의사는 자신이 진료하는 환자의 상태를 지속적으로 관찰하면서 책임지는 역할을 담당할 가능성이 낮아졌다. 현재 진료를 받고 있는 환자가 언제든지 다른 의료기관의 다른 의사에게 진료를 받을 수 있는 가능성이 높아지면서 환자에 대한 의사의 책임의식도 축소되었다.


환자의 의료쇼핑 행태와 의사의 일회성 진료의 가속화로 의사와 환자 사이의 신뢰회복은 더 어려워졌다. 의무적으로 건강보험료를 납부하는 국민들은 의료기관 이용을 당연한 권리로 인식하였다. 합리적 의료전달체계가 부재한 상황에서 의료기관과 의사의 선택권을 보장받은 의료소비자는 질병의 경중과 무관하게 대형병원과 유명 의사를 찾아가게 되는 행태로 변화하였다. 상급종합병원에 경증환자가 집중되고 동네의원은 감기환자조차 대형병원과 경쟁해야 하는 현실이 이를 증명하고 있다.


서울에 있는 상위 5개 상급종합병원 환자 중 30% 이상이 지방 거주자라는 사실에서 우리나라 의료자원이 서울과 대형병원에 집중되어 있으며 지방과 소규모 의료기관에는 의료공동화 현상이 현실화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1960년대 의료법의 골격이 지금도 그대로 유지되고 있는 현실에서, 의료자원의 심각한 편중현상을 해결하기 위한 제도적 개선 노력은 거의 성과가 없었음을 확인하게 된다.


사적 자본을 기반으로 하는 대다수 의료기관은 경쟁에서의 생존전략으로 진료환자의 수를 늘리게 되고 이것이 ‘3분 진료’로 고착화되면서 의사와 환자 간 신뢰의 기반이 무너지는 악순환이 시작되었다.


현재와 같은 건강보험제도와 의료 인프라가 왜곡된 상황에서 의사와 환자와의 신뢰회복은 어려운 과제가 되고 있다. 국민의 건강을 위한 의사들이 지속적인 주장에 대해, 국민과 언론은 의사들이 이익 확대를 위해 국가와의 협상의 주도권을 가지기 위한 명분을 만드는 것이라 폄하한다.


국민은 의사들이 의료의 질을 높이는데 적극적이라고 체감하지 못한다. 그런 상태에서 정부는 국민의 부담을 증가시키는 보험료 인상의 정책 추진에 동력이 찾지 못하고 있다.


의사와 환자 사이의 신뢰 기반은 점차 취약해지고 의료비로 인한 경제적 부담을 줄이기 위해 활성화 된 민간의료보험의 규모는 급속히 증가하는 추세이다. 사회경제적 지위에 따른 의료양극화는 점차 심화되고 국민통합이라는 건강보험제도의 근본 취지가 훼손되고 있다.


국가와 사회가 바라는 의사의 역량은 ‘의료의 공익성’ 문제로 수렴된다. 보건의료제도와 의료 인프라의 왜곡을 고려하지 않은 채 의사의 사회적 역량을 강화하는 방안을 찾는 것은 무의미한 시도가 될 수도 있다. 한편, 건강보험을 비롯한 보건의료제도를 바꾸면 의사와 환자의 신뢰 회복을 비롯한 다양한 문제들이 해결될 수 있다고 보는 견해 역시 경계해야 할 것이다.


의료와 사회와의 관계에 대한 성찰을 바탕으로 국가와 사회, 즉 국민이 바라는 의사의 사회적 역량은 무엇이며 이를 강화하기 위한 방안은 어떤 것인지 검토하고자 한다.


의사의 사회적 역량


1. 사회적 역량의 정의와 의료현실

역량’의 사전적 정의는 ‘우수성과자에게서 관찰되는 행동양식’ 또는 ‘일을 할 때 우수한 성과를 창출해내는 데 필요한 요소들의 집합체’로 요약할 수 있다. 이는 1970년대 초 하버드 대학교 사회심리학자 맥클랜드가 제시한 것으로, 지능보다 역량이 사회적 성취도를 더 잘 반영해준다는 개념으로 경영학이나 교육학 등 다양한 학문 분야에서 사용되고 있다[3].

의사의 ‘사회적 역량’이란 의료기술은 물론 진료환경에서의 갈등사례를 해결하고 인간과 사회에 대한 이해와 관심을 바탕으로 의료가 가지고 있는 사회적 가치를 성취하는 데 필요한 능력이라고 할 수 있다. 즉, 의사의 사회적 역량은 일반적인 의료기술능력 이상의 광의의 개념이다[4].


히포크라테스로 상징되는 의사의 정체성은 인간에게 헌신하는 미션에서 출발하였고 오랜 시간 동안 많은 사람들로부터 존경과 사랑을 받아왔다[5]. 의사를 꿈꾸는 학생들은 슈바이처, 체 게바라, 노먼 베순, 허준, 이제마, 장기려, 이종욱, 이태석 등과 같이, 질병으로 고통 받는 환자에게 의술을 베푸는 ‘좋은 의사’가 되기를 희망한다. 좋은 의사가 된다는 것은 높은 지위와 부의 축적이 아니라 사회적으로 의미 있는 역할을 통해 많은 사람들이 의료혜택을 받을 수 있도록 기여하고 이러한 노력을 사회적으로 인정받고자 하는 욕구에 가깝다.


우리나라의 의료현실은 좋은 의사가 되고자 하는 의과대학 학생들의 희망에서 더 멀어지고 있다. 국민이 원하는 의사의 모습과 현실 의사의 모습 간의 간격을 줄이기 위해 국민이 바라는 의사의 사회적 역량이 무엇이며 이를 높일 수 있는 방안을 논의해 보고자 한다.


2. 한국 사회에서 의사의 사회적 역량

우리 사회에서 의사들은 국민의 생명과 건강을 책임지는 사회지도자로서의 역할을 깊이 의식하지 않았으며, 그에 필요한 능력도 함양하지 못하였다고 평가 받는다. 의학 전문지식에는 자부심이 있으나 급변하는 현대사회에서 보건의료계와 사회 전체의 지도자로서 책임의식과 능력을 갖추기보다는 전문영역의 기술자로 전략해버렸다는 인식이 만연하다[6].


국민들의 건강을 지키는 전문가인 의사들에게 사회가 무엇을 바라고 있는지에 대한 성찰이 필요하다. 우리나라는 전통적으로 의사를 인술을 베푸는 사람이라고 인식하고 있다. 그러나 국민들이 인식하는 인술에 대한 전통적 개념을 현행 의료제도의 틀에 그대로 현실화하기에는 제도적 어려움이 있는 것도 사실이다. 의료체계에 대한 균형 있는 시각을 바탕으로 국가와 사회가 바라는 의사의 역량과 이를 강화하기 위한 논의가 필요하다.


3. 사회가 바라는 의사의 사회적 역량

2013년 보건복지부의 보건의료기술연구개발 사업 보고서 ‘의사 전문직의 사회적 역량강화를 위한 연구과제 도출 및 지원전략 기획연구’에는 의사의 사회적 역량에 대한 일반 국민의 기대와 만족도 조사 결과가 수록되어 있다. 이는 우리나라 의사의 사회적 역량에 관한 인식을 조사한 것으로 전국의 만 1969세 국민 600명을 대상으로 지역·성·연령별 인구비례 할당 방법에 따라 현대리서치가 2012년 12월 15일~20일에 무작위(random gigital dialing) 컴퓨터 활용 전화조사(computer aided telephone interview)한 내용으로 95% 신뢰수준에서 허용오차±4.0%p에 응답률은 16.5%였다[7].


이 조사는 의사의 사회적 역량을 8가지 측면에서 제시하고 그 만족도를 측정하였다. 즉, 의사의 일반적 인성(좋은 성품), 의사의 직업윤리, 환자·보호자와의 의사소통 능력, 사회(언론 등)과의 의사소통 능력, 사회지도층으로서의 리더십, 사회구성원으로서의 책무성, 법률 등 사회제도에 대한 지식, 타인의 삶과 인간에 대한 이해 등 8가지 영역별로 의사의 사회적 역량에 대해 1-5점 척도로 조사하였다.


응답자들은 대부분의 의사들이 이러한 역량을 가지고 있다고 보았으며 이에 만족하고 있다고 답하였다. 그러나 환자·보호자와의 의사소통 능력은 3점 이하로 나타나 일반 시민들이 의사의 의사소통에 만족하지 못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사회지도층으로서의 리더십 역량과 사회구성원으로서의 책무성에 대한 평가에서도 ‘보통’보다 못한 평가를 내린 점도 주목된다. 지역사회와 유리되고 국민보건의 이슈에 참여하지 못하는 의사들의 현실이 반영된 결과로 볼 수 있다. 그러나 한편으로는 자영업자와 유사하게 운영하고 있는 개원의사에게 지역사회 봉사와 국민보건문제의 참여를 요구하는 것은 과도하다는 지적도 유효하다.


불만족의 이유 중에는 ‘지나친 영리 추구’가 가장 많았다. 이는 의료제도를 포함한 의료 인프라 전반의 개선이 전제되지 않고는 극복되기 어려운 문제이다. 다음으로 많은 응답은 ‘설명을 잘 안 해 줌’이었다. 이 부분은 의과대학 교육과정과 임상실습 및 수련과정에서 경험하는 역할 모델 등 다양한 경로의 학습과 체계적인 교육과정 강화로 개선이 가능한 영역으로 판단된다.


사회적 역량 증진의 이점에 대해서는 대부분 긍정적으로 전망하였고, 사회적 역량이 증가되면 의료의 질이 높아질 것이라고 보고 있었으며, 의사에 대한 신뢰가 지금보다 높아질 것이라고 응답한 비율도 비교적 높았다. 그러나 사회적 역량의 증진으로 인한 의료비 절감 여부에 대한 응답은 다소 낮았다. 이는 의사의 사회적 역량 강화가 의료의 질과 신뢰와 같은 주관적 지표의 개선에는 영향을 주지만, 의료비 절감과 같은 실질적 지표에는 별 영향이 없을 것이라고 인식하고 있음을 의미한다. 이 점은 사회적 역량 증진을 위한 자원 마련에 잠재적인 위험요소라고 해석할 수 있다.


사회적 역량 증진을 위한 교육의 필요성에 대해 높게 응답하였으며, 역량 증진을 위한 책임은 ‘의사 개인과 단체, 정부 모두에게 있다’고 답변한 응답자가 가장 많았다. 즉, 국민들은 의료인의 문제를 의사 개인의 문제가 아닌 사회적 책임의 영역으로 인식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정부가 의사의 사회적 역량 강화를 위해 지원을 해야 하는가?’ 하는 질문에 ‘보통’ 이상으로 동의하고 있었다. 우리나라 현실에서 의사 개인과 의사 단체 및 정부가 각각 어떤 역할을 맡으며 어떻게 공조할 것인지에 대해 숙고할 필요가 있다.


의사의 사회적 역량강화 방안


1. 의사의 사회적 역량강화를 위한 기반

모든 사회적 가치는 인간관계 속에서 비롯되며 사람과 사람 사이의 모든 관계의 기본은 소통이다. 인간을 대상으로 하는 의업에서 지식과 기술보다 더 강력한 핵심 역량은 소통능력일 것이다. 그러나 짧은 시간 안에 진료를 끝내야 하는 우리의 진료실 환경은 소통에 커다란 장벽이 아닐 수 없다. 단시간에 문제를 찾아내고 해결방안을 찾아 설명해야 하는 상황에서 건강과 질병에 대한 두려움과 궁금증을 가진 환자들은 극도로 불안하며, 소통의 질은 급격히 떨어질 수밖에 없다. 이 역시 의사의 사회적 역량의 일부라고 보았을 때, 소통하고자 하는 의사들의 노력과 더불어 소통이 가능한 진료환경을 만들어 내기 위한 노력, 즉 양방향의 노력이 같이 필요하다[8-10].


임상적 관계와 사회적 관계를 명확히 나누기는 어렵다. 그러나 건강은 자연적·사회적·문화적 환경과 관련되어 있으므로 인간의 건강을 다루는 의학의 범위를 치료의학에 한정하지 않고 예방의학, 인문의학, 사회의학 등 포괄적인 영역까지 확장하여야 한다.


2. 의학교육에서 사회적 역량에 대한 의사들의 인식

의과대학 학생들은 최신 의학지식으로 잘 무장되어 있으나 정작 자신이 하고 있는 의학 공부와 수련이 자신과 환자에게 어떤 의미를 갖는 것인지 생각하지 못하고 있다는 것은 심각한 문제이다[6]. 의사를 양성하는 교육과정에서 따뜻한 의사, 인간미 넘치는 의사를 양성하기 위한 내용이 미흡하다. 이는 과다한 학습 분량 탓이기도 하고, 또 그런 덕목이 훈련으로 획득할 수 없을 것이라는 선입견에서 교육과정에 포함시키지 않았기 때문이기도 하다.


그러나 1990년대 이후 선진국들을 중심으로 의사에게 필요한 인간미도 교육을 통해 가르칠 수 있는 것으로 인식이 전환되었고, 의과대학 교육과정에 인문사회의학 계열의 과목이 포함되기 시작했다. 우리나라에서도 많은 의과대학에서 이런 내용을 교육하는 방향으로 변화하고 있다[11].


인문사회의학 교육은 학생들로 하여금 자신의 삶이 무엇이고 어떤 목적을 가져야 의미가 있으며, 의사로서 궁극적으로 지향하여야 할 가치가 무엇인지 확고하게 인식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12]. 이런 교육을 통해 의사로서의 삶이 보람과 의미가 있으며 사회 지도자로서 사회와 국가, 더 나아가 질병으로 인한 인간의 고통과 보건의료와 관련된 사회 문제를 성찰하면서 존중 받는 의사로 성장할 수 있다[13-15].


3. 의사의 새로운 역할에 관한 논의

세계보건기구는1996년 보고서에서 의사의 역할을 전통적인 개념인 ‘돌봄 제공자’인 동시에, ‘의사결정자, 의사소통자, 지역사회지도자, 관리자’라고 규정하였다[16].


2000년 한국의과대학장협의회는 ‘21세기 한국의학교육계획’에서 “의사는 기본적인 의학지식과 술기를 가지고 의료현장에서의 문제해결 능력과 전인적 관점에서 질병예방과 건강증진을 수행할 수 있고 의료와 관련된 인문, 사회과학적 지식과 관리능력을 갖추며 도덕적이고 이타적인 사회지도자 역할을 수행해야 한다”는 바람직한 의사상을 제시한 바 있다[17].


2003년 세계의학교육협의회(World Federation of Medi-cal Education)는 세계보건기구와 연계하여 ‘의과대학 인증 및 의학교육의 질적 표준화 지침 설정’ 연구에서 의사의 역할이 단순한 의료행위뿐 아니라, 윤리, 전문직업성 및 사회적 책무로까지 확대되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의과대학 교육과정을 수립함에 있어 ‘의사의 역할’에 대한 정의나 규정은 필수적인 것이다[18].


4. 미국의 ‘21세기 의사상’ 및 의과대학 사례

미국의과대학협의회는 1984년에 ‘21세기 의사 상(Physi-cians for twentyfirst century: the general professional education for physicians)’이라는 연구보고서를 통해 21세기 미국 의학교육의 방향을 제시하였다. 이 보고서는 그 동안 미국의학교육이 생의학적 관점에 국한되었던 점을 비판하고 21세기 의사에게 요구되는 자질로서 인문사회의학 함양을 강조하고 있다. 하버드 의과대학의 인문사회의학 교육과정은 인문사회의학의 주제들을 임상 전 필수 교육과정으로 하고 의료윤리와 프로페셔널리즘, 학문으로의 의학, 사회의학과 국제보건 입문, 보건정책, 의사와 환자 관계 등을 다루고 있다. 존스홉킨스 의과대학에서는 의학의 사회적 맥락으로서 건강, 질병, 치료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적, 행동적, 경제적 요인을 이해하는데 중점을 두고 있다[19].


5. 독일의 ‘의학교육 개선을 위한 지침서’ 및 의과대학 사례

독일은 1992년 ‘의학교육의 개선을 위한 지침서(Leitlinien zur reform des medizinstudiums)’를 발간하여 의학교육의 목표와 미래의 의사에 대한 사회적 요구를 제시하였다. Humboldt 의과대학에서 인문사회교육은 문제 중심 통합교육과정 형태로 진행되고 있다. 이 교육과정은 모듈을 통해 모든 관련 분야를 수평적으로 통합하여 전체적인 주제를 다루고 기초의학과 임상교육의 구분을 없애고자 노력한다. 또한 의학사, 의료윤리, 사회학, 인류학, 보완대체의학 등의 분야 강사들이 초빙되어 학생들에게 인문사회의학 교육 기회를 제공하고 있다[19].



결론


국가와 사회 그리고 국민들이 바라는 의사의 사회적 역량은 의료체계에 따라 다르게 나타난다. 따라서 의사와 환자 관계와 이를 규정하고 있는 의료제도, 의료 인프라 등을 면밀히 파악한 상태에서 의사의 사회적 역량을 논의하고 역량강화 방안을 신중히 검토해야 할 것이다.


의사와 관련된 최근의 언론보도는 불법 리베이트 수수, 교통사고나 장애판정과 관련된 허위진단서 발급, 성추행 사건 등 부정적인 측면이 다수를 차지하고 있다. 의사면허는 환자들의 질병과 생명과 직결되기 때문에 배타적인 독점권을 부여하고 있으며 여기에는 도덕적 책임과 의무가 함의되어 있음을 인식해야 한다.


전국 의과대학 학생 1,070명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 의하면 의과대학 학생들은 학년이 올라갈수록 의사의 집단 이익에 관련되는 문제에 대해 민감하게 반응하고 그 중요성을 인지하며, 전문적 이념이나 임상적 심성, 직업윤리에 대한 인식은 입학 당시의 생각이 졸업 때까지 큰 변화 없이 일정하다[20]. 의사 전문직의 정체성을 인식할 수 있도록 인문학적 자질을 갖춘 성숙한 의사를 양성해야 할 것이다.


인간의 생명과 건강을 다루는 의사에게 사회는 엄격한 도덕성과 윤리성을 요구한다. 또한, 건강의 결정요인으로 사회적 영역까지 확장된 관점을 가진 의사를 양성하는 일은 중요한 과제이다. 세계보건기구가 정의한 ‘건강’은 다른 권리들과의 불가분성과 상호의존성을 나타낸 것이다. 국제연합은 1966년 경제사회문화적 권리에 관한 사회권 규약을 구체화하였고 사회권 규약 12조에서는 건강권을 ‘성취할 수 있는 최고 수준의 신체적·정신적 건강을 누릴 권리’라고 하였다[21]. 사회권 규약의 가맹국이 이 권리의 실현을 위해 취해야 할 조치에는 ‘사산율과 영아 사망률의 감소, 어린이의 건강한 발육을 위한 대책, 환경위생 및 산업위생의 개선, 전염병, 풍토병, 직업병 및 기타 질병의 예방치료 및 억제, 질병 발생 시 누구나 의료와 의학적 배려를 받을 수 있는 여건의 조성’ 등이 포함된다고 규정하였다[22].


의사와 환자 사이의 신뢰가 회복되고 이를 기반으로 의사를 둘러싼 사회적 관계가 회복되는 과정을 통해 의사의 사회적 역량 강화를 기대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국민이 부담해야 할 사회적 비용을 줄이기 위해 의료인력 양성의 전체 과정에 정부의 지원이 확대되어야 하며, 의학교육과정에 의학철학, 의료윤리학, 의료인류학 등 인문사회의학 분야에 대한 소양을 갖출 수 있는 기회가 제공되어야 한다[23].


국가와 사회가 바라는 의사의 역량강화를 위해 제도 개선과 국가 지원은 필수적이다. 그러나 외부 환경의 변화만으로는 어렵다. 의사 스스로 변화의 필요성을 인식해야 한다. 의사의 사회적 역량강화를 위해 의사들의 고유 업무 영역에서의 정치화를 제안한다.


의사들이 근무하는 병원에서 환자들에게 신뢰받는 의사가 되는 것 뿐 아니라, 동료, 선배, 후배 의사들과 간호사 등 동료 의료인들에게 의사전문직의 권위를 인정받아야 한다.


의료기관은 다양한 직종이 같이 근무하는 공간이다. 진료비나 건강보험 수가 등 경제적인 문제를 비롯해서 새로운 환자들의 입원 및 치료과정에서 사망하는 환자 등 생로병사의 문제, 환자와 보호자 그리고 간병인 등의 의·식·주와 일상이 이루어지는 종합적인 공간이다. 이 공간에서 실질적인 권위를 인정받으면서 정치를 훈련하고 경험하는 것이 의사 정치화의 첫 출발이 되어야 한다. 이 과정을 통해 병원을 넘어 사회에서의 의사의 정치세력화의 기반이 마련될 것으로 기대한다.


의사들이 국민을 설득하기 위해서는 사회적 신뢰가 중요하다. 언론을 통해 국민들에게 의사들의 입장을 알리는 홍보 활동과 더불어, ‘어떤 의사가 될 것인가’ 하는 의료전문직 내부의 성찰을 기반으로 자율규제가 가능하도록 제도화를 추진해야 한다. 실제로 건강보험제도는 많은 문제를 내포하고 있다. 전국민을 대상으로 설계된 건강보험의 문제를 극복하고 해결하기 위해 의사들이 어떻게 하는 것이 효과적인지, 어떤 방법이 더 적절한지에 대해 전문가로서 집단지성의 지혜를 모아야 할 것이다.


건강보험을 비롯한 보건의료제도의 개선, 의학교육과정의 개편, 의료인력 양성과정에 대한 공적 지원 확대가 선결되어야 한다. 의사들의 일상이 이루어지는 의료기관에서의 정치화의 훈련과 자율규제를 위한 제도화 추진 등이 필요하다. 전문직업인으로 의사들이 집단지성의 잠재력을 통하여 환자와 의사의 신뢰 관계를 회복하는 과정에서 국가와 사회가 의사들에게 바라는 역량이 무엇인지 파악하고 이를 강화하고 실천하는 변화를 기대한다.











J Korean Med Assoc. 2014 Feb;57(2):121-127. Korean.
Published online February 14, 2014.  http://dx.doi.org/10.5124/jkma.2014.57.2.121 
Copyright © 2014 Korean Medical Association
Doctors' competency and empowerment measures desired by the state and society
Yun-Jung Heo, PhD
Department of Medical Humanities and Social Medicine, Ajou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Suwon, Korea.

Corresponding author: Yun-Jung Heo, Email: yunjungheo@naver.com 
Received December 31, 2013; Accepted January 13, 2014.

This is an Open Access article distributed under the terms of the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Non-Commercial License (http://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3.0/) which permits unrestricted non-commercial use, distribution, and reproduction in any medium, provided the original work is properly cited.


Abstract

The foundation of medical practice is the doctor-patient relationship. Before the implementation of National Health Insurance in Korea, it was not easy for patients to access doctors, and the doctor-patient relationship was immature. This study aims to describe doctors' social competency and determine measures of its strength in Korea. The current status of research on doctors' social competency in Korea and other countries was reviewed. There is recognition that Korean doctors have confidence in their medical knowledge, but their leadership in the health care sector and society is insufficient. A survey of citizens' expectations regarding doctors' social competency shows that they are not satisfied with their doctors' communication, and feel their doctors have not fulfilled their leadership duties as influential members of society e main reason for respondents' dissatisfaction was the doctors' pursuit of profit. They expected that the quality of care would increase if doctors' social capabilities were strengthened and both the doctors themselves and the government were to participate in capacity building. The preferable approach to reinforcing the social ability of doctors is to include medical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 in the medical education curriculum. Then, medical students can grow as good doctors and effective leaders. Several reports from outside Korea have confirmed this. Doctors need to recognize that the concept of health is broad, encompassing societal factors as one of the determinants of health. In conclusion, the effort of the community as a whole is needed for strengthening the social competence of doctors in Korea.



한국 의사의 사회적 역량

Social competencies of Korean doctors

권 복 규 | 이화여자대학교 의과대학 의학교육학과

Ivo Kwon, MD

Department of Medical Education, Ewha Womans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Seoul, Korea





서론


의사의 ‘사회적 역량’이라는 말은 사실상 어디에도 없는 표현이다. 다른 학문 분야에서는 ‘사회적 역량’을 타인과 함께 살아갈 수 있는 능력을 의미하는데 사용한다. 그런데 부득이 하게도 의료의 맥락에서 ‘사회적 역량’이라는 표현을 쓸 수밖에 없다는 사실은 오늘날 한국의 의사들이 처해 있는 지점을 잘 보여준다. ‘사회적 역량’에 대칭되는 개념은 ‘임상적 역량(clinical competencies)’일 것이다. 그리고 15개 국가를 대상으로 하는 의료 만족도 조사에서 최고 수준으로 나타난 국민 의료서비스 만족도가 보여주듯이[1], 한국 의사들이 질병을 진단하고, 치료하고, 예후를 판단하고, 환자를 재활하는 역량은 세계 어디에 내 놓아도 떨어지지 않을 것이다.


한국에서 ‘임상적 능력’이라는 표현을 쓸 때는 이렇듯 환자를 잘 진단하고 치료하는 능력을 일반적으로 지칭한다. ‘진단 능력’이란 환자가 보여주는 증상과 증후, 각종 지표들을 바르게 판단하여 이미 가지고 있는 표준 질병분류표의 한 갈래로 잘 끼워 넣는 능력을 의미한다. 또한 ‘치료 능력’이란 해당 질병에 대해 이미 표준화된 치료법, 즉 약물, 수술, 혹은 기타 시술들을 확립된 방식대로 잘 구사하는 능력을 의미한다. 이것은 의학은 엄밀 과학(hard science)이어야 한다는 이상에 잘 들어맞고, 한국 사회에서 의학, 그리고 이것을 수행하는 의술이란 어디까지나 엄밀한 과학이라는 전제를 가지고 있음을 보여준다. 이를 시술하는 의사들에게 요구되는 것도 과학자, 또는 기술자의 엄밀성과 정확성이었다. 즉 이러한 맥락에서는 환자를 진료하는 의사들의 역량과, 예컨대 자동차의 이상을 진단하고 수리하는 전문 자동차 수리공의 역량은 본질상 큰 차이가 나지 않는다.


그러나 이는 의료의 실제 모습과는 커다란 괴리가 있다. 그러한 괴리가 일어나는 이유는 의료가 가지고 있는 특수성 때문인데 이는 크게 다음 세 가지로 나누어볼 수 있다. 

    • 첫째는 의술이 가지고 있는 원초적 불확실성이다. 우리가 가지고 있는 질병 분류 자체는 완벽하지 않고 늘 새로운 질병 현상의 등장과 함께 재조정되고 있는 지침이며, 덧붙여 어떤 개별 환자에서도 그 증상과 증후들이 교과서적 증례에 완전히 일치하는 방식으로 표현되지는 않는다. 증상과 증후 역시 질병의 진행에 따라 변화하는데 그러한 불확실성에도 불구하고 의사는 항상 어떤 조치를 취해야만 한다. 또한 모든 치료 역시 환자의 선행 병변과 병력, 그를 둘러싼 물리적, 생물학적, 사회적 환경에 따라 달라지기 때문에 모든 경우에 꼭 들어맞는 치료란 존재하지 않는다. 
    • 둘째는 치유자로서의 의사의 존재이다. 의사는 환자의 증상과 증후를 연역하여 병을 찾아내는 컴퓨터가 아니라 질병이라는 인간 존재의 실존적 사건에 함께 참여하는 파트너이며, 때로는 그 의술의 목적이 질병으로부터 환자를 벗어나게 하는 치료(cure)가 아니라, 그 질병을 견뎌 내며 환자가 세상을 맞서게끔 돕는 돌봄(care)일 때도 많다. 후자의 경우 무엇이 가장 적절한 돌봄인가는 환자마다 다를 수밖에 없다. 
    • 셋째는 의술이 일어나는 가치적인 맥락, 즉 윤리적이고 법적인 맥락의 존재이다. 어떠한 치료가 최선의 치료인가에 대해서는 때로 환자마다 생각이 다를 수 있으며, 이는 의사의 생각과 충돌할 수도 있다. 그리고 한정된 의료 자원을 어떻게 배분하는가에 있어서도 사람마다 생각이 다르며 정답이란 존재하지 않는다. 의료의 실천, 즉 의술은 언제나 이를 규율하는 사회의 윤리적, 법적, 제도적 환경 속에서 수행되기 마련인데 그러한 윤리적, 법적, 제도적 환경은 인간의 다른 제도들처럼 불확실하며 불분명하다. 

이 세상의 어떤 의술도 정도의 차이가 있지만 이 세 가지 맥락으로부터 완전히 독립해서 존재하지 않는다. 그리고 의사들은 이 세 가지 맥락 속에서 항상 최선의 결정을 내려야만 한다. 의술의 이러한 성격은 실천(praxis)이라는 단어가 잘 보여준다. 실천이란 이론(theoria), 혹은 단순한 기예(techne)와는 구별되는 어떤 것으로 이론을 현실의 문제에 적용하여 해결을 모색하는 노력이다. 그 과정에서는 경험, 식별, 그리고 지혜가 중요하며 이럴 때 필요로 하는 지혜를 아리스토텔레스는 ‘실천적 지혜(phronesis)’라고 부른다[2]. 의술이 임상적 실천(clinical practice)인 이유는 여기에 있으며, 사실 시술을 잘 하는 시술가(practitioner)에게는 지식과 이론 못지 않게 ‘지혜’가 중요한 것이다. 즉 임상시술가(clinical practitioner)인 ‘의사’에게는 임상적 역량(clinical competences)이란 이론적 지식과 수기(skill)못지 않게 실천(practice)을 제대로 하기 위한 수많은 능력을 뜻한다. 즉 실천의 개념을 제대로 이해한다면 ‘사회적 역량’이라는 어색한 용어를 취할 필요는 없다.


그러나 한국 사회에서는 굳이 ‘사회적 역량’이라는 용어를 사용할 수밖에 없는데 그 이유는 한국 사회가 ‘의술’의 본질에 대한 생각이 얕고, 이 문제를 고민해볼 기회도 별로 없었기 때문이다. 

    • 즉, 전근대 사회에서 의술은 여러 이유로 선비가 되지 못한 이들이 생계 유지를 위해 마지못해 하는 생업인 경우가 많았으며, 그러한 의술이란 전통적으로 내려오는 의서의 가르침을 그대로 적용하는 것으로서 의술 자체를 그다지 고상한 활동으로 여기지 않았기 때문에 이에 대한 진지한 사유도 존재한 적이 없었다. 
    • 한편 근대 이후에 수입한 서양 의술은 의(醫)의 물질적 측면에만 집중하였으며, 이를 배운 의사들은 그것이 기반하고 있는 근대 자연과학 지식을 습득하는 데 급급하였지 그것을 실천하기 위한 다양한 역량과 맥락에는 관심을 거의 두지 않았다. 그러한 측면들은 모두 ‘의술은 인술(仁術)’이라는 식의 전근대적 프로파갠더에만 의존할 수밖에 없었고, 실천(practice)의 심오한 요소들은 의(醫)의 수입 과정에서 상실되었다. 의술이란 환자에 대한 실존적 실천이자, 항상 사회의 맥락에서 이루어지는 사회적 실천이라는 생각이 채 들어올 기회가 없었다.


‘사회적 역량’이란 임상적 역량 중 ‘순수한’ 엄밀과학인 의학지식이나 구체적인 수기를 제외한 나머지 모든 요소를 의미하는 것으로서 조작적으로 정의를 내릴 수밖에 없으며, 이러한 정의가 필요한 이유는 실천으로서의 의술 개념이 부재한 사회에서 그러한 조작적 정의만으로도 어떤 교육적 효과를 기대할 수 있기 때문이다. 오늘날 우리 의료가 안고 있는 수많은 모순들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우선 의술의 본질에 대한 진지한 고민과 이를 구현할 수 있는 의사의 역량에 대한 추구가 선행되어야만 한다.



한국 의사의 사회적 역량 도출을 위한 노력


‘사회적 역량’이라고 별도로 부르지는 않아도 여러 나라에서 의사의 공통 필수 역량을 도출하기 위한 노력은 과거로부터 있어 왔다. 

    • 대표적인 것이 캐나다의 CanMEDS이다. CanMEDS는 캐나다 의사회 회원들과 여러 분야 전문가들이 15년 이상을 토론하고 연구하여 만든 것으로 의사가 해야만 하는 7개의 역할을 강조하였다. 의료전문가(medical expert), 의사소통자(communicator), 협력자(collaborator), 건강 옹호자(health advocate), 관리자(manager), 학자(scholar), 전문직(professional)이다. 
    • 영국은 General Medical Council에서 제정한 Good Medical Practice(GMP)를 가지고 있는데 2013년도 판인 GMP(2013)은 의사의 의료 실천을 네 가지 영역으로 구분하여 지식, 기술, 수행; 환자 안전과 의료의 질보장; 의사소통과 파트너십, 팀워크; 신뢰의 유지를 제시하고 있으며 이 중 세 번째와 네 번째 영역이 대체적으로 ‘사회적 역량’에 해당한다고 하겠다. 
    • 미국의 경우에는 전공의 교육과 평가를 담당하고 있는 기구인 Accreditation Council for Graduate Medical Education에서 전공의 교육과정의 6가지 요소를 제시하고 있는데 환자 진료, 의학 지식 , 실무에 근거한 학습, 대인관계 및 의사소통, 전문직업성, 의료제도 내에서의 업무 수행이 그것이다[3].


우리나라에서도 의사의 다양한 자질과 필요한 역량에 대한 고민은 2000년부터 있어 왔다

    • 2000년 한국의과대학장협의회는 ‘21세기 한국의학교육계획-21세기 한국의 의사상(醫師像)’을 발간하여 1) 기본적 의학지식과 수기에 익숙하며 평생 스스로 학습할 수 있는 능력을 가진 의사; 2) 의료 현장에서의 문제를 종합적으로 분석하고 이해하며 이를 처리하는 능력을 가진 의사; 3) 전인적인 치료와 더불어 질병 예방과 건강 증진을 수행할 수 있는 의사; 4) 의료에 영향을 주는 인문, 사회과학 분야 지식과 의료관리 능력을 갖춘 의사; 5) 도덕적이고 이타적이며 지도자적인 의사를 양성할 것을 21세기 의학교육의 목표로 내세웠다[4]. 
    • 이후 2008년 한국의학교육평가원은 전공의의 핵심 역량으로 ‘REPECT 100’을 내세웠는데 이는 타인에 대한 존중(respect), 윤리(ethics), 환자 안전(safety), 전문직업성(professionalism), 수월성(excellence), 의사소통(communication), 팀웍(teamwork)의 영문 머리글자를 딴 것이다[5]. 이후 2012년에 의학교육평가원은 대한의사협회의 지원을 받아 ‘대한민국 의사의 역할과 덕목 : The Global Role of the Doctor in Health Care, The Country Report of Korea’를 발간하였는데 여기서는 환자 진료, 소통과 협력, 사회적 책무성, 전문직업성, 교육과 연구, 관리와 리더십으로 의사의 역할을 구분하였다[6].


이러한 맥락에서 본 연구팀은 한국 의사가 갖추어야 할 여러 덕목과 역량들 중 특히 ‘사회적 역량’을 도출하기 위해 전문가 토론과 문헌 조사를 통하여 6가지 역량의 목록을 도출하였다. 이 과정에서 교육적인 필요성, 환자의 만족도, 의료의 질 향상과 직접적으로 연관된 역량을 우선하되 기존의 의학교육에서 강조하던 술기(skill) 중심 관점에서 벗어나 사회적으로 기능하기 위한 역량의 목록을 도출하였다. 이 목록은 6개 영역(법률과 제도의 이해, 프로페셔널리즘과 윤리, 자기관리, 리더십, 의사소통, 인간과 사회의 이해)으로 구성되며 이를 가지고 만 19세 이상 69세 미만의 국민 600명을 대상으로 하여 설문조사를 수행하여 의견을 물었다. 그리고 현장에서 의료업무에 종사하는 다양한 직군의 의사 288명을 대상으로 하는 웹기반 설문조사를 시행하였고, 또한 개원의 및 의대 교수를 대상으로 연구진이 도출한 사회적 역량에 대한 심층인터뷰와 질적 조사를 수행하였으며 공직자 및 비의사 보건의료인 등 의료 유관 이해관계자를 대상으로 하는 심층인터뷰와 질적 조사도 수행하였다. 이와 같은 과정을 거쳐 본 연구진이 도출한 6가지 항목의 ‘사회적 역량’이 한국의 의사들에게 의미 있는 덕목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한국 의사의 사회적 역량

의사는 한정된 의료자원을 활용해야 하는 보건의료 제도 내에서 업무를 수행하고 있으며, 의료 행위에 대해서는 여러 법적인 제약이 따르므로 이 과정에서 올바른 의사결정을 하기 위하여 법률과 제도를 정확하게 파악해야 한다. 전문직업성과 윤리에 기초한 양질의 진료를 제공하기 위하여 필요한 자기 관리를 할 수 있어야 하며, 지역사회는 물론 국가 차원에서 국민의 건강 증진과 안녕에 공헌하기 위한 리더십을 발휘해야 한다. 환자와 보호자, 동료 의료인은 물론 진료 과정에서 만나는 모든 사람들과 원활하고 효율적인 의사소통을 해야 하며, 이를 위해 인간과 사회를 깊이 있게 이해해야 한다.


1. 법률과 제도의 이해

근대 국가에서 의료는 항상 어떤 제도적 틀 내에서 관련 법규의 감독과 규제 하에 이루어진다. 국가는 의료인을 교육하고, 면허를 허락하며, 의료인의 질을 관리하고, 의료 행위를 감독한다. 의사의 직업적 자율성과 함께, 법률은 의료 행위를 규율하며 의료와 관련된 제반 상황을 통제한다. 환자의 입장에서는 언제나 ‘가장 양질의’ 의료서비스를 받고 싶어 하지만, 한정된 의료자원으로 모든 환자의 욕구를 다 충족시키기란 불가능에 가까우며, 고도로 발전한 현대 의료는 점점 더 많은 비용을 소모하고 있다. 여기서 의사는 가장 양질의 진료 서비스를 제공해야 한다는 환자에 대한 책무와 한정된 의료자원을 적절하게 배분해야 한다는 사회에 대한 의무 사이에서 갈등을 느끼게 된다. 우리나라의 경우에 한정된 의료자원에 대한 정부의 통제는 곧 의사의 서비스에 대한 적절한 보상을 불가능하게 만들면서 의사와 정부 간에 격렬한 갈등의 소지가 되기도 한다.


따라서 현실의 의료 문제들을 적절히 다루며 날로 복잡해지는 의료 환경에서 생존하기 위해서는 의사는 자신이 속한 사회의 의료제도를 잘 알아야 할 필요가 있다. 모든 이해당사자의 모든 요구를 충족시키는 의료란 이 세상에는 없으므로 의사는 의료를 둘러싼 이 근원적인 긴장을 이해하고 그러한 속에서 자신의 책무와 권리를 숙지해야 한다. 아울러 필요한 경우에는 문제가 있는 의료 제도를 개선하기 위해 개인적인, 그리고 전체 직역의 차원에서 노력해야 한다.


의료서비스가 점점 더 중요한 사회의 기능이 되면서 정부는 의료에 대한 통제를 강화하고 있다. 이런 속에서 의료 서비스 공급자로서의 의사는 의료의 경영과 관리, 행정의 차원에서 해당 법규와 관련 제도를 잘 알 필요도 있다. 우리나라에는 ‘보건의료기본법’과 ‘의료법’이 의사의 의료행위를 규율하는 양대 축이며, 이외에도 전염병 관리, 혈액 관리, 장기 이식, 의학 연구 등 다양한 의료 관련 사안에 대해 수많은 법규들이 있으며 그 수는 날로 증가하고 있다. 해당 법규에 대한 무관심이나 무지는 바로 해당 의사에게 불이익을 초래할 수 있기 때문에 의사는 이러한 점을 숙지하여야 하며, 불합리한 제도를 개선하기 위해서는 법적인 세부 내용뿐 아니라 전체적인 법률의 운영 방식과 행정에 대해서도 어느 정도의 지식을 갖출 필요가 있다.


또한 의료행위에 있어서 환자와의 의료분쟁이나 의료과오는 불가피하게 일어나는 일들이며, 이런 일들을 사전에 예방하고 혹시 발생하더라도 그 여파를 최소화시키는 것이 의사의 책무이겠으나 법적 분쟁으로까지 가게 된다면 그에 대해 적절하게 대응하는 법 역시 알아야 할 것이다.


2. 프로페셔널리즘과 윤리

프로페셔널리즘은 전문직업성이라고도 하며 때로는 이 안에 전문직 윤리(professional ethics)를 포함시키기도 한다. 프로페셔널리즘의 세 축은 수월성(전문성)과 자율성, 그리고 전문직 윤리라고 말할 수 있다. 그런데 여기서 굳이 ‘윤리’를 구별한 이유는 현대 의료가 발전하면서 기존의 전문직 윤리로 해결하기 곤란한 많은 어려운 쟁점들이 생겨났고, 의사가 이런 쟁점들을 잘 다루는 역량도 길러야 하기 때문이다. 고전적인 전문직 윤리는 환자를 보호하고 환자의 이득을 자신의 이해관계보다 우선시하는 일종의 신사도라고 할 수 있지만 현대의 임상윤리는 그러한 선의 만으로는 해결이 어려운 문제들도 많기 때문이다. 예컨대 비배우자간 체외수정술을 받으러 온 부부의 비밀을 지켜주는 것은 고전적인 전문직 윤리이지만, 그러한 시술을 과연 허용해야 하느냐는 때로 전문직 윤리의 범위를 넘어서는 것이다.


프로페셔널리즘의 세 가지 기틀 중에서 

      • 수월성, 즉 아무나 습득할 수 없는 탁월한 전문적 지식이나 기술을 가져야 한다는 것은 한국의 의사들에게 이미 익숙한 부분이고, 또 대다수의 의사들이 세계 수준의 의학 지식과 기술을 갖추고 있다. 
      • 그러나 프로페셔널리즘의 두번째 축, 즉 자율성에 대해서는 한국 사회가 가진 역사적, 문화적, 사회적 배경으로 말미암아 선진국만큼 충분히 성숙하였다고 말하기 어렵다. 즉 위계와 국가의 통제를 중시하는 전통적인 한국 문화에서 개인이나 특정 직역의 자율성은 존중되어야 할 것이라고 여겨지지 않았으며, 의사가 근대 도시 중산층의 중요한 부분을 차지했던 서구와는 달리, 전통 사회의 의사란 선비가 되지 못한 중인에 불과하였다. 또 근대 의학 자체가 일제 강점기를 거쳐 들어왔기 때문에 한국 의사들은 자율적인 발전을 모색할 수 있는 기회를 박탈당했으며, 이후에도 한국 전쟁과 권위주의 정부를 거치면서 정부와 관료 집단에 대응할 수 있는 자율과 자치의 역량을 발전시키지 못했다. 
      • 리 역시 마찬가지인데, 근대 윤리의 핵심인 개인의 자율성과 존엄에 대한 존중, 그리고 사회 정의에 대한 감각은 인정과 공동체의 선을 중시했던 전통 윤리의 모습과는 거리가 먼 것이다. 그러므로 오늘날 한국의 의사들에게는 전문직의 자율성과 전문직 단체의 역할에 대한 이해, 임상윤리에 대한 기본적 지식과 윤리적 민감성, 그리고 윤리적 갈등 상황에서의 문제 해결능력과 이해상충을 잘 다룰 수 있는 능력이 더 필요하다.


3. 자기관리

한국인들은 세계에서 가장 일을 열심히, 또 오래 하는 국민으로 정평이 나 있지만[7] 한국인 중에서도 의사는 더욱 그러할 것이다. 의사의 탈진은 이미 선진국에서는 활발한 논의의 대상이 되고 있는데[8], 의사 자신들을 위해서뿐 아니라 환자의 안전을 위해서이기도 하다. 탈진증후군(burn out syndrom)에 걸린 의사는 제대로 된 판단과 의사결정, 또는 시술을 하기 어려워 환자 안전에 위해가 되기 때문이다. 현대의 기관 중심 의료(institutionalized medicine)에서 의사는 점점 더 많은 역할을 요구받고 있으며, 그러한 역할은 종종 상충한다. 뿐만 아니라 의사 역시 인간으로서 가족과 함께 하는 생활이 있고 자신의 라이프 스타일과 취미 및 여가 활동이 있다. 이러한 생활은 단지 휴식과 재충전의 가치뿐 아니라 삶을 의미있게 살아가게 해 주는 핵심적인 요소이기도 하다. 그러므로 직무와 개인 생활의 조화를 이루는 것은 매우 중요하며 이를 위해서 객관적 자기평가와 스트레스 관리, 그리고 시간 관리 능력이 필요하다. 또한 문제가 발생할 경우에 대비해 멘토십이나 롤모델 등을 활성화할 필요가 있다.


4. 리더십

리더십은 사태를 올바로 파악하고, 올바른 비전을 제시하며, 사람들에게 영향을 주어 이 비전을 함께 추구하고, 그 성과를 평가할 수 있는 능력이다. 의사에게 리더십이 필요한 이유는, 

      • 첫째, 현대 의료는 다양한 전문가가 함께 참여하는 팀 단위로 제공되는데 이때 의사는 그 중추적인 역할을 해야 하며, 
      • 둘째, 의사는 환자 또는 환자 집단에게도 리더십을 행사하여 자신의 치료 전략에 대한 순응도를 높여야 하며, 
      • 세번째, 지역사회, 또는 국가의 보건의료문제에 대해 전문가로서 영향을 행사하여야 하기 때문이다. 이외에도 보건의료와 직간접적으로 관련이 있는 다양한 직군과 사회 활동에서 의사들에게 리더십이 요구된다.

리더십을 위해서는 예리한 지성과 통찰력, 책임감과 헌신성, 설득력과 감화 능력, 그리고 타인이 자신을 신뢰하게끔 하는 핵심 요소인 솔선수범과 청렴성이 필요하다. 리더십 못지 않게 팔로어십(followership)도 필요한데 이는 올바른 리더를 선출하고, 일단 선출하였으면 민주적 질서에 따라 리더를 돕고 그가 제시한 비전을 기꺼이 따라가려는 자세를 의미한다. 리더와 팔로어는 고정된 역할이 아니라 그때그때 변화할 수 있으며, 민주적 질서는 이를 보장한다.


5. 의사소통

의사소통 능력은 의사에게 절대적으로 필요하다. 우선 환자와 의사 관계에서 의사소통은 환자로부터 관련된 정보를 끌어내고, 환자로 하여금 의사의 치료 전략을 수긍하고 이 에 순응하게 만들며, 환자를 위로하고 치유 효과를 촉진하기 위해 필요하다. 때로 적절한 말 한 마디가 어떤 약보다도 좋은 치유 효과를 내기도 하며, 심지어 대안이 없는 절망적인 상황에서도 환자와 의사 관계의 신뢰를 유지하는 데 핵심적인 역할을 하기도 한다. 여러 조사들은 우리나라 의사들에 대해 환자들이 갖는 불만 중 상당수가 의사소통에서 기인함을 보여준다.


뿐만 아니라 팀 어프로치가 필요한 현대 의료에서 관련 동료 의료인과 협력을 하고, 사회에 대한 영향력을 유지하려면 의사소통을 잘 해야 한다. 한국 의사들이 스스로는 ‘오피니언 리더’라고 생각하지만 실제 사회에 미치는 영향력이 기대에 못 미치는 이유 중 하나는 사회 전체의 견지에서 볼 때 설득력 있는 의사소통을 할 수 있는 능력이 부족한 것도 있다.


6. 인간과 사회의 이해

의료는 사회적 맥락에서 실천되는 인간학이다. 탄생과 투병과 죽음은 단지 생물학적 사실뿐 아니라 이를 겪는 인간에게는 매우 심각한 ‘실존적 문제’이기도 하다. 타인의 은밀한 실존적 문제에 깊숙히 개입해야 한다는 점에서 의사는 매우 독특한 직업이며, 그 개입을 잘 하지 못한다면 환자에게는 물론 본인 자신도 실존적인 외상을 입을 수 있다.


또한 의사는 의술을 통해 자신의 생계를 유지해야 하는 직업인기도 하며, 이는 의료제도 및 사회와 불가분의 관계에 있다. 의사가 흰 가운으로 상징되는 고립과 고독과 권위의 영역에서 행위하는 존재가 아니라는 뜻이다. 여러 차례의 고통스러운 경험을 겪으면서 한국의 의사들은 이제 막 그러한 현실에 눈을 뜨고 있는 중이다. 흔히 인문사회학이라 일컬어지는 인간과 사회에 대한 이해는 의(醫)와 별개의 지점에 있는 것이 아니라 사실상 의(醫)의 중요한 일부이다. 인간과 사회에 대한 어느 정도의 이해와 통찰이 없이 바른 의(醫)의 실천은 불가능하기 때문이다. 이는 특정 인문학이나 사회과학 분야의 깊은 전문적인 지식을 갖추라는 뜻이 아니라 의(醫)가 관련된 영역에서 인간과 사회의 특정한 측면을 통찰할 수 있는 역량을 기르라는 뜻이다. 의학의 역사, 의철학, 의료인류학과 의료사회학 등은 그러한 통찰을 할 수 있는 힘을 기르는 데 도움이 된다. 문학과 연극, 영화 등 예술은 인간이라는 실존적 현상에 대한 이해를 깊게 하는데 도움이 된다. 아울러 이러한 지식과 소양은 의사가 자신의 삶에서 의술이 갖는 의미를 추구하는 데도 도움이 된다.



결론


의사의 ‘사회적 역량’이라는 억지스러운 단어로 ‘의(醫)의 실천(medical practice)’의 본질적인 어떤 측면을 굳이 묘사할 수밖에 없는 현실은 백여년 전 서양 근대 의학이 이 땅에 들어온 이래 겪어야 했던 굴절된 역사를 보여준다. 주체적 근대화를 위한 노력은 억압당하고, 일본 제국주의가 해석한 근대를 강요당했으며, 국가와 시민사회와의 관계가 제대로 설정되지 못한데다가 전문직의 자율성이 성장할 겨를이 없었던, 그리고 ‘근대’와 ‘근대 의학’을 오직 물질적인 측면에서만 편협하게 이해할 수밖에 없었던 역사가 바로 그것이다. 그런 의미에서 ‘사회적 역량’은 이제까지 없었던 뭔가 새로운 개념의 도입이 아니라 의(醫)의 본령으로 돌아가고자 하는 노력이다.


본 연구팀이 설정한 여섯 가지의 ‘사회적 역량’, 즉 법률과 제도에 대한 이해, 프로페셔널리즘과 윤리, 리더십, 자기 관리, 의사 소통, 인간과 사회에 대한 이해는 현 시점에서 한국 의사들에게 시급하다고 여겨지는 역량을 위주로 한 것이며, 이는 시간이 지나면서 그때그때의 상황에 따라 다시 고찰되고 재구성되어야 할 것이다. 그러나 의(醫)가 어디까지나 사회적 맥락에서 존재하는 인간 실존을 겨냥한다는 사실은 언제까지나 변하지 않을 것이며, 의업의 가치와 의사의 전문직으로서의 존엄이 자리한 곳 역시 의(醫)가 갖는 그러한 본질일 것이다.










J Korean Med Assoc. 2014 Feb;57(2):114-120. Korean.
Published online February 14, 2014.  http://dx.doi.org/10.5124/jkma.2014.57.2.114 
Copyright © 2014 Korean Medical Association
Social competencies of Korean doctors
Ivo Kwon, MD
Department of Medical Education, Ewha Womans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Seoul, Korea.

Corresponding author: Ivo Kwon, Email: kivo@ewha.ac.kr 
Received January 06, 2014; Accepted January 20, 2014.

This is an Open Access article distributed under the terms of the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Non-Commercial License (http://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3.0/) which permits unrestricted non-commercial use, distribution, and reproduction in any medium, provided the original work is properly cited.


Abstract

'Social competence' is understood in behavioral science and developmental psychology to be a bundle of diverse social skills that are necessary for appropriate social adaptation. However, a physician's social competence in our healthcare context should be understood as clinically necessary skills that are not directly related to understanding of the natural sciences essential for clinical practice. In Korea, such 'non-science competencies' have long been ignored by both doctors and laypeople in their understanding of medicine as a discipline. However, the clinical practice should embrace the centrality of humane and social elements, without which medicine could not exist. Our research team has proposed 6 competencies in light of the current Korean healthcare context and circumstances: understanding of the related law and healthcare system, professionalism and ethics, leadership, self-management, communication, and understanding of the humanities. These competencies are important to current medical practice in Korea and should be developed and promoted among doctors in the present and future. Of course, these competencies are not absolutely fixed or unchangeable. They should be re-interpreted or modified as time passes and the healthcare context changes. However, for the time being, these competencies will provide some guidance for educating doctors and promoting dialogue among related stakeholders in the healthcare field.


프랑스 의사의 사회적 역할에 대한 역사·철학적 고찰: 피에르-장-조르주 카바니스(1757-1808)의 의학적 인간학과 프랑스 의사직업윤리법

Historico-philosophical consideration on the social role of French doctor: medical anthropology of Pierre-Jean-Georges Cabanis (1757–1808) and the French code of medical deontology

한 희 진 | 고려대학교 의과대학 의인문학교실

Hee-Jin Han, PhD

Department of Medical Humanities, Korea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Seoul, Korea






서론

의사의 임무는 진료와 연구로 한정될 수 없다. 의사는 한 국가의 국민으로서, 한 사회의 시민으로서, 무엇보다도 한 사람의 전문직으로서 자신에게 맡겨진 사회적 역할을 수행해야 한다. 의사에게 사회적 역할이 필수적인 이유는 의사가 실천하는 ‘의(醫, médecine)’가 물리·화학이나 다른 생명과학처럼 단순한 자연과학이 아니기 때문이다. 의(醫)는 다양한 방식으로 규정될 수 있지만 일반적으로 의학(science médicale, 의과학, 지식), 의술(technique médicale, 의기술, 수기), 의료(pratique médicale, 개인과 사회에 대한 실천)의 종합으로 정의된다. 참된 의(醫)는 건강을 이상적 가치로 설정하고 질병의 치료를 추구한다는 점에서 실천이 의무로서 부과되지 않는 물리·화학이나 다른 생명과학과 근본적으로 다르다. 이러한 의미에서 우리가 서양의 문물인 ‘médecine’을 지칭하기 위해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의학’이라는 표현은 의(醫)에서 지식의 차원만을 강조하는 지나치게 과학주의적인 번역어라고 평가될 수 있다. 지식 중심의 과학주의를 피하고자 의철학(philosophie de la médecine) 분야에서는 우리에게 익숙하지 않은 표현이기는 하지만 한자어 ‘醫’가 ‘médecine’을 총체적으로 표현하는 개념으로 권장되기도 한다. 물론 우리는 흔히 의학이라고 표현하면서 의술과 의료가 포함된 의(醫)를 지칭한다. 하지만 개념적 혼란을 피하기 위해서는 필요에 따라 의학, 의술, 의료를 구분해 사용하고 이 세 가지가 모두 포함된 총체적 의미로는 의(醫)라는 개념을 사용하는 것이 더 적절해 보인다.


의사는 개인과 사회에 대한 실천으로서의 의료가 의무로서 부과되는 특수한 전문직이다. 그런데 의사가 의료에 의해 효과적으로 질병을 치료하고 건강을 증진하기 위해서는 환자의 신체적이고 정신적인 차원뿐만 아니라 그의 사회적 환경도 함께 고려해야 한다. 이러한 발상을 근대 이후에 체계적으로 정리하고 전파한 인물이 바로 카바니스(Pierre-Jean-Georges Cabanis, 1757-1808)이다. 그는 1789년에 시작된 프랑스 대혁명의 소용돌이 속에서 프랑스를 대표하는 의사이며 철학자이며 정치가였다. 그는 파리의과대학의 위생학 교수를 거쳐 임상의학 교수를 역임했고 1796년에는 프랑스 한림원(Institut de France)의 정회원과 하원인 오백인회(Conseil des Cinq-Cents)에도 선출되는 등 의사, 철학자, 정치가로서 모두 인정받았다. 당대 프랑스 최고의 경험론 철학자 콩디야크(Étienne Bonnot de Condillac, 1714-1780)의 제자였던 카바니스는 볼테르(Voltaire, 1694-1778), 디드로(Denis Diderot, 1713-1784)와 같은 백과전서학파(Encyclopédistes)의 철학자들과 더불어 의(醫)의 철학적 토대를 반성했다. 이뿐만 아니라 카바니스는 정치가 프랭클린(Benjamin Franklin, 1706-1790)과 교류하며 혁명기의 급진적인 정치개혁을 주도하던 트라시(Antoine Destutt de Tracy, 1754-1836)라는 이데올로그(idéologues)의 한 사람과 함께 프랑스 의료의 총체적인 개혁을 추진했다[1-3].


18세기 말 프랑스 대혁명을 전후로 수립되고 전파된 카바니스의 ‘의학적 인간학(anthropologie médicale)’ 이념은 의(醫)의 본질에 대한 철학적 반성을 바탕으로[4,5] 의사의 사회적 역할을 강조했다는 점에서 역사적으로뿐만 아니라 철학적으로도 매우 중요하다. 카바니스는 의(醫)의 본질로부터 의료가 상품이 아닌 공공재(公共財, service public)라는 이념을 도출했고 의사에게는 의료의 공공성을 담당해야 하는 임무가 사회적 역할로서 부과되었다. 사실 현대 프랑스 의료체계는 이러한 카바니스의 ‘의학적 인간학’ 이념이 현실화된 것이라고 이해해도 큰 무리가 없다. 예를 들어 오늘날 프랑스에서는...

    • 모든 의과대학이 국립이고 의(醫)교육은 사실상 무상으로 진행되고 있다. 
    • 의료는 공공병원(hôpital public)을 중심으로 제공되고 모든 국민은 건강보험의 혜택을 누려야 할 권리를 갖는다. 
    • 프랑스는 2010년을 기준으로 OECD 국가 중에 ‘국민의료비 중 공공지출 비율’이 최상위권이고 ‘국민의료비 중 가계지출 비율’은 최하위권을 유지하고 있다[6]. 
    • 무엇보다도 의(醫)교육, 의료체계, 사회보장제도에 대한 프랑스 국민의 만족도는 EU 국가 중에 가장 높다. 
    • ‘European Commission 2007’에서 주관한 ‘유로바로미터 조사(Eurobarometer Survey)’에 따르면 98%의 프랑스 국민이 진료를 받기 위해 다른 나라에 갈 필요가 전혀 없다고 생각한다[7].


이와 같은 프랑스 의료 현실은 약 200년 전에 카바니스가 본격적으로 시작한 의료의 공공성에 대한 논의가 구체화된 결과이다. 더 나아가 자국의 의료에 대한 프랑스 국민의 만족도는 국가, 사회, 대중의 요구에 맞춰 의사가 사회적 역할을 충실하게 해온 것이 중요한 요인이었다고 분석될 수 있다. 이러한 만족도는 의사의 적극적이고 선도적인 사회적 참여를 강조한 카바니스의 ‘의학적 인간학’ 이념이 없이는 성취되지 못했을 것이다. 따라서 프랑스를 중심으로 한 유럽에서 의사의 사회적 역할이 왜 중요시되었고 어떻게 규정되었는지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카바니스의 ‘의학적 인간학’ 이념에 대한 이해가 필수적이다. 특히 의(醫)의 본질로부터 귀결되는 의료의 공공성과 의사의 사회적 역할에 대한 카바니스의 이념은 현대 프랑스 ‘의사직업윤리법(code de déontologie médicale)’에 반영되어 있으므로 이 법에 대한 검토도 함께 필요하다.


건강과 질병의 사회적 차원


카바니스는 히포크라테스의 가르침에 따라 ‘건강(santé)’ 개념이 개체적 차원에서의 정상적인 생리적 상태뿐만 아니라 사회적 차원에서의 안녕도 포괄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질병을 정신과 신체가 종합된 정신·신체적(psychosomatique) 관점에서 설명하는 것에서 머물지 않고 질병을 개인의 차원을 넘어 사회의 차원에서 조망하고 해결해야 한다고 강조했던 것이다. 특정한 질병을 앓고 있는 환자는 얼핏 보기에 신체와 정신의 측면에서만 아픈 인간처럼 보이지만 어떤 인간도 사회에서 유리되어 있지 않으므로 모든 환자는 사회의 측면에서도 앓고 있다는 것이다. 특히 개인의 신체와 정신 건강에 지대한 영향을 주는 영양 및 위생 상태는 그 개인이 처한 사회적 환경에 의해 대부분 결정되기 때문에 의사가 특정한 질병을 치료하기 위해서는 신체 및 정신적 측면과 더불어 사회적 측면에서의 치료도 병행해야 한다는 것이다.


예를 들어 극심한 빈곤으로 인해 영양 및 위생 불량에 처한 환자의 신체적 증상을 완화하기 위해 최고의 약을 처방해 주거나 정신적 측면에서 고통을 경감시켜 주거나 도덕적 측면에서 생활습관의 변화를 요구해 보아야 아무런 소용이 없다는 말이다. 카바니스는 신체와 정신건강을 균형 잡힌 식단과 위생적인 생활환경으로부터 귀결되는 상태로 규정하고 바람직한 영양 및 위생 상태는 사회적 차원에서 국가의 개입이 없이 개인의 건전한 생활규범에 의해서만 유지될 수는 없다고 지적했다. 그는 사회적 환경을 개선하는 것만으로도 수많은 질병을 예방하고 치료할 수 있으며 이러한 사회적 치료는 국가의 가장 시급하고 중요한 과제라고 역설했다.


건강과 질병의 사회적 측면을 강조한 카바니스의 사상으로 인해 프랑스 대혁명 이후 수립된 국민의회의 빈민대책위원회(Comité de Mendicité de l’Assemblée Nationale)에는 경제학자뿐만 아니라 상당수의 의사가 참여했다. 카바니스는 대중의 보건위생 상태를 개선하기 위해 의료 및 빈민정책의 수립에 직접적으로 참여했고 “의사가 곧 사법관(médecin-magistrat)이어야 한다”는 요구까지 했다[8]. 의사의 임무는 일종의 원조(secours)로서의 의료를 베푸는 기술적인 차원을 넘어 원조의 배분과 관련된 경제적인 문제는 물론이거니와 사법적인 행정절차와 도덕적인 차원까지도 담당하는 것으로 확장된다. 이제 의사는 공중보건(santé publique)의 감시자를 넘어 시민의 도덕을 감시하는 역할도 맡아야 한다는 것이다[8].


신체, 정신, 도덕의 밀접한 관계를 전제로 의사의 권리와 의무가 확장됨에 따라 사회적 측면의 의(醫), 즉 ‘공중위생(hygiéne publique)’ 개념은 새롭게 정의되어야 했다.의(醫) 혁명과 개혁에 관한 시론(Overview on revolutions and reform of medicine, 1804)’에서 카바니스는 ‘위생’이 도덕적 성숙을 위해 필수적임을 이렇게 설명했다.


“위생(hygiéne)이란 건강을 보존하는 방법이다. 위생은 의(醫)의 본질적인 부분일 뿐만 아니라 도덕(morale)의 중요한 부분이다. 도덕이란 사실상 삶의 기술인데, 이 기술이 적용되는 주체가 겪을 수 있는 변화에 대한 앎과 이 변화를 야기할 수 있는 수단에 대한 앎을 갖지 않고서 어떻게 이 기술을 완성시킬 수 있겠는가? 따라서 위생은 해부학과 생리학의 몇몇 간단한 개념들과 더불어 모든 학생을 대상으로 하는 교육체계에 도입되어야 한다[8].”


위생은 건강을 지키고자 하는 의(醫)의 목표를 실현시키는 구체적인 방법이고 도덕은 신체와 정신이 건강한 개인이 자연스럽게 성취하는 삶의 습관인 것이다. 따라서 건전한 생활을 영위하기 위해서는 기초적인 의학지식과 더불어서 위생에 대해서도 교육을 받아야 한다. 카바니스는 도덕교육을 포함한 위생교육이 모든 학생을 대상으로 하는 공교육의 필수과목이라고 주장했다. 무엇보다도 그는 당대 사회를 두려움에 떨게 한 매독의 예방에 가장 효과적인 방법이 바로 위생교육이며 이러한 교육이 가능한 한 일찍 시작되어야 한다고 생각했다.


의학적 인간학으로서의 의(醫)


사회적 차원에서 정의된 건강과 질병에 대해 의사가 효과적으로 대응하려면 의사는 자신의 사회적 역할을 인식하고 이를 철저하게 수행해야 한다. 카바니스는 이렇게 중요하게 부각된 의사의 사회적 역할을 ‘인간학(인간과학, science de l’homme, anthropologie)’이라는 이념으로 집약했다[9,10]. 인간학은 의(醫)의 본질과 의사의 근본적인 역할을 완전히 새롭게 정의한 개념이며 현대적인 의미로는 ‘의학적 인간학’이라고 이해될 수 있다. 카바니스는 의회에서 자신의 전면적이고 포괄적인 의료 개혁안을 소개하면서 ‘인간학’을 다음과 같이 정의했다.


“시민들이여, 나는 오늘 인간에 대한 생리학적 연구가 인간 지성의 작동방식에 대한 연구와 맺고 있는 관계에 대해 논하고자 한다. 다시 말해 인간 장기의 체계적인 발달이 인간 감정과 정욕(passions)의 유사한 발달과 맺고 있는 관계에 대해 말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 관계로부터 생리학(physiologie), 도덕론(morale), 이념의 분석(analyse des idées)이 우리가 정당하게 ‘인간학(science de l’homme)’이라고 부를 수 있는 단 하나의 동일한 학(科)의 세 분과일 뿐이라는 사실이 분명하게 귀결된다.… 여기에서 ‘인간학’은 독일인들이 ‘anthropologie’라고 부르는 것과 동일하며 실제로 그들도 우리가 언급한 세 가지 주요 분과를 ‘인간학(anthropologie)’에 포함시킨다[11].”


의(醫)는 인간을 총체적으로 이해하고 인간에 대해 전인적으로 실천하는 인간학이어야 한다는 것이다. 원래 ‘anthropologie’라는 용어는 ‘의학적 인간학’을 의미하기 위해 고안된 개념이다. 카바니스는 1772년에 출판된 플라트너(Ernest Platner, 1744-1818)의 ‘의사를 위한 인간학과 세계지식(Anthropology for physicians and the worldwise, 1772)’ [12]을 참조했거나 1798년에 출판된 칸트(Immanuel Kant, 1724-1804)의 ‘실용적 관점에서 본 인간학(Anthropology from a pragmatic point of view, 1798)’ [13]을 염두에 두었을 가능성이 커 보인다. 오늘날처럼 ‘anthropologie’가 ‘인류학’이라는 협의로 이해되기 시작한 것은 19세기 이후이며 유럽에서는 여전히 ‘anthropologie’가 인류학보다는 인간학으로 먼저 이해되고 있다. 이러한 의학적 인간학은 세 개의 하위분야로 구성되며 의사는 이 세 분야 중 어느 하나도 소홀히 교육을 받아서는 안된다고 카바니스는 주장했다(Figure 1).


  • 의학적 인간학의 첫 번째 하위분야인 생리학(physiologie)은 자연과학의 관점에서 인간 신체의 조건과 기능을 탐구하는 분야이다. 18세기에 생리학이란 개념은 물리·화학과 구별되는 의학 전체, 즉 현대 생명과학과 기초의학 전체를 지칭하는 의미로 사용되었다
  • 두 번째 하위분야인 도덕론(morale)은 모든 실천이 보편적이거나 특수한 가치를 지향하고 그러한 가치에 대한 판단에 근거함을 전제한다. 이로부터 개인과 사회에 대한 실천으로서의 의료는 그 자체로 이미 가치론적 행위(acte axiologique)임이 귀결된다. 도덕론은 현대적인 학문분류에서의 임상의학과 윤리학이 불가분의 관계에 있으며 하나의 분과로 간주되어야 함을 시사한다. 
  • 의학적 인간학의 세 번째 하위분야인 이념의 분석(analyse des idées)은 이론으로서의 생명과학과 기초의학, 실천으로서의 임상의학을 과학적이고도 윤리적으로 수행하기 위해서는 인간과 사회에 대한 다양한 이념을 포괄적이고 심층적으로 분석하고 이해할 수 있어야 함을 강조한다. 결국 이념의 분석은 의(醫)의 궁극적인 토대이며 필수적인 구성요소가 인문학과 사회과학이며 현대적인 의미로는 의사학(histoire de la médecine), 의철학(philosophie de la médecine), 의윤리학(éthique médicale), 의사회학(sociologie de la médecine) 등으로 구성된 의인문학(humanités médicales)이 의과학자와 의사에게 필수적임을 역설한다.


카바니스가 의(醫)를 인간학으로 확대 및 개편하려는 목적은 

    • 먼저 의(醫)를 구성하는 인문학, 사회과학, 자연과학의 관계를 강화해 인간에 대한 종합적인 이해를 심화시키기 위해서였다. 그는 “의(醫)를 다른 과학과 종합하고 그것들 사이의 상호관계를 확실하게 규명할 시간이 도래했다”[8]고 선언하고는 의(醫)와 다른 과학의 진정한 융합을 지향하는 전형적인 학제적(interdisciplinaire) 연구 및 실천이 곧 의학적 인간학이라고 규정했다
    • 다음으로 카바니스는 의학적 인간학이 추구하는 인간에 대한 포괄적이고 심층적인 이해를 통해 인간에 대한 배려, 특히 환자에 대한 진료를 좀 더 전인적이고도 효과적으로 변화시키고자 했다. 
    • 끝으로 카바니스는 신체적이고 정신적인 건강이라는 가장 포괄적인 의미의 건강을 시민들이 모두 누리기 위해서는 그들의 사회적 환경을 개선하고 그들을 도덕적으로도 개화해야 한다고 생각했다. 이것이 의학적 인간학으로 재정의된 의(醫)의 궁극적인 목표이다.


이렇게 확장된 의미의 의(醫)를 의사가 올바로 실천하려면 의과대학의 의(醫)교육은 단순히 의학지식과 의술의 전수 이상으로 그 범위가 확대되어야 했다. 카바니스에 따르면 의(醫)교육은 “개인의 발전을 보장하고 실현시키는 데 머물러서는 안된다. 의(醫)교육은 정신의 다른 모든 작용들, 특히 인간의 합리적인 철학과 도덕에 영향을 주어 그것들을 발전시켜야 한다”[14]는 것이다. 의(醫)교육을 통해 의과대학 학생의 철학과 도덕을 발전시키려면 당연히 역사, 철학, 문학 등 인문학교육이 필수적으로 요구된다. 반대로 인문학도에게는 해부학과 생리학, 즉 기초의학교육이 강력하게 권장된다[15]. 카바니스에게 의학지식이 풍부하고 의술이 뛰어난 것은 훌륭한 의사의 필요조건일 뿐이다. 진정으로 훌륭한 의사는 철학적 합리성과 도덕적 건전성을 바탕으로 인간과 사회를 이해하고 환자를 모든 측면에서 배려할 수 있는 의사이다.


의학적 인간학의 최종목표


카바니스가 의(醫)를 의학적 인간학으로 재정의함으로써 총체적이고 종합적으로 개혁하고자 한 주제와 영역은 다음과 같이 요약될 수 있다. 

    • 첫째로 의(醫)존재론(ontologie de la médecine)은 의학, 의술, 의료, 건강, 질병, 위생, 안녕, 인간, 사회, 환자 등 의(醫)의 핵심개념을 철학적으로 반성하고 재정의한다. 
    • 둘째로 의(醫)인식론(épistémologie de la médecine)은 의학지식과 경험의 획득 방법을 분석하고 임상추론 및 임상결정 과정을 실증적으로 체계화한다. 
    • 셋째로 의(醫)교육(enseignement médical)은 의료행위의 사회적 가치와 의미를 교수하고 인성과 실력을 겸비한 의사를 양성할 수 있는 교육과정과 교육체계를 개발한다. 
    • 넷째로 의료제도는 의과대학(교육의 공간), 종합병원(치료의 공간), 실험실(연구의 공간)의 역할을 재정립하고 그 관계를 합리적이고 효율적으로 설정한다. 
    • 다섯째로 사회보장제도는 약자와 서민에 대한 ‘의료보장’ 이념(현대 국민건강보험의 전형)을 정당화하고 인본적인 공중보건체계를 수립하기 위한 재원을 확보한다.


프랑스 대혁명의 격변기를 살았던 카바니스는 트라시와 같은 이데올로그처럼 사회개혁에 지대한 관심을 가졌고 특히 의료계를 과학적이면서도 인본적으로 개혁하고자 노력했다. 카바니스는 보건의료계의 진정한 혁신이 실현되기 위해서는 동시에 세 지평에서 근본적인 변혁이 실현되어야 한다고 생각했다. 

    • 먼저 과학의 차원에서 의학의 목표와 방법에 대한 반성이 선행되어야 했다. 
    • 의학에 대한 존재론적이고 인식론적인 반성, 즉 철학적인 반성을 기초로 의과대학이 독점하게 된 의(醫)교육을 개혁해야 했다. 특히 의(醫)교육의 핵심인 임상실습이 올바로 수행되기 위해서는 의과대학, 종합병원, 실험실의 관계가 새롭게 정립되어야 했다. 
    • 이 관계는 한 사회의 공중보건체계의 근간을 이루며 궁극적으로 국민건강보험과 같은 사회보장체제에 의해 완성된다.


이렇게 ‘의학적 인간학’ 이념을 바탕으로 카바니스가 추진한 의학의 사회화와 사회의 의학화는 궁극적으로 일종의

‘우생학(eugénisme)’을 목표로 설정하고 있었다. 위생교육을 통해 그는 인류가 생물학적으로는 물론이거니와 사회적으로도 평등해질 수 있다고 믿었다. 더 나가가 그는 이러한 신인류가 프랑스 혁명기의 평등주의 계몽정신과 이성에 근거해 건전한 도덕을 실현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한 마디로 말해 위생은 인간 일반의 본성을 개선해야 한다. 물론 이것은 매우 어려운 과제이지만 우리 모두가 노력할만한 가치가 있는 일이고 자연은 이미 우리로 하여금 이 일을 하도록 권장하고 있다.… 개인의 총합으로서 우리는 이 과제를 수행해 모든 수단에 있어서 평등한 새로운 인간종(espèce d’égalitéde moyens)을 장기적으로 만들어 낼 수 있을 것이다. 새로운 인간종은 원시적인 유기체와 전혀 다르며 그것의 출현은 [법적이고 사회적인] 권리에 있어서 평등한 계몽적 문명(lumières)과 완성된 이성의 창조와 다름없다[13].”


평등한 새로운 인간종의 창조를 지향하는 의(醫)는 그 자체가 이미 엄청난 ‘사회적 가치(valeur sociale)’를 가지며 그러한 가치를 추구한다. 카바니스는 의(醫)가 사회 및 정치적 차원에서 한 사회의 역사적 발전단계를 대표하며 의(醫)는 앞으로 점점 더 ‘인류 발전의 중요한 요인(facteur important dans le progrès de l’humanité)’이 될 것이라 예측했다[16]. 그런데 카바니스는 의(醫)가 사회적 가치를 추구하고 구현하기 위해서는 국가 권력의 지원이 필수적이라고 생각했다. 이에 관해 푸코(Michel Foucault, 1926-1984)는 ‘임상의학의 탄생(The birth of the clinic, 1963)’에서 이렇게 말하고 있다.


의료정책이 보다 일관되고 포괄적으로 수행되기 위해 의(醫)는 국가의 차원에서 고려되어야만 한다. 의(醫)는 이제 국가적 과제이다. 그래서 메뉴레(Jean-Joseph Menuret, 1739-1815)는 혁명 초기에 국가에 의해 재정 지원이 되는 무상의료제도를 구상했던 것이다[17].”


카바니스는 의학연구의 발전을 보장하고 의료행위를 규제하는 것이 국가의 기본과제라고 규정하고는 국가 권력이 의(醫)의 실천과 발전에 적극적으로 개입할 것을 요구했다[18]. 과학을 넘어 사회와 도덕의 차원으로까지 확장된 의(醫)의 이상은 이제 국가 권력을 활용하지 않고는 실현하기가 어려워졌기 때문이다. 여기에서 우리가 오해하지 말아야 할 것은 국가 권력이 의(醫)의 목표를 실현하기 위해 의료계를 관리하고 통제하지 않았다는 사실이다. 오히려 의료계가 환자의 건강을 증진하고 사회의 보건위생을 유지하기 위해 국가 권력이 필요함을 인식하고는 이러한 권력을 정당하게 국가에 요구하고 이렇게 위임 받은 권력을 적절하게 활용했다는 것이다. 요컨대 국가가 의료계에 강압적으로 개입한 것이 아니라 의료계가 자발적으로 국가에 참여했다는 말이다. 결국 카바니스 이후로 프랑스를 포함한 유럽에서는 의료계와 국가의 상부적인 협조가 모든 의료제도의 전제가 되었다.


프랑스 의사직업윤리법에 반영된 의학적 인간학


카바니스의 ‘의학적 인간학’ 이념 덕분에 프랑스 의료계는 프랑스 대혁명 이후 지난 200년 동안 자발적이고 선도적으로 의(醫)의 사회적 기능과 의사의 사회적 역할에 대해 논의할 수 있었고 그 결과는 오늘날 프랑스 의사직업윤리법에 반영되어 있다. 프랑스에서는 기본적으로 의료를 공공재로 규정하고 대부분의 의사가 사실상 의료공무원이다. 이 때문에 의료계가 자율규제와 자기정화의 근거로 삼는 의사직업윤리법이 실효성이 적은 의사협회의 윤리지침으로 선포되지 않고 법적인 처벌이 가능한 국가의 공중보건법(code de la santé publique)의 일부로 수립되어 있다. 이 법은 프랑스 의사회 국가회의(Conseil National d’Ordre des Médecins)의 각 지역 대표 54명이 주도하고 의사회 소속의 모든 의사가 참여해 마련되었다. 오늘날의 프랑스 의사회는 19세기 후반에 모든 전공과 소속 기관의 의사(개원의, 봉직의, 의대교원 등)를 대표하는 단체의 필요성이 제기되면서 1923년에 창립되었고 현대적인 의사직업윤리법은 1947년에 제정되었다. 최신의 프랑스 의사직업윤리법은 2012년 5월 7일에 개정된 것이며 총 5개 조(titre)와 112개 항(article)으로 구성되어 있다. 

    • 제1조는 의사의 일반적 의무, 
    • 제2조는 환자에 대한 의무, 
    • 제3조는 의사 간의 관계 및 의사와 타 의료전문직과의 관계, 
    • 제4조는 의사전문직의 실천, 
    • 제5조는 기타 조항을 규정하고 있다.


카바니스가 ‘의학적 인간학’ 이념을 통해 제안한 의(醫)의 사회적 기능과 의사의 사회적 역할은 다음과 같이 요약될 수 있다. 

    • 첫째로 건강과 질병은 과학을 넘어서 정치, 경제, 사회, 문화를 포괄하는 광의의 사회적 문제이며 따라서 사회적 해결책이 간구되어야 한다. 
    • 둘째로 의료는 기본적으로 이윤의 획득을 추구하는 상품이 아니라 국가 권력의 지원이 필수적인 공공재이다. 
    • 셋째로 의사는 사회적 차원에서 환자의 건강과 사회의 보건위생을 증진하는 역할을 수행하기 위해 국가 권력을 행사하지만 자율규제 원리를 준수함으로써 환자나 국가로부터 자신의 전문적 자율성을 유지해야 한다.


카바니스의 이러한 ‘의학적 인간학’ 이념은 다음과 같은 프랑스 의사직업윤리법의 조항에서 확인할 수 있다.


1. 사회적 해결책이 필요한 건강과 질병문제

의사는 모든 상황에서 환자의 상태에 가장 적합한 방법을 통해 환자의 고통(souffrance)을 경감시키려 노력해야 하며 정신적으로도 원조를 제공해야 한다(제2조 제37항). 환자의 질병은 단순히 신체적 통증(douleur)뿐만 아니라 정신적 고통도 초래하므로 의사는 환자의 정신적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도 최선을 다해야 한다는 것이다. 더 나아가 질병은 사회적 문제로 인해 발생하기도 하며 따라서 사회적 해결책이 필요할 수 있다. 이때 의사는 환자의 상태가 필요로 하는 사회적 혜택을 환자가 쉽게 획득할 수 있도록 적극적으로 도와야 한다(제2조 50항).


의사는 어떤 상황에서도 환자에게 신체적, 정신적, 사회적 원조를 제공해야 할 의무가 있으며(제1조 제7항) 환자가 건강과 관련된 자신의 권리를 잘 행사할 수 있도록 적극적으로 도와야 한다(제1조 제6항). 만일 어떤 환자가 학대나 가혹행위를 겪었음을 의사가 확인한다면 의사는 가능한 한 그 환자의 동의를 얻어 사직 당국에 신고해야 한다(제1조 제10항). 하지만 만일 그 대상이 15세 미만의 미성년자이거나 신체 및 정신적 상태나 연령 때문에 스스로를 보호할 수 없는 성인이라면 그 환자의 동의가 필요하지 않다(제2조 제44항).


2. 상품이 아닌 공공재로서의 의료

의(醫)는 결코 상업(commerce)처럼 실천되어서는 안된다. 직·간접적인 방법에 의한 모든 종류의 광고와 특히 상업시설과 같이 외관을 연출하는 모든 설비와 표시도 금지된다(제1조 제19항). 의사는 법률이 정한 특례조항의 조건 이외에는 어떤 경우에도 영리 목적으로 건강에 도움이 되는 것으로 간주되는 치료법, 치료기구, 치료제를 배포할 수 없다(제1조 제21항). 다른 의사나 의료기관과의 관계에서도 의사는 경쟁에서 이기려는 목적으로 진료비를 할인하거나(제3조 제67항) 어떤 방식으로든 환자를 유인할 수 없다(제3조 제57항). 따라서 환자에게 세트요금(forfait)이나 예납금(provision)을 요구하는 것은 금지된다(제2조 제55항). 설사 법이 정한 특정한 조건에서 의료행위를 통해 경제적 이윤을 취득하는 것이 제한적으로 허용되더라도 의사는 상호간의 기본적인 상도덕을 지켜야 한다는 것이다. 하지만 프랑스에서 의료는 원칙적으로 상품이 아닌 공공재이므로 경제적 이윤의 추구는 의사의 부수적인 권리이고 일차적이고 주된 의무는 국가가 시행하는 건강보호와 위생교육 활동의 지원이다(제1조 제12항).


3. 자율규제를 통해 전문적 자율성을 유지해야 하는 의사

프랑스 의사직업윤리법은 프랑스 의사의 가장 대표적인 자율규제 원리이며 의사회 명부(tableau de l’ordre)에 등록된 모든 의사, 즉 공중보건법 제L.4112-7항이나 국제협약이 규정한 조건에 따라 전문적인 의료행위를 수행하는 의사나 의사직업윤리법 제88항이 규정한 경우처럼 의사를 돕거나 의사를 대신하는 의과대학 학생, 수련의, 전공의에게도 적용된다(제1조 제1항). 모든 의사는 의사회 명부에 등록될 때 지역 의사회 앞에서 의사직업윤리법을 숙지하고 있으며 이를 준수하겠다고 선서하고 서약서를 제출해야 한다(제5조 제109항). 의료행위를 하고 의사의 자격을 유지하려면 이러한 선서와 서약서가 필수적인 법적 요건이다. 하지만 역사적으로 프랑스 대혁명 이래로 의사직업윤리법은 국가가 강제한 법적 요건이 아니라 의료계가 자발적이고 적극적으로 수립한 자율규제의 규범이다.


프랑스 의사직업윤리법은 상징적인 선언의 의미에 머물지 않는다. 프랑스 의사회는 공중보건법 제L.4122-1항에 입각해 의사직업윤리법의 준수를 감시할 책임을 지며 이 법의 위반에 대해 법적 처벌(juridiction disciplinaire)을 요구할 수 있는 권한도 갖는다(제1조 제1항). 따라서 만일 의사가 의사회에 의도적으로 부정확하거나 불완전한 보고 또는 신고를 하면 규율적인 처벌(poursuites disciplinaires)을 받을 수 있다(제5조 제110항). 이러한 처벌의 권한은 의료계가 국가의 법적 권력을 위임 받아 스스로를 자율적으로 규제하는 것이지 의료계가 국가 권력에 포섭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된다.


의사는 국가가 법으로 보장한 직업적 자율성(autonomie professionnelle)을 의사직업윤리법의 준수를 서약한 후에는 어떤 방식으로도 포기할 수 없다(제1조 제5항). 심지어는 의사로서 활동을 하지 않을 때에도 의사는 의사직업의 신망을 추락시키는 어떤 종류의 행위도 하지 말아야 한다(제1조 제31항). 더 나아가 의사는 국가로부터 스스로의 전문적 자율성을 지켜야 할 뿐만 아니라 이를 침해하는 환자의 어떤 과도한 요구에도 굴복해서는 안된다(제2조 제50항). 이렇게 하는 것이 궁극적으로 의사는 물론이거니와 국가, 사회, 환자에게도 이롭기 때문이다.


결론


20세기 프랑스 의철학을 대표하는 캉귈렘(Georges Canguilhem, 1904-1995)은 카바니스가 자유주의자, 반신학주의자, 반형이상학주의자였으며 프랑스 실증주의(posi-tivisme français)의 선구자였다고 평가했다[19]. 프랑스 대혁명의 격변기를 살았던 카바니스는 실증철학(philosophie positiviste)의 관점에서 의(醫)의 모든 지평을 변혁해야 할 필요를 느꼈고 차례로 의(醫)방법론과 의(醫)교육에 이어서 의과대학 및 종합병원과 같은 의료기관의 조직을 비판적으로 검토하고 근본적으로 개혁하고자 시도했다[20]. 그는 의(醫) 전반에 대한 자신의 개혁안을 궁극적으로 ‘인간학’ 이념으로 집약했다.


인간학으로 정의된 의(醫)에서 환자의 질병과 건강은 개인의 신체·정신·도덕뿐만 아니라 그의 사회적 환경과의 밀접한 상호작용을 전제로 이해되어야만 했다. 이 시대로부터 “의(醫)는 치료법과 그것을 위해 필요한 지식의 집대성에 만족하지 않는다. 이제 의(醫)는 ‘병에 걸리지 않은 사람(homme non malade)’에 대한 경험과 ‘모범적인 사람(homme modèle)’의 정의를 모두 포괄하는 ‘건강한 사람(homme en santé)’을 목표로 한다[21].” 카바니스 이후로 어떤 사람이 건강하다는 말은 그 사람이 사회적이고 윤리적인 차원에서 도덕적이라는 의미도 내포하게 된 것이다.


따라서 의(醫)는 의사에게 환자의 사회적 환경의 개선에도 적극적으로 개입해야 할 의무를 부과하게 되었고 이 의무는 ‘공중위생’ 개념에 의해 정당화되었다. 카바니스는 자연과학과 정치제도로서의 ‘공중보건’ 이념의 근대적 기틀을 마련했고 이 이념은 카바니스의 적극적인 정치활동 덕분에 19세기 초에 이르러 프랑스의 과학과 정치의 영역 모두에서 확고하게 자리를 잡을 수 있었다. 그는 의(醫)와 사회의 경계를 허물고 의학의 사회화와 사회의 의학화를 동시에 추진했던 것이다. 의(醫)는 개인의 신체와 정신 건강은 물론이거니와 그의 도덕에도 관여할 수 있는 정당한 권리를 부여 받았고 이에 맞추어 공중위생의 역할도 강화되었다.


18세기를 전후로 프랑스 사회에서 분명하게 제도화된 역학적(épidémiologique) 조사는 의(醫)가 사회과학, 특히 경제학의 영역에도 관여하도록 요구했다. 의(醫)는 환자 개인의 질병을 치료하기 위해 한 사회의 구성원인 그 환자의 사회적 및 경제적 상황을 모두 파악하고 개선시켜야 할 의무를 가지게 되었다. 공중보건이란 명분으로 의(醫)는 한 개인의 건강(santé)은 물론이거니와 한 사회의 위생상태(salubrité)와 더 나아가서 한 국가의 보건안전(sécurité)에도 적극적으로 개입하게 된 것이다[22]. 이제 의(醫)는 한 개인을 치료해 그가 속한 사회를 치료하고 반대로 한 사회를 개혁해 한 개인의 질병을 치료한다. 더 나아가 의(醫)는 개인으로부터 구체적이고 직접적인 치료의 요구를 받기 전에 정상상태의 개인을 잠재적인 환자나 전염병의 매개로 간주하고 예방의 차원에서 정당하게 그 개인에게 다양한 사회적 요구를 한다. 18세기 카바니스 이후로 건강은 장기들이 침묵(silence)하는 상태일 뿐만 아니라, 사회적 관계 속에서 눈에 띄지 않는(discrétion) 상태도 의미하게 되었다[23]. 결국 의(醫)가 인간학으로 확장되어 정의됨에 따라 건강과 질병은 신체, 정신, 도덕, 사회의 네 차원 모두에서 고려되어야 할 문제가 된 것이다.


프랑스에서는 프랑스 대혁명 전후부터 본격적으로 근대적인 관점에서 의(醫)의 본질과 의사의 사회적 역할에 대한 논의가 시작되었고 그 결과가 현재 프랑스 의사직업윤리법에 집대성되어 있다. 물론 프랑스 의료계도 사회의 필요와 대중의 요구를 수동적으로 충족하며 국가 권력과 대립하는 과정을 피하지 못했다. 하지만 의료가 경제적 가치뿐만 아니라 정치적, 사회적, 문화적 가치를 선도적으로 창출하고 그렇게 해야 한다는 인식을 하면서부터 프랑스 의료계는 국가철학의 수립과 추진에도 결정적인 기여를 해 왔다. 이러한 역사적 과정을 거치면서 프랑스에서 의사는 사회의 리더로서 제 역할을 다하고 있다는 인식이 사회 전반에 확대되었고 프랑스 의료계는 대중의 신뢰도 확보할 수 있었다.


프랑스에 비해 200년이 늦긴 하지만 이제라도 의(醫)의 본질과 의사의 사회적 역할에 대해 근본적이고 총체적인 반성이 우리나라에서도 필요한 것으로 보인다. 사회의 중추적인 기능으로서 의료란 우리나라에서 과연 어떤 가치를 추구해야 하는가? 우리나라에서 의료를 담당하는 의사는 과연 어떤 사회적 역할을 담당해야 하는가? 이러한 역할을 수행하기 위해 의사는 어떤 지식과 덕목을 갖추어야 하는가? 이러한 의인문학적인 반성을 기초로 우리 의료현실이 반영된 자율규제 원리도 수립되어야 할 것이다. 오랜 시간과 많은 노력이 필요하겠지만 우리 의료계가 이 자율규제 원리를 철저히 준수한다면 전문직으로서의 의사가 개인과 사회에 대한 실천으로서의 의료를 올바로 수행하는 데 필요한 전문적인 자율성도 확보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J Korean Med Assoc. 2014 Feb;57(2):104-113. Korean.
Published online February 14, 2014.  http://dx.doi.org/10.5124/jkma.2014.57.2.104 
Copyright © 2014 Korean Medical Association
Historico-philosophical consideration on the social role of French doctor: medical anthropology of Pierre-Jean-Georges Cabanis (1757-1808) and the French code of medical deontology
Hee-Jin Han, PhD
Department of Medical Humanities, Korea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Seoul, Korea.

Corresponding author: Hee-Jin Han, Email: heejinhan@korea.ac.kr 


Abstract

Doctor's task cannot be limited to medical practice and research. As a citizen of society, and above all as a professional, doctors should not evade their social responsibilities. This idea was systematically developed and widely diffused throughout Europe by Pierre-Jean-Georges Cabanis (1757-1808). He was not only a doctor, but also a philosopher and a politician who lived at the time of the French Revolution. His philosophy on the nature of medicine and the social role of the doctor is conceptualized in his idea of medical anthropology (science de l'homme, anthropologie). In order to understand why the social role of the doctor was particularly emphasized in and around France, Cabanis' medical anthropology should be analyzed in depth. His medical anthropology is composed of three major domains: physiology, ethics, and analysis of ideologies. The following ideas of his medical anthropology can be identified in the current articles of the French code of medical deontology. 1) Health and disease being a social problem, a social solution should be sought (1.6, 1.7, 1.10, 2.37, 2.44, 2.50); 2) Medical practice is in principle not a commercial service for profit, but rather a public service supported by the government's power (1.12, 1.19, 1.21, 2.55, 3.57, 3.67); 3) Doctors should maintain their professional autonomy by establishing and observing the principles of self-regulation (1.1, 1.5, 1.31, 2.50, 5.109, 5.110). Referring to the historical experience of French doctors, the Korean medical community should also enter into a broad and fundamental reflection on the nature of medicine and the social role of the doctor.


의사의 사회적 역량이란 무엇인가?

What is the social competency for doctors?

안 덕 선 | 고려대학교 의과대학 성형외과교실

Ducksun Ahn, MD

Department of Plastic Surgery, Korea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Seoul, Korea





서론

세계의학교육연맹(World Federation for Medical Education)은 개별 국가별로 미래지향적인 의사의 역할을 규명(Project on the Future Global Role of the Doctor in Health Care)하여 제정할 것을 천명하였다[1]. 이에 따라 많은 나라들은 자국의 특수한 환경과 특성을 반영한 의사상의 정립을 시도하고 있다.


오늘날 의사의 역할이란 무엇인가? 종래에는 의사의 역할을 의사와 환자 사이의 진료적 관계에 초점을 맞추었으나, 최근에 들어서는 변화하는 의료 환경에 부합하는 새로운 역할을 의사에게 요구하고 있다. 이러한 변화에 부응하고자 세계의학교육연맹은 미래지향적인 의사의 역할을 탐구할 소위원회를 구성하여 전문가적인 자문을 구하였다[2].


세계에서 모인 의학교육전문가 집단은 의사의 역할에 관해 합의된 중요한 요소들을 열거하였으며, 대표적인 합의 사항은 대략 이렇다. 

    • 예컨대, 의사의 전문직업성을 발전시키기 위해 의사는 그가 속한 사회로부터 인정받는 역할이 있어야 하고 사회적 과업에 기여할 수 있어야 한다. 
    • 또한 의사는 동료 의료인과 협력관계를 유지해야 하고, 종신 학습을 받을 권리와 의무가 있으며 자율규제에 참여해야 한다. 
    • 여기에 더하여 의사는 의료제도에 관해 관심을 갖고 발전시켜야 한다. 


이것이 바로 의사의 ‘사회적 역량’을 강조하고 있는 것이다. 의사의 역할이 이와 같다면, 앞서 언급하였듯이 오늘날의 의사는 진료관계의 역량뿐만 아니라 보다 포괄적이고 광범위한 사회적 역량을 갖출 것을 요구 받고 있다고 볼 수 있다.


이와 같은 의사의 역할에 대한 확장된 개념은 의료 환경의 변화에 따른 것으로써 의료가 점차 사회적 실천의 성격이 강한 국민의 기본권으로 자리 잡아가고 있음을 보여준다[3]. 또한 현대 의료가 상업화와 산업화됨에 따라 종래의 의사-환자를 자유계약의 관점에서 보던 진료역량중심의 사고에서 보다 더 포괄적이고 사회적인 요소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의료의 사회적 실천의 측면이 강조됨에 따라 의료가 정치, 문화 그리고 사회의 의료 외적 영향력이 증대되는 현상은 의료의 본질적인 가치를 수호하고 정치적으로 희생되지 않고 본연의 역할을 할 수 있기 위해 의료의 내적 역할의 중요성을 부각시키고 있다. 따라서 오늘날 의사의 역할은 단지 진료관계로만 축소하여 볼 수 없게 되었다. 한편 의사의 국제적인 역할 또한 중요한 덕목으로 부상하고 있는데, 이것은 환자, 학생, 교육 그리고 병원 기관의 국제적인 이동과 대규모 기업화 현상이 급속히 진행되고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의사는 제한된 의료자원에 대한 관리능력과 국제적인 의학교육의 질 관리까지 바라볼 수 있는 거시적인 안목을 갖추어야 한다[4].


물론 환자-의사간의 진료적인 관계 속에서 의사의 역할은 전통적으로 치료적인 능력을 중시하는 임상적 역량이 주된 관점이고 의사가 갖추어야 할 가장 중요한 능력의 하나임은 분명하다[5]. 하지만 우리는 종종 의사가 전문적으로는 역량이 있으나 사회적으로 역량이 없다는 비난을 받기도 한다. 이제 사회적 제도로서 의료는 의사가 단순한 임상적 능력뿐만이 아닌 비임상적 능력을 갖출 것을 요구 받고 있다. 달리 말하면, 그것은 곧 의사의 사회적 역량을 의미한다. 의료를 임상적 또는 비임상적으로 구분하는 것은 인위적이며 임의적인 것으로 볼 수 있다. 하지만 위에서 간략히 언급한 의료 환경의 변화 속에서 임상적 또는 비임상적 역량 모두를 종합할 수 있는 개념이 필요한 것 또한 사실이다. 만일 이와 같은 논의가 옳다면, 그와 같은 종합적인 개념을 세계의학교육연맹이 제시한 “의사의 포괄적 역량(global role of doctor)”라는 용어에서 찾을 수 있을 것이다[1].


사회적 역량


사회적 역량이란 용어는 주로 심리학이나 교육학에서 아동과 청소년의 발달과정에서 사용되어온 개념이다. 말하자면, 그것은 아동이 성장하면서 사회적, 정서적 그리고 인지적 기술과 행동을 통하여 사회에 적응하는 역량을 의미한다. 이와 같은 간략한 정의에서 보여주듯이, 그러나 사회적 역량은 실체를 파악할 수 없는 환상적 개념처럼 보일 수 있다. 아동은 그들이 처한 상황과 환경에 따라 발달하는 양상이 매우 다르기 때문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아동의 사회적 역량으로 거론되는 몇 가지 중요한 요소들을 살펴보는 것은 의미가 있다. 

    • 예컨대, 그 요소들은 자기 자신에 대한 자신감 또는 자존감, 
    • 대인관계 능력, 
    • 자기중심적이고도 충동적인 행동에 대한 스스로의 조절, 
    • 타인에 대한 이해, 
    • 복잡한 사회 상황을 이해하기 위한 단서포착의 인지 또는 
    • 타인의 동기와 의도를 파악할 수 있는 능력 등이다. 

일반적으로 이와 같은 역량을 갖고 있는 아동은 사회적 역량이 있다고 여겨진다. 


사회적 역량에 관한 학술적인 언급은 앞에서 열거한 대로 주로 아동뿐 만 아니라 중등교육 또는 청소년의 발달에 관해서도 논의되어 왔다. 그 논의는 주로 

    • 직업 및 진로결정에 대한 영향, 
    • 시민의 역량으로서 봉사와 협동정신, 
    • 참여와 권리신장, 
    • 공동체 의식 그리고 
    • 민주의식을 들고 있으며, 
    • 더하여 인간관계 역량, 
    • 학습역량 그리고 
    • 사회적응 능력 등에 관한 것이다. 

특히, 사회적응 능력에서는 정보화 능력, 즉 사회의 다양한 정보를 습득하는 능력과 새로운 기술을 적용하는 신기술적응 능력, 조직적응 능력, 변화적응 능력 또는 친 사회적 기술 등을 열거하고 있다.


이와 같이 사회적 역량은 최근에 들어 의료계에 종사하는 의료 인력을 평가하는 개념으로 도입되고 있다. 의료영역에 사회적 역량 개념을 도입하려는 경향은 앞서 언급한 의료환경의 변화와 무관하지 않다. 급격하게 변화하는 의료환경은 의사에게 다양한 능력과 자질을 요구하고 있으며, 이는 곧 종래의 의사의 역할이 변화하고 있음을 말해준다. 이와 같은 맥락에서, 의사의 진료 역할 외에 다양한 역량을 정의하려는 시도는 자연스러운 경향이라고 할 수 있다.


유럽연합(European Union)에서는 2005년 번영과 참살이(well-being)에 관한 벤치마크 핵심지표로 사회적 역량의 측정에 관한 보고서를 발간하였다[6]. 이 보고서는 아렌트(Arendt, 1958)를 인용하여 사회적 역량을 ‘한 개인이 이 세상에서 더불어 살 수 있는 능력’이라고 포괄적으 로 정의하고 있다. 이 보고서에 제시하고 있는 핵심지표를 크게 세 가지로 분류할 수 있다. 

    • 첫 번째는 대인관계로 인간 상호적인 것이다. 
    • 두 번째는 문화간 또는 문화 상호적인 것이다. 
    • 세 번째는 사회적 또는 시민적 역량이다. 

그 중에서 사회적 역량 개념에 관해서는 생애주기를 통하여 여러 가지 다양한 상황에서 적응하는 능력에 관계된 것으로 규정하였으며, 특히 가족, 학교, 사회 그리고 연령에 따른 적응에 대한 고려가 중심이 되었다. 따라서 사회적 역량 개념은 어떠한 맥락에서 적절한 구인(construct)에 대한 정의로 규명될 필요가 있다.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사회적 역량에 대한 여러 가지 측면의 구인이 제시되었다. 예컨대, 대표적인 구인으로 공감, 자기조절, 신뢰, 자기 자신, 다른 사람에 대한 존중 그리고 시민으로서의 참여 등을 들 수 있다.


이 보고서는 사회적 역량 개념이 인간 상호간의 작용과 사회적 요구 또는 어떤 상황적 특성에 따라서 여러 가지 개념적 모델이 제시된다고 보고 있으며, 따라서 사회적 역량은 특정 상황 또는 여러 가지 다양한 상황에서 요구되는 사회적인 능력이 상대적인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달리 말하면, 사회적 역량의 개념은 고정된 것이 아니라 여러 다양한 분야에서 정의될 수 있는 상대적인 것임을 강조하고 있다. 


심리학에서는 사회적 역량을 일종의 개인적인 성향 또는 특성으로 정의하고 있다. 

    • 여기에는 공감, 수용성, 인내성, 양심적임, 또는 협동능력 등이 포함된다. 이러한 특성은 여러 가지 사회적 상황에 상호작용할 수 있는 능력과 관련된 다양한 구인을 의미한다. 여기에 더하여 심리학에서는 자기 자신에 대한 효능, 즉 자기 효능감 또는 정서적 지능도 사회적 역량으로 보고 있다. 

반면에 경제학에서는 사회적 역량을 부드러운 기술 또는 연성 술기(soft skill)로 표현하는데, 

    • 여기에서 연성 술기는 유연성, 팀능력 그리고 동료나 고객을 동기화 시킬 수 있는 능력 등을 의미한다. 
    • 사회적 역량에 관한 경제학적 정의에서 특히 주목할 점은 사회적 역량을 사회적 자산이나 사회 자본으로 광범위하게 규정하고 있다는 것이다.


의료영역에서 사회적 역량에 관한 논의는 다양하게 다루어졌지만, 프랑스 면허기구가 2005년에 개최한 심포지엄의 결과를 살펴보는 것이 도움이 될 것이다. 이 심포지엄의 결과보고서에 따르면, 영미문화권에서 만들어낸 역량 개념은 기술적인 영역, 관계적인 영역 그리고 전략적인 영역으로 구별하여 정의되어야 한다[7]. 여기서 기술적인 것은 의사 전문직이 가져야 할 전문직 역량을 지시하고 있으며 다른 두 영역은 넓은 의미의 사회적 역량에 부합한다고 간주할 수 있다. 의사가 갖추어야 할 보편적인 역량으로서 흔히 거론되는 문제해결 능력, 갈등해소 능력 또는 리더십 등은 사실상 임상적 영역의 범주를 초월하는 단계로 진료현장 이외에서의 사회적 역할을 담당하는 본격적인 사회적 역량으로 간주될 수도 있다.


사회적 역량과 실천의학


우리나라에서 의료에 대한 여러 사안은 매우 첨예한 갈등 상황을 표출하고 있다. 이것은 의료문제가 의료제공자, 의료사용자, 의료제도를 기획하는 집단뿐만 아니라 의료를 정치적으로 활용하여 간접적 이득을 추구하는 집단 등이 각자의 이익을 추구하는 것에서 비롯된다. 이와 같은 갈등 상황은 이제 의료가 단순한 의식주의 단계를 넘어선 생존의 기본권으로 인식되고 있는 발전적 증거라고 볼 수도 있지만, 그와 같은 인식의 전환에 상응할만한 사회적 합의를 어떻게 이끌어낼 것인가라는 어려운 문제를 낳고 있다[8]. 의료의 가장 보편적인 목적은 공익적이며 타인을 위한 것임은 분명하다. 하지만 무분별한 정치적 구호에 따른 선심성 무상의료는 자칫 나라의 존망까지 위험에 빠지게 할 수 있는 사회적 해악의 위험성이 있다. 뿐만 아니라 자율에 또는 타율에 의한 것이든 조정 기능을 없을 경우 의료 본래의 목적에서 벗어나 상업성 또는 산업성을 근거로 하여 이익 창출만을 쫓는 거대 의료사업으로 변질되어 의료가 갖는 본성을 상실할 수 있다.


의료에 실천의 개념을 도입할 경우 의료의 재화를 내적 재화와 외적 재화로 구분할 수 있다. 

    • 의료의 내적 재화는 수월성(excellence)에 있다[9]. 수월성이란 환자에 대한 최대의 이득을 가져오는 것을 의미한다. 의사의 입장에서는 의사 자신이 펼치는 의료의 최선과 최고의 노력 및 완벽성을 추구하는 것이다. 
    • 반면에 의료의 외적 재화란 돈, 명예, 권위, 권력, 신분, 명성, 인류애적 인상, 존경, 시험통과 그리고 기관 생존 등의 의료가 갖는 부차적인 재화를 의미한다. 오늘날의 의료는 매우 전문화되어 있다. 의료행위는 의사에게 있어 곧 생존을 위한 것이며, 의료기관은 사회제도 속에서 기관을 생존시키기 위해 노력해야 하는 것도 당연하다. 

사정이 이와 같다면, 현대사회에서 의료는 외적 가치와 내적 가치가 적절한 평형을 이루어야 하는 것도 당연하다.


의사는 정부와 정치가에 의하여 결정되는 의료정책에 대하여 매우 다른 견해를 보일 수 있다. 실제로 사회적 실천의 중요한 몫을 담당하고 있는 의사는 자신들의 견해가 충분히 반영되지 못한 정책에 대한 정치적 결정에 대해 반감을 표출하고 있다. 의사의 입장에서 본다면, 의사가 의료의 내적 가치를 수호함으로써 보장되어야 할 외적 가치인 의사 개인과 의료기관의 생존에 대한 환경이 악화되는 것에 대해 불만을 제기하는 것이다. 반면에 사회의 입장에서 본다면, 의료계가 제기하는 요구가 외적 재화에만 편중되어 있다고 시각을 달리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대립적 시각은 과학과 기술의 수월성을 우선으로 하는 현대 한국 사회의 의료의 수월성에 대한 가치와 거시적 시각에서의 보편적 수혜를 중시하는 사회적 시각의 수월성의 충돌이라고 볼 수 있다[10]. 과학과 기술적 입장에서 교육받은 의사가 거시적이고 사회적인 시각을 이해하는 것은 매우 중요한 역량이다. 그러므로 의료가 갖는 내·외적 재화에 대한 정확한 이해와 균형감각을 갖기 위해서 의과학 중심 사고와 실천 능력만큼이나 거시적이고 사회적인 시각으로 의료를 이해하고 실천하는 능력이 요구된다. 현대 사회에서 의료가 제대로 작동되기 위한 필요조건으로 전문직에게 다양한 능력이 요구되고 요청되고 있다. 예컨대, 전문직은 전통적인 역할에 더하여 개인과 사회와의 의사소통능력, 조직능력, 관리능력, 시간관리 능력, 협동능력, 변화대처능력, 국제적 시각 그리고 전문직업성과 윤리성 등의 능력을 함양해야 한다[2]. 이것은 의료가 개인적 사안이 아닌 공적이고 사회적인 사안으로 변모되었기 때문이다.


의학교육의 변화와 사회적 역량


의학교육이 성과바탕학습에서 역량바탕학습으로 변화하고 있는 것이 최근의 국제적인 추세다. 이러한 변화는 후자가 전자보다 의학교육 고유의 특성을 잘 반영하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기 때문으로 볼 수 있다. 역량바탕학습에 대한 논의는 21세기 초부터 본격적으로 시작되었다. 

    • 예컨대, 캐나다의 전문의협회(Royal College of Physicians and Surgeons of Canada)에서 만든 ‘CanMEDS 2005’에서는 역량을 7가지 범주로 구분하여 의료 전문가, 소통자, 협력자, 보건증진자(health advocator), 관리자, 학자 및 프로페셔널로 나누었으며[11], 
    • 미국 졸업 후 교육인증위원회(Accreditation Council of Graduate Medical Education)는 1999년에 일반 성과(general competencies)의 6개의 성과 영역을 각각 환자진료, 의학지식, 진료현장 중심의 학습과 역량향상, 의사소통기술, 전문직업성 및 체제에 바탕을 둔 진료로 구분하였다.


비록 의학교육에서 ‘소통, 협력, 관리, 전문직업성, 성과 체제’와 같은 개념을 사회적 역량으로 표시하고 있지 않지만, 실제로 임상적인 역량 이외의 것을 감안하면 의사전문직에서 비임상적인 것에 대한 역량으로 이미 포함되어 있다고 볼 수 있다. 

    • 예컨대, 영국의 왕립내과협회(Royal College of Physician)에서 정의한 ‘의사의 평생전문성 개발’은 역량을 임상적인 것과 비임상적인 것으로 구별하고 있다[12]. 여기서 비임상적인 역량은 리더십과 팀워크 등에 관한 것이 핵심적인 것이며, 더불어 전공의나 지도 전문의 그리고 교수 등 의사의 교육자로서의 역량을 강화시키기 위한 내용들도 포함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분과 논의가 옳다면, 오늘날 의사의 사회적 역량은 우리 의료계에서 막연하게 또는 애매모호하게 표현해 왔던 비임상적 역량 또는 포괄적 역량 또한 포함되어야 한다는 해석이 가능하다.


한편 최근 캐나다에서 발표된 한 논문은 사회적 역량을 ‘의사와 환자의 관계에 비추어 의사가 살고 있는 삶의 세계와 환자들이 살고 있는 세계, 특히 그 중에서도 가난의 굴레 속에서 살고 있는 환자들과의 거리를 극복하기 위한 지식과 기술과 태도에 기반한 극복과정’으로 묘사하고 있다[13]. 말하자면, 사회적 역량은 의사가 저소득층의 만성 환자와의 치료적 관계를 성립하기 위해서 삶의 지평이 다른 두 그룹간의 장애를 극복하기 위한 그 과정이다. 아울러 여기에서는 의료인들이 이러한 저소득층을 위한 문제해결에 기여할 수 있도록 의료제도를 보다 강화하는 것을 목적으로 삼기도 한다. 사정이 이와 같다면, 결과적으로 의사의 사회적 역량은 사회적인 문제에 관심을 갖고 그것을 해결하려는 능력도 포함한다고 볼 수 있다.


다른 예를 살펴보자. 최근에 폴란드에서는 의료인들이 사회적 역량에 대한 선행 연구를 진행하였다. 이 연구[14]는 멧젝(Matczak)이 고안한 Social Competence Question (SCQ)을 사용하여 상황에 따른 의료인들의 적응능력을 측정하고 있다. SCQ는 세 가지 영역을 포함하고 있는데, 

    • 첫 번째 영역은 친밀한 관계에 있어서의 효과적 행동을 위한 조절역량, 
    • 두 번째 영역은 사회적 관계에서의 능력 그리고 
    • 세 번째 영역은 자기주장에 관한 것이다. 

이 연구에서 특기할만한 점은 일반적인 분류인 언어적 또는 비언어적 의사소통능력만을 측정한 것이 아니라, 자기주장 능력, 자기표현, 외분 또는 외향성을 함께 측정하려고 시도했다는 것이다. 하지만 앞서 말했듯이, 아직까지 사회적 역량에 대한 고정되고 단일화된 명확한 정의가 있는 것은 아니다. 사회적 역량은 일반적으로 사회적 기술이나 사회적 능력 등으로 혼용되고 있다. 이러한 측면에서 의료인은 항상 사람과 관계를 맺을 수밖에 없는 현실을 감안할 때, 인간과의 상호작용 또는 의사소통능력은 의료인에게 있어 매우 중요한 역량이라고 볼 수 있다. 폴란드에서 수행된 연구는 비록 선행연구의 성격을 띠고 있지만, 사회적 역량의 중요성을 일깨워줌과 동시에 의료서비스의 향상을 위해서 사회적 역량을 증가시켜야 하는 이유를 보여주고 있다고 평가할 수 있다.


북미의 경우, 의과대학 입학시험에서 종래의 방식대신 Multiple Mini Interview (MMI)라는 새로운 형태의 면접방법으로 사회적 역량을 측정하는 것은 사회적 역량의 중요성을 보여주는 좋은 본보기다[15]. MMI는 종래의 상투적인 면접을 지양하고 임상에서 OSCE (Objective Structured Clinical Examination)와 같이 여러 개의 독립된 방에서 각각 한 개의 주제를 갖고 간략한 면접을 시행 하는 것을 말하는데, 여기에는 과학적, 임상적 또는 중등교육에서 받은 학습성과를 측정하지 않고 사회적인 사안 또는 윤리적인 문제 등을 학생들이 어떻게 해결하지를 측정하는 방법으로 의과대학 학생을 선발하고 있다.


전공의 교육과 사회적 역량


2008년은 의사면허 발부가 100주년이 되는 해였다. 이를 기념하기 위해 다양한 행사가 진행되었으며, 특히 한국의학교육평가원은 자체적인 연구 과제를 통하여 우리나라 전공의 교육의 공통역량개발에 대한 보고서를 출간하였다. 그리고 의사면허 발부 100주년을 기념하기 위해 이 과제를 ‘전공의 공통역량 RESPECT 100’이라고 명명하였다. RESPECT 100에서 ‘RESPECT’는 현재 우리 전공의 교육이 처해있는 극도의 수직적이고 권위적인 문화를 탈피하고 전공의에 대한 존중을 강조하려는 의미를 담고 있다. 또한 RESPECT의 철자 하나하나를 따서 전공의 공통역량을 풀어나갔다. 간략히 설명하면, R은 ‘respect’을, E는 ‘ethic’을, S는 환자의 안전을 의미하는 ‘patient safety’을, P는 ‘professionalism’을, E는 ‘excellence’을, C는 ‘communication’을, 그리고 T는 ‘teamwork’을 가리킨다. RESPECT 100의 역량을 보면 진료와 관계된 역량과 존중, 소통, 팀워크, 교육자 역량 등 비임상적인 사회적 역량이 대거 포함되어 있어 전공의 교육에서 사회적 역량의 강화를 도모 하였다. 이후 RESPECT 100은 꾸준한 개선 작업을 통하여 현재에도 교육자로서의 전공의에 관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사회적 역량과 의사상 연구

우리나라의 문화적 특성 중의 하나로 집단적 문화와 불확실성의 회피를 꼽을 수 있다[16]. 우리나라의 의료계도 그러한 특성을 고스란히 갖고 있다. 그러한 특성은 의과대학을 졸업하고 인턴과 전공의생활을 하며 의료인 집단의 특성이 더욱 고착되기 시작한다. 졸업 후 교육의 특징은 의국이라는 독특한 단위에서 형성된다. 의국의 문화는 엄격한 수직적 권위주의 성격을 갖고 있으며 대게 자유로운 담화나 토론보다는 일방적 소통과 직무수행의 엄격성을 강조한다. 일반적으로 조직에 대한 충성심이 강하고 의국을 지배하는 기본 가치는 매우 가족적이다. 의국 내 학술활동 이외의 잦은 회합과 정기적이고 주기적인 단합대회 등이 평소의 일방적 의사소통의 약점을 일부 해소하기도 한다. 그러나 자신이 속한 의국에 대한 폐쇄적인 사고는 타 의국과의 협조나 병원, 대학 등의 보다 큰 조직체 내부의 소통을 힘들게 하고 의국의 권위를 초월하는 사안에 대하여는 매우 배타적이게 된다. 의국 구성원간의 사회성의 강조는 역으로 의국 외적 사안에 대한 사회성은 매우 취약하게 만드는 것이다. 이러한 문화에서 배출된 의료와 관련된 각종 단체의 대표자는 의료 외적 분야에서 원활한 소통을 하지 못하는 현상을 보여주기도 한다. 이와 같은 문제는 의사 개인적인 측면에서, 더 나아가 의사집단의 집단적 역량에서 사회적 역량의 결여 현상으로 해석될 수 있다. 의국을 초월하는 계몽적 행정의 부재에서 성장한 의사는 결국 대 사회적인 협상이나 설득에서도 벼랑 끝 전술의 극단적인 전략으로 귀결되는 폭력적인 방식으로 수렴할 위험성이 있다[8]. 최근에 발간된 ‘21세기를 위한 의학교육 보고서’에서는 의학교육이 이미 ‘시대착오적이며 교실이나 의국 간의 협조가 안 되는 종족주의의 산물이 되었으며 사회가 요구하는 의사의 양성보다는 의국이나 교실위주의 사고를 중시’한다고 비판한다[4]. 의국 내의 사회적 역량은 상하 위계질서, 고정된 연공서열의 준수로 과거의 경직된 유교적 질서를 유지하고 있다. 이와 같은 의국의 폐쇄적인 구조는 사회적 역량의 성장이 아닌 퇴화를 초래할 가능성이 훨씬 높다고 할 수 있다.


사회적 역량과 의사상: 이론에서 실천으로


의사상을 의료의 현장에서 실제 적용하는 것은 진정한 사회적 역량의 한 부분이다. 세계의학교육연맹이 제시한 의사의 역량 중 하나는 전문직의 자율규제로서 의사상이 곧 의료의 실천으로 옮겨지는 의사집단의 역량이기도 하다. 사회적 실천이라는 개념 하에서 의사상의 의미는 이렇다. 말하자면, 의사상은 의사 전문직과 사회가 적절한 합의에 의해 도달한 의사의 ‘덕목’과 ‘역할’에 대한 규명과 개념 정립이다. 의사상은 덕목이 바탕이 되는 가치와 윤리적 바탕에 의한 의무의 두 가지 사안에 대한 기술일 뿐만 아니라 의사의 직무와 직, 간접적인 관련을 갖는다. 역량은 직무를 수행하기 위한 행동적인 절차와 도구를 의미한다. 의사상을 다른 각도에서 조명하면 의사의 임상적 역량과 비임상적 역량인 사회적 역량의 결합체이다. 의사상은 단순한 역량의 제시에서 끝나지 않는다. 의사상이 의사의 덕목과 역할로 규정된다면, 이를 바탕으로 설립한 기준은 다시 구체적인 행동으로 표현되는 것과 가치가 위주인 추상적인 것으로 구분 할 수 있다. 구체적인 행동적 내용은 의사로서 의무를 그리고 추상적인 내용은 바람직한 가치에 대한 설정이다. 의사상은 다시 역량으로 표현되어 현대적 의학교육의 목표가 되어 종래의 분절된 기본의학, 졸업후의학, 평생의학교육의 공통된 목표로 설정되고 한 나라의 윤리를 바탕으로 한 의료의 기준으로 사용된다. 의사상의 설정과 기준의 설정은 그 자체가 바로 의사 집단의 사회적 역량의 전범이며, 이것을 실제 의료현장과 합치시키는 것이 바로 의사전문직의 사회적 역량이다.


결론


최근 의학교육은 성과바탕학습 혹은 역량바탕학습을 지향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여기서 역량이라는 것은 한나라의 의사상을 설정하고 설정된 의사상 내에는 기존의 임상적인 역량과 비임상적인 역량, 즉 사회적 역량에 관한 부분이 포함되어 있다. 이것은 이미 의료가 의료인에 국한된 사안이 아닌 사회 전체의 문제로써 의사는 사회와 더불어 번성할 수 있고 참살이가 가능하여야 하기 때문이다. 우리보다 먼저 시대적 변화를 겪은 영미 문화권의 등에서는 의사들에게 기존의 진료적 역량에서 탈피하여 보다 포괄적이고 넓은 역량을 요구하고 있다. 이것은 전문직 자체의 생존에 관한 문제이기도 하고 사회적 역량을 강화하여 소속 사회의 번성을 추구하는 것이기도 하다. 본 논문에서는 선진국에서 제시하는 의사상에 관한 여러 내용이 사실상 기존의 타 학문 분야에서 이미 논하고 있던 사회적 역량을 의료 상황에 매우 구체적으로 설정한 것이라는 주장을 개진하였으며, 이를 통해 의사의 포괄적 역량에 대한 이해도를 높이고자 하였다. 이것은 또한 향후 우리나라도 의사의 보다 광범위한 역할에 대한 논의가 활성화 되기 위한 기초적인 해설을 제공하였다는 의미가 있다. 우리나라는 이미 의료기술은 세계적인 수준이라고 자부하는 시대에 살고 있다. 그러나 의료보험제도의 발달을 의료제도의 발전으로 인식하는 정부, 사회, 그리고 불합리한 제도에서 개선보다는 투쟁방식 이외는 선택의 여지가 없어 보이는 현재의 숨막히는 의료제도에서 사회성 결여를 시대적 동시성으로 담고 있는 사회와 정부의 인식을 바꾸기 위 하여는 전문직부터 사회적 역량을 함양하여 사회를 설득시키고 변화시킬 수 있어야 한다. 갈등의 일상화를 경험하는 우리 사회에서 한국 의료계의 미래지향적 과제는 바로 의사의 사회적 역량을 강화하는 것이다.






J Korean Med Assoc. 2014 Feb;57(2):96-103. Korean.
Published online February 14, 2014.  http://dx.doi.org/10.5124/jkma.2014.57.2.96 
Copyright © 2014 Korean Medical Association
What is the social competency for doctors?
Ducksun Ahn, MD
Department of Plastic Surgery, Korea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Seoul, Korea.

Corresponding author: Ducksun Ahn, Email: dsahn@korea.ac.kr 



Abstract

Practicing medicine is a social activity. Because doctor-patient interaction requires respect, leadership, and interpersonal skills that extend beyond medical diagnosis and treatment, medical education must incorporate non-clinical competencies. While qualities such as lifelong learning skills, resource management, teamwork skills, and active involvement in leadership and bettering the healthcare system have received little attention in medical academia, these competencies have proven vital for a physician in contemporary society. These non-clinical competencies are, in fact, the traits or components of social competency. Social competency has been an area of interest, particularly with regard to the development of children and adolescents, in the fields of education, psychology, and less commonly, economics. However, traditional Korean residency programs have not paid much attention to social competency due to their closed culture originating from the colonial period. Resident education is still heavily dependent on a patriarchal system based on "family" values. Resident education is concentrated in medical knowledge and skills within specialty departments functioning as a family-like unit. Specialty training has a very narrow, constrained vision without incorporating much education on the social dimension of medical practice. Nevertheless, developing a social competency scheme for resident education was initiated in 2008, when the Korean Medical Association celebrated the centennial of producing licensed physicians. However, the scheme is still under development and not widely used. Korean medical educators must, therefore, recognize the value of social competencies and include them as graduation outcomes of residency training to prepare doctors to meet the challenges of the future.










+ Recent posts